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클로즈드_볼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로즈드 볼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로즈드 볼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로즈드볼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로즈드 볼트 방식(closed bolt design, closed bolt firing, 폐쇄 노리쇠 방식)은 자동화기에서 발사 준비 상태일 때, 탄약이 약실에 있고 노리쇠(bolt)가 약실을 폐쇄하고 있는 방식이다.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가 전진하여 격발된다. 대부분의 자동소총(M16 소총, AK-47)과 소수의 기관단총(헤클러&코흐 MP5 등)에서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다수의 기관총 및 기관단총에서는 오픈 볼트(open bolt) 방식을 사용한다. 목차 1 오픈 볼트 방식과의 비교 1.1 장점 1.2 단점 2 클로즈드 볼트 방식 화기 3 복합 방식 무기 4 읽을거리 오픈 볼트 방식과의 비교[편집] 장점[편집] 다음과 같은 이유로 초탄 명중률이 높다. 방아쇠를 당겼을 때 노리쇠나 노리쇠 뭉치와 같은 주요 작동 부품들이 움직이지 않는다. 탄약이 약실에 장전된 상태로 있다. 소음 화기에서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전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격발 후 노리쇠 및 노리쇠 뭉치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작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탄약 1발을 약실에 장전시켜 놓음으로써 탄창 용량보다 더 많은 탄약을 가지고 다닐 수 있다. 단점[편집]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다. 약실의 열 발산이 적다. 지속 사격 시 약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탄의 화약이나 뇌관이 발화(cook-off)되기 때문에 오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클로즈드 볼트 방식 화기[편집] 대부분의 자동소총 M16 소총 AK-47, AK-74 K2 소총 FN FNC SA80 헤클러&코흐 G36 FN FAL 헤클러&코흐 G3 기관단총 K1 기관단총 헤클러&코흐 MP5 헤클러&코흐 UMP 헤클러&코흐 MP7 미니 우지 복합 방식 무기[편집] FG-42 : 반자동 사격시에는 클로즈드 볼트 방식으로 작동하고, 완전 자동 사격시에는 오픈 볼트 방식으로 작동한다. 읽을거리[편집] 오픈 볼트 화기 작동 방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로즈드_볼트&oldid=10334528" 분류: 화기 작동 방식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日本語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3년 3월 9일 (토) 17: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로즈드 볼트(closed bolt) 방식 또는 폐쇄 노리쇠 방식은 자동화기에서 발사 준비 상태일 때, 탄약이 약실에 있고 노리쇠(bolt)가 약실을 폐쇄하고 있는 방식이다.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가 전진하여 격발된다. 대부분의 자동소총(M16 소총, AK-47)과 소수의 기관단총(헤클러&코흐 MP5 등)에서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다수의 기관총 및 기관단총에서는 오픈 볼트(open bolt) 방식을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하는 소총 중 이름이 K로 시작하는 소총은? Assistant: K2 소총 Human: 아래 교토_상가_FC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토 상가 F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 상가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교토 상가 FC 전체 이름 京都サンガFC 별칭 상가 리그 J2리그 창단 연도 1922년 감독 누노베 다카노리 경기장 니시쿄고쿠 육상경기장 수용 인원 20,389 웹사이트 http://www.sanga-fc.jp/ 2018 J2 19위 홈 어웨이 교토 상가 FC(일본어: 京都サンガFC)는 일본 교토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팀으로 1922년에 창단했다. 오찌힝즈(일본어: オチヒンズ)라는 애칭으로 불린다.[출처 필요] 2007년에 기존의 교토 퍼플 상가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팀명인 "상가"(일본어: サンガ 산가[*])는 연맹, 또는 연합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의 "Sangha"에서 온 말로 승보에 해당한다. 이는 불교 도시인 교토를 상징한다. 목차 1 역사 2 기록 3 우승 타이틀 4 선수 4.1 현재 선수 명단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22년 교토사범학교 OB들의 축구동호회인 교토 자광 클럽(일본어: 京都紫光クラブ, 교토 시코 크라부)으로 출발했고, 1993년 J리그 출범 당시 교토 시민들이 "교토에도 J리그 팀을"이라는 슬로건 하에 25만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1994년 1월에 교세라, 닌텐도, 와코루 등 교토의 향토기업들이 합자한 "교토 퍼플 상가"가 설립되었고, 동년 7월에는 J리그 준회원의 승인을 받는다. 1995년 JFL 준우승으로 아비스파 후쿠오카와 J리그에 동반승격하나, 2000년에는 종합순위 15위에 그쳐 J2로 강등된다. 2001년 박지성, 마쓰이 다이스케의 활약으로 J2를 우승해 1년 만에 J1에 복귀하게 되었고, 2002년에는 종합순위 5위와 사상 첫 천황배 우승으로 팀의 최전성기를 맞게 되나 이듬해인 2003년도에 종합순위 16위로 추락해 재차 J2로 강등된다. 이 후 2005년 J2 우승으로 승격하나 이듬해 종합순위 18위로 강등되었고, 2007년 J리그 교체전을 통해 다시 승격하는 등 널뛰기 성적을 계속하다가 2010년 연패를 반복한 끝에 17위를 기록, 리그 최다인 4번째 강등을 기록하였다. 2011년에는 J2 7위에 그치며 승격하지 못하였고, 2012년에는 정규 시즌 마지막에 반포레 고후와 득점 없이 비기며 쇼난 벨마레에게 2위 자리를 내주고 승격 플레이오프로 밀려난 뒤 오이타 트리니타에게 0:4로 완패하며 승격이 또 좌절되었다. 기록[편집] 시즌 디비전 팀 수 순위 평균관중 J리그컵 천황배 1996 J1 16 16 9,404 조별 예선 8강 1997 J1 17 14 7,881 조별 예선 4 라운드 1998 J1 18 13 8,015 조별 예선 3 라운드 1999 J1 16 12 8,859 2 라운드 4 라운드 2000 J1 16 15 7,253 4강 3 라운드 2001 J2 12 1 3,808 1 라운드 4 라운드 2002 J1 16 5 10,352 조별 예선 우승 2003 J1 16 16 10,850 조별 예선 3 라운드 2004 J2 12 5 7,807 - 4 라운드 2005 J2 12 1 7,857 - 4 라운드 2006 J1 18 18 9,781 조별 예선 4 라운드 2007 J2 13 3 6,629 - 3 라운드 2008 J1 18 14 13,687 조별 예선 5 라운드 2009 J1 18 12 11,126 조별 예선 3 라운드 2010 J1 18 17 10,510 조별 예선 3 라운드 2011 J2 20 7 6,294 - 준우승 2012 J2 22 3 7,273 - 3 라운드 2013 J2 22 3 7,891 - 3 라운드 2014 J2 22 9 7,520 - 3 라운드 2015 J2 22 17 7,491 - 3 라운드 2016 J2 22 5 6,524 - 2 라운드 2017 J2 22 12 6,748 - 2 라운드 출처: J리그 데이터 우승 타이틀[편집] 천황배 : 우승 2회 1988년, 2002년 J리그 디비전 2 : 우승 2회 2001년, 2005년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스게노 다카노리 (주장) 2 DF 유자와 마사토 3 DF 다카하시 유지 4 DF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5 MF 요시노 쿄헤이 6 DF 혼다 유키 7 MF 다무라 료스케 13 FW 이와사키 유토 14 MF 센토 게이야 15 DF 소메야 유타 18 MF 모치즈키 레오 19 FW 오노 요헤이 20 MF 이토 슌 21 GK 시미즈 게이스케 22 MF 고야마쓰 도모야 23 MF 시마무라 다쿠야 번호 포지션 이름 24 DF 우치다 쿄헤이 25 DF 아사다 쇼고 26 DF 시모하타 쇼고 27 GK 김철호 29 GK 나가이 다츠노리 30 DF 이시비쓰 요스케 31 FW 오구로 마사시 34 GK 와카하라 도모야 38 MF 시게히로 다쿠야 39 FW 세르히오 에스쿠데로 41 DF 쓰치야 유키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사이트 vdeh J리그J1리그 (2018년) 가시마 앤틀러스 가시와 레이솔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 나고야 그램퍼스 FC 도쿄 베갈타 센다이 비셀 고베 사간 도스 산프레체 히로시마 세레소 오사카 쇼난 벨마레 시미즈 에스펄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주빌로 이와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V-파렌 나가사키 J2리그 (2018년) 교토 상가 FC 기후 도치기 SC 도쿄 베르디 도쿠시마 보르티스 레노파 야마구치 로아소 구마모토 마쓰모토 야마가 마치다 젤비아 몬테디오 야마가타 미토 홀리호크 방포레 고후 아비스파 후쿠오카 알비렉스 니가타 에히메 FC 오미야 아르디자 오이타 트리니타 요코하마 FC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츠바이겐 가나자와 카마타마레 사누키 파지아노 오카야마 J3리그 (2018년)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가이나레 돗토리 감바 오사카 U-23 그루자 모리오카 기라반츠 기타큐슈 나가노 파르세이루 더스파구사쓰 군마 FC 도쿄 U-23 FC 류큐 반라우레 하치노헤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SC 사가미하라 세레소 오사카 U-23 아술 클라로 누마즈 YSCC 요코하마 카탈레 도야마 후지에다 MYFC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토_상가_FC&oldid=24056126" 분류: 교토 상가 FCJ리그 구단교토시의 스포츠1922년 설립된 축구단일본 사커 리그 구단재팬 풋볼 리그 구단교토부의 스포츠팀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9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5: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토 상가 FC(일본어: 京都サンガFC)는 일본 교토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팀으로 1922년에 창단했다. 오찌힝즈(일본어: オチヒンズ)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2007년에 기존의 교토 퍼플 상가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팀명인 ‘상가’(일본어: サンガ 산가[*])는 연맹·연합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saṃgha에서 온 말로 이는 불교의 역사가 오래된 교토를 상징하기도 한다. saṃgha는 한국어 승가(僧迦)의 어원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교토상가FC의 전신은 무엇인가? Assistant: 교토 자광 클럽
Human: 아래 북송_태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북송 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송 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광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광윤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조광윤 (시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송 태조宋 太祖 지위 북송의 초대 황제 재위 960년 ~ 976년 후임자 태종 이름 묘호 태조(太祖) 시호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 신상정보 부친 선조 모친 소헌황후 배우자 효혜황후효명황후효장황후 조광윤趙匡胤 생애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 (49세) 출생지 하북성 고안현 사망지 동경 개봉부 별명 북송 태조 복무 오대 십국 후한/후주 복무 기간 946년 ~ 960년 최종 계급 금군 사령관 지휘 후주 금군 등 기타 이력 북송의 건국자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2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 1.3 시대상의 혼란 1.4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 1.5 배주석병권 2 북송 황제 2.1 통일 전쟁 2.2 정책 2.3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 2.4 생애 후반 3 존호, 시호, 묘호 4 친족 4.1 조부모와 부모 4.2 형제 4.3 황후 4.4 황자 4.5 황녀 5 연호 6 평가 7 기타 7.1 독살설 7.2 화예부인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문헌 11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조광윤은 하북성 탁주(涿州) 고안현 사람으로 부친은 오대 십국때 후당의 금군 장관이었던 조홍은(趙弘殷)이었고, 모친은 두씨(杜氏)이다. 한족[1]이었던 그는 삼국시대 촉한의 유비와 동향[1]이기도 했다. 조홍은과 두태후의 둘째 아들이었던 조광윤에게는 형 조광제, 친동생 조광의와 동생 조광찬, 그리고 이복 동생 조정미가 있었다. 형 조광제(趙光濟)와 막내 동생 조광찬이 요절하면서 그는 사실상 장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되었다. 후당(後唐), 후진(後晋), 후한(後漢)의 3조를 섬기던 부친은 그에게 기대를 걸었고, 그는 아버지 조홍은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군관의 꿈을 키우게 된다. 당나라의 관료 가문이었던 조광윤의 선조는 증조부 부터 이같은 제위 찬탈을 노리는 군벌 아래에서 군관으로 공로를 쌓아왔고 그의 아버지는 956년 사망할 당시에 상당한 고위직 군관이었다. 아버지 조홍은은 후당의 근위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1] 조광윤의 어머니 두씨는 고관의 아내였음에도 사치하지 않고 겸손하였다. 어머니 두씨의 성실성과 지혜와 통찰력은 조광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961년 두씨가 죽은 뒤 조광윤은 황제라는 지위에 얽매이지 않고,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했다고 한다. 946년 20세에 군문에 입대, 후한(後漢)의 장수였던 추밀사(樞密使) 곽위(郭威)의 막료가 되었다. 조광윤은 처음에 후한의 대장 곽위(郭威)의 휘하에 있으면서 무예를 좋아하여 곽위의 눈에 들었다. 948년 곽위를 따라 전장을 누비며 공을 세웠다. 951년 곽위가 후한을 멸망시키고 칭제, 후주(後周)를 건국하자 그는 곽위를 도왔고 개국공신으로 금군군관(禁軍軍官), 전장금군(典掌禁軍)에 보직되었으며 이후 동방과 서방 원정을 수행하였다.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편집] 후주 세종 시영(柴榮)의 부하가 되어 근위군의 장관이 되었다. 이후 시영을 따라 남정에 참여하였으며 양주(揚州) 등지를 공략했다. 후주에서 그는 광국절도사(匡國軍節度使), 전전도지휘사(殿前都指揮使)를 거쳐 검교태위전전도검(檢校太傅殿前都檢), 금군총장령(禁軍總將領)을 역임했다. 시영이 죽자 아들인 시종훈(공제)이 제위를 계승했는데 그의 나이는 7세에 불과했다. 전란의 시대에 어린 군주에게 불안을 느낀 군인들은 자신의 수장인 조광윤이 권력을 쥐는 것을 원했고 마침내 조광윤을 제위에 옹립하는데 이것을 (진교의 변) 이라고 한다. 사건의 경위는 다음과 같다. 960년 초에 북한이 거란과 손잡고 쳐들어왔다. 군사 실력자 조광윤은 이를 막기 위해 북상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카이펑을 떠난 다음날 밤, 진교(카이펑 북방에 있는 소도시)에서 숙영할 때 술이 많이 취해 잠든 그를 동생 조광의가 깨워서 마당으로 끌고 나갔다. 연병장에는 칼을 받쳐든 장교들이 늘어서 있었다. 그들은 조광윤을 보자 마자 외쳤다. "부디 천자가 되어주십시오.[1]" 조광윤이 깨는 순간 순식간에 그의 몸에 천자의 황포가 입혀지고, 만세 (만세는 황제에게만 쓰는 용어이다.)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장교들이 조광윤을 부축하여 말에 태웠다.[1] 조광윤은 개봉에 돌아와서 공제로부터 황위를 물려받아 국명을 대송(大宋)이라고 했다. 그리고 수도는 그대로 카이펑으로 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은 후에 북송이 건국 후, 조광윤의 제위 찬탈을 인의적으로 조작한 것으로 실제로는 조광윤이 무력으로 정권을 빼앗은 찬탈이었다. (그 예로 위에 나온 북한과 요나라의 공격은 당사국인 요나라의 요서에 존재하지도 않고, 한 나라의 총사령관이 출정때 술을 마셨다는 것과 부하들이 당시 황제만 입던 황포를 입혔다고 나온것 자체가 수상하기 짝이 없다.) 준비했던 작전대로 조광윤은 진교에서 회군하여 개봉을 공격했다. 이때 필사적으로 조광윤의 군대를 막았던 금군 총사령관 한통(韓通)이 전사했다. (혹은 조광윤이 자객을 보내 암살했다는 말도 있다.) 그리고 시종훈(공제)를 압박하여 선양이라는 형식적인 절차로 제위를 빼앗았다. 963년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여, 출병한다. 976년 오나라와 월나라 그리고 북한의 잔재를 정복하고, 거란족을 만리장성 밖으로 몰아냈으나 통일 전 50세에 급사를 하게 된다. 동생 태종에 살해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지만, 두주불사하는 그의 음주 습관 때문에 질환에 의한 급사라고 하는 설도 있다. 시대상의 혼란[편집] 당시 시대였던 오대십국 시대가 시작된 해는 당나라가 완전히 멸망한 907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왕조로써의 당나라는 875년 ~ 884년에 걸쳐 일어난 황소의 난에 의해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고, 그 후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관중지역을 지배한 일개 지방정권으로 추락하여 주전충(朱全忠)과 이극용(李克用) 등 절도사 세력이 함께 존재하는 난립상태라고 말할 수 있었다. 오대십국의 오대는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를 뜻하며, 십국은 오월, 민, 형남, 초. 오, 남당, 남한, 북한, 전촉, 후촉을 포함한다.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편집] 당시 후주의 재상이었던, 범질(范質)과 왕부(王溥)는 조광윤과 협상을 했는데 내용은 공제의 제위를 빼앗는 대신 시씨 가문의 보호였다. 이와 같은 맹약으로 조광윤은 시종훈을 죽이지 않았고, 시종훈의 자손은 남송의 멸망 때까지 두터운 보호를 받았다. 시종훈은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송태종은 황제의 예로 장례를 치뤄준다. 태조가 '진교병변' 후에 회군하여 변경 황궁으로 들어왔을 때 어떤 후궁이 어린애를 안고 있는 것을 보고 누구의 아이인지를 묻자 후주 세종의 아들이라 대답했다. 이때 태조는 한 쪽에 서 있던 범질, 조보, 반미(潘美)에게 그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지 물었다. 조보 등은 당연히 제거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대답했지만, 태조는 "내가 남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의 자식마저 죽여야 하다니, 나는 차마 그러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태조는 그 아이를 반미에게 키우라고 준 후에 이후 그 아이에 대해서 묻지 않았으며, 반미도 태조에게 그 아이 이야기를 한번도 꺼내지 않았다. 그 아이는 성인이 된 후에 이름을 유길(惟吉)이라 하고 송조에서 벼슬이 자사(刺史)에 이르렀다. 배주석병권[편집] 휘하 장수들과 술을 마시고, 황제로 옹립되었던 송태조는 961년 역으로 금위군(禁衛軍) 장수 석수신(石守信) 등의 휘하 장수들을 초청하여 말술을 먹이고, 병권을 자발적으로 내놓게 하는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을 단행하였다. 정세가 안정된후 조광윤은 석수신 등 공신들을 초청해 연회를 차렸다. 연회 참석자들이 한창 주흥이 도도해 졌을무렵 조광윤은 갑자기 시종들을 멀리하고 엄숙하게 공신들에게 말하기를 '만일 당신들의 힘이 없었다면 나는 황제로 될 수 없었을 것이오. 그러나 황제가 된 후 나는 매일 편안한 밤을 잘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 말은 들은 장교들은 놀라움을 표하면서 "우리가 어찌 감히 황제에게 다른 마음을 가질수 있겠습니까?"라고들 답했다. 조광윤은 이때 "당신들은 비록 황위를 탐내지 않는다고 치더라도 당신들의 수하에 부귀를 꿈꾸는 자들이 있을까 봐 두려운 것이오. 만일 당신들에게 황포를 걸쳐주는 사람들이 있으면 당신들도 거절하기 힘들 것이 아니겠는가 말이오."라고 말했다. 이에 공신들은 다급히 어떻게 하면 황제를 안심하게 할 수있는가고 조광윤에게 물었다. 조광윤은 크게 한숨을 내쉬면서 "사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재부(財富)라고 보아지오. 당신들은 아예 권리를 내놓고 지방에 내려가 땅을 사고 호화저택 지어놓고 살면서 나와 친척으로 지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소"라고 답했다. 장교들은 조광윤의 말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가 있었다. 다음날 모든 고급 장교들은 모두 황제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였고, 조광윤은 바로 그들의 직무를 해임시켰다.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의 혼란이 군벌의 폐해로 일어났다고 생각한 송태조는 휘하의 군벌들에게도 그러한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하고 술자리에서 자신의 고민을 토로함으로써 하루 저녁에 군벌들의 세력을 넘겨받아 중앙으로 복속시킨다. 이 사건은 지방 군벌에 의한 군웅할거의 국면을 종식시키는 계기가 된다. 태조는 동일한 수단으로 왕언초(王彦超) 등 여러 명의 절도사들의 병권도 박탈하고, 지방의 행정과 재정을 모두 중앙으로 복속시켰다. 북송 황제[편집] 즉위 직후 시영의 신하로 자리를 찬탈했다는 비난에 직면하였다. 태조가 말을 타고 출궁하였다가 대계교(大溪橋)에 당도했을 때 갑자기 화살이 하나 날아와서 황룡기(黃龍旗)에 꽂혔다. 금위군이 당황하자 그는 오히려 가슴을 치면서 "내게 활쏘는 법을 가르쳐 줘 고맙구나!"라고 하고는 금위군이 화살 쏜 사람을 잡지 말라 하였다. 통일 전쟁[편집] 과거제도의 정비와 내치의 안정을 바탕으로 송태조 조광윤은 통일 전쟁을 시행하였다. 963년 중국대륙의 가장 중요한 요지라 할 수 있는 호북성의 형남을 합병했다. 965년에 사천성의 후촉을 병합하고 이땅의 풍부한 물산을 빼앗아 전쟁 비용을 보충한다. 970년경이면 조광윤은 중국의 북부지역을 거의 통일하게 된다. 한편으로 만리장성 안을 넘보던 거란족의 요나라를 정벌하고 후진 때 빼앗겼던 연운 16주를 수복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971년 광동을 지배하던 남한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975년 화남에서 최대세력을 자랑하던 남당을 멸망시키게 되었다. 남은 것은 북쪽의 북한과 남쪽의 오월뿐이었지만 태조는 당돌에서 병사했다. 정책[편집] 계속된 오대십국의 혼란으로 조광윤은 군벌의 힘을 억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나라 때부터 전란의 원인이 되고 있었던 절도사의 힘을 조금씩 줄여 단순한 명예직으로 남겨두었다. 조광윤은 많은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권한을 줄여나갔다. 조광윤의 정치는 만사가 이러한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혈사를 일으키는 것을 싫어했다. 실력있는 인재를 지역색에 가림없이 널리 구해야 된다는 유학자 출신 조보(趙普)의 충고를 받아들여 인재 채용에 관심을 기울였고, 무인정치를 폐하고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시켰다. 이는 일종의 군벌 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려던 그의 정책적인 측면과도 일부 상통했다. 지방에 파견되던 군사지도자 성격의 절도사(節度使) 지배체제를 폐지하고 중앙에서 절도사를 직접 임명하여 파견하되 절도사에게 부여되던 재량권(행정, 사법, 군사권)을 대폭 축소시키고 중앙정부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방관 역시 중앙에서 직접 파견하게 하여 행정적 측면에서도 중앙집권화를 꾀하였다. 지방의 주와 군의 관리들의 재량권을 대폭 축소, 지방의 군권, 재정권, 사법권을 조정에 귀속시키고 중앙에 민정·병정·재정의 3권을 집중하고 금군을 강화하여 황제의 권한을 향상시켰다. 군권을 중앙에 귀속, 집중시키고도 군대 이동이 빈번하고 지방에 파견된 절도사와 군사 지휘관들이 독자세력을 형성하는 것을 경계하여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데 노력했는데 이는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이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과거제도를 개선하여 전시(殿試)를 행하고, 무인보다 문인이 상위에 서는 문치주의를 확립했다. 과거시험이 실질적으로 관료선발 제도로 제 기능을 한 것은 송나라 때부터라고 한다. 흔히 조광윤이 폈던 문민통제 정책이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을 약화시킨걸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남송은 최전성기의 몽골 정예 기병을 상대로 가장 오랫동안 항전한 나라이다. 그는 관료들에게 독서를 권고하였는데 송나라시기 지식인에 대해 중시하고 우대해 주었기에 책을 읽는 풍토를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자신도 독서와 강독에 최대한 참여하려 노력했다. 관료 선발에도 직접 관심을 갖고 지도하였는데, 문관 등용에서 신분의 따지지 않고 평등한 과거 경쟁을 통해 문관들을 대거 발탁했다.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파견되는 관료의 채용을 위한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황제가 형식적으로 주관하거나 보고를 받던 이전의 황제들과는 달리 황제가 직접 과거시험을 실시, 주관하는 전시(殿試)와 어시(御試) 횟수를 늘렸다. 수리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토로 조성하거나 식수조림을 장려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개국황제들이 후환을 없애기 위해, 이전 군주들을 죽인 것에 반해 조광윤은 후주의 시씨를 시작으로 항복한 나라들의 군주들을 살리고, (물론 시씨 같은 경우는 위에 나온 협약 때문 이었고, 점령한 나라들의 반발의 우려 때문이었다.) 귀족으로서의 지위도 보장하였다. 이러한 개혁을 실행함에 있어 점차적으로 새로 선발하여 뽑아들인 관료로 구 귀족 및 지방 호족세력을 억제하되, 서서히 점진적으로 시행하여 반발을 최소화시키기도 하였다. 송태조 조광윤은 중국 역대 황제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명군 중의 명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황제이다.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편집] 석각유훈은 조광윤이 돌에 새겨 자손에게 전한 유언이다. 송왕조의 황제가 즉위를 하면 반드시 이것을 보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그 존재는 극비였고, 궁중에서만 전해져 내려와 정해진 사람들 이외에는 재상조차 알지 못하였다고 한다. 금군의 침입으로 황궁이 점령되어 발견되었고, 처음으로 그 존재가 표면화되었다. 거기에 새겨져 있는 유훈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조광윤에게 황위를 미루었던 시씨 가문의 자손을 대대로 돌봐 주어라. 뜻이 맞지 않다고 사대부를 죽여서는 안 된다. 이 두 개의 유훈이 지켜진 것은 시씨의 자손이 남송이 멸망한 애산 전투에서 운명을 함께 한 것과, 정쟁으로 실각한 관료(신법, 구법의 다툼. 사마광과 진회)가 처형되지 않고 정국의 변화에 의해 좌천되었다 중앙에 복귀하는 것으로 증명하고 있다. 위에 나온 시씨 가문에 대한 맹약과 당시 사대부들의 영향력을 이 유훈은 말해 주고 있다. 생애 후반[편집] 거란족의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976년 10월, 태조는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어 동생 조광의를 불러 대리청정을 시켰다. 976년 11월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사망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49세였다. 그러나 조광윤의 사후 내부 정변에 의해 그의 적자들이 제거되고 그의 친동생인 조광의가 제위를 계승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조광의가 조광윤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존호, 시호, 묘호[편집] <송사(宋史)>에 따르자면, 존호는 963년 쯤에 응천광운인성문무지덕황제(應天廣運仁聖文武至德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며, 968년 11월 경에 존호를 개정,가상하여 응천광운대성신무명도지덕인효황제(應天廣運大聖神武明道至德仁孝皇帝)라는 호를 받았다. 시호는 사후에 영무성문신덕황제(英武聖文神德皇帝)로 추시하였고, 진종 때인 1008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태조(太祖)이고, 능은 영창릉(永昌陵)이다. 친족[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조부 : 추존황제 익조(翼祖) 간공예덕황제(簡恭睿德皇帝) 조경(趙敬) 조모 : 추존황후 간목황후(簡穆皇后) 유씨(劉氏) 부친 : 추존황제 선조(宣祖) 소무예성황제(昭武睿聖皇帝) 조홍은(趙弘殷) 모친 : 추존황후 소헌황후(昭憲皇后) 두씨(杜氏) 형제[편집] 형님 : 조왕(曹王) 조광제(趙光濟) 동생 : 송 태종(宋太宗) 조광의(趙光義) 동생 : 위도왕(魏悼王) 조정미(趙廷美) (947년 ~ 984년) - 이복 동생. 동생 : 지왕(岐王) 조광찬(趙光贊)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군부인(郡夫人) 효혜황후(孝惠皇后) 하씨(賀氏) 회계군부인(會稽郡夫人) (추존) 929년 ~ 958년 건국 후 추존됨. 황후(皇后) 효명황후(孝明皇后) 왕씨(王氏) 낭야군부인(琅邪郡夫人) 960년 ~ 964년 942년 ~ 964년 황후(皇后) 효장황후(孝章皇后) 송씨(宋氏) 개보황후(開寶皇后) 968년 ~ 976년 952년 ~ 994년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등왕(滕王) 혜(慧) 조덕수(趙德秀)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2 연왕(燕王) 의(懿) 조덕소(趙德昭) 951년 ~ 979년 효혜황후 하씨 무공군왕(武功郡王)위왕(魏王)오왕(吳王)월왕(越王) 3 서왕(舒王) 조덕림(趙德林)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4 진왕(秦王) 강혜(康惠) 조덕방(趙德芳) 959년 ~ 981년 효명황후 왕씨 흥원윤(興元尹)담왕(潭王)기왕(岐王)초왕(楚王) 황녀[편집] - 봉호(공주) 봉호(제희)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현숙대장제희(賢肅大長帝姬) 현숙(賢肅) ? ~ 1008년 효혜황후 하씨 소경공주(昭慶公主)정국공주(鄭國公主)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2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현정대장제희(賢靖大長帝姬) 현정(賢靖) ? ~ 1009년 효혜황후 하씨 연경공주(延慶公主)허국공주(許國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 3 진국대장공주(陳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賢惠大長帝姬) 정혜(貞惠)공혜(恭惠) ? ~ 999년 영경공주(永慶公主)괵국공주(虢國公主)제국공주(齊國公主)허국장공주(許國長公主) 4 신국대장공주(申國大長公主) 안혜대장제희(安惠大長帝姬) 요절함 5 성국대장공주(成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顯惠大長帝姬) 요절함 6 영국대장공주(永國大長公主) 선혜대장제희(宣惠大長帝姬) 요절함 연호[편집] 건륭(建隆):960년~963년 11월 건덕(乾德):963년 11월~968년 11월 개보(開寶):968년 11월~976년 평가[편집] 정변으로 집권하였으나 전임 국가의 황제인 후주의 시종훈을 살해하지 않고 도리어 그의 생명을 지켜주었다. 그리고 석각유훈을 비롯, 자신의 유언을 통해서 시씨의 자손을 보호할 것을 유지로 남겼다. 이는 뒤에 주자로부터 덕망높은 군주로 칭송을 받았는데 이는 후대의 학자들도 별 이의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의 배려에 감읍한 시씨의 후손들은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송조의 유신들과 함께 몽골에 맞서 싸우다가 함께 전사한다. 기타[편집] 그는 술을 좋아하였는데 이는 만년에 간질환과 과로로 쓰러지는 등의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일각에서는 그의 애주가 그의 병을 키웠고,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본다. 효명황후 왕씨는 비파와 쟁을 타는 실력이 뛰어났다[2]한다. 독살설[편집] 976년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 그의 아들 덕소와 덕방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최후를 맞이했다. 이를 두고 제위를 은연중에 넘보던 그의 친동생 조광의가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독살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광윤의 두 아들 덕소와 덕방은 조광의에 의해 제거되었다. 화예부인[편집] 후촉을 멸망시킨 뒤 후촉의 왕이었던 맹창 내외를 포로로 사로잡아 귀환했다. 뒤에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사작(詞作)에 능함을 전해 들었기에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그녀는 당당하게 망국의 한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君王城上樹降旗 군왕이 성 위에 항복 깃발 세웠다지만 妾在深宮那得知 첩은 깊은 궁에 있어 알 길이 없었네. 十四萬人齊解甲 14만명이 모두 갑옷을 벗었다 하니 寧無一個是男兒 남아는 하나도 없었던 것인가! 오히려 굳은 충정에 크게 감명한 송태조는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송태조의 후궁이 된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렸다가 조광윤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스스로 자결하였다. 서씨의 재능과 미모로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3]고도 한다. 서씨와 함께 포로로 잡혀오고 맹창이 죽자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던 조광윤은 재빨리 서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다. 《노여록》(爐餘錄)에 의하면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그가 어찌 알았을까? 동생 조광의도 이 재색을 겸비한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3] 서기 976년 겨울 조광윤이 임종이 가까워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 조광윤을 몇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일어나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3]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슬그머니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난다.[3] 같이 보기[편집] 북송 남송 진교의 변 배주석병권 조광의 오대 십국 혜비 서씨 진종 효종 시영 시종훈 애산 전투 황포가신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이나미 리츠코 저, 배신자의 중국사 (김석희 역, 작가정신, 2002) 223페이지 ↑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371페이지 ↑ 가 나 다 라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3페이지 참고문헌[편집] 송사(宋史) 권1 태조본기(太祖本紀) 노여록(爐餘錄)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캐스트 - 송태조 조광윤 대기원시보 - 조광윤(한자) 전임(초대)(후주 공제 시종훈) 제1대 북송의 황제960년 ~ 976년 후임북송 태종 vdeh송나라의 역대 황제추존 성조 희조 순조 익조 선조 북송 태조 태종 진종 인종 영종 신종 철종 휘종 흠종 남송 고종 효종 광종 영종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934032 LCCN: n82085482 ISNI: 0000 0000 6322 3018 GND: 124584330 NLA: 36612171 NDL: 006250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북송_태조&oldid=24395325" 분류: 북송 태조927년 태어남976년 죽음북송의 황제오대 십국 시대의 장군송나라의 장군육군 장군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병사한 사람10세기 중국 사람10세기 중국의 군주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བོད་ཡིག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음력 2월 16일) ~ 976년 11월 14일(음력 10월 20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 송나라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자는 원랑(元朗)이며, 아명은 행해아(香孩兒) 혹은 조구중(趙九重)이다. 절일은 장춘절(長春節)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송태조가 배주석병권을 단행한 년도는? Assistant: 961 Human: 아래 크라스노다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크라스노다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라스노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크라스노다르 Краснодар 시기 휘장 크라스노다르북위 45° 02′ 00″ 동경 38° 58′ 00″ / 북위 45.03333° 동경 38.96667°  / 45.03333; 38.96667좌표: 북위 45° 02′ 00″ 동경 38° 58′ 00″ / 북위 45.03333° 동경 38.96667°  / 45.03333; 38.96667 행정 나라 러시아 지역 남부 연방관구 행정구역 크라스노다르 지방 역사 설립 1794년 인구 인구 744,995 명 (2010년) 기타 시간대 모스크바 시간대(UTC+3) 지역번호 +7 861 [1] 크라스노다르(러시아어: Краснода́р, 아디게어: Гъожъие къал)는 러시아 연방 남부의 도시이다. 북코카서스 서부에 위치한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중심지이다. 쿠반 강에 접한 도시이다. 인구는 653,300명(2004년)이고, 모스크바로부터는 남쪽으로 약 1,540km 떨어져 있다. 남쪽으로는 아디게야 공화국과 접한다. 1793년에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서 요새 도시로서 건설되었고 예카테리노다르(Екатеринодар)로 불렸다. 19세기 후반에 철도가 개통하고 나서 크게 발전했다. 1920년 12월에 크라스노다르라고 개칭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은 크라스노다르를 공업도시로 발전시켰다. 정유, 기계 제조업지로 유명하다.[1] 토지가 비옥하고 곡류나 해바라기 등을 수확한다. 농산물 가공도 한다. 목차 1 기후 2 자매 도시 3 각주 4 외부 링크 기후[편집] Krasnodar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20.8 (69.4) 22.2 (72) 28.5 (83.3) 34.7 (94.5) 35.1 (95.2) 37.5 (99.5) 40.7 (105.3) 40.0 (104) 38.5 (101.3) 33.9 (93) 27.4 (81.3) 23.0 (73.4) 40.7 (105.3) 평균최고기온 °C (°F) 4.4 (39.9) 5.7 (42.3) 10.7 (51.3) 18.0 (64.4) 23.2 (73.8) 27.1 (80.8) 30.2 (86.4) 30.2 (86.4) 24.9 (76.8) 18.1 (64.6) 10.7 (51.3) 5.8 (42.4) 17.4 (63.3) 일평균기온 °C (°F) 0.6 (33.1) 1.1 (34) 5.5 (41.9) 12.2 (54) 17.2 (63) 21.3 (70.3) 24.1 (75.4) 23.7 (74.7) 18.5 (65.3) 12.3 (54.1) 6.1 (43) 2.1 (35.8) 12.1 (53.8) 평균최저기온 °C (°F) −2.2 (28) −2.3 (27.9) 1.8 (35.2) 7.6 (45.7) 12.2 (54) 16.4 (61.5) 18.7 (65.7) 18.0 (64.4) 13.3 (55.9) 7.9 (46.2) 2.8 (37) −0.7 (30.7) 7.8 (46) 최저기온기록 °C (°F) −32.9 (−27.2) −29.8 (−21.6) −25.6 (−14.1) −5.6 (21.9) −1.2 (29.8) 4.2 (39.6) 9.5 (49.1) 3.9 (39) −2.2 (28) −9.9 (14.2) −20.4 (−4.7) −27.6 (−17.7) −32.9 (−27.2) 평균 강수량 mm (인치) 66 (2.6) 54 (2.1) 58 (2.3) 51 (2) 68 (2.7) 86 (3.4) 56 (2.2) 44 (1.7) 46 (1.8) 56 (2.2) 73 (2.9) 77 (3) 735 (28.9) 평균강우일수 13 11 14 15 14 14 10 8 10 12 14 15 150 평균강설일수 11 10 6 0.3 0 0 0 0 0 0 3 9 39 평균 상대 습도 (%) 81 76 72 66 66 68 63 62 68 75 81 82 72 평균 월간 일조시간 71 84 136 181 247 277 303 286 238 173 88 55 2,139 출처 #1: Pogoda.ru.net[2] 출처 #2: NOAA (sun, 1961–1990)[3] 자매 도시[편집] 미국 탤러해시 독일 카를스루에 불가리아 부르가스 중국 하얼빈 시 이탈리아 페라라 우크라이나 폴타바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로스토프 나 도누〉 ↑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Krasnodar)” (러시아어). Weather and Climate.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Krasnodar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크라스노다르 (러시아어) 크라스노다르온라인 vdeh크라스노다르 지방의 도시 아빈스크 아나파 압셰론스크 아르마비르 벨로레첸스크 겔렌지크 고랴치클류치 굴케비치 예이스크 코레놉스크 크라스노다르 크로폿킨 크림스크 쿠르가닌스크 라빈스크 노보쿠반스크 노보로시스크 프리모르스코아흐타르스크 슬라뱐스크나쿠바니 소치 템류크 티마숍스크 티호레츠크 투압세 우스티라빈스크 하디젠스크 이 글은 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크라스노다르&oldid=24373154" 분류: 러시아의 도시크라스노다르 지방러시아의 연방주체의 행정 중심지숨은 분류: CS1 - 러시아어 인용 (ru)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АдыгабзэAfrikaansAkan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ГӀалгӀай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Перем Коми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онголमराठीЭрзяньDorerin Naoero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پنجابیΠοντιακάPortuguêsKirund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ChiTumbukaTwi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Wolof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Zeêuws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07: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크라스노다르(러시아어: Краснода́р, 아디게어: Гъожъие къал)는 러시아 연방 남부의 도시이다. 북코카서스 서부에 위치한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중심지이다. 쿠반 강에 접한 도시이다. 인구는 653,300명(2004년)이고, 모스크바로부터는 남쪽으로 약 1,540km 떨어져 있다. 남쪽으로는 아디게야 공화국과 접한다. 1793년에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서 요새 도시로서 건설되었고 예카테리노다르(Екатеринодар)로 불렸다. 19세기 후반에 철도가 개통하고 나서 크게 발전했다. 1920년 12월에 크라스노다르라고 개칭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은 크라스노다르를 공업도시로 발전시켰다. 정유, 기계 제조업지로 유명하다. 토지가 비옥하고 곡류나 해바라기 등을 수확한다. 농산물 가공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크라스노다르의 1월 평균 강우 일수는 며칠일까요? Assistant: 13
Human: 아래 반민주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반민주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민주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5월) 반민주주의(反民主主義; Anti-democratic thought)는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반민주주의는 반평등이념과는 관련이 없지만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반민주주의를 주장한 주요 인물로는 마르틴 하이데거, 허버트 라가르델, 샤를 모라스, 프리드리히 니체, 플라톤, 카를 슈미트, 오스발트 슈펭글러, 엘라자르 샤흐 등이 있다. 또한, 전제군주제, 귀족제, 파시즘, 법정후견주의, 신권 정치 등의 다양한 정치 사상 및 이데올로기가 민주주의를 반대했다. 목차 1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 1.1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 1.2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 2 더 보기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편집]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편집]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와 이에 기반한 민주주의를 시민들이 공익을 추구하기보단 시민의 충동을 따르게 되는 내부 단결이 없는 무정부사회라고 비판했고, 더 큰 민주주의는 단지 많은 수의 시민들이 말하는 의견만을 따르게 되 이와 같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라고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본질인 자유지상주의를 무정부주의이며 자유에 대한 착각이라고 공격했다.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일관된 통일성의 부족을 플라톤은 이러한 정치를 정치 조직의 한 형태이기보다는 공통의 조직을 차지하는 개인의 단순한 모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 결과, 플라톤은 시민들이 적합하고 부족한 리더십으로써의 아테네 민주주의의 평등 개념 같은 외부 규칙이 없는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각각 개인들에 자신의 욕망의 추구가 자기중심을 잃게 만들고 공동의 이익 대신에 갈등을 추구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 내에서 시민의 대표가 시민의 욕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리더십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개인 목소리의 중요성은 다수의 '민주주의적 요구에' 묻혀서 평가절하된다고 말했다.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편집] 프리드리히 니체는 기독교의 반대자에서 연결된 서구식 민주주의를 보면서, '민주주의' 운동은 기독교의 후계자이며, "사소한 주인을 충족시키면서 장기적인 자신의 이익을 계산하는" 자신의 욕망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상실감을 느끼는" 본질이 없는 민주주의의 사람을 비판했다. 니체는 "개인의 가장 높고 강력한 본능이 열정으로 갑자기 나타날 때, 군중의 양심의 저지를 넘어서서 평균 이상으로 그를 움직이게 한다"면서, "도덕적 관점은 이제 감정 상태, 의지, 재능이 사회에게 평등하다는 의견이 어떻게 유해한지 또는 무해한지 고려된다"라고 주장했다. "확실한 의지, 자기주도적 믿음, 고독의 의지, 심지어는 이유에 대한 큰 힘도 위험으로 느껴진다"라고 말했다. "오늘날 유럽의 도덕은 동물 무리의 도덕이다."라고 말했다. 더 보기[편집] 민주주의의 비판 중국의 민주주의 토론 vdeh 파시즘 이론핵심 교리 국민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 반민주주의 전체주의 일당제 독재 사회진화론 사회개입주의 프롤레타리아 민족 선전 우생학 영웅주의 군국주의 경제개입주의 반공주의 주제 정의 경제 이념 전세계의 파시즘 상징주의 개념 능동관념론 계급협조론 협동조합주의 영웅자본주의 국가사회주의 국민생디칼리슴 국민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제3의 위치 전체주의 사회질서 변종 이탈리아 파시즘 국가사회주의 팔랑헤주의 영국 파시즘 오스트로파시즘 메탁사스주의 국민급진주의 일민주의 렉스주의 교권적 파시즘 군단주의 천황제 파시즘 정당, 조직, 운동아프리카 회의사 오제바브란트바흐 아시아 남의사 백의사 동방회 사쿠라회 가나프당 브리트 하비리오님 북서유럽 알티리 너 하셰리 흑색전선 육군전우협회 브르타뉴 사회국민노동자운동 영국 파시스트 영국 인민당 영국 파시스트 연합 르 카골레 교권인민당 르 페소 플랑드르 국민연합 드블라그 프랑스 대중당 네덜란드 파시스트 총동맹 제국 파시스트 동맹 라푸아 운동 국민연합 국민협조당 녹의사 국민 파시스트 국민당 국민사회주의 블록 국민사회주의 네덜란드 노동자당 국민사회주의 동맹 네덜란드 국민사회주의 운동 노르웨이 국민사회주의 운동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신당 애국인민운동 천둥십자당 렉스당 중앙유럽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조국전선 헝가리 국민사회주의자당 국민전선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주데텐 독일인당 남유럽 알바니아 파시스트당 민주 파시스트당 국민생디칼리슴 공세평의회 에스파냐 팔랑헤 그리스 국민사회주의당 이탈리아 파시즘 이탈리아 사회공화국 메탁사스주의 국가 파시스트당 국민연합 공화 파시스트당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우스타샤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동유럽 불가리아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루마니아 십자군당 철위대 국민급진기지 파시스트 국민공동체 파시스트 국민운동 이탈리아-루마니아 국민문화경제운동 국민사회운동 국민급진기지 팔랑가 루마니아 국민 파스키오 국민부흥전선 불가리아 국민성 진보를 위한 전사단 루마니아 전선 러시아 파시스트당 러시아 여성 파시스트운동 슬로바키아 인민당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블라이카 북미 캐나다의 파시즘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국민연합당 금의사 독일계 미국인 동맹 은의사 남미 라틴아메리카의 팔랑헤주의 브라질 통일주의 볼리비아 사회주의 팔랑헤당 칠레 국민사회주의운동 혁명연합 관련자 압바 아히메이르 니미오 데 안퀸 아라키 사다오 마르 오기어 모리스 바르데체 자크 베노이스트메칭 앙리 베로 졸탄 보소르메니 주세페 보타이 로베르 브라지야크 알퐁스 드 샤토브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구스타브스 켈민슈 엔리코 코라디니 카를로 코스타마그나 리하르트 발터 다레 마르셀 데아 레옹 드그렐 피에르 드리외 라 로셸 고트프리트 페더 지오반니 젠틸레 요제프 괴벨스 한스 프리드리히 카를 귄터 하인리히 힘러 고노에 후미마로 아돌프 히틀러 기타 잇키 이사키 비흐토리 코솔라 아고스티노 란실로 디미트리예 료티치 레오폴도 루고네스 쿠르치오 말라파르테 이오안니스 메탁사스 로베르트 미헬스 오즈왈드 어날드 모즐리 준남작 베니토 무솔리니 이오인 오더피 가로드 오 키나간 세르지오 파눈치오 지오반니 파피니 안테 파빌리치 윌리엄 더들리 펠레이 알프레트 플뢰츠 로베르 폴레 비드쿤 크비슬링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프란시스코 프랑코 뤼시앵 레바테 디오니시오 리드루에호 알프레도 롯코 콘스탄틴 로드자엡스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플리니우 사우가두 라파엘 산체스 마사스 마르게리타 사르파티 카를 슈미트 아르뎅고 소피치 오트마어 슈판 우고 스피리토 살러시 페렌츠 곤살로 토렌테 발레스테르 조르주 발루아 아나스타시 바사츠키 안호상 염동진 박정희 문헌단행본 《파시즘의 교리》 《파시스트 선언》 《파시스트 지식인 선언문》 《나의 투쟁》 《오스월드 모슬리 자서전》 《20세기의 신화》 《히틀러 제2서》 《러시아 파시스트의 유언장》 정기간행물 국가의 정복 다스 라이히 데어 앙그리프 독일일반신문 노르웨이 독일일반신문 네덜란드 독일일반신문 Figli d'Italia 프론텐 간디레아 청년 파시스트지 나는 어디에나 있다 작업 중의 프랑스 뮌헨 베오바흐터 노보프레스 월간 NS 노르웨이-독일 저널 흑군단 데어 슈튀르머 이탈리아 인민 스파르머피아트러 지크날 블라이카 푈키셔 베오바흐터 우리의 길 파시스트 르알바 영상물 《신념의 승리》 《의지의 승리》 《자유의 날: 우리 국방군》 관련 주제 나치 예술 파시스트 건축 영웅사실주의 나치 건축 나치즘과 영화 나치의 예술품 약탈 조직국가조직 독일유산학술협회 파스키 협조원 파시즘 대평의회 황도파 이탈리아 국민주의자 협회 국민사회주의자 국가체육동맹 콰드룸비리 이익단체 파시스트 청년연합 독일계 미국인 동맹 국민청년기구 (그리스) 러시아 파시스트 기구 파시스트 아동연합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남아)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여아) 준군사조직 알바니아 파시스트 민병대 검은 여단 흑의사 청의사 금의사 철위대 회의사 히틀러 청소년단 보국단 무쇠 늑대 창기병대 필리핀 애국연맹 은의사 친위대 특수작전집단 무장친위대 돌격대 베어볼프 국제조직 추축국 NSDAP/AO ODESSA 역사1910년대 아르디티 파쇼 1920년대 아벤티노 분당 아체르보 선거법 로마 진군 뮌헨 폭동 이탈리아 경제투쟁 1930년대 무쇠 의지의 진군 1932년 11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맨챌래 반란 1933년 3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수권법 1934년 2월 6일 위기 오스트리아 내전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스페인 내전 8월 4일 체제 방공 협정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7월 25일 사건 탈나치화 뉘른베르크 재판 관련 주제 반파시즘 반나치동맹 기독교 파시즘 교권적 파시즘 Cryptofascism 나치 밀교 파시스트 (멸칭) 파시스트 밀교 독일화 나치 독일 용어집 나치 경례 이탈리아화 남티롤의 이탈리아화 이슬람 파시즘 일본화 쿠 클럭스 클랜 신파시즘 신나치주의 로마식 경례 사회파시즘 시나키즘 반파시즘 연합 독일 민족주의 운동 나치 독일의 여성 분류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반민주주의&oldid=24057246" 분류: 민주주의선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ČeštinaEnglishEspañolHrvatskiPolskiไทย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반민주주의 혹은 민주주의 비판(Criticism of democracy)는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반민주주의는 반평등이념과는 관련이 없지만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반민주주의를 주장한 주요 인물로는 마르틴 하이데거, 허버트 라가르델, 샤를 모라스, 프리드리히 니체, 플라톤, 카를 슈미트, 오스발트 슈펭글러, 엘라자르 샤흐 등이 있다. 또한, 전제군주제, 귀족제, 파시즘, 법정후견주의, 신권 정치 등의 다양한 정치 사상 및 이데올로기가 민주주의를 반대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본질이 없는 민주주의를 비판하고 유럽의 도덕성을 동물 무리로 비유한 사람은? Assistant: 프리드리히 니체 Human: 아래 피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피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피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피오 기본 정보본명 표지훈출생 1993년 2월 2일(1993-02-02) (26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직업 래퍼장르 랩, 힙합활동 시기 2011년 ~ 현재 가족 삼촌 표진인레이블 CJ E&M소속사 세븐시즌스소속 그룹 블락비 피오(1993년 2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블락비의 서브래퍼를 맡고 있다. 목차 1 학력 2 음반 3 예능 3.1 고정출연 3.2 게스트 4 드라마 5 광고 6 수상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중암중학교 (졸업)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과 (재학) 음반[편집] 피오가 그룹 블락비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블락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예능[편집] 고정출연[편집] 2011년 MBC every1 《데스캠프 24시》 2012년 SBS MTV 《더 쇼 : 올 뉴 케이팝》 (2017년 4월 25일 ~ 2017년 10월 10일) 2014년 SBS 《패션왕 코리아 2》 2016년 온 스타일 《립스틱 프린스》 2017년 OLIVE 《요상한 식당》 2017년 온 스타일 《립스틱 프린스 2》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2017년 4월 14일 ~ 2018년 3월 23일) 2018년 tvN 《대탈출 시즌 1》(2018년 7월 1일 ~ 2018년 9월 23일) 2018년 XtvN 《커버브라더스》 2018년 tvN 《신서유기 시즌 5》 (2018년 9월 30일 ~ 2018년 10월 28일) 2018년 tvN 《신서유기 시즌 6》 (2018년 10월 28일 ~ 2018년 12월 02일) 2019년 tvN 《대탈출 시즌 2》 (2019년 3월 17일 ~ 2019년 6월 9일) 2019년 tvN 《놀라운토요일》 도레미 마켓 (2019년 3월 30일 ~ ) 2019년 tvN 《강식당 시즌2》 (2019년 5월 31일 ~ ) 2019년 KBS2 《썸바이벌 1+1》 (2019년 6월 26일 ~ ) 게스트[편집] 2013년 MBC 《세바퀴》 224회 2014년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219회 2014년 SBS 《도전 1000곡》 297회 2016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40회 2016년 tvN 《문제적남자》 58회, 59회 2017년 SBS 《백종원의 3대천왕》 83회 2017년 MBC 《비밀 예능 연수원》 2017년 SBS 《마스터키 (텔레비전 프로그램)》 3회 2017년 tvN 《문제적남자》 135회 2018년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 시즌 2 - 18회 2018년 MBC 《선을 넘는 녀석들》 13,14,15,16회 2018년 MBC 《뜻밖의Q》 22회, 23회 2018년 tvN 《놀라운토요일》 33회 2018년 JTBC 《아이돌룸》 29회 특별출연 2019년 JTBC 《아는 형님》 162회 2019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600회 2019년 SBS 《가로채널》 12회 특별출연 2019년 tvN 《코미디빅리그》 300회 특별출연 2019년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405회 2019년 JTBC 《한끼줍쇼》 121회 2019년 tvN 《인생술집》 117회 2019년 KBS2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24회 2019년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272회 2019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616회 스페셜 MC 2019년 MBC 《복면가왕》 207회, 208회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7 SBS 《사랑의 온도》 강민호 40부작 2018 MBN 《설렘주의보》 윤유준 16부작 2018 tvN 《남자친구》 김진명 16부작 2019 tvN 《호텔 델루나》 지현중 광고[편집] 2016년 쥬씨 (블락비) 2017년 유리카 2018년 에비수 2019년 호텔스컴바인 2019년 질스튜어트 스포츠 모델 2019년 롯데칠성음료 레쓰비 (with. 송민호) 2019년 서브웨이 2019년 이니스프리 포레스트 포맨 올인원 에센스 모델 수상[편집] 2017년 MBC 방송연예대상 인기상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외부 링크[편집] 블락비 페이스북 블락비 팬카페 피오 인스타그램 vdeh블락비 태일 비범 재효 유권 박경 지코 피오 정규 음반 BLOCKBUSTER 미니 음반 New Kids On The Block Welcome To The Block Very Good HER Blooming Period 리패키지 음반 Welcome To The Block (Repackage) 싱글대한민국 Do U Wanna B? JACKPOT 일본 Very Good HER 관련 문서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세븐시즌스 KQ 엔터테인먼트 소속사: 세븐시즌스 vdeh세븐시즌스경영진 김규욱 (대표이사) 가수 블락비 지코 태일 비범 재효 유권 박경 피오 관련 문서 세븐시즌스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오&oldid=24457017"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중암중학교 동문2011년 데뷔블락비의 일원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대한민국의 래퍼대한민국의 남자 래퍼서울특별시 출신 래퍼글로벌사이버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Suomi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2: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피오(P.O, 본명: 표지훈, 1993년 2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래퍼이자 배우이며,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블락비의 서브래퍼를 맡고 있다. 데뷔 전에 언더그라운드에서 "빅 보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적이 있다. 2011년 4월 15일 블락비 싱글 앨범《Do You Wanna B?》로 데뷔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피오가 2018년에 찍은 광고는 어떤 브랜드인가? Assistant: 에비수
Human: 아래 루이스_수아레스_미라몬테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1968년 아지만에서 발행된 우표에 그려진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개인 정보전체 이름 Luis Suárez Miramontes출생일 1935년 5월 2일(1935-05-02) (84세)출생지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라코루냐키 175cm포지션 감독 (선수 시절 미드필더)청소년 클럽 기록1949–1953 페르세베란시아파브릴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53–19541954–19551955–19611961–19701970–197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바르셀로나인테르나치오날레삼프도리아 00017 000(3)0000? 000(?)00122 00(61)00256 00(42)00063 000(9)국가대표팀 기록1957–1972 스페인 00032 00(14)지도자 기록197519751975–19761976–19771977–19781978–19791980–19821988–1991199219941995 인테르나치오날레삼프도리아SPAL 1907칼초 코모칼리아리 칼초데포르티보 라코루냐스페인 U-21스페인인테르나치오날레알바세테 발롬피에인테르나치오날레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스페인어: Luis Suárez Miramontes, 1935년 5월 2일 ~ )는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 겸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스페인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구 선수 가운데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정확한 패스와 폭발적인 슈팅 때문에 "건축가"(El Arquitecto)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현재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스카우트이다. 목차 1 경력 1.1 선수 경력 1.2 감독 경력 2 수상 2.1 클럽 2.2 국가대표 2.3 개인 3 사진 4 외부 링크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1949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청소년 클럽 소속으로 데뷔하였으며 1953년 12월 6일 라 리가 무대에 데뷔하였다. 1955년부터 1961년까지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뛰면서 팀의 라 리가 2회 우승(1958-59, 1959-6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2회 우승(1957, 1959),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2회 우승(1958, 1960)에 공헌하였고 1960년 발롱도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961년부터 1970년까지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으로 뛰면서 팀의 세리에 A 3회 우승(1962-63, 1964-65, 1965-66), 유러피언컵 2회 우승(1964, 1965), 인터콘티넨털컵 2회 우승(1964, 1965)에 공헌하였고 1970년부터 1973년까지 이탈리아의 삼프도리아 소속으로 뛰었다.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에서 스페인의 사상 첫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우승에 공헌하였다. 1962년 FIFA 월드컵과 1966년 FIFA 월드컵에서도 스페인 대표로 출전하였지만 스페인은 두 대회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감독 경력[편집]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스페인 대표팀 감독을 맡았으며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의 16강 진출에 공헌하였다. 수상[편집] 클럽[편집] 바르셀로나 라리가 우승 2회 (1958-59, 1959–6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 2회 (1957, 1959)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 2회 (1958, 1960) 인테르나치오날레 세리에 A 우승 3회 (1962-63, 1964-65, 1965-66) 유러피언컵 우승 2회 (1964, 1965) 인터콘티넨털컵 우승 2회(1964, 1965) 국가대표[편집] 스페인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 개인[편집] 1960년 발롱도르 수상 1961년, 1964년 발롱도르 2위 선정 1965년 발롱도르 3위 선정 사진[편집]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1962년) 외부 링크[편집] International Stats Spain player stats Spain manager stats [1]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2년 FIFA 월드컵 1 아라키스타인 2 사두르니 3 카르멜로 4 코야르 (주장) 5 델 솔 6 디 스테파노 7 에체베리아 8 가라이 9 헨토 10 그라시아 11 리비야 12 페이로 13 파친 14 페렌츠 15 마르티네스 16 레이하 17 로드리 18 아델라르도 19 산타마리아 20 세하라 21 수아레스 22 베르헤스 감독: 에레라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 (1회) 1 이리바르 2 사두르니 3 카예하 4 가예고 5 올리베야 6 레이하 7 리비야 8 델 솔 9 푸스테 10 파키토 11 페레다 12 비야 13 소코 14 아만시오 15 라페트라 16 마르셀리노 17 수아레스 18 사바야 감독: 비얄롱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6년 FIFA 월드컵 1 이리바르 2 산치스 3 엘라디오 4 델 솔 5 소코 (주장) 6 글라리아 7 우파르테 8 아만시오 9 마르셀리노 10 수아레스 11 헨토 12 베탕쿠르트 13 레이나 14 리비야 15 레이하 16 올리베야 17 가예고 18 피리 19 푸스테 20 페이로 21 아벨라르도 22 라페트라 감독: 비얄롱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90년 FIFA 월드컵 1 수비사레타 2 첸도 3 히메네스 4 안드리누아 5 산치스 6 마르틴 바스케스 7 파르데사 8 키케 9 부트라게뇨 (주장) 10 페르난도 11 비야로야 12 알코르타 13 아블라네도 14 고리스 15 로베르토 16 바케로 17 이에로 18 파스 19 살리나스 20 마놀로 21 미첼 22 오초토레나 감독: 수아레스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감독직vdeh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 포사티 (1909–15) 레세고티 (1920–22) 스포티스우드 (1922–24) 슈네이더 (1924–26) 비츠 (1926–28) 비올라 (1928–29) 비츠 (1929–31) 토흐 (1931–32) 비츠 (1932–34) 펠드만 (1934–36) 카라로 (1936) 카스텔라치 (1936–38) 카르넬리 (1938–40) 페루체티 (1940) 잠벨레티 (1941) 피오렌티니 (1941–42) 페라리 (1942–45) 카르카노 (1945–46) 누트리치오 (1946) 메아차 (1947–48) 카르카노 (1948) 애스틀리 (1948) 카펠리 (1949–50) 올리비에리 (1950–52) 포니 (1952–55) 캄파텔리 (1955) 메아차 (1955–56) 프로시 (1956) 페레로 (1957) 메아차 (1957) 카버 (1957–58) 비고노 (1958) 캄파텔리 (1959–60) 아치리 (1960) 카펠리 (1960) Hel. 에레라 (1960–68) 포니 (1968–69) Her. 에레라 (1969–70) 인베르니치 (1970–73) 마시에로 (1973) Hel. 에레라 (1973) 마시에로 (1974) 수아레스 (1974–75) 치아펠라 (1976–77) 베르셀리니 (1977–82) 마르체시 (1982–83) 라디세 (1983–84) 카스타그너 (1984–85) 코르소 (1985–86) 트라파토니 (1986–91) 오리코 (1991–92) 수아레스 (1992) 바놀리 (1992–94) 마리니 (1994) 비안키 (1994–95) 수아레스 (1995) 호지슨 (1995–97) 카스텔리니 (1997) 시모니 (1997–98) 루체스쿠 (1998–99) 카스텔리니 (1999) 호지슨 (1999) 리피 (1999–2000) 타르델리 (2000–01) 쿠페르 (2001–03) 베르델리 (2003) 자케로니 (2003–04) 만치니 (2004–08) 모리뉴 (2008–10) 베니테스 (2010) 레오나르두 (2010–11) 가스페리니 (2011) 라니에리 (2011–12) 스트라마초니 (2012–13) 마차리 (2013–14) 만치니 (2014–16) 더 부르 (2016) 피올리 (2016–17) 스팔레티 (2017–19) 콘테 (2019–)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브루 (1920) 루에테 (1921-1922) 베라온도 (1921-1928) 곤살레스 (1921-1927) 마테오스 (1922-1933) 이라올라 (1922) 브라헤 (1923) 파라헤스 (1923-1924) 세르누다 (1923-1924) 알바레스 (1924) 루비에라 (1924) 비데아 (1924) 알사가 (1925) 몬탈트 (1925) 로만 (1926-1927) 가르시아 (1934-1936) 로페스 (1941-1942) 킨코세스 (1945) 파사린 (1946) 코로나도 (1947-1962) 에이사기레 (1948-1956) 케사다 (1951) 이세타 (1951) 알칸타라 (1951) 사모라 (1951-1952) 에스카르틴 (1952-1961) 카바니예스 (1953-1954) 바르톨로메 (1955) 델 바예 (1955) 미야스 (1955) 후르호 (1955) 메아나 (1957-1959) 코스타 / 가빌론도 / 라스플라사스 (1959-1960) 에레라 (1960-1962) 비야론가 (1962-1966) 발마냐 (1966-1968) 토바 (1968-1969) 몰로우니 (1969) 아르티가스 (1969) 쿠발라 (1969-1980) 산타마리아 (1980-1982) 무뇨스 (1982-1988) 수아레스 (1988-1991) 미에라 (1991-1992) 클레멘테 (1992-1998) 카마초 (1998-2002) 사에스 (2002-2004) 아라고네스 (2004-2008) 델 보스케 (2008-2016) 로페테기 (2016-2018) 이에로 (2018) 루이스 엔리케 (2018-2019) 로베르토 모레노 (2019-) vdeh발롱도르발롱도르 (1956–2009)1950년대 1956: 매슈스 1957: 디 스테파노 1958: 코파 1959: 디 스테파노 1960년대 1960: 수아레스 1961: 시보리 1962: 마소푸스트 1963: 야신 1964: 로 1965: 에우제비우 1966: 찰턴 1967: 얼베르트 1968: 베스트 1969: 리베라 1970년대 1970: 뮐러 1971: 크라위프 1972: 베켄바워 1973: 크라위프 1974: 크라위프 1975: 블로힌 1976: 베켄바워 1977: 시몬센 1978: 키건 1979: 키건 1980년대 1980: 루메니게 1981: 루메니게 1982: 로시 1983: 플라티니 1984: 플라티니 1985: 플라티니 1986: 벨라노프 1987: 휠릿 1988: 판 바스턴 1989: 판 바스턴 1990년대 1990: 마테우스 1991: 파팽 1992: 판 바스턴 1993: 바조 1994: 스토이치코프 1995: 웨아 1996: 자머 1997: 호나우두 1998: 지단 1999: 히바우두 2000년대 2000: 피구 2001: 오언 2002: 호나우두 2003: 네드베트 2004: 솁첸코 2005: 호나우지뉴 2006: 칸나바로 2007: 카카 2008: 호날두 2009: 메시 FIFA 발롱도르 (2010–2015)2010년대 2010: 메시 2011: 메시 2012: 메시 2013: C. 호날두 2014: C. 호날두 2015: 메시 발롱도르 (2016–현재)2010년대 2016: 호날두 2017: 호날두 2018: 모드리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이스_수아레스_미라몬테스&oldid=23528631" 분류: 1935년 태어남스페인의 축구 선수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의 축구 감독데포르티보 라코루냐의 축구 선수FC 바르셀로나의 축구 선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선수UC 삼프도리아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감독데포르티보 라코루냐의 축구 감독UC 삼프도리아의 축구 감독칼리아리 칼초의 축구 감독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감독알바세테 발롬피에의 축구 감독196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발롱도르 수상자축구 미드필더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스페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감독1990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감독라리가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스페인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Malagasy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2: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스페인어: Luis Suárez Miramontes, 1935년 5월 2일~2023년 7월 9일)는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스페인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구 선수 가운데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정확한 패스와 폭발적인 슈팅 때문에 "건축가"(El Arquitecto)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선수는 몇년에 데뷔하였는가? Assistant: 1949년 Human: 아래 빙허각_이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빙허각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빙허각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빙허각 이씨는 조선의 여성실학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목차 1 일생 2 저서 3 전기 자료 4 관련 작품 5 참고자료 6 각주 일생[편집] 1759년 음력 1월 27일(양력 2월 24일) 아버지 이창수(李昌洙)와 어머니 유씨(柳氏)부인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빙허각의 친가는 조선 세종의 서자 영해군의 가문으로 대대로 명망높은 소론 가문이었으며, 외가 역시 실학 및 고증학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집안으로 외숙모이자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지은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와 그의 아들로 《언문지》의 저자인 유희 등이 유명하다. 이병정은 그녀의 오빠이다. 15살에 실학자인 행정 서유본(徐有本: 1762년 3월 1일(음력 2월 6일)~1822년 8월 26일(음력 7월 10일)[1])과 결혼하였으며, 어린 시동생 서유구를 직접 가르쳤다고 한다. 시가 역시 다수의 실학자를 배출한 집안으로 많은 장서를 가지고 있어 훗날 빙허각의 저술 활동에 큰 도움이 되었다.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으나 불행히도 8명이 일찍 죽고 아들 1명과 딸 2명만이 살아남았다.[2] 남편은 빙허각의 학문적 재능을 존중하였고, 평생 동안 학문적 동지 관계를 유지하였다고 한다. 서유본은 43세라는 뒤늦은 나이에 벼슬에 오르나 숙부 서형수의 옥사로 벼슬에서 일찍 물러났다. 갑자기 곤궁해진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차밭을 직접 가꾸며 생활했으며, 자신의 생활지식과 실학서의 내용을 종합한 가정백과사전을 쓰기 시작한 것이 《규합총서》이다. 이 책의 제목은 남편인 서유본이 직접 붙인 것이다.[3] 1824년 음력 2월 3일(양력 3월 3일), 66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이보다 2년 먼저 죽은 남편을 위해 '절명사(絶命詞)'[4]를 짓고 모든 인사(人事)를 끊은 다음, 머리를 빗지 않고, 얼굴을 씻지 않고 자리에 누워 지낸 지 19개월 만에 남편의 뒤를 따랐다 한다. 저서[편집] <규합총서> <빙허각시집> <청규박물지> 전기 자료[편집]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 관련 작품[편집] 열혈녀자 빙허각 (창작음악극) (2005년) 참고자료[편집] 조선 유일의 여성 실학자이자 경제학자 - 빙허각 이씨 (이코노미 플러스) 역사속의 경기여성 - 빙허각 이씨 <규합총서> 저자 소개 (윤숙자 편역)(질시루 출판) (2003년) 각주[편집] ↑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백씨 좌소산인 묘지명 ↑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 ↑ 서유본, 《좌소산인집》 권1, 〈강거잡영 15수〉 중 제13수의 자주(自註) ↑ 이 작품은 서유구의 문집인 《금화지비집》 권7의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에 실려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빙허각_이씨&oldid=24544401" 분류: 1759년 태어남1824년 죽음조선의 실학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7: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빙허각 이씨는 조선의 여성실학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서유본의 아내이자 서유구의 형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빙허각 이씨의 아버지는 이름이 무엇일까? Assistant: 이창수
Human: 아래 민영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민영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영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다. 처음에는 온건 개화파 정치인이었다가 갑신정변 전후로는 조선 말기 민씨 외척 정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경기도 출신이며 명성황후의 친정 일족이었다. 자(字)는 우홍(遇鴻), 호는 운미(雲楣) 또는 죽미(竹楣)·원정(園丁)·천심죽재(千尋竹齋)이며, 본관은 여흥이다. 목차 1 생애 1.1 출생과 가계 1.2 민씨 세도가의 수장 1.3 정치 활동 1.3.1 온건 개화파 활동 1.3.2 외교 활동 1.4 망명과 죽음 1.5 기타 2 사진 3 가족 관계 4 각주 5 관련 항목 6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 7 참고 문헌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민영익은 1860년 민태호의 독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7대조 민유중의 딸이 숙종 계비로 책봉되면서 중앙 정계의 핵심 세력으로 떠올랐지만, 고조부가 예조판서를 지낸 이후로는 권력에서 점차 소외되었다. 민영익이 태어났을 때, 민태호는 동생 집에 얹혀살면서 콩죽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였다.[1] 흥선대원군의 본부인인 여흥부대부인이 있었으나 그녀는 민태호, 민규호와 촌수가 멀었고, 대원군 역시 척신을 미워하여 별 혜택을 볼 수 없었다. 결국 민태호의 부친, 즉 민영익의 조부의 초상 때 관을 살 돈이 없어 시신을 짚자리로 말아 출상했을 정도로 가난했다. 간고했던 민영익의 집안에 서광이 비치기 시작한 것은 그가 7세 되던 해인 1866년 민치록의 딸이 왕비로 책봉되면서부터였다.[1] 민비 책봉 이전 몇 안 되는 과거 합격자였던 그의 숙부 민규호는 일약 권력의 핵심으로 떠올랐고, 1870년 그의 부친도 과거에 합격해 벼슬길에 올라 승승장구했다.[1] 유년기를 몰락한 양반집안의 후예로 보냈던 민영익도 10대에 접어들면서 권문세가의 후예로 신분이 상승했다. 1874년 민비의 오빠 민승호가 집으로 배달된 의문의 소포가 폭발해 사망했다. 비록 양자였지만 민승호는 민치구의 아들로 태어나 민치록에게 입양된 명성황후의 유일한 혈육이었다. 민씨 세도가의 수장[편집] 고종은 민승호에게 충정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민승호에겐 뒤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민비는 가까운 친척을 배척하고 촌수가 좀 먼 민태호의 아들 민영익을 양자로 삼겠다고 했다.[2] 그러자 민태호는 반대하였고 그의 동생 민규호가 형을 협박했다. "천의(왕후의 뜻)를 어찌 감히 어기겠소? 양자를 보내어 함께 부귀를 누리는 것도 좋지 않겠소이까?" 그래서 민태호의 아들 영익은 민승호의 양자로 들어갔고, 뒤이어 민규호는 이조판서 겸 도통사가 되었다.[2] 민씨 척족의 수장으로 세도를 부리던 민승호가 갑자기 폭사하자, 사람들은 흥선대원군을 의심하였다. 그러나 민승호와 그의 아들이 동시에 폭사했으므로 민씨 일족들은 자신의 아들을 민승호의 사후 양자로 세우기 위해 각자 암투와 경쟁을 벌였다. 하지만 민비는 만약을 대비하여 오빠의 사후 양자로 민영익을 일찌감치 점지해둔 상태였다.[1] 민태호는 아무리 일가라지만 하나뿐인 아들을 양자로 줄 수 없다고 버텼지만, 민규호 등과 민비의 거듭된 설득으로 허락할 수밖에 없었다.[1] 민태호는 품에서 아들을 잃은 대신 권세를 손아귀에 움켜쥐었다. 민비는 친정아버지의 제사를 받드는 유일한 혈육인 민영익을 끔찍이 아꼈다. 촌수로는 조카였지만, 나이 차이가 9세밖에 나지 않았기 때문에 친동생처럼 친하게 대했다.[1] 정치 활동[편집] 온건 개화파 활동[편집] 고종 때인 1877년 문과 급제 후 동도서기적 개화 정책을 지지하면서 별기군의 운영 책임을 맡았다. 이조참의·경리통리기무아문군무사당상(1881년)·군무변정기연사당상(軍務邊情譏沿司堂上) 협판통리아문사무(協辦通理衙門事務)를 역임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민씨 척족의 거물로 지목되어 구식 군대의 공격으로 가옥이 파괴되었다. 난이 수습된 후 사죄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 외교 활동[편집]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 두 번째와 세 번째가 홍영식, 민영익, 왼쪽 세 번째가 유길준 권지 협판교섭통상사무로 톈진에 파견되어 해관사무를 교섭하다가 23세이던 1883년 5월 푸트 주한(駐韓) 미국 공사가 조선에 부임하자 그해 7월 고종은 미국으로 보빙사(報聘使:답례 사절)를 파견한다.[1] 민영익은 보빙사의 정사 및 전권대신이 되어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하였다. 태평양을 건너고 샌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 미주 대륙을 횡단한 다음 뉴욕에서 체스터 아서 미국 대통령과 회동하고 국서를 전하였다. 보스턴 등 각지를 순회하고 유럽을 거쳐 귀국하였다. 중도 개화파의 후원자였으며, 1883년 보부상을 단속하는 혜상공국(惠商公局) 총판이 되기도 했다. 1884년 10월에 친군영(親軍營)이 실시되면서 우영사(右營使)를 역임했다. 친일적 급진 개화파와 갈등이 생겨 1884년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감행할 때 가장 먼저 자객의 기습으로 칼에 맞아 중상을 입었으나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구출되어 미국인 의사 알렌에게 치료를 받고 구사일생으로 회생하였다. 일본에 망명 중인 김옥균·서광범 등을 암살하기 위하여 자객을 밀파한 일도 있었다. 망명과 죽음[편집] 그 뒤 1885년 군국기무아문 협판, 병조 판서, 한성 판윤, 이조·형조·예조의 판서를 지냈으며, 1886년 조선 정부의 친러 거청(親露拒淸) 정책에 반대하여 위안스카이(원세개)에게 이를 밀보했다가 자신의 입장이 난처하여 홍콩으로 망명했다. 뒤에 귀국하여 1889년 판의금부사·1894년 선혜청 당상이 되었다. 대한제국이 성립하자 1898년 의정부 찬정이 되었고, 1905년 을사조약이 성립하자 고종 폐위 음모에 관련되어 홍콩으로 망명, 1910년 한일 합방 소식을 들었음에도 귀국하지 않았다. 그는 상하이에서 체류하다 1914년 죽었다. 기타[편집] 그는 한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측의 권유로 주(駐)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로 일한 적도 있었다. 행서를 잘 썼으며 묵란도에도 능하였다. 사진[편집] 민영익이 그린 〈노근묵란(露根墨蘭)〉 가족 관계[편집] 친조부 : 민치삼(閔致三) 친아버지 : 민태호(閔台鎬, 1834년 ~ 1884년) 여동생 : 순명효황후 민씨 (1872년 ~ 1904년) 매제 : 순종 (1874년 ~ 1926년) 양조부 : 민치록(閔致祿, 1799년~1858년) 양아버지 :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양어머니 : 김재정(金在廷)의 딸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 가 나 황현, 《매천야록》 (정동호 역, 일문서적, 2011) 40페이지 관련 항목[편집] 명성황후 순명효황후 갑신정변 개화파 박규수 박정양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안경수 유길준 이상재 이완용 고종 박영교 이동인 윤웅렬 윤치호 오경석 오세창 유대치 이동녕 이상재 이승만 양기탁 이시영 홍영식 민겸호 민승호 민규호 민태호 민영목 민영환 박정양 박영교 박중양 흥선대원군 안경수 이준용 서재창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편집] 윤순홍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 MBC 김용준 - 1996년 찬란한 여명 KBS1 김광영 - 2002년 명성황후 KBS2 장현성 - 2010년 제중원 SBS 오민석 - 2014년 조선 총잡이 KBS2 안재모 - 2016년 장사의 신 - 객주 2015 KBS2 참고 문헌[편집] 고종실록 순종실록 일성록 고종시대사 외부 링크[편집]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영익&oldid=24438233" 분류: 1860년 태어남1914년 죽음갑신정변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외교관사상가조선의 유학자조선의 서예가조선의 화가유길준윤치호서재필온건개화파수구파대한제국의 정치인대한제국의 관료과거 급제자병사한 사람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여흥 민씨경기도 출신대한제국 고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민영익(閔泳翊, 1860년 ~ 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다. 처음에는 온건 개화파 정치인이었다가 갑신정변 전후로는 조선 말기 민씨 외척 정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경기도 출신이며 명성황후의 친정 일족이었다. 자(字)는 우홍(遇鴻), 호는 운미(雲楣) 또는 죽미(竹楣)·원정(園丁)·천심죽재(千尋竹齋)이며, 본관은 여흥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민영익이 민승호의 양자로 들어가게 된 배경은 뭐야? Assistant: 고종은 민승호에게 충정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민승호에겐 뒤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민비는 가까운 친척을 배척하고 촌수가 좀 먼 민태호의 아들 민영익을 양자로 삼겠다고 했다.[2] 그러자 민태호는 반대하였고 그의 동생 민규호가 형을 협박했다. "천의(왕후의 뜻)를 어찌 감히 어기겠소? 양자를 보내어 함께 부귀를 누리는 것도 좋지 않겠소이까?" 그래서 민태호의 아들 영익은 민승호의 양자로 들어갔고, 뒤이어 민규호는 이조판서 겸 도통사가 되었다.[2] Human: 아래 동성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성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성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끼리 하는 결혼에 관한 것입니다. 같은 성별(性別)끼리 하는 결혼에 대해서는 동성 결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한다. 목차 1 역사 2 폐지 3 같이 보기 4 각주 역사[편집]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동성(同姓) 근친혼이 성행하였다. 태종무열왕 김춘추는 진지왕의 아들인 김용춘과 진평왕의 딸인 천명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진지왕이 진평왕의 삼촌이므로 용춘은 천명의 5촌당숙이었다. 진성여왕은 자신의 숙부인 김위홍과 혼인했으며, 김춘추는 김유신의 누이인 문희, 보희와 혼인했는데 문희의 딸인 지소는 삼촌인 김유신에게 시집을 갔고, 김유신의 딸 신광은 고모인 문희의 아들 문무왕에게 시집을 갔다. 헌덕왕은 숙부의 딸과 사촌끼리 결혼하였다. 고려 초에도 왕실의 동성 근친혼이 성행하여 이복남매 간의 결혼까지도 행해졌다. 그러나, 고려 중엽부터 유학의 영향으로 근친혈족 간의 혼인이 규제되기 시작해 고려 말에는 왕실 내의 근친혼풍습이 사라졌다. 유교이념을 기초로 건국된 조선 시대에는 성(姓)과 본(本)이 같은 사람 사이의 혼인이 철저하게 금지되었고, 모계혈족도 6촌까지 혼인이 금지되었다.[1] 조선시대의 동성동본금혼(同姓同本禁婚) 원칙은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의 관습법으로 인정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민법에 이를 규정하였다. 중국에서는 중화민국 민법의 친속편(親屬編)이 시행된 1931년 5월 5일 동성금혼 제도가 폐지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48년에 동성동본금혼 제도가 폐지되었는데, 대한민국 민법 제정 당시에도 이에 대해 시대착오적 입법이라는 반론이 있었다. 폐지[편집] 동성동본 금혼 규정에 대해서는 친족 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운 지나치게 광범위한 범위에서 단지 성과 본관이 같다는 이유로 혼인을 금지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계속 이의가 제기되었으며, 1978년, 1988년, 1996년에는 각각 1년 동안 '혼인에 관한 특례법'을 시행하여 동성동본인 사실혼 부부가 혼인신고를 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구제하였다. 결국, 1997년 7월 16일에 헌법재판소는 동성동본금혼 규정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려 그 효력을 중지시켰고, 2005년에 민법 개정이 이루어져 같은 해 3월 31일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동성동본 여부를 불문하고 8촌 이내의 혈족 사이에서 혼인을 금지하고 있다.[2] 같이 보기[편집] 근친혼 각주[편집] ↑ "우리 나라의 풍속이 외친(外親)도 동성(同姓)과 다름없이 중히 여기는 까닭으로 6촌까지 분경(奔競)을 금하였으니, 이제부터는 외친(外親) 6촌이면 서로 혼인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라." (조선왕조실록 성종 2년(1471) 6월 18일 10번째기사) ↑ “동성동본금혼 40년 만에 폐지”. 2012년 3월 31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은 가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성혼&oldid=24067807" 분류: 혼인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가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7: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라 김춘추의 아버지는 누구인가? Assistant: 김용춘
Human: 아래 조르조_바사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르조 바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르조 바사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1월) 조르조 바사리 자화상원어이름 Giorgio Vasari출생 1511년 7월 30일피렌체 공화국 아레초사망 1574년 6월 27일 (62세)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국적 이탈리아분야 그림, 건축학력 안드레아 델 사르토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 1511년 7월 30일 - 1574년 6월 27일)는 이탈리아의 화가, 건축가일 뿐만 아니라 특히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하던 예술가들의 전기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1 생애 2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 3 바사리의 작품 4 읽어보기 생애[편집] 1511년 토스카나 지방의 아레초(Arezzo)에서 태어났다. 1524년 피렌체로 가서 안드레아델 사르토(피렌체파 화가. 초상화에 뛰어나다)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고 미켈란젤로의 제자로서, 메디치가(피렌체의 지배자)의 원조를 받으면서 회화, 조각,건축에 종사한 예술가이다..1529년 로마를 방문한 라파엘로와 그 밖의 르네상스 화가들의 작품을 공부하고 고대 로마의 유적을 소묘해 가면서 예술적 영감을 쌓아갔다. 건축가이자 화가로 활동했다.당시 메디치가의 수장이었던 코시모 1세의 힘과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무수한 프레스코화(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많이 그려진 벽화)를 제작하였고 우피치 궁(우피치미술관) 설계 등의 대작들을 연달아 수행했다.화가로서 바사리는 화려하고 지적이지만 독창성은 부족한 보수적인 미술가였다. 그러나 건축가로서는 간결하고 강건한 건축물을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정작 역사상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만든 작업은 1550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의 《미술가 열전》출판이다.개정 작업을 시작, 이탈리아 전국을 일주하면서 취재를 거쳐 1568년에 개정판이자 결정판을 내었다. 그가 남긴 이 르네상스 미술가들의 평전은 후세의 미술사가들로부터 큰 찬사를 받고 있다. 그는 코시모 1세가 권좌에서 물러나 사망한 몇 달 후1574년 숨을 거두었다.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편집] Le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d architet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 (1550-1568) 바사리는 자신의 책 제 1부'서설'에서 고대의 재생을 논하며 당시의 시대를 규정짓기 위해 'Rinascimento'(Renaissanc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쓰는 '르네상스 시대' 라는 역사적 개념이라기 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화가 재생하였다' 라는 평면적 의미였다. 현대 우리가 쓰는 역사적인 의미는 스위스의 미술사학자인 부르크하르트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에서 만들어 낸 개념이다. 바사리의 작품[편집] 바사리가 남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라는 제목의 책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명이 남긴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을 수록한 이 책은 르네상스 미술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택에 바사리는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훗날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오류로 밝혀진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그가 생존했던 시대의 상황과 혼자서 200여명에 대한 평전을 집필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 보면 그가 남긴 오류가 크게 눈에 뜨이지는 않는 것 같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 저술을 통하여 후세에 남긴 간과할 수 없는 업적은 당시의 예술 기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집대성한 '기법론'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조각가,건축가들의 기술적인 측면을 오늘날 파악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는 1986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 초역,출판된 바 있다. (이근배 역, 탐구당 간행). 이 완역본의 축약본을 2000년에 '이태리 르네상스의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한명 출판사에서 재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탐구당본과 한명 출판사 본 모두 현재는 품절된 상태로, 도서관 혹은 헌책방에서만 구할 수 있다. 읽어보기[편집] 크로노스가 아버지 우라누스를 거세하는 장면을 플로렌스의 Palazzo Vecchio (Ducal palace)에 벽화로 남기고 있다. 큰 낫을 들고잇는 이가 크로노스이며 스러져있는 이가 우라노스이다. 우리노스 뒤편으로 보이는 천구의는 우라노스를 의미한다. 우라노스는 하늘의 신이기 때문이다. vdeh메디치 가문인물피렌체의 지배자 코시모 일 베키오 "통풍 걸린자" 피에로 로렌초 일 마니피코 줄리아노 피에로 일 파우토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아노 로렌초 2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무어인" 알레산드로 피렌체 공작 "무어인" 알레산드로 코시모 1세 토스카나 대공작 코시모 1세 프란체스코 1세 페르디난도 1세 코시모 2세 페르디난도 2세 코시모 3세 잔 가스토네 왕비 카테리나 마리아 교황 레오 10세 클레멘스 7세 레오 11세 추기경 남계: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알레산드로 (레오 10세) 조반니 페르디난도 1세 카를로 조반 카를로 레오폴도 프란체스코 마리아 프란체스코여계: 루이지 데 로시 조반니 살비아티 인노센초 키보 베르나르도 살비아티 니콜로 리돌피 로렌초 스트로치 페란테 곤차가 빈첸초 2세 곤차가 주교 및 대주교 필리포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줄리아노 차노비 콘도티에로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돈 조반니 마티아스 계보학 메디치 가문의 족보 Festina Lente건축물빌라 카파졸로 트레비오 카레지 피에솔레 라 퀴에테 콜레살베티 포조아카이아노 카스텔로 메초몬테 아냐노 스페달레토 라 페트라이아 카물리아노 스타비아 라토파이아 체레토구이디 마리뇰레 아레나메타토 포조임페리알레 라페지 람브로자나 라 마자 릴리아노 콜타노 몬테베톨리니 아르티미노 부티 세라베차 궁전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 피티 궁전 빌라 메디치 팔라초 메디치 토르나퀸치 리보르노 피사 마테르데이 팔라초 메디치 디 오타비아노 분수 및 정원 메디치 분수 빌라 디 프라톨리노 요새 아레초 그로세토 피옴비노 피스토이아 산피에로아시에베 시에나 볼테라 예배당 메디치 예배당 메디치 디 그라냐노 예배당 후원자화가, 조각가 및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 산드로 보티첼리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미켈란젤로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도나텔로 미켈로초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 야코포 델라 퀘르차 조르조 바사리 시인 및 문학 인물 아뇰로 폴리치아노 니콜로 마키아벨리 인문주의자 및 철학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 마르실리오 피치노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음악가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 야코포 페리 문장학 메디치 가문의 문장 토스카나 대공작위 산 스테파노 기사단 기관 메디치 은행 미술 메디치 사자 메디치 자기 메디치 꽃병 메디치의 비너스 아라체리아 메디체아 관련 메디치 기린 갈릴레이 위성 음악이 함께하는 이야기: "오페라" 알비치 가 파치 음모 사건 사보나롤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6768219 LCCN: n79084160 ISNI: 0000 0001 2130 9590 GND: 118626213 SELIBR: 207843 SUDOC: 027178021 BNF: cb119277288 (데이터) ULAN: 500017608 뮤직브레인즈: e30bc966-b616-42e1-8484-5bfbcc5d8b63 NLA: 35578126 NDL: 00459589 NKC: jn19990008741 ICCU: IT\ICCU\CFIV\061377 BNE: XX827861 KulturNav: id RKD: 4367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르조_바사리&oldid=23905467" 분류: 1511년 태어남1574년 죽음이탈리아의 화가이탈리아의 건축가이탈리아의 전기 작가이탈리아의 저술가이탈리아의 평론가미술사학자미술 평론가르네상스 화가르네상스 건축가매너리즘 화가아레초 출신16세기 이탈리아 사람16세기 화가16세기 작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16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 1511년 7월 30일 - 1574년 6월 27일)는 메디치 가의 후원 아래 다양한 프레스코화를 제작한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며, 우피치궁 설계 등을 맡았던 건축가였다. 평생 왕성한 활동을 통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정작 그의 이름이 후대에게 잘 알려지게 된것은 1550년에 그가 출간한 《미술가 열전》이라는 책 때문이다. 그는 이 책을 통하여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하던 예술가들의 전기를 쓴 덕분에 미술사학자로 더 유명하다. 그의 저서는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미술사(史)로 르네상스 예술을 이야기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바사리를 "미술사학의 아버지" 라고 평가하는 이들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르조 바사리의 가장 유명한 작품이 학자들에게 좋게 평가되는 이유는? Assistant: 바사리가 남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라는 제목의 책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명이 남긴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을 수록한 이 책은 르네상스 미술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택에 바사리는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훗날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오류로 밝혀진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그가 생존했던 시대의 상황과 혼자서 200여명에 대한 평전을 집필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 보면 그가 남긴 오류가 크게 눈에 뜨이지는 않는 것 같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 저술을 통하여 후세에 남긴 간과할 수 없는 업적은 당시의 예술 기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집대성한 '기법론'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조각가,건축가들의 기술적인 측면을 오늘날 파악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Human: 아래 2013년_대한민국의_영화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연도별 대한민국 영화 ← 2012 2013 2014 → 상세 .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 2019 . 2020 v • d • e • h 다음은 201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목차 1 목록 1.1 1월 1.2 2월 1.3 3월 1.4 4월 1.5 5월 1.6 6월 1.7 7월 1.8 8월 1.9 9월 1.10 10월 1.11 11월 1.12 12월 2 각주 3 참고 자료 목록[편집] 1월[편집] 개봉일 제목 감독 출연 장르 비고 참고 1월 3일 《누나》 이원식 성유리 드라마 [1] 1월 3일 《오하이오 삿포로》 김성준 소이, 태인호 드라마 [2] 1월 9일 《마이 리틀 히어로》 김성훈 김래원, 이성민 드라마 [3] 1월 9일 《박수건달》 조진규 박신양 코미디 [4] 1월 17일 《배꼽》 박보상 이미숙, 천호진, 김승우 코미디 [5] 1월 17일 《베드》 박철수 장혁진, 이민아 드라마 소설 원작 [6] 1월 23일 《7번방의 선물》 이환경 류승룡, 박신혜 코미디 [7] 1월 23일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박영균 이선, 이미자 애니메이션 [8] 1월 24일 《나비와 바다》 박배일 재년, 우영 다큐멘터리 [9] 1월 30일 《베를린》 류승완 하정우, 한석규, 류승범, 전지현 액션 [10] 2월[편집]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분노의 윤리학 신세계 1999, 면회 참을 수 없는 성적유희 감독판 굿바이 홈런 남자사용설명서 불륜의 시대 남쪽으로 튀어 반달곰 3월[편집] 모래가 흐르는 강 좋은 친구들 생생활활 소명 하늘의 별 연애의 온도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 2 누구나 제 명에 죽고 싶다 미스진은 예쁘다 설인 파파로티 사이코메트리 4월[편집] 마지막 중독 공정사회 노리개 왕자가 된 소녀들 태아 3D 전설의 주먹 끝과 시작 런닝맨 비념 5월[편집] 환상속의 그대 고령화 가족 이티피 페스티벌 전국노래자랑 뜨거운 안녕 잠 못 드는 밤 콘돌은 날아간다 창녀의 성적유희 길위에서 자극의 세기 춤추는 숲 몽타주 미나문방구 어디로 갈까요? 6월[편집] 더 웹툰: 예고살인 맛있는 섹스 - 인연 힘내세요, 병헌씨 꼭두각시 닥터 이별계약 홀리 마이 라띠마 앵두야, 연애하자 은밀하게 위대하게 7월[편집] 거짓말 섹스가 좋아 48미터 감시자들 더 테러 라이브 군사통제구역 팔이공지대 링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 미스터 고 전망 좋은 차 - 맛있는 섹스 경복 명왕성 슈퍼피쉬 - 끝없는 여정 콩가네 8월[편집] 관음 - 욕망의 유희 아티스트 봉만대 우리들의 헤어진 여자친구 일탈여행 : 프라이빗 아일랜드 할매 할매 - 시멘트정원 가시꽃 방독피 아름다운 이별은 없다 그리고 싶은 것 렛 미 아웃 가자, 장미여관으로 감기 숨바꼭질 허풍 러브 인 코리아 슈퍼쇼 4 3D 죽지않아 젊은 엄마 노랑머리 - 플라스틱 섹스 설국열차 9월[편집] 벌거숭이 아유레디? 짓 러시안 소설 낭만파 남편의 편지 우리 선희 관상 개똥이 뫼비우스 미스체인지 스파이 천안함 프로젝트 10월[편집] 노라노 녹색의자 2013 - 러브 컨셉츄얼리 맛있는 사랑공식 - 섹스 원 오브 어 카인드 3D 노브레싱 연애의 기술 응징자 공범 말하는 건축 시티:홀 배우는 배우다 히어로 소원택시 깡철이 댄서김의 은밀한 교수법 소원 11월[편집] 고양이 소녀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2 뷰티풀 차일드 안녕? 오케스트라 열한시 잉여들의 히치하이킹 창수 결혼전야 롤플레이 2 : 동침 사이비 완전 소중한 사랑 전망 좋은 하우스 - 관음적 욕망 청춘정담 더 파이브 데드 엔드 블랙 가스펠 잉투기 친구 2 무게 사랑해! 진영아 소녀 야관문 : 욕망의 꽃 동창생 붉은 가족 12월[편집] 몽정애 - 꿈 속의 여인 그녀가 부른다 청야 거짓말 섹스가 좋아 2 용의자 미녀전쟁 시바, 인생을 던져 변호인 캐치미 그 강아지 그 고양이 비밀의 화방 풍경 집으로 가는 길 베일 화려한 외출 각주[편집] ↑ “누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오하이오 삿포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마이 리틀 히어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박수건달”.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배꼽”.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드”. 다음 영화.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7번방의 선물”.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나비와 바다”.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를린”.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KOFIC 영화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3년_대한민국의_영화_목록&oldid=24187447" 분류: 2013년 대한민국2013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201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3년 4월에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 중 가장 이름이 긴 영화는? Assistant: 왕자가 된 소녀들
Human: 아래 MIAT_몽골_항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IAT 몽골 항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IAT 몽골 항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몽골 항공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에 “몽골리안 항공”이라는 사명을 사용하던 항공사에 대해서는 훈누 에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MIAT 몽골 항공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OM MGL MONGOL AIR 창립일 1956년 허브 공항 칭기즈 칸 국제공항 상용고객우대제도 Blue Sky Mongolia 보유 항공기 5 취항지 수 8 본사 몽골 울란바토르 핵심 인물 Gungaagiin Jargalsaikhan (CEO) 웹사이트 http://www.miat.com/ MIAT 몽골 항공(몽골어: Монголын Иргэний Агаарын Тээвэр→몽골 민간 항공 수송, 영어: MIAT Monglian Airlines)은 울란바토르 칭기즈 칸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는 몽골의 항공사이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각주 5 사진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56년에 설립되어 같은 해 7월 7일 울란바토르 ~ 이르쿠츠크 노선에 최초로 취항했다. 이 때 베이징, 모스크바 국제선 노선도 열렸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안토노프 An-24와 안토노프 An-26 모델을 운항했다. 1992년 중국 하얼빈의 Y-12기를 도입했고 1992년과 1994년 대한민국의 대한항공으로부터 보잉 727-200 항공기를 도입했다. 1998년 에어버스 A310을 도입했고 2003년 보잉 737-800 항공기를 도입하여 보잉 727-200 항공기는 퇴역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안토노프 An-24와 안토노프 An-26도 노후 기종으로 분류되어 운항 노선에서 차츰 제외되어 현재는 전량 퇴역 되었다. 2008년 4월 CIT 에어로 스페이스부터 두 번째 보잉 737-800 항공기를 임차하였다. 같은 해 7월 국내선 노선에서 완전히 철수했다가 이듬해 6월 보잉 737-800 기종으로 국내선에 다시 취항했다. 2009년 홍콩, 중국 하이난에 국제선에 취항했다. 2010년 6월 직원들의 파업으로 항공기 운항이 한동안 중단됐다. 당시 파업 참가자 대부분이 해고되고 항공사 대표도 교체되었다. 현재 러시아의 아에로플로트, 대한민국의 대한항공과 업무 제휴를 맺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MIAT 몽골 항공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1월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하고 있으며 주로 스카이팀 회원과 코드쉐어 협정을 하고 있다. 대한항공 (스카이팀)[1] 아에로플로트 (스카이팀)[2] 캐세이퍼시픽 항공 (원월드)[3] 보유 기종[편집] 2014년 3월 기준으로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11.3년이다.[4][5][6]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MIAT 몽골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B E 합계 각주 보잉 737-700 1 0 12 102 114 [7] 오만 항공 임차 운항[8] 보잉 737-800 3 1 12 150 162 [9] 162 174 보잉 737 MAX 8 1 3 TBA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10] 보잉 767-300ER 2 0 18 245 263 [11] 25 195 220 합계 7 4 퇴역 기종[편집] 에어버스 A310-300 에어버스 A330-300 보잉 727-200 리슈노프 Li-2 밀 Mi-4 밀 Mi-8 안토노프 An-2 안토노프 An-3 안토노프 An-24B 안토노프 An-24RV 안토노프 An-30 카모프 Ka-26 투폴레프 Tu-154M 하얼빈 Y-12 각주[편집] ↑ “Korean Air/MIAT Mongolian Airlines launch codeshare”. Routesonline. 2010년 3월 19일.  ↑ “AEROFLOT / MIAT Mongolia launch codesharing”. Routesonline. 2009년 9월 25일.  ↑ “Cathay Pacific announces new codeshare agreement with MIAT Mongolian Airlines”. Cathay Pacific. 2017년 6월 28일. 2017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http://www.planespotters.net/Airline/MIAT---Mongolian-Airlines ↑ http://www.airfleets.net/flottecie/MIAT%20Mongolian.htm ↑ “MIAT Mongolian Fleet - Official Website”. 2012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7일에 확인함.  ↑ “MIAT Monglian Airlines 737-700 Seat Map”.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MIAT lease Boeing aircraft from Oman Air”. Montsame. 2017년 5월 10일.  ↑ “MIAT Monglian Airlines 737-800 Seat Map (1)”.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MIAT Mongolian Airlines to lease two more B737 MAX 8s”. Ch-Aviation. 2017년 4월 19일.  ↑ “MIAT Monglian Airlines 767-300ER Seat Map”.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사진[편집]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37-800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MIAT 몽골 항공 (몽골어/영어) MIAT 몽골 항공 - 공식 웹사이트 vdeh 몽골의 항공사여객 항공사 MIAT 몽골 항공 에어로 몽골리아 칭기즈 항공 훈누 에어 전세 항공사 블루 스카이 항공 스카이 하우스 항공 토마스 에어 폐지된 항공사 이즈니스 항공 한가드 항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IAT_몽골_항공&oldid=24496633" 분류: 1954년 설립몽골의 항공사국영 항공사IATA 회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몽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Žemaitėška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IAT 몽골 항공(몽골어: Монголын Иргэний Агаарын Тээвэр, 영어: MIAT Monglian Airlines)은 몽골의 항공사로, 허브 공항으로는 신 울란바토르 국제공항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IAT 몽골 항공이 1998년에 도입한 항공기는 무엇일까? Assistant: 에어버스 A310 Human: 아래 정다빈_(198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다빈 (198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다빈 (198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다빈본명 정혜선출생 1980년 3월 4일(1980-03-04)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사망 2007년 2월 10일 (26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0년 ~ 2007년종교 개신교[1]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 학사 정다빈(본명: 정혜선,[2][3][주 1] 1980년 3월 4일 ~ 2007년 2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옥탑방 고양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목차 1 삶과 경력 2 학력 3 사망 4 출연 작품 4.1 텔레비전 드라마 4.2 영화 4.3 뮤직비디오 4.4 광고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6.1 내용주 6.2 참조주 7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정다빈의 본명은 정혜선으로 1980년 3월 4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4][5] 중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를 거쳐[4] 1999년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6] 이후 배우 데뷔 후인 2003년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에 연기재능 우수자 전형(수시)으로 지원해 합격해서 이듬해인 2004년 입학했다.[7][8] 정다빈은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98년 서울 압구정동에 있는 아이스크림 가게 앞에서 패션 잡지 쎄씨 모델로 캐스팅되면서 연예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9] 학력[편집] 중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 학사 사망[편집] 2007년 2월 10일, 당시 본인 남자친구의 집 화장실에서 수건으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되었다.[10] 2011년 5월 22일, 4년 전 세상을 떠난 배우 고 정다빈이 오전 경기도 양평의 용천사에서 영혼 결혼식을 올렸다.[11] 아래는 사망 전 날 올라온 정다빈의 글이다. 복잡해서죽을것같았다.이유없이화가나서미칠것같았다.멀미가날듯이속이힘들었다.머리가너무아파서눈물이났다.신경질의성낼노의노예가될뻔했다.울다웃다미치는줄알았다.내가나를 잃었다고생각했었고나는뭔가.정체성을잃어갔었다.순간.전기에감전이되듯이.번쩍.갑자기평안해졌다.주님이오셨다.형편없는내게.사랑으로.바보같은내게.나의소중함을알게하시고.용기를주신다.주저앉으려했던나를.가만히.일으켜주신다.나는.이제.괜찮다고.말씀하신다.나는.괜.찮.다. -정다빈, 싸이월드 미니홈피 (2007년 2월 9일)- 출연 작품[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0 순풍산부인과 정유리 SBS 제524회에 출연 돈.com 미스 정[12] 시트콤 태양은 가득히 강민주 KBS2 2001 홍어[주 2] 삼례 KBS TV문학관 뉴 논스톱 정다빈 MBC 시트콤 2002 논스톱 3 정다빈 시트콤 삼총사 장윤정 2003 옥탑방 고양이 남정은 2004 형수님은 열아홉 한유민(정혜원) SBS 2005 그 여름의 태풍 강수민 *다년간 방송된 프로그램의 경우, 정다빈이 출연한 연도 또는 출연하기 시작한 연도를 가리킨다.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0 은행나무 침대 2: 단적비연수 어린 비 2004 그 놈은 멋있었다 한예원 뮤직비디오[편집] 2006년 《사랑안해》 (백지영) 광고[편집] 롯데제과 빼빼로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2 MBC 방송연예대상 시트콤 부문 최우수상 뉴 논스톱 수상 [13] 2003 MBC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옥탑방 고양이 수상 [14] 인기상 옥탑방 고양이 후보 [15] 베스트커플상(김래원과 함께) 옥탑방 고양이 후보 2004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형수님은 열아홉 수상 [16]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07년 2월 13일 스포츠조선 등에 보도된 정다빈의 운구 사진을 참고하면 관 위의 붉은 천에 ‘聖徒鄭慧善之柩’라고 쓰여 있어 본명 정혜선의 한자 표기가 ‘鄭慧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2011년 5월 22일 스타뉴스에 보도된 정다빈의 영혼결혼식 기사 사진을 보면 ‘亡妻河東孺人鄭惠善靈駕’라고 쓰고 있어 정다빈이 하동 정씨임을 알 수 있으나 본명의 한자 표기는 이전과 다른 ‘鄭惠善’으로 쓰고 있다. 둘 중 어느 것이 정확한 한자 표기인지는 확실치 않다. ↑ 2001년 3월 21일 방송. 참조주[편집] ↑ 정은정 (2007년 2월 10일). “크리스천 고(故) 정다빈, 성경책과 함께 입관”. 《헤럴드경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핫포토] 故 정다빈 장례식”. 《스포츠조선》. 2007년 2월 13일. 2015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송지원 (2011년 5월 22일). “[★포토]故 정다빈, 4년 만에 올린 영혼결혼식”. 《스타뉴스》.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네이버. “네이버 인물정보 > 정다빈”. 《네이버》.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배현정 (2003년 5월 22일). “[스타 데이트] '깜찍이' 정다빈”. 《데일리한국》.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정다빈, 동국대 연극영화과 수시모집 합격”. 《스포츠조선》. 2003년 7월 30일. 2015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김선우 (2003년 7월 30일). “‘옥탑방 고양이’ 탤런트 정다빈, 동국대 연극영상학부 합격”. 《동아일보》.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연예인들 대학생활 엿보기”. 《일요신문》 638. 2004년 8월 8일.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이유현 (2000년 12월 24일). “정다빈, '끼만 가득히'”. 《스포츠조선》. 2001년 1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강건택 기자 (2007년 2월 10일). “탤런트 정다빈 목매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1] 정다빈, 영혼 결혼식…"하늘나라서 행복하길" ↑ SBS (2000). “SBS 돈.com > 돈.com 가족들 > 등장인물 관계도표”. 《SBS》. 2001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홍제성 (2002년 12월 30일). “`2002 MBC 방송연예 대상'에 김용만”. 《연합뉴스》.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MBC 연기대상에 `대장금' 이영애”. 《연합뉴스》. 2003년 12월 31일.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유상우 (2003년 12월 17일). “MBC 연기대상 후보 확정,여자 최우수 이영애 하지원 격돌”. 《뉴시스》.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박신양·김정은 ‘SBS 연기대상’ 대상 공동수상”. 《일요신문》. 2005년 1월 3일.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정다빈 미니홈피 - 싸이월드 정다빈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2000년대 이경규, 최양락, 양동근, 박경림 (2001) 강호동, 김경식, 정다빈 (2002) 김용만, 유재석, 정준하 (2003) 김용만, 이경규, 한예슬 (2004) 이윤석, 박희진, 김제동, 김원희 (2005) 박명수, 조혜련, 정성호, 정선희 (2006) 김제동, 조형기, 나문희 (2007) 이휘재, 박미선, 이문식, 윤해영 (2008) 김구라, 이경실, 정보석, 박미선 (2009) 2010년대 박명수, 조혜련, 이휘재, 박미선, 김구라, 송옥숙, 김성수 (2010) 유재석, 박미선, 김갑수, 윤유선 (2011) 윤종신, 박미선 (2012) 김수로, 정형돈, 박미선 (2013) 서경석, 정준하, 김국진, 윤종신 (2014) 김영철, 하하, 김소연, 한채아, 김성주 (2015) 정준하, 이국주, 김성주 (2016) 박명수, 박나래, 김국진 (2017) 이시언, 차인표, 송은이, 한혜진, 윤종신 (2018) 대상 | 프로그램상 | 최우수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다빈_(1980년)&oldid=24189557" 분류: MBC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 수상자1980년 태어남2000년 데뷔2007년 죽음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자살한 배우동국대학교 동문숭신여자중학교 동문중원초등학교 동문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동문성남시 출신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목 매달아 자살한 사람하동 정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다빈(본명: 정혜선, 한국 한자: 鄭慧善, 1980년 3월 4일 ~ 2007년 2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0년에 방영된 순풍산부인과에서 정다빈은 어떤 역할을 맡았을까요? Assistant: 정유리
Human: 아래 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결승전 당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내부경기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독일 아르헨티나 1 0 연장전 후날짜 2014년 7월 13일장소 리우데자네이루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심판 니콜라 리촐리관중 수 74,738날씨 약간 흐림 14 °C (57 °F) 습도 34%[1]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2][3]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4][5] 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6] 제프 마이어,[7][8]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9]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 2 결승전까지의 경기 3 공인구 4 심판진 5 경기 5.1 요약 5.2 상세 정보 5.3 통계 6 현지 반응 7 주요 관객 8 폐막식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배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입니다. 양국은 20번의 맞대결을 펼쳤고, 9번은 아르헨티나가 이겼고, 6번은 독일이 승리를 챙겼으며, 5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이 맞대결에서 양국은 도합 28골을 득점하였다. 6번의 경기는 FIFA 월드컵 경기이며, 2번은 이 대회의 결승전 경기였다. 2014년 결승전은 7번째 FIFA 월드컵 맞대결로, 양국간 맞대결 횟수로 (브라질 vs 스웨덴, 독일 vs 유고슬라비아) 에 이어 최다 맞대결 횟수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역대 맞대결 목록 1958년 FIFA 월드컵 1조, 서독이 아르헨티나에 3–1로 승리.[10] 1966년 FIFA 월드컵 2조, 서독과 아르헨티나가 0–0으로 비김.[11]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기고 두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우승을 거둠.[12]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서독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세번째 우승을 거둠. 독일이 서독으로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2014년 결승전 이전까지의 가장 최근에 거둔 우승.[13] 2006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1로 비기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14]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4-0으로 승리.[15]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서독이 0-0으로 비겼다. FIFA는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상대로 폭력적인 경기 운영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의 라파엘 알브레치트가 퇴장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6][17]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는 서독이 1-0으로 이기는 과정에서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가 퇴장당했고, 결승골은 논란의 페널티킥 골이었다. 2006년 대회 8강전은 독일이 경기를 연장 접전 끝에 1-1로 끝낸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지만, 경기 후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패싸움을 벌여,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와 한명의 독일 선수가 징계를 받았다.[18][19][20][21] 가장 최근에 벌어진 맞대결은 2012년 8월 15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친선전으로, 아르헨티나가 3-1로 이겼다.[22] 대회 전, 2014년 9월 4일에 친선전을 벌일 것으로 계획을 받았고, FIFA 월드컵 종료 후 양국이 치를 첫 경기가 되었다. 이때 아르헨티나가 4-2로 이겼다.[23]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 중 다음의 선수들이 2006년과 2010년 맞대결 당시 포함되었었다: 맞대결에 참가한 양국 선수들 목록 2006년 맞대결 독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필리프 람, 페어 메어테자커,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와 막시 로드리게스 (리오넬 메시와 로드리고 팔라시오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2010년 맞대결 독일: 마누엘 노이어, 제롬 보아텡, 자미 케디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토니 크로스, (교체 요원) 필리프 람, 페어 메르테자커,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로메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교체 요원) 마르틴 데미첼리스, 앙헬 디 마리아, 곤살로 이과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리오넬 메시, 그리고 막시 로드리게스 (마리아노 안두하르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클로제는 2006년 맞대결에서 1골, 2010년 맞대결에서 2골을 넣었고, 뮐러도 2010년 맞대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24] 독일의 요아힘 뢰프 감독은 2006년에 수석코치였고, 2010년에는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까지의 경기[편집] 독일 라운드 아르헨티나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포르투갈 4 - 0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 1 가나 2 - 2 2차전 이란 1 - 0 미국 1 - 0 3차전 나이지리아 3 - 2 G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독일 3 2 1 0 7 2 +5 7 미국 3 1 1 1 4 4 0 4 포르투갈 3 1 1 1 4 7 −3 4 가나 3 0 1 2 4 6 −2 1 조 최종 순위 F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아르헨티나 3 3 0 0 6 3 +3 9 나이지리아 3 1 1 1 3 3 0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1 0 2 4 4 0 3 이란 3 0 1 2 1 4 –3 1 상대 결과 토너먼트전 상대 결과 알제리 2 - 1 (연) 16강전 스위스 1 - 0 (연) 프랑스 1 - 0 8강전 벨기에 1 - 0 브라질 7 - 1 준결승전 네덜란드 0 - 0 (연) (4 - 2 승) 공인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디다스 브라주카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사용될 공인구는 아디다스 브라주카의 변형판인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 (Adidas Brazuca Final Rio) 로 2014년 5월 29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5] 기술적으로 원형 공인구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조별 리그와 앞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에서 쓰인 브라주카와는 다른데, 표면이 녹색, 금색, 그리고 흑색으로 되어 있었다.[25]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는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 과 조'블라니 (2010) 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 전용으로 쓰인 세번째 공인구이다. 심판진[편집] 이탈리아 대표의 니콜라 리촐리가 결승전을 중재할 주심으로 선정되었고, 그와 동행하던 안드레아 스테파니와 레나토 파베라니가 부심을 맡았고, 에콰도르 대표의 카를로스 베라와 크리스티안 레스카노가 각각 대기심과 후보 대기심으로 선정되었다.[26]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리촐리는 조별 리그의 스페인-네덜란드전과 나이지리아-아르헨티나전을,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전을 주관했었다. 그는 2010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과 2013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호루라기를 잡기도 했다. 그는 FIFA 클럽 월드컵 2011, UEFA 유로 2012, 그리고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는 1978년의 세르조 고넬라와 2002년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주관할 3번째 이탈리아인 주심이 되었다.[26] 경기[편집] 요약[편집]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독일의 주장 필리프 람 양국은 준결승전에 선발로 내세운 선수를 그대로 보낼 계획이었으나, 독일은 미드필더 사미 케디라를 종아리 부상으로 잃었다. 그의 자리는 크리스토프 크라머로 대신하게 되었지만, 그도 에세키엘 가라이와 페널티 구역에서 충돌했지만, 본래 경기를 속개하려 했다. 몇분 후, 그는 뇌진탕으로 안드레 쉬를레와 전반에 교체되어 나갔다.[27] 전반전에 곤살로 이과인은 토니 크로스가 머리로 잘못 건낸 공을 가로채 쏘았지만 크게 벗어났다. 몇분 후, 그는 우측에서 건낸 에세키엘 라베시의 크로스를 건드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되었다. 후반전 개시 후, 리오넬 메시는 좋은 기회를 날렸는데, 잘 찔러넣은 패스를 독일 진영에서 받았지만, 독일 골대에서 크게 빗나가게 쏘았다. 연장전에는 로드리고 팔라시오가 마츠 후멜스의 실수로 받은 크로스를 마누엘 노이어의 키를 넘기도록 발등으로 차 넘겼지만, 골망을 가르진 못했다. 독일은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코너킥을 머리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강타했다.[28][29] 독일의 마리오 괴체는 연장전 결승골의 주인공으로 그는 113분에 좌측 측면으로 끌고간 공을 마리오 괴체에게 보냈고, 그는 가슴으로 공을 받아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차서 로메로를 넘기는 결승골을 집어넣었다.[30] 그는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최초의 교체 선수였고,[31] 1966년 독일의 볼프강 베버 이래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최연소 선수 (둘 다 22세) 이기도 했다.[32] 괴체의 골이 터지기 전에도 독일은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전반 종료 직전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머리로 넣으려 했지만 아르헨티나 골대를 강타했다. 쉬를레는 연장전 시작과 함께 괴체로부터 패스를 받아 근거리에서 득점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세르히오 로메로 골키퍼 가슴에 안기기만 했다. 토마스 뮐러도 수비수 두명을 돌파해 독일의 점수차를 늘릴 기회를 잡았지만, 그의 슛도 크게 빗나갔다. 연장전 막판, 메시는 득점이 가능한 거리에서 프리킥을 차 동점골을 넣을 기회를 잡았지만, 이것은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33]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13일 16:00 독일 1 – 0 (연장전) 아르헨티나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수: 74,738 심판: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괴체  113' 리포트 독일 아르헨티나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34' CM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31'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29'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120'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88' 교체 선수: FW 9 안드레 쉬를레 31' MF 19 마리오 괴체 88'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120' 감독: 요아힘 뢰프 GK 1 세르히오 로메로 RB 4 파블로 사발레타 CB 15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2 에세키엘 가라이 LB 16 마르코스 로호 C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64' CM 6 루카스 비글리아 RW 8 엔소 페레스 86' LW 22 에세키엘 라베시 46' SS 10 리오넬 메시 (주장) CF 9 곤살로 이과인 78' 교체 선수: FW 20 세르히오 아궤로  65' 46' FW 18 로드리고 팔라시오 78' MF 5 페르난도 가고 86' 감독: 알레한드로 사벨라 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독일) 부심: 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대기심: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 후보 대기심: 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전체[34] 독일 아르헨티나 득점 1 0 슛 10 10 유효슛 7 2 점유율 60% 40% 코너킥 5 3 반칙 20 16 오프사이드 3 2 선방 2 6 경고 2 2 퇴장 0 0 현지 반응[편집] 아르헨티나-브라질 축구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축구계에서 앙숙 관계인 것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질 관중들은 앞서 준결승전에서 자국을 1-7로 대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탈락을 조롱한 아르헨티나와 다르게 패한 개최국에 존중을 표한 독일을 지지했다. 대부분의 브라질인들은 브라질의 상징적인 홈구장에서 라이벌 국가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안도를 표했다.[35][36][37] 주요 관객[편집] 개최국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제6회 브릭스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릭스 지도자들을 결승전에 초청하였다. 초청받은 지도자들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차기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 대통령,[38] 제이컵 주마 직전의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이 있었다.[39]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진핑 주석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수상은 이 경기를 관전하지 않았다. 이 경기를 관전한 정상으로는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알리 봉고 옹딤바 (가봉), 그리고 개스턴 브라운 (앤티가 바부다) 가 있었고, 가디언지는 이들이 관전하는 것을 "특이하고 엉뚱한 일"이라고 꼬집었다.[40] 호세프는 시상식에서 손수 우승 트로피를 독일 선수들에게 전달했다.[41] 독일의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결승전을 참관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미 사우바도르에서 독일이 포르투갈을 4-0으로 짓밟는 것을 목격했다.[42] 반면 아르헨티나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손자의 생일과 인신후두염이 겹쳐 불참했다.[43] 러시아의 희극인 비탈리 즈도로베트스키는 "천부적인 장난꾸러기"라는 글은 몸통에 쓰고 경기장에 난입해 독일의 베네딕트 회베데스를 뽀뽀하려 했다.[44] 브라질 당국은 그를 체포했지만, 그는 경기 몇시간 후 풀려났다.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결승전을 관전했는데, 이들 중에는 리한나, 믹 재거, 데이비드 베컴, 파비오 칸나바로, 로타어 마테우스, 다니엘 파사레야, 애슈턴 쿠처, 대니얼 크레이그, 톰 브래디, 르브론 제임스, 그리고 펠레가 있었다.[45][46][47][48] 폐막식[편집] 대회 폐막식이 결승전을 앞두고 100분 전에 진행되었다.[49] 폐막식은 2막으로 나뉘었고, 20분동안 진행되었다. 1막에서는 22명이 삼바 춤을 추었고, 32명으로 구성된 사람들은 32개 참가국의 국기 색에 맞추어 나왔다. 2막은 콜롬비아 가수 샤키라 외에 저명한 가수들인 카를리뉴스 브론, 와이클리프 장, 알렉상드르 피레스, 이베치 상갈루, 그리고 기타 연주가 카를로스 산타나가 공연했다.[45][50][51] 브라질의 슈퍼모델 지젤 번천과 스페인의 2010년 우승 주역인 카를레스 푸욜이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지고 등장했다.[52] 같이 보기[편집]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 정치와 스포츠 각주[편집] ↑ “Tactical line-up – Germany–Argentina”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roups & Schedule”.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tche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orld Cup Final: The Best Team vs. the Best Player". Wall Street Journal. 2014년 7월 15일 ↑ “Franz Beckenbau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Sepp Mai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66 FIFA World Cup England: England – Germany FR match report”. FIFA.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Wolfgang Overath”.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58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6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2014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198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9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 “200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 Argentina”. FIFA.com.  ↑ “201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IFA.com.  ↑ “History of the World Cup”. fifaworldcup.webspace.virginmedia.com. 201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sos, Jan. “1966 – Story of England '66”. Planet World Cup.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일에 확인함.  ↑ [1] ↑ [2] ↑ [3] ↑ [4] ↑ “Germany 1 Argentina 3”. 《Goal.com》. 2012년 8월 15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chedule”. Deutscher Fussball-Bund.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Miroslav Klose breaks Ronaldo's record to become the top scorer in World Cup history”. 《Daily Mai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adidas Brazuca Final Rio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9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Nicola Rizzoli to refere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  ↑ Sargeant, Jack (2014년 7월 13일). “Christoph Kramer replaces Sami Khedira in Germany lineup”. 《SB Nation》.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1 Argentina 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2014, Germany vs Argentina: as it happened”.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beat Argentina to win World Cup final with late Mario Götze goal”.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Presenter: Gary Lineker (2014년 7월 13일). 〈Match of the Day Live〉. 《2014 FIFA World Cup: World Cup Final》. 4:07:29에 발생. BBC One. 그거 아세요, 그가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교체 선수라는 것을요? (Do you know, that's the first substitute to score a winning goal in a World Cup final?)  ↑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Messi's World Cup ends on a bitter note”. CBS. Associated Press.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Germany 1–0 Argentina” (PDF).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 “Brazilians Go Back to Real Life”.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13일.  ↑ “Vladimir Putin to attend World Cup final in Brazil”. The Voice of Russia. 2013년 9월 20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Zuma to watch World Cup final”. 《The Citizen》.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guest list has bizarre and random look”.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ilma Rousseff Confirms She Will Hand the Trophy to the World Cup Winner and Says Boos "Are Part of the Job"”. Folha de S.Paulo.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Camargo, Marcelo (2014년 1월 25일). “Germany chancellor and president to watch final at Maracanã”. Agenciabrasil.ebc.com.br.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Payne, Marissa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president isn't attending the World Cup final because of grandson's birthday”.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Moment streaker invades pitch and attempts to KISS German star”. Daily Mirror.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World Cup closing ceremony 2014 sees Shakira, Rihanna, David Beckham, Pele, Tom Brady, Vladimir Putin and more in the crowd as celebrities spotted at Maracana in Rio de Janeiro for final”. 《Daily Mail》.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ese, Rick; Phillips, Dom (2014년 7월 13일). “2014 World Cup draws to a close in conflicted Brazil”. 《The Washington Post》. Rio de Janeiro.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est selfies”.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ormer internationals Lothar Matthaeus, Fabio Cannavaro and Daniel Passarella take a selfie the WC 2014 Final match”. 《Veooz》.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Santana Electrify World Cup 2014 Closing Ceremony”. ND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headlines fairly normal World Cup closing ceremon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ca》.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uyol, Gisele to unveil Trophy prior to th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독일준우승 아르헨티나3위 네덜란드4위 브라질8강 벨기에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프랑스 16강 그리스 나이지리아 멕시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우루과이 칠레 조별 리그 가나 대한민국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페인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이란 이탈리아 잉글랜드 일본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역사 예선 기록 통계 수상 트로피 공식 경기구 공식 마스코트 음악 응원 본선 우루과이 1930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카타르 2022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2030년 예선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결승전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선수 명단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시드 배정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개최국 선정 2014년 2018년 및 2022년 2026년 1930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취소되었으며 1950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vdeh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하계 올림픽 결승전 1928 FIFA 월드컵 결승전 1930 1978 1986 1990 2014 (對 독일 0-1 (연장) 패)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2 (비공식) 1995 (비공식) 2005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93 2004 2007 2015 2016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최종 라운드 1994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기타 경기 對 잉글랜드 2-1 승 (1986) 對 크로아티아 0-3 패 (2018) 對 프랑스 3-4 패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oldid=23985974" 분류: 2014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결승전리우데자네이루의 축구리우데자네이루가 개최한 국제 스포츠 대회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아르헨티나 관계독일 축구 2013-14 시즌아르헨티나 축구 2013-14 시즌2014년 축구2014년 축구 경기2014년 7월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 제프 마이어,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4년 월드컵 결승전에서 연장전 막판 메시의 프리킥 결과는 어땠어? Assistant: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 Human: 아래 이장우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장우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장우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장우 (1986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장우 출생 1986년 6월 1일(1986-06-01) (33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3년 ~ 현재소속사 후너스 엔터테인먼트 학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친척 사촌 환희웹사이트 이장우 미니홈피 - 싸이월드 이장우(1986년 6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예능 3.4 공연 3.5 뮤직비디오 4 음반 5 홍보대사 6 수상 및 후보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2003년 KBS 한국방송공사 드라마에서 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그의 부친은 육사·보병학교·경북대 행정학과 및 육군대학교 출신이며 대한민국 육군 준장 예편하였다. 학력[편집] 양재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46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2003 KBS2 저 푸른 초원위에 52부작 MBC 나는 달린다 16부작 SBS 애정만세 50부작 2006 MBC 안녕, 프란체스카 MBC 90일, 사랑할 시간 16부작 2009 MBC 태희 혜교 지현이 최장우 133부작 KBS2 수상한 삼형제 백마탄 70부작 2010 KBS1 웃어라 동해야 김도진 159부작 2011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휴먼 카지노 이재성 단막극 KBS2 영광의 재인 서인우 24부작 2012 MBC 아이두 아이두 박태강 16부작 MBC 오자룡이 간다 오자룡 129부작 2013 KBS2 예쁜 남자 최다비드 16부작 2014 MBC 장미빛 연인들 박차돌 52부작 2016 CTV 황은호탕 2018 KBS2 하나뿐인 내편 왕대륙 106부작 2019 MBN 우아한 가 허윤도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0 이층의 악당 오순경 2015 두사부 리턴즈 계두식 2019 무지개 여신 예능[편집] 2011년~2012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With. 은정) 2012년~2013년 KBS2 《뮤직뱅크》 MC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공연[편집] 2007년 《햄릿》 ... 햄릿 왕자 역 2008년 《그리스》 뮤직비디오[편집] 연도 제목 가수 비고 2010 니가 따끔거려서 제아 2011 죽을 것만 같아 환희 2011 Bo Peep Bo Peep (Japanese Ver.) 티아라 2011 내가 이렇지 지아(Feat. 하동균) (With. 은정) 음반[편집] 2009년 24/7 - 그 녀석의 여자 2012년 차마 하지 못한 말 2013년 예쁜 남자 OST - 사랑한단 말야 홍보대사[편집] 2010년 경찰청 명예 경찰관 강사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영광의 재인 수상 2012 제7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상 빈칸 수상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오자룡이 간다, 아이두 아이두 수상 2013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상 빈칸 수상 2014 MBC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장미빛 연인들 수상 2018 K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하나뿐인 내편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유이) 수상 2019 2019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인물 브랜드 남자 배우 부문 빈칸 수상 외부 링크[편집] 이장우 미니홈피 - 싸이월드 이장우의 수상 목록vdeh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연규진 (1988) 박인환 (1989) 주현 (1990) 홍요섭 (1991) 안대용 (1992) 이병헌 (1993) 천호진 (1994) 이병헌 (1995) 김영철·배용준 (1996) 김흥기 (1997) 류시원 (1998) 이창훈 (1999) 박상민·원빈 (2000) 김갑수·김호진 (2001) 박용하·조민기 (2002) 김승수·박용우 (2003) 소지섭·정지훈 (2004) 손현주·송일국·엄태웅 (2005) 고주원·김진태 (2006) 강지환·장현성·박해진 (2007) 정진영·이필모·이원종 (2008) 오만석·지진희·김승우·정준호·김석훈 (2009) 이종혁·김수로·오지호·윤시윤 (2010) 지창욱·정진영·최다니엘·천정명·이태곤 (2011) 김영철·김동완·신현준·엄태웅·주원 (2012) 김석훈·오지호·주상욱·조정석·조성하 (2013) 최재성·문정혁·이준기·김상경·박영규 (2014) 차태현·장혁 김태우·김갑수·곽시양·임호 (2015) 송일국·이상윤·안재욱·이동건·오민석 (2016) 김승수·송창의·박서준·이동건·이준호·박시후 (2017) 강은탁·박윤재·이상우·이장우·서강준·최다니엘 (2018) 대상 | 남자최우수연기상 | 여자최우수연기상 | 남자우수연기상 | 여자우수연기상 vdeh후너스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홍성광 (대표이사) 가수현재 그룹 제노티 (상도 · 호준 · 제로 · 비쥬 · 상원) 엘리스 (벨라  · 혜성  · 유경  · 소희 · 가린) 로미오 (윤성  · 현경  · 카일 · 승환  · 민성  · 마일로  · 강민) 과거 그룹 제노티 (키도 · 서궁 · 곤 · 제니씨 · 아톰 · P군 · 낙타 · 한솔) 배우현재 소속 곽정욱 박윤재 진예솔 이종박 유하은 설정환 이장우 이윤미 강기둥 김법래 윤다경 김기무 임주은 윤사봉 과거 소속 박세영 관련문서후너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0f9dd2e6-4702-4d4d-bc8b-2562b256826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장우_(배우)&oldid=24494281" 분류: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자1986년 태어남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R&B 가수2003년 데뷔살아있는 사람동국대학교 동문양재고등학교 동문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동문문경시 출신연안 이씨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1: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장우(李章宇, 1986년 6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유튜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인 이장우는 지금까지 어떤 상을 수상했을까? Assistant: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영광의 재인 수상 2012 제7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상 빈칸 수상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오자룡이 간다, 아이두 아이두 수상 2013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상 빈칸 수상 2014 MBC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장미빛 연인들 수상 2018 K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하나뿐인 내편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유이) 수상 2019 2019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인물 브랜드 남자 배우 부문 빈칸 수상
Human: 아래 T.I.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I.티아이 2008년 공연 중기본 정보본명 클리퍼드 조지프 해리스 주니어(Clifford Joseph Harris, Jr.)예명 T.I.P.출생 1988년 7월 27일(1988-07-27) (30세)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직업 랩퍼, 작곡가, 배우, 프로듀서장르 힙합악기 키보드, 샘플링활동 시기 2001년 ~ 현재 레이블 아리스타 레코드, 그랜드 허슬 레코드, 아틀란틱 레코드관련 활동 P$C, 제이-지, 릴 웨인, 카니예 웨스트, 루다크리스, 닥터 드레, 에미넴, 어셔, 저스틴 팀버레이크, 메리 제이 블라이즈, 존 레전드, 스위즈 비츠, 버스타 라임즈, 넬리 ,위클리프 진, 제이미 폭스 ,유지케이, 페럴, 릴 존, 8 Ball & MJG, 디디, 리한나, 안드레 3000, 이기 아질레아웹사이트 [1] T.I. (티아이, 본명: Clifford london Tyrone ivy., 1988년 7월 27일 ~ )는 미국의 랩가수 겸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배우이며, '그랜드 허슬 레코드'의 사장이다. 루다크리스와 비프가 있었으나 화해했다. 목차 1 데뷔 2 성공 3 성공의 지속 4 Paper Trail 5 No Mercy 6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 7 앨범 8 출연 8.1 드라마 8.2 영화 9 외부 링크 데뷔[편집] 그는 어렸을 때 조지아주, 애틀랜타 등지에서 거주했으며 닉네임은 'Tip'이라고 불렸다. T.I.는 랩퍼로서의 이름으로 T.I.를 쓴다.이는 래퍼 Q-Tip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tip을 t.i.로 줄인 것이다. 그는 2001년에 'I'm Serious'라는 앨범으로 데뷔한다. 앨범에는 'Neptunes', 제이-지, Young Blooz 등이 참여했으나 아쉽게도 그다지 큰 성적을 거두진 못한다. 성공[편집] 2003년에 두 번째 앨범 《Trap Muzik》이 발매되었다. 미국 내에서 첫주에만 109,000 장이 팔리고 "24s", "Be Easy", "Rubberband Man", "Let's Get Away" 등을 싱글로 내보이면서 꽤나 큰 성적을 얻게 된다. 앨범에는 8Ball & MJG, 카니예 웨스트 등이 참여했다. 그리고 2004년에 발매한 세 번째 앨범 《Urban Legend》는 'Bring Em Out'을 시작으로 'U Don't Know Me','ASAP'으로 빌보드 랩 & 알엔비 차트 18위 ,영국 차트 35위로 오르면서 화려하게 성공했다.또한"ASAP"/"Motivation". However, "Motivation"등의 뮤직비디오 또한 미국 알엔비 & 랩 차트 62위를 하게 된다.200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힙합솔로 상을 받게 되고,'Destiny's Child'의 'Solider'에 릴 웨인과 같이 참여하며,베스트 콜라보래이션 대상을 수여받았다. 성공의 지속[편집] 4번째 앨범《King》은 2006년에 발매됐으며, 첫 주에만 522,200장이 팔렸으며, "What You Know," "Why You Wanna," "Live in the Sky," "Top Back Remix"가 성공하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또 한번 베스트 힙합 솔로 가수 상을 수여받는다. 또한 저스틴 팀버레이크에 곡 "My Love"에 참여하며 49번째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고의 콜라보레이션 상을 수여받는다. 그럼으로써 그는 남부힙합의 제왕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2007년 7월 3일에는 5번째 앨범 《T.I VS T.I.P》를 발매한다. 앨범에는 에미넴,Jay-z,Nelly,버스타 라임즈 등이 참여했고, "Big Things Poppin"이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다. Paper Trail[편집] 2008년 6번째 앨범 《Paper Trail》이 발매됐다. 8월부터 그는 "No Matter What","Swing Ya Rag", "Whatever You Like,"을 싱글로 발표하면서 빌보드 차트 1위를 하게 된다. "Live Your Life Feat Rihanna"는 정규앨범 발매후 싱글로 발표됐으며,빌보드 차트 80위에서 1위로 뛰어오르며, 큰 성공을 거둔다. 미국에서 약 300만 장을 팔았으며,2008년 힙합 명반으로 기록됐다. 2009년 총기 소지죄로 6개월간 복역했으며 2010년 3월 26일 출소했다. No Mercy[편집] 2010년 출소후 새 앨범 King Uncaged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 후 새로운 싱글 앨범 "I'm Back" 이 3월 8일 2010년에 발매되었다. T.I.는 출소 하였으나 다시 마약을해 도핑테스트에 걸려 다시 감옥에 들어갔다. 그래서 앨범 'King Uncaged' 는 'No Mercy'로 제목이 바뀌었으며 넵튠스가 프로듀싱하고 크리스 브라운이 피쳐링한 Get Back Up을 뮤직비디오와 함께 첫 싱글로 발매하였다. 앨범은 12월 7일날 발매 하였다. 카니예 웨스트, 에미넴, 크리스 브라운, 키드 커디 등이 참여하였다.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편집] 2012년 12월 그는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를 발표한다. 앞서 그는 릴 웨인과 같이 작업한 'Ball'을 싱글로 먼저 발표했었는데, 반복되고 중독성 있는 후렴구가 특징이다. 그 외에 앨범 작업에 핑크, 안드레 3000, 에이콘, 씨 로 그린 등이 참여했다. 앨범[편집] I'm Serious (2001년) Trap Muzik (2003년) Urban Legend (2004년) King (2006년) T.I. vs. T.I.P. (2007년) Paper Trail (2008년) No Mercy (2010년)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 (2012년) Paperwork (2014) Paperwork: The Return (TBA) Paperwork: Love and Liability (TBA) 출연[편집] 드라마[편집] The O.C. (2005), himself Punk'd (2005), himself Entourage (2008) 영화[편집] ATL (2006), 라샤드 스완 아메리칸 갱스터 (2007), 스티브 루이스 For Sale (2008), 오마르 버제스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 (2009), 트로이 Takers (2010), 고스트 앤트맨 (2015), 데이브 슬립리스: 크리미널 나이트 (2017), 션 앤트맨과 와스프 (2018), 데이브 크리스탈 (2018)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T.I. T.I. - 공식 웹사이트 (영어) T.I. - 마이스페이스 T.I. - 트위터 T.I. - 페이스북 (영어) T.I. - MTV (영어) T.I. - 올뮤직 (영어) T.I.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8081103 LCCN: no2003109274 ISNI: 0000 0001 2140 6796 GND: 135247365 SUDOC: 087932245 BNF: cb142313462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f7ba7fbe-c6bd-4ac0-bee9-c25c558d7d62 NKC: xx0063401 BNE: XX55686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I.&oldid=22326242"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래퍼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그래미상 수상자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수상자T.I.미국의 투자가미국의 기업인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I. (티아이, 본명: Clifford london Tyrone ivy., 1980년 9월 25일 ~ )는 미국의 랩가수 겸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배우이며, '그랜드 허슬 레코드'의 사장이다. 루다크리스와 비프가 있었으나 화해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I.의 Trap Muzik은 미국에 발매되고 첫 주에 몇 장이 팔렸을까? Assistant: 109,000 Human: 아래 윤두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두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두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두준 기본 정보출생 1989년 7월 4일(1989-07-04) (29세)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직업 가수,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09년 ~ 현재 소속사 어라운드어스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하이라이트웹사이트 윤두준 - 인스타그램윤두준 - 트위터 윤두준(1989년 7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보이 그룹 하이라이트의 리더, 서브보컬을 맡고 있다. 목차 1 학력 2 음반 목록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3.2 영화 3.3 예능 프로그램 3.4 뮤직 비디오 3.5 라디오 3.6 광고 4 수상 및 후보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주엽초등학교 한수중학교 중산고등학교 동신대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음반 목록[편집] 비스트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비스트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피처링 2011년 양파 〈본 아뻬띠〉 2011년 이루펀트 〈키덜트〉 출연 작품[편집] 윤두준이 비스트로 출연한 작품에 대해서는 비스트 (음악 그룹)#기타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0 MBC 시트콤 《볼수록 애교만점》 윤두준 특별출연 시트콤 《몽땅 내 사랑》 윤두준 210부작 2011 주말연속극 《천 번의 입맞춤》 윤기준 특별출연 2012 JTBC 시트콤 《청담동 살아요》 윤두준 특별출연 2013 KBS2 수목드라마 《아이리스 2》 서현우 20부작 tvN 목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구대영 16부작 2014 2015 월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2》 구대영 18부작 MBC 창사54주년특집극 《퐁당퐁당 Love》 이도(세종) 2부작 2016 tvN 월화드라마 《싸우자 귀신아》 구대영 특별출연 2017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빙구의 사랑 남주인공 특별출연 2018 KBS2 월화드라마 《라디오 로맨스》 지수호 tvN 월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3》 구대영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2 《가문의 영광5-가문의 귀환》 장영민 2013 《아이리스 2: 더 무비》 서현우 드라마 〈아이리스 2〉 극장판 예능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2008 Mnet 《열혈남아》 2009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단비》 2010 《여배우의 집사》 파일럿 2011 JTBC 《뮤직 온 탑》 진행 2012 2014 KBS2 《우리동네 예체능》 축구 편 2015 tvN 《내친구와 식샤를 합시다》 SBS 《정글의 법칙 in 사모아》 2016 MBC 《무한도전》 473회 게스트 2017 JTBC 《뭉쳐야 뜬다》 스위스 편 tvN 《편의점을 털어라》 진행 《집밥 백선생 3》 뮤직 비디오[편집] 2010년 G.NA 〈꺼져줄게 잘살아〉 라디오[편집] 2010년 MBC FM4U 《윤두준, 아이유의 친한친구》 (임시 DJ) 2010년 SBS 파워FM 《파워FM 쿨뮤직》 (일일 DJ) 광고[편집] 2010년 '버커루 진' 모델 2014년 농심 '태풍냉면' 2014년 K리그 홍보대사 2015년 K리그 홍보대사 2017년 크린토피아 수상 및 후보[편집] 비스트의 수상 내역에 대해서는 비스트 (음악 그룹)#수상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비고 2010 MBC 방송연예대상 코미디부문 남자 신인상 몽땅 내 사랑 수상 2013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상 아이리스 2 후보 2016 tvN10 어워즈 로코 킹 식샤를 합시다 2 후보 외부 링크[편집] 윤두준 - 트위터 윤두준 - 인스타그램 vdeh비스트 윤두준 용준형 양요섭 이기광 손동운 정규 음반대한민국 FICTION and FACT Hard to love, How to love Highlight 일본 SO BEAST Guess Who? EP 음반 BEAST IS THE B2ST SHOCK OF THE NEW ERA Mastermind Lights go on again Midnight Sun Good Luck Time ORDINARY 싱글 및 노래대한민국 〈Bad Girl〉 〈Mystery〉 〈Shock〉 〈Special〉 〈Easy〉 〈주먹을 꽉 쥐고〉 〈숨〉 〈Beautiful〉 〈비가 오는 날엔〉 〈Fiction〉 〈이럴 줄 알았어〉 〈Midnight (별 헤는 밤)〉 〈아름다운 밤이야〉 〈괜찮겠니〉 〈I'm Sorry〉 〈Shadow〉 〈이젠 아니야〉 〈Good Luck〉 〈12시 30분〉 〈일하러 가야 돼〉 〈예이(YeY)〉 〈Butterfly〉 〈리본(Ribbon)〉 일본 〈Shock〉 〈Bad Girl〉 〈Midnight -星を数える夜-〉 〈Sad Movie / クリスマスキャロルの頃には〉 〈Adrenaline〉 〈キミはどう?〉 〈One〉 〈Hands Up〉 〈Can't Wait to Love You〉 〈This Is My Life〉 〈#TBM〉 〈YeY〉 〈Only One〉 〈All Is in You〉 〈最後の一言〉 〈Stay Forever Young〉 단독 콘서트 Welcome to BEAST Airline BEAUTIFUL SHOW 같이 보기 큐브 엔터테인먼트 트러블 메이커 굿라이프 비스트의 음반 목록 비스트의 수상 목록 vdeh 단비 김용만 김현철 안영미 윤두준 정형돈 마르코 김용준 조동혁 이전 멤버 탁재훈 단비 천사 한지민 한효주 2NE1 차인표, 류승수 남상미 이지아 박신혜 핑클 (유리, 진) 닉쿤, 송지효 김지수, 신현준, 동해 윤소이, 민효린 신세경, 조동혁 장혁, 김수로, 김사랑, 장혜진 손담비, 정경호, 정아 관련 항목 일요일 일요일 밤에 단비의 방송목록 역대 단비 천사 목록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a5fcb438-2e7a-40d0-81c0-76e730b68f9f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두준&oldid=24459869" 분류: 2009년 데뷔비스트의 일원2000년대 가수2010년대 가수한국어 가수일본어 가수아이돌 가수K-pop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동신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고양시 출신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한수중학교 동문중산고등학교 (경기) 동문주엽초등학교 동문파평 윤씨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Bahasa Melayu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14: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두준(1989년 7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보이 그룹 하이라이트의 리더, 보컬을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두준이 2011년 출연한 MBC시트콤의 제목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몽땅 내 사랑
Human: 아래 서대전역_우방_아이유쉘_스카이팰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West Daejeon Station Sky Palace 정보 위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73-1번지 외 23필지 지리 좌표계 북위 36° 19′ 20.91″ 동경 127° 24′ 11.86″ / 북위 36.3224750° 동경 127.4032944°  / 36.3224750; 127.4032944좌표: 북위 36° 19′ 20.91″ 동경 127° 24′ 11.86″ / 북위 36.3224750° 동경 127.4032944°  / 36.3224750; 127.4032944 상태 완공 건축 2016년 ~ 2018년 7월 착공 2016년 완공 예정 2018년 7월 개장 2018년 7월 용도 주거 높이 최상층 134m 기술적 상세 내용 층수 지상 40층, 지하 5층 연면적 56,559.14m2 회사 건축가/건축회사 우방건설 건설사 (주)티케이케미칼 개발사 우방산업 웹사이트 http://skypalace.iusell.co.kr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영어: West Daejeon Station Sky Palace)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에 위치한 지상 40층의 아파트는 2개동으로 구성되며 총 298세대가 있다.[1] 완공 당시 대전광역시에서 15번째와 16번째로 가장 높은 건물이 된다. 서대전역의 주변엔 아파트 단지가 있고 우방 아이유쉘은 우방의 아파트 브랜드이며 스카이팰리스는 하늘궁전을 가리킨다. 2015년 11월 13일에 분양되었고 견본주택이 오픈하였다. 2016년에 착공하여 2018년 7월에 입주하였다. 목차 1 특징 2 내부 시설 3 교통 4 더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특징[편집] 40층 초고층 파노라마 뷰이며 또한 대전 0.1%를 위한 새로운 랜드마크 아파트는 헬기 착륙이 가능하고 내부의 시스템은 디지털 시스템, 보안 시스템, 이코노미 시스템, 친환경 웰빙 시스템이 있다. 내부 시설[편집] 이 건물 안에는 아파트와 근린상업시설이 있으며 101동과 102동의 3층 시설이 다르며 101동의 아파트에는 4층부터 있고 102동의 아파트에는 3층부터 있으며 지하에는 지하주차장이 있다. 층수 시설 4층 ~ 40층 아파트 3층 근린상업시설(101동), 아파트(102동) 2층 근린상업시설 1층 근린상업시설 지하 5층 ~ 지하 1층 지하주차장 교통[편집]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서대전역 연결 더 보기[편집] 대전광역시의 마천루 목록 각주[편집] ↑ “대전 0.1%를 위한 랜드마크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아이티데일리. 2015년 10월 29일. 2017년 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공식 웹사이트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스카이스크래퍼 시티 vdeh 대한민국의 마천루서울특별시 31빌딩 63빌딩 정부서울청사 서울스퀘어 롯데호텔 서울 KAL 빌딩 종로타워 광화문 D타워 서울국제금융센터 서울 제1국제금융센터 서울 제2국제금융센터 서울 제3국제금융센터 콘래드 서울 호텔 한기련회관 롯데월드타워 롯데호텔월드 트레이드 타워 뉴 트레이드 타워 아셈타워 파르나스 타워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두산타워 삼성 타워팰리스 삼성 타워팰리스 1차 삼성 타워팰리스 2차 삼성 타워팰리스 3차 목동 하이페리온 목동 트라팰리스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강남 파이낸스 센터 큰길타워 삼성동 아이파크 서초 삼성타운 서초동 대림 아크로비스타 LG트윈타워 파크원 타워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에스트레뉴 타워 래미안 첼리투스 래미안 강동 팰리스 이스트 센트럴 타워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시티파크 용산파크타워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 용산 한강트럼프월드3차 용산 벽산메가트리움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KY빌딩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DB금융센터 KDB생명타워 서울드래곤시티 한화 갤러리아포레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SBS 방송 센터 GS타워 GT타워 부띠크모나코 서울숲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뚝섬 부영아파트 뚝섬 부영호텔 용산 푸르지오 써밋 LS용산타워 더클래식500 더샵스타시티 디큐브시티 디큐브시티 아파트 강변 테크노마트 신도림 테크노마트 메세나폴리스 메세나폴리스 레지던스 세아타워 마포한강푸르지오 덕수궁 롯데캐슬 반포자이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여의도 대우트럼프월드 잠실 롯데캐슬골드 잠실 엘스 잠실 리센츠 잠실 트리지움 잠실 레이크팰리스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동일하이빌 뉴시티 코업 스타클래스 보라매 쉐르빌 현대 41 타워 아카데미 스위트 대림 아크로빌 현대 슈퍼빌 SK서린빌딩 상봉 듀오트리스 브라운스톤 서울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용산 KCC 웰츠타워 갤러리아 팰리스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청계천 두산위브더제니스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남산 트라팰리스 T타워 서울 시티타워 강동 헤르셔 타워 트윈시티 남산타워 육군호텔 G스퀘어 상암카이저팰리스클래식 서울숲 더샵 LSK플러스 용산 오피스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 스퀘어 가산 센트럴 푸르지오시티 국제전자센터 여의도우체국 사학연금회관 테헤란로 237 JW 메리어트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롯데호텔 L7 강남 용산 아모레퍼시픽 여의도 브라이튼 부산광역시 롯데호텔 부산 협성 마리나 G7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해운대 아이파크 파크 하얏트 부산 부산국제금융센터 해운대 엘시티 더샵 롯데타운타워 KNN 타워 W LG메트로시티 GS하이츠자이 해운대 더샵 센텀스타 해운대 더샵 센텀파크 해운대 더샵 아델리스 해운대센텀엘카사 서면 더샵 센트럴스타 더 게이트 센텀 WBC 더 팰리스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SK 허브 스카이 센텀 리더스 마크 이진 베이시티 센텀스카이비즈 해운대 대우 아라트리움 경동 제이드 비아이시티 비아이시티 호텔동 비아이시티 오피스텔동 마린시티자이 해운대 엑소디움 타워 범일 마제스 타워 오션브릿지 해운대 시타딘호텔 해운대 한신휴플러스 구포동 동원 로얄듀크 비스타 동래 한화 꿈에그린 남천 엑슬루 타워 영광골든타워 광안 쌍용예가 디오션 남천 코오롱 하늘채 골든비치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 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 명지 더샵 퍼스트월드 오륙도 SK뷰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해운대 SK뷰 국제신문빌딩 한화리조트 해운대 씨클라우드 호텔 동래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대구광역시 수성 SK 리더스 뷰 수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두류역 제타시티 마크팰리스 범어 브라운스톤 범어 범어네거리 서한이다음 대구역 센트럴 자이 범어역 우방유쉘 두산 대우트럼프월드 경남 센트로팰리스 경남 센트로팰리스 오피스텔 월드마크 웨스트엔드 SK 허브 스카이 용산동 롯데캐슬 그랜드 대구 월배 아이파크 범어 화성파크드림 범어 센트럴 푸르지오 테크노 폴리스 중흥S클래스 월성 협성휴포레 인천광역시 포스코타워-송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송도 센트럴파크 호텔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청라 대우 푸르지오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 G타워 청라 시티타워 송도 캠퍼스타운 청라 더샵 레이크 파크 송도 IBS타워 용현 엑슬루 타워 청라 엑슬루 타워 에코메트로 포스코 E&C 타워 부영송도타워 송도 센트로드 송도 아메리칸타운 아이파크 연수 푸르지오 학익 엑슬루 타워 청라 롯데캐슬 송도 푸르지오 하버뷰 송도 자이하버뷰 인천 더샵 스카이타워 갯벌타워 미추홀타워 베니키아 프리미어 송도 브릿지 호텔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호텔 다인 로얄팰리스 테라스 송도 롯데몰 송도 캐슬파크 로봇타워 송도 AT센터 힐스테이트 송도 더테라스 송도 랜드마크시티 센트럴 더샵 광주광역시 광주 호반 써밋플레이스 금호생명 본사 빌딩 중흥S클래스 스카이31 화정동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상무광명메이루즈 봉선동 남양휴튼 2차 아파트 첨단대우이안 벽산 블루밍 메가시티 아파트 첨단 힐스테이트 리버파크 각화 서희스타힐스 상무 유탑 유블레스 트윈시티 무등산 아이파크 아파트 대우디오빌 광주은행 본점 빌딩 각화 휴먼파크 서희스타힐스 대전광역시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금강 엑슬루 타워 철도기관 공동사옥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유성자이 아파트 대전 스마트 시티 정부대전청사 동아벤처타워 울산광역시 울산 이안 태화강 엑소디움 울산 롯데캐슬스카이 한양립스 더 스카이 신정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태화강 풍림 엑슬루 타워 우정동 마제스 타워 삼산동 대성 스카이렉스 울산 코오롱 파크폴리스 울산 삼환아르누보 롯데호텔 울산 세종특별자치시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도램마을 20단지 한양수자인 에듀파크 범지기마을 10단지 푸르지오 가재마을 세종현대엠코타운 5단지 아파트 세종 지웰 푸르지오 경기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일산 요진 와이시티 힐스테이트 일산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 일산 킨텍스 꿈에그린 브로멕스 타워 일산 킨텍스 원시티 일산 대방디엠시티 메타폴리스 리첸시아 타워 흥덕IT밸리 네이버 그린팩토리 광교SK뷰레이크타워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동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텔동 평택용이1차푸르지오 평택용이2차푸르지오 남양주 부영 e그린타운 수지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평촌 아크로타워 하남 벨리체 힐스테이트 광교 금강펜테리움 IX타워 삼성디지털시티 현대성우오스타 코아루 광교 푸르지오 월드마크 그랑시티자이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평촌 오비즈타워 안양금융센터 광명역 센트럴 자이 G스퀘어 분당스퀘어 강원도 온의동 롯데캐슬 스카이클래스 보광휘닉스파크 블루동 하이원 그랜드 호텔 메인타워 하이원 그랜드 호텔 컨벤션타워 충청북도 신영 지웰시티 청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창 서청주센트럴파크 충청남도 펜타포트 전라북도 우석대학교 대학본부 건지산 이지움 전주 라마다 호텔 전라남도 E편한세상 광양 엠블호텔 여수 한국농어촌공사 나주 본사 한국전력공사 나주 본사 남교트윈스타 에메랄드퀸 경상북도 장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용황 협성휴포레 도량 롯데캐슬 골드파크 경상남도 창원 메트로시티 1차 창원 메트로시티 2차 더 시티7 자이 무학자이 거제 장평 유림 노르웨이숲 아파트 스타디메르 제주특별자치도 롯데시티호텔 제주 제주 칼호텔 메종글래드 제주 제주 드림타워 vdeh대전광역시의 마천루대덕구의 마천루 금강 엑슬루 타워 유성구의 마천루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유성자이 아파트 대전 스마트 시티 정부대전청사 중구의 마천루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동구의 마천루 철도기관 공동사옥 서구의 마천루 동아벤처타워 이 글은 대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건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대전역_우방_아이유쉘_스카이팰리스&oldid=22066230" 분류: 대전광역시의 아파트대전광역시의 오피스텔대전광역시의 마천루대전 중구의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대전에 관한 토막글건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8월 22일 (수)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에 위치해 있는 지상 40층의 아파트이다. 2개동으로 구성되며, 총 298세대가 있다. 완공 당시 대전광역시에서 15번째와 16번째로 가장 높은 건물이 된다. 2015년 11월 13일에 분양되었고 견본주택이 오픈하였다. 2016년에 착공하여 2018년 7월에 입주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 건물의 3층은 어떠한 시설이 있는가? Assistant: 근린상업시설(101동), 아파트(102동) Human: 아래 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0월) 춍(일본어: チョン 존[*])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그 출신자(한국인 또는 조선 민족)를 낮잡아 부르는 일본어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한국인을 낮춰 부르는 의미로 사용된다. 목차 1 유래 2 일본 내의 인식 3 파생어 4 각주 유래[편집] 춍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한국인을 비하하는 의미로서의 춍의 용법은 대부분의 일본어사전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속어적 용법인데, 사전에 올라와 있는 의미로서는 온전히 사람 구실을 못하는 자 또는 바보, 천치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용법이 예부터 쓰이고 있었다.[1] 반면 한국인을 부르는 맥락에서의 "춍"은 1990년대 이후 일본 온라인 문화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견해는 춍이 조선(チョウセン)의 축약어라는 설, 한국어 단어 총각에서 유래된 일본어 단어인 춍가(チョンガー)에서 유래에서 왔다는 설 등이 있으나 아직 정설로 확정된 견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춍의 본래 의미도 일종의 차별어, 특히 장애인을 차별하는 단어였기 때문에 한국인을 가리키는 용법과 종종 겸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내의 인식[편집] "춍"은 한국인을 가리키는 경우 심한 차별어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NHK 등 일본의 방송매체에서는 이를 금칙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다른 의미를 가진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를 들어 금칙어설정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파생어[편집] 춍은 여러 종류의 파생어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한국인을 부르는 의미에서 バカチョン(바보 춍)이라는 단어가 주로 반한 감정을 가진 일본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 단어 역시 방송에서는 금칙어로 지정되어 있다. 춍코(チョン公)는 사람이나 동물을 친근하게 또는 가볍게 얕보는 호칭 접미사인 코(公)가 붙은 형태이다. 기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나 대한민국을 특정하여 부를 때는 키타춍(北チョン), 미나미춍(南チョン)이란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2채널등에서는 응(ン)과 소(ソ)라는 글자들의 형태가 비슷한 점을 유희적으로 사용하여 자주 바꿔 표기하므로 쵸소(チョソ)이라고도 쓴다. 각주[편집] ↑ 일본어 사전 《大辞林(다이지린)》. 三省堂(산세도).  (4)〔俗語〕一人前以下であること。 「ばかだの、―だの、野呂間だのと/西洋道中膝栗毛(魯文)」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춍&oldid=21528392" 분류: 인종 및 민족 차별어일본어 낱말일본의 반한 감정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10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8일 (금) 0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춍(일본어: チョン 총 / 존[*])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그 출신자(한국인 또는 조선 민족)를 낮잡아 부르는 일본어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한국인을 낮춰 부르는 의미로 사용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바보를 뜻하는 춍이라는 단어가 한국인을 지칭하는 호칭으로 어디서 등장하기 시작했을까? Assistant: 일본 온라인 문화
Human: 아래 권오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권오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권오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권오중權五中 출생 1971년 11월 24일(1971-11-24) (47세)대한민국 서울 마포구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 방송인활동 기간 1992년 ~ 현재종교 개신교[1]소속사 H.W 엔터프라이즈 배우자 엄윤경자녀 아들 권혁준(1999년 출생)수상 2012년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조연상 권오중(權五中, 1971년 1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인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방송 3.4 광고 4 수상 및 후보 5 기타 5.1 홍보대사 5.2 자격증 5.3 저서 5.4 모임 6 참고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권오중은 서울에서 태어나 1992년 뮤지컬배우 첫 데뷔, 이듬해 1993년《랩댄싱대회》에서 출전하여 우승하였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환상속의 그대〉와 가수 이은미의 댄스곡 안무를 맡았다.[2] 이 후, 1994년 배창호 감독의 《젊은 남자》에 출연하면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2][3] 학력[편집] 서울금양초등학교 졸업 선린중학교 졸업 배문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금속공학 학사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서울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4 사랑의 인사 엄희동 1995 TV시티 이동호 1997 MBC 베스트극장 - 2호선 플랫폼에서 내 안의 천사 남현 예스터데이 봉정복 남자 셋 여자 셋 권오중 1998 사랑해 사랑해 강 사장 1998 ~ 2000 순풍 산부인과 권오중 1998 사랑해서 미안해 1998 승부사 박추 1999 MBC 베스트극장 - 아빠 애인의 남자친구 기훈 사람의 집 심영재 TV영화 러브스토리 기성 2000 좋아 좋아 권오준 2000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권오중 2001 2002 2003 헬로! 발바리 발바리 다모 이원해 2004 섬마을 선생님 박광기 천생연분 황종혁 2005 핑구어리 허태풍 비밀남녀 최도경 MBC 베스트극장 - 러브홀릭 프로젝트 현호 2008 식객 오봉주 2009 살맛납니다 변창수 2010 자유인 이회영 백정기 2011 짝패 강 포수 미쓰 아줌마 고경세 2012 아랑 사또전 돌쇠 2013 백년의 유산 엄기춘 기황후 최무송 2014 모던파머 인삼밭 도둑 2016 아이가 다섯 윤인철 2017 브라보 마이 라이프 김치복 너의 등짝에 스매싱 권오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4 젊은 남자 호중 1998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리면 종훈 2003 튜브 면도날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도서관 남자, 코파는 남자 특별출연 2004 시실리 2km 석태 2005 오로라 공주 정 형사 2007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 쿵푸 김관장 날아라 허동구 권 코치 용의주도 미스신 이준서 사랑방 선수와 어머니 신강구 우정출연 2008 마지막 선물 동현 2010 한걸음 우정출연 나의 선택 - 잊혀진 가방 그 못다한 이야기 본인 2013 콩가네 상조직원 우정출연 2017 양양 중태 단편영화 방송[편집] SBS 《대결천하》 ... MC SBS 《대결! 스타셰프》 ... MC 채널A 《무비홀릭》 ... MC MBC 《찾아라! 맛있는 TV》 ... MC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게스트 MBC 《공감토크쇼 놀러와》 ... MC tvN 《SNL코리아》 ... 게스트 MBC Every 1 《나인 투 식스》 ... 패널 채널A 《미용실》 ... MC MBC 《별바라기》 ... 패널 KBS2 《나는 남자다》 ... MC 채널A 《잘 살아보세》 ... 패널 tvN 《가이드》 ... 패널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 게스트 SBS 《판타스틱 듀오》 ... 패널 SBS 《정글의 법칙》 ... 패널 MBN 《이맛이야》 ... MC MBC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 MC MBC 《궁민남편》 ... MC 광고[편집] 1995년 명인제약 메이킨 1997년 코카콜라 네스카페 캔 커피 1999년 오리온 포카칩 1999년 교원구몬 구몬학습 1999년 CJ제일제당 햇반 2000년 농심 오징어 짬뽕 2000년 옥션 2001년 농심 무파마 2002년 CJ제일제당 닥터세닥 2004년 국순당 삼겹살에 메밀한잔 2004년 LG텔레콤 2004년 삼성전자 삼성 DVD 콤보 레코더 2004년 차우니드 1577-5233 2007년 농심 고시히카리 쌀밥 2016년 한국투자저축은행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95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TV시티 후보 1999 SBS 연기대상 인기상 순풍산부인과 수상 2004 MBC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우수 연기상 천생연분 후보 2005 선행칭찬상 시상식 대중예술부문 선행상 빈칸 수상 2006 빈칸 올해의 볼룬티어상 빈칸 수상 2008 제16회 춘사영화상 신인남우상 마지막 선물 후보 2009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빈칸 수상 2011 월간샘터 샘물상 빈칸 수상 SBS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우수 연기상 미쓰 아줌마 후보 2012 보건복지정책홍보 유공자 시상식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빈칸 수상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 부문 남자조연상 아랑사또전 수상 2014 KBS 연예대상 쇼 • 오락부문 남자신인상 나는 남자다 후보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우수상 일밤 - 궁민남편 후보 기타[편집] 홍보대사[편집] 2001년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홍보대사 2002년 천사를 돕는 사람들의 모임 대표 2005년 보건복지부 129콜센터 홍보대사 2008년 희망의 러브하우스 홍보대사 2008년 사랑의 열매 홍보대사 2009년 제14회 당진 쌀사랑 음식축제 홍보대사[4] 2010년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나눔홍보대사 2010년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명예홍보대사[5] 2011년 국제구호 NGO 기아대책 홍보대사 2011년 경기도 포천시 홍보대사 자격증[편집] 《한식조리사자격증》,《양식조리사자격증》 《2급 사회복지사》[6] 저서[편집] 레시피 북 - 《굿잇츠》(GOOD EATS)[7] 모임[편집] 《천사를 돕는 사람들의 모임》(2002년 권오중이 결성한 자원봉사단체)[8] 참고[편집] ↑ 심규상 (2010년 9월 8일). “배우 권오중과 가수 이현우의 '가방 주인 찾아 삼만리'”. 오마이뉴스.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실제 '교회집사'인 배우 권오중과  ↑ 가 나 김용운 (2008년 7월 11일). “권오줌 "서태지와 아이들, 이은미 안무 맡았었다"”. 이데일리.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권오중 (2001년 8월 15일). “권오중, 춤과 액션으로 맺은 연기와의 인연”. 동아일보. 2013년 2월 21일에 확인함.  ↑ 유의주 (2009년 8월 3일). “탤런트 권오중씨 당진 쌀사랑축제 홍보대사”. 연합뉴스.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문영진 (2010년 7월 1일). “탤런트 권오중,인체조직기증 홍보대사”. 파이낸셜뉴스.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탁진현 (2008년 7월 31일). “‘맛있는 男’ 권오중 쉼없는 봉사활동”. 스포츠월드.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2010년 10월 2일). “작가변신 권오중 ‘소중한 아들 딸을 위해 선택하세요’”. 뉴스엔.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이나영 (2009년 8월 26일). “권오중 희귀, 난치성 질환자 돕기 위한 일일호프 연다”. 투데이코리아.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권오중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권오중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개인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권오중&oldid=24181406" 분류: 197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창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1992년 데뷔서울금양초등학교 동문선린중학교 동문배문고등학교 동문홍익대학교 동문서울사이버대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교 교수서일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수필가비디오 자키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힙합댄서안동 권씨대한민국의 방송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9: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권오중(한국 한자: 權五中, 1971년 1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권오중이 2005년 수상을 한 작품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빈칸 Human: 아래 조프루아_5세_당주_백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프루아 5세 당주 백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프루아 5세 당주 백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프루아 플랜태저넷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프루아 5세 당주Geoffroy V d'Anjou 지위 앙주 백작 재위 1129년-1151년 9월 7일 전임자 풀크 5세 당주 후임자 앙리 1세 노르망디 공작 재위 1144년–1150년 전임자 에티엥 드 블루아 후임자 앙리 2세 모르탱 백작 재위 1141년–1151년 전임자 외스타슈 4세 후임자 앙리 1세 멘 백작 재위 1126년–1151년 전임자 에르멩가르드 후임자 앙리 1세 이름 휘 조프루아 당주 (프랑스어: Geoffroy d'Anjou) 별호 금잔화백 (프랑스어: Plantagenêt)미남백 (프랑스어: le Bel, 영어: the handsome) 신상정보 출생일 1113년 8월 24일(1113-08-24) 사망일 1113년 8월 24일 (-39세) 사망지 프랑스 샤또 뒤 루아르 매장지 르망의 생 쥘리앙 수도원 가문 앙주 부친 풀크 5세 당주 모친 에르멩가르드 드 멘 배우자 마틸다 자녀 잉글랜드 국왕 헨리 2세낭뜨 백작 조프루아푸아투 백작 기욤 10세 조프루아 5세(Geoffrey V, 1113년 8월 24일 - 1151년 9월 7일)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앙주와 뚜렌느, 멘의 백작이며, 헨리 2세의 아버지이자 플랜태저넷 왕가의 시조이다. 1129년에 앙주 백작, 뚜렌느 백작, 멘 백작 작위를 세습했고, 1144년에는 노르망디 공국을 정복해 노르망디 공작이 되었다. 헨리 1세의 딸이자 하인리히 5세의 미망인이었던 마틸다와의 결혼하여 헨리 2세, 낭뜨 백작 조프루아, 푸아투 백작 기욤 10세를 낳았다. 목차 1 생애 초기 2 결혼 3 앙주 백작 4 사망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 초기[편집] 앙주의 풀크 5세와 멘 백작의 딸 아렝뷔르가 사이에서 장자로 태어났다. 전투에 나갈 때마다 금작화 가지를 투구에 꽂은 것 때문에 플랜태저넷(Plantagenet)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의 재능과 기량에 대한 소식을 들은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가 특사를 보내 딸 마틸다와의 결혼 협상이 두 가문 사이에 시작되었다. 협상이 합의에 이르자, 결혼을 위해 15살이 되던 1128년 6월 10일년 루앙에서 기사에 서임되었다. 결혼[편집] 1128년 6월 11일 이뤄진 마틸다와의 결혼은 잉글랜드/노르망디와 앙주 간의 평화 협정 및 동맹의 의미가 강했다. 마틸다는 조프루아보다 11살이 많았으며, 잉글랜드 국왕의 추정상속인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의 황후였던 자신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있었고, 한낱 백작 가문의 아들에 불과한 어린 남편과의 결혼이 불만스러웠다.[1] 때문에 둘 사이의 결혼 생활은 순탄치 못해 종종 격렬한 다툼 끝에 오랜 별거를 반복하는 상태였다. 하지만 결혼을 유지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득이 된다는 것을 안 둘 사이에는 가문을 이을 세 명의 아들이 태어났으며, 마틸다는 조프루아보다 더 오래 살았다. 앙주 백작[편집] 1128년 아버지 풀크가 예루살렘 왕국의 왕 보두앵 2세의 상속녀 멜리장드의 베필로 추천되었고, 풀크는 1129년에 앙주 백작령을 조프루아에게 넘기고 예루살렘으로 떠났다.[2] 마르무티에의 존이 서술한 기록에 따르면 조프루와는 아름다운 외모에 붉은 머리카락이었으며 쾌활했으며 위대한 전사였다고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디케토의 랄프에 따르면 그의 매력들이 차갑고 천박하며 이기적인 본성을 숨기게 했다라는 평을 남겼다. 1135년 장인 헨리 1세가 사망하자 마틸다는 자신의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 위해 노르망디로 갔다. 노르망디 지역의 영주들은 그녀에게 승복했으나 잉글랜드에서는 그녀의 사촌인 블루아의 스티븐을 왕으로 선출했고, 노르망디도 스티븐 쪽으로 돌아섰다. 이듬해 조프루아는 아내의 왕위계승권 전쟁을 위해 병력을 내어주었고, 1139년 마틸다는 140명의 기사들과 함께 잉글랜드에 상륙했다. 이후 스티븐을 사로잡은 마틸다가 영국의 여영주가 되었으나 그 기간은 매우 짧았고 풀려난 스티븐에 의해 퇴각해야 했다. 1142년에서 1143년 동안 조프루아는 노르망디 서부 전역과 센 남주지역을 장악했고, 1144년 1월 14일에 센을 가로질러 루앙으로 입성해 여름에는 노르망디 공작에 올랐고, 이듬해 루이 7세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1144년 앙주에 오거스틴 수도원을 세웠다. 조프루아는 1149년까지 공작령을 다스리다 마틸다와 함께 아들 앙리에게 물려주었고, 이 세습은 다음해에 역시 루이 7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조프루아 치세 동안 1129년과 1135년, 1145년 - 1151년 동안 세 번의 반란이 남작들에 의해 발생했으나 모두 제압했다. 남동생인 엘리아와 사이가 나빠 종종 다투었으며 결국 1151년까지 감옥에 가두기도 했다. 이러한 반란의 위협은 그가 노르망디를 정복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고, 그가 잉글랜드에 개입할 여유가 없게 만든 한 이유였다. 1153년에 월링포드 조약이 체결됨으로써 마틸다 쪽은 스티븐이 잉글랜드의 왕이라는 걸 인정하는 대신에 다음 국왕은 그들의 아들인 앙리가 계승하는 결과를 얻어냈다. 사망[편집] 조프루아는 1151년 9월 7일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임종이 다가오자 조프루아는 앙리에게 잉글랜드의 왕이 되고 나면 앙주 백작령과 멘 백작령을 동생 낭뜨 백작 조프루아에게 넘기겠다는 맹세를 하기 전까지는 자신의 시신을 매장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 당연히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한 영지를 동생에게 넘기기를 거부한 앙리는 한동안 시신을 그대로 방치했으나 결국 지인들의 설득에 의해 앙주에서 아버지의 장례식을 성대하게 치렀다.[3] 각주[편집] ↑ 위어,앨리슨 (2011년 3월 20일).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1판. 루비박스. 141쪽. ISBN 978-89-91124-00-4.  ↑ 1131년 보두앵 2세가 사망하자 풀크는 예루살렘의 왕이 되었다. ↑ 위어,앨리슨 (2011년 3월 20일).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1판. 루비박스. 153쪽. ISBN 978-89-91124-00-4.  외부 링크[편집] Find A Grave 사이트의 앙주 백작 조프루아 5세 vdeh노르망디 공작duc de Normandie노르망디가 911년–1135년 롤로* 기욤 1세* 리샤르 1세* 리샤르 2세 리샤르 3세 로베르 1세 기욤 2세** 로베르 2세 앙리 1세** 기욤 (3세) 블루아가 1135년–1144년에티엔**앙주가 1144년–1216년 조프루아 앙리 2세*** 앙리 리샤르 4세*** 장*** 플랜태저넷가 1216년–1259년 앙리 3세*** * 루앙 백작으로서 • ** 앵글인의 왕 겸임 • *** 앵글인의 왕, 아일랜드 영주 겸임 vdeh앙주 백작comte d'Anjou잉젤거가 풀크 1세 적색백 풀크 2세 선량백 조프루아 1세 회복백 풀크 3세 흑색백 조프루아 2세 망치백 샤토됭가 조프루아 3세 수염백 풀크 4세 성급백 조프루아 4세 망치백 풀크 5세 앙주가 조프루아 5세 금잔화백 앙리 리샤르 아르튀르 앙주 카페가 샤를 1세 샤를 2세 마르그레트 발루아앙주가 샤를 3세 필리프 장 앙주 공작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196411 LCCN: n90697027 ISNI: 0000 0003 5570 2299 GND: 1076787428 SUDOC: 078611520 BNF: cb15051738r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프루아_5세_당주_백작&oldid=24216913" 분류: 1113년 태어남1151년 죽음플랜태저넷가샤토됭가노르망디 공작앙주 백작멘 백작무정부시대 관련자창업군주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West-Vlam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프루아 5세(Geoffrey V, 1113년 8월 24일 - 1151년 9월 7일)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앙주와 뚜렌느, 멘의 백작이며, 헨리 2세의 아버지이자 플랜태저넷 왕가의 시조이다. 1129년에 앙주 백작, 뚜렌느 백작, 멘 백작 작위를 세습했고, 1144년에는 노르망디 공국을 정복해 노르망디 공작이 되었다. 헨리 1세의 딸이자 하인리히 5세의 미망인이었던 마틸다와의 결혼하여 헨리 2세, 낭뜨 백작 조프루아, 푸아투 백작 기욤 10세를 낳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헨리 1세의 딸이자 조프루아 백작의 아내인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마틸다
Human: 아래 진돗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진돗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돗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4월)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것입니다. 군사용어에 대해서는 진돗개 경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진돗개 다른 이름 진도견 (珍島犬) 원산지 대한민국 특성 몸무게 수컷 18–23 kg 암컷 15–19 kg 키 수컷 50–55 cm 암컷 45–50 cm 애견단체에 의한 분류와 표준 FCI Group 5 Section 5 #334 표준 AKC 비렵견 [? 표준] The AKC Foundation Stock Service (FSS) is an optional recording service for purebred dogs that are not yet eligible for AKC registration. UKC Northern Breeds 표준 개 (Canis lupus familiaris)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진도의 진돗개(珍島의 珍島개) 천연기념물 제53호 지정일 1962년 12월 3일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진도본도 진돗개 (珍島- )는 개 품종 중 하나로, 한국의 대표적인 사냥개이다.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해 주인을 잘 따른다. 그러나 한 주인에게 매이는 성격이 너무 강한지라 사역견으로는 못 쓴다. 어미에 대한 모정이 매우 강하다. 털은 주로 노란 것(황구, 黃狗)과 흰 것(백구, 白狗)이 있으며, 그 외 재구, 네눈박이, 호구, 흑구(黑狗) 등 10여 종류의 다양한 것이 있다. 귀가 쫑긋 서 있고 꼬리는 위로 말려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 진도 특산인 진돗개를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1967년에는 〈한국진돗개보존육성법〉이 제정되어 혈통이 보존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05년 케널 클럽(KC)과 세계애견연맹(FCI)에 정식 품종으로 등록됐다.1995년에는 국제보호육성동물로 공인 지정되었다. 1997년 2차로 개정해 관리되고 있다. 2012년 4월, 진돗개의 총유전체가 모두 해독되었다. 개 품종으로 총유전체가 해독된 경우는 독일의 개 복서이후 두 번째이다.[1] 목차 1 성격 1.1 충성적인 성격 1.2 영리함 1.3 스트레스 2 외모 2.1 몸 2.2 색깔 2.3 발 2.4 보폭 2.5 머리 2.6 무게/키 2.7 사냥 3 각주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성격[편집] 충성적인 성격[편집] 진돗개는 그 충성심과 점잖은 성품으로 대단히 유명하다. 진돗개는 활동적이고 작은 애견들처럼 집안에서 키우기 위한 개가 절대로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생활 공간과 방, 그리고 산책이 필요하며, 보살핌과 관심이 필요한데 어린 시절부터 같이 자란 경우 성견에 대해서 보다 많은 관심과 보살핌이 주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진돗개는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소중히 여겨주는 상대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잘 기억하는 편이며 또한 가정내의 서열에 대한 인식도 분명한 편이다. 마당에서 키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미터에서 3미터 이상의 철망을 쳐야한다. 영리함[편집] 매우 영리하고 활동적인 개이기 때문에 자주 가족안의 인물이나 다른 개와 놀게 해줘야 한다. 진돗개들은 몇번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명령을 외우고 주어진 과제를 잘 기억하며, 어떤 진돗개들은 지나치게 영리한 나머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을 하기도 한다. 대개 개한테 흔히 쓰는 명령어나 속임수같은 것들을 너무 빨리 파악하고 터득해서 다루기 힘들 때도 있으며, 혼자 두면 자기만의 놀이법을 찾아낸다. 대개 어린 진돗개는 펜스나 벽을 오르려고 하거나 나무나 땅을 파내는 등이며 집안에 둔 경우엔 씹을 것이 필요한 나머지 집을 뜯기도 하는데, 이 문제로 인해서 많은 진돗개들이 종종 자신의 지배력을 발휘하는 법을 모르는 주인에게 버려져서 애견 보호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어린 진돗개는 씹을 것을 장난감으로 주는 편이 좋다. 스트레스[편집] 많은 사냥개 혈통의 개들이 그렇듯이 진돗개도 적절하게 산책과 운동을 할 공간이 부족하면 스트레스를 받고 묶어만 두면 몹시 사나워진다.[2] 이런 때에 특히 낯선 사람이 다가오게 되면 예민해져서 물려고 들게 된다. 따라서 묶어만 두지 않고 어릴적부터 넓은 공간에서 풀어서 키우면서 사교성을 키우고 친근하게 행동하도록 하는 훈련을 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람들은 진돗개의 외형과 그 영민함, 그리고 충성심과 투쟁근성에 반해서 키우기 시작하지만 이들이 가정의 일원으로 집안에서 성장하는 건 상당한 시간과 노력,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곧 깨닫게 되는데, 키울 예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잘 준비를 하고 무엇보다 개를 독립적인 존재로 키울 생각을 하는 편이 좋다. 일반적인 애완견들은 주인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 하도록 길들여지지만 진돗개들은 대개 그렇게 되지 않는다. 외모[편집] 진돗개는 중형견이며 스피츠 타입의 삼중털을 갖고 있다. 진도 토종견과 외부 개의 혼혈 특징이 두개골상과 머리와 몸의 비율상에서 종종 나타나지만 암수의 형태상의 특징으로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좀 더 각이 기울어진 머리를 갖고 있다. 진돗개가 가진 마르고 기민한 외모는 똑똑하고 강하며 빠른 인상을 준다. (이하에 나온 특징은 평균에 근거한 특징이므로 모든 진돗개에게 해당되지는 않음) 몸[편집] 일반적으로 진돗개의 몸 형태를 두 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통골 혹은 겹개: 이 타입은 보다 땅딸막하고 근육질인 형태로 한국토종견협회(Korean National Dog Assosiation: KNDA)의 분석에 따르면 어깨부터 땅까지의 높이대 몸통의 길이대비 10:10의 동일한 비율을 갖고 있으며 대개 허리가 짧다. 후두 혹은 홋개: 이 타입은 보다 날씬하고 가슴의 높이가 낮으며 허리가 조금 길다. 또한 육체적인 형태가 조금 더 길어져 있어 귀나 입, 머리등이 전체적으로 조금씩 길어서 한국 토종견 협회에서 발표한 전통적인 "진돗개의 비율"에서 약간 더 길어서 10:11이다. 한국 토종견 협회는 이 외에도 각골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바디 타입을 주지하고 있으나 이 타입은 위의 두 개의 전통적인 진돗개 타입이 서로 조합하여 진화하고 있는 단계로 후두의 긴 몸체와 통골의 가슴 크기가 함께 보이고 있다. 켄넬 클럽은 최근에 진돗개의 외모에 대해서 발표한 바 있는데, "네모지게 반듯한 형태로 자란 진돗개는 알맞게 깊은 가슴을 갖고 있으나 지나치게 넓지 않다. 가슴의 가장 깊은 위치는 다리 관절에 닿는다. 가슴살은 발전해서 갈비뼈는 잘 튀어나와있다. 등은 강하고 곧으며 허리는 근육으로 덮여있고 마르고 여위어서 흉곽보다 가늘다. 다리는 대개 구부러져있다."라고 밝힌다. 색깔[편집] 진돗개는 다섯가지 색상을 갖고 있다. 황색(황구): 밀색에 털의 끝부분과 귀끝에 살짝 검은색을 띠는 종이다. 백색(백구): 이 색은 사실상 완벽하게 흰색이나 아이보리나 밝은 갈색이 귀끝이나 다리 뒷부분, 꼬리 등에 살짝 섞인 것이다. 어떤 흰 녀석은 머리부터 등을 타고 꼬리까지 살짝 탄 듯한 라인이 흐르기도 한다. 회색(재구): 멀리서 보면 회색으로 보이는 이 색은 사실은 황색/백색/흑색이 섞인 종이다. 흑색(흑구): 검은색이 전신에 나타나며 얼룩의 형태로 배와 입 그리고 눈 근처와 눈 전체에 나타난다. 얼룩(호구): 호랑이와 같은 패턴이 나타나는 형태로 가느다랗고 검거나 짙은 갈색의 줄무늬가 황색 배경에 나타나며 주로 강아지 일때 보인다. 진도에서는 일반적으로 흑색이나 검붉은 색, 그리고 희고 검은 진돗개를 사냥개로서 좋다고 판단한다. 켄넬 클럽의 경우 6가지 색으로 분류하며 흰색/붉은 황색/회색/흑색/태닝 검정/얼룩 패턴으로 분류한다. 발[편집] 발은 중형사이즈로 종그랗고 단단하며 거무스레하고 단단하다. 발톱은 단단하고 대개 검은색이나 크림색, 회색이다. 보폭[편집] 보폭은 일반적인 중형견의 수준이고 빠르게 이동할 경우 빠르며 가볍고 유연한 발자국을 보인다. 다리는 곧게 움직이며 이에 따라 다리도 곧게 움직인다. 일반적인 스피드에서 머리보다 낮은 위치에서만 움직인다. 머리[편집] 성견이 된 진돗개는 얼굴이 귀보다 넓다. 턱이 잘 발달되어있고 털은 볼에서 풍성하게 자라있으며 귀는 뾰족하게 세모 형태로 안에는 촘촘한 털이 잘 자라있다. 어릴 때는 대개 5~6개월이 되기 전까지 귀가 누워있다. 눈은 아몬드 형태로 동그란 편이며 갈색이고 결코 푸른 색 눈이 없다. 입은 단단하게 당겨져있고 검은색이며 혀는 일반적으로 선명한 핑크색을 추천한다. 차우차우처럼 청검색 혀를 갖기도 하는데 흔하지는 않다. 이빨은 고르고 대상을 물어뜯었을 때 가위처럼 끊어낼 수 있는 치열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가 크며 암컷은 좀 더 여우와 같은 두상을 가진다. 무게/키[편집] 수컷은 48 ~ 53cm, 암컷은 45~50cm 가량이며 수컷 성견의 경우 18~27kg 가량, 암컷 성견의 경우 15~24kg 가량이다. 사냥[편집] 진돗개는 독사나 일반 뱀을 사냥할수 있으며 진돗개가 있는 집이나 근처에는 뱀이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각주[편집] ↑ [1] ↑ 김기현 기자 (2013년 10월 10일). “20대 여성 물어뜯은 진돗개 테이저건으로 제압”. 문화일보.  같이 보기[편집] 한국진도개관리협회 진도개 경보 돌아온 백구 개 풍산개 삽살개 한국애견협회 백구 진도의 진도개 (천연기념물 제53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진돗개 「진도의 진도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진도의 진도개 - 남북의 천연기념물 진도의 진도개 - 문화재청 「진돗개, 세계 명견 반열에 ‘우뚝’」, 《인터넷한겨레》, 2005.7.6. '돌아온 백구'의 진실, 《PD수첩》, MBC, 2006.12.15. 진돗개의 기원, 대한민국 국견협회 진돗개 - 한국애견협회 vdeh개 품종사역견군견/경찰견/번견 마스티프 보르도 마스티프 로트바일러 복서 자이언트 슈나우저 스탠더드 슈나우저 도베르만 핀셔 그레이트 데인 불마스티프 목양견 쿠바츠 저먼 셰퍼드 코몬도르 그레이트 피레니즈 콜리 캉갈 올드 잉글리시 시프도그 풀리 벨지안 타뷰렌 셰틀랜드 시프도그 비어디드 콜리 브리마르 웰시 코기 오스트레일리안 케르피 벨지안 시프도그 피레니안 마스티프 보스롱 티베탄 마스티프 썰매개 사모예드견 시베리안 허스키 알래스칸 맬러뮤트 그린란드견 아메리칸 에스키모 도그 캐나디안 에스키모 도그 치누크 에우로하운드 래브라도 허스키 맥켄지 강 허스키 노던 이누이트 도그 사할린 허스키 세팔라 시베리안 타마스칸 그외 세인트 버나드 베르니즈 마운틴 도그 부비에 데 플랑드르 뉴펀들랜드 수렵견시각 수렵견 아프간 하운드 그레이하운드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아이리시 울프하운드 휘핏 보르조이 살루키 아자와크 후각 수렵견 닥스훈트 블러드하운드 플로트 하운드 미니어처 닥스훈트 쿤하운드 오터하운드 노르위전 엘크하운드 잉글리시 폭스하운드 바셋하운드 해리어 아메리칸 폭스하운드 비글 던커 드리버 바이에른 마운틴 하운드 비글해리어 슈바이처 라우프훈트 스위스하운드 아르투아 하운드 오가르 폴스키 크레타하운드 포르살렌 그외 안달루시안 하운드 바센지 로디지안 리지백 치르네코 델레트나 이비잔 하운드 파라오 하운드 포덴코 카나리오 푸꼭 리지백 타이 리지백 조렵견포인터 저먼 와이어 헤어드 포인터 바이마라너 비즐라 저먼 쇼트 헤어드 포인터 잉글리시 포인터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 컬리 코티드 리트리버 플랫 코티드 리트리버 세터 아이리시 세터 고든 세터 잉글리시 세터 플러싱독/워터독 서섹스 스패니얼 필드 스패니얼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 클럼버 스패니얼 아메리칸 코커 스패니얼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 브리트니 웰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잉글리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잉글리시 코커 스패니얼 테리어견 폭스 테리어 케리 블루 테리어 맨체스터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 스카이 테리어 실리햄 테리어 케언 테리어 불 테리어 웰시 테리어 아이리시 테리어 웨스트 하일랜드 화이트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 테리어 소프트 코티드 휘튼 테리어 댄디 딘몬트 테리어 미니어처 슈나우저 스카치 테리어 오스트레일리안 테리어 노리치 테리어 에어데일 테리어 잭 러셀 테리어 핏불 테리어 실용견 차이니즈 샤페이 티베탄 테리어 티베탄 스패니얼 라사 압소 프렌치 불도그 보스턴 테리어 스키퍼키 키스혼드 불도그 비숑 프리제 일본 스피츠 차우차우 달마티안 스탠더드 푸들 미니어처 푸들 도사견 시바견 아키타견 동경이 불개 삽살개 제주개 진돗개 통일개 풍산개 애완견 친 말티즈 일본 테리어 잉글리시 토이 스패니얼 파피용 차이니스 크레스티드 토이 맨체스터 테리어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퍼그 미니어처 핀셔 페키니즈 포메라니안 아펜핀셔 토이 푸들 시추 치와와 요크셔 테리어 실키 테리어 브뤼셀 그리폰 독일 스피츠 미니어처 핀셔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패니얼 킹 찰스 스패니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돗개&oldid=24175894" 분류: 한국산 개 품종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2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07: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진돗개(珍島개)는 개 품종 중 하나로, 한국의 대표적인 개 품종으로 꼽힌다.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해 주인을 잘 따른다. 그러나 한 주인에게 매이는 성격이 너무 강한지라 사역견으로는 못 쓴다. 어미에 대한 모성애가 매우 강하다. 털은 주로 노란 것(황구, 黃狗)과 흰 것(백구, 白狗)이 있으며, 그 외 재구, 네눈박이, 호구, 흑구(黑狗) 등 10여 종류의 다양한 것이 있다. 귀가 쫑긋 서 있고 꼬리는 위로 말려 있다.그리고 꼬리 및 몸 전체 단모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 진도 특산인 진돗개를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로는 '진도개'이다)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1967년에는 〈한국진돗개보존육성법〉이 제정되어 혈통이 보존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05년 케널 클럽(KC)과 세계애견연맹(FCI)에 정식 품종으로 등록됐다. 1995년에는 국제보호육성동물로 공인 지정되었다. 1997년 2차로 개정해 관리되고 있다. 2012년 4월, 진돗개의 총유전체가 모두 해독되었다. 개 품종으로 총유전체가 해독된 경우는 독일의 개 복서 이후 두 번째다. 2020년 10월 발표된 사이언스 논문에 의하면 진돗개의 유전 정보 중 상당량이 뉴기니 고산개와 같은 계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어린 진돗개에게는 장난감으로 무엇을 주는게 좋을까? Assistant: 씹을 것 Human: 아래 서울_필하모닉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 필하모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필하모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뉴서울필하모닉오케스트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필하모닉(Seoul Philharmonic)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고전 음악 활동 시기 1991-현재 웹사이트 [1] 서울필하모닉은(뉴서울필하모닉) 일반대중에 클래식음악을 정착시키기 위한 폭넓은 연주활동 및 교류사업을 전개하고 한국 교향악의 보급 및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1991년 5월에 창립되었다. 목차 1 연혁 2 주요 사업 3 주요 활동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1년 "대중 속에 사랑 받는 정통 오케스트라" 라는 취지 아래 성악가 출신 김혜란 교수, 첼리스트 출신 김봉 교수 그리고 60여명의 유능한 연주자들이 모여 처음 연주 활동을 시작하였고, 1997년 안당 단장의 제2창단으로 지금에 이르렀다. 2017년 창단 26년 이래 2,600여 회의 각종 정기연주회, 오페라공연 및 기획음악회를 개최하였으며, 그동안 197회의 민간교향악단 사상 최고 많은 횟수의 정기연주회와 매년 80회 이상의 공연을 하는 정통교향악단으로 성장하였다. 주요 사업[편집] 서울필하모닉의 주요 사업은 정기연주회 및 기획연주회 개최, 유능한 연주인의 발굴과 등용, 연주인 국제교류, 클래식 음악발전을 위한 조사연구 등이다. 주요 활동[편집] 서울필하모닉은 매년 8여 회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0년과 2012년은 대한민국 오페라 페스티벌 전 작품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연주하며, 민간 오페라연합 협회로부터 오페라 반주 최우수 단체로 선정되어 수상을 하였으며, 그 외에 시리즈 음악회로는 "신인발굴음악회", "아티스트페스티벌" 등을 통하여 클래식 음악을 이끌어 나갈 신인을 발굴하고,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양평용문산 "환경 음악회", "무역센터 클래식 음악회", "해설음악회(오페라여행, 뮤지컬여행, 발레여행 등)" 등이 있으며, 관객들을 직접 찾아 가는 공단 및 기업음악회등 다양한 기획공연을 개최하여 클래식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다. 또한 국가행사를 비롯하여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업으로 서울필하모닉 콩쿠르도 개최하고 있다. 서울필하모닉은 2015년 창단 24주년을 맞이하였다. 음악적 취약 계층의 저소득층과 소외계층, 지방의 소외계층 등을 찾아가 공연하기도 한다. 외부 링크[편집] 서울필하모닉 홈페이지 vdeh대한민국의 관현악단서울권 코레일 심포니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강북구립 청소년 오케스트라 서울 필하모닉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앙상블 서울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하트하트 오케스트라 W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경인권 과천시립교향악단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구리시교향악단 군포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관동권 강릉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춘천시립교향악단 영남권 경상북도립교향악단 김천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 부산시립교향악단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 울산시립교향악단 진주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교향악단 호남권 광주시립교향악단 군산시립교향악단 목포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교향악단 호서권 대전시립교향악단 천안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교향악단 충남교향악단 충북도립교향악단 제주권 서귀포관악단 제주도립교향악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_필하모닉&oldid=19493894" 분류: 대한민국의 관현악단서울 강남구1991년 설립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2일 (토) 0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필하모닉은(뉴서울필하모닉) 일반대중에 클래식음악을 정착시키기 위한 폭넓은 연주활동 및 교류사업을 전개하고 한국 교향악의 보급 및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1991년 5월에 창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 필하모닉의 주요 활동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서울필하모닉은 매년 8여 회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0년과 2012년은 대한민국 오페라 페스티벌 전 작품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연주하며, 민간 오페라연합 협회로부터 오페라 반주 최우수 단체로 선정되어 수상을 하였으며, 그 외에 시리즈 음악회로는 "신인발굴음악회", "아티스트페스티벌" 등을 통하여 클래식 음악을 이끌어 나갈 신인을 발굴하고,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양평용문산 "환경 음악회", "무역센터 클래식 음악회", "해설음악회(오페라여행, 뮤지컬여행, 발레여행 등)" 등이 있으며, 관객들을 직접 찾아 가는 공단 및 기업음악회등 다양한 기획공연을 개최하여 클래식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다. 또한 국가행사를 비롯하여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업으로 서울필하모닉 콩쿠르도 개최하고 있다. 서울필하모닉은 2015년 창단 24주년을 맞이하였다. 음악적 취약 계층의 저소득층과 소외계층, 지방의 소외계층 등을 찾아가 공연하기도 한다.
Human: 아래 마돈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돈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돈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마돈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마돈나Madonna 2015년 Rebel Heart Tour 공연 중인 마돈나기본 정보본명 Madonna Louise Ciccone마돈나 루이스 치코네출생 1958년 8월 16일(1958-08-16) (60세)미국 미시간주 베이시티국적 미국직업 가수, 배우, 프로듀서, 인권운동가장르 팝, 록, 일렉트로닉악기 보컬, 기타, 타악기활동 시기 1982년 ~ 현재 가족 자녀 6명레이블 사이어, 워너 브라더스, 메이브릭, 라이브 네이션, 인터스코프웹사이트 www.madonna.com/ 마돈나 루이스 치코네(영어: Madonna Louise Ciccone, 1958년 8월 16일 ~ )는 미국의 가수, 배우, 프로듀서, 인권 운동가이다. 마돈나는 미시간주 베이시티에서 태어나 1977년 가수가 되기 위해 뉴욕으로 떠났다. 뉴욕에서 현대무용과 음악 그룹 블랙파스트 클럽, 에미로 활동했다. 1982년에는 사이어 레코드(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계열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1983년 데뷔 음반을 발표했다. 이후 마돈나는 상업적인 뮤직비디오와 성적 매력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을 뿐만 아니라 Ray of Light (1998)과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5)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이처럼 오랜기간 활동하면서 많은 히트 곡들을 만들어냈는데 "Like a Virgin", "Papa Don't Preach", "Like a Prayer", "Vogue", "Frozen", "Music", "Hung Up", "4 Minutes"은 마돈나를 대표하는 노래들이다. 비평가들은 다양한 장르의 시도로 마돈나를 찬사를 보냈지만, 종교적 논란에 대한 비판을 해왔다. 마돈나는 가수 생활을 하는 중에 1979년, 영화 데뷔를 했다. 1996년, 뮤지컬 코미디 영화 《에비타》에 출연해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코미디 부문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다른 영화에서의 역할은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 마돈나는 이 외에도 패션 디자이너, 어린이 도서 작가, 영화 감독과 제작자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고있다. 1992년에는 타임 워너와 함께 공동으로 엔터테인먼트 회사 매버릭을 설립했다. 2007년에는 라이브 네이션과 레이블 계약을 체결하는데, 미국에서도 이례적으로 1억 2천 달러를 받았다. 뉴스 미디어에서 "팝의 여왕"으로 불리는 마돈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가수 중 한 명"으로 기록되고 있다.[1][2][3] 총 음반 판매량은 현재 세계적으로 3억 장을 넘기며 여자 가수 중에선 독보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있어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가장 많이 음반 판매한 여자 가수로 등록돼 있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인증된 앨범 판매량이 6,300만 장으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음반 판매고를 올린 여자가수이다.[4][5] 2008년 빌보드는 빌보드 핫 100 차트 50주년을 기념해 지난 50년간 아티스트들의 빌보드 싱글차트 100 성적을 분석했고, 마돈나는 비틀즈에 이은 2위인 것으로 확인됐다.[6] 같은 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도 올랐다.[7] 미국의 잡지 《타임》은 마돈나를 "지난 수 세기 동안 가장 강력한 여자 가수"라고 했고, 세계 많은 여자 가수들의 우상, 영감으로도 꼽히고 있다. 목차 1 생애 및 경력 1.1 1958–81: 초기 생애 및 활동 1.2 1982–85: Madonna, Like a Virgin 및 숀 펜과의 결혼 1.3 1986–91: True Blue, Like a Prayer 그리고 Blond Ambition Tour 1.4 1992–96: Sex, Erotica, Bedtime Stories 그리고 영화 활동 1.5 1997–2002: Ray of Light, Music과 Drowned World Tour 1.6 2003–06: American Life와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1.7 2007–09: Hard Candy와 Sticky & Sweet Tour 1.8 2010–현재: W.E., MDNA 및 기타 사업 2 음악 스타일 3 성과 4 음반 목록 5 출연 작품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 및 경력[편집] 1958–81: 초기 생애 및 활동[편집] 마돈나 루이스 치코네는 1958년 8월 16일 미시간 주 베이시티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마돈나 루이스(옛 포틴)는 프랑스계 캐나다인이었고, 아버지인 실비오 안토니 리치는 미국에 이민한 1세대 이탈리아계 미국인이었다. 마돈나의 아버지는 나중에 크라이슬러와 제너럴 모터스 사의 디자인 엔지니어로 근무하기도 했었다. 마돈나는 자신의 어머니와 이름이 같았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해 어머니로부터 "리틀 노니"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8][9] 마돈나의 형제 자매는 총 여섯 명으로 마돈나는 셋째로 태어났다(형제 자매로는 마틴, 안토니, 폴라, 크리스토퍼 그리고 멜라니가 있었다).[10] 마돈나는 디트로이트의 교외인 폰티액과 에이본 타운쉽에서 자랐다(로체스터 힐스의 일부). 마돈나의 어머니는 1963년 12월, 30세의 나이에 유방암으로 죽었다.[10] 마돈나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이유를 이해하지 못했고, 곧 그녀의 행동과 성격 등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11] 아버지인 토니는 마돈나에게 엄마가 죽은 이유를 설명해 주기 위해 두 팔로 감싸 안았는데, 마돈나는 울기 시작했었다. 마돈나는 이후 "나는 그때 너무 어린 아이였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11] 어느 날, 마돈나는 어머니가 죽은 이유를 알게 되고 현실을 부정하기까지 했지만, 결국은 인정하게 된다. 이후 마돈나는 로체스터 아담스 고등학교에 입학해 학교 응원단의 멤버로 가입한다.[10] 우수한 성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미시간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춤으로 장학금을 받기도 했다.[12] 마돈나는 춤에 소질을 가지고 있었고 무용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동성애자이자 무용 선생님인 크리스토퍼 플린과 함께 아버지를 설득해 무용을 시작했다.[13][14] 1977년 말, 마돈나는 대학교를 중퇴해 약간의 돈을 가지고 뉴욕 시로 떠났다.[15][16] 마돈나는 뉴욕에서 던킨 도너츠 웨이스트리로 일했으며 모던 댄스 극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17] 마돈나는 당시 35달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8] 또한 마돈나는 가수들의 백댄서로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한편 어느 늦은 밤, 마돈나는 한 남자에게 골목으로 끌려갔고 펠라치오까지 하는 수모를 겪었다. 후에 "나는 그때의 일을 잊을 수 없다" 라고 밝히기도 했었다.[19] 마돈나는 1979년 프랑스의 디스코 음악가 패트릭 헤르난데스의 월드 투어 댄서로 무대로 서는 동안, 마돈나는 음악가에 대한 꿈도 함께 키워나간다.[20] 그녀는 길로이 형제와 함께 블랙퍼스트 클럽이라는 음악 밴드를 결성해 드러머로 활동했었다.[21][22] 1980년 마돈나는 드럼머 스티븐 브레이와 두 번째 음악 그룹 에미를 결성하였다. 1982–85: Madonna, Like a Virgin 및 숀 펜과의 결혼[편집] 마돈나는 워너 브러즈. 레코드에 레이블 계약을 체결한다.[23] 1982년 10월 6일 마돈나의 데뷔 싱글 "Everybody"가 발매되고, 노래를 비롯해 안무도 히트를 쳤다.[24] 데뷔 음반인 Madonna는 주로 레지 루카스와 워너 브러스 레코드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루카스가 작업이 끝나기 전 그만둬 추가적인 도움을 요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추가적인 도움은 당시 마돈나의 남자 친구였던 존 베니티즈로 결정돼 음반 작업을 마무리했다. 베니티즈는 트랙 리믹스의 대부분과 세 번째 싱글 "Holiday"를 작곡했다. Madonna는 빌보드 200 8위까지 올라갔고 "Holiday", "Borderline", "Lucky Star"의 히트 싱글을 만들어냈다.[25][26] 1985년 Virgin Tour중의 마돈나. 점차 뮤직비디오와 공연할 때 등 여러 모습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는데, 마돈나의 스타일은 1980년대 여성 패션 트렌드가 되었다. 마돈나의 스타일은 주로 쥬얼리 디자이너 마리폴(Maripol)이 만들었는데, 카프리 팬츠, 망사, 십자가 보석 팬던트, 고무 팔찌, 탈색한 머리 스타일 등이 유행했다.[27] 1984년에는 마돈나의 두 번째 정규 음반 Like A Virgin이 발매된다. 이 음반은 빌보드 200 정상을 차지했고, 여러 국가에서 1위에 올랐다.[25][28] 타이틀 트랙이자 싱글 "Like a Virgin"은 빌보드 핫 100에서 6주동안이나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26]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와 가사는 성관계가 묘사되는 내용과 선정적인 가사 또한 가족관의 파괴로 당시 큰 논란거리였다.[29] 때문에 도덕주의자들은 노래의 방송을 금지시키자는 목소리도 냈다.[30] 또한 1984년 열린 제1회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공연중 결혼식용 대형 케이크에서 나타나 웨딩드레스와 "Boy Toy"라는 문구가 적힌 벨트를 착용하고 공연을 펼치는 모습은 세계적으로 큰 충격이였다. 이날의 무대는 MTV를 비롯한 역사적인 무대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31] Like A Virgin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고 세계적으로 2천만 장 이상이 팔리고있다.[32][33] 전국음반상인협회와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1998년 "지금까지의 최고의 앨범 200" 목록을 발표했고 Like A Virgin도 포함되었다.[34] 한편, 마돈나는 1985년 로맨틱 드라마 영화 《청춘의 승부》 클럽 가수라는 간단한 역할로 출연했다. 마돈나가 직접 부른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인 "Crazy for You"는 빌보드 핫 100 1위를한다.[35] 또한 같은 해, 코미디 영화 《수잔을 찾아서》 출연과 동시에 사운드트랙 "Into the Groove"는 영국에서 처음으로 정상을 차지하는 곡이된다.[36] 마돈나는 이것들의 영화에서 주연은 아니였지만, 충분히 인지도와 배우로써의 또다른 활동을 알릴 수 있었다.[37] 마돈나는 Like a Virgin의 두 번째 싱글 "Material Girl"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하는 동안 숀 펜과 연인관계로 발전했고, 1985년 마돈나의 생일 날 숀 펜과 결혼식을 올렸다.[38] 1985년 4월부터는 북아메리카를 순회하는 마돈나의 첫 콘서트 투어 The Virgin Tour를 시작했다.[39] 같은 해 4월, 마돈나가 1978년에 찍은 누드 사진을 잡지 《플레이보이》와 《펜트하우스》에 그대로 공개했다. 1978년 당시 마돈나는 돈이 매우 부족했고 그때문에 25달러를 받고 찍었다고한다.[40] 사진의 공개로 언론계는 난리가 났었지만 마돈나는 뻔뻔하고 자신감넘치는 모습으로 대응하였다. 사진은 최고 10만 달러에 팔렸다.[40] 1986–91: True Blue, Like a Prayer 그리고 Blond Ambition Tour[편집] 1990년 Blond Ambition World Tour 중의 마돈나. 마돈나의 세 번째 정규 음반 True Blue는 1986년 6월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서 빌보드 핫 100 1위곡은 무려 "Live to Tell", "Papa Don't Preach", "Open Your Heart" 3곡 이였고 "True Blue"와 La Isla Bonita"는 각각 3위와 4위였다.[26][35] 음반은 당시 28여 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해 유래없는 기록을 남겼다.[41] 또한 남편 숀 펜과 함께 영화 《상하히의 유혹》에 출연했고, 데이비드 래이브의 연극 Goose and Tom-Tom에 숀펜과 함께 공동 주연으로 연극 데뷔를 했다.[42] 다음 해에 영화 Who's That Girl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마돈나는 영화 중 "Causing a Commotion"의 타이틀 트랙 등 사운드 트랙에 참여했다.[26] 1987년 6월부터는 Who's That Girl World Tour를 시작했고, 같은 해 9월까지 계속 되었다. 같은 해인 1987년 마돈나의 리믹스 앨범 You Can Dance가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14위까지 올라갔었다.[43] 1987년 12월에는 마돈나와 숀 펜이 이혼 소송 절차를 밟았고, 마돈나는 음주운전과 폭행 등 많은 사건으로 인해 견딜 수 없다며 1989년 1월 이혼을 하게된다.[44] 1989년 1월, 마돈나는 탄산 음료 제조 회사 펩시와 홍보 계약을 체결했다. 광고의 일환 중 한개로 자신의 노래 "Like a Prayer"를 선보였다. "Like a Prayer"의 뮤직비디오에서 십자가를 불태우고 성직자들을 성적 매력으로 유혹하는 등 당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45] 이에 따라 종교단체들은 펩시의 제품의 불매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후 펩시는 광고를 취소하고 마돈나와의 계약도 해체했다. 그러나, 펩시는 마돈나에게 500만 달러를 주기로 결정했다.[10] 이후 이 노래가 닮긴 마돈나의 네 번째 정규 앨범 Like a Prayer가 발매되었고, 패트릭 레너드와 스티븐 브레이가 앨범의 총 프로듀서를 맡았다.[46] 《롤링 스톤지》는 "음악이 예술에 더 가깝다."며 앨범에 찬사를 보냈다.[47] Like a Prayer는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했고, 미국에서 4백만 장 그리고 세계적으로는 1,400만 장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렸다.[25][48] 이 앨범에서 총 여섯 개의 싱글이 발매되었고, "Like a Prayer"는 빌보드 핫 100 1위, "Express Yourself"와 "Cherish"는 2위에 올랐다.[26][35] 1980년대 말까지 마돈나는 미디어 서치 MTV, 빌보드와 각종 음악 전문지로부터 "지난 10년간 최고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다.[49][50][51] 1990년이 되자, 영화 《딕 크레이시》에서 "브리스리스"라는 역할로 워렌 비티와 함께 타이틀 롤을 맡았다.[52] 마돈나는 영화의 I'm Breathless라는 사운드트랙 앨범을 발매하였고, 1930년대의 영화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곡이라고 밝혔다. 앨범의 싱글인 "Vogue"는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고,[53] 수록곡이였던 "Sooner or Later"의 작곡가였던 스티븐 손드하임은 1991년 아카데미 최우수 오리지널 노래 상을 수상하였다.[54] 영화를 촬영하는 동안, 마돈나는 비티와 1990년 말까지 애인 관계를 유지했었다.[55][56] 1990년 4월부터는 Blond Ambition World Tour를 시작했고, 이후 4개월동안 진행했다. 투어에 관해서 마돈나는 "나는 내가 최고의 댄서, 가수가 아니란걸 알아요. 하지만, 내가 최고가 아니여야만 원하는대로 도발할 수 있죠. 이번 투어의 목표는 쓸떼없는 금기를 깨는것이에요"라고 말했다.[57] 《롤링 스톤》은 "정교하고, 성적인 자극적인 안무들, 그리고 이 투어는 1990년 최고의 투어"라고 말하였다.[58] 투어에서 "Like a Virgin" 공연 중 두 남자 댄서와 함께하는 자위와 애무를 연상케하는 퍼포먼스때문에 종교 단체들로부터 극심한 비판을 받았다.[59] 교황은 대중들과 종교 단체들에게 마돈나의 콘서트 보이콧을 명령내리기도했다.[60] 가톨릭 협회 파밀리아 도마니는 마돈나의 에로티시즘을 그만두라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었다.[61] 투어는 나중에 레이저디스크로 발매되었고, 1992년 열린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롱 펌 뮤직비디오상을 수상받았다.[62] 1990년 11월 마돈나의 첫 히트 컴필레이션 앨범 The Immaculate Collection이 발매된다. 앨범에는 "Justify My Love", "Rescue Me"와 같은 두 개의 새로운 노래가 담겨 있었다.[63] 앨범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다이아몬드 인증을 했고, 세계적으로 2700만 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역사상 솔로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이 팔린 컴필레이션 앨범이되었다.[32][64] 첫 번째 싱글 "Justify My Love"는 빌보드 핫 100 1위와 세계 각 차트에서 10위권 진입을 했다.[35][65]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에는 가학피학성 성애, 속박, 동성애 키스, 브리핑 누드 등의 파격적인 장면들을 선보였다.[66][67] 두 번째 싱글 "Rescue Me"는 빌보드 핫 100 15위로 데뷔해 당시 여성 음악가로써는 가장 높은 데뷔 순위였고, 최고 9위까지 진입했었다.[63] 1992–96: Sex, Erotica, Bedtime Stories 그리고 영화 활동[편집] 1993년 The Girlie Show World Tour에서 "Express Yourself" 공연 중의 마돈나. 1992년, 마돈나는 《그들만의 리그》에서 주연을 맡아 출연했다. 영화의 주제가였던 "This Used to Be My Playground"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었다.[35] 같은 해 마돈나는 레코드 회사(매버릭 레코드), 영화 제작 회사(매버릭 필름) 및 음악, 텔레비전 방송, 도서 출판 및 상품화 등의 부문으로 구성된 자신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매버릭)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타임 워너와 공동으로 설립한것인데, 마돈나는 6천만 달러를 받았다. 매버릭에서 처음으로 발간된 도서는 sex였다. 이 도서에는 스티븐 마이젤이 촬영한 마돈나의 노골적이고 도발적인 성적 세미 누드집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책은 대중들과 언론으로부터 비판적인 반응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며칠만에 1,500,000만 부를 판매해 5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남겼다.[68][69] 비슷한 시기, 마돈나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Erotica가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2위로 데뷔했다.[25][69] 타이틀 트랙이자 싱글 "Erotica"는 빌보드 핫 100 3위로 만족해야했다.[35] 이 외에 Erotica에는 "Deeper and Deeper", "Bad Girl", "Fever", "Rain", "Bye Bye Baby"와 같은 다섯 개의 싱글이 있었다.[70] 1993년에는 에로틱 스릴러 영화 《육체의 증거》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평가의원들로부터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71][72] 같은 해에 《스네이크 아이》에도 주연으로 출연해 북미에서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뉴욕 타임스》에서는 이 영화에 대해 "분노와 고통을 실제로 느끼는 것 같은 영화다"라고 말했다.[73] 1993년 10월부터는 The Girlie Show World Tour를 시작했는데, 상반신을 드러낸 옷을 입은 댄서들에게 둘러싸여 채찍을 휘두르는 등 파격적이고 수위높은 공연을들 선보였다.[74] 이로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었다.[59] 이후 1994년 마돈나의 여섯 번째 정규 음반 Bedtime Stories를 발매했는데, 이 음반은 마돈나의 음반중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해 가장 부드러운 음반이다.[75] Bedtime Stories는 빌보드 200 3위로 데뷔했고 네 개의 싱글을 발표했는데, 대표적으로 "Secret"과 "Take a Bow"는 빌보드 핫 100 7주 동안 정상을 차지했다.[35] 비슷한 시기, 마돈나는 헬스 트레이너 카를로스 레온과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76] 1995년 5월에는 발라드 컴필레이션 음반 Something to Remember를 발매한다. 음반에는 "You'll See", "One More Chance"를 비롯해 마빈 게이의 노래를 커버 버전으로 부른 "I Want You"와 같은 세 개의 새로운 노래들도 수록했다.[35][77] 1996년에 마돈나는 《에비타》의 에바 페론 역할로 출연한다.[78][79] 마돈나는 에바 페론 역을 소화하기 위해 보컬 트레이닝을 받았으며, 아르헨티나와 페론의 역사에 대해서도 공부했다. 특히 이 영화에서 6,000개의 이미지와 370여 벌의 의상을 갈아 입어 기네스에 등재되었다.[79] 영화가 개봉된 이후에 호평을 받았으며, 《뉴욕 타임스》는 "이미지 위주의 화면이 많아 다소 모호한 느낌을 주지만, 청충을 휘어잡는 마돈나의 연기는 최고이다"라고 평했다.[80] 또한 에비타 룩 등의 유행도 주도했고, 일부에서는 역사를 왜곡했다거나, 에바 페론을 너무 우상화 했다며 비판을 받기도했다.[81] 이러한 영화의 성공으로 제54회 골든 글로브상에서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과 이어 영화의 사운드 트랙 "You Must Love Me"로 골든 글로브와 아카데미영화상에서 주제가상을 수상했다.[81] 한편, 1996년 10월 14일 마돈나는 카를로스 레온 사이에서 딸 루이스 레온을 낳았다.[82] 1997–2002: Ray of Light, Music과 Drowned World Tour[편집] 2001년 Drowned World Tour 중의 마돈나. 마돈나는 딸 루데스 레온을 출산 한 뒤, 신비주의 카발라에 심취했다. 마돈나는 1997년 여배우 산드라 베른하드에게 유대교 신비주의 교파를 소개받았다.[83] 그리고 1998년 마돈나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 Ray of Light를 발매했고, 이 앨범을 통해 자신의 바뀐 사고와 이미지를 보여줬다.[84] 마돈나는 "이 음반은 다른 그 어떤 음반보다도 내 삶의 모든 영역을 보여준다. 나는 최근에 밀교에 심취해있는데, 나를 벗어버린거 같다. 그러나, 내 기분은 현재 최고이고 아기를 출산하며 생명의 신비에 관심을 갖게되었다"라고 이 음반에 대해 말했다.[85] 음반은 긍정적인 평을 받았고, 《실렌트 매거진》에서는 "90년대 팝 음반 중 최고의 명반이다"라고 평했다.[86] Ray of Light는 1999년 열린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팝 보컬, 최우수 댄스 레코딩을 비롯한 세 개의 부문에서 상을 받았고, 《롤링 스톤》에서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앨범 500"에 이 앨범을 포함시켰다.[87][88] 이 음반은 호주, 캐나다, 영국 및 많은 유럽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빌보드 200에서는 2위로 데뷔했으며, 세계적으로 2,000만 장 이상을 팔았다.[25][89] 앨범의 첫 싱글 "Frozen"는 영국에서 처음으로 1위 데뷔를 한 싱글이 되었고, 빌보드 핫 100 여섯 번째 2위 싱글이 돼 마돈나는 가장 많은 2위 싱글을 보유한 아티스트라는 기록을 세웠다.[35][90] 한편, "Frozen"가 벨기에의 작곡가 살바토레가 1993년 발표한 자신의 노래 "Ma Vie Fout L'camp"를 표절했다는 이유로 피소를 당했다.[91] 앨범의 두 번째 싱글 "Ray of Light"는 빌보드 핫 100 5위로 데뷔했다.[92] 한편, 1994년부터 연인 관계였던 카를로스 레온과 "재일 친한 친구로 남고 싶다"며 1998년 12월 결별을 선언했다.[93] 1999년 마돈나는 영화 《뮤직 오브 더 하트》에 주연 로베르타 역으로 출연할 예정이였지만, 웨스 크레이븐 감독은 "창의성이 서로 다르다"며 캐스팅을 취소했다.[94] 또한 영화 《오스틴 파워 2 - 나를 쫓아온 스파이》의 사운드트랙 싱글로 발표된 "Beautiful Stranger"는 나름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며 Ray of Light의 성공을 도왔다. "Beautiful Stranger"는 빌보드 핫 100 19위에 올랐고, 그래미 상 "텔레비전, 미디어 부문 최우수 노래상"을 수상했다.[35][62] 2000년이 되자 마돈나는 영화 《넥스트 베스트 씽》에 출연하며 1971년 발표한 세계적으로 히트를친 돈 맥클린의 "American Pie"를 리메이크한 "Time Stood Still"를 영화의 사운드트랙으로 실었다.[95] 같은 해 9월, 마돈나의 열 번째 정규 음반 Music을 발매한다. Music은 Ray of Light 시절의 일렉트로니카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동성애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다.[96] 《이즘》의 고영탁은 "70년대 말 디스코 클럽을 재현한 음반이라며 "마돈나는 이 앨범을 통해 촌티 나는 70년대 클럽을 다시 불러냈다. 그리고 그 상투성을 통해 음악의 참다운 정의를 내렸다"라고 평했다.[97] 음반은 20여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발매된지 10일만에 세계적으로 400만 장을 팔아치웠다.[87] 미국에서도 첫 주 420,000만 장을 팔아 1위로 데뷔했는데, 이는 Like a Prayer이후 11년만에 정상을 차지한 것이다.[98] 그리고 이 음반에서 "Music", "Don't Tell Me",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과 같은 세 개의 싱글을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려놓았다.[35] 한편,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의 뮤직비디오는 살인 묘사, 자동차 사고 등과 같이 폭력적이라는 이유로 MTV와 VH1에서 방영이 금지되었다.[99] Music은 세계적으로 1,500만 장 정도의 판매고를 올렸다.[100] Music 활동 무렵 마돈나는 절친한 친구 스팅의 아내 트루디 스타일러에게 소개 받은 가이 리치와 1999년부터 사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0년 8월 11일 자신의 아들 로코 리치를 출산했다.[101] 같은 해 12월, 마돈나와 가이 리치는 스코틀랜드 스키보 성에서 결혼식을 올렸다.[102] 2001년 4월부터는 마돈나의 다섯 번째 월드 투어 Drowned World Tour를 시작했다.[59] 투어는 북미와 유럽 도시들을 방문하며 47회의 공연으로 7,500만 달러를 벌어들여 그 해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투어 중 하나였다.[103] 또한 투어 DVD 발매에 맞춰 마돈나의 두 번째 히트 콜렉션 음반 GHV2를 발매했다. GHV2는 미국 빌보드 200 7위로 데뷔했다.[104] 2002년에는 남편 가이 리치가 감독을 맡은 영화 《스웹트 어웨이》에 출연했다. 영국에서는 비디오로만 개봉되는 등 상업적인 성공에 실패했다.[105] 이듬 해, 《007 제20탄 - 어나더 데이》에 카메오로 출연과 영화의 타이틀 곡 "Die Another Day"를 불렀다. 노래는 빌보드 핫 100 8위까지 진입했고, 골든 글로브 상 최우수 오리지널 노래와 골든 라즈베리상 최악의 노래 부문 후보로 올랐다.[35][106] 2003–06: American Life와 Confessions on a Dance Floor[편집] Live 8에서 공연을 펼치던 당시의 마돈나. 《007 제20탄 - 어나더 데이》 출연 이후, 2003년 X-STaTIC Pro=CeSS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기 위해 패션 사진 작가 스티븐 클라인과 공동 작업을 했다. 이후 미국인들의 생활을 기반으로 만든 아홉 번째 정규 음반 American Life를 발매했고, 이 음반은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107] 마돈나는 음반에 대해 "American Life는 내가 이룬 모든 것들을 되돌아 보면, 험난한 여행 같았다. 나는 예전의 내가 이룬 모든 것들을 중요하게 어긴다"라고 말했다.[108] 《더 에드보케이트》의 래리 플릭은 "American Life는 마돈나의 지적이고 서정적인 모습 그리고 모험적인 모습 사이에 있는 음반이다. 2000년에 발매했던 Music과 조금 비슷한데, 이는 게으른 모습일 뿐이다. 아무렇게나 사운드를 만들지 말고 마돈나가 좀 더 심각하게 음악을 생각하면 좋겠다"며 평가했다.[108][109] 첫 싱글 "American Life"는 빌보드 핫 100 37위에 그쳤다.[35] "American Life"의 뮤직비디오에는 부시가 연상되는 사람에게 수류탄을 던지는 등 이라크 전쟁을 반대하는 내용이 담겼으나, 애국심이 없을 것으로 간주될거라며 원래 뮤직비디오는 정식으로 공개되지 않았다.[110] 이외에 《제레미 바인 쇼》에 출연해 "미국이 이라크에서 군대를 철수시켜야 한다. 무고한 시민들에게 폭탄을 투하한다는 것은 매우 잘못 되었다"며 이라크 주둔에 대해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111] 한편, 음반은 세계적으로 4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마돈나의 음악 경력 사상 가장 낮은 판매고를 기록했다.[112] 하지만, 빌보드 200에서는 정상을 차지했다. 마돈나는 브리트니 스피어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그리고 미시 엘리엇과 2003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 참석해 "Hollywood"를 부르며 도발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공연도중 마돈나는 아길레라, 브리트니와 키스를 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113][114] 2003년 10월에는 브리트니의 싱글 "Me Against the Music" 피처링 가수로 참여했다.[115] 같은 해 11월, 리믹스 앨범 Remixed & Revisited를 발매했다. 이 음반에는 American Life 수록곡들의 리믹스 버전을 포함해 "Your Honesty"라는 새로운 노래를 수록했는데, 이 노래는 Bedtime Stories 당시 녹음했던 노래이다.[116] 마돈나는 또한 동화책 작가로 활동하기 위해 칼라웨이 아트&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체결했다. 마돈나가 처음 발표한 책은 The English Roses로 2003년 9월 출판되었다. 내용은 네 명의 여학생들이 서로를 질투한다는 내용이다.[117] 이 책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 셀러 목록 중 1위로 데뷔했고,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팔린 동화책이라는 기록을 남겼다.[118] 2006년 8월 3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Confessions Tour 중의 마돈나. 2004년 중반 마돈나는 미국과 캐나다, 유럽을 방문하는 Re-Invention World Tour를 시작했고, 1억 2천만 달러를 벌어들여 2004년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투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19] 이후 투어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음반 I'm Going to Tell You a Secret을 발매했다.[120] 한편, 마돈나는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100인" 중에서 36위에 선정했다.[121] 2005년 1월, 마돈나는 쓰나미 피해자들을 돕기위해 존 레논의 노래 "Imagine" 커버 버전을 발표했으며,[122] 런던에서 Live 8 자선 공연을 펼쳤다.[123] 2005년 11월 마돈나는 열 번째 정규 음반 Confessions on a Dance Floor를 발매했다. 이후 거의 모든 나라 음반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124] 이 음반은 마치 클럽 DJ로 구성된 세트같은 음반 구조를 가졌다. Confessions on a Dance Floor는 모두 댄스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빌보드의 키스 코필드는 "팝의 여왕 본래의 양식으로 돌아간 것을 환영한다"고 글을 썼다.[125] 그리고 이 음반은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일렉트로닉/댄스 앨범을 수상 받았다.[62] 음반의 첫 싱글 "Hung Up"은 45개 나라의 공식 차트에서 1위를 해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126] 두 번째 싱글 "Sorry"는 마돈나의 열두 번째 영국 1위 싱글이 되었다.[36] 2006년 5월부터는 Confessions Tour를 시작했는데, 194억 달러의 수익과 12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여자 가수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률을 자랑하는 투어로 기록되었다.[127] 같은 해, 국제음반산업협회에서는 마돈나가 세계적으로 2억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고 발표했다.[128] 한편, 마돈나는 Confessions Tour를 진행하는 동안, 카발라 단체와 공동으로 말라위의 고아들을 돕는 레이징 말라위라는 재단을 설립했다.[129] 이어 2006년 10월 10일 마돈나는 고아원에 들려 데이비드 반다 무와레라는 남자 아이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반다는 나중에 데이비드 반다 무와레 치코네 리치라는 이름으로 바꿨다.[130] 하지만, 말라위의 인권자문위원회에서 마돈나가 반다를 말라위의 법률을 어긴채 명성을 이용해 불법으로 입양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131] 이후 마돈나는 《오프라 윈프리쇼》에 출연해 "아이를 데려오는데 내 명성이나 돈을 이용하지 않았다. 아프리카에서도 그런 건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보통 사람들과 같이 똑같은 법에 따라 입양을 진행했다. '불법'이란 언론보도는 매우 부정확하며, 우리는 입양을 결정하기 전 18개월의 현지 감정기간을 거쳤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성명을 발표했다.[132] 이후 입양 문제는 2008년 5월 28일 완료되었다.[133] 한편, 마돈나는 스웨덴의 의류 도매 업체 H&M와 협력해 M by Madonna라는 의류 라인을 개설했고 2006년부터 세계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134] 콜렉션에서는 스카프, 이브닝 드레스, 몸에 착 달라붙는 가죽 바지 등을 선보였다. 또한 이 의류 라인은 마돈나의 "시대를 초월한 독특하고 항상 화려한 스타일"을 반영했다고 H&M이 전했다.[135] 2007–09: Hard Candy와 Sticky & Sweet Tour[편집] 2008년 마돈나 아르헨티나에서. 마돈나는 라이브 어스 시리즈의 콘서트를 위해 노래 "Hey You"를 발표했다. 노래 발표 첫 주에는 무료로 다운로드를 제공했다. 또한 런던에서 열린 라이브 어스 콘서트에 참여해 공연을 펼쳤다.[136] 비슷한 시기, 마돈나는 지금까지 레이블 계약을 해왔던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끝냈고, 라이브 네이션과 1억 2천만 달러를 받고 10년동안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말라위 사람들이 직면하고있는 문제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인 《아임 비코즈 위 아》 제작을 시작했다. 영화의 감독은 나단 리스만이 맡았고, 마돈나는 각본을 맡았다.[137] 마돈나는 《타락과 지혜》라는 또다른 영화에서 처음으로 감독을 맡았다. 《타임스》는 "스스로를 자랑스러워 할만큼 했다"고 말했고,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영화에 대해 "마돈나는 전혀 가망없지 않은 첫 노력을 했지만, 그냥 보관해 놓는게 좋을 것이다"며 혹평을 했다.[138][139] 2007년 12월,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2008년의 등재 리스트 중 한 명으로 마돈나를 선정했다.[140] 이후 2008년 3월 10일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 마돈나는 아니지만 스투지스가 마돈나의 노래 "Burning Up"과 "Ray of Light" 공연을 했다. 이 날 마돈나는 크리스틴토퍼 플린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나의 35년 댄스 선생님임을 떠나서 나의 꿈을 같이해주고, 격려해줬다"고 말했다.[141] 마돈나는 2008년 4월 열한 번째 정규 음반 Hard Candy를 발매했다. 이번 음반은 R&B와 어반 팝에서 영감을 얻었고 저스틴 팀버레이크, 팀발랜드, 퍼렐 윌리엄스 그리고 다니아와 함께 작업을했다.[142] Hard Candy는 미국 빌보드 200을 포함해 37개 나라에서 1위로 데뷔했다.[143][144] 음반의 리드 싱글 "4 Minutes"은 빌보드 핫 100 3위로 데뷔했다. 이로써 빌보드 핫 100 10위권에 37개의 싱글을 진입시켜 과거 가장 많은 10위권 싱글을 보유한 엘비스 프레슬리를 밀어냈다.[145] 영국에서는 마돈나의 13번째 1위 싱글이 돼 여성 음악가로는 가장 많은 1위 싱글을 보유한 기록을 세웠다.[146] 두 번째 싱글은 "Give It 2 Me"로, 빌보드 핫 댄스 클럽 송 차트에서 1위를 하며 마돈나의 39번째 클럽 차트 1위 싱글이 되었다.[147][148] 이후 마돈나는 음반을 홍보하기 위해 라이브 네이션과 함께 Sticky & Sweet Tour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미국에서만 2억 달러넘게 벌어들여 Confessions Tour를 능가하는 수익률을 보였다.[149] 투어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그리고 이스라엘에서 공연을 했는데, 4억 달러넘게 벌어들이며 자신의 Confessions Tour 기록을 깨며 역대 여자 가수 투어 성적 1, 2위를 모두 차지했다.[149][150] 2010–현재: W.E., MDNA 및 기타 사업[편집] 2012년 8월 21일 니스에서 열린 MDNA Tour 공연 중의 마돈나. 2010년 1월 마돈나는 아이티를 위한 희망 콘서트 Hope for Haiti Now: A Global Benefit for Earthquake Relief에서 공연을 했다.[151] 4월에는 Sticky & Sweet Tour 실황을 담은 세 번째 라이브 음반 Sticky & Sweet Tour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라이브네이션에서 처음으로 발매하는 음반이지만, 유통은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에서 맡았다.[152] 한편, 미국 TV 프로그램 《글리》에서 마돈나의 노래로만 이루어진 마돈나 특집 에피소드를 기획했고, 노래 사용을 허락했다.[153] 특집 에피소드는 "The Power of Madonna"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는데, 《Us 위클리》는 대본과 평등에 대한 메시지를 강조하며 "모든 면에서 훌륭했다"고 말했다.[154] 에피소드에 나온 여덟곡의 마돈나 커버 버전을 담은 EP 음반 Glee: The Music, The Power of Madonna는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155] 마돈나는 자신의 딸 루데스와 함께 의류 브랜드 마테리얼 걸을 런칭했다.[156] 마테리얼 걸은 1980년대 마돈나가 한창 전성기였을 시절 펑키걸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고, 메이시스 산하로 런칭되었다. 또한 하드캔디 피트니스라는 이름으로 세계적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 사업을 시작해다. 마돈나, 매니저 가이 오시리, 24시간 피트니스 사장 마크 마스트로브는 이 사업에 있어서 동업 관계를 맺었다.[157] 2010년 11월 멕시코시티에서 첫 센터가 개장했고, 마돈나는 이곳을 첫 센터로 선택한 이유로 "세계적 규모의 도시에서 센터 운영을 확인 할 수 있는 매우 훌륭한 곳이라고 믿었다"라고 말했다.[158] 2011년 11월 마돈나와 MG 아이콘은 Truth or Dare by Madonna라는 명으로 신발, 속옷류, 악세사리를 생산하는 두 번째 의류 브랜드를 런칭했고, MG 아이콘 뿐만 아니라 메이시스와 또 다시 동업 관계를 맺었다.[159] 2012년 1월 마돈나의 열두 번째 정규 앨범 제목은 MDNA로 확정되었고, 2012년 3월 26일 발매되었다.[160] 앨범은 발매 첫 주 미국에서 359,000만 장을 팔아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해 마돈나의 여덟 번째 빌보드 200 1위 앨범이 되었다.[161] 이에 앞서 2012년 2월 3일 니키 미나즈와 M.I.A.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첫 싱글 "Give Me All Your Luvin'"을 발매했다.[162] 이 싱글은 빌보드 핫 100 최고 10위까지 올라가면서 마돈나의 38번째 10위권 진입 싱글이 되었는데, 이로인해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많은 싱글을 10위권에 진입시킨 가수 기록을 확장했다.[163] 두 번째 싱글 "Girl Gone Wild"는 3월에 발매되었다.[164] 마돈나는 새 앨범 발매에 맞춰 2월 5일 인디애나 폴리스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슈퍼볼 XLVI 히프 타임쇼를 맡았다. 슈퍼볼 공연의 컨셉은 서커스로, 제이미 킹과 서커스 업체 Cirque Du Soleil가 기획을 맡았다.[165][166] 이날 공연에는 씨 로 그린과 LMFAO, 니키 미나즈, M.I.A.가 스페셜 게스트로 무대에 함께 올랐다. 이후 슈퍼볼 XLVI 시청자 수가 1억 4,000만 명을 넘게 기록해 역사상 가장 높은 시청자수를 기록한 히프 타임쇼라고 발표했다.[167] 마돈나는 3월 26일 트위터를 통해 앨범을 홍보하기위한 투어의 제목이 MDNA Tour라고 밝혔다.[168][169][170] 음악 스타일[편집] 마돈나의 음악은 많은 비평가들의 비판과 감시의 대상이 되어왔다. 로버트 엠 그랜트가 2005년 쓴 Contemporary Strategy Analysis에서 마돈나는 확실히 타고난 뛰어난 재능은 없다며 "뛰어난 보컬리스트, 음악가, 댄서, 싱어송라이터, 배우로서 마돈나의 재능은 그다지 대단하지는 않은 것 같다"고 논평했다.[171] 로머트 엠은 마돈나의 성공은 경력 동안 수 많은 다양한 변신과 다른 사람들의 재능에 의존 했기때문이라고 주장했다.[171] 마돈나의 접근 방식은 지금까지의 음악 산업의 성공 방식과는 달랐는데, 마돈나는 경력동안 새로운 음악적 아이디어와 새로운 이미지, 더 높은 명성과 주목을 받기위해 끊임없는 탐구와 실험적인 음악을 해왔다. 그랜트는 "마돈나는 자신을 대중 음악의 여왕으로 확립시키기위해 멈춰있지 않고, 계속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냈다"고 결론을 내렸다.[172] 성과[편집] Sticky & Sweet Tour중의 마돈나. 마돈나는 솔로 음악가로는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투어 기록을 보유하고있다. 《롤링 스톤》은, 마돈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가수 중 한 명이다"라고 묘사하였다.[173] 마돈나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자 가수로써 각종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126] 2008년 3월 10일 마돈나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오르기도 했으며,[174] 《빌보드》가 분석한 "빌보드 핫 100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좋은 성과를 낸 아티스트" 순위 중 비틀즈 다음으로 2위로 조사됐다.[175] 또한 마돈나는 세계적으로 수 많은 히트 곡들을 만들어냈는데, 영국에선 13개, 호주 11개 그리고 캐나다에서는 23개의 1위 싱글을 배출해내며 그 어떤 여자 가수보다 많은 기록을 세웠다.[176][177][178] 1998년 《레이디스 홈 저널》이 출판한 100 Most Important Women of the 20th Century에서 마돈나가 중요한 인물로 소개되기도했다.[179] 2003년 7월 VH1과 《피플》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문화 아이콘 200"에서도 7위를 차지했다.[180] 또한 VH1이 "비디오 시대의 가장 위대한 여성 50명" 순위에서 최고의 자리에 선정했다.[181] 그리고 2006년에 발견된 완보동물 생물에는 마돈나의 이름을따 Echiniscus madonnae라는 이름을 붙였다.[182] 상업적 성과 이외에도 《타임》이 2010년 발표한 "지난 수 세기동안 가장 강력한 여성 25" 순위에서 현대 음악에 영향을 끼친 인물로 상위권에 선정되었다.[183] 마돈나는 활동하면서 끊임없는 음악과 비주얼의 변신으로 "여왕의 재발견"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84] 그럼으로써, "마돈나는 자신의 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해 문화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10년 이상 동안 팝의 여왕으로 문제 삼아지지 않았다."[185] 포우즈 에르난데스는 이러한 가치를 부여하며 마돈나가 문화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는 것에 동의했다.[186] 마돈나는 또한 경력에 걸쳐 수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메리 크로스라는 작가는 Madonna: A Biography라는 책 내용 중에서 "대중 음악에 대한 마돈나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부정할 수 없다"라고 집필했다. 새로운 팝 아이콘인 넬리 퍼타도, 샤키라 그리고 그웬 스테파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들은 모두 마돈나의 도발적인 가사와 섹시한 매력, 여성의 권력에 대한 이미지, 음악 등 여러가지 컨셉들을 따라했다.[187] 또한 브리트니 스피어스와 같이 여성 팝 공연자들인 제니퍼 로페즈, 카일리 미노그, 데스티니 차일드, 핑크, 스파이스 걸스 모두 포우즈 에르난데스에 따르면, "이들은 마돈나의 음악을 듣고, 감탄하며 자랐다. 이들은 모두 마돈나처럼 되고싶다는 매우 직접적인 의미에서 마돈나의 딸들이다"라고 했다.[188] 이중에서 특히 스피어스는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가수로 꼽히고있다.[189] 마돈나는 또한 미국 주류 대중음악 문화에 유럽 스타일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끌어들였는데, 스튜어트 프라이스 그리고 미르웨이스라는 유럽의 프로듀서들과 일렉트로닉 음악 작업을 거의다했다.[190] 한편, 마돈나의 음반은 세계적으로 3억 장 이상이 팔려나가고있다.[191] 또한 20세기 여자 록 가수로는 최고의 판매량을 자랑하고 있고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에서만 6,400만 장을 인증받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음반을 많이 판 여자 가수라는 기록을 세웠다.[192][193] 마돈나의 높은 음반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2001년 국제음반산업협회에서 불법 복제가 가장 심하게 이루어지고있는 아티스트라고 발표했다.[194] 또한 "이 여성은 오랫동안 업계를 위해 싸웠고 여러 종류의 금융 통제권을 성취했다"며 마돈나는 자신 업계의 경인인들에게 중요한 롤모델로써 찬사를 받아왔고, 마돈나 첫 경력 10년동안 120억 달러가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195] 음반 목록[편집] 정규 음반 1983: Madonna 1984: Like A Virgin 1986: True Blue 1989: Like A Prayer 1992: Erotica 1994: Bedtime Stories 1998: Ray Of Light 2000: Music 2003: American Life 2005: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8: Hard Candy 2012: MDNA 2015: Rebel Heart 2019: Madame X 컴필레이션 음반 1987: You Can Dance 1990: The Immaculate Collection 1995: Something to Remember 2001: GHV2 2003: Remixed & Revisited 2009: Celebration 출연 작품[편집] 스웹트 어웨이(Swept Away, 2002) 넥스트 베스트 씽(The Next Best Thing)1999 걸 식스(Girl 6) 1996 에비타(Evita) 1996 블루 인 더 페이스(Blue In The Face) 1995 포 룸(Four Rooms) 1995 스네이크 아이(Dangerous Game) 1993 육체의 증거(Body Of Evidence) 1993 그림자와 안개(Shadows And Fog) 1992 그들만의 리그(A League Of Their Own) 1992 진실 혹은 대담(Madonna: Truth Or Dare:In Bed With Madonna) 1991 딕 트레이시(Dick Tracy) 1990 야망의 브로드웨이(Bloodhounds Of Broadway) 1989 화려한 유혹(Who's That Girl) 1987 상하이 유혹(Shanghai Surprise) 1986 청춘의 승부(Vision Quest) 1985 수잔을 찾아서(Desperately Seeking Susan) 1985 상처 뿐인 과거(A Certain Sacrifice) 1980 아더와 미니모이 같이 보기[편집] 김완선 대중음악의 별명 목록 가장 많은 음반을 판 음악가 목록 각주[편집] ↑ “Madonna: Rolling Stone”. 《롤링 스톤》. 2008.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ross, Mary (2004). 《Madonna: A Biography》. Canongate U.S. ISBN 0313338116.  ↑ Morton, Andrew (2002). 《Madonna》. Macmillan. ISBN 0312983107.  ↑ RIAA Top Selling Artists ↑ “The American Recording Industry announces its Artists of the Century”. RIAA. 1999년 11월 10일. 200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100 Chart 50th Anniversary ↑ Madonna leads list of Rock Hall inductees – CNN.com ↑ Denise, Worrell (1985년 5월 27일). “Now: Madonna on Madonna”. 《타임》 (영어).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The Child Who Became a Star: Madonna Timeline”. 《The Daily Telegraph》 (영어) (런던). 2006년 7월 26일.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adonna Biography, Discography, Filmography” (영어). Fox News Channel. 2008년 1월 3일. 2012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Taraborrelli 2002, 11–13쪽 ↑ Imogen, Tilden (2001년 7월 4일). “Madonna News”. 《The Guardian》 (영어) (런던).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12쪽 ↑ Taraborrelli 2002, 26–29쪽 ↑ Taraborrelli 2002, 25쪽 ↑ Hosted by Paula Zahn. 〈A Star with Staying Power〉. 《People in the News》. CNN.  ↑ Hosted by Jim Wallasky. 〈Madonna: Queen of Pop〉. 《Biography》. 5 분. The History Channel.  ↑ Rettenmund 1995, 45쪽 ↑ O'Brien 2007, 56쪽 ↑ Taraborrelli 2002, 23쪽 ↑ “Madonna Biography: Part 1”. 《People》. 2003년 9월 2일. 2008년 5월 28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23쪽 ↑ Orzeck, Kurt (2007년 9월 23일). “Madonna, Beastie Boys Nominated For Rock And Roll Hall Of Fame”. 《MTV》 (MTV Networks).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Holden, Stephen (1992년 4월 20일). “Madonna Makes a $60 Million Deal”. 《The New York Times》.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영어) https://www.allmusic.com/artist/madonna-p64565/charts-awards/billboard-albums “Madonna – Charts & Awards – Billboard Album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영어) https://www.allmusic.com/artist/madonna-p64565/charts-awards/billboard-singles “Madonna – Charts & Awards – Billboard Singl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Clerk 2002, 20쪽 ↑ Rettenmund 1995, 67쪽 ↑ Cross 2007, 31쪽 ↑ Voller 1999, 18쪽 ↑ Jocelyn, Vena (2009년 8월 12일). “Can Lady Gaga Top These Iconic MTV VMA Performances?”.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Diamond Awards – Certified Albums – RIAA”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10년 1월 3일에 확인함.  ↑ “Contrasting fortunes as Madonna and Jacko turn 50”. 《The Age》 (영어) (멜버른: Fairfax Media). 2008년 8월 15일.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 “Definitive 200 of All-time” (영어). 전국음반상인협회. 2010년 4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Artist Chart History – Madonna”. 《Billboard》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3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Madonna Scores 12th Chart Topper in the UK”. 《BBC》. 2006년 2월 26일.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American Film Institute (1984). “Desperately Seeking Madonna”. 《Film Journal International》 (Arthur M. Sackler Found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0: 20. ISSN 1536-3155.  ↑ Greig, Geordie (2005년 11월 6일). “Geordie Greig Meets Madonna: Secret Life of a Contented Wife”. 《The Sunday Times》 (London).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Warren 외. 2001, 23–25쪽 ↑ 가 나 Morton 2002, 134–135쪽 ↑ Bohem 1990, 78쪽 ↑ “Madonna Biography” (영어). 트리뷴 엔터테인머트 미디어 그룹.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Erlewine, Stephen Thomas (1987년 12월 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12207 “You Can Danc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10년 5월 18일에 확인함.  ↑ Horton 2007, 56쪽 ↑ “‘마돈나 십자가 공연 TV로 중계’논란”. 쿠키뉴스. 2006년 9월 29일.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 Madonna (1989). 《Like a Prayer》 (Audio CD). Sire Records.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Considine, J.D. (1989년 4월 6일). “Madonna: Like A Prayer: Review”. 《Rolling Stone》 (Jann Wenner). 2007년 1월 21일에 확인함.  ↑ Clerk 2002, 146쪽 ↑ Taraborrelli 2002, 217쪽 ↑ Press release (1990년 5월 25일). “Michael, Madonna Top 'Billboard' Poll”. 《Dayton Daily News》 (Cox Enterprises): 23. ISSN 0897-0920.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Bego 2000, 232쪽 ↑ Morton 2002, 98쪽 ↑ Herrera, Monica (2000년 9월 15일). “Poll: 'Vogue' Is Fave Madonna Chart-Topper”. 《Billboard》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Pitts 2004, 40쪽 ↑ Sporkin, Elizabeth (1990년 7월 2일). “He Still Leaves 'Em Breathless”. 《피플》 (영어). 2009년 7월 30일에 확인함.  ↑ Ciccone, Christopher (2008년 7월 19일). “Warren Beatty, Sean Penn ... and My Sister Madonna's Great Daddy Chair Dilemma”. 《Daily Mail》 (런던).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Guilbert 2002, 140쪽 ↑ Walters, Barry (2006년 6월 1일). “Crucifixes, Leather and Hits”.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1067 (56). ISSN 0035-791X.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다 Smith, Neil (2004년 5월 24일). “Show Stealer Madonna on Tour”. 《BBC》 (영어).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 Grunt, Gary (2006년 5월 23일). “Madonna's giant cross offensive”. 《BBC》 (영어). 2006년 5월 28일에 확인함.  ↑ Sexton 1993, 88쪽 ↑ 가 나 다 “Grammy Award Winners – Madonna” (영어). 미국리코딩예술산업아카데미.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Cross 2007, 128쪽 ↑ Kawaguchi, Judith (2007년 10월 23일). “Words to Live by: Goh Hotoda”. 《더 재팬 타임스》 (영어). 2012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일에 확인함.  ↑ “Madonna – Justify My Love – Worldwide peaks”. 《Ultratop 50》. Hung Medien. 2010년 5월 28일에 확인함.  ↑ Rich, Joshua (1998년 11월 20일). “Madonna Banned”.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Time Inc.).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Lippens, Nate (2007). “Making Madonna: 10 Moments That Created an Icon”. 《MSN》 (영어). MSN 뮤직. 2008년 1월 4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54쪽 ↑ 가 나 Kirschling, Gregory (2002년 10월 25일). “The Naked Launch”.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donna.com > Discography > Erotica”. 《마돈나 공식 웹사이트》 (영어). Madonna.com. 2014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Metz & Benson 1999, 17–20쪽 ↑ “Body of Evidence”. 《로튼 토마토》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Maslin, Janet (1993년 11월 19일). “A Movie Within a Movie, With a Demure Madonna”. 《더 뉴욕 타임스》 (영어).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Booth, Samantha (2007년 4월 26일). “25 Years of Madonna”. 《데일리 레코드》 (영어) (Trinity Mirror).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Taraborrelli 2002, 235쪽 ↑ Voller 1999, 221쪽 ↑ Erlewine, Stephen Thomas (1995년 11월 17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431248 “Something to Remember”]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7월 30일에 확인함.  ↑ Gleiberman, Owen (1996년 12월 20일). “Evita (199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Maslin, Janet (1996년 12월 6일). “Madonna, Chic Pop Star, As Chic Political Leader”. 《더 뉴욕 타임스》 (영어).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스크린의 여왕 새로 난다”. 동아일보. 1996년 12월 28일. 17면.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정순민 (2006년 12월 9일). “영화 에비타…마돈나 ‘파격 캐스팅’ 96년 빅히트”. 파이낸셜뉴스.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Steward, Jason (1996년 10월 16일). “Girl for Madonna”. 《더 인디펜던트》 (영어).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Barnes, Anthony (2006년 7월 9일). “Kabbalah: is Madonna losing her religion?”. 《더 인디펜던트》 (영어) (London).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Rooksby 2004, 50쪽 ↑ Michael 2004, 46쪽 ↑ Cinquemani, Sal (2003년 3월 9일). “Madonna: Ray Of Light – Music Review” (영어). 실렌트 매거진. 2009년 7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Madonna's secret to making 'Music'”. 《CNN》 (영어). 2000년 11월 10일. 2008년 2월 9일에 확인함.  ↑ “The Rolling Ston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2013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 Reporter, BBC (1998년 8월 15일). “Madonna: mad for fame at 40”. 《BBC》 (영어). 200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Metz & Benson 1999, 167쪽 ↑ “Madonna in plagiarism case defeat”. 《BBC》 (영어). 2005년 11월 18일. 2007년 1월 21일에 확인함.  ↑ Jones, Graham (2001년 10월 25일). “Gates 'opens' Windows XP in New York”. 《CNN》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Cross 2007, 134쪽 ↑ Clinton, Paul (1999년 10월 28일). “Review: "Music of the Heart" Hits All the Right Notes”. 《CNN》 (영어). 200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Presenter, Radio 2. “Top 100 47: American Pie”. 《BBC Radio 2》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Bronson 2002, 989쪽 ↑ 고영탁 (2001년 2월). “이즘-마돈나-Music”.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0년 9월 28일). “After 11 Year Absence, Madonna's Back At No. 1”.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0일에 확인함.  ↑ Lee, Hann C. (2001년 3월 23일). “Controversial new Madonna video airs on the Web”. 《CNN》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Hastings, Chris (2005년 8월 28일). “Madonna uses secret nightclub 'focus groups' to pick songs for new album”.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런던: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8월 10일에 확인함.  ↑ CNN Reporter (2000년 8월 11일). “Madonna gives birth to boy”. 《CNN》 (영어). 2006년 5월 5일에 확인함.  ↑ “Madonna Weds Her Guy”. 《BBC》 (영어). 2000년 12월 22일.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1년 12월 29일). “The Year in Touring”. 《빌보드》 (영어) (뉴욕: Nielsen Business Media, Inc) 113 (52): 44. ISSN 0006-2510.  ↑ Erlewine, Stephen Thomas (2001년 11월 1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559135 “GHV2”]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 flop goes straight to video”. 《BBC》 (영어). 2002년 11월 8일. 2008년 6월 3일에 확인함.  ↑ “Golden Raspberry Awards past winners database”.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영어) (Tribune Company). 2008년 6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American Life by Madonna: Review” (영어). 메타크리틱. 2007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Norris, John (2003년 4월 9일). “Madonna: Her American Life”.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Flick, Larry. “All-Americna Girl”. 《더 에드보케이트》 (영어) (887): 45. ISSN 0001-8996.  ↑ “<마돈나, `아메리칸 라이프' 뮤직 비디오 출시 철회>”. 뉴시스. 2003년 4월 2일.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마돈나 "이라크에서 군대를 철수시켜라"”. 조이뉴스24. 2004년 11월 10일.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Susman, Gary (2003년 4월 1일). “Miss 'American'”. 《Entertainment Weekly》. 2010년 5월 17일에 확인함.  ↑ Moss, Corey (2003년 8월 28일). “Madonna Smooches With Britney And Christina”.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Gardner, Elysa (2003년 8월 28일). “Madonna, Spears, Aguilera shock at MTV Awards”. 《USA 투데이》 (영어) (Gannett Company). 2007년 1월 10일에 확인함.  ↑ Taraborrelli 2003, 233쪽 ↑ Brackett 2004, 304쪽 ↑ Cross 2007, 97쪽 ↑ Horton 2007, 197쪽 ↑ Silverman, Stephen M. (2004년 6월 1일). “Madonna Boasts Top-Grossing Show of Year”. 《피플》 (영어). 2008년 5월 23일에 확인함.  ↑ Erlewine, Stephen Thomas (2006년 6월 1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im-going-to-tell-you-a-secret-r834380 “I'm Going to Tell You a Secret”]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스피어스, 브리트니 (2006년 11월 9일). “Number 36: Madonna”.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2008년 1월 3일에 확인함.  ↑ Associated Press (2005년 1월 16일). “Hollywood, music stars join forces in tsunami telethon”. 《ABC News》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국영 방송).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BBC Reporter. “The Live 8 Event”. 《BBC》 (영어).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arris, Chris (2005년 11월 23일). “Madonna's Confessions Floors Carrie And Carey For Billboard #1”. 《MTV》 (영어) (MTV Networks). 200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5년 11월 19일). “Albums: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Billboard》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17 (47): 45. ISSN 0006-2510. 2009년 7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Glenday 2007, 167쪽 ↑ Caulfield, Keith (2006년 9월 4일). “Madonna's 'Confessions' Tour Sets Record”.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Press Release (2006년 9월 13일). “IFPI Platinum Europe Awards: July & August 2006”. 국제음반산업협회. 2007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BBC Reporter (2006년 10월 11일). “Madonna 'adopts child in Africa'”. 《BBC》 (영어).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시몬, 페리 (2006년 10월 9일). “Boy Madonna Hopes to Adopt, Leaves Africa”. 《피플》 (영어). 200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강승훈 (2006년 8월 31일). “"마돈나 입양은 불법!", 말라위 인권단체 주장”. 마이데일리. 201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규림 (2006년 10월 18일). “마돈나, "이번 입양, 불법 아니다" 성명 발표”. 마이데일리. 201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Tenthani, Raphael (2006년 10월 28일). “Madonna 'Over the Moon' About Finalized Adoption”. 《피플》 (영어). 2008년 5월 28일에 확인함.  ↑ Norman, Pete (2006년 12월 9일). “Madonna's H&M TV Commercial”. 《피플》 (영어). 2007년 3월 7일에 확인함.  ↑ “Madonna’s clothing line goes on sale at H&M” (영어). MSNBC. Associated Press. 2007년 3월 23일.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Herrera, Monica (2007년 7월 16일). “Live Earth London Wraps With Madonna Spectacular”.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0년 2월 25일에 확인함.  ↑ Petridis, Alexis (2007년 8월 9일). “I Am Because We Are review”. 《The Guardian》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Elan, Priya (2008년 4월 3일). “Review: Madonna's Filth and Wisdom”. 《The Times》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Johnston, Sheila (2008년 2월 14일). “Filth and Wisdom: Don't give up the day job, Madonna”. 《The Daily Telegraph》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donna, Others Named to Rock Hall of Fame”. 《USA Today》 (영어) (Gannett Company). Associated Press. 2007년 12월 13일.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Madonna Has Her Say At Rock Hall Ceremony”. 《CBS News》 (영어) (CBS Interactive). 2008년 3월 18일. 2010년 5월 18일에 확인함.  ↑ Reid, Shaheem (2008년 8월 8일). “Timbaland Talks About His And Justin Timberlake's 'Hot' Collabo With Madonna”.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4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s Hard Candy Debuts At #1 in 37 countries”. 《마돈나 공식 웹사이트》 (영어) (Madonna.com). 2008년 4월 30일. 2011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Hasty, Katie (2008년 5월 7일). “Madonna Leads Busy Billboard 200 with 7th #1”.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8년 5월 7일에 확인함.  ↑ Hasty, Katie (2008년 4월 2일). “Mariah, Madonna Make Billboard Chart History”.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8년 4월 2일에 확인함.  ↑ Schmidt, Veronica (2008년 4월 21일). “Madonna Goes to No. 1 For the 13th Time”. 《더 타임》 (영어) (런던). 2008년 4월 21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Dance Club Play”. 《Billboard》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20 (32): 64. 2008년 8월 9일. ISSN 0006-2510.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Dance Airplay”. 《빌보드》 (영어)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20 (28): 52. 2008년 7월 8일. ISSN 0006-2510.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Kaufman, Gil (2009년 9월 3일). “Madonna Breaks Her Own Solo-Tour Record With Sticky & Sweet”.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2월 25일에 확인함.  ↑ Herrera, Monica (2009년 1월 30일). “Madonna Resuming Sticky & Sweet Tour This Summer”.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5월 24일에 확인함.  ↑ Johnston, Maura (2010년 1월 22일). “Madonna Brings Classic 'Like A Prayer' To 'Hope For Haiti Now' Telethon”. MTV.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 “Madonna's 'Sticky & Sweet' Concert To Be Released March 30 On DVD, Blu-Ray And CD”.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0년 1월 12일. 2010년 1월 12일에 확인함.  ↑ Stack, Tim (2009년 10월 21일). “'Glee' Exclusive: Madonna is on board! Is Adam Lambert next?”. 《Entertainment Weekly》.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Exclusive: Madonna Rates Glee's All-Madonna Episode: "Brilliant"”. 《Us Weekly》. 2010년 4월 16일. 2010년 4월 21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10년 4월 28일). “Madonna's 'Glee'tastic 'Celebration' Continues on Hot 100, Digital Chart”.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0년 4월 29일에 확인함.  ↑ “Madonna sued over "Material Girl" clothing line”. 《Reuters》. 2010년 8월 20일. 201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Lee, Joyce (2010년 10월 26일). “Madonna to Open "Hard Candy" Gym Chain”. CBS News.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Eisen, Benjy (2010년 11월 29일). “Madonna Opens First 'Hard Candy Fitness' Gym in Mexico City”. Spinner. 2010년 12월 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Madonna And MG Icon Announce The Launch of The "Truth or Dare by Madonna" Brand”.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1년 11월 3일.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Madonna Reveals New Album Title” (영어).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2년 1월 11일.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Up for Discussion (2009년 9월 14일). “Madonna Debuts at No. 1 on Billboard 200, Lionel Richie at No. 2” (영어). Billboard.com.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Halperin, Shirley (2011년 12월 15일). “Madonna's Interscope-Live Nation Deal Worth $40 Million; Album Due Out in March”. 《더 할리우드 리포터》 (영어). 프로매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1년 12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Up for Discussion (2009년 9월 14일). “Madonna Scores Record-Extending 38th Hot 100 Top 10” (영어). Billboard.com. 2012년 4월 29일에 확인함.  ↑ “Girl Gone Wild by Madonna” (영어). 아이튠즈 스토어 (미국). Apple Inc. 2012년 3월 2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11년 9월 3일). “Madonna Fans Rejoice: New Album Due in Spring 2012”. 《빌보드》 (영어) (프로매테우스 그로벌 미디어).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Super Bowl XLVI Halftime show will feature Madonna” (영어). 내셔널 풋볼 리그. 2011년 12월 4일.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Super Bowl XLVI Sets Viewership Record; Madonna's Halftime Show Most Watched Ever” (영어). SB Nation. 2012년 2월 6일. 2012년 2월 6일에 확인함.  ↑ Waddell, Ray (2012년 2월 7일). “Madonna Sets 2012 World Tour Dates” (영어). 빌보드.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Madonna (2012년 3월 26일). “Madonna MDNA Day on Twitter” (영어). 트위터. 2012년 3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 (2012년 2월 10일). “MDNA had the biggest one-day pre-order in iTunes history and by day three, MDNA ranked at No. 1 in iTunes stores in 50 countries.” (영어). MTV. 2012년 2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Grant 2005, 6쪽 ↑ Grant 2005, 3쪽 ↑ Ganz, Caryn (2004). “Biography – Madonna”. 《Rolling Stone》.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ohen, Jonathan (2007년 9월 27일). “Madonna, Beasties, Mellencamp Up For Rock Hall”. 《Billboard》.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100 Chart 50th Anniversary”.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musical superstars”. 《BBC》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Ryan, Gavin (2009). 《ARIA Singles Chart Book 1988–2008》 (영어) 1판. Mt. Martha, Victoria: Moonlight Publishing. 91–92쪽.  ↑ “Madonna singles discography”. 《RPM》 (영어). RPM Library Archives. 200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Markey, Kevin (1998). 《100 Most Important Women of the 20th Century》 (영어). 레이디스 홈 저널. ISBN 0-696-20823-7.  ↑ Castro, Peter (2003년 7월 21일). “Live From The Headlines”. 《CNN》 (영어). 2010년에 확인함.  ↑ 《50 Greatest Women of the Video Era》 (영어), VH1,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 “Echiniscus madonnae”. 《Tardigrada Newsletter》 (영어). Michalczyk & Kaczmarek. 2006. 2008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Castillo, Michelle (2010년 11월 18일). “The 25 Most Powerful Women of the Past Century: Madonna (1958–present)”. 《타임》 (영어). 201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Gallo 2006, 67쪽 ↑ Axelrod 2007, 103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8쪽 ↑ Cross 2007, 107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1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2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67–70쪽 ↑ Egan, Barry (2010년 1월 3일). “U2 strike a chord in the best albums from 2009”. 《더 인디펜던트》 (영어) (인디펜던트 뉴스 & 미디어). 2010년 7월 23일에 확인함.  ↑ “Top Selling Artists”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Press Release (1999년 11월 10일). “The American Recording Industry Announces Its Artists of the Century”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Arthur, Charles (2001년 6월 13일). “Hi-tech pirates copy CDs 'for a few pence'”. 《더 인디펜던트》 (영어) (인디펜던트 뉴스 & 미디어). 2011년 1월 2일에 확인함.  ↑ Kramarae & Spender 2000, 459쪽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마돈나 (영어) 마돈나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마돈나의 채널 - 유튜브 마돈나 - 인스타그램 마돈나 - 트위터 마돈나 - 페이스북 vdeh마돈나음반정규 Madonna (1983) Like a Virgin (1984) True Blue (1986) Like a Prayer (1989) Erotica (1992) Bedtime Stories (1994) Ray of Light (1998) Music (2000) American Life (2003)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5) Hard Candy (2008) MDNA (2012) Rebel Heart (2015) 사운드트랙 Who's That Girl (1987) I'm Breathless (1990) Evita (1996) 컴필레이션 Like a Virgin & Other Big Hits! (1984) You Can Dance (1987) The Immaculate Collection (1990) Something to Remember (1995) GHV2 (2001) Remixed & Revisited (2003) Celebration (2009) 콘서트 투어 The Virgin Tour (1985) Who's That Girl World Tour (1987) Blond Ambition World Tour (1990) The Girlie Show World Tour (1993) Drowned World Tour (2001) Re-Invention World Tour (2004) Confessions Tour (2006) Sticky & Sweet Tour (2008 ~ 2009) The MDNA Tour (2012) Rebel Heart Tour (2015 ~ 2016) Madonna: Tears of a Clown (2016) 음반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수상 및 후보   분류   위키공용 vdeh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1950-1959 주디 홀리데이 (1950) 준 앨리슨 (1951) 수전 헤이워드 (1952) 에설 머먼 (1953) 주디 갈랜드 (1954) 진 시먼스 (1955) 데버러 카 (1956) 케이 켄들 / 타이나 엘그 (1957) 로절린드 러셀 (1958) 마릴린 먼로 (1959) 1960-1979 셜리 매클레인 (1960) 로절린드 러셀 (1961) 로절린드 러셀 (1962) 셜리 매클레인 (1963) 줄리 앤드루스 (1964) 줄리 앤드루스 (1965) 린 레드그레이브 (1966) 앤 밴크로프트 (1967)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68) 패티 듀크 (1969) 캐리 스노드그레스 (1970) 트위기 (1971) 라이자 미넬리 (1972) 글렌다 잭슨 (1973) 라켈 웰치 (1974) 앤 마그릿 (1975)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76) 다이앤 키턴/마샤 메이슨 (1977) 엘런 버스틴/매기 스미스 (1978) 벳 미들러 (1979) 1980-1999 시시 스페이식 (1980) 버나뎃 피터스 (1981) 줄리 앤드루스 (1982) 줄리 월터스 (1983) 캐서린 터너 (1984) 캐서린 터너 (1985) 시시 스페이식 (1986) 셰어 (1987) 멜러니 그리피스 (1988) 제시카 탠디 (1989) 줄리아 로버츠 (1990) 벳 미들러 (1991) 미란다 리처드슨 (1992) 앤절라 바셋 (1993) 제이미 리 커티스 (1994) 니콜 키드먼 (1995) 마돈나 (1996) 헬렌 헌트 (1997) 귀네스 팰트로 (1998) 재닛 맥티어 (1999) 2000-2020 러네이 젤위거 (2000) 니콜 키드먼 (2001) 러네이 젤위거 (2002) 다이앤 키턴 (2003) 아네트 베닝 (2004) 리스 위더스푼 (2005) 메릴 스트립 (2006) 마리옹 코티야르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아네트 베닝 (2010) 미셸 윌리엄스 (2011) 제니퍼 로렌스 (2012) 에이미 애덤스 (2013) 에이미 애덤스 (2014) 제니퍼 로렌스 (2015) 엠마 스톤 (2016) 시얼샤 로넌 (2017) 올리비아 콜먼 (2018) vdeh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아티스트1996-1999 TLC (1996) 없음 (1997) 없음 (1998) 가스 브룩스 (1999) 2000-2020 없음 (2000) NSYNC (2001) U2 (2002) 마돈나 (2003) 케니 체스니 (2004) 켈리 클락슨 (2005) 래스컬 플래츠 (2006) 캐리 언더우드 (2007) 크리스 브라운 (2008) 테일러 스위프트 (2009) 저스틴 비버 (2010) 테일러 스위프트 (2011) 저스틴 비버 (2012) 테일러 스위프트 (2013) 원 디렉션 (2014) 원 디렉션 (2015) 아리아나 그란데 (2016) 브루노 마스 (2017) 테일러 스위프트 (2018) vdeh일본 골드디스크 대상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 1987년 나카모리 아키나/마돈나 1988년 레베카/비틀스 1989년 보위/본 조비 1990년 사잔올스타즈/마돈나 1991년 마츠토야 유미/마돈나 1992년 차게 앤 아스카/건스 앤 로지스 1993년 차게 앤 아스카/마돈나 1994년 WANDS/비틀스 1995년 TRF/머라이어 캐리 1996년 trf/머라이어 캐리 1997년 아무로 나미에/Me & My 1998년 글레이/셀린 디옹 1999년 B'z/셀린 디옹 2000년 우타다 히카루/셀린 디옹 2001년 하마사키 아유미/비틀스 2002년 하마사키 아유미/백스트리트 보이스 2003년 우타다 히카루/에이브릴 라빈 2004년 하마사키 아유미/여자12악방 2005년 오렌지 렌지/퀸 2006년 코다 쿠미/O-Zone 2007년 코다 쿠미/다니엘 파우터 2008년 EXILE/에이브릴 라빈 2009년 EXILE/마돈나 2010년 아라시/비틀스 2011년 아라시/레이디 가가 2012년 AKB48/레이디 가가 2013년 AKB48/세네루 2014년 AKB48/원 디렉션 2015년 아라시/원 디렉션 2016년 아라시/비틀스 2017년 아라시/아리아나 그란데 최다 수상 아라시/마돈나 (5회)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9270244 LCCN: n84156128 ISNI: 0000 0001 0782 262X GND: 118829688 SELIBR: 212081 SUDOC: 028039637 BNF: cb138969311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79239441-bfd5-4981-a70c-55c3f15c1287 NLA: 35697093 NDL: 00470886 NKC: jn20000720159 ICCU: IT\ICCU\RAVV\090347 RLS: 000006218 BNE: XX893212 CiNii: DA089266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돈나&oldid=24444899" 분류: 마돈나1958년 태어남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수상자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여우주연상(영화) 수상자미국의 여자 가수미국의 팝 가수미국의 전자 음악가미국의 댄스 음악가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미시간주 출신 음악가미시간 대학교 동문브릿 어워드 수상자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계 미국인영어 가수프랑스계 미국인캐나다계 미국인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월드 뮤직 어워드 수상자섹스 긍정 여성주의자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수상자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ongoҚазақшаПерем КомиКоми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Basa Banyumasan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irandésNāhuatlNedersaksies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돈나 루이즈 치코니(영어: Madonna Louise Ciccone, 1958년 8월 16일 ~ )는 미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배우이다. 미시간주 베이시티에서 태어나 1977년 가수가 되기 위해 뉴욕으로 떠났다. 뉴욕에서 현대무용과 음악 그룹 블랙파스트 클럽, 에미로 활동했다. 1982년에는 사이어 레코드(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계열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1983년 데뷔 음반을 발표했다. 이후 마돈나는 상업적인 뮤직비디오와 성적 매력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을 뿐만 아니라 Ray of Light (1998)과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5)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이처럼 오랜기간 활동하면서 많은 히트 곡들을 만들어냈는데 "Like a Virgin", "Papa Don't Preach", "Like a Prayer", "Vogue", "Frozen", "Music", "Hung Up", "4 Minutes"은 마돈나를 대표하는 노래들이다. 비평가들은 다양한 장르의 시도로 마돈나를 찬사를 보냈지만, 종교적 논란에 대한 비판을 해왔다. 가수 생활 중인 1979년, 영화 데뷔를 했다. 1996년, 뮤지컬 코미디 영화 《에비타》에 출연해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코미디 부문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다른 영화에서의 역할은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 마돈나는 이 외에도 패션 디자이너, 어린이 도서 작가, 영화 감독과 제작자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1992년에는 타임 워너와 함께 공동으로 엔터테인먼트 회사 매버릭을 설립했다. 2007년에는 라이브 네이션과 레이블 계약을 체결하는데, 미국에서도 이례적으로 1억 2천 달러를 받았다. 뉴스 미디어에서 "팝의 여왕"으로 불리는 마돈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가수 중 한 명"으로 기록되고 있다. 총 음반 판매량은 현재 세계적으로 3억 장을 넘기며 여자 가수 중에선 독보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어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가장 많이 음반 판매한 여자 가수로 등록돼 있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인증된 앨범 판매량이 6,300만 장으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음반 판매고를 올린 여자가수이다. 2008년 빌보드는 빌보드 핫 100 차트 50주년을 기념해 지난 50년간 아티스트들의 빌보드 싱글차트 100 성적을 분석했고, 마돈나는 비틀즈에 이은 2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도 올랐다. 미국의 잡지 《타임》은 마돈나를 "지난 수 세기 동안 가장 강력한 여자 가수"라고 했고, 세계 많은 여자 가수들의 우상, 영감으로도 꼽히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랜트가 말한 마돈나의 장점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Assistant: 마돈나는 자신을 대중 음악의 여왕으로 확립시키기위해 멈춰있지 않고, 계속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냈다 Human: 아래 봄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봄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봄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방송이 계획되었거나 아직 종영되지 않은 TV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봄밤 장르 멜로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9년 5월 22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수, 목 밤 8시 55분 ~ 10시 5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32부작 추가 채널 MBC 드라마넷, 넷플릭스 기획 MBC 드라마본부 제작사 제이에스픽쳐스 제작자 이진석 연출 안판석 극본 김은 출연자 한지민, 정해인, 김준한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봄밤 홈페이지 《봄밤》은 2019년 5월 22일부터 방송중인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이며 한지민이 분한 이정인 역은 당초 손예진이 낙점됐으나[1] 개인사정 때문에 고사했다. 한편, 송승환 (이태학 역)이 2016년 SBS 《그래, 그런거야》 이후[2] 해당 작품으로 안방극장 복귀를 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이정인의 가족 2.3 이정인의 주변 인물 2.4 유지호의 가족 2.5 유지호의 주변 인물 2.6 권기석의 가족 2.7 그 외 인물 2.8 특별출연 3 시청률 4 동시간대 드라마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봄밤은 알고 있다. 당신이 사랑에 빠지리라는 것을.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한지민 : 이정인(35세) 역 - 지역 도서관 사서 정해인 : 유지호(35세) 역 - 약사 김준한 : 권기석(38세) 역 - 은행 본사 심사과 과장, 정인의 연인 이정인의 가족[편집] 임성언 : 이서인(36세) 역 - 이정인의 언니, 방송국 아나운서 주민경 : 이재인(30세) 역 - 이정인의 동생, 대학원생 송승환 : 이태학(61세) 역 - 이정인의 아버지, 수영고등학교 교장 길해연 : 신형선(60세) 역 - 이정인의 어머니, 주부 이무생 : 남시훈(40세) 역 - 이서인의 남편, 치과 병원장 이정인의 주변 인물[편집] 이상희 : 송영주(35세) 역 - 도서관 사서, 친구 윤슬 : 오하린(30세) 역 - 도서관 계약직 유지호의 가족[편집] 오만석 : 유남수(62세) 역 - 유지호의 아버지, 세탁소 운영 김정영 : 고숙희(58세) 역 - 유지호의 어머니, 세탁소 운영 하이안 : 유은우(6세) 역 - 유지호의 아들 유지호의 주변 인물[편집] 서정연 : 왕혜정(40세) 역 - 약사 이유진 : 이예슬(23세) 역 - 약국 아르바이트생 임현수 : 최현수(35세) 역 - 유지호의 친구, 한솔은행 본사 심사과 대리 이창훈 : 박영재(35세) 역 - 유지호의 친구, 공시생 권기석의 가족[편집] 김창완 : 권영국(65세) 역 - 권기석의 아버지, 수영재단 이사장 그 외 인물[편집] 박상준 최기옥 이형석 전석찬 김송일 강후재 김낙형 김종태 육미라 장하란 김학선 김권 특별출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9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22일 4.1% 3.9% 4.6% 제2회 6.2% 6.0% 7.0% 제3회 5월 23일 4.5% 3.6% 4.3% 제4회 6.1% 5.6% 6.3% 제5회 5월 29일 4.2% 4.0% % 제6회 5.9% 6.1% 7.1% 제7회 5월 30일 4.4% 4.4% % 제8회 5.8% 6.4% 7.4% 제9회 6월 5일 % 4.5% 5.5% 제10회 5.9% 6.5% 7.9% 제11회 6월 6일 5.9% 6.8% 8.0% 제12회 7.3% 8.4% 9.8% 제13회 6월 12일 % 5.1% 5.5% 제14회 5.9% 7.0% 7.7% 제15회 6월 13일 6.0% 5.4% 5.8% 제16회 7.1% 7.0% 7.6% 제17회 6월 19일 5.4% 5.0% 5.9% 제18회 7.7% 8.1% 9.4% 제19회 6월 20일 5.6% 6.1% 7.3% 제20회 7.6% 7.7% 8.9% 제21회 6월 26일 5.8% 6.0% 6.7% 제22회 7.8% 7.9% 8.9% 제23회 6월 27일 6.0% 6.0% 6.7% 제24회 7.3% 8.0% 8.9% 제25회 7월 3일 % % % 제26회 % % % 제27회 7월 4일 % % % 제28회 % % % 제29회 7월 10일 % % % 제30회 % % % 제31회 7월 11일 % % % 제32회 % % %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KBS 2TV 수목 미니시리즈 《단, 하나의 사랑》 (2019년 5월 22일 ~ 2019년 7월 11일) SBS 수목 미니시리즈 《절대 그이》 (2019년 5월 15일 ~ 2019년 7월 11일)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ㅂ 2019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각주[편집] ↑ 최지윤 (2019년 1월 29일). “한지민·정해인, 역대급 로맨스···MBC 드라마 '봄밤'”. 뉴시스.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 권지현 (2019년 4월 16일). “‘하나뿐인 내편’ 정재순, 인생 연기를 남기다”. 브라보마이라이프.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편집] 봄밤 공식사이트 네플릭스 봄밤 홈페이지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더 뱅커(2019년 3월 27일 ~ 2019년 5월 16일) 봄밤(2019년 5월 22일 ~ 2019년 7월 11일) 신입사관 구해령(2019년 7월 17일 ~ )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봄밤》)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vdeh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봄밤》)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몽》) 특집드라마† 과거 거부실록 시리즈 공화국 시리즈 논스톱 시리즈 달수 시리즈 드라마 페스티벌 목금드라마 베스트극장 베스트셀러극장 수사반장 시즌드라마 시트콤 아침드라마 예능드라마 여인열전 시리즈 외화시리즈 일요 드라마 극장 일요아침드라마 일일연속사극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자유무대 전원일기 조선왕조 오백년 주말연속극 토요드라마 하이킥 시리즈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vdeh 수목 미니시리즈1980년대 전반 《겨울 해바라기》 《물보라》 1980년대 후반 《엄마의 방》 《억새풀》 《첫사랑》 《겨울꽃》 《도시의 얼굴》 《인현왕후》 《한중록》 《파문》 《당신의 축배》 1990년대 전반 《사랑의 종말》 《그 여자》 《까치 며느리》 《여명의 눈동자》 《일출봉》 《여자의 방》 《폭풍의 계절》 《야망》 《아들의 여자》 1990년대 후반1995년 《숙희》 《제4공화국》 1996년 《이혼하지 않는 이유》 《사과꽃 향기》 《강가에 앉아서 울다》 《미망》 1997년 《내가 사는 이유》 《영웅신화》 1998년 《육남매》 《대왕의 길》 《적과의 동거》 《수줍은 연인》 《해바라기》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눈물이 보일까봐》 《안녕 내 사랑》 《햇빛속으로》 2000년대 전반2000년 《진실》 《나쁜 친구들》 《이브의 모든 것》 《신 귀공자》 《비밀》 《에어포스》(단막) 《황금시대》 2001년 《맛있는 청혼》 《호텔리어》 《네 자매 이야기》 《반달곰 내 사랑》 《가을에 만난 남자》 《소풍》(단막) 2002년 《그 햇살이 나에게》 《선물》 《난 왜 아빠랑 성이 달라?》(단막) 《로망스》 《네 멋대로 해라》 《링링》(단막) 《리멤버》 《삼총사》 2003년 《눈사람》 《위풍당당 그녀》 《남자의 향기》 《앞집 여자》 《좋은사람》 《나는 달린다》 《사막의 샘》(단막) 《아르곤》(단막) 2004년 《천생연분》 《사랑한다 말해줘》 《결혼하고 싶은 여자》 《황태자의 첫사랑》 《아일랜드》 《12월의 열대야》 2000년대 후반2005년 《슬픈 연가》 《신입사원》 《내 이름은 김삼순》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가을 소나기》 《영재의 전성시대》 2006년 《궁》 《닥터 깽》 《어느 멋진 날》 《오버 더 레인보우》 《여우야 뭐하니》 《90일, 사랑할 시간》 2007년 《궁S》 《고맙습니다》 《메리대구 공방전》 《그라운드 제로》(단막) 《개와 늑대의 시간》 《태왕사신기》 《뉴하트》 2008년 《누구세요?》 《우리들의 해피엔딩》(단막) 《스포트라이트》 《대한민국 변호사》 《베토벤 바이러스》 《종합병원 2》 2009년 《돌아온 일지매》 《신데렐라 맨》 《트리플》 《혼》 《맨땅에 헤딩》 《히어로》 2010년대 전반2010년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개인의 취향》 《나는 별 일 없이 산다》(단막) 《런닝, 구》(단막) 《로드 넘버원》 《장난스런 키스》 《즐거운 나의 집》 2011년 《마이 프린세스》 《로열 패밀리》 《최고의 사랑》 《넌 내게 반했어》 《지고는 못살아》 《나도, 꽃!》 2012년 《해를 품은 달》 《더킹 투하츠》 《아이두 아이두》 《아랑사또전》 《못난이 송편》(단막) 《보고싶다》 2013년 《7급 공무원》 《남자가 사랑할 때》 《여왕의 교실》 《투윅스》 《메디컬 탑팀》 《미스코리아》 2014년 《앙큼한 돌싱녀》 《개과천선》 《운명처럼 널 사랑해》 《내 생애 봄날》 《미스터 백》 2010년대 후반2015년 《킬미힐미》 《앵그리맘》 《맨도롱 또똣》 《밤을 걷는 선비》 《그녀는 예뻤다》 《달콤살벌 패밀리》 2016년 《한 번 더 해피엔딩》 《굿바이 미스터 블랙》 《운빨로맨스》 《W》 《쇼핑왕 루이》 《역도요정 김복주》 2017년 《미씽9》 《자체발광 오피스》 《군주 - 가면의 주인》 《죽어야 사는 남자》 《병원선》 《로봇이 아니야》 2018년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이리와 안아줘》 《시간》 《내 뒤에 테리우스》 《붉은 달 푸른 해》 2019년 《봄이 오나 봄》 《더 뱅커》 《봄밤》 《신입사관 구해령》 《어쩌다 발견한 하루》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봄밤&oldid=24501464" 분류: 미종영 방송 프로그램2019년 드라마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김은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23: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봄밤》은 2019년 5월 22일부터 2019년 7월 11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봄밤에 등장하는 외자의 이름을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김권
Human: 아래 로다운_30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다운 3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다운 3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다운 30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록, 블루스 록 활동 시기 2000년 ~ 현재 소속사 붕가붕가레코드 구성원 윤병주 (보컬, 기타)김락건 (베이스)양현모 (드럼) 이전 구성원 이상문 (베이스)이민우 (드럼)김태현 (드럼) 로다운 30 (영어: Lowdown 30)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블루스와 클래식 록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펼치고 있는 트리오 편성의 밴드. 목차 1 구성원 1.1 이전 구성원 2 음반 2.1 정규 앨범 2.2 EP 앨범 2.3 디지털 싱글 2.4 컴필레이션 2.5 참여 앨범 2.6 뮤직 비디오 3 수상 4 인터뷰 5 외부 링크 6 각주 구성원[원본 편집] 윤병주 - 보컬, 기타 (노이즈가든 출신) 김락건 - 베이스 (존도우 출신) 양현모 - 드럼 이전 구성원[원본 편집] 이상문 - 베이스 이민우 - 드럼 김태현 - 드럼 최병준 - 드럼 음반[원본 편집] 정규 앨범[원본 편집] 1집 Jaira (2008년 12월 10일, 석기시대레코드) 2집 1 (2012년 3월 6일, 석기시대레코드) 3집 B (2017년 3월 15일, 붕가붕가레코드) EP 앨범[원본 편집] Another Side Of Jaira (2010년 8월 5일, 석기시대레코드) 디지털 싱글[원본 편집] 아스팔트 feat. 주석 (2011년 11월 25일, 석기시대레코드) 서울의밤 (Sion Mix) (2012년 2월 13일, 라운드앤라운드) 너무긴여행 feat. 조원선 (2013년 11월 25일, 석기시대레코드)[1] 더뜨겁게 feat. 김오키 (2015년 6월 3일, 붕가붕가레코드) 인수김블루스 (2016년 5월 12일, 붕가붕가레코드/왕코프로덕션) 그땐왜 (2017년 2월 16일, 붕가붕가레코드) Pinecone Rock w/ 제이통 (2018년 2월 8일, 붕가붕가레코드) 컴필레이션[원본 편집] Seoul Seoul Seoul (2012년 3월 6일, 라운드앤라운드) 수록곡 "서울의밤 (Sion Mix)" 블루스더, Blues (2012년 10월 5일, 붕가붕가레코드) 수록곡 "한마디만해줘요" 참여 앨범[원본 편집] 미미시스터즈 <미안하지만... 이건 전설이 될 거야> (2011년 3월 15일, 붕가붕가레코드) 참여곡 "대답해주오" (작사/작곡/연주) 다이나믹듀오 <DIGILOG 2/2> (2012년 1월 4일, 아메바컬처) 참여곡 "혹으로알아 (Innocent Prisoner)" (작곡/연주) 제이통 <모히칸과 맨발> (2012년 10월 8일) 참여곡 "구구가가" (편곡/연주) 제이통 <이정훈> (2015년 9월 1일) 참여곡 "갈" (작편곡/연주), "찌찌뽕" (편곡/연주) 뮤직 비디오[원본 편집] 아스팔트 feat. 주석 (2011년) 감독 - 강규헌 거리의먼지처럼 (2012년) 감독 - 김성욱 처연 (2012년) 감독 - 강규헌 너무긴여행 (2013년) 감독 - 박유석 더뜨겁게 feat. 김오키 (2015년) 감독 - 손경호 인수김블루스 (2016년) 감독 - 김광일 그땐왜 (2017년) 감독 - 이주호 가파른길 (2017년) 감독 - 서동혁 aka FLEV 수상[원본 편집] 2012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 노미네이트 - 싱글 "아스팔트"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2 2012년 이매진어워드 올해의 앨범 10 - 2집 <1> 이매진어워드 페이지 2012 2013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최우수 록 음반 노미네이트 - 2집 <1>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3 2016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 수상 - 싱글 "더뜨겁게 feat. 김오키"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6 2018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음반 수상 - 3집 [B]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8 인터뷰[원본 편집] [뮤지션인터뷰] 로다운 30 “오리지널리티를 만들고자 했다”[2] 외부 링크[원본 편집] 네이버공식카페 페이스북공식페이지 각주[원본 편집] ↑ “너무 긴 여행 (Feat. 조원선)”. IZM. 2013년 11월 1일.  ↑ “(뮤지션인터뷰) 로다운 30 “오리지널리티를 만들고자 했다””. 유니온프레스. 2012년 3월 28일.  이 글은 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다운_30&oldid=24196413" 분류: 대한민국의 록 밴드블루스 록 밴드2000년 결성된 음악 그룹2008년 데뷔3인조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2000년대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로다운 30(영어: Lowdown 30)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블루스와 클래식 록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펼치고 있는 트리오 편성의 밴드.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별명이 FLEV인 감독 이름은? Assistant: 서동혁 Human: 아래 백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백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철 출생 1908년 3월 18일 대한제국 평안북도 의주군 사망 1985년 10월 13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평론가, 교육인 국적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장르 문학평론 백철(白鐵, 일본식 이름: 白矢世哲, 1908년[1] 3월 18일 ~ 1985년 10월 13일[2])은 한국의 문학평론가로, 본명은 백세철(白世哲)이다. 본관은 수원이다. 목차 1 생애 2 사후 3 가족관계 4 같이 보기 5 참고자료 6 각주 생애[편집] 평안북도 의주 소지주 집안 출신이다. 1927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1931년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일제강점기 후반 천황을 찬양하는 글들을 발표하며 친일파로 활동하였다. 도쿄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전일본무산자예술연맹에 가담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을 시작하였고, 당시 프로 시단의 최일선 동인지 《전위시인》에 시 〈9월 1일〉·〈우리들은 알았다 비라의 의미를〉, 평론 〈프롤레타리아 시이노가 실천문제〉를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약했다.[3] 1931년 귀국한 뒤 잡지 《개벽》의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중앙위원으로서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셀 프루스트 류의 신심리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주의를 옹호하는 평론을 쓰며 카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이 발생하여 백철도 체포되었다. 전주형무소에서 약 1년 반 동안 수감 생활을 겪고 난 뒤, 객관적 정세가 불리하게 변함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것을 주장하면서 지식인 계층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하는 평론을 발표하여 문학적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 중일 전쟁 이후로 《매일신보》 학예부장과 베이징 지부장 등을 지내며 조선문인협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유치진의 현대극장에 부설된 국민연극연구소에서 강사를 맡기도 했고, 조선문인보국회에는 평의원으로 가담했다. 쇼와 천황이 해군 함정을 돌아보는 광경을 묘사한 〈천황폐하 어친열 특별관함식 배관근기〉(1940) 등 총 14편의 친일 저작물도 발표[4] 하였다.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여러 차례 지냈다. 일제 강점기의 신경향파 평론은 문학을 사회적 영향 관계에 종속되는 것으로 파악했으나, 1950년대의 평론에서는 문학의 역할에 대한 견해가 우파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미국의 신비평이론 등 외국의 문학이론을 소개하는 계몽적인 글을 발표하거나 이무영으로 대표되는 농민 소설의 재발견에 관심을 보였다. 1966년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문학계의 현대문학사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술원상, 국민훈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사후[편집]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들어 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가족관계[편집] 조부 : 원호(源浩, 1849년 ~ ? )[5] 백부 : 연근(連根) 종형 : 세보(世輔) 부 : 무근(茂根, 1878년 ~ ? ) 백모 : 강릉 최씨(江陵崔氏) 최중희(崔重禧)의 女 모 : 조근화(趙根嬅) 성건당(誠建堂) 충주 조씨(忠州趙氏), 조영록(趙永祿)의 女 형 : 백세명(白世明, 1899년 ~ 1970년) 천도교 고위간부 형수 : 남원 양씨 (南原梁氏) 양봉하(梁奉河)의 女 형수 : 밀양 박씨(密陽朴氏) 동생 : 세옥(世沃, 1912년 ~ ? ) 같이 보기[편집]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참고자료[편집] 권영민 (2004년 2월 25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09~410쪽쪽. ISBN 89-521-0461-7.  반민족문제연구소 (1995년 7월 1일). 〈백철 : 인간탐구론자에서 국민문학론자로 (김재용)〉.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89-7199-013-9.  성주현 (2004년 9월). “천도교 인물열전⑤ - 백철”. 《신인간》.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편집] ↑ 백씨 태인파보(1926, 白文定 )에는 1906년이라 한다. ↑ “藝術院회원 文學평론가 白鐵씨 별세” (PDF). 동아일보. 1985년 10월 14일. 11면면. 2008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윤식 (2007). “문학과 정치의 우정은 어떻게 가능하고 또 지속되는가 - 백철과 임화의 경우”. 《문학의 문학》 (가을 창간호): 318~341쪽.  ↑ 김재용 (2002년 8월).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67호): 123~148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백관묵의 족질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철&oldid=23019632" 분류: 1908년 태어남1985년 죽음의주군 출신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일제 강점기의 시인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대한민국예술원 회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백씨수원 백씨태인 백씨천도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05: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백철(白鐵, 일본식 이름: 白矢世哲시라야 세테쓰, 1908년 3월 18일 ~ 1985년 10월 13일)은 한국의 문학평론가로, 본명은 백세철(白世哲)이다. 본관은 태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백철이 1927년에 졸업한 학교는 어디인가? Assistant: 신의주고등보통학교
Human: 아래 유재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재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재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에 대해서는 유재훈 (야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재훈(1961년 3월 10일 ~ , 서울특별시)은 국제금융공사IFC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선임스페셜리스트로 근무하였다. 또한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장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재직하였던 대한민국의 경제부처 공직자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제 20대 사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회계감사국장으로 재직중이다.[1][2][3] [4] 목차 1 학력 2 약력 3 상훈 4 저서 및 논문 5 주요 기고문 6 주요 활동 7 각주 8 외부 연계 학력[편집] 1979 : 경기고등학교 졸업 1983 :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학사 1985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1991 : 프랑스 파리 정치 대학 (Sciences Po de Paris) 경제학석사 1991 : 프랑스 국립행정학교 졸업 2011 : 경기대학교 경제학박사 약력[편집] 행정고시 26회 합격 재무부 경제협력국 외자관리과, 경제협력과 국제통화기금(IMF) 국제수지과정 연수(불어) 해외유학(프랑스 파리정치대학원 석사, 국립행정학교 졸업) 재무부 국고과, 증권발행과, 재정경제원 증권제도담당관실(4급) 아시아개발은행(ADB) 태평양지역국 Economist 금융감독위원회 국제협력과장, 은행감독과장, 증권감독과장(3급) 세계은행(IBRD) 자본시장 담당 Sr. Specialist 국제투자금융공사(IFC)/세계은행(IBRD) Sr. Specialist 금융위원회 대변인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장[5] 한나라당 정책위 수석전문위원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6]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제 20대) 한국 파리정치대학 총동문회장 (전) 한불상공회의소 명예회원 (현) 중국자본시장연구회 회장 (현) 사회적금융연구회 공동의장 (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회계감사국장 (현) 상훈[편집] 한국공인회계사회 공로상(201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공로상(2013) 부정부패사범척결 공로 검찰총장표창(2013) 대통령 표창(2014) 대한민국 증권대상 공로상(2015) 저서 및 논문[편집] [저서] Impact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n the Bank's Pacific Developing Member Countries' Economies (편집) (1998, 아시아개발은행(ADB)) The Korean Bond Market : The Next Frontiers(공저)(2008, 한국증권협회) 중국자본시장 발전보고 (2008,중국증권관리감독위원회)(공저) Financing Innovation: How to Build an Efficient Exchange for Small Firms (2008, World Bank) Study on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Financing Patterns of Innovative Firms (2011, Ph.D Thesis, Kyunggi University, Korea) Creating an Artificial Sun : Shedding Light on Korea's Capital Market Development (2016, Korea Securities Depository) [논문] '한국 양도소득세제의 개선방향'(1985.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프랑스 대외원조정책-한국에서의 시사점'(1991, 파리정치대학 석사학위논문) 'Financing Innovation : How to Build an Efficient Exchange for Small Firms'(2007, The World Bank) 'Financing Innovation : Developing SME stock exchanges'(2008, 한국증권연구원) '혁신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자금조달행태에 관한 연구'(2011,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혁신중소기업의 재무적 행태에 관한 연구'(2014, 한국경제발전학회 경제발전연구) (공저) '혁신형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2015, 국회예산정책처) (공저) '혁신형 중소기업의 조직자본과 성과분석'(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공저) 주요 기고문[편집] [매일경제] 거석화폐의 교훈 / 매경춘추 2014년05월08일 붕어빵 봉지 / 매경춘추 2014년05월16일 최고의 프랑스 요리 / 매경춘추 2014년05월24일 탁류 속에 핀 꽃 / 매경춘추 2014년06월02일 코스닥 이야기 / 매경춘추 2014년06월11일 자본주의 얼굴, 증권 / 매경춘추 2014년06월19일 모스카토 포도 / 매경춘추 2014년06월26일 창조와 혁신 키우는 크라우드펀딩 / 특별기고 2016년01월19일 [헤럴드경제] 위안화 역외허브의 꿈 / 경제광장 2014년10월16일 증권 전자화의 첫 걸음, 전자단기사채 / 경제광장 2014년11월20일 한국산 펀드의 세계화 / 경제광장 2015년01월15일 글로벌 주민등록번호의 탄생 / 경제광장 2015년02월05일 1300조원의 의결권 시장 / CEO칼럼 2015년03월02일 자본시장의 해외직구 시대 / CEO칼럼 2015년03월19일 블록체인과 전자증권 / 헤럴드포럼 2016년05월13일 [이데일리] 땅 짚고 헤엄치기의 종언 / 목멱칼럼 2014년07월16일 자본시장 실크로드 / 목멱칼럼 2014년09월01일 [부산일보] 룩셈부르크와 부산 금융중심지 / 부일시론 2015년01월27일 부산이 닦아 준 '막순이'의 눈물 / 부일시론 2015년02월26일 부산의 증권박물관 / 부일시론 2015년03월26일 위안화 금융과 부산 / 부일시론 2015년04월23일 아시아 펀드시장과 AFSF / 부일시론 2015년05월26일 부산 기업시민 'KSD'의 특별한 사회공헌 / 부일시론 2015년06월23일 [국제신문] 문현지구와 금융 삼국지 / 특별기고 2015년01월23일 가상현실 열풍과 부산증권박물관 / CEO 칼럼 2016년05월25일 고령화 시대 '퇴직연금플랫폼' / CEO 칼럼 2016년09월07일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의 新보릿고개를 넘기 위한 발전과 혁신과제 / 금융투자 2014년 6월호 후강통이 한국자본시장 미래에 던지는 시사점 / 2015년 중국자본시장연구 [디지털타임스] 핀테크의 꽃 `캡테크` 주목하자 /디지털타임스 포럼 2015년10월15일 [전자신문] 창조경제 주축, 혁신기업을 위한 자본시장 역할 /전자신문 2016년02월16일 주요 활동[편집] An interview with Xinhua News 예탁결제원, 중국은행과 MOU체결 예탁결제원, 이란 중앙예탁기관(CSDI)과 공동워크숍 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유로클리어뱅크와 투자협력확대 유재훈 사장 한불경제포럼 참석 기조연설 한불상공회의소 '꼬레아페르' 유재훈 사장 인터뷰 SBS CNBC (CEO&CEO)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방만경영 타파 속도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신의 직장은 없다" 유재훈 사장 “예탁결제원, 글로벌 법인식별기호 발급기관에 선정” 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中 교통은행과 위안화 역외허브 활성화 협력 인터뷰 창립 40주년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부산이전 금융기관 CEO에게 듣는다 <1>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2015년 신년사 유재훈 사장, 룩셈부르크 금융사절단과 부산지역 금융발전 논의 범생이 이미지 'NO', 막걸리·의리 'YES'…서울대의 '개성파' 무역학과 성공記 부산금융허브 리더,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자본시장 리더 3인, 특성화고서 '인기스타'된 사연 유재훈 “‘IT DNA’로 예탁결제원 변화·혁신” 터키 찾은 유재훈 예탁원 사장, 현지 금융기관 동분서주 왜? 이란 핵협상 타결 솔타니네자드 이란 중앙예탁기관 사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증권사 CEO 대상 경영설명회 개최 유재훈 예탁원 사장, 'WFC 2015' 참석 <매경CEO특강>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유재훈 예탁원 사장, WFC서 '예탁결제회사의 혁신' 발표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해외에 답 있다' 유재훈 예탁원 사장 "거래소-예탁원 분리 방안 찬성"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청년인턴 대상 CEO 간담회 개최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中 당국과 위안화 허브 구축 관련 면담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유라시아예탁결제회사회의서 주제발표 NSPTV 문현금융단지 1주년 기획(4)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KSD의 BIFC 입주가 부산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유로아시아 경제포럼’ 참가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SIBOS 2015’ 참가 <서경이 만난 사람>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거래소 보유 예탁결제원 지분 단계적 축소" 한국예탁결제원 주도 아시아펀드표준화포럼 출범 유재훈 사장 "전자투표·위임장, 모바일 서비스로 이용도 높일 것" "부산 지리적 강점 살려 중국 자본·외환시장과 윈윈해야"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제2회 국제지식경제연차회의’ 참가 <아시아초대석>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금융계의 '삼성전자' 만들 토대 다지겠다"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ASIFMA 연차회의' 참가 유재훈 사장, “거래소-예탁원 분리, 자본시장 확대 위해 꼭 필요” 2016년 신년사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유재훈 예탁원 사장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자본시장 건전성 제고에 기여" <2016 증권대상> IT혁신부문 금상 / 한국예탁결제원 <명사의 서가> ①유재훈 예탁원 사장 "꾸준히 혁신의 길 걷겠다" <명사의 서가> ②유재훈 "책에서 완벽한 낯섦 만끽…침대 못벗어나면 죽은삶"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전자증권제도 도입해 시장 투명성과 효율성 높이겠다"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日 예탁결제회사와 현안 논의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초청 '제31회 동아비즈니스포럼' 성료 <CEO취재파일> 예탁결제원이 웬 박물관? 만화에 빠졌던 유재훈 사장 이번엔…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NFS 점검차 인니 방문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자본시장 혁신 키워드는 '中'·'핀테크'" 유재훈 예탁원 사장, ISLA 총회 참석 유재훈 예탁원 사장 "전자증권제 조기 시행 추진" 정권말 금융 CEO '막차 티켓' 주인공은 누구? 중국자본시장연구회 사단법인으로 독립…초대 회장에 유재훈 예탁원 사장 유재훈 사장 "아시아에 금융한류 일으킬 것…인니에 韓시스템 수출성공" AIIB 자문단에 현오석 전 부총리·회계감사국장에 유재훈씨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 제388회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예탁원,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정책연구소와 ‘한·중 금융합작 고위급 포럼’개최 유재훈 예탁원 사장 "AIIB 회계국장, 나라의 중요한 일"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담보목적 대차제도 도입 중점추진" 부산대,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에 감사패 각주[편집] ↑ “예탁결제원 신임 사장에 유재훈 증선위원”. 뉴시스.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예탁원 사장 후보에 유재훈 금융위 상임위원”. 비즈니스 와치.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예탁원 '젊은피'를 원했나? 신임사장 유재훈 지지율 99.7%”. 한국경제.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ope despite the obstacles: outlook bright for RMB in Korea, says KSD chairman”. Global Capital/ASIAMONEY. 2015년 2월 3일.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백년부국 백년地계”. 나라경제. 2010년 8월 1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 “투자자의 희망과 미래를 위해 자본시장 투명하게”. 나라경제. 2012년 8월 1일. 2012년 8월 1일에 확인함.  외부 연계[편집] 유재훈 NAVER 인물검색 유재훈 Daum 인물검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재훈&oldid=24107268" 분류: 196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대한민국의 공무원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경기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파리 정치 대학 동문국립행정학교 동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0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재훈(兪在勳; 1961년 3월 10일, 서울특별시~)은 국제금융공사IFC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선임스페셜리스트로 근무하였다. 또한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장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재직하였던 대한민국의 경제부처 공직자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제20대 사장을 역임하였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서 회계감사국장과 총재선임보좌관을 지냈다.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좌교수와 중국 산동재경대 한중일대학원 교수(부원장)로 재임하면서 아시아미래연구원(공공외교), 해외입양인연대(자원봉사), 중국자본시장연구회(금융연구)의 이사장직을 수행한 바 있다.현재는 예금보험공사 제12대 사장으로 재임하면서 동시에 국제예금보험기구협회(IADI) 이사직을 수행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재훈은 행정고시 몇회차때 합격했을까? Assistant: 26회 Human: 아래 매드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매드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 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드맨 Mad Men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AMC 방송 기간 2007년 7월 19일 ~ 2015년 5월 17일 방송 시간 47분 방송 시즌 7 방송 횟수 22 출연자 존 햄엘리자베스 모스빈센트 카트하이저재뉴어리 존스크리스티나 헨드릭스재러드 해리스브라이언 뱃마이클 글래디스에런 스테이턴리치 서머매기 시프키어넌 십카제시카 파레케빈 람크리스토퍼 스탠리제이 R. 퍼거슨벤 펠드먼메이슨 베일 코튼로버트 모스존 슬래터리 여는 곡 R2D2, 'A Beautiful Mind' 외부 링크  [www.amctv.com/shows/mad-men ] 《매드맨》(Mad Men)은 감독 매슈 와이너가 만든 미국 시대 드라마 시리즈이다. 영화 제작 및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2007년 7월 19일 케이블 채널 AMC 네트워크에서 첫 방영했다. 92개 에피소드를 포함한 7개 시즌 후 2015년 5월 17일 종영됐다. 매드맨의 시대 배경은 1960년대이며 공간 배경은 뉴욕 시 매디슨 거리에 위치한 가상의 광고회사인 ‘스털링 쿠퍼’이다. 나중에 이 회사의 이름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 로 바뀌며 다시 ‘스털링 쿠퍼 & 파트너’로 바뀐다. 드라마 파일럿 에피소드 (정식 에피소드가 아니라 드라마와 관련된 정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루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매드맨'은 1950년대에 매디슨 거리에서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자칭하는 용어로, 그들 스스로 만들었으며 이 주장은 그때부터 논란이었다. 드라마의 중심은 돈 드레이퍼다. 그는 드라마 초기에 스털링 쿠퍼에서 재능 있는 크리에티브 디렉터로 등장하며 나중에 ‘스털링 쿠퍼 드레이프 프라이스’ 회사의 설립 멤버가 된다. 드라마가 진행되며 돈 드레이퍼가 개인적, 사업상의 인물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구성은 회사와 관련한 사업 이야기도 많이 포함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사생활도 많이 다루며, 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와 1960년대에 만연했던 사회적 풍습이 주 내용이다. 드라마가 시작된 이후부터 매드맨은 대본, 연기, 역사적 진실성에 관련해 격찬을 받았으며, 에미상 15개와 골든 글로브상 4개를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는 베이직 케이블 드라마로서 처음으로 ‘뛰어난 드라마 시리즈’ 부분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시즌 1~4 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매드맨은 역사상 최고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널리 평가 받는다. 목차 1 구상 1.1 영향 1.2 사전제작 1.3 촬영과 제작 계획 1.4 예산 1.5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 1.6 촬영진 및 제작진 2 등장 인물 2.1 주요 등장 인물 2.2 조연 등장 인물 3 에피소드 개요 3.1 1. Smoke Gets in your Eyes 3.2 2. Ladies Room 3.3 3. Marriage of Figaro 3.4 4. New Amsterdam 3.5 5. 5G 3.6 6. Babylon 3.7 7. Red in the Face 3.8 8. The Hobo Code 3.9 9. Shoot 3.10 10. Long Weekend 3.11 11. Indian Summer 3.12 12. Nixon Vs. Kennedy 3.13 13. The Wheel 4 에피소드 정보 4.1 시즌 1 에피소드 정보 4.2 시즌 2 4.3 시즌 3 4.4 시즌 4 4.5 시즌 5 4.6 시즌 6 4.7 시즌 7 5 주제와 상징 5.1 정체성과 과거회상 5.2 불륜과 성차별주의 5.3 세대 차이 5.4 소비 사회 5.5 알코올 의존증 5.6 반문화 5.7 인종차별주의 5.8 흡연 5.9 추락하는 남자 5.10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 5.11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 5.12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 5.13 아인 랜드 6 반응 및 평가 6.1 평점 6.2 평론 6.3 시대적 진정성 6.4 결과와 영향 6.5 수상경력 7 음악 8 매슈 와이너 인터뷰 9 학술 연구 10 작품 속 광고 11 각주 12 외부 링크 구상[편집] 2000년 당시 TV쇼 베커에서 전속 작가로 일하던 매슈 와이너는 《매드맨》 대본의 초안을 작성한다. 2002년 TV 프로듀서 데이비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읽은 뒤 HBO의 《소프라노스》의 작가로 고용한다. 당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보고 "정말 생생하고 아주 새로운 이야기"라며 "1960년대 광고업계에 대한 이 이야기를 통해 당대 이후의 미국사를 조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너와 그의 인더스트리 엔터테인먼트, ICM의 대리인은 그 초고를 HBO와 쇼타임에 판매하려고 했으나 양쪽 모두 거절했다. 적당한 바이어를 찾지 못하자 와이너와 그의 대리인은 시나리오를 판매하기 위한 노력을 한동안 중단한다. 몇년 후 와이너의 팀에 아이라 리즈라는 유능한 매니저가 등장한다. 그녀는 AMC 개발부서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웨인에게 《매드맨》을 살 것을 강력히 권유한다. 마침 《소프라노스》의 마지막 시즌이 끝나고 있었고 AMC는 새 시리즈 기획을 위해 시나리오 시장을 뒤지기 시작하던 상황이었다. "AMC는 자신들이 만드는 첫 번째 TV 시리즈를 특별하게 만들고 싶어했어요. 또 우리는 그 정도 시나리오면 정형화된 대중적 취향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AMC의 사장 에드 캐럴의 말이다. 영향[편집] 와이너는 영화 감독 앨프리드 히치콕과 그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를 시리즈의 시각적 방면에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표현한다. 또 다른 영향으로써는 그는 왕가위 감독의 음향, 미장센과 편집을 꼽았다. 한 인터뷰에서는, 와이너는 1950년대를 그린 1970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매쉬'와 '해피 데이즈'가 '문화적 시금석'이고 누구나 '과거에 대한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상기시켜준다고 더해 말했다. 또한, 그는 《매드맨》이 《소프라노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좀더 세련된, 드라마틱한 버전의 《웨스트윙》이 되었을것이라 예상하였다. 사전제작[편집] 본 드라마의 1,2시즌 중 여섯 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했던 팀 헌터는 매드맨을 “굉장히 잘 운영된 드라마” 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은 드라마의 제작에 착수하기에 앞서 아주 여러 번의 제작 회의를 갖는다. 대본이 나오면 우선 그 날 모두 모여 처음으로 대본을 쭉 읽는다. 그리고 매슈가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그리고 나서 며칠 후면 매슈가 해당 에피소드의 줄거리나 분위기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제작진이 참여하는 제작 회의에서 매슈가 다시 한번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촬영과 제작 계획[편집] 본편 시리즈를 방영하기 전 시범적으로 방송하는 에피소드인 파일럿 에피소드로, 사랑에 눈이 멀다 (Smoke Gets In Your Eyes)는 실버컵 스튜디오와 뉴욕 주변에서 촬영되었고, 후속 에피소드들은 로스앤젤레스 센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본 시리즈는 여러 케이블 채널과 연계된 회사들을 통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또는 미국 케이블 및 위성 TV 채널인 AMC(American Movie Classics)를 통해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와이너를 포함한 작가들은 본 시리즈의 배경이 되었던 동시대 최고의 면목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 량을 축적했는데, 구체적인 세트 구성, 의상, 그리고 역사적인 소품들을 배경으로 진짜와 똑같은 시각적 스타일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파일럿 에피소드의 예산은 삼백만 달러 이상이었지만, 후속 에피소드들의 예산은 각 이백만 달러에서 이백오십만 달러 정도였다. 흡연 장면에서 와이너는 "담배가 없었으면 이 드라마는 장난 같았을 거야. 보기에는 깨끗 했겠지, 하지만 거짓으로 보였을 거야."라고 언급했다. 로버트 모스는 버트램 쿠퍼의 사장 배역으로 1967년에 두 편의 비도덕적인 사업가 역할의 영화 주연을 맡았다. 첫 번째로 와이너 작가의 영감의 원천이었던 "유부남을 위한 가이드"(1967)와 1961년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자신이 맡았던 역할을 재연한 같은 제목의 "노력 없이 성공하는 법"(1967)이다. 와이너는 카메라감독 필 에이브러햄, 파일럿 에피소드만 함께 했던 미술감독 로버트 쇼, 그리고 댄 비숍과 "영화관 보다는 텔레비전에 더 영감을 받았던" 시각적 스타일을 현상하는 데에 협동했다. 《소프라노스》의 베테랑 감독 앨런 테일러는 파일럿 에피소드와 후속 시리즈에서 어조가 어색하지 않게 감독까지 도와주었다. 돈 드레이퍼의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테일러는 돈 뒤에서 촬영하거나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식으로 촬영하였다. 스탈링 쿠퍼에 설정되었던 세트 중 여러 장면들은 좋은 구도를 위해 천장을 포함하였고, 눈 높이보다 낮은 각도에 촬영되었는데, 이것은 사진술,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당시의 건축 양식을 반영된 것이다. 앨런은 동영상 촬영 시 촬영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테디캠이나 헨드헬드 카메라가 "당시의 영상문법과 미적인 특징들이 전형적인 접근법과 딱 맞아 떨어지지 못하며" 따라서, 세트는 현실적인 인형 놀이 감으로 제작되었다. 예산[편집] 2011년 밀러 타바크와 바런 출판사에서 출판된 회사 예측에 따르면, 주식회사 라이언 게이트는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 각 에피소드당 약 271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받았는데, 이는 각각 에피소드 제작비용인 284만 달러보다 약간 적은 수치다. 2011년 3월, 시리즈 제작자와 네트워크 제작자 간의 협상 끝에,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는 2012년 3월 25일 매드맨 시즌 5를 개봉했다. 소문에 의하면 매드맨 제작을 총괄하는 와이너는 3천만 달러 계약을 채결했고, 3개의 시즌을 더 유치시킬 예정이라고 했다. 몇 주 뒤 공개된 재뉴어리 존스와 함께한 마리 클레어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재정적인 성공의 한계를 언급했지만, 배우들은 "우리는 이 드라마를 통해서 그다지 많이 돈을 받지 않았고 그건 서류에도 명시되어 있었어요. 그래도 우리가 TV에 출현하면 우리는 매주 꾸준하게 급료를 받잖아요. 그게 좋은 거죠." 밀러타바크의 분석가 데이비드 조이스는 매드맨의 7년동안의 방영동안 가정 비디오와 아이튠스를 통한 수익이 1억 달러에 달하고, 국제 신디케이션 판매에서는 에피소드당 추가적으로 약 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했다. 이 통계는 2011년 4월 발표된 넥플리스 스트리밍 비디오 수익인 710만에서 1000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제외한 수치이다.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편집] 첫 장면에서 드레이퍼의 등장과 동시에 사무실이 무너지는 장면은 직장 생활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다른 내면의 고통을 반영한다. 사무실 안의 모든 것들이 무너지는 것을 드레이퍼가 그 자리에서 지켜보는 것은 어쩌면 그가 이러한 절박한 상황들을 어느정도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그것을 바꿀 만한 힘이 없어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 장면으로, 검은 실루엣의 드레이퍼는 빌딩에서 떨어지는데 그 배경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이미지 - 빨간 드레스, 검정 스타킹 - 는 주인공의 잦은 외도, 당시에 만연해 있던 사내 여성 편력 등을 암시한다. 또한 이후 등장하는 위스키, 반지, 가족 그림의 이미지들은 앞의 여성들의 이미지와 함께 드레이퍼의 문란한 생활(여자, 술)과 화목한 가정에 대한 의무감(반지, 가족 그림) 둘 사이에서의 갈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건물에서 떨어지는 행동 그 자체도 주목할 만한데, 당시의 성공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드레이퍼는 모두 쟁취하지만, 이것들을 얻고 탐닉하면 할 수록 점점 타락해가는 모습을 건물에서 떨어지는 모습으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으로, 떨어지면서 결국 죽었을 것만 같은 드레이퍼가 언제 그랬다는 듯 멀쩡하게 벤치에 앉아서 담배를 오른손에 끼고 있다. 앞의 두 장면에서 모든 것들이 무너지고, 본인도 엄청난 갈등을 겪고 있지만 그는 항상 겉으로는 아무 일이 없는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인정받는다. 특히 오프닝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들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빌딩에서 떨어지는 장면은 자칫 9.11 테러에서 낙사했던 사람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서, 디자인을 의도적으로 다소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으로 했고, 본래에는 없던 마지막 장면 - 소파에서 담배를 피우는 장면 -을 추가했다고 한다. 오프닝은 RJD2의 “A Beautiful Mine”과 함께 흑백의 남자가 시대적인 광고 포스터, 광고표지판이 비춰지는 높은 빌딩들 사이로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Imaginary Forces가 제작한 이 타이틀은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빌딩으로 가득 채워진 오프닝 타이틀과 떨어지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진 영화 《현기증》의 포스터를 만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Saul Bass)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와이너는 시각적 측면에서 히치콕 감독의 작품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데이비드 칼보나라는 매드맨의 원래 악보를 작곡했고, 이는 2009년 smash cut1월 13일에 공개되었다. TV Guide 2010년 판에서 매드맨의 오프닝 타이틀은 선택된 독자들에 의해 인상적인 오프닝 타이틀 10선 중 9위를 차지했다. 거의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끝에서는 그 시대적의 음악 혹은 데이비드 칼보나라가 작곡한 곡이 연주되면서 검은 화면으로 페이드 아웃 혹은 스매시컷이 되어 끝이 난다.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정도는 오히려 정적 혹은 잔잔한 음악과 함께 끝이 난다. 몇몇 에피소드들은 더 최근의 곡이나 스토리와 연개된 곡이 엔딩 크레딧과 맞물리며 끝이 나기도 한다. 비틀즈는 “Tomorrow Never Knows”를 시즌5의 에피소드 “Lady Lazarus”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같은 트랙은 클로징 크레딧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비틀즈가 텔레비전 시리즈에 음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매드맨에 이를 허락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라이언스게이트는 곡 사용에 대해 $250,000를 지불했다. 밥 딜런의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가 시즌1의 마지막을 장식하기도 했다. 촬영진 및 제작진[편집] 와이너는 쇼 진행자와 메인 작가겸 제작 책임자다. 그는 대본 작성과 공동작성, 역할 캐스팅, 의상과 세트 구성과 같은 부분으로 매 에피소드에 참여한다. 와이너는 시리즈의 모든 부분에 까다롭고 제작 디테일에 관한 기밀유지를 중요시 여기는 걸로 악명 높다. 첫 번째 시즌의 작가진은 와이너뿐만 아니라 두 에피소 드를 쓴 공동 제작책임자인 톰 팔메와 두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 리사 앨버트, 세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와 작가팀인 안드레와 마리아 재퀴매튼, 두 에피소드를 쓴 보조작가 로빈 베이트 각각 두 에피소드를 쓴 프리랜서 작가 브리짓 베다드와 크리스 프로벤자노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제작자로는 공동제작의 블레이크 매코믹, 프로듀서 토드 런던, 공동 제작 책임자 스콧 호른바허가 있다. 첫 번째 시즌의 초기 감독은 네 에피소드를 지휘한 팀 헌터와 파일럿 에피소드를 포함한 세 에피소드를 지휘한 앨런 테일러다.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에드 비앙키, 레슬리 링카 글래터, 앤드루 번스타인 감독과 촬영기사 필 에이브러햄, 폴 피그, 그리고 각시리즈 피날레를 감독한 크리에이터 와이너가 지휘했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등장 인물[편집] 돈 드레이퍼 페기 올슨 피터 캠벨 베티 드레이퍼 로저 스털링 조앤 홀러웨이 살바토레 로마노 폴 킨지 존 햄 - 돈 드레이퍼(Don Draper) 매드맨의 주인공으로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주니어 파트너다. 시즌6부터는 스털링 쿠퍼 앤 파트너스의 파트너가 된다. 돈은 빼어난 외모의 소유자이며 직업적인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물이다. 업계에 들어온 이래 꾸준히 성과를 내 회사 안팎에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과거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돈 드레이퍼는 광고 모델이었던 엘리자베스 베티 드레이퍼와 결혼해 슬하에 세 명의 아이들이 있다. 그러나 돈이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외도해왔다는 사실을 베티에게 알리면서 시즌 3 후반, 드레이퍼 부부는 이혼하게 된다. 돈 드레이퍼의 과거가 잘 알려져있지 않은 이유는 돈이 타인의 신분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다. 드레이퍼의 본명은 리처드 딕 휘트먼이다. 진짜 돈 드레이퍼는 한국전쟁 당시 딕 휘트먼과 함께 전장에 있었던 공병 중위로 딕 휘트먼의 상관이었다. 둘은 야전 병원을 짓던 중에 포격을 받았고 돈 드레이퍼 중위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사망했다. 딕 휘트먼은 경미한 부상만 입고 살아나게 되는데 이 때 딕은 돈의 인식표(개목걸이)와 자신의 인식표를 바꿔 신분을 바꿔치기 한다. 구조된 이후 전역한 딕은 돈 드레이퍼의 이름으로 살면서 가난하고 암울했던 자신의 삶을 벗어나 뉴욕에서 새로운 신분으로 새출발을 한다. 엘리자베스 모스 - 페기 올슨(Peggy Olson) 빈센트 카세이저 - 피트 캠벨(Pete Campbell) 피트 캠벨은 유서 깊고 영향력 있는 뉴욕 가문 출신의 젊고 야심찬 회계부서 간부이다. 그는 1시즌 초반부에 결혼을 하고 유부남이 되지만 결혼 후에도 돈의 비서인 페기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꿨지만 결혼 초기부터 부인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비록 회계 부서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돈이 부서장으로 있는 광고 기획 부서의 일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재능이 인정 받기를 기대한다. 승진과 출세에 대한 욕심은 매우 크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간혹 잘못된 판단으로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돈과 로저로부터 무시 당하기도 한다. 그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명망있는 가문 출신이지만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헀다는 점 때문에 일종의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핍은 그로 하여금 능력 있고 권위 있는 남성상에 대한 동경을 갖게 하였고, 그러한 남성상과 정확히 일치하는 돈에 대해 피트는 동경과 질투를 동시에 느낀다. 재뉴어리 존스 - 베티 드레이퍼(Betty Draper) 돈 드레이퍼의 예전 아내이고 샐리, 바비, 유진 스캇 세 명의 아이들의 엄마이다. 펜실베니아의 필라델피아 엘킨스 파크의 교외에서 성장했고, Bryn Mawr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맨하탄에서 모델 시절 돈을 만났고 이후 그와 결혼했다. 시리즈 초반부에는, 그들은 7년동안 결혼했었고 뉴욕 Qssining에 살았다. 처음 두개의 시즌을 거쳐서, 베티는 점차 그녀의 남편의 외도에 대한 걱정이 심해지게 된다. 몇번의 별거 끝에, 베티는 그녀가 셋째를 임신했다는 걸 알았을 대 돈이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했지만, 첫 째는 그녀의 원나잇 스탠드로 인해 낳은 것이었다. 그녀는 1963년 12월, 돈과 이혼하기 위하여 시즌3 엔딩에서 레노로 떠난다. 1964년 11월, 시즌 4 시작쯔음에 그녀는 돈과 이혼하고 헨리 프란시스와 결혼한다. 그녀와 아이들과 새 남편은 Rye로 이주한다. 그녀와 아이들의 관계는 종종 껄끄러운데, 특히 셀리와 그것이 심하다. 존 슬래터리 - 로저 스털링(Roger Sterling) 로저 스털링은 시즌 1에선 가끔 출연하다 시즌 2부터 정기적으로 출연한다. 그는 스털링 쿠퍼 회사의 두 사장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버지가 버트람 쿠퍼와 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에 ‘스털링 쿠퍼’라는 이름에서 스털링이 쿠퍼보다 먼저 온다. 로저 쿠퍼의 사무실에는 로저가 어릴 적 젊은 버트람 쿠퍼와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즌 2에서 버트람 쿠퍼는 “고인이 된 쿠퍼 부인”이 로저 스털링에게 아내 모나를 소개시켜줬다고 언급한다. 이 때 스털링은 돈 드레이퍼의 전 비서 스무 살 제인과 결혼하려고 현 부인과 이혼 절차를 밟는 중이다. 스털링은 제 2차 세계 대전 해군 베테랑이다. 그는 두 개의 심장마비로 삶에 대한 관점이 바뀌기 전까지 악명 높은 바람둥이였다. 그러나 스털링의 알코올 의존증과 흡연 중독은 그대로다. 제인과 결혼하기 전 로저는 꽤 오랫동안 조앤 할로웨이와 불륜관계였다. 시즌 4에서 둘은 다시 한 번 로맨틱한 만남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앤이 임신을 한다. 시즌 3에선 돈이 1950년대 중반, 광고업에 관심 많은 모피 회사 판매원이었을 때 로저를 만나 고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시즌 4에서 SCDP에서 근무하는 로저는 스털링 쿠퍼에서 일했던 것보다 회사의 하루하루 일과와 덜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맡은 유일한 일은 SCDP 청구서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Lucky Strike 거래를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Chinese Wall” 에피소드에서 Lucky Strike가 거래를 경쟁회사로 옮기며 SCDP는 강제로 감축에 들어간다. 이에 불구하고 시즌 5에서 로저는 새로운 거래를 맡게 되며, 이번에는 열심히 해 시보레 자동차 회사와 큰 거래를 체결한다. 이후 조안이 낳은 자신의 아들을 경제적으로 지지해주고 싶어한다. 조앤은 처음 반대하지만 결국 시즌 6 마지막에 그가 아들의 삶의 일부가 되는 것을 허락한다. 크리스티나 헨드릭스 - 조앤 할로웨이(Joan Holloway) 스털링 쿠퍼에서 총무비서를 담당하며 시즌1에서 로저 스털링이 두 차례의 심장발작 후 관계를 끝낼 때까지 불륜 관계가 지속되었다. 시즌 2에서 그녀는 박사 그레그 해리스 (새뮤얼 페이지)와 약혼을하고 시즌 3에는 결혼에 골인하며 그렉 박사의 요청으로 조앤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그만두게 된다. 그렉 박사의 외과의사로서의 부족한 기술로 인해 노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조앤을 백화점에 복직시키는 것과 스털링 쿠퍼에 연락해서 그녀의 일자리를 부탁해달라고 설득하면서 이들의 결혼 생활은 시험대에 오른다. 조앤의 귀중한 조직과 경영 기술 덕분에 그녀는 나중에 돈, 로저, 버트, 레인이 설립한 새로운 회사에 고용된다. 한편, 그렉의 욕망읜 의사로써 그의 경력을 쌓기 위해 그가 육군에서 수수료를 받으며, 시즌 4 초반에는 기본적인 훈련 후 베트남에 보내진다. 그녀의 남편이 배치될 때, 조앤과 로저는 한번의 관계 후 조앤은 임신을 하게 된다. 조앤은 처음에 유산하기로 결정했지만, 시즌 5 초반 전에 그렉이 아버지가 아닌 것을 비밀리에 출산 하기로 결정한다. 조앤은 잠재적 수입의 손실과 그녀의 희생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것에 몹시 분노한다. 시리즈가 끝날 때쯔음, 그녀는 매캔 임원들의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그녀의 제휴 지분을 인수하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조앤은 홀러웨이 해리스라는 제작 회사를 시작한다. 브라이언 뱃 - 살바토레 로마노(Salvatore Romano) 살바토레 로마노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스털링 쿠퍼의 아트디렉터이다. 그는 동성애자지만 이를 드러내기 꺼려하며 시즌 1에서는 다른 남자와의 섹슈얼한 관계를 피한다. 후에 1962년 살바토레는 그의 성적 정체성을 모르는 키티와 결혼하나 곧 그들의 관계에서 문제점을 느낀다. 살바토레는 켄 코스그로브에게 감정을 느낀다. 출장 중, 돈 드레이퍼는 살바토레의 비밀을 알게되고, 그를 안심시키기 위해 그것에 대해 묻거나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돈 드레이퍼는 한 광고에 "당신의 표현을 제한하라."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며 살바토레에게 그것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그 후에 돈은 살바토레에게 파티오 콜라 광고를 맡기며 그의 커리어에 도움을 준다. 마이클 글래디스 - 폴 킨지(Paul Kinsey) 파이프를 즐겨 피우고 수염을 기르는 폴은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생인 이자 창의적인 작가이고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에 대해 자랑스러워한다. 시리즈가 시작되기 한참 전 그는 조안 할로웨이와 교제를 했었지만 폴이 둘의 사이에 대해 말을 너무 많이 하고 다녔다는 이유로 둘은 좋지 않게 헤어지게 되었다. 페기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폴은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지만 거절 당한다. 시즌2의 대부분에서 폴은 뉴저지 주의 사우스 오렌지에서 온 흑인인 쉴라 화이트와 교제를 하다가 남부지역에서 인종차별 반대운동(Freedom Ride)을 하기 위해 미시시피 주의 옥스포드에서 이별하게 된다. 폴 킨지에게는 저소득층 지역인 뉴저지 주의 몽클레어 남부에 산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지만 조안은 그의 위선적 태도에 대해 조롱을 한다. 그는 경쟁심이 강하기 때문에 대학 시절 친구들을 많이 사귀지 못 하기도 하였고 그보다 글을 더 잘 쓰는 페기와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돈이 새로운 애이전시를 위해 자신이 아닌 페기를 선택한 것에 대해 분노한다. 시즌3 마지막화 이후에는 등장을 하지 않다가 시즌5의 에피소드10에서 해리에게 자신을 크리슈나 의식의 제자라고 소개하며 나타난다. 폴은 해리에게 자신이 쓴 스타 트렉 대본을 확인해 달라고 하지만 해리는 잘 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폴의 여자친구가 폴의 인원 모집 능력 때문에 그를 조종하고 있다는 것을 해리는 나중에 깨닫게 되지만 폴에게 그의 꿈을 따르라고 격려한다. 해리는 폴에게 $500를 주며 최대한 빨리 로스앤젤레스로 가라고 말한다. 에런 스테이턴 - 켄 코스그로브(Ken Cosgrove) 켄 코스그로브는 극중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 에이전시와 광고주 사이의 연락 및 기획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 중 한명으로 버몬트에서 태어났다. 또한 켄은 작가 지망생으로 그의 단편 소설은 잡지 저명한 The Atlantic에 실렸다. 이는 그의 직장동료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폴 킨지와 피트 캠밸은 켄에 대한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The Atlantic에 실린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켄은 콜롬비아 대학을 졸업했으며 그의 아내는 킨시아이다. 그는 아트 디렉터 살바토레 로마노를 존경하고 있으며, 살바토레는 켄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지만 이를 드러내지 않는다. 리치 서머 - 해리 크레인(Harry Crane) 해리는 안경을 쓴, 스털링 쿠퍼社 텔레비전 부문의 미디어 바이어이자 팀장이다. 그의 아이비리그 출신 동료들과는 다르게 그는 위스컨신 대학을을 갔었다. 동료들이 술을 마시거나 여자들을 희롱할 때 함께 하기는 하지만 사실 해리는 헌신적인 가장이다. 물론 시즌 1에서 피트의 비서와 술에 취한 채 하룻밤 잠자리를 가진 적도 있긴 했다. 또한, 이로 인해 부인인 제니퍼와 잠시 떨어져 있기도 했다. 해리는 좋은 사람이긴 하지만 우둔한 선택을 하거나 문제에 직면하는 걸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성향은 시즌 3에서 살바토레 로마노가 해고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그 스스로 옳은 선택이라는 자각을 했지만 그는 결국 드레이퍼와 쿠퍼의 강압으로 Sterling Cooper Draper Pryce에 들어갔다. 스털링 쿠퍼가 매각 중에 있을 때, 해리는 미숙하게도 서부에 새로운 사무실을 열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후에 지나치게 자신의 헐리우드와의 연결을 자랑하고 다니는 허풍쟁이가 돼버린다. 시른 5에서 그는 출장 중에 저지른 불륜을 말하면서 부인과의 신뢰를 깨뜨린다. 그리고 동료 폴의 하레 크리슈나교 여자친구인 Lakshmi에 쉽게 유혹당한다. 그는 점점 더 이미지에만 신경을 쓰고 옹졸한 사람이 되어 간다. 이러한 모습은 시즌 6에서 조안이 그를 꺾고 파트너가 되었을 때 조안에게 울분을 떠뜨림으로써 막을 내린다. 그러나 시즌 7에서 해리는 서부 지점에서 일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간다. 그가 파트너로 승진하는 것이 논의되긴 하지만 이에 조안과 로저는 반대를 하고 있다. 매기 시프 - 레이첼 멘켄(Rachel Menken) 시즌 1에서 고정으로 출연하며 시즌 2와 7에선 특별 출연함. 유대인이자 유대인이 운영하고 유대인을 대상으로 하는 백화점의 사장이다. 시즌 1에서 백화점의 이미지를 개조해줄 광고 대행 회사를 찾다가 스털링 쿠퍼 회사를 방문하게 된다. 그녀는 처음엔 돈 드레이퍼 (돈 드레이퍼 또한 그녀의 저돌적이고 독립적인 이미지를 처음엔 달갑지 않아한다)에 대해 무심한 듯 하지만, 서로에게 위안이 되며 결국 바람을 피게 된다. 그들의 불륜 과정에서 밋지나 아내에겐 말 하지 않았던 얘기들을 해준다. 돈이 피트 캠벨에게 협박을 받았을 때, 그는 레이첼에게 같이 로스 앤젤러스로 도주하자고 제안한다. 그러자 레이첼은 돈에게 아빠로서의 책임을 다시 상기시키며 아버지 없이 자란 삶을 살고도 아이들을 버릴 수 있냐고 물어본다. 돈이 계속 주장을 굽히지 않자, 레이첼은 돈이 그녀와 함께 도주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그저 도피를 위한 도주였음을 깨닫는다. 역설적으로, 레이첼이 돈을 겁쟁이라고 얘기하고 똑바로 생각하라고 질책하자 돈은 오히려 피트 캠벨에게 맞서게 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둘의 관계는 무너지고 쿠퍼는 돈에게 레이첼을 화나게 한 점에 대해 불평한다. 돈과 레이첼 사이의 불륜은 시즌1과 시즌2 사이에서 끝이 난다. 시즌 2에서 돈은 바비와 외식을 하던 중 레이첼과 마주치게 되고 틸덴 캣츠라는 남자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녀의 결혼 소식을 듣고 순간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는 듯 보인다. 나중에 그는 로저와 프레디와 술을 많이 마신 후 클럽 기도(술집 등에서 입구를 지키는 사람)에게 자신의 이름을 '틸덴 캣즈'라고 얘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모습은 돈 드래퍼의 심리 상태를 어느 정도 보여주는 듯 하다. 시즌 7에서 돈은 레이첼에게 아이 2명이 있었으며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조연 등장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에피소드 개요[편집] 1. Smoke Gets in your Eye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Ladies Roo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Marriage of Figaro[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New Amsterda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5G[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Babylon[편집] “Babylon”은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매드맨 시즌 1의 6번째 에피소드이다. 각본은 안드레 작므톤과 마리아 작므톤에 의해 쓰였으며 감독은 앤드류 번스타인이 밭았다. 이 에피소드는 2007년 8월 23일에 방영 되었다. 드레이퍼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해 베티에게 아침을 차려준다. 아침을 가지고 계단을 오르던 중, 드레이퍼는 넘어지고 음식을 바닥에 쏟고 만다. 엎어짐과 동시에 드레이퍼는 그의 이복 동생을 처음 만나던 때를 회상한다. 다음 날,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그의 동료들은 이스라엘 관광청의 임원들과 회의를 하게 된다. 어떠한 전략을 써야할지 고민에 빠진 드레이퍼는 유대인인 레이첼 멘켄을 찾아가 점심을 먹으며 도움을 청한다. 레이첼은 만남을 공적으로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 전화로 그녀의 여동생에게 드레이퍼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고백한다. 그러는 동안, 로저 스털링은 조안 할라웨이를 호텔방에서 만나는데, 여기서 그들이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해왔음이 밝혀진다. 로저는 조안을 완전히 소유하고 싶어하고 그녀 명의의 아파트를 사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한다. 조안은 지금의 자유로움이 편하며 로져가 결국엔 더 어린 여성을 위해 자신을 떠날 것임을 예단하며 제안을 거절한다. 벨 졸리 립스틱 캠페인 준비를 하던 프레디 럼슨은 스털링 쿠퍼의 비서들에게 새로운 립스틱 샘플들을 써보게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한다. 비서들이 제품을 테스트해보는 동안 쿠퍼 사의 남자 직원들은 반투명 유리를 통해 그들을 관찰한다. 대부분의 비서들이 샘플을 써보며 즐거워하지만, 페기 올슨은 그들을 지켜보기만 한다. 이벤트가 끝나고, 그녀는 프레디에게 “한 박스에 담긴 백가지 색깔들” 중 하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샘플 쓰레기가 모여 있는 쓰레기통을 “키스 바구니”라고 부른다. 이에 감명 받은 프레디는 페기의 의견을 다른 크리에이티브 팀에게 알린다. 팀은 페기에게 카피라이터의 직무를 맡긴다. 돈은 미지의 아파트에 들리지만, 미지의 친구 로이가 그들의 오붓한 시간을 방해한다. 세 사람은 “gaslight cafe”에 가서 미지의 친구 공연을 본다. 돈과 로이는 광고와 자본주의에 대해 논하다가 미지의 친구가 유대인에 대한 노래 “Babylonian captivity”를 부르자 일제히 침묵한다. 한 편, 로저는 조안에게 철장에 갇힌 새를 선물로 준다. 조안은 선물을 받고 매우 놀라워하나는데, 선물에는 그들에 관계에 대한 어떤 암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Babylonian captivity”가 계속 이어지면서, 조안과 로저는 호텔을 나서고 서로 낯선 사람인냥 각자 택시에 올라탄다. 문화적 레퍼런스 돈은 “The Best of Everything”이란 소설을 읽는다. 돈과 동료들은 소설 “ Exodus”를 읽는다. 살바토르는 립스틱 중 하나를 “Ethel Rosenberg Pink”라 칭한다. 7. Red in the Face[편집] 에이전시는 닉슨의 캠페인 임원들과의 미팅을 준비하고 있는 시기에 로저는 저녁을 먹고 술 한잔을 하기 위해 돈의 집을 방문하는데, 그 때 로저의 아내인 베티에게 치근대는 바람에 그들의 우정에 금이 간다. 피트는 결혼 선물을 총으로 교환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다. 헬렌은 베티에게 글렌을 봐줬던 날 밤에 대해 대면한다. 8. The Hobo Code[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9. Shoot[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0. Long Weekend[편집] 베티의 아빠 진은 근로자의 날을 맞아 베티를 방문한다. 베티의 엄마의 죽음 이후 만난 아빠의 새로운 연인 글로리아는 한눈에 베티의 눈 밖에 난다. 둘은 근로자의 날 연휴에 돈과 함께 여행을 떠나고 돈은 다음 날 합류하기로 한다.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동료들이 닉슨 캠페인에 대해 논하고, 레이첼과 그녀의 아빠는 백화점 리모델링 계획을 짜기 위해 만난다. 로저는 조앤에게 함께 저녁을 보내자고 하지만 그녀는 그녀의 룸메이트와 밤 마실을 간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피트는 그의 주소 중 하나를 돈에게 알려주고, 스콜스 박사는 다른 회사로 떠난다. 여전히 동료애를 갖고 있는 로저는 돈이 고객을 잃은 것에 대해 마음 쓰지 않도록 도우려 한다. 그들은 광고 오디션에서 어린 쌍둥이를 만나고 그들을 위층에 초대한다. 돈이 집에 갈 생각만 하는 동안 지금은 비어있는 사무실에서 로저는 쌍둥이에게 치근댄다. 한편, 나갈 준비를 하는 동안 조앤의 룸메이트 캐롤은 예상치 못하게 조앤을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충격받은 조앤은 별다른 말 없이 나가자는 말 밖에 하지 못한다. 둘은 두 남자를 집에 데려오고, 상처받은 캐롤은 조앤이 아닌 다른 남자와의 섹스를 거부한다. 쌍둥이 중 하나와 사무실에서 섹스를 하려던 로저는 심장마비를 겪는다. 그는 살아남지만 입원한다. 돈은 모나와 마가렛이 눈물로 포옹을 하는 걸 병원 문밖에서 슬프게 쳐다본다. 돈든 베티에게 전화해 가족 휴가에 참가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베티는 로저의 상태에는 관심 없이 글로리아와 진의 관계에 대해 불평한다. 조안은 베트에게 로저의 상태에 대해 듣는다. 그들의 고객들에게 현재 상태에 대해 전보를 쓰려던 그녀는 눈물을 베트에게 들키고 베트는 젊음을 낭비하지 말라며 조언한다. 피트는 돈과 닉슨을 형편없이 보이게 하는 그럴싸한 존 케네디의 티비 광고를 보기 위해 제 시간에 병원에 도착한다. 레이첼에게 연락이 안 되는 돈은 레이첼네 문을 두드리고, 매우 지친 그를 본 그녀는 그를 들어오게한다. 돈은 레이첼에게 로저의 건강 상태의 불 확실성에 대해 말하고 둘은 사랑을 나눈다. 사정 후, 돈은 그의 삶의 부분적인 이야기를 그녀에게 고백한다. 그녀에게 고백한 그의 어린 시절은 이렇다. 그는 그를 낳다가 죽은 창녀의 아들이며 술취한 아버지와 학대하는 새 엄마와 자랐고 그의 아버지가 돈이 10살때 말에게 맞아 숨진 후, 돈은 그가 안쓰러운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새 엄마와 그녀의 새로운 남편에 의해 양육되었다는 것이다. 11. Indian Summer[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2. Nixon Vs. Kennedy[편집] 에피소드의 배경은 1960년 대통령 선거 날이다. 바트와 돈이 퇴근한 뒤, 스털링 쿠퍼 회사의 직원들은 몰래 선거 파티를 연다. 치열한 선거에 파티 분위기는 점점 무르익고, 직원들은 과음을 하며 파티를 즐긴다. 피트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돈의 것인 아담의 신발상자를 본다. 그 신발상자 안에는 인식표, 편지와 사진이 들어있다. 한 사진은 젊은 돈과 아담이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이 찍혀있다. 피트는 사진을 뒤집어 ‘딕과 아잠, 1994’라고 쓰여저 있는 것을 확인한다. 한편 돈은 새로운 기획 팀장을 뽑아야 하는데, 피트는 이에 눈독들이고 있다. 그러나 돈은 피트를 후보로 여기지 않으며, 돈은 공공연하게 이미 후보들을 정해놓았다. 헐먼 필립은 그 후보들 중 하나이다. 피트는 돈의 신발상자에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해 기획 팀장 자리를 따내려 하며, 그렇게 하면 돈이 어쩔 수 없이 피트에게 그 자리를 내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돈의 비밀이 밝혀지려 하자, 돈은 패닉하고 레이첼 멘켄에게 함께 도주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는 운영해야 할 가게가 있고 돈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거절한다. 그녀는 돈과의 다툼 끝에 돈이 자신과 떠나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누구와 떠나든 상관 없이 그냥 이곳을 떠나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결국 돈은 피트에 협박에도 불구하고 쿠퍼에게 헐먼 필립을 뽑겠다고 말한다. 피트는 분노하며 쿠퍼에게 돈이 딕 위트먼이며, 탈영병이고 범죄자라는 사실을 밝힌다. 하지만 쿠퍼는 이 나라는 그보다 더한 사람들로 인해 만들어졌고 그들로 인해 운영된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13. The Wheel[편집] 베티는 친구의 남편을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결혼 생활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피트는 장인어른의 인맥으로 광고주를 구한다. 페기는 신입 카피라이터로 승진되지만, 본인도 몰랐던 임신 사실과 함께 갑작스레 아기를 출산한다. 아이의 아버지는 피트 캠벨이다. 돈은 동생의 자살 소식을 듣고,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다. 피트가 이번 승진에서 선택 받지 못한 것을 안 장인어른 톰은 피트에게 일을 당분간 쉬고 아이 낳는 데에 열중하라고 충고한다. 드레이퍼 가정에서 베티는 추수감사절 때 친정으로 가져갈 것을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돈은 자신의 회사의 새 동업자로써 일이 너무 많아 추수감사절 때 같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돈이 왜 자신의 가족을 보러 가기 싫어하는지 아는 베티는 "왜 내 가족을 당신 가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라고 말한다. 그 다음날 베티는 장을 보고 집에 오자 현관 엎에 기다리고 있는 프랜신을 만난다. 몹시 동요된 듯한 프랜신은 전화 요금을 지불하면서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고 베티에게 말한다. 바로 맨하탄으로 건 비상정으로 많은 장거리 통화 내역이다. 그 번호로 전화하자 여자가 받았고, 남편이 일주일에 두 번씩은 원도프 호텔에서 자고 온다며 프랜신은 남편의 불륜을 의심한다. 베티가 그녀를 위로하려고 하지만 프랜신은 그저 남편을 독살시키고 싶다 말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베티는 집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돈의 서재에 들어가 전화 요금 고지서를 찾아 주머니 속에 넣는다. 그 와중 헤르만 필립스는 스털링 쿠퍼 회사 광고인들에게 현재 의뢰인들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충고한다. 그는 사람들이 차를 사고 하늘을 날고 싶어한다며 자동차 회사, 항공사와 제약 회사와 계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현재 코닥 회사에서 슬라이드 프로젝터가 새로 출시되었다고 언급한다. 돈이 집에 오자 베티는 남편에게 프랜신의 상황에 대해 알린다. 그리고 그녀는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럴 수 있죠?"라고 물으며 남편의 반응을 살핀다. 돈은 그녀에게 걱정하지 말라며 달래준다. 헤르만 필립스는 코닥의 새로운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돈의 사무실로 가져가 책상에 내려놓으며 제품이 마치 바퀴처럼 멈추지 않고 부드럽게 돌아간다고 말한다. 이에 돈은 코닥이 바퀴를 발명했다며 농담한다. 에피소드 정보[편집] 시즌 1 에피소드 정보[편집] 에피소드 번호 제목 감독 각본 방송일 시청자 (백만) 1 "Smoke Gets In Your Eyes"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26, 2007 1.65 2 "Ladies Room"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19, 2007 1.04 3 "Marriage of Figaro" 에드 비앙키 톰 파머 August 9, 2007 N/A 4 "New Amsterdam" 팀 헌터 리사 앨버트 August 9, 2007 N/A 5 "5G" 레슬리 링카 글래터 매슈 와이너 August 16, 2007 N/A 6 "Babylon" 앤드루 번스타인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ugust 23, 2007 N/A 7 "Red in the Face"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ugust 30, 2007 N/A 8 "The Hobo Code" 필 에이브러햄 Chris Provenzano September 6, 2007 N/A 9 "Shoot" 폴 피그 Chris Provenzano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13, 2007 0.84 10 "Long Weekend"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nd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27, 2007 N/A 11 "Indian Summer" 팀 헌터 톰 파머, 매슈 와이너 October 4, 2007 N/A 12 "Nixon vs. Kennedy" 앨런 테일러 리사 앨버트 &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October 11, 2007 N/A 13 "The Wheel" 매슈 와이너 매슈 와이너, 로빈 비스 October 18, 2007 0.93 시즌 2[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3[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4[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5[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6[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7[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제와 상징[편집] lucky strike ad 정체성과 과거회상[편집] 티비 평론가들은 각자 캐릭터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가장 두드러 지는 것은 드레이퍼가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병사의 정체를 사용해 그의 정체성을 감춘것이다. 팀 굿맨은 매드 맨에서 보다 중요한 테마는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굿맨은 돈 드레이퍼를 " 그는 오랫동안 거짓말 속에서 산 남자로 혼자 지내는 것이 익숙한 사람이 되었다. 세 시즌을 거쳐 우리는 그가 만들어낸 동화같은 삶에서 실존적 고뇌를 겪는것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게커는 "스털링쿠퍼 회사의 사업뿐만아니라 주인공인 돈 드레이퍼 또한 진실을 포장하는 것 같이 거짓말로 만들어졌다. 그의 캠페인들중 하나처럼, 그의 정체성은 기회와 빈정거림 그리고 속임수로 만들어진 솜사탕처럼 달콤한 거짓말이다."라고 했다. 뉴 리퍼블릭 작가 루트 프랭클린은 "이 쇼는 그들이 어떻게 창조되었고 그들의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나를 보여주며 미국 아이콘의 브랜딩 장면으로 우리를 데려가는 방식이다. (러키 스트라이크 담배나 힐튼호텔 라이프 시리얼)"라고 말하며 "이런식으로 우리는 모두 밑에 어떤 거짓말이 깔려있는지 보다는 상품을 팔려는 방식에 집착하는 돈드레이퍼다. 드레이퍼의 치명적 단점은 그의 심리적 인지다. 그가 완벽히 미국의 욕구로 변모하며 그의 원래 성격과는 완전히 단절되는 것이 그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한 리뷰어는 "정체성은 매드맨의 주된 테마다. 모두들 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각자 어긋난 야망과 좌절된 꿈으로 채워지고 그 중 돈드레이퍼는 더더욱시즌 1과 2를 통해 점점 속된말로 해골로 변해간다"라고 말했다. 불륜과 성차별주의[편집] 매드맨은 성 역할에 대한 논의를 더 활발하게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은 결혼, 혹은 약혼을 했음에도 자주 다른 여성들과 성적인 관계를 맺는 남성상을 표현한다. 대부분의 주인공들에게는 혼외불륜의 관계가 있다. 마리 윌슨은 워싱턴 포스트의 논평 페이지에서 “여성과 남성이 서로를, 그리고 권력을 다루는 방법을 보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이런 모습들은 우리의 생각만큼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딸들은 계속해서 권력은 권력을 가진 남자로부터 나온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아름다운 외모는 여자가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사다리가 되어주긴 하지만 여전히 최고의 자리에 오르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LA 타임스는 “특히 성차별주의는 거의 숨막히게 만들 뿐 보기에 즐겁지 않다. 하지만 그것은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들이 맞서 싸우는 힘이며, 여성 스스로를 정의 내리게 하는 반대 급부의 힘이다. 일상의 여성혐오와 겸손의 상호작용은 정신상담가가 남편에게 상담내용을 보고하는 가정주부, 퇴근시간 이후의 일에서는 모두 제외되는 등의 캐릭터들에게 목적과 형태를 제공한다."라고 주장한다. Salon에서 Nelle Engoron은 매드맨이 성문제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프로그램의 남성 캐릭터들은 불륜과 술자리를 위해 처벌을 피하면서 일에서 손을 뗄 수 있는 반면에 여성들은 주로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처벌을 피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Aviva Dove-Viebahn은 “매드멘은 어떻게 성차별주의와 가부장제가 1960년대의 삶, 직업,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지에 대한 미묘한 묘사와 급변하는 광신적 애국주의의 60년대 광고계의 미화된 연기 그 사이를 가로지른다."라고 설명했으며 멀리사 윗코스키는 가디언紙에서 “페기의 우위적 위치는 온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은 강력하게 그 어떠한 여성도 스털링 쿠퍼에서는 페기에 앞서 카피라이터가 된 적이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승진을 둘러싼 상황들은 이것은 단순히 페기 이전에는 그 어떤 여성도 앞에서 스스로의 재능을 드러낸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멀리사는 페기가 승진하게 되는 과정이 메리 웰스 로런스와 Jean Wad Rindlaub와 같이 당대의 성공한 광고계 여성의 성공 스토리와 닮아있다는 점을 짚어냈다. 세대 차이[편집] 세대차이: 미국인들은 1960년대를 ‘기적의 60년대, 활기찬 60년대’로 기억한다. 그러나 밝고 아름다운 60년대의 이면에 심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있다는 비판이 많다. 60년대는 꿈과 희망이 현실이 되는 시대였다. 미국이 영광의 시대에 접어들며 세대차가 나타나게 된다. 돈 드레이퍼와 돈의 부모와의 차이는 대표적인 예다. 20대, 30대는 젊은 나이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더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매드맨에서 세대차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는 음악과 종교다. 매드맨의 각 에피소드는 각각 다른 음악으로 마무리되는데 이 음악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로저는 1차 세계대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반면 돈은 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시점과 각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시대극의 장점은 시대상을 들어 그 시대 인물들의 삶과 정서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매드맨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당대인의 삶과 정서를 신뢰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소비 사회[편집] 소비주의(Consumerism): 소비주의의 사전적 정의는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거나 보호하는 것이다. 소비주의는 매드맨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 매드맨의 배경은 광고회사다. 광고회사의 목적은 어떤 상품의 장점을 찾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매력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에피소드에서 돈 드레이퍼와 그의 동료들은 고객을 유혹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뛰어난 광고 전략을 세워 경쟁적인 시장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고객사를 설득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상품을 매력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는 작업은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뤄진다. 고객을 세대별 집단으로 구분해서 공략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접근이다. 물론 전세대를 아울러 동시대인으로서 한 집단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60년대 남성들은 강한 남성성을 보이며 여성들은 강한 여성성을 보인다. 광고업자들은 연구를 거쳐 상품을 광고할 방법을 고안한다.또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유인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럭키 스트라이크 에피소드에서 "구웠다(toasted)"는 표현으로 럭키 스트라이크의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폭스바겐을 "레몬"으로 비유한 것과 같은 이런 간단한 정의는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있다. 이런 접근 방식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매드맨의 배경이 되는 60년대는 미국인 일반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된 첫 번째 시기다. 또 식자율이 상승하면서 시민 일반이 광고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졌다. 매드맨(60년대 광고업자)은 알콜중독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이 음료를 선택하는 것 역시 소비주의 경향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상그리아(적포도주에 소다수와 레몬 즙을 섞은 음료)나 스프릿츠(백포도주에 소다수를 혼합한 음료)같은 음료는 당시 엘리트 계층에서 유행했던 술이다.당대의 소비주의는 동시대의 평범한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런 인식에 젖어들면서 소비주의는 경제와 사람들의 성격적 특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 의존증[편집] ABC 뉴스는 매드맨에서 드러난 1960년대의 음주문화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라고 말했다. 감독 매슈 와이너는 오피스 내부·외부와 점심·저녁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ABC 뉴스는 이런 주인공들의 모습이 60년대라는 타임 프레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즌 2에서는 프레디 럼슨이 바지에 오줌을 싼 뒤, 알콜 중독 치료를 위한 재활원으로 보내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또한 극중에서 한 텔레비전 리포터는 돈, 베티, 헐만 필립 그리고 로저 스탈링의 과음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시즌 4에서는 돈 드레이퍼가 자기 자신이 알콜 중독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ABC 뉴스가 인용한 한 알콜 및 약물 중독 전문가는 지난 10년 동안 알콜 중독은 질병으로서 인정받았으나 60년대에는 과음 후에 드러나는 부정적인 행동들은 남성적이고 로맨틱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드라마를 본 한 평론가는 시즌 4에서 돈 드레이퍼가 알콜 중독과 싸우는 모습을 가리키며 ‘술 깨는 이야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반문화[편집] 로스 엔젤레스 타임즈는 매드맨은 만연한 문화전쟁의 출현 전인 쉼 없이 바쁜 시기에 이야기 속 인물들이 개인적 해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에서 뛰어나다고 말했다. 한 리뷰어는 패기를 통해 시즌4가 시끄러운 음악과 담배 돌려피우기, 언더그라운드 영화와 같이 그 시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과 함께 반문화 (팝아트의 황제 앤디 워홀)의 도입을 가져왔고 패기가 라이프 잡지의 사진작가(Friend)와 함께 로프트에 방문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자란, 주류에 반하는 저항적인 창의성의 즐거움에 직면한다며 흥분했다. 허핑턴 포스트는 패기가 로비에서 피트가 SCDP 파트너들과 그의 새로운 6000달러 계좌를 기념하기 위해 머무는 동안 그녀의 새로운 비트족 친구들과 만나는 장면에 집중했다. 그들이 그들의 반대 궤도에 승선하는 동안 카메라는 그들의 시선에 머물며 여기에서 우리는 감정적 진실을 찾는다고 말했다. 인종차별주의[편집] Tamara Harris는 Change.org에 “주 내용에 유색인종이 등장하지 않는 사실은 많은 사실을 함축한다" 라고 적었다. 더 명확히 얘기하면 ‘매드맨’은 20세기 중반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만약 당시 내용을 다뤘다면 인종 문제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사실로 인한 비난을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드맨은 돈 드레이퍼와 그의 궤도에 속한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그들은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중반까지 맨해튼에서 일을 하고 생활한 중산층 이상의 상류층 백인들이다. 평등을 위한 투쟁이 그들의 특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사람들은 인종이나 인종차별주의는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유색인종이 집에 있는 경우나 그들의 관점은 전혀 보여주지 않고 일을 하는 모습만 보여주는 초인종주의 (인종 구분 자체를 거부하는 관점) 가 ‘매드맨’ 시리즈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비평가들은 주장한다. 몇몇 저술가들은 Clarence Holte나 Georg Olden, Caroline Robinson Jones 와 같은 1960년대에 업계 진출을 시작해 성공적으로 업계에서 활동한 흑인 광고업계 중역진들에 대한 내용을 생략함으로써 ‘매드맨’시리즈가 역사를 왜곡한다고 보았다. Slate의 기고자 Tanner Colby는 ‘매드맨’이 당시 매디슨가에 있었던 인종 문제를 역사적으로 정확하게 다뤘다고 칭찬했다. 특히 시즌3 ‘The Fog’ 에피소드에서 캠벨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회사가 좌절시킨 사건에서 이러한 정확도가 잘 드러난다. 시즌4 ‘The Beautiful Girls’ 에피소드에서 Fillmore Auto 회사가 흑인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 보이콧을 당하자 페기는 Harry Belafonte를 Fillmore Auto의 대변자로 제안하지만 돈 드레이퍼가 이 제안을 거절하는 장면에서도 잘 드러난다. Colby는 또한 1963년에 Ad Age와 관련해 발행된 expose에서 “2만명의 이상의 전문직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직업군 종사자 중 흑인은 25명 밖에 없었다”. 그는 “매드맨은 비겁하게 인종 관련 문제를 회피하지 않는다. 단지 매디슨가의 비겁함에 대해 솔직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뿐이다.” 라고 얘기했다. 흡연[편집] 럭키 스트라이크 광고 미국에서 현재보다 1960년대에 더욱 흔했던 흡연은 매드맨 시리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여러 등장인물들이 담배 피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파일러트 에피소드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의 대표들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구하기 위해 스털링 쿠퍼에 문의하러 온다. 그 당시에 ‘리더스 다이제스트’ 잡지에서는 흡연이 폐암과 같은 질병의 원이 된다는 발표를 한 시기이다. 흡연이 건강이나 외모에 해롭다는 말은 중요시 여기지 않거나 주로 무시된다. 시즌4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SCDP)와의 광고 계약을 해지시키자 돈 드레이퍼는 뉴욕 타임즈에 ‘내가 담배를 끊는 이유’라는 제목의 광고를 낸다. 그 광고를 통해 SCDP는 더 이상 담배 회사들과의 계약을 거절한다고 밝힌다. 시즌 마지막 회에서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와 대화를 하는 것으로 막을 짓는다. 배우들은 진짜 타바코 담배가 아닌 허브 담배를 피우는데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뉴욕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가 배우들의 건강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배우들이 진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좋지 않을 거예요. 불안해하고 초조하게 되기 때문이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워서 세트장에서 토하는 사람들도 봤다”고 말했다. 추락하는 남자[편집] 방 안의 가구들이 빠르게 무너져 내리고, 남자의 그림자가 높은 광고판으로 만들어진 절벽에서 추락한다. 불안한 느낌의 배경음악이 흘러나오고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분위기가 이어진다. 매드맨의 제작자 매슈 와이너가 만든 이 인트로 영상은 정장을 입은 남자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내용이다. 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는 인트로 영상뿐 아니라 매드맨의 광고 배너와 포스터에도 쓰였다. 9.11 테러를 연상케 해 논란이 뜨거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에 대한 방송사 AMC의 공식 입장은 주인공 돈 드레이퍼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존 햄(돈 드레이퍼)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추락하는 남자’가 돈 드레이퍼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36초에 불과한 이 인트로 영상은 매드맨의 여러 측면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쟁적인 인트로 영상은 여전히 여러 영역에서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01년의 9월 11일 납치된 비행기가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와 충돌하는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비극이 벌어졌다. 빈라덴이 이끄는 알카에다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자신들의 적인 미국의 여객기를 탈취해 뉴욕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인 세계무역센터와 충돌시켰다. 충돌 후 빌딩 내부에 화재가 일어나자 발이 묶인 사람들은 빌딩 밖으로 몸을 던져 목숨을 잃었다. 높은 빌딩에서 몸을 던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매드맨의 인트로 영상은 9.11 테러 이후인 2007년 제작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인트로 영상이 9.11 테러 사건과 당시 희생된 이들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제기했고 실제 9.11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이 이 인트로의 상영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2012년 AMC는 매드맨의 5번째 시즌 홍보를 위해 뉴욕시 사방에 해당 이미지의 포스터를 붙였고 이 일로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다. 논란이 야기되자 매슈 와이너는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줄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관련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편집] 1960년 11월 8일에 있었던 선거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선거 중 하나로 꼽힌다. 닉슨은 로스 엔젤레스의 유명한 호텔인 앰버서더 호텔에서, 케네디는 마사츄세츠 주 하이에니스 포트에 소재한 자신의 거처에서 안락하게 선거 개표 방송을 시청했다. 하지만, 중서부의 농촌과 교외 지역, 그리고 락키 산맥, 대서양에 근접한 주의 표가 개표되면서, 닉슨은 케네디와의 표차를 서서히 줄여가기 시작했다. 자정이 되기도 전에, 뉴욕 타임즈는 헤드라인에 “케네디 대통령 당선”이라는 정보를 실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다 보니, 타임즈의 주필인 터너 캐틀리지는 “중서부의 한 시장이 제발 표를 충분히 확보해 케네디가 당선되기를 기원했다”라고 회상했는데, 이는 타임즈가 12년 전 시카고 트리뷴이 토마스 듀이가 트루먼 전 대통령을 선거에서 이겼다는 오보를 낸 전레에서 비롯한 말이었다. 닉슨은 자정 3시에 새로 연설을 통해, 케네디가 선거를 이겼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암시했다. 뉴스 관계자들은 매우 당황했는데, 이러한 공식적인 대선 패배 인정문은 매우 드문 경우였기 때문이다. 11월 9일, 수요일에 되어서야 닉슨은 확실한 대선 패배를 인정하였고,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3,129의 자치주와 도시 중, 닉슨은 1857개 (59.35%)의 도시에서 승리를 거뒀고 케네디는 1,200 개 (38.35%)에서 이겼다. “언약하지 않은” 선거인들이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의 71개 자치주 (2.27%)에서 승리했으며, 알래스카에서는 케네디와 닉슨이 각각 한 도시씩 가져갔다. 투표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는 닉슨의 본고장인 캘리포니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선거구가 투표 완료를 선언했을 때는 케네디가 37,000표로써 승리한 것으로 보여졌으나, 부재자 투표가 완료된 일주일 후에는 닉슨이 결국 36,000표로 캘리포니아까지 가져갔다. 이와 비슷하게, 하와이에서도 닉슨이 주투표에서 승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재개표 시에는, 케네디가 115표라는 적은 표 차이로 승리했다. 전국민 투표에서는, 케네디가 닉슨을 0.17%라는 20세기 최소의 표차로 승리했다. 대표단 투표에서 케네디의 승리는 더욱 확고했는데, 케네디가 대표단에게서 303표를 가져간데 비해, 닉슨은 219표를 가져갔다. 총 15개의 대표단은 케네디도 닉슨도 아닌 버지니아 주 소속 민주당의 해리 버드 상원의원을 뽑았다. 케네디는 12개의 주에서 3% 미만의 득표율 차로 승리를 구뒀고, 닉슨은 6개의 주에서 비슷한 비율의 득표차로 승리했다. 케네디는 북동쪽 주와 미시간, 일리노이, 미쥬리 등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많은 서중앙 지방에서 승리를 거뒀다. 린든 존슨의 도움으로, 남부 지방 대부분의 주에서 역시 승리를 거뒀는데, 이 중에는 노스 캐롤라이나, 죠지아, 텍사스 등 매우 큰 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닉슨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농업 중심의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서부의 3개 주를 빼놓고는 모든 주에서 앞서갔다. 가장 큰 승리를 거둔 주는 오하이오였다. 뉴욕 타임즈는 이러한 치열함에 대해 케네디가 이긴데에는 그가 천주교였다는 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선거 도중 닉슨은 케네디의 종교를 비난하였고, 그로 인해 북쪽 지역의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케네디의 편으로 붙었다는 것이 그들의 분석이다. 미시간 대학교의 조사팀이 1956년과 1960년에 투표를 실시한 이들에 대한 인터뷰에 의하면, 1956년에 민주당에 투표한 사람들 중 39명 중에 케네디를 뽑은 사람이33명인데 비해, 공화당을 뽑은 이 61명 중 44명이 닉슨에게 투표했다. 이에 의하면, 닉슨은 표 28%를 아이젠하워에게 뺏긴데 비해, 케네디는 단 15%만을 스티븐슨에게 뺏긴셈이다. 결론적으로,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1956년에 지지자들을 잘 관리한 것이다. 케네디는 앞으로 미국에 국가적으로 다가올 도전들을 꿰뚫어보았고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했다. 당선 연설에서 그는 “친애하는 모든 국민 여러분, 저는 앞으로 다가올 4년이 도전과 역경으로 가득찬 시기일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1960년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전국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도움이 절실하며, 저의 모든 정신을 미합중국의 장기적인 발전과 전세계의 자유를 도모하는데 바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라고 주장했다.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편집]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란 여성들의 가장 큰 행복은 아내와 엄마가 되는 것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나 베티 프라이덴의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에서는 교외의 주부들의 인터뷰와 심리학과 미디어 광고조사를 통해 이 개념을 비판하며 세컨드 웨이브 페미니즘을 불러일으켰다. 드라마 매드맨도 프라이덴과 같이 이런 여성의 신비라는 개념이 환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즌1에서 돈 드레이퍼의 아내 베티 드레이퍼는 전형적인 우울한 주부의 모습을 대변한다. 베티 드레이퍼는 표면적으로는 모든 것을 가진 아내이자 어머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손을 떠는 등 불안하고 우울한 증세를 보인다. 드라마에서는 그녀의 결혼생활 또한 불안정한 것으로 비춰진다. 예컨대, 돈 드레이퍼는 계속해서 다른 여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베티는 돈의 감춰진 삶에 대해 계속해서 불안감을 느낀다. 베티는 결국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며 그녀의 불안정한 삶에 대해 털어놓게 된다. 그러나 돈 드레이퍼는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라는 개념에서 드러난 여성의 이상적인 꿈은 주부로 연결된다는 것에 반한다.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그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9화에서 그녀가 과거에 했던 모델 일을 결혼 이후에도 계속해서 꿈꿔왔다는 것이 드러난다. 코카콜라 광고 제의가 들어오자 그녀는 갑자기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일을 시작한다는 것에 대한 사실에 기쁨을 감출 수 없다. 이는 그녀의 꿈은 주부라는 그림자에 의해 가려졌으며, 주부라는 것은 그녀의 이상이 아니라 그저 현실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에서는 베티 드레이퍼라는 인물을 통해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가 진실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고정관념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편집]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는 많은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는데, 우선 이 두 영화의 시대적 배경이 10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서 사회적인 양상에서 굉장히 흡사하다. 두 주인공은 모두 정상적인 가정과 직장을 꾸리고 살지만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점, 과거에 전쟁에 참전했던 경력이 있다는 점 등에서 매우 비슷하다. 이는 겉으로는 아내와 화목한 매일매일을 보내는 것 같고, 실제로도 드레이퍼와 톰은 가족 중심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불륜이라는 소재가 이들의 심적 갈등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또한 두 인물 다 도시 외곽 쪽에 거주하고, 알코올 의존중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술을 자주 마신다는 점에서 라이프스타일도 유사하다. 이 둘은 일에 헌신하는 태도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돈은 자신의 광고 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써 인정받고 있고, 톰도 자신의 직장에 충실하다. 다만 돈 드레이퍼는 자신의 일에 대하여 별다른 불만이나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여, 톰은 표면적으로는 일에 헌신하지만 그것이 영혼이 없는 태도라고 내심 생각하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둘은 각각 한국전쟁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과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굉장히 명예로운 일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 주인공은 이러한 과거를 회피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특히 두 작품 다 PTSD와 비슷한 다소 고통스러운 과거 회상 장면이 나온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는 종전 이후 참전용사들은 정상적인 사회생활 복귀를 꿈꾸지만, 이 두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도 할 수 있다.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은 매드맨(Mad Man)과 예스맨(상사에게 복종하는 사람)으로 각각 나타난다. 아인 랜드[편집] 매드맨 1시즌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이 처음 언급되는 것은 8번째 에피소드 “The Hobo Code” 에서 스털링 쿠퍼 사의 사장인 버트 쿠퍼의 입을 통해서이다. 그는 아인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돈 드레이퍼에게 권한다. 본 에피소드에서 나중에 돈은 고객과의 상담 중 고객이 자신의 광고를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자 “내가 공들인 이 광고를 당신이 감사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 광고를 당신에게 주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당신이 어떻게 되는지 보자” 라는 상당히 도전적이고 어떻게 보면 건방지기까지 한 대사를 말하는데, 이 장면은 돈이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읽고 영향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은 돈을 통해 계속해서 아인 랜드의 철학을 연상시키는 독선 혹은 자기중심성을 관찰할 수 있다. 11번째 에피소드 "Indian Summer"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은 다시 한번 등장한다. 로저가 갑작스럽게 건강에 문제가 생기자 쿠퍼는 돈에게 파트너 자리를 제안한다. 돈은 파트너 제안은 수락하지만 계약서는 필요 없다고 말한다. 쿠퍼는 계약서가 필요 없다는 돈의 말을 듣고 미소를 지으며 "너무 자신감 넘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어서 쿠퍼는 돈에게 아인랜드를 소개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쿠퍼는 계약서도 쓸 필요 없다는 자신감 넘치는 돈의 태도에 감탄했다. 아인랜드의 책에서 강조하는 상황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견지해 성취를 이뤄내는 인간상을 돈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반응 및 평가[편집] 평점[편집] [시즌1 ~ 시즌2] 2007년 7월 19일 저녁 10시 예고편 시청률은 당시 기존의 AMC 드라마 시리즈에 보다 높았으며 120만 가정에서 총 165만명의 시청자들에 의해 1.4점을 얻었다 (household rating). 시즌 1 예고편의 시청자 수는 시즌 2에 비해 두 배 이상 이었으며(206만명) 이는 시즌 2예고편의 강력한 홍보 덕분이었다. 시즌 2첫 방송 이후 시청자 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TV비평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형성했다. 하지만, 175만명이 시즌2 마지막화를 시청했고 이 수치는 시즌2 평균 시청자수 보다 20% 더 높은 수였으며 시즌 1 마지막 화 시청자 수에 비해선 926,000 명이 더 많았다.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청자 수를 포함해 누적 시청자 수는 총 290만명이었다. [시즌 3] 예고편은 2009년 8월 16일에 방영되었으며 첫 상영에 280만명, 그리고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간에 78만명이 시청하였다. 2009년에 매드맨은 시청자 수 57.7% 증가로Nielsen’s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배틀스타 갤랙티카 최종 시즌 바로 다음으로 2등을 차지했다. [시즌 4] 예고편을 29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시즌 3 처음보다 평점이 5퍼센트 증가하였고 시즌 3평균보다는 61퍼센트 증가하였다. 또한 AMC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한 드라마로 등극하였으며 이는 The Walking Dead와 Better Call Saul 방영 때까지 유지되었다. [시즌 5] 예고편인 ‘A Little Kiss’는 350만명이 시청하였고 18 ~ 49세 시청자는 160만명이었다. 이는 매드맨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 수였다. 시즌 5 이전에는 18 ~ 49세 시청자 수에서 100만명 이상의 시청자 수를 기록한 적이 없었다. AMC 채널의 사장인 Charlie Collier는 “Matthew Weiner와 그의 팀은 시즌 5까지 매 시즌을 아름다운 얘기로 잘 풀어냈으며 시즌이 지날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이에 반응해주었다. 이러한 성공은 매우 드물기에 이 프로그램과 카메라에 찍히지 않은 유능한 작가, 출연진을 포함한 전체 팀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라고 얘기했다. 시즌 5 마지막화인 “The Phantom”은 27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매드맨 최종화 중 가장 높은 시청자 수를 기록하였다. 2012년에 매드맨 시리즈는 시청자 수 상승률127%를 기록하며 Nielsen's list of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2등을 차지하였다. 시즌 방영 시간과 요일 에피소드 수 시작 날짜 예고편 시청자 수 최종회 날짜 최종회 시청자 수 평균 시청자 수 시즌1 목요일 P.M 10:00 13 2007년 7월 19일 165만명 2007년 10월 18일 93만명 90만명 시즌2 일요일 P.M 10:00 13 2008년 7월 27일 206만명 2008년 10월 26일 175만명 152만명 시즌3 일요일 P.M 10:00 13 2009년 8월 16일 276만명 2009년 11월8일 232만명 180만명 시즌4 일요일 P.M 10:00 13 2010년 7월 24일 290만명 2010년 10월 17일 244만명 227만명 시즌5 일요일 P.M 10:00 13 2012년 3월 25일 350만명 2012년 6월 10일 270명 270만명 시즌6 일요일 P.M 10:00 13 2013년 4월 7일 337만명 2013년 6월 23일 269만명 249만명 시즌7 파트1 일요일 P.M 10:00 7 2014년 4월13일 227만명 2014년 5월 25일 194만명 201만명 시즌7 파트2 일요일 P.M 10:00 7 2015년 4월5일 227만명 2015년 5월 17일(예정) 아직 진행 중 아직 진행 중 평론[편집] 매드맨은 개봉과 동시에 비평가들의 큰 호평과 비평가들의 역대 최고의 위대한 텔레비전 시리즈로 자리매김 하였다. 미국 영화 연구소는 2007, 2008, 2009, 2010, 2012년에 (2011년에는 방영하지 않았음) 매드맨을 최고의 10개 텔레비전 시리즈 중 하나로 뽑았고, <텔레비전 비평과 협회>, <시카고트리뷴>, <뉴욕타임즈>, <피츠버그 포스트 가제트>, <타임지>, 그리고 <TV 가이드>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출판물들도 매드맨을 2007년 최고의 텔레비전 쇼로 선정했다. 논평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매드맨 첫 시즌 점수는 77/100이었다. 2013년 <TV 가이드>는 2013년 역대 최고의 드라마 60개 중 매드맨을 5위로 선정하였고, 미국 작가 조합에서 역대 최고로 잘 쓰여진 TV 시리즈 101개 중 7위로 선정되었다. 롤링스톤의 멤버 롭 셰필드는 매드맨을 "역대로 가장 위대한 TV 드라마"라고 말했다 . <뉴욕타임즈>의 논평가는 "그리 멀지 않은 과거를 즐기는" 획기적인 시리즈라고 말했다. 시대적 진정성[편집] 60년대 광고업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은 매드맨의 시대적 진정성에 대해 각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지만, 매슈 와이너와 그의 팀은 매드맨이 시대적 진정성과 그 배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다. 매드맨 자문위원 로버트 래빈슨은 매드맨이 포착하고 있는 것은 매우 사실적이다며, 드라마에서 일상적인 음주, 지속적인 흡연, 간부와 비서의 관계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60년대에 카피라이터로 일했던 제리 델라 페미나 또한 드라마가 흡연과 여러가지 사회적 편견을 정확하게 그려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피라이터 알렌 로젠샤인은 드라마의 배경은 완전히 꾸며낸 것이라고 말하며, 실제로 60년대에 매드맨의 등장 인물들처럼 여자를 대했다면, 진작에 해고당했을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60년대에 광고회사 Doyle Dane Bernbach에서 일했던 조지 루이스는 매드맨은 60년대의 고정관념을 드라마를 통해 실체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60년대의 현실은 매드맨과 달랐으며, 광고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매일 힘들게 일했고, 일 외에 활동이라고는 회사에서 하는 농구와 소프트볼이 전부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문화 관측소의 벤자민 슈미츠의 매드맨 언어 분석에 따르면, 매드맨에서 사용된 어휘와 문장은 그 시대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드라마가 그 시대의 언어를 아주 조금밖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과 매드맨의 대부분의 언어와 문장은 그 배경의 시대보다는 현대에서 더 자주 사용되고 있는 언어임을 밝혔다. 따라서 매드맨의 언어는 그 시대의 언어 패턴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매드맨에서 사용되는 "creeps in with striking regularity”와 같은 비즈니스 언어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당시에는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결과와 영향[편집] 매드맨은 1960년대 패션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8년 ‘더 가디언’은 매드맨이 남성 슈트 패션, 특히 높은 웨이스트밴드, 짧은 재킷, 귀판 안경과 페도라와 같은 당시 시대 스타일 슈트의 부활에 한몫을 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매회 나오는 드라마 의상들은 남성에게는 테일러 수트를, 여성에게는 풀스커트에 플로럴 프린트와 가디건을 유행시켰다. 이러한 인기를 반영해 바나나 리퍼블릭은 매드맨 가을 캠페인을 전개했고, 브룩스 브라더스는 매드맨 리미티드 에디션을 판매하기도 했다.[1] 바나나 리퍼블릭 디자인팀과 매드맨 의상 디자이너인 Janie Bryant가 함께 디자인한 컬렉션(Mad Men Capsule Collection)은 많은 드라마 팬과 복고, 오피스룩 매니아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또한 웹사이트 BabyCenter에 의하면 매드맨 때문에 “베티”라는 이름이 2010년 미국에 갑자기 인기가 많아졌다. 나아가 The Arizona Republic에선 20세기 중반 인테리어 디자인의 새로운 관심이 매드맨의 방영과 겹친다고 보고했다. 뉴욕타임즈 극장 비평가 벤 브랜틀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매드맨이 “과음하고 줄담배 피며 여자들이나 쫓아다녔던 1960년대”를 “브로드웨이의 가장 사랑 받는 시대”로 탈바꿈 시켰다고 하며, 그 예시로 2010년과 2011년, 1960년대를 배경으로 나타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세 개를 들었다. 바로 “Promises, Promises”와 “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의 재상연과 “Catch Me If You Can”이다. 또한 브랜틀리는 “Promises, Promises가 원래 배경이었던 60년대 후반이 아니라 1962년을 배경으로 한 이유는 매드맨에 있다고 본다”라고 주장했다. 2009년 TNT에서 한 시즌 동안 상영한 Trust Me는 현대시대 광고회사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텔레비전 비평가 톰 셰일즈는 Trust Me를 매드맨과 Nip/Tuck이라는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합친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그 밖에 2011년 짧게 상영한 The Playboy Cub과 Pan Am 또한 배경이 1963년인데, 둘 다 매드맨을 따라 한 드라마라고 자주 언급된다. 2011년 첫 방송한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The Hour 또한 매드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심지어 2014년 Syfy채널에 방송된 Ascension은 “우주를 배경으로 한 매드맨”이라고 불렸다.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매드맨은 시즌 2, 1화에서 돈 드레이퍼가 프랭크 오하라의 시 “Mayakovsky”를 낭송하자 아마존 웹사이트에서 오하라의 작품이 Top 50로 올라갈 정도의 영향력을 보인다. 또한 회사 매니저 조안 역으로 나오는 크리스티나 헨드릭스의 모래시계 같은 몸매와 관능적인 매력이 인기를 끌며 영국에선 2010년에 여성들의 가슴수술이 10% 증가했다. 몇몇 사람들은 매드맨이 불러온 1960년대 패션과 사회 규범에 대한 열풍을 비판했다. 에이미 벤퍼는 잡지 Salon에서 “과거 회상의 문제점에 대해 경고하는 바로 그 텔레비전 드라마가, 사람들에게 분명히 결함이 있는 과거에 대한 노스탈지아를 일으킨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라고 주장했다. Ms.Magazine의 애나 켈나는 “매드맨이 대중문화에 갖고 있는 어마어마한 영향력 덕분에 신여성인 ‘페기’가 아닌 순종적인 ‘베티’들이 가득한 세대가 만들어졌다”라고 말했다. 2014년 국정보고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평등한 여성 임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매드 맨 시리즈에 존재하는 직장 방침은 없어질 필요가 있다.” 매드맨 프로듀서 매슈 와이너는 오바마 대통령과 동의한다고 하며 “우리 드라마가 미국에 꼭 필요한 국민 토론의 일부가 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2015년,시리즈 오프닝에 돈 드레이퍼가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조각상이 매드맨 시리즈를 위해 타임-라이프 건물 앞에 세워졌다. 매드맨 시리즈는 AMC 케이블 채널의 흥행 불꽃을 점화 시킨 것으로 인정받았다. 수상경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음악[편집] -EP 1 Smoke Gets in Your Eyes- One the street Where you Live - Vic Damone 끝 부분, 돈과 가족들 Caravan (Instrumental) [Remastered] - Gordon Jenkins 돈 기차에서, 집을 행하여 Shangri-La - Robert Maxwell 스트립쇼 바 Band of Gold - Don Cherry 시작할 때, 돈 식당에서 -EP 2 Ladies Room- Great Divide - The Cardigans 끝 Credits I Can Dream, Can't I? - The Andrew Sisters -EP 3 Marriage of Fiagro P.S. I Love You - Bobby Vinton- 끝 Credits -EP 4 New Amsterdam Manhattan - Ella Fitzgerald & The Buddy Bregman Orchestra 마지막 장면, Pete 와 Trudy의 미래 보금자리 Driving Instructor - Bob Newhart -EP 5 Five G Blue in Green - Miles Davis 돈 과 Midge 침대에서 You - The Aquatones 돈과 아담의 저녁 식사 Non Dimenticar - Percy Faith Pete 와 Trudy의 저녁식사 -EP 6 Babylon Babylon - Original Cast Recording Midge 와 돈은 식당에서 노래를 듣는다 -EP 7 Red in the Face Botch-A-Me (Ba-Ba-Baciani Piccina) - Rosemary Clooney 돈이 로저의 등을 쳐줄 때 -EP 8 The Hobo Code (Gimme That) Old Time Religion - Jim Reeves 끝 Credit Concierto de Aranjuez (Adagio) [Master] - Miles Davis 돈이 Midge의 아파트 파티에 참석 -EP 9 Shoot My special Angel - Bobby Helms 끝부분 베티가 비둘기 총으로 사냥할 때 -EP 10 Long Weekend Volare - The McGuire Sisters -EP 11 Indian Summer Fly Me to the Moon (In other words) - Julie London 끝 credits Agua de Beber - Astrud Gilberto & Antonio Carlos Jobim 베티와 새탁기 ^_^;; -EP 12 Nixon vs. Kennedy Metro Polka - Frankie Laine Gopher Mambo - Yma Sumac -EP 13 The Wheel Don't Think Twice, It's Alright (LP Version) - Frankie Valli & The four Seasons Don't Think Twice , It's Alright - Bob Dylan 끝 Credit 매슈 와이너 인터뷰[편집] 문학 계간지인 The Paris Review의 208호에 실린 매슈 와이너의 인터뷰는 그가 어떻게 한 명의 각본가로 성장했는지부터 매드맨의 탄생 비화, 매드맨 각본의 집필 과정 등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 매드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분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와이너는 각본 쓰는 것을 배우기 위해 영화 학교에 진학한 것은 아니었지만 영화 학교를 다니면서 각본가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영화가 성공할 경우 그 스포트라이트는 보통 감독이 받지만 사실은 그 작품의 각본을 쓴 각본가야말로 진정한 작품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와이너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각본 쓰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가 과거에 쓴 다양한 각본은 훗날 매드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매드맨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쓰고나서 3년이 지나서야 AMC에서는 이 이야기를 드라마로 만들어보자고 하였고, 와이너는 자신이 완전히 잊어버리고 있던 그 이야기를 기억해내기 위해 과거에 자신이 썼던 각본들을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는 돈 드레이퍼라는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각본들에 등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각본에 등장하는 돈의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의 어두운 과거, 그가 가난한 시골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많은 미국의 역사 속 위인들처럼 그도 자수성가형 인물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와이너는 리 이아코카, 샘 월튼 그리고 빌 클린턴 같은 미국의 지도자들이 알고보니 모두 불우한 환경 속에서 자란 자수성가형 인물이었다는 점을 알게 된 후 미국 사회에 제이 개츠비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깨달았고, 이러한 영감은 돈이라는 캐릭터에 투영되었다. 와이너의 개인적인 경험 역시 돈이라는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일조하였다. 한번은 그가 일하던 직장에 줄곧 자신이 하버드를 졸업했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결국엔 보다못한 한 사람이 “너 하버드 안 나왔잖아!” 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는 하버드 졸업생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이 사실을 알게 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너무 대수롭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버드에 입학하면 자신의 인생이 바뀔 것이라고 믿고 그렇게 애를 쓰는데, 어떻게 그러한 학력위조를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단 말인가? 와이너는 이 경험이 너무 인상적이어서 돈의 캐릭터 설정에 이를 포함시켰고, 이는 돈이 자신의 과거를 숨긴 채 다른 사람의 신분으로 살아간다는 설정으로 연결되었다. 와이너가 매드맨을 구상할 때 핵심적인 주제로 생각해둔 또다른 요소는 바로 “누가 미국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층인가” 하는 문제였다고 한다. 그는 미국에서 성공의 다른 말은 곧 남성 WASP(앵글로색슨계 백인 신교도)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그는 미국 사회의 주류에 속하는 사람들과 그 그룹에 속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비주류인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이 깊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매드맨을 관통하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라고 와이너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매드맨 시리즈는 결국 부유한 백인들이 속한 ‘우리’ 라는 그룹에 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파일럿 에피소드에 보면 피트 캠벨의 대사 중 “돈과 교육을 더한다고해서 그 사람의 천박한 본질이 사라지지는 않아” 라는 대사가 있다. 이는 ‘우리’ 에서 유태인을 소외시키는 반유태인적 발언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실제로 유태인인 와이너는 어렸을 적 이 말을 학교 선생님께 들었다고 한다. 교사는 와이너가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그런 말을 교실에서 했고, 당시 와이너는 자신이 마치 투명인간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경험 덕분에 자신이 미국 사회의 비주류인 여성이나 동성애자, 혹은 유색인종들의 슬픔에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그가 예로 든 캐릭터는 바로 레이첼 멘켄이다. 그녀는 와이너가 ‘코성형 세대’ 라고 부르는 시대 사람이다. (유대인들은 매부리코를 갖고 있다는 편견이 있다.) 레이첼은 미국 백인 사회문화에 흡수당했다. 그녀는 분명 자신의 부모와는 달리 유태인 기념일을 챙기지 않았을 것이며, 최대한 백인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을 것이다. 코성형 세대의 유태인들은 백인 미국인이 아닌 자신의 부모님들을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 ‘흡수’ 가 바로 미국의 이야기다. 돈과 레이첼은 공통적으로 둘 다 자신이 진짜 누구인지를 숨기고 미국의 주류인 백인 남성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에게 끌리는 것이다. 와이너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바로 페기 올슨이다. 그녀는 자신의 일과 관련해서는 매우 성실하고 적극적이며 재능 또한 있다. 그러나 본인의 사생활에 관해서는 어리석기 짝이 없다. 그녀는 자신이 ‘우리’ 에 속한 삶을 산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틈만 나면 누군가가 그녀에게 “너는 ‘우리’ 의 일부가 아니야” 라고 말하기 일쑤다. 인터뷰에는 와이너가 매드맨의 각본을 집필하는 과정 또한 담겨있다. 각 시즌 초반부에 그는 우선 자신이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이야기들에 대해 메모를 해둔다. 그런 다음 각 에피소드에 어떤 이야기들이 다루어질지 일종의 개요를 만들고, 개요가 완성되면 이제 구체적인 대본을 만들기 위해 본인의 어시스턴트와 함께 방으로 들어가 씬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대본을 만들기 시작한다. 와이너에 따르면 사실 모든 장면들은 그의 머릿속에 이미 들어있고, 그는 그것을 그저 끄집어내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 끄집어내는 작업이 다소 정신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를 도와주는 어시스턴트의 역량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그는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한편 인터뷰에서 와이너가 질문받은 또다른 부분은 바로 드라마 매드맨의 시대적 사실성, 다시 말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60년대 미국을 어쩌면 그렇게 완벽에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본 인터뷰를 진행한 세미 첼러스는 인터뷰를 위해 세트장을 처음 방문한 당시 한 비서의 책상 위에 쌓여있는 편지들이 놀랍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리얼한 것을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편지들의 수신인과 발신인에는 실제 극 중 인물들의 이름이 적혀있었을 뿐만 아니라 1965년에 발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인장까지 찍혀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와이너는 분명 자신의 팀에 그러한 소품들을 실제처럼 보이도록 잘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각본을 집필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신이 당시의 시대상을 서술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가 신경 쓰는 한가지는 드라마가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배우들에게 가능한 천천히 대사를 말하도록 주문한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받는 것이 빨라질수록 그 대화는 작위적으로 보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와이너는 그래서 대화를 주고 받는 연기 도중 배우들이 기침을 하거나 상대역이 이해가 안 되는 말을 할 경우 “뭐라고?” 라고 되묻는 것을 좋아한다. 와이너와 대조적으로 원래 매드맨의 파일럿을 감독한 사람은 이 드라마가 실제 1950년대의 드라마처럼 보이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심지어 파일럿을 흑백으로 제작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배우들이 대사를 말하는 속도 또한 좀 더 빠르기를 원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와이너는 이를 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빠르게 말할 경우 필연적으로 정보의 반복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심지어 배우들이 대화 장면을 찍을 때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도 원치 않았다. 왜냐하면 실생활에서 우리가 대화를 할 때 서로의 이름을 그렇게 자주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학술 연구[편집] 1.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 매드멘: 성, 인종, 민족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적 계층  O'Barr, William M.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Advertising & Society Review 11.4 (2011): n. pag. Web. 05 May 2015. 이 글은 드라마 ‘매드맨’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성, 인종, 민족, 사회 계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사회 계층부분에서 글쓴이는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속한 계층이 매우 한정적인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제한은 상품을 소비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품을 구매할 능력과 의향을 갖춘 사람들만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제한은 드라마에서 상류계층이 어떠한 삶을 사는지는 잘 보여주는 반면 하위계층은 자연스럽게 배척되고 주변인물이 되는 편향된 묘사의 원인이 된다. 이때 하위계층이라 함은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계층을 의미하며 청소부, 웨이터, 엘리베이터 승무원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직업들이지만 항상 주변인물로서 존재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하위계층이 대부분 흑인이라는 점이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하위계층 직업군은 대부분 흑인이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흑인의 사회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매우 낮았음을 보여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60년대 당시에 인종 차별은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 시즌1 에피소드 1에서 돈 드레이퍼가 술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 흑인 웨이터에게 어떤 담배를 피우는지 물어보는 장면을 주목해보자. 돈 드레이퍼가 질문을 한 의도는 본인이 현재 의뢰 받은 담배 회사 ‘럭키 스트라이크’ 를 어떻게 홍보할지에 대한 아이디를 얻고자 함이었다. 흑인 웨이터가 본인은 ‘올드 골드’ 를 피며 그 이유를 설명하여 대화가 길어지자 백인 매니저 (로 추측되는) 사람이 등장하여 돈 드레이퍼에게 흑인 웨이터가 방해 되지는 않는지 물어본다. 이 장면은 흑인이 백인에게 말을 하는 행위가 ‘방해’로 간주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며 ‘기업가’ 입장에선 흑인 또한 소비자이기에 그들의 의견도 반영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지만, 그들과 인간대 인간으로서의 상호 소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그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지는 않는 사회적 분위기 또한 반영한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유태인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태인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부유하기 때문에 광고회사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들이지만 사회적 편견 때문에 여러 문화적 문제점이 생긴다. 시즌1 초반에 레이첼 멘켄이 백화점 홍보를 의뢰하러 돈 드레이퍼를 만났을 때 유태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에 따른 문화적 충돌을 가장 잘 보여준다. 레이첼은 본인이 운영하는 백화점이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삼기 원하지만 돈 드레이퍼와 피트 캠벨은 유대인이 운영한다는 사실 때문에 상류층 보다 하류층을 대상으로 홍보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팅이 결렬되자 피트 캠벨이 돈 드레이퍼에게 돈이 많다고 교육을 잘 받은 것은 아니라는 말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다. 이와 같이 매드멘을 ‘사회적 계층’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당시 미국 사회상(상류 계층의 사상과 삶의 양식, 인종차별, 계층 차별)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드라마 자체의 이해도를 높이고 60년대 미국 사회를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은 위와 같은 접근방식이 매우 필요할 것이다. 2. Historical Accuracy of Mad Men, ‘매드멘’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실의 정확도  "Period Dramas and Historical Accuracy; "Mad Men"" Doing History in Public. Ed. Florence Largillière. N.p., n.d. Web. 5 May 2015. <http://doinghistoryinpublic.org/2014/05/23/period-dramas-and-historical-accuracy-mad-men/>. 3. 등장인물을 살펴보며 알아보는 당시 역사적 배경  Doll, Jen. "Reviewing the 'Mad Men' World by Someone Who Was There." THE WIRE. N.p., 9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www.thewire.com/entertainment/2012/04/reviewing-mad-men-world-someone-who-was-there/50851/>. 4. Seeing History in Mad Men,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요소와 사실들  "Seeing History in ‘Mad Me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15 July 2010. Web. 05 May 2015.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0/07/16/arts/television/20100718-madmen-timeline.html?ref=multimedia&_r=3&>. 5. Selling nostalgia : Mad Men, Postmodernism and Neoliberalism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향수; 매드맨,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신자유주의 Tudor, Deborah. "OpenSIUC." OpenSIUC. N.p.,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opensiuc.lib.siu.edu/gmrc_nm/4/>. 6.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부성애, 실패와 자수성가;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남성성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Critical Quarterly 54.3 (2012): 31-45. Academic Search Premier. Web. 5 May 2015. 작품 속 광고[편집] 매드맨에서 1960년대와 방송이 방영됐던 시기에 있었던 상품들을 광고주 클라이언트 등으로 등장했다. 그 중 러키 스트라이크, 베들레헴 스틸, 폭스바겐, 캐딜락, 플레이텍스, 스팸, 어츠 감자칩, 메이든폼, 질레트, 아메리칸 항공과 클리어라실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은 대부분 또는 모든 상품이나 브랜드가 피피엘(ppl 작품 속 광고)이라고 추측했지만 사실 대부분의 상품들은 오로지 현실성을 위해 포함된 것이었고 피피엘 거래는 없었다.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인터뷰에서 “[피피엘은] 아주 조금밖에 없고 네트워크에서 장사를 더하기 위해 전파한 소문입니다. 항상 실패해요… 4 시즌 동안 4개[의 피피엘이] 있었고 이 드라마에 약 100개의 상품들이 나왔어요. 반은 만들어낸 상품들이고 아무도 출연하기 위해 돈을 주지 않아요.”라고 했다. 와이너에 의하면 피피엘을 한 회사들은 잭 다니엘, 하이네켄, 유니레버와 힐튼이 있었고, 힐튼의 경우는 이미 방송이 나간 후에 감사의 표시로 지불한 것이라고 했다. 하이네켄은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구하려는 클라이언트로 출연을 한다. 또한 광고를 하나만 선보였던 시즌2의 마지막 에피소드 미국 프리미어에서 유일한 광고주이기도 했다. 2007년 6월 20일, Commercial Alert(상업 경보)라는 소비자 권리 운동권 단체는 미국증류주협회에 항의를 했다. 이유는 방송에서 명시적으로 성적인 행동의 묘사와 무책임한 술 중독의 장면을 보여줌으로 매드맨의 스폰서인 잭 다니엘에서 주류 광고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잭다니엘은 5 회에서 이름으로 언급되었다. 시즌4에서 6개의 복고풍 광고들을 만들었고 미국에서 드라마 광고시간에 방송되었다. 광고들의 배경은 가상의 광고 에이전시인 스미스 윈터 미첼 광고회사이고 매드맨과 같은 시기로 설정되어 있다. 광고들에서 사용된 제품들은 도브, 브라이어스, 헬만스, 클론다이크, 스와브와 바세린이다. 와이너는 드라마의 예산을 늘려주거나 광고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면 피피엘을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드맨의 경우에 피피엘은 문제가 많은 경험이라고 느꼈다. 하이네켄의 경우에는 하이네켄의 법무부에서 무책임한 주류섭취를 보여주는 모습을 허락할 수 없다고 하였고, 그의 의지와 달리 매드맨의 세트장에서 촬영됐었던 유니레버의 광고들에게 혐오감을 느꼈다고 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와이너는 2012년에 매드맨에서 다시는 피피엘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각주[편집] ↑ http://blog.naver.com/episode_min/60156896403 외부 링크[편집] 매드맨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매드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매드맨 - TV.com (영어) 매드맨 - TV 가이드 vdeh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 (1970년~)1970-1999 《마커스 웰비, M.D.》 (1970) 《더 볼드 원스: 더 세네이터》 (1971) 《엘리자베스 R》 (1972) 《월튼네 사람들》 (1973) 《위층, 아래층》 (1974) 《위층, 아래층》 (1975) 《폴리스 스토리》 (1976) 《위층, 아래층》 (1977) 《더 락포드 파일스》 (1978) 《루 그랜트》 (1979) 《루 그랜트》 (1980)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2)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3)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4) 《캐그니와 레이시》 (1985) 《캐그니와 레이시》 (1986) 《L.A. 로》 (1987) 《서스티섬씽》 (1988) 《L.A. 로》 (1989) 《L.A. 로》 (1990) 《L.A. 로》 (1991) 《알래스카의 빛》 (1992) 《피켓 펜스》 (1993) 《피켓 펜스》 (1994) 《뉴욕경찰 24시》 (1995) 《ER》 (1996) 《로앤오더》 (1997) 《더 프랙티스》 (1998) 《더 프랙티스》 (1999) 2000-현재 《웨스트 윙》 (2000) 《웨스트 윙》 (2001) 《웨스트 윙》 (2002) 《웨스트 윙》 (2003) 《소프라노스》 (2004) 《로스트》 (2005) 《24》 (2006) 《소프라노스》 (2007) 《매드맨》 (2008) 《매드맨》 (2009) 《매드맨》 (2010) 《매드맨》 (2011) 《홈랜드》 (2012) 《브레이킹 배드》 (2013) 《브레이킹 배드》 (2014) 《왕좌의 게임》 (2015) 《왕좌의 게임》 (2016) 《핸드메이즈 테일》 (2017) 《왕좌의 게임》 (2018) vdeh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자1980년대 데뷔 더 무비 마스터스 1990년대 데뷔 더 로트 리멤버 WENN 2000년대 데뷔 브레이킹 배드 브로큰 트레일 DVD TV 매드맨 무비스 댓 슈크 더 월드 더 프리즈너 슛아웃 2010년대 데뷔 4th and Loud 피드 더 비스트 (2016) 프레익쇼 게임 오브 암즈 헬 온 휠즈 킬링 로 윈터 썬 오너스 매뉴얼 피치 루비콘 스몰 타운 시큐리티 토킹 배드 더 나이트 매니저 턴: 워싱턴스 스파이스 아메리칸 웨스트 (2016) 홀트 앤 캐치 파이어 (2014-2017) 코믹 북 맨 (2012-2018) 현재 방송 중 베터 콜 사울 (2015-) 피어 더 워킹 데드 (2015-) 기킹 아웃 (2016-) 휴먼스 (2015-) 인투 더 배드랜드스 (2015-) 프리처 (2016-) 토킹 데드 (2011-) 토킹 사울 (2016-) 워킹 데드 (2010-) 썬 (2017) 테러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드맨&oldid=24191604" 분류: 프라임타임 에미상 틀2007년 드라마200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뉴욕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직장 연애를 다룬 작품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미국 배우 조합상 드라마 시리즈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작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매드맨》(Mad Men)은 감독 매슈 와이너가 만든 미국 시대 드라마 시리즈이다. 영화 제작 및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2007년 7월 19일 케이블 채널 AMC 네트워크에서 첫 방영했다. 92개 에피소드를 포함한 7개 시즌 후 2015년 5월 17일 종영됐다. 매드맨의 시대 배경은 1960년대이며 공간 배경은 뉴욕 시 매디슨 거리에 위치한 가상의 광고회사인 ‘스털링 쿠퍼’이다. 나중에 이 회사의 이름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 로 바뀌며 다시 ‘스털링 쿠퍼 & 파트너’로 바뀐다. 드라마 파일럿 에피소드 (정식 에피소드가 아니라 드라마와 관련된 정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루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매드맨'은 1950년대에 매디슨 거리에서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자칭하는 용어로, 그들 스스로 만들었으며 이 주장은 그때부터 논란이었다. 드라마의 중심은 돈 드레이퍼다. 그는 드라마 초기에 스털링 쿠퍼에서 재능 있는 크리에티브 디렉터로 등장하며 나중에 ‘스털링 쿠퍼 드레이프 프라이스’ 회사의 설립 멤버가 된다. 드라마가 진행되며 돈 드레이퍼가 개인적, 사업상의 인물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구성은 회사와 관련한 사업 이야기도 많이 포함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사생활도 많이 다루며, 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와 1960년대에 만연했던 사회적 풍습이 주 내용이다. 드라마가 시작된 이후부터 매드맨은 대본, 연기, 역사적 진실성에 관련해 격찬을 받았으며, 에미상 15개와 골든 글로브상 4개를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는 베이직 케이블 드라마로서 처음으로 ‘뛰어난 드라마 시리즈’ 부분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시즌 1~4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매드맨은 역사상 최고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널리 평가 받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허핑턴 포스트가 매드맨에서 집중했던 장면은? Assistant: 패기가 로비에서 피트가 SCDP 파트너들과 그의 새로운 6000달러 계좌를 기념하기 위해 머무는 동안 그녀의 새로운 비트족 친구들과 만나는 장면
Human: 아래 팀_호턴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팀 호턴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팀 호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팀 호턴스 산업 분야 레스토랑 창립 1964년 창립자 팀 호턴 국가 캐나다 본사 소재지 캐나다온타리오주 해밀턴 핵심 인물 폴 하우스 (회장) 제품 원두커피 도넛 아이스 카푸치노 베이글 샌드위치 머핀 매출액 $ 1.482 빌리언 캐나다 달러 (2006년) 종업원 70,000명 (2005년) 웹사이트 팀 호턴스 팀 호턴스(Tim Hortons Inc. TSX: THI, NYSE: THI)는 커피와 도넛을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이다.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설립한 이후 빠르게 캐나다 전역으로 확장하여 현재 캐나다에서 가장 큰 패스트 커피 전문점이다.[1] 목차 1 역사 1.1 팀 호턴스와 론 조이스 2 자선 사업 3 참고 문헌 4 관련 사진 5 함께 보기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팀 호턴스와 론 조이스[편집]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시에 처음으로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출신의 수비수 팀 호턴스가 "Tim Horton Donuts" 이라는 간판이름을 걸고 시작하였다. 이름은 나중에 "Tim Horton's" 이후에 영문, 불문 공용사용하는 캐나다로써 불문 문법에 맞지않은 "'s"를 일반 "s"로 변경하여 "Tim Hortons"로 개칭되었다. 이 프랜차이즈의 본주인은 1949부터 그가 사망한 해인 1974년까지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의 선수인 팀 호튼이었다.[2] 본인의 이름을 딴 "Tim Horton Donuts" 이란 도넛매장 1호점을 개업한 이후에 해밀턴시의 전직 경찰이었던 론 조이스 (Ron Joyce) 만났다. 론 조이스는 1965년 Ottawa Street에 있는 1호점을 관리하게 된다. 1967년에 론 조이스가 두 개의 새로운 도넛매장을 개점한 이후 그는 팀 호튼의 완벽한 사업 파트너가 되었다. 팀 호튼이 사망한 1974년, 론 조이스는 1백만 달러에 호튼 가족으로부터 회사와 회사가 소유한 40개개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론 조이스는 빠르고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시키게 되었고, 1991년에는 500호점을 오픈하게 된다.[3] 이런 적극적인 론 조이스에 의한 Tim Hortons의 공략이 캐나다 내 "커피와 도넛 식당"의 큰 변화를 일으켰으며, 이런 적극적인 사업의 결과로 캐나다는 일인당 도넛 매점의 비율이 세계최고 국가가 되었다.[4] 회사는 원래 "Tim Donut Limited."가 소유였다. 1990년대 "Tim Donut Limited."의 영문 앞글자만 따와서 "The TDL Group Ltd."로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변경으로 도넛사업자라는 인상을 가리고 지속적인 메뉴개발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게 되었다. 초기 개점한 매장의 경우 아직도 회사 로고에 "Tim Horton's"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공식적인 영문표기는 "Tim Hortons"이다. 이는 과거 "'s"가 "s"로 바뀐 것인데, 이는 캐나다의 특유의 영문과 불문을 혼용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1993년 퀘백주의 상표 언어에 대한 법에 의해서 불문법에 존재하지 않는 "'s"를 사용한 "Tim Horton's"는 상호를 "Tim Hortons"로 변경해야만 했다. 이후 이 상호를 전국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자선 사업[편집] 팀 호턴스는 지역 사회의 어린이들을 위해 1달러짜리 스마일 쿠키를 판매한 수익금으로 자선 활동을 펴왔다. 1996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해밀턴 어린이 병원'의 기금에 스마일 쿠기 수익금을 기부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다. 그 후 스마일 쿠키는 캐나다 전역의 팀 호턴스 매장으로 번졌고, 지역 병원과 여러 자선 단체를 통해 수많은 어린이들을 돕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 ↑ "Wendy's confirms Tim Hortons IPO by March", Ottawa Business Journal, 2005년 12월 1일, [1] Archived 2006년 6월 29일 - 웨이백 머신 ↑ “Tim Horton (1930 - 1974)”.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 Kenneth Kidd (케니스 키드) (2006년 3월 26일). “Timbit nation”. 토론토 스타.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 “The unofficial national sugary snack”.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1994년 9월 1일.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관련 사진[편집] 팀 호턴스 웨이, 해밀턴 팀 호턴스 1호점 디스플레이 케이스, 팀 호턴스 1호점 함께 보기[편집] 웬디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팀 호턴스 팀 호턴스 - 공식 웹사이트 팀 호턴스 공식 역사 HamiltonSpectator.com 2007년 공식1호 매장 방문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팀_호턴스&oldid=22974988" 분류: 토론토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뉴욕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캐나다의 브랜드캐나다의 커피 전문점캐나다의 패스트푸드 체인도넛 전문점1964년 설립된 기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ebuano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8: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팀 호턴스(Tim Hortons Inc.)는 커피와 도넛을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이다.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설립한 이후 빠르게 캐나다 전역으로 확장하여 현재 캐나다에서 가장 큰 패스트푸드 음식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팀 호턴스라는 도넛가게가 첫 등장을 한 연도는? Assistant: 1964년 Human: 아래 최항_(120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항 (120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항 (120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항(崔沆, 1209년~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다.[1] 본관은 우봉(牛峯)이다. 초명은 최만전(崔萬全)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법우(法祐)이고 최우의 서자(庶子)이며 최충헌의 손자이다.[1] 처음에 송광사의 중이 되었으나 1248년 아버지의 명으로 환속하여 상호군과 호부상서를 거쳐 추밀원지주사에 올랐다.[1] 뒤에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으며 진평공(晋平公)에 추증되었다. 1249년부터 1257년까지 8년 동안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정순왕후의 외삼촌으로, 누이 최씨의 딸이 원종의 비 정순왕후에 간택되어 다시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그러나 그가 죽고 무신정권은 몰락하게 된다. 임익(任翊), 권위(權韙) 등의 문인에게서 글과 예를 배웠다. 목차 1 생애 1.1 서자와 승려 1.2 관료 생활과 집권 1.3 살상과 권력 강화 1.4 몽골과의 외교전 1.5 생애 후반 2 사후 3 가족 관계 4 최항이 등장한 작품 5 평가 6 함께 보기 7 고려사에 최항 편에 실린 사세구 8 참고 9 참고 문헌 생애[편집] 서자와 승려[편집] 최우의 서자로 창기 서련방의 소생이며 최항 본인의 묘지명에 의하면 1209년에 태어났다. 본관은 우봉(牛峯)이며, 처음 이름은 만전(萬全)이라고 불렀다. 처음 송광사에서 형인 만종과 함께 승려가 되어 쌍봉사 주지로 있다가 1248년 고종 35년에 아버지 최우가 병이들자 속세에 돌아와 항으로 개명하였다. 임익(任翊)에게 글을 배우고 권위(權韙)에게 예를 익혔으며, 당시 고려 시대에 부(父)나 조부(祖父)가 관직생활을 했거나 국가에 공훈을 세웠을 경우에 그 자손을 과거에 의하지 않고 특별히 품계를 받을 수 있었던 '음서제도'로 관직에 올랐다. 관료 생활과 집권[편집] 아버지 생전에 좌우위상호군(左右衛上護軍)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냈다. 추밀원 지주사(樞密院 知奏使)가 되어 아버지 최우로부터 가병(家兵) 5백 명을 분양받았다. 1249년 최우가 죽은 뒤에 정권을 인수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승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다가, 이병부상서(吏兵部尙書)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자빈객(太子賓客)을 거쳐 병부상서가 되어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를 겸하였다. 이어 동서북면을 총괄하는 교정별감(敎定別監)에 취임한다. 살상과 권력 강화[편집] 시기심이 많아 1250년 전추밀원부사(前樞密院副使) 주숙(周肅) 등을 죽였으며, 무고(誣告)를 듣고도 사람을 시켜 조사하지 않고 이를 맹신하였다. 1251년 계모 대씨(大氏)를 독살하고, 그 일당인 추밀원지사(樞密院知事) 민희(閔曦)와 추밀원부사(樞密院副事) 김경손(金慶孫)을 유배지로 가는 도중에 죽였다. 이어 좌승선(左承宣) 최환(崔峘), 장군 김안(金安), 지유(指諭) 정홍유(鄭洪裕) 등을 유배시키고,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안(鄭晏)을 죽였다. 각 주현의 세금을 감하는 한편 여러 도(道)의 구실아치(아전)를 감원하여 인건비를 절약하여 인망을 얻었다. 아버지의 식읍, 진양후(晋陽候)의 봉작, 대장경의 판각과 강도(江都)의 축성과 대묘(大廟) 창건 등의 공을 표창하는 모든 것을 다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처음 아내 최온(崔瑥)의 딸을 버리고 조계전(趙季甸)의 딸을 취하였으며, 조부 최충헌의 초상화를 창복사(昌福寺)에, 아버지 최우의 초상화를 선원사(禪源寺)에 옮기는 데 성대한 의식을 베풀었다. 다른 사람을 헐뜯는 말을 잘 믿어 사사로운 감정으로 무고하는 자에게도 상을 주고 무고를 받은 자는 가차없이 추국하여 엄벌에 처하였다. 그리하여 1250년 음력 3월에는 주숙(周肅)·장군 김효정(金孝靖) 등을 귀양 보내는 도중에 죽였으며, 장군 최종필(崔宗弼), 나주 부사 이균 등을 귀양 보냈다. 몽골과의 외교전[편집] 1252년 몽골의 사신 다가(多可) 등이 들어오는데, 고종이 강화도에서 나와 육지로 올라와 친히 사신을 맞으라고 요구하자 모든 신하들이 다 그대로 시행하기를 결의하였으나, 최항이 홀로 이를 거부하고 대리로 신안공(新安公) 전(佺)을 보내 맞이하게 하였다. 1253년 몽골은 이를 빌미로 야굴(也窟)과 대군을 보내 고려를 침입 하였고, 고종에게 강화에서 환도하기를 독촉하여 침입하자 영녕공(永寧公) 준(綧) 등이 태자를 보내어 몽골군을 무마시키자고 건의하였으나 끝까지 거절하였다. 생애 후반[편집] 몽골에서 강화(江華) 출륙(出陸)을 요구하자 승천부(昇天府)에 신궐(新闕)을 짓고 응하는 것처럼 위장하였으나, 비밀리에 원종에게 주청하여 사신 접견을 강력히 반대했으며, 52년에는 몽골에서 파견된 사신 다가(多可) 등이 왕의 출륙 친영(親迎)을 요구해 오자 왕이 몸이 불편하다는 핑계로 종실인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을 보내어 대신 몽골 사신들을 대면하게 하는 등 아버지 최우의 항몽 정책을 계승, 강경책을 썼다. 1256년 제중강민공신(濟衆康民功臣)에 봉해졌으며, 중서령감수국사(中書令監修國史)로 재직 중 1257년 제3대 고려 최씨무신정권의 집권자로 재위 8년,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다. 사후[편집] 1257년 사후에 ‘진평공’(眞平公)에 추증하였으며, 적자가 없었으므로 송서(宋壻)의 종이 낳은 최의로 후사를 삼았고, 원종 때에 그의 고택을 철거하였으며 그 땅을 집이 없는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2] 강화도 진강산 일대에 안장되었다 1963년 강화도 강화군 송해면 양오리의 야산에서 최항 묘지석이 발견되고, 그의 묘소 근처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견된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가 출토되었다. 국보 133호로 지정되었다. 그의 묘지명에 의하면 공신호와 관직 시호는 다음과 같다 康民濟世功臣강민제세공신 特進 金紫光祿大夫 守大師 開府儀同三司 中書令 上柱國 上將軍 監修國史 判吏部御史臺事 大子大師 晉平郡 開國公 食邑三千戶 食實封一千戶 贈諡 光正특진 금자광록대부 수대사 개부의동삼사 중서령 상주국 상장군 감수국사 판이부어사대사 대자대사 진평군 개국공 식읍삼천호 식실봉일천호 증시 광정 가족 관계[편집] 증조부: 최원호 증조모: 진강국대부인 유씨부인 종조부: 최충수 대고모: 최씨 내종숙: 박진재 대고모: 최씨 대고부 겸 증외종조부 : 유숙 조부: 최충헌 아버지: 최우 어머니: 정씨 누이 : 최씨 매부 : 김약선 외조카딸 : 정순왕후, 원종의 비, 충렬왕의 어머니 생모 : 서련방(瑞連房) - 창기 출신 형 : 만종(萬宗) - 승려 정실 : 최씨(崔氏) - 최온(崔瑥)의 딸 계실 : 조씨(趙氏) - 조계순(趙季珣)의 딸 첩 : 이름 미상 - 송서(宋壻)의 여종 아들: 최의 첩 : 심경(心鏡) - 최항이 죽은 후 최의의 첩이 됨. 최항이 등장한 작품[편집] 《무신》(MBC, 2012년~2012년, 배우:백도빈) 평가[편집] 집권 초에는 각 지방의 별공(別貢)과 어량(魚梁, 船舶稅)을 면제하고 가렴주구(苛斂誅求)를 일삼던 교정도감(敎定都監)의 수획원(收獲員)들을 소환, 처벌, 해임하여 민심의 지지를 얻었다. 또한 교정별감의 수획원들의 횡포가 크자 안찰사(按察使)에게 그 임무를 맡기는 등 인심을 얻으려고 힘썼으나 점차 사치와 향락을 추구하였다. 또한 무고(誣告)를 맹신하여 여러 사람을 살상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무신정변 최씨 정권 최우 최충헌 정순왕후 고려사에 최항 편에 실린 사세구[편집] 복사꽃 향기는 수천 집을 감쌌는데 비단 휘장 향취는 십 리에 빗겼구나. 난데없는 미친 바람 좋은 자리에 불어와 붉은 꽃잎 마구 몰아 긴 강을 지나가네. 桃花香裏幾千家, 錦幄氤氳十里斜. 無賴狂風吹好事, 亂驅紅雨過長河. 병에 걸려 죽어갈때 쓴 시(사세구 이다). 나라가 어찌되든 자신의 권세를 신나게 즐기다 간 간신의 모습이 드러난다. 고려사 발췌. 참고[편집] ↑ 가 나 다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최씨 무인정권 > 최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http://yoksa.aks.ac.kr/jsp/cc/View.jsp?cc10id=C0002526&keywords=%E5%B4%94%E6%81%92%20%E5%B4%94%E6%B2%86%20%EC%B5%9C%ED%95%AD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최씨 무인정권"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최우 제7대 고려 무신정권의 집권자제3대 고려 최씨무신정권의 집권자1249년 ~ 1257년 후임최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항_(1209년)&oldid=23035873" 분류: 1209년 태어남1257년 죽음고려의 무신고려의 군인고려의 정치인고려의 불교 신자환속한 사람무신정권우봉 최씨한국의 장군한국의 섭정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7일 (토) 0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항(崔沆, 1209년~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다. 본관은 우봉(牛峯)이다. 초명은 최만전(崔萬全)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법우(法祐)이고 최우의 서자(庶子)이며 최충헌의 손자이다. 처음에 송광사의 중이 되었으나 1248년 아버지의 명으로 환속하여 상호군과 호부상서를 거쳐 추밀원지주사에 올랐다. 뒤에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으며 진평공(晋平公)에 추증되었다. 1249년부터 1257년까지 8년 동안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정순왕후의 외삼촌으로, 누이 최씨의 딸이 원종의 비 정순왕후에 간택되어 다시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그러나 그가 죽고 무신정권은 몰락하게 된다. 임익(任翊), 권위(權韙) 등의 문인에게서 글과 예를 배웠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항의 아버지 이름은? Assistant: 최우
Human: 아래 일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각국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각국사 일연 전견명普覺國師 一然 全見明 前 고려국 중서문하성 대선사(前 高麗國 中書門下省 大禪師) 임기 1259년 6월 11일 ~ 1283년 7월 8일 군주 고려 고종 왕철고려 원종 왕정고려 충렬왕 왕거 섭정 교정도감 영수 겸 문하시중 권한대행 김준 안경공 왕창 교정도감 영수 임연 교정도감 영수 임유무 승화후 왕온 신상정보 출생일 1206년 7월 18일 출생지 고려 경상도 장산 사망일 1289년 7월 26일 (83세) 사망지 고려 경상도 군위 거주지 고려 경상도 옥산 고려 경상도 경산 고려 양광도 공주 고려 양광도 천안고려 서해도 해주고려 개경고려 경상도 남해고려 경상도 진주 고려 경상도 군위 본관 옥산(玉山) 학력 1227년 승과 급제 경력 역사가 겸 저술가 정당 무소속 부모 아버지 전언필(全彦弼, 1189 ~ 1211) 어머니 경주 김씨 부인(慶州 金氏 夫人, 1194 ~ 1287) 별명 자(字)는 회연(晦然)·일연(一然) 호(號)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諡號)는 보각(普覺) 탑호(塔號)는 정조(靜照) 일명(一名)은 김견명(金見明) 종교 불교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속성은 전씨, 본관은 옥산(玉山), 속명 전견명(全見明)이며, 처음의 자는 회연(晦然), 나중에 '일연'으로 바꾸었다. 호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이며, 탑호는 정조(靜照)이다.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출생하였고 1214년(고종 1) 9세 때 해양(海陽)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219년 대웅에 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에 올랐다. 1261년(원종 2) 왕의 부름으로 상경,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목우화상(牧牛和尙)의 법통을 계승, 1268년(원종 9) 조지(朝旨)를 받고 운해사(雲海寺)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 그 맹주가 되었다. 1277년(충렬왕 3) 왕명으로 운문사(雲門寺) 주지에 취임, 1281년 왕에게 법설을 강조했고,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百頃)을 받아 경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九山門都會)를 개최했다. 그의 저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이 밖에 <조정사원(祖庭事苑)>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을 지었다. 목차 1 연보 2 저서 2.1 삼국유사(三國遺事) 2.2 기타 저서 3 관련 문화재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연보[편집] 1206년 - 경상도 장산군 (오늘날 경상북도 경산시) 태생 1208년 - 한때 옥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1년 후 직계 일가족과 함께 장산에 귀향. 1209년 - 옥산 땅에서 장산 땅으로 귀향하여 성장. 1219년 - 승려로 출가 1227년 - 승과 시험 합격 1249년 - 남해 정림사에서 수행 (남해의 분사 대장도감에서 조판 사업에 참여), 진주목부사병마금할시상서공부시랑 전광재(팔만대장경 행정총책임자) 혈족. 1259년 - 대선사에 임명 1281년경 - 삼국유사 저술 1283년 - 충렬왕에 의해 국존(국사)으로 추대 1289년 - 인각사에서 입적 저서[편집] 일연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을 썼다고 임종에 든 군위군 인각사 일연비문에 적혀 있다. 《삼국유사》가 가장 유명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편집]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유사를 모아 고려 충렬왕 때의 명승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이 지은 책. 전 5권 2책. 제1은 왕력 기이(王歷紀異), 제2는 문호왕(文虎王) 내지 가락국기(駕洛國記), 제3은 흥법탑상(興法塔像), 제4는 의해(義解), 제5는 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왕력에서 삼국과 가락국의 왕대와 연표를 싣고, 기이(紀異)에서는 고조선 이하 여러 고대국가의 흥폐·신화·전설·신앙 등과 신라 최후의 왕인 경순왕(敬順王)까지의 신라 왕조 및 백제·후백제·가락국에 관계되는 역사 등 62편의 글을 싣고, 흥법(興法)에서는 37편의 글로 신라를 중심으로 불교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의해(義解)에서는 신라의 고승들에 대한 설화 13편을 수록했고, 신주(神呪)에서는 밀교(密敎)의 승려들에 대한 행적 3편을 싣고, 감통(感通)에서는 부처와의 영적 감응을 이룬 일반 신자들의 설화를 실었으며, 피은(避隱)에서는 깊은 학문과 엄격한 도덕률을 지니고 있던 고승들의 이적(異蹟)에 대한 10편의 설화를 싣고, 효선(孝善)에서는 뛰어나게 효행을 한 5사람의 이야기를 수록했다. 특히 단군신화를 비롯하여 향찰문(鄕札文)으로 쓰인 향가 14수가 수록되어 있어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되어 준다. 현재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보이지 않고, 중종 7년(1512)에 당시의 경주 부사 이계복에 의해 중간(重刊)된 정덕본(正德本)이 현재로는 최고본이며, 활자본으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1908년에 된 도쿄 문과대학 사지총서본(東京文科大學史誌叢書本)이고, 그 뒤 1921년에 교토 제대 문학부총서(京都帝大文學部叢書) 제6으로 정덕본을 영인했다. 이 밖에 조선사학회본(朝鮮史學會本)·계명구락부본(啓明俱樂部本)·삼중당본(三中堂本) 등과 이병도의 역주본(譯註本)이 있다. 현재 전하는 책이나, 일연비문에는 적혀 있지 않다. 기타 저서[편집] 《어록》 2권 《게송잡서》(偈頌雜書)3111권 《조동오위》(曹洞五位) 2권 《조도》(祖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 관련 문화재[편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 보물 제428호 같이 보기[편집] 김부식 정습명 삼국유사 삼국사기 이승휴 제왕운기 단군 단군 조선 묘청 윤관 윤언이 윤인함 정지상 김돈중 외부 링크[편집] 일연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대백과사전 vdeh1992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 후기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397390 LCCN: n82094556 ISNI: 0000 0001 1025 2103 GND: 119027860 SUDOC: 121449939 BNF: cb12056258s (데이터) NDL: 00621920 NKC: jx200702130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연&oldid=23993372" 분류: 1206년 태어남1289년 죽음고려의 불교고려의 승려고려의 관료한국의 역사가과거 급제자고려의 작가고려의 서예가경산시 출신병사한 사람무신정권옥산 전씨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lski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1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속성은 전씨, 본관은 옥산(玉山), 속명 전견명(全見明)이며, 처음의 자는 회연(晦然), 나중에 '일연'으로 바꾸었다. 호는 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이며, 탑호는 정조(靜照)이다.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9세 시절이던 1214년(고종 1) 해양(海陽)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219년 대웅에 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에 올랐다. 1261년(원종 2) 왕의 부름으로 상경,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목우화상(牧牛和尙)의 법통을 계승, 1268년(원종 9) 조지(朝旨)를 받고 운해사(雲海寺)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 그 맹주가 되었다. 1277년(충렬왕 3) 왕명으로 운문사(雲門寺) 주지에 취임, 1281년 왕에게 법설을 강조했고,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百頃)을 받아 경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九山門都會)를 개최했다. 그의 저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이 밖에 <조정사원(祖庭事苑)>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을 지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연의 저서 중 제승법수는 총 몇 권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Assistant: 7권 Human: 아래 라종일_(1940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종일 (194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종일 (194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라종일(나종일, 羅鍾一, 1940년 12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공무원, 외교관이다. 종교는 천주교, 세례명은 요셉이다. 목차 1 생애 2 약력 2.1 학력 2.2 경력 3 수상 경력 4 저서 5 가족 관계 6 관련 항목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서울 출신으로 1963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나온 후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 경희대학교 교수에 임명되어 1978~1998년 경희대학교 교수로 활동하였다. 1997년 김대중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 대통령직 인수위 행정실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이 되었다가 2차장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1999년 국정원 1차장으로 발탁되었다. 2001~2003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2000년 9월 4일에는 1년 계약직 국정원장 외교특보에 임명되었다.[1] 2004~2007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지냈다. 2007~2011년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가 되었다. 약력[편집] 학력[편집] 1959년 중앙고등학교 졸업 1963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정치학 학사) 196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정치학박사/ 국제관계 전공) 경력[편집] 1969년 11월 29일 서울대학교 교양과정 부교수 1972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정치문제연구소(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객원교수 1972년 ~ 1998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80년 경희대학교 정경대학 학장 1980년 5공헌법준비위원회 위원 1980년 유네스코주최 인권과 평화교육에 관한 태평양 지역회의 한국대표 1983년 ~ 1998년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원장 1988년 ~ 199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장 1989년 유럽연구협회 부회장 1992년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에 참여 1994년 한국유럽학회 회장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외교안보특보 1995년 ~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중앙당 지도위원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통일, 국제특별위원장 1997년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행정실 실장 1998년 3월 10일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1998년 3월 28일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1998년 국제 평화전략연구원 원장 1999년 국가정보원 해외,북한담당 제1차장 1999년 - 2000년 새정치국민회의 외교안보담당 총재특별보좌역 1999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99년 국제평화전략연구원 원장 2000년 새천년민주당 총재외교안보특보 2000년 시큐어소프트 고문 2000년 국가정보원 특별보좌관 2000년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2001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 2003년 - 2004년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 보좌관 2003년 - 2004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겸 사무처장 2004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 2007년 3월 제10대 전주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2016년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2019년 6월 - 한·일 의회외교포럼 자문위원 수상 경력[편집] 2006년 옥조근정훈장 저서[편집] 《정치이론 입문》 《현대서구정치론》 (경희대학교출판보, 1982)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증언으로본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끝나지 않은 전쟁》 (전예원, 1994) 《유럽연구》 (예진출판사, 1994) 《사람과 정치》 (상경사, 1995) 《끝나지 않는 의문》 (남지, 1997) 《세계의 발견:라종일이 보고 겪은 한국 현대사》(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낙동강》 (형설라이프, 2010)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창작과비평, 2013년 10월 10일)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나용균(羅容均) 어머니 : ? 부인 : 홍재자(洪宰子) 딸 : 나연수 딸 : 나영수 딸 : 나한수 아들 : 나경수 장인 : 홍경섭(洪景燮) 처형 : ? 관련 항목[편집] 경희대학교 신건 임동원 이종찬 문희상 서정범 이강래 엄익준 김기섭 각주[편집] ↑ 국정원장 외교특보 나종일씨.. 영남일보 2000.09.04 참고 자료[편집] 나종일 주영대사 내정자 외부 링크[편집] 전임이병기 제22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1999년 3월 8일 ~ 1999년 3월 23일 후임신건 전임신건 제25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1998년 3월 23일 ~ 1999년 1월 22일 후임(국가정보원 제1차장)나종일 전임(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나종일 제25대 국가정보원 제1차장1999년 1월 22일 ~ 1999년 6월 7일 후임권진호 전임최성홍 제16대 주 영국 대사2001년 5월 ~ 2003년 2월 후임이태식 전임조세형 제16대 주 일본 대사2004년 3월 ~ 2007년 3월 17일 후임유명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종일_(1940년)&oldid=24355618" 분류: 194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나주 나씨서울특별시 출신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경희대학교 교수숭실대학교 교수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대통합민주신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시민통합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대한민국의 정치학자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 차장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 차장통합신당 당원국민의당 당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0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종일(나종일, 羅鍾一, 1940년 12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공무원, 외교관이다. 종교는 천주교, 세례명은 요셉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종일(1940)의 아들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나경수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2회_조합장_선거_산림조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2019년 3월 13일에 실시한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부문 투·개표 결과이다. 목차 1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 2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 3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 4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 5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 6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7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 8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 9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 10 같이 보기 11 각주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서울시산림조합 서울특별시 일원 인천산림조합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주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시흥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옹진부천산림조합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옹진군 평택시산림조합 경기도 평택시 고양시산림조합 경기도 고양시 용인시산림조합 경기도 용인시 파주시산림조합 경기도 파주시 이천시산림조합 경기도 이천시 안성시산림조합 경기도 안성시 김포시산림조합 경기도 김포시 포천시산림조합 경기도 포천시 여주시산림조합 경기도 여주시 강화군산림조합 인천광역시 강화군 연천군산림조합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산림조합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산림조합 경기도 양평군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전시산림조합 대전광역시 일원 세종시산림조합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천안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산림조합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보령시 아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아산시 서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계룡산림조합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당진시 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금산군 부여군산림조합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천군 청양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홍성군 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예산군 태안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태안군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청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제천시 보은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영동군 진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진천군 괴산증평산림조합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단양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단양군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광주시산림조합 광주광역시 일원 목포무안산림조합 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여수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순천시 나주시산림조합 전라남도 나주시 광양시산림조합 전라남도 광양시 담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곡성군 구례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구례군 고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보성군 화순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화순군 장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흥군 강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강진군 해남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암군 함평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함평군 영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성군 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완도군 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진도군 신안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신안군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전주완주산림조합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군산시 익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익산시 정읍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정읍시 남원시산림조합 전라북도 남원시 김제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김제시 진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장수군 임실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순창군 고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부안군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부산시산림조합 부산광역시 일원 울산시산림조합 울산광역시 일원 창원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산림조합 경상남도 통영시 사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사천시 김해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산림조합 경상남도 밀양시 거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제시 양산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양산시 의령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안군 창녕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창녕군 고성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고성군 남해군산림조합 경상남도 남해군 하동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합천군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구달성산림조합 대구광역시 일원 포항시산림조합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주시 김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김천시 안동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안동시 구미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구미시 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주시 영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천시 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산림조합 경상북도 문경시 경산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산시 군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군위군 의성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의성군 청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양군 영덕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덕군 청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도군 고령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칠곡군 예천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예천군 봉화군산림조합 경상북도 봉화군 울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올진군 울릉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울릉군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춘천시산림조합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산림조합 강원도 원주시 강릉시산림조합 심재광 43.61% 강원도 강릉시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 강원도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양양속초산림조합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홍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홍천군 횡성군산림조합 강원도 횡성군 영월군산림조합 강원도 영월군 평창군산림조합 강원도 평창군 정선군산림조합 강원도 정선군 철원군산림조합 강원도 철원군 화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산림조합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산림조합 강원도 인제군 고성군산림조합 강원도 고성군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제주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농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수협 산림조합 각주[편집] vdeh 대한민국의 선거대통령 선거 1948 1952 1956 1960.3 1960.8 1963 1967 1971 1972 1978 1979 1980 1981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부통령 선거 1948 1951 1952 1956 1960.3 국회의원 선거 1948 1950 1954 1958 1960 1963 1967 1971 1973 1978 1981 1985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2 1978 지방선거 1952 1956 1960 1991 1995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국민투표 1962 1969 1972 1975 1980 1987 재보궐선거 1948 1949 1952 1954 1955 1956 1959 1960 1961 1965 1968 1969 1970 1971 1977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음영표시는 가까운 시기에 있는 선거입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2회_조합장_선거_산림조합&oldid=24492083" 분류: 대한민국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20: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2019년 3월 13일에 실시한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부문 투·개표 결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제2회 산림조합 조합장 선거에서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이었던 당선인에는 누가 있을까? Assistant: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전시산림조합 대전광역시 일원 세종시산림조합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천안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산림조합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보령시 아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아산시 서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계룡산림조합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당진시 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금산군 부여군산림조합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천군 청양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홍성군 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예산군 태안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태안군 Human: 아래 제네바_합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네바 합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네바 합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네바 합의(-合意)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이 1994년 10월 21일 맺은 외교적 국제 합의이다. 이 합의는 2003년 전격적으로 파기되었다. '북한과 미국간에 핵무기 개발에 관한 특별계약', 영어 정식 명칭은 'Agreed Framework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며 짧게 'Agreed Framework라고 부른다. 북한의 핵개발 포기의 대가로 북미수교, 북미간 평화협정, 북한에 대한 경수로 발전소 건설과 대체 에너지인 중유 공급을 주 내용으로 한다. 미국 의회는 경수로 발전소 건설자금을 비승인하여, 협약은 이후 파기 되었고, 이후 2005년 클린턴 행정부 관료는 북한이 국제 협약후 몇년안에 붕괴될것을 예상하여 협약을 한것이었다.[1] 라고 북미 협약의 숨어있던 배경을 언론에 보도 하였다. 미국의 북한에 대한 중유 공급 역시도 지속 늦춰져서, 북한의 에너지와 경제 난은 가중되었고, 북미간 국제 협약은 실행에 어려움이 지속되었다.[2] 경수로 건설 책임자 스티븐 보즈워스 (Stephen Bosworth)은, 미국 의회의 경수로 자금 불허로, 북미 협약이 추진될 힘을 잃었다고 비판하였다.[3] 목차 1 제네바 합의의 배경 2 제네바 합의 의 공개 및 비공개 전문 3 제네바 합의 이후 4 조약 위반 4.1 미국의 조약 위반 4.2 북한의 조약 위반 4.3 결과 5 제네바 합의 실패의 원인 6 같이 보기 7 각주 제네바 합의의 배경[편집] 1989년 미국 정찰위성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변 원자력 연구소의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을 확인하고,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하면서 북미간 군사적 충돌 위기가 고조되었다. 지미 카터 미국 전대통령이 개인자격으로 방북[4]해 북미간 제네바기본합의서가 극적으로 타결되었다. 제네바 합의 의 공개 및 비공개 전문[편집] 미합중국(이하 미국의 호칭) 대표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으로 호칭) 대표단은 1994. 9. 23부터 10. 21.까지 제네바에서 한반도 핵문제의 전반적 해결을 위한 협상을 가졌다.[5][6] 양측은 비핵화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994. 8. 12. 미국과 북 한 간의 합의 발표문에 포함된 목표의 달성과 1993. 6. 11. 미국과 북한 간 공동발표문 상의 원칙과 준수가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 양측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취하기로 결정하였다. 1. 양측은 북한의 흑연감속 원자로 및 관련시설을 경수로 원자로발전소로 대체하기 위해 협력한다. 1) 미국 대통령의 1994. 10. 20.자 보장서한에 의거하여 미국은 2003년을 목표시한으 로 총발전용량 약2,000MWe의 경수로를 북한에 제공하기 위한 조치를 주선할 책임을 진다. - 미국은 북한에 제공할 경수로의 재정조달 및 공급을 담당할 국제 콘소시엄을 미 국의 주도하에 구성한다. 미국은동 국제 콘소시엄을 대표하여 경수로 사업을 위한 북한과의 주 접촉선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은 국제콘서시엄을 대표하여 본 합의문 서명 후 6개월 내에 북한과 경수로 제공을 위한 공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한다. 계약 관련 협의는 본 합의문 서명 후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 개시한다. - 필요한 경우 미국과 북한은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을 위 한 양자협정을 체결한다. 2) 1994. 10. 20.자 대체에너지 제공 관련 미국의 보장서한에 의거 미국은 국제콘서시 엄을 대표하여 북한의 흑염감속원자로 동결에 따라 상실될 에너지를 첫번째 경수로 완공시까지 보전하기 위한 조치를 주선한다. - 대체에너지는 난방과 전력생산을 위해 중유로 공급된다. - 중유의 공급은 본 합의문 서명 후 3개월 내 개시되고 양측간 합의된 공급일정 에 따라 연간 50만톤 규모까지 공급된다. 3) 경수로 및 대체에너지 제공에 대한 보장서한 접수 즉시 북한은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을 동결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해체한다. - 북한의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의 동결은 본 합의문서후 1개월 내 완전 이행된다. 동 1개월 동안 및 전체 동결기간 중 IAEA가 이러한 동결 상태를 감 시하는 것이 허용되며, 이를 위해 북한은 IAEA에 대해 전적인 협력을 제공한다. - 북한의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의 해체는 경수로 사업이 완료될 때 완료 된다. - 미국과 북한은 5MWe 실험용 원자로에서 추출된 사용 후 연료봉을 경수로 건 설기간 동안 안전하게 보관하고 북한 내에서 재처리하지 않는 안전한 방법으로 동 연료가 처리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상호 협력한다. 4) 본 합의후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미국과 북한의 전문가들은 두 종류의 전문가 협의를 가진다. - 한쪽의 협의에서 전문가들은 대체에너지와 흑연감속원자로의 경수로로의 대체와 관련된 문제를 협의한다. - 다른 한쪽의 협의에서 전문가들은 사용 후 연료 보관 및 궁극적 처리를 위한 구체적 조치를 협의한다. 2. 양측은 정치적, 경제적 관계의 완전 정상화를 추구한다. 1) 합의 후 3개월 내 양측은 통신 및 금융거래에 대한 제한을 포함한 무역 및 투자 제한을 완화시켜 나아간다. 2) 양측은 전문가급 협의를 통해 영사 및 여타 기술적 문제가 해결된 후에 쌍방의 수도에 연락사무소를 개설한다. 3) 미국과 북한은 상호 관심사항에 대한 진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양국관계를 대사급 으로까지 격상시켜 나아간다. 3. 양측은 핵이 없는 한반도의 평와와 안전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1) 미국은 북한에 대한 핵무기를 불위협 또는 불사용에 관한 공식 보장을 제공한다. 2)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일관성있게 취한다. 3) 본 합의문이 대화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에 북한은 남북대화에 착수한다. 4. 양측은 국제적 핵비확산 체제 강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 1) 북한은 핵비확산조약(NPT) 당사국으로 잔류하며 동 조약상의 안전조치협정 이행을 허용한다. 2) 경수로 제공을 위한 계약 체결 즉시 동결 대상이 아닌 시설에 대하여 북한과 IAEA간 안전조치 협정에 따라 임시 및 일반사찰이 재개된다. 경수로 공급계약 체 결시까지 안전조치의 연속성을 위해 IAEA가 요청하는 사찰은 동결 대상이 아닌 시설에서 계속된다. 3) 경수로 사업의 상당 부분이 완료될 때, 그러나 주요 핵심 부품의 인도 이전에 북 한은 북한내 모든 핵물질에 관한 최초보고서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IAEA와의 협의를 거쳐 IAEA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모든 조치를 취하 는 것을 포함하여 IAEA 안전조치협정(INFCIRC/403)을 완전히 이행한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석대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교부 제1부부장 강석주 미합중국 수석대표 미합중국 본부대사 로버트 갈루치 Delegations of the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eld talks in Geneva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1, 1994, to negotiate an overall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sides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attaining the objectives contained in the August 12, 1994 Agreed Statement between the U.S. and the DPRK and upholding the principles of the June 11, 1993 Joint Statement of the U.S. and the DPRK to achieve peace and security o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The U.S. and DPRK decided to take the following actions for the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I. Both sides will cooperate to replace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th light-water reactor (LWR) power plants. 1) In accordance with the October 20, 1994 letter of assurance from the U.S. President, the U.S. will undertake to make arrangements for the provision to the DPRK of a light-water reactor project with a total generating capacity of approximately 2,000 MW(e) by a target date of 2003. The U.S. will organize under its leadership an international consortium to finance and supply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to be provided to the DPRK. The U.S., representing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will serve as the principal point of contact with the DPRK for the LWR project. The U.S., representing the consortium, will make best efforts to secure the conclusion of a supply contract with the DPRK within six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for the provision of the LWR project. Contract talks will begin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date of this document. As necessary, the U.S. and the DPRK will conclude a bilateral agreement for cooperation in the field of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2) In accordance with the October 20, 1994 U.S. letter of assurance from the U.S. President, the U.S., representing the consortium, will make arrangements to offset the energy foregone due to the freeze of the DPRK's graphite moderated reactors, pending completion of the first LWR unit. Alternative energy will be provided in the form of heavy oil for heating and electricity production. Deliveries of heavy oil will begin within three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and will reach a rate of 500,000 tons annually, in accordance with an agreed schedule of deliveries. 3) Upon receipt of U.S. assurance for the provision of light-water reactor and for arrangements for interim energy alternatives, the DPRK will freeze its graphite 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and will eventually dismantle these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The freeze on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ll be fully implemented within one month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During this one-moth period, and throughout the freeze, the IAEA will be allowed to monitor this freeze, and the DPRK will provide full cooperation to the IAEA for this purpose. Dismantlement of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ll be completed when the LWR project is completed. The U.S. and DPRK will cooperate in finding a method to store safely the spent fuel from the 5 MW(e) experimental reac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LWR project, and to dispose of the fuel in a safe manner that does not involve reprocessing in the DPRK. 4)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date of this document U.S. and DPRK experts will hold two sets of experts talks. At one set of talks, experts will discuss issues related to alternative energy and the replacement of the graphite-moderated reactor program with the LWR project. At the other set of talks, experts will discuss specific arrangements for spent fuel storage and ultimate disposition. II. The two sides will move toward full normaliz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1) Within three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both sides will reduce barriers to trade and investment, including restrictions o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financial transactions. 2) Each side will open a liaison office in the other's capital following resolution of consular and other technical issues through expert level discussions. 3) As progress is made on issues of concern to each side, the U.S. and DPRK will upgrade bilateral relations to the Ambassadorial level. III. Both sides will work together for peace and security o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1) The U.S. will provide formal assurances to the DPRK, against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by the U.S. 2) The DPRK will consistently take steps to implement the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3) The DPRK will engage in North-South dialogue, as this agreed framework will help create an atmosphere that promotes such a dialogue. IV. Both sides will work together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1) The DPRK will remain a party to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and will allow implementation of its safeguards agreement under the Treaty. 2) Upon conclusion of the supply contract for the provision of the LWR project, ad hoc and routine inspections will resume under the DPRK's safeguards agreement with the IAEA with respect to the facilities not subject to the freeze. Pending conclusion of the supply contract, inspections required by the IAEA for the continuity of safeguards will continue at the facilities not subject to the freeze. 3) Whe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WR project is completed, but before delivery of key nuclear components, the DPRK will come into full compliance with its safeguards agreement with the IAEA(INFCIRC/403), including taking all steps that may be deemed necessary by the IAEA, following consultations with the Agency with regard to verifying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the DPRK's initial report on all nuclear material in the DPRK. Kang Sok Ju Head of the Delega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irst Vice-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obert L. Gallucci Head of the Delega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Ambassador at Larg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아래의 기존 내용은 비공식 내용을 포함한듯. 『미국과 북한 간의 `합의의 틀'과 관련하여 쌍방은 이 합의의 틀에 담겨진 사항들의 이행에 참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양해사항과 정의에 합의했다.[7] 경수로 발전소 사업은 각기 약 1,000㎽/E의 발전용량을 갖는 2기의 기존 원자력 발전소를 대체하는 경수로 발전소로 구성된다. 제2호 원자로의 준공은 제1호 원자로의 준공 후 약 1년 내지 2년 안에 이루어지는 것을 양해한다. 미국 기업이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미국과 북한은 그러한 부품의 공 급이 이루어지기 전에 평화적 핵협력을 위한 쌍무협정을 체결하기로 한다. 그 같은 협정은 경수로 사업의 상당한 부분이 이행되기 전에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북한의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의 동결조치에는 다음의 사항들이 포함된다. 5㎽/E급 시험용 원자로의 연료 재장전 및 가동 금지 50㎽/E 및 200㎽/E급 원자로의 건설 중지 (사용 후 원료) 재처리 금지 방사화학실험실의 봉인 및 가동 중지 (핵)연료 가공 공장의 가동 중지 북한은 더 이상의 흑연감속형 원자로와 관련 설비를 일체 건설하지 않는다. 이 합의문 서명 후 첫해 중 중유(발전 및 난방용)의 대북한 공급 스케줄은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3개월 이내 5만t 3개월 이후 1년 이내: 추가로 10만t 그 뒤 매년 50만t `합의의 틀'에 명시된 대로 경수로 발전소 의 상당 부분이 완성되었을 때 북한은 북한 내에 있는 모든 핵물질에 관한 북한의 최초보고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IAEA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추가적인 장소와 정보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해 안전조치협정을 전면적으로 이행하기로 한다. 이 양해각서와 `합의의 틀'에 언급된 `경수로 사업의 상당 부분'은 다음과 같이 해석하기로 한다. 경수로 사업을 위한 계약의 체결 경수로 부지의 준비와 굴착의 완료와 경수로 사업용 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 준비의 완료 선정된 경수로 부지에 건설할 공장의 최초 설계도면 완성 사업계획과 일정에 의거한 제1호 원자로의 주요 부품의 확정과 가공 사업 계획과 일정에 의거한 터빈과 발전기를 포함한 제1호 원자로용 비핵 주요부품의 인도 사업계획과 일정에 정해진 진도에 따른 제1호 원자로용 터빈 수용 건물 및 부속 건물의 완공 핵 증기공급 시스템용 부품 공급이 시작될 수 있을 단계까지의 제1호 원자로의 원자로용 건물과 그 부속건물의 완공 사업계획과 일정에 따른 제2호 원자로의 토목공사와 부품의 가공 및 인도 제1호 원자로가 완공되면 북한은 동결상태의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들의 해체에 착수하며 그 같은 해체작업은 제2호 원자로가 준공될 때 완료하기로 한다. 북한의 동결된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의 해체는 그 설비의 해체나 파괴를 통하여 그 부품과 장비들이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호 원자로의 주요 핵심부품의 인도가 시작되면 북한으로부터의 사용 후 연료의 최종처리를 위한 국외 반출을 개시하여 제1호 원자로가 준공될 때 완료하기로 한다.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기술적 및 안전상의 고려가 요구되는 기간 안에 북한은 최종적 국외 반출을 가능하게 할 사용 후 연료 보관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이행하기로 한다. 이 양해각서와 `합의의 틀'에서 언급되는 `주요 핵심부품'은 핵공급그룹(N UCLEAR SUPPLIERS GROUP)의 수출통제품목(EXPORT TRIGGER LIST)에 의하여 통제되는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북미간의 외교 관계를 정상화 하며, 상호간에 특사 파견등을 진행한다. 또한 무역 및 경제 장벽을 해소 하도록 한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공식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을 통해서 미국이 북한에 대한 위협이나 핵무기를 통한 공격을 하지 않도록 하는것을 약속한다. 제네바 합의 이후[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네바합의이후 NPT에 복귀하고 핵발전 시설을 동결하였다. 지미 카터 전미국 대통령은 8년 동안 북한의 핵 발전 시설을 가동 중단할수 이었던 제네바 합의는 어느정도 성공적인 국제 합의 였다고 회상하였다. 그러나 미국 의회는 북한과의 국제적 합의는 공산국가인 북한에 대한 회유책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며, 북한에 대한 경수로 발전소 개발 자금을 불허하고, 경수로 발전소는 2001년까지 7년이상 지연되었다.[8] 당시 북미간 국제 합의는 민주당 클린턴 정권이 지미 카터 전대통령을 특사로 보내서 체결 하였지만, 정치적 공세를 하는 야당인 미국 공화당이 의회의 다수당이었기에, 실제로 의회의 자금 승인을 받아서 국제 협약을 미국이 이행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3] 이후, 한·미·일이 참여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설립해 경수로 원자로를 짓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200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원심분리 방식의 핵무기 개발사실을 시인하면서 2차 핵위기가 발생해 경수로건설은 중단되고 미국의 중유지원도 중단되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NPT를 탈퇴하고 핵시설을 가동하기 시작해 제네바합의는 파기되었다. 조약 위반[편집] 미국의 조약 위반[편집] 북미관계 정상화 와 제네바 합의에 기록된 북미간의 평화협정을 미국이 거부하였다. 이유는 미국에서 제네바 합의를 체결한 미국 민주당 클린턴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의회의 다수당을 차지하는 미국 공화당은 평화협정 체결은 북한을 비롯한 중국, 러시아등 공산국가 대한 비겁한 회유책이라고 판단하여,[9] 북미 평화협정 체결을 강력하게 반대했다.[10] 북한에 대한 위협중단 하는, 공식적인 평화 협정 체결를 반대하며, 미국이 합의를 위반했다. 북한이 말하는 위협중단이란 한미연합훈련의 영구적 중단을 말한다. 하지만 미국과 한국은 북한의 침략을 가정한 훈련을 지속했다. 북한에 대한 핵무기사용 중단, 미국이 합의를 위반했다. 비록 제네바 합의 핵심 이행 사항이었지만, 한국에 대한 핵우산 중단을 선언하는 것에 미국 의회 는 반대했다. 북한의 조약 위반[편집] 미국의 제네바 합의에 대한 약속 이행이 늦어지면서, 5년이 지난 시점이후에 영변 원자력 연구소의 흑연감속로인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의 가동중단을 다시 가동을 시작하여 북한이 합의를 위반했다. .[11] 조약 사항에 대한 한반도 비핵화선언 시행에 대해서 북한이 합의를 적극적으로 이행하지 않았다. 폐연료봉 재처리 금지에 대한 조약에 대해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 이후 5년 이상 미국의 약속 불이행을 비판하였고, 1999년 이후 북한 합의를 위반했다. 결과[편집] NPT에 잔류 하기로한 북한은 2003년 1월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이라는 비난조치에 대해서, 북한은 NPT 를 탈퇴 하였다 IAEA 사찰 수용에 대해서 북한은 사찰을 거부하였다. 제네바 합의 실패의 원인[편집] 제네바 합의의 핵심인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이행과제에 대해서, 미국 공화당은 북한과의 합의를 반대하여 핵심적인 경수로 발전 자금지원을 미국 의회 는 불허 하였다.[12]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낸 미국의 클린턴 행정부는 이후 북한이 경수로 프로젝트가 마쳐 지기 전에 붕괴 될것을 예상하여, 북한의 정권이 붕괴전까지 핵 개발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북한과 합의를 하였다고 북한의 김정일이 사망한 이후에 제네바 합의 배경을 실토하였다.[13] 미국의 경수로 발전소 지원을 위한 자금 지원의 미국 의회 불허등 약속 불이행에 대해서, 북한은 5년 이후 핵무기를 개발하였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신뢰가 없었고 이에 6자 회담을 고수하였으나 6자 회담 참가국들 중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을 통해 미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회담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채 회담을 위한 회담만 지속되었다. 미국은 북한 핵발전소의 대체 에너지인 중유의 북한 지원은 미국 의회의 반대에 따라서, 지속적인 지연이 발생하여 북한에 심각한 경제난 중 전력난이 야기 되었으며, 한국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대북 식량 지원등이 있었지만, 북한의 1990년 고난의 행군 기간동안 수만명의 북한 주민이 아사 당하는 처절한 고통을 받겠되었다. 제네바 합의의 핵심 당사자인 미국의 경수로 자금및 건설 지연이 되면서, 북한은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이후 시작 하였으며, 결국 양측의 신뢰구축은 실패했다. 2002년 미국은 제네바 합의를 비판하던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되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 일변도의 정책이 자리잡게 되었다. 제네바 합의는 북한이 주장하는 자체 적인 방어를 위한 핵무기와 관련된 합의 이며, 북한이 이런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하며 북한과 미국간의 대체 에너지 및 공식적인 북미간의 평화 협정 추진을 합의였다. 즉 제네바 합의내용중 실제적인 이행 사항으로 , 한미상호방위조약 및 한미간 군사훈련 중단등의 주장은 실제로 제네바 합의 내용에 명시적으로 기재 된것 이었다.[7] 이와 같은 상황을 둘러싸고 언론과 북한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제네바합의 붕괴의 책임이 어느 쪽에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제네바합의 붕괴에 대한 북한과 미국의 외교적 공방과 관찰자들의 논란 속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몇가지 사항은, 이 문제의 책임 소재를 양국 정부 차원으로 파악하고, 제네바 합의를 비판하는 미국 공화당주도로, 핵발전소의 대체 에너지인 경수로 발전소 자금 지원의 미국 의회 불허 이후, 북한의 핵개발 시인 파문, 그리고 미국 공화당 부시 행정부 등장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와 같은 지적에는 제네바합의 자체가 붕괴의 씨앗을 배태하고 있었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으나, 그것은 제네바합의의 의의를 과소평가하고 합의 붕괴를 사후적으로 합리화하는 논리라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14] 같이 보기[편집] 제네바 협정 - 1954년 협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한국의 재통일 한반도 평화 협정 한국전쟁 그랜드바겐 각주[편집] ↑ Kessler, Glenn (2005년 7월 13일). “South Korea Offers To Supply Energy if North Gives Up Arms”. Washingtonpost.com.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http://www.globalsecurity.org/wmd/library/report/gao/rc00020t.pdf#page=5 ↑ 가 나 Behar, Richard (2003년 5월 12일). “Rummy's North Korea Connection What did Donald Rumsfeld know about ABB's deal to build nuclear reactors there? And why won't he talk about it?”. 《CNN Money》. 2007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 http://100.naver.com/100.nhn?docid=15053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제네바합의문 전문 (국, 영문)-1994. 10. 21 - 평화군축센터”. 2004년 2월 5일. 2019년 3월 1일에 확인함.  ↑ “Wayback Machine” (PDF). 2003년 12월 17일. 2019년 3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Agreed Framework of 21 October 1994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DF). IAEA. 1994년 11월 2일. INFCIRC/457. 2003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31416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PBS. 2009년 5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perle”. PBS. 2003년 3월 27일.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http://www.globalsecurity.org/wmd/library/report/gao/rc00020t.pdf#page=5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PBS. 2009년 5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Kessler, Glenn (2005년 7월 13일). “South Korea Offers To Supply Energy if North Gives Up Arms”. Washingtonpost.com.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통일문제연구, 제15권1호(2003년 상반기), pp. 1-26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미사일 실험 1993년 2006년 2009년 2013년 2014년 2017년 8월 29일 2019년 핵 실험 2006년(1차) 2009년(2차) 2013년(3차) 2016년 1월(4차) 2016년 9월(5차) 2017년(6차) 관련 주제 연표 원자력 발전 제네바 합의 6자 회담 조일평양선언 대북 제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2017~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기 유엔 대북 해상제재 시설 풍계리 핵 실험장 녕변 원자력 연구소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UN 안보리 결의안 제825호 제1695호 제1718호 제1874호 제1928호 제1985호 제2087호 제2094호 제2270호 제2321호 제2371호 제2375호 제2397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네바_합의&oldid=24190072" 분류: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199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핵문제1994년 남북 관계1994년 10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فارسی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네바 합의(-合意)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이 1994년 10월 21일 맺은 외교적 국제 합의이다. 이 합의는 2003년 전격적으로 파기되었다. '북한과 미국간에 핵무기 개발에 관한 특별계약', 영어 정식 명칭은 'Agreed Framework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며 짧게 'Agreed Framework라고 부른다. 북한의 핵개발 포기의 대가로 북미수교, 북미간 평화협정, 북한에 대한 경수로 발전소 건설과 대체 에너지인 중유 공급을 주 내용으로 한다. 미국 의회는 경수로 발전소 건설자금을 비승인하여, 협약은 이후 파기 되었고, 이후 2005년 클린턴 행정부 관료는 북한이 국제 협약후 몇년안에 붕괴될 것을 예상하여 협약을 한 것이었다.라고 북미 협약의 숨어있던 배경을 언론에 보도 하였다. 미국의 북한에 대한 중유 공급 역시도 지속 늦춰져서, 북한의 에너지와 경제 난은 가중되었고, 북미간 국제 협약은 실행에 어려움이 지속되었다. 경수로 건설 책임자 스티븐 보즈워스 (Stephen Bosworth)은 미국 의회의 경수로 자금 불허로, 북미 협약이 추진될 힘을 잃었다고 비판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계속해서 핵을 만드려고 탈퇴한 조약이 뭐야? Assistant: NPT
Human: 아래 도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우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도교 道敎 “ 도를 도라 부르면 이미 도가 아니다. 이름 부를 수 있으나 언제나 그 이름은 아니다. ”   — 《도덕경》 기본교의 도 덕 무극 태극 음양 오행 기 내단술 무위 수행과 의식 적선 벽곡 조식 도인 방중 복이 내사 좌망 재초 인물 황제 노자 장자 열자 장도릉 장각 갈홍 진단 구겸지 신선 삼청 원시천존 영보천존 도덕천존 옥황상제 서왕모 동왕공 현천상제 보생대제 주생랑랑 월로 삼관대제 삼태자 이랑신 팔선 관성제군 마조 문창제군 재신 종규 성황 토지공 구황대제 황대선 구천현녀 청룡 백호 주작 현무 황제 상아 제천대성 역사와 종파 태평도 오두미도·천사도 상청 영보파 전진교 정일도 오류파 경전 노자 도덕경 장자 열자 도장 정통도장 속장 성지 태산 동천 봉래산 지역별 베트남 싱가포르 일본 중국 한국 사상 의식 홍콩 v • d • e • h 도교(道敎, 영어: T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1]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 도교 사원으로서의 도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 · 여도사의 체제를 갖춘 교단 도교(敎團道敎) 또는 성립 도교(成立道敎)와 이에서 벗어난 도교 단체 또는 도교 신앙을 통칭하는 민중 도교(民衆道敎)로 구분한다. 현세이익적인 면도 있지만 수행을 통해 신선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교단 도교에 비해 민중 도교는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도교의 창시자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의 창시자인 후한(25~220)시대의 장도릉(34~156)으로 알려져 있다. "도교"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로, 구겸지는 도교를 집대성한 사람 또는 최초의 교단 도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2]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통치자인 황제(黃帝)와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老子)를 신봉한다고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 또는 황로교(黃老教)라고도 한다. 노자와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한 도가(道家)사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목차 1 개설 2 역사 3 경전 4 도교의 신 5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 6 한국의 도교 6.1 삼국 시대 6.2 고려 6.3 조선 7 함께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개설[편집]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는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질 정도이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나,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중국의 민간 신앙으로서의 도교는 중국인의 신앙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즉 중국인은 어떤 종교를 믿든지 그 기본 신앙에는 도교적인 요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교도 여러 가지 파가 있다. 그중에 천사도는 장씨가 교주를 세습하여 현재 대만에도 천사도의 마지막 교주가 생존하고 있다. 신선 · 연단 · 불로장생 · 옥황상제 등을 믿는다. 불교와 교류하면서 서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도교는 엄밀하게 말하면, 신선사상에 중국의 민간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들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에서는 도교와 신선도를 흔히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 · 약학 · 화학 · 연금술(鍊金術)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眞人) · 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교는 현세의 이익을 전적으로 하여 농민 폭동과도 관련을 맺어 송나라 이후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보권(寶卷)》 《공과격(功過格)》 등의 책이 나타났다. 역사[편집] 용호산(龍虎山) 후한(25-220) 말기에 성립된, 장도릉(34-156)을 개조로 하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가 도교의 원류이다. 장도릉의 자손은 장시 성의 용호산(龍虎山)에서 정일교를 개교하였다. 서진(265-317)의 재상의 딸인 위화존(魏華存: 3세기말-4세기)은 모산파 또는 상청파를 열었다. 동진(317-420) 시대에 갈홍(283-c.343)은 《포박자》를 지어 일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 민간신앙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에 이르러 교단도교(敎團道敎)로 확립되어 국가적 종교로 불교와 대립했다.[2] 양나라(502-557)의 도홍경(452-536)은 모산파를 대성하였다. 당(618-907) · 송(960-1279) 시대에는 조정의 지지를 얻어 도교가 성행하였다. 이후 도사들이 퇴폐풍조를 초래하여서 금나라(1115-1234) 때는 혁신 운동이 일어나 전진도(全眞道) · 태일도(太一道) · 진대도(眞大道)의 세 파가 발생하였다. 경전[편집] 도교의 경전으로는 불교의 대장경에 해당하는 도장(道藏)이 있다. 현재의 도장은 5,305권의 《정통도장(正統道藏)》과 180권의 《속장(續藏)》을 합하여 총 5,48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통도장》은 동현(洞玄) · 동진(洞眞) · 동신(洞神)의 "삼동(三洞)"과 태현(太玄) · 태평(太平) · 태청(太淸) · 정일(正一)의 "사보(四輔)"로 구성된 삼동사보(三洞四輔: 세 개의 중심부과 네 개의 보완부)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2] 이러한 구성 체계는 당시에 중국의 한역(漢譯) 불교경전이 체계화되던 것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으로 삼동(三洞)은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 성립되었고 사보(四輔)는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성립되었다.[2] 도교의 신[편집] 용을 타고 있는 세 신선:E. T. C. 베르너, 《중국의 신화와 전설》, 1922 도교는 다신교이다. 도교의 최고신("天尊 · 천존")은 하나인 도(道)의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 · 상청(上清) · 태청(太清)의 삼청(三清 · Three Pure Ones)이다.[1] 옥청은 원시천존(元始天尊), 상청은 영보천존(靈寶天尊) 또는 태상도군(太上道君), 태청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 불린다.[1] 하나인 도(道)가 삼청의 신 또는 신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일기화삼청(一炁化三清: 하나의 기운이 세 가지 맑음으로 나타나다)"이라고 한다.[1] 삼청 (三清 · Three Pure Ones) 원시천존 (元始天尊 · Yuanshi Tianzun)태초의 시작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Primordial Beginning) 영보천존 · 태상도군 (靈寶天尊 · 太上道君 · Lingbao Tianzun)영험한 보석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Numinous Treasure) 도덕천존 · 태상노군 (道德天尊 · 太上老君 · Daode Tianzun)길과 덕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Way and its Virtue) 사어 (四御 · Four Emperors) 옥황상제 · 옥황대제 (玉皇大帝 · Jade Emperor · Yu Huang) 중천자미북극대제 (中天紫微北極大帝 · Beiji Dadi) 구진상궁천황대제 (勾陳上宮天皇大帝 · Tianhuang Dadi) 후천황지기 (后土皇地祇 · Empress of Earth) 팔선 (八仙 · Eight Immortals) 종리권 (鍾離權 · Zhongli Quan) 이철괴 (李鐵拐 · Tie Guaili · Iron-Crutch Li) 한상자 (韓湘子 · Han Xiangzi) 조국구 (曹國舅 · Cao Guojiu · Royal Uncle Cao) 여동빈 (呂洞賓 · Lu Dongbin) 장국로 (張國老 · Zhang Guolao · Elder Zhang Guo) 남채하 (藍采和 · Lan Caihe) 하선고 (何仙姑 · He Xiangu · Immortal Woman He) 서왕모(西王母 · Xi Wangmu) 동방동극청화대제태을구고천존 서방태극천황대제 남방남극장생대제옥청진왕: 원시천존의 9번째 아들 북방북극중천자미대제 승천효법후토황지지 남방남극관음 동방숭은성제 3도10주선옹동화대제군 북방북극현령두모원군 중앙황극황각대선 금광성모 항아 탁탑천왕 나타 이랑진군 토지공 태산대제 뇌공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편집] 도교는 본래 민간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중국의 자연 종교(自然宗敎)이다. 도교는 정령 숭배를 기반으로 하여 신선 사상(神仙思想)을 중심으로 삼고, 거기에 도가(道家) · 역(易) · 음양오행(陰陽五行) · 복서(卜筮) · 참위(讖緯) · 점성(占星) 등의 사상 및 이론과 무격(巫覡: 무당과 박수) 신앙을 가미하고, 다시 그 위에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떠 결합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주목적으로 하는 한편 수(壽: 장수) · 복(福: 오복) · 록(祿: 높은 벼슬)을 구하는 현세이익적인 자연 종교이다. 이 자연 종교로서의 도교는 후대에 종교 교단으로서의 체제와 조직을 갖추어 교단 도교(敎團道敎)가 되었다. 즉,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道藏)》, 도교 사원(寺院)으로서의 도관(道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道士) · 여도사(女道士)의 체제를 갖추어 성립적(成立的) 종교 또는 교단적 종교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대에 따라 도사들 간에 주장의 차이가 생겨나고 이에 따라 많은 분파(分派)가 생겼다. 1910년 경에는 중국에서 140여 개의 도교 종파가 있었다. 이 종파 종교를 성립 도교(成立道敎) 또는 교단 도교(敎團道敎)라 부르고 이에서 벗어난 도교 및 그 집단을 민중 도교(民衆道敎)라고 부른다. 민중 도교는 매우 강한 주술성을 보이며, 고타마 붓다 · 공자 · 관음보살 · 예수 그리스도 · 무함마드 · 관우(關羽) · 토지신 등에 대한 개인적인 신앙을 토대로 형성된 보권(寶卷) 계통의 성격을 띤 종교이다. 민중 도교에 속하는 분파 또는 단체로는 무위교(無爲敎) · 원돈교(圓頓敎) · 홍양교(弘陽敎) · 선천교(先天敎) · 구궁도(九宮道) · 금단팔괘도(金丹八卦道) · 일관도(一貫道)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다. 한국의 도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도교입니다. 삼국 시대[편집] 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기원후 624년의 고구려(BC c.37-AD 668) 영류왕(재위 618-642) 7년 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당나라에서는 천존상(天尊像) · 도법(道法)과 함께 도사(道士)를 파견하였다. 파견된 도사는 노자(老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 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다. 이듬해인 625년에는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와 도교의 교법을 배워왔다. 고구려의 도교와 관련된 다른 기록으로는 643년과 650년의 기록이 있다. 643년의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 2년에는 당시의 실권자인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叔達)을 포함한 도사 8명과 함께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을 보냈다. 고구려 조정에서는 한 사찰에 이들 파견된 도사들이 거처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불교 사원을 도교의 사원인 도관(道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50년의 고구려 보장왕 9년에는 수도인 평양에 있던 반룡사(盤龍寺)의 승려 보덕(普德)이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하여 불교가 쇠퇴하자 이러한 상황을 개탄하며 백제로 옮겨가 전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의 교의를 강론하였다.[3] 이와 같이 고구려에서는 일시적으로 도교를 매우 숭상하였다. 고구려 말기에 융성했던 도교는 《삼국유사》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의 고려본기에서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오두미도였는데, 장도릉이 창시한 최초의 오두미도가 아니라 상당히 수정되고 발전된 형태의 것이었다. 신라(BC 57-AD 935)는 당나라와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였으므로 도교가 상당히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術聖母)를 일명 선도성모(仙桃聖母)라 하여 후세에 여선(女仙)으로 숭배한 일이 있으며, 국가의 제사에 오악신(五岳神)을 받들어 어느 정도 도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는 기록은 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金可紀: ?~859) · 최치원(崔致遠: 857~?) 등은 도교 혹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편집] 고려(918-1392)에 들어와서는 도교를 중시하는 송나라(960-1279)의 풍습이 조금씩 전래하다가 예종(재위 1105-1122) 때에 송나라 휘종(재위 1100-1125)이 도사 두 명을 보내어 도법을 전하였고, 이에 고려에서는 개성(開城)의 북쪽에 복원관(福源觀)이라는 도관(道觀)을 세워 삼청상(三淸像)을 모시고 도사(道士)를 두었다. 그러나 도교는 국가 중심의 도교 의식에 그치고 일반 민중의 종교적 발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성신(星辰)에 대한 신앙, 부적(符籍)의 사용, 경신(庚申)을 지키는 것 등만이 대중화되었다. 도교에서 행하는 제사 및 기도 의식을 재초(齋醮)라고 하는데, 고려에서는 정사색(淨事色)이란 마을이 있어서 여기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편집] 조선에서는 고려의 뒤를 이어 도교의 재초를 행였지만 복원관을 비롯한 여러 재초 거행 장소를 폐지하고 경복궁의 북쪽에 소격서(昭格署)를 한 군데만 두었다. 소격서에 태일전(太一殿) · 삼청전(三淸殿) 등을 세우고 천존(天尊) · 성군(星君) · 신장(神將) 등 수백위(數百位)를 모셔 놓고 때때로 재초를 거행하였다. 지금의 삼청동(三淸洞) · 성제정(星祭井) · 소격동(昭格洞)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는 그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단학(丹學)과 선풍(仙風) 및 도교에서 유래한 풍습이 전대(前代)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나라의 군사들에게서 배운 관우(關羽) 숭배 등이 유행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종교 불교 도장 도안: 도장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불교 승려 손자병법 - 도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VS 오자병법 - 유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역사 > 한국도교의 역사〔개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교 ↑ 가 나 다 라 “道教的神仙系譜” (중국어). 道教全球資訊網. 2009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도교의 성립〉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열반종〉 vdeh종교주요 종교아브라함 계통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바하이교 영지주의 다르마 계통 불교 힌두교 시크교 자이나교 아이야바지교 도(道) 계통 도교 유교 선불교 천도교 원불교 증산도 이란 계통 조로아스터교 미트라교 야지디교 마니교 마즈다크교 신흥 종교 사이언톨로지교 천리교 코피미즘 선교 교회 까오다이교 증산도 현대 이교 통일교 라스타파리 운동 뉴에이지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마라도나교 디스코디어니즘 세이초노이에교 유니테리언주의 이쿠안타오교 전통 종교 및 민간 신앙 부두교 신토 인도 민간 신앙 중국 민간 신앙 마다가스카르 종교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아프리카-아메리카 종교 자바 섬 종교 폴리네시아 종교 필리핀 종교 한국 민간 신앙 호주 토착 종교 고대 종교선사시대 종교 구석기 시대 종교 선교 근동 지역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수메르 종교 고대 셈족 종교 고대 이집트 종교 인도-유럽 고대 그리스 종교 신화 밀의종교 신플라톤주의 고대 로마 종교 신화 태양신 숭배 황제 숭배 미트라교 고(古)발칸반도 종교 독일 이교 베다 힌두교 슬라브 종교 에트루리아 종교 켈트 다신교 하니피즘 유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다신교 범신론/만유신론 비신론 애니미즘/물활론/정령신앙 이신론 일신교/유일신교 초월신론 종교학 비교종교학 신학 이단 종교발달학 종교발생학 종교사학 종교사회학 종교심리학 종교연대표 종교이론 종교인류학 종교철학 창조주의 종교와 사회 개종 개종 권유 선교사 전도/포교 교파의 분리 국교 근본주의/원리주의 내셔널 교회 사이비 종교 성직자 수도 생활 성직자 임명 소수 종교 신권 정치 신파시즘과 종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예언자들 신자 통계 종교교육 종교들의 성장세 종교와 과학 종교와 동성애 종교와 정치 종교의 자유 보편주의 종교적 관용 종교적 다원성 종교혼합주의 종교적 광신 종교적 폭력 종교적 박해 종교적 테러리즘 종교전쟁 세속주의와비종교 무종교 무신론 반종교 불가지론 정교분리 세속화 세속신학 종교 비판/비평 탈구축과 종교 목록 대집회 목록 신 목록 신격화된 인물 목록 신흥 종교 목록 종교 단체 및 조직 목록 종교 및 영적 전통 목록 종교 창시자 목록 종교학자 목록 전거 통제 LCCN: sh85132392 GND: 4059039-2 BNF: cb119335922 (데이터) NDL: 005616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교&oldid=24059420" 분류: 도교도 계통의 종교동아시아의 문화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도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贛語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교(道敎, 영어: Taoism, D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중국의 민족 종교로, 신선 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도 계통의 종교이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 도교 사원으로서의 도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 · 여도사의 체제를 갖춘 교단 도교 또는 성립 도교와 이에서 벗어난 도교 단체 또는 도교 신앙을 통칭하는 민중 도교로 구분한다. 현세이익적인 면도 있지만 수행을 통해 신선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교단 도교에 비해 민중 도교는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도교의 창시자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의 창시자인 후한(25~220)시대의 장도릉(34~156)으로 알려져 있다. "도교"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로, 구겸지는 도교를 집대성한 사람 또는 최초의 교단 도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통치자인 황제와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老子)를 신봉한다고 하여 황로 사상 또는 황로교라고도 한다. 노자와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 사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가와 도교는 어느관계라고 말할 수있어? Assistant: 사상과 신앙의 관계 Human: 아래 카자흐스탄_텡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자흐스탄 텡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자흐스탄 텡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자흐스탄 텡게 Қазақ теңгесі (카자흐어)Казахский тенге (러시아어) 200 텡게 (새 디자인) 5, 10, 20, 50과 2,000 텡게 (구 디자인) ISO 4217 코드 KZT 중앙은행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웹사이트 www.nationalbank.kz 사용국 카자흐스탄 인플레이션 5.950% p.a. (2012년 2월 1일 현재) 출처 Basic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homepage 보조단위 1/100 tïın (тиын) 기호 , ₸ 복수형 이 통화의 언어는 형태학적 복수 구분이 없다. 동전 자주 사용됨 1, 2, 5, 10, 20, 50, 100 텡게 지폐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텡게 텡게 (카자흐어: теңге)는 카자흐스탄의 통화이다. 텡게는 100 틴(тиын, 물론 tiyin이나 tijn으로도 번역됨)으로 나뉘어 있다.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에 1 텡게 = 500 루블의 비율로 소련 루블을 대체하고 새로운 카자흐스탄의 화폐로 도입되었다. ISO 4217 부호는 KZT 이다. 카자흐어와 대부분의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텡게"라는 단어는 여러개의 체중계를 의미한다. 단어의 기원은 균형, 평등을 뜻하는 터키어 teğ- 이다. 화폐의 이름은 따라서 리라, 파운드, 페소와 유사하다. 화폐의 이름은 러시아어 단어로 돈을 뜻하는 러시아어: деньги / den’gi 와 관계가 있는데, 이 러시아 단어는 터키어에서 빌려왔다. 목차 1 역사 2 동전 3 지폐 3.1 2006년 지폐 4 인플레이션율 5 출처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자흐스탄은 독립국가연합 중 자국 통화를 가장 늦게 도입한 나라 중 하나다. 1991년 디자이너 멘디베이 알린(Mendybay Alin), 티무르 술레이메노프(Timur Suleymenov), 아심살리 두젤하노프(Asimsaly Duzelkhanov)와 하이룰라 갑잘리노프(Khayrulla Gabzhalilov)로 구성된 "특별 조직"이 창립되었고, 1993년 11월 12일,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의 권한으로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 통화 도입에 관한 법령"이 공포되었다. 결국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부터 유통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로, 11월 15일은 "카자흐스탄 공화국 법정 통화의 날"로 지정 되었다. 1995년 텡게를 인쇄하는 공장이 처음으로 열렸다. 텡게의 첫 위탁은 해외인 영국에서 인쇄되었다. 첫 동전은 독일에서 주조되었다. 새 기호 나브루즈 휴일 이틀 전인 2007년 3월 20일,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텡게의 그림 기호를 승인하였다..[1] 동전[편집] 1, 2, 5, 10, 20, 50, 100 텡게 동전 1993년, 동전은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텡게의 종류로 도입되었다. 50 텡게는 1997년에 도입되었고, 2002년에 200 텡게, 2005년에는 2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동전은: 1 텡게 (황동) 2 텡게 (황동) 5 텡게 (황동) 10 텡게 (황동) 20 텡게 (백동) 50 텡게 (백동) 100 텡게 (바이메탈 동전, 황동과 백동) 가 있다. 기념주화는 20, 50, 100, 500, 1000, 2500, 5000, 10000 텡게의 종류로 발행되었다. 지폐[편집] 1993년,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1,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50, 100, 200 텡게의 종류로 지폐를 발행했다. 이 지폐는 500 과 1000 텡게 지폐는 1994년에 도입되었고, 2000 텡게 지폐는 1996년, 1998년에는 5000 텡게, 2003년에는 10,000 텡게, 2016년에 20,000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지폐는 200 텡게 (구 디자인) 2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흐와자 아마드 야사비 (Khwaja Ahmad Yasavi) 영묘의 조각 1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2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10,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눈표범의 그림. 20,000 텡게 가 있다. 흥미 있게, 비록 (200 텡게 지폐를 제외한) 나머지 지폐 뒷면의 문자는 러시아어로 씌어 있으나, 200 텡게 지폐 뒷면의 문자는 카자흐어어로 씌어 있다. 2006년 지폐[편집] 새 2006년 10,000 텡게 디자인 (영어) 공식 사이트를 보시오.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새 지폐를 2006년 발행했다. 새 지폐는 이전에 있던 지폐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시리즈는 전 지폐보다 훨씬 더 이국적이다. 지폐의 앞면은 수직이고 액면 금액은 카자흐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에 걸친 주요 차이점은 색, 가치, 언더프린트 (underprint, 지폐나 우표 뒷면에 선전의 용도로 찍혀 있는 문자나 기호) 패턴 뿐이다. 그와는 반대로, 지폐의 뒷면은 좀 더 차별화 되었다. 액면 금액은 러시아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는 카자흐스탄 영토 내에 있는 그들만의 독특한 건물이나 자연을 나타낸다. 2006년에 발행된 2,000, 5,000 텡게 지폐의 초판 지폐는 "은행"이라는 단어를 잘못 철자했다(옳은 스펠링 "банкі"을 "банқі"로 잘못 철자했다). 틀린 철자는 카자흐스탄의 문화와 언어의 정치적 중요성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예민한 발행이었다.[2] 인플레이션율[편집] 년도 연인플레이션율 2001     6.4% 2002     6.6% 2003     5.7% 2004     7.9% 2005     9% 2006     8.6% 2007     18.8% 2008     9.5% 1000 tenge commemorative banknote for 2010 year - the Chairmanship of Kazakhstan in OSCE 현재 KZT 환율 구글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야후!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kr.Investing.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XE.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OANDA.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fxtop.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출처[편집] ↑ “보관 된 사본”. 200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3일에 확인함.  ↑ Kazakh central bank misspells ‘bank’ on money 외부 링크[편집] News from the National Bank of Kazakhstan (카자흐어/러시아어/영어) 텡게 2006 구소련의 동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통화 기호 (¤)유통 중 ؋ ₿ ฿ ₵ ¢ ₡ $ ₫ ֏ € ƒ ₲ ₴ ₭ ₾ £ / ₤ ₺ ₼ ₦ ₱ ៛ ₽ ₹ $ ₪ ৳ ₸ ₮ ₩ ¥ 옛 통화 ₳ ₢ ₰ DM ₯ ₠ ₣ ℳ ₥ ₧ ℛℳ ₷ vdeh유럽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유럽 연합 영국 파운드 스털링 불가리아 레프 크로아티아 쿠나 체코 코루나 덴마크 크로네 유로 지브롤터 파운드 헝가리 포린트 폴란드 즈워티 루마니아 레우 스웨덴 크로나 동부 벨라루스 루블 조지아 라리 몰도바 레우 러시아 루블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미승인)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남부 알바니아 레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환 마르카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 디나르 터키 리라 서부 페로 제도 크로나 건지섬 파운드 아이슬란드 크로나 저지섬 파운드 맨섬 파운드 노르웨이 크로네 스위스 프랑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아시아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텡게 키르기스스탄 솜 타지키스탄 소모니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우즈베키스탄 숨 동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마카오 파타카 일본 엔 대한민국 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몽골 투그릭 신 타이완 달러 북아시아 러시아 루블 남아시아 방글라데시 타카 부탄 뉘땀 인도 루피 부탄 몰디브 루피야 네팔 루피 파키스탄 루피 스리랑카 루피 미국 달러 영국령 인도양 지역 동남아시아 브루나이 달러 싱가포르 미얀마 짯 캄보디아 리엘 동티모르 센타부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루피아 라오스 킵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태국 밧 미국 달러 베트남 동 서아시아 압하지야 압사르 인정받지 못함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아르메니아 드람 아르차흐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바레인 디나르 이집트 파운드 가자 지구 유로 키프로스 조지아 라리 이란 리알 이라크 디나르 이스라엘 신 셰켈 팔레스타인 영토 요르단 디나르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쿠웨이트 디나르 레바논 파운드 아르차흐 드람 인정받지 못함 오만 리알 러시아 루블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카타르 리얄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시리아 파운드 터키 리라 북키프로스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예멘 리알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자흐스탄_텡게&oldid=24185093" 분류: 통화 기호유럽의 통화유통통화아시아의 통화카자흐스탄의 경제숨은 분류: 카자흐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оми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텡게(카자흐어: теңге)는 카자흐스탄의 통화이다. 텡게는 100 틴(тиын, 물론 tiyin이나 tijn으로도 번역됨)으로 나뉘어 있다.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에 1 텡게 = 500 루블의 비율로 소련 루블을 대체하고 새로운 카자흐스탄의 화폐로 도입되었다. ISO 4217 부호는 KZT이다. 카자흐어와 대부분의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텡게"라는 단어는 여러개의 체중계를 의미한다. 단어의 기원은 균형, 평등을 뜻하는 터키어 teğ-이다. 화폐의 이름은 따라서 리라, 파운드, 페소와 유사하다. 화폐의 이름은 러시아어 단어로 돈을 뜻하는 러시아어: деньги / den’gi 와 관계가 있는데, 이 러시아 단어는 터키어에서 빌려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카자흐스탄에서 기념주화로 발행한 동전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20, 50, 100, 500, 1000, 2500, 5000, 10000 텡게
Human: 아래 쓰쿠요미노_미코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쓰쿠요미노 미코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쿠요미노 미코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3월) 교토의 쓰쿠요미 사당신토 신앙 체계 가미 가구라 미소기 다신교 애니미즘 마츠리 신화 신토 사원(신사) 신사 목록 이치노미야 이십이사 근대 사격제도 신사본청 신사 건축 주요 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사루타히코 오카미 아메노 우즈메노 미코토 이나리 오미카미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 다케하야 스사노오노 미코토 츠쿠요미노 미코토 주요 문헌 《고사기》 《일본서기》 《풍토기》 《육국사》 《속일본기》 《고어습유》 《신황정통기》 《구사기》 기타 참조사항 일본의 종교 신토 용어집 일본 신화의 신 목록 일본 신화의 신물 목록 일본의 불교 에도 성리학 고신토 국가신토 일본의 요괴 목록 v • d • e • h 쓰쿠요미노 미코토(일본어: 月夜見尊)는 신토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신이다. 목차 1 신화에서의 기술 1.1 《고사기》 1.2 《일본서기》 1.2.1 신대기(神代紀) 1.2.2 겐조키(顯宗紀) 1.3 후토키(風土記) 1.4 만요슈(萬葉集) 1.5 그 밖의 문헌 2 쓰쿠요미의 한문 표기 3 쓰쿠요미의 이름 뜻 4 쓰쿠요미가 등장하는 작품 5 각주 6 같이 보기 신화에서의 기술[편집] 보통 달을 신격화한, 밤을 지배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신격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고사기》에서는 오노고로시마를 창조한 이자나기노 미코토(伊邪那伎命)가 요미노쿠니(黄泉国)으로부터 도망쳐서 부정한 것을 본 자신의 얼굴을 씻을 때에 그의 오른쪽 눈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며, 다른 한쪽의 눈으로부터 태어난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御神), 코에서 태어난 다케하야스사노오노미코토(建速須佐之男命)과 함께 미하시라노오즈노미코(三貴子)[1]를 이룬다. 반대로 《일본서기》는 《고사기》와는 반대로 왼쪽 눈에서 태어났다거나, 이자나기가 오른손에 갖고 있던 백동거울에서 완성된 모습으로 나왔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으며, 그 지배 영역도 하늘이나 바다 등 일정하지 않다. 태양을 상징하는 아마테라스와 대칭되는 존재로 태어난 점은 비교 신화학의 분야에서 볼 때 여러 지역의 신화에 같은 모티브가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의 반고(盤古)라는 거인의 전설을 담은 《오운역년기(五運歷年記)》에는, 반고가 죽어 그 왼쪽 눈은 태양이 되고 오른쪽 눈은 달이 되었다는 기원담이 있고, 그리스 신화에서도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쌍둥이 남매로 여겨진다. (다만, 아폴론은 원래는 태양신 헬리오스와는 다른 신으로, 양자가 동일시되기에 이른 것은 후대의 일이다.) 또, 《구약성서》 창세기에서는, 천지창조의 4일째에 신이 공중에 '두 개의 거대한 빛', 즉 태양과 달을 만들어내고 각각 낮과 밤을 맡게 하여 빛과 어둠을 나누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아마테라스와 쓰쿠요미의 탄생 또한 태양과 달이 대립을 이루어 탄생했다고 하는 온 세상에 공통되는 해와 달 기원담의 패턴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본 신화에서 쓰쿠요미노미코토는 아마테라스나 스사노오와 대등한 위치에 놓인 중요한 신으로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사기》, 《일본서기》의 신화에는 별로 등장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활약상이 부족하다. 다만 《일본서기》 제5단 제11에 인용된 '일서(一書)'에서 곡물의 기원을 말하면서 잠시 언급되는 정도이다. 이것은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라는 대조적 성격을 가진 두 신 사이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신'을 두어 균형을 맞추고자 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카미무스비노카미(高皇産靈尊)와 카미무스비노카미(神皇産靈神) 사이에 낀 아메노미나카누쓰노카미(天之御中主神), 호오리노 미코토(山幸彦)와 호데리노 미코토(海幸彦) 사이에 낀 호스세리노 미코토(火酢芹命) 등에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가리켜 일본 신화의 중공(中空) 구조라고 한다. 스사노오와는 지배 영역이나 에피소드가 일부 겹치는 것을 들어, 두 신이 동일인물이라 주창하는 사람도 있다. 《고사기》[편집] 《고사기》상권에는 이자나기의 오른쪽 눈을 씻었을 때에 태어나 아마테라스나 스사노오와 함께 '세 분의 귀한 신(三柱の貴き子)' 라고 불리며, '밤의 식국(食國)을 다스리라'는 명을 이자나기로부터 받았지만, 이 이후의 활약은 일절 없다. 그가 다스린 밤의 식국을 이자나미가 있는 요미노쿠니(夜見國)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일본서기》[편집] 신대기(神代紀)[편집] 《일본서기》 신대기의 제5단에서는, 본문에서 "햇빛에 버금가는 빛을 뿜는 달의 신을 낳아, 하늘에 보내어 태양과 함께 지배하는 존재로 삼았다." 고 간결하게 기록되고 있을 뿐이지만, 이어지는 권제1의 '일서'에 있는 다른 전승에는, 이자나기노 미코토가 왼손에 백동거울을 쥐고 오오히로노미코토(大日孁尊)을 낳고, 오른손에는 백동거울을 쥐고 쓰키유미노 미코토(月弓尊)를 낳았다고 적고 있다. 이때 지배 영역에 대해서는 아마테라스와 함께 하늘을 다스리라고 지시받은 이야기가 몇 가지 있는 한편, 일서 제6에는 '푸른 바다의 조수의 8백중을 다스리라'이라고 명받았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어(이것은 달이 밀물과 썰물, 조수 간만의 차를 지배하고 있다는 발상으로부터 온 것 같다), 세 신 탄생의 이야기가 서로 병렬하고 있다. 《일본서기》 제5단 제11의 일서에서는, 아마테라스와 쓰쿠요미는 서로 짝을 지어 함께 사다리로 올라가 하늘을 다스리도록 명을 받았지만, 천상에서 아마테라스로부터 우케모치노카미(保食神)와 만나도록 명령을 받은 쓰쿠요미가 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에 내려가 우케모치노카미가 있는 곳에 이르렀을 때에, 거기서 우케모치노카미는 쓰쿠요미를 대접하기 위해 머리를 돌려 땅으로 향하고서 입에서 밥을 꺼내고, 바다로 향해서 크고 작은 물고기들을, 산으로 머리를 돌려서는 동물들을 입에서 꺼내어 그것으로 상을 차려 내어왔으므로, 쓰쿠요미노 미코토는 이것을 보고 얼굴을 붉히면서 "더럽고 천박한 것. 어찌 감히 입에서 뱉어낸 것을 내게 주느냐?" 라고 화를 내며 그 자리에서 칼을 빼어 우케모치를 베어 죽여 버렸다. 아마테라스는 천상으로 돌아온 쓰쿠요미의 이런 행동을 그의 입을 통해 직접 전해 듣고 몹시 노해서 "그대는 정말 나쁜 신이로구나. 서로 보지 말자." 라고 하면서 쓰쿠요미와는 낮과 밤으로 서로 떨어지게 되었고 그 이후 태양과 달은 하루 하룻밤 멀리 떨어져 살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 신화가 전하는 낮과 밤의 기원이다.(여담으로 그 뒤 우케모치의 시체에서는 소나 말과 같은 가축, 누에, 벼 등이 태어났고, 이것이 곡물의 기원이 되었다고 《일본서기》는 전한다.) 하지만 《고사기》에서는 음식의 신 오오게쓰히메를 죽이는 것은 스사노오의 역할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원래는 몇 개의 독립된 신화로서 전해지던 것이 쓰쿠요미 한 명의 신과 관련된 에피소드로 합쳐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겐조키(顯宗紀)[편집] 쓰쿠요미는 신들이 떠난 세상에서 인간의 천황(天皇)이 지배하게 되었던 시대에도 나타났다. 《일본서기》 10권 5의 현종기 3년 봄 2월 정사 초하루 기사에는, 다카미무스비노카미를 자신의 선조라 칭하는 달의 신이 사람에게 빙의되어, "우리 달의 신에게 전지(田地)를 바치라. 만일 청한 대로 나를 받들면 경사가 있으리라." 라고 전했다는 것으로, 그 말대로 야마시로(山背) 국의 가즈노(葛野)군에 신사를 세워 이키(壱岐) 현주(縣主)의 선조 오시미노 스쿠네(押見宿彌)에게 제사를 받들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야마시로 국의 쓰쿠요미 신사(月讀神社)의 유래이며, 처음 달의 신이 나타났던 이키에도 쓰쿠요미 진쟈가 있는데 이것이 야마시로 국 쓰쿠요미 진쟈의 원궁(元宮)이라고 한다. 후토키(風土記)[편집] 《이즈모노쿠니후토키(出雲国風土記)》의 시마네(嶋根)군조에는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들로 보이는 '쓰쿠즈미노미코토(都久豆美命)'라는 신이 등장한다. 千酌の驛家, 郡家の東北のかた一十七里一百八十歩なり. 伊佐奈枳命の御子, 都久豆美命, 此處に坐す. 然れば則ち, 都久豆美と謂ふべきを, 今の人猶千酌と號くるのみ.치쿠미(千酌)의 역가(驛家)는 군가(郡家)의 동북쪽으로 17리 180보 되는 곳에 있다.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드님이신 쓰쿠즈미노 미코토(都久豆美命)께서 이곳에 정좌하셨다. 그러므로 즉 쓰쿠즈미라 이르는 것인데 지금 사람들은 치쿠미라고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쓰쿠쓰미'는, 와다쓰미(일본어: 海神)나 야마쓰미(일본어: 山神)의 경우처럼 '달의 신령(쓰쿠쓰미)'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야마시로노쿠니후토키(山城國風土記)》의 '계리(桂里)'조에서도, 쓰쿠요미노 미코토(月讀尊)가 아마테라스의 칙을 받아 일본의 토요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豊葦原中國)로 내려가 우케모치노카미가 있는 곳에 도달했을 때, 탕진계(湯津桂)에 들러섰다는 전설에서 「계리」라는 지명이 비롯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달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어서 말하는 고대 중국의 전설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쓰쿠요미노 미코토가 계수나무 아래에 서있다고 여긴 발상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만요슈》에도 달의 선인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은 노래가 있다. 일본 신화에서 계수나무와 관련된 신은 많이 있는데, 예를 들면 《고사기》에서 천신으로서 아메노와카히코(天若日子) 밑에서 시중을 들었던 꿩 나키메(鳴女)나, 형을 없애고 해신의 궁에 이른 야마사치히코(山幸彦)의 경우, 여기서 계수나무는 신이 임하는 곳으로 되어 있다. 만요슈(萬葉集)[편집]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와카집 《만요슈》의 노래 중에는, '쓰쿠요미' 또는 '쓰쿠요미오토코(月讀壯士)'라고 하는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한 달의 비유(의인화)로서 그리고 신격으로서, 이러한 두 종류의 성격을 보인다. 또 '오치미즈(헨와카미즈変若水)」= 오쓰' 즉 '다시 젊어지는 물을 맡은 자'로서 나타나 '달과 불사'의 신앙으로서 오키나와(沖縄) '스데미즈'와의 유사성이 민속학자 오리구치 노부오(折口信夫)나 이시다 에이이치로(石田英一郞)에 의해 지적되고 있다. 덧붙여 《만요슈》 속의 노래에는 달을 의인화한 예로서 '쓰키히토(月人)'이나 '사사라에오토코(ささらえ壯士)'등의 표현도 볼 수 있다. 그 밖의 문헌[편집] 《속일본기(續日本紀)》에는, 고닌(光仁) 천황 때에 폭풍우가 거칠어진 원인을 점을 쳐봤더니, 이세의 쓰쿠요미노카미(月讀神)가 원인이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으므로, 그를 사납고 용맹스런 신으로 여겨 신에게 말을 헌상했다고 적고 있다. 《황태신궁의식장(皇太神宮儀式帳)》에서는, '쓰쿠요미노미야노이치엔(月讀宮一院)'의 제신을 가리켜서 이렇게 적고 있다. 月讀命, 御形ハ馬ニ乘ル男ノ形. 紫ノ御衣ヲ着, 金作ノ太刀ヲ佩キタマフ.쓰쿠요미노미코토의 그 모습은 말을 탄 남자의 형상이로되 자색의 어의를 입고, 금으로 만든 타치(太刀)를 찼다. 여기서 《고사기》와 《일본서기》에서는 성별에 관한 한 마디 기술도 없던 쓰쿠요미가 별안간 칼을 차고 말을 탄 남자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달을 여자라고 본 예로는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綠)》 죠간(貞觀) 7년(865년) 10월 9일조 기사나, 죠간 13년(871년) 10월 10일조에 이즈모 국의 '메쓰키노카미(女月神, 히메쓰키노카미라고도)'가 위계를 하사받은 기사를 들 수 있다. 이는 달의 여신을 제사지낸 신사인것 같다. 이 신은 《고사기》와 《일본서기》, 《만요슈》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이즈모노쿠니후토키》 의우군조에는 '메쓰키노야시로(賣豆貴社)'라 기록되어 있어 동일한 신사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삼대실록》에 나오는 '메쓰키노카미'에 대해서는 죠간 원년(859년) 9월 8일조에 실린 '야마시로 국 쓰쿠요미노카미(山城國月讀神)'라는 기사를 들어 쓰쿠요미와는 다른 계통의 달의 신으로 보기도 한다. 쓰쿠요미의 한문 표기[편집] 그 이름의 한문식 표기에 대해 《고사기》에는 '쓰쿠요미노 미코토(月讀命)' 뿐이지만, 《일본서기》 제5단 본문에는, '월신(月神)'이라는 하나의 신에 대해서 月弓尊, 月夜見尊, 月讀尊 등의 복수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만요슈》에서는 달을 가리켜 쓰쿠요미노오토코(月讀壯士), 쓰키히토노오토코(月人壯士), 쓰쿠요미(月夜見) 등으로도 읊어지고 있다. 《후토키》의 경우는 《이즈모노쿠니후토기》에 쓰쿠쓰미노 미코토(都久豆美命, 쓰쿠쓰미月津見?)가 등장한다.(전해지지 않는 글이지만 야마시로노쿠니후토기에는 月讀尊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약간 후세에 성립한 《연희식(延喜式)》에서는 이세 신궁에서 제사하는 신의 이름으로서 月讀, 月夜見의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쓰쿠요미의 이름 뜻[편집] 달의 신으로, 쓰쿠요미는 달빛을 본다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요미'는 일본에서 말하는 저승, 지하 세계를 뜻하기도 한다. '쓰쿠요미'라는 이름의 유래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우선 가장 유력한 설로서 '쓰쿠요미(月讀) = 달(月)을 보다(讀)'라고 해석해 '달력'과 묶는 설이 있다. 옛날 《고사기》나 《일본서기》에서 쓰이던 특수 가나 사용법인 '쇼다이토쿠슈카나쓰카이(上代特殊仮名遣)'에서는 '달력'이나 '월수를 세는 것'을 의미하는 '읽기[讀み]'의 훈독 표기 사례인 '여미(余美)・여미(餘美)'가 모두 요을류(ヨ乙類) · 미갑류(ミ甲類)로 '月讀'으로 일치하고 있는데, 이를 들어 쓰쿠요미의 원래 뜻은 세월을 센다(讀み)는 뜻에서 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요미(コヨミ: 달력)는, '날짜를 읽는다' 즉 달력(카요미)인데, 쓰쿠요미 또한 '달을 읽는 것'과 연결된다. '읽는다'는 말은 만요슈에도 '세월을 읽는 사람(月日を讀みて)', '달을 읽으면(日を讀む)' 등 시간(세월)을 세는 의미로 사용되는 예가 있으며, 또 달력의 역사에서 달의 차고 이지러짐이나 운행 궤도를 기준으로 최초의 달력을 만들었듯 세계사적으로 음력이 양력보다 먼저 발생했다. 한 달, 두 달 하는 날짜 세는 방법에도 그 자취가 남아 있듯 달과 달력은 매우 관계가 깊다. 즉 쓰쿠요미는 '날짜'를 센다는, '시간의 측정자', '달력이나 시간을 지배하는 신격'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한편, 《일본서기》에서 보이는 '月弓'이란 표기는 초승달과 활을 연관지어 생각한 흔적인듯 하다. 만요슈에는, 상현달이나 하현달 같은 조각달을 가리켜 「참나무활(白眞弓)」이라고 표현한 노래가 있는데(10권 · 2051), '쓰키유미노미코토(月弓尊)'라는 표기도 이러한 발상으로부터 온 이름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밖에 와타쓰미ㆍ야마쓰미처럼 '쓰쿠요노미(月夜のミ, 여기서 '미'는 카미神靈의 미)' 혹은 '쓰쿠요노카미'로서 '밤의 달신'이라고 하는 설이 있다. 이같이 분명히 갑을이 다른 '요'나, 발음이 다른 '유'의 표기가 나란히 쓰이고 있는 점, 그리고 《고사기》와 《일본서기》, 《만요슈》 뿐만 아니라 《연희식》 등 후세의 문헌에서도 몇 통의 호칭이 있어, 확실히 하나로 정해진 표기법도 없이 요의 갑을이 다른 '쓰쿠요미(月讀)'과 '쓰쿠유미(月夜見)'표기가 나란히 쓰이고 있는 점을 볼 때 쓰쿠요미노 미코토라는 신의 신격은 단순히 한 가지로만 정의할 수는 없다. 쓰쿠요미가 일본 신화에서 관장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고사기》나 《일본서기》의 신화에서 태양신인 아마테라스는 '하늘' 혹은 '다카마가하라'를 지배하는 것으로 거의 '천상'으로 통일되고 있는데 비해 월신의 지배 영역은 《일본서기》에서 언급한 '태양과 함께 하늘을 다스리는' 것뿐 아니라 '밤의 식국'이나 '푸른 바다의 조수 8백 무리'를 지배하라 명받는 이야기도 있다. 지배 영역이 불안정하다는 것도, 쓰쿠요미의 신격이 복수의 관념이 통합된 불안정하면서도 다양한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쓰쿠요미가 등장하는 작품[편집] 모리오카 히로유키 《달과 불꽃의 전기》 야마기시 료코 《월독》 마스다 하루히코 《스사노오》 데구치 류세이 《생명 ~홍의 수호신~》 쿠라모토 유우 《쓰쿠요미의 후예》 오기노 마코토 《공작왕》(쓰쿠요미라는 이름을 가지는 인간(여성)과 청진신(남성)이 등장.) 우에야마 데쓰로 《LAMPO-THE HYPERSONIC BOY-》 《크로노 크로스》 《여신전생 시리즈》 《편신명 ~잃어 버려진 인과율~》 《마브러브 얼터네이티브》(쓰쿠요미라는 이름을 가진 캐릭터가 미카도(작중 천황과 같은 위치)의 쌍둥이 누나를 보좌한다. 즉 신이 아닌 인물로 등장.) 《유☆희☆왕》 《NARUTO -나루토- 》(다만, 둔갑술로서 등장.) 《오오카미》(작중에 나오는 검의 이름으로서 등장.) 시바무라 진《우리 집의 여우신령님》 야부키 겐타로《야마토 환상기》(무기로서 등장.) 《이즈모》 도야 마나부 《쓰쿠요미 은밀한 신》 《천상천하》 《마법선생 네기마》 《블레이 블루》(삼휘신 유닛 중 하나) 각주[편집] ↑ 일본 신화에서 가장 격이 높게 여겨지는 세 명의 신 같이 보기[편집] 항아 vdeh일본 신화개벽 신화별천진신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 다카미무스히노카미 가미무스히노카미 우마시아시카비히코지노카미 아메노토코타치노카미 신세칠대 구니노토코타치노카미 구니사쓰치노미코토노카미 도요쿠모노노카미 우히지니노카미와 스히지니노카미 쓰누구이노카미와 이쿠구이노카미 오토노지노카미와 오오토노베노카미 오모다루노카미와 아야카시코네노카미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 개벽 신화 천지개벽 구니우미 가미우미 고천원 신화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서약 아마노 이와토 이즈모 신화 오로치 퇴치 이나바의 흰 토끼 대국주 신화 오쿠니누시노쿠니즈쿠리 위원중국평정 일향신화 천손강림 야마사치히코와 우미사치히코 우가야후키아에즈 인간 시대 진무 동정 다기시미미의 반역 결사팔대 신화상의 토지 고천원 용궁 황천 이즈모 국 아시하라노 나카쓰 국 휴가 국 문헌 고사기 일본서기 그 외 일본의 음식 기원 신화 구니비키 신화 천진신과 국진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쿠요미노_미코토&oldid=20528333" 분류: 천진신달의 신죽음의 신남신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월 24일 (수)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쓰쿠요미(일본어: ツクヨミ)는 신토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쓰쿠요미노 미코토와 관련된 일본 신화는 어떤 내용이야? Assistant: 《이즈모노쿠니후토키(出雲国風土記)》의 시마네(嶋根)군조에는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들로 보이는 '쓰쿠즈미노미코토(都久豆美命)'라는 신이 등장한다. 千酌の驛家, 郡家の東北のかた一十七里一百八十歩なり. 伊佐奈枳命の御子, 都久豆美命, 此處に坐す. 然れば則ち, 都久豆美と謂ふべきを, 今の人猶千酌と號くるのみ.치쿠미(千酌)의 역가(驛家)는 군가(郡家)의 동북쪽으로 17리 180보 되는 곳에 있다.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드님이신 쓰쿠즈미노 미코토(都久豆美命)께서 이곳에 정좌하셨다. 그러므로 즉 쓰쿠즈미라 이르는 것인데 지금 사람들은 치쿠미라고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쓰쿠쓰미'는, 와다쓰미(일본어: 海神)나 야마쓰미(일본어: 山神)의 경우처럼 '달의 신령(쓰쿠쓰미)'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야마시로노쿠니후토키(山城國風土記)》의 '계리(桂里)'조에서도, 쓰쿠요미노 미코토(月讀尊)가 아마테라스의 칙을 받아 일본의 토요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豊葦原中國)로 내려가 우케모치노카미가 있는 곳에 도달했을 때, 탕진계(湯津桂)에 들러섰다는 전설에서 「계리」라는 지명이 비롯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달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어서 말하는 고대 중국의 전설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쓰쿠요미노 미코토가 계수나무 아래에 서있다고 여긴 발상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만요슈》에도 달의 선인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은 노래가 있다. 일본 신화에서 계수나무와 관련된 신은 많이 있는데, 예를 들면 《고사기》에서 천신으로서 아메노와카히코(天若日子) 밑에서 시중을 들었던 꿩 나키메(鳴女)나, 형을 없애고 해신의 궁에 이른 야마사치히코(山幸彦)의 경우, 여기서 계수나무는 신이 임하는 곳으로 되어 있다. Human: 아래 동성제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성제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성제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성제약 주식회사Dong Sung Bio Pharm. Co.,Ltd.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제약업 창립 1957년 11월 25일 창립자 이선규 시장 정보 한국: 002210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핵심 인물 이양구 (대표이사) 제품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자본금 22,404,756,000원 (2016) 매출액 79,720,854,988원 (2016) 영업이익 -2,289,618,759원 (2016) 순이익 -1,660,443,187원 (2016) 자산총액 125,386,411,764원 (2016) 종업원 322명 (2016.09) 슬로건 Health From Nature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동성제약(東星製藥, Dong Sung Bio Pharm. Co.,Ltd.)은 대한민국의 1957년에 설립된 의약품과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중견 제약업체이다. 대표적인 의약품으로는 정로환, 훼미닌, 세븐에이트, 버블비, 이지엔 푸딩 헤어컬러 등이 있으며, 화장품으로는 더커버클래식, 에이씨케어 등이 있다. 목차 1 연혁 2 제품 2.1 일반의약품 2.2 전문의약품 2.3 의약외품/기타 2.4 염모제/펌제 2.5 화장품 3 판매중단제품(구,서울동성제약,기홍GMP공장,현.아산공장) 4 본사 및 공장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7년: 동성제약 주식회사 설립 1965년: 끓이지 않는 염색약 '양귀비' 출시 1968년: 패션 염색약 '훼미닌' 출시 1971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 공장 신축이전 1972년: 일본 다이코신약 와 기술제휴로 지사제 '정로환' 출시 (발매 첫해 50억 판매기록) 1977년: 서울 성북구 길음동 사옥이전 1980년: 일본 와까모또제약 기술제휴로 영양제 동성와까모또 출시 1983년: 미국 오리리화장품 기술제휴 '오리리카바마크' 출시 1984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사옥 신축이전 1985년: 지사제 어린이 정로환 출시 1987년: 약 냄새가 안 나는 정로환당의정 출시 1990년: 주식상장 1991년: 스위스 Jesmond 사 기술제휴로 무공해 살충제 '비오킬' 출시 1993년: 오리리화장품 문화센터 개관 1994년: 동성장학재단 설립,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 설립 1994년: 동성제약 생활용품 자회사 선희종합상사 설립 1994년: 동성제약-중국 대련화학 살충제 합작 계약체결 1994년: 선희복지재단 설립 1995년: 선희종합상사 에서 동성크리너 상호변경 1997년: 기흥공장 에서 최신시설 KGMP아산공장 준공 1998년: 송음 이선규 약학상 제정 2002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 사옥이전 2006년: 미국지사 동성월드와이드 설립 2007년: 중국 상해지사 한몽상무유한공사 설립, 신개념 마스카라타입 염모제 '이지엔 헤어마스카라' 출시 2008년: 동성장학재단 송음 학술재단으로 변경, 오마샤리프화장품 태국지사 Do Thailavd 설립, '세븐에이트 무향료' 신제품 출시 2009년: 순간 증모제 '세븐에이트 흑채 커버스프레이' 신제품 출시 2010년: 봉독화장품 '에이씨케어 비즈' 신제품 출시 2011년: 거품염모제 '버블비 포밍 헤어칼라' 신제품 출시, 동성루맥스 설립 (LED사업) 2012년: 정수리 냄새 소취제 '동성 데오스칼프' 신제품 출시, 예민한 피부보호 ‘아토24’ 신제품 출시 2013년: 미백기능성화장품 동성 랑스크림 출시, 옻 안 타는 천연 염색 프렌차이즈 런칭 2014년: 광역학치료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 희귀의약품 지정 2014년: 동성제약-대구광역시 대구첨복단지 연구소 건립 MOU체결 2015년: '이지엔 쉐이킹 푸딩 헤어컬러' 염모제 출시 2015년: 멋내기새치 겸용 세븐에이트 무향료 칼라크림 4.5호 신컬러 출시, 세븐에이트 편한염색/쉬운염색 출시, 에이씨케어 파머스파마시 출시 2016년: 주부습진 및 피부질환 치료제 반질크림 재출시 2017년: 동성제약 창립60주년 2017년: 혈액순환장애를 위한 ‘징코린정’ 출시 2017년: 광역학지역 대중화 동성제약연구소 대구암센터 개소 2018년: 동성제약 창립61주년 기업CI변경 제품[편집] 일반의약품[편집] 정로환 동성미녹시달 (3%,5%) 두캅스에이 가네타인액 리베마린 비가졸 슬라인정 유그린에프연고 유그린크림 (반질크림 대채 상품명) 전문의약품[편집] 크라맥스듀오시럽 베로단연고 데타손연고 의약외품/기타[편집] 비오킬 와우레이디 와우순면커버 와우프리미엄(유기농) 아나파테이프 염모제/펌제[편집] 양귀비골드플러스 세븐에이트 훼미린 실키 버블비 이지엔 화장품[편집] 에이씨케어 판매중단제품(구,서울동성제약,기홍GMP공장,현.아산공장)[편집] 동성린덴 뉴-피링 세다뽕 뇌활 오-트링 베비콜트 양귀비 헥사트롱 백동청혈환 위활소 과니볼 안티폴 미화파스티 나이파스 수루피링 뉴-코프 데카메롱 비타구밍 세다뽐 동성귀약 신경피링 동성살충액 메치오닌 도스민 동성짓 데카비타민 메치구롱 케-오 포리칼 오렌지쥬-스시렆 파인애풀쥬-스시렆 생강쥬-스시렆 콜-라쥬스시럽 백독 청혈환 듸파마롱 파파아민 에나킹 뉴-피림 누리하 토스민 스카아민에스 스코루 아이푸라돌 유스티몬 양귀비 헤어칼라 마론 훝파우다 동성벤질 옥사페란 아스레탄3 지놀시럽 88-G 자연갈색 와까모또 훼미린 감비탄 오리리카바마크 싼도롤 어린이정로환 안중산 흑채스프레이 코스믹 카바마스크 휠 지놀타시럽/캅셀 바이락토정 벳쯔 탓치네스 안중산엑스 로드롱 스카민 온한포 다그린 파스탄 SENNEN쑥뜸 유로컵-A 칼라인터뷰 오리리 C로숀 BIO SLEEP INDUCER 수면유도기 이온수 금연향유 노-닉타 엑스—터 당기원 훼미린 스피디칼라 키스미 세븐베스트 비가졸 액 파온칼라크림 모드젤 코밍헤어칼라 아토클리어 반질크림(구,삼공제약의 제품명) 동성 헤이 본사 및 공장[편집] 본사: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아산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관대안길 45 외부 링크[편집] 동성제약 - 공식 웹사이트 자연체감 동성이샵 동성제약에서 운영하는 공식 쇼핑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성제약&oldid=23305461"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1957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대한민국의 제약 기업서울특별시의 기업충청남도의 기업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1일 (금) 2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성제약주식회사(東星製藥株式會社, Dong Sung Bio Pharm. Co.,Ltd.)은 대한민국의 1957년에 설립된 의약품과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중견 제약업체이다. 대표적인 의약품으로는 정로환, 비오킬, 그린큐, 파파민, 토스롱, 미녹시딜 등이 있으며, 화장품 및 기타 제품으로는 세븐에이트, 허브, 훼미닌, 이지엔, 에이씨케어, 바이오가이아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성제약이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해는 언제일까요? Assistant: 2017년
Human: 아래 엔초_페라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엔초 페라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초 페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초 페라리Enzo Anselmo Ferrari 출생 1898년 2월 18일(1898-02-18)이탈리아 모데나사망 1988년 8월 14일 (90세)이탈리아 마라넬로사인 심부전국적 이탈리아 직업 자동차 디자이너, 기업가부모 알프레도 페라리 시니어(아버지)자녀 알프레도 페라리(디노), 피에로 페라리 엔초 안셀모 페라리(이탈리아어: Enzo Anselmo Ferrari, 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898년 2월 18일 ~ 1988년 8월 14일)는 이탈리아의 기업인으로, 페라리의 창립자이자 F1 자동차 경주팀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창설자이다. 목차 1 생애 1.1 유년기 ~ 청년기 1.2 페라리 역사의 시작 2 사망 3 상훈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유년기 ~ 청년기[편집] 1898년에 이탈리아의 모데나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나, 10살 때 우연히 볼로냐에서 열린 자동차 레이스를 본 것이 그의 인생을 바꾸어놓았다. 13살 때부터 운전을 배우기 시작하여 16세에는 스포츠 신문에 축구 기사를 기고하면서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면서 포병으로 입대하였으나, 1916년 아버지 알프레도 시니어와 형 알프레도 주니어가 독감에 걸려 사망하고 말았다. 20세에 모 자동차 회사의 트럭 운전사로 취직하였으며, 그러던 중 이탈리아 최고의 레이서 중 한 명인 펠리체 나차로(Felice Nazzaro)를 만나 그의 소개로 밀라노의 스포츠카 제조사 CMN(Costruzioni Meccaniche Nazionali)으로 직장을 옮기고 운전 실력을 인정받아 레이싱에 데뷔하게 된다. 페라리 역사의 시작[편집] 1920년에 알파 로메오 팀에 입단 후, 점점 두각을 나타내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시작한다. 이후, 유능한 인재들과 함께 알파 로메오 P1 차량을 개조한 P2로 많은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이탈리아의 명문인 피아트 사까지 누르면서 엔초는 마침내 1인자의 자리에 서게 된다. 1929년에는 마구간을 뜻하는 '스쿠데리아 페라리'라는 자신의 공장을 차려 진정한 페라리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이 때문에 오늘날의 페라리 엠블럼에는 말 그림과 함께 "SF"라는 영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바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를 뜻하는 약자이다. 1939년에는 스쿠데리아 팀을 흡수하면서 자신을 내쫓으려는 알파 로메오를 뛰쳐나와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1940년에는 첫 생산 차량인 Tipo 815를 만들었지만, 4년이라는 시간 동안 알파 로메오 와의 계약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딴 레이싱카를 생산할 수 없었다. 1947년에는 드디어 페라리의 진가가 그랑프리와 르망 24시 레이스에서 본격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했고, 1988년까지 무려 5,000번이라는 우승 타이틀을 거머쥘 정도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막강한 팀으로 성장하게 된다. 엔초 페라리 (1967년) 사망[편집] 1988년 8월 14일 마지막 역작인 페라리 F40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상훈[편집] 1960년 - 볼로냐 대학교 명예 공학박사 1962년 - UN 함마르셸드 상(Hammarskjöld Prize) 1965년 - 국제 통신 연구소 콜럼버스 상(Premio Columbus, Istituto Internazionale delle Comunicazioni) 1970년 - 이탈리아 문화예술 공로 메달(Medaglia ai benemeriti della cultura e dell'arte) 1979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1등급(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987년 - 가스페리 상(Premio Alcide De Gasperi) 1988년 - 모데나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1994년 - 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외부 링크[편집]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539322 LCCN: n80070784 ISNI: 0000 0001 2275 7459 GND: 118686860 SUDOC: 028901304 BNF: cb12064119b (데이터) NDL: 00521615 NKC: jn20000700521 BNE: XX17292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초_페라리&oldid=23889833" 분류: 1898년 태어남1988년 죽음자동차 선구자이탈리아의 기업인이탈리아의 자동차 경주 선수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수훈자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모데나 출신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0일 (수)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엔초 안셀모 페라리(이탈리아어: Enzo Anselmo Ferrari, 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898년 2월 18일 ~ 1988년 8월 14일)는 이탈리아의 기업인으로, 페라리의 창립자이자 F1 자동차 경주팀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창설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엔초 페라리 역사의 시작이 어떻게 되니? Assistant: 1920년에 알파 로메오 팀에 입단 후, 점점 두각을 나타내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시작한다. 이후, 유능한 인재들과 함께 알파 로메오 P1 차량을 개조한 P2로 많은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이탈리아의 명문인 피아트 사까지 누르면서 엔초는 마침내 1인자의 자리에 서게 된다. 1929년에는 마구간을 뜻하는 '스쿠데리아 페라리'라는 자신의 공장을 차려 진정한 페라리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이 때문에 오늘날의 페라리 엠블럼에는 말 그림과 함께 "SF"라는 영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바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를 뜻하는 약자이다. 1939년에는 스쿠데리아 팀을 흡수하면서 자신을 내쫓으려는 알파 로메오를 뛰쳐나와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1940년에는 첫 생산 차량인 Tipo 815를 만들었지만, 4년이라는 시간 동안 알파 로메오 와의 계약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딴 레이싱카를 생산할 수 없었다. 1947년에는 드디어 페라리의 진가가 그랑프리와 르망 24시 레이스에서 본격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했고, 1988년까지 무려 5,000번이라는 우승 타이틀을 거머쥘 정도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막강한 팀으로 성장하게 된다. Human: 아래 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국무대신 임명식 후에 가진 기념 촬영내각총리대신 제97대 아베 신조성립연월일 2016년 8월 3일종료연월일 2017년 8월 3일여당·지지기반 자유민주당·공명당(자공 연립 정권) 내각각료명단 (수상관저)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목차 1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 2 국무대신 3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 4 부대신 5 대신 정무관 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7 세력 조견표 8 관련 항목 9 각주 9.1 주해 9.2 출전 10 외부 링크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편집]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더 나아가 같은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3명이 나오게 됐다. 각각 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유지·야마모토 고조 등인데, 같은 성을 가진 것에 더해 이름의 말미가 ‘1’(고이치, 公一), ‘2’(유지, 有二), ‘3’(고조, 幸三)이라고 돼있다는 것도 화제가 됐다.[2][주 1] 국무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특명 담당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자유민주당 총재 재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 담당) 아소 다로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디플레이션 탈출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1위(부총리) 유임 총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마이넘버 제도 담당) 다카이치 사나에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유임 법무대신 가네다 가쓰토시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첫 입각 외무대신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유임 문부과학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교육 재생 담당 첫 입각 후생노동대신 시오자키 야스히사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5위 유임 농림수산대신 야마모토 유지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바파) 경제산업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손해배상·폐로 등 지원 기구 담당)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산업 경쟁력 담당러시아 경제 분야 협력 담당원자력 경제 피해 담당 첫 입각 국토교통대신 이시이 게이이치 중의원공명당 물순환 정책 담당 유임 환경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방재 담당) 야마모토 고이치 중의원자유민주당(다니가키 그룹) 첫 입각 방위대신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7년 7월 28일 사임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2017년 7월 28일 취임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오키나와 기지 부담 경감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2위 유임 부흥대신 이마무라 마사히로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재생 총괄 담당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사임 요시노 마사요시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취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 안전 담당)(방재 담당)(해양 정책 담당) 마쓰모토 준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영토 문제 담당국토강인화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쿨 재팬 전략 담당)(지적 재산 전략 담당)(과학 기술 정책 담당)(우주 정책 담당)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정보통신기술(IT) 정책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경제 재정 정책 담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경제 재생 담당사회 보장·세금 일체 개혁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남녀 공동 참가 담당) 가토 가쓰노부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1억 총활약 담당일하는 방식 개혁 담당여성 활약 담당재도전 담당납치 문제 담당휴면 예금 담당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지방 창생 담당)(규제 개혁 담당) 야마모토 고조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마을·사람·일 창생 담당행정개혁 담당국가 공무원 제도 담당 첫 입각 국무대신 마루카와 다마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경기 대회 담당 직위 이동 마쓰모토 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의 ‘해양 정책 담당’은 2017년 4월 1일부터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옮김.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편집] 직책 성명 주요 경력 내각관방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노가미 고타로 참의원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스기타 가즈히로 전 내각위기관리감 내각법제국 장관 요코바타케 유스케 전 내각법제차장 하기우다 고이치, 스기타 가즈히로, 요코바타케 유스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유임. 부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부흥 부대신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부흥 부대신 나가사와 히로아키 참의원 / 공명당 내각부 부대신 이시하라 히로타카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내각부 부대신 오치 다카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부 부대신 마쓰모토 요헤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 부대신 하라다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총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아카마 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법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 부대신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외무 부대신 기시 노부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오쓰카 다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기하라 미노루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문부과학 부대신 요시이에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문부과학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미즈오치 도시에이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 부대신 하시모토 가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후생노동 부대신 후루야 노리코 중의원 / 공명당 농림수산 부대신 사이토 겐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농림수산 부대신 이소자키 요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경제산업 부대신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경제산업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다카기 요스케 중의원 / 공명당 국토교통 부대신 다나카 료세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겸 부흥 부대신 스에마쓰 신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세키 요시히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이토 다다히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와카미야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모리야마 마사히토, 사이토 겐, 요시이에 히로유키, 와카미야 겐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다카기 요스케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으로부터 유임.[3] 2016년 8월 5일 임명[4] 대신 정무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비고 내각부대신 정무관 다케무라 노부히데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부대신 정무관 도요다 도시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사임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나가사카 야스마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취임 총무대신 정무관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대신 정무관 도가시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총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시마다 사부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법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노 도시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외무대신 정무관 오다와라 기요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키사와 모토메 참의원 / 자유민주당(산토파) 재무대신 정무관 스기 히사타케 참의원 / 공명당 재무대신 정무관 미키 도루 참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히구치 나오야 중의원 / 공명당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다노세 다이도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호리우치 노리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바바 세이시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호소다 겐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야쿠라 가쓰오 참의원 / 공명당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나카가와 도시나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사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오구시 마사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취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이하라 다쿠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후지이 히사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오노 야스타다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네모토 유키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대신 정무관 히가 나쓰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환경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바야시 다쓰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방위대신 정무관 고바야시 다카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미야자와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6년 8월 5일 임명[5][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고향 만들기 추진 및 문화 외교 담당) 가와이 가쓰유키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가 안전 보장에 관한 중요 정책 및 선거 제도 담당) 시바야마 마사히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교육 재생, 저출산화, 그 외 국정의 중요 과제 담당) 에토 세이이치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정책 기획 담당) 하세가와 에이이치 민간내각홍보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토강인화 및 부흥 등의 사회자본 정비, 지방 창생 및 건강·의료에 관한 성장 전략 담당) 이즈미 히로토 민간전 내각관방참여 전원이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재임명. 세력 조견표[편집] 명칭 세력 국무대신 관방 부장관 부대신 정무관 보좌관 그 외 호소다파 98 6 2 7 5 1 참의원 의장, 총무회장,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회장 무파벌 75 3 0 2 4 1 공명당 60 1 0 3 2 0 누카가파 51 2 0 5 2 0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기시다파 40 2 0 2 2 0 아소파 39 2 0 2 3 0 니카이파 38 1 0 2 3 1 간사장, 선거대책위원장 다니가키단 31 1 0 0 0 0 이시바파 20 1 0 1 1 0 이시하라파 15 1 0 1 1 0 산토파 12 0 0 0 1 0 중의원 의장, 부총재 [주 2] 관련 항목[편집] 아베노믹스 각주[편집] 주해[편집] ↑ 더욱이 총무대신 다카이치 사나에도, 본명은 야마모토 사나에(山本早苗, 옛 성은 다카이치)이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하면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총 4명이 된다. ↑ 2016년 8월 기준으로 다니가키 그룹에는 타 파벌과 겸임하고 있는 의원이 8명이나 소속됐다. 단, 모두 정부의 직무 등에는 오르지 않았다. 출전[편집] ↑ 第3次安倍再改造内閣発足 首相「任期中に改憲」意欲 Archived 2016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도쿄 신문, 2016년 8월 4일 ↑ 「山本トリオ入閣…公一・有二・幸三氏」 Archived 2016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 YOMIURI ONLINE(요미우리 신문), 2016년 8월 3일 ↑ 政府 副大臣25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副大臣会議・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 政府 政務官27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大臣政務官会合・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2016년 8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수상 관저 -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각료 명부            일본의 역대 내각            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 2017년 8월 3일  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  vdeh 일본 역대 내각    이토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1 마쓰카타1 이토2 마쓰카타2 이토3 오쿠마1 야마가타2 이토4 가쓰라1 사이온지1 가쓰라2 사이온지2가쓰라3 야마모토1 오쿠마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1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고노에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2 고노에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1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2 요시다3(改1・改2・改3) 요시다4 요시다5 하토야마 이치로1 하토야마 이치로2 하토야마 이치로3 이시바시 기시1(改) 기시2(改) 이케다1 이케다2(改1・改2・改3) 이케다3(改) 사토1(改1・改2・改3) 사토2(改1・改2) 사토3(改) 다나카 가쿠에이1 다나카 가쿠에이2(改1・改2) 미키(改) 후쿠다 다케오(改) 오히라1 오히라2 스즈키 젠코(改) 나카소네1 나카소네2(改1・改2) 나카소네3 다케시타(改) 우노 가이후1 가이후2(改) 미야자와(改)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改) 하시모토1 하시모토2(改) 오부치(改1・改2) 모리1 모리2(개편 전・개편 후) 고이즈미1(改1・改2) 고이즈미2(改) 고이즈미3(改) 아베 신조1(改) 후쿠다 야스오(改)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간(改1・改2) 노다(改1・改2・改3) 아베 신조2(改) 아베 신조3(改1・改2・改3) 아베 신조4(改) * 내각명은 내각총리대신의 성을 따서 표시한다. * 성으로는 내각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 한해서 이름까지 표시한다. * 이름 뒤의 숫자는 차수를, 개(改)는 개조내각을 의미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oldid=24174020" 분류: 일본의 역대 내각2016년 일본2017년 일본아베 신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2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3차 아베 신조 내각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Assistant: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Human: 아래 교황_그레고리오_10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레고리오 10세 임기 1271년 9월 1일 전임자 클레멘스 4세후임자 인노첸시오 5세개인정보출생이름 테오발도 비스콘티출생 1210년 신성 로마 제국 피아첸차선종 1276년 1월 10일 신성 로마 제국 알레초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라틴어: Gregorius PP. X,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는 제184대 교황(재위: 1271년 9월 1일 - 1276년 1월 10일)이다. 본명은 테오발도 비스콘티(이탈리아어: Teobaldo Visconti)이다.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이다. 1268년에서 1271년까지 이어진 로마 가톨릭교회 역사상 가장 긴 교황 선거에서 선출되었다. 그는 제2차 리옹 공의회를 소집하고 교황 선출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공포하였다. 교황 하드리아노 5세와 교황 요한 21세가 잠시 무효화했던 적을 제외하고는, 그가 제정한 규정들은 교황 바오로 6세가 고칠 때까지 20세기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목차 1 생애 초기 2 프랑스 3 교황 선출 4 몽골과의 외교적 대화 5 제2차 리옹 공의회 6 죽음 7 시복과 시성 8 하얀색 수단 9 시복 10 각주 생애 초기[편집]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1210년 피아첸차에서 태어났다. 그의 경력은 같은 피아첸차 출신인 팔레스트리나 교구장이자 시토회원인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1231-1244)을 위해 일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는 거룩한 인물로 명망 높은 추기경을 보고 감동받았다. 테오발도는 샹파뉴의 트루아퐁텐 수도원의 아빠스로 선출된 후에도 자코모 추기경의 집사로 계속 봉사하였다.[1]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특사로 토스카나와 롬바르디아, 프랑스, 독일을 순차적으로 방문하였다. 테오발도는 아마도 프로방스에서 추기경을 보좌하는 임무를 수행했을 때 프랑스의 유력한 성직자들과 평신도들과 안면을 트게 되었을 것이다.[2] 1239년 추기경이 업무차 피아첸차로 돌아올 때, 그는 이미 산 안토니오 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어 있었다.[3] 이후 그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와 또다시 전쟁을 벌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맞선 십자군을 프랑스에 요청하기 위한 새로운 임무를 띤 추기경과 동반하였다. 1239년 초, 교황은 재차 황제를 파문하였다. 양측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공의회 소집이 요구되었다. 교황은 이에 반대하지 않았지만, 교황령에서 자신의 주최 아래 공의회가 소집하려고 계획하였다. 또한 그는 프리드리히 2세의 모든 적들을 로마로 불러들이려고 하였다. 1240년 테오발도는 자코모 추기경의 요청에 따라 공석 상태가 된 리옹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었다.[4] 그레고리오 9세는 끝내 세계 공의회를 소집하지 못하고 1241년 8월 22일 선종하였다. 그레고리오 9세의 후임자 선출은 2개월 이상 소요되었다. 늙고 병이 든 새 교황 첼레스티노 4세는 교황으로 선출된지 불과 17일 만인 1241년 11월 10일 선종하였다. 첼레스티노 4세 사후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교황 선거는 한동안 개최되지 못했다. 교황의 선종 당시 추기경들은 로마에 있었지만, 과거 1241년 8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의 사도좌 공석 기간 동안 크게 고생했던 기억이 떠올라 즉시 흩어졌다.[5] 그리하여 로마에는 겨우 12명의 추기경들만이 남게 되었다. 1243년 6월까지 추기경 전원이 모이지 않은 상태에서 로마가 아닌 아나니에서 개최된 교황 선거에서 제노바의 시니발도 프레스키 추기경이 교황 인노첸시오 4세로 선출되었다. 1243년 피아첸차 주교가 선종하자 인노첸시오 4세는 테오발도에게 피아첸차 주교직을 맡을 것을 주문했으나, 테오발도는 이를 고사하고 자코모 추기경을 계속 보좌하였다. 자코모 추기경은 1244년 6월 25일 로마에서 선종하였다. 프랑스[편집] 자신의 후원자이자 영성 모범인 추기경이 선종하자 테오발도는 교황청을 떠나 파리로 가서 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였다. 하지만 그는 리옹에 도착했을 때, 리옹의 대주교 필리프의 환대를 받고 그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테오발도는 처음에 그의 요청을 거절했지만 대주교가 한사코 부탁하자 결국 수락하였다. 1244년 7월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프리드리히 2세 황제를 피해 로마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자신의 고향인 제노바로 갔다가 리옹으로 향한 그는 세계 공의회를 소집할 계획을 구체적으로 구상했다. 리옹에서 교황을 만난 테오발도는 1245년 6월-7월 개최된 제1차 리옹 공의회 구성을 도왔다.[6] 이 시기에 테오발도는 보나벤투라, 토마스 아퀴나스, 기 파우코이, 피에르 드 타랑테즈, 마테오 루베오 오르시니 등 공의회에 참석한 교부들과 친분 관계를 맺었다. 테오발도는 자신의 공로를 치하받는 차원에서 1246년 9월 9일 리에주 교구의 수석부제로 임명되었다.[7] 그는 인노첸시오 4세의 지시로 거룩한 땅을 되찾기 위한 십자군 원정 설교를 하였다. 십자군과 교황청 둘 다 기금을 모으는데 절박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설교는 생각보다 더 재정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8] 그러나 테오발도는 아직 사제 서품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사제처럼 설교할 수는 없었다. 테오발도가 리에주에 있던 시절은 행복했다고 할 수 없었다. 제1차 리옹 공의회에 참석한 로베르 드 토르테 주교가 1246년 10월 16일 병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선종하였다.[9] 그러자 새 주교 서품을 놓고 분쟁이 일어났다. 프리드리히 2세가 내세운 후보인 위트레흐트 단체장이 주교좌를 탈취하려는 시도를 하자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은 교황으로부터 주교좌성당의 의전참사회원들이 자신을 만날 때까지 외부의 개입을 차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선종하면서 1243년 6월까지 사도좌 공석 상태가 지속되었다. 그 사이 옥신각신하던 선거인들 사이에 의사가 통하여 1240년 10월 30일 베르됭의 주교와 형제지간인 로베르가 선택되었다. 하지만 로베르가 사망하면서 또다시 분쟁이 일어나면서 로베르토 카포치 추기경이 주교 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당시 테오발도는 의전참사회원이자 수석부제였으므로 이 분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1247년 10월 10일 겔데르 백작 오토 3세의 형제이자 세속적인 인물인 하인리히가 당선되었으나 그는 아직 서품을 받지 못했다. 실제로 그는 이후 12년 동안 주교는 물론이고 사제품을 받지도 않았다. 테오발도가 파리로 가서 자리를 비운 상태였기 때문에 새 주교 선출자는 1250년 말엽까지 주교좌와 착좌하지 못했다.[10] 결국 1258년 하인리히는 주교로 축성되었으며, 스타불로의 유명한 수도원의 아빠스로도 선출되었다.[11] 하지만 성직자가 된 이후에도 하인리히는 과거 군인 시절의 방종했던 생활을 청산하지 못했다. 1262년 그는 수석부제인 테오발도와 정면으로 충돌하였다. 의전참사회의 중에 그는 테오발도로부터 강도 높은 비판을 받았다. 테오발도는 하인리히가 콘라디 드 코엥 르 프리종의 딸 베르타를 강압적으로 취한 사실을 지적하였다. 하인리히는 테오발도를 위협을 행사하였다. 그 결과, 며칠 후에 테오발도는 리에주를 떠나 거룩한 땅으로 성지 순례를 떠났다고 전해진다.[12] 하지만 파리까지 간 그는 그곳에서 오랫동안 계획했던 신학 공부를 재개했다. 파리에 머무는 동안 그는 루이 9세 왕의 벗이 되었다.[13] 1267년 리에주를 떠나 파리로 간 테오발도는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명령으로 1265년 교황 특사로 임명되어 잉글랜드로 간 오토보노 프레스키 추기경을 보좌하게 되었다. 프레스키 추기경이 띤 임무는 시몽 드 몽포르가 이끈 남작들의 반란에 부딪힌 헨리 3세 국왕을 돕는 것이었다.[14] 테오발도는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잉글랜드 왕자 에드워드(훗날의 에드워드 1세)의 벗이 되어 그와 함께 십자군에 참가하기도 했다. 프레스키 추기경은 비테르보로 돌아와서 1268년-1271년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이 기간에는 교황이 존재하지 않았다. 교황 선출[편집] 추기경단의 분열로 무려 2년 9개월이나 계속된 교황의 공석을 거쳐 1271년 9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가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클레멘스 4세의 선종으로 비테르보에 모인 추기경들은 프랑스파와 이탈리아파로 분열되었다. 루이 9세의 동생이자 클레멘스 4세에 의해 시칠리아 왕으로 등극한 카를로 1세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파는 자기 나라 사람을 교황으로 선출하려고 하였다. 18개월간 교착 상태가 이어지자 교황 선출이 너무 지연되는 것을 더이상 참을 수 없게 된 비테르보 당국과 시민들은 추기경들이 좀 더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추기경들을 감금하고 그들이 모인 관저의 옥상으로 올라가 지붕을 뜯어내 빵과 물 밖에 주지 않았다. 추기경들은 마지막으로 1271년 8월 양측에 3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하였다. 여섯 명의 추기경들이 추기경들 중 한 명도 선택하지 않자 그들은 외부에서 인물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리에주의 수석부제를 지낸 테오발도 비스콘티로 결정하였다. 위원회의 결정에 1271년 9월 1일 추기경 전원이 만장일치로 비준하였다. 사실상 이는 프랑스파의 승리나 다름없었다. 테오발도는 프랑스와 가까웠으며, 그의 조카 비체도미노 데 비체도미니스는 엑상프로상스의 대주교이자 카를로 1세의 조언자였기 때문이다. 당시 테오발도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와 함께 팔레스타인의 아크레에서 제9차 십자군에 종군하던 와중에 이 소식을 듣고 놀랐다. 자신의 임무를 도중에 저버리기를 원치 않았던 테오발도가 자신의 교황 선출 소식을 듣고 첫 번째로 한 행동은 십자군에 대한 지원을 호소한 것이었다. 이탈리아로 떠나기 직전 아크레에서 한 마지막 설교에서 그는 “예루살렘아, 내가 만일 너를 잊는다면 내 오른손이 말라버리리라”는 시편 137편 5절을 인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그는 추기경들에 의해 교황으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하루속히 이탈리아로 돌아가야만 했다. 1272년 1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브린디시에 이르렀으며, 1272년 2월 초에 추기경들이 기다리고 있던 비테르보에 도착하였다.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그는 자신의 교황 선출을 수용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는 교황용 깝바를 걸쳤지만 여전히 자신을 교황이 아닌 주교 선출자(Episcopus-electus)라고 소개함으로써 태도를 조심하였다. 1272년 3월 13일 그는 로마 교황청 일원들과 함께 로마로 들어갔다. 아직 서품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먼저 1272년 3월 19일 사제 서품을 받고 이어서 1272년 3월 27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주교로 서품받고 교황 대관식을 가졌다. 몽골과의 외교적 대화[편집] 1271년 니콜로 폴로와 그의 아들 마르코 폴로에게 쿠빌라이 칸에게 보낼 편지를 전달하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1271년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그레고리오 10세는 몽골을 방문하고 온 니콜로 폴로와 그의 17살짜리 아들 마르코 폴로를 통해 몽골의 대칸 쿠빌라이 칸이 보낸 편지를 받았다. 쿠빌라이 칸은 교황에게 선교사 백 명과 거룩한 무덤 성당의 등잔 기름 일부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교황은 두 명의 수사와 약간의 기름만을 보내주었다. 몽골로 떠난 수사들은 얼마 안 가 되돌아왔다. 니콜로 폴로와 마르코 폴로 부자는 1275년 몽골 제국으로 다시 가서 교황이 쿠빌라이 칸에게 보낸 기름을 전달하였다.[15] 몽골의 일칸국 지도자 아바카 칸은 몽골과 유럽 간의 군사 협력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 십여 명으로 구성된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16] 공의회가 폐회한 후, 아바카 칸은 재차 조지아 사람인 바사리 형제를 서방 지도자들에게 외교 사절로 보내 군사들을 준비시켰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이에 그레고리오 10세는 아바카 칸의 사절단에게 일칸국이 십자군 원정에 참여한다면 군사 조직에 편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하였다.[17] 그러나 1276년 1월 10일 그레고리오 10세가 선종하면서 새 십자군 원정 계획은 사실상 좌초되었다. 십자군 원정을 위해 모은 자금은 이탈리아에 배분되었다.[18] 제2차 리옹 공의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2차 리옹 공의회입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소위 ‘피의 비방’ 소문과 그로 인한 유대인에 대한 박해에 반대하는 서신을 썼다.[19] 그리고 교황 선거 과정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는 비테르보의 콘클라베에서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는 사실에 착안해, 엄격한 콘클라베 규정을 담은 교황 선거법을 제정한다는 교황 칙서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1274년 7월 16일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회법전 조항에 포함되었다. 1272년 로마에 당도하고나서 그의 첫 번째로 한 행동은 전임자 그레고리오 9세의 뜻을 이어받아 공의회 소집에 착수한 것이었다. 교황으로 즉위한 지 이틀 후에 그레고리오 10세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에게 1274년 5월 1일 개최될 공의회에 초대한다는 편지를 보냈다.[20] 그레고리오 10세는 1273년 6월 5일 오르비에토를 떠나 1273년 11월 중엽에 리옹에 도착하였다.[21] 모든 추기경이 그를 따라나섰던 것은 아니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1273년 11월 29일 에드워드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리카르도 안니발디 추기경과 조반니 오르시니 추기경은 아직 로마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과 기 드 몽포르를 수감할 경비가 엄중한 곳을 찾으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22] 두 추기경은 집안 대대로 원수지간이었기 때문에 그들을 로마에 남겨둔 것은 서로를 견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들은 제2차 리옹 공의회 개막식에 참석하지 않았다.[23] 그레고리오 10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3세를 즉시 만났는데, 필리프 3세는 즉위 이래 줄곧 열심히 나라를 이끌고 있었다. 필리프 3세가 브나스크 백작령을 교황에게 이양했기 때문에 양측의 만남은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24] 1274년 5월 1일 교황 선거법 제정, 동서 교회의 분열 극복, 십자군 지원 등을 논의하기 위해 리옹에서 14번째 세계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서 자신의 주된 목표를 세계 공의회 소집으로 정했으며, 세계 공의회에서 다음과 같은 사안들을 다루게 하였다. 동방 정교회와의 화해와 동서 교회의 분열 종식.[25] 새로운 십자군 원정 준비와 그를 위한 모든 교회의 지원금 납부.[26] 교회의 부패 척결.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통한 교황 선거법 제정. 교황은 교리적인 문제가 아닌 규율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27] 그레오리오 10세는 십자군 지원을 위해 모든 성직자에게 수입의 10%를 6년 동안 의무적으로 내도록 했다. 이전의 세계 공의회인 1215년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는 성직자들에게 수입의 5%를 3년 동안 십자군 지원금으로 내도록 한 것과 비교하면 4배나 인상된 셈이었다. 이에 따라 26개의 세무소가 설립되었다.[28]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는 콘클라베에 대해 여러 가지 중요한 사항을 제정했다.[29] 교황이 선종하면 교황과 교황청이 머물러 있는 곳 중 적절한 장소에서 교황 선거를 치러야 한다. 만약 별장이나 시골 지역, 마을에 있다면 추기경단은 성무 금지가 내려져 있지 않은 가장 가까운 도시로 장소를 옮겨야 한다. 교황 선거는 전임 교황 사후 10일 이내에 치러져서는 안 된다.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다.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 뿐만 아니라 추기경이 아닌 사람은 선거권을 가질 수 없다. 선종한 교황에 대한 공식 애도 기간은 교황 사후 9일이다. 10일째 되는 날에는 교황 선출 청원 미사를 봉헌한다. 모든 추기경은 교황이 선종한 장소에 머물러 있어야 하며, 그들이 모인 장소를 외부와 차단해야 한다. 추기경들 중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있을 경우, 미리 양해를 구해 세네 명 정도의 하인을 대동할 수 있다. 그 밖에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부인이 함부로 퇴장하거나 출입할 수 없다. 내벽은 없어야 하지만, 각 추기경의 숙소는 천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들은 공동으로 기숙해야 한다. 콘클라베가 실시된 장소는 엄중히 경비해야 한다. 추기경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새 교황이 선출되기 전까지는 콘클라베를 떠날 수 없다. 콘클라베 장소가 봉쇄되어 교황 선거가 시작된 뒤에 도착한 추기경도 콘클라베에 참여하여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파문된 경우를 제외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어떤 추기경도 교황 선거에서 배제될 수 없다.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들어간 후 3일 안에 교황을 선출하지 않으면 추기경들에게 점심과 저녁 중 한 끼만 제공한다. 콘클라베 기간 동안에는 아무도 파문되거나 추기경들 사이에 뇌물을 주고 받거나 어떠한 약조를 하거나 자신이 교황이 된 후에 무엇을 하겠다고 공약할 수 없다. 콘클라베 기간 동안 추기경들은 교황을 선출하는 것 외에 다른 업무에 일체 관여해서는 안 된다. 추기경단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를 받은 사람만이 교황이 된다. 교황이 선종하면 그 즉시 교황 궁무처장과 교황청 내사원장 및 부원장을 제외한 모든 교황청 기구는 업무를 잠시 중단한다. 죽음[편집] 아레초 대성당의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무덤. 그레고리오 10세는 1275년 4월 리옹을 떠난 후 건강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그는 탈장 증세로 고생하여 로마로 돌아가는 길에 빈번히 멈춰야 했다. 그는 1275년 9월 30일 빈에서 곧바로 출발해 1275년 10월 6일 로잔에 이르렀다.[30] 로잔에서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출된 로마왕 루돌프 1세를 만나, 1275년 10월 20일 그에게서 충성 서약을 받았다.[31] 1275년 11월 12일 목요일, 그는 밀라노에 도착했다. 교황 일행은 1275년 12월 5일 레지오에밀리아에 이르렀으며, 같은 해 12월 11일에는 볼로냐에 이르렀다.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탈장 증세로 인해 1275년 크리스마스 때 아레초에서 길을 멈추었다. 그레고리오 10세의 건강은 눈에 띄게 나빠졌으며, 결국 1276년 1월 10일 아레초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아레초 대성당 안에 안장되었다. 그의 후임자는 생전에 가깝게 지낸 협력자인 도미니코회원 피에르 드 타랑테즈(교황 인노첸시오 5세)가 되었다.[32] 시복과 시성[편집] 그레고리오 10세가 교황으로 재임한 동안 시성한 인물은 한 명이었다. 그는 1273년 9월 프란카 비살타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였다. 프란차 비살타는 피아첸차 태생의 시토회 수녀로 수도회의 규칙에 따라 엄격한 극기를 하였다. 그녀는 불과 7세의 나이에 수녀원에 들어가 14세 때 서원을 하였다. 나중에 그녀는 수녀원장으로 피선되었다.[33] 1270년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사망하자 그레고리오 10세는 1272년 그에게 하느님의 종 칭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시성 절차를 개시하였다.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는 루케치오 몬데스티니를 시복하였다. 하얀색 수단[편집]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 이탈리아의 역사학자 아고스티노 파라비치니 발리아니는 하얀색 수단을 입은 최초의 교황이 교황 비오 5세(1566-1572)로 알려진 세간의 인식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에 따르면, 1274년에 교황이 하얀색 수단을 입었다는 최초의 기록은 1274년이라고 한다. 이어서 그는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붉은색 망토를 두른 최초의 교황은 교황 그레고리오 7세(1076년)이며, 전통적으로 교황은 선출된 순간 붉은색(망토, 모제타, 신발)과 하얀색 옷(수단, 양말)을 입는다고 덧붙였다.[34][35] 시복[편집]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를 시복하였다. 그의 시성 절차는 1944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재개되었다. 현재 그레고리오 10세의 시성은 그의 전구를 통해 일어난 기적이 요구되어 여전히 미결 상태이다. 각주[편집] ↑ Pietro Maria Campi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II (Piacenza 1651), p. 155, quoting from manuscripts in the Cathedral library at Piacenza and at the Church of S. Antonino. Campi was a Canon of the Cathedral. ↑ Campi, p. 163. ↑ Campi. p. 167. 그가 의전사제로 임명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아마도 밀라노 대구죠인 삼촌의 영향력으로 되었거나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의 영향력으로 의전참사회원이 되었을 것이다. 1239년 9월 그는 주교좌 성당 의전참사회원 계약서에 서명하였다. ↑ Campi, p. 169; P. Clerion, Histoire de Lyon Tome troisieme (Lyon 1830), pp. 276-277. Giuseppe de Novaes, Elementi della storia de'sommi pontefici da San Pietro, sino al Pio papa VII III (Roma 1821), p. 249. ↑ Adams, Dr. J. P. “The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0 November 1241-24 June 1243”.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25. ↑ Émile Schoolmeesters, "Tableau des archdiacres de Liége pendant le XIIIe siècle," Leodium II (Liège 1903), p. 5. Berger, Les registres d' Innocent IV Volume I (Paris 1884), p. 334 no. 2260. ↑ Judith Bronstein,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Woodbridge, Suffolk, UK: Boydell Press 2005), pp. 24-25; 115-121.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25.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30-31. ↑ Gallia christiana III (Paris 1725), 939-952, at 948-949. 그는 나중에 1274년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에 의해 주교직에서 파면당했다. ↑ Gallia christiana III (Paris 1725), 888-889. Alphonsus Ciaconius, Vitae et Res Gestae Pontificum Romanorum et S.R.E. Cardinalium (ab Augusto Olduino recognitae) Tomus II (Roma 1677), 185—하인리히가 실제로 테오발도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Vita Gregorii X Papae," ab antiquissimo anonymo auctore scripta, in Ludovico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Tomus tertius (Mediolani 1733), p. 600. Campi, p. 223. ↑ Francis Gasquet, Henry the Third and the English Church (London 1905), pp. 403-416. ↑ J.R.S. Phillips,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second edition (Oxford: Clarendon 1998), p. 113. ↑ Peter Jackson,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New York: Routledge 2014), especially pp. 167-196. B. Roberg, "Die Tartaren auf dem 2. Konzil von Lyon 1274," Annuarium historiae conciliarum 5 (1973), 241-302. ↑ Jean Richard, Histoire des Croisades (Paris: Fayard 1996), p.465 ↑ Jonathan Riley-Smith, "Atlas des Croisades", p.69 (English-language version: The Atlas of the Crusades (Facts-on-file 1991)) ↑ [1]. Brian Tierney, The Middle Ages: Sources of Medieval History sixth edition, revised, Vol 1 (New York: McGraw-Hill 1999), 259-260. ↑ Thomas Rymer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 cuiusque generis Acta Publica inter Reges Angliae et alios... editio tertia, Tomus I. pars 2 (The Hague 1745), pp. 121-122. 유럽의 다른 왕들과 제후들, 통치자들에게도 편지를 보냈다. ↑ Augustus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671, 1672. ↑ Rymer, II. 2, pp. 134-135. Potthast, no. 20767. ↑ Isidoro Carini, "Brevis Historia Concilii Lugdunensis," in Specilegio Vaticano di documenti inediti e rari estratti dagli Archivi e dalla Biblioteca della Sede Apostolica Volume I (Roma: Ermanno Loescher 1890), pp. 250-251. ↑ Potthast, no. 20761 (1273년 11월 21일). ↑ J. M. Hussey,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New York: OUP 2010), Section VIII, parts 1-3. ↑ Maureen Purcell, Papal Crusading Policy, 1244-1291: The Chief Instruments of Papal Crusading Policy and Crusade to the Holy Land from the Final Loss of Jerusalem to the Fall of Acre 1244-1291 (Leiden: E.J. Brill, 1975), especially pp. 135-195. Judith Bronstein,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Woodbridge, Suffolk, UK: Boydell Press 2005), pp. 127-133. ↑ Norman Tanner, Church in Council: Conciliar Movements, Religious Practice and the Papacy (New York-London: I.B.Tauris 2011), pp. 24-25. Cf. Edmund J. Fortman, The Triune God: A Historical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Eugene, Oregon, USA: Wipf and Stock Publishers 1999), p. 229. William Crockett et al., Four Views on Hell (Grand Rapids, Michigan, USA: Zondervan, 1996), pp. 111-113.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4. ↑ 프란치스코 파지는 이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Breviarium historico-chronologico-criticum illustriora pontificum Romanorum, Conciliorum Generaliorum acta... III (Antwerp 1718), pp. 406-408. ↑ August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700 ↑ Pietro Campi,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II (Piacenza 1662), p. 483. ↑ Conclave of 20-21 January 1276 (Dr. J.P.Adams). ↑ Acta Sanctorum: Aprilis Tomus III (Antwerp 1675), pp. 379-404 (biography by Fr. Bertramo Reoldi, O.Cist.). ↑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catholicculture.org》.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L'Osservatore Romano”. 《osservatoreromano.va》.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전임클레멘스 4세 제184대 교황1271년 9월 1일 - 1276년 1월 10일 후임인노첸시오 5세 vdeh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1세기-4세기 베드로 리노 아나클레토 클레멘스 1세 에바리스토 알렉산데르 1세 식스토 1세 텔레스포로 히지노 비오 1세 아니체토 소테르 엘레우테리오 빅토르 1세 제피리노 갈리스토 1세 우르바노 1세 폰시아노 안테로 파비아노 고르넬리오 루치오 1세 스테파노 1세 식스토 2세 디오니시오 펠릭스 1세 에우티키아노 카이오 마르첼리노 마르첼로 1세 에우세비오 멜키아데 실베스테르 1세 마르코 율리오 1세 리베리오 다마소 1세 시리치오 아나스타시오 1세 5세기-8세기 인노첸시오 1세 조시모 보니파시오 1세 첼레스티노 1세 식스토 3세 레오 1세 힐라리오 심플리치오 펠릭스 3세 젤라시오 1세 아나스타시오 2세 심마코 호르미스다 요한 1세 펠릭스 4세 보니파시오 2세 요한 2세 아가피토 1세 실베리오 비질리오 펠라지오 1세 요한 3세 베네딕토 1세 펠라지오 2세 그레고리오 1세 사비니아노 보니파시오 3세 보니파시오 4세 아데오다토 1세 보니파시오 5세 호노리오 1세 세베리노 요한 4세 테오도로 1세 마르티노 1세 에우제니오 1세 비탈리아노 아데오다토 2세 도노 아가토 레오 2세 베네딕토 2세 요한 5세 코논 세르지오 1세 요한 6세 요한 7세 시신니오 콘스탄티노 그레고리오 2세 그레고리오 3세 자카리아 스테파노 2세 바오로 1세 스테파노 3세 하드리아노 1세 레오 3세 9세기-12세기 스테파노 4세 파스칼 1세 에우제니오 2세 발렌티노 그레고리오 4세 세르지오 2세 레오 4세 베네딕토 3세 니콜라오 1세 하드리아노 2세 요한 8세 마리노 1세 하드리아노 3세 스테파노 5세 포르모소 보니파시오 6세 스테파노 6세 로마노 테오도로 2세 요한 9세 베네딕토 4세 레오 5세 세르지오 3세 아나스타시오 3세 란도 요한 10세 레오 6세 스테파노 7세 요한 11세 레오 7세 스테파노 8세 마리노 2세 아가피토 2세 요한 12세 베네딕토 5세 레오 8세 요한 13세 베네딕토 6세 베네딕토 7세 요한 14세 요한 15세 그레고리오 5세 실베스테르 2세 요한 17세 요한 18세 세르지오 4세 베네딕토 8세 요한 19세 베네딕토 9세 실베스테르 3세 베네딕토 9세 그레고리오 6세 클레멘스 2세 베네딕토 9세 다마소 2세 레오 9세 빅토르 2세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알렉산데르 2세 그레고리오 7세 빅토르 3세 우르바노 2세 파스칼 2세 젤라시오 2세 갈리스토 2세 호노리오 2세 인노첸시오 2세 첼레스티노 2세 루치오 2세 에우제니오 3세 아나스타시오 4세 하드리아노 4세 알렉산데르 3세 루치오 3세 우르바노 3세 그레고리오 8세 클레멘스 3세 첼레스티노 3세 인노첸시오 3세 13세기-16세기 호노리오 3세 그레고리오 9세 첼레스티노 4세 인노첸시오 4세 알렉산데르 4세 우르바노 4세 클레멘스 4세 그레고리오 10세 인노첸시오 5세 하드리아노 5세 요한 21세 니콜라오 3세 마르티노 4세 호노리오 4세 니콜라오 4세 첼레스티노 5세 보니파시오 8세 베네딕토 11세 클레멘스 5세 요한 22세 베네딕토 12세 클레멘스 6세 인노첸시오 6세 우르바노 5세 그레고리오 11세 우르바노 6세 보니파시오 9세 인노첸시오 7세 그레고리오 12세 마르티노 5세 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갈리스토 3세 비오 2세 바오로 2세 식스토 4세 인노첸시오 8세 알렉산데르 6세 비오 3세 율리오 2세 레오 10세 하드리아노 6세 클레멘스 7세 바오로 3세 율리오 3세 마르첼로 2세 바오로 4세 비오 4세 비오 5세 그레고리오 13세 식스토 5세 우르바노 7세 그레고리오 14세 인노첸시오 9세 클레멘스 8세 17세기-20세기 레오 11세 바오로 5세 그레고리오 15세 우르바노 8세 인노첸시오 10세 알렉산데르 7세 클레멘스 9세 클레멘스 10세 인노첸시오 11세 알렉산데르 8세 인노첸시오 12세 클레멘스 11세 인노첸시오 13세 베네딕토 13세 클레멘스 12세 베네딕토 14세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4세 비오 6세 비오 7세 레오 12세 비오 8세 그레고리오 16세 비오 9세 레오 13세 비오 10세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비오 12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1세 요한 바오로 2세 21세기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교황 목록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8778341 LCCN: n82093763 ISNI: 0000 0001 2102 5707 GND: 118718681 SELIBR: 290259 SUDOC: 074465937 BNF: cb13484687f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황_그레고리오_10세&oldid=22442572" 분류: 1210년 태어남1276년 죽음13세기 교황13세기 이탈리아 사람복자 교황비스콘티 가십자군 관련자이탈리아 출신 교황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8일 (화) 20: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라틴어: Gregorius PP. X,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는 제184대 교황(재위: 1271년 9월 1일 - 1276년 1월 10일)이다. 본명은 테오발도 비스콘티(이탈리아어: Teobaldo Visconti)이다.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이다. 1268년에서 1271년까지 이어진 로마 가톨릭교회 역사상 가장 긴 교황 선거에서 선출되었다. 그는 제2차 리옹 공의회를 소집하고 교황 선출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공포하였다. 교황 하드리아노 5세와 교황 요한 21세가 잠시 무효화했던 적을 제외하고는, 그가 제정한 규정들은 교황 바오로 6세가 고칠 때까지 20세기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는 어떻게 교황이 되었을까? Assistant: 추기경단의 분열로 무려 2년 9개월이나 계속된 교황의 공석을 거쳐 1271년 9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가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클레멘스 4세의 선종으로 비테르보에 모인 추기경들은 프랑스파와 이탈리아파로 분열되었다. 루이 9세의 동생이자 클레멘스 4세에 의해 시칠리아 왕으로 등극한 카를로 1세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파는 자기 나라 사람을 교황으로 선출하려고 하였다. 18개월간 교착 상태가 이어지자 교황 선출이 너무 지연되는 것을 더이상 참을 수 없게 된 비테르보 당국과 시민들은 추기경들이 좀 더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추기경들을 감금하고 그들이 모인 관저의 옥상으로 올라가 지붕을 뜯어내 빵과 물 밖에 주지 않았다. 추기경들은 마지막으로 1271년 8월 양측에 3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하였다. 여섯 명의 추기경들이 추기경들 중 한 명도 선택하지 않자 그들은 외부에서 인물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리에주의 수석부제를 지낸 테오발도 비스콘티로 결정하였다. 위원회의 결정에 1271년 9월 1일 추기경 전원이 만장일치로 비준하였다. 사실상 이는 프랑스파의 승리나 다름없었다. 테오발도는 프랑스와 가까웠으며, 그의 조카 비체도미노 데 비체도미니스는 엑상프로상스의 대주교이자 카를로 1세의 조언자였기 때문이다. 당시 테오발도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와 함께 팔레스타인의 아크레에서 제9차 십자군에 종군하던 와중에 이 소식을 듣고 놀랐다. 자신의 임무를 도중에 저버리기를 원치 않았던 테오발도가 자신의 교황 선출 소식을 듣고 첫 번째로 한 행동은 십자군에 대한 지원을 호소한 것이었다. 이탈리아로 떠나기 직전 아크레에서 한 마지막 설교에서 그는 “예루살렘아, 내가 만일 너를 잊는다면 내 오른손이 말라버리리라”는 시편 137편 5절을 인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그는 추기경들에 의해 교황으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하루속히 이탈리아로 돌아가야만 했다. 1272년 1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브린디시에 이르렀으며, 1272년 2월 초에 추기경들이 기다리고 있던 비테르보에 도착하였다.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그는 자신의 교황 선출을 수용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는 교황용 깝바를 걸쳤지만 여전히 자신을 교황이 아닌 주교 선출자(Episcopus-electus)라고 소개함으로써 태도를 조심하였다. 1272년 3월 13일 그는 로마 교황청 일원들과 함께 로마로 들어갔다. 아직 서품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먼저 1272년 3월 19일 사제 서품을 받고 이어서 1272년 3월 27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주교로 서품받고 교황 대관식을 가졌다. Human: 아래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8′ 45.00″ 동경 127° 02′ 01.00″ / 북위 37.4791667° 동경 127.0336111°  / 37.4791667; 127.0336111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정문 종류 사립 대학원대학설립 1997년 12월총장 이정숙학교법인 횃불학원학생 수 465 (2018.4.1기준 재적학생수)국가 대한민국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31길 70 (양재동 55)웹사이트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홈페이지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의 위치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이정숙 박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31길 70(양재동)에 위치한 복음주의 신학 대학원이다. 이 대학은 전 세계 선교에 헌신하는 것을 목표로 세워졌다. 목차 1 개요 및 연혁 2 학위과정 3 인가 및 협력기관 4 부설기관 5 외부 링크 개요 및 연혁[편집]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 31길 70에 소재한 복음주의 초교파 신학대학원대학교로서 1997년 12월 교육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고 한국에서 대학원 수준의 신학교육 전 과정을 영어로 진행한 최초의 신학대학원대학이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한국의 횃불선교센터(Torch Mission Center)와 미국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트리니티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간 5년에 걸친 협의와 협력의 결과로 세워진 국제적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한 전문신학대학원이다. 2005학년도부터는 한국어과정을 신설하여 영어과정과 더불어 신학적, 목회적, 선교적 소양과 지식 그리고 사명을 가진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 전문상담인, 교육자 및 기타 기독교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 전 세계 약 50개국 출신의 졸업생들이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사역하고 있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초교파적인 신학교이다. 학위과정[편집] 학위과정으로는 목회학석사(Master of Divinity, 3년), 문학석사(Master of Arts, 2년), 일반신학석사(Master of Theological Studies, 2년), 교육학석사(Master of Education, 2년), 신학석사(Master of Theology, 2년), 철학박사(Doctor of Philosophy, 3년)과정이 있다. 문학석사과정은 기독교교육학, 기독교상담학전공으로 나뉘고, 신학석사과정은 구약학, 신약학, 조직신학, 교회사, 실천신학, 선교학, 기독교교육학, 통합신학연구, 기독교영성전공으로 나뉘며, 철학박사과정은 신학, 기독교상담학전공으로 나뉜다. 철학박사과정의 신학전공은 성서학, 교회사/조직신학, 다문화학, 기독교교육학전공으로 세분된다. 학위과정 중에는 영어와 한국어로 모두 개설되는 과정(전공) 및 영어 또는 한국어 중 한 가지 언어로만 개설되는 과정(전공)이 있다. 목회학석사(MDiv) 과정을 졸업하고 2년 이상의 사역경력을 갖추면 (사)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의 목사고시에 응시할 수 있다. 인가 및 협력기관[편집]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한국 교육부 외에도 아시아신학연맹(Asia Theological Association)와 국제기독교학교연맹(ACSI)의 인가를 받았고, 미국 국방성 군목 자격을 받을 수 있는 신학대학원이다. 당교는 국제복음주의신학교육협회(ICETE), 한국의 전국신학대학협의회(KAATS), 한국복음주의신학회(KETS), Overseas Council, Refo500 등에 동참 또는 협력하며 활발한 국내 및 국제적 교류를 하고 있다. 부설기관[편집] 부설 연구기관으로 상담센터, 기독교교육센터, 한국이슬람연구소, 성서학연구센터, 영성형성싨실천싢핛세터기 클릿싮챤 가적있 기능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하며, 프로그램 또는 강좌를 운영한다. 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일반인들에게 신학과 성경, 교회음악 등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대한민국의 대학원대학국립경기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한국학대학원 대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사립서울 개신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예명대학원대학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인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주안대학원대학교 대전 건신대학원대학교 울산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경기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충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전북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경북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vdeh 서울특별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연건캠퍼스) 육군사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도곡캠퍼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성신교정) 감리교신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케이씨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이화여자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한영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전문대학 동양미래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배화여자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인덕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서울강서캠퍼스·서울정수캠퍼스) 한양여자대학교 전공대학 국제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대학원대학 개신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예명대학원대학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본부·서울지역대학) 경희사이버대학교 고려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서울캠퍼스)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대학로캠퍼스·서초캠퍼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강서캠퍼스) 서울사이버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숭실사이버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서울캠퍼스)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oldid=23929367" 분류: 대한민국의 대학원대학1998년 개교서울특별시의 대학교대한민국의 신학교서울 서초구의 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8일 (목) 14: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神學大學院大學校,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사립 대학원대학이다. 현재 총장은 오덕교 박사이다. 세계 선교에 헌신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고, 대한민국의 한국 독립교회 선교단체 연합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의 모든 신학교육 강좌는 어떤 언어로 진행됩니까? Assistant: 영어
Human: 아래 중국_오지의_달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국 오지의 달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오지의 달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국 오지의 달마(일본어: 中国奥地の達者)는 일본의 도시전설이다. 목차 1 스토리 2 기타 3 달마녀 4 그 외 스토리[편집] 중국의 오지를 여행하던 일본인이 어떤 마을에서 “달마”라고 적힌 간판의 가설흥행장을 발견하고 안에 들어가 보니, 그 안에는 사지가 절단된(경우에 따라서는 혀도 잘린) 일본인이 무대 위에서 구경거리가 되어 있었다. 달마라고 명명된 그 사람은(혀가 잘리지 않은 버전의 경우) “나는 OO에 사는 OOOO이다 살려줘”라고 그곳에 들어온 일본인에게 일본어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흥행장 안의 중국인의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눌려 일본인이 아닌 것처럼 행세한 후에 바로 가게에서 나와 그대로 귀국해 버린다. 그 후, 여행자가 그 “달마”가 밝힌 이름으로 조사해 본 결과, 그 남자는 중국에 혼자 여행을 떠났다가 행방불명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버전에서는 눈까지 멀어, 여행객이 저도 모르게 “불쌍하게...”라고 뱉은 말을 알아듣고는 “나는 릿쿄대학교의 학생인 OO이다.”라고 이름을 밝힌다. 홀연히 손님이 사라지는 가게의 에피소드와 함께 회자되는 일이 많다. 그 경우 가게에서 행방불명된 애인이나 친구를 찾는 도중 들어간 흥행장 안에서 바로 그 애인이나 친구가 “달마”가 되어 있는 결말이 보통이다. 중국이 아니라 인도가 배경인 버전도 있다. 이 버전에서는 오사카에서 여자에게 어떤 남자가 말을 걸어오면서 따라가다 그대로 행방불명이 된다. 여자의 아버지가 실종신고를 한 후에 집으로 의문의 편지가 배달되는데, 그 편지에는 “인도의 OO라는 장소에 따님을 보았습니다만, 만나러 가시지 않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쓰여 있다. 남자가 편지에 적힌 주소대로 찾아가 보니, 박물관이 나왔다. 박물관 안의 깊숙한 곳에 “달마 인형”이라고 이름붙은 전시물이 있었는데, 그것은 강제로 임신 당한 채 외부생식기를 꿰매어버린, 그리고 사지를 절단당한 채 마약에 중독되어 있는 딸이었다. 딸의 충격적인 모습을 본 아버지는 그 후 자살했다. 기타[편집] 위와 같이 중국 오지 버전 뿐 아니라 인도나 유럽 등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이야기의 기원은 과거 중국에 존재했던 형벌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양복점을 운영하는 부유한 유대인이 있었는데, 그것을 질투하던 독일인에 의해 “이 양복점의 유대인은 이 가게에 들어온 유대인 이외의 여자를 마약 등을 사용하여 홀린 뒤 인신매매단에 팔아넘긴다.”라는 유언비어가 퍼져, 이 이야기가 일본으로 넘어오면서 달마 이야기로 변했다는 설 등이 있다.(반유대주의는 프랑스에서 더욱 음험한 형태로 존재하며, 부띠끄 이야기의 기원도 프랑스로 알려져 있다.) 《시부야 괴담》에서 이 이야기가 영화의 소재로 쓰였다. 달마녀[편집] 조난당한 경우외에 비밀리에 매매되고 있다는 달마녀 전설도 존재한다. 달마녀란 위의 달마와 같이 사지를 절단당한 여성을 가리킨다. 유괴,납치,과도한 사채등으로 돈을 갚지 못했을 때, 끌려간 여성이 사지를 절단당하여, 달마녀화된다고 한다. 관상용이 된 그 달마녀들은 각국의 부호들에 의하여 비밀리에 고가에 매매되고 있다고 한다는 내용의 도시전설이다. 그 외[편집] 대한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에도 비슷한 내용의 도시전설이 존재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_오지의_달마&oldid=15384415" 분류: 일본의 도시전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5년 12월 12일 (토) 2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국 오지의 달마(일본어: 中国奥地の達者)는 일본의 도시전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도를 배경으로 한 달마 이야기에서 여자는 어느 나라에 있다가 인도로 가게 돼? Assistant: 오사카 Human: 아래 곽시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곽시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곽시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곽시양 《시카고 타자기》 제작 발표회, 2017년 4월 5일.본명 곽명진출생 1987년 1월 15일(1987-01-15) (32세)국적 대한민국다른 이름 한선우직업 배우소속사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곽시양 곽시양(1987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2.2 영화 2.3 연극 2.4 M/V 3 예능 4 광고 5 음반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중퇴)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4 SBS 《기분 좋은 날》 정희주 2015 Mnet 《칠전팔기 구해라》 강세종 tvN 《오 나의 귀신님》 서준 KBS2 《다 잘될 거야》 강기찬 2016 MBC 《한 번 더 해피엔딩》 피고인 방대한 특별출연 JTBC 《마녀보감》 최풍연 SBS 《끝에서 두번째 사랑》 박준우 2017 MBC 《세가지색 판타지 - 반지의 여왕》 특별출연 KBS2 《2TV 스낵》 곽시양 사원 tvN 《시카고 타자기》 백태민/허영민 KBS2 《쌈 마이웨이》 김남일 특별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야간비행》 신용주 독립영화 2016 《로봇, 소리》 현수 《방 안의 코끼리》 수입차 딜러 이재원 역 옴니버스 영화 (seg. 치킨게임) 《굿바이 싱글》 강지훈 2018 《목격자》 송태호 2019 《장사리 9.15》 박찬년 연극[편집] 《발칙한 로맨스》 (2013년) - 구봉필 역 M/V[편집] 2007년 윤화재인 - 사랑이 이런거였니 2009년 박봄 - You And I 2009년 J-김재섭 - 미쓰리 2009년 SG 워너비 & V.O.S - 사랑합니다 2010년 백지영 - 시간이 지나면 2013년 케이윌 & 차쿤 - 놀아도 예능[편집] 2008년 ETN 《미소년 아일랜드》 2015년 - 2016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 4》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016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6년 JTBC 《마녀를 부탁해》 2016년 JTBC 《비정상회담》 2016년 KBS2 《언니들의 슬램덩크》 2017년 JTBC 《로스트:타임》 2017년 SBS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섬》 2017년 O'live & tvN 《원나잇 푸드트립: 먹방레이스》 2018년 MBC EVERY1 《바다경찰》 광고[편집] 2010년 레스모아 2010년 KTF 2010년 솔브 2014년 삼성 갤럭시 노트3 2014년 현대해상 2015년 잠뱅이 2016년 팬텀 음반[편집]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아시나요 (2015년)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정류장 (2015년) One O One - Love You (2015년) One O One - 마비가 됐어 (2015년) One O One - You Are My Light (2016년)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4 제2회 들꽃영화상 신인남우상 야간비행 후보 2015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뉴스타상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4 수상 KBS 연기대상 일일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다 잘될 거야 수상 2016 제11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 연기자상 수상 제5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남자 신인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후보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드라마 부문 뉴웨이브상 마녀보감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 공식 웹사이트 곽시양 - 인스타그램 곽시양 - 페이스북 곽시양 - 네이버 인물검색 곽시양 - 시나 웨이보 (영어) 곽시양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곽시양&oldid=24432265" 분류: 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현풍 곽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ItalianoBahasa Melayu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15: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곽시양(1987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곽시양이 출연한 영화 작품으로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야간비행》 신용주 독립영화 2016 《로봇, 소리》 현수 《방 안의 코끼리》 수입차 딜러 이재원 역 옴니버스 영화 (seg. 치킨게임) 《굿바이 싱글》 강지훈 2018 《목격자》 송태호 2019 《장사리 9.15》 박찬년
Human: 아래 시라토리_닌자부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시라토리 닌자부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라토리 닌자부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동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만화 캐릭터에 관한 것입니다. 야구 선수에 대해서는 백동훈 (야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시라토리 닌자부로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등장 시한장치의 마천루 (극장판)원작자 아오야마 고쇼성우 시오자와 카네토 → 이노우에 가즈히코/혼다 다카코(아역) 서윤선, 김율(어린 시절)프로필나이 28세 전후 성별 남국적 일본직업 경부소개 도쿄 본청의 강행범 소속 경부. 코바야시 스미코의 연인.관련인 메구레 쥬죠, 타카기 와타루, 치바, 사토 미와코(경찰 동료)코바야시 스미코(연인) 시라토리 닌자부로(일본어: 白鳥任三郎, しらとり にんざぶろう)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목차 1 개요 1.1 등장배경 1.2 연인과의 만남 1.3 성격 2 보충 3 성우진 4 각 언어판별 이름 5 각주 개요[편집] 등장배경[편집] 경시청 형사부 수사1과 강행범 수사3계의 경부이며 공무원 1급 시험을 통과한 소위 말하는 엘리트로[1] 극장판《시한 장치의 마천루》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극장판에 등장했을 당시에는 계급이 경부보(警部補)로 극장판에서만 등장시키려고 했지만 경부로 승진하자마자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도 등장하게 된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에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본청으로 처음 발령이 난 것으로 나왔는데, 원작(단행본)에서는 3년 전의 연속 폭탄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부터 등장하고 있다. 이 점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과 단행본이 충돌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연인과의 만남[편집] 사토 형사를 짝사랑하여, 그와 연을 맺으려고 계속 프로포즈를 시도했다. 67권 코바야시 선생의 사랑에는 시라토리 경부가 코난이 다니는 데이탄 초등학교의 코바야시 선생님을 사랑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시라토리 경부는 어린 시절에 서점에서 좀도둑들을 혼내주던 코바야시 선생을 보고 말로 좀도둑들을 물리친 적이 있다. 그때 코바야시 선생의 용기에 감동한 시라토리는 형사가 장래희망이 되었고 어른이 되어 경부 (반장)가 되었다. 그래서 코바야시 선생에게 어릴적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사랑을 고백하지만, 코바야시 선생은 냉랭했다. 살인사건 목격자로 출석한 경시청에서 자신과 닮은 사토 형사를 보고 시라토리 경부가 사토 형사를 좋아했다는 이야기를 듣는 바람에, 혹시 사토 형사와 닮아서 그런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을 했던 것이다.[2]하지만 코바야시 선생이 시라토리 경부가 자신의 행동이 정당방위라고 주장하는 살인용의자에게 정당방위에 대한 법조항을 외우는 모습을 보면서, 어릴적 서점에서 절도죄에 대한 법조항을 외움으로써 좀도둑을 물리친 남자아이임을 기억했고, 이들은 연인이 된다. 성격[편집] 기본적으로는 고지식하고 신중한 성격이지만 타카기 형사가 사토 형사를 생각하고 있으면 방해를 하거나 헤어지게 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한번 두 명이 데이트를 하는 걸 알면, 주위의 형사들과 함께 조사를 하여 몰래 비디오를 찍어 관찰하는 모습도 보인다. 사격 솜씨는 메구레 경부와 더불어 손이 떨릴 정도로 엉망이다.[3] 음악과 건축에 관심이 있고[4] 프랑스 요리와 와인에 관심이 많다.[5] 보충[편집] 이름은 후지 TV의 경부보 후루하타 닌자부로(古畑任三郎)에서 파생되었다. 극장판에는 메구레 경부와 더불어 모두 등장한다. 참고로 극장판 3기에서는 괴도 키드의 변장한 모습으로 나타난다.[6] 수사용 차량은 토요타 윈덤 (렉서스 ES)이다. 304회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의 인질편에서 원래 자신이 사용하던 수사 차량인 토요타 크라운에 탑승하였지만 범인이 수사 차량안에 설치한 폭탄이 터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차량이 폭탄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 차량폭발사건 이후 수사용 차량을 토요타 크라운에서 토요타 윈덤 (렉서스 ES)으로 바꾸었으며 현재까지 이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성우진[편집] 일본어판의 경우 초반에는 시오자와 카네토(塩沢兼人)가 맡았으며, 나중에 이노우에 카즈히코(井上 和彦)로 교체되었다. 어렸을 때의 목소리는 혼다 다카코(本田貴子)가 맡았다. 한국어 더빙판은 서윤선이 맡고 있으며, 어린 시절은 김율이 맡았고, 영어 더빙판은 에릭 베일(Eric Vale)이 맡았다. 일본어판 성우 교체 2000년 5월 10일에 시라토리의 역을 담당하고 있던 시오자와 카네토가 뜻하지 않은 사고로 사망해서 《눈동자 속의 암살자》가 명탐정 코난 시리즈 마지막 출연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이듬해에 상영된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부터 성우가 이노우에 카즈히코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계속 맡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노우에 카즈히코가 《눈동자 속의 암살자》에도 출연을 하였는데 맡은 배역이 시라토리 경부의 주치의인 카자토 쿄스케라는 점이다. 각 언어판별 이름[편집]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백동훈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해외판에서는 닌자부로 산토스(Ninzaburo Santos)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각주[편집] ↑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경부 (대한민국의 반장 (경감) 계급)가 아닌 형사 (계급: 경사)로 등장하고 있으나 실제 계급은 메구레 경부와 같은 계급인 경부이다. 만화책에서는 시라토리 경위로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 시라토리 경부 벛꽃의 추억 (전, 후편), 고바야시 선생님의 사랑, 시라토리 경부의 실연, 시간을 초월한 벚꽃의 사랑편 참조 ↑ 극장판 2기 14번째 표적에서 연출 ↑ 극장판 1기, 극장판 2기, 극장판 12기를 참조 ↑ 극장판 2기 14번째 표적, 애니 520화 참조 ↑ 단, 극장판 17기, 극장판 19기, 극장판 20기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으므로 제외한다 vdeh《명탐정 코난》의 주요 등장 인물주요 인물 쿠도 신이치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리 코고로 아가사 히로시 (브라운) 테이탄 소학교 하이바라 아이 (미야노 시호) 소년 탐정단 (어린이 탐정단) 코바야시 스미코 고교생 등장인물 쿠로바 카이토 스즈키 소노코 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 혼도 에이스케 세라 마스미 경찰 관계자(지방) 오사카 부경 나가노 현경 시즈오카 현경 가나가와 현경 사이타마 현경 야마무라 미사오 경찰 관계자(본청) 메구레 쥬죠 시라토리 닌자부로 사토 미와코 타카기 와타루 치바 형사 미이케 나에코 기타 주변 인물 키사키 에리 쿠도 유사쿠 쿠도 유키코 아라이데 토모아키 오키야 스바루 아무로 토오루 FBI/CIA 제임스 블랙 조디 스털링 아카이 슈이치 안드레 캐멀 혼도 히데미 검은 조직 미야노 아케미 진 워커 베르무트 키안티 코른 라이 키르 vdeh명탐정 코난작품 원작 만화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드라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V SPECIAL THE MOVIE 코난 실종사건 작아진 명탐정 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21기 22기 23기 에피소드 1996년~2000년 2001년~2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 관련 항목 원작 사건 목록 등장인물 목록 검은 조직 FBI 소년 탐정단 OVA 발매 목록 아오야마 고쇼 타카야마 미나미 하야시바라 메구미 APTX4869 관련 문서 소년 선데이 검용전설 야이바 Magic Kaito 괴도 키드 사건 목록 방영 목록 소년탐정 김전일 탐정학원 Q 루팡 3세 유라 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라토리_닌자부로&oldid=24191429" 분류: 진행 중인 작품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가공의 형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시라토리 닌자부로(일본어: 白鳥任三郎, しらとり にんざぶろう)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난이 다니는 학교는 어디야? Assistant: 데이탄 초등학교 Human: 아래 공교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공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역사적 예수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천국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경전 구약성경 신약성경 성경 목록 정경 외경 다양한 기독교의 정경 기독교 신학 구원 세례 성찬·성체성사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가톨릭주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변증론 종말론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초대교회 콘스탄티누스 공의회 사도신경 성전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교파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회복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기독교 관련 설화 창조주의 노아의 방주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전례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에큐메니즘 유신진화론 타종교 관계 비판 기독교 포털 v • d • e • h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universal church, 또는 catholic church)[주 1]라고도 한다. 이는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를 따르는 교회의 개념으로, 기독교에서 사도들의 전통인 신구약 성경과 초대교회 지침인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을 따르는 교회 전체로, 즉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교회를 지칭한다.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는 신약성경이 씌어진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로 "에클레시아 카톨리케(고대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의 번역이다. '공통적', '보편적', '일반적'의 뜻인 '카톨리케'와 '교회'의 의미인 '에클레시아'라는 헬라어 단어로 구성된 용어이다. 이는 하나의 교회, 즉 교회의 동방전통을 따르는 정교회와 서방전통을 따르는 천주교와 개신교를 아우르는 모든 교회의 하나 됨을 지칭하는 의미로 서방과 동방교회의 분열이 있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을 중요하게 여긴다.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토미즘이 등장한 12세기 이후에 주장되는 것으로 이와는 별개의 개념이다.[주 2] 목차 1 공교회 용어의 유래 2 공교회주의 2.1 공교회주의 배경 2.1.1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 2.1.2 헬라어의 공용화 2.2 공교회주의 교회구조 2.2.1 공의회 중심 구조 2.2.2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 3 공교회의 4가지 요소 3.1 단일성 3.2 거룩함 3.3 보편성(공통성) 3.4 사도성 4 주해 5 각주 공교회 용어의 유래[편집] ‘공교회'의 용어는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 또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고대 그리스어: Ἰγνάτιος Ἀντιοχείας 이그나티오스 안티오케이아스[*], 35 - 107?)가 1세기에 스미르나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편지인 《스미르나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나타나며, 교인들과 감독(주교)과 관계를 권면하는 문장과 《피라델피아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와 사도를 강조하는 문장에서도 나타난다. "감독[1]이나 그가 지명한 사람에 의해 집행된 모든 성만찬[2]은 정당하다. 감독이 어디에 나타나든지 회중은 그곳에 참석해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어디에 계시든지 그곳에는 공교회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Smyrna, 8:2》[3] "교회는 공교회적이고, 교회 중심은 그리스도이시고, 교회의 스승은 사도들이다." 《Philadelphians, 5:1》 공교회에 대한 이그나티오스의 강조는 1세기 이단들과 분리주의자들과 논쟁에서 사용하였고, 교회는 진리에 충만한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하는 사도의 전승을 따르는 참된 교회여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했다.[4] 공교회주의[편집]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는 초대교회가 사도들의 전승을 기록한 문서인 신약성경과 초대교회가 사용한 구약성경을 인정하고, 교부들이 형성한 초기 교회 신학적 배경과 초기 공의회의 신학적 전통을 존중하고, 서방과 동방교회가 분열되기 이전인 하나로 일치되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를 지향하는 기독교의 사상을 의미한다. 공교회주의 배경[편집]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편집] 공교회주의는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과 관련된다. 313년 기독교를 로마제국의 교회로 공인한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로 천도할 계획을 추진했다. 새로운 제국의 종교로 기독교를 공인했고,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총 5개의 대교구를 구상했다. 콘스탄티노플, 로마,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의 5개 대교구의 교회를 구성하고 각 지역을 관장할 대감독(대주교)을 선출하였다. 현실 교회의 구조인 5개 대교구의 교회는 실제로는 하나의 교회이며 단지 지역을 5개로 구분한 것이라고 여긴 것이 공교회주의의 시작이다. 교회에 이단이나 다양한 신학사조가 등장하기도 했으나 12세기까지 로마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지역적 협업 공동체를 이루며 하나의 교회를 유지하였다. 동일한 신학체계와 동일한 구조, 동일한 예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신조 아래에 있는 교회였다. 이러한 교회의 신학적, 구조적 일치는 기독교회의 자랑이며 잠재적 문제이기도 했다. 헬라어의 공용화[편집] 공교회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신약성경이 쓰인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를 신학용어와 교회용어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연구 언어로 활용하였다. 로마제국 전역에서 사용되었고, 천도 이전에도 황제들의 칙령은 헬라어와 라틴어를 함께 사용하였고 황제 직인에도 헬라어가 병기되었다. 4세기 콘스탄티노플 천도 이후에는 로마제국, 즉 비잔틴 제국의 공용어는 헬라어가 되었다. 헬라어는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및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환영할 일상 언어였지만, 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어려운 외국 언어였다. 점차 세월이 흐르며, 헬라어의 라틴어 번역상 문제나 언어로 인한 문화 차이는 신학과 신학 이해의 차이를 가져왔고, 공교회주의의 잠재적 분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공교회주의 교회구조[편집] 공의회 중심 구조[편집] 4세기부터 11세기까지 교회는 로마제국의 새롭게 천도한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로마, 안디옥,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5개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각교구의 대감독(대주교)은 협의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고, 신학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공의회를 소집하여 각지역 감독(주교)과 대감독들이 협의와 회의를 통해 신학적 교리와 문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절대적 의미의 교종이 존재하지 않았고, 콘스탄티노플 대감독을 의장으로 세워서 진행하며, 감독들과 대감독들이 참여하는 회의, 공의회가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 교회구조였다.[5]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편집] 이런 공교회제도에서 성직은 주님의 동일한 자녀로서 사명을 지닌 자가 받는 거룩한 자격으로 인식하였다. 성직에 대한 계급적 이해나 성도와 동일의 개념과는 다르다. 공교회 내의 성직제도는 대감독에서 감독으로, 감독에서 지역교회 성직자로, 성직자에서 성도로 구성되는 교회 구조를 형성하였다. 성직자는 성도들에서 선출하여 일정한 성직 교육을 받고 훈련을 통해 감독이 성직자로 임명하였고, 성직자 중에서 감독을 선출하여 대감독이 임명하였고, 대감독은 감독들이 선별하여 대감독직을 받고, 대감독들이 임명하였다. 이런 상호 작용을 통해 교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리스도를 향하는 하나이며 동시에 그리스도의 지체로 지역적으로 나뉜 교회였다. 교회 내에서 성도와 성직자 간의 절대적 계급 관계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성직자는 신자와 성직자의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신약의 《디모데서》(디모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기록된 거룩한 사명에 대한 자격으로 보았다.[6][7] 공교회의 4가지 요소[편집] 초대교회부터 교회는 4가지 요소가 공교회를 이루는 요소라고 보았고, 하나(단일성), 거룩함, 보편성(공통성), 사도성이 그 4 요소이다. 이미 2세기 교부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와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도 언급하였으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도 담았다. 단일성[편집] 공교회는 하나(단일성)이며, 성부, 성자, 성령이 하나이듯 공교회는 하나이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성찬, 하나의 세례(침례)가 있다. 신약성경 내에서도 바울로(파울로스)계열의 문헌들은 이를 강조한다. 거룩함[편집] 세상의 교회는 세상의 죄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나, 삼위일체중 하나인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위에 세워진 공교회는 거룩함을 지닌다고 보았다. 기독교인이 세상에 현존하는 교회가 문제와 어려움을 지닌 제한적인 교회이지만, 그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함을 나타내려는 교회이므로 거룩함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보편성(공통성)[편집] 공교회가 세상에서 눈에 보이는 요소중 하나이다. 공교회 즉 공통 교회(보편교회)를 의미한다. 세상에 널리 퍼진 교회는 각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교회이지만 동시에 삼위일체를 믿고,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공통의 공교회를 의미한다. 다른 장소에 같은 신앙과 같은 신앙에 따르는 공통성을 지닌 교회이다. 사도성[편집] 공교회는 사도의 전통을 따르는 교회이다. 공교회의 기준은 사도가 전한 그리스도의 복음과 신앙 전통을 따라야 한다. 사도의 전통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니케아 공의회를 포함한 초대 공의회의 신학사상과 교의와 교회전통을 의미한다. 주해[편집] ↑ '공통, 보편, 일반'을 뜻하는 헬라어 어원인 'catholic'이라는 용어가 천주교, 또는 로마가톨릭교회를 가리키는 용어와 혼용되어서 의미 혼동을 피하고자 같은 의미의 라틴어 어원인 'universal'로도 사용한다. ↑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12세기 형성된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토미즘)에 따라 서방교회에서 교황을 인정하는 교회만을 의미한다. 각주[편집] ↑ 또는 주교 ↑ 또는 성찬례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의 번역을 따름.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 한스 큉. 《그리스도교》. 이종한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2002) ↑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 of the Christian Church. 1st Series, 14 vols, Edited by J. Wace and P. Schaff. (New York: Christians, 1887-92) ↑ Thomas C. Oden. Classic Christianity: a Systimatic Theology. (New York: Harper One, 19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교회&oldid=24180630" 분류: 종교기독교조직신학기독교 신학교회론숨은 분류: 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공교회(公敎會, 고대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 에클레시아 카톨리케[*]) 또는 보편교회(普遍敎會)라고도 한다. 이는 공교회주의(公敎會主義)또는 보편교회주의(普遍敎會主義)를 따르는 교회의 개념으로, 기독교에서 사도들의 전통인 신구약 성경과 초대교회 지침인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을 따르는 교회 전체로, 즉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교회를 지칭한다.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는 신약성경에 사용한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로 "에클레시아 카톨리케(고대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의 번역이다. '공통적', '보편적', '일반적'의 뜻인 '카톨리케'와 '교회'의 의미인 '에클레시아'라는 헬라어 단어로 구성된 용어이다. 이는 하나의 교회, 즉 교회의 동방전통을 따르는 정교회와 서방전통을 따르는 천주교회와 개신교를 아우르는 모든 교회의 하나 됨을 지칭하는 의미로 서방과 동방교회의 분열이 있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을 중요하게 여긴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즉 '천주교주의'는 토미즘이 등장한 13세기 이후에 주장되는 것으로 이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공교회제도에서의 성직자제도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어? Assistant: 이런 공교회제도에서 성직은 주님의 동일한 자녀로서 사명을 지닌 자가 받는 거룩한 자격으로 인식하였다. 성직에 대한 계급적 이해나 성도와 동일의 개념과는 다르다. 공교회 내의 성직제도는 대감독에서 감독으로, 감독에서 지역교회 성직자로, 성직자에서 성도로 구성되는 교회 구조를 형성하였다. 성직자는 성도들에서 선출하여 일정한 성직 교육을 받고 훈련을 통해 감독이 성직자로 임명하였고, 성직자 중에서 감독을 선출하여 대감독이 임명하였고, 대감독은 감독들이 선별하여 대감독직을 받고, 대감독들이 임명하였다. 이런 상호 작용을 통해 교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리스도를 향하는 하나이며 동시에 그리스도의 지체로 지역적으로 나뉜 교회였다.
Human: 아래 독일_노동자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일 노동자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노동자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partei 로고 이념 독일의 민족주의범게르만주의반유대주의반자본주의반공주의 스펙트럼 극우 당직자 대표 안톤 드렉슬러 역사 창당 1919년 1월 5일 해산 1920년 2월 24일 선행조직 독일 조국당 후계정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독일 뮌헨 독일 노동자당(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Deutsche Arbeiterpartei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DAP)은 1919년에 창당된 뒤부터 짧은 기간 동안에 존재했던 독일의 정당이다. 1920년에 창당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國家社會主義 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나치오날조치알리스티셰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NSDAP, 나치당)의 전신이다. 목차 1 기원 2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 3 DAP에서 NSDAP로 4 당원 5 각주 기원[편집] 1919년 1월 5일 뮌헨에 있는 퓌르스텐펠더 호프(Fürstenfelder Hof) 호텔에서 신비주의 단체인 툴레 협회의 회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안톤 드렉슬러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1918년 드렉슬러가 설립한 "좋은 평화를 위한 자유 노동자 위원회"(Freien Arbeiterausschuss für einen guten Frieden)가 발전한 단체이기도 했다. 드렉슬러는 1918년 12월 범게르만주의 단체인 범(汎)게르만 동맹(Alldeutscher Verband)의 지도자이면서 그의 멘토였던 파울 타펠(Paul Tafel, 아우크스부르크-뉘른베르크 기계 공장 부장 겸 툴레 협회 회원)과 함께 독일 노동자당 설립을 독려하였다. 드렉슬러는 중산층 정당과는 달리 대중과 민족주의자 모두에게 접촉하는 정당을 구상했다. 초기 회원은 약 40명이었다. 1919년 3월 24일 언론인 겸 툴레 협회의 회원인 카를 하러(Karl Harrer)가 독일 노동자당에 툴레 협회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입당했으며 '정치적 노동자 서클'을 조직하였다. 초기에는 회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모임을 가졌다.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편집] 나중에 위조된 히틀러가 받은 독일 노동자당 회원증 ("회원 번호 7번"이 적혀 있음) 1919년 9월 12일 독일 육군 상병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노동자당에 대한 정보 수집 명령을 받았다. 히틀러는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열린 독일 노동자당의 집회에 참석했다. 그러나 히틀러는 집회에 참석한 대학 교수와 폭력적인 논쟁을 벌였다. 이 사건 직후에 드렉슬러는 히틀러의 웅변술에 감명받아 히틀러에게 입당을 권고했다. 몇 가지 사건 이후에 히틀러는 육군을 떠나 9월 말에 독일 노동자당의 초청으로 입당했다. 히틀러가 입당하던 당시에 독일 노동자당의 회원 번호와 회원증은 존재하지 않았다. 1920년 1월에 처음으로 회원증이 발급되었는데 알파벳 순으로 배정받았다. 이 때 히틀러는 555번을 받았다. 실제로는 55번이었지만 당이 더 크게 보이기 위해 번호는 501번부터 시작되었다. 한편 히틀러는 자신의 회원 번호는 7번이었으며 독일 노동자당 창립 회원 가운데 한 명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인 《나의 투쟁》에서 번호 7번이 붙은 회원증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히틀러는 1919년 10월 16일에 열린 회의에서 자신의 첫 번째 연설을 진행했고 바로 독일 노동자당의 지도자가 된다. DAP에서 NSDAP로[편집] 독일 노동자당(DAP)에 있던 소수의 당원들은 히틀러의 정치적 신념에 매료되었다. 이 정당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광범위하게 호소하기 위해 1920년 2월 24일에 정당 명칭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개칭했다. 이 명칭은 당시에 존재했던 오스트리아의 다른 정당인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Deutsche Nationalsozialistische Arbeiterpartei, DNSAP)을 본뜬 것이었다. 히틀러는 원래 "사회 혁명당"을 제안했지만 루돌프 융(Rudolf Jung, en)은 히틀러가 DNSAP를 따르도록 설득했다.[1] 당원[편집] 히틀러는 초기 당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다음은 초기 당원 가운데 저명한 당원들이다. 안톤 드렉슬러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한스 프랑크 카를 하러 에른스트 룀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각주[편집] ↑ Konrad Heiden, "Les débuts du national-socialisme", Revue d'Allemagne, VII, No. 71 (Sept. 15, 1933), p. 821 vdeh바이마르 공화국의 정당공산주의 독일 공산당(KPD) 독일 공산노동자당(KAPD) 독일 대립공산당(KPO)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독일 사회민주당(SPD)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독일 다수결사회민주당(MSPD) 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SAPD) 기독교 바이에른 인민당(BVP) 중앙당(Zentrum) 기독교 국민당(CVP) 농본주의 바이에른 농민동맹(BB) 농업동맹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농민 농업노동자 민주당(SHBLD) 기독국가농민당(CNBL) 독일 농민당(DBP) 자유주의 독일 민주당(DDP) 독일 인민당(DVP) 독일 국가당(DStP) 보수주의 독일 국가인민당(DNVP) 국민제국당(VRP) 기독사회인민용역(CSVD) 보수인민당(KVP)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DAP) 독일 사회당(DSP) 독일 사회주의자당(DSP)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나치) 독일 민족자유당(DVFP) 국가사회주의 자유운동(NSFB) 기타 독일-하노버당(DHP) 경제당(W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_노동자당&oldid=22715091" 분류: 독일의 정당나치즘아돌프 히틀러1919년 설립된 정당1920년 폐지범독일주의독일 국민주의 정당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독일 노동자당(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Deutsche Arbeiterpartei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DAP, 문화어: 도이췰란드 로동자당)은 1919년에 창당된 뒤부터 짧은 기간 동안에 존재했던 독일의 정당이다. 1920년에 창당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國家社會主義 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나치오날조치알리스티셰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NSDAP, 나치당)의 전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독일 노동자당의 설립 과정은? Assistant: 1919년 1월 5일 뮌헨에 있는 퓌르스텐펠더 호프(Fürstenfelder Hof) 호텔에서 신비주의 단체인 툴레 협회의 회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안톤 드렉슬러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1918년 드렉슬러가 설립한 "좋은 평화를 위한 자유 노동자 위원회"(Freien Arbeiterausschuss für einen guten Frieden)가 발전한 단체이기도 했다. 드렉슬러는 1918년 12월 범게르만주의 단체인 범(汎)게르만 동맹(Alldeutscher Verband)의 지도자이면서 그의 멘토였던 파울 타펠(Paul Tafel, 아우크스부르크-뉘른베르크 기계 공장 부장 겸 툴레 협회 회원)과 함께 독일 노동자당 설립을 독려하였다. 드렉슬러는 중산층 정당과는 달리 대중과 민족주의자 모두에게 접촉하는 정당을 구상했다. 초기 회원은 약 40명이었다. Human: 아래 곡산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곡산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곡산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곡산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 고산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곡산 역사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도라산관리역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160 개업일 1967년 1월 9일 역 번호 K323 종별 무배치간이역(백마역 관리) 노선 경의본선 서울 기점 19.9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대곡 (1.7 km) 백마 →(1.6 km) 곡산역(谷山驛)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에 있는 경의선의 전철역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67년 1월 9일 :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1] 1968년 4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2] 1976년 4월 16일 :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영업 개시 1996년 12월 18일 : 백마역에서 당 역을 관리 2008년 5월 1일 : 복선전철 공사와 함께 여객 취급 중지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영업 재개, 서울 기점 19.6 km에서 19.9 km로 변경[3] 2009년 12월 1일 : 일반철도 승차권 발매 중지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 대곡 1 | | 2 백마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서울역·청량리·덕소·용문 방면 2 일산·금촌·문산 방면 역 주변[편집] 백석근린공원 백석도서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일산열병합발전소 백석공원 능곡동보건진료소 갈머리 대곡초등학교 한국수자원공사 이용객 변동[편집]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192 294 353 370 429 465 529 550 591 556 [4] 하차 191 298 361 387 433 474 529 553 587 552 사진[편집] 신 역사가 들어서기 이전의 곡산역 곡산역 신 역사의 2번 출입구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K324 백마문산 방면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완행 K322 대곡지평 방면서울 방면 각주[편집]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99호, 1967년 1월 9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8호, 1968년 4월 1일.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년 6월 18일. ↑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한국철도공사 곡산역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곡산역&oldid=24185168" 분류: 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고양시의 전철역1967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곡산역(Goksan station, 谷山驛)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열병합발전소삼거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전철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곡산역의 2012년 경의 중앙선 일평균 승차 승객수는? Assistant: 353
Human: 아래 조지_5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지 5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 5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국의 조지 5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지 5세George V 지위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22년 12월 6일-1936년 1월 20일 전임자 (조지 5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10년 5월 6일-1922년 12월 6일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폐지)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백작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백작 앤드루 보너 로 인도 황제 재위 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즉위식 1911년 12월 1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부왕 인도 부왕 겸 총독 길버트 엘리오트 머레이 키니몬드 찰스 하딘지 프레드릭 테사이저 루퍼스 이삭스 E. F. L. 우드 프리맨 프리맨 토마스 웨일스 공 재위 1901년 1월 22일-1910년 5월 6일 대관식 1901년 11월 9일 전임자 앨버트 에드워드 후임자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신상정보 출생일 1865년 6월 3일(1865-06-03) 출생지 대영제국 런던, 말보로 하우스 사망일 1936년 1월 20일 (70세) 사망지 대영제국 노퍽, 샌드링햄 하우스 매장지 대영제국 윈저 성, 세인트조지 성당 가문 윈저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부친 에드워드 7세 모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배우자 테크의 메리 자녀 에드워드 8세조지 6세헤어우드 백작 부인 메리글로스터 공작 헨리켄트 공작 조지존 왕자 조지 5세(영어: George V, 1865년 6월 3일 ~ 1936년 1월 20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자(1927년부터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인도의 황제이다. (재위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본명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영어: George Frederick Ernest Albert Windsor)이다. 초대 윈저 왕가 출신의 군주로,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차남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시 군주로 빅토리아 여왕과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손자이며,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와 독일 제국의 황제이자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의 사촌이다. 1892년 1월 14일에 왕세손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가 죽으면서 그를 이어 왕세손으로 책봉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군주제의 몰락과 함께 많은 해외 영토를 잃은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등과 달리 조지 5세의 대영제국은 역사 상 최대의 영토를 얻게 되었다. 조지 5세의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지형을 바꾼 공산주의, 파시즘, 아일랜드의 공화국화 운동, 그리고 인도의 독립운동 등이 등장하였다. 또한, 1911년 의회법(Parliament Act)의 통과로 직접 선출된 서민원을 선출되지 않은 귀족원에 대하여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1924년 최초로 노동당 (영국) 내각을 맞이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 국민들의 반독(反獨) 정서를 고려하여 할아버지 앨버트 공(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독일식 성(姓)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Windsor)로 바꾸어 윈저 왕가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국민이란 곧 나를 일컬음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목차 1 유년기 2 결혼 3 요크 공 4 웨일스 공 5 재위 기간 5.1 국내 정치 6 죽음 7 성품 8 가족관계 8.1 배우자 8.2 자녀 9 각주 유년기[편집] 선원복을 입은 5살의 조지 5세, 1870년 조지 5세는 1865년 6월 3일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 기간 중 런던의 말보로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이다. 1865년 7월 7일 윈저궁의 성조지 성당에서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 찰스 롱리에게 세례 받았다.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와 17개월의 근소한 나이 차이로, 두 왕자는 함께 교육 받았다. 1871년 존 닐 달튼이 두 왕자의 가정 교사로 발탁되었다. 웨일스 공의 차남으로 웨일스 공과 형 앨버트 빅터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3위에 불과했던 그는 왕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물이 아니었다. 따라서, 유년기에 그는 왕위 계승에 대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며, 훗날 그는 단어 '지식인(highbrow)"과 "눈썹(eyebrow)"를 혼동하고, 철도 짐꾼의 지적 수준에 머물러있다는 평을 듣는 등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 더불어서 지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팽배했다. 조지 5세의 아버지은 "해군 생활은 사내아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교육"이라고 생각했던 인물이었다. 따라서, 1877년, 12세의 나이로 조지 5세는 그의 형과 함께 HMS(His Majesty's Ship)브리타니아의 생도로 훈련을 시작하였다.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는 달리, 조지 5세는 해군 생활을 즐겼다. 해군 복무 경험은 훗날 그의 양육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결혼[편집] 테크의 메리 1901년. 조지는 해군 복무 시절, 몰타에서 복무하던 삼촌인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아래에서 생활하였다. 그 곳에서 조지는 에든버러 공의 딸이자 자신의 사촌 에든버러의 마리아와 사랑에 빠졌다. 빅토리아 여왕,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 그리고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모두 결혼을 허락하였으나, 조지의 어머니 웨일스 공작부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와 에든버러의 마리아의 어머니 러시아의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반대하였다. 웨일스 공작부인은 에든버러 공의 가족의 친독(親獨) 성향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판단하였고,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영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외동딸이었다. 그녀는 영국 국왕의 작은 며느리로서 갑작스레 덴마크의 왕위에 오르게 된 독일의 약소주의 왕자를 아버지로 둔 웨일스 공작부인에게 우위를 양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대단히 꺼려했다. 어머니의 등쌀에 밀려 에든버러의 마리아는 조지의 청혼을 거절하였다. 1893년에 그녀는 루마니아의 왕 페르디난드 1세와 결혼하였다. 1891년 11월, 조지의 형 앨버트 빅터(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는 테크의 메리와 약혼하였다. 테크의 메리는 그녀가 5월에 태어난 사실에 빗대어 메이(May-5월)라 불렸다. 메리의 아버지 테크 공은 뷔르템베르크 가에 속해 있었고, 어머니는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로 아버지 쪽이 조지 2세의 직계 후손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이었다. 독일의 왕족 공작이었던 메리의 할아버지가 백작 부인과 귀천상혼을 맺어 사실 메리는 왕가의 일원이 아니었다. 메리의 양친 모두 사치스러운 생활로 켄싱턴 궁에서 이탈리아의 플로렌스로 망명해야 할 정도로 방탕한 생활을 즐겼다. 이러한 자랑스럽지 못한 부모의 영향으로 메리는 더 검소하고, 의무를 중시하는 책임감 강한 성격으로 굳어졌고, 메리의 이러한 성향은 빅토리아 여왕에게 메리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었다. 약혼 후 6주 뒤, 앨버트 빅터는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이로 조지는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올라서며 아버지 웨일스 공을 이을 미래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조지 또한 6주 간 장티푸스로 침대에 누워있다 겨우 회복된 상태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여전히 테크의 메리를 자신의 손자에게 걸맞은 아내감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조지와 메리는 앨버트 빅터의 애도 기간 동안 가까워졌다. 앨버트 빅터의 죽음 후 1년 뒤, 조지는 메리에게 청혼하여 약혼하였다. 조지와 메리는 1893년 7월 6일,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결혼하였다. 결혼 후 생애 전반에 걸쳐, 조지와 메리는 서로에 대한 의무를 다했다. 조지는 직접 인정하기를, 말로써 감정 표현을 하는데에 서투른 대신, 친애의 편지를 자주 주고 받았다. 요크 공[편집] 샌드링햄 하우스의 요크 별장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의 죽음은 조지를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승격시키며 해군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끝냈다. 조지는 1892년 5월 24일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요크 공(Duke of York), 인버네스 백작(Earl of Iverness), 킬라니 남작(Baron of Killarney)의 칭호를 부여 받고, J.R.태너로부터 헌법사 수업을 받았다. 테크의 메리는 요크 공작부인 전하(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York)의 호칭을 얻었다. 조지와 메리는 주로 노퍽의 샌드링햄 하우스의 작은 요크 별장에 거주하였다. 이는 사교계와 문화 생활 대신 사냥, 낚시, 우표 수집 등을 즐겼던 조지의 성격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피렌체에서 미술과 문학 등에 대한 방대한 교양을 쌓은 메리에게는 매우 지루한 삶이었다. 실제로 그들의 삶은 왕족보다는 평범한 중산층 가족의 생활에 더 가까웠고, 요크 공작 내외를 방문한 사람들은 요크 별장을 "작고 침울한 별장(glum little villa)"라 묘사했다. 조지는 활달한 사교 인사이자 호색가이던 아버지 에드워드 7세와 대비되는 단순하고 편안한 생활을 선호했다. 조지 5세의 공식 전기 작가 해롤드 니콜슨은 훗날 요크 공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그는 젊은 해군 사관 생도와 현명한 왕에 적합할지 모르지만, 요크 공 시절의 그는...동물들을 죽이거나 우표를 모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 조지는 훌륭한 우표 수집가였다. 조지가 우표를 모은 각각 50쪽짜리 328개의 붉은 앨범에는 당시 대영제국에서 발행한 모든 우표가 정리되어 있었다. 조지의 우표 수집은 왕실 우표 컬렉션에 기여하기도 했다. 조지와 메리는 5명의 아들과 딸 1명을 두었다. 윈스턴 처칠의 아버지 랜돌프 처칠 경은 조지가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고 회고했다. 일례로, 헨리 왕자(글로스터 공작)는 조지가 그를 쳐다보기만 해도 기절할 지경이었다. 조지는 더비의 17대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에게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는 그의 어머니(영국의 빅토리아)를 두려워했고, 나(조지 5세)는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를 두려워했으므로 나는 나의 아이들이 나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고야 말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사실 이 일화의 출처는 분명하지 않으며, 조지의 양육 방식의 당시의 평균적인 양육 방식과 조금 달랐다는 점을 내포할 뿐이다. 웨일스 공[편집] 미디어 재생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의 조지, 1901년 요크 공작 내외로서 조지와 메리는 다양한 공적 의무를 맡았다. 1901년 1월 22일, 조지의 조모 빅토리아 여왕가 서거하자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올랐다. 에드워드 7세가 즉위함에 따라 조지는 콘월 공작과 로스시 공작의 칭호를 물려 받았고, 1901년의 대부분 동안 콘월과 요크 공작 전하(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rnwall and York)라 불렸다. 1901년 5월 9일 호주 의회의 개막식 모습 1901년 조지와 메리는 대영제국을 순회하며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그리고 뉴펀들랜드를 방문하였다.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당시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이 기획하였고, 수상 살리스버리 경의 지지를 받았다. 순회 방문의 주된 목적은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에 참전한 점령지들과 식민지들에 대한 보상이었다. 남아프리카에서 조지는 격식을 갖추어 특수하게 디자인된 제2차 보어 전쟁 메달을 식민지군에게 전달했고, 조지와 메리는 정교한 장식들, 값비싼 선물들과 폭죽 등에 의해 환영 받았다. 또한, 조지와 메리는 시민 지도자들, 아프리카인 지도자들, 보어인 포로들을 만났다. 화려한 외부적인 모습에 반해, 모든 남아프리카 거주민들이 순회 방문을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 케이프타운에 거주하는 많은 백인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에 따른 축제와 그 비용을 탐탁치 않아했고, 전쟁이 대영제국의 신민으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보어인들과의 화해를 방해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영어권 언론의 비평가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전쟁 직후의 경제적 곤궁에 처해있는 남아프리카 거주 영국인들의 부담을 더 가중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탄생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개회를 맡았다. 순회 방문은 뉴질랜드에게 그 비약적인 발전을 자랑할 기회가 되었다. 뉴질랜드는 당시 통신업과 가공업에서 영국식 기준을 모방하여 그 기술을 갱신하는 중이었다. 조지는 뉴질랜드인들의 용기, 군사적 덕목들, 충성심과 의무에 대한 책임감 등을 칭찬하여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 뉴질랜드 방문의 본래 목적은 잠재적인 뉴질랜드 이주자들과 관광객들에게 뉴질랜드를 홍보하며, 증대되는 사회적 갈등을 피하는 것이었다. 조지와 메리의 뉴질랜드 방문은 영국 본토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뉴질랜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런던 시청에서의 조지의 연설 중 조지는 "우리의 해외 신자들에게 팽배해 있는 인상은, 해외 경쟁자들에 대항해 식민지 무역의 전통적인 우위를 지키고 싶다면 우리의 본국(영국)은 깨어나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1901년 11월 9일, 조지는 웨일스 공과 체스터 백작의 칭호를 하사 받았다. 에드워드 7세는 조지를 미래의 왕위 계승을 대비하여 훈련시키고 싶어 했다.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국무에서 제외된 웨일스 공 시절의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과 달리, 조지는 국가 문서에 대한 폭넓은 접근이 가능했다. 조지는 동시에 국무와 연설에 대한 메리의 조언과 도움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메리에게도 문서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 1905년 11월부터 1906년 3월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인도의 인종차별을 대단히 혐오하여 인도인들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벌였다. 인도 순회 직후, 조지와 메리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와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에우헤니아의 결혼식 참석을 위한 스페인을 방문했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암살을 가까스로 피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1주 뒤, 노르웨이의 호콘 7세와 조지의 여동생 웨일스의 메우드의 대관식에 참삭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났다. 재위 기간[편집] 조지 5세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의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존 헨리 프레데릭 베이컨 , 1912 1910년 5월 6일, 에드워드 7세가 서거하였고, 조지는 왕위에 올랐다. 조지는 일기에 "나는 나의 절친한 친구이자 최고의 아버지를 잃었다 ...난 나의 아버지와 평생 불친절한 대화를 해본적이 없다. 나는 슬픔에 잠겼지만 신은 내가 나에게 내려진 책임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고, 사랑하는 메이(테크의 메리)는 항상 그래왔듯 나를 위로할 것이다. 신이 내가 부여 받은 무거운 의무에 힘과 안내를 보태기를."라 고백했다. 조지는 메리가 공문서에 "빅토리아 메리(Victoria Mary)"로 서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빅토리아나 메리 중 하나의 이름을 생략하자고 주장했다. 조지와 메리 모두 메리가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이라 불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여 메리는 "메리 여왕(Queen Mary)"라고 불리게 되었다. 1910년,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조지가 젊은 시절 몰타에서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고, 메리와의 결혼은 중혼(重婚)이라는 허위 사실을 출판했다. 같은 소문은 1893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나 조지는 가볍게 웃어 넘긴 적이 있었던 터였다.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체포되었으며, 재판을 거쳐 범죄적 비방 행위로 1년을 복역하였다. 1911년의 델리 접견, 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가 연단 위에 앉아 있다조지는 자신이 의회의 개회식에서 발표하게 될 즉위 선언문의 반가톨릭 성향에 반대해 기존의 형태의 즉위 선언문으로는 개회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즉위 선언문 법안 1910년"은 즉위 선언문의 길이를 축약하였으며, 가톨릭에 대하여 적대적인 부분들은 삭제했다. 조지와 메리의 대관식은 1911년 6월 2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조지의 대관식은 5월 12일부터 런던의 수정궁에서 열린 "제국의 축제(Festival of Empire)"에 의해 기념되었다. "제국의 축제"는 대영제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의 생산품을 전시하는 박람회 형식이었다. 7월에 조지와 메리는 아일랜드를 5일간 방문하여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수천 명의 아일랜드인들은 왕과 왕비를 보기 위해 줄을 서 환호하였다. 같은 해에 조지와 메리는 대관식을 기념하는 델리의 접견(Delhi Durbar)에 참석하기 위해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델리의 접견을 직접 참석한 영국의 최초의 군주가 되었다. 델리의 접견에서 조지와 메리는 인도의 황제와 황후로서 인도의 고위 관료들과 왕자들을 소개 받았다. 12월 15일 조지는 메리와 함께 뉴델리에 초석을 놓았다. 조지와 메리는 인도 아대륙을 순회하였고, 그 도중 조지는 네팔의 대규모 사냥에 참여해 호랑이 21마리, 코뿔소 8마리와 곰을 열흘에 걸쳐 사냥하였다. 조지는 능숙한 사격의 명수였다. 1913년 12월 18일, 번햄 경의 자택에서 그는 6시간 내에 1000마리가 넘는 꿩을 사냥했다. 조지마저도 "이번엔 도를 지나쳤다."라고 인정할 정도였다.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조지 5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조지 5세 국내 정치[편집] 조지 5세의 재위기간에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다. 우선 즉위 4년 후에 일어난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조지 5세는 라디오 연설로 불안에 떨던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더욱이 '군림하며 통치한다.'는 입헌군주제의 원칙을 더욱 확고하게 했다. 1917년에는 영국 국민들의 반독일 감정이 심해지자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왕가로 개명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조지 5세는 개인적으로는 이종사촌 지간인데다가 사이가 좋아서 영국으로 망명하기를 원했으나 반러시아 감정이 심해져서 망명을 취소하였다.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조지 5세는 세계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대신들과 논의하였다. 죽음[편집] 조지 5세는 생전에 폐질환과 늑막염으로 고생한 상태였는데, 1928년에는 패혈증이 악화되어 몸져누웠다. 결국 1936년 1월 20일, 샌드링험 하우스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후임 국왕은 장남 웨일스 공 에드워드였으나, 약 10개월 후인 1936년 12월 11일 퇴위하고, 차남 요크 공작 앨버트가 물려받는다. 성품[편집] 조지 5세는 가정적으로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 그는 자녀들을 군대식으로 가르쳤으며, 무차별적인 체벌도 감행하였다. 특히 장남 에드워드와는 심각한 수준으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조지 5세는 심각한 골초였다. 조지 5세의 취미는 우표 수집으로, 왕궁에는 우표 컬렉션이 있을 정도였다. 가족관계[편집] 조지 5세는 테크의 메리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다. 배우자[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왕비 테크의 메리 Mary of Teck 1867년 5월 26일 1953년 3월 24일 테크 공작 프란츠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장녀 1893년 7월 6일 혼인 자녀[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장남 에드워드 8세 Edward VIII 1894년 6월 23일 1972년 5월 28일 11개월만에 자진 퇴위 퇴위 후 월리스 심슨과 결혼 자녀 없음 차남 조지 6세 George VI 1895년 12월 14일 1952년 2월 6일 엘리자베스 보우스 라이언과 결혼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 영화 《킹스 스피치》의 주인공 2녀 장녀 프린세스 로열 메리[1] Mary, Princess Royal and Countess of Harewood 1897년 4월 25일 1965년 3월 28일 1922년 2월 28일 헨리 라셀레스와 결혼 1951년 리즈대학교 총장 역임 슬하 2남 3남 글로스터 공작 헨리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1900년 3월 31일 1974년 6월 10일 글로스터 공작부인 엘리스와 결혼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출신 영국 육군, 공군원사 뇌졸중으로 사망 슬하 2남 4남 켄트 공작 조지 Prince George, Duke of Kent 1902년 12월 20일 1942년 8월 25일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나와 결혼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슬하 2남 1녀 5남 존 왕자 Prince John 1905년 7월 12일 1919년 1월 18일 자폐증상과 정신쇠약으로 요절 미혼 각주[편집] ↑ 제임스 1세의 장녀와 동명이인 전임에드워드 7세 인도 황제영국 및 자치령 국왕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후임에드워드 8세 vdeh연합왕국(영국) 국왕King of the United Kingdom스튜어트조 앤 하노버조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작센코부르크고타조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윈저조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잉글랜드 국왕/스코트인의 왕 vdeh웨일스 공 (잉글랜드 왕태자)Prince of Wales플랜태저넷조 캐르나펀의 에드워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보르도의 리처드 몬머스의 헨리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미들햄의 에드워드 튜더조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스튜어트조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하노버조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vdeh로스시 공작 (스코틀랜드 왕태자)스튜어트조 ← 캐릭 백작 데이비드 제임스 알렉산더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아서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헨리 프레더릭 찰스 찰스 제임스 찰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하노버조 조지 프레더릭 조지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조지 에드워드 찰스 필립 아서 조지 vdeh영국의 왕자 목록1세대 조지 2세 2세대 웨일스 공 프레더릭 조지 윌리엄 왕자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3세대 조지 3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에드워드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헨리 컴벌랜드와 스트래선의 공작 헨리 프레더릭 왕자 4세대 조지 4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프레더릭 윌리엄 4세 켄트와 스트래선의 공작 에드워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서식스 공작 아우구스투스 프레더릭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퍼스 옥타비우스 왕자 앨프레드 왕자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프레더릭 5세대 앨버트 공* 게오르크 5세 케임브리지 공작 조지 6세대 에드워드 7세 알프레트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7세대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 조지 5세 알렉산더 존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세자 알프레트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코넛 공자 아서 올버니 공작 찰스 에드워드^ 크리스티안 왕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폰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8세대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글로스터 공작 헨리 켄트 공작 조지 존 왕자 요한 레오폴트 왕자^ 휴베르투스 왕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알라스테어 윈저^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9세대 에든버러 공작 필립* * 글로스터 공자 윌리엄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켄트 공작 에드워드 켄트 공자 마이클 10세대 웨일스 공 찰스 요크 공작 앤드루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11세대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세번 자작 제임스 12세대 케임브리지 공자 조지 케임브리지 공자 루이스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여왕과의 혼인에 의하여 왕자가 됨*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영국의 왕자 작위를 수여받음^ 출생 당시에는 영국의 왕자였지만, 후에 영국의 왕자 작위를 박탈당함^^ 왕자 지위를 받을 수 있지만 거부함 vdeh아일랜드의 군주아일랜드 영주 존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아일랜드 국왕 헨리 8세 에드워드 6세 레이디 제인 그레이 메리 1세 &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제임스 1세 찰스 1세 (공위기) 찰스 2세 제임스 2세 윌리엄 3세 & 메리 2세 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그레이트브리튼아일랜드 국왕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그레이트브리튼북아일랜드 국왕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vdeh콘월 공작Duke of Cornwall제1차 (1337년)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몬머스의 헨리 플랜태저넷 랭커스터의 헨리 플랜태저넷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요크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미들햄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1세 스튜어트 찰스 제임스 스튜어트 찰스 2세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제2차 (1376년) 보르도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3차 (1460년) 요크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4차 (1399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vdeh요크 공작플랜태저넷가 제1차 랭글리의 에드먼드 노리치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제2차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튜더가 제3차 헨리 스튜어트가 제4차 찰스 제5차 제임스 하노버가 어니스트 오거스터스 (1716-1728) 에드워드 (1760-1767) 프레더릭 (1784-1827) 윈저가 제6차 조지 윈저 제7차 앨버트 윈저 제8차 HRH 앤드루 윈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389473 LCCN: n80139232 ISNI: 0000 0003 8336 5509 GND: 118690469 SELIBR: 316381 SUDOC: 079726119 BNF: cb119925655 (데이터) BIBSYS: 90640442 뮤직브레인즈: 61fa34e7-b983-4592-bac4-dafd05da1a0e NLA: 36288118 NDL: 01233272 NKC: xx008217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지_5세&oldid=24396734" 분류: 1865년 태어남1936년 죽음영국의 군주잉글랜드의 성공회교도윈저가웨일스 공로스시 공작요크 공작콘월 공작인도 황제에드워드 시대 사람런던 출신영국 육군 원수대훈위 국화장경식 수훈자흑수리 훈장 수훈자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덴마크계 영국인독일계 영국인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개신교도 군주피지의 투이비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ernowek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지 5세(영어: George V, 1865년 6월 3일 ~ 1936년 1월 20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자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및 인도 제국의 황제이다. (재위 :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영국의 전 국왕 엘리자베스 2세의 할아버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지가 인버네스 백작이란 칭호를 부여받은 년도는 몇년도야? Assistant: 1892년 Human: 아래 김해여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해여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해여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해여객 주식회사Gimhai Passenger Corp.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88년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상남도 김해시전하로304번길 24(내외동 1264, 김해시외버스터미널 내) 핵심 인물 허우기 (대표자) 제품 시외버스 계열사 밀성여객 김해여객(金海旅客)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시외버스 운행 업체이다. 본사는 김해시 외동에 있다. 목차 1 역사 2 차고지 3 운행 노선 3.1 시외버스 4 보유차량 5 함께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1988년 동신버스로 설립해 이후 가야IBS로 분리 했다가 2001년 사명을 변경 하였다.[1] 차고지[편집] 경상남도 김해시 전하로304번길 24 (내외동) (김해본사:김해시외버스터미널내) 운행 노선[편집] 시외버스[편집] 2015년 12월 기준이다.[2]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면허 대수 노선 합계 직행 일반 고속 대수 합계 직행 일반 고속 우등 예비 김해여객 31 19 12 - 40 28 12 - - - 김해 출발 노선 김해 ↔ 주촌 ↔ 장유 ↔ 창원 김해 ↔ 거가대교 ↔ 고현 (경원여객 공동 운행) 김해 ↔ 장유 ↔ 배둔 ↔ 고성 ↔ 통영[3] 김해 ↔ 장유 ↔ 창원 ↔ 마산 ↔ 안동 김해 ↔ 장유 ↔ 창원 ↔ 마산 ↔ 현풍 ↔ 고령 ↔ 거창 김해 ↔ 장유 ↔ 내서(마산대) ↔ 함안 (태영고속, 동일익스프레스 공동 운행, 2017년 4월 7일 신설) 마산 출발 노선 마산 ↔ 영산 ↔ 부곡 마산 ↔ (진례)[4] ↔ 장유농협 ↔ 롯데워터파크 서부산 출발 노선 서부산 ↔ 가락 ↔ 죽림 ↔ 김해 서부산 ↔ 장유 (↔ 진례 ↔ 진영) 서부산 ↔ 영산 ↔ 부곡 보유차량[편집] 기아자동차 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함께 보기[편집] 부산교통 각주[편집] ↑ “김해여객 연혁”. 2015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7일에 확인함.  ↑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상남도청 교통물류과, 2016년 2월 29일 작성. ↑ 2015년 10월 24일부터 김해공항 경유 노선이 폐지되었다. ↑ 1일 8회 경유 vdeh경상남도의 버스 기업시내·농어촌·마을버스 업체창원시 대운교통 대중교통 동아여객 동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신흥여객 제일교통 진해여객 진해마을버스 창원버스 창원마을버스 김해시 가야IBS 김해BUS 동부교통 진주시 부산교통 부일교통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양산시 세원 푸른교통 법서교통 양산BS 웅상교통 웅진교통 지산마을버스 밀양시 밀양교통 삼남교통 삼랑진교통 영남교통 용활교통 한성교통 거제시 삼화여객 세일교통 사천시 거창고속 삼포교통 통영시 신흥여객 통영교통 농어촌 동일익스프레스(함안군) 고성버스(고성군) 남흥여객(남해군) 산청교통(산청군) 서흥여객(거창군 합천군) 영신버스(창녕군 의령군) 함양지리산고속(함양군) 의령버스(의령군) 하동버스(하동군) 시외버스 업체 거창고속 거제현대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인공항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태영고속 천일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해여객&oldid=23605435" 분류: 1988년 설립2001년 설립김해시의 교통경상남도의 시외버스 기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31일 (목) 2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해여객(金海旅客)은 경상남도 김해시 전하로304번길 24 (내외동)에 본사를 둔 시외버스 운행 업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5년 12월 기준으로 김해여객의 총 보유 노선수는 몇개인가? Assistant: 31
Human: 아래 원기폭발_간바루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원기폭발 간바루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기폭발 간바루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기폭발 간바루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원기폭발 간바루가》(일본어: 元気爆発ガンバルガー 겡키바쿠하츠간바루가[*])는 엘드란 시리즈 2기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1992년 4월 1일부터 1993년 2월 24일까지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는 투니버스에서 《로봇전사 감마》라는 이름으로 방영된 바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인물 2.1 간바팀 2.2 간바루가 2.3 주변 인물 2.4 대마계 3 각주 줄거리[편집] 빛의 전사 엘드란은 마왕 노크아크와의 싸움을 통해 결국 봉인하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마왕의 부하인 야미노리우스 3세는 미처 봉인하지 못했다. 지상으로 도망간 야미노리우스 3세를 봉인하기 위해 다시 엘드란은 3대의 로봇을 만든다. 한편 하늘 초등학교에 다니는 주인공 3인방은 우연히 학교 뒷산에서 이 3대의 로봇을 발견하게 된다. 이 소년들은 엘드란으로부터 전후 사정을 듣고는 대마왕과 싸우는 일에 응하게 되는데.... 등장인물[편집] 간바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간바팀입니다. 간바루가[편집] 엘드란이 야미노리우스 3세를 막기 위해 보낸 메카로, 국내명은 감마에이스. 킹 엘레판 : 코끼리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다리 부분으로 들어간다. 파일럿은 나대로. 고 타이가 : 호랑이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몸통 부분이 된다. 파일럿은 강세찬. 마하 이글 : 독수리가 로봇으로 변신하여 감마 에이스의 팔과 날개가 된다. 파일럿은 현승우. 리보루가(감마 라이온) : 감마 에이스가 마계괴물에게 위험을 처했을 때 나타난 날개 달린 거대한 사자 형태의 메카. 파일럿은 나대로. 게키류가(감마 드래곤) : 엘드란에게 받은 황금알에서 태어난 용처럼 생긴 메카. 파일럿은 현승우. 시계 마계 괴물이 시간을 되돌려 나타난 공룡들을 겁먹게 한다. 그레이트 간바루가(그레이트 감마) : 감마 에이스, 감마 라이온, 감마 드래곤이 합체한 로봇으로 초 마계 괴물에게 위험을 당할 때 합체 프로그램이 작동돼서 강세찬이 제대로 맞춰서 위기일발으로 합체한다. 주변 인물[편집] 곤잘레스 = 키리가쿠레 토베에 이 부분의 본문은 키리가쿠레 토베에입니다. 키리가쿠레 카스미 (강세미) / 성우 : 이토 미키 / 전숙경 강세찬의 누나로 운동을 잘하는 편이다. 처음엔 개가 된 아버지 토베에를 싫어했으나 자신을 구해준 이후로는 좋아하게 돼서 개집을 만들어주고 곤잘레스라는 이름을 지어준 장본인. 야미노리우스 3세의 마법으로 자신의 배드민턴 라켓을 마계괴물로 만드는 중에 대신 맞아서 카스미리우스가 되어서 야미노리우스 3세를 마법으로 가둬버리고 그의 램프를 얻어서 본인의 배드민턴 라켓을 마계괴물로 만들고 간바팀과 승부하나 결국 강세찬의 활약으로 패배해서 원래대로 돌아온다. 타치바나 아이코 / 성우 : 이토 미키 / 정선혜 나대로, 강세찬, 현승우의 담임 선생님으로 원병태가 짝사랑하는 상대. 야미노리우스 3세가 기억상실에 걸렸을 때 그를 보호해 주었던 여자 선생님. 야미노리우스 3세가 변장한 모습(민호)을 짝사랑하는데 나중에 다시 기억이 돌아온후 청소기 마계 괴물이 나올때, 민호와 같이 찍었던 사진이 야미노리우스 3세 손에 들어가자 자신이 그토록 짝사랑하던 상대가 야미노리우스 3세인걸 알고 절망한다. 그 때 열심히 싸우던 간바팀의 모습을 보고 용기를 얻어 그를 설득하려고 매번 감마와 같이 출동한다. 열심히 스피커를 통해 설득하지만 계속 실패하는데... 유우키 치나츠 이 부분의 본문은 유우키 치나츠입니다. 코마키 유리카 이 부분의 본문은 코마키 유리카입니다. 타케다 카츠라 (두나) / 성우 : 후카미 리카 / 한원자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네 반 회장이며, 방위대 소속인 타케다 장관의 딸이다. 타케다 장관을 파파라고 부른다. 가끔 자기 것(케이크, 시계)이 마계 괴물이 되기도 한다.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와 류자키 리키야(나대로),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이의 파워벨트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장난감이라 하고서 선생님께 일러바친다. 깐깐한 모범생형. 타케다 장관 이 부분의 본문은 타케다 장관입니다. 류자키 테츠야 (나대호) / 성우 : 오오타니 이쿠에/ 여민정 류자키 리키야(나대로)의 동생으로 주시연의 단짝.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이네 어머니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다. 간바팀 중에서 레드감마를 제일 좋아한다. 배달은 자신도 할 수 있다며 나대로에게 큰 소리치고 남자의 약속으로 빈 그릇을 가지고오라는 심부름을 지킨다. 자신의 생일 선물 케이크가 개미 마계 괴물에게 크리스마스 선물 자전거가 산타 마계 괴물에게 도둑맞기도 하지만 마지막에 레드감마가 선물해준다. 유우키 아키에 (주시연) / 성우 : 후카미 리카/ 한신정 유우키 치나츠의 여동생으로 강세찬네 어머님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으며 나대호와 단짝친구다. 언니와 비슷해서 한번뿐이기는 하지만 언니보다 앞서서 특종을 잡은적도 있다. 매지션과 싸울 때에는 골칫덩이였으나 물리칠 때는 도움이 많이 되었다. 아라키 겐조 (원수퍼 아저씨) / 성우 : 오가타 켄이치 / 김광국 이가 없어 틀니를 했다. 무직인 아들 아라키 쥰(원병태)를 가끔 구박하기도 한다. 아라키 쥰 (원병태) / 성우 : 야마구치 켄/ 방성준 대로의 야구팀 코치이기도 하다. 키리가큐레 코타로(강세찬)이 선생님 타치바나 아이코를 좋아하나 선생님이 정의의 기자를 좋아하는 바람에 결국 돈을 털어 기자 패션을 꾸미는 등 기자가 되려고 노력한다. 지우개 마계 괴물에 의해 몸이 투명해져서 하얀 가루를 뒤집어쓰고 화이트감마가 돼서 지우개 마계 괴물의 몸에 하얀 가루를 남겨서 간바팀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활약을 한다. 리키야(나대로)의 아버지 / 성우 : 야마구치 켄 / 김정은 나대로의 아버지로 나대로가 소속된 팀의 야구 경기가 있을 때마다 와서 응원을 한다. 자칭 배달경력 30년이라곤 하지만 확실치 않다. 분식집을 경영하고 있다. 배달 때 땡땡이 치거나 음식을 도둑 맞아서 항상 아내에게 혼난다. 펭귄 마계수 편에서 간바팀이 위험에 처했을 때 그들에게는 따뜻한 라면을 배달하고 펭귄 마계수에게는 고추가 듬뿍 들어간 냉국수를 선물하는 멋진 활약을 선보인 적이 있다. 리키야(나대로)의 어머니 / 성우 : 오리카사 아이 / 한원자 류자키 리키야(나대로)네 아버지가 배달을 핑계로 응원갈 때마다 혼내는 잔소리꾼이다. 하지만 진심은 류자키 리키야(나대로) 아버지를 걱정한다. 요스케(승우)의 어머니 / 성우 : 오오타니 이쿠에 / 김선혜[1] 카자마츠리 요스케의 어머니로,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가 100점 맞은 시험지들을 최고의 보물이라고 생각한다. 또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가 최고로 좋은 중학교로 들어가기를 원하고 있으며, 요스케가 불량한 모습으로 수업을 땡땡이 치면 기절을 한다. 또한 매년마다 현승우가 떡 공포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 엘드란 이 부분의 본문은 엘드란입니다. 대마계[편집] 야미노리우스 3세 (미놀리우스3세) / 성우 : 故 소가베 카즈유키 / 최재호 이 부분의 본문은 야미노리우스 3세입니다. 고크아크 (노르아크) / 성우 : 사토 마사하루 / 시영준 마계의 마왕으로 메두사를 연상시키게 하는 외모를 하고 있다. 마왕이면서도 감마를 조종할 정도로 힘이 강한듯 하다. "등장! 감마 라이온, 대로 대 감마 에이스" 편에서 노르아크가 엘드란에게 봉인되고 왼팔이 떨어져나가고 그 왼팔과 동물 마계괴물 백과사전을 준다. 그 왼팔로 더욱 강한 마계괴물을 만들게하고 레드감마를 조종한다. 간바팀에게 패배하고 아직 죽지 않고 영혼이 남아있어 부활의 날까지 야미노리우스 3세의 몸속에 들어간다. 마지막에 자신을 부활시킨 야미노리우스 3세를 배신하고 지구를 파괴한다. 사이아크 (실리아크) / 성우 : 야마구치 켄 노르아크(고크아크)와 색깔만 다를뿐, 생김새는 같은 마왕. 노르아크(고크아크)보다 힘은 떨어지지만 여전히 아주 강력한 마왕이다. 후반에 야미노리우스의 꿈에 나타나 부활을 지시한다. 결국 정말 부활에 성공하지만 감마에게 패했으며, 이후 다시 노르아크(고크아크)와 합세하여 감마를 쳐부수려고 하지만 다시 패했다. 레츠아크 (레트아크) / 성우 : 시마다 빈 노르아크(고크아크),살리아크(사이아크)와 색만 다르지 모습은 똑같다. 색깔은 연두색. 힘은 3마왕 중 제일 약함. 하지만 후반에 살리아크(사이아크), 노르아크(고크아크)와 함께 부활해 감마를 없애버리려 한다. 그러나 감마에게 지고 다른 2마왕과 결합해 감마와 지구를 없애버리려고 하다가 우주에서 영원히 사라진다. 각주[편집] ↑ 한일 성우 모두 코마키 유리카와 중복. 이 전 절대무적 라이징오 제2대 엘드란 시리즈 1992년 4월 1일 ~ 1993년 2월 24일 다 음  열혈최강 고자우라  vdeh엘드란 시리즈TV 시리즈 절대무적 라이징오 원기폭발 간바루거 열혈최강 고자우러 잡지·만화책 완전승리 다이테이오 vdeh1990년대 로봇 애니메이션 목록1990년NG 기사 라무네&40TVA · RPG전설 헤포이TVA · AD 폴리스 OVAOVA · 마신영웅전 와타루 2TVA · 용자 엑스카이저TVA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신 OVAOVA · 암흑신전승 무신 십육야정화OVA1991년기동전사 건담 0083 STARDUST MEMORYOVA · 기동전사 건담 F91MVA · 기갑경찰 메탈잭TVA · 긴급발진 세이버키즈TVA · 데터네이터 오간OVA · 자이언트 로보 지구가 정지하는 날OVA · 겟타 로보 고TVA · 절대무적 라이징오TVA ·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TVA · 노인 ZOVA · 버블검 크래쉬!OVA1992년원기폭발 간바루가TVA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2 Lovers AgainOVA · 기동전사 건담 0083 지온의 잔광MVA · 전설의 용자 다간TVA · 철인 28호 FXTVA ·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TVA1993년기신병단OVA · 8 after manTVA · 열혈최강 고자우라TVA · 초시공세기 오거스 02OVA · 신조인간 캐산OVA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TVA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2 the MovieMVA · 기동전사 V 건담TVA · 특수전차대 도미니온OVA1994년마크로스 플러스OVA · 아이언맨TVA · 미소녀 전사 익셀리온OVA · 기동무투전 G 건담TVA · 레드 바론TVA · 야마토 타케루TVA · 용자경찰 제이데커TVA · 이리아OVA · 패왕대계 류나이트TVA · 패왕대계 류나이트 아듀 레전드OVA · 플라스틱 리틀OVA · 마크로스 플러스 무비 에디션MVA · 마법기사 레이어스TVA · 마크로스 7TVA ·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2OVA1995년마크로스 7 은하가 나를 부른다MVA · 신기동전기 건담 WTVA · 신세기 에반게리온TVA · 황금용자 골드런TVA · 마크로스 7 EncoreOVA · 공각기동대MVA1996년기동전사 건담 제08 MS 소대OVA · 천공의 에스카플로네TVA · 초자 라이딘TVA 기동신세기 건담 XTVA · 용자지령 다그온TVA · 기동전함 나데시코TVA · 비트 엑스TVA · 비스트 워즈TVA · 파워 돌스OVA · 카쿠고의 스스메OVA1997년넥스트전기 에어가이츠TVA · 녹색전차 해모수TVA · 영혼기병 라젠카TVA · 사쿠라 대전 앵화현란OVA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OVA · 신세기 에반게리온 DEATH & REBIRTHMVA· 신세기 에반게리온 에어/진심을, 너에게MVA · 용자왕 가오가이가TVA · 초마신영웅전 와타루TVA · 초특급 히카리안TVA · 초광속 그랜돌OVA · 마크로스 7 다이너마이트OVA1998년DT 에이트론TVA · 남해기왕 네오랑가TVA · 브레인 파워드TVA · 게키강가 3OVA · 초기동전설 다이나기가OVA · 버블검 크라이시스 도쿄 2040TVA · 기동전함 나데시코 극장판 The Prince of DarknessTVA · 강철 커뮤니케이션TVA · 스프리건MVA · 가사라키TVA · 기동전사 건담 제08 MS 소대 밀러즈 리포트OVA · 비스트 워즈 2TVA · 은하표류 바이팜 13TVA · 진 겟타 로보 세계 최후의 날OVA · 성방무협 아웃로스타TVA1999년초신희 단가이저 3OVA · 브레이크 에이지OVA · 레스톨 특수 구조대TVA · 마장기신 사이버스터TVA · 무한의 리바이어스TVA · THE 빅오TVA · 사쿠라 대전 굉화현란OVA · 아이언 자이언트MVA · 지구방위기업 다이가드TVA · 메다롯트TVA · ∀건담TVA · 듀얼! 파라레 룬룬 이야기TVA · 조이드TVA · 블루 젠더TVA · AD 폴리스TVA · 베터맨TVA※TVA : TV 애니메이션 · MVA : 극장용 애니메이션 · OVA :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원기폭발_간바루거&oldid=23837305" 분류: 로봇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 관한 틀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1992년 애니메이션1993년 애니메이션선라이즈 작품엘드란 시리즈원기폭발 간바루가닌자를 소재로 한 작품초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0일 (일) 15: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원기폭발 간바루가》(일본어: 元気爆発ガンバルガー 겡키바쿠하츠간바루가[*])는 엘드란 시리즈 2기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1992년 4월 1일부터 1993년 2월 24일까지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는 투니버스에서 《로봇전사 감마》라는 이름으로 방영된 바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원기폭발 간바루거의 등장인물에는 누가 있을까? Assistant: 킹 엘레판 : 코끼리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다리 부분으로 들어간다. 파일럿은 나대로. 고 타이가 : 호랑이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몸통 부분이 된다. 파일럿은 강세찬. 마하 이글 : 독수리가 로봇으로 변신하여 감마 에이스의 팔과 날개가 된다. 파일럿은 현승우. 리보루가(감마 라이온) : 감마 에이스가 마계괴물에게 위험을 처했을 때 나타난 날개 달린 거대한 사자 형태의 메카. 파일럿은 나대로. 게키류가(감마 드래곤) : 엘드란에게 받은 황금알에서 태어난 용처럼 생긴 메카. 파일럿은 현승우. 시계 마계 괴물이 시간을 되돌려 나타난 공룡들을 겁먹게 한다. 그레이트 간바루가(그레이트 감마) : 감마 에이스, 감마 라이온, 감마 드래곤이 합체한 로봇으로 초 마계 괴물에게 위험을 당할 때 합체 프로그램이 작동돼서 강세찬이 제대로 맞춰서 위기일발으로 합체한다. Human: 아래 하게타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게타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게타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하게타카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하게타카》 (ハゲタカ)는 작가 마야마 진 경제 소설 《하게타카》를 원작으로 제작 된 일본의 실사영상화 작품. 목차 1 NHK판 1.1 개요 1.1.1 출연진에 대해 1.2 줄거리 1.3 등장인물 · 출연진 1.3.1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1.3.2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 1.3.3 도요 TV 1.3.4 여관 《니시노야》 1.3.5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 1.3.6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 1.3.7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1.3.8 그 외 1.4 제작진 1.5 닫는 곡 1.6 부제 1.7 수상 내역 2 영화 2.1 개요 3 TV 아사히판 3.1 등장인물 · 출연진 3.1.1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 3.1.2 미츠바 은행 3.1.3 그 외 3.2 부제 4 주요 용어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NHK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방송 기간 2007년 2월 17일 ~ 3월 24일 방송 시간 토요일 21:00 - 21:58 방송 분량 58분 방송 횟수 6화 원작 마야마 진 극본 하야시 고지 출연자 오모리 나오시바타 교헤이마쓰다 류헤이구리야마 지아키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07년 2월 17일부터 같은 해 3월 24일까지 NHK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작가 마야마 진 (真山 仁)의 경제 소설이 원작이며, 총 6화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편집]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파 소설을 발표해 온 신문기자 출신 작가 마야마 진의 소설 《하게타카》와 《바이아웃》[1] 을 원작으로, 하야시 고지가 각본을 담당했다. 제1화 ~ 제3화는 《하게타카》, 제4화 ~ 제6화는 《바이아웃》을 기초로 작성됐다. 총6화가 2007년 2월 17일부터 3월 24일까지 매주 토요일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의 〈토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됐다. 방송 후에는 포니캐년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와 DVD로 발매됐다. 출연진에 대해[편집] 출연자 중 한 명인 시바타 교헤이의 폐암 수술 및 요양 때문에, 방송일이 예정됐던 2006년 9월 2일 ~ 10월 7일에서 연기됐다. 또, 출연 예정이었던 나카무라 시도가 음주운전 적발로 출연을 사퇴하고, 마쓰다 류헤이가 대신 기용됐다. 줄거리[편집] 와시즈(오모리 나오)는 거품 경제 붕괴 후, 어떤 사건을 겪고 〈미츠바 은행〉을 퇴사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일본 대표로 취임하며 귀국. 펀드 매니저로써 차례차례 일본 기업을 사들여 〈하게타카〉라는 별명을 얻게된다. 그리고 현 미츠바 은행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이자 자신의 상사였던 시바노(시바타 교헤이)와 재회한다. 은행이 가진 벌크 세일(보유채권 전량매매)을 파는 쪽과 사는 쪽으로... 그 후에도 운명처럼 두 사람은 몇 번이고 부딪히게된다. 드라마 후반에는 와시즈가 목표로 삼았던 대형 전자 회사의 인수(공개매수)에 니시노(마쓰다 류헤이)가 나타난다. 니시노는 IT 벤처 기업의 사장이지만, 집안이 경영했던 여관 〈니시노야〉가 와시즈의 손에 팔린 것을 계기로 기업가로 전향한 과거가 있다. 니시노에게 와시즈는 목표이며,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오모리 나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대표. 미츠바 은행에 1991년 입사. 마루노우치 지점에서 법인영업을 담당, 반년간 시바노 타케오 차장의 부하였으나, 1993년 퇴사.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호라이슨에 입사한다. (제5회) 뉴옥 본사의 지시를 무시하고 오조라 전기 인수를 강행해 호라이즌 재팬 대표에서 해임된다. (최종회) 어느 사건 후, 시바노의 권유로 와시즈 펀드를 설립하고 대표로 취임한다. 나카노부 고로 - 시가 고타로 와시즈의 부하이며, 부동산 거래 전문가. 와시즈의 좋은 이해자이며, 뉴욕 본사에 대한 배임 행위에도 불구하고 뒤에서 계속 작업한다. 무라타 타케시 - 시다마 규사쿠 와시즈의 부하이며, 기업 조사 전문가. (제5회) 하이퍼 크리에이션으로 떠남. (최종회) 와시즈 펀드 설립을 위해, 다시 와시즈에게 돌아간다. 아랑 워드 - 팀 월랜드 와시즈의 부하이자 오른팔이다. 뉴욕 본사에서 온 엘리트. (제5회) 와시즈의 후임으로 호라이즌 재팬의 대표가 된다. 린 해트포드 - 오타 미도리 로랜스 와시즈의 부하. 골드 버그 콜즈 재정 고문.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편집] 시바노 다케오 - 시바타 교헤이 미츠바 은행의 엘리트 사원. 부서는 인사부, 해외유학을 거쳐 국제기획부. 그 후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제1화) 사업전략부부장 (제2화~제3화). 그러나 제3화 마지막에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미츠바 은행을 스스로 퇴사한다. (제4화부터) 기업재생가 (턴어라운드 매니저)로 전신, 오조라 전기의 중역을 거쳐 이사가 되며, 츠카모토의 지원으로 개혁을 실시한다. (최종화) 호라이즌의 명령으로 경비 삭감 이사로 남으며, 피닉스 계획 추진 본부장을 겸임한다. 와시즈 펀드의 요청으로 EBO 후의 새벽의 광학(전 오조라 전기 렌즈 사업부) 사장으로 취임한다. 이지마 료스케 - 나카오 아키라 미츠바 은행 임원(상무이사). 회사의 배후에 사정에 대한 일을 많이 해왔다. (제5화) MGS은행 부은행장. 니시노 오사무를 지원. (최종화) 와시즈로부터 오조라 전기 렌즈 부문 매각 방지를 위한 로비 활동을 의뢰받는다. 누마타 토오루 - 사토이 겐타 미츠바 은행 사원. 홍부부 부장이며 시바노와 동기이자 좋은 동료이다. 도요 TV[편집] 미시마 유카 - 구리야마 지아키 도요 TV 경제부 기자. 과거 아버지가 공장의 거래처 은행에게 거래를 거부당해 자살, 그 후 당시 담당자였던 와시즈의 동향을 추적한다. (제4화) 도요 TV 보도 프로그램 《PRIME11》의 캐스터로 취임. 노나카 유지 - 고이치 만타로 도요 TV 경제부 기자. 유카의 상사. 여관 《니시노야》[편집] 제1화에 등장. 니시노 오사무 - 마쓰다 류헤이 (제1화) 집안이 경영하던 여관이 와시즈에 의해 팔린 후, 가출. (제2화, 제3화) 와시즈에 대한 라이벌 의식으로 창업자금 300만엔을 모은다. (제4화) IT 기업 《하이퍼 크리에이션》을 창업한다. (제5화) 호라이즌이 공개매수를 실시한 오조라 전기의 백기사로 등장해 호라이즌과 공개매수 전쟁을 벌인다. 그 후, 내부자 거래로 체포되어 와시즈를 쏜다. 니시노 쇼고 - 우자키 류도 여관 《니시노야》의 경영자이자 오사무의 아버지. 채권을 산 와시즈에게 여관을 매각당하고, 그 충격으로 자살이나 다름없는 사고사를 당한다. 니시노 아야코 - 나가시마 에이코 (제1화, 제2화) 오사무의 어머니.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편집] 제2화, 제3화에 등장 오코우치 미즈에 - 후지 마나미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사장. 회사의 반을 사유화 하고 있다. 오코우치 노부아키 - 고바야시 마사히로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전무. 미즈에의 장남이다. 모모세 케이이치 - 오카모토 노부토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상무.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편집] 제4화 ~ 제6화에 등장. 오키 쇼자부로 - 스가와라 분타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회장. (제4화) '카리스마 경영'이라 불리는 창업자 였지만, 말기암으로 사망. 츠카모토 쿠니히코 - 오스기 렌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장. 기업 재생가가 된 시바노(대학 동기로 같은 야구부 출신)를 불러들인다. 카토 유키오 - 다나카 민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원. 렌즈 연마 장인이다. 우시지마 세이지 - 도쿠이 유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 정보단말부부장. (최종화) 구조조정 과정에서 시바노와 직원 사이에 끼어, 그 정신적 압박으로 자살한다.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편집] 알버트 클라리스 - 이안 무어 케네스 클라리스 리버풀(KKL).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대표. 와시즈가 이끄는 〈호라이즌 재팬〉에 기업 인수 지시를 내린다. 오가 야스오 - 마쓰시게 유타카 (최종화)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로 부터 오조라 전기 새 사장에 임명된다. 그 외[편집] 쿠사카베 스스무 - 야지마 겐이치 (제3화) 미츠바 은행 계열 투자회사 《아이언 옥스》 대표. 치열한 입찰 경쟁을 벌였다. 토야마 렌이치로 - 미쓰이시 겐 (제3화) 선데이 토이즈 스폰서 선정을 담당한 변호사. 미시마 켄이치 - 와타나베 데쓰 유카의 아버지로 미츠바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자살. (회상 장면에 등장) 리 젠밍 - 하쿠 히로시 (제5화) 중국 전자 기업 《텍슨》 사장. 와시즈에게 직접 오조라 전기 인수를 부탁받는다. 오키 류자부로를 존경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원작 - 마야마 진 각본 - 하야시 고지 음악 - 사토 나오키 연출 - 오토모 게이시, 이노우에 쓰요시,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닫는 곡[편집] 〈Riches I hold in light esteem〉 (부귀영화를 가볍게 여기네) 작사 - 에밀리 브론테 음악 - 사토 나오키 노래 - tomo the tomo 부제[편집] 각 화 부제 목표 (게스트) 방송일 연출 방송시간 시청률 제1화 일본을 싼값에 사들여! 우자키 류도 등 2007년 2월 17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8.7% 제2화 황금 낙하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2월 24일 이노우에 쓰요시 21:00 - 21:58 7.3% 제3화 끝나지 않은 입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3월 3일 22:00 - 22:58 6.0% 제4화 격진! 주주총회 스가와라 분타, 오스기 렌 등 2007년 3월 10일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21:15 - 22:13 6.7% 제5화 백기사 오스기 렌,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17일 21:00 - 21:58 7.2% 최종화 새로운 바이아웃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24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7.1% 평균시청률 7.17%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수상 내역[편집] 제33회 방송 문화 기금상 TV 드라마 부문 '본상', '출연자상" 수상 제44회 갤럭시상 '우수상', '베스트 TV상 그랑프리' 수상 제6회 방송인 그랑프리 '특별상' 수상 제59회 이탈리아상 시리즈 드라마 부문 수상 제32회 골든 체스트 국제 TV 페스티벌 '모스필름 특별상' 수상 제12회 아시아 텔레비전 어워드 시리즈 드라마 부문 '최우수상' 수상 제32회 에란 도르상 TV 부문 '작품상 ​​TV 가이드상', '프로듀서상 다나카 도모유키 기금상' 수상 제7회 영상 기술상 촬영 부분, 조명 부문, 미술 부문 수상 NHK 토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슬로우 스타터(2007.01.27 - 2007.02.03) 하게타카(2007.02.17 - 2007.03.24) 병원의 힘: 호시조라 호스피탈(2007.04.14 - 2007.05.12) 영화[편집] 2009년 6월 6일 도호 배급으로 개봉되었다. 작가 마야마 진에 의한 소설 "하케타카", "하게타카 II", "레드 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히로시 감독을 연출을 맡았다. 개요[편집] NHK 토요일 드라마 《하게타카》가 일본, 해외외에서 높은 평가를 얻으며, 도호 등에 의해 영화화가 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드라마에서 4년 후가 되는 무대에서 출연자·스태프 모두 이전에 방송된 드라마를 거의 답습하고 원작자 마야마 진이 집필 한 속편 "레드 존"을 기반으로 TV 판의 후일담이 될 예정으로, 2009년 6월 개봉을 예정으로, 그해 1월 15일 크랭크인했다. 또한 영화의 개봉에 맞춰, 2009년 5월에 드라마의 노벨 라이즈 책이 "TV 판 하게타카"로 주부와 생활사에서 상하 2권으로 발매되었다. 몇년 영화 프로그램의 방송이 없었던 NHK 종합 TV에서 2010년 8월 7일에 "스페셜 에디션"이 방송되었다. TV 아사히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TV 아사히 방송 기간 2018년 7월 19일 ~ 방송 시간 목요일 21:00 - 21:54 방송 분량 54분 원작 마야마 진 감독 이즈미 세이지 극본 후루야 카즈나오 출연자 아야노 고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18년 7월 19일부터 TV 아사히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아야노 고 아랑 워드 - 이케우치 히로유키 사에키 무네노리 - 스기모토 텟타 나카노부 고로 - 미츠이시 켄 미츠바 은행[편집] 시바노 다케오 - 와타베 아츠로 미야베 미도리 - 사쿠라 에마 이이지마 료스케 - 코바야시 카오루 그 외[편집] 마츠다 타카코 - 사와지리 에리카 마츠다이라 타마카 - 미쓰이시 겐 시바노 아키코 - 호리우치 케이코 시바노 아즈사 - 코레나가 히토미 부제[편집] 각 화 장 부제 방송일 연출 시청률 제1화 제1장 일본을 구입 두드려라! 7월 19일 이즈미 세이지 11.9% 제2화 황금 낙하산끝없는 입찰 7월 26일 11.3% 제3화 격진! 주주 총회 8월 02일 10.4% 제4화 제2장 화이트 나이트 8월 09일 9.6% 평균시청률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TV 아사히 목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2018.04.19 - 2018.06.17) 하게타카(2018.07.19 - ) - vdehTV 아사히(ANN) 목요드라마 (21시, 1990년 이후)1990년대 전반1990년 《강은 울고있다》 《번데기 광경》 《코엔지 순정 상점가》 《자유의 언덕에 내가 남은》 《아름다운 거짓말 붙여 있습니까》 《내가 바다까지 흘려》 《꽃의 계절》 《도쿄만 블루스》 《여자의 적은 남자의 적》 《겨울 오기 전에》 1991년 《일곱 여자 변호사》 《게이샤 코하루의 화려한 모험》 《외과병동 여의사의 사건 파일》 《일곱 여자 변호사II》 1992년 《자정은 다른 얼굴》 《여자 사건기자 타치바나 케이코》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1시리즈) 《대공항 '92 ~사랑의 여행~》 1993년 《일곱 여자 변호사III》 《세일즈 레이디는 무엇을 봤다》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2시리즈) 《여검사 수사 파일》 1994년 《신공항 이야기》 《그와 그녀의 사정》 《대가족 드라마 며느리가 나설》 《엄마의 침대에 계십니다》 1990년대 후반1995년 《아지이치몬메》(제1시리즈) 《우리 어머니이지만 ...》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1시리즈) 《Miss 다이아몬드》 1996년 《아지이치몬메》(제2시리즈) 《불꽃의 소방대》 《소아 병동・생명의 계절》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2시리즈) 1997년 《흐름 판 일곱》 《최고의 식탁》 《보디가드》 《가정부는 봤다!》 1998년 《너무 사랑 않아 좋았다》 《처절! 며느리 시어머니 전쟁 나찰의 집》 《여교사》 《외과의·나츠메 산시로》 1999년 《뉴스캐스터 카스미 레이코》 《사랑의 기적》 《꼭대기》 《연애사기꾼》 2000년대 전반2000년 《연애중독》 《아나자 헤븐 ~eclipse~》 《츠구미에 ... ~ 작은 생명을 잊지 ~》 《스타일!》 2001년 《너의 유키치가 울고있다》 《R-17》 《빙점 2001》 《마지막 가족》 2002년 《혼외연애》 《잠못드는 밤을 안고》 《사토라레》 《체포하라》 2003년 사랑 싸움!》 동물병원 선생님》 키쿠지로와 사키》(제1시리즈) TRICK3》 2004년 《에이스를 노려라!》 《전지가 끊어 질 때까지》 《미나미군의 연인》 《검은 가죽 수첩》 2000년대 후반2005년 《부호형사》 《어택 No.1》 《키쿠지로와 사키》(제2시리즈) 《황혼이혼》 2006년 《야수의 길》 《7명의 여자 변호사》(제1시리즈) 《시모키타 선데이즈》 《다멘즈을》 2007년 《대단한 곳에 시집 버렸다!》 《호텔리어》 《키쿠지로와 사키》(제3시리즈) 《맛있는 밥 가마쿠라·카스가이 쌀 매장》 2008년 《교섭인 ~THE NEGOTIATOR~》 《7명의 여자 변호사》(제2시리즈) 《네 거짓말》 《소아구명》 2009년 《특명계장 타다노 히토시》(4th 시리즈) 《야광의 계단》 《댄디 대디? ~연애소설가 이자키 류노스케~》 《교섭인 ~THE NEGOTIATOR~》(제2시리즈) 2010년대 전반2010년 《엔젤 뱅크 ~ 전직대리인》 《동창회 ~러브 어게인 ​​증후군》 《케이조쿠 ~ 경시청 미해결 사건 전담 연속 수사반》 《나사케의 여자 ~국세국사찰관~》 2011년 《고발 ~국선변호인》 《강철의 여자 season2》 《햇빛은 또 오른다》 《DOCTORS 최강의 명의》 2012년 《성스러운 괴물들》 《W의 비극》 《유류수사》(제 2 시리즈)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1기) 2013년 《중지 씨 《더블스 ~ 두 명의 형사》 《DOCTORS 2 최강의 명의》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2기) 2014년 《긴급취조실》 《BORDER 경시청 수사 1과 살인범 수사 제4계》 《제로의 진실~감찰의·마츠모토 마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3기) 2010년대 후반2015년 《DOCTORS3 최강의 명의》 《아임 홈》 《에이지 해러스먼트》 《유산쟁족》 2016년 《스페셜리스트》 《굿 파트너 무적의 변호사》 《처음 뵙겠습니다, 사랑합니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4기) 2017년 《취활가족~분명, 잘 될 거야~》 《긴급취조실(시즌2)》 《검은 가죽 수첩》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5기) 2018년 《BG~신변경호인~》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 《하게타카》 《리갈 V~전 변호사·타카나시 쇼코~》 2019년 《파견 점쟁이 아타루》 《긴급취조실(시즌3)》 《싸인 -법의학자 유즈키 타카시의 사건-》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6기) 주요 용어[편집] 배임죄 인수 합병 공개매수 주주총회 내부자 거래 일본 금융청 불량채권 잃어버린 10년 관련 항목[편집] 하게타카 (영화) 나나세 다시 한 번 (2008년판. 극중에 오조라 전기의 제품(컴퓨터 등)이 등장한다.) 미네르바 각주[편집] ↑ 2007년 3월 15일에 출시된 문고판은 《하게타카 II》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원작자 마야마 진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게타카&oldid=22893971" 분류: 2007년 드라마NHK의 텔레비전 드라마경제 드라마소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갤럭시 우수상방송문화기금상 본상2018년 드라마TV 아사히 목요드라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Nederland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게타카》(ハゲタカ)는 작가 마야마 진 경제 소설 《하게타카》를 원작으로 제작 된 일본의 실사영상화 작품.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NHK판 하게타카의 줄거리는 무엇일까? Assistant: 와시즈(오모리 나오)는 거품 경제 붕괴 후, 어떤 사건을 겪고 〈미츠바 은행〉을 퇴사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일본 대표로 취임하며 귀국. 펀드 매니저로써 차례차례 일본 기업을 사들여 〈하게타카〉라는 별명을 얻게된다. 그리고 현 미츠바 은행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이자 자신의 상사였던 시바노(시바타 교헤이)와 재회한다. 은행이 가진 벌크 세일(보유채권 전량매매)을 파는 쪽과 사는 쪽으로... 그 후에도 운명처럼 두 사람은 몇 번이고 부딪히게된다. 드라마 후반에는 와시즈가 목표로 삼았던 대형 전자 회사의 인수(공개매수)에 니시노(마쓰다 류헤이)가 나타난다. 니시노는 IT 벤처 기업의 사장이지만, 집안이 경영했던 여관 〈니시노야〉가 와시즈의 손에 팔린 것을 계기로 기업가로 전향한 과거가 있다. 니시노에게 와시즈는 목표이며,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Human: 아래 르완다_내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르완다 내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르완다 내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9년 12월) 르완다 내전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기간 동안 RDF의 공세 지도.날짜1990년 10월 1일 ~ 1993년 8월 4일(1차 내전, 아루샤 평화 협정으로 끝)1994년 4월 7일 ~ 7월 18일(2차 내전, RPF의 승리)장소르완다 전역결과 르완다 애국전선의 정치적, 군사적 승리 르완다 집단학살의 시작 대호수 난민 위기의 시작교전국 투치족 반군: 르완다 애국전선 (RPF) 후투족 정부군 르완다 국방군 (FAR) 프랑스(-1993) 자이르(1990-91) 인테라하무웨 임푸자무감비지휘관 프레드 레위그예마† 피터 베인가나† 폴 카가메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테오네스테 바고소라 어거스틴 비지문구병력 RPF 20,000명[1] FAR 35,000명[1]피해 규모 5,000명 사망 5,000명 사망 르완다 집단 학살로 총 50만~100만명 사망 르완다 내전은 중앙아프리카의 르완다에서 일어난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정부군과 반정부군 르완다 애국 전선 사이의 내전이다. 르완다 애국 전선과의 첫 충돌은 1990년 10월 1일 시작되었으며, 1993년 8월 4일 과도 정부를 세우는 아루샤 평화 협정의 서명으로 표면적으로 종전되었다.[2] 그러나, 1994년 4월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의 암살이 촉매가 되어 르완다 집단 학살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약 80만명이 사망했다. 전쟁과 집단 학살의 밀접한 원인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대량 학살이 서로 다른 사건이기보다는 전쟁의 새로운 폭발이라고도 보고 있다. 결국 르완다 애국 전선이 공세에 나서 르완다를 점령했다. 후투족 망명 정부는 주변 국가에서 난민 캠프를 설치하면서 새로운 르완다 애국 전선의 정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르완다 애국 전선 및 여러 반군들은 제1차 콩고 전쟁(1996~1997)을 추진했으며, 이 전쟁은 이후 제2차 콩고 전쟁(1998~2003)으로 번지면서 후투군이 르완다의 재점령을 목표로 이 전쟁에 참전하였다. 따라서, 내전은 공식적으로 1993년에 종료했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르완다 애국 전선이 키갈리를 점령한 1994년에 종전했다고 생각하거나, 1996년 난민 캠프 해산, 더욱으로는 르완다 국경을 따라 존재하는 소규모 게릴라전 등을 통해 계속해서 내전이 지속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목차 1 배경 2 전쟁 과정 3 영화 4 각주 5 참조 6 외부 링크 배경[편집] 당시 르완다는 이 지역에 진출한 소수 14%의 투치족이 왕국을 세워 토착부족인 85%의 후투족을 지배했다. 그 후 1919년 벨기에가 르완다를 지배하고 투치족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종족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벨기에는 투치족 출신 왕들을 내세워 다스렸으나 벨기에가 물러간 후 후투족과 투치족의 갈등으로 내전이 시작되었다. 전쟁 과정[편집] 1959년 투치족과 후투족 사이의 전쟁이 일어나자 국왕 므와미 키게리 5세는 망명을 하고 1961년 1월 르완다는 공화국을 선포했다. 독립 후에 많은 투치족이 쫓겨나자 1963년 이웃나라 부룬디의 투치족이 르완다를 기습 공격하여 이에 대한 복수로 르완다의 투치족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결국 1973년 투치족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후투족 지도자들을 살해했다. 이에 후투족 지도자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살아남은 투치족들이 이웃 나라 우간다로 도망쳐 1990년 우간다로 망명한 사람들 5,000명이 르완다 애국 전선(RPF)를 결성해 르완다를 침략했다. 1992년 후투족 정부와 RPF와의 협상으로 1993년 8월 탄자니아 아루샤에서 아루샤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루샤 조약은 범과도정부를 요구했으나 과도 정부는 성립되지 않았고 1994년 4월 6일 후투족 출신 르완다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와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앙 은타랴미라가 비행기 요격 사고로 수도 키갈리 근처에서 살해당했다. 이 사고는 르완다 대통령 경호대의 소행으로 밝혀져 이튿날 1994년 4월 7일 대통령직을 대행하던 아가트 우윌링기이마나 수상과 많은 온건파 후투족 지도자들이 RPF에게 살해당하고 그 후 수개월 동안 군대와 대통령 경호대, 극단적 후투족 민명대가 20~50만 명에 달하는 투치족 민간인을 살해했다. 1994년 7월 4일부터 투치족이 반격을 하여 수도 키갈리를 함락시키고 RPF는 키갈리에서 외부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를 차단했다. 이에 수도 키갈리에 갇힌 6만 명의 후투족 민간인들이 반군의 보복이 두려워 탈출하기 시작했고 RPF가 르완다 제2의 도시인 부타레와 후투족 최후 거점인 기세니까지 진격하자 후투족들이 피란을 떠났다. 후투족들은 키갈리에서 서남쪽으로 30 km 떨어진 임시정부의 잠정 수도 기타라마시로 가거나 서북부의 국경을 넘어 콩고민주공화국 등지로 피란을 갔다. 피란 중 300만 명의 후투족 난민이 발생했고 식량 부족과 콜레라 등의 전염병으로 많은 피란민이 사망했다. 한편 RPF는 7월 말에 전투 중지를 선언했고 후투족 난민은 1996년 말과 1997년 초에 다시 르완다로 돌아왔다. 영화[편집] Documentary 52': Rwanda, How History can lead to genocide 호텔 르완다 각주[편집] ↑ 가 나 IPEP 2000. ↑ "Timeline: Rwanda", BBC News, 8 August 2008; to support wording "ostensibly ended" 참조[편집] Dallaire, Romeo. "Shake Hands With the Devil: The Failure of Humanity in Rwanda". Arrow Books (2003). ISBNJ 0-09-947893-5 Gourevitch, Philip (2000). 《We Wish To Inform You That Tomorrow We Will Be Killed With Our Families》 3판. London; New York: Picador. ISBN 0-330-37120-7.  Government of Rwanda (2008). “History”.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ment of Rwanda》.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Government of Rwanda (2009). “Chronology of Events Leading to Liberation”.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ment of Rwanda》. 2012년 3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Mamdani, Mahmood (2002).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10280-5.  Melvern, Linda (2000). 《A People Betrayed》. Zed Books.  Prunier, Gérard (1995). 《The Rwanda Crisis, 1959–1994: History of a Genocide》 Hacover판. London: C. Hurst & Co. Publishers. ISBN 1-85065-243-0.  Prunier, Gérard (2009). 《Africa's World Wa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7420-9.  Steele, Jon. "War Junkie: One Man`s Addiction to the Worst Places on Earth" Corgi (2002). ISBN 0-552-14984-5 《Rwanda – The preventable genocide》 (PDF). The Report of International Panel of Eminent Personalities to Investigate the 1994 Genocide in Rwanda and Surrounding Events (IPEP). Addis Ababa: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2000.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Rwanda Civil War, globalsecurity.org Human Rights Developments in Rwanda, Human Rights Watch report of 1992 vdeh탈냉전 시대 아프리카의 분쟁북아프리카 알제리 내전(1991년 ~ 2002년) 리비아 위기(2011년 ~ 현재) 제1차 내전(2011년) 파벌간 폭력(2011년 ~ 2014년) 제2차 내전(2014년 ~ 현재) 튀니지 혁명(2010년 ~ 2011) 서사하라 분쟁(1970년 ~ 현재) 이집트 위기(2011년 ~ 2014년) 혁명(2011년) 시나이 내란(2011년 ~ 현재) 쿠데타 이후 불온사태(2013년 ~ 2014년 수단 분쟁 제2차 수단 내전(1983년 ~ 2005년) 다르푸르 전쟁(2003년 ~ 현재) 유목민(2009년 ~ 현재) SRF(2011년 ~ 현재) 감비아 헌법 분쟁 (2016년 ~ 2017년) ECOWAS 군사 개입 (2017년) 서아프리카 기니비사우 내전(1998년 ~ 1999년) 시에라리온 내전(1991년 ~ 2002년) 라이베리아 내전 제1차 내전(1989년 ~ 1996년) 제2차 내전(1999년 ~ 2003년) 코트디부아르 내전 제1차 내전(2002년 ~ 2007년) 제2차 내전(2010년 ~ 2011년) 보코 하람 내란(1999년 ~ 현재) 나이저 강 삼각주 분쟁(2004년 ~ 현재) 북말리 분쟁(2012년 ~ 현재) 중앙아프리카 공화콩고 분쟁 제1차 내전(1993년 ~ 1994년) 제2차 내전(1997년 ~ 1999년) 앙골라 내전(1975년 ~ 2002년) 차드 내전(2005년 ~ 2010년) 민주콩고 분쟁 제1차 전쟁(1996년 ~ 1997년) 제2차 전쟁(1998년 ~ 2003년) 이투리 분쟁(1999년 ~ 2007년) 동고 분쟁(2009년) 키부 분쟁(2004년 ~ 2013년) 중아공 분쟁 부시 전쟁(2004년 ~ 2007년) 분쟁(2012년 ~ 현재) 동아프리카 르완다 내전(1990년 ~ 1994년) 집단학살 집단강간 지부티 내전 (1991년 ~ 1994)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1998년 ~ 2000년) 부룬디 내전(1993년 ~ 2005년) 소말리아 내전(1991년 ~ 현재) 2006년 ~ 2009년 2009년 ~ 현재 남수단 분쟁(2011년 ~ 현재) 인종폭력(2011년 ~ 현재) 내전(2013년 ~ 현재) 관련 주제 주의 저항군 내란(1987년 ~ 현재) 테러와의 전쟁(2001년 ~ 현재) 마그레브 내란(2002년 ~ 현재) 보코 하람 내란(2009년 ~ 현재) 아랍의 봄(2010년 ~ 2011년) 아랍의 겨울 색깔 혁명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아메리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르완다_내전&oldid=24119426" 분류: 르완다의 역사아프리카의 내전아프리카의 전쟁콩고 민주 공화국의 전쟁민족 내전르완다 집단학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3: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르완다 내전은 중앙아프리카의 르완다에서 일어난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정부군과 반정부군 르완다 애국 전선 사이의 내전이다. 르완다 애국 전선과의 첫 충돌은 1990년 10월 1일 시작되었으며, 1993년 8월 4일 과도 정부를 세우는 아루샤 평화 협정의 서명으로 표면적으로 종전되었다.그러나, 1994년 4월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의 암살이 촉매가 되어 르완다 집단 학살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약 80만명이 사망했다. 전쟁과 집단 학살의 밀접한 원인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대량 학살이 서로 다른 사건이기보다는 전쟁의 새로운 폭발이라고도 보고 있다. 결국 르완다 애국 전선이 공세에 나서 르완다를 점령했다. 후투족 망명 정부는 주변 국가에서 난민 캠프를 설치하면서 새로운 르완다 애국 전선의 정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르완다 애국 전선 및 여러 반군들은 제1차 콩고 전쟁(1996~1997)을 추진했으며, 이 전쟁은 이후 제2차 콩고 전쟁(1998~2003)으로 번지면서 후투군이 르완다의 재점령을 목표로 이 전쟁에 참전하였다. 따라서, 내전은 공식적으로 1993년에 종료했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르완다 애국 전선이 키갈리를 점령한 1994년에 종전했다고 생각하거나, 1996년 난민 캠프 해산, 더욱으로는 르완다 국경을 따라 존재하는 소규모 게릴라전 등을 통해 계속해서 내전이 지속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르완다 내전에서 분쟁의 중심이 된 두 부족세력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투치족과 후투족 Human: 아래 꼬마버스_타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꼬마버스 타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꼬마버스 타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목소리 출연 2 방영 목록 2.1 1기 2.2 2기 2.3 3기 2.4 4기 2.5 5기 3 대중 문화 4 번외작 4.1 타요의 씽씽극장 5 각주 6 외부 링크 목소리 출연[편집] 문남숙: 타요 엄상현: 로기, 패트, 샤인 은영선: 라니, 캐리 정선혜: 가니 최하나: 하나 김은아: 누리, 어린 씨투, 토니, 피넛, 앨리스, 봉봉 류승곤: 루키 정미라: 토토, 킨더 남도형: 스피드, 프랭크, 어린 메트 신용우: 씨투 정영웅: 빅, 스카이 장민혁: 어린 빌리, 에어 김장: 크리스 전숙경: 포코 최한: 맥스, 메트 정혜옥: 하트, 트래미 차명화: 네레이션 방영 목록[편집] 1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1기 01화:새내기의 버스 하루(001화) 02화:길 잃은 타요(002화) 03화:타요의 첫 운행(003화) 04화:우리는 친구(004화) 05화:어둠이 무서워요(005화) 06화:고마워요, 씨투!(006화) 07화:사이좋게 지내요(007화) 08화:새 타이어가 갖고 싶어요(008화) 09화:새로운 친구 가니(009화) 10화:하나와 가니(010화) 11화:소풍을 가고 싶어요(011화) 12화:친구가 되고 싶어요(012화) 13화:슈퍼스타 누리(013화) 14화:로기의 딸꾹질(014화) 15화:하나누나의 외출(015화) 16화:최고의 중장비(016화) 17화:마술사 조이(017화) 18화:멋져요! 프랭크, 앨리스(018화) 19화:라니의 오해(019화) 20화:화해해요! 프랭크, 앨리스(020화) 21화:타요의 우주여행(021화) 22화:빨리 달리면 위험해요!(022화) 23화:라니의 쉬는 날(023화) 24화:내가 더 힘들어(024화) 25화:가니가 아파요(025화) 26화:최고의 버스, 타요!(026화) 2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2기 01화:타요와 봉봉(027화) 02화:명콤비 루키와 패트(028화) 03화:선생님이 된 가니(029화) 04화:내가 도와줄게,빅!(030화) 05화:나랑 같이 가자(031화) 06화:놀이터가 생겼어요!(032화) 07화:나나의 도시구경(033화) 08화:누리의 최악의 하루!(034화) 09화:보물은 내거야(035화) 10화:명탐정 로기(036화) 11화:로기의 특별한 손님(037화) 12화:놀이터 반장을 뽑아요!(038화) 13화:씨투의 비밀(039화) 14화:공주님이 되고 싶어요(040화) 15화:어른이 되고 싶어요(041화) 16화:타요가 작아졋어요(042화) 17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1편(043화) 18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2편(044화) 19화:착한 일은 너무 힘들어(045화) 20화:가니의 선물(046화) 21화:용감한 헬리콥터 에어(047화) 22화:장난전화 대소동(048화) 23화:한밤의 유령소동(049화) 24화:나나의 초대(050화) 25화:첫눈이 내려요(051화) 26화:하나의 특별한 하루(052화) 3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3기 01화:새로운 친구 하트(053화) 02화:우리는 한 가족(054화) 03화:청소차 되는 로기(055화) 04화:저도다 이제 알아요(056화) 05화:학교 가는 날(057화) 06화:힘을 내요, 프랭크!(058화) 07화:씨투와 함께하는 주말(059화) 08화:타요의 약속(060화) 09화:스타가 된 가니(061화) 10화:토토와 봉봉(062화) 11화:웃어요 패트(063화) 12화:우리끼리가 최고(064화) 13화:쿠쿠와 챔프의 도시 나들이(065화) 14화:잠이 안 와요(066화) 15화:친해 지고 싶어요(067화) 16화:도시의 영웅 타요와 두리(068화) 17화:우리는 중장비 서커스단(069화) 18화:최고의 정비사(070화) 19화:강아지를 키우고 싶어요(071화) 20화:메트에게 물어봐(072화) 21화:포코의 꽃(073화) 22화:타요의 크리스마스(074화) 23화:타요의 지구방어 대작전 1편(075화) 24화:타요의 지구방어 대작전 2편(076화) 25화:누가 좀 도와줘(077화) 26화:꼬마자동차들의 운동회(078화) 4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4기 01화:두리의 방학숙제(079화) 02화:모두다 친구예요(080화) 03화:내 말좀 믿어줘!(081화) 04화:용기를 주세요(082화) 05화:반가워 피넛(083화) 06화:넌 특별해(084화) 07화:인정받고 싶은 크리스(085화) 08화:동화책도 좋아요(086화) 09화:고마워요 티치(087화) 10화:하나를 위한 선물(088화) 11화:피넛의 오해(089화) 12화:부바와 하루(090화) 13화:긴급출동센터가 생겼어요(091화) 14화:누가 더 멋질까?(092화) 15화:둘이 된 타요(093화) 16화:시골에 간 타요(094화) 17화:로기의 잡동사니 보물(095화) 18화:타요가 경찰이 됐어요(096화) 19화:씨투의 비밀 놀이터(097화) 20화:최고의 명탐정(098화) 21화:꼬마 마법사 아수라(099화) 22화:남산유령 대소동(100화) 23화:트래미의 첫 운행(101화) 24화:트래미의 비밀(102화) 25화:킨더의 소풍(103화) 26화:꼬마버스들의 연극 공연(104화) 5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5기 01화:긴급출동! 타요와 가니(105화) 02화:로기의 기상천외한 도전!(106화) 03화:첼로와 주인(107화) 04화:환상의 짝꿍(108화) 05화:타요와 띠띠뽀의 달리기 경주(109화) 06화:새로운 구조대원이 왔어요(110화) 07화:타요의 새 친구(111화) 08화:킨더의 농장체험(112화) 09화:비밀놀이터 복구 대작전(113화) 10화:힘을 내, 토니(114화) 11화:하트의 비밀(115화) 12화:조이의 마술 공연(116화) 13화:두리를 위한 깜짝 선물(117화) 14화:가니야 고마워(118화) 15화:꼬마버스들이 미국에 갔어요 1편 (119화) 16화:꼬마버스들이 미국에 갔어요 2편 (120화) 17화:로기와 행운의 지니(121화) 18화:신입 시티투어 버스 롤리(122화) 19화:부바의 휴가(123화) 20화:꼬마버스들의 캠핑(124화) 21화:하트가 커졌어요!(125화) 22화:트래미의 소원(126화) 23화:라니의 선물(127화) 24화:제이와 으랏차(128화) 25화:꼬마버스들의 공룡 친구 1편(129화) 26화:꼬마버스들의 공룡 친구 2편(130화) 대중 문화[편집] 동성교통 9401번 타요버스 가니 262번 루돌프 타요버스 2014년 03월 26일, 대중교통 이용의 날을 맞아 서울시에서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인 타요, 로기, 라니 가니의 캐릭터로 디자인해 랩핑한 시내버스 4대를 운행한다. 랩핑 차량된 차량은 총 4대로 KD운송그룹 소속 대원여객 370번이 타요, 같은 그룹 대원교통 2016번이 로기, 북부운수 2211번이 라니 그리고 동성교통 소속 9401번이 가니 분장을 한 랩핑을 하였으며, 이 버스들은 앞으로 1달간 운행한다.[1] 또한 2014년 04월 02일 부터 비공식적으로 동아운수 101번 01대가 전면부만 타요 랩핑을 하고 운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공식적으로 운행하는 04대 외에도 다른 노선에서도 랩핑해 운행하고 있다. 타요버스에 대한 인기가 뜨겁자, 수원시, 성남시, 구미시, 안동시, 순천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등의 지자체에서도 타요버스를 운행하였거나 운행하고있다. 2014년 04월 06일, 04월 20일 두차례에 걸쳐 광화문 광장 차 없는 날 행사장에 타요버스 차량 (04대)이 전시되었다. 이어 동년 07월 16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 서울 캐릭터·라이선싱 페어 2014 에서도 120번 노선의 타요 버스가 전시되었다. 이중 2014년 12월부터 일부 버스에 한해 전면부에 LED를 달아 눈 표정이 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루돌프 뿔과 코를 달아 "루돌프 타요"버스로 운행한다. 또한 이 버스에는 기사들이 산타 복장을 착용하고 운행하게 된다. 2014년 05월 19일 밤에 방송된 MBC FM4U 타블로와 꿈꾸는 라디오에 초대석 타블로의 딸 이하루와 배우 장현성과 두 아들 장준우,장준서가 게스트로 함께 출연하였고 어린이들을 위해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 성우와 전화 연결하는 시간을 마련했고, 만화 주인공의 성우와의 통화를 하였고 '꼬마 버스 타요'의 테마곡을 신청곡으로 제시했었다. 그리고 장현성이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 성우를 향해 "밤길 버스 운전 조심하기 바랍니다"는 진지한 덕담을 건네어 폭소케 했었다. 2014년 07월 17일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최첨단 놀이시설을 갖춘 워터파크 리조트 미란다호텔에 ‘꼬마버스 타요’캐릭터 룸과 카페가 신설되었다. 그 외에도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타요버스의 친구이자 도우미인 러비 디자인으로 랩핑된 청소차를 운영하였으며, 운영된 댓수만 하여도 06대 뿐이다. 번외작[편집] 타요의 씽씽극장[편집] 《타요의 씽씽극장》는 2013년부터 EBS에서 방송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꼬마버스 타요》의 번외작이다.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의 친구 꼬마버스 타요가 다양한 자동차 친구들과 함께 신나는 노래로 꾸미는 새로운 형식의 애니메이션이다. 각주[편집] ↑ "'타요' 못 탔다고 울고 불고... 대구에서도 올라온다" 외부 링크[편집] 꼬마버스 타요 - 공식 웹사이트 꼬마버스 타요의 채널 - 유튜브 꼬마버스 타요 - 구글+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뉴스 《EBS 정오뉴스》 《EBS 저녁뉴스》 영화 《다큐시네마》¹ 《금요극장》 《세계의 명화》 《일요시네마》 《한국영화특선》 드라마 《갤럭시 프로젝트》 《세계의 드라마》 오락 · 음악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생방송 판다다》 《EBS 스페이스 공감》 《장학퀴즈-학교에 가다》 유아 · 어린이 · 청소년 《딩동댕 유치원》 《두근두근 방방》 《최고다! 호기심딱지》 《방귀대장 뿡뿡이》 《뭐든지 뮤직박스》 《예술아 놀자》 《다큐동화 달팽이》 《최고다! 호기심딱지 시즌4》 《모여라 딩동댕》 다큐 《최고의 요리 비결》 《다큐 오늘》 《아기 동물 귀여워》 《세계테마기행》 《한국기행》 《EBS 다큐프라임》 《글로벌 아빠 찾아 삼만리》 《건축탐구 - 집》 《극한 직업》 《글로벌 특선다큐》 《다큐 시선》 《다문화 고부 열전》 《과학다큐 비욘드》 《글로벌 프로젝트 나눔》 《문화유산 코리아》 《명의》 《글로벌 자연다큐》 《희망풍경》 교양 · 교육 · 통일 《긴급상황 우리몸 X파일》 《생방송 판다다》 《기획특강 - 지식의 기쁨》 《지식채널e》 《미래교육 플러스》 《EBS 초대석》 《질문 있는 특강쇼 - 빅뱅》 《자이언트 펭 TV》 《사건 브리핑 - 안전상황실》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고양이를 부탁해》 《통일의 길》 《나눔 0700》 《가족의 발견》 애니메이션 《띠띠뽀 띠띠뽀》 《뽀롱뽀롱 뽀로로》 《페파 피그》 《원더볼즈》 《몰랑》 《정글에서 살아남기 - 화산섬의 비밀》 《꼬마 히어로 슈퍼잭》 《제로니모 스틸턴의 모험》 《탑윙 구조대》 《레이디버그》 《숲속 수사대 명탐정 피트》 《몬카트》 《마샤와 곰》 《로보카 폴리》 《출동! 슈퍼윙스》 《꼬마버스 타요》 《출동! 파자마 삼총사》 《오드봇! 이상한 아이들》 《세미와 매직큐브》 《뽀로로와 노래해요》 《용감한 소방차 레이》 영어 《왕초보 영어》 《매직 아이스크림 트럭》 《보이는 라디오 - EBS 초급 태국어》 《보이는 라디오 - EBS 초급 베트남어》 《성인 문해교육 프로젝트 - 영어하기 좋은 날 2》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¹ 매달 마지막 주 방송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꼬마버스_타요&oldid=24433291" 분류: 2019년 애니메이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日本語Jawa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2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꼬마버스 타요는 아이코닉스가 기획하고 서울특별시, EBS, 스튜디오 게일 교육미디어 SPORTS+가 공동 제작한 풀 3D 애니메이션이다. 대상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했으나,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한 성인들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을 정도로 대한민국의 교통 법규나 도로 체계를 구현하였으며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성인들을 위한 교훈을 주기도 한다. 2008년에 파일럿버전이 방송되었으며 2010년 8월부터 정규편성되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등장인물들 대부분은 대한민국의 교통, 특히 버스를 소재로 했으며, 작품 내 등장하는 자동차들은 자율주행 기능을 가진 고성능 인공지능 탑재 이동수단이라는 설정으로, 작품은 이러한 인공지능 이동수단들이 서울특별시를 본따 만든 '서울 시티'의 사람들과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근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다. 뽀롱뽀롱 뽀로로와 함께 유아에게 가장 사랑받는 애니메이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꼬마버스 타요는2기에는 어떤 에피소드가 있었을까? Assistant: 01화:타요와 봉봉(027화) 02화:명콤비 루키와 패트(028화) 03화:선생님이 된 가니(029화) 04화:내가 도와줄게,빅!(030화) 05화:나랑 같이 가자(031화) 06화:놀이터가 생겼어요!(032화) 07화:나나의 도시구경(033화) 08화:누리의 최악의 하루!(034화) 09화:보물은 내거야(035화) 10화:명탐정 로기(036화) 11화:로기의 특별한 손님(037화) 12화:놀이터 반장을 뽑아요!(038화) 13화:씨투의 비밀(039화) 14화:공주님이 되고 싶어요(040화) 15화:어른이 되고 싶어요(041화) 16화:타요가 작아졋어요(042화) 17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1편(043화) 18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2편(044화) 19화:착한 일은 너무 힘들어(045화) 20화:가니의 선물(046화) 21화:용감한 헬리콥터 에어(047화) 22화:장난전화 대소동(048화) 23화:한밤의 유령소동(049화) 24화:나나의 초대(050화) 25화:첫눈이 내려요(051화) 26화:하나의 특별한 하루(052화)
Human: 아래 황수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수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수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재상 황희의 아들이며 판서 황치신의 아우이다.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에 녹선되었고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묘법연화경》의 언해를 주관하였고,《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찬진을 감독하였다. 본관은 장수이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2대에 걸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남원부원군에 봉군되었다. 과거 시험을 거치지 않고도 정승을 지낸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2 관료 생활 1.3 세조 반정과 훈신 1.4 사후 2 가족 관계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저서 5 각주 6 관련 항목 7 참고 문헌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황균비(黃均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 황군서(黃君瑞)이고,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 황희이며, 어머니는 양진(楊震)의 딸이다. 황희는 아들 황수신에게 기방 출입을 끊으라고 여러 차례 엄히 꾸짖었으나 아들은 말을 듣지 않았다.[1] 그러자 어느 날 아들이 밖에서 돌아오자 황 정승은 관복(冠服) 차림으로 차려입고 문까지 나와 마치 큰 손님 맞이하듯 했다.[1] 아들이 놀라 엎드리며 그 까닭을 묻자 황 정승은 말합니다. "그동안 나는 너를 아들로 대했는데 도대체 내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네가 나를 아비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너를 손님 맞는 예로 대하는 것이다." 뉘우친 아들은 크게 반성하며 기방 출입을 끊기로 맹세하였다.[1][2] 관료 생활[편집] 1423년(세종 5) 사마시에 응시했다가 낙방했는데, 이때 시관(試官) 중 한사람으로부터 학문이 부진하다고 지적을 당하자, 이를 모욕적으로 여기고 발분해 학문에 진력하였다. 이후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그 뒤 음서 제도로 관직에 나가 종묘부승(宗廟副丞)·종부시직장·사헌부감찰과 사헌부지평·장령·도관서령(䆃官署令) 등을 역임하였다. 1429년 7월 지평·호조정랑 등을 거쳐 사재감부정을 지냈다. 그리고 1432년 경기도관찰사 권제의 요청에 의해 경력(經歷)을 역임하였다. 장령 재직시에는 도성 내에서 인간의 화복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인심을 현혹시키는 무당을 요사하다며 성 밖으로 방출하였다. 1440년 사섬시윤을 거쳐, 그 해 전라도경차관이 되어 함길도 5진(五鎭)을 충실히 하기 위해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민호를 사민(徙民)하는 일에 관여하였다. 그 뒤 내직으로 돌아와 지사간원사를 지냈다. 지형조사로 자리를 옮겨서는 수년간에 걸쳐 결단하기 어려운 옥송을 처결하였다. 1441년 첨지중추원사, 1442년 겸지병조사, 1443년 우부승지에 올랐다. 또한 좌부승지·좌승지를 거쳐, 1446년에는 국초 이래로 문과출신이 아니면 제수되지 못한 도승지에 발탁되었다. 1447년(세종 29) 도승지로 있을 때 파당(派黨)을 만든다는 무고를 받아 한때 삭직되었다가 복직했다. 그러나 자신과 친분관계가 있는 임원준을 의서찬집관(醫書撰集官)으로 부정 발탁한 것이 적발되면서 고신(告身)을 박탈당하였다. 그 뒤 1448년 직첩을 환급받고, 1450년(문종 즉위년) 5월 첨지중추원사로 복직되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한성부윤·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1450년 문종의 특명으로 병조의 습진(習陣) 및 군사검찰(軍士檢察)의 논의에 참여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병조참판이 되어 수양대군이 진법을 정할때 도와 진법을 상정(詳定)하는 것을 성공시켰다. 1452년(문종 2년) 아버지상을 당해 사직했다가 단종이 즉위하자 바로 1452년(단종 즉위년) 관작에 복귀했고, 그 해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그리고 한성부윤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었다가 1455년(세조 1) 우참찬으로 소환되었다. 이때 경상도관찰사 재직시에 작성한 경상도 웅천현의 지도를 올리면서 비방책(備防策)을 건의하였다. 세조 반정과 훈신[편집] 1455년 한명회, 신숙주, 권람 등이 수양대군을 추대하자 반정을 지지하였다. 그는 세조 등극을 지지한 공로로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3등관에 책록되어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 1456년 의정부좌참찬이 되었으며, 1457년에는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리고 우찬성에 오른 뒤, 판예조사를 겸임하면서 예조를 지휘하였다. 1458년 좌찬성, 1459년 1월과 12월 양차에 걸쳐 충청도도순문진휼사(忠淸道都巡問賑恤使)와 경상도모민체찰사(慶尙道募民體察使)로 파견되었다. 그 뒤 귀환해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승자되면서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462년 아산의 전지를 무단 점거했다고 여러 차례 탄핵되었으나, 용서를 받고 유임되었다. 이후 세조의 명을 받아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諺解)를 주관하였다. 1464년 우의정으로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1465년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찬진하였다. 1462년 좌찬성으로서 《경국대전》의 제2차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우의정이 되어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왔다. 세조의 특별 배려로 1466년 영의정 한명회, 좌의정 심회와 함께 문과출신이 아니면서도 예문춘추관의 직책을 겸임하였다.[3] 그리고 1467년 영의정에 올랐다. 사후[편집] 풍모가 뛰어나고 인품이 중후하면서도 성격이 원만하고 기국이 있어 세조대의 민심 수습과 치적에 큰 공헌이 있었다. 그러나 평생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고 한다. 전라도 장수의 창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 그의 묘는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金蠅里)에 있으며 경기도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황희(黃喜) 어머니: 정경부인 청주양씨 형 : 황치신(黃致身) 형 : 황보신(黃保身) 부인 : 정경부인 일선김씨 장남 : 황신(黃 ) 차남 : 황찰(黃察) 삼남 : 황성(黃省) 사남 : 황욱(黃旭) 딸 : 1녀, 3녀 동생 : 황직신(黃直身)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1994년 배우:조재훈) 《왕과 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나성균)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종구) 저서[편집] ≪나부집≫(懦夫集) ≪법화경 언해≫(法華經諺解)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 각주[편집] ↑ 가 나 다 황희 정승의 진정한 자식 교육[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덕일 사랑] 영상(領相)과 총리(總理) Archived 2013년 10월 29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 2006년 03월 20일자 기사 ↑ 경국대전과 대전회통에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은 인물은 예문관과 춘추관의 수장급 이상에 임명할 수 없었다. 관련 항목[편집] 계유정난 세조 찬위 황희 맹사성 황치신 신숙주 한명회 권람 구치관 홍윤성 홍달손 봉석주 남이 좌익공신 적개공신 이시애의 난 이징옥의 난 황윤길 정도전 유자광 황여헌 황군서 참고 문헌[편집] 세조실록 대동야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수신&oldid=22985851" 분류: 1407년 태어남1467년 죽음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작가조선의 공신조선의 번역가영의정음서경기도 출신장수 황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01: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재상 황희의 아들이며 판서 황치신의 아우이다.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에 녹선되었고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묘법연화경》의 언해를 주관하였고,《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찬진을 감독하였다. 본관은 장수이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2대에 걸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남원부원군에 봉군되었다. 과거 시험을 거치지 않고도 정승을 지낸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황수신은 수양이 왕위에 오른 후 어떤 행보를 보였을까? Assistant: 1455년 한명회, 신숙주, 권람 등이 수양대군을 추대하자 반정을 지지하였다. 그는 세조 등극을 지지한 공로로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3등관에 책록되어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 1456년 의정부좌참찬이 되었으며, 1457년에는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리고 우찬성에 오른 뒤, 판예조사를 겸임하면서 예조를 지휘하였다. 1458년 좌찬성, 1459년 1월과 12월 양차에 걸쳐 충청도도순문진휼사(忠淸道都巡問賑恤使)와 경상도모민체찰사(慶尙道募民體察使)로 파견되었다. 그 뒤 귀환해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승자되면서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462년 아산의 전지를 무단 점거했다고 여러 차례 탄핵되었으나, 용서를 받고 유임되었다. 이후 세조의 명을 받아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諺解)를 주관하였다. 1464년 우의정으로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1465년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찬진하였다. 1462년 좌찬성으로서 《경국대전》의 제2차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우의정이 되어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왔다. 세조의 특별 배려로 1466년 영의정 한명회, 좌의정 심회와 함께 문과출신이 아니면서도 예문춘추관의 직책을 겸임하였다.[3] 그리고 1467년 영의정에 올랐다. Human: 아래 동전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전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전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전주(銅錢株)란 주가가 1,000원 미만인 상장 주식을 말한다.[1] 동전주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지폐주(紙幣株)라는 말도 많이 쓰이는데, 이는 1,000원 이상의 주식을 말한다. 동전주는 소형주 중에서도 주가가 낮은 주식들이기 때문에 보통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이라는 인식이 강하나, 이는 사실 액면가가 얼마인가에 따라 다르다.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이 500원짜리 동전주일 경우 가치가 1/10 로 내려간 상태이지만, 액면가 100원인 주식이 500원이 되어 있을 경우 가치는 액면가 대비 5배 상승한 수치이기 때문이다. 목차 1 특징 2 투자자의 성향 3 대표적인 동전주들 4 동전주 테마 5 함께 보기 6 참고 문헌 특징[편집] 동전주는 증시에서 흔히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된다. 그 이유는, 100,000원짜리 주식이 두배로 상승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500원짜리 주식이 1,000원 혹은 그 이상으로 급등하는 경우는 상당히 많은 편이기 때문이다.[2] 동전주는 실적 개선으로 주가가 저평가된 이유가 해소되거나 강력한 테마주가 되어 상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어 지폐주가 되면 투자금 대비 2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강력한 테마에 엮인 경우 10배 이상 상승하는 종목도 적지 않다. 2012년 미래산업은 400원대의 동전주였으나 수주 실적과 더불어 대선 테마주로 엮이면서 1950원까지 상승했고, 본래 500원대의 동전주였던 우리들생명과학은 같은 해 4,000원 넘어 상승했다.[3][4] 실적부진으로 2014년 초 800원대의 동전주였던 파인디앤씨는 실적이 개선되자 같은해 8월 2,000원 이상으로 올랐고, 2013년 500원대의 동전주였던 텍셀네트컴 역시 실적개선으로 2014년에는 2,400원 이상으로 올랐다.[1] 이들은 모두 동전주가 강력한 테마 혹은 실적에 힘입어 지폐주로 등극한 사례로, 동전주가 크게 오르면 많은 투자 수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증시의 주목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동전주들이 HTS나 증권 포탈 등에서 검색 순위가 급등하곤 한다. 특히 작전 세력이 주가를 올리려는 종목을 물색할 때는 주가가 천원 미만인 동전주들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급등주를 예상하는 요건의 하나로 동전주인지의 여부를 많이 따지곤 한다.[5][6] 투자자의 성향[편집] 보통 증시에서 블루칩으로 인식되는 대형주는 이렇게 크게 상승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큰 차익을 노리고 동전주에 많이 투자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관 투자자들은 동전주에 잘 투자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큰 자금을 굴리는 기관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동전주들이 대체로 시가총액 규모가 작기 때문이다. 다만 기술력이 떨어지거나, 시장점유율이 낮거나, 경영 능력에 문제가 있어 동전주로 머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잡주들을 싸다고 매수하면 더 큰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아, 개인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7] 대표적인 동전주들[편집] 슈넬생명과학 : 2015년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후 동전주 테마의 급등을 이끈 종목이다. 10배 가량 급등하여 동전주를 이미 벗어나 상승폭이 꺾인 후 다른 동전주들이 급등을 이어가고 있다. 지엠피 : 라미네이션 시장에서 독일·일본·미국을 제치고 세계 점유율 30%로 세계시장 1위를 자랑하는 강소기업이다. 그러나 주가는 저평가되어 동전주 상태이다.[8] 미래산업 : 2012년도 정치테마주로 이름을 떨친 후 급락한 종목이다. 대주주의 고점 매도로 인해 많은 논란이 되었으나, 급락 후에도 많은 거래량을 보여 왔다. 인디에프 : 소위 힐러리 테마주로 알려지며 2015년에 급등한 종목이다. 우리들생명과학 : 2012년도에 급등하여 주목을 받았던 정치테마주의 대표적인 종목이다. 현재는 우리들휴브레인으로 개명되었고 더이상 동전주가 아니다. 동전주 테마[편집] 2015년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후, 가격이 싼 동전주들이 상승하기 쉽다는 이유로 수급이 몰려 동시다발적으로 큰 상승을 보였는데 이렇게 형성된 테마를 증시에서는 동전주 테마라고 부른다. 동전주 테마주에 해당되는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 슈넬생명과학 지엠피 미래산업 케이디건설 씨씨에스 우리기술 페이퍼코리아 SH홀딩스 피에스엠씨 갑을메탈 제미니투자 웨이포트 함께 보기[편집] 소형주 동전주 테마 테마주 대형주 참고 문헌[편집] ↑ 가 나 '동전株' 실적개선.. '지폐株' 등극 - 파이낸셜뉴스 2014.10.26 ↑ 세밑 증시는 동전주 전성시대? - Chosunbiz - 프리미엄 경제 2011.12.27 ↑ "정치 테마주 투기꾼들 휩쓸고 간 미래산업", 동아일보, Oct 24, 2012 ↑ 정치 테마주의 운명-문재인 테마주, 2월 초부터 부각…정책주 ‘상승세’, 한국경제매거진 2012-10-19 ↑ 작전을 말한다, 하진수 안재만 지음, 참돌, 2013년 04월 ↑ 주가조작, 그리고 아무도 말하지 않는 주식 시장의 비밀 ↑ 싸다고 산 동전주, 알고보니…'쪽박' - 아시아투데이 2014-01-20 ↑ 이 사람 - 국내영업 포기하고 해외로 뛰어 성공한 김양평 GMP회장 “중국의 불법 카피업자들이 ‘당신 물건 최고’라 합디다”, 월간조선 2011년 8월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전주&oldid=20819042" 분류: 증권투자금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25일 (일) 1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전주(銅錢株)란 주가가 1,000원 미만인 상장 주식을 말한다. 동전주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지폐주(紙幣株)라는 말도 많이 쓰이는데, 이는 1,000원 이상의 주식을 말한다. 동전주는 소형주 중에서도 주가가 낮은 주식들이기 때문에 보통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이라는 인식이 강하나, 이는 사실 액면가가 얼마인가에 따라 다르다.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이 500원짜리 동전주일 경우 가치가 1/10 로 내려간 상태이지만, 액면가 100원인 주식이 500원이 되어 있을 경우 가치는 액면가 대비 5배 상승한 수치이기 때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 주에 1,000원 미만이며 종종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되기도 하는 주식을 일컫는 말은? Assistant: 동전주
Human: 아래 로버트_월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로버트 월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버트 월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버트 월폴 제1대 오포드 백작 로버트 월폴(Robert Walpole, 1st Earl of Orford, KG, KB, 1676년 8월 26일~1745년 3월 18일)은 영국의 정치인이다. 케임브리지 대학을 졸업한 후 휘그당에 들어가 1701년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조지 1세 때 내각의 중심 인물로서 남해 거품 사건 등 어려운 경제 문제들을 잘 처리하여 1715년 첫 총리가 되었고 1721년 4월 4일부터 1727년 6월 11일까지는 영국 총리라는 신분으로써 조지 1세 영국 왕의 대리청정을 맡기도 하였다. 그 후 20년간 총리로 있으면서 정당 간의 다툼·종교적인 대립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문제로 왕과 다투고 1741년 수상직에서 물러났다. 1742년 백작 작위를 받았다. 영국 정치사에 있어서 책임 내각 정치를 처음 실시한 정치가로 이름이 높다. 목차 1 생애 2 서훈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잉글랜드 동부의 노퍽주의 젠트리 계급 출신으로 집에서는 휘그당을 지지하였다. 이튼스쿨에서 1696년 대학에 가서 성직자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위의 형이 요절했기 때문에 가산의 상속자로, 휘그당에서 하원 의원에 당선하여 정계에 진출한다. 남해 회사 사건에서 정치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여, 앤 여왕 사후 하노버 왕가의 조지 1세(하노버 왕가를 겸하는) 하에서 첫 경제 수장에 취임하여, 사실상 총리로 1721년부터 1742년까지 21년간에 걸친 장기 집권을 운영한다. 대 프랑스 유화책, 토지세 완화 정책으로 스튜어트 왕조의 부활을 목표로 하는 자코바이트의 위협을 이용하여 휘그당과 양당 체제를 구축한다. 1730년대 말부터 있어 온 정치 부패와 소비세 확대, 대 프랑스 평화 정책 등으로 인해 정권이 신뢰를 잃었고, 1741년에 실시된 총선에서 스코틀랜드, 콘월 등에서 패배하여, 여야의 격차가 좁혀졌다. 따라서 당시의 국왕 조지 2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음해 1742년 제1 경제수장 직위에서 사임했다. 이 때문에 의회 내에서 우세한 세력이 내각을 조직하여 의회에 대해 책임을 갖는다는 의원내각제(책임 내각제)의 기초가 만들어졌다. 은퇴 후에는 초대 오 포드 백작이 되었고, 1745년에 사망했다. 서훈[편집] 1725년 바스 훈장 기사장(Knight of the Bath, KB, 작위급 훈장) 1726년 가터 훈장 1742년 백작작위 서임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로버트 월폴 로버트 월폴 경 on the Downing Street website. 휴턴 홀 Cholmondeley Castle vdeh로버트 월폴 총리 내각(1730년 ~ 1742년)남국무상 뉴캐슬 공작(1789년 ~ 1742년) 북국무상 헤링턴 경(1730년 ~ 1742년) 대법관 킹 경(1730년 ~ 1733년) 탤벗 경(1733년 ~ 1737년) 하드위크 경(1737년 ~ 1742년) 추밀원장 트레버 경(1730년) 윌밍턴 백작(1730년 ~ 1742년) 국새상서 윌밍턴 백작(1730년 ~ 1731년) 데번셔 공작(1731년 ~ 1733년) 론스데일 자작(1733년 ~ 1735년) 고돌핀 백작(1735년 ~ 1740년) 익워스의 허베이 경(1740년 ~ 1742년) 해군경 토링턴 자작(1730년 ~ 1733년) 찰스 웨이저 경(1733년 ~ 1742년) 군수대신 아가일 공작(1730년 ~ 1740년) 몬터규 공작(1740년 ~ 1742년) 군부경리관 헨리 펠럼(1730년 ~ 1742년) 왕실집사장 체스터필드 백작(1730년 ~ 1733년) 데번셔 공작(1733년 ~ 1737년) 도싯 공작(1737년 ~ 1742년) 시종장 그래프턴 공작(1730년 ~ 1742년) vdeh영국의 총리그레이트브리튼 왕국1707년 ~ 1801년 월폴 윌밍턴 백작 펠럼 뉴캐슬 공작 데번셔 공작 뉴캐슬 공작 뷰트 백작 G 그렌빌 로킹엄 후작 대 피트 그래프턴 공작 노스 로킹엄 후작 셸번 백작 포틀랜드 공작 소 피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1801년 ~ 1922년 소 피트 애딩턴 소 피트 W. 그렌빌 포틀랜드 공작 퍼시벌 리버풀 백작 캐닝 고드리치 자작 웰링턴 공작 그레이 백작 멜버른 자작 웰링턴 공작 필 멜버른 자작 필 러셀 백작 더비 백작 애버딘 백작 파머스턴 자작 더비 백작 파머스턴 자작 러셀 백작 더비 백작 디즈레일리 글래드스턴 디즈레일리 글래드스턴 솔즈베리 후작 글래드스턴 솔즈베리 후작 글래드스턴 로즈베리 백작 솔즈베리 후작 밸포어 캠벨배너먼 애스퀴스 로이드 조지 보너 로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1922년 ~ 현재 보너 로 볼드윈 맥도널드 볼드윈 맥도널드 볼드윈 체임벌린 처칠 애틀리 처칠 이든 맥밀런 더글러스흄 윌슨 히스 윌슨 캘러헌 대처 메이저 블레어 브라운 캐머런 메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8289961 LCCN: n50024509 ISNI: 0000 0001 2144 8574 GND: 11880605X SUDOC: 028178688 BNF: cb12006582f (데이터) BIBSYS: 90523929 ULAN: 500250653 NLA: 35816200 NKC: js20020211001 RKD: 34462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버트_월폴&oldid=23013370" 분류: 1676년 태어남1745년 죽음영국의 정치인영국의 총리영국의 섭정영국의 백작가터 훈장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영국 서민원 원내총무영국 휘그당 정치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मराठी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15: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1대 오포드 백작 로버트 월폴(Robert Walpole, 1st Earl of Orford, KG, KB, 1676년 8월 26일 ~ 1745년 3월 18일)은 영국의 정치인이다. 영국 정치사에 있어서 책임 내각 정치를 처음 실시한 정치가로 이름이 높다. 케임브리지 대학을 졸업한 후 휘그당에 들어가 1701년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조지 1세 때 내각의 중심 인물로서 남해 거품 사건 등 어려운 경제 문제들을 잘 처리하였다. 조지 1세는 영어에 능통하지 않고 정치에 관심이 적었던 것을 이유로 월폴에게 제1대장경(총리)의 신분으로 1721년부터 대리청정을 맡게 하다가 여러 권한을 위임하였다. 그 후 20년간 수상으로 있으면서 정당 간의 다툼·종교적인 대립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문제로 왕과 다투고 1741년 물러났다. 월폴의 재임 중에 수상직, 내각, 의회 신임 등 현대 책임내각제의 여러 기반이 확립되기 시작하여 사실상 최초의 총리로 여겨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로버트 월폴의 생애 중 월폴이 총리로 장기 집권을 운영한 해는 총 몇 년인가? Assistant: 21년 Human: 아래 라이슬로이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라이슬로이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슬로이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프스를 넘는 스위스 용병(Luzerner Schilling) 라이슬로이퍼(독일어: Reislaufer [raislcyfɐ][*])는 스위스 출신의 용병이다. 가깝게는 근세(Early Modern period)부터 멀게는 계몽 시대(European Enlightenment)가 포함된 중세 후기(Later Middle Ages)까지 외국, 특히 프랑스에 고용되어 전력으로 활용된 병사들로 유명하다. 그들의 용병으로써의 전력은 르네상스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장에서 증명된 전투력은 이후에도 세계 최고의 용병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4악장 5번째 씬에서 스위스 용병을 가리켜 "Switzers" 라고 했다. 목차 1 우위 2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 3 구성과 전술 4 군사적 우세의 종언 5 파비아 전투 이후 5.1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 5.2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 6 현대 6.1 서적 6.2 온라인 6.3 필름 7 외부 링크 우위[편집] 중세 후기 용병전력은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과 기타 분쟁들을 겪어온 베테랑들로써, 한시적 복무가 아닌 직업적 군인으로 유럽 각국에서 중요하게 평가받았고, 전투 지휘관들 역시 급하게 편성된 농노 전력보다는 장기간 전장에서 단련된 병사들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스위스 용병(Reisläufer)은 장창(pike)과 핼버드(halberd)를 이용한 결연한 집단 공격력 덕분에 중세 후기에 그 전력 가치를 인정받았다. 스위스 지방정부에 의뢰만 하면 언제든지 준비된 스위스 용병단을 고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특히 매력적인 요소였다. 스위스엔 수많은 스위스 주(canton)들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주마다 존재하는 지방정부는 병사들을 선발해 무장시키고 언제든지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민병대 운용 조직이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스위스 자체도 때로는 그들을 개개인 자격으로 혹은 작은 규모로 고용하여 운용하였다는 것이다. 스위스 각 주의 전사들은 13세기 초부터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Habsburg)의 모르가르텐(Morgarten)과 라우펜(Laupen)에서 중무장 기사들과 싸워 승리해 국권을 사수한 이후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탈리아 북부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평판과 명성은 더욱 올라갔다. 15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용병으로써 가치가 높아졌고, 부르고뉴 전쟁(Burgundian Wars)에서 혁혁한 승리를 연거푸 거둠으로써 그 가치를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고용상태에 따라서 때로는 독자적인 전투단으로, 때로는 스위스 주 방위군으로 각지를 누볐다. 스위스 용병을 의미하는 그들의 용어 Reisläufer는 글자 그대로 "전쟁에 나가는 사람" 이라는 뜻이며, "군사작전"(military campaign)을 의미하는 중북부 독일어에서 전해진 말이다. 스위스 용병은 상당히 긴 파이크를 들고 거대한 종대(columns)를 구성해 머리를 밀치는 공격 전술과 포로를 사로잡는걸 원치 않는 거침없는 승리의 행진은 무서운 공포와 경외를 불러일으켰으며 마키아벨리(Machiavelli)는 이들의 전투 방식을 자신의 저서 군주론(The Prince)에서 강연한 적이 있을 정도이다. 프랑스의 발루아(Valois) 왕은 스위스 창병(pikemen)을 보병 전력 핵심으로 삼지 않고서는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비록 흔히 "pikemen"으로 표현했지만 스위스 용병 유닛에는 16세기 동안 10년간 핼버드(halberdier)가 유닛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충분히 작은 숫자의 잘 무장된 무기인 석궁과 조잡한 화기류를 사용해 공격 종대가 전진하기 전에 민첩하게 먼저 앞장섰다). 젊은이들은 전장에 싸우러 나갔고 때로는 죽기도 하였지만 외국에서의 복무는 많은 동기를 유발하였는데, 여전히 농업에 의존하는 낙후된 스위스보다는 경제적으로 나았기 때문에, 또는 모험심으로, 혹은 스위스 용병이라는 자부심으로, 그리고 군사 역사가 찰스 오만 경(Sir Charles Oman)이 지적하였듯 두 세기에 걸쳐 축적된 전투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사랑으로 이들은 끊임없이 용병으로 나아갔다. "Bad War." (한스 홀베인)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편집] 대략 1490년까지 스위스는 창을 사용하는 용병을 독점으로 공급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유사 용병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은 란츠크네흐트(Landsknechts)들이었다. 슈바벤(Swabia) 부근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이 독일 용병들은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 숙달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점차 유럽 각지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이들은 스위스 용병과 같이 가공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이들은 더욱 고용하기가 쉬웠으며, 1515년 스위스가 중립을 선포한 뒤로는 스위스 용병들이 왕립 프랑스군에서만 일하게된 반면, 란츠크네흐트들은 돈만 주어진다면 신성 로마 제국 황제(Holy Roman Emperor)의 적에게라도 고용되어 싸웠으며, 심지어는 스위스 용병들도 거부한 전장에서 동포끼리 싸우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 란츠크네흐트들은 처음에는 스위스식의 밝고 화려한 복장을 착용하였지만 얼마 안가서는 적어도 복장의 화려함만큼은 스위스 용병을 뛰어넘게 되었다. 스위스는 이들 모방한것을 칭찬하지 않았지만 이 두 용병단은 고용에서, 그리고 전장에서 극한의 경쟁상대가 되었다. 이들은 16세기 초, 대 이탈리아 전쟁(Great Italian Wars)에서 주요 국가의 분쟁기간 서로 자주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스위스는 보통 "창으로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을 사용하였지만 전투 결과는 야만적이고 참혹한 것 그 자체였고, 이탈리아인들은 이를 "나쁜 전쟁"(bad war)이라고 불렀다. 이 시기의 전문가인 한스 홀베인(Hans Holbein)과 같은 이들은, 거대한 장창을 든 두 종대가 맞닥뜨리는 일은 전투의 큰 소용돌이를 불러일으켰으며 양측에서 무시무시한 수의 사상자들을 낳았다고 증언했다. 란츠크네흐트와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그 뒤에 스위스 용병을 모방한 기타 군대(가장 두드러진것은 스페인에서 그 유명한 테르시오(Tercios)라는 보병 대형으로 한가지 요소인 파이크 사용을 채택했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용병의 가치는 1480년에서 1525년 사이에 정점에 달했다. 특히나 노바라 전투(Battle of Novara)의 경우 거의 완벽한 스위스 용병의 승리였다. 비록 1515년의 끔찍한 마리냐노 전투(Battle of Marignano)에서는 거의 패배에 가까운 결과를 낳았지만 광포한 전투력과 질서정연한 퇴각은 여전히 찬사를 불러왔다.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 측에 선 란츠크네흐트 용병의 공격을 받는 스위스(오른쪽) 그러나 마리냐노 전투는 스위스식 전술이 이제는 더이상 먹혀들지 않는다는 사실의 전조였다. 결국 스위스의 두 세기간에 걸친 빛나는 전력은 비코카 전투(Battle of Bicocca)에서 재앙으로 종결되었다. 스페인군과 란츠크네흐트의 연합군은 축성과 신기술의 도입으로 스위스 용병들에게 괴멸적인 피해를 안겼으며 이는 스위스 용병 자신들의 전투력을 맹신한 오만과 과다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프랑스 왕에게 고용된 이 스위스 용병들은 돌파 불가능한 방어선 앞에서 거듭된 진격만을 하다가 화포 공격에 무너져버렸다. 결과는 지금껏 스위스가 겪어보지 못한 막대한 사상자만 남았을 뿐, 적에게 준 타격은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오만과 자신감 외에 또다른 패배요인은 스위스 용병들이 본래 농부라는 점에 기인한다. 전투가 끝나면 재빨리 고향으로 돌아와 밭일을 해야하는 이들은 종종 서둘렀고, 신중하지 못하였으며, 승리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전장에 뛰어들어 전리품을 챙기고, 급여를 받아 귀환하는 것이었다. 비코카에서의 끔찍한 타격으로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력은 이후 수년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들이 3년 뒤 세기의 격전이었던 파비아 전투(Battle of Pavia)에서 보여준 전투력은 당시 사람들에게 평범함 그 자체였다고 평가되었으며 이 전투는 종종 스위스 용병의 내리막길이 시작된 지표로 그려진다. 구성과 전술[편집]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 대형은 주 방위를 위한 군대와 상이하다. 스위스 주 방위군의 대형은 선봉(Vorhut), 중군(Gewalthut), 후방(Nachhut)의 셋으로 나뉘며, 규모는 각각 다르지만 대개 사다리꼴 형태로 대형을 만든다.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거의 사각형 형태가 되어, 그들을 고용한 군대의 중앙에 자리잡는다. 마찬가지로 방위군은 빠른 이동에 의존하여 적과 교전하는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속도를 내기보다는 서로 속도를 맞추어 동시에 밀고들어가듯한 전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창을 든 진군은 보병을 상대할 때는 그다지 큰 전과를 올리기가 어렵지만 기병의 돌격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진군이 저지된다면 이들은 마리냐노에서 보았듯이 화기 공격에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낸다. 스위스 용병 역시 석궁이나 화승총, 그리고 화포를 사용하지만 이들은 언제나 부차적 요소일 뿐, 대부분의 전력은 사각형의 창병 대열이다. 화기의 갑옷 관통력은 놀라웠지만 당시엔 아직 명중률이 떨어지는데다가 장전 속도도 느렸고, 습도에 특히 민감하였기 때문에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는 어울리지 않았다. 스위스 용병들은 16세기가 되어서도 창병 우선 형태로 유지되었지만, 대형이나 전술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군대의 형태와 유사하게 변모되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그들만의 색깔을 잃어버렸고, 다른 부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 전력으로 바뀌어갔다. 군사적 우세의 종언[편집] 마리냐노와 비코카에서와 같이 스위스 창병은 화기에 취약하였지만 다른 면에서의 단점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강철 로델라(rodela, 검의 일종) 또는 레이피어(rapier, 찌르기 전용 검)와 버클러(Buckler)로 무장한 스페인의 로델레로(rodelero)의 경우, 투구와 흉갑을 착용하였으며 스위스군보다 개인 전투력이 뛰어났다. 만일 이들이 전열을 채 갖추지 않은 스위스 창병들에게 돌진하여 미처 겨누지 못한 창 아래를 파고든다면 갑옷이나 방패 없는 창병들의 결말은 뻔한 것이었다. 스위스와 유사한 전술을 구사하는 독일 용병들은 라벤나 전투(Battle of Ravenna)에서 거의 학살에 가까운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전열만 잘 갖춘다면 이러한 로델레로 같은 부대는 쉽게 무찌를 수 있다. 스위스 용병들은 세미나라 전투(Battle of Seminara)에서 로델레로 부대를 상대해 그러한 결과를 잘 입증하였다. 파비아 전투 이후[편집] 1525년경 맞이한 황금시대의 종언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창병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장에서 주요 보병 전력으로 계속 활용되었다. 프랑스 종교전쟁(French Wars of Religion)중에 스위스 용병들은 그들의 명성을 다시한번 입증하였는데, 특히나 드뢰 전투(Battle of Dreux)에서 스위스 용병들은 전체 위그노(Huguenot) 군대를 저지하여 가톨릭(Catholic) 기병대의 역습을 가능하도록 한 공로를 세웠다.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편집] 1792년 튈르리에서 스위스 근위대의 희생을 기념하여 스위스 루세네에 건립된 사자 기념비. 스위스 용병들은 17세기부터 19세기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에 고용되었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는 역시 프랑스에서 고용하였는데, 스위스 용병들은 늘 그래왔듯이 프랑스 보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프랑스에 고용된 13개 스위스 용병 연대중 가장 유명한 스위스 근위대 연대(Swiss Guard regiment)는 프랑스 위병들의 파란색 군복과 구별되는 빨간색 복장을 착용하였다. 17세기 이후로 스위스 용병들은 점차 그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장창을 버리고 프랑스의 다른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화승총으로 무장하였다. 끝까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스위스 위병들은 1792년 8월 10일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당시 성난 폭도들로부터 이미 튈르리 궁전(Tuileries Palace)에서 달아난지 오래인 국왕 루이 16세(Louis XVI)를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모두 살해되었다. 나폴레옹(Napoleon)의 군대 또한 스위스 용병들을 고용하였는데, 이들은 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군과 구별을 위해 빨간색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이 색상은 대개 나폴레옹의 적들(스페인 전역에서 영국 보병)의 군복 색깔과 유사하여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편집] 16세기 이후 스위스 용병들을 애용한 또다른 국가는 스페인이었다.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 이후 스위스는 개신교(Protestant)를 추종하는 주들과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들로 나뉘었다.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 출신의 용병들은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합스부르크 군대에 점차 많은 수가 고용되었다. 스페인 군 내의 첫 정규 스위스 연대는 1574년 가톨릭을 추종하는 우리주(Uri) 출신의 발터 롤(Walter Roll)이었으며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복무하였고, 17세기 중반에는 10개 이상의 연대들이 스페인군에 고용되었다. 17세기 후반 이들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 소속으로 포르투갈과 싸우고, 카탈로니아(Catalonia) 반란을 진압하는데 투입되었으며 스페인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폴란드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Polish Succession),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Austrian Succession), 그리고 미국 독립전쟁(American Revolution)과 연계되어 영국과의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스페인에서의 이들의 마지막 임무는 프랑스에 대한 반도 전쟁(Peninsular War)이었으며 끝까지 책임을 다한 6개 스위스 용병 연대가 수년간의 전투끝에 쓰러져갔다. 1823년 스페인에서의 스위스 용병들은 이제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과 마찬가지로 스페인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도 자신들의 전술과 복식을 사용하였다. 현대[편집] 1859년 이후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단 하나의 용병부대인 바티칸 근위병(Vatican's Swiss Guard)만을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5세기 동안 교황을 수호하였으며 스위스 용병들의 전성기를 상기시키는 다채로운 복장을 하고 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이제는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외국의 군대에 복무하고 있으며 스페인 내란(Spanish Civil War) 당시에도 주로 공화파 군대로 참여하였다. 서적[편집]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온라인[편집] Fremde Dienste/Service étranger in German, French and Italian in the online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필름[편집] Schweizer im Spanischen Bürgerkrieg (The Swiss in the Spanish Civil War), Director Richard Dindo, 1974 (English-language release 1982). In Swiss German with English sub-titles. 외부 링크[편집] 500 Jahre Schlacht bei Hard, 1999?, on the SFwV SSGA website. In German. Ancient Tactics Tested: Swiss Pike and Ancient Phalanx. 1499–1999, 1999, 500th anniversary of the Swabian War. In German. vdeh서양 중세사중세 전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 제국의 쇠퇴 고대 후기 그리스-로마 다신교의 쇠퇴 기독교화 이슬람의 흥기 불가리아 제1제국 프랑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바이킹 시대 카롤링거 제국 고대 교회 슬라브어 슈이네스게국 키예프 루스 동로마 제국의 중흥 중세 성기 신성로마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조지아 제국 폴란드 왕국 봉건제 동서 대분열 서임권 투쟁 십자군 스콜라주의 수도주의 자치도시 장원제 중세 온난기 몽골의 유럽 침공 중세 후기 백년 전쟁 흑사병 장미 전쟁 후스 전쟁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 가 서방 교회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함락 오스만 제국의 흥기 스위스 용병 기사도 르네상스 인문주의 대학 중세 후기의 위기 소빙기 문화사 건축 미술 교회와 국가 관계 요리 인구 가정 문학 의약 음악 철학 시문학 과학 노예제 기술 전쟁 참조 사항 암흑 시대 중세와 장애인 중세주의 중세 재현 중세학 신중세주의 연표 고전후 시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이슬로이퍼&oldid=22367551" 분류: 스위스의 군사사스위스의 용병중세 유럽의 전쟁직업별 스위스 사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이슬로이퍼(독일어: Reislaufer [raislcyfɐ][*])는 스위스 출신의 용병이다. 가깝게는 근세(Early Modern period)부터 멀게는 계몽 시대(European Enlightenment)가 포함된 중세 후기(Later Middle Ages)까지 외국, 특히 프랑스에 고용되어 전력으로 활용된 병사들로 유명하다. 그들의 용병으로써의 전력은 르네상스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장에서 증명된 전투력은 이후에도 세계 최고의 용병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4악장 5번째 씬에서 스위스 용병을 가리켜 "Switzers" 라고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이슬로이퍼가 용병으로 고용됐을 때의 전술 방식은 어떠한가? Assistant: 용병으로 싸울때는 속도를 내기보다는 서로 속도를 맞추어 동시에 밀고들어가듯한 전술을 사용한다
Human: 아래 임찬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임찬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찬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임찬규 Im Chan-Kyu LG 트윈스 No.1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2년 11월 20일(1992-11-20) (26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5 cm 체중 8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1년 드래프트 순위 2011년 1라운드(LG 트윈스) 첫 출장 KBO / 2011년 4월 2일 잠실 대 두산전 구원 획득 타이틀 2010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헤포스상' 2011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 계약금 3억원 연봉 1억 7,500만원 (2019년) 경력 ㅊ LG 트윈스 (2011년 ~ 현재) 경찰 야구단 (2014년 ~ 2015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안게임 2018년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아시안 게임 금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야구 임찬규(任燦圭, 1992년 11월 20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다. 목차 1 LG 트윈스 시절 1.1 2011 시즌 1.2 2012 시즌 2 경찰 야구단 시절 3 LG 트윈스 복귀 3.1 2016 시즌 3.2 2017 시즌 3.3 2018 시즌 4 등번호 5 논란 6 출신 학교 7 통산 기록 8 각주 9 외부 링크 LG 트윈스 시절[편집] 2011 시즌[편집] 201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전체 2순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 3억원, 연봉 2,4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하였다.[1] 2011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고, 65경기에 등판하여 9승 6패, 7세이브를 기록했다. 시즌 막판에는 선발로 2경기에 등판했으나, 선발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2 시즌[편집] 2012년에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 데뷔 때 등번호로 1번을 썼으나, 시즌 후 당시 경찰 야구단에서 제대한 우규민에게 넘겨줬다. 2012년 시즌 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발됐으나 디스크로 인해 불참했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13 시즌 후 배영섭, 신재영 등과 함께 합격했다. 2015년 9월 25일에 제대했다. LG 트윈스 복귀[편집] 2016 시즌[편집] 2016년 8월 4일 두산전에서 5.2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2] 2017 시즌[편집] 시범 경기에서 5선발 후보 중 가장 좋은 경기 내용을 기록해 5선발로 낙점받았다. 시즌 첫 선발 경기가 우천 취소로 등판 일정이 밀리며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었고, 4월 9일 롯데전에서 3.1이닝 6사사구, 3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다. 4월 15일 kt전에서 5이닝 무실점, 3탈삼진을, 4월 21일 KIA전에서는 5이닝 1실점, 6탈삼진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4월 27일 SK전에서는 7.1이닝 7탈삼진, 무실점으로 1668일만의 QS+를 기록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3] 당시 1선발이었던 데이비드 허프가 부상으로 인해 이탈해 4선발로 승격됐다. 2018 시즌[편집] 2018년 7월 4일 NC전에서 7이닝 3실점으로 QS+를 기록했다.[4] 2018년 7월 20일 넥센전에서 데뷔 첫 선발 두 자릿수 승을 달성했다.[5] 등번호[편집] '1' (2011년 ~ 2012년, 2017년 ~ 현재) '29' (2013년 ~ 2016년) 논란[편집] 2011년 6월 8일 한화전 9회초 정원석이 홈 스틸을 시도하자 그가 황급히 홈으로 송구했으나, 이미 투구 동작에 들어갔던터라 이는 보크였다. 그러나 심판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정원석의 아웃을 선언하는 오심을 범했다.[6] 2013년 5월 26일 SK전에서 끝내기 안타로 LG 트윈스의 승리를 이끌어 경기 MVP로 선정된 정의윤과 당시 KBS N 스포츠의 아나운서였던 정인영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그가 쓰레기통에 물을 받아 인터뷰 중인 정의윤과 정인영을 향해 물벼락을 날렸다. 하지만 그의 실수로 정의윤보다 물을 많이 묻은 정인영은 생중계 중이었지만 잠시 인터뷰를 중지하고 급하게 매무새를 가다듬은 후 다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에 그는 다음 날 사과했지만 KBS N 스포츠의 비난은 계속됐다. 이는 KBS N 스포츠 관계자들과 야구인들과의 싸움으로 번졌는데, 특히 KBS 한성윤 기자와 김성태 PD는 야구인들 전체가 인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감정적인 글을 올렸다. 이에 김정준, 박재홍 등의 야구인들이 반발 의견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KBS N 스포츠는 앞으로 LG 트윈스와의 인터뷰는 없을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보이콧을 선언했었지만 인터뷰는 계속 하고 있다. 당시 LG 트윈스의 감독이었던 김기태, 당시 주장이었던 이병규와 그는 잠실에서 다시 한번 정식으로 아나운서에게 찾아가 사과했다.[7] 이사건으로 물찬규라는 별명이 생겼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가동초등학교 청원중학교 휘문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1 LG 4.46 65 0 0 9 6 7 0 0.600 375 82.2 73 8 61 1 62 45 41 2012 4.53 18 0 0 1 5 0 1 0.167 243 55.2 71 5 23 1 31 29 28 2013 4.70 17 0 0 1 1 0 0 0.500 201 44 51 7 21 0 45 24 23 2016 6.51 15 0 0 3 3 0 1 0.500 215 47 46 6 32 6 38 35 34 2017 4.63 27 0 0 6 10 0 0 0.375 560 124.1 133 12 45 24 113 70 64 2018 5.77 29 0 0 11 11 1 0 0.500 680 146.2 195 23 47 13 125 104 94 통산 6시즌 5.11 171 0 0 31 36 8 2 0.463 2274 500.1 569 61 229 45 414 307 284 각주[편집] ↑ LG, 신인 1차 지명 임찬규와 3억 원에 계약 - 세계일보 ↑ LG 임찬규, 5⅔이닝 3실점…1209일만의 승리투수 실패 -마이데일리 ↑ LG 임찬규, SK전 7⅓이닝 무실점 '1668일 만에 QS+' - 마이데일리 ↑ LG 임찬규, 부진 털고 NC전 7이닝 3실점 호투 - 마이데일리 ↑ '데뷔 첫 10승' 임찬규, 달라진 이닝 소화력 - 뉴스1 ↑ LG-한화전 명백한 보크 오심, 왜 나왔나 - 마이데일리 ↑ 임찬규 정인영 아나 물벼락 세리머니 파문 확산 - 세계파이낸스 외부 링크[편집] 임찬규 - KBO 투수별 기록 임찬규 싸이월드 미니홈피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10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감독 최재호 코치 강길룡 · 전형도 투수 임찬규 · 윤영삼 · 최현진 · 유창식 · 이현호 · 이태양 · 심창민 포수 유강남 · 유원선 · 김민욱 내야수 강병의 · 강경학 · 백세웅 · 허일 · 강진성 · 하주석 외야수 신철언 · 문우람 · 김호령 · 정진기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3위 감독 이연수 코치 박치왕 · 이상번 · 장재중 투수 윤근영 · 진해수 · 윤지웅 · 김대우 · 진명호 · 정인욱 · 김민수 · 김기태 · 홍성무 포수 이재원 · 최재훈 · 김민수 내야수 조평호 · 김용의 · 최윤석 · 정훈 · 오선진 · 강민국 · 고영민 외야수 이영욱 · 이준호 · 박정준 · 서용주 · 정형식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감독 90 선동열 코치 71 이강철(투수) · 72 정민철(투수) · 76 유지현(내야 및 작전) · 77 이종범(외야 및 주루) · 88 김재현(타격) · 92 진갑용(배터리)투수 1 임찬규 · 30 최원태¹ · 38 임기영 · 42 장필준 · 45 이용찬 · 50 박종훈 · 51 최충연¹ · 54 양현종 · 57 정우람 · 61 함덕주¹ · 66 박치국¹포수 20 이재원 · 25 양의지내야수 2 오지환¹ · 7 김하성¹ · 8 안치홍 · 10 황재균 · 13 박민우¹ · 52 박병호외야수 17 이정후¹ · 22 김현수(주장) · 31 손아섭 · 32 김재환 · 58 박해민¹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찬규&oldid=24363847"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LG 트윈스 선수서울가동초등학교 동문휘문고등학교 동문풍천 임씨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2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찬규(任燦圭, 1992년 11월 20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임찬규의 2013년 승률은 얼마나 될까? Assistant: 0.500 Human: 아래 페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블 스마트워치 페블 스마트워치제조사 페블 테크놀로지 후속 페블 스틸크기 가로 : 52 mm세로 : 36 mm두께 : 11.5 mm[1]무게 페블: 38.0 g[1]운영 체제 페블 OS(FreeRTOS 수정 버전, 클로즈 소스)CPU STM32F205RE Cortex M3 CPU메모리 64KB와 128KB 사이의 RAM저장 1024KB 플래시 메모리센서 3축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데이터 입력 4 버튼, 3축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디스플레이 1.26" 해상도 144 x 168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웹사이트 http://getpebble.com 페블(영어: Pebble)은 페블 테크놀로지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킥스타터를 통해 펀딩하여 2013년 출시한 스마트워치이다. 킥스타터에서 1027만 달러를 모금하는 데 성공한다. 이 기록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모금한 금액 중 최고 기록이다. 페블은 아이폰과 특정 안드로이드 장치와 호환된다.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전화,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알람이 오면 진동으로 알림을 준다. 페블은 동시에 8개의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앱들은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앱 마켓에서 살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기능 2.1 하드웨어 2.2 소프트웨어 2.2.1 페블 SDK 3 페블 스틸 4 페블 타임 5 페블 타임 스틸 6 페블 타임 라운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페블은 에릭 미기코프스키(Eric Migicovsky)에 의해 디자인됐다. 미기코프스키는 비즈니스 와이 콤비네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프로그램(Y Combinator business incubator program)을 통해 그의 아이디어를 구현했다. 미기코프스키는 Draper Fisher Jurvetson의 투자자, Tim Draper 등에게 37만 5천 달러를 펀딩한다. 하지만 추가적인 금액을 펀딩 받지는 못한다. inPulse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출시했으나 대부분 실패한다. 그래서 2012년 4월 11일, 미기코프스키의 페블 테크놀로지는 킥스타터 캠페인을 런칭한다. 목표금액은 10만 달러였으며, 캠페인 런칭 2시간만에 이 금액을 달성했다. 그리고 30일이 지났을 때는 470만 달러를 달성한다. 2012년 5월 18일, 후원자 68,928명에 의해 10,266,844 달러를 모금하고 캠페인은 종료된다. 캠페인 당시 페블의 가격은 첫 200개는 99달러였으며, 115달러였다. 한편, 선주문 때는 150달러였다. 2013년 1월부터 대량생산에 돌입했으며, 주당 15,000대 생산을 목표로 잡았다. 2013년 7월 4일까지 85,000대가 판매됐다. 기능[편집] 하드웨어[편집] 페블은 샤프가 생산하는 1.26인치 144 x 168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진동모터,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 3축 가속도센서를 장착했다. 안드로이드 및 iOS와 블루투스 2.1로 통신한다. 블루투스 4.0이 가능한 장치와 통신할 경우, 블루투스 4.0을 이용한다. 수정된 USB 케이블을 통해 자력으로 연결되어 충전한다. 배터리는 한 번 충전으로 약 7일 정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킥스타터 후원자들의 요청에 의해 방수 기능이 추가됐으며 5기압까지 방수 가능하다. 이는 민물과 바닷물 모두에서 40미터까지 잠수가능함을 의미하며, 더불어 착용상태에서 샤워, 다이빙, 수영 등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편집] 페블에는 FreeRTOS에 기반한 페블 OS가 설치되어 있으며, 몇 개의 앱이 기본 설치되어 있다. 페블 SDK[편집] 페블 테크놀로지는 제품이 배송되기 전에 페블 SDK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2013년 4월 12일, PoC(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와치페이스(watchface) SDK와 문서를 공개했다. PebbleKit이라고 불리는 두 번째 SDK를 2013년 5월 17일 공개했다. 이 버전에서 AppMessag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페블과 스마트폰 장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페블 스틸[편집] 페블 스틸은 페블의 다음 세대 제품이다. 기존 페블보다 더 작은 몸체를 가진다. 또한 새로운 충전 케이블로 변경됐으며, 페블 로고가 새겨져 있다. 손목 밴드는 메탈과 가죽, 두 모델이 있다. 페블 타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페블 타임 스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페블 타임 라운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가 나 https://getpebble.com/discover Archived 2014년 4월 3일 - 웨이백 머신 Pebble Discovery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페블 페블 - 공식 웹사이트 vdeh스마트워치 착용 컴퓨터 계산기 시계 손목 컴퓨터안드로이드 i'm Watch 모토로라 모토액티브 삼성 갤럭시 기어 WIMM 원 ZGPAX s5 Omate 트루스마트 넵튠 파인 watchOS 애플 워치 시리즈 1 시리즈 2 시리즈 3 웨어 OS 에이수스 젠워치 에이수스 젠워치 2 에이수스 젠워치 3 Casio WSD-F10 Casio WSD-F20 화웨이 워치 LG G 워치 LG G 워치 R LG 워치 어베인 LG 워치 어베인 세컨드 에디션 LG 워치 스포츠 LG 워치 스타일 Michael Kors Access 모토 360 1세대 2세대 모토 360 스포츠 Fossil Q Founder Fossil Q Marshal Fossil Q Wander 닉슨 미션 폴라 M600 삼성 기어 라이브 소니 스마트워치 Tag Heuer Connected 타이젠 삼성 갤럭시 기어 삼성 기어 2 삼성 기어 핏 삼성 기어 핏2 삼성 기어 핏2 프로 삼성 기어 S 삼성 기어 S2 삼성 기어 S3 삼성 기어 스포츠 삼성 갤럭시 워치 삼성 갤럭시 워치 액티브 삼성 갤럭시 핏/핏e Fitbit OS Fitbit Ionic Fitbit Versa 기타 Fossil Wrist PDA Ruputer ZYPAD 메타워치 마이크로소프트 밴드 2 페블 페블 타임 퀄컴 Toq 소니 스마트워치 손목 커뮤니케이터 패션 S9110 현대 MB 910 LG GD910 마션 워치 SWaP 클래식 Z1 안드로이드 워치폰 손목 데이터 장치 카시오 데이터뱅크 Timex Datalink 기타 Casio G-Shock GB-6900 Nelsonic Game Watch 소프트웨어 AsteroidOS 타이젠 WatchOS 웨어 O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블&oldid=24375837" 분류: 안드로이드 장치스마트워치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ÍslenskaItaliano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No good Wikipedia Search Result was found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블 테크놀로지가 2012년 런칭한 캠페인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킥스타터 캠페인
Human: 아래 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기간 9월 15일 ~ 10월 2일참가국 16개국 (1개 대륙)경기장 2 (2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이라크● 준우승국 이란● 공동 3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계총 경기수 31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18 → v • d • e • h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에서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 4강에 진출한 팀들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목차 1 지역 예선 2 사건 및 논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토너먼트 4.1 8강전 4.2 4강전 4.3 결승전 지역 예선[편집] 서아시아   동아시아   기타 우즈베키스탄 지역 예선 A조 1위 말레이시아 지역 예선 G조 1위 인도 개최국 자동진출 키르기스스탄 지역 예선 B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예선 H조 1위 예멘 조 2위 추가진출(A조) 이라크 지역 예선 C조 1위 대한민국 지역 예선 I조 1위 오만 조 2위 추가진출(B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예선 D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에선 J조 1위 아랍에미리트 조 2위 추가진출(D조) 이란 지역 예선 E조 1위 일본 지역 에선 K조 1위 태국 조 2위 추가진출(H조) 베트남 조 2위 추가진출(J조) 사건 및 논란[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이란 3 2 1 0 7 3 +4 7 아랍에미리트 3 2 1 0 7 4 +3 7 사우디아라비아 3 0 1 2 6 9 -3 1 인도 3 0 1 2 5 9 -4 1 2016년 9월 15일 16:00 이란 3 – 2 사우디아라비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00 심판: 김대용 세예드  47'가데리  69'아사다바디  70' 리포트 알베쉬  4'알안나지  42' 2016년 9월 15일 19:00 인도 2 – 3 아랍에미리트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스탈린  11'탕잼  36' 리포트 아예드  34'라시드  53'파와지  74' 2016년 9월 18일 16:00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0 심판: 수크비르 싱 알라제즈  51' 리포트 아사다바디  49' 2016년 9월 18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3 – 3 인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700 심판: 왕디 술라이만  34'타리크  82', 83' 리포트 자다브  6'체트리  22'왕잼  90+5'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인도 0 - 3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892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가데리  23'사리피  81' (페널티골), 90+1'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700 심판: 김대용 알두레이위시  65' 리포트 파와지  42'알리 카미스  74'알나크비  81'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일본 3 3 0 0 21 0 +21 9 베트남 3 2 0 1 6 10 -4 6 키르기스스탄 3 1 0 2 2 11 -9 3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2 10 -8 0 2016년 9월 16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키르기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칸야베코프  76'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20:00 일본 7 – 0 베트남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쿠보  16', 64'후쿠오카  24', 51'미야시로  40'케모수  79'야마다  85' 리포트 2016년 9월 19일 16:00 키르기스스탄 0 – 8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5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타나하시  34', 54', 80' (페널티골)쿠보  42', 90+2'나카무라  43', 52'스즈키  56'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20:00 베트남 3 – 2 오스트레일리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467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탕  51', 61'두예 킨엠  86' 리포트 로버트  18', 28' 2016년 9월 22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6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43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코주키  4', 82'미야시로  54'세하타  56'마츠모토  64'타나하시  86' 2016년 9월 22일 16:00 베트남 3 - 1 키르기스스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55 심판: 카미스 모하메드 알쿠와리 캉 키엠  20'막사트  81' (자책골)비에트 쿵  88' 리포트 굴지기트  6'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오만 3 1 2 0 4 1 +3 5 이라크 3 1 2 0 4 3 +1 5 대한민국 3 1 1 1 4 2 +2 4 말레이시아 3 0 1 2 1 7 -6 1 2016년 9월 16일 16:00 대한민국 1 – 2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정찬영  43' 리포트 문타테르  45+2' (페널티골) 50'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19:00 말레이시아 0 – 3 오만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41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리포트 알알라위  20' (페널티골) 78'마르키  63'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16:00 이라크 1 - 1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자일  43' 리포트 알리프  86' 2016년 9월 19일 19:00 오만 0 - 0 대한민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812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31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박정인  4'천성훈  14' (페널티골)고준희  84'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오만 1 - 1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06 심판: 왕디 알알라위  90' 리포트 다우드  37'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0 1 7 6 +1 6 예멘 3 0 1 2 1 4 -3 1 태국 3 0 1 2 5 10 -5 1 2016년 9월 17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예멘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35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김복혁  61', 75' 리포트 2016년 9월 17일 20:00 우즈베키스탄 5 – 3 태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300 심판: 카미스 알말리 무예디노프  24' (페널티골)율도쇼프  45+2' (페널티골), 89'쿰케암  57' (자책골)압둘라에프  82' 리포트 진나와트  2'아르논  58', 90+4' 2016년 9월 20일 16:00 예멘 0 - 1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550 심판: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소비로노프  69' 2014년 9월 20일 20:00 태국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50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하사와트  69' 리포트 경담  41' (페널티골), 63', 67'리강국  79' 2016년 9월 23일 19: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3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973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리강국  75' 리포트 움자코프  49'율도쇼프  62'가니코노프  68' 2016년 9월 23일 19:00 태국 1 - 1 예멘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77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나타폰  47' 리포트 하사와트  69' (자책골)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5일 - 마르가오           이란  5 9월 29일 - 마르가오   베트남  0     이란  1 (6) 9월 26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5)     오만  1 (2) 10월 2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4)     이란  0 (3) 9월 25일 - 밤볼림     이라크  0 (4)   일본  1 9월 29일 - 밤볼림   아랍에미리트  0     일본  2 9월 26일 - 밤볼림     이라크  4     우즈베키스탄  0   이라크  2     8강전[편집] 2016년 9월 25일 16:00 이란 5 - 0 베트남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57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세예드  30', 72'가데리  47'아사다바디  62'호마모라디  69' 리포트 2016년 9월 25일 20:00 일본 1 - 0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428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세코  31' 리포트 2016년 9월 26일 16:00 오만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655 심판: 수크비르 싱 알자드하미  80' 김복혁  84'     승부차기   알알와이 알말키 알카이디 알자드하미 2 - 4 경담 차광 김경속 윤민 김복혁   2016년 9월 26일 19:00 우즈베키스탄 0 - 2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673 심판: 왕디 리포트 다우드  7', 79' 4강전[편집] 2016년 9월 29일 16:00 일본 2 - 4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54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야마다  29', 42' 리포트 다우드  18', 79' (페널티골) 90+4' (페널티골)압둘사다  67' 2016년 9월 29일 19:00 이란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사리피  19' 리포트 경담  80' (페널티골)     승부차기   아하니 에스마일자데 사리아티 코다모라디 사리피 아사다바디 자데흐 6 - 5 경담 김정진 윤민 차광 김복혁 박광민 김경속   결승전[편집] 2016년 10월 2일 18:00 이란 0 - 0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237 심판: 왕디     승부차기   3 - 4   2016년 AFCU-16 축구 선수권 대회 이라크우승 vdeh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85¹ 1986¹ 1988¹ 1990¹ 1992¹ 1994¹ 1996¹ 1998¹ 2000¹ 2002¹ 2004¹ 2006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¹: U-17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654" 분류: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2016년 9월2016년 10월인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16년 청소년 축구2017년 FIFA U-17 월드컵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6년 AFC U-16 챔피언십은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인도에서 열린 17번째 AFC U-16 챔피언십이다. 이 대회는 인도에서 개최된 2017년 FIFA U-17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했다. 이에 따라 준결승전에 진출한 4개국은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졌으며 개최국인 인도에게는 자동으로 출전권이 주어졌다. 만약 인도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면 8강전에서 패배한 4개 팀 간에 5위 결정전을 치러 5위에 오른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질 계획이었다. 하지만 인도가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5위 결정전은 열리지 않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대표팀이 AFC U-16에서 일으킨 사건은 어떤 내용인가? Assistan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Human: 아래 범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범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범증(范增,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04년)은 중국 초한전쟁 시기 초나라의 장군이자 참모이다. 70세가 될 때까지 은거생활을 하다가 진나라 말기에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항량의 휘하에 들어가 초 의제의 옹립을 건의하였다. 항량이 죽은 후에는 그의 조카인 서초패왕 항우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한왕 유방을 견제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항후 휘하에서 대장군이 되었으며 역양후(歷陽侯)의 작위를 받았다. 별명은 아보(亞父)였다.[1] 목차 1 생애 1.1 출신 1.2 항량의 휘하 1.3 항우의 휘하 1.4 함곡관 돌파 1.5 홍문의 연 1.6 십팔제후왕 분봉 1.7 형양 포위 1.8 반간계와 죽음 2 평가 3 각주 생애[편집] 출신[편집] 초한전쟁 이전의 범증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사기》 〈항우본기〉에 따르면 범증은 본래 거소(居鄛) 출신이었으며 집에 기거하면서 기이한 계책을 잘 냈다고 전한다.[2] 그 외에도 유안은 《괄지지》에서 범증이 본래 촉루산(髑髏山)에 기거하다가 훗날에 항우를 보좌하게 되었다고 주장했고,[3] 순열은 《한기(漢紀)》에서 범증이 부릉(阜陵) 출신이었다고 주장하였다.[4] 항량의 휘하[편집] 기원전 209년 9월, 초나라 귀족 출신인 항량이 진승·오광의 난의 난으로 진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조카인 항우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기원전 208년경, 당시 70세였던 범증은 항량을 찾아가 유세하였다. 범증은 진승·오광의 난이 실패한 이유는 진승(이 초나라의 왕손을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민심을 잃었기 때문임을 지적하며, 항량에게 초나라를 다시 일으키려면 옛 초나라 왕족을 왕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항량은 범증의 말이 옳다고 여기고는 그해 6월에 민간에 숨어살던 초 회왕의 후손 심(心)을 찾아내 초 의제를 옹립하였다.[5] 항우의 휘하[편집] 기원전 208년 9월, 항량은 정도(定陶)에서 진나라의 장군 장한에게 격파당하고 전사하였다.[6] 한편 초 의제는 송의를 상장군(上將軍)으로, 항량의 조카인 노공(魯公) 항우와 범증을 각기 차장(次將)·말장(末將)으로 삼아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를 구원하도록 하였다.[7] 초나라 군대를 지휘하게 된 송의는 조나라를 구원하러 가던 중에 안양(安陽)에 이르러 46일 동안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항우가 기원전 207년 11월에 송의를 살해하고 대신 상장군이 되어 초나라 군대의 지휘권을 장악하고는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의 거록을 구원하였으며 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였다.[8] 이후 범증은 항우를 따르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아보(亞父)"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여순(如淳)에 따르면, "아보"라는 말은 곧 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한다는 뜻으로, 춘추시대의 재상 관중이 제 환공으로부터 "중보(仲父)"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과 같다.[9] 함곡관 돌파[편집] 초 의제는 앞서 송의로 하여금 북쪽으로 조나라를 구원케하고, 패공(沛公) 유방으로 하여금 서쪽으로 함곡관(函谷关)을 공략케하면서 장수들 중 먼저 관중을 평정하는 자를 그 곳의 왕으로 삼기로 약속하였다.[10] 그런데 항우가 장한이 지휘하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항복을 받아내던 와중인 기원전 207년 9월,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관중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206년 10월에는 진왕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다.[11]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항우는 함곡관으로 진군하였다.[12] 유방은 관중에 입성한 후에 함곡관에 장수를 보내 관문을 지키도록 하였는데, 그 장수는 항우를 함곡관 안으로 들여보내주지 않았다. 당시 범증은 항우 휘하에서 대장군을 맡고 있었는데, 함곡관에 들어갈 수 없게되자 화를 내며 "패공은 반역을 하려 하는가?"라 말하더니 곧 집집마다 땔감을 한 다발씩 징발해서 관문을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관문을 열게 하였다.[13] 이에 항우가 함곡관을 돌파하여 희수 서쪽에 이르렀다.[14] 홍문의 연[편집] 함곡관을 돌파한 항우는 40만 대군을 거느리고 홍문(鴻門)에 도달했는데 이때 유방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패상(覇上)에 주둔하고 있었다. 범증은 항우에게 "패공이 산동에 있을 때만 해도 재물과 여색을 탐냈는데 지금 관중에 들어가서는 재물에는 손도 대지 않고 여자도 가까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그 뜻이 작지 않다는 것입니다. 제가 사람을 시켜 그 기운을 보게 했더니 모두 용과 호랑이에 오색인 것이 천자의 기운이었습니다. 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 공격하셔야 합니다."라 말하였다.[15] 그런데 유방의 참모였던 장량은 평소에 항우의 숙부 항백과 친분이 두터웠다. 덕분에 유방과 장량은 항백에게 부탁하여 항우를 찾아가 용서를 빌 기회를 마련하였다. 유방은 100여 명의 기병만을 거느리고 홍문으로 가서 항우의 연회에 참석하고는 자신의 잘못을 말하며 용서를 구하였다. 범증은 연회자리에서 수차례 눈짓을 던지고 옥결(玉玦)을 들어보이며 항우에게 그를 죽이라는 신호를 보냈으나, 유방에게 속아 넘어간 항우는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자 범증은 자리에서 일어나 밖에 있던 항우의 종제 항장(項莊)을 불러 검무를 추는 척하며 유방을 찔러 죽일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항백이 칼을 뽑아 항장과 더불어 검무를 추며 유방의 암살을 막았다. 상황이 나빠지자 장량은 번쾌를 불러와서 목숨을 걸고 유방을 호위하도록 하였다. 분위기가 험악해진 것을 눈치챈 유방은 측간에 가는 척하며 술이 취했다는 핑계로 홍문을 빠져나갔다.[16] 한편 유방이 홍문으로 오면서 백벽(白璧) 한쌍과 옥두(玉斗) 한쌍을 가져와 각기 항우와 범증에게 선물하려 하였으나 범증이 분노한 것을 보고는 그럴 엄두를 내지 못했다. 유방이 빠져나가고 나자 장량이 대신 선물을 항우와 범증에게 전해주었는데, 항우는 백벽을 받아두었으나 범증은 옥두를 땅바닥에 놓고 검을 뽑아 그것을 내리쳐 부숴버리며 "어린 놈과는 일을 도모할 수 없다! 항왕의 천하를 빼앗을 자는 패공이다! 이제 우리는 모두 그에게 사로잡히고 말 것이다!"라 말했다.[17] 십팔제후왕 분봉[편집] 유방을 제압하고 관중에 입성하여 자영을 죽여 진나라를 멸한 항우는 기원전 206년 12월, 중국 전역의 땅을 나누어 함께 진나라를 공격한 18명의 제후들에게 분봉하였다(항우의 십팔제후왕). 그런데 이때 항우와 범증은 유방을 의심하였으나 이제 와서 약속을 져버릴 수 없었고 또한 여러 제후들이 이로 인해 자신들을 배반할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관중을 4개의 나라, 즉 한(漢) · 옹(雍) · 새(塞) · 적(翟)으로 분할하고는 그 중에서도 길이 험해 유배지로나 여겨지던 파촉(巴蜀)을 유방에게 주어 한왕(漢王)으로 봉하였다. 또한 진나라의 옛 장수들인 장한· 사마흔 · 동예 등을 각기 옹왕(雍王) · 새왕(塞王) · 적왕(翟王)으로 봉하여 유방이 파촉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견제하였다.[18] 그러나 분봉이 끝난지 불과 8개월 후인 기원전 206년 8월[19]에 유방이 한신 등의 인재를 기용하여 불시에 함곡관을 빠져나와 방심하고 있던 관중의 세 나라를 공격하며 항우와 맞서기 시작하였다.[20] 이로 인하여 초한전쟁이 시작되었다. 형양 포위[편집] 기원전 204년, 항우는 형양(滎陽)으로 달아난 유방을 추격하여 그 식량 보급로를 끊으려 하였다. 곤궁에 처한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하며 형양을 기점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차지하고 동쪽은 초나라가 차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항우는 아직 제나라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유방의 제안을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역양후(歷陽侯)였던 범증은 이에 반대하며 유방을 먼저 쳐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항우는 범증의 의견을 받아들여 범증과 함께 형양에 주둔한 유방의 군대를 포위하였다.[21] 반간계와 죽음[편집] 범증의 방해 때문에 형양의 포위를 푸는데 실패한 유방은 진평에게 대책을 물었다. 그러자 진평은 "항왕의 강직한 신하들이라면 아보(亞父, 범증) · 종리말 · 용저 · 주은 등 몇 사람밖에 없습니다. 대왕께서 만약에 금 수 만 근을 내놓으실 수 있다면 이간책으로 군신을 갈라놓아 그 마음을 서로 의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라 말하며, 항우와 그 신하들의 사이를 이간질한 후에 초나라를 치면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2] 유방은 진평의 계책을 받아들이고는, 항우의 사자를 맞이할 때에 일부러 호화로운 식사인 태뢰(太牢)를 준비해 두었다가 막상 사자가 도착하자 "아보(亞父, 범증)의 사자가 아니라 항왕의 사자였군."이라 말하며 태뢰를 도로 물리고는 형편없는 식사를 대접하였다. 이 일을 알게 된 항우는 범증이 유방과 밀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점차 그의 권한을 빼앗아갔다. 이에 분노한 범증은 "천하의 일이 크게 정해졌으니 군왕께서 스스로 알아서 하십시오. 저는 고향으로 돌아가 늙어 죽고자 합니다."라 말하였다. 항우가 이를 수락하자 범증은 팽성(彭城)으로 돌아가던 중에 등창이 나서 죽고 말았다.[23] 《황람(皇覽)》에 따르면, 아보 범증의 무덤은 거소현 곽동(郭東)에 있었다. 또한 거소현의 관청 중앙에 "아보의 우물(亞父井)"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거소현의 관리와 백성들이 모두 거소현 관청에서 범증의 제사를 지내주었다. 그곳의 장리(長吏)들 또한 처음 공무를 볼 때에는 먼저 제사를 지낸 후에야 일을 처리했고, 나중에는 범증의 사당을 다시 지은 것이 후한 말기까지도 남아있었다고 한다.[24] 평가[편집] 범증이 죽은 후, 항우를 무찌르고 중국을 통일하여 황제가 된 유방은 낙양의 남궁(南宮)에서 신하들과 연회를 즐기다가 그들에게 자신이 항우를 무찌르고 천하를 얻은 까닭이 무엇인가 물었다. 이에 고기(高起)·왕릉 등이 대답하기를, 유방은 이득을 취하면 이를 신하들과 나누었으나 항우는 질투와 의심이 많아서 이득을 신하들과 나누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유방은 "그대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라 말하며, 자신에게는 장량·소하·한신 등의 인걸들이 있어서 이들을 쓸 줄 알았으나 항우 휘하에는 그런 인걸이 범증 한 사람 뿐이었음에도 그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25] 각주[편집]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정의》 권7 항우본기 ↑ 《사기색은》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예문유취》 권6 인용 〈초한춘추〉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당시 중국에서는 한 해의 시작을 10월, 끝을 이듬해 9월로 삼았었다. 자세한 사항은 전욱력 문서를 참고하라.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vdeh초한전쟁의 주요 인물황제 초 의제 열국 서초(西楚) 한(漢) 구강(九江) 형산 임강 옹(雍) 새(塞) 적(翟) 제(齊) 제북(齊北) 교동(膠東) 연(燕) 요동(遼東) 상산(常山) 대(代) 서위(西魏) 은(殷) 한(韓) 하남 서초군주 항적 장수 환초 영포 우영 우자기 종리말 계포 용저 주란 장한 사마흔 동예 옹치 참모 범증 항백 진평 한군주 유방 장수 한신 번쾌 주발 관영 조참 기신 왕릉 팽월 영포 하후영 참모 장량 소하 육가 역이기 진평 괴철 이좌거 수하 제후서초 옹왕 장한 새왕 사마흔 적왕 동예 구강왕 영포 서위왕 위표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제왕 전광 한 회남왕 영포 양왕 팽월 한왕 한신 조왕 장이 제왕 한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범증&oldid=24144060" 분류: 초한전쟁 관련자기원전 277년 태어남기원전 204년 죽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범증(范增,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04년)은 중국 초한전쟁 시기 초나라의 장군이자 참모이다. 70세가 될 때까지 은거생활을 하다가 진나라 말기에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항량의 휘하에 들어가 초 의제의 옹립을 건의하였다. 항량이 죽은 후에는 그의 조카인 서초패왕 항우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한왕 유방을 견제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항후 휘하에서 대장군이 되었으며 역양후(歷陽侯)의 작위를 받았다. 별명은 아보(亞父)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범증은 어떻게 함곡관을 돌파했는가? Assistant: 초 의제는 앞서 송의로 하여금 북쪽으로 조나라를 구원케하고, 패공(沛公) 유방으로 하여금 서쪽으로 함곡관(函谷关)을 공략케하면서 장수들 중 먼저 관중을 평정하는 자를 그 곳의 왕으로 삼기로 약속하였다.[10] 그런데 항우가 장한이 지휘하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항복을 받아내던 와중인 기원전 207년 9월,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관중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206년 10월에는 진왕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다.[11]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항우는 함곡관으로 진군하였다.[12] 유방은 관중에 입성한 후에 함곡관에 장수를 보내 관문을 지키도록 하였는데, 그 장수는 항우를 함곡관 안으로 들여보내주지 않았다. 당시 범증은 항우 휘하에서 대장군을 맡고 있었는데, 함곡관에 들어갈 수 없게되자 화를 내며 "패공은 반역을 하려 하는가?"라 말하더니 곧 집집마다 땔감을 한 다발씩 징발해서 관문을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관문을 열게 하였다.[13] 이에 항우가 함곡관을 돌파하여 희수 서쪽에 이르렀다.[14]
Human: 아래 1936년_하계_올림픽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36년 하계 올림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36년 하계 올림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를린 올림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취소된 대회에 대해서는 1916년 하계 올림픽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36년 하계 올림픽대회 제11회 하계 올림픽 경기 대회개최국 독일개최 도시 베를린참가국 49개국참가 선수 3963명(남자: 3632명, 여자: 331명)경기 종목 19개 종목, 129개 세부 종목개막식 1936년 8월 1일폐막식 1936년 8월 16일 개회 선언 아돌프 히틀러 총통선수 선서 루돌프 이스마이어성화 점화 프리츠 실겐주경기장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여름 <  로스앤젤레스 1932 런던 1948  >도쿄-헬싱키 1940  > 1936년 하계 올림픽(영어: 1936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XI Olympiad, 독일어: Olympische Sommerspiele 1936)은 1936년 8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 개최된 제11회 하계 올림픽이다. 목차 1 투표 결과 2 참가국 3 개최 종목 3.1 시범 종목 3.2 비공식 종목 4 메달 집계 5 주요 대회 기록 6 외부 링크 투표 결과[편집] 개최지 투표는 193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IOC 총회에서 결정하였다. 개최지 투표결과 후보 도시 NOC 투표 베를린 독일 43 바르셀로나 스페인 16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0 부다페스트 헝가리 0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0 쾰른 독일 0 더블린 아일랜드 0 프랑크푸르트 독일 0 헬싱키 핀란드 0 로잔 스위스 0 뉘른베르크 독일 0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0 로마 이탈리아 0 참가국[편집] 1936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 참가국들이 파견한 선수단의 인원 수 아프가니스탄, 버뮤다,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리히텐슈타인 5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과 인원은 다음과 같다. 참가국 및 인원 목록 아프가니스탄 (14) 아르헨티나 (51) 오스트레일리아 (32) 오스트리아 (176) 벨기에 (120) 버뮤다 (5) 볼리비아 (1) 브라질 (73) 불가리아 (24) 캐나다 (96) 칠레 (40) 중화민국 (54) 콜롬비아 (5) 코스타리카 (1) 체코슬로바키아 (162) 덴마크 (116) 이집트 (54) 에스토니아 (33) 핀란드 (107) 프랑스 (201) 영국 (207) 독일 (348) (개최국) 그리스 (40) 헝가리 (209) 인도 (27) 아이슬란드 (12) 이탈리아 (182) 일본 (153) 라트비아 (24) 리히텐슈타인 (6) 룩셈부르크 (44) 멕시코 (34) 몰타 (11) 모나코 (6) 네덜란드 (128) 노르웨이 (72) 뉴질랜드 (7) 페루 (40) 필리핀 (28) 폴란드 (112) 포르투갈 (19) 루마니아 (53) 남아프리카 연방 (25) 스위스 (174) 스웨덴 (150) 터키 (48) 우루과이 (37) 미국 (310) 유고슬라비아 (90) 아이티도 개막식에 참가하였으나, 유일하게 참가한 역도 선수가 경기 도중 기권하였다. 개최 종목[편집]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역도 요트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펜싱 폴로 하키 핸드볼 시범 종목[편집] 글라이딩 야구 비공식 종목[편집] 예술 메달 집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3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입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독일 33 26 30 89 2 미국 24 20 12 56 3 헝가리 10 1 5 16 4 이탈리아 8 9 5 22 5 핀란드 7 6 6 19 프랑스 7 6 6 19 7 스웨덴 6 5 9 20 8 일본 6 4 8 18 9 네덜란드 6 4 7 17 10 영국 4 7 3 14 주요 대회 기록[편집] 처음으로 봉송주자들에 의해 올림픽 성화를 옮기는 행사가 실시되었다. 올림픽 성화는 그리스 아테네 올림피아로부터 올림픽 개최도시까지 옮겨졌으며 이동길이는 총 3000킬로미터였다. 처음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기를 중계하였으며, 베를린 전지역에 25개의 대형 화면을 설치해 올림픽을 무료로 볼수있게 했다. 경기 종목 수는 총 129개였는데, 농구, 카누, 핸드볼 경기가 처음으로 열렸으며 폴로가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 49개국이 참가하였고, 참가선수는 4066명(여 : 328명, 남 : 3738명)이었다. 당시 조선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그래서 조선인 처음으로 마라톤 경기에 손기정과 남승룡이 일본제국 선수로 출전하였으며,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일장기 말소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나치스 정권을 수립한 이후에 개최된 올림픽이었기 때문에 나치스 당기를 독일 국기로 썼다. 미국 흑인선수나 유대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분위기도 있었으나, 흑인이었던 미국의 제시 오언스가 4관왕에 올랐다. 히틀러가 제시 오언스를 푸대접했다는 이야기는 정확하지 않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936년 하계 올림픽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 Online Exhibition: Nazi Olympics: Berlin 1936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 Library Bibliography: 1936 Olympics 하계 올림픽 이전 대회 1936년 하계 올림픽베를린 1936 다음 대회 로스앤젤레스 1932 도쿄-헬싱키 1940 vdeh올림픽 경기 종목 경기장 메달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의식 상징 개최지 선정 IOC IOC 총회 NOC 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6) 1908 1912 1916 1920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2028 2032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취소선 : 취소된 올림픽, () : 중간 올림픽 vdeh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근대5종 글라이딩¹ 농구 다이빙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야구¹ 예술² 역도 요트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펜싱 폴로 하키 핸드볼 ¹ 시범 종목 ² 비공식 종목 vdeh193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버뮤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페루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인도 일본 중화민국 필리핀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연방 이집트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몰타 벨기에 볼리비아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vdeh 독일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국가급종합경기대회올림픽 1936년 하계 올림픽 1936년 동계 올림픽 1972년 하계 올림픽 패럴림픽 1972년 하계 패럴림픽 월드 게임 1989년 월드 게임 2005년 월드 게임 유니버시아드 198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별경기대회펜싱 1978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05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수영 1978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육상 198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 미식축구 2003년 미식축구 월드컵 축구 1974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8 1989년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여자 유로 1995 UEFA 여자 유로 2001 2003년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6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2016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체조 1966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81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1989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9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사격 1909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1986년 세계 시격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농구 1998년 FIBA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유도 1971년 세계 남자 유도 선수권 대회 1987년 세계 우도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필드 하키 1976년 여자 하키 월드컵 1978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05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11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13년 여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야구 1957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1969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01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 2조 2014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복싱 1982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핸드볼 1938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58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61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65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74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82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실내 하키 2003년 실내 하키 월드컵 2003년 여자 실내 하키 월드컵 2015년 실내 하키 월드컵 2015년 여자 실내 하키 월드컵 동계 스포츠 1899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1930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3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4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6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5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55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58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60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62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6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0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3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4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5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8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85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86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8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0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1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6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9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4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5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1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7년 U20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 201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20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탁구 1930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195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196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06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프로급육상 베를린 마라톤 테니스 독일 오픈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터키 |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0250223 LCCN: n85136486 GND: 2001155-6 NKC: kn200801160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36년_하계_올림픽&oldid=22867367" 분류: 1936년 하계 올림픽독일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1936년 8월1936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吴语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8일 (일) 14: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36년 하계 올림픽(영어: 1936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XI Olympiad, 독일어: Olympische Sommerspiele 1936)은 1936년 8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 개최된 제11회 하계 올림픽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36년 하계 올림픽의 메달집계 현황은? Assistant: 193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독일 33 26 30 89 2 미국 24 20 12 56 3 헝가리 10 1 5 16 4 이탈리아 8 9 5 22 5 핀란드 7 6 6 19 프랑스 7 6 6 19 7 스웨덴 6 5 9 20 8 일본 6 4 8 18 9 네덜란드 6 4 7 17 10 영국 4 7 3 14 Human: 아래 MBC경남_창원본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BC경남 창원본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경남 창원본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3′ 26″ 동경 128° 34′ 42″ / 북위 35.2239071° 동경 128.5783751°  / 35.2239071; 128.5783751 MBC경남 창원본부 1996년 9월 10일에 준공한 MBC경남 창원본부 現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 사옥 한국명 MBC경남 창원 한자표기 MBC慶南 昌原本部 영문표기 MBC Gyeongnam Changwon 약칭 MBC경남 창원 형태 공영 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방송 창립일 1968년 8월 13일 개국일 1969년 2월 1일(라디오) 1972년 10월 5일(TV) 1983년 11월 26일(음악FM) 본사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서9길 11-11 사장 정대균[1] 모기업 문화방송 웹사이트 MBC경남 MBC경남 창원본부(MBC慶南 昌原本部)는 중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국이다. 1969년에 경남방송(약칭 KBC)으로 개국하였으며 1971년에 마산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0년 7월 1일에 통합 창원시의 출범과 함께 창원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서부경남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던 구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출범함에 따라 MBC경남 창원본부가 되었다. 호출부호는 HLAP이다. 개국 당시 사옥은 마산합포구 서성동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1996년 9월 10일에 마산회원구 양덕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인근에 마산종합운동장과 3·15 아트센터 등이 있다. 목차 1 연혁 1.1 1960년대 1.2 1970년대 1.3 1980년대 1.4 1990년대 1.5 2000년대 1.6 2010년대 2 TV방송 2.1 프로그램 2.2 방송 송출 시설망 3 라디오방송 3.1 프로그램 3.2 MBC경남 창원라디오 3.3 MBC경남 창원 FM4U 3.4 방송 송출 시설망 4 지상파DMB방송 5 연중 캠페인 6 뉴스를 만든 사람들 7 아나운서 7.1 전직 아나운서 8 기상캐스터 9 기타 사항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60년대[편집] 1968년 8월 13일 : 경남방송주식회사 라디오 방송 설립 등기 1969년 2월 1일 : KBC경남방송 개국(출력 10㎾, 주파수 중파 990㎑ HLAP) 마산시 서성동 83-9번지 사옥에서 시작 1970년대[편집] 1971년 9월 28일 : 마산문화방송(주)로 상호 변경 1972년 6월 30일 :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경남문화TV) 설립 등기 1972년 9월 20일 : 경남문화TV 시험방송 개시[2] 1972년 10월 5일 : 경남문화TV가 문화방송의 7번째 제휴 방송국으로 개국. (창원시 불모산에서 호출부호 HLSO, 영상출력 2.5㎾, 음성출력 5㎾, VHF 13번)[3] 1979년 9월 22일 : 일본 KRY 야마구치방송과 자매 결연 1980년대[편집] 1980년 12월 22일 : 컬러TV 방송 개시 1983년 3월 2일 :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와 마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합병(마산문화방송(주)) 1983년 11월 26일 : 음악FM 방송(현 FM4U, 출력 1㎾, FM 100.5㎒)이 개국하여 당시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18시간 동안 방송하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TV방송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 1987년 7월 25일 : 거제 중계소 설치완료. 1990년대[편집] 1995년 4월 18일 : 중국 산둥전시대와 자매 결연 1996년 7월 1일 : 사옥 이전(마산시 서성동 -> 양덕동) 1996년 9월 10일 : 마산합포구 서성동에서 마산회원구 양덕동으로 신사옥 준공 기념식 1999년 11월 30일 : 표준FM 방송 개국(출력 3㎾, FM 98.9㎒) 2000년대[편집] 2005년 6월 30일 : 디지털TV방송 개국(물리채널 26, 가상채널 11-1, 출력 2.5㎾) 2005년 12월 31일 : 감악산중계소 디지털TV 개시(물리채널 50, 출력 1㎾) 2007년 8월 : 지역방송 최초로 E 스포츠 경기 중계(경남 - STX 마스터즈) 2010년대[편집] 2010년 7월 1일 :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인해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 이름을 창원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2011년 8월 8일 : 방송통신위원회가 진주문화방송과 함께 합병 승인(MBC경남으로 출범) 2011년 9월 1일 :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 공식 출범(창원문화방송 → 창원본부, 진주문화방송 → 진주본부) 2012년 10월 4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2013년 7월 17일 : 지상파 디지털TV방송 주파수 재배치 완료 2018년 7월 : AM 송신소 이전 예정 (마산합포구 가포동 → 의창구 북면) TV방송[편집] 1972년 10월 5일 개국하였고, 이후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보도 MBC 뉴스투데이 경남 월~금 오전 07:20 ~ 07:50 토 오전 06:50 ~ 07:10 진행 : 백근곤, 이다슬 MBC 930 뉴스 경남 월~금 오전 09:35 ~ 09:45 진행 : 이다슬 MBC 뉴스데스크 경남 월~금 오후 20:25 ~ 20:45, 토~일 오후 20:20 ~ 20:35 진행 : 문철진, 김혜민 (평일), 진행 : 무작위 (주말) 시사·교양·예능 공간다큐 그곳 (부산MBC 제작) 브라보! 멋진인생 (여수MBC 제작) 생방송 건강클리닉 생방송 경남아 사랑해 전국시대 코미디 파티 (전주MBC 제작) 특집 프로그램 고향의 봄 창작동요제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호출부호 : HLAP-DTV 가상채널 : 11-1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불모산 송신소 CH 26 2.5 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내서 중계소 CH 17 20W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용등 중계소 CH 35 5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밀양 중계소 CH 40 20W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장승포 중계소 CH 30 20W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거제 중계소 CH 35 20W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통영 중계소 CH 46 2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마암 중계소 CH 17 20W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상리 중계소 CH 34 20W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함안 중계소 CH 39 90W 경남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 산97-5 해인 중계소 CH 43 2W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율곡 중계소 CH 40 20W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초계 중계소 CH 45 20W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죽고리 소출력 CH 45 0.05W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4] 삼가 중계소 CH 20 5W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호출부호 : HLAP-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불모산 송신소 CH 13 5 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산호 중계소 CH 41 100W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547-2 용마산 용등 중계소 CH 24 10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장승포 중계소 CH 31 100W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거제 중계소 CH 41 100W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통영 중계소 CH 37 10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밀양 중계소 CH 25 100W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마암 중계소 CH 47 100W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상리 중계소 CH 55 100W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함안 중계소 CH 53 10W 경남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산15-1 해인 중계소 CH 29 10W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삼가 중계소 CH 23 10W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율곡 중계소 CH 53 100W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초계 중계소 CH 23 100W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라디오방송[편집] 1969년 2월 1일 개국하였다. AM라디오[5]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를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MBC경남 창원라디오[편집]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좋은 아침 (창원),(진주) 월~금, 토 30분 (월~금), 50분 (토) 백근곤 (월~금), 남선희(토) 오늘의 경남 월~금 50분 김진철 MBC 정오뉴스 월~일 5분 백율희 즐거운 오후2시 (창원),(진주) 월~금 105분 김용석, 김여민 MBC 15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17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뉴스네트워크 월~금 10분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오늘도 건강하세요 (창원),(진주) 월~금 40분 김혜민 NC 다이노스 프로야구 중계 시즌 평일 홈경기 225분 김형신, 한만정 MBC경남 창원 FM4U[편집]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FM아침의 행진 월~일 120분 김재영 정오의 희망곡 (창원),(진주) 월~일 120분 조복현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MBC경남 창원 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북면 송신소[6] AM 990KHz 10kW HLAP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불모산 송신소 FM 98.9MHz 3kW HLAP-SFM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내서 중계소 FM 96.7MHz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MBC경남 창원 FM4U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불모산 송신소 FM 100.5MHz 1kW HLAP-FM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지상파DMB방송[편집]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과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Busan MBC입니다. 연중 캠페인[편집] 2005년 : 아자 아자 경남 2006년 : 환경수도 경남 2007년 : 힘내라 우리경남 2008년 : 행복한 미래 시작은 마산MBC 2009년 : 40년 사랑 100년 감동으로 2010년 : 함께하면 행복합니다 2011년 : 경남의 미래 함께 열어갑니다 MBC경남 2012년 : 당신이 꿈꾸는 블럭버스터 슈퍼 로케이션 MBC경남 2013년 ~ 현재 : 경남의 문화중심 MBC경남 뉴스를 만든 사람들[편집] 데스크 김상헌 보도국장 취재1부(창원) 이종승 취재1부장 박종웅 부장 장 영 차장 이상훈 차장 윤주화 차장 신은정 차장 문철진 차장 정영민 기자 부정석 기자 이재경 기자 서창우 기자 아나운서[편집] 2018년 입사 : 김혜민 2018년 입사 : 백근곤, 이다슬 전직 아나운서[편집] 오정남(1996~2015, 전 MBC경남 기자, 현 휴직) 정은희(1997~2015, 현 MBC경남 PD) 박정희(2003~2012, 전 MBC경남 PD, 현 경영국) 배수진(2006~2013, 현 MBC경남 편성심의부) 서수진(2012~2014, 현 KBS 경인방송센터 아나운서) 이은지 이윤선 윤보리(2014~2016, 현 YTN 앵커) 이은민 이유정 박인숙 김선희(2005~2006, 현 MBC 강원 영동 기자) 이다솔(현 안동MBC 아나운서) 김지윤(2016~2018, 현 MBC 충북 아나운서) 김형신(1996~2018, 현 보직) 김세희(2016~2018, 현 KBS 포항방송국 아나운서) 김용석(2016~2019, 현 원주mbc 아나운서) 기상캐스터[편집] 박보경 기타 사항[편집] 2015년부터 문화방송 계열사 중 8개사와 함께 수퍼 로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같이 보기[편집] KBS창원방송총국 KNN 각주[편집] ↑ MBC경남 진주본부와 겸임 대표이사 사장이다. ↑ “경남문화TV(마산시 서성동 83)”. 경향신문. 1972년 9월 25일. 8면.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경남문화TV 10월 5일 개국”. 동아일보. 1972년 9월 22일. 8면.  ↑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2013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이전이 완료되는 2018년 7월 전까지는 AM방송 청취 불가 ↑ 마산합포구 가포해안길 155-27(가포AM송신소)에서 의창구 북면으로 이전 외부 링크[편집]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홈페이지 MBC경남 창원본부 모바일 공식 홈페이지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유튜브 채널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MBC경남 - 트위터 vdeh경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TV방송국부산지역 KNN 6 KBS 2TV 7 KBS 1TV부산 9 EBS1 10-1 EBS2 10-2 부산MBC 11 울산지역 ubc 6 KBS 2TV 7 KBS 1TV울산 9 EBS1 10-1 EBS2 10-2 울산MBC 11 경남동부 KNN 6 KBS 2TV 7 KBS 1TV창원 9 EBS1 10-1 EBS2 10-2 MBC경남 창원 11 경남서부 KNN 6 KBS 2TV 7 KBS 1TV진주 9 EBS1 10-1 EBS2 10-2 MBC경남 진주 11 라디오방송국부산지역 KBS부산(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부산MBC 라디오 / 부산MBC FM4U KNN (러브FM / 파워FM) 부산CBS (라디오/음악FM) febc부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TBN부산교통방송 BBS부산불교방송 WBS부산원음방송 부산영어방송 부산국악방송 AFN EagleFM 울산지역 KBS울산(제1라디오/음악FM) 울산MBC 라디오 / 울산MBC FM4U ubc GreenFMCBS울산 라디오 febc울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TBN울산교통방송 BBS울산불교방송 경남동부 KBS창원(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MBC경남 창원라디오 / MBC경남 창원FM4U KNN (러브FM / 파워FM) 경남CBS 라디오 febc창원극동방송 TBN경남교통방송 BBS 부산불교방송 AFN ThunderAM AFN EagleFM 경남서부 KBS진주(제1라디오/음악FM) MBC경남 진주라디오 / MBC경남 진주FM4U KNN (러브FM / 파워FM) 경남CBS 라디오 febc창원극동방송 TBN경남교통방송 BBS 부산불교방송 지상파DMBBusan MBCTV myMBC TV CJ O SHOPPING TPEGDMB DriveU-KBSTV KBS STAR HD KBS STAR KBS HEART V-RadioKBS MUSICTPEGKBS MOZEN TPEGKNN DMBTV KNNu ubc u HYUNDAI HOME TPEG DTS vdeh텔레비전 MBC TV 라디오 MBC 표준FM MBC FM4U 문화방송 네트워크국수도권 문화방송(본사) 강원권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 삼척방송국) 충청,제주권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 · 충주방송국) 제주문화방송 호남권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경북권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경남권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 · 진주방송) 지상파DMB 네트워크수도권MBC DMB강원권MY MBC (강원권)충청권MY MBC (충청권)전라권Honam MBC경북권myMBC (경북권)경남권Busan MBC제주권Jeju MBC케이블·위성·IPTV MBC PLUS (MBC 드라마넷 · MBC 에브리원 · MBC 뮤직 · MBC 스포츠플러스 · MBC ON) MBC NET 자회사 MBC C&I MBC 아카데미 MBC 미술센터 MBC 애드컴 iMBC 꿈나무축구재단 MBC 아메리카 블렌딩 (SBS와 합작 투자) 관련 문서 방송문화진흥회 정수장학회 경향신문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 상암 MBC 사옥 폐국 및 이전 계열사 HEN 홀마크/앨리스TV/MBC 라이프/MBC 퀸 Gembc/MBC 게임 MBC 무비스 MBC 스포츠플러스 2 채널TEN 디스코 (텔레비전 채널) MBC ESPN 남원문화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 TVB 코리아 마산문화방송·창원문화방송 진주문화방송 MBC 미디어텍/MBC 프로덕션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 청주문화방송 충주문화방송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BC경남_창원본부&oldid=24188036" 분류: 문화방송계열 방송국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창원시1968년 설립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9: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BC경남 창원방송(MBC慶南 昌原放送)은 중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국이다. 1969년에 경남방송(약칭 KBC)으로 개국하였으며, 1971년에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MBC)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0년 7월 1일에 통합 창원시의 출범과 함께 창원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서부경남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던 구 진주문화방송과 인수 합병하여 MBC경남이 출범함에 따라 MBC경남 창원방송이 되었다. 호출부호는 HLAP이다. 개국 당시 사옥은 마산합포구 서성동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1996년 9월 10일에 마산회원구 양덕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인근에 마산야구센터와 3·15 아트센터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BC 경남 창원라디오 프로그램별 라디오 방송 정보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좋은 아침 (창원),(진주) 월~금, 토 30분 (월~금), 50분 (토) 백근곤 (월~금), 남선희(토) 오늘의 경남 월~금 50분 김진철 MBC 정오뉴스 월~일 5분 백율희 즐거운 오후2시 (창원),(진주) 월~금 105분 김용석, 김여민 MBC 15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17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뉴스네트워크 월~금 10분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오늘도 건강하세요 (창원),(진주) 월~금 40분 김혜민 NC 다이노스 프로야구 중계 시즌 평일 홈경기 225분 김형신, 한만정
Human: 아래 이명규_(1956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명규 (195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명규 (195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명규출생 1956년 1월 10일(1956-01-10) (63세)경상북도 김천시국적 대한민국 학력 영남대학교 법학과 학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직업 현.국회의원, 정치인전.기초단체장, 전.변호사정당 자유한국당종교 불교웹사이트 http://www.lmg.or.kr 이명규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전임 소일봉 후임 이종화 신상정보 정당 자유한국당 이명규(李明奎, 1956년 1월 10일(음.1955년 11월 28일) ~ , 경상북도 김천시)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출신, 전직 대구광역시 북구청장(3선), 현재 정치인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국회 4 한나라당 5 논문 6 역대 선거 결과 7 참고 자료 학력[편집] 1961년 3월 ~ 1967년 2월 : 대구수창초등학교 1967년 3월 ~ 1970년 2월 : 대구중학교 1970년 3월 ~ 1973년 2월 : 대구고등학교 1973년 3월 ~ 1980년 2월 : 영남대학교 법학과 1980년 3월 ~ 1988년 2월 : 영남대 대학원 법학 석사 2002년 : 영남대 대학원 법학 박사 경력[편집] 사법고시 합격(30회) 변호사 활동 영남대 객원교수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23대 대구 북구청장(무소속,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1998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 24대 ~ 25대 대구 북구청장(한나라당,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제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초선)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재선) 국회[편집] 2004년 ~ 2005년 :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2004년 ~ 2005년 :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05년 ~ 2006년 : 정무위원회 위원 2005년 :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2005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특별대책위원회 위원 2006년 : 대법원장(이용훈)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6년 : 산업자원위원회 위원, 간사 2007년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7년 : 헌법재판소장(이강국)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8년 : 지식경제위원회 위원 한나라당[편집] 2004년 : 지방자치위원회 2004년 : 법률지원단 2004년 : 재해대책특위 2004년 : 정부개혁 지방분권특위 2004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특위 2005년 : 양극화해소를 위한 따뜻한 사회 추진위 2005년 ~ 2006년 : 원내부대표 2006년 : 혁신위원회 위원 2006년 ~ 2007년 : 여의도연구소 1부소장 2006년 : 대구시장 인수위 자문위원장 2006년 : 대구시당 수석부위원장 2007년 : 지방자치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중앙대책위 한반도대운하 특위 지도위원 2007년 : 대통령선거 직능정책본부 산자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대구 선대위 조직본부장 2008년 4월 :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 2008년 :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2011년 5월 ~ 2012년 2월 :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2012년 2월 :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2015년 12월 ~ : 북구발전전략포럼 이사장 논문[편집] 1988 : 불법원인급여에 관한 연구 (석사) 2002 : 중국 계약법제 연구 (박사)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23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무소속 95,780 표 61.60% 1위 초선, 민선 1기 지방 선거 24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41,039 표 76.80% 1위 재선, 민선 2기 지방 선거 25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89,380 표 77.20% 1위 3선, 민선 3기 총선 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52,727 표 73.23% 1위 초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30,323 표 52.58% 1위 재선 참고 자료[편집] 이명규 의원 홈페이지 전임소일봉 제23·24·25대 대구광역시 북구청장(민선)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후임(직무대리,재보궐)이종화(직무대리)노병정 전 임 (대구 북구 갑)박승국(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7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한나라당 (대구 북구 을)안택수 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서상기 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8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한나라당 → 새누리당 (대구 북구 을)서상기 후 임 (대구 북구 갑)권은희(대구 북구 을)서상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명규_(1956년)&oldid=24108063" 분류: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5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김천시 출신영남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변호사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대구고등학교 동문대구중학교 동문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1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명규(李明奎, 1956년 1월 10일(음.1955년 11월 28일) ~ , 경상북도 김천시)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출신 정치인이다. 3선 대구 북구청장, 제17·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명규는 몇 회의 사법고시에 합격했는가? Assistant: 30회 Human: 아래 iOS_제품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iOS 제품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OS 제품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OS제품목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2018년 9월) 이 문서는 애플의 iOS가 들어간 제품을 비교한다. 목차 1 아이폰 2 아이패드 3 아이팟 터치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아이폰[편집] 아이폰 비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폰 4, 8GB 2007년 6월 29일 16GB 2008년 2월 5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아이폰 OS 1.0 -> 3.1.3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115*11.6mm, 135g 200만 화소 카메라/없음 아이폰 3G 8, 16GB 2008년 7월 11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3.6Mbps (850, 1900, 2100 MHz) 아이폰 OS 2.0 -> iOS 4.2.1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2.1*115.5*12.3mm, 133g 200만 화소 카메라/없음 아이폰 3GS 16GB, 32GB 2009년 6월 19일 8GB 2010년 6월 2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7.2Mbps (850, 1900, 2100 MHz) 아이폰 OS 3.0 -> iOS 6.0.2 삼성 S5PC100, Cortex A8 833MHz (6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150MHz 256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2.1*115.5*12.3mm, 135g 300만 화소 카메라, 480p/30fps 동영상/없음 아이폰 4 16GB, 32GB 2010년 6월 24일 화이트 2011년 4월 28일 8GB 2011년 10월 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7.2Mbps (850, 1900, 2100 MHz) HSUPA 5.76Mbps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512MiB/ 8, 16, 32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500만 화소 카메라, 72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4 CDMA 16GB, 32GB 2011년 2월 10일 화이트 2011년 4월 28일 8GB 2011년 10월 14일 슬레이트 듀얼밴드 CDMA/EV-OD Rev.A (800, 1900MHz)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512MiB/ 8, 16, 32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500만 화소 카메라, 72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4S 2011년 10월 1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14.4Mbps (850, 1900, 2100 MHz) HSUPA 5.76Mbps 듀얼밴드 CDMA/Ev-Do Rev.A (800, 1900MHz) iOS 5.0 -> iOS 6.0.2 애플 A5, Cortex A9 듀얼코어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43MP2 512MiB/ 16, 32,64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8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5 2012년 9월 21일 슬레이트 GSM 모델 A1428*: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4 및 17 대역) CDMA 모델 A1429*: CDMA EV-DO Rev. A 및 Rev. B(800, 1900, 2100 MHz),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1, 3, 5, 13, 25 대역) GSM 모델 A1429*: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1, 3, 5 대역) iOS 6.0 -> iOS 6.0.2 애플 A6, ARM 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43MP3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100mm(4") 16M IPS TFT-LCD, 해상도 640*1136 58.6*123.8*7.6mm, 112g 8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120만 화소 카메라 아이패드[편집]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패드 3G 2010년 4월 30일 스마트패드 UMTS / HSDPA 85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전용) CDMA/EV-DO Rev. A 800, 1,900 MHz 포함 iOS 3.2 -> iOS 5.1.1 애플 A4, ARM Cortex A8 1GHz 파워VR SGX535 256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9.7*242.8*13.4 mm , 730g 미지원 아이패드 WiFi 2010년 4월 30일 스마트패드 WiFi iOS 3.2 -> iOS 5.1.1 애플 A4, ARM Cortex A8 1GHz 파워VR SGX535 256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9.7*242.8*13.4 mm , 680g 미지원 아이패드 2 3G 2011년 3월 11일 스마트패드 UMTS / HSDPA 85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전용) CDMA/EV-DO Rev. A 800, 1,900 MHz 포함 iOS 4.2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5.7*241.2*8.8 mm , 613g(GSM)/607g(CDMA) 후면 70만화소, 72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2 WiFi 2011년 3월 11일 스마트패드 WiFi iOS 4.2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5.7*241.2*8.8 mm , 601g 후면 70만화소, 72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3세대) 셀룰러 2012년 3월 23일 스마트패드 GSM/EDGE (850, 900, 1,800, 1,900 MHz) UMTS/HS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LTE (700, 2100 MHz) (Wi-Fi + 버라이즌 셀룰러 모델 전용) EvDO Rev. A (800, 1,900 MHz) GSM/EDGE (850, 900, 1,800, 1,900 MHz), UMTS/HS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LTE (700 MHz) iOS 5.1 -> iOS 6.0.2 애플 A5X,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60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3세대) WiFi 2012년 3월 23일 스마트패드 WiFi iOS 5.1 -> iOS 6.0.2 애플 A5X,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49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4세대) 셀룰러 2012년 11월 2일 스마트패드 GSM 모델 LTE 700, 2,100 MHz UMTS / HSDPA/HSPA+ / 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LTE 700 MHz CDMA/EV-DO Rev. A 800, 1,900 MHz UMTS / HSD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iOS 6.0 -> iOS 6.0.2 애플 A6X, ARM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54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6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동영상 아이패드 (4세대) WiFi 2012년 11월 2일 스마트패드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6X, ARM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54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50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동영상 아이패드 미니 2012년 11월 2일 슬레이트 LTE/CDMA/GSM/EDGE/GPRS iOS 6.0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00mm(7.9")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34.7*200*7.2 mm , 31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아이패드 미니 WiFi 2012년 11월 2일 슬레이트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00mm(7.9")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34.7*200*7.2 mm , 30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아이팟 터치[편집]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팟 터치(1세대) MP3P WiFi 아이폰 os 1.0 -> 아이폰 OS 3.1.2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 mm (4.3 in), 120g 없음 아이팟 터치 2세대 8, 16GB 2008년 9월 11일 MP3P WiFi 아이폰 OS 2.0 -> iOS 4.2.1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5 mm (4.3 in) , 115g 없음 아이팟 터치 3세대 16, 32GB 2009년 9월 9일 MP3P WiFi 아이폰 OS 3.0 -> iOS 5.1.1 삼성 S5PC100, Cortex A8 833MHz (6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150MHz 256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5 mm (4.3 in) , 115g 없음 아이팟 터치 4세대 16GB, 32GB 2010년 6월 24일 MP3P WiFi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256MiB/ 8, 32, 64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110*7.1 mm, 101g 후면 70만화소, 720p 동영상 /전면 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팟 터치(5세대) 2012년 MP3P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5, Cortex A9 듀얼코어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43MP2 512MiB/ 16, 32,64GB 100mm(4.0") 16M IPS TFT-LCD, 해상도 640*1136 58.6*123.4x6.1 mm , 88g 5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전면 120만 화소 카메라 같이 보기[편집] 스마트폰 비교 외부 링크[편집] Apple - iPhone 모델 비교하기 Apple - iPad 모델 비교하기 vdeh 아이폰제품 아이폰 아이폰 3G 아이폰 3GS 아이폰 4 아이폰 4S 아이폰 5 아이폰 5s 아이폰 5C 아이폰 6 (플러스) 아이폰 6s (플러스) 아이폰 SE 아이폰 7 (플러스) 아이폰 8 (플러스) 아이폰 X XR XS & XS 맥스 같이 보기 애플 아이튠즈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SpringBoard) 아이팟 앱 스토어 대한민국의 아이폰 출시 vdeh아이패드제품 아이패드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5세대 6세대), 아이패드 미니 (1세대 2세대 3세대) 같이 보기 애플 아이튠즈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SpringBoard) 아이팟 앱 스토어 아이폰 vdeh아이팟제품 아이팟 터치 아이팟 클래식 아이팟 나노 아이팟 셔플 아이팟 미니 아이팟 비디오 아이팟 포토 같이 보기 애플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아이튠즈 앱 스토어 프로덕트 레드 웹사이트: www.apple.com/ipod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IOS_제품_목록&oldid=22851947" 분류: IOS 장치숨은 분류: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2018년 9월낡은 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سنڌي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5일 (목) 1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iOS 및 iPadOS 제품 목록은 애플이 디자인 및 판매하는 제품 중에서도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인 iOS와 iPadOS를 구동하는 장치들의 목록과 비교를 다루고 있다. 이들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장치에는 아이폰, 아이팟 터치, 아이패드가 포함되며, 세 장치는 모두 미디어 재생기, 휴대용 오디오 및 인터넷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애플 자사 소프트웨어인 TvOS를 구동하는 애플 TV는 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셋톱박스와 텔레비전을 위한 인터넷을 제공하며 기기 자체의 화면은 가지고 있지 않다. 2015년 3월까지 전 세계에 13억 5000만대의 iOS기반 장치들이 판매되었으며, 2018년 9월에는 총 20억대의 iOS 장치들이 전 세계에 판매되었다.장치의 업데이트는 오버 디 에어 프로그래밍 기술을 사용한다. 새로운 버전의 iOS는 통상적으로 1년에 한번, 새로운 아이폰의 출시에 따라 공개되며 추가적인 제품 공개 이벤트를 통해 소규모 업데이트를 발표하는 방식이다. 모든 iOS 장치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사후 소프트웨어 지원은 모두 무료이다 (예외적으로 한때 아이팟 터치 사용자들은 비용을 지불해야 기기를 업데이트 할 수 있었다). 애플은 개별 제품의 업데이트를 분기적으로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매년 지원되는 추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이팟 터치 3세대의 출시일은 언제인가요? Assistant: 2009년 9월 9일
Human: 아래 남양_홍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양 홍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양 홍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양 홍씨(南陽 洪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487,488명으로 조사되었다. 목차 1 역사 2 본관 3 분계 3.1 남양 홍씨 당홍계 3.2 남양 홍씨 토홍계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남양 홍씨는 고려 개국공신이며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중시조로 하는 남양 홍씨 당홍계(南陽 洪氏 唐洪系)와 고려 때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낸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남양 홍씨 토홍계(南陽 洪氏 土洪系)의 두 계통으로 나뉜다. 두 계통은 서로 조상이 같다는 설이 있으나 지금은 당홍과 토홍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관[편집]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고려가 옛 지명으로 복구하여 940년(태조 23)에 당성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으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송(宋)·방(房)·박(朴)·최(崔)·서(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1]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수원군에 병합되었다가 1949년 수원시가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었고,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다. 분계[편집] 남양 홍씨 당홍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양 홍씨 당홍계입니다. 남양 홍씨 당홍계(南陽 洪氏 唐洪系)의 시조 홍천하(洪天河)는 고구려 27대 영유왕 때 중국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학과 문화를 혁신시켰다.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유학의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고 태자태사(太子太師)가 되었으며 본관을 당성으로 하였다. 당성이 후에 남양으로 지명이 바뀌어 본관을 남양으로 하고 있는데, 현재는 경기도 화성군 일대이다. 고려 개국공신이며 삼중대광태사인 홍은열(洪殷悅)을 중시조로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남양 홍씨 토홍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양 홍씨 토홍계입니다. 남양 홍씨 토홍계(南陽 洪氏 土洪系)의 시조 홍선행(洪先幸)은 당성에 대대로 살아온 선비의 집안으로 고려 때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냈으며 가문의 기틀을 잡아 가세를 크게 번창시켰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남양으로 하였다. 각주[편집] ↑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도 남양도호부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 백과사전 - 남양 홍씨 당홍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 남양 홍씨 토홍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성족보(姓族譜) 성족보 - 홍씨(姓族譜 - 洪氏) 이 글은 성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양_홍씨&oldid=24513492" 분류: 홍씨남양 홍씨경기도 소재 성씨화성시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성씨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양 홍씨(南陽 洪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487,488명으로 조사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남양홍씨 본관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고려가 옛 지명으로 복구하여 940년(태조 23)에 당성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으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송(宋)·방(房)·박(朴)·최(崔)·서(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1] Human: 아래 병아리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병아리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병아리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병아리콩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콩목 과: 콩과 속: Cicer 종: 병아리콩 학명 Cicer arietinum Cicer arietinum noir 병아리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집트콩이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1] 목차 1 종류 2 영양성분 3 소비 4 주요 산지 및 생산량 5 재배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종류[편집]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병아리콩: 껍질의 색이 희거나 노란색이며, 알이 굵고 식감이 부드럽다. 벵골콩: 껍질의 색이 검은 색을 띄며, 알이 작다. 껍질을 벗겨 반으로 가른 짜개가 "차나 달(चना दाल)"이라 불리며 남아시아 요리에 흔히 쓰인다. 병아리콩 벵골콩 벵골콩 짜개 영양성분[편집] 병아리콩 100 g (3.5 oz)당 영양가 열량 686 kJ (164 kcal) 탄수화물 27.42 g 지방 2.59 g - 단일불포화지방산 0.583 g - 다불포화지방산 1.156 g 단백질 8.86 g 비타민 A equiv. 1 μg (0%) 티아민 (비타민 B1) 0.116 mg (10%)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0.063 mg (5%) 나이아신 (비타민 B3) 0.526 mg (4%) 판토텐산 (비타민 B5) 0.286 mg (6%) 비타민 B6 0.139 mg (11%) 엽산 (비타민 B9) 172 μg (43%) 비타민 B12 0 μg (0%) 비타민 C 1.3 mg (2%) 비타민 E 0.35 mg (2%) 비타민 K 4 μg (4%) 칼슘 49 mg (5%) 철분 2.89 mg (22%) 마그네슘 48 mg (14%) 인 168 mg (24%) 칼륨 291 mg (6%) 소금 7 mg (0%) 아연 1.53 mg (16%) 퍼센트는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임.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병아리콩은 고영양 식품으로 특히 고단백질,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여러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100g의 삶은 병아리콩은 16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특히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있다. 소비[편집] 식품으로 주로 사용되며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병아리콩을 이용한 것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후무스(Hummus)가 있는데 병아리콩, 타히니, 올리브기름, 레몬주스, 소금, 마늘 등을 섞어 으깬 소스이며, 레바논이나 이집트 등 중동의 향토음식이다. 단백질의 비중이 높고 지방이 적다. 후무스는 연한 노란색에 무스 형태의 되직한 질감으로, 고소한 맛을 내며 빵에 발라먹는 용도로 사용한다. 병아리콩을 삶거나 쪄낸 다음 올리브 오일과 각종 향신료를 섞어 함께 갈아내어 만든다. 이때 얼마나 더 오래 가느냐에 따라 더 씹히는 식감 혹은 매끄러운 식감으로 바뀐다. 혹은 불린 병아리콩을 삶아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인도식 카레에 렌즈콩과 같은 용도로 들어간다. 그 외에 두부를 만들거나 스넥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인다. 인도에서는 덜자란 병아리콩을 줄기에 달린 상태로 거리에서 파는데 깍지를 까서 간식삼아 먹기도한다. 더 자세한 것은 영문위키를 참조하기 바란다. 주요 산지 및 생산량[편집] 병아리콩의 주요 재배지는 인도, 파키스탄, 호주, 중동지역, 서부아시아, 아프리카 북부 등이며 특히 인도는 최대 생산 소비국이다. 아래의 도표는 그 생산량의 영문자료이다. Chickpea output in 2013 Chickpea production from 1961 to 2013 Top Chickpea Producing Countries (in metric tonnes) Rank (2013) Country 2010 2011 2012 2013 1 인도 7,480,000 8,220,000 7,700,000 8,832,500 2 오스트레일리아 602,000 513,338 673,371 813,300 3 파키스탄 561,500 496,000 291,000 751,000 4 터키 530,634 487,477 518,000 506,000 5 미얀마 441,493 473,102 500,000 490,000 6 에티오피아 284,640 322,839 409,733 249,465 7 이란 267,768 290,243 315,000 295,000 8 멕시코 131,895 72,143 271,894 209,941 9 캐나다 128,300 90,800 161,400 169,400 10 미국 87,952 99,881 151,137 157,351 — World 10,897,040 11,497,054 11,613,037 13,102,023 Source: FAO[2] Source: FAO[3] 재배[편집]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재배되며 특히 수확시기에 건조한 기후여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꼬투리 상태에서 발아되는 경우가 생기며 그 외에도 곰팡이에 의한 병해를 입을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콩 각주[편집] ↑ Philologos (2005년 10월 21일). “Chickpeas — On Language”. The Jewish Daily Forward. 2009년 3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4. 2014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Chickpea, 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영어) PlantVillage Chickpea entry with details on propagation, diseases and pests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병아리콩(Chickpe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81375 APDB: 70772 BioLib: 39937 Calflora: 12368 EoL: 685208 EPPO: CIEAR FloraBase: 3766 FoC: 200012048 GBIF: 2947311 GRIN: 10535 iNaturalist: 122854 IPNI: 486336-1 IRMNG: 11195145 ITIS: 26537 NCBI: 3827 플랜트 리스트: ild-4318 PLANTS: CIAR5 POWO: urn:lsid:ipni.org:names:486336-1 트로피코스: 13045294 uBio: 454471 VASCAN: 5704 전거 통제 GND: 4163728-8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병아리콩&oldid=22403069" 분류: 20개 이상의 생물 분류 ID를 사용하는 생물 분류 식별자콩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1753년 기재된 식물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힌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식물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osanskiCatalàCebuano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گیلکی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ëtzebuergeschЛакку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5: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병아리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집트콩이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후무스는 무슨 용도로 쓰여? Assistant: 빵에 발라먹는 용도
Human: 아래 프랑수아_미테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랑수아 미테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수아 미테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랑수아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1984년 모습 프랑스의 제21대 대통령안도라의 공동대공 임기 1981년 5월 21일~1995년 5월 17일 총리 피에르 모루아 (1981~1984)로랑 파비위스 (1984~1986)자크 시라크 (1986~1988)미셸 로카르 (1988~1991)에디트 크레송 (1991~1992)피에르 베레고부아 (1992~1993)에두아르 발라뒤르 (1993~1995) 전임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임 자크 시라크 사회당의 제2대 제1서기 임기 1971년 6월 16일~1981년 1월 24일 전임 알랭 사바리 후임 리오넬 조스팽 프랑스의 법무장관 임기 1956년 1월 31일~1957년 6월 12일 총리 기 몰레 전임 로베르 쉬망 후임 에두아르 코르니리옹몰리니에 프랑스의 내무장관 임기 1954년 6월 19일~1955년 2월 23일 총리 피에르 망데스프랑스 전임 레옹 마르티누드디플라 후임 모리스 보르주모누이 신상정보 국적 프랑스 출생일 1916년 10월 26일(1916-10-26) 출생지 프랑스 샤랑트주 자르나크 사망일 1996년 1월 8일 (79세) 사망지 프랑스 파리 학력 파리 대학교파리 정치 대학 정당 불의 십자단→혁신민주사회주의자연합→공화헌법회의→사회당 배우자 다니엘 (1944~1996, 사망) 자녀 4명 프랑수아 모리스 아드리앵 마리 미테랑(François Maurice Adrien Marie Mitterrand, 문화어: 프랑쑤아 미떼랑, 1916년 10월 26일 - 1996년 1월 8일)는 프랑스 공화국의 21대 대통령이다. 프랑스 대통령들 중 제일 오래 집권하였다. 목차 1 경력 1.1 정치 입문 1.2 평가 2 참조 3 외부 링크 경력[편집] 파리 정치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으며 변호사를 개업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를 점령한 독일에 대항한 레지스탕스 조직에 참여하였다. 정치 입문[편집] 1946년부터 1958년까지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1947-1957년 재향군인부 장관, 국무부 장관, 해외 영토부 장관, 내무부 장관 등을 지냈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프랑스 상원 의원을 지냈으며, 국민의회 의원에 선출되었다. 1959년부터 1981년까지는 샤토시농 시장을 역임했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좌파연합 총재(대통령 후보)를 지냈다. 1971년 사회당 제1서기가 되었고, 1974년 좌파 통일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패배하였다. 1981년에는 사회당 서기장(당수)으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전후 오랜 기간 동안 프랑스 사회당(제2대 당의장, 재임 1971년 ~ 1981년)과 범진보주의진영을 이끈 지도자이자, 자당 소속의 첫 번째 프랑스 대통령이다. 외교적으로는 헬무트 슈미트와 헬무트 콜 독일 총리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양국간 화해와 번영, 그리고 유럽통합의 초석을 닦았다. 사형제도를 1982년 없애는 등의 인권을 강조하는 입법과 자주적인 대미관계와는 달리 약소국가와의 외교관계에서는 고자세를 보였고, 1985년에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핵실험을 감시하는 그린피스 소속 레인보우 워리어호를 격추시킨 일과 1995년 김영삼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당시 약속한 테제베(TGV)를 구입하는 조건으로 병인양요 당시 약탈한 한국의 서적을 반환하는 것을 거부해서 국제사회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1993년 9월 14일부터 9월 16일까지 프랑스의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한국을 공식 방문하여 김영삼 대통령과 한-불 정상 회담을 갖고, 프랑스가 소유하고 있는 외규장각 도서를 한국 측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단, 그 구체적인 시기와 절차는 실무 협의하기로 했다. 그 결정의 상징으로 《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1권을 9월 15일 한국에 반환하였다. 그리고 프랑스의 고속철도 핵심기술 이전 및 차세대 고속전철 개발 협조를 논의했다. 또한 그는 한국전쟁 참전 프랑스군 전적지와, 대전 엑스포 참관, 국회 연설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2][3] 퇴임 후 8개월만인 1996년 1월, 전립선암으로 타계하였다. 저서로 <영구적 쿠데타> <가능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평가[편집] 사회학자 송호근은 기술관료적 성격을 갖는 정치인이라면 불가능했을 사회혁신을 특유의 정치력으로 밀어붙인, "카리스마적인 정치지도자" 중 한 명으로 미테랑 대통령을 언급했다. 국민소득 1만 달러 시점에 분배구조와 복지개혁에 주력하며 노사협력 제도를 창안해 정착시키고, 사회적 투명성과 합리성을 증진하는 제도는 물론 상호신뢰를 높이는 각종 제도를 도입했던 선진국 지도자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4] 참조[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 “한국古書2점 오늘 반환”. 경향신문. 1993년 9월 15일. 1면.  ↑ “미테랑 離韓”. 매일경제신문. 1993년 9월 17일. 1면.  ↑ 송호근, <나는 시민인가>, 문학동네, 2015. 161~162쪽. 외부 링크[편집] (프랑스어) 프랑수아 미테랑 재단 공식홈페이지            제21대 프랑스 대통령           전 임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1981년 5월 10일 ~ 1995년 5월 16일 후 임자크 시라크 샤를 드 골 · 조르주 퐁피두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프랑수아 미테랑 · 자크 시라크 · 니콜라 사르코지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vdeh프랑스 공화국의 역대 국가원수 1940년-1944년(국가원수 직함)과 1944년-1947년(주석 직함)을 제외하고는 1871년 이후 프랑스 국가원수의 호칭은 공화국 대통령이다. 제1공화국(1792-1804) 국민 공회 총재정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제2공화국(1848-1852)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코미시옹 엑스크뤼티브 카베냑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국민방위정부(1870-1871) 루이 쥘 트로쉬 제3공화국(1871-1940)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아르망 뒤포르 쥘 그레비 모리스 루비에 사디 카르노 샤를 뒤퓌 장 카시미르 페리에 샤를 뒤퓌 펠릭스 포르 샤를 뒤퓌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알렉상드르 밀랑 프레데릭 프랑수아 마르살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앙드레 타르디외 알베르 르브륑 비시 프랑스(1940-1944) 필리프 페탱 임시 정부(1944-1947)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레옹 블룸 제4공화국(1947-1959)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제5공화국(1959~)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알랭 포에르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이탤릭체는 직무 대행을 나타낸다 전임피에르 트뤼도 G8 의장1982년 후임로널드 레이건 전임브라이언 멀로니 G8 의장1989년 후임조지 H. W. 부시 vdeh프랑스 되 선정(2005년) 위대한 프랑스인Le Plus Grand Français de tous les temps 1. 샤를 드 골 2. 루이 파스퇴르 3. 아베 피에르 4. 마리 퀴리 5. 콜루슈 6. 빅토르 위고 7. 부르빌 8. 몰리에르 9. 자크 쿠스토 10. 에디트 피아프 11-20위: 마르셀 파뇰 조르주 브라상 페르낭델 장 드 라 퐁텐 쥘 베른 나폴레옹 1세 루이 드 퓌네스 장 가뱅 다니엘 발라부안 세르주 갱스부르 21-30위: 지네딘 지단 샤를마뉴 리노 벤투라 프랑수아 미테랑 귀스타브 에펠 에밀 졸라 에마누엘레 수녀 장 물랭 샤를 아즈나블 이브 몽탕 31-40위: 잔 다르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볼테르 조니 알리데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클로드 프랑수아 크리스티앙 카브롤 장폴 벨몽도 쥘 페리 루이 뤼미에르 41-50위: 미셸 플라티니 자크 시라크 샤를 트르네 조르주 퐁피두 미셸 사르두 시몬 시뇨레 아룬 타지에프 자크 프레베르 에리크 타발리 루이 14세 51-60위: 다비드 두예 앙리 살바도르 장자크 골드만 장 조레스 장 마레 야니크 노아 알베르 카뮈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 윌로 61-70위: 시몬 베유 알랭 들롱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에메 자케 프랑시스 카브렐 브리지트 바르도 기 드 모파상 알렉상드르 뒤마 오노레 드 발자크 폴 베를렌 71-80위: 장자크 루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르노 세샹 베르나르 쿠슈네르 클로드 모네 미셸 세로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미셸 드뤼케르 레뮈 베르생제토릭스 81-90위: 레몽 퓔리도르 샤를 보들레르 피에르 코르네유 아르튀르 랭보 조르주 클레망소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리오넬 조스팽 장 콕토 91-100위: 뤼크 베송 티노 로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장 르누아르 제라르 필리프 장폴 사르트르 카트린 드뇌브 세르주 레지아니 제라르 드파르디외 프랑수아 돌토 vdeh안도라 공동대공 우르젤 주교 페레 두르특스 구일렘 데 몬카다 라몬 트레바일라 아르나우 데 로르다 페레 데 나르보나 니콜라우 카포치 후고 데스바흐 구일렘 아르나우 데 파타우 페레 데 루나 베렝구에르 데릴 이 데 팔라르스 갈체란드 데 빌라노바 프란체스크 데 토비아 아르나우 로게르 데 팔라르스 하우메 데 카르도나 이 데 간디아 로데릭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페레 데 카르도나 호안 데스페스 페드로 호르다 데 우리에스 프란체스크 데 우리에스 미쿠엘 데스푸이그 호안 페레스 가르시아 데 올리반 페렐 데 카스텔레트 호안 디마스 로리스 미쿠엘 헤로니 모렐 후고 암브로스 데 몬카다 안드레우 카펠라 페르나트 데 살바 이 데 살바 루이스 디에스 아욱스 데 아르멘다리스 안토니 페레스 파우 두란 호안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멜키오르 팔라우 이 보스카 페레 데 코폰스 이 데 테익시도르 호안 데스바흐 마르토렐 올레구에르 데 몬트세라트 루페트 훌리아 카노 테바르 시메오 데 구인다 이 아페스테구이 호르디 쿠라도 이 토레블랑카 세바스티아 데 빅토리아 엠파란 이 로욜라 프란체스크 호세프 카탈란 데 오콘 프란체스크 페르난데스 데 하티바 이 콘트레라스 호아킨 데 산티얀 이 발디비엘소 후안 데 가르시아 이 몬테네그로 호세프 데 볼타스 프란체스크 안토니 데 라 두에냐 이 시스네로스 베르나트 프란케스 이 카발레로 보니파키 로페스 이 풀리도 시모 데 구아르디올라 이 호르토네다 호세프 카이할 이 에스트라데 살바도르 카스냐스 이 파게스 라몬 리우 이 카바네스 호안 호세프 라구아르다 이 페놀레라 후안 베늘로치 이 비보 후스티 구이타르트 이 빌라르데보 라몬 이글레시아스 이 나바리 호안 마르티 이 알라니스 호안 엔리크 비베스 시칠리아 프랑스측푸아 백작 로저베르나르 3세 가스통 1세 가스통 2세 가스통 3세 마티외 이사벨 장 1세 가스통 4세 나바라 국왕 프랑수아 1세 카트린 1세 앙리 2세 잔 1세 앙리 3세 루이 2세 프랑스 국왕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루이 18세 샤를 10세 루이 필리프 1세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나폴레옹 2세 나폴레옹 3세 프랑스 대통령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그레비 마리 프랑수아 사디 카르노 장 카시미르페리에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알베르 르브륑 필리프 페탱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샤를 드 골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vdeh냉전의 주요 인물 냉전 미국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미국 국무장관)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소비에트 연방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보리스 옐친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 장관) 아나톨리 도프리닌 (미국 주재 소비에트 연방 대사) 영국 윈스턴 처칠 클레먼트 애틀리 해럴드 맥밀런 해럴드 윌슨 마거릿 대처 서독 콘라트 아데나워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 바티칸 시국 교황 비오 12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총리) 화궈펑 덩샤오핑 자오쯔양 (총서기) 프랑스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중앙유럽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임레 너지 (헝가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에리히 호네커 (동독) 레흐 바웬사 (폴란드)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장제스 장징궈 (중화민국)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대한민국)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호찌민 (베트남) 응오딘지엠 (남베트남) 폴 포트 (캄보디아) 인디라 간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수카르노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 (필리핀) 라틴 아메리카 후안 도밍고 페론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레오폴도 갈티에리 (아르헨티나)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쿠바)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살바도르 아옌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칠레) 중동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하피줄라 아민 바브락 카르말 모하마드 나지불라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아프가니스탄)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 사담 후세인 (이라크)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엘 사다트 (이집트)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트리스 루뭄바 모부투 세세 세코 (콩고/자이르) 콰메 은크루마 (가나) 이디 아민 (우간다) 아고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산투스 조나스 사빔비 (앙골라) 시아드 바레 (소말리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 분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4259620 LCCN: n50000412 ISNI: 0000 0001 2103 5833 GND: 118582887 SELIBR: 207622 SUDOC: 027032302 BNF: cb11916320z (데이터) BIBSYS: 90102425 ULAN: 500219118 NLA: 35356697 NDL: 00450229 NKC: jn19990005768 BNE: XX1034347 CiNii: DA0129045X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수아_미테랑&oldid=24009656" 분류: 1916년 태어남1996년 죽음프랑스의 대통령프랑스의 사회주의자외규장각 도서프랑스 5월 혁명레지스탕스 관련자전립선암으로 죽은 사람민주사회주의자사회당 (프랑스)의 정치인대십자 송골매 훈장경식 수훈자프랑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프랑스의 불가지론자파리 정치 대학 동문프랑스의 알제리 전쟁 관련자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GaeilgeGalegoHausa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Xitsong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랑수아 모리스 아드리앵 마리 미테랑(프랑스어: François Maurice Adrien Marie Mitterrand, 문화어: 프랑쑤아 미떼랑, 1916년 10월 26일 ~ 1996년 1월 8일)는 프랑스 공화국의 제21대 대통령이다. 프랑스 대통령들 중 제일 오래 집권하였다. 전후 오랜 기간 동안 프랑스 사회당(제2대 당의장, 재임 1971년 ~ 1981년)과 범진보주의진영을 이끈 지도자이자, 자당 소속의 첫 번째 프랑스 대통령이다. 외교적으로는 헬무트 슈미트와 헬무트 콜 독일 총리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양국간 화해와 번영, 그리고 유럽통합의 초석을 닦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랑수아 미테랑이 1981년 속해있던 정당은 어디야? Assistant: 사회당 Human: 아래 옥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옥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청남도의 지명에 대해서는 부여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옥저 沃沮 ← 기원전 3세기 – 244년 → 고구려의 속국(56년 ~ 244년) 정치정부 형태 군장국가 기타국교 무속신앙 한국의 역사韓國史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시대 단군조선(?~기원전 194년) 위만조선(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진(辰)(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시대 부여 옥저 동예 마한 진한 변한 삼국시대 고구려(기원전 37년~668년) 백제(기원전 18년~660년) 신라(기원전 57년~ ) 가야(42~562년)   남북국시대 발해(698~926년) 통일신라(676년~ ) 후삼국시대 태봉(901~918년) 후백제(892~936년) 신라( ~935년) 통일왕조시대 고려(918~1392년) 조선(1392~1897년) 대한제국(1897~1910년) 식민지시대 일제 강점기(1910~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1919~1945년) 현대 군정기 한국 (1945~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48년~현재) 대한민국(1948년~현재) v • d • e • h 옥저(沃沮)는 함경남도 영흥 이북에서 두만강 유역 일대에 걸쳐 있었던 종족과 읍락 집단을 가리킨다. 토지가 비옥하여 오곡을 생산하였고[1][2], 어물과 소금 등의 해산물이 풍부했는데, 고구려에 소금, 어물 등을 공납으로 바쳤다. 옥저는 고구려와 같이 부여족의 한 갈래였으나 풍속이 달랐다.[3] 신랑과 신부가 어린 나이에 약혼을 하고, 신부가 신랑 집에서 살다가 어른이 되면 예물을 주고 신부를 데려오는 민며느리제가 있었고,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풀이나 흙으로 가매장한 후에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공동묘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는 세골장도 있었다.[4] 그 입구에는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죽은 자의 양식으로 하였다. 고구려의 후방 기지 역할을 한 옥저는 조위의 고구려 정벌의 여파로 동천왕 때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북옥저는 치구루(置溝婁)나 구루로 나타내었고 고구려어로 성(城)을 의미한다고 한다.[5] 목차 1 위치 1.1 통설 1.2 다른 의견 2 변천 3 함께 보기 4 각주 5 참고문헌 및 링크 위치[편집] 옥저는 고대에서 함경도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한 북부의 부족 사회이다. 북은 읍루·부여, 남은 예(濊)에 접하고 있었다. 통설[편집] 옥저는 동옥저로도 불렸고, 다시 남옥저와 북옥저로 구분되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남옥저는 함흥 일대에 있었고, 남으로는 영흥 부근에서 동예와 경계를 이루었으며, 북옥저는 길림 연변에서 두만강까지 다양한 주장이 있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의하면, 옥저와 주변국에 대한 위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의 동쪽으로 큰 바다(大海)를 접하였다. 그 지형은 동북은 좁고, 서남은 길어서 천 리나 된다. 북쪽에는 부여와 읍루, 남쪽에는 예맥에 접하였다.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 濱大海而居 其地形東北狹 西南長 可千里 北與挹婁 夫餘 南與濊貊接 고구려는 요동 동쪽 천리에 있으며, 남으로 조선 예맥, 동으로 옥저, 북으로 부여와 접하였다. 高句麗在遼東之東千里 南與朝鮮 濊貊 東與沃沮 北與夫餘接 북옥저는 치구루라고도 불린다. 남옥저에서 8백여리의 거리에 있으며, 그 풍속은 남과 북이 같으며, 읍루와 접하였다. 北沃沮一名置溝婁 去南沃沮八百餘里 其俗南北皆同 與挹婁接 읍루는 부여 북동쪽 천여리에 있으며, 큰 바다와 접하였다. 남쪽으로는 북옥저에 접하였고, 북쪽은 그 끝을 알지 못한다. 挹婁在夫餘東北千餘里 濱大海 南與北沃沮接 未知其北所極 예는 남으로 진, 북으로 고구려, 옥저와 접하였으며, 동쪽으로는 바다와 접하였다. 지금 조선의 동쪽이 모두 그 땅이다. 濊南與辰韓 北與高句麗 沃沮接 東窮大海 今朝鮮之東皆其地也[6] 《후한서》 「동이열전」의 옥저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과 같거나 거의 비슷하다. 다른 의견[편집] 다음은 통설과 다른 소수의견이다. 윤내현 주장 - 옥저는 원래 고조선의 제후국으로 요서지역의 대릉하 유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위만조선이 멸망하고 한나라가 이 유역에 현토군을 설치하자 이를 피하여 동으로 이동하여 함경도에 정착한 것이 동옥저이며 옥저와 동옥저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7] 《후한서》에서, ‘한 무제가 조선을 멸망시키고 옥저땅으로 현도군을 삼았다. 뒤에 이맥(夷貊)의 침략을 받아 군(현도군)을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기고는 옥저를 현으로 고치어 낙랑의 동부도위에 속하게 했다.’ 라고 하였다.[8] 이에 대하여 이덕일은 옥저를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긴 것으로 여겨 옥저의 위치에 의문을 제기하였다.[9] “(옥저는) 큰 나라 사이에 끼어 있어서 마침내 고구려에 신속(臣屬)하게 되었다.”[10] 라고 하였다.[9] 변천[편집] 남옥저의 중심지역의 집단은 기원전 2세기경 위만조선에 복속되었고, 기원전 108년, 다시 한의 군현에 소속되었다. 임둔군에 소속된 후 기원전 82년 임둔군이 폐지되자 현도군으로 소속이 바뀌었고 기원전 75년 현도군이 제2 현도군으로 이동하였을 때 낙랑군 동부도위(東部都尉)에 소속되었다고 여겨진다.[11] 기원후 30년 한의 제후국으로 봉해졌으나 56년에 다시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244년 관구검이 이끄는 위(魏)나라 군대에 큰 피해를 입어 사실상 옥저는 소멸되고 고구려의 직접지배가 이루어졌다.[12] 함께 보기[편집] 동옥저(東沃沮) 북옥저(北沃沮) 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 각주[편집]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土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흙은 비옥하고 좋으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하고 오곡이 마땅히 잘 되며 밭농사에 좋다.) ↑ 《삼국지》〈위지〉오환선비동이전 옥저전(其土地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言語、食飲、居處,衣服,有似句驪。”(언어·음식·거처·의복은 고구려와 닮았다.)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其葬,作大木槨,長十餘丈,開一頭為戶,新死者先假埋之,令皮肉盡,乃取骨置槨中。家人皆共一槨,”(장사는 큰 목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십여장이나 되고 한쪽에 개구부를 만든다. 새로 죽은 자는 이를 임시로 묻었다가, 피부와 살이 썩어지면 이에 뼈만을 취하여 넣는다. 가족이 모두 하나의 곽을 쓴다.) ↑ 노태돈 '옥저' digital 민속학 // '옥저', 《한국민족문화대사전》 //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 〈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 《삼국지》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 “"우리 역사의 출발점… 만주·한반도 지배"”. 주간한국. 2007년 2월 12일. 2011년 9월 5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동이열전 > 옥저전 : “ 武帝滅朝鮮,以沃沮地為玄菟郡。後為夷貊所侵,徙郡於高句驪西北,更以沃沮為縣,屬樂浪東部都尉” ↑ 가 나 이덕일 (2003년 8월 25일). 《살아있는 한국사》 초 1쇄판. 서울: 휴머니스트. ISBN 89-89899-58-3.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 其土迫小,介於大國之間,遂臣屬句驪。”( 그 땅이 궁핍하고 작으며, 큰 나라 사이에 끼여 있어서, 마침내 고구려에 신하 나라로서 복속하였다. ) ↑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p.247 ↑ “옥저”. 브리태니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고문헌 및 링크[편집] 일연, 《삼국유사》, 고려말 《한국민족문화대사전》 - '옥저' 위키문헌 - 《삼국지》『위지』「오환선비동이전」(한문) 위키문헌 - 《후한서》 「동이열전」(한문)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옥저&oldid=24147738" 분류: 한국의 옛 나라원삼국 시대옥저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배움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urdîМонголBahasa MelayuNorskPolskiРусскийKiswahili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1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옥저(沃沮, 기원전 3세기 ~ 285년)는 함경남도 영흥 이북에서 두만강 유역 일대에 걸쳐 있었던 종족과 읍락 집단을 가리킨다. 토지가 비옥하여 오곡을 생산하였고, 어물과 소금 등의 해산물이 풍부했는데, 고구려에 소금, 어물 등을 공납으로 바쳤다. 옥저는 고구려와 같이 부여족의 한 갈래였으나 풍속이 달랐다. 신랑과 신부가 어린 나이에 약혼을 하고, 신부가 신랑 집에서 살다가 어른이 되면 예물을 주고 신부를 데려오는 민며느리제가 있었고,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풀이나 흙으로 가매장한 후에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공동묘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는 세골장도 있었다. 그 입구에는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죽은 자의 양식으로 하였다. 고구려의 후방 기지 역할을 한 옥저는 조위의 고구려 정벌의 여파로 동천왕 때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북옥저는 치구루(置溝婁)나 구루로 나타내었고 고구려어로 성(城)을 의미한다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북옥저의 다른 이름은? Assistant: 치구루
Human: 아래 WWE_나이트_오브_챔피언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WWE 벤전스(Vengeance) 또는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Night of Champions)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 퍼 뷰이다. 이 행사는 1999년 아마겟돈(Armageddon)란 이름을 걸고 시작하였으며, 본래 12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페이 퍼 뷰 아마겟돈이 2001년 당시 9·11 테러로 인해 대회명이 문제가 되어, 벤젼스(Vengeance)로 대체가 되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아마겟돈은 2002년에 부활했으며, 벤젼스는 개최 시기를 7월로 변경한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 행사는 2003년까지만 해도 스맥다운의 행사였으나 2004에서 2006년까진 러의 행사로 진행되었다. 2005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와 페이 퍼 뷰 진행시기를 교체하여 6월로 변경되어 되었다. 2007년엔 벤젼스: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Vengeance: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을 걸고 9개의 챔피언쉽이 모두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으로 바뀌어 진행하게 되었고, 2010년 부터는 9월로 개최시기를 변경하여 6년간 진행했으며, 2016년 7월 RAW와 스맥다운이 다시 분리되는 시점부터는 과거 WCW의 월간 TV 스페셜의 명칭이기도 했던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라는 새로운 명칭의 RAW 독점 PPV가 대신 개최될 예정이다. 목차 1 개최한 곳 1.1 벤전스 1.2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 외부 링크 개최한 곳[편집] 벤전스[편집]      * 러 단독 페이 퍼 뷰      * 스맥다운 단독 페이 퍼 뷰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1년 12월 9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11,800 크리스 제리코 (WCW 챔피언) vs.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WWE 챔피언) (WWE & WCW 통합 챔피언십) 2002년 7월 21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2,000 더 락 vs. 디 언더테이커 vs. 커트 앵글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3년 7월 27일 덴버 펩시 센터 9,500 커트 앵글 vs. 브록 레스너 vs. 빅 쇼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4년 7월 11일 하트퍼드 하트퍼드 시빅 센터 7,000 크리스 벤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5년 6월 26일 라스베이거스 토머스 & 맥 센터 9,850 바티스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헬 인 어 셀 매치) 2006년 6월 25일 샬럿 샬럿 밥캐츠 아레나 6,800 D-제너레이션 X (트리플 H & 숀 마이클스) vs. 스피릿 스쿼드 (케니, 조니, 미치, 니키, 미이키) (핸디캡 매치) 2007년 6월 24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5,000 존 시나 vs. 믹 폴리 vs. 바비 래쉴리 vs. 랜디 오턴 vs. 킹 부커 (WWE 챔피언십, 파이브-팩 첼린지 매치) 2011년 10월 23일 샌안토니오 AT&T 센터 8,000 알베르토 델 리오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라스트맨 스탠딩 매치)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편집]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8년 6월 29일 댈러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16,151 트리플 H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09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 와코비아 센터 17,774 CM 펑크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0년 9월 19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3,851 랜디 오턴 vs. 셰이머스 vs. 웨이드 배럿 vs. 존 시나 vs. 에지 vs. 크리스 제리코 (WWE 챔피언십, 식스-팩 첼린지 일리미네이션 매치) 2011년 9월 18일 버펄로 HSBC 아레나 11,000 트리플 H vs. CM 펑크 (노 티큐 매치) 2012년 9월 23일 보스턴 TD 노스뱅크 가든 14,886 CM 펑크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13년 9월 15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0,500 대니얼 브라이언 vs. 랜디 오턴 (WWE 챔피언십) 2014년 9월 21일 내슈빌 브리지스톤 아레나 12,000 존 시나 vs. 브록 레스너 (WWE 챔피언십) 2015년 9월 20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4,369 세스 롤린스 vs. 스팅 (WWE 챔피언십) 외부 링크[편집]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홈페이지 vdehWWE프로그램텔레비전 러 스맥다운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NXT 메인이벤트 NXT UK 205 라이브 토탈 디바스 디바 서치 터프이너프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 인터넷 메인이벤트 애프터번 보텀라인 익스피리언스 프리 포 올 빈티지 페이퍼뷰 로열 럼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패스트 레인 레슬매니아 머니 인 더 뱅크 WWE 슈퍼쇼-다운 스톰핑 그라운즈 익스트림 룰스 서머슬램 헬 인 어 셀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서바이벌 시리즈 TLC: 테이블, 레더, 체어 NXT 페이퍼뷰 NXT 테이크오버 WWE 네트워크 스페셜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토너먼트 WWE 매영 클래식 스타케이드 WWE 그레이티스트 로열 럼블 WWE 크라운 주얼 사라진 페이퍼뷰 뉴 이어스 레벌루션 벤전스 페이백 언포기븐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배틀 그라운드 사이버 선데이 아마게돈 노 머시 노 웨이 아웃 저지먼트 데이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시 디셈버 투 디스멤버 더 레슬링 클래식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 로드블럭 인 유어 하우스 오버 더 에지 풀리 로디드 인베이젼 노 홀즈 바 브레이킹 포인트 브래깅 라이츠 오버 더 리밋 원 나이트 온리 캐피털 캐니지 노 머시 (영국) 리벨리온 에볼루션 백래시 인서렉션 캐피털 퍼니시먼트 페이탈 4웨이 NXT 어라이벌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더 비스트 인 더 이스트 라이브 프롬 매디슨 스퀘어 가든 킹 오브 더 링 배드 블러드 로드블록 과거 제휴 단체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 딥 싸우스 레슬링 하트랜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인터내셔널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멤피스 챔피언십 레슬링 얼티메이트 프로 레슬링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 인물 동창생 명예의 전당 관련 행사 WWE 드래프트 관련 사업 WBF (구) XFL XFL WWE 스튜디오 WWE 네트워크 브랜드별 챔피언 타이틀러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WWE 러 태그팀 챔피언십 WWE 러 위민스 챔피언십 스맥다운 WWE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205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유나이티드 킹덤 (UK)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WWE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UK 우먼스 챔피언십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WWE NXT 챔피언십 WWE NXT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WWE NXT 태그팀 챔피언십 WWE NXT 위민스 챔피언십 기타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WWE 24/7 챔피언십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십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 앙드레 더 자이언트 기념 배틀 로얄 사라진 챔피언 타이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구)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WWE 위민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 밀리언 달러 챔피언십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WWE_나이트_오브_챔피언스&oldid=22325335" 분류: WWE 페이퍼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WWE 벤전스(Vengeance) 또는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Night of Champions)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 퍼 뷰이다. 이 행사는 1999년 아마겟돈(Armageddon)란 이름을 걸고 시작하였으며, 본래 12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페이 퍼 뷰 아마겟돈이 2001년 당시 9·11 테러로 인해 대회명이 문제가 되어, 벤젼스(Vengeance)로 대체가 되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아마겟돈은 2002년에 부활했으며, 벤젼스는 개최 시기를 7월로 변경한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 행사는 2003년까지만 해도 스맥다운의 행사였으나 2004에서 2006년까진 러의 행사로 진행되었다. 2005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와 페이 퍼 뷰 진행시기를 교체하여 6월로 변경되어 되었다. 2007년엔 벤젼스: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Vengeance: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을 걸고 9개의 챔피언쉽이 모두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Night of Champions)란 이름으로 바뀌어 진행하게 되었고, 2010년부터는 9월로 개최시기를 변경하여 6년간 진행했으며, 2016년 7월 RAW와 스맥다운이 다시 분리되는 시점부터는 과거 WCW의 월간 TV 스페셜의 명칭이기도 했던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라는 새로운 명칭의 RAW 독점 PPV가 대신 개최될 예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의 역대 개최지는 어디가 있을까? Assistant: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8년 6월 29일 댈러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16,151 트리플 H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09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 와코비아 센터 17,774 CM 펑크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0년 9월 19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3,851 랜디 오턴 vs. 셰이머스 vs. 웨이드 배럿 vs. 존 시나 vs. 에지 vs. 크리스 제리코 (WWE 챔피언십, 식스-팩 첼린지 일리미네이션 매치) 2011년 9월 18일 버펄로 HSBC 아레나 11,000 트리플 H vs. CM 펑크 (노 티큐 매치) 2012년 9월 23일 보스턴 TD 노스뱅크 가든 14,886 CM 펑크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13년 9월 15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0,500 대니얼 브라이언 vs. 랜디 오턴 (WWE 챔피언십) 2014년 9월 21일 내슈빌 브리지스톤 아레나 12,000 존 시나 vs. 브록 레스너 (WWE 챔피언십) 2015년 9월 20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4,369 세스 롤린스 vs. 스팅 (WWE 챔피언십) Human: 아래 벨_41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벨 41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 41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벨 412 로스앤젤레스 소방국 소속의 벨 412EP종류 헬리콥터원산국 미국/캐나다제조사 벨 헬리콥터첫 비행 1981년현황 운영중주요 사용자 영국 공군생산 시기 1979년 ~ 생산 대수 869대 이상개발 원형 벨 212파생형 벨 CH-416웹사이트 http://www.bellhelicopter.com 벨 412는 벨 헬리콥터에서 1979년에 개발해 상용화한 다목적 헬리콥터이다. 목차 1 운용 1.1 군사용 1.2 정부기관 2 제원 3 외부 링크 운용[편집] 군사용[편집] 알제리 공군 아르헨티나 공군 보츠나와 국방군 카메룬 공군 칠레 공군 콜롬비아 해군 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엘살바도르 공군 에리트리아 공군 가나 공군 과테말라 공군 가이아나 국방군 온두라스 공군 인도네시아 육군 인도네시아 해군 이탈리아 육군 자메이카 국방군 레소토 국방군 멕시코 공군 네덜란드 공군 노르웨이 공군 파키스탄 육군 파키스탄 해군 파나마 방위군 페루 공군 페루 해군 필리핀 공군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슬로베니아 공군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양경비안전본부 스리랑카 공군 태국 공군 태국 경찰 터키 연안경비대 아랍에미리트 공군 영국 공군 베네수엘라 육군 베네수엘라 해군 짐바브웨 공군 정부기관[편집] 퀸즐랜드 방재본부 뉴사우스웨일즈 경찰본부 브라질 경찰 핀란드 국경수비대 제원[편집] 벨 412의 삼면도 승무원: 1명 또는 2명 승객: 13 명 화물: 3,000 kg 길이: 17.1 m 날개길이: 14.0 m 높이: 4.6 m 기체중량: 3,079 kg 최대이륙중량: 5,397 kg 최대속도: 259 km/h 순항속도: 226 km/h 항속거리: 980km 순항고도: 6,096 m 상승제한고도: 6.86 m/s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벨 412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벨 412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공군 장비전술 수송기 C-130J C-130H CN-235 VIP 수송기 보잉 747-400 보잉 737-300 VCN-235 VC-118 BAe-148 VC-X¹ 전투기 F-4E 팬텀II F-5E 타이거II KF-5E/F 제공호 F-16C/D Block 32+ KF-16 Block 52+ F-15K 슬램이글 FA-50 골든이글 F-35A 라이트닝II KF-X¹ 정찰기 금강정찰기 백두정찰기(신호정보기) RF-4E RF-16, EO-X Falcon 2000s 조기경보통제기E-737공중급유기A330 MRTT무인항공기 하피 글로벌호크¹ 훈련기 T-50 T-37 T-38 T-41 T-59 T-103 KC-100 나라온¹ 공격기 TA-50 KA-1 공대공 미사일 AIM-9P/L/M/X 사이드와인더 AIM-120C 암람 AIM-7 스패로우 공대지 미사일 KEPD 350K(TAURUS KEPD 350K) 하푼 슬램 ER 팝아이 메버릭 함 공대함 미사일 하푼 슬램 ER 메버릭 폭탄 JDAM-ER KGGB MK82 GBU-57/B 벙커버스터 방공무기 나이키 호크 MIM-104F Patriot PAC-2(GEM-T)/PAC-3¹ 천궁 대공미사일(M-SAM) L-SAM K-30 비호 천마 신궁 미스트랄 로켓 2.75인치 히드라 로켓 2.75인치 K-LOGIR 유도 로켓 헬기 벨 205 벨 212 벨 412 UH-60P 블랙호크 HH-60P 페이브호크 VH-60P 블랙호크 카모프 Ka-32 AS-362 수퍼퓨마 KUH-1 수리온¹ 1 : 도입 예정. 대한민국 육군 장비 대한민국 해군 장비 이 글은 항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벨_412&oldid=22960062" 분류: 헬리콥터대한민국의 경찰 장비1979년 첫 비행한 항공기숨은 분류: 항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7: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벨 412는 벨 헬리콥터에서 1979년에 개발해 상용화한 다목적 헬리콥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벨 412 를 운용하는 나라 중 군대가 아닌 경찰 조직에서 사용하는 곳은? Assistant: 태국 경찰
Human: 아래 리보르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보르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보르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보르노 Livorno 리보르노북위 43° 33′ 00″ 동경 10° 19′ 00″ / 북위 43.55° 동경 10.316667°  / 43.55; 10.316667좌표: 북위 43° 33′ 00″ 동경 10° 19′ 00″ / 북위 43.55° 동경 10.316667°  / 43.55; 10.316667 행정 나라 이탈리아 지역 토스카나주 행정구역 리보르노현 인구 인구 161,162 명 (2010년) 인구밀도 1,500 명/km2 지리 면적 104.8 km2 해발 3 m 상징 수호성인 코르시카의 줄리아 (축일 5월 22일) 기타 시간대 CET (UTC+1)CEST (UTC+2) 우편번호 57100 지역번호 0586 리보르노 - 공식 웹사이트 리보르노(이탈리아어: Livorno)는 이탈리아 서해안, 리구리아 해에 면하는 항구 도시이다. 영어 명인 레그혼(Leghorn)[1][2] 이라고도 알려졌다. 리보르노현의 현도이기도 하다. 피사의 근처에 있으며, 피사와 운하로 연결되면서 중세 시대때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목차 1 역사 2 대중 교통 2.1 공항 2.2 열차 3 스포츠 4 억양 5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19세기 리보르노 항 6 기후 7 자매 도시 8 각주 8.1 참고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7세기 당시 리보르노의 방어시설 리보르노는 1017년에 피사를 방어할 목적의 작은 해안 요새로서 세워졌다. 수 백년간 피사의 영토에 속해있었다.[3] 하지만 피사에게 항구로서의 기능을 제공한건 리보르노가 아니라 멜로리아 전투에서 피사 함대가 전멸당한 후 파괴된 포르토피사노였다.[4] 1404년에서 1421년까지 제노바에 속해있었고 1421년 8월 28일 피렌체에게 매각되었다. 1427년부터 1429년 사이에 인구조사가 이뤄졌다. 그 인구 조사에 따르면 리보르노에는 총 118 가구가 있었고, 423명이 거주했었다고 한다. 수도사, 유대인, 군인, 부랑자들은 인구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5] 중세 리보르노의 유일한 흔적은 옛 항구 지구에 위치한 성벽과 두 개의 탑의 조각들이 전부이다. 피렌체 왕조를 지배하던 메디치 가문이 도래한 후, 일부 개선이 이뤄졌는데, 그중 특히 1518년과 1534년 사이에 오늘날 옛 항구가 건설되었고, 리보르노에 자발적으로 재정착하던 인구도 늘어났지만, 리보르노는 여전히 평범한 해안 요새로서 여겨졌다.[6] 리보르노는 메디치 가문이 대공작으로 있던 시기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기간 "이상적 도시"로서 건설되었다. 16세기 말 건축가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이곳에 여러 건물들을 지었다. 1580년대 말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는 리보르노를 자유 무역항으로 선포하였고, 이로 인해 리보르노의 지배권 하에 있는 곳에서 교역품은 면세가 되었다. 이 교역을 규제하기 위해, 1590년에 공작의 관리들은 레지 리보르니네(Leggi Livornine)라는 법을 선포하였다. 이 법은 반종교 개혁이 시작되던 1603년까지 지속됐다. 이 법은 범죄와 공갈로부터 상인들의 활동을 보호하면서 조정이 잘 된 시장을 만들어냈고, 이때 도입된 법들은 국제 무역 법으로 여겨진다. 거기에 기독교의 대한 관용이 확대되어, 이곳의 법은 도시의 상업을 위해서 대중들에게 종교의 자유 권리가 주어졌고 성직자들에 의해 보속을 받으면 사면이 되었다. 대공작은 16세기말부터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추방당하기 시작한 수많은 유대인 이민자들을 받아들였으며, 그들에게 권리와 특권을 제공하였고, 그들은 도시에 상업적 부와 학문적 지식을 기여했다. 리보르노는 계몽된 유럽의 도시이자 지중해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한 곳이 되었다. 수많은 유럽의 외국인들이 리보르노로 이주해왔다. 그중에는 마르틴 루터, 장 칼뱅등을 지지하는 개신교도들이 포함되었다. 프랑스인, 네덜란드인, 잉글랜드인들도 속해있었고, 심지어 정교회를 믿는 그리스인들도 몰려왔다. 한편 유대인들은 과거 대공작과 맺은 조약 하에서 무역에 계속 종사하였다. 1606년 3월 19일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가 리보르노를 도시의 지위로 끌어올렸고, 그 행사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포르테차 베키아 예배당에서 열렸다. 성 카테리나 성당 반종교 개혁은 기독교인들 사이에 긴장을 증가시켰고, 교황령에 반체제 인사들은 여러 순수 가톨릭 통치자들의 목표가 되었다. 리보르노의 관용은 종교 전쟁의 피해로 무너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전 기간 동안 리보르노의 상인들은 개신교도 측 유럽과 교역망을 구축해놨고, 네덜란드, 영국, 독일인들은 이 교역망에 남아 활동하였다. 17세기 말, 리보르노는 도시 계획과 확장을 겪었다. 옛 요새의 방어용 말뚝 근처에 새로운 요새와 함께 성벽과 이웃 도시들을 통해 배가 돌아다닐 수 있는 수로가 지어졌다. 피사의 항구가 토사로 막혀버린 후, 바다와의 거리가 멀어져 버렸고 교역에서 지배력을 상실하고 말았다. 그렇게 리보르노가 토스카나 지역의 핵심 항구 지위를 가져갔다. 더욱 강해진 유럽의 강호들이 이 지역에 무역 상사를 재설치했으며,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레반트 회사가 있다. 결국에는 교역망이 성장하게 되면서, 토스카나 지역은 영국 문화와의 접촉이 많아졌다. 영국의 작가, 예술가, 철학자들이 이곳을 방문하는 횟수가 증가했고 두 지역 사회간에 특별한 역사적 결합으로 발전하였다. 영국인들은 리보르노를 레그혼(Leghorn)이라고 불렀다. 수 세기 동안 , 리보르노의 교역 성쇠는 열강들의 흥망에 의해 쇠퇴하고 성장하였다. 영국과 개신교도 동맹들에게 이곳은 교역에 중요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난 19세기 동안에 프랑스가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시킴에 따라, 리보르노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프랑스는 1808년에 토스카나를 점령하여 그들의 제국에 병합시켰다. 1868년 이탈리아가 통일에 성공하면서, 리보르노와 토스카나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리보르노는 자유 무역항 지위를 상실했고 경제적 중요성도 감소하였다. 리보르노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아주 큰 피해를 입었다. 성당과 시나고그를 포함한 많은 역사적 지역과 건물들이 연합군의 본토 침공에 앞서 폭격으로 파괴되었다. 리보르노는 21세기에 들어 경제가 쇠퇴하면서 영향력을 잃어버렸고, 이탈리아의 가장 가난한 북부 도시들 한 곳이다. 대중 교통[편집] 공항[편집] 가장 가까운 공항은 토스카나 지역의 주요 공항인 갈릴레오 갈릴레이 공항이며, 이곳에서 20km 거리에 있다. 열차[편집] 리보르노는 리보르노 중앙 역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포츠[편집] 리보르노는 현재 세리에 B에 참가중인 AS 리보르노 칼초라는 축구팀이 있다. 축구가 가장 잘 알려지고 이곳에서 가장 많이 하는 스포츠이지만, 육상(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00미터 허들 우승)이나 펜싱(알도 몬타노 같은 다른 스포츠 우승자들을 많이 배출해냈다. 또한 리보르노는 야구, 럭비, 미식 축구 팀 역시도 지니고 있다. 억양[편집] 리보르노 사람들은 베르나큘라로 알려진 이탈리아어 토스카나 억양의 변형 형태의 언어로 소통한다. 1982년에 창사한 풍자 코믹 스타일의 잡지사인 일 베르나콜리에레에서 리보르노 억양으로 주로 출판하며, 전국에 배포된다.[7]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19세기 리보르노 항[편집] 16세기 초 리보르노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은 코시모 데 메디치와 그 후손들의 함대에서 일하던 용병들이였다. 이 지역 사회는 성장하여 18, 19세기 리보르노가 지중해 무역의 허브가 되던 때에는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8] 새로 정착한 그리스 이민자들의 대부분은 그리스 서부, 히오스 섬, 이피로스 지역, 소아시아에서 온 이들이다. 16세기 말부터 자유 무역항 지위를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말 리보르노가 흑해, 지중해, 북대서양에 그리스 상업 종사자들과 관련되어 강력한 전략적 위치를 즐기던 때까지 레반트에서 온 교역품, 곡물들을 장기 보관할 창고들이 지어졌다. 19세기 초의 나폴레옹 전쟁 동안 항구 봉쇄, 해적 행위, 화물 몰수와 관련된 대영제국과 프랑스의 분쟁은 그리스 상인들에게 기꺼이 위험을 감수할만한 이점으로 작용하였다. 1820년대부터 그리스 사업가들은 리보르노를 떠난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외 다른 국가들의 개신교도 상인들을 서서히 대체해갔다. 그리스인들은 곡물 시장, 은행업, 선박 중개업에 집중하였다. 흑해에서 온 밀 화물은 잉글랜드로 발송하기 전 리보르노에 들렀다. 그리스 상인들은 알렉산드리아와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다른 목적지로 돌아가는 배에 직물과 다른 상품들을 실었다. 히오스 섬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특히 이 무역을 주도했다. 1839년 리보르노는 그리스인과 유대계 이탈리아인이 운영하는 주요 10개의 상점이 있기도 하였다.[9] 그리스인 지역 사회는 그리스 동방 정교회, 그리스어, 그리스 역사를 바탕으로 한 독특한 문화와 사회 정체성을 지녔었다. 1775년 그들은 성 삼위일체 신심회(Confraternita della SS. Trinita)를 창단하고 토스카나 지역 최초의 비가톨릭계 교회인 키에사 델라 산티시마 트리니타를 건설했다.[10] 또한 그리스 지역 사회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이피로스 지역, 히오스 섬, 스미르나에서 온 어린 그리스인들에게 고등 교육을 시켜주기 위해 그리스인 학교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오스만 투르크 제국과 이탈리아에 있는 여러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마찬가지로 1821년 그리스 혁명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비그리스인들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로도카나키(Rodocanachi) 가문은 교육학자 엔리코 메이어가 운영하는 "공동 교육 학교"(School of Mutual Education)에 자금을 대주었다. 지역 사회는 가난한 로마 가톨릭 어린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우는데 기여를 하였다. 지역 관리 당국은 그리스 지역 사회(파포우도프, 마우로고르다토스, 로도카나키, 토시차 등등 그외 가문들)의 성공한 구성원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그들에게 귀족 작위를 주었다. 1868년 통일과 이탈리아 왕국이 세워진 후, 자유 무역항으로서의 지위와 조약등이 해제되고 나서 그리스인 지역 사회는 쇠퇴했다.[11] 기후[편집] Livorno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9.6 (67.3) 21.5 (70.7) 24.1 (75.4) 25.6 (78.1) 32.2 (90) 35.4 (95.7) 37.8 (100) 36.0 (96.8) 33.6 (92.5) 28.8 (83.8) 25.0 (77) 21.5 (70.7) 37.8 (100) 평균최고기온 °C (°F) 10.8 (51.4) 12.0 (53.6) 14.3 (57.7) 17.2 (63) 21.0 (69.8) 24.9 (76.8) 27.7 (81.9) 27.5 (81.5) 24.8 (76.6) 20.2 (68.4) 15.3 (59.5) 11.8 (53.2) 19 (66.1) 평균최저기온 °C (°F) 4.8 (40.6) 5.4 (41.7) 7.5 (45.5) 10.2 (50.4) 13.7 (56.7) 17.4 (63.3) 20.0 (68) 19.9 (67.8) 17.3 (63.1) 13.3 (55.9) 9.1 (48.4) 6.1 (43) 12.1 (53.7) 최저기온기록 °C (°F) −7.0 (19.4) −6.6 (20.1) −4.8 (23.4) 0.1 (32.2) 3.0 (37.4) 7.8 (46) 11.6 (52.9) 10.8 (51.4) 5.0 (41) 0.6 (33.1) −1.7 (28.9) −5.4 (22.3) −7 (19.4) 평균 강수량 mm (인치) 68 (2.7) 60 (2.4) 69 (2.7) 60 (2.4) 54 (2.1) 40 (1.6) 18 (0.7) 31 (1.2) 73 (2.9) 104 (4.1) 102 (4) 80 (3.1) 759 (29.9) 평균강수일수 8 8 9 8 7 4 2 3 6 9 10 10 84 출처: [12] 자매 도시[편집] 이스라엘 바트얌 스페인 과달라하라 베트남 하이퐁 러시아 노보로시스크 미국 오클랜드 각주[편집] 참고[편집] ↑ Macdonald, A.M. (ed.) (1972). 《Chambers Twentieth Century Dictionary》. Chambers.  ↑ 《Collins Concise Dictionary》 Revis Thi판. Glasgow: HarperCollins. 199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Vaccari et al, p. 15 ↑ Vaccari et al, p. 28 ↑ Vaccari et al, p. 42 ↑ Vaccari et al, p. 48 ↑ “COS'È IL VERNACOLIERE”. Mario Cardinali. 2011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8일에 확인함.  ↑ Vlami Despina (1997) "Commerce and identity in the Greek communities: Livorno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dentities, Cultures, and Creativity)", Diogenes, 22 March 1997 ↑ Harlaftis G., A History of Greek-Owned Shipping, Routledge, London, 1996, p. 50 ↑ Christopoulos, M.D. "Greek Communities Abroad: Organization and Integration. A Case Study of Trieste" Archived 2011년 7월 22일 - 웨이백 머신, Representations, pp. 23–46 ↑ Vlami, D. (undated) "Filopatrides kai filogeneis Hellenes tou Livorno", part of the series The Greece of Benefactors, Hemeresia newspaper, pp. 1–64. In Greek language. Need date of publication. ↑ “Enea.it”. 2016년 4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리보르노 공식 홈페이지 (이탈리아어) 리보르노 항구 홈페이지 vdeh리보르노 현의 행정구역 로시냐노마리티모 리보르노 리오넬렐바 리오마리나 마르차나 마르차나마리나 비보나 사세타 산빈첸초 수베레토 체치나 카스타녜토카르두치 카폴리베리 카프라이아이솔라 캄포넬렐바 캄필리아마리티마 콜레살베티 포르토아추로 포르토페라이오 피옴비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273104 LCCN: n79097456 ISNI: 0000 0001 2265 1654 GND: 4114431-4 SUDOC: 02643816X BNF: cb118685696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보르노&oldid=24189654" 분류: 리보르노토스카나주의 코무네리보르노현의 코무네이탈리아의 현도숨은 분류: CS1 관리 - 추가 문구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ebuano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apulitano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apiamentu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wi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보르노(이탈리아어: Livorno)는 이탈리아 서해안, 리구리아해에 면하는 항구 도시이다. 영어 명인 레그혼(Leghorn) 이라고도 알려졌다. 리보르노도의 현도이기도 하다. 피사의 근처에 있으며, 피사와 운하로 연결되면서 중세 시대때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그리스인 지역 사회가 쇠퇴한 연도는 ? Assistant: 1868년 Human: 아래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원자력연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연구원(韓國原子力硏究院,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111(덕진동)에 위치한 195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연구 기관으로 원자로의 연구 및 개발, 방사성 동위원소의 생산 및 핵기술자의 양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1958년 원자력기본법(원자력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원자력연구기관으로 초기에는 정부조직이었으나 1980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설립 취지에 따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 동위원소 생산, 미래 원자력에너지 연구,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 원자력 정책연구 등의 연구업무를 수행하며 연구로인 하나로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연혁 2 주요연구성과 3 주요연구분야 4 조직 4.1 한국원자력연구원 4.1.1 부원장 5 사고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9년 3월 1일 원자력연구소 개소. 1973년 2월 17일 원자력연구소, 방사선의학연구소, 방사선농학연구소가 합쳐져서 한국원자력연구소 발족. 1980년 12월 31일 한국에너지연구소로 이름 바꿈. 1989년 12월 30일 한국원자력연구소로 원래 이름으로 바꿈. 2007년 3월 2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이름 바꿈.[1] 주요연구성과[편집] 1987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1988년 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1995년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자력 설계 및 건조 1996년 한국표준형원전 개발 2001년 방사성 의약품 신양 '밀리칸주' 개발 2002년 일체형 원자로 SMART 기본설계 완료 2003년 지르코늄 신합금 핵연료 피복관 개발 2006년 KALIMER-600 개념설계 완료 2006년 열수력 종합효과실험장치 ATLAS구축 2009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 수주 2010년 냉중성자 연구시설 구축 2011년 대용량 선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주요연구분야[편집] 연구용 원자로 이용 연구개발 하나로 운영, 중성자 이용 연구, 동위원소 이용 기술 개발 수출형원자로 개발 연구용 원자로 수출, SMART 개발 미래원자력 시스템 개발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발,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 초고온가스로(VHTR) 개발, 고준위 폐기물 장기관리 기술 개발 원자력 안전 연구개발 열수력안전연구, 중대사고 연구, 확률론적 안정성 평가(PSA), 원자력 환경 안전 연구, 상용 원전 핵심기술 개발 핵연료, 원자력 재료 개발 핵연료 개발, 원자력 재료개발 미래형 신기술 개발 방사선 융합 기술 개발, 양성자 가속기 개발, 핵융합 기술 개발 조직[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편집] 감사 부원장[편집] 품질경영부 원자력안전·환경연구소 핵연료주기기술연구소 원자로개발연구소 방사선과학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 경영기획본부 안전관리본부 소통협력본부 원자력정책연구센터 사고[편집] 2017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6년 11월 7일부터 2017년 4월 19일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폐기물 실태를 조사하여, 총 36건의 원자력 안전법 위반 사항을 확인하였다.[2] 이 중에는 방폐물 무단 폐기와 관리 기록 조작등도 포함되어 있어서 형사입건 조치하였으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여러 중대 혐의들에 대해서도 위반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 중에는 장갑, 비닐등의 방사성폐기물을 임의로 태웠으며,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물을 빗물관으로 몰래 흘려버리거나, 혹은 방폐물을 함부로 녹이거나 땅에 묻고, 몰래 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소각한 방사성폐기물 4.9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방사선 관리 구역안에서 쓴 장비를 무단으로 매각하는 등의 원자력 안전관리 규정을 상습적으로 위반한걸 잡아내었다.[3] 2018년 1월 20일 밤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연성 폐기물 시설에서는 외벽 수도배관 동파방지용 열선 과열로 불이 나 외벽과 지붕 150㎡가 탔다. 이에 당시 대처가 미흡했던 것에 대해 25일에 사과하였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날 설명자료를 내어 "연구원 내 폐기물처리시설 화재사건에 대한 자체 정밀 재조사 결과 관련 부서 보고 누락으로 대외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이후 오후 7시 23분쯤 연기나 열, 불꽃까지 감지할 수 있는 화재조기경보기(USN)가 첫 경보를 울렸으나, 상황실 근무자들은 불이 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설 인근의 수송용기실험동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해 비상출동했다. 기존 발표내용에서는 이 부분까지 44분여 동안의 상황을 빠뜨린 채 화재감지기를 초기화한 오후 8시 7분부터의 상황만 전해졌다. 결국 초기 감지 시각부터 소방서에 신고된 오후 8시 23분까지 1시간 동안 화재 현장에는 실질적인 화재진압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셈이다. 그리고 원자력연구원이 소방본부와 언론등에 알린 화재 확인 시각은 8시 21분이었다. 2분 뒤 근무자가 소방서에 신고, 초기 진화에 나섰다고 설명하였다. 하재주 원장은 "근무자의 초동대처 미흡과 최조 화재 인지 시각에 대한 담당부서의 임의적인 보고 누락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담당부서장을 즉시 직위해제 했다"며 "추가 조사를 통해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이 사고로 소방서 추산 2천185만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났다.[4][5] 각주[편집] ↑ “한국원자력연구원 연혁”. 2007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ytn.co.kr/_ln/0115_201704201302345843 ↑ http://www.hankookilbo.com/v/e87864ebf2a64927a3d982bba1e4140e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5/0200000000AKR20180125090900063.HTML?input=1195m ↑ http://www.nocutnews.co.kr/news/4912661 외부 링크[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2인) 과학기술혁신본부 본부장 우정사업본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어린이과학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우주전파센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 서울전파관리소 서울북부사무소 부산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 당진사무소 대구전파관리소 강릉전파관리소 전주전파관리소 제주전파관리소 청주전파관리소 울산전파관리소 산하 공공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소관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기술인공제회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한국과학관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정보통신공제조합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학(또는 대학원) 기능을 가진 법인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원자력연구원&oldid=24378703" 분류: 정부출연연구기관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대전 유성구의 건축물원자력 연구소1959년 설립대한민국의 원자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2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연구원(韓國原子力硏究院,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111(덕진동)에 위치한 195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연구 기관으로 원자로의 연구 및 개발, 방사성 동위원소의 생산 및 핵기술자의 양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1958년 원자력기본법(원자력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원자력연구기관으로 초기에는 정부조직이었으나 1980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설립 취지에 따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 동위원소 생산, 미래 원자력에너지 연구,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 원자력 정책연구 등의 연구업무를 수행하며 연구로인 하나로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분원은 정읍과 경주에 위치한다. 정읍 분원(첨단방사선연구소)은 전라북도 정읍시 금구길 29에 위치하고, 경주 분원(양성자과학연구단)은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미래로 181에 위치한다. 직원 수는 2022년 3월 1일 기준 총원 1,717명이다. 이는 임원 1명, 연구·기술직 1,281명, 행정직 123명, 기능·운영직 312명으로 구성되어있다. 2022년 12월 14일 주한규 제22대 원장이 취임식을 갖고 3년 임기를 시작하였다. 이 외의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원자력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https://www.kaeri.re.kr/를 참고하도록 하자.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방사성폐기물을 무단 폐기한 사례로는 어떤 것이 있어? Assistant: 2017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6년 11월 7일부터 2017년 4월 19일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폐기물 실태를 조사하여, 총 36건의 원자력 안전법 위반 사항을 확인하였다.[2] 이 중에는 방폐물 무단 폐기와 관리 기록 조작등도 포함되어 있어서 형사입건 조치하였으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여러 중대 혐의들에 대해서도 위반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 중에는 장갑, 비닐등의 방사성폐기물을 임의로 태웠으며,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물을 빗물관으로 몰래 흘려버리거나, 혹은 방폐물을 함부로 녹이거나 땅에 묻고, 몰래 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소각한 방사성폐기물 4.9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방사선 관리 구역안에서 쓴 장비를 무단으로 매각하는 등의 원자력 안전관리 규정을 상습적으로 위반한걸 잡아내었다.[3]
Human: 아래 2002년_FIFA_월드컵_F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02년 FIFA 월드컵 F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2년 FIFA 월드컵 F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02년 FIFA 월드컵은 32팀이 본선에 참가하였고 이들은 4팀씩 8개의 조로 나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F조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그리고 스웨덴이 편성된 조이다. F조의 일정은 2002년 6월 2일부터 2002년 6월 12일까지 지속되었다. 스웨덴과 잉글랜드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스웨덴은 잉글랜드와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에 따라 1위를 차지하였고, 그에 따라 2위는 잉글랜드 것이 되었다. 반면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는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였다. F조는 다수의 평론가들이 평균 FIFA 랭킹과 FIFA 월드컵에서의 전적에 따라 "죽음의 조"라는 꼬리표를 붙였다. 목차 1 순위 2 아르헨티나 vs 나이지리아 3 잉글랜드 vs 스웨덴 4 스웨덴 vs 나이지리아 5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 6 스웨덴 vs 아르헨티나 7 나이지리아 vs 잉글랜드 8 외부 링크 순위[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스웨덴 3 1 2 0 4 3 +1 5 잉글랜드 3 1 2 0 2 1 +1 5 아르헨티나 3 1 1 1 2 2 0 4 나이지리아 3 0 1 2 1 3 −2 1 모든 시간은 일본의 동아시아 표준시를 따른다. (EAT/UTC+9) 아르헨티나 vs 나이지리아[편집] 2002년 6월 2일 14:30 아르헨티나 1 – 0 나이지리아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이바라키 관중수: 34,050 심판: 질 베시에르 (프랑스) 바티스투타  63' 리포트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CB 6 왈테르 사무엘  51' CB 13 디에고 플라센테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14 디에고 시메오네  90' CM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주장) 78'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81' LF 7 클라우디오 로페스 46' 교체 선수: MF 18 킬리 곤살레스 46' MF 16 파블로 아이마르 78'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81'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GK 1 이케 쇼룬무 RB 16 에페 소제  73' 73' CB 6 타리보 웨스트 CB 5 이삭 오코론코 LB 3 셀레스틴 바바야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2 조지프 요보 CM 4 은완코 카누 48' LM 11 가르바 라왈 CF 9 바르솔로뮤 오그베체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교체 선수: MF 7 피우스 이케디아 48' MF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73'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최우수 선수: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아르헨티나) 부심: 프레데리크 아르놀 (프랑스) 하이너 뮐러 (독일) 대기심: 마르쿠스 메르크 (독일) 잉글랜드 vs 스웨덴[편집] 2002년 6월 2일 18:30 잉글랜드 1 – 1 스웨덴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2,721 심판: 카를루스 이우제니우 시몽 (브라질) 캠벨  24' 리포트  59' 알렉산데르손 잉글랜드 스웨덴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12' LB 3 애슐리 콜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63' CM 18 오언 하그리브스 CM 8 폴 스콜스 LM 11 에밀 헤스키 CF 20 더라이어스 바셀 74' CF 10 마이클 오언 교체 선수: MF 23 키런 다이어 63' MF 19 조 콜 74'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73'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CM 17 망누스 스벤손 56' LM 9 프레드리크 융베리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45' 80' CF 11 헨리크 라르손 교체 선수: MF 8 안데르스 스벤손 56'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80'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최우수 선수: 솔 캠벨 (잉글랜드) 부심: 조르지 올리베이라 (브라질)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대기심: 마크 실드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vs 나이지리아[편집] 2002년 6월 7일 15:30 스웨덴 2 – 1 나이지리아 고베 윙 스타디움, 고베 관중수: 36,194 심판: 레네 오르투베 (볼리비아) 라르손  35', 63' (페널티골) 리포트  27' 아가호와 스웨덴 나이지리아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31'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69'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CM 8 안데르스 스벤손 83' LM 9 프레드리크 융베리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64' CF 11 헨리크 라르손 교체 선수: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64' MF 17 망누스 스벤손 83'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더베리 GK 1 이케 쇼룬무 RB 2 조지프 요보 CB 6 타리보 웨스트  80' CB 5 이삭 오코론코 LB 14 이페아니 우데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CM 21 존 우타카 LM 3 셀레스틴 바바야로 65'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CF 9 바르솔로뮤 오그베체 70' 교체 선수: FW 4 은완코 카누 65' MF 7 피우스 이케디아 70'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최우수 선수: 헨리크 라르손 (스웨덴) 부심: 미겔 히아코무시 (파라과이) 마트 라짐 아왕 하마트 (말레이시아) 대기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편집] 2002년 6월 7일 20:30 아르헨티나 0 – 1 잉글랜드 삿포로 돔, 삿포로 관중수: 35,927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이탈리아) 리포트  44' (페널티골) 베컴 아르헨티나 잉글랜드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CB 6 왈테르 사무엘 CB 13 디에고 플라센테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14 디에고 시메오네 CM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주장) 46'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13' 60' LF 18 킬리 곤살레스 64' 교체 선수: MF 16 파블로 아이마르 46'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60' FW 7 클라우디오 로페스 64'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LB 3 애슐리 콜  29'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CM 18 오언 하그리브스 19' CM 21 니키 버트 LM 8 폴 스콜스 CF 10 마이클 오언 80' CF 11 에밀 헤스키  50' 54' 교체 선수: MF 4 트레버 싱클레어 19' FW 17 테디 셰링엄 54' DF 14 웨인 브리지 80'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최우수 선수: 폴 스콜스 (잉글랜드) 부심: 엑토르 베르가라 (캐나다) 모하메드 사에드 (몰디브) 대기심: 브라이언 홀 (미국) 스웨덴 vs 아르헨티나[편집] 2002년 6월 12일 15:30 스웨덴 1 – 1 아르헨티나 미야기 스타디움, 미야기 관중수: 45,777 심판: 알리 부지사임 (아랍에미리트) A. 스벤손  59' 리포트  88' 크레스포 스웨덴 아르헨티나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CM 8 안데르스 스벤손 68'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LM 17 망누스 스벤손  65' CF 11 헨리크 라르손  78' 88'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46' 교체 선수: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46' MF 18 마티아스 욘손 68' FW 21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88'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22 호세 차모트  55' CB 6 왈테르 사무엘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5 마티아스 알메이다  58' 63'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63' AM 16 파블로 아이마르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주장) 58' LF 7 클라우디오 로페스 교체 선수: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58' MF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63' MF 18 킬리 곤살레스  75' 63' 기타 징계 선수: FW 21 클라우디오 카니히아  45+2'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최우수 선수: 요한 미엘비 (스웨덴) 부심: 하이너 뮐러 (독일) 마이클 라구나트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기심: 피터 프렌더개스트 (자메이카) 나이지리아 vs 잉글랜드[편집] 2002년 6월 12일 15:30 나이지리아 0 – 0 잉글랜드 나가이 스타디움, 오사카 관중수: 44,864 심판: 브라이언 홀 (미국) 리포트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GK 22 빈센트 엔예아마 RB 16 에페 소제 CB 2 조지프 요보 CB 5 이삭 오코론코 LB 14 이페아니 우데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CM 20 제임스 오비오라 LM 23 페미 오파분미 86'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CF 18 베네딕트 아크에그부 교체 선수: MF 7 피우스 이케디아 86'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LB 3 애슐리 콜 85'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CM 21 니키 버트 CM 8 폴 스콜스 LM 4 트레버 싱클레어 CF 11 에밀 헤스키 69' CF 10 마이클 오언 77' 교체 선수: FW 17 테디 셰링엄 69' FW 20 더라이어스 바셀 77' DF 14 웨인 브리지 85'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최우수 선수: 제이제이 오코차 (나이지리아) 부심: 엑토르 베르가라 (캐나다) 에브젠 암러 (체코) 대기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외부 링크[편집] rsssf 기록 vdeh 2002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조별리그 A조 프랑스 대 세네갈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 대한민국 대 이탈리아 결승전 정보 중계권 논란 경고 기록 시드 배정 스폰서십 통계 선수 명단 공인구 공식 음반 Voices of KOREA/JAPAN 공식 주제곡 vdeh2002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브라질 준우승 독일 3위 터키 4위 대한민국 8강 미국 세네갈 스페인 잉글랜드 16강 덴마크 멕시코 벨기에 스웨덴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파라과이 조별 리그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중국 카메룬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튀니지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2년_FIFA_월드컵_F조&oldid=23895850" 분류: 2002년 FIFA 월드컵아르헨티나 축구 2002년나이지리아 축구 2002년스웨덴 축구 2002년잉글랜드 축구 2001-02 시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sanskiDeutschEnglishEspañolMagyar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2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2년 FIFA 월드컵은 32팀이 본선에 참가하였고 이들은 4팀씩 8개의 조로 나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F조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그리고 스웨덴이 편성된 조이다. F조의 일정은 2002년 6월 2일부터 2002년 6월 12일까지 지속되었다. 스웨덴과 잉글랜드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스웨덴은 잉글랜드와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에 따라 1위를 차지하였고, 그에 따라 2위는 잉글랜드 것이 되었다. 반면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는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였다. F조는 다수의 평론가들이 평균 FIFA 랭킹과 FIFA 월드컵에서의 전적에 따라 "죽음의 조"라는 꼬리표를 붙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2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한 팀은 어느 팀인가? Assistant: 아르헨티나 Human: 아래 다자이후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다자이후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자이후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자이후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시의 위치 한자 표기 太宰府市 가나 표기 だざいふし 나라 일본 지방 규슈 지방 도도부현 후쿠오카 현 분류코드 40221-4 면적 29.60 km² 인구 72,231명(2018년 10월 1일) 웹사이트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시(일본어: 太宰府市)는 후쿠오카현의 중부에 있는 시이다. 규슈 지구의 통치 조직 다자이후(大宰府)가 설치되고 나서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다자이후 덴만궁 등의 사적이 많이 있어 2007년에는 701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교통 3.1 철도 3.2 도로 3.3 정기관광버스 4 관광 5 자매 도시 5.1 일본 국내 5.2 해외 6 외부 링크 지리[편집] 후쿠오카 현의 중부, 후쿠오카 시에서 남동쪽 약 1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시역 북부에는 시오지 산(四王寺山), 시역 동부에는 호만 산(宝満山), 시역 서남부에는 덴파이 산(天拝山)이 있고, 시의 중앙부를 미카사 강(御笠川)이 횡단해 흐르고 있다. 시역 중앙부는 중심 시가지가 발달해 있고 다자이후(大宰府)에 관련된 수많은 사적·명소가 존재한다. 서부, 남부는 후쿠오카 도시권의 주택 지역으로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 다자이후 시에는 대학, 단과 대학, 고등학교 등의 학교가 많다. 학교의 수는 현 내에서도 기타큐슈 시 오리오 지구와 비슷한 수준이며 학생의 거리로 유명하다. 교육 시설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톈만구에 모셔진 스가와라 미치자네(菅原道真)가 "학문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다는 이유와 관련이 있다. 역사[편집] 663년 백강 전투 때 규슈 지방의 방위를 위해 다자이후(大宰府)를 내륙(현재의 다자이후 유적)에 옮겼다고 추정된다. 이곳 다자이후는 한국과 중국의 외교 사신을 영접했던 곳이다. 외국인 사신의 영접관인 고로칸도 이때 세워졌다.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 그리고 가마쿠라 시대까지 다자이후는 일본의 군사적, 행정적 중심지였다. 헤이안 시대에 다자이후는 고위 관리의 유배지이기도 하였다. 이곳에 유배된 고관 중에는 스가와라 미치자네도 있었는데 그의 무덤에 다자이후 덴만궁을 세웠다. 1881년 3월 17일 - 미카사 군 사이후 촌이 다자이후 촌으로 개칭하였다.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실시로 미카사 군 다자이후 촌, 미즈키 촌이 성립하였다. 1892년 9월 13일 - 정으로 승격해 다자이후 정이 되었다. 1896년 4월 1일 - 나카 군·무시로다 군·미카사 군의 3군을 통합해 지쿠시 군이 되었다. 1955년 3월 1일 - 지쿠시 군 미즈키 촌과 대등 합병해 새로운 다자이후 정이 되었다. 1982년 4월 1일 - 시로 승격해 다자이후 시가 되었다. 교통[편집] 후쿠오카 공항이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철도[편집]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니시닛폰 철도 덴진오무타 선 다자이후 선 도로[편집] 규슈 자동차도 후쿠오카 고속도로 국도 3호선 정기관광버스[편집] 후쿠오카 시의 하카타역 교통 센터와 니시테쓰 버스 센터에서, 1일 2편, 니시테츠 톈진 정기 관광 버스(다자이후 반나절 코스)가 발차하고 있다. 관광[편집] 다자이후 덴만궁 다자이후 천만궁(太宰府天満宮) 규슈 국립박물관(九州国立博物館) 규슈역사자료관(九州歴史資料館) 자매 도시[편집] 일본 국내[편집] 일본 오이타현 나카쓰 시(1992년 9월 26일) 일본 나라현 나라 시(2002년 6월 27일)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 시(2005년 11월 21일) 해외[편집]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1978년 4월 21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다자이후시 (일본어) 다자이후 시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다자이후 덴만궁 vdeh후쿠오카현의 행정 구역후쿠오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미구 사와라구 조난구 하카타구 히가시구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고쿠라미나미구 도바타구 모지구 야하타니시구 야하타히가시구 와카마쓰구 그 밖의 시 가마시 가스가시 고가시 구루메시 나카가와시 나카마시 노가타시 다가와시 다자이후시 무나카타시 미야마시 미야와카시 부젠시 아사쿠라시 야나가와시 야메시 오고리시 오노조시 오무타시 오카와시 우키하시 유쿠하시시 이토시마시 이즈카시 지쿠고시 지쿠시노시 후쿠쓰시 가스야군 가스야정 사사구리정 스에정 시메정 신구정 우미정 히사야마정 온가군 미즈마키정 아시야정 오카가키정 온가정 구라테군 고타케정 구라테정 가호군 게이센정 아사쿠라군 지쿠젠정 도호촌 미이군 다치아라이정 미즈마군 오키정 야메군 히로카와정 다가와군 가와라정 가와사키정 소에다정 이토다정 오토정 후쿠치정 아카촌 미야코군 간다정 미야코정 지쿠조군 고게정 요시토미정 지쿠조정 전거 통제 VIAF: 256174110 NDL: 0027784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자이후시&oldid=22960804" 분류: 다자이후시후쿠오카현의 도시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ebuano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客家語/Hak-kâ-ngîMagyarItaliano日本語مازِرونی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자이후시(일본어: 太宰府市)는 후쿠오카현의 중부에 있는 시이다. 규슈 지구의 통치 조직 다자이후(大宰府)가 설치되고 나서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다자이후 덴만궁 등의 사적이 많이 있어 2007년에는 701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다자이후시의 지역적 특성은 무엇일까? Assistant: 후쿠오카 현의 중부, 후쿠오카 시에서 남동쪽 약 1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시역 북부에는 시오지 산(四王寺山), 시역 동부에는 호만 산(宝満山), 시역 서남부에는 덴파이 산(天拝山)이 있고, 시의 중앙부를 미카사 강(御笠川)이 횡단해 흐르고 있다. 시역 중앙부는 중심 시가지가 발달해 있고 다자이후(大宰府)에 관련된 수많은 사적·명소가 존재한다. 서부, 남부는 후쿠오카 도시권의 주택 지역으로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Human: 아래 카드_(음악_그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드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드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드KARD 왼쪽부터 BM, 전소민, 전지우, 제이셉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K-pop 활동 시기 2016년 12월 13일 ~ 현재 레이블 카카오 M 소속사 DSP 미디어 웹사이트 KARD 공식사이트 구성원 제이셉BM전소민전지우 카드(KARD)는 대한민국의 4인조 혼성 그룹으로, DSP 미디어 소속이다. 목차 1 활동 1.1 데뷔 전 1.2 2016: Oh NaNa 1.3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 1.4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 1.5 2019: Bomb Bomb 2 구성원 3 음반 목록 4 음반 외 활동 5 콘서트 5.1 단독 콘서트 5.2 공연 6 수상 내역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활동[편집] 데뷔 전[편집] DSP미디어는 2016년 12월 1일 0시 각종 SNS를 통하여 ‘K.A.R.D’라는 타이틀로 공식 채널을 정식 개설하고 커밍업(Coming Up) 티저 이미지를 처음 공개하였다.[1] 12월 2일 자정에 BM과 전지우의 사진을 공개하였으며,[2] 12월 3일 자정에는 제이셉과 전소민의 사진을 공개하였다.[3] 12월 5일 제이셉과 BM이 V앱을 진행하였다.[4] 12월 6일 0시 ‘K.A.R.D’ 프로젝트의 공식 채널을 통해 실루엣 티저 이미지가 추가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미지는 카드가 컨셉으로, 멤버들이 각각 K(King), A(Ace), R(JokeR/블랙조커, 칼라조커)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며 D(hiDden)의 포지션은 '히든 멤버'이다. King은 BM, Ace는 제이셉, Black JokeR는 전소민, Color jokeR는 전지우에 해당한다. DSP 미디어는 "K.A.R.D는 총 3단계에 걸친 하나의 데뷔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매 앨범마다 히든 멤버가 있다. 마지막 카드 ‘D’는 숨겨진 멤버라는 의미와 함께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비장의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일 것이란 중의적인 의미가 내포돼 있다."라고 밝혔다.[5] 12월 6일 오후 6시 제이셉의 랩 퍼포먼스 티저와 전지우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고, 오후 7시 전소민과 전지우가 V앱을 진행하였다.[6] 12월 7일 자정에 BM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와 전소민의 비주얼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다. 2016: Oh NaNa[편집] 왼쪽부터 전소민, 제이셉, 전지우, BM 12월 8일 K.A.R.D 공식 채널을 통해 첫 번째 히든 멤버의 정체가 허영지임을 밝혔고,[7] 히든 멤버 허영지를 포함한 멤버 5명이 V앱을 진행하였다.[8] 12월 9일 Oh NaNa의 뮤직비디오 티저를 공개하였다.[9] 데뷔 전날인 12월 12일 서울특별시 신촌에 있는 퀸 라이브 홀에서 데뷔 파티를 열었고[10], 12월 13일 자정에 첫 번째 디지털 싱글 〈Oh NaNa〉의 음원과 뮤직 비디오를 공개하였다.[11] 첫 번째 싱글 〈Oh NaNa〉의 음원이 공개된 지 하루 만에 아이튠즈 미국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4위를 기록하였고, 아이튠즈 일본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10위에 랭크된 데 이어 영국, 프랑스 등 각 나라별 차트에도 진입하였다.[12] 터키에서는 2위, 브라질에서는 4위를 기록하였다. 〈Oh NaNa〉의 뮤직 비디오는 공개한 지 3일 만에 125만 조회수를 돌파하였고[13], 한 달 만인 2017년 1월에 조회수 550만뷰를 돌파하였다.[14] 아이튠즈 미국 차트 K-pop 부분에서 1단계 올라서 3위에 랭크되었고, 또 1단계 올라서 2위에 랭크되었다. 아이튠즈 스웨덴 차트 K-pop 부분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15] 영국[16], 프랑스[17] 등 각 나라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 카드는 빌보드가 선정한 2016년 올해의 K-pop 신인 아이돌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18][19]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편집] 2017년 4월 25일 WILD KARD PARTY에서 KARD. 1월 19일 미국 빌보드가 주목할 만한 K팝 아티스트 TOP 5로 선정되었다.[20] 2월 16일 총 3단계의 데뷔 프로젝트 중 두 번째 곡인 〈Don't Recall〉을 자정에 공개하였다.[21] 3월 2일 자정에 〈Don't Recall〉 히든 버전을 공개하였다.[22] 〈Don't Recall〉 뮤직 비디오 조회수는 공개한 지 6일 만에 600만뷰를[23], 열흘 만에 777만뷰를[24], 3월 4일에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25] 카드는 4월 21일 LG전자 전략 스마트폰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발탁되어, 세 번째 프로젝트 〈RUMOR〉 활동부터 LG전자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활동을 시작한다. 뮤직 비디오를 비롯한 모든 콘텐츠는 LG전자 G6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된다.[26] 4월 24일 정오에 데뷔 프로젝트 세 번째 곡인 〈RUMOR〉를 공개하였다.[27] 〈RUMOR〉는 발매 이후 25일 오전까지 미국을 비롯한 총 13개국에서 아이튠즈 K팝 차트 1위를 차지하였으며,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음원 발매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공식 유튜브 조회수 기준 180만뷰를 돌파하였다.[28] 4월 25일 오후 8시에 하나투어 브이홀에서 개최한 WILD KARD PARTY에서 신곡 〈RUMOR〉를 공개하였다. 5월 1일 0시 KARD의 공식 유튜브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공개된 ‘Project Vol.3 RUMOR’의 히든 콘텐츠가 공개됐다. 제목은 ‘The Last Hidden’으로 데뷔 프로젝트의 종료를 의미한다.[29] '루머'(RUMOR)는 5월 3일자, 5월 10일자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World Digital Song Sales) 차트에서 2주 연속 톱 3 안에 진입하였다.[30][31] 5월 10일 ‘Don’t Recall’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2,000만뷰를 돌파하였다.[32] 5월 3일 캐나다 벤쿠버 HARBOUR ENENT CENTRE에서 '2017 와일드 카드 투어' 첫 무대를 열었고,[33]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4개국 투어 공연을 확정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시카고, 휴스턴, LA 등 3개 도시에서 공연을 열었다.[34] 6월 17일 멕시코 루나리오홀에서 공연하였다.[35]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브라질 포르탈레자, 살바도르, 헤시피,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에서 공연하였다. 2017년 7월 19일 데뷔 쇼케이스에서 KARD. 7월 19일 미니 1집 《HOLA HOLA》 로 정식 데뷔를 했으며, 데뷔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36] 여기서 공식 팬 클럽 이름 ‘히든 카드’를 밝혔다. 7월 20일 엠카운트다운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정식 데뷔 앨범인 《HOLA HOLA》는 발매된 지 만 하루도 안 된 7월 20일 오전 8시, 총 18개국의 아이튠즈 메인 음반 차트인 톱 앨범즈 부문 톱 10 안에 진입하였다.[37] 곧 이어 반나절 만에 32개국 차트에 오르고 유튜브 조회수 200만뷰를 돌파하였다.[38] 7월 22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수가 공식 채널 및 1theK 계정 합산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39] 7월 26일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를 기록하였다. 타이틀곡 HOLA HOLA가 월드 디지털송 4위, 수록곡 ‘난 멈추지 않는다’가 10위, ‘Living Good’이 12위에 올랐다.[40] 8월 4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1,000만 뷰를 돌파하였다. 카드는 9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월드 투어 ‘2017 WILD KARD TOUR PT.2’를 개최하였다. 영국 런던, 포르투갈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 이탈리아 밀라노, 프랑스 노트르담, 미국(미니애폴리스, 워싱턴D.C, 뉴욕, 마이애미, 샌프란시스코), 칠레, 아르헨티나, 페루 9개국 13개 도시에서 총 15회의 공연을 선보였다.[41] 11월 21일 미니 2집 《You & Me》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은 〈You In Me〉이다.[42] 컴백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 컴백 반나절 만에 미국,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에스토니아, 홍콩, 칠레에서 KARD의 새 앨범 ‘You & Me’가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43] 'You In Me’ 뮤직비디오 공개 5일만에 유튜브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 11월 28일 《더 쇼》1위 후보에 올라서 3위를 기록하였다. 12월 18일 You ln Me 뮤직비디오 조회수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편집] 2018년 7월 27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2018년 1월 21일 싱가포르, 2월 2일 대만 타이페이, 2월 4일 홍콩, 2월 9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4개국 투어를 개최하였다.[44] 카드는 미국의 음악 전문 매체 FUSE TV가 1월 17일 선정한 미국 최대 음악 마켓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뮤직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팀 중 ‘2018년 기대되는 팀’에 유일한 K팝 가수로 이름을 올렸다.[45] 4월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The Kasablanka Hall’에서 ‘2018 WILD KARD TOUR’를 개최하였다. 이어 4월 26일 멜버른, 29일 시드니 등 호주에서도 2차례 투어를 진행하였다.[46] 7월 25일에 세 번째 미니 앨범 《RIDE ON THE WIND》로 컴백하였으며,[47][48] 7월 26일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 무대를 가졌다. 8월 7일 더 쇼 1위 후보에 올라서 2위를 기록하였다. 8월 19일 대한민국에서 데뷔 후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49] 2019: Bomb Bomb[편집] 2019년 4월 12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3월 27일 데뷔 이후 첫 번째 디지털 싱글 〈Bomb Bomb〉으로 컴백하였다.[50] 4월 24일 일본 도쿄 duo MUSIC EXCHANGE에서 콘서트를 2회 개최하며, 4월 27일 한국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제이셉 본명 : 김태형 (金泰亨)[주 1][51] 생년월일 : 1992년 6월 21일(1992-06-21)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52][주 2] 학력 : 방송통신대학교 (휴학)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리드댄서[53]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스페이드) BM 본명 : Matthew Kim (매튜김), 김우진, 김진석[주 3] 생년월일 :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54] 학력 : Upland High School (졸업)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55]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클로버) 전소민 이름 : 전소민 (全昭珉[51]) 생년월일 : 1996년 8월 22일(1996-08-22)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56] 학력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과 (휴학) 포지션 : 메인보컬[57] 특이사항 : 前 퓨리티, 前 에이프릴 멤버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하트) 전지우 이름 : 전지우 (全志佑[51]) 생년월일 : 1996년 10월 4일(1996-10-04)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주 4] 학력 : 청담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드보컬, 서브래퍼[58]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 (다이아)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드의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편집] 카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도시 국가 장소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3일 벤쿠버 캐나다 Harbour Event Centre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AMERICA 2017년 5월 5일 시카고 미국 Copernicus Center 2017년 5월 7일 휴스턴 Stereo Live 2017년 5월 10일 로스앤젤레스 The Theatre at Ace Hote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TKC17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MEXICO 2017년 6월 1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Lunario Auditorio Naciona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BRAZIL 2017년 6월 23일 포르탈레자 브라질 Vila Gale 2017년 6월 25일 사우바도르 Sheraton 2017년 6월 27일 헤시피 Hotel Manibu 2017년 6월 29일 리우데자네이루 CC Marista 2017년 7월 1일 상파울루 Tropical Butanta 2017년 7월 2일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EUROPE 2017년 9월 1일 런던 영국 ULU Live 2017년 9월 3일 리스본 포르투갈 Paradise Garage 2017년 9월 5일 마드리드 스페인 Sala But 2017년 9월 8일 밀라노 이탈리아 Magazzini Generali 2017년 9월 10일 로테르담 네덜란드 Annabel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9월 15일 미네아폴리스 미국 State Theatre 2017년 9월 17일 워싱턴 DC Warner Theatre 2017년 9월 20일 뉴욕 PlayStation Theatre 2017년 9월 22일 마이애미 James L. Knight Center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SOUTH AMERICA 2017년 9월 27일 발파라이소 칠레 Teatro Municipal 2017년 9월 29일 콘셉시온 Gimnasio Municipal 2017년 10월 1일 라세레나 Coliseo Municipal 2017년 10월 4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Teatro Vorterix 2017년 10월 6일 리마 페루 Jockey Club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 미국 The Warfield 2018 WILD KARD TOUR IN ASIA 2018년 1월 21일 주롱 웨스트 싱가포르 Zeep@Big Box 2018년 2월 2일 타이페이 타이완 ATT Show Box 2018년 2월 4일 가우룽완 홍콩 KITEC Rotunda 3 2018년 2월 9일 마닐라 필리핀 KIA Theatre 2018 WILD KARD TOUR 2018년 4월 14일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The Kasablanka Hall WILD KARD in Seoul 2018년 8월 19일 서울 대한민국 YES24 LIVEHALL 「WILD KARD 2018」 TOUR IN BRAZIL 2018년 9월 21일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Vivo Rio 2018년 9월 23일 포르투알레그리 2018년 9월 25일 쿠리치바 Encontro da Amazônia 2018년 9월 27일 벨루오리존치 2018년 9월 30일 상파울루 Espaço das Américas WILD KARD TOUR in Tokyo 2019년 4월 24일 도쿄 일본 duo MUSIC EXCHANGE 2019 WILD KARD IN SEOUL 2019년 4월 27일 서울 대한민국 서강대학교 메리홀 공연[편집] 제목 날짜 도시 국가 장소 Sound K * Dal.komm Concert 2016년 12월 17일 서울 대한민국 달콤커피 상암팬엔터점 앞 Rising star Dreaming Concert 2017년 1월 8일 서울 대한민국 롯데월드 가든 스테이지 롯데월드 공연 2017년 1월 22일 Toronto Kpop Con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2017 KCON LA 2017년 8월 20일 뉴욕 미국 스테이플스 센터 iMe Kpop Fantival 2017 2017년 8월 26일 방콕 태국 Thunder Dome Muangthong Thani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2017년 10월 24일 부산 대한민국 부산 BOF LAND(해운대 구남로) I・SEOUL・U 2주년 시민축제 콘서트 2017년 10월 29일 서울 대한민국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공연존 카운트다운 서울2018 엣 타임스퀘어 2017년 12월 31일 서울 대한민국 영등포 타임스퀘어 K-POP World Festa 2018년 2월 24일 강릉 대한민국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운동장 울산 썸머 페스티벌 2018년 7월 23일 울산 대한민국 울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3·1운동 100주년 One K 콘서트 2019년 3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 K-POP BIG5 Concert 2019년 5월 4일 뒤셀도르프 독일 수상 내역[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2017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신인상 CJ E&M 아메리카 어워드 Hottest Rookie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AAA 뉴웨이브상 2019 한중경영대상 아시아 라이징 스타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16년 12월 8일 네이버 V앱에서, 클 태(泰) 형통할 형(亨) 이라고 언급했다. ↑ 2016년 12월 18일 두시탈출 컬투쇼 에서 충주시에서 태어났다고, 언급 했다. ↑ 한국 이름 : 김우진, 외국인등록증 이름 : 김진석 ↑ 2016년 12월 6일 네이버 V앱에서, 서울 출신이라고 언급했다. 참조주[편집] ↑ 선미경 (2016년 12월 1일). “DSP, 신인 아티스트 그룹 론칭..K.A.R.D 프로젝트 예고”. OSEN.  ↑ “DSP Media teases two members of KARD”. Allkpop.com.  ↑ “Update: DSP Media Reveals Two More Members Of Co-Ed Group K.A.R.D”. soompi.  ↑ 박수인 (2016년 12월 6일). “V앱' K.A.R.D, 뻘쭘해도 괜찮아 신인이니까(종합)”. 헤럴드pop.  ↑ 정지원 (2016년 12월 6일). “DSP 혼성그룹 KARD, 숨겨진 '히든멤버' 예고 '궁금증↑'”. 엑스포츠 뉴스.  ↑ 이호연 (2016년 12월 6일). “V앱' 소민X지우, 반가운 新혼성그룹 K.A.R.D 등장”. 헤럴드pop.  ↑ 이하나 (2016년 12월 8일). “허영지, DSP 신예 혼성 그룹 K.A.R.D의 첫 번째 히든 멤버 선정”. 서울경제.  ↑ 이호연 (2016년 12월 9일). “[어게인TV]'V앱' 허영지, K.A.R.D 위한 특급 와일드 히든 카드”. 헤럴드pop.  ↑ “혼성그룹 k.a.r.d, 데뷔곡 ‘오나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 ‘공개’”. 매일경제. 2016년 12월 9일.  ↑ 유찬희 (2016년 12월 12일). “‘V앱’ K.A.R.D “각자 역할 달라..색다른 모습 보여줄 것”. 텐아시아.  ↑ 김영록 (2016년 12월 12일). “DSP 혼성그룹 K.A.R.D, 오늘밤 데뷔곡 '오나나' 발표”. 스포츠조선.  ↑ 이지석 (2016년 12월 15일). “'DSP 혼성그룹' 카드, 데뷔곡 '오나나' 해외서 호평”. 스포츠서울.  ↑ 이아영 (2016년 12월 16일). “DSP 혼성그룹 카드, '오나나' MV 공개 3일 만 125만뷰 돌파”. 엑스포츠뉴스.  ↑ 정지원 (2017년 1월 11일). “DSP 혼성그룹 카드, 심상찮은 반응…MV 550만뷰 돌파”. 엑스포츠 뉴스.  ↑ “iTunes Charts Sverige”.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UK”.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France”.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10 Best New K-Pop Groups In 2016”. billboard. 2016년 12월 21일.  ↑ 전원 (2016년 12월 22일). “카드, 빌보드 '2016 K팝 신인그룹 톱10' 선정…데뷔 1주일만에 쾌거”. 마이데일리.  ↑ 최지예 (2017년 1월 20일). “카드, 美 빌보드 선정 2017 주목할 K팝 아티스트 톱5”. 마이데일리.  ↑ 조현주 (2017년 2월 6일). “혼성그룹 카드(K.A.R.D), 2월 컴백 대열 합류”. 텐아시아.  ↑ 신미래 (2017년 2월 28일). “K.A.R.D, `돈 리콜` 숨겨진 트랙 예고”. MBN.  ↑ 박수정 (2017년 2월 22일). “K.A.R.D, '돈 리콜' MV 600만뷰 돌파..방송 활동 없이 막강 파급력”. 헤럴드 pop.  ↑ 김하진 (2017년 2월 25일). “카드(KARD), 잭팟 터졌다..M/V 777만뷰 돌파”. 텐아시아.  ↑ 이다원 (2017년 3월 4일). “K.A.R.D, 데뷔 전부터 무서운 상승세…MV 1000만뷰 돌파”. 스포츠경향.  ↑ 전원 (2017년 4월 21일). “"新대세 예약" 카드, LG G6 글로벌 앰버서더 발탁”. 엑스포츠뉴스.  ↑ 윤기백 (2017년 4월 17일). “KARD, 신곡 '루머' 24일 공개… 데뷔 프로젝트 대미 장식”. 스포츠월드.  ↑ 정지원 (2017년 4월 25일). “KARD, 아이튠즈 차트 13개국 1위…글로벌 인기 입증”. OSEN.  ↑ 유병철 (2017년 5월 1일). “KARD, 마지막 ‘히든’ 전격 공개…화려한 대규모 퍼포먼스 탄생”. 한국경제TV.  ↑ 길혜성 (2017년 5월 4일). “'헉' K.A.R.D 뭐지?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韓유일 톱3”. 스타뉴스.  ↑ 길혜성 (2017년 5월 10일). “K.A.R.D,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2주 연속 '톱3'”. 스타뉴스.  ↑ 유병철 (2017년 5월 10일). “KARD, ‘Don’t Recall’ 유튜브 2000만 뷰 돌파…믿고 듣는 KARD 등극”. 한국경제TV.  ↑ 전효진 (2017년 5월 5일). “KARD, 2017 투어 돌입…글로벌 인기·캐나다 열광”. 스포츠동아.  ↑ 정지원 (2017년 3월 21일). “[단독] KARD, 해외가 먼저 불렀다…미국·캐나다·브라질 투어 확정”. OSEN.  ↑ 이미현 (2017년 4월 22일). “KARD, 6월 17일 멕시코 추가 공연…해외 반응 폭발적”. 일간스포츠.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 윤준필 (2017년 7월 19일). “카드(KARD) "타이틀곡 '올라 올라', 첫 데뷔 인사+높이 올라가자는 포부"”. 텐아시아.  ↑ 길혜성 (2017년 7월 20일). “KARD, 역시 괴물 혼성그룹..18國 메인앨범차트 톱1”. 스타뉴스.  ↑ “KARD, 국내외 32개국 차트 장악…'올라 올라' 뮤비 200만↑”. 스포츠조선. 2017년 7월 20일.  ↑ 김미지 (2017년 7월 22일). “KARD '올라 올라' MV 500만 뷰 돌파…글로벌 인기 입증”. 엑스포츠 뉴스.  ↑ 전형화 (2017년 7월 26일). “KARD,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 등극”. 스타뉴스.  ↑ 정지원 (2017년 8월 31일). “[공식입장] KARD, 유럽+미국+남미 9개국 13개 도시 투어개최”. OSEN.  ↑ 정지원 (2017년 11월 8일). “[공식입장] '컴백' KARD, 타이틀곡은 'You In Me'…21일 발표”. OSEN.  ↑ 이혜랑 (2017년 11월 22일). “KARD, ‘You & Me’ 美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 기염”. 《헤럴드 pop》.  ↑ 이하나 (2017년 11월 27일). “KARD,아시아 5개국 투어 확정…글로벌 명성 입증”. 서울경제.  ↑ “美 FUSE TV “KARD, 2018년 기대되는 팀...세계 팬 사로잡아””. 《스포츠동아》. 2018년 1월 19일.  ↑ 김명미 (2018년 2월 23일). “KARD, 인도네시아 이어 호주 월드투어 추가 개최(공식)”. 《뉴스엔》.  ↑ 박서현 (2018년 6월 30일). “KARD, 7월 25일 세 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확정‥여름 달군다(공식)”. 《헤럴드POP》.  ↑ 김은구 (2018년 7월 12일). “KARD, 'RIDE ON THE WIND'로 25일 컴백”. 《이데일리》.  ↑ 장주영 (2018년 7월 2일). “혼성그룹 카드(KARD), 오는 25일 컴백+내달 19일 첫 단독 콘서트”. 서울경제.  ↑ 윤상근 (2019년 3월 18일). “KARD, 27일 '밤밤' 컴백..2019년 새 도약 첫발(공식)”. 《스타뉴스》.  ↑ 가 나 다 “17.07.30 Hola Hola江南簽名會 後記”. 《Facebook》 (중국어). 2017년 8월 7일에 확인함.  ↑ 손예지 (2017년 3월 7일). “K.A.R.D의 매력? “노래·춤·멤버 다 갖춘 3박자” (인터뷰①)”. 텐아시아.  ↑ [1] ↑ THE BIRTH OF MATTHEW KIM ↑ [2] ↑ 길혜성 (2015년 9월 26일). “'신예' 에이프릴, 데뷔 후 첫 추석...'설레는 고향行'”. 스타뉴스.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3] ↑ [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드 카드 - 공식 웹사이트 카드 - 유튜브 카드 - 트위터 카드 - 인스타그램 카드 - 페이스북 카드 - V LIVE BM - 인스타그램 제이셉 - 인스타그램 전지우 - 인스타그램 전소민 - 인스타그램 vdehK♠RD 제이셉 BM 전소민 전지우 EP한국 HOLA HOLA (2017) You & Me (2017) RIDE ON THE WIND (2018) 싱글한국 Oh NaNa (2016) Don't Recall (2017) RUMOR (2017) Bomb Bomb (2019) 출연 프로그램 시크릿 카드 MEMORY KARD 관련 문서 DSP 미디어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분류 vdehDSP 미디어경영진 이호연 (창립자) 성하묵 (부사장) 최미경 (대표이사) 가수현재 소속 클릭비 에이젝스(도우, 윤영, 승엽, 승진, 중희) 오종혁 에이프릴(윤채경, 김채원, 이나은, 양예나, 레이첼, 이진솔) 카드 (BM, 제이셉, 전소민, 전지우) 과거 소속 잼 CO CO 뮤 IDOL MOUNTAIN 젝스키스(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고지용, 장수원) 핑클(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엄지선 2shai Shyne SS501(김현중, 허영생, 김규종, 박정민, 김형준) A'st1 안선하 퓨리티 카라(김성희, 박규리, 한승연, 구하라, 니콜, 강지영) 에이젝스(성민, 서재형, 문지후) 레인보우(김재경, 고우리, 김지숙, 오승아, 노을, 정윤혜, 조현영) 캐스퍼 최현준 배우현재 소속 조시윤 이현주 과거 소속 김규민 조아라 조명운 류지선 문지후 최배영 송찬익 관련 문서 DSP 미디어의 음반 공식 웹사이트: dspmedia.co.kr 전거 통제 VIAF: 26155103914876200920 ISNI: 0000 0004 6993 8195 뮤직브레인즈: ad4e8332-861d-4a49-8235-b72888714be4 멜론: 12718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드_(음악_그룹)&oldid=24540723" 분류: 카드 (음악 그룹)2017년 데뷔2010년대 음악 그룹2016년 결성된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혼성 음악 그룹다국적 음악 그룹DSP 미디어 소속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드(KARD)는 DSP 미디어 소속으로 2016년 12월 13일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4인조 혼성 아이돌 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DSP미디어가 그룹 '카드'의 공식 채널을 개설한 날짜는 언제야? Assistant: 2016년 12월 1일 Human: 아래 소마젤란_은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소마젤란 은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마젤란 은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원본: NASA/ESA/HST 위치 별자리 큰부리새자리 적경 00h 52m 44.8s[1] 적위 -72° 49′ 43″[1] 물리적 성질 시선 속도 158 ± 4 km/s[1] 거리 19만 7천 ± 1만 광년 (6만 1천 ± 3천 파섹)[2] 형태 SB(s)m pec[1] 규모 크기 5° 20′ × 3° 5′[1] 광학적 성질 겉보기등급 +2.7[1] 기타 성질 명칭 SMC,[1] NGC 292,[1] PGC 3085,[1] Nubecula Minor[1]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 메시에 천체 목록NGC 천체 목록 소마젤란 은하(NGC 292)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1억 개의 별이 있다. [3][4] 약자로 SMC(영어: Small Magellanic Cloud)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2.7 등급으로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2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일부 학자들은 소마젤란 은하가 한때 막대나선 은하였으나,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은하는 아직 중심에 막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목차 1 관측 역사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관측 역사[편집] 이 은하는 남반구에 위치하며, 첫 관측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천문학자 알 바크와 알 수피는 두 개의 마젤란 은하를 발견하였고, 이 두 은하는 대항해 시대때의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였다. 포르투갈인이 희망봉에서 관측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리고 마젤란이 1519년 ~ 1522년간 관측을 하였으며, 처음 관측할 때에는 이 은하를 성단으로 보았다.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의 1603년 천문지도 우라노메트리아에 있다.[5][6][7] 1834년에서 1838년, 요한 프레더릭 윌리엄 허셜이 해발 20푸트(6.1미터)의 희망봉 중턱에서 관측하였다. 이 은하는 총 37개의 성단과 성운이 있다. 1891년, 하버드 대학의 천문 관측소에서 24인치 (610 밀리미터-61 센티미터)크기의 반사 망원경을 사용하여 소마젤란 은하를 관측하였다. 한 천문학자는 소마젤란 은하를 관측할 때 이 은하가 별을 생성하는 은하임을 알아내었다. 1908년, 소마젤란 은하에서 변광성을 가진 성단이 발견되었고, 이 변광성은 세페이드 변광성이었다. 이 변광성의 주기를 이용하여 소마젤란 은하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외부 은하 중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가진 은하로서는 가장 가까운 은하이다. 이 때 관측된 거리는 10,000 파섹(30,000 광년), 즉 태양~소마젤란 은하의 거리였다. 그 당시 관측 기술로는 가장 정확한 값이었으나, 지금은 더 나은 관측 기술이 개발되어 이 값은 아무 의미가 없게 되었다.[8] 같이 보기[편집] 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에 위치한 성단/성운 NGC 265 NGC 290 NGC 346 NGC 347 NGC 602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2006년 12월 1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내용=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ilditch, R. W.; Howarth, I. D.; Harries, T. J. (2005). “Forty eclipsing binarie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fundamental parameters and Cloud distanc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57 (1): 304–324. doi:10.1111/j.1365-2966.2005.08653.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Robert, Nemiroff; Bonnell, Jerry (2006년 6월 17일). “APOD: 2005 June 17 - The Small Cloud of Magellan”. NASA. 2008년 7월 7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APOD: 2005 June 17 - The Small Cloud of Magellan ↑ Bengt E., Westerlund (1997). 《The Magellanic Clou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80701.  ↑ Stephen James, O'Meara (2002). 《The Caldwell Obj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27965.  ↑ Charlton Thomas, Lewis; Kingery, Hugh Macmaster (1918).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American Book Company.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taff. “Small magellanic Cloud”. NASA/IPAC. 2008년 7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NASA Extragalactic Database entry on the SMC (영어) SEDS entry on the SMC (영어) SMC at ESA/Hubble vdeh신판일반목록 7840개 천체 NGC 268 – NGC 269 – NGC 270 – NGC 271 – NGC 272 – NGC 273 – NGC 274 – NGC 275 – NGC 276 – NGC 277 – NGC 278 – NGC 279 – NGC 280 – NGC 281 – NGC 282 – NGC 283 – NGC 284 – NGC 285 – NGC 286 – NGC 287 – NGC 288 – NGC 289 – NGC 290 – NGC 291 – NGC 292 – NGC 293 – NGC 294 – NGC 295 – NGC 296 – NGC 297 – NGC 298 – NGC 299 – NGC 300 – NGC 301 – NGC 302 – NGC 303 – NGC 304 – NGC 305 – NGC 306 – NGC 307 – NGC 308 – NGC 309 – NGC 310 – NGC 311 – NGC 312 – NGC 313 – NGC 314 – NGC 315 – NGC 316 – NGC 317 vdeh우리은하위치 우주 → 관측 가능한 우주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 국부은하군 → 은하수 준은하군 → 우리은하 은하핵 우리은하의 중심 → 태양계 → 지구 나선팔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방패자리-남십자자리 팔 직각자자리-백조자리 팔 페르세우스자리 팔 오리온자리 팔 3킬로파섹 팔 위성 은하왜소은하 목동자리 사냥개자리 큰개자리 용골자리 용자리 화로자리 사자자리 I 사자자리 II 봉황자리 궁수자리 물병자리 조각가자리 큰곰자리 I 큰곰자리 II 작은곰자리 기타 은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NGC 6822 불꽃놀이 은하 전거 통제 VIAF: 233741604 GND: 416411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마젤란_은하&oldid=24118645" 분류: 소마젤란 은하국부은하군불규칙은하NGC 천체큰부리새자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1: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소마젤란 은하(NGC 292)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1억 개의 별이 있다.약자로 SMC(영어: Small Magellanic Cloud)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2.7 등급으로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2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일부 학자들은 소마젤란 은하가 한때 막대나선 은하였으나,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은하는 아직 중심에 막대 구조를 가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마젤란 은하를 처음 관측한 나라는 어디야? Assistant: 오스트레일리아
Human: 아래 수나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나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나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암나사와 수나사 수나사(male thread) 또는 볼트(bolt)는 바깥쪽에 나사선이 새겨진 나사이다. 대개 원기둥 또는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 숫놈 나사의 어원에서 숫나사로 불렸다. 목차 1 볼트 접합 2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 3 볼트 종류와 등급 4 볼트 구멍 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 5.1 설계미끄럼강도 5.2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5.3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5.4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 6 각주 7 참고문헌 볼트 접합[원본 편집]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1] 볼트 배치 유형볼트의 불규칙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볼트의 정렬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플랜지 부분은 불규칙 배치로 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1]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원본 편집] 두 부재가 양쪽으로 인장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를 사용하여 인장 접합하고 있다 볼트 접합은 전단 접합,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으며, 지압 파괴도 있다.[2] 볼트 종류와 등급[원본 편집]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을 정한다. 예를 들어 F10T(M20)과 같이 표기한다.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3]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4] 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을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5] 볼트 등급 볼트 호칭 공칭 단면적(mm²) 설계볼트장력 T0(kN) F8T M16 201 84 M20 314 132 M22 380 160 M24 453 190 F10T M16 201 106 M20 314 165 M22 380 200 M24 453 237 F13T M16 201 137 M20 314 214 M22 380 259 M24 453 308 볼트 구멍[원본 편집] 고장력 볼트의 구경과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 치수가 정해진다. 단위는 mm이다. 표준구멍에 대하여, M16, M20, M22 볼트는 구멍 크기를 2mm 더 크게 해주고, M24, M27, M30 볼트는 구멍 크기를 3mm 더 크게 해 준다.[6][7][8] 고장력볼트 호칭 표준 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 M16 18 20 18X22 18X40 M20 22 24 22X26 22X50 M22 24 28 24X30 24X55 M24 27 30 27X32 27X60 M27 30 35 30X37 30X67 M30 33 38 33X40 33X7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원본 편집] 1개의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강도는 접합의 종류가 마찰접합인지, 지압접합인지 등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계미끄럼강도,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9] 설계미끄럼강도[원본 편집] 설계미끄럼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10] ϕ = { 1.0 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85 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75 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 {\displaystyle \phi ={\begin{cases}1.0&{\text{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85&{\text{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75&{\text{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end{cases}}} R n = μ h f T 0 N s {\displaystyle R_{n}=\mu h_{f}T_{0}N_{s}} μ {\displaystyle \mu }  : 미끄럼계수(페인트칠하지 않은 블라스트 청소된 마찰면은 0.5) h f {\displaystyle h_{f}}  : 필러계수 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한 경우 또는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한개의 필러가 있는 경우 1.0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2개 이상의 필러가 있는 경우 0.85 T 0 {\displaystyle T_{0}}  : 설계볼트장력(kN) N s {\displaystyle N_{s}}  : 전단면의 수(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만 적용) 만약 마찰접합에서 인장력을 받아 고장력볼트의 장력이 감소할 경우, 위에서 계산한 설계미끄럼강도에 k s = 1 − T u T 0 N b {\displaystyle k_{s}=1-{\frac {T_{u}}{T_{0}N_{b}}}} 를 곱하여 강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기서 Nb는 인장력을 받는 고장력볼트 수, Tu는 소요인장강도(kN)이다.[11]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원본 편집] Fu는 계수하중이라고 할 때,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0]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A b N s {\displaystyle R_{n}=F_{n}A_{b}N_{s}} F n = { F n t = 0.75 F u ( N / m m 2 ) (공 칭 인 장 강 도 ) F n v = 0.5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 F n v = 0.4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 {\displaystyle F_{n}={\begin{cases}F_{nt}=0.75F_{u}(N/mm^{2})&{\text{(공 칭 인 장 강 도 )}}\\F_{nv}=0.5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F_{nv}=0.4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end{cases}}} A b {\displaystyle A_{b}}  : 고장력볼트의 공칭단면적(mm2)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원본 편집] 강도한계상태의 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볼트구멍이 지압 상태가 되는 경우, 고장력볼트 구멍에 대한 지압강도를 검토해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개정에 따라 마찰접합에서도 지압접합 관련 강도를 검토하게 되었다. 여기서 d는 고장력볼트의 공칭직경(mm), Fu는 피접합재의 공칭인장강도(N/mm²), Lc는 하중 작용 방향 볼트구멍 사이 순간격(mm), 그리고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 끝까지의 거리(mm), 즉 두 경우의 Lc 모두에 대해 검토해준다.[12] t는 피접합재의 두께(mm)를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 고장력 볼트 구멍 하나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13] 구멍이 여러개인 경우 Lc에 의해 구분된 구멍 하나당 설계지압강도에 해당 구멍의 개수를 곱하여 더해서 최종적으로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를 구한다.[14] 표준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의 모든 방향에 대한 지압력 또는 장슬롯 구멍이 지압력 방향에 평행인 경우 1.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될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2 L c t F u ( ≤ 2.4 d t F u ) {\displaystyle R_{n}=1.2L_{c}tF_{u}(\leq 2.4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2.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5 L c t F u ( ≤ 3.0 d t F u ) {\displaystyle R_{n}=1.5L_{c}tF_{u}(\leq 3.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장슬롯 구멍에 구멍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지압력을 받을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0 L c t F u ( ≤ 2.0 d t F u ) {\displaystyle R_{n}=1.0L_{c}tF_{u}(\leq 2.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원본 편집] F n t ′ {\displaystyle F_{nt}'} 을 전단력을 고려한 공칭인장강도(N/mm²), F n t , F n v {\displaystyle F_{nt},F_{nv}} 를 공칭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N/mm²), f v {\displaystyle f_{v}} 를 소요전단응력(N/mm²)이라고 한다면,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의 설계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1]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t ′ A b {\displaystyle R_{n}=F_{nt}'A_{b}} F n t ′ = 1.3 F n t − F n t 0.75 F n v f v ≤ F n t {\displaystyle F_{nt}'=1.3F_{nt}-{\frac {F_{nt}}{0.75F_{nv}}}f_{v}\leq F_{nt}} 각주[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수나사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5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58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0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쪽. ↑ 건축구조기준 일부개정안(KS 반영), 353쪽 ↑ 산업표준심의회, (2010년 개정)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지름(KS B ISO 273) 3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68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3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5쪽. ↑ 가 나 다 라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4-65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8쪽. 참고문헌[원본 편집] 한국강구조학회 (2017). 《강구조설계》. 구미서관. ISBN 978-89-8225-13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나사&oldid=24469198" 분류: 잠금장치나사구조공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КыргызчаМонголNederlandsNorsk nynorskOccitanPolsk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나사(male thread) 또는 볼트(bolt)는 바깥쪽에 나사선이 새겨진 나사이다. 대개 원기둥 또는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 숫놈 나사의 어원에서 숫나사로 불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볼트 접합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Assistant: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1] Human: 아래 한강의_기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강의 기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강의 기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0년부터 2007년 사이 국내총생산 그래프. 반세기만에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 1조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강의 야경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걸친 서독의 경제적 발전을 이르는 말인 라인 강의 기적에서 유래한 말이다. 목차 1 한국경제 성장 개괄 2 다시 북한을 추월 3 경부고속국도의 등장 4 포항제철소 건립 5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 6 결과 7 각주 8 같이 보기 한국경제 성장 개괄[편집]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 명예교수가 중앙선데이에 대한 답신에서 "박정희 시기는 평균 성장률 8.5%의 고도성장시대였으나, 경제 성장만 놓고 보더라도 폭과 깊이가 널뛰기했던 불확실하고 아슬아슬한 시기였으며, 외환보유액이 언제든지 바닥날 수 있는 불안한 나라였다[1]"고 지적하였듯, 5.16부터 1979년까지 한국은 여러 차례 외환위기와 부도위기를 겪었고, 마이너스 성장만해도 1963년과 1964년의 2분기, 1961년, 1962년, 1965년, 1966년, 1979년의 각각 3분기, 1970년과 1978년 1분기, 1967년과 1968년의 4분기 등 1961~1979 박정희 집권 74분기 중 14분기(19%)에 이르렀으며[2], 매년 두자릿수 심지어 두차례의 2차 오일쇼크후로는 20%에 육박하는 물가인상을 겪어 일본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일수교 및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노동집약 중공업의 중동 진출 등으로써 이를 상쇄하는 한편, 5.16 이전인 1960년도 74개의 개도국에서 사회,문화 복합지표로 15위를 차지[3]하는 등 양질의 인적자원이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밀집되고 국토또한 대부분이 과포화된 상태로 개발이 이루어진 덕분에 꾸준히 내수가 발달하고 이것이 특히 50년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한국 경제성장에, 60년대후반~70년대 전반 음식료품을 제외한 경공업과 기계공업을 빼면, 수출보다 많은 기여를 함으로써[4]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처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으며 기미야 다다시를 비롯한 이시기의 전문가들은 시멘트, 비료, 자동차, 가전, 철강 등에대한 수입대체전략과 면방직, 노동집약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주도전략의 복선형 발전이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다시 북한을 추월[편집] 북한은 1953년 이후 중화학공업 중심의 계획경제를 추진하여 1960년까지 연평균 20%의 경제성장을 기록함으로써 1957년부터 10여년간 일시적으로 대한민국 1인당 국내 총생산을 추월하게 되나, 장면내각에서 내놓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박정희 정권에서 보완해가며 경공업 중심으로 수출을 늘려온 대한민국에게 1969년 혹은 1970년대 중반부터 다시 따라잡히고 비로소 남한이 1980년대 중공업을 축소(산업합리화)함으로써 북한을 크게 따돌리기 시작하여 오늘날 그 격차가 수십배에 이르게 되었다.[5] 전후 북한은 소련의 무상 지원 13억 루블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고[6] 한국은 UN, 미국, 일본에서 수십억 달러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7]반짝 성장보다는 안정을 꾀해 긴축을 펼쳤던 남에 비해 북한이 중공업 투자를 활발히 하였고, 또한 북한의 인구규모가 남한에 열세였을 뿐더러 1인당 원조액이 높아서 한동안 북이 남을 앞서갔던 것으로 보인다. 경부고속국도의 등장[편집] 1950년대 중반에 도로기술 공무원들이 미국의 도로 및 도로공사를 연수 시찰하면서 정부는 아우토반같은 고속도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필요성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여 1960년 국토건설본부가 설립, 장면내각에서 국토개발사업이 실시되며, 5.16 쿠데타 이후 국토계획기본구상(1963년 7월), 국토건설종합계획법(1963년 10월 14일)으로 인해 국토종합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8] 한편,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해 수송난이 심각해졌으나 박정희 군부와 3공화국 박정부는 구일본식의 철도 중심의 개발을 하는 바람에 고속도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2차경제개발계획의 철도예산이 도로예산의 3.5배인 점,[9] 철도보다 고속국도가 훨씬 미래성 있다는 점[10] 등의 비판을 거치며 1967년, 토계획기본구상이 수정 보완되어 대국토건설계획서(안)이 되었고, 이에 고속도로 10개년계획(1970)(고속도로, 문화공보부) 등 여러 고속국도 계획서로써 서울-인천 간 6차선 그리고 서울-수원간 4차선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포함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이 최초로 정부 문서에 명문화되기에 이르러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가 우선순위 싸움을 거치며 세워지게 된다. 포항제철소 건립[편집] 박정희, 김종필, 유원식 등을 위시한 5.16 주체세력은 자립경제를 역설하며 종합제철소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삼화제철을 비롯한 실업계 기반과 부정축재와 화폐개혁 조치를 통해 울산에 종합제철공장을 건립하려 하려 하나 경제적 이유로 미국등으로부터의 반발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런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당의 양순직의원, 야당의 김대중의원 등 국내 여야에서도 종합제철소의 건립 목소리에 어느정도 힘을 실어주었으나[11], 채산성이 맞지않는 다는 이유로 결국 박정희 정부는 밀어붙이지 못하고 연기하기로 한다. 그러다가 한일 기본 조약을 맺은 이후, 무상금 3억 달러와 유상금 2억 달러, 민간 차관 3억 달러 이상(당시의 한국의 국가 예산은 3억 5천만 달러 정도)에 기반한 일본의 전폭적인 지지덕분에 1970년부터 포스코 공장을 밀어부치기 시작했고 10년이상 발전설비를 계속 늘림으로써 채산성을 달성하게 된다.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편집] 5.16 군사정변 후 국가재건 최고회의는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을 통합하는 한편, 이자의 8%p를 국고로 보조해주는 등 고리채를 탕감해주는 등 포퓰리즘을 실현하였고, 한편 정부수매, 담보융자, 국고보조 등을 확대하여 농산물 수출을 장려하는 한편 농업 용수원 개발사업, 낙농 투자 등에 해외차관을 들여와 중농정책을 펼쳤으나 공산품 수출과 달리 계획치를 달성하는데는 실패하여 장면내각의 노선에 역점을 둠으로써 중농정책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1967년까지 농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과반으로서 꾸준히 늘어나는 등 7대 대선까지 선거의 핵심 축이었음에는 변함없었고, 박정희 정부는 많은 자원을 농촌과 농업에 투자하여 농업구조를 혁신하려 하였다. 비록 성과를 거두진 못했으나 농업 부흥 농업구조정책심의위를 설치하고 협업농장이 운영되었었고, 중단되기는 했으나 자립안전농가 조정사업도 시도되었다. 특히 6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는 박정희의 주도아래 적극적인 농업육성책에 돌입하여 그 일환으로 4대강 유역 종합개발, 통일벼 보급, 복합영농화, 새마을운동 등을 실시하였고 중화학공업을 천명하던 1973년 1월에도 "우리가 고도 성장을 계속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화학 공업을 앞으로 중점적으로 육성발전시켜 나가야 하겠고, 수출 산업을 더욱 확충해서 수출의 지속적인 신장을 기해야 하겠고, 농,수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서 농.공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정부는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 물론, 우리가 농어촌에도 중점 개발을 해야 되겠고 딴 일도 해야 되겠지만, 결국은 농어촌을 중점 개방하자면 수출을 해서 외화를 많이 벌어 정부가 그 만큼 부자가 되어야만 농촌에 많이 투자를 할 수 있읍니다. 그래서, 우리는 80년대의 수출 목표를 약 100억 달러까지 올려보자. (...) 그 밖에 우리 농어촌에도 새마을 운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농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게 하여, 우리 농촌도 도시 못지 않게 살기 좋은 농촌으로 만들어 보자는 것입니다. 또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지금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유역 개발을 촉진하고 기타 중요 하천도 개발해야 하겠으며, 항만 개발, 도로망 확장, 고속도로, 고속화 도로, 기존 국도의 포장, 이런 것을 빨리 서둘러야 하겠고, 전 국토의 녹화를 위해서 앞으로 10개년 계획을 수입해 가지고, 80년대 초에 가서는 우리 나라가 완전히 푸른 강산이 되어야 되겠읍니다." 라며 농촌 개발과 농업 진흥을 위한 수출증대는 그의 연설에서 빠지지 않았다. 그러나, 새마을 공장, 농업구조개혁이 실패하고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1977년 연설과 달리 1977년 전후로 농업육성책은 차츰 밀려나고 급속한 지역격차 확대를 수반한 공업화가 실시되나[12][13][14], 1970년대 후반 농업이 GDP의 30~20%를 차지하고 그이전에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민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인들에게 돌아간 혜택으로만 봤을때 그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편집]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주민등록증 발급, 포항제철소 건립, 현대조선(현재, 현대중공업)의 추진, 강남 지역 개발,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등 여러 개발이 이때 이루어졌다. 각주[편집] ↑ ,http://www.eai.or.kr/type/panelView.asp?category=&searchkey=&searchopt=&code=kor_eaiinmedia&catcode=&idx=9858&bytag=n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102Y055&conn_path=I2 ↑ Irma Adelman and Cynthia Morris,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m, Baltimore: The Jo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7 ↑ 김광석, 홍성덕, 한국개발연구 1990 12권 1호 ↑ 통계청, 통계로 본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P.304 ↑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접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 2001년, p707~714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999S&tblId=DT_999S_286062&conn_path=I2 ↑ http://theme.archives.go.kr/next/gyeongbu/makePlan01.do ↑ 경향신문 1966년 6월 10일 2면 중앙 ↑ 경향신문 1966년 6월 20일 ↑ 경향신문 1964년 2월 25일 ↑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 출처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0집 1월편 1월 12일,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 1월편 1977년 연두 기자회견. ↑ 경향신문 1965년 12월 25일 4면, 매일신문 1966년 10월 1일 1면 등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경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강의_기적&oldid=24192066" 분류: 20세기 대한민국대한민국의 경제사한국 전쟁의 여파경제 부흥박정희베트남 전쟁의 여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हिन्दी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195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걸친 서독의 경제적 발전을 이르는 말인 라인 강의 기적에서 유래한 말을 빗대서 생겨난 말이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고속도로 10개년 계획이 설립된 것은 몇 년도였습니까? Assistant: 1970
Human: 아래 산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산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들Sandeul 기본 정보본명 이정환(李征桓)출생 1992년 3월 20일(1992-03-20) (27세)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직업 가수, 방송인, 뮤지컬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11년 4월 23일 ~ 현재 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소속사 WM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B1A4웹사이트 WM 엔터테인먼트 산들산들 - 트위터산들 - 인스타그램 산들(본명: 이정환, 한자: 李征桓, 1992년 3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B1A4의 메인보컬이다. 목차 1 학력 2 생애 2.1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 2.2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 2.3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 2.4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 3 음반 3.1 참여 음반 4 참여 음반 5 음반 외 활동 5.1 방송 출연 5.2 불후의 명곡 5.3 드라마 5.4 뮤지컬 5.5 진행 5.5.1 라디오 DJ 5.5.2 스페셜 MC 5.6 광고 5.7 그 외 6 경력 6.1 데뷔 전 6.2 데뷔 후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신남초등학교 (졸업) 하남중학교 (졸업) 동아고등학교 (졸업)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재학) 생애[편집]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편집] 1992년 3월 20일, 부산직할시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1남 1녀 중 막내 이정환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현재는 고인이 된 이모와 함께 노래를 들으며 처음으로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됐다.[1] 신남초등학교와 하남중학교를 차례로 졸업하고 동아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학창 시절 친구들과 함께 여러 가요제에 참여하다가 소속사의 캐스팅 제의를 받고 연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연습생 생활 중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에서 대상을 거둔 바가 있다.[2] 2011년4월 23일 MBC 쇼! 음악중심에서 B1A4 미니 1집 Let's Fly의 타이틀곡 "O.K" 무대를 서 산들이라는 예명으로 정식 데뷔를 했다.[3]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B1A4입니다. 2012년, 광화문에서 무대중인 산들 2011년, B1A4의 구성원 산들로 데뷔한 후, 바로와 함께 세바퀴 출연한 후 새싹춤으로 화제가 된 바도 있으며 MBC 《아이돌 스타 육상 수영 선수권 대회》에 출연해 높이뛰기 부문에서 은메달을 따내 활약을 하기도 했다. 또 2012년 여름에는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의 주연 '이주봉' 역에 캐스팅되어 첫 뮤지컬 작을 소화해냈다. 2012년 말, 바로, 신우와 함께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고정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이용 편에서는 홀로 '잊혀진 계절'을 불러 스윗 소로우를 누르고 1승을 거두기도 했으며,[4] 김범룡 편에서는 바로와 함께 '남자답게 사는 법'을 불러 우승을 차지하였다.[5] 2013년 하반기, 드라마 《천 번째 남자》를 원작으로 한 한일합작 뮤지컬 《천 번째 남자》의 남주인공 '김응석' 역에 캐스팅되어 상대역 '구미진'과의 호흡을 맞춰 두 번째 뮤지컬 작품을 안정적으로 연기해냈다. 또 2013년 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임재범 편에서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로 우승을 거두며 다시 고정으로 출연하기 시작했다.[6][7]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편집] 2014년 3월, 3년의 대학 입시 도전 끝에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에 끝내 14학번으로 수시 전형 입학했다.[8] 배우 박보검 또한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14학번으로 입학해 서로 대학 동기가 되었다.[9] 5월부터 6월까지 MBC 7인의 식객 중국 편에 서경석, 김유정 등과 함께 고정 출연했다. 2014년, 뮤지컬 《올슉업》의 주인공 '엘비스' 역에 손호영, 김동준, 유권과 함께 캐스팅됐다. 산들은 무대를 25번 서 이들 중 손호영 다음으로 가장 많은 무대를 섰다. 11월 말부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서울 공연을 시작했다. 특유의 능글거리며 느끼한 엘비스를 이질감 없이 연기하며 발음과 노래 실력 또한 기존의 뮤지컬 배우들에 비해 떨어지지 않은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며 호연을 펼쳤다.[10][11] 2월 1일을 끝으로 서울 공연을 끝마쳤으며,[12] 2월 8일 대구 오페라하우스에 공연을 오르면서 '엘비스'로서의 마지막 무대를 가졌다.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편집] 2015년 4월 5일 부터 12일까지 《일밤-복면가왕》에 복면을 쓰고 '꽃피는 오골계'라는 닉네임으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2라운드에서 닉네임 '앙칼진 백고양이'의 아이비와 겨루며 불렀던 IZi의 〈응급실〉은 대중들에게 그의 이름을 각인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3] 산들이 부른 "응급실"은 복면가왕 Special 음반에 마지막 트랙에 수록되어 수록곡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세우기도 했다.[14] 나중에는 본인의 창법대로가 아닌 기교를 섞어 멋부린 보컬로 노래를 불렀다고 밝혔다.[15] 3회부터 38회까지 연예인 판정단으로 출연했다. '새침데기 불여시'의 정체 걸스데이의 소진이나 '킬리만자로의 표범'의 정체 나윤권, '잘 터져요 와이파이'의 정체 비투비의 이창섭 등을 맞춰내기도 했다.[16][17][18] 7월 26일자 복면가왕 17회 방영분 오프닝에서 김연우와 함께 토이의 노래 〈여전히 아름다운지〉로 호흡을 맞추기도 하였다.[19] 11월 6일 복면가왕에서 큐피트로서 '겨울편지'를 불렀다.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에 출연해 서유석의 '뚝 잘라 말해'를 신나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389표를 받아 두 번째 순서치고 높은 점수를 받아 노을과 럼블피쉬를 제치고 2승을 차지했다.[20] 그리고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특집 편에 출연하여 변진섭의 '그대 내게 다시'를 마음을 촉촉히 적시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첫번째 순서 였음에도 388표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장혁과 정준영 그리고 김선경을 제치고 3승을 거두었다.[21] 현재는 네이버 TV에서 공개되는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에 '박민수' 역에 캐스팅되어 처음으로 정통 연기를 소화해냈다.[22] 또 2015년 하반기에는 뮤지컬 《신데렐라》의 왕자 크리스토퍼 역에 캐스팅되어 뮤지컬 배우들과 호흡을 가지고 있다.[23] 12월 29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진과 함께 2015 《MBC 방송연예대상》에 참석해 남자 신인상 부문의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동프로그램의 판정단인 김형석이 남자 신인상을 타가며 노미네이트되었다. 12월 30일, KBS 2TV 《KBS 가요대축제》에서 가수 황치열과 함께 이미키의 〈먼지가 되어〉를 듀엣으로 연말 무대를 장식한 바가 있다.[24] 음반[편집] B1A4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앨범 정보 트랙리스트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발매일 : 2014년 4월 8일 배급사 : (주)KT뮤직 아파서 아파서 (Inst.) 구르미 그린 달빛 OST Part 2 발매일 : 2016년 8월 30일 배급사 : 벅스 마음을 삼킨다 마음을 삼킨다 (Inst.) 그렇게 있어줘 발매일: 2016년 10월 4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그렇게 있어줘 집 나의 어릴적 이야기 야! 같이 걷는 길 내성적인 보스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2월 7일 배급사 : CJ E&M 한 걸음만 더 한 걸음만 더 (Inst.) 오빠 발매일: 2017년 7월 6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오빠 (Prod. Brother Su)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8월 23일 배급사 : 뮤직앤뉴 말해줘 말해줘 (Inst.) 나쁜 녀석들 : 악의 도시 OST Part.3 발매일 : 2018년 1월 7일 배급사 : CJ E&M Other World Other World (Inst.) Here I am 발매일 : 2018년 8월 28일 배급사 : 로엔엔터테인먼트 러블리 호러블리 ost part.2(KBS2월화드라마) Here I am Here I am (inst.)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 출연[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기간 동반 출연 비고 2014년 Mnet 엠카운트다운 7월 17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MUSIC B1A4의 어느 멋진 날 7월 21일 ~ 9월 8일 B1A4 리얼리티 KBS 2TV 우리동네 예체능 8월 5일 MBC MUSIC 피크닉 라이브 소풍 8월 7일 ~ 8월 14일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 8월 9일 유희열의 스케치북 세 번째 출연 글로벌 리퀘스트 쇼 어송포유 8월 10일 출발드림팀 시즌 2 신우 드림팀 VS 비보이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산들 몰래카메라 MBC every1 주간 아이돌 8월 13일 주간 아이돌 여섯 번째 출연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8일 140805 수원 사운드웨이브 팬싸인회 취재 MBC 세바퀴 8월 23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카라, 씨스타 아이돌 VS 박사 퀴즈 배틀 SBS SBS 가요대전 12월 2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SOLO DAY, 눈이 오면[25] 무대 KBS 2TV KBS 가요대축제 12월 26일 Lonely, SOLO DAY, 틈[26][27] 무대 MBC MBC 가요대제전 12월 31일 Lonely, SOLO DAY 무대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1일 신우, 바로, 공찬 스마트 가족사랑 캠페인 플래시몹 설특집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월 18일 설특집 아이돌스타 육상 농구 풋살 양궁 선수권대회 2월 19일 ~ 2월 20일 신우, 바로, 공찬 높이뛰기 남자 부문 본선 진출 KBS 2TV 설특집 왕좌의 게임 2월 20일 공찬 tvN 리틀빅 히어로 3월 9일 신우, 바로, 공찬 KBS 2TV 출발드림팀 시즌 2 3월 22일 육성재, 다혜, 허영지 연탄배달 특집 뮤비뱅크 스타더스트 3월 26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복면가왕 4월 5일 ~ 12월 20일 1-2회 '꽃피는 오골계' 참가 후 연예인 판정단 합류 JTBC 엄마가 보고있다 5월 9일 콘서트로 불참한 씨엔블루의 강민혁을 대신해 스페셜 MC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5월 19일 , 6월 2일 김필, 이혁, 손준호, 진태현, 김영희 Mnet 4가지쇼 5월 26일 바로, 가희, 알리, 공찬 SBS 2015 드림콘서트 5월 30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세바퀴 6월 5일 서인영, 박정아, 이지현, 박현빈 SBS 잘먹고 잘사는 법 6월 21일 바로, 공찬 6월 28일 공찬 창업스타 7월 3일 ~ 7월 31일 서경석, 전현무, 허영지, 줄리안 퀸타르트 등 KBS 2TV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8월 10일 공승연, 진영, 공찬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3월 4일 ~ 4월 1일 통가 편 MBC 듀엣가요제 4월 29일 ~ 5월 6일 불후의 명곡[편집] 연도 특집 선곡 방영 일자 순서 결과 동참 가수 각주 2012년 송대관 편 송대관 - 〈차표 한 장〉 10월 13일 6번 1패 신우, 바로 [28] 전국노래자랑 편 박상철 - 〈무조건〉 11월 3일 4번 1패 [29] 하춘화 편 하춘화 - 〈아리랑 목동〉 11월 10일 2번 1승 1패 / 322점 [30] 이용 편 이용 - 〈잊혀진 계절〉 11월 17일 5번 1승 1패 / 401점 - [31] 배호 2편 배호 - 〈비 내리는 명동〉 12월 1일 8번 1패 진영, 바로 [32] 김범룡 편 김영배 - 〈남자답게 사는 법〉 12월 8일 6번 1승 / 405점 (우승) 바로 [33] 겨울특집 편 터보 - 〈White Love〉 12월 15일 1번 1패 바로, 김유정 [34] 2013년 해바라기 1편 해바라기 - 〈나는 그대 품안에〉 4월 6일 2번 1패 - [35] 설운도 1편 설운도 - 〈누이〉 6월 29일 4번 1패 신우, 바로 [36] DJ DOC 편 DJ DOC - 〈DOC와 함께 춤을〉 7월 13일 2번 2승 1패 / 371점 진영, 신우 [37] 임재범 편 시나위 -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 10월 26일 7번 1승 / 421점 (우승) - [38][39] 신승훈 편 신승훈 - 〈내 방식대로의 사랑〉 11월 2일 6번 1패 [40] 김정수&김국환 편 김국환 - 〈꽃순이를 아시나요〉 11월 9일 1번 1승 1패 / 347점 [41] 가을남자 특집 편 신중현 - 〈빗속의 여인〉 11월 16일 5번 1승 1패 / 422점 최민수 [42] 박상민 편 박상민 - 〈하나의 사랑〉 11월 30일 2번 1패 - [43] 윤상 편 황치훈 - 〈추억속의 그대〉 12월 21일 4번 1패 [44] 2014년 이미자 1편 이미자 - 〈안 오실까봐〉 3월 15일 3번 1패 신우 [45] 2015년 왕중왕전 쇼쇼쇼 1편 김상희 -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3월 7일 2번 1패 - [46] 서유석 편 서유석 - 〈뚝 잘라 말해〉 4월 25일 2번 2승 1패 / 389점 [47] 리메이크 명곡 1편 변진섭 - 〈그대 내게 다시〉 6월 13일 1번 3승 1패 / 388점 [48] 2016년 하광훈 편 장혜리 -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4월 2일 1번 3승 1패 / 398점 - [49]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드라마 배역 출연 횟수 비고 2015년 TV조선 로스:타임:라이프 박민수 4회 첫 드라마 / 웹드라마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배역 기간 장소 비고 2012년 형제는 용감했다 이주봉 7월 13일 ~ 9월 26일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첫 뮤지컬[50][51] 2013년 천 번째 남자 김응석 9월 28일 ~ 10월 10일 아이아 시어터 도쿄 한일 합작 뮤지컬[52] 2014년 올슉업 엘비스 11월 29일 ~ 2월 8일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53][54] 2015년 신데렐라 크리스토퍼 9월 12일 ~ 11월 8일 충무아트홀 [23][55] 2016년 삼총사 달타냥 4월 2일 ~ 6월 26일 디큐브아트센터 [56] 2017년 서른즈음에 젊은현식 10월 20일 ~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 2018년 아이언 마스크 루이 14세 / 필립 (예정) 9월 13일 ~ 11월 18일 광림아트센터 BBCH홀 진행[편집] 라디오 DJ[편집] MBC 표준FM 《산들의 별이 빛나는 밤에 》 (2018년 7월 9일 ~ 현재) 스페셜 MC[편집] Mnet 《엠카운트다운》 (2012년 12월 13일) MBC 《쇼! 음악중심》 (2013년 2월 9일 ~ 2013년 2월 23일) Mnet 《엠카운트다운 비긴즈》[57] (2014년 7월 17일) JTBC 《엄마가 보고있다》 (2015년 5월 9일) MBC 《쇼! 음악중심》 (2015년 8월 8일) 광고[편집] B1A4로 찍은 광고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 및 전속 모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 외[편집] 하하&타우 〈내 품이 좋다던 사람〉 하동균 대타 피쳐링[58] 제 6대 걸스카우트 홍보대사 주현미 〈동행〉 가이드 보컬 롯데호텔 부산 홍보대사 김연우 콘서트 《戀雨 속 연우》 VCR 스페셜 게스트 경력[편집] 데뷔 전[편집]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2회 대청가요제 1위 제3회 대청가요제 1위 대구 예술대 전국청소년 실용음악콩쿨 장려상 제4회 대청가요제 2위 함양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송정 바다축제 가요제 대상 밀리오레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제12회 드림시티 성동 서울숲가요제 2차 예선 진출 제15회 전국 청소년 댄스 가요대회 최우수상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11회 부산 학생가요제 금상 전국 함양가요제 장려상 포항 가요제 금상 춘장대 전국 뮤직페스타 2년 연속 대상 수상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진출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대상 데뷔 후[편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74회 하춘화 편 1승 (322/500표) 75회 이용 편 1승 (401/500표) 78회 김범룡 편 우승 (405/500표) 109회 DJ DOC 편 2승 (371/500표) 124회 임재범 Vol.2 편 우승 (421/500표) 126회 김정수&김국환 편 1승 (347/500표) 127회 가을남자 특집 편 1승 (422/500표) 196회 서유석 편 2승 (389/500표) 203회 리메이크 특집 편 3승 (388/500표) 245회 하광훈 편 3승 (398/500표) 복면가왕 꽃피는 오골계 1-2회 준우승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결승 진출 듀엣가요제 4연속 우승 제3회 아이돌 스타 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멀리뛰기 부문 5위 제4회 아이돌 스타 육상·수영선수권대회 남자 수영 부문 4위 남자 높이뛰기 부문 공동 2위 아이돌 스타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 부문 3위 각주[편집] ↑ 한인구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가수의 꿈, 세상 떠난 이모와의 약속"”.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6일에 확인함.  ↑ 황미현 인턴기자 (2011년 6월 4일). “B1A4 산들, 데뷔 전 각종 가요제 대상 휩쓸어...‘눈길’”. OSEN.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정수진 기자 (2011년 4월 24일). “B1A4, 성공적 데뷔 무대 '기대감 UP'”.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1월 17일). “'불후의 명곡2' B1A4 산들, '잊혀진 계절' 열창해 이용 감동시켜”. 엑스포츠뉴스.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김경주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 차이로 제압..'최종우승'”. OSEN.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 산들, 눈물의 우승… 고인이 된 이모 향한 마음 애절한 마음 '안쓰러워'”.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산들, 케이윌, 휘성과 함께 ‘불후의 명곡’ 우승 인증 사진 공개… ‘훈훈해’”.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최지예 기자 (2013년 11월 4일). “[단독]B1A4 산들, 명지대 영화뮤지컬 학부 합격 "기쁨 만끽"”.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조연경 기자 (2015년 4월 28일). “뮤뱅MC 박보검 “첫생방 심장떨려..걸그룹보다 엑소 보고파””.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훈 기자 (2015년 1월 19일). “뮤지컬 '올슉업'에 'B1A4 산들' 바람 불어 온다”. 뉴시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1월 30일). “‘올슉업’ 산들, 실력에 재치까지…차세대 뮤지컬돌 노린다”. MBN.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2월 3일). “뮤지컬 '올슉업' 서울 공연 폐막…손호영·동준 등 감사인사”.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최강민 (2015년 4월 12일). “[복면가왕 리뷰] 판정단 사로잡은 B1A4 산들, 가창력 폭발! '응급실'”. iMBC. 2015년 4월 27일에 확인함.  ↑ 홍세영 기자 (2015년 5월 29일). “‘복면가왕’ 31일 음원 출시… 산들 ‘응급실’ 총 10곡 포함”. 스포츠동아.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김윤지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응급실', 일부러 한껏 멋부렸다"”. OSEN.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장아름 기자 (2015년 5월 17일). “'복면가왕' 불여시 정체, 산들이 맞췄다 '걸스데이 소진'”. 뉴스1.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김혜정 기자 (2015년 5월 17일). “'일밤-복면가왕' 산들, "소름~ 걸스데이 소진 선배님" 단번에 맞춰”. 헤럴드경제.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표범, 산들 예상한 나윤권…소울 충만 '위드미' 감탄”. 스포츠조선. 2015년 6월 21일. 2015년 6월 23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클레오파트라가 산들? 가면 벗은 김연우와 환상의 합동 무대”.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26일. 2015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오세림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파워풀한 반전매력 '뚝 잘라 말해'..노을 꺾고 1승”. 텐아시아.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박혜림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그대 내게 다시'로 감미로운 무대 '3연승'”. 헤럴드경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한인구 기자 (2015년 7월 7일). “B1A4 바로·산들,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 캐스팅”.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B1A4 산들, 뮤지컬 '신데렐라' 출연 확정..왕자님 됐다”.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승길 기자 (2015년 12월 30일). “황치열·산들 '먼지가 되어', 정준영·로이킴 못지않네~ [KBS 가요대축제]”. 마이데일리. 2016년 1월 2일에 확인함.  ↑ 박보람과 함께 무대. ↑ 원곡 어반자카파X소유. ↑ 신우, 소유와 합동 무대. ↑ 전원 기자 (2012년 10월 13일). “B1A4 ‘차표한장’ 젊은피 아이돌다운 신선+강렬 무대”.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3일). “'불후2' B1A4, '무조건' 열창… '축제 한바탕'”.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슈속보팀 (2012년 11월 10일). “‘불후의 명곡’ B1A4, 3연패 만에 ‘대망의 1승 영광’”. 헤럴드POP.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17일). “'이용도 울었다'… '불후2' 산들, '음이탈' 불구 '진한 감동' 선사”.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2월 1일). “'불후의 명곡2' B1A4, 리더 진영 가세…실력파 아이돌 입증”.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문완식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차로 누르고 '우승' (종합)”. 스타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태문 기자 (2012년 12월 16일). “김유정 B1A4 커플댄스, "율동 좋고 노래 좋고.. 삼촌팬들 무너졌다"”. 조세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4월 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실력파 아이돌 저력 보여줬다”.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신나라 기자 (2013년 6월 28일). “'불후' B1A4, 누님 팬까지 완벽 접수...설운도·박현빈 긴장 '폭소'”.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3년 7월 13일). “'불후' B1A4 'DOC와 춤을', 정준영 제압 '1승'”.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박정선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 산들, 임재범편 최종우승 '아이돌의 반전' [종합]”.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임재범 특집 최종우승 '눈물펑펑'”.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3년 11월 2일). “'불후' 산들, 상큼·발랄 퍼포먼스..누나 팬 마음 '흔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3년 11월 9일). “'불후' B1A4 산들, '꽃순이를 아시나요' 감성+가창력 폭발”.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3년 11월 16일). “'불후2' 최민수-산들 '빗속의여인', 묘하게 잘 어울리네 '1승'”.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소영 기자 (2013년 11월 30일). “'불후' B1A4 산들, 박상민 '하나의 사랑' 20대 감성 담았다”.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한준호 기자 (2013년 12월 21일). “B1A4 산들, 리틀 문명진 등극!… 완벽한 무대”.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4년 3월 15일). “'불후의명곡' 지적의 여왕 이미자, B1A4엔 흡족 "역시 잘 불러"”.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5년 3월 7일). “‘불후2’ 산들, 역시 아이돌 대표..진한 여운 남겼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5년 4월 25일). “'불후' 산들, 아이돌의 매력은 이런 것 '뚝 잘라 말해'”.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소영 기자 (2015년 6월 14일). “[어저께TV] '불후' B1A4 산들, 복면 벗으니 더 잘하는구나”. OSEN.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김소희 인턴기자 (2016년 4월 2일). “'불후' 산들, 에너지 전달..'내게 남은 사랑을 모두 드릴게요'”. 스타뉴스. 2016년 4월 2일에 확인함.  ↑ 최정아 기자 (2012년 5월 15일). “B1A4 메인보컬 산들,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 캐스팅”.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장진리 기자 (2012년 5월 17일). “B1A4 산들, '형제는 용감했다'로 뮤지컬 데뷔 "떨린다"”. 조이뉴스24.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은구 (2013년 5월 30일). “보이프렌드 동현-B1A4 산들, 한류 뮤지컬 주연 더블캐스팅”. 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허설희 기자 (2014년 10월 6일). “뮤지컬 '올슉업', 손호영·산들·동준·유권 캐스팅…4인4색 매력”.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예나 기자 (2014년 10월 6일). “B1A4 산들, 엘비스 프레슬리 변신…뮤지컬 ‘올슉업’ 주연 낙점”. TV리포트.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서현진·백아연·윤하·엄기준·산들·켄, 뮤지컬 '신데렐라' 확정”.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한철 기자 (2016년 2월 11일). “카이·박형준·신우·산들, 뮤지컬 '삼총사' 달타냥 낙점”. 데일리안. 2016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수 김예원과 함께 공동 MC를 맡았다. ↑ 박현민 기자 (2012년 4월 16일). “[돌발인터뷰] B1A4 산들 "하하 선배님, 내 피처링 무대 후 눈물…혹시?"”. enews24.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산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B1A4 공식 웹사이트 산들 트위터 산들 - 네이버 인물 상세정보 산들 - 네이버 뮤직 vdehB1A4 신우 산들 공찬 정규 음반대한민국 THE B1A4 I IGNITION (2012) Who Am I (2014) Good Timing (2016) 일본 1 (2012) 2 (2014) 3 (2016) 4 (2017) 리패키지 음반 THE B1A4 I IGNITION SPECIAL EDITION (2012) 미니 음반 Let's Fly (2011) It B1A4 (2011) In The Wind (2012) 이게 무슨 일이야 (2013) SOLO DAY (2014) Sweet Girl (2015) ROLLIN' (2017) 디지털 싱글 This Time Is Over (2012) 크리스마스잖아요 (2015) 사운드트랙 음반 부탁해요 캡틴 OST Part 1 (2012) 천 번째 남자 OST Part 1 (2012)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판 OST Part 1 (2013) 응답하라 1994 OST Part 3 (2013)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2014) (산들) 칠전팔기 구해라 OST Part 1 5 6 7 10 (2015) (진영) 싱글대한민국 This Time Is Over (2012) 일본 Beautiful Target (2012) おやすみ Good Night (2012) イゲ ムスン イリヤ ~なんで?どうして? (2013) SOLO DAY (2014) 白いキセキ (2015) Happy Days (2015) You and I (2017) Follow me (2017) 콘서트 투어국내·일본 1st BABA B1A4 Concert (2012-2013) 2013 B1A4 Limited Show AMAZING STORE (2013) 2014 B1A4 Concert THE CLASS (2014) B1A4 Live Tour 2014 LISTEN TO THE B1A4 (2014) 월드 투어 2014 B1A4 Road Trip - READY? (2014) B1A4 ADVENTURE 2015 (2015) 리얼리티텔레비전 매치 업 (2011) 셀카 다이어리 (2012) 깨알플레이어 (2012) 헬로 베이비 (2012) 예능 체력장 (2013) 어느 멋진 날 (2014) GO! B1A4 (2014) 인터넷 BABA B1A4 (2011-2013) B1A4 Road Trip - READY? Behind Clip (2014) BABA B1A4 2 (2015) 참고 문서 진영이 작사 작곡한 노래 신우가 작사 작곡한 노래 바로가 작사 작곡한 노래 WM 엔터테인먼트 오마이걸 이원민 공식색:파스텔 애플라임 팬클럽:바나(BANA) 음반 목록 기타 활동 목록 vdehWM 엔터테인먼트경영진창립자 이원민 대표이사 김진미 소속 가수 B1A4 신우 산들 공찬 오마이걸 효정 미미 유아 승희 지호 비니 아린 온앤오프 효진 이션 제이어스 와이엇 유 라운 MK 과거 소속 가수 태군 H-유진 안진경 진이 진영 바로 아이 연습생 지수연 김연수 신혜진 이승현 이채연 조영인 관련 문서 W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d271ec97-748d-4da1-b2fc-1ed72985a98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들&oldid=24184843"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B1A4의 일원2011년 데뷔아이돌 가수K-pop 가수2010년대 가수한국어 가수WM 엔터테인먼트 소속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부산광역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명지대학교 동문동아고등학교 동문하남중학교 (부산) 동문신남초등학교 (부산) 동문부산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부산광역시 출신 가수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들(본명: 이정환, 1992년 3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B1A4의 메인보컬을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산들'이 지금까지 참여했던 음반에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Human: 아래 앤드류_가필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필드가 연기 수업을 받은 곳은? Assistant: 길퍼드
Human: 아래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01′ 46″ 동경 129° 19′ 14″ / 북위 36.0293804° 동경 129.3206797°  / 36.0293804; 129.3206797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浦項製鐵芝谷初等學校Pohang Jecheol Jigok Elementary School 교훈 큰 꿈(자주인), 새 생각(창의인), 참된 행동(도덕인) 개교 1998년 3월 1일 설립형태 사립 교장 김헌수 교감 조한철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295 학생 수 962 명(2014년 4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62 명(2014년 4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 교화: 들국화 학교법인 포스코교육재단 관할관청 경상북도포항교육지원청 웹사이트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홈페이지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浦項製鐵芝谷初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96.12.03.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가칭) 시설 사업 시행 계획 승인 및 건축 승인 1996.12.30.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부지조성(착공부지 9,834평, 건축면적 2,951평) 1997.09.01. 개교추진반 편성 운영 (반장 장칠관 외 7명) 1997.10.06.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설립 인가-6학년과정 36학급,정원 1440명 1998.02.01. 초대 이강화 교장 취임 1998.03.01.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개교 (36학급편성) 1998.04.07.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개교 및 준공식 1999.02.18. 제1회 졸업식 (남 135명, 여 105명. 계 240명) 1999.11.07. 포철교육재단 지정 인성교육 시범학교 운영 보고회 1999.11.12. 경상북도포항교육청 지정 토론문화 준거학교 운영보고회 1999.12.30. 1999학년도 학교 교육계획 추진 최우수학교 표창 - 교육부장관 2000.02.17. 제2회 졸업식(남 135명, 여 105명. 계 240명) 2000.03.02. 특수학급 1학급 증설(남 9명, 여 1명. 계 10명) 2001.09.01. 제2대 김진원 교장 취임 2001.12.10. 초등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단체부문 1위 2002.02.07. 기본 바로 세우기 실천 우수사례 공모대회 - 학교단체부문 대통령상 수상 2003.02.10. 포스코교육재단 지정 창의수업공개 보고회 2003.08.09~13 국악부·음악줄넘기부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공연 2003.09.20~10.02 한·미 교환학습단(미국 인디애나주 Upland 초등학교) 방문-자매결연 2004.02.07. 제2회 아시아 줄넘기 선수권 대회 우승(태국 방콕 : 15개 종목 중 12개 종목 금메달) 2004.02.18. 제6회 졸업식(남 116명, 여 108명. 계 224명) 2005.03.01. 제3대 김칠룡 교장 취임 2005.12.08. 제7회 졸업식(남 115명, 여 109명. 계 224명) 2006.10.18. 꿈나루 도서관 개관 (리모델링) 2006.11.25. 경북교육청 지정 수학영재반 조직 2006.12.13. 창의성교육 시범운영 전국규모 워크숍 2006.12.27. 제12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연속 12회 최우수학교상 2007.05.12. 동리목월 동요경연 ‘대상’ 2007.10.27. 제9회 전국 줄넘기선수권 단체상 2008.12.08. 제4대 김영종 교장 취임 2008.12.16. 제16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연속 16회 최우수학교상 2008.12.16. 세계줄넘기선수권대회(남아프리카공화국)단체전 종합 우승 2009.12.08. 제2회 한ㆍ미 국제수학챔피언십 최우수 단체상 2009.12.16.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100대 교육과정 우수교 2010.09.01. 5대 신동구 교장 취임 2010.11.23. 제20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20회 연속 최우수학교상 2010.12.20. 2010 edutop 2년 연속 우수교 선정 2011.10.26. 2011 대한민국좋은학교박람회 최우수교 (교육부) 2012.02.02. 학교폭력예방 우수교 (청와대초청) 2012.05.23. 제5회 APEC 교육장관 방문 학교 공개 2012.12.27. 경북 EdutTop공모전('09행복 '10감동 '12보람 전분야 수상) 2012.12.31. 교육과학기술부선정 전국 100대 인성교육실천 최우수학교 (연속 2회) 2013.01.27. 전국 제1회 감사나눔 페스티발 우수학교 수상 2013.12.27. 우수인성교육프로그램 인증패 수상 (교육부) 2013.12.27. 2013대한민국행복학교박람회 우수교 (교육부) 2014.02.18. 제16회 졸업식 (222명 졸업) 2014.09.01. 제6대 김헌수 교장 취임 2014.09.01. SW(소프트웨어) 시범학교 운영(미래창조과학부) 2014.11.14. 대한민국 창의인성 한마당 부스운영(우수인성프로그램인증) 2014.12.24. 경상북도교육청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15.02.16. 제17회 졸업식(185명 졸업, 총3,630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경상북도의 초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경산시 경산동부초등학교 경산서부초등학교 경산압량초등학교 경산중앙초등학교 경산초등학교 계당초등학교 금락초등학교 남산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남천초등학교 다문초등학교 대동초등학교 봉황초등학교 부림초등학교 사동초등학교 삼성현초등학교 성암초등학교 옥곡초등학교 와촌초등학교 용성초등학교 임당초등학교 자인초등학교 장산초등학교 정평초등학교 진량초등학교 진성초등학교 청천초등학교 평산초등학교 하양초등학교 하양초등학교 화성분교 하주초등학교 현흥초등학교 경주시 감포초등학교 강동초등학교 건천초등학교 경주초등학교 계림초등학교 괘릉초등학교 금장초등학교 나산초등학교 나원초등학교 내남초등학교 동방초등학교 동천초등학교 모량초등학교 모아초등학교 모아초등학교 모서분교 모화초등학교 불국사초등학교 사방초등학교 산대초등학교 서라벌초등학교 석계초등학교 신라초등학교 아화초등학교 안강제일초등학교 안강초등학교 양남초등학교 양동초등학교 양북초등학교 연안초등학교 영지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용강초등학교 용황초등학교 월성초등학교 유림초등학교 의곡초등학교 의곡초등학교 일부분교 입실초등학교 천북초등학교 천포초등학교 현곡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황남초등학교 황성초등학교 흥무초등학교 고령군 개진초등학교 고령초등학교 다산초등학교 덕곡초등학교 박곡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쌍림초등학교 우곡초등학교 운수초등학교 구미시 고아초등학교 광평초등학교 구미문성초등학교 구미봉곡초등학교 구미사곡초등학교 구미신평초등학교 구미오산초등학교 구미왕산초등학교 구미인덕초등학교 구미초등학교 구운초등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 구평초등학교 금오초등학교 남계초등학교 덕촌초등학교 도개초등학교 도량초등학교 도봉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무을초등학교 문장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산동초등학교 상모초등학교 선산초등학교 선주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야은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오태초등학교 옥계동부초등학교 옥계초등학교 옥성초등학교 원남초등학교 원호초등학교 인동초등학교 인의초등학교 장천초등학교 정수초등학교 지산초등학교 진평초등학교 천생초등학교 해마루초등학교 해평초등학교 형곡초등학교 형남초등학교 형일초등학교 황상초등학교 군위군 고매초등학교 군위초등학교 부계초등학교 송원초등학교 우보초등학교 의흥초등학교 의흥초등학교 석산분교 효령초등학교 김천시 감천초등학교 개령서부초등학교 개령초등학교 구성초등학교 금릉초등학교 김천다수초등학교 김천동부초등학교 김천동신초등학교 김천모암초등학교 김천부곡초등학교 김천서부초등학교 김천신일초등학교 김천중앙초등학교 김천초등학교 농소초등학교 대덕초등학교 대룡초등학교 봉계초등학교 봉계초등학교 태화분교 아천초등학교 아천초등학교 능치분교 아포초등학교 운곡초등학교 위량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 조마초등학교 증산초등학교 지례초등학교 지례초등학교 부항분교 직지초등학교 문경시 가은초등학교 가은초등학교 희양분교 농암초등학교 농암초등학교 청화분교 당포초등학교 동로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모전초등학교 문경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 창구분교 산양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영순초등학교 용흥초등학교 점촌북초등학교 점촌중앙초등학교 점촌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호서남초등학교 봉화군 내성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 명호초등학교 물야초등학교 법전중앙초등학교 봉성초등학교 봉화초등학교 상운초등학교 서벽초등학교 석포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 두음분교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 소천초등학교 임기분교 재산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상주시 공검초등학교 낙동동부초등학교 낙동초등학교 낙서초등학교 모동초등학교 모서초등학교 백원초등학교 사벌초등학교 상산초등학교 상영초등학교 상주남부초등학교 상주동부초등학교 상주중앙초등학교 상주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외남초등학교 외서초등학교 은척초등학교 은척초등학교 무릉분교 이안초등학교 중동초등학교 중모초등학교 청리초등학교 함창중앙초등학교 함창초등학교 화동초등학교 화령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용화분교 화북초등학교 입석분교 성주군 가천초등학교 대가초등학교 대동초등학교 도원초등학교 벽진초등학교 선남초등학교 성주중앙초등학교 성주초등학교 수륜초등학교 용암초등학교 월항초등학교 월항초등학교 지방분교 초전초등학교 초전초등학교 봉소분교 안동시 길안초등학교 길안초등학교 길송분교 길주초등학교 남선초등학교 남후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원천분교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 복주초등학교 북후초등학교 서선초등학교 서후초등학교 서후초등학교 대흥분교 송천초등학교 신성초등학교 안동강남초등학교 안동동부초등학교 안동서부초등학교 안동송현초등학교 안동영호초등학교 안동용상초등학교 안동초등학교 영가초등학교 영남초등학교 온혜초등학교 와룡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삼계분교 일직초등학교 임동초등학교 임하초등학교 풍북초등학교 풍산초등학교 풍천풍서초등학교 영덕군 강구초등학교 남정초등학교 병곡초등학교 영덕야성초등학교 영해초등학교 원황초등학교 지품초등학교 창수초등학교 창수초등학교 인천분교 축산항초등학교 축산항초등학교 경정분교 영양군 석보초등학교 수비초등학교 영양중앙초등학교 영양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청기분교 입암초등학교 영주시 남산초등학교 문수초등학교 봉현초등학교 부석초등학교 순흥초등학교 안정초등학교 영일초등학교 영주가흥초등학교 영주남부초등학교 영주동부초등학교 영주서부초등학교 영주중앙초등학교 영주초등학교 옥대초등학교 이산초등학교 장수초등학교 평은초등학교 풍기북부초등학교 풍기초등학교 영천시 거여초등학교 고경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단포초등학교 대창초등학교 북안초등학교 신녕초등학교 영천동부초등학교 영천중앙초등학교 영천중앙초등학교 화남분교 영천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화덕분교 임고초등학교 자천초등학교 자천초등학교 보현분교 지곡초등학교 청통초등학교 평천초등학교 포은초등학교 화산초등학교 예천군 감천초등학교 상리초등학교 예천남부초등학교 예천동부초등학교 예천초등학교 용궁초등학교 용문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은풍초등학교 지보초등학교 풍양초등학교 호명초등학교 울릉군 남양초등학교 울릉초등학교 저동초등학교 천부초등학교 천부초등학교 현포분교 울진군 기성초등학교 기성초등학교 구산분교 기성초등학교 사동분교 노음초등학교 매화초등학교 부구초등학교 부구초등학교 삼당분교 삼근초등학교 삼근초등학교 옥방분교 온정초등학교 울진남부초등학교 울진초등학교 월송초등학교 죽변초등학교 평해초등학교 후포동부초등학교 후포초등학교 의성군 가음초등학교 구천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다인초등학교 단밀초등학교 단촌초등학교 도리원초등학교 안계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신평분교 옥전초등학교 의성남부초등학교 의성북부초등학교 의성초등학교 이두초등학교 점곡초등학교 춘산초등학교 청도군 각남초등학교 금천초등학교 남성현초등학교 덕산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이서초등학교 청도중앙초등학교 청도초등학교 풍각초등학교 화양초등학교 청송군 도평초등학교 부남초등학교 안덕초등학교 이전초등학교 진보초등학교 청송초등학교 파천초등학교 화목초등학교 칠곡군 가산초등학교 관호초등학교 낙산초등학교 다부초등학교 대교초등학교 동명동부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북삼초등학교 북삼초등학교 오평분교 석적초등학교 숭산초등학교 신동초등학교 약동초등학교 약목초등학교 왜관동부초등학교 왜관중앙초등학교 왜관초등학교 인평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 지천초등학교 학림초등학교 포항시 곡강초등학교 구룡포초등학교 구정초등학교 기계초등학교 기북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달전초등학교 대도초등학교 대보초등학교 대송초등학교 대이초등학교 대잠초등학교 대해초등학교 동해초등학교 두호남부초등학교 두호초등학교 문덕초등학교 문충초등학교 상대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송림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신흥초등학교 양서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양학초등학교 연일초등학교 연일형산초등학교 오천초등학교 용흥초등학교 월포초등학교 유강초등학교 이동초등학교 인덕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 모포분교 장량초등학교 장성초등학교 죽도초등학교 죽장초등학교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 죽천초등학교 창포초등학교 청림초등학교 청하초등학교 초곡초등학교 포항남부초등학교 포항대흥초등학교 포항동부초등학교 포항송곡초등학교 포항송도초등학교 포항양덕초등학교 포항영흥초등학교 포항원동초등학교 포항장원초등학교 포항장흥초등학교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포항중앙초등학교 포항초등학교 포항항도초등학교 포항해맞이초등학교 학천초등학교 항구초등학교 효자초등학교 흥해남산초등학교 흥해서부초등학교 흥해초등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사립 초등학교서울 경기초등학교 경복초등학교 경희초등학교 계성초등학교 광운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북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상명초등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삼육초등학교 선일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 숭의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영훈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우촌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유석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추계초등학교 충암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한신초등학교 한양초등학교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부산 남성초등학교 동래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부산삼육초등학교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혜화초등학교 대구 계성초등학교 대구삼육초등학교 영신초등학교 효성초등학교 인천 영화초등학교 인성초등학교 인천동명초등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한일초등학교 광주 광주삼육초등학교 광주송원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대전 대전성모초등학교 대전삼육초등학교 경기 소화초등학교 심석초등학교 중앙기독초등학교 강원 동해삼육초등학교 원주삼육초등학교 춘천삼육초등학교 충북 청주대성초등학교 충남 서해삼육초등학교 전남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초등학교 여도초등학교 경북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경남 대우초등학교 샛별초등학교 vdeh학교법인 포스코교육재단광양시 광양제철고등학교 광양제철중학교 광양제철초등학교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유치원 포항시 포항제철고등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유치원 인천광역시 인천포스코고등학교 포스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oldid=22701594" 분류: 포스코그룹포항시의 초등학교1998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7일 (일) 16: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浦項製鐵芝谷初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졸업한 학생 수는? Assistant: 240명 Human: 아래 곤자쿠_이야기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곤자쿠 이야기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곤자쿠 이야기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즈카본(鈴鹿本) 곤자쿠 이야기집. 가마쿠라 시대의 필사본이다.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今昔物語集, こんじゃくものがたりしゅう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은,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설화 모음집이다. 전31권. 다만 8권·18권·21권은 빠졌다. 《곤자쿠 이야기집》이라는 이름은 각 설화 모두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ハ昔)라는 첫 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데서 유래한 편의적인 이름이다. 목차 1 성립 2 내용 3 영향 4 한국어 번역 5 각주 6 외부 링크 성립[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성립 연대와 작자는 확실하지 않다. 작자가 누구인지는 아예 이야기에 적혀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성립 연대에 대해서는 11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대규모의 전란인 전9년의 역과 후3년의 역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고 있는(다만 후자의 경우는 설화 이름만 남아 있고 본문은 전하지 않는다) 것으로 보아 1120년대 이후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내용[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 구성은 천축(인도)과 진단(震旦, 중국), 그리고 본조(일본)의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에는 먼저 인과응보담 등 불교설화가 소개되어 있으며, 그 뒤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이어지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몇 가지 이야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이야기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昔)라는 첫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며, 「라는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한다」(トナム語リ傳へタルトヤ」)라는 문구로 이야기를 끝맺고 있다. 또한 유사한 내용의 이야기 두 편(내지 세 편)을 이어 소개하는 「이화일류양식」(二話一類様式)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의 원문(스즈카본鈴鹿本)은 평이하게 한자와 가나(仮名)가 섞여 쓰이는 화한혼효문(和漢混淆文)으로 작성되었고(다만 히라가나가 아니라 가타가나이다) 그 문체는 화려한 수사에 별로 집중하지 않는 한편으로 의태어를 많이 사용해서 현장에 있는 듯한 감각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소설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곤자쿠 이야기집 감상」(今昔物語鑑賞)에서 이러한 곤자쿠 이야기집의 문체를 「아름다운 눈빛」(美しいなまなましさ), 「야만으로 빛나고 있다」(野蛮に輝いている)고 평가하고 있다. 어느 지역의, 어떤 사람의 이야기인가를 필수적으로 명기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들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빈칸을 마련해 훗날의 보충을 기하는 형태로 문장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곤자쿠 이야기집》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거가 된 문헌에서 「옛날옛날에 어느 마을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고 있었습니다」라는 서두에서부터 시작되는 설화가 있고 그 인명이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는데, ○○ 국(国)에 □□라는 사람이 있었다」라는 형태로 기술되며, 후일 그 정보가 밝혀질 경우에는 즉시 가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편찬의 의도로 의식적인 누락 부분이 매우 많은 것이다. 영향[편집] 13세기에 성립된 《우지슈이 이야기》에는 곤자쿠 이야기집과 겹치는 이야기가 모두 8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에서 영감을 얻어서 작품을 구상한 근대 일본작가들도 매우 많은데, 대표적인 인물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라쇼몽》(羅生門)과 《코》(鼻)가 유명하다. 일본의 심리학자이자 일본문화 연구자인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에 따르면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라는 대목은 다시 읽고 싶을 정도로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초근대(포스트모더니즘)의 지혜를 담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 당시의 일본인의 의식이 외부 세계와 내부 세계,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지 않은 채로 파악한 현실을 충실하게 적어둔 점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은 그것이 데카르트적(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 절단을 얼마나 초월하느냐에 있으며, 그 점에서 《곤자쿠 이야기집》은 실로 유효한 소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1] 한국어 번역[편집] 2016년 한국의 세창출판사에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555로 《곤자쿠 이야기집》을 번역하였으며, 이시준, 김태광 등이 번역을 맡아 《금석이야기집》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다만 번역의 대상은 천축이나 진단부는 제외하고 일본의 설화를 다룬 본조부에 한정되었다. 각주[편집] ↑ 河合隼雄『対話する生と死』(大和文庫 2006年2月15日発行) 외부 링크[편집] 교토대학 소장 스즈카본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곤자쿠_이야기집&oldid=23901413" 분류: 일본의 책일본 문학일본 문학사12세기 책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Nederlands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01: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今昔物語集, こんじゃくものがたりしゅう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은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설화 모음집이다. 전31권. 다만 8권·18권·21권은 빠졌다. 《곤자쿠 이야기집》이라는 이름은 각 설화 모두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ハ昔)라는 첫 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데서 유래한 편의적인 이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곤자쿠 이야기집에서 내용 진행을 위해 사용한 구성 방식은 무엇일까? Assistant: 이화일류양식
Human: 아래 오제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오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제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제도(吳制道, 1917년 11월 15일 ~ 2001년 7월 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해주이며, 평안남도 안주 출신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경력 4 상훈 5 오제도를 연기한 배우 6 역대 선거 결과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46년 제1회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을 합격하고 서울지방검찰청과 대검찰청에서 검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대와 1950년대초 반공검사로 활동하였다.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이념이 대립한 혼란속에 선우종원과 함께 좌익 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을 제안하였다. 이에 법무부,국방부,내무부 사회지도자들의 동의를 거쳐 정부 인사의 주도로 만들어졌다.[1][2] 하였다. 거물간첩 김삼룡과 이주하를 체포[3] 서울 남조선로동당 총책 홍민표를 전향시켜 남로당원 33만명을 자수시켜 다이너마이트 폭동계획을 저지시켰다. 이는 남로당을 와해시켜 남한 내에 공산주의 활동들을 사실상 거의모두 와해시켰다. 북한간첩 성시백, 여간첩 김소산 사건 등 이 시기의 대표적인 공안 사건을 담당했다. 1949년 보도연맹 창설 때 지도위원을 맡았다. 1950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우세가 점쳐지자 자유당의 하수단체인 대한정치공작대가 제1야당인 민국당인사들을 간첩들과 밀통하였다하여 붕괴시키려 하였다. 이에 의문을 품고 수사를 하여 조작극임을 밝혀내는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활동하였다. 해방 이후 공산주의와 싸우는 동안 북한의 저격대상 1호로써 신변의 위협이 많았는데 그를 없앨 목적으로 침투한 간첩이 서울 아현동에 세탁소를 차려놓고 암살을 하려다가 70년에 체포되기도 하였다. 5.16 군사정변에 검찰총장직을 제안 받았으나 거절하고 반혁명분자 1호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변호사로 개업한 후에도 북한연구소를 창립하고 초대 이사장을 맡는 등 여러 보수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박홍의 한국통신 노조 주사파 발언 사건, 권영해의 북풍사건(총풍사건)을 변론하는 등 우파인사에 대한 지원활동에 힘썼다. 1977년 정일형이 3·1 명동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치러진 종로 중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11대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전국구로 국회의원이 되었고 법무부 장관 제의도 있었으나 학원(學園)문제, 남북대화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로 84년말 의원직을 사퇴하고 안보교육활동에 힘썼다. 1997년 5월 주사파 발언이 문제가 되어 박홍이 제소되자 노재봉, 언론인 이도형 등 보수인사 70여명이 후원회를 결성하였다.[4] 같은해 9월 17일 황장엽 전 북한노동당비서가 망명 후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개별면담을 해줄 것을 요청하여 안기부가 마련한 자리에서 만나 의형제를 맺었다. 2001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학력[편집] 평안중학교 졸업 일본 와세다 대학 법학과 졸업 라스아메리카대학교 명예문학박사 로스앤젤레스침례신학대학 명예철학박사 미주리주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경력[편집] 1946년 : 판검사 특별임용시험 합격 서울지검, 대검찰청 검사 군,검,경 합동수사본수 총지휘관 1960년 : 변호사 개업 국제법률가대회 한국대표 1977 라스아메리카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79 로스앤젤레스침례신학대학 명예철학박사 1993 미주리주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한국반공연맹 이사 월간지 '북한' 창간 및 발행인 북한연구소 창립 및 이사장 제9대 국회의원, 세계반공연맹한국대표 한국안보교육협회 이사장 아시아국제예술제 1대~18대 총재 북한탈출동포돕기운동본부 회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국제평화연구소이사장 월간 사상21세기 창간 및 회장 상훈[편집] 을지무공훈장 국민훈장 모란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 근대사법1백주년 검사대표 오제도를 연기한 배우[편집] 권성덕 - 1981년 (제1공화국) MBC 드라마 최무룡 이순재 송재호 박근형 전운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6.10 재보궐선거 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 9대 무소속 30.2% 37,650표 1위 제10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 10대 무소속 24.59% 61,270표 3위 낙선 제11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11대 민주정의당 35.6% 5,776,624표 전국구 27번 같이 보기[편집] 반공주의 이인 이주하 김삼룡 성시백 김수임 선우휘 박관수 박용만 박홍 조갑제 서정갑 지만원 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각주[편집] ↑ 강지웅 외 (2006년 9월 25일). 〈3. 헤어나지 못한 굴레, 레드 콤플렉스 - 잊혀진 대학살, 보도연맹 (이채훈)〉. 《우리들의 현대침묵사 - 한국현대사 미스터리 추적》. 서울: 해냄. ISBN 978-89-7337-771-8.  ↑ “[안내면 인포리] 보도연맹 관련 죄없는 주민 15명 희생”. 옥천신문. 1993년 12월 11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오제도 변호사 별세”. 인터넷 법률신문. 2001년 7월 4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한겨레 21 외부 링크[편집] 오제도 - 대한민국헌정회 김상우 기자 (2002년 1월 29일). “'반공 검사' 오제도 변호사”. 중앙일보.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반공외길' 오제도 변호사 별세”. 한겨레신문 (연합뉴스 인용). 2001년 7월 1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전 임 장기영·정일형 제9대 국회의원(종로구·중구)(재보궐) 1977년 6월 11일 ~ 1979년 3월 11일 무소속 정대철 후 임 민관식·정대철 vdeh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1번 이재형 7번 정희택² 13번 최상업 19번 이우재² 25번 이건호 31번 박현태 37번 지갑종 43번 최낙철 49번 김종인 55번 김행자¹ 61번 전병우 67번 김지호† 2번 나길조 8번 박동진 14번 황병준 20번 이춘구 26번 신상초 32번 이양우 38번 허청일 44번 김모임 50번 박원탁 56번 이낙훈 62번 정창화† 68번 이성재³ 3번 김종경¹ 9번 정원민 15번 류근환 21번 김현자 27번 오제도 33번 박종관 39번 이상선 45번 이헌기² 51번 이상희 57번 김영구 63번 문용주† 69번 강창희† 4번 이용훈 10번 김정호 16번 김용수 22번 정순덕² 28번 김윤환 34번 고귀남 40번 손춘호 46번 이윤자 52번 이영일 58번 황설 64번 김유상† 70번 이성배† 5번 김기철 11번 윤석순 17번 박태준 23번 배성동 29번 정희채 35번 나웅배² 41번 정시채 47번 이민섭 53번 이경숙 59번 하순봉 65번 장경우† 6번 송지영² 12번 김종호 18번 박경석 24번 김사용 30번 김춘수 36번 김집 42번 안교덕 48번 이영희 54번 조남조 60번 곽정현 66번 류수환† ¹임기 중 사망      ²사퇴      ³승계 전 사퇴      †승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제도&oldid=24187960" 분류: 대한민국의 제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1917년 태어남해주 오씨안주시 출신일제 강점기 사람와세다 대학 동문대한민국의 검사대한민국의 변호사2001년 죽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9: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오제도(吳制道, 1917년 11월 15일 ~ 2001년 7월 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해주이며, 평안남도 안주 출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제도는 사후 어디에 묻혔어? Assistant: 국립현충원 Human: 아래 여주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여주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주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주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6′ 18″ 동경 127° 37′ 58″ / 북위 37.2716830° 동경 127.6329052°  / 37.2716830; 127.6329052 여주고등학교驪州高等學校Yeoju High School 교훈 인간다운 사랑, 아름다운 봉사, 정의로운 실천 개교 1974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임호근 교감 이상주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254-58 (교동) 학생 수 514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47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목련 학교법인 동신교육재단 관할관청 경기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yeoju.hs.kr 여주고등학교(驪州高等學校)는 경기도 여주시 교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74년 1월 5일 : 학교법인 여흥학원 설립(4학급) 1974년 3월 2일 : 초대 임창선 교장 취임 1989년 9월 22일 : 학칙변경 허가(전 학년 18학급 남/여 공학) 1992년 8월 14일 : 학교법인 동신학원으로 변경 1993년 3월 1일 : 여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8년 5월 29일 : 학교법인 동신교육재단으로 명칭 변경 2018년 2월 7일 : 제42회 졸업생(175명) 졸업생 누계 9,780명 2018년 9월 1일 : 제11대 임호근 교장 취임 학교 동문[편집] 분류:여주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여주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여주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경기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가평군 가평고 설악고 조종고 청심국제고 청평고 고양시 가좌고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고양국제고 고양동산고 고양예고 고양외고 고양일고 능곡고 대화고 덕이고 도래울고 무원고 백마고 백석고 백송고 백신고 백양고 서정고 성사고 세원고 신일비즈니스고 안곡고 일산고 일산국제컨벤션고 일산대진고 일산동고 저동고 저현고 정발고 주엽고 중산고 풍동고 행신고 화수고 화정고 과천시 과천고 과천여고 과천외고 과천중앙고 광명시 광명경영회계고 광명고 광명공고 광명북고 광문고 광휘고 명문고 소하고 운산고 진성고 충현고 광주시 경화여고 경화여자e비즈니스고 곤지암고 광남고 광주고 광주중앙고 태전고 초월고 구리시 갈매고 구리고 구리여고 서울삼육고 수택고 인창고 토평고 군포시 군포고 군포중앙고 군포e비즈니스고 산본고 산본공고 수리고 용호고 흥진고 김포시 김포고 김포외고 김포제일고 김포제일공고 마송고 사우고 솔터고 양곡고 운양고 장기고 통진고 풍무고 하성고 남양주시 가운고 광동고 금곡고 남양주공고 덕소고 도농고 동화고 마석고 별가람고 별내고 심석고 오남고 와부고 진건고 진접고 청학고 퇴계원고 판곡고 평내고 호평고 동두천시 동두천고 동두천외고 동두천중앙고 보영여고 신흥고 한국문화영상고 부천시 경기경영고 경기국제통상고 경기예고 계남고 덕산고 도당고 범박고 부명고 부천고 부천공고 부천북고 부천여고 부천정보산업고 상동고 상원고 상일고 소명여고 소사고 송내고 수주고 시온고 심원고 역곡고 원미고 원종고 정명고 중원고 중흥고 성남시 계원예고 낙생고 늘푸른고 돌마고 동광고 보평고 복정고 분당경영고 분당고 분당대진고 분당영덕여고 분당중앙고 불곡고 서현고 성남고 성남금융고 성남여고 성남외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성보경영고 성일고 성일정보고 송림고 수내고 숭신여고 야탑고 양영디지털고 운중고 위례한빛고 이매고 이우고 태원고 판교고 풍생고 한솔고 효성고 수원시 경기과고 경기대명고 경기체고 고색고 곡정고 광교고 권선고 대평고 동우여고 동원고 망포고 매원고 매탄고 매향여자정보고 삼일공고 삼일상고 수성고 수원고 수원공고 수원농생명과학고 수원여고 수원외고 수원정보과학고 수원칠보고 수원하이텍고 수일고 숙지고 영덕고 영복여고 영생고 영신여고 유신고 율천고 이의고 장안고 조원고 창현고 천천고 청명고 태장고 한봄고 호매실고 화홍고 효원고 시흥시 경기자동차과학고 군서고 군자디지털과학고 배곧고 서해고 소래고 시화공고 시흥고 시흥능곡고 시흥매화고 신천고 은행고 장곡고 정왕고 한국조리과학고 함현고 안산시 경기모바일과학고 경안고 경일관광경영고 고잔고 광덕고 단원고 대부고 부곡고 상록고 선부고 성안고 성포고 송호고 신길고 안산강서고 안산고 안산공고 안산국제비즈니스고 안산동산고 안산디자인문화고 양지고 원곡고 초지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안성시 가온고 경기창조고 안법고 안성고 안성두원공고 안성여고 일죽고 죽산고 한겨레고 안양시 경기글로벌통상고 관양고 근명여자정보고 동안고 백영고 부흥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고 안양공고 안양여고 안양여상 안양예고 안양외고 양명고 양명여고 인덕원고 충훈고 평촌경영고 평촌고 평촌공고 양주시 덕계고 덕정고 덕현고 양주고 양주백석고 옥정고 한국외식과학고 양평군 양동고 양서고 양일고 양평고 양평전자과학고 용문고 지평고 청운고 여주시 경기관광고 대신고 세종고 여강고 여주고 여주자영농업고 여주제일고 이포고 점동고 연천군 연천고 전곡고 오산시 매홀고 성호고 세교고 세마고 오산고 오산정보고 운암고 운천고 용인시 고림고 구성고 기흥고 덕영고 대지고 동백고 백암고 보라고 보정고 상현고 서원고 서천고 성복고 성지고 수지고 신갈고 신봉고 용인고 용인바이오고 용인백현고 용인삼계고 용인 외대부고 죽전고 청덕고 초당고 태성고 포곡고 풍덕고 현암고 홍천고 흥덕고 의왕시 경기외고 모락고 백운고 우성고 의왕고 의정부시 경기북과고 경민고 경민비즈니스고 경민IT고 동국사대 부속 영석고 발곡고 부용고 상우고 송양고 송현고 의정부고 의정부공고 의정부광동고 의정부여고 호원고 효자고 이천시 다산고 마장고 부원고 율면고 이천고 이천세무고 이천양정여고 이천제일고 이현고 장호원고 한국도예고 효양고 파주시 경기세무고 광탄고 교하고 금촌고 동패고 문산고 문산수억고 문산제일고 봉일천고 삼광고 세경고 운정고 율곡고 지산고 파주고 파주여고 한민고 한빛고 평택시 경기물류고 동일공고 라온고 비전고 송탄고 신한고 안중고 은혜고 이충고 진위고 청담고 청북고 태광고 평택고 평택기계공고 평택여고 한광고 한광여고 한국관광고 현화고 효명고 포천시 관인고 동남고 송우고 영북고 일동고 포천고 포천일고 하남시 남한고 미사강변고 미사고 신장고 위례고 풍산고 하남경영고 하남고 한국애니메이션고 화성시 나루고 남양고 능동고 동탄고 동탄국제고 동탄중앙고 두레자연고 반송고 발안바이오과학고 병점고 봉담고 비봉고 삼괴고 송산고 안화고 예당고 이산고 정현고 창의고 하길고 한백고 향남고 향일고 홍익디자인고 화성고 화성반월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여주고등학교&oldid=23147977" 분류: 여주시의 고등학교경기도의 사립 고등학교일반계 고등학교남녀공학 고등학교1974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4일 (화) 08: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여주고등학교(驪州高等學校)는 경기도 여주시 교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주고등학교의 초대 임창선 교장은 언제 취임했을까? Assistant: 1974년 3월 2일
Human: 아래 신질서_(나치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질서 (나치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질서 (나치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질서 (나치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치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의 종교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강제적 동일화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20세기의 신화》 군국주의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슈트라서주의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흙 우생학 대게르만 제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들의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단체 및 정당 오쎄와브란드왁 영국 파시스트 연합 철위대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조국전선 v • d • e • h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 (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1]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쉬(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2]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재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3] “ 총통은 전유럽의 주인이 나치 제국이라는 신념이 흔들리지 않았다. 아직 많은 전투에 참가해야 하지만, 이것은 의심없이 멋진 승리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지배의 길은 이 곳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을 지배한다는 것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요제프 괴벨스, 1943년 5월 8일[4] 목차 1 용어의 유래 2 이데올로기의 배경 2.1 인종차별주의 2.2 지정학적 전략 2.3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 3 유럽의 구현 3.1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 3.2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 3.3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 3.4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 3.5 재정착 노력 3.6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 4.1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 4.2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 4.3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 4.4 중동와 중앙아시아 5 더 보기 6 각주 7 추가 읽기 용어의 유래[편집] 유럽의 신질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및 추축국의 최대 정복 영역 원래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의 의미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보다 매우 좁은 의미였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신질서로 번역되지만, 더 정확하게 번역을 하자면 재구성(reorganisation)에 가까운 뜻이다. 이 용어가 나치 시기의 제3제국에서는 나치가 유럽의 본질적인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하는 욕망으로 이용되었으며 이 결과 기존의 지정학적 구조가 바뀌었다. 같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1815년 빈 회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승리 당시 국제 정치 질서의 재개편이라는 의미로 이용되었다. 사실, 원래 나치가 만든 완전한 구문은 die Neuordnung Europas(유럽의 신질서)로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은 속어로 많이 이용되었다. 나치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된 유럽이란 "공동 이익"을 목표로 독일 아래 유럽 지역의 공정한 재배열을 시도하며,[5] 나치는 유럽 대륙에서 "아시아적인"을 의미하는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시켰다.[6] 나치의 인종주의적 관점은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볼셰비키(Judeo-Bolshevist)는 모두 파괴되어야 할 범죄 대상으로 보았으며 이것들은 유럽의 문화라고 부를 만한 것이 아닌 야만적인 상태의 것이라고 생각했다.[7] 신질서는 그러므로 좀처럼 이론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에 따라 다시 구성할 수 있었지만 이후 심지어는 실제 구조가 아니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는 절대로 참조하지 않았다. 실제 나치 독일의 헤게모니는 전후 대륙의 지배 보장이었다.[8] 독일외 나머지 유럽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예속과 함께 독일 국가 자체의 팽창주의로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확장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독일이 먼저 유럽의 독보적인 지배 이후 미래에 계획할려 했지만, 신질서는 유럽에서 여분의 시간을 주지 않았다. 나치 선전의 넓은 이용으로 인해 신질서는 서구 미디어의 주화를 얻었다. 특히, 영어권 학회에서는 이에 더욱 포괄적인 정의의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점점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뿐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 국내 정치 및 전쟁 목표를 사용하는 데에 이르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의 아시아 지배 계획이었던 대동아공영권은 이와 거의 비슷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유럽 대내외의 정책을 예상하는 데 이용된다. 이데올로기의 배경[편집] 인종차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치즘과 인종입니다. 지배자 인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나치당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엄격한 계층 구조를 증명하기 위해 인종 분류를 주장했다. 지배자 민족은 가장 순수한 피를 가진 아리아 민족이며, 이는 북유럽 민족과 근소한 차이가 있는 인정된 민족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아 인종은 나머지 인종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나치는 서양 문화가 주로 북유럽이 만들어 다른 문명에 비해 분명히 뛰어났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노르딕인"들은 모든 인종보다 우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치는 세계 정복을 당연히 노르딕인들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개념은 노르디시즘(Nordicism)으로 알려졌다.[10] 지정학적 전략[편집] 게오폴리티크, en:Geopoliti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틀러는 그의 동부 확장 정책을 나의 투쟁에서 드러냈는데, 이는 1924년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에게 영향받은 것이다.[11] 하우스호퍼의 주요 지정학 개념 중 하나는 독일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라시아의 유라시아 심장부(Heartland)를 점령해야 한다는 이론이었다.[12]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편집] 나치의 외교 정책 토론, en:Nazi foreign policy deba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 11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의 히틀러의 연설에서, 청중들에게 독일이 그들을 위해 싸우고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권리(즉, 세계 정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매우 야심찬 목표는 엄청난 양의 전투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3]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 인생 이전에도 미래의 독일 세계 지배를 언급했다. 나중에 공개된 1927년의 루돌프 헤스와 발터 히벨 간의 편지에서, 헤스는 히틀러의 비전에 대해 부연 설명하였다. "세계 평화는 확실히 노력하기에 이상적인 가치이다. 히틀러의 의견은 초강대국이 최고 인종 하나만 명백한 우위를 누리고 있을 경우 실현된다고 생각한다. 즉, [권력]은 세계 경찰로서 동시에 필요한 생활 공간(생활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경쟁이다. 그리고 만약 이 방법들이 그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낮은 인종들은 자신 스스로 제한해야만 한다."[14]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포젠 연설에서 처음 독일의 영토 열망을 언급했다. 그는 충돌과 관련된 국가 목표에 덧붙어 독일이 새로운 지역인 세계적인 전쟁 상태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7년 전쟁은 프로이센이 유라시아에서 최고 강국이 되게 했다. 그 전쟁은 이미 프로이센의 일부가 된 실레지아를 확실하게 통치하기 위해 일어났다. 이 전쟁은 모든 독일 제국, 대 게르만 제국이 1938년 이래로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게 하는 전쟁이 될 것이며 우리는 남아있을 것이다. 이 전쟁은 이제 동쪽으로 열린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마도 독일은 강대국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 세계 제국이 될 것이다. (Germanische Weltreich). 유럽의 구현[편집] 유럽 대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편집] 신질서의 초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어 폴란드 침공 당시 소비에트 연방과의 양면전을 방지하고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일어날 원자재 부족을 막는다. 두 번째로, 전격전을 통해 북유럽과 서유럽(베저위붕 작전과 프랑스 공방전)을 빠르게 공격해 저항을 무력화한다. 이 결과 1940년 초여름까지 덴마크,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가 독일에게 정복되었다. 영국이 독일에게 굴복함으로써 서유럽에서 정치적 우위를 차지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와 같은 방식의 강화 회의는 없어지게 되었다.[15] 국제 노동 기구 같은 모든 국제 기구는 독일의 점령을 등가로 하여 해체되거나 바뀔 수 있었다. 전후 압수된 독일군 총사령관인 발터 폰 브라우히치가 남긴 문서에 따르면, "17세부터 45세까지 혼자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인구는 현지 상황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구금하고 대륙으로 보내야 된다"라고 작성했다. 이 인구는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영국의 모든 금융, 군사, 산업, 문화적 재산을 약탈한 이후[16] 나머지 인구는 공포에 떨도록 했다. 민간인들을 인질로 잡은 이후 사소한 저항에도 모두 사형을 하고자 했다.[17] 이 추방된 남성들은 대부분 루르와 어퍼 실레지아에서 대부분 산업 노동을 할 것으로 예정되었다. 비록 그들은 동부의 노예(나치는 이들을 인간보다 아래로 간주하여 죽을 때 까지 일만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겼음)보다는 덜 잔인했겠지만 작업 및 생활 조건은 매우 열약했을 것이다.[18] 1943년 2월 말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Reichsministerium für die besetzten Ostgebiete)의 오토 브라우티겜(Otto Bräutigam)가 에두아르드 바그너(Eduard Wagner)와 토론 중 하인리히 힘러의 보고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을 때, 보고서에는 힘러가 독일의 승리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아인자츠그루펜과 보안방첩대(Sicherheitsdienst)를 이용하여 인구의 80% 이상의 학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9] 관련 사건에서는 히틀러가 영국 하층 계급을 "인종적으로 열등하다"라고 말한 것이 있었다.[20] 북프랑스의 거대 영토 합병 계획에 따르면, 히틀러는 독일 헤게모니를 대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국령 내로 두는 것을 배척했다.[21] 마찬가지로, 서부와 남부의 라틴 유럽(이스타두 노부, 프랑코 정권, 이탈리아)도 단순히 독일의 종속국 및 괴뢰 상태로만 두었다.[21]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편집] 대 게르만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 게르만 제국으로 계획된 다양한 국경 중, 나치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체계화된 계획 대상(예:제네랄플랜 오스트)과 친위대의 통치 기반 구역을 표시했다.[22]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정교했던 나치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대 게르만 제국"(Grossgerman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수립 계획이었다.[23] 이 미래의 제국은 머지않아 독일 뿐 아니라 사실상 역사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점령한 곳(그레이트브리튼 섬 제외)를 포함했으며 자연의 아리안 민족이 점령할 것이라 믿었다. 제3제국 시기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마르크(Ostmark)같이 단순한 지방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빠르게 적용하여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종본질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의식을 근절시키는 것이었지만 독일어는 계속 존재할 것이었다.[24][25]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편집] 다뉴브 강 이남의 나치 지배, en:Nazi rule over the Danube Riv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직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바나트 지역의 다뉴브 슈바벤(Danube Swabian) 자치령 포함)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성국이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하던 시기 합병되었다. 독일-이탈리아 공동 점령기의 그리스는 그리스 저항운동이 성장하였다. 비록 물리적으로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이탈리아의 지배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공동통치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는 남서부의 절반을 점령했고, 독일은 북동부의 절반을 지배했다. 히틀러는 베오그라드(나중에 프랑수아 외젠-슈타로 이름이 바뀜)과 데살로니카 지역에 영구 독일 기지를 건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26]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A 선, 나치 독일의 우랄 산맥 계획, 헝거 계획, 및 en:Hunger Plan입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의 계획도. 신질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작전은 1941년 6월 22일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는 바르바로사 작전이었다. 이 전역의 목표는 단순한 소련 정권 파괴가 아닌(나치 정권은 정당성과 반소비에트주의를 고려하였다) 유럽 러시아의 인종을 개편하여 제네랄플랜 오스트(Generalplan Ost)로 나치 엘리트들을 심고자 했다.[27] 또한, 히틀러는 소련 영토에 존재하는 광대한 자원을 이용하여 독일에게 총봉쇄 상황의 자급자족을 이룰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는 곡물, 식물성 유지, 사료, 철광석, 니켈, 망간, 석탄, 몰리브데넘이 있었다. 또한, 크림 반도에는 고무, 귤, 목화가 있었다. 흑해에는 물고기가 있었고, 코카서스에서는 석유가 있었다.[28] 나치당의 철학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슬라브 민족에 대한 비인간적인 정책에 항의[29])는 SS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가 주도하는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이곳의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비아리안 민족을 노예화, 강제 이주, 제노사이드 등을 구현하고자 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나온 장기적 목표는 동유럽의 거대한 병합 영토에 독일 민족을 정착시키고, 결국에는 우랄 산맥까지 3제국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유럽의 정착형 식민지의 취득으로 레반스라움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였다.[30] 1942년부터는 준식민지 정권인 폴란드의 폴란드 총독부, 발트3국과 벨라루스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가 설립했다. 또, 모스크바 수도권을 포함한 유럽 러시아의 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코카서스 지역의 코카서스 국가판무관부 두 가지의 총독부가 구상되었다. 이 지역에는 유대인 인구(마지막 해결책)의 홀로코스트와 슬라브 민족의 노예화 정책이 계획되었고 이 계획을 위해 정복 이후 SS 군인이 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러한 각각의 SS 농민군은 아버지에 적어도 7명의 아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31] 독일 여성은 새롭게 병합한 동부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가질 것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레반스라움 프로그램 확장과 제3제국 내에서 적어도 8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독일 여성에게 수여되는 독일 어머니 명예 훈장으로 알려진 주 훈장 제정이 있었다. 마르틴 보어만과 히믈러의 인구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결혼 법안인 일부다처제 허용 법안도 있었다.[32] 히믈러는 적어도 2000년대에는 독일 인구가 약 3억명일 것이라 예상했다. 재정착 노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국으로의 귀향입니다. 독일 점령하의 폴란드의 나치 계획을 보여주는 프로파간다 지도. 1942년, 히틀러의 제국은 유럽의 많은 곳을 점령했지만, 이 지역들은 나치가 원하는 인구보다 부족했다.[33] 독일이 레반스라움 영토를 병합한 후에는 나치 이데올로기식 인종 원칙에 따라 인구를 채울 필요가 있었다.[33] 이것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민족학적 관계의 재배열"로 수행할 수 있었다.[33] 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히틀러가 게르마니아 통합 제국 위원회(독일 민족의 강화를 위한 제국대표부 위원, RKFDV)(독일 민족 복지 사업부 참조) 시기 1939년 10월 7일 히틀러가 구상했다.[33] 이 부는 독일의 폴란드 점령기 당시 히믈러가 공인한 독일 소수민족의 복귀를 위해 시작했다.[33] 히믈러는 전쟁이 계속되는 다른 독일계 점령지에서 독일인 정착민 보호 관할지가 늘어났다. 독일 민족 정착을 위한 영토를 만들기 위해, 폴란드와 프랑스 영토로 수십만 명을 보냈다.[34] 히틀러의 독일계 소수민족 정착의 대다수는 소비에트 연방에게서 얻은 나치-소비에트 시민 교환 조약으로 받은 독일인이었다.[34] 1944년 바르테란트 제국대관구에서 지구 지도자 아서 그레서가 인사를 받는 모습. 1942년 말까지 총 독일계 소수민족 629,000명이 정착했으며, 393,000명의 정착 준비를 끝냈다.[34] 장기적 목표로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프랑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으로 540만명을 정착시키는 것이었다.[34] 독일 제국 내에서 나온 이민자들은 모두 인종이나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나 폴란드 병합 지역에서 강제 수용소로 들어갈 사람으로 분류되었다.[34] 히믈러는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정착민들이 종종 해당국가의 시민으로서 있길 바라는 현상 때문에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34] 1944년 6월 1일 기준 정착/재정착 인구[35] 기원 지역 총 합 합병된 동부 지역에 정착한 인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76,895명 57,249명 리투아니아 51,076명 30,315명 볼히니아, 갈리치아, 나레프 136,958명 109,482명 폴란드 총독부 동부 32,960명 25,956명 베사라비아 93,342명 89,201명 북부 부코비나 43,670명 24,203명 남부 부코비나 52,149명 40,804명 도르부자 15,454명 11,812명 루마니아 레가트 10,115명 1,129명 고트시와 류블랴나 15,008명 13,143명 불가리아 1,945명 226명 세르비아 2,900명 350명 러시아 350,000명 177,146명 그리스 25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8,437명 3,698명 슬로바키아 98명 남부 트롤 88,630명 제국, 보호령, 룩셈부르크 : 68,162명 프랑스 19,226명 알자스, 로렌, 룩셈부르크, 제국, 보호령 : 9,572명 총 합 1,009,113명 662,448명 스페인과 포르투갈[편집] 스페인은 파시스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지도자로 있었으며, 독일 편에 참전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스페인 팔랑헤당은 수많은 영토 점유를 요구했다. 프랑코 장군은 프랑스의 바스크어 지역 뿐 아니라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인 루살롱, 세르다냐, 안도라 영토 할양을 요구했다.[36] 또한, 스페인은 전략적, 이념적 가치로 인해 대영제국의 지브롤터 점령도 요구했다. 또한, 프랑코는 스페인 보호령인 모로코의 재통일 및 프랑스령 알제리주의 오랑 지역, 스페인령 기니의 대규모 확장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요구 사항은 독일이 독일령 카메룬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영토 야망이 있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독일은 스페인이 기니 지역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37] 스페인은 포르투갈을 문화적, 역사적 동질성을 근거로 이베리아 연합이라는 동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38] 스페인이 참전을 거부한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괴뢰국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대서양 장벽의 독일 해군 시설 건립에 대한 일환으로 독일에게 대서양 해안 도시 및 섬을 인계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와 포르투갈령 앙골라를 미테라프리카의 식민지 프로젝트를 일환으로 양도했다.[39]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편집]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편집]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식민정책부, 제국 식민지 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테라프리카(Mittelafrika)의 예상 영토는 연한 파랑색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식민지 제국이 소유한 식민지는 진한 파랑색이다. 포함 가능 영토(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는 파랑색 음영 처리. 아프리카에 대한 히틀러의 지정학적 생각은 항상 유럽 그 자체에 있는 팽창 목표의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식민지 정책은 오직 너가 먼저 대륙을 점령하고 나서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쟁 발발 이전 히틀러는 독일의 옛 식민지는 유럽 자체 영토 목표를 이룬 후 협상을 통해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먼저 유럽 대륙에서 최고가 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독일이 점령할 예정이었다.[40] 히틀러의 아프리카 미래 조직에 관한 전반적인 의도는 세가지 기초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 세 곳중, 북부는 이탈리아 왕국에게 할양할 것이며 중부 지역은 독일이 점령할 의도였다. 나머지 남부 지역은 인종주의를 근거로 한 친나치 아프리카너 국가가 세워질 예정이었다.[40] 1940년 독일 외무부 장관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남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진 것이 나치가 이전 식민지인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확보한 다음 남아프리카 연방에게 위임령으로 주는 것에 공감하였다.[41] 남아프리카는 영국의 보호령인 스와질란드, 바수톨란드, 베추아날란드 및 식민지인 남로디지아 영토를 합병할 수 있다는 보상을 얻었다.[41] 스페인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에 관해 논의했지만,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기를 거부했다. 1940년, 크릭스마리네의 장군참모가 독일 식민지 제국은 파란색으로 묘사(대영 제국을 나타내는 붉은 색이나 분홍색에 반대하여 독일의 영토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색)된 지도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통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확장한다는 훨씬 더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했다.[42] 이 제안된 계획은 미테라프리카로 불리며 심지어는 더 크게 모색된 독일 목표 지도도 존재했다. 이것은 독일이 아프리카에서 우월적인 위치를 만들기 위해 단지 동유럽의 정복 뿐 아닌 유럽 대륙에 걸쳐 만들어진 지역처럼 아프리카도 그러한다는 계획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 얻을 영토 그 자체인 유럽 러시아와 달리, 이 지역은 광대한 독일인 정착 영토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대한 식민지제국의 건설은 주로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드는 것으로, 독일에게는 대륙에서 광대한 지하 자원과 재산을 얻을 수 있고, 거의 무제한적인 노동력도 얻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 정책은 엄격하게 시행될 예정이었으며(백인과 흑인을 분리하는 의미의 차별),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제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일부도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령과 벨기에령 콩고, 북로디지아 및 남로디지아(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도 포함), 니아살랜드, 나이로비를 포함한 케냐 남부(케냐 북부는 이탈리아가 점령하고 있었음), 우간다, 가봉, 우반기-샤리, 나이지리아, 다호메이, 황금 해안, 잔지바르, 니제르와 차드의 거의 대부분, 다카르와 반줄의 해군기지였다.[43] 두 번째 계획은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에서 벨기에령 콩고까지의 모든 유럽과 아프리카의 대서양 해안선 뿐 아닌 카보베르데, 아소르스 제도 등 많은 대서양 앞다의 섬에 걸쳐 서반구에 대해 해군 기지 및 공군 기지 강화와 건설을 할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비슷한 계획으로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대한 계획이었다.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의 아시아 분단 협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 예니세이 강은 일본과 나치 독일의 아시아 분단점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4] 1942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 비밀 회담에서 이들은 아시아를 예니세이 강을 따라 중국 국경, 중국-소비에트 연방 국경,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서부 국경, 이란-영국령 인도 제국 국경을 따라서 분할하기로 합의했다.[44] 이 조약의 초안은 일본 주 독일 대사인 오시마 히로시가 독일에서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인도가 일본에게 할당되었고 독일 해군의 인도양 운영 작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독일 외무부와 해군이 거부하였다.[45] 그러나, 히틀러는 1942년 1월 18일 이 조약에 받아들이고 서명했다.[45]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된 독일 식민지 제국의 옛 오세아니아 식민지(독일령 사모아와 독일령 뉴기니)는 일본이 적어도 삼국 동맹 조약 당시 일시적으로 관심을 가지던 독일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모두 옛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았다).[47] 호주와 뉴질랜드는 히틀러가 이 지역에서 백인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탄했지만 미래의 대동아 공영권 지역으로 설정되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그 장교에게 호주는 "죄수의 후손"이며, 독일의 관심지역이 아니며 장래에는 일본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요제프 괴벨스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괴벨스는 그의 일기에서 일본인들은 항상 "5번째 대륙의 이민을 목적으로 한다고 작성했다.[49] 그의 남아있는 유일한 긴 논의에서, 뉴질랜드인은 아직까지 교목성 운동을 하며 이족보행을 못한다고 말했다.[50] 역사학자 노르먼 리치는 히틀러가 동부의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앵글로색슨족의 두 나라를 정복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잉글랜드인들도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8][51] 중동와 중앙아시아[편집] 1941년 12월 예루살렘 그랜드 무프티인 무함마드 아민 알-후스세이니와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지침 30호, 프리츠 그로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비에트 연방 멸망 프로젝트를 모두 마친 후에는, 지중해 전구를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52]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수에즈 운하와 터키를 통하여 코카서스(이 지역의 대부분은 이미 청색 작전의 결과로 점령하게 됨)에서 바그다드-바스라 지역을 공격해서 1941년 이라크 쿠데타를 지원하여 영국-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53] 그러나, 히틀러는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 지배에 대해 구상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레반트 지역까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허용하려고 했다.[54][55][56] 중동 유대인은 1941년 11월 하즈 아민 알-후스세이니와의 약속에 따라 아인자츠구르페 이집트를 동원하여 몰살할 계획이었다.[55] 터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계에 있는 지역일 뿐 아니라 긴 기간 동안의 적대적인 역사, 이후 소련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히틀러가 중요한 잠재적 동맹으로 인식했다.[57] 독일은 장기적으로 공동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터키에게 독일 지배 하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으며 국방을 명목으로 원하는 지역의 보장을 약속했다. 이 지역에는 터키와 그리스 간의 경계인 에디르네의 재정립, 터키가 영유권 주장을 하던 코카서스의 완충국 형성, 터키-시리아 국경(바그다드 철도와 알레포 주) 및 터키-이라크 국경(모술 빌리예트)의 개정, 이탈리아 왕국의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방어같은 에게 해 문제 해결 등이 있다.[57] 흑해(히틀러는 "단순한 개구리연못"이라고 조롱)[58] 또한 터키의 영향권 중 하나로 양보할 수 있었으며, 흑해 함대를 대신에 독일 함대가 주둔하는 것에 반대했다.[57] 크림 반도(나치는 고텐란트, Gotenland라고 부름)는 독일이 영구적인 영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새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흑해에서 해산물을 "무제한"으로 수탈할 수 있었다.[59] 연합국이 점령한 이란도 반란을 이용하여 추축국의 영역으로 끼워넣을려고 했다.[53] 반소비에트주의의 요새로서의 이란은 1930년대 이미 고려되었으며, 이란에 대한 히틀러의 "아리안 민족의 국가"로 선언한 것도 일치한다(페르시아어로 Iran이라는 말은 "아리안 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다.). 1935년 국명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개칭한 것은 독일 대사의 "아리아인 연대"의 제안으로, 샤가 이를 수락하여 받아들어졌다.[60] 그러나, 이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항상 "이란"이라고 불렀으며, 나치 독일의 성장 천여년 이전부터 계속해왔던 것이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소련, 영국, 미국 다음으로 단일 무역 상대로써 가장 거대한 무역 상대였다.[60] 전쟁 이전 외교적 행보로, 나치 독일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이루어진 니에데마이어-헨팅 탐험(Niedermayer-Hentig Expedition)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이 나라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다.[62] 이들의 목적은 독일-영국 간 충돌시 최대한 중립을 유지하며, 심지어는 영국령 인도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군사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62]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나치 독일 외무부 간 친선관계에도 불구하고, 리펜트로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시키고 1929년부터 독일로 망명해 있던 아마눌라흐 칸 복권을 선호했다.[63] 결국, 히틀러는 이 문제에 대해 로젠버그를 지지했다.[63] 1940년 독일-프랑스 휴전 이후 카불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의 계획을 물어보기 위해 베를린 방문을 시도했다.[64] 가장 특별한 관심사는 전후 국경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영국령 인도에 있던 파슈툰인 1500만명의 "해방"을 희망했고 거기에 더해 북부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확장하고 남으로는 인도양 해안까지 파슈투니스탄처럼 확장하려고 했다.[64] 10월에서 11월 사이 열린 독일-소련 추축국 회담에서 독일이 소련에게 남부-중앙유라시아와 인도 방면으로 소련을 확장시켜줄려고 했을 때, 독일은 아프가니스탄과 협력하기를 꺼려했다.[65] 독일은 이븐 사우드 하의 사우디아라비아를 자연적인 동맹국으로 여겼으며, 아라비아 남서부와 트란스요르단을 양도하려고 했다.[66] 또한, 전후 위성국으로 대아랍연합을 세우는 것이 논의되었다.[54] 처음에는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가 점령하도록 양보할 예정이었지만,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게 휴전을 합의하자 히틀러는 이슬람 세계에 이슬람 국가를 독립시키고 "위험한" 이탈리아와는 달리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범아랍주의 운동을 자연적인 동맹으로 만들려고 했다.[67] 1945년 2월 17일, 특히 히틀러는 측근들에게 독일의 강철 조약이 더 혁명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또한 대영제국 및 프랑스 식민 제국 둘 모두의 영향력을 없애버릴 수 있는 남쪽의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것을 막아버렸다고 후회한다고 말했다.[67]: 자연스럽게,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은 중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있었다면, 우리는 프랑스가 지배하는 이슬람 국가를 해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는 거대한 중동과 이집트도 그렇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운명은 이탈리아인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을 추구할 수 없었다. 모든 이슬람인은 우리의 승리에 진동했다. 이집트인, 이라크인 및 중동 거의 전체가 모두 반란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었다. 우리가 단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을 것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그들을 선동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들의 의무이자 우리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측에서 이탈리아의 존재는 우리를 마비시켰다. 우리의 이슬람 친구들은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을 압제자라 느끼거나 내키지 않는 공범이라고 느끼며 불쾌하게 느꼈을 것이다. 더 보기[편집] 대 게르만 제국은 전 유럽의 모든 게르만족 지역을 점령하여 만들려고 했던 국가 이름이다. 대동아 공영권은 신질서와 범게르만주의를 일본식으로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 제국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중해 점령 프로젝트이다. (en:Imperial Italy)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그로스도이칠란트, Grossdeutschland) 드랑 나흐 오스턴 (Drang nach Osten, "The Drive Eastward") 레반스라움 (Lebensraum) 제네럴플랜 오스트 (Generalplan Ost) 생명의 샘 마지막 해결책 (Final solution) 홀로코스트 유럽 전장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기 신세계 질서 (국제 외교 이론) 포즈난 연설 -1943년 10월 하인리히 힘러의 연설로, SS에게 신 질서의 새부 사항에 대한 연설이다. 헤게모니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각주[편집] ↑ 아돌프 히틀러의 베를린 스포츠 궁전 연설. [1] ↑ Gumkowkski, Janusz; Leszcynski, Kazimierz (1961).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Polonia Pub. House. [2] ↑ Lee, Stephen J. (1987).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p.359 ↑ Spielvogel, Jackson J. (2006). Western Civilization Since 1789, Volume 3. Clark Baxter, p. 855. [3] ↑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July 16, 194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5 June 2011. Quoting Hitler: The Führer emphasized that we had to understand that the Europe of today was nothing but a geographical term; in reality Asia extended up to our frontiers. ↑ Rich, Norman (1972).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p. 212. ↑ Haffner, Sebastian (1979). The Meaning of Hitl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Inc., p. 100. [4] ↑ Hitler, Adolf Mein Kampf ↑ Rosenberg, Alfred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1930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 Geopolitics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ian W. Blouet (2001): ↑ Derwent, Whittlesey German Strategy for World Conquest New York:1942 Farrar and Rinehart ↑ Gerhard Weinberg (2005).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 [5] ↑ . Weinberg, G.L. (1996),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p. 28, ISBN 0-521-56626-6 ↑ Weinberg, A world at arms (2005), p. 175 ↑ Shirer, p. 943 ↑ Shirer, p. 782 ↑ Shirer, p. 949 ↑ Otto Bräutigam: „So hat es sich zugetragen...“ (Holzner Verlag, Germany 1968, p. 590) ↑ Adolf Hitler: Hitler's Table Talk November 5th, 1941 (in: Hitler's Table Talk, Weidenfeld & Nicolson, 1953) ↑ 가 나 Lipgens, Walter (1985).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Continental Plans for European Union 1939-1945》. Walter de Gruyter. 12–13쪽. ISBN 3-11-009724-9.  ↑ “Utopia: The 'Greater Germanic Reich of the German Nation'”. München - Berli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1999.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Rich, Norman (1974).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p. 26.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 Rich (1974), pp. 24-25, 140. ↑ Welch, David (1983). Nazi Propaganda: The Power and the Limitations, p. 145. Taylor & Francis. ISBN 0-389-20400-5. ↑ Kroener et al (2003), p. 165 ↑ Pinkus, Oscar (2005).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175쪽. ISBN 0-7864-2054-5.  ↑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19-822887-2.  ↑ Padfield, Peter (1990) Himmler New York, Henry Holt. See under Rosenberg in index ↑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Padfield (1990), p. 317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6쪽. ISBN 0-15-602754-2.  ↑ 가 나 다 라 마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3).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Oxford University Press. 250쪽. ISBN 0-19-820873-1.  ↑ 가 나 다 라 마 바 Kroener et al (2003), p. 251 ↑ Kroener et al (2003), p. 252 ↑ Stanley G. Payne,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 Norman Rich,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 Glyn Stone, The Oldest Ally: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1941: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41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 Gerhard L. Weinberg,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 가 나 Weinberg 2005, p. 14. ↑ 가 나 Rich (1974), pp. 500-501. ↑ Padfield (1990), p. 309 ↑ Stegemann, Bernd; Vogel, Detlef (1995).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95쪽. ISBN 0-19-822884-8.  ↑ 가 나 Weinberg 2005, p. 13. ↑ 가 나 다 라 Martin, Bernd (2006).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ISBN 1-84545-047-7 pages=267–26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 가 나 다 Martin (2006), p. 271. ↑ Weinberg (2005), p. 13 ↑ 가 나 Rich (1974), p. 415 ↑ People Against Nazism, Communism, and Authoritarianism. Nazi plans for Australia. Retrieved 2 January 2011. [6] ↑ Weinberg (2005), p. 15-16.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5쪽. ISBN 0-15-602754-2.  ↑ Stegemann & Vogel (1995), p. 625.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631 ↑ 가 나 Schwanitz, Wolfgang (2004). 《Germany and the Middle East, 1871-1945》. Markus Wiener Publishers. 94–95쪽. ISBN 1-55876-298-1.  ↑ 가 나 Weinberg (2005), p. 19 ↑ Stegemann & Vogel (1995), p. 178 ↑ 가 나 다 Rich (1974), p. 402. ↑ Hitler (2000), p. 208. ↑ Rich (1974), p. 383. ↑ 가 나 Hiro, Dilip.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 Kegan Paul Inc., p. 296. [7] ↑ Iran's etymology.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2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3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4 ↑ Stegemann & Vogel (1995), p. 165 ↑ Stegemann & Vogel (1995), p. 591 ↑ 가 나 Hitler's Last Will and Political Testament, 17 February 1945 추가 읽기[편집] Evans, Richard J. The Third Reich at War (2009) pp 321–402 Fritz, Stephen G. Ostkrieg: Hitler's War of Extermination in the East (2011) Longerich, Peter. Heinrich Himmler: A Life (2012) Lund, Joachim. "Denmark and the 'European New Order', 1940-1942,"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2004) 13#3 pp 305–321, Mazower, Mark.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2009) Mazower, Mark. "Hitler's New Order, 1939-45," Diplomacy and Statecraft (1996) 3#1 pp 29–53, Snyder, Timothy.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2010)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질서_(나치즘)&oldid=23363866"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치나치 독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ISBNCS1 관리 - 수직선 없음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시(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제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나치 독일과 일제 사이에 맺어진 아시아 지역의 분할에 관한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Assistant: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Human: 아래 은비까비의_옛날옛적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장르 시대극/사극, 코미디, 아동물 TV 애니메이션 원작 한국의 전래동화 기획 정승배 감독 박치만, 김대중, 이우영, 김동호 성우 전기병, 김성희,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박은숙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이광조(각색) 음악 왕준기, 이남홍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한호흥업(주)동우동화 제작 KBS화인 프로덕션 방송사 KBS 2TV 그 외의 방송사 KBS 1TV, JEI재능TV, KBS 키즈 주니어 방영일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20분 ~ 6시 35분 방영 기간 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화수 전13화 틀 - 토론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는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KBS에서 제작, 방영한 만화·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성우출연 2 제작진 2.1 오프닝 크레딧 2.2 엔딩 크레딧 3 방영 이야기 4 주제곡 5 함께 보기 6 외부 링크 성우출연[편집] 전기병 : 은비 役 김성희 : 까비 役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제작진[편집] 오프닝 크레딧[편집] 기획: 정승배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한호흥업(주), 동우동화 원화감독: 박치만 작화감독: 이준웅 (제4화), 신태용 (제5화) 그래픽디자인: 이영범 텔레시네: 장현수 주제가작사: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음향효과: KBS효과부 음악: 왕준기, 이남홍 녹음: 김설파 연출: 민영문 제작: KBS 엔딩 크레딧[편집]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원화: 김중호, 김백수 원화작감: 고종환 동화: 김명숙, 육성수 선화: 유수정, 김혜자 채화: 서금희, 문미경 배경: 권용남, 정은숙, 박중호 촬영감독: 최동섭 촬영: 전문호, 이준학 필름편집: 황호삼 작화연출: 은봉수 제작진행: 박순신 VTR편집: 장석주, 서송훈 CG: 도경란 제작: KBS 애니메이션 제작: 한호흥업(주) (제4화~제5화) 각색: 이광조 레이아웃: 이양수, 장남수 원화: 김영덕 방영 이야기[편집] 회차 부제 방송일 1화 귀중한 지게도둑의 눈물 1991년 4월 5일 2화 거울푸른구슬 1991년 4월 12일 3화 견우직녀황금알을 낳는 닭 1991년 4월 19일 4화 파란부채 하얀부채원님과 항아리 1991년 4월 26일 5화 자기를 도둑맞은 사람가재가 된 징거미 1991년 5월 3일 6화 소가 된 잠꾸러기은혜갚은 까치 1991년 5월 10일 7화 선녀와 나무꾼훈장님의 거짓말 1991년 5월 17일 8화 하얀 풀잎이상한 돌절구 1991년 5월 24일 9화 돌을 삶는 두 노인울산바위 1991년 5월 31일 10화 곶감과 호랑이천생연분 1991년 6월 7일 11화 별아기수다장이 주먹밥나무 1991년 6월 14일 12화 산돼지와 머슴거짓말에 속은 거짓말쟁이 1991년 6월 21일 13화 참된 우정산부새와 섯하니 1991년 6월 28일 주제곡[편집] 여는곡 :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주제가 주제가작사 :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함께 보기[편집]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 외부 링크[편집]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1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2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3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다음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Naver 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무비스트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미자야 만화 노래 부르자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1년 1월 4일 ~ 1991년 3월 2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영심이(1991년 7월 5일 ~ 1991년 9월 27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2년 1월 17일 ~ 1992년 4월 10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2년 4월 17일 ~ 1992년 7월 10일) 지구는 초록별(1992년 7월 17일 ~ 1992년 8월 14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날아라 슈퍼보드(1992년 8월 21일 ~ 1993년 3월 1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3년 3월 26일 ~ 1993년 6월 18일) 마법사의 아들 코리(1993년 6월 25일 ~ 1993년 9월 17일)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만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비까비의_옛날옛적에&oldid=24010315" 분류: 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1991년 애니메이션코미디 애니메이션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만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4: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는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KBS에서 제작, 방영한 만화·애니메이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획자는 누구인가? Assistant: 정승배
Human: 아래 KBO_리그_관련_기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BO 리그 관련 기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O 리그 관련 기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 프로 야구 기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개인 기록 1.1 타자 통산 기록 1.2 투수 통산 기록 2 팀 기록 개인 기록[편집] 타자 통산 기록[편집] # 내용 기록 선수 소속 팀 기간 (한국 통산)시즌 수 주석 및 기타 최다 경기 출장 2223경기 정성훈 KIA - 현대 - 넥센 - LG - KIA 1999년 - 20 최다 타석 8807타석 양준혁 삼성 - 해태 - LG - 삼성 1993년 - 2010년 18 최다 타수 7727타수 박용택 LG 2002년 - 17 최다 안타 2384개 박용택 LG 2002년 - 17 최다 2루타 464개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3루타 100개 전준호 롯데 - 현대 - 우리 1991년 - 2009년 19 최다 홈런 467개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루타수 4077루타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볼넷 1278개 양준혁 삼성 - 해태 - LG - 삼성 1993년 - 2010년 18 최다 몸에 맞는 공 222개 최정 SK 2005년 - 11 최다 타점 1498타점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득점 1355득점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도루 550도루 전준호 롯데 - 현대 - 우리 1991년 - 2009년 19 투수 통산 기록[편집] # 내용 기록 선수 소속 팀 기간 (한국 통산)시즌 수 주석 및 기타 (투수) 최다 경기 출장 901경기 류택현 OB - LG 1994년 - 2014년 21 최다 이닝 3003이닝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승리 210승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세이브 277세이브 오승환 삼성 - 한신 - 세인트루이스 - 토론토 2005년 - 13 최다 홀드 177홀드 안지만 삼성 2002년 - 2016년 15 팀 기록[편집] 없음 vdehKBO 리그 관련 기록팀 도루 득점 몸에 맞는 공 병살타 볼넷 승패 실점 실책 안타 연속 기록 타석 타수 타점 투구수 홈런 타자 경기 출장 나이 도루 득점 몸에 맞는 공 병살타 볼넷 삼진 실책 안타 연속 기록 출루 타석 타수 타율 출루율 장타율 타점 홈런 투수 경기 출장 나이 몸에 맞는 공 볼넷 세이브 승패 실점 연속 기록 탈삼진 투구수 투구 이닝 피홈런 홀드 감독 감독 관련 기타 관중 경기 시간 나이 연속 기록 vdeh스포츠 관련 대한민국 기록 사격 수영 스피드 스케이팅 야구 육상 역도 vdeh스포츠 관련 세계 기록올림픽 종목 사격 수영 스피드 스케이팅 육상 역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BO_리그_관련_기록&oldid=22857851" 분류: KBO 리그 기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6일 (금) 2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KBO 리그의 투수관련 개인 통산기록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Assistant: # 내용 기록 선수 소속 팀 기간 (한국 통산)시즌 수 주석 및 기타 (투수) 최다 경기 출장 901경기 류택현 OB - LG 1994년 - 2014년 21 최다 이닝 3003이닝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승리 210승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세이브 277세이브 오승환 삼성 - 한신 - 세인트루이스 - 토론토 2005년 - 13 최다 홀드 177홀드 안지만 삼성 2002년 - 2016년 15 Human: 아래 Dali,_Van,_Picasso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Dali, Van, Picasso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ali, Van, Picasso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ali, Van, Picasso"빈지노의 싱글발매일 2013년 12월 18일포맷 디지털 다운로드녹음 2013년, W 스튜디오장르 랩, 힙합길이 3분 43초레이블 일리네어 레코즈CJ E&M 작사가 빈지노작곡가 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프로듀서 피제이 "Dali, Van, Picasso"는 대한민국의 래퍼 빈지노가 2013년 12월 19일 발매한 싱글이자 그의 정규 음반 12의 수록곡이다. 피제이가 프로듀싱하였고 빈지노가 작사하였다. 발매 직후 주요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1][2] 이어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하였다.[3] 2014년 1월, 온라인을 통해 무단 샘플링 논란 후[4] 2월, 샘플 클리어런스 절차를 밟아 원곡자에게 승인받았다.[5] 목차 1 배경 2 평가 및 반응 3 무단 샘플링 논란 4 수록곡 5 크레딧 6 차트 및 수상 6.1 차트 6.2 수상 7 각주 배경[편집] 일리네어 레코즈에서 자신의 솔로 EP 음반 2 4 : 2 6를 발매한 빈지노는 2013년 12월 6일, 티저 이미지와 함께 1년 반만에 같은 달 18일 싱글 "Dali, Van, Picasso"를 발매한다고 알렸다.[6] 빈지노는 곡을 통해 자신의 예술가적 영감과 열정을 세 화가; 살바도르 달리, 빈센트 반 고흐, 파블로 피카소의 이름을 빌려 표현하였으며 아트워크는 자신의 크루인 IAB가 작업하였고 모델은 김원중이 맡았다.[7] 원래 영국 애비로드 스튜디오에 마스터링을 맡겼으나 맘에 들지 않아 국내에서 다시 하였다. 또한 곡 제목에 맞게 아트워크에 사용된 펜던트 목걸이를 직접 디자인하였는데, 곡에 언급된 세 화가의 대표 작품을 하나씩 형상화하였다.[8] 평가 및 반응[편집] 발매 직후 주요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1] 특히, 아티스트들에게도 극찬받았는데 트위터를 통해 자이언티는 "와인을 물감 삼아 붓질하는 화가같다"고 하였으며, 이정은 "정말 오랜만에 노래 듣다 꿈틀하였다"고 밝혔다.[2][9] 음원 평론 사이트 이즘의 김반야는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미술을 팔레트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그려냈으며, 아티스트를 소재로 자신을 차별화했고, 힙합적 소신을 지켰다."며 평점 5점 만점에 3.5점을 줬다.[10] 또한 연말에 발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하였고[3] 2015년 2월에는 제 12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랩&힙합 - 노래 부문 후보에 올랐다.[11] 무단 샘플링 논란[편집] 발매 후 한 달이 지난 2014년 1월, 온라인을 통해 독일 가수 피바의 "Sud Sehen" 곡과 비슷하다며 표절 논란이 불거졌다.[12] 같은 날, 소속사 일리네어 레코즈는 "표절이 아닌 샘플링"이라고 반박하였고 곡은 쳇 베이커의 "Alone Together"를 무단 샘플링 한 것으로 밝혀졌다.[13] 또한 "작업 과정에서 샘플링을 이용한 곡인지 인지 못하였고 곧바로 저작권사와 샘플 클리어런스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4] 이후 2월, 샘플 클리어런스를 마쳐 저작권을 포기, 원곡자에게 권리 양도되었다.[5] 이러한 무단 샘플링 논란 이후 국내에선 샘플링 작법에 대해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14][15] 논란을 겪은 빈지노는 이후 인터뷰에서 "잘못된 점은 인정하고 바로 잡아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결과적으로 필요한, 긍정적인 경험이었다"고 밝혔다.[8] 수록곡[편집] Dali, Van, Picasso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Dali, Van, Picasso  빈지노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3:43 2. Dali, Van, Picasso (Clean Ver.)빈지노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3:43 총 재생 시간: 7:26 크레딧[편집] 음원 사이트 정보에서 발췌하였다.[7] 빈지노 - 작사 피제이 - 프로듀서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 원곡자 고현정 - 믹싱 & 마스터링 허은숙- 녹음 엔지니어 IAB - 아트워크 김상곤 - 촬영 김원중 - 모델 차트 및 수상[편집] 차트[편집] 차트 (2013) 최고 순위 가온 주간 차트[16] 1 가온 월간 차트[17] 10 수상[편집]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수상 각주[편집] ↑ 가 나 “빈지노, 신곡 'Dali, Van, Picasso' 음원차트 올킬”. 《한국경제TV》. 2013년 12월 18일. 2015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빈지노, 새 싱글 'Dali, Van, Picasso' 음원사이트 점령”. 힙합플레이야. 2013년 12월 19일.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힙플어워즈 2013, 수상자들을 만나다.”. 《네이버 뮤직》. 힙합플레이야. 2014년 3월 6일.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홍, 세영 (2014년 1월 20일). “빈지노 측 공식입장 “Chet Backer 측과 협의 중…심려끼쳐 죄송” (전문 포함)”. 스포츠동아.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윤, 성열 (2014년 4월 7일). “'표절논란' 빈지노, 원곡자에 곡 사용승인..저작권 넘겨”. 스타뉴스.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빈지노, 싱글'Dali, Van, Picasso' 18일 발표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힙합플레이야. 2013년 12월 6일. ↑ 가 나 "Dali, Van, Picasso", 네이버 뮤직 ↑ 가 나 "빈지노의 바이브", ARENA. 2014년 4월호. ↑ "이정, 빈지노 신곡 극찬…“정말 오랜만에 노래 듣다 꿈틀”". 동아일보. 2013년 12월 18일. ↑ 김반야. "Dali, Van, Picasso", 이즘. 2014년 1월. ↑ "'제12회 한국대중음악상' 힙합, 알앤비 부문 후보 리스트", 리드머. 2015년 2월 3일. ↑ "빈지노 '달리 반 피카소' 표절 의혹…누리꾼 반응 "진짜 똑같다"", 티브이데일리. 2014년 1월 20일. ↑ 윤성열, "빈지노 측 "표절 아닌 샘플링..원작자와 논의할것"", 스타뉴스. 2014년 1월 20일. ↑ "빈지노 "Dali Van Picasso", 표절 의혹에서 샘플링 논란으로..", 리드머. 2014년 1월 20일. ↑ 강일권, "Hip Hop, Copy? Sampling!". ARENA. 2014년 3월호 ↑ 2013년 52주차 디지털 차트, 가온차트. 2015년 11월 16일 확인. ↑ 가온 디지털 월간 차트 2013년 12주차 디지털 차트, 2015년 11월 16일 확인. vdeh빈지노정규 음반12 (2016)EP 음반 2 4 : 2 6 (2012) Up All Night (2014) 싱글 "I'll be Back" 〈진절머리〉 "Dali, Van, Picasso" 〈어쩌라고 (So What)〉 "Break" "We Are Going To" "Life in Color" 관련 문서 음반 목록 노래 목록 일리네어 레코즈 IAB 스튜디오 핫클립 재지팩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ali,_Van,_Picasso&oldid=23063092" 분류: 2013년 싱글빈지노의 노래일리네어 레코즈의 싱글표절 논란 노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0일 (화) 11: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Dali, Van, Picasso"는 대한민국의 래퍼 빈지노가 2013년 12월 18일 발매한 싱글이자 그의 정규 음반 12의 수록곡이다. 피제이가 프로듀싱하였고 빈지노가 작사하였다. 발매 직후 주요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이어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4년 1월, 온라인을 통해 무단 샘플링 논란 후 2월, 샘플 클리어런스 절차를 밟아 원곡자에게 승인받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Dali, Van, Picasso는 무엇을 무단 샘플링 한 것일까? Assistant: Alone Together
Human: 아래 애비게일_브레슬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애비게일 브레슬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비게일 브레슬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애비게일 브레슬린Abigail Breslin 2015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브레슬린본명 애비게일 캐슬린 브레슬린Abigail Kathleen Breslin출생 1996년 4월 14일(1996-04-14) (23세)미국 뉴욕주 뉴욕국적 미국직업 배우, 가수활동 기간 2002년 - 현재 형제자매 스펜서 브레슬린 (오빠) 애비게일 브레슬린(영어: Abigail Breslin, 1996년 4월 14일[1] ~ )은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브레슬린은 3세 때 첫 상업 광고에 출연하였고, 5세 때 첫 번째 영화 《싸인》(2002)에 출연했다.[2] 그녀의 다른 영화 역할은 《레이징 헬렌》(2004), 《미스 리틀 선샤인》(2006)로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고,[3] 이후 《사랑의 레시피》(2007), 《님스 아일랜드》(2008), 《마이 시스터즈 키퍼》(2009), 《좀비랜드》(2009), 《랭고》(2011)와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2013)에 출연했다. 2015년 9월, 그녀는 FOX의 호러 코미디 《스크림 퀸스》로, TV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고정 역할로 출연했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영화 1.2 텔레비전 1.3 무대 2 음반 2.1 정규 음반 2.2 싱글 2.3 기타 참여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2 싸인Signs 보 헤스 2004 레이징 헬렌Raising Helen 사라 데이비스 2004 프린세스 다이어리 2The Princess Diaries 2: Royal Engagement 퍼레이드 소녀 캐롤라이나 2004 체스넛 : 센트럴 파크의 영웅Chestnut: Hero of Central Park 레이 2004 킨Keane 키라 베딕 2006 에어 버디즈Air Buddies 로즈버드 / 앨리스 목소리 출연 2006 산타클로스 3The Santa Clause 3: The Escape Clause 트리쉬 2006 최고의 유산The Ultimate Gift 에밀리 로즈 2006 미스 리틀 선샤인Little Miss Sunshine 올리브 후버 2007 사랑의 레시피No Reservations 조 암스트롱 2008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Definitely, Maybe 마야 헤이즈 2008 님스 아일랜드Nim's Island 님 루소 2008 킷 킷트릿지 : 아메리칸 걸Kit Kittredge: An American Girl 킷 킷트릿지 2009 마이 시스터즈 키퍼My Sister's Keeper 안나 피츠제럴드 2009 좀비랜드Zombieland 리틀 록 2010 퀀텀 퀘스트 : 어 캐시니 스페이스 오딧세이Quantum Quest: A Cassini Space Odyssey 지나 목소리 출연 2010 제이니 존스Janie Jones 제이니 존스 2011 랭고Rango 브리스길라 목소리 출연 2011 뉴욕의 연인들New Year's Eve 헤일리 도일 2011 잠베지아: 신비한 나무섬의 비밀Zambezia 조 목소리 출연 2013 더 콜The Call 케이시 웰슨 2013 악령Haunter 리사 존슨 2013 엔더스 게임Ender's Game 발렌타인 위긴 2013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August: Osage County 진 포드햄 2014 위키드 블러드Wicked Blood 한나 리 2014 퍼펙트 시스터즈Perfect Sisters 산드라 앤더슨 2015 매기Maggie 매기 보겔 2015 파이널 걸Final Girl 베로니카 2016 피어 주식회사Fear, Inc. 제니퍼 아담스 2017 프릭 쇼Freak Show 리넷 2018 새터데이 앳 더 스타라이트Saturday at the Starlight 타비사 후반 작업 2019 좀비랜드 2 리틀 록 2019년 1월 크랭크인 예정, 2019년 10월 11일 개봉예정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2-2009 페어팩스Fairfax 브룩 쟈코비 주연 2002 왓 아이 라이크 어바웃 유What I Like About You 조쉬 에피소드: "The Teddy Bear" 2002 핵Hack 카일라 아담스 에피소드: "Domestic Disturbance" 2004 성범죄수사대: SVULaw & Order: Special Victims Unit 패티 브랜슨 에피소드: "Birthright" 2004 NCIS 샌디 왓슨 에피소드: "See No Evil" 2005 가족 계획Family Plan 니콜 텔레비전 영화 2006 고스트 위스퍼러Ghost Whisperer 사라 애플화이트 에피소드: "Melinda's First Ghost" 2006 그레이 아나토미Grey's Anatomy 메간 클로버 에피소드: "Sometimes a Fantasy" 2015–2016 스크림 퀸스Scream Queens 리비 퍼트니/샤넬 #5 주연 (23 에피소드) 2017 더티 댄싱Dirty Dancing 프란시스 "베이비" 하우스먼 텔레비전 영화 무대[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0 미라클 워커The Miracle Worker 헬렌 켈러 음반[편집] 정규 음반[편집] 제목 음반 정보 판매량 The World Now 발매일: 2015년 6월 15일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CD 레이블: 디지털 론치 레코드 TBA 싱글[편집] 연도 노래(곡) 차트 최고순위 음반 미국 2011 "Fight For Me" — 제이니 존스 2013 "Christmas In New York" — TBA 2014 "You Suck" — 기타 참여[편집] 연도 노래(곡) 기타 아티스트 음반 2011 "Hurricane" None 제이니 존스 "Find Love" 알렉산드로 니볼라 "Just A Game" None "House of the Rising Sun" None 2014 "The Worst Part / Auld Lang Syne" 캐시디 레이프 퍼펙트 시스터즈 "Within Me A Lunatic Sings" 스타그로브스 스타그로브스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수상부문 작품 결과 2003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10세 이하 젊은 여자부문 최우수 연기상 싸인 후보 2007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미스 리틀 선샤인 후보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엠파이어상 최우수 여자 신인상 후보 고담 어워드 신인 연기상 후보 아이오와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수상 새틀라이트상(국제비평가협회) 영화부문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도쿄 국제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수상 최우수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 MTV 무비 어워드 최고의 신인상 후보 미국 배우 조합상(스크린 액터 길드 어워드) 영화부문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영화부문 최우수 연기 캐스팅상 수상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10세 이하 젊은 여자부문 최우수 연기상 수상 2008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사랑의 레시피 후보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여자배우상: 액션 어드벤처 님스 아일랜드 후보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사랑의 레시피 후보 2009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킷 킷트릿지 : 아메리칸 걸 후보 2010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마이 시스터즈 키퍼 수상 2012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목소리 젊은 여자배우 부문 최우수 연기상 랭고 후보[4] 2013 미국 배우 조합상(스크린 액터 길드 어워드) 영화부문 최우수 연기 캐스팅상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 후보 2016 판고리아 체인쏘 어워드 최우수 여우주연상 매기 후보 각주[편집] ↑ Zekas, Rita (July 27, 2007). “Abbie shines”. 《Toronto Star》.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ust 20, 2012에 확인함.  ↑ DeMara, Bruce (2009년 6월 26일). “Family strife lets Abigail Breslin show serious side”. 《Toronto Star》. 2010년 3월 13일에 확인함.  ↑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March 2008). “Oldest/Youngest Winners and Nominees for Acting, By Category”. 《Awards Databas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09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일에 확인함. Statistics are valid through the 80th Academy Awards  다음 글자 무시됨: ‘AMPA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2007 (80th) Awards, presented on February 24, 2008. [document last updated 3/08] ... (* indicates a win). ’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website= 및 |work= (도움말) ↑ “33rd Annual Young Artist Awards”. 《YoungArtistAwards.org》. 2012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애비게일 브레슬린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터넷 브로드웨이 데이터베이스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올무비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월드캣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스타그램 애비게일 브레슬린 - 트위터 애비게일 브레슬린 - 페이스북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아역 연기상 조너선 립니키 (1996) 저니 스몰렛 (1997) 이언 마이클 스미스 (1998) 헤일리 조엘 오스먼트 (1999) 제이미 벨 (2000) 다코타 패닝 (2001) 키런 컬킨 (2002) 키샤 캐슬휴스 (2003) 프레디 하이모어 / 에미 로섬 (2004) 프레디 하이모어 / 다코타 패닝 (2005) 폴 데이노 / 애비게일 브레슬린 (2006) 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 / 니키 브론스키 (2007) 데브 파텔 (2008) 시얼샤 로넌 (2009)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0) 토머스 혼 (2011) 쿼벤저네이 월리스 (2012)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2013) 엘라 콜트레인 (2014) 제이컵 트렘블레이 (2015) 루커스 헤지스 (2016) 브루클린 프린스 (2017) 엘시 피셔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6419715 LCCN: no2004098037 ISNI: 0000 0001 1681 9238 GND: 140509186 SUDOC: 155598457 BNF: cb15880114v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10e2c5cc-3450-425a-9d62-5dea4646f23f NKC: xx0094366 BNE: XX46182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애비게일_브레슬린&oldid=24470083"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연극 배우미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미국의 여자 성우미국의 여자 가수유대계 미국인뉴욕 출신 배우젊은 예술가상 수상자미국 배우 조합상 앙상블 캐스트상(영화) 수상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인용 오류 -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5: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애비게일 브레슬린(영어: Abigail Breslin, 1996년 4월 14일 ~ )은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브레슬린은 3세 때 첫 상업 광고에 출연하였고, 5세 때 첫 번째 영화 《싸인》(2002)에 출연했다. 그녀의 다른 영화 역할은 《레이징 헬렌》(2004), 《미스 리틀 선샤인》(2006)로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되었고, 이후 《사랑의 레시피》(2007), 《님스 아일랜드》(2008), 《마이 시스터즈 키퍼》(2009), 《좀비랜드》(2009), 《랭고》(2011)와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2013)에 출연했다. 2015년 9월, 그녀는 FOX의 호러 코미디 《스크림 퀸스》로, TV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고정 역할로 출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비게일 브레슬린은 2007년 아이오와 영화 비평과 협회에서 어떤 상을 받았을까? Assistant: 최우수 여우조연상 Human: 아래 TJ미디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J미디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J미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진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태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티제이미디어주식회사TJ MEDIA CO., LTD. 형태 주식회사, 주권상장법인 산업 분야 제조업 창립 1981년 4월 18일 창립자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시장 정보 한국: 032540 상장일 1997년 4월 16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0-17 (삼평동, 판교디지털밸리 5차) 핵심 인물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사업 내용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제품 노래반주기 자본금 6,965,804,500원 (2015.12) 매출액 71,695,413,146원 (2015) 영업이익 1,729,615,904원 (2015) 순이익 2,046,183,670원 (2015) 자산총액 94,675,942,044원 (2015.12) 주요 주주 윤재환 14.40%김우영(최대주주) 21.03%윤나라 19.38%우리사주조합 5.11%(2015.12) 자회사 TJ커뮤니케이션(주)DREAM SASTJ(SHANGHAI) 종업원 208명 (2015.12) 웹사이트 http://www.tjmedia.com TJ미디어(티제이미디어, TJ Media)는 198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음향 기기 업체이다. 2016년 이후 금영을 제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래방기기 제조사로 꼽히고 있다.[1] 브랜드 슬로건은 『노래하는 즐거움, TJ』이다. 목차 1 연혁 2 브랜드 2.1 뮤지콤 2.2 프로 2.3 와우 2.4 질러 2.5 리얼 3 전속 모델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81년 6월: 태진음향 설립 1989년 12월: 가정용 컴퓨터 노래 반주기 《뮤지콤》 출시 1991년 4월: ㈜태진음향으로 법인 전환 1993년 8월: 국내 최초 실제 연주 방식 업소용 노래반주기 〈PRO-500〉 출시 1997년 1월: 태진미디어㈜로 상호변경 1997년 4월: 코스닥 주식시장 등록 1998년 9월: ISO9001 인증 획득 1999년 12월: WOW-DDD (Dance Dance Diet) 출시 2001년 4월: 온라인 노래방 사이트 www.ziller.co.kr 오픈 2001년 11월: 일본 제일흥상社와 전자 목차본 공급 계약 체결 2002년 6월: HDD방식의 동영상 내장 노래반주기 《ziller-OK》 출시 2002년 11월: 세계 최초, 초고속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반주기 《ziller-net》 출시 2003년 2월: 가정용 DVD 노래 반주기 출시 2004년 7월: 5.1채널 돌비 디지털 믹싱이 가능한 음악 스튜디오 건립 2005년 1월 TJ미디어(주)로 사명 변경 및 CI·BI 변경 TJM Entertainment(주) → TJ Space로 변경 TJ media(주) → TJ communication(주)로 변경 2019년 6월 TJ미디어(주) 대표이사로 전임하고 탄현 본사로 이전 서혜옥 대표이사 전임 탄현으로 본사 이전. 브랜드[편집] 뮤지콤[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TS-1500 1989년 미상 TS-1900 미상 미상 TS-2000 미상 미상 TM-2300 미상 미상 TM-2350 미상 미상 TMS-7000 1993년 미상 TMS-8000 미상 미상 프로[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PRO-500 1993년 1999년 3월 PRO-600 1994년 1999년 3월 PRO-660 1994년 1999년 3월 PRO-700 1995년 2002년 9월 PRO-800 1995년 2002년 9월 PRO-900 1995년 2002년 9월 PRO-1100 1996년 2002년 9월 PRO-1150 1997년 2002년 9월 PRO-1170 1997년 2002년 9월 PRO-1200 1997년 2002년 9월 PRO-1500 1997년 2006년 7월 PRO-2000 1997년 2006년 7월 PRO-3000 1997년 2006년 7월 SUPER-302 미상 미상 와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WOW-5000 1998년 2006년 7월 WOW-6000 1998년 2006년 7월 WOW-7200 1999년 2006년 7월 WOW-7300 1999년 2007년 7월 WOW-7300D 2000년 2007년 7월 WOW-7500 2000년 2007년 7월 WOW-7700 1999년 2006년 7월 WOW-7800 1999년 2006년 7월 질러[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TKR-500 2002년 11월 2003년 5월 40GB 예 TKR-500D 2002년 6월 2003년 5월 60GB 예 TKR-500DE 2002년 6월 2003년 5월 40GB 예 TKR-600D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600E 2003년 6월 2004년 5월 40GB 예 TKR-650 2004년 6월 2005년 5월 120GB 예 TKR-700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700II 2004년 6월 2005년 2월 120GB 예 TKR-750 2005년 5월 2006년 10월 120GB 예 MR-800 2005년 2월 2005년 10월 예 MR-80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MR-85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TKR-88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80GB 예 TKR-90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160GB 예 C10 2007년 5월 미상 250GB 예 L10 2007년 8월 미상 300GB 예 S10 2007년 8월 미상 400GB 예 C20 2009년 2월 미상 예 S20 2008년 12월 미상 예 리얼[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구분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업소용 B30 2010년 7월 미상 예 C30 2010년 7월 미상 예 P10 2010년 7월 미상 예 C35 2010년 7월 미상 예 L35 2010년 7월 미상 예 P15 미상 미상 예 C40 미상 미상 예 C45 미상 미상 예 C50F 미상 미상 예 P20 미상 미상 예 S60F 미상 미상 예 S60L 미상 미상 예 C60 미상 미상 예 C60II 미상 미상 예 B60 미상 미상 예 B65 미상 미상 500GB 예 K10 미상 미상 1TB 예 B70 2016년 6월 미상 예 C70 2016년 6월 미상 예 S70F 2016년 6월 미상 예 S70L 2016년 6월 미상 예 P70 2016년 6월 미상 예 K20 2017년 5월 미상 1TB 예 B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S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P80 2018년 5월 미상 2TB 예 가정용 TKR-355H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0C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5HK 미상 미상 1TB 예 전속 모델[편집] 2018년 ~ 현재 : 홍진영 같이 보기[편집] 금영엔터테인먼트 각주[편집] ↑ “[SP]TJ미디어, 업계 1위 탈환...흑자전환”. 이투데이. 2016년 11월 23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TJ미디어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J미디어&oldid=24519389"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1981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기업숨은 분류: 기업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J미디어(TJ Media)는 대한민국의 음향 기기 업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J미디어에서 출시된 와우 시리즈 제품모델의 출시와 단종 시기는 언제인가? Assistant: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WOW-5000 1998년 2006년 7월 WOW-6000 1998년 2006년 7월 WOW-7200 1999년 2006년 7월 WOW-7300 1999년 2007년 7월 WOW-7300D 2000년 2007년 7월 WOW-7500 2000년 2007년 7월 WOW-7700 1999년 2006년 7월 WOW-7800 1999년 2006년 7월
Human: 아래 Z.HERA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Z.HER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Z.HER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헤라 Z.HERA 기본 정보본명 지혜란출생 1996년 1월 3일(1996-01-03) (23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 가수장르 댄스 팝활동 시기 2006년 ~ 현재 레이블 CJ E&M소속사 아티산뮤직웹사이트 http://cafe.daum.net/ZHERA 지헤라(Z.HERA, 본명: 지혜란, 1996년 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2013년 EP 앨범 Z.Hera Born으로 데뷔했다. 목차 1 음반 목록 2 출연 작품 3 경력 4 각주 5 외부 링크 음반 목록[원본 편집] EP 앨범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Z.Hera Born》 발매일: 2013년 5월 13일 Peacock (공작새) Re:Start 고백하는 날 Re:Start (Gold Brothers Remix) Peacock (공작새) (English Ver.) Peacock (공작새) (Inst.) 2 《XOX》 발매일: 2015년 7월 22일 피넛버터 XOX (Feat. 가은) Love No.9 Peanut Butter XOX (Inst.) 피넛버터 (Inst.) 싱글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섬 (D Island)》 발매일: 2014년 7월 9일 섬 (D Island) 섬 (D Island) (Inst.) 출연 작품[원본 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6 인간극장 본인 무림남매, 소림사 가다 편 2013 네일샵 파리스 단역(9회) 2014 띠동갑내기 과외하기 출연자 예능 2015 스쿨랜드 절대비법 지헤라 EBS 2016 무림학교 제니 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박순덕 역도요정 김복주 송시연 2017 쌈 마이웨이 쏘니아 특별 출연 학교 2017 유빛나 2018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탑 매니지먼트 송해나 경력[원본 편집] 2013년 서울소방청소년 명예홍보대사 2014년 애국가작사자규명위원회 홍보대사 각주[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원본 편집] Z.HERA - 인스타그램 Z.HERA - 트위터 Z.HERA - 페이스북 지헤라 다음 공식팬카페 Z.HERA - 시나 웨이보 Z.HERA의 채널 - 유튜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Z.HERA&oldid=23857073"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2013년 데뷔2010년대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아이돌 가수한국어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노원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가수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4일 (목) 16: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헤라(Z.HERA, 본명: 지혜란, 1996년 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와 가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의 가수이자 배우 'Z.HERA'가 출연한 텔레비전 작품에는 뭐가 있을까?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6 인간극장 본인 무림남매, 소림사 가다 편 2013 네일샵 파리스 단역(9회) 2014 띠동갑내기 과외하기 출연자 예능 2015 스쿨랜드 절대비법 지헤라 EBS 2016 무림학교 제니 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박순덕 역도요정 김복주 송시연 2017 쌈 마이웨이 쏘니아 특별 출연 학교 2017 유빛나 2018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탑 매니지먼트 송해나 Human: 아래 2015년_한·일_일본군_위안부_협상_타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안부 합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은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타결하여 최종적 종결을 약속한 사건을 말한다.[1]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고노 담화와 동일한 내용과[2] 서면으로 총리 대신의 자격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다. 목차 1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1.1 한국어 1.2 일본어 2 외부 반응 및 논란 2.1 피해자 할머니 2.2 정치권 2.3 여론 조사 2.3.1 TNS 코리아 2.3.2 리얼 미터 2.3.3 조원씨앤아이 2.3.4 중앙일보 2.3.5 시민 단체 2.3.6 UN 2.4 일본의 반응 2.4.1 정치권 2.4.2 일본 국민 2.5 해외 반응 2.5.1 시위 3 협상 이후 일본의 위안부 부정행보 4 협상 이후 한국 정부의 행보 5 국제적 비판 6 같이 보기 7 각주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편집] 또한, 이날 박근혜 정부와 아베 신조 일본 정부는 12월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해결 방안에 합의했으며, 윤병세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은, 12월 28일 오후에 서울특별시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연 뒤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위 합의사항을 발표하였다.[3] 한국어[편집] “ 1. 일본측 표명사항 일-한간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양국 국장급 협의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협의해 왔음. 그 결과에 기초하여 일본 정부로서 이하를 표명함. 1) 위안부 문제는 당시 군의 관여 하에 다수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정부는 책임 통감함. 아베 내각 총리대신은 일본국 내각 총리대신으로서 다시 한번 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걸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함. 2)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도 본 문제에 진지하게 임해 왔으며, 그러한 경험에 기초하여 이번에 일본 정부의 예산에 의해 모든 전(前) 위안부 분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조치를 모색함. 구체적으로는, 한국 정부가 전(前) 위안부 분들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을 설립하고, 이에 일본 정부 예산으로 자금을 일괄 거출하고, 일-한 양국 정부가 협력하여 모든 전(前) 위안부 분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행하기로 함. 3) 일본 정부는 상기를 표명함과 함께, 상기 2)의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번 발표를 통해 동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함. 또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와 함께 향후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동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하는 것을 자제함. 2. 한국측 표명사항 한-일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양국 국장급 협의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협의를 해왔음.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정부로서 이하를 표명함. 1)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표명과 이번 발표에 이르기까지의 조치를 평가하고, 일본 정부가 상기 1. 2)에서 표명한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함.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실시하는 조치에 협력함. 2)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에 대해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한국 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 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함. 3) 한국 정부는 이번에 일본 정부가 표명한 조치가 착실히 실시된다는 것을 전제로 일본 정부와 함께 향후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동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을 자제함. ”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일본어[편집] “ 1 岸田外務大臣 日韓間の慰安婦問題については、これまで、両国局長協議等において、集中的に協議を行ってきた。その結果に基づき、日本政府として、以下を申し述べます (1) 慰安婦問題は、当時の軍の関与の下に、多数の女性の名誉と尊厳を深く傷つけた問題であり、かかる観点から、日本政府は責任を痛感している 。 安倍(晋三)内閣総理大臣は、日本国の内閣総理大臣として改めて、慰安婦として数多の苦痛を経験され、心身にわたり癒しがたい傷を負われた全ての方々に対し、心からおわびと反省の気持ちを表明する。 (2) 日本政府は、これまでも本問題に真摯に取り組んできたところ、その経験に立って、今般、日本政府の予算により、全ての元慰安婦の方々の心の傷を癒す措置を講じる。具体的には、韓国政府が、元慰安婦の方々の支援を目的とした財団を設立し、これに日本政府の予算で資金を一括で拠出し、日韓両政府が協力し、全ての元慰安婦の方々の名誉と尊厳の回復、心を傷の癒しのための事業を行うこととする。 (3) 日本政府は上記を表明するとともに、上記(2)の措置を着実に実施するとの前提で、今回の発表により、この問題が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されることを確認する。あわせて、日本政府は、韓国政府と共に、今後、国連等国際社会において、本問題について互いに非難・批判することは控える。 2 尹(ユン)外交部長官 韓日間の日本軍慰安婦被害者問題については、これまで、両国局長協議等において、集中的に協議を行ってきた。その結果に基づき、韓国政府として、以下を申し述べる。 (1) 韓国政府は、日本政府の表明と今回の発表に至るまでの取組を評価し、日本政府が上記 1.(2)で表明した措置が着実に実施されるとの前提で、今回の発表により、日本政府と共に、この問題が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されることを確認する。韓国政府は、日本政府の実施する措置に協力する。 (2) 韓国政府は、日本政府が在韓国日本大使館前の少女像に対し、公館の安寧・威厳の維持の観点から懸念していることを認知し、韓国政府としても、可能な対応方向について関連団体との協議を行う等を通じて、適切に解決されるよう努力する。 (3) 韓国政府は、今般日本政府の表明した措置が着実に実施されるとの前提で、日本政府と共に、今後、国連等国際社会において、本問題について互いに非難・批判することは控える ” (일본어)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외부 반응 및 논란[편집] 피해자 할머니[편집] 정대협에서 올린 인터뷰에서 “우리들이 거지도 아니고 나라에서 생활비 대주고 하니까 먹고 사는 건 충분하다”며 “돈이 탐나서 싸우는 건 절대 아니다”고 밝혔다. <티타임즈>라는 모바일 언론에서 종합한 기사에 따르면, 일부언론에서 할머니들의 반응이 '갈렸다'는 것은 거짓이라고 주장하였다.[4] 2015년 12월 31일, 아베 신조 총리가 사과를 하지 못한다면 천황이 사과 하라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5] 한일양국의 최종 합의에 대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사이에서는 반응이 엇갈렸다.[6] 2016년 12월 23일, 기부금은 한국 정부에 의해 설립 된 '화해 · 치유 재단 "에 의해 위안부로 현금 지급되며, 생존 위안부 중 46 명 중 36 명이 수신을하고있다. 사망 한 위안부에 대해 35 명의 유족이 인수를 표명하고있다.[7] 정치권[편집] 논란의 중심에 선 청와대 에서는,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전혀 다른 보도와 사회혼란을 야기시키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남게 하는 것",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재단을 조속히 설립해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 드리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다", 그렇게 정부가 최선을 다한 결과에 대해 '무효'와 '수용 불가'만 주장한다면, 앞으로 어떤 정부도 이런 까다로운 문제에는 손을 놓게 될 것이며, 민간단체나 일부 반대하시는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 "이제 정부의 이런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시고 어렵게 풀린 위안부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고자 하신다면, 이 문제는 24년 전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되고 정부로서도 할머니들 살아생전에 더 이상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게 될 것이란 점을 헤아려주시기 바란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더 이상 한일관계가 경색되지 않고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직시하고 착실하게 합의를 이행해 나가서 양국이 함께 미래로 나가는 중대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라면서 비판·강조 하였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과거보다 진일보한 합의를 이뤄냈다.”라는 입장을 보였다.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은 ‘위안부 타결, 아쉽지만 외교적으로 잘한 협상’이라고 발언을 했다.[8]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정부는 모양새만 그럴듯하고, 실질적으로는 회피했다”라며 협상 결과에 실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문재인 대표는 위안부 협상은 국회의 동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위안부협상 무효를 선언 하였다. 이후 비판의 의미로 당명을 활용하여 "민족과 더불어 민주당" 이라는 표어를 내건 현수막을 공개하였다. 정의당은 ‘민감한 외교 문제를 하루 빨리 털어버리려는 욕심이 부른 결과로 매우 졸속적이고 굴욕적인 합의’라고 협상 결과에 대하여 비난하였다.[9] 녹색당은 ‘피해자를 배제한 졸속 협상’이라고 협상 결과에 대하여 비난하는 논평을 게시하였다.[10] 노동당은 "'합의' 말고 진정한 사과와 국가적 법적 책임 이행을 하라!" 는 논평을 게재하여, 정부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11] 여론 조사[편집] TNS 코리아[편집] SBS가 발표하고, 12월 30일 TNS코리아가 조사한 결과, 이번 한일 위안부 협상에 대해서, 긍정: 53.3 % 부정: 40.4 % 의견 유보: 6.3 % 우위: 12.9 % 응답률: 12.9 %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발표하였다.[12] 리얼 미터[편집] 2015년 12월 29일, MBN이 의뢰하고 리얼미터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으며, 이념성향과 지지정당을 불문하고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13] 긍정: 43.2 % 부정: 50.7 % 의견 유보: 6.1 % 우위: 7.5 % 응답률: 4.5 % 조원씨앤아이[편집] 2015년 12월 29일 ~ 12월 30일 조원씨앤아이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14] 긍정: 31.9 % 부정: 62.2 % 의견 유보: 5.8 % 우위: 30.3 % 응답률: 4.4 % 중앙일보[편집] 2015년 12월 29일 ~ 12월 30일 중앙일보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15] 긍정: 35.6 % 부정: 53.7 % 의견 유보: 우위: 18.1 % 응답률: 22.8 % 시민 단체[편집] 대한민국 엄마 부대는 "자신들의 가족도 강제 징용당했다, 일본과 아베를 용서해주자"[16] 라면서 기자회견을 열었으며, 엄마 부대의 대표는 "10억엔은 현재의 대한민국의 국력에선 별 의미가 없지만 사과를 통해서 대한민국이 더 나아갈 바탕이 될것" 이라면서, 딸이나 어머니가 그런 일이 있었더래도 자신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을거라고 발언했다.[17] 2015년 12월 31일, 평화나비 네트워크 소속으로 알려진 대학생 30여명이 주한 일본대사관 내에서 기습 시위를 하다가 연행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18]또한 이 시위에 대한 진압 과정에서, 시위 진압 과정 도중 여학생의 속옷이 풀어졌다는 주장이 있었다.[19] UN[편집]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위안부 협상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리더십과 비전을 높이 평가한다", "이번 합의로 두 나라의 관계가 더욱 개선되기를 희망한다" 면서 이번 위안부 합의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기도 하였다.[20][21] 이후 협상 내용을 긍정한게 아니라 협상 노력을 좋게 평가한 것이며 자신의 발언에 대해서 오해가 있었다고 하였다.[22] [23] 일본의 반응[편집] 정치권[편집] 아베 신조 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화로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을 환영하고 싶다.”라고 밝혔으며, 청구권을 포함한 법적 문제에 대해서는 1965년에 체결한 한일기본조약으로 이미 해결되었다는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24] 일본 민주당은, 이번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에 대해서, "양국이 외교 노력을 통해 다가가 이번 합의에 이른 것은 매우 의미 깊다고 말하며 새로운 한일 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기본 합의를 바탕으로 역사를 직시하고 한일관계를 더욱 더 유지한다" 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25] 일본 공산당은, 당수 시이 가즈오의 담화를 통해서, "한일 양국 정부의 합의와 그에 대한 기초한 조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전진되었다" 고 평가하고 있으며, "'위안부'들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문제의 전면적 해결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26] 일본 국민[편집] 일본의 대표적 포털 사이트 야후 재팬에서는 “아베 신조 내각에 실망했다.”,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이냐.”, ‘사상 최악 매국노’ 등의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하여 강도 높은 비난이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27] 일본 극우 성향의 커뮤니티 넷우익 에서는 “바보같이 또 다시 돈을 뜯겼다.”라고 말하며 아베 신조 정권에 대해 맹렬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중이다. 일본 언론에서 예측한 1억 엔이 아닌 10배인 10억 엔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기도 하며, 또 매춘부한테 무슨 배상이냐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모욕하기도 하였다. “아사히신문이 지불해라.”, “조센징은 돈 말고는 모른다.”라는 비난성 여론도 이어지고 있으며, 일본 외무성을 비난하고 국교를 단절하라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번 합의에 대해서, 일본 내에서도 타결이라는 입장에서 더 이상 문제가 안 나오는 사항을 위해서 합의에 있는 '불가역적 해결'이 되기 위해 한국 여론을 이해하고 극우파의 비방이나 아베내각의 언행문제의 세심한 주의 등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28][29] 해외 반응[편집] 미국 : 미국 국무부 에서는 한일 위안부 합의는 TPP 타결에 준하는 중대한 합의라고 언급하였다.[30] 또한 미국 정부 내에서는 대한민국 과 일본 간의 여러가지 경제협력이 있으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을 견제할 것을 기대하는 분위기이기도 하다.[31]미국에서의 미군 위안부 문제의 공론화에 대해 아주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유명한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은 "이번 협상이 어느 정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간 이정표가 되었다" 고 하면서도 이번 합의에 더 이상 역사적 진실을 눈가림하지 않고 미래 세대에 제대로 교육하겠다는 일본의 약속이 없어 매우 실망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32][3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는 “평화 발전의 길로 나아가길 바란다.”라는 본론적인 입장과 동시에, 일본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하였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내부에서는, 그동안 지속되어 왔던 한·중간의 대일 역사공조에 금이 간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특히 한·일관계가 가까워짐으로써 박근혜 정부 이후 발전하였던 관계가 다시 소원해질까 우려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결정적으로, 중국의 위안부 관련 자료 유네스코 기록 유산 등재 과정에서 더 이상 대한민국과 공동전선을 펼치기 어려워짐에 따라 등재가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34] 중화민국: 중화민국 외교부는 이번 한일간의 일본군 위안부 협상 결과를 그대로 대만의 위안부 피해자들에게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35] 또한 중화민국은 국가 배상만 포기한 것이므로, 피해자 개개인은 보상 받을수 있다는 입장이기도 하다. 영국: 영국의 대표 언론 BBC는 ‘역사적 합의’라고 하였으며,[36] 영국의 중도좌파 성향의 신문사 가디언은 ‘한국 위안부 협정은 일본과 미국의 승리’라며 비판 입장을 내걸었다.[3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번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해서 “굴욕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데 대해 민족적 격분을 금치 못하고 있다.”라고 맹비난 하였다.[38]또한, 같은 날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계열의 신문 <조선신보>에서는, "반도 (한반도) 에는 북과 남이 있다", "북한측의 위안부 피해자를 일본측이 해결해야 한다" 고 주장하기도 하였다.[39] 필리핀 : 필리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단체인 "릴라 필리피나" 의 레칠다 엑스트레마두라 사무총장은 12월 29일 필리핀 정부 도 일본에 위안부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하였다.[40] 네덜란드 : 네덜란드의 위안부 피해자들도 아베 신조 총리에게 “우리에게도 동등한 사죄를 하라”고 촉구하였으며, 네덜란드 위안부 피해자 권익 단체인 ‘일본명예부채재단(Foundation of Japanese Honorary Debts)’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약 400명의 네덜란드 국적 일제 위안부가 있었다” 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이같이 밝혔다. 얀 판 바흐튼동크 단체 대표는 “네덜란드 피해 여성도 반드시 일본의 사죄를 받게 할 것” 이라고 강조하기도 하였다.[41] 시위[편집] 현재 정대협을 비롯한 여러 한인단체들이 연대하여 미국이나 유럽 각지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하여 반대 시위가 열리고 있다.[42] 협상 이후 일본의 위안부 부정행보[편집] 사쿠라다 요시타카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이 위안부 관련 망언을 하였다.[43]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강제연행을 부정했으며 또한 전쟁범죄임을 부정했다.[44] 기시다 후미오 외무대신은 성노예임을 부정했다.[45] 우에다 기요시 사이타마현 지사는 위안부 관련 망언을 하였다.[46] 일본 정부가 유엔에 위안부를 부정하는 내용을 공식 제출하였다.[47] 일본 정부가 유엔에 최고위 관료 파견하여 위안부를 부정하였다.[48] 일본 교과서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삭제하고 관련 내용이 대폭 축소되었다.[49] 자유민주당은 위안부 강제성 부인 연구기관 신설을 공약 했다.[50] 일본 정부는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를 적극 저지하겠다고 하였다.[51] 이나다 도모미 방위상은 위안부 강제성을 부정했다.[52]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는 일본어와 영어로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였다.[53] 협상 이후 한국 정부의 행보[편집]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 문제와 관련, 돈을 받은 어용단체(엄마 부대 등)을 동원해 반(反)정부 여론을 잠재우려 시도한 정황이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포착됐다.[54] 미국 공화당의 일리애나올해 초 일본군 위안부 관련 조치를 준비하려고 했지만 주미 한국 대사관의 요청으로 없던 일이 되었다. "이해하지 못하겠다. 갑자기 한국 대사관에서 연락해왔다. 앞으로는 이런 것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로스레티넌 의원은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는 보편적 인권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이 문제와 관련해 활동을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55]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 심포지엄에서 기조 연설에 나선 교수를 막았다.[56] 정부가 지원해 온 각종 위안부 연구와 관련 자료가 사람들에게 밝혀지고 있다.[57] 2014년 5월부터 외교부와 여성가족부가 함께 추진해 5억 원가량 투입된 위안부 백서도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58] 위안부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시도도 위기를 맞고 있다. 해당 등재사업은 애초 여성가족부 지원을 받아 추진돼 왔는데, 최근 등재사업팀의 사무실에 대해 철수 지시를 내렸다.[59] 합의 이후 외교부는 합의에 반대하는 할머니들에게 모든 연락을 끊었다. 또한 태도가 급변하여 해외로 방문한 할머니들을 홀대했다.[60] 위안부 관련 2017년 예산을 삭감하였다. 2016년 예산보다 31% 13억이나 큰폭으로 삭감되었다.[61]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 2017년 예산을 4억4천만원에서 0원으로 전액 삭감하였다.[62]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 2016년 예산의 집행을 중단하였다.[63] 재단 발족식이라고 설명하지 않고 "점심을 대접하고 싶다. 식사자리에 나와달라"라며 점심밥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을 동원하려고 하였다. 이에 "파렴치하다"는 반발이 나왔다.[64] 위안부 재단 발족식에 와야 돈이 나온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참석을 요구했다. 이에 위안부 피해자가 일제시기에 강제연행되면서 '돈 벌게 해줄게 따라가자'라던 행위와 유사해 피해자의 가슴에 정부가 대못을 박는 것과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왔다.[65] 박근혜 정부는 피해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재단 설립을 강행했다.[66] 국제적 비판[편집] 히로카 쇼지 국제 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은 “오늘의 합의로 일본군 성노예제로 인해 고통받은 수만 명의 여성들의 정의구현에 종지부를 찍어서는 안 된다. 할머니들은 협상테이블에서 배제되었다. 양국 정부의 이번 협상은 정의회복보다는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정치적 거래였다. 생존자들의 요구가 이번 협상으로 헐값에 매도되어서는 안 된다. 성노예제 생존자들이 그들에게 자행된 범죄에 대해 일본정부로부터 완전하고 전적인 사과를 받을 때까지 정의회복을 향한 싸움은 계속될 것이다.”라고 하였다.[67] 미국의 월간지 ‘카운터펀치’는 "위안부’ 피해자 배신한 한국 정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이보다 완전한 항복은 상상하기 어렵다’‘만약 이것이 사과라면 그래서 한국 정부가 피해보상 요구를 중단해야 한다면 이와 비슷한 사과를 몇 번 더 받으면 한국은 국가로서 기능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라고 비판하였다.[68] LA 타임스 만평을 통해 비판하였다.[69] 노아 펠드먼 미 하버드대 법대 교수는‘한국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정의롭지 못한 사죄’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일본군의 범죄는 자동차 사고와 완전히 다르다”“돈을 주고 사과를 했다는 이유로 침묵을 약속한다는 것은 부적절하다”“한국 정부가 더 이상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가해자인 일본 측에 해주는 조건으로 할머니들이 어떤 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합의를 해준 것은 분명 (도덕적으로) 잘못된 일로 느껴진다”“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잘못을 지적하는 권리마저 합의에 종속된다는 점도 부당하다.”라고 비판하였다.[70] 미국에서 활동하는 위안부 관련 비정부기구(NGO)인 ‘아시아 폴리시 포인트’관계자도 “한일 정부간 합의는 여성 인권과 역사적 책임규명에 있어 일보 후퇴한 것”이라며 “위안부 피해 여성들과 사전 의견 교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두렵다”고 밝혔다. 합의를 하는 과정에 우리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들을 참여시키지 않아 ‘피해자의 권리’가 누락됐다는 점, 그리고 이로 인해 향후 사후대책을 이어가는 데 있어 한국 정부의 난관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점에 대한 지적이다. 미국의 동북아시아 전문가인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미리 위안부 할머니들과 상의하지 않고 합의를 진행했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다”라며 “한국의 큰 실수이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우를 범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71]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은 29일 성명을 통해 “일본이 더 이상 역사 수정을 시도하지 않고 미래 세대에게 위안부 문제를 제대로 교육하겠다는 약속이 빠져 있다는 점이 매우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72] 뉴욕 타임스(NYT)는 29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역풍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보다 박근혜 한국 대통령에게 더욱 거세게 몰아칠 것”이라며 부실한 합의 과정을 조목조목 따졌다. 신문은 법적 혹은 도덕적 책임이 흐릿하게 담긴 합의에 피해자 할머니들의 반발이 거세다는 점을 거론했다. “한일 양국이 합의한 10억엔(830만 달러)의 기금이 46명의 생존 위안부 할머니 1인 당 18만달러에 불과해 모욕으로 느껴질 정도이다”고도 했다. 이성윤 미 터프츠대 플레처 외교전문대학원 교수는 NYT에 “미국에서 커피를 쏟아서 데였을 경우 소송을 통해 받게 되는 액수를 생각한다면 일본의 기금 제안 액수가 얼마나 인색한지 알 수 있다”라며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뤄진 반인륜적 범죄의 희생자들에게 훨씬 많은 배상이 이뤄져야 했다”고 말했다.[73]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위안부 문제에 관해 특별히 임명한 전문가들은 한일 정부 간 합의가 생존자들의 요구에 못 미친다고 비판했다. 소녀상은 역사적 사실과 정의를 상징한다며 한국 정부가 혹시라도 소녀상을 없앨지 깊이 우려된다는 입장도 밝혔다. 일본 정부에 대해서도 책임을 분명히 인정할 것과 공식 사과, 충분한 보상도 거듭 촉구했다.[74] 유엔의 자이드 라아드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3월 10일 제네바의 유엔 유럽 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구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과 한국의 위안부 합의에 대해 유엔 인권 관계자뿐 아니라 “전 위안부 여성 본인들로부터 의문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는 점은 매우 중대하다” 비판했다.[75] 자이드 대표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성노예 생존 여성”이라고 규정하고 위안부 문제가 일본 정부의 전쟁범죄이자 국가범죄임을 환기시켰으며 이어 “합의와 관련해 여러 유엔 인권 조직들, 무엇보다 생존 당사자들이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이드 대표는 “관련 당국자들이 이 용감하고 위엄있는 여성들한테 다가가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며 “궁극적으로 오직 그들만이 진정한 보상을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76] 유엔 여성차별 철폐위원회(CEDAW)는 공식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면서 한일 합의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스마트 자한 UN 여성차별철폐위 위원은 "우리는 한일 간 합의가 위안부 여성 문제를 다루면서 피해자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고 느꼈다."라며 비판했다.[77] 유엔 인권이사회 특별절차(Special procedures) 중 하나인 ‘법률과 현실의 여성차별 문제에 관한 실무그룹’의 엘레오노라 지엘린스카 수석보고관 등 3명은 11일(현지시간)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 대한 대망의 사과는 아직 오지 않았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 위안부 협상을 비판하였다. 이들은 성명에서 “과거 일본 정부와 군부의 명백한 책임을 인정하는 분명하고 공식적인 사과와 적절한 배상이 진실과 정의를 지킬 수 있으며, 피해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면서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 생존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한일 양국이 소녀상 철거를 고려하기로 했다”며 “한국 정부가 역사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과거의 유산 뿐 아니라 소녀상마저 제거할 수 있다는 데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합의가 있기까지 피해자들을 20년 이상 대표해온 단체(정대협)와 적절한 협의 과정이 없었다”면서 “이는 진실과 정의를 찾으려고 했던 수십년 간의 노력을 훼손하고, 생존자들을 고통에 빠뜨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쟁 무기로 사용된 여성과 소녀들에 대한 성적 또는 기타 다른 폭력을 비난하고, 여성 피해자들의 보상받을 권리를 옹호함으로 인해 (누구도) 처벌받지 않는 상황을 종식시키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78] 역사학연구회·일본역사학협회 등 일본의 역사연구 관련 단체 15곳은 도쿄 중의원 제1의원회관에서 발표한 연대 성명에서 “(한·일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이라는 인권과 깊이 관련된 문제에서 당사자를 방치한 채 타결을 도모했다”며 “정부 간에 일방적으로 ‘해결’을 선언하고 이후의 논의를 봉쇄하는 듯한 수법으로는 위안부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없다”고 비판했다.[7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만난 두브라브카 시모노비치 유엔 여성 대상 범죄 특별보고관이 “(한국과 일본) 양국의 (위안부 문제 관련 합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의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중요한데 한·일 양국의 합의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양국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의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할머니들을 지지하고 협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80] 타이완의 일본군 위안부 지원단체는 위안부 협상을 비판했다. "전 위안부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은 정치역학의 결과"라고 비판했다.[81] 독일 뮌헨의 활동가들과 시민들은 위안부 협상을 비판했다. '2015년 12월18일 한-일 정부 합의는 무효다', '일본은 역사책에 위안부 문제를 담으라',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도 70년 동안 사과하지 않는 일본이 부끄럽다'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협상과 일본을 비판하는 활동을 하였다.[82] 마에다 아키라 일본 도쿄 조케이대 교수가 엮은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 책은 '12.28합의'에 대해 "어리석음을 되풀이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각국의 피해여성이 사반세기 동안 호소해온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고, 한일 양국 정부의 상황-한.미.일 군사동맹의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심지어 한국정부를 향해 "일본정부의 압력에 굴복해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고자 하는 자국민의 목소리를 봉쇄하려는 것일까"라고 꼬집었다.[83] 같이 보기[편집]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 한일기본조약(1965년) 태프트-가쓰라 밀약(TKSA) 화해·치유재단 각주[편집] ↑ “한일 '軍위안부 문제' 최종타결…일본 "책임통감"(2보)”. 《연합뉴스》. 2015년 12월 28일.  ↑ http://m.segye.com/content/html/2015/12/28/20151228003777.html ↑ 이제훈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문제 해결 합의…“군 관여 여성에 상처””. 《한겨레》.  ↑ http://www.ttimes.co.kr/index.html?no=2015122917327780417 ↑ http://news1.kr/articles/?2532027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8/2015122802280.html ↑ 위안부 34 명이 현금 지급 받아 한국 정부의 재단 발표 [1] ↑ 정계성 (2015년 12월 29일). “나경원 “위안부 타결, 아쉽지만 외교적으로 잘한 협상””. 《시사위크》.  ↑ “[브리핑] 한창민 대변인, 한일 외교장관회담 합의 관련”. 《정의당》. 2015년 12월 2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논평] 피해자 배제한 졸속 협상, 위안부 협정 – 시늉과 포장에 급급한 박근혜 스타일의 산물”. 《녹색당》. 2015년 12월 28일.  ↑ “보관 된 사본”.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339315 ↑ http://www.realmeter.net/2015/12/%EA%B5%AD%EB%AF%BC-66-3-%E6%97%A5%EB%8C%80%EC%82%AC%EA%B4%80-%EC%95%9E-%EC%86%8C%EB%85%80%EC%83%81-%EC%9D%B4%EC%A0%84-%EB%B0%98%EB%8C%80%ED%95%9C%EB%8B%A4/ ↑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94 ↑ http://news.joins.com/article/19357957 ↑ http://www.nocutnews.co.kr/news/4527470 ↑ “쿠키뉴스”.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31/0200000000AKR20151231103600004.HTML ↑ http://www.vop.co.kr/A00000977428.htm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8089911 ↑ http://www.un.org/apps/news/story.asp?NewsID=52910#.VoZ3ahWLSUk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60312143753415 반기문, 위안부 합의 환영은 '오해'..할머니들과 첫 만남 ↑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60314020101796 반기문 "위안부 합의, 내용 환영한 것 아니다" ↑ “慰安婦問題、日韓が合意=日本政府「責任を痛感」―人道支援へ10億円財団”. 《지지통신》 (일본어). 2015년 12월 28일. 2015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https://www.dpj.or.jp/article/108072/%E3%80%90%E8%AB%87%E8%A9%B1%E3%80%91%E6%97%A5%E9%9F%93%E3%81%AE%E6%85%B0%E5%AE%89%E5%A9%A6%E5%95%8F%E9%A1%8C%E3%81%AB%E9%96%A2%E3%81%99%E3%82%8B%E5%90%88%E6%84%8F%E3%82%92%E3%81%86%E3%81%91%E3%81%A6 ↑ http://www.jcp.or.jp/akahata/aik15/2015-12-29/2015122901_02_1.html ↑ 국종환 (2015년 12월 28일). “日네티즌 위안부 합의 비판적…"아베 사상최악 매국노"”. 《뉴스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083831 ↑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8084184&date=20151230&type=1&rankingSeq=8&rankingSectionId=104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9/0200000000AKR20151229008400071.HTML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2292518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083838&viewType=pc ↑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0156432784035381&id=15675385380 ↑ 이준삼 (2015년 12월 28일). “<위안부 타결> 中 "일본 반인도적 죄행에 책임지는 태도 보여야"(종합)”. 《연합뉴스》.  ↑ “대만도 한일 위안부협상에 '촉각'…"우리도 한국만큼"”. 《연합뉴스》. 중앙통신사. 2015년 12월 28일.  ↑ 황정우 (2015년 12월 28일). “<위안부 타결> BBC "일본군 성노예 20만명…'역사적 합의'"”. 《연합뉴스》.  ↑ Tisdall, Simon (2015년 12월 28일). “Korean comfort women agreement is a triumph for Japan and the US”. 《가디언》 (영어).  ↑ 강영수 (2015년 12월 29일). “北, 한일 위안부 합의에 "굴욕적 대일외교에 민족적 격분" 주장”. 《조선일보》.  ↑ http://news.joins.com/article/1932257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1&aid=000226167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1&aid=0002261679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4&aid=0000577313 ↑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60114164027863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6164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6164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26_0013860127&cID=10101&pID=10100 ↑ “일본 정부, '위안부 강제연행 증거 없다' 입장 유엔에 제출”. 2016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http://media.daum.net/foreign/asia/newsview?newsid=20160217120838958 ↑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8783&dable=30.1.5 ↑ http://news.jtbc.joins.com/html/517/NB11259517.html ↑ http://media.daum.net/society/all/newsview?newsid=20160602184604912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755352.html ↑ http://m.hankooki.com/m_dh_view.php?m=&WM=dh&WEB_GSNO=633472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882834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2232228255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092117115&code=970100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9279.html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9279.html ↑ http://www.diodeo.com/news/view/166192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49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502 ↑ http://www.hankookilbo.com/v/96ab4c92c7bc42058d9e2d24b6dd34a9 ↑ http://amnesty.or.kr/12272/ ↑ http://m.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952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3348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ytn.co.kr/_ln/0104_201603120841455269 ↑ http://www.47news.jp/korean/korean_peninsula/2016/03/133981.html ↑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34559.html ↑ http://www.ytn.co.kr/_ln/0104_201603120841455269 ↑ http://www.vop.co.kr/A00001001836.html ↑ http://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46131.html ↑ http://m.media.daum.net/m/media/issue/350/newsview/20160616144636191 ↑ http://www.47news.jp/korean/international_diplomacy/2016/08/144037.htm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56763.html ↑ http://m.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0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5년_한·일_일본군_위안부_협상_타결&oldid=24210769" 분류: 일본군 위안부2015년 대한민국2015년 일본2015년 12월박근혜 정부대한민국-일본 관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영어 인용 (en)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00: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2015年韓·日日本軍慰安婦協商妥結)은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타결하여 최종적 종결을 약속한 사건을 말한다.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고노 담화에서 진일보한 내용과 서면으로 총리 대신의 자격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위안부 협상에 대한 일본의 입장은? Assistant: 일본의 대표적 포털 사이트 야후 재팬에서는 “아베 신조 내각에 실망했다.”,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이냐.”, ‘사상 최악 매국노’ 등의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하여 강도 높은 비난이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27] 일본 극우 성향의 커뮤니티 넷우익 에서는 “바보같이 또 다시 돈을 뜯겼다.”라고 말하며 아베 신조 정권에 대해 맹렬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중이다. 일본 언론에서 예측한 1억 엔이 아닌 10배인 10억 엔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기도 하며, 또 매춘부한테 무슨 배상이냐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모욕하기도 하였다. “아사히신문이 지불해라.”, “조센징은 돈 말고는 모른다.”라는 비난성 여론도 이어지고 있으며, 일본 외무성을 비난하고 국교를 단절하라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Human: 아래 페스카마_15호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페스카마 15호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스카마 15호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스카마호 사건(PESCAMAR號事件)은 1996년 8월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파나마 국적의 참치잡이 원양어선 페스카마호에서 선상반란이 일어나 한국인 선원 7명을 포함한 11명의 선원이 살해된 사건이다. 목차 1 사건 경위 1.1 사건 배경 1.2 조난과 구조 2 사건 수사 2.1 사건의 전말 3 재판 4 각주 사건 경위[편집] 사건 배경[편집] 페스카마15호 페스카마15호(PESCAMAR No.15)는 1978년에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25명이 승선하는 254톤급 참치잡이 어선이다. 배의 이름은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이다. 사고 당시 배의 선적은 파나마, 선주는 오션 인더스트리이지만 실제 운항관리는 대현수산이, 선원 송출은 제양이 맡고 있어서, 경찰은 업체가 배를 중고로 구입하여 허가가 나지 않아 해외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 이용한 것으로 의심하였다.[1] 원양어선의 외국인 선원 한국인들이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선원직을 기피하게 되었고, 인력난으로 경험이 없거나 임금이 적게 드는 개발도상국의 노동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져 한국인 선원보다 외국인 선원의 비율이 많아졌다. 외국인 선원들은 경력 부족, 저임금과 체불, 무리한 작업, 차별 대우, 문화적 차이와 의사 소통으로 문제를 겪었고, 원양어업은 갈등과 폭력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2][3][4] 조난과 구조[편집] 조난 1996년 8월 19일, 선원송출회사 제양은 부산해양경찰서에 8월 3일 이후로 연락이 없는 페스카마호의 실종 신고를 접수하였다. 보도에 의하면, 페스카마호는 6월 7일 한국인 선원 8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태우고 부산항을 출발하였고, 6월 15일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태우고 남태평양 사모아 부근에서 조업중이었고, 중국 교포 선원들의 조업 거부로 선원 교체를 위해 8월 13일 사모아 어업기지로 입항할 예정이었으나, 8월 3일의 교신을 끝으로 통신이 두절되고 입항도 하지 않았다.[5] 구조 및 조사 1996년 8월 24일 18시 30분경, 일본 해상보안청 경비정이 동경만 남쪽 해상에서 표류중인 페스카마호를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페스카마호에는 한국인 1명과 인도네시아인 6명이 승선해 있었고, 조선족 6명이 감금된 상태였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선원들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부산해운청에 알렸다. 7월 30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페스카마호의 조선족들이 선상생활이 힘들다고 조업을 거부, 귀국시켜 줄 것을 요청하였고, 8월 2일 페스카마호가 사모아로 귀항하던 도중 중국 교포 선원들이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 중국 교포 선원 1명을 살해했으며, 이를 인도네시아 선원 6명이 제압한 후에 선박이 표류되었다는 것이다.[6][7] 한국에 인도 일본 해상경비대는 한국이 일본 정부에 선박의 인도를 요청하였으나, 사건이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온두라스와 관련되어 있어서 5개국 관리들이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8] 사고 선박이 일본 내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국제 관례에 따라 일본에서 1차로 조사를 하게 되었고, 한국 정부에서는 사망자 중에 한국인 수가 가장 많으므로 한국에서 이후의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9] 페스카마호는 8월 26일 일본 영해에서 공해상으로 이동되었고,[10] 한국 정부는 중국측에 한국이 예인과 사법 처리에 관한 관할권을 행사할 것을 통보하였다.[11] 8월 28일, 부산 해경의 구난함이 페스카마호와 선원들을 인도받았고,[12] 8월 31일에 부산에 입항하였다.[13] 사건 수사[편집] 부산해양경찰서는 일본 도리시마 서쪽 해상으로 구난함을 보내어 8월 28일 일본 해상보안청으로부터 페스카마호와 선원과 관련 서류 일체를 인수하고, 6명을 체포하였다.[14] 보도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사건의 전모는 다음과 같다. 사건의 전말[편집] 페스카마호는 1996년 6월 7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하기 위해 한국인 선장을 포함한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싣고 부산남항을 출항하였다. 6월 15일에는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추가로 실었다. 조업중이었던 8월 2일에는 육지에서 맹장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원양어선으로부터 승선한 동원수산 소속 실습기관사가 추가되었다. 6월 27일부터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시작하였으나, 중국 교포 선원들은 작업에 익숙하지 않았고, 선장이 기합을 주자 뱃일이 힘들다고 하선을 요청하였다. 인도네시아 선원 1명은 다른 배에 옮겨탔다. 8월 1일에는 선장이 더 이상 정상 조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조선족 선원들을 사모아에 하선증명서 없이 하선하기로 결정하였다. 조선족 선원들은 8월 2일 새벽에 선장을 살해하고 이용가치가 있다고 살려 두기로 한 1등항해사를 제외한 나머지 한국인 선원들을 조타실로 한 명씩 불러내어 살해했다. 살해된 시신은 바다에 던졌다. 타 선박에서 중도 승선한 실습선원도 산 채로 바다에 빠뜨렸다. 8월 24일, 페스카마호가 일본 도리시마 부근을 지나면서 연료 소모로 기울어졌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선족 선원 5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이 냉동창고에서 작업하다가 인도네시아 선원들이 조선족 선원들을 창고에 가두는 데에 성공하였다. 나머지 조선족 1명도 한국인과 인도네시아인 선원들이 협력하여 포박하였다.[15] 1시간 후, 인근에 일본의 어업지도선이 지나갔고, 생존자가 일본 선박까지 직접 헤엄쳐 도움을 요청하였다.[16] 재판[편집] 이 사건은 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에 있어 속지, 기국, 속인, 보호, 세계주의 중 형법 제6조의 보호주의가 적용되었다. 검찰은 조선족 선원 6명을 해상강도살인, 사체유기, 폭력행위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하였다. 1996년 12월 24일 열린 공판에서 선원들을 살해한 중국 교포 노동자 6명은 모두 사형 판결을 받았고, 2심에서 전재천을 제외한 5명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1997년 7월 25일, 대법원에서는 피고인들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을 확정했다. [판결문] 전재천은 이후 주동자가 아니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는데, 이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2007년 대통령 특사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여섯 명 모두 지금도 무기수의 신분으로 교도소에서 복역중이다. 인도네시아 선원들 중 실습생 살인에 연관된 3명에 대해서 수사한 검찰은 이들을 불구속 상태로 수사하였으나 이들이 조선족 선원들의 강압을 거부할 경우 본인의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인정하여 형법 제12조 강요된 행위를 적용해 불기소 처분했다. 각주[편집] ↑ 78년 日서건조한 소형참치잡이船, 《동아일보》, 1996.9.2 ↑ 값싼 외국선원"시한폭탄", 《동아일보》, 1996.8.26 ↑ 외국선원 과다"예고된 참극",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어선의 船上반란, 《동아일보》, 1996.8.26 ↑ 25명탄 원양어선 16일째 실종, 《경향신문》, 1996.8.20 ↑ 中國교포들 船上반란 한국선원 7명 살해,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선 반란 한인7명 피살, 《한겨레》, 1996.8.26 ↑ 원양어선 한국인 선원 피살사건 원인 채산성 악화 따른 무리한 감량경영 탓, 《한겨레》, 1996.8.26 ↑ 日"반란선박 예인수사", 《동아일보》, 1996.8.26 ↑ 日 수사권 포기한듯, 《동아일보》, 1996.8.27 ↑ '선상반란'관할권 행사 정부,중국에 공식통보, 《한겨레》, 1996.8.29 ↑ 반란선박·선원 인수, 《한겨레》, 1996.8.29 ↑ 페스카마號 오늘입항, 《동아일보》, 1996.8.31 ↑ 해경「페스카마호」호송「船上살인」6명 체포, 《경향신문》, 1996.8.29 ↑ 범행후 혈흔제거 치밀함까지, 《경향신문》, 1996.9.2 ↑ "혼자 살아남았구나"자책의 눈물, 《동아일보》, 1996.9.3 vdeh대한민국의 해양 사건 및 사고1940년대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1950년대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창경호 침몰 사고 (1953년) 행운호 침몰 사고 (1953년) 태신호 화재 사고 (1955년) 1960년대 속초항 입구해상 조난 사고 (1962년) 연호 침몰 사고 (1963년) 갑제호 침몰 사고 (1963년)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4년)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당포함 침몰 사고 (1967년) 천지호 침몰 사고 (1968년) 1970년대 남영호 침몰 사고 (1970년) 한성호 침몰 사고 (1973년) 충무 앞바다 YTL정 침몰 사고 (1974년)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고 (1974년)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1980년대 동남점보페리호 조난 사고 (1984년) 극동호 화재 사고 (1987년) 경신호 침몰 사고 (1988년) 1990년대 602 하나호 침몰 사고 (1990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씨프린스호 침몰 사고 (1995년) 페스카마 15호 사건 (1996년) 제1연평해전 (1999년) 2000년대 제2연평해전 (2002년) 골든로즈호 침몰 사고 (2007년) 마부노호 소말리아 피랍 사건 (2007년)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 (2007년)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 (2008년) 마카오 제우스호 조난 사고 (2008년) 대청해전 (2009년) 2010년대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98금양호 침몰 사고 (2010년) 삼호 주얼리호 피랍 사건 (2011년) 두라 3호 침몰 사고 (2012년) 태안 해병대캠프 실종 사고 (2013년) 세월호 침몰 사고 (2014년) 오룡호 침몰 사고 (2014년) 돌고래호 전복 사고 (2015년)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¹ (2017년) 인천 영흥도 선창 1호 전복 사고 (2017년)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¹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¹: 대한민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2인 이상 한국인이 연관된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스카마_15호_사건&oldid=24098205" 분류: 1996년 대한민국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대한민국의 해양 사고살인 사건선상반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02: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페스카마호 사건(PESCAMAR號事件)은 1996년 8월 3일경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파나마 국적의 참치잡이 원양어선 페스카마호에서 선상반란이 일어나 한국인 선원 7명을 포함한 11명의 선원이 살해된 사건이다. 당시 변호사였던 문재인이 변호하여 1심에서 사형이었던 형이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사건으로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스카마 15호는 언제 만들어졌을까? Assistant: 1978년 Human: 아래 모리모토_다카유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모리모토 다카유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모토 다카유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모리모토 다카유키 (森本 貴幸)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Takayuki Morimoto출생일 1988년 5월 7일(1988-05-07) (31세)출생지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키 180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등번호 9청소년 클럽 기록1995-19981998-20012001-2004 쓰다야마 FC 요미우리 FC 도쿄 베르디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4-20062006-20112011-2012 2012-2013 2013 2013-2015 2016- 도쿄 베르디 카타니아 노바라 카타니아 → 알나스르 (임대) 제프 유나이티드 가와사키 프론탈레 046 00(5) 083 0(16) 021 00(6) 014 00(4) 013 00(6) 073 0(17) 011 00(2)국가대표팀 기록2004-2005 2008 2009- 일본 U-20 일본 U-23 일본 007 00(2) 005 00(1) 017 00(4)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월 1일 기준이다. 모리모토 다카유키 (森本 貴幸, 1988년 5월 7일, 가와사키 시 ~ )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일본 J1리그의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스트라이커로 활약하고 있다. 목차 1 선수 생활 1.1 유소년기 1.2 도쿄 베르디 1.3 해외 진출 1.3.1 칼초 카타니아 1.3.2 노바라 칼초 1.3.3 알나스르 1.4 일본으로의 복귀 2 통계 2.1 구단 기록 2.2 국가대표 기록 2.2.1 연도별 출장 기록 2.2.2 국가대표 득점 기록 3 수상 3.1 구단 3.1.1 도쿄 베르디 1969 3.2 개인 4 외부 링크 선수 생활[편집] 유소년기[편집]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에서 태어난 모리모토 다카유키는, 1995년 쓰다야마 FC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1998년 요미우리 FC로 유소년 팀을 옮겼다. 도쿄 베르디[편집] 도쿄 베르디 소속이었던 2004년 3월 13일, 주빌로 이와타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른 그는, 이 경기에서 J리그 사상 최연소 출장 기록인 15세 10개월 6일을 기록하였다. 데뷔전 이후 계속해서 경기 도중에 투입되었던 모리모토는 5월 5일,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를 상대로 J리그 데뷔골을 기록해 J리그 최연소 득점 기록인 15세 11개월 28일을 수립하였고, 시즌 종료까지 총 네 골을 넣어 같은 해 J리그 최우수 신인상을 획득해 J리그 사상 최연소 수상 기록도 갈아치웠다. 2005년 3월에는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나비스코컵 예선 경기에서 나비스코컵 사상 최연소 골을 기록하였고, 팀의 성적 부진으로 J2리그에서의 선수 생활도 경험하였다. 해외 진출[편집] 칼초 카타니아[편집] 2006년 7월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로 승격한 칼초 카타니아로 이적하였고, 이적 후에는 장기간 동안 유스 리그 경기에 출장하였지만, 뛰어난 활약으로 아스콜리와의 경기에서 세리에 A에서의 첫 경기를 치렀다. 2007년 1월 28일 아탈란타 BC와의 경기에서 후반 종료 직전에 출장해 세리에 A 무대에서의 첫 골을 넣었다. 그러나 3월 13일 무릎 부상을 당하며, 6개월 동안 치료를 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의 재능을 높게 판단하여 6월에 완전 이적이 이행되었다. 2008년 12월 14일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와 3년 계약 연장에 합의하였다. 2008-09 시즌 모리모토는 리그와 코파 이탈리아에서 25경기에 출장하여 10골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모리모토는 무릎 부상의 때때로 그의 발목을 잡았으며, 2009-10 시즌 5골을, 2010-11 시즌에는 2골을 기록하였다. 노바라 칼초[편집] 2011년 7월 11일, 카타니아로부터 공동 소유권을 받으며, 세리에 A로 갓 승격한 노바라 칼초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무릎 부상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던 모리모토는 18경기에 출장하여 4골을 기록하는 데에 그쳤다. 노바라는 2011-12 시즌 18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고, 모리모토는 카타니아로 돌아가게 되었다. 알나스르[편집] 2013년 1월 그는 겨울이적시장에서 아랍에미리트의 알나스르로 임대되면서, 일본인 중동 선수 1호가 되었다. 모리모토는 2012-13 시즌 1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였다. 일본으로의 복귀[편집] 2013년 8월 13일자로 일본 J2리그의 제프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 2015년 12월 24일 모리모토는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2년 계약을 맺고 이적하였다. 통계[편집] 구단 기록[편집] 2017년 12월 2일 기준 선수 기록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시즌 구단 리그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일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04 미토 홀리호크 J1 22 4 - 2 0 - 24 4 2005 J2 18 1 1 0 2 2 - 21 3 2006 6 0 - - - 6 0 이탈리아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06-07 카타니아 세리에 A 5 1 - - - 5 1 2007-08 14 1 3 1 - - 17 2 2008-09 23 7 1 2 - - 24 9 2009-10 27 5 4 1 - - 31 6 2010-11 12 1 1 1 - - 13 2 2011-12 노바라 칼초 18 4 1 0 - - 19 4 아랍에미리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2-13 알나스르 13 6 3 1 6 3 - 22 10 이탈리아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2-13 카타니아 세리에 A 5 0 3 0 - - 8 0 일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3 제프 유나이티드 J2 12 2 2 0 - 1 1 15 3 2014 34 10 2 2 - - 36 12 2015 27 5 3 0 - - 30 5 2016 가와사키 프론탈레 J1 11 2 2 0 1 1 - 14 3 2017 11 3 3 4 1 0 7 0 22 7 이탈리아 통산 104 19 13 5 0 0 0 0 122 24 UAE 통산 13 6 3 1 6 3 0 0 22 10 일본 통산 141 27 13 6 6 3 8 1 168 40 커리어 통산 258 52 29 12 12 6 8 1 307 71 국가대표 기록[편집] 연도별 출장 기록[편집] 일본 연도 출전 골 2009 2 1 2010 7 2 2012 1 0 합계 10 3 국가대표 득점 기록[편집] 날짜 장소 상대 득점 결과 대회 2009년 10월 10일 일본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스코틀랜드 – 2–0 친선 경기 2009년 10월 14일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 스타디움 대한민국 1 5–0 친선 경기 2010년 3월 3일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 스타디움 바레인 – 2–0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0년 3월 24일 일본 도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대한민국 – 0–2 친선 경기 2010년 5월 30일 오스트리아 그라츠 리베나우어 스타디움 잉글랜드 – 1–2 친선 경기 2010년 6월 4일 스위스 시옹 스타드 투르빌롱 코트디부아르 – 0–2 친선 경기 2010년 9월 4일 일본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파라과이 – 1–0 친선 경기 2010년 9월 7일 일본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과테말라 2 2–1 친선 경기 2010년 10월 8일 일본 도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아르헨티나 – 1–0 친선 경기 수상[편집] 구단[편집] 도쿄 베르디 1969[편집] 천황배 (1) : 2004 J리그 슈퍼컵 (1) :2005 개인[편집] J리그 올해의 루키 : 2004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프리미어컵 MVP : 200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모리모토 다카유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모리모토 다카유키 프로필 - 사커웨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 마쓰이 2 미즈모토 3 요시히로 4 고바야시 5 마스시마 6 이노하 7 가지야마 8 나카무라 9 히라야마 10 효도 11 컬런 12 미즈노 13 고케구치 14 혼다 15 후나타니 16 나기라 17 이에나가 18 야마모토 19 마에다 20 모리모토 21 니시카와 감독: 오쿠마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1 니시카와 2 호소가이 3 요시다 4 미즈모토 5 나가토모 6 모리시게 7 우치다 8 K. 혼다 9 도요다 10 가지야마 11 오카자키 12 다니구치 13 야스다 14 가가와 15 모리모토 16 T. 혼다 17 리 18 야마모토 감독: 소리마치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나라자키 2 아베 3 고마노 4 툴리오 5 나가토모 6 우치다 7 엔도 8 마쓰이 9 오카자키 10 S. 나카무라 11 다마다 12 야노 13 이와마사 14 K. 나카무라 15 곤노 16 오쿠보 17 하세베 18 혼다 19 모리모토 20 이나모토 21 가와시마 22 나카자와 23 가와구치 감독: 오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리모토_다카유키&oldid=24391935"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축구 선수일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도쿄 베르디의 축구 선수칼초 카타니아의 축구 선수노바라 칼초의 축구 선수알나스르 (리야드)의 축구 선수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축구 선수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J2리그의 축구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가와사키시 출신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선수일본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에 거주한 일본인아비스파 후쿠오카의 축구 선수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축구 선수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10: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모리모토 다카유키(일본어: 森本 貴幸, 1988년 5월 7일 ~ )는 일본의 전직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칼초 카타니아로 이적한 이후로 모리모토 다카유키는 어떤 경력을 쌓았고 어떤 시련을 겪었습니까? Assistant: 2006년 7월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로 승격한 칼초 카타니아로 이적하였고, 이적 후에는 장기간 동안 유스 리그 경기에 출장하였지만, 뛰어난 활약으로 아스콜리와의 경기에서 세리에 A에서의 첫 경기를 치렀다. 2007년 1월 28일 아탈란타 BC와의 경기에서 후반 종료 직전에 출장해 세리에 A 무대에서의 첫 골을 넣었다. 그러나 3월 13일 무릎 부상을 당하며, 6개월 동안 치료를 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의 재능을 높게 판단하여 6월에 완전 이적이 이행되었다. 2008년 12월 14일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와 3년 계약 연장에 합의하였다. 2008-09 시즌 모리모토는 리그와 코파 이탈리아에서 25경기에 출장하여 10골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모리모토는 무릎 부상의 때때로 그의 발목을 잡았으며, 2009-10 시즌 5골을, 2010-11 시즌에는 2골을 기록하였다.
Human: 아래 DJ_스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DJ 스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J 스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J 스킵 (DJ Skip, 본명: 김도형, 1975년 ~[1])은 대한민국의 힙합 DJ이다. 2000년 데뷔, 쟈니로얄이나 Lecher 같은 락 밴드의 DJ로도 활동하였으나 주로 파티나 클럽에서 스핀 (분위기 흐름이 끊기지 않게 곡을 틀어주는 것)을 하였으며, 2003년에는 한량사, 2009년에는 킹더형 레코드의 CEO로 레이블 운영을 하다가 소속사를 J2 Entertainment로 옮겨갔다. 2010년 4월에는 블로그를 통해 은퇴 선언을 하였으나, 2010년 9월에 컴백하여 가리온의 백업 DJ로 활동하고 있다. 소속 크루는 불한당이며, 킵루츠, Fascinating(MC 성천)과 공동으로 설립한 레이블 LK2Muzic 소속이기도 하다. 목차 1 바이오그래피 2 디스코그래피 3 각주 4 외부 링크 바이오그래피[편집] DJ Skip이 본격적으로 디제잉을 시작한 것은 서울예전 졸업작품 발표회에서 스크래칭과 퍼포먼스 디제잉을 선보인 1999년이었다.[2] 다음 해, 대학로 힙합페스티벌 중 DJ Battle 부문 개인 2위, NuMark Seoul Battle 3위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더불어 일렉코어 Lecher의 DJ를 거쳐[3] 하드코어 펑크 밴드 쟈니로얄의 DJ로 합류하여 활동하였다. 쟈니로얄의 첫 앨범은 2002년 발매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다양한 공연 및 앨범 활동에서 함께하였다.[2] 한편 2001년에는 최초의 턴테이블 크루 남사당패를 조직, 클럽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약 2년간 활동하였으며, 역시 마스터플랜에서 만난 Macho와 함께 멀티샵 AT431을 운영하였고, 이는 2003년 언더그라운드 레이블 한량사로 발전하였다. 더불어 2002년부터 홍대 클럽 디디의 레지던트 DJ 활동을 시작으로, 클럽 코스모, Tune, Brooklyn, 캐치라이트, Skool 등 여러 클럽에서 메인 DJ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클럽 활동을 바탕으로 그는 2003년부터 현재 Foundation의 CEO인 HJ와 손을 잡고 Afroking Party를 주최 (DJ Skip이 합류했을 때는 3회였음), 9회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함께하였으며, 이외에도 100~200개의 행사 및 파티를 주최하거나 파티에 참여하였다. 이는 공연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라사대와 함께 UMF라는 공연 레이블을 만들어 2003년부터 가장 최근인 2009년까지 40여회의 공연을 주최하였다.[2] 더불어 이현도, 이현우, 은지원 등 가요계에서도 세션 DJ로 꾸준히 활동하였으며,[3] 언더에서는 The Z와 함께 SKEZ라는 팀을 결성하여 다수의 앨범에 스크래칭 세션으로 참여하였다. 2007년에는 힙합플레이야 라디오 방송 중 하나인 시원한 라디오 를 진행하였고, 2008년에는 한량사의 해체 이후 신인들을 모아 킹더형 레코드를 설립하였다. 그는 똘배와 함께 공동 CEO를 맡아 여러 활동을 하였으며, 2009년 7월에는 DJ Skip이 신생 레이블 J2 Entertainment의 제작 및 프로모션 분과에 들어가게 되면서 킹더형 레코드의 CEO 자리에서 내려왔고, 그 결과 R-est가 총책임을 맡게 되었다.[4] 또 2008년부터 디자이너 Sheen과 함께 론칭한 스트릿 의류 브랜드 L.S.D.[5] 운영도 겸하였다. 2010년 3월 30일에는 "4월 10일 공연을 마지막으로 힙합 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 밝혀, 사실상의 은퇴 선언을 하였다.[6] 블로그에는 "나쁜 일로 떠나게 되었다"라는 말만 있을 뿐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아 많은 팬들의 아쉬움과 궁금함을 낳았다. 그러나 곧, 가리온의 컴백과 함께 가리온과 함께 활동하는 새 DJ로 돌아와 각종 공연에서 가리온을 서포트하였다.[7] 2012년에는 새로이 조직된 크루 불한당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DJ Skip은 크루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중재와 소통 진행"으로 소개하였다.[8] 2015년에는 같은 불한당 크루의 일원인 킵루츠와 Fascinating(MC 성천)과 LK2Muzic이라는 레이블을 설립하기도 하였다.[9] 디스코그래피[편집] 2003년 11월 15일 DJ Skip's Style vol.1 믹스테입 2009년 3월 11일 This Love Song 4 U 믹스테입 (with DJ Freekey) 각주[편집] ↑ 네이버 인물검색: 디제이 스킵 ↑ 가 나 다 DJ Skip 힙합플레이야 프로필 ↑ 가 나 DJ Skip's Mix CD 보도자료 ↑ DJ Skip 시원한 라디오 Season 2 1부, 2009년 7월 22일 ↑ "DJ Skip, 스트릿 의류브랜드 L.S.D. 론칭", 2008년 9월 29일, 힙합플레이야 뉴스 ↑ "아주 잘 살고 있음", 글쓴이 DJ Skip, DJ Skip의 블로그 "회복 중인 블로그" ↑ “"가리온 “까임방지권은 필요 없다. 실력으로 평가받고 싶다”", 김봉현, 100Beat.com, 2010년 8월 27일 작성, 2010년 8월 27일 확인”. 2010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8일에 확인함.  ↑ Spolight - 불한당 크루, Bluc & Melo, HIPHOPLE Spotlight, 2012년 5월 8일 ↑ “킵루츠와 Fascinating, 레이블 런칭하며 첫 싱글 발표”, 힙합플레이야, 2015년 3월 17일. 외부 링크[편집] DJ Skip의 개인 블로그 "회복중인 블로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J_스킵&oldid=24197902" 분류: 대한민국의 힙합 DJ한량사 음악가197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DJ 스킵(DJ Skip, 본명: 김도형, 1975년 ~ )은 대한민국의 힙합 DJ이다. 2000년 데뷔, 쟈니로얄이나 Lecher 같은 락 밴드의 DJ로도 활동하였으나 주로 파티나 클럽에서 스핀 (분위기 흐름이 끊기지 않게 곡을 틀어주는 것)을 하였으며, 2003년에는 한량사, 2009년에는 킹더형 레코드의 CEO로 레이블 운영을 하다가 소속사를 J2 Entertainment로 옮겨갔다. 2010년 4월에는 블로그를 통해 은퇴 선언을 하였으나, 2010년 9월에 컴백하여 가리온의 백업 DJ로 활동하고 있다. 소속 크루는 불한당이며, 킵루츠, Fascinating(MC 성천)과 공동으로 설립한 레이블 LK2Muzic 소속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쟈니로얄은 몇 년도에 첫 앨범을 발매했을까? Assistant: 2002년 Human: 아래 미국의_국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국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6월)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별이 빛나는 깃발) 1814년 9월 17일에 쓰여진 가사 미국의 국가(國歌)작사 프랜시스 스콧 키작곡 존 스태퍼드 스미스도입 1931년 듣기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v • d • e • h 미국의 국가 목록 〈신이여 폐하를 지켜주소서〉(1725~1776) 〈컬럼비아 만세〉(1798~1931) 〈별이 빛나는 깃발〉(1931~현재) 별이 빛나는 깃발 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별이 빛나는 깃발 1953년 미국 해병대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성조기 Fred Waring과 펜실베이니아인들이 1942년에 부름 성조기 마가렛 우드로 윌슨(우드로 윌슨의 딸)이 1915년에 부름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미디어 재생 (1940년) 미디어 재생 (1944년) 성조기(星條旗, The Star-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는 미국의 국가이다.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존 스태퍼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는 주로 각종 스포츠 경기나, 미국 연방정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초청받은 유명한 가수의 독창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영어: Hail, Columbia)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목차 1 역사 2 가사 2.1 1절 2.2 2절 2.3 3절 2.4 4절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맥헨리 요새에서의 전투를 그린 그림 프랜시스 스콧 키의 시는 그 후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se of Fort McHenry)'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그 해에 이 노래가 낱장 악보로 다시 출판되면서 제목도 바뀌었다. 이 곡은 1889년에 해군으로부터 인정 받았고, 1916년에 백악관으로부터 인정 받았으며, 193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후버의 요청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되었다. 프랜시스 스콧 키가 쓴 '별이 빛나는 깃발' 시의 원본. 미국 해군 출신인 존 필립 수자라는 사람이 같은 뜻의 노래를 행진곡으로 바꾼 곡도 유명하다. 곡의 어려운 음계와 박자로 인해 관중 합창이 여의치 않아 여론의 불만이 많고 국가 교체가 건의되기도 했으나 설문 조사등에서는 ‘별이 빛나는 깃발’을 지지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는등 미국을 대표하는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가사[편집] 1절[편집]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른 새벽 여명 사이로 어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직한 띠와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절[편집] On the shore, dimly seen thro’ the mist of the deep, Where the foe’s haughty host in dread silence reposes, What is that which the breeze, o’er the towering steep, As it fitfully blows, half conceals, half discloses? Now it catches the gleam of the morning’s first beam, In full glory reflected, now shines on the stream ’Tis the star-spangled banner. Oh! long may i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저 깊은 안개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해안, 오만한 적군도 공포의 적막 속에서 숨어 있는 그 곳에서 드높이 치솟은 절벽 위로 변덕스런 산들바람 따라 반쯤 가려졌다 반쯤 드러나 보이는 저것이 무엇이냐? 이제 아침의 첫 광휘를 받아 충만한 영광에 반사되어 강물 위로 빛나는, 그것은 바로 성조기. 오! 영원토록 휘날리소서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3절[편집] And where is that band who so vauntingly swore That the havoc of war and the battle’s confusion A home and a country should leave us no more? Their blood has washed out their foul footstep’s pollution. No refuge could save the hireling and slave From the terror of flight, or the gloom of the grave,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doth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그토록 자신만만 호언장담했던 그 무리는 어디 있느뇨? 그리고 전쟁의 파괴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우리에게 집이고 조국이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리라 그들의 피로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의 떼를 씻어냈도다. 그 어떤 피난처도 그 용병들과 노예들을 패주의 공포와 무덤의 암흑으로부터 구해주지 못했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누나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4절[편집] Oh! thus be it ever, when freemen shall stand Between their loved homes and the war’s desolation, Blest with vict’ry and peace, may the Heav’n rescued land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리하여 자유로운 사람들이 사랑하는 그들의 고향과 전쟁 폐허 사이에서 언제나 일어서리라. 승리와 평화로 축복을 받으며 하늘이 구한 이 땅이 우리의 나라를 만들고 지켜 준 신의 권능을 찬양하게 하소서. 대의가 정당하면 우리는 필승할 것이오, 우리의 좌우명은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 그리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리라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외부 링크[편집] 유튜브 동영상(한글번역)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미국의 국가 vdeh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독립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¹ 비독립국 과들루프² 그린란드 마르티니크² 몬트세랫 버뮤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생피에르 미클롱 아루바 앵귈라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보네르 퀴라소 신트마르턴 신트외스타시우스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아카디아 ¹ 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 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 미국 미국 미국인 언어 국가 국기 수도 문화 음식 문학 축제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유학 천연기념물 종교 공휴일 명절 자살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외국인 경제 교통 행정 구역 지리 주 주기 역사 법 연방 정부 정치 정당 대외 관계 대통령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6293289 LCCN: n50081577 GND: 4756592-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의_국가&oldid=24510032" 분류: 미국의 상징미국의 노래영어 노래국가1814년 미국1814년 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디오가 포함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별이 빛나는 깃발(The Star-Spangled Banner, 문화어: 별 빛나는 기발)은 미국의 국가이다.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존 스태퍼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는 주로 각종 스포츠 경기나, 미국 연방정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초청받은 유명한 가수의 독창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영어: Hail, Columbia)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국의 국가 2절에서 가장 마지막 단어는 뭐야? Assistant: brave
Human: 아래 호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빵 종류 빵원산지 대한민국 보통 사용되는 재료 쌀가루 호빵은 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야채 따위의 소를 넣고 김에 쪄서 먹는 찐빵이다. 호빵은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인데, 찐빵은 증기에 쪄서 익힌 빵으로 빵 안에 팥 등을 넣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안흥 찐빵이 유명하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같이 보기 4 각주 개요[편집] 단팥과 같은 속을 둥글고 흰 빵이 둘러싼 형태로,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찜통에 찌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해서 먹는다. 속에 단팥이 들어가는 형태가 원조이지만 고기나 치즈, 채소, 고구마 등을 넣을 수도 있다.[1] 최근에는 야채호빵, 불닭호빵, 피자호빵, 단호박호빵, 햄치즈호빵 등으로 속재료가 다양해졌고, 모양도 둥근 모양 대신 네모나 꽈배기 형태가 선보이는 등 여러 변형이 등장했다. 할인점과 편의점에서 주로 팔리며, 샤니, 삼립식품, 롯데제과가 주요 호빵 제조업체이다. 역사[편집] 호빵은 이전에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쪄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이다. 삼립식품 창업자인 허창성이 1969년에 일본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개발되었다. 허창성은 일본 거리에서 파는 찐빵을 보고 제빵업계의 비수기인 겨울철에 팔 수 있는 제품으로 호빵을 고안하여 개발한 끝에 1971년에 처음 출시했다. 삼립식품 호빵이란 이름은 임원회의에서 결정됐다. ‘뜨거워서 호호 분다’, 그리고 ‘온 가족이 웃으며 함께 먹는다’는 의미다.[2] 삼립식품의 호빵은 비싼 가격에도 큰 히트를 기록했다. 가수 김도향이 노래하는 “찬바람이 싸늘하게 두 뺨을 스치면, 따스하던 삼립호빵 몹시도 그리웁구나”란 가사의 광고 배경곡은 1978년 2월 동아방송 대상과 문화방송 광고대상에서 특별상인 노래 광고상을 받고, 호빵의 대중화에 기여했다.[3] 1980년대 이후로는 매출이 정체되었다가, 1990년대에 청춘 스타였던 배우 최수종의 광고 이후 다시 매출액이 늘어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로는 호빵 제품이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한국 요리 호떡 붕어빵 계란빵 각주[편집] ↑ 김지산 (2007년 9월 5일). “제빵업계, '600억 시장' 호빵 전쟁 시작”. 머니투데이.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 김성윤 (2007년 10월 13일). “호빵이 생각난다, 따뜻했던 너”. 조선일보.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 길윤형 (2005년 11월 29일). “찬바람이 싸늘하면 호빵이 그리웁구나”. 한겨레21.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이 글은 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빵&oldid=24199895" 분류: 한국의 빵간식찐빵팥 요리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MelayuTagalog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빵은 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채소 따위의 소를 넣고 김에 쪄서 먹는 찐빵이다. 호빵은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이다. 찐빵은 증기에 쪄서 익힌 빵으로 빵 안에 팥 등을 넣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안흥 찐빵이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삼립식품의 호빵 제품개발은 어떻게 이루어 졌어? Assistant: 호빵은 이전에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쪄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이다. 삼립식품 창업자인 허창성이 1969년에 일본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개발되었다. 허창성은 일본 거리에서 파는 찐빵을 보고 제빵업계의 비수기인 겨울철에 팔 수 있는 제품으로 호빵을 고안하여 개발한 끝에 1971년에 처음 출시했다. 삼립식품 호빵이란 이름은 임원회의에서 결정됐다. ‘뜨거워서 호호 분다’, 그리고 ‘온 가족이 웃으며 함께 먹는다’는 의미다.[2] Human: 아래 해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해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해달속 (Enhydra) 종: 해달 (E. lutris) 학명 Enhydra lutrisLinnaeus, 1758 아종 아시아해달 (E. l. lutris ) 남방해달 (E. l. nereis) 북방해달 (E. l. kenyoni) 해달의 분포도 해달(海獺, 라틴어: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 영어: sea otter)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이다.[2]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중 가장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에 비할 수 없을 만큼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제한적이지만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해초 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에 의해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협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목차 1 생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계통 분류 3 신체적 특징 4 습성 4.1 먹이 사냥 4.2 사회 구조 4.3 번식과 생활사 5 개체 분포 5.1 러시아 5.2 알래스카 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5.4 캘리포니아 5.5 오리건 6 생태 6.1 식성 6.2 핵심종 6.3 천적 7 인간과의 관계 7.1 모피 거래 7.2 복원과 보존 7.3 경제적 영향 7.4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 7.5 수족관과 동물원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생물 분류[편집]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의 해달 가족. 매우 드물게도 새끼가 쌍둥이이다. 해달의 쌍둥이는 매우 드물게 태어나며, 태어나도 어미가 두 마리를 모두 키울 여력이 없어 대개 한 마리를 버리게 된다.[3] 해달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서술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1751년에 쓴 야장(野帳; feildnote)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1758년에는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해달을 다룬 것을 찾을 수 있다.[4] 이때 최초 학명은 Lutra marina였고, 수많은 변경을 거쳐 1922년에 Enhydra lutris로 학명이 확정되었다.[5]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en/εν 과 hydra/ύδρα로, "물속"이라는 뜻이다.[6]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이다.[7]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으나,[8] 사실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멀다. 한편 서남안에 서식하는 바다수달(Lontra felina)이라는 진귀한 수달종이 따로 있는데, 해달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한다. 현재는 멸종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가 족제비과로서 역시 해양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진화[편집] 해달은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무거운 축이다(신장은 큰수달이 더 길지만, 훨씬 몸매가 날씬하다).[9]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10] 또한 해달은 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평생을 살 수 있다.[11] 해달속(Enhydra)의 유일한 종으로서, 해달은 다른 족제비과 동물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1982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해달이 바다표범과 가까운 근연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12] 유전적 분석 결과 해달 및 그 가장 가까운 현생 근연종인 얼룩목수달, 유럽수달, 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이 약 5백만 년 전의 공조상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13] 화석 증거에 따르면 해달속 계통은 북태평양에서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멸종한 Enhydra macrodonta 종과, 현대 해달인 Enhydra lutris 종이 발생하였다.[5] 해달은 홋카이도 북부와 러시아에서 최초로 진화하여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본토를 걸쳐 동쪽으로 퍼져나갔고, 그 뒤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아메리카 해안으로 퍼져나갔다.[14] 물속으로 들어간 것이 대략 5천만 년, 4천만 년, 2천만 년 전인 고래류, 해우류,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은 해양성 포유류계의 상대적 신참자라고 할 수 있다.[15] 하지만 새끼를 치기 위해서 지면이나 빙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이 해양 생활에 더욱 적응한 종이라 할 수 있다.[16] 아종[편집] 현재까지 3개의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신체 크기 및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과 같다.[9][17] 아종 학명 삼명병 명명자 일반명 설명 분포 이명 E. l. lutris (승명아종) Linnaeus, 1758 그냥 해달[18] 아시아해달[18] 코만도르해달[19] 쿠릴해달[19] 가장 몸집이 큰 아종. 두개골이 넓고 코뼈가 짧다.[18] 쿠릴 열도에서 코만도르스키예 제도까지 서태평양 일대[9] gracilis (Bechstein, 1800) kamtschatica (Dybowski, 1922) marina (Erxleben, 1777) orientalis (Oken, 1816) stelleri (Lesson, 1827) E. l. nereis Merriam, 1904 남방해달[18] 캘리포니아해달[18] 두개골이 보다 좁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작다.[18]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9] E. l. kenyoni[20] Wilson, 1991 북방해달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 북단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18] 캐나다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거의 멸종당했다가, 뱅쿠버 섬과 올림픽 반도에 재도입되었다.[9] 오리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1969년에서 1970년에 걸쳐 워싱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이후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후안데푸카 해협까지 그 서식지가 확장되었으며, 필라포인트에서도 해달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서식지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때때로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 북안에서 발견되는 개체도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21]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신체적 특징[편집] N. N. 콘다코프가 그린 해달의 두개골. 해달은 해양 포유류로서는 가장 작은 종 중 하나이지만,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든다.[11] 수컷 해달의 체중은 22 킬로그램 ~ 45 킬로그램(49 파운드 ~ 99 파운드) 정도이며, 신장은 1.2 미터 ~ 1.55 미터(3 피트 10 인치 ~ 4 피트 10 인치) 정도인데, 체중 54 킬로그램(120 파운드)까지 나가는 표본이 기록된 바 있다.[22] 암컷은 그것보다 작아서, 체중은 14 킬로그램 ~ 33 킬로그램(31 파운드 ~ 73 파운드), 신장 1.0 미터 ~ 1.4 미터(3 피트 3 인치 ~ 4 피트 7 인치) 정도이다.[23] 해달의 음경골은 수컷의 경우 매우 크고 묵직하며 위쪽으로 굽어 있다. 그 길이는 150 밀리미터(5.9 인치), 음경골 뿌리는 15 밀리미터(0.59 인치) 정도이다.[24] 해달은 모피가 두텁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몸집이 더 토실토실해 보인다. 대부분의 해양 포유류와 달리 해달은 고래지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유달리 두꺼운 모피를 통해서 체온을 유지한다.[25] 해달의 털은 1 평방센티미터 당 150,000 가닥(1 평방인치당 거의 백만 가닥) 이상 나 있으며, 해달의 모피는 그 어떤 동물보다도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26] 해달 모피는 방수가 되는 길다란 보호털과 그 아래 짧은 잔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털이 물을 막아 줌으로써 아래의 조밀한 잔털층이 마른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차가운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23] 해달은 털갈이 철이 따로 없고, 매번 조금씩 탈모하고 계속 털이 나기 때문에 연중 내내 모피가 두터움을 유지한다.[27] 보호털의 방수 기능은 철저한 청결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해달은 몸 어느 부위의 털이든지 닿아서 그루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늘어져 있으며, 골격이 희한할 정도로 유연한 덕분이다.[28] 모피의 색깔은 보통 진한 갈색에 은빛 회색의 얼룩이 나 있는데, 노란색이나 쥐색 계통의 갈색도 있고, 개중에는 거의 새까만 색도 있다.[29] 성체 해달의 경우 머리, 목, 가슴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더 밝은 색을 띤다.[29] 리스본 수족관의 해달. 기묘한 유연성을 이용해 그루밍을 하고 있다. 해달은 해양 환경에 여러 모로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 조그만 귀와 콧구멍은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30] 뒷발은 길고 넓적하며 반반하기 때문에 헤엄칠 때 상당한 추진력을 낼 수 있게 해 준다.[31] 뒷발은 그 다섯째 발가락이 가장 길다. 이 발가락 이 덕분에 누워서 헤엄칠 수 있지만, 걷는 것은 어려워한다.[32] 꼬리는 제법 짧고 두꺼우며 약간 넓적한데 근육질이다. 짧은 앞발에는 오므릴 수 있는 갈고리발톱들이 나 있으며, 발바닥에 거칠거칠한 육구가 붙었기 때문에,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용이하다.[33] 이렇게 사지를 오므리고 잔다. 밴쿠버 수족관. 수중에서 해달은 꼬리와 뒷발을 비롯한 몸의 뒤쪽 부분을 위아래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간다.[31] 그리고 그 속도는 최대 시속 9 킬로미터(시속 5.6 마일)에 이른다.[9] 물속으로 들어가면 해달은 짧은 앞다리를 가슴에 딱 붙여 포개어 몸을 전체적으로 길고 유선형으로 만든다.[34] 한편, 수면 위로 올라오면 해달은 배를 드러내고 누워서, 발을 노젓듯 움직이고 꼬리를 옆으로 흔들면서 떠다닌다.[35] 휴식을 취할 때는 사지를 모두 오므려 몸통에 접어 붙이고 체온을 보존한다. 반대로 날씨가 너무 더울 때는 뒷발을 물속에 넣어서 몸을 식히기도 한다.[36] 해달의 몸은 부력이 매우 커서 물에 잘 뜨는데, 이것은 해달의 폐활량이 매우 큰 것과(비슷한 덩치의 육상 포유류의 2.5배 정도이다)[37] 모피 속에 공기가 찬 것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해달은 땅으로 올라오면 걸음걸이가 굴러다닐 듯 어설프지만, 껑충껑충 뛰어서 도망갈 수는 있다.[32] 물이 어둡거나 탁할 경우, 해달은 길고 매우 민감한 수염과 앞발의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다.[11] 연구자들은 해달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연구진이 해달에게 접근했을 때, 해달 쪽으로 바람이 불면 해달이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것은 해달의 후각이 시각보다 경고 감각으로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8] 또 다른 관찰에서 밝혀진 바로는, 해달의 시력은 물 위에서나 물속에서나 도움이 되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물개류만큼 눈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39] 청력은 특별히 좋은 편도 나쁜 편도 아니다.[40]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41]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42] 성체 해달의 치열은 3.1.3.12.1.3.2이다.[43]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44][45]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46]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25]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47] 습성[편집] 예민한 동모와 앞발로 해달은 그 촉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해달은 주행성 동물이다. 해가 뜨기 한 시간쯤 전 아침부터 먹이를 잡아먹기 시작하고, 한낮 동안에는 쉬거나 잠을 잔다.[48] 오후가 되면 몇 시간 동안 또 먹이를 잡아먹다가 해가 지기 전에 그만두고, 한밤중 즈음에 다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48]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특히 밤에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48] 해달을 관찰한 결과, 먹이를 찾고 잡아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24~60% 정도였으며, 이것은 서식지에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 같다.[49] 해달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그루밍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털을 깨끗이 하고, 엉킨 털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고, 털에서 물을 짜내고 털 속으로 공기를 통하게 한다. 관찰하는 도중 해달이 몸을 긁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털 속에 이라던가 다른 기생충이 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50] 먹이를 먹을 때 해달은 물속에서 몸을 주기적으로 굴리는데, 털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1] 먹이 사냥[편집]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30]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23]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51]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51]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25]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52]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53]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54]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53]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55]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23] 사회 구조[편집] 물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서로 손을 잡고 잔다.[56] 이 짐승의 몸이 부력이 매우 크다는 데 주목할 것. 성체든 유체든 먹이 사냥은 혼자 하지만, 해달은 휴식을 취할 때는 래프트(raft)라는 동성(同性) 무리와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래프트는 대략 10~100 마리의 해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컷 래프트가 암컷 래프트보다 규모가 크다.[57] 현재까지 발견된 래프트 중 가장 큰 것은 2000 마리 이상의 해달들이 모여 있었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먼 바다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다시마류 해초에 자기 몸을 묶는다.[58] 짝짓기에 있어서, 번식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암컷들에게 선호받는 수컷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59]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가을이 짝짓기의 절정기이며, 수컷은 자기 세력권을 봄부터 가을까지만 지키고 있는다.[59] 이 기간 동안 수컷은 다른 수컷을 쫓아내기 위해 세력권의 경계를 순찰하는데,[59] 실제로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는 드물다.[57] 성체 암컷은 수컷들의 세력권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는데, 대략 5대 1의 비율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보다 더 많다.[59] 자기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모여서 수컷만 있는 큰 무리를 이루고,[59] 암컷들의 구역을 헤집고 다니면서 짝짓기 상대를 찾는다.[60] 해달은 다양한 음성 행동을 보인다. 새끼의 울음소리는 갈매기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한다.[61] 암컷은 만족했을 때 구구구 거리는 소리를 내고, 이에 비해 수컷은 꿀꿀거리는 소리를 낸다.[62] 고통을 받거나 겁을 먹은 성체는 휘파람소리, 쉬익 하는 새는 소리를 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61][63] 해달이 장난기 많고 사교적인 동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는 취급받지 못한다.[64] 해달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고, 각각의 성체 해달은 사냥, 그루밍, 방어 등의 면에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다.[64] 번식과 생활사[편집]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의 코를 물어뜯는다. 그 탓에 피가 나고 흉터가 진다. 해달은 일부다처이다.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 동반자를 가진다. 하지만 발정기의 암컷과 그 짝이 며칠에 걸쳐 일시적으로 암수 한 쌍의 짝을 이루기도 한다.[51]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다소 거칠다. 수컷은 암컷의 코와 주둥이를 물어뜯어 흉터를 남기고, 어떤 때는 암컷의 머리를 물속에 처박기도 한다.[9] 최소 한 마리의 암컷이 코의 감염으로 인해 사망했음이 보고되어 있다.[65] 출산은 연중 일어나는데, 북방 개체군은 5월과 6월 사이, 남방 개체군은 1월과 3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66] 해달은 착상 지연이 가능한 동물이기 때문에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상 이후에는 4개월 동안 새끼를 배고 있는다.[66] 캘리포니아의 해달은 매년 새끼를 치는데, 그 빈도가 알래스카의 해달의 두 배 정도 높다.[67] 출산은 보통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한 배에 한 새끼를 낳고 막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4 ~ 2.3 킬로그램(3 ~ 5 파운드)이다.[68] 2% 확률로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대개 쌍둥이 중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9]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뜰 수 있고, 이빨 열 개가 보이고, 두꺼운 모피를 두르고 있다.[69] 어미는 태어난 새끼를 몇 시간 동안 핥고 부풀린다. 그루밍이 끝나면 새끼의 털 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 위에 코르크처럼 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수는 하지 못한다.[70] 새끼의 솜털은 13주가 지나면 없어지고 성체의 털과 같은 새 털이 난다.[4] 새끼를 가슴에 안고 떠다니는 어미 해달. 게오르크 스텔러는 “해달은 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애착을 가지고 새끼를 포옹한다.”고 말했다.[71] 수유 기간은 캘리포니아 개체군은 6 ~ 8 개월, 알래스카 개체군은 4 ~ 12 개월 정도 계속된다. 동시에 1 ~ 2개월 정도 지나면 먹이 조각을 조금씩 주기 시작한다.[72] 복부의 유두에서 분비되는 해달의 젖은 지방이 풍부하여 족제비과 동물의 젖보다는 다른 해양성 포유류의 그것과 유사하다.[73] 새끼는 어미의 지도 아래 헤엄과 잠수를 연습하여 수 주가 지나면 바다 밑바닥까지 닿을 수 있다. 새끼가 처음 잡아오는 것은 알록달록한 불가사리나 조약돌 따위의, 먹거리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52] 그러다 6 ~ 8 개월이 지나면 새끼는 독립하게 되는데,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미가 새끼를 버릴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74] 반대쪽 극단적 사례로는, 새끼가 거의 성체만하게 자랐는데도 여전히 어미에게 보살핌을 받는 경우도 있다.[68] 해달의 영아사망률은 높은 편으로, 특히 태어나서 첫 번째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 한 추산에서는 태어나서 1년을 넘기는 새끼는 전체의 25%에 불과했고,[74] 경험이 많은 어미가 낳은 새끼들의 생존률이 가장 높았다.[75] 새끼를 먹이고 키우는 모든 일은 암컷이 도맡아 한다. 또한 가끔 고아가 된 새끼를 거두어 키우는 것도 목격된다.[76] 2010년에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홀로 떨어진 생후 5주의 새끼 암컷 해달을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으로 데려왔더니 나이 9살의 암컷 해달이 먹는 법, 헤엄치는 법, 그루밍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77][78] 이 새끼 해달(이름 "키트")은 2년 뒤인 2012년 6월에 샌디에이고로 옮겨갔다가 2013년 1월에 몬트레이베이로 돌아왔다.[79] 한편 양어미(이름 "마에")는 키트가 샌디에이고에 가 있던 사이 2012년 11월 17일에 11살로 죽었다.[80][81] 어미 해달의 새끼에 대한 헌신의 수준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이 여러 기록을 남긴 바 있다. 어미는 새끼에게 거의 끊임없는 관심을 쏟고, 찬 물에 닿지 않도록 가슴에 올려둔 뒤 조심스럽게 털을 그루밍해 준다.[82] 먹이를 잡을 때는 새끼를 물 위에 남겨두고 잠수하는데, 떠내려가지 않도록 켈프류 수초로 묶어 놓는다.[83] 새끼는 잠들어 있지 않다면,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시끄럽게 울어댄다.[84] 새끼가 죽으면,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의 시체를 계속 데리고 다닌다.[71] 암컷 해달은 태어나고 3, 4년, 수컷은 5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하지만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했다 해도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제대로 새끼를 치지 못한다.[85] 한편 포획된 수컷이 19살의 나이에 새끼를 친 바 있다.[68] 야생에서 해달의 최대 수명은 23살 정도이고,[23] 평균 수명은 수컷이 10 ~ 15살, 암컷이 15 ~ 20살 정도이다.[86] 인간에게 잡혀 사는 해달은 20살을 넘겨 사는 경우가 많은데, 시애틀 수족관의 암컷은 28살까지 살다 죽었다.[87] 야생 해달은 그 이빨이 닳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인해 사육 상태보다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인다.[88] 개체 분포[편집] 해달 보존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캘리포니아 주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해달은 수심 15~23 미터(50~75 피트) 정도의 연안 지역,[89] 즉 해안가에서 1 킬로미터(⅔ 마일) 이내에 서식한다.[90] 해달은 보통 거친 바닷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위투성이 해안지대, 켈프림, 보초 등지에서 찾을 수 있다.[91] 해달은 대부분 암석 기층(基層; substrate) 지역에서 생활하지만, 해저가 진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살 수 있다.[92] 해달은 유빙 사이에서는 생존할 수 있어도 정착빙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고로, 그 서식지는 얼음으로 인한 북방 한계를 가진다.[93] 해달 개체는 대략 1 킬로미터 길이의 행동 범위를 차지하며, 연중 계속 그 행동권에 머무른다.[94] 해달의 개체수는 한때 150,000 마리에서 300,000 마리에 달한 것으로 생각되며,[8] 그 서식지는 일본 북부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중부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꼴을 그렸다. 그러나 1740년대부터 시작된 모피 거래로 인해 해달의 개체수는 13개 무리 1,000~2,000 마리 정도까지 격감하였다. 해달의 개체수 복원 현황은 옛 서식 범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높은 개체 밀도를 자랑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직도 멸종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도 있다. 현재 러시아 동안,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의 개체수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멕시코에서도 재정착이 보고되고 있다.[95]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루어진 추산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약 107,000 마리의 해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96][97][98][99] 1870년에서 1924년 사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사냥 그래프 러시아[편집] 현재 해달 서식지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곳은 러시아이다.[100] 19세기 이전에는 쿠릴 열도 일대에 20,000 마리에서 25,000 마리의 해달이 서식했으며, 캄차카와 코만도르 제도 근처에는 더 많이 살았다. 대남획시대 이후 이 일대, 현 러시아의 해달 개체수는 고작 750 마리에 불과한 바 있었다.[96] 2004년 현재 해달들은 이 지역 모든 옛 서식지에 재도입되었으며, 그 개체수는 도합 27,000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약 19,000 마리는 쿠릴 열도에, 2000 ~ 3500 마리가 캄차카에, 나머지 5000 ~ 5500 마리는 코만도르 제도에 서식한다.[96] 개체수 성장률이 약간 둔화되었으며, 그 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했다고 생각되고 있다.[96] 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알래스카[편집]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101]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97]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102]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51]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편집] 존 웨버의 《해달》. 1788년경.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103]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98]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4]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4] 캘리포니아[편집]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해달. 캘리포니아에는 3,0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38년에 발견된 해달 약 50 마리의 후손이다. 2012년 봄,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실시한 캘리포니아의 해달 머릿수 조사 결과, 총 2,792 마리가 추산되었다. 이것은 2007년 봄에 정점을 찍은 3,026 마리보다는 감소했지만 2010년의 2,711 마리보다는 중가한 것이다.[99][104][105] 모피 거래가 시작되기 전의 개체 수는 약 16,000 마리 정도였다. 현재의 캘리포니아의 해달들은 1938년에 빅서의 빅스비 다리 옆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 가량의 해달 군집의 후손이다.[106] 주요 서식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산마테오 군의 피죤포인트에서 산타바바라 군에 이른다.[105] 1980년대 후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FWS)은 캘리포니아 해달 약 140 마리를 남부 캘리포니아 산니콜라스 섬으로 옮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의 생각과는 의외로, 산니콜라스에 방사된 해달들은 거의 모두 캘리포니아 본토로 헤엄쳐 돌아가 버렸다.[107] 섬 주위의 풍부한 먹이 덕분에 조금씩 개체수가 늘어나는 추세긴 하지만,[107] 2005년 현재 산니콜라스에 남아 있는 해달은 30 마리 뿐이다.[108] 해달 이주 프로그램을 검정한 계획서에서는 향후 5 ~ 10년 안에 해달 개체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산니콜라스 섬의 해달 개체수는 약 50 마리 정도로 증가했을 뿐이다.[109] FWS가 해달 이주 계획을 시행했을 당시, 당국에서는 캘리포니아 개체군의 "영역 관리"(zonal management) 역시 시행하려 시도한 바 있다. 해달과 인간 어업 활동의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포인트컨셉션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에 이르는 "해달 없는 영역"(otter-free zone)을 공표한 것이다. 이 영역 안에서는 산니콜라스 섬만 해달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그외 다른 곳에서 발견된 해달은 포획하여 이동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된 해달 중 많은 수가 폐사했고, 규제를 무시하고 월경하는 수백 마리의 해달을 모두 포획할 실질적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110] 산타바바라 지역의 환경보호센터와 Otter Project가 제기한 소송에 대응하여, 2012년 12월 19일 USFWS는 "해달 없는 영역" 실험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하고, 해달을 다시 멸종위기종으로 취급, 포인트컨셉션 남안에 군집을 재조성하여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111] 한때 샌프란시스코 만에 해달이 넘쳐나던 적도 있었다.[112]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알류트 족들을 몰래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데리고 가서, 현재의 산호세, 산마에토, 산브루노, 앤젤 섬 일대의 하구 퇴적지에서 해달을 사냥하게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알류트 족들은 에스파냐인들에게 붙잡혀 가거나 사살당하기도 했다.[113] 로스 요새를 세운 이반 쿠스코프는 1812년에 보데가 만 2차 항해를 했을 때 해달이 드물어져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알류트족들을 보냈다. 거기서 그들은 다른 러시아 패거리와 미국인 패거리를 만났고, 3개월에 걸쳐 1,160 마리의 해달을 잡았다.[114] 이 지역의 해달 서식지는 1817년이 되자 사실상 씨가 말랐으며, 러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너머 먼 남쪽에서도 해달 사냥을 하려고 에스파냐와 멕시코 측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다.[115] 샌프란시스코의 해달 개체군은 1840년까지는 명맥은 유지한 것 같다. 1840년 당시 보스턴 출신의 존 바티스타 로저스 쿠퍼 선장이라는 자가 푼타데쿠엔틴 토지불하지(현재의 캘리포니아 주 마린 군)를 임대하기 위해 멕시코 주지사 후안 바티스타 알바라도에게 허가를 받았고, 이와 함께 해달 수렵 허가증도 함께 받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당시 코르테마데라 개울 어귀에 해달이 흔했다고 한다.[116] 갈매기와 해달. 2007년 캘리포니아. 빅서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를 1911년 보호한 이래 남방해달의 서식지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나, 2007년과 2010년 사이 해달 개체수와 서식지는 다소 줄어들었다.[117] 2010년 봄 현재, 남방해달의 서식지 북방 한계선은 투니타스 개울에서 남동쪽으로 2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피죤포인트로 옮겨갔고, 남방 한계선은 COP 유전에서 가비오타 주립공원으로 이동했다.[118] 최근에는 특정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가 생산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가 해달이 먹이로 삼는 조개에 집중적으로 감염되어 해달을 중독시키고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질소와 인이 풍부한 고인 물에서 번성한다. 이 질소와 인은 대개 오수 정화조나 농업용 비료가 유출된 것으로, 우기에 유속이 빠를 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다.[119][120] 2010년,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많은 수의 해달 시체가 발견되었으며, 상어 습격률이 증가한 것 역시 해달의 죽음을 재촉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는 상대적으로 지방이 빈약한 편인 해달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상어에 물려서 죽은 해달 시체는 1980년에 8%, 1990년에 15%,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30%로 증가 추세에 있다.[12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해달이 두 번 관측되었는데, 한 번은 라구나 해변에서, 다른 한 번은 샌디에이고 근교 Zuniga Point Jetty에서였다. 이렇게 남쪽에서 해달이 관찰된 것은 기록상 3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123] 오리건[편집]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124]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125]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6] 생태[편집] 식성[편집] 해달은 켈프를 뜯어먹고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음으로써 켈프림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해달이 먹이로 삼는 종은 100종이 넘는다.[127] 그 중에서 해달은 각종 해양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는데, 해달의 먹이가 되는 해양 무척추동물은 성게를 비롯해서 대합·홍합 등 다양한 쌍각류와 전복, 그외 연체동물, 갑각류, 달팽이류 등이 있다.[127] 크기로 보자면 작은 삿갓조개와 게에서부터 문어처럼 큰 것까지 각양각색이다.[127] 성게, 대합, 전복 따위의 먹이의 크기가 다양할 때, 해달은 비슷한 종류의 작은 먹이보다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27]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이 3 인치(7 센티미터)보다 작은 피스모대합은 무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128] 배 위에 조개를 올려놓은 해달. 코의 흉터를 보아 암컷이다. 보다 북쪽의 서식지 일부에서는 해달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1960년대에 암치트카 섬에서 수행된 실험에서(이때 해달의 개체수는 환경용량), 해달의 위장 속의 음식물을 확인했더니 50%가 물고기였다.[129] 물고기 종은 대개 바다 밑바닥에 살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거나,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횟대(Hemilepidotus hemilepidotus)나 참복과 등이었다.[129] 하지만 북아메리카 대륙 연안 알래스카 남부에서는 해달의 먹이로서의 물고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하다.[4][130] 또한 흔히 묘사되는 것과 달리 해달은 불가사리는 거의 먹지 않으며, 켈프류 식물은 해달의 몸 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131] 해달 개체들은 사는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먹이를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자기 어미의 먹이잡는 패턴을 따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132] 해달은 자기들이 선호하는 먹이, 예컨대 성게 같은 것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어로 활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해달 개체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먹이를 바꾼다.[4] 어느 지역에서는 바위틈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을 제외한 전복들을 싹쓸이할 수도 있었지만,[133] 해달이 특정 지역에서 특정 먹이 종을 완전히 절멸시키는 일은 없다.[134] 2007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먹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그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먹이가 소비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해달 개체 각각의 식성은 먹이가 풍부한 지역보다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서 특정 먹이에 특수화되어 있었다.[107] 핵심종[편집] 캘리포니아 연안 후미진 지역. 이런 곳에 모피 거래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해달 군집이 숨어 있다.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9]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135]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136]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136]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36]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136] 천적[편집]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인간과의 관계[편집] 모피 거래[편집] 1896년, 어널래스카 섬의 알류트족 남성들. 해달 사냥을 위해 방수 카약과 옷가지를 사용했다. 해달의 털은 포유류 중 가장 두꺼운 편이다. 해달의 아름다운 털은 많은 사냥꾼들의 목표가 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의 원주민들 역시 식량과 털을 얻을 목적으로 해달을 사냥한 바 있다.[8] 사냥꾼들과 상인들은 가장 귀중한 모피였던 해달 가죽에 대한 외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세계를 헤집고 다녔고, 18세기에 시작된 해양 모피 거래의 일부였던 광범위한 해달 남획의 결과 대략 1백만 마리의 해달이 죽임을 당했다.[8] 18세기 러시아인들이 쿠릴 열도에서 해달을 사냥하기 시작했고,[8] 사냥한 해달은 캬흐타에서 중국인들에게 팔았다. 이 당시 러시아는 태평양 북단을 탐험하고 있었으며, 북빙양 해안선의 지도를 작성하고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비투스 베링을 파견했다.[138] 1741년, 2차 북태평양 항해 당시 베링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베링 섬에서 난파를 당했고, 그 자신을 포함하여 승무원 다수가 사망하였다.[138]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를 포함한 생존 승무원들은 섬의 해변에서 해달을 발견하고, 그해 겨울 해달을 사냥해 잡아먹고 그 가죽으로 도박을 하면서 보냈다.[138] 거의 1,000 마리의 해달을 잡아 죽인 그들은 시베리아로 돌아가 비싼 값을 받고 가죽을 팔았다.[138] 이렇게 하여 소위 말하는 "대남획"(Great Hunt) 시대가 시작되어 그 뒤로 백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러시아인들은 해달 모피가 러시아의 시베리아 팽창의 주요 동기 부여였던 흑담비 모피보다 더 값나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베링 탐사대의 생존자들이 가지고 온 해달 가죽을 캬흐타에서의 값으로 팔았다면, 그들은 베링의 탐사 비용의 10분의 1 정도를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다.[139] 1775년 오호츠크에서 흑담비 모피 값이 2.5 루블이었던 데 반해 해달 모피는 50 ~ 80 루블이나 나갔다. 런던 모피 시장의 해달 모피 매출량(단위: 천). 해달 개체수의 감소로 인해 1880년대부터 매출 급락이 시작된다.[140] 러시아인들의 모피사냥 원정으로 인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개체수는 대폭 감소했고, 1745년이 되자 러시아인들은 알류샨 열도로 옮겨갔다.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원주민인 알류트 족과 거래하여 수달 가죽을 얻었지만, 나중에는 알류트 족을 노예로 만들고, 여자와 아이는 인질로 잡았으며 남자는 고문하고 죽여서 사냥을 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알류트족이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하거나 러시아인들이 옮겨온 병으로 인해 죽었다.[141] 러시아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알류트족 인구는 20,000 여명에서 2,000 여명으로 감소했다.[142] 1760년대에는 러시아인들이 알래스카에 도달했다. 1799년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경쟁적인 모피 사냥 회사들을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로 통폐합하고, 이 회사에 대해 황실 인가와 보호를 보장하여 거래권과 영토 습득을 독점하게 했다. 상인들이 관리하던 회사 운영이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는 제국 해군의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이것은 원주민들에 대한 학대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해군 장교들이 제출한 데 그 원인이 크다. 1818년 알래스카 선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읍민과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받게 되었다.[143] 해달 가죽. 1892년. 남쪽에서는 다른 나라들이 해달 사냥에 뛰어들었다. 현재의 멕시코와 캘리포니아가 되는 해안선을 따라 에스파냐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토착민들에게서 해달 가죽을 사서 아시아에 팔았다.[141]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뱅쿠버 섬에 도달하여 선주민들에게서 해달 모피를 구입했다.[144] 이후 쿡의 배가 중국 항구에 입항하자 이 해달 가죽들은 고가에 빠르게 팔려나가, "부드러운 황금"(soft gold)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그 말이 퍼지자 유럽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해달 모피 무역에 뛰어들기 위해 태평양 북서부로 모여들었다.[144] 러시아는 사냥터를 남쪽으로 확장했고, 러시아 관리자들에게 하청을 받은 미국 선적 선장들과 알류트족 사냥꾼들이 현재의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서 사냥에 착수했다.[145] 1803년에서 1846년 사이, 72척의 미국 배가 캘리포니아 해달 사냥에 참가하였으며, 약 40,000 마리의 가죽과 꼬리를 획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선적의 배는 13척뿐이었으며 수렵한 해달 가죽도 5,696 마리였다.[146] 1812년, 러시아인들은 현재 로스 요새라고 알려진 농경 정착지를 캘리포니아 남부에 건설하고 남방 사령부로 삼았다.[144] 결국 해달 개체수가 너무 감소했기 때문에, 상업적 수렵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알류샨 열도에서의 해달 사냥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보존 측정을 한 1808년 이후 중단되었다.[147] 1834년에는 회사 측에서 추가적 규제를 요청했다.[147] 1867년에 러시아가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했을 당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군은 100,000 마리 이상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사냥을 재개하자 해달은 또다시 빠르게 씨가 말랐다.[148] 해달이 귀해짐에 따라 해달 모피 값도 상승했다. 1880년대에 런던 시장에서 해달 가죽의 가격은 105~165 달러였으나, 1903년에는 1,125 달러까지 치솟았다.[68] 1911년, 러시아, 일본, 대영제국(캐나다), 미국은 해달 및 물개류 보호 국제조약을 체결하고, 해달 수렵 결과물에 대한 지불 중지를 결의했다.[149] 이때 야생 해달은 1,000~2,000여 마리가 남아 있을 뿐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 종이 멸종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복원과 보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해달보호활동입니다. 엑손 발데즈 유조선의 항적을 따라 시커먼 윤기 흐르는 기름이 프린스윌리엄 해협을 뒤덮고 있다. 20세기에 걸쳐 옛 서식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해달의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이 개체수 복원은 해양 환경보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생각되고 있다.[150] 그러나 IUCN은 여전히 해달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달에게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밀어(密漁; poaching), 인간의 어업 활동과의 충돌을 들었다. 해달이 낚시도구에 얽혀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 이제 미국에서 해달 사냥은 원주민들의 제한적 수렵 행위를 제외하면 모두 불법이다.[151]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 극동에서는 밀어 행위가 심각한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사정이 호전되면서 밀어 행위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100] 해달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기름 유출로,[55] 체온 유지를 모피에 유지하는 해달에게 기름 유출은 특히 치명적이다. 해달의 털이 기름을 먹으면, 그 안에 공기를 채울 수 없게 되고, 해달은 저체온증으로 순식간에 죽음에 이른다.[55] 해달이 기름을 마시거나 그루밍하다 삼키게 될 경우, 간과 신장,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55] 1989년 3월 24일의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당시 프린스윌리엄 해협에서 수천 마리의 해달들이 폐사했다. 2006년 현재, 해당 지역에 잔류한 기름은 계속해서 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52] 당시 대중매체의 보도에 의하여 해달에 대한 대중적 동정이 형성되었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장난기 많고 사진발 잘 받는, 죄 없는 구경꾼이던 해달은 완벽한 피해자의 역할을 떠안게 되었다. … 즐겁게 뛰어놀던 귀여운 해달들은 기름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갑작스럽게도 기름범벅이 되어 고통 속에서 겁에 질려 죽어가고 있다.[4]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해달 서식지가 지리적으로 좁다는 것은, 한 번 대형사고가 터지면, 해당 주의 해달 전체의 생존에 재앙이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4][45][51] 기름 유출을 방지하고 해달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해달 구조 활동에서 주된 초점이 맞춰진 중요한 일이다. 또한 해달 개체수를 늘리고 서식지를 넓히는 것 역시 한 번의 기름 유출로 해달들이 싹쓸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 하지만 해달이 조개 수를 감소시킨다는 인식 때문에, 상업적, 오락적, 자급적 이유로 조개 채취를 옹호하는 이들은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는 것에 반대한다. 때로는 어부나 다른 인간들이 불법적으로 해달을 잡아 죽이는 경우도 있다.[153]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달. 뒷발의 기묘한 모양에 주목할 것.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가락이 길어진다.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110]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02]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154]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99]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155]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155][156]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5]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157]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158][159] 경제적 영향[편집] 해달이 좋아하는 먹이, 특히 전복, 대합, 게는 인간의 식량 자원이기도 하다. 몇몇 지역에서는 조개류 수확량의 급락이 해달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해산물을 둘러싼 해달과 인간의 경쟁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공개 토론회가 벌어졌다.[160] 모스랜딩의 이 해달처럼, 해달은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만 일대의 관광자원이다. 남획, 질병, 오염, 지진 등으로 인한 조개 양 감소까지 해달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토론은 복잡했다.[51][161] 북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해안의 해달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개의 수확이 감소하고 있으며, 몇몇 환경보호론자들은 연안에 조개류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은 모피 거래로 인한 해달의 지역적 멸종으로 인한 최근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61] 조개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해달이 조개를 포식함으로써 조개 채취업이 상업적으로 불가능해질 지경까지 감소할 수 있다.[160] 과학자들은 해달과 전복 채취업이 공존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160] 그 외의 특정 조개류에 대해서 역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110] 해달과 인간 경제의 상호작용의 여러 양상은 즉각적으로 직감하기는 어렵다. 해달은 그 유명한 성게 개체수 조절 기능으로 켈프 수확 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켈프는 음식, 제약 산업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162] 인간 잠수부들은 식용 또는 켈프 보호를 위해 붉은성게를 채취하지만, 해달은 더 많은 성게 종을 사냥할 뿐더러 매우 일관되게 그 개체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63] 켈프림 생태계의 건강은 물고기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인간 경제에 있어 중요한 물고기 종의 개체수도 증가하게 된다.[162] 일부 지역에서는 해달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어, 해달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인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162]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편집] 왼쪽: 알류트 족의 해달 부적. 새끼를 끌어안은 어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 고래수염 창으로 해달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알류트 족의 조각. 둘 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표트르 대제 인류학 및 민족지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해달을 묘사한 물건은 일종의 마술적인 성질이 있다고 믿어졌다.[164] 북태평양 일대의 해양 토착 문화, 특히 쿠릴 열도의 아이누 민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인과 이텔멘인, 알류샨 열도의 알류트 족, 하이다과이의 하이다 족,[165] 북아메리카 태평양 해안의 부족들 다수에서 해달은 물질적 자원임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이들 문화권은 대부분 강력한 애니미즘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통은 자연 세계의 많은 요소가 정령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갖가지 전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개중에 해달은 특히 인간과 동질하다고 생각되었다. 누트카 족, 하이다 족을 비롯해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 지역의 퍼스트 네이션스들은 따뜻하고 사치스러운 날가죽을 추장의 예장으로서 사용했다. 해달 날가죽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등의 포틀래치에서 수여되었다.[56] 알류트 족은 해달 뼈에 조각을 해서 장식품 또는 놀잇감으로 사용했고, 해달의 음경골을 가루로 만들어 해열제로 사용했다.[166] 아이누 민족에게 수달은 가끔씩 찾아오는 인간과 조물주 사이의 메신저였다.[167] 아이누 민속에 있어 해달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아이누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クトゥネシㇼカ)는 황금 해달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전쟁과 다툼에 대한 서사시이다. 알류트 족 사이에는 연인 또는 절망한 여자가 바다 속에 투신하여 해달이 되었다는 전설이 다양한 판본으로 널리 퍼져 있다.[168] 이러한 인간과 해달의 관계는 해달의 여러 가지 인간스러운 행동 특성과 결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장난기가 많고, 어미와 새끼 사이에 유대감이 강하며, 도구를 사용한다. 그야말로 의인화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고 할 수 있다.[169] 해달에 대한 상업적 착취가 시작되고, 해달뿐 아니라 아이누와 알류트 역시 쫓겨나고 인구수가 격감했다. 해달의 수가 대폭 감소한 북아메리카 해안의 부족들은 더 이상 생존을 위해 해양 포유류에게 예전같이 의지하지 않았다.[170] 1970년대 이후로는 해달은 그 귀염성과 매력으로 인해 널리 공감을 받게 되었고, 환경 보존 운동의 아이콘적 존재가 되었다.[154] 해달의 동글동글하고 표현력 풍부한 얼굴,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몸은 갖가지 기념품, 엽서, 옷가지, 봉제 장난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 벤쿠버 수족관의 해달 수족관과 동물원[편집] 해달은 인간에게 잡혀 지내면서도 잘 살 수 있으며, 현재 40개소 이상의 수족관과 동물원에서 해달을 사육하고 있다.[172] 시애틀 수족관은 1979년에 개체 티추크(Tichuk)가 태어나고, 1980년대에 새끼가 세 마리 더 태어남으로써, 해달을 수정란부터 성체까지 완전히 사육한 최초의 기관이 되었다.[173] 2007년에는 해달 두 마리가 서로 손을 잡고 물에 떠다니는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2주만에 1백 5십만 회의 조회수를 확보했고, 2013년 현재는 1천 9백만 회를 초과하고 있다.[174] 해당 동영상은 벤쿠버 수족관에서 5년 앞서 촬영된 것으로, 업로드되었을 당시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물 관련 동영상이었다. 동영상에서 털 색깔이 밝은 해달의 이름은 니아크(Nyac)이며,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때 구조된 해달이다.[175][176] 니아크는 2008년 9월에 20살로 죽었다.[177] 같이 보기[편집] 수달 캘리포니아 모피 사냥 보노보노 각주[편집] ↑ 가 나 Doroff, A.; Burdin, A. (2015). “Enhydra lutris (Sea Otter)”. 《IUCN Red 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 가 나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 Tiny Sea Otter Siblings Fight the Odds, Wired Science, June 28, 201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9 ↑ 헨리 리델(Henry George Liddell),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OCLC 17396377.  ↑ Nickerson, p.19 ↑ 가 나 다 라 마 Silverstein, p.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Enhydra Lutis”.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enyon, p.4 ↑ 가 나 다 VanBlaricom, p.11 ↑ Koepfli, K.-P; Wayne, R.K. (1998년 12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tters (Carnivora: Muste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Journal of Zoology 246 (4): 401–416. doi:10.1111/j.1469-7998.1998.tb0017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Koepfli KP; Deere KA; Slater GJ; Begg, Colleen; Begg, Keith; Grassman, Lon; Lucherini, Mauro; Veron, Geraldine; Wayne, Robert K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15–16 ↑ Love, pp.4–6 ↑ Love, p.6 ↑ "Enhydra lutri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18 March 200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ilson; Don. E.; Brownell, R. L.; Burdin, A. M.; Maminov, M. K. (1991년 2월). “Geographic Variation in Sea Otters, Enhydra lutris”. Journal of Mammalogy 72 (1): 22–36. JSTOR 1381977. doi:10.2307/138197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ptner & Sludskii 2002, 1349쪽 ↑ 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 (PDF). 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 2007년 6월. 200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PMID 10396181. doi:10.1017/S0006323199005307.  ↑ The Wildlife Year.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991). ISBN 0-276-42012-8.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Enhydra lutris at MarineBio.org”. 200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eptner & Sludskii 2002, p.1342 ↑ 가 나 다 Nickerson, p.21 ↑ Silverstein, p.14 ↑ Kenyon, pp.37–39 ↑ Love, p.21 and 28 ↑ 가 나 Love, p.27 ↑ 가 나 Silverstein, p.13 ↑ 가 나 Love, p.21 ↑ 가 나 Kenyon, p.70 ↑ Silverstein, p.11 ↑ Kenyon, p.62 ↑ Love, p.22 ↑ VanBlaricom, p.64 ↑ “USFWS Species Profile: Southern sea otter (Enhydra lutris nereis)”.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Kenyon, p.55 ↑ Love, p.23 ↑ Kenyon, p.56 ↑ Kenyon, p.43 ↑ Love, p.74 ↑ Kenyon, p.47 ↑ VanBlaricom, p.17 ↑ 가 나 “Sea Otter” (PD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 1993년 10월.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24 ↑ Ortiz RM (2001년 6월). “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11): 1831–44. PMID 114410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다 Love, pp.69–70 ↑ Love, pp.70–71 ↑ Kenyon, p.7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1993). “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Documentary). U.S.A.: PBS.  ↑ 가 나 Haley, D. (ed.) (1986). 〈Sea Otter〉. 《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 2판. Seattle, Washington: Pacific Search Press. ISBN 0-931397-14-6. OCLC 13760343.  ↑ 가 나 VanBlaricom, p.22 ↑ “Sea otter”. BBC. 2012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AquaFact file”. Vancouver Aquarium Marine Science Centre. 2007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Okerlund, Lana (2007년 10월 4일). “Too Many Sea Otters?”.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49 ↑ VanBlaricom, p.45 ↑ 가 나 다 라 마 VanBlaricom, pp.42–45 ↑ Love, p.50 ↑ 가 나 Kenyon, p.77 ↑ Kenyon, pp.78–79 ↑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은 어미 해달의 비명: JoeMillerUS (2012년 10월 21일). “Alaska Killer Whales vs. Witty Otter”. Youtube.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Silverstein, p.61 ↑ Love, p.52 ↑ 가 나 Love, p.54 ↑ Silverstein, p.30 ↑ 가 나 다 라 Nowak, Roland 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ume II Fif판.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1–1143쪽. ISBN 0-8018-3970-X.  ↑ Kenyon, p.44 ↑ Love, pp.56–61 ↑ 가 나 Love, p.58 ↑ Silverstein, pp.31–32 ↑ Love, p.61 ↑ 가 나 Love, p.63 ↑ Love, p.62 ↑ Love, p.59 ↑ 구본준 (2011년 7월 18일). “이보다 더 귀여울수 없는 아기 동물들”. 한겨레.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Kit the Sea Otter Pup at Play with Her Companion, Mae”. Monterey Bay Aquariu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동영상 ↑ “Sea Otter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Mae, First Otter to Raise a Pup on Exhibit, Die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Watch Mae, who passed away last weekend, play with sea otter pup Kit. We’ll miss her!”.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Kenyon, p.89 ↑ Silverstein, p.31 ↑ Silverstein, p.28 ↑ Love, p.53 ↑ VanBlaricom, p.71 ↑ VanBlaricom, pp.40–41 ↑ VanBlaricom, p.41 ↑ Silverstein, p.17 ↑ Nickerson, p.49 ↑ Silverstein, p.19 ↑ VanBlaricom, p.14 ↑ Kenyon, p.133 ↑ Love, pp.67–69 ↑ VanBlaricom, p.54 ↑ 가 나 다 라 Kornev S.I., Korneva S.M. (2004) Population dynamics and present status of sea otters (Enhydra lutris) of the Kuril Islands and southern Kamchatka. Marine Mammals of the Holarctic, Proceedings of 2004 conference. p.273–278. ↑ 가 나 “Sea Otters –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 Alaska.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arrett-Lennard, Lance (2004년 10월 20일). “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 Vancouver Aquarium. 200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eff, Lisa (2007년 6월 15일). “California otters rebound, but remain at risk”. Associated Press. 201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VanBlaricom, p.62 ↑ Nickerson, p.46 ↑ 가 나 Schrope M (2007년 2월). “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Nature 445 (7129): 703–5. PMID 17301765. doi:10.1038/445703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2011년 8월 22일에 확인함.  ↑ Brian Hatfield, Tim Tinker (2012년 8월 12일). “Spring 2012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Census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pring 2007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 Geological Survey. 2007년 5월 30일.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ilverstein, p.41 ↑ 가 나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Cruz (2008년 1월 18일). “Sea Otter Show Striking Variability In Diets And Feeding Strategies”. ScienceDaily.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roposes that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be Terminated” (PD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5년 10월 5일.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Service Proposes to End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USFWS Pacific Southwest Region. 2011년 8월 17일.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alance sought in sea otter conflict”. CNN. 1999년 3월 24일. 2008년 1월 25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2년 12월 20일). “U.S. will let otters roam along Southern California coast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Southern Sea Otters. nrdc.org ↑ Adele Ogden (1975). The California sea otter trade, 1784–1848.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쪽. ISBN 978-0-520-02806-7.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Hubert Howe Bancroft, Alfred Bates, Ivan Petroff, William Nemos (1887). History of Alaska: 1730–1885. San Francisco, California: A. L. Bancroft & company. 482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촥인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uzanne Stewart and Adrian Praetzellis (2003년 11월). Archeological Research Issues for the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Golden Gate National Recreation Area (PDF). Anthropological Studies Center, Sonoma State University. 335쪽.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ob Battersby, Preston Maginis, Susan Nielsen, Gary Scales, Richard Torney, and Ed Wynne (2008년 5월). Ross, California – The people, the places, the history. Ross Historical Society.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 Young Landis (2010년 8월 3일). “California Sea Otter Numbers Drop Again”. U. S. Geological Survey.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Spring 2010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0년 9월 23일). “Another deadly challenge for the sea otter”.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Miller MA; Kudela RM; Mekebri A; Crane D; Oates SC; Tinker, M. Timothy; Staedler, Michelle; Miller, Woutrina A.; Toy-Choutka, Sharon (2010년 9월 10일). Thompson, Ross, 편집. “Evidence for a Novel Marine Harmful Algal Bloom: Cyanotoxin (Microcystin) Transfer from Land to Sea Otters”. PLoS ONE 5 (9): e12576. PMC 2936937. PMID 20844747. doi:10.1371/journal.pone.001257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Victoria Colliver (2011년 1월 23일). “Sea otter deaths jump in 2010”.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USGS (2012년 04월). “Number of dead California sea otters a record high in 2011” (PDF).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Rare sighting of sea otter off Laguna Beach”. 2011년 12월 7일. 2013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 Jameson, Ronald James (1975).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PDF). Oregon State University. OCLC 9653603.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M.Sc. thesi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Quinn, Beth (2004년 10월 17일). “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PDF). Oregonlive. 201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 Oregonlive. 2009년 2월 20일. 2009년 2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p.18–29 ↑ Love, p.96 ↑ 가 나 Kenyon, p.121 ↑ Love, p.76 ↑ Kenyon, p.119 ↑ VanBlaricom, p.29 ↑ VanBlaricom, p.30 ↑ Nickerson, p.57 ↑ “Aquatic Species at Risk – Species Profile – Sea Otter”. 캐나다 어업해양청.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33 ↑ 가 나 Nickerson, P. “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fenders of Wildlife. 65쪽. 2011년 7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ilverstein, p.35 ↑ James R Gibson,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1969, page 17 ↑ Brass E. (1911) Aus dem Reiche der Pelze, Bd III, Berlin ↑ 가 나 Silverstein, p.37 ↑ Gedney, Larry (1983년 5월 6일). “The Aleut and the Otter”.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Middleton, p.8 ↑ 가 나 다 Silverstein, p.38 ↑ Farris, pg.21, ↑ Mathes, p.326 ↑ 가 나 Middleton, pg.4 ↑ Silverstein, p.40 ↑ VanBlaricom, p.50 ↑ VanBlaricom, p.53 ↑ VanBlaricom, p.65 ↑ Weise, Elizabeth (2007년 1월 31일). “Damage of Exxon Valdez endures”.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Nickerson, pp.47–48 ↑ 가 나 “Sea Otters: Species Description”. Alaska SeaLife Center.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Kreuder C; 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 (2003년 7월).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9 (3): 495–509. PMID 14567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 NOAA magazine (미국 해양대기청). 2003년 1월 21일. 200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City of Monterey. 2008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VanBlaricom, p.34 ↑ 가 나 Love, pp.93–98 ↑ 가 나 다 Silverstein, p.49 ↑ Nickerson, p.70 ↑ Lyapunova R.G. (1963) Museum materials on the Aleuts. Catalog of the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Academy of Sciences, USSR, vol. XXI. ↑ Szpak, Paul; Orchard, Trevor J.; McKechnie, Iain; Gröcke, Darren R. (2012). “Historical Ecology of Late Holocene Sea Otters (Enhydra lutris)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Isotopic and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5): 1553–1571. doi:10.1016/j.jas.2011.12.00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34–35 ↑ Chamberlain, B. (1888). 《Aino Folk Tales》. London,: The folk-lore society, private print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 A. Golder. (1905) Aleutian Stories.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18, No. 70. (July–September), pp.215–222. ↑ N. I. Barabash-Nikiforov (1947) Калан (Enhydra lutris L.) его биология и вопросы хозяйства (The sea otter (Engydra lutris L): biology and management), Published by: Natural Preservation Ministry of the RSFSR, Moscow. ↑ Hatch, David R. (2002) Elakha: Sea Otters, Native People, and European Colonization in the North Pacific. In Changing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5th and 6th Annual Coquille Cultural Preservation Conferences. Donald B. Ivy and R. Scott Byram, eds. pp.79–88. North Bend, OR: Coquille Indian Tribe. ↑ Love, p.97 ↑ VanBlaricom p.69 ↑ “Seattle Aquarium's Youngest Sea Otter Lootas Becomes a Mom”. Business Wire. 2000년 4월 19일.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 cynthiaholmes (2007년 3월 19일). “Otters holding hands”. YouTube. 200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Vancouver sea otters a hit on YouTube”. CBC News. 2007년 4월 3일.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매일 생사 넘나드는 해달의 삶...KBS1'KBS파노라마'”. 국민일보. 2013년 8월 13일.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Vancouver Aquarium's oldest sea otter, Nyac, passes”. Vancouver Aquarium. 2008년 9월 23일.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enyon, Karl W. (1969). The Sea Otter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Washington, D.C.: U.S. Bureau of Sport Fisheries and Wildlife. ISBN 0-486-21346-3.  Love, John A. (1992). Sea Otters. Golden, Colorado: Fulcrum Publishing. ISBN 1-55591-123-4. OCLC 25747993.  Nickerson, Roy (1989). Sea Otters, a Natural History and Guide.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ISBN 0-87701-567-8. OCLC 18414247.  Silverstein, Alvin; Silverstein, Virginia and Robert (1995). The Sea Otter. Brookfield, Connecticut: The Millbrook Press, Inc. ISBN 1-56294-418-5. OCLC 3043654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iddleton, John (2001). Maritim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Today. San Francisco, Californi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lecture.  Farris, Glenn (2007). Mains'l Haul, a Journal of Pacific Maritime History, Vol 43. San Diego, California: Maritime Museum of San Diego. ISSN 1540-3386.  Mathes, Michael (2008). The Russian-Mexican Frontier. Jenner, California: Fort Ross Interpretive Association, Inc. ISBN 978-1-60643-951-7.  VanBlaricom, Glenn R. (2001). Sea Otters. Stillwater, MN: Voyageur Press Inc. ISBN 0-89658-562-X. OCLC 463937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The Otter Project – Nonprofit organization Friends of the Sea Otter - Nonprofit organization Otter 501 – Documentary film (영어) 해달 - Curlie (DMOZ 기반) Field notes by Georg Wilhelm Steller, 1742 (PDF) Live sea otter webcam – Monterey Bay Aquarium Live sea otter webcam – Vancouver Aquarium Otters holding hands – The popular YouTube video Precipice of Survival: The Southern Sea Otter (video) Smithsonian Institution – North American Mammals: Enhydra lutris vdeh현존하는 족제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아메리카오소리아과아메리카오소리속아메리카오소리라텔아과라텔속라텔오소리아과돼지코오소리속돼지코오소리오소리속일본오소리 · 오소리 · 유럽오소리담비아과타이라속타이라울버린속울버린담비속아메리카담비 · 담비 · 바위담비 · 닐기리담비 · 유럽소나무담비 · 산달 · 피셔 · 검은담비족제비오소리아과족제비오소리속보르네오족제비오소리 · 중국족제비오소리 · 자바족제비오소리 · 버마족제비오소리 · 베트남족제비오소리그리슨아과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속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줄무늬족제비속사하라줄무늬족제비 · 줄무늬족제비파타고니아족제비속파타고니아족제비얼룩족제비속얼룩족제비그리슨속작은그리슨 · 큰그리슨족제비아과아메리카밍크속아메리카밍크족제비속긴꼬리족제비 · 등줄무늬족제비 · 말레이시아족제비 · 북방족제비 · 쇠족제비 · 고산족제비 · 족제비 · 유럽밍크 · 검은발족제비 · 긴털족제비 · 스텝긴털족제비 · 아마존족제비 · 콜롬비아족제비 · 일본족제비 · 노랑배족제비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이집트족제비수달아과큰수달속큰수달아메리카수달속북아메리카수달 · 바다수달 · 남아메리카수달 · 긴꼬리수달해달속해달얼룩목수달속얼룩목수달수달속수달 · 수마트라수달민발톱수달속아프리카민발톱수달작은발톱수달속작은발톱수달비단수달속비단수달분류 전거 통제 LCCN: sh85119235 GND: 4169258-5 NDL: 00569259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407 ADW: Enhydra_lutris ARKive: enhydra-lutris EoL: 32858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6078 GBIF: 2433670 iNaturalist: 41860 IRMNG: 10198728 ITIS: 180547 IUCN: 7750 MSW: 14001090 NCBI: 34882 Species+: 7275 uBio: 105591 WoRMS: 24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달&oldid=24216140"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달아과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일본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미국의 포유류캐나다의 포유류북아메리카의 포유류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해달(海獺, 학명: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다.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가운데서 아주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로서는 너무나도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다시마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게 되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으로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의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험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해달의 천적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Human: 아래 종로구_(선거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종로구 (선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로구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종로구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서울특별시 내 종로구 선거구의 경계인구 163,822명 (2015년)유권자 수 133,769명 (2017년)현 선거구신설연도 1988년국회의원 정세균 (더불어민주당)의원 수 1인이전 선거구 종로구·중구 중복되는 선거구서울시의회 종로구 제1선거구종로구 제2선거구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의 정세균 (6선, 2012년~)이다. 서울 종로구는 예로부터 '정치 1번지' 중 하나로 꼽힌다. 윤보선 대통령, 장면 총리, 이명박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정세균 국회의장, 김을동 前 의원의 부친이자 백야 김좌진 장군의 아들 김두한 등이 이곳 선거구 후보로 출마해 모두 종로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전적이 있으며, 여야를 막론하고 매 총선마다 거물급 정치인이 후보로 나서기로 유명하다.[1] 목차 1 지역 정보 2 역사 2.1 선거구 2.2 역대 선거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같이 보기 지역 정보[편집] 종로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지 중 하나로, 대통령의 관저인 청와대와 정부청사인 정부서울청사가 위치해 있다. 헌법재판소, 국세청, 감사원 등의 관공서, 주한 미국 대사관과 주한 일본 대사관 등 각국 대사관, 그리고 주요 신문사와 대표 문화 관광 시설들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의 총인구는 2015년 기준 163,822명이며, 인구밀도는 6,852명/km2이다.[2] 종로구의 인구 분포는 북서부 산지와 남동부 평지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종로구 남동쪽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데 창신동 (25,895명)과 숭인동 (17,215명), 혜화동 (20,066명)과 이화동 (9,215명)이 여기에 속한다. 이에 비해 북서부 지역은 면적이 넓어 인구밀도가 비교적 낮다. 주민수로는 평창동 (19,414명)이 가장 크고, 그 뒤로 청운효자동 (14,354명), 종암동 (11,217명), 사직동 (10,033명), 무악동 (8,619명), 교남동 (4,875명)이 뒤를 잇는다. 그밖에 남쪽의 긴 축을 차지하는 종로 일대와 삼청동, 가회동 등의 상가 지대는 인구수가 5,000명 미만으로 적다.[2] 종로구의 남녀 비율은 여자 50.84% 대 남자 49.16%로 엇비슷한 수준이다. 고령 인구는 65세 이상 24.89%, 65세 미만 75.11%로 높은 편이다.[2] 종로구는 특히 외국인의 비율이 높은데, 1997년 1,915명에서 2015년 8,836명으로 급속히 증가해 전체인구의 5.4%에 달한다. 반면 한국인 인구는 같은 기간에 약 4만여명 감소했다.[2] 전체 종로구 주민 중 자기집에 사는 사람은 40.76%이며, 전세는 29.63%, 월세는 26.18%로 전월세 비율이 자기집 거주 비율보다 높다.[2] 기초생활수급자는 총 4,297명 (2.62%)로 주로 종로 일대와 창신,숭인동 쪽의 비중이 높다.[2] 현 종로구청장은 더불어민주당의 김영종 구청장이다. 종로구는 서울시의회 25개 지역구 중 하나이기도 하며, 2개 선거구에서 시의원 2명을 선출한다. 종로구의 기초의회는 종로구의회로, 2014년 기준으로 4개 지역구에서 구의원 9명을 선출한다.[2]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48년 제1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지금과는 달리 두 개의 선거구, 종로구 갑과 종로구 을로 나뉘어 있었다. 1961년 총선 (제5대 민의원)까지 갑을로 계속 유지되다 1963년 제6대 총선부터 종로구라는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1973년 제9대 총선부터는 중구와 통합되어 종로구·중구가 되었으며, 중선거구제 실시로 국회의원 2인을 선출하게 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는 중구 일대가 다시 종로구와 분리되어 중구가 되었다. 이후로는 종로구 차원의 자잘한 행정구역 경계 변경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 없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역대 선거[편집]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988년부터 2012년까지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인 지역으로, 1988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의원은 단 두 명에 불과하다. 1988년 총선에서 민주정의당의 이종찬 후보가 1.7% 차로 당선되었고, 그 다음 선거인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나서, 2.5% 줄어든 35.5%로 당선되어 2선에 성공했다. 1996년 총선에서는 신한국당의 이명박 후보가 41.0%로 당선, 새정치국민회의의 이종찬 후보가 33.6%로 낙선했다. 그러나 이명박 의원의 총선 선거비용이 초과되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고, 1997년 9월 1심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700만원을 선고받아 항소했다. 이듬해 1998년 2월 이명박 의원은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자진 사퇴했다. 의원직 공석에 따라 7월 21일 치러진 재보궐 선거에서, 지난 총선 때 지지율 17.7%로 3위에 머물렀던 새정치국민회의의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를 누르고 54.4%의 지지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노무현 의원도 2년 뒤 총선에서 "지역주의 벽을 넘겠다"며 부산 북구·강서구 을으로 후보 지역구를 옮기면서, 종로구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노무현 의원과 이명박 의원은 각각 제16대, 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된다. 2000년 총선에서는 1998년 재보궐에서 패한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가 48.7%의 득표를 거두어 초선으로 당선되었으며, 지난 총선에서 2위에 머무른 새천년민주당의 이종찬 후보는 이번에도 40.0%에 머무르면서 연속 낙선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정인봉 의원이 총선을 앞두고 기자들에게 수백만원대의 향응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같은해 5월 검찰에 의해 기소되었다.[3] 정 의원의 공판 불참석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재판 진행이 느려지면서 정 의원에 대한 법원의 체포동의안도 두 번 제출되기도 했으며,[4][5][6] 결국 2002년 대법원이 선거법 위반에 따른 300만원 벌금형 및 당선무효형 확정하면서 의원직에서 물러났다.[7] 정 의원의 사퇴에 따라 치러지게 된 2002년 전반기 재보궐선거를 두고 한나라당에서는 박진 전 대통령 공보비서관, 신영무 변호사, 박계동 전 국회의원 등 7명이, 새천년민주당에서는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과 이정우 변호사, 유인태 전 국회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다.[8][9][10] 최종적으로는 한나라당은 박진 후보로, 새천년민주당은 유인태 후보로, 그리고 민주노동당은 양연수 후보로 공천을 확정했다.[11][12] 그러나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이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4자 구도가 되었다.[13] 8월 8일 투표 결과, 한나라당의 박진 후보가 50.3%로, 무소속 정흥진 후보 (23.8%)와 민주당 유인태 후보 (22.2%)를 가볍게 누르고 당선되었다.[14] 박진 후보의 승리에는 김영삼 대통령의 비서관이라는 이력에 대한 호응과, 정흥진 후보가 민주당 유인태 후보의 표심을 상당부분 잠식한 것이 승리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당시 이회창 대선후보 캠프 일원이기도 했던 박진 의원은 당선 발표 직후 "의원으로서 더 심도 있게 이회창 후보를 보좌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15] 박진 의원은 2004년 총선과 2선의 김홍신 의원을, 2008년 총선에서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를 만나며 거물급 인사들과 대결했으나, 모두 5% 이내 격차로 따돌리고 당선되어 3선 의원으로 등극했다. 하지만 제19대 총선을 앞둔 2011년 11월, "절체절명의 위기의 한나라당을 살리기 위해 '정치 1번지' 종로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며 전격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국회의원 임기는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16] 한편 2008년 총선 당시 통합민주당 선대위원장을 맡기도 했던 정세균 의원은 2009년 4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정동영 전 장관의 무소속 출마를 만류하기 위해, 오는 19대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무주·진안·장수·임실에 불출마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17] 이후 총선을 앞두면서 서울 중구나 종로구, 그밖의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지역구 탐색에 들어갔고, 2011년 12월 1일 종로구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18] 한나라당의 대를 이은 새누리당에서는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조윤선 비례대표 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으나 여론조사에서 두 후보 모두 정세균 의원에게 9.3% 이상 뒤지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종 결정에 진통을 겪었다.[19] 이에 친박계 6선 의원이자 최근 자신의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홍사덕 의원을 출마시키자는 전략공천이 친박계에서 제기되었고,[20] "종로구민에 대한 모욕", "낙하산 공천 시 무소속 출마"이라는 이동관 전 대통령 언론특보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21][22] 2012년 3월 5일 2차 공천 후보명단 발표에서 홍사덕 의원의 종로구 출마가 확정되었다.[23] 2012년 4월 11일 총선 투표 결과, 정세균 후보가 52.2%로 홍사덕 후보의 45.9% 지지율을 6.3%차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어 5선에 성공했다. 2016년 4월 13일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도 정세균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전직 서울시장 오세훈 후보를 12.9%차로 따돌리며, 지난 선거보다 0.4% 늘어난 득표율로 6선 의원에 올랐다. 이후 정세균 의원은 제20대 국회의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임기를 수행하고 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1988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들을 포함한 전체 목록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을 참고 선거 의원 정당 비고 1988 이종찬 민주정의당 1992 민주자유당 1996 이명박 신한국당 서울특별시장 (2002~2006)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8~2013) 1998 노무현 새정치국민회의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3~2008) 2000 정인봉 한나라당 2002 박진 2004 2008 2012 정세균 민주통합당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2016~2018) 2016 더불어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선거 결과 후보 정당 득표 % ±% 2016년 제20대 총선유권자수: 134,507투표수: 84,893 (63.1%) (+6.0)더불어민주당 유지 정세균더불어민주당44,34252.6+0.3오세훈 새누리당33,49039.7-6.2박태순 국민의당4,7255.6N/A하승수 녹색당5900.7N/A윤공규 정의당4580.5N/A김한울 노동당3530.4N/A김대한 무소속1230.1N/A이원옥 무소속1000.1N/A이석인 진리대한당620.1N/A박종구 한나라당560.1N/A 2012년 제19대 총선유권자수: 141,697투표수: 80,981 (57.1%) (+4.9)민주통합당 승리 정세균민주통합당41,73252.3+7.5홍사덕 새누리당36,64145.9-2.5최백순 진보신당6870.9-0.7류승구 무소속2090.3N/A홍성훈 국민행복당1770.2N/A서맹종 무소속1730.2N/A김준수 국민의 힘1530.2N/A정재복 불교연합당680.1N/A 2008년 제18대 총선유권자수: 135,727투표수: 70,868 (52.2%) (-11.8)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4,11348.4+5.4손학규 민주당31,53044.8N/A정인봉 자유선진당3,2824.6N/A최현숙 진보신당1,1381.6N/A김영동 평화통일가정당3650.5N/A 2004년 제17대 총선유권자수: 137,653투표수: 88,123 (64.0%) (+6.4)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7,43142.8-5.9김홍신 열린우리당36,84342.1N/A정흥진 새천년민주당9,61411.0-29.0이선희 민주노동당2,9503.4+1.7백남석 자유민주연합3610.4-3.7양성호 녹색사민당1290.1N/A정재복 노년권익보호당1010.1N/A 2002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1,008투표수: 40,774 (28.9%)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20,30050.3+1.6정흥진 무소속9,59723.8N/A유인태 새천년민주당8,95322.2-17.8양연수 민주노동당1,5003.7+2.0 2000년 제16대 총선유권자수: 142,070투표수: 81,806 (57.6%) (-8.6)한나라당 승리 정인봉한나라당39,47848.7+5.5이종찬 새천년민주당32,36840.0-14.4김경환 자유민주연합3,3414.1-2.6방세현 희망의한국신당1,4301.8N/A양연수 민주노동당1,4081.7N/A최혁 정년진보당1,1411.4N/A여익구 민주국민당8791.1N/A서경원 무소속7680.9N/A강종원 공화당1760.2N/A 1998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4,375투표수: 48,693 (33.7%)새정치국민회의 승리 노무현새정치국민회의26,25154.4+20.8정인봉 한나라당20,99343.5+2.5한석봉 무소속9742.0N/A 1996년 제15대 총선유권자수: 150,189투표수: 99,365 (66.2%) (-4.6)신한국당 유지 이명박신한국당40,23041.0+5.5이종찬 새정치국민회의32,91833.6-1.9노무현 민주당17,33017.7N/A김을동 자유민주연합6,6026.7N/A방세현 무소속4620.5N/A이정남 무소속2530.2N/A김연수 무소속1290.1N/A박종구 21세기한독당1180.1N/A김이준 대한민주당630.1N/A 1992년 제14대 총선유권자수: 165,877투표수: 117,403 (70.8%)민주자유당 승리 이종찬민주자유당41,20835.5-2.5김경재 민주당29,82025.7N/A이내흔 통일국민당28,33624.4N/A정인봉 무소속15,12713.0+0/7심재섭 신정치개혁당8390.7N/A신두완 무소속4180.4N/A윤인식 무소속4090.4N/A 1988년 제13대 총선민주정의당 승리 이종찬민주정의당46,53438.0김명윤 통일민주당44,48836.3N/A정인봉 신민주공화당15,13912.3N/A제정구 한겨레15,03112.3N/A김경민 한주의통일한국당6830.6N/A한상필 사회민주당4180.3N/A차장량 우리정의당3050.2N/A 1988년 이전의 종로구 선거 결과에 대해선 서울 종로구·중구 (1973년~1987년), 서울 제1선거구 (1963년~1972년), 서울 종로구 갑·종로구 을 (1948년~1961년) 문서를 각각 참고하라. 각주[편집] ↑ http://m.newspim.com/news/view/20151231000285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2016 종로통계연보>. 종로구청, 2016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0048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182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812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668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9535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085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0094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14093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00014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1020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230795 ↑ 가 나 다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1998~20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14446 ↑ http://www.fnnews.com/news/201112231050086637?t=y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80328485&code=910402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399725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8335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30553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22614468296213&outlink=1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21314.html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78 같이 보기[편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종로구 vdeh서울특별시의 국회의원선거구 (49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더불어민주당 (36석) 종로구 중구·성동구 갑 용산구 광진구 갑 광진구 을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중랑구 갑 중랑구 을 성북구 갑 성북구 을 강북구 을 도봉구 갑 노원구 갑 노원구 을 노원구 병 은평구 갑 은평구 을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을 마포구 갑 마포구 을 양천구 갑 강서구 갑 강서구 병 구로구 갑 구로구 을 금천구 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을 동작구 갑 강남구 을 송파구 을 송파구 병 강동구 갑 강동구 을 자유한국당 (9석) 강북구 갑 도봉구 을 양천구 을 강서구 을 동작구 을 서초구 을 강남구 갑 강남구 병 송파구 갑 바른미래당 (4석) 중구·성동구 을 관악구 갑 관악구 을 서초구 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종로구_(선거구)&oldid=24401860" 분류: 서울특별시의 선거구서울 종로구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5: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의 최재형 (초선, 2022년~)이다.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 중 가장 먼저 소개되는 곳으로, 예로부터 대한민국의 '정치 1번지' 중 하나로 꼽힌다. 윤보선 전 대통령, 장면 전 국무총리, 이명박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두한 전 의원,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이 이곳 선거구 후보로 출마해 모두 종로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전적이 있으며, 여야를 막론하고 매 총선마다 거물급 정치인이 후보로 나서기로 유명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 종로구청정은 누구야? Assistant: 김영종 Human: 아래 밀라노_말펜사_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밀라노 말펜사 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라노 말펜사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Aeroporto di Milano-MalpensaMilan Malpensa Airport IATA: MXP – ICAO: LIRF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6 운영기관 Aeroporti di Milano 지역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위치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거점 항공사 알리탈리아 항공블루 파노라마 항공 해발고도 768 ft / 234 m 좌표 북위 45° 37′ 48″ 동경 008° 43′ 23″ / 북위 45.63000° 동경 8.72306°  / 45.63000; 8.72306 웹사이트 http://www.milanomalpensa1.eu 지도 MXP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7/25 3,288 10,785 YES 아스팔트 16R/34L 4,012 13,063 YES 아스팔트 밀라노 말펜사 공항(이탈리아어: Aeroporto di Milano-Malpensa, 영어: Milan Malpensa Airport, IATA : MXP, ICAO : LIMC)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밀라노 중심부에서 약 5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밀라노 도시권 지역의 3개 국제공항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항 노선 2.1 1A 터미널 2.2 1B 터미널 2.3 2 터미널 2.4 화물 노선 3 연계 교통 3.1 도로 교통 3.2 철도 교통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블루 파노라마 항공, 이지젯, 유로 플라이 항공, 리빙스턴 에너지 항공, 네오스 항공, 볼라레 항공, 볼라레웹 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이탈리아의 최대 항공사인 알리탈리아 항공은 2007년 허브공항에서 제외했다. 그 밖에 여러 항공사가 취항한다. 평균 해면고도(above mean sea level)는 234m이로 터미널은 1-A, 1-B, 1-C, 2로 이루어지며 화물터미널인 카고시티(CargoCity)는 1년에 41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활주로는 2개인데, 아스팔트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3,915m로 2012년에 완료 목표로 세 번째 활주로가 공사하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1A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알리탈리아 항공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니오스 항공 암스테르담, 아르카페, 브린디시, 카나리아, 코펜하겐, 푸에르테벤투라, 푼샬, 헤라클리온, 이비자, 카르파토스, 코스, 우페미아라메치아테음​​, 라스팔마스데그랑카니라아, 리스본, 루르드, 마드리드, 미노르카, 미코노스, 팔마데마요르카, 포르토산토, 로즈, 산토리니, 세빌라, 스키아토스, 테네리페 메리디아나 안탈랴, 보드룸, 칼리아리, 푸에트레벤투라, 올비아, 테네리페(소스), 트롯톨리계절편 : 미코노스, 로도스 산토리니 미스트랄 항공 판텔레니아, 후가르다, 라카티아,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람페두사 블루 파노라마 항공 헤라킬리온, 람페두사, 루르드, 로도스, 산토리니 션온에어 알리칸테, 에든버러, 더블린, 두바이, 글래스고(인터내셔널), 섀넌계절편 : 코크, 글래스고(프레스트워크) 스카이 브릿지 에어옵스 페루자 아르바 스타 이비자, 미노르카, 팔마데마요르카 에어 돌로미티 뮌헨 엘바 플라이 엘바 이탈리 항공 람페두사, 로도스, 말라가, 팔마데마요르카 HOP!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 유로피아 에어포스트 로도스 트윈 제트 마르세유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뒤셀도르프, 뮌헨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뮌헨 유로윙스 함부르크계절편 : 뒤셀도르프 저먼윙스 쾰른(본), 하노버 콘텍트 에어 슈투트가르트 KLM 암스테르담 트랜스아비아닷컴 로테르담 룩스 에어 룩셈부르크 브뤼셀 항공 브뤼셀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오스트리아 항공 빈 에어 알프스 살레르노 에게 항공 아테네, 미코노스, 산토리니, 헤라킬리온 이베리아 항공 마드리드 에어 유로파 마드리드 부엘링 항공 바르셀로나, 빌바오, 발렌시아계절편 : 이비사, 팔마데마요르카 블루 에어 안탈리아 TAP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 TAP 익스프레스 포르투 스마트룩스 항공 루르드, 말라가, 테네리페 체코 항공 프라하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스칸디나비아 항공 코펜하겐, 스톡홀름(알란다)계절편 : 오슬로(가르데르모엔) 노르웨이 에어 셔틀 오슬로(가르데르모엔) 아이슬란드 항공 레이캬비크 핀에어 헬싱키 1B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에어링구스 더빌린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상하이(푸둥) 에어 이탈리아 포르탈레자, 아바나, 라로마나, 나탈, 노지베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에어 몰도바 키시네프 알리탈리아 항공 마이애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뉴욕(케네디), 도쿄(나리타) 아메리칸 항공 마이애미, 뉴욕(케네디) 아틀라스 제트 안탈랴 아제르바이잔 항공 바쿠 벨라비아 항공 민스크 블루 파노라마 항공 안티구아, 아루바, 방콕(수완나품), 칸쿤, 카요라르고델수르, 카르타헤나, 큐라소, 아바나, 올긴, 라로마나, 푸껫, 산타클라라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불가리아 항공 소피아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유나이티드 항공 뉴어크 키프로스 항공 라르나카 델타 항공 애틀랜타, 뉴욕(케네디) 이집트 항공 카이로 EI AI 텔아비브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유로 에어포스트 탕헤르 플라이비 버밍엄, 맨체스터 걸프 에어 바레인 이란 항공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야트 에어웨이즈 베오그라드 제트포유 카사블랑카 대한항공 서울(인천) 메리디아나 치시나우, 콜롬보, 다카, 말레, 마르사 알람, 모리셔스, 몸바사, 샤알람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중동항공 베이루트 오만 항공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제 항공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타르 항공 도하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퀸알리아)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제다, 리야드 스카이 항공 안탈랴 스카이브릿지 에어옵스 샤알람알세이크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스리랑카 항공 콜롬보 선 익스프레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이즈미르 선드 오르 텔아비브 시리안 에어 알레포, 다마쿠스 TACV 살 TAM 항공 상파울루(구아룰류스) 타이항공 방콕(수완나품) 튀니스 에어 제르바, 엔피다, 모나스티르, 타바카, 토주르, 튀니스 터키 항공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겐트 이스리아 항공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안탈리아, 바르셀로나, 보드룸, 후가르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팔마데마요르카, 샤름엘셰이크 알리탈리아 항공 세인트마르텐계절편 : 라로마니아, 메일, 몸바사, 산토도밍고, 잔지바르 AMC 항공 엘알라메인, 마르사알람, 샴엘셰이 니오스 항공 아가디르, 알레포, 암만(퀸알리아, 마카), 안탈리아, 앤티가, 알아카바, 반줄, 보아비스타, 카이로, 칸쿤, 캡틴스크링, 제르바, 두바이, 하바나, 후르간, 후가르다, 라로마니아, 라르나카, 룩소르, 마헤, 메일, 마르사알람, 메리다, 메르사마트루, 몸바사, 몬티아프리트, 푼타칸나, 라스알카하마, 레시페, 샐, 살바도르다바이아, 사르마나, 샴엘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미스트랄 항공 후가르다, 라타키아, 텔아비브 아우어 항공 계절편 :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노브에어 제르바, 모나스티르, 타바르카 2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이지젯 아가디르, 암스테르담, 아테네, 바르셀로나, 바리, 베를린(쇠네펠트), 보르도, 브린디시, 브리스톨, 브뤼셀, 칼리아리, 카사블랑카, 카타니아, 코펜하겐, 코르푸, 에딘버러, 이비자, 우페미아라메치아테미, 런던(개트윅), 런던(루턴), 리스본, 리옹, 마드리드, 말라가, 마라케시, 미코노스, 나폴리, 올리비아, 팔레르모, 팔마드마요르카, 파리(샤를 드 골), 포르토, 프라하,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분리, 테살로니키, 툴루즈계절편 : 두브로브니크, 헤라클리온, 코스, 몰타, 로즈, 산토리니, 잔테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 카고 베이징, 청두, 노보시비르스크, 상하이(푸둥), 빈 에어브리지 카고 에어 암스테르담, 프랑크푸르트, 마스트리흐트, 모스크바(도모데도보),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아시아나항공 런던(스탠스테드), 서울(인천), 빈 아틀라스 항공 리마, 산타마리아 카고룩스 캄피나스(비라코푸스), 로스앤젤레스, 룩셈부르크, 마스트리히트, 뉴욕(JFK) 카고룩스 이탈리아 알마티, 바쿠, 두바이, 홍콩, 요하네스버그, 룩셈부르크,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도원) 캐세이패시픽 항공 델리,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홍콩, 런던(히드로), 맨체스터, 뉴욕(JFK), 파리(CDG) 중화항공 두바이, 맨체스터, 타이페이(도원) 중국화물항공 암스테르담, 상하이(푸둥), 우루무치 중국남방항공 카고 암스테르담, 광저우 지스테어 에어 카고 마드리드 DHL 런던(히드로), 런던(루턴), 런던(스탠스테드) 이집트 항공 카고 카이로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암스테르담, 두바이, 나이로비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아부다비, 트리폴리 페덱스 익스프레스 안코나, 쾰른(본), 프랑크푸르트, 리스본, 멤피스, 뉴욕(뉴어크), 파리(샤를 드 골), 피사, 베니스(마르코폴로) 만리장성항공 암스테르담, 첸나이, 상하이(푸둥)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 프랑크푸르트, 제네바, 상하이(푸둥), 선전 대한항공 나보이, 런던(히드로),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빈 MAS 카고 쿠알라룸푸르 미스트랄 항공 루르드 MNG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파리(샤를 드 골) 일본화물항공 암스테르담,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폴렛 항공 하르툼 카타르 항공 도하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엘아이운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브뤼셀, 제다, 리야드 실크웨이 항공 바쿠 서던 에어 애틀랜타, 시카고(오헤어), 뉴욕(JFK) TAROM 부쿠레스트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프리스티나 월드 에어웨이즈 볼티모어, 시카고(오헤어), 멕시코시티, 뉴욕(JFK)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공항버스 자동차 택시 철도 교통[편집] 말펜사 익스프레스 밀라노 공항역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밀라노 말펜사 공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라노_말펜사_공항&oldid=24099573" 분류: 롬바르디아주의 공항밀라노의 교통1909년 개항한 공항194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밀라노 말펜사 공항(이탈리아어: Aeroporto di Milano-Malpensa, 영어: Milan Malpensa Airport, IATA : MXP, ICAO : LIMC)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밀라노 도시권 지역의 3개 국제공항 가운데 하나로, 밀라노 중심부에서는 약 40~50km 정도 떨어져 있다. 활주로가 리나테보다 길고 1998년에 공항을 대대적으로 확장했으나, 리나테에 비해 밀라노 시내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게 단점이다. 주로 밀라노를 오고가는 대륙간 국제선들이 말펜사에 들어온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말펜사 공항의 1B 터미널을 이용하는 항공사들의 여객기는 목적지가 어디입니까? Assistant: 항공사 도착지 에어링구스 더빌린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상하이(푸둥) 에어 이탈리아 포르탈레자, 아바나, 라로마나, 나탈, 노지베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에어 몰도바 키시네프 알리탈리아 항공 마이애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뉴욕(케네디), 도쿄(나리타) 아메리칸 항공 마이애미, 뉴욕(케네디) 아틀라스 제트 안탈랴 아제르바이잔 항공 바쿠 벨라비아 항공 민스크 블루 파노라마 항공 안티구아, 아루바, 방콕(수완나품), 칸쿤, 카요라르고델수르, 카르타헤나, 큐라소, 아바나, 올긴, 라로마나, 푸껫, 산타클라라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불가리아 항공 소피아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유나이티드 항공 뉴어크 키프로스 항공 라르나카 델타 항공 애틀랜타, 뉴욕(케네디) 이집트 항공 카이로 EI AI 텔아비브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유로 에어포스트 탕헤르 플라이비 버밍엄, 맨체스터 걸프 에어 바레인 이란 항공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야트 에어웨이즈 베오그라드 제트포유 카사블랑카 대한항공 서울(인천) 메리디아나 치시나우, 콜롬보, 다카, 말레, 마르사 알람, 모리셔스, 몸바사, 샤알람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중동항공 베이루트 오만 항공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제 항공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타르 항공 도하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퀸알리아)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제다, 리야드 스카이 항공 안탈랴 스카이브릿지 에어옵스 샤알람알세이크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스리랑카 항공 콜롬보 선 익스프레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이즈미르 선드 오르 텔아비브 시리안 에어 알레포, 다마쿠스 TACV 살 TAM 항공 상파울루(구아룰류스) 타이항공 방콕(수완나품) 튀니스 에어 제르바, 엔피다, 모나스티르, 타바카, 토주르, 튀니스 터키 항공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겐트 이스리아 항공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안탈리아, 바르셀로나, 보드룸, 후가르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팔마데마요르카, 샤름엘셰이크 알리탈리아 항공 세인트마르텐계절편 : 라로마니아, 메일, 몸바사, 산토도밍고, 잔지바르 AMC 항공 엘알라메인, 마르사알람, 샴엘셰이 니오스 항공 아가디르, 알레포, 암만(퀸알리아, 마카), 안탈리아, 앤티가, 알아카바, 반줄, 보아비스타, 카이로, 칸쿤, 캡틴스크링, 제르바, 두바이, 하바나, 후르간, 후가르다, 라로마니아, 라르나카, 룩소르, 마헤, 메일, 마르사알람, 메리다, 메르사마트루, 몸바사, 몬티아프리트, 푼타칸나, 라스알카하마, 레시페, 샐, 살바도르다바이아, 사르마나, 샴엘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미스트랄 항공 후가르다, 라타키아, 텔아비브 아우어 항공 계절편 :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노브에어 제르바, 모나스티르, 타바르카
Human: 아래 브니엘예술중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니엘예술중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니엘예술중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5′ 20″ 동경 129° 06′ 10″ / 북위 35.2554994° 동경 129.1028139°  / 35.2554994; 129.1028139 브니엘예술중학교브니엘藝術中學校Peniel Middle School of the Arts 교훈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나는 마음껏 자라며, 마음껏 생각하며, 마음껏 일하는 사람이 되련다. 3. 나는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우는 사람이 되련다. 4. 나는 조국과 인류가 나를 기다리고 있음을 잊지 않는다. 개교 1996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최재호 교감 김규강 국가 대한민국 위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154 (구서동) 학생 수 254 명 (2015년 4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27 명 (2015년 4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히말라야시다, 교화: 영산홍 학교법인 정선학원 관할관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웹사이트 브니엘예술중학교 홈페이지 브니엘예술중학교(브니엘國際藝術中學校)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2015년 입학생부터는 국제중이 아니라 예술중학생으로 인정한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논란 5 각주 6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58년 9월 15일 : 브니엘학원 설립 1995년 9월 6일 : 구서동 소재 브니엘예술학교 설립인가 (21학급) 1996년 3월 1일 : 제1대 박정환 교장 취임 1996년 3월 5일 : 브니엘예술중학교 1학년 입학(7학급 350명) 1996년 3월 19일 : 구서동 신축교사로 이전 1998년 10월 2일 : 학칙변경인가 (교명변경 브니엘예술중학교) 1999년 2월 13일 : 브니엘예술중학교 제1회 졸업(7학급 331명) 2007년 2월 9일 : 학칙변경인가 (교명변경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 2016년 4월 8일 : 브니엘예술중학교로 교명 환원[1] 2017년 3월 1일 : 제16대 이응희 교장 취임 2018년 2월 7일 : 제20회 브니엘예술중학교 졸업 (졸업생누계:18,692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브니엘예술중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논란[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는 본래 국제적인 예술인을 양성한다는 이유로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로 교명을 바꾸었으나, 교명과는 달리 예술계열 고등학교보다는 특목고나 자율고 진학률이 훨씬 높다는 지적이 있어 다시 브니엘예술중학교로 교명을 되돌렸다. 또한 입학 전형도 일반적인 예술 중학교과는 달리 서류 평가의 비중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2][3] 각주[편집] ↑ 부산고법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 명칭서 '국제' 빼라"《연합뉴스》 2016년 4월 8일, 오수희 기자 ↑ 10명 중 7명 특목·자사고 진학…브니엘예중도 '국제중' 편법《국제신문》 2014년 5월 1일, 윤정길 기자 ↑ 부산 브니엘국제예술중, 특목고 대거 배출《연합뉴스》 2010년 1월 16일, 민영규 기자 외부 링크[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부산광역시의 중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서구 가락중학교 경일중학교 낙동중학교 녹산중학교 대저중학교 덕문중학교 명지중학교 명호중학교 신호중학교 지사중학교 금정구 구서여자중학교 금사중학교 금양중학교 금정중학교 남산중학교 동래여자중학교 동현중학교 부곡여자중학교 부곡중학교 부산예술중학교 브니엘예술중학교 장전중학교 기장군 기장중학교 대청중학교 모전중학교 부산중앙중학교 신정중학교 장안중학교 정관중학교 남구 감만중학교 남천중학교 대연중학교 대천중학교 동항중학교 문현여자중학교 분포중학교 석포여자중학교 성동중학교 오륙도중학교 용문중학교 용호중학교 해연중학교 동구 경남여자중학교 금성중학교 부산동여자중학교 부산서중학교 부산중학교 선화여자중학교 동래구 남일중학교 동래중학교 동신중학교 동해중학교 부산내성중학교 사직여자중학교 사직중학교 안락중학교 여명중학교 온천중학교 유락여자중학교 충렬중학교 학산여자중학교 혜화여자중학교 부산진구 가야여자중학교 개금여자중학교 개림중학교 광무여자중학교 덕명여자중학교 동양중학교 동의중학교 동평여자중학교 동평중학교 부산개성중학교 부산국제중학교 부산동중학교 부산진여자중학교 부산진중학교 서면중학교 양동여자중학교 초연중학교 초읍중학교 항도중학교 북구 가람중학교 구남중학교 구포중학교 금곡중학교 금명중학교 대천리중학교 덕천여자중학교 덕천중학교 만덕중학교 명진중학교 백양중학교 신덕중학교 양덕여자중학교 용수중학교 화명중학교 화신중학교 사상구 덕포여자중학교 동주중학교 모동중학교 모라중학교 신라중학교 엄궁중학교 주감중학교 주례여자중학교 주례중학교 학장중학교 사하구 감천중학교 건국중학교 다대중학교 다선중학교 다송중학교 당리중학교 대동중학교 동주여자중학교 두송중학교 사하중학교 삼성중학교 영남중학교 장림여자중학교 장평중학교 하남중학교 하단중학교 서구 경남중학교 대신여자중학교 부산대신중학교 부산여자중학교 부산중앙여자중학교 송도중학교 초장중학교 수영구 광안중학교 동수영중학교 동아중학교 망미중학교 부산수영중학교 한바다중학교 연제구 거성중학교 거제여자중학교 연산중학교 연일중학교 연제중학교 연천중학교 이사벨중학교 토현중학교 영도구 남도여자중학교 부산남중학교 부산영선중학교 부산체육중학교 신선중학교 영도제일중학교 태종대중학교 해동중학교 중구 덕원중학교 해운대구 동백중학교 반송여자중학교 반송중학교 반안중학교 반여중학교 부흥중학교 상당중학교 센텀중학교 신곡중학교 신도중학교 양운중학교 운송중학교 인지중학교 장산중학교 재송여자중학교 재송중학교 해강중학교 해운대여자중학교 해운대중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예술 중학교서울 국립국악중학교 선화예술중학교 예원학교 전통예술중학교 부산 부산예술중학교 브니엘예술중학교 경기 계원예술학교 전북 전주예술중학교 국제중 예술중 체육중 특성화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니엘예술중학교&oldid=22710383" 분류: 예술 중학교부산 금정구의 중학교1996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0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니엘예술중학교(브니엘藝術中學校)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부산 구서동에 위치한 브니엘예술중학교의 16대교장 성명은? Assistant: 이응희 Human: 아래 아이리스_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이리스 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이리스 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징대학살 기념관에 전시된 아이리스 장의 동상 아이리스 장 또는 아이리스 순루 장(Iris Chang 아이리스 챙[*], 중국어 간체자: 张纯如, 정체자: 張純如, 병음: Zhāng Chúnrú 장춘루[*], 1968년 3월 28일 ~ 2004년 11월 9일)은 중국계 미국인 역사가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난징 대학살을 주제로 저술한 1997년 베스트셀러 《난징의 강간》으로 유명하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들로부터 수 차례 협박을 당해 정신적 고통을 받는 끝에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아이리스 장은 2007년에 출간된 전기인 《아이리스 장을 찾아서》와 역시 같은 해에 발표된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의 강간》에서 주제로 다뤄지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2 작품 3 유명 인사 4 사망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아이리스 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 이민 온 교수 부모 사이에서 1968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중국본토 출신으로 난징 대학살을 피해 타이완으로 피신한 후, 미국에 정착하였다. 장은 일리노이주 어바나에서 자랐으며, 1985년 같은 주 어바나시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장은 1989년 일리노이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사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작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 타임즈에서 어배너-섐페인 주재 프리랜서 작가로 일했는데, 1년간 6개의 표지에 해당되는 분량의 기사를 썼다. AP와 시카고 트리뷴에서 잠시 동안 일한 뒤, 아이리스 장은 작가로서 경력을 시작하였고, 강의를 하거나, 다양한 잡지를 위해 기사를 작성하였다. 그녀는 대학 시절에 만난 브레톤 더글라스와 결혼하여 아들인 크리스토퍼를 낳았다. 아이리스 장은 그녀의 생애 말년에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살았다. 작품[편집] 아이리스 장은 역사 분야에서 아시아인과 중국계 미국인들의 경험을 담은 세권의 책을 펴냈다. 그녀의 첫 번째 책은 1995년에 발표된 《Thread of the Silkworm (한국제목: 중국 로켓의 아버지 첸쉐썬)》로, 1950년대 매카시즘 광풍이 불던 시기, 중국인 교수인 첸쉐썬의 실제 이야기를 그린다. 비록 치엔 박사가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의 설립자 중의 한 명이었으며, 수년간 미군이 나치 독일 출신인 과학자들에게서 비밀 정보를 털어놓게끔 도왔지만, 그는 갑자기 스파이, 미국의 공산당의 일원으로 모함을 받고, 1950년에서 1955년 동안 가택에 감금되었다. 치엔 박사는 1955년 9월 프레지던트 클리브랜드 상선을 타고,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떠났다. 중국으로 돌아온 후, 치엔 박사는 둥펑 미사일과 후에 실크웜 미사일을 발전시켰다. 후자는 역설적으로 걸프 전쟁,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 일어난 이라크 군대의 미국군 공격에 사용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두 번째 책인 《난징의 강간, 세계 제2차 대전의 잊혀진 홀로코스트》가 1997년 난징 대학살 60주년을 기념으로 발간되었으며, 부분적으로는 그녀의 조부모가 그 학살을 피해 탈추했던 이야기서 영감을 받았다. 이 책은 중일 전쟁 동안 일본군의 무력에 의해 중국인들에게 자행된 잔혹한 범죄행위를 담고있다. 난징의 강간은 일부에서 일본군의 잔학성을 세세히 노출한다는 찬사와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부정확한 사실을 담는다고 주장하며 비난하였다. 이 책이 출간된 뒤, 아이리스 장은 일본 정부가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이 행한 범죄를 사과해야하고, 보상금을 지불해야한다고 캠페인을 열었다. 《난징의 강간》은 일본군의 악랄한 범죄 그 자체를 처음으로 영어로 논픽션으로 쓴 책으로 여겨지며,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10주간 지속되었다. 이책을 기초로 미국의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이 2007년에 발표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세 번째 책인 《미국의 중국인》(2003년)은 중국계 미국인의 역사로 중국계 미국인들이 영원히 이방인으로 취급당했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이전 작품의 스타일에 일관적으로, 이 책은 개인적인 해석에 의존하며, 각각의 이야기에서 강한 감정적인 내용이 그려진다.[출처 필요] 그녀는 “오늘날의 미국은 중국 소수 민족의 성과없이는 지금과 같은 미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며, 중국 혈통을 지닌 모든 미국 유명인사의 얼굴에 흠집을 내려한다. 그들의 업적이 훌륭해도, 미국사회에 그들의 공헌이 크더라도 실상 그들 모두는 한가지 혹은 다른 점에서 정체성에 대해 질문받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유명 인사[편집] 아이리스 장이 작가로 성공하면서, 대중적인 인사로 인식된다. 그녀는 《난징의 강간》으로 대변인, 인터뷰 대상, 그리고 더 넓게는 일본 정부가 중국 침략시 희생자들에게 보상금을 충분히 지불하지 않았다는 의견의 대변자가 요구되었다. 미국에서 《난징의 강간》이 발간된 지 바로 뒤에, 미국 내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아이리스 장은 1997년에 일본 정부가 전쟁 범죄에 사과를 하도록 하도록 제기된 의회결의문의 주요한 홍보인 중 한명이 되어, 1999년 영부인인 힐러리 클린턴을 만나 그 문제를 상의하였다. 사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난징의 강간입니다. 공식 사인으로는 2004년 11월 9일 자살이라 보도되었다. 1996년 난징대학살을 고발한 논픽션 난징의 강간(The Rape of Nanking)을 출간한 후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 시달림을 당해왔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을 수차례 받아 줄곧 공포속에서 생활해왔고 심한 우울증에 시달려 정신과 치료를 받다가 결국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같이 보기[편집] 난징의 강간 난징 대학살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아이리스 장의 공식 홈페이지 — the official home page of Iris Chang (영어) 아이리스 장의 논문 (출처:California Ethnic and Multicultural Archives) (영어) 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세계연합회 아이리스 장에 의해 공동설립된 NGO기구로, 일본군에 저질러진 전쟁 범죄와 극악상에 알지 못하는 세계인에게 깨우침을 주려는 목적을 가진다. (영어) 난징에서의 악몽 (출처:존홉킨스 잡지 인문학과 예술 부분에 실린 수 드 파스콸의이난징의 강간을 읽은 후의 에세이) (영어) 2003년 6월 22일 아이리스 장의 인터뷰 KQED FM Forum (영어) 아이리스 장 영화 - 아이리스 장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영어) 아이리스 장 기념기금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8135 LCCN: n95074518 ISNI: 0000 0001 1465 8573 GND: 121260097 SUDOC: 066973589 BNF: cb13627565p (데이터) NDL: 00759153 NKC: xx002730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이리스_장&oldid=23865201" 분류: 1968년 태어남2004년 죽음미국의 역사가미국의 작가미국의 언론인중국계 미국인난징 대학살화기로 자살한 사람의문사한 사람자살한 작가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섐페인 (일리노이주) 출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7년 12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6: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이리스 장 또는 아이리스 순루 장(Iris Chang 아이리스 챙[*], 중국어 간체자: 张纯如, 정체자: 張純如, 병음: Zhāng Chúnrú 장춘루[*], 1968년 3월 28일 ~ 2004년 11월 9일)은 중국계 미국인 역사가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난징 대학살을 주제로 저술한 1997년 베스트셀러 《난징의 강간》으로 유명하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들로부터 수 차례 협박을 당해 정신적 고통을 받는 끝에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아이리스 장은 2007년에 출간된 전기인 《아이리스 장을 찾아서》와 역시 같은 해에 발표된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의 강간》에서 주제로 다뤄지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이리스장의 부모님은 어느나라사람일까? Assistant: 중국
Human: 아래 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2003-04 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유럽 축구 연맹(UEFA)의 최상위 클럽 축구 대회인 UEFA 챔피언스리그의 49번째 시즌으로, 대회 명칭이 유러피언컵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로 바뀐 이후의 12번째 시즌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8강전에서 첼시와 아스날 간의 경기에서 1, 2차전 합친 최종 결과는? Assistant: 3-2 Human: 아래 콩고_민주_공화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콩고 민주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콩고 공화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콩고 민주 공화국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국기 국장 표어 프랑스어: Justice – Paix – Travail(정의, 평화, 노동)국가 콩고인이여 일어나라 수도 킨샤사 남위 4° 19′ 30″ 동경 15° 19′ 20″ / 남위 4.325° 동경 15.322222°  / -4.325; 15.322222 킨샤사 정치공용어 프랑스어국민어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정치체제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대통령총리 펠리그즈 치저크디오귀스탱 마타타 포뇨역사독립   • 독립 벨기에로부터 독립1960년 6월 30일지리면적 2,344,858km2 (12 위)내수면 비율 3.3%시간대 CET, EET (UTC+1, +2)DST 없음인구2016년 어림 85,026,000명 (16위)인구 밀도 25명/km2 (179위)경제GDP(PPP) 2014년 어림값 • 전체 $557.31억 (78위) • 일인당 $702.784 (174위)HDI 0.304 (186위, 2012년 조사)통화 프랑 (CDF)기타ISO 3166-1 180, CD, COD도메인 .cd국제 전화 +243 1971년에서 1997년까지는 "자이르"라고 불렀다.콩고 공화국과는 전혀 다른 나라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레퓌블리크 데모크라티크 뒤 콩고[*], 문화어: 민주 꽁고)은 아프리카 중부 콩고 강 유역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킨샤사이다. 이웃의 콩고 공화국과 구별하기 위하여 수도 이름을 붙여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하고, 약칭으로 DR 콩고, DRC(이상 영어), RDC(프랑스어)로도 부른다. 목차 1 역사 1.1 역대 대통령 2 지리 3 행정 구역 4 주민 5 언어 6 종교 7 교육 8 문화 9 대외 관계 10 기아문제 11 관련 항목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입니다. 1880년대 초,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 2세의 후원을 받은 헨리 스탠리를 통해 벨기에령(직할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이 되었다. 벨기에령 시절에는 레오폴 2세에 의한 무자비한 착취와 탄압으로 수백만 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조제프 카사부부가 대통령이 되었고, 파트리스 루뭄바가 총리가 되었다. 독립 직후, 지하 자원이 풍부한 카탕가 주가 모이스 촘베의 지도 아래 분리 독립을 선언하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1961년, 총리 루뭄바는 처형당하고 내란을 일으킨 촘베는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 1965년에 촘베가 귀국하여 카사부부 정부의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모부투 세세 세코 참모총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카사부부 정부는 전복되었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촘베는 다시 망명하였다가 알제리로 납치당하여 감금 생활을 하다가 죽었다. 모부투 대통령은 1970년에 나라 이름을 자이르로 고쳤고, 총 32년간 통치하였다. 그러나 모부투의 장기 집권으로 인한 부패, 인권 침해, 국가 경제의 침체 등으로 인해 제1차 콩고 내전이 일어났고, 이 내전에 승리한 게릴라 출신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1997년에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해 나라 이름을 다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바꿨다. 카빌라 정권 집권 직후에는 제2차 콩고 전쟁이 발발했고, 1998년부터 2003년까지의 기간 동안 4백만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2001년 1월, 카빌라는 경호원에 암살당했고, 사망 8일 후에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2003년, 제2차 콩고 전쟁이 중지된 후 2006년 2월에 개정된 헌법에 따라 같은 해 7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조제프 카빌라가 재선되었다. 역대 대통령[편집] 초대 대통령 : 조제프 카사부부 (1960~1965) 2대 : 모부투 세세 세코 (1965~1997) 3대 :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2001) 4대 : 조제프 카빌라 (2001~2019) 5대 : 펠리그즈 치저크디 (2019~현재) 지리[편집] 중앙 서부 지대에 있으며 앙골라,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와 접한다. 적도와 만나며 전체 면적은 2,345,408 km²로 서유럽+남유럽[1] 전체와 비슷한 수준이다. 적도 지대에 있어서인지 많은 강수가 내리며 지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중의 하나다. 평균 강우량은 200 cm에 이르기도 하며 아마존 강 다음으로 가장 큰 열대 우림이 존재하기도 한다. 관목 정글이 국토 일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만난다. 남쪽과 남서 지방은 사바나 지대와 함께 평원 지대가 나타난다. 북쪽에는 빽빽한 목초 지대가 있으며 동쪽 맨 끝으로 가면 빙하가 있는 산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2년 1월 17일 니라공고 산(Mount Nyiragongo)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었다. 용암이 고마 시(Goma)로 흘러들어 45명이 죽었고 12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용암이 키부 호로 흘러들면서 수많은 물고기가 죽기도 했다. 공항의 경우 공항 전체를 용암이 뒤덮지는 못했지만 활주로를 비롯해 수많은 비행기가 피해를 입었다. 폭발 6개월 이후 니아무라지라 화산(Mount Nyamuragira)이 터지고 2006년 한 번 더 터졌다. 두 화산 모두 여전히 활화산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주민[편집] 부슝 쿠바(Bushoong Kuba) 문화의 가면. 주민의 절대다수는 흑인으로, 대부분 반투족에 속한다. 이들은 800여개의 부족으로 나뉘며, 주요 종족으로는 콩고족, 룬다족, 몽고족 등이 있다. 그 밖에 60여만명의 피그미족들이 살고 있으며, 백인도 거주하는데 그 대부분은 벨기에계(系),프랑스인, 미국인,독일인 ,레바논 이다.황인은 중국인,인도인,한국인 이다. 언어[편집] 넓은 영토 때문에 정확히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언어와 그에 딸린 방언이 혼재하고 있다. 2005년 12월 18일, 19일에 걸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국민 61.97%의 투표와 투표자 84.31%의 찬성으로 통과되어 2006년 2월 4일 대법원에 의해 확정된 헌법에 따르면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국민 언어는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이다."고 규정하고 있다.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국제 기구, OIF)가 2005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콩고 민주 공화국 인구의 9%가 프랑스어를 상용(常用)하고, 34%가 경우에 따라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그 추정치를 밝히고 있다. 종교[편집] 대부분은 기독교를 믿는다. 로마 가톨릭이 55%, 개신교(킴방구주의 포함)가 35%, 나머지 자생 종교가 2.4%를 차지한다.[2] 교육[편집] 문맹률이 매우 높다. 문맹률은 약 92.0%에 달한다.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 대외 관계[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독립 이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토의 크기, 풍부한 광물자원, 그리고 전략적 위치라는 이유로 이 나라는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냉전의 긴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인권 유린의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서방세계의 원조가 감소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이웃한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의 군대가 반란을 도와 이 나라의 동쪽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전에 휩싸여 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콜탄(coltan)과 같은 광물 자원을 점령군이 계속 절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은 국제적인 IT 기업들이 콩고 산 불법 콜탄을 구입할 수 없도록 제재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 국가 르완다로 밀반출된 뒤 팔리는 콩고 산 콜탄의 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르완다는 콜탄 광산이 전혀 없음에도, 르완다 군은 콜탄을 팔아서 18개월간 2억 5천만 미국 달러를 벌어들였다.[3] 반란군이 점령한 지역에 세금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DRC(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을 통해 어떠한 돈도 벌어들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가 반란 활동의 재정을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면 됐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4] 콩고 민주 공화국은 남북 모두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63년 4월 1일에 국교가 수립되었다. 주(駐)콩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9년 12월,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1998년 12월 공관이 철수하였다가, 2005년 9월 1인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2008년 7월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대사는 김성철(2008년 9월 30일 부임, 2008년 9월 11일 신임장 제정)이다.[5]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 유럽계 사모펀드 AR의 한국법인인 ARK는 2009년 3월 4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 광산재벌인 조지 포레스트 인터내셔널(GFI)과 수자원·광물 동반 진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국 측은 국내 민간업체 협력을 받아 댐, 상하수도시설 관련 노하우를 제공하는 대신 구리와 코발트를 수입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는 실패하였다. 그이유는 정부 돈 횡령, 사기, 예산부족의 문제로 중단 되었다. 기아문제[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6] 관련 항목[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 비밀정보국 각주[편집] ↑ 대략 2,307,155km² ↑ 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2001년 유엔 보고서 ↑ “풍부한 자원이 국민에겐 오히려 저주가 된 콩고”.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  ↑ “한국과의 관계”.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2009년 7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년 10월 13일).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2016 세계기아지수 보고서》.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콩고 민주 공화국 (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공식 사이트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콩고 민주 공화국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1] vdeh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현행 행정 구역 남우방기주 남키부주 동카사이주 로마미주 루알라바주 마니에마주 마이은돔베주 몽갈라주 바우엘레주 북우방기주 북키부주 상쿠루주 에카퇴르주 오트로마미주 오트우엘레주 오트카탕가주 이투리주 중앙카사이주 중앙콩고주 초포주 추아파주 카사이주 쾅고주 퀼루주 탕가니카주 킨샤사 이전의 행정 구역 반둔두 주 바콩고 주 에카퇴르 주 카사이옥시당탈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카탕가 주 마니에마 주 북키부 주 동부 주 남키부 주 킨샤사 vdeh아프리카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1]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속령 레위니옹 마데이라 제도[* 2] 마요트 멜리야[* 2] 세우타[* 2]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아소르스 제도[* 2] 카나리아 제도[* 2] 미승인 국가 소말릴란드 ↑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나라 목록 245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프랑코포니 회원국회원국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베냉 베트남^ 벨기에*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르메니아^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프랑스 참관국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 코소보^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vdeh아프리카 연합 알제리 앙골라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코모로 콩고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지부티 이집트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가봉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모로코 모잠비크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864542 LCCN: n80061022 ISNI: 0000 0001 2289 9107 GND: 4067357-1 SUDOC: 050165070 BNF: cb13339496v (데이터) HDS: 3474 NDL: 00574550 NKC: ge134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콩고_민주_공화국&oldid=24434478" 분류: 콩고 민주 공화국유엔 회원국프랑스어권스와힐리어권프랑코포니 회원국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반투어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Bamanankan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Thuɔŋjäŋ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ಕನ್ನಡRipoarisch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ugand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Эрзянь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Sesotho sa Leboa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ängö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sotho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Wolof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1: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콩고 민주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레퓌블리크 데모크라티크 뒤 콩고[*], 문화어: 민주 꽁고)은 아프리카 중부 콩고강 유역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킨샤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외 관계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독립 이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토의 크기, 풍부한 광물자원, 그리고 전략적 위치라는 이유로 이 나라는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냉전의 긴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인권 유린의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서방세계의 원조가 감소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이웃한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의 군대가 반란을 도와 이 나라의 동쪽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전에 휩싸여 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콜탄(coltan)과 같은 광물 자원을 점령군이 계속 절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은 국제적인 IT 기업들이 콩고 산 불법 콜탄을 구입할 수 없도록 제재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 국가 르완다로 밀반출된 뒤 팔리는 콩고 산 콜탄의 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르완다는 콜탄 광산이 전혀 없음에도, 르완다 군은 콜탄을 팔아서 18개월간 2억 5천만 미국 달러를 벌어들였다.[3] 반란군이 점령한 지역에 세금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DRC(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을 통해 어떠한 돈도 벌어들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가 반란 활동의 재정을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면 됐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4] 콩고 민주 공화국은 남북 모두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63년 4월 1일에 국교가 수립되었다. 주(駐)콩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9년 12월,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1998년 12월 공관이 철수하였다가, 2005년 9월 1인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2008년 7월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대사는 김성철(2008년 9월 30일 부임, 2008년 9월 11일 신임장 제정)이다.[5]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 유럽계 사모펀드 AR의 한국법인인 ARK는 2009년 3월 4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 광산재벌인 조지 포레스트 인터내셔널(GFI)과 수자원·광물 동반 진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국 측은 국내 민간업체 협력을 받아 댐, 상하수도시설 관련 노하우를 제공하는 대신 구리와 코발트를 수입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는 실패하였다. 그이유는 정부 돈 횡령, 사기, 예산부족의 문제로 중단 되었다.
Human: 아래 리그_오브_레전드_챔피언십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2019 서머 종목 리그 오브 레전드 나라 북아메리카 주관 라이엇 게임즈 설립연도 2013년 참가팀 10팀 최근우승팀 팀 리퀴드 (2019 스프링) 최다우승팀 팀 솔로미드 (6회) 홈페이지 na.lolesports.com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영어: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LCS)는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북아메리카 지역 e스포츠 대회이다. 10개의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각 팀마다 18경기를 치르고, 플레이오프 방식을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1년에 스프링 시즌과 서머 시즌으로 나누어지며 각 시즌 1~6위팀은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서머 시즌 우승팀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직행하게 된다. 목차 1 대회 시스템 2 역대 대회 3 각주 4 외부 링크 대회 시스템[편집] 대회 시스템은 2019년 기준 정규 리그 10개 팀이 참가한다. 각 상대팀을 두번씩 만나는 더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뤄 순위를 결정한다. 1위와 2위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진출하며 3위부터 6위까지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하며, 1라운드 - 2라운드 - 결승전 순으로 진행한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는 3위 vs 6위 / 4위 vs 5위간의 경기가 치러진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는 정규리그 1위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올라온 두 팀 중 한 팀을 선택할 수 있는 우선권이 주어진다. 국제 대회 관련 스프링 시즌 우승팀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 참가하게 되고 1~3위는 리프트 라이벌즈에 참가하게 된다. 서머 시즌 우승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게 된다. 스프링/서머 시즌 1~6위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기 위한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진다.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스프링 시즌 서머 시즌 1 90 WC 직행 2 70 90 3 50 70 4 30 40 5-6 10 20 역대 대회[편집] 시즌 스프링 시즌 서머 시즌 우승팀 MVP 포지션 우승팀 MVP 포지션 2013 팀 솔로미드 (없음) 클라우드 9 (없음) 2014 클라우드 9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팀 솔로미드 유 시안 (LMQ XiaoWeiXiao) Mid 2015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카운터 로직 게이밍 이윤재 (TiP Rush) Jungle 2016 카운터 로직 게이밍 김의진 (IMT Reignover) Jungle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7 팀 솔로미드 노동현 (P1 Arrow) AD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8 팀 리퀴드 재커리 블랙 (100 aphromoo) Support 팀 리퀴드 피터 펭 (TL Doublelift) AD 2019 팀 리퀴드 조용인 (TL CoreJJ) Support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홈페이지 vdehe스포츠 대회대회 월드 사이버 게임즈 드림핵 E스포츠 월드컵 IEM 카트라이더 리그 챔피언십 게이밍 시리즈 프로 게이밍 리그 메이저 리그 게이밍 사이버애슬릿 프로페셔널 리그 XLEAGUE.TV 월드 이스포츠 게임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월드 시리즈 오브 비디오 게임즈 월드 리그 e스포츠 분데스리가 프로리그 에볼루션 챔피언십 시리즈 IEF 트윈 갤럭시즈 사이버애슬릿 아마추어 리그 웨스트 텍사스 게이머즈 팀워페어 리그 맨 오브 게이밍 마이너 리그 게이머즈 LCS GPL LPL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디 인터네이셔널 ESL 단체 IeSF KeSPA ESBD UKeSA vdeh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LCS) Cloud9 카운터 로직 게이밍 에코 폭스 이모탈즈 LA 레네가데스 NRG e스포츠 팀 디그니타스 팀 임펄스 팀 리퀴드 팀 솔로미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그_오브_레전드_챔피언십_시리즈&oldid=24140527" 분류: 2013년 설립미국의 e스포츠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03: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영어: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LCS)는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북아메리카 지역 e스포츠 대회이다. 10개의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각 팀마다 18경기를 치르고, 플레이오프 방식을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1년에 스프링 시즌과 서머 시즌으로 나누어지며 스프링 시즌 1위팀은 MSI 진출권이 주어지며 서머 시즌 상위 3팀이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스프링 시즌과 서머시즌의 대회 연도별 우승팀의 MVP선수 목록은 어떠한가요? Assistant: 시즌 스프링 시즌 서머 시즌 우승팀 MVP 포지션 우승팀 MVP 포지션 2013 팀 솔로미드 (없음) 클라우드 9 (없음) 2014 클라우드 9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팀 솔로미드 유 시안 (LMQ XiaoWeiXiao) Mid 2015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카운터 로직 게이밍 이윤재 (TiP Rush) Jungle 2016 카운터 로직 게이밍 김의진 (IMT Reignover) Jungle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7 팀 솔로미드 노동현 (P1 Arrow) AD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8 팀 리퀴드 재커리 블랙 (100 aphromoo) Support 팀 리퀴드 피터 펭 (TL Doublelift) AD 2019 팀 리퀴드 조용인 (TL CoreJJ) Support Human: 아래 쿠바_독립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쿠바 독립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바 독립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쿠바 독립 전쟁미국-스페인 전쟁의 일부혁명군 장군, 갈락스토 가르시아(우)과 미국 여단장 윌리엄 루들로우, 1898년[1]날짜1895년 2월 24일- 1898년 2월 15일장소쿠바결과 쿠바-미국의 승리쿠바의 독립교전국 스페인 필리핀 도독령 쿠바 미국지휘관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테오 사가스타 파트리시오 몬토조 파스쿠알 세르베라 멕시모 고메츠 호세 마르티 † 칼릭스토 가르시아 안토니오 마체오 그로버 클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윌리엄 셰프터 조지 듀이 윌리엄 T. 샘슨 넬슨 A. 마일즈 병력 24만의 정규군 6만의 자원군(1897년 기준)피해 규모 4,032 ~ 9,413명 전사4만명 이상 질병사[2][3][4] 5,180명 전사3,437명 질병사e[2]385명 미군 전사2,061명 미군 질병사[5] 전체 30만명 이상의 쿠바인 사망[6][7](대부분 질병과 기근) 쿠바의 역사Historia de Cuba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쿠바 총독부 쿠바 독립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미국의 쿠바 보호령 쿠바 공화국 쿠바 혁명 쿠바 미사일 위기 오늘날의 쿠바 v • d • e • h 쿠바 독립 전쟁(영어: Cuban War of Independence, 스페인어 : Guerra de Independencia cubana)은 1895년부터 1898년에 걸쳐 쿠바에서 발발한 독립 전쟁이다.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 제국에서 독립을 위한 마지막 싸움은 시작되었다. 1898년 4월 25일에 미국이 개입하여, 결국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발전한다. 같은 해 8월 12일에 스페인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교전 상태가 종결되었다. 12월 10일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쿠바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목차 1 배경 2 과정 3 미국-스페인 전쟁 4 각주 5 외부 링크 배경[편집] 10년 전쟁(1868년 ~ 1878년)이 끝난 뒤 17년 동안 쿠바의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해 갔다. 1886년 10월에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 원래의 노예는 농민이나 도시 노동자 계급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많은 부유한 쿠바 인이 재산을 잃고 도시의 중산층 대열에 합류했다. 설탕 농장을 주로 미국의 금융 자본이 대량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1895년에는 그 투자액은 5,000만 달러에 달했다. 쿠바는 정치적으로는 스페인의 식민지로 남아 있었지만, 경제적으로 미국에 종속되어 있었다. 1892년 4월 10일에 호세 마르티는 쿠바 혁명당을 설립하고 독립을 향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과정[편집]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의 지배에 반발하는 봉기가 각지에서 발발하면서,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마르티는 3월 25일에 같은 혁명군 지도자이자, 경쟁자인 막시모 고메즈의 동참도 얻어냈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몬테크리스티 선언〉을 발표하고, 평등한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역사적 임무로 전투에 임할 것을 표명했다. 4월 1일 쿠바로 출발한 마르티와 고메즈 등 6명은 11일 쿠바 동부 해안에 상륙하여 진군을 시작했다. 마르티는 5월 19일에 스페인군의 매복에 당하여, 낙마해 죽는다. 그 후에 고메즈와 안토니오 마세오는 양측으로 갈라져 작전을 전개했다. 마세오는 1895년 12월 7일에 전사하였고, 서부 전선이 붕괴해 나가는 가운데 고메즈가 이끄는 부대는 스페인 군에 대한 공격을 계속한다. 이후 교착 상태에 돌입한다. 2년 이상이 경과하면서,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더 이상 전쟁을 꾸려갈 전쟁 자금이 남아 있지 않았다. 1898년 2월 15일에 미국 해군의 군함, ‘메인 호’ 폭발 사건이 발생해 스페인 해군에 의한 소행이라고 보도되었다. 식민지 정부는 자치권을 부여하고 반란군에 양보의 자세를 보였다. 스페인 군 사령관 라몬 블랑코는 반란군의 리더인 고메즈에 미국에 대한 공동 투쟁을 제안했지만 고메즈는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미국-스페인 전쟁[편집] 1898년 4월 11일, 미국의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은 의회에 대해 쿠바에 미군 파견 여부를 교서를 제출한다. 19일 국회 쿠바의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는 공동결의안을 압도적 다수로 채택하여,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승인했다. 4월 25일에 연방 의회는 정식으로 선전 포고를 발령했다. 7월 3일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의 패전과 같은 달, 7월 25일 푸에르토리코에 미군의 상륙에 의해 전쟁을 계속할 힘을 상실한 스페인은 12월 10일에 미국과 〈파리 조약〉을 체결하고 쿠바의 주권을 포기했다. 쿠바는 400년 가까이 이르렀던 스페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되어 1902년 5월 20일에 독립을 달성했다. 그러나 독립은 형식적인 일뿐 이후 미국의 보호국화가 진행하게 된다. 각주[편집] ↑ [ Harper's Pictorial History of the War with Spain (1899), New York: Harper & Bros. ↑ 가 나 Clodfelter, Michael, Warfare and Armed Conflict: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618-1991 ↑ John Lawrence Tone, War and Genocide in Cuba, 1895-1898, Chapel Hill: Univ of NC Press, 2006. p.9 ↑ Hugh Thomas, Cuba, or, The Pursuit of Freedom (1971, 1988) ↑ Dept. of Defense, 1991 Information Please, World Almanac 1984 ↑ Sheina, Robert L., Latin America's Wars: The Age of the Caudillo, 1791-1899 (2003) ↑ COWP: Correlates of War Project, University of Michigan 외부 링크[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바_독립_전쟁&oldid=20917063" 분류: 독립 전쟁스페인 제국1895년 분쟁1896년 분쟁1897년 분쟁1898년 분쟁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Brezhoneg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13일 (화)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쿠바 독립 전쟁(영어: Cuban War of Independence, 스페인어 : Guerra de Independencia cubana)은 1895년부터 1898년에 걸쳐 쿠바에서 발발한 독립 전쟁이다.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 제국에서 독립을 위한 마지막 싸움은 시작되었다. 1898년 4월 25일에 미국이 개입하여, 결국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발전한다. 같은 해 8월 12일에 스페인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교전 상태가 종결되었다. 12월 10일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쿠바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쿠바 독립 전쟁이 시작된 날짜는 언제야? Assistant: 1895년 2월 24일
Human: 아래 치과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치과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치과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요한 리스의 그림 치의학의 역사는 인류 발생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치의학은 일반 의학과는 다른 역사적 배경이 있다. 목차 1 고대 2 중세 3 근대 3.1 한국 4 각주 5 외부 링크 고대[편집] 고대 사회에서는 질병을 초자연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함무라비 법전 및 에벨의 파피루스에 치아에 관한 내용이 있다.[1] 기원전 280년 경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가 치과 의술을 포함한 의술을 합리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중세[편집]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외과와 의학(내과)은 밀접한 관계였다. 하지만 르네상스를 지나 18세기까지 서유럽에서 의학(내과)은 교회의 사제가 맡는 전문직업(profession)이었고, 외과는 이발사 또는 이발외과의의 장사(trade)였다. 요로결석을 절제하며, 농양에 대한 배농, 사혈, 발치 등의 시술을 했다. 독일에서는 이발외과의들이 목욕탕을 운영하기도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관장을 해 주거나 치아를 뽑아주기도 했다. 다만,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한 해부학과 생리학 등에 힘입어 그동안 교회로부터 천시받던 외과가 점차 내과적 질병을 설명할 수 있게 되자, 본래 뿌리가 다르던 외과와 내과가 점차 통합의 방향으로 발전해 간 반면, 치과는 그대로 남아 독립의 길을 가게 된다. 그러니까 중세까지는 의과와 치과가 구분돼 있었던 것이 아니라, 내과와 외과가 구분되고 외과에서 다시 치과가 구분되는 과정에 있었던 것이다.[2] 근대[편집] 피에르 포샤르 프랑스의 피에르 포샤르가 '근대 치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한국[편집] 한의학과 민간요법을 이용해 구강병을 치료해오던 한국에 1876년 개항 이후 미국과 일본을 통해 근대 치과가 도입되었다.[3] 1885년 미국인 선교사 알렌(Allen)이 제중원에서 발치를 시술한 것을 한국 근대치의학의 시초로 볼 수 있다.[4]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의 전신인 경성치과의학교[5]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의 전신인 쉐프리 (W.J.Sheifley)의 세브란스연합의학교 치과학 교실 중 어느 것이 한국 최초의 치과 교육기관인지는 논란의 대상이다.[6] 1893년 일본인 노다 오지(野田應治)가 인천에 개업을 하고, 1907년부터 한국인 입치사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구강병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치과 진료가 시작되었다.[7] 각주[편집]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gunchi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68[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gunchi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68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67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대한치과의사학회 연세치의학박물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박물관 일본 치과의사학회 미국 치과의사학회 이탈리아 치과의사학회 프랑스 치과의사학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치과의_역사&oldid=23850943" 분류: 치의학의학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spañolFrançaisNederlandsPortuguês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치의학의 역사는 인류 발생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치의학은 일반 의학과는 다른 역사적 배경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르네상스 시대를 지나 18세기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는 이발외과 의사들은 무엇을 운영하는 일도 있었을까? Assistant: 목욕탕 Human: 아래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점국립대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據點 國立大學校 總長協議會)는 대한민국 고등교육법 제10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협의체이다.[1][2] 1996년 출범한 '5개국립대협의회'가 전신이며 현재는 10개 거점국립대학교가 회원교로 참여 중이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3][4][5] 목차 1 설립 근거 2 소속대학 목록 2.1 특징 3 같이 보기 4 각주 설립 근거[편집] 고등교육법 제10조[6]에 근거한 대학 협의체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처럼 조직과 운영에 관한 별도의 법률을 두고 설립된 것은 아니다. 소속대학 목록[편집] 전국 10개의 거점국립대학교는 다음과 같다.[7]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권(강원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강원대학교[8] 충북권(충청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권(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북권(전라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북대학교[9] 전남권(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남대학교[10] 경북권(대구광역시, 경상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북대학교[11] 경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상대학교[12] 및 부산대학교[13] 제주권(제주특별자치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특징[편집] 거점국립대학교의 총장들은 대부분 장관급의 예우를 받는다.[14][15]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학인 경상대학교를 제외한 거점국립대학들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행정구역명칭을 사용한다. 경상남도의 경우 경상대학교는 사립 경남대학교의 명칭 선점으로 인해 도 명칭을 쓰지 못하고 있다. 부산대학교는 경남권의 거점대학으로 출발하여 1963년 경상남도 부산시가 정부 직할로 개편되자 경상남도민들의 염원에 따라 도립인 경상대학교를 국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경남권의 새로운 거점대학이 되었다. 부산대학교는 개교 당시 경상남도 부산시 소재라는 이유로 가칭 경남대학교로 설립하려 했으나, 직할시 승격을 염두에 두고 서울대학교처럼 대표 지역의 명칭을 사용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의학 교육 과정과 대학 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약학대학은 전북대학교와 제주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두 대학 역시 2020년도에 약학대학이 신설될 예정이다.[16]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부산대학교를 제외하고 수의과대학과 부속동물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경남권에는 경상대학교가 수의과대학을 선점 보유하여 부산대학교는 제외되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 중 오직 부산대학교만이 한의학 교육기관을 가지고 있다. 부산대학교는 2008년부터 한의학전문대학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입학 정원은 50 명이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각 지역의 중등교육 교원을 배출하는 사범대학을 가지고 있으며,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는 충남대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두 보유하고 있다. 단, 충남권에는 거점국립대학교인 충남대학교가 아닌 공주대학교가 국립 사대부고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예술 교육 과정이 있으며,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에는 한국 음악 교육 과정이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의 모집 정원은 서울대학교 (150명), 전남대학교 (120명), 경북대학교 (120명), 부산대학교 (120명), 충남대학교 (100명), 전북대학교 (80명), 충북대학교 (70명), 강원대학교 (40명), 제주대학교 (40명)이다. 정부의 국립대학 통합 방침에 따라 거점 국립대학교와 교육대학교의 통합설이 돌고 있으며, 실제로 2008년 제주대학교가 제주교육대학교와 통합한 상태이다. 거점국립대학교들은 권역 내 국립대학교들과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삼척대학교는 강원대학교, 상주대학교는 경북대학교, 밀양대학교는 부산대학교, 여수대학교는 전남대학교, 익산대학은 전북대학교에 통합된 상태이다. 교육당국의 법인화 전환 정책에 따라 대부분의 거점 국립대학교들은 학내 분쟁이 고조되었으며 2011년 거점국립대학교 중 유일하게 서울대학교가 법인화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목록 대학발전기금협의회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대학원장협의회 전국대학평가협의회 지역중심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한국신학대학교총장협의회 한국대학홍보협의회(KUPA) 한국지역대학연합 각주[편집] ↑ 9개 국립대 총장 “등급제 반대”《한겨레》2004년 10월 13일 박임근, 이승경, 김남일 기자 ↑ 지방국립대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MBN》2005년 3월 16일 ↑ 지방 국립대 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SBS》2005년 3월 16일 손석민 기자 ↑ “1道 1로스쿨 설치돼야”《강원일보》2005년 3월 17일 최수영 기자 ↑ 지방국립대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연합뉴스》2005년 3월 16일 박상돈 기자 ↑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제주에서 대학 발전 논의”. 《U's Line》. 2016년 2월 21일.  ↑ 춘천 외에 삼척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전주 외에 전북 익산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광주 외에 전남 여수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대구 외에 경북 상주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진주 외에 경남 창원, 통영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부산 외에 경남 밀양, 양산 등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2010 교육과학기술부공용차량 운영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서울대학교 법인화 이후 서울대학교 총장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다. ↑ [1] vdeh 대한민국의 국·공립 대학 총장 협의회거점국립대학수도권 서울대학교1 2 3 4 강원권 강원대학교1 2 3 4 충북권 충북대학교1 2 3 4 충남권 충남대학교1 2 3 4 전북권 전북대학교1 2 3 4 전남권 전남대학교1 2 3 4 경북권 경북대학교1 2 3 4 경남권 경상대학교1 2 3 부산대학교1 2 3 4 제주권 제주대학교1 2 3 4 지역중심국·공립대학수도권 서울시립대학교3 4 한경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강원권 강릉원주대학교1 2 3 충북권 한국교원대학교2 3 한국교통대학교3 충남권 공주대학교2 3 한밭대학교 전북권 군산대학교3 전남권 목포대학교1 2 3 목포해양대학교3 순천대학교1 2 3 경북권 금오공과대학교 안동대학교2 3 경남권 경남과학기술대학교3 부경대학교3 창원대학교3 한국해양대학교 1각종 의학 교육 기관 2사범대학·부속교육기관 3예술 교육 과정 4법학전문대학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oldid=24215816" 분류: 대한민국의 단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國家據點國立大學校總長協議會) 혹은 국가거점국립대학교(國家據點國立大學校)는 대한민국의 10개 국립 대학이 가입한 협의체이다. 1990년 이전에 종합대학으로 설립·승격된 국립 대학의 협력과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 1996년 출범한 '5개국립대협의회'가 전신이며 현재는 10개 국가거점국립대학교가 존재한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거점국립대학의 리스트는? Assistant: 전국 10개의 거점국립대학교는 다음과 같다.[7]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권(강원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강원대학교[8] 충북권(충청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권(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북권(전라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북대학교[9] 전남권(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남대학교[10] 경북권(대구광역시, 경상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북대학교[11] 경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상대학교[12] 및 부산대학교[13] 제주권(제주특별자치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Human: 아래 유동훈_(야구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동훈 (야구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동훈 (야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동훈 Yoo Dong-Hun LG 트윈스 No.69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7년 2월 12일(1977-02-12) (42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3 cm 체중 87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언더)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99년 드래프트 순위 1999년 2차 1라운드(해태 타이거즈) 첫 출장 KBO / 1999년 마지막 경기 KBO / 2013년 9월 26일 광주 대 롯데전 구원 경력 선수 경력 해태 타이거즈 (1999년 ~ 2000년) KIA 타이거즈 (2001년 ~ 2014년) 코치 경력 KIA 타이거즈 체력코치 (2015년 ~ 2016년) KIA 타이거즈 2군 불펜코치 (2016년 ~ 2018년) LG 트윈스 육성군 재활 코치 (2019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아선수권 1997년 타이베이 유동훈(劉東勳, 1977년 2월 12일 ~ )는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우완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재 KBO 리그 LG 트윈스의 육성군 재활 코치이다. 주로 중간 계투 혹은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투구폼이 특이하며 싱커볼을 잘 다루는 투수이다. 목차 1 선수 시절 1.1 아마추어 시절 1.2 해태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시절 2 야구선수 은퇴 후 3 에피소드 4 별명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7 각주 8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장충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94년 8월에 김건덕, 손지환 등과 함께 청소년 국가대표에 선발되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열린 한·미·일 국제 고교야구 대회에 출전, 일본과 공동 우승을 하는 데 기여를 했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 체육학과에 입학하였고, 1997년 5월에는 생애 첫 국가대표팀[1]에 선발되어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제 1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대한민국의 우승에 공헌했다. 그 후 팀 후배 김병현과 함께 졸업 시즌인 1998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야구 팀의 막강 투수진을 형성했다. 해태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1999년에 입단한 그는 데뷔 초반에는 선발 투수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지만, 미들맨으로 보직 변경을 한 뒤부터 가운데로 몰리는 제구력과 느린 직구로 그다지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2004년에는 68경기에 구원 투수로 출장하여 2점대 평균자책점, 7승 2패, 5세이브, 7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에 1등 공신이 됐다. 특히 중간 계투로는 드물게 120.2이닝을 던져 주목받았다. 그러나 2004년 9월 9일 병역 비리로 경찰에 소환되어 혐의가 인정됐고 구속되며 서울구치소에 수감됐다. 8개월의 실형을 받고 복역 후, 병무청에서 재검을 받고 광주의 사회복지시설에서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다. 2008년 소집 해제 후 4년 간의 공백 뒤 그라운드로 복귀한 그는 자신의 직구 구속과 맞먹는 130km 초반대의 싱커를 주무기로 리그 최고의 셋업맨 중 1명으로 부활했고, 2008년 5월 26일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 44명 예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2009년에는 한기주가 난조를 보이자 그를 대신해 마무리로 등판했으며, 모두 세이브를 기했다. 특히 후반기에는 평균 자책점 0으로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였다. 2009년 7월 30일 부터 2009년 9월 19일까지 14경기 연속 세이브 포인트를 올렸다. 이는 KBO 리그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또한 통산 4번째 0점대 평균 자책점, 20세이브 이상의 진기록을 올렸다. 통산 0점대 평균 자책점, 20세이브 이상 기록은 선동열, 정대현 이후 3번째였다. 2009년 10월 24일 한국시리즈 1~7차전 등판 상황에 완벽투를 보여주며 입단 이후 처음으로 우승했고, 7차전에서는 나지완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의 한국시리즈 성적은 3.2이닝동안 1피안타, 1피홈런, 1실점, 1자책, 1사사구, 2K,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2.45이다. 2010년에는 블론 세이브가 많아져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지만 높은 피안타율(.283)과 승계주자 실점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심동섭, 손영민과 함께 팀의 계투를 책임졌다. 2014년 시즌 전 스프링 캠프 때 무릎 부상을 당해 시즌 초부터 재활을 매진해 당시 감독이었던 선동열이 그나마 믿을 만한 투수라고 기대를 많이 받았으나 7월 11일 수술이 불가피해졌고, 결국 수술을 포기하며 은퇴를 선언한다.[2] 2015년 시즌 중 김상훈과 같이 은퇴식을 치뤘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4년 김상훈과 함께 은퇴를 선언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고 돌아와 2015년 부터 KIA 타이거즈에서 3군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2016년 1군 트레이닝 코치 겸 불펜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가 2017년부터는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 에피소드[편집]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구치소에 구속 수감되었을 때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항상 사과를 손에 쥐고 있었다고 한다. 비슷한 경우로는 정현욱이 있으며, 구치소에서 하루에 팔굽혀펴기만 1,000개씩 했다고 한다. 별명[편집]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일 땐 '세일러 유(싱커의 힘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그렇지 않을 땐 '분식회계의 달인', '휘발유동훈', '유동골뱅이'라고 불린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청구초등학교 홍은중학교 장충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1999 해태 4.75 40 1 0 7 9 2 0 0.438 682 155 1/3 155 26 59 19 87 87 82 2000 6.71 29 0 0 0 3 0 1 0.000 281 56 1/3 82 9 28 12 21 50 42 2001 KIA 7.38 17 0 0 2 2 0 0 0.500 210 42 2/3 59 4 16 7 24 43 35 2003 3.80 12 0 0 0 0 1 0 0.000 92 21 1/3 21 2 7 2 11 9 9 2004 2.98 68 0 0 7 2 5 7 0.778 487 120 2/3 105 10 22 19 65 42 40 2008 3.43 55 0 0 6 3 2 8 0.667 316 78 2/3 65 2 18 9 39 32 30 2009 0.52 57 0 0 6 2 22 10 0.750 256 67 1/3 37 2 13 7 38 6 4 2010 2.85 48 0 0 3 2 14 1 0.600 196 47 1/3 46 1 10 7 32 20 15 2011 3.94 47 0 0 3 3 7 2 0.500 201 48 51 4 12 4 21 23 21 2012 5.29 43 0 0 1 0 6 5 1.000 141 34 33 0 10 2 29 20 20 2013 2.92 49 0 0 1 3 0 5 0.250 226 52 1/3 56 3 11 8 38 22 17 통산 11시즌 3.92 465 1 0 36 29 59 39 0.554 3088 724 710 63 206 96 405 354 315 각주[편집] ↑ <체육단신> 野協,국가대표 선발 - 연합뉴스 ↑ KIA 유동훈, 재활 포기하고 그라운드 떠난다 - 한국스포츠 외부 링크[편집] 유동훈 - KBO 투수별 기록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KIA 타이거즈 -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70 조범현코치 71 김종모 | 72 장재중 | 81 간베 | 85 최태원 | 87 김동재 | 88 황병일투수 10 한기주 | 17 정용운 | 19 손영민 | 20 윤석민 | 39 유동훈 | 40 서재응 | 44 로페즈 | 45 이대진 | 54 양현종 | 50 구톰슨 | 68 곽정철포수 12 차일목 | 22 김상훈 (주장)내야수 8 안치홍 | 16 김종국 | 23 최희섭 | 25 이재주 | 27 김상현 | 31 이현곤 | 48 박기남외야수 1 장성호 | 7 이종범 | 15 이용규 | 29 나지완 | 51 김원섭 | 52 최경환다승왕, 최다 이닝 로페즈 | 득점왕 최희섭 | 홈런왕, 타점왕, 최고 장타율, 정규리그 MVP 김상현 | 한국시리즈 MVP 나지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동훈_(야구인)&oldid=24234064" 분류: 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해태 타이거즈 선수KIA 타이거즈 선수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홍은중학교 동문장충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강릉 유씨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동훈(劉東勳, 1977년 2월 12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우완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 용인예술과학대학교의 야구부 코치다. 주로 중간 계투 혹은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투구폼이 특이하며 싱커볼을 잘 다루는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구선수 유동훈이 처음 입단한 년도는 언제야? Assistant: 1999 Human: 아래 제59회_NHK_홍백가합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第59回NHK紅白歌合戦 장르 대형 음악 프로그램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라디오 제1 방송 기간 2008년 12월 31일 방송 시간 19:20 ~ 21:25, 21:30 ~ 23:45 방송 분량 260분 제작자 NHK 출연자 #사회자・#출연 가수를 참조 닫는 곡 〈반딧불의 빛〉 음성 음성 다중 방송 자막 문자 방송 전편 제58회 NHK 홍백가합전 후편 제60회 NHK 홍백가합전 외부 링크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공식 사이트 《제59회 NHK 홍백가합전》(일본어: 第59回NHK紅白歌合戦 다이고쥬큐카이에누에이치케이코하쿠우타갓센[*])는 2008년 12월 31일에 방송된 통산 59회째인 NHK 홍백가합전이다. 목차 1 소개 2 사회자 3 게스트 심사원 4 출장가수 4.1 1부 4.2 2부 5 외부 링크 소개[편집] 2008년 인기 애니메이션영화 벼랑 위의 포뇨의 주제가를 불렀던 오하시 노조미가 출장하였다. 사회자[편집] 종합사회 - 마츠모토 카즈야, 오노 후미에 아나운서 홍조(紅組)사회 - 나카마 유키에 백조(白組)사회 - 나카이 마사히로 라디오 중계 - 야마다 야스히로, 칸다 아이카 아나운서 게스트 심사원[편집] 모토키 마사히로 : 2009년에 방영할 스페셜 드라마 『언덕 위의 구름』의 주인공 아키야마 사네유키 역. 요시다 사오리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55kg급 금메달리스트. 오타 유키 : 2008년 하계 올림픽 펜싱 남자 개인 플뢰레 은메달리스트. 다카하시 나오코 : 20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여자 마라톤 금메달리스트로, 2008년 은퇴. 마츠모토 코시로 (9대) : 가부키 『勧進帳』의 무사시보 벤케이 역 및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의 돈 키호테 역 등 일본최다상연기록 갱신. 마츠자카 케이코 : 2008년 NHK 대하드라마 『아쓰히메』에서 이쿠시마 역. 강상중 : 베스트셀러 『고민하는 힘』의 저자이자 정치학자. 호리키타 마키 : 『아쓰히메』에서 가즈노미야 역. 츠마부키 사토시 : 2009년 NHK 대하드라마 『천지인』의 주인공 나오에 가네쓰구 역. 우에노 유키코 : 2008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금메달리스트. 출장가수[편집] 진한 글씨는 첫 출장을 나타냄. 괄호 안의 숫자는 출장횟수를 나타냄. 1부[편집] 아카구미(紅組) : 하마사키 아유미 (10) 〈Mirrorcle World〉 Girl next door (1) 〈偶然の確率〉 고다이 나츠코 (15) 〈京都二年坂〉 후지오카 후지마키 & 오하시 노조미 (1) 〈崖の上のポニョ〉 미즈모리 카오리 (6) 〈輪島朝市〉 아키모토 준코 (1) 〈愛のままで…〉 이키모노가카리 (1) 〈SAKURA〉 가와나카 미유키 (21) 〈二輪草〉 후지 아야코 (16) 〈紅い糸〉 나카무라 미츠코 (13) 〈河内おとこ節〉 오오츠카 아이 (5) 〈愛〉 사카모토 후유미 (20) 〈風に立つ〉 시로구미(白組) : 후세 아키라 (24) 〈君は薔薇より美しい〉 미카와 켄이치 (25) 〈さそり座の女 2008〉 키타야마 타케시 (4) 〈希望の詩〉 동방신기 (1) 〈Purple Line~どうして君を好きになってしまったんだろう?〉 Aqua Timez (2) 〈虹〉 기야마 유사쿠 (1) 〈home〉 키마구렌 (1) 〈LIFE〉 마에카와 키요시 (&쿨파이브) (18) 〈東京砂漠〉 WaT (4) 〈36℃〉 포르노그라피티 (7) 〈ギフト〉 히라이 켄 (6) 〈いつか離れる日が来ても〉 아키카와 마사후미 (3) 〈千の風になって〉 2부[편집] 아카구미(紅組) : Perfume (1) 〈ポリリズム〉 SPEED (4) 〈White Love (ReTrack)〉 아오야마 텔마 feat.SoulJa (1) 〈そばにいるね〉 아야카 (3) 〈おかえり〉 코다 쿠미 (4) 〈TABOO〉 안젤라 아키 (3) 〈手紙 〜拝啓 十五の君へ〜〉 aiko (7) 〈KissHug〉 히라하라 아야카 (5) 〈ノクターン〉 고바야시 사치코 (30) 〈楼蘭〉 히토토 요 (5) 〈はじめて〉 나카시마 미카 (7) 〈ORION〉 이시카와 사유리 (31) 〈天城越え〉 덴도 요시미 (13) 〈道頓堀人情〉 와다 아키코 (32) 〈夢〉 시로구미(白組) : 제로 (1) 〈海雪〉 TOKIO (15) 〈雨傘〉 미즈타니 유타카 (1) 〈カリフォルニア・コネクション〉 토쿠나가 히데아키 (3) 〈Rainy Blue〉 이츠키 히로시 (38) 〈凍て鶴〉 모리야마 나오타로 (3) 〈生きてることが辛いなら〉 슈치신 with Pabo (1) 〈羞恥心~陽は、また昇る 紅白スペシャル〉 코부쿠로 (4) 〈時の足音〉 EXILE (4) 〈Ti Amo〉 키타지마 사부로 (45) 〈北の漁場〉 Mr.Children (1) 〈GIFT〉 SMAP (16) 〈この瞬間、きっと夢じゃない 紅白SP〉 모리 신이치 (41) 〈おふくろさん〉 히카와 키요시 (9) 〈きよしのズンドコ節〉 외부 링크[편집] vdehNHK 홍백가합전1950년대 제1회 (1951) 제2회 (1952) 제3회 (1953 1월) 제4회 (1953 12월) 제5회 (1954) 제6회 (1955) 제7회 (1956) 제8회 (1957) 제9회 (1958) 제10회 (1959) 1960년대 제11회 (1960) 제12회 (1961) 제13회 (1962) 제14회 (1963) 제15회 (1964) 제16회 (1965) 제17회 (1966) 제18회 (1967) 제19회 (1968) 제20회 (1969) 1970년대 제21회 (1970) 제22회 (1971) 제23회 (1972) 제24회 (1973) 제25회 (1974) 제26회 (1975) 제27회 (1976) 제28회 (1977) 제29회 (1978) 제30회 (1979) 1980년대 제31회 (1980) 제32회 (1981) 제33회 (1982) 제34회 (1983) 제35회 (1984) 제36회 (1985) 제37회 (1986) 제38회 (1987) 제39회 (1988) 제40회 (1989) 1990년대 제41회 (1990) 제42회 (1991) 제43회 (1992) 제44회 (1993) 제45회 (1994) 제46회 (1995) 제47회 (1996) 제48회 (1997) 제49회 (1998) 제50회 (1999) 2000년대 제51회 (2000) 제52회 (2001) 제53회 (2002) 제54회 (2003) 제55회 (2004) 제56회 (2005) 제57회 (2006) 제58회 (2007) 제59회 (2008) 제60회 (2009) 2010년대 제61회 (2010) 제62회 (2011) 제63회 (2012) 제64회 (2013) 제65회 (2014) 제66회 (2015) 제67회 (2016) 제68회 (2017) 제69회 (2018) 관련 프로그램 홍백음악시합 당신이 선택하는 추억의 홍백 감동의 홍백 퀴즈 홍백검정 망년! 꿈의 홍백가합전 홍백이 태어난 날 명석가홍백! 스튜디오 파크 오미소카 스페셜 관련 항목 출연자 목록 NHK홀 앙케이트 우타♪웃키 노래의 힘 21세기의 그대들에게 ~A song for children~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59회_NHK_홍백가합전&oldid=21323994" 분류: NHK 홍백가합전2008년 12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0일 (일) 13: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59회 NHK 홍백가합전》(일본어: 第59回NHK紅白歌合戦 다이고쥬큐카이에누에이치케이코하쿠우타갓센[*])는 2008년 12월 31일에 방송된 통산 59회째인 NHK 홍백가합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1부의 출장가수는 누가 있는가? Assistant: 아카구미(紅組) : 하마사키 아유미 (10) 〈Mirrorcle World〉 Girl next door (1) 〈偶然の確率〉 고다이 나츠코 (15) 〈京都二年坂〉 후지오카 후지마키 & 오하시 노조미 (1) 〈崖の上のポニョ〉 미즈모리 카오리 (6) 〈輪島朝市〉 아키모토 준코 (1) 〈愛のままで…〉 이키모노가카리 (1) 〈SAKURA〉 가와나카 미유키 (21) 〈二輪草〉 후지 아야코 (16) 〈紅い糸〉 나카무라 미츠코 (13) 〈河内おとこ節〉 오오츠카 아이 (5) 〈愛〉 사카모토 후유미 (20) 〈風に立つ〉 시로구미(白組) : 후세 아키라 (24) 〈君は薔薇より美しい〉 미카와 켄이치 (25) 〈さそり座の女 2008〉 키타야마 타케시 (4) 〈希望の詩〉 동방신기 (1) 〈Purple Line~どうして君を好きになってしまったんだろう?〉 Aqua Timez (2) 〈虹〉 기야마 유사쿠 (1) 〈home〉 키마구렌 (1) 〈LIFE〉 마에카와 키요시 (&쿨파이브) (18) 〈東京砂漠〉 WaT (4) 〈36℃〉 포르노그라피티 (7) 〈ギフト〉 히라이 켄 (6) 〈いつか離れる日が来ても〉 아키카와 마사후미 (3) 〈千の風になって〉
Human: 아래 취징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취징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징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曲靖市 Qǔjìng 약자: 云D 행정 단위 지급시 청사소재지 치린 구 면적 29,8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6,030,000 202/km² 지역전화 874 우편번호 655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qj.gov.cn 취징(곡정, 중국어: 曲靖, 병음: Qǔjìng)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의 지급시이다. 중요한 공업 도시로 쿤밍에 이어 윈난 성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목차 1 지리 1.1 기후 2 교통 3 행정 구역 4 경제 5 외부 링크 지리[편집] 쿤밍이 취징에서 서쪽으로 130km 떨어진 곳에 놓여있다. 기후[편집] Qujing (1981−201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24.1 (75.4) 26.1 (79) 29.3 (84.7) 31.1 (88) 33.0 (91.4) 31.9 (89.4) 30.9 (87.6) 30.2 (86.4) 30.9 (87.6) 27.3 (81.1) 25.4 (77.7) 24.4 (75.9) 33 (91.4) 평균최고기온 °C (°F) 14.8 (58.6) 17.1 (62.8) 21.0 (69.8) 23.9 (75) 24.8 (76.6) 24.8 (76.6) 24.9 (76.8) 24.9 (76.8) 23.0 (73.4) 20.2 (68.4) 17.5 (63.5) 14.7 (58.5) 21 (69.7) 일평균기온 °C (°F) 8.2 (46.8) 10.3 (50.5) 13.9 (57) 17.1 (62.8) 18.8 (65.8) 19.9 (67.8) 20.2 (68.4) 19.8 (67.6) 17.9 (64.2) 15.2 (59.4) 11.7 (53.1) 8.5 (47.3) 15.1 (59.2) 평균최저기온 °C (°F) 3.8 (38.8) 5.3 (41.5) 8.5 (47.3) 11.8 (53.2) 14.5 (58.1) 16.5 (61.7) 17.1 (62.8) 16.6 (61.9) 14.7 (58.5) 12.1 (53.8) 7.9 (46.2) 4.3 (39.7) 11.1 (52) 최저기온기록 °C (°F) −4.5 (23.9) −3.8 (25.2) −5.7 (21.7) 1.5 (34.7) 4.8 (40.6) 9.3 (48.7) 10.2 (50.4) 11.7 (53.1) 5.8 (42.4) 3.5 (38.3) −2.4 (27.7) −8.6 (16.5) −8.6 (16.5) 평균 강수량 mm (인치) 22.7 (0.89) 20.3 (0.8) 24.5 (0.96) 34.6 (1.36) 102. (4) 187.8 (7.39) 163.4 (6.43) 153.0 (6.02) 96.9 (3.81) 84.0 (3.31) 38.6 (1.52) 16.8 (0.66) 944.6 (37.15) 평균강수일수 6.7 6.7 6.4 8.3 14.2 18.0 17.8 17.7 14.3 13.5 8.8 5.5 137.9 평균 상대 습도 (%) 66 60 54 55 65 76 79 78 77 79 74 70 69 출처 #1: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출처 #2: Weather China (precipitation days 1971-2000) 교통[편집] 취징은 쿤밍과 320번 국도로 연결된다. 차로는 세 시간 정도 걸린다. 취징의 교통 체계는 잘 발달되어있다. 쿤취 고속도로를 거쳐 도시의 거의 모든 곳으로 접근할 수 있다. 취징에서 출발하여 쿤밍으로 가는 버스가 30분마다 있고 소요시간은 세 시간 정도이다. 버스 정류장에는 취징 주변의 다리, 훙허저우와 같은 다른 목적지로의 노선도 있다. 취징에서는 택시와 버스가 이용가능하다. 택시의 기본 요금은 처음 3km에 5위안 정도이다. 쿤밍과 구이저우와 난닝과 쿤밍을 연결하는 두 개의 철도가 있고 매일 취징의 8개 마을을 통과한다. 철도를 이용하면 취징에서 쿤밍까지 가는데 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취징시 현급 행정구역도 행정 구역[편집] 3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치린 구(麒麟区) 잔이 구(沾益区) 마룽 구(马龙区) 현급시 쉬안웨이 시(宣威市) 현 푸위안 현(富源县) 뤄핑 현(罗平县) 스쭝 현(师宗县) 루량 현(陆良县) 후이쩌 현(会泽县) 경제[편집] 2004년 총 GDP는 342억 위안이었고 1인당 GDP는 6025위안(882달러)였다. 담배, 자동차, 발전과 화학 공학은 취징의 주요 산업이다. 외부 링크[편집] 취징 시 정부 vdeh윈난성의 행정 구역 성도: 쿤밍시 쿤밍시 청궁구 판룽구 우화구 관두구 시산구 둥촨구 진닝구 안닝시 푸민현 이량현 쑹밍현 스린 이족 자치현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 취징시 치린구 잔이구 마룽구 쉬안웨이시 푸위안현 뤄핑현 스쭝현 루량현 후이쩌현 위시시 훙타구 장촨구 청장현 퉁하이현 화닝현 이먼현 어산 이족 자치현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바오산시 룽양구 텅충시 스뎬현 룽링현 창닝현 자오퉁시 자오양구 수이푸시 루뎬현 차오자현 옌진현 다관현 융산현 쑤이장현 전슝현 이량현 웨이신현 리장시 구청구 융성현 화핑현 위룽 나시족 자치현 닝랑 이족 자치현 푸얼시 쓰마오구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모장 하니족 자치현 징둥 이족 자치현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란창 라후족 자치현 시멍 와족 자치현 린창시 린샹구 펑칭현 윈현 융더현 전캉현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창위안 와족 자치현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망시 루이리시 량허현 잉장현 룽촨현 누장 리수족 자치주 루수이시 푸궁현 궁산 두룽족 누족 자치현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샹그릴라시 더친현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 다리 바이족 자치주 다리시 샹윈현 빈촨현 미두현 융핑현 윈룽현 얼위안현 젠촨현 허칭현 양비 이족 자치현 난젠 이족 자치현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 추슝 이족 자치주 추슝시 솽바이현 머우딩현 난화현 야오안현 다야오현 융런현 위안머우현 우딩현 루펑현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멍쯔시 거주시 카이위안시 미러시 뤼춘현 젠수이현 스핑현 루시현 위안양현 훙허현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 핑볜 먀오족 자치현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원산시 옌산현 시처우현 마리포현 마관현 추베이현 광난현 푸닝현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징훙시 멍하이현 멍라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취징시&oldid=23449691" 분류: 취징시윈난성의 지급시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Mìng-dĕ̤ng-ngṳ̄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Gĩkũyũ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1일 (금) 1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취징(곡정, 중국어: 曲靖, 병음: Qǔjìng)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의 지급시이다. 중요한 공업 도시로 쿤밍에 이어 윈난 성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취징시의 1월 최고기온기록은 몇도인가요? Assistant: 24.1 (75.4) Human: 아래 TEKKEN_CRASH_Season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EKKEN CRASH Season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Season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시즌2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EKKEN CRASH Season2는 대한민국의 이스포츠 대회 중 하나로 격투 게임인 철권이 주종목이다. 목차 1 리그기간 2 버전 3 특이사항 4 참가팀 5 내용 5.1 16강 5.2 ROYAL RUMBLE 1 5.3 8강 5.4 4강 토너먼트 5.5 ROYAL RUMBLE 2 5.6 개인전 6 대회 결과 리그기간[편집] 녹화 : 2009년 8월 9일 ~ 2009년 10월 11일 방송날자 : 2009년 8월 11일 ~ 2009년 10월 20일 버전[편집]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특이사항[편집] 이벤트전을 많이 준비함. 이벤트전 1 : 연승전 형식의 개인 대전 이벤트전 2 : 개인전 (현재 방식의 로얄럼블) - 미스티 우승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버전의 첫 대회 참가팀[편집] Triple.V(박우정/잭-6, 춘래/헤이하치, 뺑신영/밥) 무한 익스프레스(피리/에디, issac/로우, Ccer/알리샤) The Triumph(미스티/에디, 나락호프/머덕, 홀맨/카즈야) 썬더치킨 리턴즈(HAO/팽, 지삼문에이스/데빌진, Triple.H/킹) Judgment(히라노아야/알리샤, Envy/줄리아, 빈창/라스) 상구대장(Crazy 동팔/카즈야, RaN/크리스티, 통발러브/데빌진) 케케루야(K.K.R/간류, Hoobastank/왕, 디스/레이븐) 드화백(단풍란/화랑, 돌격환/백두산, 갱자/드라구노프) Specialist(레인/미구엘, 푸리주무/리리, 한쿠마1/쿠마) SUPERSTAR(헬프미/리, 소용돌이/데빌진, 말구/로우) 안녕 친구들(레드스타/라스, Moon Light/백두산, Kidjin/레이븐) 파죽지세(No Name/로우, 진샤오랑/샤오유, 오직 연습/니나) 악의 축(달러맨디/머덕, 꼬풀뇽/에디, 인형/쿠마) 하수클럽(소울헌터/로우, 커클/미구엘, 허미르/스티브) BOW(브라몬/레이, 불가리/로져, 설레이/카즈야) 좌파와 우파(G T R/에디, 모큐/밥, The Goonies/미구엘) 예선전에서는 '프린스'라는 아이디를 사용. 내용[편집] 16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Triple.V 2 무한 익스프레스 3 2경기 The Triumph 2 썬더치킨 리턴즈 3 승자전 무한 익스프레스 2 썬더치킨 리턴즈 3 패자전 Tripve.V 2 The Triumph 3 최종전 무한 익스프레스 0 The Triumph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Judgment 3 상구대장 0 2경기 케케루야 2 드화백 3 승자전 Judgment 3 드화백 0 패자전 상구대장 3 케케루야 2 최종전 드화백 0 상구대장 3 C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3 SUPERSTAR 2 2경기 안녕 친구들 3 파죽지세 2 승자전 Specialist 3 안녕 친구들 0 패자전 SUPERSTAR 3 파죽지세 0 최종전 안녕 친구들 3 SUPERSTAR 1 D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악의 축 3 하수클럽 2 2경기 BOW 2 좌파와 우파 3 승자전 악의 축 3 좌파와 우파 0 패자전 하수클럽 2 BOW 3 최종전 좌파와 우파 3 BOW 1 ROYAL RUMBLE 1[편집] 1경기 K.K.R 2 빈창 3 2경기 No Name 3 빈창 0 3경기 No Name 1 Isaac 3 4경기 통발러브 2 Isaac 3 5경기 kidjin 1 Isaac 3 6경기 모큐 1 Isaac 3 7경기 돌격환 3 Isaac 2 8경기 돌격환 3 홀맨 3 9경기 커클 0 홀맨 3 10경기 레인 3 홀맨 2 11경기 레인 3 뺑신영 1 12경기 레인 1 Triple H 3 13경기 인형 0 Triple H 3 14경기 K.K.R 0 Triple H 3 15경기 빈창 0 Triple H 3 16경기 No Name 3 Triple H 2 4승vs4승 타이경기 Triple H 3 Isaac 0 8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썬더치킨 리턴즈 1 안녕 친구들 3 2경기 Judgmant 3 좌파와 우파 2 승자전 안녕 친구들 2 Judgmant 3 패자전 썬더치킨 리턴즈 1 좌파와 우파 3 최종전 안녕 친구들 1 좌파와 우파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2 The Triumph 3 2경기 악의 축 1 상구대장 3 승자전 The Triumph 3 상구대장 2 패자전 Specialist 3 악의 축 2 최종전 상구대장 3 Specialist 2 4강 토너먼트[편집]   준결승전 결승전                 Judgment 4     상구대장 6           상구대장 3     The Triumph 6 3·4위전   좌파와 우파 2   Judgment   6   The Triumph 6     좌파와 우파   1 ROYAL RUMBLE 2[편집] 1경기 한쿠마 2 미스티 1 2경기 한쿠마 2 레드스타 0 3경기 한쿠마 2 광견진 0 4경기 한쿠마 2 홀맨 0 5경기 한쿠마 2 통발러브 0 6경기 한쿠마 2 레인 1 7경기 한쿠마 2 트리플 H 1 개인전[편집]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미스티   2   뺑신영   0     미스티   3     말구   2     말구   2   돌격환   0     미스티   3     모큐   2     Ccer   2   인형   1     Ccer   0     모큐   3     모큐   2   지삼문에이스   0     미스티   3     홀맨   1   레인   2   The Goonies   0     레인   3     Issac   0     Triple H   1   Issac   2     레인   2     홀맨   3   3·4위 결정전   달러맨디   2     춘래   0     달러맨디   1           홀맨   3           홀맨   2   소용돌이     대회 결과[편집] 우승 The Triumph, 준우승 상구대장, 3위 Judgment, 4위 좌파와 우파 MBC게임 TEKKEN CRASH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TEKKEN CRASH Season1(2009.2.4 ~ 2009.3.25) TEKKEN CRASH Season2(2009.8.11 ~ 2009.10.20)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2009.12.2 ~ 2010.1.20) vdehMBC 게임 TEKKEN CRASH(2009~2011)2009년 TEKKEN CRASH Season1 TEKKEN CRASH Season2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 2010년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2 Daum배 TEKKEN CRASH Season1 Daum배 TEKKEN CRASH Season2 2011년 Daum배 TEKKEN CRASH Season3 Daum배 TEKKEN CRASH Season4 vdehSPOTV GAMES TEKKEN CRASH(2015~)2015년 Twitch TEKKEN CRASH vdehSPOTV GAMES STREET FIGHTER CRASH(2016~)2016년 STREET FIGHTER 5 CRAS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EKKEN_CRASH_Season2&oldid=22652052" 분류: 철권리그2009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일 (화) 18: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EKKEN CRASH Season2는 대한민국의 이스포츠 대회 중 하나로 격투 게임인 철권이 주종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TEKKEN CRASH Season2의 참가팀은 누구야? Assistant: Triple.V(박우정/잭-6, 춘래/헤이하치, 뺑신영/밥) 무한 익스프레스(피리/에디, issac/로우, Ccer/알리샤) The Triumph(미스티/에디, 나락호프/머덕, 홀맨/카즈야) 썬더치킨 리턴즈(HAO/팽, 지삼문에이스/데빌진, Triple.H/킹) Judgment(히라노아야/알리샤, Envy/줄리아, 빈창/라스) 상구대장(Crazy 동팔/카즈야, RaN/크리스티, 통발러브/데빌진) 케케루야(K.K.R/간류, Hoobastank/왕, 디스/레이븐) 드화백(단풍란/화랑, 돌격환/백두산, 갱자/드라구노프) Specialist(레인/미구엘, 푸리주무/리리, 한쿠마1/쿠마) SUPERSTAR(헬프미/리, 소용돌이/데빌진, 말구/로우) 안녕 친구들(레드스타/라스, Moon Light/백두산, Kidjin/레이븐) 파죽지세(No Name/로우, 진샤오랑/샤오유, 오직 연습/니나) 악의 축(달러맨디/머덕, 꼬풀뇽/에디, 인형/쿠마) 하수클럽(소울헌터/로우, 커클/미구엘, 허미르/스티브) BOW(브라몬/레이, 불가리/로져, 설레이/카즈야) 좌파와 우파(G T R/에디, 모큐/밥, The Goonies/미구엘) 예선전에서는 '프린스'라는 아이디를 사용.
Human: 아래 12_몽키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2 몽키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 몽키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2 몽키즈Twelve Monkeys 감독 테리 길리엄 제작 찰스 로벤 음악 폴 버크마스터 배급사 유니버설 픽처스 개봉일 미국 1995년 12월 27일 대한민국 1996년 4월 5일 언어 영어 《12몽키즈》(Twelve Monkeys)는 1995년에 테리 길리엄이 감독한 스릴러·드라마영화이다. 시간 여행과 음모론을 모티브로 단편 영화 《라 주테》(La Jete)에 영감을 받아서 만들었으며, 시간과 기억을 테마로 하고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대한민국 방송 정보 2.1 한국어 더빙판 성우진 3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2035년 50억 명의 인류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바이러스 테러 이후 살아남은 인간들은 지하로 숨어들어간다. 제임스 콜은 이들로부터 파견된 자료수집가이다. 그의 임무는 과거로 가서 바이러스 테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아진 정보를 통해 과거의 테러를 막으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여행의 과정에서 콜은 몇 가지 문제를 겪는다. 1996년으로 보내져야 하는데 착오로 인해 1990년으로 보내져서 정신병원에 갇히기도 하고, 1910년대 프랑스 전쟁터에 보내기지도 한다. 정신병원에 갇힐 당시 그의 주치의였던 레일리 박사는 처음에는 그의 말을 믿지 않았으나, 6년 후 우연히 실제로 그가 시간여행을 한다는 증거들을 본 다음부터 그를 믿기 시작한다. 영화에서 제프리(브래드 피트)는 미래에서 온 자료 수집자 제임스 콜(브루스 윌리스) 로부터 바이러스 테러를 일으켜 인류를 멸망하게 한 12몽키즈라는 집단의 수장으로 의심받는다. 그러나 실제 12몽키즈라는 집단은 바이러스 테러와는 상관없는 순수 동물애호단체였다. 그리고 제프리는 바이러스 연구학자인 자신의 아버지가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에 반감을 가지고 동물원의 동물을 도시에 풀어버리는 일을 계획했을 뿐이었다. 결론적으로 실제 바이러스 테러범은 제프리의 아버지 밑에서 일하던 조수였으며, 이를 알게 된 콜은 그를 막으려다 총격으로 죽는다. 이 장면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장면이 제임스 콜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자주 꿔온 꿈이었기 때문이다. 어른이 된 자신이 총에 맞아 죽고, 레일리 박사가 이를 보고 뛰어오는 장면을 목격하는, 즉 이 꿈의 주체인 어린아이는 실제 어린 제임스 콜이다. 이러한 설정은 미래와 과거를 통해 같은 사건이 영원히 반복해서 일어나게 된다는 심오한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대한민국 방송 정보[편집] 대한민국에서는 SBS에서 송년특선영화로 방송된 바 있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진[편집] 제임스 콜 - 이정구 캐서린 레일리 - 장유진 제프리 고인즈 - 백순철 고인즈 박사 - 김현직 고인스 박사 조수 - 김용식 김민규, 장호비, 최옥희, 김창주, 도용구, 김태웅, 서윤석, 임성표, 강연숙, 임수아, 황재경 번역 / 김은주 연출 / 송길우 외부 링크[편집] (영어) Twelve Monkeys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12 몽키즈 – 로튼 토마토 (영어) 12 몽키즈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12 몽키즈 – 올무비 vdeh테리 길리엄장편 영화 몬티 파이톤과 성배 (1975) 자버워키 (1977) 시간 도둑들 (1981) 브라질 (1985) 바론의 대모험 (1988) 피셔 킹 (1991) 12 몽키즈 (1995)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1998) 그림 형제: 마르바덴 숲의 전설 (2005) 타이드랜드 (2005)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009) 제로법칙의 비밀 (2013) 돈키호테를 죽인 남자 (2018) 단편 영화 스토리 타임 (1968) 미라클 오브 플라이트 (1974) 더 크림슨 퍼머넌트 어슈어런스 (1983) 더 레전드 오브 할로우데가 (2010) 더 홀리 패밀리 (2011) 기타 라 만차 게팅 길리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2_몽키즈&oldid=23683793" 분류: 미국의 SF 영화미국의 스릴러 영화1995년 영화유니버설 픽처스 영화볼티모어를 배경으로 한 영화필라델피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펜실베이니아주에서 촬영한 영화테리 길리엄 감독 영화1990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199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2035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디스토피아 영화시간 여행 영화세계 종말 이후를 배경으로 한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7: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2몽키즈》(Twelve Monkeys)는 1995년에 테리 길리엄이 감독한 스릴러·드라마영화이다. 시간 여행과 음모론을 모티브로 프랑스 단편 영화 〈방파제〉(La Jete)에 영감을 받아서 만들었으며, 시간과 기억을 테마로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12몽키즈에서 제프리역을 연기한 배우는? Assistant: 브래드 피트 Human: 아래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타크래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64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스타크래프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스타크래프트StarCraft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발행사 윈도, 맥 OS 북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PAL 지역: 시에라 엔터테인먼트 중국: 아이스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한빛소프트 닌텐도 64닌텐도디자이너 제임스 피니 (리드 디자이너)샘와이즈 디디어 (수석 아트 디렉터)로버트 조르제비치 (테크니컬 아티스트)피터 언더우드 (테크니컬 아티스트)제프리 본 (테크니컬 아티스트) 버전 1.22.4.5905플랫폼 윈도, 맥 OS, OS X, 닌텐도 64출시일 윈도북미: 1998년 3월 31일중국: 1998년 3월 31일대한민국: 1998년 4월 9일맥 OS북미: 1999년 3월닌텐도 64북미: 2000년 6월 13일PAL 지역: 2001년 5월 25일장르 실시간 전략 게임모드 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미디어 CD, 닌텐도 64 카트리지, 디지털 다운로드시스템 사양 운영체제 : Windows 7 이상(Windows 10 RS5 권장) CPU : Intel Core 2 Duo E6600 (2.4 GHz) 또는 AMD Athlon 64 X2 5000+ (2.6 GHz)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8800 GT (512 MB) 또는 ATI Radeon HD 4850 (512 MB)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 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 운영체제 : MacOS® 10.13 (최신 버전) CPU : Intel Core i3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 650M 또는ATI Radeon HD 5670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입력장치 컴퓨터 자판, 마우스후속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웹사이트 https://starcraft.com/ko-kr/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게임랭킹스93%[1] (PC & Mac)77%[2] (Nintendo 64)메타크리틱88/100[3] (PC & Mac)80/100[4] (Nintendo 64)평론 점수평론사점수올게임[5] (PC & Mac)게임프로4.5/5[6] (PC & Mac)4.5/5[7] (Nintendo 64)게임 레볼루션B[8] (PC & Mac)게임스팟9.1/10[9] (PC & Mac)8.4/10[10] (Nintendo 64)IGN9.5/10[11] (PC & Mac)7.7/10[12] (Nintendo 64)PC 게이머 (영국)92%[3] (PC & Mac)PC 존8.8/10[13] (PC & Mac)수상평론사수상GameSpotGreatest Games of All Time[14]AIASGame of the Year[15]Computer Gaming WorldGame of the Year[15]PC PowerPlayGame of the Year –[15]PC GamerRTS Game of the Year[15]Games DomainStrategy Game of the Year[15]Game Informer35th Greatest Game of All Time 《스타크래프트》(Star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1998년 3월 31일 북미와 중국에, 4월 9일에는 대한민국에 발매되었다. 게임의 배경은 26세기 초반 미래의 우주로, 지구에게 버림받은 범죄자 집단인 테란(Terran)과 집단 의식을 가지고 다른 종족을 흡수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드는 저그(Zerg), 초능력과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외계 종족인 프로토스(Protoss) 사이의 전쟁을 다루고 있다.[16][주해 1] 《스타크래프트》와 그 확장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는 1998년 4월(브루드 워는 1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두달 동안 전 세계에서 1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그 해에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 되었고,[17] 2007년 5월 20일 기준으로 블리자드는 950만 장 이상이 팔렸다고 집계했으며,[18] 2009년 2월 28일까지 1100만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다.[19] 1998년 최고의 컴퓨터 전략 게임으로 오리진스 상을 받았고,[20] 그 외에도 다수의 올해의 게임, 올해의 전략 게임, 올해의 멀티플레이어 게임 상을 받았다.[21]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1월 31일까지 세계 판매량의 대략 40%정도인 450만 장[22]이 팔렸으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프로 선수와 팀이 생겨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방송에도 중계되는 등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23]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는 LG소프트[24] 를 통해 발매되었다. 한국어로 수정하지 않고 영문판 그대로 출시[주해 2]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영문판을 그대로 발매함에 따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에서 한글 채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1999년부터는 한글이 지원되는 한스타와 같은 프로그램이 배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2005년 2월 스타크래프트의 버전이 1.1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는 2009년 1월부터 1.16.1 버전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2017년 3월 26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I <3 StarCraft(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1.17패치를 건너 뛴 1.18패치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를 공개하였다.[25] 이후 동월 3월 31일 1.18버전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테스트버전이 먼저 공개되었다. 그 이후 밸런스 문제와 그래픽 카드 호환성 문제로 인해 여러번 연기되었다가 종료되었다. 다음날 4월 19일 새벽부터 정식으로 1.18 패치가 배포되어 전세계 서버가 오픈되었고,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받을수 있게된다.[26][27] 상당한 버그와 화질 개선이 이루어졌고 현재 OS 에 맞춘 환경이 지원하는 패치가 이루어졌다. 목차 1 게임플레이 1.1 달라진 점 1.2 종족의 특성 1.2.1 테란(Terran) 1.2.2 저그(Zerg) 1.2.3 프로토스(Protoss) 1.3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 1.4 2가지 자원 2 멀티플레이어 2.1 래더 랭킹 시스템 2.2 서버 3 스타에디터 4 사용자 제작 지도 5 영향 5.1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 5.2 다른 매체 6 후속 작품 6.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6.2 닌텐도 64판 6.3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6.4 스타크래프트 II 6.5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7 수상 8 기타 9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 10 같이 보기 11 주해 12 각주 13 외부 링크 게임플레이[편집] 《스타크래프트》의 기본적인 게임 전개는 플레이어가 자원을 모아 건물을 짓고 테크 트리를 발전시키며 유닛을 생산해 상대방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게임에 등장하는 자원에는 모든 종류의 생산 활동에 필수인 '광물'과, 고급 유닛이나 건물의 생산, 각종 업그레이드 연구 등에 사용되는 '베스핀 가스'가 있다. 자원은 종족 별로 존재하는 일꾼 유닛(테란의 ‘SCV’, 프로토스의 ‘프로브’, 저그의 ‘드론’)를 통해 채취할 수 있다. 베스핀 가스는 베스핀 간헐천 위에 가스 채집을 위한 건물을 건설해야 채취할 수 있다. 한 번씩 채취할 때 마다 8의 수치가 축적된다.[28][29][30] 게임에는 유닛의 생산을 한정 짓는 한계 수치가 존재한다. 이 한계 수치는 테란의 ‘서플라이 디포’와,[31] 프로토스의 ‘파일런’[32] 과 같은 지원 관장 건물을 건설해서 늘릴 수 있다. 저그의 경우 지원용 건물이 아니라 수송 유닛인 ‘오버로드’를 통해 한계 수치를 늘린다.[33] 기본적으로 최대 유닛 단위는 종족 당 200으로 한정되어 있다.하지만 프로토스의 다크 아칸을 사용할경우 200을 넘길 수는 있긴 하지만 그럴일은 딱히 없다 상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려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적의 전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각종 업그레이드와 기지 확장을 통한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종족별로 저마다의 특징이 있어 그것이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4] 달라진 점[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의 또 다른 게임인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되었다. 워크래프트에서의 종족들은 특수능력과 업그레이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을 뿐 거의 성격이 같았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워 윈드에서 사용된 각 종족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식을 사용해 워크래프트보다 향상된 완성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세 종족은 저마다의 개성적인 일면을 가진다. 처음 발매될 당시에는 세 종족 간에 약간의 불균형이 있었지만, 확장 팩과 약 스무 번에 걸친 패치로 지금은 종족 간 균형이 비교적 잘 맞추어져 있다.[35] 블리자드에서 1998년에 출시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 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에서는 본편과 이어지는 캠페인과 함께 종족 별로 새로운 유닛들과 업그레이드들이 추가되었다. 종족의 특성[편집] 스타크래프트에는 테란, 저그, 프로토스 세 종족이 있다. 이 세 종족은 각자 특유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테란(Terran)[편집] 테란은 인류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종족이다. 원래는 개발중이었던 게임 산산조각난 국가(Shattered Nations)[36]에 등장하려고 했으나 무기한 연기로 인하여 취소되어 이곳에서 테란이라는 종족으로 속한 것이다. 스토리에 의하면 서기 24세기 지구의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범죄자가 늘어나서 망할 지경에 지구는 강대국연합연맹(UPL)을 중심으로 뭉친다. 그들은 한 프로젝트를 계획하는데, 사형할 범죄자나 반정부인사, 복제인간 등을 4대의 우주선에 태워 지구에서 내보내는 것이였다. 이 중 세이렌고 호는 파괴되어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고, 남은 3대가 코프룰루 구역에 정착한 것이 테란의 시작이다. 건물은 건설 가능한 땅이 있으면 지을 수 있으며, 대다수는 공중에 띄울 수도 있다.[37] 다만 피해를 많이 입어 체력 게이지가 붉은색이 되었을 때에는 공격이 없어도 계속 손상되어 결국엔 파괴되기 때문에 재빨리 건설로봇으로 수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저그의 디파일러가 사용하는 기술 '플레이그'에 약하다. 테란 유닛 하나하나는 비교적 약한 편이고, 대부분 이동속도가 느린 편이다. 크게 마린, 메딕, 파이어뱃, 고스트[38]등의 생체 유닛(일명 바이오닉 유닛)과 그 보다 생산시간이 길고 공격력이 강한 기계(일명 메카닉 유닛)유닛[39]으로 나뉘며, 기계 유닛이 많이 모일수록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게 된다. 대다수 유닛이 원거리 공격을 하기 때문에 컨트롤이 많이 필요하고, 따라서 손이 많이 가는 종족이다. 후반에 유령과 전투순양함 체제를 같이 쓰려면 과학 시설 건물을 두 개 지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테란의 건물과 유닛의 체력은 자동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기계 유닛과 건물은 건설로봇의 수리로, 생체 유닛은 확장팩 추가 유닛인 메딕의 치료를 통해서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중재자의 '리콜' 기술이나 저그의 나이더스 커널 건물 같은 대규모 유닛을 순간적으로 이동·수송하는 방법이 테란에게는 없고, 지상방어의 측면에서는 저그의 지하 군체나 프로토스의 광자포 같은 구조물과는 다르게 테란은 방어 유닛을 생산하여 배치해야만 공격이 가능한 건물 '벙커'를 이용해야 한다. 테란이 다른 종족에 비해 월등히 강하다는 소리가 많지만, 테란도 약점에 잘못 걸리면 지는 종족이 되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그 일례로 테란은 세 종족 중 유닛과 건물의 체력이 가장 약한 종족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 회복,[40] 건물 수리 및 방해 스킬도 존재한다. 저그(Zerg)[편집] 영화 에일리언을 연상시키는 우주 괴물인 저그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프로토스의 창조주 젤나가가 프로토스의 실패를 바탕으로 창조한 종족이 저그이고, 개체 하나하나가 자아를 가지고 있는 프로토스와는 반대로 저그는 단 하나의 자아 의식을 가진 초월체(Overmind)를 중심으로 수많은 개체가 군단을 구성한다. 저그가 특정 지역에 정착하면 '점막'(크립)이라고 불리는 생체 물질이 주위 지면을 뒤덮는다. 저그는 이 점막 위에만 건물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종족은 그 위에 건물을 지을 수 없다. 점막은 해처리와 같은 중앙 건물에 의해 최초 생성되고 점막 군체로 확장된다. 자원 수집 역할과 애벌레를 만들어 내 유닛을 생산하도록 하는 부화장의 시스템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다. 이것은 테란의 병영과 프로토스의 관문 같은 유닛 생산 건물이 따로 필요하다는 점과 매우 대조적이며, 저그는 다른 종족보다 더 속도감 있게 게임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41]또한 처음에 오버로드라는 공중유닛이 주어지기 때문에 초반 정찰에 유용하다. 또한 테란 건설로봇의 건물 건설과 프로토스 탐사정의 건물 소환과 달리 저그의 일꾼 유닛인 일벌레는 자신이 건물로 직접 변태한다. 결국 건물 건설을 위해서는 일벌레 하나를 희생할 수 밖에 없다. 유닛 하나하나가 적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약해서 쉽게 죽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시간이 짧아 빠르게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 기동성의 측면에서 타 종족에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체력이 자동으로 회복이 되는 특징도 있으나, 그 속도가 매우 느리다. 타 종족은 건물로 인구수를 충족시키는 반면 저그는 유닛인 대군주가 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격을 받아 죽는 경우에 인구수에 차질이 생긴다.[42] 테란의 전투순양함이나 프로토스의 우주모함만큼 막강한 유닛은 없지만 대신 유닛의 필요 인구수 수치가 낮아 개체수를 타 종족보다 가장 많이 운용할 수 있고, 테란과 프로토스에는 없는 0.5짜리 인구수 유닛[43](스커지, 저글링)도 저그에만 존재한다. 저그는 엄청난 물량으로 상대를 이기는 종족이다. 프로토스(Protoss)[편집] 소수 정예를 지향하는 외계종족 프로토스 역시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젤나가가 아이어에서 살고 있는 종족에서 '최초의 가능성'을 보았고, 이들에게 젤나가의 모든 것을 부여하여 탄생한 종족이 회복 기사, 암흑 기사는 체력도 회복 가능하다. 유닛의 기본능력(공격력, 방어력, 체력)이 매우 뛰어나서 강력한 편이지만, 생산 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며 필요 될 수 있으며 기동성은 여러가지 이동 속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극복이 가능하다.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편집] 유닛 크기(Unit Size)와 피해 형태(Damage Type)는 서로 다른 유닛간의 강하고 약한 상성 관계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 모델이다. 스타크래프트에 존재하는 모든 유닛은 대형, 소형, 중형 중 하나로 구분된다. 이들 구분은 유닛이 어떤 피해 형태를 가진 공격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한다.[44] 일반형 공격은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유닛에게 100% 피해를 준다. 진동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중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25%의 피해만을 준다. 폭발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중형 유닛에게 75%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준다.[44] 2가지 자원[편집]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광물(Minerals)과 베스핀 가스(Vespene Gas)라는 두 가지 형태의 자원을 지원함으로써 플레이어가 더욱 전략적인 선택을 할 수가 있게 되었다. 광물에 비해 베스핀 가스는 희소성도 있고, 노동력을 아무리 많이 투입해도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는다.[28] 보통 광물은 7~10 덩어리가 주어진다. 광물 하나를 채취하면 8씩 늘어난다. 여러 일꾼 유닛이 하나의 광물을 동시에 채취할 수는 없다. 대신에 자원 채취가 끝나면 다른 일꾼이 바로 달라붙어 자원을 캐므로 일꾼이 많을수록 자원채취의 공백이 안 생기므로 짧은 시간동안 많은 자원을 충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덩어리당 2.5기의 일꾼이 가장 적당하다고 한다. 그러니 너무 많으면 효율성도 떨어진다. 베스핀 가스와 마찬가지로 광물도 한계 지점이 있지만, 베스핀 가스가 자원 기지 당 1개소에서만 캘 수 있는 것에 비해서 여러 덩어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물을 모으는 일꾼 유닛이 많아질수록 단위시간당 채취 자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주해 3] 이와는 반대로 또 다른 자원인 베스핀 가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베스핀 가스 채취구에는 일꾼 유닛을 한번에 3기 까지(특정 방향은 4기) 배치하는 것이 가장 채취량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 이상 일꾼 유닛을 투입해도 채취량은 올라가지 않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단위 시간당 채취량은 항상 일정하다. 게다가 베스핀 가스는 무한한 양을 채취할 수 있으나, 일정 정도 수집 후에는 채취 가능한 양이 8에서 2로 줄어든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베스핀 가스는 광물에 비해 항상 부족하다.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채취량을 늘리려면 베스핀 가스 채취구가 있는 자원 기지를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더욱이 게임에 등장하는 강력한 고급 유닛들은 대부분 많은 베스핀 가스를 필요로 한다.[28] 멀티플레이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을 통해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할 수 있다. 한 게임에서 최대 여덟 명이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고, 사람 대신 컴퓨터 플레이어를 인원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플레이어 간에 동맹을 맺어 협동 플레이도 가능하며, 한 쪽의 숫자가 부족한 핸디캡 경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배틀넷에서 유즈 맵 세팅 을 제외한 모든 게임은 조기에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승/패가 기록으로서 남게 되는데, 간혹 네트워크 연결상의 문제로 게임이 종료되면 DISC(Disconnected)로 표시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역시 배틀넷 상에서 편법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해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블리자드는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자사의 모든 배틀넷 망으로부터 그들의 접근을 차단한다.[45] 래더 랭킹 시스템[편집] 밀리 게임은 랭킹에 기록되는 게임으로, 인증 받은 전용 맵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다. 공정한 게임을 위해 해킹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게임이 별개의 서버에서 벌어지기도 한다. '무한 맵' 등 인증되지 않은 맵으로는 밀리 게임을 할 수 없다. 사용자들의 실력을 고려하여 공정하고 편리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았다. 스타크래프트 밀리 랭킹 시스템은 발매 초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으며 밀리 랭킹 시스템을 이용한 대회 진행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4년 1월에 래더 랭킹 시스템을 폐지하였다.[46] 2017년 8월 15일에 출시 된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 새로워진 레더 랭킹 시스템이 개선되었고, 전국 PC방의 순위도 기록하게되는 전용 레더 랭킹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1.19패치에서도 적용되었다. 서버[편집] 스타크래프트 멀티플레이어 시스템을 배틀넷이라고 하며 배틀넷 서버는 공식적으로 Asia, US East, US West, Europe 4개 서버가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사설서버인 Fish 서버와 Brain 서버가 있다. 사용자는 사설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레지스트리 설정을 수정해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1.18 패치가 이루어 지면서 사설 서버였던 피쉬 서버가 레지스트리 설정 없이 자동으로 등록되었다. 1.19패치 이후로 아시아 서버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져 대한민국 플레이어를 위한 Korea 서버와 일본/중국/대만 등 기타 아시아 국가를 위한 Asia 서버로 분리되었다.[47] 따라서 2017년에 이르러 접속 가능한 배틀넷 서버는 U.S. West, U.S. East, Europe, Korea, Asia, Fish (Korea) 6개 서버가 있다. 그러나 피쉬커뮤니케이션측은 10월 1일부터 서비스 종료되어 서버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스타에디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에디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에디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게임 내 탑재된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Campagin Editor)가 있다. 많은 초보 맵 개발자가 사용하지만 기능의 한계를 문제로 이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은 세디터(SSEditor), 스타포지(Star Forge) 등의 고급에디터를 많이 사용한다. 리마스터 발매 이후 역언덕, 넓은 언덕 등이 기본 에디터에 내장되었고, 여러 기능의 추가로 고급에디터를 굳이 설치하지 않고도 어느 정도 쓸만한 수준으로 기본 에디터가 발전했다. 사용자 제작 지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입니다. 스타에디트(StarEdit)라는 스타크래프트와 같이 설치되는 맵을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는 도구로 트리거(Trigger)라는 개념을 통해 특정한 논리를 사용자 맵 내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타크래프트의 멀티플레이 네트워크의 명칭인 배틀넷에서는 본래의 스타크래프트 게임과는 관계 없는 '유즈 맵 세팅(Use Map Settings)' 이라는 별개의 게임이 성행한다. 이들 게임은 유닛의 이름, 속도, 공격력, 방어력, 체력, 생산비용, 생산시간, 업그레이드 시간, 보유 에너지량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영향[편집]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편집]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출시된 오래된 게임이지만, 2016년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의 하나로 꼽혔다.[48][49] 또한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에 PC방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0] 프로게이머들이 경기하는 모습이 MBC 게임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1998년 7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KPGL이 개최되었으며, 1999년 4월 KPGL과 PKO의 양대 리그가 성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하였다. 이를 계승한 온게임넷과 MBC 게임은 2011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명맥을 이어나갔다.[51] 2002년부터는 스타리그의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연봉이 2억이 넘는 선수가 최초로 생겼고, 기업들의 광고와 후원도 많아졌다. 2004년 7월 SKY 프로 리그 2004 결승전에서는 10만 명의 관중이 모여 그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52] 200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RTS 게임들이 스타크래프트를 누르기 위해 도전했으나 그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를 기록했다.[53][54] 다른 매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그 설정과 줄거리, 인물 등을 활용한 공식 소설과 전자책으로도 출판되었다. 스타크래프트: 업 라이징 (2000년) ISBN 00005AS12 (전자책으로만 출시) 스타크래프트: 리버티스 크루세이드 (2001년) ISBN 0-671-04148-7 소설 스타크래프트 1 : 자유의 십자군 (2002년) ISBN 89-8273-393-0 스타크래프트: 젤'나가의 그림자 (2001년) ISBN 0-671-04149-5 소설 스타크래프트 2 : 젤'나가의 그림자 (2003년) ISBN 89-8273-394-9 스타크래프트: 어둠의 속도 (2002년) ISBN 0-671-04150-9 스타크래프트: 칼의 여왕 (2006년 6월) ISBN 0-7434-7133-4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노바 (2006년 12월) ISBN 0-7434-7134-2 스타크래프트 II: 천국의 악마들 스타크래프트 에쒸비 (2005~2009) 오현석 또한 만화가 김성모가 스타크래프트라는 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고[55], 이 작품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드라군 놀이가 유행하였다. 2000년 경에는 신해철, 허니패밀리, 남궁연 등이 참여해서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음반이 나오기도 하였다. 게다가 스프라이트를 이용하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 부터 공인받아 제작한 E스포츠 만화《스타크래프트 에쒸비》를 출판하기도 하였다. 스타크래프트 마지막 이야기 (2018) 게다가 과거에는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 한 식품 상품으로 출시된 적이 있었다. 《스타크래프트 음료》(제일제당) - 스티커가 동봉된 제품뿐만 아니라 캔라벨에 보면 유닛 정보가 쓰여있다. 《스타크 빵》(기린식품) - 스티커가 들어있는 제품으로 알려져있다. 《스타크래프트》(오리온) - 뿐만 아니라 치토스, 엑서스, 썬칩, 트라가트라가 에서도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된 따조와 열쇠고리 형태의 텍도 들어있었다.[56] 후속 작품[편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종족 전쟁》은 1998년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표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팩이다. 이 확장 팩에서는 새로운 캠페인과 각각의 종족에 대해 두 개의 유닛, 새 음악, 새 특수능력과 기술이 추가되었다. 캠페인은 원래 스타크래프트의 이야기, 즉 초월체가 프로토스의 태사다르에 의해 파괴당하고, 프로토스는 저그의 공격을 피해 아이어를 떠나는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닌텐도 64판[편집] 2000년 6월 16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매스 미디어가 《스타크래프트》를 닌텐도 64로 이식한 《스타크래프트 64》를 공동 개발해 닌텐도를 통해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PC용 원작과 그 확장 팩인 〈브루드워〉의 모든 맵을 담았고, 이 게임에서만 가능한 미션과 튜토리얼, 숨겨진 미션인 'Resurrection IV'도 추가되었다.[10] 또한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지원하지 않는 대신, 화면 분할 방식의 멀티 플레이어 기능이 포함되었다.[57] 추가적으로, 온라인 멀티플레이 기능을 본판보다 줄였고 미션 브리핑과 컷씬도 줄였다.[10] Resurrection IV은 저그에게 납치되었던 지구에서 온 인물 알렉세이 스투코프를 짐 레이너가 구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브루드 워 미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닌텐도 64 익스팬션 팩을 필요로 한다.[58] 본래에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개발할 예정이였으나 대신 닌텐도 64로 개발되었다.[59] 닌텐도 64판은 컨트롤러 중앙에 있는 아날로그 스틱을 이용해서 커서를 조작하는데, 이 방식이 마우스에 비해 불편했고, 온라인 기능이 없다는 점 때문에 PC판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60][61] 스타크래프트: 고스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영어: StarCraft: Ghos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였던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스타크래프트의 설정을 기반으로 한다. 블리자드는 이 게임을 2002년에 발표했지만, 2006년 3월 24일 게임의 개발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62] 그리고 곧 블리자드는 개발 중인 게임 목록에서 이 게임을 지웠고, 웹페이지도 삭제했다. 주인공으로 설정된 여성 유령요원 노바는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 나온다. 스타크래프트 II[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II입니다. 《스타크래프트 II》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공식적인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으로 개발한 PC 게임으로, 2007년 5월 19일 서울에서 개최된 2007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World Wide Invitational)에서 스타크래프트2 중 프로토스가 공개되었다. 마침내 2010년 7월 27일 정식 출시가 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 9월 18일을 기준으로 오픈베타가 끝나고,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3년 3월 12일 확장팩인 군단의 심장이 출시되고, 2015년 11월 10일 두 번째이자 마지막 확장팩인 공허의 유산이 출시되었다. 이후 DLC로 노바의 비밀작전이 출시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입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영어: StarCraft: Remastered)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1년 6개월동안의 비밀 리마스터 작업 끝에 2017년 3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중대 발표를 통해 세계최초로 공개되었다. 기존작과 달리 SD 스프라이트가 HD 스프라이트로 전환하게 되었고, 16:9 HD와 4K UHD까지 지원한다. 한국어를 포함한 13개국 언어를 지원하고 클래식 베틀넷 계정과 현재의 베틀넷 계정까지 연동이 가능하다.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배포되며, 리마스터 업그레이드판은 유료로 2017년 8월 15일에 출시되었다. 수상[편집] 다음은 《스타크래프트》가 세계 게임 매체들로부터 상을 받고 평가받은 내역이다. 대표적인 수상 실적만 표기하였으며 전체 수상 내역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수상 목록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다.[21]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5년 IGN (콘솔게임을 포함한 결과로, PC 게임만 보면 3위를 기록했다.)[63]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3년 IGN.[64] 모든 실시간 전략 게임의 표준 - 게임스팟 제공: 역대 최고의 게임들.[65] 1998년 가장 많이 팔린 게임 - PC데이터[17] 기타[편집] 스타크래프트가 1.12 버전으로 패치된 이후 자체적으로 게임 내에서 한글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종전까지는 배틀넷에서만 한글을 사용할 수 있었고 그 외의 화면에서는 한글을 사용하면 서유럽 문자의 이상한 배열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 또, 한글을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았을 때에는 ‘한스타’라는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 한스타는 스타크래프트에서 한글을 표시할 수 있게 해 주고 유닛의 이름이나 메시지 등을 모두 한국어로 번역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스타크래프트는 몇 가지 버그가 있었지만 일부 수정되었다. 2009년부터 8년간 1.16.1 버전을 유지하였으며,[66] 2017년 4월 부터 현재 환경에 맞춰진 1.18 패치가 이루어졌다. 스타크래프트는 클래식 배틀넷 게임으로서 계정을 무한정 생성 가능하였지만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삭제되었다. 그러나 1.19 패치 이후부터, 멀티플레이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리자드 계정이 필요하며, 각 서버당 3개의 배틀넷 계정만을 생성하도록 변경되었다.[67]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편집]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스타크래프트 관련 경기 대회는 다른 국가에서는 블리자드가 직접 대회를 주관한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 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한 것으로, 블리자드는 이것을 문제삼아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에 지적재산권 보상을 요구해왔으나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 측은 거절하였으며 대회 진행을 강행했다.[68][69]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측은 "다만 비영리 게임대회에 대해서는 지적저작권 보상을 요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68] 결국 블리자드는 2010년 10월 28일 서울지방법원에 MBC플러스미디어(MBC GAME)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다음해에 블리자드가 소송을 취하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저작권 논란은 일단락되었다.[70] 이어 11월 3일에는 온미디어(현CJ E&M)(온게임넷)를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71] 같이 보기[편집]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ASL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인물 목록 스타크래프트의 종족 스타크래프트2 스타에디트 스타리그 MSL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배틀넷 e스포츠 PC 게임 주해[편집] ↑ 1998년 4월 9일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가 패키지 게임으로 발매되었을 때 동봉된 매뉴얼에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하지만 이 명칭은 실제 사용자와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그동안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와 게임리그 산업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유닛과 건물을 불렀다. 하지만 이것은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과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사 게임을 현지화할 때, 게임 세계 속의 일반 명사는 현지 언어로 완역하는 정책을 천명하였다. 이 정책에 따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현재 한국어로 완역되어 서비스하고 있으며,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는 모든 유닛 및 건물 명칭(영웅, 일부 유닛 제외)을 모두 한국어 어휘로 번역했다. (예: 해처리 → 부화장, SCV → 건설로봇) 그리고 현 시점까지 출시한 스타크래프트2의 정보를 살펴보면, 전작인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했던 유닛과 건물의 명칭에도 이 정책이 소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유닛과 건물 명칭은 오랫동안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한 명칭을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란이 있다는 프로게임 산업의 지적이 있었으며“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이 건에 대하여 현재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의 공식 입장은 발표된 바 없다. 현재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는 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 문서에서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을 표기할 때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사용되는 통칭명을 사용하고, 옆에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설명서에 나온 이름과 한국어 뜻을 달아 놓았다. ↑ 게임 자체에는 아무런 수정이 가해지지 않았으나, 매뉴얼의 경우는 한국어 번역이 이루어졌다. ↑ 일반적으로 게임 중 경기자는 계속해서 일꾼 유닛을 생산하므로 결과적으로 단위시간당 채취량은 2차 함수의 모양이 된다. 즉, 경기자는 일꾼 유닛을 계속 생산하는 방법을 통해 광물의 단위시간당 채취량을 늘릴 수 있다. 각주[편집] ↑ “StarCraft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64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StarCraft: PC 1998 Reviews”. Metacritic. 2010년 8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N64 2000 Reviews”. Metacritic. 2010년 12월 31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House, Michael L. “StarCraft: Review”. Allgame. April 13, 2009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pril 18, 2008에 확인함.  ↑ Olafson, Peter (2000년 11월 24일). “Review: StarCraft for PC”. GamePro. 2008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Review: StarCraft for N64”. GamePro. 1999년 11월 24일. 2009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olin (April 1998). “StarCraft Review”. Game Revolution. 2016년 3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Dulin, Ron (1998년 4월 15일). “StarCraft for PC Review”. GameSpot. 2013년 11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ielder, Joe (2000년 6월 12일). “StarCraft 64 for Nintendo 64 Review”. GameSpot. 2015년 11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hick, Tom (June 2, 2000). “StarCraft”. IGN. February 23,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6, 2016에 확인함.  ↑ Boulding, Aaron (2000년 6월 9일). “StarCraft 64 Review”.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review”. PC Zone. 2001년 8월 13일. 201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GameSpot. 1998. 2006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Developer Awards”. Blizzard Entertainment. 2006년 1월 1일. 2006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19일에 확인함.  ↑ “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가 나 “Starcraft Named #1 Seller in 1998” (영어). IGN. 1999년 1월 20일.  ↑ “STARCRAFT® II UNVEILED - 블리자드 보도 자료” (영어). Blizzard. 200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9일에 확인함.  ↑ Kris Graft (2009년 2월 12일). “Blizzard Confirms One "Frontline Release" for '09”. Edge. 2009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The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and Design” (영어). Game Manufacterers Association. 2007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Blizzard Deveolper Awards” (영어).  ↑ “블리자드 "스타2 운영 한국법인이 맡을것"”.  ↑ “e스포츠 살릴 `포스트 스타` 나올까”. 디지털타임스.  ↑ LG소프트는 추후 LG계열에서 분리하여 한빛소프트로 이름을 바꾼다. “한빛소프트, KTIC 등서 116억 투자유치”. 매일경제.  ↑ “‘I <3 StarCraft’ 이벤트에 커뮤니티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스타크래프트2 홈페이지》. 2017년 3월 18일.  ↑ “고전 명작 ‘스타크래프트’, 무료 다운로드 시작”. 《블로터》. 2017년 4월 19일.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1.18 패치 노트”.  ↑ 가 나 다 “General Strategy: Resource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30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그러나 간혈지의 자원이 떨어졌을 시 자원이 2씩 채취된다. ↑ 미네랄이 모두 채취되였을 시 미네랄더미는 사라진다. ↑ “Terran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Protoss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Zerg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Protoss Conclave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StarCraf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8년 1월 16일.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취소된 게임의 트레일러 스크린샷중에 등장했던 대표 유닛이 골리앗이었다. 또한 그것을 기반으로 제작한것이 시발점이었다. ↑ 서플라이 디팟, 가스 정제소, 미사일 터렛, 아카데미, 벙커, 아머리와 부속 건물을 제외한 모든 건물(커멘드 센터, 배럭, 엔지니어링 베이, 팩토리, 스타포트, 사이언스)은 띄워서 옮길 수 있으며 다른 곳에 정착할 수도 있다. ↑ 해병, 의무관, 화염방사병, 유령 ↑ 벌쳐, 탱크, 골리앗, scv, 마인, 발키리, 배틀크루저 등등 ↑ scv의 경우 건물을 수리할 수 있고 메딕은 생체 유닛을, 메딕의 특수 기술인 레스토레이션(restoration)을 이용하면 락다운과 같은 특수 기술도 해제할 수 있다.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Zerg Swarm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저그는 인구수가 '지배력'으로 묘사되는데, 대군주가 군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정이 반영되어 오버로드에 인구 충족 능력이 주어진 것이다. ↑ 한 번 만들면 인구수 1을 할당하지만 완성될 때 2기가 만들어진다. ↑ 가 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General Strategy - Damage types and Unit types” (영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영어). Blizzard.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2007WWI, 세계최강 프로게이머들이 한자리에!,게임동아 ↑ “기존 “Asia” 게이트웨이의 이름이 “Korea” 게이트웨이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최승진. “스타크래프트2, ‘스타’ 넘어야 경쟁력 생긴다”. 게임조선.  ↑ “게임차트 게임 주간 순위”. 게임차트. 2011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이 순위는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최세헌. “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 부산일보. 2008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이택수. “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 디지털타임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택수. “에버 스타 리그 8강전 부산 경성대서 열려”. 디지털타임스.  ↑ 전형철 (2003년 4월 1일). “〈스타크로 혼동되는 이라크전〉 이라크에 SCV·메딕 파병?”. 스포테인먼트.  ↑ 배문숙 (2006년 8월 7일). “아리송한 10대 외계어 삐삐 숫자전송이 시초”. 중도일보.  ↑ 블리자드에서 공식 라이센스를 받아 제작한것이며 그 당시에 만화에 내용에는 폭력 및 잔혹성으로 인해 성인만화로 등급을 받은적 있었다. 또한 블리자드 본사에서 보존되어있다. ↑ 그러나 블리자드측과의 소송에서 따조 및 텍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라는 명으로 된 스낵을 판매금지하거나 상표 무효라는 명령을 받게되었다. ↑ “StarCraft 64 Preview”. IGN. 2000년 6월 8일.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Needs Some Expansion”. IGN. 1999년 11월 16일. 2016년 3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on PlayStation?”. IGN. 1998년 4월 6일. 2015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Joe Fielder. “StarCraft64 Review” (영어). Gamespot.  ↑ Ron Dulin. “StarCraft Review” (영어). Gamespot.  ↑ GameSpy: Blizzard Postpones StarCraft: Ghost Indefinitely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2월 11일에 확인함.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영어). Gamespot.  ↑ e스포츠,스타크래프트 해처리 버그, '확~' 줄어든다, 스포츠서울 ↑ “스타크래프트 1.19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스타크래프트, 한-미간 저작권 분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내일신문, 2010년 10월 28일 ↑ 한국e스포츠협회, 스타 리그 ‘강행’…블리자드 저작권 무시? 지디넷코리아, 2010년 10월 13일 ↑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소송으로 비화 경향신문, 2010년 11월 1일 ↑ 곰TV·블리자드, 온게임넷 상대로 소송…스타크래프트 저작권침해 등 DIP통신, 2010년 11월 4일 외부 링크[편집] 비디오 게임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타크래프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클래식 배틀넷 - StarCraft Compendium 스타크래프트 위키 vdeh스타크래프트컴퓨터 게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리마스터 파생 작품 고스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보드 게임 스타크래프트 어드벤처 구성 세계관 등장인물 종족 관련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 MPQ 배틀넷 vdeh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워크래프트 시리즈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 (어둠의 문을 넘어서) 워크래프트 III: 혼돈의 시대 (얼어붙은 왕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확장팩 (불타는 성전, 리치 왕의 분노, 대격변, 판다리아의 안개,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군단, 격전의 아제로스) 하스스톤 하스스톤 (고블린 대 노움, 대 마상시합, 고대 신의 속삭임) 디아블로 시리즈 디아블로 디아블로 II (파괴의 군주) 디아블로 III (영혼을 거두는 자)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고스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오버워치 오버워치 다른 게임들 길 잃은 바이킹 슈퍼맨의 죽음과 귀환 로큰콜 레이싱 블랙쏜 저스티스 리그 태스크 포스 기타 액티비전 블리자드 배틀넷 블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MPQ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타크래프트&oldid=24217821" 분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1998년 비디오 게임스타크래프트실시간 전략 게임윈도우 게임E스포츠 게임매킨토시 게임닌텐도 64 게임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SF 게임비디오 게임 시리즈미국의 비디오 게임영어 비디오 게임독일어 비디오 게임일본어 비디오 게임이탈리아어 비디오 게임MacOS 게임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Kurdî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0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타크래프트》(영어: Star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1998년 3월 31일 북미와 중국에, 4월 9일에는 대한민국에 발매되었다. 게임의 배경은 26세기 초반의 미래의 우주로, 지구 집정 연합에게 버림받은 범죄자들의 테란(Terran)과 집단 의식을 가지고 다른 종족을 흡수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드는 저그(Zerg), 초능력과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외계 종족인 프로토스(Protoss) 사이의 전쟁을 다루고 있다. 후속작으로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와 스타크래프트 2가 있다.《스타크래프트》와 그 확장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는 1998년 4월(브루드 워는 1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두달 동안 전 세계에서 1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그 해에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 되었고, 2007년 5월 20일 기준으로 블리자드는 950만 장 이상이 팔렸다고 집계했으며, 2009년 2월 28일까지 1100만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다. 1998년 최고의 컴퓨터 전략 게임으로 오리진스 상을 받았고, 그 외에도 다수의 올해의 게임, 올해의 전략 게임, 올해의 멀티플레이어 게임 상을 받았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1월 31일까지 세계 판매량의 대략 40%정도인 450만 장이 팔렸으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프로 선수와 팀이 생겨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방송에도 중계되는 등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는 LG소프트를 통해 발매되었다. 한국어로 수정하지 않고 영문판 그대로 출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영문판을 그대로 발매함에 따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에서 한글 채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1999년부터는 한글이 지원되는 한스타와 같은 프로그램이 배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2005년 2월 스타크래프트의 버전이 1.1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는 2009년 1월부터 1.16.1 버전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2017년 3월 26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I <3 StarCraft(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1.17패치를 건너 뛴 1.18패치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를 공개하였다. 이후 동월 3월 31일 1.18버전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테스트 버전이 먼저 공개되었다. 그 이후 밸런스 문제와 그래픽 카드 호환성 문제로 인해 여러번 연기되었다가 종료되었다. 다음날 4월 19일 새벽부터 정식으로 1.18 패치가 배포되어 전세계 서버가 오픈되었고,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상당한 버그와 화질 개선이 이루어졌고 현재 OS 에 맞춘 환경이 지원하는 패치가 이루어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레더 랭킹 시스템이 새로 보완되어 나오기 전에 폐지되었던 년도는 언제야? Assistant: 2004년
Human: 아래 일리걸리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일리걸리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리걸리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나키즘 역사 및 상징 스페인 분리주의 혁명(1873) 미국 헤이마켓 사건(1886) 바르셀로나 비극의 열흘(1909) 멕시코 혁명(1910)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반란(1920) 러시아 크론시타트 반란(1921) 스페인 제2공화국(1931) 스페인 내전(1936)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 프랑스 68혁명(1968) 로마 국제회의 국제 아나키스트 암스테르담 회의 행덕사건 16 인권 선언 자유영역분쟁 아마카스 사건 붉은 역삼각 프로보 전선 WTO시위 베트남 전쟁 반전시위 관련 분파 사회적 아나키즘 정강주의 반역 아나키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상호주의적 아나키즘 환경주의적 아나키즘 실존주의적 아나키즘 여성주의적 아나키즘 초월주의적 아나키즘 인식론적 아나키즘 크립토 아나키즘 기독교 아나키즘 불교 아나키즘 민족아나키즘 아나르코자본주의 아나코-코뮤니즘 아나코 신디칼리즘 퀴어 아나키즘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 관계 개념 무신론 고전적 반국가주의 어피너티 그룹 직접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 반권위주의 반자본주의 탈민족주의 반제국주의 후기구조주의 국제주의 반전주의 불법주의 상호주의 수평주의 이성주의 평화주의 반파시즘 반파쇼 자유연합론 양심적 병역 거부 무정부·무군대 예시적 정치 자생적 질서 계급 투쟁 자유사상 자유연애 불가지론 이신론 반신론 회의론 니힐리즘 실존주의 인본주의 시민 불복종 직접행동 노동조합 협동조합 스쾃 파업 불매동맹 포스트모더니즘 다다이즘 사이버펑크 P2P 핵티비즘 자연법 실정법 일리걸리즘 개인주의 자기소유권 관련 텍스트 《조선혁명선언》 《허무당선언》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 《카탈로니아 찬가》 《정치적 정의와 그것이 일반미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고찰》 《재산이란 무엇인가》 《경제적 여러 모순의 체계》 《노동자계급의 정치적 능력에대해서》 《근대과학과 아나키즘》 《국가와 무정부》 《신과 국가》 《상호부조론》 《이 책을 훔쳐라》 국제 조직 제1인터네셔널 국제 여단 국제노동자협회 (1992년) 청년국제당 세계산업노동자연맹 전국노동자연합 아나키스트 블랙 크로스 과거 국내 조직 의열단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이천자유회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조선자유노동자조합 조선인신진회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조선동흥노동동맹 조선노동동흥회 함흠정진청년회 선구독서회 진우연맹 본능아연맹 우리계 다물단 불령사 흑색청년자유연합회 흑로회 흑색공포단 흑전사 흑도회 흑기연맹 흑우연맹 관련 인터넷 조직 Anarkismo.net 코피미즘 선교 교회 스웨덴 해적당 독일 해적당 해적당 인터네셔널 파이러트베이 어나니머스 관련 목록 아나키스트들의 상징 아나코 펑크 밴드 아나키스트 커뮤니티 아나키스트 소설 유대인 아나키스트 러시아 아나키스트 아나키스트 음악가 아나키스트 조직 아나키스트 간행물 아나키스트 시인 아나키스트 영화 관련 경제 산업 혁명 경제 불균형 카르텔 석유 노동가치설 자본론 21세기 자본 제국주의론 자본축적론 기본소득 은 본위제 금 본위제 검은 목요일 브레튼 우즈 체제 스미소니언 협정 킹스턴 체제 변동 환율제 신자유주의 빈곤 노동 빈곤층 모기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럽 국가부채위기 신용파산스왑 중앙은행 본원통화 통화승수 연방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 전자화폐 비트코인 관련 인물 고드윈 프루동 크로포트킨 바쿠닌 말라테스타 쿠르베 골드만 버크만 소로 소렐 마흐노 두루티 톨스토이 오웰 파이어아벤트 슈티르너 렌조 노바토레 촘스키 터커 몬슨 푸코 워드 카밀로 촐고츠 호프만 루빈 북친 후미코 슈스이 사카에 김원봉 하기락 백정기 신채호 이회영 이규창 유림 유자명 정화암 김산 홍형의 김종진 원심창 오면직 황상규 박열 나월환 조약골 v • d • e • h 일리걸리즘(illegalism)이란 1900년대 초기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그리고 스위스 등지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 파생된 철학이자 전술이다.[1][2] 일리걸리스트들은 공공연히 라이프 스타일로서 범죄를 포용했다. 목차 1 등장 2 비판 3 영향 4 인용문 5 같이 보기 6 참조 7 더 읽을거리 등장[편집] 1890년대 유럽에서 라바콜, 에밀 앙리, 오귀스트 바이양 그리고 카세리오 같은 이들이 아나키즘의 이름으로 대담한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는데 이는 이후 행위의 프로간다라고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속에서 일리걸리즘이 싹트기 시작한다. 일리걸리스트들은 막스 슈티르너의 에고이즘에 영향을 받았는데[3], 이전 운동에서 이들과 유사한 전술인 개인의 수복이라는 이론으로 도둑질을 정당화 했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클레망 뒤발이나 마리우스 자코브 같은 이들과는 한가지 다른 지점이 있다. 일리걸리스트들은 자신의 행위에서 모든 도덕적 기반을 버리고, 즉 어떠한 신성한 이름으로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순수한 욕망을 실현하는 행위를 추구했다. 파리에서 이러한 환경은 알베르 리베르타드와 그의 동료들이 설립한 주간지 en:L’Anarchie와 Causeries Populaires를 중심으로 형성(매주 수도 주변의 여러 장소에서 정기적인 미팅이 열렸었다.) 되었다.[4] L’Anarchie, January 3, 1907 피터 크로포트킨을 비롯한 여러 아나키스트들이 그들의 초기 의구심[5] 이후 노동조합에 들어가기로 결정한 것과 달리, 프랑스의 세바스티앙 포르의 Le Libertaire라는 신문을[6] 중심으로 많은 '반생디칼리즘적 아나코 코뮤니스트'들이 남았다. 러시아에선 1905년 이후, 그러한 '반생디칼리즘적 아나코 코뮤니스트'들은 경제적 테러리스트이자 위법적 수용자가 된다."[5] 일리걸리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 안에서 실천 됐다고 분석 된다. "아나키스트 폭탄마와 아나키스트 암살자들(행위의 프로간다) 그리고 아나키스트 강도들은(개인의 수복) 그들의 절망감과 견딜 수 없는 사회에 대한 반감을 폭력적으로 표현했다. 그들은 분명히 반란으로 초대받을 운명이었다.[7] 그러나 좀 더 덜 드라마틱하게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서 그 용어는 법에 의해 금지된 경제적 문제의 유용한 해결책을 의미했다. 많은 이들이 그들의 활동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강도, 도둑질, 밀수, 그리고 위조등을 행했다."[8] 개인에 의한 그러한 반란 행위 들은[7] 장기적으로 봤을 때 대규모 봉기를 자극하여 혁명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전술의 활동가와 지지자들은 대표적으로 요한 모스트, 루이지 갈레아니 빅토르 세르주 그리고 세베리노 디 조반니 같은 이들이 있었다. "아르헨티나에서 이러한 경향은 극심한 억압이 있었으면서도 한번 강력한 노동 운동이 움찔거렸던 1920년대 말에서 30년대 동안 번성했다. 비록 절망적이었지만, 쇠락하는 운동의 영웅적인 몸부림이었다."[9] 보노갱단의 캐리컬쳐1911년에서 1912년 사이, 벨 에포크 시대에 프랑스와 벨기에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보노 갱단은 일리걸리즘을 포용한 가장 유명한 이들이었다. 갱단은 자신을 일리걸리스트로 규정한 이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당시 프랑스 경찰조차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첨단 기술이었던, 자동차와 연발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본래 이들은 언론에 의하여 단순히 "The Auto Bandits"라 불렸지만, 쥘 보노가 당시 인기있던 일간지인 Petit Parisien와 인터뷰를 하게된 이후 "보노 갱단"이라 불리게 된다. 비판[편집] 일리걸리즘에 대한 옹호는 아나키즘 전류 내에서 엄청난 논쟁을 유발했으며, 특히 개인에 의한 반란 행위보다 노동투쟁을 중시하는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 과의 많은 격론이 있었다. 또한 많은 사회주의자들은 일리걸리즘이 니힐리즘이라고 비판했다. 한때 열렬한 일리걸리즘의 옹호자이자, 보노 갱단을 숨겨준 죄로 체포되어 5년동안 수감된 적이 있었던 빅토르 세르주는 이후 일리걸리즘 비판자가 된다. 그는 그의 자서전인 '한 혁명가의 회고록(Memoirs of a Revolutionary)'에서 일리걸리즘을 "집단적 자살행위"라고 비판했다.[10] 비슷하게 마리우스 자코브 1948년 일리걸리즘에 대한 회의를 표명했다.[11] 영향[편집] 일리걸리즘은 오늘날 반란적 아나키즘과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요망고라는 캠페인이 등장 했는데, 여기에서는 개인의 수복이 업데이트된 형태로서 들치기(shoplifting)[12] 을 옹호한다. 호르스트 판타치니는 (1939 3월 4일 - 2001년 12월 24일)[13] 이탈리아계 독일인이자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였는데,[14] 2001년 그가 죽을때 까지 라이프 스타일로서 일리걸리즘을 추구했다. 그는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의 은행 강도 행위로 미디어의 악명을 얻었다.[13] 1999년 그의 삶을 다룬 Ormai è fatta!라는 영화가 나오기도 했다.[15] 인용문[편집] “ 혁명가는 궁극적으로 일리걸리스트다. 언제나 법의 적합성에 맞춰 행동하는 자는, 기껏해야 잘 길들여진 짐승일 뿐이며 결코 혁명가가 될 수 없다. 법이 곪아감에 따라 혁명이 태어난다. 법을 존중하면서 혁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기이자 모순이다. 자유를 갈망하는 이에게 법은 멍에이며, 자유롭고 싶다면 누구나 그것을 깨부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법이 우리를 강탈해간 주인들에게서 부를 되찾는 것을 금지하며 그들을 보호할 뿐인 곳에서 법적인 수단을 통해 노동자의 해방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는 사기꾼일 뿐이다. 그들에 대한 수용은 인류의 해방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어야 한다. 그러한 목적에 있어서 법은 장벽이며, 우리는 이 장벽과 함께 해방될 수 없을 것이다. 인류가 쟁취한 모든 자유는 법을 뛰어넘어 그들을 타도한 일리걸리스트들의 작품이었다. 폭군이 칼에 찔리고, 죽어나갔다. 이는 어떠한 법률이나 합법적인 수단으로도 불가능했을 일이었을 것이다. 수용은 법에 복종하는 것이 아닌, 그것을 부수어 버릴 때만이 가능하다. 이것이 혁명가이고자 한다면 일리걸리스트가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오래된 길에서 벗어나 범죄에 대한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   — 리카르도 플로레스 마곤[16] “ 이 사회에서는 경찰과 그들의 보스들을 제외 한다면 모두가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되며, 끊임 없이 감시되고 모든 움직임이 기록되며 통제되는 장소가 있다. 나는 물론 감옥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이 묘사는 더 많은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게 될것이다. 쇼핑몰과 주요 도시의 비즈니스 구역은 CCTV의 감시하에 있다. 무장한 경비원은 학교 도서관 병원 및 박물관을 순찰한다. 공항과 버스 정류장에서 우리는 검색 대상이다. 경찰의 헬리콥터는 도시뿐만 아니라 심지어 범죄를 찾기위해 숲 위를 넘어 비행한다. 경찰의 방법론인 투옥이라는 방법론은 점차 사회 전체에 적용되고 있다. 이 과정은 공포를 통해 부과되며 당국은 우리를 범죄자, 테러리스트, 약물과 폭력으로 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이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두려움이 가득한 순간마다 우리를 위협하는 이 괴물들인 테러리스트들과 범죄자들은 누구인가? 잠시 신중하게 고려하면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이 세상의 통치자들의 눈에서 우리는 적어도 잠재적인 괴물이며 테러리스트이자 범죄자이다. 결국 그들이 단속하고 감시하는 자는 우리들이다. CCTV로 감시되며 버스 정류장에서 검색 대상이 되는 것은 바로 우리들이다. 이러한 일들에 사람들이 너무도 명확하게 눈이 멀어버린 다는 사실을 의아해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공포는 사회 규칙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심지어 우리가 간청하게 하여 우리를 단속하게 만든다. 부모는 자녀의 지문을 FBI와 연결된 경찰기관에 등록한다. 플로리다에 소재한 Applied Digital Solutions(ADS)라는 회사는 개인의 의료및 기타 정보를 보유한 베리칩(AKA "Digital Angel")를 만들어 피부 아래에 이식하려고 한다. 그들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보호’를 위해 이를 사용하길 장려하고 있다. 이식을 받은 사람들은 곧 GPS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감시 될것이다. 또한 밀고를 장려하는 수십개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당국이 찾아 나서는 것을 밀고한 이에게 보상을 준다는 점에서 이는 감옥을 연상시킨다. 물론 다른 죄수들은 그 쓰레기들에게 다른 태도를 취할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 주변에 건설되고 있는 감옥 사회의 풍경에 대한 순전한 묘사에 불과하다. 이러한 과정에 맞서기 위해 이 상황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좀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하다. 감옥과 단속은 범죄가 존재한다는 아이디어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법에 의존하고 있다. 법은 국가의 시민들의 행동이 판단될 수 있다는 객관적인 현실로 묘사된다. 사실 법은 일종의 평등을 만들어낸다. 아나톨 프랑스는 법 앞에서 왕과 거지 모두 빵을 훔쳐 다리 아래서 자는 것을 금지 당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역설적으로 표현했다. 이로서 우리 모두 법 앞에 평등해 진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단순히 우리 모두가 개인적인 감정이나, 관계, 욕망과 필요가 없는 공허한 무언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법의 목적은 사회를 규제하는 것이다. 사회 규제의 필요성은 그안의 모든 구성원들의 필요나 욕망을 충족 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것은 오히려 그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대부분을 속이기 위해 존재한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가장 심각한 종류의 불평등이 존재하는 곳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자신의 조건에 따라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수단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이다. 상위 계급에게는 사회적 불평등의 상태가 재산과 권력이라는 두 가지의 이름을 가진다. 반면 하위 계급에게 이것은 빈곤과 복종이다. 법은 이 사회의 불평등을 평등으로 둔갑시켜 사회의 지배자에게 봉사하는 거짓말이다. 모든 사람이 그들의 삶을 그들의 양식대로 창조할 수 있도록 존재 조건에 대한 완전하고 평등한 접근이 가능한 상황에서만 개성은 번성할 수 있을 것이다. 꿈과 욕망의 광대한 배열은 분명히 무한한 열정, 사랑과 증오, 갈등과 친화력을 만드는 자신을 표현할 것이다. 재산이나 권력이 존재하지 않는 이 평등은 개성의 무섭고 아름다운 비위계적 불평등을 표현할 것이다. 반대로, 자신의 삶을 창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곳, 즉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포기한 곳, 모든 사람이 아무것도 아닌 자가 되기 때문에 모두가 평등해 지는 곳이있다. 이것은 재산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조차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사회에서 그들의 지위는 그들이 누구인지에 근거하지 않고, 그들이 가진것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재산과 권력은(개인이 아닌 역할에 달려있는 것)항상 이 사회에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법 앞의 평등은 지배자들이 지배 하는 질서를 보존함으로서 지배자에게 봉사한다. 법 앞의 평등은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불평등을 숨긴다. 그러나 물론 법은 사회질서를 말로서 유지하지 않는다. 법의 말은 그 뒤에 물리적인 힘이 없다면 무의미하다. 그리고 그 물리적인 힘은 경찰, 사법및 감옥과 같은 집행과 처벌의 시스템으로서 존재한다. 법 앞의 평등은, 우리 자신의 삶을 우리자신의 양식대로 창조하기 위한 존재의 조건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을 숨기기 위한 겉치장이다. 현실은 이 겉치장을 끊임없이 뚫어 내고 이 상태는 오로지 무력과 공포에 의해 통제된다. 이 세계의 지배자들의 입장에서, 우리는 모두 범죄자(적어도 잠재적으로)들이며 그들의 고요한 잠을위협하는 괴물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법의 베일을 넘어 법을 무시하고 우리의 삶을 되찾을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법 그자체는(그리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재산과 권력의 사회적 질서)는 우리를 범죄화함으로써 우리를 평등하게 만든다. 따라서 투옥과 단속을 야기하는 법과 사회의 질서가 전세계의 슈퍼마켓의 개발과 함께 보편적인 것이 된것은 이것의 논리적인 귀결이다. 이 점에서 법을 좀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경찰을 감시하는 것은 아무 쓸모가 없다. 모든 개혁은 필연적으로 시스템에 통합될 것이고 법률의 수를 늘리고 감시와 단속의 수준을 올림으로서 사회를 더욱 감옥처럼 만들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개혁하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삶을 살도록 이 상황에 응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있다. 그것을 파괴하기 위해 이 사회를 공격하는 것이다. ”   — Wolfi Landstreicher. Why Do We All Live in Prison? Prison, Law and Social Control[17] “ 경제는(삶에 대한 생존의 지배) 다른 모든 종류의 지배를 유지하기 위한 본질적인 요소다. 희소의 위협이 없이는 사람들을 노동과 보수라는 일상에 복종 시키기 어려워 질것이다. 우린 경제화된 세계에 태어났다. 재산의 사회적 제도는 희소성을 매일의 위협으로 만들었다…... 자신의 삶을 자신의 것으로 창조하고자 하는 우리 같은 이들에게 있어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본질적인 요소인 이 지배는, 우리가 공격해서 파괴해야할 적이다.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도둑질과 스콰팅은 반란적 삶의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 복지 사기, 자선 단체의 급식, 쓰레기 뒤지기, 구걸등은 누군가 정규적인 일을 구하지 않고 살아가게 해줄지는 몰라도, 경제를 공격하지 않으며 그 안에서 작동한다. 도둑질과 스콰팅 또한 종종 그저 생존의 전략일 수가 있다. “집의 권리”를 요구하거나 그들의 스쾃을 합법화 하길 원하는 스콰터들, 그리고 오직 무의미한 상품의 축적을 위해 다른 노동자들처럼 “직업”으로서 활동하는 도둑들은 경제를 파괴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 그들은 단지 이 부의 공정한 몫을 요구할 뿐이다. 그러나 반란적 삶의 일부로서 스쾃과 도둑질을 포용하고 이로써 경제논리에 반항하는 이들이 있다. 이 논리에 의해 강요된 희소성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그들이 만들지 않은 세계에 복종하길 거부하며, 그러한 반란군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허가를 구하지 않고서 그들이 욕망하는 것을 취한다. 이렇게 사회의 경제적 규칙에 거역함으로써 그는 그 자신의 풍요로운 세계를 되찾는다. 그리고 이것은 반란의 행위다. 사회적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개인의 삶은 도난되어야 한다. 그들의 공간에서 우리는 노동과 보수라는 지루한 존재로서 경제적 생존에 시달린다. 우린 우리의 삶을 되살 수 없으며, 되돌려 달라고 구걸할 수도 없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다시 훔쳐낼 때만이 우리의 것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허가를 구하지 않고 우리가 원하는 것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   — Wolfi Landstreicher. STEAL BACK YOUR LIFE(네 삶을 다시 훔쳐)[18] “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우리가 이 사회의 야만적인 군대의 선봉임을 마침내 이해시키도록 하자. 우리는 법과 통제를 벗어나, 미덕과 도덕, 근면에 대한 존중심을 갖지 않는다. 이것들은 우리를 억압하고, 박해하고, 추적할 뿐이다. 반역자는 슬픈 대안에 앞에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본다. 사회에 복종하며 우리의 의지를 제거하고 착취당하는 비참한 무리로 돌아가거나, 사회라는 괴물 전체에 대항한 전투를 받아들이자. 우린 전투를 선호한다. 적들의 진영에서 포위되어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우리에게 모든 무장은 좋다. 보스와 판사들 군인과 경찰들은 모두 우리를 제거하기 위해 단결했다. 우리는 그들의 규범과 도덕과 편견에 대한 깊은 멸시와 함께 자신을 방어한다. 우리에게 노동을 해방할 권리를 거부함으로써, 사회는 우리에게 훔쳐낼 권리를 주었다. 부르주아들이 세상의 모든 부를 소유함으로써, 그들은 우리에게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되찾을 권리를 주었다. 반권위주의자로서, 우리는 누구도 억압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억압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불타는 결의를 가지고 있다. 현재의 사회는 최악의 부조리한 이기주의와 부당함과 억압에 기초하여 우리에게 이를 부인한다. 굶주림으로 죽지 않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수단에 의존해야 한다. 우리를 의기소침하게 만들고 망연자실하게 하는 임금 노동자의 위치를 받아 들이거나, 그렇지 않다면 법의 가장자리라는 수단을 통해 수렁에서 우리 자신을 구원하고 훔쳐내는 위험한 범죄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존재를 빼앗기 위해서 노동(작업장의 노예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굴복)은 도둑질 만큼 편리한 수단이라는 것을! 우리가 싸움에서 풍족하고 광대한 삶을 정복하지 못했다면, 우리가 의지하도록 강요하는 다양한 사회조직적 수단은 최후의 수단에 지나지 않다. 그러니 우리의 기질과 상황에 맞춰 우린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너의 규범과 법률, 너의 "근면함"이 우리를 얼마나 비웃게 하는지 알지 못하리라! 그리고 이것이 성난 부르주아지와 판사와 근면한 짐승들과 선동적 저널리즘에 직면하여 "런던의 도적들은 우리의 동지다!"라고 선언하는 이유다. 그들은 또한 우리가 자랑스러워할만한 고귀한 도적이다. 우린 그들을 위해 유감의 말과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다. 아니! 그들의 죽음은 우리에게 모범이 될 것이며, 숭고한 러시아 동지들의 좌우명과 함께 우리의 기억에 새겨질 것이다. "아나키스트는 결코 항복하지 않는다!" 아나키스트는 항복하지 않는다! 군중의 외침이나 재판하는 자들의 비난, 경찰의 총알조차도 이를 이루어 내지 못한다! 아나키스트는 항복하지 않는다! ”   — 빅토르 세르주, Anarchists — Bandits[19] “ 범죄에서 지금껏 에고이스트는 자신을 주장하며 신성을 조롱했다. 신성의 파괴는 일반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혁명은 결코 보답하지 않는다. 그러나 거대하고 무모하고 부끄럼 없으며 가책 없이 긍지 높은 범죄가 저 너머에서 천둥소리를 내며 다가오는 것이 들리지 않는가? 하늘이 불길하게 조용해지며 어둑해지는 것이 보이지 않는가? ”   — 막스 슈티르너, "The Unique and Its Property" p. 253[20] “ 개인의 자유는 그의 힘이 끝나는 곳에서 끝난다. 만일 내가 원하고, 나의 힘이 허락한다면, 나는 타인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이 힘을 인정하고 존중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이들에 행사된 힘은 권위가 아니다. 만일 자신을 지배하려는 시도를 방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키고 그들의 힘을 사용한다면, 그들 위에 군림할 누구도 없이 그들은 자유로울 것이다(아나키). 그러나 반대로, 온순한 자들과 겁쟁이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채, 그들이 지배받게 내버려 둔다면, 우리는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최고의 승리를 보게 될 것이다(천부적 귀족제, Natural aristocracy). 권위는 그것이 가장하는 신성한 이름(신, 도덕, 사회 등)으로 행해지는 권력이다. 이 권력은 사람이 이를 타도할 힘과 활력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숭배하고 봉사해야 한다. 이 권위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슈티르너가 말한 범죄를 저지름으로써 신성을 타도해야 한다. 오직 이를 통해서만 우린 아나키스트일 수 있을 것이다. ”   — Enzo Martucci, a note on authority[21] “ 아나키스트로서 폭력적인 수용의 행위를 옹호하는 두 번째 이유는 이것이 영웅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절망적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속해 있으면서도, 활력이 넘치는 대담한 소수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힘과 해방의 무기로서 도둑질을 포용하는 영웅적인 이유이다. 격렬하고 활기찬 천성을 지니고 자유로운 정신과 독립심이 충만하며, 도덕적, 인간적, 사회적이거나 지적인 모든 종류의 노예제의 족쇄에 속박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고, 가장 수치스러우며 고행적이고 모멸적인 노예제인 경제적 노예제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그의 핏줄 속에서 약동하는 활력과 사자 같은 용맹함을 억누를 수 없을 때, 마음에서 수천 번의 비극적인 천둥이 번쩍일 때, 정신에서 억누를 수 없는 끝없는 재개의 불꽃이 타오를 때, 상상의 영역에서 수천의 미지의 세계가 번뜩일 때, 만족하지 못하는 수천 개의 욕망이 심장과 육신에서 전율하며 고동칠 때, 모든 인간의 거짓말과 사회의 관습을 불태우고 파괴하는 영웅적인 사고가 두뇌에서 번쩍일 때, 그 활기가 넘치는 대담한 소수는 힘과 해방의 무기로서 도둑질을 포용한다. ”   — 렌조 노바토레,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22] 보노 갱단의 사건은 몇몇의 예외를 제외 하고는 당대의 많은 아나키스트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라이오넬은(일리걸리즘의 옹호자인) 이 논쟁의 근본으로 돌아가 개인을 희생시켜서 집단적 정체성을 우위에 두는 많은 아나키스트들에게 되물었다. “ 아나키스트는 사회에 대항한 정당한 방어를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태어나는 순간 그는 그의 일이 아니며, 그의 존재 이전에 만들어졌고, 그를 거치지 않았으며 그에게 적대하는 법의 무게에 짓눌린다. 자본은 그에게 두 가지 선택을 강제한다. 그것의 노예가 되거나, 반역자가 되거나. 이 절망적인 선택지를 마주하고 그는 빈곤과 박탈에 시달리면서 결핵에 걸려서 천천히 죽어가는 것 대신에, 그의 적과 맞서다 자랑스럽게 죽기 위해 반역자가 되길 택한 것이다. 당신은 그런 선택을 감행한 자를 감히 부인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당신이 설교하는 혁명은 집단적 반란이자 집단적 범죄가 아닌가? 그리고 당신은 그 범죄를 너무도 많은 훌륭한 이론을 통하여 정당화하지만, 어째서 그 범죄를 개인이 행하는 것을 거부하는가? 만일 노동자들이 그들의 노동이 도둑질 당함으로써 얻어진 부를 무력을 통해서라도 되찾을 권리가 있다면, 그리고 그것을 범죄를 통해서라도 옹호할 권리가 있다면, 단지 노동자로 규정되길 원하지 않는 외딴 개인에게도 동일한 권리가 있다. ”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23] 집단적 정체성의 우위를 부정하는 것, 이것이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이 다른 아나키즘에서 분리되는 지점이었다. 이것은 수많은 도덕과 이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 예를 들어 "살인하지 말지어다"라는 도덕적 계명은 아나키즘과 자본주의 모두에게서 이론적으로 추양 받는다. 그러나 사회는 일반적으로 살인에 반대하는듯하지만 살인에 대한 사형제가 존재하며, 국가의 대리인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살인을 하도록 허가한다. 그리고 노동계급에게 강제되는 억압적인 사회적 조건을 통해 사회적으로 조직화된 살인이 자행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집단성의 이름, 사회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일이었다. 동시에 아나키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살인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특정한 상황(독재자나, 민중을 억압하는 국가의 대리자 등에 대한 암살)이나 혁명의 상황에서 지배계급을 수호하는 이들에 대한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옳다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아나키스트든 자본주의자든 대부분의 인간 그 차체든 간에 살인하지 말지어다라는 계명은 집단적 정체성(대중을 대신하거나 혹은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을 우위로 두는 한 어떠한 도덕적 절대성도 가지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슈티르너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조직화된 폭력이며 개인이 이에 맞서는 것에는 어떠한 반대도 없어야 한다는 주장이 호소력을 갖는 이유였다. 만일 정치가 다른 수단에 의해 연장되는 전쟁(클라우제비츠의 금언을 뒤집어서)이라면 보노 갱단은 잔인하지만 죄수로서의 태도를 버리고 단순히 계급 전쟁의 기본으로 돌아간 것이었다.[24] 같이 보기[편집] 무도덕주의 반란적 아나키즘 행위의 프로파간다 수용적 아나키즘 en:Social bandits 참조[편집] ↑ "The illegalisis in this study,...As anarchist individualists, they came from a milieu whose most important theoretical inspiration was unduubtedly Max Stimer — whose work The Ego and Its Own remains the most powerful negation of the State, and affirniation of the individual, to date."—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p. 5. ↑ "Parallel to the social, collectivist anarchist current there was an individualist one whose partisans emphasized their individual freedom and advised other individuals to do the same...Some individualists rebelled by withdrawing from the economy and forming voluntary associations to achieve self-sufficiency. Others took the route of illegalism, attacking the economy through the direct individual reappropriation of wealth. Thus theft, counterfeiting, swindling and robbery became a way of life for hundreds of individualists, as it was already for countless thousands of proletarians.—"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 "a new generation of anarchists, spurred on by the individualist' ideas of Max Stirner, were to take as their point of departure exactly what Jean Grave objected to, that the rebel who secretly stole was no more than an ordinary thief. The developing theory of 'illegalism^ had no moral basis> recognizing only the reality of might in place of a theory of 'right'. Illegal acts were to be done simply to satisfy one's desires, not for the greater glory of some external 'ideal'. The illegalists were to make a theory of theft without the embarrassment of theoretical justifications."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p. 5. ↑ 가 나 "This inability to break definitively with collectivism in all its forms also exhibited itself over the question of the workers’ movement, which divided anarchist-communism into a number of tendencies." "Anarchist-Communism" by Alain Pengam Archived 2009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 영어로 번역하면 자유지상주의자를 뜻하는 libertarian 이라는 단어가 되는데 프랑스 정부가 아나키스트라는 용어를 금지 시켰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아나키스트라는 단어와 광범하게 동의어로 사용되었다.Anarchist FAQ, A.1.3 Why is anarchism also called libertarian socialism? ↑ 가 나 “"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Beyond the Law" by Penelope Nin on Various Authors Articles from “Canenero” ↑ Collin Sick. “Notes on the article “Anarchism, Insurrections and Insurrectionalism””. 2012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Memoirs of a Revolutionary, by Victor Serge ↑ The "Illegalists" Archived 2015년 9월 8일 - 웨이백 머신, by Doug Imrie (published by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 가게의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 ↑ 가 나 "Horst Biography" ↑ "He always considered himself an individualist anarchist." "Horst Biography" ↑ "Ormai è fatta!" (1999) at the IMDB ↑ The revolutionary is the ultimate illegalist. The person whose actions always conform to the law will be, in the best of circumstances, a well-domesticated beast, never a revolutionary. Law conserves; revolution regenerates. If one wants change, it is thus necessary to start by breaking the law. To claim that revolution can be made while respecting the law is an aberration, a contradiction. The law is a yoke and anyone who wants to be free has to break it. Anyone who deceives the workers with the emancipation of the proletariat through legal means is a swindler, since the law forbids snatching wealth from the hands of the masters that robbed us. Their expropriation to the benefit of all i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the emancipation of humanity. The law is a brake and we don’t free ourselves with brakes. Every freedom that humanity has conquered has been the work of illegalists who have mastered laws in order to smash them to bits. Tyrants die, stabbed, and no article of the legal code could have gotten rid of them. Expropriation can only come about by breaking the law, certainly not by submitting to it. This is the real reason why if we want to be revolutionaries, we have to be illegalists. It is necessary to get off the beaten paths and open new paths to transgression. Articles from “Machete” #1 ↑ The Network of Domination ↑ Willful Disobedience - Wolfi Landstreicher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le-retif-anarchists-bandits ↑ https://libcom.org/library/unique-its-property ↑ Enemies of Society: An Anthology of Individualist & Egoist Thought ↑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 더 읽을거리[편집] Parry, Richard (1986). 《The Bonnot Gang》. Rebel Press. ISBN 0-946061-04-1. [1] "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Cacucci, Pino (2006년 7월 25일). 《Without a Glimmer of Remorse》. Christie Books. ISBN 1-873976-28-3.  On Illegalism and Ultra-Leftism. Philippe Gavi, J-P Sartre, & Pierre Victor. Gallimard, Paris, 1974 "Illegalism and Insurrectionary Anarchism" by Freedom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리걸리즘&oldid=22399654" 분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아나키스트 운동범죄생활 양식프랑스의 아나키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2: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일리걸리즘(illegalism)이란 1900년대 초기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그리고 스위스 등지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 파생된 철학이자 전술이다. 일리걸리스트들은 공공연히 라이프 스타일로서 범죄를 포용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일리걸리즘이 등장하기 시작한 연대는? Assistant: 1890년대 Human: 아래 황의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의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의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의조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wang Ui-jo출생일 1992년 8월 28일(1992-08-28) (26세)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키 184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감바 오사카등번호 16청소년 클럽 기록2005-20072008-20102011-2012 풍생중학교풍생고등학교연세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3-20172017- 성남 FC감바 오사카 139 0(35) 040 0(19)국가대표팀 기록‡200920112012-201420182015- 대한민국 U-17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3 (와일드카드)대한민국 003 00(0)000 00(0)015 00(5)007 00(9)027 00(8)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아시안 게임 금 2018 자카르타-팔렘방 남자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24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9년 6월 11일 기준이다. 황의조(黃義助, 1992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현재 J리그 감바 오사카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다. 목차 1 유스팀 경력 2 클럽 경력 2.1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 2.2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 3 국가대표팀 경력 4 경력 통계 4.1 국가대표팀 득점 5 수상 내역 5.1 성남 FC 5.2 대한민국 5.3 개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유스팀 경력[편집] 용인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했고, 성남 FC 유스팀인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를 거쳐, 2011 K리그 드래프트에서 고향팀 성남 FC의 우선지명을 받은 뒤 연세대학교에 입학했다. 2학년 재학 중인 2012년 춘계대학연맹전에서 9경기 9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U리그에서는 16경기에 나서 13골을 터뜨리며 활약했다. 클럽 경력[편집]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편집] 2013년 연세대를 중퇴하고 성남 FC에 입단한 황의조는 프로 데뷔전인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골을 터뜨렸고[1] 2013 시즌 총 리그 22경기에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14 시즌에는 김동섭과 번갈아 원톱 또는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성남 FC의 통산 3번째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리그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015 시즌에는 리그 34경기에 출전하여 15골 3도움을 기록, 득점 랭킹 3위에 올랐다. 5월 31일 전북 현대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2골을 넣으며 성남의 2-1 승리를 이끌었고, 13라운드 주간 MVP로 선정되었다. K리그 선정 주간 베스트 11에 총 7번 이름을 올리며, 데뷔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6 시즌에는 리그 37경기에 출전하여 9골 3도움을 기록했다. 시즌 중반 이성교제 관련 스캔들과 팀의 경기력 저하가 겹치며 다소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성남 FC가 K리그 챌린지로 강등하며 이적설에 돌았으나 결국 성남에 잔류했다. 2017 시즌에는 K리그 챌린지 18경기에 출전, 5골 1도움을 기록했다. 6월 20일 일본 J 리그 감바 오사카로의 이적을 전격 발표했다.[2] 6월 24일 치룬 경남 FC와의 18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성남을 떠났다.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편집] 2017년 6월 28일 J리그 감바 오사카에 입단했다. 계약 기간은 2년, 이적료는 성남 FC와의 합의 하에 공개하지 않았고, 이적 조항에 K리그로 돌아오면 성남으로 복귀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3] 등번호는 11번을 배정받았다. 2017 시즌 중반에 합류, 7월 29일 지역 라이벌 세레소 오사카와의 19라운드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후반 20분 헤딩골을 터뜨리며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리그 1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고 J리그컵에도 2경기 출전했지만, 10월 24일 팀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을 입고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4] 그러나 2018 시즌이 되면서 황의조의 득점력이 폭발하기 시작했고 월드컵 휴식기까지 리그컵을 포함해 22경기에서 무려 12골(리그 7골·리그컵 5골)을 터뜨리며 팀의 확실한 에이스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아시안 게임 이후에도 리그컵을 포함해 12경기에서 10골(리그 9골·리그컵 1골)을 쏟아부으며 한 때 강등권까지 떨어져 있던 소속팀 감바 오사카를 J1리그 9위까지 끌어올리며 리그 잔류의 혁혁한 공을 세웠고 본인도 리그 16골(득점 랭킹 3위)로 시즌을 마쳤다. 그리고 2018년 12월 5일 "11월, 12월 월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 선수"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J리그 시상식에서 1999년 황선홍 전 옌볜 푸더 감독 이후 19년만에 J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2번째 한국 선수가 되었고 12월 7일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정성룡과 가시마 앤틀러스의 AFC 챔피언스리그 2018 우승의 주역 권순태와 함께 J리그 베스트 11 후보자에게 수여되는 '우수 선수상'에도 선정되는 기쁨을 맛보았으며 12월 18일에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수여하는 KFA 올해의 선수상에도 선정됐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유소년 시절부터 각 급 청소년 대표팀을 거쳤으며 2014년 1월에는 AFC U-22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2014년 12월에 2015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열린 국가대표팀 제주도 전지훈련에 선발되었으나[5]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들지는 못하였다. 2015년 8월 24일 월드컵 2차 예선을 앞두고 울리 슈틸리케 감독에게 발탁되어 생애 처음으로 A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9월 4일 경기도 화성에서 열린 라오스전에서 후반 27분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9월 8일 레바논과의 원정경기에서도 후반 31분 석현준과 교체되어 최전방 공격수로 뛰었다.[6] 10월 8일 쿠웨이트 원정 경기에는 뛰지 못했으나, 10월 13일 서울에서 열린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에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을 소화하며 후반 19분에 첫 A매치 골을 기록했다.[7] 2017년 3월 25일 월드컵 예선 지동원이 경고 누적으로 결장하면서 시리아전 대체 발탁이 되었다. 월드컵에는 나서지 못했지만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와일드카드로 선발되면서 인맥 발탁 논란이 있었으나 인맥 발탁 논란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해트트릭 2회를 포함해 7경기에서 무려 9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2연속 아시안 게임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고 더불어 본인도 동갑내기 손흥민과 함께 병역특례를 받았다. 2018년 10월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전 친선경기에 선발출전하여 2015년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 이후 3년만에 A매치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36년 만에 우루과이를 상대로 사상 첫 승리를 거두었다. 참고로 이 골은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이청용 이후 8년만에 기록한 우루과이전 득점이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평가전에서도 2경기 연속골을 터뜨렸고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 첫 경기인 필리핀전에서도 후반 22분 0-0의 균형을 깨는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터뜨리며 이 경기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 그 후, 2019년 6월에 있을 오스트레일리아, 이란전 평가전 명단에도 포함되어 2경기 모두 골을 기록하였다. 참고로 이란전에서의 골은 2011년 AFC 아시안컵 8강전 윤빛가람 이후 8년만에 나온 득점이다.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5/10/13 대한민국, 서울 자메이카 3-0 3-0 친선 경기 2 2018/10/12 대한민국, 서울 우루과이 1-0 2-1 친선 경기 3 2018/11/1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1-0 1-1 친선 경기 4 2018/11/2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우즈베키스탄 2-0 4-0 친선 경기 5 2019/01/07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필리핀 1-0 1-0 2019년 AFC 아시안컵 6 2019/01/16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중국 1-0 2-0 2019년 AFC 아시안컵 7 2019/06/07 대한민국, 부산 오스트레일리아 1-0 1-0 친선 경기 8 2019/06/11 대한민국, 서울 이란 1-0 1-1 친선 경기 수상 내역[편집] 성남 FC[편집] FA컵 우승 1회 (2014년) 대한민국[편집] 아시안 게임 축구 : 금메달 (2018) 개인[편집]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 2018 J리그 베스트 11 : 2018 2019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필리핀 (조별리그) 각주[편집] ↑ “신인이 터졌다! 성남 황의조 프로 데뷔 ‘첫 골’”. 중앙일보. 2013년 3월 3일. 2017년 6월 26일에 확인함.  ↑ “황의조, 감바 오사카 이적 확정 "성공해서 성남으로 복귀하겠다"”. 연합뉴스.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 日 감바 이적…국내 복귀 때는 성남으로”. 뉴스1.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황의조, J리그 감바 오사카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 스포츠서울. 2017년 10월 29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권창훈·강수일 등 대표팀 첫 승선”. 스포츠동아. 2014년 12월 5일.  ↑ “[한국-레바논]황의조 두 번의 A매치, 골은 없었지만 의욕은 살아있었다”. 스포츠서울. 2015년 9월 9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한·자메이카축구> 데뷔골 황의조 "자신감 생겼다"”. 연합뉴스. 2015년 10월 13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황의조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황의조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vdeh감바 오사카 – 현재 명단 1 히가시구치 3 니시노 4 후지하루 5 니와 7 엔도 (주장) 8 이와시타 9 린스 10 후타가와 11 황의조 13 아베 14 요네쿠라 15 곤노 16 다지리 17 묘진 18 후지가야 19 오모리 21 이데구치 22 오재석 24 아카미네 25 세노 27 우치다 28 요메사카 29 패트릭 30 히라오 31 하야시 33 오구라 36 이치마루 37 다카기 감독: 미야모토 vdeh성남 FC - 2014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 전상욱 2 곽해성 3 박희성 4 이요한 5 심우연 6 박진포 7 김철호 8 김성준 9 김동섭 10 제파로프 11 김태환 12 바우지비아 13 김동희 14 정선호 15 김평래 16 황의조 17 이민우 18 이창훈 19 나진성 20 윤영선 21 권태안 22 이종원 23 김영남 24 장석원 25 정우재 26 임채민 27 김남건 28 박준혁 29 유청윤 30 박신우 31 박재성 33 염유신 45 강진욱 89 정산 감독: 김학범 코치: 이영진, 송상우, 오주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 1 조현우 2 곽해성 3 이재명 4 연제민 5 황도연 6 권경원 7 문상윤 8 최성근 9 김경중 10 백성동 11 윤일록 12 김용환 13 이기제 14 김영욱 15 임창우 16 남승우 17 문창진 18 황의조 19 송주훈 20 민상기 21 노동건 22 김현 23 김경민 감독: 이광종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 송범근 2 황현수 3 김민재 4 김진야 5 정태욱 6 김문환 7 손흥민 (주장) 8 이진현 9 황희찬 10 황인범 11 나상호 12 이시영 13 조유민 14 장윤호 15 이승모 16 황의조 17 이승우 18 조현우 19 김건웅 20 김정민 감독: 김학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9년 AFC 아시안컵 1 김승규 2 이용 3 김진수 4 김민재 5 정우영 6 황인범 7 손흥민 (주장) 8 주세종 9 지동원 10 이재성 11 황희찬 12 이승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승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황의조 19 김영권 20 권경원 21 김진현 22 김문환 23 조현우 감독: 벤투 vdeh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1969: 김호 1970: 이회택 1971: 김정남 1972: 박이천 1973: 차범근 1974: 변호영 1975: 김호곤 1976: 최종덕 1977: 조영증 1978: 김재한 1979: 박성화 1980: 이영무 1981: 조광래 1982: 미시상 1983: 김종부 1984: 허정무 1985~2009: 폐지 2010: 박지성 2011: 기성용 2012: 기성용 2013: 손흥민 2014: 손흥민 2015: 김영권 2016: 기성용 2017: 손흥민 2018: 황의조 vdeh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이승엽 최경주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장미란 이승엽 최민호 이용대 신지애 박찬호 박세리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 추신수 박찬호 신지애 이승엽 이청용 김태균 박세리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장미란 박찬호 이청용 박주영 정다래 이대호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 이대호 박주영 박찬호 추신수 이승엽 최경주 기성용 손연재 박태환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기성용 추신수 류현진 박찬호 이대호 류현진 김연아 손연재 박지성 추신수 박태환 이대호 손흥민 기성용 이승엽 손연재 김연아 류현진 박태환 손흥민 추신수 이대호 기성용 이상화 이승엽 손흥민 손연재 추신수 김연아 기성용 류현진 강정호 박지성 이대호 박인비 손연재 손흥민 박인비 김연아 박상영 기성용 이대호 김연경 박지성 추신수 손흥민 김연아 류현진 기성용 추신수 이승엽 이대호 박지성 이동국 양현종 손흥민 류현진 조현우 황의조 김은정 이승우 기성용 추신수 김연아 이대호 범례 : 진한 글씨는 1위 선정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대한민국 국민이 뽑은 올해 최고의 인물 (종합집계)2018년 문재인 박항서 방탄소년단 이국종 도널드 트럼프 손흥민 서지현 김정은 프레디 머큐리 컬링대표팀 팀킴(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이영자 황의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의조&oldid=24509796"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공격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풍생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성남시 출신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2019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Русский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7: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의조(黃義助, 1992년 8월 28일~)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며 현재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노팅엄 포리스트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EFL 챔피언십의 노리치 시티로 임대되어 뛰고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와일드 카드로선발되면서 우리나라 최다득점으로 우승으로 받은 혜택은 Assistant: 해트트릭 2회를 포함해 7경기에서 무려 9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2연속 아시안 게임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고 더불어 본인도 동갑내기 손흥민과 함께 병역특례를 받았다.
Human: 아래 올림픽_펜싱_메달리스트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올림픽 펜싱 대회 개요첫 올림픽 경기 아테네 (1896년)주관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세부 종목 10 (남 5 / 여 5) 역대 대회 1896년 아테네 2012년 런던역대 대회 성적최다 금메달 획득국 이탈리아 (48)최다 금메달리스트 (남) 알라다르 혼그리에 (7) (여) 발렌티나 베찰리(5) 진행 중 2016년 올림픽 펜싱 다음은 올림픽 펜싱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2 남자 2.1 에페 개인전 2.2 에페 단체전 2.3 플뢰레 개인전 2.4 플뢰레 단체전 2.5 사브르 개인전 2.6 사브르 단체전 3 폐지 종목 3.1 남자 3.1.1 마스터 플뢰레 메달 집계[편집]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그리스 (GRE) 2 1 1 4 2 프랑스 (FRA) 1 2 0 3 3 덴마크 (DEN) 0 0 1 1 합계 3 3 2 8 남자[편집] 에페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900년 파리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루이 페레 프랑스 레옹 세 프랑스 1904년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년 런던자세히 가스통 알리베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외젠 올리비에 프랑스 1912년 스톡홀름자세히 파울 안스파흐 벨기에 이반 오시이에르 덴마크 필리프 르 아르디 벨기에 1920년 안트베르펀자세히 아르망 마사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구스타브 부샤르 프랑스 1924년 파리자세히 샤를 델포르트 벨기에 로제 뒤크레 프랑스 닐스 헬슈텐 스웨덴 1928년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조지 캘넌 미국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카를로 아고스토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프란코 리카르디 이탈리아 사베르오 란노 이탈리아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루이지 칸토네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52 헬싱키자세히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다리오 만자로티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를로 파베시 이탈리아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알란 제이 영국 브루노 카바로프 소련 1964 도쿄자세히 그레고리 크리스 소련 헨리 호스킨스 영국 구람 코스타바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쿨사르 죄죄 헝가리 그리고리 크리스 소련 잔루이지 사카로 이탈리아 1972 뮌헨자세히 패니배시 서버 헝가리 자크 라데갤르리 프랑스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76 몬트리올자세히 알렉산더 푸시 서독 한스-위어켄 헨 서독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80 모스크바자세히 요한 하만베리 스웨덴 콜소너이 애르뇌 헝가리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리프 부아스 프랑스 볘어네 배괴 스웨덴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8 서울자세히 아언트 슈미트 서독 필리프 리부 프랑스 안드레이 초우발로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에릭 슈레츠키 프랑스 파벨 콜롭코프 연합 장-미셸 앙리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러시아 이반 트레베호 쿠바 임래 게저 헝가리 2000 시드니자세히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휴 오브리 프랑스 이상기 대한민국 2004 아테네자세히 마어셀 피셔 스위스 왕 레이 중국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2008 베이징자세히 마테오 탈리아리올 이탈리아 파브리스 자네 프랑스 호세 루이스 아바호 스페인 2012 런던자세히 루벤 리마르도 베네수엘라 바르토시 피아세츠키 노르웨이 정진선 대한민국 에페 단체전[편집] 플뢰레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외젠 앙리 그라벨로트 프랑스 앙리 칼로 프랑스 페리클레스 P.M. 그리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저 프랑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게 프랑스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1908 런던 대회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음 1912 스톡홀름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피에트로 스페치알레 이탈리아 리하어트 페어데어베어 오스트리아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로제 뒤크레 프랑스 1924 파리자세히 로제 뒤크레 프랑스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마우리스 판 담머 벨기에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에어빈 카스미어 독일 줄료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조세프 레비스 미국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에드와르 가르데르 프랑스 조르조 보키노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줘앙 뷔앙 프랑스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머실러이 러요스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마닐로 디 로사 이탈리아 1956 멜버른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잔카를로 베르가미니 이탈리아 안토니오 스팔리노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빅토르 즈다노비치 소련 유리 시시킨 소련 알베르트 악셀로드 미국 1964 도쿄자세히 에곤 프란케 폴란드 장 클로드 마낭 프랑스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드림버 이온 루마니아 커무티 얘뇌 헝가리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72 뮌헨자세히 빌톨드 보이다 폴란드 커무티 얘뇌 헝가리 크리스티앙 노옐 프랑스 1976 몬트리올자세히 파비오 달 초토 이탈리아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베르나르 탈바르 프랑스 1980 모스크바자세히 블라디미르 스미르노프 소련 파스칼 졸리오 프랑스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마우로 누마 이탈리아 마티아스 베어 서독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1988 서울자세히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우도 바그너 동독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필리프 옴네 프랑스 세르히 골루빗츠키 연합 엘비스 그레고리 쿠바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레산드로 푸치니 이탈리아 리오넬 플룸낼 프랑스 프랑크 부아댕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김영호 대한민국 랄프 비스도르프 독일 드미트리 솁첸코 러시아 2004 아테네자세히 브리스 귀야르 프랑스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안드레아 카사라 이탈리아 2008 베이징자세히 베냐민 클라이브링크 독일 오타 유키 일본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2012 런던자세히 레이성 중국 알라엘딘 아부엘카셈 이집트 최병철 대한민국 플뢰레 단체전[편집] 사브르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이오아니스 게오르기아디스 그리스 텔레마코스 카라칼로스 그리스 올게르 닐센 덴마크 1900 파리자세히 조르주 드 라 팔레즈 프랑스 레옹 티에보 프랑스 지그프리트 플레슈 오스트리아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마누엘 디아스 쿠바 윌리엄 그리브 미국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 런던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줄러브스키 벨러 헝가리 빌렘 고폴트 폰 롭스도어프 보헤미아 1912 스톡홀름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베케시 벨러 헝가리 메사로스 애르빈 헝가리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알도 나디 이탈리아 아드리아뉘스 더 용 네덜란드 1924 파리자세히 포스터 산도르 헝가리 로제 뒤크레 프랑스 거러이 야노스 헝가리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테르시탼시키 외된 헝가리 페쳐우애 어틸러 헝가리 비노 비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레르 죄르지 헝가리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1936 베를린자세히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1948 런던자세히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빈센초 핀톤 이탈리아 코바시 팔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코바시 팔 헝가리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배르첼리 티보르 헝가리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레프 쿠즈네초프 소련 1960 로마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호르바트 졸탄 헝가리 칼라레세 블라디미로 이탈리아 1964 도쿄자세히 페셔 티보르 헝가리 클로드 아라보 프랑스 우마르 마플리카노프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마크 라키타 소련 페셔 티보르 헝가리 1972 뮌헨자세히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머로트 페터 헝가리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1976 몬트리올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1980 모스크바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미하일 부르체프 소련 게되바리 임레 헝가리 1984 로스앤젤레스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피터 웨스트브루크 미국 1988 서울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야누시 올레흐 폴란드 조반니 스칼초 이탈리아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서보 벤세 헝가리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스타니슬라프 포즈냐코프 러시아 세르게이 샤리코프 러시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마티유 구르댕 프랑스 위라뎃 콧니 독일 2004 아테네자세히 알도 몬타노 이탈리아 넴치크 솔트 헝가리 블라디슬라프 트레디아크 우크라이나 2008 베이징자세히 중만 중국 니콜라 로페 프랑스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2012 런던자세히 실라지 아론 헝가리 디에고 오큐치 이탈리아 니콜라이 코발례프 러시아 사브르 단체전[편집] 폐지 종목[편집] 남자[편집] 마스터 플뢰레[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레오니다스 피르고스 그리스 장 모리스 페로네 프랑스 없음 vdeh올림픽 펜싱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vdeh올림픽 메달리스트 목록하계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골프 럭비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소프트볼 야구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워터스키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펜싱_메달리스트_목록&oldid=22846201" 분류: 진행 중올림픽 펜싱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숨은 분류: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NederlandsPol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4일 (수)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하계 올림픽의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올림픽 펜싱 남자 메달리스트 목록 올림픽 펜싱 여자 메달리스트 목록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올림픽 펜싱 남자 에페 개인전의 역대 메달리스트는 어떨까? Assistant: 종목 금 은 동 1900년 파리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루이 페레 프랑스 레옹 세 프랑스 1904년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년 런던자세히 가스통 알리베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외젠 올리비에 프랑스 1912년 스톡홀름자세히 파울 안스파흐 벨기에 이반 오시이에르 덴마크 필리프 르 아르디 벨기에 1920년 안트베르펀자세히 아르망 마사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구스타브 부샤르 프랑스 1924년 파리자세히 샤를 델포르트 벨기에 로제 뒤크레 프랑스 닐스 헬슈텐 스웨덴 1928년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조지 캘넌 미국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카를로 아고스토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프란코 리카르디 이탈리아 사베르오 란노 이탈리아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루이지 칸토네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52 헬싱키자세히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다리오 만자로티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를로 파베시 이탈리아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알란 제이 영국 브루노 카바로프 소련 1964 도쿄자세히 그레고리 크리스 소련 헨리 호스킨스 영국 구람 코스타바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쿨사르 죄죄 헝가리 그리고리 크리스 소련 잔루이지 사카로 이탈리아 1972 뮌헨자세히 패니배시 서버 헝가리 자크 라데갤르리 프랑스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76 몬트리올자세히 알렉산더 푸시 서독 한스-위어켄 헨 서독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80 모스크바자세히 요한 하만베리 스웨덴 콜소너이 애르뇌 헝가리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리프 부아스 프랑스 볘어네 배괴 스웨덴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8 서울자세히 아언트 슈미트 서독 필리프 리부 프랑스 안드레이 초우발로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에릭 슈레츠키 프랑스 파벨 콜롭코프 연합 장-미셸 앙리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러시아 이반 트레베호 쿠바 임래 게저 헝가리 2000 시드니자세히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휴 오브리 프랑스 이상기 대한민국 2004 아테네자세히 마어셀 피셔 스위스 왕 레이 중국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2008 베이징자세히 마테오 탈리아리올 이탈리아 파브리스 자네 프랑스 호세 루이스 아바호 스페인 2012 런던자세히 루벤 리마르도 베네수엘라 바르토시 피아세츠키 노르웨이 정진선 대한민국 Human: 아래 1949년_서울시내버스_노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은 서울특별시가 1949년 8월 16일부터 노선을 개편한 1959년까지 운영된 노선을 말한다. 1949년 8월 16일부터 서울승합 등 17개사가 서울특별시로부터 사업면허를 받아 273대를 운행하기 시작하고 시내버스 노선 계획 및 인가가 이루어졌다.[1][2] 당시 소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20환, 대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50환이였다.[3] 목차 1 소형 시내버스 2 대형 시내버스 3 경성전기승합자동차(경전버스) 4 함께 보기 5 각주 소형 시내버스[편집] 운행회사 : 서울합승자동차(현 서울승합) - 157대 운행구간 경유지 중랑교 ↔ 서울역 동대문 중랑교 ↔ 마포구 동대문, 서대문 동대문 ↔ 영등포 을지로, 서울역, 노량진 동대문 ↔ 영등포 종로, 서울역, 노량진 왕십리 ↔ 홍제원 광화문 미아리 ↔ 서울역 종로4가 효자동 ↔ 마포구 서울역 대형 시내버스[편집] 운행회사 : 16개사 (광창버스, 덕수운수, 대한교통사, 시내버스(주), 영원자동차, 불로운수사 외)[4] 운행구간 경유지 운행업체 중랑교 ↔ 서울역 청량리, 동대문 광창버스, 덕수운수 중랑교 ↔ 마포 청량리, 동대문, 서대문 미상 동대문 ↔ 영등포 종로, 서울역, 신용산, 노량진 미상 동대문 ↔ 영등포 을지로, 서울역, 신용산, 노량진 미상 왕십리 ↔ 홍제원 을지로4가, 서대문 미상 서울역 ↔ 미아리 총무로4가, 돈암동 대한교통사 조선화재 ↔ 미아리 돈화문, 돈암동 시내버스(주) 효자동 ↔ 노량진 서울역 미상 중앙청 ↔ 서울역 돈화문, 필동 미상 돈암동 ↔ 서울역 종로5가 미상 신길동 ↔ 신길동 조선효소(당산동) 미상 경성전기승합자동차(경전버스)[편집] 아래 노선표는 1950년 1월 11일을 기준으로 한다.[5] 운행구간 배차 간격 차 수 기점 ↔ 종점 출퇴근시 평상시 상용차 예비차 시청 앞 ↔ 동소문 10분 20분 5대 1대 시청 앞 ↔ 돈암동 20분 30분 3대 1대 삼각지 ↔ 보광동 20분 30분 1대 삼각지 ↔ 이태원 미상 1대 을지6가 ↔ 한남동 20분 30분 2대 1대 영천 ↔ 홍제원 20분 30분 1대 영천 ↔ 녹번리 20분 30분 2대 서대문 ↔ 신촌 20분 30분 2대 1대 서대문 ↔ 노고산 20분 1대 서대문 ↔ 서교동 20분 30분 2대 1대 서울역 ↔ 영등포 10분 20분 10대 2대 영천 ↔ 수색 1일 8회 왕복 2대 1대 함께 보기[편집] 1956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5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1961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4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6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74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85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1쪽. ISBN 2003352002669.  ↑ “60년대 엘리트 직업, 70년대엔 시위대도 길 터줘”. 중앙일보. 2009년 6월 16일.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수도권 시내버스 60년새 273대 → 7600여대 30배 늘어”. 동아일보. 2009년 6월 16일.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4-625쪽. ISBN 2003352002669.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3쪽. ISBN 20033520026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49년_서울시내버스_노선&oldid=24312574" 분류: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1949년 대한민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2: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은 서울특별시가 1949년 8월 16일부터 노선을 개편한 1959년까지 운영된 노선을 말한다. 1949년 8월 16일부터 서울승합 등 17개사가 서울특별시로부터 사업면허를 받아 273대를 운행하기 시작하고 시내버스 노선 계획 및 인가가 이루어졌다. 당시 소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20환, 대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50환이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49년 왕십리와 홍제원 구간을 운행하던 서울 시내버스는 어디를 경유할까? Assistant: 광화문
Human: 아래 난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난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난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카이 난바 역 & 다카시마야 오사카 백화점 난바 파크스 난바 마루이 난바(일본어: 難波)는 일본 오사카 시의 지구이다. 오사카 2대 번화가의 하나인 미나미에 포함된다. 주오 구와 나니와 구에 위치한다. 난바는 도시의 주요 중남부 철도 기종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서일본 여객철도 (야마토지 선), 긴키 닛폰 철도 (켄테쓰 난바 선),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및 고야 선)와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3개 노선 (마스도지 선, 요쓰바시 선, 센니치마에 선)의 역이 이곳에 있다. 미나미가 신사이바시 역 일대부터 난바 역 일대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반해, 난바는 대개, 도톤보리 이남・센니치마에 이서의 지역을 지칭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톤보리・센니치마에・ 미나토마치・닛폰바시를 포함한 지역까지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노점이나 고급점포가 많은 신사이바시에 비해, 미나미의 현관이기도 한 난바는 다종다양한 상점이 혼재한다. JR 난바 역도 난바 역 및 오사카 난바 역과 지하 연결통로 등으로 이어져 있으나, 오랫동안 친숙하게 불린 미나토마치(湊町) 역이라고 하는 구(舊)역명과 소재지인 나니와 구 미나토마치라고 하는 지역 명칭으로부터, 이 역 주변은 현재에도 미나토마치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이미지 중 하나인 글리코 만(Glico Man)과 자이언트 크랩(Giant Crab)이 난바의 도톤보리 수로 주변에 위치한다. 난바는 또한 유흥가로 알려져있으며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술집, 식당, 나이트클럽, 오락실, 파친코 가게가 많이 있다. 이 지역은 또한 쇼핑가로 알려져있으며 다카시마야 백화점과 난바 CITY 쇼핑몰이 있다. 난바 파크스는 "파크 타워'라 불리는 새롭게 개발된 고층 건물로 이루어져있고 120개의 상점과 옥상 정원이 있다. 6층에는 다양한 종류(한식, 일식, 이태리식)의 식당이 있고 2층부터 5층까지는 상점이다. 파크 가든에는 온실이 있어 방문객들이 도시 중심에 있다는 것을 잊게 해준다. 또한 라이브쇼를 위한 원형 극장과 작은 개인적인 채소밭을 가꿀 수 있는 공간 및 짐마차 가게가 있다. 목차 1 범위 2 연혁 2.1 지명의 유래 2.2 최초의 시가화 2.3 메이지 시대(난바신지의 재편) 3 교통 4 같이 보기 범위[편집] 현재의 쵸(町) 이름으로 난바에 해당하는 곳은, 주오 구 난바 1 ~ 5초메, 난바센니치마에, 나니와 구 난바나카 1 ~ 3초메이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난바 역 (요츠바시선은 제외) ・ 오사카 난바 역 ・ 다카시마야(백화점) ・ 난바 마루이(패션)가 난바에, 센니치마에 도구야스지 상점가와 난바 그랜드 가게쓰 ・ 파이브업 요시모토 ・NMB48 극장(이상, 극장)이 난바센니치마에에, 난바 파크스와 오사카부립 체육관이 난바나카에 소재하고 있다. 난카이 난바 역과 이 역의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난바 CITY는 난바와 난바나카에 걸쳐 있다. 패션 백화점인 난바 마루이와 복합쇼핑몰 난바 파크스를 필두로 아케이드 쇼핑가를 따라 수백 개의 가게・식당・유흥업소가 밀집해 있어 하루종일 수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활기찬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심 쇼핑가는 난바 마루이 뒤에서 시작해 신사이바시 남단까지 이어지는 에비스바시스지 쇼핑 아케이드와 지하철 닛폰바시 역 방향으로 이어지는 난바난카이도리(なんば南海通り) 쇼핑 아케이드이다. 의류・액세서리는 물론 깜찍한 생활잡화와 생필품 ・기념품을 파는 가게가 많다. 가게 사이사이에 오사카의 명물인 오코노미야키・다코야키・만두를 파는 가게도 있다. 지하에는 거미줄처럼 얽힌 대형 상가도 있다. 난바는 저렴한 생활잡화를 취급하는 가게와 드러그 스토어, 식당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연혁[편집] 지명의 유래[편집] 난바의 지명의 유래가 된 니시나리 군(西成郡) 난바무라(難波村)는, 각각 미나미센바 ・ 시마노우치 ・ 시모센바 ・호리에 일대이고, 우에난바무라(上難波村, 미나미센바)와 시타난바무라(下難波村, 기타)로 구별되었다. 에도시대 초기에 행해진 오사카 성역(城域)의 확장에 수반하여, 우에난바무라는 조그마한 외부 영토로서 그 형태만 남은 정도가 되고, 시타난바무라는 도톤보리천(道頓堀川) 이남으로 이전하였다. 또한 호리에의 개발에 의해, 기즈가와 연안의 지역은 니시나리 군 니시가와 정(西側町) ・ 자이모쿠오키바(材木置場)가 되어 난바에서 분할되었다. 그리고, 1700년(겐로쿠 13년)에 우에난바무라 외부영토가 시타난바무라에 편입되어, 난바무라로 개칭되었다. 최초의 시가화[편집] 난바무라 중에서 가장 처음으로 시가화된 것은 대체로 현재의 주오 구 난바에 있던 난바신지(難波新地)이다. 오사카 역사상 가장 큰 화재였던 1724년(교호 9년)의 교호의 대화재 후에, 덴마바시 남단의 혼사카이 정(本堺町) ・ 교바시 이치쵸메(一丁目) ・ 교바시 북단의 아이오이니시 정(相生西町)과 아이오이히가시 정(相生東町)의 일부가 히요케치(火除地, 방화용 공터)가 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처(移轉處)로서 도톤보리의 남서에 겐사카이 정(元堺町) ・ 겐쿄바시 정(元京橋町) ・ 겐아이오이 정(元相生町) 이렇게 3개의 정이 설치되었다. 그 후 1765년 (메이와 2년)에 이들 3개 정과 겐후시미사카 정(元伏見坂町, 통칭 사카 정(坂町))의 남측이 개발되어, 여기에 난바신지 1쵸메~3쵸메가 형성되었다. 메이지 시대(난바신지의 재편)[편집] 메이지 시대에 접어들면, 1872년(메이지 5년)에 사카 정 속의 난바신지 1쵸메가 미나미사카우라 정(南阪裏町)으로 개칭되어 사카 정(현, 센니치마에 1쵸메)에 편입되었으나, 동시에 겐사카이 정 ・ 겐쿄바시 정 ・ 겐아이오이 정, 이렇게 3개의 정이 난바신지에 편입되어, 난바신지 1쵸메~4쵸메로 개편되었다. 이듬해에는 난바무라 내의 시가화가 진행된 구역을 편입하여, 난바신지 1쵸메~6쵸메가 되었다. 교통[편집] 난바 역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고야 선 오사카 지하철 미도스지 선, 요쓰바시 선, 센니치마에 선 JR 난바 역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오사카 난바 역 긴키 닛폰 철도 킨테쓰 난바 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같이 보기[편집] 이마이 게이이치(今井啓一) - 오사카 난바가 백제인 중심지로 발전한 단계의 핵심적 인물은 백제왕족인 백제왕씨(百濟王氏) 가문이라고 밝힘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氏, 백제왕씨) 도톤보리 나리야스 도톤(成安道頓, ja:安井道頓) - 백제인 후손으로서 도톤보리 운하공사를 직접 지휘 백제왕신사(百濟王神社, ja:百済王神社, 일본 오사카부 히라카타 시) 백제주(百濟州) 난바 (위키여행)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난바 vdeh일본의 상점가도쿄 긴자 시부야 아메야요코초 아키하바라 오모테산도 이케부쿠로 하라주쿠 오사카 난바 닛폰바시 덴덴타운 도톤보리 린쿠타운 미도스지 신사이바시 아메리카무라 우메다 그 외 난킨마치 덴진 모토마치 (고베시) 모토마치 (요코하마시) 사카에 산노미야 시조도리 시조카와라마치 신카이치 이세자키 하버랜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난바&oldid=22971581" 분류: 난바나니와구주오구 (오사카시)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난바(일본어: 難波)는 일본 오사카시의 지구이다. 오사카 2대 번화가의 하나인 미나미에 포함된다. 주오구와 나니와구에 위치한다. 난바는 도시의 주요 중남부 철도 기종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서일본 여객철도 (야마토지선), 긴키 닛폰 철도 (켄테쓰 난바선),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및 고야선)와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3개 노선 (마스도지선, 요쓰바시선, 센니치마에선)의 역이 이곳에 있다. 미나미가 신사이바시 역 일대부터 난바역 일대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반해, 난바는 대개, 도톤보리 이남・센니치마에 이서의 지역을 지칭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톤보리・센니치마에・ 미나토마치・닛폰바시를 포함한 지역까지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노점이나 고급점포가 많은 신사이바시에 비해, 미나미의 현관이기도 한 난바는 다종다양한 상점이 혼재한다. JR 난바 역도 난바 역 및 오사카 난바 역과 지하 연결통로 등으로 이어져 있으나, 오랫동안 친숙하게 불린 미나토마치(湊町)역이라고 하는 구(舊)역명과 소재지인 나니와구 미나토마치라고 하는 지역 명칭으로부터, 이 역 주변은 현재에도 미나토마치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이미지 중 하나인 글리코 만(Glico Man)과 자이언트 크랩(Giant Crab)이 난바의 도톤보리 수로 주변에 위치한다. 난바는 또한 유흥가로 알려져 있으며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술집, 식당, 나이트클럽, 오락실, 파친코 가게가 많이 있다. 이 지역은 또한 쇼핑가로 알려져 있으며 다카시마야 백화점과 난바 CITY 쇼핑몰이 있다. 난바 파크스는 "파크 타워'라 불리는 새롭게 개발된 고층 건물로 이루어져있고 120개의 상점과 옥상 정원이 있다. 6층에는 다양한 종류(한식, 일식, 이태리식)의 식당이 있고 2층부터 5층까지는 상점이다. 파크 가든에는 온실이 있어 방문객들이 도시 중심에 있다는 것을 잊게 해준다. 또한 라이브쇼를 위한 원형 극장과 작은 개인적인 채소밭을 가꿀 수 있는 공간 및 짐마차 가게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난바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현재의 쵸(町) 이름으로 난바에 해당하는 곳은, 주오 구 난바 1 ~ 5초메, 난바센니치마에, 나니와 구 난바나카 1 ~ 3초메이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난바 역 (요츠바시선은 제외) ・ 오사카 난바 역 ・ 다카시마야(백화점) ・ 난바 마루이(패션)가 난바에, 센니치마에 도구야스지 상점가와 난바 그랜드 가게쓰 ・ 파이브업 요시모토 ・NMB48 극장(이상, 극장)이 난바센니치마에에, 난바 파크스와 오사카부립 체육관이 난바나카에 소재하고 있다. 난카이 난바 역과 이 역의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난바 CITY는 난바와 난바나카에 걸쳐 있다. Human: 아래 유희왕_듀얼몬스터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장르 액션, 어드벤쳐, 판타지 TV 애니메이션 원작 타카하시 카즈키, 스튜디오 다이스 감독 스기시마 쿠니히사 제작 스튜디오 갸롭/동우에이앤이/TV 도쿄/NAS 방송사 TV 도쿄 방영 기간 2000년 4월 18일 ~ 2004년 9월 29일 화수 224화 그 외 대한민국 애니원, 챔프TV 방영. 전편 유희왕 후편 유희왕 GX 틀 - 토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Yu-Gi-Oh! Duel Monsters)는 2000년 4월 18일부터 2004년 9월 29일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이다. 기존의 만화 유희왕을 계승하는 작품이며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이 발매된 지 1년뒤에 방영되어서 방영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대한민국에서는 SBS에서 2003년 12월 8일부터 2005년 3월 14일까지 1, 2기가 방영되었다. 79화부터는 애니원TV(현 챔프TV)에서 방영되었으며 184화(4기)까지만 방영되었다. 185화~224화(5기)는 한국판으로 끝내 방영 되지 않았다. 방송 종료 후 후속작인 유희왕 GX(총 180화)도 성공적인 인기를 얻었다. 목차 1 작품 소개 1.1 캐릭터 구성 1.2 스토리 구성 2 등장인물 2.1 메인 캐릭터 2.2 구울즈 관련 2.3 도마의 삼중신 관련 2.4 파라오 관련 2.5 주변 캐릭터 3 한국판 주제가 및 스텝 3.1 주제가 3.1.1 1기 3.1.2 3기 3.1.3 4기 3.2 우리말 제작 3.2.1 1기 3.2.2 2기 3.2.3 3기 3.2.4 4기 4 주요 내용 작품 소개[편집] 캐릭터 구성[편집] 듀얼리스트 킹덤 편 주요 반동인물로 패가수스 가 등장했으며 이후 페가서스는 유우기 일행을 돕게 된다. 한편 반동인물로 등장했던 오토기 류지는 주인일행의 보조자로서 이후 등장하게 된다. 배틀 시티 본선 편 주요 반동인물로 마리크 이슈타르가 등장했으며 또한 야미 인격 바쿠라 또한 이 이야기를 계기로 본격적인 악역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한편 여러 듀얼리스트들이 대결 상대로 등장한다. 노아와의 대결 편 주요 반동인물로는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중역들(Big5)과 카이바 노아, 카이바 고자부로가 있으며 덱마스터 규칙 아래서 중역들(Big5)과 주인공 일행이 자유를 위해 서로 겨루는 이야기 구성에 이어 스피릿 시리즈 덱이 소개된다. 배틀 시티 결선 편 주요 반동인물로는 마리크 이슈타르 등이 있으며 야미 인격 바쿠라는 나오지 않는다. 다만 3000년의 세월과 3장의 신의 카드를 건 대결 이전에 어째서 마리크가 야미 인격을 가지게 되었는가 소개된다. 도마와의 대결 편 주요 반동인물로 도마의 삼중신을 자처하는 3인(아멜마, 바론, 라피엘)이 등장해 카이바와 유우기에게 도전장을 내밀고 그 배후에 있는 다츠의 세계 말살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KC 그랑프리 개최 편 주요 반동인물로 지크 프리드가 있으며 카이바를 향한 증오로 지크의 계획을 카이바와 듀얼킹 유우기 일행이 저지하는 이야기가 진행되며 여러 듀얼리스트 및 듀얼 덱 등이 소개된다. 파라오의 기억 세계 편 주요 반동인물로 도적왕 바쿠라가 있으며 기억을 찾고자 석판 앞에 나타난 유우기 일행이 도적왕 바쿠라의 계략에 의해 파라오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 이름없는 파라오의 이름을 알아내는 이야기가 진행된다. 스토리 구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Yu-Gi-Oh! (2000 TV series)입니다. 듀얼리스트 킹덤 편 "페가수스"에 의해 '듀얼리스트 킹덤'에 초대된 유우기는 할아버지와 카이바의 동생인 모쿠바를 구하기 위해 듀얼 게임에 임한다. 그리고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페가수스"를 물리친 후, Big5와는 RPG 게임으로, 오토기 류지와는 DDM 게임으로 이겨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배틀 시티 본선 편 듀얼리스트 킹덤 이후, 세토는 3장의 신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듣고 '배틀 시티'를 통해 유우기와 전국 각지 유수의 모든 듀얼리스트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그로 인해 유희와 그 일행은 파라오의 비밀을 풀 열쇠인 3장의 신의 카드([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를 모으고자 배틀 시티에 출전하게 된다. 노아와의 대결 편 배틀 시티 본선 도중 갑자기 비행선이 외딴 섬으로 가게 되고 이후 유우기 일행은 "카이바 노아"의 계략에 의해 또다시 Big5와 RPG형 듀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카이바 노아에 의해 모쿠바(카이바, 모쿠바) 형제가 이별하게 되자 유우기는 유대감을 강조하며 노아에게 도전장을 내밀게 된다. 배틀 시티 결선 편 드디어 결선이 시작되어 유우기와 죠우노치(조이), 마리크와 카이바는 각각 로얄 배틀 형식으로 상대를 정한다. 그리고 준결승에서 세토와 겨루어 이긴 유우기와 죠우노치를 승리의 제물로 삼아 결승에 진출한 마리크는 3000년의 세월과 3장의 신의 카드를 걸고 최후의 대결을 펼치게 된다. 도마와의 대결 편 갑자기 실체화된 게임 몬스터들이 날뛰자 카이바 코퍼레이션 뿐만 아니라 세계 전체가 발칵 뒤집힌다. 그리고 그 배후의 "도마"를 필두로 '도마의 3중신'을 자처하는 이들(라피엘, 바론, 아멜다)이 나타나 유우기와 카이바에게 대결을 신청하고, 일행은 그 도전을 받아들여 인류 멸망을 멈추기로 한다. KC 그랑프리 개최 편 도마와의 대결로 인해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위신이 추락하자 위신을 다시 높이고자 'KC 그랑프리'를 개최한 카이바를 위해 그랑프리에 참석한 유우기와 죠우노치는 "왈큐레 덱"을 쓰는 지크 로이드의 계략에 휘말리게 되고 그 이면에 숨겨진 "슈레이더 사"와 지크 로이드(본명 지크 프리드 본 슈레이더)의 아픔을 알게 된다. 파라오의 기억 세계 편 기억을 찾고자 석판 앞에 나타난 유우기 일행은 도적왕 바쿠라의 계략에 의해 파라오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우정의 힘으로 파라오의 이름이 "아템"임을 알게 되어 바쿠라를 쓰러트리게 된다. 그리고 아템과 유우기는 파라오의 운명을 건 마지막 듀얼을 시작하게 된다. 등장인물[편집] 메인 캐릭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List of Yu-Gi-Oh! characters입니다. 무토 유우기(유희) 성우 - 카자마 슌스케 / 구자형(어둠의 유희), 엄상현 (유희의 평소 모습) 유희왕 DM의 주인공으로 성격이 소심하여 친구가 없는 외톨이였으나, 천년 퍼즐(천년 아이템중 한 개)을 맞춘 후, 또다른 인격인 어둠의 유우기(어둠의 유우기, 파라오의 영혼)와 인격을 공유하게 된다. 어둠의 유우기는 카드게임에서 백전백승(百戰百勝)이며, 카드게임에 천재적인 소질을 갖고있다. 스토리 전개는 주로 어둠의 유우기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블랙 매지션], 주 사용 덱은 마법사+전사덱. 죠노우치 카츠야(조이) 성우 - 타카하시 히로키 / 강수진 유우기의 친구로, 처음에 보잘것 없는 듀얼 실력을 보여줬으나 어둠의 유우기와 같이 싸워나가며 실력이 급성장하게 된다. 실명 상태였다가 완치된 여동생이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붉은 눈의 흑룡], 주 사용 덱은 전사+드래곤덱. 카이바 세토(카이바) 성우 - 츠다 켄지로 / 박지훈 (초반), 장성호 (현재) 카이바 코퍼레이션(KC)의 사장으로 유우기의 라이벌 관계이다. 고고학이나 역사학에는 관심이 없으나, 계산적인 분야에 타고난 소질이 있다. 항상 냉정함을 유지하나, 유우기의 협력적 경쟁 관계에 있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푸른 눈의 백룡], 주 사용 덱은 파워 덱. 페가시스・J・크로포드(페가수스 J 크로포드) 성우 - 다카스키 지로 / 홍시호 인더스트리얼 일루전(I²)사의 사장으로, 듀얼몬스터즈(Duel Monsters)게임의 창시자이다. 초반에 유우기와 갈등을 보이며 천년 아이템중 하나인 '천년 아이(eye)"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어둠의 바쿠라에게 빼앗긴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새크리파이스], 주 사용 덱은 툰 덱(Toon Deck, 동화 덱)으로 카이바의 동생인 모쿠바와 유우기의 할아버지의 영혼을 봉인한 적이 있다. 이후 유희왕 GX에도 등장한다. 바쿠라 료(바크라) 성우 - 이노우에 요우 (초반), 마츠모토 리카 (중후반) / 김장 (초중반), 정재헌 (후반) 천년 아이템 중 하나인 '천년 링'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우기처럼 또 하나의 인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또다른 어둠의 바쿠라는 원래 바쿠라의 정신과 영혼을 천년 링에 가둬놓고 그 몸을 지배해 유우기와 그 일행들을 계속 위험에 내몰게 된다. 하지만 유우기와 그의 일행에 의해 영혼이 천년 링에 봉인된 상태로 버려지고 원래의 바쿠라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어둠의 마리크가 봉인되기 전, 중반 스토리를 이끄는 인물인 "마리크"와 손을 잡았다가 마리크의 어두운 인격이 사라진 후, 다시 부활하여 후반 스토리를 이끈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위저보드 I,N,A,L](마법카드), 주 사용 덱은 오컬트 덱(Occult Deck,유령 덱)이며 파라오의 영혼과 전생의 악연으로 인해 천년 링에 봉인되어 있었다. 카이바 모크바(모쿠바) 성우 - 타케우치 준코 / 송도영 (초반) - 문남숙 (현재) 카이바의 유일한 혈육이며 친동생이다. 형을 따라 카이바 코퍼레이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유우기 일행에게 냉정한 형과 달리 유우기 일행에게 친절하며 형과의 유대 관계가 돈독하다. 혼다 히로토(우혁) 성우 - 콘도 다카유키 (초반), 기구치 히데히로 (중후반) / 최원형 유우기의 친구들 중 한 명으로, 조노우치와의 우정이 대단하다. 또한 조노우치의 여동생인 시즈카를 좋아하고 있으며 가끔씩 조노우치를 놀리며 아낌없는 조언을 하기도 한다. 듀얼리스트가 아니라서 활약을 잘 하지는 않는다. 마사키 안즈(안수진) 성우 - 마에다 아키 (초반), 사이토 마키 (중후반) / 송도영 (초반) - 박선영 (중후반) 유우기의 친구들 중 한 명으로, 타고난 춤꾼 기질을 자각하고 댄스 유학을 계획하는 인물. 어둠의 유우기와 보통의 유우기 사이에서 고민하면서도 우정을 지켜나가는 편이다. 친구들 중에서는 가장 믿음직한 인물이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꼬마천사]이고, 주로 사용하는 덱은 엔젤 덱(Angel Deack, 천사 덱)으로 알려져 있다. 구울즈 관련[편집] 마리크 이슈타르(마리크) 성우 - 이와나가 테츠야 / 이원준 (초반), 변현우 (중후반)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천년 아이템중 하나인 천년 로드(지팡이)를 가지고 있다. 역시 어둠의 인격이 존재하며 중반부의 스토리를 이끄는 인물.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휴머노이드·리바이벌 슬라임](몬스터 카드), 주 사용 덱은 고문 덱. 이시즈 이슈타르(이시즈) 성우 - 시마모토 스미 / 배정미 (초반), 박신희 (중후반)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마리크의 누나. 천년 타우크(목걸이)를 가지고 있으며, 어둠의 인격에 의해 지배를 당하는 동생을 구하기 위해 배틀 시티에 참가한다. 초반과 중반의 스토리를 이어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리시드 이슈타르(리시드) 성우 - 콘도 아츠시 / 안장혁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마리크가 어둠의 인격을 받아들인 후에 구울즈의 총수로서 유희를 증오하는 것을 곁에서 지켜보며 마리크의 미래를 걱정하는 인물. 나중에 어둠에 묻힐 뻔한 마리크에게 중요한 교훈을 던져준다. 기술사 판도라 성우 - 코야스 타케히토 / 유동균 마술사로서의 길을 걷다 불의의 사고로 얼굴을 다친 후, 구울즈의 일원이 되어 유우기와 매지션 덱의 진정한 고수를 가린다는 명목상의 목적을 두고 겨루어 패배한 인물.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블랙 매지션], 주 사용 덱은 고문 덱. 과묵한 인형 마임술사처럼 보이지만 마리크에 의해 조종되는 인형에 불과하다. 무한 루프 콤보 덱으로 유우기의 기를 꺾고 궁지에 몰기도 했음에도 무한 루프 콤보 덱의 맹점을 이용한 긍극의 무한 루프 콤보 플레이로 맞선 유우기의 플레이에 지게 된다. 빛의 가면 성우 - 미즈시마 히로 / 김래환 유우기와 카이바의 배틀 시티 예선 마지막 상대로 마리크의 수하이다. 어둠의 가면과 함께 가면덱을 사용하여 유우기와 카이바를 궁지에 몰아넣었지만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게 패배를 당하게 된다. 어둠의 가면 성우 - 이시이 코지 / 임채헌 유우기와 카이바의 배틀 시티 예선 마지막 상대로 마리크의 수하이다. 빛의 가면과 함께 가면덱을 사용하여 유우기와 카이바를 궁지에 몰아넣었지만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게 패배를 당하게 된다. 도마의 삼중신 관련[편집] 다츠 성우 - 에마오 유우 / 이주연 도마의 삼중신을 이끌고 있는 총수이자 전설 상의 왕국인 아틀란티스의 왕이다. 자신이 만든 아틀란티스를 멸망하도록 만들었으며 도마의 삼중신의 아픔을 만든 장본인이자 유희왕에서 가장 고지식한 적이다. 그에 말에 따르면 인간이 어둠에 물들어 지구의 시험에 탈락하게 되었으며 자신은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으나 삼환신에게 패배하였다. 덱은 애니메이션 설정인 오리컬코스 의 덱이다. 라피엘 성우 - 카와하라 요시히사 / 최석필 도마의 삼중신 중 한 명으로 리더로 활동하였다. 본래 미국의 부자 집안의 아들이었으나 다츠의 속임수로 인해 부모님과 동생들을 잃고 나중에 다츠의 술수에 넘어가 다츠의 넘버원 수하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사상 유우기(유희)를 이긴 몇 안되는 사람 중 하나이자 또 하나의 유우기(유희)가 이름 없는 파라오라는 사실을 아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첫 대결에서는 이름 없는 파라오를 이겨 유우기(유희)를 결계에 봉인한 후 두 번째 대결에서는 유우기(유희)의 또다른 인격에게 패배하였으나 본인이 결계에 봉인되는 것을 회피했다. 하지만 다츠에게 진실을 듣고는 분노하여 결계에 봉인되는 운명을 맞이한다. 덱으로는 죽은 동생들이 생일 선물로 준 가디언 덱을 사용한다. 아멜다 성우 - 이에무라 유키시게 / 전태열 도마의 삼중신 중 하나로서 카이바 고자부로에 의해 자신의 동생이 죽게 되었다고 믿고서 다츠의 수하가 되었다. 하지만 다츠가 아멜다에게 카이바 일가에 대한 앙심을 품게 만들고자 카이바 고자부로로 꾸민 술수였다. 그것도 모른 아멜다는 카이바와의 첫대결을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치르다 무승부가 나고, 두 번째 대결에서 카이바의 푸른 눈의 백룡과 크리티우스 의해 패배하게 된다. 덱은 요새(전투기)덱이다. 바론 성우 - 마에다 타케시 / 사성웅 도마의 삼중신 중 하나로 어린시절 고아로서 반항아였다. 하지만 자신이 살던 마을의 교회가 불타고 자신은 결백함에도 의심을 받아 교도소에 가게 된 후 다츠에 의해 다츠의 수하가 되었다. 마리크와의 어둠의 게임에서 패하여 슬픔에 빠져 있던 쿠자크 마이와 만나 쿠자크 마이를 다츠에 일원으로서 이끌게 된다. 죠뇨우치와의 대결에서 패배를 하게 된다. 덱은 아머 덱을 사용한다. 티마이오스 크리티우스 헤르모스 그리모 미르코 유안 데니스 소니아 줄리안 수녀 아이언 하트 다츠의 아버지 10000년전 카드의 정령들과 함께 오레이칼코스의 병사들과 싸웠다. 라피엘에게 패배하여 만신창이가 된 아템에게 티마이오스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크리스 다츠의 딸 아틀란티스의 공주로서 10000년전 카드의 정령들과 함께 오레이칼코스의 병사들과 싸웠다. 이오레 크리스의 어머니이자 다츠의 아내. 다츠에 의해 사후세계에 가서 크리스와 다츠가 오는 것을 기다린다. 파라오 관련[편집] 마하드 6신관 중 하나로 아템의 가장 최 측근으로 아템이 독사에 물리자 아템을 구해준 인연 덕에 가장 큰 충복이 된다. 천년 아이템의 소유자로 천년 링을 이용하여 파라오의 영혼을 가져가려는 도적왕 바쿠라를 막으려고 하나 패배하여 [블랙 매지션]으로 변환된다. 마나 6신관인 마하드의 제자로 아템을 즐겁게 하며 무거운 분위기를 완화시키는 소녀. 사부인 마하드가 패배하여 [블랙 매지션]으로 변환된 후에는 사부인 마하드처럼 어엿한 마법사로서 성장하며 나중에 [블랙 매지션 걸]로 변환되어 사부인 마하드 곁에 머무르게 된다. 키사라 세토의 주력 몬스터인 [푸른 눈의 백룡]의 영혼을 소유한 여인. 세토의 아비인 아크나딘에 의해 고문을 받은 후 쇠약해져 세토의 품에서 사랑을 받으며 세토의 카드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세토의 혼을 받은 카이바가 [푸른 눈의 백룡]을 주력 몬스터로 삼는다. 세토 6신관 중 하나로 아템의 가장 큰 라이벌이자 사촌관계로서 아템의 뒤를 이어 파라오가 되는 신관이다. 키사라는 흰눈을 가진 노예를 구해준 인연 덕에 그녀 안에 있던 정령 [푸른 눈의 백룡]과의 인연이 생기게 된다. 얼굴이 같은 카이바 세토와는 달리 파라오에게 충성을 다하는 등 좋은 성격의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지팡이를 사용한다. 아이시스 6신관 중 하나로 유일하게 여자 신관이다. 이야기 도중 마하드가 바쿠라와의 일전을 앞두고 갈 때에 그에게 애정 어린 걱정을 하는 것으로 보아 신관이 되지 않았던 시절부터 유우기와 안즈의 관계와 비슷한 관계일 것으로 추측이 된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목걸이를 사용한다. 애니메이션에서만 등장하지만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관계를 암시하는 내용이 존재한다. 시몬 아템의 책사 겸 자문관으로 얼굴은 유우기의 할아버지와 같다. 선대 왕 때부터 소유하고 있던 천년 아이템인 천년 열쇠를 목에 걸고 있으며 마물인 [봉인된 엑조디아]를 사용하여 도적왕 바쿠라의 흉계를 충직하게 막으려고 하지만 힘을 소진해 살해당하며 존재가 사라지게 된다. 아크나딘 세토의 아버지이자 아템의 숙부이다. 천년 아이템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그가 천년의 눈을 받으면서 하는 소원이 자신의 아들인 세토가 왕위에 오르는 걸 빌었다. 그로 인해 조크의 꾐에 빠져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죽게 된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의 눈을 착용하고 있다. 샤다 6신관 중 하나로 얼굴이 샤디와 가장 흡사하며 카림과 가깝게 지낸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열쇠를 사용하며 신관사제 세토와 우애를 나누는 사이로 도적왕 바쿠라와의 전투에서 세토를 위해 자신의 힘을 주저없이 줄 정도로 신의와 우정이 깊은 헌신적인 인물이다. 카림 6신관 중 하나로 천년 천칭으로 마물을 융합하는 일을 하며 도적왕 바쿠라의 본체인 조크와 대치하였을 때 파라오를 지키다 죽는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천칭의 소유자로 천년 링의 소유자인 마법술사 마하드 못지 않게 강력한 힘을 파라오를 위해 사용하며 희생한다. 아크나무카논 선파라오이자 아템의 아버지로 조크와 대치한 아템이 시련을 극복하도록 무의식 속에서 그를 격려함으로써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를 부르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도적 바쿠라에 의해 시신이 도굴되기도 하였다. 이후 도적 바쿠라의 원군이 되어준 원령을 받아들임으로서 아들인 아템을 돕는다. 주변 캐릭터[편집] 쿠자크 마이(메이 발렌타인) 성우 - 테라다 하루히 / 차명화 (초반) 전숙경 (중후반) 듀얼리스트 킹덤 이후 유유기 일행과 행동을 함께 했으나 배틀 시티 본선에서 마리크에 패해 절대적 강함을 추구하여 다츠와 손을 잡지만 이후 자신의 가장 소중한 인물인 죠우노치의 희생을 보고 마음을 바꾸는 인물이다. 카와이 시즈카 (죠앤) 성우 - 시노노베 미카 / 차명화 (초반) 문남숙 (중후반) 죠우노치의 여동생으로 죠우노치의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다. 또한 오빠와는 달리 자상한 면모를 지닌 소녀이며 부두에서 처음으로 붕대를 풀어 자신의 친구를 구하고자 희생하려는 오빠를 구출하기도 한다. 마사키 안즈와 친밀하게 지내는 사이. 오토기 류지(듀크) 성우 - 나이토 료 / 김승준 (초반) 김호성 (중후반) 처음에는 페가서스를 이긴 유우기가 실력이 아닌 다른 이유로 이겼을 것이라 단정하고 유우기에게 도전해 역전패를 당하게 되지만 나중에는 유우기 일행과 행동을 함께 하는 인물이다. 듀얼의 흐름을 다소 냉정히 판단하여 다른 일행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레베카 홉킨스(레베카) 성우 - 타가미 시오리 / 김아영 (초반) 서지연 (중후반) 홉킨스 교수의 말괄량이 손녀로 전미 챔피언의 명성에 걸맞게 듀얼 전술이 뛰어난 인물이다. 초반에는 사정을 오해하면서 적개심을 품었으나 유우기가 보여준 진심을 보고서 유우기를 좋아하게 되었으며 KC 그랑프리에도 출전하기도 했다. 무토 스고로쿠 유우기의 할아버지로 듀얼용 카드 소형 판매점의 운영자. 이후 유희왕 GX에서도 등장하여 달라진 도미노 시티를 보여주기도 했다. 아서 홉킨스 무도 스고로쿠의 친구 겸 레베카 홉킨스의 할아버지. 고고학자로 유적의 발굴 현장을 방문한 스고로쿠와 친분을 쌓게 되었다. 카이바 노아 성우 - 요코야마 치사 / 박신희 카이바 고자부로의 친아들로 교통사고를 당한 후, 가상 현실 세계에서 살게 되었다. 이후 카이바 모쿠바를 이용하여 카이바 세토를 이겼으나 유우기에게 패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가상 현실 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이동 요새를 폭파시키고 자신은 모쿠바를 이용해 탈출하다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자부로 곁에서 최후를 맞이한다. 카이바 고자부로 성우 - 코무라 테츠오 / 최석필 카이바 노아의 생부이며 양자로 삼은 카이바 세토에 의해 회장직에서 물러난 경험이 있다. 카이바 세토의 몸을 차지하려는 계획을 실행에 옮김에도 친아들인 카이바 노아가 계획을 저지한다. 레온 윌슨 본명은 레온 하르트 폰 슈레이더. 슈레이더 가의 차남으로 형과 달리 듀얼에 대한 순수한 맘에 KC 그랑프리에 참가하나 형의 교묘한 계락에 빠졌다가 유우기한테 패한 이후 형을 도와 슈레이더 가를 일으키고 있다. 지크 로이드 본명은 지크 프리드 폰 슈레이더. 슈레이더 가의 장남으로 카이바에 대한 열등감을 해소하고자 KC 그랑프리를 혼란에 빠트리나 유우기의 활약으로 무위에 그치고 이후 동생과 함께 슈레이더 가를 재건하고 있다. 비비안 웡 성우 - 타나카 리에 KC 그랑프리에 출전한 듀얼리스트 중의 하나. 예선에서 레베카 홉킨스와 겨루어 지게 되자 유우기의 할아버지인 무토 스고로쿠를 꾀어 유우기와 겨루지만 유우기의 전술에 의해 패배한다. 이후 최종화 엔딩 크레딧 장면에서 쿠자크 마이와 태그 팀을 이루게 된다. 키스 하워드 페가수스 J 크로포드에게 패배한 후 반칙을 일삼으며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재기하지만 준결승전에서 반칙패 당하고 킹덤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구울즈의 총수인 마리크에게 이용당하다가 결국 이성을 잃고 듀얼장에서 뛰쳐나오게 된다. 한국판 주제가 및 스텝[편집] 주제가[편집] 1기[편집] 오프닝 작사: 김주희 작곡: 방용석 편곡: 방용석, 도목정 노래: 솔레노이드 엔딩 THE ONE 노래: 이영미 작·편곡: 방용석 작사: 김주희 녹음·믹싱: 헐리우드매너 3기[편집] Opening WILD DRIVE 노래: 신승훈 Ending 낙원 노래: 김효연 4기[편집] Opening WARRIOR 노래: 류성필 Ending 넘쳐흐르는 감정이 멈추지 않아 노래: 박영탁 우리말 제작[편집] 1기[편집] 번역: 이소영 연출: 김성환 2기[편집] 번역: 이소영 C.G: 조아라 종합편집: 이소연 연출: 김정령 3기[편집] 번역: 정은 녹음·믹싱: 이성수 종합편집: 이소연 타이틀: 조아라 그래픽: 김효정·박수진 조연출: 김정령 연출: 김세령 4기[편집] 번역: 정은 그래픽: 이승용 녹음·믹싱: 이성수 종합편집: 이소연 타이틀: 조아라 조연출: 김정령 연출: 김세령 주요 내용[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List of Yu-Gi-Oh! episodes입니다. 1기 - '듀얼리스트 킹덤' 편 소심하고 외톨이이던 유우기는 8년 만에 천년퍼즐을 맞춘 후 '어둠의 유우기'와 인격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사장인 "카이바"를 만나게 된 후, 페가수스와의 어둠의 게임에서 진 유우기는, 할아버지인 "무토오 스고로쿠"의 영혼을 빼앗기며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펼쳐지는 대회에 초대를 받게 된다. 그 후 카이바와 모크바의 영혼까지 빼앗기는 것을 보게 되고, 유우기는 듀얼리스트 킹덤 대회의 결승전에 올라와 절친인 조이와의 결승에서 이기고,어둠의 게임 속에서 카드에 봉인된 모두의 영혼(카이바,모쿠바,할아버지)을 돌려받기 위해 페가수스와 듀얼을 펼친다. 2기 - '배틀시티 본선' 편 페가수스와의 듀얼에서 이긴 유우기는 할아버지와 카이바, 모크바의 영혼을 돌려 받고, 페가서스의 방에서 듀얼몬스터즈를 만든 이유를 알게된다. 그 후 카이바는 이시즈를 만나게 되고, 신의 카드 중 하나인,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받아 삼환신을 모으기 위해 배틀 시티라는 대회를 개최하게 된다. 유우기는 이시즈에게 자신의 모습이 담긴 석판을 본 후, 자신이 3000년 전의 파라오였음을 알게 된다. 그 후 파라오의 기억을 되찾기 위해서는 삼환신을 모아야 한다는 이시즈의 말을 듣고 배틀 시티에 참가한다. 3기 - '배틀시티 결선' 편 배틀 시티가 개최되고 유우기는 마리크의 조종을 당하는 침묵의 인형과의 경기를 이긴 후 신의 카드중 하나인,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얻게 된다. 한편 바쿠라는 구울즈의 총수인, 그리고 3장의 신의 카드 중 하나인, [라의 익신룡]의 주인이자 소유자인 마리크를 만나게 되고 서로의 목적이 같음을 알게 되어 협력하기로 한다. 그 후 유우기와 8강전에서 만나 어둠의 게임을 하지만,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극적으로 소환한 유우기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한편 유우기는 배틀 시티 준결승전에서 카이바를 이기고, 결승전에서 어둠의 마리크와의 어둠의 게임도 이겨 삼환신 즉, 3장의 신의 카드를 모두 얻는다. 4기 - '도마와의 대결' 편 기억의 석판에 삼환신을 갖다 대고 기억을 찾으려고 하는 유우기. 그러나 갑작스럽게 삼환신은 힘을 잃고 봉인당하게 된다. 갑자기 세상에 듀얼몬스터즈의 몬스터들이 출현하고…… 유우기는 이렇게 세상을 멸망시키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려는 "도마(Doma)"라는 조직을 알게 된다. 도마와의 피할 수 없는 듀얼을 벌이는 유우기는 전설의 용 디마이오스의 힘을 손에 넣어서 도마와 싸우게 되나, 듀얼에서 패배하여 '또 하나의 어둠의 유우기'를 남겨둔 채 인격을 봉인당하게 된다. 그 후 도마의 본거지를 알아내게 되고, 페가시스가 남겨둔 카드([레전드 오브 하트])로 도마의 수장인 다츠(Dotch)와의 듀얼에서 승리하여, 세상을 구하고 삼환신(3장의 신의 카드-[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을 되찾는다. 5기 - '기억의 세계' 편(대한민국 미방영 스토리 라인) 다시 삼환신을 찾은 유우기는 기억의 석판이 있는 이집트로 가 기억의 세계로 가게 된다. 어둠의 유우기는 거기서 막 왕위에 오른 젊은 파라오였으며, 도적왕 바쿠라를 물려쳐야 끝나는 궁극의 어둠의 게임, 어둠의 RPG를 벌이게 되고, 어둠의 바쿠라의 정체는 어둠의 대사신 조크・네크로파데스였으며, 조크가 부활하게 됨에 따라 기억의 세계는 혼돈으로 빠지게 되고, 이 혼돈을 끝내기 위해서는 파라오의 이름을 알아야된다는 정보를 입수한다, 유우기와 친구들이 파라오의 이름을 알게되고 파라오는 자신의 이름인 아템을 외쳐 삼환신을 융합하여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를 소환, 조크를 물리치게 된다. 현실로 돌아온 유우기 일행은 아템을 명계로 돌려보내기 위해 듀얼을 해서 아템을 패배시켜야 된다. 결국 유우기가 아템과 듀얼을 하기로 하고, 유우기가 승리함에 따라 아템은 명계로 돌아가며 끝난다. vdeh유희왕만화 유희왕 유희왕 R 유희왕 GX 유희왕 5D's 유희왕 ZEXAL 유희왕 D팀 제알 유희왕 ARC-V 유희왕 ARC-V 최강 듀얼리스트 유야!! 극장판 빛의 피라미드 (Pyramid of Light) 시공을 초월한 우정 (Bonds Beyond Time)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The Dark Side of Dimensions) 애니메이션 유희왕 (1998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5D's 유희왕 ZEXAL 유희왕 ARC-V 유희왕 VRAINS 게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온라인 유희왕 듀얼 터미널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 유희왕 듀얼 링크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희왕_듀얼몬스터즈&oldid=23289321" 분류: 유희왕일본의 만화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2000년 애니메이션2001년 애니메이션2002년 애니메이션2003년 애니메이션2004년 애니메이션다중 인격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S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Suomi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ไทย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8일 (화) 22: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줄여서 유희왕 DM(Yu-Gi-Oh! Duel Monsters))는 2000년 4월 18일부터 2004년 9월 29일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이다. 기존의 만화 유희왕을 계승하는 작품이며,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이 발매된 지 1년 뒤에 방영되어서 방영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대한민국에서는 SBS와 애니원, 챔프TV에서 2003년 12월 8일부터 2005년 3월 14일까지 1, 5기까지 방영되었으며, 2022년 하반기에 애니플러스에서 자막판으로 방영되었다. 그리고 아래에 있는 DM 1기는 이렇게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주제가는 누가 한국어로 바꿨을까? Assistant: 정은
Human: 아래 이형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형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형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형근李亨根 1951년 당시의 청재 이형근 장군 前 대한민국 외무부 본부 대사 임기 1984년 9월 30일 ~ 1987년 11월 30일 대통령 전두환 신상정보 출생일 1920년 11월 2일(1920-11-02) 출생지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공주 사망일 2002년 1월 13일 (81세) 사망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 본관 공주(公州) 학력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경력 대한민국 합동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고문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 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행정위원 자유민주연합 고문 겸 외교안보특임위원 희망의 한국신당 고문 정당 무소속 형제 아우 이상근(李尙根, 한국전 때 전사하여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1][2] 배우자 이혜란(李慧蘭)[3][4] 자녀 이미경(장녀) 이훈(장남) 이현(차남) 이애경(차녀) 이은경(삼녀) 이보경(사녀) 친인척 이병권(조카) 이응준(장인) 이정희(장모) 이갑(처외조부) 이창선(처남) 한지원(외손녀) 별명 호(號)는 청재(靑哉)·산남(山南) 일본식 이름은 마쓰야마 다케오(松山武雄)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 군사 경력 육군 대장 시절의 이형근 군복무 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기간 일본 제국 육군(1942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1946년 ~ 1959년) 최종계급 대위(大尉) 대장(大將) 지휘 합동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 육군본부 고문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근무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참전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이형근(李亨根,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5])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다. 목차 1 일생 2 생애 3 가족 및 친척 관계 4 학력 5 함께 보기 6 각주 7 참고 자료 일생[편집] 본관은 공주(公州)이고 호(號)는 청재(靑哉)이다. 1959년 8월 6일을 기하여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충청남도 공주군 출생이며 한때 충청남도 대덕군과 충청남도 대전부과 경성부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초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李應俊)의 사위이다.[6] 대한민국 국군 초기 창군 주역이자 원조(元祖)로 평가받는다.[7] 생애[편집] 이형근은 1920년 11월 2일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생하였고,[8] 194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그 후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군 포병 대위로 복무하다가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았다.[9] 종전 후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 신청을 하였지만, 뛰어난 영어 회화 능력으로 UN과 GHQ로부터 면제를 받았다. 이렇게 그는 군사영어학교 1기, 대한민국 육군 사상 최초로 육군 대위 임관하였다.(1946년 1월 15일)[10] 그는 대한민국 국군의 상징인 "군번1번"인데,[11] 당시 군번은 유엔군사령부에서 각국의 참모들의 의견들을 받아들여 엄격히 정해진 것으로 최고사령관의 1번을 의미하였다. 문제는 이형근은 군번 "1번"이라는 문제 때문에 자신이 군번 1번이 되고 싶었던 채병덕과 불구대천지 원수지간이 되기도 했다는 것이다. 임관 후, 그는 남조선국방경비대 제2연대장을 맡았다.[12] 이어서 1946년 5월 1일에 초대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맡았고, 잠시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관 대리를 겸하였다(1946년 9월 28일 ~ 1946년 12월). 1948년 6월에는 통위부 참모총장[13] 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군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에 건너가(1948년 8월) 미국의 군사시설을 시찰한 바 있다.[14] 육군 제8사단장(1949년 6월 20일)을 맡았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후방인 육군 제2사단장에 임명(1950년 6월 18일)되어 대전의 사단 본부로 부임(6월 20일)하였고 부대 순시를 마치기도 전에 전쟁 발발 소식을 접했다(6월 25일 8시).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김백일(金白一) 대령으로부터 “지금 적이 전면남침하고 있으니 병력을 끌고 빨리 올라와 달라.”는 연락을 받은 것이다.[15][16] 1950년 10월에는 육군 제3군단장, 1951년 8월에는 육군본부 교육총장을 맡았으며, 1951년 9월에 초대 휴전회담 대표로 참여하였고, 한국군이 북진을 계속하던 1952년 1월에는 육군 제1군단장을 맡았다. 이때부터 그는 동부전선에 진출했다. 유명한 “351고지 전투”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휴전 당시 동부휴전선을 38선에서 북쪽으로 훨씬 밀어 올려둔 것도 그의 공이 컸다.[17] 진급을 거듭한 끝에, 종전 후인 1954년 2월 14일 정일권 장군과 동시에 사성(四星)장군이 되었다. 초대 대장인 백선엽 장군의 뒤를 이어 두 번째의 대장이 된 셈이다.[18] 1954년 2월 초대 합동참모총장, 1956년 6월에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이 되었다가 스스로 물러났다.(1958년 5월)[19] 1959년 8월 6일에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한 후, 제8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으로서 예비역 군인들을 지도해오다가 1961년 6월 주필리핀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주영(駐英)대사를 지냈다.[20] 그 밖에 그는, 미국 육군보병학교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도 졸업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당시 10대 미스터리를 제기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만년에 자유민주연합 외교안보특임고문을 잠시 역임한 그는 2001년 2월 하순 시기부터 당뇨와 파킨슨의 합병증으로 투병하다가 2002년 1월 13일 81세로 별세하였다. 가족 및 친척 관계[편집] 처외조부: 이갑(李甲, 1877년 5월 12일 ~ 1917년 6월 13일) 장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 초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역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및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장모: 이정희(李正熙, 1897년 ~ 1987년 9월 29일, 이응준의 부인.) 처남: 이창선(李昌善, 1921년 3월 20일 ~ 2014년 12월 12일, 이응준과 이정희의 아들. 일본 도쿄 출생. 대한민국 육사 2기 및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55년 대한민국 육군 대령 예편.) 장녀: 이미경(李美卿, 1940년 2월 23일 ~ , 기혼) 장남: 이훈(李勳, 1947년 7월 21일 ~ , 기혼.) 차남: 이현(李玄, 1950년 9월 7일 ~ , 본명 이헌(李憲). 가수 출신 기업인. 강원도 춘천 출생. 기산통신 사장. 중앙대 연극영화학과 학사 및 한양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출신. 기혼.) 차녀: 이애경(李愛卿, 1953년 12월 7일 ~ , 기혼. 인테리어 사업.) 외손녀: 한지원(韓知原, 1981년 12월 15일 ~ , 이애경의 딸. 미국 샌타 모니카 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출신. 2001년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3녀: 이은경(李恩卿, 1956년 3월 23일 ~ , 기혼.) 4녀: 이보경(李寶卿, 1957년 9월 10일 ~ , 기혼.) 동생: 이상근(李尙根, 1922년 7월 11일 ~ 1950년 9월 24일, 前 육군 제7사단 제3연대장(중령 → 대령). 前 육군 수도사단 제3연대장(대령 계급 당시 전사 → 준장 특진 추서). 대한민국 육사 2기 및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배우자와의 사이에 슬하 1남이 있었던 그는 1950년 9월 24일 한국전에서 전사한 뒤 대한민국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 조카: 이병권(李炳權, 1950년 8월 12일 ~ , 이상근의 아들. 기혼.) 학력[편집]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 졸업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미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함께 보기[편집] 이응준 이효 채병덕 정일권 백선엽 백인엽 이진용 유재흥 원용덕 김백일 신현준 김동하 김성은 김창룡 강문봉 김정렬 김영환 박정희 장도영 박임항 최영희 이한림 송요찬 최경록 강영훈 박경원 정내혁 군번 각주[편집] ↑ 친아우 이상근(李尙根)은 1950년 9월 24일 한국 전쟁 때 29세로 전사하여 대한민국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 ↑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준장 이상근 將軍 ↑ 부인 이혜란(李慧蘭)의 아명(兒名)은 이필륜(李弼倫) ↑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대장 이형근 將軍 ↑ 《동아일보》 (2002.1.14) 이형근 전합참의장 별세 ↑ “일제괴뢰 만주국서 끈끈한 '군맥' 다져 - 해방후 군부장악.. 5.16때 정치 전면에”. 세계일보. 2006년 8월 6일. 2007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2004) 196쪽.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2004) 196쪽. ↑ “統衛部發表”. 동아일보. 1948년 6월 19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참고 자료[편집] 성동기 기자 (2002년 1월 14일). “대한민국 軍 기초 다진 ‘군번 1번’ 떠나다”. 동아일보. 2008년 3월 31일에 확인함.  전임러셀 베로스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직무대리1945년 9월 28일 ~ 1946년 12월 후임송호성 전임(초대)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1954년 5월 5일 ~ 1956년 6월 27일 후임정일권 전임정일권 제9대 육군참모총장1956년 6월 27일 ~ 1957년 5월 17일 후임백선엽 전임백선엽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1959년 2월 23일 ~ 1959년 8월 6일 후임송요찬 vdeh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총 81명)정계 정래혁 박명근 남재희 정석모 장승태 채문식 한영수 고재청 유한열 오세응 손세일 권중돈 유옥우 김윤환 신상초 이종률 김철 이태구 조종호 진의종 경제계 정수창 유기정 박태준 학계 김상협 정의숙 권이혁 서명원 안세희 박봉식 박승재 김대환 나창주 김만제 한기춘 박일경 윤근식 법조계 정희택 이태청 이진우 윤길중 김사용 이병호 이범렬 임영득 종교계 강신명 이병주 이영복 서경보 조향록 전달출 김봉학 이종흥 여성계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노동계 정한주 문화·사회계 이호 송지영 정범석 박인각 김준 권정달 박윤종 이정식 이종찬 언론계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대표 이맹기 이형근 국보위 대표 이광노 이기백 심유선 조영길 이우재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정태수 서동렬 vdeh한국 전쟁 지휘관유엔군 김백일 김석원 김점곤 김정렬 김종오 김홍일 민기식 백선엽 백인엽 손원일 송요찬 신성모 신현준 이응준 이종찬 이형근 임부택 임충식 유재흥 장도영 정일권 최영희 최용덕 채병덕 더글러스 맥아더 디오니시오스 아르부지스 라울 마그랭베르느레 로버트 싱크 로렌스 카이저 마크 웨인 클라크 매슈 리지웨이 바질 A. 코드 샘 S. 워커 알렉산더 헤이그 올리버 P. 스미스 월턴 워커 윌리엄 B. 킨 윌리엄 F. 딘 존 H. 처치 제임스 밴 플리트 존 B. 콜터 타흐신 야즈즈 프랭크 W. 밀번 공산군 강건 김광협 김두봉 김무정 김웅 김일성 김책 남일 류경수 박성철 박헌영 방호산 오진우 오백룡 전우 최광 최인 최용건 최춘국 최현 게오르기 주코프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쑹스룬 양건시 왕하이 장융후이 장지후이 저우언라이 주더 펑더화이 한셴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형근&oldid=24126509" 분류: 대한민국 육군 대장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1920년 태어남2002년 죽음당뇨병으로 죽은 사람파킨슨병으로 죽은 사람일제 강점기의 군인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군사영어학교 동문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교토 대학 동문통위부 보병학교 동문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공주시 출신공주 이씨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신민주공화당새한국당통일국민당 (대한민국)신정치개혁당신민당 (1994년)자유민주연합 당원희망의 한국신당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미국 육군참모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18: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형근(李亨根,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은 일본과 대한민국의 군인,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본관은 공주, 호는 청재(靑哉). 창씨개명 당시의 이름은 마쓰야마 다케오(松山武雄). 초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의 사위이다. 대한민국 국군 초기 창군 주역이자 원조(元祖)로 평가받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형근이 육군 제8사단장을 맡게된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1949년 6월 20일 Human: 아래 조선_덕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선 덕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덕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경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선 덕종朝鮮 德宗 경릉(敬陵)내 의경세자(덕종)의 봉분 지위 조선의 추존 국왕 재위 1455년 ~ 1457년(왕세자 재위) 부왕 세조 이름 휘 이장(李暲) 별호 초명은 이숭(李崇), 이현동(李賢同) 자(字)는 원명(原明) 작위는 도원군(桃源君) 시호는 의경세자(懿敬世子) 신상정보 출생일 1438년 출생지 조선 한성부 수양대군 사저 사망일 1457년 9월 20일 (20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선당 부친 세조 모친 정희왕후 배우자 소혜왕후(왕비) 귀인 권씨(후궁) 귀인 윤씨(후궁) 숙의 신씨(후궁) 자녀 월산대군, 명숙공주, 성종 종교 유교(성리학)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생애 1.2 세자 책봉 1.3 죽음 1.4 사후 1.5 추숭과 추존 2 가족 관계 3 능묘 4 기타 5 덕종이 등장한 작품 5.1 드라마 5.2 영화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1438년(세종 21년) 수양대군의 사저에서 아버지 수양대군과 어머니 낙랑부대부인의 장자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세종대왕은 그에게 특별히 현동(賢同)이라는 이름을 친히 지어서 내려주었다. 나중에 어느 정도 자라자 이름은 숭(崇)이라 하고, 자는 원명(原明)이라 하였다. 그리고 관례를 올린 뒤에는 장(暲)으로 이름을 고쳤다. 1445년 8세에 정의대부(正義大夫)의 품계를 받았고, 도원군(桃源君)에 책봉되었으며, 성인이 된 뒤에 이름을 숭에서 장으로 개명하였다. 1450년에는 한확(韓確)의 딸 한씨와 혼례를 올렸다. 1453년 계유정난 때 공로로 흥록대부(興祿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예절이 바르고 학문을 좋아했으며, 해서에 능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아 잔병이 잦았다.[1] 세자 책봉[편집]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왕에 올라, 원자(元子)에 책봉되었다가 바로 세자(世子)에 책봉되었다. 1456년 2월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성승 등이 행사장에 별운검을 설치하여 자신은 물론 그의 아버지 세조, 동생 예종을 타살하려 하다 실패했다. 그 해 8월 세조의 명으로 행 태일전직(行太一殿直) 윤기(尹沂)·전 사직(司直) 신선경(愼先庚)·수의 교위(修義校尉) 권치명(權致命)의 딸을 뽑아 세자의 후궁인 동궁 소훈(東宮 昭訓)으로 삼았다. 그러나 후궁들과의 사이에서 본 자녀들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는 죽기 전에 늘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혼령에 시달렸으며, 그가 병상에 누워 있을 때 21명의 승려가 경회루에서 공작재를 베풀기도 했다.[1] 하지만 그는 끝내 쾌유되지 못하였다. 죽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현덕왕후입니다. 1457년(세조 3년) 9월 20일(음력 9월 2일)에 20살의 나이로 경복궁 자선당(資善堂)에서 요절하였다. 사인은 가위눌림이라고 하나 불확실하다. 야사는 의경세자와 세조가 단종의 억울한 죽음으로 인해 문종비 현덕왕후의 원한을 샀다고 전하지만, 오히려 덕종이 단종보다 먼저 사망했으므로 이 전설이 허구로 추정된다. 그가 죽자 현덕왕후의 살을 맞고 죽었다는 도사의 말을 신봉한 세조는 형수 현덕왕후의 묘를 파내 시신을 쪼개고 강물에 던졌다. 또는 관곽을 강물에 던졌다고도 하는데, 관곽이 멈춘 곳의 주민들이 임시로 거두었다가 후에 다시 능으로 조성했다 한다. 또,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세자는 용모와 의표(儀表)가 아름답고 온량(溫良) 공경(恭敬)하며, 학문을 좋아하고 또 해서(楷書)를 잘 썼다. 양궁(兩宮)이 애도(哀悼)하니, 시종한 여러 신하들이 마음 아파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라고 서술되어 있는것을 보아 의경세자는 예의 바르고 학문을 좋아하고 해서를 잘쓴 세자였으며 의경세자의 죽음은 당시에 안타까운 죽음이였음을 알 수 있다.[2] 사후[편집] 그가 죽자 그의 비 한씨는 수빈(粹嬪)으로 봉했고 궐내에서 살아도 좋다는 시아버지 세조의 배려에도 사가로 나가 살겠다며 출궁하였다. 수빈 한씨는 사저에서 불우한 세월을 보냈지만 한명회 등과 사돈이 되면서 둘째 아들 자을산군을 왕(王)으로 올리는 묵계를 체결한다. 후에 둘째 아들 자을산군 혈이 성종(成宗)으로 즉위하면서 1469년부터 추숭여론이 나타났고 1470년 1월 왕(王)으로 추존되었다가 1475년 다시 대왕(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추숭과 추존[편집] 1470년(성종 1년), 1월 18일에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숭하였다. 당시 태조 이성계의 아들이자 태종 이방원의 친형인 정종은 사후 시호가 없었고 종묘에도 배향되지 않았으므로 '정종(定宗)'이 아닌 '공정왕(恭靖王)'이라 불렀는데[3], 의경왕(懿敬王) 또한 그러하였다. 아내 수빈 한씨 또한 '왕대비(王大妃)'가 아닌 '인수왕비(仁粹王妃)'로 진책되었다. 이때 그는 왕으로는 추숭되었으나 종묘에는 배향되지 않았다. 당시 그를 왕으로 추존한 뒤 황고로 부르느냐 황백고로 부르느냐를 놓고 논란이 발생하였다. 1475년(성종 6년), 1월 6일에 의경왕(懿敬王)을 의경대왕(懿敬大王)으로 추존하였다.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춘추관(春秋館)에서 논의하여 올린 첫 시호는 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었고 1월 21일(임술)에 최종적으로 예조(禮曹)에서 올린 시호가 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였다. 따라서 인수왕비(仁粹王妃) 또한 인수왕대비(仁粹王大妃)로 진책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왕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조부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1450, 재위 1418~1450) 조모 : 소헌왕후 청송 심씨(昭憲王后 靑松 沈氏, 1395~1446) 고모 :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1424) 백부 : 제5대 문종대왕(文宗大王, 1414~1452, 재위 1450~1452) 백모 : 현덕왕후 안동 권씨(顯德王后 安東 權氏, 1418~1441) 사촌누나 :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1474) 사촌동생 : 제6대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 재위 1452~1455) 고모 :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1477) 아버지 : 제7대 세조대왕(世祖大王, 1417~1468, 재위 1455~1468) 숙부 : 장소공 안평대군 용(章昭公 安平大君 瑢, 1418~1453) 숙부 : 정간공 임영대군 구(貞簡公 臨瀛大君 璆, 1420~1469) 숙부 : 장의공 광평대군 여(章懿公 廣平大君 璵, 1425~1444) 숙부 : 정민공 금성대군 유(貞愍公 錦城大君 瑜, 1426~1457) 숙부 : 정헌공 평원대군 임(定憲公 平原大君 琳, 1427~1445) 숙부 : 영응대군 염(永膺大君 琰, 1434~1467) 외조부 : 판중추부사 파평부원군 윤번(判中樞府事 坡平府院君 尹璠, 1384~1448) 외조모 :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興寧府大夫人 仁川 李氏, 1383~1456) 어머니 : 정희왕후 파평 윤씨(貞熹王后 坡平 尹氏, 1418~1483) 동생 : 의숙공주(懿淑公主, 1442~1477)[4] 동생 : 제8대 예종대왕(睿宗大王, 1450~1469, 재위 1468~1469) 추존 덕종대왕(德宗大王, 1438~1457, 왕세자 재위 : 1455~1457) 왕비1명, 간택후궁3명 : 자녀3명 정비 : 소혜왕후 청주 한씨(昭惠王后 淸州 韓氏, 1437~1504)[5] 장자 : 월산대군(月山大君,1454~1488) 며느리 : 승평부대부인 순천 박씨(昇平府大夫人 順天 朴氏 1455~1506)[6] 장녀 : 명숙공주(明淑公主, 1455~1482) 아들 : 제9대 성종대왕(成宗大王, 1457~1494, 재위 1469~1495) 며느리 : 공혜왕후 청주 한씨(恭惠王后 淸州 韓氏, 1456~1474)[7] 며느리 : 폐비 함안 윤씨(廢妃 咸安 尹氏, 미상~1482)[8] 손자 : 원자 이효신(元子 李孝信, 1475~1475) 손자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손자 : 대군(大君) 며느리 : 정현왕후 파평 윤씨(貞顯王后 坡平 尹氏, 1462~1530)[9] 손자 : 제11대 중종대왕(中宗大王, 1488~1544, 재위 1506~1544) 후궁 : 귀인 권씨(貴人 權氏, 미상~1494)[10][11][12] 후궁 : 귀인 윤씨(貴人 尹氏, 생몰년 미상)[10][11][13] 후궁 : 숙의 신씨(淑儀 愼氏, 미상~1476)[14] 능묘[편집] 그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1457년 의경세자가 요절하자, 현재의 위치에 조성되었다. 1504년 소혜왕후 한씨도 승하하여 오른쪽 언덕에 안장되었다. 1970년 5월 26일 서오릉의 하나로 사적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기타[편집] 한편 그의 사후 아버지인 세조가 며느리뻘인 귀인 권씨(貴人 權氏)와 귀인 윤씨(昭訓 尹氏)를 범하려 했다는 추문이 돌았다. 권 귀인과 윤 귀인은 세조의 장남 덕종의 후궁들이었다.[10][11] 김일손은 이 사실을 그대로 사초에 실었다가 사화의 원인이 되었고 김일손 자신도 희생되었다.[10][11]김일손은 귀인권씨의 조카이자 양자 허반(許磐)에게서 들은 것을 사초에 기록하였는데[10] 연산군은 사초 기사 중 권귀인은 바로 덕종의 후궁이온데 세조께서 일찍이 부르셨는데도 분부를 받들지 아니했다'는 구절과 '세조는 귀인 윤씨(昭訓 尹氏)에게 많은 전민과 가사를 내렸고 항상 어가가 따랐다'는 사초의 내용을 구실삼았다.[10][11] 덕종이 등장한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박병훈) 《한명회》 (KBS 2TV, 1994년 배우:윤다훈) 《왕과 비》 (KBS 1TV, 1998년~2000년 배우:이광기)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이지오) 《공주의 남자》 (KBS 2TV, 2011년~2011년 배우:권현상)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백성현) 영화[편집] 《세조대왕》(1970년, 배우: 이순재) 같이 보기[편집] 계유정난 세조반정 인수대비 한확 한명회 신숙주 권람 제안대군 인성대군 이세희 의숙공주 정현조 정인지 정숭조 현덕왕후 무오사화 한치형 덕원군 창원군 월산대군 박원종 각주[편집] ↑ 가 나 다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112페이지 ↑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9권 세조3년 9월 2일 ↑ 정종에게는 숙종 때 정식으로 묘호와 시호가 올려졌다. ↑ 야사 금계필담에는 누나가 1명(이세희) 있었다고 하나, 실재했는지는 확실하지는 않다. ↑ 서원부원군 한확(西城府院君 韓確)의 딸. ↑ 판돈녕부사 박중선(判敦寧府事 朴仲善)의 딸. ↑ 상당부원군 한명회(上黨府院君 韓明澮)의 딸. ↑ 함안부원군 윤기견(咸安府院君 尹起畎)의 딸. ↑ 영원부원군 윤호(鈴原府院君 尹壕)의 딸. ↑ 가 나 다 라 마 바 歷史 왜곡과 조선의 史官 서울신문 2001년 7월 14일자 ↑ 가 나 다 라 마 아는 만큼 힘들다 (이종범의 사림열전) 김일손(金馹孫): 당신의 죽음은 하늘의 시샘이었다 ⑥ 프레시안 2007년 11월 12일자 ↑ 수의교위 권치명(修義校尉 權致命)의 딸. ↑ 현감 윤기(縣監 尹沂)의 딸. ↑ 동지중추부사 신선경(同知中樞府事 愼先庚)의 딸. 외부 링크[편집] 조선 덕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조선 덕종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vdeh조선과 대한제국의 왕자/황자 목록추존왕 목조 소생 안천대군 어선 안원대군 진 안풍대군 정 익조 행리 안창대군 매불 안흥대군 구수 추존왕 익조 소생 함녕대군 안 함창대군 장 함원대군 송 도조 춘 함천대군 원 함릉대군 고태 함양대군 전 함성대군 응거 추존왕 도조 소생 완창대군 자흥 환조 자춘 완원대군 자선 완천대군 평 완성대군 종 이완자불화 이나해 추존왕 환조 소생 태조 성계 완풍대군 원계 영성대군 천계 의안대군 화 태조 소생 진안대군 방우 영안대군 방과 → 정종 익안대군 방의 회안대군 방간 정안대군 방원 → 태종 덕안대군 방연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 정종 소생 의평군 원생 순평군 군생 금평군 의생 선성군 무생 종의군 귀생 진남군 종생 수도군 덕생 임언군 녹생 석보군 복생 덕천군 후생 임성군 호생 도평군 말생 장천군 보생 정석군 융생 무림군 선생 태종 소생 양녕대군 제 효령대군 보 충녕대군 도 → 세종 성녕대군 종 경녕군 비 함녕군 인 온녕군 정 익녕군 치 근녕군 농 희령군 타 후령군 간 혜령군 지 세종 소생 왕세자 향 → 문종 수양대군 유 → 세조 안평대군 용 임영대군 구 광평대군 여 금성대군 유 평원대군 임 영응대군 염 화의군 영 계양군 증 의창군 공 밀성군 침 익현군 연 영해군 당 담양군 거 한남군 어 수춘군 현 영풍군 전 문종 소생 왕세자 홍위 → 단종 단종 소생세조 소생 의경세자 장 → 추존왕 덕종 해양대군 황 → 예종 덕원군 서 창원군 성 추존왕 덕종 소생 월산대군 정 잘산대군 혈 → 성종 예종 소생 인성대군 분 제안대군 현 성종 소생 왕세자 융 → 연산군 진성대군 역 → 중종 무산군 종 안양군 항 봉안군 봉 전성군 변 계성군 순 완원군 수 회산군 념 견성군 돈 익양군 회 경명군 침 운천군 인 양원군 희 이성군 관 영산군 전 연산군 소생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이인수 이영수 이총수 양평군 인 이돈수 중종 소생 왕세자 호 → 인종 경원대군 환 → 명종 복성군 미 금원군 영 봉성군 완 영양군 거 덕흥군 초 → 덕흥대원군 해안군 희 덕양군 기 인종 소생명종 소생 순회세자 부 선조(양자) 선조 소생 영창대군 의 임해군 진 광해군 혼 의안군 성 신성군 후 정원군 부 → 추존왕 원종 의창군 광 순화군 보 인성군 공 인흥군 영 경창군 주 흥안군 제 경평군 늑 영성군 계 광해군 소생 폐세자 지 추존왕 원종 소생 능양대군 종 → 인조 능원대군 보 능창대군 전 능풍군 명 인조 소생 소현세자 왕 봉림대군 호 → 효종 인평대군 요 용성대군 곤 숭선군 징 낙선군 숙 효종 소생 왕세자 연 → 현종 현종 소생 왕세자 순 → 숙종 숙종 소생 왕세자 균 → 경종 성수 영수 연잉군 금 → 영조 연령군 훤 경종 소생영조 소생 효장세자 행 → 추존왕 진종 장헌세자 선 → 추존왕 장조 추존왕 진종 소생 정조(양자) 추존왕 장조 소생 의소세손 정 왕세손 산 → 정조 은언군 인 은신군 진 은전군 찬 정조 소생 문효세자 순 왕세자 공 → 순조 상계군 담(양자) 순조 소생 효명세자 영 → 추존왕 문조 철종(양자) 추존왕 문조 소생 왕세손 환 → 헌종 고종(양자) 헌종 소생철종 소생 원자 융준 고종 소생 왕세자 척 → 순종 완친왕 선 의친왕 강 의민황태자 은 순종 소생의민황태자 소생 원손 진 왕세자 구 vdeh조선의 역대 국왕 추존왕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덕종)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원종)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진종) (장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 철종 고종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선_덕종&oldid=24180358" 분류: 조선 덕종1438년 태어남1457년 죽음조선의 왕세자조선의 작가조선의 시인조선의 추존왕조선의 서예가조선의 왕족전주 이씨병사한 사람조선 세조조선 성종조선 예종15세기 한국 사람15세기 한국의 군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7: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덕종(德宗, 1438년 10월 12일 (음력 9월 15일) ~ 1457년 9월 29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다. 세종의 손자이자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맏아들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그가 태어난 때는 아버지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이었다. 계유정난(1453)으로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다. 건강이 좋지 않아 잔병치레가 잦던 중에 1457년 20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는데, 죽기 전에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혼령에 자주 시달리다가 가위눌림으로 사망하였다고는 하나 사인은 불확실하다. 슬하에 4살된 월산대군이 있었음에도 세손으로 책봉되지 못하고 동생인 해양대군(훗날 예종)이 세자로 책봉된다.1469년에 차남 잘산군이 성종으로 즉위한 후 1470년에 의경왕(懿敬王)으로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원래는 의경왕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선 덕종은 몇살 때 요절했을까? Assistant: 20살
Human: 아래 루한스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루한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한스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간스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한스크 ЛуганськЛуганск 시기 휘장 루한스크북위 48° 34′ 00″ 동경 39° 20′ 00″ / 북위 48.566667° 동경 39.333333°  / 48.566667; 39.333333좌표: 북위 48° 34′ 00″ 동경 39° 20′ 00″ / 북위 48.566667° 동경 39.333333°  / 48.566667; 39.333333 행정 나라 우크라이나 지역 루한스크주 역사 설립 1795년 인구 인구 425,848 명 (2013년) 인구밀도 1,802 명/km2 지리 면적 257 km2 해발 105 m 기타 시간대 UTC+2 우편번호 91000 지역번호 +380 642 루한스크 성 볼로디미르 성당 루한스크(우크라이나어: Луга́нськ; 러시아어: Луга́нск 루간스크[*])는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주도이자, 돈바스 지역의 역사적인 도시이다. 2004년의 인구는 445,900명이다. 루한스크는 동유럽에서 중요한 공업 도시이다. 1795년에 금속 공장이 이곳에 지어졌다. 옛 이름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에서 유래된 보로실로브그라드(1935년 ~ 1958년, 1970년 ~ 1990년, 러시아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 우크라이나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였다. 2014년 이후부터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장악하고 있다. 목차 1 인구 2 기후 3 행정 구역 (괄호 안은 러시아식 이름) 4 자매 도시 5 루한스크의 유명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인구[편집] 1998년의 루한스크 인구는 528,400명이었다. 이중 러시아인이 52.5%, 우크라이나인이 41%, 벨라루스인과 유대인이 1%였다. 사용 언어도 러시아어가 89%, 우크라이나어가 11%였다. 기후[편집] Luhansk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2.8 (55) 17.3 (63.1) 23.1 (73.6) 31.8 (89.2) 36.6 (97.9) 39.4 (102.9) 40.5 (104.9) 42.0 (107.6) 36.8 (98.2) 31.2 (88.2) 22.8 (73) 15.6 (60.1) 42.0 (107.6) 평균최고기온 °C (°F) −1.0 (30.2) −0.4 (31.3) 5.7 (42.3) 15.6 (60.1) 22.2 (72) 26.4 (79.5) 28.7 (83.7) 28.2 (82.8) 21.8 (71.2) 13.9 (57) 5.2 (41.4) 0.1 (32.2) 13.9 (57) 일평균기온 °C (°F) −4.0 (24.8) −4.1 (24.6) 1.4 (34.5) 9.7 (49.5) 15.8 (60.4) 20.1 (68.2) 22.3 (72.1) 21.2 (70.2) 15.3 (59.5) 8.6 (47.5) 1.8 (35.2) −2.7 (27.1) 8.8 (47.8) 평균최저기온 °C (°F) −6.8 (19.8) −7.4 (18.7) −2.4 (27.7) 4.2 (39.6) 9.4 (48.9) 13.8 (56.8) 16.0 (60.8) 14.5 (58.1) 9.4 (48.9) 4.0 (39.2) −1.3 (29.7) −5.5 (22.1) 4.0 (39.2) 최저기온기록 °C (°F) −41.9 (−43.4) −36.9 (−34.4) −27.3 (−17.1) −12.1 (10.2) −8.2 (17.2) −1.8 (28.8) 5.2 (41.4) −0.4 (31.3) −7.2 (19) −16.3 (2.7) −26.3 (−15.3) −29.6 (−21.3) −41.9 (−43.4) 평균 강수량 mm (인치) 36 (1.4) 36 (1.4) 32 (1.3) 33 (1.3) 50 (2) 61 (2.4) 63 (2.5) 34 (1.3) 45 (1.8) 35 (1.4) 39 (1.5) 39 (1.5) 503 (19.8) 평균강우일수 10 8 11 14 13 14 12 8 11 11 13 10 135 평균강설일수 17 16 10 1 0.1 0.03 0 0 0.1 1 7 16 68 평균 상대 습도 (%) 84 82 77 65 62 63 63 60 67 75 84 85 72 출처: Pogoda.ru.net[1] 행정 구역 (괄호 안은 러시아식 이름)[편집] 아드테미우스키 구(Артемівський район, 아르툐몹스키 구(Артёмовский)) 조우트네비 구(Жовтневий район, 좁트네비 구(Жовтневый)) 카미야노브로드시코호 구(Кам'янобродського район, 카메노브로츠키 구(Каменнобродский)) 레닌스키 구(Ленінський район, 레닌스키 구(Ленинский)) 자매 도시[편집] 루블린 (폴란드) 카디프 (영국) 페르니크 (불가리아) 생테티엔 (프랑스) 세케슈페헤르바르 (헝가리) 다칭 시 (중화인민공화국) 루한스크의 유명인[편집] 블라디미르 달 (1801-1872)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각주[편집] ↑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Weather and climate] (러시아어). pogodaiklimat.ru. 2014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루한스크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전거 통제 WorldCat LCCN: n83052584 GND: 4468817-9 이 글은 우크라이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한스크&oldid=24172801" 분류: 루한스크우크라이나의 도시루한스크의 도시우크라이나의 주도우크라이나의 옛 수도루한스크주의 도시숨은 분류: CS1 - 러시아어 인용 (ru)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우크라이나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우크라이나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CebuanoQırımtatarca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alaallisutКоми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پنجابیΠοντιακά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Ślůnski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16: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루한스크(우크라이나어: Луга́нськ 루햔스크[*]; 러시아어: Луга́нск 루간스크[*], 문화어: 루간스크)는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주도이자, 돈바스 지역의 역사적인 도시이다. 2004년의 인구는 445,900명이다. 루한스크는 동유럽에서 중요한 공업 도시이다. 1795년에 금속 공장이 이곳에 지어졌다. 옛 이름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에서 유래된 보로실로브그라드(1935년 ~ 1958년, 1970년 ~ 1990년, 러시아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 우크라이나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였다. 2014년 이후부터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장악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루한스크의 1월 최고기온기록은 무엇일까? Assistant: 12.8 (55) Human: 아래 연제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연제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제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0′ 38″ 동경 129° 05′ 29″ / 북위 35.1773466° 동경 129.0914373°  / 35.1773466; 129.0914373 연제고등학교蓮堤高等學校Yeonje High School 교훈 스스로 다스리고 하나로 뭉쳐 연제에서 세계로 미래로 개교 2006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최종원 교감 김용정 국가 대한민국 위치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30번길 31 (연산동) 학생 수 628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78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관할관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yeonje.hs.kr 연제고등학교(蓮堤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2005년 10월 15일 : 연제고등학교 설립인가 (남녀 8학급 완성 24학급 인가) 2005년 12월 29일 : 연제고등학교 신축교사 준공 2006년 3월 1일 : 초대 김한원 교장 취임 2006년 3월 3일 : 2006학년도 입학식 (8학급 남 4학급, 여 4학급, 계 280명) 2006년 3월 20일 : 정독실 설치 (연학재, 형설재, 청운재, 수연재 160석 완비) 2006년 11월 10일 : 태권도부 창단 (신입생 6명으로 구성) 2007년 3월 1일 : 교내자율장학 연구학교 운영 2007년 11월 23일 : 인조잔디구장 개장 2009년 2월 10일 : 제1회 졸업식(졸업생 263명) 2011년 3월 1일 : 학교 숲 가꾸기 연구학교 운영 2012년 3월 1일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운영(~2017.02.28. 5년) 2016년 10월 28일 : 자율형 공립학교 운영 재지정(2017.03.01. - 2022.02.28. 5년간) 2016년 9월 1일 : 제5대 최종원 교장 취임 2019년 2월 12일 : 제11회 졸업식(250명, 졸업생 총원 3,078명) 2019년 3월 4일 : 제14회 입학식(195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연제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연제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연제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서구 경일고 덕문고 명호고 부산강서고 부산대저고 부산산업과학고 금정구 금정여고 금정전자공고 남산고 내성고 대진전자통신고 동래여고 부산과고 부산사대부고 부산예고 부산정보관광고 브니엘고 브니엘여고 브니엘예고 지산고 기장군 기장고 부산장안고 신정고 장안제일고 정관고 남구 대양전자통신고 대연고 동명공고 동천고 문현여고 배정고 부산경영고 부산공고 부산세무고 부산중앙고 분포고 성지고 예문여고 한국조형예술고 한얼고 동구 경남여고 금성고 데레사여고 부산고 부산컴퓨터과학고 동래구 금정고 대명여고 동래고 동래원예고 동인고 부산전자공고 부산중앙여고 사직고 사직여고 용인고 충렬고 학산여고 혜화여고 부산진구 가야고 개금고 개성고 경남공고 경원고 동의공고 부산국제고 부산동고 부산동성고 부산마케팅고 부산정보고 부산진고 부산진여고 부산진여상 성모여고 세정상고 양정고 한국과학영재학교 북구 경혜여고 금곡고 금명여고 낙동고 만덕고 부산백양고 삼정고 성도고 화명고 사상구 구덕고 대덕여고 사상고 서부산공고 주례여고 사하구 건국고 다대고 대광발명과학고 대동고 동아고 동아공고 부산여고 부산일과학고 부산자동차고 부일외고 부일전자디자인고 삼성여고 성일여고 해동고 서구 경남고 경성전자고 부경고 부산관광고 부산서여고 수영구 덕문여고 부산남일고 부산동여고 부산여상 연제구 계성여상 부산외고 연제고 이사벨고 지구촌고 영도구 광명고 부산남고 부산보건고 부산영상예술고 부산체고 부산해사고 영도여고 중구 남성여고 동주여고 부산디지털고 혜광고 해운대구 반여고 부산국제외고 부산기계공고 부산문화여고 부흥고 센텀고 신도고 양운고 영산고 해강고 해운대고 해운대공고 해운대관광고 해운대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서울 경동고등학교 경일고등학교 고척고등학교 광양고등학교 구현고등학교 금천고등학교 당곡고등학교 대영고등학교 등촌고등학교 면목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 상암고등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 수락고등학교 원묵고등학교 중경고등학교 청량고등학교 부산 경남고등학교 경남여자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금정고등학교 낙동고등학교 부산남고등학교 부산중앙고등학교 부산진고등학교 부산여자고등학교 사상고등학교 연제고등학교 영도여자고등학교 주례여자고등학교 대구 강동고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구암고등학교 달성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서부고등학교 대진고등학교 상인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칠성고등학교 포산고등학교 학남고등학교 호산고등학교 인천 강화고등학교 동인천고등학교 인천공항고등학교 인천상정고등학교 인천신현고등학교 인천예일고등학교 광주 광주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상일여자고등학교 대전 대전고등학교 대전노은고등학교 대전송촌고등학교 대전여자고등학교 충남고등학교 울산 문현고등학교 약사고등학교 세종 한솔고등학교 경기 고색고등학교 군포중앙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 양주고등학교 와부고등학교 운정고등학교 의왕고등학교 저현고등학교 청학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함현고등학교 충북 단양고등학교 오송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충주고등학교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충남 강경고등학교 논산고등학교 덕산고등학교 대산고등학교 서천여자고등학교 용남고등학교 천안업성고등학교 전남 광양고등학교 나주고등학교 남악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순천고등학교 여수고등학교 해남고등학교 경북 경산고등학교 북삼고등학교 봉화고등학교 상주여자고등학교 안동고등학교 영주제일고등학교 울진고등학교 인동고등학교 점촌고등학교 경남 거제제일고등학교 김해경원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김해제일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양산고등학교 웅천고등학교 진양고등학교 진주고등학교 창원중앙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여자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vdeh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태권도부서울 관악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서울체육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 송곡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잠실고등학교 창동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부산 금정고등학교 금정여자고등학교 동천고등학교 부산골프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체육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연제고등학교 대구 경북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다사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영송여자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 협성고등학교 인천 강화고등학교 계양고등학교 광성고등학교 부광고등학교 선인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체육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광주 광주체육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 첨단고등학교 대전 대전관저고등학교 대전체육고등학교 울산 방어진고등학교 신정고등학교 우신고등학교 효정고등학교 경기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고양외국어고등학교 광동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기흥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원고등학교 무원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사우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성안고등학교 소사고등학교 송림고등학교 수내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숙지고등학교 시온고등학교 시흥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운천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천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정발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평내고등학교 풍덕고등학교 풍생고등학교 효성고등학교 강원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강원체육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상지여자고등학교 철원고등학교 충북 제천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청주신흥고등학교 충북체육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충남 대천고등학교 대천여자고등학교 서산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천안정보고등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충남체육고등학교 전북 군산고등학교 군산여자고등학교 군산중앙고등학교 만경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 전북체육고등학교 전주영생고등학교 진안제일고등학교 전남 광양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여수고등학교 영광고등학교 영광실업고등학교 전남체육고등학교 경북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체육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계림고등학교 금오공업고등학교 김천고등학교 영천고등학교 오상고등학교 포항영신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경남체육고등학교 마산구암고등학교 김해경원고등학교 양산고등학교 양산여자고등학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웅천고등학교 창원용호고등학교 제주 남녕고등학교 남주고등학교 삼성여자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검도부 골프부 국궁부 농구부 동계스포츠부 레슬링부 바둑부 배구부 사격부 수영부 야구부 양궁부 유도부 조정부 축구부 카누부 태권도부 탁구부 펜싱부 필드하키부 핸드볼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연제고등학교&oldid=24454377" 분류: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대한민국의 고등학교 태권도부부산 연제구의 고등학교2006년 개교남녀공학 고등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연제고등학교(蓮堤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위치한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연제고등학교가 첫 졸업식을 한 때는 언제인가? Assistant: 2009년 2월 10일
Human: 아래 도네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네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 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강 利根川Tone River (지리 유형: 강) 도네강 하구 (2008년) 나라 일본 지방 나가노현 · 군마현 · 도치기현 · 사이타마현 · 이바라키현 · 도쿄도 · 지바현 발원지 오미나카미산  - 고도 1,831m (6,007ft) 하구 태평양 길이 322km (200mi) 면적 16,840km² (6,502sq mi) 유량  - 평균 256m³/s (9,041cu ft/s) 참고 문헌: 《도네 강 100년사》, 《하천편람 2004년판》 도네강(일본어: 利根川, とねがわ 도네가와[*])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다.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하여, 간토 지방을 북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흐른다. 도네강 수계의 본류로, 일본 정부의 하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급 하천으로 관리받고 있다.[1] "반도타로" (坂東太郎)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타로는 도네강이 "간토 지방의 하천 중 장남 격이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임을 의미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수도권의 거주민들을 위한 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네강의 강수량이 수도권 지역의 취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2] 목차 1 지리 2 자연과 생태 2.1 기후와 강물 2.2 지리와 지질 2.3 지하자원 2.4 식생과 곤충 2.5 동물 2.6 어류와 수생생물 3 명칭 4 유역 4.1 본류 4.2 지류와 분류 4.3 늪과 호수 5 역사 5.1 중세 이전 5.2 에도 시대 전기 5.3 에도 시대 후기 5.4 근대의 도네강 5.5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 5.6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 5.7 개발과 지역 마찰 6 주해 7 각주 8 참고 자료 지리[편집] 상류 (군마현 마에바시시) 중류 (군마현 오라군 메이와정) 하류 (이바라키현 - 지바현 경계)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에 자리하고 있는 미쿠니산맥의 오미나카미산(표고 1,840m)에서 발원한다. 남쪽으로 흐르다 다카사키시역을 거쳐 가라스강과 합류하면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쿄만으로 흐르는 에도강과 갈라진 뒤,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의 지리적 경계선을 이루며 동쪽으로 흐르다, 지바현 조시시 근처의 가시마나다에서 태평양과 합류한다. 총연장은 332km로, 시나노강에 이어 일본 내 2위, 유역면적은 약 16,840km2로 일본 내 1위이다. 간토 지방의 1개 도와 5개 현(가나가와현 제외)을 지나가며, 가라스강의 일부 지류가 나가노현 사쿠시에서 발원한다.[3][주 1] 도네강의 상류와 중류, 하류는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4] 상류: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군마현 이세사키시 얏타섬 (八斗島)까지. 중류: 얏타섬에서 지바현 노다시의 에도 강 분기점까지. 하류: 에도강 분기점에서 조시 시의 하구까지. 도네강이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한다는 사실은 1954년 군마현 산악연맹의 "오쿠토네 수원 조사 등산대"에 소속되어 있던 30명이 밝혀냈다. 이들은 발원지를 찾아 강을 직접 거슬러 올라갔다.[5] 발원지에 관련된 최초의 사료는 무로마치 시대에 쓰인,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일대기인 《의경기》로, 《의경기》에는 도네강의 발원지가 지금의 미나카미정 후지와라 부근이라고 적혀있다. 오미나카미산의 이름은 에도 시대 초반인 1640년대에 그려진 막부 공인 지도인 《쇼호구니에즈》에 처음으로 나왔다. 그러나 도네강의 정확한 발원지는 1835년에 그려진 《에도메이소즈카이》나 1858년에 그려진 《도네가와즈시》 등에서 서로 발원지를 다르게 표시하는 등, 오랫동안 밝혀내지 못해왔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강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되어, 1894년과 1926년에 두 번의 조사를 한 후, 1954년 지금의 위치로 발원지를 확정했다. 이 밖에, 군마현 당국이 1975년에 전문가들을 모아 도네강 유역의 종합학술조사를 시행하기도 했다.[6] 도네강의 출발점은 오미나카미산 북동쪽 사면, 표고 1,800m 부근에 있는 삼각형의 골짜기 끝이다. 원류부는 험준한 계곡인데, 크고 작은 못들에서 흘러나온 물들이 오쿠토네호로 모이게 된다. 야기사와 댐, 스다가이 댐, 후지와라 댐을 통과하면서 남서쪽으로 유로를 틀어, 미나카미 온천 부근에서 협곡을 형성하며 남쪽으로 흐른다. 미나카미정 쓰키요노에서 아카다니 천과, 누마타시에서 가타시나강과 합류하는데, 가타시나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하안 단구를 형성한다. 누마타시에서 시부카와시 경계에 걸쳐서는 아야토 계곡을 형성하며 구불구불하게 흐르다, 시부카와시의 시내에서 아가쓰마강과 합류하여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를 통과한다. 다카사키시에서는 가라스강과 합류해, 이세사키시의 얏타섬에 이른다. 얏타섬 부근부터 강의 폭은 넓어진다.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부근에서 약 500m 수준으로,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지역에서는 약 900m 규모로 넓어지는 것이다.[7] 도네 보 (利根大堰)에서는 무사시 수로가 갈라져, 도네강물을 아라카와강과 연결한다. 도네 보를 지나 와타라세강과 합류하여,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가운데를 흘러 이후 남동쪽으로 흐르는데, 이 구간을 따라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의 경계선이 정해졌다. 노다시에서는 에도강과, 지바현 가시와시에서는 도네 운하와 갈라지며, 이바라키현 모리야시에서는 기누강, 도리데시와 기타소마군 도네정의 경계점에서는 고카이강과 합류한다. 가토리시와 도네강 하구언을 지나, 히타치토네강, 구로베강과도 합류한다. 두 강과의 합류 지점을 지나면서 강의 폭은 최대 1km까지 넓어지게 된다.[7] 가미스시와 조시시의 지리적 경계를 이룸을 끝으로,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네강 하류 지역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보유한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 인바 늪, 우시쿠 늪, 데가호 등 여러 개의 자연 습지가 만들어져 있다. 자연과 생태[편집] 도네강은 유역이 넓고 긴 강이기 때문에, 자연 환경과 생태계가 상류, 중류, 하류 지역에서 저마다 다르게 나타나곤 한다. 기후와 강물[편집] 도네강 중류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 있는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의 구리하시 관측소. 과거의 홍수 때 수위에 따라 기둥에 흰 빗금이 그어져 있다. 도네강 유역의 기후는 대체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데, 이는 도네강이 흐르는 간토 평야가 북태평양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이 모두 항상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를 보이지는 않으며,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강수량은 연평균 1,300mm로, 일본 전국의 연평균 강수량 1,700mm보다는 밑돌고 있다.[8] 상류부는 미쿠니산맥을 비롯한 고산 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고 기온이 매우 낮아진다. 상류부 지역은 간토 지방에서 비교적 많은 눈이 내리는 다설지에 속해 있어, 1955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간 누적 적설량을 오미나카미산 발원지가 16m, 야기사와 상류부가 10 ~ 14m, 미나카미정 부근과 가타시나강 상류부가 2 ~ 10m을 기록하고 있다.[8] 이렇게 쌓인 눈은 봄철이 되면 녹아, 도네강을 따라 흐르면서 수도권 지역에서 용수로 쓰이게 된다. 중류부는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비교적 높아지며, 맑은 날씨가 잦아진다. 2007년 8월 16일 구마가야시에서 기록된 기온인 섭씨 40.9도는 같은 날 기후현 다지미시에서 기록된 기온과 함께, 일본 최고 기온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 군마현과 도치기현에서는 여름철에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자주 내린다.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건조한 계절풍이 불어오는데, 군마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건조 계절풍을 "조슈의 강바람", "아카기의 바람", "하루나의 바람"이라고 불러왔다.[9] 하류부는 구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아 습윤한 해안성 기후를 보이기 때문에 중류부보다는 폭염 현상이 비교적 덜 발생하는 편이나, 겨울철에는 흐린 날씨가 비교적 잦아진다.[10] 비는 중류부와 하류부를 중심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태풍이 불어올 때 가장 많이 내린다. 하지만 도네강의 연평균 강수량은 강수량을 처음으로 재기 시작한 1900년부터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20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비가 내린 해와 비가 비교적 적게 내린 해의 강수량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8] 도네강의 연간 유량은 약 91.5t으로, 시나노강, 모가미강, 아가노강, 기타카미강에 이어 일본 내에서는 5위이다. 이는 도네강보다 윗순위에 있는 하천들이 비록 유역 면적이 도네강보다는 좁지만, 모두 적설량이 많은 다설 지역을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유량은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의 관측 지점을 기준으로, 초당 290.43m3이다. 연평균 유량도 일본 전국의 강들 중에서는 5위에 속한다.[11] 지리와 지질[편집] 간나강의 지류인 산바강에서 생산되는 변성암들. "산바세키"라 불리는 이 변성암은 일본의 천연기념물 중 하나이다. 도네강과 시나노강의 분수령인 미쿠니산맥을 이루는 산 중 하나인 다니가와산. 도네강 유역의 상류부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 지형이 대부분이며, 중류부와 하류부의 대부분은 충적 평야이다. 도네강 최상류부의 오쿠토네 주변은 신생대 고제3기에 형성된 화강암 지형이다. 그 밖의 산지들은 신제3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형으로, 간토 산지, 야미조 산지, 아시오 산지는 고생대에서 중생대 사이에 걸쳐 형성된 각암, 사암, 점판암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가라스 강 유역, 특히 간나 강 일대는 일명 "산바가와 변성대"라 불리는데, 간나 강의 산바 골짜기나 지류인 산바 강에서는 "산바세키"라 불리는, 녹색에 가까운 결정 편암 (변성암의 하나)이 다수 발견된다. 군마 현, 도치기 현 일대를 흐르는 지류들의 상류부에는 여러 개의 화산이 있는데, 화산들의 분출 활동으로 만들어진 화산 쇄설물층이나, 용암이 풍화한 화강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발견된다. 중류부와 하류부의 구릉지대와 홍적대지는 제4기에 형성되었는데, 과거 도쿄만에서 흘러와 퇴적된 모래와 진흙으로 형성된 시모우사 지층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지층 위에는 간토 롬층이 덮여 있다. 충적 저지대는 신생대 전기인 갱신새 말기부터 완신세에 걸쳐 형성된 두터운 충적층이 주를 이르며, 지금의 도쿄 만 연안부 등에서는 최대 60m에서 80m 사이까지 두꺼워진다. 한편, 제4기에 간토 산지 등 간토 평야를 에워싼 주변 산지의 융기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상대적으로 평야 중앙부가 침강하는 조분지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충적 저지대에서는 상류에서 흘러온 토사가 충적층에 퇴적되었다. 그 후 침강한 평야 중앙부가 다시 융기하면서 그 곳으로 토사가 쌓여, 지금의 대지와 저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13] 이렇게 형성된 산지나 대지가 지금의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군마 현과 니가타현의 경계를 이루는 미쿠니산맥과, 군마현·도치기현·후쿠시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다이샤쿠산맥, 그리고 이바라키현에서 도치기현에 걸쳐 있는 야미조 산지의 남쪽 사면과, 군마현·나가노현·사이타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간토 산지의 동쪽 사면에 내리는 비가 도네강으로 흐르는 것이다.[13] 미쿠니산맥은 태평양과 동해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미쿠니산맥을 경계로 남쪽 사면은 도네강 본류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못의 발원지를 이루고 있다. 반면 북쪽 사면은 우오노강·나카쓰강 등, 시나노강의 수계를 이루고 있다.[14] 다이샤쿠산맥에 속한 난타이산, 닛코시라네산, 오제고원 등지는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에 내린 비가 각각 기누강, 가타시나강으로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서쪽 사면에는 오제 늪을 수원으로 하는 다다미강이 흐르며, 다다미강은 아가노강과 합류한다. 야미조 산괴, 도리코 산괴, 게이조쿠 산괴, 쓰쿠바 산괴를 포함하는 야미조 산지와, 야미조 산괴에서 이어지는 우쓰노미야시 부근의 대지, 이바라키현 중남부에 펼쳐진 조소 대지도 남북 사면으로 나뉘는데, 남쪽 사면으로는 기누강·고카이강 등이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쪽 사면으로는 도키가와강·아라카와강, 히누마강 등 나카강의 지류들이 태평양으로 흐른다.[15] 간토 산지 북부와 아사마산, 묘기산, 아라후네산 등 군마현과 사이타마현 서부에 있는 산지들에서는 대부분 동쪽 사면으로 아가쓰마강, 가라스강, 오야마강 등이 도네강으로 흐르지만, 사이타마현에 속한 남쪽 사면으로는 아라카와강의 지류들이 아라카와강에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흐른다. 서쪽 사면으로는 시나노강의 지류인 지쿠마강이 흐른다. 그리고 사이타마현 북부의 대지는 제3기 이후 한때 도쿄만의 물이 들어와 가라앉았다가, 제4기 이후 해퇴 운동으로 바닷물이 빠지면서 아카기산, 하루나산이 발달하고,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 대지는 가조시, 삿테시, 구키시 일대에 이르러 차차 고도가 낮아지는데, 이 지역에 모인 물들은 도네강 또는 나카가와강으로 흐르게 된다.[16] 지하자원[편집] 1895년 경의 아시오 광산. 1973년에 문을 닫았다. 도네강 유역에서는 금, 은, 구리, 망간, 철광석 등의 금속 자원과, 석회암, 유황, 천연 가스 등의 비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금속 자원 중 특히 구리는 도네강 유역의 아시오 광산에서 1973년까지 생산해왔다. 이 밖에, 금과 은이 도네강 본류의 상류부와 기누강 상류부에, 망간이 와타라세강 유역에, 철광석이 아가쓰마강 상류부에 매장되어 있다.[17] 한편 비금속 자원 중 유황은 아가쓰마강 상류에, 석회암은 가라스강 유역에 매장되어 있다. 또 석재로는 도치기현의 오야이시 (大谷石)나, 군마현의 산바세키가 담이나 고급 정원석 용도로 채굴되고 있다.[17] 또 천연 가스는 도네강 하류 일대, 에도강 하류 일대의 미나미칸토 가스전 등지에서 채취되고 있다. 1956년 이후 천연가스 채취가 에도강 하류의 도쿄도 고토구, 지바현 이치카와시·후나바시시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내고, 천연 가스를 오랫동안 채취하면서 지반이 침하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도쿄도와 지바현 당국은 가스전 일대의 민간 채굴 사업자로부터 1972년에 가스 채취권을 사들여, 채취를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은 가스를 채취하지 않고 있다.[18] 식생과 곤충[편집] 닛코시의 센조가하라는 고층습원으로, 여러 종류의 고산 식물이 자란다. 도네강의 식생도 상류, 중류와 하류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상류에서는 산악 지대인 오제나 아사마산 북쪽 기슭을 중심으로 고산 식물이 자라며, 센조가하라는 물이끼와 넌출월귤이 자라는 고층습원이다. 또, 상류 지역은 고도에 따라서도 식생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1,6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서는 상록침엽수들이 자라는데, 주로 일본 전나무 고유종인 "시라비소", 좀솔송나무가 자란다. 표고 700 ~ 800m대에서는 너도밤나무와 물갈나무 등이 자란다.[19] 하지만 와타라세 강의 발원지인 아시오 산지는 아시오 광산이 개발되던 당시에 유출된 연기들 때문에 생태계가 크게 무너졌다. 한편 중류에서는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붉가시나무, 모밀잣밤나무 등 원래부터 자생하던 나무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신 주택과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심어 놓은 삼나무와 편백 따위의, 재조림을 목적으로 심은 나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둔치에서는 갈대와 억새류, 쇠뜨기, 개여뀌, 금방동사니 등이 자라고 있으며, 하류 지역에서는 부들과 야생쌀을 볼 수 있다. 갈대 군락은 중류와 하류의 호소나 늪과 같은 습지대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대규모 갈대 군락이 자생하는 와타라세 유수지에서는 하늘지기류, 물옥잠, 등골나물 등 멸종위기종들도 자생하고 있다. 도네강 유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종수는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666종이다. 조류는 물에 영양분이 적은 상류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며, 중류와 하류에서 규조류가 주로 자라고 있다. 그러나 가스미가우라 지역은 수질이 점차 나빠지면서 여름철에 미크로시스티스가 대량으로 증식해 녹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20][21] 도네강 유역에는 외래 식물종도 자라고 있다. 중류 지역에서는 양미역취나 돼지풀이, 하류에서는 가시박, 큰물수세미, 물배추가 자라고 있는데, 이들을 비롯한 외래 식물종들이 생태계를 변화시킨다고 판단한 일본 환경성은 "특정 외래생물의 유입에 따른 생태계 등의 피해 방지에 관한 법률", 곧 "외래생물법"에 따라 도네 강의 외래 식물종들을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도네 강의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국토교통성과 협력하여 외래 식물종들을 제거하고 있다.[22][23] 도네강 유역의 곤충들은 절지동물인 거미목 곤충들을 중심으로,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975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딱정벌레목이 397종, 나비목이 170종, 노린재목이 125종, 거미목이 84종을 차지하고 있다. 상류의 고산 지대에서는 눈나비, 높은산노랑나비, 갈구리신선나비, 실잠자리[주 2], 큰별박이왕잠자리 등 산지에서 잘 자라는 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다. 한편 중류와 하류에는 거미목, 나비목 등이 주로 서식하는데, 이들 중 왕오색나비는 일본 정부에서 "나라나비"[주 3] 로 지정한 상태이다. 이 밖에, 실잠자리목과 청솔귀뚜라미 등 희귀종들도 서식하고 있다. 한편, 강 유역의 히누마 늪에는 노랑실잠자리, 고유종인 히누마실잠자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21][24] 동물[편집] 와타라세 유수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말똥가리. 상류 지역의 산지를 중심으로 반달가슴곰, 일본원숭이, 일본사슴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중류와 하류 지역에서는 인간의 택지 개발과 농경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대형 동물들은 서식하지 않고 있다. 대신, 여우나 너구리, 산토끼, 일본족제비, 작은일본두더지 등이 서식하고 있다. 1994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포유류는 12종 이상, 파충류는 5종, 양서류는 4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1급 수계"로 지정한 일본 내 다른 대규모 하천들에 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약하다. 상류에는 1급수 지표 생물인[25] 꼬리치레도롱뇽의 아종인 일본꼬리치레도롱뇽이 살고 있다.[주 4] 외래종으로는 늪너구리 (뉴트리아), 사향쥐, 황소개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이 외래종들을 모두 생태계를 교란하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감시하고 있다.[26][27] 조류는 곤충들과 식물들이 많은 중류와 하류에서 많이 사는데,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있다. 상류에는 참수리, 검둥수리, 뿔매 따위의 맹금류나, 바위종다리, 잣까마귀 따위의 고산 조류가 산다. 야기사와 댐·후지와라 댐 등 도네강 상류에 있는 댐들에서 이들의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28][29] 이 밖에 계곡 등에는 물총새, 할미새사촌 등이 살고 있다. 중류와 하류에는 참새, 까마귀, 멧새 등 개체가 많은 종 뿐만 아니라, 갈대 군락지를 중심으로 논병아리도 살고 있다. 철새로는 큰고니, 고니가 가스미가우라에 찾아오며, 와타라세 유수지나 와타라세강 합류부의, 자연 식물들이 많이 자라는 곳들을 중심으로 왕새매, 개구리매, 말똥가리, 붉은뺨멧새 등의 맹금류와 오리, 도요과, 물떼새과 등이 철에 따라 찾아오거나, 머무른다.[26][27] 외래종으로는 2003년 도리데시가 처음으로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상사조 (Leiothrix lutea)가 확인된 바 있다.[22][23] 도네 강 유역에서 살아가거나, 철에 따라 오가는 새들은 모두 136종이다.[27] 어류와 수생생물[편집] 백연은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이다. 산란철에는 도네 강 중류까지 거슬러올라 알을 낳는다. 사진은 어른 백연이 붙잡힌 모습이다. 모두 8목 13과 43종의 어류가 도네강에 살거나, 오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류에는 주로 곤들매기, 산천어, 기생개구리가, 중류에는 피라미, 잉어, 금붕어, 참붕어, 장어 등이 서식하며, 멸종위기종인 "제니다나고"[주 5] 도 서식하고 있다. 하류에는 숭어, 농어, 문절망둑, 멸치 등이 올라와서 살며, 하구부에는 감성돔과 가자미 등 주로 바닷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초어 (草魚), 백연 등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들은 점점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 되면 국도 제4호선 도네가와 교 근처에서 뛰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30][31] 도네강으로 들어오는 회유어로는 연어와 은어가 대표적이다. 회유어는 에도 막부 이래 일본 정부가 시행한 용수로 건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실시한 도네강 유역의 특정 지역들의 종합 개발 계획 등으로 댐과 보 (洑) 가 도네강 곳곳에 세워지면서, 한때 그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었었다. 특히 하구에서 154 km 떨어진 도네 보는 회유어들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길의 큰 장애물이었다. 이 때문에 도네 보의 관리를 책임지던 수자원개발공단 (지금의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은 1983년부터 연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어도의 신설과 개축을 실시했다. 2005년부터는 환경보호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여, 은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과, 바다로 내려가는 시점에 보의 문을 여닫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들과 정부의 협력으로, 도네 보를 오가는 은어와 연어의 개체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32] 한편 도네강 하구언은 건설 과정에서 일본재첩의 생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지적을 수용해 설계를 개선한 바 있다.[33] 특정 외래생물로는 블랙배스와 블루길이 하구언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찬넬메기 (찬넬동자개)도 서식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 송사리의 천적인 모스키토피시 (Gambusia affinis)의 서식도 확인된 바 있다.[22][23] 수생·저생생물로는 177종이 확인되었다. 상류와 중류를 중심으로 날도래목, 강도래목, 하루살이목이 서식하고 있으며, 강바닥이 진흙과 모래로 되어 있는 하류에는 우렁이, 왼돌이물달팽이, 갯지렁이, 실지렁이 등이 살고 있다.[30] 도네강 하류 유역은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 후쿠오카현과 사가현의 지쿠고강 하류와 함께 일본산 흡혈충병의 발생지로 알려져 있는데[34], 이 흡혈충들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3년에 몸에서 기생충의 알이 나온 환자의 사례를 끝으로, 기생충 환자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있다.[35] 대신, 강바닥을 굳게 만들고 퇴적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생물들의 유입을 방해하여 생태계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바 있는 바다살이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가 아비코시와 인자이시, 그리고 가스미가우라에서 확인된 바 있다.[22][23][36] 도네강 유역의 내수면 어획량은 일본 전국의 총 어획량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도쿄권과 가깝기 때문에, 어업협동조합이 세워져 어민들이 어획 활동을 자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네강이 지나가는 1도 5현의 81개 조합이 저마다 일본 정부로부터 제1종, 제2종, 제5종 어업 면허를 딴 상태이다.[37] 명칭[편집] "도네강"이라는 이름의 문헌 상의 근거는 《만요슈》 40권에 실린 "아즈마우타" (東歌; 동쪽 지방의 노래) 중 "고즈케국의 노래" 부분에 실린 와카이다.[38] 刀祢河泊乃 可波世毛思良受 多太和多里 奈美尓安布能須 安敞流伎美可母 利根川の 川瀬も知らず ただ渡り 波にあふのす 逢へる君かも — 《만요슈》 40권, 아즈마우타 중, "고즈케국의 노래"에서. 이 와카는 고대 일본어로 쓰인 것으로, 한국어의 이두처럼 문장을 한자로 옮기면서 음에 맞는 글자를 따 온 것이다. 현대어로는 대개 "도네강에서 여울이 흐르는 곳임을 깨닫지도 아니하고 강을 건널 제 문득 덮치는 물보라처럼 그대를 만났어라" 정도로 풀이한다. 이 시는 서민 여성들이 사용하는 "기물진사", 즉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는 표현 방식이 들어간 소몬카(相聞歌)이다. 여기에 대해 이누카이 다카시는 자신의 저서인 《만요의 여행》 중권에서 고즈케국의 노래에 등장하는 강의 너비가 와카의 화자가 건널 수 있었던 정도임을 생각할 때, 도네강에서 와카에 등장하는 지역은 누마타시와 시부카와시 사이의 지역일 것이라고 추정했다.[38] 와카에 쓰인 "刀祢" (도네)의 참의미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여러 개의 가설만이 존재한다. 강이 흐르는 지역인 도네군에서 음을 땄다는 설, 강의 발원지의 주변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즉 "도키미네" (尖き峰)의 발음이 뒤바뀌었다는 설, 발원지인 오미나카미산의 별칭인 "도네다케" (일본어: 刀嶺岳, 刀祢岳, 刀根岳)에서 따왔다는 설[38], 도네노아타이 (等禰直), 또는 도네쓰히코 (椎根津彦)[주 6] 라는 신에서 따왔다는 설[39] 등이 있다. 한편, 어원에 얽힌 설 중에는 아이누어로 "톤나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이 "톤나이"에 관한 해석도 "거대한 골짜기"나 "늪과 호수처럼 넓고 큰 하천" 등으로 나뉜다.[38][39] 한편 도네강의 별명인 "반도타로"는 아시가라 고개에서 우스이 고개까지 경계를 그은 다음, 그 동쪽 지역을 묶어 일컫던 "반도"에서 유래했다. "반도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이다.[40] 비슷한 형태로 별칭이 붙은 강으로는 "쓰쿠시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쓰쿠시지로" (筑紫次郎)라는 별명이 붙은 지쿠고 강, "시코쿠섬을 흐르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시코쿠사부로" (四国三郎)라는 별명이 붙은 요시노강이 있다. 한편, 주고쿠 지방의 고노카와강은 "주고쿠타로"라는 별명이 붙어 있는데, 이는 다른 강들과는 무관하다.[41] 또 지금의 도네 강은 시나노강, 요도가와강 등 다른 지역의 강들과는 다르게[주 7],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전 지역에서 모두 "도네강"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린다. 유역[편집] 도네강의 개략적인 유역도. 살구색 선 안쪽이 모두 도네강 유역의 하천들이다. 도네강의 유역 면적은 총 1만 6,840km2이다. 이는 시코쿠 지방의 면적의 약 80% 정도와 맞먹는다.[42] 이 유역 면적에 속하는 지역을 흐르며, 도네강에 합류하거나 분기하는 모든 하천들을 도네강 수계로 묶는다. 도네강 수계에 속하면서 마지막에 도네강에 합류하는 지류들의 수는 815개로, 요도가와강 수계의 964개, 시나노강 수계의 880개에 이어 일본 내에서 3위에 해당한다.[43] 유역에 속한 행정 구역은 도쿄도를 비롯하여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나가노현의 1도 6현 221시구정촌으로, 일본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200만 명이 도네강 유역에 살고 있다.[42] 본류[편집] 도네강 본류의 길이는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태평양의 하구까지 322km이며, 발원지에서 태평양까지 이르는 동안 지나는 행정 구역은 군마현·사이타마현·이바라키현·지바 현의 4현, 25시 14정 1촌이다. 1896년에 제정된 최초의 하천법(일명 "구 하천법")에 따라 정부의 관리를 받기 시작했으며, 1897년 9월 11일에 내무성 고시 제59호에 따라 "관리 지정 하천 구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하천 등급제가 도입되자, 1965년 3월 24일에 건설성 정령 (政令)으로 도네강 유역의 "관리 지정 하천 구역" 전역이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4] 현재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도네강의 상류 끝은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3], 하류 끝은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 로,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모두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국토교통성이 직할하는 "지정 외 구간"은 군마현 이세사키시와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사이를 흐르는 구간[46] 에서,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까지로, 지바현 도리데시와 지바현 아비코시의 경계인 오토네 교를 기준점으로 하여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 도네강 상류 하천 사무소와 도네강 하류 하천 사무소가 강을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한편 지정 외 구간의 상류 끝인 이세사키시 ~ 다마무라정 구간에서, 오미나카미 산의 발원지까지는 하천법 제9조 제2항에 따른 "지정 구간"으로서, 국토교통성이 군마현지사에게 관리를 위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카사키시 이북 구간은 군마현이 하천 관리를 맡고 있는데, 야기사와 댐 호수 상단부에서 후지와라 댐 바로 아래까지의 구간은 예외로 국토교통성이 직접 관리한다.[3][주 8] 도네강 본류 유역의 시정촌 현 (県) 시정촌 (상류 → 하류 순)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 누마타시, 도네군 쇼와촌, 시부카와시, 기타군마군 요시오카정,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 사와군 다마무라정, 이세사키시, 오타시, 오라군 오이즈미정, 오라군 지요다정, 오라군 메이와정, 오라군 이타쿠라정 사이타마현 혼조시, 후카야시, 구마가야시, 교다시, 하뉴시, 가조시, 구키시 이바라키현 고가시, 사시마군 고카정, 사시마군 사카이정, 반도시, 모리야시, 도리데시, 기타소마군 도네정, 이나시키군 가와치정, 이나시키시, 가미스시 지바현 노다시, 가시와시, 아비코시, 인자이시, 인바군 사카에정, 나리타시, 가토리군 간자키정, 가토리시, 가토리군 도노쇼정, 조시시 지류와 분류[편집] 도네강 수계의 지류들 중 가장 긴 강인 기누강의 류오쿄 (竜王峡). 도네 강 수계를 흐르는 815계의 하천 중, 도네 강에 직접 합류하는 1차 지류들은 다른 수계나 그 본류의 규모와 맞먹는 대규모 하천인 경우가 많다. 도네강의 지류들 중 가장 긴 하천은 기누강으로, 약 176.7km이다. 이는 간토 지방의 다른 1급 수계 본류인 아라카와강(173km)과 맞먹는다. 또, 지류들 중 가장 유역 면적이 넓은 하천은 와타라세강으로, 약 2,601.9km2이다. 이는 지쿠고강 수계의 전체 면적 (2,683km2)이나,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을 흐르는 다카하시강 수계 (2,670km2), 도야마현과 기후현을 흐르는 진즈강 수계의 전체 면적 (2,720km2)과 맞먹는다. 이 밖에, 길이로는 기누강에 이어 와타라세강과 고카이강이 100km를 넘으며, 유역 면적으로는 와타라세강에 이어 아가쓰마강·기누강·고카이강·히타치토네강이 1,000km2을 넘는다.[43][47] 또 도네강에서 갈라지는 하천, 즉 "분류" (分流)로는 지바현 노다시 부근에서 도네강과 갈라지는 에도강, 지바현 가시와시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흐르다 에도강에 합류하는 도네 운하가 있다. 한편, 사이타마현과 도쿄도를 흐르는 나카가와강은 도네강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아라카와강과 나란히 흐르면서 도쿄만에 이른다.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이 아라카와강 수계의 지류라는 오해가 있었다. 그러나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될 무렵, 건설성 하천심의회 관리부회는 나카가와강에서 갈라지는 분류인 신나카가와 방수로가 도네강의 분류인 에도강의 분류, 구 에도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본류로부터 갈라져 직접 바다로 이르는 파류 (派流) 와, 그 파류로 흘러들어오는 지류는 모두 같은 수계에 포함한다"는 하천법의 조항에 따라, 하천법 개정 후 도네강 수계가 1급 수계로 지정됨과 동시에 나카가와강을 도네강 수계에 귀속시켰다.[48]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과 그 지류들은 모두 도네강 수계의 하천이며, 아라카와강 수계와는 무관하다. 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도네강의 몇몇 지류들도 이름이 바뀌었는데, 지역에 따라 히타치강과 기타토네강으로 불리던 하천은 "히타치토네강"으로 묶였고, 구 에도강은 에도강 방수로의 지류가 되었으며, 신나카가와 방수로는 신나카가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8] 도네강 수계의 주요 지류[47][49]유역 연장 및 유역 면적이 출처로 확인된 1차 지류 및 그 1차 지류에 합류하는 2차 지류만 표기. ( ) 안은 호소와 인공호. 주요 1차 지류 유역 연장(km) 유역 면적(km²) 주요 2차 지류분류 주요 호소 유역 도·현 유역 시·군·구 가타시나강 60.8 673.1 오타키강 다니가와강 구리하라강 스게누마호오지리호마루누마호 소네하라호 미사토호 군마현 누마타시 · 도네군 아가쓰마강 76.2 1,365.9 만자강시라스나강시마강누마오강 하루나호(다시로호)(조슈유노호) (오쿠시마호) (시마호) 군마현 시부카와시 · 아가쓰마군 가라스강 45.2 1,800.7 우스이강가부라강간나강 (우스이호) (묘기호) (아라후네호) (오쿠간나호) (간나호) (신스이호) (헤비카미호) 나가노현 사쿠시 군마현 다카사키시 · 안나카시 · 후지오카시 · 도미오카시 · 간라군 · 다노군 사이타마현 지치부시 · 고다마군 와타라세강 107.6 2,601.9 기류강 마쓰다강 야바강하타가와강아키야마강우즈마강오모이가와강야다강 다타라 늪조누마 늪구사키호우메다호와타라세 유수지야나카호 군마현 미도리시 · 기류시 · 오타시 · 다테바야시시 · 오라군 도치기현 닛코시 · 아시카가시 · 사노시 · 오야마시 · 도치기시 · 가누마시 · 시모쓰카군 · 가미쓰카군 이바라키현 고가시 나카가와강 82.2 986.7 곤겐도강오오토시후루토네강모토아라카와강미사토 방수로아야세강신나카가와강 쇼와 늪구로하마 늪하라이치 늪미즈모토 공원미유키호 사이타마현 하뉴시 · 가조시 · 구키시 ·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고시가야시 · 깃카와시 · 구사카시 · 미사토시 · 야시오시 · 기타사이타마군 · 미나미사이타마군 · 기타카쓰시카군 도쿄도 아다치구 ·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에도강 54.7 200.3 사카가와강마마강구 에도강 지바현 노다시 · 나가레야마시 · 마쓰도시 · 이치카와시 · 후나바시시 · 우라야스시 사이타마현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깃카와시 · 미사토시 · 기타카쓰시카군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도쿄도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기누강 176.7 1,770.6 오지카강도가와강다이야강다가와강 기누 늪유노코호사이노코호주젠지호(가와마타호)(야시오호)(이카리호)사누마 늪 도치기현 닛코시 · 우쓰노미야시 · 모카시 · 시모쓰케시 · 가와치군 · 시오야군 · 하가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유키시 · 시모쓰마시 · 모리야시 · 조소시 · 유키군 고카이강 111.8 1,043.1 고교강야다 강 우시쿠 늪(하코지마 유수지) 도치기현 모오카시 · 하가군 · 시오야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시모쓰마시 · 조소시 · 쓰쿠바미라이시 · 모리야시 · 도리데시 · 류가사키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마카베군 · 유키군 · 기타소마군 히타치토네강 27.5 2,156.7 사쿠라가와강고이세강오노강신토네강요코토네강와니가와강 가스미가우라호기타우라호소토나사카우라호요다우라호(미나미시오 조정지)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이시오카시 · 이나시키시 · 가스미가우라시 · 오미타마시 · 나메가타시 · 호코타시 · 가시마시 · 가미스시 · 이타코시 · 사쿠라가와시 · 지쿠세이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이나시키군 지바현 가토리시 그 밖의 1차 지류 및 분류로는 나라사와강, 나라마타강, 다카라가와강, 유비소강, 아카다니강, 우스네강, 히로세강, 오야마강, 하야카와강, 도네 운하, 이누마강, 데가강, 나가토강, 구로베강 등이 있다. 늪과 호수[편집] 이나시키시 쪽에서 본 가스미가우라호. 멀리 쓰쿠바산이 보인다. 도네강 수계에 속한 자연호 중에는 일본에서 제2위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가스미가우라호가 있다. 대부분의 늪과 호수들은 하류 지역에 주로 몰려있는데, 1910년 요시다 도고가 쓴 《도네 치수 논고》에서 이 호소 (湖沼) 들의 생성에 관해 이야기한 바 있다. 이 책에 따르면, 10세기 초 (1000년대)의 도네강 하류에는 "가토리해"라 불리는 거대한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가토리해는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 인바 늪 등이 하나로 합쳐져 있었던 것이다.[50] 그 후 기누강, 고카이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이고, 에도 시대의 하천 준설 공사와 경작지의 개발에 따른 간척 사업 등등으로 사람의 손이 닿으면서 가토리해의 면적은 차차 줄어들어, 마침내 지금의 강줄기가 되었다.[51] 호수의 생성 원인은 다양한데, 가스미가우라호,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는 바다의 일부가 떨어지면서 호수가 된 것이고, 인바 늪, 데가호, 우시쿠 늪, 스고 늪 등은 강의 흐름이 막혀 호수가 된 것이다. 후루토네 늪은 외따로 분류되는데, 도네강의 인위적인 준설 공사로 예전의 유로가 강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에 있었던 늪으로는 미누마다이 용수 건설에 따라 간척된 미누마 늪이나 구로누마 늪, 가사하라 늪[52], 와타라세 유수지를 건설하면서 와타라세강과 우즈하강의 유로로 편입되며 사라진 아카마 늪[53], 1941년부터 1950년까지 벌어진 간척 사업으로 사라진 우치나사카우라호 등이 있다.[54][55] 상류 지역에 있는 천연 호소들의 대부분은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주젠지호는 난타이 산의 분화 활동으로 생긴 용암이 다이야강의 흐름을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이며, 하루나호, 아카이오누마 늪은 각각 하루나산과 아카기산의 화산호이다. 도치기현 닛코시의 사이노코호는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다. 한편, 상류 지역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벌어진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에 따라 여러 곳의 댐이 세워지면서 여러개의 인공호들이 생겼다. 이 인공호들 중 가장 큰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호수는 도네강 본류에 건설된 야기사와 댐의 인공호인 오쿠토네 댐으로, 오쿠토네 댐의 총 저수용량은 2억 430만m3에 이른다. 이는 간토 지방의 호수들 중 가장 많은 양이다.[56] 또한 저수지 면적은 570Ha로, 소토나사카우라호와 맞먹는다.[57] 이 밖에 중류와 하류에는 와타라세 유수지를 비롯하여, 다나카·스고·이나토이의 홍수 조절지, 고카이강의 하코지마 유수지 등이 있다. 한편, 가스미가우라호에서는 1961년에 제정된 수자원 개발 촉진법에 따른 호소수위조절시설로서, 히타치가와 수문을 이용해 다목적 댐으로 바꾸는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58][59], 인바 늪은 1947년의 인바 늪 개발 사업으로 1969년 북부 조정지와 서부 조정지로 나뉘었다.[60][61] 두 사업은 모두 수도권의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천연 호소를 이용하는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의 일부였다. 이 밖에, 주젠지호는 도치기현 당국이 유출구에 1959년 주젠지 댐을 건설하여 주젠지호의 치수와 겐류 폭포의 수량 조절, 그리고 수력 발전 능력의 개선을 꾀하는 등[62] 천연 호소의 개발이 잦았던 것도 도네강 수계의 천연 호소들의 특징이다. 도네강 수계의 주요 호소[63][64][65] 이름 소재지 유출 하천 생성 원인 기수/담수 표고 (m) 면적 (km²) 최대 수심 (m) 비고 가스미가우라호 (전체)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담수 0 220.0 23.3 니시우라호 · 기타우라호 · 소토나사카우라호 포함 니시우라호 이바라키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담수 0 167.6 7.0 호수 수위 조절 시절 기타우라호 이바라키현 와니가와강 해적호 담수 0 35.2 7.8 히타치토네강 유역 주젠지호 도치기현 다이야강 폐색호 담수 1,269 11.8 163.0 기누강 유역유출구에 주젠지 댐이 세워져 있음. 인바 늪 지바현 나가토강인바 방수로 폐색호 담수 1.0 8.9 1.8 북부 · 서부 조정지로 나뉘어 있음. 소토나사카우라호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 0 5.9 23.3 데가호 지바현 데가강 폐색호 담수 3.0 4.1 3.8 우시쿠늪 이바라키현 야다강 폐색호 담수 - 3.49 3.0 고카이강 유역 스고 늪 이바라키현 이누마강 폐색호 담수 - 2.3 2.0 요다 늪 지바현 야스지강 해적호 담수 - 1.25 - 히타치토네강 유역 하루나 호 군마현 누마오 강 화산호 담수 - 1.15 12.6 아가쓰마강 유역 아카기오누마 늪 군마현 누마오강 화산호 담수 - 0.88 12.6 다타라 늪 군마현 쓰루다강 담수 20.0 0.77 - 와타라세강 유역 사이노코호 도치기현 야나기사와강 유류호[주 9] 담수 1,310 0.7 -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감. 유노코호 도치기현 유가와강 화산호 담수 - 0.31 12.0 기누강 유역 기누 늪 도치기현 기누강 화산호 담수 - 0.134 3.0 일본 환경성이 정한 일본의 주요 습지 500곳 중 하나. 그 밖의 천연 호소로는 스가누마 늪, 오지리 늪. 조누마 늪, 쇼와 늪, 구로하마 늪, 하라이치 늪, 후루토네 늪, 가미노이케 늪 등이 있다. 역사[편집] 도네강은 자주 범람하여[주 10]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으며, 홍수 때마다 유로가 복잡하게 뒤엉키는 하천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간토 지방의 중요한 강으로 유역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에 많은 혜택을 주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일본의 위정자들로부터 도네강과 그 지류를 치수와 이수의 차원에서 다스리고자 하였다. 중세 이전[편집] 중세의 도네강 유로. 아라카와강과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흘렀다. 와타라세강, 기누강은 이 때까지는 도네강과는 별도의 수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네강 유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로 추정된다. 군마현의 이와주쿠 유적 등에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하안 단구나 대지 (臺地) 말단부에 살면서, 사냥을 통해 식량을 구하며 생활했던 흔적을 찾을 수 있다.[66] 조몬 시대에는 조몬 해진으로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서 태평양 하구까지의 도네강 일대가 모두 바다가 되었으며, 그 주변의 바닷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이는 패총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조몬 시대 전기에는 북쪽으로 아카기산 남쪽과 서쪽 기슭이나,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모토아라카와강 유역에 주로 패총이 분포했었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 바닷물이 점차 빠지면서 하류로 사람의 생활 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지바현 지바시, 이치카와시, 마쓰도시 등지에서 조몬 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패총들이 발견되고 있다. 야요이 시대에 들어서는 농경 문화가 간토 지방으로 전래되어, 도네강 유역에서도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3세기 후반의 고훈 시대 즈음에는 지금의 도치기현과 군마현에 해당하는 게노 지방(毛野地方)을 중심으로 장구형 무덤이 발달하였는데, 사이타마현의 사이타마 고분군이 대표적이다.[67] 에도 시대 이전의 도네강은 태평양으로 나가는 지점이 지금처럼 조시시가 아니었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사이타마현 교다시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유로를 틀었으며, 지금의 오오토시후루토네강의 유로를 따라 아라카와강, 이루마강과 합류하여 에도만(지금의 도쿄만)으로 흘렀다. 이 가운데 교다시 부근에서는 "아이노카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 당시 오이가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와타라세강은 독립적인 하천으로, 지금의 에도강의 유로를 따라 도네강과 나란히 흘러 에도만으로 유출했으며, 기누강도 마찬가지로 독립된 하천으로 고카이강과 합류하여 가토리해로 유출하고 있었다. 이 와중에 도네강의 본류가 정해진 것은 1457년으로, 오타 도칸이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에서 구사카시를 거쳐 에도만으로 흐르는 하천을 도네강의 본류로 정했다.[68] 또 상류는 지금의 위치보다 더 동쪽에 있었던 히로세강의 유로를 따라, 지금의 이세사키시 부근에서 가라스가와강과 합류했었으나, 1543년에 일어난 홍수로 지금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었다.[69] 이처럼 번잡한 유로를 이루고 있었던 도네강은 홍수로 유로가 자주 바뀌었으며, 유역은 수없이 범람 피해를 입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홍수로는 나라 시대인 758년에 기누강에서 있었던 홍수로, 2천여 경(頃)[주 11]의 토지가 황폐화되었다고 한다.[70] 한편, 도네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치수 사업이 실시된 때는 768년으로, 기누강의 유로를 바꾸는 공사였다.[71] 한편 최초의 이수 사업은 645년 다이카 개신 후 시행된 반전수수법으로 조리제(條里制)가 도네강 유역에서 실시된 것으로, 지금의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오타시, 이바라키현 남부,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그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72] 가마쿠라 시대 (12세기 ~ 14세기)의 가마쿠라 막부는 도네강 개발에 적극적이었는데, 첫 쇼군이었던 미나모토 요리토모는 1194년 도네강 최초의 제방을 무사시국[주 12] 지역에 세웠다. 이어 1199년 4월에는 지토(地頭)들에게 도네강에서 농업 용수를 개발하여 지역을 개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3] 그 뒤로도 막부는 도네강을 계속 개발하였다. 1207년 3월에는 막부가 호조 도키마사에게 도네강 일대를 포함한 무사시국의 개발을 명령하기도 했다.[73] 막부는 둑 건설을 중심으로 한 치수 사업도 꾸준히 진행했는데, 싯켄 호조 마사토키가 1232년에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자리에 가키누마 둑을, 싯켄 호조 도키요리가 1253년에 지금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부근에 둑을 건설했다.[74] 《슈가이쇼》(拾芥抄; 습개초)에서는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을 통해, 가마쿠라 시대의 경지는 헤이안 시대보다 약 16,000 정보[주 13]가 늘은 66,710 정보[주 14]로 늘어나게 되었다고 밝혔다.[73] 무로마치 시대(14세기 ~ 16세기)의 도네강 유역은 가마쿠라 공방의 지배에 놓였으나, 오닌의 난이 일어난 뒤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주 전쟁이 벌어졌기 때문에, 막부가 주도한 치수·이수 사업은 전무했으며, 센고쿠 시대의 도네강 유역은 이즈국을 근거로 세력을 넓히고 있던 고 호조씨의 지배에 놓였다. 4대 당주인 호조 우지마사는 1576년 곤겐도강에 길이 약 900m의 곤겐도둑을 건설했다.[7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뒤를 이어 센고쿠 다이묘들을 공격하고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 호조씨를 치기 위해 오다와라 정벌을 일으켰다. 이 무렵, 이시다 미쓰나리가 무사시국의 오시성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1590년 6월에 장마로 물이 들어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둑으로 막은 뒤 오시성을 향해 물길을 보내 성을 무너뜨려 항복을 받아낸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하지만 지형 문제로 성을 침수시키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제방이 무너지면서 도요토미군에서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오시성은 7월 16일, 고 호조씨의 본거지인 오다와라성이 함락당한 후에야 항복했다. 이 때 미쓰나리가 축조한 제방을 "이시다 둑"이라 부르는데, 자연 제방들을 묶어서 전장 약 28km의 둑을 1주일 간 만들어낸 것이다.[75] 하지만 이 둑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것이었기 때문에, 도네강의 치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에도 시대 전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도네강 동천 사업입니다. 《메이쇼에도햣케이》 (名所江戸百景) 에 소개된 가사이 용수로. 에도 사람들은 "히키후네강"이라 불렀다. 고 호조씨가 망한 후, 고 호조씨가 장악하고 있던 간토 지방의 무사시국, 사가미국, 이즈국, 시모우사국, 가즈사국 일대와, 고즈케국, 시모쓰케국의 남부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넘어갔다. 이에야스는 무사시국의 남쪽에 있던 에도(지금의 도쿄)에 본거지를 정했다. 이에야스는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수에 적극적이었는데, 처음에 벌인 사업은 1594년, 오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 하여금 아이노카와강의 물을 막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교다시 부근에서 나뉘는 도네강의 두 갈래 중, 원래 본류로 불리던 아이노카와강을 막아, 유로를 동쪽으로 흐르는 다른 한 쪽으로 일원화하여 와타라세강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듬해에는 도쿠가와 사천왕의 한 사람으로 고즈케국의 다테바야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도네강 왼쪽 언덕에 총연장 33km, 높이 4.5m ~ 6m, 둑마루 너비가 5.5 ~ 9.1m에 이르는 둑을 건설했다. 당시 일본 덴노가 사용하던 연호를 따 분로쿠 둑으로 불리던 이 댐은 도네강 유역에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 둑이었다.[76] 이 밖에, 같은 시기에 나카조 둑도 지어졌다. 이러한 도네강 수계의 하천 사업은 세키가하라 전투를 통해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창건한 이후에는 이에야스의 가신으로 미카와 후다이 다이묘가 된 이나 다다쓰구와, 그의 자손들인 이나씨가 맡게 되었다. 다다쓰구가 맡은 사업은 1604년 가라스가와강을 취수원으로 하여 도네강 연안에 총연장 20km에 이르는 비젠쿄 용수[주 15] 나 고즈케국 소자번을 다스리던 아키모토 나가토모가 개발한 덴구이와 용수 하류에 뚫은 다이칸 수로 등이 있다. 다다쓰구의 후손들은 대대로 다이칸카시라, 나중에는 간토군다이를 지내면서, 12대 이나 다다타카에 이르기까지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을 책임졌는데, 그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 바로 "도네강 동천 사업" (利根川東遷事業)이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은 에도만이 하구였던 도네강의 유로를 동쪽으로 옮겨, 지금의 조시시에 새로운 하구를 만드는 에도 시대 최대 규모의 치수 사업이었으며, 지금의 도네강을 만든 계기가 되었다. 사업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목적에 관한 사료는 남아있지 않으나, 뒷날 역사 연구자들이 다양한 설이나 견해를 내놓았다. 사업을 시작한 시기는 구리하라 료스케, 사토 도시로, 혼마 기요토시 등이 주장한 1594년 아이노카와강 물막이 사업 당시라는 설이 유력하다. 반면, 사업을 끝낸 시기로는 혼마 기요토시의 1698년 완료설, 네기시 몬조가 주장한 1871년설, 가와다 다케시가 주장한 1890년 도네 운하 개통 이후설 등으로 의견이 나뉘어 있다. 비록 사업 시기에 대해서는 이처럼 의견이 다양하게 나뉘었지만, 도네강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사업의 목적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어느 정도 의견을 맞추게 되었다.[77] 막부의 근거지인 에도와 도네강 유역의 수해를 막기 위한 치수의 목적.[주 16] 도네강 유역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 촉진. 도로와 운하 정비를 통한 물자의 이동로 확보. 군사적 목적. 센다이번 다테씨를 비롯한 도호쿠의 번주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을 가정하였을 때, 이들로부터 에도성을 지키기 위해 도네강을 북쪽의 대규모 자연 해자로 만들고자 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의 주된 사업으로 우선 1621년부터 165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아카호리강을 트는 사업이 있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도호쿠 신칸센 도네가와 교량 근처의 이바라키현 고가시에서 고카정까지의 구간을 개착하여, 1621년에 이나 다다하루가 실시했던 도네강과 와타라세강의 연결 사업인 아라카와도리 개착 사업과 연계하여[주 17] 도네강의 물을 동쪽으로 트는 사업이었다.[78] 이어 1629년부터는 그 때까지 도네강의 지류에 속했던 아라카와강이 새로 물길을 트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루마강 유역으로 들어가면서, 도네강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이를 "아라카와강의 서천" (西遷)이라고 일컬었으며, 옛 유로는 모토아라카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9] 그리고 1635년부터 1644년까지 에도강의 개착 사업을 시행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세키주쿠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따로 도쿄만으로 흐르는 지금의 에도강의 모습이 갖추어졌다.[80] 또, 하류에서 도네강과 합류하는 기누강과 고카이강의 개수도 시행하였는데, 1629년에 그 때까지 기누강에 합류하고 있던 고카이강을 별도의 하천으로 분리하였으며, 1630년에는 고카이강을 도네강과 합류시키는 사업을 시행했다. 그리고 1662년부터 1666년까지 도네강과 가스미가우라호를 잇는 신토네강을 개착하여, 에도 시대 전반기의 치수 사업에 하나의 단락을 지었다.[81] 도네강을 중심으로 한 에도 막부의 치수 행정은 원래 이나씨가 책임을 지고 있었다. 동천 사업이 절정기에 이른 1642년, 세번째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이나 다다하루에게 제방 개수 사업의 모든 책임을 맡긴 뒤, 이나씨의 하천 행정권이 크게 강해졌다. 하지만 다섯번째 쇼군인 도쿠가와 쓰나요시 대에 이르러, 간토 군다이에 책봉된 이나씨가 간조부교의 관리 밑에 놓이게 되면서, 상대적인 권한은 약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나씨의 하천 사업에 대한 자율권은 유지되었는데, 이나씨의 4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카쓰는 가사이 용수로를 1660년에 직권으로 개착했다. 또 고카이강 유역에서도 이나 다다요시가 1630년에 둑을, 5대 당주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훗날 도요타 둑의 원형이 되는 둑을 건설하였는데[주 18], 이 둑들은 1722년에 완성된 후쿠오카 둑과 함께 "간토 3대 제방"으로 불렸다.[82] 이처럼 이나씨는 막부의 지원 아래 도네강 유역에서 다양한 치수 사업을 시행했는데, 이나씨가 치수 사업 때 사용한 공법들을 "이나류" (流) 내지는 "간토류" 라 일컬었다. 에도 시대 후기[편집] 미누마다이 용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누마 운하의 히가시미도리이치노세키 갑문. 파나마 운하와 같은 방식으로 지어졌으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갑문이다. 1716년 기이번주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여덟번째 쇼군의 자리에 올랐다. 요시무네는 교호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국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여 세금 수입을 늘리고자 하였다. 도네강의 하천 개발은 간조긴미야쿠(勘定吟味役) 자리에 있던 이자와 야소베[주 19]가 맡게 되었다. 이 무렵 이자와가 도네강에서 벌인 사업의 중심이었던 것이 바로 "미누마다이 용수" (見沼代用水)의 개착이었다. 당시 도네강 중류 유역의 무사시국 중북부 지방에 살던 농민들은 1604년에 뚫렸던 비젠쿄 용수를 쓰고 있었고, 비젠쿄 용수가 뚫리기 이전에는 "미누마"라는 이름의 호소를 관개용수원으로 쓰고 있었다. 미누마는 이나 다다하루가 17세기 초반[주 20]에 지금의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에 핫초 둑이라는 물막이댐을 건설한 것이 나중에 댐으로 바뀌면서, 저수지로 변한 것이다. 이 "미누마 저수지"는 1660년에 뚫린 가사이 용수로와 함께 지역 농민들의 중요한 수원으로 쓰였다. 그러나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게 되면서 관개용수의 수요가 늘어나자, 미누마 저수지의 물이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83] 요시무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자와를 시켜 1725년 9월에 미누마 저수지를 대신할 새로운 용수, 즉 "미누마다이 용수"[주 21]를 개착하게 하였으며, 미누마 지역의 간척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지금의 교다시에 취수구를 설치하여, 호시카와강을 지나면서 히가시미도리와 니시미도리 부분으로 나뉘어 남하하도록 했다.[84] 용수는 1728년 완성되었는데, 이 용수로 마을 303곳의 1만 2,571정, 고쿠다카 기준으로 약 14만 9,136석의 농지가 관개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731년에는 미누마다이 용수를 이용하여 미누마 운하(見沼通船堀 미누마 쓰센보리[*])를 뚫어 수운 교통 수단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이 운하의 갑문은 파나마 운하의 갑문과 같은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데, 이런 방식으로 설계된 갑문 중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85] 또 고즈케국에서는 지금의 오라군 지요다정과 메이와정 사이를 흐르는 도네 가용수가 세워졌다. 1839년 이 지역의 마을 31곳을 다스리던 묘슈들이 막부에게 도네강에서 물을 끌어다 쓸 수 있게 용수를 뚫어달라고 청원한 것을 시작으로, 용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요다와 메이와 지역을 위해 도네강에서 야다강에 이르는 구간의 용수로를 닦았다. 이후, 낙차가 모자라 물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1846년과 1855년에 용수로를 다시 손보았다.[86] 막부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은 차차 도네강 하류 지역으로 확대되는데, 호소를 간척해 경작지로 바꾸는 정책도 시행되었다. 데가호 간척과 인바 늪 간척이 대표적인 사례로, 데가호에는 1636년에 간척용 배수로인 벤텐 수로가 뚫렸으며, 1661년에 벤텐 수로를 바탕으로 데가호를 간척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671년에 가이노야 사쿠베가 처음으로 데가호의 232Ha를 경작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1676년, 1729년, 1739년의 간척 계획은 홍수로 모두 실패했다. 몇 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막부는 1785년 대규모 간척 사업을 거의 완성시켜갔다. 하지만 이 또한 도네강 유역의 대홍수로 간척지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만족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게 됐다.[87] 한편 인바 늪 간척은 1724년 소메야 겐에몬이 막부로부터 6,000냥의 자금을 빌려 시행했으나, 중간에 자금이 모자라 실패했다. 1783년에 로주 다누마 오키쓰구가, 1840년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가 덴포의 개혁으로 인바 늪 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모두 계획을 입안했던 다누마와 미즈노가 실권을 잃으면서 중지되었다.[88] 도네강 하류의 간척 사업들 중 유일하게 성공한 주로쿠섬 개발은 지금의 가토리시 인근에 있던 사주(砂洲)인 주로쿠섬 지대에 새로운 경작지를 개간하는 것이었는데, 히타치국의 에도사키성을 다스리고 있던 히타치토키씨를 섬기던 신하들이 1590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허락을 받아 우에노시마 마을을 개착한 것이 시초였다. 그 후 1640년 이소야마 마을을 간척하기까지, 14개의 마을을 간척했다.[89] 한편 에도 시대 후기의 치수 사업은 1728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이자와 야소베를 시켜 에도강을 뚫는 것과 쇼나이후루카와강의 분리 사업을 명령한 것이 시초로, 1742년 8월 도네강에 대홍수가 일어난 뒤 같은 해 10월부터는 수해 복구 작업이 시행되었다. 조슈번, 구마모토번, 쓰번 등 간사이 지방의 10개 번에서도 이에 맞추어 강들을 준설하는 사업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수해 작업은 도자마 다이묘들의 재정력을 약화시켜 이들을 감시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다.[90] 그러나 1783년 7월에 발생한 아사마산 대분화로 화산쇄설류가 아가쓰마강에 스며들어 도네강, 에도강까지 번지면서 강바닥이 평상시보다 더 높아지고, 제방 등의 하천 시설들이 무너지면서 홍수의 위험성이 커졌다. 그러자 막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방을 보수하고, 강바닥을 다시 파냈으며, 1843년에는 1654년 이후 약 200년 만에 아카호리강을 준설했다. 같은 시기에 에도강의 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다시"(棒出し)라 불리는 일종의 수제(水制)를 설치하기도 했다.[91][주 22] 또, 18세기 초반 막부의 하천 행정은 간조긴미야쿠에 중용된 이자와 야소베가 맡았다가, 나중에는 후신야쿠 (普請役), 1725년에 설치되어 1732년에 폐지된 시센부교(四川奉行)[주 23] 등의 관직을 거쳐 간조부교 5명이 공동으로 책임지게 되었다. 이 때에도 모든 토목 작업은 반드시 간토군다이였던 이나씨의 재가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이나씨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했다. 그러나 12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타카가 1792년 행실이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명목으로 가이에키(改易)를 당해 다른 봉지로 쫓겨나면서, 이에야스 시대부터 도네강의 치수 사업에 깊숙히 개입하고 있었던 이나씨는 물러나고 간조부교가 관리하는 "시센요스이호 후신야쿠"(四川用水方普請役)라는 자리가 치수 사업을 대신 책임지게 되었다.[92] 에도 시대의 도네강 동천 사업, 아사마산 대분화 이후의 준설 사업 등의 대규모 치수 사업으로 도네강의 방대한 물들은 와타라세강 등과 함께 가토리해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이로써 에도를 비롯한 무사시국 지방의 수해는 차차 줄어들었으며, 반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면서 고쿠다카의 수는 차차 늘어났다. 또 도네강은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에도 지방의 수운 교통로 역할도 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치수 사업에는 역효과도 있었는데, 에도강의 수면보다 표고가 낮은 가스마기우라호 등 하류 저지대는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오히려 수해가 늘어나, 메이지 시대 이후 현대 일본 정부의 도네강 치수 사업에서 중요한 당면 과제로 남게 되었다.[93] 근대의 도네강[편집] 에도가와 수갑문 (1)과 교토쿠 가동 댐(2)의 항공 사진. (출처는 일본 국토교통성.) 1868년에 메이지 정부가 세워지면서, 일본의 행정 기구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하천 행정은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1874년부터 내무성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책임지게 되었는데, 도네강은 1875년 6월 16일에 설치된 내무성 토목료 (土木寮) 산하 도네강 출장소가 맡게 되었다. 이 출장소가 지금의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의 시초였다.[94] 또 1896년 일본 정부는 하천법[주 24]을 공포하여, 도네강을 하천법의 적용을 받는 하천으로 지정했다. 이후의 근대 도네강 개발은 내무성이 주도하게 되었다. 일본 정부는 네덜란드식 치수 공법을 일본 각지의 하천에 도입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Cornelis Johannes van Doorn)을 초빙하여 1872년에 도네 강의 측량 조사를 맡겼는데[95], 이 계획은 1886년 네덜란드인 안토니 토마스 루베르터스 로웬호스트 멀더 (Anthonie Thomas Lubertus Rouwenhorst Mulder)가 세운 "도네강 개수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96] 이 사업의 주요 목표는 지금의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에서 도네강 하구에 이르는 구간을 대상으로 곳곳에 제방을 세워 수해를 예방하고, 도네 운하를 뚫어 수운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 때 처음으로 도네강의 계획 고수 유량을 쟀는데, 초당 3,750m3으로 추산되었다.[97] 사업은 3단계로 나뉘어 시행되었는데 이 사업이 진행되던 사이 1890년 도네 운하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 8월, 두 개의 태풍이 간토 지방을 관통하면서 도네강 유역에 대규모 홍수가 일어났다. 일명 "1910년 8월 대홍수"로 불린 이 수해로 769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북쪽으로는 마에바시시와 미도리시, 서쪽으로는 후지오카시, 남쪽으로는 가와고에시에 이르는, 도네강의 광범위한 배후 지역이 물에 가라앉아 한동안 간토 지방 중앙부는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98] 수해 직후, 일본 정부는 도네강 개수 사업을 대규모로 개정하여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5,570m3까지 상향했다. 사업 계획을 고치는 과정에서 와타라세 유수지를 만드는 사업 계획도 생겼는데, 이 유수지는 그 무렵 아시오 광산에서 대량의 광독이 유출된 일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것으로 정부는 곧 유수지 건설을 정식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99] 이 밖에 제방과 호안의 건설, 1921년에는 요코토네 갑문 건설, 1922년에는 인바 수문 건설, 1923년에는 오노강 수문 건설을 차례로 진행했다. 또한 정부는 도네강 하류에 새로운 수로를 뚫는 사업을 1889년부터 1922년까지 진행했으며, 1926년에는 도네강과 곤겐도강을 물막이로 갈라놓는 사업을 시행했다.[100] 한편 에도강에서는 1927년 세키주쿠 수문과 세키주코 고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에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고자 하였으며, 하류부에는 1920년에 에도가와 방수로를 건설해 유량 조절 능력을 높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기 도네강 개수 공사는 에도강 방수로의 보수가 끝난 1930년에 마침표를 찍었다.[101] 한편, 개수 사업을 한창 진행하던 1923년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도네강 중류의 116곳의 둑들이 무너지거나 헐렸는데, 이 둑들을 복구하는 작업도 진행해야 했다.[102] 그러나 개수 사업이 끝난 뒤에도 도네강은 홍수에 시달렸다. 1935년 9월과 1938년 6월 ~ 7월, 1941년 7월에 일어난 홍수들은 모두 개수 사업을 계획할 당시에 정해놓았던 계획 고수 용량을 크게 초과한 유량을 기록했다. 특히 1938년 여름에 일어난 홍수는 도네강 하류부와 그 배후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는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에도 시대 이전에 가토리해에 속해 있었던 지역이었다.[103] 이에 일본 정부는 기존의 개수 사업을 대신할 새로운 도네강 치수 사업의 책정을 검토했다. 내무성은 아라카와 방수로 건설의 총 지휘를 맡았던 내무성 내무기감 아오야마 아키라를 위원장으로 하는 "도네강 치수 전문위원회"를 설립하고,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1만m3로 상향했다. 이는 1910년에 상향된 고수 용량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수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도네강 개수 사업 증보 계획"이 1938년에 열린 제73회 제국 의회에서 가결되어, 193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104] 이 사업의 주된 계획은 와타라세 유수지를 홍수 조절이 가능한 늪지대로 바꾸는 것과, 도네가와 방수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 무렵 와타라세 유수지는 홍수가 일어났을 때 물들을 스스로 저장할 수 있었지만, 정부는 유수지 주변으로 둑을 에워싸 유수지의 홍수 시 저수 기능을 강화해 조정지로 개량하고자 하였다. 한편 다목적 방수로인 도네가와 방수로를 만드는 사업은 지금의 지바현 아비코시 후사 (지금의 동일본 여객철도 나리타 선 후사 역 주변)를 기점으로 인바 늪 서쪽 끝을 거쳐 지금의 지바시 하나미가와구 게미가와와 가이힌마쿠하리 사이를 흘러 도쿄만으로 유출하는 총연장 27km의 방수로를 뚫어 도네강 하류의 수위를 2m 낮추고, 데가호와 인바 늪의 치수와 간척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또, 정부는 방수로를 도네 운하를 대신할 대규모 운하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방수로를 뚫는 데 쓰고 남은 부지들을 매립지로 써 방수로 주변으로 공업 지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 다나카·스고 조정지를 새로운 유수지로 개발하는 사업, 도네 운하를 방수로로 바꾸는 사업, 도네강 중류부의 둑들을 보수하는 공사도 새로운 사업 계획에 들어있었다.[105] 우선 1937년, 1935년 9월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둑을 보수하는 일부터 시작했으며, 그 후 와타라세 유수지의 새로운 제방을 공사하기 시작했다. 도네 운하는 내무성이 도네 운하 주식회사로부터 운하를 사들여, 도네강과 운하가 이어지는 것을 일단 막은 뒤 방수로화 공사를 시작했다. 고카이강에서는 기존에 있던 둑을 가동 댐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네가와 방수로는 태평양 전쟁으로 예산, 자재, 인력이 모두 충분히 모이지 않아 시행하지 못했고, 사업은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항복한 1945년까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106]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편집] 태풍 캐슬린의 피해를 입은 도네 강 유역의 범람도.[107] 1947년 9월, 태풍 캐슬린(Kathleen)이 도네강 유역을 덮쳤다. 역사상 유례없는 폭우는 전쟁으로 이미 황폐화되어 있던 도네강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조시, 구 오토네정 인근의 둑이 무너져 탁류가 도쿄도 가쓰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대까지 흘러들게 되었다. 또 가라스가와강 유역, 와타라세강 유역은 거의 전역에서 강물이 범람하여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 당시 일본 전국에서 죽거나 사라진 사람의 수는 1,910명인데, 이 중 도네강 유역에서만 1,100명이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108] 하지만 일본은 전쟁으로 너무나 많은 국력을 소모했기 때문에 치수 사업을 재개할 여력이 없었으며, 전쟁 중에 너무 많은 나무들을 베어가는 바람에 물을 막아줄 숲들이 사라지면서 각지에서 홍수 피해가 계속 일어나 캐슬린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점차 늘어나기만 했다. 이에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경제안정본부는 해체된 내각성이 맡고 있던 하천행정을 이어받은 건설성에 새로운 하천 개수 사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 건설성에서 작성한 계획을 《하천 개정 개수 계획》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도네강 수계를 포함하여 일본의 주요 10수계[주 25]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치수 대책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1949년부터 도네강에서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책정되었으며, 여기에는 댐 건설 계획도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도네강에 댐 계획이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시행되기 전인 1926년이었다. 당시 정부는 기누강의 지류인 오지카강에 이카리 댐을 건설하려 했으나, 지형 문제와 이어 터진 전쟁 때문에 도중에 공사가 멈추면서 실패했다. 하지만 1947년 태풍 캐슬린이 유역을 관통하자 정부는 도네강의 계획고수용량을 초당 17,000m3으로 상향하게 되었고, 그 중 초당 14,000m3을 제방, 와타라세·다나카·스고·이나토이에 있는 네 곳의 유수지와 도네강 방수로를 통해 빼내고, 남는 초당 3,000m3의 유량은 상류의 댐들로 조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도네강 상류 19곳의 댐 건설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후지와라, 누마타, 아이마타, 소노하라, 얀바, 사카하라[주 26] 등 6곳에 댐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또 기누강에는 예전에 계획했던 이카리 댐에 가와마타 댐이, 와타라세 강에는 쿠사키 댐의 전신인 고도 댐이 세워지게 되었다. 마침내 1956년 이카리 댐이 완성된 것을 시작으로, 1957년 후지와라 댐이, 1959년 아이마타 댐이 완성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한편 하류에는 새로이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의 새 유로, 도네강 하구 도수제, 에도강 교토쿠 댐 등이 계획되거나 지어졌다.[109] 이 무렵 치수만큼이나 가장 중요했던 문제는 바로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식량과 전력이 너무나 모자랐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26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였던 모노노베 나가호가 제안한 "하수 통제" (河水統制)라는 개념을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내무성이 도입하여 "하수 통제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니시키가와강 등의 치수 사업에 적용해왔으며, 전쟁이 끝난 뒤 테네시강 유역 개발 공사를 벤치마킹한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에는 종전의 치수 사업 뿐만 아니라, 수력 발전과 관개 시설의 설치도 들어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이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추진되던 1950년, 제3차 요시다 내각이 《국토 종합 개발법》을 제정하여 일본을 22개의 특정한 지역으로 나눈 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도네강 수계도 대상 지역에 들어가게 되었다. 1951년 12월, 각료 회의가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결정한 것이었다.[110] 그 후 도네강의 하천 사업은 도네강 수계 전역에 걸쳐 치수·이수 (利水) 등 양면의 고른 발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도네강 수계의 하천 종합 개발은 1936년 도쿄시[주 27]가 주도해 시행한 에도강 하수 통제 사업이 시초이다. 이는 에도강 수갑문(水閘門)을 이용해 새로운 용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111] 이어 군마현이 수력 발전을 목적으로 도네강 최상류부에 댐을 건설하는 《군마현 도네강 하수 통제 계획》을 1937년부터 시행하였으며, 1940년에는 도쿄시가 《도쿄시 제3차 수도 확장 계획》의 수도 발원지로서 도네강을 이용하기 위해 군마현의 계획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112] 전쟁 이후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이 책정되면서 치수 사업이 재개되었지만, 내각이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입안하면서 대규모 하천 종합 개발로 그 규모가 커지게 되었다. 이 계획은 개정 개수 사업의 치수·모래막이 사업과 더불어 기존 댐들의 다목적 댐화, 다다미강의 오제가하라 댐에서 가타시나강으로 물을 유도하는 사업을 비롯한 수력 발전 계획, 인바 늪·데가호 간척, 료소 용수 개발[주 28], 국도 4호선, 국도 6호선 등의 도로망 정비를 포함한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이 계획에서 일본의 수도권 지역의 생활용수를 책임지는 야기사와 댐이 처음으로 등장했다.[113]。 도쿠다 규이치가 제안한 도네강 종합 개발안 중에는 뒷날 실현된 사업이 많다. 이 무렵, 도네강의 치수와 이수 사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냈다. 그 중에 일본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도쿠다 규이치가 낸 의견도 있었다. 도쿠다는 1949년,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초석》(『利根川水系の綜合改革 - 社会主義建設の礎石』)이라는 책을 냈는데, 거기서 도쿠다는 태풍으로 도네강 지역이 참혹한 피해를 입은 것은 에도 시대의 봉건 체제와 제국주의 천황제 때문이라고 규탄했다.[114] 그러면서 도쿠다는 도네강 방수로와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 수로를 통해 하류 지역의 치수 사업을 해결하고, 에도강, 후루토네강, 모토아라카와강으로도 수로를 연결하여 운하로 이용하자고 주장했다. 또 도쿠다는 사이타마현 혼조시에서 도쿄도 다치카와시까지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다마강을 잇는 대운하를 뚫어 수도권 주민들을 위한 수운과 관개수로, 상수도, 공업용 수도 등으로 이용하고, 도네강과 보소 반도의 작은 하천들을 연결하는 운하를 지바현 모바라시까지 건설해 간척 사업에 이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도쿠다는 산간 지역에는 여러 곳에 댐을 적극적으로 건설하는 한편,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대량의 목재를 들여와 숲지대를 조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115] 도쿠다는 이러한 모든 사업을 시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독점 기업을 운영하는 자본가나 불법적인 사업으로 돈을 모은 사람들에게서 8,000억 엔을 징수하여 마련하면 된다고 주장했다.[116] 급진적인 내용이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도움을 청하자는 내용의 민감성 때문에 건설성은 도쿠다의 안을 채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도쿠다가 주장한 운하론의 일부는 무사시 수로나 보소 도수로 등으로 실현되었다.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편집] 야기사와 댐. 도네강 수계의 댐들 중 가장 많은 저수용량을 자랑한다.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시행하던 무렵의 일본은 한국 전쟁 특수 경기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경제 성장은 급격한 공업용수 수요의 증가를 야기했으며, 일본의 인구는 도쿄를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1957년에 도쿄도민을 위한 용수의 공급지로 다마강에 오고우치 댐을 만들었지만, 급격한 수요 증가를 막기엔 턱없이 모자라 도쿄에서 올림픽이 열리던 1964년에는 도쿄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갈수 사태가 일어났다. 또 농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작할 수 있는 대지는 늘어났지만, 그만큼을 충족할 수 있는 농업용수는 없었다. 결국 1958년년, 도네강 하류를 중심으로 염해가 발생하여 많은 농지가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1950년대 ~ 60년대 당시 일본의 수도권에서는 물의 확보가 긴급한 과제였다. 일본 국회는 1961년 수자원 발전 촉진법을 제정하였으며, 1962년에 일본 정부는 나중에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로 전환하는 "수자원 개발 공단"을 발족시켰다. 또, 정부는 도네강과 오사카권의 요도가와강, 나고야권의 기소강, 후쿠오카권의 지쿠고강 등을 대상으로 수자원 광역 종합 계획을 시행했다. 우선 1967년과 1968년에 각각 야기사와 댐과 시모쿠보 댐을 건설하였고, 1969년에는 중류부에 도네 댐(利根大堰)을 건설하였다. 또한 수자원 개발 공단은 도네 도수로 (무사시 수로·아사쿠 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연결해 도쿄도 수도국의 아사카 정수장으로 물을 보내어 도쿄도민의 물 수요를 채우고자 하였다. 한편 1971년에는 도네강 하구언을 건설해 염해의 방지와 수도권의 물 공급량 증가를 도모하는 한편, 상류부에는 1969년에 군마 용수를 건설해 아카기산, 하루나산 등지를 새로이 개간케하고자 했다. 중류부에는 미누마다이 용수와 사이타마 용수로를 정비하여 간토 중앙부의 관개 시설을 보완하였고, 보소 반도 중남부에서는 인바 늪을 간척 (1968년)하고 보소 도수로를 1997년에 신설하였다.[117][118] 또, 가스미가우라호에서도 1963년에 지었었던 히타치 강 수문을 이용해 호수를 댐으로 만드는 《가스미가우라 종합 개발 사업》 (1996년)을 시행했다.[119] 한편 1976년에는 구사키 댐, 1991년에는 나라마타 댐을 완성하여 수도권의 치수 및 이수를 강화했다. 이와 같은 계획을 차차 진행하던 중, 공단은 1974년에 도네강의 개발 계획과 아라카와강의 개발 계획을 아우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계 수자원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도네강은 1964년에 개정한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이 되었고, 이후 환경성이 도네강의 치수 사업을 계속 주도하게 되었다. 1965년에는 《도네강 수계 공사 실시 기본 계획》이 책정되었는데, 이 계획은 이후 도네강 치수를 위해 지켜야 할 새로운 방침이 되었다. 정부는 이 새로운 계획의 책정에 따라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을 계속 상향하여, 지금의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은 초당 22,000m3에 이른다. 이 사이 와타라세 유수지의 조정지화를 1997년에 완성했고, 유수지 안에 저수지를 만들어 유수지를 다목적 댐으로 이용하는 《와타라세 저수지 계획》도 1989년에 완성되었다. 또, 다나카 조절지 (1965년), 스고 조절지 (1960년)를 비롯한 여러 유수지도 제 모습을 갖추었다.[120] 댐으로는 소노하라 댐과 가와마타 댐 (모두 1965년), 가와지 댐 (기누강, 1983년)이 새로 생겼고, 내수 범람의 방지와 새로운 용수의 확보, 데가호의 수질 개선 등을 목적으로, 도네강과 에도강을 연결하는 다목적 인공하천인 기타치바 방수로도 2000년에 완성했다. 2007년에는 나카가와강, 오오토시후루토네강 등의 물을 에도강으로 끌어내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7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 하천인 수도권 외곽 방수로를 완성했다.[121]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는 이처럼 끊임없는 치수·이수 사업을 통하여, 도쿄권 뿐만 아니라 게이힌 공업 지대, 게이요 공업 지대, 가시마 임해 공업 지대 등의 수자원, 전력 자원으로 쓰이면서 일본 경제와 일본 국민의 삶의 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위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도네강의 치수 안전도는 100년 ~ 2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으로, 도네강 유역과 인구밀도가 비교적 비슷한 독일의 라인강 수계의 안전도가 1,250년에서 길게는 10,0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인 것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122] 또 도네강에서 퍼올리는 초당 123m3의 이수총량 중, 25%에 해당하는 초당 33m3의 양은 도네강의 유량이 충분할 때만 취수할 시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라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도네강 수계의 댐 8곳에서 나오는 용수 보급량은 20% 감소했다.[123] 이와 같은 치수·이수 상의 문제를 해결코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계획》을 책정하려 하고 있으며, 그 사전 단계로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을 정했다. 이 방침에는 제방·호안의 정비와 기존 하천 시설의 유지·보수 외에 얀바 댐, 유니시 댐, 난마 댐 등의 다목적 댐 건설 사업, 이나토이 조절지의 굴착과 둑 공사, 그리고 도네강 방수로의 시공을 추진하고 있다.[124] 개발과 지역 마찰[편집] 다나카 쇼조는 아시오 광독 사건의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와타라세 유수지의 건설을 반대했다. 얀바 댐 건설 예정지 (2006년, 아가쓰마강). 1952년에 처음으로 계획한 이래, 아직도 완성하지 못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국무교통대신이었던 마에하라 세이지. 도네강의 하천 개발로 말미암아 유역 주민은 혜택을 얻기도 했지만 개발에 따라 많은 희생과 불편을 감수해야 했으며,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끼리나 지방 자치단체들과 대립하고 있다. 1592년,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부근에 건설한 나카조 둑은 전부터 있었던 자연 제방을 증축하는 방식으로 만든 둑이었다. 이 둑은 주위에 있던 몇개의 둑들을 이어, 홍수가 일어났을 때 둑 상류부에 물을 막아두었다가, 강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적으로 도네강으로 물율 흘려보내는 유수지의 기능을 맡고 있었다. 나카조 둑의 홍수 조절량은 초당 4,000m3로, 현재 도네강 상류에 있는 8곳의 댐과 맞먹는 처리 능력을 발휘했으며, 물이 정해진 용량을 넘으면 시노부(지금의 교다시) 쪽으로 흘려보냈다. 이 때문에 둑 상류의 가미고 지구와 하류의 시모고 지구는 둑을 어떻게 운용하는 지를 두고 이해 관계가 엇갈려 줄곧 대립해왔다. 가미고 지구는 나카조 댐의 높이를 가능한 최대한 낮춰 홍수 피해를 막으려 한 한편, 시모고 지구는 반대로 둑을 최대한 높여서 홍수 피해를 막고자 했다. 때문에 홍수로 파괴된 둑을 다시 복구할 때마다 두 지역은 이 문제를 두고 크게 반목했다. 에도 시대에는 막부의 절대적 통제 하에 두 지구가 공동 조합을 결성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중앙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나카조 댐을 대신할 새로운 둑의 건설을 요구하는 가미고 주민들과, 나카조 둑을 이대로 유지·보수하기를 요구하는 시모고 주민들이 다시 대립하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경관대와 주민들이 충돌하고 사이타마현 의회가 현지사의 불신임 결의를 채택하는 등 현 전체로 혼란이 번지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내무성이 도네강 개수 계획의 하나로 지금과 같은 연속 제방 방식을 채택하여 사태를 수습했지만, 뛰어난 치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나카조 댐의 기능은 이 방식으로 인해 약해졌다.[125] 또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의 책정 이후로 정부가 추진하고자 했던 고카이 강의 이설 계획은 새로운 물길이 지나갈 기타소마군 도네정 주민들을 중심으로 격렬한 반대 여론에 부딪쳐, 1953년 11월에는 취재를 위해 지역을 찾은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의 기자단을 성난 주민들이 감금하고 집단 폭행하는 사건이 터지기에 이르렀다. 결국 1980년에 정부는 치수 계획을 개정하면서 고카이강의 이설 계획을 폐지하고, 대신 강의 제방을 보수하기로 하였다.[126] 한편 댐과 유수지를 건설하면서도 많은 주민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떠나야 하는 등의 희생을 치러야 했고,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커져 마찰이 잦아졌다. 와타라세 유수지는 원래 아시오 광독 사건의 대책으로 계획한 것이지만, 건설 예정지 주변에 살고 있던 도치기현 시모쓰가군 야나카촌(지금의 도치기시의 일부) 주민 300세대가 유수지를 건설하게 되면 떠나야 했기 때문에 다나카 쇼조 등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론을 무시하고 토지 수용법에 따른 강제 집행을 시행하여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놓았으며, 야나카촌은 결국 사라졌다.[127] 또 전쟁 이후의 《도네강 개정 개수 계획》에 들어가 있었던 후지와라 댐은 지역 주민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개시했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군마현의 중재와 함께, 당시 새롭게 부임한 댐 공사 책임자가 지역 주민들과 타협을 시도하면서 가까쓰로 무마할 수 있었다.[128] 가타시나강의 소노하라 댐에서도 오이가미 온천의 일부가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자 주민들이 반대 운동을 주도했다. 오이타현 시모우케 댐 예정지에서 일어난 하치노스 성 분쟁[129], 지쿠고강의 마쓰하라 댐 반대 운동 등과 더불어 "동쪽의 소노하라, 서쪽의 마쓰하라와 시모우케"로 불릴 정도로 규모가 컸다.[130] 또 아가쓰마강의 얀바 댐은 가와라바 온천의 수몰을 반대한 주민들의 계속된 반대로 계획이 시작된 1952년 이후 60년이 넘도록 완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누마타 댐은 수몰 세대가 2,200세대에 이르렀기 때문에 누마타시민들 뿐만 아니라 군마현민들도 반대 운동에 나서 우여곡절을 치른 끝에 1972년 제1차 다나카 가쿠아에 내각이 계획을 백지화했다.[131] 1973년, 일본 정부는 수몰 지역의 생활권 보존 대책으로 《수원지역대책특별조치법》을 시행하여, 가와지 댐, 기류카와 댐, 얀바 댐, 난마 댐, 유니시가와 댐, 가스미가우라호 등의 주위에 살던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주변 지역의 집중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댐 건설과 호수 개발로 이득을 보는 하류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돈을 걷어 재단법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원지역대책기금"을 1976년에 설립하여, 수몰 지역을 위한 대책 마련에 힘썼다.[132] 광역 하천 개발을 두고도 이해 관계에 따른 대립이 커졌다.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으로 등장한 도네강 방수로 계획은 태풍 캐슬린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도쿄도와 사이타마현에서는 찬성했지만 데가호와 인바 늪의 개발이 늦어질 것을 우려한 지바현은 반대하는 등 지방 자치단체마다 의견이 달랐으며, 용지 매수와 막대한 사업비 도출에도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다. 이렇게 사업을 질질 끄는 사이 방수로 건설 예정지에는 주택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경작지로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133] 또 오제하라 댐 계획은 댐의 환경 파괴를 우려한 후생성 (지금의 후생노동성), 문부성 (지금의 문부과학성), 일본자연보호협회가 반대했으며, 다다미강 및 아가노강의 수리권(水利權)을 갖고 있었던 후쿠시마현, 니가타현도 반대했다. 거기에 댐 계획을 통해 도네강 수계의 분수를 요구했던 도쿄도 등 간토 지방의 1도 5현과 격렬하게 대립한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쪽으로 도호쿠 지방의 다른 현들도 개입하여 오제하라 댐 계획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는 간토 지방과 도호쿠 지방 간의 정치적 지역 갈등으로 발전했다. 이 문제는 1996년에 사업 책임자 도쿄 전력이 오제의 수리권을 포기하기로 하여 종식되었다.[134][135]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 보호와 공공 사업에 대한 여론이 커지면서, 댐 사업을 비롯한 하천 개발도 일본 국민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여론을 수용하여,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축소[주 29] 하였으며, 제1차 고이즈미 내각도 도네강 수계에 있던 가타시나강의 도쿠라 댐 계획 등을 중지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여당이 된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국토교통대신이 된 마에하라 세이지는 얀바 댐 계획을 비롯하여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국토교통성 직할 댐 사업의 동결을 발표했다.[136] 하지만 하천 개발로 이익을 얻고 있었던 도쿄도를 비롯한 하류 지역 지방 자치단체들과, 댐 건설 예정지였던 아가쓰마군 나가노하라정, 가와라바 온천 조합 등은 마에하라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여 민주당 정권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규격 제방도 2010년 국정감사에서 폐지하기로 결정했으나, 이시하라 신타로 현 도쿄도지사는 "댐 건설은 중요한 사업"이라며 내각의 결정을 비판했다.[137] 2008년에 내각부 중앙방재회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네강에서 태풍 캐슬린이 불어왔을 때와 같은 홍수 피해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3,800명이 죽고, 160만명의 수재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138] 이 때문에 일본 댐 협회를 비롯한 하천공학 전문가 단체들은 "얀바 댐 등의 치수 공공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39] 다른 한편으로 시민단체가 얀바 댐 등의 사업 부담금 징수에 대한 정지 소송을 재판소에 낸 바 있으며[140], 2000년대에 이르러 하천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나 정부의 방침 전환으로 도네강의 치수·이수 사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주해[편집] ↑ 가라스 강의 지류인 가부라 천의 2차 지류인 미나미마키가와 천의 3차 지류, 우마사카 천이 나가노 현 사쿠 시에서 발원한다. ↑ 오제실잠자리 (オゼイトトンボ)와 홋카이도실잠자리 (エゾイトトンボ)류로, 이들은 일본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퍼져있는 종이다. ↑ 고쿠초 (国蝶 국접[*]) ↑ 일명 "하코네산도롱뇽" (Onychodactylus Japonicus)이라고도 부르며, 지리산 등지에 서식하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과 서식 환경이 거의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기사) ↑ 잉어목 납줄개아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일본 고유종이다. 학명은 Acheilognathus typus 이다. ↑ 한자는 시네쓰히코 (しいねつひこ)라고도 읽을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비슷한 예로는 금강이 있다. 금강 중, 충청남도 부여군 (구 백제 사비성 일대)을 지나는 지역에 한해 백마강 (白馬江)이라 불리고 있다. 관련 기사. ↑ 일본에서, 국토교통성과 수자원기구가 관리하는 댐 및 주변 구간은 모두 국토교통성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특정 수리 (特定水利)라 한다. ↑ 遺留湖. 원래 다른 호수와 하나였다가, 외따로 떨어진 호수를 가리킨다. ↑ 일명 "아바레가와" (暴れ川)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직역하면 "사나운 강"이라는 뜻이다. ↑ 경(頃)은 고대 일본에서 쓰이던 토지 면적 단위였다. 1경 당 약 1Ha에 해당한다. 이 홍수로 약 2,000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었다. ↑ 지금의 도쿄도 및 사이타마현 일대를 다스리던 율령국의 하나였다. ↑ 약 158,677,686m2에 해당한다. 1정보는 3000평으로 계산하며, 1평은 약 3.3m2이다. ↑ 약 661,586,777m2에 해당한다. ↑ 같은 이름을 쓰는 용수로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도 있다. "비젠쿄 용수"라는 이름은 다다쓰구의 당시 관직 이름이었던 "비젠노카미"에서 유래했는데, 비젠은 지금의 주고쿠 지방 오카야마현 동부를 가리키는 옛 이름으로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과는 관계가 없는 지명이다. ↑ 수도 지역의 수해를 막기 위해 치수 사업을 벌인 비슷한 예로, 18세기 조선 왕조가 한양에서 실시한 청계천 준설 사업이 있다. 관련 기사. ↑ 《시모우사노쿠니 큐지코》 (下総国旧事考)에는 1621년에 개착 사업을 실시했다고 적혀 있으나, 《신펜무사시후도키코》 (新編武蔵風土記稿)에는 1624년에 실시했다고 적혀 있다. ↑ 1839년에 지금의 도요타 둑을 건설할 때,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인근에 지었던 둑을 원형으로 참고했다고 전해진다. ↑ 야소베에(弥惣兵衛)는 본명이며, 공적인 장소에서는 자신의 휘(諱)인 다메나가(為永)를 사용했다. ↑ 시기는 간에이 연간 (1624년부터 1641년까지)이며, 정확한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 따라서 "미누마다이"란 미누마 (見沼)를 대신 (代)한다는 뜻으로, 미누마다이 자체가 하나의 지명인 것은 아니다. ↑ "보다시"가 설치된 시기는 네기시 몬조의 《도네강 치수고》의 덴포 연간설 (1830년대) 외에 토목학회의 《메이지 이전의 일본 토목사》의 간에이 연간설 (17세기 초)도 있다. ↑ 에도강, 기누강, 고카이강, 도네강 하류 지역을 관할한다는 데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 일명 "구 하천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 ↑ 도네강, 기타카미강, 나루세강, 에아이강, 모가미강, 시나노강, 조간지강, 기소강, 요도가와강, 요시노강, 지쿠고강을 합쳐 10수계라 불렀다. 시나노강과 조간지강을 제외한 나머지 수계에는 모두 1개 이상의 댐이 세워졌다. ↑ 링크된 시모쿠보 댐의 전신으로, 간나강 수계에 있다. ↑ 지금의 도쿄도 23개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하나의 시였다. 이후 주변 도시들을 통합하여 도쿄도를 설치했다. ↑ "료소" (両総)는 가즈사국과 시모우사국을 가리킨다. 지바현을 비롯한 간토 지방 동쪽 지역의 옛 이름이었다. ↑ 이로 인해 도쿠시마현에서 건설성 (지금의 국토교통성)이 추진하던 호소가와우치 댐 계획 (나카강)을 비롯하여 여러 댐 계획들이 동결되거나 백지화되었다. 각주[편집] ↑ 『河川法第四条第一項の水系を指定する政令』 Archived 2012년 2월 3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일 확인. ↑ 일본 도쿄등 관동지방도 取水제한 시작, 연합뉴스, 1994년 7월 23일. ↑ 가 나 다 群馬県『県内の一級河川の一覧』, 2012년 9월 1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쪽 ~ 7쪽. ↑ 《도네 강 100년사》, 5쪽. ↑ 《도네 강 100년사》, 4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7쪽. ↑ 가 나 다 이상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ダム統合管理事務所『利根川の特徴』, 2012년 9월 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9쪽 ~ 41쪽과 45쪽에서. ↑ 《도네강 100년사》, 39쪽과 42쪽에서. ↑ 《하천편람 2004년판》, 102쪽 ~ 103쪽. ↑ 《도네 강 100년사》, 15쪽 ~ 16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5쪽 ~ 19쪽. ↑ 《도네 강 100년사》, 19쪽. ↑ 《도네 강 100년사》, 22쪽 ~ 25쪽. ↑ 《도네강 100년사》, 24쪽 ~ 25쪽. ↑ 가 나 《도네 강 100년사》, 132쪽 ~ 133쪽. ↑ 《도네강 100년사》, 36쪽 ~ 37쪽. ↑ 《도네강 100년사》, 59쪽. ↑ 《도네 강 100년사》, 59쪽 ~ 60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植物と陸上昆虫』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3일 확인. ↑ 가 나 다 라 環境省『特定外来生物等一覧(外来生物法)』 Archived 2009년 1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다 라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生物(特定外来生物)』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0쪽 ~ 61쪽. ↑ 검룡소에 나타난 꼬리치레도롱뇽: 청정 1급수 지역에만 서식...환경지표종, 아시아투데이, 2011년 5월 26일 작성.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1쪽. ↑ 가 나 다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鳥と小動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藤原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3쪽 ~ 65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魚と水生生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5일 확인. ↑ 独立行政法人水資源機構利根導水総合事務所 2012년 9월 5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自然保護協会『自然保護』 - 河口堰は河川生態系を大幅にかえた - 1998年 2012년 9월 5일 확인. ↑ 다키카와 히로시·우에타케 고이치 외, 『開腹により発見せる日本住血吸虫症5例:利根川流域における日本住血吸虫は滅亡した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9월 7일 확인. ↑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行政施策と肝硬変死亡』 Archived 2009년 12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水土里ネット北総東部『カワヒバリ貝対策について』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33쪽 ~ 135쪽. ↑ 가 나 다 라 《도네강 100년사》, 1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名称の由来』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 강 100년사》, 2쪽. ↑ 国土交通省中国地方整備局浜田河川国道事務所『江の川の概要』 Archived 2012년 11월 1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紹介』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하천편람 2004년판》, 90쪽 ~ 92쪽. ↑ 《도네 강 100년사》, 1596년 ~ 1601년.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管理 川とその機能を保つ維持管理』 Archived 2011년 3월 11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事業概要』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601쪽 ↑ 《일본의 다목적 댐: 직할편》 (1990년), 448쪽 ~ 499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霞ヶ浦河川事務所『昔はどうなっていたか』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299쪽 ~ 300쪽. ↑ 水土里ネット見沼代用水『黒沼笠原沼用水路』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63쪽 ~ 664쪽. ↑ 《도네강 100년사》, 1245쪽. ↑ 《이바라키현사 시정촌편 3》, 396쪽 ~ 400쪽.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総貯水容量順位表 2012년 9월 1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435쪽 ~ 144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21쪽 ~ 126쪽. ↑ 《도네강 100년사》, 1444쪽 ~ 1445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3쪽. ↑ 《일본의 다목적 댐 - 보조편》 (1990년), 176쪽 ~ 177쪽. ↑ 《하천편람 2004년판》, 30쪽 ~ 31쪽. ↑ 邑楽町『都市公園 多々良沼公園』 Archived 2011년 6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5일 확인. ↑ 쇼가쿠칸, 《디지털 다이지센》 (大辭泉; 쇼가쿠칸의 상표) ↑ 《도네강 100년사》, 86쪽 ~ 87쪽. ↑ 《도네강 100년사》, 87쪽. ↑ 《도네강 100년사》, 77쪽 ~ 78쪽. ↑ 《도네강 100년사》, 79쪽. ↑ 《도네강 100년사》, 289쪽. ↑ 《도네강 100년사》, 141쪽. ↑ 《도네강 100년사》, 88쪽. ↑ 가 나 다 《도네강 100년사》, 89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05쪽. ↑ 行田市教育委員会『石田堤』 2012년 9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08쪽 ~ 309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320쪽. ↑ 《도네강 100년사》, 311쪽 ~ 312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도네강 100년사》, 312쪽 ~ 313쪽. ↑ 《도네강 100년사》, 313쪽 ~ 314쪽. ↑ 《도네강 100년사》, 368쪽 ~ 369쪽. ↑ 《도네강 100년사》, 366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374쪽. ↑ 《도네강 100년사》,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5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6쪽. ↑ 《도네강 100년사》, 349쪽 ~ 351쪽. ↑ 《도네강 100년사》, 356쪽 ~ 359쪽. ↑ 《도네강 100년사》, 174쪽 ~ 177쪽. ↑ 《도네강 100년사》, 339쪽 ~ 340쪽. ↑ 《도네강 100년사》, 188쪽. ↑ 《도네강 100년사》, 408쪽. ↑ 《도네 강 100년사》, 418쪽. ↑ 《도네강 100년사》, 530쪽. ↑ 《도네강 100년사》, 504쪽 ~ 511쪽. ↑ 《도네강 100년사》, 568쪽 ~ 574쪽. ↑ 《도네강 100년사》, 636쪽 ~ 657쪽. ↑ 《도네강 100년사》, 680쪽 ~ 688쪽. ↑ 《도네강 100년사》, 731쪽 ~ 732쪽. ↑ 《도네강 100년사》, 759쪽 ~ 778쪽. ↑ 《도네강 100년사》, 782쪽 ~ 787쪽. ↑ 《도네강 100년사》, 803쪽 ~ 831쪽. ↑ 《도네강 100년사》, 820쪽 ~ 860쪽. ↑ 《도네강 100년사》, 880쪽. ↑ 《도네강 100년사》, 874쪽 ~ 880쪽. ↑ 《도네강 100년사》, 923쪽 ~ 960쪽. ↑ 《도네강 100년사》, 1208쪽. ↑ 《도네강 100년사》, 1243쪽 ~ 1244쪽. ↑ 《도네강 100년사》, 1380쪽 ~ 1382쪽. ↑ 《국토 종합 개발: 특정 지역의 길잡이》, 25쪽 ~ 31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5쪽 ~ 18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10쪽 ~ 170쪽. ↑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 - 보소 도수로 관리소, 《보소 도수로의 역사》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가스미가우라 하천 사무소,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067쪽 ~ 1069쪽.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에도강 하천사무소, 《수도권 외곽 방수로》 Archived 2011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물 포럼, 《물 관련 피해 (전반, 세계)》 Archived 2011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도네강 수계 유역 및 하천의 개요” 64쪽 ~ 6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기본 정비 방침》, “기본고수 등에 관한 자료”, 2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16쪽 ~ 523쪽. ↑ 《도네강 100년사》, 950쪽 ~ 951쪽. ↑ 《도네강 100년사》, 564쪽 ~ 569쪽. ↑ 《호수를 넓히다》, 20쪽 ~ 21쪽. ↑ 시모우케 댐의 건설 예정지에, 댐 건설을 반대하던 주민들이 보루를 쌓고 농성을 한 사건이다. 1959년에 일어났다. ↑ 《도네강 100년사》, 1379쪽. ↑ 《누마타시의 역사: 통사편 3》, 649쪽 ~ 652쪽. ↑ 《도네강 100년사》, 1353쪽. ↑ 《도네강 100년사》, 945쪽 ~ 946쪽.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 수리권과 댐 (2): 분수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오자키 미쓰요시, 《오제하라·다다미강·도네강의 수력 개발 개요》, 토목학회지 제33권 5~6호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하천계획과, 『新たな基準に沿った検証の対象とするダム事業を選定する考え方について』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산케이 뉴스, 2011년 3월 14일 기사. Archived 2011년 3월 17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内閣府中央防災会議『利根川の洪水氾濫時の死者数・孤立者数等の公表について』 Archived 2011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마이니치 신문》 도치기판, 2011년 3월 25일 기사에서. 참고 자료[편집]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2005년. 재단법인 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도네 강 10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도네강 100년사》, 1987년. 사단법인 일본하천협회 감수, 《하천편람 2004년판》, 국토개발조사회, 2004년. 전거 통제 VIAF: 260260094 NDL: 0064773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강&oldid=24145291" 분류: 이바라키현의 강도치기현의 강군마현의 강사이타마현의 강지바현의 강도쿄도의 강나가노현의 강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orskPolski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05: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네강(일본어: 利根川, とねがわ 도네가와[*])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다.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하여, 간토 지방을 북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흐른다. 도네강 수계의 본류로, 일본 정부의 하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급 하천으로 관리받고 있다. "반도타로" (坂東太郎)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타로는 도네강이 "간토 지방의 하천 중 장남 격이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임을 의미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수도권의 거주민들을 위한 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네강의 강수량이 수도권 지역의 취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와카에 등장한 도네의 참의미에 대한 가설은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강이 흐르는 지역인 도네군에서 음을 땄다는 설, 강의 발원지의 주변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즉 "도키미네" (尖き峰)의 발음이 뒤바뀌었다는 설, 발원지인 오미나카미산의 별칭인 "도네다케" (일본어: 刀嶺岳, 刀祢岳, 刀根岳)에서 따왔다는 설[38], 도네노아타이 (等禰直), 또는 도네쓰히코 (椎根津彦)[주 6] 라는 신에서 따왔다는 설[39] 등이 있다. Human: 아래 이철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철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철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명하기 전에 같은 이름을 가졌던 아프리카 BJ이자, 전직 프로게이머에 대해서는 철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철민 출생 1970년 7월 11일(1970-07-11) (48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1년 ~ 현재소속사 더좋은 이엔티 학력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배우자 김미경자녀 딸 이신향, 아들 이태건웹사이트 더좋은 이엔티 이철민 이철민(1970년 7월 11일 ~[1])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기본 정보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예능 4 CF 5 참조 6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출생 : 1970년 7월 11일 (대구광역시)[2] 특기 : 태권도 취미 : 낚시, 운동, 영화감상, 애완견기르기 학력[편집] 대륜고등학교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9년 로드킬 최오광 역 일진 3 사장님 역 2018년 더 매뉴얼 의사 역 (단편 영화) 2017년 역모: 반란의 시대 옥사장 역 대장 김창수 도승선 역 2016년 사랑은 없다 호중 역 터널 장은준 시추장 역 2015년 더 폰 손석호 역 연평해전 김혁 소령 역 위험한 상견례 2 택배남 역 검은손 원무과장 역 2014년 우리는 형제입니다 (We Are Brothers) PD 역 2013년 가시꽃 (Fatal) 김백춘 역 청춘정담 (Believe Me) 여관주인 역 2012년 아부의 왕 (The Suck up project) 손 실장 역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Nameless Gangster : Rules of Time) 형배조직원 6 역 2011년 Mr. 아이돌 (Mr. Idol) 치프가이드 역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The Cat) 치매 할머니 아들 역 수상한 고객들 (Three Customer) 호프집 취객 역 로맨틱 헤븐 (Romantic Heaven) 응식 역 2010년 황해 (The Yellow Sea) 차성남 역 퀴즈왕 (Quiz King) 대학교수 1 역 이끼 (Moss) 기도원장 역 2009년 시크릿 (Secret) 조동철 역 청담보살 (Fortune Salon) 인상남 역 굿모닝 프레지던트 (Good Morning President) 김정호 참모 1(임철진) 역 2008년 아기와 나 (Baby And I) 파출소 경관 역 2007년 바르게 살자 (Going The By Book) 조성욱 역 아들 (My Son) 수감자 역 마파도 2 (Mapado 2) 경호실장 역 2006년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거룩한 계보 (Righteous Ties) 박문수 역 공필두 (Detective Mr. Gong) 곽재구 역 창공으로 (Blue Sky) 이용근 역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2005년 박수칠 때 떠나라 (The Big Scene) 해설 역 2004년 아는 여자 (Someone Special) 사내 역 페이스 (Face) 조 형사 역 2002년 보스 상륙 작전 (Boss X File) 악어 역 라이터를 켜라 (Break Out) 부하 1 역 묻지마 패밀리 (No Comment Family) 위의 남편이 부른 경찰 역 1999년 유령 (Phantom, The Submarine) 531 역 간첩 리철진 (The Spy) 수사요원 1 역 1998년 기막힌 사내들 (The Happenings) 한가닥 5 역 1997년 파트너 (Partner) 지우 친구 역 크레이지 댄스 (Crazy Dance) 똑바로 살아라 (Do The Right Thing) 바꿔치기 역 1996년 보스 (Boss) 투캅스 2 (Two Cops 2) 정보원 역 1995년 48+1 (Flower Cards) 두식 역 아빠는 보디가드 (My Father The Bodyguard) 폭주족 역 1991년 개벽 (Fly High Run Far Kae Byok) 도인들 역 장군의 아들 2 (The General's Son 2) 드라마[편집] 제목 방송사 방송 년도 역할 2019년 JTBC 보좌관 김형도 역 tvN 어비스 박기만 역 2018년 SBS 사의 찬미 학무국장 역 JTBC 뷰티 인사이드 김이사 역 JTBC 미스 함무라비 맹사성 역 SBS 착한마녀전 차종철 역 2017년 OCN 블랙 오소태 역 MBC 밥상 차리는 남자 김진호 역 OCN 듀얼 박유식 역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점쟁이 역 2016년 SBS 낭만닥터 김사부 함승호 역 tvN THE K2 박관수 보좌관 역 KBS1 임진왜란 1592 이기남 역 SBS 미세스 캅 2 박준영 이사 역 OCN 동네의 영웅 조봉철 역 2015년 JTBC 라스트 독사 역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가만히 있으라 불곰파 보스 장태수 역 2014년 tvN 라이어 게임 전영철 / 불독 역 tvN 꽃할배 수사대 사채업자 보스 역 TV조선 불꽃 속으로 다케다 역 KBS2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불곰 역 2013년 JTBC 가시꽃 김백춘 역 OCN 더 바이러스 강태식 역 2012년 KBS1 대왕의 꿈 칠숙 역 TV조선 한반도 조갑석 역 2011년 KBS1 TV 문학관 - 엄지네 고씨 역 KBS2 특별수사대 MSS 지병기 역 2010년 국가가 부른다 마갑성 역 2009년 천하무적 이평강 춘봉 역 2008년 KBS 드라마 복권 3인조 오철민 형사 역 KBS1 큰 언니 김기태 역 KBS2 난 네게 반했어 형철 역 MBC every1 환상기담 KBS2 태양의 여자 1회 소매치기 역 SBS 온에어 김학선 역 2007년 KBS2 착한여자 백일홍 유 주임 역 2006년 눈의 여왕 박동필 역 2005년 MBC 제5공화국 김동겸 역 2004년 KBS2 낭랑 18세 최계진 역 아름다운 유혹 창수 역 2003년 KBS1 무인시대 김척후 역 분이 2002년 SBS 야인시대 권 상사 역 KBS1 제국의 아침 2000년 KBS2 태양은 가득히 1998년 야망의 전설 실미도 훈련병 역 1997년 그대 나를 부를 때 1996년 첫사랑 식당 주인 역 1995년 젊은이의 양지 양춘식 역 예능[편집] tvN 《SNL 코리아》 SBS 《자기야 백년손님》 E채널 《별거가 별거냐》 JTBC 《한끼줍쇼》 게스트 KBS2 《개그콘서트 - 대화가필요해 1987》 신봉선의 아버지 역 게스트 CF[편집] 2010년 해찬들 태양초 고추장 2015년 배달의민족 참조[편집] ↑ “보관 된 사본”.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5일에 확인함.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38456 외부 링크[편집] 이철민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철민&oldid=24405175" 분류: 대구광역시 출신대륜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연극 배우1991년 데뷔더 좋은 이엔티 소속영천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1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철민(1970년 7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철민의 드라마 출연작과 역할은 뭐가 있어? Assistant: 제목 방송사 방송 년도 역할 2019년 JTBC 보좌관 김형도 역 tvN 어비스 박기만 역 2018년 SBS 사의 찬미 학무국장 역 JTBC 뷰티 인사이드 김이사 역 JTBC 미스 함무라비 맹사성 역 SBS 착한마녀전 차종철 역 2017년 OCN 블랙 오소태 역 MBC 밥상 차리는 남자 김진호 역 OCN 듀얼 박유식 역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점쟁이 역 2016년 SBS 낭만닥터 김사부 함승호 역 tvN THE K2 박관수 보좌관 역 KBS1 임진왜란 1592 이기남 역 SBS 미세스 캅 2 박준영 이사 역 OCN 동네의 영웅 조봉철 역 2015년 JTBC 라스트 독사 역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가만히 있으라 불곰파 보스 장태수 역 2014년 tvN 라이어 게임 전영철 / 불독 역 tvN 꽃할배 수사대 사채업자 보스 역 TV조선 불꽃 속으로 다케다 역 KBS2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불곰 역 2013년 JTBC 가시꽃 김백춘 역 OCN 더 바이러스 강태식 역 2012년 KBS1 대왕의 꿈 칠숙 역 TV조선 한반도 조갑석 역 2011년 KBS1 TV 문학관 - 엄지네 고씨 역 KBS2 특별수사대 MSS 지병기 역 2010년 국가가 부른다 마갑성 역 2009년 천하무적 이평강 춘봉 역 2008년 KBS 드라마 복권 3인조 오철민 형사 역 KBS1 큰 언니 김기태 역 KBS2 난 네게 반했어 형철 역 MBC every1 환상기담 KBS2 태양의 여자 1회 소매치기 역 SBS 온에어 김학선 역 2007년 KBS2 착한여자 백일홍 유 주임 역 2006년 눈의 여왕 박동필 역 2005년 MBC 제5공화국 김동겸 역 2004년 KBS2 낭랑 18세 최계진 역 아름다운 유혹 창수 역 2003년 KBS1 무인시대 김척후 역 분이 2002년 SBS 야인시대 권 상사 역 KBS1 제국의 아침 2000년 KBS2 태양은 가득히 1998년 야망의 전설 실미도 훈련병 역 1997년 그대 나를 부를 때 1996년 첫사랑 식당 주인 역 1995년 젊은이의 양지 양춘식 역
Human: 아래 대통합민주신당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통합민주신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통합민주신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대통합신당 상징색 주황, 초록 (비공식) 이념 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 당직자 대표 손학규 원내대표 김효석 역사 창당 2007년 8월 5일 해산 2008년 2월 11일 병합한 정당 열린우리당 분당 이전 소속 정당 열린우리당민주당 통합된 정당 통합민주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의석 국회의원 (2007년) 142 / 299 대통합민주신당 (폐쇄)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 대통합신당)은 대한민국의 중도개혁세력임을 주장하는 제 세력이, 민주·개혁·평화·중도·미래세력의 대통합이라는 명분으로 2007년 8월 5일에 창당한 정당이다. 열린우리당 탈당파 80명, 당시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4명,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를 주축으로 한 한나라당의 일부 탈당세력과 시민사회세력을 주축으로 출범했다. 출범 직후 민주당은 유사한 당명이라며 비난하였다. 이후 2007년 8월 20일 신당 출범으로 상대적으로 약해진 열린우리당과의 합당을 통해 의석수 143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 2008년 2월 11일에 민주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여 소멸하였다. 목차 1 창당 과정 2 주요 활동 3 역대 지도부 4 강령 5 주요 선거 기록 5.1 역대 대선 결과 5.2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6 역대 전당대회 6.1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 6.2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 6.3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 6.4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 6.5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 7 역대 정당 당원 8 각주 및 참고자료 창당 과정[편집] 2007년 8월 5일 창당 (의석수 84석 원내 제2당, 당시 제1당은 한나라당) 2007년 8월 20일 열린우리당과 합당 (의석수 143석 원내 제1당, 제2당은 한나라당) 2007년 11월 2일 강길부의원이 탈당하였다. (142석으로 감소) 2007년 11월 12일 민주당과 합당 합의했으나 무산됨. 2007년 12월 19일 정동영을 후보로 2007년 대선에 나섰으나 당시 후보였던 이명박에게 참패함. 2008년 2월 11일 민주당과 통합 선언, 당명을 통합민주당(약칭: 민주당)으로 정함. 주요 활동[편집]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을 흡수한 후에 정동영을 대선 후보로 내세워 제17대 대선에 참여했다. 부단히 친노 이미지를 벗기위한 명분없는 차별화를 시도했으나, 이에 대한 국민들에 대한 반감이 작용하여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에게 큰 표차로 패배하였다. 이로 인해 친노 세력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대선 이후에는 손학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였다. 그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역대 지도부[편집]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비고 1 오충일 대표최고위원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참패로 사퇴 2 손학규 대표최고위원 2008년 1월 11일 ~ 2008년 2월 15일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원내대표 김효석 최고위원 정균환 이미경 조일현 김상희 양길승 사무총장 정동채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신계륜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정책위원회 의장 김진표 대변인 이낙연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우상호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강령[편집] 이 정당은, 그들의 강령 전문에서 '민주', '평화', '통합', '환경'을 4대 기본가치로 삼고, 강령과 정책비전(아래 참조)을 규정했다.[1] 주요 선거 기록[편집] 역대 대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대수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2007년 17대 정동영 6,174,681표 26.14% 2위 낙선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국회의원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2007년 12·19 재보선 3/13 23.0% 4/12 33.3% 2/25 8.0% 역대 전당대회[편집]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편집] 2007년 8월 5일, 통합신당 창당대회는 오충일 창당준비위원장을 대표최고위원으로 추대했다.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편집] 2007년 8월 20일, 통합신당과 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는 열린우리당의 대통합민주신당 흡수합당을 결의하였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편집]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자 선출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시민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합 계 제주울산 2890 4089 5265 3404 강원충북 사퇴 5279 8645 5511 광주전남 19906 26065 9826 부산경남 4508 6689 6614 모바일 1차 7649 7004 6285 모바일 2차 21359 19288 10535 모바일 3차 41023 35846 28464 여론조사 17525 21850 10216 잔여지역 47461 86332 29273 총합 사퇴 168799 216984 110128 경선 초반 제기되어오던 정동영후보 측의 조직동원 및 관권선거 의혹으로 10월 2일 경선 잠정 중단 사태까지 발생했다. 10월 9일부터 경선이 재개되며 손학규,이해찬 후보의 요청으로 지역투표가 일괄적으로 치뤄졌고, 정동영 후보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편집] 득표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비고 1011 손학규 164 53.6% 대표최고위원 1022 우원식 55 18% 1033 김호진 46 15% 104 기타 41 13.4% 총투표수 306 2008년 1월 11일, 통합신당 중앙위는 후보등록 없이 무작위투표를 통해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오충일 대표를 대신할 신임 대표로 선출했다.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편집] 2008년 2월 13일, 통합신당 최고위는 민주당과의 합당을 통한 통합민주당 창당을 의결하였다. 역대 정당 당원[편집] 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 및 참고자료[편집] ↑ 민주신당소개-강령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대통합민주신당 공식홈페이지, 2007년 8월 7일 작성 vdeh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1945년 ~ 1980년 고려민주당 (1945년 8월 18일 ~ 1945년 8월 28일) → 조선민족당 조선민족당 (1945년 8월 28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국민당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1945년 9월 16일 ~ 1949년 2월 10일) → 민주국민당 (1949년 2월 10일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 (1955년 9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통일당 (1957년 11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신민당 (1960년 12월 14일 ~ 1963년 6월 28일) → 민정당 (1963년 6월 28일 ~ 1965년 5월 8일) → 민중당 (1965년 5월 11일 ~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1967년 2월 7일 ~ 1980년 10월 27일) → 신한민주당 민주당 (1963년 7월 18일 ~ 1965년 5월 3일) 국민의당 (1963년 8월 1일 ~ 1964년 9월 17일) 신한당 (1966년 5월 30일 ~ 1967년 2월 7일) 민중당 (1967년 ~ 날짜 미상) → 해산 국민당 (1971년 1월 6일 ~ 1972년 10월 17일) → 해산 민주통일당 (1973년 1월 27일 ~ 1980년 10월 27일) → 해산 1980년 ~ 1997년 민주한국당 (1981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신한민주당 (1985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통일민주당 (1987년 4월 ~ 1990년 1월 22일) → 민주자유당 평화민주당 (1987년 10월 29일 ~ 1991년 4월 15일) → 신민주연합당 (1991년 4월 15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1991년 9월 16일 ~ 1995년 12월 21일) → 통합민주당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11월 21일) → 신한국당 민주당 (1990년 6월 18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1995년 9월 11일 ~ 2000년 1월 20일) → 새천년민주당 1997년 ~ 현재 새천년민주당 (2000년 1월 20일 ~ 2005년 5월 6일) → 민주당 (2005년 5월 6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6월 27일 ~ 2007년 8월 3일) → 민주당 (2007년 8월 3일 ~ 2008년 2월 15일) → 민주당 (2008년 2월 17일 ~ 2011년 12월 23일) → 민주통합당 (2011년 12월 16일 ~ 2013년 5월 3일) → 민주당 (2013년 5월 3일 ~ 2014년 3월 26일) → 새정치민주연합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 더불어민주당 (2015년 12월 28일 ~ 현재) 개혁국민정당 (2002년 8월 29일 ~ 2004년 9월 13일)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2003년 11월 11일 ~ 2007년 8월 20일) →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 8월 5일 ~ 2008년 2월 11일) → 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창조한국당 (2007년 10월 30일 ~ 2012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평화민주당 (2010년 4월 8일 ~ 2012년 2월 14일) → 국민행복당 시민통합당 (2011년 12월 7일 ~ 2011년 12월 16일) → 민주통합당 국민행복당 (2011년 12월 13일 ~ 2012년 4월 12일) → 등록 취소 정통민주당 (2012년 3월 12일 ~ 2012년 3월 16일) → 등록 취소 새정치연합 (2014년 2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2014년 9월 21일 ~ 2016년 10월 19일) → 더불어민주당 국민회의 (2015년 12월 11일 ~ 2016년 1월 25일) → 국민의당 통합신당 (2016년 1월 10일 ~ 2016년 1월 27일) → 국민의당 국민의당 (2016년 2월 2일 ~ 2018년 2월 13일) →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2018년 2월 6일 ~ 현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통합민주신당&oldid=24252368" 분류: 2007년 설립된 정당2008년 폐지문재인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 원내정당민주당 (대한민국)대한민국의 해산된 정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2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 신당, 민주신당, 대통합신당)은 대한민국의 민주·개혁·평화·미래세력의 대통합이라는 명분으로 2007년에 창당한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었다. 열린우리당 탈당파 80명, 당시 민주당 탈당파 4명,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를 주축으로 한 한나라당의 일부 탈당세력과 시민사회세력을 주축으로 출범했다. 출범 직후 민주당은 유사한 당명이라며 비판하였다. 이후 2007년 8월 5일 신당 출범으로 상대적으로 약해진 열린우리당과의 합당을 통해 의석수 143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 그리고 2007년 17대 대선에서 대선에서 정동영 후보를 내세웠으나 이명박에게 패하여 여당에서 야당으로 정권을 내주고 말았다. 2008년 2월 17일 민주당과 합당해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여 소멸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통합민주신당의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정보는 어때? Assistant: 실시년도 선거 국회의원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2007년 12·19 재보선 3/13 23.0% 4/12 33.3% 2/25 8.0% Human: 아래 스마트러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마트러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마트러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목차 1 정의 2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연구 특징 3 전자학습의 개념 및 특징 비교 4 스마트 러닝 구현조건 5 참고문헌 6 외부 링크 정의[편집] 정의 학자 또는 단체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형태와 능력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사고력, 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의 개발을 높이며 협력학습과 개별학습을 위한 기회를 창출하여 학습을 더욱 즐겁게 만드는 것으로서 장치보다 사람과 콘텐츠에 기반을 둔 발전된 ICT 기반의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맞춤학습 곽덕훈(한국이러닝산업협회 세미나, 2010) 스마트 러닝은 스마트 인프라(smart infra)와 스마트한 교육방식(smart way)으로 이루어지며, 스마트 인프라는 클라우딩, 네트워크, 서버, 스마트 디바이스, 임베디드 기기 등을 의미하며 스마트웨이는 맞춤형, 지능형, 융합형, 소셜 러닝, 집단지성 등을 의미 노규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1)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간의 소통 (communication), 협력 (collaboration), 참여 (participation), 개방, 공유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전통적 교수, 학습 방식을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지능적, 그리고 상호작용적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의미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2011)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술적인 요소를 학습 요인과 결합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는 방법 김태기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연구 특징[편집] 개념 및 특징 연구자 인간중심 학습 패러다임, 유연성, 창의성, 개방성 김성태(2010) 학습자 중심, 지능형, 협력형, 개인형, 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곽덕훈(2010) 지능형, 맞춤형, 자기주도형, 교수-학습 지원체제 장상현(2010) 현실감, 몰입형, 비형식학습, 인지지원체제, 창조적 사고 이수희(2010) 동기부여, 자기주도형, 실시간형 학습관리, 개인화 김돈정(2010) 지능적, 적응적, 수준별 맞춤형 개별학습, 소셜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론적 체계적 형식학습, 실천적 맥락적 비형식 학습 임정훈(2011) 스마트 정보통신기술, 학습원천정보, 학습자주도형 학습, 수요자의 요구 노규성 외(2011)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지능적, 상호작용적인 방식의 총체적 접근 조재춘, 임희석 (2012) 학습자 맞춤형 학습과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 기술의 활용, 인지와 사고 능력을 증대시키는,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자 주도의 학습형태 방선희(2012) 전자학습의 개념 및 특징 비교[편집] 구분 개념 및 특징 e-러닝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 방송 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m-러닝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학습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이 가능한 형태 u-러닝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접목한 학습의 형태로 PC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학습이 가능한 형태 s-러닝(스마트러닝) 개인화된 기기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학습자주도형, 자기주도형, 상호작용, 지능형, 비형식학습, 현실감 등의 특징 스마트 러닝 구현조건[편집] 1.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문제 중심적 학습환경 설계를 위해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과제 목표 제시 문제 해결을 위해 학습활동에 필요한 정보 자원 제공 학습자의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인지적 지원 도구 학습자-학습자 간, 학습자-교수자 간, 학습자-학습프로그램 간 상호작용 활성화 도구 2. 구현 기술 활용 상호작용 , 모델정의, 훈련장비, 지식전달, 콘텐츠 개발 기술 3. 이러닝 서비스의 스마트화 단기 학습 콘텐츠 활성화 시뮬레이션형 학습 서비스 SNS 기반의 협력학습 서비스 자기주도형 학습 참고문헌[편집] 스마트러닝과 미래교육 (노규성, 선문대/한국디지털정책학회) 외부 링크[편집] 스마트러닝 포럼 세미나 스마트교육학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마트러닝&oldid=24159998" 분류: 교육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7일 (화) 05: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특징은 무엇이며 그것을 연구한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개념 및 특징 연구자 인간중심 학습 패러다임, 유연성, 창의성, 개방성 김성태(2010) 학습자 중심, 지능형, 협력형, 개인형, 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곽덕훈(2010) 지능형, 맞춤형, 자기주도형, 교수-학습 지원체제 장상현(2010) 현실감, 몰입형, 비형식학습, 인지지원체제, 창조적 사고 이수희(2010) 동기부여, 자기주도형, 실시간형 학습관리, 개인화 김돈정(2010) 지능적, 적응적, 수준별 맞춤형 개별학습, 소셜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론적 체계적 형식학습, 실천적 맥락적 비형식 학습 임정훈(2011) 스마트 정보통신기술, 학습원천정보, 학습자주도형 학습, 수요자의 요구 노규성 외(2011)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지능적, 상호작용적인 방식의 총체적 접근 조재춘, 임희석 (2012) 학습자 맞춤형 학습과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 기술의 활용, 인지와 사고 능력을 증대시키는,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자 주도의 학습형태 방선희(2012)
Human: 아래 리다이렉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리다이렉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다이렉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입력, 출력, 오류를 위한 표준 스트림.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컴퓨팅에서 표준 스트림을 사용자 지정 위치로 우회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닉스 셸을 포함한 대부분의 명령어 인터프리터에 일반적인 명령이다. 방향 지정[1], 방향 변경[2]으로도 부른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프로그램들은 dup2(2) 시스템 호출이나, 이보다 덜 유연하지만 높은 수준의 stdio 유사물들인 freopen(3)과 popen(3)으로 리다이렉션 기능을 수행한다. 목차 1 표준 입력,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 2 파이프 처리 3 표준 파일 핸들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리다이렉션 4 각주 5 외부 링크 표준 입력,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편집] 리다이렉션은 특정한 문자열들을 명령어 사이에 두어서 추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자열들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명령어1 > 파일1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며 이로써 나오는 출력물을 파일1로 내보낸다. 기존에 파일1의 존재하는 경우 기존의 파일 내용은 지우고 새롭게 추가된다. 파일의 끝에 출력물을 추가하려면 >> 연산자를 이용한다: 명령어1 >> 파일1 다음을 이용하면 명령어1 < 파일1 명령어1을 실행하되, 파일1이 입력의 대상이 된다. (자판을 이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명령어1 < 들어오는파일 > 나가는파일 위의 줄은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명령어1은 들어오는파일에서 내용을 불러들인 뒤 나가는파일에 기록한다. 파이프 처리[편집] 세 개의 프로그램의 파이프라인이 텍스트 터미널 위에 실행되는 모습. 특정 프로그램이 명시적인 중간 파일이 없더라도, 다른 프로그램의 출력을 읽게 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어1 | 명령어2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되, 명령어2에 대한 입력으로서 출력을 사용한다. 아래의 줄은 두 개의 리다이렉션과 임시 파일을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명령어1 > 임시파일 명령어2 < 임시파일 rm 임시파일 하지만 여기서 명령어2는 명령어1을 마칠 때까지 실행하지 않으며, 중간 결과물뿐 아니라 각 작업에 요구되는 작업 공간을 보유하기 위해 충분히 큰 스크래치 파일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도스는 파이프 문법을 인식하지만 이러한 이차적 접근을 이용한다. 명령어 파이프 처리에 대한 좋은 예로, echo를 다른 명령어와 결합하여 비상호적인 셸에서 상호적인 일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echo -e "user\npass" | ftp localhost 위 줄에서 \n은 리턴을 의미한다. 이는 입력 user를 받아 ftp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Enter 키를 누르고 pass를 입력하는 식이다. 도스 환경에서는 format 명령어로 특정 드라이브를 포맷하려면 사용자의 동의를 위해 키보드 입력 Y를 받아야 한다. 다만 다음의 줄을 이용하면 echo y | format c: /q 사용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컴퓨터 자판의 Y를 누르지 않고도) 셸이 직접 Y를 누르게끔 하여 C 드라이브를 빠른 포맷으로 포맷할 수 있다. 표준 파일 핸들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리다이렉션[편집] 본 셸에서 기원한 유닉스 셸에서 처음 두 가지 동작은 문자열 바로 앞에 숫자(파일 서술자)를 두어 수정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스트림이 리다이렉션에 사용되는지에 영향을 준다. 유닉스 표준 입출력 스트림은 다음과 같다: 핸들 이름 설명 0 stdin 표준 입력 1 stdout 표준 출력 2 stderr 표준 오류 이를테면: 명령어1 2> 파일1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되, 표준 오류 스트림을 파일1로 리다이렉션 처리한다. 각주[편집] ↑ 네이버 지식백과: 방향 지정 (컴퓨터/통신 > 컴퓨터/통신일반) ↑ 네이버 지식백과: 방향 변경 (컴퓨터/통신 > 통신/네트워크 > 컴퓨터네트워크) 외부 링크[편집] dup: duplicate an open file descriptor – System Interfaces 오픈 그룹의 단일 유닉스 규격, Issue 7 참고 Redirection in Window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다이렉션&oldid=22418738" 분류: 스크립트 언어유닉스도스 기술윈도우 관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Italiano日本語Олык марий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5: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컴퓨팅에서 표준 스트림을 사용자 지정 위치로 우회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닉스 셸을 포함한 대부분의 명령어 인터프리터에 일반적인 명령이다. 방향 지정, 방향 변경으로도 부른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프로그램들은 dup2(2) 시스템 호출이나, 이보다 덜 유연하지만 높은 수준의 stdio 유사물들인 freopen(3)과 popen(3)으로 리다이렉션 기능을 수행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스에서 드라이브 포맷을 하기 위해선 어떤 키보드 입력이 필요해? Assistant: Y Human: 아래 전민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민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민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민수 Jeon Min-Soo LG 트윈스 No.15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9년 3월 18일(1989-03-18) (30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77 cm 체중 76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우익수, 좌익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08년 드래프트 순위 2008년 2차 4라운드(현대 유니콘스) 첫 출장 KBO / 2008년 4월 1일목동 대 한화전 계약금 5,500만원 연봉 4,000만원 (2019년) 경력 우리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년 ~ 2013년)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kt 위즈 (2014년 ~ 2018년) LG 트윈스 (2019년 ~ 현재) 전민수(全敏秀, 1989년 3월 18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전동수'이다. 목차 1 넥센 히어로즈 시절 2 경찰 야구단 시절 3 넥센 히어로즈 복귀 4 kt 위즈 시절 5 LG 트윈스 시절 6 국가대표 경력 7 출신 학교 8 통산 기록 9 각주 넥센 히어로즈 시절[편집] 2008년에 입단하였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09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 넥센 히어로즈 복귀[편집]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해 2013년에 방출됐다. kt 위즈 시절[편집] 2014년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2016년 4월 22일 삼성전에서 데뷔 9년만에 프로 첫 안타를 쳐 냈다.[1] 2016년 7월 22일 삼성전에서 끝내기 안타를 쳐 냈다.[2] 2017년 8월 25일 NC전에서 수비를 하던 중 왼쪽 어깨에 부상을 입었고 검진 결과 어깨 근육막이 파열돼 시즌 아웃됐다.[3] 2018년 10월 14일에 방출됐다.[4] LG 트윈스 시절[편집] 2018년 11월 22일에 입단하였다.[5]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7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출신 학교[편집] 서울사당초등학교 이수중학교 덕수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08 우리 0.000 11 14 0 0 0 0 0 0 1 0 0 2 0 2 0 0 2009 히어로즈 0.000 4 6 0 0 0 0 0 0 0 0 0 0 0 1 0 0 2016 kt 0.305 74 213 31 65 14 1 3 90 29 5 2 19 4 46 4 0 2017 0.277 55 130 20 36 8 0 1 47 8 2 1 11 0 25 2 1 2018 0.172 21 29 0 5 3 0 0 8 4 0 0 5 0 11 0 0 통산 5시즌 0.270 165 392 51 106 25 1 4 145 42 7 3 37 4 85 6 1 각주[편집] ↑ kt 전민수, 데뷔 9년 만에 첫 안타…역전 2루타 - 일간스포츠 ↑ '전민수 끝내기' kt, 삼성에 짜릿한 재역전승 - OSEN ↑ kt 전민수, 왼 어깨 수술.. 시즌 아웃 - 스타뉴스 ↑ KT, 외야수 전민수 웨이버 공시 - 마이데일리 ↑ LG, 장원삼-심수창-전민수 영입 - 마이데일리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07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감독 이종운 투수 박용운 · 성영훈 · 전태현 · 정찬헌 · 진야곱 · 최원제 · 하준호 포수 윤도경 · 장성우 내야수 김경모 · 김선빈 · 안치홍 · 이상원 · 이재곤 · 정재윤 외야수 우동균 · 전동수 · 한희준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민수&oldid=24347841"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우익수KBO 리그 좌익수KBO 리그 중견수우리 히어로즈 선수넥센 히어로즈 선수KT 위즈 선수LG 트윈스 선수경찰 야구단 선수서울사당초등학교 동문이수중학교 동문덕수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01: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민수(全敏秀, 1989년 3월 18일 ~ )는 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외야수이자, 현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타격보조코치이다. 개명 전 이름은 '전동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8년 전민수의 소속 팀은 어디일까? Assistant: 우리
Human: 아래 빌헬름_분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빌헬름 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빌헬름 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 출생 1832년 8월 16일(1832-08-16)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사망 1920년 8월 31일 (88세) 독일 라이프치히거주지 독일국적 독일인 학력 라이프치히 대학교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독일어: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년 8월 16일 ~ 1920년 8월 31일)는 독일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 생리학자이며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에서 출생하였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후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후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1875년 ~ 1918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879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으며, 이 실험실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어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3권, 1873~1911), 《민족 심리학》(1900~1920), 《심리학원론》(1896), 《철학 세계》(1889) 등이 있다.[1] 목차 1 주요 학문적 연구 1.1 심리학 실험실 1.2 구성주의와 내성법 1.3 민족 심리학 2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 3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 4 함께보기 5 참고 자료 6 각주 7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 주요 학문적 연구[편집] 심리학 실험실[편집] 분트는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라이프치히 대학 측에서 학생들을 처벌할 때 쓰던 강당을 실험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곳에서 바로 과학으로써의 심리학이 처음 탄생하게 되었다고 많은 심리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전의 심리학이 오직 철학의 한 부분으로서 과학적이지 못한 탐구방법에 의해 인간의 마음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반면 분트의 실험실에서는 객관화된 수치, 다시 말해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조작된 정의와 정확한 통계를 통한 과학적인 방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1) 정신 과정의 속도 측정, 2) 시간에 대한 감각, 3) 감각에 대한 분석 4) 주의, 기억, 사고의 연합 등이다. 이로써 심리학은 과학으로써의 학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분트의 실험실에서 공부한 많은 제자들은 서양 학계에서 활발한 심리학 연구와 교육활동을 할만큼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현대 심리학의 시초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이 설치된 1879년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다양한 심리학 분과가 발달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였다.[2] 구성주의와 내성법[편집] 분트는 과학적인 심리학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세상과 정신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을 분석해야 된다고 믿었다. 화학자들이 어떤 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것을 보고 분트는 심리학에서도 인간의 의식에 대해서 구성주의(Structuralism)라는 접근 방법을 택했다. 여기서 구성주의란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감각과 느낌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또한 어떠한 시점과 상황에서도 인간은 다양한 의식 상태가 공존하는데, 분트는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성법(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 자기의 내부 성찰법)(Introspection)을 사용했다. 이처럼 주관적인 측정과 실험 제어를 통해 정신과 의식의 영역을 보다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한 분트는 심리학과 철학을 구별시키는데 일조했다.[3] 분트가 진행한 연구의 배경은 생리학이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연구가 반응 시간이나 감각 과정 혹은 주의에 대한 것에 대한 것에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일반적인 자극, 예를 들어 메트로놈의 소리를 듣거나 향기를 맡는 것에 노출된 후 그들의 감각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다시말해, 분트는 내성법을 이용하여 의식적인 정신 상태를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분트의 내성법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정교한 자기 관찰법의 일종이다. 그래서 그는 심리학 학생들이 개인적인 해석 또는 과거 경험에 의해 한쪽으로 편향되는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의식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물론 이 모든 실험 과정이 개인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고 그것을 단지 관찰할 뿐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다양화시키는 것이 관찰의 일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민족 심리학[편집] 분트는 감각이나 감정 이상의 고등의 정신 과정은 실험법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이라 보고 이것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민족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썼다. 즉, 신화, 언어, 사회, 풍속, 종교, 예술 등 오늘날의 문화인류학이 대상으로 삼는 여러 현상을 여기에 포함시켰다. 원시 시대, 토템 시대, 영웅과 신의 시대, 인간성의 시대의 순으로 문화가 전개해 온 모습을 더듬어 올라가는 일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의 발달을 추적하는 일인 동시에 정신발달 연구의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 심리학과는 별도로 정신 발달의 일반법칙을 발견하기 위하여 원시민족의 정신적 특성을 대상으로 해서 그 문화적 소산인 언어, 예술, 종교, 신화 등에 관하여 연구한 10권에 이르는 대작 《민족심리학》을 저서하였다. 또한 분트는 《국민과 그 철학》(1875)에서 각국의 철학적 특성도 고찰하였다. 민족 심리학에서 다루어진 여러 문제는 오늘날 각기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문화심리학, 문화인류학, 민족학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말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4]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편집]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만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독립된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다. 그의 실험 심리학은 이후에 행동주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많은 실험적 방법들은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또한 그는 정신 기능의 세 부분에 대하여 집중 연구했는데 그것은 생각(thought), 이미지(image), 그리고 감정(feeling)이다. 이것들은 오늘날의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즉,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분트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분트가 심리학 발달에 기여한 것 중 하나는 그의 연구가 아주 잘 통제된 조건(예를 들어 실험적 방법)들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행동주의자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도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와 같은 오늘날의 현대 심리학자들은 내성법의 실험 방법론이 과학적이더라도 그것은 실제로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스키너는 내성법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주관적이고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히 검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후 분트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티츠너(Edward Bradford Titchener, 1867년 1월 11일 ~ 1927년 8월 3일)는 분트의 구성주의를 주도하였으며 ‘마음의 요소’들을 발견하고자 자기 반영적인 내성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구성주의는 내성법의 쇠퇴와 함께 퇴색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성법이 똑똑하고 언변이 좋은 사람들을 지나치게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그 결과가 사람마다, 그리고 경험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퇴색되었다.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편집] 분트 연구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내성법이라는 측정 도구의 주관성이다. 그래서 구성주의와 내성법에 대한 비판과 함께 행동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의 심리학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행동주의는 구성주의보다 더욱 객관화된 심리학의 분야인데, 그 이유는 행동주의가 오로지 관찰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 자체만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파이기 때문이다. 분트의 구성주의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의 요소"를 내성법을 통해 측정하려 했지만, 행동주의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인지주의 등으로 심리학계의 패러다임이 계속 발달하며 변화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분트의 자연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기존에 존재했던 철학과 유사한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었다는 점과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토대를 쌓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함께보기[편집] 윌리엄 제임스 참고 자료[편집] Schacter, Gilbert, Wegner, 《Psychology》 David Myers, 《Exploring Psychology》 최창호, 《20세기를 빛낸 심리학자》 성균관대학교응용심리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각주[편집] ↑ “A brief history of Psychology, Oakely E. Gordon”. 201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Northern Illinois Univ. Wundt Laboratory”.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Paper about Wundt on "SimplyPsychology" ↑ 민족심리학(民族心理學,Völkerpsychologie)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편집] about.com 심리학 연구자료 사이트 스탠포드 백과사전 사이트 빌헬름 분트와 윌리엄 제임스 비교하는 논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472991 LCCN: n50019417 ISNI: 0000 0000 8339 077X GND: 11863562X SELIBR: 309261 SUDOC: 032994850 BNF: cb123907493 (데이터) MGP: 46065 NLA: 35622225 NDL: 00461514 NKC: nlk20000085379 BNE: XX1162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빌헬름_분트&oldid=24473840" 분류: 1832년 태어남1920년 죽음독일의 심리학자독일의 철학자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튀빙겐 대학교 동문만하임 출신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독일어: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년 8월 16일 ~ 1920년 8월 31일)는 독일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 생리학자이며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에서 출생하였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후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후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1875년 ~ 1918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879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으며, 이 실험실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어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3권, 1873~1911), 《민족 심리학》(1900~1920), 《심리학원론》(1896), 《철학 세계》(1889)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분트 연구 이후 심리학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되었어? Assistant: 분트 연구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내성법이라는 측정 도구의 주관성이다. 그래서 구성주의와 내성법에 대한 비판과 함께 행동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의 심리학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행동주의는 구성주의보다 더욱 객관화된 심리학의 분야인데, 그 이유는 행동주의가 오로지 관찰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 자체만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파이기 때문이다. 분트의 구성주의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의 요소"를 내성법을 통해 측정하려 했지만, 행동주의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인지주의 등으로 심리학계의 패러다임이 계속 발달하며 변화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분트의 자연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기존에 존재했던 철학과 유사한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었다는 점과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토대를 쌓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Human: 아래 EXP_EDITION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EXP EDITION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XP EDITIO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EXP EDITION 기본 정보 국가 미국 대한민국 결성 지역 미국 뉴욕 장르 댄스, 일레트로니카 활동 시기 2014년 ~ 2019년 레이블 NHN벅스 소속사 아임어비비 웹사이트 공식사이트 구성원 프랭키헌터시메코키 이전 구성원 데이비드 앨런 월리스 (David Alan Wallace)타리온 테일러 앤더슨(Tarion Taylor Anderson) EXP EDITION 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4인조 남성 그룹이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원생들이 논문을 준비하며 실험적으로 만든 그룹으로 미국에서 먼저 데뷔 후, 2017년 4월 한국에서 첫 싱글앨범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목차 1 성원 1.1 프랭키 (Frankie) 1.2 헌터 (Hunter) 1.3 시메 (Sime) 1.4 코키 (Koki) 2 음반 목록 2.1 미니 앨범 2.2 디지털 싱글 3 음반 외 활동 3.1 방송 3.2 영화 3.3 라디오 3.4 행사 3.5 홍보대사 4 콘서트 4.1 단독 콘서트 4.2 공연 5 수상 내역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원[편집] 프랭키 (Frankie)[편집] 본명 : 프랭키 데폰트 주니어 (Frankie Daponte Jr.) 출생지 : 포르투갈[2] 생일 : 2월 16일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특이사항 : 뉴욕에서 11년간 축구선수로 활동[3] 헌터 (Hunter)[편집] 본명 : 헌터 콜 (Hunter Kohl) 출생지 : 미국 뉴욕[2] 생일 : 6월 29일 포지션 : 랩 특이사항 뉴욕에서 배우로 활동[4] 보이밴드 ‘메이드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출신 시메 (Sime)[편집] 본명 : 시메 코스타 (Šime Košta) 생년월일 : 1992년 1월 17일(1992-01-17) (27세) 출생지 : 크로아티아[2] 학력 :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뮤지컬 전공 포지션 : 보컬, 랩 약력 : 미국에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메사 앙코르 극장 어워드 극부분 최우수 배우상’, ‘센터 스테이지 어워드 우수 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뮤지컬 배우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코키 (Koki)[편집] 본명 : 코키 톰린슨 (Koki Tomlinson) 생년월일 : 1993년 2월 4일(1993-02-04) (26세) 출생지 : 홍콩[4] 포지션 : 보컬 특이사항 뉴욕에서 광고모델로 활동했다.[4] KBS2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참가했으나 탈락했다. 음반 목록[편집] 미니 앨범[편집] 순서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FIRST EDITION 발매일: 2018년 1월 11일 FEEL LIKE THIS 가라와라 (GADAWADA) STRESS READY TO GO FEEL LIKE THIS (Solju Remix) 디지털 싱글[편집] 순서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LUV/WRONG 발매일: 2015년 11월 6일 LUV/WRONG[5] (뮤직비디오 - 유튜브)[6] 2 FEEL LIKE THIS 발매일: 2017년 4월 17일 FEEL LIKE THIS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편집] 방송사 제목 출연 기간 역할 참고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전원 2017년 4월 20일 미스터리 싱어 슈퍼주니어 편 KBS1 《이웃집 찰스》 전원 2017년 6월 20일 게스트 JTBC 《팬텀싱어2》 시메 2017년 8월 25일 ~ 2017년 10월 13일 참가자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메 2018년 2월 16일 패널 MBC 캐스팅 콜 프랭키 2018년 4월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시메 2018년 6월 2일 출연자 영화[편집] 《더 그레이트 화이트》- 스티븐 역 (헌터) 라디오[편집] 방송사 제목 출연 기간 역할 아리랑 라디오 《K-Poppin'》 전원 2017년 4월 25일 게스트 TBS eFM 《Koreascape》 전원 2017년 5월 4일 평화방송 《한낮의 가요선물》 전원 2017년 5월 24일 EBS 라디오 《English Go Go》 전원 2017년 5월 26일 TBS eFM 《Soundcheck》 헌터 2017년 5월 29일 ~ 2017년 6월 9일 DJ 전원 2017년 6월 9일 게스트 행사[편집] 2017년 5월 19일 여주대학교 용마 축제 (경기도 여주) 2017년 5월 25일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행사 (강원도 원주) 2017년 5월 27일 한라대학교 행사 (강원도 원주) 2017년 11월 4일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독서골든벨 행사 (서울 성동구) 홍보대사[편집] 연도 경력 2017년 제8회 인천공항 bbb-day 캠페인 특임 홍보대사[7] 서울한지문화제 홍보대사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국가 도시 장소 크리스마스 파티 with EXP EDITION 2017년 12월 22일 대한민국 서울 라움아트센터 마제스틱 볼룸 공연[편집] 공연명 날짜 국가 도시 장소 Roskilde Festival 2017년 6월 28일 ~2017년 7월 1일 덴마크 로스킬레 The Voice of DUO 듀오 콘서트 신년음악회 2018년 1월 2일 대한민국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수상 내역[편집] 연도 수상 내역 2017년 6월 8일 럭셔리 브랜드 모델 어워즈 글로벌 K-POP 신인상[8] 9월 9일 국제 K-스타 어워즈 해외 아티스트 부문 우수상 각주[편집] ↑ 이민지 (2017년 6월 20일). “이엑스피 에디션, 미국서 온 F4는 왜 K팝 가수로 데뷔했나”. 《뉴스엔》.  ↑ 가 나 다 김민주 (2017년 6월 21일). “‘이웃집 찰스’ EXP 에디션, 한국愛로 똘똘 뭉친 파란눈 4인방”. 뉴스엔.  ↑ 《EXP edition “좋은 에너지 방출하는 그룹 되고파”》. (인터뷰). bntnews. 2017년 6월 14일.  ↑ 가 나 다 《이엑스피 에디션 “저희요? 성공할 수 있어요, 한국 데뷔도 이뤄냈잖아요”》. (인터뷰). bntnews. 2017년 6월 14일.  ↑ 한국 정식 데뷔전에 나온 노래이다. ↑ 2명의 멤버가 탈퇴전에 출연한 뮤직비디오이다. ↑ 류재용 (2017년 8월 13일). “bbb 코리아, ‘EXP EDITION(이엑스피 에디션)’ 홍보 특임대사로 위촉”. 아크로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정재영 (2017년 6월 8일). “EXP EDITION, '글로벌 KPOP' 신인상 수상 '화제성 입증'”. 미디어펜.  외부 링크[편집] EXP EDITION - 공식 웹사이트 EXP EDITION - 인스타그램 EXP EDITION - 트위터 EXP EDITION - 페이스북 비디오 - 유튜브 EXP EDITION - V LIVE 프랭키 - 인스타그램 헌터 - 인스타그램 시메 - 인스타그램 코키 - 인스타그램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191755f4-0824-4f74-9c99-408e6f3f1fe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XP_EDITION&oldid=24213894" 분류: 2010년대 음악 그룹미국의 팝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미국의 보이 밴드미국의 댄스 음악 그룹2014년 결성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K-pop 음악 그룹너의 목소리가 보여 참가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4: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EXP EDITION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4인조 남성 그룹이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원생들이 논문을 준비하며 실험적으로 만든 그룹으로 미국에서 먼저 데뷔 후, 2017년 4월 한국에서 첫 싱글앨범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EXP EDITION 멤버 전체의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출연일자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7년 4월 20일
Human: 아래 상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상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상속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상속(相續)이란 사람의 사망에 의한 재산 및 신분상의 지위의 포괄적인 승계를 말한다. 그 외 실종신고나 인정사망의 경우에도 상속이 개시된다. 상속의 중심은 재산상속에 있다. 상속의 형태 가운데 법정상속주의는 상속인을 법정하는 것이고 자유상속주의는 상속인을 피상속인이 선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민법은 기존의 호주제를 폐지하였으며, 가족재산의 공동상속인 재산상속만을 규정하고 있다. 특허권의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그 특허권은 소멸되어 일반 공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법 제124조). 목차 1 상속 재산 조사 2 시대별 상속비율 3 법정상속순위 3.1 상속결격자 4 유류분 4.1 보장비율 5 대습상속 5.1 예시 5.1.1 사례 6 세금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10 외부 링크 상속 재산 조사[편집] 상속인은 피상속인이 남긴 재산을 조사해야 하는데, 부동산은 국토해양부의 "조상땅 찾기" 서비스를 통해서, 금융재산은 금융감독원의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를 통해 조사할 수 있다. 부동산과 금융재산의 상속재산조사가 완료되면, 피상속인의 유언이 있으면 유언에 따라 나누고, 유언이 없으면 상속재산분할협의를 하여 나누며, 협의도 안 되면 가정법원에 상속재산분할청구를 하여 소송을 통해 상속재산을 나눈다. 시대별 상속비율[편집]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남녀평등의 위주로 상속비율이 변경되었음을 볼수 있다. 1960년 1월 1일 이전 사망자 호주상속인[1]이 전부 상속[2] 1960년 1월 1일 ~ 1978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호주상속인 이외의 피상속인의 아들 1.0 배우자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미혼인 딸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1979년 1월 1일 ~ 1990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배우자 1.5 기타자녀 1.0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현행민법 시행 이후 사망자[3] 배우자 1.5, 직계혈족 1.0 배우자가 없어 상속순위가 3순위 이하로 넘어가는경우 비율의 차등없이 상속인들 전원이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는다. 법정상속순위[편집] [4] 1순위 : 배우자와 직계비속 배우자와 시부모가 있는 상황에서 배우자의 복중에 태아가 있는경우 민법상 태아에게도 상속권이 인정되기 때문에 상속인은 배우자와 복중태아이다. 2순위 : 배우자와 직계존속 3순위 : 형제자매 4순위 : 사촌 이내 방계혈족 5순위 : 소정의 절차를 거쳐 국고귀속 피상속인에게 생존해있는 직계혈족이 전무한상황에서 배우자만 있는경우 배우자가 망자의 재산을 전부 상속한다. 상속결격자[편집] 민법 1004조의 규정에 의하여 법정상속우선순위에 해당하여도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을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상속인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간주하여 법정상속순위상 동순위의 자에게 해당자의 비율만큼 가산하거나 동순위의 자가 없는경우 대습상속에 의한 상속[5]이 개시되며 이 경우에도 해당되지 않는경우 후순위자에게 상속의 권리가 넘어간다.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의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자나 동상속인[6]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 한 자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변조, 파기 또는 은닉한자 유류분[편집] 상속인의 최소한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민법에서 명시되어있는 규정으로 법정상속비율만큼 상속받지 못한경우 법정상속비율의 일정부분을 법률로서 인정해주는 제도이다. 단, 이경우 법원에 소송을 하여야 한다는 유의점이 있고 자기 자신이 상속받은 비율이 하단의 비율 이상인 경우 이미 유류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속받은 것이기 때문에 유류분 소송을 할 수 없다.[7] 보장비율[편집]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50%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10억원이 있고 슬하에 자녀가 2명이 있는 상황에서 자녀들에게는 1억원씩만 상속하고 피상속인의 기타재산이 복지재단 등에 기부된 경우 아들 2명은 각각 복지재단 등에 법정상속분의 50%에 해당하는 2억 5000만원-1억원=1억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형제자매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⅓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3억원이 있고 부모만 생존해 있는 상황에서 제3자에게 재산이 상속된 경우 부모는 각각 그 제3자에게 법정상속분의 ⅓에 해당하는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대습상속[편집] 피상속인의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사망 전 사망한경우 그 사람의 상속예정비율을 그 사람의 상속인에게 대습하여 상속하게 하는 제도 [8] 예시[편집] 배우자와 아들 둘이 있는데 차남이 사망한경우 차남의 상속예정비율 1.0에 해당하는 지분을 차남의 상속인(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 사례[편집] 피상속인 재산 49억원으로 가정하였을때 배우자 21/49 = 21억원 장남 14/49 = 14억원 (차남의 상속예정분 14억원 보전) 차남의 배우자 6/49 = 6억원 차남의 아들 4/49 = 4억원 차남의 딸 4/49 = 4억원 세금[편집] 사망일의 다음 달 부터 6개월 내에 상속세를 관할 세무서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부동산을 상속한 경우, 사망일로 부터 6개월 내에 취득세를 관할 구청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상속세와 취득세의 자진신고기한은 약간 차이가 있으며 구청과 세무서가 다름을 주의해야 한다. 상속재산분할협의가 안 된 경우에는 법정상속분을 기준으로 신고한다. 자진신고기한을 넘기면 20%의 가산세가 부과된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상속법 일본의 상속법 장자상속제(태평양전쟁 패전 이전) 만몽개척단(장자상속제 영향으로 차남이나 3남의 일본남자들이 만주 & 몽골 침략 첨병의 일본군 대량지원)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상속"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통상적으로 피상속인의 장자 ↑ 그 외 자녀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았고, 호주상속인을 제외한 피상속인의 아들은 호주상속인에게 재산의 일부를 분배해달라고 요구할 수는 있었다. ↑ 아들, 딸 혹은 장차남 구분없이 모든 자녀가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으며, 다만 상속인들간의 합의가 되었거나 망자에 대한 부양정도가 특별하다면 법원에 소송을 하여 일정부분을 가산받을수 있다. ↑ 재산형성과정의 기여도 등과 상관없이 선순위 상속자가 있는경우, 후순위 상속자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형제자매와 동업으로 사업하던 a씨가 사망했을때 망자의 1, 2순위 상속인에게 상속의 권리가 인정되며 형제자매에게는 인정되지 않는다) ↑ 극단적으로 부모를 살해한 차남이 있는데 상속결격인이 되자 그의 배우자와 자녀가 대습상속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 배우자와 직계비속은 민법상 상속의 동(1)순위인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망자의 배우자가 태아를 낙태한경우 판례상 상속동순위자를 살해한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해 상속결격인이 되어 시부모에게 상속권리가 넘어간 경우도 있다. ↑ 자기 자신이 망자의 외동딸인데 망자의 재산이 10억원인 상황에서 5억원이 상속된 경우 이미 유류분을 보장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나머지 5억원을 상속받은 주체에게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을 할 수 없음 ↑ 하단의 예시와 같이 차남이 망자의 사망 전 사망하였고 슬하의 배우자와 1남 1녀가 있는데 그 배우자가 망자의 사망 전 재혼한경우, 차남의 배우자는 대습상속의 대상이 아니고 망자의 두 자녀만 대습상속의 대상이 된다. 외부 링크[편집] (법제처) 상속 (금융감독위원회) 상속조회안내 vdeh재산권소유자에 따른 분류 공유재산법 (미국) 협동조합 사유 공공 국유 태생에 따른 분류 지식 개인 이론 상품 비배제성 무임승차 문제 게임 이론 지공주의 선물경제 렌트법 지대추구 소유권 자기 국유 공유지의 비극 응용 상속 물권법 지역권 부동산 권리 공중 어업 사냥 토지 스쾃 통행권 용수 수리 탈취/재분배 징수 인클로저 공용징수 불법 어업 토지개혁 해상강도 본원 축적 민영화 노예제 인신매매 조세 상속세 인두세 누진세 재산세 도둑 학자 프레데릭 바스티아 로널드 코스 헨리 조지 개럿 하딘 데이비드 하비 존 로크 통치론 카를 마르크스 마르셀 모스 존 스튜어트 밀 엘리너 오스트롬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데이비드 리카도 머레이 N. 로스바드 장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애덤 스미스 국부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상속&oldid=23418939" 분류: 상속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Буряад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Latina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imple EnglishSlovenščinaChiSho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olof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5일 (토) 1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상속(相續, 영어: inheritance)은 사람의 사망에 의한 재산 및 신분상의 지위의 포괄적인 승계를 말한다. 그 외 실종 신고나 인정 사망의 경우에도 상속이 개시된다. 상속의 중심은 재산 상속에 있다. 상속의 형태 가운데 법정상속주의는 상속인을 법정하는 것이고 자유상속주의는 상속인을 피상속인이 선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민법은 기존의 호주제를 폐지하였으며, 가족 재산의 공동 상속인 재산 상속만을 규정하고 있다. 특허권의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그 특허권은 소멸되어 일반 공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법 제124조).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상속 결격자의 요건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의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자나 동상속인[6]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 한 자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변조, 파기 또는 은닉한자 Human: 아래 독립문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독립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립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립문 역명판 (개정 전)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247 개업일 1985년 7월 12일 역 번호 326 승강장 구조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기점 9.5 km ■ 수도권 전철 3호선 ← 무악재 (1.1 km) 경복궁 →(1.6 km) 독립문역(獨立門驛)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종로구 청운효자동의 경계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독립문이 있어 역명이 제정되었다. 이 역과 무악재역 사이에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오금발 독립문행 막차 1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나, 열차는 주박하지 않고 지축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한다. 운행을 마친 다음 날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전동열차가 출고된 후 독립문역으로 공차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또한 이 역부터 금호역까지 계속 섬식 승강장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9월 13일 : 독립문역으로 역명 결정[1]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 ~ 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985년 10월 18일 :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됨[2]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승강장 벽면에 태극기의 컬러의 타일이 장식되어 있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무악재 ↑ | 하상 | ↓ 경복궁 상행 ■ 수도권 전철 3호선 불광 · 연신내 · 구파발 · 지축 · 대화 방면 하행 경복궁 · 충무로 · 옥수 · 수서 · 오금 방면 역 주변[편집] 금화터널 대신중학교 대신고등학교 대한노인회 서대문구지회 독립문 독립문역 교차로 독립문초등학교 사직터널 서대문구의회 서대문독립공원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세란병원 천연동행정복지센터 한성과학고등학교 독립문극동아파트 독립문삼호아파트 현저고가차도 서대문역 방면 영천시장 종로노인종합복지관 무악센터 무악동 행정복지센터 새마을금고 세란병원 현대아이파크아파트 무악동 무악재 기업은행 무악현대아파트 IBK기업은행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 승차 9,093 9,325 9,132 9,109 9,113 8,515 8,186 8,183 8,289 8,104 [3] 하차 9,079 9,313 9,305 9,239 9,329 8,995 8,906 8,816 9,031 8,726 승하차 18,172 18,638 18,437 18,349 18,442 17,510 17,092 16,999 17,319 16,83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호선 승차 8,051 8,089 7,910 7,836 8,028 7,987 7,941 8,233 8,332 하차 8,777 8,755 8,034 7,935 8,198 8,171 8,161 8,485 8,600 승하차 16,828 16,844 15,944 15,771 16,226 16,158 16,102 16,178 16,932 사진[편집] 역내 설치된 독립문역 정보 선로측 역명판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 325 무악재대화 방면 ■ 수도권 전철 3호선 327 경복궁오금 방면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독립문역 vdeh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종로3가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고속터미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수서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오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립문역&oldid=24187196" 분류: 수도권 전철 3호선서울 서대문구의 전철역서울 종로구의 전철역198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do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독립문역(獨立門驛, 영어: Dongnimmun station)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역 주변의 독립문이 역명의 유래가 되었다. 매일 이 역부터 출발하는 독립문 시발 열차가 있고 이 역에 종착하는 독립문 종착 열차가 있으며, 상행(대화역방향)에 유치선이 있다. 하지만 정작 비상시나 임시열차 외에는 이 유치선을 잘 사용하지 않으며, 독립문 착발 열차는 독립문에서 주박하지 않고 지축차량사업소로 회송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독립문역 주변에 위치한 시장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영천시장
Human: 아래 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 건축물에 대해서는 탑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영화에 대해서는 타워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탑에 관한 것입니다. 빅뱅의 가수에 대해서는 T.O.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6월)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영어: tower)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다. 목차 1 어원 2 역사 3 분류 3.1 기능 3.2 재료 4 나라별 탑 4.1 한국 4.2 중국 4.3 일본 5 관련 문서 6 각주 어원[편집] 한국어에서 탑은 산스크리트어(범어)의 स्तूप (stūpa,스투파)에서 기원한다. 이는 고대 인도에서 온 말로 돔 형태로 만든 흙 무덤을 지칭했던 말이었으며, 불교가 중국을 거쳐오면서 卒塔婆(졸탑파)로 음차되었고 이것이 줄어 오늘날에 쓰이는 탑파(塔婆), 탑(塔)이 되었다. 영어의 Tower는 고대 영어에서는 torr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고대 프랑스어 tor에서 온 것이며, tor는 라틴어인 turris에서 기초한 것이다.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탑파입니다. 동양에서 탑은 불교의 건축물로 원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었다.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러한 방식의 탑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해졌고 이 두 양식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양식이 석탑이다. 서양에서 처음에는 바빌론의 탑이라 불리는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피라미드처럼 종교와 관련된 목적으로 지었다. 그러나 로마시대로 접어들면서 방어 목적으로 각탑을 설치하였고, 중세에는 고딕 건축의 영향을 받아 높고 뾰족하게 지은 교회 건축물이 많았다. 또한, 중세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세운 탑이 많아졌다. 그리고 현대에는 송전탑과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과 전화를 목적으로 한 통신용 탑[1] 등이 등장하였다. 분류[편집] 기능[편집] 1. 인도의 산치 대탑 2.파리의 에펠 탑 3. 캐나다의 CN 타워 4. 이스라엘의 웨스트 뱅크의 감시탑 1.신앙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앞서 말했듯이 동양에서 세워진 탑들은 기본적으로 탑의 내부에 사리를 봉안하며 스투파의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데, 이는 석가모니를 기념하고 그를 따르고자하는 사상이 드러난 것이다. 그런 만큼 탑을 건축한다는 것은 불교의 사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였다. 불교 이외의 종교에서도 탑이 나타나는데 이슬람교의 건축물인 모스크의 옆에 지어지는 미나렛은 이슬람 율법에서 정한 하루 다섯 번의 기도의 시각을 알려주는(아잔이라고 한다.)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 서양의 교회 건축에 쓰인 탑 또한 천상과 지상을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로서 작용하였다. 2.기념물로서의 기능 종교의 색체가 희미해지는 근대에 들어서게 되면 에펠 탑과 같이 , 건국 등 다양한 이유에서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 탑을 짓기 시작했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랜드마크로서 건축되기도 했다. 3.정보전달로서의 기능 1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나렛이나 서양의 탑 에서는 사람의 목소리, 종과 같은 것 등으로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는 빅 벤과 같은 시계탑 또한 만들어졌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CN 타워와 같이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전파를 중계하기 위한 전파탑이 만들어졌다. 4.감시, 전망으로서의 기능 성과 같은 군사목적의 건물 옆에 지어진 탑들은 적이 성에 접근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지어졌다. 현대에 들어서는 전망을 위해서 높은 탑을 짓는 경우도 생겨났다. 공항의 관제탑 역시 이와 같은 목적으로 지어졌다 할 수 있다. 재료[편집] 탑의 건립 시기와 목적, 장소 설립 주체가 다양한 만큼 탑을 구성하는 재료 또한 다양하다. 고대에는 나무, 구운 벽돌, 돌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돌로 건축할 때 대부분은 화강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때로는 안산암이나 점판암등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주로 철이나 콘크리트 따위를 이용한다. 나라별 탑[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4월 24일에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의 추가가 요청되었습니다.) 한국[편집] 한국의 탑은 주로 불교의 영향으로 지어지기 시작했다. 기존에 목탑형식과 전탑형식의 탑이 중국에서 전래 되었는데 이 두 양식은 한국에서 각각 황룡사 구층목탑, 분황사 모전석탑의 형식으로 현지화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들은 새로운 탑의 건립 형식인 석탑을 만들었고 그 예가 바로 미륵사지 석탑이다. 이후에 통일신라 시기에는 삼국의 문화가 융합되며 그 문화가 전성기를 이루기 되는데 이시기에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완성되게 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그 대표적인 예가 불국사 삼층석탑의 탑이다. 석탑양식은 고려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원의 영향으로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사찰의 건축물로서 지어졌던 탑도 있지만 민간에서 단순하게 주변에 있던 돌을 쌓아 올려 만든 돌탑도 있다. 소박하게 만들어진 이런 돌탑들은 토속신앙과 관련이 깊어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과 가까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복의 용도로 이용되었다. 중국[편집] 应县木塔, 응현목탑 중국에서 불탑의 건립은 삼국시대(3세기 경)에 시작된다. 비단길을 통해서 서역으로부터 불교를 전래받은 중국은 기존의 누각 건축으로 인도의 스투파를 재현하였으며 인도와 다른 방식으로 탑을 건립하였다. 이와 같은 탑의 양식은 이후 불교의 전래와 함께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스투파와 같이 사리를 봉납하는 기능은 지속되었다. 남북조시대에는 윈강 석굴, 둔황 석굴과 같은 곳에서 불교가 융성했으며 탑 역시 이 지역에서 건립되었다. 이후 수나라 때 불교가 국교화 되고 당나라시기에 널리 퍼지게 되면서 불탑의 건립이 중국 전역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불탑의 건립은 오대 십국 시대에도 마찬가지로 지속되었다. 이후 송나라가 세워지고 중국의 경제력이 강화되었다. 특히 금나라에게 중국 북부를 뺏기면서 강남지역의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절의 건립도 크게 일어나 탑 역시 많이 건축되었다. 이후 몽골에 의해 정복당한 후 세워진 원나라시기에는 불교가 그리 성행하지 못해 탑의 건립도 부진했다. 명나라가 세워지면서 탑의 건립이 다시 일어나나 명,청시기에는 이전의 송보다 미진했다. 일본[편집] 호류사의 오층목탑 , 일본 최고(最古)의 목탑 일본은 나무가 많은 산지지형이었으며 외세의 침략이 드믐 등 여러요인에 의해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형식이 지속해서 유지되었다. 대개 탑은 삼층과 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탑의 형태는 사각형의 누각형태였다. 탑의 가운데에는 나무기둥인 심주가 있고 심주의 아래에 사리를 묻었다. 이러한 탑의 건립은 불교를 받아들인 6세기부터 시작하여 절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감에 따라서 점차 융성해져 센고쿠 시대와 같은 후세에도 계속해서 탑의 건립이 시도되었다. 목탑의 특성상 화마와 전쟁,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계속적으로 증축과 복원을 통해서 탑을 유지시켰다. 이러한 삼층, 오층목탑 이외에도 돌로만든 오륜탑, 각이 없는 무봉탑등 다양한 형태의 탑이 건립되었다. 관련 문서[편집] 도쿄 타워 N서울타워 에펠탑 피사의 사탑 육화탑 분황사 석탑 부산타워 대구타워 완도타워 양산타워 도쿄 스카이트리 통천각 에펠탑 교토타워 CN 타워 광저우 타워 동방명주탑 톈진 방송탑 베를린 텔레비전탑 빅벤 오스탄키노 타워 타슈켄트 타워 스카이 타워 마카오 타워 리알토 타워 시드니 타워 탈린 TV 타워 삿포로 TV 타워 나고야 TV 타워 황령산타워 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미드타운 타워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탑 ↑ 방송탑 전거 통제 LCCN: sh85136296 GND: 4203577-6 BNF: cb11965217k (데이터) NDL: 010588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탑&oldid=23873787" 분류: 탑건축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6년 4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문단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ᏣᎳᎩ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7일 (일) 0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탑(塔) 또는 타워(영어: tower)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국 불탑건립의 시작은 몇 세기인가요? Assistant: 3세기 경 Human: 아래 샤_루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샤 루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 루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샤 루흐 샤 루흐의 두상 지위 재위 1409년 5월 13일 - 1447년 3월 12일 전임자 할릴 술탄 후임자 울루그 베그 신상정보 출생일 1377년 8월 20일 사망일 1447년 3월 12일 왕조 티무르 왕조 종교 이슬람교 샤 루흐 혹은 샤 로흐 (1377년 ~ 1447년, 우즈베크어: Mirzo Shohrux; 페르시아어: شاهرخ)는 티무르 제국 제3대의 군주(재위: 1409년 ~ 1447년)이다. 문무(文武)를 겸비한 명군(名君)으로서 내란을 진압하여, 오스만 투르크와 명나라의 국교를 회복하여 티무르 제국의 융성 시대를 이룩했다. 샤 루흐는 학문·예술에 대한 훌륭한 이해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다음의 울루그 베그의 치세와 함께 티무르풍(風) 이슬람 문화의 최성기를 맞았다. 목차 1 생애 2 대외 관계 3 죽음과 계승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샤루흐는 1377년 8월 20일,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티무르이고, 어머니는 카라키타이인 투가이 테르켄 아가였다. 티무르에게 샤루흐는 4번째 아들이었다.[1] 샤 루흐란 페르시아어로 “왕의 얼굴”이라는 의미인데, 페르시아어로 체스의 캐슬링을 이렇게 부른다. 이븐 아랍샤에 의하면, 샤 루흐가 태어났을때 티무르가 체스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2] 1397년, 티무르는 샤 루흐에게 미란 샤의 영지였던 시스탄, 후라산, 마잔다란 지역을 맡겼다. 이후 샤루흐는 1399년에 시작된 원정에 참가하여 맘루크 술탄국의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까지 다녀왔고, 오스만 제국의 바예지드 1세를 패배시킨 앙카라 전투에서도 일군의 지휘를 맡았다.[1] 1405년, 티무르가 죽은 뒤 그의 제국은 지배권을 두고 여러 부족들과 장군들의 세력으로 갈렸다. 흑양조는 1410년에 바그다드를 점령함으로써 제국의 서부가 통째로 사라졌다. 하지만 이란와 트란스옥시아나는 1409년에 샤 루흐가 즉위한 뒤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어쨌든 그의 제국은 동방과 서방의 교역로─전설적이기까지 한 비단길을 포함해서─들을 관리했고, 그 덕분에 엄청난 세금을 거뒀다. 이란의 도시들이 파괴된 덕분에 제국의 문화적 중심지는 지금의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드와 아프가니스탄의 헤라트가 되었다. 샤 루흐는 제국의 수도로 사마르칸드가 아닌 헤라트를 선택했다. 덕분에 헤라트는 티무르 왕조의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고, 그의 후계자들도 이 도시에 거주했다. 하지만 두 도시 모두 샤 루흐의 궁전에 엄청난 부를 가져다 주었고, 샤 루흐 역시 엄청난 특권을 내렸다. 두 도시는 예술과 과학에 대한 후원자들로 넘쳐났다. 샤 루흐는 부친 티무르와 달리 이슬람교를 통해 정통성을 재고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자삭보다 샤리아를 중시한 그는 칭기스 왕실의 이름으로 통치하는 관행을 폐지하였으며, 이슬람 지향적인 역사서 편찬을 명했다. 이 정책은 그가 죽은 뒤에는 사라졌다. 이후 칭기스 왕실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은 되려 더 강화되었다.[3] 그의 아내 고와르 샤드는 마슈하드와 헤라트에 모스크와 신락교들을 세웠다. 고와르 샤드 모스크의 건축은 1418년에 끝났다. 제국의 복잡한 인종적 상황이 이 건축물에 반영되었다. 페르시아 문명과 중국에서 빌려 온 예술 기법들, 튀르크어와 아라비아어의 영향을 짙게 받은 페르시아어 등이 보인다. 대외 관계[편집] 본래 티무르 왕조와 홍무제의 제국 사이의 관계는 우호적이었으나, 티무르가 죽기 직전에는 크게 악화되었다. 하지만 샤 루흐의 치세 기간 동안 영락제를 비롯한 그의 후손들이 이끈 명나라와 티무르 왕조의 외교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중국의 진성이 이끄는 사절단이 1414년에서 1420년 사이에 여러 차례 사마르칸드와 헤라트를 방문했으며[4][5], 샤 루흐가 보낸 대규모 사절단 (이 사절단에는 일기 작가로 유명한 기야스 알 딘 낙카쉬도 있었다.) 역시 1419년에서 1422년 사이에 중국을 여행했다.[6][7] 죽음과 계승[편집] 샤 루흐는 이란을 순방하던 도중 죽었다. 샤 루흐의 치세기간 동안 트란스옥시아나를 다스린 그의 아들 미르자 무함마드 타라가이 울루그 베그 b. 샤 루흐가 아버지를 계승했다. 예술적인 재능을 가졌던 아들 바이손구르 (1397년 - 1433년)는 형 만큼은 아니지만 아버지 샤 루흐의 재위기간에 사마르칸드의 행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아버지보다 빨리 죽었는데, 아마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문제였을 것이다.[8] 전임할릴 술탄 티무르 왕조의 지도자1409년 - 1447년 후임울루그 베그 각주[편집] ↑ 가 나 Aka, İsmail (2010). “Şâhruh”. 《TDV İslâm Ansiklopedisi》. 2019년 5월 27일에 확인함.  ↑ Ibn Arabshah, Ahmed (1936). Tamerlane or Timur the Great Amir. Trans. J.H. Sanders. London: Luzac and Co., p. 47. ↑ 이주엽, 16세기 중앙아시아 신흥국가들의 몽골제국 계승성 연구:우즈벡·카자흐칸국과 무굴제국의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003, p.50. ↑ Tsai, Shih-Shan Henry (2002),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162, ISBN ISBN 0-295-98124-5 ↑ Goodrich, L. Carrington; Tay, C.N. (1976), "Ch'en Ch'eng", in Goodrich, L. Carrington; Fang, Chaoying,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A-L),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44–145, ISBN 0-231-03801-1 ↑ Brook, Timothy (1978), 「Chapter 10, Communications and commerce」, in Twitchett, Denis Crisp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8,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83–584, ISBN 0-521-24333-5 ↑ Brook, Timothy (1998),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34–38, ISBN 0-520-21091-3, ↑ BĀYSONḠOR, ḠĪĀT-AL-DĪN B. ŠĀHROḴ B. TĪMŪR in Encyclopedia Iranica 외부 링크[편집] Farman by Shahrukh vdeh무굴 제국의 황제티무르 왕조 티무르 할릴 술탄 샤 루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샤 마흐무드 이브라함 아부 사이드 구르간 야드가르 무함마드 후세인 바이카라 바디 알 자만 무자파르 후사인 무굴 제국 바부르 후마윤 아크바르 1세 자한기르 샤 자한 1세 아우랑제브 1세 바하두르 샤 1세 (샤 알람 1세) 자한다르 샤 파루크시야르 샤 자한 2세 라피 우드 다울라트 니쿠시야르 모하메드 샤 모하메드 이브라힘 아메드 샤 바하두르 알람기르 2세 샤 자한 3세 샤 알람 2세 아크바르 2세 바하두르 샤 2세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4010955 LCCN: n2005064127 ISNI: 0000 0000 4041 089X GND: 119466058 BNF: cb15569936m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샤_루흐&oldid=24290551" 분류: 1377년 태어남1447년 죽음티무르 왕조페르시아의 군주티무르무슬림 통치자수니파 무슬림헤라트 출신숨은 분류: 우즈베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페르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9: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샤 루흐 혹은 샤 로흐 (1377년 ~ 1447년, 우즈베크어: Mirzo Shohrux; 페르시아어: شاهرخ)는 티무르 제국 제3대의 군주(재위: 1409년 ~ 1447년)이다. 문무(文武)를 겸비한 명군(名君)으로서 내란을 진압하여, 오스만 투르크와 명나라의 국교를 회복하여 티무르 제국의 융성 시대를 이룩했다. 샤 루흐는 학문·예술에 대한 훌륭한 이해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다음의 울루그 베그의 치세와 함께 티무르풍(風) 이슬람 문화의 최성기를 맞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샤 루흐의 생일은 언제일까? Assistant: 1377년 8월 20일
Human: 아래 키티_제노비스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키티 제노비스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티 제노비스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키티 제노비스 사건(Murder of Kitty Genovese)은 1964년 3월 13일 뉴욕주 퀸스에서 캐서린(키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강도에게 강간살해당한 사건으로, 방관자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또한 이 사건을 모티브로 대한민국의 밴드 넬의 6집 앨범 Newton's Apple에서 Dear Genovese라는 곡으로 작곡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목차 1 사건의 전개 2 사건의 여파 3 방관자 효과 4 참고 문헌 5 같이 보기 사건의 전개[편집] 1964년 3월 13일 금요일, 뉴욕 주 퀸스 지역에서 키티라고 불리던 캐서린 제노비스라는 28살의 여성이 지배인으로 일하던 술집에서 야간당번을 마치고 귀가하던 새벽 3시쯤 한 수상한 남성에 의해 자상을 입는다.[1] 제노비스는 분명하고 큰 목소리로 구조 요청을 하였고, 아파트에 살던 동네 사람들은 불을 켜고 사건을 지켜보았다. 제노비스를 살해한 범인인 모즐리는 후에 법정 진술에서 집집마다 불이 켜졌지만 사람들이 사건 장소로 내려올 것 같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고 했다.[2] 갑자기 불을 켜고 지켜보던 사람 중 한 명이 사건 장소로 오지 않는 대신 "그 여자를 내버려 두시오."라고 소리를 질렀다.[2] 그러자 모즐리는 바로 도망을 쳤고, 제노비스는 난자당한 몸을 이끌고 어느 가게 앞으로 드러누웠다.[2] 그러자 모즐리는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의 온몸을 난자했다. 제노비스는 계속 소리를 질렀고, 또다시 아파트 불이 켜지자, 모즐리는 또 도망을 갔다.[3] 제노비스는 힘겹게 자신의 집이 있는 아파트 건물 복도로 걸어갔다. 하지만 몇 분 후에 모즐리가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를 강간했다.[3] 이 살인사건은 새벽 3시 15분에서 50분까지 약 35분 동안 일어났다. 집에 불을 켜고 제노비스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은 총 38명이었고, 그들은 직접 사건 현장으로 내려가 제노비스를 구출하지 않았다.[4] 사건이 끝나고 한 명이 경찰에 신고했으나, 그녀는 이미 숨져 있었다. 키티 제노비스의 남동생이 추적 조사한 결과 뉴욕타임즈 기자의 오보였고, 사건을 목격한 사람은 6명, 그 중 2명은 신고를 하였다고 함. 2016년 뉴욕타임즈가 오보를 인정하는 사과 기사를 냄. 사건의 여파[편집] 처음에 이 사건은 뉴욕 타임스지에 달랑 네 줄짜리 기사로 실렸다. 그러나 나중에 뉴욕 주의 섹션 담당 편집자 로젠탈이 그 사건을 목격하고도 도와주지 않은 38명의 방관자들이 있었음을 발견했다.[5] 뉴욕 타임스의 보도는 사실과 매우 다르다.[6] 달리와 라테인은 이 사건에 흥미를 가지고 이에 관련한 심리 실험을 실행했다(책임 분산). 방관자 효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방관자 효과입니다. 방관자 효과 또는 제노비스 신드롬은 주위에 사람들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되는 현상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또 주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을 경우, 곁에서 지켜보기만 할 뿐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 현상이다. 참고 문헌[편집]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7p~98p ↑ 가 나 다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8p ↑ 가 나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9p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100p ↑ 한국 스켑틱 2015 vol. 2 같이 보기[편집] 버스44 스탠퍼드 감옥 실험(루시퍼 이펙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키티_제노비스_사건&oldid=24203215" 분류: 사람의 죽음미국의 살인 사건1964년 미국1964년 3월뉴욕의 범죄강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1: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키티 제노비스 사건(Murder of Kitty Genovese)은 1964년 3월 13일 뉴욕주 퀸스에서 캐서린(키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강도에게 강간살해당한 사건으로, 방관자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또한 이 사건을 모티브로 대한민국의 밴드 넬의 6집 앨범 Newton's Apple에서 Dear Genovese라는 곡으로 작곡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캐서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살해 당한 사건이 발생한 것은 언제입니까? Assistant: 1964년 3월 13일 Human: 아래 엔리코_페르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엔리코 페르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리코 페르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출생 1901년 9월 29일(1901-09-29)이탈리아 왕국 라치오주 로마 사망 1954년 11월 28일 (53세)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분야 물리학 소속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괴팅겐 대학교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출신 대학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지도 교수 루이지 푸찬티(이탈리아어: Luigi Puccianti) 지도 학생 리정다오 에토레 마요라나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제프리 추(영어: Geoffrey Chew) 주요 업적 중성자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방사능 원소 인공적인 핵 연쇄 반응페르미-디랙 통계베타 붕괴 수상 마테우치 메달 (1926)노벨 물리학상 (1938)Hughes Medal(1942)Rumford Prize(1953) 엔리코 퍼미(이탈리아어: Enrico Fermi [enˈriːko ˈfermi][*]: 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세계 최초의 핵반응로인 시카고파일 1호를 개발하여 “핵시대의 설계자,”[1] “원자폭탄의 설계자”라고 불린다.[2]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거둔 드문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원자력 이용에 관한 여러 특허를 보유했고 1938년에는 중성자 충격을 통한 유도방사능 연구 및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페르미는 양자론, 핵물리학, 입자물리학, 통계역학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남겼다. 페르미의 첫 기여 분야는 통계역학이다.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배타 원리를 발견한 뒤 페르미는 그 원리를 이상기체에 적용하여 오늘날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부르는 통계적 분포를 이끌어냈다. 오늘날 배타 원리를 따르는 입자를 페르미 입자라고 하는데 이는 물론 페르미의 이름이 붙은 것이다. 그 뒤 페르미는 베타 붕괴가 일어날 때 에너지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와 함께 전하가 없는 보이지 않는 입자가 방출된다고 상정하였고 이 생각을 밀고나가 중성미자라는 가상입자 모형을 정립했다. 페르미의 이론은 훗날 페르미 상호작용이라고 불리었고 더욱 뒤에는 약한 상호작용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이는 자연계의 4대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이다. 방사능과 당시 막 발견되었던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페르미는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쉽게 포획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페르미 나이 방정식을 개발했다. 페르미는 토륨과 우라늄에 느린 중성자를 쏘아보냄으로써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냈다는 결론을 얻었고, 이것으로 노벨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새로이 만들어진 원소들은 그 뒤 핵분열 생성물로 밝혀진다. 이탈리아 인종법이 통과되어 유대계 아내 라우라 카폰이 위험에 처할 것을 우려한 페르미는 1938년 이탈리아를 탈출했다. 미국으로 이민간 페르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페르미는 시카고파일 1호 설계 및 건조 팀을 이끌었으며, 1942년 12월 2일 반응로는 임계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의 지속 가능한 인공적 핵 연쇄 반응을 일으켰다. 1943년 임계에 달한 X-10 그래피티 반응로와 그 이듬해의 B 반응로에도 페르미의 도움이 있었다.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페르미는 F부 부장을 지냈다. F부는 에드워드 텔러의 열핵융합 "슈퍼 폭탄" 제작 부서의 일부였다. 페르미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자리에 동석했으며 폭탄의 효과를 추산하기 위해 자신이 개발한 페르미법을 사용했다. 전쟁이 끝난 뒤 페르미는 일반자문위원회의 로버트 오펜하이머 밑에서 일했다. 오펜하이머는 당시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핵문제 및 정책을 조언하고 있었다. 1949년 8월 소련에서 최초의 핵분열 폭탄 개발에 성공하자 그보다 강력한 수소폭탄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대두했다. 페르미는 도덕적 및 기술적 견지에서 수폭 개발을 강하게 반대했다. 페르미는 1954년 오펜하이머 보안 청문회에서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오펜하이머의 역성을 들었으나 결국 오펜하이머는 관련 기밀 정보 접근권한을 박탈당했다. 페르미는 입자물리학, 특히 파이 입자와 뮤 입자에 관해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성간공간의 물질이 자기장 속에서 가속될 때 우주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측하기도 했다. 페르미의 이름을 딴 상, 개념, 연구소가 수없이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엔리코 페르미 상,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엔리코 페르미 핵발전소, 합성원소 페르뮴 등이 있다. 목차 1 초기 생애 2 피사 고등사범학교 3 로마에서의 교수생활 4 맨해튼 프로젝트 5 전후 행적 6 업적과 영향 6.1 시카고파일-1 7 저서 8 특허 9 각주 10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엔리코 페르미는 1901년 9월 29일 이탈리아 왕국 로마에서 철도성 부장급 공무원 알베르토 페르미(Alberto Fermi)와 초등학교 교사 이다 데 가티스(Ida de Gattis) 슬하의 셋째로 태어났다.[3][4] 두 살 많은 손윗누이 마리아(Maria)와 한 살 많은 손윗형제 기울리오(Giulio)가 있었다. 페르미 부부는 두 아들을 젖먹이를 하러 시골로 내려보냈고, 엔리코는 2살 6개월 때 로마의 가족에게 돌아왔다.[5] 조부의 바람에 따라 천주교식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페르미 가는 대부분의 이탈리아 가족들이 그렇듯이 그다지 독실하지 않았다. 엔리코는 평생동안 불가지론자로 살았다. 어린 시절 그와 형 기울리오는 전기모터를 만들거나 전기·기계 장난감을 갖고 노는 일 등에 관심을 가졌다.[6] 1915년, 기울리오가 목구멍의 농양 제거 수술을 위해 마취를 받았다가 죽었다.[7] 페르미의 첫 물리학 교재는 로마 캄포 데 피오리의 장터에서 발견한 책 한 권, 콜레기오 로마노 교수이자 예수회 신부인 안드레아 카라파가 1840년에 간행한 900페이지짜리 《전자물리수학》(Elementorum physicae mathematicae)이었다. 책은 수학, 고전역학, 천문학, 광학, 음향학을 그 책이 쓰여진 시대 기준으로 다루고 있었다.[8][9] 페르미는 또다른 과학쟁이 소년 엔리코 페르시코와 친해졌다.[10] 둘이는 자이로스코프 제작이나 지구 중력가속도의 정확한 측정 등의 과학 실험을 함께했다.[11] 부친의 직장동료 아돌포 아미데이(Adolfo Amidei)가 페르미에게 물리와 수학에 관한 책 여러 권을 선물하자 페르미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촉진되었다. 페르미는 선물받은 책을 빠르게 읽고 또 익혔다.[12] 피사 고등사범학교[편집] 피사에서 수학하던 시절의 페르미 페르미는 1918년 7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미데이의 충고에 따라 피사의 고등사범학교에 입학원서를 제출했다. 이미 아들 하나를 잃었던 페르미의 부모는 남은 아들을 4년이나 집에서 떨어뜨려 놓기를 주저했고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 진학하길 바랬다. 그러나 결국은 고집을 꺾고 아들의 바람을 들어 주었다. 피사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에게 기숙을 무료로 제공했으나 입학지원자들은 소논문 작성을 포함한 어려운 입학시험을 치러야 했다. 페르미에게 주어진 소논문 주제는 “소리의 구체적 성질”이었다. 17세의 페르미는 진동하는 막대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풀어내어 해에 푸리에 분석을 적용시켰다. 시험감독이었던 주세페 피타렐리(Giuseppe Pittarelli,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동문) 교수는 면접시험에서 페르미에게 장래 탁월한 물리학자가 되겠다고 추켜세웠다. 이렇게 하여 페르미는 대학에 수석으로 입학했다.[13] 고등사범학교 재학 시절 페르미는 프랑코 라세티라는 학생과 어울려 놀았는데, 그는 후일 페르미의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가 된다. 물리학연구실장 루이지 푸치안티는 자신이 페르미에게 더 가르칠 것이 없다고 인정했다. 오히려 푸치안티가 페르미에게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페르미의 양자물리학에 관한 지식은 푸치안티가 관련 주제에 대한 세미나를 열어보라고 요구할 만큼의 경지에 달해 있었다.[14] 이 시기 페르미는 그레고리오 리치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고안한 수학기법인 텐서 미적을 익혔다. 텐서 미적은 일반상대론의 원리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15] 페르미는 처음에는 수학을 주전공으로 삼았지만, 곧 물리학으로 전과했다. 그는 일반상대론, 양자역학, 원자물리학을 거의 독학으로 공부했다.[16] 1920년 9월, 페르미는 물리학부에 들어갔다. 학생이 세 명(페르미, 라세티, 넬로 카라라) 뿐이었기 때문에 푸치안티 교수는 그들이 무슨 목적으로든 자유롭게 연구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 페르미가 엑스선결정학을 연구주제로 정했고, 셋이는 라우에 사진, 즉 결정의 엑스선 사진을 뽑아내기 위해 작업에 착수했다.[17] 대학생활 3년차인 1921년,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누오보 키멘토》에 자신의 첫 논문 두 편을 발표했다. 첫 번째 논문의 제목은 〈병진운동하는 전하 강성계의 동역학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dinamica di un sistema rigido di cariche elettriche in moto traslatorio")였다. 요는 질량이 텐서(삼차원 공간에서 운동하고 변화하는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질량은 고전역학에서는 스칼라량이지만 상대론에서는 속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두 번째 논문의 제목은 〈중력이 균일한 전자기 전하장의 정전기학과 전자기 전하의 무게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elettrostatica di un campo gravitazionale uniforme e sul peso delle masse elettromagnetiche")였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일반상대론을 사용해 전하가 U / c 2 {\displaystyle U/c^{2}} 와 동일한 무게를 가짐을 보였다. 이때 U {\displaystyle U} 는 계의 정전기 에너지이고 c {\displaystyle c} 는 광속이다.[16] 동전기학에서는 4 / 3 ⋅ U / c 2 {\displaystyle 4/3\cdot U/c^{2}} 을 예측하기에, 첫 번째 논문의 내용은 전자기 질량 계산에 있어 동전기학 이론과 상대론이 서로 모순되는 것을 지적하는 것처럼 보였다. 페르미는 이듬해 논문 〈전자기 질량에 관한 동전기학과 상대론의 모순에 관하여〉를 발표해 이 문제를 다루었다. 여기서 페르미는 모순처럼 보이는 것은 상대성의 결과임을 보였다. 이 논문은 높은 평가를 받아 1922년 독일어로 번역되어 독일 학술지 《피지칼리셰 차이츠흐리프트》에 실렸다.[18] 그해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이 렌디콘티 델라카데미아 데이 린체이》에 논문 〈세계선 근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opra i fenomeni che avvengono in vicinanza di una linea oraria")를 투고했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등가원리를 시험해 보고, 소위 "페르미 좌표"라 불리는 것을 도입했다. 페르미는 시간선과 세계선이 가까우면 공간이 유클리드 공간처럼 행동함을 증명했다.[19][20] 광추는 시공간상의 한 점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광선과 그 점에서 출발할 수 있는 모든 광선의 집합인 삼차원 곡면이다. 이 그림에서는 1개 차원이 생략되어 있다. 수직축은 시간선이다. 페르미는 《스쿠올라 노르말레 수페리오레》 1922년 7월호에 논문 〈개연성 정리와 그 적용 몇 가지〉(이탈리아어: "Un teorema di calcolo delle probabilità ed alcune sue applicazioni")를 투고했고,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인 20세에 학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 주제는 엑스선 회절 화상이었다. 이론물리학은 아직 이탈리아에서 대세가 아니었고, 실험물리학에 관한 논문만 가납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탈리아 물리학자들은 독일에서 발생한 상대론과 같은 신개념들을 받아들이는 것이 늦어졌다. 그러나 페르미는 실험물리에 이미 통달했기 때문에 이는 그에게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았다.[20] 1923년, 아우구스트 코프의 단행본 《아인슈타인 상대론의 기초》 이탈리아어판 부록을 쓰던 도중 페르미는 유명한 아인슈타인 방정식 E = m c 2 {\displaystyle E=mc^{2}} 의 함의를 최초로 짚어내게 되었다. 바로 핵 위치 에너지의 개념이었다. 페르미는 부록에 쓰기를, “적어도 근시일 내에는 실현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 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가 폭발을 일으킨 결과 발생할 첫 번째 효과는 그 방법을 찾아낸 불운한 물리학자를 산산조각내는 것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20] 1924년 페르미는 그란데 오리엔테 디탈리아의 "아드리아노 레미(Adriano Lemmi)" 석공집합소에서 프리메이슨에 가입했다.[21] 페르미는 외국으로 나가기로 결정하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막스 보른에게 한 학기 동안 배웠다. 이곳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파스쿠알 요르단을 만났다. 1924년 9월에서 12월 사이에는 수학자 비토 볼테라의 중개로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레이덴에서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연구했다. 레이덴에서 페르미는 헨드릭 로런츠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만났고, 사무엘 고우드스미트와 얀 틴베르헌과 친구가 되었다. 1925년 1월에서 1926년 말까지는 피렌체 대학교에서 수리물리학과 이론역학을 공부했고 라세티와 함께 연구진을 이루어 수은 증기에 자기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 또한 로마 사피엔자 대학교의 세미나에 참여하여 양자역학과 고체물리학 관련 강의를 했다.[22]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파울리 배타원리를 발표하자 페르미는 이상기체에 배타원리를 적용시킨 논문 〈완전 단원자 기체의 양자화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quantizzazione del gas perfetto monoatomico)를 써서 이에 반응했다. 이 논문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배타원리를 따르는 많은 단종입자들로 이루어진 계의 입자 분포를 설명하는 페르미 통계공식이다. 영국의 폴 디랙도 이것이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관련되었음을 보였는데 페르미와 디랙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를 발견했다. 하여 이것은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명명되었다.[23] 그리고 배타원리를 따르는 입자는 페르미 입자(페르미온), 따르지 않는 입자는 보스 입자(보손)라고 부르게 되었다.[24] 로마에서의 교수생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맨해튼 프로젝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후 행적[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업적과 영향[편집] 시카고파일-1[편집] 최초의 원자로로, 시카고대학 운동장의 스탠드 아래쪽에 있던 사용하지 않는 스쿼시코트에서 만들어졌다. 6톤의 우라늄과 50톤의 산화우라늄 그리고 감속재 역할을 하는 400톤의 흑연 벽돌을 층층이 쌓아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물건을 차곡차곡 포개놓은 더미라는 뜻의 파일(pile)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설계와 책임을 페르미가 맡았다. 가로와 세로 각각 7미터의 타원형으로 제작된 시카고파일-1은 중성자 흡수재로 카드뮴봉을 사용했다. 카드뮴봉을 원자로 안에 집어넣으면 연쇄반응이 줄어들고, 빼내면 연쇄반응이 강화되는 제어봉 역할을 했다. 당시에는 방사선이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지 잘 몰랐기 때문에, 카드뮴봉을 줄에 매달고 사람이 줄을 당겨 인출하고 줄을 내려 원자로에 집어넣었다. 1942년 12월 2일 마침내 세계 최초의 원자로 실험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기계가 준비되었고, 페르미는 카드뮴으로 코팅한 제어봉을 천천히 움직였다. 그러자 방사성계수관이 튀었다가 안정되었다. 이후 원자로는 1/2W의 출력 상태로 28분 동안 가동되었고, 실험은 성공적으로 끝이 났다. 이어서 미국의 아르곤원자력연구소에 출력 100kW의 제2의 원자로가, 그리고 워싱턴주 핸포드 지역에 원자폭탄 제조용 플루토늄을 본격적으로 생산하는 원자로가 건설되었다. 저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특허[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Autumn 1954.  ↑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New York Times》. 1954년 11월 29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Segrè 1970, 3–4, 8쪽. ↑ Amaldi 2001, 23쪽. ↑ Cooper 1999, 19쪽. ↑ Segrè 1970, 5–6쪽. ↑ Fermi 1954, 15–16쪽. ↑ Segrè 1970, 7쪽. ↑ Bonolis 2001, 315쪽. ↑ Amaldi 2001, 24쪽. ↑ Segrè 1970, 11-12쪽. ↑ Segrè 1970, 8–10쪽. ↑ Segrè 1970, 11–13쪽. ↑ Segrè 1970, 15–18쪽. ↑ Bonolis 2001, 320쪽. ↑ 가 나 Bonolis 2001, 317–319쪽. ↑ Segrè 1970, 20쪽. ↑ “Über einen Widerspruch zwischen der elektrodynamischen und relativistischen Theorie der elektromagnetischen Masse”. Physikalische Zeitschrift (독일어) 23: 340–344.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 Bertotti 2001, 115쪽. ↑ 가 나 다 Bonolis 2001, 321쪽. ↑ “Enrico Fermi L’Uomo, lo Scienziato e il Massone” (이탈리아어). 2015년 3월 4일에 확인함.  ↑ Bonolis 2001, 321–324쪽. ↑ Bonolis 2001, 329–330쪽. ↑ Cooper 1999, 31쪽.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엔리코 페르미 (영어) 미국 연방 에너지부 - 엔리코 페르미 (영어) 노벨 재단 전기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2006년 11월). “엔리코 페르미”.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엔리코 페르미”.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vdeh 역대 미국 물리학회 학회장1899년–1925년 헨리 어거스터스 롤랜드(1899년)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1901년) 아서 고든 웹스터(1903년) 칼 바루스(1905년) 에드워드 레밍턴 니콜스(1907년) 헨리 크루(1909년) 윌리엄 프랜시스 매기(1911년) 벤저민 오스굿 피어스(1913년) 어니스트 메리트(1914년)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1916년) 헨리 앤드루스 범스티드(1918년) 조지프 스위트먼 에임스(1919년) 시어도어 리먼(1921년) 토머스 코윈 멘덴할(1923년) 데이턴 밀러(1925년) 1926년–1950년 칼 테일러 콤프턴(1927년) 헨리 게일(1929년) 윌리엄 프랜시스 그레이 스완(1931년) 폴 다윈 푸트1933년) 아서 콤프턴1934년) 로버트 윌리엄 우드(1935년) 플로이드 카커 리치트마이어(1936년) 해리슨 매칼리스터 랜들(1937년) 리먼 제임스 브릭스(1938년) 존 토렌스 테이트 시니어(1939년) 존 젤레니(1940년) 조지 브랙스턴 페그램(1941년) 기디언 테이버 스튜어트(1941년) 퍼시 윌리엄스 브리즈먼(1942년) 앨버트 헐(1943) 아서 제프리 뎀프스터(1944년) 하비 플레처(1945년) 에드워드 컨던(1946년) 리 앨빈 두브리지(1947년)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1948년) 프랜시스 휠러 루미스(1949년)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1950년) 1951년–1975년 찰스 크리스티안 라우리첸(1951년) 존 해즈브로크 반 블레크(1952년) 엔리코 페르미(1953년) 한스 베테(1954년) 레이먼드 테일러 비르게(1955년) 유진 와이그너(1956년) 헨리 드울프 스미스(1957년) 제시 빔스(1958년) 조지 유진 울렌벡(1959년) 빅토어 프레더리크 바이스코프(1960년) 프레더릭 사이츠(1961년) 윌리엄 버밀리언 휴스턴(1962년) 존 해리 윌리엄스(1963년) 로버트 배처(1964년) 펠릭스 블로츠(1965년) 존 아치볼드 휠러(1966년) 찰스 하드 타운스(1967년) 존 바딘(1968년) 루이스 월터 알바레스(1969년) 에드워드 밀스 퍼셀(1970년) 로버트 서버(1971년) 필립 맥코드 모스(1972년) 조지프 에드워드 메이어(1973년) 볼프강 쿠르트 헤르만 파노프스키(1974년) 우젠슝(1975년) 1976년–2000년 윌리엄 앨프리듣 파울러(1976년) 조지 페이크(1977년) 노먼 포스터 램지 주니어(1978년) 루이스 M. 브랜스컴(1979년) 허먼 페시배치(1980년) 아서 레너드 숄로우(1981년) 모리스 골드하버(1982년) 로버트 마르샤크(1983년)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1984년) 로버트 라스분 윌슨(1985년) 시드니 드렐(1986년) 발 로그스던 피치(1987년) 제임스 아서 크룸한슬(1989년) 유진 머즈바처(1990년) 니콜라스 블룸베르헌(1991년) 어니스트 마크 헤늘리(1992년) 도널드 뉴턴 랑겐버크(1993년) 버튼 리처(1994년) 찬드라 쿠마르 나란바이 파텔(1995년) 존 로버트 슈리퍼(1996년) 데이비드 앨런 브로믈리(1997년) 앤드루 세슬러(1998년)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1999년) 제임스 S. 랑어(2000년) 2001년–현재 조지 트릴링(2001년) 윌리엄 브링크먼(2002년) 미리엄 사라치크(2003년) 헬렌 퀸(2004년) 마빈 코헨(2005년) 존 홉필드(2006년) 레오 카다노프(2007년) 아서 비넨스토프(2008년) 체리 A. 머레이(2009년) 커티스 캘런(2010년) 배리 바리시(2011년) 로버트 L. 바이어(2012년) 마이클 터너(2013년) 맬컴 로이 비어슬리(2014년) 샘 애런슨(2015년) 호머 닐(2016년) 로라 그린(2017년) vdeh맨해튼 계획지역 클린턴 엔지니어 공장 핸펀드 지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시카고 야금 연구소 에임스 연구소 몬트리올 연구소 산디아 국립 연구소 트리니티 시험 지역 데이턴 계획 카멜 계획 시카고 더미-1 X-10 흑연 반응로 Y-12 국립 안보 단지 관계자 버니바 부시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 토마스 페럴 레슬리 그로브스 케네스 니콜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윌리엄 스털링 파슨스 폴 티베츠 과학자들 로버트 베처 한스 베테 닐스 보어 노리스 브레드베리 제임스 채드윅 아서 콤프턴 엔리코 페르미 리처드 파인만 클라우스 푸쉬스 조지 키스티아코시키 어니스트 로런스 윌리엄 페니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글렌 T. 시보그 루이스 슬로틴 레오 실라로드 에드워드 텔러 리차드 톨만 스타니스와프 울람 헤롤드 클레이튼 우레이 레오나 우드 헤리 K. 더그힐란 친 시웅 우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관련 항목 연대기 핵무기의 역사 S-1 우라늄위원회 잠정위원회 알소스 미션 스미스 보고서 앨버타 프로젝트 실버플래이트 제509 작전군 팻 맨 리틀 보이 에놀라 게이 벅스카 위대한 예술가 (B-2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 폭탄 투하 (관련 논의) 원자 폭탄 스파이 1946년 원자력 법 미군 특별 무기 계획 크로스로드 작전 튜브 앨로이스 더 보기 : 분류:맨해튼 계획 항목 참조 vdeh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뢴트겐 1902: 로런츠 / 제이만 1903: 베크렐 / P. 퀴리 / M. 퀴리 1904: 레일리 1905: 레나르트 1906: 톰슨 1907: 마이컬슨 1908: 리프만 1909: 마르코니 / 브라운 1910: 판데르발스 1911: 빈 1912: 달렌 1913: 카메를링 오너스 1914: 라우에 1915: W. L. 브래그 / W. H. 브래그 1917: 바클라 1918: 플랑크 1919: 슈타르크 1920: 기욤 1921: 아인슈타인 1922: N. 보어 1923: 밀리컨 1924: M. 시그반 1925: 프랑크 / 헤르츠 1926-1950 1926: 페랭 1927: 콤프턴 / C. 윌슨 1928: O. 리처드슨 1929: 드브로이 1930: 라만 1932: 하이젠베르크 1933: 슈뢰딩거 / 디랙 1934: 채드윅 1936: 헤스 / C. D. 앤더슨 1937: 데이비슨 / 톰슨 1938: 페르미 1939: 로런스 1943: 슈테른 1944: 라비 1945: 파울리 1946: 브리지먼 1947: 애플턴 1948: 블래킷 1949: 유카와 1950: 파월 1951-1975 1951: 콕크로프트 / 월턴 1952: 블로흐 / 퍼셀 1953: 제르니커 1954: 보른 / 보테 1955: 램 / 쿠시 1956: 쇼클리 / 바딘 / 브래튼 1957: 양전닝 / 리정다오 1958: 체렌코프 / 프란크 / 탐 1959: 세그레 / 체임벌린 1960: 글레이저 1961: 호프스태터 / 뫼스바워 1962: 란다우 1963: 위그너 / 괴퍼트메이어 / 옌젠 1964: 타운스 / 바소프 / 프로호로프 1965: 도모나가 / 슈윙거 / 파인먼 1966: 카스틀레르 1967: 베테 1968: 앨버레즈 1969: 겔만 1970: 알벤 / 네엘 1971: 가보르 1972: 바딘 / 쿠퍼 / 슈리퍼 1973: 에사키 / 예베르 / 조지프슨 1974: 라일 / 휴이시 1975: A. 보어 / 모텔손 / 레인워터 1976-2000 1976: 릭터 / 팅 1977: P. W. 앤더슨 / 모트 / 밴블렉 1978: 카피차 / 펜지어스 / R. 윌슨 1979: 글래쇼 / 살람 / 와인버그 1980: 크로닌 / 피치 1981: 블룸베르헌 / 숄로 / K. 시그반 1982: K. 윌슨 1983: 찬드라세카르 / 파울러 1984: 루비아 / 판데르메이르 1985: 폰 클리칭 1986: 루스카 / 비니히 / 로러 1987: 베드노르츠 / 뮐러 1988: 레더먼 / 슈워츠 / 스타인버거 1989: 램지 / 데멜트 / 파울 1990: 프리드먼 / 켄들 / R. 테일러 1991: 드 젠 1992: 샤르파크 1993: 헐스 / J. 테일러 1994: 브록하우스 / 슐 1995: 펄 / 라이네스 1996: D. 리 / 오셔로프 / R. 리처드슨 1997: 추 / 코엔타누지 / 필립스 1998: 로플린 / 슈퇴르머 / 추이 1999: 엇호프트 / 펠트만 2000: 알표로프 / 크뢰머 / 킬비 2001-현재 2001: 코넬 / 케털리 / 위먼 2002: 데이비스 / 고시바 / 자코니 2003: 아브리코소프 / 긴즈부르크 / 레깃 2004: 그로스 / 폴리처 / 윌첵 2005: 글라우버 / 홀 / 헨슈 2006: 매더 / 스무트 2007: 페르 / 그륀베르크 2008: 난부 / 고바야시 / 마스카와 2009: 가오 / 보일 / 스미스 2010: 가임 / 노보셀로프 2011: 펄머터 / 슈밋 / 리스 2012: 와인랜드 / 아로슈 2013: 힉스 / 앙글레르 2014: 아카사키 / 아마노 / 나카무라 2015: 가지타 / 맥도널드 2016: 사울레스 / 홀데인 / 코스털리츠 2017: 바이스 / 손 / 배리시 2018: 애슈킨 / 무루 / 스트리클런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노벨 물리학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6670056 LCCN: n50026886 ISNI: 0000 0001 2134 1777 GND: 118683322 SELIBR: 186771 SUDOC: 031563716 BNF: cb12275443t (데이터) BIBSYS: 90057569 MGP: 14167 NLA: 35081390 NDL: 00439406 NKC: jn20000720070 ICCU: IT\ICCU\RAVV\024664 BNE: XX886394 CiNii: DA013762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리코_페르미&oldid=24428442" 분류: 엔리코 페르미1901년 태어남1954년 죽음맨해튼 계획 관련자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이탈리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미국의 노벨상 수상자핵물리학자이탈리아의 망명자미국의 물리학자이탈리아의 물리학자미국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불가지론자미국의 불가지론자피사 대학교 동문괴팅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교수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실험물리학자이론물리학자이탈리아의 발명가로마 출신이탈리아계 미국인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열역학자프리메이슨양자물리학자20세기 물리학자상대성 이론가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CS1 - 영어 인용 (en)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2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엔리코 퍼미(이탈리아어: Enrico Fermi [enˈriːko ˈfermi][*]: 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세계 최초의 핵반응로인 시카고파일 1호를 개발하여 “핵시대의 설계자,” “원자폭탄의 설계자”라고 불린다.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거둔 드문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원자력 이용에 관한 여러 특허를 보유했고 1938년에는 중성자 충격을 통한 유도방사능 연구 및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페르미는 양자론, 핵물리학, 입자물리학, 통계역학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남겼다. 페르미의 첫 기여 분야는 통계역학이다.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배타 원리를 발견한 뒤 페르미는 그 원리를 이상기체에 적용하여 오늘날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부르는 통계적 분포를 이끌어냈다. 오늘날 배타 원리를 따르는 입자를 페르미 입자라고 하는데 이는 물론 페르미의 이름이 붙은 것이다. 그 뒤 페르미는 베타 붕괴가 일어날 때 에너지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와 함께 전하가 없는 보이지 않는 입자가 방출된다고 상정하였고 이 생각을 밀고나가 중성미자라는 가상입자 모형을 정립했다. 페르미의 이론은 훗날 페르미 상호작용이라고 불리었고 더욱 뒤에는 약한 상호작용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이는 자연계의 4대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이다. 방사능과 당시 막 발견되었던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페르미는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쉽게 포획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페르미 나이 방정식을 개발했다. 페르미는 토륨과 우라늄에 느린 중성자를 쏘아보냄으로써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냈다는 결론을 얻었고, 이것으로 노벨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새로이 만들어진 원소들은 그 뒤 핵분열 생성물로 밝혀진다. 이탈리아 인종법이 통과되어 유대계 아내 라우라 카폰이 위험에 처할 것을 우려한 페르미는 1938년 이탈리아를 탈출했다. 미국으로 이민간 페르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페르미는 시카고파일 1호 설계 및 건조 팀을 이끌었으며, 1942년 12월 2일 반응로는 임계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의 지속 가능한 인공적 핵 연쇄 반응을 일으켰다. 1943년 임계에 달한 X-10 그래피티 반응로와 그 이듬해의 B 반응로에도 페르미의 도움이 있었다.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페르미는 F부 부장을 지냈다. F부는 에드워드 텔러의 열핵융합 "슈퍼 폭탄" 제작 부서의 일부였다. 페르미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자리에 동석했으며 폭탄의 효과를 추산하기 위해 자신이 개발한 페르미법을 사용했다. 전쟁이 끝난 뒤 페르미는 일반자문위원회의 로버트 오펜하이머 밑에서 일했다. 오펜하이머는 당시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핵문제 및 정책을 조언하고 있었다. 1949년 8월 소련에서 최초의 핵분열 폭탄 개발에 성공하자 그보다 강력한 수소폭탄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대두했다. 페르미는 도덕적 및 기술적 견지에서 수폭 개발을 강하게 반대했다. 페르미는 1954년 오펜하이머 보안 청문회에서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오펜하이머의 역성을 들었으나 결국 오펜하이머는 관련 기밀 정보 접근권한을 박탈당했다. 페르미는 입자물리학, 특히 파이 입자와 뮤 입자에 관해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성간공간의 물질이 자기장 속에서 가속될 때 우주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측하기도 했다. 페르미의 이름을 딴 상, 개념, 연구소가 수없이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엔리코 페르미 상,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엔리코 페르미 핵발전소, 합성원소 페르뮴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페르미는 무엇으로 물리학을 접하게 되었을까? Assistant: 페르미의 첫 물리학 교재는 로마 캄포 데 피오리의 장터에서 발견한 책 한 권, 콜레기오 로마노 교수이자 예수회 신부인 안드레아 카라파가 1840년에 간행한 900페이지짜리 《전자물리수학》(Elementorum physicae mathematicae)이었다. 책은 수학, 고전역학, 천문학, 광학, 음향학을 그 책이 쓰여진 시대 기준으로 다루고 있었다.[8][9] 페르미는 또다른 과학쟁이 소년 엔리코 페르시코와 친해졌다.[10] 둘이는 자이로스코프 제작이나 지구 중력가속도의 정확한 측정 등의 과학 실험을 함께했다.[11] 부친의 직장동료 아돌포 아미데이(Adolfo Amidei)가 페르미에게 물리와 수학에 관한 책 여러 권을 선물하자 페르미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촉진되었다. 페르미는 선물받은 책을 빠르게 읽고 또 익혔다.[12]
Human: 아래 FC_제니트_상트페테르부르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전체 이름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FC Zenit Saint Petersburg 별칭 Sine-Belo-Golubye (파랑색-하얀색-하늘색)Zenitchiki (대공포 포병)Bomzhi (떠돌이)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925년 5월 25일 구단주 가즈프롬방크 회장 세르게이 푸르센코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경기장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수용 인원 68,134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2018-19 1위 홈 어웨이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25년에 창단되었다. 제니트는 러시아어로 "천정, 정점, 절정"을 뜻한다. 구단의 실 소유주는 세계 5대 천연가스 생산그룹인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다.[1] 제니트는 2007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초로 ,UEFA컵 2007-08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8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1로 꺾고 UEFA 슈퍼컵을 들어올렸으며, 현재 감독은 로베르토 만치니의 뒤를 이어, 러시아의 세르게이 세마크이다. 목차 1 구단 역사 1.1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 1.2 제니트의 형성 과정 1.3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 2 경기장 3 역대 성적 3.1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 3.2 러시아 독립 이후 3.3 유럽 대회 3.4 기타 4 선수 4.1 현재 1군 명단 4.2 임대 선수 명단 4.3 역대 주장 5 코칭 스태프 6 유니폼 7 구단주 8 역대 감독 9 UEFA 랭킹 10 주목할만한 선수 11 파트너십 11.1 다른 축구 클럽 11.2 조합 12 각주 13 외부 링크 구단 역사[편집]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편집] 제니트의 역사는 러시아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과거, '페트로그라드'와 '레닌그라드'로 불렷음)의 정치적으로 가까운 연관이 있다. 1897년, 바실레예프스키 섬에서 러시아에서 최초로 축구경기가 열렸다. 그 경기는 비공식적인 경기로써, 잉글랜드의 '오스트로프' 팀과, 러시아의 '페트로그라드' 라는 팀간의 경기였으며, 그 경기는 잉글랜드 팀이 6 대 0으로 이겼다. 러시아의 팀은 지역 사람들의 아마추어 선수나, 느슨하게 만들어진 연합팀일 뿐이였다. 같은 시간에, 공식적인 축구 구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선수의 자격은 비공식적 이였으며, 매우 느슨하여, 종종, 같은 시즌 동안에 각각 다른 팀에서 소속되어 경기하는것도 수락되었었다. 제니트의 형성 과정[편집] 제니트는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소련 기간 동안 이름과 소유자가 바뀐 축구 구단에 의해 생겨났다. 강력한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조작된 선수 개인들의 업적이나 팀 전체의 운명이 조작되기도 했다. 구단의 명칭은 계속 여러 번 바뀌어왔으며, 소유주와, 주장들은 몇십년 동안 정치적인 억압 밑에서 살아와야 했다. 제니트의 기원은 20세기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몇몇의 과거팀들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지역적으로 경기가 되곤했다. 제니트의 가장 오래된 전신은 한때 볼셰비키라고 불리던 1914년에 창단된 '무르진카(Murzinka)' 구단으로써, 1914년 부터 1924년까지 약 10년간 오부코프스키 스타디움을 사용해왔다. 그 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과 1918년~1922년 에 벌어진 러시아 내전에서도 해체되지 않고 살아 남았다.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편집] 제니트는 1944년에, 소비에트 컵 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를 패배시키며 구단의 첫 명예를 가졌다. 제니트는 늘 레닌그라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왔지만, 소비에트 리그에서는 큰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하였다. 경기장[편집] 현재 제니트의 홈경기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페트로프스키 스타디움에서 신축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으로 옮겼다. 2007년 노후한 키로프 스타디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제니트를 위한 새로운 구장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을 건설 하으며, 이는 2018 러시아 월드컵때도 이용되었다.[2] 건설중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완공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제니트 아레나'로 도 불린다. 역대 성적[편집]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편집]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 (1회) : 1984 소비에트 컵 우승 (1회) : 1944 준우승 (2회) : 1953, 1984 소비에트 슈퍼컵 우승 (1회) : 1985 러시아 독립 이후[편집]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 (4회) : 2007, 2010, 2011-12, 2014-15 준우승 (3회) : 2003, 2012-13, 2013-14 러시아 컵 우승 (2회) : 1999, 2010 준우승 (1회) : 2002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 우승 (1회) : 2003 러시아 슈퍼컵 우승 (2회) : 2008, 2011 준우승 (2회) : 2012, 2013 유럽 대회[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4회 진출) 16강 (4회) : 1985-86 (16강),2011-12 (16강),2012-13 (16강),2013-14 (16강) 조별예선 (1회) : 2014-15 (진행중) UEFA 유로파리그 (8회 진출) 우승 (1회) : 2007-08[3] 8강 (1회) : 2005-06 16강 (3회) : 2008-09,2010-11,2012-13 조별리그 (1회) : 2004-05 UEFA 슈퍼컵 우승 (1회) : 2007-08[4] UEFA 인터토토컵 준우승 (1회) : 2000 기타[편집] 매치 월드컵 우승 (1회) : 2012 조별리그 (2회) : 2011, 2013 선수[편집] 현재 1군 명단[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유리 로디긴 2 DF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주장) 3 DF 데니스 테렌쳬프 5 MF 레안드로 파레데스 6 DF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8 MF 마티아스 크라네비터 3 DF 데니스 테렌쳬프 10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1 FW 세바스티안 드뤼시 13 DF 루이스 네투 14 MF 달레르 쿠자예프 15 DF 엘미르 나비울린 16 MF 크리스티안 노보아 17 MF 올레크 샤토프 18 MF 유리 지르코프 번호 포지션 이름 19 DF 이고르 스몰니코프 20 MF 로베르트 마크 21 MF 알렉산드르 에로킨 22 FW 아르툠 주바 23 DF 미하 메블랴 25 DF 이반 노보셀체프 27 MF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28 DF 예브게니 체르노프 29 FW 안톤 자볼로트니 30 DF 엠마누엘 맘마나 33 MF 에르나니 41 GK 미하일 케르자코프 88 MF 드미트리 보가예프 99 GK 안드레이 루뇨프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예고르 바부린 (→ 루빈 카잔) DF 이반 노보셀체프 (→ 안지 마하치칼라) FW 루카 조르제비치 (→ 아르세날 툴라) 12번 은 제니트의 팬들을 위해 영구 결번 되었다. 역대 주장[편집] 이름 년도 올레크 드미트리예프 1993 – 94 블라디미르 쿨리크 1995 – 96 유리 배르니두브 1997 – 2000 안드레이 코벨레프 2000 – 01 알렉세이 이고닌 2001 – 03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2003 – 07 안드레이 아르샤빈 2007 에리크 하겐 2007 아나톨리 티모슈크 2007 – 09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09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09 – 12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12 다니 2012 – 13 로만 시로코프 2013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4 다니 2014 – 17 도메니코 크리시토 2017 – 18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8 – 코칭 스태프[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5] 지위 이름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코치 알렉산드르 니제닉 코치 이고르 시무텐코프 코치 아나톨리 티모슈크 골키퍼 코치 토미슬라프 로직 골키퍼 코치 미하일 비류코프 주치의 세르게이 푸코프 2군 감독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유니폼[편집] 년도 이름 1997 – 2000 아디다스 2001 – 02 디아도라 2003 – 04 엄브로 2004 – 07 아디다스 2008 – 09 푸마 2010 – 현재 나이키 구단주[편집] 이름 년도 블라디슬라프 구셰프 1990 – 92 레오니드 투프린 1962 – 94 비탈리 뭇코 1995 – 2003 다비드 트락트토벤코 2003 – 05 세르게이 푸르센코 2006 – 08 알렉산드르 듀코프 2008 – 17 세르게이 푸르센코 2017 – 현재 역대 감독[편집] 이름 년도 표트르 필립포프 1936 – 37 미하일 유디네흐 1938 – 39 콘스탄틴 에고로프 1938 – 39 표트르 필립포프 1940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1 – 45 미하일 부튜소프 1946 이반 탈라노프 1946 – 48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8 – 50 게오르기 라신 1950 – 51 블라디미르 레메셰프 1952 – 54 니콜라이 류크시노프 1954 – 55 아르카디 알로프 1956 – 57 게오르기 자르코프 1957 – 60 게나디 본다렌코 1960 에브게니 엘리세예프 1961 – 64 발렌틴 페도로프 1964 – 66 아르카디 알로프 1967 아르템 팔리얀 1968 – 70 예브게니 고랸스키 1970 – 72 게르만 조닌 1973 – 77 유리 모로조프 1977 – 82 이름 년도 파벨 사디린 1983 1/1 – 1986 6/30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7 스타니슬라프 자비도노프 1988 – 89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9 아나톨리 콘코프 1990 비아체슬라프 불라빈 1990 유리 모로조프 1991 비아체슬라프 멜르니코프 1992 – 94 파벨 사디린 1995 – 96 아나톨리 비쇼베츠 1997 1/1 – 1998 7/23 아나톨리 다비도프 1998 – 00 유리 모로조프 2000 – 02 미하일 비류코프 2002 보리스 라포포트 2002 블라스티미 페트르젤라 2003 1/1 – 2006 5/14 딕 아드보카트 2006 7/13 – 2009 8/10 아나톨리 다비도프 (감독대행) 2009 8/10 – 2009 12/11 루차노 스팔레티 2009 12/1 – 2014 3/11 세르게이 세마크 (감독대행) 2014 3/11 – 2014 3/20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2014 3/20 – 2016 5/24 미르체아 루체스쿠 2016 5/24 – 2017 5/28 로베르토 만치니 2017 6/1 – 2018 5/13 세르게이 세마크 2018 5/29 – UEFA 랭킹[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6] 순위 국가 구단 점수 15 SSC 나폴리 70.000 16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67.000 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6.000 주목할만한 선수[편집] 아래 목록은 해당 국가에서 국가대표로 뛴 적이 있는 선수 목록이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은 제니트에서 뛰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가 대표였거나, 현재 (2014년) 국가 대표인 선수를 의미함.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미하일 비류코프 바실리 다닐로프 세르게이 드미트리예프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레오니트 이바노프 안조르 카바자시빌리 블라디미르 카자초노크 니콜라이 라리오노프 프리드리흐 마류틴 세르게이 살니코프 세르게이 시베초프 유리 보이노프 아나톨리 진첸코 바실리 쿨코프 드미트리 라드첸코 발레리 브로신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안드레이 아르샤빈 알렉산드르 부하로프 블라디미르 비스트로프 막심 데멘코 이고리 데니소프 빅토르 파이줄린 알렉산드르 고르시코프 알렉세이 이고닌 알렉세이 이오노프 막심 카눈니코프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안드레이 코벨레프 세르게이 콜로토브킨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블라디미르 레베트 유리 로디긴 비아체슬라프 말라페예프 파벨 모길레베츠 알렉산드르 파노프 세르게이 포드팔리 파벨 포그레브냐크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알렉산드르 랴잔체프 올레크 살렌코 세르게이 세마크 이고리 셈쇼프 올레크 샤토프 로만 시로코프 데니스 주브코 이고르 스몰니코프 레나트 얀바예프 콘스탄틴 지랴노프 아르툠 주바 구 소비에트 연방 소속 국가들 로만 베레좁스키 사르키스 홉세퍈 예르반드 크르바찬 즈미트리 아하로드니크 바리스 하라보이 샤르헤이 혜라시메츠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유리 제브노프 이고르 체미나바 안드레이 쿠르듀모프 페터 노이슈테터 예브게니 타라소프 에기디유스 마유스 다리우스 미체이카 로베르타스 포스쿠스 이르만타스 스툼브리스 세르게이 클레슈첸코 알렉산드루 쿠르티아누 안드레이 마나니코프 바즈겐 마나샨 드미트리 호무하 드미트리 네젤레프 볼로디미르 호릴리 로만 마크시뮤크 세르히 포포프 올렉산드르 스피바크 헤나디 포포비치 올렉산드르 스비스투노우 아나톨리 티모슈크 이호르 자브첸코 유럽 니콜라스 롬바르츠 악셀 비첼 다르코 말레티치 세바스티앙 퓌그레니에 이비차 크리자나츠 마레크 킨츨 파벨 마레시 라데크 시를 미샤엘 룸브 후스티 서볼치 도메니코 크리시토 알레산드로 로시나 미하일 자리츠키 드라간 차디코프스키 벨리체 슈물리코프스키 루카 조르제비치 에리크 하겐 다니 브루누 알베스 루이스 네투 페르난두 메이라 제노 분데아 마테야 케주만 단코 라조비치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밀란 로디치 카밀 촌토팔스키 토마스 후보칸 마르틴 슈크르텔 하비 가르시아 파티흐 테케 아시아 현영민 김동진 이호 남아메리카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에세키엘 가라이 크리스티안 안살디 헐크 살로몬 론돈 파트너십[편집] 다른 축구 클럽[편집] 가즈프롬 이 소유하는 다른 구단 FC 샬케 04[7] FC 샤흐타르 도네츠크[8] 조합[편집] 유투브[9] 로시야 항공[10] 뷔르트[11] NCC AB[12] 아다만트 쥬얼리[13] 코린티아 호텔-상트페테르부르크[14] 탑 일레븐 풋볼 매니저[15] 각주[편집] ↑ “Gazprom fuels Zenit dream”. uefa.com. 2007년 1월 19일. 2007년 8월 8일에 확인함.  ↑ “Stadium St. Petersburg”. 2012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2007/08: Advocaat enjoys an all-time high” (영어). UEFA.com. 2008년 5월 15일.  ↑ “22008: Zenit claim Russian first” (영어). UEFA.com. 2008년 8월 29일.  ↑ [1] – fc-zenit.ru ↑ UEFA Club Coefficients – UEFA.com ↑ “ФК "Зенит" подписал соглашение о партнерстве с ФК "Шальке 04"”. FC Zenit.  ↑ “Сергей Фурсенко: Партнерство с "Шахтером" – шаг актуальный и своевременный”. FC Zenit.  ↑ “Zenit launches new partnership with YouTube”. FC Zenit.  ↑ “Rossiya Airlines becomes official Zenit partner”. FC Zenit.  ↑ “FC Zenit and Würth Severo-Zapad are partners”. FC Zenit.  ↑ “Zenit and the Swedish construction firm NCC signed a partnership agreement”. FC Zenit.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 “Zenit signs partnership contract with Adamant Jewelers”. FC Zenit.  ↑ “Zenit and Corinthia St. Petersburg 5-star hotel have become partners”. FC Zenit.  ↑ “Zenit launches partnership with online manager Top Eleven”. FC Zenit.  외부 링크[편집] (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어/영어) ZenitShop — Official merchandise vdeh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아흐마트 그로즈니 암카르 페름 안지 마하치칼라 아르세날 툴라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크라스노다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스토프 루빈 카잔 SKA-하바로프스크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토스노 우파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vdeh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현재 명단 1 로디긴 2 아뉴코프 3 테렌티에프 4 크리시토 (주장) 5 파레데스 7 폴로스 8 크라네비테르 9 코코린 10 마르키시오 11 드뤼시 14 쿠즈야예프 16 노보아 17 샤토프 18 지르코프 19 스몰니코프 21 에로킨 22 주바 23 메블랴 25 노보셀체프 30 마마나 33 파뉴코프 41 케르자코프 60 이바노비치 88 보가예프 99 루니요프 감독: 세마크 vdeh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1970년대 1971-72: 토트넘 홋스퍼 1972-73: 리버풀 1973-74: 페예노르트 1974-7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76: 리버풀 1976-77: 유벤투스 1977-78: PSV 에인트호번 1978-79: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9-8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0년대 1980-81: 입스위치 타운 1981-82: IFK 예테보리 1982-83: 안데를레흐트 1983-84: 토트넘 홋스퍼 1984-85: 레알 마드리드 1985-86: 레알 마드리드 1986-87: IFK 예테보리 1987-88: 바이어 04 레버쿠젠 1988-89: 나폴리 1989-90: 유벤투스 1990년대 1990-91: 인테르나치오날레 1991-92: 아약스 1992-93: 유벤투스 1993-94: 인테르나치오날레 1994-95: 파르마 1995-96: 바이에른 뮌헨 1996-97: 샬케 04 1997-98: 인테르나치오날레 1998-99: 파르마 1999-2000: 갈라타사라이 2000년대 2000-01: 리버풀 2001-02: 페예노르트 2002-03: 포르투 2003-04: 발렌시아 2004-05: CSKA 모스크바 2005-06: 세비야 2006-07: 세비야 2007-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09: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9-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0년대 2010-11: 포르투 2011-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2-13: 첼시 2013-14: 세비야 2014-15: 세비야 2015-16: 세비야 2016-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7-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8-19: 첼시 vdehUEFA 슈퍼컵 우승팀챔피언스리그 대 컵위너스컵1970년대 1972: 아약스 1973: 아약스 1975: 디나모 키예프 1976: 안데를레흐트 1977: 리버풀 1978: 안데를레흐트 1979: 노팅엄 포리스트 1980년대 1980: 발렌시아 1982: 애스턴 빌라 1983: 애버딘 1984: 유벤투스 1986: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987: 포르투 1988: 메헬렌 1989: 밀란 1990년대 1990: 밀란 199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2: 바르셀로나 1993: 파르마 1994: 밀란 1995: 아약스 1996: 유벤투스 1997: 바르셀로나 1998: 첼시 1999: 라치오 ‎챔피언스리그 대 유로파리그2000년대 2000: 갈라타사라이 2001: 리버풀 2002: 레알 마드리드 2003: 밀란 2004: 발렌시아 2005: 리버풀 2006: 세비야 2007: 밀란 20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 바르셀로나 2010년대 20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 바르셀로나 20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 바이에른 뮌헨 2014: 레알 마드리드 2015: 바르셀로나 2016: 레알 마드리드 2017: 레알 마드리드 20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9: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C_제니트_상트페테르부르크&oldid=24266641" 분류: 러시아의 축구단상트페테르부르크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1925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LivvinkarjalaИрон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2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25년에 창단되었다. 제니트는 러시아어로 "천정, 정점, 절정"을 뜻한다. 구단의 실 소유주는 세계 5대 천연가스 생산그룹인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다.제니트는 2007 시즌에 23년만에 리그 우승을 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초로 UEFA컵 2007-08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8년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1로 꺾고 UEFA 슈퍼컵을 들어올렸다. 현재 감독은 로베르토 만치니의 뒤를 이어, 러시아의 세르게이 세마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코칭 스태프는 누구누구인가? Assistant: 지위 이름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코치 알렉산드르 니제닉 코치 이고르 시무텐코프 코치 아나톨리 티모슈크 골키퍼 코치 토미슬라프 로직 골키퍼 코치 미하일 비류코프 주치의 세르게이 푸코프 2군 감독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Human: 아래 군중_십자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군중 십자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중 십자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군중 십자군십자군 전쟁의 일부은자 피에르날짜1096년장소독일과 헝가리 그리고 아나톨리아 반도교전국 기독교 왕국 비잔티움 제국 룸 술탄국지휘관 은자 피에르고티에 생자부아기사 라이날드 알렉시오스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병력 4만 명 → 2만 명 - 9만 명피해 규모 거의 전멸 - 미미 vdeh십자군 성지 십자군 (1095년-1291년) 군중 제1차 1101년 노르웨이 베네치아 제2차 제3차 1197년 제4차 아동 제5차 제6차 남작 제7차 목자 (1251년) 제8차 제9차 1291년 이후 빈민 (1309년) 목자 (1320년) 스미르나 (1343년–1351년) 알렉산드리아 (1365년) 사보이아 (1366년) 바르바리 (1390년) 니코폴리스 (1396년) 바르나 (1443년) 포르투갈 (1481년) 북방 십자군 (1147년-1410년) 벤트 (1147년) 스웨덴 1150년 1249년 1293년 리보니아 (1198년–1290년) 프로이센 (1217년–1274년) 리투아니아 (1283년–1410년) 이단 토벌 십자군 보스니아 (1235년–1241년) 알비파 (1209년–1229년) 아라곤 (1284년-1285년) 디스펜서 (1382년-1383년) 후스파 (1419년–1434년)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군중 십자군 군중 십자군은 정식 십자군에 앞서 떠난 기독교의 십자군을 일컫는다. 영어 표기로는 People's Crusade, 또는 Peasants' Crusade, Paupers' Crusade가 존재하며, 제1차 십자군의 일부로서 1096년에 일어난 서유럽 서민들의 대규모 성지순례 운동이다. 초기 십자군은 제후나 기사(騎士)들에 의한 군사행동이자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 사회의 종교적인 열광으로 생겨난 순례운동이었으며, 무기를 갖지 않은 군중들도 다수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었고 제후를 따르지 않은 채 제멋대로 출발하는 일도 잦았다. 십자군 말기에 소년 십자군과 목자 십자군 등 다양한 군중 십자군이 등장하긴 했지만 그때는 이미 사회의 순례 열기도 식었고 제후들까지 끌어들인 광범위한 운동으로 보기에도 어려웠다. 본항에서 서술하는 군중 십자군은 1096년 4월부터 10월에 일어난 군중 십자군에 대한 것이다. 목차 1 배경 2 유대인 학살 3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 4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 5 지휘 체계 혼란 6 전쟁 결과 7 평가 8 관련항목 배경[편집] 로마 교황 우르바누스 2세는 1095년 11월에 클레르몽 교회회의에서 성지 예루살렘에 군을 파견할 것을 호소했고, 「성지 탈환」의 열정이 순식간에 서유럽을 뒤덮었다. 교황은 당초 프랑스 남부 제후들의 군을 성모 승천 축제일인 이듬해 1096년 8월 15일에 출발시킬 예정이었지만, 그보다 몇 달 전에 예정에 없던 민중이나 하급 기사들의 자발적인 병력이 예루살렘으로 출발했다. 11세기는 중세 온난기로 인구와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고 인간은 이주와 개간, 하극상 등 그 힘을 발산시키며 언제든 폭발할 계기만을 노리고 있었다. 그런 한편으로 서민들은 수년 전부터 가뭄과 기근, 전염병에 시달리면서 그러한 가운데 도피와 구원을 찾아 순례에 참가하는 자들도 있었다. 또한 1095년 초에는 유성우, 오로라, 월식, 혜성 출몰과 같은 천체현상이 일어났고, 이러한 현상들도 서민들에게는 「하늘로부터의 축복」으로 여겨져 자극제가 되었다. 나아가 호밀 등의 맥각균이 일으킨 맥각 중독도 만연했는데, 맥각 중독이 유행하고 난 뒤 속죄나 전지 요양을 위한 순례가 유행하곤 했다. 새로운 천년기(千年紀)가 시작된 11세기 초에는 성경에서 말한 「천년왕국」에 대한 대망마저 다시 부활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들이 우르바누스 2세가 기대했던 수천 명 규모의 기사에 의한 원정을 넘어 4만에 달하는 대규모 이주단으로 확대된 것이다. 그 대부분은 전투 경험이 없는 미숙한 전사, 여자아이들이었다. 이를 정신적으로 주도한 것은 카리스마 높은 열렬한 설교자였던 아미앵의 은자 피에르였는데, 그는 허름한 옷에 당나귀를 타고 북프랑스에서 플랑드르까지 넓은 지역을 돌며 십자군 참여를 설파하고 나섰다. 피에르는 예수가 자신의 눈앞에 나타나 설교하도록 명했다고 주장했고, 그의 추종자들 가운데 십자군을 처음으로 발안한 것은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아닌 은자 피에르라고 주장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군중 십자군에 대한 이미지는 무지하고 무능한 농민 집단으로 자신들이 어디를 지나고 있는지도 몰랐고 도중에 거리만 만나면 모두 예루살렘으로 착각할 정도였다는 부정적인 것도 있지만, 군중 십자군의 참가자를 「서민」으로 부른 것은 성직자나 제후들의 입장에서 서민이라는 뜻이다, 그 중에는 중소 토지 소유자 등 부유한 사람이나 하급 성직자도 참가하고 있었으며, 군사 경험이 없었던 기사들도 참가했다. 십자군에 관한 연대기를 남긴 샤르트르의 후세, 「무산공」 혹은 「무일푼의 발터」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주군도 가신도 없는 하급 기사 고티에 생자부아도 참가자였다. 또한 당시는 예루살렘 순례가 왕성하게 이루어졌던 시기로(피에르 자신도 십자군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한 경험이 있다는 설이 있다) 예루살렘의 거리와 위치를 군중 십자군 중 어느 누구도 몰랐다는 것은 과장이다. 유대인 학살[편집] 십자군 운동이 고조되면서 반유대주의도 폭발했다. 프랑스나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유대인이 무슬림과 같은 적으로 인식되었다.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책임이 유대인에게 있다는 인식에서 거리상 멀리 떨어진 무슬림과는 달리 가까운 곳에 있는 「이교도」였던 유대인에 대해, 십자군 운동 와중에 「멀리까지 싸우러 나갈 것 없이 바로 가까이에 이교도가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예루살렘 원정에 나선 자들의 자금 사정도 있었는데, 라인란트의 유대인 공동체는 당시 기독교인들이 기피하던 고리대에 대한 종교적인 제한이 없어 비교적 풍족한 생활을 누렸고, 십자군에 참가한 대부분은 무기와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돈을 빌려야 했지만 당시의 서구 기독교는 사채를 금지하고 있었으므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에게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들이 십자군의 「연장」으로서 유대인을 죽이는 것에 대한 정당화로 이어졌던 것이다. 유대인 박해의 중심에는 고트 샤르크(Gottschalk)나 폴크마(Volkmar)라는 선교사, 라이닌겐 백작 에미히(Graf Emicho von Leiningen) 등이 있었다. 1096년 봄부터 여름까지 작센, 마그데부르크, 보헤미아, 라인란트(특히 마인츠와 쾰른) 등 각지에서 이들 인물이 이끄는 집단이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해 살육을 자행했다.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편집] 프랑스인 군단을 이끌던 은자 피에르는 1096년 4월 12일에 쾰른에 집결했고, 이곳에서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설교를 통해 십자군 참가자를 더 모으고자 했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피에르의 설교나 독일인이 모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고티에 생자부아의 지휘 아래 수천 명이 출발하여 5월 8일에 헝가리 영내에 도달했다. 그들은 별 저항 없이 칼만 1세가 다스리던 헝가리를 지나 사바 강과 도나우 강의 교차점에 있던 헝가리와 동로마 제국의 국경 도시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베오그라드를 지키던 동로마 제국의 사령관은 대규모 군세가 도착한 것에 놀라 별다른 대처 명령 없이 그들의 시내 출입을 거부했다. 군중 십자군은 식량 보급을 끊고 근처 농촌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베오그라드 중장보병과의 육박전이 벌어졌다. 설상가상 고티에의 부하 16명이 사바 강 넘어 헝가리령인 세문(제문) 시장을 약탈하여 훔친 갑옷이며 옷을 성벽 밖에 걸었다. 최종적으로 군중 십자군에 대한 니시로의 통과가 허가되었고, 식량도 보급되면서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플로부터의 영내 통과를 허가한다는 통지도 내려졌다. 7월 말까지 동로마 병사의 선도를 받으며 군중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에 당도했다.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편집] 베오그라드의 지도(1888년). 위쪽으로 도나우 강이 흐르고 세문(제문) 마을은 왼쪽, 벨그라드(베오그라드)는 오른쪽에 있다. 은자 피에르와 남은 4만 명 규모의 십자군 일행은 4월 20일에 쾰른을 떠났다. 그 뒤 앞에서 서술한 고트 샤르크가 이끄는 군세와 폴크마의 군세,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의 군세도 뒤따랐다. 피에르의 군세는 도나우 강에 도착했고 일부는 배로 도나우 강을 따라 내려가고, 본대는 육로를 따라 에덴부르크(Ödenburg, 지금의 쇼프론)에서 헝가리로 들어갔다. 한편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에미히 등의 군세는 각지의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하면서 피에르의 군세를 뒤쫓듯 독일에서 헝가리로 향하고 있었다. 피에르의 본대는 큰 사건도 일으키지 않은 채 동로마와의 국경 세문에서, 배에서 내린 부대와 합류했다. 세문 성벽에서 고티에의 부하들이 입던 옷과 갑주가 걸려 있는 것을 본 일행들은 의구심을 품었고, 나아가 시장에서 신발 값을 놓고 다투던 끝에 폭동이 일어나면서, 피에르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전면적인 무력 충돌이 벌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헝가리인 4천 인이 살해되고 세문은 군중 십자군에 정복당했다. 십자군은 사바 강을 건너 베오그라드 쪽으로 갔으나 동로마 병사와의 충돌이 일어났고, 주민이 달아난 베오그라드를 점령해 약탈과 방화를 저질렀다. 군중 십자군은 베오그라드에서 7일 동안 행군하여 7월 3일 니시에 도착했다. 니시 마을의 사령관으로부터 「지금 바로 떠난다면 식량은 물론 콘스탄티노플로의 길 안내도 돕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피에르는 이튿날 아침 니시를 떠나려 했지만, 군중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던 독일인 가운데 일부가 지나가던 주민과 말다툼을 벌이다 그만 방앗간에 불을 질렀고, 니시의 병사들은 모두 십자군과의 교전에 들어갔다. 피에르의 제지도 소용이 없었다. 군중 십자군은 니시 병사들에게 완전히 압도되었고 일행의 1/4인 1만 명이 죽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그보다 먼저 베라프랑카에서 다시 모여 7월 12일에 소피아에 도착했다. 여기서부터 동로마 제국이 파견한 안내자가 일행을 데리고 8월 1일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이때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 등의 군세는 헝가리 영내에서 헝가리 기병에게 괴멸되어 콘스탄티노플에 들어간 것은 고티에의 선발대와 피에르의 본대 뿐이었다. 지휘 체계 혼란[편집]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보통의 군대가 아닌 「군대」의 예상 밖의 도착에 난감해했다. 이들의 약탈 행위를 잘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대규모 군대의 식량에 대한 부담에 치안상의 불안도 늘어나자 황제는 3만 명 남짓의 군중 십자군을 보스포루스 해협의 대안으로 건네주기로 결정했고 8월 6일에 일행은 배로 이슬람 영토인 소아시아에 도착했다. 이때 황제가 군중 십자군이 투르크에게 몰살당한 것을 알면서 길 안내도 없이 그냥 십자군을 소아시아로 보낸 것인지, 황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이 굳이 행진을 계속할 것을 주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있다(다만 은자 피에르에게 군중 십자군보다 훨씬 정예병인 투르크군와의 교전은 되도록 피할 것과 서유럽에서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경고한 기록은 남아 있다). 피에르는 고티에가 지휘하는 프랑스인 군단과 비슷한 시기에 도착한 이탈리아인 십자군 부대와 합류했다. 소아시아에서 일행은 농촌 마을을 습격하면서 마르마라 해 동쪽의 라 코메디아라는 마을에 도착했는데, 여기에서 일행 중 독일인과 이탈리아인, 프랑스인이 편을 갈라 말다툼을 벌였다. 피에르는 이미 주도권을 잃었고, 독일인과 이탈리아인은 프랑스인들과 결별하여 레이날도(Rainald)라는 이탈리아인을 새로운 지도자로 추대했고, 프랑스인들의 지휘는 고프리 브루엘(Geoffrey Burel)라는 인물이 맡게 되었다. 피에르가 동로마 황제로부터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를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은 제후들을 기다리지 않고 흩어져 대담하게 소아시아를 공격해 나아갔다, 드디어 프랑스인들은 룸 셀주크 왕조의 수도 니케아 부근에 이르러 근교의 그리스인과 터키인 마을을 약탈했다. 한편 독일인 등 6천명은 니케아의 동쪽으로 하여 4일에 제리골돈(Xerigordon)으로 진격, 9월 18일 이 마을을 함락시키고 약탈 거점으로 삼았다. 룸 셀주크 왕조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공성전을 위해 군대를 파병했고 9월 21일부터 포위 공격전에 들어갔다. 제리골돈에 물 공급이 끊어지자 십자군 병사들은 갈증을 견디다 못해 당나귀의 피와 자신의 오줌을 마실 정도였고, 9월 29일 제리골돈은 어렵지 않게 탈환되었다. 포로가 된 병사들 가운데 이슬람으로 개종한 자들은 페르시아 동부 호라산으로 보내졌고, 개종을 거부한 자들은 살해되었다. 전쟁 결과[편집] 니케아 근교에 진을 친 프랑스인들의 숙영지에는 투르크인 첩자 두 사람이 잠입해, 제리골돈을 함락시킨 독일인들이 니케아까지 함락시켰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순식간에 군내는 흥분상태에 들어갔고 어서 빨리 니케아로 가서 약탈에 가담하자며 어쩔 줄 몰라하는 사람까지 나타났다(물론 니케아로 가는 가도에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복병이 숨은 상태였다). 곧 제리골돈이 실은 투르크인에게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일행에게 전달되었고 흥분은 공포로 변했다. 은자 피에르는 콘스탄티노플의 보급을 받고자 돌아간 상태였고, 군중 십자군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피에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지만, 대다수 군세의 지지를 받던 조프로와는 기다리는 것은 겁쟁이이며 이대로 니케아로 가서 터키인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조프로와의 주장이 지지를 얻으면서 10월 21일 아침, 2만 명의 군중 십자군은 여자와 아이, 노인, 병자를 숙영지에 남겨둔 채 니케아로 행군했다. 그러나 가도를 따라 숙영지에서 3마일 떨어진 드라콘 마을 근처에 이르자 그곳은 나무가 우거진 좁은 골짜기로 이어졌고, 떠들썩하게 진군해온 십자군은 계곡에서 셀주크 왕조의 복병들에게 화살 공격을 당했다. 숙영지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그곳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도망친 상태였다. 군중 십자군은 이 전투로 거의 궤멸되었으며, 여자와 아이 등 항복한 사람들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대신 노예가 되었다. 수천 명에 달하는 병사가 전사하였고 무일푼의 발터 고티에도 죽었다. 조프로와와 뷰렐을 포함한 3천 명 정도는 버려진 옛 성터로 들어가 숨었다가, 동로마 제국이 보스포루스 해협 동쪽으로 보낸 군세와 합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귀환, 나중에 제1차 십자군과 합류하였다. 평가[편집] 군중 십자군에 대한 평가는 11세기 말과 12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다.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가난한 집단이었던 그들이 군사적으로 오히려 짐이 되었던 점이 무질서한 오합지졸로 가는 곳마다 약탈을 저질렀음을 강조하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는 반면, 민중사관 등의 입장에서 당시 중세 유럽의 가난한 생활에서 벗어난 민중들의 움직임으로 보는 것도 있다. 이렇다 할 군사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무너졌지만, 십자군의 성지 순례라는 측면에서 생각하면 오히려 이들 「민중」이야말로 십자군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은자 피에르에 대한 오늘날의 시각도 수상한 선동자, 민중 지도자라는 여러 평가로 나뉜다. 관련항목[편집] 십자군 클레르몽 교회회의 제1차 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소년 십자군 vdeh십자군 관련 주요 인물클레르몽 교회회의십자군 교황 우르바노 2세 은자 피에르 마틸데 백작부인 군중 십자군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기사 르노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제1차 십자군십자군 고드프루아 드 부용 레몽 드 생질 보에몽 드 타란토 아데마르 주교 다임베르트 주교 은자 피에르 탕크레드 보두앵 드 볼로뉴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카르부가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야기 시얀 제2차 십자군십자군 루이 7세 콘라트 3세 아모리 1세 비잔티움 제국 마누일 1세 이슬람 이마드 앗딘 장기 누르 앗딘 마흐무드 제3차 십자군십자군 리처드 1세 필리프 2세 프리드리히 1세 코라도 1세 기 드 뤼지냥 르노 드 사티용 이슬람 살라흐 앗딘 이븐 우슈브 아이유브 제4차 십자군십자군 보두앵 1세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 보니파치오 엔리코 단돌로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5세 이사키오스 2세 알렉시오스 3세 임시 황제 콘스탄티노스 헝가리 이메리 1세 불가리아 칼로얀 알비 십자군십자군 교황 인노첸시오 3세 피에르 드 카스티니오 페테르 2세 루이 8세 블랑카 데 카스티야 툴루즈 레몽 6세 레몽 7세 제5차 십자군십자군 장 드 브리엔 안드라스 2세 제6차 십자군십자군 프리드리히 2세 이슬람 알카밀 제7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이슬람 살라딘 2세 바이바르스 제8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앙리 2세 이슬람 칼라운 십자군 국가 에데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 키프로스 왕국 라틴 제국 테살로니카 왕국 모레아 공국 아테네 공국 낙소스 공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군중_십자군&oldid=19007226" 분류: 십자군기독교의 역사1096년1096년 분쟁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7월 1일 (토) 04: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군중 십자군은 정식 십자군에 앞서 떠난 기독교의 십자군을 일컫는다. 영어 표기로는 People's Crusade, 또는 Peasants' Crusade, Paupers' Crusade가 존재하며, 제1차 십자군의 일부로서 1096년에 일어난 서유럽 서민들의 대규모 성지순례 운동이다. 초기 십자군은 영주와 기사(騎士)들에 의한 군사행동이자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 사회의 종교적인 열광으로 생겨난 순례운동이었으며, 무기를 갖지 않은 군중들도 절대다수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었고 제후를 따르지 않은 채 제멋대로 출발하는 일도 잦았다. 십자군 말기에 소년 십자군과 목자 십자군 등 다양한 군중 십자군이 등장하긴 했지만 그 때는 이미 사회의 순례 열기도 식었고 제후들까지 끌어들인 광범위한 운동으로 보기에도 어려웠다. 본항에서 서술하는 군중 십자군은 1096년 4월부터 10월에 일어난 군중 십자군에 대한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군중 십자군이 패배하기까지의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Assistant: 니케아 근교에 진을 친 프랑스인들의 숙영지에는 투르크인 첩자 두 사람이 잠입해, 제리골돈을 함락시킨 독일인들이 니케아까지 함락시켰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순식간에 군내는 흥분상태에 들어갔고 어서 빨리 니케아로 가서 약탈에 가담하자며 어쩔 줄 몰라하는 사람까지 나타났다(물론 니케아로 가는 가도에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복병이 숨은 상태였다). 곧 제리골돈이 실은 투르크인에게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일행에게 전달되었고 흥분은 공포로 변했다. 은자 피에르는 콘스탄티노플의 보급을 받고자 돌아간 상태였고, 군중 십자군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피에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지만, 대다수 군세의 지지를 받던 조프로와는 기다리는 것은 겁쟁이이며 이대로 니케아로 가서 터키인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조프로와의 주장이 지지를 얻으면서 10월 21일 아침, 2만 명의 군중 십자군은 여자와 아이, 노인, 병자를 숙영지에 남겨둔 채 니케아로 행군했다. 그러나 가도를 따라 숙영지에서 3마일 떨어진 드라콘 마을 근처에 이르자 그곳은 나무가 우거진 좁은 골짜기로 이어졌고, 떠들썩하게 진군해온 십자군은 계곡에서 셀주크 왕조의 복병들에게 화살 공격을 당했다. 숙영지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그곳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도망친 상태였다.
Human: 아래 은하철도_999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하철도 999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하철도 999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다이고의 노래에 대해서는 은하철도 999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은하철도 999일본어: 銀河鉄道999 은하철도 999의 모델인 C62형 기관차 장르 모험, SF 만화: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편) 작가 마츠모토 레이지 출판사 소년화보사 레이블 주간 소년 킹 연재 기간 1977년 1월 24일 ~ 1981년 권수 18권 만화: 은하철도 999 (이터널 편) 작가 마츠모토 레이지 출판사 쇼가쿠칸 레이블 월간 빅 골드 연재 기간 1996년 ~ TV 애니메이션: 은하철도 999 원작 마츠모토 레이지 감독 니시자와 노부타카 제작 도에이 애니메이션, 세영동화 방송사 후지 TV MBC, EBS, 투니버스 방영 기간 1978년 9월 14일 ~ 1981년 3월 26일 1996년 11월 18일 ~ 1997년 4월 2일 화수 113화(요약편 제외) 저작권 표기 ⓒ MATSUMOTO LEIJI · TOEI Animation 틀 - 토론 《은하철도 999》(은하철도 구구구, 일본어: 銀河鉄道999 긴가테쓰도스리나인[*])는 마츠모토 레이지(松本零士)가 창작한 만화 또는 이를 원작으로 하는 레이지버스 애니메이션이다. 만화는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소년화보사의 소년 만화 잡지 《소년 킹》 에 연재되었다.[1] 애니메이션은 후지 TV를 통해 1978년 9월 14일부터 1981년 4월 9일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요약편을 포함하여 모두 113화가 방영되었다. 1979년과 1981년에는 린 타로가 감독한 극장판이 제작, 상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1년 10월 4일에 오전 8시 특선 만화로 1화와 2화가 최초 방영되고 일주일 후인 10월 11일 12화, 13화 화석의 전사 편을 방영하였다. 그후 방송의 반응이 좋아 113화 전편을 수입하여 1982년 1월 3일부터 1983년 1월 16일까지 문화방송에서 일요일 아침 시간대인 오전 8시에 2편씩 60분으로 묶어 정규 방영되었다. 목차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인물 4 가상장소 및 사물 5 특별판 6 대한민국에서의 방송 6.1 애니메이션 6.2 주제가 관련[5] 6.3 라디오 드라마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의 《은하철도의 밤(銀河鐵道の夜)》에 등장하는 은하철도에서 영감을 얻었으나, 열차의 운행 체계의 세부 사항은 일본의 옛 철도를 본땄다. 원작자 스스로 은하철도의 밤과 증기기관차에 타고 동경에 갔던 젊은 시절의 체험이 기본이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주해적 캡틴 하록(宇宙海敵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과 함께 애니메이션화가 될 예정이었으나 실현되지 않다가 마츠모토 레이지 원작의 《우주전함 야마토(宇宙戦艦ヤマト)》가 갑자기 인기가 높아져 두 작품 모두 애니메이션화되었다. 같은 시기에 《우주전함 야마토, 새로운 여행》도 TV로 방영되었다. 만화판은 1977년부터 만화 잡지 《소년킹(少年キング)》'에 연재되어 잡지의 대표적인 작품이 되었다. 1981년에 연재가 종료되어, 당시에는 이것으로 완전히 완결되어 속편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2] 하지만, 1996년부터 소학관(小學館)의 잡지에 속편을 연재하기 시작하여, 해당 잡지를 거쳐 웹상에 불규칙하게 연재하여 999화까지 그리기로 하였다. 신작은 41화까지 그려진 상태이다. 여기에서는 극장판 2편의 설정이 들어가 있어 만화판으로부터의 속편은 아니다. 하지만 단행본으로는 만화판 연재로부터 계속되는 번호가 붙여져 간행되고 있다. 신작에서는 세계관이 확대되고 설정이 적극 변경되어 다른 작품인 《우주해적 캡틴 하록》, 《퀸 에메랄다스》, 《천년여왕》, 《하록 사가 : 니벨룽겐의 반지 ~라인의 황금~》와 이야기가 복잡하게 이어졌고, 메텔과 에메랄다스의 관계도 이전의 라이벌에서 자매로 바뀌었다. 줄거리[편집] 배경은 은하계의 각 행성이 은하철도라 불리는 우주공간을 달리는 열차로 연결된 미래 세계(TV 애니메이션에는 서기 2221년으로 설정[한국에서는 서기 2021년])이다. 우주의 부유한 사람들은 '기계의 몸체'에 정신을 옮겨 기계화 인간이 되어 영원한 생명을 누리고 있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기계의 몸을 얻을 수 없는 데다가, 기계화 인간에게 박해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무료로 기계의 몸을 준다는 안드로메다의 별을 목표로 주인공인 호시노 데츠로(星野鐵郎,한국명 철이)가 신비의 여인 메텔(メーテル)과 은하초특급 999호에 탑승하게 된다. 각 편은 기차가 머무르는 역(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진행되고 마무리되며, 별도로 전체적인 이야기가 진행된다. 때는 서기 2221년. 지구는 항공우주 교통의 발달로 우주열차가 은하계 끝까지 왕래하고 혹성간의 왕복운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던 때였으며 지구 안에서는 최첨단 미래도시인 메갈로폴리스가 형성되어서 우주의 부유한 사람들이 '기계의 몸체' 로 전환하여 영원한 생명을 누림과 동시에 쾌적하고 안락한 도시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아직 기계화로 전환되지 못한 보통 육신(育身)의 가난한 사람들은 도시 외곽의 허름하고 어두운 빈민촌으로 쫓겨나 기계화 인간들의 온갖 천대와 박해를 받으며 힘들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메갈로폴리스에서 출발한다는 '은하철도 999'를 타면 기계화로 전환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기계몸으로 개조해 준다는 안드로메다의 별까지 갈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을 들은 가난한 사람들은 이제 자신들도 기계화 인간이 되면 마음껏 메가로폴리스를 자유롭게 누빌 수 있다는 희망으로 은하철도의 출발지인 메가로폴리스를 주시하게 된다. 메가로폴리스 외곽 들판에서 어머니와 함께 메가로폴리스로 가고 있는 테츠로(철이)는 눈 내리는 하늘에서 은하열차가 메가로폴리스로 향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그러나 바로 이 때 눈발 속에서 인간사냥을 한다는 기계백작 일당이 나타나 철이 일행을 노리고 있었고 기계백작은 도망가는 철이 어머니를 저격한다. 철이는 어머니가 쓰러지자 눈물을 흘리며 기계몸을 개조해 준다는 별로 함께 가야한다고 하였지만 철이 어머니는 철이에게 유품격인 목걸이를 건네주고 세상을 떠나고 만다. 철이는 어머니를 여의게 되자 울부짖게 되고 어머니 시신을 가져가는 기계인간들을 보면서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어머니를 여의고 홀로 남은 철이는 눈발 속에서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다가 신비스러운 금발미녀인 메텔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로부터 동행한다는 조건으로 은하철도 무임승차권을 받게 된다. 철이는 메텔의 집에 있는 음성탐지기를 통해 자신의 어머니를 사살한 기계인간들이 주변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분노의 눈빛으로 기계인간들을 모두 사살하게 되고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들에게 쫓기기도 했으나 메텔에 의해 무사히 구조되게 된다. 그리고 은하철도 999를 타기위해 메갈로폴리스에 오게 되었지만 이미 철이에 대한 수배령이 발령되어서 경찰들이 추적을 하고 있는 중이었다. 철이와 메텔은 경찰들을 따돌리고 메갈로폴리스 기차역으로 가서 은하철도 999에 탑승하게 되고 999호는 기적을 울리며 첫 출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철이는 999호를 통해 메갈로폴리스의 야경을 바라보며 멀고도 기나긴 우주여행을 통해 여러가지 경험을 쌓게 되는데.... 마침내 철이와 메텔은 기나긴 우주여행 끝에 드디어 오랜 갈망을 해 왔던 기계 모성인 프로메슘 행성에 도착하게 되고 마침 그 곳에서 행성 안내양으로 활동한다는 지니와 함께 행성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메텔은 철이를 지니에게 맡겨두고 자신은 아버지인 닥터 반과 프로메슘을 만나러 홀로 나가게 된다. 한편 철이는 지니의 안내를 받으며 행성 중심부를 구경하게 되었는데 온갖 유흥과 향락을 즐겨하는 기계인간들을 보고 묘한 의심을 갖게 되었다가 고층건물에서 투신자살로 뛰어내린 중년 기계인간을 통해서 메텔이 프로메슘의 외동딸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내게 된다. 그리고 메텔은 마침내 어머니 프로메슘을 알현하기 위해 성전으로 나서게 되지만 철이가 성(城) 밖에서 자신을 찾는다는 프로메슘 부하의 보고를 듣고 철이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이미 메텔의 정체를 알게 된 철이는 경계와 의심의 눈빛으로 메텔을 보게 되는데 때마침 지니를 통해서 자신을 비롯한 우주행성의 여러 소년들을 리더로 삼아서 우주세계를 기계화한다는 프로메슘의 의도를 듣게되자 아무리 유한하고 짧은 인생이라 하더라도 육신을 가진 보통 인간으로 살아가겠다며 결국 기계인간이 되는 것을 포기하기로 결정하게 된다. 이 소식을 듣게 된 프로메슘은 철이의 행동을 자신에 대한 도전과 반역행위로 간주하고 바로 부하를 소환하여 철이를 은하철도 999호에 태워서 블랙홀로 낙하시키라는 사실상 처형이나 다름없는 잔인한 명령을 내린다. 이를 엿듣게 된 메텔은 닥터 반의 요청하에 따라 캡슐을 용광로로 투하하려 했지만 이미 눈치챈 프로메슘에 의해 발각되어 투하를 포기하며 프로메슘에 의해 옥살이를 하게 되고 철이 역시 프로메슘 부하들에 의해 999호로 강제탑승되어 블랙홀로 낙하될 위기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철이와 차장은 이대로 죽을 수는 없다는 투지를 갖고 999호를 통해 블랙홀 탈출을 시도하지만 결국 프로메슘의 행성중력으로 인해 시스템이 마비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말았다. 그리고 옥살이를 하던 메텔은 철이가 위험에 처함을 느끼며 부하들의 빈틈을 노려 탈옥을 하게 되고 999호를 잡던 중력을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철이는 메텔의 도움으로 중력이 해제되자 수동으로 999호를 몰아가며 프로메슘 행성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한편 프로메슘은 999호 탈출소식에 철이와 메텔을 잡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고 철이는 프로메슘 행성으로 잠입하다가 자살을 시도하려는 지니를 만나 그녀의 자살을 만류시키고 메텔을 만나게 되어서 지니의 도움과 희생으로 닥터 반의 캡슐을 가지며 용광로로 투하하려 한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프로메슘이 메텔을 인질로 잡으면서 위기를 맞게 되지만 캡슐이 철이에 의해 떨어지게 되면서 프로메슘은 마지막까지 철이와 메텔을 잡으려 했지만 결국 용광로의 용암에 맞아 사라져 버리게 된다. 행성이 붕괴 조짐을 보이자 미처 대피하지 못한 기계인간들을 보면서 철이와 메텔은 위기에 처하면 보통 육신을 가진 자신들이 더 강해보인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서 999호에 오르게 된다. 프로메슘 행성의 중력 때문에 시스템이 마비되었던 999호는 기적을 우렁차게 울리며 프로메슘 행성을 빠져나가는데 성공한다. 그 이후 메텔은 철이에게 이별을 알리는 편지를 내주고 자신은 777호에 다른 소년과 함께 승차하며 철이와의 이별을 고하게 되고 철이 역시 메텔과의 이별을 고하며 소년시절을 마감하게 된다. 《은하철도 999》가 17년의 세월이 지나 또 다시 발진한다. 용감한 소년 데쓰로, 메텔, 999호에 타는 상냥한 차장, 그리고 우주해적 캡틴 하록이나 해적여왕 에메랄다스 등 마쓰모토 레이지의 친숙한 캐릭터가 새로운 구상과 성대한 스케일로 다시 살아난다. 이야기는 지난번 여행의 1년 후로부터 시작된다. 지구는 신정부 아래 표면상의 평화를 유지한다. 지하 10 km의 지하세계는 얼어붙고, 피지배자들은 미래가 없는 비참한 삶을 살고 있다. 이전에 여왕을 쓰러뜨리고 영웅으로서 맞이할 수 있었던 데쓰로도 새로운 지배자로 부상하여 신정부를 조종하는 어둠의 생명체들과 그리고 그들이 조종하는 살아남은 기계인간들의 보복에 반역자 취급을 받고 사형을 기다리며 지하감옥에 수감되어 있다. 그런 데쓰로의 귀에 다시 그리운 기적이 울린다. 우여곡절 끝에 지하감옥을 탈주한 데쓰로는 메텔을 다시 만나고 999호에 오른다. 등장인물[편집] 성우진의 괄호는 MBC(1996년)/EBS방영 당시이며,성우는 왼쪽부터 일본/1980년 방영판/1996년 재더빙판 순이다. 호시노 데츠로(철이) 본작의 남주인공이자 지구의 메갈로폴리스 근처 빈민촌에서 살고 있는 소년. 어머니와 함께 은하철도가 메갈로폴리스에 들어오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가 인간사냥을 한다는 기계백작으로부터 어머니를 여의고 고아가 되어 방랑하다가 수수께끼의 여인인 메텔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로부터 은하철도 무임승차권을 받아 기계인간으로 개조해준다는 행성으로 가기 위해 은하철도 999호에 승차하며 우주여행을 떠나게 된다. 성격상 모험심이 강하기도 하지만 어머니를 여읜 후로는 마더 콤플랙스 증상이 심해, 엄마를 연상시키는 여자에 대해 아주 민감하다. 마지막에 기계모성인 프로메슘 행성에 왔을 때는 프로메슘의 야욕과 행성인들의 행동을 보고나서 기계인간이 되기를 포기하고 메텔과 이별을 하며 소년시절을 마감한다. 성우: 노자와 마사코/우문희(초기더빙판)/최수민(1989년7월10일재더빙판)(백록 비디오)/(이미자) 메텔(Metel / メーテル) 본작의 여주인공이자 땅딸막한 철이에 비해 늘씬하고 신비스러운 여성. 긴 금발에 오렌지빛 눈동자를 가졌으며 두꺼워 보이는 블랙코트를 입고 있다. 기계의 몸을 갖고자 하는 철이에게 999호 승차권을 주어 함께 기계화 모성으로 떠나게 되었으며 기계화 모성을 지배하는 프로메슘의 딸이다. 영원히 시간의 흐름 속을 여행하는 여자이다. 그녀가 블랙코트를 입고있는 것은 프로메슘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冥福)을 빈다는 뜻에서 입은 상복(喪服)이며 작품 마지막에 메텔의 대사를 통해서 공개되었다. 성우: 이케다 마사코/정희선(초기더빙판)/故정경애(1989년7월10일재더빙판)(백록 비디오)/(송도영)(1996년2번째재더빙판) 차장 늘 온몸을 제복으로 가리고 다니는 은하철도 999호의 차장. 시리즈의 내용 중 일부분에서 그의 몸이 투명 인간인 듯한 설정이 나오고, '안드로메다의 아라비안나이트'편에서 회오리 바람처럼 나오기도 하여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기도 하였다. 소심한 성격의 소유자인 듯하나, 첫 사랑과의 슬픈 재회편을 통해 의외로 넓은 아량과 진실된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이 드러나기도 했다. 성우: 기모쓰키 가네타/(김기현)/장광(백록 비디오) 크레아(Kreah / クレア) 유리 몸을 지닌 999호의 승무원. 아름다운 몸을 원해 유리로 된 몸을 가졌으나 그러한 자신에 대해 후회하고 있다. 마지막에는 산산이 부셔져 버린다. 성우: 이치류사이 하루미/(기경옥)/문지현(백록 비디오) 안탈리우스(Antalius / アンタリウス) 우주 곳곳을 돌아다니며 도적질을 하고 있는 인물. 은하철도 999호가 장기 정차를 하는 틈을 타서 열차 밑에 몰래 탑승하여 승객들을 인질로 삼으며 돈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본심상으로는 따스한 마음씨를 지닌 아이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성우: (안지환) 퀸 에메랄다스 우주해적선 여선장. 긴 금발에 얼굴에 흉터가 있으며 한때 메텔과 진검승부를 벌였던 사이이기도 하다. 처음에 등장한 에메랄다스는 기계인간으로 진짜 에메랄다스는 와병신세를 지고있다. 성우: 타지마 레이코/(정희선) 프로메슘(Promeshum / プロメシム) 기계화 모성의 여왕이자 메텔의 어머니. 전 우주세계를 기계제국으로 만들려는 야욕을 갖고 있으며 철이와 메텔을 잡으려다가 닥터 반이 봉인된 '에너지 캡슐' 에 의해 분출된 용광로 용암에 맞아 사라져버린다. 메텔의 대사에 의하면 옛날엔 사랑이 많았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원래는 성격이 온화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우: 기노야마 료코/박경혜/(정희선) 닥터 반(Dr. Van / ダルタ バン) 메텔의 아버지로 지금은 '에너지 캡슐' 팬던트에 혼령만 봉인되어 있다. 메텔에게 기계모성을 파괴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성우: 긴자 반조/(김기현)/탁원제(백록 비디오) 호시노 카나에(철이 엄마) 철이의 어머니로 상냥하고 다정한 성격을 지녔으며 눈밭에서 기계백작에게 사살 표적이 되자 철이와 함께 피하던 중 사살되어 그 자리에서 죽었다. 시신은 기계백작 일당들이 가져가서 박제화 시켰다. 성우:쓰보이 아키코/김나연/(정희선) 기계백작 인간사냥꾼의 두목이며 기계인간이 되지못한 보통사람들을 대상으로 사냥을 즐기는 기계인간. 눈밭에서 철이와 철이 엄마를 쫓던 중 철이 엄마를 사살하였다가 나중에 가서 철이에 의해 부하들과 함께 저택에서 사살되었다. 죽은 사람의 시신을 이용해 박제를 만든다는 일설이 있다. 성우 : 시바타 히데카츠/(안지환)/강구한(백록 비디오) 미래(Mirai / ミライ) (한국명  지니/ Genie / ジニ) 기계화 모성에서 행성 가이드를 맡고 있는 유리의 나신으로 등장한 여성. 기계화 모성에 도착한 철이의 안내를 맡았으며 마지막에 프로메슘이 손에 쥐고 있던 닥터 반의 에너지 캡슐을 빼앗은 후 철이에게 넘겨주고 숨을 거둔다. (한국판 더빙에서는 지니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999호 메인 컴퓨터 999호의 각종 장치를 제어,판단하고 열차를 무인 운전하는 컴퓨터. 성우:도타니 고지(8화,50화~113화)키튼 야마다(14화~45화)/(김정애)외 한 명 해설 이야기의 끝에서 작가가 남기고 싶은 말이 나오는 부분으로, 이야기에 여운을 남긴다. 성우:다카기 히토시/(김용식)/탁원제(백록 비디오 가상장소 및 사물[편집] 은하철도 999호 지구의 메갈로폴리스를 출발하여 기계혹성인 프로메슘 행성까지 운행하는 증기기관차형의 우주열차. 겉은 19세기 ~ 20세기동안 운행했던 증기기관차 모습을 하고 있지만 내부는 인공지능의 컴퓨터로 장착되어 있다. 운행은 기관사없이 컴퓨터의 조종에 의해 이루어지며 출발을 할 때는 항상 기적을 우렁차게 울리며 김을 품기도 한다. 역에 정차할 때에는 보통 기관차처럼 레일을 통해 달리게 되지만 우주로 날아갈 때는 비행기와 같이 레일없이 하늘을 날으는 모습을 보이며 겉면과 측면에 '999' 라는 숫자가 새겨져 있다. 마지막 프로메슘 때는 컴퓨터의 고장으로 철이가 수동으로 운행했던 적이 있다. 철이와 메텔을 태우며 이들의 우주여행을 도와주는 동반자이기도 하다. 메갈로폴리스 서기 2221년 지구에서 발달하게 된 최첨단 미래도시로 주로 기계화가 된 기계인간들이 주(主) 시민이며 이 곳의 정식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부자(富者)이거나 기계화로 개조되었거나 개조할 수 있는 사람들만 시민 인정을 받는다. 그렇지 못한 가난하고 기계화로 개조할 수 없는 보통 육신의 사람들은 도시 외곽의 빈민촌에서 지내게 되며 메갈로폴리스 도시로의 출입은 할 수 없다. 빈민촌 메갈로폴리스 외곽 구석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이 곳에는 기계화 되지 못한 가난한 보통 육신의 사람들이 지내는 곳으로 호화로운 메갈로폴리스 도시와는 달리 허름하고 초라한 분위기를 띄고 있다. 철이와 철이 부모님도 이 곳에서 지내고 있다. 기계화 인간 (기계인간) 겉모습은 보통인간을 닮아있지만 부속품을 개조하거나 교체를 하면 2천년 이상을 장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기계화 인간이 되면 메갈로폴리스 시민권을 받게 되고 기계화 되지 못한 보통 육신의 사람들을 박해하고 억압하기도 하며 직접 사냥 및 포획까지도 한다. 하지만 대피능력은 보통 인간에 비해 뒤떨어지는 편이며 마지막 프로메슘 때 기계인간들이 철이와 메텔이 달리는 모습을 보고 구조요청을 하기도 하였다. 프로메슘 행성 (기계 모성) 이 작품의 마지막에 나오게 된 행성이자 은하철도 999호의 종착역 역할을 했던 행성. 행성이름은 작품 마지막에 가서야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철이가 오랫동안 갈망해왔던 곳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행성의 여왕이자 메텔의 어머니인 프로메슘의 독재와 야욕이 가득했던 곳이기도 하다. 사실 처음에 나왔던 기계화 인간 무료 개조 역시 프로메슘이 우주 정복을 위한 야욕과 계략으로 꾸며진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철이와 같은 용감한 소년이 리더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했었다. 이 행성에는 프로메슘에 의해 기계화로 개조된 인간들이 주로 유흥 등을 즐기며 방탕한 삶을 보내고 있지만 막판에 행성이 닥터 반에 의해 자폭하게 되면서 대부분 대피를 하지못해 희생되었고 행성도 블랙홀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특별판[편집] 소년의 여정, 그리고 이별 너는 전사와 같이 살아갈 수 있는가 영원한 나그네 에메랄다스 너는 어머니처럼 사랑할 수 있는가 유리의 크레아 대한민국에서의 방송[편집] 애니메이션[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82년 1월 2일부터 1983년 1월 16일까지 일요일 오전 8시에 정규방영되었고, 1996년 11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이후 2008년 7월 14일부터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영[3] 되어 12월 18일 종영하였다. 하지만 종영이후에도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 15분에서 12시 15분까지 3편씩 방영했다. 2009년 10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1시 45분으로 옮겨서 1편을 방영하고 있다. 참고로 EBS 방영분은 1996년에 MBC에서 재더빙한 것이다. 더빙된 한국 방영본의 주제가는 가수 김국환과 민경옥이 불렀다. 방영 당시에는 ‘단순한 공상과학영화가 아니라 어른들도 즐겨 본다’고 보도되었다. 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라디오 방송, 카세트 테이프로도 판매되었다.[4] 주제가 관련[5][편집] 한국판의 첫 주제가는 '눈물 실은 은하철도'라는 곡으로 《은하철도 999》의 우리말 녹음연출을 담당했던 박순웅 PD가 작사하고 마상원이 작곡했다. 방송 당시에는 그 엄청난 인기로 인하여, 80년대 중반까지도 은하철도 999의 주제가라고 하면 이 노래를 틀어줄만큼 잘 알려진 곡이었다. 그러나 정작 방송사인 MBC에서는 외면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곡의 분위기가 슬픈 관계로 아이들이 보는 만화영화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런 까닭에 1화부터 5화까지만 이 주제가로 방영되고, 6화부터는 일본판 원곡의 곡을 번안하여 주제가로 사용하였다.[6] 그러나 이 곡은 MBC 방영 당시 삽입곡으로 사용했고, 백록 비디오 프로덕션판 《은하철도 999》 비디오 발매 당시 이곡이 주제가로 수록되기도 했다. 1980년대에 현대음반에서 발매한 '은하철도 999' 3부작을 보면 작사/작곡에 김관현이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곡은 같은 현대음반의 'TV 만화영화 총집합'이라는 테이프를 보면 김관현 작사/금수레[7] 작곡으로 표시되어 있다. 당시의 만화영화 주제가들은 일본곡들을 번안한 뒤, 그 흔적을 지우기위해 유명인의 명의를 무단으로 도용한 것이다. 그러고는 이 곡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곡이라고 속이고 있었던 것이다. 김관현의 주제가가 마상원의 주제가를 제치고 히트한 데에는 또 다른 어두운 면이 있다. 당시 김관현이 제작한 은하철도999 주제가가 여러 부분에서 히트를 치자 김관현은 그 상업성을 알아차리고 현대음반을 통해 '은하철도 999' 드라마 음반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마상원의 '눈물실은 은하철도'는 녹음과정에서 빼 버리고 자신의 명의로 표절작을 주제곡으로 넣어서 발매하게 된다. 이 앨범은 22만장이나 판매될 정도로 히트를 쳤고, 김관현은 막대한 이윤과 더불어 자신의 이름으로 주제가를 알리게 된다. 라디오 드라마[편집] MBC 라디오에서는 MBC TV에서 방영한 《은하철도 999》를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하여 1982년 9월부터 매일 10분 간 주 5회 방송하기도 했다.[8] 같이 보기[편집] 마쓰모토 레이지 레이지버스 은하철도 999 극장판: (극장판 1기)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 (극장판 2기) 은하철도 999: 이터널 판타지: (극장판 3기) 메텔 레전드: 교향시 숙명: (OVA) 우주교향시 메텔: (OVA) 각주[편집] ↑ “보관 된 사본”. 2004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마츠모토 레이지의 인터뷰, 《아니메쥬(アニメージュ)》, 덕문서점, 1981년 8월호 ↑ 추억의 만화영화 ‘은하철도 999’ 다시 본다, 《문화일보》, 2008.7.12. ↑ 올TV外畵 미니시리즈物 크게 人氣, 《동아일보》, 1982.12.23 ↑ * 1차 출처:(폭로)세계 최고의 표절 작곡자가 마상원이라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딴지일보,2004년 3월 7일 2차 출처(딴지일보 기사에서 퍼온 뒤 수정한 것)블로그 행복이 넘치는 라윤라영이네,소금이의 행복한 하루 ↑ 현재 잘 알려진 주제가는 김관현 작사, 금수레 작곡으로 표기되었는데 이 노래는 실제로는 하시모토 쥰 작사, 히라오 마사아키 작곡의 일본 원곡을 반이상 표절한 곡으로, 때문에 1996년 재방영 당시에는 작사·작곡자 이름이 삭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국 당시 마상원씨는 무척 화를 냈지만 별다른 방도가 없었으며 현재의 한국판 주제가는 번안곡 주제가로 바뀌게 된다. ↑ 당시 유명한 성악가였다. ↑ MBC라디오 6일부터 秋冬季프로 개편 10개프로 신설 교양강화, 《경향신문》, 1982.8.2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은하철도 999 (일본어) 은하철도 999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은하철도 999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한국어) 은하철도 999 - 봄을 기다리는 라메탈 vdeh은하철도 999 시리즈TV 시리즈은하철도 999 (1978년)극장판은하철도 999 (1979년) -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 (1981년) - 은하철도 999: 이터널 판타지 (1998년)특별판은하철도 999: 소년의 여정, 그리고 이별, 은하철도 999: 너는 전사와 같이 살아갈 수 있는가, 은하철도 999: 영원한 나그네 에메랄다스, 은하철도 999: 너는 어머니처럼 사랑할 수 있는가, 은하철도 999: 유리의 클레어OVA메텔 레전드: 교향시 숙명 (2000년) - 우주교향시 메텔 (2004년)스핀오프은하철도 999 리턴즈 - 에피소드 1 신비소녀 쥬라 (2008년)주제가은하철도 999 (노래) (극장판) - 은하철도 999 (사운드트랙) (TV 시리즈) vdeh쇼가쿠칸 만화상 소년소녀부문 75 포의 일족,11인이 있다!(하기오 모토) 76 힘내라 겐키(코야마 유우) / 캡틴,플레이볼(치바 아키오) 77 은하철도 999,전장만화 시리즈(마쓰모토 레이지) 78 다메오야지(후루야 미츠토시) 79 지구를 향해,바람과 나무의 시(타케미야 케이코) 80 시끌별 녀석들(타카하시 루미코) 81 닥터 슬럼프(도리야마 아키라) 82 미유키,터치(아다치 미츠루) 이후 소년부문,여자부문 부문 별 전(1955년 ~ 1974년) 소년소녀부문(1975년 ~ 1982년) 소년부문(1983년 ~ 2002년)→소년을위한 부문(2003년 ~ ) 소녀부문(1983년 ~ 2002년)→소녀를위한 부문(2003년 ~ ) 청년일반부문(1975년 ~ 2002년)→일반을위한 부문(2003년 ~ ) 아동부문(1981년 ~ 2002년)→아동을위한 부문(2003년 ~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하철도_999&oldid=23975235" 분류: 일본의 만화우주를 배경으로 한 만화철도를 소재로 한 작품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만화일본의 애니메이션1978년 애니메이션1979년 애니메이션1980년 애니메이션1981년 애니메이션후지 TV 계열 애니메이션도에이 애니메이션스페이스 오페라문화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우주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1982년 드라마라디오 드라마마쓰모토 레이지2018년 드라마일본의 SF 드라마우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은하철도 999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agalogVepsän ke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09: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하철도 999》(일본어: 銀河鉄道999, 영어: Galaxy Express 999)는 마쓰모토 레이지(松本零士)가 창작한 만화 또는 이를 원작으로 하는 레이지버스 애니메이션이다. 만화는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소년화보사의 소년 만화 잡지 《소년 킹》에 연재되었다. 애니메이션은 후지 TV를 통해 1978년 9월 14일부터 1981년 4월 9일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요약편을 포함하여 모두 113화가 방영되었다. 1979년과 1981년에는 린 타로가 감독한 극장판이 제작, 상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1년 10월 4일에 오전 8시 특선 만화로 1화와 2화가 최초 방영되고 일주일 후인 10월 11일 12화, 13화 화석의 전사 편을 방영하였다. 그후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아 113화 전편을 수입하여 1982년 1월 3일부터 1983년 1월 16일까지 문화방송에서 일요일 아침 시간대인 오전 8시에 2편씩 60분으로 묶어 정규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은하철도 999에 영감을 준 작품이 뭐지? Assistant: 은하철도의 밤 Human: 아래 트와이스의_수상_및_후보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2018년 1월 10일 골든 디스크 시상식에서 트와이스. 시상식 시상 수상 후보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10 4 골든 디스크상 8 0 서울가요대상 5 4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6 1 멜론 뮤직 어워드 5 1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4 0 지니뮤직 어워드(MGA) 3 0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 2 0 더팩트뮤직어워즈 2 0 케이블TV 방송대상 2 0 네이버 V앱 5 0 Simply K-Pop 2 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4 0 한국 PD대상 시상식 1 0 올해의 브랜드 대상 1 0 대중문화예술상 1 0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 7 0 오리콘 퀸 어워드 1 0 일본 레코드 대상 1 0 필리핀 K-Pop 어워드 3 0 숨피 어워즈 1 0 총계 수상 74 후보 10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 1위 수상 인기가요 26 뮤직뱅크 23 엠카운트다운 18 더 쇼 2 쇼 음악중심 9 쇼 챔피언 12 총계 수상 90 다음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목차 1 시상식 1.1 가요 시상식 1.1.1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1.1.2 골든 디스크 시상식 1.1.3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1.1.4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1.1.5 멜론 뮤직 어워드 1.1.6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1.1.7 지니뮤직 어워드(MGA) 1.1.8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 1.1.9 더팩트뮤직어워즈 1.2 연예 시상식 1.2.1 케이블TV 방송대상 1.2.2 네이버 V앱 1.2.3 ArirangTV Simply K-Pop 1.2.4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1.2.5 한국 PD대상 시상식 1.2.6 올해의 브랜드 대상 1.2.7 대중문화예술상 1.3 해외 시상식 1.3.1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 1.3.2 오리콘 퀸 어워드 1.3.3 일본 레코드 대상 1.3.4 필리핀 K-Pop 어워드 1.3.5 숨피 어워즈 (Annual Soompi Awards) 2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 3 각주 4 외부 링크 시상식[편집] 가요 시상식[편집]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후보[1] 여자 신인상 수상[2]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베스트 퍼포먼스 그룹상 후보 올해의 가수상 후보 올해의 앨범상 후보 2017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Worldwide Fans' Choice TOP 10 상 수상 Favorite Dance Artist Female 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상 수상 골든 디스크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음반 부문 신인상 수상[3][4] 2017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대상 수상[5]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CeCi 아시아 아이콘상 수상 2019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하이원 서울가요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본상 후보[6] 하이원 인기상 후보[6] 한류 특별상 후보[6] 신인상 후보[6] 2017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디지털 음원상 수상 댄스 퍼포먼스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2019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가온 차트 K-POP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신인상 후보[7] 2017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4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10월)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2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 수상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4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7월) 수상 멜론 뮤직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베스트송상 수상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미디어 상 후보 2017년 트와이스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뮤직스타일상 댄스 여자 부문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음원대상 수상 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음원대상 수상 본상 수상 지니뮤직 어워드(MGA)[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베스트 셀링 아티스트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글로벌 베스트 퍼포먼스상 수상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음원상 수상 본상 수상 더팩트뮤직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아티스트 수상 월드 와이드 아이콘 수상 연예 시상식[편집] 케이블TV 방송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케이블 TV 음악 PD가 선정한 최고 가수상 수상 2017년 트와이스 올해 가수상 수상 네이버 V앱[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상큼상 수상 2017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2018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2019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Best Channel 수상 ArirangTV Simply K-Pop[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The Best Performance Rising Star Girl Group상 (신인상) 수상 2016년 트와이스 Best Performance Girl Group 수상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베스트 아티스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베스트 아티스트상 수상 페뷸러스 상 수상 올해의 아티스트 상 수상 한국 PD대상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가수상 수상 올해의 브랜드 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특별상 수상 대중문화예술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수상 해외 시상식[편집]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올해의 신인 아티스트 상 (아시아 부문) 수상 올해의 다운로드 곡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신인 아티스트상 (아시아 부문) 수상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다운로드 곡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오리콘 퀸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Break Artist Ranking 수상 일본 레코드 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우수 작품상 수상 필리핀 K-Pop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2015 Female Rookie of The Year(신인상) 수상 2016년 트와이스 2016 Song of the year 수상 Best Female Artist/Group 수상 숨피 어워즈 (Annual Soompi Awards)[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Best Female Group 수상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90회) 2016년 (총 23회) CHEER UP (총 11회) 5월 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5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통산 2주) 5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5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5월 2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트리플 크라운) 5월 2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5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6월 3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3주 연속, 통산 4주) 6월 10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4주 연속, 통산 5주) TT (총 12회) 11월 1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11월 2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3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4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1월 6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10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1월 11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11월 13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11월 18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3주 연속) 11월 20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2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11월 25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4주 연속) 12월 2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주 연속) 2017년 (총 36회) TT (총 1회) 1월 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6주) KNOCK KNOCK (총 9회) 3월 2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3월 3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3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3월 7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3월 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3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3월 1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통산 2주) 3월 1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3월 19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3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SIGNAL (총 12회) 5월 24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5월 2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2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월 27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5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5월 3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6월 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6월 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6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6월 9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6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4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6월 1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LIKEY (총 7회) 11월 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1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1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1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1월 1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11월 26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5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Heart Shaker (총 7회) 12월 2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2월 22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2월 2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12월 24일 SBS 《인기가요》 1위 12월 28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2월 29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12월 31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2018년 (총 28회) Heart Shaker (총 2회) 1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6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1월 1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통산 2주) What is Love? (총 12회) 4월 1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4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4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4월 2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4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4월 25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4월 2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4월 2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4월 28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4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5월 2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3주 연속) 5월 6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7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Dance the night away (총 10회) 7월 1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7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7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7월 2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7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8월 3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8월 4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8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8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8월 1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3주 연속) Yes Or Yes (총 4회) 11월 14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1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2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2019년 (총 3회) Fancy (총 3회) 5월 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5월 2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각주[편집] ↑ “MAMA 2015 Nominations”.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MA Nominations - Artist Category (Best New Female Artist)”. 《Mwave》. Mnet/CJE&M. 2015년 11월 2일에 확인함.  ↑ “The 30th Anniversary Golden Disk Awards International Voting”. 《The 30th Annual Golden Disk Awards》. Ilgan Sports, DramaHouse, & J Content Hub Co., Ltd. 2016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골든디스크' 세븐틴-트와이스, JTBC2 신인상 수상 '글로벌 인기'”. 《Nate》. Sports Chosun.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 "[골든디스크] 트와이스, '이변은 없었다'...신인상에서 대상으로 1년만에 '껑충'(종합)", http://www.sedaily.com/NewsView/1OATD4O3LY, 서울경제, 2017년 1월 14일자. ↑ 가 나 다 라 “Seoul Music Awards Global (scroll to K-POP STAR 2015 [LIVE VOTE] and click "Main, Popular (Overseas) and Rookie" to reveal the nominees)”. 《Seoul Music Awards》. SportsSeoul.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9일에 확인함.  ↑ “5th Gaon Chart K-pop Awards, New Artist of the Year nominees”. 《5th Gaon Chart K-pop Awards》. Kpop Construction. 2016년 1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트와이스 - 공식 웹사이트 vdeh트와이스 지효 나연 정연 모모 사나 미나 다현 채영 쯔위 정규 음반한국 《Twicetagram》 일본 《BDZ》 리패키지 음반한국 《TWICEcoaster : LANE 2》 《Merry & Happy》 《Summer Nights》 《The year of "YES"》 일본 《BDZ -Repackage-》 EP 《THE STORY BEGINS》 《PAGE TWO》 《TWICEcoaster : LANE 1》 《SIGNAL》 《What is Love?》 《YES or YES》 《FANCY YOU》 베스트 음반 《#TWICE》 《#TWICE2》 싱글일본 〈One More Time〉 〈Candy Pop〉 〈Wake Me Up〉 〈I WANT YOU BACK〉 〈STAY BY MY SIDE〉 투어TWICELAND -The Opening- · TWICELAND ZONE 2 : Fantasy Park출연 프로그램 TWICE TV 트와이스의 우아한 사생활 로스트 타임 같이 보기 SIXTEEN 박진영 JYP 엔터테인먼트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수상 및 후보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트와이스의_수상_및_후보_목록&oldid=24151935" 분류: 트와이스음악가의 수상 목록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Русский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6: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트와이스의 음악방송 1위 수상 횟수는 대한민국 여자 가수 중 역대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19번의 대상 수상 및 걸그룹 최초 누적앨범 1000만장 판매를 한 기록도 역대 1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트와이스는 골든 디스크 시상식에서 어떤 상들을 받았을까? Assistant: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음반 부문 신인상 수상[3][4] 2017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대상 수상[5]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CeCi 아시아 아이콘상 수상 2019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Human: 아래 프랑코_정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프랑코 정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코 정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스파냐국 Estado Español ←  ← 1939년 – 1975년 → 국기 문장 표어 "Plvs Vltra. Una, Grande y Libre" (라틴어) "보다 더 멀리. 함께 위대한 자유로"국가 척탄병 행진곡[1] 수도 마드리드 정치공용어 스페인어정부 형태 권위주의 국가카우디요 프란시스코 프랑코역사 • 스페인 내전 종식 • 국가원수 계승법 제정 • 프랑코의 죽음 1939년 4월 1일1947년1975년 11월 20일지리면적 504,030km2내수면 비율 1.04% 기타통화 스페인 페세타 ↑ 본래는 '왕의 행진'이지만, '척탄병 행진곡'이란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스페인의 역사Historia de España 고대 선사 시대 이베리아 로마 이전의 이베리아 로마의 히스파니아 정복 히스파니아의 로마화 중세 수에비 왕국 서고트 왕국 비잔틴령 스파니아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 알안달루스 레콩키스타 근세 가톨릭 군주 압스부르고 스페인 스페인 제국 스페인의 황금기 스페인의 계몽주의 근대 나폴레옹 종속 스페인 반도 전쟁 카디스 코르테스 스페인 입헌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반동과 혁명 스페인 제1공화국 스페인 왕정복고 미국-스페인 전쟁 스페인 제2공화국 스페인 내전 프랑코 정권 현대 스페인의 민주화 오늘날의 스페인 주제별 역사 스페인의 식민사 스페인의 경제사 스페인의 군사사 v • d • e • h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한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스페인 제2공화국을 해체하고 수립한 스페인 정부이다. 공식 명칭은 스페인국(스페인어: Estado Español 에스타도 에스파뇰[*])이다. 목차 1 스페인 내전 2 정체 3 제2차 세계대전 4 고립 5 각주 스페인 내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페인 내전입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제2공화국의 토지개혁에 반대하는 보수 세력과 파시스트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벌어진 스페인 내전을 통해 승리한 프랑코는 1939년 4월 1일 내전의 종결을 선언하였다.[1] 정체[편집] 프랑코 정권은 내전 기간 동안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나치 독일, 베니토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 왕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스페인의 파시즘 정당인 팔랑헤와 동맹을 맺었다. 프랑코는 애초에 반공주의 이외의 정치적 입장이 분명하지는 않았으나 내전을 거치면서 파시즘을 정치 이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또한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을 지지하였다.[2] 정부의 조직은 스페인 의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나 정당 활동의 자유가 없었고 프랑코 스스로 종신 총통에 취임하여 권위주의적인 지배를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편집]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6월 프랑스가 붕괴하자 스페인은 추축국 편에 서 독일에 해군력을 지원하였고 나치에 저항 군인과 탈출하던 군인들을 돌려 보냈다. 이 대가로 나치는 상응할 만한 군력을 제공하여 내전 동안 폭탄을 지원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0년 10월 23일 엔다예에서 만나 추축국에 스페인이 가담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논의했고 프랑코 측은 식량과 군사 지원, 지브롤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등등의 광대한 요구 조건을 달아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 협의가 이뤄지지 못하자 스페인 내 독일의 광산권 채굴 공방이 나타난다. 일부 역사가들은 프랑코가 전쟁에서 히틀러가 결코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알았을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가 단순히 독일에 어떠한 이득도 제공할 필요가 없었기에 그랬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프랑코는 소비에트 연방에 대적할 때 동부 전선으로 추축국 군대 측에 병력을 파견했다. 당시 파견 부대의 이름은 청색부대(División Azul)이었고 이는 팔랑헤 당의 당기 색을 따른 것이다. 프랑코는 1943년 독일의 우세가 꺾여 불리해지자 완전 중립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2차대전에 많은 병력을 동원하지 않은 쿠바 출신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스페인 프랑코 정권 붕괴를 위해 라틴아메리카-미국 연합을 제안했다.[3] 고립[편집]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유엔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한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 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판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이런 요구에 대해 포르투갈과 아일랜드, 일부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국가들만이 이행을 거부했다. 2차 대전 이후에 스페인의 경제는 피폐했다. 배급 카드가 1952년까지 쓰였으며 전쟁과 경제 위기는 팔랑헤 지지 세력으로 하여금 경제 자립 정책을 강구하도록 유도했다. 수입 감소와 자기 충족, 국영 생산과 1차 생산물의 상업 국유화,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의 국유화 등이었다. 프랑코 정권은 1951년 6명의 미국 기자를 추방하여 압제 정권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행태를 보였다.[4] 각주[편집] ↑ Professor Hilton (2005-10-27). "Spain: Repression under Franco after the Civil War[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Cgi.stanford.edu. Retrieved 2009-06-24. ↑ 엔터니 비버, 김원중 역, 스페인 내전, 20세기 모든 이념들의 격전장, 교양인, 2006, ISBN 10-8991799426 ↑ "Batista's Boost", Time, January 18, 1943. Retrieved March 2, 2010. ↑ "Censorship in Spain" TIME April 30, 19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코_정권&oldid=23827806" 분류: 프랑코 정권20세기 스페인냉전기의 정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8일 (금)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한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스페인 제2공화국을 해체하고 수립한 스페인 정부이다. 공식 명칭은 스페인국(스페인어: Estado Español 에스타도 에스파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프랑코 정권의 경제가 피폐해진데에는 어떠한 배경이 있는가 Assistant: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유엔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한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 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판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이런 요구에 대해 포르투갈과 아일랜드, 일부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국가들만이 이행을 거부했다. 2차 대전 이후에 스페인의 경제는 피폐했다. 배급 카드가 1952년까지 쓰였으며 전쟁과 경제 위기는 팔랑헤 지지 세력으로 하여금 경제 자립 정책을 강구하도록 유도했다. 수입 감소와 자기 충족, 국영 생산과 1차 생산물의 상업 국유화,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의 국유화 등이었다. 프랑코 정권은 1951년 6명의 미국 기자를 추방하여 압제 정권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행태를 보였다.[4] Human: 아래 호남고속도로지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남고속도로지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남고속도로지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속국도 제251호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속국도 251 호남고속도로지선 고속국도 제251호선 노선도 총연장 54.0 km 개통년 1970년 12월 30일 기점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주요경유지 충청남도 논산시충청남도 계룡시대전광역시 종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 주요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국도 제1호선국도 제4호선국도 제32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호남고속도로(고속국도 제3호선) 기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종점 전라남도 순천시 호남고속도로지선(湖南高速道路支線, 고속국도 제251호선)은 충청남도 논산시를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를 종점으로 하는 호남고속도로의 지선이다. 논산천안고속도로 개통 전까지는 호남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다. 목차 1 역사 2 구성 2.1 차로수 2.2 총연장 2.3 제한속도 3 나들목 · 분기점 4 주요 통과지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2001년 이전의 역사는 호남고속도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1년 8월 25일 : 기존 호남고속도로의 논산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을 분할해 고속국도 제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호남선의 지선)으로 지정[1] 2001년 9월 28일 : 계룡 나들목 개통[2] 2005년 2월 1일 : 2006년까지 유성 나들목 요금소 차로 10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2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2005년 4월 4일 : 2006년 12월까지 소룡교, 마산육교, 벌곡천교 전면 개량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소룡리, 마산리, 벌곡면 신양리 총 2.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2005년 11월 4일 : 양촌휴게소 폐쇄[5] 2009년 2월 9일 : 2011년까지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 양촌면 구간 선형개량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 양촌면 모촌리 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 2010년 4월 28일 : 2012년 12월까지 벌곡휴게소 이전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양산리 4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논산 분기점부터 회덕 분기점까지 53.97km 구간을 호남지선고속도로로 고시[8] 2011년 1월 : 양촌 나들목 신설 착공 2011년 4월 25일 : 양촌 나들목 신설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모촌리 198m 구간 도로구역 변경[9] 2012년 7월 25일 : 양촌 나들목 신설 개통.[10] 2013년 8월 19일 : 호남고속도로지선 선형 개량 개통으로 인해 기존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 양촌면 신흥리 2.6km 구간 폐지[11]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종점을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으로 명시[12] 구성[편집] 차로수[편집]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연장[편집] 53.97km 제한속도[편집]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나들목 · 분기점[편집]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연한 파란색(■): 당진영덕고속도로 중첩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직결 1 논산 분기점 Nonsan JC - 0.00 25호선 호남고속도로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충청남도 논산시 2 논산 Nonsan 5.52 5.52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동안로) 2-1 양촌 Yangchon 9.85 15.37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대둔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SA 벌곡휴게소 Beolgok SA 양방향 3 계룡 Gyeryong 12.58 27.95 국도 제1호선 (계백로)국도 제4호선 (계백로)계룡대로 계룡시 4 서대전 분기점 W.Daejeon JC 6.43 34.38 300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유성 Yuseong 8.43 42.81 국도 제1호선 (세종로)국도 제32호선 (현충원로)북유성대로·월드컵대로·한밭대로 6 유성 분기점 Yuseong JC 2.89 45.70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7 북대전 N.Daejeon 4.61 50.31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대덕대로)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대덕대로) 8 회덕 분기점 Hoedeok JC 3.61 53.92 1호선 경부고속도로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대덕구 대전종점 0.05 53.97 주요 통과지[편집]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 가야곡면 - 양촌면 - 벌곡면) - 계룡시 두마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 - 서구 (봉곡동 - 관저동) - 유성구 (원내동 - 교촌동 - 대정동 - 계산동 - 학하동 - 용계동 - 학하동 - 복용동 - 구암동 - 장대동 - 노은동 - 죽동 - 하기동 - 자운동 - 장동 - 방현동 - 화암동 - 관평동 - 용산동 - 탑립동 - 전민동) - 대덕구 신대동 같이 보기[편집] 호남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각주[편집]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오 늘 의 일 정 (9월28일.금요일)”. 《연합뉴스》. 2001년 9월 28일. 충 남 지사 15:00 계룡 IC개통식(논산시 두마면)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1호,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80호, 2005년 4월 4일. ↑ [충북][대전/충남]고속道옥산-양촌휴게소 11월 폐쇄, 동아일보, 2005년 10월 28일 작성.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52호, 2009년 2월 9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251호, 2010년 4월 28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2010년 12월 28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61호, 2011년 4월 25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1071호, 2012년 8월 10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3-585호, 2013년 8월 22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2015년 3월 27일. vdeh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남북 [1] 경부 ()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당진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서울외곽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경인 [110]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예정 [14] 함양울산 [17] 익산평택 [173] 익산평택지선 [202] 새만금포항지선 [255] 강진광주 [500] 광주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폐지 [1] 양재 - 한남 [2] 신월 - 양평 [6] 덕천 - 구포 [6-3] 남해제3지선 [7-2] 구마지선 [15] 목포 - 죽림 [22] 김천영천 [120] 인천 - 서인천 vdeh고속도로 제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 논산JC 25 25 논산 양촌 계룡 서대전JC 300 유성 유성JC¹ 30 북대전¹ 회덕JC¹ 1 30 1.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호남고속도로지선vdeh논산시의 교통철도노선 호남선 강경선 역 논산역 개태사역¹ 연산역 부황역¹ 채운역¹ 강경역 연무대역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논산천안 (25) 호남 (25) 호남지선 (251) 나들목·분기점 논산 나들목 서논산 나들목 연무 나들목 양촌 나들목 논산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1호 4호 23호 국지도 68호 지방도 643호 645호 691호 697호 799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계백로 논산대로 대백제로 득안대로 교량 노성대교 논산대교 논산신대교 버스시내 논산 시내버스 고속·시외 논산 논산시외 연무 연무시외 강경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vdeh계룡시의 교통철도노선 호남선 역 계룡역 고속도로노선 호남지선 (251) 나들목 계룡 일반도로국도 1호 4호 지방도 645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계백로 버스시내 계룡 시내버스 논산 시내버스 대전 시내버스 고속·시외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기타시내 티머니 vdeh 대전광역시의 도로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광역고속도로 경부 (1) 당진영덕 (30) 통영대전 (35) 호남지선 (251) 대전남부순환 (300) 국도 1호 4호 17호 32호 국지도 32호 57호 시내도시고속갑천도시고속도로광역시도[1] 유성대로 1호 2호 3호 (대청호수로) 4호 (벌곡로) 5호 (회남로) 6호 (대청로) 7호 (중앙로) 8호 (대흥로) 9호 (충무로) 10호 (문화로) 11호 (계족로) 12호 (선화로) 13호 (우암로) 14호 (동서대로) 15호 (갈마로) 16호 (한밭대로) 17호 (대학로) 18호 (엑스포로) 19호 (가정로) 20호 새울로 용운로 21호 (산성로) 22호 (대종로) 대전로 23호 24호 25호 대전로 신탄진로 27호 (한남로) 28호 (오정로) 29호 (계족로) 30호 대흥로 동대전로 31호 (보문로) 32호 (서문로) 33호 (유천로) 34호 (태평로) 35호 (도산로) 36호 (대덕대로) 37호 (가정북로) 38호 (과학로) 39호 (둔산대로) 40호 (갑천도시고속도로) 41호 (문정로) 42호 (문예로) 43호 (갈마역로) 44호 월평서로 월평로 월평동로 45호 청사로 월평중로 46호 (둔산서로) 47호 (둔산중로) 48호 둔지로 청사서로 49호 (둔산북로) 50호 (둔산로) 51호 (둔산남로) 52호 (유등로) 53호 (북유성대로) 54호 보문산로 혜천로 55호 (월드컵대로) 56호 (문지로) 57호 (동춘당로) 58호 (산업단지로) 59호 신일서로 60호 (대흥로) 61호 (배재로) 62호 (사정공원로) 64호 (산서로) 65호 (덕암북로) 66호 (쌍청당로) 67호 (신갈마로) 68호 (한밭대로1003번길) 69호 (장대로) 70호 (변동중로) 71호 온천동로 온천북로 문화원로 72호 73호 74호 (온천북로59번길) 75호 (온천북로33번길) 76호 (대학로76번길) 77호 (대둔산로255번길) 78호 (성산로) 79호 (계백로) 80호 계룡로 충무로 81호 현충원로 유성대로 계룡로 82호 (대화로132번길) 83호 (대화로) 84호 (문화로234번길) 85호 구봉로 구봉산북로 86호 (괴정로) 87호 (관저서로) 88호 (금남구즉로) 89호 대전로 금산로 90호 (노은로) 91호 (노은동로) 92호 (노은서로) 93호 (당디로) 94호 (대둔산로) 95호 (중앙로) 96호 (만년남로) 97호 (만년로) 98호 (석봉로) 99호 (불무로) 100호 지족로 반석동로 반석서로 101호 (대덕대로512번길) 102호 문예로 둔산중로78번길 103호 (벚꽃길) 104호 (현암로) 105호 (만년로) 106호 (계룡로553번길) 107호 (문정로48번길) 108호 (보문산공원로) 109호 (신탄진동로) 110호 복수서로 복수북로 111호 (봉산로) 112호 (아리랑로) 113호 (청사로) 114호 (계족산로) 115호 (동부로) 116호 (수침로) 117호 (둔산로101번길) 118호 (둔산북로90번길) 119호 (신상로) 120호 (관저중로) 121호 (신탄진로681번길) 122호 (충무로) 123호 (대둔산로199번길) 124호 (어덕마을로) 125호 (배재로) 126호 (대종로) 127호 (옥천로) 128호 (온천로) 129호 와룡로136번길 와룡로 130호 (송강로) 131호 (구즉로) 132호 (동서대로1695번길) 133호 관저동로 도안중로 도안남로 관저북로 134호 135호 136호 은구비남로 노은서로 137호 (자운로) 138호 (정림서로) 139호 (정림로) 140호 (계족로633번길) 141호 (중리서로) 142호 (중리북로) 143호 (중리로) 144호 (중리남로) 145호 (은구비로) 146호 (계룡로74번길) 147호 (대학로) 148호 (온천서로) 149호 (유성대로654번길) 150호 (평촌로) 151호 (어은로) 152호 (계룡로571번길) 153호 (변동중로45번길) 154호 (문평동로) 155호 (신일동로) 156호 (신일서로) 157호 (문평서로) 158호 신일서로67번길 신일서로68번길 159호 (백운로) 160호 (관저로) 161호 (월평새뜸로) 162호 (월평중로) 163호 (한밭대로570번길) 164호 (신갈마로) 165호 (월평북로) 166호 (둔산대로117번길) 167호 (왕가봉로) 168호 지족로 송림로 170호 (반석로) 172호 (은구비로) 173호 (계족로140번길) 174호 (용운로) 175호 (백룡로) 176호 (동부로) 177호 동춘당로114번길 동춘당로94번길 178호 (계족산로81번길) 179호 (산내로) 180호 (동구청로) 181호 (은어송로) 182호 (갑천로) 183호 (배울1로) 184호 (테크노4로) 185호 (테크노중앙로) 186호 (노은로426번길) 187호 (박산로) 188호 (배울2로) 189호 (관평1로) 190호 (테크노3로) 테크노1로 191호 192호 193호 (테크노2로) 194호 (관평천변로) 195호 (용산1로) 196호 (테크노6로) 197호 (테크노7로) 198호 (테크노9로) 199호 (테크노10로) 201호 (둔산로31번길) 202호 (대덕대로249번길) 203호 (둔산로31번길) 204호 (대덕대로233번길) 205호 (대덕대로234번길) 206호 (둔산로51번길) 207호 (대덕대로220번길) 208호 둔산로73번길 대덕대로242번길 209호 둔산중로14번길 문정로89번길 210호 (둔산로123번길) 211호 (둔산로137번길) 212호 (조달청길) 213호 (관저동로) 214호 (원내로) 215호 (진잠로42번길) 216호 (진잠로) 217호 대정남로 대정로 218호 (대정북로) 219호 (대정로28번길) 220호 221호 (어은로) 222호 (둔산남로91번길) 223호 (둔산남로105번길) 224호 (복수동로) 225호 (복수남로) 226호 (유등천동로) 227호 (계룡로1716번길) 228호 (보문로162번길) 229호 (수도산로) 230호 (천동초등동길) 231호 (대전로542번길) 232호 (신기로) 233호 (대청로82번길) 234호 (신탄진로756번길) 235호 (목동로) 236호 (노은로) 237호 (서문로) 238호 (쌍청당로) 239호 (현암로) 240호 (복수중로) 241호 (동부로) 242호 (변동로) 243호 (관저로) 244호 (대학로) 245호 (산내로1305번길) 246호 (산내로1257번길) 247호 (엑스포로97번길) 엑스포로123번길 248호 249호 250호 251호 252호 (엑스포로151번길) 253호 (엑스포로123번길) 254호 (동서대로) 255호 (도안중로) 256호 (도안대로) 257호 (월드컵대로) 258호 (도안남로) 259호 (도안동로) 260호 (상대서로) 261호 (상대남로) 262호 (원신흥북로) 263호 (원신흥남로) 264호 (도안북로) 265호 (관저동로) 266호 (도안대로590번길) 267호 (계룡로132번길) 268호 (상대로) 269호 270호 (봉명로) 271호 (원신흥로) 272호 (원신흥남로28번길) 273호 (도안북로) 274호 (원도안로) 275호 (도안중로) 276호 277호 (도안동로13번길) 278호 (도안동로14번길) 279호 (봉우로) 280호 281호 282호 283호 (학하로) 284호 (학하중앙로) 285호 (학하서로) 286호 (학하로159번길) 287호 288호 (학하복용로) 289호 (학하동로) 290호 291호 (동서대로) 292호 (현충원로) 덕명로 293호 294호 295호 296호 297호 298호 299호 (동서대로) 300호 (도안동로) 301호 (갑천도시고속도로) ↑ 대전광역시청 도로현황 (2014년) [1]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남고속도로지선&oldid=24444224" 분류: 호남고속도로지선대한민국의 고속도로충청남도의 도로대전광역시의 도로논산시의 교통계룡시의 교통대전 유성구의 교통대전 서구의 교통대전 대덕구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Bahasa Indonesi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남고속도로의지선(湖南高速道路의支線, 고속국도 제251호선)은 충청남도 논산시를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자 호남고속도로의 지선이다. 원래는 호남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남고속도로 나들목 서대전 분기점과 접속되는 노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300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Human: 아래 서울방송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방송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방송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2′ 52″ 동경 127° 00′ 38″ / 북위 37.5476408° 동경 127.0106485°  / 37.5476408; 127.0106485 서울방송고등학교서울放送高等學校Seoul Broadcasting High School 교훈 마음을 다하여 푸른꿈 키우자 개교 1992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김홍식 교감 이호영 국가 대한민국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동호로5길 131 (옥수동) 학생 수 529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88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관할관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seb.hs.kr 서울방송고등학교(서울放送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1] 목차 1 학교 연혁 2 설치 학과 3 학교 동문 4 참고 자료 5 각주 6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91년 10월 30일 : 동호공업고등학교 설립인가 1991년 12월 31일 : 본관 건물 준공 1992년 3월 1일 : 이종억 초대 교장 취임 1992년 3월 3일 : 제1회 입학식(3개학과 10학급 540명) 1992년 11월 22일 : 실습동 건물 준공 1993년 2월 6일 : 후관 건물 준공 1993년 12월 16일 : 여자 축구부 창단 1995년 2월 13일 : 제1회 졸업식(3개학과 10학급 497명) 1995년 9월 14일 : 후관 증축 교사동 준공 (1,035m2) 1998년 2월 28일 : 여자 축구부 해체 2000년 11월 25일 : 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2001.3.1) 2006년 10월 26일 : 방송영상콘텐츠분야 특성화고교 학칙 변경 인가(2008.3.1) (방송영상과 5학급, 방송콘텐츠과 3학급) 2008년 2월 29일 : 서울방송고등학교 교명 변경 인가 2010년 6월 30일 : 학칙 변경 (학과 감축 및 신설) 인가 방송영상과(2학급), 방송콘텐츠과(2학급), 방송시스템과(2학급), 방송연예과(1학급) 2016년 3월 1일 : 김홍식 제10대 교장 취임 2017년 2월 3일 : 제23회 졸업식(4개학과 7학급 179명) 연인원 7,522명 설치 학과[편집] 방송영상과 미디어콘텐츠과 방송시스템과 방송연예공연과 학교 동문[편집] 분류:서울방송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서울방송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의회 (2016년 3월 1일). “서울특별시립학교 설치조례 별표3”.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서울방송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서울특별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남구 개포고 경기고 경기여고 국악고 단국공고 단대부고 대진디자인고 서울로봇고 서울세종고 수도전기공고 숙명여고 압구정고 영동고 은광여고 중동고 중산고 중대부고 진선여고 청담고 풍문고 현대고 휘문고 강동구 강동고 강일고 광문고 동북고 둔촌고 명일여고 배재고 상일미디어고 상일여고 서울컨벤션고 선사고 성덕고 한영고 한영외고 강북구 미양고 삼각산고 성암국제무역고 신일고 영훈고 창문여고 혜화여고 강서구 강서공고 경복비즈니스고 경복여고 공항고 대일고 덕원여고 덕원예고 동양고 등촌고 마포고 명덕고 명덕여고 명덕외고 서울항공비즈니스고 세현고 수명고 신정여상 영등포공고 영일고 한광고 한서고 화곡고 화곡보건경영고 관악구 광신고 광신정보산업고 구암고 남강고 당곡고 미림여고 미림여자정보과학고 삼성고 서울관광고 서울문영여고 서울미술고 서울여상 성보고 신림고 영락고 영락의료과학고 인헌고 광진구 건대부고 광남고 광양고 대원고 대원여고 대원외고 동대부여고 선화예고 자양고 구로구 경인고 고척고 구로고 구일고 구현고 덕일전자공고 서서울생활과학고 서울공연예고 세종과고 신도림고 예림디자인고 오류고 우신고 유한공고 금천구 금천고 독산고 동일여고 동일여상 문일고 전통예고 노원구 경기기계공고 광운전자공고 노원고 대진고 대진여고 동산정보산업고 미래산업과학고 불암고 상계고 상명고 서라벌고 서울아이티고 수락고 염광고 염광여자메디텍고 영신간호비즈니스고 영신여고 용화여고 월계고 인덕공고 재현고 청원고 청원여고 한국삼육고 혜성여고 도봉구 누원고 도봉고 서울문화고 서울외고 선덕고 세그루패션디자인고 자운고 정의여고 창동고 효문고 동대문구 경희고 경희여고 대광고 동대부고 정화여상 청량고 해성국제컨벤션고 해성여고 휘경공고 휘경여고 휘봉고 동작구 경문고 동작고 서울공고 성남고 수도여고 숭의여고 영등포고 마포구 경성고 광성고 상암고 서울디자인고 서울여고 숭문고 한세사이버보안고 홍대부여고 홍익디자인고 서대문구 가재울고 명지고 이대부고 인창고 중앙여고 한성고 한성과고 서초구 동덕여고 반포고 상문고 서문여고 서울고 서울전자고 서초고 세화고 세화여고 양재고 언남고 성동구 경일고 금호고 덕수고 도선고 무학여고 서울방송고 성수고 성수공고 한대부고 성북구 경동고 계성고 고대부고 고명경영고 대일외고 동구마케팅고 서울사대부고 서울도시과학기술고 석관고 성신여고 용문고 한성여고 홍대부고 송파구 가락고 문정고 문현고 방산고 배명고 보성고 보인고 서울체고 송파공고 영동일고 영파여고 오금고 일신여상 잠신고 잠실고 잠실여고 잠일고 정신여고 창덕여고 양천구 강서고 광영고 광영여고 금옥여고 대일관광고 목동고 백암고 서울금융고 서울영상고 신목고 신서고 양정고 양천고 진명여고 한가람고 영등포구 관악고 대영고 선유고 여의도고 여의도여고 영등포여고 영신고 장훈고 한강미디어고 용산구 배문고 보성여고 서울디지텍고 선린인터넷고 성심여고 신광여고 오산고 용산고 용산공고 중경고 은평구 대성고 동명여고 동명여자정보산업고 선일여고 선일이비즈니스고 선정고 선정국제관광고 세명컴퓨터고 숭실고 신도고 신진과학기술고 예일디자인고 예일여고 은평고 은평메디텍고 진관고 충암고 하나고 종로구 경기상고 경복고 경신고 대동세무고 대신고 덕성여고 동성고 배화여고 상명사대부여고 서울과고 서울국제고 서울예고 서일국제경영고 중앙고 중구 경기여상 대경상고 리라아트고 성동고 성동공고 성동글로벌경영고 이화여고 이화여자외고 장충고 한양공고 환일고 중랑구 면목고 송곡고 송곡관광고 송곡여고 신현고 원묵고 이대병설미디어고 중화고 태릉고 혜원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강서공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경영고등학교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대경상업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동구마케팅고등학교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동일여자상업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전자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서일국제경영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송파공업고등학교 신정여자상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부산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대광발명과학고등학교 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대연정보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 부산경영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부산에너지과학고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산항만물류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성심보건고등학교 세정상업고등학교 해운대공업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대구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서부공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인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경인여자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청학공업고등학교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한진고등학교 광주 광주경영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울산 언양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세종 성남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 경기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세무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광명경영회계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여자정보고등학교 김포제일공업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삼일상업고등학교 성남금융고등학교 성남방송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시화공업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여자상업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정명정보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공업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강원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거진정보공업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소양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원주공업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홍천농업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충북 국원고등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보은자영고등학교 보은정보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영동인터넷고등학교 옥천상업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증평정보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현도정보고등학교 충남 강경상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광천제일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공업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조선공업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전북 강호항공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김제자영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 삼례공업고등학교 서림고등학교 오수고등학교 완산여자고등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 장계공업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진경여자고등학교 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전남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보성정보통신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전자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영암전자과학고등학교 완도수산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황산고등학교 경북 감포고등학교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간호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식품과학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산여자상업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군위정보고등학교 금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호공업고등학교 김천상업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다인정보고등학교 명인정보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봉양정보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주동산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용운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공업고등학교 청도전자고등학교 청송자동차고등학교 태화고등학교 평해정보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공업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해세화여자고등학교 창녕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방송고등학교&oldid=24085576" 분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성동구의 고등학교서울특별시의 공립 고등학교1992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방송고등학교(서울放送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3년에 창단된 서울방송고등학교 여성축구부는 몇년도에 해체된거야? Assistant: 1998년 Human: 아래 지역_코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역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역 코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VD 지역 코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역 코드(영어: region code)는 DVD, 블루레이 디스크, 게임 소프트웨어가 판매 및 사용되는 지역의 정보를 기재한 정보 (코드)이다. 소프트웨어의 지역 및 사용하는 기기의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재생 혹은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코드는 코드 제약이 있는 DVD 플레이어나 블루레이, 그리고 게임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역 코딩을 무시하는 DVD 플레이어 또한 상용으로 구매가 가능하며[1] 수많은 DVD 플레이어는 모든 디스크의 재생을 허용하기 위해 지역 제한이 없도록 수정할 수도 있다.[2] 목차 1 DVD 지역 코드 1.1 독립형 DVD 플레이어 1.2 컴퓨터 DVD 드라이브 2 블루레이 디스크 3 비디오 게임 콘솔 4 각주 5 외부 링크 DVD 지역 코드[편집] DVD 지역 지역 코드는 다음과 같은 취지를 가진 일종의 국제 규약이다. 1.DVD의 판매와 수요 등을 관리. 2.지역 배급권에 대한 로얄티를 확보. 3.영상산업 보호. 코드 번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0*ALL 지역 또는 국가에 관계 없이 모든 지역에서 재생 가능 1 북아메리카 (미국, 알래스카, 캐나다), 영국령 버뮤다제도 2 일본, 유럽 (러시아 제외, 그린란드 포함),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프랑스령 기아나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아랍에미레이트) 3 동남아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홍콩, 마카오, 타이완, 싱가포르, 대한민국 4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의 모든 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의 섬나라 포함),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제외) 5 러시아, 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제외),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북한 6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제외) 7 미확정 8 국가 간을 여행하는 선박이나 항공기 내 독립형 DVD 플레이어[편집] 일반적으로 공장 출하 시 개별 플레이어의 펌웨어에 구성 플래그가 설정된다. 이러한 플래그는 기기의 재생을 허용하는 지역 번호를 보유하고 있다. 지역 제한이 없는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플래그 집합이 없거나 지역 강제 기능이 없이 출하된 DVD 플레이어에 한정된다. 컴퓨터 DVD 드라이브[편집] RPC-1(Regional Playback Control) 펌웨어를 사용하는 오래된 DVD 드라이브는 어떠한 지역에 속하는 DVD라도 재생을 가능하게 함을 의미한다. 더 최신의 드라이브는 RPC-2 펌웨어를 사용하며 이는 하드웨어 수준에서 DVD 지역 코딩을 강제한다. 이러한 드라이브들은 RPC-1 펌웨어로 해킹하거나 플래시 재적용을 하면 지역 제한이 풀리기도 한다. 이는 드라이브 보증을 제거한다.[3] 대부분의 컴퓨터 드라이브에서 사용자들이 지역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횟수는 최대 5번까지로 제한된다.[4] 허용 횟수가 0에 다다르면 그 드라이브가 다른 컴퓨터에 장착되더라도 마지막에 사용된 지역 번호가 영구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한은 펌웨어라는 드라이브의 컨트롤러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된다. 자사 또는 제3사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거나 RPC-1 펌웨어로 초기화하면(상단 참조) 펌웨어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편집] 블루레이 디스크#지역 코드를 참조하세요. 비디오 게임 콘솔[편집] 비디오 게임 콘솔(게임기)에도 지역별 실행 제한 체계가 있다. 각주[편집] ↑ Luh, James C. (2001년 6월 1일). “Breaking Down DVD Borders”. 《워싱턴 포스트》.  ↑ Jim Taylor. “DVD FAQ: DVD utilities and region-free information”. Dvddemystified.com. 2010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Doom9 on RPC1 Archived 2017년 1월 13일 - 웨이백 머신. ↑ “Rulemaking hearing: Exemptions from prohibitions on circumvention of technological measures that control access to copyrighted works” (PDF). 2003년 5월 15일. 287, line 18면. 2009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DVD region information with regards to RCE from Home Theater Info (영어) Region Coding - Explanations & Help from The DVDCodes Sourc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역_코드&oldid=24114319" 분류: 디지털 권리 관리DVD블루레이 디스크비디오 게임 콘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Bahasa Melayu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8일 (일) 18: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역 코드(영어: region code)란 미국의 영화사들이 아직 개봉되지 않은 지역에서 DVD 타이틀로 만들어져 불법적으로 무분별하게 판매, 유통, 재생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국제 규약으로 나라마다 코드를 다르게 하여 DVD 타이틀하고 플레이어의 지역코드가 다르면 재생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지역코드는 모두 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은 3번이다. 지역코드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합법적인 방법으로는 코드프리가 있다. DVD, 블루레이 디스크, 게임 소프트웨어가 판매 및 사용되는 지역의 정보를 기재한 정보 (코드)이다. 소프트웨어의 지역 및 사용하는 기기의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재생 혹은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코드는 코드 제약이 있는 DVD 플레이어나 블루레이, 그리고 게임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역 코딩을 무시하는 DVD 플레이어 또한 상용으로 구매가 가능하며 수많은 DVD 플레이어는 모든 디스크의 재생을 허용하기 위해 지역 제한이 없도록 수정할 수도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컴퓨터 드라이브의 지역 코드는 어떻게 처리될까? Assistant: 대부분의 컴퓨터 드라이브에서 사용자들이 지역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횟수는 최대 5번까지로 제한된다.[4] 허용 횟수가 0에 다다르면 그 드라이브가 다른 컴퓨터에 장착되더라도 마지막에 사용된 지역 번호가 영구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한은 펌웨어라는 드라이브의 컨트롤러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된다. 자사 또는 제3사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거나 RPC-1 펌웨어로 초기화하면(상단 참조) 펌웨어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Human: 아래 퍼블리시티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퍼블리시티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블리시티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 초상사용권 또는 인격표지권은 사람이 그가 가진 성명, 초상이나 기타의 동일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이다. 상업적 이용의 요소를 핵심으로 하기 때문에 인격권과는 구별된다. 미국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을 순수한 재산권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목차 1 용어 2 역사 3 대한민국의 사례 4 대한민국의 재판례 4.1 퍼블리시티권을 부정한 하급심 재판례 4.2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한 하급심 재판례 5 미국의 판례 6 각주 7 같이 보기 8 외부 링크 용어[편집] 대한민국의 국립국어원은 퍼블리시티권의 순화어로 초상사용권을 채택한 바 있다. 퍼블리시티권을 초상권의 범주에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견해에서는 적합한 번역어로 볼 수 있지만, 초상권과는 분별될 수 있는 권리개념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적당한 용어가 아니게 된다. 현재 대한민국의 하급심 판례는 초상권과는 분별될 수 있는 개념으로 보는 입장에 가깝게 설시하고 있다. 일부 법률가들은 대법원의 초상권 개념 판시를 해석론상 원용하여 퍼블리시티권을 초상권의 범주 안에서 설명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퍼블리시티권과 초상권의 관계를 정면으로 다루는 대법원의 판례는 아직 없다. 역사[편집] 이 용어는 1953년 미국 제2연방항소법원의 제롬 프랭크 판사가 Haelan Laboratories, Inc. v. Topps Chewing Gum 사건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판결문에서, 전통적으로 인정되던 프라이버시권 외에도 자신의 초상이 갖는 공개적 가치에 대한 또다른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라 명명했다. 또한 1954년에 발표된 Nimmer의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이란 논문은 퍼블리시티권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다. 논문에서 Nimmer는 19세기 후반에는 프라이버시권의 법리만으로도 개인의 초상보호에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광고·영화·티비·비디오 등 새로운 시장이 나타나 과거의 프라이버시권만으로는 개인의 초상에 수반되는 상업적 이익을 보호할 수 없게 되었다고 지적하면서 초상의 상업적 이익인 초상의 공개가치(the publicity value)는 종래의 프라이버시권이 아닌 퍼블리시티권의 보호대상이 된다고 하였다.[1] 퍼블리시티권이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법적 권리로서의 승인을 받은 것은 1977년 인간포탄으로 저명한 서커스단원 Hugo Zacchini 판결에서였다. 이후 상당수의 미국 주법과 판례법에 의해 지지되고 확인되었고, 현재 28개의 주에서 법적인 권리로 인정하고 있다. 연방의 법률이 아닌 주법으로 보장하고 있기 때문에 주마다 퍼블리시티권의 보호 범위가 각양각색이다. 인디애나주는 가장 넓게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고 있는데 인물 사후 100년까지 그 권리를 인정하며 이름, 성명, 동일성 뿐만 아니라 서명, 제스쳐, 특유의 외양과 말씨·행동까지에 대해서도 권리를 인정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을 법적 권리로 인정하는 법률이나 대법원 판례는 없다. 그러나 일부 하급심 판례에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과 미디어 기술의 폭발적인 발전으로 연예인의 퍼블리시티권과 관련하에 분쟁과 소송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일본에서는 명시적인 법률은 없으나, 도쿄 고등재판소 판결에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했다. 대한민국의 사례[편집] 1995년 서울지방법원에서 소설 《이휘소》와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이휘소나 유족들의 인격권 또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었다고 볼 수도 없다고 본 사안에서, 이휘소의 퍼블리시티권도 침해되지 않았다고 판시하여 퍼블리시티권의 권리성을 인정하는 듯한 표현을 한 바 있다. 1998년 서울고등법원에서 제임스 딘의 고종사촌 마르커스 디 윈슬로우 주니어가 상표 도용으로 손해를 봤다며 방송인이자 사업가인 주병진과 속옷회사 <좋은사람들>을 상대로 낸 표장사용금지 및 4억 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이유없다"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원고는 제임스 딘의 퍼블리시티권을 포함한 성명 초상권 등 일체의 권리를 양도받아 `제임스 딘 재단 신탁'을 설립한 뒤 다시 재단 권리를 수탁받았다고 주장하지만, 단지 재단의 라이센스 계약 등을 담당하는 업무집행자일 뿐 수탁자로서 권리를 신탁받은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라고 밝혔다. 윈슬로우 주니어는 1955년 사망한 제임스 딘의 재산을 상속한 아버지 윈튼 딘로부터 1988년 퍼블리시티권 등 모든 권리를 자신과 어머니(제임스 딘의 고모)가 만든 제임스 딘 재단신탁에 양도받았는데, 주병진이 제임스 딘의 이름을 사용해 속옷을 판매하자 1994년 소송을 냈다. 주병진은 1996년 제임스 딘의 이름을 특허청에 상표특허를 출원했다가 거절당했으나 상고심에서 저명한 고인의 이름을 상품명으로 사용하더라도 상표법에 위반되는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의 판결로 승소했었다.[2] 2000년 6개월의 광고계약기간을 어기고 60개월 이상 배우 최진실의 초상을 사용한 업체에 대해 4000만 원 손해배상을 판결하였다.[3] 2001년 배우 이미연이 출연한 영화 스틸사진을 무단으로 음반표지에 사용한 음반사에 대해 100만 원 손해배상을 판결하였다.[3] 2004년 배우 이영애가 광고모델계약기간이 만료된 후에도 자신의 초상을 사용한 화장품회사에 대하여 퍼블리시티권을 침해하였음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에서,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피고는 탤런트, 영화배우 겸 광고모델로 대중적 지명도가 있어 재산적 가치가 있는 원고의 초상 등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권리인 퍼블리시티권을 침해하였다"라고 판시하였다. 2004년 배우 김민희가 퍼블리시티권을 침해로 제기한 소송에서 재판부는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지 않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다. 2004년 코미디언 정준하는, 허락없이 자신의 이름과 유행어인 “…를 두 번 죽이는 짓이에요”, “…라는 편견을 버려” 등의 문구를 함께 게재하고 이동통신회사의 고객들이 돈을 지불하고 휴대전화로 이 사건 캐릭터를 다운로드 받도록 한 컨텐츠 제작·공급 회사에 대해 손배소송을 제기해 500만 원의 배상을 받았다.[4] 2006년 메밀꽃 필 무렵을 쓴 작가 이효석의 초상, 서명, 소설 제목 등을 기재한 상품권을 발행한 사건에서 퍼블리시티권의 존속기간을 해당자의 사후 50년으로 보고 서울동부지법은 청구를 기각하였다. 2006년 한국프로야구 2005이란 게임물과 관련하여 법원은 야구선수들의 허락을 받지 아니하고 그 성명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행위는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면서도 인격권으로서의 성명권과 퍼블리시티권이 모두 침해되었다고 보았다. 2007년 배우 배용준, 권상우, 문근영, 가수 아이비 등 유명인 66명이 가상의 주식투자 사이트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하였다.[5] 2007년 배우 전지현, 정우성, 조인성, 양진우, 지진희, 차태현, 김선아 및 그 소속사가 퍼블리시티권을 침해당했다며 <스크린엠앤비>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이 내려졌다.[1] 2009년 가수 서태지는 티셔츠 제작 업체가 2009년 7월부터 자신의 이미지를 무단 도용, 재가공하여 티셔츠를 제작하여 판매한 것에 대하여 '판매중지'와 '정중한 사과'를 요청하였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2009년 12월 1일 '퍼블리시티권' 침해로 3억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였다.[6] 대한민국의 재판례[편집] 퍼블리시티권을 부정한 하급심 재판례[편집]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이라는 새로운 권리 개념을 인정할 필요성은 수긍할 수 있으나, 성문법주의를 취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법률, 조약 등 실정법이나 확립된 관습법 등의 근거 없이 필요성이 있다는 사정만으로 물권과 유사한 독점·배타적 재산권인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기는 어렵다.[7] 대한민국에서도 근래에 이르러 연예, 스포츠 산업 및 광고 산업의 급격한 발달로 유명인의 성명이나 초상 등을 광고에 이용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른 분쟁이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으므로 이를 규율하기 위하여, 성명이나 초상, 서명 등이 갖는 재산적 가치를 독점적, 배타적으로 지배하는 권리인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이라는 새로운 권리 개념을 인정할 필요성은 충분히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민법 제185조는 “물권은 법률 또는 관습법에 의하는 외에는 임의로 창설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여 이른바 물권법정주의를 선언하고 있고, 물권법의 강행법규성은 이를 중핵으로 하고 있으므로, 법률(성문법과 관습법)이 인정하지 않는 새로운 종류의 물권을 창설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한다. 그런데 재산권으로서의 퍼블리시티권은 성문법과 관습법 어디에도 근거가 없다. 따라서 법률, 조약 등 실정법이나 확립된 관습법 등의 근거 없이 필요성이 있다는 사정만으로 물권과 유사한 독점배타적 재산권인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하기는 어렵고, 퍼블리시티권의 성립요건, 양도·상속성, 보호대상과 존속기간, 침해가 있는 경우의 구제수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법률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만 비로소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할 수 있다.[8] 퍼블리시티권을 인정한 하급심 재판례[편집] 우리 법에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대부분의 국가가 법령 또는 판례에 의하여 이를 인정하고 있는 점, 이러한 동일성을 침해하는 것은 민법상의 불법행위에 해당하는 점, 사회의 발달에 따라 이러한 권리를 보호할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점, 유명인이 스스로의 노력에 의하여 획득한 명성, 사회적인 평가, 지명도 등으로부터 생기는 독립한 경제적 이익 또는 가치는 그 자체로 보호할 가치가 충분한 점 등에 비추어 해석상 이를 독립적인 권리로 인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퍼블리시티권은 유명인 뿐 아니라 일정한 경우 일반인에게도 인정될 수 있으며, 그 대상은 성명, 사진, 초상, 기타 개인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경우 특정인을 연상시키는 물건 등에 널리 인정될 수 있고, 퍼블리시티권의 대상이 초상일 경우 초상권 중 재산권으로서의 초상권과 동일한 권리가 된다.[9] 퍼블리시티권은 현행법상의 제 권리 중 저작권과 가장 유사하다고 할 수 있고, 저작권법 제36조 제1항 본문은 저작재산권의 보호기간을 저자의 사망 후 50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유추적용하여 퍼블리시티권의 존속기한도 해당자의 사후 50년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9] 퍼블리시티권 침해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는 퍼블리시티권자의 승낙을 받아서 그의 성명을 사용할 경우에 지급하여야 할 대가 상당액이라고 할 것이고, 퍼블리시티권자가 자신의 성명에 관하여 사용계약을 체결하거나 사용료를 받은 적이 전혀 없는 경우라면 일응 그 업계에서 일반화되어 있는 사용료를 손해액 산정에서 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10] 미국의 판례[편집]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와 제1조의 표현의 자유는 연기자가 자신의 공연에서 나오는 상업적인 가치를 향유할 권리를 박탈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텔레비전 방송사는 인간 포탄 행위를 본인 허락 없이 몰래 촬영하여 전체를 방영한 것은 유명 스타의 초상권을 침해한 것으로 보았다[11]. 각주[편집] ↑ M.B. Nimmer, "The Right of Publicity.," Law and Comtempory Problems, Vol.19, 1954, p.204 ; 박종렬, 광고와 초상권에 관한 연구에서 재인용 ↑ 개그맨 주병진씨 `제임스딘'상표 손배소 승소. 연합뉴스. 1998년 12월 2일. ↑ 가 나 마태운. "연예인의 퍼블리시티권 보호돼야". 문화일보. 2003년 6월 17일. ↑ 정준하 "초상권침해 경험, 불법복제근절 나서겠다" Archived 2007년 9월 30일 - 웨이백 머신 - 스타뉴스 ↑ 배용준 등 연예인 66명, "인격권 침해" 소송 - SBS ↑ 한소영. 서태지 소속사, 의류업체 상대 3억 원 손배 소송. 데일리중앙. 2009년 12월 1일. ↑ 서울고법 2002. 4. 16. 선고 2000나42061 판결 ↑ 서울서부지방법원 2014. 7. 24. 선고 2013가합32048 판결 ↑ 가 나 2006.12.21. 선고 2006가합6780 판결 ↑ 서울중앙지법 2006.4.19. 선고 2005가합80450 판결 ↑ “Zacchini v. Scripps-Howard Broadcasting (1977)”.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8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초상권 외부 링크[편집] 2006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16)엔터테인먼트 박종렬,〈광고와 초상권에 관한 연구〉 IT키워드 퍼블리시티권 전자신문 2005-12-07 현장중계 국회 '퍼블리시티권' 토론회 아이뉴스24 2005-06-23 "'퍼블리시티권' 내용·범위 신중하게 결정해야" 연합뉴스 2005-06-23 "죽은 사람 퍼블리시티권 50년만 보호" 중앙일보 2007-02-02 박병채 변호사, 칼럼 - 초상권과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퍼블리시티권&oldid=24195883" 분류: 권리지식 재산법헌법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 초상사용권 또는 인격표지권은 사람이 그가 가진 성명, 초상이나 기타의 동일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이다. 상업적 이용의 요소를 핵심으로 하기 때문에 인격권과는 구별된다. 미국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을 순수한 재산권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퍼블리시티권 이라는 용어가 몇 년도에 처음 사용 됐나요? Assistant: 1953년 Human: 아래 베트남의_행정_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베트남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트남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트남의 행정 구역 1단계 중앙직할시 성 2단계 군 시 (타인포) 시사 현 3단계 방 시진 사 v • d • e • h 베트남의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3단계로 성(베트남어: Tỉnh/ 省, 제1급 행정구), 현(베트남어: huyện/ 縣, 제2급 행정구), 사(베트남어: xã/ 社, 제3급 행정구)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큰 단위로는 전국을 8개 지방으로 나눈 것도 있지만 편의상 행정 구역이며 정식 지방 행정 단위는 아니다. 2008년 8월 1일 하떠이성이 하노이에 편입됨으로써 59개 성(tỉnh)이 58개로 줄었다. 목차 1 행정구분 1.1 제1급 행정구 1.2 제2급 행정구 1.3 제3급 행정구 1.4 도시 등급 2 단위 2.1 성 2.1.1 후옌(베트남어: huyện/ 縣) 2.2 싸(베트남어: xã/ 社) 3 지방 4 성 푸토 5 중앙직할시 5.1 하노이 5.2 호찌민 시 5.3 하이퐁 5.4 껀터 5.5 다낭 6 각주 행정구분[편집] 베트남의 행정 단위는 아래로 총 3단계가 존재한다. 대한민국의 단위로 치환하면 아래와 같이 바꿔볼 수 있다. 성(띤, 省) = 도(道) 중앙직할시 = 광역시 시사(市社), 성시(省市) = 시 군(郡) = 구(區) 현(縣) = 군(郡) 방(坊) = 동(洞) 시진(市鎭) = 읍(邑) 사(社) = 면(面) 이것을 도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행정 계층 단계 1단계 (성급) 2단계 (군급) 3단계 (사급) 구분 중앙직할시 군(Quận, 郡) 방(Phường, 坊) 시사(Thị xã, 市社) 방(Phường) 사(Xã, 社) 현(Huyện, 縣) 시진(Thị trấn, 市鎭) 사(Xã) 성(Tỉnh, 省) 성시(Thành phố, 市, 성도) 방(Phường) 사(Xã) 시사(Thị xã) 방(Phường) 사(Xã) 현(Huyện) 시진(Thị trấn) 사(Xã) 제1급 행정구[편집] 성(tỉnh,省) - 58개 중앙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 城舗直屬中央, 또는 thành phố ,城舗) - 5개 제2급 행정구[편집] 1급 2급 행정구 설명 성 타인포(thành phố, 城舗) 후옌(huyện, 縣) 티싸(thị xã, 市社) 성도 또는 성시우리나라의 군(郡)과 같은 개념우리나라의 시(市)과 같은 개념 중앙직할시 꾸언 (quận, 郡) 후옌(huyện, 縣) 티싸 (thị xã, 市社) 우리나라의 구(區)와 같은 개념 우리나라의 군(郡)과 같은 개념 우리나라의 시(市)과 같은 개념 제3급 행정구[편집] 후옌(縣) 티쩐(thị trấn, 市鎭) - 우리나라의 읍(邑)과 같은 개념 싸(xã, 社) - 우리나라의 마을과 같은 개념 티싸(市社), 성직할시 프엉 (phường, 坊) - 우리나라의 동(洞)과 같은 개념 싸 (xã, 社) 도시 등급[편집] 행정 수준과는 별도로 중앙직할시 · 성 직할시는 4등급으로 분류한다. 하노이와 호찌민시는 특별시(Đô thị loại đặc biệt)이며, 그 다음 제1급 도시(Đô thị loại I), 제2급 도시(Đô thị loại II), 제3급 도시(Đô thị loại III)로 분류한다. 단위[편집] 베트남의 행정 구역 (1992) 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베트남의 성입니다. 띤(베트남어: Tỉnh/ 省)은 58개가 있으며, 같은 레벨의 〈중앙직할시〉(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는 5개가 있다. 후옌(베트남어: huyện/ 縣)[편집] 성 아래에 성 직할시, 즉 〈성도〉의 개념인 〈타인포〉(thành phố), 현(huyện, 縣), 시사(thị xã, 市社)가 있고, 〈중앙직할시〉 아래에는 〈군〉(郡, 베트남어: quận/ 郡), 〈현〉(縣), 〈시〉(市)가 있다. 성 (베트남어: tỉnh/ 省 ❲Province❳) 성도 - 타인포 (베트남어: thành phố ❲Capital City❳) 현 (베트남어: huyện/ 縣 ❲District❳) 시사 (베트남어: thị xã/ 市社 ❲Town❳) 중앙직할시 군(郡, 베트남어: quận/ 郡) - 대한민국의 구(區)와 같은 개념이다. 시(베트남어: thị/ 市) 현(베트남어: huyện/ 縣) - 대한민국의 군(郡)과 같은 개념이다. 싸(베트남어: xã/ 社)[편집] 현 아래 〈시진〉(베트남어: thị trấn/ 市鎭 ❲town❳) 단위, 〈싸〉(xã, 社), 〈시〉 및 〈직할시〉 아래에는 〈방〉(베트남어: phường/ 坊)과 〈싸〉(社)가 있다. 군(베트남어: quận/ 郡) 아래의 단위는 〈방〉 (phường, 坊)밖에 없다. 현 (베트남어: huyện/ 縣) 시진 (베트남어: thị trấn/ 市鎭) 사 (베트남어: xã/ 社) 시 방 싸 군(베트남어: quận/ 郡) 방 (베트남어: phường/ 坊 ❲프엉❳) 지방[편집] 베트남 정부는 가끔씩 지방을 8개의 지역으로 구분 짓는다. 이러한 지방 구분은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분류로 가능하다. 베트남의 지방을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1] 서북 - 6성 : 라오까이, 라이쩌우, 디엔비엔, 선라, 호아빈, 옌바이 동북 - 9성 : 하장, 까오방, 박깐, 랑선, 뚜옌꽝, 타이응우옌, 푸토, 박장, 꽝닌 홍강 삼각주 - 10성 : 타이빈, 남딘, 닌빈, 하남, 하노이, 빈푹, 박닌, 흥옌, 하이즈엉, 하이퐁 북중부 - 6성 : 타인호아, 응에안, 하띤, 꽝빈, 꽝찌, 트어티엔후에 남중부 - 8성 : 다낭, 꽝남, 꽝응아이, 빈딘, 푸옌, 카인호아, 닌투언, 빈투언 중부 고원 - 5성 : 꼰뚬, 잘라이, 닥락, 닥농, 럼동 동남부 - 6성 : 빈푹, 빈즈엉, 동나이, 떠이닌, 바리어붕따우, 호찌민 메콩강 삼각주 - 13성 : 롱안, 띠엔장, 벤째, 빈롱, 짜빈, 동탑, 허우장, 속짱, 안장, 끼엔장, 박리에우, 까마우, 껀터 성 푸토[편집] 베트남의 성, 베트남의 성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베트남의 행정 구역 직할시 및 성의 이름 및 인구, 면적 중앙직할시 5개, 성 58개 직지이름 베트남어 표기 성도 인구 면적 지방 까마우성 베트남어: Cà Mau/ 歌毛 까마우 1,158,000 5,192km2 메콩강삼각주 까오방성 베트남어: Cao Bằng/ 高平 까오방 501,800 6,691km2 동북 껀터 (직할시) 베트남어: Cần Thơ/ 芹苴 껀터 1,112,000 1,390km2 메콩강삼각주 꼰뚬성 베트남어: Kon Tum/ 崑嵩 꼰뚬 330,700 9,615km2 중부고원 꽝남성 베트남어: Quảng Nam/ 廣南 광남 땀끼 1,402,700 10,408km2 남중부 꽝닌성 베트남어: Quảng Ninh/ 廣寧 광영 할롱 1,029,900 5,899km2 동북 꽝빈성 베트남어: Quảng Bình/ 廣平 광평 동허이 812,600 8,025km2 북중부 꽝응아이성 베트남어: Quảng Ngãi/ 廣義 꽝응아이 1,206,400 5,135km2 남중부 꽝찌성 베트남어: Quảng Trị/ 廣治 동하 588,600 4,746km2 북중부 끼엔장성 베트남어: Kiên Giang/ 堅江 락자 1,542,800 6,269km2 메콩강삼각주 남딘성 베트남어: Nam Định/ 南定 남딘 1,916,400 1,637km2 홍강삼각주 닌빈성 베트남어: Ninh Bình/ 寧平 영평 닌빈 891,800 1,382km2 홍강삼각주 닌투언성 베트남어: Ninh Thuận/ 寧順 판랑탑짬 531,700 3,360km2 남중부 다낭 (직할시) 베트남어: Đà Nẵng/ 沱㶞 다낭 715,000 1,256km2 남중부 닥농성 베트남어: Dak Nông/ 得農 자응이어 363,000 6,514km2 중부고원 닥락성 베트남어: Đắk Lắk/ 得樂 부온마투옷 1,667,000 13,062km2 중부고원 동나이성 베트남어: Đồng Nai/ 同狔 동내 비엔호아 2,067,200 5,895km2 동남부 동탑성 베트남어: Đồng Tháp/ 同塔 까올라인 1,592,600 3,238km2 메콩강삼각주 디엔비엔성 베트남어: Điện Biên/ 奠邊 디엔비엔푸 440,300 8,544km2 서북 떠이닌성 베트남어: Tây Ninh/ 西寧 서영 떠이닌 989,800 4,028km2 동남부 뚜옌꽝성 베트남어: Tuyên Quang/ 宣光 선광 뚜옌꽝 692,500 5,868km2 동북 띠엔장성 베트남어: Tiền Giang/ 前江 전강 미토 1,635,700 2,367km2 메콩강삼각주 라오까이성 베트남어: Lào Cai/ 老街 라오까이 616,500 8,057km2 서북 라이쩌우성 베트남어: Lai Châu/ 萊州 내주 라이쩌우 227,600 7,365km2 서북 랑선성 베트남어: Lạng Sơn/ 諒山 랑선 715,300 8,305km2 동북 럼동성 베트남어: Lâm Đồng/ 林同 림동 달랏 1,049,900 9,765km2 중부고원 롱안성 베트남어: Long An/ 隆安 용안 떤안 1,384,000 4,492km2 메콩강삼각주 바리어붕따우성 베트남어: Bà Rịa-Vũng Tàu/ 婆地-淎艚 바리어 839,000 1,975km2 동남부 박깐성 베트남어: Bắc Kạn/ 北𣴓 박깐 283,000 4,795km2 동북 박닌성 베트남어: Bắc Ninh/ 北寧 북영 박닌 957,700 804km2 홍강삼각주 박리에우성 베트남어: Bạc Liêu/ 北遼 박리에우 756,800 2,521km2 메콩강삼각주 박장성 베트남어: Bắc Giang/ 北江 북강 박장 1,522,000 3,822km2 동북 벤째성 베트남어: Bến Tre/ 𤅶椥 벤째 1,308,200 2,287km2 메콩강삼각주 빈딘성 베트남어: Bình Định/ 平定 꾸이년 1,481,000 6,076km2 남중부 빈롱성 베트남어: Vĩnh Long/ 永隆 영용 빈롱 1,023,400 1,475km2 메콩강삼각주 빈즈엉성 베트남어: Bình Dương/ 平陽 평양 투저우못 768,100 2,696km2 동남부 빈투언성 베트남어: Bình Thuận/ 平順 판티엣 1,079,700 7,828km2 남중부 빈푹성 베트남어: Vĩnh Phúc/ 永福 영북 빈옌 1,115,700 1,371km2 홍강삼각주 빈프억성 베트남어: Bình Phước/ 平福 동쏘아이 708,100 6,856km2 동남부 선라성 베트남어: Sơn La/ 山羅 산나 선라 922,200 14,055km2 서북 속짱성 베트남어: Sóc Trăng/ 朔莊 속짱 1,213,400 3,223km2 메콩강삼각주 안장성 베트남어: An Giang/ 安江 안강 롱쑤옌 2,099,400 3,406km2 메콩강삼각주 옌바이성 베트남어: Yên Bái/ 安沛 옌바이 699,900 6,883km2 응에안성 베트남어: Nghệ An/ 乂安 빈 2,913,600 16,487km2 북중부 잘라이성 베트남어: Gia Lai/ 嘉萊 가내 쁠래이꾸 1,048,000 15,496km2 중부고원 짜빈성 베트남어: Trà Vinh/ 茶榮 짜빈 989,000 2,226km2 메콩강삼각주 카인호아성 베트남어: Khánh Hòa/ 慶和 경화 냐짱 1,066,300 5,197km2 남중부 타이빈성 베트남어: Thái Bình/ 太平 태평 타이빈 1,814,700 1,542km2 홍강삼각주 타이응우옌성 베트남어: Thái Nguyên/ 太原 태원 타이응우옌 1,046,000 3,563km2 동북 타인호아성 베트남어: Thanh Hoá/ 淸化 청화 타인호아 3,509,600 11,106km2 북중부 투아티엔후에성 베트남어: Thừa Thiên-Huế/ 承天-化 후에 1,078,900 5,009km2 북중부 푸옌성 베트남어: Phú Yên/ 富安 복안 뚜이호아 811,400 5,045km2 남중부 푸토성 베트남어: Phú Thọ/ 富壽 부수 비엣찌 1,288,400 3,519km2 동북 하남성 베트남어: Hà Nam/ 河南 하남 풀리 800,400 849km2 홍강삼각주 하노이(수도) 베트남어: Hà Nội/ 河內 하내 하노이 6,448,837 3,119km2 홍강삼각주 하띤성 베트남어: Hà Tĩnh/ 河靜 하정 하띤 1,284,900 6,056km2 북중부 허우장성 베트남어: Hậu Giang/ 後江 후강 비타인 766,000 1,608km2 메콩강삼각주 하이즈엉성 베트남어: Hải Dương/ 海陽 해양 하이즈엉 1,670,800 1,648km2 홍강삼각주 하이퐁 (직할시) 베트남어: Hải Phòng/ 海防 하이퐁 1,711,100 1,503km2 홍강삼각주 하장성 베트남어: Hà Giang/ 河江 하강 하장 625,700 7,884km2 동북 호아빈성 베트남어: Hoà Bình/ 和平 화평 호아빈 774,100 4,663km2 서북 호찌민 (직할시) 베트남어: Hồ Chí Minh City/ 城舖胡志明 호찌민 5,378,100 2,095km2 동남부 흥옌성 베트남어: Hưng Yên/ 興安 흥안 흥옌 1,091,000 928km2 홍강삼각주 중앙직할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중앙직할시입니다. 하노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하노이입니다. 하노이는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의 수도로, 홍강 삼각주에 있다. 인구는 3,083,800명이다 (2004년).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베트남 역대 왕조는 이곳에 수도를 두었고, 프랑스도 식민지 기간에는 이곳에 통킹 지방의 행정청을 두었다. 1945년부터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수도가 되었고, 1976년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되었다. 호찌민 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호찌민 시입니다. 호찌민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메콩강 하구 삼각주에 자리하고 있다.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다. ‘사이공’이란 이름으로 프랑스 식민지인 코친차이나와 그 후의 독립국인 남베트남(1954년~1976년)의 수도이기도 했다. 1975년에 사이공은 ‘호찌민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여전히 “사이공”이 많이 쓰인다.) 시 중심부는 사이공강의 강둑에 놓여 있고, 남중국해로부터 6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하이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하이퐁입니다. 하이퐁은 베트남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하노이로부터 약 100km 떨어져 있으며, 하이퐁은 베트남 북부 지역의 주요 항구도시이기도 하다. 껀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껀터입니다. 껀터는 인구 1,121,000(2004년)을 가진 베트남 남부의 메콩강 삼각주 최대의 도시로 중앙직할시이다. 껀터는 메콩강 최대의 지류인 하우 강의 남안에 있으며, 베트남 최대의 도시인 호찌민시에서 서쪽으로 약 160km에 위치한다. 껀터는 열대 몬순 기후대에 속하며, 우기와 건기를 가진다. 우기는 5월부터 11월이며, 건기는 12월부터 4월이다. 연간 평균 습도는 83%, 연간 평균 강수량은 1,635mm, 연간 평균 기온은 섭씨 27도이다. 껀터시에 인접한 성으로는 안장성, 허우장성, 끼엔장성, 빈롱성 및 동탑성이 있다. 다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다낭입니다. 다낭은 베트남 남중부 지방의 최대 상업 및 항구도시이자 베트남의 다섯 개의 직할시 중 하나이고,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낭은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다낭의 역사는 약 300년 정도 거슬러 올라간다. 베트남의 문화가 존재한 4천 년에 비하면 비교적 신생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고대에는 참족의 중요 거점으로 번영을 누렸고 1847년 장바티스트 세실 장군이 파견한 프랑스 배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의 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다낭을 폭격하였다. 1858년 8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군대가 상륙하여 이 지역을 식민지로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다낭은 투란(프랑스어: Tourane)이라고 불렸다. 다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5대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다낭은 남베트남군과 미군의 주요한 공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그때부터 다낭의 인구는 1백만 명이 넘게 증가하였다. 1968년 후에 전투의 여파로 후에에서 많은 사람이 다낭으로 피신하였다. 1997년 이전에 다낭은 꽝남-다낭 성의 일부였다가, 1997년 1월 1일 베트남의 네 번째 직할시가 되면서 꽝남성과 분리되었다. 각주[편집] ↑ 베트남어: Tây떠이/ 西 서, 베트남어: Đông동/ 東 동, 베트남어: Nam남/ 南 남, 베트남어: Bắc박/ 北 북, 베트남어: Trung쯩/ 中, 베트남어: Bộ보/ 部 부 vdeh 베트남의 행정 구역지방 남중부 동남부 동북부 메콩강 삼각주 북중부 서북부 중부 고원 홍강 삼각주 중앙직할시 껀터 다낭 하노이 하이퐁 호찌민 성 까마우 까오방 꼰뚬 꽝남 꽝닌 꽝빈 꽝응아이 꽝찌 끼엔장 남딘 닌빈 닌투언 닥농 닥락 동나이 동탑 디엔비엔 떠이닌 뚜옌꽝 띠엔장 라오까이 라이쩌우 랑선 럼동 롱안 바리어붕따우 박깐 박닌 박리에우 박장 벤째 빈딘 빈롱 빈즈엉 빈투언 빈푹 빈프억 선라 속짱 안장 옌바이 응에안 잘라이 짜빈 카인호아 타이빈 타이응우옌 타인호아 트어티엔후에 푸옌 푸토 하남 하띤 허우장 하이즈엉 하장 호아빈 흥옌 vdeh아시아의 행정 구역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1 라오스 러시아1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2 아제르바이잔1 아프가니스탄 예멘1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1 인도 인도네시아1 일본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1 중화민국 (타이완)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카자흐스탄1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1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1 여러 대륙에 걸친 나라 2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됨.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베트남의_행정_구역&oldid=24438210" 분류: 베트남의 행정 구역숨은 분류: 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NorskKapampang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3단계로 성(베트남어: Tỉnh / 省, 제1급 행정구), 현(베트남어: huyện / 縣, 제2급 행정구), 사(베트남어: xã / 社, 제3급 행정구)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큰 단위로는 전국을 8개 지방으로 나눈 것도 있지만 편의상 행정 구역이며 정식 지방 행정 단위는 아니다. 2008년 8월 1일 하떠이성이 하노이에 편입됨으로써 59개 성(tỉnh)이 58개로 줄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베트남 다낭의 역사는 어떻게 돼? Assistant: 다낭은 베트남 남중부 지방의 최대 상업 및 항구도시이자 베트남의 다섯 개의 직할시 중 하나이고,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이다. 다낭은 남중국해와 맞닿아 있다. 다낭의 역사는 약 300년 정도 거슬러 올라간다. 베트남의 문화가 존재한 4천 년에 비하면 비교적 신생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고대에는 참족의 중요 거점으로 번영을 누렸고 1847년 장바티스트 세실 장군이 파견한 프랑스 배가 로마 가톨릭 선교사의 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다낭을 폭격하였다. 1858년 8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프랑스 군대가 상륙하여 이 지역을 식민지로 지배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다낭은 투란(프랑스어: Tourane)이라고 불렸다. 다낭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5대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다낭은 남베트남군과 미군의 주요한 공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그때부터 다낭의 인구는 1백만 명이 넘게 증가하였다. 1968년 후에 전투의 여파로 후에에서 많은 사람이 다낭으로 피신하였다. 1997년 이전에 다낭은 꽝남-다낭 성의 일부였다가, 1997년 1월 1일 베트남의 네 번째 직할시가 되면서 꽝남성과 분리되었다.
Human: 아래 제3차_마케도니아_전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마케도니아 전쟁의 일부아이밀리우스(오른쪽)에게 항복하는 페르세우스(가운데)날짜기원전 171년-기원전 168년장소피드나 등결과 로마 공화정의 승리교전국 로마공화정 마케도니아 왕국지휘관 리키니우스 크라수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에메네스 2세 (페르가몬) 페르세우스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이탈리아어: Terza guerra macedonica)은 로마 공화정과 마케도니아 왕국(안티고노스 왕조) 사이에 벌어진 마케도니아 전쟁 중 세번 째에 해당하는 전쟁이며, 기원전 171년부터 기원전 168년까지 진행되었다. 최종 결전이 된 피드나 전투(기원전 168년)에서 로마군은 마케도니아 군에 대승을 거두었고, 안티고노스 왕조는 몰락했다. 이 전쟁은 또한 로마 공화정에 의한 헬레니즘 제국 정복의 단초가 되었다. 목차 1 개전 2 기원전 171~169년 3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4 피드나 전투 5 전후 6 각주 개전[편집] 로마 공화정은 일리리아와 두 차례 걸친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며, 아드리아 해와 그리스에 영향력을 더하고 있었다. 기원전 229년 마케도니아 국왕에 즉위한 필리포스 5세는 자신의 세력권에 서서히 침투하고 있는 로마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었다. 카르타고와 로마 사이에서 제2차 포에니 전쟁이 발발한 기회를 포착하여 필리포스는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고, 아드리아 해와 그리스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을 없애고자 했다. 한니발이 〈자마 전투〉에서 로마에 패배하면서 카르타고가 항복한 후에도 로마와 싸웠지만 〈키노스케팔라이 전투〉에서 완패하면서 평화조약을 맺었다. 이후 로마의 동맹국이 되어 로마-시리아 전쟁에서 로마를 지원하는 등 친 로마 정책으로 돌아섰다. 기원전 179년에 필리포스가 사망한 후 페르세우스가 마케도니아 왕으로 즉위했다. 페르세우스는 필리포스 시대까지 이어졌던 로마를 자극하지 않는 친 로마 노선을 수정했다. 우선 트라키아를 대비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력 증강을 도모했지만, 이 움직임은 그리스와 주변 국가에 위협을 주었다. 동쪽으로 세력 확대를 꾀하던 로마는 마케도니아의 세력이 부활하여 그리스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막고자 했다. 그리하여 페르가몬 왕국의 지원 요청을 받아 기원전 171년에 마케도니아에 선전포고를 하고 발칸 반도를 침공했다. 기원전 171~169년[편집] 중립을 선언한 비티니아를 제외하고 셀레우코스 왕조와 아카이아 동맹 등 주변국 대부분이 로마의 우방이 되었다. 로마는 그해의 집정관 중 한 명인 푸블리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Publius Licinius Crassus)가 군대를 이끌고 페르세우스와 싸웠지만 〈칼리니쿠스 전투〉(Battle of Callinicus)에서 패배를 당하며 3,000명 이상의 병사를 잃었다 (전사 2,500명, 포로 600명) 페르세우스는 로마에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자 했지만 로마는 이를 거부했다. 기원전 170년, 집정관 아우루스 호스틸리우스 만키누스(Aulus Hostilius Mancinus)가 마케도니아를 침공하였지만, 페르세우스 군은 다시 이들을 격퇴하였다. 로마 측은 마케도니아 대한 공격에 손을 놓았고 마케도니아 침공은 실패로 끝났다. 기원전 169년, 페르세우스가 이끄는 마케도니아 군은 로마의 집정관 퀸투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Quintus Marcius Philippus)가 이끄는 로마군을 템피 근교에서 포위했지만 완전한 승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 시점에서 마케도니아는 거듭된 로마의 개입을 물리치고, 디온 등의 종교 도시를 포함한 요충지를 장악하여 그리스에 침투하는데 성공했다. 페르세우스는 같은 헬레니즘 왕조인 셀레우코스 왕조와 페르가몬 왕국에 마케도니아에 협력하도록 요청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단, 일리리아 왕 겐티우스의 지지를 얻는 데는 성공했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편집] 양군의 진군도     마케도니아군     로마군 기원전 168년, 로마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동생에 해당하는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케도니쿠스(Lucius Aemilius Paullus Macedonicus)를 집정관으로 선출했다. 아이밀리우스는 즉시 군대를 이끌고 두 방면으로 작전을 개시한다. 아이밀리우스는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럼(Publius Cornelius Scipio Nasica Corculum, 이하 코르쿨럼)을 부대장으로 하는 소대(보병 8,200명, 기병 120기)를 파견했다. 코르쿨럼은 아드리아 해안을 따라 야간진군을 해 마케도니아 서부에 진입한 후 북동부의 피티온으로 이동하여 마케도니아를 배후에서 습격하고자 했다. 그러나 로마의 탈영병에 의해 이 움직임은 사전에 감지되었고, 페르세우스는 12,000명의 별동대를 보내 코르쿨럼 군을 요격하도록 했다. 그리고 페르세우스 자신은 피드나 근교의 평원 남쪽에 있는 카테리니 근처에 진을 세웠다.[1] 그러나 아이밀리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부룬디시움(현재의 브린디시)을 통해 그리스 본토에 상륙했다. 마케도니아를 목표로 발칸 반도를 북상하다가 중간에 마케도니아 군을 물리치고 로마 본군으로 향하던 나시카 코르쿨럼이 이끄는 별동대를 합류시켰다. 로마군은 카테리니에 진을 치고 있는 마케도니아 군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로마군은 올로크루스(Olocrus) 산의 서쪽에 진을 치고 있었다.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월식이 있었다. 아이밀리우스는 로마 병사들에게 당일 월식이 있을 거라는 사실을 사전에 알렸기 때문에 로마군들은 동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군은 월식이 왕국의 종말을 알리는 징조로 여겼고 사기가 떨어졌다.[2] 피드나 전투[편집] 피드나 전투의 포진도     마케도니아군     로마군 기원전 168년 6월 22일 오후, 후에 〈피드나 전투〉라고 불리는 전투가 시작되었다. 전투가 어떤 계기로 시작되었는 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마케도니아에 편 싸우고 있었던 트라키아 병사들이 로마군의 도발에 넘어갔다는 말이 있다. 양군은 병력 차이가 크게 났다. 로마군은 2개의 군단으로 구성된 29,000명(보병 24,500명, 기병 4,500기)였다. 기병의 병력은 거의 대등했지만, 마케도니아 군은 팔랑크스 21,000명을 포함한 약 44,000명의 대군이었다. 로마군은 2개 군단을 중앙에 배치하고, 측면에는 라틴인, 이탈리아인이나 그리스인 등의 보조군을, 최우익에 전투 코끼리 22마리와 기병 부대를 배치했다. 마케도니아군은 팔랑크스 부대를 중앙에 두고, 마케도니아 근위부대 3,000명, 좌익에 경장 보병부대나 각국의 용병부대와 동맹국의 트라키아 보병을 팔랑크스의 양 측면에 배치했다. 페르세우스 자신이 이끄는 신성부대(Sacred Squadron)는 마케도니아 기병부대와 트라키아의 오드뤼사이 기병대와 함께 최우익에 배치했다. 양군의 격돌은 15시경에 이뤄졌으며, 우선 마케도니아 군의 팔랑크스가 로마군 진지를 향해 서서히 거리를 좁혀 들어갔다. 아이밀리우스는 팔랑크스의 전진에 따라 각 부대에 최소한의 응전만 하면서 후퇴하도록 신호를 보냈고, 첫 단계는 로마군이 마케도니아 군에게 완패한 것처럼 후퇴했다. 이어 팔랑크스는 로마군 진지가 있는 오르쿨루스 산록까지 전진했지만, 이 단계에서 밀집 대형이 기본인 팔랑크스는 밀집 대형이 무너진 상태였다. 아이밀리우스는 단창(필럼)을 투척한 후 로마군단에 밀집 상태가 무너져 빈틈이 생긴 팔랑크스의 틈새를 노리고 측면 공격을 지시했다. 로마군이 가진 장검이나 중장비는 팔랑크스가 가진 단검이나 경갑을 쉽게 깨뜨렸고 팔랑크스는 붕괴되기 시작했다. 팔랑크스의 붕괴를 보고 승패가 결정되었음을 깨달은 페르세우스는 아직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던 신성 부대와 기병부대와 함께 도망을 갔다. 페르세우스와 기병대가 전장에서 떨어진 후에도 마케도니아 보병부대와 팔랑크스는 로마군과 싸웠지만 3,000명의 근위부대를 포함한 25,000명의 군인이 사상자를 내었고, 로마 측은 1,000명 정도의 사상자를 기록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실질적인 전투는 1시간 정도였지만, 해가 질 때까지 마케도니아 군의 소탕전이 진행되었다. 또한 이 전투는 아이밀리우스의 아들로 스키피오 가문의 양자가 되었던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참전했다고 전해진다. 전후[편집] 페르세우스는 왕도 펠라까지 달아났지만, 주민들은 페르세우스를 입성시키지 않고 내쫓았다. 페르세우스는 사모트라키 섬까지 도망갔지만, 결국 아이밀리우스에게 항복하게 된다. 기원전 167년, 아이밀리우스의 로마 개선식에서, 페르세우스는 수갑과 족쇄가 채워진 채 로마를 끌려다녔다. 페르세우스는 개선식이 끝나고 투옥되었다가 아이밀리우스의 지원을 받아 얼마 지나지 않아 풀려났으며, 알바에서 여생을 보냈다 전해지고 있다. 마케도니아 왕국에 가담한 도시는 약탈당하고, 주민들은 노예가 되었다. 또한 중립을 지키며 마케도니아를 지원하지 않았던 이피로스도 공격하여 시민 약 150,000을 노예로 끌고 갔다. 이 전쟁으로 안티고노스 왕조가 지배하는 마케도니아 왕국은 소멸하였고, 4개의 자치령으로 해체되었다. 안티고노스 왕조가 소멸하고, 20년 후인 기원전 148년 마케도니아에서 반란(제4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일어나 진압을 했다. 이것을 계기로, 기원전 146년에 4개의 자치령도 폐지하고, 로마의 속주(마케도니아 속주)로 편입했다. 피드나 전투는 알렉산더 3세로부터 뿌리를 가진 팔랑크스를 로마군이 유연한 전술을 물리친 승리로 간주되고 있지만, 페르세우스의 전술 실패와 로마군과의 교전을 회피한 마케도니아 기병대의 유약한 자세에 기인된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피드나 전투에서 로마군의 보병부대가 정면에서 팔랑크스를 격파했다고 입증된 것은 분명하다. 각주[편집]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아이밀리우스 폴러스 16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아이밀리우스 폴러스 1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마케도니아_전쟁&oldid=24043232" 분류: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로마 공화정의 전쟁안티고노스 왕조의 전쟁로마 공화정기원전 2세기 분쟁마케도니아 전쟁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6: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이탈리아어: Terza guerra macedonica)은 로마 공화정과 마케도니아 왕국(안티고노스 왕조) 사이에 벌어진 마케도니아 전쟁 중 세번 째에 해당하는 전쟁이며, 기원전 171년부터 기원전 168년까지 진행되었다. 최종 결전이 된 피드나 전투(기원전 168년)에서 로마군은 마케도니아 군에 대승을 거두었고, 안티고노스 왕조는 몰락했다. 이 전쟁은 또한 로마 공화정에 의한 헬레니즘 제국 정복의 단초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는 무엇을 했을까? Assistant: 기원전 168년, 로마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동생에 해당하는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마케도니쿠스(Lucius Aemilius Paullus Macedonicus)를 집정관으로 선출했다. 아이밀리우스는 즉시 군대를 이끌고 두 방면으로 작전을 개시한다. 아이밀리우스는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럼(Publius Cornelius Scipio Nasica Corculum, 이하 코르쿨럼)을 부대장으로 하는 소대(보병 8,200명, 기병 120기)를 파견했다. 코르쿨럼은 아드리아 해안을 따라 야간진군을 해 마케도니아 서부에 진입한 후 북동부의 피티온으로 이동하여 마케도니아를 배후에서 습격하고자 했다. 그러나 로마의 탈영병에 의해 이 움직임은 사전에 감지되었고, 페르세우스는 12,000명의 별동대를 보내 코르쿨럼 군을 요격하도록 했다. 그리고 페르세우스 자신은 피드나 근교의 평원 남쪽에 있는 카테리니 근처에 진을 세웠다.[1] 그러나 아이밀리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은 부룬디시움(현재의 브린디시)을 통해 그리스 본토에 상륙했다. 마케도니아를 목표로 발칸 반도를 북상하다가 중간에 마케도니아 군을 물리치고 로마 본군으로 향하던 나시카 코르쿨럼이 이끄는 별동대를 합류시켰다. 로마군은 카테리니에 진을 치고 있는 마케도니아 군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로마군은 올로크루스(Olocrus) 산의 서쪽에 진을 치고 있었다.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월식이 있었다. 아이밀리우스는 로마 병사들에게 당일 월식이 있을 거라는 사실을 사전에 알렸기 때문에 로마군들은 동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군은 월식이 왕국의 종말을 알리는 징조로 여겼고 사기가 떨어졌다.[2] Human: 아래 최남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남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남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남선崔南善 출생 1890년 4월 26일(1890-04-26)조선 한성부 사망 1957년 10월 10일 (67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필명 아명(兒名)은 창흥(昌興)자(字)는 공륙(公六)아호(雅號)는 육당(六堂) 직업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 친일파 언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국적 대한민국 소속 前 서울특별시 편찬위원회 고문 학력 와세다 대학교 지리역사학과 중퇴 활동기간 1908년 ~ 1957년 장르 시, 역사학 부모 최헌규(부), 진주 강씨 부인(모) 친지 최두선(아우) 배우자 연주 현씨 부인 종교 천주교 (세례명: 베드로)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다. 아명은 창흥(昌興), 자는 공륙(公六), 아호는 육당(六堂)이며,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한성부 출생이고 한때 강원도 철원과 경상남도 창원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대한제국의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을 갔으나 중퇴와 복학을 반복하다가 1907년 와세다 대학 재학 중 동맹 휴학 사건으로 퇴학당하고 귀국했다. 1907년 이광수와 함께 소년지를 창간했으나 한일 합방 후 일제의 압력으로 폐간당했고, 1912년 이광수의 도움으로 《붉은 저고리》, 1913년 《아이들 보이》, 《새별》등의 잡지을 발간하였으나 조선 총독부의 '신문지법' 명령으로 모두 강제 폐간되었다. 1914년에는 잡지 《청춘》을 발간했으나 1918년 일본의 압력으로 폐간당했다.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49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고, 기미독립선언서를 작성, 낭독하였다. 3.1 운동을 사주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투옥, 1921년에 석방되었다.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설립, 주간잡지 《동명(東明)》을 발행하였고 1924년 《시대일보 (時代日報)》를 창간, 사장에 취임했으나 자금과 총독부의 압력 등으로 폐간, 1925년 동아일보의 객원과 조선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지냈다. 1927년 총독부의 연구비와 생계 지원 유혹으로 조선사편수위원회에 참여하면서 친일 성향으로 전향하여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일 행적은 적극적인 친일이 아니라는 반론이 1950년대에 장준하 등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1] 1957년 10월 10일 뇌일혈로 별세한 그는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에 이광수,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1.1 출생과 소년기 1.1.2 잡지, 문필 활동 1.2 일제 강점기 활동 1.2.1 사회 및 문화 활동 1.2.2 언론 활동 1.2.3 친일 행적 1.2.3.1 친일 행적 옹호 1.2.4 광복 직전 1.3 생애 후반 1.3.1 광복 이후 활동 1.3.2 최후 2 사후 3 문학 4 학력 5 역사 연구 6 평가 7 작품 및 저서 7.1 시 7.2 저서 및 논문 7.3 회화 8 가족 관계 9 기타 10 최남선을 연기한 배우들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참고 자료 1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출생과 소년기[편집] 육당 최남선은 관상감 기사로 근무하면서 한약방을 경영했던 아버지 최헌규(崔獻圭)와 어머니 진주 강씨의 3남 3녀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대대로 명문이었고 아버지 최헌규는 하급 관리였으므로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하였다. 어려서는 한학을 배웠으며, 1901년 3살 연상의 부인 연주 현씨(玄氏)와 결혼했다. 스스로 독학으로 한글을 깨쳐 1901년(광무 5)부터 《황성신문》에 글을 투고하기도 했다. 1902년 경성학당에서 일본어를 배웠다. 1904년 10월 대한제국 황실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국비 유학생 신분으로 일본에 건너갔다.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으로 건너갈 때 국비 유학생 중 중학생반의 소년반장(少年班長)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그 해 11월 도쿄 부립제일중학교에 입학했으나 얼마못가 12월에 중퇴하고 배편으로 귀국했다. 1906년에 다시 일본 유학을 떠나 4월 와세다 대학(早稻田大學) 고등사범학부 지리역사과에 입학하지만, 역시 3개월간 다니다 동맹 휴학으로 제적당하다가 복학하였다. 이어 이광수 등 유학생과 사귀면서 러시아 문학 작품을 탐독하였다. 1906년 7월 유학생 회보인 《대한 흥학회보 (大韓興學會報)》편찬회를 맡아 편집인으로 활동했다. 《대한 흥학회보 (大韓興學會報)》의 편집 활동을 하면서 그는 회보에다 새로운 형식의 시(신체시)와 시조를 발표하였다. 잡지, 문필 활동[편집] 소년지 제1호 (1907년) 1907년 모의 국회 사건으로 반발하는 한국인 학생들의 총동맹 휴학을 주도하다가 와세다 대학에서 퇴학당하고 만다. 이후 이광수와 함께 소년회를 결성한다. 또한 유길준이 조직한 흥사단에도 가입하였다. 1907년 5월, 귀국한 뒤 한민족의 시대적 각성을 위한 신문화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인쇄 시설을 구입하여 1907년 11월 이광수 등과 함께 잡지 소년지를 창간한다. 소년지에서 그는 논설문과 새로운 형식의 자유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였고, 이광수는 계몽적인 소설을 실어 대중의 인기를 모았다. 최남선과 이광수가 발행한 잡지 《소년》지는 근대적 종합잡지의 대표적인 잡지이며 어린이, 소년을 대상으로 한 잡지 중 초기작의 하나이기도 하다. 후일 그가 소년 잡지를 창간한 11월 1일이 잡지의 날로 정해지기도 했다. 최남선은 인쇄시설을 추가로 구비하여 1908년 신문관(新文館)을 창설하였다. 처음 건물과 비용이 넉넉하지 않아 자택에 신문관을 설립하고 인쇄와 출판을 겸하였으며 후일 사세를 확장하여 경성 시내로 사무실을 옮겼다. 여기서 그는 《대한역사》, 《대한지지》 《외국지지》 등 중요한 책을 출판하였으며, 새 시대의 주인공을 위하여 1908년 최초의 종합 잡지인 《소년》을 발행하였다. 그는 이 잡지에 〈해에게서 소년에게〉라는 최초의 신체시를 발표하였으며, 1909년에는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청년 학우회'를 결성하였다. 1910년 3월에는 도산 안창호와 함께 청년학우회 평사원 겸 변론과장을 지내면서 청년학우회의 노래를 짓는 등 청소년 지도 운동에 앞장섰다. 같은 해 10월 그는 조선의 귀중한 옛 책들을 다시 간행하였으며, 민족 문화를 널리 퍼뜨리기 위한 국가적인 사업을 일으켜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설립해 조선고서를 한글로 번역, 발간하였고, 20여 종의 육전소설(六錢小說)을 발간했다. 한편 그는 조선광문회를 통해 조선어 사전 편찬 계획을 세우고 구상했었다. 조선어 사전 편찬 계획을 세우는 그 과정에서 당시 《동국통감》, 《열하일기》 등을 비롯한 20여 종의 고전이 간행되었다. 일제 강점기 활동[편집] 사회 및 문화 활동[편집] 경술국치 이후에도 잡지 창간을 계속해왔지만, 1911년에 조선총독부에 의해 《소년》이 폐간되었다. 이듬해 1912년 이광수의 도움으로 《붉은 저고리》, 1913년 《아이들 보이》, 《새별》등의 잡지을 발간하였으나 조선 총독부의 '신문지법' 명령으로 모두 강제폐간되었다. 1914년 몇몇 뜻있는 독지가들의 후원으로 다시 종합 계몽 잡지 《청춘 (靑春)》을 발간하여 새로운 지식의 보급과 민중 계몽을 위해 공헌했으나 이 역시 총독부에의해 1918년 강제폐간되었다. 1918년 《청춘》에 역사 연구 논문인 《계고차존》(稽古箚存) 발표하기도 했다. 그는 신문관에서 많은 책과 잡지를 발행하는 한편 한민족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조선광문회’를 1910년 설립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기미독립선언문〉을 기초하고 체포되어 2년 8개월형을 받아 복역한 뒤 1921년 10월 18일에 가출옥하였다. 그 뒤 변절하였다는 설이 있다. 가출옥 사유는 “청년들을 규합하는 데 대단히 좋은 영향이 있을 것”이었다. 총독부는 조선은행 총재 미노베(美濃部俊吉)에게 잡지 《동명》의 발행 자금을 지원토록 주선하였으며, 그 이유를 최남선의 출판물이 “조선의 사상계의 악화를 구하고, 또 진학문(秦學文)·이광수 등의 생계비 출처로 삼게 하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밝힌다. 가출옥 후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창립했다. 같은 해 9월 주간지 '동명'을 창간해 1923년 6월까지 발행했다. 1925년 조선의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는 '계명구락부'활동에 참여했고, 동시에 《동아일보》에 사설을 쓰는 한편, 1926년 옛 백제 영토 방문기 '심춘순례'를 근대 최초의 창작 시조집 '백팔번뇌'를 출간했다. 이어 〈단군론〉(1926년), 〈불함문화론〉(1928년)을 발표하였는데, 특히 〈불함문화론〉에서 그는 동방 문화의 근원지를 단군 신화의 무대인 백두산이라고 주장하였다. 언론 활동[편집]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설립, 주간잡지 《동명(東明)》을 발행하였고, 국사 연구에 전념하여 《조선역사통속강화》를 연재했다. 1924 《시대일보 (時代日報)》를 창간, 사장에 취임했으나 자금도 부족하였고, 신문의 반일적인 논조로 조선총독부의 압력을 받아 경영난에 처하자 곧 사임하였다. 1925년 동아일보의 객원과 조선일보 객원 논설위원이 되어 사설과 칼럼을 발표하였다. 1927년 계명구락부의 기관지 《계명》 제18호에 일연의 《삼국유사》 전체를 게재하게 하였다.[2] 같은 해 총독부가 집과 연구 비용을 지원한다고 회유하자 그해 조선사편찬위원회 촉탁을 거쳐 조선사편수회 위원이 되었다. 1932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가 되었다. 총독부의 조선사 편수회에 가담한 일로 이광수와 절교하고, 한용운과 홍명희 등도 연이어 그와 결별 선언을 했다. 한용운은 그의 나무 위패를 새기고 장례식을 거행하여 그를 조롱하려고 시도했다. 친일 행적[편집] 1920년대에 문화 운동 활동한 동시에 같은 해 1928년 10월 조선총독부 내에 식민사관 유포를 위해서 만든 어용단체인 ‘조선사 편수위원회’를 창립했을 때 편수 위원직을 맡았다. 1930년 8월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교수와 조선총독부·조선사편수회 간부들이 중심이 되어 조선과 만주를 중심으로 한 '극동문화연구'를 표방하며 조직한 청구학회의 평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37년 중추원 참의를 맡아 1938년 3월까지 재임하면서 매년 1200원의 수당을 받았다. 1937년 2월 9일부터 11일까지 3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조선문화의 당면과제'를 연재해 조선문화의 일본화야말로 당면한 문제 가운데 제일 중요한 것이라며 내선일체를 강조하는 사설을 기고했다. 이어 1937년 7월,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총독부 어용기관지 매일신보와 경성일보에 각종 친일논설을 게재했다. 1938년 《만몽일보사 (滿蒙日報社)》 고문과 일본 관동군이 만주에 세운 건국대학(建國大學)의 한국사, 한국학 교수직에 임명되어 교수로 부임해 1943년 2월까지 역임했다. 1940년에는 만주에서 활동하던 항일 무장 세력을 상대로 귀순 및 투항공작을 전개한 동남지구특별공작후원회(東南地區特別工作後援會) 고문으로 활동했다. 태평양전쟁 시기에는 매일신보를 비롯해 경성일보등에 학도병 권유 유세문을 기고했고, 각종 시국강연에 나서면서 활동했다. 친일 행적 옹호[편집] 장준하는 사상계지 1957년 12월호에 <육당 최남선 선생을 애도함>에서 그의 친일 협력이 본심은 아니라고 반박하였다. '한때 선생의 지조에 대한 세간의 오해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선생의 본의가 어디까지나 이 민족의 운명과 이 나라 문화의 소장에 있었음은 오늘날 이미 사실로서 밝혀진 바요, 항간에 떠도는 요동부녀(妖童浮女)들의 억설과는 전면 그 궤를 달리하는 것이다.[1]'라는 것이다. 그의 협력은 어쩔수 없는 것으로 '본의가 어디까지나 이 민족의 운명과 이 나라 문화의 소장에 있었음은 오늘날 이미 사실로서 밝혀진 바[1]'라는 것이며, 그가 악의를 품고 친일을 했다는 주장에 대해 장준하는 '요동부녀(妖童浮女)들의 억설'이라며 일축하였다. 이어 장준하는 '사람을 사赦하는 법이 없고 인재를 자기 눈동자와 같이 아낄 줄 모르고 사물을 널리 생각하지 못하는 옳지 못한 풍조 때문에 우리는 해방된 후에도 선생에게 영광을 돌린 일이 없고 그 노고를 치하한 일도 없었을 뿐 아니라 도리어 욕된 일이 적지 아니하였다. 이것은 실로 온 민족의 이름으로 부끄러워해야 할 일이다.[1]'라며 그를 친일파라고 비판하는 것을 비난 하였다. 광복 직전[편집] 1943년 귀국 직후, 재일조선인 유학생의 학병지원을 권고하는 강연을 하기 위하여 도쿄로 건너가 강연활동을 한 후 그해 중순 귀국하였다. 1943년 11월 다시 이광수와 함께 학병 독려의 목적으로 출국했다.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는 1943년 11월 24일 일본 도쿄 메이지 대학에서 조선인 전문·대학생들에게 학병에 지원하라는 강연을 했다.[3] 당시 도쿄에서 발행된 잡지 ‘조선화보’(1944년 1월호)에서 아동문학가 마해송의 사회로 진행된 육당과 춘원의 대담 내용이 기록되었다. 이 대담에서 춘원은 강연회에 대해 “일종의 극적 광경이라고나 할까. 황국을 위해 전장에 나가 죽자는 생각이 모두의 얼굴에 드러났더군요”라며 “그때의 압권은 최(남선) 선생님의 강연이 아니었을까요”라고 말했다. 육당은 “적어도 천오백 명은 모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며 “일찍이 없었다고 해도 좋을 정도지요”라고 화답했다.[3] 최남선은 “어떤 학자는 ‘(일본)무사도의 연원은 신라의 화랑이 그 토대였다’라는 것을 생각할 정도”라며 한일 양국 공통의 상무(尙武) 정신을 역설했고, 이에 이광수는 “저 ‘화랑’의 사상이란 오늘날 막 바로 부활시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며 동조했다.[3] 생애 후반[편집] 광복 이후 활동[편집]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경성부 우이동(牛耳洞)에 은거, 외부 출입을 삼가고 역사논문 집필에 전념하였다. 그해 9월 한민당의 영입 제의를 사양하였다. 그러나 광복 후 그는 '민족개량주의로 흘러가 친일파로 변절했다.'는 것 때문에 친일 반민족 행위자로 비난을 받았다. 1949년 1월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곧 바로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 투옥되었으나 병보석으로 출감하여 5월에 공판을 받았다. 수감 중에 그는 자신은 민족을 위해서, 나의 연구 성과를 지키기 위해서 협력하였다고 항변하였으며, 특별재판부에 참회의 뜻을 담은 '자열서'(自列書)를 제출했다. 그러나 그를 기소한 반민특위는 친일파 출신 정치인들이 친일 인사들을 정치적 목적에서 감싸면서 탄압받았고 1949년 2월 병보석 신청이 받아들여져 석방, 그의 친일행각은 사실상 처벌되지 않았다. 최후[편집]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해군전사편찬위원회'에서 일했다. 휴전 후 《서울시사(市史)》 편찬위원회 고문으로 재직하였고, 신문과 잡지에 한국의 역사 문화와 관련된 기고활동을 계속했다. 1957년 10월 10일 《한국역사대사전》을 편찬하던 도중 병으로 죽었다. 사후[편집] 그의 동생 최두선이 민주당에서 활동하였으므로 자유당에서는 최남선이 친일파라고 공격했다. 사후 장준하 등은 추도사를 통해 그가 자의에 의해 친일하지 않았다며 그를 '우리의가장 친근한 벗이요 경애하는 스승'이라며 그의 업적을 치하하였다. 장준하는 그가 죽자 장례식과 빈소를 방문하였고, 사상계지 1957년 12월호에 <육당 최남선 선생을 애도함>이라는 추도사를 실어 그의 업적과 공적을 추모하였다. 1973년 고려대학교 아시아 문제 연구소에서 《육당최남선전집》을 편찬, 1975년 15권으로 정리 발간되었다.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교육, 학술 분야에 수록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문학[편집] 최남선은 그는 평생 고전 정리와 주석에 관계된 것 등 다방면에 걸쳐서 국사와 고전 서적의 간행, 복원, 한글 번역 작업을 하였다. 한국 최초의 잡지 《소년》을 창간하고,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창작하는 등 개화기 신문화 운동의 선구자였다. 시조 부흥 운동을 지도하여 최초의 시조 시화집 《백팔번뇌》를 출판하기도 하는 등 신문화와 전통 문화의 과도기를 살았던 인물로서 한국의 신문화 운동에 남긴 업적은 매우 크게 평가되고 있다. 학력[편집] 경성학당 수료 일본 도쿄 제1중학교 중퇴 일본 와세다 대학교 지리역사학과 중퇴 역사 연구[편집] 단군을 건국 시조 개인이 아닌 제사장으로 파악하였고, 동북아시아의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를 이해하려 하였다. 1925년 일본어로 발표된 〈불함문화론〉은 한·일 문화동원론, 일선동조론을 위한 것으로 동이문화권에 발칸반도, 카스피해, 일본, 유구를 끌어들여 단군의 민족주의를 세계주의로 변질시키고 역사인식을 혼란시켰다는 지적이 있다.[4][5] 또한 최남선의 단군론은 1926년 3월 3일부터 1926년 7월 25일까지 일제 강점기에 『동아일보』에 연재된 글인데 특유의 논법에 의거한 ‘단군론’을 내세워 일본인 중심의 식민사관에 맞서기도 하였다.[6] 평가[편집] 장준하는 '그를 경애하는 스승이며 민족 사상 고취를 위해 노력했다'고 하였다.[1] 장준하는 '선생은 약관 18세에 이미 궤란을 기도에서 구하려는 큰 뜻을 품고 우선 민족의 명영을 영원히 부지하려는 원대한 의도 밑에 문화의 황무지를 개척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한 이래 종시일관하여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민족의 재흥을 위하여 발분망식하였다. 선생이 우리 역사학에 전심하여 마침내 사학의 태두로 일세의 숭앙을 받기까지에 이른 근본 연유도 실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1]'라며 그가 한국 역사학 연구에 끼친 공로를 높이 평가하였다. 장준하는 이어 '그뿐 아니라 선생은 상아탑의 일개 학구로 그치지 않고 실實에 즉하고 의義에 나아가 항상 민족사상의 고취에 힘썼고 3.1혁명에 가담하여 독립선언서를 기초하고 이어서 장시일의 옥고를 치른 후에도 한 길을 더듬어서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리하여 육당 선생은 이 민족이 가장 암담한 절망의 골짜기에 처해 있을 때에도 항상 우리와 더불어 있었고 우리의 가장 친근한 벗이요 경애하는 스승이었다. 그러 하여 민족의 생명은 싹을 부지하고 겨레는 위안을 받고 희망을 갖추어 광복에 이른 것은 만인이 다 아는 사실이다.[1]'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작품 및 저서[편집] 시[편집] 〈해에게서 소년에게> 시조집 《백팔번뇌》 저서 및 논문[편집] 〈단군론〉(檀君論) 〈불함문화론〉(不咸文化論), 《조선급조선민족(朝鮮及朝鮮民族)》, 1927년 《조선역사》 《삼국유사해제》 《조선유람기》 《고사통》 《조선 독립운동사》 회화[편집] 《근역강산맹호기상도》(槿域江山猛虎氣象圖), 1908년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최헌규 어머니 : 강씨 동생 : 최두선(崔斗善, 前 대한민국 국무총리) 부인 : 현씨 장남 : 최한웅(崔漢雄, 1918 ~ 2002 前 서울대 의대 교수) 기타[편집] 1944년 1월의 조선화보에서 육당의 계몽가요 ‘경부철도가’(1908)가 일어로 번역된 영국 시인 바이런의 ‘해적’을 일본의 신체시 형식으로 모방했다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3] 최남선을 연기한 배우들[편집] 박인환 - 《제1공화국》(1981년), MBC 드라마 박태호 - 《야인시대》(2003년), SBS 드라마 남명렬 - 《꿈》(2012년), 연극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장준하, 「육당 최남선 선생을 애도함」, 『사상계』 53호, 사상계사, 1957.12. ↑ 《도쿠가와가 사랑한 책》(스토리텔링 삼국유사 1) (현암사, 2009) 24~25쪽. ISBN 978-89-323-1536-2 “1927년, 계명구락부의 기관지 『계명』에다 일연(一然)의『삼국유사(三國遺事)』 를 실은 것이었다.” ↑ 가 나 다 라 “화랑 사상 지금 부활해도 좋을듯…” 조선일보 2007.03.03 ↑ 박광용, 「대단군 민족주의의 전개와 양면성」, 1992년. ↑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3월 1일). 〈최남선 : 반민특위 법정에 선 독립선언서 기초자 (박성수)〉. 《친일파 99인 2》.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2-4.  ↑ 「씨성으로 본 한일민족의 기원」, 단군론의 문헌검색, 김성호 저, 푸른숲(2000년, 43~51p) 같이 보기[편집] 민족대표 33인 삼일운동 단군론 안재홍 이광수 한용운 홍명희 방응모 조선일보 김동인 서춘 이갑성 장준하 조선사 편수회 참고 자료[편집] 최 남 선(崔南善,1890∼1957) 이영화, 「崔南善壇君論의 전개와 그 변화 - 檀君에서 壇君으로, 壇君에서 檀君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외부 링크[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최남선 「불함문화론」, 에듀넷-브리태니커 학습백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hwp) 최남선, 「만주 건국의 역사적 유래」, 1943 -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행적자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최남선, 「자열서(自列書)」, 194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류시현, 「최남선, 친일로의 자기 부정, 해방 후 변명으로 이중 부정」, 2005[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최남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최남선」, 《브리태니커 백과》 NHK 다큐멘터리 (1)[깨진 링크] NHK 다큐멘터리 (2)[깨진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9253949 LCCN: n82232677 ISNI: 0000 0000 8138 5686 SUDOC: 105983446 BNF: cb135944173 (데이터) NDL: 00316294 NKC: ola2002159074 CiNii: DA026054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남선&oldid=23926535" 분류: 1890년 태어남1957년 죽음일제 강점기의 역사가일제 강점기의 시인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일제 강점기의 출판인일제 강점기의 번역가일제 강점기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공작원일제 강점기의 전문학교 교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만주국 관련자대한민국의 시인대한민국의 언론인대한민국의 출판인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한민국의 한문학자민족대표 48인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와세다 대학 동문동주 최씨철원 최씨서울특별시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7일 (수) 2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남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며 근대 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있는 반면, 이광수와 함께 거론되는 변절한 친일파이다. 아명은 창흥(昌興), 자는 공륙(公六), 아호는 육당(六堂)이며, 본관은 동주. 한성부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강원도 철원을 거쳐 경상남도 창원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대한제국의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유학을 갔으나 중퇴와 복학을 되풀이하다가 1907년 와세다 대학 재학 중 동맹 휴학 사건으로 인하여 퇴학 처분되어 귀국했다. 1908년 이광수와 함께 소년지를 창간했으나 한일 합방 후 일제의 압력으로 폐간되었고, 1912년 이광수의 도움으로 《붉은 저고리》, 1913년 《아이들 보이》, 《새별》등의 잡지를 발간하였으나 조선 총독부의 '신문지법' 명령으로 모두 강제 폐간되었다. 1914년에는 잡지 《청춘》을 발간했으나 1918년 일본의 압력으로 폐간당했다.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49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고, 기미독립선언서를 작성, 낭독하였다. 3.1 운동을 사주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투옥, 1921년에 석방되었다.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설립, 주간잡지 《동명(東明)》을 발행하였고 1924년 《시대일보 (時代日報)》를 창간, 사장에 취임했으나 자금과 총독부의 압력 등으로 폐간, 1925년 동아일보의 객원과 조선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지냈다. 1927년 총독부의 연구비와 생계 지원 유혹으로 조선사 편수회에 참여하면서 친일 성향으로 전향하여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일 행적은 적극적인 친일이 아니라는 반론이 1950년대에 장준하 등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1957년 10월 10일 뇌일혈로 별세한 그는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에 이광수,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최남선의 <불함문화론>이 지어진 연도는? Assistant: 1927년
Human: 아래 동래원예고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동래원예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래원예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2′ 53″ 동경 129° 04′ 31″ / 북위 35.2146459° 동경 129.0751981°  / 35.2146459; 129.0751981 동래원예고등학교東萊園藝高等學校Dongnae Horticulture High School 교훈 성실, 근면, 창조 개교 1974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김선애 교감 천인혜 국가 대한민국 위치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강로 43 (온천동) 학생 수 498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73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금목서, 교화: 장미 관할관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wonyea.hs.kr 동래원예고등학교(東萊園藝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설치 학과 3 학교 동문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73년 11월 20일 : 부산한독원예학교(6학급) 설립인가 1974년 3월 1일 : 초대 김영길 교장 취임 1974년 3월 11일 : 개교(2학급 80명) 1977년 1월 8일 : 제1회 졸업(71명) <총 71명> 1978년 3월 1일 : 부산원예학교로 교명 변경 1987년 3월 1일 : 부산원예고등학교(9학급)로 교명 변경 1988년 3월 1일 : 동래원예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89년 12월 8일 : 장안 실습농장 매입(5,757평) 1999년 3월 1일 : 특성화고등학교로 개교 1999년 11월 13일 : 특수학급(1학급 15명) 인가 1999년 11월 17일 : 원예 및 식품가공 특성화고등학교로 지정 2004년 10월 30일 : 원예관 개관 2016년 3월 7일 : 비즈쿨 연구학교(부산광역시 교육청) 2017년 3월 1일 : 제13대 김선애 교장 취임 2017년 12월 19일 : 창업교육 연구학교 선정 (부산광역시교육청) 2018년 2월 13일 : 제42회 졸업(169명) <총 7,007명> 2019년 2월 11일 : 제43회 졸업(180명) <총 7,100여 명> 2019년 3월 4일 : 신입생 173명 입학(4일)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설치 학과[편집] 식품가공과 생물공학과 산림자원과 도시원예과 생활원예과 환경조경과 화훼장식과 도시조경과 농산업유통과 학교 동문[편집] 분류:동래원예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동래원예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동래원예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 대한민국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강서공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경영고등학교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대경상업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동구마케팅고등학교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동일여자상업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전자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서일국제경영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송파공업고등학교 신정여자상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부산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대광발명과학고등학교 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대연정보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 부산경영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부산에너지과학고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산항만물류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성심보건고등학교 세정상업고등학교 해운대공업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대구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서부공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인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경인여자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청학공업고등학교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한진고등학교 광주 광주경영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울산 언양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세종 성남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 경기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세무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광명경영회계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여자정보고등학교 김포제일공업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삼일상업고등학교 성남금융고등학교 성남방송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시화공업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여자상업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정명정보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공업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강원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거진정보공업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소양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원주공업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홍천농업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충북 국원고등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보은자영고등학교 보은정보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영동인터넷고등학교 옥천상업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증평정보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현도정보고등학교 충남 강경상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광천제일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공업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조선공업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전북 강호항공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김제자영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 삼례공업고등학교 서림고등학교 오수고등학교 완산여자고등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 장계공업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진경여자고등학교 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전남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보성정보통신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전자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영암전자과학고등학교 완도수산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황산고등학교 경북 감포고등학교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간호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식품과학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산여자상업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군위정보고등학교 금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호공업고등학교 김천상업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다인정보고등학교 명인정보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봉양정보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주동산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용운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공업고등학교 청도전자고등학교 청송자동차고등학교 태화고등학교 평해정보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공업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해세화여자고등학교 창녕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vdeh 대한민국의 농업 고등학교부산동래원예고등학교대구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광주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대전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경기문산제일고등학교 ·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 용인바이오고등학교강원영서고등학교 · 주천고등학교 · 소양고등학교 · 홍천농업고등학교충북보은자영고등학교 · 청주농업고등학교충남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전북김제자영고등학교 ·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 한국한방고등학교전남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 ·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 호남원예고등학교경북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경남경남자영고등학교 ·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제주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공업고 | 과학고 | 과학중점고 | 국립고 | 국제고 | 기숙형공립고 | 농업고 | 마이스터고 | 영재학교 | 예술고 | 외국어고 | 자율공립고 | 자율대안고 | 자율사립고 | 체육고 | 특성화고 | 해양과학고 vdeh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서구 경일고 덕문고 명호고 부산강서고 부산대저고 부산산업과학고 금정구 금정여고 금정전자공고 남산고 내성고 대진전자통신고 동래여고 부산과고 부산사대부고 부산예고 부산정보관광고 브니엘고 브니엘여고 브니엘예고 지산고 기장군 기장고 부산장안고 신정고 장안제일고 정관고 남구 대양전자통신고 대연고 동명공고 동천고 문현여고 배정고 부산경영고 부산공고 부산세무고 부산중앙고 분포고 성지고 예문여고 한국조형예술고 한얼고 동구 경남여고 금성고 데레사여고 부산고 부산컴퓨터과학고 동래구 금정고 대명여고 동래고 동래원예고 동인고 부산전자공고 부산중앙여고 사직고 사직여고 용인고 충렬고 학산여고 혜화여고 부산진구 가야고 개금고 개성고 경남공고 경원고 동의공고 부산국제고 부산동고 부산동성고 부산마케팅고 부산정보고 부산진고 부산진여고 부산진여상 성모여고 세정상고 양정고 한국과학영재학교 북구 경혜여고 금곡고 금명여고 낙동고 만덕고 부산백양고 삼정고 성도고 화명고 사상구 구덕고 대덕여고 사상고 서부산공고 주례여고 사하구 건국고 다대고 대광발명과학고 대동고 동아고 동아공고 부산여고 부산일과학고 부산자동차고 부일외고 부일전자디자인고 삼성여고 성일여고 해동고 서구 경남고 경성전자고 부경고 부산관광고 부산서여고 수영구 덕문여고 부산남일고 부산동여고 부산여상 연제구 계성여상 부산외고 연제고 이사벨고 지구촌고 영도구 광명고 부산남고 부산보건고 부산영상예술고 부산체고 부산해사고 영도여고 중구 남성여고 동주여고 부산디지털고 혜광고 해운대구 반여고 부산국제외고 부산기계공고 부산문화여고 부흥고 센텀고 신도고 양운고 영산고 해강고 해운대고 해운대공고 해운대관광고 해운대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래원예고등학교&oldid=24484970" 분류: 특성화 고등학교농업 고등학교부산 동래구의 고등학교1974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08: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래원예고등학교(東萊園藝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래원예고등학교의 학과중 유통과 관련된 학과는? Assistant: 농산업유통과 Human: 아래 정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선 인조ㆍ영조 때의 문신ㆍ학자에 대해서는 정호 (1648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교 기본 개념 수기치인(修己治人) 인(仁) 의(義) 예(禮) 충(忠) 효(孝) 인물 공자 칠십자 맹자 순자 동중서 소옹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왕양명 경전 사서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오경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삼례 주례 의례 예기 십삼경 논어 맹자 시경 서경 역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 이아 효경 역사 내성파 · 숭례파 법치주의 · 법가 문치주의 성선설 · 성악설 분서갱유 오경박사 훈고학 경학 현학 성리학 양명학 고증학 공양학 관련 항목 국자감 과거제 삼공 서원 육예 사대부 일본 주자학 한국의 유교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v • d • e • h 정호(程顥, 1032년~1085년 7월 9일(음력 6월 15일[1]))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다. 성리학과 양명학 원류의 한 사람이다. 자는 백순(伯淳), 시호(諡號)는 순공(純公). 명도 선생(明道先生)으로 호칭되었다. 대대로 중산(中山)에 거주하였으나 후에 하남(河南)에 이주하였다. 정이가 그의 동생이다. 목차 1 생애 2 저서 2.1 《2정전서(二程全書)》 3 같이 보기 4 전기 자료 5 각주 6 참고 문헌 생애[편집] 정호 부친 향(珦)은 지방관이었을 당시 주돈이를 알아 명도, 이천 형제를 그에게 배우게 하였다고 한다. 진사에 급제한 후 지방관으로 활약하였다. 1070년 경에 여공저(呂公著)의 추천으로 중앙정부에 들어 갔다. 왕안석의 신법(新法)이 거론되자 의견을 달리하여 직을 떠나 지방관으로 지냈다. 그 성격은 온후관대하여 동생 이천이 이론적이며 준엄한 것과 대조적이었다. 명도 사상(明道思想)의 특색은 인설(仁說)·성론(性論)인데 그 기초가 되는 것은 역적 논리(易的論理)의 전개로서의 형이상적 사유이다. 그에 의하며 현상의 세계는 결국 음양 2기(陰陽二氣)의 대대(對待)에 의해 생성소멸하는 것으로 그것은 ‘자연적으로 그런 것’이다. 그것은 바로 역(易)에 “1음 1양(一陰一陽), 이를 도(道)라고 한다”고 하는 도(道)이며, 천지만물의 이(理)나 도(道)는 사람에 있어 묵식심통(默識心通-사람의 마음에 개우쳐지는 것)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의 인설(仁說)은 이 논리를 기저로 하여 천지자연의 이(理)와 사람의 이(理-일반적인 性)와의 일체관에서 논술된다. 〈식인편(識仁篇)〉에서 “인(仁)은 혼연히 물(物)과 동체요 의례지신(義禮智信) 모두 인(仁)이다. 이 이(理)를 알아서 성경(誠敬)으로써 이것을 보존(存)할 뿐이다”라고 말하였다. 인(仁)은 ‘저절로 그러한’ 천지만물의 이(理)·도(道)인 동시에 사람의 마음의 이(理)라는 것이다. 그런 까닭으로 인(仁)을 체득하면 이미 나는 천지만물과 일체요 일신인 것이다. 이와 같은 사고방식이 발전하여 성(性)은 곧 기(氣)요, 기(氣)는 곧 성(性)으로서 생겨나면서 지닌 그대로 성(性)이라고 하는 논리가 전개된다. 그의 〈진치법 10사(陳治法 十事)〉는 반신법당(反新法黨)의 처지에서 당시의 정치사회 상태를 잘 통찰하여 그 폐단을 찌른 예리한 정치 논문이다. 정호의 사상은 남송의 육상산을 거쳐서 명의 왕양명의 사상으로 계승·전개된다. 어록·저술은 《2정전서(二程全書)》에 수록되어 있다. 저서[편집] 《2정전서(二程全書)》[편집] 정호, 정이 형제의 사상적 논술·문장 등을 수록한 것. 내용은 2정유서(二程遺書; 河南 程氏 遺書)·2정외서(二程外書; 河南 程氏 外書)·명도문집(明道文集)·이천문집(伊川文集)·이천경설(伊川經說)·이천역전(伊川易傳) 수언(粹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2정자(二程子)는 송대 도학의 대표적 인물이어서, 주돈이, 소옹, 장횡거 등의 사상가가 각각 이색적인 사상의 소유자였음에 비하여 지극히 정통적으로 전통적 유학을 계승하여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정호 · 정이, 양자의 사상은 내용상 뉘앙스를 달리하며, 학문적인 관심과 방향에 있어서 크게 다른 점이 있다. 그러나 유사한 점도 있다. 《2정전서》 속에는 명도의 말인지 이천의 말인지 판별되지 않는 말이 많이 보인다. 《전서》 속에서 사상면으로 특히 중요한 명도의 것은 〈식인편(識仁篇)〉, 〈정성서(定性書)〉등 〈명도어록(明道語錄)〉이며, 이천의 것에는 〈이천어록(伊川語錄)〉, 〈이천경설(伊川經說)〉, 〈이천역전(伊川易傳)〉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성리학 정이 전기 자료[편집] 정이, 《이천선생문집》 권7, 명도선생행장 《송사》 권427, 열전186, 정호 각주[편집] ↑ 정이, 《이천선생문집》 권7, 명도선생행장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유교의 도통 요 순 우 탕 문왕 무왕 주공 공자 증자와 안자 자사 맹자 주자(周子) 장자(張子) 이정자《정호와 정이》 주자(朱子) 주자가 주장한 도통(道統)이며 (참고: 유교#도통), 생몰연대가 툴팁으로 표시됩니다. vdeh제자백가와 그 계승자유가사상가 공자 칠십자 증자 안회 자사 맹자 순자 동중서 소옹 주돈이 장재 정호 정이 주희 왕양명 저서 논어 맹자 순자 춘추번로 관물편 태극도설 통서 정몽 서명 이정전서 이천역전 주자문집 사서집주 근사록 주자어류 전습록 도가사상가 노자 열자 장자 양주 왕필 곽상 도연명 저서 도덕경 열자 장자 장자주 묵가사상가 묵자 호비자 전구 송견 윤문 저서 묵자 수소자 호비자 전구자 법가사상가 관중 자산 오기 상앙 신불해 신도 한비 이사 이회 저서 관자 오자병법 상군서 한비자 명가사상가 등석 송견 윤문 혜시 공손룡 저서 등석자 윤문자 공손룡자 음양가사상가 추연 추석 저서 추연 추자종시 종횡가사상가 귀곡자·귀곡선생·왕후 소진 소대 장의 저서 귀곡자 병가사상가 손무 손빈 사마양저 울요 황석공 이정 저서 손자병법 손빈병법 사마법 울요자 육도 삼략 이위공문대 잡가사상가 여불위 유안 저서 여씨춘추 회남자 농가사상가 허행 저서 신농 야로 제민요술 농서 농상집요 소설가사상가 육자 청사자 저서 육자 청사자 기타사상가 좌구명 굴원 편작 저서 춘추좌씨전국어 초사 난경 사상가와 저서는 대략적인 시대순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한자명과 생몰연대 등이 툴팁에 표시됩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0024588 LCCN: n81003593 ISNI: 0000 0000 8129 1292 GND: 118924532 SUDOC: 136537863 NLA: 36730405 NDL: 00318613 NKC: jo201060604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호&oldid=23144097" 분류: 제자백가1032년 태어남1085년 죽음북송의 유학자중국의 철학자중국의 사상가허난성 출신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유교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Français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일 (월) 2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호(程顥, 1032년~1085년 7월 9일(음력 6월 15일))는 중국 송나라 도학의 대표적인 학자의 한 사람이다. 성리학과 양명학 원류의 한 사람이다. 자는 백순(伯淳), 시호(諡號)는 순공(純公). 명도 선생(明道先生)으로 호칭되었다. 대대로 중산(中山)에 거주하였으나 후에 하남(河南)에 이주하였다. 정이가 그의 동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호의 동생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이천
Human: 아래 헹_삼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헹 삼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헹 삼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헹 삼린ហេង សំរិនHeng Samrin 헹 삼린 (2009)출생 1934년 10월 5일(1934-10-05) 캄보디아 프놈펜국적 캄보디아 직업 정치인 헹 삼린(hĕng säm´rĬn, 1934년~)은 캄보디아의 정치가로 국회의장, 캄보디아 인민당 명예 대표이다.[1] 목차 1 생애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76년부터 1978년까지 크메르 루주군의 제4 보병대대의 지휘관이자 정치 위원이었다. 1978년에 폴 포트에 대한 쿠데타를 기도했지만 실패로 끝나고, 베트남으로 도망갔다. 베트남 내에서 1978년 12월에 결성된 캄보디아 민족구국통일전선의 주석으로 취임하여, 베트남군과 함께 캄보디아로 진격해 1979년 1월 7일의 프놈펜을 함락한 후, 인민혁명위원회의 의장이 되어,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고, 캄보디아 인민혁명당을 재건해 서기장이 되었다. 주석 취임 후 태국 국경에서 크메르 루주와 여러 세력이 무력 저항을 하였고, 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은 정권으로서 많은 나라에서 정부승인을 얻지 못했고, 유엔의 의석도 크메르 루주 등의 민주캄보디아에 할당된 채로 있었다. 그 후 당서기장의 지위를 펜 소반에 양보했지만, 이후에 회복하였다. 1991년 10월 파리평화회담에 합의하여 캄보디아 최고국민회의가 성립하면서 캄보디아의 국가원수에서 물러났다. 같이 보기[편집] 훈센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 각주[편집] ↑ Biographies 외부 링크[편집] 전임노로돔 라나리드 제4대 캄보디아의 국회의장2006년 3월 21일 ~ 후임(현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3694632 LCCN: nr0003025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헹_삼린&oldid=22199983" 분류: 193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캄보디아의 정치인캄보디아의 불교 신자캄보디아의 공산주의자캄푸치아 인민공화국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ភាសាខ្មែរ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3일 (월) 22: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헹 삼린(HENG SAMRİN, 1934년 5월 25일 ~ )은 캄보디아의 정치가로 국회주석(하원의장), 캄보디아 인민당 명예주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헹 상린의 정치적 생애에 관해 설명하자면? Assistant: 1976년부터 1978년까지 크메르 루주군의 제4 보병대대의 지휘관이자 정치 위원이었다. 1978년에 폴 포트에 대한 쿠데타를 기도했지만 실패로 끝나고, 베트남으로 도망갔다. 베트남 내에서 1978년 12월에 결성된 캄보디아 민족구국통일전선의 주석으로 취임하여, 베트남군과 함께 캄보디아로 진격해 1979년 1월 7일의 프놈펜을 함락한 후, 인민혁명위원회의 의장이 되어,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고, 캄보디아 인민혁명당을 재건해 서기장이 되었다. 주석 취임 후 태국 국경에서 크메르 루주와 여러 세력이 무력 저항을 하였고, 베트남군의 지원을 받은 정권으로서 많은 나라에서 정부승인을 얻지 못했고, 유엔의 의석도 크메르 루주 등의 민주캄보디아에 할당된 채로 있었다. 그 후 당서기장의 지위를 펜 소반에 양보했지만, 이후에 회복하였다. 1991년 10월 파리평화회담에 합의하여 캄보디아 최고국민회의가 성립하면서 캄보디아의 국가원수에서 물러났다. Human: 아래 청양_장곡사_철조약사여래좌상_및_석조대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곡사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대한민국의 국보 종목 국보 제58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수량 1구시대 통일신라소유 장곡사위치 청양 장곡사주소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14번지 장곡사좌표 북위 36° 25′ 3″ 동경 126° 51′ 37″ / 북위 36.41750° 동경 126.86028°  / 36.41750; 126.86028좌표: 북위 36° 25′ 3″ 동경 126° 51′ 37″ / 북위 36.41750° 동경 126.86028°  / 36.41750; 126.86028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철로 만든 약사여래 좌상과 돌로 만든 불상 받침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58호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부 석조대좌'(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附 石造臺座)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6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목차 1 개요 2 같이 보기 3 각주 4 참고 자료 개요[편집]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에 자리잡은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보물 제162호) 안에 모셔져 있는 철불좌상으로, 나무로 된 광배(光背)를 배경으로 거대한 사각형의 돌로 만든 대좌(臺座) 위에 높직하게 앉아 있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아담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한 모습이다.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편이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않고 탄력적인 부피감도 줄어 들어 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손끝이 땅을 향하도록 하고 있으며, 무릎 위에 놓인 왼손에는 약항아리가 얹혀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없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만을 감싼 옷은 느슨하게 처리되었고, 옷주름 또한 드문드문 표현되었다. 4각형의 대좌는 불상보다 훨씬 장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중·하 3단 형태의 이 대좌는 하대가 넓고 높은 반면에 중대와 상대는 상대적으로 낮고 작은 편이다. 바닥돌은 매우 넓은 편인데,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세운 흔적이 있어 불상을 모시던 공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대에는 엎어 놓은 연꽃무늬를 새기고 각 모서리에는 귀꽃을 큼직하게 조각하였다. 중대의 각면에는 큼직한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상대에는 활짝 핀 연꽃무늬를 조각하였다. 광배는 원래 돌로 되었을 것이나 파손되어 조선시대에 나무광배로 대체한 것 같다. 광배 중심부에는 꽃무늬, 주변에는 불꽃무늬를 새기고 있어 신라말과 고려초에 유행하던 광배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진다. 이 불상은 특이한 탑 모양의 대좌와 감실형의 구조, 그리고 단아한 철불양식을 보여주는 9세기 말 양식을 계승한 10세기 초의 뛰어난 불상으로 평가된다. 같이 보기[편집] 장곡사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 - 보물 제162호 각주[편집] ↑ 문화재청고시제2010-59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관보 제17286호, 277-288면, 2010-06-28 참고 자료[편집]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청양_장곡사_철조약사여래좌상_및_석조대좌&oldid=20618173" 분류: 충청남도의 국보청양군의 문화재신라의 불상철불약사여래좌상10세기 작품석조대좌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1일 (목) 18: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철로 만든 약사여래 좌상과 돌로 만든 불상 받침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58호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부 석조대좌'(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附 石造臺座)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6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는 몇 세기 즈음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가? Assistant: 9세기 후반
Human: 아래 김선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선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선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선교출생 1960년 9월 18일(1960-09-18) (58세)경기도 양평군국적 대한민국 본관 광산학력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경제학 석사직업 공무원소속 경기도 양평군수정당 자유한국당종교 불교 김선교(金善敎, 1960년 9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자 제38·39·40대 경기도 양평군수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지방선거의 배경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학력[편집] 1973년 옥천초등학교 졸업 1976년 양평중학교 졸업 1979년 양평종합고등학교 졸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경력[편집] 1980년: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9급 공무원 1985년: 경기도 양평군 건설과 공무원 1994년: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계장 1995년 12월 ~ 1997년 1월: 경기도 양평군 문화공보과 홍보기획 계장 1997년 1월 ~ 1999년 8월: 경기도 양평군 기획정책실 기획담당 계장 1999년 8월 ~ 2001년 2월: 경기도 양평군 지방자치과 비서실 계장 2001년: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장 2002년 8월 ~ 2004년 7월: 경기도 앵평군 문화공보과 과장 2004년: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장 2006년: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장 2007.04.25 ~ 2010.06.30 제38대 경기 양평군수(민선,무소속→한나라당(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2010.07.01 ~ 2014.06.30 제39대 경기 양평군수(민선,한나라당(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2011.05 ~ 2012.04 : 경기도동부권시장군수협의회 회장 2014.07.01 ~ 2018.06.30 제40대 경기 양평군수(민선,새누리당→자유한국당(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3선) 2014.09 ~ 2016.08: 전국청년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회장 2017년 2월 ~ 2018년 9월: 자유한국당 여주시 양평군 선거구 당협위원장 2018년 10월 ~ :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정책개발본부 문화체육관광위원장 2018.12 ~ : 자유한국당 경기도당 여주·양평 당협위원장 지방선거의 배경[편집] 지난 2007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 경기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2월 9일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에 입당하였다.[1]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4·25 재보선 38대 군수 경기 양평군 무소속 15,102 표 41.70% 1위 초선, 민선 4기 지방 선거 39대 군수 경기 양평군 한나라당 30,000 표 66.72% 1위 재선, 민선 5기 지방 선거 40대 군수 경기 양평군 새누리당 30,563 표 60.12% 1위 3선, 민선 6기 각주[편집] ↑ “[6·2 지방선거 무소속 김선교 양평군수, 한나라당 입당]”. 뉴시스. 2010년 2월 9일. 2010년 5월 16일에 확인함.  전임한택수(권한대행)표영범 제38·39·40대 경기도 양평군수(민선)2007년 4월 25일 ~ 2018년 6월 30일 후임정동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선교&oldid=23949372" 분류: 196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광산 김씨양평군 출신옥천초등학교 (경기) 동문양평중학교 동문양평고등학교 동문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공무원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자유한국당의 정치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일 (월) 17: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선교(金善敎, 1960년 9월 18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경기도 양평군수(2007~2018), 제21대 국회 국회의원(2020~2023, 여주시·양평군)을 지냈다. 종교는 불교이다. 2020년 10월 10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불구속기소와 함께 당원권 정지가 되면서 의원직으로서에 직무가 정지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선교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장으로 지냈던 년도는 언제일까? Assistant: 2006년 Human: 아래 톰_테일러_(작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톰 테일러 (작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톰 테일러 (작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톰 테일러Tom Taylor출생 1978년 11월 29일(1978-11-29) (40세)멜버른국적 오스트레일리아직업 만화가대표작 《스타워즈》《인저스티스: 우리 안의 신들》《슈피리어 아이언맨》《올뉴 울버린》 웹사이트 www.tomtaylormade.com 톰 테일러(영어: Tom Taylor, 1978년 11월 29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미국 만화가이다.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스타워즈 만화판, DC 코믹스에서 동명 게임 원작의 만화 시리즈 《인저스티스: 우리 안의 신들》을 연재하였고, 이후 마블 코믹스로 건너가 《슈피리어 아이언맨》, 《올뉴 울버린》 등을 연재하였다. 목차 1 저작 1.1 DC 코믹스 1.2 마블 코믹스 2 외부 링크 저작[편집] DC 코믹스[편집] 인저스티스: 우리 안의 신들 마블 코믹스[편집] 제목 원제 이슈 작화 연도 시크릿 워즈: 아틀라스의 요원들 Secret Wars: Agents of Atlas #1 스티브 푸 2015 슈피리어 아이언맨 Superior Iron Man #1-9 이을드라이 츠나르 외 2014-15 올뉴 울버린 All-New Wolverine #1- 다비드 로페스 2015- 외부 링크[편집] 톰 테일러 - 공식 웹사이트 톰 테일러 - 트위터 (영어) 톰 테일러 - Comic Book DB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153671 LCCN: no2010024772 ISNI: 0000 0000 0474 3881 SUDOC: 161751113 BNF: cb16187066f (데이터) BNE: XX5218431 이 글은 만화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톰_테일러_(작가)&oldid=23853390" 분류: 197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오스트레일리아의 만화가멜버른 출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만화가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20: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톰 테일러(영어: Tom Taylor, 1978년 11월 29일 ~ )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미국 만화가이다.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스타워즈 만화판, DC 코믹스에서 동명 게임 원작의 만화 시리즈 《인저스티스: 우리 안의 신들》을 연재하였고, 이후 마블 코믹스로 건너가 《슈피리어 아이언맨》, 《올뉴 울버린》 등을 연재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5년도부터 연재 중인 올뉴 울버린의 작화는 누가 담당 중일까? Assistant: 다비드 로페스
Human: 아래 클래식_(영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클래식 (영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래식 (영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래식 감독 곽재용 제작 박준석, 안호완, 이재순, 지영준 각본 곽재용 출연 손예진, 조승우, 조인성 촬영 이준규 편집 김상범, 김재범 음악 조영욱 배급사 시네마 서비스 개봉일 2003년 1월 30일 시간 132분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클래식》은 손예진, 조승우, 조인성이 주연을 맡은 곽재용 감독의 영화이다. 유영석이 작곡한 사랑하면 할수록과 자전거 탄 풍경가 부른 너에게 난, 나에게 넌이 영화의 OST로 쓰였다. 손예진은 윤지혜의 어머니인 성주희와 지혜 역을 동시에 연기했다. 목차 1 출연진 1.1 주연 1.2 출연 1.3 특별출연 2 명대사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출연진[편집] 주연[편집] 손예진 ... 성주희 및 윤지혜 역 조승우 ... 오준하 역 조인성 ... 오상민 역 출연[편집] 이기우 ... 윤태수 역 서영희 ... 나희 역 이상인 ... 수경 역 양현태 ... 석우 역 김병옥 ... 담임 역 이승철 ... 태수 아버지 역 현숙희 ... 태수 어머니 역 한근욱 ... 주희 아버지 역 이미숙 ... 주희 어머니 역 최대웅 ... 성영감 역 김홍택 ... 베트남 고참 역 김정태 ... 시골친구 1 역 전정로 ... 시골친구 2 역 김미진 ... 포크댄스 선생님 역 이기문 ... 길수 역 이성훈 ... 놀이터 양아치 역 강성훈 ... 태권도 대련남 역 송윤희 ... 폐가 부랑자 역 오기환 ... 시골 우체부 역 신승수 ... 인터뷰 남 1 역 양윤모 ... 인터뷰 남 2 역 강원석 ... 베트남 전사병 역 이서 ... 수류탄 투척병 역 노경수 ... 베트남 동료 군인 1 역 한규태 ... 베트남 동료 군인 2 역 박소은 ... 어린 지혜 역 류종화 ... 카페 안 인형 만지는 꼬마 역 김광인 ... 교무실 손찌검 선생님 역 한정근 ... 자전거 탄 우체부 1 역 이주열 ... 자전거 탄 우체부 2 역 곽근화 ... 폐가 귀신 역 김성증 ... 우산 모자 대학생 역 안호완 ... 동전 던지는 교수 역 백종현 ... 지나가는 선생님 1 역 서거석 ... 지나가는 선생님 2 역 추현경 ... 손예진 태권도 (대역) 이지선 ... 고등학교 현악 4중주 - 바이올린 역 김주영 ... 고등학교 현악 4중주 - 비올라 역 김미향 ... 고등학교 현악 4중주 - 첼로 역 단경화 ... 대학교 현악 4중주 - 비올라 역 배성아 ... 대학교 현악 4중주 - 첼로 역 금동현 ... 마지막 잎새 공연 단원 - 베이먼 역 함인성 ... 마지막 잎새 공연 단원 - 죤시 역 이정미 ... 마지막 잎새 공연 단원 - 수잔 역 김장동 ... 마지막 잎새 공연 단원 - 의사 역 임효찬 ... 초월 연극 동아리 - 시라노 역 이현경 ... 초월 연극 동아리 - 록산느 / 오필리아 역 조태호 ... 초월 연극 동아리 - 죠단 역 권진영 ... 그 외 역 김현아 ... 그 외 역 공경선 ... 그 외 역 김성연 ... 그 외 역 박주영 ... 그 외 역 신진원 ... 그 외 역 한지수 ... 그 외 역 김선기 ... 그 외 역 김재성 ... 그 외 역 신병주 ... 그 외 역 권태진 ... 그 외 역 도우재 ... 그 외 역 최연화 ... 포크댄스 학생들 역 박정화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정혜정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윤혜진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서가혜 ... 포크댄스 학생들 역 박선미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최용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정재준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여준석 ... 포크댄스 학생들 역 김경남 ... 포크댄스 학생들 역 김문빈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정광호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이윤호 ... 포크댄스 학생들 역 박준호 ... 포크댄스 학생들 역 소재련 ... 포크댄스 학생들 역 김용운 ... 선도부장 역 특별출연[편집] 임예진 ... 매점언니 역 자전거 탄 풍경 승봉주 김형섭 강인봉 명대사[편집] "우산이 있는데 비를 맞는 사람이 어디 저 하나뿐인가요?" (지혜가 상민에게) "태양이 바다에 미광을 비추면 나는 너를 생각한다. 희미한 달빛이 샘물 위에 떠있으면 나는 너를 생각한다" (편지 속 시) 나 어때 보여? 나 지금 울고 있어, 눈물 안 보여? 왜 숨겼어 앞을 못 본다는거. (주희가 재회한 준하에게) 거의 완벽했는데, 해낼 수 있었는데. 어젯밤에 미리와서 연습 많이했었거든. (준하가 재회한 주희에게)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주최 기관) 부문 수상작(자) 결과 출처 2003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신인여우상 손예진 후보 [1] 음악상 조영욱 수상 [2] 제24회 청룡영화상 감독상 곽재용 후보 인기스타상 손예진 수상 제39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 제40회 대종상 신인여우상 수상 여자 인기상 수상 [3] 제11회 춘사영화상 조명상 박현원 수상 음악상 조영욱 수상 2004 제9회 모스크바국제사랑영화제 최우수 파트너상 손예진 수상 [4] 조승우 수상 각주[편집] ↑ 대한민국영화대상 후보작 발표 ↑ 네이버 클래식 영화 정보 ↑ '살인의 추억' 대종상 4개부문 석권(종합) ↑ “곽재용 감독 `클래식`…국제사랑영화제 수상”. 헤럴드경제. 2004년 3월 19일.  외부 링크[편집] 클래식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클래식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The Classic - 한시네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래식_(영화)&oldid=24193314" 분류: 2003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작품곽재용 감독 영화1968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7: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클래식》은 손예진, 조승우, 조인성이 주연을 맡은 곽재용 감독의 영화이다. 유영석이 작곡한 〈사랑하면 할수록〉과 자전거 탄 풍경이 부른 〈너에게 난, 나에게 넌〉이 영화의 OST로 쓰였다. 손예진은 윤지혜의 어머니인 성주희와 지혜 역을 동시에 연기했다. 조승우는 어머니 성주희의 첫사랑 오준하를, 조인성은 딸 윤지혜의 첫사랑 오상민을 연기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3년에 제24회 청룡영화상에서 영화 클래식으로 감독상을 탄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곽재용 Human: 아래 한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퇴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유 한유(韓愈, 대력 3년(768년)~장경 4년(824년))는,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 정치가 · 사상가이다. 당송 8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자(字)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이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등주(鄧主) 하내군(河內郡) 남양(南陽, 지금의 하남 성 맹주 시) 출신이나, 그 자신은 창려(昌黎, 하북 성河北省) 출신으로 자처했다. 목차 1 생애 2 문장 3 사상 4 참고 자료 생애[편집] 한유는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 어머니를 잃었다. 3세에 아버지를, 14세에 형 한회(韓會)를 잃고 형수 정씨에 의해 길러졌다. 7세 때부터 독서를 시작한 한유는 13세에 문장에 재능을 보였다. 정원(貞元) 2년(786년)부터 장안에서 과거에 응시했으나, 이렇다 할 문벌도 뒷배경도 없었던 그는 세 번이나 낙방하고서 8년(792년)에 진사과에 합격하였다. 다시 이부시(吏部試)에 응시하였을 때에도 다시 세 번이나 낙방한 그는 정원 11년(795년) 세 번이나 재상에게 글을 올리고서야 가까스로 천거된다. 정원 12년(796년) 변주(汴州) 선무군(宣武軍)에서 난이 일어나자, 절도사 동진(董晉)을 따라 부임하여 관찰추관(觀察推官)을 맡아 지내는 동안에 시인 맹교(孟郊)와 서로 교유하였고, 이고(李翱), 장적(張籍)이 그 문하에 들었다. 동진이 죽은 뒤에는 무령절도사(武寧節度使) 장건봉(張建封) 휘하로 옮겨 절도추관(節度推官)이 되었다가, 장건봉이 죽은 뒤 낙읍(洛邑)으로 옮겨 살았다. 정원 17년(801년)에 국자감(國子監)의 사문박사(四門博士)가 되고, 이듬해 《사설(師說)》을 지었다. 19년(803년)에는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었는데, 이때 관중(關中)에서 대화재가 일어난다. 한유는 《어사대상론천한인기장(御史臺上論天旱人饑狀)》을 지어 당시의 경조윤(京兆尹) 이실(李實)의 폭정을 규탄하지만, 거꾸로 자신이 연주(連州) 양산현(陽山縣) 현령으로 좌천되고, 1년이 지나자 조카 노성(老成)을 잃었다. 이때 그가 지은 글이 《제십이랑문(祭十二郞文)》이다. 원화 6년(811년)에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어 「진학해(進學解)」를 지었다. 당시의 재상 배도(裴度)는 이에 대한 치하로서 그를 예부낭중(禮部郎中)으로 삼았으며, 원화 10년(815년)에는 배도를 따라 회서절도사(淮西節度使) 오원제(吳元濟) 토벌에 공을 세워 형부시랑(刑部侍郞)이 되었으며, 이때 『평회서비(平淮西碑)』의 글을 짓는다. 원화 14년(819년) 정월, 독실한 불교 신자이기도 했던 헌종 황제는 당시 30년에 한 번 열리며 공양하면 복을 받는다고 하여 신앙을 모으고 있던 봉상(鳳翔, 지금의 섬서 성陝西省) 법문사(法門寺)의 불사리가 헌종(憲宗)를 장안의 궁중으로 들여 공양하고자 하였다. 반불주의자인 그는 이듬해 「불골을 논하는 표(諫迎佛骨表)」를 헌종에게 올려 과거 양 무제(梁武帝)의 고사를 언급하며 "부처는 믿을 것이 못된다(佛不足信)"고 간언했고, 헌종은 대노하여 그를 사형에 처하려 했지만 재상 배도와 최군(崔羣)의 간언으로 사형을 면한 채 조주자사(潮州刺史, 조주는 지금의 광동 성)로 좌천당했다. 이듬해 헌종이 죽고 목종(穆宗)이 즉위하자 다시 중앙으로 소환되어 국자제주(國子祭酒=대학 학장)에 임명되었다. 그 뒤 병부시랑(兵部侍郞), 이부시랑(吏部侍郞), 경조윤 겸 어사대부(御史大夫)의 직을 역임하였는데, 이부시랑으로 있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그를 「한이부(韓吏部)」로 불렀다고 한다. 57세에 병으로 죽었다. 사후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추증되었다. 송의 원풍(元豐) 연간에 창려백(昌黎伯)으로 추증되었다. 문장[편집] 한유의 문집으로는 《한창려집(韓昌黎集)》40권과 《외집(外集)》10권이 전하고 있다. 시인으로서 그는 새롭고 기이한 어구를 많이 쓰는 난해한 시풍이 특징으로, 평이하면서 통속적인 시풍을 특징으로 하던 백거이(白居易)에 맞서 중당(中唐) 시단(詩壇)의 한 흐름을 형성했으며, 맹교・장적・이하(李賀)・왕건(王建)・가도(賈島) 등「한문(韓門)의 제자」로 통칭하는 시인들을 배출하였다. 문장가로서의 최대 업적은 산문 문체의 개혁이다. 한유는 6조(六朝) 이래의 문단의 주류였던 대구(對句)와 음조(音調)를 중하게 여기는 병려체(騈儷體)에 대하여 수사주의에 치중해 있다며 비판하고, 한대(漢代) 이전의 자유스러운 형식을 표본으로 하는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고문부흥운동). 한유의 고문 운동을 지지했던 류종원(柳宗元)은 이후 한유와 함께 「한유(韓柳)」로 병칭되었다. 고문 부흥운동은 그의 사상적 기반이었던 유교(儒敎)의 부흥과도 표리를 이루는 것이었다. 특히 그의 사상 표명의 자유를 목적으로 하는 복고주의(復古主義)와 결부하여 추진되었다. 「원인(原人)」, 「원도(原道)」, 「원성(原性)」 등의 작품은 그러한 고문 부흥운동의 관점에서 쓴 것이다. 한유가 주장했던 배불론(排佛論)도 육조 시대부터 수당 시기에 이르기까지 주류를 이루던 숭불 경향을 배제하고 고대 중국의 유교가 가진 지위를 회복하자는 유교 부흥의 자세에서 나온 것으로, 그의 경향은 사후 수제자 이고(李翱)가 물려받았다. 이성적이고 감정을 억제하는 경향은 송대 이후의 지식인이 추종하는 바가 되었던 것 같다. 그가 주창한 고문은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러 일상 용어와 일치하는 ‘백화문’이 쓰이기 시작할 때까지 중국 문장의 본보기가 되었다. 사상[편집] 사상가로서는 유교 중심주의를 강조하여, 불교·도교를 맹렬히 공격하였다. 당시 불교 승려의 특권에 반대하고 봉건적인 일상윤리·사회질서를 중시하였다. 주요 논문 〈5원(五原)〉 등에 나타난 비교적 조잡한 그의 논리는 후의 송의 정주학(程朱學)의 평가와 일치하지 않는다. 즉, 그것은 귀신을 믿는 중세적인 정명사상(正命思想)으로 군신부자의 신분질서와 동중서류(董仲舒流)의 3등급의 인성론(人性論)을 말한 것인데 그 자신은 맹자의 유심주의를 계승하는 것으로 의식하였다. 유종원(柳宗元), 유우석(劉禹錫) 등 동시대의 무신론과 대립한 속류의 합리주의적 사상이었다고 하겠다. 다만 송대의 신유학(新儒學)에 필수인 엄숙주의풍의 정통론은 그의 도통사상(道統思想)에 싹트고 있었다. 「원도(原道)」는 한유의 주요 논문이다. 원(原)이라 함은 물(物)의 본원이며 또 그의 근원을 찾는 일인데 본원의 도(道)의 탐구를 논술한 것이다. 한유는 한대부터 현재까지 도가 및 불교의 이단사상에 의해 유가의 정치원리나 사회도덕인 도(道)가 어지러워졌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본원의 도에 의하여 인의(仁義)를 내용으로 하는 유교적인 사회·정치사상을 명확하게 하려고 하였다.그 논지는 도덕·인의의 정의(定義)에서 시작하여, 도가의 무정부적인 원시생활의 동경이라든가, 불교의 출세간적(出世間的)인 태도를 다같이 봉건사회의 군주신민(君主臣民)이나 부자(父子)의 신분과 사회질서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인의를 기조로 하는 유가적인 국가질서와 문화주의를 전한(前漢) 초에 성립된 《예기(禮記)》 〈대학(大學)〉편에 의거하여 서술하였고, 요순(堯舜)으로부터 공자, 맹자에 이르는 도통사상으로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송대의 신유학에 영향을 주었다. 한유는 이밖에 〈원성(原性)〉, 〈원귀(原鬼)〉, 〈원훼(原毀)〉의, 이른바 〈5원(五原)〉의 논문을 지어 각각 석로(釋老=불교·도교)를 배척하고, 봉건전제의 국가권력을 옹호하였으나 그 논리가 치밀하지는 못했다. 한편 중국의 논문에 〈원(原)…〉의 형식이 유행한 것이 바로 한유의 〈5원〉에서 비롯됐다.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8180753 LCCN: n81039864 ISNI: 0000 0001 2146 8399 GND: 118923722 SELIBR: 216363 SUDOC: 119917696 BNF: cb12071593b (데이터) BIBSYS: 90519575 NLA: 36604438 NDL: 00315172 NCL: 1081392 NKC: jx20140512001 vdeh당나라의 역사가 관파 권덕여 무삼사 방현령 배휴 사마정 소괴 소숭 양관 양염 영호덕분 영호도 요사렴 우승유 원재 위승경 위지고 위집의 위징 위처후 유종일 유지기 유질 육상선 이규 이길보 이대사 이백약 이신 이안기 이의부 이임보 이필 잠문본 잠희 장석 장언원 장일 저수량 정담 정인 제항 조언소 조확 주경칙 주지 축흠명 한유 허경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유&oldid=23638596" 분류: 768년 태어남824년 죽음당나라의 진사당나라의 역사가당나라의 시인당나라의 유학자중국의 철학자당송팔대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贛語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5일 (화) 16: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유(韓愈, 대력 3년(768년)~장경 4년(824년))는 중국 당(唐)을 대표하는 문장가 · 정치가 · 사상가이다. 당송 8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자(字)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이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등주(鄧州) 하내군(河內郡) 남양(南陽, 지금의 하남 성 맹주 시) 출신이나, 그 자신은 창려(昌黎, 하북 성河北省) 출신으로 자처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유의 경향을 물려받은 수제자는 누구일까? Assistant: 이고
Human: 아래 양파_수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파 수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파 수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양파 수프 그릇에 담긴 양파 수프다른 이름 양파 수프코스 전채지역이나 주 프랑스관련 나라별 요리 모든 지역 만든 사람 다양하게 주장서빙 온도 뜨거움주 재료 양파, 쇠고기 또는 닭 스톡, 크루통, 간 치즈기타 정보 채식주의자용 수프도 있음. 접시에 담긴 양파 수프 양파 수프(프랑스어: soupe à l'oignon 수프 아 로뇽[*])는 양파와 스톡를 주재료로 하여 수프를 끓이고 크루통과 치즈를 토핑으로 얹은 전통 음식을 말한다. 고대부터 시작된 이 요리는 1960년대 미국에서 프랑스 요리의 인기가 높아지자 덩달아 대중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1] 목차 1 역사 2 요리 3 다른 수프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양파 수프는 최소한 적어도 로마 제국 시대부터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양파가 흔하고 빨리 자라는 소중한 음식이었을 것이다. 현재의 양파 수프는 18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는데,[1] 초기에는 쇠고기 육수와 캐러멜화된 양파로 만들었다. 굽는 과정이 끝나면 전통적으로 라메킨에 담아 뒤 크루통과 녹인 그뤼예르를 위에 얹어 마무리했다. 크루통을 위에 얹어먹는 풍습은 고대의 수프를 연상케 한다. (수프의 역사를 참고). 요리[편집] 크루통을 넣은 묽은 프랑스식 양파 수프 양파 수프의 풍부한 맛은 육수가 아닌 캐러맬화된 양파로부터 나온다.[2] '캐러맬화'가 되기 위해서는 양파가 갈색으로 천천히 익을 온도로 높이고 설탕을 녹여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어떤 레시피들은 반 시간 동안만 요리하는 것을 추천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셰프와 요리사들은 양파가 복잡한 설탕 맛을 낼 때까지 천천히 조리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양파를 스위팅하여 수분을 빼는 것은 캐러멜화하는 데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이는 지방 종류 (올리브 오일, 버터, 베이컨 지방 등)와 섞고, 소금을 넣고, 냄비를 덮고 낮은 열로 양파를 조리한 뒤에 가능하다. 그 이유는 소금과 열이 양파로부터 수분을 빼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이다.[3]요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코냑이나 셰리를 넣는데, 이는 캐러맬화된 양파의 풍미를 높이고 팬을 데글레이즈하기 위해서이다.[4] 수프에는 토핑으로 크루통을 넣는데,[4] 조리되는 동안 수프 표면에 얹혀져 버티고 그 위에 녹인 치즈를 올릴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단단하고 건조한 것으로 넣는다. 어떤 레시피에서는 크루통 대신 빵 한 조각이 얹혀지기도 한다. 완성된 수프는 그릇이나 라메킨에 담아 낸다. 다른 수프[편집] 다음과 같이 오리지널 양파 수프 외에 다른 수프를 만들 수도 있다. 믹서기에 갈아서 부드럽게 만든 수프 쇠고기 육수 대신 야채의 즙을 이용해 만든 채식주의자용 수프도 있다.[5] 쇠고기 육수 대신 닭고기 육수를 사용해 만든 묽은 수프 같이 보기[편집] 프랑스 요리 수프 목록 각주[편집] ↑ 가 나 The Food Timelin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웹사이트의 프랑스식 양파 수프 ↑ marthastewart.com의 프랑스식 양파 수프 ↑ Go Chic or Go Home. "Caramelized Onions and French Onion Soup...A Love Story." 2010년 12월 17일. 주소: [1] ↑ 가 나 “frenchonionsoups.com”. 2011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베버리 L. 베넷, The Vegan Chef의 Vegetarian 프랑스식 양파 수프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양파 수프 (영어) 프랑스식 양파 수프 레시피 (프랑스어) Really recipe of the onion sou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파_수프&oldid=24196871" 분류: 프랑스 요리수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Українська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파 수프(프랑스어: soupe à l'oignon 수프 아 로뇽[*])는 양파와 스톡를 주재료로 하여 수프를 끓이고 크루통과 치즈를 토핑으로 얹은 전통 음식을 말한다. 고대부터 시작된 이 요리는 1960년대 미국에서 프랑스 요리의 인기가 높아지자 덩달아 대중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파수프를 맛있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되는가? Assistant: 양파 수프의 풍부한 맛은 육수가 아닌 캐러맬화된 양파로부터 나온다.[2] '캐러맬화'가 되기 위해서는 양파가 갈색으로 천천히 익을 온도로 높이고 설탕을 녹여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어떤 레시피들은 반 시간 동안만 요리하는 것을 추천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셰프와 요리사들은 양파가 복잡한 설탕 맛을 낼 때까지 천천히 조리하는 시간을 허용한다. 양파를 스위팅하여 수분을 빼는 것은 캐러멜화하는 데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이는 지방 종류 (올리브 오일, 버터, 베이컨 지방 등)와 섞고, 소금을 넣고, 냄비를 덮고 낮은 열로 양파를 조리한 뒤에 가능하다. 그 이유는 소금과 열이 양파로부터 수분을 빼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이다.[3]요리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코냑이나 셰리를 넣는데, 이는 캐러맬화된 양파의 풍미를 높이고 팬을 데글레이즈하기 위해서이다.[4] Human: 아래 경제적_세계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경제적 세계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제적 세계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경제적 세계화(經濟的 世界化, 영어: economic globalization)는 정치적 세계화, 문화적 세계화와 함께 세계화의 세 가지 주요 측면 중 하나로 상품, 자본, 서비스, 기술 및 정보의 자유로운 이동을 의미한다.[1] 재화, 서비스, 기술 및 자본의 국경 간 이동의 강화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국가, 지역 및 지방 경제의 경제적 통합과 상호 의존성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는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교류의 여러 네트워크에 관한 광범위한 일련의 과정인 반면,[2] 현대의 경제적 세계화는 모든 유형의 생산 활동과 시장화, 그리고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정보의 급속한 중요성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경제적 세계화는 주로 생산, 금융, 시장, 기술, 조직 체제, 기관, 기업 및 노동의 세계화로 구성된다.[3] 경제적 세계화가 범국가적 무역의 출현 이후 확대되고 있는 반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및 세계 무역기구의 틀 속에서 통신 및 기술의 진보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무역 장벽을 줄이고 당좌 계정과 자본 계정을 개방한다. 경제 호황은 해외 직접 투자를 통해 대다수 세계와 통합되고 사업 수행 비용을 낮추고, 무역 장벽을 줄이며, 많은 사례의 경우 해외 이주를 지원하는 선진국의 지원을 크게 받게 한다. 세계화가 개발 도상국의 소득과 경제 성장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선진국의 소비자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개발 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각국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물품 생산의 위치가 바뀌면서 많은 직업이 국경을 넘나 드는 결과를 낳았고, 선진국의 일부 노동자들은 직업을 바꿀 필요가 있다.[3] 목차 1 세계화의 진화 1.1 역사 1.2 기술 1.3 정책과 정부 2 주체들 2.1 국제 기구 2.2 국제 비정부 기구 2.3 다국적 기업 3 각주 4 같이 보기 세계화의 진화[편집] 역사[편집] 국제 원자재 시장, 노동 시장 및 자본 시장은 경제를 구성하고 경제 세계화를 정의한다.[4] 기원전 4000년부터 사람들은 가축, 도구 및 기타 품목을 거래하고있었다.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문명에서 토큰 시스템은 상품 돈의 첫 번째 형태 중 하나였다. 노동 시장은 노동자, 고용주, 임금, 소득, 공급 및 수요로 구성된다. 노동 시장은 상품 시장만큼 오래되었다. 첫 번째 노동 시장은 농작물을 재배하고 현지 시장에서 나중에 판매하기 위해 가축을 기르기 위해 근로자를 제공했다. 자본 시장은 개별 농민의 자원을 초월한 자원이 필요한 산업에서 나타났다.[5] 기술[편집] 세계화는 전세계 모든 사람들을 물리적 장벽 (지리적 경계) [Sumaira Aman 2017] 이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경제 세계화의 이러한 진보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혼란을 겪었다. 세계 경제 대다수는 보호주의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무역 장벽을 도입하여 무역 성장을 침체 시점까지 늦추게 했다.[6] 이로 인해 전 세계 교역이 둔화되고 심지어 이민자 모자를 씌우는 다른 국가도 생겨났다. 세계화는 정부가 무역의 이익을 강조하기 시작한 1970 년대까지 완전히 재개되지 않았다. 오늘날 기술의 발전은 세계 무역의 급속한 확장을 가져왔다. 과학 기술의 발전, 시장 중심의 경제 개혁 및 다국적 기업의 기여와 같은 세 가지 요소가 경제 세계화를 가속화했다.[7] 1956년, 컨테이너 운송의 발명은 선박 크기의 증가와 함께 선적 비용 감소의 주요 부분이었다.[8] 정책과 정부[편집] 경제 세계화는 학술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계화의 세 가지 주체 중 하나이며, 다른 두 가지는 정치 세계화와 문화 세계화뿐 아니라 세계화의 일반적인 용어이다. GATT / WTO 체제는 참가국들로 하여금 무역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줄이도록 유도했다. 정부는 경제를 중앙 계획에서 시장으로 전환했다. 이러한 내부 개혁 덕분에 기업은 보다 신속하게 적응하고 기술 변화로 인한 기회를 이용 할 수 있었다. 다국적 기업은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생산을 재조직했다. 노동 집약적인 생산은 인건비가 낮은 지역으로 옮겨 갔고 그 다음에 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른 기능이 뒤따랐다. 네트워크는 부의 수준을 높였다. 소비 및 지리적 이동성이 매우 역동적인 전세계 시스템과 강력한 파급 효과로[9] 런던 증권 거래소는 시장 활동이 크게 증가 할 것으로 기대하면서 시장의 글로벌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규제 완화 규칙을 제정했다. 이 사건은 빅뱅 금융 이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주체들[편집] 국제 기구[편집] 국제 기구(IGO : International governmental organizations)는 두 개 이상의 국가가 선의로 공동 관심사를 다루면서 조약에 의해 만들어진 단체를 말한다. 국제 기구는 평화, 안보를 위해 노력하고 경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한다. 국제 기구의 예는 유엔 (UN), 세계 은행 (World Bank) 그리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들이 포함된다. 국제 비정부 기구[편집] 한 국가 내에서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비정부 기구(NGOs :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들은 경제적인 세계화의 반발에 직면한 개발 도상국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역, 국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조직된 모든 비영리, 자원 봉사 시민 단체로 분류된다. 비정부 기구들은 다양한 서비스와 인도주의적 기능을 수행하고, 정부에 시민의 관심을 가져오고, 정책을 옹호하고 감시하고, 정보의 제공을 통해 정치 참여를 장려한다. 다국적 기업[편집] 다국적 기업(Multinational corporation 혹은 Transnational corporation)이란 여러 나라에 걸쳐 영업 혹은 제조하며 국가적 내지 정치적 경계에 영향을 받지않는 세계적인 기업이다. 다국적 기업은 시장, 기술, 경영 방법의 국제적 공동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다국적 기업의 일반적인 경향은 국내 기업 활동과 해외 활동의 구별이 없으며, 중요시되는 것은 그 기업의 이익으로, 이익 획득을 위한 장소와 기회가 있으면 언제 어디로든 진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국에 거점을 둔 본사와 각 거점은 모두 독립적인 이익 관리 단위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그 이익을 거점 자체의 경영 충실화를 위하여 현지에 재투자됨을 원칙으로 한다. 다국적 기업이 개발 도상국에 가져온 많은 변화 중 하나는 자동화 증대이다. 이는 덜 자동화된 국내 기업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일부만 남겨둔 채 변화하는 경제 속에서 그들도 변화를 위해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다. 필요한 교육 인프라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회적 서비스에서 교육으로의 정부의 방향 설정이 다시 필요하다. 다국적 기업들은 최근 몇 년동안 아웃소싱을 해왔다. 아웃소싱은 사업 과정(급여 처리, 불만 처리)과 운영 및 비핵심 기능(제조, 설비 관리, 콜센터 지원)을 포함한다. 활동 거점을 한 국가에 두지 않고 복수의 나라에 건너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영리 기업이다. 예시로는 미국의 석유 회사 스탠더드 오일, 필름 회사 이스트먼 코닥, 재봉틀 회사 싱어, 곡물 회사 매코믹, 스포츠 의류 회사 나이키, 아디다스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삼성그룹, LG, 현대자동차그룹이 대표적이다. 각주[편집] ↑ Babones, Salvatore (2008년 4월 15일). 〈Studying Globalization: Methodological Issues〉. George Ritzer. 《The Blackwell Companion to Globalization》. John Wiley & Sons. 146쪽. ISBN 978-0-470-76642-2.  ↑ Joshi, Rakesh Mohan (2009). 《International Business》.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ISBN 978-0-19-568909-9.  ↑ 가 나 James et al., vols. 1–4 (2007) ↑ School, Harvard Law.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IGOs) | Harvard Law School”. 《Harvard Law School》.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Mohr, Angie. “The Effects of Economic Globalization on Developing Countries”. Demand Media.  ↑ CEPAL 2002, 105쪽. ↑ Thomas, Vladimir (2017년 5월 1일).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Seco판. Michael H.hunt. 427–429쪽.  ↑ Gao 2000. ↑ Thomas, Vladimir (2017년 5월 1일). 《The world transformed 1945 to the present》 Seco판. Michael H.hunt. 427–429쪽.  같이 보기[편집] 신자유주의 정치적 올바름(PC) 다문화주의 경쟁 만능주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경제적_세계화&oldid=24068561" 분류: 세계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Češtin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Íslenska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경제 세계화(經濟世界化, 영어: economic globalization) 또는 경제적 세계화(經濟的世界化)는 정치적 세계화, 문화적 세계화와 함께 세계화의 세 가지 주요 측면 중 하나로 상품, 자본, 서비스, 기술 및 정보의 자유로운 이동을 의미한다. 재화, 서비스, 기술 및 자본의 국경 간 이동의 강화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국가, 지역 및 지방 경제의 경제적 통합과 상호 의존성이 증대되고 있다. 세계화는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교류의 여러 네트워크에 관한 광범위한 일련의 과정인 반면, 현대의 경제적 세계화는 모든 유형의 생산 활동과 시장화, 그리고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정보의 급속한 중요성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경제적 세계화는 주로 생산, 금융, 시장, 기술, 조직 체제, 기관, 기업 및 노동의 세계화로 구성된다. 경제적 세계화가 범국가적 무역의 출현 이후 확대되고 있는 반면,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및 세계 무역기구의 틀 속에서 통신 및 기술의 진보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무역 장벽을 줄이고 당좌 계정과 자본 계정을 개방한다. 경제 호황은 해외 직접 투자를 통해 대다수 세계와 통합되고 사업 수행 비용을 낮추고, 무역 장벽을 줄이며, 많은 사례의 경우 해외 이주를 지원하는 선진국의 지원을 크게 받게 한다. 세계화가 개발 도상국의 소득과 경제 성장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선진국의 소비자 가격을 낮추는 동시에 개발 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각국의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물품 생산의 위치가 바뀌면서 많은 직업이 국경을 넘나 드는 결과를 낳았고, 선진국의 일부 노동자들은 직업을 바꿀 필요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경제 세계화는 어디에서 주로 볼 수 있나? Assistant: 학술 문헌
Human: 아래 M14_지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M14 지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14 지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M14 지뢰 M14 지뢰 도면 M14 지뢰는 미국의 대인지뢰의 한 종류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발목지뢰이다. 신관 이외에는 대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속탐지기에 잘 탐지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이 지뢰로 인해 종종 사고가 발생하며 지난 2012년 4월에는 KBS2의 프로그램인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지뢰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으며 위력은 몸이 절단될 정도로 심각하지만 M14 지뢰로 인해 사망하는 일은 거의 없고,피해 규모도 그리 넓진 않다. 목차 1 설명 2 비교 3 제원 4 더 보기 5 외부 링크 설명[편집] M14 지뢰는 1974년 부터 미군이 사용했다. 2010년 현재 미군은 유사시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해 150만개를 보유중이다. M14 지뢰는 적군을 죽이지는 못하지만, 대신 매우 작고 가벼워 다량을 휴대하고 작전할 수 있다. 일단 한 명이 쓰러지면, 전체 부대가 지뢰밭에 들어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극도로 공포에 휩싸이며, 앞으로 전진도 못하고 후퇴도 못하는 상황에 처한다. 부대 전체가 지뢰밭 한가운데 위치했을 경우, 부상자는 헬기로 공중에서 들어올려야만 후송할 수 있으며, 장거리 대형 헬기는 강력한 바람으로 주변의 지뢰가 날라다니며 폭발할 수 있어서, 소형 헬기여야만 부상자를 후송할 수 있다. 인도와 베트남이 M14 지뢰를 카피해서 사용중이다. 미얀마는 라이센스 없이 무단 복제해서 국내용으로 사용중이다. 한국군의 K413 세열수류탄의 무게가 260g인데, M14 지뢰는 100g 밖에 안된다. 비교[편집] M14 지뢰, 미국, 테트릴 29g VS-MK2 지뢰, 이탈리아, 둔감RDX 33g SB-33 지뢰, 이탈리아, RDX/HMX 35g PMA-3 지뢰, 유고슬라비아, 테트릴 35g VS-50 지뢰, 이탈리아, 둔감RDX 43g 제원[편집] 무게: 100 g 장약량: Tetryl 29 g 직경: 56 mm 높이: 40 mm 작동압력: 9 ~ 16 kg 더 보기[편집] M16 지뢰 목함지뢰 - 북한의 발목지뢰 외부 링크[편집] FM 20-32 APPENDIX A at GlobalSecurity.org—Additional details about the M14 mine Color diagram of M14 components Photo of an M14 held in the hand to illustrate its small size 이 글은 무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14_지뢰&oldid=21799674" 분류: 대인지뢰숨은 분류: 무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Русский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8일 (수) 0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M14 지뢰는 미국의 대인지뢰의 한 종류로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발목지뢰이다. 신관 이외에는 대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속탐지기에 잘 탐지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이 지뢰로 인해 종종 사고가 발생하며 지난 2012년 4월에는 KBS2의 프로그램인 위기탈출 넘버원에서 지뢰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했다. 위력은 신체 일부가 절단될 정도로 심각하지만 M14 지뢰로 인해 사망하는 일은 거의 없고, 피해 규모도 그리 넓진 않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M14 지뢰의 무게는 몇 g이니? Assistant: 100g Human: 아래 조직생태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직생태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직생태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직생태학(組織生態學, organizational ecology)은 조직군의 진화를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는 이론이다. 조직군생태학, 조직적 인구통계학(organizational demography), 조직인구생태학(the population ecology of organizations)이라고도 한다. 목차 1 정의 2 발전 3 주요 관심사 4 전망 5 조직의 사멸 5.1 구조적 관성과 변화 5.2 조직의 밀도와 사멸 5.3 환경수용능력과 사멸 5.4 환경변동성과 사멸 5.5 조직전략 변화와 사멸 5.6 적소이론(틈새이론) 5.7 밀도 의존성 5.8 규모 의존성 5.8.1 소규모기업의 생존불리성 5.9 연령 의존성 5.9.1 신생기업의 생존불리성 5.9.2 성장기의 생존불리성 5.9.3 성숙기의 생존불리성 6 조직에 대한 진화적 접근 7 조직생태학의 전략 8 각주 정의[편집] 조직생태학 이론은 오랫동안 조직군의 진화를 설명하는데 중점을 기울여온 이론이다. 생태군 또는 조직군(Population)이 분석의 단위이다. 생태군은 핵심속성이 유사하고, 따라서 공통적인 환경으로부터 오는 압력에 유사하게 반응하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된 조직의 그룹이다[1]. 이러한 정의는 특정 조직군에 속한 조직들은 조직화하는 템플릿이나 공통적인 조직형태를 공유한다는 아이디어에 기반한다[2]. 형태란 적소(niche), 다시 말해 특정 형태의 조직이 존속하기 위해 요구되는 환경으로부터 나온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자원과 조건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는 개념과 관련된다[1][3][4] 조직생태론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조직을 연구해 왔으나, 초기 연구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단일의 조직형태나 조직군과 같은 단순한 생산품을 생산하는 조직군에 관심을 기울였다.[5] 따라서 어떤 조직형태나 조직군은 산업분류에 따라 적합했으나 사회운동조직들(Social movement organizations)과 같이 전통적인 산업분류 개념에는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2] 다시 말해, 경험적으로 선택된 조직군이 조직형태라는 개념과 이론적으로 약한 연결고리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정체성 접근(Identity approach)은 조직형태에 대한 개념화의 새로운 방법을 보여주었다. 특히 형태 복잡성(Form complexity)의 개념은 조직형태의 관점에서 조직군내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하다[5][6] 조직군 생태론은 형태복잡성과 이에 관련된 이질성을 포착하기 위해 시스템 접근(Systems Approach)을 결합한다. 조직군 생태론자들은 집합적인 조직정체성(collective organizational identities)이 조직형태안에 또 다른 조직 형태가 계층적으로 둥지를 튼 시스템일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따라서 계층적으로 둥지를 튼 조직형태간에 상향적 또는 하향적 영향의 가능성을 강조한다.[3][7] 그러한 체계적 구조는 이질성을 포착하면서 경험적으로 관찰되는 조직군의 실제 습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 접근은 조직군 생태이론에서 조직 성장과 사멸을 설명하기 위해 사되는 주요논리로서 정당성(Legitimation)과 경쟁과정이 어떻게 - 복잡하고 이질적인 형태들로 특징지어지는 - 이질적 조직군내로의 조직의 진입 또는 생성의 역동적인 과정에서 진행되는가를 포착해내는데 매우 유하다.[8] 또한 조직생태학 연구는 조직의 변화와 사멸에 관련된 일련의 생태적인 과정의 인과관계를 밝혀준다. 특히 조직생태학적 접근은 개별조직 중심(Focal Organization)의 정태적 연구를 벗어나 기업의 변화하는 모습을 동태적으로 포착할 수 있도록, 한 산업에의 참여 업체 전반에 대한 종단적 자료 분석을 시도한다.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조직 변화의 동태성을 살펴보며 조직의 진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게 해준다.[9] 발전[편집] 1970년대 중반 이전에 조직을 연구하는 다수의 연구자들은 조직의 적응적 변화 즉, 내부적 의사결정의 프로세스에 중점을 두었던 것과는 달리 훠턴 스쿨(Wharton school)의 연구자인 윌리엄 에번(William M. Evan, ~ 2009년 12월 25일)[10]은 이미 1966년에 인구 수준을 조직집합이라 일컫고, 인구 내에서 일어나는 개개의 조직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 조직을 연구하였다.[11] 외부적 환경요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적 인식은 일찍이 이뤄졌고 1960년대 이후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이 출현하면서 본격적으로 환경을 중심으로 둔 이론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번스(Tom E. Burns, 1913년 ~ 2001년)와 스토커(G.M. Stalker)[12]는 영국의 전통적 섬유산업으로부터 급속하게 변화하는 첨단산업까지를 기술적 환경과 조직구조를 연관시켜 기계적 조직과 유기적 조직으로 구분하여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기계적 조직이란 딱 맞아 떨어지는 기계처럼 공식화된 규범이나 중앙집중적 의사체계 및 위계구조를 지닌 관료적 특성의 조직을 의미하며 유기적 조직은 반대로 중앙집중도나 공식화의 정도가 낮고 구성원의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닌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들이 구조가 달라지는 원인으로 조직의 ‘환경’에 착안하고 있다는 점인데, 비교적 안정되고 불확실성이 적은 표준화된 환경에서 활동하는 조직은 환경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직이 보다 관료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번스와 스토커는 환경을 제도나 정책, 문화 등과 같이 외생적으로 주어지고 조직 전체에 동일하게 미치는 개념으로 한정하였다. 이들에 이어, 로렌스(Paul R. Lawrence, 1922년 4월 26일 ~ 2011년 11월 1일)와 로르슈(Jay W. Lorsch, 1932년 ~ )[13]또한 환경과 조직구조간의 이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번스와 스토커의 이론과의 차이점은 환경의 영향이 조직 전체에 동일하게 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서들이 각기 다른 하위환경들에 접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각기 다른 환경의 요소는 조직 내부의 분화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여기서 ‘전략적 상황이론’이 도출되게 되었다. 즉 기술이나 시장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은 조직에게 제약요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기회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전략적 상황이론의 논리는 각기 다른 상황에 따른 조직의 내적 분화가 단순한 분화가 아닌 권력분화로 이어지게 되는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1970년대에 이르러 조직과 환경 뿐만 아니라 생물생태학의 진화론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은 조직생태학이 크게 유행하였다. 조직군생태학이론의 선구자인 해넌(Michael T. Hannan, 1943년 7월 14일 ~ )과 프리먼(John Freeman, 1944년 7월 21일 ~ 2008년 3월 3일)[1][4]은 ‘왜 많은 조직이 존재하고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조직이 환경에 대한 적응보다도 환경에 의한 ‘선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답들이 조직군생태학 이론의 기본 틀이 되는데 조직유형의 다양성은 환경적 특성과 조직간의 적합에 근거한 환경의 분별적 선택에 의해 나타나며 이는 환경에 적합한 조직유형의 생성, 성장, 쇠퇴, 사멸과 같은 생태적인 결과로 표출된다.[3][14] 이런 시각에서 올드리치(Howard E. Aldrich, 1943년 ~ )[15]의 주장을 비롯하여 조직군생태학이론의 특징들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면 크게 3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조직군생태학이론이 조직변동의 중심적 요인으로 조직내부과정보다는 자원분포 등을 비롯한 환경적 특성에 보다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조직군생태학 이론에서 바라보는 조직변동은 크게 선택(Selection) – 적응(adaptation) – 변화(Random change/transformation)의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기존 합리적 · 내부적 시각과 달리 조직은 불확실한 환경의 변화에 대해 합리적이고 유연하며 빠른 인지와 적응을 하지 못한다. 이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 ‘구조적 관성(Structural inertia)’의 개념인데 조직들은 적응한 환경이 또 다시 변화할 때 변화한 환경에 적응하려 하지만 그 시도는 항상 원하는 대로 또는 성공적으로 이뤄지지 못하며 오히려 성공하지 못하고 사멸에 이르는 경우가 훨씬 많다. 이는 조직이 변화에 대면하여 다양한 구조적 관성을 야기하기 때문인데 조직 내적 요인으로는 이미 투입한 매몰비용(Sunk Cost), 정보유통과 처리과정에서의 제한, 시장 진입 및 탈퇴에 대한 법적· 정치적 장애, 정당성의 위기 등에 의해 작용하는 조직 내 보호성향들 때문이다 때문에 조직군생태학 이론은 결국 조직들이 변화하는 메커니즘으로 기존 조직의 혁신보다는 차별적 선택에 따라 조직들이 세대교체를 이루어 낸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1][3] 두 번째 특징은 이런 선택적 메커니즘에 주목함으로써 조직군생태학이 개별적인 조직보다 거시적인 조직군에 초점을 맞춤으로 분석수준에 대한 방법론적 전환을 이루어 내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조직군이란 ‘동일한 조직형태를 공유하거나 동일한 환경에 의존하는 조직들의 집합으로서 한 산업에 속한 조직들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데, 조직군으로 조직을 분류함으로써 군집 내 또는 군집 간 조직행동을 보다 정확히 설명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단 조직이 군집화 되면 군집, 적소(niche), 환경 간 동태적 관계와 장기적인 조직생존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런 측면에서 조직군생태학은 개별 조직의 환경에 대한 적응이나 변화보다는 조직군 수준의 변이, 다양성, 특성 등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조직군 생태학은 조직들이 형성되어 나오는 역사적 맥락, 특히 거시사회적인 정치경제적 조건에 대하여 관심을 두기 때문에 장기적인 변화에 걸친 진화적 변화과정을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이는 사회과학에서 대부분의 인과적인 설명들이 종단적인 시간차원에 따른 방법론적 설계를 요구하나 실질적으로는 횡단적 연구설계를 통하여 인과론적인 추론을 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장기적’ 이란 하나의 조직군이 처음 등장해서 연구 시점에 이르기까지 변화해 온 전체 생애사(life history)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회적 조건의 변화가 어떻게 새로운 조직과 조직형태를 발생시키고 조직의 변화를 만들어내며, 조직이 사멸해가는 비율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기존 생태학적인 연구들은 조직군생태학 이론이 거시조직이론으로 분류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조직 생태학은 1970년대 후반에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한 거시적 조직이론의 여러 패러다임들 중, 산출된 연구의 수량과 연구방법론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대표적인 이론인 것이다. 1976년에는 에릭 트리스트(Eric Trist)는 인구 생태학을 “그들의 상호작용이 전체 분야 수준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조직들에 의해 만들어진 조직 분야에 대한 연구”로 정의했다. 그는 또한 내부적으로 관료주의적 규제와 생태학적(공동체 환경) 규제를 둘 다 갖고 있는 폐쇄형 시스템보다는 개방형 시스템의 일부인 인구와 개개의 조직들에 중점을 둔 조직 연구 조사를 지지했다. 1977년 해넌과 프리먼의 사회학 저널 “조직의 인구 생태학(The population ecology of organizations)”과 1989년에 개정된 “조직생태학(Organizational Ecology)”이라는 책에서 설명된 인구 생태학 이론의 첫번째 명백한 공식은 조직이 경쟁하는 환경과 자연도태와 같은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즉, 이 이론은 조직의 죽음, 새로운 조직의 탄생, 그리고 조직의 성장과 변화를 다룬다. 환경에 적응하려는 조직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환경은 스스로 최적인 조직을 선택하므로 환경과 조직간의 구조동일성은 필연적이라고 보고 있다.[16] 또한 앞서 말했듯이, 조직군 생태론은 조직현상을 이해하는 데 가장 의미 있는 단위를 개별 조직이나 조직간 관계가 아니라 전체 조직군과 공동체(community)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신생조직의 불리함(liability of newness), 자원분할(resource partitioning), 밀도의존성(density dependence)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이론들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왔다.[1][3][17] 이러한 과정을 거쳐 조직 생태학은 수년에 걸쳐 조직 연구의 주요한 분야 중 하나가 되었고, 그것의 실증적이고 양적인 성격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생태학연구는 주로 큰 규모로 이뤄지며, 종단 연구로 진행된다. The Demography of Corporations and Industries by Glenn Carroll and Michael Hannan (2000) and Logics of Organization Theory: Audiences, Codes, and Ecologies by Michael Hannan, Laszlo Polos, and Glenn Carroll (2007), 이 저서들은 조직생태학의 다양한 이론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개요와 방법들 제공한다. 조직생태학 연구자들로는 Michael T. Hannan, John H. Freeman, Glenn R. Carroll, Terry L. Amburgey, Laszlo Polos, Gabor Peli, Olav Sorenson, Jacques Delacroix, William P. Barnett, Christophe Boone, James B. Wade, Joel Baum, Henrich Greve, Heather Haveman, Alessandro Lomi, Anand Swaminathan, Giacomo Negro, Filippo Carlo Wezel, and Stanislav Dobrev 등이 있다.[9] 주요 관심사[편집] 조직생태학은 사회 세력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둔다. 새로운 조직적 형태의 발생비율 조직 및 조직형태의 붕괴 비율 조직 구조의 변화 비율[14] 전망[편집] 조직생태학은 조직론에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면서도, 이를 보완하는 개체군 관점이나 이러한 관점을 더 확대하여 공동체적 관점으로 그 연구가 진행될 전망이다. 개체군 및 공동체적 관점은 그 분석단위로서 조직개체군이나 공동체를 적용함으로써, 환원주의보다는 신비주의적 맥락에서 조직현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직군 생태학이론, 나아가서 개체군 관점 및 공동체 관점은 조직에 대하여 생태계 내에서 살아있는 실체와 그 활동과정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이론을 조직론에 제공해 주고, 그것을 발전시키는 데 충분히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18] 조직의 사멸[편집] 조직생태학은 조직을 지원하는 환경과 그 환경 속에서 조직의 성장과 사멸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것들은 조직의 사멸이라고 부르는 것들과 연관된다.[4][11] 구조적 관성과 변화[편집] 일반적인 조직 이론이 조직의 환경적응을 강조한 반면, 조직군 생태학 이론은 생물학적 적자생존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 내부의 구조적 요인과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환경에의 적응이 제약받으며, 조직군의 변화는 환경도태(selection)에 의하여 야기된다는 관점을 취했다. 내부의 구조적 요인은 투자와 매몰비용, 결정자를 위한 정보의 유용성, 조직 문화와 같은 정치적 규제, 그리고 조직 역사를 포함한다. 외부적 규제는 시장 진입과 퇴출에 관한 법률에 관련된 것과 국가 재정의 장벽, 환경에 관련된 정보의 유용성, 외부적 합당성, 그리고 집단의 합리성과 전략을 포함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일정한 환경 속에서는 재생산능력이 높은 조직이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성공한 개별 조직은 그 대가로 구조적 관성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초기의 조직생태학은 조직군 수준의 변화에 주목하여 조직의 생성과 사멸에 관심을 두었고, 개별 조직 수준의 변화에는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관성에 대한 경직된 이해로 인하여 개별조직은 변화하기 힘들며, 만약 변화하더라도 불리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조직생태학의 기본 가정처럼 변화가 실패를 가져온다면 현실 경영에서의 많은 조직들이 왜 그렇게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가를 이해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주목한 80년대 후반의 수정관점은 구조적 관성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조직의 생성과 사멸뿐만 아니라 조직 변화를 고려하여야만 조직군의 진화 현상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조직 변화에 주목하면 구조적 관성은 조직들을 둘러싼 환경과 조직들의 행동실행가능성 간의 대응관계로서[1] 조직이 환경의 변화 압력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 정도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19] 즉 구조적 관성은 조직의 불변성을 말하는 정태적 개념이 아니라, 상대적 개념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조직은 환경이 불변할 때에는 학습에 의해 획득한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구조적 관성을 갖게 되고 이러한 관성에 의해 경쟁력을 가지게 되나, 환경변화에 따라 환경적합성과 경쟁력이 상실되면 조직은 변화를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변화는 발생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위험하다‘는 초기의 논의는 "어떤 조건 하에서 조직은 변화하게 되며, 또한 이러한 변화가 실제로 조직에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는가 아니면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는가"라는 주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피력하고 있다.[20] 이와 같은 구조적 관성에 대한 재해석 과정을 통하여 조직생태학은 개별조직과 조직군 변화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9] 조직의 밀도와 사멸[편집] 조직 생태학은 로트카-볼테라 방정식(Lotka-Volterra equation)의 로지스틱 성장 모형에 의해 한 산업의 동태성을 참여업체의 밀도를 통해 고찰한다. 산업에의 진출입 상황을 나타내는 참여업체의 숫자는 곧 그 산업의 정당성과 경쟁 상황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브리턴(Jack W. brittain)과 프리먼[21]은 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 전략의 환경 도태에 있어서의 밀도의존성 개념을 도입하게 된다. 산업 형성 초기에는 사멸률이 높다가 정당성의 획득에 의해 사멸률은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밀도가 높아지면 경쟁이 치열해져 다시 사멸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17]그러므로 사멸률은 밀도가 성장함에 따라 처음에는 낮아지다가 다시 높아지는 U자형의 곡선을 그리게 된다.[9][17][22][23][24] 환경수용능력과 사멸[편집] 환경수용능력(environmental capacity)은 환경 내에서의 가용자원 수준을 나타내주는 것[15]으로서, 이것이 높을 때는 사멸률을 낮추게 될 것이다. 즉 환경수요능력의 확대는 경쟁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25] 또한 가용자원 획득의 용이함은 기업의 주요한 지탱물로써 작용할 것이며 존립의 근거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경수용능력을 통하여 기업이 어느 정도의 성장가능성과 자원 제공을 받을 수 있는 거라는 환경풍요성(munificence)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9] 환경변동성과 사멸[편집] 환경변동성(environmental variability)은 환경요소들의 변화정도를 말한다. 높은 환경변동성은 기존의 관성을 진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조직의 출현 가능성을 높이고 기존 조직의 변화를 요구한다. 즉 환경변동성이 높아지면 이전의 자원분포 유형이 달라지며, 이에 의존하던 조직은 사멸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15] 즉 구조직의 불리(liability of aging)를 가져오게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과 지식은 첨단산업인 컴퓨터 제조업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자원이다. 따라서 컴퓨터 산업에서의 환경변동성은 기술혁신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산업의 역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은 급격한 기술 혁신의 움직임은 기존 기술의 진부화를 가져왔으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기업의 생존은 위협받을 것이다.[9] 조직전략 변화와 사멸[편집] 조직생태학에서는 조직개편의 추구과정은 성과의 신뢰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사멸률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조직의 변화는 기존의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을 상실케 하므로 신생 조직의 불리를 낳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조직생태학의 관점에서는 변화 자체가 위험하다는 것과 함께 시도한 변화의 내용이 과연 환경에 적합할 것인가도 문제제기 하고 있다.[26] 더구나 "조직의 변화속도는 환경변화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27]는 입장에 서 있기 때문에 조직의 변화정도는 환경의 변화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본다. 그러나 변화가 실패할 가능성이 많더라도 이러한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변화할만한 가치가 있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제기할 수 있다.[9][20] 적소이론(틈새이론)[편집] 조직환경의 연구와 관련하여 인구생태론자들이 발전시키고 있는 또 하나의 핵심개념이 바로 적소이론(niche theory)이다. 적소(適所)란 사전적으로는 ‘적합한 장소’라는 뜻이다. 적소는 생물학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자원을 보유 하고 있는 환경의 영역들 중에서 특히 아직 어떤 종에 의해서도 점유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생태학에서는 생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적 요구조건의 총체를 의미하며 사회과학에서는 특정한 사회조직이 생존을 위해 의존해야 하는 환경 자원의 조합이라고 본다.[28] 즉, 적소는 하나의 조직이 유지되고, 활동하고, 상호작용 하는 장 또는 행위 공간이다. 적소는 1차적으로 모집단, 환경, 자원이라는 세 가지 개념을 통해 구체화 되는데, 앞으로 우리가 공유할 사회과학에서의 조직군이란 집단의 목표에 따라 상대적으로 동질성을 유지하는 공동체이다. 이러한 모집단을 둘러싼 외부를 통틀어 환경이라고 하며, 여러 자원을 포괄하는 일련의 적소 차원들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다. 특정 모집단의 생존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조직의 유지,경쟁 및 생존을 위해 획득해야만 하는 환경 요소들을 자원이라고 부른다.[29] 적소이론에서는 한 모집단이 환경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타 모집단과의 상호관계를 적소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환경이론에 의하면 조직의 생존전략은 크게 나누어 두 가지 형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직접적인 생존 경쟁을 통해 승리하는 방법과, 아직 다른 조직에 의해 점령되지 않는 새로운 적소를 찾아 자기 자신을 거기에 재빠르게 적응시키는 전략이 있다. 조직생태학에서의 적소 개념은 어떠한 조직유형이나 형태를 존속하도록 하는 정보, 물질, 고객 등과 같은 환경 자원들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추상적인 적소 개념은 어떠한 조직유형이나 형태를 존속하도록 하는 정보, 물질, 고객 등과 같은 환경 자원들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추상적인 적소 개념은 N-차원이라는 다차원적인 자원공간으로 구성되며, 각 차원은 적합한 환경조건을 나타낸다.[30][31] 밀도 의존성[편집] 조직생태학의 여러 이론 중 기업 사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밀도의존성이론이다. 밀도 의존성이론은 두 가지 기본개념과 연관된다. 기업 밀도와 사멸률 사이에는 비단조적(Non-monotonic) U형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U형관계에는 기업정당성의 확립 과정과 경쟁가속화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정당성의 확립 과정으로부터 보면, 기업 밀도가 비교적 낮은 산업 진화 초기 단계에서 기업 사이에 외부경제이익이 존재하기에 기업의 밀도 증가는 기업의 정당성 확립에 유리할 것이며, 기업 사이에는 이익 상호 보완관계로 나타나 사멸률이 낮아질 것이다. 그러나 산업 진화가 후기 단계에 진입하면, 기업 밀도의 증가는 기업 사이의 경쟁 가속화를 초래할 것이다. 경쟁 정도는 각 기업에서 요구하는 자원의 유사 정도에 달려있다. 바넷(William P. Barnett, 1958년 ~ )과 캐롤(Glenn R. Carroll, 1953년 7월 18일 ~ )[22]의 관점에 의하면, 산업진화과정 속에서 기업 사이의 상호 영향이 부정적인 작용으로 나타날 때, 이런 기업 사이에는 경쟁관계가 형성된다고 한다. 반대로 기업 사이의 상호 영향이 생존능력을 제고하는데 유리하면, 이런 기업 사이의 관계는 호혜의 관계를 형성한다. 기업 사이의 이런 호혜 관계는 동일한 업종의 개체군 내의 개별적인 기업 사이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업종의 개체군의 개별 기업 사이에도 존재한다. 해넌과 프리먼[32]은 신제도이론과 조직생태학을 인구밀도와 기업사멸률 사이의 관계 모형으로 제기하였다. 이 모형에 의하면 인구 밀도와 기업사멸률 사이의 관계는 정당성과 경쟁성의 두 개의 대립 과정으로 표현된다. 산업 진화의 초급 단계에서 인구 밀도의 밀도가 비교적 낮고 기업의 정당성이 부족하기에 자금 제공자, 공급 업자와 노동력의 측면에서 지지를 얻기 힘들다. 밀도가 비교적 낮을 때, 새로운 기업 수량의 증가는 동일 업종에 종사하는 기존기업의 정당성을 강화하는데 유리함으로 생존의 제도 기초를 제고하여 생존 능력과 생존율을 제고한다. 그러나 산업이 진화하여 후기에 이를 때, 동일한 사업에 종사하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같은 업종 내의 경쟁이 격렬해지면서 기존기업의 생존능력을 약화시킨다. 여기서 같은 업종 내의 경쟁이란 동일 구역 내 동일산업 및 기업 사이의 경쟁을 말한다. 같은 업종의 경쟁은 동일산업 내 기업의 자원 수요의 유사성으로 인해 나타난 것이다. 기업 사이에 수요 되는 자원이 비슷하면 할수록 경쟁이 더욱 심하다. 따라서 기업 사이의 경쟁 정도는 수요 자원의 중첩 정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같은 업종 내 일정한 지역의 기업이 그의 경쟁상대와 비슷하면 할수록 직면하는 경쟁이 더욱 심할 것이다. 그러나 기업규모와 기업 특성 유형에 따라, 예를 들면 특기, 상품, 능력, 가격, 기업의 위치 등이 다름에 따라 경쟁 상대들이 기업사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해넌과 캐롤[17]에 의하면 산업 진화의 초기 인구 밀도의 증가는 같은 업종의 개체군 내 특정기업 정당성의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일으켜 기업의 생존가능성을 제고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산업 진화가 후기 단계에 들어섰을 때 더욱 많은 기업들이 이 산업에 진입함으로써 산업 내 경쟁은 초기보다 격렬해 질 것이며 경쟁의 결과 기업의 생존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다. 이에 인구 밀도 내 기업 밀도가 생존에 대한 영향은 비단조성(Non monotonic)으로 표현된다. 바꾸어 말하면 기업의 정당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저밀도일 때는 기업생존율을 제고하는 요소로 나타나지만 고밀도일 때는 경쟁관계는 기업퇴출율의 요소로 작용을 일으킨다.[33] 규모 의존성[편집] 초기투자규모로 볼 때, 초기투자규모가 작은 기업과 비교하면, 초기투자규모가 큰 기업은 일반적으로 더욱 높은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외부이익관련자의 신임을 얻는데 유리하기에 기업으로 하여금 비교적 빨리 정당성의 지위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이외, 대규모의 초기투자는 기업 경영규모의 최적화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며 소규모 기업은 이런 측면에서 왕왕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33] 소규모기업의 생존불리성[편집] 생태조직이론에서 보통 규모 의존성을 소규모 기업의 생존불리성으로 정의한다. 이는 기업 규모와 기업사멸 사이에 정반대 관계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올드리치와 오스터(Ellen Auster)[34]에 의하면, 소규모기업은 대규모기업에 비해 선명한 생존불리성을 가지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대규모 기업에 유리한 법규 제도는 소규모기업의 지위를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소규모기업은 정부와 교섭하는 과정에서 더욱 많은 제약을 받을 것이다. 세 번째, 소규모기업은 대규모기업과 같이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고용관계를 제공할 수 없기에 우수인력자원을 유치하는데 불리한 위치에 처해 있다. 오드레치(David B. Audretsch, 1954년 11월 15일 ~ )와 마흐무드(Talat Mahmood)[35]는 소규모기업은 대규모기업에 비해 환경적응방면에서 뚜렷한 불리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고 경영실적이 불량한 상황에서, 저항할 재정자원이 부족한 소규모기업은 더욱 쉽게 시장에서 퇴출된다. 보통 충족한 재정자원은 외부환경 불확정성이 가져다 준 소규모기업의 불리성을 극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타 학자들도 여러 측면에서 소규모기업의 생존불리성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예를 들면, 스틴치콤(Arthur Stinchcombe, 1933년 5월 16일 ~ )[36]는 투자국 시장진입이 초기인 소규모 기업은 고객, 공급자 그리고 기타 이익과 연관된 사람과의 약속이 선명하게 부족하고, 기업외부환경지식과 정보 장악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객과 공급자와의 관계 등 문제를 처리함에 있어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겼다. 해넌과 프리먼[27]은 소규모기업은 국제생산경영경험이 부족하기에 생산경영활동을 최적 상황에 도달하기 힘들며 또한 상품의 품질에 대해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는 것도 경영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게로스키(Paul Geroski, 1952년 10월 18일 ~ 2005년 8월 28일)[37]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업 초기투자규모의 경제성은 기업 생존에 정의 영향을 일으킨다. 이런, 대규모의 초기 투자는 최적화경영규모에 도달하지 못한 기업의 원가 상의 열세를 낮춰주기 때문이다. 이와 비교하면, 소규모기업은 이 방면에서 왕왕 열세에 처해 있다.[33] 연령 의존성[편집] 신생기업의 생존불리성[편집] 조직생태이론에서 신생기업의 생존불리성은 기업 사멸 문제를 연구하는 중요한 변량의 하나이다. 신생기업의 생존불리성이란 연령이 비교적 많은 기업과 비교할 때, 신생기업은 보편적으로 쉽게 사멸하거나 혹은 사멸가능성이 더욱 크다는 것을 말한다. 여러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신생기업의 생존불리성을 유발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스틴치콤[38]은신생기업을 연령이 비교적 많은 기업과 비교하면, 생존불리성이 더욱 많기에 더욱 높은 사멸률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런 불리성을 생산하는 원인은 주로 네 가지 측면이 있다. 첫 번째, 신생기업은 새로운 역할에 필요한 지식과 지능을 배워야하는데 이 시기에 신생기업은 쉽게 큰 착오를 범한다. 두 번째, 신생기업의 정통성이 아직 확립되지 못하였기에 경영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세 번째, 신생기업은 운영을 하기 위해 외부와의 광범위한 연계를 건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생기업은 보편적으로 고객, 공급업자 등 외부이익관계자와의 신뢰부족으로 사회화 과정에 불리성을 가져 온다. 네 번째, 신생기업은 고객과 견고한 관계를 신속하게 맺기 힘들기에, 두터운 고객층을 가지고 있으며 연령이 많은 기업과 유효한 경쟁을 하기에는 불리하다. 스틴치콤[38] 이후 여러 학자들이 이 문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를 들면, 해넌과 프리먼[27]은 환경의 우승열패 과정에서 신뢰도와 예측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생존 위치에 처해있다고 했다. 이는 환경이 고도의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환경선택과정에서 업적이 불안정하고 신뢰도가 높지 않은 기업과 정통성이 부족한 기업은 쉽게 도태된다. 왜냐하면 이런 기업의 능력 및 미래에 대한 약속은 환경가운데서의 관건적 요소의 의심과 불신임을 받기에 그들은 자원획득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우선적으로 도태된다. 싱(Jitendra V. Singh)와 럼스덴(Charles J. Lumsden)[39]의 관점에 의하면 신생기업의 불리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은 두 가지 측면에서 표현된다고 한다. 첫째, 신생기업은 새로운 역할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배울 필요가 있는데 이는 비교적 긴 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과정에 상당히 많은 수량의 자원의 투입이 필요하다. 이 외에, 다이크(Lorraine S. Dyke), 피셔(Eileen M. Fischer)와 로이버(A. Rebecca Reuber)[40], 쇼운지(Linda B. Shonesy)와 걸브로(Robert D. Gulbro)[41]는 신생기업은 보통 자신의 업무와 산업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데 이런 경험과 지식의 부족은 신생기업 경영 실패의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 신생기업은 일반적으로 기업운영에 필요한 특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긴다. 예를 들면, 적합한 관리방식, 조절능력, 관리경험 등의 부족은 일반적으로 기업경영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다. 종합하면, 연령이 많은 기업과 비교했을 때, 신생기업이 더욱 쉽게 사망하는 것은 주요하게는 그들에게 기업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정당성 있는 지위가 부족하고, 기업 외부로부터 충분한 재력 자원을 획득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만들어져 있지 않아 제한적인 학습능력과 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신생기업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 구성원들은 새로운 역할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외부경제파동, 경쟁, 예견할 수 없는 기술변화 등의 제약을 쉽게 받을 것이다. 반대로 오래된 기업은 그들의 신대내용(信貸內來容), 상품 경로, 제품 라인 등 방면의 우세를 이용하여 신생기업에 쉽게 경쟁압력을 가한다.[33] 성장기의 생존불리성[편집] 1990년대 이후, 조직생태학은 신생기업 불리성의 연구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신생기업 불리성의 연구에서 기업 생장주기요소를 추가하여 성장기의 생존불리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기하였다. 신뢰성(Reliability)이란 기업이 예정한대로의 품질을 가진 상품을 반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외부환경이 극도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신뢰도는 생산효율보다 더욱 쉽게 기업외부이익관계자의 인정을 받는다는 것이 보편적인 인식이다. 따라서 신뢰도는 기업생존능력의 제고에 유리하다. 예측가능성(Accountability)이란 기업이 자신의 자원이용방식의 결정과정에 대한 복제의 능력을 말한다. 이런 복제능력을 가지려면, 기업은 자원의 합리적인 배치와 조정을 보증할 수 있고 또한 연속성을 가진 일련의 제도와 규칙을 건립할 필요가 있다.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은 기업구조가 가지고 있는 고도의 복제가능성을 보증하였다. 브뤼델레(독일어: Josef Brüderle)과 쉬슬러(독일어: Rudolf Schüßler)[42]에 의하면 신생기업은 보통 일정한 수준의 초기자원에서 출발하여 성장기에 진입한 것이기에 신생기업의 성장기 사멸률은 초기자원 함유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신생기업은 원시자원의 상황이 다름에 따라, 1~15년 사이 사멸률의 최고치에 달할 수 있으며 이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사멸률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성장기의 불리성은 기업 연령 및 사멸률 사이에 역 U자형 특징으로 나타나게 한다. 피치먼(Mark Fichman)과 레빈탈(Daniel A. Levinthal)[43]은 이와 비슷한 관점을 제기하였다 그는 초기자원은 신생기업의 사멸률을 낮추는 데 유리하기에 신생기업으로 하여금 일정한 시기의 밀월기를 지낼 수 있게 한다고 여겼다. 초기 자원을 끊임없이 소비하며 밀월기가 끝나면 신생기업의 사멸률은 최고치로 상승한 후 낮아진다. 이는 설립초기의 기업은 일정한 시기동안 비교적 낮은 사멸률을 나타내지만 성장기에는 사멸률의 최고치에 도달한 다음 점차적으로 낮아진다는 것이다.[33] 성숙기의 생존불리성[편집] 기업사멸과 연령 사이의 관계 측면에는 위의 관점 이외에, 성숙기의 생존불리성이라는 관점이 있다. 이는 기업변혁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기 때문에 위에서 제기한 두 가지 개념과 다르며 성숙기의 불리성은 또한 기업변혁의 불리성이라고도 부른다. 성숙기의 불리성이란 기업연령이 증가되면서 성숙기에 진입되면 사멸률이 오히려 단조상승(單調上昇)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이것은 바로성장기의 기업이 사멸률의 최고치에 도달한 이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사멸률이 단조하강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기업의 연령이 진일보 증가하여 성숙기에 진입하면, 사멸률은 단조상승(單調上昇)하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성숙기의 생존불리성 때문에 기업의 사멸률은 U형의 변화특징을 나타낼 것이다. 배런(David N. Barron), 웨스트(Elizabeth West)와 해넌[44] 과 해넌과 프리먼[27] 관점으로부터 보면, 성숙기의 생존불리성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은 두 가지 있다. 첫 번째는 기업의 구조적 관성(structural inertia)이다. 기업연령이 증가되고 기업내부의 규정제도가 부단히 정규화 되면서, 기업관성이 증가되는데 이는 외부환경변화에 대한 반응과 조정 능력이 하강하게 되면서 생존의 불리성을 유발한다. 두 번째는 고액의 간접원가(overhead cost)이다. 기업의 구조적 관성 형성원인은 내적요소뿐만 아니라 외적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내적요소로는 ① 법률 혹은 정책에 의해 형성된 장벽의 진입 혹은 사멸 ② 기업 외부의 정보를 얻는 것과 정보통을 만드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 ③ 기업이 처해있는 환경과 사회정당성 이러한 것들은 기업자원의 정상적인 유동과 취득에 영향을 미치는데, 변혁과정에서 기업이 뛰어넘을 수 없는 난제가 바로 어떻게 새로운 정당성을 만들고 보존하는 것이다. 외적요소는 주로 ① 기업의 설비, 공장 및 인원 등 측면의 투자는 보통 이동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매몰비용이다. ② 기업 책략이 의뢰하는 내외부 소식은 불확정성과 불완비성을 가지고 있기에 조직구조조정에 제한이 존재하게 된다. ③ 구조조정은 기업내부의 역할과 자원의 새로운 분배를 유발하기에 기존의 균형관계를 파괴하고 내부기구와 구성원사이의 대항을 쉽게 일으킴으로써 기업변혁을 저해하고 변혁의 효율을 낮춘다. ④ 기존의 경험을 토대로, 기업은 이미 내부에 여러 공동의식과 관리 규범 그리고 관례(routine)를 형성하였다. 변혁과정에서, 이전의 응당하다고 여겼던 규범이 도전을 받게 되는데 이는 정당성 및 규범의 새로운 인정과 확립에 있어 더욱 많은 난관에 부딪치게 할 것이다.[33] 조직에 대한 진화적 접근[편집] 조직생태학은 경제학의 진화적 이론과 유용하게 비교될 수 있다.[45] 해넌과 프리먼은 또한 생물학적 생태학과 경제 진화론이 그들의 인구 생태학 모델로 미치는 영향을 주목한다.[27][46][47][48] 이러한 문헌들 간의 주요 유사점은: (1) 조직 루틴과 조직 적응력의 한계에 대한 강조, (2) 인구 혹은 시스템 분석 규모, 그리고 (3) 환경 선택의 중요성이다. 조직 생태학의 관점은 다윈 주의적이다[1] 반면 넬슨(Richard R. Nelson, 1930년 ~ )과 윈터(Sidney G. Winter, 1935년 ~ )[45]는 라마르크 학설(환경의 적응한 결과인 획득형질 또한 유전가능하다는 학설)의 관점에 더 가깝다. 고민해 봐야할 또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와 ‘조직 형태’란 조직생태학 관점에서의 조직 형태인가 아니면 진화학적 경제학의 일상에서 다루어지는 조직 형태인지에 대해서이다. 조엘(Joel A.C. Baum)과 아르연(네덜란드어: Arjen van Witteloostuijn)과 같은 저자는 이 두 가지 연구 사이의 상호 수정의 잠재성에 대해 논쟁 해왔다.[49] 사회는 거대한 스케일의 진화와 조직 네트워크 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것을 브라하(Braha) 등이 제시하였다. 그는 기업 간 인지되는 대규모 경쟁적인 네트워크를 재생산하는 미시 동력 모델을 제안한다. 조직 네트워크에 대한 몇 가지 진화적 메커니즘이 인식되었다 : 기업의 공간적 위치는 인구 밀도와 상관관계가 있다. 기업의 공간적 위치는 인구 밀도에 긍정적으로 연관이 되어있고 기업 간 상호 경쟁은 축적되어온 유리한 규칙과 지리적인 거리에 의해 좌우된다. 그리고 경쟁 네트워크 형성과 회사 규모의 역동성과도 밀접하게 얽혀 있다.[50] 조직군의 형태와 그 존재 및 소멸 이유를 외부환경의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조직군생태학 이론은 조직구조에 일단 변이(variation)가 발생하면, 환경과의 적합도 수준에 따라 환경적소(environmental niche)로부터 도태되거나 선택(selection)되며, 그 환경 속에서 제도화되어 보존(retention)된다고 설명한다.[18] 변이는 조직변동이 나타나는 첫 번째 단계이다. 조직생태학에서는 계획적이든 비계획적이든 변이의 원천 그 자체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다. 여기에서 변이에 대한 관심은 어디까지나 자연, 즉 환경이 선택이 이루어지는 대상으로서 국한된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변이가 있는데, 우선 새로운 조직군이 출현하여 기존의 조직군에 유입되면서 이루어지는 전체조직군의 등장과 쇠퇴로서 특정되는 변이이다. 이것은 환경의 선택기준이 변화하고 기존의 보존기제가 붕괴되면서 새로운 조직이 출현함으로써 야기되는 변이이다. 두 번째 변이는 주로 조직성장에 의한 것으로 조직규모가 증대하고 복잡성이 증대하면서 나타나는 조직형태상의 부분적인 변형이다. 선택은 일단 조직군에서 새로운 조직이 출현하거나 또는 조직형태상의 변이가 나타난 다음 단계의 과정이다. 조직군생태학이론의 또 다른 이름인 자연선택이론이라는 명칭에서 드러나듯이 선택은 이 이론에서 가장 크게 관심을 두고 분석하는 과정이다. 조직군생태학이론은 변이의 원인에 대하여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 반면, 선택과정에 대하여는 중점적으로 다룬다. 선택에 있어서의 주체는 시종일관 환경이다. 즉 선택은 환경에 의해 특정한 기준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 있어서 조직은 능동적인 행위자가 아니라 단지 환경에 의해 선택되는 대상이다. 선택단계에서 어떤 변이가 성공적으로 선택되고 어떤 것은 탈락되는가의 여부에 가장 결정적인 기준은 환경이다. 조직은 환경에의 적합성 여부에 따라 성공적으로 선택되어 생존하게 되거나 또는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환경의 특성에 맞추는 방향으로 계속 변화를 하게 된다. 실제 이 이론에서는 조직이 부분적 변형을 통해 생존할 가능성은 지극히 제한적으로 그려진다. 변이와 마찬가지로 선택에 있어서도 조직군생태학이론가들은 전체로서의 조직에 대한 선택과 조직의 부분적 형태 변형을 통한 선택을 구분하는데, 이들이 우선적으로 관심을 두는 것은 조직 전체로서의 도태와 존속으로서의 선택이고, 조직의 부분적인 변형을 통한 선택에 대하여는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다. 보전은 환경에 의해 성공적으로 선택된 조직형태가 지속되고 계승되는 것이다. 선택단계에서 긍정적으로 선택된 반응들은 조직의 기억장치를 통해 보전되고, 복제되고, 재생산된다. 조직보전과 관련하여 조직군생태학 이론가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기제는 교육이다.[15][27][4] 조직생태학의 전략[편집] 조직생태학은 전략을 두 가지의 기준에 따라 나누고 있다. 우선 첫번째 기준은 사업영역의 문제로서, 전문화전략(specialism)은 좁은 활동영역을, 그리고 다각화전략(generailsm)은 상대적으로 넓은 활동영역을 가진다.[15][1] 한편 두번째 기준인 자원활용전략은 기업이 새로운 시장기회에 얼마나 신속하게 대응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선발전략(early-entrant)과 후발전략(late-entrant)으로 나뉜다. 이를 결합시켜 4가지 조직전략이 나타날 수 있는데[21] 선발전문화전략(ES), 선발다각화전략(EG), 후발전문화전략(LS), 후발다각화전략(LG)등이다.[51] 이와 같은 전략 분류는 각각 Miles와 Snow의 전략분류를 일부 수정한 Entrepreneuer / Rospector / Depender / Analyzer 전략과 상응한다.[52] 기존의 조직생태학 연구에서 이러한 전략유형을 활용하였으나[21][53], 전략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전략변화가 조직사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를 연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특정 환경 여건 하에서 유리한 조직전략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이 역시 조직전략의 변화 가능성을 고려해서 연구한 것은 아니었다. 최근 케첸(David J. Ketchen), 토마스(James B. Thomas)와 스노우(Charles C. Snow, 1945년 4월 9일 ~ )의 연구에서는 향후 이러한 전략의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에 따른 성과차이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기한 바 있다. 전략변화는 그 자체가 구조적 관성에 의해 제약될 뿐만 아니라, 위험을 수반하기 때문에 전략변화의 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직과 환경간의 적합성이라는 조건이 전략변화의 발생정도와 변화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전략 변화의 결과 역시 전략변화의 내용과 환경 간의 적합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9]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Freeman, John; Hannan, Michael T. (1989년 9월 1일). “Setting the Record Straight on Organizational Ecology: Rebuttal to Young”.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5 (2): 425–439. ISSN 0002-9602. doi:10.1086/229275.  ↑ 가 나 Hannan, Michael T (2005년 3월 1일). “Ecologies of Organizations: Diversity and Identity”.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영어) 19 (1): 51–70. ISSN 0895-3309. doi:10.1257/0895330053147985.  ↑ 가 나 다 라 마 “The Demography of Corporations”.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Hannan, Michael T.; Freeman, John (1977년 3월 1일). “The Population Ecology of Organiza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 (5): 929–964. ISSN 0002-9602. doi:10.1086/226424.  ↑ 가 나 Hsu, Greta; Hannan, Michael T. (2005년 10월 1일). “Identities, Genres, and Organizational Forms”. 《Organization Science》 16 (5): 474–490. ISSN 1047-7039. doi:10.1287/orsc.1050.0151.  ↑ Zuckerman, Ezra W.; Kim, Tai‐Young; Ukanwa, Kalinda; von Rittmann, James (2003년 3월 1일). “Robust Identities or Nonentities? Typecasting in the Feature‐Film Labor Marke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8 (5): 1018–1073. ISSN 0002-9602. doi:10.1086/377518.  ↑ McKendrick, David G.; Carroll, Glenn R. (2001). “On the Genesis of Organizational Forms: Evidence from the Market for Disk Arrays”. 《Organization Science》 12 (6): 661–682.  ↑ 안석기, 이태섭. “비영리단체 생성 및 성장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 조직군 생태이론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회.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김재구 (1996년 8월 1일). “조직의 전략 변화가 생존에 미치는 배경에 관한 조직생태학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4. ISSN 1598-8740.  ↑ Evan, William M (1966). “The organization-set: Toward a theory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Approaches to organizational design》.  ↑ 가 나 Clegg, Stewart R.; Hardy, Cynthia; Lawrence, Tom; Nord, Walter R. (2006년 6월 21일). 《The SAGE Handbook of Organization Studies》 (영어). SAGE. ISBN 9781446206898.  ↑ Burns, Tom E.; Stalker, G. M. (196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Rochester, NY.  ↑ Lawrence, Paul R.; Lorsch, Jay W. (1967).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2 (1): 1–47. doi:10.2307/2391211.  ↑ 가 나 Singh, Jitendra V.; Lumsden, Charles J. (1990). “Theory and Research in Organizational Ec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6 (1): 161–195. doi:10.1146/annurev.so.16.080190.001113.  ↑ 가 나 다 라 마 Aldrich, Howard (2008). 《Organizations and Environments》 (영어).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58291.  ↑ Trist, E (1977). “Australian Journal of Management 2(2)”. 《A Concept of Organizational Ecology》.  ↑ 가 나 다 라 Hannan, Michael T.; Carroll, Glenn R. (1992년 1월 2일). 《Dynamics of Organizational Populations: Density, Legitimation, and Competition》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61131.  ↑ 가 나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0. ISBN 8976440749.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Gresov, Christopher; Haveman, Heather A.; Oliva, Terence A. (1993년 5월 1일). “Organizational Design, Inertia and the Dynamics of Competitive Response”. 《Organization Science》 4 (2): 181–208. ISSN 1047-7039. doi:10.1287/orsc.4.2.181.  ↑ 가 나 Haveman, Heather A. (1992).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Organizational Change and Performance Under Conditions of Fundamental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7 (1): 48–75. doi:10.2307/2393533.  ↑ 가 나 다 Brittain, Jack W. (1981). 《Organizational proliferation and density dependent selection: Organizational evolution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영어). Institute of Industrial Rela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 가 나 Barnett, William P.; Carroll, Glenn R. (1987). “Competition and Mutualism among Early Telephone Compani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2 (3): 400–421. doi:10.2307/2392912.  ↑ A., Barnett, Marva. “More Than Meets The Eye: Foreign Language Reading. Language and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영어).  ↑ Carroll, Glenn R.; Hannan, Michael T. (1989). “Density Delay in the Evolution of Organizational Populations: A Model and Five Empirical Test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4 (3): 411–430. doi:10.2307/2393151.  ↑ Ginsberg, Ari; Buchholtz, Ann (1990년 9월 1일). “Converting to For-Profit Status: Corporate Responsiveness to Radical 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영어) 33 (3): 445–477. ISSN 0001-4273. doi:10.2307/256576.  ↑ Levinthal, Daniel A. (1991년 2월 1일). “Organizational Adaptation and Environmental Selection-Interrelated Processes of Change”. 《Organization Science》 2 (1): 140–145. ISSN 1526-5455. doi:10.1287/orsc.2.1.140.  ↑ 가 나 다 라 마 바 Hannan, Michael T.; Freeman, John (1984). “Structural Inertia and Organizational 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9 (2): 149–164. doi:10.2307/2095567.  ↑ Hannan, Michael; Freeman, John (1977). “The Population Ecology of Organizations”. Rochester, NY.  ↑ “Altmetric – The Theory of the Niche: Quantifying Competition Among Media Industries”.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한병섭 (2007년 4월 2일). 《조직생태 기업전략 그리고 투자기업 철수》. 한국학술정보. ISBN 9788953461468.  ↑ “RISS 통합검색 - 학위논문 상세보기”.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Hannan & Freeman - Organizational Ecology”.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서영휘 (2011년 6월 1일). “조직생태와 기업사멸”. 《디아스포라연구》 5 (1). ISSN 1975-9908.  ↑ Professor, Howard E Aldrich,; Auster, Ellen (1986). “Even Dwarfs Started Small: Liabilities of Age and Size and Their Strategic Implications” (영어) VIII.  ↑ AUDRETSCH, DAVID B.; MAHMOOD, TALAT (1994). “The Rate of Hazard Confronting New Firms and Plants in U.S. Manufacturing”.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9 (1): 41–56.  ↑ March, James G. (2013년 6월 26일). 《Handbook of Organizations (RLE: Organizations)》 (영어). Routledge. ISBN 9781135965426.  ↑ Geroski, Paul (1995). “What do we know about e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rganization》 13 (4): 421–440. ISSN 0167-7187.  ↑ 가 나 Arthur L. Stinchcombe (2000년 1월 1일). 《Social structure and organizations》.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 17.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29–259쪽. doi:10.1016/s0742-3322(00)17019-6.  ↑ Singh, Jitendra V.; Lumsden, Charles J. (1990). “Theory and Research in Organizational Ec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6: 161–195.  ↑ S., Dyke, Lorraine; M., Fischer, Eileen; Rebecca, Reuber, A. (1992년 10월 1일). “An Inter-Industry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Owner Experience on Firm Performance”.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영어) 30 (4). ISSN 0047-2778.  ↑ Shonesy, Linda, and Robert D. Gulbro. (2005). “Small business suc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ruderl, Josef; Schussler, Rudolf (1990). “Organizational Mortality: The Liabilities of Newness and Adolesce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3): 530–547. doi:10.2307/2393316.  ↑ Fichman, Mark; Levinthal, Daniel A. (1991). “Honeymoons and the Liability of Adolescence: A New Perspective on Duration Dependence in Social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 (2): 442–468. doi:10.2307/258870.  ↑ Barron, David N.; West, Elizabeth; Hannan, Michael T. (1994). “A Time to Grow and a Time to Die: Growth and Mortality of Credit Unions in New York City, 1914-1990”.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0 (2): 381–421.  ↑ 가 나 Nelson, Richard R.; Winter, Sidney G. (2009년 6월 1일).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영어).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41431.  ↑ Elton, Charles S. (1927년 2월 1일). “The Nature and Origin of Soil-Polygons in Spitsbergen”. 《Quarterl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영어) 83 (1-5): 163–NP. ISSN 0370-291X. doi:10.1144/GSL.JGS.1927.083.01-05.07.  ↑ “Quarterl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영어).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Hutchinson, G. E.; MacArthur, Robert H. (1959). “A Theoretical Ecological Model of Size Distributions Among Species of Animals”. 《The American Naturalist》 93 (869): 117–125.  ↑ Stanislav D. Dobrev; Arjen van Witteloostuijn; Joel A.C. Baum (2006년 1월 1일). 《Introduction: Ecology versus Strategy or Strategy and Ecology?》. Advances in Strategic Management 23.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26쪽. doi:10.1016/s0742-3322(06)23001-8.  ↑ 최창현. “조직군생태학이론”.  ↑ “Organizational adaptation: Some implications of organizational ecology for strategic choice” (영어). 2017년 5월 17일에 확인함.  ↑ Ketchen, David J.; Thomas, James B.; Snow, Charles C. (1993).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and Performance: A Comparison of Theoretical Approache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 (6): 1278–1313. doi:10.2307/256812.  ↑ Brittain, Jack William (1992). 《Environmental Change and Organizational Selection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영어). University Microfilm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직생태학&oldid=24207557" 분류: 조직론행동과학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관리 - 여러 이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7: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생태학(生態學, 영어: ecology)이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환경은 생물의 주변을 구성하는 생물적, 비생물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영어로 ecology, 독일어로 Ökologie라 하는 생태학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사는 곳", "집안 살림"을 뜻하는 oikos와 "학문"을 의미하는 logos의 합성어이다. "집안 살림 관리"를 뜻하는 경제학과 어원이 같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적소라는 의미를 1차적으로 구체화시키는 세 가지 요소는 무엇일까? Assistant: 모집단, 환경, 자원
Human: 아래 덕원군_(왕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덕원군 (왕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덕원군 (왕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덕원군 지위 군 신상정보 출생일 세종 31년(1449) 3월 6일 출생지 한성부 사망일 연산군 4년(1498) 7월 22일 사망지 한성부 건천동(乾川洞) 자택 능묘 덕원군묘 왕조 조선 배우자 임천군부인 김씨 봉산군부인 윤씨안성군부인 양씨창녕군부인 성씨 자녀 연성군(蓮城君) 덕진군(德津君) 외 8명 아들 덕원군(德源君, 1449년 3월 6일 ~ 1498년 7월 22일)은 조선 전기의 왕자, 왕족으로, 세조의 서자이며 근빈 박씨 소생이었다. 예종 때 남이의 옥사를 평정한 공으로, 수충보사정란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에 책록되었다. 휘(諱)는 서(曙)이고, 자(字)는 정수(晶叟)이며 호는 종덕암(宗德菴)이다. 목차 1 생애 1.1 사후 2 가족 관계 3 기타 3.1 불사 중창 4 각주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조선 세조와 근빈 박씨(謹嬪善山朴氏) 사이의 아들로 세종 31년(己巳年-1449년) 3월6일 한성부에서 출생하였다. 단종3년(甲戌年-1455년) 어머니를 여의고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자랐다. 세조4년(戊寅年-1458년) 8월 10세에 덕원군에 봉군(封君)되고 세조8년 (壬午年-1462년) 14세에 혼인하여 사저(私邸) 60여칸을 하사받고 출궁, 이때부터 궐밖 건천동(乾川洞)에서 생활했다. 덕원군은 평소 효심이 지극하여 부왕을 정성껏 모셨으며 부왕이 거동할 때에는 항시 배행(陪行)하였다. 부왕의 온양온천 행차에 배종(陪從)하면서 진위군 종덕면 막금리(振威郡 宗德面 幕錦里) - 현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당현리(現 京畿道 平澤市 古德面 堂峴里)에 당도하니 옛날 나라에서 지표(地標)를 묻어둔곳(埋標處)인데, 덕원군이 세조의 어가 앞에 나아가 이 땅을 자신에게 내려주실 것을 엎드려 청하니, 세조가 쾌히 승낙하여 그 땅을 덕원군의 사패지 전지로 하사하였다. 후일 덕원군은 수구(水口)에 긴 뚝을 쌓고 안산(案山)에 작원당(作願堂)을 짓고 탑(塔)을 세우며 대로(大路)를 평택쪽으로 옮기니, 이곳이 훗날 공(公)의 묘소가 있는 사패지(賜牌地)이다. 이때부터 매표처동강종덕(埋標處東岡宗德)이라하고 공(公)의 호 또한 종덕(宗德)에서 유래 하였으며 사시(賜諡)는 소간(昭簡)이시다. 세조14년(1568년) 무자년 덕원군의 나이 20세에 세조가 승하하고 이복 동생 예종이 즉위하였다. 예종조에는 국정을 돌보고 문충공 신숙주, 한명회, 유자광 등과 협력하여 남이의 옥사를 평정한 공으로, 수충보사정란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에 책훈(策勳)되고 성종조에는 종부시도제조(宗簿寺都提調)를 명받아 종실을 바로 살피고, 선원보(璿源譜)를 관장하였으며, 선왕의 제향소(祭享所) 일을 맡아보았다. 연산조에는 바른 말을 진언하여 잘못된 정사를 다소 시정케하였다. 공(公)께서는 세종대왕이 성리(性理)에 심취한 유지를 받드러 성현의 학문을 전수하고, 역(易), 례(禮)를 밝히니 일대의 유종(儒宗)이라 칭송을 받았다. 연산군 4년(1498年) 7月 22日 한성부 건천동(乾川洞) 자택에서 사망하니 향년 49세였다. 사후[편집] 묘소는 경기도 평택군 고덕면 당현리(현 평택시 고덕면) 산60-3번지 간좌에 안장되었다. 당시 왕자가 사망하면 예우(禮遇)로 나라에서 예장(禮葬)을 내렸는데, 덕원군이 생존시 예장을 받지 말라는 유언에 따라 예장을 받지 않았으니 간소하게 장례를 하고, 다른 왕자의 묘소보다 초라하여 근세(近世)에 후손들의 주선으로 비석과 석물 및 곡장 등을 설치하였다. 정부인인 임천군부인 경주 김씨도 합장되었다. 계부인인 봉산군부인 함안 윤씨와 안성군부인 청주 양씨는 양주시 광사동 산98번지(楊州市 廣沙洞 山九十八番地)에 있으며 덕원군의 생모인 근빈 박씨의 묘는 우강(右岡) 간좌(艮坐)에 상하장(上下葬)으로 모셨다. 넷째 부인 창녕군부인 창녕성씨의 묘는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직천리 산97-17호 건좌(乾坐)에 안장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부왕 : 제 7대 세조 모친 : 근빈 박씨 동생 : 창원군 정부인 : 임천군부인 경주 김씨(林川郡夫人 慶州金氏, 1447 ~ 1481) - 증좌찬성(贈左贊成) 김종직(金宗直)[1]의 딸 첫째 아들 연성군 이적(蓮城君, 1464 ~ 1525) 둘째 아들 덕진군(德津君, 삼촌 창원군(昌原君)의 후사로 출계) 계부인 : 봉산군부인 함안 윤씨(繼配鳳山郡夫人 咸安尹氏, 1450.8.12) - 함안군(咸安君) 윤말손(尹末孫)의 딸 여섯째 아들 : 순정수(順政守, 후사 없음) 일곱째 아들 : 덕성수(德城守, 후사 없음) 여덟째 아들 : 풍창수(豊昌守, 후사 없음) 이계부인 : 안성군부인 청주 양씨(配安城君夫人 淸州楊氏, 1451 ~ 1504) - 참지(參知) 증찬성(贈贊成) 양일원(楊逸源)의 딸 셋째 아들 : 영천도정 이감(寧川都正, 1478 ~ 1534) 다섯째 아들 : 동산도정 이심(東山都正, 1489 ~ 1521) 삼계부인 :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配昌寧郡夫人 昌寧成氏, 1453 ~ 1515) - 수찬(修撰) 성노풍(成魯風)의 딸[2] 넷째 아들 : 숭선군(嵩善君, 1488 ~ 1544) 아홉째 아들 : 기성도정(箕城都正) 열번째 아들 : 청부군(靑鳧君, 1494 ~ 1545) 기타[편집] 불사 중창[편집] 덕원군은 전라북도 고창 선운사를 중창 하는데 지원했다. 고창 도솔산 선운사(禪雲寺)는 신라 진지왕(新羅 眞智王) 원년(元年 -576년 丙申)경 진흥왕이 물러난 뒤에 창건 하였으나 천년(千年)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사찰이 퇴락하여 폐찰이 되었는데 성종4년(1473 - 癸巳年) 행호선사(幸浩禪師)가 한양에 올라가 이 사찰의 형세와 천년고찰의 중수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사찰이 중수 되면 매년 법회를 열어 왕실과 열성조(列聖朝)의 명복을 기원 하겠다고 덕원군에게 고하자 덕원군이 이를 승낙하고 선운사 중건을 지원한 뒤, 발원문(發願文)과 선왕(先王)의 선가혼기(仙駕魂記)를 썼다. 성종4년(1473년 - 癸巳)에 착공 하여 11년 후인 성종14년(1483년 - 癸卯)에 완공하여 어실(御室)과 이층 장육전(丈六殿), 관음전(觀音殿), 천불대광명전(千佛大光明殿), 지장전(地藏殿), 동상실(東上室), 금당(金堂), 능인전(能仁殿) 등 전각 건물 백팔(百八) 칸, 요사채 아홉동을 옛 그대로 복구하여 대가람(大伽藍)이 되었으며, 매년 어실(御室)에서 수륙법회(水陸法會)를 열어 왕실과 열성조의 명복을 기원 하였다. 그 뒤 선운사는 정유재란으로 불길에 휩싸여 많은 문화유산과 전각건물이 소실되고 1층 어실의 덕원군이 직접 쓴 발원문(發願文)과 선가혼기(仙駕魂記) 등의 기록만이 선운사에 지금까지 보존되어 전해오고 있다. 각주[편집] ↑ 선산김씨 김종직과는 동명이인이다. ↑ “전주이씨대동종약원”.  같이 보기[편집] 조선 세조 의경세자 조선 예종 조선 성종 선운사 제안대군 정희왕후 윤사분 윤사흔 외부 링크[편집] 종덕재-전주이씨 덕원군파 종회 덕원군:네이트 한국학[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고덕면 당현리에 은둔한 덕원군 이서(李曙) vdeh조선과 대한제국의 왕자/황자 목록추존왕 목조 소생 안천대군 어선 안원대군 진 안풍대군 정 익조 행리 안창대군 매불 안흥대군 구수 추존왕 익조 소생 함녕대군 안 함창대군 장 함원대군 송 도조 춘 함천대군 원 함릉대군 고태 함양대군 전 함성대군 응거 추존왕 도조 소생 완창대군 자흥 환조 자춘 완원대군 자선 완천대군 평 완성대군 종 이완자불화 이나해 추존왕 환조 소생 태조 성계 완풍대군 원계 영성대군 천계 의안대군 화 태조 소생 진안대군 방우 영안대군 방과 → 정종 익안대군 방의 회안대군 방간 정안대군 방원 → 태종 덕안대군 방연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 정종 소생 의평군 원생 순평군 군생 금평군 의생 선성군 무생 종의군 귀생 진남군 종생 수도군 덕생 임언군 녹생 석보군 복생 덕천군 후생 임성군 호생 도평군 말생 장천군 보생 정석군 융생 무림군 선생 태종 소생 양녕대군 제 효령대군 보 충녕대군 도 → 세종 성녕대군 종 경녕군 비 함녕군 인 온녕군 정 익녕군 치 근녕군 농 희령군 타 후령군 간 혜령군 지 세종 소생 왕세자 향 → 문종 수양대군 유 → 세조 안평대군 용 임영대군 구 광평대군 여 금성대군 유 평원대군 임 영응대군 염 화의군 영 계양군 증 의창군 공 밀성군 침 익현군 연 영해군 당 담양군 거 한남군 어 수춘군 현 영풍군 전 문종 소생 왕세자 홍위 → 단종 단종 소생세조 소생 의경세자 장 → 추존왕 덕종 해양대군 황 → 예종 덕원군 서 창원군 성 추존왕 덕종 소생 월산대군 정 잘산대군 혈 → 성종 예종 소생 인성대군 분 제안대군 현 성종 소생 왕세자 융 → 연산군 진성대군 역 → 중종 무산군 종 안양군 항 봉안군 봉 전성군 변 계성군 순 완원군 수 회산군 념 견성군 돈 익양군 회 경명군 침 운천군 인 양원군 희 이성군 관 영산군 전 연산군 소생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이인수 이영수 이총수 양평군 인 이돈수 중종 소생 왕세자 호 → 인종 경원대군 환 → 명종 복성군 미 금원군 영 봉성군 완 영양군 거 덕흥군 초 → 덕흥대원군 해안군 희 덕양군 기 인종 소생명종 소생 순회세자 부 선조(양자) 선조 소생 영창대군 의 임해군 진 광해군 혼 의안군 성 신성군 후 정원군 부 → 추존왕 원종 의창군 광 순화군 보 인성군 공 인흥군 영 경창군 주 흥안군 제 경평군 늑 영성군 계 광해군 소생 폐세자 지 추존왕 원종 소생 능양대군 종 → 인조 능원대군 보 능창대군 전 능풍군 명 인조 소생 소현세자 왕 봉림대군 호 → 효종 인평대군 요 용성대군 곤 숭선군 징 낙선군 숙 효종 소생 왕세자 연 → 현종 현종 소생 왕세자 순 → 숙종 숙종 소생 왕세자 균 → 경종 성수 영수 연잉군 금 → 영조 연령군 훤 경종 소생영조 소생 효장세자 행 → 추존왕 진종 장헌세자 선 → 추존왕 장조 추존왕 진종 소생 정조(양자) 추존왕 장조 소생 의소세손 정 왕세손 산 → 정조 은언군 인 은신군 진 은전군 찬 정조 소생 문효세자 순 왕세자 공 → 순조 상계군 담(양자) 순조 소생 효명세자 영 → 추존왕 문조 철종(양자) 추존왕 문조 소생 왕세손 환 → 헌종 고종(양자) 헌종 소생철종 소생 원자 융준 고종 소생 왕세자 척 → 순종 완친왕 선 의친왕 강 의민황태자 은 순종 소생의민황태자 소생 원손 진 왕세자 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덕원군_(왕족)&oldid=23463318" 분류: 1449년 태어남1498년 죽음조선의 왕자조선의 문신조선의 공신조선 세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14일 (월) 0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덕원군 이서(德源君 李曙, 1449년 4월 7일(3월 6일 ~ 1498년 8월 18일(7월 22일))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 세조의 차남이자 서장자로 어머니는 근빈 박씨이다. 예종 때 남이의 옥사를 평정한 공으로, 수충보사정란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에 책록되었다. 이름은 서(曙)이고, 자(字)는 정수(晶叟)이며 호는 종덕암(宗德菴)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덕원군이 지원했던 선운사의 역사는? Assistant: 덕원군은 전라북도 고창 선운사를 중창 하는데 지원했다. 고창 도솔산 선운사(禪雲寺)는 신라 진지왕(新羅 眞智王) 원년(元年 -576년 丙申)경 진흥왕이 물러난 뒤에 창건 하였으나 천년(千年) 가까운 세월이 흐르는 동안 사찰이 퇴락하여 폐찰이 되었는데 성종4년(1473 - 癸巳年) 행호선사(幸浩禪師)가 한양에 올라가 이 사찰의 형세와 천년고찰의 중수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사찰이 중수 되면 매년 법회를 열어 왕실과 열성조(列聖朝)의 명복을 기원 하겠다고 덕원군에게 고하자 덕원군이 이를 승낙하고 선운사 중건을 지원한 뒤, 발원문(發願文)과 선왕(先王)의 선가혼기(仙駕魂記)를 썼다. 성종4년(1473년 - 癸巳)에 착공 하여 11년 후인 성종14년(1483년 - 癸卯)에 완공하여 어실(御室)과 이층 장육전(丈六殿), 관음전(觀音殿), 천불대광명전(千佛大光明殿), 지장전(地藏殿), 동상실(東上室), 금당(金堂), 능인전(能仁殿) 등 전각 건물 백팔(百八) 칸, 요사채 아홉동을 옛 그대로 복구하여 대가람(大伽藍)이 되었으며, 매년 어실(御室)에서 수륙법회(水陸法會)를 열어 왕실과 열성조의 명복을 기원 하였다. 그 뒤 선운사는 정유재란으로 불길에 휩싸여 많은 문화유산과 전각건물이 소실되고 1층 어실의 덕원군이 직접 쓴 발원문(發願文)과 선가혼기(仙駕魂記) 등의 기록만이 선운사에 지금까지 보존되어 전해오고 있다. Human: 아래 S2_(항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S2 (항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2 (항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0-2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2 S2의 궤도. 시계방향으로 궁수자리 A*를 돌고 있다. 명칭 다른 이름 [CRG2004] 13, [GKM98] S0-2, [PGM2006] E1, [EG97] S2, [GPE2000] 0.15, [SOG2003] 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ICRS))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7h 45m 40.044s[1] 적위(δ) −29° 00′ 28″[1] 위치천문학 거리 25900 ± 1400 광년[2] 성질 광도 ? L☉ 나이 ? 분광형 B0~2V[1] 추가 사항 질량 15 M☉[3] 표면온도 ? K 중원소 함량 (Fe/H) ?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S2(Source 2)또는 S0-2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강력한 전파원 궁수자리 A*를 돌고 있는 항성이다. 목차 1 설명 2 사진첩 3 각주 4 외부 링크 설명[편집] 이 별은 1995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와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재단 두 군데에서 의문의 전파원 궁수자리 A*의 정체가 초대질량 블랙홀인지의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그동안 누적된 자료에 따르면 A*의 정체는 블랙홀일 가능성이 크다. 2008년부로 S2는 1 공전주기를 마쳤다.[4] 상기 막스 플랑크 재단 소속 천문학자 그룹은 S2의 공전 운동을 관측하여 지구로부터 이 별이 속한 은하계 중심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했다. 측정값은 25884 ± 1369 광년으로 나왔으며 다른 방법으로 측정한 값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2][3] 이 별은 전파원을 큰 이심률을 그리면서 돌고 있는데 전파원에 가장 가까이 접근해도 17 광시(120 천문단위, 태양~해왕성 거리의 네 배) 이하로 가까워지지 않지만 전파원의 질량이 태양의 430만 배이기 때문에 공전주기는 15.56 ± 0.35년에 불과하다. 이로부터 S2가 A*와 초근접 하였을 때의 공전속도는 초당 5000 킬로미터가 나온다. 이는 빛 속도의 1.67% 수준이다. 또한 항성에 가해지는 가속도는 대략 1.5 m/s2로 지구 표면중력의 6분의 1 수준이다.[5] S2의 움직임으로부터 궁수자리 A* 근처에 있는 다른 천체들을 잡아낼 수 있을 것이다. S2의 공전궤도 정도 크기의 공간에 눈에 보이지 않는 항성 잔해들(항성질량 블랙홀, 중성자별, 백색 왜성 등)이 퍼져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 천체들은 S2를 흔들어 케플러 궤도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게 만들 것이다.[6] 누적 관측으로 알게 된 사실 중 하나는 이들 보이지 않는 천체들의 질량을 다 합친 값이 궁수자리 A*의 1%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7] 2012년 S2보다 A*를 더 가까이서 도는 S0-102가 발견되었다. S0-102의 1 공전주기는 11.5년으로 S2의 15.5년보다 좀 더 짧다. S0-102는 S2에 비해 어두웠기 때문에 배경으로부터 이 별이 뿜는 적외선 신호를 구별해내는 데 시간이 걸렸다. 사진첩[편집] 초대질량 블랙홀 후보 궁수자리 A* 주위를 도는 주요 항성들의 궤도. S2는 다른 별들에 비해 공전궤도가 작다.[8] 각주[편집] ↑ 가 나 다 E1 -- Star in double system, SIMBAD, 2016-04-15 확인. ↑ 가 나 Eisenhauer, F.; 외. (2003). “A Geometric Determination of the Distance to the Galactic Cen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597 (2): L121–L124. Bibcode:2003ApJ...597L.121E. arXiv:astro-ph/0306220. doi:10.1086/380188.  ↑ 가 나 Max-Planck-Institut für extraterrestrische Physik—Infrared/Submillimeter Astronomy—Galactic Center Research, R. Scho¨del 외. Nature, Vol 419, 2002-10-17, 2016-04-15 확인. ↑ A short documentary on Sagittarius A* - 유튜브 ↑ Surfing a Black Hole, ESO, 2002-10-16 작성, 2016-04-15 확인. ↑ Sabha, Nadeen; Eckart, Andreas; Merritt, David; Mohammad Zamaninasab; Gunther Witzel; Macarena García-Marín; Behrang Jalali; Monica Valencia-S.; 외. (September 2012). “The S-Star Cluster at the Center of the Milky Way: On the nature of diffuse NIR emission in the inner tenth of a parsec”. 《Astronomy and Astrophysics》 545: A70. Bibcode:2012A&A...545A..70S. arXiv:1203.2625. doi:10.1051/0004-6361/201219203.  ↑ Gillessen, S.; 외. (2009). “Monitoring Stellar Orbits Around the Massive Black Hole in the Galactic Cen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IOP Publishing) 692 (2): 1075–1109. Bibcode:2009ApJ...692.1075G. arXiv:0810.4674. doi:10.1088/0004-637X/692/2/1075.  ↑ Eisenhauer, F.; Genzel, R.; Alexander, T.; Abuter, R.; Paumard, T.; Ott, T.; Gilbert, A.; Gillessen, S.; Horrobin, M.; Trippe, S.; Bonnet, H.; Dumas, C.; Hubin, N.; Kaufer, A.; Kissler‐Patig, M.; Monnet, G.; Strobele, S.; Szeifert, T.; Eckart, A.; Schodel, R.; Zucker, S. (2005). “SINFONI in the Galactic Center: Young Stars and Infrared Flares in the Central Light‐Month”. 《The Astrophysical Journal》 628: 246. Bibcode:2005ApJ...628..246E. arXiv:astro-ph/0502129. doi:10.1086/430667.  외부 링크[편집] (영어) "Star Orbiting Massive Milky Way Centre Approaches to within 17 Light-Hours", ESO 언론발표 기사(2002년 10월 16일). (영어) Stars Orbiting around the Black Hole at the Center of the Milky Way - 유튜브[1] (영어) SIMBAD 자료 (영어) UCLA Galactic Center Group animations, 궁수자리 A* 주변 항성들의 모습을 3D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준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S2_(항성)&oldid=20489351" 분류: B형 주계열성궁수자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हिन्दीItaliano日本語Lëtzebuergesch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월 21일 (일) 0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S2(Source 2)또는 S0-2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강력한 전파원 궁수자리 A*를 돌고 있는 항성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천문학자들이 S2의 공전 운동을 관찰하여 알아낸것은 무엇이지? Assistant: 지구로부터 이 별이 속한 은하계 중심부까지의 거리
Human: 아래 세어셔_로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어셔 로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어셔 로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얼샤 로넌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시얼샤 로넌Saoirse Ronan 본명 시얼샤 우나 로넌 Saoirse Una Ronan[1]출생 1994년 4월 12일(1994-04-12) (25세)[2][3]미국 뉴욕주, 브롱크스국적 미국, 아일랜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3년 - 현재 부모 폴 로넌 (아버지) 모니카 로넌 (어머니) 형제자매 무남독녀수상 수상 목록 시얼샤 우나 로넌(Saoirse Ronan IPA: [ˈsˠiːɾˠʃə ˈroʊnən][4], 1994년 4월 12일 ~ )은 간단히 시얼샤 로넌(영어: Saoirse Ronan)으로 잘 알려진 아일랜드와 미국의 배우이다.[5] 그녀는 골든 글로브상, 네 번의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과 세 번의 미국 아카데미상 후보 지명을 포함한 수 많은 시상식에서 수상의 쾌거를 이뤄냈다. 2016년에 그녀는 두 개의 포브스 30세 이하, 타임스의 차세대 리더 목록에 포함 되었다.[6][7] 로넌은 2003년 아일랜드의 메디컬 드라마 《더 클리닉》으로 데뷔했으며, 2007년에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절대로 네 여자가 될 수 없을거야》로 장편 데뷔했다. 그녀가 평단으로부터 주목 받게 된 조숙한 십대 소녀를 연기한 영화 《어톤먼트》(2007)로, 그녀는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그녀는 다음 작품으로 살해를 당하고 지상과 천상에서 맴도는 소녀를 연기한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러블리 본즈》(2009), 십대 암살범을 연기한 액션 드라마 영화 《한나》(2011), 뱀파이어를 연기한 영화 《비잔티움》(2012)와 요리사를 연기한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에 출연했다. 그녀는 2016년에 첫 브로드 웨이 리바이벌 《시련》에 출연하여 아비게일 윌리엄스 역할을 연기했다. 로넌은 195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향수병을 앓는 아일랜드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로맨틱 드라마 영화 《브루클린》(2015)과 명목상인 고등학교 3학년을 연기한 그레타 거윅 감독의 성장 영화 《레이디 버드》(2017)에서의 그녀의 연기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로넌은 이 작품으로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두 영화의 연기로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2003-2009 : 어톤먼트 및 초기 경력 2.2 2010–2014: 라이징 스타 2.3 2015–현재: 브루클린, 레이디 버드와 향후 활동 3 사생활 및 이미지 4 필모그래피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무대 4.4 뮤직 비디오 5 수상 및 후보 목록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원본 편집] 로넌은 1994년 4월 12일, 미국 뉴욕주, 브롱크스에서 태어났다.[8] 로넌은 아일랜드인의 부모 폴 로넌과 모니카 로넌 (옛 성씨는 브레넌)의 외동딸이다. 이들은 모두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으로 1980년대 후반 미국으로 이주했다.[9] 그녀의 아버지는 뉴욕에서 배우로 활동하기 전에[10] 건설업과 바에서 일했으며,[11] 그녀의 어머니는 게이어티극장에서 배우로 일했으나 이후에는 활동하지 않고 있다.[12] 로넌의 가족은 그녀가 3살 때 아일랜드 더블린으로 이주했다. 그녀는 칼로주에서 살며 아르다틴 국립학교에 다녔지만,[13] 그러나 이후에 가정교사에 의해 홈스쿨링을 받았다.[11] 10대 초반에 로넌은 해변 마을 호스에서 정착해 살다 부모와 함께 더블린으로 다시 돌아왔다.[14][15] 경력[원본 편집] 2003-2009 : 어톤먼트 및 초기 경력[원본 편집] 로넌은 2003년 아일랜드의 공영 방송 RTE에서 방영 된 황금 시간대의 메디컬 드라마 《더 클리닉》과 미니시리즈 《프루프》로 데뷔했다.[16] 같은 시기에 로넌은 《해리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에서부터 등장하는 루나 러브굿 역할을 따내기 위해 오디션에 참여했지만 결국 이 역할은 이반나 린치에게 돌아갔다.[17] 로넌의 첫 번째 영화는 2005년에 촬영 된 에이미 해커링 감독의 영화 《절대로 네 여자가 될 수 없을거야》이다.[18] 이 영화에서 로넌은 폴 러드가 사랑의 관심을 보이는 미셸 파이퍼가 연기하는 역할의 딸을 연기했다. 버라이어티의 조 레이 돈은 이 영화에 "필사적으로 재미있지 않다"라는 제목을 붙였지만 로넌과 파이퍼의 캐릭터간의 상호 작용은 영화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19] 2008년 로넌 12세 때, 로넌은 이언 매큐언의 동명의 소설을 각색한 조 라이트 감독의 2007년 영화 《어톤먼트》의 캐스팅 요청을 받았다. 그녀는 자매의 연인을 범죄자로 오해하고 고발함으로써 여러 명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13세의 브라이오니 탤리스 역의 오디션을 받았다. 그녀는 키이라 나이틀리와 제임스 맥어보이와 공연하였다. 3천만 달러의 작은 예산으로 제작 된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1억 2천 9백만 달러를 벌여들였다.[20] 〈더 보스턴 글로브〉의 타이 버르는 그녀를 "놀랍고도 기이한"이라고 불렀고,[21] 〈디 애틀랜틱〉의 크리스토퍼 오는 그녀에 대해 "자기도취즘을 경이롭고 우아하게 사로잡고, 자기 회의에 조숙함을 고수하다"라고 썼다.[22] 로넌은 골든 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및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으며, 그녀는 최연소 아카데미 후보로 지목 되었다.[23] 2008년 영화 《시티 오브 엠버: 빛의 도시를 찾아서》의 유럽 시사회에서 로넌 로넌은 다음 작품으로 초자연적 스릴러 영화 《데스 디파잉: 어느 마술사의 사랑》에서 캐서린 제타 존스가 분한 가난한 심령술사의 딸을 연기했고, 판타지 영화 《시티 오브 엠버: 빛의 도시를 찾아서》에서 엠버라는 지하 도시의 주민들을 구하려는 영웅 십대 소녀 리나 메이플릿 역할을 연기했다. 두 영화 모두 엇갈리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흥행에 실패했다.[24][25][26][27] 이후에 리뷰에서, 영화 평론가인 스티븐 홀덴은 로넌의 재능이 어떻게 낭비 됐는지에 주목했다.[28] 2009년 로넌은 앨리스 시볼드의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피터 잭슨 감독의 초자연적 드라마 영화 《러블리 본즈》로 레이철 바이스, 마크 월버그, 수전 서랜던, 스탠리 투치와 함께 주연을 맡았다. 로넌은 첫 데이트를 앞두고 이웃집 남자에 의해 무참하게 살해 된 후 천상으로 떠나지 못하고 지상과 천상의 '경계'에서 복수를 추구하면서 남겨진 사람들의 삶을 지켜보는 14세 소녀 수지 샐몬을 연기하였다.[29] 로넌과 그녀의 가족은 당시 로넌이 그 주제에 따라 역할을 받아들이는 것을 주저했지만 잭슨이 이 영화에서느 강간과 살인 장면을 묘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답 받은 후에 동의했다.[30][31] 영화의 여러 장면들은 광범위한 특수 효과에 의존했으며 로넌의 장면 대부분은 블루 스크린 앞에서 촬영 되었다.[31] 평론가들은 영화의 이야기와 메시지를 비판했으며,[32] 하지만 〈타임스〉의 리처드 콜리스는 로넌이 "굉장한 중력과 품위"를 가진 소름 끼치는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투자했다고 믿는다"라고 썼다.[33] 〈데일리텔레그래프〉의 수프데크 산두는 로넌은 제작의 유일한 긍정적인 면으로, 그녀에 대해 "그녀는 동시에 장난스럽고 엄숙하며, 젊지만 그녀의 나이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라고 썼다.[34] 이 영화는 박스오피스에서 실망적인 성적을 거두었지만 로넌은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최우수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35][36] 2010–2014: 라이징 스타[원본 편집] 2010년 만 16세의 나이에 로넌은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에 초대 되었다.[37] 피터 위어 감독의 전쟁 드라마 영화 《웨이백》(2010)에서 로넌은 1940년 시베리아 강제 노동수용소라 불리는 캠프 105에서 도주한 시베리아 수감자들과 함께 인도까지 약 4천 마일의 트레킹을 떠나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고아가 된 폴란드인 소녀 이레나라는 조연 역할을 연기했다. 그녀는 짐 스터게스, 콜린 파렐 및 에드 해리스와 공연했으며, 이 영화는 불가리아, 인도, 모로코에서 촬영 되었다.[38] 다음 해, 로넌은 조 라이트 감독과 재회하여 북극 황야에서 자살한 15세 소녀에 관한 액션 영화 《한나》에서 타이틀 롤 캐릭터를 연기했다. 이 영화에서 에릭 바나와 케이트 블란쳇가 한나의 아버지이자 악당의 CIA 요원으로 공연했다. 로넌은 자신의 스턴트를 연기하고 준비하면서, 몇 달 동안 무술 훈련, 스틱 싸움 및 칼 싸움 등을 배웠다.[39][40] 로넌의 연기와 영화의 액션 장면은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41]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이 영화에 대한 리뷰에서 "피와 후회의 초현실적인 우화" 그리고 로넌을 "연기의 마법사"라고 썼다.[42] '한나'는 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43] 그녀는 스튜디오 지브리의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마루 밑 아리에티》의 더빙 된 영어 판에서 주인공 역할을 연기했다.[44] 2011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로넌 로넌은 제프리 플레쳐 감독의 액션 영화 《바이올렛 앤 데이지》(2011)에서 암살자 데이지 역할을 연기하며, 알렉시스 블레델과 공연했다. 〈IGN〉의 에릭 골드만은 이 영화를 쿠엔틴 타란티노의 작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었고 로넌의 능력이 그 소재를 능가했다고 논평했다.[45] 피터 잭슨은 로넌에게 호빗 시리즈에서 엘프 역할을 요청했으나 일정이 맞지 않아 프로젝트에서 캐스팅이 무산 됐다.[46][47] 그녀는 그 대신에 닐 조단의 공포 영화 《비잔티움》(2012)에 출연했고, "어두운 고딕 양식" 프로젝트는 그녀에게 더 복잡하고 성숙한 성격을 나타내는 기회를 주었다. 이 영화에서 젬마 아터튼과 그녀는 뱀파이어인 어머니와 딸을 연기했다.[48] 〈라디오 타임스〉의 평론가 앨런 존스는 "이 영화는 인류에 대해 언급하기 위해 뱀파이어를 프리즘으로 사용하는 회화적인 동화"라며 아터튼과 로넌을 모두 "빛나는" 것으로 간주했다.[49] 2013년에는 스티븐 메이어의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호스트》에서 로넌은 인간 반역자인 멜라니 스트라이더와 기생적인 외계인인 완다 역할을 연기했다. 비평가들은 이 영화에 반감을 들어내며,[50] 혹평을 받았다.[51] 캐빈 맥도널드 감독의 드라마 영화 《하우 아이 리브: 내가 사는 이유》에서 로넌은 멕 로소프의 동명 소설을 각색하여 가상의 제3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는 동안 영국의 한 농장으로 보내진 미국인 십대를 연기했다. 〈엠파이어〉의 올리 리차드는 로넌에게서 "전형적으로 관찰 가능한 형태"인 것을 발견했지만, 그러나 영화는 흥행에서 수익을 거의 얻지 못했다.[52][53] 로넌은 올해 최종 영화로 애니메이션 영화 《저스틴》에서 탈리아라는 이름의 목소리 역할을 연기했지만 비평가들에게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54] 로난은 2014년에 다양한 활약을 선보였으며,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과 라이언 고슬링의 감독 데뷔작 《로스트 리버》에 출연했다.[55][56] 전자의 경우 랄프 파인즈와 토니 레볼로리와 공연한 앙상블 영화로, 로넌은 레볼로리가 분한 캐릭터에 사랑의 관심을 가지는 조연 역할을 연기했다.[48] 이 영화는 2천 4백만 달러의 예산으로 1억 7400만 달러 이상을 벌어 들었고, BBC에 의해 세기 중 가장 위대한 영화 중 하나로 선정 되었다.[57][58] 초현실적인 판타지 영화 《로스트 리버》에서 로넌은 애완 동물 쥐를 키우는 렛이라는 신비로운 어린 소녀를 연기했다. 〈더 인디펜던트〉의 제프리 맥냅은 이 영화를 "걷잡을 수 없이 제멋대로 하는 일"이라고 평했지만, 로난의 "힘들지만 취약한" 연기를 칭찬했다.[59] 2015–현재: 브루클린, 레이디 버드와 향후 활동[원본 편집] 2015년 영화 《브루클린》 시사회에사 로넌. 이후 스톡홀름 증후군에 대한 심리 스릴러 영화 《스톡홀름, 펜실베이니아》(2015)에 출연 한 후,[60] 로넌은 드라마 영화 《브루클린》에서 1950년대 뉴욕에서 향수병을 앓는 아일랜드 소녀인 엘리스 레이시 역할을 연기했다. 존 크로울리가 감독한 이 영화는 칼럼 토이빈이 쓴 동명의 소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61] 로넌은 자신의 캐릭터 개발의 특정 측면이 자신을 반영한다고 말하면서 그녀가 "모든 단 하나의 말에, 그녀의 여정에 대한 모든 면과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62] 영화와 로넌의 연기는 찬사를 받았고,[63] 〈더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그것을 "진심 어린 몰입하게 영화"로 간주했으며 로넌의 "침착한 균형은 거의 모든 장면과 모든 장면을 고정시킨다"고 썼다.[64] 〈로스 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투란은 "그녀가 가장 미묘한 수단으로 창조한 압도적인 공감으로, 그녀가 아프지만 개인적이고 격렬한 감정적인 순서는 전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65] 로넌은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주연상과 골든 글로브상 영화 드라마부문 최우수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66][67] 2017년 《레이디 버드》 시사회에서 로넌. 그녀는 이 작품으로 미국 아카데미상에 세 번째 후보 지명 되었다. 2016년 로넌은 뉴욕으로 옮겨 브로드 웨이에서의 데뷔 공연을 위한 리허설을 시작했으며, 아서 밀러의 희곡 《시련》의 리바이벌을 시작했다.[68] 그녀는 요술로 고발 된 150명의 사람들의 죽음에 책임이 있는 중재자인 아비게일 윌리엄스 역할을 연기했다.[69] 세일럼 마녀 재판에 기반으로 한 이 연극은 125회 공연을 위해 출품 되었다.[70] 준비 과정에서 그녀는 스테이시 쉬프의 소설 "The Witches : Salem, 1692"을 읽고 반 호브와 엄중히 협력하여 그녀의 악랄한 캐릭터에 공감했다.[71] 다음 해, 로넌은 전기 애니메이션 드라마 《러빙 빈센트》에서 마가렛 가쳇의 목소리를 연기했고, 빌리 하울과 함께 이언 매큐언의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온 체실 비치》에서 신혼 부부로 출연했다. 후자의 경우에는 모두 엇갈리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인디와이어〉의 케이트 어블랑은 로넌에 대해 "그녀의 연기는 하울의 장면에 의해 가려져 활용되지 못했다."라고 썼다.[72] 또한 2017년 로넌은 그레타 거윅 감독의 성장 영화 《레이디 버드》에서 주연을 맡았으며, 그녀는 그녀의 어머니와 격동의 관계를 맺고 있는 고교 3학년인 크리스틴 "레이디 버드" 맥퍼슨 역할을 맡았다. 이 영화는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 높은 점수의 평가를 받은 영화 중 하나이다.[73] 올해의 최고 중 하나로 로넌의 연기는 각인 되었고, 〈뉴욕 타임스〉의 A. O. 스콧은 "레이디 버드의 이야기에서 각자의 길을 걸어 다니며 자신감과 발견의 기이한 조합을 펼친다. 그녀는 실제 17살처럼 자발적이고 예측할 수 없으며...완전히 깜짝 놀란만한 수준의 공예를 제안한다."라고 썼다.[74] 그녀는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미국 아카데미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과 미국 배우 조합상(SAG) 최우수 여우주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75][76] 로넌은 에드 시런의 "Galway Girl"(2017)의 뮤직 비디오 주인공으로 출연했다.[77] 로넌은 2018년 5월에 안톤 체호프의 동명의 연극을 각색한 영화 《더 시걸》에서 아네트 베닝과 함께 출연한다고 발표 되었다.[78] 그녀는 11월에 시대극 영화 《메리, 퀸 오브 스코틀랜드》에서 메리 스튜어트를 연기하며, 엘리자베스 1세를 연기하는 마고 로비와 공동 주연을 맡는 것이 발표 되었다.[79] 그녀는 또한 루이자 메이 올컷이 1868년에 발표한 동명 소설을 각색한 그레타 거윅 감독의 시대극 영화 《작은 아씨들》로 거윅과 다시 작업하기로 했으며, 이 작품에서 엠마 왓슨, 티머시 섈러메이, 메릴 스트립 등의 앙상블 캐스트들과 공연할 예정이다.[80][81] 사생활 및 이미지[원본 편집] 로넌은 미국 및 아일랜드 시민권을 이중 보유하고 있다.[82] 그녀는 아일랜드 위클로주, 그레이스톤스에서 살고 있다.[83] 그녀는 또한 아일랜드 아동 학대 방지협회의 대사로 활동하고 있다.[84] 2011년 로넌은 아일랜드 영화 기관의 기록보관서 기금에 대한 홍보 행사에 참석하여, 그녀는 과거에 인기있었던 아일랜드 영화를 다큐멘터리 장면으로 디지털 편집하는 작업에 참여했다.[85] 2016년, 로넌은 〈포브스〉에서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30인의 리스트와, 〈타임지〉에서 선정한 차세대 리더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86][87] 2018년 《맥심》의 "Hot 100" 리스트와 《인디와이어》가 30세 미만의 미국 배우 중 최고의 배우로 선정 되었다.[88][89] 또한 그해 캘빈 클라인은 그녀와 루피타 뇽오를 라프 시몬즈의 첫 향수 "Women"의 앰버서더로 선정했다.[90][91] 필모그래피[원본 편집] 영화[원본 편집] Key 아직 개봉하지 않은 영화를 나타낸다. 년도 제목 역할 감독 참고 2007 절대로 네 여자가 될 수 없을거야 I Could Never Be Your Woman 이지 맨스폴스 에이미 해커링 2007 조나단 투미의 크리스마스 기적 The Christmas Miracle of Jonathan Toomey 셀리아 헤드윅 빌 클락 2007 어톤먼트 Atonement 브라이오니 탤리스, 13세 조 라이트 2007 데스 디파잉: 어느 마술사의 사랑 Death Defying Acts 벤지 맥가비 질리안 암스트롱 2008 시티 오브 엠버: 빛의 도시를 찾아서 City of Ember 리나 메이플릿 길 키넌 2009 러블리 본즈 The Lovely Bones 수지 샐몬 피터 잭슨 2010 마루밑 아리에티 Kari-gurashi no Arietti 아리에티 (더빙) 요네바야시 히로아키 애니메이션 영화 (영국 버전) 2010 웨이 백 The Way Back 이레나 피터 위어 2011 한나 Hanna 한나 헬러 조 라이트 2011 바이올렛 앤 데이지 Violet & Daisy 데이지 제프리 플레쳐 2012 비잔티움 Byzantium 엘레노어 웹 닐 조단 2013 호스트 The Host 멜라니 스트라이더 / 완다 앤드루 니콜 2013 하우 아이 리브: 내가 사는 이유 How I Live Now 데이지 케빈 맥도널드 2013 저스틴 Justine and the Knights of Valour 탈리아 (더빙) 마누엘 시실라 애니메이션 영화 2014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The Grand Budapest Hotel 아가사 웨스 앤더슨 2014 머펫 모스트 원티드 Muppets Most Wanted 발레 댄서 제임스 보빈 카메오 2014 로스트 리버 Lost River 렛 라이언 고슬링 2015 스톡홀름, 펜실베이니아 Stockholm, Pennsylvania 레이아 다르곤 니콜 백위드 2015 위파 웨이 포 나우 Weepah Way for Now 에밀리/내레이션 스티븐 링거 목소리 출연 2015 브루클린 Brooklyn 엘리스 레이시 존 크롤리 2017 러빙 빈센트 Loving Vincent 마가렛 가쳇 도로타 코비엘라, 휴 웰치먼 2017 레이디 버드 Lady Bird 크리스틴 "레이디 버드" 맥퍼슨 그레타 거윅 2017 체실 비치에서 On Chesil Beach 플로렌스 폰팅 도미닉 쿡 2018 갈매기 The Seagull 니나 자레치나야 마이클 메이어 2018 메리, 퀸 오브 스코틀랜드 Mary Queen of Scots 메리 조지 루크 2019 작은 아씨들Little Women 조 마치 그레타 거윅 촬영 중 TBA The French Dispatch TBA 웨스 앤더슨 제작 초반 텔레비전[원본 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2003~2004 더 클리닉 The Clinic 리안논 게리티 4 에피소드 2005 프루프 Proof 오를라 켈리 4 에피소드 2014 로봇 치킨 Robot Chicken 여러 역할 목소리 출연; 2 에피소드 2017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Saturday Night Live 본인 (호스트) 에피소드: "Saoirse Ronan/U2"[92][93][94] 무대[원본 편집] 년도 제목 역할 극장 참고 2016 시련 The Crucible 아비게일 윌리엄스 워터 커 극장 2016년 2월 29일(프리뷰 시작), 2016년 4월 7일 ~ 7월 17일 공연 뮤직 비디오[원본 편집] 년도 곡(노래) 가수 참고 2013 "Garden's Heart" 뱃 포 래쉬스 2016 "Cherry Wine" 호지어 2017 "Galway Girl" 에드 시런 수상 및 후보 목록[원본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세어셔 로넌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원본 편집] ↑ “Saoirse Ronan”. 《TV Guide》. 29 March 2017에 보존된 문서. 28 March 2017에 확인함.  ↑ Symkus, Ed (7 April 2011). “Saoirse Ronan gets physical as action heroine 'Hanna'”. 《The MetroWest Daily News》 (GateHouse News Service). 2011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April 2011에 확인함.  ↑ Debruge, Peter (4 October 2007). “Saoirse Ronan Atonement actress creating Lovely buzz”. 《Variety》. 2008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December 2008에 확인함.  ↑ “Sheesh! Dennis Quaid sorry for mangling Saoirse Ronan's name”. 《RTÉ.ie》. 4 May 2017. 3 May 2017에 보존된 문서. 13 June 2017에 확인함.  The standard Irish pronunciation is 틀:IPA-ga ↑ “Like her character, Saoirse Ronan has Irish, American connections”.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Under 30 Archived 24 April 2017 - 웨이백 머신. Forbes Magazine, January 2016 ↑ Saoirse Ronan: Next Generation Leaders Archived 7 June 2016 - 웨이백 머신. Time ↑ Jocelyn (28 March 2011). “[Exclusive Interview] Saoirse Ronan Talks Hanna (part 1)”. 23 June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8 April 2011에 확인함.  ↑ Dowd, Niall (10 January 2018). “Saoirse Ronan's illegal Irish parents and her start in the Bronx”. 《Irish Central》. 10 January 2018에 보존된 문서.  ↑ Gilbey, Ryan (27 May 2013). “Saoirse Ronan - 200 years young”. 《The Guardian》. 12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Brooks, Xan (23 January 2010). “Saoirse Ronan: A name to reckon with”. 《The Guardian》. 11 August 2017에 보존된 문서.  ↑ O'Toole, Jason (2008년 1월 22일). “Worth Her Weight in Gold”. 《Hot Press》.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 Byrne, Nicola. “RTÉ shared a lovely video of Saoirse Ronan's Carlow classmates celebrating her first Oscar nomination”. 《The Daily Edge》 (영어). 2018년 3월 23일에 확인함.  ↑ McGoldrick, Debbie (2009년 11월 4일). “Saoirse Ronan is leading contender for Best Actress Oscar”. IrishCentral. 2016년 1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 Fragoso, Samuel (2015년 11월 13일). “Saoirse Ronan on growing up and moving to New York”. 《Vice》. 2015년 11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4일에 확인함.  ↑ “Irish Teen Saoirse Ronan Cast In Peter Jackson's The Lovely Bones”. Irish Film and Television Network. 2007년 7월 12일. 2007년 11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 Rodriguez, Karla (4 August 2011). “Saoirse Ronan admits disappointment over Harry Potter Luna Lovegood role”. IrishCentral. 2013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Schwartz, Missy (8 February 2008). “Would You Dump This Woman?”. 《Entertainment Weekly》. 2014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February 2010에 확인함.  ↑ Leydon, Joe (2008년 2월 21일). “I Could Never Be Your Woman”. 《Variety》. 2011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4일에 확인함.  ↑ “Atonement”. The Numbers.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February 2010에 확인함.  ↑ Burr, Ty (7 December 2007). “The lies of others – A Wrongful Act Reverberates In The Sumptuous Atonement”. 《Boston Globe》. 23 June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February 2010에 확인함.  ↑ Christopher, Orr (2007년 12월 7일). “The Movie Review: 'Atonement'”. 《The Atlantic》. 2017년 12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Dirks, Tim (2013). “Academy Awards Best Supporting Actress Facts & Trivia”. Filmsite.org. 2018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une 2013에 확인함.  ↑ “Death Defying Acts (2007)”. Rotten Tomatoes. 22 August 2015에 보존된 문서. 4 February 2010에 확인함.  ↑ “Death Defying Acts”. Box Office Mojo. 2018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February 2010에 확인함.  ↑ “City of Ember (2008)”. Rotten Tomatoes. 31 August 2010에 보존된 문서. 13 September 2010에 확인함.  ↑ “City of Ember”. Box Office Mojo.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February 2010에 확인함.  ↑ Holden, Stephen ( 9 October 2008). “Fleeing a Dying Civilization, Toward Hope and Sunlight”. 《The New York Times》.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Johnston, Sheila (1 February 2008). “Saoirse Ronan: On set with Brad, Keira and Michelle”. 《The Daily Telegraph》. 2018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December 2008에 확인함.  ↑ Villarreal, Yvonne (10 December 2009). “Saoirse Ronan of The Lovely Bones stays on balance”. 《Los Angeles Times》. 2009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8 December 2009에 확인함.  ↑ 가 나 Schneller, Johanna ( 8 January 2010). “Saoirse Ronan: It's lonely playing a girl gone to heaven”. 《The Globe and Mail》. 8 February 2018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The Lovely Bones (2009)”. Rotten Tomatoes. 24 December 2016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Corliss, Richard (10 December 2009). “The Lovely Bones: Dead Girl's Love Story”. 《Time》. 2011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December 2009에 확인함.  ↑ Sandhu, Sukhdev (17 February 2010). “The Lovely Bones, review”. 《The Daily Telegraph》.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Leading Actress in 2010”.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201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une 2013에 확인함.  ↑ “'Avatar' dethroned at box office by 'Dear John'”. Reuters. 2010년 2월 7일. 2017년 12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Karger, Dave (25 June 2010). “Academy invites 135 new members”. Entertainment Weekly. 22 March 2016에 보존된 문서. 25 January 2016에 확인함.  ↑ Muldoon, Molly (31 December 2010). “Big Oscar Hopes For Colin Farrell And Saoirse Ronan In The Way Back”. IrishCentral. 2013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February 2011에 확인함.  ↑ Selby, Jenn ( 5 May 2011). “Interview: Saoirse Ronan”. 《Glamour》. 8 February 2018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Hanna: Saoirse Ronan and Joe Wright interview”. 《The Telegraph》. 5 May 2011. 21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Hanna (2011)”. Rotten Tomatoes. 28 May 2011에 보존된 문서. 12 June 2011에 확인함.  ↑ Travers, Peter (2011년 4월 7일). “Hanna”. 《Rolling Stone》. 2016년 1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7일에 확인함.  ↑ “Hanna”. Box Office Mojo.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Ghibli's Arrietty to Have Different Dub Casts in US, UK”. Anime News Network. 2011년 6월 21일. 2016년 1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3일에 확인함.  ↑ Goldman, Eric ( 6 June 2013). “Violet & Daisy Review”. IGN.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de Semlyen, Phil (9 May 2011). “Saoirse Ronan Not In The Hobbit”. 《Empire》.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6 December 2012에 확인함.  ↑ “Saoirse Ronan Has 'Always Fancied' Being An Elf In The Hobbit”. MTV. 2011년 4월 7일. 2011년 4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가 나 Clarke, Cath (29 May 2013). “Saoirse Ronan: 'I could have ended up like Lindsay Lohan'”. 《Time Out》.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Jones, Alan. “Byzantium”. 《Radio Times》.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The Host”. Rotten Tomatoes. 8 April 2013에 보존된 문서. 31 March 2013에 확인함.  ↑ Dargis, Manohla (28 March 2016). “Fighting the Peacenik Alien Within Her”. 《The New York Times》.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Richards, Olly (25 September 2013). “How I Live Now Review”. 《Empire》.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How I Live Now”. Box Office Mojo. 4 April 2014에 보존된 문서. 4 April 2014에 확인함.  ↑ “Justin and the Knights of Valour (2013)”. Rotten Tomatoes. 22 April 2016에 보존된 문서. 26 April 2015에 확인함.  ↑ “The Grand Budapest Hotel (2014)”. Rotten Tomatoes. 19 April 2015에 보존된 문서. 26 April 2015에 확인함.  ↑ “Lost River (2015)”. Rotten Tomatoes. 26 April 2015에 보존된 문서. 26 April 2015에 확인함.  ↑ “The 21st century's 100 greatest films”. BBC. 23 August 2016. 31 January 2017에 보존된 문서. 8 November 2016에 확인함.  ↑ “The Grand Budapest Hotel”. Box Office Mojo. 6 August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Lost River, film review: Ryan Gosling's directorial debut is a wildly self-indulgent affair”. 《The Independent》. 9 April 2015.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Debruge, Peter (23 January 2015). “Sundance Film Review: ‘Stockholm, Pennsylvania’”. 《Variety》.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McGowan, Sharon (9 October 2015). “Saoirse Ronan's Brooklyn role tipped to bring Hollywood honours”. 《Irish Independent》. 201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4 October 2014에 확인함.  ↑ Erbland, Kate (16 March 2016). “Saoirse Ronan on Why the Real Heart of Her Romantic Drama ‘Brooklyn’ Isn’t What You’d Expect”. IndieWire.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Brooklyn (2015)”. 《Rotten Tomatoes》. 1 March 2016에 보존된 문서. 1 March 2016에 확인함.  ↑ Bradshaw, Peter ( 5 November 2015). “Brooklyn review – Saoirse Ronan shines in a heartfelt and absorbing adaptation”. 《The Guardian》. 14 Octo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 Turan, Kenneth ( 3 November 2015). “Saoirse Ronan soars in the emotionally rich immigrant's tale 'Brooklyn'”. 《Los Angeles Times》. 25 Octo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 “Golden Globes nominations 2016: the full list”. 《The Guardian》. 10 December 2015. 5 Nov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Oscars 2016: full list of Academy Award nominations”. 《The Guardian》. 28 February 2016. 21 Octo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Manly, Lorne (2015년 8월 6일). “Crucible Revival, With Whishaw and Okonedo, Sets Broadway Opening”. 《The New York Times》. 2015년 8월 8일에 보존된 문서.  ↑ Clement, Olivia (10 February 2016). “Crucible Star Saoirse Ronan Says She Was Never Pushed to Change Her Name”. 《Playbill》. 6 July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Viagas, Robert (17 July 2016). “The Crucible Revival Ends Broadway Run”. 《Playbill》. 23 October 2016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Rothkopf, Joshua (16 February 2016). “Saoirse Ronan on Brooklyn, her stage debut, why moms know best and returning to New York”. 《Time Out》.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5 December 2017에 확인함.  ↑ Erbland, Kate ( 7 September 2017). “‘On Chesil Beach’ Review: A Breakout Turn From Billy Howle Can’t Rescue This Cold Ian McEwan Adaptation”. IndieWire. 27 Nov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4 December 2017에 확인함.  ↑ “'Lady Bird' sets Rotten Tomatoes record as best-reviewed movie of all time”. 《Entertainment Weekly》 (영어). 27 November 2017. 1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27 November 2017에 확인함.  ↑ Scott, A. O.; Morris, Wesley ( 7 December 2017). “The 10 Best Actors of the Year”. 《The New York Times》. 7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7에 확인함.  ↑ Merry, Stephanie, Yahr, Emily (11 December 2017). “Golden Globes nominations 2018: Complete list of nominations”. 《The Washington Post》. 11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1 December 2017에 확인함.  ↑ Chavez, Danette (13 December 2017). “Big Little Lies and Three Billboards Outside Ebbing, Missouri lead 2018 SAG Awards nominees”. AV Club. 14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4 December 2017에 확인함.  ↑ Harrison, Ellie (2017년 5월 4일). “Saoirse Ronan leads Irish stars in Ed Sheeran’s Galway Girl video”. 《Radio Times》. 2018년 3월 7일에 확인함.  ↑ McNary, Dave (24 October 2017). “Saoirse Ronan, Annette Bening’s ‘The Seagull’ Flies to Sony Classics”. 《Variety》. 31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4 December 2017에 확인함.  ↑ Li, Shirley ( 8 December 2017). “Margot Robbie, Saoirse Ronan rule in Mary, Queen of Scots first look photos”. 《Entertainment Weekly》. 15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14 December 2017에 확인함.  ↑ “Emma Watson in Talks to Join Meryl Streep in 'Little Women'”. 《The Hollywood Reporter》 (영어). 2018년 8월 26일에 확인함.  ↑ Whipp, Glenn (2018년 7월 5일). “Why it's a perfect time for Greta Gerwig's version of 'Little Women'”. 《Los Angeles Times》. 2018년 7월 6일에 확인함.  ↑ Garratt, Sheryl (24 October 2015). “Saoirse Ronan on how Brooklyn is her own Irish-American journey”. 《The Daily Telegraph》. 27 May 2016에 보존된 문서. 20 June 2016에 확인함.  ↑ Coyle, Colin (2018년 1월 14일). “From Golden Globes to Greystones for Saoirse Ronan”. 《TheTimes》.  ↑ “Saoirse Ronan and Jamie Heaslip use their heads for the ISPCC”. Irish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Children. 21 November 2011. 2013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November 2012에 확인함.  ↑ Ellis, Fiona (3 November 2011). “Saoirse's time-travel plea to preserve films”. 《Irish Independent》. 2011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 November 2011에 확인함.  ↑ “Saoirse Ronan”. 《포브스》. 2018년 7월 17일에 확인함.  ↑ Dockterman, Eliana (2016년 6월 3일). “Saoirse Ronan: Next Generation Leaders”. 《Time》. 2016년 6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Meet the Women of the Maxim Hot 100”. 《맥심》. 2018년 6월 14일.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 “The Best American Actors Under 30”. 인디와이어. 2018년 7월 2일.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 Rooney, Sally (2018년 7월 11일). “Saoirse Ronan on Growing Up on Camera, the Changing Politics of Ireland, and Becoming a Queen”. 《Vogue》. 2018년 7월 11일에 확인함.  ↑ Sherman, Lauren. “Calvin Klein and Raf Simons Launch New Fragrance”. 《Business of Fashion》.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Keveney, Bill. “'SNL' announces December hosts: Saoirse Ronan, James Franco, Kevin Hart”. 《USA Today》. 10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9 December 2017에 확인함.  ↑ Clarke, Donald ( 4 December 2017). “Saoirse Ronan’s Saturday Night Live is unfunny paddywhackery”. 《The Irish Times》. 6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9 December 2017에 확인함.  ↑ Morgan Britton, Luke ( 4 December 2017). “Saoirse Ronan’s ‘SNL’ sketch criticised for promoting Irish stereotypes”. 《NME》. 10 December 2017에 보존된 문서. 9 December 2017에 확인함.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세어셔 로넌 (영어) 세어셔 로넌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세어셔 로넌 - 인터넷 브로드웨이 데이터베이스 세어셔 로넌의 수상 목록vdeh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1950-1959 주디 홀리데이 (1950) 준 앨리슨 (1951) 수전 헤이워드 (1952) 에설 머먼 (1953) 주디 갈랜드 (1954) 진 시먼스 (1955) 데버러 카 (1956) 케이 켄들 / 타이나 엘그 (1957) 로절린드 러셀 (1958) 마릴린 먼로 (1959) 1960-1979 셜리 매클레인 (1960) 로절린드 러셀 (1961) 로절린드 러셀 (1962) 셜리 매클레인 (1963) 줄리 앤드루스 (1964) 줄리 앤드루스 (1965) 린 레드그레이브 (1966) 앤 밴크로프트 (1967)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68) 패티 듀크 (1969) 캐리 스노드그레스 (1970) 트위기 (1971) 라이자 미넬리 (1972) 글렌다 잭슨 (1973) 라켈 웰치 (1974) 앤 마그릿 (1975)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76) 다이앤 키턴/마샤 메이슨 (1977) 엘런 버스틴/매기 스미스 (1978) 벳 미들러 (1979) 1980-1999 시시 스페이식 (1980) 버나뎃 피터스 (1981) 줄리 앤드루스 (1982) 줄리 월터스 (1983) 캐서린 터너 (1984) 캐서린 터너 (1985) 시시 스페이식 (1986) 셰어 (1987) 멜러니 그리피스 (1988) 제시카 탠디 (1989) 줄리아 로버츠 (1990) 벳 미들러 (1991) 미란다 리처드슨 (1992) 앤절라 바셋 (1993) 제이미 리 커티스 (1994) 니콜 키드먼 (1995) 마돈나 (1996) 헬렌 헌트 (1997) 귀네스 팰트로 (1998) 재닛 맥티어 (1999) 2000-2020 러네이 젤위거 (2000) 니콜 키드먼 (2001) 러네이 젤위거 (2002) 다이앤 키턴 (2003) 아네트 베닝 (2004) 리스 위더스푼 (2005) 메릴 스트립 (2006) 마리옹 코티야르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아네트 베닝 (2010) 미셸 윌리엄스 (2011) 제니퍼 로렌스 (2012) 에이미 애덤스 (2013) 에이미 애덤스 (2014) 제니퍼 로렌스 (2015) 엠마 스톤 (2016) 시얼샤 로넌 (2017) 올리비아 콜먼 (2018)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아역 연기상 조너선 립니키 (1996) 저니 스몰렛 (1997) 이언 마이클 스미스 (1998) 헤일리 조엘 오스먼트 (1999) 제이미 벨 (2000) 다코타 패닝 (2001) 키런 컬킨 (2002) 키샤 캐슬휴스 (2003) 프레디 하이모어 / 에미 로섬 (2004) 프레디 하이모어 / 다코타 패닝 (2005) 폴 데이노 / 애비게일 브레슬린 (2006) 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 / 니키 브론스키 (2007) 데브 파텔 (2008) 시얼샤 로넌 (2009)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0) 토머스 혼 (2011) 쿼벤저네이 월리스 (2012)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2013) 엘라 콜트레인 (2014) 제이컵 트렘블레이 (2015) 루커스 헤지스 (2016) 브루클린 프린스 (2017) 엘시 피셔 (2018) vdeh영국 독립 영화상(BIFA) 여우주연상 캐시 버크 (1998) 에밀리 왓슨 (1999) 질리언 앤더슨 (2000) 케이트 애슈필드 (2001) 서맨사 모턴 (2002) 올리비아 윌리엄스 (2003) 이멜다 스탠턴 (2004) 레이철 바이스 (2005) 케이트 디키 (2006) 주디 덴치 (2007) 베라 파미가 (2008) 케리 멀리건 (2009) 케리 멀리건 (2010) 올리비아 콜먼 (2011) 앤드리아 라이즈버러 (2012) 린지 덩컨 (2013) 구구 음바타로 (2014) 시얼샤 로넌 (2015) 사샤 레인 (2016) 플로렌스 퓨 (2017) 올리비아 콜먼 (2018) vdeh새틀라이트상 여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귀네스 팰트로 (1996) 헬렌 헌트 (1997) 크리스티나 리치 (1998) 재닛 맥티어 (1999) 러네이 젤위거 (2000) 니콜 키드먼 (2001) 제니퍼 웨스트펠트 (2002) 다이앤 키턴 (2003) 아네트 베닝 (2004) 리스 위더스푼 (2005) 메릴 스트립 (2006) 엘런 페이지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앤 해서웨이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프랜시스 맥도먼드 (1996) 주디 덴치 (1997) 케이트 블란쳇 (1998) 힐러리 스왱크 (1999) 엘런 버스틴 (2000) 시시 스페이식 (2001) 다이앤 레인 (2002) 샤를리즈 테론 (2003) 힐러리 스왱크 (2004) 펄리시티 허프먼 (2005) 헬렌 미렌 (2006) 마리옹 코티야르 (2007) 안젤리나 졸리 (2008) 쇼레 아그다슐루 (2009) 노미 라파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비올라 데이비스 (2011) 제니퍼 로렌스 (2012) 케이트 블란쳇 (2013) 줄리앤 무어 (2014) 시얼샤 로넌 (2015) 이자벨 위페르 / 루스 네가 (2016) 샐리 호킨스 / 디아네 크루거 (2017) vdeh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 그레타 가르보 (1935) 루이제 라이너 (1936) 그레타 가르보 (1937) 머거릿 설래번 (1938) 비비언 리 (1939) 캐서린 헵번 (1940) 조앤 폰테인 (1941) 아그네스 무어헤드 (1942) 이다 루피노 (1943) 탈룰라 뱅크헤드 (1944) 잉그리드 버그먼 (1945) 실리아 존슨 (1946) 데버러 카 (1947) 올리비아 데 하빌랜드 (1948) 올리비아 데 하빌랜드 (1949) 베티 데이비스 (1950) 비비언 리 (1951) 셜리 부스 (1952) 오드리 헵번 (1953) 그레이스 켈리 (1954) 안나 마냐니 (1955) 잉그리드 버그먼 (1956) 데버러 카 (1957) 수전 헤이워드 (1958) 오드리 헵번 (1959) 데버러 카 (1960) 소피아 로렌 (1961) 수상자 없음 (1962) 퍼트리샤 닐 (1963) 킴 스탠리 (1964) 줄리 크리스티 (1965) 엘리자베스 테일러/린 레드그레이브 (1966) 이디스 에번스 (1967) 조앤 우드워드 (1968) 제인 폰다 (1969) 글렌다 잭슨 (1970) 제인 폰다 (1971) 리브 울만 (1972) 조앤 우드워드 (1973) 리브 울만 (1974) 이자벨 아자니 (1975) 리브 울만 (1976) 다이앤 키턴 (1977) 잉그리드 버그먼 (1978) 샐리 필드 (1979) 시시 스페이식 (1980) 글렌다 잭슨 (1981) 메릴 스트립 (1982) 셜리 매클레인 (1983) 페기 애시크로프트 (1984) 노르마 알레안드로 (1985) 시시 스페이식 (1986) 홀리 헌터 (1987) 메릴 스트립 (1988) 미셸 파이퍼 (1989) 조앤 우드워드 (1990) 조디 포스터 (1991) 엠마 톰슨 (1992) 홀리 헌터 (1993) 린다 피오렌티노 (1994) 제니퍼 제이슨 리 (1995) 에밀리 왓슨 (1996) 줄리 크리스티 (1997) 캐머런 디애즈 (1998) 힐러리 스왱크 (1999) 로라 리니 (2000) 시시 스페이식 (2001) 다이안 레인 (2002) 호프 데이비스 (2003) 이멜다 스탠턴 (2004) 리즈 위더스푼 (2005) 헬렌 미렌 (2006) 줄리 크리스티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아네트 베닝 (2010) 메릴 스트립 (2011) 레이철 바이스 (2012) 케이트 블란쳇 (2013) 마리옹 코티야르 (2014) 시얼샤 로넌 (2015) 이자벨 위페르 (2016) 시얼샤 로넌 (2017) 레지나 홀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66139052 LCCN: no2008045121 ISNI: 0000 0001 2035 9887 GND: 143341472 SUDOC: 15312203X BNF: cb16520767g (데이터) NKC: xx0079862 BNE: XX487288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어셔_로넌&oldid=24534371" 분류: 199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20세기 아일랜드 사람21세기 아일랜드 사람미국계 아일랜드인미국에 이민온 아일랜드인아일랜드계 미국인브롱크스 출신뉴욕 출신 배우아일랜드의 여자 어린이 배우아일랜드의 여자 영화 배우아일랜드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여우주연상(영화) 수상자칼로주 출신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18: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시어셔 우나 로넌(아일랜드어: Saoirse Una Ronan 설샤 우너 로넌[IPA: [ˈsˠiːɾʲʃə ˈuːnˠə ˈɾˠɔn̪ˠən̪ˠ], 1994년 4월 12일 ~ )은 아일랜드와 미국의 배우이다. 그녀는 골든 글로브상, 네 번의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과 세 번의 미국 아카데미상 후보 지명을 포함한 수 많은 시상식에서 수상의 쾌거를 이뤄냈다. 2016년에 그녀는 두 개의 포브스 30세 이하, 타임스의 차세대 리더 목록에 포함되었다. 로넌은 2003년 아일랜드의 메디컬 드라마 《더 클리닉》으로 데뷔했으며, 2007년에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 《절대로 네 여자가 될 수 없을거야》로 장편 데뷔했다. 그녀가 평단으로부터 주목 받게 된 조숙한 십대 소녀를 연기한 영화 《어톤먼트》(2007)로, 그녀는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그녀는 다음 작품으로 살해를 당하고 지상과 천상에서 맴도는 소녀를 연기한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러블리 본즈》(2009), 십대 암살범을 연기한 액션 드라마 영화 《한나》(2011), 뱀파이어를 연기한 영화 《비잔티움》(2012)와 요리사를 연기한 영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에 출연했다. 그녀는 2016년에 첫 브로드 웨이 리바이벌 《시련》에 출연하여 애비게일 윌리엄스 역할을 연기했다. 로넌은 195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향수병을 앓는 아일랜드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로맨틱 드라마 영화 《브루클린》(2015)과 명목상인 고등학교 3학년을 연기한 그레타 거윅 감독의 성장 영화 《레이디 버드》(2017)에서의 그녀의 연기는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로넌은 이 작품으로 골든 글로브상 영화 뮤지컬·코미디 부문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두 영화의 연기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어셔 로넌은 대중매체에게 어떠한 평가를 받았는가? Assistant: 2016년, 로넌은 〈포브스〉에서 선정한 가장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30인의 리스트와, 〈타임지〉에서 선정한 차세대 리더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86][87] 2018년 《맥심》의 "Hot 100" 리스트와 《인디와이어》가 30세 미만의 미국 배우 중 최고의 배우로 선정 되었다.[88][89] 또한 그해 캘빈 클라인은 그녀와 루피타 뇽오를 라프 시몬즈의 첫 향수 "Women"의 앰버서더로 선정했다.[90][91] Human: 아래 우즈베키스탄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즈베키스탄 별칭 하얀 늑대 (Oq boʻrilar) 연맹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 대륙 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 엑토르 쿠페르 주장 오딜 아흐메도프 최다 출전자 세르베르 제파로프 (120) 최다 득점자 막심 샤츠키흐 (34) 홈 구장 부뇨드코르 스타디움 파흐타코르 마르카지 경기장 FIFA 코드 UZB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45위 (2006년 11월)최저 순위: 119위 (1996년 11월) 첫 국제경기 출전 타지키스탄 2 - 2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두샨베; 1992년 6월 17일) 최다 점수차승리 몽골 0 - 15 우즈베키스탄 (태국, 치앙마이; 1998년 아시안 게임, 1998년 12월 5일) 최다 점수차패배 일본 8 - 1 우즈베키스탄 (레바논, 시돈; 2000년 AFC 아시안컵, 2000년 10월 17일) 유니폼 홈 원정 아시안컵 출전 횟수 7회 (1996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4위 (2011년)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 대표팀이며,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에 의해 운영된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분리된 이후 1992년 6월 17일 타지키스탄을 상대로 첫 공식 경기를 치렀으며 꾸준히 중앙 아시아 국가들(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중에서 가장 강팀으로 군림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FIFA 월드컵 (본선) 2.1 FIFA 월드컵 (예선) 3 AFC 아시안컵 (본선) 3.1 AFC 아시안컵 (예선) 4 아시안 게임 5 현재 선수 명단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비록 FIFA 월드컵 본선 경험은 전혀 없지만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그 이후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4위를 기록하는 등 아시아에서 상당한 실력을 지닌 다크호스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소련에서 분리된 이후 처음으로 출전한 1996년 AFC 아시안컵부터 현재까지 단 한번의 AFC 아시안컵 예선 탈락 없이 꾸준히 본선에 참가하고 있다. 특히 2019년 AFC 아시안컵 2차 예선 H조에서 8경기 7승 1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북한을 따돌리고 조 1위로 7회 연속 아시안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그러나 대회 본선 16강에서 오스트레일리아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지면서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에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서는 한때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행 가능성이 높았지만 결국 막판에 3위에 그치며 플레이오프로 밀려났고 요르단과의 플레이오프에서 1차전과 2차전을 모두 1 : 1로 비겨 연장전과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부차기에서 8 : 9로 패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소련으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없음[1] 1998년 예선 탈락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소련으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없음[2] 1998년[3] 14 6 4 4 33 21 22 2002년[4] 14 7 3 4 33 19 24 2006년[5] 14 6 5 3 24 15 23 2010년[6] 16 8 1 7 33 17 25 2014년[7] 18 11 5 2 28 9 38 2018년 18 11 1 6 26 14 34 합계 94 49 19 26 177 95 166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2위 (아시아 9위) AFC 아시안컵 (본선)[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없음(소련의 일원)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없음(독립국가연합으로 유로 대회 참가)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3 6 3 2000년 조별리그 12위 3 0 1 2 2 14 1 2004년 8강 5위 4 3 1 0 5 2 10 2007년 8강 6위 4 2 0 2 10 4 6 2011년 4강 4위 6 3 1 2 10 13 10 2015년 8강 8위 4 2 0 2 5 5 6 2019년 16강 10위 4 2 1 1 7 3 7 합계 7회 진출(7/7[8]) 4위(1회) 28 13 4 11 42 47 43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9위 AFC 아시안컵 (예선)[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없음(소련의 일원)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없음(독립국가연합으로 유로 대회 참가) 1996년 2 1 0 1 5 4 3 2000년 4 4 0 0 16 2 12 2004년 6 4 1 1 13 6 13 2007년 6 3 2 1 14 4 11 2011년 4 3 0 1 7 3 9 2015년 6 3 2 1 10 4 11 2019년 8 7 0 1 20 7 21 합계 36 25 5 6 85 30 80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없음(소련으로 참가)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금메달 우승 7 7 0 0 23 7 21 1998년 8강 7위 6 3 2 1 25 8 11 2002년[9] 조별리그 16위 3 1 0 2 2 4 3 2006년[9] 8강 6위 4 3 0 1 7 4 9 2010년[9] 8강 8위 5 2 0 3 5 7 6 2014년[9] 16강 9위 4 2 1 1 11 4 7 2018년[9] 8강 합계 7회 진출(7/[10] 금메달(1회) 29 18 3 8 73 34 57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소집 명단이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엘도르벡 수유노프 1991년 4월 12일(1991-04-12) (28세) 11 0 나사프 카르시 12 GK 이그나티 네스테로프 1983년 6월 20일(1983-06-20) (36세) 94 0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21 GK 알렉산더 로바노프 1986년 1월 4일(1986-01-04) (33세) 13 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2 DF 에고르 크리메치 1992년 1월 27일(1992-01-27) (27세) 22 3 베이징 궈안 3 DF 아짐존 아흐메도프 1992년 1월 4일(1992-01-04) (27세) 0 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5 DF 안주르 이스마일로프 1985년 4월 21일(1985-04-21) (34세) 79 2 창춘 야타이 13 DF 다브론 하시모프 1992년 11월 24일(1992-11-24) (26세) 11 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6 DF 스타니슬라프 안드레예프 1988년 5월 6일(1988-05-06) (31세) 35 2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9 DF 비탈리 데니소프 1987년 2월 24일(1987-02-24) (32세) 67 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 DF 이슬롬 투흐타코자에프 1989년 10월 30일(1989-10-30) (29세) 52 1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6 MF 야수르 하사노프 1983년 8월 2일(1983-08-02) (35세) 53 2 키질쿰 자라프숀 7 MF 아지즈베크 하이다로프 1985년 7월 8일(1985-07-08) (34세) 78 1 알샤바브 8 MF 세르베르 제파로프 (주장) 1982년 10월 3일(1982-10-03) (36세) 120 25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9 MF 오딜 아흐메도프 (주장) 1987년 11월 25일(1987-11-25) (31세) 80 15 상하이 상강 10 MF 사르도르 라시도프 1991년 6월 14일(1991-06-14) (28세) 35 11 엘자이시 14 MF 자보키르 소키보프 1995년 3월 1일(1995-03-01) (24세) 11 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7 MF 자롤리딘 마사리포프 1993년 9월 1일(1993-09-01) (25세) 2 0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18 MF 오타벡 슈쿠로프 1996년 6월 22일(1996-06-22) (23세) 8 1 부뇨드코르 22 MF 잠시드 이스칸데로프 1993년 10월 16일(1993-10-16) (25세) 19 1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4 FW 마라트 비크마예프 1986년 1월 1일(1986-01-01) (33세) 37 4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11 FW 이고르 세르게예프 1993년 4월 30일(1993-04-30) (26세) 34 10 베이징 궈안 15 FW 알렉산드르 게인리흐 1984년 10월 6일(1984-10-06) (34세) 91 31 오르다바시 23 FW 엘도르 쇼무로도프 1995년 6월 29일(1995-06-29) (24세) 12 4 부뇨드코르 각주[편집] ↑ 우즈베키스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우즈베키스탄 축구협회 창립 이전 ↑ 1차예선 5조에서 5승 1무(예멘 1:0-5:1, 인도네시아 1:1-3:0, 캄보디아 6:0-4:1)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으나 B조에서 1승 3무 4패(대한민국 1:2-1:5, 일본 3:6-1:1, 아랍에미리트 2:3-0:0, 카자흐스탄 1:1-4:0)로 4위에 그치며 탈락했다. 소련에서 독립한 국가여서 카자흐스탄과 함께 기대치가 높았으나 예상보다 전력이 약하다는 것이 드러났고, 대한민국에게는 홈에서 1:5로 대패하기도 했다. ↑ 1차예선 7조에서 4승 2무(투르크멘 1:0-5:2, 요르단 2:2-1:1, 대만 7:0-4:0)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으나 B조에서 3승 1무 4패(중국 0:2-1:0, 아랍에미리트 1:4-0:1, 카타르 2:1-2:2, 오만 5:0-2:4) 3위로 탈락했다. 아시아 TOP4가 모두 빠진 최상의 조였으나 플레이오프도 가지 못했다. ↑ 1차예선 없이 2차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2조에서 5승 1무(이라크 1:1-2:1, 팔레스타인 3:0-3:0, 대만 1:0-6:1)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 A조에서 1승 2무 3패(사우디 1:1-0:3, 대한민국 1:2-1:1, 쿠웨이트 1:2-3:2) 3위로 B조 3위 바레인과 플레이오프를 겨뤘다. 첫 경기(홈)에서 1:0으로 승리했으나 우즈베키스탄이 이겨놓고도 심판 판정에 문제를 제기하며 재경기 요청을 했다. FIFA가 수락하면서 재경기를 했는데 1:1 무승부가 되었고 원정에서 0:0으로 비기면서 합계 2무로 원정 다득점에 밀려 최종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만약 재경기 제소를 안 했다면 우즈베키스탄이 올라갔을 것이고, 최종 플레이오프 상대도 북중미 4위 트리니다드토바고였기에 안타까운 탈락이었다. ↑ 1차예선에서 대만에 2승(홈 9:0, 원정 2:0)을 거두고 3차예선으로 직행, 4조에서 5승 1패(사우디 3:0-0:4, 싱가포르 7:3-3:0, 레바논 1:0-3:0)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싱가포르와의 두 번째 경기에선 1:0으로 끝났지만 후에 싱가포르에서 부적격 선수를 내보낸 것이 드러나 3:0 몰수승 처리했다. 이것 덕분에 사우디에 다득점이 앞서 조 1위로 올라섰지만 진출국은 그대로였다. 그러나 최종예선 A조에선 심각한 졸전 끝에 1승 1무 6패 최하위로 탈락했다. ↑ 2차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에 2승(홈 4:0, 원정 3:0)하며 3차예선에 올랐다. C조에서 5승 1무로 일본을 제치고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하였고, 최종예선 A조에서도 초반 3경기에선 2무 1패로 부진했지만 이란을 원정에서 꺾은 것을 계기로 한때 1위로 올라섰다. 그러나 승리하면 본선 진출이 확정이었던 대한민국 원정경기에서 자책골로 패하고, 최종전에서 이겼으나 대한민국이 이란에 석패하면서 최종 3위로 마감했다. 만약, 7경기에서 자책골을 넣지만 않았으면, 아니 8경기에서 대한민국이 이란에 지지 않았거나 우즈베키스탄이 두 골만 더 넣었으면 2위로 올라서는 상황이었다. 3위 플레이오프전에선 요르단과 만나 홈&어웨이 모두 1:1로 비겨 승부차기에서 무려 8:9로 져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우즈베키스탄 지역예선 역사상 가장 본선에 근접한 대회였다.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 가 나 다 라 마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외부 링크[편집] Uzbekistan Football Federation FIFA profile: Uzbekistan / Results / Fixtures AFC profile: Uzbekistan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AFC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남아시아 (SAFF) 네팔 몰디브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인도 파키스탄 동아시아 (EAFF) 괌 대한민국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1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동남아시아 (AFF)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서아시아 (WAFF)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중앙아시아 (CAFA)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1: AFC의 준회원국이며, FIFA 비회원국임.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vdehCAFF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vdeh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AFC 아시안컵 1 부갈로 2 카리모프 3 데니소프 4 이브라히모프 5 알리쿨로프 6 이스마일로프 7 하이다로프 8 제파로프 9 솔로민 10 바카예프 11 비크마예프 12 네스테로프 13 하시모프 14 카르펜코 15 게인리흐 16 샤츠키흐 17 니콜라예프 18 카파제 19 이노모프 20 마그데예프 21 하사노프 22 아크라모프 23 코라예프 감독: 이닐레예프 vdeh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2011년 AFC 아시안컵 4위 1 T. 주라예프 2 바카예프 3 물라자노프 4 이스마일로프 5 이브라히모프 6 S. 주라예프 7 하이다로프 8 제파로프 9 아흐메도프 10 솔로모프 11 비크마예프 12 네스테로프 13 나브카로프 14 안드레예프 15 게인리흐 16 샤츠키흐 17 투르수노프 18 카파제 19 하사노프 20 누를리보예프 21 주후로프 22 카르펜코 23 갈리울린 감독: 아브라모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우즈베키스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167967" 분류: 우즈베키스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의 국가대표팀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Qaraqalpaqsha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8일 (수) 15: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크어: Oʻzbekiston milliy futbol terma jamoasi / Ўзбекистон миллий футбол терма жамоаси)은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우즈베키스탄 축구 연맹에 의해 운영된다. 소비에트 연방에서 분리된 이후 1992년 6월 17일 타지키스탄을 상대로 첫 공식 경기를 치렀으며 꾸준히 중앙 아시아 국가들(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중에서 가장 강팀으로 군림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우즈베키스탄이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 딴 메달은? Assistant: 금메달
Human: 아래 사카미치_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카미치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카미치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카미치 시리즈(일본어: 坂道シリーズ)은 아키모토 야스시가 제작한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와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에서 「坂(사카)」의 자로 형성되는 그룹에 대하는 시리즈명이다. 사카미치 그룹, 46 그룹로 불리기도 하며, 단순히 46로 표기되기도 한다. 목차 1 구성 그룹 1.1 이전에 존재했던 그룹 2 각주 2.1 각주 2.2 출처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구성 그룹[편집] 2019년 7월 1일 현재 그룹 활동기간 CD 데뷔일 그룹색 멤버수 비고 노기자카46 2011년 8월 21일[1] - 2012년 2월 22일[2]     보라 44 케야키자카46 (칸지 케야키) 2015년 8월 21일[3] - 2016년 4월 6일[4]     초록 27 요시모토자카46 2018년 8월 20일[5] - 2018년 12월 26일     주황 46[5] 히나타자카46 2019년 2월 11일 - 2019년 3월 27일[6]     하늘 21 결성부터 2019년 2월 11일까지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명의로 활동 그 밖에 사카미치 합동 오디션 합격자로 그룹에 배속되지 못하고 계속 레슨을 하는 「사카미치 연수생」이 있다[7]. 이전에 존재했던 그룹[편집] 그룹 활동기간 CD 데뷔일 그룹색 멤버수 비고 케야키자카46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2016년 5월 8일[8] - 2019년 2월 11일 2018년 6월 20일[9]     황록 21 2019년 2월 11일부터 「히나타자카46」 명의로 활동 각주[편집] 각주[편집] 출처[편집] ↑ “AKB48の公式ライバル、乃木坂46のメンバー決定! 元ももクロ柏らも参加”. TOWER RECORDS ONLINE (タワーレコード). (2011년 8월 22일) 2013년 4월 12일 열람. ↑ “乃木坂46「会いたかったかもしれない」PVに本家メンバー”. ナタリー (ナターシャ). (2012년 2월 8일) 2012년 2월 8일 열람. ↑ “「鳥居坂46」改め「欅坂46」誕生、1期生22名が決定”. 《ナタリー》 (ナターシャ). 2015년 8월 21일. 2015년 8월 21일에 확인함.  ↑ “欅坂46、デビューシングル発表 握手会開催も決定”. 《モデルプレス》 (ネットネイティブ). 2016년 2월 6일. 2016년 2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坂道シリーズ第3弾は「吉本坂46」吉本所属タレントを男女不問で募集”. 《音楽ナタリー》 (ナターシャ). 2018년 2월 21일. 2018년 2월 21일에 확인함.  ↑ “けやき坂46が「日向坂(ひなたざか)46」に電撃改名 - 乃木坂46 : 日刊スポーツ”. 《nikkansports.com》 (일본어). 2019년 2월 11일에 확인함.  ↑ “坂道合同オーディション合格者の配属先決定、12月には武道館でお見立て会”. 《ナタリー》 (ナターシャ). 2018년 11월 29일.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渡辺彰浩 (2016년 9월 12일). “欅坂46 長濱ねるは乃木坂46 秋元真夏に続く? “1.5期生”が示唆する「けやき坂46」の路線”. 《Real Sound》. blueprint. 2016년 9월 12일에 확인함.  ↑ “けやき坂46ホールツアー開催決定、1stアルバム発売は延期に”. 《ナタリー》 (ナターシャ). 2018년 4월 21일. 2018년 5월 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AKB48 그룹 아키모토 야스시 외부 링크[편집] 각 그룹 공식 사이트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vdeh사카미치 시리즈그룹활동 중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해체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유닛 노기자카AKB 사카미치AKB IZ4648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노기자카46 합동회사 Seed & Flower 요시모토흥업 요시모토 크리에이트 에이전시 AKB48 그룹 vdeh노기자카46멤버《캡틴》정규 멤버 아키모토 마나츠 이쿠타 에리카 이토 쥰나 이토 리리아 이노우에 사유리 이와모토 렌카 우메자와 미나미 오오조노 모모코 키타노 히나코 쿠보 시오리 사이토 아스카 사카구치 타마미 《사쿠라이 레이카》(캡틴) 사사키 코토코 사토 카에데 시라이시 마이 신우치 마이 스즈키 아야네 타카야마 카즈미 테라다 란제 나카다 카나 나카무라 레노 니시노 나나세 히구치 히나 호시노 미나미 호리 미오나 마츠무라 사유리 무카이 하즈키 야마자키 레나 야마시타 미즈키 요시다 아야노 크리스티 요다 유키 와타나베 미리아 와다 마야 4기생 에토 사쿠라 카키 하루카 카케하시 사야카 카나자와 사야 키타가와 유리 시바타 유나 세이미야 레이 타무라 마유 츠츠이 아야메 하야카와 세이라 야쿠모 미오 전 멤버정규 멤버 야마모토 호노카 요시모토 아야카 이와세 유미코 안도 미쿠모 카시와 유키나 미야자와 세이라 이치키 레나 이토 네네 야마토 리나 하타나카 세이라 마츠이 레나 나가시마 세이라 후카가와 마이 하시모토 나나미 이토 마리카 나카모토 히메카 카와무라 마히로 이코마 리나 사이토 치하루 사가라 이오리 와카츠키 유미 노죠 아미 카와고 히나 에토 미사 이토 카린 사이토 유리 연구생 니시카와 나나미 야다 리사코 요네토쿠 쿄카 CD 작품싱글 1. 빙글빙글 커튼 2. 이리와 샴푸 3. 달려! Bicycle 4. 교복의 마네킹 5. 너의 이름은 희망 6. 걸즈 룰 7. 바렛타 8. 깨닫고 보니 짝사랑 9. 여름의 Free&Easy 10. 몇 번째 푸른 하늘인가? 11. 생명은 아름다워 12. 태양 노크 13. 지금, 말하고 싶은 누군가가 있어 14. 봄망초 필 무렵 15. 맨발로 Summer 16. 사요나라의 의미 17. 인플루언서 18. 신기루 19. 언젠가 할 수 있으니 오늘 할 수 있어 20. 싱크로니시티 21. 자기중심으로 가자! 22. 돌아오는 길은 멀리 돌아서 가고 싶어져 23. Sing Out! 앨범오리지널 투명한 색 각각의 의자 태어나서 처음 본 꿈 지금이 추억이 될때까지 언더 나만의 너 ~Under Super Best~ 참가 악곡 트윈 테일은 이제 안 해 바람의 나선 서로 섞이는 것 누구를 제일 사랑하는가? 국경없는 시대 첫사랑 도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노기자카46 합동회사 노기자카는 어디? NOGIBINGO! 노기자카 공사중 AKB48 SHOW!(별책 · 노기자카46 SHOW! / 46 SHOW!) 노기코이 ~언덕길 아래서, 그 날 나는 사랑을 했다~ AKB48 사카미치 시리즈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vdeh케야키자카46멤버《캡틴》《부캡틴》 이시모리 니지카 이노우에 리나 우에무라 리나 오제키 리카 오다 나나 코이케 미나미 코바야시 유이 사이토 후유카 사토 시오리 《스가이 유카》(캡틴) 스즈모토 미유 세키 유키코 타케모토 유이 타무라 하노 나가사와 나나코 나가하마 네루 하부 미즈호 하라다 아오이 히라테 유리나 후지요시 카린 마츠다 리나 마츠히라 리코 모리타 히카루 《모리야 아카네》(부캡틴) 야마자키 텐 와타나베 리카 와타나베 리사 전 멤버 스즈키 미즈호 하라다 마유 이마이즈미 유이 시다 마나카 요네타니 나나미 CD 작품싱글 사일런트 머조리티 세상에는 사랑밖에 없어 두 사람의 계절 불협화음 바람에 휘날려도 유리를 깨라! 앰비벌런트 검은 양 앨범 새하얀 것은 더럽히고 싶어 참가 악곡 누구를 제일 사랑하는가? 국경없는 시대 첫사랑 도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Seed & Flower 케야키라고 쓸 수 없어? KEYABINGO! AKB48 SHOW!(별책 · 노기자카46 SHOW! / 케야키자카46 SHOW! / 46 SHOW! /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SHOW!) AKB48 사카미치 시리즈 노기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 vdeh요시모토자카46멤버《캡틴》 아논 이케다 나오토 이와하시 요시마사 우나키 카스히로 에하라 마사히로 엔도 쇼조 오오타 토모히로 오오치 요스케 오가타 타카히로 오가와 하루나 오키 시즈카 오타게 오바타노 오니상 카나다 사토시 카와시마 아키요시 쿈 겐 코이테 《코모토 신이치》(캡틴) 코테라 마리 사이토 츠카사 사카키바라 테츠지 ♥사유리 시마다 타마요 슈호 슌슌클리닉P 타카시 타카노 유이 타나카 싱글 테츠시 나다기 타케시 니시무라 슌지 노자와 나오코 히데보 히나타 후지이 나오 마사루코 마챠아키 마츠우라 시호 마히로 미아키 리호 무라카미 쇼지 야기 마스미 야마모토 케이이치 유리양 리트리버 요시코 CD 작품싱글 1. 울게 해줘 2. 오늘밤은 좋구마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요시모토흥업 요시모토 크리에이트 에이전시 사카미치 시리즈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히나타자카46 vdeh히나타자카46멤버《캡틴》히나타자카46 이구치 마오 우시오 사리나 카키자키 메미 카게야마 유카 카토 시호 카네무라 미쿠 카미무라 히나노 카와다 히나 코사카 나오 사이토 쿄코 《사사키 쿠미》(캡틴) 사사키 미레이 타카세 마나 타카모토 아야카 토미타 스즈카 나마기시 히요리 니부 아카리 히가시무라 메이 마츠다 코노카 미야타 마나모 와타나베 미호 CD 작품싱글 큥 도레미솔라시도 앨범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달려가는 순간 참가 악곡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히라가나 케야키 누구보다도 높이 뛰어! W-케야키자카의 시 우리는 사귀고 있어 침묵한 연인이여 고양이의 이름 태양은 올려다 보는 사람을 고르지 않아 영원한 흰 줄 그래도 걷고 있어 NO WAR in the future 이마니미테이로 절반의 기억 해피 아우라 너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것 안아주다 사카미치AKB 국경없는 시대 첫사랑 도어 관련 항목 아키모토 야스시 Sony Music Records 소니 뮤직 Seed & Flower 히라가나 오시 히나타자카에서 만납시다 AKB48 SHOW!(별책 · 노기자카46 SHOW! / 케야키자카46 SHOW! / 46 SHOW! / 히라가나 케야키자카46 SHOW!) HINABINGO! AKB48 사카미치 시리즈 노기자카46 케야키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카미치_시리즈&oldid=24543906" 분류: 사카미치 시리즈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Polski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5: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카미치 시리즈(일본어: 坂道シリーズ)은 아키모토 야스시가 제작한 여성 아이돌 그룹 노기자카46와 사쿠라자카46, 요시모토자카46, 히나타자카46에서 「坂(사카)」의 자로 형성되는 그룹에 대하는 시리즈명이다. 사카미치 그룹, 46 그룹로 불리기도 하며, 단순히 46로 표기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히나타자카46의 CD 데뷔일은 언제일까? Assistant: 2019년 3월 27일 Human: 아래 신용_위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용 위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용 위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용 위험(信用危險, 영어: credit risk)이란 거래 대상자에게 대출을 하거나 거래 상대방의 채권을 구매한 후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가 하락하거나 부도가 발생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위험을 말한다. 다시 말해 거래 상대방의 경영 상태 악화, 신용도 하락 또는 재무 불이행 등으로 손실이 발생할 위험으로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대출 자산이나 유가 증권 등으로부터 예상되는 현금 흐름이 계약대로 회수되지 않을 가능성을 의미한다.[1] 특히 금융기관의 위험 관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신용위험[2][3]은 시장 위험(market risk), 유동성 위험, 운영 위험(operational risk), 법률 위험(legal risk), 평판 위험(reputational risk) 등과 더불어 금융 위험(financial risk) 중 하나이다.[4] 목차 1 넓은 의미의 신용 위험 2 국제결제은행의 신용 위험 3 신용 위험 관리의 중요성 4 신용 위험의 측정 4.1 각 거래 상대방의 신용 위험 측정 – 전통적인 방법 4.1.1 전문가 시스템 4.1.2 신용등급평가 시스템 4.1.3 신용평점 시스템 4.2 새로운 신용 모형을 통한 신용 위험 측정 방법 4.2.1 위험 채권 가격 평가 모형 – 구조적 모형 4.2.2 위험 채권 가격 평가 모형 - 축약형 모형 5 신용위험 측정의 역사 5.1 1세대 모형 5.2 2세대 모형 5.3 3세대 모형 6 신용 위험량 6.1 기대손실 6.2 부도 확률(probability of default) 6.3 신용VaR(value at risk)의 개념 6.4 미예상손실(unexpected loss)의 산출 7 각주 8 참고 문헌 9 같이 보기 넓은 의미의 신용 위험[편집] 좁은 의미의 신용위험인 "채무자의 계약 불이행 가능성"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의 신용이 떨어짐으로써 자산이나 계약의 사장 가치가 하락하여 발생하는 손실 위험도 신용위험에 포함될 수 있다. 은행업에서 신용 위험은 사실상 은행의 거의 모든 수익 창출 활동에 내재되어 있는 가장 중요한 채무 리스크이다. 오늘날은 금융기관이 정통적인 여신 업무 외에도 은행간 거래, 국제 무역, 금융 파생 상품에 대한 투자 등로 인해 신용위험의 범위는 점점 커지고 있다.[5] 국제결제은행의 신용 위험[편집]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는 신용위험을 "차입자가 통상 약정된 조건에 따라 채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라고 정의한다.[6] 신용 위험 관리의 중요성[편집] 지금까지 수많은 은행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어 왔다. 대부분 거래 상대방[7]에 대한 부실한 여신 심사, 취약한 여신 포트폴리오 관리, 채무자의 신용 상태를 악화시키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처 부족 등으로 신용 위험을 관리하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8][9] 은행은 자산 가격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장 위험에 대한 노출 정도에 비해 기업이나 가계의 채무 불이행으로 오는 손실 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이다.[10] 이런한 이유 때문에 은행의 신용 위험 관리는 은행의 종합적인 위험 관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은행의 장기적인 발전과 성공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 있다.[11] 신용 위험의 측정[편집] 신용 위험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것 중에서 가장 기본적 것은 거래 상대방이 도산하지 않고 채무에 대해 정해진 시기에 제대로 윈리금을 지불할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금융공학의 발전에 의해 다양한 신용 위험 측정 방법이 선을 보이고 있으며 거래 상대방에 대해 개별적인 신용 위험 측정뿐만 아니라 전체 신용 포트폴리오에 대한 신용 위험을 측정을 위한 Value at Risk 기법도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12] 각 거래 상대방의 신용 위험 측정 – 전통적인 방법[편집] 금융 기관들은 전통적으로 전문가 시스템, 신용등급평가 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거래 상대방의 부도 위험을 평가하여 대출 여부를 결정하였고 이런한 전통적인 방법을 지금도 중요하게 사용하고 있다. 전문가 시스템[편집] 일반적으로 금융 기관에서 대출을 실행할 때 지역 또는 지점의 여신 전문가가 여신을 제공을 결정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전문가 시스템은 거래 상대방에 관련한 신용 정보와 경제 지표들을 전문가가 경험과 지침에 따라 분석하여 거래 상대방의 신용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고전적인 신용 평가는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들의 주관적 판단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신용등급평가 시스템[편집] 종합평점법(Credit Scoring Method[13]라고도 하며 거래 상대방이나 기업의 경영 상태, 예를 들어 자산 건전성, 부채 상환 능력 등)을 평가하여 여러 범주로 나누어 신용 등급을 매기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통화조정국(Office of Comptroller of the Currency)의 “OCC 신용등급평가체계”가 있으며 지금까지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다.[14] 신용평점 시스템[편집] 판별분석법(Multivariate Discriminant Method)[15]이라고 하여 본질적으로 신용등급평가 시스템과 개념은 비슷하나 거래 상대방의 부도를 일으키는 핵심 요소들을 도출하여 통합하거나 가중하여 계량적인 점수로 나타내는 방법이다.[16].[17] 대표적으로 알트만(Altman 1968)의 Z-score모형과 이를 개선한 Zeta-Model이 있다. 새로운 신용 모형을 통한 신용 위험 측정 방법[편집] 전통적인 방법이 갖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국제적인 금융 질서와 변동에 적응하기 위해 금융 기관들은 신용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신용 모형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 10년사이에 발생한 국제 금융 위기, 장기적인 경기 침제로 인한 파산 증가,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 파생 상품 시장의 급격한 팽창 등이 기존 방법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면이 대두되었다. 신용 위험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기업의 재무 정보가 일년에 고작 1~4회 이내로 구할 수 있는 반면에 사장 리스크를 측정하기 위한 채권 가격과 수익률 등은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어 기업 파산에 빠르게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정보 획득의 문제도 갖고 있다. 결국 금융 시장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모형이 나타나게 되었다.[18] 위험 채권 가격 평가 모형 – 구조적 모형[편집] 미국의 경제학자 머튼[19]은 은행이 여신을 실행하는 것은 거래 상대방의 자산에 대해 풋 옵션(Put Option)을 발행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즉 기업의 순자산을 옵션으로 보는 일련의 가정에서 기업의 자본 구조를 모형화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으며 기업 자산의 시장 가치가 부도 확률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라고 본다. 부도확률은 채권의 만기금액, 기업의 자산 가치, 자산가치 수익율의 표준편차, 무위험 수익율, 시장 포트폴리오 수익율의 표준편차, 시장 포트폴리오 수익율과 자산 수익율간의 상관관계 및 무위험 이자율의 배수에 의해서 결정된다.[20] 위험 채권 가격 평가 모형 - 축약형 모형[편집] 1980년대 이후 의학과 물리학에서 사용하던 위험률 모델링(Harzard rate Modeling) 기법을 도입하여 기업의 부도율을 구하기 시작했다. 이런한 경향에 맞추어 새로운 신용 모형들이 나오기 시작하였는데 구조적 모형고 달리 기업의 자본 구조를 모형화하지 않고 부도를 확률적으로 단순 사건으로 가정하며 부도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단순한 형태로 축약시켜서 모형을 관측할 수 있는 시장 데이터에 잘 적합하도록 해주고 비차익 거래 가격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축약형" 모형이라고 부른다.[21] 신용위험 측정의 역사[편집] 신용 위험은 역사상 금융위험 중 가장 오래된 위험이다. 누군가가 돈을 빌려 빚을 졌고 이 빚을 갚을 수 있는지 없는지를 따지는 것은 인류의 역사에서 재화와 노동의 대가를 주고 받기 시작할 때부터 생겼다고 생각할 수 있다.[22] 금융 공학적인 관점에서 역사상 최초의 신용 모형은 구조적 방법론인 머턴(Merton)의 기본 모형(1974)이다.[23] 1세대 모형[편집] 1세대 모형은 대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정적인 모형에서 벗어나 특정 변수들을 확률변수로 가정하여 이를 바탕한 확률분포를 통해 유가 증권을 평가한다.[24] 블랙-숄츠의 옵션 모형(1973) 단일 요인 이자율 기간구조 모형 Jamshidian의 채권 옵션 모형(1989) Trinomial Lattice-Based 아메리칸 옵션 모형 2세대 모형[편집] 1세대 모형을 약간 발전시켜 그대로 가져가면서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25] 머튼의 위험채권 모형 3세대 모형[편집] 3세대 모형에서는 앞 세대 모형과 달리 2개 이상의 확률적 요인들이 있으며, 거래 상대방의 잠재적인 부도에 대하여 명시적인 가정을 하고 있고 관련된 상품의 가치 평가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이런한 가정을 일관되게 유지한다.[26] Jarrow-Turnbull 모형(1995) Jarrow-Lando-Turnbull 모형(1997) Duffie-Singleton 모형(1999) Shimo-Tejima-Van Deventer 모형(1999) Jarrow 모형 (2001) Jarrow-Chava 모형 (2001) 신용 위험량[편집] 신용 위험량은 신용 위험이 현실화될 때 발생하는 손실액으로 규정할 수 있다. 손실액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기대손실(EL : Expected Loss)[27]과 미기대손실(UL : Unexpected Loss)[28]이 있다.[29] 신용위험의 측정은 궁극적으로 신용자산의 손실 분포(Loss distribution)를 추정하는 문제이다. 신용자산 포트폴리오의 손실분포의 추정은 부도율(Probability of default), 신용노출액(Exposure), 거래 상대방간의 상관관계(Correlation), 부도시 회수율(Recovery rate) 등과 같은 기초 정보를 통해 산출하며 자산의 손실분포를 추정하면 신용 VaR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비예상손실을 추정하여 위험 자본량을 산정할 수 있다. 기대손실[편집] 기대 손실은 거래 상대방이 부도가 나 채무를 이행할 수 없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손실 금액을 의미하여 이는 거래 상대방의 부도 확률과 부도시 회수율 그리고 부도시 신용위험노출액의 곱으로 공학에서 말하는 위험량과 유사하다. 금융 기관은 이 위험량을 통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한다.[30][31] 부도 확률(probability of default)[편집] 신용 모형이 구하고자 하는 신용 위험량은 거래 상대방에 대한 부도율이다. 대부분의 신용 모형은 위험채권[32]의 가격 결정모형을 통해 무위험 채권[33]과 위험 채권 간의 수익률 차이인 신용 스프레드가 거래 상대방의 부도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즉 위험 채권의 가치 평가는 이러한 신용 스프레드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과 동일하다.[34]. 신용 모형은 실제 채권 시장에서 관찰한 가격과 이론 가격의 차를 신용 스프레드로 보고 거래 상대방의 부도 확률을 추정한다. 신용VaR(value at risk)의 개념[편집] 신용 VaR는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정해진 기간 동안 정해진 신뢰 수준에 입을 수 있는 최대 손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포트폴리오[35]가 99% 신뢰 수준에서 신용 VaR 10억원이라는 의미는 앞으로 1년 동안 거래 상대방의 신용 등급 하락이나 부도에 의해 발생할 수 손실액이 100번에 1번 정도는 10억원에 다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관행적으로 기업의 부도률에 1년 내 부도확률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 VaR와는 달리 1년 VaR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거래 상대방의 부도를 고려한 자산 분포는 시장 VaR(Market VaR)[36]와 달리 자산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부도는 자주 발생하는 사건이 아니지만 한 번 발생하면 손실이 크기 때문에 대개 기업의 부도 확률을 감안한 자산 분포는 손실 쪽으로 긴 꾜리를 가지며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아니므로 단순히 평균이나 표준 편차로 신용 VaR을 구하는 방법은 많은 오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 대부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자산 분포를 추정하여 주어진 유의 수준에 따라 신용 VaR를 구한다. 미예상손실(unexpected loss)의 산출[편집] 미예상손실은 미래의 기대가치에 벗어난 잠재적인 손실을 의미하며 정의된 비예상손실의 측정은 VaR를 측정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다. 미예상손실은 예상손실과 VaR의 차이이다. 결국 미예상손실은 위험자본량이며 금융 기관은 이 위험량을 통해 자본금을 설정하여 국제결제은행(BIS)의 결제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각주[편집] ↑ 금융감독원, 《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2쪽. ↑ 금융 업계에서는 신용리스크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한다. ↑ 남기풍, 장지인, 이기환, 《신용위험평가론》, 2006, 신영사, 180쪽. ↑ 금융감독원, 《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2쪽 ↑ 금융감독원, 《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p5 ↑ ”Credit risk is most simply defined as the potential that a bank borrower or counterparty will fail to meet its obligations in accordance with agreed term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Credit Risk》, September 2000, p1 ↑ 금융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차주(借主)라는 낱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 ↑ 대부분 선진국의 은행 위기 사례에서 은행 부도의 주요 요인들은 중에서 신용 위험이 으뜸이다.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저,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5 ↑ 조하연, 이승국,《신용리스크 측정과 관리》, 세경사, 2003, p20 ↑ 금융감독원,《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p6 ↑ 금융감독원,《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p8 ↑ 이정우, 《축약모형을 이용한 국내 개별기업 부도확률에 관한 연구-Jarrow(2001)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6 ↑ 남기풍,장지인,이기환,《신용위험평가론》, 2006, 신영사, p181~182 ↑ 이정우, "축약모형을 이용한 국내 개별기업 부도확률에 관한 연구-Jarrow(2001)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7 ↑ Saunders, 오세경, KPMG리스크관리컨설팅팀 공역, "신용위험측정", 경문사, 2002, p17~p19 ↑ 금융감독원,《신용리스크따라잡기》, 2006.6.12, p9 ↑ 남기풍,장지인,이기환,《신용위험평가론》, 2006, 신영사, p184~186 ↑ 머튼은 스톡 옵션(Stock Option) 연구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숄츠(Sholes)와 함께 199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9~43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65~66 ↑ 이동주, 《보이지 않는 돈 신용》, p30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2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6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7 ↑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p38 ↑ 또는 예상손실(豫想損失)이라고도 한다. ↑ 또는 미예상손실(未豫想損失)이라고도 한다. ↑ 남기풍,장지인,이기환, 《신용위험평가론》, 2006, 신영사, ISBN 89-5501-153-9, p189 ↑ 남기풍,장지인,이기환, 《신용위험평가론》, 2006, 신영사, ISBN 89-5501-153-9, p189~190 ↑ 조하현,이승군, 신용리스크 : 측정과 관리, 2003, 세경사, ISBN 89-7127-085-3 93320, p229 ↑ 일반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한다.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를 risk free bond와 대비하여 채권 발행자인 기업이 부도를 내면 원리금 회수가 곤란해질 가능성을 있다는 의미에서 회사채를 risky bond, 즉 위험 채권이라 부른다. ↑ 국채를 말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국채도 원리금 상환을 완벽하게 보장받는 무위험 채권이라 할 수 없다. 실제로 아르헨티나는 2002년에 채무상환불이행(디폴트 : Default)를 선언하였다. ↑ 조하현,이승군, 신용리스크 : 측정과 관리, 2003, 세경사, ISBN 89-7127-085-3 93320, p145 ↑ 일반적으로 채권 또는 주식 한 종목만으로 신용 VaR 산출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 금융 기간의 회계 구조, 운영 부서와 영업 상황에 따라 계정을 만들고 이에 포함된 채권, 주식, 파생 상품 등을 묶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신용 VaR를 구한다. 각 금융 상품과 기업 부도율간의 상관 관계가 존재하므로 각 상품의 비예상손실의 합은 이러한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합산하게 된다. ↑ 이승철, "수학과 현대금융사회", 2006, 교우사, ISBN 89-8172-222-0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p200-205 참고 문헌[편집] 금융감독원, "신용리스크 따라잡기" 이동주, "보이지 않는 돈 신용" Saunders, 오세경, KPMG리스크관리컨설팅팀 공역, "신용위험측정", 경문사 Donald R.Van Deventer & Kenji Imai, 장헌진 이윤모 엄권열 공역, "신용리스크 모형 및 신바젤 협약", 2006, 야스미디어 이승철, "수학과 현대금융사회", 2006, 교우사, ISBN 89-8172-222-0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같이 보기[편집] 위험관리(en:Risk management) 주문(en:Order (exchange)) 손절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용_위험&oldid=24202588" 분류: 경제금융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ગુજરાતી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0: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용 위험(信用危險, 영어: credit risk)이란 거래 대상자에게 대출을 하거나 거래 상대방의 채권을 구매한 후 거래 상대방의 신용도가 하락하거나 부도가 발생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위험을 말한다. 다시 말해 거래 상대방의 경영 상태 악화, 신용도 하락 또는 재무 불이행 등으로 손실이 발생할 위험으로 금융 기관 입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대출 자산이나 유가 증권 등으로부터 예상되는 현금 흐름이 계약대로 회수되지 않을 가능성을 의미한다. 특히 금융기관의 위험 관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신용위험은 시장 위험(market risk), 유동성 위험, 운영 위험(operational risk), 법률 위험(legal risk), 평판 위험(reputational risk) 등과 더불어 금융 위험(financial risk)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용 VaRdm의 개념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신용 VaR는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정해진 기간 동안 정해진 신뢰 수준에 입을 수 있는 최대 손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포트폴리오[35]가 99% 신뢰 수준에서 신용 VaR 10억원이라는 의미는 앞으로 1년 동안 거래 상대방의 신용 등급 하락이나 부도에 의해 발생할 수 손실액이 100번에 1번 정도는 10억원에 다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관행적으로 기업의 부도률에 1년 내 부도확률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 VaR와는 달리 1년 VaR를 사용한다.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경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경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경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아 모닝 정측면 대한민국의 경차는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에 명시된 엔진 배기량 1,000cc 이하로서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를 말한다. '경제적인 자동차'란 의미의 경차는 1983년 대한민국 상공부가 에너지 절감 차원의 일환으로 시작한 국민차 보급 추진 계획이 그 출발점이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에 명시된 종류에 따라 경형승용자동차(輕型乘用自動車), 경형화물자동차(輕型貨物自動車)와 경형승합자동차(輕型乘合自動車)로 구분된다. 목차 1 역사 2 배기량 논쟁 3 혜택 4 목록 5 함께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1983년 당시 대한민국 상공부에서 에너지 절감 차원의 국민차 보급 추진 계획을 세우고 1980년대 후반 논의를 거쳐 1991년 대한민국 최초의 경차인 대우 티코가 발표되었다. 대우 티코는 당시 경자동차가 많이 보급되어 있던 일본의 스즈키 알토를 기반으로 개발된 자동차로 발표 당시 3만대가 판매되었고, 1996년에는 경차에 대한 각종 혜택과 함께 유류값 폭등으로, 10만 3천대가 판매될 정도로 초보 운전자와 여성 운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대우 티코가 인기를 끌자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각각 현대 아토스(1997년)와 기아 비스토(1998년)를 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1998년 티코의 후속으로 출시된 대우 마티즈에 밀려 단종되고 말았다. 직렬 3기통의 796cc SOHC 52마력 엔진을 탑재한 대우 마티즈는 대우 티코의 후속 차종으로 1998년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을 계기로 관심이 고조된 경차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게 된다. 배기량 논쟁[편집] 대한민국 상공부가 국민차 보급 계획을 발표된 이 후부터 지금까지 경차의 적정 엔진 배기량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이 있어왔다. 1980년대 경차 제원에 대한 논의가 한창일 때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경차의 엔진 배기량을 1,000cc로 하자는 주장을 하였다. 이유는 당시 일본 경자동차의 엔진 배기량이 550cc였는데,[1] 대한민국은 산악 지형이 많으므로 엔진 배기량이 그보다는 커야 한다는 논리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안이 확정되기 전에 대우자동차가 재빠르게 대우 티코를 출시하고 대한민국 정부가 승인해 주면서 경차의 엔진 배기량 논쟁은 일단락되었다. 경차 규격에 대한 논쟁이 다시 시작된 것은 2003년부터이다. IMF 구제금융사건 이후 35%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던 경차는 2003년 11월 4.3%라는 최악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말았다. 이에 1년 넘게 계류 중이었던 '경차 지원 법안'이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하였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부는 경차의 판매 격감을 인지하고 2003년 3월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경차 배기량 기준을 800cc 미만에서 1,000cc 이하로 상향 조정하는 한편 너비는 1.5m에서 1.6m로, 길이는 3.5m에서 3.6m로 각각 늘리기로 결정하였다. 다만, 그 시행을 3년 유예하도록 했다. 그러나 1,000cc 엔진을 갖고 있지 않은 GM대우는 이러한 정부 방침에 반대하게 되고, 결국 대한민국 정부는 경차 규격 확대의 유예 기간을 5년, 즉 2008년까지 늦추기로 결정하였다. 2008년 경차 규격이 배기량 기준 1,000cc로 확대되면서 2004년에 출시한 리터카(엔진 배기량 1리터)인 기아 모닝이 2008년 1월 1일자로 새로이 경차에 편입되어 경차 혜택을 받게 되었다. 2인승의 스마트 포투도 대한민국 경차 규격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대한민국 내 경차로 운행이 가능하다. 혜택[편집] 특별 소비세 면제 자동차세 cc당 80원 종합보험료 10% 할인 등록세와 취득세 면제 (경차지원법. 2004년 1월 개정된것으로 개정 이전에는 등록세와 취득세 2% 할인이었다.) 지역개발 공채 4%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할인 공영 주차장 50% 할인 지하철 환승주차장 80% 할인 차량 강제 10부제에서 제외 목록[편집] 경형승용자동차 현대 i10 현대 이온 기아 모닝 기아 레이 쉐보레 스파크 AD 체인지 GM대우 마티즈 기아 비스토 현대 아토스 대우 티코 경형화물자동차 및 경형승합자동차 한국GM 다마스 한국GM 라보 기아 타우너 함께 보기[편집] 경자동차(일본) 각주[편집] ↑ 일본에서 경자동차의 배기량이 660cc로 잡히는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발생하게 된다. 일본 경자동차 자료 참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경차&oldid=22414637" 분류: 경자동차대한민국의 자동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2: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의 경차는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에 명시된 엔진 배기량 1,000cc 이하,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를 말한다. '경제적인 자동차'란 의미의 경차는 1983년 대한민국 상공부가 에너지 절감 차원의 일환으로 시작한 국민차 보급 추진 계획이 그 출발점이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에 명시된 종류에 따라 경형승용자동차(輕型乘用自動車), 경형화물자동차(輕型貨物自動車)와 경형승합자동차(輕型乘合自動車)로 구분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 최초의 경차의 브랜드 명은? Assistant: 티코 Human: 아래 샤를_미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샤를 미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를 미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샤를 미셸Charles Michel 벨기에의 제52대 총리 임기 2014년 10월 11일~ 군주 필리프 전임: 엘리오 디 뤼포(제51대) 신상정보 국적 벨기에 출생지 벨기에 나무르 거주지 벨기에 학력 프랑스어 브뤼셀 자유 대학교 암스테르담 대학교 정당 혁신운동 자녀 2 샤를 이브 장 기슬렌 미셸(프랑스어: Charles Yves Jean Ghislaine Michel, 1975년 12월 21일 ~ )은 벨기에의 정치인으로, 2014년 10월 11일부터 총리를 역임하고 있다. 미셸은 1845년 이래 최연소 벨기에 총리이다. 목차 1 초기 경력 2 정치 경력 2.1 벨기에의 총리 3 외부 링크 초기 경력[편집] 왈롱의 나뮈르에서 태어났다. 미셸은 16세의 나이로 조두아뉴의 청년 자유당에 입당하였을 때 자신의 정치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부친 루이 미셸은 1983년 이래 조두아뉴의 시장이었다. 1994년 18세의 나이로 샤를 미셸은 브라방왈롱주에서 주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프랑스어 브뤼셀 자유대학교와 암스테르담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브뤼셀 법정에서 변호사가 되었다. 자신의 모국어 프랑스어에 추가로 그는 네덜란드어에 능통하였다. 정치 경력[편집] 미셸은 1999년 이래 연방 하원으로 선출되어와 혁신운동의 본거지 브라방왈롱 주를 대표하였다. 2000년 그는 왈롱 정부에서 내무장관이 되었다. 25세의 나이로 그는 벨기에 역사상 최연소 장관이 되었다. 지방 수준에서 그는 2000년 우아브르에서 시의원으로 선출되고, 6년 후 그 시장이 되었다. 2007년 12월 미셸은 버르호프스타트 3차 정부에서 개발협동조합 장관이 되었고, 이어서 르테름 1차 정부, 반 롬푀이 1차 정부와 르테름 2차 정부들에서도 지속적으로 있었다. 2009년 6월 지방 선거 후, 미셸은 혁신운동 당수 디디에 레잉드르를 물러나도록 요구한 단체의 일부였다. 2010년 6월 연방 선거에서 당이 패한 후, 레잉드르는 결국 물러났다. 그러고나서 미셸은 혁신운동의 당수를 위하여 자신의 후보직을 공고하였다. 2011년 1월 그는 자신이 장관직을 사직한 혁신운동의 당수로 선출되었다. 미셸과 레잉드르는 자신들 당 안에서 장기적 라이벌이다. 벨기에의 총리[편집] 2014년 연방 선거 후, 미셸은 그해 벨기에 정부 형성에서 협동자가 되었다. 기독교민주당과 플람스가 크리스 페터르스를 위한 총리 지위에 마리안 티센을 위한 유럽 연합의 지위를 선택할 때 미셸이 다음 정부의 지도자가 될 것이라는 것이 명확하게 나왔다. 10월 7일 전체의 동의는 새로운 정부를 형성하는 데 4개의 당들 사이에 도달하여 미셸은 페터르스를 4명의 부총리들 중의 하나로 하면서 정식으로 미셸 정부를 이끄는 데 제안하였다. 미셸은 1841년 이래 벨기에의 최연소 내각 지도자이며, 벨기에 총리 타이틀과 이제까지 최연소자이다. 그는 총리가 되는 데 2번째 프랑코폰 자유주의자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샤를 미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샤를 미셸 - 공식 웹사이트 전임엘리오 디 뤼포 제52대 벨기에의 총리2014년 10월 11일 ~ 후임(현직) vdeh벨기에의 총리 더 게를라허 르보 더 무엘레나에러 고블레 달빌라 더 메일란트 르보 노통 판 더 베이어르 더 메일란트 로지에르 더 브라우케러 더 데커르 로지에르 프레르오르방 당탕 말라우 프레르오르방 말라우 베르나르트 드 뷔를레 더 스머트 더 나예여르 판덴페이레봄 더 스머트 나예여르 더 트로즈 스홀라어르트 드브로크빌 코레만 들라크루와 카르통 드 비아르 퇴니 판 더 피베러 풀레 야스파르 렌킨 드브로크빌 퇴니 판 제일란트 얀손 스파크 피에를로트 판 아커르 스파크 판 아커르 하위스만스 스파크 G. 에이스컨스 뒤비외사르 프홀리언 판 하우터 판 아커르 G. 에이스컨스 르페브르 하르멀 판던 부이난츠 G. 에이스컨스 르브뤼통 틴데만스 판던 부이난츠 마르턴스 M. E 에이스컨스 마르턴스 데하네 버르호프스타트 르테름 반 롬푀이 르테름 디 뤼포 미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7309063 LCCN: no2016067616 ISNI: 0000 0000 0314 2363 GND: 1105873587 BNF: cb14567697c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샤를_미셸&oldid=23547483" 분류: 197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벨기에의 정치인벨기에의 총리브뤼셀 자유대학교 동문암스테르담 대학교 동문나뮈르 출신현재 국가 지도자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Italiano日本語LatinaLëtzebuergeschLimburgs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7일 (일) 1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샤를 이브 장 기슬렌 미셸(프랑스어: Charles Yves Jean Ghislaine Michel, 1975년 12월 21일 ~ )은 벨기에의 정치인으로, 2019년 12월 1일부터 유럽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고 있다. 미셸은 2014년 10월 11일부터 2019년 10월 27일까지 벨기에의 총리를 역임했으며, 1845년 이래 벨기에의 최연소 총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어 대표로 활동한 주의 이름은? Assistant: 브라방왈롱
Human: 아래 하하랜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하랜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하랜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하랜드 장르 시사 · 교양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TV 방송 기간 1기 : 2017년 8월 2일 ~ 2018년 1월 17일 2기 : 2018년 1월 24일 ~ 2018년 5월 30일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밤 8:55 ~ 10:00 방송 분량 1시간 5분 방송 시즌 2 방송 횟수 1기 : 24부작 2기 : 16부작 기획 한상규 프로듀서 이동희 연출 송관섭, 이미영, 주은정, 한율 조연출 고은정, 김영원 작가 김세진, 김주희, 선하리, 오지현, 윤희영 출연자 본문 참조 음성 1채널 모노 사운드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MBC 하하랜드 홈페이지 《하하랜드》는 2017년 6월 6일부터 2018년 5월 30일까지 MBC TV에서 방송된 동물 프로그램이다. 목차 1 방송 시간 2 방송 시리즈 3 시청률 3.1 시즌 1 3.2 시즌 2 4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5 외부 링크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비고 MBC TV 2017년 6월 6일 화요일 밤 11:10 ~ 12:20 파일럿 (4부작) 2017년 6월 8일 ~ 2017년 6월 22일 목요일 밤 11:10 ~ 12:20 2017년 8월 2일 ~ 2018년 5월 30일 매주 수요일 밤 8:55 ~ 10:00 정규 편성 방송 시리즈[편집] 방송 시즌 방송 횟수 프로그램명 방송 기간 MC 출연진 및 패널 1기 24부작 하하랜드 2017년 8월 2일 ~ 2018년 1월 17일 노홍철, 유진 지상렬, 송은이, 찬미 2기 16부작 2018년 1월 24일 ~ 2018년 5월 30일 노홍철, 송은이 박정윤, 이정모, 장이권, 조승연 시청률[편집] 시즌 1[편집]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 방송 일자 전국 시청률(증감치) 파일럿 1회 2017년 6월 6일 2.6% 파일럿 2회 2017년 6월 8일 1.9% 파일럿 3회 2017년 6월 15일 2.3% 파일럿 4회 2017년 6월 22일 2.4% 1회 2017년 8월 2일 5.0% 2회 2017년 8월 9일 4.9% (-0.1) 3회 2017년 8월 16일 4.7% (-0.2) 4회 2017년 8월 23일 4.0% (-0.7) 5회 2017년 8월 30일 4.7% (+0.7) 6회 2017년 9월 6일 4.8% (+0.1) 7회 2017년 9월 13일 3.7% (-1.1) 8회 2017년 9월 20일 3.8% (+0.1) 9회 2017년 9월 27일 3.6% (-0.2) 10회 2017년 10월 4일 3.3% (-0.3) 11회 2017년 10월 11일 4.7% (+1.4) 12회 2017년 10월 18일 1.5% (-3.4) 13회 2017년 10월 25일 2.1% (+0.6) 14회 2017년 11월 1일 3.2% (+1.1) 15회 2017년 11월 8일 3.8% (+0.6) 16회 2017년 11월 15일 4.0% (+0.2) 17회 2017년 11월 22일 3.6% (-0.4) 18회 2017년 12월 6일 4.7% (+1.1) 19회 2017년 12월 13일 4.0% (-0.7) 20회 2017년 12월 20일 3.2% (-0.8) 21회 2017년 12월 27일 2.6% (-0.6) 22회 2018년 1월 3일 3.7% (+1.1) 23회 2018년 1월 10일 3.6% (-0.1) 24회 2018년 1월 17일 3.1% (-0.5) 시즌 2[편집]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회차 방송 일자 전국 시청률(증감치) 1회 2018년 1월 24일 3.7% 2회 2018년 1월 31일 3.9% (+0.2) 3회 2018년 2월 7일 3.1% (-0.8) 4회 2018년 2월 28일 4.2% (+1.1) 5회 2018년 3월 7일 3.6% (-0.6) 6회 2018년 3월 14일 2.1% (-1.5) 7회 2018년 3월 21일 4.1% (+2.0) 8회 2018년 3월 28일 3.4% (-0.7) 9회 2018년 4월 11일 3.6% (+0.2) 10회 2018년 4월 18일 3.2% (-0.4) 11회 2018년 4월 25일 2.4% (-0.8) 12회 2018년 5월 2일 3.2% (+0.8) 13회 2018년 5월 9일 3.4% (+0.2) 14회 2018년 5월 16일 3.8% (+0.4) 15회 2018년 5월 23일 3.1% (-0.7) 16회 2018년 5월 30일 3.5% (+0.4)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편집] 영재발굴단 (SBS TV) 살림하는 남자들 (KBS 2TV) 외부 링크[편집] MBC 하하랜드 공식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봄밤》)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하랜드&oldid=24354452" 분류: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동물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23: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하랜드》는 2017년 8월 2일부터 2018년 5월 30일까지 방송된 동물 전문 교양 프로그램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예능 하하랜드의 모든 시리즈 방송정보는? Assistant: 방송 시즌 방송 횟수 프로그램명 방송 기간 MC 출연진 및 패널 1기 24부작 하하랜드 2017년 8월 2일 ~ 2018년 1월 17일 노홍철, 유진 지상렬, 송은이, 찬미 2기 16부작 2018년 1월 24일 ~ 2018년 5월 30일 노홍철, 송은이 박정윤, 이정모, 장이권, 조승연 Human: 아래 양구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양구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구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양구 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양구군 양구군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701.53 km2 세대 11,078 가구 (2018.9) 총인구 23,407 명 (2018.9) 인구밀도 33 명/km2 읍 1개 면 4개 군수 조인묵(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황영철(자유한국당)(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군청 소재지 양구읍 관공서로 38 (하리 34-5) 홈페이지 http://www.yanggu.go.kr/ 상징 군목 주목[1] 군화 살구꽃 군조 꾀꼬리 양구군(楊口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북중부에 있는 군이다. 서쪽으로 철원군과 화천군, 남서쪽으로 춘천시, 동쪽으로 인제군, 북쪽으로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접한다. 38도선 이북 지역으로, 한국전쟁 때 대한민국이 수입면을 제외한 군역(郡域)의 거의 대부분을 수복하였다. 군사분계선에 인접한 주요 군사지역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2.1 기후 2.2 국토정중앙점 3 행정 구역 4 인구 5 산업 6 교통 6.1 국도 6.2 시외버스 7 문화·관광 8 교육 기관 8.1 고등학교 9 출신 인물 10 역대 군수 11 자매 도시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행정 구역의 역사에 대해서는 양구군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동여지도》 고구려 때부터 양구군이었는데, 고려에 와서 양구현(楊溝縣)으로 고쳐 춘주(春州)에 속하였다가, 후에 양구로 개명하고 예종 원년(1106년) 감무를 두었다. 조선 태조 2년(1393년)에 다시 분리되어 태종 12년(1412년)에 현감을 두었다.[2] 조선 중기: 양구현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양구군으로 개편하였다.[3]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양구군으로 개편하였다.[4] 9면 - 군내면, 서면, 남면, 동면, 상동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1914년 4월 1일: 7면으로 개편하였다.[5] 7면 - 군내면(서면 편입), 남면(동면 편입), 동면(상동면 개칭), 북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1917년: 군내면을 양구면으로 개칭하였다.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현재의 양구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현재 인제군 남면으로 편입된 남면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각 일부지역이 38선 이남에 있어, 춘성군 북산면으로 편입되었다.[6]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결과, 대한민국이 수입면의 거의 대부분을 제외한 군역의 거의 대부분을 수복하였다. 1954년 11월 17일: 양구군의 행정기능이 회복되고, 해안면이 인제군에 이관되었다. 수입면의 수복지구를 방산면에 편입하였다.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38선 이남지역이 양구군 관할로 환원되었다.[7] (4면) 1963년 1월 1일: 북면을 양구면에 합면하였다.[8] (4면) 1973년 7월 1일: 인제군 서화면에서 옛 해안면 지역인 현리, 오류리, 만대리, 월산리, 후리, 이현리를 동면으로 편입하고, 해안출장소를 설치하였다. 상수내리와 하수내리가 인제군 남면으로 편입되었다.[9] 1979년 5월 1일: 양구면이 양구읍으로 승격하였다.[10] (1읍 3면) 1983년 2월 15일: 해안출장소 관할지역에 해안면이 다시 설치되었다.[11] (1읍 4면) 지리[편집] 강원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태백산계의 여러 산이 위치하고 있다. 3지맥이 종주하는데 동쪽 대암산맥에는 용문산(龍門山, 1,068m)·마패령(馬佩嶺, 697m)·가칠봉(加七峰, 1,243m) 등이, 중앙 비봉산맥에는 두밀령(杜密嶺, 787m)·항령(項嶺, 676m) 등이, 서쪽 어은산맥에는 어은산(1,277m) 등 여러 산이 솟아 있다. 강은 동편 계곡에 서천, 중앙에 장평천이 남류한다. 서천은 양구 동쪽에서 곡계의 기경을 이루며 낭천이 되어 장평천과 합하여 파로호에 들어간다. 군의 서쪽은 북한강 계곡에 속하며, 동쪽의 소양강 상류에는 전형적인 침식분지인 해안분지가 있다. 지질은 대부분이 화강편마암이고 화강암과 결정편암도 있다.[12] 기후[편집] 내륙 산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심하며, 강수량이 도내에서 제일 적다. 연평균 기온은 9.8 , 1월 평균 -7.9 , 8월 평균 25.6 , 최고기온 41.5 (1940. 6), 최저기온 -30.0 (1939.1), 평균 강수량 1,100mm이다.[13] 국토정중앙점[편집] 국토정중앙점은 강원도민일보 부설 강원사회조사연구소에서 2002년에 조사, 발표한 한반도의 중앙점으로, 남면 도촌리 산48번지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측정기준은 섬을 포함한 한국 영토의 4극지점(극동, 극서, 극남, 극북)을 기준으로 한 중앙경선과 중앙위선의 교차점이다. 2002년 국립지리원(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의 좌표측정에서 국토정중앙점 좌표를 동경 128° 02′ 02.5″, 북위 38° 03′ 37.5″로 발표하였다. 한편, 섬을 제외한 내륙을 기준으로 한 정중앙점 좌표는 동경 127° 28′ 55″, 북위 38° 39′ 00″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회양군 현리에 해당한다.[14]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양구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양구군의 행정 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구군의 인구는 2012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22,285명 9,775 세대이며, 그 중 58%가 양구읍에 거주한다. 전체 면적은 701.27 km²이다.[15] 성비는 철원군과 비슷한 109로, 화천군 (129.5), 인제군 (114)보다는 낮고, 춘천시 (99)보다는 높으며 강원도에서는 세 번째로 성비가 높다. 행정구역 한자 인구 세대 면적 행정지도 양구읍 楊口邑 12,915 5,436 173.62 남면 南面 3,936 1,801 135.26 동면 東面 2,379 1,136 123.62 방산면 方山面 1,630 793 206.7 해안면 亥安面 1,425 609 61.52 양구군 楊口郡 22,285 9,775 701.27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미수복된 수입면(水入面) 명예면장을 임명한다.[16] 인구[편집] 양구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7] 연도 총인구   1966년 41,623명 1970년 38,927명 1975년 38,959명 1980년 33,662명 1985년 30,822명 1990년 28,489명 1995년 23,184명 2000년 21,118명 2005년 19,385명 2010년 19,252명 산업[편집] 농경지는 하천 계곡에 약간 분포되어 있으며 밭이 많다. 그러므로 잡곡이 많이 난다. 천연림이 무성하여 임상이 아름답고, 용재와 신탄의 산출이 많으며, 밤·잣·도토리 등과 웅담·사향·복령·백화사 등 한약재의 산출이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잡곡·감자·삼·꿀·양초 등이다. 쌀의 질이 좋기로 유명하며, 채소·과일 등도 양구읍 부근에서 널리 재배한다. 초지와 산지가 넓어 목축업이 활발해 목축업 종사자가 많다. 또한 임야면적 5만 6,407㏊에 국·공유림이 64%에 이르며, 입목지가 99%나 된다. 산지에서 잣·대추·도토리가 많이 생산되며 송이·표고버섯의 생산량이 많다.[18] 주요 생산물로는 가시오이, 산재배더덕, 산채, 생감자가루, 고랭지감자, 석공예, 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쌀, 쑥엿, 도토리묵, 떡, 유정란, 미숫가루, 전통메주, 백합, 전통한과, 뽕잎국수, 표고버섯, 사과, 취나물, 민들레, 멜론 등이 있다. 교통[편집] 산간 벽지이기 때문에 교통은 불편하였으나 최근 군사도로가 발달해 도로망이 잘 정비되었다. 인제군이나 평창군 등지로 통하는 국도 제31호선이 남북을 종단하고, 동서를 잇는 국도 제46호선이 간성읍과 춘천시를 연결한다. 서울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1일 23회(06:30~20:05) 운행한다.[19] :139 춘천역에서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등을 거쳐 속초역으로 통하는 춘천-속초선가 구상 중이며, 1960년대에는 원주역에서 홍천군 홍천읍을 거쳐 화천군과 양구군으로 각각 통하는 철도가 구상되기도 했다. 국도[편집] 국도 31 금강산로, 정중앙로 46 춘양로, 삼팔선로 지방도 403 간척월명로, 파로호로 453 펀치볼로, 해안서화로 460 평화로 시외버스[편집] 버스 터미널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시외 버스 운행 (양구읍 중심로) 문화·관광[편집] 두타연 민통선 안에 있는 숲이다. 2003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50년간 숨어 있던 계곡과 숲은 청정지역 그 이상의 것을 안겨주었다. 베일이 벗겨진 숲은 은밀하거나 신비롭기보다는 소름 돋는 서글픔이 들게 한다.[19] :135 심곡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및 복장유물 선사박물관(先史博物館) 부지 면적 32,464m2, 건축 면적 1,144.7m2, 전시 면적 438.75m2(5개 전시실)로서, 양구읍 상무룡리의 구석기 유적과 해안면 일대의 신석기,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집중 전시한 박물관으로서 선사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져 온 유구한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국내 최초의 선사박물관이다.[20] 교육 기관[편집] 강원도양구교육지원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등학교[편집] 양구여자고등학교 양구고등학교 강원외국어고등학교 출신 인물[편집] 분류:양구군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박수근(朴壽根) - 화가 이해인 - 수녀 배삼룡 - 희극인 최규옥 - 전 국회의원 역대 군수[편집] 2018년 6월 13일, 제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조인묵이 군수로 확정되었다. 역대 군수 목록 임정관 염현택(1954년 2월 26일 ~ 1954년 11월 10일) 1대 박하영(1954년 11월 11일 ~ 1955년 9월 17일) 2대 지춘식(1955년 9월 18일 ~ 1956년 3월 15일) 3대 방희석(1956년 3월 13일 ~ 1957년 1월 13일) 4대 전인걸(1957년 1월 14일 ~ 1959년 8월 25일) 5대 최병수(1959년 8월 26일 ~ 1960년 5월 23일) 6대 이준직(1960년 5월 24일 ~ 1961년 7월 20일) 7대 박상수(1961년 7월 21일 ~ 1962년 5월 10일) 8대 김광순(1962년 5월 11일 ~ 1963년 7월 16일) 9대 김용운(1963년 7월 17일 ~ 1964년 9월 9일) 10대 최종민(1964년 9월 10일 ~ 1967년 12월 1일) 11대 이백순(1967년 12월 2일 ~ 1970년 8월 18일) 12대 박수균(1970년 8월 19일 ~ 1971년 8월 20일) 13대 정영철(1971년 8월 21일 ~ 1973년 8월 3일) 14대 심영목(1973년 8월 4일 ~ 1974년 8월 9일) 15대 임동섭(1974년 8월 10일 ~ 1974년 12월 9일) 16대 김정명(1974년 12월 10일 ~ 1977년 2월 15일) 17대 고 황(1977년 2월 16일 ~ 1979년 4월 5일) 18대 김광용(1979년 4월 6일 ~ 1980년 8월 2일) 19대 사교진(1980년 8월 3일 ~ 1981년 11월 6일) 20대 이길원(1981년 11월 7일 ~ 1983년 4월 15일) 21대 유영천(1983년 4월 16일 ~ 1985년 3월 10일) 22대 김기섭(1985년 3월 11일 ~ 1986년 12월 23일) 23대 이대근(1986년 12월 24일 ~ 1988년 6월 10일) 24대 김창수(1988년 6월 11일 ~ 1989년 12월 26일) 25대 공명택(1989년 12월 27일 ~ 1991년 1월 13일) 26대 임경순(1991년 1월 14일 ~ 1993년 3월 28일) 27대 이명기(1993년 3월 29일 ~ 1994년 1월 2일) 28대 유재덕(1994년 1월 3일 ~ 1994년 7월 5일) 29대 최명희(1994년 7월 6일 ~ 1995년 6월 30일) 30대 임경순(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선1기 31대 임경순(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2기 32대 임경순(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민선3기 33대 전창범(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4기 34대 전창범(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5기 35대 전창범(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6기 36대 조인묵(2018년 7월 1일 ~ 현재) - 민선7기 자매 도시[편집] 일본 돗토리현 지즈 정 중국 후베이 성 젠리 현 프랑스 일드프랑스 발드마른주 생망데 시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양구의 상징물〉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양구의 연혁〉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상수내리와 하수내리의 납북자 명단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 등 53개읍설치에 관한 규정 (1979년 4월 7일)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양구의 자연〉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 양구군청 공식 사이트, http://www.yanggu.go.kr/intro/intro09.htm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양구군 2011년 통계연보 ↑ 이북5도위원회 - 미수복강원도 양구군 조직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양구의 산업·교통〉 ↑ 가 나 사단법인 한국여행작가협회 (2009). 《대한민국 걷기 좋은 길 111》. ㈜위즈덤하우스. ISBN 9788992879057.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선사박물관〉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양구군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양구군청 - 공식 웹사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김화군대한민국 강원도 철원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강원도 화천군    강원도 양구군     강원도 춘천시 강원도 인제군 vdeh강원도 양구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양구읍 양구읍 남면 동면 방산면 해안면 수입면 vdeh 강원도 (남)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춘천시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원주시 춘천시 태백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양구군&oldid=24456643" 분류: 양구군강원도의 군1895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Français客家語/Hak-kâ-ngîItaliano日本語NorskРусскийSvenska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양구군(楊口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북부에 있는 군이다. 서쪽으로 철원군과 화천군, 남서쪽으로 춘천시, 동쪽으로 인제군, 북쪽으로 군사분계선이 지나면서 북한과 접한다. 38도선 이북 지역으로, 한국전쟁 때 대한민국이 수입면의 일부를 제외한 군역(郡域)의 대부분을 수복하였고 국경선과 가까운 주요 군사지역이다. 해방 직후 5년 동안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효지배를 받는 지역이었다. 해안면에는 지형의 모양을 이름 붙인 펀치볼 마을(Punch Bowl Town)이 있고, 인제, 화천과 더불어 목재, 벌꿀, 버섯, 약초 등의 산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양구군의 역대 군수는 누구인가? Assistant: 임정관 염현택(1954년 2월 26일 ~ 1954년 11월 10일) 1대 박하영(1954년 11월 11일 ~ 1955년 9월 17일) 2대 지춘식(1955년 9월 18일 ~ 1956년 3월 15일) 3대 방희석(1956년 3월 13일 ~ 1957년 1월 13일) 4대 전인걸(1957년 1월 14일 ~ 1959년 8월 25일) 5대 최병수(1959년 8월 26일 ~ 1960년 5월 23일) 6대 이준직(1960년 5월 24일 ~ 1961년 7월 20일) 7대 박상수(1961년 7월 21일 ~ 1962년 5월 10일) 8대 김광순(1962년 5월 11일 ~ 1963년 7월 16일) 9대 김용운(1963년 7월 17일 ~ 1964년 9월 9일) 10대 최종민(1964년 9월 10일 ~ 1967년 12월 1일) 11대 이백순(1967년 12월 2일 ~ 1970년 8월 18일) 12대 박수균(1970년 8월 19일 ~ 1971년 8월 20일) 13대 정영철(1971년 8월 21일 ~ 1973년 8월 3일) 14대 심영목(1973년 8월 4일 ~ 1974년 8월 9일) 15대 임동섭(1974년 8월 10일 ~ 1974년 12월 9일) 16대 김정명(1974년 12월 10일 ~ 1977년 2월 15일) 17대 고 황(1977년 2월 16일 ~ 1979년 4월 5일) 18대 김광용(1979년 4월 6일 ~ 1980년 8월 2일) 19대 사교진(1980년 8월 3일 ~ 1981년 11월 6일) 20대 이길원(1981년 11월 7일 ~ 1983년 4월 15일) 21대 유영천(1983년 4월 16일 ~ 1985년 3월 10일) 22대 김기섭(1985년 3월 11일 ~ 1986년 12월 23일) 23대 이대근(1986년 12월 24일 ~ 1988년 6월 10일) 24대 김창수(1988년 6월 11일 ~ 1989년 12월 26일) 25대 공명택(1989년 12월 27일 ~ 1991년 1월 13일) 26대 임경순(1991년 1월 14일 ~ 1993년 3월 28일) 27대 이명기(1993년 3월 29일 ~ 1994년 1월 2일) 28대 유재덕(1994년 1월 3일 ~ 1994년 7월 5일) 29대 최명희(1994년 7월 6일 ~ 1995년 6월 30일) 30대 임경순(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민선1기 31대 임경순(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민선2기 32대 임경순(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민선3기 33대 전창범(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민선4기 34대 전창범(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민선5기 35대 전창범(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민선6기 36대 조인묵(2018년 7월 1일 ~ 현재) - 민선7기
Human: 아래 티오피미디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티오피미디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티오피미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티오피미디어TOP MEDIA 형태 비상장, 주식회사 산업 분야 연예 매니지먼트, 콘텐츠 기획·제작, 신인 개발, 공연 기획 등 창립 2005. 07 설립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34-11 핵심 인물 이재홍 (대표이사) 앤디 (프로듀서) 사업 내용 메니저업전자상거래업 등 다수 웹사이트 http://www.itopgroup.com/ 티오피미디어(TOP MEDIA)는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이다. '티오피미디어 대표는 이재홍'이다. 대표적인 프로듀서로는 앤디가 있으며, 소속 연예인으로는 앤디, 에릭, 틴탑, 백퍼센트, 업텐션 등이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에 있다. 연예 매니지먼트, 콘텐츠 기획·제작, 연예 신인 개발, 공연 기획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진출해있다. 목차 1 소속 연예인 2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 3 디스코그래피 4 외부 링크 소속 연예인[편집] 소속 연예인 직업 구성원 리더 데뷔 이전 구성원 해체 앤디 가수, 프로듀서 - - 1998년3월 24일 - - 에릭 가수 - - - - 점퍼 로키, 박동민 박동민 2009년 2월 12일 - 2009년 6월 틴탑 캡, 천지, 니엘, 리키, 창조 캡 2010년 7월 10일 엘조 - 백퍼센트 록현, 종환, 찬용, 혁진 민우 2012년 9월 21일 상훈, 창범, 민우 - 업텐션 진후, 쿤, 고결, 웨이, 비토, 우신, 선율, 규진, 환희, 샤오 진후 2015년 9월 9일 - 신예찬 - - 2019년 4월 13일 - MCND 캐슬제이, 빅, 민재, 휘준, 윈 캐슬제이 2019년 - 연도별 배출 아티스트[편집] 연도 아티스트 형태 구성원 데뷔연도 풍선색 팬클럽 리더 2007 앤디 솔로 앤디 1998 주황 신화창조 없음 2007 에릭 에릭 2009 점퍼 듀오 로키, 박동민 2009 없음 없음 2010 틴탑 그룹 캡, 천지, 니엘, 리키, 창조 2010 펄 라이트 라벤더 Angel 캡 2012 백퍼센트 민우, 록현, 종환, 찬용, 혁진 2012 크리스탈 시, 스타라이트 블루, 클라우드 Perfection 민우 2015 업텐션 진후, 쿤, 고결, 웨이, 비토, 우신, 선율, 규진, 환희, 샤오 2015 미정 허니텐 진후 2019 신예찬 - - 2019 라임펀치 원더랜드 - MCND 그룹 캐슬제이, 빅, 민재, 휘준, 윈 2019 미정 미정 캐슬제이 디스코그래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티오피미디어의 음반입니다. 외부 링크[편집] 티오피미디어 - 공식 웹사이트 티오피미디어 - 트위터 티오피미디어 - 페이스북 티오피미디어의 채널 - 유튜브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티오피미디어&oldid=24499901" 분류: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대한민국의 기업2005년 설립된 기업숨은 분류: 기업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Bahasa IndonesiaPolskiPortuguêsSvensk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18: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티오피미디어(TOP MEDIA)는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이다. '티오피미디어 대표는 이재홍'이다. 대표적인 프로듀서로는 앤디가 있으며, 소속 연예인으로는 앤디, 틴탑, 김우석, MCND 등이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에 있다. 연예 매니지먼트, 콘텐츠 기획·제작, 연예 신인 개발, 공연 기획 등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진출해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티오피미디어에 소속된 틴탑의 멤버는 누가 있을까? Assistant: 캡, 천지, 니엘, 리키, 창조 Human: 아래 정미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미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미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미숙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62년 12월 25일(1962-12-25) (56세) 대한민국 경기도 활동 기간 1984년 ~ (KBS 19기) 소속 한국방송 성우극회 (프리랜서) 정미숙(鄭美淑, 1962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84년 KBS 19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슬하에 딸을 두고 있으며, 혈액형은 A형 목차 1 출연 작품 1.1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1.2 외화 1.2.1 전담배우 1.2.2 드라마 1.2.3 영화 1.3 극장용 애니메이션 1.4 내레이션 1.5 게임 1.6 방송 1.7 예고 1.8 드라마 1.9 라디오 2 수상 경력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굵은 글씨 메인 캐릭터.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편집] 바이오캅 윙고 (MBC) - 리나 개구리 중사 케로로 (투니버스) - 강한별 구슬대전 배틀 비드맨 (KBS) - 강토 천하통일 파이어비드맨 (KBS) - 강토 꼬마양 삼총사 (KBS) - 에나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KBS) - 다오 달의 요정 세일러문 (대원방송) - 리타 (키노 마코토)/세일러 쥬피터 드래곤 볼 Z (SBS) - 손오반 디지몬 어드벤처 (KBS) - 신태일,포요몬-토코몬-파닥몬-엔젤몬 , 레이디 데블몬, 한솔이 엄마 디지몬 크로스워즈 (챔프TV) - 신태일 딸기 마시마로 (애니맥스) - 마츠오카 미우 란마 1/2 (비디오판) - 샴푸, 주두나 러브 콤플렉스 (애니맥스) - 고이즈미 리사 구슬동자 (SBS) - 레드봉 빅토리 구슬동자 (SBS) - 레드봉 천공전사 젠키 (VIDEO) - 다슬 리리카 SOS (KBS) - 리리카 뽀빠이의 모험 (챔프) - 올리브 사이버탐험대 쟈니퀘스트 (KBS) - 제시 샤먼킹 (애니원) - 아사쿠라 하오 소녀왕국 표류기 (애니맥스) - 스즈 수호요정 미셸 (KBS) - 킴 스타 워즈: 클론 전쟁 (카툰네트워크) - 아미달라 / 파드메 스피드왕 번개 (SBS) - 조아라 슬레이어즈 (투니버스) - 리나 인버스 슬레이어즈 TRY (투니버스) - 리나 인버스 슬레이어즈 리턴 (애니박스) - 리나 인버스 슬레이어즈 고저스 (애니박스) - 리나 인버스 슬레이어즈 프리미엄 (애니박스) - 리나 인버스 슬램덩크 (비디오판) - 채소연 아장닷컴 (KBS) - 아장 에어마스터 (투니버스) - 마키엄마 / 산파기타 카이 엘리먼트 헌터 (KBS) - 렌 엘르멘탈 제라드 (투니버스) - 시스카 올림포스 가디언 (SBS) - 페르세포네 우주소년 아톰 (SBS) - 아톰 와글와글 꼬꼬맘 (KBS) - 꼬꼬맘 마법기사 레이어스 (SBS) - 써니 레드 원피스 (KBS) - 나미 , 몽키 D. 루피(아역) , 세토 원피스 Original (챔프) - 나미 , 몽키 D. 루피(아역) 원피스 (투니버스) - 나미 , 몽키 D. 루피(아역) 이누야샤 (애니원, 투니버스, 애니박스) - 유가영 전설의 마법 쿠루쿠루 (MBC) - 코코리 장금이의 꿈 (MBC) - 서장금 제트레인저 (KBS) - 신나영(제트레인저 4호) 체포하겠어! (투니버스) - 노한나 카논 리메이크(애니맥스) - 미나세 나유키 카우보이 비밥 (투니버스) - 페이 발렌타인 캡틴 테일러 (SBS, 투니버스) - 헤레나(투니버스) 탑블레이드 (SBS) - 강민 파워 디지몬(KBS) - 홍예지, 신태일, 포요몬-토코몬-파닥몬-엔젤몬-홀리엔젤몬, 페가수스몬, 토우몬 포켓몬스터 DP (SBS) - 나빛나 (2007년 9월 ~ 2011년 1월), 영원시티 여경, 핑복, 난천, 제이(나중) 포트리스 (애니메이션) (SBS) - 카르마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애니맥스) - 토오사카 린 허니와 클로버 (애니맥스)- 하나모토 하구미, 타케모토 유타의 어머니 베리베리 뮤우뮤우 (SBS) - 홍베리 빛의 전사 프리큐어 (SBS) - 묵하람=큐어 블랙 사랑의 천사 웨딩피치 (SBS) - 포타모스 신데렐라 (KBS) - 신데렐라 신의 괴도 잔느 (투니버스) - 나예리=잔느 아따아따 (투니버스) - 나단비 아바타 - 아앙의 전설 (니켈로디언) - 카타라 피타텐 (투니버스) - 미샤 울트라 매니악 (애니맥스) - 사쿠라 니나 무적캡틴 사우루스 (KBS) - 강태양 나나 (애니원) - 코마츠 나나 티니 와일드 (KBS) - 티니 광속사이버 (VIDEO) - 정미래 부메랑 파이터 (MBC) - 아무르 내일은 월드컵 (SBS) - 이희주 오즈 탐험대 (SBS) - 도로시 마법사의 아들 코리 (KBS) 틴 타이탄 (SBS 카툰네트워크) - 스타파이어 부탁해 마이 멜로디 (SBS) - 한소리 배트맨 (SBS) - 캣우먼 배트맨(특선) (SBS) - 바바라 고든 / 배트걸 꼬마탐정 가제트 (KBS) - 꼬마 가제트 무지개요정 통통 (KBS) - 에메랄드 기파이터 태랑 (MBC) - 태랑 달려라 부메랑 (VIDEO) - 왕깜찍 아나운서 핑구 (VIDEO) - 핑가 왈가닥 작은 아씨 (KBS)네트 브레이크, 테디베어, 네드 아쿠아키즈 (SBS) - 헤미 재키 찬 어드벤처 (KBS, 애니맥스) - 제이드 큐빅스 (SBS) - 헤라 로보짱 큐빅스 (KBS) - 헤라 귀여운 쪼꼬미 (MBC) - 곰비 아깨비의 과학여행 (KBS) - 뽀뽀 Piwi짱! 3D애니메이션 시리즈 (EBS) - 마이아 크리스탈요정 지스쿼드 (SBS) - 채니 접지전사 (SBS) - 정여린 / 광룡 / 메이메이 / 정여린 엄마 해파리 공주 (챔프) - 츠키미 울트라 탐험대 (SBS) - 또리 치키치카 폼폼이 (KBS) - 폼폼이 몬타나 존스 (KBS) - 모니카 매기와 환상의 나라로 (KBS) - 매기 붕붕차차 (KBS) - 쥬 궁금해요 핑퐁 (KBS) - 퐁 셰익스피어 명작만화 뜻대로 하세요 (SBS) - 로잘린느 / 오드리 무카무카 파라다이스 (KBS) - 우르우르 팬다와 친구들의 모험 (투니버스) - 파멜라 무한의 리바이어스 (애니원) - 새롬 천사가 될거야 (애니원) - 노엘 메다로트 (챔프) - 한슬기 흑신 (애니박스) - 시시가미 쿠로 쥐라기 월드컵 (KBS) - 마리아나 공주 / 쥐돌이 트리팡 파이터 (MBC) - 미까 닌자의 왕 (애니맥스) - 시미즈 라이메 요괴인간 (애니맥스) - 히나타 키라 / 뉴스기자 / 간호사3 / 사라 / 시민1 / 미츠키 / 여학생1 / 초등학생 소녀 / 유우의 어머니 / 소년1 / 시장의 부인 / 어릴 적의 시장 에일리언9 (애니맥스) - 히사카와 메구미 / 소년1 내일은 축구왕 (애니맥스) - 고은비 진 샤프트 (애니맥스) - 미카 세이도 오토기조시 (애니맥스) - 미나모토 히카루 엑스 드라이버 OVA (애니박스) - 로나 인랑 (애니박스) - 아마미야 케이 공각기동대 - Stand alone complex (애니원) 더티페어 FLASH (투니버스) - 유리 버츄어 파이터 (어린이TV) - 파이 챈 직스 (퀴니) - 아담 무적로봇 레디우스 (VIDEO) - 세네카 라모네기사 (VIDEO) - 밀크 공주 이겨라! 얏타맨 (재능TV) - 유리 여신님! 작다는 건 편리해 (투니버스) - 스쿨드 쿵야쿵야 (KBS) - 양파쿵야 더그의 일기 (투니버스) - 패티 떴다! 방울이 (투니버스) - 방울이 바사라 (KBS) - 사라사 코라의 전설 (니켈로디언) - 카타라 전설의 총사 아스타 (재능TV) - 스노우 / 민수련 / 거울의 정령 / 마렌 대니 팬텀 (니켈로디언) - 샘 티니 와일드 (KBS) - 티니 토리코 (카툰네트워크) - 사프라 / 꽃사슴 여사 꼬마기차 추추 (KBS) - 추추 개구쟁이 형제 픽스와 팍시 (EBS) - 이리냐 그리스 로마 신화 전설의 수호자들 (EBS) - 페르세포네 꼬마거북 프랭클린 (EBS) - 울비 꼬마숙녀 스트로베리 (EBS) - 엔젤 리아의 수학놀이 (EBS) - 리아 베리 배리 크리스마스 (EBS) - 산타 할머니 별난 깜찍 수호천사 (EBS) - 티미 뽀롱뽀롱 뽀로로 (EBS) - 패티 세계명작동화 (EBS) - '아나스타샤'편 아나스타샤 / '엄지공주'편 엄지공주 / '왕자와 거지'편 에드워드 왕자 / '타잔'편 제인 포터, 어린 타잔 소피는 말썽꾸러기 (EBS) - 소피 스타게이트 (EBS) - 스테이시 보너 아이들이 사는 성 (EBS) - '답게? 답게!'편 왕자 야호 응가네 (EBS) - 보리 올란도 영웅전 (EBS) - 아부 용용나라로 떠나요 (EBS) - 에미 우리는 쌍둥이 (EBS) - 릴 잠의 요정 나일런스 (EBS) - 에이미 하얀 물개 (EBS) - 현주리 환상의 풍선여행 (EBS) - 이반 외화[편집] 전담배우[편집] 샌드라 불럭 28일 동안 (MBC) - 그웬 세례를 받다 (KBS) - 마리 제인 네트 (KBS) - 안젤라 당신이 잠든 사이에 (KBS) - 루시 머더 바이 넘버 (SBS) - 캐시 메이웨더 미스 에이전트 (SBS, KBS) - 그레이시 하트 미스 에이전트 2 (SBS) - 그레이시 하트 스피드 (SBS) - 애니 포터 스피드 2 (KBS) - 애니 포터 이집트 왕자 (SBS) - 미리암 크래쉬 (KBS) - 진 카봇 타임 투 킬 (KBS) - 앨런 투 윅스 노티스 (SBS) - 루시 켈슨 캐머런 디애즈 미녀 삼총사 (SBS) - 나탈리 쿡 미녀 삼총사 2 (SBS) - 나탈리 쿡 베리 배드 씽 (SBS) - 로라 게러티 인비저블 서커스 (KBS) - 페이스 밀라 요보비치 레지던트 이블 2 (SBS) - 앨리스 밀리언 달러 호텔 (KBS) - 엘로이즈 잔 다르크 (SBS) - 잔 다르크 히 갓 게임 (SBS) - 다코타 내털리 포트먼 레옹 (KBS, SBS) - 마틸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1,2 (KBS) - 파드메 아미달라 여왕 / 사베(키이라 나이틀리) / 보바 펫(다니엘 로건) 천일의 스캔들 (KBS) - 앤 불린 클로저 (KBS) - 앨리스 오드리 토투 다빈치 코드 (KBS) - 소피 느뵈 아멜리에 (KBS) - 아멜리 쁠랭 좋은 걸 어떡해 (KBS) - 미셸 러네이 젤위거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 (SBS) - 아이린 브리짓 존스의 일기 (KBS) - 브리짓 존스 엠파이어 레코드 (KBS) - 지나 청혼 (KBS) - 앤 아든 오드리 헵번 로마의 휴일 (KBS) - 앤 공주 전쟁과 평화 (KBS) - 나타샤 티파니에서 아침을 (KBS) - 홀리 드라마[편집] 꿈꾸는 소녀 에밀리 (EBS) - 에밀리 (마사 매카이작) 네버엔딩 스토리 (EBS) - 바스티안 벅스 (바렛 올리버) 대지의 기둥 (KBS) - 엘리애너 (헤일리 앳웰) 떴다! 트레이시 (어린이TV) - 트레이시 리벤지 (KBS) - 에밀리 (에밀리 밴캠프) 미티어 (KBS) - 오닐 (말라 소코로프) 셜록 시즌 3 (KBS) - 메리 모스턴 (어맨다 애빙턴) 심해원정대 오르페우스호 (KBS) - 프랜시스 (미니 드라이버) 우리친구 웨인 (EBS) - 바이올렛 (트레이시-루이즈 스미스) 위기의 주부들 (KBS) - 가브리엘 (에바 롱고리아) 오우삼의 미션 특급 (KBS) - 리 안 테이(샌드린 홀트) 의천도룡기 (KBS) - 주지약 (등취문) 컴퓨터 특공대 (SBS) - 시드 케빈은 12살 (KBS) - 위니 (대니카 매켈러) 트윈 픽스 (KBS) 판관 포청천 (KBS) - 오송이 프로파일러 (SBS) - 샘 워터스 (앨리 워커) 히어로즈 (SBS) - 니키 샌더스 (앨리 라터) 저 결혼 못하는 게 아니라, 안하는 겁니다 (채널J) - 타치바나 미야비 (나카타니 미키) 우러러보니 존귀한 (채널J) - 아리마 (이시이 안나) 영화[편집] 결전 (KBS) - 비봉 공주 (조미) 과거 속의 음모 (KBS) - 토리 (라라 플린 보일) 굿 윌 헌팅 (KBS) - 스카일라 (미니 드라이버) 글루미 선데이 (KBS) - 일로나 (머로잔 에리커) 까미유 끌로델 (KBS) - 까미유 (이자벨 아자니) 꼬마돼지 베이브 (KBS) - 베이브 (크리스틴 카바나) 나인 야드 2 (SBS) - 질 (어맨다 피트) 네티비티 스토리: 위대한 탄생 (KBS) - 마리아 (키샤 캐슬휴스) 다크니스 (KBS) - 레지나 (애나 패퀸) 댈러웨이 부인 (KBS) - 샐리 (레나 헤디) 데블스 에드버킷 (KBS) - 매리앤 로맥스(샤를리즈 테론) 더 캣 (SBS) - 샐리 (다코타 패닝) 디어 마이 베이비 (KBS) - 조지나 (헤더 그레이엄) 럭키 넘버 슬레븐 (KBS) - 린지 (루시 류) 레드 바이올린 (KBS) 레드 플래닛 (SBS) - 바우먼 (캐리앤 모스) 레옹 2 (SBS) - 유미 (히로스에 료코) 록시 (MBC) - 딩키 (위노나 라이더) 리멤버 타이탄 (KBS) - 셰릴 요스트 (헤이든 패네티어) 마이 러브 (KBS) - 아우로라 (마리아 바랑코) 마지막 보이스카웃 (KBS) - 대리언 핼런백 (대니엘 해리스) 매치스틱 맨 (SBS) - 안젤라 (앨리슨 로먼) 매트릭스 (SBS) - 트리니티 (캐리앤 모스) 매트릭스 2: 리로디드 (SBS) - 트리니티 (캐리앤 모스) 매트릭스 3: 레볼루션 (SBS) - 트리니티 (캐리앤 모스) 머나먼 여정 (KBS) - 새시 (샐리 필드) 모스맨 (SBS) - 코니 밀스 (로라 리니) 못 말리는 가족 (KBS) - 플로라 (카롤리네 에케레츠) 미스언더스탠드 (SBS) - 파파야 (에번 레이철 우드) 미스터 베이스볼 (KBS) - 히로코 (타카나시 아야)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SBS) - 갈라드리엘 (케이트 블란쳇) 발렌타인 데이 (SBS) - 원더풀 (장백지) 방탄승 (SBS) - 제이드 (제이미 킹) 배트맨과 로빈 (SBS) - 배트걸 (얼리샤 실버스톤)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KBS) - 클로디아 (커스틴 던스트) 보이즈 앤 걸즈 (KBS) - 제니퍼 버로우스 (클레어 폴러니) 뷰티풀 마인드 (KBS) - 알리시아 내쉬 (제니퍼 코널리) 브랜단 & 트루디 (KBS) - 트루디 (플로라 몽고메리) 브리트니의 일상탈출 (EBS) - 나타샤 (브렌다 송) 블랙 아웃 (SBS) - 제시카 (애슐리 저드) 블레이드 3 (SBS) - 애비게일 (제시카 비엘) 비올라 키스 에브리바디 (SBS) - 비올라 (아시아 아르젠토) 비욘드 랭군 (MBC) - 로라 (퍼트리샤 아켓) 비커밍 제인 (KBS) - 제인 오스틴(앤 해서웨이)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 (KBS) - 로라 (이벤 히엘) 사랑은 방울방울(KBS) - 아채(서기) 산타클로스 (KBS) - 찰리 (에릭 로이드) 섀도우 (KBS) - 멘카 (베스나 스타노제프스카) 세인트 (SBS) - 엠마 러셀(엘리자베스 슈) 센스 앤 센서빌리티 (KBS) - 매리앤 대시우드 (케이트 윈슬렛) 소림축구 (KBS) - 아매 (조미) 스튜어트 리틀 (KBS) - 조지 (조너선 립니키) 스튜어트 리틀 2 (KBS) - 조지 (조너선 립니키) 스플래시 (KBS) - 하객 시네마 천국 (KBS) - 엘레나(아그네스 나노) 식스센스 (KBS) - 콜 셰어(헤일리 조엘 오스먼트) 신부와 편견 (KBS) - 랄리타 (아이쉬와라 라이) 썬더볼트 (KBS) - 에이미(원영의) 아메리칸 뷰티 (SBS) - 제인 (도라 버치) 아저씨 우리 결혼할까요? (SBS) - 요요 (채탁연) 야연 (SBS) - 황후 완(장쯔이) 어거스트 러시 (KBS) - 어거스트 러시 (프레디 하이모어) 어글리 우먼 (SBS) - 롤라 (엘리아 갈레라) 어페어 오브 더 넥클리스 (SBS) - 잔 드 발로아 (힐러리 스왱크) 에이 아이 (KBS) - 데이비드(헤일리 조엘 오스먼트) 엑시스텐즈 (KBS) - 알레그라(제니퍼 제이슨 리) 엠파이어 레코드 (KBS) - 지나(르네 젤위거) 연애사진 (SBS) - 시즈루 (히로스에 료코) 연인 (MBC) - 메이 (장쯔이) 오복성 (KBS) - 미미 (중추훙) 와이드 어웨이크 (KBS) - 조슈아 (조셉 크로스) 우주 전쟁 (SBS) - 레이첼 (다코타 패닝) 웨이트 오브 워터 (KBS) - 마렌 (세라 폴리) 위대한 유산(KBS) - 에스텔라(기네스 팰트로) 위험한 관계 (KBS) - 세실 (우마 서먼) 이브는 대단해 (EBS) - 이브 (타이라 뱅크스) 이중노출 (KBS) - 로지 (캐스린 어브) 인 더 베드룸 (SBS) - 내털리 스트라우드 (머리사 토메이) 인썸니아 (SBS) - 엘리 버 (힐러리 스왱크) 인터폴 특명 (SBS) - 케이티 (파멜라 기들리) 쥬만지 (KBS,SBS) - 주디 쉐퍼드 (커스틴 던스트) 채플린 (KBS) - 헤티 (모이라 켈리) 첩혈쌍웅 (KBS) - 제니 (엽청문) 청혼 (KBS) - 앤(르네 젤위거) 최가박당 (KBS) - 하동시 (장애가) 최가박당 3 (KBS) - 하동시 (장애가) 카라멜 (KBS) - 레얄 (나딘 라바키) 칼리의 열 번째 여름 (KBS) - 칼리 (마르틴 스튀르크) 컬러 오브 나이트 (KBS) - 로즈 (제인 마치) 크리스마스 캐럴 (KBS) - 크리스마스 과거의 유령 키드 (KBS) - 러스티 (스펜서 브레슬린) 타락천사 (KBS) - 가흔 (리자신) 택시 (MBC) - 릴리 (마리옹 코티야르) 테일러 오브 파나마 (SBS) - 프란체스카 (캐서린 매코맥) 투게더 (KBS) - 혼자 사는 여자 트리거 이펙트 (SBS) - 애니(엘리자베스 슈) 트루 라이즈 (KBS) - 다나 태스커 (엘리자 두슈쿠) 파이널 디시전 (SBS) - 진 (핼리 베리) 패컬티 (KBS) - 딜라일라 (조더나 브루스터) 퍼블릭 에너미(KBS) - 빌리 프리쳇(마리옹 코티야르) 페어런트 트랩 (KBS) - 할리 파커 (린지 로언) 풀 몬티 (KBS) 하일복성 (KBS) - 여왕봉 (호혜중) 한 여름밤의 미소 (KBS) - 안 에게르만 (울라 야콥슨) 헐리우드 엔딩 (KBS) - 로리(데브라 메싱)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SBS) -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에마 왓슨) 해리포터와 비밀의 방 (SBS) -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에마 왓슨) 화성의 유령들 (KBS) - 멜라니 (너태샤 헨스트리지) 화이트 마사이 (KBS) - 카롤라 (니나 호스) 흑협 (SBS) - 트레이시 (막문위) 7월 4일생 (KBS) - 도나 (키라 세지윅) 7인의 독수리 (KBS) 임청하의 육지금마 (SBS) - 담월화 (유가령) 극장용 애니메이션[편집] 명탐정 코난: 수평선상의 음모 - 인지나 아기공룡 둘리 - 얼음별 대모험 - 희동이 원피스 에피소드 오브 사보 (투니버스) - 어린 루피 , 나미 원피스 12기 극장판 film Z - 나미 원피스 10기 극장판-스트롱 월드 - 나미 원피스 9기 극장판-에피소드 오브 쵸파 (투니버스) - 나미 원피스 8기 극장판-사막의공주와해적들 (투니버스) - 나미 원피스 7기 극장판-기계태엽성의 메카거병 (MOVIE) - 나미 원피스 6기 극장판-페스티벌남작과 비밀의섬 (투니버스) - 나미 원피스 5기 극장판-저주받은 성검 (투니버스) - 나미 원피스 필름 골드 - 나미 원피스 스페셜 1기: 루피 떨어지다! 신비한 바다의 배꼽 대탐험 - 나미 원피스 스페셜 2기: 드넓은 바다에 펼쳐라! 아빠의 커다란 꿈 - 나미 원피스 스페셜 3기: 지켜라 마지막 큰 무대 - 나미 게드전기 (MOVIE) - 테루 포카혼타스 2: 세상 밖으로 (MOVIE) - 포카혼타스 돼지코 아기 공룡 임피의 모험 (KBS) - 팽귄 핑 라이온 킹 2 (MOVIE) - 키아라 모노노케 히메 (MOVIE) - 산 뮬란 (MOVIE) - 파 뮬란 뮬란 2 (MOVIE) - 파 뮬란 미녀와 야수 2: 마법의 크리스마스 (MOVIE) - 벨 미녀와 야수 3: 벨의 마법의 세상 (MOVIE) - 벨 벼랑 위의 포뇨 (MOVIE) - 엄마 볼트 (MOVIE) - 미튼스 (고양이) 아기공룡 둘리 : 얼음별 대모험 (KBS) - 희동이 천공의 성 라퓨타 (MOVIE) - 시타 케로로 중사 극장판 1기 - 최종병기 키루루 (투니버스) - 강한별 케로로 중사 극장판 2기 - 심해의 프린세스 (투니버스) - 강한별 케로로 중사 극장판 3기 - 케로로 대 케로로 천공대결전 (투니버스) - 강한별 케로로 더 무비: 드래곤 워리어 (투니버스) - 강한별 케로로 더 무비: 기적의 사차원섬 (투니버스) - 강한별 철인사천왕 (SBS) - 나미 바비의 호두까기 인형 (SBS) - 클라라 바비의 백조의 호수 (투니버스) - 오데트 이집트 왕자 (SBS) - 머리엄 매직 스워드 (SBS) - 케일리 용이가 간다 (KBS) - 용이 유리가면 OVA (애니원) - 오유경 셀림의 선물 (KBS) 모모 (KBS) - 모모 아나스타샤 - 아나스타샤 체포하겠어 극장판 (애니맥스) - 츠지모토 나츠미 슬레이어즈 극장판 - 완전무결 (애니박스) - 리나 인버스 머나먼 시공 속에서 - 무일야 (애니박스) - 아카네 슬램덩크 극장판 (애니박스) - 채소연 포켓몬스터 DP 극장판 (재능TV) - 빛나 / 핑복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 디아루가 VS 펄기아 VS 다크라이 - 빛나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MOVIE) - 패티 뽀로로 극장판 공룡섬 대모험 (MOVIE) - 패티 뽀로로 극장판 보물섬 대모험 (MOVIE) - 패티 마징가 Z: 인피니티 (MOVIE) - 윤애리 비행기 (MOVIE) - 도티 숨바꼭질(KBS) - 히코라 아나스타샤 (KBS) - 아나스타샤 (멕 라이언/커스틴 던스트) 몬스터 패밀리 (MOVIE) - 엠마 나쁜 상사 (MOVIE) - 백혜미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MOVIE) - 포카혼타스 / 뮬란 내레이션[편집] 주주클럽(KBS) 세계 걸작선(KBS) 희망 릴레이 챔피언(KBS) 미어캣의 모험 (MOVIE) 백년의 기업(KBS) 이뉴스 썬데이(TvN) 푸드 매거진 Eat(푸드 채널) 고향의 아침(KBS) 게임[편집] 신세기 에반게리온 강철의 걸프렌드 -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 에이지 오브 미솔로지 - 아테나, 내레이션 창세기전 외전2 템페스트 - 엘리자베스 팬드래건 창세기전 III 파트 1 - 바이올라 헤이스팅스 맥워리어 - 내레이션 마리오넷 컴퍼니 - 내레이션 마그나카르타 진홍의 성흔 - 리스 삼국지 천명 2 - 손상향 엘소드 - 레나 타르타로스 온라인 - 핑코, 에르테일 은행, 무아, 마이어, 은의 장교 루니아 Z - 에이르 그랜드체이스 - 린 공박 - 안지수 스타크래프트2 - 모선 마그나카르타 2 - 세레스틴 로아 슬라이 쿠퍼 3: 최후의대도 - 카멜리타 소녀 마법사 레네트 - 레네트 디아블로3 건담전기 - 크리스티나 맥켄지 사이퍼즈 - 파문의 선율 리첼 바이오하자드: 타임 크라이시스 - 콘타리스 파이널 판타지 14 - 민필리아 방송[편집] 톡톡 이브닝(KBS) 제 17대 대통령 선거방송(YTN) 생방송 전국시대(청주MBC) TV비평 시청자데스크(KBS) 예고[편집] 미르모 퐁퐁퐁(SBS) 드라마[편집] 1994년 KBS2 수목드라마 《폴리스》 한유나 역 1996년 SBS 드라마스페셜 《8월의 신부》 무신 (MBC) 제3공화국 (MBC) 세 친구 (MBC) 라디오[편집] 환타지 특급 - 데로드 앤드 데블랑(KBS) - 사피엘라 KBS 무대 10년(내 슬픈 기억의 집)(KBS) KBS 무대 10년(쌍둥이 남매)(KBS) KBS 무대 10년(파타야에서 생긴 일)(KBS) KBS 라디오 극장 10년(정의공주)(KBS) KBS 라디오 극장(채홍)(KBS) - 순빈 봉씨 소설극장(북벌)(KBS) 라디오 독서실 야해[夜海] 드라마 CD - 신데렐라는 죽었다 - 이지윤 役 수상 경력[편집] 1989년 KBS 성우 여자 신인 인기상 2000년 최우수 외화 연기상 2005년 KBS라디오 연기상 우수상 2010년 제16대 신지식인상 (문화 예술 부문) 2013년 한국 PD 대상 같이 보기[편집] 한국방송 성우극회 외부 링크[편집] 미숙넷 홈페이지 다음카페 성우 정미숙 팬클럽(아이☆미숙) KBS 성우극회 정미숙 프로필 정미숙 전체 출연작 (캐스팅뱅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미숙&oldid=24374502" 분류: 대한민국의 여자 성우196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84년 데뷔중앙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미숙(鄭美淑, 1962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84년 KBS 19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슬하에 딸을 두고 있으며, 혈액형은 A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미숙이 게임 그랜드 체이스에서 연기한 캐릭터는 누구인가? Assistant: 린
Human: 아래 빛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빛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빛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빛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빛(Light)이란 좁은 의미에서 가시광선,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약 400 nm에서 700nm 사이의 파장을 가진 전자기파를 뜻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지칭한다. 물리학에서는 주로 넓은 뜻으로 쓰인다. 목차 1 물리학에서 보는 빛 2 빛의 원천 3 빛의 속력 4 전자기 스펙트럼과 가시 광선 5 빛의 성질 5.1 직진성 5.2 반사와 투과 5.3 굴절 5.4 간섭 5.5 회절 6 광원 7 빛의 압력 8 빛에 대한 이론 8.1 고전 그리스와 헬레니즘 8.2 고전 인도 8.3 데카르트 8.4 뉴턴의 입자설 8.5 파동설 8.6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 8.7 광전 효과와 입자설의 부활 8.8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8.9 양자이론 9 같이 보기 10 외부 링크 물리학에서 보는 빛[편집] 고전 물리학에서 보는 빛은 전자기파이며, 매질 없이 전파한다. 전기 또는 자기를 띄는 물질이 가속 운동하면 전자기파가 전파한다. 그러나 빛은 회절과 간섭의 파동성을 띈다. 양자 물리학에서 보는 빛은 파동뿐 아니라 입자로서 이중성을 갖는다.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에 따라 빛은 일정한 에너지를 갖도록 양자로 되어(개수를 셀 수 있는 단위로 되어) 있다. 빛은 인간의 눈에 보이는 보통 전자기 방사선을 알아내기 위한 복사 에너지이고, 시각을 담당한다. 가시광선은 일반적으로 700 나노 미터, 400 나노 미터(㎚), 또는 400×10^-9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숫자는 인간의 시각의 절대 한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대략적인 범위에서 대부분 사람들이 대부분의 상황 안에서 잘 볼 수 있다. 가시광선은 크게 380-800nm 좁게는 420-680nm로 정의한다. 이상적인 실험실 조건에서, 사람들은 적어도 1050nm 까지의 적외선을 볼 수 있다. ​​어린이와 젊은 성인은 약 310-313nm 아래로 자외선을 볼 수 있다. 가시광선의 기본 특성은 강도, 전파 방향, 주파수 또는 파장 스펙트럼, 편광이다. 빛은 진공에서 속도가 초당 299,792,458m 이고 자연의 기본 상수 중 하나이다. 가시 광선은 전자기 방사 (EMR)의 모든 유형으로, 실험적으로 항상 진공 상태에서 위의 이동속도를 찾을 수 있다. EMR의 모든 유형의 공통점, 가시 광선이 방출되는 광자라는 작은 "패킷"에 흡수하고, 파동과 입자 모두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 속성은 파동 입자 이중성이라고 한다. 광학으로 알려진 빛의 연구는 현대 물리학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다. 물리학에서, 빛은 때때로 어떤 파장의 전자기 복사선 가시적인지 여부를 의미한다. 이 글은 가시 광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일반적인 용어에 대한 전자기 방사선 문서를 참고하라. 빛의 원천[편집]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빛 때문이다.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태양이나 불빛은 그 자체가 빛의 원천(광원)이다. 광원이 아닌 다른 사물에서 산란되어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광원에서 나온 빛이 그 사물에서 산란되어 우리 눈에 달기 때문이다. 광원은 자연광과 인조광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광은 우리가 조절할 수 없는 광원에서 나온다. 이러한 광원에는 태양과 별이 있다. 인조광은 우리가 조절할 수 있는 광원에서 나온다. (1)빛의 생성 모든 빛은 원자에서 나온다. 원자는 다른 광원의 빛을 흡수하거나 다른 입자와 부딪칠 때 에너지를 얻는데, 바로 이때 빛이 생긴다. 에너지를 얻은 원자는 들뜬상태에 있다고 한다. 대게 원자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들뜬상태로 있다가, 곧 얻었던 에너지를 다시 내놓고 들뜬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때 나오는 에너지는 다른 원자에 다시 흡수되거나 방출된다. 원자를 들뜬상태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원자가 빛으로 내놓는 에너지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보통 빛은 호수 위를 전파해가는 수면파와 같은 파동이라고 설명한다. 또 빛은 광자라고 하는 입자로 설명하기도 한다. 빛을 파동으로 설명하든 입자로 설명하든, 두 경우 모든 빛이 에너지를 가진다는 사실은 틀림없다. (2)그 밖의 광원 많은 물질은 에너지를 얻어 열을 내지 않고도 빛을 내놓는다. 이런 물질들이 내는 빛을 냉광이라고 한다. 어떤 냉광물질은 에너지를 받다가 중단되도 한참 동안 어둠 속에서 빛을 낸다. 이런 빛을 인광이라고 한다. 인광을 내는 물질의 원자는 들뜬상태로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계속 빛을 낸다. 인광물질은 야광시계의 바늘이나 숫자와 같이 어둠 속에서 빛을 내는 부분에 쓰인다. 한편, 물질이 에너지를 받는 동안에만 내는 빛을 형광이라고 한다. 반딧불이를 비롯한 몇몇 생물은 몸 안에 들어 있는 화학물질이 결합해 다른 화합물을 만드는데, 이 화학물에는 들뜬 상태의 원자들이 들어 있다. 이 들뜬상태의 원자들이 원래의 정상 상태로 돌아갈 때 광자가 나온다. 이러한 과정을 생물발광이라고 한다. 태양은 핵에서 수소 원자 사이에 핵반응이 일어나 아주 많은 에너지가 나오기 때문에 빛을 낸다. 광자와 다른 입자들은 그 에너지를 가지고 태양 표면으로 나와 원자들을 들뜬상태로 만든다. 들뜬상태의 원자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낸다. 다른 모든 별도 이와 같은 과정으로 빛을 낸다. 우리는 간혹 극지방에서 오로라를 볼 수 있다. 이 오로라가 빛나는 이유는 공기 분자 때문이다. 태양에서 빠른 속도로 날아오는 입자가 지구 상공에서 공기 분자와 부딪치면 공기 분자는 에너지를 얻어 들뜬상태가 되었다가, 빛을 내놓으면서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충돌이 밤에 일어나면, 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밝은 빛을 낸다. 레이저는 모든 광자가 똑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강한 광선을 만드는 장치이다. 레이저는 과학 연구, 외과 수술, 전화 통산 따위에 중요하게 쓰이며, 그 밖에도 군사나 산업 분야에 널리 쓰인다. 빛의 속력[편집]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빛의 속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빛이 지구에서 달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약 1.3초가 걸린다 빛의 속력을 측정하려 한 사람 중에 17세기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있다. 갈릴레이는 약 1km 떨어진 곳에서 서로 등불을 가지고, 상대방의 등불이 보이면 바로 등불을 열게 하는 방법으로, 그 시간차를 통해 광속을 측정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는 빛이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이 10만분의 1초 정도로 매우 짧아 속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었다. 진공에서 빛의 속력은 정확하게 299,792,458m/s (초당 약 186,282마일)으로 정의된다. SI 단위로 빛의 속력의 고정 된 값은 이제 빛의 속력의 관점에서 정의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모든 형태의 진공에서 전자기 방사는 정확히 같은 속력으로 이동한다. 덴마크의 천문학자인 올러 뢰머는 1676년,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관찰을 통해서 빛의 속력을 측정하였다. 뢰머는 목성이 지구에 가장 근접했을 때 예측한 것보다 11분 일찍 이오의 월식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고, 가장 멀리있을 때는 예측보다 11분 늦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뢰머는 그 22분이 빛이 지구의 공전궤도의 지름을 지나는 시간이라고 계산하여 빛이 2.12×10^8 m/s라고 추정했다. 프랑스의 물리학자 이폴리트 피조는 1849년 더 정확하게 빛의 속력을 측정하였다. 피조는 빛이 톱니바퀴를 통과한 후 8.9km 떨어진 곳의 거울에 의해 반사가 되어 다시 톱니바퀴로 돌아오는데, 그 각속도를 이용해 빛의 속력을 측정하였다. 피조는 빛의 속력을 3.13×10^8 m/s라고 측정하였다. 1862년 레옹 푸코는 회전하는 거울을 통해 실험을 하여 2.98×10^8 m/s라는 결과를 얻었고,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은 1877년부터 그가 죽은 해인 1931년까지 빛의 속력 측정실험을 했다. 마이컬슨은 푸조의 방법을 개량해 1926년에 2.99796×10^8 m/s라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빛의 속력은 진공에서 2.99792458×10^8 m/s이다. 실제로 오늘날에는 미터 자체를 1/299 792 458초 동안 빛이 이동한 거리로 정의하고 있다. 이 속력은 1초에 지구를 일곱 바퀴 반을 돌 수 있고 지구에서 달까지 가는 데 1초 정도 걸리는 매우 빠른 속력이다. 통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각종 투명 물질에서 빛의 유효 속력은 진공에서보다 작다. 예를 들어 물에서 빛의 속력은 진공의 약 3/4이다. 극단적인 예를 들어서 자연에서 빛 둔화의 문제는 물리학의 두 개의 독립적 인 팀인 하버드 대학과 캠브리지의 과학 연구소, 하버드의 천체 물리학을 위한 스미스소니언과 캠브리지에서 원소 루비듐의 보즈 - 아인슈타인 응축을 통과하여 "완전한 정지"를 가져올 수 있었다 그러나 빛의 “중지”로 설명됐다. 이러한 실험에서 두 번째 레이저 펄스에 자극에 의해 원자의 흥분 상태에 저장되는 빛만을 의미하고 임의만이 나중에 다시 방출 된다. 이 시간동안 빛은 중단했다. 전자기 스펙트럼과 가시 광선[편집] 일반적으로 전자파, 또는 EMR은 라디오, 전자파, 빛, 자외선, X 선 및 감마선, 적외선, 가시 광선 영역으로 파장에 의해 분류된다. EMR의 동작은, 그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높은 주파수는 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며, 더 낮은 주파수는 더 긴 파장을 갖는다. EMR 단일 원자와 분자와 상호 작용하면, 그 동작은 운반 양자 당 에너지의 양에 의존한다. 가시광 영역의 EMR은 분자의 결합 또는 화학적 변화로 이어질 분자 내의 전자의 여기를 야기 할 수 있는 에너지의 하단부에 아르 퀀텀 (불리는 광자)로 구성된다. 가시 광선 스펙트럼의 하단에서, EMR 사람 (적외선)의 광자가 더 이상 인간의 망막에 시각적 분자 망막에서 지속 분자 변화 (형태의 변화)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각각의 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변화는 비전의 감각을 트리거한다. 가시 광선 스펙트럼의 하단에서 EMR은 사람(적외선)의 광자는 더 이상 인간의 망막 시각 분자 망막의 지속 분자 변화 (컨 포메이션의 변화)를 일으킬 정도로 개별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위해서 보이지 않는 수정 사항은 비전의 감각을 트리거한다. 양자에 의해 흡수 뿐 아니라 적외선의 다양한 유형의 민감한 동물들은 존재한다. 뱀의 적외선 감지 세포의 물은 작은 패킷이 적외선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자연 열 화상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 범위의 EMR이 동물이 분자 진동 및 난방 효과를 발생해 감지하는 방법이다. 가시광선의 범위보다도 자외선은 360nm~400nm 이하 각막 내부렌즈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거기에다가 사람 눈의 망막에 있는 간상체와 추상체는 매우 짧은 검출을 하고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입는다. 빛의 성질[편집] 직진성[편집] 빛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직진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직진은 '공간상의 가장 짧은 거리'로 정의한다. 중력 등에 의해 빛이 휘어질 때도 빛의 직진성은 변하지 않는다. 빛은 여전히 직진하고 공간이 휘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수학적으로 해석하면, 빛을 의미하는 파동함수는 ψ(x,t)=Ae^i(kx-ωt+φ)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k의 값이 빛의 진행을 나타내는데, 이 값이 상황에 따라 고정된 1차원의 벡터량이므로 빛도 방향이 바뀌지 않는 1차원의 운동을 하게 된다. 반사와 투과[편집] 빛이 얇은 유리판과 같은 투명한 매질의 표면으로 입사할 때 이 빛은 빛을 산란시키는 밀집된 거대한 원자 배열을 볼 것이다. 이 파의파장은 ~500nm인 반면에 원자 크기 및 원자간격(0.2nm)은 수천분의 1 정도로 빛의 파장보다 더 작다. 밀한 매질을 지나가는 투과의 경우 산란된 전파는 각각 서로를 지워버리지만 앞쪽 방향, 즉 앞으로 진행하는 빛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매질의 불연속적 경계면이 없다고 가정할 때만 일어날 수 있다. 이 과정은 (공기 및 유리와 같이) 2개의 서로 다른 투명한 매질들 사이의 경계면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계면은 사실 울퉁불퉁한 불연속 경계면이다. 빛이 경계면에 입사할 때 일부의 빛은 뒤로 되반사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반사(reflection)라고 부른다. 이상적인 금속의 경우 빛을 100% 반사시키는데, 이를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빛의 파동함수가 금속의 경계면으로 진입하면, ψ(x,t)=Ae^i(kx-ωt+φ)의 항 중에 실수부가 사라지고 허수부만 남게 된다. 이는 실존하는 빛을 표현할 수 없으므로 빛은 금속 내부를 진행할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빛은 금속을 통과하지 못하고 100% 반사되어 나오게 된다. 굴절[편집] 빛의 임의의 각도로 경계면으로 들어갈 때, 이 면이 대표적인 불균질 매질에 대응하고 이 면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가 반사광처럼 뒤쪽으로 그리고 투과광처럼 앞쪽으로 모두 빛을 산란시킨다. 입사광선이 휘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을 굴절(refraction)이라고 한다. 이때 빛은 스넬의 법칙(Snell's law)을 따라 굴절한다. 스넬의 법칙이란 입사하는 매질의 굴절률과 입사각이 n1,θ1이고 굴절하는 매질의 굴절률과 굴절각이 n2,θ2일때 n1sinθ1=n2sinθ2을 만족한다는 법칙이다. 진공에서 빛의 속력 c와 물질 속에서 빛의 속력 v의 비, 즉 n=c/v를 굴절률이라 한다. 빛은 진공에서 보다 물질 속에서 더 느리게 진행하므로 물질 속에서 굴절률은 항상 1보다 크고, 진공에서 굴절률은 정확히 1이다. 간섭[편집] 빛을 나타내는 파동함수는 이차 선형 편미분 방정식의 해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파동함수는 중첩의 원리(principle of superposition)를 따른다. 달리 말하면 '빛의 간섭이란 2개 혹은 그 이상의 빛이 상호작용하여 얻어진 합성파의 복사조도(irradiance)가 성분 광파의 복사조도를 단순히 더한 값과 달라지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들어 두가지 빛을 ψ1(x,t)=Ae^i(k1x-ωt+φ),ψ2(x,t)=Be^i(k2x-ωt+φ)로 나타내면, 중첩된 빛은 ψ12(x,t)=Ae^i(k1x-ωt+φ)+Be^i(k2x-ωt+φ)로 나타낼 수 있다. 회절[편집] 음파, 물질파, 빛을 포함한 모든 파동에서 회절(diffraction)은 진행하는 파면의 일부가 차단되었을 때 발생하는 파동 현상의 일반적인 특성이다.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장애물을 만나서 일부 파면의 진폭이나 위상이 변하게 되면 회절 현상이 나타난다. 장애물을 지나 진행하는 파면상의 각 부분은 서로 간섭(interference)하여 회절무늬라 불리는 독특한 에너지밀도 분포를 형성한다. 간섭과 회절은 명확하게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항상 적절한 것은 아니지만 관례적으로 몇 개의 파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간섭으로, 대단히 많은 수의 파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현상은 회절로 구분한다. 그렇더라도 많은 파의 중첩을 취급하는 경우 한편으로는 다중광속 간섭이라 부르고 다른 한편으로는 격자에 의한 회절이라고 부른다. 일각에서는 빛의 회절을 불확정성의 원리로 설명하기도 한다. 불확정성의 원리란, 파동에서 변위의 불확정성과 운동량의 불확정성의 곱이 상수값보다 항상 크거나 같음을 말한다.(Δx*Δp≥ħ/2) 빛이 슬릿으로 진입하면서 파동의 범위의 불확정성(Δx)이 감소하므로, 파동의 운동량의 불확정성(Δp)이 증가해서 빛의 방향의 불확정성이 증가한다는 논리이다. 광원[편집] 햇빛에 비추어진 구름 많은 광원들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열이다. 물체의 온도에 따라 특정한 흑체 복사 스펙트럼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태양 주위의 6000K의 온도인 채층에서는 가시광선에서 최댓값을 가지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방출하고, 그보다 온도가 낮은 백열등의 경우는 방출하는 에너지의 약 10% 정도가 가시광선 영역에 있고, 나머지는 적외선 영역에 있다. 흑체 복사 스펙트럼의 최댓값은 차가운 물체일수록 적외선 영역에 존재한다. 그리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최댓값은 짧은 파장 영역으로 이동하여 처음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빨간색을 지나 파란색으로 이동하고, 결국 가시광선을 벗어나 자외선 영역으로 이동한다. 금속을 가열할 때 빨간색을 내는 것보다 파란색을 내는 것이 더 높은 온도인 것이다. 원자는 빛의 특정 에너지만을 방출하거나 흡수한다. 이 현상은 각 원자에 따라 특정한 스펙트럼의 ‘방출선’을 나타나게 한다. 다이오드에서 빛의 방출, 가스램프(네온등이나 네온사인, 또는 수은기체 등), 불꽃과 같은 것은 방출의 예이다. 예를 들어, 나트륨을 태울 때 그 불꽃은 노란색이다. 전자와 같이 자유입자가 감속할 때에도 가시광선을 만들어 낸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트론 복사, 싱크로트론 복사, 제동 복사 등이 있다. 입자가 물질 속에서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때 그 물질은 체렌코프 복사를 하게 된다. 특정 화학 물질의 연구는 화학 발광에 의해 가시 광선을 생산하고 있다. 생명체에서, 이 공정은 생물 발광 불린다. 예를 들어, 반딧불은 이 의미에 의해 빛을 생산하고 보트는 물이 빛나는 웨이크 생산에 의해 플랑크톤을 방해 할 수 있다. 그들은 더 많은 에너지 방사선과 형광으로 알려진 과정에 의해 조명될 때 특정 물질이 빛을 생산하고 있다. 어떤 물질보다 에너지 방사선에 의해 빛을 천천히 방출한다. 이것은 인광으로 알려져 있다. 인광 재료는 아 원자 입자를 퍼 붓는 것에 의해 흥분 될 수 있다. 음극선이 하나의 예다. 이 메커니즘은 브라운관 텔레비전과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된다. 빛의 압력[편집] 빛은 해당 경로에 있는 개체에 물리적 압력을 가한다.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추론될 수 있는 현상이지만 빛의 입자 특성에 의해 설명 되는 것은 쉽지 않다. 가벼운 압력은 빛의 속도에 의해 분할 된 빛의 힘과 동일하다. 때문에 빛의 크기, 빛의 압력의 효과는 모든 물체를 무시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밀리 와트의 레이저 포인터는 한 물체에 대해 약 3.3피코뉴턴의 힘을 가한다. 따라서, 하나의 레이저 포인터로 미국의 페니를 들어올릴 수 있지만 약 30억-mW 레이저 포인트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NEMS 같은 나노미터 스케일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벼운 압력의 효과가 더 중요하고 NEMS 매커니즘을 구동하는 것과 나노미터 크기의 물리적 스위치를 누른 빛의 압력인 집적 회로는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 큰 규모에서, 빛의 압력은 소행성이 더 빨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솔라 세일의 가능성은 우주에서 가속화 되었다. 우주 안에서 조사 중이다. 비록 Crookes 복사계의 움직임이 빛의 압력에 의한 결과 일지라도 이 해석은 부정확하다. Crookes의 회전의 특성은 진공의 결과이다. 이것이 Nichols의 복사계와 혼동되지 않는다면 토크의 의해 야기되는 행동은 빛의 압력에 의해서 직결된다. 빛에 대한 이론[편집] 고전 그리스와 헬레니즘[편집] 기원전 5 세기에서, 엠페도클레스는 모든 것이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한다. 불, 공기, 흙과 물. 그는 아프로디테가 4가지의 요소로 사람의 눈을 만들 었다고 믿었다. 사실이라면, 다음 하나는 밤에 단지뿐만 아니라 낮에는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엠페도클레스는 태양과 같은 소스에서 눈에서 광선과 광선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가정했다. 약 300 BC에서, 유클리드는 가정 하였다. 빛이 직선으로 여행하는 것과 그는 반사의 법칙을 묘사하고 수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눈이 눈으로부터의 빔의 결과, 그는 어떻게 빛이 도달하고 만약에 그의 눈알 감으면 어떻고 밤에 눈을 열면 어떠할지 궁금해 했다. 물론 눈에서 빔이 무한대로 빠르게 이동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기원전 55 년, 루크 레셔는 그리스의 원자론의 아이디어에 대해 썼다. 빛 과 태양의 열은 그들이 꺼지기 전 까지에는 원자로 구성 되어있다. - 우주의 본질에 나중에 입자 이론과 유사에도 불구하고 루크 레셔의 견해는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프톨레마이오스 (C. 2 세기)는 그의 책 광학에서 빛의 굴절에 대해 썼다. 고전 인도[편집] 고대 인도에서 Samkhya 와 Vaisheshika의 힌두교 학교에서 초기 세기 CE를 빛의 이론을 개발했다. Samkhya 학교에 따르면 빛은 총 요소의 밖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5가지 “미묘한” 요소이다. 이들 원소의 자성은 특별히 언급되지 않고, 그것은 실제로 연속으로 촬영 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Vaisheshika학교는 시간과 공간 두 개의 비 원자의 물리적 이론을 주었다. 기본 원자는 지구, 물, 불, 공기이다. 광선은 테자스 원자의 높은 속도를 가져온다. 빛의 입자는 속도와 테자스 원자의 배열에 의해 다른 특성을 나타 낼 수 있다. 비슈누 푸라는 햇빛을 “태양의 일곱 광선”으로 말한다. 5세기의 Dignāga와 7세기의 Dharmakirti 같이 원자론의 유형을 개발한 인도의 불교는 실제로 원자 단체로 에너지 혹은 빛으로 깜빡이게 구성 되어있다. 그들은 빛같은 동등한 에너지의 원자를 보았다. 데카르트[편집] 르네 데카르트는 빛이 lbn al-Haytham과 Witelo의 "형태"뿐만 아니라, 베이컨, Grosseteste, 케플러의 "종"을 거부하고, 발광체의 기계적 특성이었다고 말했다. 1637년에 그는 빛의 굴절 이론을 발표했다. 그의 이론은 불확실했다. 빛이 중간 밀도보다 적은 밀도보다 더 빠르게 이동한다고 가정하였다. 데카르트는 음파의 행동을 비유하여 결론에 도착했다. 비록 데카르트는 상대 속도에 대해 잘못이 있었지만, 그는 빛이 굴절을 다른 물질의 빛이 속도에 대해서 정확한 가정을 했다. 데카르트는 처음으로 기계적 비유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가 분명히 빛 발광체 및 전송 매체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데카르트의 빛 이론은 현대 물리 광학의 시작으로 간주 한다. 뉴턴의 입자설[편집] Pierre Gassendi(1,592 - 1,655)는 1660 년 사후에 출판 된 빛의 입자 이론을 제안 하였다. 아이작 뉴턴은 이른 나이에 Gassendi의 작품을 공부하고, 플레넘의 데카르트 이론에 자신의 견해를 선호했다. 그는 빛이 소스에서 모든 방향으로 방출 된 미립자 (물질의 입자)로 구성되었다고 그의 가설에 진술했다. 빛의 파동성에 대한 뉴턴의 주장 중 하나는 빛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동안 파장이 장애물 주위로 구부러져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빛 입자가 오드 지역화 웨이브를 만들 수 있게 함으로써 (프란체스코 그리말디에 의해 관찰되었다) 빛의 회절 현상을 설명했다. 아이작 뉴턴이 스펙트럼 현상을 실험할 당시 백색광이 프리즘에 의해 색이 분해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었다. 이것은 어둠이 색을 변화시키거나 프리즘에 의한 굴절이 빛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당시의 설명이었다. 뉴턴은 프리즘에 의해서 분해된 광선 하나를 다시 프리즘에 통과 시키면 색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것을 실험해 보았다. 이 사실로 뉴턴은 어둠이나, 프리즘에 의한 굴절에 의해 빛의 성질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각각의 색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빛 입자가 존재하고, 그 입자가 각각 다른 수의 진동을 일으켜서 색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서 가장 큰 크기의 빛 입자가 최대 진동수인 적색을 만들고, 가장 작은 크기의 빛 입자가 최소 진동수인 청색을 만들어 낸다고 했다. 1704년 뉴턴은 그의 광학 이론을 집대성한 책 《광학》을 출판하였다. 그 책에서 뉴턴은 "빛의 사선(射線)이 물질로부터 발사되는 작은 물체"라고 적었고, 그 이유는 이러한 물체는 같은 매질 속을 지날 때, 그림자 쪽으로 휘어지지 않고 직진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뉴턴의 명성 때문에 입자설은 18세기 동안 정설로 확고한 위치를 지켰다. 파동설[편집] 토마스 영의 이중슬릿 실험. 영의 실험은 빛의 파동설을 뒷받침한다. 네덜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빛의 파동설을 주장했다. 그는 하위헌스 원리를 통해 파동이 전해지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그 이름이 알려져 있다. 빛의 파동설은 프랑스의 르네 데카르트와 영국의 로버트 훅이 기초하고 하위헌스가 완성한 이론이다. 하위헌스는 빛이 교차할 때 서로 방해를 받지 않고 투과한다는 이유로 빛의 파동설을 주장하였다. 만약 빛이 입자라면 충돌로 인해 반드시 빛이 흐트러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1690년 그의 빛에 관한 이론인 ‘빛에 관한 논문’을 발간하였다. 그는 빛의 파동을 전하는 매질로 우주 전체에 정지한 상태로 퍼져있는 에테르라는 물질이 있다고 주장했다. 뉴턴의 입자설과 하위헌스의 파동설은 둘 중 우세하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뉴턴의 명성에 의해 입자설이 더 많이 지지를 받았다. 19세기가 되어 영국의 토머스 영이 ‘빛의 간섭 실험’을 발표하면서 빛의 입자설에 대한 확실한 반론이 나왔다. ‘파동의 간섭’이란, 두 파동이 중첩되었을 때 마루들은 보강간섭을 하고 골들은 소멸 간섭을 하여 줄무늬를 만드는 현상이다. 이런 파동의 간섭현상이 빛에서도 나타난 것을 영의 이중 슬릿 실험에 의해 밝혀졌다. 이런 줄무늬를 간섭 무늬라고 한다. 1803년 런던 왕립 학회에서 처음 이 실험을 발표했을 때, 학계의 권리에 부딪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1818년 프랑스의 오귀스탱 장 프레넬은 빛의 회절을 파동설로 설명하였고, 1850년 프랑스의 레옹 푸코가 빛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파동설이 받아들어지게 되었다. 파동 이론의 또 다른 후원자는 레온하르트 오일러였다. 그는 파동이론에 의해서 회절이 더 쉽게 설명 될 수 있다고 논쟁 했다. 1815 암페어는 Fresnel에게 아이디어를 주었다. 아이디어 내용은 빛의 편광이 횡파라면 파동설에 의해 설명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나중에, 오귀 스탱 장 프레 넬은 독립적으로 빛의 자신의 물결 이론을 일했으며, 1817 년 Académie des 과학에 발표했다. 1821년 까지 프레넬은 빛의 파동성을 수학적 방법을 통해 보여줄 수 있었다. 편광이 빛과 빛이 가로일 때 어떠한 진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 파장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었다. 파동이론의 약점은 음파와 같은 빛의 파동에서는 매질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가상의 물질인 Luminiferous aeher은 1678년 Huygens가 마이 켈슨-몰리의 실험에 의해 19세기 후반 강한 의심을 하여 제안 되었다.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편집]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맥스웰 방정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지 상태의 광파. 빛의 두 성분의 진동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장과 자기장은 서로 수직이고, 가로방향의 파동을 형성한다. 가시 광선의 모든 유형 및 모든 전자파에 대한 설명으로 전자기 이론 1845년 마이클 페러데이는 직선 평광의 평광면이 광선이 자기장에 도달하였을 때 회전하는 것을 발견 하였다. 이 효과는 현재 페러데이 회전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빛이 전자기와 관련 되어있다는 증거 였다. 1846년 그는 빛이 자기장 선을 따라 전파 방해의 형태임을 추정 하였다.페러데이는 1847년 빛이 고주파 전자기 진동 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심지어 매질의 부재등에 의해 에테르로 전파 될 수 있었다. 1867년 영국의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전기와 자기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이를 수식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는 전기와 자기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파장이 발생되고 전파되는 것을 알아냈다. 실제 전자기력은 파동의 형태로 전파되며, 전자기파는 서로 직각으로 진동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두 성분을 갖는다. 맥스웰은 진공에서 전자기파의 속도를 계산해 본 결과 빛의 속도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그는 빛이 전자기파의 한 형태라고 결론을 내었다. 맥스웰에 빛이 파동이라는 것은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유도되었으므로 이는 빛의 파동설을 확고히 하였다. 광전 효과와 입자설의 부활[편집]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광전 효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빛이 금속 표면에 충돌할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광전효과라고 한다. 광전효과는 1887년 독일의 헤르츠가 우연히 발견하였다. 그 당시에는 빛이 파동인 경우 발생하는 현상으로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러나 광전효과를 조사해 보면서 빛이 파동인 경우 설명하기 힘든 현상들이 나타났다. 방출되는 전자의 수는 빛의 세기가 아니라 빛의 진동수에 비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어떤 특정 진동수보다 낮은 진동수를 가진 빛이 비추었을 때 빛의 세기에 관계없이 전자가 방출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빛이 파동설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마침내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빛의 입자설의 부활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아인슈타인은 빛 입자를 광자라고 불렀고 그의 주장을 광양자설이라 하였다. 그러나 압도적으로 많은 파동설의 증거 때문에 많은 물리학자들의 반론에 부딪혔다. 아인슈타인은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많은 논문을 발표하는 노력을 통해, 결국 그의 광전 효과에 대한 설명이 인정받게 되었다.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를 설명한 공로로 192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이것은 결정적으로 빛의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과 양자역학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편집] 이 주제의 자세한 내용은 파동 입자 이중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에 대한 연구와 플랑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의 이론은 빛이 입자적 성질과 파동적 성질이 모두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아인슈타인은 광자의 에너지는 광자의 진동수에 비례한다고 했다. 즉, 입자적 성질을 가진 광자와 파동이 가지는 성질인 진동수를 동시해 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모든 물질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했다. 파동으로 생각했던 빛이 입자라는 것을 보였다. 입자라고 생각한 전자가 파동임을 보인 것은 프랑스의 루이 드 브로이이다. 그는 1924년 물질파 이론을 제창하여 전자가 원자핵 쪽으로 가지 않고 일정한 궤도운동을 하는 것을 설명했다. 1927년에 미국의 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이 실험적으로 전자에 파동적 성질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국 과학자들은 빛이 파동성과 입자성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양자이론[편집] 1900년 막스 플랑크는 흑체복사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빛이 비록 파동일지라도 이 파동은 그들의 주파수에 관한 유한한 양의 에너지를 얻거나 잃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플랑크는 (라틴어에서 “얼마나 많은”이라는 뜻) 빛 에너지의 “양자”, “덩어리”라고 불린다. 1905년 아인슈타인은 광전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빛 양자의 개념을 사용하고 이 빛 양자가 “진짜” 존재했다고 제안하였다. 1923년 아서 홀리 콤프 턴은 파장 변화가 저가동의 X-레이가 흩어져 보인다고 보였다. 지금은 파동이론이지만 전자가 X-레이의 입자 이론에 의해 설명되었다 1962년 길버트 N 루이스는 liqht quanta particles photons라고 이름 붙였다. 결국 양자 역학의 현대이론은 입자와 파동 둘로부터 왔다. 대신 현대 물리학은 거시적인 입자, 때로는 다른 거시적인 물, 파도의 한 종류로 수학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무언가로 빛을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상상 할 수 없는 무언가이다. 가시광은 주파수 안의 중간을 차지한다. 이것은 쉽게 파동 혹은 입자 모델 때로는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하여 기술하여 실험에 표시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색 조명 채광권 레이저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빛 네이버 캐스트 - 빛의 이중성 네이버 캐스트 - 빛과 색 vdeh색 주제 분홍 빨강 주황 노랑 갈색 녹색 시안 파랑 자주 보라 마젠타 하양 회색 검정 색과학색물리학 전자기 스펙트럼 빛 무지개 가시 분광색 발색단 구조색 동물체색 On Vision and Colors 메타볼리즘 분광 분포 색채 지각 색채 지각 색각 이상 검사 사색형 색각 색각 항상 색 용어 색 깊이 천연색 사진술 스폿 컬러 원색 인쇄 웹 색상 컬러 매핑 컬러 코드 색 관리 색차 의색(거짓 빛깔, 가색상) 크로마 키 색조화 컬러 캐스트 색온도 아이겐그루 색심리학 색의 감정 색 선호 러셔 색 검사 크루이토프 곡선 정치색 국가색 크로모포비아 크로모서로피 색철학색 공간 색 모델 가산 감법 색 혼합 원색 2차색 3차색 4채색 5채색 따뜻한 색 차가운 색 파스텔 컬러 컬러 그라디언트 색 스킴 색 도구 단색 보색 근접색 무채색 다색 불가능한 색 라이트 온 다크 팅크 색 이론 색도도 색입체 색상환 색삼각형 색 분석 컬러 리얼리즘 색 용어기본 용어 빨강 초록 파랑 노랑 주황 자주 분홍 갈색 검정 회색 하양 문화적 차이 언어적 상대성과 색 이름 논란 여러 언어에서의 파랑과 초록의 구별 색 역사 중국 문화에서의 색 일본의 전통색 피부색 색 차원 색상 2색성 채도 색조 명도 회색조 색 기구 팬톤 컬러 마케팅 그룹 미국 컬러 협회 ICA 국제 조명 위원회(CIE) 국제 컬러 협회 국제 색채 학회 목록 색 목록: A-F 색 목록: G-M 색 목록: N-Z 색 목록 (축소판) 음영별 색 목록 색 팔레트 목록 색 공간 목록 크레욜라 크레용 색 목록 역사 연필 색 마커 색 컬러 차트 가공색 목록 RAL 색 목록 관련 항목 시각 영상 처리 멀티 프라이머리 컬러 디스플레이 쿼트론 감각질 조명 로컬 컬러 분류 포털 색 관련 문서 색인 전거 통제 GND: 4035596-2 NDL: 005631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빛&oldid=23866740" 분류: 빛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অসমীয়া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ᏣᎳᎩ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贛語GalegoAvañe'ẽ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uganda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NāhuatlNapulitano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OccitanOromooଓଡ଼ିଆਪੰਜਾਬੀDeitsch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Armãneashti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2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빛(영어: light)이란 좁은 의미에서 가시광선,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하고, 넓은 의미에서 전파, 적외선, X선 등 모든 영역의 전자기파를 의미한다. 물리학에서 주로 넓은 뜻으로 쓰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프로디테가 인간의 눈을 창조할 때 사용한 4가지 물질은? Assistant: 불, 공기, 흙과 물 Human: 아래 킬링_플로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킬링 플로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킬링 플로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8월) 킬링 플로어Killing Floor개발사 Tripwire Interactive배급사 밸브 코퍼레이션 플랫폼 PC , MAC장르 호러 서바이벌 FPS언어 영어미디어 디지털 배급운영체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맥OS이전작 언리얼 토너먼트 킬링 플로어 모드후속작 킬링 플로어 2 《킬링 플로어》(영어: Killing Floor)는 Tripwire Interactive사에서 개발한 6인 협동 호러FPS게임이다. 플레이어는 6명이 협동하여 7개의 전투병과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정시간마다 몰려오는 적들을 물리치고 끝까지 살아남는 것이 목표이다. 일반 패키지로도 발매가 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스팀으로만 판매하고 있다. 이 게임은 소스가 공개되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규모 서버들이 가동되고 있다. 목차 1 스토리 2 게임특징 3 전투방식 4 Z.E.D Time 5 등장인물 5.1 오리지널 5.1.1 Corporal Lewis[루이스 하사] 5.1.2 Lieutenant Masterson[매스터슨 중위] 5.1.3 Police Constable Briar[브라이어 순경] 5.1.4 Police Sergeant Davin [데븐 경사] 5.1.5 Private Schnieder[슈나이더 이등병] 5.1.6 Sergeant Powers[파워스 중사] 5.2 아웃 브레이크(바이러스 발발) 5.2.1 Agent Wilkes[윌커스 요원] 5.2.2 Foundry Worker Aldridge[주조소 노동자 알드릿지] 5.2.3 DJ Scully[DJ 스컬리] 5.2.4 Dr. Gary Glover[게리박사] 5.3 나이트폴(황혼) 5.3.1 Mr. Foster[미스터 포스터] 5.3.2 Security Officer Thorne[보안요원 쏜] 5.3.3 Lance-Corporal Lee Baron[리 바론 병장] 5.3.4 Mike Noble[마이크 노블] 5.4 Postmortem(부검) 5.4.1 Harold Hunt[해롤드 헌트] 5.4.2 Kerry Fitzpatrick[케리 피츠패트릭] 5.4.3 Trooper Clive Jenkins[공수부대원 클라이브 젠킨스] 5.4.4 Paramedic Alfred Anderson[의료 보조자 알프레드 앤더슨] 5.5 SteamPunk 5.5.1 Reggie "Basher" Clover[레기 "강타하는 자" 클로버] 5.5.2 Adam Butler[아담 버틀러] 5.5.3 Doctor Dave[의사 데이브] 5.5.4 Peter the Assassin[암살자 페터] 5.6 Promotional[특전](의역) 5.6.1 Harchier Spebbington 5.6.2 PYRO(파이로) 5.6.3 SteamPunk Mr. Foster[미스터 포스터](다른 복장) 5.6.4 Baddest Santa[최악의 산타] 5.6.5 Trader[상인] 5.6.6 Helicopter pilots[헬기 파일럿] 5.6.7 Rachel Clamery[레이첼 클레머리] 6 무기의 종류 6.1 근접무기 6.1.1 Knife[칼] 6.1.2 Machete[만도] 6.1.3 Fire AXE[소방 도끼] 6.1.4 Katana[일본도] 6.1.5 Chainsaw[전기톱] 6.2 권총 6.2.1 9mm tactical pistol[9mm 권총] 6.2.2 Handcannon[핸드캐논] 6.3 보조무기 6.3.1 Shotgun[산탄총, 샷건] 6.3.2 Lever-action rifle[레버 액션 소총] 6.3.3 Bullpup[불펍] 6.3.4 AK47 6.3.5 M79 Grenade launcher[M79 유탄 발사기] 6.3.6 M32 Multiple grenade launcher[M32 유탄 발사기] 6.4 주력무기 6.4.1 MP7M[메딕건] 6.4.2 Crossbow[석궁] 6.4.3 M14 EBR[엠14 EBR] 6.4.4 SCAR MK17[스카] 6.4.5 Hunting shotgun[사냥용 산탄총] 6.4.6 AA12[AA12 전자동 샷건] 6.4.7 Flamethrower[화염 방사기] 6.4.8 L.A.W[라이트 안티-탱크 웨펀(Light Anti-tank Weapon), 경대전차 무기] 6.4.9 Pipe bomb[파이프 폭탄] 6.4.10 MAC-10[맥10] 6.5 기타 6.5.1 Medical syringe[의료 주사기] 6.5.2 Welder[용접기] 6.5.3 Grenade[수류탄] 6.5.4 Combat armour[방어복] 7 퍼크 클래스 7.1 Field medic[필드메딕] 7.2 Support specialist[서포트 스페셜리스트] 7.3 Sharpshooter[샤프슈터] 7.4 Commando[코만도] 7.5 Berserker[버서커] 7.6 Firebug[파이어버그] 7.7 Demolition[데몰리션] 8 몬스터의 종류 8.1 Clot[클롯] 8.2 Gorefast[고어패스트] 8.3 Crawler[크로울러] 8.4 Bloat[블로트] 8.5 Stalker[스토커] 8.6 Siren[사이렌] 8.7 Husk[허스크] 8.8 Scrake[스크레이크] 8.9 Fleshpound[플레시 파운드] 8.10 Patriarch[페트리아크] 9 플레이 맵의 종류 9.1 Abusement Park 9.2 Bedlam 9.3 BioticsLab 9.4 Crash 9.5 Departed 9.6 Farm 9.7 FilthsCross 9.8 Foundry 9.9 IceBreaker 9.10 Manor 9.11 Offices 9.12 Waterworks 9.13 WestLondon 9.14 Wyre 9.15 Mountain Pass 9.16 Biohazard 9.17 Suburbia 9.18 Hospital Horrors 10 각주 11 외부 링크 스토리[편집] 영국 런던에 위치한 'Horzine'이라는 회사의 지하 비밀 연구실에서 행하던 인간 복제 실험 도중 사고로 실험체들이 풀려나게 된다. 무방비 상태인 런던 중심에서 풀려난 이 실험체들은 인간들을 무차별 살육, 런던을 황폐화 시킨 후 영국 전역에 급속도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이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 이 아비규환에서도 끝까지 생존한 최정예 전투요원 6명을 런던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Horzine의 지하 연구실, 공업 시설, 유령 도시가 된 런던 등에 살아남은 극소수의 생존자들도 생존을 위해 발버둥 치는데... 게임특징[편집] 흔히 오해하는 점인데, 좀비가 아니라 인간 복제 실험으로 창조된 실험체들이 적으로 등장한다. 일반적인 사람 모양의 실험체부터 개발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창조된 거대한 실험체, 그리고 이 실험체들을 개발한 박사 Kevin Clamely 등 각각의 특색을 가진 다양한 적들이 등장한다. 각 실험체마다 특징이 있어 플레이어 간의 협동이 중요시 되는 Co-op 게임이다. RPG적인 요소도 있어서 각각의 병과(Perk)마다의 특정한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레벨을 올릴 수 있는데, 레벨이 올라갈수록 각 병과의 능력이 향상되는(이동 속도 증가, 특정 총의 공격력 증가 등)효과를 볼 수 있다. 뛰어난 타격감과 Z.E.D Time이라는 슬로우 모션이 특수 상황에 발동되어 짜릿한 전투를 즐길 수 있다. 타 FPS게임과 달리 화면 중앙의 조준점(크로스 헤어)이 없다. 각 웨이브가 끝나면 일정 시간 동안 열려있는 상점에서 무기를 사고 방탄복을 수리하는 등 정비를 할 수 있다. 돈은 실험체를 죽여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게임 중간에 들어와서 돈이 부족한 유저에게 타 유저가 돈을 건네줄 수 있다. 전투방식[편집] 킬링 플로어는 레프트4데드처럼 생존 및 탈출 방식의 게임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몰려오는 실험체들을 막아내고 끝까지 생존하는 웨이브&디펜스방식이다. 유저들은 적의 진입로에 폭탄을 설치하거나 문을 용접하는 등 다양한 전술로 적의 진격을 최대한 막으면서 최소한의 피해로 적들을 전멸시키고 살아남아야 한다. 난이도와 웨이브의 횟수 조절이 가능하며 웨이브 후반부로 갈수록 실험체의 숫자는 늘어나고 강력한 실험체가 나타나게 된다. Z.E.D Time[편집] 킬링 플로어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특정 조건으로 적을 처리하면 발생하는 슬로우 모션. 게임 전체의 속도가 순간 느려지기 때문에 주위를 둘러보거나 정확한 조준으로 적을 처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멀티플레이에서 Z.E.D time이 발동되면 그 서버에 접속한 모든 유저에게 Z.E.D time이 적용된다. 코만도만 Z.E.D Time이 발동된 상태에서 적을 처리할 경우 Z.E.D Time을 한번 더 발동시킬 수 있으며 횟수는 최대 4번까지 가능하다. 등장인물[편집] 주의: 아웃 브레이크와 나이트메어,포스트 토템팩등은 유료DLC 캐릭터입니다. 주의: 이 게임은 영국을 배경으로하기때문에 영국육군계급으로 표기합니다. 오리지널[편집] 킬링 플로어 오리지널 캐릭터들. Corporal Lewis[루이스 하사][편집] 거리가 온통 지옥으로 변하기 한달 전 쯤, 루이스는 뚱뚱해진 체격 때문에 군에서 임무 교대될 위기에 처해 있었습니다. 그러나 삶 또는 죽음으로 나아가던 상황이 살을 빼는 것에 도움이 됐고, 그의 몸은 "군사 표준"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요점은 아니고, 지난 주에 그의 부대 지휘관(뚱뚱한 사람을 혐오하던)이 피부가 없고 꼴꼴 거리는 소리를 내는 것에 의해 목이 베어졌습니다. Lieutenant Masterson[매스터슨 중위][편집] 이 남자가 이렇게 빨리 진급한 것은 이해하기 힘든 일입니다. 사실상 그의 이전 군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 가지 확실한 건 그가 말수가 적은 남자라는 것이고, 전투 상황에서 비정상적으로 차분한 태도를 취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단호하게 그의 부하를 지휘합니다, 그리고 어떤 불미스러운 일도 없이 항상 임무를 Police Constable Briar[브라이어 순경][편집] 폭동 때문에 진압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다고 상상해보십시오. 히피족을 몽둥이로 후려치고, 환경 보호론자를 괴롭히는 것이 마지막 3년 동안의 당신 일이었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새벽에 당신의 야경봉은 당신을 향해 미친듯이 비틀거리는 '전부 폭도들은 아닌' 패거리 들에게 충분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지금 생각해 보십시오. 3주, 그리고 수많은 머리를 박살낸 후 브라이어를 통해 모두 이루어진 원하지 않는 폭력에 대한 그의 친화력 여부가 궁금하기보다는 두렵습니다. Police Sergeant Davin [데븐 경사][편집] 이것은 경사가 거의 성인이 되고나서 평생 찾으려 했던 것입니다. 그의 아내가 여러 명의 사내에게 속아 놀아날 때도 찾고 있었고, 그의 딸이 대학을 중퇴해, 그녀가 스스로 극단적인 양성애자에 채식주의자이며 우주 여행자라고 할 때도 이걸 찾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내부 조직개편 탓에 사무직에서 명예퇴직이 됐을 때에도 분명히 이것을 찾고 있었습니다. 모두 이 세상의 종말을 일컫습니다. Private Schnieder[슈나이더 이등병][편집] 그의 부대가 런던에 배치된 후 거의 전멸했을 때 슈나이더는 두 가지 선택지를 고를 수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그의 동료와 함께 죽는 것이고, 두 번째는 덮쳐오는 정체 모를 괴물들을 나이프로 찌르고, 차고, 쏘고, 잘라서 최악의 상황을 타파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그는 포기하지 않고 후자를 고른 것 같습니다. 비록 그의 계급이 높지 않아 그걸 제안하지 못했지만, 매우 힘이 센 동료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싸웠습니다. Sergeant Powers[파워스 중사][편집] 집에 도착한 그는 그의 문 안쪽에 널브러져 있는 사랑하는 아내와 아이들의 시체를 발견한건 생에 최악의 일이었습니다. 그 사건 이후 파워스는 거의 먹지도 못하고, 잠도 거의 잘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대화도 나눌수 없었으며. 한층 더 나빠져 그는 동료 생존자들과 잠을 잘때에도 한쪽 눈을 뜬채 자며 강한 피의 굶주림을 받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그는 죽인 괴물들의 손가락을 수집하게 되었습니다. 아웃 브레이크(바이러스 발발)[편집] 2009년 6월 24일 1005패치로 추가된 캐릭터들. 단순 캐릭터 팩 이다. Agent Wilkes[윌커스 요원][편집] 윌커스는 호라이즌사에서 개발하여 세계에서 가장 앞서나간 기술력으로 무장한 최첨단 전투복을 입고 있습니다 그들은 오래전에 은밀히 지하에서 불쌍한 군인들을 이용하여 난폭함을 실험하거나 복제등을 하였습니다 혼자남게된 윌커스는 이제 남은 그들을 구원할것입니다 Foundry Worker Aldridge[주조소 노동자 알드릿지][편집] 당신은 손에 익지도 않은 일에 참여해 급여를 3배 이상 받는다고 해도 이런것에 대해 궁금하지도 않고 질문조차도 못합니다. 밖에서 들려오는 잔인한 비명속에서도 불구 , 문을 잠가놓고 한가로히 점심시간을 가집니다. 문짝이 떨어져나가고 잔인함으로 무장한 그들이 사람을 무참히 죽이며 몰려올때 급여가 들어옵니다. 점심 시간은 끝났습니다. DJ Scully[DJ 스컬리][편집] D.스컬리는 군에서 탈영후 런던 지하로 도피하였습니다. 어둠속의 드럼 및 저음소리로 밤을 보내던 그는 자기의 팬을 한 거인이 손에달린 분쇄기로 무참히 갈아버리는 것을 목격하고 분노를 느끼게 됩니다. 그 후 그는 이 일에 대해 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전투에 임하게 됩니다. Dr. Gary Glover[게리박사][편집] 호라이즌 생명공학 연구소의 유일한 생존자인 게리박사입니다 현 런던을 공포에 몰아넣게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며 이런일이 일어날지 모르고 열심히 노력했었던 인간이기도 합니다 허나 지금은 두손에 더블바렐 샷건을 들고 자기의 창조물을 모조리 없애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나이트폴(황혼)[편집] 2009년 10월 22일 1008패치로 추가된 캐릭터들. 단순 캐릭터팩이며 추가되는 능력같은건 없다. Mr. Foster[미스터 포스터][편집] 낮에는 단타성 주식 투기꾼으로, 그리고 저녁에는 런던의 매력있는 가라오케 술집에서의 환상적인 생활. 포스터의 반쯤 씌여진 자서전을 배포할 출판업자가 모두 죽어버린건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마지막 챕터인 -머리통들이 산산조각나는 난장판과 대도시에서 벌어지는 돌연변이 전쟁- 은 그 책을 단숨에 최고의 베스트 셀러로 만들어 놓았을지도 모릅니다. Security Officer Thorne[보안요원 쏜][편집] 호라이즌은 돈을 지불했어. 아내는 우리가 다시 먹고살 수 있게되었다며 행복해 했지. 나는 술을 계속마실수 있어서 행복했었어. 보너스는 있냐고? 물론! 나는 물었지. 실험이요? 그게 뭐죠? 하겠습니다. 이런일이 일어나는건 당연해. 긍정적인 것은 그놈들을 아직 쏴버릴 수 있다는 것이지. 금속이든지 뼈든지 아무것이나. 그리고 그 쥐같은 놈들이 날 맛있는 고깃덩어리로 만들어놨어. 내가 장담컨데 그놈들도 맛이 좋을꺼야. 내가 여기서 나가게 된다면 난 그놈들을 갈기갈기 찢어버릴거야. 멍청한 과학자들을.[1] Lance-Corporal Lee Baron[리 바론 병장][편집] 도심지에 폭탄위협과 사람들을 잡아먹는 뮤턴트가 같은날에 함께 나타날수 있을까요? 병장의 EOD슈트는 날아오는 폭탄파편을 막아주지만 날카로운이빨과 손톱을 가진 괴물들은 막아주지 못했습니다. 이 경험은 괴물들과 약간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귀중한 교훈을 알려줬습니다.파이프 폭탄처럼말이죠. Mike Noble[마이크 노블][편집] 만일 당신의 여자친구가 그녀의 씹힌 다리를 남기고갔을때, 당신은 여자친구가 어떤 파티를 벌였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을겁니다. 그의 해골복장이 그가 몬스터를 쫓는 것에 미쳐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줍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몬스터와 마주쳤을때 카나페처럼 꼬부러지는 것과 달리, 약간의 정신불안증세가 있는 마이크는 아주 멋지게 빛나는 카타나를 찾은 사람처럼 보일것입니다. Postmortem(부검)[편집] 2010년 10월 7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된 캐릭터들. 역시 유료 DLC로 운영된다. 특징은 기존의 캐릭터들보다 강한 개성과 방어구를 거의 입지 않았다는 것. Harold Hunt[해롤드 헌트][편집] 해롤드는 반체제 펑크 밴드 "The Fecking Nancies"의 리더였습니다. 그는 남부 런던 전역의 냄새가 지독한 술집과 바에서 연주했던 사람입니다. Kerry Fitzpatrick[케리 피츠패트릭][편집] 감옥에서 재감자와의 추했던 마지막 싸움 이후, 여자 이름 "케리" 라고 불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브로드모어의 고급-보안 정신병동으로 이송되는 도중, 그는 간수가 광자의 무리에게 먹히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메마른 돌연변이들. 케리는 죽은 간수를 약탈한 후 풀려난 즐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몇 초만에 감옥에서의 삶에서 자유인으로 되었으니까요. 케리는 세계에서 그가 제일 알맞은 곳을 찾게 되었습니다. Trooper Clive Jenkins[공수부대원 클라이브 젠킨스][편집] 그가 영국 정부를 위해 비행기에서 점프하고 머리를 박살내지 않는 동안, jenk가 보통 술집에서 고주망태가 되어 비전투원들과 싸우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c 보병대는 폭동 진압명령이 떨어질때까지 준비하였습니다. 그들은 허큘러스 수송기안에서 탄약을 확인한 후 런던으로 뛰어내렸습니다. 그리고 전기톱을 휘두르는 미치광이들 속으로 돌진하였습니다. 이리와서 이거나 먹어라, 이 간들거리는 놈들아! Paramedic Alfred Anderson[의료 보조자 알프레드 앤더슨][편집] 병원에서 야간근무를 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입니다. 그리고 그곳은 전 도시가 서로 식인자가 되어 먹이다툼을 할때 보급품을 쌓아돟기에 좋은 곳입니다. 좋은 장비와 지식들. 알프레드는 살이 없는 괴물이 당신의 집문을 부술 때에 같이 협동하기 좋은 동료입니다. SteamPunk[편집] Reggie "Basher" Clover[레기 "강타하는 자" 클로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Adam Butler[아담 버틀러][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Doctor Dave[의사 데이브][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Peter the Assassin[암살자 페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Promotional[특전](의역)[편집] 2010년 10월 7일자로 추가된 특수캐릭터. 스팀에서 판매중인 게임인 The ball을 구입할 경우 지급되는 특수캐릭터다. Harchier Spebbington[편집] 실제로도 프로필이 비공개로 되어있다 PYRO(파이로)[편집] (팀 포트리스2 특전 캐릭터) 팀 포트리스2를 가지고 있다면 팀 포트리스2 캐릭터인 PYRO를 특전으로 킬링 플로어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빨강/파랑 두가지 색상이 있다.) 외형은 팀 포트리스2와 흡사하며 다른점이 있다면 킬링 플로어에서는 곧게 서서 다닌다 SteamPunk Mr. Foster[미스터 포스터](다른 복장)[편집] Summer Sideshow 이벤트 때 도전과제와 같이 나온 캐릭터. SUmmer Sideshow 이벤트 도전과제를 모두 달성하면 지급해주는 캐릭터이다. Baddest Santa[최악의 산타][편집] 2010년 크리스마스 이벤트 때에 나온 캐릭터. 크리스마스 도전과제를 전부 완료하면 주는 캐릭터이다. Trader[상인][편집] 각 웨이브가 끝나면 플레이어들을 위한 상점을 오픈한다. 상인은 여자만 있으며, 30초 남았을 시 제한시간을 경고해준다. Helicopter pilots[헬기 파일럿][편집] 플레이어들을 해당지역에 내려다 주는 헬리콥터의 파일럿. 단 한번도 얼굴이 나오는 캐릭터는 아니지만 등장인물 목록에 존재한다.(출처 표기바람) 몇몇 맵을 보면 헬기가 추락한 모습이 보이지만 그의 생사는 알 수 없다. Rachel Clamery[레이첼 클레머리][편집] 1059 버전 (End of the Line) 패치로 생긴 캐릭터. 새로 생긴 모드에서 등장하며, Transit 맵에 대한 도전과제를 일정수 이상 달성하면 얻을 수 있다. 킬링 플로어 마지막 웨이브에 등장하는 보스인 Patriarch의 딸이다. 무기의 종류[편집] 참고: 무기의 가격과 특징은 퍼크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때의 기본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근접무기[편집] 근접무기들은 버서커가 주로 사용한다. 모든 근접무기는 마우스 휠 버튼(디폴트 타입)으로 특수공격을 할 수 있다. 특수공격은 일반공격보다 느리지만 강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Knife[칼][편집] 전문 운용퍼크: 버서커 특징: 모든 캐릭터들이 기본적으로 소지한 무기. 장점: 휘두르는 속도가 빠르다. 단점: 짧은 사정거리, 약한 공격력 가격: 0 무게: 0 공격력: 20p(약한 베기) 35-55p(강한 베기) 공격 주기: 0.6sec(약한 베기) 1.1sec(강한 베기) Machete[만도][편집] 전문운용퍼크: 버서커 특징: 벌목용 칼. 대검 보다 약간 상향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장점: 기본 대검보다 공격력이 상향되었다. 단점: 휘두르는 속도가 느리다. 가격: 100 무게: 1 공격력: 45-70p 공격 주기: 0.71sec Fire AXE[소방 도끼][편집] 전문운용퍼크: 버서커 특징: 소방도끼. 무난한 밸런스와 싼 가격이 특징. 이 무기로 스크레이크를 공격하면 경직시킬 수 있다. 장점: 높은 공격력과 길어진 사정거리. 단점: 휘두르는 속도가 느리다. 공격직전 딜레이가 길다. 그리고 무겁다. 가격: 150 무게: 5 공격력: 125-175p 공격 주기: 1.2sec Katana[일본도][편집] 전문운용퍼크: 버서커 특징: 일본도인 카타나. 매우 좋은 능력치를 가졌다. 이 무기로 스크레이크를 공격하면 경직시킬 수 있다. 장점: 대검과 비슷한 매우빠른 공격속도, 강력한 공격력, 긴 사정거리. 단점: 가격이 비싸다, 크로울러에게 매우 취약하다, 자멸 이상이면 스크레이크를 잡기 힘들다. 가격: 1000 무게: 3 공격력: 150-200p 공격 주기: 0.4sec Chainsaw[전기톱][편집] 전문운용퍼크: 버서커 특징: 이 무기는 특수공격을 할 경우 전기톱으로 내려치는 공격을 한다. 장점: 딜레이 없이 무한정 공격하거나 한방에 엄청난 공격력을 낼 수 있다. 단점: 일반 공격은 공격력이 너무 약하고 2차공격은 딜레이가 너무 크며 전기톱을 들 경우 근접무기를 들고있을때의 이동속도 보너스를 받을 수 없다. 그리고 매우 무겁다. 가격: 1000 무게: 8 공격력: 12p(일반공격) 190-270p(2차공격) 공격 주기: 0.1sec(일반공격) 0.8sec(2차공격) 권총[편집] 권총은 샤프슈터가 주로 사용하는 무기들이다. 특히 샤프슈터는 권총에도 레벨 효과가 적용되기때문에 주무기 총알이 다 떨어져도 큰 걱정이 없다. 그리고 권총들은 전부 두자루씩 들 수 있는데 이 경우 쌍권총으로 난사가 가능하다. 9mm tactical pistol[9mm 권총][편집] 전문운용퍼크: 샤프슈터 특징: 스폰시 소지하는 기본무기. 실제모델 베레타M9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권총. 손전등이 장착되어있다.(킬링플로어에서 손전등이 장착된 무기는 9mm와 샷건뿐이다.) 장탄수: 15발 / 15탄창(쌍권총 모드시 30발 / 7탄창) 장점: 샤프슈터의경우 공격력 상승한다. 최고 난이도에서 Bloat를 헤드샷으로 한방에 죽일 수 있다. 단점: 공격력이 약하다. / 쌍권총 모드시 정확한 조준이 불가능하다. 가격: 0(쌍권총으로 사면 150) 무게: 0(쌍권총으로 사면 4) 공격력: 25-35p 공격 주기: 0.175sec Handcannon[핸드캐논][편집] 전문운용퍼크: 샤프슈터 특징: 실제모델 데저트이글. 이름답게 엄청난 화력을 가졌다. 장탄수: 8발 / 11탄창(쌍권총 모드시 16발 / 5탄창) 장점: 공격력이 매우 강하다. 단점: 총알이 부족하다. 반동이 너무 강하다. / 쌍권총모드시 정확한 조준이 불가능하다. 가격: 500 무게: 4(쌍권총이라도 4 고정) 공격력: 95-115p 공격 주기: 0.25sec 보조무기[편집] 보조무기라기보다는 일반무기에 가깝다. 어떤 퍼크나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샷건의 경우 특수공격 버튼을 누르면 손전등을 사용할 수 있다. Shotgun[산탄총, 샷건][편집] 전문운용퍼크: 서포터 스페셜리스트 특징: 평범한 샷건. 넓게 퍼져있는 적들을 한꺼번에 공격할 수 있다. 관통능력이 달려있다. 그리고 손전등이 달려있다. 장탄수: 8발 / 40발(탄창이 없으며 한발씩 장전한다) 장점: 관통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뭉쳐있는 적들을 한꺼번에 공격이 가능하다. 단점: 보유탄환이 매우 적다. 샷건특성상 총알의 재장전이 오래 걸리고 원거리 사격이 취약하다. 그리고 반동이 매우 심해 사격시 몸이 뒤로 밀린다. 가격: 500 무게: 8 공격력: 25-35p 공격 주기: 0.965초 Lever-action rifle[레버 액션 소총][편집] 전문운용퍼크: 샤프슈터 특징: 실제모델 윈체스터 라이플. 뛰어난 밸런스와 조준이 편한 가늠자덕분에 고레벨 샤프슈터들이 유희용으로 종종 사용한다. 중간정도의 반동을 가져 사용자의 호불호가 갈리는 총이기도 하다. 장탄수: 10발 / 70발(탄창이 없으며 한발씩 장전한다) 장점: 가격이 싸다. M14보다 공격력이 좋다. 조준이 매우 편하며 조준시 시야가 적게 가려진다. 단점: 무겁다. 재장전이 느리다. 레버액션이라 사격시 딜레이가 크기때문에 Z.E.D Time을 이용하기 까다롭다 가격: 200 무게: 6 공격력: 110-140p 공격 주기: 0.9초 Bullpup[불펍][편집] 전문운용퍼크: 코만도 특징: 영국군 제식소총 L28A1을 모티브로 만든 총. 스코프가 달려있다. 특수공격 버튼을 누르면 연사/단발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장탄수: 40발 / 9탄창 장점: 매우 적은 반동과 높은 명중률을 가졌다. 조준도 스코프를 통해서 하기때문에 명중시키기가 쉽다. 단점: 공격력이 매우 약하다. 가격: 400 무게: 6 공격력: 16-26p 공격 주기: 0.1초 AK47[편집] 전문운용퍼크: 코만도 특징: 실존하는 AK-47을 모티브로 만들었다. 초탄의 명중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특수공격 버튼을 누르면 연사/단발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장탄수: 30발 / 9탄창 장점: AK답게 높은 공격력을 가졌다. 또한 초탄명중률이 높다. 단점: 반동이 크다. 스크레이크나 플래시파운드를 상대할만큼 강하지 못하다. 가격: 1000 무게: 6 공격력: 35-45p 공격 주기: 0.2초 M79 Grenade launcher[M79 유탄 발사기][편집] 전문운용퍼크: 데몰리션 특징: 유탄을 발사해 강한 폭발로 한번에 적을 섬멸한다. 장탄수: 1발 / 24발 장점: 폭발하는 탄환이기때문에 뭉쳐있는 적에게 한꺼번에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단점: 한번쏘고 재장전을 하는 방식이며 재장전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근거리에서 사격하면 자신도 데미지를 입게된다. 폭발시 연막이 심하게 발생하여 시야를 가린다. 또한 보유탄환이 매우 적은편. 탄환이 포물선으로 날아가기때문에 거리조절이 어렵다. 가격: 1250 무게: 4 공격력: 350p 공격 주기: 3.33초 M32 Multiple grenade launcher[M32 유탄 발사기][편집] 전문운용퍼크: 데몰리션 특징: M79유탄발사기의 연사버전. 드럼식 탄창을 장착하여 6발을 연사로 사격이 가능하다. 단, 재장전이 느리다. 한발데미지는 M79와 동일하다. 장탄수: 6발 / 30발 장점: 6발의 유탄을 연사로 발사할 수 있다. 단점: 심한 연막이 발생한다. 발사후 재장전이 매우 오래 걸린다. 적은탄환, 비싼가격, 그리고 무겁다. 탄환이 포물선으로 날아가기때문에 거리조절이 어렵다. 가격: 2500 무게: 7 공격력: 350p 공격 주기: 0.33초 주력무기[편집] 특정 퍼크에게 최적화된 무기들. 해당 퍼크가 사용할때 매우 훌륭한 성능을 발휘한다. 애초에 해당퍼크가 아니면 매우 비싸서 사지 못하거나 심한 반동, 낮은 능력을 보여준다. MP7M[메딕건][편집] 전문운용퍼크: 메딕 특징: 메딕의, 메딕에 의한, 메딕을 위한, 메딕전용 무기. 특수공격 버튼을 누르면 동료에게 회복주사를 발사할 수 있다. 킬링플로어에서 유일한 기관단총. 메딕퍼크의 유일한 전용무기로서, 메딕이 사용할 경우 회복주사기뿐만 아니라 MP7M의 회복주사도 회복량과 재장전 속도가 상승한다. 장탄수: 20발 / 19탄창 장점: 동료에게 회복용 주사기를 발사하여 원거리에서도 치료할 수 있다. 공격력이 매우 약하지만 빠른 연사속도로 단점을 상쇄한다. 단점: 빠른 연사속도로 탄소비가 매우 심하다. 총의 공격력이 매우 약하다. 매우 비싸다. 가격: 3000 무게: 3 공격력: 20-25p 공격 주기: 0.05초 Crossbow[석궁][편집] 전문운용퍼크: 샤프슈터 특징: 석궁.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관통능력을 지녔다. 장탄수: 36발 장점: 상당히 좋은 공격력을 지닌 무기. 헤드샷 명중시 플래시파운드는 물론 보스 페트레이아크도 충분히 상대할 수 있다. 관통능력이 있어서 사선에 위치한 모든 적을 관통하고 지나간다. 또한 사용한 볼트는 다시 회수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단점: 매우 무겁다. 탄수가 36발밖에 되지 않는다. 샤프슈터의 퍼크레벨 효과를 받지않아 가격이 깎이지 않는다. 볼트 한 발의 가격이 무려 20원이나 한다. 재장전이 매우 느리다. 가격: 800 무게: 9 공격력: 300p 공격 주기: 1.81초 M14 EBR[엠14 EBR][편집] 전문운용퍼크: 샤프슈터 특징: 특수공격 키를 누르면 레이저사이트를 작동할 수 있다. 좋은 공격력과 약간 부족한 개수의 탄환을 가지고 있다. 해당 무기로 정조준없이 레이저사이트만으로 몬스터를 헤드샷 해야 하는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장탄수: 20발 / 7탄창 장점: 레이저사이트가 달려있어 정조준을 하지 않아도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다. 공격력이 매우 강하다. 단점: 정조준시 가늠자 특유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시야가 많이가려진다. 반동이 심하고 가격이 비싸다. 관통능력이 없다. 탄창수가 적기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탄약이 부족하다. 가격: 2500원 무게: 8 공격력: 100-115p 공격 주기: 0.175초 SCAR MK17[스카][편집] 전문운용퍼크: 코만도 특징: 코만도의 강력한 무기. 스코프가 달려있다. 특수공격 키를 누르면 연사/단발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장탄수: 20발 / 14탄창 장점: 초탄명중률이 좋다. 공격력이 높다. 연사가 빠른편이다. 원형 스코프라 조준시에도 시야가 넓다. 단점: 스코프의 배율이 상당히 낮다. 발사속도와 반동이 심하다. 재장전 속도도 은근히 길지만 탄창에 20발밖에 들어가지 않기때문에 재장전을 자주 하게된다. 가격이 비싸다. 가격: 2500 무게: 5 공격력: 75-85p 공격 주기: 0.096초 Hunting shotgun[사냥용 산탄총][편집] 전문운용퍼크: 서포트 스페셜리스트 특징: 더블배럴 샷건. 넓은 공격범위가 특징이다. 장탄수: 2발 / 46발 장점: 매우 넓은 공격범위. 특수공격으로 양쪽배럴의 총알을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다. 샷건 특성상 근접거리에서 적에게 특수공격을 하면 매우 강한 공격을 할 수 있다. 단점: 워낙 넓게 탄이 퍼지기때문에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총이 맞지 않는다. 재장전이 오래 걸린다. 부족한 탄환, 무거운 무게. 가격: 750 무게: 10 공격력: 40-50p X6(일반공격) X10(2차공격) 공격 주기: 0.25초 AA12[AA12 전자동 샷건][편집] 전문운용퍼크: 서포트 스페셜리스트 특징: 샷건탄환을 연발로 사격이 가능하다. 장탄수: 20발 / 3탄창 장점: 샷건을 연사로 쏘기때문에 근접전에서 막강한 화력을 발휘한다. 단점: 부족한 탄약, 비싼 가격, 무겁다, 재장전이 오래 걸린다, 플래시파운드나 스크레이크를 상대하기에 약간 부족한 화력. 가격: 4000 무게: 10 공격력: 30p X6 공격 주기: 0.2초 Flamethrower[화염 방사기][편집] 전문운용퍼크: 파이어버그 특징: 파이어버그의 유일한 주무기. 적을 불태워버린다. 적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장탄수: 100발 / 3탄창 장점: 불타는 적은 혼란에빠져 동료를 공격하거나 우왕좌왕한다. 단점: 공격력이 약하다. 적은 탄환수. 무겁다. 허스크에게 데미지가 적게 들어간다. 근접한 적에게 사용 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가격: 750 무게: 10 공격력: 12p 공격 주기: 0.07sec L.A.W[라이트 안티-탱크 웨펀(Light Anti-tank Weapon), 경대전차 무기][편집] 전문운용퍼크: 데몰리션 특징: 로켓런처. M79나 M32를 능가하는 공격력과 폭발범위를 자랑한다. 장탄수: 1발 / 10발 장점: 막강한 공격력과 M79나 M32를 능가하는 넓은 폭발범위를 자랑한다.플래쉬파운드와 보스는 추가피해를 줘서 매우 유용하다 단점: 너무 무거워서 다른 퍼크는 사용하는게 거의 불가능. 매우 적은 탄환, 조준을 하지 않으면 발사되지 않는다. 근접한상태에서는 폭발하지않으며 데미지는 반감된다. 폭발에 자신도 피해를 입는다. 가격: 3000 무게: 13 공격력: 650 공격 주기: 3.25초 Pipe bomb[파이프 폭탄][편집] 전문운용퍼크: 데몰리션 특징: 사제 파이프 지뢰. 설치해두면 자동으로 적무리를 감지해서 폭발한다. 장탄수: 1발 / 2발 장점: 막강한 공격력,넓은 폭발범위 단점: 매우 비싸다. 사용자도 피해를 입으며 폭사할 확률이 높다. 사이렌의 음파공격을 받으면 부서진다. 가격: 1500 무게: 1 공격력: 1500p MAC-10[맥10][편집] 전문운용퍼크: 파이어버그 특징: 기관단총 계열이며 매우 빠른 발사속도를 자랑한다. 파이어버그가 쓰면 적에게 명중시 불이 붙는다. 공격력이 약하지만 발사속도로 그것을 보완한다. 적당한 데미지와 무게, 싼 가격으로 다른 퍼크가 운용해도 큰 무리가 없다. 2차공격으로 단발/연발 선택이 가능하다. 단발 시 반동이 적고, 명중률이 뛰어나기 때문에 원거리의 적들을 불 붙일 수도 있다 장탄수: 30발 / 9탄창 장점: 매우 빠른 발사속도, 파이어버그 사용시 적에게 화염공격 가능(경험치 인정), 가볍다, 저렴하다 단점: 매우 심한 반동, 매우 빠른발사속도로 인한 막대한 탄소비, 정조준시 시야를 심각하게 방해한다. 특정 상황에서 정조준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정확한 사격이 불가능하다. 가격: 500 무게: 4 공격력: ? 기타[편집] 특히 주사기와 용접기는 모든 퍼크가 사용 가능하나 특화된 퍼크가 사용할때 최적의 효과를 발휘한다. Medical syringe[의료 주사기][편집] 전문운용퍼크: 메딕 특징: 회복주사기. 자신이나 아군의 체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 동료에게 주사를 사용하면 주사기 잔량에서 50을 사용하고 체력을 50 회복시키며 자신을 회복하면 100을 사용하고 체력을 20 회복시킨다. 잔량이 50 이하일 경우 사용할 수 없다. 메딕의 경우 이 주사기의 효율이 높아 빠른 재장전과 높은 회복능력을 보여준다. Welder[용접기][편집] 전문운용퍼크: 서포터 스페셜리스트 특징: 문을 용접해서 적의 진입을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특수공격 키를 누르면 용접된 문을 해체할 수 있다. 서포터는 다른 퍼크보다 오랫동안, 그리고 빠른속도로 문의 용접이나 해체 를 할 수 있다. Grenade[수류탄][편집] 특징: 수류탄. 기본적으로 3개를 가지고 시작한다. 파이어버그는 레벨3부터 화염폭탄으로 변경. (폭발의 중심부에 있을수록 데미지는 증가한다. 수류탄을 총알로 공격시 즉시 폭발한다.) 장탄수: 서포터와 데몰리션은 11개, 그외 5개 장점: 플래시파운드는 수류탄 공격에 최대 체력의 50%의 데미지를 입는다. (단 폭발의 중심부에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실험체들은 수류탄을 피해서 폭발의 중심부에서 맞는일은 없기 때문에 수류탄을 총으로 공격해서 수동폭파 시키는 것이 좋다.) 단점: 근처에 있으면 자신도 데미지를 입는다, 여러개를 한번에 던지면 한개의 데미지만 적용된다. 단, 폭발범위는 넓어진다. 사이렌의 음파공격을 받으면 수류탄이 폭발하지않고 부서진다. 가격: 40 무게: 1 공격력: 250p M79나 M32와 비슷한 범위안에서 폭발데미지로 적에게 피해를 입힌다. 단, 킬링플로어의 적들은 수류탄이 있으면 그것을 피해버리는 지능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서포터와 데몰리션은 레벨업시 최대 11개의 수류탄을 소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이어버그의경우 레벨3이상이면 수류탄을 투척시 폭발데미지가 사라지고 화염을 사방으로 뿜어 적을 불태운다. Combat armour[방어복][편집] 특징: 방어력이 증가하여 적의 공격을 받아도 체력 감소를 최소화 시킨다. 가격: 300 적에게 공격당할시 방어복의 수치가 감소하게되고 0이 되면 파괴된다. 사이렌의 음파공격은 방어복을 무시하고 직접적으로 데미지를 주기때문에 주의할것. 메딕의 경우 방탄복에 퍼크 보너스가 붙어서 방어복 자체의 내구력이 상승한다. 웨이브가 후반으로 접어들수록 필수로 장착해야 한다. 퍼크 클래스[편집] 직업이라고도 하며 보통 '퍼크'라고 칭해진다. 순서대로 메딕, 샤프슈터, 서포트 스페셜리스트, 코만도, 버서커, 파이어버그, 데몰리션. 이상 7개의 퍼크가 존재한다. 참고: 모든 퍼크의 설명은 Lv.6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Field medic[필드메딕][편집] 주력 무기: MP7M , MP5 Medic Gun 특화 장비: Medical syringe , Combat armour , Grenade (레벨 3부터) 특징 부상당한 팀원을 치료하는데 특화된 능력을 발휘한다. 모든 퍼크중 가장 빠른 이동속도, 가장 높은 방어력을 가졌으며 회복주사기의 높은 효율을 자랑한다. 때문에 일부 유저들은 버서커대신 메딕을 이용해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 MP7M이라는 기관단총이 주 무기이며 팀원에게 다트같은 회복주사를 발사하여 원거리에서 치료를 할 수도 있다. 레벨 3부터는 수류탄 투척시 폭발대신 초록색 회복연막이 발생하며 그 연막안에서는 체력회복이 지속적으로 된다. 플래쉬 파운드가 나타났을때 수류탄 연막안에서 버티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어떤 무기에도 특화되지 않아 공격력도 약하고 장전속도도 느리다는 단점이 있어 제대로 된 전투를 하기 힘들기때문에 아군이 전멸하고 혼자 살아남을시 생존할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 단, 일부 실력있는 유저들은 석궁과 카타나만 들고다니며 전투를 벌여 끝까지 생존하기도 한다. 하지만 메딕의 존재목적은 어디까지나 아군의 치료이기때문에 전투보다는 아군의 치료에 더욱 전념해야한다 Support specialist[서포트 스페셜리스트][편집] 주력 무기: Shotgun , Hunting shotgun , AA12, XM1014,HSG-1 특화 장비: Welder 특징 후방지원을 전문적으로 하는 퍼크. 샷건을 주 무기로 사용한다. 무기를 들 수 있는 무게가 24kg으로 많은 무기를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수류탄도 11개까지 들 수 있어 단일화력으로 최강의 파워를 낼 수 있다. 문 용접에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기때문에 비상시 혼자서 문을 막는동안 팀원이 재정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벌수도 있다. 모든 샷건무기의 공격력,관통력 향상의 능력이 붙어서 근접한 적들을 순식간에 쓸어버릴 수 있다. 단점은 샷건이라는 무기 특성상 원거리전투는 기대하기 어렵고 무기를 많이 가지고 다니면 이동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이며 최종무기인 AA12샷건의 생각보다 낮은 데미지로 준보스급 몬스터인 스크레이크나 플래시파운드를 상대하기에 약간 부족한 느낌을 준다.그러나 서포트 스페셜리스트의 레벨을 3이상 올릴경우 AA12샷건의 한 탄창을 모두 맞출경우 플래쉬파운드는 쉬운 적이 된다. 또한 5레벨 이상 올릴경우 샷건을 기본으로 준다. Sharpshooter[샤프슈터][편집] 주력 무기: 9mm Tactical Pistol, .44 Magnum, Handcannon, Lever-action Rifle, Crossbow, M14 EBR 특화 장비: 없음 특징 저격에 특화된 퍼크. 라이플과 석궁을 주 무기로 사용한다. 퍼크의 효과가 기본 권총에도 적용되어 권총 데미지와 재장전속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초심자들에게 가장 알맞은 퍼크이다. 특히 석궁의 경우 샤프슈터가 사용할 때 부가되는 공격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왠만한 적들은 단 한방에 쓰러트린다. 또한 라이플과 권총의 장전속도도 빨라지기때문에 재장전으로 인한 딜레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거리부터 근거리까지 흠 잡을 것이 없는 매우 무난한 밸런스의 퍼크. 단점을 따져보면 연사무기가 없으며 넓은범위의 공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난전에서 의외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주력 무기들은 극과 극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다 탄환이 적기때문에 후반부에서 총알이 부족한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Commando[코만도][편집] 주력 무기: Bullpup , AK , SCARMK17 , M4 특화 장비: 없음 특징 코만도는 돌격소총을 이용하여 전투에 임하는 퍼크이다. 사용무기의 차이점만 제외하면 샤프슈터와 유사한 퍼크이다. 특징은 투명화 중인 스토커를 볼 수 있는 능력, 적의 HP바 를 볼 수 있으며 Z.E.D Time을 4번 연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레벨이 낮을땐 매우 약한 퍼크지만 레벨이 올라가면 상당히 강력해진다. 단점이라면 레벨업이 대단히 어렵다는 것 그리고 고난이도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든 퍼크이다. 레벨업 특징으로 모든 무기의 재장전속도가 상승한다. 퍼크만의 특색있는 강점이 없어 잉만도라고 불리기도 한다. Berserker[버서커][편집] 주력 무기: Knife , Machete , Fire AXE , Chainsaw , Katana , Claymore Sword 특화 장비: 칼 특징 근접전투를 전문으로 하는 퍼크. 총대신 각종 근접무기로 전투를 벌인다. 근접무기의 공격력과 공격속도가 타 퍼크들보다 빨라진다. 메딕처럼 이동속도 향상(근접무기를 들었을때만), 방어력 향상과 함께 블로트의 담즙에도 내성이 있기때문에 어느정도 안심하고 싸울 수 있으며 최대의 장점은 클롯에게 붙잡히지 않아 이동이 차단될 염려가 없다는 것. 카타나의 공격력이 상당하며 Z.E.D Time을 4번 연장할 수 있다. 마음만 먹는다면 피해를 감수하고 플래시파운드를 혼자서 상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점이라면 역시 사이렌이나 허스크 같은 원거리공격형 적에게 매우 취약하다는 것. Firebug[파이어버그][편집] 주력 무기: Flamethrower, MAC-10 , 허스크 캐논 특화 장비: Grenade(단, 레벨3부터 적용) 특징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염방사기를 쓰는 퍼크. 화염방사기를 이용해 적을 불태워버리는 일을 담당한다. 적에게 불이 붙으면 근접한 적들에게 불이 옮겨붙게되고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주기때문에 몰려있는 적들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적들은 불에 어느정도 데미지를 입으면 혼란을 일으켜 마구 뛰어다니거나 자기편을 공격하므로 적의 진격을 막을때 유용하게 쓰는 것도 가능하다.[2] 또한 Lv.3 부터는 수류탄이 화염수류탄으로 변하며 이때 일반 수류탄의 폭발력은 사라진다.추가적으로Lv.3때 화염수류탄써서 화염방사기에 맞추면 폭발한다. 단점은 화염 자체의 공격이 약한편이고 화염방사기 이외에 쓸 무기가 전혀 없다는 것이며 또 다른 단점으로는 허스크에겐 불 공격이 거의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고레벨의 파이어버그또한 화염데미지가 없어 가끔씩 허스크와 파이어버그의 끝없는 대결이 일어나기도한다) 2010년 10월 7일 패치로 전용무기 MAC-10이 추가되었으며 부족한 공격력을 이 무기로 보완할 수 있다. Demolition[데몰리션][편집] 주력 무기: Pipe bomb , M79 , M32, M4 203, L.A.W 특화 장비: None 특징 폭발물 및 폭발형 무기를 다루는 퍼크이다. 몰려오는 적들에게 유탄이나 수류탄 을 이용해서 한꺼번에 폭사시키거나 적들의 진입로에 파이프 폭탄을 설치해서 날려버리기도 한다. 또한 수류탄을 최대11개까지, 파이프폭탄은 8개까지 소지할 수 있다. 매우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고 폭발성 무기에 내성이 있다. 폭발성 무기를 사용하기때문에 기습형 적인 크라울러나 스토커에게 취약한 모습을 보이며 근거리 공격시 폭발에 휘말려서 부상을 입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사이렌의 음파공격에 설치한 파이프폭탄이 파괴되기도 한다. 근접시 유탄공격은 무용지물이며 데미지는 절반으로 반감하지만 정조준을 이용해서 헤드샷을 노릴수도 있다. 그외의 단점으로는 공격시 연막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여 아군의 시야를 가리기도 한다는 것. 몬스터의 종류[편집] 몬스터 최초 출현 웨이브는 롱 웨이브(10Wave) 기준입니다. Clot[클롯][편집] 최초출현: 1 Wave 선홍색 피부를 가진 인간형 몬스터. 이동속도도 느리고 공격력도 약하지만 가장 큰 특징으로 플레이어를 붙잡는 능력이 있다. 이 녀석에게 잡힐경우 붙잡은 모든 클롯을 죽이지 않는 이상 움직이지 못한다. 페트리아크가 체력회복시 최초로 내보내는 몬스터. Gorefast[고어패스트][편집] 최초출현: 1 Wave 클롯의 강화판. 몸이 붉은색이다. 플레이어를 잡는 능력 대신 빠른 이동속도와 강력한 공격력으로 강화되었다. 특히 플레이어와 가까워지면 갑자기 빠른속도로 달려온다. 칼날을 휘두르는 공격력은 매우 강하며 이동중에도 공격이 가능하니 주의해야 한다. Crawler[크로울러][편집] 최초출현: 2 Wave 거미처럼 기어다니다가 기습 공격하는 몬스터. 어디선가 튀어나와(높은곳 등) 갑자기 공격한다. 또한 바닥에 기어다니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발견하지 못하고 놓치는 경우가 많다. 능력 자체는 약하지만 긴급상황에서 크로울러에게 당해서 죽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게다가 플레이어보다 이동속도가 빠르므로 항상 주의를 요하는 몬스터다. 페이트리아크가 두 번째 체력회복시 나타난다. (크로울러가 공격한 직후 크로울러가 무방비 상태로 있는데 버서커의 경우 이때 썰어주면 된다. -OkiDoking 수정) Bloat[블로트][편집] 최초출현: 1 Wave 매우 뚱뚱하고 큰 몸집을 지닌 몬스터. 가까이 다가가면 입에서 토사물을 뿜어내고, 근접하면 식칼을 휘두르며 공격한다. 토사물에 맞게되면 시야가 토사물로 인해 제한되고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입게된다. 블로트는 죽을때 몸이 터지면서 토사물을 사방으로 뿌리기 때문에, 버서커에겐 매우 처리하기 힘든 몬스터. 이동자체는 느리므로 멀리서 미리 제거해야한다.[3] Stalker[스토커][편집] 최초출현: 2 Wave 투명 기술로 몸을 감췄다가 바로 앞에서 나타나 공격하는 여성 몬스터. 코만도는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오면 스토커를 볼 수 있다. 공격력 자체는 그리 강하진 않으나 갑자기 뒤를 노리는등 전혀 예상하지 못한곳에서 나타날수도 있다. 언제나 특유의 목소리를 내며 다가오므로 소리에 신경을 써야한다. 페이트리아크가 세 번째로 체력회복을 할때 내보내는 몬스터. Siren[사이렌][편집] 최초출현: 3 Wave 양팔이 묶여있는 여성 몬스터. 귀를찢는 소음으로 공격을 가한다.[4] 가까이 붙으면 깨무는 공격을 한다. 음파공격은 방어복을 무시하고 직접적으로 데미지를 입힌다. 몸이 작은 편이라 몰려오는 적들속에 파묻혀 있으면 보이지 않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렌의 음파공격은 설치한 폭탄이나 수류탄을 음파로 부숴버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렌 여러명이 동시에 소리를 지를경우 데미지가 중첩되어 즉사할 수도 있으니 절대 주의해야 한다. 때문에 어떤 클래스든간에 제일 먼저 처리해야할 대상이다. Husk[허스크][편집] 최초출현: 2 Wave 화염 덩어리를 발사하는 몬스터. 사이렌처럼 적들 속에 파묻혀오기 때문에 미리 발견하더라도 눈앞의 적들때문에 일찍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허스크의 화염공격을 직격으로 맞게되면 상당한 피해를 입으니 주의해야한다. 준보스에 약간 못미치지만 체력은 어느정도 있는편. 화염을 쓰는 몬스터라 파이어버그의 화염공격이 통하지 않는다. 방어력이 의외로 약해 강한 공격을 당하면 경직되어버리는 특징이 있다. 유일하게 장거리에서 정확하고 치명적인 공격을 할 수 있는 제드라 허나이퍼라고도 불린다 Scrake[스크레이크][편집] 최초출현: 5 Wave 전기톱을 사용하는 준보스급 몬스터. 강력한 방어력과 높은 체력, 강한 공격력을 가졌다. 데미지를 입거나 플레이어가 일정 거리 안으로 들어오면 갑자기 달려와 공격을 한다. 이 몬스터는 도끼, 카타나, 혹은 전기톱의 강타공격에 경직해버리는 특징이 있다. [난이도에따라다름] 추가로 6레벨 샤프슈터의 경우, 레버 액션 소총으로 머리를 맞추면 경직 효과가 있다. 등장할때 특유의 전기톱 소리가 난다. 외모때문에 제이슨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크레이크를 볼 경우 SC라고 입력해서 위험을 알리자 - OkiDoki) (추가사항:스트레이크는 폭발대미지를반감시키기때문에 데몰리션한테는 약간위험한인물) Fleshpound[플레시 파운드][편집] 최초출현: 7 Wave 일반 몬스터중 가장 강력한 준보스급 몬스터. 배에 노란색 전구를 달고 다닌다. 스크레이크보다 높은 체력, 방어력, 공격력을 가졌다. 배에 붙은 전구는 기본적으로 노란색으로 빛나고 있지만, 공격을 받거나 플레이어가 가까이 있으면 빨간색으로 변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달려와 공격을 한다. 방탄복이 없을경우 단 한방에 죽을 수도 있다. 빨간불이 들어온 상태에서는 매우 빠르게 달리면서 마구잡이로 공격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팀이 순식간에 전멸하기도 한다. 플레시 파운드는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자신이 지정한 사람만을 쫓고 공격하는 특징이 있다. 수류탄에 공격당하면 최대체력의 50%에 달하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때문에 수류탄 2발로 처리가 가능하다. (단, 폭발의 중심에 있어야 함,난이도와 플레이어 수에 따라 안 죽을 수도 있음) 폭주시에는 자신의 앞에 있는 적(몬스터)도 분쇄시키기도한다. 별명은 박대리,밧대리 라고 불린다.(초기 킬링플로어 한글패치에서 배터리,박대리 등으로 번역해 패치를 해버리는 바람에 생긴 별명들) 또 fp 라고 치기도한다. (외국서버에서 자주쓰는 약자] [수정-리흠] Patriarch[페트리아크][편집] 최초출현: 11 Wave 킬링플로어의 최종 보스로서 모든 웨이브를 클리어하면 등장한다. 혼자서 등장하지만 다양한 무기를 보유하고 있고 엄청난 이동속도를 가지고있다. 원거리에선 로켓런처, 체인건을 사용하며 근거리에서는 주먹질, 촉수공격을 한다. 특히 로켓런처의경우 명중당할시 즉사하게되며 체인건도 근거리에서 공격당할 경우 순식간에 사망할 수 있다. 전투시 일정데미지를 입으면 투명화 능력을 써서 도망간다음 몬스터들을 내보내고 자신은 체력회복을 한다.[5] 이후 투명화 상태로 플레이어들에게 다가와 근접공격을 행하게 된다. 페이트리아크가 도망치면서 내보내는 몬스터는 3종류이며, 처음에는 클롯만 내보내다가 두 번째에는 크라울러가 추가되고 세 번째로는 스토커가 추가된다. 도전과제중에 이 몬스터를 L.A.W로켓으로 처리하는 것도 있다. (Patriarch는 단 3번의 치료기회가 있다. OkiDoki) 플레이 맵의 종류[편집] 킬링플로어는 개발사에서 직접 제작한 오피셜 맵과 유저들이 제작한 비공식맵이 있다.(일반맵, 언오피셜맵등 여러가지로 부른다.) 원래 유저들의 자작맵은 경험치 획득이 불가능했으나 개발사에서 직접 테스트를 거친 비공식맵을 공식화시켜 화이트리스트 라는 목록에 포함을 시켜 경험치 획득이 가능하게 바뀌고 있다.[6] 하지만 너무 쉬운 난이도의 맵은 화이트리스트에 추가되지 않으니 쉬운 레벨업은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그리고 2010년 10월 업데이트로 추가된 맵들은 모두 넓고 상점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특징이 있다. 공식 맵의 기준은 게임 최초 설치시 함께 설치되는 맵 입니다. 비공식맵이 너무 많은관계로 삭제하며 공식맵만 소개합니다. Abusement Park[편집] 이번 Summer Side Show 업데이트때 같이 나온 맵. 서커스장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있다. 맵의 분위기도 전체적으로 밝은편이고, 장애물이 많은편도 아니다. 이곳의 방어포인트는 철장 안에서 버서커가 앞을 막아주고 메딕이 뒤에서 치료해주는 형식으로 디펜스하는 것이 있다. 그 외에도, 공이 3개 있는 장소에서 막는 방법도 있다. 버서커의 Run-Hit 플레이도 어려운 편이 아니다. 이 맵이 나옴과 동시에 SteamPunk 캐릭터가 같이 발매되었다. Bedlam[편집] 유령의집 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폐가. 정말 어두운 맵이라 손전등을 필수로 활용해야 한다. 맵은 넓은편이며 길도 좁고 복잡하기때문에 잘못하면 적들에게 앞뒤로 포위될 위험이 높다. 방어포인트는 저택 중앙의 작은 정원의 2층이며 문들을 모두 용접한 뒤 남은 문과 계단을 막는방식이다. 어두운 맵이라 상당히 음산하기때문에 호러FPS라는 느낌을 가장 강하게 받을 수 있는 맵이다. 참고로 스토리설정상 DJ scully가 활동하던 나이트장이기도 하다. BioticsLab[편집] 호라이즌사의 지하 연구소 맵. 킬링플로어의 스토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지역이다. 매우 어둡고 섬뜩한 분위기를 자랑하며 미로처럼 얽힌 좁은 통로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점은 상층, 중간층, 하층에 각각 한개씩, 총 3개가 존재한다. 좁은통로 특성상 샷건이나 관통형 무기를 이용하거나 문을 용접하고 앞에 폭탄을 설치하는 전술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방어포인트는 중간층의 상점 맞은편 방이며 상점 앞의 문은 주로 용접을 시켜 막아놓는다. 적들이 3방향에서 몰려오며 통로가 좁기때문에 적은 인원으로도 방어가 가능하다. 단, 옆방의 용접한 문이 부서지게되면 매우 위험하니 문 용접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이후 패치가 이루어져 이 방의 천장에서 크라울러나 스토커가 내려오니 주의를 요한다. 또다른 포인트는 시작지점인데, 역시 3방향에서 적이 몰려오지만 통로가 길고 엄폐물이 있어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다. Crash[편집] 눈이 내리는 겨울의 어느 폐공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큰 인기를 끌지 않는 맵이며 방어포인트는 헬기가 천장을 뚫고 내려온 정사각형의 통로가 있는 2층 복도. Departed[편집] 비공식 맵이었지만 적절한 밸런스로 인해 공식맵으로 등록된 대표적인 맵. 해변가의 공장이 배경으로 시내와 공장, 지하통로로 크게 3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점은 4곳이 존재하며 시내와 지하통로에 있는 공장은 매우 멀리 떨어져있어 시간이 촉박한편. 주요 방어장소는 시작지점 상점 정면 건물의 1층 창고와 해당건물 2층 사무실로 2군데가 존재한다. 특히 2층 사무실의 경우 진입로가 옆거물과 다리로 이어져 있어 길고 좁은 통로를 이용해 방어가 매우 유리한편이다. 현재 버그로 기차의 끝자락에 위치한 건물의 옥상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이 버그를 이용하면 혼자서도 클리어가 가능하다. 맵의 구조는 대체로 복잡한편이며 특징이 없어 별다른 인기를 끌지 못하는 맵이다. (새로운 방어포인트)스폰시 시작하는 건물에서 안쪽으로 들어가면 락커룸이 있다. 그곳 건물 안쪽문은 용접하고 바깥쪽문에서 버서커가 앞장 서서 막는 방식이 있다. Farm[편집] 필드형 맵인 농장으로서 매우 넓은 맵으로 이루어져있다. 상점이 4곳이 있으나 각각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전투를 치르면서 상점으로 이동해야한다. 맵 특성상 몬스터들이 사방에서 몰려오기때문에 의외로 포위될 위험이 매우 높은 맵이다. 또한 맵이 어둡기때문에 몬스터가 잘 보이지도 않는 위험이 있다. 특별한 방어포인트는 없으며 팀이 항상 뭉쳐다니면 위험성은 많이 줄어든다. 적과 교전중 이동을 멈추면 그 즉시 적들에게 포위되니 이동중 사격을 할 수 있는 높은 실력이 요구된다. 먼저 웨이브가 시작하면 근처의 아무 건물안에서 대기하였다 적의 수가 위협적이지 않을 수준으로 줄었을때 이동도 생존률을 높인다. FilthsCross[편집] 지하철역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영국의 지하철을 배경으로 했으며 복잡하게 얽힌 미로같은 좁은 통로들로 이루어져있다. 디펜스포인트로는, 지하에 양쪽 철창문이 있는 곳에서 용접을 하고 막으면 된다. 문을 뚫고 관통샷이 가능하다. Foundry[편집] 호라이즌사 소유의 공장을 배경으로 한 맵으로서 기괴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맵이 상당히 복잡해서 길을 잃기 쉬운편이다. 방어포인트는 가장 상층부의 1층이 내려다보이는 통로지역이다. 양쪽 끝부분에 문이 존재하며 보통 상점쪽 문을 막고 방어를 하지만 맞은편의 통로를 방어할 경우 더욱 쉽게 적을 막을 수 있다. 그다지 인기를 끌지는 못하는 맵이다. IceBreaker[편집] 폭풍속에 표류하는 원자력 쇄빙선을 배경으로 한 맵. 게임내내 폭풍이 몰아친다. 여전히 맵이 복잡한편이지만 여타 다른 맵에 비해서 그 난이도는 낮은편이다. 상점들이 각각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때문에 아예 상점에 도착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있다. 방어포인트는 특별한 포인트는 없으며 주로 선박 화재가 발생한 갑판의 위층에서 주로 방어를 한다. Manor[편집] 교외의 어딘가에 위치한 폐가를 배경으로 하고있다. 맵도 작고 상점이 5개나 있기때문에 시간이 촉박한 상황은 거의 오지 않는다. 폐가와 지하통로, 동굴로 이루어져 있다. 동굴의 입구는 3개가 있는데 각각 헬기쪽, 상점쪽, 폐가쪽으로 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맵의 방어포인트는 폐가쪽 동굴출입구이며 동굴 특성상 통로가 좁기때문에 매우 유리한 방어가 가능하다. 뒤로 오는 적들은 어떤 퍼크라도 혼자서 틈틈이 처리가 가능하며 가끔 플래시파운드가 뒤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한다. Offices[편집] 폭풍이 치는 밤 사무실 빌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미 몬스터들이 들이닥친뒤라 맵 여기저기 시신들이 널려있다. 좁고 높은 빌딩이라 좁은 통로와 많은 사무실들이 존재하며 상점은 4개가 있다. 방어포인트는 옥상바로 아래층의 옥상으로 통하는 문 바로 앞이며 이곳에서 대부분의 문을 용접한뒤 전투를 치르게 된다. 맵이 좁기때문에 팀원이 많을수록 유리한 맵이다. (새로운 방어포인트) 스폰했을때 바로 앞쪽에 상점이 있을것이다. 거기에서 뒤쪽 문을 용접한 뒤, 앞쪽만 보고 막으면 된다. 꽤나 편리한 장소이다. Waterworks[편집] 하수도 정화시설을 갖춘 물공장. 맵이 약간 복잡한편이다. 3인이 막는 장소로는, Pumping Station(펌핑스테이션) 구역쪽에 가보면 양쪽 문이 있고 한쪽이 뚫린곳이 있다. 그곳에서 막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하지만 사람이 많을때에는 별로 효율을 못보인다. WestLondon[편집] 킬링플로어의 주 무대인 웨스트 런던. 크게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치가 되어있으며 4개의 상점이 존재한다. 주요 방어 포인트는 경찰서 옆에 있는 다리아래의 구역이며 몬스터들은 경찰서 정문방향에서 많이 몰려온다. 적들이 등장하는 포인트가 매우 많고 특히 다리위에서 떨어지는 크라울러와 스토커가 많기때문에 이동식 전투를 벌일경우 사방에서 몰려오는 적들을 주의해야한다. 가장 치명적인 단점으로 막다른곳이 전혀 없기때문에(맵 구조상 막다른곳은 존재하지만)몬스터들은 사방에서 출현한다. 가장 유의해야 할 사장. 이 맵은 매우 인기가 좋으며 웨스트런던 나이트버전도 존재한다. Wyre[편집] 숲속에 위치한 Stalker들을 만들던 시설이 있는 맵. 저녁노을이 지고있어 매우 음산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맵의 구조는 크게 지상과 지하로 나뉘고 있다. 상점은 4개가 존재한다. 지상은 숲으로 되어있고 지하는 복잡한 통로로 얽혀있어 길을 잃기 쉬운편이다. 스토리상 몬스터의 실험을 비밀리에 진행하던 호라이즌사의 시설이었기 때문이다. Mountain Pass[편집] 스토리상 탈출하던 대원들의 헬기가 추락하며 산 중턱에 추락하게된다. 계곡을 건널 수 있는 다리는 끊겼고 반대쪽 터널도 붕괴되어 고립된 상황에서 몬스터들과 싸워야 한다. 여타 맵들과는 다르게 탁 트인, 정오의 밝은곳에서 전투를 벌이게 된다. 상점은 4개가 존재하나 맵이 넓어서 각각의 거리가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때문에 신속한 이동을 필요로 한다. 나무가 울창한 산과 중턱의 도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은 빽빽하게 들어찬 나무가 많은 문제를 일으키니 가급적 넓은곳으로 나와서 싸워야한다. Biohazard[편집] 생체실험을 하던 연구시설인 호르진사의 또다른 시설로서 곳곳에 시체가 널려있다. 상점은 4개가 있지만 각각 멀리 떨어져 있기때문에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한다. 대부분이 좁고 긴 통로가 많아서 화력적인 무기가 빛을 발한다. Suburbia[편집] 폐허가 된 마을이며 맵이 전체적으로 상당히 어둡다. Hospital Horrors[편집] 실험체들이 휩쓸고 지나간듯한 어느 병원. 구역질이 날 정도로 곳곳에 그로데스크한 상황이 연출되어 있고 분위기도 매우 나쁜곳이다. 상점은 4개가 있지만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시간을 잘 맞춰야 한다. 미로처럼 얽힌 좁은 통로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길을 잃기 쉽고 앞뒤로 포위당할 위험이 매우 높다.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게임랭킹스72.67% (24 reviews)[7]메타크리틱72/100 (30 reviews)[8]평론 점수평론사점수유로게이머7/10[9]게임스팟7.5/10[10]IGN7.5/10[11] 각주[편집] ↑ 게임 내에서도 절반쯤 돌연변이화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 화염방사기는 스크레이크나 플래시파운드를 상대하기에도 손색이 없다. 체력이 깍이는 속도는 느리지만 불이 꺼질때까지 치명적인 데미지를 계속 입히기 때문이다. ↑ 레프트4데드의 부머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부머처럼 몬스터를 끌어들이는 능력은 없다. ↑ 소리가 매우 크기때문에 헤드셋을 끼고 플레이 하는 유저는 주의할것. 실제로 사이렌의 음파공격에 놀라거나 귀가 아파서 헤드셋을 내던지는 유저도 있다. ↑ 이때 보스를 따라가보면 다리에 꽃아둔 체력엠플을 몸에 주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디펜스방식의 맵은 통과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 ↑ “Killing Floor”. GameRankings. 2009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Killing Floor”. Metacritic. 201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Killing Floor”. Eurogamer. 2009년 5월 28일.  ↑ “Killing Floor Review”. GameSpot. 2009년 5월 26일. Visually, Killing Floor compares poorly with contemporary shooters, thanks to its five-year-old engine(...)The sound effects are outstanding, especially for guns, and you can often use subtle sound clues to detect incoming enemies. Unfortunately, the voice acting and soundtrack don't achieve the same level of quality(...)Meanwhile, derivative, generic metal music does little to improve the tone(...)It's absurd and crass, and yet you can't help but enjoy it  ↑ “Killing Floor Review. 28 Days Later meets Left 4 Dead”. IGN. 2009년 5월 20일.  외부 링크[편집] 킬링플로어 영문위키 킬링플로어 공식 홈페이지 트립와이어 인터렉티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킬링_플로어&oldid=24198976" 분류: 2009년 비디오 게임미국의 비디오 게임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윈도우 게임1인칭 슈팅 게임2005년 비디오 게임리눅스 게임MacOS 게임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2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1: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킬링 플로어》(영어: Killing Floor)는 Tripwire Interactive사에서 개발한 6인 협동 호러FPS게임이다. 플레이어는 6명이 협동하여 7개의 전투병과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정시간마다 몰려오는 적들을 물리치고 끝까지 살아남는 것이 목표이다. 일반 패키지로도 발매가 되었지만 국내에서는 스팀으로만 판매하고 있다. 이 게임은 소스가 공개되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대규모 서버들이 가동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근접무기 칼은 어떤 약점들을 가지고 있는가? Assistant: 짧은 사정거리, 약한 공격력
Human: 아래 손수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손수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손수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손수현출생 1988년 2월 29일(1988-02-29) (31세)대한민국 인천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13년 ~ 현재소속사 에스더블유엠피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웹사이트 에스더블유엠피 손수현손수현 - 트위터손수현 - 인스타그램 손수현(1988년 2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2.2 영화 3 그 밖의 활동 3.1 뮤직비디오 3.2 CF 4 수상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국립국악고등학교 국악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악 전공 (석사)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 제목 역할 비고 2015 KBS2 블러드 민가연 OCN 실종느와르 M 반효정 2016 SBS 퍽 남성실 2017 tvN 막돼먹은 영애씨 16 손수현 JTBC 한여름의 추억 최소이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테이크 아웃 수진 신촌좀비만화 <유령> 여우비 간신 사냥터 아낙 특별출연 2015 오피스 신다미 2016 동호, 연수를 치다 조연수 2017 돌아온다 주영 그 밖의 활동[편집] 뮤직비디오[편집] 2013년 <처음엔 사랑이란게> - 버스커버스커 2014년 <Coin Laundry> - 왁스 CF[편집] 2013년 오제끄 2013년 롯데제과 - 가나 초콜릿 (with 김영광) 2013년 캐논 2013년 SK플래닛 - 런처플래닛 2014년 피에르 파브르 더모코스메틱 코리아 - 아벤느 CPI 진정크림 2015년 테팔 - 무빙에어 드라이기 2016년 헉슬리 수상[편집] 2014년 제9회 아시아 모델 시상식 CF 모델상 외부 링크[편집] 손수현 - 트위터 손수현 - 페이스북 손수현 미니홈피 - 싸이월드 손수현 - 인스타그램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손수현&oldid=23968138"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인천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국악고등학교 동문이화여자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4일 (목) 19: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손수현(1988년 2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손수현은 2016년에 무슨 CF를 찍었는가? Assistant: 헉슬리 Human: 아래 사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한다.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다. 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력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면서 점차 정치적 영향력이 커져갔다. 그러던 중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훈구 세력의 불만이 폭발하였고, 양 세력간의 갈등으로 사화가 발생하게 된다. 사화는 사림 세력의 역사적 성장이라는 추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이를 통해서 사림들은 많은 피해를 입기는 하였으나 지방의 서원이 향약을 기반으로 지지기반을 확산하는 등 성장을 계속하여 선조 이르면서 중앙 정계의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며, 이후 사림 정치를 주도하였다. 목차 1 배경 2 4대 사화 2.1 무오사화 2.2 갑자사화 2.3 기묘사화 2.4 을사사화 3 종류 3.1 사화 3.2 옥사 3.3 환국 3.4 박해 4 함께 보기 배경[편집] 성종 때에는 훈구 대신과 사림이 정치적 입장은 달랐어도 서로간의 직접적인 충돌은 없었다. 오히려 두 세력은 서로 협력하여 《경국대전》을 비롯하여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등 기념비적인 편찬사업을 마무리하였다. 여기에는 훈신 중에도 서거정·노사신·최항·양성지 같은 이들은 원성을 듣던 인물이 아니었고, 또 양파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 성종의 뛰어난 정치적 역량과도 관계가 깊었다. 세조 때 현직자와 퇴직자에게 아울러 주던 과전법을 폐지하고 현직자에게만 주는 직전법으로 개편한 것은 조선시대의 토지제도가 가지는 한계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것조차 실시할 수 없어서 직전법도 폐지되고, 이제는 새로이 관리가 되더라도 국가로부터 아무런 땅도 받을 수가 없게 되었다. 그가 가질 수 있는 것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뿐이었다. 신진관료는 여기에 불만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불건전한 토지 제도를 개혁하자는 주장이 그들 사이에 점차로 일어나게 되었다. 이 토지 문제를 에워싼 신·구의 대립이 귀족간의 분열과 파쟁을 일으킨 또 하나의 원인이었다. 토지 문제를 에워싼 신·구파의 대립은 다른 면에서 볼 때에는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이었다. 비록 음성적인 대립이었다고 하더라도 명군(名君) 성종이 있는 동안은 그것이 노골화하지는 않았으나 폭군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드디어 폭발하게 되었다. 4대 사화[편집] 사화 발생 연도 발생 원인 가해자 피해자 무오사화 1498년 김종직의 〈조의제문〉 사건 유자광, 연산군 김종직, 김일손, 김굉필, 권경우, 이목, 허반, 임희재(임사홍 아들), 표연말, 정여창 [홍귀달] 갑자사화 1504년 폐비 윤씨 사건, 연산군 왕권 강화 계획 연산군 윤필상, 이극균, 김굉필 이세좌, 한명회, 귀인 정씨, 엄귀인, 인수대비, 정찬손, 심회, 정안지, 한치형, 이극균, 성준, 조지서, 정성근, 정인인, 이승건, 홍한, 김천령 기묘사화 1519년 조광조의 개혁 정치 반발 남곤, 심정, 홍경주, 중종 조광조와 그의 추종자들 을사사화 1545년 소윤과 대윤의 권력 싸움 소윤 윤임,유관, 유인숙, 계림군, 봉성군, 이덕응, 정희, 정욱, 나식 무오사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무오사화입니다.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에 일어났으며, 사초(史草) 때문에 일어났다고 하여 무오사화(戊午史禍)라고도 부른다. 연산군(1494~1506)이 즉위하면서 서로 협력하던 훈구파와 사림파의 사정은 달라졌다. 원래 시재(詩才)와 감성이 뛰어난 그의 어머니(성종의 비, 폐비 윤씨)가 신하들의 충돌로 죽게 된 것을 알고 훈구 대신과 사림을 모두 누름으로써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다. 학덕 있는 훈구 대신들은 대부분 사망하고, 사림 세력은 더욱 커져서 그들의 분방한 언론(言論) 활동이 왕의 노여움을 사는 일이 많았다. 이런 분위기를 이용하여 평소 사림의 공격을 받아 수세에 몰려 있던 훈구 대신의 잔류 세력인 유자광 등은 1498년(연산군 4년) 김일손이 지은 사초를 문제 삼아 왕을 충동하여 김종직(金宗直)과 관련이 있는 김일손·표연말(表沿末)·정여창(鄭汝昌)·최부(崔溥) 등 수십 명의 사림을 사형·유배 혹은 파직케 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김종직 문인으로 구성된 영남 사림이 대부분 몰락하고 말았다. 갑자사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갑자사화입니다. 갑자사화(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에 일어난 사화이다. 사림을 정계에서 몰아낸 후 연산군은 훈구 대신마저 제거하여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다. 그러던 중 연산군을 싸고도는 척신(戚臣)들이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尹氏)의 폐비사사(廢妃賜死) 사건에 윤필상(尹弼商) 등 훈신이 관여했음을 폭로하여 이 사건에 관련된 훈신과 아직 남아 있던 사림까지 몰아냈고. 특히 가족. 제자 처벌하였다.... 기묘사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기묘사화입니다. 기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년)에 조광조 일파를 견제하기 위해 일어난 사화이다. 두 차례의 사화로 쓸 만한 인재들을 처단하고 난 뒤 연산군의 음탕과 사치는 심해지고, 관리들에게 ‘신언패(愼言牌)’라는 패쪽을 차고 다니게 하여 말조심을 하도록 억눌렀으며, 자신의 행동을 비난하는 글이 국문으로 쓰였다 하여 국문학습을 탄압하고 국문서적을 불사르기도 했다. 연산군의 학정에 견디다 못한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 훈구 대신들은 군대를 동원해 연산군을 추방하고 그의 이복동생을 왕으로 추대했다. 이것이 ‘중종반정’(中宗反正, 1506년)이다. 백성과 사림의 여망 속에 왕이 된 중종은 사림을 다시 등용하고 도학(道學)을 숭상하여 무너진 유교정치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 특히 1515년(중종 10년)에 젊고 깨끗한 조광조(趙光祖)가 중용되면서 그를 추종하는 젊고 기개 있는 사림이 현량과(賢良科)라는 추천제도에 의해서 대거 등용되었다. 이때 등용된 사림은 기호출신이 많아 기호사림으로도 불린다. 이들의 가문은 조선 초기에 큰 벼슬을 지낸 훈신의 후예들이 적지 않았으나, 체질적으로는 전형적인 성리학자로 변신해 있었다. 조광조 일파는 삼사(三司)의 언관직에 포진하여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公論)이라고 표방하면서 급진적 개혁을 요구하고 나섰다. 즉 연산군의 학정에 대한 경험에서 무엇보다도 군주의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어 경연을 강화하고 언론활동을 활성화했으며, 내수사 장리의 폐지, 소격서(昭格署)의 폐지, 그리고 향촌 사회에서 향약(鄕約)의 실시와 《삼강행실》, 《이륜행실(二倫行實)》, 《주자가례》, 《소학》의 보급, 균전제 실시를 통한 토지집중의 완화, 방납 폐단의 시정 등을 주요정책으로 내세웠다. 사림의 정책들은 지방 중소지주층의 이익을 크게 반영하고, 농민의 부담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이었으나, 중종반정에 공을 세운 공신들에게는 불리한 것이었다. 특히 조광조 일파는 공신에 책봉된 100명 가운데 4분의 3은 부당하게 공신이 되었으므로 그들의 공신 칭호와 토지 및 노비를 몰수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공신들의 원한을 샀다. 또 공신들은 의정부와 6조의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삼사(三司)에 포진한 사림의 견제가 공신들에게는 불만의 원인이 되었다. 그들은 언관(言官)의 권한이 너무 큰 것은 나라를 어지럽게 할 뿐 아니라, 《경국대전》의 권력체제를 무너뜨리는 위험한 행동으로 비판하였다. 중종은 처음에 사림을 신임했으나, 나중에는 지나치게 군주를 압박하는 데 싫증을 느꼈다. 이런 분위기를 이용하여 1519년(중종 14년) 남곤(南袞)·심정(沈貞) 등 훈구 대신들은 조광조 일파에게 반역죄의 누명을 씌워 무참하게 죽이거나 유배보냈다. 이것이 기묘사화(己卯士禍)이다. 이 사건으로 사림의 개혁정치는 4년 만에 끝나고, 그들이 추진했던 정책도 대부분 폐지되었다. 그러나 이때 화를 입은 조광조·김정(金淨)·김식(金湜)·김구(金銶)·기준(奇遵) 등은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높은 추앙을 받아 16세기 후반에 사림 시대를 여는 정신적 바탕이 되었다. 을사사화[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을사사화입니다. 기묘사화가 있은 지 10년 뒤에 중종은 훈구 대신들을 견제하기 위하여 다시 사림을 등용했으나, 1545년에 명종(明宗)이 즉위하면서 일어난 소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또다시 밀려나는 네 번째 화를 입었다. 이 사건은 외척(外戚)간의 권력싸움에서 빚어진 것이 다른 사화와 다르다. 즉 중종이 돌아가자, 첫째 계비(莊敬王后)의 소생인 인종(仁宗)이 즉위하고 왕비의 동생인 윤임(尹任, 大尹)이 세력을 떨쳤으나,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타계하자 둘째 계비인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명종(明宗)이 왕위에 올랐다. 명종 역시 어린 관계로 왕후가 수렴청정하고 동생인 윤원형(尹元衡, 小尹) 일파가 실권을 장악했는데, 집권하자마자 전 왕의 외척인 윤임(尹任) 일파를 몰아낸 것이다. 명종 때에는 문정왕후가 불교를 숭신하여 보우(普雨)를 봉은사(奉恩寺) 주지로 삼고 선교 양종을 다시 부활하여 오랜만에 불교가 중흥하였으나 사림의 비난을 샀다. 또 북방이 어수선하고, 임꺽정 일당이 경기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종류[편집] 사화[편집] 무오사화 : 1498년 갑자사화 : 1504년 기묘사화 : 1519년 을사사화 : 1545년 정미사화 : 1547년 신임사화 : 1722년 옥사[편집] 신사무옥 : 1521년 기유옥사 : 1549년 기축옥사 : 1589년 계축옥사 : 1613년 을해옥사 : 1755년 환국[편집] 경신환국 : 1680년 기사환국 : 1689년 갑술환국 : 1694년 신축환국 : 1721년 을사환국 : 1725년 정미환국 : 1727년 박해[편집] 신해사옥 : 1791년 신유사옥 : 1801년 기해사옥 : 1839년 병오사옥 : 1846년 경신사옥 : 1860년 병인사옥 : 1866년 함께 보기[편집] 환국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대립과 분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화&oldid=24046424" 분류: 사화붕당1498년 한국1504년 한국1519년 한국1545년 한국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0: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5차례의 옥사를 말한다.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4화비숙청사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다. 성종 때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한 사림 세력은 훈구 세력의 비리를 규탄하면서 점차 정치적 영향력이 커져갔다. 그러던 중 연산군이 즉위하면서 훈구 세력의 불만이 폭발하였고, 양 세력간의 갈등으로 사화가 발생하게 된다. 사화는 사림 세력의 역사적 성장이라는 추세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이를 통해서 사림들은 많은 피해를 입기는 하였으나 지방의 서원이 향약을 기반으로 지지기반을 확산하는 등 성장을 계속하여 선조 이르면서 중앙 정계의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며, 이후 사림 정치를 주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연산군이 즉위한 후 훈구 대신과 사림의 위세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되었는가? Assistant: 연산군(1494~1506)이 즉위하면서 서로 협력하던 훈구파와 사림파의 사정은 달라졌다. 원래 시재(詩才)와 감성이 뛰어난 그의 어머니(성종의 비, 폐비 윤씨)가 신하들의 충돌로 죽게 된 것을 알고 훈구 대신과 사림을 모두 누름으로써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다. 학덕 있는 훈구 대신들은 대부분 사망하고, 사림 세력은 더욱 커져서 그들의 분방한 언론(言論) 활동이 왕의 노여움을 사는 일이 많았다. 이런 분위기를 이용하여 평소 사림의 공격을 받아 수세에 몰려 있던 훈구 대신의 잔류 세력인 유자광 등은 1498년(연산군 4년) 김일손이 지은 사초를 문제 삼아 왕을 충동하여 김종직(金宗直)과 관련이 있는 김일손·표연말(表沿末)·정여창(鄭汝昌)·최부(崔溥) 등 수십 명의 사림을 사형·유배 혹은 파직케 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김종직 문인으로 구성된 영남 사림이 대부분 몰락하고 말았다.
Human: 아래 후포항_(울진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후포항 (울진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포항 (울진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후포항 후포항(厚浦港)은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에 있는 항구이다. 1970년 연안항으로 지정되었다. 좌표: 북위 36° 40′ 40″ 동경 129° 27′ 26″ / 북위 36.6777068° 동경 129.4572669°  / 36.6777068; 129.4572669 (후포항) 빙장말 남서단에 있는 항구로 연안화물선, 어선 등이 이용하는 다목적 항만이며, 어업 및 수산물 유통기지 항이자 연안화물 수송의 거점 항이고, 부근 해역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모항이며 피항지로 큰 역할을 한다. 이 항의 북쪽에 석회석을 선적 수송하는 사설항인 제동항이 있다. 어촌계원 790여명, 어선 17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어종은 대게, 문어, 대구 등이다. 목차 1 항해정보 2 해상구역 3 육상구역 4 후포항 어항구 5 각주 항해정보[편집] 목표물로는 후포등대(등고 64m)가 가장 좋으며 냉동 공장의 연돌이 현저하다. 이 항은 겨울철에 계절충이 발달함에 따라 서~북서풍이 특히 강하며 여름철에는 동~남풍이, 겨울철에는 북~남풍이 많이 분다. 항의 입구가 남동쪽으로 열려 있어서 동물이 불 때 풍랑이 심하다. 항내 수심 2.3~8.5m, 저질은 모래여서 비교적 안전하게 표박할 수 있으나 항내 동쪽 안벽 앞에 반지름 165m의 원호 내는 선회장으로 지정되어 묘박을 금지하고 있다. 항 입구의 해안 부근에는 정치망과 양식장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입출항시 해안 쪽으로 면류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운항하여야 한다. 해상구역[편집] 동방파제 기점으로부터 북위 36도 40분 10.76초, 동경 129도 27분 25.48초 지점을 연결한 선과 그 점에서 73도로 북서쪽 육지를 향하여 그은 선 안의 해면 육상구역[편집] 국토해양부장관이 관할 시·도지사와 협의한 후 중앙항만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고시한다. 후포항 어항구[편집] 경상북도지사는 어업인 공동작업장 건립으로 어업인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어항구를 다음과 같이 지정하였다.[1] 명칭 : 후포항 어항구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1165-2번지 면적 : 3,840m2(도로 1,350m2 포함) 이용선박 : 자망, 통발, 복합어업 허가를 득한 소형어선 조건 울진군은 어항구 위치 및 구역과 이용목적 등을 사람이 잘 보이는 곳에 게시하여야 함. 국토해양부장관이 항만개발 및 운영상 필요하여 분구의 변경 또는 폐지, 취소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야 함. 울진군은 어항구 이용 및 사용에 따른 민원발생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민원발생시 전담 해결하여야 함. 각주[편집] ↑ 경상북도 고시 제2009-406호, 《후포항 어항구 지정 고시》,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보 제5359호, 2009-09-14 vdeh 대한민국의 지정항무역항 경인항 인천항 서울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태안항 보령항 장항항 군산항 목포항 완도항 여수항 광양항 하동항 삼천포항 통영항 장승포항 옥포항 고현항 마산항 진해항 부산항 울산항 포항항 호산항 삼척항 동해항 묵호항 옥계항 속초항 제주항 서귀포항 연안항 용기포항 연평도항 대천항 비인항 상왕등도항 송공항 홍도항 대흑산도항 갈두항 가거향리항 진도항 갈두항 화흥포항 신마항 녹동신항 거문도항 나로도항 국도항 중화항 부산남항 구룡포항 강구항 후포항 울릉항 주문진항 추자항 애월항 한림항 화순항 성산포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후포항_(울진군)&oldid=23964381" 분류: 경상북도의 항구울진군의 교통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4일 (목) 08: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후포항(厚浦港)은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에 있는 항구이다. 1970년 연안항으로 지정되었다. 빙장말 남서단에 있는 항구로 연안화물선, 어선 등이 이용하는 다목적 항만이며, 어업 및 수산물 유통기지 항이자 연안화물 수송의 거점 항이고, 부근 해역에서 조업하는 어선들의 모항이며 피항지로 큰 역할을 한다. 이 항의 북쪽에 석회석을 선적 수송하는 사설항인 제동항이 있다. 어촌계원 790여명, 어선 170여척이 조업하고 있으며, 주요어종은 대게, 문어, 대구 등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후포항 어항구의 정보는? Assistant: 명칭 : 후포항 어항구 위치 : 경상북도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 1165-2번지 면적 : 3,840m2(도로 1,350m2 포함) 이용선박 : 자망, 통발, 복합어업 허가를 득한 소형어선 조건 울진군은 어항구 위치 및 구역과 이용목적 등을 사람이 잘 보이는 곳에 게시하여야 함. 국토해양부장관이 항만개발 및 운영상 필요하여 분구의 변경 또는 폐지, 취소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야 함. 울진군은 어항구 이용 및 사용에 따른 민원발생 예방대책을 수립하고 민원발생시 전담 해결하여야 함. Human: 아래 KBS_바둑왕전의_에피소드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KBS 바둑왕전의 에피소드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 바둑왕전의 에피소드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래는 KBS 1TV 한국기원에서 주관하는 TV 속기 바둑 기전인 《KBS 바둑왕전》의 기수별 시즌 방영 목록 이다. 굵은 기사가 승자이다. 굵은 계가한 결과의 글씨는 대국 결과 중에서 종국까지 최종수순에서의 최종수수인 공배를 메워 계가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대국 기사는 당시 프로 단위를 기준으로 한다. 목차 1 기수별 시즌 방영 목록 1.1 제1기 (1980년) 1.2 제2기 (1982년 ~ 1983년)[1][2] 1.3 제3기 (1983년 ~ 1984년) 1.4 제4기 (1984년 ~ 1985년)[5] 1.5 제5기 (1985년 ~ 1986년) 1.6 제6기 (1986년 ~ 1987년) 1.7 제7기 (1987년 ~ 1988년) 1.8 제8기 (1988년 ~ 1989년) 1.9 제9기 (1989년 ~ 1990년) 1.10 제10기 (1990년 ~ 1991년) 1.11 제11기 (1991년 ~ 1992년) 1.12 제12기 (1993년 ~ 1994년) 1.13 제13기 (1994년 ~ 1995년) 1.14 제14기 (1995년 ~ 1996년) 1.15 제15기 (1996년 ~ 1997년) 1.15.1 1996년 (3차예선 결승) 1.15.2 1997년 (본선 ~ 결승) 1.16 제16기 (1997년 ~ 1998년) 1.17 제17기 (1998년 ~ 1999년)[86] 1.18 제18기 (1999년) 1.19 제19기 (2000년) 1.20 제20기 (2001년)[112] 1.21 제21기 (2002년)[138][139][140] 1.22 제22기 (2003년) 1.23 제23기 (2004년) 1.24 제24기 (2005년) 1.25 제25기 (2006년) 1.26 제26기 (2007년) 1.27 제27기 (2008년 ~ 2009년) 1.28 제28기 (2009년 ~ 2010년) 1.29 제29기 (2010년 ~ 2011년) 1.30 제30기 (2011년 ~ 2012년)[267] 1.31 제31기 (2012년 ~ 2013년) 1.32 제32기 (2013년 ~ 2014년) 1.33 제33기 (2014년 ~ 2015년) 1.33.1 2014년 1.33.2 2015년 1.34 제34기 (2015년 ~ 2016년) 1.34.1 2015년 1.34.2 2016년 1.35 제35기[298] 1.35.1 2016년 1.35.2 2017년 1.36 제36기 (2017년 ~ 2018년) 1.36.1 2017년 1.36.2 2018년 1.37 제37기 (2018년 ~ 2019년) 1.37.1 2018년 1.37.2 2019년 1.38 제38기 (2019년 ~ 2020년) 1.38.1 2019년 1.38.2 2020년 2 각주 및 주해 기수별 시즌 방영 목록[편집] 제1기 (198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00106 정수현四단:심종식五단 193수 흑 불계승 1980.01.05 1210 1215 19800113 홍태선五단:이강일四단 171수 흑 불계승 1980.01.08 1220 0220 19800120 (2차예선 제2국) 김좌기三단:강훈(大)四단 197수 흑 불계승 1980.01.08 1220 0120 19800127 (2차예선 제4국) 최욱관三단:김윤태三단 228수 백 불계승 1980.01.22 1220 0120 19800203 (예선) 김수영五단:정동식四단 250수 백 5.5 집승 140 240 1980.01.29 19800210 220 320 19800217 1220 120 19800224 1220 120 19800302 1220 120 19800309 1220 120 19800316 1210 110 19800323 1220 120 19800330 1220 120 19800406 1250 150 19800413 1220 120 19800420 1220 120 19800427 1220 120 19800504 1220 120 19800511 1220 120 19800518 1220 120 19800525 1220 120 19800601 1220 120 19800608 1220 120 19800615 1220 120 19800706 1220 120 19800713 1220 120 19800803 1220 120 19800810 1220 120 19800817 1220 120 19800824 조훈현八단:강철민六단 198수 흑 불계승 1220 120 1980.07.22 19800831 서봉수六단:김좌기四단 285수 흑 8.5 집승 1220 120 1980.07.29 19800921 120 220 19800928 (8강전) 서능욱五단:장수영五단 159수 흑 불계승 120 220 1980.08.12 19801005 (8강전) 노영하七단:유건재六단 221수 흑 불계승 120 220 1980.09.09 19801102 (8강전) 서봉수六단:김인八단 183수 흑 불계승 120 220 1980.09.16 19801130 (8강전) 조훈현八단:김희중六단 160수 백 불계승 120 220 1980.09.30 19801207 (준결승 1국) 조훈현八단:서능욱五단 211수 흑 12.5 집승 1980.10.14 100 200 19801214 (준결승 2국) 노영하七단:서봉수七단 227수 흑 불계승 1980.11.11 100 200 19801221 (결승 1국) 조훈현八단:노영하七단 187수 흑 불계승 1980.12.09 100 200 19801228 (결승 2국) 조훈현八단:노영하七단 242수 백 10.5 집승 1980.12.16 100 240 결승대국 시상식 제2기 (1982년 ~ 1983년)[1][2][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20926 120 230 k3 19821003 120 230 k3 19821010 120 230 k3 19821017 120 230 k3 19821024 120 230 k3 19821031 120 230 k3 19821107 120 230 k3 19821114 120 230 k3 19821121 120 230 k3 19821128 120 230 k3 19821205 120 230 k3 19821212 120 230 k3 19821219 120 230 k3 19821226 120 230 k3 19830109 120 230 k3 19830116 120 230 k3 19830123 120 230 k3 19830130 120 230 k3 19830206 120 230 k3 19830213 120 230 k3 19830220 120 230 k3 19830227 120 230 k3 19830306 120 230 k3 19830313 120 230 k3 19830320 120 230 k3 19830327 120 230 k3 19830402 1210 110 19830410 1210 110 19830417 1210 110 19830424 1210 110 19830501 1210 110 19830508 1210 110 19830515 1210 110 19830522 1210 110 19830529 1210 110 해설 김수영 19830605 1210 110 해설 김수영 19830612 1210 110 해설 김수영 19830619 조훈현九단:홍종현五단 211수 흑 7.5 집승 1210 110 1983.06.13 19830626 김희중七단:허장회四단 243수 흑 불계승 1983.06.13 1210 110 19830703 서봉수七단:양상국六단 216수 흑 8.5 집승 1210 110 1983.06.27 19830710 유병호六단:천풍조五단 264수 흑 17.5 집승 1210 100 1983.06.27 19830717 조훈현九단:서능욱六단 226수 백 불계승 1210 110 1983.07.11 19830724 김희중七단:유건재六단 199수 흑 불계승 1210 110 1983.07.11 19830731 1210 110 19830807 1210 110 19830814 1210 110 19830821 (준결승전) 조훈현九단:하찬석七단 267수 흑 13.5 집승 1210 110 1983.08.08[3] 19830828 (준결승전) 김희중七단:양상국六단 228수 백 불계승 1210 110 1983.08.08 19830904 (결승1국) 조훈현九단:김희중七단 221수 백 3.5 집승 1983.08.22 1150 110 19830911 (결승2국) 조훈현九단:김희중七단 215수 흑 불계승 1983.09.04 1150 110 제3기 (1983년 ~ 198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30910 (개국기념대국) 조훈현九단:김성래 아마?단 1150 110 19830918 (예선) 김봉선:권경언 193수 백 불계승 백시간승 1150 110 1983.09.15 19830925 (예선) 심종식五단:최창원五단 227수 흑 11집반승 1983.09.15 1150 110 19831002 (예선) 장두진五단:권갑용三단 232수 흑 19집반승 1983.09.19 1150 110 19831009 천풍조五단:김수장五단 240수 흑 9집반승 1983.09.19 1210 110 19831016 정대상 조대현 237수 흑 2.5 집승 1983.09.27 1150 110 19831023 홍태선 이기섭 206수 백 21.5 집승 1983.10.17 1210 110 19831030 양재호 강만우 279수 흑 0.5 집승 1983.10.25 1210 110 19831106 김학수 김좌기 168수 백 불계승 1983.10.31 1210 110 19831113 이동규 임선근 258수 흑 9.5 집승 1983.10.31 1210 110 19831120 박진열 김윤태 231수 흑 불계승 1983.10.31 1210 110 19831127 이강일 이주룡 256수 백 1.5 집승 1983.11.14 1210 110 19831204 백흥수四단:임창식四단 155수 흑 불계승 1983.11.14 1210 110 19831211 김일환 정수현 226수 백 불계승 1983.11.28 1210 110 19831218 장두진 정대상 256수 백 불계승 1983.11.28 1210 110 19831225 김좌기 김윤태 227수 흑 불계승 1983.12.12 1210 110 19840108 임창식 나종훈 183수 흑 불계승 1983.12.12 1210 110 19840115 권경언 양재호 250수 백 15.5 집승 1984.01.09 1210 110 19840122 임선근 심종식 255수 흑 1.5 집승 1984.01.09 1210 110 19840129 김수장 정수현 277수 백 0.5 집승 1984.01.23 1210 110 19840205 이기섭 이주룡 183수 흑 불계승 1984.01.23 1210 110 19840212 홍종현 나종훈 175수 흑 불계승 1984.02.06 1210 110 19840219 (본선 1회전) 조남철九단:김동명ㅁ단 186수 백 불계승 1984.02.06 1210 110 19840226 (본선 1회전) 양상국六단:임선근ㅁ단 219수 흑 불계승 1984.02.20 1210 110 19840304 (본선 1회전) 유건재 양재호 235수 흑 14.5 집승 1984.02.20 1210 110 19840311 (본선 1회전) 김희중七단:장수영六단 263수 흑 11.5 집승 1984.03.05 1210 110 19840318 (본선 1회전) 이봉근ㅁ단:김덕규ㅁ단 247수 백 3.5 집승 1984.03.05 1210 110 19840325 (본선 1회전) 서능욱ㅁ단:유병호ㅁ단 226수 백 3.5 집승 1984.03.19 1210 110 19840401 (본선 2회전) 이기섭ㅁ단:고재희六단 254수 백 10.5 집승 1984.03.19 1210 110 19840408 (본선 1회전) 백성호六단:장두진五단 211수 백 불계승 1984.04.02 1200 110 19840415 (본선 1회전) 서봉수八단:하찬석七단 242수 백 5.5 집승 1984.04.02 1200 110 19840422 (본선 2회전) 양재호ㅁ단:김재구ㅁ단 218수 백 불계승 1984.04.16 1200 110 19840429 (본선 2회전) 조남철九단:전영선 260수 흑 불계승 1984.04.16 1200 110 19840506 (본선 1회전) 윤기현八단:정수현 202수 흑 10.5 집승 1984.04.27 1200 110 19840513 (본선 2회전) 유병호 장두진 171수 백 7.5 집승 1984.04.27 1200 110 19840520 (본선 2회전) 홍종현ㅁ단:이기섭ㅁ단 271수 흑 불계승 1984.05.15 1210 110 19840527 (본선 2회전) 장수영六단:김좌기ㅁ단 220수 백 1.5 집승 1984.05.15 1200 110 19840603 (본선 2회전) 윤기현八단:강철민六단 220수 흑 3.5 집승 1984.05.28 1200 110 19840610 (본선 2회전) 서봉수八단:임선근ㅁ단 125수 흑 불계승 1984.05.28 1200 110 19840617 (본선 2회전) 조훈현九단:이봉근ㅁ단 227수 흑 불계승 1984.06.11 1200 110 19840624 (8강전) 조남철九단:김좌기四단 213수 흑 불계승 1984.06.11 1200 110 19840701 (8강전) 홍종현ㅁ단:양재호ㅁ단 245수 흑 8.5 집승 1984.06.25 1200 110 19840708 (8강전) 윤기현八단:유병호ㅁ단 231수 흑 3.5 집승 1984.06.25 1200 110 19840715 (8강전) 조훈현九단:서봉수八단 244수 백 11.5 집승 1984.07.09 1200 110 19840722 (준결승전) 윤기현八단:김좌기四단 239수 흑 8.5 집승 1984.07.09 1200 110 19840729 (준결승전) 서봉수八단:홍종현ㅁ단 248수 흑 0.5 집승 1984.07.23 1200 110 19840805 (결승1국) 서봉수八단:김좌기四단 180수 백 불계승 1984.07.23 1200 110 19840812 (결승2국) 서봉수八단:김좌기四단 240수 흑 10.5 집승 1984.07.24 1200 110[4] 제4기 (1984년 ~ 1985년)[5][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40819 (개막기념전) 서봉수九단:이재일 아마?단 000수 미확정 1200 110 19840826 (예선) 홍태선 이준학 158수 백 불계승 1984.08.06 1200 110 19840901 권경언 양재호 169수 흑 불계승 1984.08.20 1200 110 19840908 김윤태 박종렬 164수 백 불계승 1984.08.20 1200 110 19840915 김학수 이기섭 223수 백 1.5 집승 1984.09.03 1200 110 19840922 심종식 김성훈 208수 백 5.5 집승1984.09.17 1200 110 19840929 문용직 김동엽 216수 흑 3.5 집승 1984.09.17 1200 110 19841007 (2차예선 2회전) 정동식 장두진 238수 백 12.5 집승 1200 110 1984.10.02 19841014 (2차예선 2회전) 김봉선 이강일 262수 흑 8.5 집승 1984.10.12 1200 110 19841021 (2차예선 2회전) 이상철:정수현 1200 110 19841028 (2차예선 2회전) 백흥수 임창식 179수 백 11.5 집승 1984.10.15 19841104 ( ) 허장회 윤종섭 231수 백 11.5 집승 1140 1250 1984.10.29 19841111 ( ) 김일환 천풍조 220수 백 불계승1140 1250 1984.10.29 19841118 ( ) 이기섭 문용직 173수 흑 불계승 1140 1250 1984.11.12 19841125 ( ) 이상철 임창식 234수 백 불계승 1140 1250 1984.11.12 19841202 ( ) 김봉선 심종식 191수 흑 2.5 집승 1140 1250 1984.11.12 19841209 ( ) 강 훈五단:정대상初단 167수 흑 불계승 1140 1250 1984.11.26 19841216 ( ) 정동식 박종렬 259수 흑 1.5 집승 1984.11.26 1140 1250 19841223 ( ) 김일환 양재호 241수 흑 불계승 1984.12.10 1140 1250 19841230 ( ) 강 훈五단:이준학ㅁ단 237수 흑 14.5 집승 1984.12.10 1140 1250 19850106 ( ) 허장회 황원준 239수 흑 1.5 집승 1984.12.24 1140 1250 19850113 (본선 1회전) 김재구六단:김덕규六단 222수 백 불계승 1984.12.24 1140 1250 19850120 (본선 1회전) 김동명六단:전영선四단 200수 흑 9.5 집승 1985.01.07 1140 1250 19850127 (본선 1회전) 유건재六단:양상국六단 182수 흑 불계승 1985.01.07 1140 1210 19850203 (본선 1회전) 유병호 이동규 205수 백 13.5 집승 1985.01.21 1210 0120 19850210 (본선 1회전) 이봉근 심종식 222수 백 3.5 집승 1985.01.21 1140 1250 19850217 (본선 1회전) 윤기현八단:강 훈五단 239수 흑 1.5 집승 1985.02.04 1140 1250 19850224 (본선 1회전) 김수영六단:정동식四단 159수 흑 불계승 1985.02.04 1140 1250 19850303 (본선 1회전) 고재희六단:백성호六단 262수 백 10.5 집승 1985.02.18 1140 1250 19850310 (본선 1회전) 김희중七단:장수영七단 218수 백 14.5 집승 1985.02.18 1140 1250 19850317 (본선 1회전) 홍종현六단:김일환六단 211수 흑 불계승 1985.03.04 1140 1250 19850324 (본선 1회전) 서능욱六단:김수장六단 226수 백 11.5 집승 1985.03.04 1140 1250 19850331 (본선 1회전) 하찬석七단:강철민六단 233수 흑 18.5 집승 1985.03.18 1140 1250 19850407 (본선 1회전) 임창식四단:황원준六단 164수 백 0.5 집승 1985.03.18 1140 1250 19850414 (본선 2회전) 강 훈五단:김좌기五단 274수 백 6.5 집승 1985.04.01 1140 1250 19850421 (본선 2회전) 장수영七단:유건재六단 250수 백 0.5 집승 1985.04.01 1140 1250 19850428 (본선 2회전) 조훈현九단:문용직二단 182수 백 불계승 1985.04.15 1130 1240 19850505 (본선 2회전) 김동명六단:임창식四단 183수 흑 불계승 1985.04.15 1130 1240 19850512 (본선 2회전) 백성호六단:김수영六단 197수 흑 불계승 1985.04.29 1130 1240 19850519 (본선 2회전) 이동규六단:심종식五단 250수 백 18.5 집승 1985.04.29 1130 1240 19850526 (본선 2회전) 조훈현九단:하찬석七단 162수 백 불계승 1985.05.13 1130 1240 19850602 (본선 2회전) 김재구七단:김일환ㅁ단 250수 백 불계승 1985.05.13 1130 1240 19850609 (본선 2회전) 서봉수八단:김수장六단 216수 백 2.5 집승 1985.05.27 1130 1240 19850616 (8강전) 조훈현九단:김일환五단 176수 백 불계승 1985.05.27 1130 1240 19850623 (8강전) 이동규ㅁ단:백성호六단 185수 흑 불계승 1985.06.10 1130 1240 19850630 (8강전) 서봉수八단:임창식四단 210수 백 불계승 1985.06.10 1130 1240 19850706 (8강전) 장수영七단:강훈(大)五단 212수 흑 5.5 집승 1985.06.24 1130 1240 19850714 (준결승전) 서봉수八단:백성호六단 278수 백 불계승 1985.06.24 1130 1240 19850721 (준결승전) 조훈현九단:강 훈五단 211수 흑 불계승 1985.07.08 1130 1240 19850728 (결승1국) 조훈현九단:서봉수八단 203수 흑 불계승 1985.07.08 1130 1240 19850804 (결승2국) 서봉수八단:조훈현九단 235수 흑 3.5 집승 1985.07.12 1130 1240 19850811 (결승3국) 조훈현九단:서봉수八단 218수 흑 12.5 집승 1985.07.19 1130 1240 제5기 (1985년 ~ 198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50818 (개막 기념 대국) 조훈현九단:신봉호아마ㅁ단 1130 1240 19850825 박종렬ㅁ단:이형로ㅁ단 238수 백 불계승 1985.08.19 1130 1240 19850901 김학수(大)ㅁ단:정대상ㅁ단 233수 흑 11.5 집승 1985.08.19 1130 1240 19850908 박영찬初단:이주룡ㅁ단 213수 흑 불계승 1985.09.01 1130 1240 19850915 (2차예선) '임선근ㅁ단:정수현五단 195수 흑 불계승 1985.09.01 1130 1240 19850922 (2차예선) 박종렬ㅁ단:문용직ㅁ단 1130 1240 19850929 문명근:김윤태 170수 백 불계승 1985.09.16 1130 1240 19851005 심종식:권경언 217수 흑 7.5 집승 1985.09.16 1130 1240 19851013 양재호四단:이강일 147수 흑 불계승 1985.09.30 100 210 19851020 황원준:한상열 192수 백 불계승 1985.09.30 1130 1240 19851027 이홍열:김봉선 172수 백 불계승 1985.10.14 1130 1240 ?? 19851103 한철균三단:박진열ㅁ단 238수 백 4.5 집승 1985.10.141050 1200 ?? 19851110 홍태선六단:김일환五단 197수 흑 불계승 1985.10.28 1050 1200 19851117 허장회五단:김좌기四단 251수 백 7.5 집승 1985.10.28 1050 1200 19851124 강 훈六단:유창혁二단 226수 흑 0.5 집승 1985.11.11 1050 1200 19851201 1050 1200 19851208 1050 1200 19851215 1050 1200 19851221 1050 1200 19851228 ( ) 김일환ㅁ단:박종렬ㅁ단 205수 흑 4.5 집승 1985.12.23 1050 1200 19860105 ( ) 심종식ㅁ단:유창혁二단 177수 흑 24.5 집승 1985.12.23 1050 1200 19860112 (32강전 1국) 김희중七단:강철민六단 179수 흑 불계승 1986.01.06 1050 1200 19860119 (32강전 2국) 장두진六단:김수영六단 224수 백 10.5 집승 1986.01.06 1050 1200 19860126 (32강전 3국) 이동규六단:김동명六단 267수 흑 2.5 집승 1986.01.20 1050 1200 19860202 (32강전 4국) 김덕규六단:한철균三단 222수 흑 3.5 집승 1986.01.20 1050 1200 19860209 (32강전 5국) 하찬석七단:양재호四단 189수 흑 불계승 1986.02.03 1050 1200 19860216 (32강전 6국) 천풍조六단:문명근四딘 207수 흑 불계승 1986.02.03 1050 1200 19860223 (32강전) 김일환ㅁ단:전영선ㅁ단 195수 흑 불계승 1986.02.17 1050 1200 19860302 (32강전) 황원준五단:김재구七단 290수 백 불계승 1986.02.17 1050 1200 19860309 (32강전) 서능욱七단:이봉근六단 203수 흑 2.5 집승 1986.03.03 1050 1200 19860316 (32강전) 김수장六단:유병호六단 181수 흑 불계승 1986.03.03 1050 1200 19860323 (32강전) 홍종현六단:고재희六단 278수 백 4.5 집승 1986.03.17 1050 1200 19860330 (32강전) 조남철九단:윤기현八단 224수 백 0.5 집승 1986.03.17 1050 1200 19860406 (32강전) 유창혁二단:백성호六단 273수 흑 8.5 집승 1986.03.31 1050 1200 19860413 (32강전) 장수영七단:임선근ㅁ단 232수 백 6.5 집승 1986.03.31 1050 1200 19860420 (32강전) 조훈현九단:양상국六단 244수 흑 17.5 집승 1986.04.14 1050 1200 19860427 (32강전) 서봉수八단:유건재ㅁ단 195수 흑 불계승 1986.04.14 1050 1200 19860504 (16강전) 1050 1200 19860511 (16강전) 하찬석七단:김덕규ㅁ단 221수 백 2.5 집승 1986.04.28 1050 1200 19860518 (16강전) 천풍조六단:고재희六단 268수 백 35.5 집승 1986.05.12 1050 1200 19860525 (16강전) 황원준五단:장두진六단 187수 흑 불계승 1986.05.12 1050 1200 19860531 (16강전) 조훈현九단:장수영七단 000수 미확정 1986.05.26 1050 1200 19860608 (16강전) 서능욱八단:유창혁二단 275수 흑 불계승 1986.05.26 1050 1200 19860615 (16강전) 김수장六단:김일환六단 268수 백 1.5 집승 1986.06.09 1050 1200 19860622 (16강전) 조남철九단:서봉수八단 240수 흑 1.5 집승 1986.06.09 1050 1200[6] 19860629 (8강전) 김희중七단:유창혁二단 260수 백 7.5 집승 1986.06.23 1050 1200 19860706 (8강전) 조훈현九단:하찬석七단 230수 흑 2.5 집승 1986.06.23 1050 1200 19860713 (8강전) 조남철九단:황원준五단 229수 백 1.5 집승 1986.07.07 1050 1200 19860720 (8강전) 고재희六단:김수장六단 135수 흑 불계승 1986.07.07 1050 1200 19860727 (준결승1국) 황원준五단:김희중七단 244수 백7집반승 1986.07.21 1050 1200 19860803 (준결승2국) 하찬석七단:고재희六단 265수 흑20집반승 1986.07.21 1050 1200 19860810 (결승1국) 김희중七단:하찬석七단 247수 흑16집반승 1986.08.01 1050 1200 19860817 (결승2국) 김희중七단:하찬석七단 261수 흑불계승 1986.08.04 1050 1200 19860824 (결승3국) 김희중七단: 하찬석七단 263수 흑7집반승 1986.08.04 1050 1200[7] 제6기 (1986년 ~ 198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60830 (개막기념전) 하찬석七단:유창혁二단 1050 1200 19860907 (개막기념점 아마대결) 고광명 아마6단:김정우 아마5단 19860914 백흥수四단:한상열四단 179수 흑 불계승 1986.08.18 19860921 김윤태四단:김동면四단 212수 백 25.5 집승 1986.09.01 19860928 김봉선五단:정수현五단 229수 흑 23.5 집승 1986.09.01 19861005 강만우四단:이형로三단 172수 백 불계승 1986.09.15 19861012 임선근四단:정대상二단 122수 백 1986.09.15 19861019 김학수(大)四단:권갑용四단 238수 백 1.5 집승 1986.10.13 19861026 박진열五단:차수권初단 251수 흑 11.5 집승 1986.10.13 19861102 (2차예선 ?국) 조대현四단:김동면三단 209수 흑 4.5 집승 1986.10.27 19861109 (2차예선 ?국) 김학수(大)四단:임창식四단 213수 흑 9.5 집승1986.10.27 19861116 (2차예선 ?국) 김좌기五단:백흥수四단 192수 백 22.5 집승 1986.11.10 19861123 (2차예선 ?국) 정수현五단:박영찬初단 253수 흑 3.5 집승 1986.11.23 19861130 (2차예선 ?국) 허장회六단:정대상二단 234수 백 13.5 집승 1986.11.10 19861207 (2차예선 ?국) 박진열五단:김동엽二단 240수 백 10.5 집승 1986.11.24 19861214 (2차예선 ?국) 황원준五단:강만우四단 192수 백 불계승 1986.11.24 19861221 (본선 1회전) 김재구七단:김일환六단 133수 흑 불계승 1986.12.08 19861228 (본선 1회전) 서봉수九단:백성호六단 237수 흑 불계승 1986.12.08 19870104 (본선 1회전) 장수영七단:김수장七단 227수 흑 2.5 집승 1986.12.22 1050 1200 19870111 (32강전) 김수영六단:김동명六단 242수 백 3.5 집승 1986.12.22 1050 1200 19870118 (32강전) 강철민六단:홍태선六단 216수 백 4.5 집승 1987.01.05 1050 1200[8] 19870125 (32강전) 이봉근六단:김좌기五단 188수 흑 2.5 집승 1987.01.05 1050 1200 19870131 (32강전) 유병호六단:홍종현六단 186수 백 불계승 1987.01.19 19870207 (32강전) 고재희六단:허장회六단 199수 흑 30.5 집승 1987.01.19 19870214 (32강전) 조남철九단:이동규七단 248수 백 2.5 집승 1987.02.02[9] 19870221 (32강전) 김일환六단:조대현四단 218수 백 9.5 집승 1987.02.02 19870228 (2차예선 ?국) 김동엽二단:고재희六단 212수 흑 5.5 집승 1987.02.16 19870308 (32강전) 장두진六단:황원준五단 220수 백 불계승 1987.02.16 19870315 (32강전) 김희중七단:백성호六단 231수 흑 불계승 1987.03.02 1050 1200 19870322 (32강전) 하찬석七단:전영선四단 221수 흑 불계승 1987.03.02 19870329 (32강전) 윤기현八단:김덕규六단 232수 흑 4.5 집승 1987.03.16 19870405 (32강전) 김수장七단:양상국六단 187수 흑 불계승 1987.03.16 19870412 (32강전) 천풍조六단:임창식四단 250수 백 1.5 집승 1987.03.30 19870419 (32강전) 서능욱八단:강 훈(大)四단 157수 흑 불계승 1987.03.30 19870426 (16강전) 조훈현九단:유건재六단 232수 흑 16.5 집승 1987.04.13 19870503 (16강전) 김수영六단:허장회六단 218수 백 불계승 1987.04.10 19870510 (16강전) 김희중七단:김덕규六단 210수 흑 불계승 1987.04.27 19870517 (16강전) 하찬석七단:홍태선六단 244수 흑 5.5 집승 1987.04.27 19870524 (16강전) 조남철九단:김동엽二단 235수 흑 불계승 1987.05.11 19870531 (16강전) 홍종현六단:김일환六단 281수 흑 6.5 집승 1987.05.11 19870607 (16강전) 조훈현九단:김수장七단 225수 흑 불계승 1987.05.25 19870614 (16강전) 서능욱八단:장두진六단 260수 흑 4.5 집승 1987.05.25 19870621 (16강전) 천풍조六단:김좌기五단 231수 흑 불계승 1987.06.08 19870628 (8강전) 홍종현六단:허장회六단 214수 백 불계승 1987.06.08[10] 19870705 (8강전) 하찬석七단:김동엽二단 248수 흑 5.5 집승 1987.06.22 19870712 (8강전)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264수 백 16.5 집승 1987.06.22 19870719 (8강전) 김희중七단:천풍조六단 197수 흑 불계승 1987.07.06 19870726 (준결승전) 조훈현九단:김동엽二단 191수 흑 9.5 집승 1987.07.06 1050 1200 19870802 (준결승전) 김희중七단:허장회六단 183수 흑 불계승 1987.07.20 1050 1200 19870809 (결승1국) 조훈현九단:김희중七단 214수 백 17.5 집승 1987.07.27 1050 1200 19870816 (결승2국) 조훈현九단:김희중七단 158수 백 불계승 1987.08.03 1050 1200 19870823 (결승3국) 조훈현九단:김희중七단 143수 흑 불계승 1987.08.03 1050 1200 제7기 (1987년 ~ 198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70829 (기념대국) 조훈현九단:김동엽二단 211수 흑7집반승 1050 1200 19870906 (개막전 여류대국) 윤성혜 아마ㅁ단:류지인 아마ㅁ단 233수 백 8집반승 1050 1200 19870913 최창원ㅁ단:조대현ㅁ단 162수 백 불계승 1987.08.31 1050 1200 19870920 한상열四단:박상돈四단 260수 흑 8.5 집승 1987.08.31 1050 1200 19870927 정동식四단:권갑용四단 205수 흑 불계승 1987.09.14 1050 1200 19871004 이준학四단:이강일四단 205수 흑 18.5 집승 1987.09.14 1050 1200 19871011 양재호五단:윤종섭二단 253수 흑 12.5 집승 1987.09.28 1050 1200 19871018 권경언五단:유창혁三단 219수 흑 불계승 1987.09.28 1050 1200 19871025 최규병三단:김학수(小)五단 155수 흑 불계승 1987.10.12 1050 1200 19871101 권갑용四단:이창호二단 173수 흑 불계승 1987.10.12 1050 1200[11] 19871108 임선근五단:조대현四단 194수 백 반칙승 1987.10.26 1050 1200 19871115 박상돈四단:차수권初단 210수 백 6.5 집승 1987.10.26 1050 1200 19871122 이준학四단:오규철二단 195수 흑 불계승 1987.11.09 1050 1200 19871129 (2차예선1회전) 정수현五단:양재호五단 199수 흑 불계승 1987.11.16 1050 1200 19871213 서봉수九단:천풍조六단 216수 흑 9.5 집승 1987.11.23 1050 1200 19871220 장수영八단:양상국六단 218수 흑 10.5 집승 1987.11.23 1050 1200 19871226 김학수(小)五단:양재호五단 181수 흑 불계승 1987.12.14 1050 1200 19880110 (32강전) 김수장七단:홍태선六단 274수 흑 0.5 집승 1987.12.14 1050 1200 19880117 (32강전) 강 훈(大)六단:차수권初단 238수 백 불계승 1987.12.21 1050 1200 19880124 (32강전) 유병호六단:이창호二단 209수 흑 불계승 1987.12.21 1050 1200 19880131 (32강전) 김희중七단:홍종현六단 208수 백 불계승 1988.01.11 1050 1200 19880207 (32강전) 김동명六단:양상국六단 276수 흑 6.5 집승 1988.01.11 1050 1200 19880214 (32강전) 백성호六단:조대현四단 195수 흑 불계승 1988.01.25 1050 1200 19880221 (32강전) 서봉수九단:김수영六단 233수 흑 불계승 1988.02.08 1050 1200 19880228 (32강전) 김 인九단:전영선六단 233수 흑 불계승 1988.01.25 1050 1200 19880306 (32강전) 조훈현九단:이봉근六단 181수 흑 불계승 1988.02.08 1050 1200 19880313 (32강전) 이동규七단:박영찬初단 185수 흑 불계승 1988.02.15 1050 1200 19880320 (32강전) 강철민六단:장두진六단 237수 흑 12.5 집승 1988.02.15 1050 1200 19880327 (32강전) 고재희六단:유건재六단 231수 흑 불계승 1988.02.22 1050 1200 19880403 (32강전) 윤기현九단:허장회六단 234수 백 3.5 집승 1988.02.22 1050 1200 19880410 (32강전) 김재구七단:김일환六단 276수 흑 7.5 집승 1988.03.07 1050 1200 19880417 (32강전) 1050 1200 19880424 (32강전) 하찬석八단:서능욱八단 252수 백 7.5 집승 1988.03.07 1050 1200 19880501 (32강전) 양재호六단:오규철二단 218수 백 7.5 집승 1988.03.14 1050 1200 19880508 (16강전) 홍종현六단:김동명六단 197수 흑 불계승 1988.03.14 1050 1200 19880515 (16강전) 이창호二단:박영찬初단 232수 흑 7.5 집승 1988.03.28 1050 1200 19880522 (16강전) 김수장七단:유건재六단 258수 백 2.5 집승 1988.03.28 1050 1200 19880529 (16강전) 서능욱八단:전영선六단 160수 흑 7.5 집승 1988.04.11 1050 1200 19880605 (16강전) 김재구七단:오규철二단 247수 흑 불계승 1988.04.11 1050 1200 19880612 (16강전) 조훈현九단:강 훈七단 231수 백 불계승 1988.04.18 1050 1200 1210 19880619 (16강전) 서봉수九단:백성호七단 170수 백 불계승 1988.04.18 1050 1200 1210 19880626 (16강전) 장두진六단:허장회六단 243수 흑 4.5 집승 1050 1200 1988.04.25 19880703 (8강전) 김수장九단:오규철二단 264수 흑 7.5 집승 1050 1200 1988.04.25 19880710 (8강전) 조훈현九단:홍종현六단 188수 백 불계승 1050 1200 1988.05.02 19880717 (8강전) 서봉수九단:박영찬初단 182수 백 7.5 집승 1050 1200 1988.05.02 19880724 (8강전) 서능욱八단:장두진六단 223수 흑 불계승 1050 1200 1988.05.09 19880731 (준결승전) 조훈현九단:김수장七단 162수 백 불계승 1050 1200 1988.05.09 19880807 (준결승전) 서능욱八단:서봉수九단 227수 흑 불계승 1050 1200 1988.05.16[12] 19880814 (결승1국)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214수 백 불계승 1050 1200 1988.07.02 19880821 (결승2국)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159수 흑 불계승 1050 1200 1988.07.25[13] 제8기 (1988년 ~ 198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80828 (개막전 여류) 남치형 아마3단:김민희 아마3단 156수 백불계승 1988.07.04 1050 1200 19880904 (개막전 신예) 이창호二단:김만수 아마5단 149수 백불계승 1988.07.11 1050 1200 19880911 (2차예선2회전?국) 임선근五단:이준학四단 176수 흑불계승 1988.06.20 1050 1200 19880918 (2차예선2회전?국) 김학수(小)四단:한상열四단 262수 흑불계승 1988.06.20 1050 1200 19880925 (2차예선2회전?국) 박상돈四단:이계훈三단 228수 백9집반승 1988.06.27 1050 1200 19881002 (2차예선2회전?국) 김좌기五단:이주룡五단 195수 흑불계승 1988.06.27 1050 1200 19881009 (2차예선2회전?국) 정수현六단:'박진열五단 49수 흑불계승 1988.07.11 1050 1200 19881016 (2차예선2회전?국) 김동엽三단:오규철二단 280수 백2집반승 1988.07.18 1050 1200 19881023 (예선결승?국) 문명근五단:임선근五단 195수 흑14집반승 1988.07.18 1050 1200 19881030 (예선결승?국) 김학수(小)四단:임창식四단 211수 백6집반승 1988.10.17 1050 1200 19881106 (예선결승?국) 이계훈三단:이창호二단 200수 백21집반승 1988.10.17 1050 1200 19881113 (예선결승?국) 이주룡六단:권갑용四단 129수 흑불계승 1988.10.31 1050 1200 19881120 (예선결승?국) 김윤태四단:정대상三단 106수 흑불계승 1988.10.31 1050 1200 19881127 (예선결승?국) 박진열五단:이기섭四단 251수 백3집반승 1988.11.14 1050 1200 19881204 (예선결승?국) 황원준六단:김동엽三단 187수 흑불계승 1988.11.14 1050 1200 19881211 (본선1회전) 김 인九단:홍태선七단 250수 흑5집반승 1988.11.28 1050 1200 19881218 (본선1회전) 김재구七단:강철민六단 232수 흑11집반승 1988.11.28 1050 1200 19881225 (본선1회전) 하찬석八단:전영선六단 148수 백불계승 1988.12.12 1050 1200 19890108 (본선1회전) 김학수(小)四단:김희중七단 176수 백불계승 1988.12.26 1050 1200 19890115 (본선2회전) 김동명六단:장두진六단 211수 흑8집반승 1988.12.12 1050 1200 19890122 (본선2회전) 양상국六단:임선근六단 151수 흑불계승 1989.01.09 1050 1200 19890129 (본선2회전) 김수영六단:허장회六단 255수 흑1집반승 1989.01.09 1050 1200 19890205 (본선2회전) 김수장七단:유건재六단 192수 백불계승 1989.01.23 1050 1200 19890212 (본선2회전) 서능욱八단:강철민七단 240수 백9집반승 1989.01.23 1050 1200 19890219 (본선2회전) 유병호六단:천풍조六단 222수 백6집반승 1989.02.13 1050 1200 19890226 (본선2회전) 홍종현六단:황원준六단 239수 흑불계승 1989.02.13 1050 1200 19890305 (본선2회전) 이봉근六단:박진열五단 210수 백불계승 1989.02.26 1050 1200 19890312 (본선2회전) 김덕규六단:김일환六단 232수 백반집승 1989.02.27 1050 1200 19890319 (본선2회전) 이창호三단:양재호六단 223수 흑불계승 1989.03.14 1050 1200 19890326 (본선2회전) 윤기현九단:김희중七단 282수 백1집반승 1989.03.14 1050 1200 19890402 (본선2회전) 홍태선七단:고재희六단 194수 백불계승 1989.03.21 1050 1200[14] 19890409 (본선2회전) 하찬석八단:백성호七단 300수 백1집반승 1989.03.21 1050 1200 19890416 (본선2회전) 장수영八단:정대상三단 251수 흑불계승 1989.03.28 1050 1200 19890423 (본선2회전) 서봉수九단:강 훈七단 228수 백불계승 1989.03.28 1050 1200[15] 19890430 (본선2회전) 조훈현九단:권갑용五단 159수 흑불계승 1989.04.18 1050 1200 19890507 (16강전) 유병호六단:황원준六단 226수 흑1집반승 1989.04.04 1050 1200 19890514 (16강전) 허장회六단:김일환六단 239수 흑불계승 1989.04.04 1050 1200 19890521 (16강전) 김희중七단:김수장七단 264수 백7집반승 1989.04.18 1150 100[16] 19890528 (16강전) 홍태선七단:장두진六단 250수 백불계승 1989.05.16 1150 100 19890604 (16강전) 박진열五단:이창호三단 245수 흑10집반승 1989.05.16 1050 1200 19890611 (16강전) 장수영八단:백성호七단 168수 백불계승 1989.05.30 1050 1200 19890618 (16강전) 서봉수九단:임선근六단 234수 백불계승 1989.05.30 1050 1200 19890625 (16강전)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202수 백불계승 1989.06.13 1050 1200 19890702 (8강전) 장두진六단:김일환六단 228수 백불계승 1989.06.13 1050 1200 19890709 (8강전) 백성호七단:이창호三단 204수 백9집반승 1989.06.20 1050 1200 19890716 (8강전) 김수장七단:임선근六단 270수 흑반집승 1989.06.20 1050 1200 19890723 (8강전) 서능욱八단:황원준六단 193수 흑불계승 1989.07.11 1050 1200 19890730 (준결승1국) 장두진六단:이창호三단 236수 흑3집반승 1989.07.11 1050 1200[17] 19890806 (준결승2국) 서능욱八단:김수장七단 261수 흑4집반승 1989.07.18 1050 1200[18] 19890813 (결승1국) 김수장七단:이창호三단 205수 백5집반승 1050 1200 1989.07.25[19] 19890820 (결승2국) 김수장七단:이창호三단 230수 흑9집반승 1050 1200 1989.08.08[20] 제9기 (1989년 ~ 199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890903 (2차예선 1국) 정대상四단:이준학四단 260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08.29[21] 19890910 (2차예선 2국) 한상열四단:나종훈四단 241수 흑불계승 1050 1200 1989.08.29 19890917 (3차예선 ?국) 김학수五단(小):박영찬初단 222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09.12 19890924 (3차예선 ?국) 김동엽三단:정현산二단 253수 흑불계승 1050 1200 1989.09.12 19891001 (3차예선 ?국) 유창혁三단:임창식四단 180수 백14집반승 1050 1200 1989.09.19 19891008 (3차예선 ?국) 조대현五단:김종범四단 228수 흑4집반승 1050 1200 1989.09.19 19891015 (3차예선 ?국) 권갑용五단:오규철三단 211수 흑불계승 1050 1200 1989.10.10 19891022 (본선1회전) 김희중七단:홍태선七단 198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10.10 19891029 (본선1회전) 3국 천풍조六단:이준학四단 177수 흑불계승 1050 1200 1989.10.23 19891105 (본선1회전) 홍종현六단:임선근六단 250수 백3집반승 1050 1200 1989.10.23 19891112 (본선1회전) 김 인九단:이주용六단 233수 흑5집반승 1050 1200 1989.11.06 19891119 (본선1회전) 김일환六단:김동엽四단 202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11.06 19891126 (본선1회전) 장두진六단:양재호六단 232수 백7집반승 1050 1200 1989.11.20[22] 19891203 (본선1회전) 서봉수九단:유건재六단 176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11.20 19891210 (본선1회전) 이창호三단:서능욱八단 255수 흑불계승 1050 1200 1989.12.04 19891217 (본선1회전) 장수영八단:조대현五단 241수 백1집반승 1050 1200 1989.12.04 19891224 (본선1회전) 윤기현九단:허장회六단 253수 흑1집반승 1050 1200 1989.12.18 19900107 (본선1회전) 하찬석八단:박영찬初단 192수 백불계승 1050 1200 1989.12.18[23] 19900114 (본선2회전) 임선근六단:이봉근六단 212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1.08 19900121 (본선2회전) 양상국六단:강만우六단 229수 흑불계승 1050 1200 1990.01.08 19900128 (본선2회전) 김수장七단:정수현六단 335수 백4집반승 1050 1200 1990.01.22 19900204 (본선2회전) 백성호七단:한상열四단 238수 백1집반승 1050 1200 1990.01.22 19900211 (본선2회전) 천풍조六단:전영선六단 153수 흑불계승 1050 1200 1990.02.05 19900218 (본선2회전) 이동규七단:오규철三단 200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2.05[24] 19900225 (본선2회전) 김동명六단:조대현五단 158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2.12 19900304 (본선2회전) 김재구七단:김일환六단 204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2.12 19900311 (본선2회전) 강 훈(大)七단:허장회六단 240수 흑4집반승 1050 1200 1990.02.19 19900318 (본선2회전) 유병호六단:장두진六단 264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2.19 19900325 (본선2회전) 김희중七단:김수영六단 286수 흑6집반승 1050 1200 1990.03.05[25] 19900401 (본선2회전) 강철민七단:이주용六단 207수 흑17집반승 1050 1200 1990.03.05 19900408 (본선2회전) 하찬석八단:유창혁三단 209수 흑불계승 1050 1200 1990.03.26 19900415 (본선2회전) 조훈현九단:김덕규六단 225수 흑불계승 1050 1200 1990.04.02 19900422 (본선2회전) 서봉수九단:황원준六단 256수 백9집반승 1050 1200 1990.04.02 19900520 (16강전) 이동규七단:임선근六단 149수 흑8집반승 1050 1200 1990.05.18 19900527 (16강전) 김일환六단:조대현八단 220수 백불계승 1050 1200 1990.05.23[26] 19900603 (16강전) 유병호六단:유창혁三단 267수 흑7집반승 1050 1200 1990.05.23 19900610 (16강전) 서능욱八단:정수현七단 246수 흑12집반승1050 1200 1990.06.04 19900617 (16강전) 양상국六단:이주용六단 258수 백1집반승 1200 0110 1990.06.04 19900624 (16강전) 백성호七단:김수영六단 238수 백불계승1050 1200 1990.06.18[27] 19900701 (16강전) 조훈현九단:전영선六단 1100 1210 1990.06.18 19900708 (16강전) 서봉수九단:강 훈七단 185수 흑불계승 1100 1210 1990.07.02 19900715 (8강전) 조훈현九단:조대현五단 235수 흑불계승 1100 1210 1990.07.02 19900722 (8강전) 이주용六단:유창혁三단 276수 흑8집반승 1100 1210 1990.07.16 19900729 (8강전) 서능욱八단:김수영六단 286수 흑16집반승 1100 1210 1990.07.16 19900805 (준결승전)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303수 백 14집반승 1100 1210 1990.08.06[28] 19900812 (준결승전) 서능욱八단:유창혁三단 338수 백불계승 1100 1210 1990.07.23 19900819 (8강전) 서봉수九단:임선근六단 179수 흑 불계승 1100 1210 1990.07.23 19900819 (준결승전) 서능욱八단:유창혁三단 338수 백불계승 1100 1210 1990.07.23 (앙코르) 19900826 (결승1국)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314수 흑반집승 1100 1200 1990.08.20[29][30] 19900902 (결승2국)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225수 흑불계승 1100 1210 1990.08.27[31] 19900909 (결승3국) 조훈현九단:서능욱八단 237수 흑불계승 1100 1210 1990.08.27[32][33][34] 제10기 (1990년 ~ 199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00923 (개막전 아마 초청대국) 김준영 아마5단:이창곤 아마3단 175수 흑불계승 1100 1210 1990.09.03 19900930 (48강전) 오송생九단:박종열三단 184수 백불계승 1100 1210 1990.09.10 본선1국[35] 19901007 (48강전) 김재구七단:박진열五단 282수 흑21집반승 1100 1200 1990.09.10 본선2국 19901014 (48강전) 김좌기六단:최규병四단 283수 백18집반승 1100 1210 1990.10.08 19901021 (48강전) 장수영八단:김승준二단 222수 백불계승 1100 1210 1990.10.08 19901104 (48강전) 하찬석八단:허장회七단 223수 흑불계승 1140 1255 1100 1210 1990.10.22 19901111 (48강전) 윤기현九단:김희중七단 251수 흑4집반승 1140 1255 K3 1100 1210 1990.10.29 19901118 (48강전) 김동엽四단:김영환二단 220수 백불계승 1100 1210(재)(KBS-3TV) 11.17 1990.10.29 19901125 (48강전) 김덕규六단:이창호四단 234수 백11집반승 1140 1255 1100 1210 KBS-2TV 방송시간 변경 1990.11.19 19901201 (48강전) 문용직三단:유창혁四단 293수 백4집반승 1140 1255 2 1110 1210 1990.11.19 19901208 (48강전) 이주룡五단:박영찬初단 157수 흑불계승 1140 1255 1100 1210 1990.12.03[36] 19901216 (48강전) 양재호七단:유건재六단 178수 백불계승 1140 1255 1100 1210 1990.12.10 19901222 (48강전) 김수영六단:유병호六단 281수 백반집승 1140 1255 1100 1210 1223 KBS-3TV마지막 1990.12.10 19901229 (48강전) 김 인九단:홍태선七단 250수 흑반집승 1210 0110 1990.12.17 19910105 (48강전) 양상국七단:강 훈(大)七단 247수 흑4집반승 1140 1240 1990.12.17 19910112 (48강전) 서봉수九단:백성호七단 248수 흑불계승 1140 1240 1991.01.07 19910120 (32강전) 최규병四단:박승문初단 239수 흑3집반승 1045 1200 1991.01.07 일요일방송시간변경 19910127 (32강전) 장두진六단:김영환二단 268수 흑반집승 1045 1200 1991.01.21 19910203 (32강전) 김재구七단:황원준六단 272수 흑4집반승 1045 1200 1991.01.28 19910210 (32강전) 홍태선七단:이봉근六단 188수 백불계승 1045 1200 1991.01.28 19910217 (32강전) 서능욱九단:유병호七단 216수 흑9집반승 1045 1200 1991.02.04 19910224 (32강전) 오송생九단:전영선六단 273수 흑5집반승 1045 1200 1991.02.18 19910303 (32강전) 서봉수九단:강만우六단 259수 흑1집반승 1045 1200 1991.02.18 19910309 (32강전) 장수영九단:정수현六단 292수 흑2집반승 1140 1240 1991.03.04 19910316 (32강전) 임선근六단:유창혁四단 242수 흑11집반승 1140 1240 1991.03.04 19910323 (32강전) 강철민七단:강 훈(大)七단 197수 흑불계승 1140 1255 * 1991.03.18 19910330 (32강전) 하찬석八단:이동규七단 188수 백불계승 1140 1255 1991.03.18 19910406 (32강전) 조훈현九단:오규철四단 210수 백불계승 1220 0120 1991.04.01 19910413 (32강전) 양재호七단:김일환六단 224수 흑17집반승 1140 1255 1991.04.08 19910420 (32강전) 홍종현六단:박영찬初단 250수 백양자패 11:30 ~ 12:55 1991.04.08 19910427 (32강전) 윤기현九단:천풍조七단 226수 백1집반승 1991.04.15 11:40 01:00 19910504 (32강전) 김수장七단:이창호四단 148수 백불계승 1991.04.29 1140 01:00 19910511 (16강전) 김재구七단:김영환二단 225수 흑불계승 1991.04.29 1210 120 19910518 (16강전) 유창혁四단:박승문二단 272수 백12집반승 1991.05.13 1140 100 19910525 (16강전) 강 훈(大)七단:이봉근六단 160수 백불계승 1991.05.13 1140 1255 19910601 (16강전) 윤기현九단:장수영八단 280수 흑2집반승 1991.05.30 1140 1255 19910608 (16강전) 서능욱九단:김일환六단 265수 흑4집반승 1991.05.30 ? 1140 1255 19910629 (16강전) 서봉수九단:이창호五단 284수 흑6집반승 1140 1255 1991.06.24 19910706 (16강전) 하찬석八단:홍종현七단 256수 흑1집반승 1140 1255 1991.06.27 ?? 19910713 (16강전) 조훈현九단:오송생九단 185수 흑시간승 1140 1255 1991.06.27 ?? 19910720 (8강전) 강 훈(大)七단:윤기현九단 175수 흑불계승 1140 1255 1991.07.01 ?? 19910727 (8강전) 서능욱九단:하찬석八단 288수 백5집반승 1140 1255 ?? 1991.07.11 19910803 (8강전) 김재구七단:유창혁四단 250수 백불계승 1140 1255 1991.07.11 19910810 (8강전) 조훈현九단:이창호五단 119수 흑불계승 1140 1255 1991.07.11 19910817 (준결승전) 서능욱九단:강 훈(大)七단 167수 흑불계승 11:40 12:55 1991.07.26 19910824 (준결승전) 조훈현九단:유창혁五단 154수 백불계승 11:40 12:55 1991.08.08 19910831 (결승1국) 조훈현九단:서능욱九단 259수 백5.5집승 1140 1255 토 19910907 (결승2국) 조훈현九단:서능욱九단 261수 흑불계승 1140 1255 토 1991.08.22[37] 19910914 앙코르 (결승2국) 조훈현九단:서능욱九단 261수 흑불계승 1140 1255 토 1991.09.05 제11기 (1991년 ~ 199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10921 (3차예선?국) 전영선六단:최명훈初단 199수 흑 불계승 1991.09.19 1140 1255 19910928 (3차예선?국) 김좌기六단:김동면三단 269수 흑 불계승 1991.09.19 1140 1255 19911005 (3차예선?국) 박영찬初단:강철민七단 228수 백 불계승 1991.09.19 1140 1255 19911012 (2차예선 1회전) 백성호七단:유건재六단 000수 미확정승 1991.10.08 1150 0100 19911019 (3차예선?국) 김재구七단:조대현五단 244수 흑 10.5 집승 1991.10.17 1150 0100 19911026 (3차예선?국) 심종식五단:이상훈(大)二단 297수 흑 12.5 집승 1991.10.17 1150 0100 19911102 (3차예선?국) 김수장八단:이봉근六단 151수 흑 불계승 11:50 01:00 1991.10.31 19911109 (3차예선?국) 김동명六단:장수영八단 300수 흑 5.5 집승 1150 0100 1991.10.31 19911116 (3차예선?국) 김철중初단:김종준初단 257수 흑 2.5 집승 1115 ???? 1991.11.14 19911123 (3차예선?국) 이동규七단:윤현석二단 121수 흑 불계승 1150 100 1991.11.14 19911130 (3차예선?국) 고광명二단:윤종섭二단 203수 흑 불계승 1150 100 1991.11.14 19911207 (3차예선?국) 하찬석八단:홍태선七단 218수 흑 1.5 집승 1150 0100 1991.11.28 19911214 (3차예선?국) 이상훈初단(小):양재호七단 249수 백 8.5 집승 1150 100 1991.11.28 19911221 (3차예선?국) 백성호八단:황원준七단 284수 백 8.5 집승 1150 100 1991.11.28 19911228 (2차예선결승) 임선근七단:권갑용五단 256수 흑 1.5 집승 1150 100 1991.12.12 19920104 (승자1회전) 고광명四단:이상훈(小)初단 306수 백 30.5 집승 1150 100 1991.12.12 본선1국 19920111 (승자1회전) 김 인九단:김동명五단 143수 흑 불계승 1150 100 1992.01.09 본선2국 19920118 (승자1회전) 오송생九단:김좌기六단 265수 백 0.5 집승 1150 100 1992.01.09 본선3국 19920125 (승자1회전) 윤현석三단:김종준三단 257수 백 7.5 집승 1150 100 1992.01.20 본선4국 19920208 (승자1회전) 하찬석八단:심종식五단 296수 흑 13.5 집승 1992.01.20 1150 100 1992.01.20 본선5국 19920215 (승자1회전) 전영선六단:윤기현九단 244수 백 불계승 1150 100 1992.02.06 본선7국 19920222 (승자1회전) 조대현五단:박영찬初단 257수 백 7.5 집승 1992.02.06 1150 100 본선6국 19920229 (승자2회전) 윤현석三단:김수장八단 254수 흑 2.5 집승 1145 1255 1992.02.20 본선8국 19920307 (승자2회전) 조대현五단:이창호九단 198수 백 불계승 1150 ???? 1992.02.20 본선9국 19920314 (승자2회전) 고광명四단:유창혁九단 230수 흑 23.5 집승 1150 100 1992.03.05 본선10국 19920321 (승자2회전) 서봉수九단:김 인九단 245수 흑 3.5 집승 11:50 01:00 1992.03.05 본선11국 19920328 (승자2회전) 백성호八단:조훈현九단 306수 백 6.5 집승 11:50 01:00 1992.03.19 본선12국 19920404 (승자2회전) 강 훈(大)七단:전영선六단 206수 백 불계승 1150 100 1992.03.19 본선13국 19920411 (승자2회전) 오송생九단:임선근七단 218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2.04.02 본선 14국 19920418 (승자2회전) 하찬석八단:서능욱九단 183수 흑 불계승 11:45 12:55 1992.04.02 본선 15국 19920425 (패자1회전) 전영선六단:조대현六단 175수 흑 불계승 11:45 12:55 1992.04.16 본선 16국 19920502 (패자1회전) 오송생九단:하찬석八단 277수 백 5.5 집승 11:45 12:55 1992.04.16 본선 17국 19920509 (패자1회전) 고광명四단:백성호八단 226수 흑 27.5 집승 11:45 12:55 1992.04.30 본선 18국 19920516 (승자3회전) 유창혁五단:서봉수九단 238수 백 3.5 집승 1240 1250 1992.04.30 본선 19국 19920523 (패자1회전) 김 인九단:김수장八단 236수 흑 2.5 집승 1145 1255 1992.05.21 본선 20국 19920530 (승자3회전) 조훈현九단:윤현석二단 263수 흑 21.5 집승 11:45 12:55 1992.05.21 본선 21국 19920606 (승자3회전) 서능욱九단:이창호五단 277수 백 4.5 집승 11:45 12:55 1992.06.04 본선 22국 19920613 (승자3회전) 강 훈(大)七단:임선근七단 196수 백 불계승 1992.06.04 1145 1255 본선 23국 19920620 (패자2회전) 조대현六단:조훈현九단 129수 흑 불계승 1992.06.18 1145 1255 본선24국 19920627 (패자2회전) 유창혁五단:하찬석八단 221수 흑 불계승 1992.06.18 25국 1145 1255 본선 25국 19920704 (패자2회전) 백성호八단:강 훈(大)七단 238수 흑 9.5 집승 1992.07.02 1145 1255 본선26국 19920711 (승자준결승) 이창호五단:윤현석三단 140수 백 불계승 1992.07.02 1145 1255 본선28국[38] 19920718 (패자2회전) 김 인九단:서능욱九단 110수 백 불계승 1992.07.16 1145 1255 본선29국 19920725 (승자준결승) 서봉수九단:임선근七단 268수 백 8.5 집승 1992.07.02 1145 1255 본선27국 19920801 (패자3회전) 서능욱九단:강 훈(大)七단 251수 흑 불계승 1992.07.16 1145 1255 본선30국 19920808 (패자3회전) 조훈현九단:유창혁五단 244수 흑 3.5 집승 1992.08.03 1145 1255 본선31국 19920815 (패자4회전) 서능욱九단:임선근七단 180수 백 불계승 1992.08.03 1145 1255 본선32국 19920822 (패자4회전) 조훈현九단:윤현석三단 263수 흑 21.5 집승 1992.08.13 1145 1255 본선33국 19920829 (패자준결승) 조훈현九단:서능욱九단 147수 흑 불계승 1992.08.13 1145 1255 본선34국 19920905 (승자결승) 이창호五단:서봉수九단 199수 흑 12.5 집승 1992.08.27 1145 1255[39] 19920912 (패자결승)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225수 흑 불계승 1992.08.27 1145 1255 19920919 (결승1국) 조훈현九단:이창호五단 276수 흑 1.5 집승 1992.09.15 1145 1255[40] 19920926 (결승2국) 이창호五단:조훈현九단 301수 흑 6.5 집승 1992.09.24 1145 1255 19921003 (결승3국) 이창호五단:조훈현九단 313수 백 11.5 집승 1992.09.24 1145 1255[41] 19921010 앙코르 (결승3국) 이창호五단:조훈현九단 313수 백 11.5 집승 1992.09.24 1145 1255 제12기 (1993년 ~ 199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21121 (3차예선 제1국) 윤현석三단:김희중七단 246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2.11.05 19921128 (3차예선 제2국) 나종훈四단:이관철初단 170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2.11.05 19921205 (3차예선 제3국) 문명근七단:양상국七단 264수 백 2.5 집승 11:45 12:55 1992.11.19 19921212 (3차예선 제4국) 정수현七단:임선근七단 193수 흑 불계승 11:45 01:00 1992.11.19 19921219 (3차예선 제5국) 김학수六단:정현산四단 171수 흑 불계승 11:50 01:00 1992.12.10 19921226 (3차예선 제6국) 이주룡六단:김동면三단 257수 흑 11.5 집승 11:45 12:55 1992.12.10 19930109 (3차예선 제7국) 강 훈七단:이봉근六단 252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2.12.17 19930116 (3차예선 제8국) 한상열四단:이동규七단 286수 백 14.5 집승 12:00 01:10 1992.12.17 19930123 (3차예선 제9국) 고광명四단:조대현六단 118수 백 시간승 1145 1255 1992.12.31 19930130 (3차예선 제10국) 황원준七단:김성룡二단 273수 백 4.5 집승 11:55 01:05 1992.12.31 19930206 (3차예선 제11국) 강철민七단:김영환二단 234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3.01.14 19930213 (3차예선 제12국) 하찬석八단:허장회七단 282수 백 7.5 집승 1145 1255 1993.01.14 19930220 (3차예선 제13국) 유건재六단:김일환七단 207수 흑 불계승 1145 1255 1993.01.28 19930227 (3차예선 제14국) 양재호八단:유병호七단 244수 흑 8.5 집승 1145 1255 1993.01.28 19930306 (3차예선 제15국) 김수장八단:김동엽五단 214수 백 불계승 1145 1255 1993.02.18 19930313 (3차예선 제16국) 이상훈(大)三단:백성호八단 176수 백 불계승 1200 0110 1993.02.18 19930320 (승자1회전) 서능욱九단:정현산四단 127수 흑 불계승 1145 1255 1993.02.25 19930327 (승자1회전) 양재호八단:고광명三단 218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2.25 19930403 (승자1회전) 유건재六단:강 훈(大)七단 316수 백 8.5 집승 1145 1255 1993.03.18 19930410 (승자1회전) 문명근六단:윤기현九단 247수 흑 2.5 집승 1200 100 1993.03.18 19930417 (승자1회전) 임선근七단:김영환三단 241수 흑 10.5 집승 1145 1240 1993.04.01 19930424 (승자1회전) 하찬석八단:윤현석三단 180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4.01 19930501 (승자1회전) 이상훈(大)三단:우쑹썽九단 232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4.15 19930508 (승자1회전) 장수영九단:이주용六단 237수 흑 0.5 집승 1145 1240 1993.04.15 19930512 (승자2회전) 이주용六단:유창혁五단 000수 미확정 1145 1240 1993.06.15 19930515 (승자2회전) 서능욱九단:이창호六단 319수 백 3.5 집승 1210 0110 1993.05.04 19930522 (승자2회전) 문명근七단:나종훈四단 319수 흑 불계승 1145 1240 1993.05.04 19930529 (승자2회전) 김영환三단:한상렬四단 178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5.18 19930605 (승자2회전) 윤현석三단:황원준七단 248수 백 불계승 1220 0120 1993.05.18 19930612 (승자2회전) 양재호八단:김수장九단 276수 백 12.5 집승 1145 1240 1993.06.01 19930619 (승자2회전) 서봉수九단:유건재六단 266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6.01 본선14국[42] 19930703 (승자2회전) 우쑹성九단:조훈현九단 240수 백 시간승 1145 1240 1993.06.15 19930710 (패자1회전) 한상렬四단:황원준七단 264수 흑 5.5 집승 1205 0100 1993.06.29 19930717 (패자1회전) 이주룡六단:나종훈四단 192수 백 불계승 1205 0100 1993.06.29 19930724 (패자1회전) 이창호六단:김수장九단 271수 백 8.5 집승1145 1240 1993.06.29 19930731 (패자1회전) 유건재六단:우쑹성九단 257수 흑 9.5 집승 1145 1240 1993.07.13 19930807 (승자3회전) 양재호八단:조훈현九단 230수 백 8.5 집승 1155 1250 1993.07.13[43] 19930925 (승자3회전) 유창혁六단:김영환三단 198수 백 불계승 1145 1240 1993.07.13 19931009 (승자3회전) 서봉수九단:서능욱九단 298수 흑 5.5 집승 1993.09.07 1145 1240 19931016 (승자3회전) 윤현석三단:문명근七단 288수 흑 9.5 집승 1993.09.07 1145 1240 19931024 (패자2회전) 김영환三단:우쑹썽九단 235수 백 5.5 집승 1993.09.07 1200 0100 19931031 (패자2회전) 이창호六단:문명근七단 244수 흑 8.5 집승 1993.10.19 1200 0100 19931107 (패자2회전) 나종훈四단:조훈현九단 261수 백 3.5 집승 1993.10.19 1200 0100 19931114 (패자2회전) 황원준七단:서봉수九단 172수 백 불계승 1993.10.26 1200 0100 19931121 (패자3회전) 김영환三단:이창호六단 91수 흑 불계승 1993.10.26 1200 0100 19931128 (패자3회전)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284수 흑 1.5 집승 1993.11.10 1200 0100 19931205 (승자준결승) 서능욱九단:유창혁六단 305수 흑 4.5 집승 1993.11.10 1200 100 19931212 (승자준결승) 윤현석三단:양재호八단 202수 백 불계승 1993.11.10 1200 100 19931219 (패자4회전) 이창호六단:서능욱九단 153수 흑 불계승 1993.10.26 1200 100 19931226 (패자4회전) 조훈현九단:윤현석三단 250수 백 7.5 집승 1993.11.24 1200 100 19940109 (패자준결승) 이창호六단:조훈현九단 164수 백불계승 1200 100 1993.12.08[44] 19940116 (승자결승) 유창혁六단:양재호八단 160수 백 불계승 1200 100 1993.12.29 19940123 (패자결승) 조훈현九단:양재호八단 206수 백 불계승 1200 100 1993.12.29 19940130 (결승1국) 조훈현九단:유창혁六단 290수 백2집반승 1200 100 1993.12.29[45] 19940206 (결승2국) 조훈현九단:유창혁六단 269수 흑5집반승 1200 100 1994.01.05[46] 제13기 (1994년 ~ 199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40213 (3차예선 1국) 임선근七단:전영선六단 183수 흑불계승 1994.01.19 1200 100 19940220 (3차예선 2국) 백성호八단:정현산三단 234수 백불계승 1994.01.19 1200 100 19940227 (3차예선 3국) 김수영六단:안관욱二단 247수 흑불계승 1994.02.02 1200 100 19940306 (3차예선 4국) 허장회七단:박승문三단 245수 백5집반승 1994.02.02 1200 100 19940313 (3차예선 5국) 황원준七단:김좌기六단 312수 흑2집반승 1994.02.16 1200 100 19940320 (3차예선 6국) 강만우七단:홍태선七단 255수 백반집승 1994.02.16 1200 100 19940327 (3차예선 7국) 강훈(大)八단:김재구七단 1994.03.02 1200 100 19940403 (3차예선 8국) 김희중八단:김영환三단 316수 백6집반승 1994.03.02 1200 100 19940410 (3차예선 9국) 조대현七단:김종준三단 193수 흑불계승 1994.03.16 1200 100 19940417 (3차예선 10국) 고재희七단:하찬석八단 236수 흑12집반승 1994.03.16 1200 100 19940424 (3차예선 11국) 김일환七단:문명근七단 277수 백7집반승 1994.03.30 1200 100 19940501 (3차예선 12국) 이상훈(小)二단:정수현七단 255수 흑7집반승 1994.03.30 1200 100 19940508 (3차예선 13국) 이동규七단:김원五단 270수 백5집반승 1994.04.13 1200 100 19940515 (승자1회전) 김희중八단:전영선六단 흑3집반승 1994.04.13 1200 100 19940522 (승자1회전) 강훈八단(大):김좌기六단 253수 흑5집반승 1994.04.27 1200 100 19940529 (승자1회전) 장수영九단:백성호八단 296수 흑5집반승 1994.04.27 1200 100 19940605 (승자1회전) 서능욱九단:오송생九단 296수 흑5집반승 1994.05.25 1200 100 19940612 (승자1회전) 고재희七단:김일환七단 128수 백불계승 1994.05.25 1200 100 19940619 (승자1회전) 윤기현九단:김수영六단 257수 흑20집반승 1994.06.08 1200 100 19940626 (승자1회전) 김수장九단:이상훈(小)二단 176수 백불계승 1994.06.08 1200 100 19940703 (승자2회전) 서봉수九단:김좌기六단 128수 백불계승 1994.06.22 1200 100 19940710 (승자2회전) 전영선六단:박승문三단 흑6집반승 1994.06.22 1200 0100 19940717 (승자2회전) 조훈현九단:이상훈(小)二단 208수 백불계승 1994.07.06 1200 0100[47] 19940724 (승자2회전) 유창혁六단:김종준三단 232수 흑5집반승 1994.07.06 1200 0100 19940731 (승자2회전) 윤기현九단:이동규七단 192수 백불계승 1994.07.06 1200 0100 19940807 (승자2회전) 김일환七단:강만우七단 259수 백3집반승 1994.07.20 1200 0100 19940814 (승자2회전) 서능욱九단:양재호八단 251수 흑반집승 1994.07.20 1200 0100 19940821 (승자2회전) 장수영九단:이창호七단 백불계승 1994.08.03 1200 0100 19940828 (패자1회전) 전영선六단:김종준三단 흑불계승 1994.07.20 1200 0100 19940904 (패자1회전) 윤기현九단:김좌기六단 248수 흑반집승 1994.08.03 1200 0100 19940911 (패자1회전) 장수영九단:강만우七단 222수 백불계승 1994.08.17 1200 0100 19940918 (패자1회전) 조훈현九단:양재호九단 182수 백불계승 1994.08.17 1200 0100 19940925 (승자3회전) 박승문三단:이상훈(小)二단 262수 흑2집반승 1200 0100 1994.09.07 19941002 (승자3회전) 서봉수九단:김일환七단 269수 백5집반승 1200 0100 1994.09.07 19941009 (승자3회전) 이창호七단:이동규七단 156수 백불계승 1200 0100 1994.09.07 19941016 (승자3회전) 유창혁六단:서능욱九단 265수 백8집반승 1150 1250 1994.09.28 19941023 (패자2회전) 조훈현九단:이동규七단 269수 백5집반승 1200 0100 1994.09.28 19941030 (패자2회전) 장수영九단:이상훈(小)二단 231수 흑불계승 1200 0100 1994.09.28 19941106 (패자2회전) 김일환七단:김종준三단 287수 흑6집반승 1200 0100 1994.10.12 19941120 (패자2회전) 김좌기六단:서능욱九단 286수 백3집반승 1200 0100 1994.10.12 19941127 (패자3회전) 조훈현九단:김종준三단 228수 백불계승 1200 0100 1994.10.26 19941204 (패자3회전) 장수영九단:서능욱九단 265수 흑11집반승 1200 0100 1994.10.26 19941211 (승자준결승) 서봉수九단:박승문三단 291수 흑2집반승 1200 0100 1994.11.09 19941218 (승자준결승) 이창호七단:유창혁六단 253수 백7집반승 1200 0100 1994.11.09[48] 19941225 (패자4회전)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269수 백3집반승 1220 0120 1994.11.23 19950108 (패자4회전) 유창혁六단:장수영九단 225수 백4집반승 1200 0100 1994.11.23 19950115 (패자준결승) 조훈현九단:유창혁六단 235수 흑불계승 1200 0100 1994.12.21 19950122 (승자결승) 이창호七단:박승문三단 180수 흑17집반승 1200 0100 1994.11.23 19950129 (패자결승) 조훈현九단:박승문三단 176수 백불계승 1235 0135 1994.12.21 19950205 (결승1국) 조훈현九단:이창호七단 193수 흑불계승 1200 0100 1995.01.04 19950212 (결승2국) 조훈현九단:이창호七단 158수 백불계승 1200 0100 1995.01.04[49][50] 제14기 (1995년 ~ 199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50219 (3차예선 1국) 김철중二단:이성재三단 280수 흑3집반승 1200 100 1995.01.18 19950224 (3차예선 2국) 이상훈(小)初단:김동엽六단 241수 흑불계승 1995.01.18 19950303 (3차예선 3국) 정수현八단:유병호七단 182수 백불계승 1995.02.08 19950310 (3차예선 4국) 문명근七단:김영환三단 204수 백불계승 1995.02.22 19950317 (3차예선 5국) 김희중八단:이상훈(大)三단 258수 흑14집반승 1995.02.22 19950324 (3차예선 ?국) 김일환七단:정현산五단 248수 백불계승 1995.02.22 19950331 (3차예선 ?국) 허장회七단:김성룡三단 277수 흑9집반승 1995.03.08 19950407 (3차예선 ?국) 강훈八단: 임선근八단 193수 흑불계승 1995.03.08 19950414 (3차예선 9국) 김종준三단:하찬석八단 268수 백4집반승 1995.03.22 19950421 (3차예선 10국) 백성호八단: 김기헌三단 139수 흑불계승 1995.03.22 19950506 (3차예선 12국) 양상국七단: 정대상五단 135수 흑불계승 1995.04.04 19950527 (3차예선 13국) 전영선六단:박상돈六단 271수 백4집반승 1995.04.19 19950610 (승자1회전) 임선근七단:김수장九단 232수 백불계승 1995.04.19 19950624 (승자1회전) 김동엽六단:김기헌四단 228수 백불계승 1200 0100 1995.05.03 19950701 (승자1회전) 이성재三단:김영환三단 181수 흑불계승 1200 0100 1995.05.03 19950708 (승자1회전) 박승문三단:정대상六단 194수 백불계승 1200 0100 1995.05.17 19950715 (승자1회전) 서능욱九단:김일환七단 224수 흑14집반승 1200 0100 1995.05.17 19950722 (승자1회전) 양재호九단:김성룡三단 185수 흑 불계승 1200 0100 1995.05.31 19950902 (승자1회전) 김종준三단:박상돈六단 256수 흑3집반승 1995.05.31 19950915 (승자1회전) 우쑹성九단 :최규병七단 240수 흑8집반승 6/14 19950922 (승자2회전) 이상훈(大)三단:김종준三단 204수 백불계승 6/14[51] 19950929 (승자2회전) 정대상六단:윤기현九단 197수 흑불계승 6/28 19951006 (승자2회전) 조훈현九단:김기헌二단 237수 흑불계승 6/28 1210 19951013 (승자2회전) 유창혁六단:오송생九단 253수 흑17집반승 7/12 1210 19951020 (승자2회전) 김영환三단:정수현八단 286수 흑7집반승 7/12 19951027 (승자2회전) 장수영九단:양재호九단 199수 흑불계승 10/05 19951103 (승자2회전) 서봉수九단:서능욱九단 238수 백불계승 10/05 19951110 (승자2회전) 이창호七단:임선근八단 147수 흑불계승 10/19 19951117 (패자1회전) 김종준二단:윤기현九단 272수 백불계승 10/19 19951124 (패자1회전) 임선근八단:정수현八단 263수 백11집반승 11/03 19951201 (패자1회전) 오송생九단:김기헌二단 226수 백불계승 11/03 19951208 (승자3회전) 이창호七단:장수영九단 178수 백불계승 11/23 19951215 (패자1회전) 양재호九단:서능욱九단 273수 흑5집반승 11/23 19951222 (승자3회전) 김영환三단:서봉수九단 199수 흑불계승 12/07 19960106 (승자3회전) 조훈현九단:이상훈四단(大)188수 백불계승 1995.12.14 1210 1255 19960113 (승자3회전) 유창혁七단:정대상六단 178수 백불계승 1995.12.14 1210 1255 19960120 (패자2회전) 서봉수九단:임선근八단 266수 백14집반승 1995.12.21 1210 1255 19960127 (패자2회전) 장수영九단: 오송생九단 258수 흑6집반승 1995.12.21 1210 1255 19960203 (패자2회전) 김종준三단:정대상 六단 236수 흑6집반승 1/11 1210 1255 19960210 (승자준결승) 김영환三단:유창혁七단 245수 흑불계승 1996.01.25 1210 1255[52] 19960217 (패자2회전) 양재호九단:이상훈(大)三단 131수 흑불계승 1/18 1996.01.18 19960224 (패자3회전) 서봉수九단:양재호九단 284수 흑6집반승 1/25 1996.01.25 19960303 (패자3회전) 장수영九단 :정대상六단 244수 백불계승 31국 1996.02.08 19960310 (패자4회전) 김영환三단:서봉수九단 223수 흑2집반승 32국 1996.02.08 19960317 (승자준결승) 조훈현九단:이창호七단 271수 흑3집반승 1996.02.22 19960324 (패자4회전) 조훈현九단:장수영九단 254수 백2집반승 1996.02.29 19960331 (승자결승) 유창혁七단:이창호七단 116수 백불계승 1996.02.29[53][54] 19960407 (패자준결승)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194수 백불게승 1996.03.07 19960414 (패자결승) 유창혁七단:서봉수九단 284수 백2집반승 1996.03.14[55] 19960421 (결승1국) 유창혁七단 :이창호七단 280수 흑6집반승 1996.03.28 19960428 (결승2국) 유창혁七단: 이창호七단 299수 백5집반승 1996.03.28[56] 제15기 (1996년 ~ 199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6년 (3차예선 결승)[편집] 19960505 (3차예선 제1국) 김희중八단:정수현八단 359수 백8집반승 1996.04.25 1200 100 19960512 (3차예선 제2국) 조대현八단:황원준八단 244수 백불계승 1996.04.25 1200 100 19960707 (3차예선 제3국) 노준환四단:김영환三단 202수 백3집반승 1996.06.12 1200 100 19960811 (3차예선 제4국) 김성룡四단:김재구八단 287수 흑불계승 1996.06.12 1200 100 19960818 (3차예선 제5국) 백대현二단:임선근八단 189수 흑불계승 1996.06.26 1200 100 19960901 (3차예선 제6국) 윤성현五단:이동규七단 153수 흑불계승 1996.06.26 1200 100 19960908 (3차예선 제7국) 김동엽六단:이성재三단 276수 흑10집반승1996.08.21 1200 100 19960915 (3차예선 제8국) 박영찬二단:홍종현八단 248수 백불계승 1996.08.21 1200 100 19961006 (3차예선 제9국) 강훈(大)八단:하찬석八단 270수 흑13집반승 1996.08.21 1200 100 19961110 (3차예선 제10국) 최규병八단:한철균五단 231수 흑2집반승 1996.09.11 1200 1250 19961117 (3차예선 제11국) 고재희七단:양상국七단 297수 백8집반승 1996.09.11 1200 1250 19961201 (3차예선 제12국) 오규철六단:유병호七단 256수 흑34집반승 1996.09.18 1200 1250 19961215 (3차예선 제13국) 김일환八단:김덕규七단 219수 흑불계승 1996.09.18 1200 100 1997년 (본선 ~ 결승)[편집] 19970105 (승자1회전) 조대현八단:강훈九단 175수 흑불계승 1996.11.05 본선1국 1200 100 19970112 (승자1회전) 김동엽六단:김일환八단 285수 흑4집반승 1996.11.05 본선2국 1200 100 19970119 (승자1회전) 최규병八단:고재희七단 156수 백불계승 1997.01.07 1200 100 19970126 (승자1회전) 양재호九단:오규철六단 274수 백1집반승1997.01.07 1200 100 19970202 (승자1회전) 김수장九단:윤기현九단 184수 백불계승 1997.01.21 1200 100 19970216 (승자1회전) 노준환四단:서능욱九단 211수 흑불계승 1997.01.21 1200 100 19970223 (승자2회전) 정수현八단:양재호九단 171수 흑불계승 1997.02.04 1200 100 19970302 (승자2회전) 강훈(大)九단:백대현二단 288수 흑8집반승 1997.02.04 1200 100 KBS-2TV 마지막 방송시간 19970309 (승자2회전) 서봉수九단:김수장九단 208수 백불계승 1997.02.04 10:50~11:50 KBS위성1TV 방송시간 변경 19970316 (승자2회전) 최규병八단:유창혁九단 161수 흑불계승 1부 1997.02.04 11:00~12:00 (승자2회전) 김동엽六단:조훈현九단 310수 흑3집반승 2부 1997.02.11 12:00~01:00[57][58] 19970323 (승자 2회전) 노준환四단:박영찬二단 289수 흑4집반승 1부 1997.02.11 11:00~12:00 (승자 2회전) 백성호九단:이창호九단 146수 백불계승 2부 1997.02.11 12:00~01:00 19970330 (패자 1회전) 서봉수九단:양재호九단 270수 백불계승 1부 1997.02.18 11:00~12:00 (패자 1회전) 조훈현九단:강훈(大)九단 117수 흑불계승 2부 1997.02.18 12:00~01:00 19970406 (패자 1회전) 최규병八단:백성호九단 204수 백불계승 1부 1997.02.22 11:00~12:00 (패자 1회전) 노준환四단:오송생九단 270수 흑1집반승 2부 1997.02.22 12:00~01:00 19970413 (승자 3회전) 정수현九단:김동엽六단 135수 흑불계승 2부 1997.02.25 11:00~12:00 (승자 3회전) 백대현二단:김수장九단 235수 흑불계승 1부 1997.02.25 12:00~01:00[59] 19970420 (승자 3회전) 이창호九단:박영찬二단 191수 흑불계승 1부 1997.03.05 11:00~12:00 (승자 3회전) 장수영九단:유창혁九단 266수 흑반집승 2부 1997.03.05 12:00~01:00 19970427 (패자 2회전) 최규병八단:김수장九단 172수 흑불계승 1부 1997.03.08 11:00~12:00 (패자 2회전) 우쑹성九단:김동엽六단 214수 백불계승 2부 1997.03.08 12:00~01:00 19970504 (패자 2회전) 조훈현九단:유창혁九단 172수 백불계승 1부 1997.03.11 11:30~12:30 (패자 2회전) 서봉수九단:박영찬二단 172수 백불계승 2부 1997.03.11 12:30~01:30 19970525 (승자준결승) 이창호九단:백대현三단 279수 흑8집반승 1부 1997.03.15 11:00~12:00[60] (승자준결승) 정수현八단:장수영九단 305수 백7집반승 2부 1997.03.15 12:00~01:00[61] 19970608 (패자 3회전) 최규병八단:김동엽六단 294수 백4집반승 1부 1997.03.19 11:00~12:00 (패자 3회전) 조훈현九단:서봉수九단 312수 백4집반승 2부 1997.03.19 12:00~01:00 19970615 (패자 4회전) 김동엽六단:백대현三단 218수 백불계승 1부 1997.03.31 11:00~12:00 (패자 4회전) 장수영九단:조훈현九단 332수 흑2집반승 2부 1997.04.07 12:00~01:00 19970622 (승자 결승) 이창호九단:정수현九단 190수 백불계승 1부 1997.03.31 11:00~12:00 (패자 준결승) 조훈현九단:김동엽六단 248수 백불계승 2부 1997.04.07 12:00~01:00 19970629 (패자 결승) 조훈현九단:정수현九단 307수 백21집반승 1부 1997.04.09 11:00~12:00 (결승1국) 이창호九단:조훈현九단 310수 흑3집반승 2부 1997.04.09 12:00~01:00[62] 19970706 (결승2국)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313수 흑5집반승 1부 1997.04.16 11:00~12:00 (결승3국)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322수 백1집반승 2부 1997.04.16 12:00~01:00[63][64][65] 제16기 (1997년 ~ 199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70713 (3차예선 제1국) 조대현 八단:황원준 八단 234수 흑9집반승 1997.07.07 830 1000 19970720 (3차예선 제4국) 백대현 三단:홍종현 八단 290수 흑2집반승 1997.07.14 830 1000 19970727 (3차예선 제5국) 김종수 四단:김준영 三단 270수 백2집반승 1997.07.14 830 1000 19970803 (3차예선 제7국) 정현산 六단:최규병 八단 178수 백불계승 1997.07.21 830 1000 19970810 (3차예선 제8국) 윤현석 四단:하찬석 八단 270수 백2집반승 1997.07.21 830 1000 19970817 (3차예선 제12국) 허장회 八단:김재구 八단 245수 흑불계승 1997.07.28 830 1000 19970824 (승자1회전) 김동엽七단:정현산六단 248수 백불계승 1997.07.28 0830 1000 본선1국 19970831 (승자1회전) 임선근八단:윤기현九단 288수 백7집반승 1997.08.18 0830 1000 본선2국 19970907 (승자1회전) 김희중九단:김준영三단 235수 흑불계승 1997.08.18 0830 1000 본선3국 19970914 (승자1회전) 서능욱九단:오송생九단 184수 백불계승 1997.09.08 0830 1000 본선4국[66] 19970921 (승자1회전) 장수영九단:백성호九단 294수 백3집반승 0830 1000 1997.09.08 본선5국 19970928 (승자1회전) 김수장九단:양재호九단 249수 흑불계승 0830 1000 1997.09.22 본선6국 19971005 (승자1회전) 백대현三단:강 훈(大)九단 297수 흑불계승 0830 1000 1997.09.22 본선7국 19971012 (승자1회전) 서봉수九단:정대상七단 260수 백반집승 0830 1000 1997.10.06 본선8국[67] 19971019 (승자2회전) 김동엽七단:김영환四단 167수 흑불계승 0830 1000 1997.10.06 본선9국 19971026 (승자2회전) 조대현八단:백대현三단 136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0.13 본선10국 19971102 (승자2회전) 서능욱九단:유창혁九단 224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0.13 본선11국[68] 19971109 (승자2회전) 하찬석八단:임선근八단 198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0.20 본선12국 19971116 (승자2회전) 김희중九단:정수현九단 288수 흑5집반승 0830 1000 1997.10.20 본선13국 19971123 (승자2회전) 조훈현九단:정대상七단 196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1.10 본선14국[69] 19971130 (승자2회전) 김수장九단:허장회八단 272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1.10 본선15국 19971207 (승자2회전) 이창호九단:백성호九단 226수 백17집반승 0830 1000 1997.11.17 본선16국 19971214 (패자1회전) 유창혁九단:임선근九단 165수 흑불계승 0830 1000 1997.11.17 본선17국 19971221 (패자1회전) 조대현八단:허장회八단 246수 백4집반승 0830 1000 1997.11.20 본선18국 19971228 (패자1회전) 정수현九단:정대상七단 224수 백불계승 0830 1000 1997.11.20 본선19국 19980104 (패자1회전) 백성호九단:김영환三단 299수 백1집반승 0830 1000 마지막 1997.12.22 본선20국 19980111 (승자3회전) 이창호九단:김희중九단 270수 흑25집반승 밤11:05~12:30 1997.12.22 본선21국[70] 19980118 (승자3회전) 하찬석八단:백대현三단 161수 흑불계승 밤11:05~12:30 1998.01.13[71] 19980125 (승자3회전) 김수장九단:서능욱九단 311수 백3집반승 밤11:05~12:30 1998.01.13 19980201 (승자3회전) 조훈현九단:김동엽七단 276수 백14집반승 밤11:05~12:30 1998.01.20 19980208 (패자2회전) 김희중九단:조대현八단 255수 백2집반승 밤11:05~12:30 1998.01.20 19980215 (패자2회전) 정수현九단:서능욱九단 310수 흑3집반승 밤11:05~12:30 1998.02.03[72] 19980222 (패자2회전) 김영환四단:백대현三단 291수 백반집승 밤11:05~12:30 1998.02.03 19980308 (패자2회전) 유창혁九단:김동엽七단 172수 백불계승 밤11:05~12:45 1998.02.16[73] 19980315 (패자3회전) 정수현九단:김영환四단 326수 흑3집반승 밤11:05~12:35 1998.02.17 19980322 (패자3회전) 유창혁九단:김희중九단 243수 흑불계승 밤11:05~12:30 1998.03.10[74] 19980329 (승자준결승) 이창호九단:하찬석八단 116수 백불계승 밤 11:00~12:25 1998.02.24[75] 19980405 (승자준결승) 조훈현九단:김수장九단 296수 흑21집반승 밤 11:00~12:25 1998.02.24 19980412 (패자4회전) 정수현九단:하찬석八단 325수 흑8집반승 밤1105 1235 1998.03.10 본선31국 19980419 (패자4회전) 김수장九단:김희중九단 161수 흑불계승 밤1105 1235 1998.03.17 본선32국[76] 19980426 (패자준결승) 하찬석八단:김희중九단 129수 흑불계승 밤 1105 1235 1998.03.26 본선33국 19980503 (승자결승)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266수 백3집반승 밤1105 1235 1998.03.31 본선34국[77] 19980510 (패자결승) 조훈현九단:김희중九단 348수 흑12집반승 밤1105 1235 1998.04.16 본선 35국[78][79] 19980517 (하이라이트) 제16기 KBS 바둑왕전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의 결승 진출 하이라이트 1105 1230 해설 노영하 八단 19980520 생방송 (결승1국)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161수 흑불계승[80][81][82] 19980521 생방송 (결승2국) 조훈현九단:이창호九단 340수 백2집반승[83][84][85] 제17기 (1998년 ~ 1999년)[86][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80524 (승자 1회전) 김영환四단:염정훈初단 183수 흑 불계승 1998.05.22 1115 1230 본선1국[87] 19980607 (승자 1회전) 김승준六단:임창식六단 169수 흑 불계승 1998.05.28 1115 1230 본선2국 19980614 (승자 1회전) 조한승三단:유창혁九단 160수 백 불계승 1998.06.09 1105 1230 본선4국 19980621 (승자 1회전) 최명훈六단:이세돌二단 296수 백 6.5 집승 1998.06.09 1105 1230 본선3국 19980628 (승자 2회전) 이창호九단:강지성二단 180수 백 불계승 1998.06.16 1105 1230 본선5국[88] 19980705 (승자 2회전) 하찬석八단:권갑용六단 302수 백 1.5 집승 1998.06.16 1105 1230 본선6국 19980712 (승자 2회전) 양재호九단:이현욱二단 182수 백 불계승 1998.06.23 1105 1230 본선7국[89] 19980719 (승자 2회전) 오규철七단:김수장九단 175수 흑 불계승 1998.06.23 1105 1230 본선8국 19980726 (승자 2회전) 정수현九단:김영환六단 248수 흑 7.5 집승 1998.07.07 1105 1230 본선9국 19980802 (승자 2회전) 조한승三단:김희중九단 245수 흑 10.5 집승 1998.07.07 1105 1230 본선10국 19980809 (승자 2회전) 조훈현九단:최명훈七단 230수 백불계승 1998.07.14 1105 1230 본선9국[90] 19980816 (승자 2회전) 김승준六단:정대상七단 252수 백불계승 1998.07.14 1105 1230 본선 11국 19980920 (패자 1회전) 조한승二단:강지성二단 148수 백 불계승 1998.07.28 1105 1235 본선13국[91] 19980927 (패자 1회전) 정대상七단:이현욱二단 208수 백 불계승 1998.09.15 1105 1230 본선14국 19981004 (패자 1회전) 김영환六단:권갑용六단 310수 백 15.5 집승 1998.09.15 1035 1200 본선15국 19981011 (패자 1회전) 조훈현九단:김수장九단 220수 흑 3.5 집승 1998.09.29 1105 1230 본선16국 19981017 (승자 3회전) 정수현九단:오규철七단 193수 흑 불계승 1998.09.29 900 1030 본선17국 19981024 (승자 3회전) 양재호九단:김희중九단 254수 흑 30.5집승 1998.10.13 900 1030 본선18국 19981031 (승자 3회전) 최명훈六단:하찬석八단 256수 흑 5.5 집승 1998.10.20 900 1030 본선20국 19981107 (승자 3회전) 이창호九단:김승준六단 180수 백 불계승 1998.10.20 900~1030 본선19국 19981114 (패자 2회전) 오규철七단:조한승三단 277수 흑 2.5 집승 1998.10.27 900~1030 본선22국 19981121 (패자 2회전) 김수장九단:김희중九단 223수 흑 불계승 1998.10.27 900~1030 본선21국 19981128 (패자 2회전) 김영환五단:김승준六단 209수 흑 불계승 1998.11.10 900 1030 본선23국 19981205 (패자 2회전) 정대상七단:하찬석八단 191수 흑 불계승 1998.11.10 900 1030 본선24국 19981212 (패자 3회전) 정대상七단:오규철七단 287수 흑 불계승 1998.12.08 900 1030 본선26국 19981219 (패자 3회전) 김수장九단:김영환六단 200수 백 불계승 1998.12.08 900 1030 본선25국 19981226 (승자 준결승) 양재호九단:최명훈六단 280수 백 10.5 집승 1998.12.16 900 1030 본선27국 19990102 (승자 준결승) 이창호九단:정수현九단 238수 흑 12.5 집승 1998.12.16 920 1050 방송시간변경 본선28국 19990109 (패자 4회전) 정수현九단:김수장九단 284수 백 4.5 집승 1998.12.22 900 1030 본선29국 19990116 (패자 4회전) 정대상七단:최명훈六단 170수 백 불계승 1998.12.22 900 1030 본선30국 19990123 (패자 준결승) 정수현九단:정대상七단 318수 흑 2.5 집승 1999.01.05 900 1030 본선31국 19990130 (승자 결승) 이창호九단:양재호九단 248수 백 1.5집승 1999.01.05 900 1030 본선32국[92] 19990206 (패자 결승) 정수현九단:양재호九단 180수 백불계승 1999.01.19 900 1030 19990213 (하이라이트) 제17기 KBS 바둑왕전 [이창호九단:정수현九단] 의 결승 진출 하이라이트 해설 노영하 八단 19990220 (결승 1국) 이창호九단:정수현九단 263수 백 1.5집승 1999.01.19 900 1030[93][94] 19990227 (결승 2국) 이창호九단:정수현九단 268수 흑 10.5집승 1999.02.23 900 1030[95][96][97][98] 제18기 (199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90306 (승자1회전) 강지성 二단: 박병규 初단 221수 백 4집반승 900 1030 1999.03.02 19990313 (승자1회전) 안달훈 三단: 장수영 九단 245수 백 반집승 900 1030 1999.03.02 19990320 (승자1회전) 조대현 八단: 김성룡 五단 159수 흑 불계승 900 1030 1999.03.16 19990327 (승자1회전) 목진석 四단: 김종준 四단 298수 흑 10집반승 900 1030 1999.03.16 19990403 (승자2회전) 이창호 九단: 이세돌 九단 222수 백 불계승 900 1030 1999.03.09 19990410 (승자2회전) 유창혁 九단: 정대상 七단 168수 백 불계승 900 1030 1999.03.09 19990417 (승자2회전) 정수현 九단: 목진석 四단 268수 흑 3집반승 900 1030 1999.04.20 19990424 (승자2회전) 양재호 九단: 윤현석 五단 253수 흑 2집반승 930 1100 1999.03.23[99] 19990501 (승자2회전) 최명훈 六단: 강지성 二단 323수 흑 반집승 900 1030 1999.04.06 19990508 (승자2회전) 김수장 九단: 안달훈 三단 261수 흑 11집반승 900 1030 1999.04.20 19990515 (승자2회전) 조훈현 九단: 조대현 八단 161수 흑 불계승 900 1030 1999.04.06 19990522 (승자2회전) 이상훈 三단(小): 유병호 八단 179수 흑 불계승 900 1030 1999.03.23 19990529 (패자1회전) 윤현석 五단: 강지성 三단 158수 백 불계승 900 1030 1999.05.04 토요일 마지막 19990620 (패자1회전) 조대현 八단: 정대상 七단 255수 백 반집승 1200 0120 1999.05.04 오후 일요일방송시간변경 19990627 (패자1회전) 목진석 四단: 이세돌 三단 236수 흑 2집반승 1200 0120 1999.05.18 19990704 (패자1회전) 안달훈 三단: 유병호 八단 210수 흑 14집반승 1200 0120 1999.05.18 19990711 (승자3회전) 이창호 九단: 최명훈 六단 164수 백 불계승 1200 0110 1999.06.01 19990718 (승자3회전) 이상훈 三단(小): 조훈현 九단 189수 흑 불계승 1200 0110 1999.06.01 19990725 (승자3회전) 유창혁 九단: 김수장 九단 201수 흑 불계승 1200 0120 본선19국1999.06.29 19990801 (승자3회전) 양재호 九단: 정수현 九단 228수 흑 1집반승 1200 0120 본선20국 1999.06.29 19990808 (패자2회전) 김수장 九단: 윤현석 五단 256수 백 반집승 1200 0120 본선21국1999.07.27 19990815 (패자2회전) 양재호 九단: 안달훈 三단 189수 흑 불계승 200 330 본선22국 1999.07.27 19990822 (패자2회전) 조훈현 九단: 목진석 四단 323수 백 7집반승 200 330 본선23국 1999.08.10 19990829 (패자2회전) 정대상 七단: 최명훈 七단 269수 흑 불계승 200 330 본선24국 1999.08.10 19990905 (패자3회전) 조훈현 九단: 김수장 九단 129수 흑 불계승 200 330 본선25국 1999.08.24 19990912 (패자3회전) 최명훈 七단: 안달훈 三단 152수 흑 불계승 200 330 본선26국 1999.08.24 19990919 (승자준결승) 이창호 九단: 유창혁 九단 62수 백 시간승(62수 백반칙승) 본선28국 300 430 1999.08.24 19991003 앙코르 (승자준결승) 이창호 九단: 유창혁 九단 62수 백 시간승(62수 백반칙승) 본선28국 200 330 (1) 본선28국 1999.08.24 19991010 (승자준결승) 정수현 九단: 이상훈 三단(小) 184수 백불계승 200 330 본선27국 1999.08.31 19991017 (패자4회전) 조훈현 九단: 유창혁 九단 161수 흑 불계승 200 330 본선29국 1999.09.14 19991024 (패자4회전) 정수현 九단: 안달훈 三단 316수 백1집반승 200 330 본선30국 1999.09.14 19991031 (승자결승) 이창호 九단: 이상훈 三단(小) 246수 백 불계승 200 330 본선31국 1999.09.28[100] 19991114 (패자준결승) 조훈현 九단: 정수현 九단 249수 흑 5집반승 120 300 본선32국 1999.09.28 19991121 (패자결승) 조훈현 九단: 이상훈 三단(小) 260수 백 불계승 200 330 본선33국 1999.10.19[101] 19991128 (결승1국) 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 173수 흑 불계승 200 330 1999.11.08[102][103] 19991205 (결승2국) 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 180수 백 불계승 200 330 1999.11.09 제19기 (200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00102 (승자1회전) 이동규八단:박지은二단 278수 백 3.5 집승 본선1국 1999/12/14 KBS위성2 2:00~3:30 20000109 (승자1회전) 서봉수九단:이상훈(大)六단 257수 백6.5집승 본선2국 1999/12/14 KBS위성2 2:00~3:30 20000116 (승자1회전) 목진석四단:김주호初단 153수 흑 불계승 본선3국 2000.01.04 KBS위성2 2:00~3:30[104] 20000130 (승자1회전) 김종준四단:최철한三단 178수 백 불계승 본선4국 2000.01.04 위성2 200-330 위성1 12:00~1:30 20000213 (승자1회전) 윤현석五단:정대상八단 310수 백 불계승 본선6국 2000.01.18 위성2 200-330 위성1 12:10~01:40 20000220 (승자1회전) 김수장九단:나종훈四단 243수 백 21.5집승 본선5국 2000.01.18 위성2 200-330 위성1 12:15~1:45 20000227 (승자1회전) 임선근九단:김영삼四단 162수 백 불계승 본선7국 2000.01.25 위성2 2:00:3:30 위성1 12:15~1:45 20000312 (승자1회전) 루이나이웨이九단:윤성현九단 192수 백 불계승 본선8국 2000.02.08 위성2 2:00~330 위성1 1200 130 20000319 (승자2회전) 정수현九단:이상훈(大)六단 283수 백 3.5 집승 본선9국 2000.02.08 위성2 2:00~3:30 20000326 (승자2회전) 이창호九단:최철한三단 152수 백 불계승 본선10국 2000.02.22 위성2 1:30~3:00 위성1 12:00 130 20000402 (승자2회전) 김수장九단:유창혁九단 180수 백 불계승 본선11국 2000.02.22 위성2 2:00~3:30 위성1 12:00 130 20000409 (승자2회전) 박지은二단:조훈현九단 242수 백 불계승 본선12국 2000.03.06 위성2 2:00~3:30 20000416 (승자2회전) 이상훈三단(小):목진석五단 286수 백 불계승 본선13국 2000.03.06 위성2 2:00~3:30 위성1 12:00~130[105] 20000423 (승자2회전) 윤현석五단:박영찬二단 183수 흑 불계승 본선14국 2000.03.22 위성2 1:50~3:20 20000430 (승자2회전) 윤혁二단:루이나이웨이九단 162수 백 불계승 본선15국 2000.03.22 위성2 1:50~3:20 20000507 (승자2회전) 안달훈四단:임선근九단 289수 백 0.5집승 본선17국 2000.04.12 위성2 1:50~3:20 20000514 (패자1회전) 루이나이웨이九단:김수장九단 155수 흑 불계승 본선16국 2000.04.12 위성2 2:00~3:30 20000521 (패자1회전) 목진석五단:조훈현九단 204수 백 불계승 본선19국 2000.05.10 위성2 3:00~4:30[106] 20000604 (패자1회전) 정수현九단:임선근九단 217수 흑 불계승 본선20국 2000.05.10 위성2 2:00~3:30 20000611 (승자3회전) 이창호九단:안달훈四단 152수 백 불계승 본선21국 2000.05.24 위성2 2:00~3:30 20000618 (승자3회전) 유창혁九단:이상훈(小)三단 288수 백 3.5 집승 본선22국 2000.05.24 위성2 2:00~3:30 20000625 (패자2회전) 목진석五단:안달훈四단 274수 백 8.5 집승 본선24국 2000.06.14 위성2 2:00~3:30 20000702 (승자3회전) 박지은二단:윤혁二단 186수 백 불계승 본선23국 2000.06.14 위성2 아침 9:00~10:30 방송시간 변경 20000709 (승자3회전) 이상훈(大)六단:윤현석九단 240수 백 불계승 본선26국 2000.06.28 위성2 아침 9:00~10:30 20000716 (패자2회전) 윤혁二단:정수현九단 165수 흑 불계승 2000.06.28 본선25국위성2 아침 9:00~10:30 20000723 (패자2회전) 최철한 三단: 유창혁九단 266수 흑 4.5 집승 2000.07.12 본선28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730 (패자2회전) 루이나이웨이九단: 윤현석六단 235수 흑 불계승 2000.07.12 본선29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806 (승자준결승) 박지은 三단:이상훈(大)六단143수 흑불계승 2000.07.12 본선27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813 (패자3회전) 유창혁 九단: 윤혁 二단 270수 흑 2.5 집승 2000.07.26 본선30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820 (패자3회전) 목진석 六단: 윤현석 六단 170수 백 불계승 2000.07.26 본선31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827 (승자준결승) 이창호 九단: 이상훈(小)三단 171수 흑 불계승 2000.08.16 본선32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0903 (패자4회전) 유창혁 九단: 박지은 三단 274수 백3집반승 2000.08.16 본선33국 위성2 아침 9:00~10:30[107] 20000910 (패자4회전) 목진석 六단: 이상훈(小)三단 180수 백불계승 2000.08.25 본선34국 위성2 아침 9:00~10:30 20001008 (승자결승) 이상훈(大)六단 : 이창호 九단 208수 백2집반승 본선35국 2000.09.06 위성2 아침 9:00~10:30 20001015 (패자준결승) 목진석 五단: 박지은 三단 213수 흑불계승 본선36국 2000.09.06 위성2 아침 9:00~10:30 20001022 (패자결승) 이상훈(大)六단 : 목진석 五단 161수 흑불계승 본선37국 2000.10.11 위성2 아침 9:00~10:30[108] 20001210 (결승1국) 이창호 九단: 목진석 五단 161수 흑 불계승 2000.12.01 위성2 아침 9:00~10:30 20001224 (결승2국) 이창호 九단: 목진석 五단 217수 흑 7집반승 2000.12.20 위성2 아침 9:00~10:30 20001231 (결승3국) 이창호 九단: 목진석 五단 147수 흑 불계승 2000.12.20 위성2 아침 9:00~10:30 시상식 한상권 아나운서[109][110][111] 제20기 (2001년)[112][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10107 (승자 1회전) 안영길 三단: 윤성현 七단 208수 백 불계승 01/03 본선1국 위성2TV 아침 800-930 일요일[113] 20010114 (승자 1회전) 서능욱 九단: 안달훈 三단 297수 흑 반집승 01/03 본선2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 20010121 (승자 1회전) 최명훈 七단: 양재호 九단 230수 백 불계승 01/10 본선3국 위성2TV[114] 20010128 (승자 1회전) 임창식 七단: 안조영 六단 234수 백 불계승 01/10 본선4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 20010204 (승자 1회전) 이성재 六단: 나종훈 四단 181수 흑 불계승 01/17 본선5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115] 20010211 (승자 1회전) 한철균 六단: 이재웅 初단 263수 백7집반승 01/17 본선6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 20010218 (승자 1회전) 김승준 七단: 김영환 六단 290수 백3집반승 02/07 본선7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 20010225 (승자 1회전) 서봉수 九단: 백대현 五단 275수 백 0.5집승 02/21 본선9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116] 20010304 (승자 2회전) 서능욱 九단: 목진석 五단 200수 백 불계승 2001/02/07 본선8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117][118] 20010311 (승자 2회전) 최명훈 七단: 이세돌 三단 167수 흑 불계승 2001/02/21 본선10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 20010318 (승자 2회전) 이상훈 三단(小75년생) : 김영환 六단 194수 백 불계승 2001/03/07 본선11국 위성2TV 아침 900-1030 일요일[119] 20010325 (승자 2회전) 유창혁 九단: 안조영 六단 234수 백 4집반승 2001/03/07 본선12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 20010401 (승자 2회전) 이재웅 初단: 박지은 三단 194수 백불계승 2001/03/16 본선13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120] 20010408 (승자 2회전) 이상훈 六단(大 75년생): 안영길 三단 188수 백불계승 2001/03/16 본선14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 20010415 (승자 2회전) 백대현 四단: 조한승 四단 320수 흑1집반승 2001/04/04 본선15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121] 20010422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이성재 六단 205수 흑불계승 2001/04/04 본선16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 20010429 (패자 1회전) 김영환 六단: 박지은 三단 161수 흑불계승 2001/04/18 본선18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122] 20010506 (패자 1회전) 목진석 五단: 안영길 五단 185수 흑불계승 2001/04/18 본선17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 목진석 천원 20010513 (패자 1회전) 최명훈 七단: 조한승 四단 175수 흑불계승 04/20 본선20국 위성2TV 900-1030 일요일 20010520 (패자 1회전) 유창혁 九단: 이성재 六단 129수 흑불계승 04/20 본선19국 위성2TV 900-1030 패자1회전에서 연속 흑불계승 20010708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백대현 四단 234수 흑4집반승 05/30 본선 21국 위성2TV 900-1030[123] 20010715 (승자 3회전) 이상훈 六단(大73) : 이상훈 三단(小75) 332수 흑12집반승 05/30 (국내사상 최초 동명이인 대결) 본선 22국 위성2TV[124] 20010722 (승자 3회전) 이세돌 三단: 안조영 六단 180수 백불계승 06/13 본선 23국 위성2TV 900-1030 20010729 (승자 3회전) 서능욱 九단: 이재웅 初단 224수 백불계승 06/13 본선 24국 위성2TV 900-1030 혼자 마지막 20010804 (승자 준결승) 이세돌 三단: 이상훈 三단 (小75) 267수 백1집반승 07/20 위성2 본선 30국[125][126][127][128] 20010811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서능욱 九단 281수 흑1집반승 08/01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29] 20010818 (패자 2회전) 김영환 六단: 안조영 六단 327수 흑4집반승 06/22 위성2 본선 25국 01:27:38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30] 20010825 (패자 2회전) 조한승 四단: 이재웅 初단 274수 흑7집반승 06/22 위성2 본선 26국 본방송 토요일 밤 2:00~3: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0902 (패자 2회전) 유창혁 九단: 이상훈 六단(大73) 222수 백 불계승 08/01 위성2 본선 28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0908 (패자 2회전) 백대현 四단: 목진석 五단 181수 흑 불계승 목진석 천원 6/29 01:24:31 위성2 본선 27국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0915 (패자 3회전) 목진석 五단: 안조영 六단 197수 흑 불계승 목진석 천원 7/20 위성2 본선 29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0922 (패자 3회전) 유창혁 九단: 조한승 四단 162수 백 불계승 08/01 01:25:41 위성2 본선 31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0929 (패자 4회전) 유창혁 九단: 서능욱 九단 230수 흑7집반승 09/12 위성2 본선 33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31][132] 20011013 (패자 4회전) 이상훈 三단(小75): 목진석 六단 254수 흑5집반승 목진석 천원 09/12 01:30:16 위성2 본선 34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1020 (패자 준결승) 서능욱 九단: 목진석 六단 231수 흑불계승 09/26 위성2 본선 35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01:23:46 20011027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 이세돌 三단 225수 흑불계승 09/26 01:24:41 위성2 본선 36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33] 20011103 (패자 결승) 목진석 六단: 이창호 九단 207수 흑불계승 10/19 01:25:01 위성2 본선 37국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 20011124 (결승 1국) 이창호 九단: 이세돌 三단 116수 백불계승 2001.10.19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34][135][136] 20011201 (결승 2국) 이창호 九단: 이세돌 三단 221수 흑불계승 2001.11.23 위성2 시상식 진행 이성민 남자 아나운서 01:26:34 이창호 九단 통산 5회 우승 !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900-1030(재방송)[137] 제21기 (2002년)[138][139][140][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20106 (승자1회전) 박승철二단: 최철한四단 182수 백불계승 01/02 본선1국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141] 20020113 (승자1회전) 안영길四단: 김성래二단 192수 백불계승 01/02 본선2국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 20020120 (승자1회전) 김승준七단: 김영환六단 340수 흑2집반승 01/16 본선3국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142] 20020127 (승자1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양재호九단 166수 백불계승 01/16 본선4국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00~2: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 20020203 (승자1회전) 장주주九단: 강만우八단 99수 흑불계승 01/23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2:00~1: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 방송시간변경 20020210 (승자1회전) 이성재七단: 안달훈四단 229수 백6집반승 01/23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2:00~1: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143] 20020217 (승자1회전) 최명훈八단: 염정훈四단 195수 흑불계승 01/25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2:00~1: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 20020224 (승자1회전) 김성룡七단: 유재성二단 276수 백15집반승 01/25 KBS위성2TV 마지막 채널 위성2 본방송 토요일 밤 12:00~1:30/일요일 1100-1230(재방송) ?[144] 20020303 (승자2회전) 이창호九단: 박승철二단 270수 흑반집승 02/08 kbs-korea 개국 및 탈바꿈 채널명 kbs위성2를 kbs코리아로 변경 본방송 일요일 오전 10:30~12:00/일요일 밤 12:30~2:00(재방송)[145] 20020310 (승자2회전) 김영환六단: 목진석六단 307수 백13집반승 02/08 본선 10국 20020317 (승자2회전) 이성재七단: 이상훈三단 (小75) 239수 흑1집반승 02/22 본선 11국[146] 20020324 (승자2회전) 김강근四단: 안영길四단 220수 흑5집반승 02/22 본선12국 20020331 (승자2회전) 나종훈五단: 김성룡七단 337수 흑9집반승 03/06 본선 13국[147] 20020407 (승자2회전) 염정훈四단: 이세돌三단 243수 흑불계승 3/06 본선 14국 20020414 (승자2회전) 장주주九단: 이재웅初단 200수 백불계승 3/20 15국[148] 20020421 (승자2회전) 서능욱九단: 이상훈七단 (大73) 223수 흑불계승 3/20 16국 20020428 (패자1회전) 이세돌三단: 이상훈三단 (小75) 138수 백 불계승 4/03 본선 18국 20020505 (패자1회전) 이재웅初단: 김성룡七단 308수 흑4집반승 4/12 18국[149] 20020512 (패자1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김강근四단 328수 백2집반승 4/24 이상훈 백번 20020630 (패자1회전) 김영환六단: 박승철二단 184수 백불계승 5/15 20020707 (승자3회전) 서능욱九단: 이성재七단 206수 백불계승 4/03 20020714 (승자3회전) 목진석六단: 장주주九단 252수 흑3집반승 5/15 130 300[150] 20020721 (승자3회전) 이창호九단: 나종훈五단 270수 흑6집반승 6/05[151] 20020728 (승자3회전) 안영길四단: 염정훈四단 215수 흑불계승 6/05 20020804 (패자2회전) 김성룡七단: 이성재七단 257수 백1집반승 4/12 20국 105 20020811 (패자2회전) 김영환六단: 염정훈四단 196수 백불계승 7/05 105[152] 20020818 (패자2회전) 이상훈七단 (大73): 나종훈五단 311수 백8집반승 7/05 105 20020825 (패자2회전) 이세돌三단: 목진석六단 84수 백불계승 7/24 110[153] 20020901 (패자3회전) 김성룡七단: 염정훈四단 171수 흑불계승 07/24 1:35 20020908 (승자준결승) 이창호九단: 서능욱九단 193수 흑불계승 8/07 1255[154] 20020915 (패자4회전) 김성룡七단: 서능욱九단 213수 흑불계승 8/21 1:15 -2:45 20020922 (승자준결승) 안영길四단: 장주주九단 167수 흑불계승 9/04 100 230[155] 20020929 (패자4회전) 이상훈七단(大73) : 안영길四단 184수 백불계승 9/18 이상훈 백번 본선 34국 20021006 (패자준결승) 김성룡七단: 이상훈七단 (大73) 216수 백5집반승 2012/09/18 이상훈 백번 215 345 본선 35국[156][157] 20021013 (승자결승) 이창호九단: 장주주九단 160수 백 불계승 2012/09/27[158] 20021020 (패자결승) 이상훈七단(大73): 장주주 九단 228수 백불계승 2002/10/04 이상훈 백번 1255 20021027 (결승1국) 이창호九단: 이상훈七단 (大73) 169수 흑불계승 2002/10/04 105 235 1tv 방송시간 (동그란 바둑탁자 마지막)[159] 20021103 (결승2국) 이창호九단: 이상훈七단 (大73) 159수 흑불계승 2002/10/21 사각형 바둑탁장 변경 20021110 (결승3국) 이창호九단: 이상훈七단 (大73) 168수 백불계승 2002/10/21 시상식 진행 이성민 남자 아나운서 기록채영석,계시김선희아마5단[160] 제22기 (200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30126 (승자1회전) 박지훈三단: 안달훈 五단 249수 흑불계승 1/22 본선 1국 KBS-KOREA 김성룡 八단 새해설자[161] 20030202 (승자1회전) 박병규三단: 최원용 二단 238수 백불계승 1/22 본선 2국 20030209 (승자1회전) 유재성二단: 김만수 四단 223수 흑불계승 1/29 본선 3국[162] 20030216 (승자1회전) 박영훈三단: 김명완 六단 110수 백불계승 1/29 본선 4국 20030223 (승자1회전) 송태곤三단: 강동윤 初단 154수 백불계승 2/05 본선 5국[163] 20030302 (승자1회전) 원성진五단: 김승준 七단 129수 흑불계승 2/05 본선 6국 20030309 (승자1회전) 김수장九단: 이세돌 三단 143수 흑불계승 2/19 본선 7국[164] 20030316 (승자1회전) 안조영七단: 조한승 五단 302수 백반집승 2/19 본선 8국 20030323 (승자2회전) 김승준八단: 이상훈(大) 七단 116수 백불계승 3/05 10:40 ~ 12:10 본선 9국 20030330 (승자2회전) 송태곤四단: 서능욱 九단 298수 흑10집반승 3/05 본선 10국 KBS-KOREA 10:40 ~ 12:00[165] 20030406 (승자2회전) 박병규三단: 안영길 五단 325수 백5집반승 3/19 본선 12국 KBS-KOREA 10:40 ~ 12:00[166] 20030413 (승자2회전) 조한승六단: 윤준상 初단 308수 백6집반승 3/19 본선 11국 KBS-KOREA 10:40 ~ 12:00 20030420 (승자2회전) 이창호九단: 이세돌 六단 254수 흑3집반승 4/09 본선 15국 KBS-KOREA 10:40 ~ 12:00[167] 20030427 (승자2회전) 장주주九단: 김만수 四단 273수 흑불계승 4/19 본선 17국 KBS-KOREA 10:40 ~ 12:00[168] 20030504 (승자2회전) 윤성현八단: 박영훈四단 226수 백불계승 4/02 본선 14국[169] 20030511 (승자2회전) 김성룡七단:안달훈五단 254수 백1.5집승 4/02 본선 13국 한해원 해설 20030518 (패자1회전) 김성룡七단:박영훈四단 336수 흑반집승 4/09 본선 16국한해원 해설 2주연속 한해원 진행자 20030525 (패자1회전) 서능욱九단: 김승준八단 353수 흑1집반승 4/16 본선 18국 KBS-KOREA 1040 - 1200 20030601 (패자1회전) 안영길五단: 이창호九단 219수 흑불계승 5/07 본선 19국 KBS-KOREA 1040 - 1200[170] 20030608 (패자1회전) 김만수四단: 윤준상初단 237수 백4.5집승 5/07 본선 20국 KBS-KOREA 1040 - 1200 20030615 (승자3회전) 이세돌七단:송태곤四단 209수 흑불계승 5/21 본선 21국 KBS-KOREA 1040 - 1200[171][172] 20030622 (승자3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박병규三단 184수 백불계승 5/21 본선 22국 KBS-KOREA 1040 - 1200 20030629 (승자3회전) 장주주九단: 안달훈五단 246수 백불계승 5/28 본선 23국 KBS-KOREA 1040 - 1200[173] 20030706 (승자3회전) 조한승六단: 윤성현八단 189수 흑불계승 5/28 제24국 KBS-KOREA 1040 - 1200 20030713 (패자2회전) 이세돌七단: 김만수四단 152수 백불계승 6/11 제29국 20030720 (패자2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김성룡七단 237수 백4.5집승 한해원 해설 여자 해설 KBS-KOREA 1040 - 1200 20030727 (패자2회전) 김승준八단: 조한승 六단 294수 흑3.5집승 6/04 본선 28국 20030803 (패자2회전) 이창호九단: 장주주 九단(객원기사) 171수 흑불계승 6/11 본선 30국 KBS-KOREA 1040 - 1200[174][175] 20030810 (패자3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이세돌 九단 175수 흑시간승 6/25 01:15:00 20030817 (패자3회전) 이창호 九단: 조한승 六단 265수 흑 3.5 집승 6/25 이창호 구단 아쉽게 탈락 이창-이세 모두 탈락 KBS-KOREA 1040 - 1200[176] 20030824 (승자준결승) 박병규 三단: 안달훈 五단 238수 흑7집반승[177] 20030831 (승자준결승) 송태곤 五단: 윤성현 八단 277수 백3집반승 6/04 20030907 (패자4회전) 윤성현 八단: 조한승 六단 189수 흑 불계승 5/28 본선 24국 01:14:20 20030914 (패자4회전) 안달훈 五단: 이상훈 七단(大73) 223수 흑 불계승 7/02 본선 34국 01:16:20[178] 20030921 (패자준결승) 안달훈 五단: 조한승 六단 210수 백불계승 7/16 본선 36국 20030928 (승자결승) 박병규 三단: 송태곤 五단 259수 흑0.5집승 7/16 본선 35국 10:40 ~ 12:00[179] 20031012 (패자결승) 조한승 六단: 박병규 四단 211수 백반집승 07/25 01:14:56 본선 37국 밤 11:00 ~ 12:30 20031019 (결승1국) 송태곤 五단: 박병규 四단 273수 흑3.5집승 2003/07/25 밤 11:00 ~ 12:30[180][181] 20031026 (결승2국) 송태곤 五단: 박병규 四단 140수 백불계승 2003/10/10 시상식 이상협 아나운서 밤 11:00 ~ 12:30[182][183] 제23기 (200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40104 (승자 1회전) 이상훈四단 (小75): 주형욱二단 192수 백불계승 2003/12/24 10:00 ~ 11:30 본선 1국 20040111 (승자 1회전) 김광식四단: 최원용二단 247수 흑불계승 2003/12/24 10:00 ~ 11:30 본선 2국 20040118 (승자 1회전) 김수장九단: 박승철三단 259수 흑 3.5 집승 2003/12/26 10:00 ~ 11:30 본선 3국 20040201 (승자 1회전) 안달훈五단: 윤성현八단 284수 백 10.5 집승 2003/12/26 600-730 본선 4국 20040208 (승자 1회전) 유병호八단: 최철한六단 186수 백불계승 01/09 600-730 본선 5국 20040215 (승자 1회전) 원성진五단: 백홍석二단 211수 흑불계승 01/09 600-730 본선 6국 20040222 (승자 1회전) 이상훈七단 (大73) : 루이나이웨이 九단(女)(객원기사) 129수 흑불계승 600-730 2004.01.28 본선 7국[184] 20040229 (승자 1회전) 김성룡 八단: 김형환 初단 225수 흑불계승 김성룡 흑번 한해원 여자 해설 2004.01.28 본선 8국 20040307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 윤성현 八단 144수 백불계승 600-730 2004.01.30 본선 9국 20040314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백홍석 二단 210수 백불계승 600-730 2004.01.30 본선 10국 20040321 (승자 2회전) 류재형 六단: 박승철 三단 202수 백불계승 2004.02.11 본선 11국 20040328 (승자 2회전) 유창혁 九단: 최철한 六단 241수 백9집반승 2004.02.11 본선 12국[185] 20040418 (승자 2회전) 조한승 七단: 이상훈 四단 (小75) 213수 흑6집반승 2004.02.25 본선 15국 20040425 (승자 2회전) 루이나이웨이 九단 (女)(객원기사) : 박병규 四단 208수 백불계승 2004.02.25 20040502 (승자 2회전) 조훈현 九단: 김광식 四단 242수 백불계승 10:00 ~ 11:10 2004.03.10 본선 16국[186] 20040509 (승자 2회전) 김성룡 八단: 송태곤 六단 245수 흑불계승 김성룡 흑번 한해원 여자 해설 10:00 ~ 11:10 2004.03.10 본선 13국[187] 20040516 (패자 1회전) 이세돌 九단: 박승철 四단 170수 백불계승 2004.03.12 본선 18국[188] 20040523 (승자 2회전) 김성룡 八단: 송태곤 六단 245수 흑불계승 140 1000: 20040704 (패자 1회전) 이상훈 四단 (小75) : 백홍석 二단 200수 백불계승 3/12 1000 1120 동군 서군 본선 17국 20040711 (패자 1회전) 유창혁 九단: 김광식 四단 228수 백반집승 1000 1120 2004.04.02 본선 19국 20040718 (패자 1회전) 송태곤 六단: 박병규 四단 95수 흑불계승 1000 1120 2004.04.28 본선 24국 20040725 (승자 3회전) 김성룡 八단: 조한승 七단 202수 백불계승 김성룡 흑번 한해원 해설 1000 1120 20040801 (승자 3회전) 조훈현 九단: 류재형 六단 132수 백불계승 2004.04.21 본선 21국[189] 20040808 (승자 3회전) 윤성현 九단: 최철한 七단 140수 백불계승 1000 1120 2004.04.02 본선 20국[190] 20040815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루이나이웨이九단 (女)(객원기사) 167수 흑불계승 2004.04.28 본선 23국[191] 20040822 (패자 2회전) 윤성현 九단: 송태곤 七단 176수 백불계승 2004.05.07 본선 25국 20040829 (패자 2회전) 류재형 六단: 백홍석 二단 143수 흑불계승 2004.05.07 본선 26국 20040905 (패자 2회전) 이세돌 九단: 루이나이웨이 九단 (女)(객원기사) 234수 백불계승 2004.06.02 본선 30국[192] 20040912 (패자 2회전) 유창혁 九단: 김성룡 八단 159수 흑불계승 김성룡 흑번 한해원 해설 2004.06.02 20040919 (패자 3회전) 윤성현 九단: 백홍석 二단 257수 흑2집반승 01:16:44 2004.05.28 본선 29국 20040926 (패자 3회전) 이세돌 九단: 김성룡 八단 294수 백8집반승 김성룡 흑번 한해원 해설 1000 1120 2004.07.02 본선 33국 20041003 (승자 준결승) 조훈현 九단: 조한승 七단 255수 흑2집반승 2004.05.28 본선 27국[193] 20041017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최철한 八단 274수 백불계승 2004.06.18 본선 32국[194] 20041024 (패자 4회전) 조훈현 九단: 백홍석 二단 150수 백불계승 2004.06.09 본선 31국[195] 20041031 (패자 4회전) 이세돌 九단: 최철한 八단 285수 흑불계승 2004.07.02 본선 34국[196] 20041107 (패자 준결승) 조훈현 九단: 이세돌 九단 176수 백불계승 2004.07.07 1000 1120 KBS-KOREA 본선 36국[197] 20041114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 조한승 七단 287수 흑1집반승 800 920 본선 35국 2004.07.07 20041121 (패자 결승) 이창호 九단: 이세돌 九단 221수 흑불계승 2004.07.30 본선 37국[198] 20041128 (결승 1국) 이창호 九단: 조한승 七단 294수 백불계승 2004.10.22[199] 20041204 (결승 2국) 이창호 九단: 조한승 七단 217수 흑불계승 2004.11.09 KBS-KOREA [2:05 ~ 3:15(kbs2 12-05 일 방송)][200] 20041219 앙코르 (결승 1국) 이창호 九단: 조한승 七단 294수 백불계승 kbs-2tv 1:35 ~ 2:45 20041226 앙코르 (결승 2국) 이창호 九단: 조한승 七단 217수 흑불계승 kbs-2tv 1:45 ~ 2:55 제24기 (200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50102 (승자 1회전) 유경민 四단: 이영구 三단 187수 흑 불계승 2004/12/24 kbs코리아 8:00~9:10 2004.12.22 본선 1국 20050109 (승자 1회전) 안조영 八단: 한종진 五단 149수 흑 불계승 2004.12.22 본선 2국 20050116 (승자 1회전) 류재형 六단: 온소진 初단 252수 흑 0.5 집승 2004/12/24 본선 3국 20050123 (승자 1회전) 김동면 八단: 송태곤 七단 264수 백 4.5 집승 2004.12.24 kbs-korea 본선 4국 20050130 (승자 1회전) 조훈현 九단: 강지성 六단 157수 흑 불계승 2005.01.07 20050206 (승자 1회전) 안달훈 六단: 박정상 四단 153수 흑 불계승 2005.01.07 20050213 (승자 1회전) 김영삼 七단: 이상훈 五단 (小75) 148수 백 불계승 2005.01.14 20050220 (승자 1회전) 유창혁 九단: 이세돌 九단 371수 흑3집반승 2005.01.14[201] 20050227 (승자 2회전) 최철한 九단: 이영구 三단 130수 백불계승 2005.01.19 20050306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이상훈 五단 (小75) 204수 백불계승 2005.01.19 바둑왕전 사진 해설 노영하 진행 한해원[202] 20050313 (승자 2회전) 목진석 八단: 송태곤 七단 180수 백불계승 2005.02.16 20050320 (승자 2회전) 조훈현 九단: 홍민표 四단 233수 백2.5집승 2005.02.16 20050327 (승자 2회전) 류재형 六단: 원성진 六단 271수 흑1.5 집승 2005.02.18 20050403 (승자 2회전) 조한승 八단: 한종진 五단 263수 흑6.5 집승 2005.02.18 해설 노영하 진행 한해원 20050410 (승자 2회전) 박영훈 九단: 박정상 四단 235수 흑4.5집승 2005.03.16[203] 20050417 (승자 2회전) 유창혁 九단: 윤준상 三단 273수 흑7집반승 2005.03.16[204] 20050424 (패자 1회전) 원성진 六단: 이상훈 五단 (小75) 164수 백불계승 2005.04.08 20050501 (패자 1회전) 한종진 六단: 박정상 五단 224수 백불계승 2005.04.08 해설 노영하 진행 한해원 2tv 마지막 kbs-korea 마지막방송[205] 20050508 (패자 1회전) 송태곤 七단: 윤준상 三단 205수 흑불계승 2005.04.20 1:20 ~ 2:30 kbs-1tv 일요일밤 2005년 봄개편으로 1tv방송시간변경 5월 2일 시행 20050515 (패자 1회전) 최철한 九단: 홍민표 四단 285수 백 14.5집승 2005.04.20 1:10 ~ 2:20 kbs-1tv 일요일밤 20050522 (승자 3회전) 목진석 九단: 이창호 九단 297수 흑 불계승 2005.04.27 1:25 ~ 2:35 kbs-1tv 일요일밤[206] 20050529 (승자 3회전) 조훈현 九단: 조한승 八단 111수 흑 불계승 2005.04.27 1:05 ~ 2:15 kbs-1tv 일요일밤 20050605 (패자 2회전) 조훈현 九단: 원성진 六단 186수 백 불계승 2005.05.06 1:00 ~ 2:10 kbs-1tv 일요일밤 20050612 (승자 3회전) 유창혁 九단: 유재형 六단 160수 백 불계승 2005.05.06 1:00 ~ 2:10 kbs-1tv 일요일밤 20050619 (패자 2회전) 최철한 九단: 목진석 九단 191수 흑 불계승 2005.05.11 1:20 ~ 2:30 kbs-1tv 일요일밤 20050626 (패자 2회전) 류재형 六단: 박정상 五단 260수 백불계승 2005.05.25 1:25 ~ 2:35 kbs-1tv 일요일 20050703 (승자 3회전) 이영구 四단: 박영훈 九단 178수 백불계승 2005.06.08 1:10 ~ 2:20 kbs-1tv 일요일 마지막[207] 20050709 (승자 준결승) 조한승 八단: 유창혁 九단 260수 흑5집반승 2005.05.25 1:10 ~ 2:20 kbs-1tv 1tv 토요일 방송시간 변경[208] 20050716 (패자 3회전) 목진석 九단: 박정상 五단 263수 흑 2.5 집승 2005.06.08 kbs-1tv 토요일밤 1:10 ~ 2:40 20050723 (패자 2회전) 박영훈 九단: 송태곤 七단 248수 백9집반승 2005.07.20 kbs-1tv 토요일밤 1:10 ~ 2:40 20050730 (패자 4회전) 조한승 八단: 박정상 五단 239수 흑 불계승 2005.07.08 kbs-1tv 토요일밤 1:10 ~ 2:40 20050806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이영구 四단 297수 백6집반승 2005.07.20 kbs-1tv 토요일밤 1:10 ~ 2:40[209] 20050820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 유창혁 九단 269수 백1집반승 2005.07.29 kbs-1tv 토요일밤 1:10 ~ 2:40[210] 20050827 (패자 3회전) 조훈현 九단:박영훈 九단 351수 흑 1.5 집승 2005.08.10 kbs-1tv 토요일 밤 1:10 ~ 2:40[211] 20050910 (패자 4회전) 박영훈 九단: 이영구 四단 178수 백불계승 2005.08.10 토요일 1:10 ~ 2:40 20050924 (패자 준결승) 박정상 五단: 박영훈 九단 269수 흑불계승 2005.08.31 토요일 1:10~ 2:40 20051001 (패자 결승) 박영훈 九단: 유창혁 九단 213수 흑 불계승 2005.08.31 토요일 1:10 ~ 2:40 유창혁 최종결승진출 흑6 백4 20051022 (결승 1국) 유창혁 九단: 이창호 九단 255수 흑7집반승 1:10 ~ 2:40 2005.09.23[212] 20051029 (결승 2국) 유창혁 九단: 이창호 九단 178수 백불계승 0:50~ 2:20 2005.10.13[213] 20051105 앙코르 (패자 4회전) 조한승 八단: 박정상 五단 239수 흑 불계승 0:50 ~ 2:20 20051112 앙코르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이영구 四단 297수 백6집반승 20051119 앙코르 (패자 3회전) 조훈현 九단: 박영훈 九단 351수 흑 1.5 집승 0:50 ~ 2:20 20051210 앙코르 (결승 1국) 유창혁 九단 : 이창호 九단 255수 흑7집반승 제25기 (200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60107 (승자 1회전) 박승철 五단: 김기용 二단 141수 흑 불계승 0:50 ~ 2:20 2005/12/19 20060114 (승자 1회전) 강지성 七단: 김환수 二단 239수 흑 0.5집승 12:50 ~ 2:20 2005/12/19 20060121 (승자 1회전) 이재웅 四단: 박병규 五단 186수 백 불계승 12:50 ~ 2:20 2005/12/26 0:50 ~ 2:20 20060204 (승자 1회전) 박지은 六단: 김효곤 四단 221수 흑불계승 12:50 ~ 2:20 2005/12/26 20060211 (승자 1회전) 이희성 六단: 백성호 九단 222수 백불계승 2006/01/02 12:50 ~ 2:20 20060218 (승자 1회전) 박영훈 九단: 박정근 三단 195수 흑불계승 2006/01/02 12:50 ~ 2:20[214] 20060225 (승자 1회전) 고근태 四단: 홍민표 五단 170수 백불계승 2006/01/16 12:50 ~ 2:20 20060304 (승자 1회전) 이정우 五단: 김주호 六단 255수 흑8.5집승 2006/01/16 20060311 (승자 1회전) 김진우 二단: 김명완 七단 210수 백불계승 2006/01/23[215] 20060318 (승자 1회전) 김종수 六단: 최원용 四단 185수 흑불계승 2006/01/23 20060325 (승자 1회전) 류재형 七단: 원성진 七단 261수 흑3.5집승 2006/02/13 20060401 (승자 1회전) 박정상 五단: 최명훈 九단 275수 백6.5집승 2006/02/13 20060408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 이희성 六단 234수 백불계승 2006/02/17[216] 20060415 (승자 2회전) 김환수 二단: 최철한 九단 167수 흑불계승 2006/02/17 20060422 (승자 2회전) 이재웅 四단: 김진우 二단 238수 백불계승 2006/03/27 20060429 (승자 2회전) 최원용 四단: 이창호 九단 295수 흑 6.5 집승 2006/03/27 20060506 (승자 2회전) 박정근 二단: 원성진 七단 205수 흑 불계승 04/03 20060513 (승자 2회전) 김주호 六단: 고근태 五단 220수 백불계승 04/03[217] 20060520 (승자 2회전) 김효곤 四단: 유창혁 九단 167수 흑불계승 04/17 20060527 (승자 2회전) 김기용 三단: 박정상 五단 191수 흑불계승 04/17 20060603 (패자 1회전) 이희성 六단: 김기용 三단 245수 백 3.5 집승 05/08 20060617 (패자 1회전) 김진우 二단: 김효곤 四단 177수 흑 불계승 05/08 20060624 (패자 1회전) 최원용 四단: 고근태 五단 218수 백불계승 05/19 20060701 (승자 3회전) 유창혁 九단: 박정상 六단 266수 백4.5 집승 05/19 20060708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원성진 七단 243수 백3.5 집승 05/29 20060715 (승자 3회전) 이세돌 九단: 이재웅 四단 192수 백불계승 05/29 20060722 (패자 2회전) 이희성 六단(흑): 원성진 七단(백) 201수 흑불계승 06/05 20060729 (승자 3회전) 최철한 九단(흑): 김주호 七단(백) 191수 흑불계승 06/05 20060805 (패자 2회전) 김효곤 四단(흑): 김주호 七단(백) 202수 백불계승 06/19 20060812 (패자 2회전) 이재웅 四단: 김환수 二단 152수 백불계승 06/19 1:10 ~ 2:40 20060819 (패자 2회전) 고근태 五단: 박정상 九단 276수 백0.5집승 07/10 1:20 ~ 2:50 20060826 (승자 준결승) 최철한 九단: 유창혁 九단 152수 백불계승 1:10 ~ 2:40 07/10[218] 20060916 (패자 3회전) 김주호 七단: 이희성 六단 170수 백불계승 1:10 ~ 2:40 07/24 20060923 (패자 3회전) 고근태 五단: 이재웅 四단 199수 흑불계승 1:10 ~ 2:40 07/24 20060930 (패자 4회전) 이재웅 四단: 유창혁 九단 251수 흑12.5 집승 1:10 ~ 2:40 08/21 20061014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이세돌 九단 164수 백불계승 1:10 ~ 2:40 2006/08/21[219] 20061021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 최철한 九단 161수 흑불계승 1:10 ~ 2:40 2006/09/18[220][221] 20061111 (패자 4회전) 이세돌 九단: 김주호 七단 232수 백불계승 2006.09.18 20061118 (패자 준결승) 이세돌 九단: 유창혁 九단 242수 백불계승 2006.10.09 20061125 (패자 결승) 이세돌 九단: 이창호 九단 154수 백불계승 2006.10.16[222] 20061216 (결승 1국) 이세돌 九단 : 최철한 九단 180수 백불계승 2006.10.23 1:30 ~ 3:00[223][224] 20061223 (결승 2국) 최철한 九단: 이세돌 九단 309수 흑3.5집승 2006.11.20 1:30 ~ 3:00[225][226] 20061230 2006 송년특선 (결승 2국) 최철한 九단: 이세돌 九단 309수 흑3.5집승 2006/11/20 1:30 ~ 3:00 제26기 (200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70113 (승자 1회전) 홍민표 五단(백):안영길 五단(흑) 254수 백1.5집승 2007/01/08 01:28:40 20070120 (승자 1회전) 윤성현 九단(백):박소현 二단(흑) 158수 백 불계승 1:35 ~ 3:05 01/15 20070127 (승자 1회전) 백대현 六단:홍기표 三단 211수 흑 불계승 1:30 ~ 3:00 1/15[227] 20070203 (승자 1회전) 진동규 三단:주형욱 三단 197수 흑 불계승 1:30 ~ 3:00 1/29 20070210 (승자 1회전) 이영구 六단:박승화 初단 224수 백 불계승 1:30 ~ 3:00 1/29[228] 20070224 (승자 1회전) 손근기 二단:홍성지 五단 252수 백 1.5 집승 01:40 토요일 02/05 20070303 (승자 1회전) 서무상 六단:윤현석 八단 291수 흑 불계승 02:00 토요일 02/05 20070310 (승자 1회전) 원성진 七단:허영호 五단 164수 백 불계승 01:30 토요일 02/12 20070317 (승자 1회전) 목진석 九단:박영훈 九단 228수 백 불계승 02/12[229] 20070324 (승자 1회전) 루이나이웨이 九단: 이상훈(小75)六단 236수 백불계승 03/05[230] 20070331 (승자 1회전) 박승철 五단:김지석 三단 177수 흑불계승 03/05 20070407 (승자 1회전) 김진우 三단:박정상 九단 283수 흑 3.5 집승 03/19[231] 20070414 (승자 2회전) 원성진 七단:조한승 九단 252수 흑 0.5집승 3/19[232] 20070421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홍민표 五단 269수 백 1.5 집승 4/02 01:40 토요일 20070428 (승자 2회전) 윤현석 八단:이영구 六단 113수 흑불계승 4/02[233] 20070505 (승자 2회전) 목진석 九단:주형욱 四단 207수 흑 불계승 4/16 01:40 20070512 (승자 2회전) 손근기 三단:홍기표 三단 233수 흑 불계승 4/16 01:40[234] 20070519 (승자 2회전) 박정상 九단:윤성현 九단 206수 백 불계승 4/20 01:40 20070526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김지석 三단 296수 흑 3.5 집승 05/07 01:40[235] 20070602 (승자 2회전) 최철한 九단:루이나이웨이 九단 274수 흑 6.5 집승 5/14 01:40[236] 20070609 (패자 1회전) 손근기 三단:홍민표 五단 231수 흑9집반승 5/07 01:50 20070616 (패자 1회전) 주형욱 四단:원성진 七단 165수 흑불계승 5/14 01:40 20070721 (패자 1회전) 루이나이웨이 九단:윤성현 九단 231수 흑불계승 6/11 20070728 (패자 1회전) 김지석 三단:윤현석 八단 272수 백 11집반승 07/02 01:45 20070804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박정상 九단 89수 흑 불계승 01:30 05/21[237] 20070811 (승자 3회전) 최철한 九단:홍기표 三단 140수 백 불계승 01:45 05/28 20070818 (승자 3회전) 이세돌 九단:목진석 九단 237수 흑불계승 01:30 05/28 20070825 (승자 3회전) 이영구 六단:조한승 九단 253수 흑7집반승 01:30 6/11[238] 20070901 (패자 2회전) 이영구 六단:윤성현 九단 177수 흑불계승 00:50 07/02 012 550[239] 20070929 (패자 2회전) 목진석 九단:홍민표 五단 150수 백불계승 00:50~02:20 07/16[240] 20071006 (패자 2회전) 박정상 九단:원성진 七단 170수 백불계승 00:50~02:20 07/16 20071013 (패자 2회전) 김지석 三단:홍기표 三단 292수 백 4.5 집승 1tv 토요일 00:50방송 08/13 20071020 (패자 3회전) 목진석 九단:이영구 六단 147수 흑 불계승 01:10 08/13[241] 20071027 (패자 3회전) 김지석 四단:원성진 七단 162수 백 불계승 00:50~02:20 09/17 20071103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이세돌 九단 174수 백 불계승 00:50~02:20 08/06[242] 20071110 (승자 준결승) 최철한 九단:조한승 九단 280수 백 1.5 집승 00:50~02:20 2007/10/08 20071117 (패자 4회전) 이세돌 九단:목진석 九단 223수 흑 불계승 00:50~02:20 09/17[243] 20071124 (패자 4회전) 최철한 九단:김지석 四단 172수 백 불계승 00:50 2007/10/08[244] 20071201 (패자 준결승) 이세돌 九단:최철한 九단 163수 흑 불계승 00:50 10/22 20071208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조한승 九단 167수 흑 불계승 01:30 10/22[245] 20071215 (패자 결승) 이창호 九단:최철한 九단 289수 흑 2.5 집승 01:30 2007/11/22 20071222 (결승 1국) 이창호 九단:조한승 九단 280수 백 2.5 집승 01:10 2007/11/22[246] 20071229 (결승 2국) 이창호 九단:조한승 九단 194수 백 불계승 01:20 2007/12/03 20080105 (결승 3국) 조한승 九단:이창호 九단 282수 흑 2.5집승 00:50 2007/12/03[247][248] 제27기 (2008년 ~ 200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80202 (승자1회전) 윤성현 九단: 진동규 四단 146수 백 시간승(백 불계승) 2008/01/07 20080209 (승자1회전) 최철한 九단: 김지석 四단 146수 백 불계승 2008/01/07 20080216 (승자1회전) 이현호 初단: 김진우 三단 190수 백 불계승 2008/01/28 20080223 (승자1회전) 온소진 四단: 한종진 七단 166수 백 불계승 2008/01/28[249] 20080301 (승자1회전) 송태곤 八단: 박정환 二단 144수 백 불계승 2008/02/11 20080308 (승자1회전) 이용수 五단: 유재성 四단 320수 백 8.5 집승 2008/02/11 20080315 (승자1회전) 김승준 九단: 강동윤 七단 211수 흑불계승 2/25 20080322 (승자1회전) 허영호 六단: 백홍석 五단 159수 흑불계승 2/25 20080405 (승자1회전) 조훈현 九단: 윤준상 六단 171수 흑 불계승 3/10[250] 20080412 (승자1회전) 이세돌 九단: 이재웅 五단 106수 백 불계승 3/10 20080419 (승자1회전) 박영훈 九단: 한상훈 三단 260수 백3집반승 3/24 박영훈 백번 20080426 (승자2회전) 조한승 九단: 이현호 初단 181수 흑 불계승 3/24 20080503 (승자2회전) 백홍석 五단: 이용수 五단 325수 흑 3.5 집승 3/31 20080510 (승자2회전) 윤성현 九단: 배준희 二단 100수 흑 불계승? 미확정 3/31 20080517 (승자2회전) 이세돌 九단: 김지석 四단 222수 백 불계승 4/21 20080524 (승자2회전) 목진석 九단: 최기훈 初단 109수 흑불계승 4/28[251] 20080531 (승자2회전) 박영훈 九단: 강동윤 七단 257수 흑불계승 5/19 박영훈 백번 20080607 (승자2회전) 이창호 九단: 온소진 四단 257수 백9집반승 5/19 01:26:26[252] 20080719 (승자2회전) 조훈현 九단: 박정환 二단 195수 흑불계승 5/19 20080726 (패자1회전) 박영훈 九단: 윤성현 九단 220수 백불계승 6/28 2008년 7월 26일 ~ 2008년 11월 15일 매주 토요일 밤 12:55 ~ 2:25 (1시간 3분) 20080802 (승자3회전) 이세돌 九단(백): 조한승 九단(흑) 182수 백불계승 6/28 한해원/조훈현 해설 평택 신한중/고등학교 대국장소[253] 20080830 (패자1회전) 이현호 初단(백): 이용수 五단(흑) 263수 백1집반승 2008/06/02 20081004 (패자1회전) 김지석 四단: 온소진 四단 166수 백불계승 2008/06/02 20081011 (패자1회전) 조훈현 九단(백): 최기훈 初단(흑) 241수 백13.5집승 2008/07/09 012546 20081018 (승자3회전) 배준희 二단: 박정환 二단 192수 백불계승 2008/07/09 20081025 (승자3회전) 이창호 九단: 백홍석 六단 211수 흑불계승 08/18 20081101 (승자3회전) 목진석 九단: 강동윤 七단 203수 흑불계승 10/13 20081108 (패자2회전) 온소진 四단: 박정환 二단 197수 흑불계승 10/06 20081115 (패자2회전) 박영훈 九단: 조한승 九단 230수 백3.5집승 11/09 박영훈 4회연속 백번 kbs-1tv 방송시간 이후 2tv 방송시간 변경 20081123 (패자2회전) 이현호 初단: 목진석 九단 156수 백불계승 11/09 2tv 방송시간 변경 2008년 11월 23일 매주 일요일 밤 1:05 ~ 2:35 (90분) 20081130 (패자2회전) 조훈현 九단: 백홍석 六단 124수 백불계승 11/03 01:05 ~ 2:35 20081207 (패자3회전) 박영훈 九단: 백홍석 六단 240수 백불계승 11/24 01:05 ~ 2:35 박영훈5회 연속 백번 20081214 (승자준결승) 이창호 九단: 강동윤 八단 276수 흑2.5집승 12/03 01:15 20081228 (패자3회전) 목진석 九단: 박정환 二단 164수 백불계승 12/21 00:55 20090103 (패자4회전) 목진석 九단: 이창호 九단 215수 흑불계승 12/21 01:302009년 1월 3일 매주 토요일 밤 1:15 ~ 2:45 (90분) 2009년 신년 편성조정 최유진 새진행자 20090110 (승자준결승) 이세돌 九단: 배준희 二단 209수 흑불계승 12/06 01:25 20090117 (패자 4회전) 박영훈 九단: 배준희 二단 273수 흑불계승 12/22 박영훈 6회연속 백번 01:00 20090207 (패자준결승) 배준희 二단: 이창호 九단 259수 백6.5집승 2009/01/05 01:15 - 02:45 20090214 (승자결승) 이세돌 九단: 강동윤 九단 137수 흑불계승 2009/01/05 01:20 20090221 (패자결승) 강동윤 九단: 이창호 九단 161수 흑불계승 2009/02/02 01:40 20090314 (결승1국) 이세돌 九단: 이창호 九단 210수 백불계승 2009/02/02 01:20 kbs-2[254][255] 20090321 (결승2국) 이세돌 九단: 이창호 九단 158수 백불계승 2009/03/16 01:20 kbs-2 20090328 (결승3국) 이세돌 九단: 이창호 九단 235수 백2.5집승 2009/03/16 01:20 kbs-2 시상식 진행 김재홍 남자 KBS아나운서[256][257] 제28기 (2009년 ~ 201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090404 (승자 1회전) 원성진 九단(흑): 박정환 四단(백) 237수 흑불계승 3/23 01:20 kbs-2tv 20090411 (승자 1회전) 윤찬희 二단(백): 전영규 三단(흑) 166수 백불계승 3/23 01:20 kbs-2tv 20090418 (승자 1회전) 온소진 五단: 안조영 九단 212수 백불계승 3/30 01:20 kbs-2tv 토요일 마지막 20090426 (승자 1회전) 강동윤 九단: 김영삼 八단 196수 백불계승 3/30 00:35 kbs-1tv 2009년 4월 26일 ~ 2009년 5월 31일 매주 일요일 밤 12:35 ~ 2:05 (90분) 1tv방송시간변경 20090503 (승자 1회전) 이용찬 六단: 강창배 初단 284수 백 3.5집승 4/13 kbs-1tv 12:35 ~ 2:05 20090510 (승자 1회전) 백대현 七단: 김승재 二단 209수 흑 불계승 4/13 kbs-1tv 12:35 ~ 2:05 20090517 (승자 1회전) 한상훈 三단: 김대희 四단 205수 흑 불계승 4/20 kbs-1tv 12:35 ~ 2:05 20090524 (승자 1회전) 최명훈 九단: 이정우 六단 308수 흑 0.5집승 4/20 kbs-1tv 12:35 ~ 2:05 20090531 (승자 1회전) 조훈현 九단: 안성준 初단 182수 백 불계승 5/04 kbs-1tv 00:25 20090607 (승자 1회전) 윤준상 七단: 김지석 四단 184수 백 불계승 5/04 kbs-1tv 00:25 20090712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 강창배 初단 181수 흑불계승 06/01 00:35 20090719 (승자 2회전) 강동윤 九단: 윤찬희 二단 230수 백불계승 06/01 00:35 20090726 (승자 2회전) 박정상 九단: 백대현 七단 237수 백4.5집승 6/29 00:35 20090802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이희성 八단 290수 흑1.5집승 6/29 00:35 20090809 (승자 2회전) 조훈현 九단: 이정우 七단 212수 백불계승 7/13 00:35 20090830 (승자 2회전) 박영훈 九단: 최철한 九단 218수 백불계승 7/13 00:35-01:45 초록색 마지막 20090906 (승자 2회전) 안조영 九단: 김지석 五단 247수 백5.5집승 7/27 00:35-01:45 핑크빛 변경 20090913 (승자 2회전) 원성진 九단: 한상훈 四단 283수 흑3.5집승 7/27 00:35-01:45 20091011 (패자 1회전) 윤찬희 二단: 강창배 初단 265수 흑 0.5집승 08/17 12:35 ~ 02:05 20091018 (패자 1회전) 조훈현 九단: 박영훈 九단 181수 흑 불계승 08/17 12:35 ~ 02:05 20091025 (패자 1회전) 김지석 六단: 이희성 八단 143수 흑 불계승 08/31 12:35 ~ 02:05 20091101 (패자 1회전) 원성진 九단: 백대현 七단 174수 백 불계승 08/31 01:40 ~ 03:10 20091108 (승자 3회전) 박정상 九단: 이정우 七단 190수 백 불계승 9/28 12:35 ~ 02:05 20091115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강동윤 九단 202수 흑 3.5집승 10/19 12:35 ~ 02:05 20091122 (승자 3회전) 최철한 九단: 한상훈 四단 150수 백 불계승 10/19 12:35 ~ 02:05 20091129 (패자 2회전) 한상훈 四단: 윤찬희 二단 197수 흑 불계승 11/09 12:35 ~ 02:05 20091206 (패자 2회전) 박정상 九단: 이희성 八단 271수 백 0.5집승 09/28 12:35 ~ 02:05 20091213 (패자 2회전) 조훈현 九단: 이창호 九단 229수 흑 불계승 2009/11/30 조훈현-이창호 사제대결 12:35 ~ 02:05 20091220 (패자 3회전) 이희성 八단: 윤찬희 二단 208수 백불계승 2009/11/23 12:55 20091227 (패자 3회전) 이창호 九단: 원성진 九단 267수 흑불계승 2009/12/14 1520 2:15 20100109 (승자 준결승) 최철한 九단: 안조영 九단 161수 흑불계승 2009/11/23 2010년 01월 09일 매주 토요일 밤 12:50 ~ 2:20 (1시간 30분) KBS-1TV 20100116 (승자 준결승) 강동윤 九단: 이정우 七단 178수 백불계승 2009/11/30 12:55 20100123 (패자 4회전) 안조영 九단: 윤찬희 二단 191수 흑불계승 2009/12/14 1330 12:55 20100130 (패자 4회전) 이창호 九단: 이정우 七단 206수 백불계승 2010/01/04 1520 12:55 20100206 (패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윤찬희 二단 143수 흑불계승 2010/01/18 1330 12:55 20100220 (승자 결승) 최철한 九단: 강동윤 九단 214수 백불계승 2010/01/04 1330 12:55 20100227 (패자 결승) 이창호 九단: 최철한 九단 265수 흑불계승 2010/01/18 1520 1:15 ~ 2:45 토요일 2010년 02월 27일~ 2010년 3월 6일 매주 토요일 밤 1:15 ~ 2:45 (90분) kbs-1tv 20100306 (결승 1국) 이창호 九단: 강동윤 九단 215수 흑불계승 2010/02/01 1330 1:15 ~ 2:45[258] 20100313 (결승 2국) 이창호 九단: 강동윤 九단 156수 백불계승 2010/03/04 1600 KBS 제28기 시상식 진행 이성민 아나운서 2010년 03월 13일 매주 토요일 밤 12:55 ~ 2:25 (90분) kbs-1tv[259] 제29기 (2010년 ~ 201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00320 (승자1회전) 김주호八단:안형준二단 337수 흑3.5집승 2010/03/15 12:55 20100327 (승자1회전) 주형욱五단:진시영三단 251수 흑불계승 2010/03/15 01:45 ~ 3:15 20100403 (승자1회전) 박영훈九단:고근태七단 193수 흑불계승 2010/03/22 매주 토요일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410 (승자1회전) 조훈현九단:김정현初단 289수 흑불계승 2010/03/22 12:55 20100417 (승자1회전) 강지성八단:박정환七단 172수 백불계승 2010/03/29 12:40 ~ 2:10 20100424 (승자1회전) 이희성八단:윤준상 八단 119수 흑불계승 2010/03/29 매주 토요일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501 (승자1회전) 백홍석七단:김형환 四단 225수 흑불계승 2010/04/19 " 20100508 (승자1회전) 이세돌九단:김형우 四단 192수 백불계승 2010/04/19 12:55 20100516 (승자1회전) 이상훈(小75)七단:최철한 九단 173수 흑불계승 2010/05/03 2010년 봄개편 2010.05.09일 시행 2010년 5월 16일 매주 일요일 밤 1:20 ~ 2:50 20100523 (승자1회전) 박정상 九단:안조영 九단 147수 흑불계승 2010/05/03 1:35 ~ 3:05 20100530 (승자1회전) 강유택 三단:루이나이웨이 九단 191수 흑불계승 2010/05/17 2:00 ~ 3:30 89 20100606 (승자1회전) 김동희 二단:김지석 七단 199수 흑불계승 05/17 2:15 ~ 3:45 20100718 (승자2회전) 김정현 初단:최철한 九단 162수 백불계승 5/31 1: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725 (승자2회전) 박정상 九단:이세돌 九단 179수 흑불계승 5/31 3: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801 (승자2회전) 주형욱 五단:박정환 八단 254수 백불계승 7/05 13: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808 (승자2회전) 박영훈 九단:김수용 三단 266수 흑1.5집승 7/05 15: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822 (승자2회전) 이창호 九단:김주호 八단 161수 흑불계승 7/12 13: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829 (승자2회전) 강동윤 九단:이희성 八단 177수 흑불계승 7/12 15:20 밤 1:25 ~ 2:55 (1시간 30분) 20100905 (승자2회전) 백홍석 七단:강유택 三단 211수 흑불계승 8/02 13: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0912 (승자2회전) 김지석 七단:허 진 初단 229수 흑불계승 8/02 15: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1003 (패자1회전) 박영훈 九단:강유택 三단 169수 흑불계승 2010/08/23 13:30 밤 1:25 ~ 2:55 (1시간 30분) 20101010 (패자1회전) 강동윤 九단:김정현 二단 213수 흑불계승 2010/08/23 15:20 밤 1:05 ~ 2:35 (1시간 30분) 20101017 (패자1회전) 김주호 九단:박정상 九단 167수 흑불계승 2010/09/06 1:30 밤 1:05 ~ 2:35 (1시간 30분) 20101024 (패자1회전) 주형욱 五단:허 진 初단 137수 흑불계승 2010/09/06 3:20 밤 1:25 ~ 2:55 (1시간 30분) 20101031 (승자3회전) 최철한 九단:김수용 三단 109수 흑불계승 2010/09/27 1:30 밤 1:05 ~ 2:35 (1시간 30분) 20101107 (승자3회전) 이희성 八단:백홍석 七단 194수 백불계승 2010/09/27 3:20 밤 1:35 ~ 3:05 (1시간 30분) 20101205 (승자3회전) 이창호 九단:박정환 八단 161수 흑불계승 10/25 1: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01212 (승자3회전) 이세돌 九단:김지석 七단 209수 흑불계승 10/25 3:20 밤 1:15 ~ 2:45 (1시간 30분)[260] 20101219 (패자2회전) 박정상 九단:김수용 三단 268수 백1.5집승 10/11 1:30 밤 1:35 ~ 3:05 (1시간 30분) 20101226 (패자2회전) 이희성 八단:주형욱 五단 241수 흑불계승 10/11 3:20 밤 1:35 ~ 3:05 (1시간 30분) 20110109 (패자2회전) 이세돌 九단:강유택 三단 109수 흑불계승 11/15 1:30 12:55 20110116 (패자2회전) 강동윤 九단:이창호 九단 208수 백불계승 11/15 3:20 01:45 ~ 03:15 20110123 (패자3회전) 주형욱 五단:김수용 三단 310수 백5집반승 2010/12/20 01:30 01:15 20110130 (패자3회전) 이세돌 九단:이창호 九단 166수 백불계승 2010/12/20 03:20 01:15 20110206 (승자준결승) 최철한 九단:박정환 八단 320수 흑4집반승 2010/11/29 01:25 20110213 (승자준결승) 백홍석 七단:김지석 七단 151수 흑불계승 2010/11/29 01:20 01:15 20110220 (패자4회전) 최철한 九단: 주형욱 五단 260수 흑반집승 2011/01/03 01:30 01:15 20110227 (패자4회전) 이세돌 九단: 김지석 七단 124수 백불계승 2011/01/03 03:20 01:15 20110306 (패자준결승) 이세돌 九단: 최철한 九단 207수 흑불계승 2011/01/10 03: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10313 (승자결승) 박정환 八단: 백홍석 七단 168수 백불계승 2011/01/10 01:30 밤 2:10 ~ 3:40 (1시간 30분) 20110320 (패자결승) 이세돌 九단: 백홍석 七단 205수 흑불계승 2011/01/31 01:30 밤 1:40 ~ 3:10 (1시간 30분) 20110327 (결승1국) 박정환 九단: 백홍석 七단 155수 흑불계승 2011/02/21 01:30 밤 1:15 ~ 2:45 (1시간 30분)[261] 20110403 (결승2국) 박정환 九단: 백홍석 七단 134수 백불계승 2011/03/21 01:30 밤 1:15 ~ 2:45 (1시간 30분)[최종국][262][263][264][265][266] 제30기 (2011년 ~ 2012년)[267][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10410 (승자1회전) 강동윤九단:강창배二단 214수 백불계승 2011/04/04 01:30 01:15~02:45 20110417 (승자1회전) 안달훈八단:김세동二단 287수 흑4.5집승 04/04 03:20 01:15~02:45 20110424 (승자1회전) 조한승九단:주형욱五단 233수 백불계승 04/11 1:30 01:15~02:45 20110501 (승자1회전) 목진석九단:한종진八단 187수 백0.5집승 04/11 03:20 01:15~02:45 20110508 (승자1회전) 박승현六단:김기용五단 276수 백3.5집승 04/25 아침 10:30 01:50~03:20 20110515 (승자1회전) 한웅규三단:김동호初단 247수 백0.5집승 04/25 오후 01:00 01:35~03:05 20110522 (승자1회전) 조훈현九단:이슬아三단 250수 백불계승 05/09 오후 01:30 01:15~02:45 20110529 (승자1회전) 박영훈九단:전영규三단 196수 백불계승 5/09 오후03:20 01:15~02:45 20110605 (승자1회전) 박진솔四단:윤준상八단 230수 백불계승 5/23 오후01:30 1:??:?? 01:15~02:45 20110612 (승자1회전) 원성진九단:김주호九단 166수 백불계승 5/23 오후03:20 01:15~02:45 20110717 (승자1회전) 이상훈(大)九단:온소진六단 275수 흑5.5집승 06/06 1:30 01:15~02:45 20110724 (승자1회전) 서능욱九단:김승준 九단 273수 흑불계승 06/06 3:20 01:35~03:05 20110731 (승자2회전) 최철한九단:김기용六단 269수 백0.5집승 07/04 1:30 01:25~02:55 20110807 (승자2회전) 김승준九단:온소진六단 243수 흑불계승 07/04 3:20 01:40~03:10 20110814 (승자2회전) 강동윤九단:김세동三단 116수 백불계승 07/18 1:30 01:15~02:45 20110821 (승자2회전) 원성진九단:주형욱六단 172수 백불계승 07/18 3:20 01:15~02:45 20110828 (승자2회전) 이세돌九단:박영훈九단 244수 백불계승 08/01 1:30 01:35~03:05 20111002 (승자2회전) 박정환九단:박진솔五단 130수 백불계승 08/01 3:20 20111009 (승자2회전) 조훈현九단:목진석九단 189수 흑불계승 2011/08/15 3:30 01:15~02:45 20111016 (패자1회전) 박진솔五단:김세동三단 130수 백불계승 2011/08/15 5:00 01:30 ~ 03:00 20111023 (승자2회전) 백홍석八단:한웅규四단 320수 흑2.5집승 2011/09/26 3:20 01:25 ~ 02:55 20111030 (패자1회전) 주형욱六단:한웅규四단 191수 흑불계승 2011/09/26 4:40 01:35 03:05 20111106 (패자1회전) 박영훈九단:조훈현 九단 142수 백불계승 10/17 3:20 01:15~02:45 20111113 (패자1회전) 최철한九단:온소진 六단 151수 흑불계승 11/07 3:30 01:15~02:45 20111120 (승자3회전) 이세돌九단:강동윤九단 229수 흑불계승 10/17 4:30 01:15~02:45 20111127 (승자3회전) 목진석九단:박정환九단 237수 흑불계승 11/07 4:50 01:15~02:45 20111204 (패자2회전) 이세돌九단:주형욱六단 221수 흑불계승 11/21 1:30 01:25 ~ 02:55 20111211 (패자2회전) 목진석九단:최철한九단 152수 백불계승 11/21 3:20 01:30 ~ 03:00 20111218 (승자3회전) 원성진九단:김기용六단 327수 백0.5집승 12/12 1:30 01:15~02:35(1시간 20분) 20111225 (승자3회전) 김승준九단:백홍석八단 79수 흑불계승 12/12 3:20 01:35~03:05 20120108 (패자2회전) 김승준九단:김세동三단 244수 백불계승 12/19 3:20 01:15~02:45 20120115 (패자2회전) 조훈현九단:김기용六단 284수 백9.5집승 12/19 1:30 01:35~03:05 20120129 (패자3회전) 이세돌九단:최철한九단 206수 흑불계승 01/01 1:30 01:15~02:45 20120205 (패자3회전) 김기용六단:김세동三단 167수 흑불계승 01/01 3:20 01:15~02:45 20120212 (승자준결승) 원성진九단:강동윤九단 221수 흑불계승 01/16 2:30 01:15~02:45 20120219 (승자준결승) 백홍석九단:박정환九단 138수 백불계승 01/16 4:00 01:15~02:45 20120226 (패자4회전) 원성진九단:김기용六단 249수 흑불계승 02/06 1:30 01:15~02:45 20120304 (패자4회전) 이세돌九단:백홍석九단 164수 백불계승 02/06 3:20 01:15~02:45 20120311 (패자준결승) 백홍석九단:김기용六단 232수 백불계승 02/13 1:30 01:05~02:35 20120318 (승자결승) 강동윤九단:박정환九단 273수 백0.5집승 02/13 3:20 12:55 ~ 02:25 20120325 (패자결승) 백홍석九단:강동윤九단 130수 백불계승 03/05 1:30 12:55 ~ 02:25 20120401 (결승1국) 백홍석九단:박정환 九단 223수 흑불계승 03/08 오후4:00 12:55 ~ 02:25 20120408 (결승2국) 백홍석九단:박정환 九단 242수 백불계승 03/19 오후1:30 12:55 ~ 02:25 제30기 시상식 진행자 장웅 KBS아나운서[268][269][270] 제31기 (2012년 ~ 201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20415 (승자 1회전) 김대희 四단: 이범진 初단 227수 흑불계승 1:30 2012/04/02 01:05 ~ 02:35 20120422 (승자 1회전) 이창호 九단: 강승민 二단 144수 백불계승 3:20 2012/04/02 12:55 ~ 02:25 20120429 (승자 1회전) 나 현 初단: 박민규 初단 255수 흑불계승 1:30 2012/04/16 01:15 ~ 02:45 20120506 (승자 1회전) 유재호 四단: 변상일 初단 119수 흑불계승 4/16 3:20 01:00 ~ 02:30 20120513 (승자 1회전) 박정근 四단:김세동 三단 175수 흑불계승 4/30 1:30 01:00 ~ 02:30 20120520 (승자 1회전) 허영호 九단: 류수항 初단 216수 백불계승 4/30 3:20 2012년 5월 20일 매주 일요일 밤 1:10 ~ 2:40 (1시간 30분) 20120527 (승자 1회전) 이호범 三단: 강창배 二단 197수 흑불계승 5/14 1:30 01:10 ~ 02:10 20120603 (승자 1회전) 박승화 五단: 박경근 初단 217수 흑불계승 5/14 3:20 01:10 ~ 02:10 20120610 (승자 1회전) 조훈현 九단: 목진석 九단 132수 백불계승 5/21 1:30 01:10 ~ 02:20 20120617 (승자 1회전) 김승준 九단: 이성재 九단 177수 흑불계승 5/21 3:20 2012년 06월 17일 매주 일요일 밤 1:20 ~ 2:30 (1시간 10분) 20120624 (승자 1회전) 원성진 九단: 이지현 二단(男) 202수 백불계승 06/11 1:30 1:20 ~ 2:30 (1시간 10분) 20120701 (승자 1회전) 김지석 八단: 강병권 初단 191수 흑불계승 6/11 3:20 01:20 ~ 02:50 (1시간 30분) 20120708 (승자 2회전) 박정환 九단: 변상일 初단 153수 흑불계승 6/25 1:30 01:15 ~ 02:45 20120715 (승자 2회전) 허영호 九단: 김세동 四단 128수 백불계승 6/25 3:20 01:15 ~ 02:45 20120722 (승자 2회전) 백홍석 九단: 김대희 五단 247수 흑불계승 7/09 1:30 01:20 ~ 02:50 20120729 (승자 2회전) 원성진 九단: 나 현 二단 196수 백불계승 7/09 3:20 01:20 ~ 02:50 20120805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 이호범 三단 185수 흑불계승 7/23 1:30 01:30 ~ 03:00 20120819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김승준 九단 181수 흑불계승 7/23 3:20 01:30 ~ 03:00 20120826 (승자 2회전) 김지석 八단: 박경근 初단 195수 흑불계승 7/30 1:30 01:25 ~ 03:05 20120902 (승자 2회전) 목진석 九단: 최철한 九단 312수 흑1.5집승 7/30 3:20 2012년 10월 7일 매주 일요일 밤 1:15 ~ 2:45 (90분) 20120909 (패자 1회전) 김세동 四단: 이호범 三단 95수 흑불계승 8/20 1:30 1:15 ~ 2:25 (1시간 10분) 1:10:07 20121007 (패자 1회전) 최철한 九단: 나 현 二단 229수 흑불계승 8/20 3:20 1:10:02 20121014 (패자 1회전) 김승준 九단: 김대희 五단 187수 흑불계승 09/03 1:30 2012년 10월 14일 매주 일요일 밤 1:25 ~ 2:35 (1시간 10분) x※ 2012년 10월 8일: KBS 1TV 24시간 방송 체제 도입 이후 기준임. 20121021 (패자 1회전) 변상일 二단: 박경근 初단 238수 백불계승 09/03 3:20 1:20 ~ 2:45 20121028 (승자 3회전) 허영호 九단: 박정환 九단 190수 백불계승 09/17 1:30 1:15 ~ 2:40 20121104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목진석 九단 223수 흑불계승 09/17 3:20 1:20 ~ 2:45 20121111 (승자 3회전) 백홍석 九단: 원성진 九단 232수 백불계승 10/22 1:30 1:15~2:40 20121118 (승자 3회전) 이세돌 九단: 김지석 八단 143수 흑불계승 10/22 3:20 1:15~2:40 20121125 (패자 2회전) 허영호 九단: 김대희 五단 179수 흑불계승 11/05 1:30 1:15~2:40 20121202 (패자 2회전) 백홍석 九단: 이호범 三단 289수 흑0.5집승 11/05 3:20 1:55~3:20 * 20121209 (패자 2회전) 김지석 八단: 나 현 二단 188수 백불계승 11/26 1:30 1:35~3:00 * 20121216 (패자 2회전) 목진석 九단: 변상일 二단 274수 백불계승 11/26 3:20 01:35 ~ 3:00 * 20121223 (패자 3회전) 백홍석 九단: 변상일 二단 198수 백불계승 12/10 01:30 01:15 ~ 02:40 20121230 (승자 준결승) 원성진 九단: 박정환 九단 303수 흑1.5집승 12/10 3:20 01:05 ~ 02:30 *글자 변경 20130106 (승자 준결승) 이창호 九단: 이세돌 九단 225수 흑불계승 12/24 3:20 01:15 01:15 ~ 02:40 20130113 (패자 3회전) 김대희 五단: 나 현 二단 216수 백불계승 2012/12/24 1:30 01:15 ~ 02:20 * 20130120 (패자 4회전) 원성진 九단: 나 현 二단 233수 흑불계승 2013/01/07 1:30 01:25 ~ 02:50 * 20130127 (승자 결승) 이창호 九단: 박정환 九단 279수 흑불계승 01/07 3:20 01:25 ~ 02:50 *[271] 20130203 (패자 준결승) 이세돌 九단: 나 현 二단 190수 백불계승 01/21 1:30 01:15 ~ 02:40 20130217 (패자 결승) 이세돌 九단: 박정환 九단 199수 흑불계승 01/28 01:30 01:15 ~ 02:40[272] 20130224 (결승 1국) 이창호 九단: 박정환 九단 190수 백불계승 02/01 13:30 01:05 ~ 02:30 *[273] 20130303 (결승 2국) 이창호 九단: 박정환 九단 188수 백불계승 02/04 14:30 01:25 ~ 02:50 *[274][275] 20130310 (결승 3국) 이창호 九단: 박정환 九단 144수 백불계승 02/04 16:20 01:15 ~ 02:40 이창호 九단 아쉽게 준우승 박정환 3연패! (노영하 九단 마지막 바둑 해설)[최종국] 시상식 진행 장웅 남자 kbs아나운서[276][277][278][279][280][281] 제32기 (2013년 ~ 201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30317 (승자 1회전) 이희성 九단(백): 박진솔 五단(흑) 220수 백불계승 02/25 1:30 20130324 (승자 1회전) 이원영 三단(백): 김현찬 二단(흑) 203수 흑불계승 02/25 3:20 20130331 (승자 1회전) 조훈현 九단(백): 신윤호 初단(흑) 217수 흑불계승 03/11 1:30 20130407 (승자 1회전) 원성진 九단(백): 나 현 二단(흑) 226수 백불계승 03/11 03:20 20130421 (승자 1회전) 이영구 九단: 류수항 二단 154수 백불계승 3/25 1:30 2013년 4월 21일 ~ 2013년 5월 12일 매주 일요일 밤 1:20 ~ 2:40 (1시간 20분) 20130428 (승자 1회전) 류재형 九단: 이호승 初단 284수 흑2집반승 3/25 3:20 20130505 (승자 1회전) 최명훈 九단: 안성준 四단 237수 흑불계승 4/08 1:30 20130512 (승자 1회전) 한상훈 六단: 안형준 三단 190수 백불계승 4/08 3:20 20130519 (승자 1회전) 강지성 九단: 김대용 五단 205수 흑불계승 4/22 1:30 2013년 5월 19일 ~ 2013년 9월 22일 매주 일요일 밤 1:15 ~ 2:40 (1시간 25분) 20130526 (승자 1회전) 진시영 五단: 강 훈 二단(小) 130수 백불계승 4/22 3:20 20130602 (승자 1회전) 홍성지 九단: 신진서 初단 161수 흑불계승 5/06 1:30 20130609 (승자 1회전) 박영훈 九단: 홍민표 八단 346수 백1집반승 5/06 3:20 20130616 (승자 2회전) 홍성지 九단: 강 훈 二단(小) 156수 백불계승 5/13 1:30 20130623 (승자 2회전) 이영구 九단: 박정환 九단 241수 흑7집반승 5/13 3:20 20130630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 강지성 九단 275수 백5집반승 6/03 1:30 20130707 (승자 2회전) 이창호 九단: 이희성 九단 281수 흑1집반승 6/03 3:20 20130811 (승자 2회전) 최명훈 九단(흑): 원성진 九단(백) 275수 백2집반승 6/17 1:30 20130818 (승자 2회전) 류재형 九단(백): 김현찬 二단(흑) 152수 백불계승 6/17 3:20 20130825 (승자 2회전) 박영훈 九단(흑): 신윤호 初단(백) 183수 흑불계승 7/01 1:30 20130901 (승자 2회전) 최철한 九단(흑): 한상훈 六단(백) 183수 흑불계승 7/01 1:30 20130908 (패자 1회전) 최명훈 九단(백): 이희성 九단(흑) 189수 흑불계승 8/12 1:30 20130929 (패자 1회전) 이영구 九단: 김현찬 二단 192수 백불계승 8/12 3:20 2013년 9월 29일 ~ 2013년 10월 20일 매주 일요일 밤 1:15 ~ 2:15 (1시간) 20131006 (패자 1회전) 강지성 九단: 강 훈 二단(小) 222수 백불계승 8/26 1:30 20131013 (패자 1회전) 최철한 九단: 신윤호 初단 241수 흑불계승 8/26 3:20 20131020 (승자 3회전) 원성진 九단: 한상훈 六단 244수 백불계승 9/23 1:30 20131027 (승자 3회전) 이세돌 九단: 류재형 九단 211수 흑불계승 9/23 3:20 2013년 10월 27일 ~ 2013년 11월 17일 매주 일요일 밤 1:05 ~ 2:15 (1시간 10분) 2013 가을개편 20131103 (패자 2회전) 이영구 九단: 한상훈 六단 282수 흑2.5집승 10/14 1:30 1:05 20131110 (승자 3회전) 박정환 九단: 홍성지 九단 229수 흑 불계승 10/14 3:20 1:05 20131117 (패자 2회전) 류재형 九단: 최철한 九단 104수 백 불계승 10/29 1:30 1:05 20131124 (패자 2회전) 이희성 九단: 홍성지 九단 199수 흑 불계승 10/29 3:20 2013년 11월 24일 ~ 2013년 12월 08일 매주 일요일 밤 1:05 ~ 2:30 (1시간 25분) 20131201 (패자 3회전) 이희성 九단: 최철한 九단 252수 백 불계승 11/18 1:30 1:05 20131208 (승자 3회전) 이창호 九단: 박영훈 九단 323수 백 4.5집승 11/18 3:20 1:05 20131215 (패자 2회전) 이창호 九단: 강지성 九단 146수 백불계승 12/03 1:30 1:15 2013년 12월 15일 ~ 2013년 12월 29일 매주 일요일 밤 1:15 ~ 2:30 (1시간 25분) 20131222 (승자 준결승)원성진 九단: 박정환 九단 168수 백불계승 12/03 3:20 1:05 N조 20131229 (패자 3회전) 강지성 九단: 한상훈 六단 191수 흑불계승 12/09 1:30 1:05 20140105 (패자 4회전) 이희성 九단: 원성진 九단 225수 흑불계승 12/09 2014년 1월 5일 ~ 2014년 1월 26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15 ~ 2:40 (1시간 25분) 1:15 20140112 (승자 준결승) 이세돌 九단: 박영훈 九단 264수 흑반집승 2013/12/17 1:30 1:15 20140119 (패자 4회전) 이세돌九단: 한상훈 六단 223수 흑불계승 2013/12/17 3:20 1:15 20140126 (패자 준결승) 이희성九단: 이세돌九단 170수 백불계승 2014/01/06 1:30 1:15 20140202 (승자 결승) 박영훈 九단: 박정환 九단 255수 흑불계승 2014/01/06 3:20 1:20 2014년 2월 2일 ~ 2014년 2월 16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20 ~ 2:35 (1시간 25분) O조 20140209 (패자 결승) 이세돌 九단: 박영훈 九단 160수 백불계승 2014/01/20 1:30 1:20 20140216 (결승 1국) 이세돌 九단(흑): 박정환 九단(백) 197수 흑 불계승 2014/01/21 1:30[282] 20140302 (결승 2국) 이세돌 九단(백): 박정환 九단(흑) 205수 흑 불계승 2014/01/22 13:30 1:30 1:15 2014년 2월 2일 ~ 2014년 2월 16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20 ~ 2:35 (1시간 25분) 20140309 (결승 3국) 이세돌 九단(흑): 박정환 九단(백) 259수 흑 불계승 2014/01/22 15:20[283][284][285][286] 제33기 (2014년 ~ 201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4년[편집] 20140323 (승자 1회전) 최기훈 四단(흑): 김명훈 初단(백) 227수 백 반집승 01국 02/17 13:30 2014년 3월 23일 매주 일요일 밤 01:20 ~ 2:45 (1시간 25분) 제33기 시작 20140330 (승자 1회전) 윤찬희 四단(백): 나 현 三단(흑) 156수 백 불계승 02국 02/17 15:20 2014년 3월 30일 매주 일요일 밤 01:05 ~ 2:30 (1시간 25분) 20140413 (승자 1회전) 조한승 九단(백): 이현준 初단(흑) 254수 백 불계승 03국 03/03 13:30 2014년 4월 13일 매주 일요일 밤 01:20 ~ 02:45 (1시간 25분) 1:22:30 20140504 (승자 1회전) 이용찬 七단(흑): 신민준 初단(백) 128수 백 불계승 04국 03/03 15:20 2014년 05월 04일 ~ 2014년 5월 18일 매주 일요일 밤 1:15 ~ 2:40 (1시간 25분)1:15 ~ 2:40 20140511 (승자 1회전) 김대용 五단(흑): 변상일 二단(백) 199수 흑 불계승 05국 03/31 13:30 20140518 (승자 1회전) 류민형 四단(흑): 이동훈 二단(백) 306수 백 1집반승 06국 03/31 15:20 20140525 (승자 1회전) 박진솔 六단(백): 홍기표 六단(흑) 96수 백 불계승 07국 04/07 14:00 / 12:55 20140601 (승자 1회전) 박경근 二단(백): 김정현 四단(흑) 299수 흑 7집반승 08국 04/07 15:30 20140608 (승자 2회전) 박정환 九단(백): 박진솔 六단(흑) 120수 백 불계승 09국 04/28 13:30 20140615 (승자 1회전) 이희성 九단(백): 류수항 三단(흑) 203수 흑 불계승 10국 04/28 15:20 20140622 (승자 1회전) 김세동 五단(흑): 안성준 五단(백) 194수 백 불계승 11국 06/02 13:30 2014년 6월 22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25 ~ 2:50 (1시간 25분) 20140629 (승자 1회전) 이원영 四단(흑): 민상연 三단(백) 172수 백 불계승 12국 06/02 15:20 2014년 6월 29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20 ~ 2:45 (1시간 25분) 20140706 (승자 1회전) 김혜민 七단(백): 이지현 四단(男)(흑) 173수 흑 불계승 13국 06/16 13:30 2014년 7월 06일 현재 매주 일요일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40713 (승자 2회전) 안성준 五단(백): 류수항 三단(흑) 210수 백 불계승 14국 06/16 15: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40720 (승자 2회전) 최철한 九단(백): 이동훈 二단(흑) 187수 흑 불계승 15국 06/30 13: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20140727 (승자 2회전) 김지석 九단(백): 신민준 初단(흑) 162수 백 불계승 16국 06/30 15: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1:27:11 20140803 (승자 2회전) 이세돌 九단(흑): 이지현(男)四단(백) 203수 흑 불계승 17국 2014/07/01 13:30 밤 1:15 ~ 2:45 (1시간 30분) 1:27:18 20140810 (승자 2회전) 김명훈 初단(백): 김정현 五단(흑) 179수 흑 불계승 18국 2014/07/01 15:20 밤 1:15 ~ 2:45 (1시간 30분) 1:28:04 20140817 (패자 1회전) 박진솔 六단(백): 류수항 三단(흑) 257수 흑 불계승 19국 2014/07/15 13:30 밤 1:20 ~ 2:45 (1시간 25분) 1:22:08 20140824 (승자 2회전) 윤찬희 四단(백): 김대용 五단(흑) 338수 백 1집반승 20국 2014/07/15 15:20 밤 1:25 ~ 2:50 (1시간 25분) 1:22:23 20141012 (승자 2회전) 조한승 九단(백): 민상연 三단(흑) 82수 백 불계승 21국 2014/09/22 13:30 밤 1:25 ~ 2:55 (1시간 30분) 1:22:21 20141026 (패자 1회전) 민상연 三단(백): 이지현(男) 四단(흑) 288수 백 불계승 23국 10/06 13:30 KBS1 방송시간 1:15~2:45 20141102 (승자 3회전) 이동훈 二단(백): 윤찬희 四단(흑) 276수 백 1집반승 24국 10/06 15:20 KBS1 방송시간 1:25~2:55 밤 1:25 ~ 2:55 (1시간 30분) 20141109 (패자 1회전) 김명훈 初단(흑): 최철한 九단(백) 220수 백 불계승 10/21 13:30 1:30 ~ 2:50 20141116 (패자 2회전) 민상연 三단(백): 윤찬희 四단(흑) 203수 흑 불계승 10/21 15:20 1:25 ~ 2:45 20141123 (승자 3회전) 박정환 九단(백) : 조한승 九단(흑) 266수 백 불계승 11/03 13:30 1:25 ~ 2:45 20141130 (승자 3회전) 이세돌 九단(백) : 안성준 五단(흑) 148수 백 불계승 2014/11/03 15:20 1:25 ~ 2:45 20141207 (승자 준결승) 이세돌 九단(백): 이동훈 三단(흑) 273수 흑 불계승 2014/11/17 13:30 01:30 ~ 02:50 20141214 (패자 2회전) 김대용 五단(백): 안성준 五단(흑) 123수 흑 불계승 2014/11/17 15:20 01:30 ~ 02:50 20141221 (패자 2회전) 조한승 九단(백): 최철한 九단(흑) 109수 흑 불계승 2014/12/01 15:20 01:30 ~ 02:50 20141228 (승자 3회전) 김지석 九단(백): 김정현 五단(흑) 332수 흑 반집승 2014/12/01 13:30 01:40 ~ 03:00 2015년[편집] 20150104 (패자 2회전) 김지석 九단(백) : 류수항 三단(흑) 138수 백불계승 2014/12/15 13:30 01:20 02:40 20150111 (패자 3회전) 최철한 九단(백): 안성준 五단(흑) 255수 흑불계승 2014/12/15 15:20 01:15 02:35 20150118 (패자 3회전) 김지석 九단(흑): 윤찬희 五단(백) 266수 백불계승 2014/12/22 13:30 01:10 06:30 20150125 (승자 준결승) 박정환 九단(흑): 김정현 五단(백) 275수 흑4.5집승 2014/12/22 15:20 01:25 02:45 20150201 (패자 4회전) 윤찬희 四단(백): 김정현 五단(흑) 172수 백불계승 2015/01/16 13:30 01:15 ~ 02:35 20150208 (승자 결승) 박정환 九단(백): 이동훈 四단(흑) 200수 백불계승 2015/01/19 13:30 01:15 ~ 02:35 20150214 (패자 준결승) 윤찬희 四단(백): 안성준 五단(흑) 196수 백불계승 2015/01/16 15:20 02:15 ~03:35 토요일 방송시간 변경 20150221 (패자 결승) 윤찬희 四단(백): 이동훈 四단(흑) 300수 흑0.5집승 2015/02/02 13:30 02:10 ~03:30 20150228 (결승 1국) 박정환 九단(흑): 이동훈 四단(백) 184수 백불계승 2015/02/06 13:30 02:25 ~ 03:45[287][288] 20150307 (결승 2국) 박정환 九단(백): 이동훈 四단(흑) 187수 흑불계승 2015/02/23 13:30 01:35 ~ 02:55 -최종국-[289][290][291] 제34기 (2015년 ~ 2016년)[편집] 201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대진 대국 대국명 (굵은 기사가 승자) (괄호)는 (백)&(흑)을 쥔 기사) 결과 연도 대국일자 기보 비고 3월 14일 48강전 본선1국 이상헌二단(백):안성준六단(흑) 292수 흑반집승 2015년 3월 9일 [1] 3월 21일 본선2국 김누리二단(백):신윤호二단(흑) 203수 흑불계승 [2] 3월 28일 본선3국 조한승九단(백):박승화六단(흑) 243수 흑불계승 3월 16일 [3] 4월 4일 본선4국 박정환九단(흑):이용찬七단(백) 197수 흑불계승 [4] 4월 11일 본선5국 김기용七단(흑):최정五단(백) 196수 백불계승 3월 30일 [5] 4월 18일 본선6국 허영호九단(흑):김명훈二단(백) 315수 흑불계승 [6] 4월 25일 본선7국 홍기표六단(백):강유택六단(흑) 320수 흑4집반승 04/13 [7] 5월 2일 본선8국 나현六단(백):박민규四단(흑) 209수 흑불계승 [8] 5월 9일 본선9국 서건우六단(백):유재호五단(흑) 247수 흑불계승 04/27 [9] 5월 16일 본선10국 이동훈五단(흑):이슬아三단(백) 157수 흑불계승 [10] 5월 23일 본선11국 원성진九단(백):송지훈初단(흑) 151수 흑불계승 05/11 [11] 5월 30일 32강전 본선12국 안성준六단(백):박재근初단(흑) 238수 백불계승 [12] 없음 48강전 본선13국 김동호四단(백):황재연 三단(흑) 264수 백1.5집승 05/12 [13] 본선14국 민상연三단(백):김민호初단(흑) 238수 백불계승 [14] 본선15국 최명훈九단(백):김세동五단(흑) 305수 흑1.5집승 05/19 [15] 본선16국 안형준四단(백):박지연三단(흑) 177수 흑불계승 05/20 [16] 6월 6일 32강전 본선17국 윤준상九단(흑):신윤호二단(백) 246수 백불계승 [17] 6월 13일 본선18국 이상훈八단(小)(백):민상연三단(흑) 140수 백불계승 [18] 6월 20일 본선19국 강유택六단(흑):김정현五단(백) 238수 백6.5집승 06/08 6월 27일 본선20국 김승재六단(백):박민규四단(흑) 204수 백불계승 7월 4일 본선21국 윤현석九단(백):박지연四단(흑) 211수 흑불계승 06/17 7월 11일 본선22국 유재호五단(백):박건호初단(흑) 269수 흑불계승 8월 1일 본선23국 이정우九단(백):박정환九단(흑) 273수 흑1.5집승 06/22 8월 8일 본선24국 박승화六단(흑):변상일三단(백) 261수 흑불계승 없음 48강전 본선25국 김지석九단(백):오유진二단(흑) 138수 흑불계승 06/23 [19] 8월 22일 32강전 본선26국 김동호四단(백):유병용二단(흑) 182수 백불계승 07/13 8월 29일 본선27국 김세동五단(흑):김윤영四단(백) 141수 흑불계승 9월 5일 본선28국 이동훈五단(흑):박준석三단(백) 137수 흑불계승 08/10 9월 12일 16강전 본선29국 안성준五단(백):김세동五단(흑) 192수 백불계승 9월 19일 32강전 본선30국 김지석九단(흑):신진서三단(백) 204수 백불계승 08/31 10월 3일 본선31국 허영호九단(백):김성진四단(흑) 222수 백불계승 10월 10일 16강전 본선32국 김정현五단(백):박지연四단(흑) 184수 백불계승 09/07 10월 17일 32강전 본선33국 강동윤九단(흑):송지훈初단(백) 176수 백불계승 10월 24일 16강전 본선34국 신진서三단(흑):박건호初단(백) 191수 흑불계승 10/05 10월 31일 본선35국 김승재六단(백):송지훈初단(흑) 284수 흑반집승 11월 7일 본선36국 이상훈八단(小)(흑):김동호四단(백) 262수 흑3집반승 10/19 11월 14일 본선37국 허영호九단(흑):이동훈五단(백) 288수 흑반집승 11월 21일 32강전 본선38국 이세돌九단(백):최정六단(흑) 178수 백불계승 10/30 11월 28일 16강전 본선39국 이세돌九단(흑):박승화六단(백) 267수 흑불계승 12월 5일 8강전 본선40국 김정현五단(흑):신진서三단(백) 274수 백불계승 11/09 12월 12일 16강전 본선41국 박정환九단(백):신윤호二단(흑) 180수 백불계승 11/23 12월 19일 8강전 본선42국 이상훈八단(小)(흑):허영호九단(백) 154수 백불계승 12월 26일 본선43국 박정환九단(흑):안성준五단(백) 187수 흑불계승 12/07 201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대진 대국 대국명 결과 날짜 기보 비고 1월 9일 (8강전) 본선44국 이세돌九단(백):송지훈初단(흑) 295수 백반집승 2015/12/07 1월 16일 (준결승전) 본선46국 이세돌九단(백):허영호 九단(흑) 291수 백 1집반승 2015/12/14 1월 23일 (준결승전) 본선45국 박정환九단(백):신진서初단(흑) 92수 백불계승 1월 30일 (결승1국) 이세돌九단(백):박정환九단(흑) 348수 백 1집반승 2016/01/11 [292][293] 2월 13일 (결승2국) 이세돌九단(흑):박정환九단(백) 174수 백불계승 2016/01/14 2월 20일 (결승3국) 이세돌九단(흑):박정환九단(백) 194수 백불계승 [294][295][296][297] 제35기[298][편집] 201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대진 대국 대국명 결과 대국일자 기보 비고 2월 27일 본선 1회전 본선 1국 박경근 三단 (백): 이형진 三단 (흑) 329수 백 4집반승 02/01 3월 5일 본선 2국 민상연 四단 (흑): 최영찬 初단 (백) 218수 흑 2집반승 3월 12일 본선 3국 강동윤 九단 (백): 박하민 初단 (흑) 238수 백 불계승 02/24 3월 19일 본선 4국 이동훈 五단 (백): 김명훈 三단 (흑) 323수 백 반집승 3월 26일 본선 5국 나현 六단 (흑): 김승재 六단 (백) 262수 흑 4집반승 03/07 4월 3일 본선 6국 이호범 五단 (흑): 김기용 七단 (백) 274수 백 2.5집승 4월 10일 본선 7국 박영훈 九단 (흑): 윤찬희 五단 (백) 353수 백 4집반승 03/21 4월 17일 본선 8국 고근태 九단 (백): 박민규 四단 (흑) 167수 흑 불계승 4월 24일 본선 9국 최명훈 九단 (흑): 최재영 初단 (백) 338수 백 17집반승 04/06 5월 1일 본선 10국 김대용 五단 (흑): 송혜령 初단 (백) 173수 흑 불계승 5월 8일 32강전 본선 11국 민상연 四단 (흑): 백홍석 九단 (백) 236수 백 불계승 04/13 5월 15일 본선 12국 신진서 五단 (흑): 박경근 三단 (백) 201수 흑 불계승 [299] 5월 22일 본선 13국 강동윤 九단 (백): 안성준 六단 (흑) 194수 백 불계승 05/02 5월 29일 본선 14국 박정환 九단 (흑): 나현 六단 (백) 268수 백 불계승 [300] 6월 5일 본선 15국 이세돌 九단 (백): 김대용 五단 (흑) 204수 백 불계승 05/13 6월 12일 본선 16국 원성진 九단 (백) : 강창배 三단 (흑) 240수 백 불계승 6월 19일 본선 17국 박민규 四단 (백) : 한웅규 五단 (흑) 194수 백 불계승 05/30 6월 26일 본선 18국 이창호 九단 (흑) : 목진석 九단 (백) 190수 백 불계승 20160703 (32강전) 윤찬희 五단 : 김승준 九단 165수 흑 불계승 2016/06/13 20160710 (32강전) 최재영 初단 : 김정현 五단 180수 백 불계승 2016/06/13 20160717 (32강전) 김주호 九단 : 유병용 三단 136수 백 불계승 2016/06/27 20160724 (32강전) 신민준 四단 : 설현준 二단 184수 백 불계승 2016/06/27 20160731 (32강전) 박승화 七단 : 이호범 五단 243수 흑 불계승 2016/07/11 20160828 (32강전) 조한승 九단 : 이지현(男) 五단 189수 흑 불계승 2016/07/11 20160904 (32강전) 이동훈 五단 : 이영구 九단 193수 흑 불계승 2016/07/25 20161002 (32강전) 강유택 七단 : 이태현 六단 234수 백 불계승 2016/07/25 20161009 (16강전) 이호범 五단 : 박민규 五단 168수 백 불계승 2016/08/08 20161016 (16강전) 이세돌 九단 : 신진서 六단 235수 흑 불계승 2016/08/08 20161023 (16강전) 백홍석 九단 : 목진석 九단 243수 흑 불계승 2016/08/22 20161030 (16강전) 강동윤 九단 : 강유택 七단 316수 흑 반집승 2016/08/22 20161106 (16강전) 김주호 九단 : 나 현 七단 175수 흑 불계승 2016/09/05 20161113 (16강전) 조한승 九단 : 신민준 五단 237수 흑 불계승 2016/09/05 20161120 (16강전) 이영구 九단 : 김정현 六단 202수 백 불계승 2016/09/26 20161127 (8강전) 조한승 九단 : 나 현 七단 196수 백 불계승 2016/11/14 20161204 (8강전) 이세돌 九단 : 목진석 九단 289수 백 12집반승 2016/10/24 20161211 (8강전) 강동윤 九단 : 이호범 五단 167수 흑 불계승 2016/10/24 20161218 (8강전) 이영구 九단 : 원성진 九단 157수 흑 불계승 2016/11/14 20161225 (준결승전) 이세돌 九단(흑): 강동윤 九단(백) 165수 흑 불계승 2016/12/05 201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70101 (준결승전) 이영구 九단(백): 나 현 七단(흑) 151수 흑 불계승 2016/12/05 1:15:29 20170108 (결승 1국) 이세돌 九단(흑): 나 현 七단(백) 175수 흑 불계승 2016/12/19 1:15:16 20170115 (결승 2국) 이세돌 九단(백): 나 현 七단(흑) 274수 백 1집반승 2016/12/26 1:20:24 제36기 (2017년 ~ 2018년)[편집] 201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70122 (48강전 1국) 최정 四단(백) : 이동훈 八단(흑) 205수 흑 불계승 01/16 1:18:58 20170205 (48강전 2국) 김기용 八단(백) : 신민준 七단(흑) 264수 백 1집반승 01/16 1:15:58 20170212 (48강전 3국) 박정환 九단(백) : 이범진 二단(흑) 190수 백 불계승 01/23 1:18:10 20170219 (48강전 4국) 원성진 九단(백) :김주호 九단(흑) 160수 백 불계승 01/23 1:18:16 20170226 (48강전 5국) 주형욱 七단(백) : 오유진 五단(흑) 233수 흑 5집반승 02/20 1:17:08 20170305 (48강전 6국) 안국현 六단 : 유병용 四단 228수 백 5집반승 02/20 1:16:30 20170312 (48강전 7국) 홍성지 九단 : 한상훈 七단 269수 흑 1집반승 02/02 1:19:07 20170319 (48강전 8국) 안성준 七단 : 김남훈 初단 269수 백 6집반승 02/02 1:09:37 20170326 (48강전 9국) 조한승 九단 : 위태웅 初단 222수 백 불계승 03/06 1:18:10 20170402 (48강전 10국) 강지성 九단 : 김명훈 五단 129수 흑 불계승 03/06 1:16:21 20170409 (본선1회전 11국) 백홍석 九단 : 목진석 九단 235수 흑 불계승 03/20 1:16:51 20170416 (본선1회전 12국) 변상일 五단 : 이영구 九단 247수 흑 불계승 03/20 1:17:25 20170423 (본선1회전 13국) 윤준상 九단 : 유재호 六단 102수 백 불계승 04/03 1:08:08 20170430 (본선1회전 14국) 김지석 九단 : 이지현 六단(男) 210수 백 불계승 04/03 1:18:28 20170507 (본선1회전 15국) 설현준 三단 : 박영훈 九단 271수 백 반집승 04/17 1:18:41 20170514 (본선1회전 16국) 김다영 初단 : 진동규 七단 261수 백 6집반승 04/17 1:17:08 20170521 (32강전 1국) 나현 八단 : 설현준 三단 153수 흑 불계승 05/02 1:16:20 20170528 (32강전 2국) 이영구 九단 : 박시열 六단 153수 흑 불계승 05/02 1:17:34 20170604 (32강전 3국) 안국현 八단 : 한태희 六단 269수 백 반집승 05/15 1:19:20 20170611 (32강전 4국) 김기용 八단 : 진시영 六단 251수 흑 불계승 05/15 1:17:03 20170618 (32강전 5국) 조한승 九단 : 류수항 五단 143수 흑 불계승 05/29 1:17:04 20170625 (32강전 6국) 온소진 七단 : 김다영 初단 278수 백 불계승 05/29 1:17:15 20170702 (32강전 7국) 이동훈 八단 : 박정수 初단 200수 백 불계승 06/12 1:16:47 20170709 (32강전 8국) 박정환 九단 : 김현섭 四단 156수 백 불계승 06/12 1:17:54 20170716 (32강전 9국) 신진서 八단 : 김명훈 五단 199수 흑 불계승 06/26 1:17:23 20170723 (32강전 10국) 원성진 九단 : 이세돌 九단 351수 흑 7집반승 06/26 1:20:44 20170820 (32강전) 강동윤 九단 : 오유진 五단 143수 흑 불계승 07/10 1:15:44 20170827 (32강전) 목진석 九단 : 황재연 四단 277수 흑 1집반승 07/10 1:17:20 20170910 (32강전) 안성준 七단 : 박상진 二단 148수 백 불계승 07/24 1:18:00 20170917 (32강전) 윤준상 九단 : 한승주 四단 148수 백 불계승 07/24 1:16:18 20170924 (32강전) 최철한 九단 : 한상훈 八단 290수 흑 반집승 08/07 1:15:38 20171001 (16강전) 김지석 九단 : 이동훈 八단 196수 흑 불계승 08/07 1:20:08 20171015 (16강전) 온소진 七단 : 한태희 六단 197수 흑 불계승 08/21 1:18:21 20171022 (16강전) 김기용 八단 : 한승주 四단 278수 백 1집반승 08/21 1:17:44 201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80311 (준결승전) 박정환 九단 : 온소진 七단 197수 흑 불계승 03/05 1:18:39 20180318 (준결승전) 김지석 九단 : 김명훈 六단 160수 백 불계승 03/05 1:16:58 20180401 (결승 1국) 박정환 九단 : 김지석 九단 : 256수 백 불계승 03/12 1:37:30 20180408 (결승 2국) 김지석 九단 : 박정환 九단 229수 흑 불계승 03/26 1:34:41 제37기 (2018년 ~ 2019년)[편집] 201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80408 (32강전 1국) 윤찬희 七단(흑) 정서준 初단(백) 221수 흑 불계승 04/02 1:19:21 20180415 (32강전 2국) 최홍윤 三단(흑) : 심재익 二단(백) 218수 백 불계승 04/02 1:18:53 20180422 (32강전 3국) 변상일 七단(흑) : 박진영 二단(백) 157수 흑 불계승 04/09 1:06:48 20180429 (32강전 5국) 허영호 九단(백) : 안정기 四단(흑) 200수 백 불계승 04/23 1:18:53 20180506 (32강전 6국) 유병용 五단(백) : 박현수 四단(흑) 226수 흑 6집반승 04/23 1:17:23 20180513 (32강전 7국) 최정 九단(흑) : 박민규 五단(백) 202수 백 불계승 05/07 1:17:07 20180527 (32강전 8국) 이춘규 六단(흑) : 박준석 五단(백) 220수 백 불계승 05/07 1:18:38 20180603 (32강전 9국) 허진 四단(백) : 설현준 四단(흑) 163수 흑 불계승 05/14 1:16:43 20180610 (32강전 10국) 안국현 八단(흑) : 류수항 五단(백) 279수 백 반집승 05/14 1:17:25 20180722 (32강전) 서중희 六단 : 이창석 四단 205수 흑 불계승 05/28 1:16:15 20180729 (32강전) 온소진 八단 : 김세동 六단 158수 백 불계승 05/28 1:06:08 20180805 (32강전) 김지석 九단 : 신민준 八단 235수 흑 불계승 07/22 1:20:21 20180812 (32강전) 이세돌 九단 : 홍기표 八단 175수 흑 불계승 07/27 1:15:51 20180909 (32강전) 한상훈 八단 : 신진서 九단 175수 흑 불계승 08/06 1:19:07 20180916 (32강전) 강동윤 九단 : 박정환 九단 224수 백 불계승 08/06 1:18:09 20180923 (32강전) 온소진 八단 : 박준석 五단 257수 흑 불계승 09/11 1:17:58 20181007 (16강전) 윤찬희 七단 : 김명훈 六단 176수 백 불계승 09/11 1:16:30 20181014 (16강전) 이세돌 九단 : 서중휘 六단 140수 백 불계승 10/02 1:15:47 20181021 (16강전) 박현수 二단 : 심재익 二단 273수 백 반집승 10/02 1:27:25 20181028 (16강전) 허영호 九단 : 신민준 九단 184수 백 불계승 10/12 1:18:18 20181104 (16강전) 변상일 九단 : 설현준 四단 196수 백 불계승 10/12 1:17:36 20181111 (16강전) 박정환 九단 : 류수항 五단 185수 흑 불계승 10/23 1:18:10 20181118 (16강전) 박민규 六단 : 신진서 九단 170수 백 불계승 10/23 1:18:36 20181125 (8강전) 이세돌 九단 : 온소진 八단 227수 백 8집반승 11/13 1:17:51 20181202 (8강전) 신진서 九단 : 김명훈 六단 180수 백 불계승 11/13 1:16:28 20181209 (8강전) 박현수 二단 : 신민준 九단 285수 흑 1집반승 11/23 1:37:13 20181216 (8강전) 박정환 九단 : 변상일 九단 208수 백 불계승 11/23 1:17:16 20181223 (준결승전) 신민준 九단 : 이세돌 九단 316수 백 불계승 12/11 1:37:18 20181230 (준결승전) 신진서 九단 : 박정환 九단 201수 흑 불계승 12/11 1:26:56 201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90106 (결승 1국) 박정환 九단 : 신민준 九단 225수 흑 불계승 01/02 20190113 (결승 2국) 박정환 九단 : 신민준 九단 283수 백 반집승 01/08 제38기 (2019년 ~ 2020년)[편집] 201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90120 (본선 1회전 44강전) 1국 김성진 五단 : 김명훈 六단 237수 흑 불계승 01/15 1:17:19 20190127 (본선 1회전 44강전) 2국 박진솔 九단 : 진시영 七단 191수 흑 불계승 01/15 1:16:37 20190203 (본선 1회전 44강전) 3국 박시열 六단 : 박재근 三단 277수 백 2집반승 01/22 1:17:05 20190210 (본선 1회전 44강전) 4국 양우석 四단 : 심재익 二단 200수 백 불계승 01/22 1:17:34 20190217 (본선 1회전 44강전) 5국 이동훈 九단 : 최재영 四단 98수 백 불계승 02/12 0:43:03 20190224 (본선 1회전 44강전) 6국 김준석 初단 : 현유빈 初단 320수 흑 2집반승 02/12 1:19:03 20190303 (본선 1회전 44강전) 7국 백홍석 九단 : 문민종 初단 179수 흑 불계승 02/19 1:15:16 20190310 (본선 1회전 44강전) 8국 홍성지 九단 : 김세동 六단 293수 흑 1집반승 02/19 1:20:01 20190317 (본선 1회전 44강전) 9국 백찬희 三단 : 안정기 四단 185수 흑 불계승 03/05 1:19:22 20190324 (본선 1회전 44강전) 10국 설현준 四단 : 송규상 三단 209수 흑 불계승 03/05 1:19:03 20190331 (본선 1회전 44강전) 11국 윤찬희 八단 : 한웅규 六단 258수 백 5집반승 03/19 1:19:09 20190407 (본선 1회전 44강전) 12국 박현수 三단 : 김희수 初단 184수 백 불계승 03/19 1:15:09 20190414 (본선 2회전 32강전) 13국 이세돌 九단 : 김명훈 七단 201수 흑 불계승 04/09 1:18:41 20190421 (본선 2회전 32강전) 14국 박진솔 九단 : 신민준 九단 201수 흑 불계승 04/09 1:19:03 20190428 (본선 2회전 32강전) 15국 홍성지 九단 : 최 정 九단 220수 백 불계승 04/16 1:16:33 20190505 (본선 2회전 32강전) 16국 오유진 六단 : 문민종 初단 236수 백 불계승 04/16 1:16:38 20190512 (본선 2회전 32강전) 17국 한승주 五단 : 박재근 三단 146수 백 불계승 04/30 1:04:09 20190519 (본선 2회전 32강전) 18국 박영훈 九단 : 현유빈 初단 161수 흑 불계승 04/30 1:11:26 20190526 (본선 2회전 32강전) 19국 원성진 九단 : 박하민 六단 245수 흑 불계승 05/14 1:30:02 20190602 (본선 2회전 32강전) 20국 나 현 九단 : 이동훈 九단 159수 흑 불계승 05/14 1:18:25 20190609 (본선 2회전 32강전) 21국 유창혁 九단 : 송규상 三단 288수 백 3집반승 05/28 1:15:40 20190616 (본선 2회전 32강전) 22국 목진석 九단 : 윤찬희 八단 292수 흑 8집반승 05/28 1:18:36 20190623 (본선 2회전 32강전) 23국 양우석 四단 : 윤예성 初단 239수 흑 불계승 06/04 1:21:32 20190714 (본선 2회전 32강전) 24국 윤준상 九단 : 이창석 五단 143수 흑 불계승 06/04 1:22:23 20190721 (본선 2회전 32강전) 25국 변상일 九단 : 홍무진 四단 07/09 20190728 (본선 2회전 32강전) 26국 이영구 九단 : 김지석 九단 07/09 20190804 (본선 2회전 32강전) 27국 박정환 九단 : 박현수 三단 07/16 20190811 (본선 2회전 32강전) 28국 신진서 九단 : 안정기 四단 07/16 20190818 (16강전) 29국 윤준상 九단 : 윤찬희 八단 07/16 20190825 (16강전) 30국 이세돌 九단 : 박영훈 九단 07/16 202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각주 및 주해[편집] ↑ (1982년 9월 24일)《동아일보》 KBS바둑戰(전)부활 23일부터1차예선 1982년 9월 24일 확인 동아일보 12면 경제 ↑ (1982년 9월 29일) 《동아일보》KBS바둑왕전 2次豫選(차예선)8명진출 1982년 9월 29일 확인 동아일보 12면 스포츠 ↑ (1983년 8월 11일) 《동아일보》KBS바둑왕 曺薰鉉(조훈현)·金熙中(김희중)결선 1983년 8월 11일 확인 동아일보 10면 스포츠 ↑ (1984년 7월 25일) 《경향신문》프로棋士(기사) 徐奉洙(서봉수)씨 제3期(기) KBS바둑王(왕)에 1984년 7월 25일 확인 경향신문 2면 스포츠 ↑ (1984년 8월 2일) 《경향신문》바둑 KBS바둑왕전 개막 1984년 8월 2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6년 6월 28일) 《경향신문》趙南哲(조남철)9단 바둑왕전 8强(강)에 1986년 6월 28일 확인 경향신문 6면 스포츠 ↑ (1986년 8월 5일) 《경향신문》河燦錫(하찬석) 7단 KBS바둑왕 차지 1986년 8월 5일 확인 경향신문 5면 스포츠 ↑ (1987년 1월 17일) 《경향신문》KBS 바둑왕전서 洪太善(홍태선)6단등 승리 1987년 1월 17일 확인 경향신문 6면 스포츠 ↑ (1987년 2월 14일) 《경향신문》 趙(조)9단 老益壯(노익장)과시 KBS 바둑王戰(왕전)서 1987년 2월 14일 확인 경향신문 6면 스포츠 ↑ (1987년 6월 1일) 《경향신문》 두TV 바둑프로 진행미숙·방송중단 홈 1987년 6월 1일 확인 경향신문 12면 연예 ↑ (1987년 10월 23일) 《경향신문》꼬마기사 李昌鎬(이창호)2단 權甲龍(권갑용)4단을 물리쳐 1987년 10월 23일 확인 경향신문 15면 스포츠 ↑ (1988년 5월 19일) 《경향신문》曺薰鉉(조훈현)·徐能旭(서능욱)쟁패 KBS 바둑왕전 1988년 5월 19일 확인 경향신문 12면 스포츠 ↑ (1988년 8월 4일) 《경향신문》曺薰鉉(조훈현)9단 우승 KBS 바둑왕전 1988년 8월 4일 확인 경향신문 12면 스포츠 ↑ (1989년 3월 30일) 《경향신문》洪太善(홍태선) 바둑王(왕) 16强(강) 1989년 3월 30일 확인 경향신문 14면 스포츠 ↑ (1989년 4월 6일) 《경향신문》바둑왕전 16강확정 1989년 4월 6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9년 4월 27일) 《경향신문》金秀壯(김수장) 바둑왕戰(전) 8强(강) 1989년 4월 27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9년 7월 13일) 《경향신문》 李昌鎬(이창호) 바둑왕戰(전)타이틀 눈앞에 1989년 7월 13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9년 7월 25일) 《한겨레》규약위반'깜박수'로 한판대국 물거품 1989년 7월 25일 확인 한겨레 12면 스포츠 ↑ (1989년 7월 27일) 《경향신문》 李昌鎬(이창호)3단 바둑왕戰(전) 결승3번기 1勝(승) 1989년 7월 27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9년 8월 9일) 《경향신문》 李昌鎬(이창호)3단 KBS바둑王(왕) 등극 14세로 최연소 바둑타이틀기록 1989년 8월 9일 확인 경향신문 4면 스포츠 ↑ (1989년 9월 7일) 《경향신문》 李俊鶴(이준학)등 바둑왕전 本選(본선) 1989년 9월 7일 확인 경향신문 8면 스포츠 ↑ (1989년 11월 29일) 《한겨레》 장두진 6단·서봉수 9단 KBS 바둑왕전 16강에 1989년 11월 29일 확인 한겨레 12면 스포츠 ↑ (1989년 12월 28일) 《경향신문》河燦錫(하찬석)등 바둑왕전 8강에 1989년 12월 28일 확인 경향신문 10면 스포츠 ↑ (1990년 3월호)《월간 바둑》pp.71 /바둑왕전(KBS) <제10기 본선전 개막> 2/15 현재 1990년 3월호 확인 월간 바둑 71쪽 '90.3 기전현황 ↑ (1990년 3월 8일) 《경향신문》 金秀英(김수영) 바둑왕전 6강 1990년 3월 8일 확인 경향신문 10면 스포츠 ↑ (1990년 5월 31일) 《경향신문》 趙大賢(조대현)5단 KBS바둑왕 8강 진출 1990년 5월 31일 확인 경향신문 19면 스포츠 ↑ (1990년 6월 27일) 《경향신문》 김수영·조훈현 8강 진출 1990년 6월 27일 확인 한겨레 10면 스포츠 ↑ (1990년 8월 20일) 《매일경제신문》曺(조)9단·徐(서)8단 격돌 1990년 8월 20일 확인 매일경제신문 11면 스포츠 ↑ (1990년 8월 22일) 《한겨레》9회 KBS 바둑왕전 1국 1990년 8월 22일 확인 한겨레 10면 스포츠 ↑ (1990년 8월 27일) 《매일경제신문》曺(조)9단「KBS바둑왕戰(전)」「名人戰(명인전)」쓴잔 1990년 8월 27일 확인 매일경제신문 11면 스포츠 ↑ (1990년 9월 5일) 《한겨레》서능욱8단 이창호 돌풍에 1990년 9월 5일 확인 한겨레 10면 스포츠 ↑ (1990년 9월 5일) 《한겨레》제9기 KBS 바둑왕전 조훈현9단 타이틀 회복 1990년 9월 5일 확인 한겨레 10면 스포츠 ↑ (1990년 10월호) 《월간 바둑》제9기 바둑왕전(KBS) <조훈현, 속기챔프 확인!> 1990년 10월호 확인 월간 바둑 제9기 KBS바둑왕전 결승2~3국 ↑ (1990년 10월호) 《월간 바둑》pp.73/제9기 바둑왕전(KBS) <조훈현, 정상복귀> 8/20 현재 1990년 10월호 확인 월간 바둑 73쪽 '90.10 프로 바둑계 24시 ↑ (1990년 11월호) 《월간 바둑》pp,44 /제10기 바둑왕전(KBS) <제10기 본선전 개막> 10/8 현재 1990년 11월호 확인 월간 바둑 44쪽 '90.11 프로 바둑계 24시 ↑ (1990년 12월 7일) 《경향신문》KBS바둑왕 박영호초단 불계승 1990년 12월 7일 확인 경향신문 19면 스포츠 ↑ (1991년 9월 6일) 《경향신문》曺薰鉉(조훈현)9단 KBS바둑왕에 1991년 9월 6일 확인 경향신문 9면 스포츠 ↑ (1992년 7월 6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1992년 7월 6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2년 8월 28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제11기 KBS 바둑왕전" 1992년 8월 28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2년 9월 16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曺9단 KBS배결승 李5단에 1승" 1992년 9월 16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2년 9월 25일) 《경향신문》李昌鎬(이창호) 5단 KBS바둑왕전 우승 1992년 9월 25일 확인 경향신문 17면 스포츠 ↑ (1993년 6월 4일) 《동아일보》 徐奉洙(서봉수) 3연패늪서 탈출 1993년 6월 4일 확인 동아일보 25면 스포츠 ↑ (1993년 7월 14일) 《연합뉴스》"<바둑소식> 梁宰豪 8단, "曺薰鉉 9단 꺾어" 1993년 7월 14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3년 12월 16일) 《매일경제》李(이)창호 KBS바둑왕전"쓴잔" 1993년 12월 26일 확인 매일경제 27면 스포츠 ↑ (1994년 1월 30일)《동아일보》KBS 2 밤12.00「바둑왕전」 1994년 1월 30일 확인동아일보 25면 스포츠 ↑ (1994년 1월 7일)《동아일보》도전2국서 曺薰鉉(조훈현)에 불계승…2연승 기록 1994년 1월 7일 확인 동아일보 25면 스포츠 ↑ (1994년 7월 10일) 《동아일보》"「段(단)제도」無用論(무용론)"대두 동아일보 21면 1994년 11월 11일 확인 ↑ (1994년 11월 11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金兌香.李晶援, 입단 外 1994년 11월 11일 확인 ↑ (1995년 1월 5일)《경향신문》KBS바둑왕 타이틀 획득 1995년 1월 5일 확인 경향신문 17면 스포츠 ↑ (1995년 1월 6일) 《한겨레》이창호 KBS바둑왕전 우승 1995년 1월 6일 확인한겨레 16면 스포츠 ↑ (1995년 6월 16일)《한겨레》이상훈 3단 12연승 행진 1995년 6월 16일 확인 한겨레 16면 스포츠 ↑ (1996년 1월 31일) 《매일경제신문》 劉(유)창혁 KBS바둑왕전 승자組(조) 결승 올라 1996년 1월 31일 확인 매일경제신문 38면 스포츠 ↑ (1996년 3월 10일) 《동아일보》이창호,유창혁에 불계승 KBS바둑왕전 결승선착 1996년 3월 10일 확인 동아일보 26면 스포츠 ↑ (1996년 3월 2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李昌鎬, KBS바둑왕전 결승 진출" 1996년 3월 2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6년 3월 24일) 《동아일보》유창혁 바둑왕전 결승진출 1996년 3월 24일 확인 동아일보 22면 스포츠 ↑ (1996년 3월 29일) 《연합뉴스》 "<바둑소식> 劉昌赫, KBS바둑왕 차지 등" " 1996년 3월 29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7년 2월 12일) 《연합뉴스》"<바둑단신> 김동엽 6단 등 KBS바둑왕전 8강에 올라" 1997년 2월 12일 확인 ↑ (1997년 2월 20일) 《매일경제신문》바둑왕전 8강안착 1997년 2월 20일 확인 매일경제신문 30면 스포츠 ↑ (1997년 4월호) 《월간 바둑》. pp. 86~87 / (하이라이트) (본선 2회전) <제15기 KBS 바둑왕전> 백대현, 승자 준결승전 진출 ↑ (1997년 3월 20일) 《연합뉴스》"<바둑단신> KBS바둑왕전 승자조 결승진출 外"[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997년 3월 20일 확인 ↑ (1997년 5월호) 《월간 바둑》. pp. 128~129 / (하이라이트) (승자 준결승) <제15기 KBS 바둑왕전> 정수현, 승자조 결승까지 올라 ↑ (1997년 5월호) 《월간 바둑》. pp. 132/ 바둑계 24시 (결승 1국) <제15기 KBS 바둑왕전> 조훈현, 바둑왕이 보인다 ↑ (1997년 4월 15일) 《한겨레》 이창호 기보집 둘째권 선봬 外 한겨레 19면 스포츠 1997년 4월 15일 확인 ↑ (1997년 4월 16일) 《연합뉴스》"<바둑> 曺薰鉉 9단 KBS바둑왕전 우승" 1997년 4월 16일 확인 ↑ (1997년 6월호) 《월간 바둑》. pp. 116/ 바둑계 24시 (결승 2,3국) <제15기 KBS 바둑왕전> 조훈현, 역시 속기왕 ↑ (1997년 9월 11일) 《매일경제신문》 서능욱 본선 2회전에 1997년 9월 11일 확인 매일경제신문 31면 스포츠 ↑ (1997년 10월 6일) 《주간바둑 361》 정대상 서봉수 꺾는 기염 1997년 10월 6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7년 10월 16일) 《주간바둑 361》 서능욱, 유창혁 꺽고 3회전 진출 1997년 10월 16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7년 11월 14일) 《주간바둑 361》 조훈현 · 김수장 승자 3회전 진출 1997년 11월 14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7년 12월 22일) 《주간바둑 361》 이창호 승자 준결승 진출 1997년 12월 22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1월 13일) 《주간바둑 361》 하찬석 · 김수장 승자 준결승 진출 1998년 1월 13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2월 3일) 《주간바둑 361》 정수현 · 김영환 동반부활 1998년 2월 3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2월 18일) 《주간바둑 361》 유창혁 · 정수현 부활 1998년 2월 18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3월) 《주간바둑 361》 김희중 쾌조의 2연승 1998년 3월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2월 24일) 《주간바둑 361》 이창호 · 조훈현 승자결승진출 1998년 2월 24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3월) 《주간바둑 361》 김희중 과연 부활할까? 1998년 3월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4월 14일) 《주간바둑 361》 이창호 최종 결승 진출 1998년 4월 14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4월 16일) 《주간바둑 361》 또 조 · 이 사제 1998년 4월 28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4월 21일) 《연합뉴스》 "<바둑단신> 曺薰鉉-李昌鎬9단,KBS바둑왕전 결승진출" 1998년 4월 21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1998년 5월 18일) 《연합뉴스》"<방송가> KBS-1 `KBS 바둑왕전 결승' 중계 등" 1998년 5월 18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1998년 5월 20일) 《경향신문》이창호 대 조훈현,사제대결 특집「KBS 바둑왕전」KBS1 오후3:00 1998년 5월 20일 확인 경향신문 13면 연예 ↑ (1998년 5월 20일) 《연합뉴스》"<바둑> 曺薰鉉 9단 KBS 바둑왕전 결승 1국 승리" 1998년 5월 20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1998년 5월 21일) 《연합뉴스》"<바둑> 曺薰鉉 9단, KBS바둑왕전 우승" 1998년 5월 21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1998년 6월 2일) 《주간바둑 361》 조훈현 바둑왕 진가 발휘 1998년 6월 2일 확인[바둑] ↑ (1998년 7월호) 《월간 바둑》. pp. 70/ 바둑계 24시 프로 "속기왕은 넘보지 말라" ↑ (1998년 6월 2일)《주간바둑 361》제17기 KBS 바둑왕전 개막 1998년 6월 2일 확인 [주간바둑 361] ↑ (1998년 5월 22일)《주간바둑 361》김영환 바둑왕전 호조 1998년 5월 22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6월 16일)《주간바둑 361》이창호,하찬석 승자3회전 진출 1998년 6월 16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6월 23일)《주간바둑 361》양재호 오규철 승자 3회전 진출 1998년 6월 23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7월 14일)《주간바둑 361》최명훈, 조훈현 격파 1998년 7월 14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8년 7월 28일) 《주간바둑 361》조한승 패자1회전 승리 1998년 7월 28일 확인 [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1999년 1월 11일) 《동아일보》 검은돌 흰돌 1999년 1월 11일 확인 동아일보 국내뉴스 ↑ (1999년 2월 1일) 《동아일보》정수현9단 결승진출 바둑과교수 체면세워동아일보 15면 1999년 2월 1일 확인 ↑ (1999년 3월호) 《월간 바둑》. pp. 87/ 바둑계 24시 <제17기 KBS 바둑왕전> 이창호 '바둑왕' 눈앞 ↑ (1999년 2월 23일) 《연합뉴스》"이창호 9단, KBS바둑왕전 우승" 1999년 2월 23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1999년 3월 9일) 《주간바둑 361》 속기전도 내가 왕 1999년 3월 9일 확인[바둑] ↑ (1999년 4월호) 《월간 바둑》 <제17기 KBS 바둑왕전> 돌아온 건맨 이창호 ↑ (1999년 4월호) 《월간 바둑》》. pp. 86/ 바둑계 24시 <제17기 KBS 바둑왕전> 이창호, 4년만에 귀향 ↑ (1999년 3월 24일) 《연합뉴스》"<바둑소식> 이상훈.양재호, KBS바둑왕 8강" 1999년 3월 24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9년 10월호 ) 《월간 바둑》 "<바둑계 24시> 이창호 결승에 올라 1999년 3월 24일 확인 [월간 바둑] ↑ (1999년 10월 19일) 《연합뉴스》"<바둑소식> 조훈현9단, 바둑왕전 결승진출" 1999년 10월 19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1999년 11월 8일) 《한국기원》 조훈현 통산 11회 우승 눈앞에 1999년 11월 8일 확인 [한국기원] 국내뉴스 ↑ (1999년 11월 8일) 《연합뉴스》"<바둑소식>조훈현, 이창호에 불계승" 1999년 11월 8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1월 4일)《한국기원》 목진석,최철한 승자 2회전 진출 2000년 1월 4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5월 8일)《한국일보》 "[바둑소식] 이상훈 3단, 2연승을 기록 등 " 2000년 5월 8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5월 15일) 《한국일보》"[바둑소식 안조영 5단, 8강 진출 등 "] 2000년 5월 15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8월 22일)《동아일보》"[검은돌 흰돌]박지은2단, 유창혁9단 꺾어 " 2000년 8월 22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0년 10월 11일)《한국기원》 목진석 대망의 최종 결승 진출 2000년 10월 11일 확인 [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0년 12월 20일)《KBS》바둑계도 세대교체 바람 2000년 12월 20일 확인 KBS ↑ (2000년 12월 20일)《한국일보》 "이세돌 목진석 '반상혁명' " 2000년 12월 20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12월 21일) 《한국일보》"[바둑]목진석 5단, 이창호 꺾고 생애 첫 타이틀 " 2000년 12월 21일 확인 [바둑] 국내뉴스 ↑ (2000년 12월 28일) 《한국기원》 이세돌 外 신예기사 대거 본선 진출 2000년 12월 28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월 3일) 《한국기원》 안영길 · 윤성현 첫 테이프 2001년 1월 3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월 10일) 《한국기원》 최명훈 ,안조영 승자 2회전 진출 2001년 1월 10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월 17일) 《한국기원》 이성재,이재웅 승자 2회전 진출 2001년 1월 17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2월 21일) 《한국기원》 백대현 본선 막차로 승자 2회전 진출 2001년 2월 21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2월 7일) 《한국기원》 서능욱,목진석 꺽었다. 2001년 2월 7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2월 12일) 《한국일보》"[바둑] 7차 아마단 발급인정대회 外 " 2001년 2월 12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3월 7일) 《한국기원》 이상훈小,안조영 승자 3회전 진출 2001년 3월 7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3월 16일) 《한국기원》 이상훈大,이재웅 승자 3회전 진출 2001년 3월 16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4월 9일) 《한국일보》"[바둑] 이창호, 백대현 8강전 外 " 2001년 4월 9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4월 20일) 《한국기원》KBS바둑왕전 패자조 부활 순항 2001년 4월 20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5월 30일) 《한국기원》이창호,이상훈 승자 준결승 진출 2001년 5월 30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5월) 《조선일보》이상훈六단 이상훈三단 동명이인 대결 2001년 5월 확인[바둑] ↑ (2001년 6월 13일) 《주간바둑 361》이세돌ㆍ이상훈 형제대결 2001년 6월 13일 확인[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2001년 6월 17일) 《한국일보》"[검은돌 흰돌]이상훈-이세돌 또 형제대결 外 " 2001년 6월 17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6월 18일) 《한국일보》[바둑] 이세돌-상훈 "형제 맞대결' 2R " 2001년 6월 18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1년 7월 20일) 《주간바둑 361》 이세돌 형제대결 승리 2001년 7월 20일 확인[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2001년 8월 1일) 《주간바둑 361》 이창호 바둑왕전 승자조 결승 2001년 8월 1일 확인[주간바둑 361] 국내뉴스 ↑ (2001년 6월 22일) 《한국기원》 안조영 · 조한승 패자 3회전 진출 2001년 6월 22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9월 12일) 《한국기원》 서능욱 · 목진석 패자 4회전 진출 2001년 9월 12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9월 12일) 《KBS바둑왕전》 서능욱 속기는 자신있다 2001년 9월 12일 확인[타이젬] 국내뉴스 ↑ (2001년 9월 26일) 《한국기원》 이세돌, 대망의 최종 결승 진출 2001년 9월 26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9월 26일) 《KBS바둑왕전》 이세돌 이창호 이겼다 2001년 9월 26일 확인[타이젬] 국내뉴스 ↑ (2001년 10월 19일) 《한국기원》 이창호九단 먼저1승 2001년 10월 19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0월 19일) 《KBS바둑왕전》 이창호 바둑왕전 결승1국 승리 2001년 10월 19일 확인[타이젬] 국내뉴스 ↑ (2001년 11월 23일) 《KBS바둑왕전》 이창호 3년만에 바둑왕 탈환 2001년 11월 23일 확인[타이젬] 국내뉴스 ↑ (2001년 12월 28일) 《한국기원》 이재웅 외 바둑왕전 본선 진출 2001년 12월 28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2월 29일) 《한국기원》제21기 바둑왕전 본선 진출자 확정 2001년 12월 29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2001년 12월 29일) 《한국기원》2002 바둑왕전 킥 오프 2001년 12월 29일 확인한국기원 국내뉴스 ↑ 국내뉴스 (2002년 1월 3일). “[KBS바둑왕전] 안영길·박승철, '새해 첫 인사'”. 사이버오로. 2002년 1월 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1월 18일). “[KBS바둑왕전] 김영환-이상훈 속기에 강하다!!”. 사이버오로. 2002년 1월 1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1월 23일). “[KBS바둑왕전] 이성재,장주주 승자2회전으로 순항!!”. 사이버오로. 2002년 1월 2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1월 26일). “[KBS 바둑왕전] 김성룡-염정훈, 1차관문 통과”. 사이버오로. 2002년 1월 26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2월 8일). “[KBS바둑왕전] 이창호, 목진석 2회전 통과!!”. 사이버오로. 2002년 2월 8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2월 22일). “[KBS바둑왕전] 이성재. 안영길 승자2회전 통과!!!”. 사이버오로. 2002년 2월 2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3월 6일). “[KBS바둑왕전] 중년 돌풍 나종훈!! 세돌잡은 염정훈!! 승자조 8강”. 사이버오로. 2002년 3월 6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3월 20일). “[KBS바둑왕전] 九단의 매운 맛!! 서능욱,장주주 마지막 8강행!!”. 사이버오로. 2002년 3월 20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02년 4월 13일). “[KBS바둑왕전] 재주꾼 김성룡, 이단점프.!!”. 사이버오로. 2002년 4월 1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2002년 5월 16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장주주 승자조 4강!!부활의 꿈 영환도사!! 2002년 5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6월 6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창호, 안영길, 승자조 4강진출!! 2002년 6월 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7월 6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염정훈, 이상훈, 패자부활 3회전 출격!! 2002년 7월 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7월 24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목진석, 84수만에 이세돌 완파!! 2002년 7월 24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8월 8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창호 승자조 결승 진출 2002년 8월 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9월 4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장주주도 있었다. 2002년 9월 4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8월 22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김성룡, 패자조 4승째!! ‘이대로 결승까지’!! 2002년 8월 2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9월 18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상훈7단!! 집념의 패자부활전 2002년 9월 1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9월 27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이창호의 힘. 속기에서도 빛난다!! 2002년 9월 2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2년 10월 4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大이상훈, 이창호 잡았다!! 2002년 10월 4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국내뉴스 (2002년 10월 21일). “[KBS바둑왕전] 이창호, 바둑왕 통산 6회 제패”. 사이버오로. 2002년 10월 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2003년 1월 23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안달훈, 박병규 저희도 이겼어요~^^ 2003년 1월 2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1월 29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박영훈-김만수, 16강 세이브!! 2003년 1월 2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2월 5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김승준 송태곤 1차전 뚫었다! 2003년 2월 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2월 19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세돌, 조한승 나란히 16강 점프 2003년 2월 1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3월 5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10대 천원 송태곤, 속기도 문제없다! 2003년 3월 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3월 20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조한승, 박병규 8강 앞으로! ! 2003년 3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4월 9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세돌, 또 이창호 잡다! 2003년 4월 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4월 16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장주주, 바둑왕전 8강행 탑승! 2003년 4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4월 2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윤성현, 안달훈 바둑왕전 8강 우뚝!! 2003년 4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5월 7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창호-김만수 패자조에서 훨훨 2003년 5월 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5월 21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승률1위 송태곤, 이세돌 꺾고 4강진출! 2003년 5월 2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5월 23일) 《동아일보》 "[김승준8단의 결정적장면]제22기 KBS바둑왕전 승자조 3회전 " 2003년 5월 23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3년 5월 28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윤성현ㆍ안달훈, 승자조 4강진출! 2003년 5월 2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6월 11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창호-세돌의 패자부활전! 본격 가동 2003년 6월 1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6월 15일) 《동아일보》 "[결정적 장면]제22기 KBS 바둑왕전 본선 29국" 2003년 6월 15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3년 6월 25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창호 - 이세돌 모두 탈락 2003년 6월 2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5월 30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박병규, 안달훈 꺾고 승자조 결승진출! 2003년 5월 3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7월 2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반상의 훤칠맨, 조한승-안달훈 외나무 격돌! 2003년 7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7월 16일) 《사이버오로》송태곤, 초속기왕 노린다 2003년 7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7월 25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어린사자 송태곤! 결승1국 덥석 2003년 7월 2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10월 8일) 《연합뉴스》 "가을은 바둑대회의 계절" 2003년 10월 28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3년 10월 10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송태곤, 바둑왕 먹고 6단 승단 2003년 10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3년 10월 15일) 《연합뉴스》 "송태곤 5단 속기왕 올라" 2003년10월 15일 확인[바둑] 국내뉴스 ↑ (2004년 1월 29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속기왕의 진수를 가린다 2004년 1월 2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2월 13일) 《사이버오로》최철한, 돌씨앗배, 여류명인전등 外2004년 2월 1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3월 10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조훈현ㆍ조한승, 승자조 3회전 동반진출! 2004년 3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2월 25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김성룡, 전기 우승자 송태곤도 무섭지 않다! 2004년 2월 2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3월 12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세돌ㆍ백홍석, 패자조 2회전 진출 2004년 3월 1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4월 21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조훈현, 조한승 속기왕 향해 씽씽~ 2004년 4월 2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4월 2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최철한, 속기왕도 한번 노려봐? 2004년 4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4월 28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루이 격침! 최철한과 설욕전 노린다! 2004년 4월 2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6월 2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이세돌, 김성룡 “속기전 자신있다” 2004년 6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5월 28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조한승, 조훈현 꺾고 승자조 결승 선착 2004년 5월 2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6월 18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최철한 격침 2004년 6월 1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6월 9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조훈현 초속기로 부활할까? 2004년 6월 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7월 2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세돌 날았어! 2004년 7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7월 7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이창호-이세돌 대결 성사 2004년 7월 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7월 30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 '스피드 KBS' 2004년 7월 3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10월 22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속기전도 최강! 통산 7번째 속기왕 눈앞에! 2004년 10월 2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4년 11월 9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통산 7번째 속기왕 등극! 2004년 11월 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1월 14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유창혁 '360수'만에 이세돌 격침 2005년 1월 14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1월 19일) 《사이버오로》[KBS바둑왕전] 이창호 새해 첫승 2005년 1월 1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3월 16일) 《사이버오로》 [KBS바둑왕전] 박영훈, 훨훨난다! 유창혁도 8강 진출! 2005년 3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3월 19일) 《부산일보》"[바둑계 소식] KBS바둑왕전 승자조 8강 확정" 2005년 3월 19일 확인부산일보 ↑ (2005년 4월 8일) 《사이버오로》[국내조합] 김동희 음메~, 나도 송아지란 말이다 2005년 4월 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4월 27일) 《사이버오로》이창호, 조한승 속기왕 다시 한번? 2005년 4월 2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6월 8일) 《사이버오로》이영구, 다음은 이창호? 2005년 6월 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5월 26일) 《사이버오로》유창혁, 바둑왕전에서 힘낸다! 2005년 5월 2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7월 20일) 《사이버오로》이창호, 속기 2관왕 향해! 2005년 7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8월 1일) 《사이버오로》이창호, 속기전은 나의 성역! 2005년 8월 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8월 10일) 《사이버오로》박영훈, 두 고비만 넘기자! 2005년 8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9월 23일) 《사이버오로》이창호, 바둑왕전도 내가 접수한다! 2005년 9월 2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5년 10월 13일) 《사이버오로》이창호, 유창혁 꺾고 8번째 KBS바둑왕 우승! 2005년 10월 1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월 2일) 《사이버오로》박정근, 속기왕 박영훈 또 꺾어! 2006년 1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월 23일) 《사이버오로》최원용ㆍ김진우 상큼한 출발! 2006년 1월 2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2월 17일) 《사이버오로》최철한ㆍ이세돌, 결승에서 보자구! 2006년 2월 1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4월 4일) 《사이버오로》김주호, 최철한 나와라! 2006년 4월 4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7월 10일) 《사이버오로》최철한, KBS바둑왕을 향해 질주 2006년 7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8월 22일) 《사이버오로》이창호 vs. 최철한, 바둑왕전 결승길 충돌! 2006년 8월 2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7월 13일) 《스포츠경향》"최철한 KBS바둑왕전 승자조 결승" 2006년 7월 13일 확인경향신문 ↑ (2006년 9월 18일) 《사이버오로》최철한, 국내 최고의 속사포를 꿈꾼다! 2006년 9월 1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0월 10일) 《사이버오로》이창호 VS 이세돌, 요즘 자주 만나네! 2006년 10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0월 18일) 《사이버오로》이세돌, KBS바둑왕전 결승 진출! 2006년 10월 1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0월 23일) 《사이버오로》이세돌, 화려한 10월을 보내다! 2006년 10월 2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1월 20일) 《사이버오로》쎈돌, 독사 물고 KBS 바둑왕 첫 우승! 2006년 11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6년 11월 20일) 《사이버오로》이세돌, ‘이창호를 뛰어넘는 것은 아직도 진행형’ 2006년 11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1월 18일) 《사이버오로》홍기표-윤성현 바둑왕을 향한 첫 관문 통과! 2007년 1월 1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1월 30일) 《사이버오로》이영구, 주형욱 힘찬 첫 출발 2007년 1월 3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2월 13일) 《사이버오로》목진석, 이대로 가는거야! 2007년 2월 1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3월 5일) 《사이버오로》루이-김지석, 바둑왕 향한 첫 관문 무사 통과! 2007년 3월 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3월 20일) 《사이버오로》조한승, 박정상 각각 본선1,2회전 통과! 2007년 3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3월 21일) 《스포츠경향》 "[바둑 단신]조한승·박정상 첫 관문 통과 外" 2003년 7월 21일 확인경향신문 ↑ (2007년 4월 3일) 《사이버오로》이창호-이영구, 바둑왕전 순항 2007년 4월 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4월 17일) 《사이버오로》목진석, 홍기표 조금만 더 앞으로! 2007년 4월 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5월 7일) 《사이버오로》이세돌, KBS 바둑왕 2연패를 노린다! 2007년 5월 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5월 15일) 《사이버오로》최철한, 바둑왕에 다시 도전하고 싶다! 2007년 5월 15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5월 21일) 《사이버오로》이창호, 박정상에 일주일전 패배 되돌려... 2007년 5월 2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6월 11일) 《사이버오로》조한승, 이영구 누르고 4강 막차 합류! 2007년 6월 1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7월 3일) 《사이버오로》이영구-김지석, 40승 고지 오르며 부활! 2007년 7월 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7월 16일) 《사이버오로》목진석-원성진, 여기서 포기할 순 없다! 2007년 7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8월 13일) 《사이버오로》목진석, 세돌아 한 번 더 붙어보자! 2007년 8월 13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8월 6일) 《사이버오로》이창호, 이세돌 꺾고 승자결승 진출! 2007년 8월 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9월 17일) 《사이버오로》이세돌, 부활이 얼마 남지 않았다! 2007년 9월 17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10월 8일) 《사이버오로》최철한, 아직 희망이 남았다! 2007년 10월 8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10월 22일) 《사이버오로》조한승, 이젠 나도 사천왕이다! 2007년 10월 2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7년 11월 12일) 《사이버오로》조한승, 명인은 놓쳤지만 바둑왕은 못 놓쳐! 2007년 11월 1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KBS 바둑왕전> 이창호, 9번째 KBS 바둑왕 등극!”. 한국기원. 2007년 12월 3일.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 스포츠 9 (2007년 12월 3일). “스포츠 단신 外”. KBS 뉴스. 2007년 12월 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2008년 1월 29일) 《KBS바둑왕전》온소진-이현호, 1회전 통과! 2008년 1월 2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8년 3월 10일) 《KBS바둑왕전》조훈현-이세돌 나란히 1회전 통과 2008년 3월 1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8년 4월 29일) 《KBS바둑왕전》목진석, 슬슬 기지개 켜 볼까? 2008년 4월 29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8년 5월 20일) 《KBS바둑왕전》이창호, 8강은 가뿐하게! 2008년 5월 20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8년 7월 1일) 《KBS바둑왕전》이세돌, 바둑왕전 순항! 2008년 7월 1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9년 2월 2일) 《KBS바둑왕전》이창호, "세돌아, 올해도 겁나게 해줄게" 2009년 2월 2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2009년 2월 10일) 《한겨레》 "쎈돌 vs 돌부처…어느 산이 더 깊을까" 2009년 2월 10일 확인부산일보 ↑ (2009년 3월 16일) 《KBS바둑왕전》이창호, 바둑왕전 2연패! 2009년 3월 16일 확인[사이버오로] 국내뉴스 ↑ KBS 스포츠 9 (2009년 3월 16일). “박찬호, 시범 경기 무실점 호투 外”. KBS 뉴스. 2009년 3월 16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10년 2월 1일). “《KBS바둑왕전》이창호, 바둑왕전 3연패(통산 11회) 초읽기”.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0년 3월 5일). “《KBS바둑왕전》이창호, 바둑왕전 3연패!(통산 11회 우승)”.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0년 10월 25일). “[KBS 바둑왕전] '兩李' 수난시대, 패자조로 직행”. 한국기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조선일보 바둑 (2011년 2월 22일). “[바둑단신] KBS 바둑왕 결승… 박정환, 먼저 1승 외”. 조선일보. 2011년 2월 2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스포츠조선 바둑 (2011년 3월 21일). “박정환, 바둑왕전 첫 우승”. 스포츠조선. 2011년 3월 2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천지일보 바둑 (2011년 3월 21일). “박정환, 바둑왕전 첫 우승”. 천지일보. 2011년 3월 2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국내뉴스 (2011년 3월 21일). “《KBS바둑왕전》바둑왕 박정환 "여자친구는 세계대회 우승하면·…"”.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보도자료 (2011년 3월 21일). “[KBS 바둑왕전] 박정환, 바둑왕전 첫 우승”. 한국기원. 2011년 3월 21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한국일보 바둑 (2011년 3월 25일). “박정환, 바둑왕전 제패 '속기왕'”. 한국일보.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1년 3월 30일). “《KBS바둑왕전》KBS의 선택, 바둑얼짱 이슬아”.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2년 3월 19일). “《KBS바둑왕전》박정환 바둑왕 2연패…1년 전과 판박이”.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2년 3월 19일). “《KBS바둑왕전》인터뷰/ “바둑왕전은 행운을 주는 기전””.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보도자료 (2012년 3월 19일). “[KBS 바둑왕전] 박정환, 바둑왕전 2연패 달성”. 한국기원. 2012년 3월 19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내뉴스 (2013년 1월 8일). “《KBS바둑왕전》이창호, '바둑왕'으로 일어선다!”.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1월 28일). “《KBS바둑왕전》이창호-박정환, 원래 우리는 속기파?”.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2월 1일). “《KBS바둑왕전》王 귀환할까? 이창호 선승”.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2월 4일). “《KBS바둑왕전》속보/ 박정환 결승2국 승리…원점으로”.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2월 4일). “《KBS바둑왕전》포토/ 가슴을 조여오는 초읽는 소리”.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2월 4일). “《KBS바둑왕전》박정환, 3년 연속 ‘바둑왕’”.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KBS 스포츠 9 (2013년 2월 4일). “현인아, 평창 스페셜 쇼트트랙 3관왕 外”. KBS 뉴스. 2013년 2월 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박정환 9단, KBS 바둑왕전 3연속 우승”. KBS 뉴스. 2013년 2월 4일.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박정환 9단, KBS바둑왕전 우승 ‘3연패’”. 연합뉴스. 2013년 2월 4일.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3년 2월 5일). “《KBS바둑왕전》박정환 “후배들에게 밀리지 않겠다””.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보도자료 (2013년 2월 4일). “[KBS 바둑왕전] 박정환, 바둑왕전 3연패 위업”. 한국기원. 2013년 2월 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내뉴스 (2014년 1월 21일). “《KBS바둑왕전》이세돌, '바둑왕'으로 10번기 갈까?”.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4년 1월 22일). “《KBS바둑왕전》'바둑왕'은 이세돌”.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4년 1월 22일). “"이세돌, '바둑왕'으로 컴백"”. 한게임.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4년 1월 22일). “"이세돌, KBS바둑왕전서 박정환 꺾고 무관 탈출"”. 한게임.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보조보도자료 (2014년 1월 22일). “이세돌, 바둑왕전 우승하며 무관 탈출”. 한국기원.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내뉴스 (2015년 2월 4일). “입단면장 받자마자, 1승!”. 타이젬.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보도자료 (2015년 2월 4일). “[KBS 바둑왕전] 이동훈, 랭킹 1위 박정환과 바둑왕 타이틀”. 한국기원.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국내뉴스 (2015년 2월 23일). “《KBS바둑왕전》이동훈, 바둑왕 등극”.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국내뉴스 (2015년 2월 23일). “《KBS바둑왕전》바둑계가 반기는 이동훈의 첫 우승”. 사이버오로.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보도자료 (2015년 2월 23일). “[KBS 바둑왕전] 이동훈, KBS바둑왕 우승하며 생애 첫 타이틀 획득”. 한국기원. 2015년 2월 23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원래는 337수인데 종국은 348수 백1집반승 ↑ “<KBS 바둑왕전> 이세돌, 바둑왕 등극 눈 앞! 박정환에 3연승”. 타이젬. 2016년 1월. 2016년 1월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 바둑왕전] 박정환, KBS바둑왕전 통산 네 번째 우승”. 한국기원. 2016년 1월 14일.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 바둑왕전] 센돌 꺾은 박정환의 정교한 펀치”. 사이버오로. 2016년 1월 14일.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KBS바둑왕전] 박정환, 통산 4번째 바둑왕 등극”. 사이버오로. 2016년 1월 14일. 2016년 1월 1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 바둑왕전> '더블헤더' 싹슬이한 박정환, 바둑왕전 우승”. 사이버오로. 2016년 1월 14일. 2016년 1월 14일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바둑왕전] 새내기 송규상, 입단 2주 만에 본선 진출! (제35기 KBS바둑왕전 예선에서 홍기표 한상훈 연파)”. 타이젬. 2016년 1월. 2016년 1월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date= (도움말) ↑ KBS 바둑왕전 OP/ED 변경 ↑ 박정환 九단 아쉽게 탈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BS_바둑왕전의_에피소드_목록&oldid=24531280" 분류: KBS 바둑왕전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에피소드 목록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6일 (토) 03: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한국방송공사의 KBS 1TV 한국기원에서 주관하는 TV 속기 바둑 기전인 《KBS 바둑왕전》의 기수별 시즌 에피소드 목록이다. 굵은 기사가 승자이다. 굵은 계가한 결과의 글씨는 대국 결과 중에서 종국까지 최종수순에서의 최종수수인 공배를 메워 계가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대국 기사는 당시 프로 단위를 기준으로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세돌 기사는 바둑 몇 단인가? Assistant: 九단
Human: 아래 디자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디자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자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7년 11월) 다른 뜻에 대해서는 디자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디자인(design, 문화어: 데자인)은 동사와 명사로 함께 쓰일 수 있으며, 명사로서의 디자인은 다양한 사물 혹은 시스템(건축에서의 청사진, 엔지니어링 도면, 사업의 표준 프로세스, 서킷보드의 다이어그램, 바느질 패턴 등)의 계획 혹은 제안의 형식 (도안, 모델 이나 다른 표현) 또는 물건을 만들어내기 위한 제안이나 계획을 실행에 옮긴 결과를 의미하며, 동사로서의 디자인은 이것들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일원화 된 디자인의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며,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각자 다른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응용되고 있다. 실질적으로 만져지는 물건을 창조하는 행위나 그 행위의 결과(유리 그릇, 도자기, 나무 장식품 등) 역시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목차 1 용어 2 디자인의 기원 2.1 메소포타미아 문명 2.2 이집트 문명 2.3 그리스 문명 2.4 헬레니즘 문화 2.5 로마 문화 2.5.1 중세 디자인사 3 디자인의 관련 분야 4 같이 보기 용어[편집]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지시하다·표현하다·성취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 라틴어의 데시그나레(designare)에서 유래한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결과물은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달성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 업무는 그 과정에서 다양한 측면(예를 들어 산업디자인의 경우 재료, 생산효율, 안전성, 경제성, 내구성, 매력 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창조 과정에 앞서 디자인 리서치, 사고, 실험 모델, 상호 교감적 실험 및 조정 과정, 재설계 과정 등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과정으로서의 디자인은 디자인되는 물건이 디자인되는 방법과 이에 참여하는 개인과 참여자의 분야, 그리고 그 다양성에 따라 많은 다양한 방법과 형태가 존재한다. 철학 에서는 추상적 단어로서 디자인을 어떠한 패턴 혹은 존재 이유와 목적을 가진 의미로 지칭한다. 디자인의 기원[편집] 원시시대에는 예측불허인 자연의 힘을 이용하고자 하는 염원에서 출발했다. 원시인들은 생존을 위해 도구를 만들고 비바람과 햇볕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움집을 만들기도 했다. 또, 당시 초자연적이고 마술적인 힘으로 보호하기주술적인 방법으로 인간들은 사람과 짐승의 형상으로 벽화나 조각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메소포타미아 문명[편집]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기초를 세운 최초의 사람은 수메르인이다. 그들은 기원전 3500년경부터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수많은 도시를 건설하고 인류 최초로 문자를 사용하였으며 공통의 종교, 수학, 법률 그리고 건축법을 발달시켰다. 그들은 왕이 죽으면 저승에서도 사람들을 거느릴수 있도록 모든 가족과 노예들 뿐 아니라 왕궁에서 사용했던 물건들을 함께 묻었다. 부장품을 통해서 그들의 문명이 얼마나 찬란했는지를 알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 사람들은 흙으로 빚어 햇볕에 말린 벽돌을 사용하여 신전을 중심으로 한 정교한 도시를 만들었다. 이 건물 내부에는 신전뿐만 아니라 상점, 일터, 거주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역사상 처음으로 도시방어 및 공공 사업같은 작업과 노동의 분업을 통해 도시 생활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설형 문자를 개발하여 계약이나 규칙, 공고 그리고 통계나 법률 등을 기록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함무라비 법전이다. 이집트 문명[편집] 영혼불멸에 대한 그들의 맹목적인 관심사는 살아있는 신으로 간주되었던 그들 지배자의 사후 안락한 삶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거대한 이집트의 건축물과 예술품들은 파라오의 영혼의 영원한 영광을 위해 존재하였다. 이집트 인들은 그 밖에도 문학, 의학, 고등 수학을 발달시켜 인류문명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영혼불멸을 믿은 이들은 지상에서의 행복을 죽은 후에도 누릴 수 있도록 무덤에 온갖 사치품들을 함께 묻었다. 따라서 무덤의 벽면에 그려진 벽화와 상형 문자들도 죽은 자의 생전의 일상 생활을 세세히 묘사하는 데 치중하고 있다. 이집트문명 중 피라미드 건축과 스핑크스는 불멸의 오리엔트문화로서 거대문명발전의 초시를 이루었다. 초상화와 조각상의 인체는 엄격한 공식에 따라 묘사되었다. 눈과 어깨는 정면을 향하였고, 머리와 팔, 다리들은 측면으로 그려졌다. 또한 벽화의 표면은 수평의 선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마르고 어깨가 넓으며 엉덩이가 작은 인물들이 머리 장식을 하고 치마 모양의 옷을 입은 채 한쪽 다리를 내밀고 있다. 인물의 크기는 신분에 따라 달라지는데 파라오는 거인처럼 묘사되어 있는 반면, 시종들은 난쟁이 같이 그려져 있다. 그리스 문명[편집] 그리스 문명은 서양의 거의 모든 업적의 토대가 되었다.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그리스 철학의 중심 개념인 것처럼, 그리스 예술의 주요 주제는 인체 조각이었다. 그리스 철학이 사고의 명석함과 조화질서를 강조했 듯, 그리스 미술과 건축 역시 균형을 강조하였다. 당시의 디자인은 색채보다 선과 형의 균형미에 중점을 두었으며 소재는 주로 식물이나 말 사자 같은 동물 나선형이나 기하학적 형태를 사용했다. 그들은 뛰어난 화가여서 벽화를 그렸고, 목재 패널에도 그림을 그렸으며, 너무나 실물 같아서 새들이 벽화 속의 과일을 쪼아먹으려 했다는 기록이 있다. 도기화에는 보통 그리스 신화 속의 신과 영웅들의 이야기가 전쟁이나 잔치와 같은 현세적인 주제가 주로 그려져 있다. 미술품 속에 최초로 누드를 도입한 것은 그리스 인들이었다. 그들 사회의 이상적인 인간상은 체력 증진으로 단련된 육체와 지적 토론으로 연마된 정신이 조화된 인물이었다. 그리스 건축가들은 흰대릭석의 "파르테논 신전" 을 통해 아테네의 위대함을 나타내고자 했다. 헬레니즘 문화[편집] 알렉산더 대왕에 의한 제국의 건설로 그리이스 미술은 몇 개의 작은 도시 국가를 벗어나 세계의 절반에 해당되는 지역의 조형언어로 발전했다. 이 후기의 미술은 그리이스 미술이라고 하지 않고 알렉산더 대왕의 후계자들이 동방의 나라에 건설한 제국의 이름을 따서 헬레니즘미술이라고 한다. 이 제국의 풍요한 수도들인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 시리아의 안티오크, 그리고 소아시아의 페르가몬 등에서는 도리아 양식이나 이오니아식 건축의 우아함에서 벗어나 기원전 4세기 초에 고안된 코린트 양식이 유행했으며, 일반적으로 건물 전체에 더 많은 화려한 장식물을 입혔다. 그리스 미술의 양식과 창의성은 오리엔트 왕국들의 규모 및 전통과 융합되었다. 그리이스 미술은 대부분 헬레니즘 시대에 변화를 겪게 되는데 헬레니즘 미술은 초기 그리이스 조각의 조화미와 세련미 대신 거칠고 격렬한 작품을 선호했으며, 보는 사람들에게 강렬하고 드라마틱한 인상을 주기를 원했고, 또 확실히 보는 사람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로마 문화[편집] 기원전 3세기경 그리스의 식민지였던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섬에서 로마인과 그리스인의 교류가 시작되었는데, 처음에 로마인들은 그리스 문화에 압도당했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의 미술뿐만 아니라, 시, 수사학, 철학 등에도 매료되어 많은 지식인들과 장인들(교사, 학자, 사상가, 조각가, 화가)을 고용하였다. 로마인들은 당시 유행했던 헬레니즘 취미를 만족시키기 위해 그리스 조각들을 대량으로 복제하긴 했으나, 점차 자신들의 특징적인 양식을 발전시켜 나갔다. 로마 예술은 고전기 그리스 예술보다 지적이고 이상적인 면은 덜하였지만 현실적이고 기능적이었다. 로마의 건축가들은 아치와 궁륨, 돔을 개발한 것 이외에도 콘크리트를 최초로 사용했다. 이같은 혁신적인 건축기술로 인해 로마인들은 최초로 받침대 없이 거대한 내부 공간을 덮을 수 있게 되었다. 콜로세움이라는 거대한 원형 경기장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오늘날 스타디움의 디자인에도 응용되고 있다. 중세 디자인사[편집] 중세는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5세기~15세기), 약 1000년 동안의 시기를 말한다. 초기 기독교 시대 기독교가 내세의 구원에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지상의 물체를 사실적으로 재현하려는 경향은 자연히 사라지게 되었다. 누드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고, 심지어 옷을 입고 있는 육체도 해부학적인 정확성이 무시되곤 했다. 신학자들은 산지들이 물질의 아름다움을 통해 신성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믿었고, 그 결과로 매혹적인 모자이크와 회화, 조각품이 만들어졌다. 초기 기독교는 합법적이지 않은 종교여서 온갖 박해와 수모를 겪었으며 박해가 심할수록 그들은 로마의 지하묘소 카타콤에 숨어서 복음을 전파하고 벽과 천장에는 벽화를 남겼다. 국교로 승인 후 고도의 기능을 갖춘 건축가에 의해 여러 곳에 거대한 성당이나 수도원이 세워지고 교회 벽면과 천장을 장식하기 위한 회화나 초기 벽면 모자이크가 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건축에서 신성에 대한 지향은 보다 밝고 가벼운 건물의 형태로 나타났다. 육중하고 거대한 로마 건축은 서서히 사라지고, 이상적인 기독교인 상이 건축에 반영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밖에서 보면 소박하지만 내부는 성령을 상징하는 모자이크, 프레스코, 스테인드 글라스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비잔틴 시대 중세 미술의 황금기로 불리며,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로마 제국의 수도를 비잔티움으로 옮긴 기원 후 330년경부터 이 도시가 투르크 족에 의해 멸망한 1453년까지 지속됐던 지중해 동부 지방의 예술이다. 로마가 야만족에의 의해 멸망하여 잿더미에 있을 당시 비잔티움은 초기 기독교 미술을 발전시켰으며 문명의 중심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비잔틴 미술과 건축의 복잡한 형식으로부터 오늘날 복잡하고 난해하다는 의미의 '비잔틴'이라는 단어가 유래하였다.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모자이크 작품 중 몇 개가 5~6세기 터키의 비잔티움과 이탈리아의 라벤나에서 제작되었다. 모자이크는 국교로 공인된 기독교의 강령을 널리 유포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므로 그 주제는 대부분 종교와 관련이 있었고, 예수는 전지전능의 지배자나 설교자로 표현되었다. 당시 모자이크는 반짝이는 황금의 배경과 후광에 둘러싸인 성자들을 화려하고 장대하게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 로마네스크 로마네스크라는 명칭은 '로마와 같은'이라는 뜻으로 19세기에 고안된 말이다. 원래 이용어는 주로 건축에서 사용된 것으로, 11세기 후반과 12세기 유럽의 전형적인 건물들이 두꺼운 벽과 아치가 있는 고대 로마의 석조 건축과 닮았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로마네스크 건축의 가장 특징적인 형태는 궁륭(vault)의 이용이다. 가장 간단한 궁륭은 옆으로 확장된 아치형으로 원통형 또는 터널형 궁륭이다. 이런 종류의 지붕은 아주 무겁고 건물내부에 채광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고대 로마의 건축가들은 교차 궁륭을 발전시켰다. 이것은 두 개의 원통형 궁륭이 직각으로 교차하여 네 개의 버팀기둥 위에 닫집 모양을 이룸으로써 만들어진다. 평면에다 교차 궁륭을 짓는 것이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개방된 이 형태는 건물 내부에 더 많은 빛이 들어오게 해 주었으므로 호평 받았다. 이 두 형태, 원통형 궁륭과 교차 궁류는 거의 모든 로마네스크 교회에 이용되었다. 시각적으로 이 궁륭들은 견고하고 편안한 느낌을 준다. 외관은 유연한 형태를 띤다. 고딕 양식 중세예술의 업적 중에서도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경이로운 업적을 필적하는 것은 바로 고딕 양식의 대성당들이었다. 늑골 궁륭과 부연 부벽이라는 외부 버팀목의 발명으로 1200~1500년 사이 건축가들은 세계 건축 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높이 솟구친 내부를 가진 복잡한 구조물들을 건설했다. 고딕 성당은 육중한 벽대신, 커다란 스테인드 글라스를 설치한 창을 통해 밝은 빛이 들어와 내부를 환하게 밝힐 수 있었고, 격자 문양과 더불어 위로 상승하려는 듯한 수직성 또한 고딕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건축가들은 첨두 아치를 사용하여 높이를 실제로 높였을 뿐 아니라 보기에도 더 높아 보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고딕 성당에서 주로 사용된 장식물은 조각, 스테인드 글라스, 그리고 타피스트리를 들 수 있다. 샤르트르 대성당은 중세 정신의 진수로 이 안에 설치된 스테인드 글라스는 전 면적이 약 896 미터에 이른다. 중세의 직조인들은 당시의 일상생활을 세밀하게 묘사한 고도로 섬세한 타피스트리를 만들었다. 이러한 양모와 실크가 배합된 걸개들이 성이나 교회의 차가운 벽조를 장식했다. 베틀 뒤에는 커다란 그림을 놓고서 직조해 나갈 때마다 디자인을 모방했다. 르네상스 1400년대 초에, '다시 깨어나다'는 의미의 르네상스는 처음에 단테와 조토의 출생지이며 부유한 상업도시인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건축가인 필리포 브루넬레스키를 중심으로 한 일단의 미술가들에 의해 새로운 미술을 창조하고 과거의 미술개념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로마와 베네치아로 전파되었고 1500년 북유럽 르네상스로 일컬어지는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영국 등으로 퍼져 나갔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그리스, 로마의 미술과 문학이 재음미되었고 인체와 생태계에 대한 과학적인 탐구가 이루어졌으며, 자연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경향이 팽배하였다. 해부학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도움으로 화가들은 초상화, 풍경화, 신화나 종교내용을 주제로 한 회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러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예술가의 지위도 상승하여 르네상스 전성기(1500~1520)에는 레오나르도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같은 거장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르네상스 시기에 이루어지 기술적인 혁신과 창조적인 발견은 현실을 표현하는 새로운 양식의 등장을 가져왔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발견은 회반죽된 벽 위에 그리는 프레스코 화나 나무 판자 위에 그리는 템페라 화 대신 캔버스 위에 그리는 유화가 발명된 것이다. 이 발명으로 인해 회화는 단순히 소묘를 기초로 채색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빛과 그림자를 사용하여 부피감을 살리고, 원근법을 이용하여 3차원적인 공간감을 주었으며, 피라미드 구성도 발달하였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1452~1519) 레오나르도는 그 핸섬한 용모와 지성, 매력으로 인해 국제적인 명성을 날렸다. 그의 관심사는 해부학, 건축공학, 천문학, 수학, 자연사, 음악, 조각, 건축, 회화등 여러 방면에 이르고 있어 그는 역사상 가장 다방면에 걸친 천재로 일컬어진다. 그는 운하를 설계했고 중앙 난방시설을 고안해 냈으며 늪의 물을 빼내는 방법과 혈액 순환에 대해 연구했고 인쇄기와 망원경, 휴대용 폭탄을 발명하기도 했다. 그는 최초로 비행 기계를 고안했고 인체의 내부 구조를 처음으로 그림을 통해 설명하였다. 그는 생전에 20개의 작품밖에는 제작하지 못했는데, '모나리자'는 너무나 유명하다. 이 초상화는 여러면에서 전성기 르네상스 회화의 기준을 정립한 것인데, 모나리자의 머리 뒤에 있는 소실점으로 모든 선들이 집중되는 원근법을 사용하였으며, 기하학적인 구성의 중요성을 정착시킨 삼각형 구도를 활용하였다. 모나리자의 손을 보면 레오나르도가 해부학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는 한때 병원에서 살며 인체의 골격에 대해 연구했고 시체를 해부해 보았다. 미켈란젤로 (1475~1564) 미켈란젤로는 건축가, 화가, 조각가, 공학자로 활약할 정도로 매우 광범위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일체 제자를 두지 않았고, 자신이 작업하는 모습을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았다. 그는 조각을 '대리석 안에 갇혀있는 인물을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리스도의 죽음을 애도함'이라는 의미의 '피에타'는 레오나르도에게 배운 피라미드 구도를 사용했고 성모 마리아의 평온한 얼굴은 그리스 조각의 사실적인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는 인류의 탄생과 죽음을 표현하는 340여개의 인물상을 그려넣어 르네상스 시기를 통틀어 위대한 작품을 만들어 냈다. 이런 대작을 제자도 쓰지않고 혼자 4년 만에 완수했다는 것은 이 작업에 대한 그의 집념과 열정을 증명한다.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화를 완성한 29년 후 같은 성당의 제단 벽에 프레스코 화 '최후의 심판'을 그렸다. 바로크 '바로크'란 용어는 허세부리고 지나치게 과장되어 있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종종 사용되지만, 17세기는 렘브란트나 벨라스케즈와 같은 예술적인 천재를 배출했을 뿐만 아니라 미술의 영역을 일상생활로까지 확장시킨 시기이다. 바로크 시대는 1600년 경 로마에서 시작되었는데 그장 로마 교황청은 반종교개혁 이후 그들의 승리를 자랑하기 위해 엄청나게 사치스런 성당이나 일생에 한번은 반드시 보아야할 건축물과 예술 작품을 통해 신도들을 끌어 모으고 그들의 시선을 압도하려는 목적으로 예술활동을 적극 후원하였다. 플랑드르 같은 가톨릭 국가에서는 종교미술이 전성기를 맞았고 반대로 영국과 네덜란드 같은 북부 유럽의 신교국에서는 종교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이 금지 되었다. 따라서 미술의 소재가 정물화, 초상화, 풍경화, 풍속화등 일상 생활로 확대되었다. 르네상스에서 갈라져 나온 바로크 미술은 합리주의와 정적인 요소를 중시하던 르네상스와는 달리 감정적이고 역동적인 스타일을 강조했다. 로코코 로코코란 용어는 원래 더위를 피하기 위한 석굴이나 분수를 장식하는 데에 쓰이는 조약돌 혹은 조개 장식을 말하는 '로카이유'에서 유래된 것으로 주로 실내장식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로코코는 루이 15세가 통치한 1723~74년 동안 파리에서 성행했던 미술 사조이다. 1976년 무렵 프랑스에서는 이미 뒤떨어진 유행이 되었으나 독일,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중부 유럽에서는 18세기 말까지 사치스런 궁전이나 교회를 장식하는 데 널리 유행하였다. 로코코 양식이란 말 그대로 장식적인 예술로서 곡선적이고 우아한 장신구들을 진열해 놓은 공간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그러한 저택의 마루는 곡선형으로 최고급 고블랭산 소파천을 씌우거나 상아와 귀갑으로 장식했다. 옷이나 은제 식기들, 도자기도 꽃무늬와 조가비, 나뭇잎 같은 소용돌이 무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는 마차까지도 직선이 아닌 소용돌이 장식이 달린 곡선으로 디자인 하였는데, 말에는 깃털과 보석으로 장식한 마구를 달았다. 로코코 예술은 장식적이었으나 당시의 무능한 귀족 계급만큼이나 비실용적이었다. 디자인의 관련 분야[편집] 산업 디자인 : 넓은 의미에서의 산업 생산품과 서비스를 위한 디자인. 좁은 의미로는 제품,운송 디자인을 말하기도 한다 색채 디자인 시각 디자인 실내 디자인 액세서리 디자인 : 복장의 조화를 도모하는 장식품의 디자인 운송 디자인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 디자인 패션 디자인 환경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 전략 아이디어컨설턴트 : 아이디어를 발굴해내는 직업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디자인 설계 계획 스칸디나비아 스타일(en:Scandinavian design) 전거 통제 GND: 4011510-0 HDS: 11172 NDL: 005614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디자인&oldid=24517424" 분류: 디자인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7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1: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디자인(design, 문화어: 데자인)은 동사와 명사로 함께 쓰일 수 있으며, 명사로서의 디자인은 다양한 사물 혹은 시스템의 계획 혹은 제안의 형식 또는 물건을 만들어내기 위한 제안이나 계획을 실행에 옮긴 결과를 의미하며, 동사로서의 디자인은 이것들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일원화 된 디자인의 정의는 존재하지 않으며,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각자 다른 분야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응용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메르인들은 어떤 활동들을 하였는가? Assistant: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기초를 세운 최초의 사람은 수메르인이다. 그들은 기원전 3500년경부터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합류하는 지역에 수많은 도시를 건설하고 인류 최초로 문자를 사용하였으며 공통의 종교, 수학, 법률 그리고 건축법을 발달시켰다. 그들은 왕이 죽으면 저승에서도 사람들을 거느릴수 있도록 모든 가족과 노예들 뿐 아니라 왕궁에서 사용했던 물건들을 함께 묻었다. 부장품을 통해서 그들의 문명이 얼마나 찬란했는지를 알 수 있다. Human: 아래 밤나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밤나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밤나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약밤나무 등 다른 밤나무에 대해서는 밤나무속 문서를, 열매에 대해서는 밤 (열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밤나무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참나무목 과: 참나무과 속: 밤나무속 종: 밤나무 학명 Castanea crenataSiebold & Zucc. 이명 이명 목록[1] Castanea castanea var. pubinervis Sarg. Castanea chinensis Hassk. Castanea crenata f. femina (Makino) Sugim. Castanea crenata f. gigantea Makino Castanea crenata f. imperfecta (Makino) Sugim. Castanea crenata f. pendula (Miyoshi) Sugim. Castanea crenata f. pleiocarpa (Makino) Sugim. Castanea crenata f. pulchella (Honda) Sugim. Castanea crenata f. syakacephala (Makino) Sugim. Castanea crenata var. canescens (Blume) Koidz.Castanea crenata var. caudata MiyoshiCastanea crenata var. dulcis NakaiCastanea crenata var. elongata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femina MakinoCastanea crenata var. imperfecta MakinoCastanea crenata var. japonica (Blume) Koidz.Castanea crenata var. kawasei Sugim.Castanea crenata var. kusakuri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longispina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microcarpa MakinoCastanea crenata var. obtexta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ookasi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pendula MiyoshiCastanea crenata var. pleiocarpa MakinoCastanea crenata var. pulchella HondaCastanea crenata var. quercina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siba-kuri (Blume) A.CamusCastanea crenata var. stricta (Siebold & Zucc.) A.CamusCastanea crenata var. syakacephala MakinoCastanea crenata var. tamba A.CamusCastanea japonica BlumeCastanea japonica var. canescens BlumeCastanea japonica var. elongata BlumeCastanea japonica var. kusakuri BlumeCastanea japonica var. longispina BlumeCastanea japonica var. obtexta BlumeCastanea japonica var. ookasi BlumeCastanea japonica var. quercina BlumeCastanea japonica var. siba-kuri BlumeCastanea japonica var. stricta (Siebold & Zucc.) BlumeCastanea kusakuri (Blume) Koidz.Castanea pubinervis C.K.Schneid.Castanea sativa var. japonica (Blume) SeemenCastanea sativa var. pubinervis (C.K.Schneid.) MakinoCastanea stricta Siebold & Zucc.Castanea vulgaris var. elongata A.DC.Castanea vulgaris var. japonica (Blume) A.DC.Castanea vulgaris var. kusakuri (Blume) A.DC.Castanea vulgaris var. subdentata A.DC. 밤나무(학명: Castanea crenata 카스타네아 크레나타[*])는 참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다.[2] 목차 1 분포 2 특징 3 재배 4 이용 5 기타 6 사진 갤러리 7 같이 보기 8 각주 분포[편집]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일본 열도와 만주에도 분포한다.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이다.[3] 섭씨 12도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북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국의 표고 100~1,100m 지역의 산기슭이나 비옥하고 물빠짐이 좋은 땅에서 자란다.[4][5] 특징[편집] 밤나무 잎과 열매 줄기 높이 10~15m, 지름 30cm~1m까지 자란다.[2][4]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4] 일년생 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적갈색을 띠며, 짧은털(단모) 또는 별털(성모)이 있었다가 없어진다.[4] 잎 잎은 타원형(타원 모양)이나 장타원형(긴 타원 모양) 또는 타원상 피침형(타원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는 10~20cm 정도이고 표면에서 윤이 난다.[4] 잎끝은 점첨두(점차 뾰족끝)이며, 잎밑은 원저(둥근밑) 또는 아심장저(심장꼴밑)이다.[4] 잎 가장자리에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2] 잎은 어긋나기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달린다.[2] 주맥(가운데 있는 굵은 잎맥)에서 17~25쌍의 측맥(옆잎맥)이 비스듬히 평행하게 뻗어나가며, 측맥 끝은 피침형이고 표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선점(腺點)이 아주 빽빽하게 퍼져 있다.[4] 잎자루는 길이 1~1.5cm 정도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4] 꽃 밤꽃은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새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는 길다란 미상화서(꼬리모양꽃차례)에 무리지어 핀다.[2][4] 수꽃차례는 유백색이고, 암꽃은 수꽃 아래에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리고 포로 싸인다.[2][4] 꽃은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을 띠며, 6~7월에 피어 정액과 비슷한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데,[4][5] 이는 밤꽃이 정액에 든 성분인 스퍼미딘과 스퍼민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열매 열매인 밤은 견과로, 9~10월 무렵 밤송이로 익는다.[2] 겉열매껍질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으며, 안에는 씨가 1~3개씩 들어 있다.[4] 겉열매껍질은 익으면 벌어지지만, 속열매껍질은 잘 벗겨지지 않는다.[4] 밤송이가 4갈래로 벌어지면 속열매가 드러난다.[2] 익은 밤은 갈색을 띠며, 지름 2.5~4cm 정도로 밑부분은 흰색 털이 달린 좌가 전부 차지한다.[4] 밤은 평균 수분 60%, 녹말 30%, 당분 5%, 단백질 4% 정도를 함유한다. 재배[편집] 줄기마름병에 걸린 밤나무 밤나무혹벌 밤나무는 내음성이 약한 과수이므로 너무 그늘진 북향이나 산간에 심으면 결실이 나쁘다. 내조성과 내건성이 약하며,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은 보통이고 토양적응성이 크다.[2][4] 기후 재배할 때는 연평균 기온 10~14 °C, 4~10월 평균기온이 16~20 °C인 지역에서 잘 자라지만, 늦가을이나 이른봄에 서리 피해를 입거나 겨울 동안 뿌리에 가까운 줄기가 동해를 입기 쉽다.[2][4] 여름에는 비가 많이 내려도 무방하지만, 일조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생장과 결실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4] 토양 밤나무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조방적인 재배가 가능하고 산간지에서도 비교적 쉽게 재배할 수 있다.[2]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산록이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4] 칼륨을 많이 주지 않으면 칼슘이 많은 토양에서는 아주 자라지 못한다.[6] 지역 원산지인 한국·일본 외에도 중국·타이완과 스페인·이탈리아·포르투갈 및 미국 등에서 재배한다.[3]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재배하는데, 부여, 공주 등 충청남도 지역과 광양, 순창, 임실 등 전라남도 지역, 하동, 산청 등 경상남도 지역이 대표적인 재배지이다.[4] 중부 이북에서는 밤나무보다 약밤나무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다. 품종 한국에서 주로 재배하는 것은 밤나무혹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품종이며, 국내개발 품종과 일본 등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이 있다.[7] 1958년 경 밤나무혹벌 충해로 기존에 재배하던 품종들이 전멸한 이후 일본에서 내충성 품종을 도입해 재배하다가 1961년부터는 임업시험장에서 한국 재래종 가운데 내충성 밤 우량종 선발사업에 착수, 10여 품종을 발표하였다.[2] 일반적으로 한국 재래밤은 감미가 높으나 일본밤은 그렇지 못하다.[2] 국내 개발 품종으로는 광주올밤(廣州早栗, '중부 7호'), 백중밤(白中栗, '장암' 계열), 산대밤(山大栗, '중부 6호'), 산성밤(山城栗, '중부 26호'), 옥광밤(玉光栗, '중부 18호'), 장위밤(長位栗), 중흥밤(中興栗, '중부 17호'), '포천 B1호' 등이 있으며,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으로는 '단택'(丹澤/丹沢 단자와[*]), '대화조생'(大和早生 야마토와세[*]), '삼조생'(森早生 모리와세[*]), '유마'(有磨 아리마[*]), '은기'(銀寄 긴요세[*]), '이취'(伊吹 이부키[*]), '이평'(利平 리헤이[*]), '축파'(筑波 쓰쿠바[*]),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 도요타마와세[*]) 등이 있다.[5][7] 번식 과수로 재배할 때는 4월 중순 무렵 접붙이기하며,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할 때는 봄에 씨를 뿌려 심는다.[4][5] 병충해 줄기마름병, 마름병, 탄저병, 뿌리혹병, 흰가루병 등 병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하늘소, 박쥐나방, 밤송이진딧물, 복숭아명나방, 깍지벌레, 밤나무혹벌, 밤바구미, 밤나방,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독나방, 응애, 왕진딧물 등에 의한 충해를 입을 수 있다.[4] 이용[편집] 밤 (열매)#이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밤나무 목재 밤 밤나무는 열매인 밤을 얻기 위해 재배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외에도 목재를 얻기 위해 재배하거나 조경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조경용으로 원예 재배할 때는 녹음 효과가 좋아 녹음수로 적당하다.[4] 가지 오래 자란 밤나무는 좋은 목재로 쓰인다. 밤나무 목재는 단단하여 잘 부서지지 않고 물과 습기에 잘 견디며 가공하기 쉽고 오래 간다.[2] 또한 방부제 역할을 하는 타닌 성분이 많아서 잘 썩지 않으므로 쓰임새가 다양하다. 장난감, 가구, 기구, 건축, 토목, 선박, 차량을 만드는 데도 쓰이고, 조각, 세공, 칠기 등 목공예에 널리 쓰인다.[4][8][9] 전통적으로 거문고 뒷면을 밤나무 목재로 만들었다.[10] 방아의 축이나 절구공이처럼 단단한 연장을 만드는 데도 밤나무를 쓴다. 철도 침목으로도 쓰고 위패나 장승을 만드는 데도 쓰였다. 밤나무 목재는 심재(心材)와 변재(邊材)의 구분이 분명하고 나이테 또한 뚜렷하다.[4] 변재는 좁고 암회백색 또는 암황색을 띠며, 심재는 담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내구성이 강하고 바르게 잘 쪼개지는 성질이 있다.[2] 환공재로 딱딱하고 나무갗은 거칠고 무거우며 내구성이 크고 할열이 용이하다.[4] 절삭, 가공, 접착, 도장, 건조성은 보통이며, 약제주입성은 매우 불량하다.[4] 목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버섯 재배 원목으로 쓰인다.[2] 나무껍질에서 얻은 타닌은 염색 또는 피혁가공에 쓰인다.[2] 꽃 밤꽃은 꿀이 많은 밀원이다.[4] 열매 밤은 날로 먹기도 하고, 삶거나 구워서 먹기도 하며, 여러 가공 식품에 쓰이기도 한다.[5] 설탕이나 꿀물에 밤을 조리기도 하고, 밤가루를 만들어 아이스크림을 만들거나 죽을 끓여 먹기도 한다. 밤 속에는 탄수화물, 칼슘·인·칼륨 같은 무기질,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다.[5] 밤은 한약재로도 쓰이는데, 만성 구토증과 당뇨병을 치료하고 위장과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5] 기타[편집] 밤나무는 과천시의 상징이다.[11]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있는 주문진 교항리 밤나무(금용길 107-13)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97호로 지정되었다.[4] 사진 갤러리[편집] 가지 잔가지와 잎 꽃 풋열매 익은 열매 같이 보기[편집] 약밤나무(평양밤나무) 유럽밤나무 미국밤나무 각주[편집] ↑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너도밤나무과(참나무과) > 밤나무〉 ↑ 가 나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GRIN-Global Web v 1.10.3.6》 (영어). 미국 농무부. 2017년 3월 13일.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재배와 관찰 > 식물의 이용 > 원예식물 > 과수 > 밤나무〉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생태와 형태 > 환경 요인과 식물 > 토양과 식물 > 영양 염류와 식물의 생활〉 ↑ 가 나 “임산물정보 > 수실류 > 밤”. 《임산물유통정보시스템》. 산림조합중앙회.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한국미술 > 미술의 종류 > 공예 > 목공예 > 목재〉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한국미술 > 한국미술의 흐름 > 한국 근대미술 > 한국 근대공예 > 목공예〉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한국음악 > 한국음악의 기초지식 > 한국의 악기 > 거문고〉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한국지리 > 중부지방-남부지방 > 경기도 > 과천시〉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물 분류 식별자 Wd: Q717827 EoL: 1148515 EPPO: CSNCR FoC: 210000190 GBIF: 5333249 GRIN: 9434 iNaturalist: 122786 IPNI: 30319741-2 IRMNG: 11125081 ITIS: 506540 IUCN: 62004433 NCBI: 103480 NZOR: bea9446d-4fb0-48db-b2d1-33cc6ab06d03 플랜트 리스트: kew-34949 PLANTS: CACR27 POWO: urn:lsid:ipni.org:names:30319741-2 트로피코스: 13100497 WCSP: 3494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밤나무&oldid=24011363" 분류: 밤나무속요제프 게르하르트 추카리니가 명명한 분류군한국의 나무일본의 나무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가 명명한 분류군1846년 기재된 식물식용 씨앗과 견과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CatalàCebuano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legoHrvatskiItaliano日本語Latina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7: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밤나무(학명: Castanea crenata 카스타네아 크레나타[*])는 참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밤나무가 원래부터 재배 되었던 두 나라는 어디인가? Assistant: 한국·일본
Human: 아래 장폴_사르트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폴 사르트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폴 사르트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 폴 사르트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폴 샤를 에마르 사르트르Jean-Paul Charles Aymard Sartre 출생 1905년 6월 21일프랑스 파리 사망 1980년 4월 15일 (74세)프랑스 파리에서 폐부종으로 병사 직업 철학자, 작가 국적 프랑스 소속 前 프랑스 파리 대학교 겸임교수 학력 고등사범학교,[1] 파리 대학교[2] (학사, 석사) 활동기간 1926년 ~ 1980년 장르 소설, 철학, 평론, 희곡, 저술, 대륙 철학, 실존주의, 현상학, 실존 현상학, 해석학[3], 서구 마르크스주의 초기, 아나키즘 후기 배우자 시몬 드 보부아르(이혼) 자녀 無 장폴 사르트르(프랑스어: Jean-Paul Charles Aymard Sartre, 1905년 6월 21일 ~ 1980년 4월 15일)는 예비역 프랑스 해군 상사 출신의 프랑스 실존주의 철학자, 대표적인 실존주의 사상가이며 작가이다. 1964년에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나 수상을 거부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어린시절 1.2 중고등학교 1.3 동인지 활동 1.4 고등학교 교사 1.5 철학자 1.6 프랑스 공산당 동조, 평화운동 1.7 68혁명, 민청학련 관련자 석방 연대 1.8 실명(失明) 1.9 희곡 2 사상 3 작품 목록 3.1 소설 3.2 희곡 3.3 비평 3.4 철학서 4 각주 5 관련항목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어린시절[편집] 1905년 해군 장교의 아들로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지 15개월만에 아버지는 인도차이나 전쟁에서의 후유증인 열병으로 사망하고, 10살이 될 때까지 외가에서 엄격한 외할아버지 샤를 슈바이처(Charles Schweitzer, 1844년~1935년) 슬하에서 소년 시절을 보냈다(샤를 슈바이처는 소르본 대학교의 독문학 교수로서 훗날 의료선교로 노벨 평화상을 받은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백부이다. 그러므로 사르트르의 모친과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사촌, 사르트르와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오촌 관계가 된다).[4] 후일 사르트르는 자서전에서, 선천적 근시와 사시(斜視) 그리고 외가집의 낯설음 등으로 이 시절에 겪은 심리적 부담에 대해 밝히고 있다. 한편 외할아버지의 깊은 교양은 사르트르의 학문적 탐구심을 크게 자극하였다. 중고등학교[편집] 파리의 부르주아지 지식인 계층에서 자라난 사르트르는 1915년에 파리의 명문 리세(중고등학교) 앙리 4세 리세 ・ 루이 르 그랑에 입학하는데, 이때에 훗날 작가가 되는 폴 니장(1905년~1940년)을 알게 되었다(덧붙여 2002년의 『제국 이후』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엠마뉴엘 토드는 니장의 손자이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17년 어머니가 당시 공장장 조제프 망시와 재혼하게 되면서, 의붓아버지를 따라 1917년에 라 로셸(La Rochelle)학교로 전학하며 이주하게 되는데, 사르트르는 전학한 라 로셸 학교에서 잘 적응하지 못했고(자신은 이때를 '좌절의 세월'로 술회한다) 이 시기에 어머니의 돈을 훔쳐 할아버지로부터 의절당한 일이나, 아름다운 소녀에게 다가갔다가 실패하고 자신의 추함을 자각하게 되었다는 에피소드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라 로셸에서의 그에게 미치는 '나쁜 영향'을 염려한 가족들에 의해 사르트르는 1920년 다시 앙리 4세 리세로 돌아왔고, 폴 니장과도 재회하였다. 동인지 활동[편집] 1922년부터 2년 동안 리세 · 루이 르 그랑에서 국립 고등사범학교인 에콜 노르말 쉬페리에르(École Normale Supérieure) 입학을 위한 준비반 과정에서 니장과 친해지게 되었다. 그 해에 간행한 동인지 「무명 잡지」(Revue sans titre)에 단편소설 「병든 사람의 천사」를 발표하였는데, 고등사범학교에는 불합격되었다가 이듬해인 1924년 고등사범학교에 수석 입학한다. 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을 전공하면서 레몽 아롱과 메를로 퐁티 등과 교제하였으며, 1927년에는 니장과 함께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의 프랑스어 번역본을 교정하기도 했다. 1928년에 아그레가시온(1급 교원 자격) 철학시험에 낙제하였는데, 사르트르의 지인들은 모두 이에 놀랐지만 이듬해 다시 응시하여 1929년 수석으로 합격했다(폴 니장도 같은 해에 합격). 같은 시험의 차석은 평생의 반려자가 되는 시몬 드 보부아르였으며, 이를 계기로 사르트르의 집을 방문한 그녀에게 사르트르는 1929년 계약 결혼을 제안하게 된다. 고등학교 교사[편집] 사범학교를 최우수성적으로 졸업한 뒤, 그 해 11월 군에 입대하여 기상 관측병으로 18개월간 복무한다. 독일군에게 포로로 잡히는 일도 있었으나 극적으로 풀려나게 된다. 제대 후인 1931년 그는 파리와 파리 근교의 고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한다. 이때 그는 20페이지 분량의 「진리의 전설」을 집필하는데, 순전히 사르트르 자신의 지식만으로 저술된 이 책은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출판은 거부되었다. 1932년 베를린 프랑스 문화원의 강사로 있던 레몽 아롱으로부터 처음으로 후설의 현상학에 관해 듣고 (1929년 후설이 파리 소르본대학에서 한 강연을 직접 들을 기회를 놓친 것으로 보인다), 다음 해에 프랑스 문화원의 장학생으로 베를린으로 유학하여 현상학을 좀 더 깊이 연구한다. 1935년에 상상력에 대한 실험을 위해 친구였던 의사 라갓슈로부터 메스칼린 주사를 받았는데, 이때 온몸을 게와 낙지가 감싸고 도는 환각을 겪었고 때문에 반년 동안 우울증 증세로 괴로워했다(갑각류에 대한 공포는 이후 평생 지속되었다). 철학자[편집] 파리로 돌아와 다시 교직 생활을 하면서 문학 작품을 쓰기 시작하여 1936년 단편 <벽>을 완성했고 소설 《구토》를 출판(1938년)함으로써 문학계에 널리 알려진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 소집되었다가 1940년 독일군에 포로가 되었는데, 1941년에 가짜 신체장애 증명서로 수용소에서 석방되어 파리로 귀향, 멜퐁티 등과 같이 대독 저항 운동 단체를 조직하였다. 1943년에 《존재와 무》를 내놓아 철학자로서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그리 활발하지 않는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면서 당시 레지스탕스에 적극적인 알베르 카뮈를 알게 된다. 그리고 종전 후인 1945년 10월 제3의 길을 알리기 위한 잡지 <현대>지를 창간하여 실존주의에 대해서 논하면서 소설, 평론, 희곡 등 다채로운 문필 활동에 종사하였다. 또 1945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각지에서 강연을 하였다. 프랑스 공산당 동조, 평화운동[편집] 1948년 3월에는 제3의 정치 세력을 위해 민주 혁명 연합 준비 위원회를 결성했으나 친미화, 우익화로 내부 분열이 생겨 1949년 11월 해산되고 말았다. 1950년대 프랑스 공산당의 노동력과 용기에 감동해 <현대>지에 프랑스 공산당에 동조하는 글을 썼으나 이로 인해 많은 동료들이 떠났다. 1960년대에는 베트남전쟁에 반대하는 평화운동을 실천하였다. 196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올랐으나 수상을 거부했다. 그리고 1967년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세계 박람회에서 에드몽 자베스, 알베르 카뮈,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 함께 네 명의 프랑스 작가 중 하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68혁명, 민청학련 관련자 석방 연대[편집] 1968년 5월의 프랑스 5월 혁명에서 사르트르는 청년들을 향해 정치에 적극 참여할 것을 권하였고, 그를 체포할 것을 권하는 참모들에게, 당시 드골 대통령이 "볼테르를 바스티유에 넣을 수는 없다"며 사르트르의 체포를 말렸다는 일화가 있다. 한편 한국의 시인 김지하가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및 내란선동죄 혐의로 체포되고 사형선고까지 받게 되었을 때, 김지하의 시 「오적(五賊)」의 번역본을 받아 읽어보고는 곧바로 석방 호소문에 서명을 해주었다고 한다(이듬해 2월에 김지하는 풀려났다). 실명(失明)[편집] 이후 문학 저술을 계속해 1971년 플로베르 평전 <집안의 천치> 1,2권을 출판하였으나 1973년 갑작스러운 실명으로 문학 저술을 중단했다. 희곡[편집] 1943년에 발표한 희곡 <파리떼>는 독일군 점령하에 파리에서 뒤랭에 의해 상연되었다. 그 후 <닫힌 방>이 성공을 거둔 이후 <무덤 없는 주검> <공손한 창녀> <더러운 손>과 <악마와 선한 신> <네크라소프> <알토나의 유폐자>등의 문제작을 발표하고 뒤마의 <킨>, 에우리피데스의 <트로이의 여인들>을 각색한 작품을 남겼다. 사상적인 뒷받침과, 고전적인 극작법의 기술과, 철학자로는 보기드문 무대적인 감각과, 시사적인 소재 등을 고루 갖추어 세계적인 성공을 얻었다. 사상[편집] 사르트르는 하이데거와 후설의 영향 밑에서 그 자신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전개하였다. 그는 데카르트적 자아를 넘어서 인간은 하나의 실존의 존재임을 밝히고 실존은 본질에 앞서며, 실존은 바로 주체성이라는 명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간의 의식과 자유의 구조를 밝히고 실존의 결단과 행동과 책임과 연대성을 강조하였다. “ 도구와 같은 존재에 있어서는 본질이 존재에 앞서지만, 개별적 단독자인 실존에 있어서는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 인간은 우선 실존하고 그 후에 스스로 자유로운 선택과 결단의 행동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만들어 나간다. ” 그는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라는 조그만 책자에서 그의 실존주의 사상을 이렇게 설명하였다. 행동적 지식인인 사르트르는 세계 평화의 문제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여러 가지 발언과 평론을 하는 동시에, 소련의 공산주의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다. <유물론과 혁명> <변증법적 이성 비판>의 저술들은 이러한 계열에 속한다. 작품 목록[편집] 소설[편집] 구토 (La nausée) (1938) 벽 (Le mur) (1939) 자유에의 길 (Les Chemins de la liberté) (1949) 희곡[편집] 파리떼 (Les Mouches) (1943) 닫힌 방(Huis clos) (1944) 무덤 없는 사자 (Morts sans sépulture) (1946) 존경할 만한 창녀 (La Putain respectueuse) (1946) 더러운 손 (Les Mains sales) (1948) 악마와 신 (Le Diable et le Bon Dieu) (1951) 알토나의 유폐자들 (Les Séquestrés d’Altona) (1959) 비평[편집] 상황 I-X (Situations I-X) (1947~76) 문학이란 무엇인가 (Qu'est-ce que la litterature) (1947) 보들레르 (Baudelaire) (1947) 성자 주네, 배우와 순교자 (Saint Genet, comedien et martyr(1952) 집안의 천치 I-III(L'Idiot de la famille I-III) (1971,1972) 철학서[편집] 상상력 (L'Imagination) (1936) 상상계 (L'Imaginaire) (1940) 존재와 무 (L'Etre et le néant) (1943)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L'existentialisme est un humanisme) (1946) 변증법적 이성 비판 (Critique de la raison dialectique) (1960) 각주[편집] ↑ 당시 파리 대학교의 일부 ↑ Schrift, Alan D. (2006).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Blackwell Publishing. 174–5쪽. ISBN 1-4051-3217-5.  ↑ Thomas Flynn (2004년 4월 22일).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사르트르의 모친은 Anne-Marie Schweitzer(1882~1969) 인데 http://lostacosdedonamale.wordpress.com/category/5-extras/6-biografias/page/8/ 에 따르면: (사르트르의 외조부, 즉)Her father, Charles Schweitzer, 1844-1935, was the older brother of Albert Schweitzer’s father, Louis Theophile, 1846-1925. 관련항목[편집]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 실존주의 외부 링크[편집] 한국 사르트르 연구회 철학 포털 vdeh철학 동양 철학 서양 철학 철학자 주요 분야 논리학 미학 윤리학 인식론 존재론 형이상학 응용 분야 경제철학 과학철학 교육철학 기술철학 메타철학 법철학 사회철학 수리철학 심리철학 언어철학 역사철학 정치철학 종교철학 환경철학 학파고대중국 농가 도가 명가 묵가 법가 선종 양주학파 유가 음양가 현학 그리스-로마 다원주의 학파 메가라 학파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스토아 학파 신플라톤주의 신피타고라스 학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에레트리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엘레아 학파 원자론 이오니아 학파 (에페소스 학파, 밀레토스 학파) 키니코스 학파 키레네 학파 페리파토스 학파 플라톤주의 피론주의 피타고라스 학파 해석학 인도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중세유럽 기독교 철학 르네상스 휴머니즘 스콜라주의 토미즘 동아시아 성리학 일본 주자학 한국의 유교 인도 바이타 신정리 학파 비시슈타드바이타 이슬람 수피즘 이븐 시나 철학 칼람 근대인물 데카르트주의 마르크스주의 스피노자주의 신칸트주의 칸트주의 헤겔주의 관념/물질 결정론 경험론 공리주의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독일 관념론, 선험적 관념론, 영국 관념론, 절대 관념주의, 주관적 관념론) 실용주의 유물론 이원론 일원론 자연주의 합리론 환원주의 기타 개인주의 자유주의 고쿠가쿠 토대주의 네오토미즘 모더니즘 보수주의 사회 계약 사회주의 신유가 실존주의 실증주의 아나키즘 유사주의 자연법 전체론 집산주의 초월주의 허무주의 현상학 휴머니즘 현대분석 철학 공동체주의 과학적 현실주의 과학적 회의주의 과학주의 규범 윤리학 논리 실증주의 덕 윤리학 도덕적 현실주의 롤스 철학 메타윤리학 반증 가능성 법실증주의 분석 마르크스주의 분석 여성주의 비트겐슈타인 철학 비판적 합리주의 빈 학파 생성 문법 실험 철학 응용 윤리학 일상 언어 철학 포스트분석 철학 현대 공리주의 대륙 철학 구조주의 비판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사회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서방 마르크스주의 신마르크스주의 신유사주의 실존주의 여성주의 철학 탈구축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프랑크푸르트 학파 해석학 현상학 기타 교토 학파 객관주의 러시아 우주주의 입장규범성 도덕적 개별주의 도덕적 보편주의 도덕률 상대주의 허무주의 회의주의 미학 형식주의 실재 관념론 물리주의 반실재론 실재론 유명론 유물론 자연주의 존재론 사건 행동 이론 과정 철학 인식론 경험론 관념론 구성주의 인식론 신앙주의 유아론 인식론적 개별주의 합리론 회의주의 지역별 철학 그리스 철학 미국 철학 인도 철학 일본 철학 중국 철학 폴란드 철학 한국 철학 vdeh대륙 철학철학자 가다머 그람시 네그리 니체 데리다 드보르 들뢰즈 딜타이 라캉 라투르 랑시에르 레비 레비나스 레비스트로스 루만 루카치 리오타르 리쾨르 마르셀 마르쿠제 마르크스 메를로퐁티 바디우 바르트 바슐라르 바우만 바타유 발 발리바르 버틀러 베르그손 벤야민 보드리야르 보부아르 볼츠 부르디외 사르트르 셸링 쇼펜하우어 슈미트 슬로터다이크 아감벤 아도르노 아렌트 알튀세르 앙리 야스퍼스 에코 엥겔스 오르테가 이 가세트 이리가레 지젝 카뮈 카시러 칸트 코제브 크리스테바 키르케고르 키틀러 푸코 프롬 플루서 피히테 하버마스 하이데거 헤겔 호네트 호르크하이머 후설 이론 구조주의 독일 관념론 미디어 연구 비판 이론 생의 철학 실존주의 정신분석 이론 칸트주의 신칸트주의 탈구축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프랑크푸르트 학파 해석학 헤겔주의 현상학 개념 계급투쟁 권력 근대성 노마디즘 담론 리좀 불안 시뮬라시옹 아모르 파티 아비투스 영원 회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위버멘슈 이데올로기 지속 주요 저술 감시와 처벌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도덕의 계보 말과 사물 물질과 기억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자본론 정신 현상학 제2의 성 젠더 트러블 존재와 무 존재와 시간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창조적 진화 vdeh공산주의이론 코뮌 공산사회 반자본주의 계급투쟁론 계급의식론 무계급사회 집단지도체제 집산주의 공유제 자유연합론 “능력 있는 사람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선물경제 계획경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노동운동 사회혁명 무국가사회 임금노예제론 노동자 자주경영 세계혁명 실제 공산주의사 공산주의 혁명 공산당 목록 공산국가 공산주의 상징주의 인터내셔널가 변종 마르크스 이전 아나르코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자유지상적 레닌주의 세계공산주의 국민공산주의 전시공산주의 종교공산주의 기독교 원시공산주의 국제조직 공산주의자동맹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제3인터내셔널 제4인터내셔널 인물 모어 캄파넬라 바뵈프 오웬 바이틀링 마르크스 엥겔스 르클뤼 크로포트킨 말라테스타 룩셈부르크 체트킨 레닌 버크먼 골드만 사코와 반제티 트로츠키 마흐노 콜론타이 그람시 스탈린 두루티 파네쿡 호찌민 마오쩌둥 티토 카뮈 마르쿠제 사르트르 호자 드 보부아르 게바라 파솔리니 김일성 카스토리아디스 드보르 북친 만델라 카스트로 마르코스 관련 주제 반공주의 반반공주의 반공학살 반파시즘 반세계화운동 반국민주의 자본주의 냉전 공동체주의 공산정권의 인도에 반한 죄 학살 공산당 통치 비판 국제주의 국제공동체 좌익 구좌파 신좌파 신계급 탈공산주의 적색공포 혁명 제2세계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혁명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 경제 사회주의적 생산양식 생디칼리슴 제3세계주의 노동조합 노동자 협동조합 vdeh 노벨 문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프뤼돔 1902: 몸젠 1903: 비에른손 1904: 미스트랄 / 에체가라이 1905: 시엔키에비치 1906: 카르두치 1907: 키플링 1908: 오이켄 1909: 라겔뢰프 1910: 폰 하이제 1911: 마테를링크 1912: 하웁트만 1913: 타고르 1915: 롤랑 1916: 폰 헤이덴스탐 1917: 기엘레루프 / 폰토피단 1919: 슈피텔러 1920: 함순 1921: 프랑스 1922: 베나벤테 1923: 예이츠 1924: 레이몬트 1925: 쇼 1926-1950 1926: 델레다 1927: 베르그손 1928: 운세트 1929: 만 1930: 루이스 1931: 카를펠트 1932: 골즈워디 1933: 부닌 1934: 피란델로 1936: 오닐 1937: 마르탱뒤가르 1938: 벅 1939: 실란패 1944: 옌센 1945: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1946: 헤세 1947: 지드 1948: 엘리엇 1949: 포크너 1950: 러셀 1951-1975 1951: 라게르크비스트 1952: 모리아크 1953: 처칠 1954: 헤밍웨이 1955: 락스네스 1956: 히메네스 1957: 카뮈 1958: 파스테르나크 1959: 콰시모도 1960: 페르스 1961: 안드리치 1962: 스타인벡 1963: 세페리스 1964: 사르트르 (수상 거부) 1965: 숄로호프 1966: 아그논 / 작스 1967: 아스투리아스 1968: 가와바타 1969: 베케트 1970: 솔제니친 1971: 네루다 1972: 뵐 1973: 화이트 1974: 욘손 / 마르틴손 1975: 몬탈레 1976-2000 1976: 벨로 1977: 알레익산드레 1978: 싱어 1979: 엘리티스 1980: 미워시 1981: 카네티 1982: 마르케스 1983: 골딩 1984: 사이페르트 1985: 시몽 1986: 소잉카 1987: 브로드스키 1988: 마푸즈 1989: 셀라 1990: 파스 1991: 고디머 1992: 월컷 1993: 모리슨 1994: 오에 1995: 히니 1996: 심보르스카 1997: 포 1998: 사라마구 1999: 그라스 2000: 가오싱젠 2001-현재 2001: 나이폴 2002: 임레 2003: 쿠체 2004: 옐리네크 2005: 핀터 2006: 파무크 2007: 레싱 2008: 르클레지오 2009: 뮐러 2010: 요사 2011: 트란스트뢰메르 2012: 모옌 2013: 먼로 2014: 모디아노 2015: 알렉시예비치 2016: 딜런 2017: 이시구로 2019: vdeh장 폴 사르트르중/단편 소설 자유에의 길 구토 벽 희곡 파리때 닫힌 방 더러운 손 무덤 없는 사자 존경할 만한 창녀 악마와 신 알토나의 유폐자들 비평 상황 시리즈 문학이란 무었인가 보들레르 성자 주네 - 배우와 순교자 집안의 천지 시리즈 철학서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vdeh프랑스 되 선정(2005년) 위대한 프랑스인Le Plus Grand Français de tous les temps 1. 샤를 드 골 2. 루이 파스퇴르 3. 아베 피에르 4. 마리 퀴리 5. 콜루슈 6. 빅토르 위고 7. 부르빌 8. 몰리에르 9. 자크 쿠스토 10. 에디트 피아프 11-20위: 마르셀 파뇰 조르주 브라상 페르낭델 장 드 라 퐁텐 쥘 베른 나폴레옹 1세 루이 드 퓌네스 장 가뱅 다니엘 발라부안 세르주 갱스부르 21-30위: 지네딘 지단 샤를마뉴 리노 벤투라 프랑수아 미테랑 귀스타브 에펠 에밀 졸라 에마누엘레 수녀 장 물랭 샤를 아즈나블 이브 몽탕 31-40위: 잔 다르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볼테르 조니 알리데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클로드 프랑수아 크리스티앙 카브롤 장폴 벨몽도 쥘 페리 루이 뤼미에르 41-50위: 미셸 플라티니 자크 시라크 샤를 트르네 조르주 퐁피두 미셸 사르두 시몬 시뇨레 아룬 타지에프 자크 프레베르 에리크 타발리 루이 14세 51-60위: 다비드 두예 앙리 살바도르 장자크 골드만 장 조레스 장 마레 야니크 노아 알베르 카뮈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 윌로 61-70위: 시몬 베유 알랭 들롱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에메 자케 프랑시스 카브렐 브리지트 바르도 기 드 모파상 알렉상드르 뒤마 오노레 드 발자크 폴 베를렌 71-80위: 장자크 루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르노 세샹 베르나르 쿠슈네르 클로드 모네 미셸 세로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미셸 드뤼케르 레뮈 베르생제토릭스 81-90위: 레몽 퓔리도르 샤를 보들레르 피에르 코르네유 아르튀르 랭보 조르주 클레망소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리오넬 조스팽 장 콕토 91-100위: 뤼크 베송 티노 로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장 르누아르 제라르 필리프 장폴 사르트르 카트린 드뇌브 세르주 레지아니 제라르 드파르디외 프랑수아 돌토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6322562 LCCN: n79106134 ISNI: 0000 0001 2321 080X GND: 11860564X SELIBR: 208769 SUDOC: 027123227 BNF: cb11923735k (데이터) BIBSYS: 90059715 ULAN: 500278350 뮤직브레인즈: dfab8dec-17bc-48dc-9764-f849a3cb4236 NLA: 35476373 NDL: 00455343 NKC: jn19990007359 ICCU: IT\ICCU\CFIV\000663 RLS: 000083846 BNE: XX883713 CiNii: DA00163763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폴_사르트르&oldid=24550815" 분류: 장폴 사르트르1905년 태어남1980년 죽음프랑스의 작가파리 대학교 교수프랑스의 인문주의자프랑스의 철학자프랑스의 극작가프랑스의 소설가프랑스의 저술가프랑스의 평론가프랑스의 언론인프랑스의 반전 운동가프랑스의 문학 평론가프랑스의 무신론자프랑스의 아나키스트레지스탕스 관련자실존주의자마르크스주의자노벨 문학상 수상자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동문프랑스의 노벨상 수상자20세기 철학자사상가파리 출신시각 장애인자유 연애알베르 카뮈시몬 드 보부아르형이상학자전기 작가프랑스 해군 군인프랑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프랑스의 전기 작가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7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گیلکی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gbo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مازِرونی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ᱥᱟᱱᱛᱟᱲᱤ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2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ʒãpol saʁtʁ], 1905년 6월 21일 ~ 1980년 4월 15일)는 무신론적 실존주의 사상을 대표하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철학자이다. 그가 왕성하게 활동하던 시기인 1945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 프랑스의 지식인들과 정치계에 있어 큰 영향을 끼쳤다. 철학서는 물론 소설, 연극, 영화시나리오, 문학비평, 정치평론 등등 다양한 글을 쓴 작가이며, 연간잡지 <현대Les Temps modernes> (1945)의 창간자이자 편집장이기도 한 사르트르는 1950년대 프랑스 공산당과 매우 가까이 지냈다. 그 이후로는 레닌주의 사상을 가진 당대 좌파와, 1970년대에는 특히 마오이스트와의 관련성을 띤, 정치 참여적인 문학과 철학 작품들로 유명하다.사르트르의 작품은 <존재와 무L'Être et le Néant> (1943),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L'existentialisme est un humanisme>(1946)과 <변증법적 이성 비판La Critique de la raison dialectique>(1960)같은 당대 깊은 영향을 준 철학 저술이 있으며, 소설로는 <벽Le Mur>, <구토La Nausée>, <자유의 길Les Chemins de la liberté>, 연극작품으로는 <파리떼Les Mouches>, <닫힌 방Huis clos>, <공손한 창부La Putain respectueuse>, <악마와 선한 신Le Diable et le Bon Dieu>, <알토나의 유폐자Les Séquestrés d'Altona> 등이 있다. 그는 또한 틴토레토, 말라르메, 보들레르, 포크너와 장 주네 같은 작가들의 생애를 연구한 비평서도 많이 남겼는데, <보들레르론>, <성자 주네>, 그리고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대한 방대한 연구인 <집안의 천치L'Idiot de la famille> (1971-1972)을 저술했다. 사르트르는 자신의 어린 시절에서 열한 살 때까지의 자신의 삶을 그려낸 자서전 <말Les Mots>(1964)을 발표하고 그해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수상을 거절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신문 <리베라시옹> 창간에도 기여했는데, 신문 발행을 광고하고자 본인이 직접 길가에서 그 신문을 팔기까지 했다. 사르트르의 생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던 지식인들로는 고등사범학교 시절의 동문이었던 폴 니장과 레몽 아롱, 전후 시절의 모리스 메를로퐁티와 알베르 카뮈, 말년의 베니 레비(피에르 빅토르라는 가명으로도 알려졌음)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폴 사르트르는 파리의 계급 중 어떤 계급에 속하였는가? Assistant: 부르주아 Human: 아래 견섬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견섬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섬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명주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명주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단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음악 그룹에 대해서는 비단 (음악 그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실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실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단천을 갈무리하는 여인들을 표현한 그림 견섬유(絹纖維, silk)는 누에 고치에서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다. 이것으로 짠 천을 견직물(絹織物)이라고 한다. 견섬유를 일컫는 다른 표현으로 견사(絹絲), 잠사(蠶絲), 주(紬)가 있으며, 고대에는 "실"을 뜻하는 絲 자체가 견섬유만을 의미했다. 견직물은 명주(明紬)라고도 하며, 비단(緋緞)은 견직물 가운데 특유의 광택을 띠는 천을 가리킨다. 비단의 광택은 빛을 산란하여 프리즘과 같이 형형색색의 반사광을 만들기 때문에 생겨난다. 조금 거칠게 짠 비단은 한국어 고유어로 깁, 사라(紗羅)로도 불린다. 여러 종류의 유충이 번데기가 되면서 단백질 섬유를 만들기는 하지만 누에처럼 양이 많지는 않다. 누에가 만드는 고치는 번데기 전체를 명주실로 감싸기 때문에 인간은 오래전부터 이를 섬유로 이용하였다. 비단은 중국, 남아시아, 유럽과 같은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목차 1 역사 2 생산 3 견섬유의 이용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견섬유의 역사입니다. 비단에 그려진 1611년 명나라 화가 조주의 산수도 최초의 견직물은 기원전 6000년 무렵에서 기원전 3000년 무렵 사이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중국의 전설에 따르면, 황제의 아내 누조(嫘祖)가 처음 비단을 만들었다고 한다.[1] 비단은 원래 중국의 왕과 귀족만이 사용하였으나 중국 문화의 전파와 함께 여러 지역으로 전파되으며, 기원전 200년경 최초로 한국에, 이후 호탄과 일본, 인도 등에서도 양잠이 행해졌다. 비단은 아시아의 대부분 지방에서 가장 귀한 옷감으로 취급되었으며,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의 중요한 수출품으로 자리잡았다. 비단은 도자기, 향료 등과 함께 산업혁명 이전 시대의 무역에서 가장 무역량이 큰 상품 가운데 하나였다. 2007년 중국의 고고학자들에 의해 장시 성에서 약 2,500년 전의 비단 옷감과 베틀, 염료 등이 발굴되어, 동주 시대부터 비단이 대량으로 생산되었음이 알려졌다.[2] 한편 한나라(기원전 202년~220년) 시대의 유적인 마왕퇴에서 비단의 생산을 위한 전문 기술인 집단이 있었음을 암시하는 여러 유물들이 발굴되기도 하였다. 고대 비단 무역의 증거로는 기원전 1070년 비단을 이용한 고대 이집트 제21왕조의 미라가 있다.[3] 이러한 비단 무역은 결국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인도, 중동과 북아프리카, 유럽을 잇는 무역로로 발전하였다. 이 무역로가 바로 비단길이다. 생산[편집] 견섬유는 약 30여 국가에서 생산되고 있다. 주요 견섬유 생산국 — 2005년 국가 생산액 ($1000) 비고 생산량 (MT) 비고 중화인민공화국 978,013 C 290,003 F 인도 259,679 C 77,000 F 우즈베키스탄 57,332 C 17,000 F 브라질 37,097 C 11,000 F 이란 20,235 C 6,000 F 태국 16,862 C 5,000 F 베트남 10,117 C 3,000 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059 C 1,500 F 루마니아 3,372 C 1,000 F 일본 2,023 C 600 F F =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C = 산출량; 산출액은 1999-2001 국제가격 기준 출처: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Department: The Statistical Devision 견섬유의 이용[편집] 견섬유를 뽑아 이용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누에 유충의 먹이는 뽕나무 잎이다. 누에 유충은 자라면서 마디가 늘어나는데 마디 늘어날 때마다 1령, 2령과 같이 부른다. 6령이 되면 고치를 짓는다. 누에고치의 모습 누에고치를 삶아 비단을 뽑는다. 한국에서는 고치를 뽑고 난 번데기를 먹기도 한다. 염색된 비단으로 실을 잣는 모습 비단으로 천을 짜는 모습 비단 스카프 비단 옷 같이 보기[편집] 양잠업 동물섬유#비단: 섬유로서의 비단의 쓰임 야생 명주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견섬유 ↑ 중국천진 문동이유학기 ↑ People's Daily Online - Chinese archaeologists make ground-breaking textile discovery in 2,500-year-old tomb ↑ Use of Silk In Ancient Egypt vdeh섬유천연섬유식물섬유 아바카 바가스 대나무 코이어 면 피큐 아마 마 황마 케이폭 케나프 피냐 라피아야자 저마 라탄 사이잘 목재섬유 동물섬유 모 알파카 앙고라 낙타 캐시미어 시앵고라 구아나코 라마 모헤어 파시미나 치비윳 토끼 양 비쿠냐 야크 족사 장선 견 건 거미줄 광물섬유 석면 인공 섬유재생섬유 인견 반합성섬유 아세테이트 디아세테이트 리오셀 모달 레이온 트리아세테이트 합성섬유무기 섬유 유리섬유 탄소 섬유 테낙스 현무암 섬유 철 섬유 폴리머 아크릴 섬유 아라미드 트와론 케블라 테크노라 노멕스 극세사 모드아크릴 나일론 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스판덱스 비닐론 비니온 자일론 분류:섬유 vdeh피륙직포 배라시아 수피포 바티스트 베드퍼드코드 벵걸린 베타클로스 봄버진 브릴리언틴 광폭천 버크럼 깃발천 헤시안 버드클로스 옥양목 케임브릭 캔버스 샬리 차클로스 샤르뫼즈 샤르베 한랭사 시폰 치노 친츠 클로케 골드클로스 코듀라 코듀로이 코튼덕 쿠틸 크레이프 크레통 대즐 데님 디미티 도니골 트위드 도르닉스 다울러스 드릴 드러깃 에올리엔 플란넬 풀라르 퍼스티언 개버딘 거즈 가자르 조르제트 칼람카리 깅엄 그레나딘 그렌펠클로스 그로그랭 우이중 마모직 해리스 트위드 헤링본 힘루 호덴 아일랜드 아마포 잠다니 캐시미어 카디 카키드릴 켄테 라메이 론클로스 린지울지 로덴 케이프 롱클로스 매키노 마다폴람 마드라스 몰스킨 모슬린 네인숙 남경목면 니논 유포 오건디 오간자 오스나부르크 오스만 옥스퍼드 패주어소이 퍼케일 산동주 포플린 라케마티즈 라야딜로 윤자 립스톱 러셀 코드 좌하금 금란 새틴 스칼렛 시어서커 센달 서지 스크림 체인전트 호박단 타이스 트왈 트위드 능직 울트라스웨이드 벤타일 비닐코팅 폴리에스테르 비옐라 보일 바드말 위건 윕코드 제퍼클로스 조르비즈 문직포 양단 낙타지 다마스크직 랑파 송케트 파일직포 베이즈 셔닐직 코듀로이 크림플린 퍼스티언 모카도 모켓 플러시 폴라플리스 테리클로스 벨루어 뒤 카사이 우단 면우단 지벨린 부직포 펠트 시다 수피포 편물 쿨맥스 기계편물 밀리스킨 저지 벨루어 그물 바비네트 탄소섬유 레이스 망사 니들런네트 니논 튤포 특수 방탄나일론 반론 전도성 직물 다를렉스 전자섬유 가넥스 고어텍스 실나일론 스판덱스 스피렐라 심파텍스 윈드스토퍼 무늬 아가일 비자르 실크 날실나염 오늬무늬 물떼새 격자 페이즐리 핀스트라이프 물방울 시웨시웨 타르탄 태터솔 섬유 아크릴 모 알파카 앙고라 캐시미어 코이어 면 아이젠가른 마 황마 케블라 아마 모헤어 나일론 초극세사 올레핀 파시미나 폴리에스테르 파인애플 저마 레이온 족사 견 사이잘 스판덱스 거미줄 끝손질 및 날염 안드로시아 바틱 타포 홍형 보골란피니 캘린더링 증유 데보르 축융 열고정 머서화 무아레 기모 로건 날염 납염 롤러 날염 방축가공 재양틀 날실나염 Waxed cotton 목판날염 엥뒤엔 관련 주제 염색 섬유 의류사 견섬유의 역사 뜨개질 축융기 수축 합성섬유 섬유공학 보존 직조 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견섬유&oldid=22692312" 분류: 견섬유중국의 발명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ahasa Banjar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6일 (토) 16: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견섬유(絹纖維, silk)는 누에 고치에서 얻은 천연 단백질 섬유다. 이것으로 짠 천을 견직물(絹織物)이라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5년 세계2번째 견섬유 생산국은? Assistant: 인도
Human: 아래 김인태_(야구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인태 (야구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인태 (야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인태 Kim In-Tae 두산 베어스 No.39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4년 7월 3일(1994-07-03) (25세) 출신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신장 178 cm 체중 7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좌익수, 우익수 프로 입단 연도 2013년 드래프트 순위 2013년 1라운드 (두산 베어스) 첫 출장 KBO / 2016년 6월 5일잠실 대 SK전 계약금 2억원 연봉 4,000만원 (2019년) 경력 두산 베어스 (2013년 ~ 현재) 경찰 야구단 (2014년 ~ 2015년) 김인태(金仁泰, 1994년 7월 3일 ~ )는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외야수이다. 목차 1 두산 베어스 시절 2 경찰 야구단 시절 3 두산 베어스 복귀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6 각주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북일고를 졸업하고 2013년에 1라운드로 지명됐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14년에 입단하였다. 두산 베어스 복귀[편집] 2015년에 복귀하였다. 2017년 4월 9일 넥센전에서 최원태를 상대로 홈런을 쳐 냈는데 이 홈런은 그의 데뷔 첫 홈런이었다.[1] 출신 학교[편집] 포항제철서초등학교 천안북중학교 북일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6 두산 0.167 14 48 0 3 1 0 0 4 3 0 0 1 0 4 0 0 2017 0.186 31 43 5 8 1 0 2 15 4 0 0 1 0 11 0 1 2018 0.263 46 95 16 25 7 0 1 35 10 0 0 12 0 26 0 1 통산 3시즌 0.231 91 156 21 36 9 0 3 54 17 0 0 14 0 41 0 2 각주[편집] ↑ ‘데뷔 첫 홈런’ 두산 김인태, 최원태 상대로 투런포 -마이데일리 vdeh두산 베어스 - 현재 명단감독 88 김태형 코치 82 권명철(수석) 70 김원형(투수) 71 이도형(타격) 73 정재훈(불펜) 75 조인성(배터리) 77 조성환(수비) 79 김민재(작전/주루) 87 박철우(벤치&타격보조) 90 고영민(주루) 101 이병국(트레이닝) 102 유태현(트레이닝) 103 천종민(트레이닝) 2군 감독 86 강석천 2군 코치 72 조경택(배터리) 74 유지훤(재활) 76 장원진(재활) 78 최해명(수비) 80 김진수(배터리) 81 강동우(타격) 83 이광우(트레이닝) 84 조웅천(투수) 85 이용호(불펜) 89 정경배(타격) 91 구강현(수비) 95 최경환(타격) 투수 1 함덕주 11 이현호 16 김승회 18 박종기 19 권혁 22 강동연 25 배영수 27 김강률 28 장원준 29 유희관 30 최대성 34 린드블럼 40 박신지 42 윤명준 43 후랭코프 45 이용찬 47 홍상삼 48 이현승 50 이영하 51 윤수호 56 허준혁 58 김민규 61 최원준 63 변진수 64 박정준 66 박치국 68 이형범 69 김호준 99 이동원 104 전창민 105 이교훈 106 이재민 포수 2 장승현 3 송승환 10 박세혁 55 이흥련 57 박유연 62 이승민 내야수 4 권민석 5 신성현 7 전민재 9 페르난데스 13 허경민 14 이유찬 17 류지혁 24 오재원(주장) 35 정병곤 36 오재일 52 김재호 53 최주환 외야수 15 국해성 23 정진호 31 정수빈 32 김재환 33 김도현 37 박건우 38 김대한 39 김인태 49 백동훈 67 김경호 107 김태근 육성선수 0 정기훈 12 최용제 20 곽빈 26 이정담 41 정철원 46 진재혁 59 문대원 60 배창현 65 백민규 92 안준 93 정우석 94 정덕현 96 신민철 97 홍성호 98 신현수 100 계정웅 108 정현욱 109 최현준 110 김문수 111 전형근 112 추종민 113 윤산흠 114 최지원 115 노유성 116 채지선 117 한주성 118 지윤 군입대 선수 고봉재 김명신 김민혁 남경호 서예일 박성모 박성환 신창희 유재유 전용훈 전태준 조수행 황경태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주엽(1차지명) vdeh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감독 이정훈 코치 권영진 · 김성용 · 정윤진 투수 심재민 · 김종수 · 윤형배 · 송주영 · 이건욱 · 장현식 · 이수민 · 안규현 포수 한승택 · 안중열 내야수 윤대영 · 강승호 · 김민준 · 계정웅 · 유영준 외야수 최윤혁 · 송준석 · 김인태 · 이우성 · 심재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인태_(야구_선수)&oldid=23628126" 분류: 199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경상북도 출신포항시 출신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좌익수KBO 리그 우익수포항제철서초등학교 동문천안북중학교 동문북일고등학교 동문두산 베어스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3일 (일) 18: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인태(金仁泰, 1994년 7월 3일 ~ )는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외야수, 내야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인태 선수의 역대 최고 타율은 얼마였을까? Assistant: 0.263 Human: 아래 환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환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환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다. 환자(還子) 또는 환상(還上)이라고도 불렀고, 환곡에 관한 일을 환정(還政)이라고 불렀다. 목차 1 유래와 연혁 2 운용 3 환곡의 문란 3.1 장리쌀 3.2 번작 3.3 관련 지문 4 함께 보기 5 참고 자료 6 각주 유래와 연혁[편집] 환곡과 비슷한 진휼(賑恤) 제도는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 시대인 194년(고국천왕 16년) 진대법이 시행되었는데, 음력 3월에 곡식을 대여하고 음력 10월에 환납하였다고 한다. 고려는 태조 때에 흑창(黑倉)을 두어 빈민을 구제하였고, 986년(성종 5)에 이를 의창(義倉)으로 개칭, 각 주·부에 설치하였으며, 993년(성종 12)에는 상평창을 양경(兩京)·12목(牧)에 두어 진휼사업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고려는 이 제도를 긴급 조치로 설정한 데 불과하며 항구적인 제도로 고정시키지 않았다. 조선에 들어와서는 간헐적으로 시행되다가 어느 정도의 정비를 보게 되었다. 인조 때(1626년)에 이르러 상설제도로 정착하였다. 이 제도를 상설 시행한 이유는 임진왜란과 그에 뒤 이은 호란으로 말미암아 국가 재정이 황폐해지고 농촌의 삶이 곤궁해졌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일제 강점기인 1917년까지 이어졌다. 운용[편집] 원래 환곡의 기능은 흉년에 대비하는 비황(備荒)과 궁민의 구제를 위한 대여, 물가의 조절, 정부보유양곡의 교환 및 각 관청의 재원(財源) 확보 등이었다. 고려의 의창(義倉)은 관곡(官穀)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것만으로는 구호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 1023년(현종 14)에는 일반 백성에게서 양곡을 충당하였다. 1392년(태조 1) 조선의 의창 설치 당시에는 이자 없이 대여하였으나, 1417년(태종 17)에는 그 총량이 4백 15만 5천 4백 1섬 2말에 이르렀으나, 점차 대여의 수수료·보유 양곡의 자연적 소모량 등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연 1~2할의 이식을 징수하게 되었다. 그러나 백성의 낭비와 관리의 소홀로 점점 재고량이 줄어 국고(國庫)의 고갈을 초래하여 세종 때에는 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승려로부터 정전(丁錢)을 징수하거나 절의 토지를 몰수, 또는 향리(鄕吏)의 위전(位田)을 폐지하고 어염세(魚鹽稅)를 양곡으로 징수하였다. 세종 30년 의창 보조하는 기구로 관이 아닌 민간이 운영하는 사창(社倉)을 대구지역에서 시범실시하였고, 1451년(문종 1) 각 촌락에 사창(社倉)을 독립적인 구호기관으로 삼아 경상도 지방부터 실시하였다. 그 이식은 1섬(15말)에 3말이었는데 이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의창의 이식을 10말에 2되로 고정하였다. 1458년(세조 4)에는 흉년에 대비하여 상평창을 설치하였으나 고려 때와 마찬가지로 상설기관이 아니었다. 세조 때 의창의 미곡은 결국 고갈 되었으며, 성종 때 사창도 폐지된다. 중종 때 진휼청을 설치해 1525년(중종 20)에는 일체의 구호사무를 통일하고 의창을 폐지하였다. 1626년(인조 4)에 상평창이 진휼청에 통합되어 평시에는 상평창으로 물가조절을, 흉년에는 진휼청으로 기민구제를 담당하였다. 이처럼 고려에서 조선전기까지 환곡사무는 의창과 사창에서 상평창과 진휼청으로 그 담당기관이 변화되었고, 이를 보유양곡과 군량미의 융통으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이식을 적게 받았기에 원곡이 곧잘 바닥나 원활히 실시되지 못했다. 조선중기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국력이 소모되고 세제(稅制)가 문란해 국고 수입은 감소했으며, 군비의 확충 또한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그러자 환곡은 이곡(利穀)의 방법으로 곡식을 확보, 그 이곡으로 국비(國費)를 충당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즉, 후기에는 구호기관에서 대여기관의 성격을 띠게 되어 각 관청·군영은 자기가 보유한 곡식을 대여, 그 이식으로 경비를 조달함이 주업무가 되자, 환곡은 구제의 방편이 아니라 과세(課稅) · 이식을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었다. 백성에게 필요 여하를 불구하고 대부를 강제하였으며, 그 이식도 높아 원망을 샀다. 특히 상평창을 운영하는 관리들이 아전(衙前)이나 지방의 부호(富豪)들과 결탁하여 사리사욕을 취하거나 고리대로 변질되어 그 폐단이 극심하였다. 조선후기 탐관오리의 횡포가 심하여 삼정의 문란 중 가장 폐단이 심한 부분이 환곡제도 였으며, 각처에는 민란이 일어나 사회적 혼란은 걷잡을 수 없게 되었다. 이리하여 1867년(고종 4) 흥선대원군은 환곡의 폐정을 시정, 대여 양곡의 회수 규칙을 엄하게 하여 이식은 1할로 고정했고, 사창(社倉)을 다시 두었다. 1895년(고종 32) 이를 사환미(社還米)로 개칭, 조례(條例)를 발표하여 자치적 색채를 명백히 하고 이식을 종전보다 섬당 5되씩을 감하여 환곡 제도의 완벽을 꾀했으나 도식(盜食)·유용(流用)·횡령이 계속되어 1909년(융희 3) 내부(內部)·탁지(度支)의 양부대신은 훈령을 내려 규칙의 엄수를 명하였다. 그러나 한일합방 후 자본주의적 정치 기구와 화폐 경제의 침투로 이미 환곡 제도는 무력화하여 1917년 사환미 조례를 폐지하고, 사환미를 각 부락의 기본 재산으로 전환시켰다. 환곡의 문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삼정의 문란입니다. 장리쌀[편집] 처음에는 곤궁한 농민을 구제하려고 시행된 무이식 제도였으나, 그 뒤 상평창에서 담당하면서, 원곡에 모곡이라는 이자를 받게 되었다. 환곡을 되받을 때 붙이는 모곡은, 처음에는 봄부터 가을까지 6개월 동안에 2할(20%, 연리 40%)였고, 조선 후기에는 6개월에 1할(연리 20%)였다. 이러한 모곡은 원곡의 소모분을 감안하여 책정되었고, 오늘날에 비해 다소 고리였으나 가혹한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관리가 부패함에 따라 가난한 농민은 춘궁기에 환곡을 얻기가 어려워졌고, 그에 따라 환곡의 이자가 높아져 갔다. 결국 봄에 꾸어 가을에 갚되 빌린 곡식의 절반 이상을 이자로 물게 되었다. 이와 같이 6개월 이율이 5할(50%)를 넘기는 때에 장리라 불렀으며, 주로 쌀이 대상이었기 때문에 장리쌀이라는 말도 쓰였다. 번작[편집] 번작(反作)은 조선 후기의 환곡 출납 관계에 대한 허위 보고서이다. 환곡은 원래 빈민구제를 목적으로 실시된 대여곡 제도였으나 철종 때 세정(稅政)이 극도로 문란하게 되어 환곡은 고리대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겨울철 회수기와 봄의 반배기(頒配期)에 각 지방의 수령은 이서(吏胥)들과 결탁하여, 대여곡을 회수 또는 반배한 것처럼 허위 문서를 작성하고 그 양곡에 대하여 쌀 1섬마다 동전 1냥씩 징수하여 착복한 것이다.[1] 관련 지문[편집] 2008년 수능 문제이다. 처음에는 굶주린 사람 중 나이가 많거나 병이 들어 관아에서 환곡을 직접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곡식을 가져다주기도 하였다. 그런데 근래에는 시골 백성이 받아 가는 것을 본 일이 없다. 한 톨의 곡식도 받아 온 일이 없는데도 겨울이 되면 집마다 곡식 5~7석을 관아에 바치고 있으니, 그러고도 환곡이라고 하는 것이 부끄럽지 않은가. 함께 보기[편집] 사창 삼정의 문란 참고 자료[편집] 신복룡 (2001년 12월 20일). 〈환곡과 장리쌀〉. 《한국사 새로 보기》 초 2쇄판. 서울: 도서출판 풀빛. 138~144쪽쪽. ISBN 89-7474-870-3.  각주[편집] ↑ 《글로벌세계대백과》, 〈양반정치의 파탄〉, 반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의 정치·경제·사회구조〉, 〈경제체제의 해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환곡&oldid=24046493" 분류: 조선의 경제법률사회 보장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7일 (수) 00: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다. 환자(還子) 또는 환상(還上)이라고도 불렀고, 환곡에 관한 일을 환정(還政)이라고 불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환곡이 문란하게 된 이유는 뭐야? Assistant: 그러나 관리가 부패함에 따라 가난한 농민은 춘궁기에 환곡을 얻기가 어려워졌고, 그에 따라 환곡의 이자가 높아져 갔다. 결국 봄에 꾸어 가을에 갚되 빌린 곡식의 절반 이상을 이자로 물게 되었다. 이와 같이 6개월 이율이 5할(50%)를 넘기는 때에 장리라 불렀으며, 주로 쌀이 대상이었기 때문에 장리쌀이라는 말도 쓰였다.
Human: 아래 남흥여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남흥여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흥여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흥여객자동차(南興旅客自動車), 약칭 남흥여객은 경상남도 남해군의 시외·농어촌버스 운행 업체이다. 본사는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78번길 3에 있다. 목차 1 역사 2 운행 노선 2.1 시외버스 2.2 농어촌버스 3 운행 차량 4 각주 역사[편집] 1966년 설립했으며, 2007년 남해여객의 폐업으로 남해여객의 노선들을 일부 승계하였다.[1] 운행 노선[편집] 시외버스[편집] 2015년 12월 기준이다.[2]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면허 대수 노선 합계 직행 일반 고속 대수 합계 직행 일반 고속 우등 예비 남흥여객 54 22 32 - 58 44 14 - - - 남해 ↔ 진교( ↔ 대전) ↔ 서울남부 남해 ↔ 광양 ↔ 순천 남해( ↔ 설천) ↔ 진교 ↔ 진주 (부산교통, 경전고속 공동 배차) 남해( ↔ 설천) ↔ 진교 ↔ 서부산 (영화여객 공동 배차) 남해 ↔ 진교( ↔ 곤양) ↔ 마산 ↔ 창원 남해 ↔ 전도 ↔ 하동 남해 ↔ 진교 ↔ 김해[3] 농어촌버스[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해군의 농어촌버스입니다. 남해 ↔ 복곡 남해 ↔ 이동 ↔ 지족 ↔ 은점 ↔ 미조 남해 ↔ 양화금 남해 ↔ 이동 ↔ 가천 남해 ↔ 갈화(순환노선.반순환노선) 남해 ↔ 중현(순환노선.반순환노선) 남해 ↔ 노량(일부시간대 순환노선 운행) 남해 ↔ 이동 ↔ 상주 ↔ 미조(부산교통 공동배차) 남해 ↔ 남치 남해 ↔ 이동 ↔ 창선 운행 차량[편집] 현대자동차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유니시티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각주[편집] ↑ “남흥여객 연혁”.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4일에 확인함.  ↑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상남도청 교통물류과, 2016년 2월 29일 작성. ↑ 2015년 10월 1일 신설 vdeh경상남도의 버스 기업시내·농어촌·마을버스 업체창원시 대운교통 대중교통 동아여객 동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신흥여객 제일교통 진해여객 진해마을버스 창원버스 창원마을버스 김해시 가야IBS 김해BUS 동부교통 진주시 부산교통 부일교통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양산시 세원 푸른교통 법서교통 양산BS 웅상교통 웅진교통 지산마을버스 밀양시 밀양교통 삼남교통 삼랑진교통 영남교통 용활교통 한성교통 거제시 삼화여객 세일교통 사천시 거창고속 삼포교통 통영시 신흥여객 통영교통 농어촌 동일익스프레스(함안군) 고성버스(고성군) 남흥여객(남해군) 산청교통(산청군) 서흥여객(거창군 합천군) 영신버스(창녕군 의령군) 함양지리산고속(함양군) 의령버스(의령군) 하동버스(하동군) 시외버스 업체 거창고속 거제현대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인공항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태영고속 천일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흥여객&oldid=23559268" 분류: 1966년 설립남해군의 교통경상남도의 시외버스 기업경상남도의 시내버스 기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8일 (월) 1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남흥여객자동차(南興旅客自動車)는 경상남도 남해군의 시외버스 및 농어촌버스 업체로 본사는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78번길 3에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남흥여객은 몇 개의 시외버스 노선을 보유할까? Assistant: 54 Human: 아래 교황_베네딕토_12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교황 베네딕토 12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황 베네딕토 12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네딕토 12세 임기 1334년 12월 30일 전임자 요한 22세후임자 클레멘스 6세개인정보출생이름 자크 푸르니에출생 1280년 프랑스 왕국 사베르됭선종 1342년 4월 25일 프랑스 왕국 아비뇽 교황 베네딕토 12세(라틴어: Benedict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Benedetto XII)는 제197대 교황(재위: 1334년 12월 30일[1] - 1342년 4월 25일[2])이다. 본명은 자크 푸르니에(프랑스어: Jacques Fournier)이다.[3] 그는 아비뇽 유수의 세 번째 교황이다. 그는 족벌주의를 배격하고 수도회 개혁에 노력하였다. 로마나 볼로냐로 거처를 옮기지 못하자 그는 아비뇽에 거대한 궁전을 짓도록 하였다. 그는 한때 교황 요한 22세가 가졌던 생각과는 달리 공심판 전에도 영혼들이 지복직관을 누릴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지복직관에 대한 논쟁을 해결하였다.[4] 그는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를 다시 일치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와도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목차 1 생애 초기 2 교황 3 정치와 활동 4 각주 생애 초기[원본 편집] 자크 푸르니에의 유년 생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1280년대 무렵 프랑스 사베르됭에서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시토회[5] 수사가 되어 고향을 떠나 파리 대학교에 수학하였다. 1311년 퐁프루아드 수도원의 수도원장이 된 그는 조직에 대한 뛰어난 통솔력을 보여주었다. 1317년 그는 파미에의 주교로 서품받았다. 주교로 재직하면서 그는 카타리파[6] 이단자들을 철저하게 수색함으로써 교황 요한 22세가 이단 심문에 대해 자문을 구할 정도로 종교 지도자로서 명성은 얻었지만,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그렇지만 그는 유죄를 고백하는 이단자들에게는 관대히 처분을 내렸다. 그는 아리에주 주 몽타유에 은거한 카타리파 일당을 심문할 때, 이를 기록으로 남겨 나중에 로마로 가져가서 바티칸 도서관에 비치하였다.[7] 장 뒤베르누와에 의해 정리된 그의 이단 심문 기록을 토대로 나중에 미시사의 개척자인 프랑스 학자 엠마뉘엘 르 루아 라뒤리에 의해 《몽타유―중세 말 남프랑스 어느 마을 사람들의 삶》(Montaillou, village occitan)이라는 민속보고서로 작성되었다. 1326년, 프랑스 남부에 남은 마지막 이단을 근절하는데 성공한 그는 미르푸아의 주교가 되었으며, 1년 후인 1327년에는 추기경에 서임되었다. 교황[원본 편집] 교황 베네딕토 12세의 초상화 1334년 콘클라베에서 푸르니에는 교황 요한 22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12월 13일 소집된 콘클라베는 신속하게 끝날 것처럼 보였다. 당시 유력한 후보자였던 포르토의 교구장 장레몽 드 코망쥬 추기경이 단지 로마로 교황청을 다시 옮기지 않는다는 약속만 한다면 3분의 2 이상의 추기경들이 그에게 표를 던질 참이었다. 그렇지만 코망쥬는 자신의 당선을 위해 어떠한 사전 약속을 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그러자 콘클라베는 당초 예상보다 길어졌다. 푸르니에가 말했다시피 추기경들은 분명 평판이 다른 인물들에 비해 높은 인물에게 표를 던질 준비가 되어 있었는데,[8] 이는 달리 말하면 유력한 후보들이 많이 있었다는 셈이 된다. 콘클라베가 시작한 지 8일째 되는 날인 1334년 12월 20일 저녁 성무일도를 바친 후 시토회 출신 교황 자크 푸르니에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9] 정치와 활동[원본 편집] 베네딕토 12세는 전임자의 정책을 따르지 않고 변화를 도모한 개혁 교황이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루트비히 4세 황제와 화해하고 당시 로마 교황청과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프란치스코회와 가급적 타협을 보았다. 그는 수도회들의 사치를 단속하려고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또한 그는 아비뇽 교황청 건설을 지시했다. 베네딕토 12세는 재임기간 대부분을 신학 문제에 할애하였다. 지복직관(至福直觀)과 관련해서 요한 22세가 최후의 심판 때에 가서야 지복직관을 향유한다고 한 데 반하여 그는 1336년 교황 헌장 《찬양하올 하느님》(Benedictus Deus)을 반포하여 죄 없이 죽은 영혼은 직접 천국에 들어가 지복직관(至福直觀)을 누린다는 교리를 공식적으로 반포하였다.[10][11] 일부에서는 그가 원죄 없는 잉태에 반대했다고 주장이 있지만, 분명치 않다. 베네딕토 12세는 오컴의 윌리엄과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등 당대의 유명한 인물들과 오랫동안 신학적 논쟁을 벌였다. 베네딕토 12세는 프랑스인으로 태어났으나 프랑스나 프랑스 국왕 필리프 6세에 대하여 특별한 애착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5] 교황 재위 첫날부터 그와 필리프 4세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5] 필리프 6세의 스코틀랜드 침공 계획을 들은 베네딕토 12세는 이 싸움에선 장차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3세가 승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5] 아비뇽 대성당의 교황 베네딕토 12세의 무덤 각주[원본 편집] ↑ Takashi Shogimen, Ockham and Political Discourse in the Lat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56. ↑ Mike Carr, Merchant Crusaders in the Aegean, 1291-1352, (The Boydell Press, 2015), 103. ↑ George L. Williams, Papal Genealogy: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Inc., 1998), 42. ↑ “Pope Benedict XII”. 《www.nndb.com》.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Jonathan Sumption, Trial by Battle, Vol.1, (Faber and Faber, 1990), 152-153. ↑ Lutz Kaelber, Schools of Asceticism: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Medieval Religious Communities,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8), 219. ↑ Norman Davies, Europe: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11. ↑ habito super electionis futuri papae celebratione tractatu, licet consentire potuissent in alios majorum meritorum claritate conspicuos, et plurium virtutum titulis insignatos: Baronio (ed. Theiner), Vol. 25, p. 21, under the year 1334, 46. ↑ Martin Souchon, Die Papstwahlen von Bonifaz VIII bis Urban VI (Braunschweig: Benno Goeritz 1888), pp. 45-46. J. P. Adams, Sede Vacante 1334. Retrieved: 2016-06-26. ↑ Benedictus Deus on Wikisource ↑ “''Benedictus Deus'' on”. Papalencyclicals.net. 2013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3일에 확인함.  전임요한 22세 제197대 교황1334년 12월 30일 - 1342년 4월 25일 후임클레멘스 6세 vdeh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1세기-4세기 베드로 리노 아나클레토 클레멘스 1세 에바리스토 알렉산데르 1세 식스토 1세 텔레스포로 히지노 비오 1세 아니체토 소테르 엘레우테리오 빅토르 1세 제피리노 갈리스토 1세 우르바노 1세 폰시아노 안테로 파비아노 고르넬리오 루치오 1세 스테파노 1세 식스토 2세 디오니시오 펠릭스 1세 에우티키아노 카이오 마르첼리노 마르첼로 1세 에우세비오 멜키아데 실베스테르 1세 마르코 율리오 1세 리베리오 다마소 1세 시리치오 아나스타시오 1세 5세기-8세기 인노첸시오 1세 조시모 보니파시오 1세 첼레스티노 1세 식스토 3세 레오 1세 힐라리오 심플리치오 펠릭스 3세 젤라시오 1세 아나스타시오 2세 심마코 호르미스다 요한 1세 펠릭스 4세 보니파시오 2세 요한 2세 아가피토 1세 실베리오 비질리오 펠라지오 1세 요한 3세 베네딕토 1세 펠라지오 2세 그레고리오 1세 사비니아노 보니파시오 3세 보니파시오 4세 아데오다토 1세 보니파시오 5세 호노리오 1세 세베리노 요한 4세 테오도로 1세 마르티노 1세 에우제니오 1세 비탈리아노 아데오다토 2세 도노 아가토 레오 2세 베네딕토 2세 요한 5세 코논 세르지오 1세 요한 6세 요한 7세 시신니오 콘스탄티노 그레고리오 2세 그레고리오 3세 자카리아 스테파노 2세 바오로 1세 스테파노 3세 하드리아노 1세 레오 3세 9세기-12세기 스테파노 4세 파스칼 1세 에우제니오 2세 발렌티노 그레고리오 4세 세르지오 2세 레오 4세 베네딕토 3세 니콜라오 1세 하드리아노 2세 요한 8세 마리노 1세 하드리아노 3세 스테파노 5세 포르모소 보니파시오 6세 스테파노 6세 로마노 테오도로 2세 요한 9세 베네딕토 4세 레오 5세 세르지오 3세 아나스타시오 3세 란도 요한 10세 레오 6세 스테파노 7세 요한 11세 레오 7세 스테파노 8세 마리노 2세 아가피토 2세 요한 12세 베네딕토 5세 레오 8세 요한 13세 베네딕토 6세 베네딕토 7세 요한 14세 요한 15세 그레고리오 5세 실베스테르 2세 요한 17세 요한 18세 세르지오 4세 베네딕토 8세 요한 19세 베네딕토 9세 실베스테르 3세 베네딕토 9세 그레고리오 6세 클레멘스 2세 베네딕토 9세 다마소 2세 레오 9세 빅토르 2세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알렉산데르 2세 그레고리오 7세 빅토르 3세 우르바노 2세 파스칼 2세 젤라시오 2세 갈리스토 2세 호노리오 2세 인노첸시오 2세 첼레스티노 2세 루치오 2세 에우제니오 3세 아나스타시오 4세 하드리아노 4세 알렉산데르 3세 루치오 3세 우르바노 3세 그레고리오 8세 클레멘스 3세 첼레스티노 3세 인노첸시오 3세 13세기-16세기 호노리오 3세 그레고리오 9세 첼레스티노 4세 인노첸시오 4세 알렉산데르 4세 우르바노 4세 클레멘스 4세 그레고리오 10세 인노첸시오 5세 하드리아노 5세 요한 21세 니콜라오 3세 마르티노 4세 호노리오 4세 니콜라오 4세 첼레스티노 5세 보니파시오 8세 베네딕토 11세 클레멘스 5세 요한 22세 베네딕토 12세 클레멘스 6세 인노첸시오 6세 우르바노 5세 그레고리오 11세 우르바노 6세 보니파시오 9세 인노첸시오 7세 그레고리오 12세 마르티노 5세 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갈리스토 3세 비오 2세 바오로 2세 식스토 4세 인노첸시오 8세 알렉산데르 6세 비오 3세 율리오 2세 레오 10세 하드리아노 6세 클레멘스 7세 바오로 3세 율리오 3세 마르첼로 2세 바오로 4세 비오 4세 비오 5세 그레고리오 13세 식스토 5세 우르바노 7세 그레고리오 14세 인노첸시오 9세 클레멘스 8세 17세기-20세기 레오 11세 바오로 5세 그레고리오 15세 우르바노 8세 인노첸시오 10세 알렉산데르 7세 클레멘스 9세 클레멘스 10세 인노첸시오 11세 알렉산데르 8세 인노첸시오 12세 클레멘스 11세 인노첸시오 13세 베네딕토 13세 클레멘스 12세 베네딕토 14세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4세 비오 6세 비오 7세 레오 12세 비오 8세 그레고리오 16세 비오 9세 레오 13세 비오 10세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비오 12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1세 요한 바오로 2세 21세기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교황 목록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6914465 LCCN: n85088928 ISNI: 0000 0001 2369 1690 GND: 118508903 SUDOC: 026717506 BNF: cb11891183k (데이터) ULAN: 500314191 NKC: mzk2002157163 ICCU: IT\ICCU\SBLV\1046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황_베네딕토_12세&oldid=22439845" 분류: 1280년 태어남1342년 죽음14세기 교황14세기 프랑스 사람시토회 출신 교황아비뇽 유수프랑스 출신 교황아리에주주 출신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lokano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8일 (화)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교황 베네딕토 12세(라틴어: Benedictus PP. XII, 이탈리아어: Papa Benedetto XII)는 제197대 교황(재위: 1334년 12월 30일 - 1342년 4월 25일)이다. 본명은 자크 푸르니에(프랑스어: Jacques Fournier)이다. 그는 아비뇽 유수의 세 번째 교황이다. 그는 족벌주의를 배격하고 수도회 개혁에 노력하였다. 로마나 볼로냐로 거처를 옮기지 못하자 그는 아비뇽에 거대한 궁전을 짓도록 하였다. 그는 한때 교황 요한 22세가 가졌던 생각과는 달리 공심판 전에도 영혼들이 지복직관을 누릴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지복직관에 대한 논쟁을 해결하였다. 그는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를 다시 일치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하였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와도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푸르니에가 교황으로 뽑혔던 연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1334년
Human: 아래 에코빌리지_즐거운_家!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장르 리얼 버라이어티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SBS TV 방송 기간 2014년 8월 31일 ~ 2015년 3월 18일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밤 11:10 ~ 12:30 방송 분량 1시간 20분 방송 횟수 24부작 추가 채널 SBS FunE 프로듀서 김준수 제작자 SBS 조연출 이관원, 이상혁 출연자 본문 참조 자막 폐쇄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SBS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홈페이지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는 SBS TV에서 도시 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연예인들이 각박한 도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자연 속으로 돌아가 직접 집을 짓고, 농사짓고, 가축도 키우는 대한민국의 리얼 세컨드 라이프 프로그램인데 ‘집짓기’라는 신선한 포맷으로 새로운 예능에 도전했지만 단순한 정보 전달과 사건을 단순하게 나열한 구성 등으로 외면당했으며 한자릿수 시청률로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고[1] 당시 해당 프로그램 자리에는 2010년 초 SBS가 월화극을 2편 편성함에 따라[2] 같은 해 1월 7일부터 목요일 밤 11시 5분으로 변경됐다가 기적의 오디션이 신설되면서[3] 설 자리를 잃은 스타부부쇼 자기야가 2011년 6월 30일부터 금요일 밤 11시 10분에서 목요일 밤 11시 10분으로 이동하며 같은 달 24일부터 수요일 오후 8시 55분으로 옮겨간 한밤의 TV연예가 이동 편성됐는데 SBS는 이 프로그램에 앞서 불타는 청춘을 내보낼 예정이었으나 출연진 중의 한 명인 김국진이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공동 MC를 맡고 있어서[4] 불발됐다. 목차 1 방송 시간 2 출연자 2.1 고정 멤버 2.2 내레이션 3 방영 회차 4 제작 정보 5 각주 6 외부 링크 방송 시간[편집] 방송 기간 방송 시간 2014년 8월 31일 ~ 2014년 9월 7일 일요일 오후 3시 30분 ~ 4시 40분 2014년 9월 14일 ~ 2014년 11월 9일 일요일 오후 3시 50분 ~ 5시 2014년 11월 19일 ~ 2015년 3월 18일 수요일 밤 11시 15분 ~ 12시 25분 출연자[편집] 고정 멤버[편집] 이름 애칭 비고 이재룡 노인네 김병만 시골형아 장동민 잔동민 송창의 이런창의 정겨운 G 1회 ~ 14회까지 참여 후 하차[5] 민혁 근육맨 민아 막내 내레이션[편집] 장기하 매드 클라운 방영 회차[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방송 제목 게스트 시청률 2014년 1회 8월 31일 그들이 땀흘리는 이유 - 4.6% 2회 9월 7일 우리집 짓기 - 기초공사 - 3.9% 3회 9월 14일 황무지를 집앞 텃밭으로! - 4.2% 4회 10월 5일 집 기초 터 다지기 - 4.1% 5회 10월 12일 새 식구 분양 받는 날 - 축사 만들기 - 4.4% 6회 10월 19일 가마솥 아궁이 만들기 - 5.4% 7회 10월 26일 우리집 벽 세우는 날 - - 8회 11월 2일 집 외관 완성하는 날 - - 9회 11월 9일 김장 배추, 무 심기 - - 10회 11월 19일 화덕 만들기 - 4.5% 11회 11월 26일 우리 집에 창문 달기 - 2.8% 12회 12월 3일 난방 공사와 하우스 뼈대 만들기 - 3.6% 13회 12월 10일 빗속의 인부 소진, 유라, 혜리 3.9% 14회 12월 17일 걸스데이의 즐거운 맛기행 소진, 유라, 혜리 3.4% 15회 12월 24일 김장배추 손질 작업 - 4.9% 2015년 16회 1월 7일 유세윤 & 유상무 즐거운가 집들이 유세윤, 유상무 4.2% 17회 1월 21일 만선의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유세윤, 유상무 3.5% 18회 1월 28일 유호정과 딸 즐거운가에 오다 유호정, 이예빈 4.8% 19회 2월 4일 창의와 그의 친구들 유호정, 이예빈, 이상우, 이상윤 4.2% 20회 2월 11일 EXID와 함께하는 즐거운 날 이상우, 이상윤, 하니, 정화 3.9% 21회 2월 25일 황토 찜질방 제작기 공개! 예지원, 전혜빈 4.7% 22회 3월 4일 맹추위 속 메주 & 막걸리 빚기 예지원, 전혜빈, 이종원, 김재경 3.8% 23회 3월 11일 어느 게임 중독자의 최후 이종원, 예지원, 김재경 4.3% 24회 3월 18일 즐거운家가 보내는 편지 이종원, 예지원, 김재경 3.5% (시청률 제공 : AGB닐슨 미디어 리서치 코리아)[6] 제작 정보[편집]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에서 촬영되었다. 각주[편집] ↑ 황은희 (2015년 3월 19일). “[‘즐거운 가’ 종영②] 신선한 포맷만이 답은 아니다?”. MBN.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9년 12월 31일). “SBS, 내년 1월 프로그램 부분 조정”. 연합뉴스.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 김영환 (2011년 6월 10일). “`재미있는 퀴즈클럽` 폐지, `기적의 오디션` 신설”. 이데일리(스타in).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 윤효정 (2015년 3월 9일). “'불타는청춘', 金夜 11시 간 이유는 김국진 때문?”. 뉴스엔. 2018년 3월 4일에 확인함.  ↑ “‘즐거운家’ 정겨운 하차…프로그램 콘셉트 변화준다”. TV리포트. 2015년 1월 7일.  ↑ 닐슨코리아 리서치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SBS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 홈페이지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수상한 장모》) 월화드라마 (《VIP》) 드라마 스페셜 (《닥터 탐정》) 금토드라마(《녹두꽃》) 예능 《동상이몽 2 - 너는 내 운명》 《본격연예 한밤》 《불타는 청춘》 《백종원의 골목식당》 《접속! 무비월드》 《그랑블루》 《정글의 법칙》 《TV 동물농장》 《SBS 인기가요》 《런닝맨》 《집사부일체》 《미운 우리 새끼》 《가요대전》¹ 《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청룡영화제》¹ 시사교양 《모닝와이드 3부》 《좋은 아침》 《생방송 투데이》 《살맛나는 오늘》 《생활의 달인》 《영재발굴단》 《네트워크 현장! 고향이 보인다》 (지역민방 공동제작) 《열린 TV 시청자 세상》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 《궁금한 이야기 Y》 《톡톡 정보 브런치》 《문화가중계》 《SBS 뉴스토리》 《그것이 알고 싶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 《물은 생명이다》 《맨 인 블랙박스》 《일요특선 다큐멘터리》 《SBS 스페셜》 《SBS 네트워크 특선》 뉴스 《모닝와이드 1, 2부》 (《SBS 파워 스포츠》) 《SBS 뉴스 (1010)》 《SBS 12 뉴스》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SBS 오 뉴스》 《SBS 8 뉴스》 (《SBS 스포츠뉴스》) 《SBS 나이트라인》 《SBS 주말뉴스》 《SBS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투나잇》 《SBS 골프》 《풋볼매거진 골!》 《e스포츠 매거진 GG》 어린이 《꾸러기 탐구생활》 《SBS 애니갤러리》 《요리조리 맛있는 수업》 《런닝맨 시즌 2》 《헬로 카봇 시즌 7》 《캡슐보이: 지구를 지켜라》 《로봇트레인 S2》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코빌리지_즐거운_家!&oldid=22024599" 분류: SBS의 예능 프로그램대한민국의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리얼 버라이어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16일 (목) 15: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코빌리지 즐거운 家!》는 SBS TV에서 도시 생활에 익숙해져 있는 연예인들이 각박한 도시의 삶으로부터 벗어나, 자연 속으로 돌아가 직접 집을 짓고, 농사짓고, 가축도 키우는 대한민국의 리얼 세컨드 라이프 프로그램인데 ‘집짓기’라는 신선한 포맷으로 새로운 예능에 도전했지만 단순한 정보 전달과 사건을 단순하게 나열한 구성 등으로 외면당했으며 한자릿수 시청률로 기대 이하의 성적에 그쳤고 당시 해당 프로그램 자리에는 2010년 초 SBS가 월화극을 2편 편성함에 따라 같은 해 1월 7일부터 목요일 밤 11시 5분으로 변경됐다가 기적의 오디션이 신설되면서 설 자리를 잃은 스타부부쇼 자기야가 2011년 6월 30일부터 금요일 밤 11시 10분에서 목요일 밤 11시 10분으로 이동하며 같은 달 24일부터 수요일 오후 8시 55분으로 옮겨간 한밤의 TV연예가 이동 편성됐는데 SBS는 이 프로그램에 앞서 불타는 청춘을 내보낼 예정이었으나 출연진 중의 한 명인 김국진이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공동 MC를 맡고 있어서 불발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코빌리지 즐거운 !의 회차별 방송정보는 어떻게 되나요? Assistant: 회차 방송일 방송 제목 게스트 시청률 2014년 1회 8월 31일 그들이 땀흘리는 이유 - 4.6% 2회 9월 7일 우리집 짓기 - 기초공사 - 3.9% 3회 9월 14일 황무지를 집앞 텃밭으로! - 4.2% 4회 10월 5일 집 기초 터 다지기 - 4.1% 5회 10월 12일 새 식구 분양 받는 날 - 축사 만들기 - 4.4% 6회 10월 19일 가마솥 아궁이 만들기 - 5.4% 7회 10월 26일 우리집 벽 세우는 날 - - 8회 11월 2일 집 외관 완성하는 날 - - 9회 11월 9일 김장 배추, 무 심기 - - 10회 11월 19일 화덕 만들기 - 4.5% 11회 11월 26일 우리 집에 창문 달기 - 2.8% 12회 12월 3일 난방 공사와 하우스 뼈대 만들기 - 3.6% 13회 12월 10일 빗속의 인부 소진, 유라, 혜리 3.9% 14회 12월 17일 걸스데이의 즐거운 맛기행 소진, 유라, 혜리 3.4% 15회 12월 24일 김장배추 손질 작업 - 4.9% 2015년 16회 1월 7일 유세윤 & 유상무 즐거운가 집들이 유세윤, 유상무 4.2% 17회 1월 21일 만선의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유세윤, 유상무 3.5% 18회 1월 28일 유호정과 딸 즐거운가에 오다 유호정, 이예빈 4.8% 19회 2월 4일 창의와 그의 친구들 유호정, 이예빈, 이상우, 이상윤 4.2% 20회 2월 11일 EXID와 함께하는 즐거운 날 이상우, 이상윤, 하니, 정화 3.9% 21회 2월 25일 황토 찜질방 제작기 공개! 예지원, 전혜빈 4.7% 22회 3월 4일 맹추위 속 메주 & 막걸리 빚기 예지원, 전혜빈, 이종원, 김재경 3.8% 23회 3월 11일 어느 게임 중독자의 최후 이종원, 예지원, 김재경 4.3% 24회 3월 18일 즐거운家가 보내는 편지 이종원, 예지원, 김재경 3.5% Human: 아래 BEJ48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BEJ48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EJ48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BEJ48 기본 정보 국가 중화인민공화국 결성 지역 중국 베이징 시 장르 C-pop 활동 시기 2016년 ~ 현재 레이블 OB Music 소속사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웹사이트 BEJ48 공식 홈페이지 구성원 팀B, 팀E, 팀J, 휴업 이전 구성원 전 멤버 BEJ48(비이제이포티에이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목차 1 개요 2 약력 3 멤버 3.1 팀B 3.2 팀E 3.3 팀J 3.4 휴업 3.5 전 멤버 3.5.1 정규 멤버 3.5.2 예비생 4 디스코그래피 4.1 EP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SNH48의 자매 그룹의 하나이다. 「BEJ」라는 이름은 베이징 시의 대표 지역의 베이징(Beijing)에서 유래했다. 본 그룹의 팀명은 팀B와 팀E와 팀J로 표기되었다. 약력[편집] 2016년 4월 20일, 베이징 시를 거점으로 하는 BEJ48와 광둥 성 광주를 거점으로 하는 GNZ48의 결성이 발표되었다[1]. 동시에 SNH48 멤버 9명이 이적해, BEJ48 1기생으로서 본격 활동. 4월 29일, 팀B 1st Stage 「剧场女神」 공연 개시. 4월 30일, 팀E 1st Stage 「不眠之夜」 공연 개시. 9월 6일에 元氣覺醒를 발표하였다. 10월 1일, BEJ48 극장에서 BEJ48 1기생 멤버가 공개되고, 2명의 멤버가 팀B, 2명의 멤버가 팀E, 17명의 멤버가 팀J로 배정받았다. 10월 2일, 팀B 2nd Stage 「心的旅程」 공연 개시. 10월 29일, 팀J 1st Stage 「专属派对」 공연 개시. 12월 24일, 팀E 2nd Stage 「奇幻加冕礼」 공연 개시. 2017년 1월 6일, 微笑的向日葵를 발표하였다. 4월 1일, 宣言을 발표하였다. 4월 14일, 팀B 3rd Stage 「十八个闪耀瞬间」 공연 개시. 9월 23일, 팀J 2nd Stage 「因为喜欢你」 공연 개시. 9월 30일, SNH48 4회 총선거에서 BEJ48 TOP16를 차지한 멤버로 구성된 앨범인 百變驚嘆號를 발표하였다. 2018년 1월 19일, 팀B 4th Stage 「B A FIGHTER」 공연 개시. 멤버[편집] 팀B[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소속사 비고 陈美君 천메이쥔 Chén Měijūn 1997년 1월 15일(1997-01-15) (22세) SNH48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段艺璇 돤이쉬안 Duàn Yìxuán 1995년 8월 19일(1995-08-19) (23세) SNH48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캡틴 胡丽芝 후리즈 Hú Lìzhī 2000년 10월 8일(2000-10-08) (18세)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胡晓慧 후샤오후이 Hú Xiǎohuì 1998년 7월 26일(1998-07-26) (20세) SNH48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李瑜璇 리위쉬안 Lǐ Yúxuán 11월 7일 CKG48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林溪荷 린시허 Lín Xīhé 1998년 6월 20일(1998-06-20) (21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刘姝贤 류수셴 Liú Shūxián 2000년 4월 16일(2000-04-16) (19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부캡틴 青钰雯 칭위원 Qīng Yùwén 1997년 1월 18일(1997-01-18) (22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曲美霖 취메이린 Qu Měilín 11월 8일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沈小爱 선샤오아이 Shěn Xiǎo'ài 1995년 12월 7일(1995-12-07) (23세)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孙晓艳 쑨샤오옌 Sūn Xiǎoyàn 1998년 11월 29일(1998-11-29) (20세)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田姝丽 톈수리 Tián Shūlì 1996년 11월 9일(1996-11-09) (22세) SNH48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熊素君 슝쑤쥔 Xióng Sùjūn 1994년 9월 9일(1994-09-09) (24세) SNH48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최연장자 闫明筠 옌밍쥔 Yán Míngjūn 1998년 2월 11일(1998-02-11) (21세) SNH48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杨鑫 양신 Yáng Xīn 11월 23일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梦慧 장멍후이 Zhāng Mènghuì 1998년 12월 3일(1998-12-03) (20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羽涵 장위한 Zhāng Yǔhán 3월 20일 SHY48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赵天杨 자오톈양 Zhào Tiānyáng 12월 25일 SHY48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팀E[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소속사 비고 陈倩楠 천첸난 Chén Qiànnán 1998년 3월 19일(1998-03-19) (21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程宇璐 청위루 Chéng Yǔlù 2월 17일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冯思佳 펑쓰자 Féng Sījiā 1999년 1월 3일(1999-01-03) (20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高蔚然 가오웨이란 Gāo Wèirán 10월 8일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李丽满 리리만 Lǐ Lìmǎn 11월 1일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李娜 리나 Lǐ Nà 1997년 9월 22일(1997-09-22) (21세)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李诗彦 리스옌 Lǐ Shīyàn 2003년 3월 17일(2003-03-17) (16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李梓 리쯔 Lǐ Zǐ 2000년 8월 30일(2000-08-30) (18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刘胜男 류성난 Liú Shèngnán 2003년 2월 4일(2003-02-04) (16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부캡틴 马玉灵 마위링 Mǎ Yùlíng 1999년 10월 6일(1999-10-06) (19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彭嘉敏 펑자민 Péng Jiāmǐn 9월 29일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任蔓琳 런만린 Rén Mànlín 2월 21일 5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苏杉杉 쑤산산 Sū Shānshān 1997년 3월 23일(1997-03-23) (22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王嘉瑜 왕자위 Wáng Jiāyú 5월 2일 SHY48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王雨兰 왕위란 Wáng Yǔlán 1월 9일 SHY48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熊鑫 슝신 Xióng Xīn 4월 12일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顼澌炀 쉬쓰양 Xū Sīyáng 2000년 3월 22일(2000-03-22) (19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杨一帆 양이판 Yáng Yīfān 1997년 5월 17일(1997-05-17) (22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臧聪 짱충 Zāng Cōng 2월 21일 SHY48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爱静 장아이징 Zhāng Àijìng 1997년 8월 3일(1997-08-03) (21세) SHY48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丹丹 장단단 Zhāng Dāndān 10월 2일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笑盈 장샤오잉 Zhāng Xiàoyíng 1995년 8월 21일(1995-08-21) (23세) SNH48 6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팀J[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소속사 비고 柏欣妤 바이신위 Bǎi Xīnyú 1997년 1월 25일(1997-01-25) (22세) CKG48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陈雅钰 천야위 Chén Yǎyù 1996년 10월 4일(1996-10-04) (22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최연장자 房蕾 팡레이 Fáng Lěi 1997년 7월 21일(1997-07-21) (21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葛司琪 거쓰치 Gé Sīqí 1997년 9월 8일(1997-09-08) (21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韩家乐 한자러 Hán Jiālè 1996년 3월 7일(1996-03-07) (23세) SHY48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何阳青青 허양칭칭 Hé-Yáng Qīngqīng 1997년 7월 21일(1997-07-21) (21세)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黄恩茹 황언루 Huáng Ēnrú 1997년 5월 5일(1997-05-05) (22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金锣赛 진뤄싸이 Jīn Luósài 7월 4일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刘闲 류셴 Liú Xián 1997년 9월 27일(1997-09-27) (21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刘一菲 류이페이 Liú Yīfēi 12월 7일 2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楼澍 러우수 Lóu Shù 2001년 2월 20일(2001-02-20) (18세)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任心怡 런신이 Rén Xīnyí 10월 18일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孙语姗 쑨위산 Sūn Yǔshān 2000년 9월 13일(2000-09-13) (18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唐霖 탕린 Táng Lín 1999년 3월 21일(1999-03-21) (20세) SHY48 3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王雨煊 왕위쉬안 Wáng Yǔxuān 1999년 5월 23일(1999-05-23) (20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杨晔 양예 Yáng Yè 1997년 3월 23일(1997-03-23) (22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부캡틴 叶苗苗 예먀오먀오 Yè Miáomiáo 1999년 7월 13일(1999-07-13) (19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张怀瑾 장화이진 Zhāng Huáijǐn 1997년 5월 11일(1997-05-11) (22세) 1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캡틴 郑洁丽 정제리 Zhèng Jiélì 6월 21일 1기 선양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周湘 저우샹 Zhōu Xiāng 2000년 3월 18일(2000-03-18) (19세) 4기 북경 구상 연예 경기 유한공사 휴업[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비고 陈姣荷 천자오허 Chén Jiāohé 1995년 4월 20일(1995-04-20) (24세) SNH48 6기 팀E 付奕萱 푸이쉬안 Fù Yìxuān 1월 9일 4기 예비생 黄子璇 황쯔쉬안 Huáng Zǐxuán 2002년 5월 20일(2002-05-20) (17세) 2기 팀E 李想 리샹 Lǐ Xiǎng 1994년 2월 5일(1994-02-05) (25세) SNH48 6기 팀E 李媛媛 리위안위안 Lǐ Yuányuán 1994년 7월 1일(1994-07-01) (25세) SNH48 6기 팀E 牛聪聪 뉴충충 Niú Cōngcōng 1996년 4월 2일(1996-04-02) (23세) SNH48 6기 팀B 石羽莎 스위사 Shí Yǔshā 2002년 6월 20일(2002-06-20) (17세) 1기 팀J 孙姗 쑨산 Sūn Shān 1999년 2월 11일(1999-02-11) (20세) SNH48 6기 팀B 吴月黎 우웨리 Wú Yuèlí 2000년 5월 15일(2000-05-15) (19세) 1기 팀B 夏越 샤웨 Xià Yuè 1995년 8월 26일(1995-08-26) (23세) SNH48 6기 팀B 赵笛儿 자오디얼 Zhào Dí'ér 2000년 9월 4일(2000-09-04) (18세) 2기 팀E 전 멤버[편집] 정규 멤버[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최종 소속 최종 재적일 비고 陳逸菲 천이페이 Chen Yifei 6월 18일 1기 B 2017년 7월 8일 계약 해제 張菡筱 장한샤오 Zhang HanXiao 1996년 6월 26일(1996-06-26) (23세) SNH48 5기 B 2017년 12월 22일 계약 해제 冯雪莹 펑쉐잉 Féng Xuěyíng 1994년 3월 13일(1994-03-13) (25세) SNH48 5기 B 2019년 1월 19일 계약 해제 胡博文 후보원 Hú Bówén 1999년 12월 18일(1999-12-18) (19세) SNH48 6기 B 계약 해제 刘崇恬 류충톈 Liú Chóngtián 1995년 9월 17일(1995-09-17) (23세) 2기 B 계약 해제 李沐遥 리무야오 Lǐ Mùyáo 8월 3일 2기 B 계약 해제 宋思娴 쑹쓰셴 Sòng Sīxián 1997년 10월 9일(1997-10-09) (21세) SNH48 5기 B 계약 해제 文妍 원옌 Wén Yán 2000년 12월 28일(2000-12-28) (18세) SNH48 6기 B 계약 해제 徐佳丽 쉬자리 Xú Jiālì 1996년 9월 21일(1996-09-21) (22세) SNH48 5기 B 계약 해제 郑依灵 정이링 Zhèng Yīlíng 1996년 11월 8일(1996-11-08) (22세) 2기 B 계약 해제 周洁艺 저우제이 Zhōu Jiéyì 1998년 10월 29일(1998-10-29) (20세) 3기 B 계약 해제 毕梦媛 비멍위안 Bì Mèngyuán 1997년 1월 29일(1997-01-29) (22세) SNH48 6기 E 계약 해제 金鑫 진신 Jīn Xīn 2000년 9월 2일(2000-09-02) (18세) 3기 E 계약 해제 林堃 린쿤 Lín Kūn 1996년 10월 30일(1996-10-30) (22세) SNH48 6기 E 계약 해제 李娜 리나 Lǐ Nà 1996년 5월 1일(1996-05-01) (23세) 1기 E 계약 해제 李烨 리예 Lǐ Yè 6월 17일 2기 E 계약 해제 李宗颐 리쭝이 Lǐ Zōngyí 1996년 9월 25일(1996-09-25) (22세) 3기 E 계약 해제 徐静 쉬징 Xú Jìng 1997년 9월 26일(1997-09-26) (21세) 2기 E 계약 해제 易妍倩 이옌첸 Yì Yánqiàn 1997년 11월 28일(1997-11-28) (21세) SNH48 6기 E 계약 해제 郑心雨 정신위 Zhèng Xīnyǔ 4월 27일 2기 J 계약 해제 单习文 산시원 Shàn Xíwén 1997년 1월 31일(1997-01-31) (22세) 1기 J 계약 해제 兰昊 란하오 Lán Hào 11월 27일 2기 J IDOLS Ft 멤버 李泓瑶 리훙야오 Lǐ Hóngyáo 2000년 3월 30일(2000-03-30) (19세) 1기 J IDOLS Ft 멤버 罗雪丽 뤄쉐리 Luó Xuělì 2000년 6월 6일(2000-06-06) (19세) SNH48 6기 E IDOLS Ft 멤버 毛其羽 마오치위 Máo Qíyǔ 12월 1일 2기 B IDOLS Ft 멤버 乔钰珂 차오위커 Qiáo Yùkē 2000년 3월 23일(2000-03-23) (19세) 2기 J IDOLS Ft 멤버 任玥霖 런웨린 Rén Yuèlín 2001년 10월 23일(2001-10-23) (17세) 1기 J IDOLS Ft 멤버 许婉玉 쉬완위 Xǔ Wǎnyù 2000년 10월 12일(2000-10-12) (18세) 1기 J IDOLS Ft 멤버 张韩紫陌 장한쯔모 Zhāng-Hán Zǐmò 2000년 1월 31일(2000-01-31) (19세) 1기 J IDOLS Ft 멤버 郑一凡 정이판 Zhèng Yīfán 2001년 5월 9일(2001-05-09) (18세) SNH48 6기 E IDOLS Ft 멤버 예비생[편집] 이름 한글 표기 병음 표기 생년월일 가입기 최종 재적일 비고 李海淋 리하이린 Lǐ Hǎilín 11월 30일 6기 2019년 1월 19일 전 SNH48 10기생IDOLS Ft 멤버 李清雨 리칭위 Lǐ Qīngyǔ 4월 6일 4기 IDOLS Ft 멤버 熊依依 슝이이 Xióng Yīyī 10월 5일 6기 IDOLS Ft 멤버 杨宇馨 양위신 Yáng Yǔxīn 11월 7일 4기 IDOLS Ft 멤버 张语倩 장위첸 Zhāng Yǔqiàn 4월 3일 6기 IDOLS Ft 멤버 디스코그래피[편집] EP[편집] 매 발매일 타이틀 발매 형태 레코드 No: 비고 OB Music 레이블 1 2016년 9월 6일 원기각성(元氣覺醒) CDCD BEJ33100098BEJ33100098 A판B판 2 2017년 1월 6일 미소적향일규(微笑的向日葵) CD BEJ33100257 표준판 3 2017년 4월 1일 선언(宣言) CDCD BEJ33100312BEJ33100312 A판B판 4 2017년 9월 30일 백변경탄호(百變驚嘆號) CDCD BEJ33100522BEJ33100522 A판B판 5 2017년 12월 24일 최초적축원(最初的祝愿) CD무 SNH11101110SNH11101110 표준판연증판 6 2018년 3월 26일 Eyes On Me CD무 BEJ33100655BEJ33100655 표준판연증판 7 2018년 12월 20일 차각도영원(此刻到永远) CD무 BEJ33100976BEJ33100976 표준판연증판 8 2019년 3월 27일 신희하적아문(晨曦下的我们) CD무 BEJ33101060BEJ33101060 표준판연증판 관련 항목[편집] SNH48 GNZ48 SHY48 CKG48 CGT48 각주[편집] ↑ 中国で新しい48姉妹グループBEJ48とGNZ48がついに誕生! 외부 링크[편집] (중국어) BEJ48 공식 홈페이지 (중국어) BEJ48 공식 팬클럽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BEJ48 - 트위터 (중국어) BEJ48 공식 블로그 - 웨이보 (중국어) BEJ48 공식 블로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텐센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BEJ48&oldid=24204717" 분류: BEJ48중국의 음악 그룹중국의 걸 그룹2016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6년 데뷔10인조 이상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ไทย中文文言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BEJ48(비이제이포티에이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BEJ48의 멤버 쑹쓰센의 생년월일은? Assistant: 1997년 10월 9일
Human: 아래 뉴욕_지하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뉴욕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뉴욕 지하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New York City Subway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뉴욕 지하철New York City Subway 뉴욕 지하철 노선도 정보 종류 도시 철도 상태 운행중 노선 수 36(노선)25(운행계통)1(계획중) 역 수 468 궤간 4 ft 8 1⁄2 in (1,435 mm) 표준궤[1] 운영 개통일 1904년 10월 27일(지하 구간)1868년 7월 3일(고가 철도, 도시철도 운영) 운영자 메트로폴리탄 트랜스포테이션 오서리티 시설 총 영업거리 7005394289280000000♠245 마일 (394 km)[2] 총 노선 연장 691 mi (1,112 km)[2] 총 시설 연장 850 mi (1,370 km)[1] 뉴욕 지하철(New York City Subway)은 뉴욕 시에서 소유하고 메트로폴리탄 트랜스포테이션 오서리티 및 산하 교통기관인 광역교통국 (MTA) 에서 운영하는 미국 뉴욕주 뉴욕의 도시 철도이다. 뉴욕 지하철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대중교통 중 하나며, 468개의 역과 총 연장 337km, 영업거리 1,056km, 실거리 1,355km의 도시철도 체계이다. 2011년 기준으로 뉴욕 지하철은 연간 16억 4천만 명이 이용하였으며, 평일 평균 528만 4천여 명, 토요일 평균 303만 3천여 명, 일요일 평균 236만 7천여 명이 이용하였다. 뉴욕 지하철은 세계에서 도쿄, 모스크바, 베이징, 난징, 서울, 광저우 이후로 7번째로 승객이 많은 도시철도 체계로, 아메리카에서 승객이 가장 많다. 또한, 미국에서 워싱턴 도시철도, 시카고 도시철도, 뉴저지 허드슨 도시철도(PATH), 필라델피아의 PATCO 선과 더불어 매일 24시간 운행한다.[3] 목차 1 역사 2 노선 및 경로 2.1 명명법 2.2 지하철 노선도 3 운행 계통 3.1 A 디비전 (IRT) 3.2 B 디비전 (IND/BMT) 4 철도 차량 5 요금제 5.1 메트로카드 6 같이 보기 7 참고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868년에 개통된 고가철도에 이어 1904년에 뉴욕 시에서 최초로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IRT와 BMT사가 지하철을 따로 운영을 하고 있었고, 1932년에는 시영인 IND사도 지하철을 운영하였다. 나중에는 뉴욕 시에서 IRT와 BMT사를 인수하여서 뉴욕 지하철을 하나의 체제로 통일시켰다. 노선 및 경로[편집] 4 열차의 R142 차량 측면에 있는 디지털 행선판 IRT 브로드웨이-7번로 선의 125번가 역 뉴욕 지하철의 노선 목록, 뉴욕 지하철의 운행 계통 목록, 뉴욕 지하철 노선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다수의 도시 철도 체계는 경로가 거의 정해져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열차 "노선(line)"은 열차 "경로(route)"와 다소 동의어로 사용되곤 한다. 그러나 뉴욕은 연결의 유효성이나 운행 체계 방식 재설정으로 인해 경로가 자주 변경된다. 지하철의 명명법 내에서 "노선(line)"은 열차 "경로(route)"가 한 종착지에서 다른 종착지로 가는 도중에 사용하는 실제 철도 선로 또는 일련의 선로를 나타낸다. "경로(route)" 또는 "운행 계통(service)"는 숫자 또는 알파벳 문자로 표시되고, "노선(line)"은 고유 이름으로 표시된다. 빌리 스테이혼(Billy Strayhorn)의 곡 "Take the "A" Train"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열차의 지명이기도 하다.[3] 지하철 시스템에는 25개의 열차 운행 계통과 3개의 셔틀 열차가 있다. 각 경로에는 특정 계통의 맨해튼 간선을 나타내는 색상 및 완행-급행 지정이 있다. 연한 녹색은 크로스타운 노선에만 배정된다. 크로스타운 노선은 맨해튼 바깥에서 완전히 운행되며, 셔틀은 모두 어두운 회색으로 지정된다.[4][5] 노선 및 서비스는 뉴욕 주민 대부분이 컬러(예:블루 라인 또는 그린 라인)를 언급하지는 않지만, 도시 외 사람과 관광객은 종종 지하철 노선을 컬러로 참조한다.[3][6][7] 1, 6, 7, C, G, L, M, R, W 열차는 완전히 완행으로 운행하며 모든역 정차한다. 2, 3, 4, 5, <6>, <7>, A, B, D, E, F, N, Q 열차에는 일부 구간이 급행 및 완행으로 운행한다. J 기차는 보통 완행으로 운행되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Z 열차가 혼잡 구간으로 합류한다. J와 Z는 모두 공유 경로의 다른 부분에서 완행, 급행 또는 skip-stop으로 운행한다. S는 프랭클린 애비뉴 셔틀, 락어웨이 파크 셔틀 및 42번가 셔틀의 세 가지 셔틀 서비스에 사용된다.[5][8] 지하철 시스템은 24시간 운영되지만,[3] 심야 시간에는 지정된 경로 중 일부가 운행되지 않거나, 더 짧은 경로(흔히 해당되는 전 구간의 "셔틀 열차" 버전으로 불리는)로 운행되거나, 정류장이 바뀌어 운행된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역 승강장에서 더 작은, 2차 경로 표식으로 표시된다.[5][9] 유지 보수를 위한 야간 운행 종료가 없으므로, 운행 중에도 노선과 역을 유지 관리해야 한다. 이 작업은 때때로 정오, 야간 시간 및 주말에 운행 변경을 필요로 한다.[10][11] 선로 일부가 건설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폐쇄될 때, 대중 교통 당국은 무료 셔틀 버스(MTA Regional Bus Operations 버스 차량 사용)로 대체하여 이 노선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경로를 대체 할 수 있다.[12] The transit authority는 웹 사이트를 통해 계획된 서비스 변경 사항을 발표하고,[13] 역 및 내부 지하철 차벽에 게시된 플래카드,[14] 트위터 페이지를 통해 알린다.[15] 명명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뉴욕 지하철 명명법입니다. 주간선 Color[16][17] 팬톤[18] 십육진법 표기 노선 표기 IND 8번로 선 선명한 파랑 PMS 286 #2850ad ​​ IND 6번로 선 주황색 PMS 165 #ff6319 ​​​ IND 크로스타운 선 라임 초록색 PMS 376 #6cbe45 틀:NYCS Crosstown BMT 캐나시 선 밝은 회색 50% black #a7a9ac BMT 나소 스트리트 선 흙색 PMS 154 #996633 틀:NYCS Nassau BMT 브로드웨이 선 해바라기 노랑 PMS 116 #fccc0a ​​​ IRT 브로드웨이-7번로 선 토마토 빨강 PMS 185 #ee352e IRT 렉싱턴 애비뉴 선 사과 초록 PMS 355 #00933c 틀:NYCS Lexington IRT 플러싱 선 라즈베리색 PMS Purple #b933ad  ​ 셔틀 열차 어두운 회색 70% black #808183 노선의 높이를 나타낸 지도. 지하는 주황색으로, 지상·고가·경사면은 파란색으로 표시되었다. 지하철 노선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뉴욕 지하철 노선도입니다. 뉴욕 지하철의 현재 공식 노선도는 Michael Hertz Associates의 1979년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다. 이 노선도는 시스템 복잡성(즉, 맨하탄은 가장 작은 지역이지만 가장 많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인해 지리적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탐색을 돕기 위해 주요 도시 거리를 보여준다. 최신판은 2010년 6월 27일에 발효되어 맨해튼을 더 크게, 스태튼 아일랜드를 더 작게 만들었다.[8][19] 지하철의 초기 다이어그램 (1958년에 처음 생산됨)은 더 심미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오늘날의 다이어그램보다 지리적으로 부정확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1972년과 1979년 사이에 MTA에서 발행된 마시모 비넬리(Massimo Vignelli)의 지하철 노선도 디자인은 모던 클래식 스타일이나, MTA는 지리적 요소의 배치로 인해 결함이있는 것으로 간주했다.[20][21] 2012년 1월 30일에 심야 전용 노선도가 도입되었다.[22] 2011년 9월 16일 MTA는 비넬리(Vignelli) 스타일의 대화형 지하철 노선도인 "The Weekender"[23]를 웹 사이트에 도입했다.;[24]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25] 온라인 지도는 금요일 밤 부터 월요일 아침까지의 계획된 모든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26][27] 개인적으로 제작된 도식형 노선도는 Hagstrom Map과 같은 온라인 또는 인쇄 형태로 제공된다.[28] 또한, 뉴욕 지하철 노선도는 예술적 노력의 대상이 되었다. 심야 지하철 서비스 노선도 공식 노선도 George Salomon이 디자인한 옛 공식 노선도 노선도를 주제로 한 공예품 운행 계통[편집] 뉴욕 시의 지하철은 총 26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뉴욕 시는 세계에서 단일 도시 중에서 가장 지하철 많은 지하철 노선을 가지고 있다. A 디비전 (IRT)[편집] 뉴욕 지하철 1호선 뉴욕 지하철 2호선 뉴욕 지하철 3호선 뉴욕 지하철 4호선 뉴욕 지하철 5호선 뉴욕 지하철 6호선 뉴욕 지하철 7호선 뉴욕 지하철 S선 42번가 셔틀 B 디비전 (IND/BMT)[편집] 뉴욕 지하철 M선 뉴욕 지하철 A선 뉴욕 지하철 C선 뉴욕 지하철 E선 뉴욕 지하철 B선 뉴욕 지하철 D선 뉴욕 지하철 F선 뉴욕 지하철 G선 뉴욕 지하철 J선 뉴욕 지하철 Z선 (급행 계통) 뉴욕 지하철 L선 뉴욕 지하철 N선 뉴욕 지하철 Q선 뉴욕 지하철 R선 뉴욕 지하철 W선 뉴욕 지하철 S선 프랭클린 애비뉴 셔틀 락어웨이 파크 셔틀 철도 차량[편집] A 계통으로 운행하는 R32 열차 4 계통으로 운행하는 R142A 열차 내부 3 계통으로 운행하는 R62 열차 내부 이 부분의 본문은 뉴욕 지하철의 철도 차량입니다. 2016년 11월 기준으로[update], 뉴욕 지하철은 총 6418대의 차량이 있다.[29] 전형적인 뉴욕 지하철 열차는 8량 및 11량의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셔틀은 2량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열차 길이는 150 to 600 피트 (46 to 183 m) 사이이다.[30][note 1] N 계통으로 운행하는 R160B 열차의 운전석 이 시스템은 2개의 종류로 나뉜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데, 하나는 A 디비전 노선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B 디비전 노선을 위한 것이다.[31] 모든 B 디비전 장비는 10 피트 (3.05 m)의 폭과 60 피트 6 인치 (18.44 m) 또는 75 피트 (22.86 m)의 길이를 갖는 반면, A 디비전 장비는 8 피트 9 인치 (2.67 m)의 폭과 51 피트 4 인치 (15.65 m)의 길이를 갖는다.[32] 60 피트 B 디비전 차량의 일부는 BMT Eastern Division(이스턴 디비전)에서 운행하는데 사용되며, 75-피트 (22.86 m) 길이의 차량은 허용되지 않는다.[33][34] 1948년에 시작된 IND 및 다른 디비전의 설립 이후 뉴욕에서 도입한 전동차는 문자 "R"다음에 숫자가 표시된다. (예: R32).[31] 이 번호는 차량을 구입한 계약 번호이다.[35] 근처의 계약 번호가 있는 차량(예 : R1 ~ R9 또는 R26 ~ R29 또는 R143 ~ R160B)은 다른 계약에 따라 구매했거나 다른 제조업체에서 제작 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동일할 수 있다.[36] 1999년 이래 R142, R142A, R143, R160, R188 차량이 사용되었다.[37][38] 이 차량들은 LED 및 LCD 행선판 및 정보 화면과 같은 현대적인 혁신 기술과, 열차 안내방송 및 CBTC(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촉진 기능으로 인해 NTTs(New Technology Trains, 신기술 열차)로 통칭된다.[39][40] 남아있는 안내원 ​​공고는 더 오래된 차량 재고 장비에 아직도 만들어 질 수 있다. 2012년 3월 24일 MTA는 봄바디어에서 300대의 R179 지하철 차량을 주문했다고 발표했다.[41] 계약의 총 가격은 5억 9,900만 달러이며, 납품 및 생산 시동 문제로 인해 2016년 9월에 와서야 5대의 첫 번째 시험 차량이 도착했다.[42][43] 2017~2020 MTA 재무 계획의 일환으로 600대의 지하철 차량에는 고객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 표지판이 설치된다.[44] 요금제[편집] 이 문단은 기계 번역에 의해 작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 어법에 알맞게 다듬어 주세요. (이 틀은 2018년 5월 4일에 붙었습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뉴욕 지하철의 요금제입니다. 이용객은 지하철 시스템에 들어갈 때 단일 운임을 지불하고, 역 개찰구를 통과 할 때까지 추가 비용없이 열차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이용객이 얼마나 멀리 또는 얼마나 오래 이용하는지에 관계없는 고정 요금제를 택하고 있다. 이용객은 지하철 시스템에 들어갈 때 메트로카드(MetroCard)를 이용하여 들어가야 하며, 개찰구에서 나간 후 바로 들어갈 수 없다.[45] 2016년 April월 기준[update], 거의 모든 요금은 메트로카드로 지불한다.[46] 재사용 할 수 있는 "탑승 당 지불" MetroCard의 형태로 구입 한 경우 기본 운임은 $2.75 이며,[45] 마지막 운임 인상은 2015년 3월 22일에 이루어졌다.[47] 일회용 카드는 $ 3.00에 구입할 수 있으며, 7일간 및 30일간 무제한 승차 카드는 유효 승차 요금을 상당히 낮출 수 있다.[48] 노인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요금 할인제가 제공된다.[3][49] 시스템에서 수집된 통화는 머니룸(Money room)에서 처리한다. 메트로카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메트로카드입니다. 1993년 11월,[50] 지하철 시스템은 메트로카드(MetroCard)라고 불리는 운임 시스템을 도입했다. 메트로카드는 승객들이 역 부스 직원 또는 자동 판매기를 통해 지불한 금액과 동일한 가치를 저장하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51] 1997년에는 메트로카드로 승객이 2시간 이내에 지하철과 버스간을 무료 환승 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2001년에는 지하철 역간 메트로카드 전용 교통편이 추가되었다.[52][53] 1998년 무제한 메트로카드가 추가되었으며,(7일 및 30일 기간 동안,[54] 이후 1일 "Fun Pass"및 14일 기간 모두 중단됨)[55] 무제한 버스 및 도시 철도 정기권을 샌프란시스코의 BART를 제외한 미국 내의 대중 교통 시스템중 가장 나중에 도입했다.[56] 2016년 4월, MTA는 2022년까지 메트로카드를 대체할 비접촉 "새 요금 지불 시스템"에 대한 제안을 요청했다.[57] 같이 보기[편집] 지하철 목록 스태튼아일랜드 철도 메트로노스 철도 롱아일랜드 철도 대중 문화 속의 뉴욕 지하철 뉴욕의 교통 참고[편집] ↑ See: Korman, Joe (2017년 12월 4일). “IRT Car Assignments”. JoeKorNer.  Korman, Joe (2017년 12월 4일). “BMT-IND Car Assignments”. JoeKorNer.  각주[편집] ↑ 가 나 “Facts & Figures – Subways”. 《www.nycsubway.org》. 2014년 3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Comprehensive Annual Financial Report for the Years Ended December 31, 2016 and 2015”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TA). 2017년 7월 26일. 168 (PDF p. 169)쪽. 2017년 8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How to Ride the Subway”. 2013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Subway Colors and Names - 유튜브 MTA YouTube Web Page. Made July 15, 2010. Retrieved July 17, 2010. ↑ 가 나 다 “Subway Service Guide September 2015”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2015. 2016년 2월 29일에 확인함.  ↑ Cox, Bobby. “New York City Subway”. 《Deaf Echo》. 2014년 1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Rules of The Subway”. 《Fodors》. 2013년 9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ubway Map”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7년 6월 25일. 2017년 7월 1일에 확인함.  ↑ “Late Night Subway Service September 2015”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2015. 2016년 2월 29일에 확인함.  ↑ Haberman, Clyde (2008년 4월 4일). “Train Skip Your Stop? It’s No Mistake, It’s Just the Weekend”. 《The New York Times》. 2016년 3월 25일에 확인함.  ↑ Tangel, Andrew. “New York’s Subway System Can’t Keep Pace With Growing Number of Riders”.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 2016년 3월 25일에 확인함.  ↑ Finnegan, Jack, Belden Merims and Jennifer Cecil. Newcomer's Handbook for Moving to and Living in New York City: Including Manhattan, Brooklyn, the Bronx, Queens, Staten Island, and Northern New Jersey. First Books Inc., Portland, Oregon. 2007. ISBN 978-0-912301-72-3 Page 336. ↑ “NYCT – Service Advisory”. 《travel.mtanyct.info》.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MTA/New York City Transit – Subway Service Information”. 2010년 12월 20일. 2010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NYCT Subway (@NYCTSubway) – Twitter”.  ↑ Official paint monikers since the colors were fixed in 1979: Grynbaum, Michael (2010년 5월 10일). “Take the Tomato 2 Stops to the Sunflower”. 《New York Times, City Room Blog》. 2010년 5월 11일에 확인함.  ↑ Official MTA video mentions "lime green" for the G line. “Subway Colors and Names”. 《MTA Info》. 2010년 7월 15일. 2010년 8월 5일에 확인함.  ↑ MTA Developer Resources Download, CSV file ↑ New Subway Map is Here MTA.info website. Retrieved June 18, 2010. ↑ “The (Mostly) True Story of Helvetica and the New York City Subway”. 《AIGA》. aiga.org. 2008년 11월 18일. 2009년 2월 4일에 확인함.  ↑ Hogarty, Dave (2007년 8월 3일). “Michael Hertz, Designer of the NYC Subway Map”. 《Gothamist》. 2009년 8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4일에 확인함.  ↑ “Late Night Subway Service”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7년 6월 25일. 2017년 7월 1일에 확인함.  ↑ “Introducing The Weekender”. 《MTA.info (YouTube)》. 2011년 9월 30일. 2011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eekender”. 《MTA.info》. 2013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Grynbaum, Michael M. (2011년 9월 15일). “Aid for Baffled Weekend Subway Riders”. 《The New York Times》. 2011년 9월 30일에 확인함.  ↑ “Introducing 'The Weekender'”. 《MTA.info》. 2011년 9월 16일. 2011년 9월 18일에 확인함.  ↑ “MTA Launches Interactive Online Map Ahead Of Difficult Weekend For Subways”. 《NY1》. 2011년 9월 16일. 2011년 9월 1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 ↑ Subway Map Gets A Makeover{{ Archived 2010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NY1 local news channel. Retrieved May 28, 2010. ↑ “New York City Subway Car Fleet Jan 2012 through January 2016”. TheJoeKorner. 2016년 2월 6일에 확인함.  ↑ “BMT-IND Car Assignments – December 6, 2015”. 《www.thejoekorner.com》. 2016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R-Type Cars 1932 to 1987”. 《www.thejoekorner.com》. 2016년 3월 13일에 확인함.  ↑ Second Avenue Subway Draf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Glossary” (PDF).  (45.6 KB) ↑ “3.3.3 A, C (Fulton Street) Line Services and Structural Issues” (PDF). 《nyc.gov》.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ity Planning. 2007. 2010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9일에 확인함.  ↑ “Car History”. 《www.erictb.info》. 2016년 3월 13일에 확인함.  ↑ “R-Type Cars 1932 to 1987”. 《thejoekorner.com》.  ↑ Chan, Sewell (2005년 11월 30일). “New Subway Cars Promise All Kinds of Information”. 《The New York Times》. 2007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R160A in service on the N on January 19, 2007”.  ↑ “R160B in service on the N on February 23, 2007”.  ↑ “New Technology Train Rolled Out This Morning Along the E Lin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08년 12월 22일.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The voice behind the closing doors would like to clear something up.”. 《nypress.com》. Straus News. 2003년 3월 18일. 2015년 12월 7일에 확인함.  ↑ “Governor Cuomo Announces $600 Million MTA Investment in Upstate Manufacturing (MTA Chooses Bombardier for $600 Million Order for 300 Subway Cars, More Than 500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Jobs Maintained or Created)”. 《Government of New York》. 2012년 3월 28일. 2012년 3월 29일에 확인함.  ↑ “Bombardier in the USA – Media Center”. Us.bombardier.com. 2014년 5월 7일에 확인함.  ↑ “MTA Capital Program Oversight Meeting”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January 2016. 2016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23일에 확인함.  ↑ “MTA 2017 Final Proposed Budget November Financial Plan 2017 – 2020 Volume 2 November 2016”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6년 11월 16일. 2016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MTA/New York City Transit – Fares and MetroCard”. 《web.mta.info》.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Transit & Bus Committee Meeting February 2016”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February 2016. 2016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11일에 확인함.  ↑ “MetroCard Calculator to ease fare increase pain – am New York”. 《am New York》.  ↑ “MTA/New York City Transit – Fares and MetroCard”. 《mta.info》.  ↑ “mta.info – Reduced-Fare”. 《mta.info》.  ↑ Salkin, Allen. “Old Metrocard Can Be a Fare-Ly Profitable Item”. 《New York Post》. 2016년 3월 13일에 확인함.  ↑ Faison, Seth (1993년 6월 2일). “3,000 Subway Riders, Cards in Hand, Test New Fare System”. 《The New York Times》. 2010년 4월 25일에 확인함.  ↑ Donohue, Pete (2014년 8월 26일). “With work on Greenpoint Tube set to end, advocates want free G-to-J/M transfer to be permanent”. 《New York Daily News》. 2016년 2월 28일에 확인함.  ↑ “NYC Transit G Line Review”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13년 7월 10일. 2016년 2월 28일에 확인함.  ↑ Newman, Andy. “Guide to NYC Subway”. 《FreshNYC》.  ↑ “MTA: Say Goodbye to Fun Cards”. 《WNYC》. 2016년 2월 9일에 확인함.  ↑ Newman, Andy (1998년 7월 3일). “Hop On, Hop Off: The Unlimited Metrocard Arrives”. 《The New York Times》. 2010년 1월 8일에 확인함.  ↑ Rivoli, Dan; Gregorian, Dareh (2016년 4월 12일). “MTA to solicit proposals for 'New Fare Payment System,' taking first step in finding MetroCard replacement”. 《New York Daily News》. 2016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뉴욕 지하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메트로폴리탄 트랜스포테이션 오서리티 vdeh뉴욕 지하철의 노선현재 운행중인 구간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A선 B선 C선 D선 E선 F선 G선 J선 Z선 L선 M선 N선 Q선 R선 W선 셔틀 계통 프랭클린 애비뉴 셔틀 42번가 셔틀 락어웨이 파크 셔틀 폐지된 구간 V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뉴욕_지하철&oldid=22860828" 분류: 뉴욕 지하철뉴욕주의 도시철도뉴욕의 철도 교통1863년 개통한 철도 노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번역 확장 필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기계 번역 의심 문서/2018년 5월모든 기계 번역 의심 문서기계 번역 의심 문서 - 문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贛語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7일 (토) 13: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뉴욕 지하철(New York City Subway)은 뉴욕 시에서 소유하고 메트로폴리탄 트랜스포테이션 오서리티 및 산하 교통기관인 광역교통국 (MTA)에서 운영하는 미국 뉴욕주 뉴욕의 도시 철도이다. 뉴욕 지하철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대중교통 중 하나며, 468개의 역과 총 연장 337km, 영업거리 1,056km, 실거리 1,355km의 도시철도 체계이다. 2011년 기준으로 뉴욕 지하철은 연간 16억 4천만 명이 이용하였으며, 평일 평균 528만 4천여 명, 토요일 평균 303만 3천여 명, 일요일 평균 236만 7천여 명이 이용하였다. 뉴욕 지하철의 역사는 1868년에 개통된 고가철도를 기반으로 하며, 1904년에는 최초로 지하터널로 운행되는 전철이 개통되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IRT와 BMT사가 지하철을 따로 운영을 하고 있었고, 1932년에는 시영인 IND사도 지하철을 운영하였다. 나중에는 뉴욕 시에서 IRT와 BMT사를 인수하여서 뉴욕 지하철을 하나의 체제로 통일시켰다. 1950년대에는 뉴욕 지하철에서 전 세계 최초로 에어컨이 설치된 지하철 객차가 등장하였다. 뉴욕 지하철은 세계에서 도쿄, 모스크바, 베이징, 난징, 서울, 광저우 이후로 7번째로 승객이 많은 도시철도 체계로, 아메리카와 서구권 국가를 통틀어 이용 승객 규모가 가장 많다. 또한, 미국에서 워싱턴 도시철도, 시카고 도시철도, 뉴저지 허드슨 도시철도(PATH), 필라델피아의 PATCO 선과 더불어 매일 24시간 운행한다. 다만 2020년 5월 4일부로 미국 내 코로나19 여파로 인하여 새벽 1시부터 5시까지는 일시적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뉴욕 지하철에서 메트로카드를 처음 사용한 때는 언제일까? Assistant: 1993년 11월 Human: 아래 픽트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픽트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픽트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픽트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픽트인의 석조물 픽트족의 십자가 픽트인(Picts)은 로마 제국 시기부터 10세기까지 스코틀랜드 북부와 동부에 거주하던 부족이다. 목차 1 민족 2 역사 3 함께 보기 4 각주 민족[편집] 픽트(Pict)라는 이름은 라틴어 핀게레(Pingere)에서 온 것으로 얼굴에 문신이나 색을 넣었다는 의미이다. 에메니우스는 297년 자신의 저서에서 이들을 픽트인이라 기록하고 있다. 픽트인이 스스로를 부른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1] 픽트인은 영국의 민족 가운데 하나인데, 그들의 실체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몇몇 학자들은 픽트인이 영국 원주민이 아니라고 말한다. 첫 번째 그들의 언어는 켈트어, 갈루아어, 브리튼 원주민어, 잉글랜드어와도 전혀 다른 언어 였다고 한다. 이들을 칼레도리아인의 후손으로 보기도 하지만, 브리튼 원주민은 사나운 픽트인을 좋아하지 않았고, 오히려 로마 교회에 동화되었다. 픽트인은 4개의 부족 연합체였고, 북부에만 고립된 민족이 아니라, 아일랜드인, 브리튼인, 스코트인, 앵글인, 색슨인과 모두 교섭하였다. 영화 킹아더에는 로마 교회에 동화된 영국 원주민 브리튼인과 픽트인, 색슨인이 등장한다. 여기에서 브리튼인과 픽트인은 관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기록에 따르면 픽트인은 브리튼 원주민 여성을 자주 납치하여 아내로 삼는 풍습이 있었다고 하며, 성격이 매우 사나웠다고 한다. 브리튼 원주민이 앵글족과 색슨족에 원병을 청한 이유도, 픽트인과 스코트인의 브리튼 원주민 압박의 배경이 있었다. 픽트인들 자신의 기원 설화에 따르면 그들이 스키타이에서 건너왔다고 주장한다. 스키타이는 중앙아시아계 민족에 속하고 장신에 강건한 체구를 가졌으며, 광대뼈가 나오고 털이 많았다고 한다. 픽트인은 스키타이와 같이 몸에 문신을 새기는 풍습이 있었다. 일부에서는 픽트라는 말이 문신이 아닌 배를 뜻하며, 이것은 배를 타고 건너온 사람이라는 은유적 표현이라고도 한다. 배를 타는 민족으로는 바이킹이 있었지만, 픽트인은 그들보다 거칠고 원시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6세기의 영국 수도승이었던 길다스가 기록하기를 털이 부수수하고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픽트인들이 배에 나누어 타고 로마인들이 버리고 간 스코틀랜드 지방에 "처음으로" 정착하였다고 한다. 즉 픽트인이 브리튼 원주민이 아니었다는 점이 유추되고 있다. 기원후, 800년대에 영국 수도승 네니우스(Nennius)는 픽트인은 처음 오크니 제도에 정착한 후, 남쪽으로 침입했다고 했고, 8세기초 노섬브리아 성직자 비드는 픽트인들이 보트를 타고 항해하다가 폭풍에 밀려 영국에 상륙했다고 기록했다. 픽트인은 처음 북아일랜드로 갔지만 켈트족이 나눠줄 땅이 없다고 하자 북부 영국으로 건너갔다는 것이다. 10세기 이전에는 픽트인이 스코트인을 정벌하였으나, 11세기 이후에는 스코트인이 픽트인을 정벌하여 통합되었다. 픽트인은 모계상속 사회였다. 왕실 혈통이 여성 핏줄로 계승되었는데, 그것은 스코트랜드 하이랜드 부족에게도 나타난다. 아이들의 양육은 친부가 아닌 양부에게 맡겨졌다고 한다. 이들은 어려서부터 무사 교육을 받았고 사냥을 즐겼다고 한다. 영국내 픽트인의 거주지는 대체로 포스 강과 클라이드 강 이북 지역이었으며 로마 시대 역사가들과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지도에 언급된 현재 스코틀랜드, 칼레도리아의 사람으로 추정하는데 명확하지 않다. 이들은 게일어로 달 리아타라 불린 픽트랜드 지역에 왕국을 세웠다. 11세기 알바 왕국이 팽창하자 픽트인은 독자적인 정체성을 상실하고 스코트족으로 동화되었다. 픽트인과 관련한 기록은 매우 적은 편이다. 6세기 베다 베네라빌리스가 남긴 《잉글랜드 교회사,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등에서 언급되고 있다. 오랫동안 픽트인은 그 생활상이 밝혀지지 않은 신비스런 부족으로 남아 있었다. 최근 유럽 각지의 고대 말과 중세 초의 역사를 비교하면서 픽트인에 대해 보다 자세한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편집] 900년 경 스코틀랜드의 국가서부의 달 리아타, 북동부의 포트리우는 픽트인의 부족 연맹체였다. 남부에 후일 스코틀랜드 왕국으로 발전한 알바 왕국이 위치해 있다. 유럽의 고대 말기에 픽트인이 몇 개의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픽트인은 로마 제국의 성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으며 그들의 주요 거점은 현재 스코트랜드 칼레도니아였다.[2] 픽트인의 역사의 시작 점이 정확히 어떤 시대인지 역사가들은 규정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구분과 명칭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변형되어 정확한 판단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암흑 시대라 불리던 유럽의 중세 초기에 이르러 픽트인에 대한 본격적인 기록이 이루어졌다. 이는 그 이전의 시기와 달리 스코틀랜드 북부에 강력한 권력이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서부의 달 리아타 왕국은 7세기 경 엥글로족의 왕국이었던 베르니시아의 속국이 된다. 베르니시아는 후일 노섬브리아 왕국으로 성장하여 당시 브리튼 섬에서 가장 강력한 왕국이 된다.[3] 9세기에 바이킹의 침공으로 달 리아타는 멸망한다. 바이킹의 왕 케틸 플레이트노우즈는 맨 섬, 아이슬란드와 더불어 달 리아타를 자신의 영토로 삼았으며 아이슬의 군주 칭호를 사용하였다. 840년대 무렵 케네스 맥알핀이 바이킹에 대항하여 군대를 일으켰으며 후일 알바 왕국을 건립한다. 알바 왕국은 10세기경부터 주변의 픽트인 왕국을 정복하였으며 11세기 무렵 스코틀랜드 전역을 자신의 영토로 하게 되었다. 이로써 픽트인이라는 명칭은 바이킹이 영국에 들어면서 자연스럽게 소멸되었고, 북부 픽트인은 스코트족에 동화되었고 중부 픽트인은 앵글로족에 동화되었다. 함께 보기[편집] 스코트족 앵글로족 색슨족 주트족 켈트족 데인족 노르만족 이베리아족 스키타이 노섬브리아 아이슬란드 각주[편집] ↑ The Cruithni are discussed by Byrne, Irish Kings and High-Kings, pp. 106–109, Ó Cróinín, Early Medieval Ireland, pp. 48–50. ↑ Geary, Patrick J., Before France and Germany: The cre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Merovingian World. Oxford U.P., Oxford, 1988. 0-19-504457-6 ↑ Higham, N. J., The Kingdom of Northumbria AD 350–1100. Sutton, Stroud, 1993. ISBN 0-86299-730-5 vdeh픽트인의 왕Rex Pictorum실존 불명(3??년-550년) 비포이그 카누툴라하마 우라데크 가르트나트 두베르 탈로르크 막 아히이르 드레스트 1세 탈로르크 1세 네크탄 1세 드레스트 2세 갈란 에릴리흐 드레스트 3세 드레스트 4세 가르트나트 1세 칼트람 탈로르크 2세 드레스트 5세 여러 사료에 언급(550년-848년) 갈람 케날라흐 브리데 1세 가르트나트 2세 네크탄 2세 키누흐 가르트나트 3세 브리데 2세 탈로르크 3세 탈로르간 1세 가르트나트 4세 드레스트 6세 브리데 3세 타란 브리데 4세 네크탄 3세 드레스트 7세 알핀 1세 옹구스 1세 브리데 5세 키니드 1세 알핀 2세 탈로르간 2세 드레스트 8세 코날 카우산틴 옹구스 2세 드레스트 9세 오가넌 우우라드 브리데 6세 키니드 2세 브리데 7세 드레스트 10세 (843년-900년)알핀가 키나드 1세 정복왕 돔날 1세 카우산틴 1세 아드 백화왕 기리크 행운왕 오하드 돔날 2세 광인왕  «  스코트인의 왕 »  vdeh켈트족고대 켈트족켈트학민족 게일인 브리튼인 픽트인 갈리아인 이베리아 켈트인 갈라티아인 장소 에린 달리어타 / 알바 철기 시대 브리튼 / 브리타니아 / 로마 이후의 브리튼 둠노니아 철기 시대 갈리아 / 로마령 갈리아 / 브르타뉴 갈라에키아 브리토니아 갈리아 키살피나 발칸 트란실바니아 갈라티아 종교 다신교 기독교 애니미즘 신화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브리튼 브르타뉴 콘월 사회 역법 법률 전쟁 전쟁 주화 미술 브리튼 제도 픽트 브로치 카르닉스 아르드크로스 인터레이스 매듭 미로 삼중와선 타라니스 근대 켈트족켈트 복고주의 켈트 국가 범켈트주의 켈트 협의회 켈트 동맹 음악 록 신이교주의 재건주의 켈틱 위카 신드루이드교 언어 이탈로켈트어 켈트 조어 도서 켈트어군 브르타뉴어 고이델어 대륙 켈트어군 켈티베리아어 갈리아어 갈라티아어 갈라에키아어 레폰트어 노리쿰어 세시풍속 서우인/칼란 가에아프 이몰륵/그윌 파이르 발타너/칼란 마이 루너서/칼란 아우스트 관련 목록 인물 부족 신 켈트 어원의 영어 낱말 켈트 어원의 스페인어 낱말 켈트 어원의 갈리치아어 낱말 갈리아 어원의 프랑스어 낱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픽트인&oldid=23411296" 분류: 영국의 역사켈트족영국의 민족픽트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Нохчийн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4일 (금) 0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픽트인(Picts)은 고대 브리튼섬의 민족으로, 로마 제국 시기부터 10세기까지 스코틀랜드 동부 및 북부에 거주하던 부족들이다. 현대에 여러 논쟁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켈트계 민족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략 11세기의 알바 왕국 시대에는 스코트인에 완전히 동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달 리아타는 누구때문에 멸망해? Assistant: 바이킹
Human: 아래 제3차_세계_대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3차 세계 대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세계 대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98년 독일 모큐멘터리에 대해서는 세계대전 III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54년 3월 비키니 환초에서 수행된 고에너지 핵실험. 핵전쟁은 제3차 세계 대전 시나리오의 공통된 주제다. 그러한 갈등은 인류 자체의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제3차 세계 대전(World War III, 第三次世界大戰)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가상의 전 세계적인 대규모 무력 분쟁에 붙여진 명칭이다. 명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로 사용되고 있다. 몇몇 경우에서는 냉전이나 테러와의 전쟁 같은 제한전에 대한 은유로 사용되고, 다른 경우에서는 강도와 범위 그리고 파괴력에서 이전의 세계 대전을 뛰어넘을 전쟁에 대한 가정 하에서 사용되어 왔다.[1] 제2차 세계 대전 막바지의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 그리고 그 이후 다수의 국가들에 의한 개발과 배치로 인해, 제3차 세계 대전을 가정할 때 흔히 등장하는 주제는 지구 문명과 생명에의 핵 파괴의 잠재적 위험이다. 다른 주요한 우려는 생물전이, 의도적이나 비의도적으로 생물 무기가 유출되거나, 예상치 못한 돌연변이가 발생하거나, 사용 후 다른 종에 적응하는 등에 의해, 많은 사상자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1947년 냉전의 도래와 핵무기 기술의 소련으로의 확산과 함께, 제3차 세계 대전의 가능성이 더욱 현실화되었다. 냉전 동안 제3차 세계 대전의 가능성이 예측되었고 여러 나라의 군사 및 민간 기관에서 예상 시나리오를 계획했었다. 시나리오들은 재래전부터 제한 또는 전면 핵전쟁까지 다양하다. 냉전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무렵의, 상호확증파괴라는 시나리오에선 인류가 한계를 넘어선 극단의 핵전쟁을 일으켜 행성 자체를 파멸로 이끌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인류의 파멸에 대한 공포는 미국과 소련의 지도자들이 그러한 시나리오를 피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목차 1 가능성 2 군사 시나리오와 계획 2.1 언싱커블 작전 2.2 드롭샷 작전 2.3 그랜드 슬램, 롱스텝, 메인브레이스 훈련 2.4 스트라이크백 작전 2.5 리포저 훈련 2.6 라인 강까지 7일 작전 2.7 에이블 아처 훈련 2.8 전략방위구상 3 역사상의 위기 4 예상 결과에 대한 시각 5 각주 6 참고 문헌 가능성[편집] 1945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 시발점이 되어서 1941년 일본 제국의 미국 하와이의 진주만 공습으로 확대된 제2차 세계대전은 종식되었다. 그러나 대전이 종전된 이후에 세계는 자본주의를 앞세운 미국 및 서유럽 국가와 사회주의를 앞세운 소련 및 동유럽 국가의 동서냉전이 만들어지고 그 결과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중동전쟁, 걸프전쟁 등이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고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강대강의 힘겨루기가 펼쳐져서 자칫 제3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세계 각국에는 주변국간의 영토 분쟁, 국경 분쟁 등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고 여기에 중동과 아프리카 일부 국가의 내전까지 발생하여 전쟁의 발발 위기가 곳곳에서 도사리고 있다. 군사 시나리오와 계획[편집] 냉전 초기부터 군사 전략가들은,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 다양한 시나리오들을 실험해 오고 있다. 그중 몇몇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기밀이 해제되어 있다. 언싱커블 작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언싱커블 작전입니다. 영국의 총리 윈스턴 처칠은 전쟁 종결 기간에 유럽에 배치된 소련군의 엄청난 크기와 믿을 수 없는 소련의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이 서유럽에의 심각한 위협이었기 때문에 이를 염려했다. 1945년 4-5월 영국군은 '언싱커블 작전'을 개발했다. 제3차 세계 대전 계획의 주된 목적은 "미합중국과 대영제국의 의지대로 러시아를 이용하는 것" 이었다.[2] 그 계획은 군사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는 이유로 영국의 참모본부 의장에 의해 거절됐다. 드롭샷 작전[편집] "드롭샷 작전(Operation Dropshot)"은 서유럽과 아시아 전역에서의 소련과의 핵전쟁과 재래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1950년대 미국의 비상 사태 계획이다. 당시 미국의 핵 보유고는 제한되어 있었고, 미국 국내에 위치해 있었으며, 폭격기에 투발을 의존했다. 드롭샷 작전은 한 차례 공격으로 소련 산업 역량의 85%를 파괴하기 위해 100개 도시의 200개의 타격 목표에 핵무기 300기와 고폭탄 29,000기를 사용하는 계획을 포함했다. 핵무기 300기 중 75기에서 100기 정도는 지상에 배치된 소련 군용기들을 파괴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시나리오는 대륙간탄도유도탄 개발 이전에 수립되었다. 이는 또한 로버트 맥나마라와 케네디 대통령이 미국의 핵전쟁 계획을 '도시 섬멸(city killing)' 대도시 공격 작전에서 군부대에 목표를 둔 계획("counterforce")으로 수정하기 이전이었다. 당시의 핵무기는 인접 도시를 파괴하지 않으면서 기지를 타격할 만큼 정밀하지 않았기에, 핵무기 사용의 목적은 적의 전시 경제에 손실을 주기 위해 적의 산업력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그랜드 슬램, 롱스텝, 메인브레이스 훈련[편집] 1950년 1월,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각료이사회(North Atlantic Council)에서 NATO의 봉쇄 정책을 승인했다.[3] NATO의 군사 전략은 1950년대 초 한국 전쟁의 발발에 따른 새로운 위기에 따라, NATO가 즉시 "공격을 단념시키고 서유럽의 방위를 보장해 주기에 적합한, 중앙집권적 지휘 체계"를 설립하도록 했다.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가 1951년 4월 2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육군 원수 지휘하에 창설되었다.[4][5] 서유럽 연합 방위 기구(WUDO)는 이미, 1949년의 해군 항공대와 잠수함 타격을 포함한 연합 훈련인 베리티 훈련(Exercise Verity)을 실시했다. 1952년 메인브레이스 훈련(Exercise Mainbrace)에서 소련군 공격에 대항한 노르웨이와 덴마크 방어 훈련을 위해 총 200척의 군함과 50,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었다. 이 훈련은 최초의 대규모 NATO 훈련이었다. 훈련은 대서양 연합군 최고사령부(Supreme Allied Commander Atlantic)의 린드 D. 맥코닉(Lynde D. McCormick) 미국 해군 제독과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매슈 리지웨이 미국 육군 장군의 합동 지휘하에 1952년 가을 실시되었다.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네덜란드, 벨기에가 참여했다. 그랜드 슬램 훈련(Exercise Grand Slam)과 롱스텝 훈련(Exercise Longstep)은 1952년 지중해에서 적 점령군 및 상륙강습 격퇴 훈련을 위해 진행된 해군 훈련이다. 훈련은 로버트 카니(Robert Carney) 제독의 지휘하에 군함 170척과 군용기 700기가 참여했다. 훈련 지휘관 카니 제독은 "우리는 4개국 모두의 고위 지휘관들이 성공적으로 다국적 전투단을 책임지고 부대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발언하며 그랜드 슬램 훈련의 성과를 요약했다.[6] 소련에서는 훈련에 대해, 특히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참여에 대해, NATO의 "호전적 행위"라 칭했으며, 동독 소련군 주둔 지역에서의 작전을 준비했다.[7][8] 스트라이크백 작전[편집] 스트라이크백 작전(Operation Strikeback)은 1957년 실시된 대규모 NATO 훈련으로, NATO에 대한 소련의 총공격에의 대응을 실험했다. 훈련에는 미국 해군, 영국 왕립해군, 캐나다 왕립해군(Royal Canadian Navy), 프랑스 해군, 네덜란드 왕립해군(Royal Netherlands Navy), 노르웨이 왕립해군(Royal Norwegian Navy)에서 200척의 군함, 650기의 군용기, 75,000명의 인원이 참여했다. 당대 최대의 평시 해상 작전으로서, 스트라이크백 작전은 뉴욕 타임스의 군사 분석가 핸슨 W. 벌드윈(Hanson W. Baldwin)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의 다국적 공격 함대를 구성한" 것으로 특징지어졌다.[9] 리포저 훈련[편집] 만약 실행되었다면, 리포저 작전에서는 1987년 어니스트 윌 작전(Operation Earnest Will)에서의 이 수송함과 같이 수송함들이, 더 큰 규모로 동원되었을 것이다. 병력은 쉽게 대서양 건너로 공수될 수 있지만, 중장비나 기갑 증원 병력은 해상 수송되었을 것이다. 리포저 훈련(Exercise Reforger(return of forces to Germany, 독일로의 병력 송환))은 냉전 동안 실시된 NATO의 연례 훈련이다. 훈련은 NATO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의 충돌 시 서독으로 병력을 배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냉전 동안 재래식 병력, 특히 기갑 병력에서 NATO를 압도했다. 따라서, 소련의 침공 시, 전술핵 공격에 의지하지 않기 위해, 바르샤바 조약군의 선봉 기갑전력에 대항해 전선을 유지하는 NATO 병력은 빠르게 재보급 및 재배치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지원의 대부분은 대서양 건너 미국과 캐나다에서 올 것이었다. 리포저 훈련은 단순히 병력 전시만이 아니었다—전시에는, 유럽에서 NATO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실제의 계획이 될 것이었다. 그 경우, 리포저 작전(Operation Reforger)으로 불리게 될 것이었다. 리포저 훈련 및 작전의 중요한 요소들에는 미국 군사공수군단(Military Airlift Command), 군사해상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민간예비항공대(Civil Reserve Air Fleet)도 포함되었다. 라인 강까지 7일 작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라인 강까지 7일 작전입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공은 독일을 통과하는 세 개의 주요 경로상에서 진행될 것이었다 라인 강까지 7일 작전은 1979년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서 개발된 극비의 군사 실험이다. 작전은 제1격 시나리오에서 NATO가 비스와 강 유역에 핵공격을 가해, 폴란드에 민간인 2백만여 사상이 발생한다는 가정에서 시작한다. 그 대응으로, 서독,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에 대항해, 바르샤바 조약군 병력이 서독을 침공해 7일째에 라인 강에 도달한다는 목표의 작전이 실행될 것이었다. 다른 소련군 계획에서는 9일째에 프랑스 국경에 도달하는 것만을 목표로 삼았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 각국은 전략 구상에서 각국에 할당된 부분만을 담당했다; 이 경우, 폴란드 병력은 독일까지만 진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라인 강까지 7일 작전은 폴란드와 독일이 핵전쟁으로 대부분 파괴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다수의 병력에서 급성방사선증후군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NATO가 소련군의 보급을 끊고 바르샤바 조약군의 진격을 둔화시키기 위해 진격하는 소련군의 후방으로 핵무기를 발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작전은 NATO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침공을 격퇴하기 위해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추정했지만, 프랑스나 영국에 대한 핵공격은 포함하지 않았다. 이 작전의 기밀이 해제되었을 때, 언론에서는 프랑스와 영국이 보유한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타격의 대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추측했다. 에이블 아처 훈련[편집]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에이블 아처 83 훈련이 소련의 제1격 명령에 얼마나 근접했는지 이후 서방에 폭로한 소련의 이중첩자 올레크 고르뎨프스키(Оле́г Гордие́вский) 에이블 아처 훈련(Exercise Able Archer)은 미국 유럽 주둔군에서 전시의 통상 재래전 작전부터 화학전, 핵전쟁에 동반된 재래전 작전까지의 지휘통제 절차 훈련을 위해 실시한 연례 훈련이다. "에이블 아처 83(Able Archer 83)"은 1983년 11월 7일부터 실시된 5일 동안의 NATO의 지휘통제 군사연습으로, 서유럽에 걸쳐, 몽스 북쪽의 카스토(Casteau)에 위치한 유럽 연합군 최고사령부에서 실시되었다. 에이블 아처 훈련은, 연합 핵공격으로 끝나는, 일련의 충돌 확대를 실험했다.[10] 1983년 훈련의 현실적인 면이, 미국과 소련 사이의 급전직하하는 관계와 유럽에의 퍼싱 II 전술 핵미사일 도착 예정과 겹쳐져, 소련 공산당 정치국의 몇몇 국원들에게 에이블 아처 83이 실제의 제1격을 은폐하기 위한, 속임수라고 믿게 했다.[10][11][12][13] 그 대응으로, 소련에서는 핵전력과 동독과 폴란드에 주둔한 공군 부대들을 대기시켰다.[14][15] 이 "1983년 전쟁 위기"는 많은 역사가들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세계가 핵전쟁에 가장 가까웠던 일로 생각한다.[16] 핵전쟁 위기는 11월 11일 훈련 종료와 함께 종결되었다.[17][18] 전략방위구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전략방위구상입니다. 전략방위구상(SDI)은 1983년 3월 23일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제안했다.[19] 그의 임기 후반, (1983년 영화 그날 이후를 본 것과 소련에서 전향해온 이에게서 에이블 아처 83 훈련이 소련의 제1격을 일으킬 뻔했다는 것을 들은 것을 포함한)많은 요인들이 로널드 레이건이 핵전쟁에서의 승리라는 개념을 부정하고, 핵무기를 전략적 억지력이 아니라 "와일드 카드"로 보게 만들었다. 그는 이후 군축 조약들이 핵무기의 수와 위험 수위를 낮춤으로써 핵무기의 위협을 둔화시킬 거라고 믿지만, 그는 또한 기술적 해결책이 ICBM의 요격을 가능하게 하여, 미국이 제1격에 당하지 않게 할 거라고 믿었다. 하지만 소련은 SDI 개념을 주요한 위협으로 보았는데, 체계의 일방적 배치가 미국이 반격의 걱정 없이 소련에 강력한 제1격을 가하게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었다. SDI의 개념은 핵 탄도유도탄 공격으로부터 미국을 지키기 위해 지상과 우주 기반 체계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구상은 이전 상호확증파괴의 공격적 교리 대신 전략 방어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략방위구상을 감독하기 위해 전략방위구상기구(Strategic Defense Initiative Organization)가 미국 국방부 산하에 1984년 설립되었다. 역사상의 위기[편집] 1950년대부터 군비 경쟁의 발달과 함께, 종말을 불러올 미국과 소련 사이의 전쟁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역사적 사건들 중 핵 갈등을 불러올 수 있는 잠재적 시발점으로 생각되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한반도를 차지하려 한 두 세력 간의 전쟁: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 세력, UN과 미국의 지원을 받은 자본주의 세력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건이 세 초강대국 간의 전면전으로 확대될 거라 생각했다. CBS 뉴스의 빌 다운즈(Bill Downs) 기자는 1951년에 "내 생각에, 그 답변은: 그렇다. 한국은 제3차 세계 대전의 시작이다. 인천에서의 놀라운 상륙과, 국제연합군과 함께한 미군의 합동 작전은 우리에게 한국에서의 승리를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이것은 극동과 전 세계를 둘러싼 주요 국제 분쟁에서의 첫 전투일 뿐"이라 발언했다.[20] 그는 1968년 ABC 월드 뉴스의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보도 때에도 이 주장을 반복했다.[21] 1962년 10월 15일 – 28일 쿠바 미사일 위기: 실패한 피그스 만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쿠바에 소련 핵미사일을 배치한 데 따른 긴장은 제3차 세계 대전을 촉발시킬 수 있던 핵전쟁에 가장 가까웠던 것이라 생각된다. 긴장은 커티스 르메이(미국 공군 대장)가 모든 정찰 비행을 보류하라는 대통령령을 거부한 후에 U-2 한 기가 쿠바 상공에서, 다른 한 기가 시베리아에서 격추되고, 소련 잠수함이 폭뢰 공격을 당하자 (바실리 아르키포프(Василий Архипов)라는 장교에 의해 의해 발사 중지된)핵어뢰 발사 직전까지 갔던 10월 27일에 최고조에 이르렀다. 1973년 10월 6일 – 25일 욤 키푸르 전쟁 또는 라마단 전쟁, 10월 전쟁은 아랍의 승리로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은 성공적으로 반격했다. (이스라엘을 지원하던)미국과 (아랍 국가들을 지원하던)소련 사이 긴장이 조성되었다. 미국과 소련 함정들은 서로를 향해 발포할 만큼 가까이 다가왔다. 미 해군 제독은 정찰을 통해 소련 함대가 자신의 함대를 공격할 가능성이 40%임을 관측했다. 펜타곤은 DEFCON 레벨을 4에서 3으로 격상시켰다.[22] 두 초강대국은 전쟁 직전까지 몰렸으나, 긴장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339호를 통해 해소되었다.[23][24] 1979년 11월 9일 소련의 총공격이 일어났다는 정보가 NORAD의 화면에 나타나자, 미국은 비상시 보복을 준비했다.[25]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소련과의 핫라인 "레드 텔레폰"을 사용하려는 시도는 없었고, 미국의 조기경보 시스템이 소련의 발사가 일어난 적이 없다고 하기 전까지 NORAD는 컴퓨터 시스템이 화면 에러를 일으켰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당시 NORAD에 있던 한 상원의원은 분위기가 완전한 패닉이었다고 묘사했다. 미국 회계 감사원에서는 비슷한 실수를 막기 위해 시설 외적인 테스트 시설 구축을 지시했다.[26] 1983년 9월 26일 소련의 핵무기 조기경보 시스템에 미국의 핵무기 기지에서의 미니트맨 ICBM 발사를 나타내는 오류 경고가 나타났다. 당시 시스템이 단순히 오작동했다는 것(이후의 조사에서 밝혀짐)을 깨달은 소련 방공군 장교 스타니슬라프 페트로프가 반격을 막았다.[27][28] 1983년 11월 2일 – 11일 DEFCON 1 핵공격으로 끝나는 충돌 확대를 가정한 10일 동안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에이블 아처 83 훈련 동안, 소련 공산당 정치국과 소련군에서는 일련의 사건들이 실제 선제 공격을 은폐하기 위한 속임수라고 판단했다. 그 대응으로, 군에서는 동독과 폴란드의 바르샤바 조약 기구 회원국들의 핵전력을 대기시키고 공군 병력을 배치하는 등 합동으로 반격을 준비했다. 하지만, 에이블 아처 훈련이 종료되면서 소련의 반격 준비는 중지되었다. 1995년 1월 25일 노르웨이 로켓 사건은 노르웨이와 미국 과학자들에 의해 발사된 블랙 브란트 XII(Black Brant XII) 관측 로켓의 레이다 신호가 러시아의 오레네고르스크(Оленегорск) 조기경보 레이다에서 트라이던트 미사일과 혼동되면서 일어났다. 그 대응으로, 러시아의 대통령 보리스 옐친이 소환되었고 최초로, 유일하게, 체게트 핵가방이 활성화되었다. 하지만 사령부는 곧 로켓이 러시아 영공으로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투 준비태세와 반격을 신속히 중단시켰다. 이후 로켓 과학자들이 사전에 러시아 포함 30개국에 테스트 발사를 알렸으나, 그 정보가 러시아 레이다에는 도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29][30] 예상 결과에 대한 시각[편집] 자주 인용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격언으로 "제3차 세계 대전에는 어떤 무기로 싸울지 알 수 없지만, 제4차 세계대전에는 몽둥이와 돌을 들고 싸울 것이다"가 있다."[31] 제3차 세계 대전이 배경이 되는 책, 비디오 게임 등의 많은 창작물이 존재한다. 각주[편집] ↑ The New Quotable Einstein. By Alice Calaprice (2005), p. 173. ↑ British War Cabinet, Joint Planning Staff, Public Record Office, CAB 120/691/109040 / 002 (1945년 8월 11일). “Operation Unthinkable: 'Russia: Threat to Western Civilization'”. Department of History, Northeastern University. 2008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 (online photocopy)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28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Lord Ismay. “Chapter 3 – The Pace Quickens”. 《NATO the first five years 1949–1954》. NATO.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Chapter 4 – The Pace Quickens”. 《NATO the first five years 1949–1954》. NATO.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X" (July 1947). “The Sources of Soviet Conduct”. 《Foreign Affairs》 25 (4): 575–576. ISSN 0015-7120. JSTOR 20030065. doi:10.2307/20030065.  ↑ “U. S. Navymen Work on NATO Team” (PDF). 《All Hands》. BUPERS - U.S. Navy. September 1952. 31–35쪽. 2004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Time, 29 September 1952 ↑ "NATO Ships Enter Baltic Sea" – Sydney Morning Herald, p. 2 ↑ Baldwin, Hanson W. (1957년 9월 22일). “100 Fighting Ships in Vast Exercise”. 《New York Times》.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Benjamin B. Fischer (2007년 3월 17일). “A Cold War Conundrum: The 1983 Soviet War Scar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9년 1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and Gordievsky, Comrade Kryuchkov's Instructions, 85–7. ↑ Beth Fischer, Reagan Reversal, 123, 131. ↑ Pry, War Scare, 37–9. ↑ Oberdorfer, A New Era, 66. ↑ SNIE 11–10–84 "Implications of Recent Soviet Military-Political Activiti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8 May 1984. ↑ John Lewis Gaddis & John Hashimoto. “COLD WAR Chat: Professor John Lewis Gaddis, Historian”. 2005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and Gordievsky, Comrade Kryuchkov’s Instructions, 87–8. ↑ Pry, War Scare, 43–4. ↑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Missile Defense Milestones. Accessed 02 May 2017. ↑ Downs, Bill (March 1951). “World War III in Asia?”. 《See Magazine》.  ↑ Downs, Bill (1968년 1월 25일). “The USS Pueblo incident”. 《ABC Evening News with Bob Young》. ABC Evening News. 2013년 11월 8일에 확인함.  ↑ http://www.globalpost.com/dispatches/globalpost-blogs/commentary/the-little-known-us-soviet-confrontation-during-yom-kippur-wa ↑ “보관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 http://www.psupress.org/books/titles/0-271-01489-X.html ↑ “CBC Digital Archives”. 《http://www.cbc.ca/archives/categories/war-conflict/defence/norad-watching-the-skies/norad-false-alarm-causes-uproar.html》. CBC.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url=이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Andrews, Evan. “5 Cold War Close Calls”. 《http://www.history.com》. The History Channel.  |websit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Hoffman, David (1999년 2월 10일). “I Had A Funny Feeling in My Gut”. Washington Post.  ↑ Shane, Scott. “Cold War's Riskiest Moment”. Baltimore Sun, 31 August 2003 (article reprinted as The Nuclear War That Almost Happened in 1983).  ↑ “January 25, 1995--The Norwegian Rocket Incident”. United States European Command. 2012년 1월 23일. 2012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8일에 확인함.  ↑ Hoffman, David (1998년 3월 15일). “Cold-War Doctrines Refuse to Die”.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 Calaprice, Alice (2005). 《The new quotable Einstei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3쪽. ISBN 0-691-12075-7.  참고 문헌[편집] 새뮤얼 P. 헌팅턴 (1996).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the Remaking of World Order Simon & Schuster, New York. ISBN 0-684-84441-9. Langford, David (1981). 《War in 2080 : the future of military technology》. London: Sphere Books. ISBN 978-0-7221-5393-2.  Mearsheimer, John (2001).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W. W. Norton, New York. ISBN 978-0393349276. Pamidi, G.G. (2012). 《Possibility of a nuclear war in Asia : an Indian perspective》. New Delhi: United Service Institution of India : Vij Books India. ISBN 93-81411-51-4.  Piepers, Ingo (2016). 2020: WARning. Conijn Advies. ISBN 9082411814.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제3차 세계 대전 vdeh세계 변동 위험인류 종말 논법  · 운명의 날 시계  · 마지막 날 문화  · 마지막 날 기계종말론 2012년 종말론 하르마게돈 이슬람의 종말론 종말론 라그나로크 아포칼립스 마지막 날 최후의 심판 기술적 상호확증파괴 인조 지능 로봇의 반란 기술적 특이점 질량 궤도 폭격 트랜스휴머니즘 사회학적 맬서스의 재앙 신세계 질서 핵무기 대학살 사회 붕괴 제3차 세계 대전 외계의 침공 생태학적 생태계 파괴 인간이 환경에게 끼친 영향 캐스케이드 효과 남획 개체수 과잉 인구 폭발 가축의 개체수 과잉 지구의 미래 우주의 종말 생물학적 절멸 인간 멸종 유전적 침식 유전자 공해 범유행 생물 작용제 열성학 물리학적 대함몰 대파열 코로나질량방출 지구의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한 멸종 위협 감마선폭발 그레이 구 시나리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세계_대전&oldid=23990606" 분류: 가공의 전쟁종말론종말 시나리오숨은 분류: 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외부 링크인용 오류 - URL이 없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ietuvi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13: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3차 세계 대전(World War III, 第三次世界大戰)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발한 전세계적인 대규모 무력 분쟁에 붙여진 명칭이다. 명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로 사용되고 있다. 몇몇 경우에서는 냉전이나 테러와의 전쟁 같은 제한전에 대한 은유로 사용되고, 다른 경우에서는 강도와 범위 그리고 파괴력에서 이전의 세계 대전을 뛰어넘을 전쟁에 대한 가정 하에서 사용되어 왔다.제2차 세계 대전 막바지의 핵무기의 개발과 사용, 그리고 그 이후 다수의 국가들에 의한 개발과 배치로 인해, 제3차 세계 대전을 가정할 때 흔히 등장하는 주제는 지구 문명과 생명에의 핵 파괴의 잠재적 위험이다. 다른 주요한 우려는 생물전이, 의도적이나 비의도적으로 생물 무기가 유출되거나, 예상치 못한 돌연변이가 발생하거나, 사용 후 다른 종에 적응하는 등에 의해, 많은 사상자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1947년 냉전의 도래와 핵무기 기술의 소련으로의 확산과 함께, 제3차 세계 대전의 가능성이 더욱 현실화되었다. 냉전 동안 제3차 세계 대전의 가능성이 예측되었고 여러 나라의 군사 및 민간 기관에서 계획했었다. 계획들은 재래전부터 제한 또는 전면 핵전쟁까지 다양하다. 냉전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무렵의, 상호확증파괴라는 시나리오에선 인류가 한계를 넘어선 극단의 핵전쟁을 일으켜 행성 자체를 파멸로 이끌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인류의 파멸에 대한 공포는 미국과 소련의 지도자들이 그러한 계획을 피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리포저 훈련의 개념과 목적은 무엇인가? Assistant: 리포저 훈련(Exercise Reforger(return of forces to Germany, 독일로의 병력 송환))은 냉전 동안 실시된 NATO의 연례 훈련이다. 훈련은 NATO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의 충돌 시 서독으로 병력을 배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바르샤바 조약 기구는 냉전 동안 재래식 병력, 특히 기갑 병력에서 NATO를 압도했다. 따라서, 소련의 침공 시, 전술핵 공격에 의지하지 않기 위해, 바르샤바 조약군의 선봉 기갑전력에 대항해 전선을 유지하는 NATO 병력은 빠르게 재보급 및 재배치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지원의 대부분은 대서양 건너 미국과 캐나다에서 올 것이었다. 리포저 훈련은 단순히 병력 전시만이 아니었다—전시에는, 유럽에서 NATO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실제의 계획이 될 것이었다. 그 경우, 리포저 작전(Operation Reforger)으로 불리게 될 것이었다. 리포저 훈련 및 작전의 중요한 요소들에는 미국 군사공수군단(Military Airlift Command), 군사해상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민간예비항공대(Civil Reserve Air Fleet)도 포함되었다. Human: 아래 도요토미_히데요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요토미 히데요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요토미 히데요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시바 히데요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 秀吉 오동나무 가몬 시대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출생 덴분 6년 2월 6일 (1537년 3월 17일)[1] 사망 게이초 3년 8월 18일 (1598년 9월 18일) 개명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郞), 기노시타 히데요시, 하시바 히데요시 별명 도키치로(통칭), 모멘 도키치(木綿藤吉), 도요 다이코(豊太閤) 신호 豊国大明神 계명 国泰祐松院殿霊山俊龍大居士 묘소 교토부 교토 시 히가시야마 구 도요쿠니 신사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시 히가시 구 후도인 관위 지쿠젠노카미, 종오위하 좌근위소장, 종사위하 참의, 종삼위 대납언, 정이위 내대신, 종일위 관백, 태정대신, 증 정일위 주군 마쓰시타 유키쓰나 → 오다 노부나가 → 히데노부 씨족 본성: 헤이시 → 후지와라 씨 → 도요토미 씨성: 기노시타 씨 → 하시바 씨 부모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어머니: 오만도코로계부: 지쿠아미 양부: 고노에 사키히사 형제 누나: 닛슈(미요시 요시후사의 아내)동생: 도요토미 히데나가아사히히메(사지 휴가노카미의 아내 → 소에다 요시나리의 아내, 이혼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내)[2] 아내 정실: 기타노만도코로[3](아사노 나가카쓰의 양녀)계실: 요도도노(아자이 나가마사의 딸) 외 자녀 하시바 이시마쓰마루도요토미 쓰루마쓰히데요리양자: 도요토미 히데쓰구 외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어식 한자 표기: 豊臣 秀吉 가나 표기: とよとみ ひでよし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도요토미 히데요시 로마자: Toyotomi Hideyoshi 도요토미 히데요시(일본어: 豊臣秀吉, 1537년 3월 17일[1]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라는 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라는 이름을 사용했다.[4] 그 자신의 가신(家臣)이기도 했던 일본의 무장인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인 이토(伊藤)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목차 1 개요 2 생애 2.1 출신 2.2 이마가와 가신 2.3 오다 가신 2.4 오다 정권 아래 2.5 혼노지의 변에서 기요스 회의 2.6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대립 2.7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대립 2.8 도요토미 정권 2.9 규슈 평정 2.10 오다와라 평정 2.11 일본 통일 2.12 임진·정유왜란 2.12.1 임진왜란의 원인 2.12.2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 2.12.3 임진왜란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작전의 의도 2.12.4 군사력 증강 2.13 바테렌 추방령 2.14 도요토미 히데쓰구 사건 2.15 정유재란 2.16 죽음 2.17 임진왜란의 종료와 그 결과 3 인물평 4 신체적 특징 5 관련 작품 5.1 드라마 5.1.1 한국 5.1.2 일본 5.2 영화 5.3 뮤지컬 5.3.1 한국 6 함께 읽기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와리 국(尾張国) 아이치 군(愛知郡) 나카무라(中村)에서 빈농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를 섬겼으며 오다 가문 안에서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죽자 주고쿠에서 대군을 이끌고 교토로 돌아와 야마자키 전투(山崎の戦い)에서 역신 아케치 미쓰히데(明智光秀)를 격파하고, 오다 노부나가를 대신해 그의 사업을 계승하였다. 그 후, 오사카 성(大坂城)을 쌓았으며 관백(関白),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임명되었다. 또, 조정으로부터 도요토미(豊臣)라는 성을 하사받아 일본 전국을 통일하는 데 이바지 하였다. 태합검지(太閤検地)와 가타나가리(刀狩)라는 정책을 펴 일본 국내를 안정시켰지만, 조선 침략 전쟁인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과오도 범했다. 임진왜란 중 조카인 관백 히데쓰구를 죽여 후계를 아들 히데요리(秀頼)에게 주었지만, 얼마 안 있어 죽음을 맞이한다. 이후 히데요리의 보좌는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를 필두로 한 고다이로(五大老)에게 위임하였다. 스노마타 성(墨俣城), 이시가키 산성(石垣山城)을 하룻밤에 완성했다는 이야기와, 가나가사키(金ヶ崎)에서의 퇴각에 있어 후위부대를 맡은 일, 다카마쓰 성 수공(高松城の水攻め) 등 그의 재능을 살린 많은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고, 농민 출신에서 천하인의 자리에까지 오른 그의 생애는〈센고쿠 시대 제일의 출세가〉라는 정평이 나있다. 생애[편집] 출신[편집] 오와리 국 아이치 군 나카무라(현 나고야 시 나카무라 구)의 농민 출신이라고 알려진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과 어머니 나카(なか)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년에 관해서는 덴분 5년(1536년)이라고 전해져 오지만, 최근 덴분 6년(1537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아버지 야에몬의 성씨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출생일은 음력 1월 1일이며 아명은 히요시마루(日吉丸)라고 하지만[5], 이는《회본태합기(絵本太閤記)》의 창작으로 실제 태어난 날은《천정기(天正記)》와 가신 이토 히데모리(伊藤秀盛)가 기재한 덴분 6년(1537년) 음력 2월 6일생으로 보고 있다. 널리 유포된 설로는 아버지 기노시타 야에몬이 전사한 후, 어머니 나카는 지쿠아미(竹阿弥)와 재혼하였지만, 양아버지 지쿠아미와 히데요시의 관계는 험악하여 언제나 학대를 받았다고 한다. 이에 히데요시는 집을 뛰쳐나와 무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스루가 국으로 향했다고 한다.《태합소성기(太閤素性記)》에 따르면 7세 때, 아버지 야에몬과 결별하고 8세에 고메이지(光明寺)에 가 불문에 입적하지만, 곧 뛰쳐나왔고, 15세에 망부의 유산 일부를 가지고 집을 나와 방랑했다고 한다. 그러나,《태합기(太閤記)》에서는 지쿠아미를 히데요시의 실제 아버지로 보고, 기노시타(木下)라는 성도 아버지로부터 받은 성이 아니라는 의혹과 아내 네네(ねね)의 어머니쪽 성이라는 투로 적고 있다. 히데요시의 출신에 관해서는 문학박사 겸 역사학자 오와다 데쓰오(小和田哲男)는 목수나 대장장이 등의 기술자 집단 출신설을 채택하였고, 역사학자 이시이 스스무(石井進)는 행상인 설 등 비농업종사자 설을 채택했다. 또, 일본가문연구회(日本家紋研究会)의 다카자와 히토시(高澤等)는 히데요시 일족이 사용한 택사문(沢瀉紋)과 히데요시의 통칭 도키치로(藤吉郎), 또, 누나 닛슈(日秀), 아사히(朝日)의 남편의 출신 및 미즈노 가문(水野氏) 설이 있는 계부 지쿠아미 등을 포함해 히데요시 자신도 미즈노 가문 출신이지 않느냐는 설을 역사독본(歴史読本)에 투고하였지만, 현 시점에서는 의혹 대부분이 불분명하다고 말할 수 있다. 출신성분이나 생년월일 등은 그가 천출임을 의식하여 당대에나 후대에 왜곡, 윤색되어 기록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마가와 가신[편집] 처음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郎)로 이름을 올려 이마가와 가문의 가신 가문인 이노 가문이 지배하는 도토미 국 나가카미 군 즈다지 장원(현 하마마쓰 시 미나미 구 즈다지 정)의 즈다지 성(頭陀寺城) 성주 마쓰시다 유키쓰나(松下之綱)를 섬겨 이마가와 가문의 가신이 되었다. 도키치로는 어느 정도 성과를 냈지만, 곧 가신의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 후, 마쓰시다 유키쓰나는 이마가와 가문 몰락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덴쇼 11년(1583년) 히데요시에게 단바 국과 가와치 국의 1,600석을 받았다. 덴쇼 18년(1590년)에는 오다와라 정벌의 공으로 도토미 국 구노 성 16,000석을 받았다. 오다 가신[편집] 이나바 산을 오르는 히데요시쓰키오카 요시토시作《月百姿》중 7번째 이나바 산과 달 덴분 23년(1554년) 무렵 오다 노부나가의 고모노(小者)[6] 로서 일한다. 기록에 보면 그는 노부나가의 눈에 들기 위해 온갖 잔일을 도맡으면서 게을리 하지 않았는데, 《선조실록》에는 그가 노부나가에게 고용되기 전에 그의 행차 앞에 옷을 벗고 드러누워 있었는데 부하들이 죽이려는 것을 노부나가가 제지하고 나서 소원을 물으니, "도저히 제가 가난해서 살 수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여 노부나가가 그에게 변소지기 일을 시켰더니, 그가 청소한 변소에서 냄새는커녕 티 하나도 나지 않았고, 노부나가가 자신의 신발을 만들도록 시켰더니 정성을 다해 신발을 만들어 바쳤다는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다. 하루는 노부나가가 금술잔을 깊은 우물 속에 빠뜨렸는데, 히데요시는 큰 물동이 수백 개를 구해서 물을 담았다가 한꺼번에 우물에 쏟아부어, 우물이 뒤집히면서 물 위에 떠오른 금술잔을 재빨리 집어내어 바쳤고 이로써 노부나가의 총애를 받아 출세길이 열렸다고 한다. 《간양록》에는 또, 노부나가가 매번 종들을 시켜 시장에서 물건을 사오게 하면 항상 비싼 값을 치르면서 조금만 값이 안 맞아도 사오지 못했던 것과는 달리 토키치로는 매번 싼 값으로 좋은 물건을 그때 그때 사다 바쳤으므로 노부나가는 그것을 흡족해했지만, 실은 도키치로가 매번 자기 돈으로 물건값의 반을 보탠 것임을 아무도 알지 못했다고 한다. 급기야 노부나가가 직접 북쪽을 치는데, 도키치로가 창을 잡고 돌격해 닥치는 곳마다 모두 쓰러뜨렸다고 한다.[7] 기요스 성의 성과 관련된 업무와 내방 업무 등에서 기발한 아이디어를 자주 발휘하고 솔선 수범하여 큰 성과를 보였다. 이렇게 하여 노부나가의 환심을 샀고, 점차 오다 가문에서 두각을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무렵 히데요시의 용모를 보고 노부나가가〈원숭이〉,〈대머리 쥐〉라고 부른 것 같다. 에이로쿠 4년(1561년) 아사노 나가카쓰의 양녀로 스기하라 사다토시의 딸 네네와 결혼한다. 미노 국 사이토 다쓰오키와의 전투 중 스노마타 성 축성에 관한 이야기가 유명하지만,《무공야화》등을 근거로 한 이야기는 당시 사료에는 기술이 없고, 에도 시대에 창작되었다는 설이 강하다. 이 무렵 사이토 가문의 영향하의 미노로부터 다케나카 시게하루, 하치스카 마사카쓰, 마에노 나가야스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인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음력 9월 오미 미쓰쿠리 성(箕作城) 공략에 활약한 이야기가《신장기(信長記)》에 기록되어 있다(간논지 성 전투(観音寺城の戦い)). 같은 해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제15대 쇼군에 옹립하고 교토를 평정하자, 아케치 미쓰히데, 니와 나가히데와 함께 교토에서 정무를 보았다. 당시 문헌에 히데요시라는 이름이 눈에 띈다. 단, 히데요시란 이름이 적힌 기록은 1560년 3월 8일자 서장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겐키 원년(1570년) 에치젠 국의 아사쿠라 요시카게 토벌에 종군하였고,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보였지만, 오미 북부의 맹우 아자이 나가마사의 배신으로 가나가사키에서 급히 퇴각하게 되었다. 이 때, 히데요시는 이케다 가쓰마사(池田勝正)와 아케치 미쓰히데와 함께 후위부대를 맡아 공을 세웠다. 그 후에도 아자이·아사쿠라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다. 오다 정권 아래[편집] 덴쇼 원년(1573년) 아자이 가문이 멸문되자, 그의 영지였던 오미 3개군을 하사 받아 오다니 성에 입성하지만, 산성인 탓에 비와 호 호변의 이마하마(今浜)에 성을 축조하고 지명을 나가하마(長浜)로 개명해 나가하마 성주로 부임했다. 이 무렵 오다 가문 내 유력 가신 니와 나가히데와 시바타 가쓰이에로부터 한 자씩을 받아 성을 하시바(羽柴)로 개명하였다. 또, 오미의 인재를 발굴하여 옛 아자이 가문의 가신들과 이시다 미쓰나리 등 전도유망한 젊은이를 키워냈다. 덴쇼 4년(1576년) 에치고 국의 우에스기 겐신과 대치중인 호쿠리쿠 방면군단장 시바타 가쓰이에를 구원하기 위해 파견되지만, 작전을 둘러싼 마찰로 무단으로 오미 나가하마로 귀환하였다. 그 후, 가쓰이에는 겐신에 패배하였다(데토리 강 전투). 이에 오다 노부나가는 히데요시의 행동에 화가 났지만, 곧 용서하였고, 야마토 국에서 반기를 든 마쓰나가 히사히데 토벌명을 받아 히사히데를 토벌했다(시기 산성 전투(信貴山城の戦い)). 그 후 노부나가의 주고쿠 공략을 명 받아 하리마 국으로 진군했고, 하리마의 호족들은 히데요시 군에 굴복했다. 그들 중 고데라 가문의 가신 고데라 요시타카(小寺孝高; 후에 구로다 요시타카)는 히데요시에게 히메지 성을 양도하였고, 히데요시는 가신으로 맞이하였다. 일부 히데요시에 반기를 표한 세력은 제1차 고즈키 성 전투(上月城の戦い)에서 멸하였다. 덴쇼 7년(1579년) 고즈키 성을 둘러싸고 주고쿠의 모리 가문과 일진일퇴를 거듭한 끝에 비젠 국, 미마사카 국 다이묘 우키타 나오이에를 복속시켜 모리 가문에 우위에 섰지만, 셋쓰 국의 아라키 무라시게(荒木村重)의 모반으로 인해 주고쿠 공략은 일시중단되었다. 덴쇼 8년(1580년) 오다 가문에 반기를 든 하리마 미키 성(三木城) 성주 벳쇼 나가하루를 공격하던 도중 다케나카 시게하루와 후루타 시게노리(古田重則) 등 유력 가신을 잃었지만, 2년에 걸친 포위공격에 적들은 기아와 싸워야 했고, 마침내 항복하였다(미키 전투). 같은 해 다지마 국 야마나 아키히로(山名堯熙)가 농성하는 아리코 산성(有子山城을) 공략, 다지마 국을 오다 가문 세력하에 둔다. 덴쇼 9년(1581년) 이나바 야마나 가문의 가신단이 야마나 도요쿠니(山名豊国)를 추방하고 모리 가문의 깃카와 쓰네이에(吉川経家)를 맞이하여 돗토리 성에서 반기를 들었다. 히데요시는 돗토리 주변의 병량을 매석해 돗토리 성을 병량고에 시달리게 하여 성을 함락한다(돗토리 성 전투(鳥取城の戦い)). 그 후에도 주고쿠 지방 일대를 세력하에 둔 모리 데루모토와의 전투를 계속하였다. 같은 해 이와야 성(岩屋城)을 공략해 아와지 국을 세력하에 두었다. 덴쇼 10년(1582년) 빗추를 공략에 있어서 시미즈 무네하루가 지키는 다카마쓰 성을 수공으로 공략할 때, 모리 데루모토, 깃카와 모토하루(吉川元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등의 모리 가문의 대군이 맞이하여 오다 노부나가에게 원군을 요청하였다. 혼노지의 변에서 기요스 회의[편집] 덴쇼 10년(1582년) 음력 6월 2일 주군인 노부나가가 교토 혼노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의 모반으로 자결한다(혼노지의 변). 빗추 다카마쓰 성 공략 중이던 히데요시에게도 이 사실이 알려졌는데, 히데요시는 노부나가가 혼노사에서 살해되었다는 소식이 바깥으로 새어나갈 것을 염려해, 소식을 갖고 온 사자를 직접 베어죽이고 성 공격을 더욱 급히 하면서, 바깥에는 아무 일 없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성을 공격하는 한편으로, 모리 데루모토의 책사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에게 편지를 보내어 그를 군막으로 불러들여, "이 성의 함락은 조석간에 있소. 허나 난 수만 명의 목숨이 모조리 어륙(魚肉)이 되는 꼴은 차마 못 보겠구려. 성주께서 스스로 할복하신다면, 내 마땅히 군사를 파하고 화친을 하겠소." 하였다. 에케이는 이를 다카마쓰 성의 성주 시미즈 무네하루에게 고했고, 무네하루는 곧 한 척의 배를 타고 나와서 강에서 할복하였다.(《간양록》) 그 직후 히데요시는 곧바로 데루모토와 강화를 맺고 당시로써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교토로 회군한다(주고쿠 대회군(中国大返し)). 히데요시의 출현에 당황한 아케치 미쓰히데는 음력 6월 13일 셋쓰(攝津)의 야마자키(山崎)에서 히데요시와 전투를 벌였지만, 이케다 쓰네오키(池田恒興)와 니와 나가히데, 더욱이 미쓰히데 예하의 나카가와 기요히데와 다카야마 우콘까지 히데요시 군에 가세하자, 미쓰히데는 패하여 토착민의 손에 살해된다(야마자키 전투). 미쓰히데를 죽인 뒤 히데요시는 군사를 거느리고 곧장 성으로 들어가 노부나가의 시신을 찾아내어, 그 머리를 갖고 산사(山寺)로 올라가 스무 하루 동안 재(齋)를 드렸다고 한다.(《간양록》) 이때 온 나라에 주군이 없어 군중들의 마음이 온통 걱정스럽고 불안했는데, 히데요시만이 태연스럽게 행동하여 조금도 거리낌이 없었으므로, 여러 대신들이 감히 아무 소리도 내지 못했다고 《간양록》은 증언한다. 그 후, 히데요시는 미쓰히데 잔당을 토벌해 교토를 장악했다. 음력 6월 27일, 노부나가의 후계자 문제 및 영지 분할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기요스 성에서 회의가 열린다(기요스 회의. 이 회의에서 오다 가문의 필두 가신 시바타 가쓰이에는 노부나가의 후계자로서 노부나가의 3남 간베 노부타카(神戶信孝, 후의 오다 노부타카)를 천거했지만, 미쓰히데 토벌로 공을 세운 히데요시의 입김과 이케다 쓰네오키·니와 나가히데의 지지도 있어 히데요시가 천거한 적손 산보시(三法師, 후의 오다 히데노부)로 결정되었다. 어린 산보시의 후견인으로서 간베 노부타카를 내세운 히데요시의 타협안에 시바타 가쓰이에도 수긍할 수밖에 없었다.) 오다 가문의 영지는 노부나가의 2남 노부카쓰에게 오와리, 3남 노부타카에게 미노, 조카 노부카네(信包)가 이세 북부와 이가가 주어졌고,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단고, 쓰쓰이 준케이는 야마토, 다카야마 우곤·나카가와 기요히데는 본령 안도가 주어졌다. 니와 나가히데는 오미 시가ᆞ다카시마의 15만 석이 가증되었으며, 이케다 쓰네오키는 셋쓰의 아마가자키(尼崎)·오사카의 15만 석이 더해졌으며, 호리 히데마사(堀秀政)는 오미 사와야마(佐和山)를 받았다. 시바타 가쓰이에도 히데요시의 영지인 오미 국 나가하마 성 12만 석을 받게 된다. 히데요시 자신은 미쓰히데의 옛 영지였던 단바ᆞ야마시로ᆞ가와치의 28만 석이 더해졌다. 영지상으로는 히데요시가 오다 가문의 필두 가신이었던 가쓰이에보다 우위에 놓이게 되었다.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대립[편집] 히데요시와 가쓰이에의 대립은 날이 갈수록 격화되었다. 원인은 히데요시가 야마자키에 호지 성(宝寺城)을 축성하였고, 더욱이 야마자키와 단바에 검지를 단행해 사적으로 오다 가문의 여러 다이묘들과 교분을 맺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덴쇼 10년(1582년) 음력 10월 가쓰이에는 다키가와 가즈마스와 오다 노부타카와 함께 히데요시에 대한 탄핵장을 여러 다이묘에 뿌렸다. 이에 히데요시는 음력 10월 15일 양자 하시바 히데카쓰(羽柴秀勝; 노부나가의 4남)를 상주로 해 오다 노부나가의 장례를 치려 위기를 빠져나갔다. 음력 12월 에치젠의 가쓰이에가 눈에 갇혀 움직이지 못한 것을 호기로 히데요시는 음력 12월 9일 이케다 쓰네오키 및 여러 다이묘를 규합하여 5만의 군을 이끌고 야마자키 호지 성을 출발해 11일 호리 히데마사의 사와야마 성에 들어갔다. 그리고, 가쓰이에의 양자 시바타 가쓰토요(柴田勝豊)가 지키는 나가하마 성을 포위한다. 원래 가쓰토요는 가쓰이에와 같은 양자인 시바타 가쓰마사(柴田勝政)와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히데요시의 조략에 응하여 항복하였다. 16일 미노로 출진해 이나바 잇테쓰(稲葉一鉄)를 항복시키고, 오다 노부카쓰의 원군에 힘입어 오다 노부타카의 가신 사이토 도시아키(斉藤利堯)가 지키는 가지키 성(加治木城)을 함락시켰다. 이렇게 하여 고립된 기후 성의 오다 노부타카는 산보시를 히데요시에 넘겼고, 생모 사카 씨(坂氏)와 딸을 인질로 보내 화의를 맺는다. 덴쇼 11년(1583년) 음력 1월 반 히데요시 파 중 한 명인 다키가와 가즈마스는 히데요시 측의 이세 미네 성(伊勢峰城)과 세키 성(関城), 이세 가메야마 성(伊勢亀山城)을 공략한다. 이에 히데요시는 음력 2월 10일 이세 북부로 군을 파견하였다. 12일 가즈마스의 거성 구와나 성을 공략하지만, 견고한 수비앞에 12 km 뒤로 후퇴하였다. 또, 히데요시가 조직한 별동대를 나가시마 성(長島城)과 나카이 성(中井城)에 파견했지만, 이마저도 맹열한 저항앞에 무위에 그쳤다. 그러나, 이세 가메야마 성은 가모 우지사토와 호소카와 다다오키, 야마우치 가즈토요의 공세앞에 음력 3월 3일 함락되었다. 이리하여 이세 전선에서는 점차 히데요시가 우위에 서게 된다. 음력 2월 28일 호쿠리쿠에서 가쓰이에의 마에다 도시이에가 선봉으로 출진했고, 음력 3월 9일에는 가쓰이에 자신이 이끄는 3만의 대군이 오미로 출발했다. 이에 히데요시는 이세 전선은 가모 우지사토에 맡기고 오미로 돌아와 11일 시바타 군과 대치하였다. 4월 13일 히데요시에 항복한 가즈토요의 가신 야마지 마사쿠니(山路正国)가 가쓰이에 측으로 이탈한 사건이 일어났고, 이에 더해 노부타카가 기후에서 다시 거병해 이나바 잇테쓰를 공격하는 등, 가쓰이에 측이 우위에 놓이게 된다. 20일 이른 아침, 가쓰이에의 중신 사쿠마 모리마사(佐久間盛政)는 히데요시가 미노로 출병한 틈을 노려 오이와 산(大岩山)과 이와사키 산(岩崎山)의 성채를 공격해 함락하였다. 그 후에도 모리마사는 공을 서둘러 가쓰이에의 명을 어긴채 함락한 성채에서 있었기 때문에 21일 신속히 회군한 히데요시의 반격을 받았고, 더욱이 도시이에의 배신도 있어 가쓰이에는 대패해 군을 에치젠으로 철수시킨다(시즈가타케 전투). 24일 가쓰이에는 마에다 도시이에를 선봉으로 한 히데요시 군에 기타노쇼 성가 공격당하자, 정실 오이치노 가타와 함께 자결하였다. 그리고, 가가와 노토를 마에다 도시이에에게 주었고, 에치젠은 이 전투에서 협력한 니와 나가히데에게 주었다. 음력 5월 2일(날짜에 관해서는 이설이 있음.), 미노를 공략해 오다 노부나가의 3남 오다 노부타카를 자결로 몰았고, 다키가와 가즈마스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리하여 반 히데요시 진영을 멸한 히데요시는 노부나가의 후계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대립[편집] 덴쇼 12년(1584년) 오다 노부나가의 차남 오다 노부카쓰는 연하의 예를 하러 오라는 히데요시의 명령을 계기로 히데요시에 반발하며 대립하였다. 음력 3월 6일 히데요시와 내통하고 있다는 의심을 품고, 히데요시와의 전쟁을 말리는 중신 아자이 나가토키(浅井長時), 오카다 시게타카(岡田重孝), 쓰가와 요시후유(津川義冬)를 모살해 사실상 히데요시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 때, 노부나가의 맹우였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노부카쓰에 가담했으며, 이에 더해 이에야스와 내통하고 있던 조소카베 모토치카와 기이(紀伊) 사카이 무리(雑賀党)도 반 히데요시를 기치로 결기하였다. 이에 히데요시는 세키 모리노부(関盛信), 구키 요시타카, 오다 노부카네 등 이세의 여러 장수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다. 거취가 불분명한 미노의 이케다 쓰네오키를 오와리와 미카와를 주어 우군으로 맞이하였다. 음력 3월 13일 쓰네오키는 이누야마 성을 지키고 있던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 나카야마 가쓰타다(中山雄忠)를 공략했으며, 이세에 있어서도 미네 성을 함락하는 등, 공세를 펴갔다. 그러나, 이에야스, 노부카쓰 연합군도 곧 반격하여 하구로(羽黒)에 포진한 모리 나가요시를 격파했다(하구로 전투(羽黒の戦い)). 그런 후, 고마키(小牧)에서 진을 펴, 히데요시와 대치했다. 히데요시는 사이카 무리에 묶겨 오사카로부터 움직이지 않았지만, 21일 오사카를 출발해 27일 이누야마 성에 입성했다. 히데요시 군도 견고한 진지를 구축해 양 군은 장기대치 계속하여 전선은 교착되었다. 이 때, 하시바 군 10만, 오다·도쿠가와 연합군 3만이라고 한다. 그러던 중, 앞선 전투에 패해 설욕을 다짐하는 나가요시와 쓰네오키가 히데요시의 조카 미요시 히데쓰구(후의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총대장으로 옹립해 음력 4월 6일 미카와 기습을 단행한다. 그러나, 음력 4월 9일 이를 간파한 도쿠가와 군의 역습을 받고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쓰네오키, 모토스케 부자와 나가요시 등은 전사했다(나가쿠테 전투(長久手の戦い)). 이렇게 하여 히데요시의 압도적인 병력에도 불구하고, 전황은 교착되어 갔다. 이에 히데요시는 가가노이 시게모치(加賀井重望)가 지키고 있는 가가노이 성(加賀井城) 등, 노부카쓰 측 이가, 이세를 공략해 갔다. 음력 11월 11일 오다 노부카쓰는 사실상 히데요시에 굴복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상의 없이 무단으로 히데요시와 강화를 맺었다. 이에 대의명분을 잃은 이에야스는 미카와로부터 철퇴하였다. 그리고, 이에야스는 차남 오기마루(於義丸; 후의 유키 히데야스)를 히데요시의 양자로 삼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었다. 전후, 히데요시는 곤다이나곤(権大納言)에 임관되었다. 사실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하였으나 노부카쓰의 배신으로 인하여 이에야스가 대의 명분에서 밀리면서 전쟁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결국에게 굴복하고 말았다. 덴쇼 14년(1586년) 히데요시는 이미 소에다 요시나리(副田吉成)에게 시집을 가서 유부녀가 된 여동생 아사히를 강제로 이혼시킨 뒤 이에야스에 시집 보냈으며, 더욱이 어머니 오만도코로를 인질로 이에야스에게 보내 이에야스의 입경을 제촉하였다. 이에야스도 이에 승복해 상경하였고, 히데요시에게 신종을 맹세했다. 도요토미 정권[편집] 도요토미 가문의 천수〈오사카 여름의진도 병풍〉 덴쇼 11년(1583년) 이시야마 혼간지 터에 오사카 성을 축조한다. 분고 국 다이묘 오토모 소린이 그 화려함에 놀라〈삼국무쌍의 성이다.〉라고 칭했다. 그러나 성의 일부분에 방어상 문제가 있어 히데요시 자신도 그 점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후에 오사카 전투에서 사나다 노부시게가 방어가 취약한 남쪽에 사나다마루라고 불리는 성채를 쌓아 방어를 강화해 도쿠가와 측을 괴롭혔다.). 덴쇼 12년(1584년) 조정에서 쇼군 임관을 권했지만 일본의 첫 막부인 가마쿠라 막부를 설립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쇼군은 반드시 겐지(源氏)만이 될 수가 있다.'라는 것을 정해놓았기 때문에 평민 출신이었던 히데요시는 겐지와 연관될 그 어떤 것도 갖고 있지 않았고, 쇼군이 되지는 못했다. 덴쇼 13년(1585년) 음력 3월 10일 히데요시는 정2위 내대신(内大臣)에 위계 임관되었다. 그리고, 21일 기이 공략에 나서 사이카 무리와 전투를 벌인다. 최종적으로 도도 다카토라에 명하여 사이카 무리의 수령 스즈키 시게오키(鈴木重意)를 모살하여 기슈(紀州)를 평정하였다(기슈 정벌). 또, 시코쿠의 조소카베 모토치카에 대해서는 동생 하시바 히데나가를 총대장에 임명해 출진시겼다. 이 전투에서 모리 데루모토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등의 모리 군도 가세하여 음력 7월 25일 시코쿠를 평정했다. 모토치카에게는 도사 국만 그에게 주었다(시코쿠 정벌). 음력 7월 11일 예전부터 관백직을 둘러싼 내분이 다시금 불거지자, 히데요시는 고노에 사키히사의 조카가 되어 관백(關白)직에 올랐고, 덴쇼 14년(1586년) 음력 9월 9일 조정으로부터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 음력 12월 25일 태정대신(太政大臣)에 올라 정권을 확립했다(도요토미 정권). 이에 더해, 히데요시는 아시카가 요시아키의 양자가 되어 도요토미 막부를 열려고 했지만, 요시아키가 거절해 칸파쿠 직에 올랐다는 속설이 있다. 이는 후세의 창작이다. 엣추의 삿사 나리마사에 대해서는 음력 8월 직접 군을 이끌고 도야마로 진군했지만, 거의 전투없이 음력 8월 25일 나리마사는 히데요시에 항복하였다. 오다 노부카쓰의 조력도 있었기 때문에 히데요시는 나리마사를 용서하고 엣추 국 니카와 군(新川郡)을 주었다. 이리하여 기이, 시코쿠, 엣추를 세력하에 두었다. 규슈 평정[편집] 규슈에 있어서는 시마즈 요시히사(島津義久)가 세를 떨치고 있었고, 시마즈 가문에 압박에 오토모 소린은 히데요시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히데요시는 시마즈 요시히사에게 항복을 권고하지만, 요시히사를 이를 거부하여 규슈에 군을 보낸다. 덴쇼 14년(1586년) 분고 헤쓰기 강(戸次川; 현 오노 강)에서 센고쿠 히데히사(仙石秀久)를 군감으로 해, 조소카베 모토치카, 노부치카 부자, 소고 마사야스(十河存保), 오토모 요시무네(大友義統)로 구성된 혼성군으로 시마즈 이에히사(島津家久)가 이끄는 시마즈 군과 싸워보지만, 센고쿠 히데히사의 실책에 의해 헤쓰기가와 전투에서 패배하였다. 이 전투에서 조소카베 노부치카와 소고 마사야스는 전사했다. 덴쇼 15년(1587년) 히데요시 스스로 20만 대군을 이끌고 본격적으로 규슈를 공략한다. 이에 시마즈 군은 압도되어 시마즈 가문은 항복했다(규슈 정벌). 이렇게 하여 서일본 전역은 히데요시 세력하에 놓이게 된다. 전후, 하카타에서 히데요시는 바테렌 추방령(バテレン追放令)을 반포했지만, 사실상 기독교인은 묵인되었다. 덴쇼 16년(1588년) 가타나가리를 실시했다. 오다와라 평정[편집] 덴쇼 17년(1589년) 측실 요도도노 사이에서 쓰루마쓰(鶴松)가 태어나, 후계자로 지명하였다. 같은 해 고호조 가문의 가신 이노마타 구니노리(猪俣邦憲)가 사나다 가문의 가신 스즈키 시게노리(鈴木重則)가 지키고 있던 나구루미 성(名胡桃城)을 탈취한 일을 계기로 덴쇼 18년(1590년) 히데요시는 고호조 가문을 제압하기 위해 자신에게 복종하는 모든 다이묘들을 소집한 뒤 육군, 수군을 합친 총 병력 21만의 대군을 이끌고 간토로 출병, 호조 가문의 거성인 오다와라 성을 포위했다. 당시 도요토미 군측 다이묘들 도요토미 군 총 병력 도합 21만명 도요토미 주력군 약 17만명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구로다 요시타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이시다 미쓰나리, 다치바나 무네시게, 시마즈 요시히로, 오타니 요시쓰구,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다테 마사무네, 오다 노부카쓰, 도요토미 히데나가, 우키타 히데이에, 호소카와 다다오키, 깃카와 히로이에, 호리 히데마사, 이케다 데루마사, 아사노 나가마사, 나쓰카 마사이에, 이시카와 가즈마사, 마시타 나가모리, 다카야마 우콘, 쓰쓰이 사다쓰구, 하치스카 마사카쓰, 오토모 요시무네 등 도요토미 수군 약 1만명 조소카베 모토치카, 가토 요시아키, 구키 요시타카, 와키자카 야스하루 등 도요토미 북방군 약 3만 5천명 마에다 도시이에, 우에스기 가게카쓰, 사나다 마사유키 등 《태합기》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무쓰, 데와의 여러 다이묘에게 오다와라 공격에 동참할 것을 명하지만, 다테 마사무네는 뒤늦게 동참한다. 히데요시는 마사무네를 '꿈틀데는 벌레'로 평했고, 마사무네는 히데요시를 두려워했다고 한다. 히데요시는 대기, 천위, 모든 사람에 미치지 않고 평했고, 격이 다름을 보였다. 마사무네가 보기 좋게 귀향하자, 여러 무장들은 호랑이를 풀어주면 위험하다고 진언했지만, “반항하면 토벌하면 그만”이라고 말했고, 여러 무장들은 그 말에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오다와라 성은 우에스기 겐신과 다케다 신겐도 함락하지 못한 견성이였지만, 계절적 이유로 철병해야하는 여타 군과 달리 도요토미군은 히데요시에 의해 군사와 농민을 분리하는 정책인 병농 분리 정책으로 인해서 언제든지 출병과 철병이 가능했고, 당시 호조 가문의 당주였던 호조 우지나오와 당주 자리에서는 물러났지만 여전히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던 호조 우지마사의 의견 대립 등으로 인해서 내부의 단결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결국 호조 가문의 오다와라 성은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3개월의 농성 후, 개성하였다. 호조 우지마사, 호조 우지테루(北条氏照)는 할복을 명 받았고, 호조 우지나오(北条氏直)는 고야 산(高野山)으로 추방되었다(오다와라 정벌). 일본 통일[편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수결 최후의 적 고호조 가문을 굴복시켜 일본을 통일했다. 히데요시는 오랫동안 계속된 전국시대를 마감시겼다. 그러나, 다테 마사무네와 같이 군사력으로 제압하지 않은 다이묘가 많이 있었고, 이들 다이묘의 군사력은 온전한 상태였다. 이 때문에 유력 다이묘의 처우문제가 도요토미 정권의 과제였다. 덴쇼 19년(1591년) 후계자로 지명했던 쓰루마쓰가 병사하자, 조카 히데쓰구를 양자로 맞이해 관백직을 양도했다. 그리고, 히데요시 자신은 태합(太閤)으로 불렸다. 또, 다도인 센노 리큐에 할복을 명했다. 이에 리큐의 제자 후루타 오리베(古田重然), 호소카와 다다오키 등의 탄원도 있었지만, 무위에 그쳤고, 리큐의 목은 이치조모도리 다리(一条戻橋)에 효수되었다. 센노 리큐가 할복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이 해, 도호쿠 지방의 난부(南部) 가문 일족, 구노헤 마사자네(九戸政実)가 후계 다툼을 계기로 난을 일으킨다[8]. 히데요시는 난부 노부나오(南部信直)의 구원 요청을 받아들여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총대장으로 가모 우지사토,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로 구성된 군을 도호쿠에 파견하였다. 도호쿠의 여러 다이묘도 이에 동참하여 군은 6만으로 늘어났다. 구노헤 마사자네, 사네치카(実親) 형제는 항전하지만, 중과부적으로 끝내 항복하였다. 그 후, 구노헤 가문은 모두 참수되었고, 멸문되어 난은 종결되었다. 임진·정유왜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입니다. 분로쿠·게이초의 역(文禄·慶長の役)라고도 하는 임진·정유왜란은 분로쿠 원년(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도하에 일본이 명나라의 정복과 조선의 복속을 목표로 16만의 군으로 한반도 남부에 침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조선군을 격파하고 파죽지세로 한성, 평양을 점령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였지만,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과 명의 원군, 그리고 이순신 의 조선수군으로 인해 전황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분로쿠 2년(1593년) 명과의 강화 교섭이 시작된다. 임진왜란의 원인[편집]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9] 유력 다이묘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공명심과 영웅 심리에서 기인했다는 설. 뒤늦게 얻은 아들 쓰루마쓰가 죽은 비통함에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해외무역 장악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주군이었던 오다 노부나가의 대륙 진출 계획에 영향을 받아, 통일 이후 그것을 실현시켰다는 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야욕을 이루기 위해서였다는 설. 그래서 강화조건에 명나라 후비를 일본에 바치라는 것과 조선팔도의 절반을 내놓으라고 했다. 선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가신이 없고 막부를 세워 쇼군의 권위로 통치하는 것도 불가능하자 도요토미 정권의 불투명한 영속성 개선 즉, 영지하사를 통한 정권안정을 확보하려고 전쟁을 일으켰다는 설 일본 내부 갈등을 밖으로 돌리기 위했다는 설 일본 내에서 최고의 세력을 장악한다 할지라도 세력가는 결국 천황의 신하에 불과하다. 다만 그 세력가가 막부를 세운다면 천황의 명령을 수행하기 보다는 천황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독자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이는 12세기 겐페이 전쟁에서 승리한 겐지(源氏)에게 주어진 특권이었다. 다시 말해 겐지의 피를 이어 받은 자만이 쇼군의 지위에 올라 막부를 세울 자격이 있다는 게 상례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겐지는커녕 천출(무사 집안 출신이 아님)인 까닭에 상례적으로 쇼군이 될 수 없었다. 그가 쇼군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과거 자신들의 영토를 회복하고 그를 방해하는 오랑캐를 물리쳐 승전군이 되어 천황에게 다시 대장군의 칭호를 받아 막부를 구성하는 것뿐이었다. 이를 위해 과거 영토라고 주장하는 미나미(임나)에 해당하는 조선 남부를 회복(히데요시의 관점)하고 이에 반대하는 명나라 군대를 섬멸하는 것만이 막부를 구성하고 쇼군이 될 명분을 얻는 유일한 길이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영지들을 무사들에게 하사함으로써 천출인 까닭에 늘 불안했던 가신관계를 굳건히 만들고자 했다. 그것을 위해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7년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임진왜란에 반대한 다이묘들[편집] 도쿠가와 이에야스, 소 요시토시, 고니시 유키나가, 다테 마사무네, 시마즈 요시히로 등의 상당수의 다이묘들이 조선으로 군사를 내는 것에 반대 하였으나, 히데요시는 여러 다이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출진을 강행했다. 이에야스는 풍토병과 황무지 개간 및 지배 지역의 치안 문제 등, 갖은 변명을 둘러대며 기어이 불참하였고, 자신의 군대를 온전히 보존시켰다. 사실 히데요시가 이에야스에게만은 임진왜란 출전을 강요할 수 없었던 까닭은 그가 자신과 맞상대가 가능한 세력이란 걸 의식했기 때문이다. 또 히데요시가 조선에 직접 출병하지 못하고 자기 수하만 보낸 까닭도 여기에 있다. 비록 일본 제일의 실력자가 되었다고는 하나 히데요시 자신이 자리를 비운다면 일본 국내 정세가 어떻게 돌아갈지 스스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임진왜란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작전의 의도[편집] 히데요시는 일찍이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가 종교간의 문제(유키나가는 로마 가톨릭, 기요마사는 불교), 성격적 문제(유키나가는 온건파, 기요마사는 급진파)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앙숙이라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에 오히려 그 둘을 임진왜란의 선봉장으로 삼았다. 그 이유인 즉 유키나가와 기요마사로 하여금 서로 경쟁하게 하여 최대한 빨리 조선을 점령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수군과 조선각지에서 일어난 의병들의 활약으로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들은 장기전에 돌입해야했다. 이순신은 남해의 재해권을 확보하면서 일본에서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에 군수물자 공급을 차단시켰고, 이것은 함경도까지 진출했던 기요마사와 평양성에 주둔해있던 유키나가가 남쪽으로 서둘러 후퇴하게 만드는 큰 원인이 되었다. 군사력 증강[편집] 히데요시는 전투 부대의 병종을 기병과 보병 두 가지로 대별하고 사무라이대장(侍大將)의 지휘 하에 기병, 총병, 궁병, 창검병 등의 단위대를 편성한 후에 각조 지휘관으로서 기사와 보사를 두었다. 이렇게 변모된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여 1586년 무렵에 대규모 건조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조선 침공 직전에 전함 천여 척을 이미 확보한 데에 이어서 종전 무렵에는 3천여 척이나 되는 대규모 선단을 보유할 수가 있었고 조선을 침공하기 직전인 1591년에는 사이카이도, 난카이도, 산요도, 산인도, 기나이와 그 동방 일부 지역에 동원령을 내려서 병력 33만을 동원할 준비하였다. 1586년 히데요시는 일본 수군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럽의 범선인 카락과 갤리온 구입을 시도했었는데 포르투갈인의 거절로 구입에는 실패했다[10].대신 당시 일본에 진출한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를 통해 포르투갈 군함의 지원을 요청하고 승낙까지 받았으나 예수회와 관계가 악화되며 바테렌 추방령을 내리며 무산된다.[11] 바테렌 추방령[편집] 바테렌 추방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86년 5월 예수회의 일본 선교 총책임자인 코엘료는 오사카 성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알현해 대환영을 받았다. 그 자리에서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규슈정복과 조선에 출병해 중국 대륙을 침공할 계획을 털어 놓았으며, 그 협력도 요청했다. 그리고 만약 조선과 중국 정복에 성공하면 중국 각지에 교회를 지을 수 있도록 선교사들을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실제로 그 때가 오면 포르투갈 군함 2척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히데요시는 코엘료에게 무장한 포르투갈선의 채비를 의뢰했지만, 그것 보다도 규슈에는 예수회의 일본 선교의 본거지가 있으며, 거기에는 유력한 로마 가톨릭교도 영주도 있기에, 예수회 선교사들에게는 큰 영향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코엘료는 히데요시의 계획에 찬동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는 큐슈의 로마가톨릭교도 영주들과의 합동 작전을 하는 것은 어떤지 제안을 하기까지 했다. 그리고 실제로 선교를 우위에 서서 실시하기 위해 크리스천 영주들을 지원하려고 필리핀으로부터 함대를 파견받도록 1585년에 요청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코엘료 뿐만 아니라 당시에 많은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 선교사들이 공유하는 것이었다. 코엘료로서는 원래 자신이 가지고 있던 생각이라고 동조한 히데요시의 계획을 듣게 되어서 히데요시를 기쁘게 하면서 자신도 기뻐 신바람이 나서 그처럼 대답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반대로 화가 되었다. 코엘료의 대답을 들은 히데요시는 큐슈의 크리스천 영주들의 군대는 코엘료를 비롯한 예수회 선교사의 생각으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히데요시는 이 때문에 예수회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게 된다. 코엘료는 한척의 후스타선(Fusta 船)을 건조하고 대포를 몇개 구입했다. 그리고 코엘료는 자신이 그것을 타고 일본의 여기저기 각지를 돌아다녔다. 히데요시가 규슈 정벌을 위해 하카타에 왔을 때 코엘료는 마치 대제독과 같은 모양으로 이 배를 타고 해상에서 히데요시를 방문했다. 1587년 6월 규슈평정을 끝마친 히데요시는 하카타 근처에 개선해 와서 같은 달 10일에 코엘료의 배에 탑승해 하카타만 위에서 매우 사이 좋게 담소했다. 히데요시는 그 배에 탑승해서 선내를 상세하게 관찰하고 많이 칭찬하면서도 이것은 틀림없이 군함이다고 말했다. 히데요시가 본 코엘료의 포르투갈 군함은 매우 훌륭한 것이어서 히데요시는 막강한 군사력과 기리시탄 영주들을 거느린 예수회에게 위기감을 느끼게 된다. 이후 히데요시는 곧바로 5개 항목에 걸치는 바테렌(反天連) 추방령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추방령은 예수회가 자숙하고 히데요시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배편이 없다는 문제도 있고 해서 실제로 이행되지는 않았다. 또 예수회의 동인도 순찰사인 알레산드로 발리냐노(동인도 선교 총 책임자로 코엘료 신부를 일본 책임자로 임명한 사람)는 1591 년 3 월 3 일 (덴쇼 19 년 윤 1 월 8 일 ) 주라쿠 다이에서 히데요시를 만나 히데요시의 추방령을 무효화 시키도록 값비싼 선물을 히데요시에게 뇌물로 주고 추방령을 유야무야 시킨다. [12] 도요토미 히데쓰구 사건[편집] 한편, 분로쿠 2년(1593년) 측실 요도도노가 히데요리를 낳자, 히데쓰구와의 대립이 표면화되어 심각한 상황에 빠진다. 2년 후인 분로쿠 4년(1595년) 관백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악정과 난행을 이유로 폐적시키고, 고야 산으로 추방했다. 후에 모반의 혐의가 있다는 이유로 할복시킨다. 이 사건으로 인해 히데쓰구의 보좌역인 마에노 나가야스 등 유력 가신이 연좌되어 죽거나 유배되었다. 또, 히데쓰구 일가도 처형되었다. 히데쓰구의 난행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고, 아들 히데요리의 방해꾼이 될 가능이 있는 히데쓰구를 처분했다는 견해와 이 일로 인해 도요토미 다이묘의 결속이 저해되어 세키가하라 전투의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정유재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정유재란입니다. 분로쿠 5년(1596년) 계속되어 왔던 명과의 강화 교섭이 결렬되어, 게이초 2년(1597년) 14만의 군으로 조선을 재침략하였다. 칠천량해전을 시작으로 2개월 동안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를 석권하고, 경기도로 나간 후, 조선 남해안에 왜성을 축조하여 장기 점령을 꾀한다. 이 후, 울산성 전투에서 고전한 후, 전선을 축소하려는 무단파와 문치파간의 대립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조선 팔도 중에 남부의 4개도를 일본에 할양할 것, 명나라 황녀를 일본 덴노와 혼례시킬 것 등의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만큼 무리한 요구를 한 탓에 강화가 결렬되었다. 문제는 중간에서 외교를 담당하던 심유경이 명나라에 거짓으로 보고를 했기 때문에 도요토미의 분노가 극대화되어 결국 전쟁으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죽음[편집] 도요쿠니 신사의 정문 게이초 3년(1598년) 음력 8월 18일 고다이로 필두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보호역을 맡은 마에다 도시이에에게 후사를 부탁하고 후시미 성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위암, 독살 등 여러 설이 있다. 향년 62세. 그날 안으로 히데요시는 아미다 산에 매장되었다. 히데요시의 묘는 화려하게 조성되었지만, 병력의 사기 문제에 미쳐가는 조선에 출병되어 있는 왜군들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을 알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장례는 치러지지 않았으며 그의 죽음을 비밀로 하였다. 그러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무덤은 폭파되어 소멸되고 만다. 이는 조선과의 외교관계 회복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임진왜란의 원인이 된 장본인의 무덤을 처단함으로써 조선에 임진왜란이 히데요시의 강요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전쟁이었음을 보여야만 했기 때문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유일한 아들이었던 도요토미 히데요리 마저 후사가 없는 상태에서 1615년 도쿠가와 가문의 습격을 받아 어머니 요도도노와 오사카 성에서 자결하는 바람에 도요토미 가문은 2대로 끊어지고 말았다.(히데요리에게는 아들 도요토미 구니마쓰와 딸 나아히메(덴슈니)가 있었으나 어린 쿠니마쓰마루는 오사카 전투이후 초소카베 모리치카등의 도요토미 가신들과 도주하다 잡혀 로쿠조와라에서 효수당하였고, 유이히메는 승려가되었다) 임진왜란의 종료와 그 결과[편집] 이 후, 조선의 일본군은 철수하였고, 노량 해전을 마지막으로 7년간 끌어오던 전쟁은 끝이 난다. 전쟁을 통해 도공을 납치 및 활자를 포함 많은 문화재의 약탈로 도자 문화나 인쇄기술의 발전을 꾀한 반면, 전쟁기간 동안에 일어난 문치파와 무단파간의 갈등 및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대두로 도요토미 정권은 막을 내리고, 도쿠가와 정권의 에도 시대가 도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병자호란이 겹쳐 조선과 일본의 관계는 급격하게 호전되기도 했다. 조선은 임진왜란 이후 국토가 황폐화 되어 재건에 박차를 가해야 했고 이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 광해군 집권기에는 명과 후금 중에 조선에 유리한 외교정책을 펴서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조율했으나, 명의 은혜를 저버리면 안된다는 명분하에 인조반정이 일어난다. 인조반정 때문에 외교를 조율할 광해군이 없어진 조선은 후금과의 갈등이 극대화되었고, 때마침 명나라마저 멸망하여 곧 병자호란이 일어났다. 명에서는 임진왜란으로 인해 국방력이 약화되었고, 후금이 대두되어 왕조가 교체되었다. 한편 도요토미 정권 역시 내전으로 붕괴하고 에도시대가 도래한 것과 이로 인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적극적으로 조선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인물평[편집]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내정보다는 전쟁에 어울리는 리더라는 견해가 있다.[13] 특히 임진왜란과 관련하여 장기적으로 부하들을 응집시키는 데에 실패한 히데요시는 결국 그 특유의 전투 지휘관 기질을 발휘하는 쪽으로 정치노선을 변경했고, 이를 위해 임진왜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14] 하지만 내정과 관련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가타나가리나 태합검지를 통해 병농분리와 노동력의 생산력 향상에 힘썼으며, 이 정책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 막부의 정책으로 계승되기도 하였다. 《간양록》에 따르면, 히데요시는 일본을 찾아온 조선의 사신에게 회답 서신을 만들게 하면서 군사를 일으킬 것이라는 말을 분명히 적게 했다고 한다. 휘하 가신들이 "일단 좋은 말로 회답 서신을 만들어 보내고 나서 갑자기 쳐들어가야 합니다."라고 간하자 히데요시는 "그러면 자고 있는 사람의 목을 치는 것과 뭐가 달라? 지금 솔직하게 써서 보내고, 그래서 상대방이 미리 준비하게 해준 다음에 승부를 내야지."라고 대답하며 듣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명나라 사람으로 사쓰마 국을 오가면서 약 장사를 하던 허의후(許宜後)가 일본의 사정을 상세하게 적은 기밀봉사(機密封事)를 명나라 조정에 보고하려다, 이웃에 사는 명나라 사람에게 고발당했다. 잡아들인 허의후를 좌우에서 모두 삶아 죽이자고 했지만, 히데요시는 "저 놈은 명나라 사람이야. 제 조국인 명나라를 위해 적국인 우리의 일을 알려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 게다가 나는 남이 생각지도 않는 틈을 노리는 건 싫어. 명나라가 미리 준비하게 하면 좀 어떤가? 그리고 예로부터 제왕(帝王)은 다 초야(草野)에서 일어났어. 명나라에, 난 원래는 천한 사람이었소 하고 알리는 것도 해로운 일은 아니야." 하고서, 거꾸로 허의후를 밀고한 사람에게 "네놈도 명나라 사람이면서 같은 명나라 사람을 밀고하다니, 너야말로 추악한 놈이야!"라 욕했다. 그리고 허의후는 끝내 죄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문맹이었고 이 때문에 사이쇼 조타이가 히데요시에게 글을 읽어주는 역할을 전담했다. 신체적 특징[편집] 그는 체격이 왜소하며 추남인 데다가 손가락이 6개인 다지증이였다고 한다.[15] 다지증에 관련된 유일한 기록은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의 '일본사'(Historia de Iapam)뿐이다. 별명이 원숭이였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이미 유명하다고 하는데 태어난 신분이 낮아서 그랬다는 설이 있다고 한다.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국[편집] KBS 1TV 《불멸의 이순신》 (2004년 ~ 2005년, 배우 : 이효정) 《징비록》 (2015년, 배우 : 김규철) 《임진왜란 1592》 (2016년, 배우 : 김응수) MBC 《임진왜란》 (1985년, 배우 : 정진) 《불의 여신 정이》 (2013년, 배우 : 안석환)[16] SBS 《왕의 여자》 (2003년 ~ 2004년, 배우:정승현) 일본[편집] NHK 대하드라마 《태합기》(1965년, 배우:오가타 켄) 《하늘과 땅과》(1969년, 배우:하마다 미츠오) 《봄의 언덕길》(1971년, 배우:나카무라 시카쿠) 《나라 훔친 이야기》(1973년, 배우:히노 쇼헤이) 《황금의 나날》(1978년, 배우:오가타 켄) 《여자 태합기》(1981년, 배우:니시다 토시유키) 《도쿠가와 이에야스》(1983년, 배우:타케다 테츠야) 《독안룡 마사무네》(1987년, 배우:카츠 신타로) 《카스가노 츠보네》(1989년, 배우:후지오카 타쿠야) 《노부나가 KING OF ZIPANGU》(1992년, 배우:나카무라 토오루) 《류큐의 바람》(1993년, 배우:나카무라 토오루) 《히데요시》(1996년, 배우:타케나카 나오토, 주연) 《토시이에와 마츠~카가 백만석 이야기~》(2002년, 배우:카가와 테루유키) 《공명의 갈림길》(2006년, 배우:에모토 아키라) 《천지인》(2009년, 배우:사사노 타카시) 《고우~공주들의 전국~》(2011년, 배우:키시타니 고로) 《군사 칸베에》(2014년, 배우:타케나카 나오토) 《사나다마루》(2016년, 배우:코히나타 후미요) 영화[편집] 《폭렬닌자 고에몬》 (2009년, 배우 : 오쿠다 에이지) 《키요스 회의》 (2013년, 배우 : 오오이즈미 요) 뮤지컬[편집] 한국[편집] 《이순신》 (2008년, 배우 : 곽은태) 《이순신》 (2010년, 배우 : 이승헌) 함께 읽기[편집] 일본 포털 역사 포털 아리마 온천 각주[편집] ↑ 가 나 덴분 5년 음력 1월 1일(1536년 2월 2일)라고도 한다. ↑ 아사히히메를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정략결혼을 시키기 위해 강제로 이혼시켰다. ↑ 섭정, 관백의 정처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아내 네네를 지칭하는 말로 많이 사용된다. ↑ 酒木隆義(사카키 다카요시), 酒木寿美子(사카키 스미코) (2001년 9월 15일). 《易しい京の歴史(알기 쉬운 서울의 역사)》. 文芸社(분게샤). 277쪽. ISBN 978-4-8355-2125-1.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조선의 이덕무도 이 설을 채택해 히데요시의 사주가 병신(丙申)·경인(庚寅)·정사(丁巳)·계묘(癸卯)가 된다고 했다. 《청장관전서》제59, 양엽기5, '히데요시의 사주'中. ↑ 허드레꾼.적으로 고용되어 주인의 집에 더부살이로 살면서 잡다한 일을 담당하는 사람으로 주로 평민 출신. ↑ 《선조실록》에서는 일본에 큰 도둑이 있어 노부나가가 이를 물리치기가 매우 어려웠는데 히데요시가 토벌을 자청하면서 군사를 모집하는데 노부나가에게 붉은 우산을 빌려 줄 것을 청했는데, 노부나가가 들어주면서 "싸움터에 도착해서 펼치되 길 위에서는 펴지 마라."고 당부했지만 히데요시는 성을 나서자마자 붉은 우산을 곧바로 펼쳐 행군했고, 이를 바라보고 '노부나가가 직접 행차한다'고 여긴 엄청난 사람들이 모여들어 그들을 거느리고 승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어느 때의 일을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 “분로쿠,게이초의 역(임진왜란)” (PDF). 2005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5일에 확인함.  ↑ 이상윤 (2010년 2월 22일)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297쪽. ISBN 978-89-93989-02-1 ↑ 윤재필《16세기 예수회의 일본 선교 연구 : 일본 선교의 부흥과 쇠퇴의 요인 분석을 통한 적절한 일본 선교 전략의 모색》(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 윤재필《16세기 예수회의 일본선교 연구》(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 “ 그 등장과정이 극적이었던 것과 같이, 히데요시는 매우 독특한 개성과 지도력을 보여준 인물이었다. 그는 노부나가의 파격성과 역동성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형식이나 관습에 구애받지 않았으며,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을 단순화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정하고 기민하게 행동했다. 이와 같은 파격성과 역동성 그리고 신속성 등을 바탕으로 히데요시는 미쓰히데와의 패권경쟁에서 승리하고 일본을 통일해 갔다. 그렇지만 단일화된 정치권력의 형성 이후, 히데요시는 리더십에 한계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히데요시가 보여준 파격성, 역동성 그리고 신속성은 전시(戰時) 상황이나 위기 상황에서는 매우 훌륭한 지도자의 자질이지만, 평화적인 상황이나 중장기적인 국가체제의 정립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그리 훌륭한 지도자의 덕목이 될 수 없었다. 히데요시는 단일화된 중앙권력을 구축할 줄은 알았으나, 단일권력을 바탕으로 국가체제를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결국 그가 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에 단일화된 권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공연과 전시 그리고 조형물을 통해 보여주는 것밖에 없었다. ”   — 송치웅. “일본의 역사 속에서 나타난 리더십과 국가발전”. Daily정경News.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송치웅의 정책제언> ↑ 이는 #원인1과 일맥상통한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 다지증 관련 기사 ↑ '정이'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장, 중요한 이유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어) 도요토미씨 가계도 (일본어) 가계도 제1대 도요토미 씨 당주1586년 ~ 1598년 후임도요토미 히데요리 제1대 하시바 씨 당주1573년 ~ 1598년 후임하시바 히데요리 전임니조 아키자네 관백1585년 ~ 1592년 후임도요토미 히데쓰구 전임공백(고노에 사키히사) 태정대신1587년 ~ 1598년 후임공백(도쿠가와 이에야스) vdeh도요토미 씨 역대 당주도요토미 종가 히데요시 히데요리 (단절) 豊臣氏하시바 종가 히데요시 히데요리 도시쓰구 (막부측에서 하시바씨를 금하여 기노시타씨로 개성) 오미 기노시타가 도시쓰구 도시카치 히데미쓰 히데나리 도시이 도시쓰네 도시카사 다이스케 히데슌 vdeh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가문 오만도코로 기타노만도코로 요도도노 | 도요토미 히데나가(히데야스) 닛슈니 아사히히메 | 하시바 히데카쓰(이시마쓰마루) 도요토미 쓰루마쓰 | 도요토미 구니마쓰 덴슈니 | 하시바 히데카쓰 도요토미 히데토시 도요토미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야스 하시바 나가요시 하시바 다카요시 다이묘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도시나가)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삼중로 이코마 지카마사 호리오 요시하루 나카무라 가즈우지 오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 | 미야베 게이준 도미타 잇파쿠 기타 다이묘 취차 어가중 칠수조 교토소사대 황모의중 문치파 무단파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칠장 정책 태합검지 도수령 병농분리 신분통제령 인소령 총무사령 훤화정지령 해적정지령 바테렌 추방령 기요스 회의 주고쿠 국분 시코쿠 국분 규슈 국분 오슈 임치 천정대판 천정통보 전쟁 혼노지의 변 야마자키 전투 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시코쿠 정벌 도야마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센보쿠 잇키 가사이·오자키 잇키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우메키타 잇키 임진왜란 정유재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직할령 태합장입지 오사카 사카이 교토 후시미 나가사키 | 오사카 성 후시미 성 주라쿠다이 나고야 성 야마자키 성 묘카쿠지 성 교토 신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도요토미 씨(하시바 씨 기노시타 씨) 관백 태합 도요쿠니 신사 오사카 번 vdeh오다 정권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타다 오다 히데노부 오다 가문 도타고젠 노히메 이코마도노 | 오다 노부유키 오다 노부카네 오다 나가마스 | 오이치노 가타 오다 노부카쓰 오다 노부타카 도쿠히메 후유히메 하시바 히데카쓰 | 호소카와 다마 가신중신 시바타 가쓰이에 니와 나가히데 다키가와 가즈마스 아케치 미쓰히데 하시바 히데요시 하야시 히데사다 사쿠마 노부모리 이케다 쓰네오키 무라이 사다카쓰 구로·아카호로슈 마에다 도시이에 삿사 나리마사 모리 요시카쓰 호리 히데마사 친족 마쓰다이라 노부야스 가모 우지사토 니와 나가시게 마에다 도시나가 기타 호소카와 유사이 아라키 무라시게 구키 요시타카 마쓰나가 히사히데 하시바 히데나가 다케나카 시게하루 구로다 요시타카 쓰쓰이 준케이 모리 나리토시 정책 천하포무 아즈치 종론 도수령 병농분리 낙시·낙좌 찬전령 히에이산 방화 교토 열병식 삼직추임문제 기요스 회의 전쟁 오다니성 전투 나가시노 전투 데토리가와 전투 기슈 정벌 혼노지의 변 직할령 아즈치성 기후성 기요스성 나고야성 니조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오다 씨 혼노지 오와리국 vdeh태정대신황친태정대신皇親太政大臣 하쿠호 시대 오토모 황자671-672 다케치 황자690-696 모노노베 친왕(지태정관사)703-705 호즈미 친왕(지태정관사)705-715  나라 시대  도네리 친왕(지태정관사)720-735 스즈카 왕(지태정관사)737-745 인신태정대신人臣太政大臣나라 시대 후지와라에미노 오시카쓰(태사)760-764 유게노 도쿄(태정대신선사)765-766 헤이안 시대 후지와라노 요시후사857-872 후지와라노 모토쓰네881-891 후지와라노 다다히라936-949 후지와라노 사네요리968-970 후지와라노 고레타다971-972 후지와라노 요리타다974-977 후지와라노 가네미치978-989 후지와라노 가네이에990 후지와라노 다메미쓰991-992 후지와라노 미치나가1017-1018 후지와라노 긴스에1021-1029 후지와라노 요리미치1062 후지와라노 노리미치1070-1071 후지와라노 노부나가1080-1089 후지와라노 모로자네1089 후지와라노 다다자네1113 미나모토노 마사자네1123-1124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29 후지와라노 다다미치1149-1150 산조 사네유키1150-1157 후지와라노 무네스케1157-1160 후지와라노 고레미치1160-1165 다이라노 기요모리1167 후지와라노 다다마사1168-1170 마쓰도노 모토후사1171 후지와라노 모로나가1177-1179 가마쿠라 시대 구조 가네자네1190 후지와라노 가네후사1191-1196 후지와라노 요리자네1199-1204 구조 요시쓰네1205 후지와라노 요리자네1209 산조 긴후사1218-1222 고노에 이에자네1222 사이온지 긴쓰네1222-1223 구조 요시히라1238-1239 고노에 가네쓰네1241-1242 사이온지 사네우지1246-1247 고가 미치테루1247-1248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52-1253 도쿠다이지 사네모토1253-1254 사이온지 긴스케1262 가잔인 미치마사1275-1276 다카쓰카사 가네히라1277 다카쓰카사 모토타다1285-1287 호리카와 모토토모1289-1290 사이온지 사네카네1292-1293 도인 긴모리1299 니조 가네모토1299-1300 쓰치미카도 사다자네1301-1302 도쿠다이지 긴타카1302-1304 이치조 사네이에1307-1309 오오이노미카도 노부쓰구1309-1311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11 산조 사네시게1318-1319 고가 미치오1319-1323 다카쓰카사 후유히라1323-1327 이마데가와 가네스에1332-1333 난보쿠초 시대남조 고가 나가미치1352-1352? 도인 긴카타1353-1354? 사이온지 긴시게????-1364 북조 고가 나가미치1341-1342 도인 긴카타1348-1350 고가 미치마사1366-1368 니조 요시모토1381-1387 무로마치 시대 도쿠다이지 사네토키1394-1395 아시카가 요시미쓰1395 고가 도모미치1395-1396 산조 사네후유1402-1407 도쿠다이지 긴토시1420 니조 모치모토1432-1433 이치조 가네요시1446-1450 고가 기요미치1452-1453 사이온지 긴나1455-1457 니조 모치미치1458-1460 고노에 후사쓰구1462 고가 미치히로1481-1482 다카쓰카사 마사히라1485 고노에 마사이에1488-1490 센고쿠 시대 이치조 후유요시1493-1497 도쿠다이지 사네아쓰1510-1511 고노에 히사미치1514-1517 가잔인 마사나가1518-1521 산조 사네카1535-1536 고노에 다네이에1538-1541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고노에 사키히사1582 도요토미 히데요시1587-1598 에도 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1616 도쿠가와 히데타다1626-1632、무가관위 고노에 모토히로1709-1710 고노에 이에히로1711 고노에 이에히사1733-1734 이치조 가네요시1746-1751 고노에 우치사키1768-1770 구조 나오자네1781 도쿠가와 이에나리1827-1841、무가관위 다카쓰카사 마사미치1842-1848 메이지 시대 산조 사네토미1871-1885 → 내각제가 율령제를 대체하면서 폐지. 내각총리대신으로 계승. vdeh관백헤이안 시대 후지와라노 모토쓰네 887-891 후지와라노 다다히라 941-949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967-969 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74-977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977-986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990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990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993-995 후지와라노 미치카네 995 후지와라노 요리미치 1020-1068 후지와라노 노리미치 1068-1075 후지와라노 노리미치 1075-1087 후지와라노 모로자네 1091-1094 후지와라노 모로자네 1094-1099 후지와라노 모로미치 1106-1107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1114-1121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1121-1123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1129-1142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1150-1158 고노에 모토자네 1158-1165 마쓰도노 모토후사 1173-1179 고노에 모토미치 1179-1180 가마쿠라 시대 구조 가네자네 1192-1196 고노에 모토미치 1196-1198 고노에 이에자네 1207-1221 고노에 이에자네 1224-1229 구조 미치이에 1229-1231 구조 노리자네 1231-1232 고노에 가네쓰네 1242 니조 요시자네 1242-1246 이치조 사네쓰네 1246 다카쓰카사 가네히라 1252-1255 니조 요시자네 1261-1265 이치조 사네쓰네 1265-1267 고노에 모토히라 1267-1268 다카쓰카사 모토타다 1269-1273 구조 다다이에 1273-1274 다카쓰카사 가네히라 1279-1287 니조 모로타다 1287-1289 고노에 이에모토 1289-1291 구조 다다노리 1291-1293 고노에 이에모토 1293-1296 다카쓰카사 가네타다 1296-1298 니조 가네모토 1301-1305 구조 모로노리 1305-1308 다카쓰카사 후유히라 1311-1313 고노에 이에히라 1313-1315 다카쓰카사 후유히라 1315-1316 니조 미치히라 1316-1319 이치조 우치쓰네 1319-1323 구조 후사자네 1323-1325 다카쓰카사 후유히라 1325-1327 니조 미치히라 1327-1330 고노에 쓰네타다 1330 다카쓰카사 후유노리 1330-1333 난보쿠초 시대남조 니조 모로모토 1352-1354? 고노에 쓰네이에 1354?-1356 니조 노리모토 1356-???? (고노에 쓰네이에) ????-1361 니조 노리모토 1361-???? 니조 노리요리 ????-???? 니조 후유자네 ????-???? 고노에 아무개 ????-1392 북조 고노에 쓰네타다 1336-1337 고노에 모토쓰구 1337-1338 이치조 쓰네미치 1338-1342 구조 미치노리 1342 다카쓰카사 모로히라 1342-1346 니조 요시모토 1346-1359 구조 쓰네노리 1359-1361 고노에 미치쓰구 1361-1363 니조 요시모토 1363-1367 다카쓰카사 후유미치 1367-1369 니조 모로요시 1369-1376 구조 다다모토 1376-1379 니조 모로쓰구 1379-1382 (니조 요시모토) 1388 니조 모로쓰구 1388-1394 무로마치 시대 이치조 쓰네쓰구 1394-1398 니조 모로쓰구 1398-1399 이치조 쓰네쓰구 1399-1408 고노에 다다쓰구 1408-1409 니조 미쓰모토 1409-1410 이치조 쓰네쓰구 1410-1418 구조 미쓰이에 1418-1424 니조 모치모토 1424-1432 니조 모치모토 1433-1445 고노에 후사쓰구 1445-1447 이치조 가네요시 1447-1453 니조 모치미치 1453-1454 다카쓰카사 후사히로 1454-1455 니조 모치미치 1455-1458 이치조 노리후사 1458-1463 니조 모치미치 1463-1467 이치조 가네요시 1467-1470 니조 마사쓰구 1470-1476 구조 마사모토 1476-1479 고노에 마사이에 1479-1483 다카쓰카사 마사히라 1483-1487 구조 마사타다 1487-1488 이치조 후유요시 1488-1493 고노에 히사미치 1493-1497 센고쿠 시대 니조 히사모토 1497 이치조 후유요시 1497-1501 구조 히사쓰네 1501-1513 고노에 히사미치 1513-1514 다카쓰카사 가네스케 1514-1518 니조 다다후사 1518-1525 고노에 다네이에 1525-1533 구조 다네미치 1533-1534 니조 다다후사 1534-1536 고노에 다네이에 1536-1542 다카쓰카사 다다후유 1542-1545 이치조 후사미치 1545-1548 니조 하루요시 1548-1553 이치조 가네후유 1553-1554 고노에 사키히사 1554-1568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니조 하루요시 1568-1578 구조 가네타카 1578-1581 이치조 우치모토 1581-1584 니조 아키자네 1585 도요토미 히데요시 1585-1592 도요토미 히데쓰구 1592-1595 에도 시대 구조 가네타카 1601-1604 고노에 노부타다 1605-1606 다카쓰카사 노부후사 1606-1608 구조 다다히데 1608-1612 다카쓰카사 노부히사 1612-1615 니조 아키자네 1615-1619 구조 다다히데 1619-1623 고노에 노부히로 1623-1629 이치조 아키요시 1647-1651 고노에 히사쓰구 1652-1653 니조 미쓰히라 1653-1663 다카쓰카사 후사스케 1668-1682 이치조 후유쓰네 1682-1687 이치조 후유쓰네 1689-1690 고노에 모토히로 1690-1703 다카쓰카사 가네히로 1703-1707 고노에 이에히로 1707-1711 구조 스케자네 1711-1722 니조 쓰나히라 1722-1726 고노에 이에히사 1726-1736 니조 요시타다 1736-1737 이치조 카네요시 1737-1746 이치조 미치카 1747 이치조 미치카 1755-1757 고노에 우치사키 1757-1762 고노에 우치사키 1772-1779 구조 나오자네 1778-1787 구조 나오자네 1785-1787 다카쓰카사 스케히라 1787-1791 이치조 데루요시 1791-1795 다카쓰카사 마사히로 1795-1814 이치조 다다요시 1814-1823 다카쓰카사 마사미치 1823-1856 구조 히사타다 1856-1862 고노에 다다히로 1862-1863 다카쓰카사 스케히로 1863-1864 니조 나리유키 1864-1867 (메이지 유신으로 폐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9404853 LCCN: n81032981 ISNI: 0000 0001 1678 7862 GND: 118944606 SUDOC: 05062654X BNF: cb143664439 (데이터) BIBSYS: 1007825 ULAN: 500327127 NDL: 00272338 NKC: jn20040204002 CiNii: DA0584509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요토미_히데요시&oldid=24508748" 분류: 도요토미 히데요시1537년 태어남1598년 죽음기노시타 씨고노에가도요토미씨섭관센고쿠 다이묘일본의 인물신 (센고쿠 시대)긴키 지방의 역사오다 노부나가임진왜란오사카성히메지성일본의 서예가오와리국 사람정유재란 관련자삼영걸16세기 일본 사람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گیلکی客家語/Hak-kâ-ngî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Malagasy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3: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요토미 히데요시(일본어: 豊臣秀吉, 덴분 6년 음력 2월 6일 (1537년 3월 17일) ~ 게이초 3년 음력 8월 18일(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豊臣)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羽柴)성을 사용했다. 그 자신의 가신(家臣) 가토 기요마사의 어머니인 이토(伊藤)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일본의 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가? Assistant: 히데요시는 전투 부대의 병종을 기병과 보병 두 가지로 대별하고 사무라이대장(侍大將)의 지휘 하에 기병, 총병, 궁병, 창검병 등의 단위대를 편성한 후에 각조 지휘관으로서 기사와 보사를 두었다. 이렇게 변모된 군사력을 배경으로 하여 1586년 무렵에 대규모 건조 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조선 침공 직전에 전함 천여 척을 이미 확보한 데에 이어서 종전 무렵에는 3천여 척이나 되는 대규모 선단을 보유할 수가 있었고 조선을 침공하기 직전인 1591년에는 사이카이도, 난카이도, 산요도, 산인도, 기나이와 그 동방 일부 지역에 동원령을 내려서 병력 33만을 동원할 준비하였다. 1586년 히데요시는 일본 수군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유럽의 범선인 카락과 갤리온 구입을 시도했었는데 포르투갈인의 거절로 구입에는 실패했다[10].대신 당시 일본에 진출한 로마 가톨릭교회 예수회를 통해 포르투갈 군함의 지원을 요청하고 승낙까지 받았으나 예수회와 관계가 악화되며 바테렌 추방령을 내리며 무산된다.[11]
Human: 아래 은석초등학교_(서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석초등학교 (서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석초등학교 (서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석초등학교恩石初等學校Eunseok Elementary School 교훈 튼튼한 어린이, 서로돕는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개교 1963년 4월 16일 설립형태 사립 교장 양형진 교감 김호진 국가 대한민국 위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장안벚꽃로 205 학생 수 678명 (2017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72명 (2017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 교화: 팬지 학교법인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관할관청 서울특별시동부교육지원청 웹사이트 은석초등학교 홈페이지 은석초등학교(恩石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63년 3월 28일: 은석국민학교로 설립인가 교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에 둠 1963년 4월 16일: 은석국민학교로 개교 (설립자 및 초대 교장 박은혜 선생님) 1965년 8월 12일: 학교법인 동국학원에 합병 1966년 11월 20일: 종로구 연지동 1번지로 신교사 이전 1979년 4월 17일: 동대문구 장안2동 328번지로 신교사 이전 1980년 12월 9일: 학칙변경 인가 (24학급) 2001년 2월 5일: 연화 법당 중창 2005년 12월 14일: 학교공원화사업 준공 2007년 9월 10일: 정보화 도서실 확장 리모델링공사 완공 2007년 9월 15일: 동편 화장실 4개동 개수 공사 완공(비데시설 완비) 2007년 11월 7일: 영어교실 8실 확충(리모델링) 2008년 8월 10일: 과학실, 미술실 현대화사업 완공 2008년 8월 18일: 1,2학년 교실 리모델링 사업 완공 2008년 8월 20일: 다목적교실 팬지홀 개관 2008년 8월 28일: 영어전문도서관 개관(원어민 사서 지도) 2009년 1월 21일: 3,4층 3~6학년 교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09년 1월 21일: 성악실, 방송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09년 1월 21일: 4층 어학실(9,10 어학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09년 4월 15일: 은석 쉼터 준공 2009년 8월 23일: 급식실 리모델링공사 완공 2009년 8월 23일: 학교건물 외벽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10년 1월 26일: 4-4 교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10년 2월 22일: 서울시교육청 인가「수학 영재학급」설치 운영 2010년 11월 27일: 2010사랑의 일기 큰잔치 최우수상(단체상) 2011년 4월 15일: 돌봄교실 신축 2011년 8월 13일: 동편 현관 도복도 신축 2011년 11월 9일: 급식실 및 대식당 개관식 2012년 2월 24일: 6-4 교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12년 2월 24일: 무용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12년 2월 24일: 상담실 리모델링 공사 완공 2012년 4월 13일: 제 49주년 개교기념식 및 체육관ㆍ강당 건립설명회 2013년 1월 18일: 1층 LED조명공사 2013년 1월 31일: 본관 뒷면 외벽 공사 2013년 1월 31일: 무용실 탈의실 및 골프장 탈의실 공사 2013년 2월 14일: 제 50회 졸업식 (107명) 연누계 8,733명. 남5,077명 여3,656명) 동문[편집] 분류:은석초등학교 (서울)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은석초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은석초등학교 홈페이지 vdeh학교법인 동국대학교산하 학교대학교 서울캠퍼스 경주캠퍼스 로스엔젤레스캠퍼스 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금산고등학교 영석고등학교 중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금산중학교 홍제중학교 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유치원 동국대학교 부속유치원 국제 교류교류 협정 40개 나라 160개 대학 복수 학위 미국 스토니브룩 대학교 미국 텍사스 대학교 댈러스 경영대학 미국 노던 주립 대학교 중국 둥베이 사범대학 중국 지린 대학 중어중문학과 중화민국 국립 대만 사범대학 중어중문학과 산하 기관 의료원 박물관 동국대학교 전산원 학술 활동 동국역경원 BK21 vdeh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남구 서울개원초등학교 서울개일초등학교 서울개포초등학교 서울구룡초등학교 서울논현초등학교 서울대곡초등학교 서울대도초등학교 서울대모초등학교 서울대왕초등학교 서울대진초등학교 서울대청초등학교 서울대치초등학교 서울대현초등학교 서울도곡초등학교 서울도성초등학교 서울봉은초등학교 서울삼릉초등학교 서울세명초등학교 서울수서초등학교 서울신구초등학교 서울압구정초등학교 서울양전초등학교 서울언북초등학교 서울언주초등학교 서울역삼초등학교 서울영희초등학교 서울왕북초등학교 서울율현초등학교 서울일원초등학교 서울자곡초등학교 서울청담초등학교 서울포이초등학교 서울학동초등학교 강동구 서울강덕초등학교 서울강동초등학교 서울강명초등학교 서울강솔초등학교 서울강일초등학교 서울고덕초등학교 서울고명초등학교 서울고일초등학교 서울길동초등학교 서울대명초등학교 서울둔촌초등학교 서울명덕초등학교 서울명원초등학교 서울명일초등학교 서울묘곡초등학교 서울상일초등학교 서울선린초등학교 서울선사초등학교 서울성내초등학교 서울성일초등학교 서울신명초등학교 서울신암초등학교 서울위례초등학교 서울천동초등학교 서울천일초등학교 서울천호초등학교 서울한산초등학교 강북구 서울미양초등학교 서울번동초등학교 서울삼각산초등학교 서울삼양초등학교 서울송중초등학교 서울송천초등학교 서울수송초등학교 서울수유초등학교 서울오현초등학교 서울우이초등학교 서울유현초등학교 서울인수초등학교 서울화계초등학교 영훈초등학교 강서구 서울가곡초등학교 서울가양초등학교 서울개화초등학교 서울공진초등학교 서울공항초등학교 서울내발산초등학교 서울등마초등학교 서울등명초등학교 서울등서초등학교 서울등양초등학교 서울등원초등학교 서울등촌초등학교 서울등현초등학교 서울발산초등학교 서울방화초등학교 서울백석초등학교 서울삼정초등학교 서울송정초등학교 서울송화초등학교 서울수명초등학교 서울신곡초등학교 서울신월초등학교 서울신정초등학교 서울양천초등학교 서울염강초등학교 서울염경초등학교 서울염동초등학교 서울염창초등학교 서울우장초등학교 서울월정초등학교 서울정곡초등학교 서울치현초등학교 서울탑산초등학교 서울화곡초등학교 서울화일초등학교 유석초등학교 관악구 서울관악초등학교 서울구암초등학교 서울난곡초등학교 서울난우초등학교 서울난향초등학교 서울남부초등학교 서울당곡초등학교 서울미성초등학교 서울봉천초등학교 서울봉현초등학교 서울사당초등학교 서울삼성초등학교 서울신림초등학교 서울신봉초등학교 서울신성초등학교 서울신우초등학교 서울원당초등학교 서울원신초등학교 서울은천초등학교 서울인헌초등학교 서울조원초등학교 서울청룡초등학교 광진구 경복초등학교 서울광남초등학교 서울광장초등학교 서울광진초등학교 서울구남초등학교 서울구의초등학교 서울동의초등학교 서울동자초등학교 서울성자초등학교 서울신양초등학교 서울신자초등학교 서울양남초등학교 서울양진초등학교 서울용곡초등학교 서울용마초등학교 서울자양초등학교 서울장안초등학교 서울중광초등학교 서울중마초등학교 서울화양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 구로구 서울개명초등학교 서울개봉초등학교 서울개웅초등학교 서울고산초등학교 서울고원초등학교 서울고척초등학교 서울구로남초등학교 서울구로초등학교 서울구일초등학교 서울덕의초등학교 서울동구로초등학교 서울매봉초등학교 서울미래초등학교 서울세곡초등학교 서울신구로초등학교 서울신도림초등학교 서울신미림초등학교 서울영서초등학교 서울영일초등학교 서울오류남초등학교 서울오류초등학교 서울오정초등학교 서울온수초등학교 서울천왕초등학교 서울하늘숲초등학교 서울항동초등학교 금천구 동광초등학교 서울가산초등학교 서울금나래초등학교 서울금동초등학교 서울금산초등학교 서울금천초등학교 서울독산초등학교 서울두산초등학교 서울문교초등학교 서울문백초등학교 서울문성초등학교 서울백산초등학교 서울시흥초등학교 서울신흥초등학교 서울안천초등학교 서울영남초등학교 서울정심초등학교 서울탑동초등학교 노원구 상명초등학교 서울계상초등학교 서울공릉초등학교 서울공연초등학교 서울노원초등학교 서울노일초등학교 서울녹천초등학교 서울당현초등학교 서울덕암초등학교 서울동일초등학교 서울불암초등학교 서울상경초등학교 서울상계초등학교 서울상곡초등학교 서울상수초등학교 서울상원초등학교 서울상월초등학교 서울상천초등학교 서울선곡초등학교 서울수락초등학교 서울수암초등학교 서울신계초등학교 서울신상계초등학교 서울연지초등학교 서울연촌초등학교 서울온곡초등학교 서울용동초등학교 서울용원초등학교 서울원광초등학교 서울월계초등학교 서울을지초등학교 서울중계초등학교 서울중원초등학교 서울중평초등학교 서울중현초등학교 서울청계초등학교 서울태랑초등학교 서울태릉초등학교 서울한천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도봉구 동북초등학교 서울가인초등학교 서울누원초등학교 서울도봉초등학교 서울방학초등학교 서울백운초등학교 서울숭미초등학교 서울신방학초등학교 서울신창초등학교 서울신학초등학교 서울신화초등학교 서울쌍문초등학교 서울오봉초등학교 서울월천초등학교 서울자운초등학교 서울창경초등학교 서울창도초등학교 서울창동초등학교 서울창림초등학교 서울창원초등학교 서울창일초등학교 서울초당초등학교 한신초등학교 동대문구 경희초등학교 서울군자초등학교 서울답십리초등학교 서울동답초등학교 서울배봉초등학교 서울삼육초등학교 서울신답초등학교 서울안평초등학교 서울용두초등학교 서울이문초등학교 서울장평초등학교 서울전곡초등학교 서울전농초등학교 서울전동초등학교 서울종암초등학교 서울청량초등학교 서울홍릉초등학교 서울홍파초등학교 서울휘경초등학교 서울휘봉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동작구 서울강남초등학교 서울남사초등학교 서울남성초등학교 서울노량진초등학교 서울대림초등학교 서울동작초등학교 서울문창초등학교 서울보라매초등학교 서울본동초등학교 서울삼일초등학교 서울상도초등학교 서울상현초등학교 서울신길초등학교 서울신남성초등학교 서울신상도초등학교 서울영본초등학교 서울영화초등학교 서울은로초등학교 서울행림초등학교 서울흑석초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마포구 서울공덕초등학교 서울동교초등학교 서울마포초등학교 서울망원초등학교 서울상암초등학교 서울상지초등학교 서울서강초등학교 서울서교초등학교 서울성산초등학교 서울성서초등학교 서울성원초등학교 서울소의초등학교 서울신북초등학교 서울신석초등학교 서울아현초등학교 서울염리초등학교 서울용강초등학교 서울중동초등학교 서울창천초등학교 서울하늘초등학교 서울한서초등학교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대문구 경기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서울가재울초등학교 서울고은초등학교 서울금화초등학교 서울대신초등학교 서울미동초등학교 서울북가좌초등학교 서울북성초등학교 서울안산초등학교 서울연가초등학교 서울연희초등학교 서울인왕초등학교 서울창서초등학교 서울홍연초등학교 서울홍은초등학교 서울홍제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추계초등학교 서초구 계성초등학교 서울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서울매헌초등학교 서울반원초등학교 서울반포초등학교 서울방배초등학교 서울방일초등학교 서울방현초등학교 서울서래초등학교 서울서원초등학교 서울서이초등학교 서울서일초등학교 서울서초초등학교 서울신동초등학교 서울신중초등학교 서울양재초등학교 서울언남초등학교 서울우면초등학교 서울우솔초등학교 서울우암초등학교 서울원명초등학교 서울원촌초등학교 서울이수초등학교 서울잠원초등학교 성동구 서울경동초등학교 서울경수초등학교 서울경일초등학교 서울금북초등학교 서울금옥초등학교 서울금호초등학교 서울동명초등학교 서울동호초등학교 서울마장초등학교 서울무학초등학교 서울사근초등학교 서울성수초등학교 서울송원초등학교 서울숭신초등학교 서울옥수초등학교 서울옥정초등학교 서울용답초등학교 서울응봉초등학교 서울행당초등학교 서울행현초등학교 한양초등학교 성북구 광운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서울개운초등학교 서울길원초등학교 서울길음초등학교 서울돈암초등학교 서울동신초등학교 서울미아초등학교 서울삼선초등학교 서울석계초등학교 서울석관초등학교 서울성북초등학교 서울숭곡초등학교 서울숭덕초등학교 서울숭례초등학교 서울숭인초등학교 서울안암초등학교 서울월곡초등학교 서울일신초등학교 서울장곡초등학교 서울장월초등학교 서울장위초등학교 서울정덕초등학교 서울정릉초등학교 서울정수초등학교 서울청덕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우촌초등학교 송파구 서울가동초등학교 서울가락초등학교 서울가원초등학교 서울가주초등학교 서울개롱초등학교 서울거여초등학교 서울거원초등학교 서울남천초등학교 서울마천초등학교 서울문덕초등학교 서울문정초등학교 서울문현초등학교 서울방산초등학교 서울방이초등학교 서울버들초등학교 서울삼전초등학교 서울석촌초등학교 서울세륜초등학교 서울송례초등학교 서울송전초등학교 서울송파초등학교 서울신가초등학교 서울신천초등학교 서울아주초등학교 서울영풍초등학교 서울오금초등학교 서울오륜초등학교 서울위례별초등학교 서울잠동초등학교 서울잠신초등학교 서울잠실초등학교 서울잠일초등학교 서울잠전초등학교 서울잠현초등학교 서울중대초등학교 서울토성초등학교 서울평화초등학교 서울풍납초등학교 서울풍성초등학교 서울해누리초등학교 양천구 서울갈산초등학교 서울강서초등학교 서울강신초등학교 서울강월초등학교 서울경인초등학교 서울계남초등학교 서울남명초등학교 서울목동초등학교 서울목운초등학교 서울목원초등학교 서울서정초등학교 서울신강초등학교 서울신기초등학교 서울신남초등학교 서울신목초등학교 서울신서초등학교 서울신원초등학교 서울신은초등학교 서울양강초등학교 서울양동초등학교 서울양명초등학교 서울양목초등학교 서울양원초등학교 서울양화초등학교 서울영도초등학교 서울월촌초등학교 서울은정초등학교 서울장수초등학교 서울정목초등학교 서울지향초등학교 영등포구 서울당산초등학교 서울당서초등학교 서울당중초등학교 서울대길초등학교 서울대동초등학교 서울대방초등학교 서울대영초등학교 서울도림초등학교 서울도신초등학교 서울문래초등학교 서울선유초등학교 서울신대림초등학교 서울신영초등학교 서울여의도초등학교 서울영동초등학교 서울영등포초등학교 서울영림초등학교 서울영문초등학교 서울영신초등학교 서울영원초등학교 서울영중초등학교 서울우신초등학교 서울윤중초등학교 용산구 서울금양초등학교 서울남정초등학교 서울보광초등학교 서울삼광초등학교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울신용산초등학교 서울용산초등학교 서울용암초등학교 서울원효초등학교 서울이태원초등학교 서울청파초등학교 서울한강초등학교 서울한남초등학교 서울후암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은평구 서울갈현초등학교 서울구산초등학교 서울구현초등학교 서울녹번초등학교 서울대은초등학교 서울대조초등학교 서울북한산초등학교 서울불광초등학교 서울상신초등학교 서울서신초등학교 서울수리초등학교 서울수색초등학교 서울신도초등학교 서울신사초등학교 서울어울초등학교 서울역촌초등학교 서울연광초등학교 서울연신초등학교 서울연은초등학교 서울연천초등학교 서울은명초등학교 서울은빛초등학교 서울은진초등학교 서울은평초등학교 서울응암초등학교 서울증산초등학교 서울진관초등학교 선일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충암초등학교 종로구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서울독립문초등학교 서울매동초등학교 서울명신초등학교 서울세검정초등학교 서울재동초등학교 서울창신초등학교 서울청운초등학교 서울혜화초등학교 서울효제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중구 동산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 서울광희초등학교 서울남산초등학교 서울덕수초등학교 서울봉래초등학교 서울신당초등학교 서울장충초등학교 서울청구초등학교 서울충무초등학교 서울흥인초등학교 숭의초등학교 중랑구 금성초등학교 서울동원초등학교 서울망우초등학교 서울면남초등학교 서울면동초등학교 서울면목초등학교 서울면북초등학교 서울면일초등학교 서울면중초등학교 서울묵동초등학교 서울묵현초등학교 서울봉화초등학교 서울상봉초등학교 서울새솔초등학교 서울신내초등학교 서울신묵초등학교 서울신현초등학교 서울원묵초등학교 서울중곡초등학교 서울중랑초등학교 서울중목초등학교 서울중화초등학교 서울중흥초등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사립 초등학교서울 경기초등학교 경복초등학교 경희초등학교 계성초등학교 광운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북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상명초등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삼육초등학교 선일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 숭의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영훈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우촌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유석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추계초등학교 충암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한신초등학교 한양초등학교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부산 남성초등학교 동래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부산삼육초등학교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혜화초등학교 대구 계성초등학교 대구삼육초등학교 영신초등학교 효성초등학교 인천 영화초등학교 인성초등학교 인천동명초등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한일초등학교 광주 광주삼육초등학교 광주송원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대전 대전성모초등학교 대전삼육초등학교 경기 소화초등학교 심석초등학교 중앙기독초등학교 강원 동해삼육초등학교 원주삼육초등학교 춘천삼육초등학교 충북 청주대성초등학교 충남 서해삼육초등학교 전남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초등학교 여도초등학교 경북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경남 대우초등학교 샛별초등학교 이 글은 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석초등학교_(서울)&oldid=23373260" 분류: 동국대학교서울 동대문구의 초등학교1963년 개교숨은 분류: 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8일 (금) 0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석초등학교(恩石初等學校)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은석초등학교의 초대 교장 선생님은 누구일까요? Assistant: 박은혜 선생님 Human: 아래 충청남도의_박물관과_미술관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충청남도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청남도의 박물관과 미술관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대한민국 충청남도에 있는 박물관과 미술관들이다. 목차 1 국립 박물관 2 공립 박물관 3 사립 박물관 4 대학교 박물관 5 외부 링크 국립 박물관[편집] 박물관 주소 웹사이트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1] 국립부여박물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2] 서천해양자연사박물관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서인로 288-19 우정박물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양지말1길 11-14 우정공무원교육원 내 [3] 칠백의총기념관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173-1 [4][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현충사관리소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현충사길 48 [5] 독립기념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6] 공립 박물관[편집] 박물관 주소 웹사이트 고남패총박물관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안면대로 4270-6 [7]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안틀모시길 11 [8] 백제군사박물관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로 311-54 [9] 보령석탄박물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산로 508 [10] 석장리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금벽로 990 [11] 정림사지박물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12] 천안박물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429-13 [13]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대추골1길 18-13 [14]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덕평로 379-9 [15] 사립 박물관[편집] 박물관 주소 웹사이트 결성농요내포농사박물관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구성남로 91 [16] 계룡산자연사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임금봉길 49-25 [17] 공세리성지성당박물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공세리성당길 10 공주민속극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돌모루2길 17-15 당림미술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로1182번길 34-19 [18] 리각미술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태조산길 245 [19][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모산조형미술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산로 673-24 복권박물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문암로 283 KB국민은행 천안연수원 내 수덕사근역성보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안길 79 [20] 안면도쥬라기박물관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곰섬로 37-20 [21] 온양민속박물관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22] 웅진교육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무성산로 296 [23] 임립미술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봉곡길 77-13 [24] 지당자연사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금봉길 49 [25] 태영민속박물관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하금평촌길 26 [26] 한국고건축박물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홍덕서로 543 [27] 한국문인인장박물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운산2길 111-6 [28] 한국식기박물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 무한로 957-24 홍성민속테마박물관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구항길 312 [29] 대학교 박물관[편집] 박물관 주소 웹사이트 공주교육대학교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로 27 공주교육대학교 내 [30] 공주대학교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공주대학교 내 백석대학교기독교박물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문암로 76 [31] 외부 링크[편집] (사단법인)한국박물관협회, 한국의 박물관 미술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사립박물관협회, 회원현황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사이트 국내 vdeh대한민국의 박물관과 미술관박물관 종류 국립 박물관 공립 박물관 사립 박물관 대학 박물관 시별 박물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도별 박물관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vdeh 충청남도의 박물관과 미술관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공주시 국립 국립공주박물관 공립 석장리박물관 충청남도역사박물관 사립 계룡산자연사박물관 공주민속극박물관 임립미술관 대학 공주교육대학교박물관 공주대학교부속박물관 금산군 공립 금산역사문화박물관 사립 태영민속박물관 당진시 공립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사립 한국도량형박물관 보령시 공립 보령박물관 보령석탄박물관 사립 모산조형미술관 부여군 국립 국립부여박물관 공립 정림사지박물관 서천군 국립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시큐리움 아산시 공립 영인산산림박물관 사립 공세리성지성당박물관 당림미술관 아산정린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대학 선문대학교박물관 예산군 사립 수덕사근역성보관 한국고건축박물관 한국문인인장박물관 천안시 국립 우정박물관 공립 천안박물관 천안예술의전당미술관 사립 도계민화박물관 독립기념관 리각미술관 대학 백석대학교기독교박물관 태안군 공립 고남패총박물관 사립 안면도쥬라기박물관 홍성군 공립 홍주성역사관 사립 한국식기박물관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충청남도의_박물관과_미술관_목록&oldid=24117289" 분류: 대한민국의 박물관 목록충청남도의 박물관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07: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다음은 대한민국 충청남도에 있는 박물관과 미술관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충청남도의 독립기념관 주소는 무엇인가? Assistant: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