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한글맞춤법의 '준 대로 적는다'의 해석
2019. 12. 6.
맞춤법에 '준 대로 적는다'는 준말로만 표기한다는 건가요, 아니면 본말과 준말 모두 표기할 수 있다는 건가요? '보아-봐'는 둘 다 쓸 수 있는 것 같은데 '가았다-갔다'는 준말로만 표기하는 것 같아서요.
 규정의 구체적인 맥락에 따라 다릅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에서는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려 'ㅘ/ㅝ, ㅘㅆ/ㅝㅆ'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되어 있으므로, '보아'가 '봐'로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지만 '봐'로 줄지 않을 적에는 '보아'로 적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한편, 제34항에서는 '모음 'ㅏ, ㅓ'로 끝난 어간에 '-아/-어, -았-/-었-'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고 되어 있으므로, '가-'와 '-았-'이 어울릴 적에는 준 대로 '갔-'으로만 적는다는 것입니다.
0
'맞습니다'의 형태소 분석
2019. 12. 6.
'맞습니다'의 형태소 분석은 어떻게 되나요?
 '맞습니다'는 동사 '맞다'의 어간 '맞-' 뒤에 종결 어미 '-습니다'가 붙은 말이므로, '맞-/-습니다'와 같이 형태소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0
'철수가 매를 맞다'의 피동 표현
2019. 12. 6.
"철수가 매를 맞다."라는 문장이 옳은 문장인가요? 그렇다면 이것을 피동형으로 고치면 어떻게 되는지요?
 "철수가 (누구에게) 매를 맞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만, 이 문장의 피동 표현은 없습니다. 피동 표현을 만드는 방법으로 파생 접사에 의한 것과 '-어지다'에 의한 것이 있는데, '맞다'의 경우 이에 대응되는 피동사가 없으며, '맞아지다'처럼 '-어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도 쓰이지 않습니다. 이는 '맞다'가 '외부로부터 어떤 힘이 가해져 몸에 해를 입다'의 뜻을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0
'맞는'과 '맞은'의 차이
2019. 12. 6.
"{맞는/맞은} 답을 고르시오."의 경우 '맞는'이 맞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맞은'은 사용하면 안 되나요? "30점 이하로 맞은 아이는 밖으로 나가라."는 잘못 쓴 말인가요?
맥락에 따라 '맞는', '맞은'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맞다'는 동사이므로 현재는 "맞는 답을 고르시오."처럼 '-는'을 붙여 '맞는'으로 쓰고, 과거는 "30점 이하로 맞은 아이는 밖으로 나가라."처럼 '-은'을 붙여 '맞은'으로 씁니다.
0
'많다'의 활용
2019. 12. 6.
'많은/많는'의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많은'만 맞습니다.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은 동사 어간 뒤에는 '-는'을 붙이고, 형용사 어간 뒤에는 '-은'을 붙여 나타내는데, '많다'는 형용사이므로 어미 '-은'이 붙습니다.
0
'만에 하나', '만의 하나'의 표현
2019. 12. 6.
'만{에/의} 하나' 중 뭐가 맞나요?
 맥락에 따라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흔히, 매우 드문 경우를 가정할 때 쓰는 말은 '만에 하나'가 맞습니다. '만에 하나'는 관용구로 '아주 매우 드묾'의 뜻으로 "만에 하나 시간이 남는다면 잠을 자겠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일반적인 통사 구성인 '만의 하나'는 '만 가운데 하나'의 뜻으로 "기념품이 만 개나 있으니 만의 하나는 가질 수 있겠지."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만날'의 단어 형성법
2019. 12. 6.
"그 사람은 만날 지각이야."라는 문장에서 '만날'은 파생어와 합성어 중 어디에 해당하나요?
 '만날(萬-)'은 합성어에 해당합니다. 수관형사 '만(萬)'과 의존 명사 '날'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0
인용된 관용구의 마침표 쓰임
2019. 12. 6.
"'손이 크다'라는 관용어는 널리 알려진 표현이다."라고 적을 때나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관용어는 널리 알려진 표현이다."라고 적을 때 작은따옴표 안에 마침표를 찍어야 할까요?
 관용구는 문장이 아니므로 마침표를 찍지 않습니다. 마침표는 문장의 끝에 쓰는데, 관용구 '바람 앞의 등불'과 '손이 크다'는 문장이 아닙니다. 특히 '손이 크다'는 형용사로 끝나 언뜻 문장처럼 보이지만 관용구 '손이 크다'는 시제가 반영되지 않은 기본형이라 문장이 아닙니다. 따라서 <"손이 크다"라는 관용어는 널리 알려진 표현이다.>,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관용어는 널리 알려진 표현이다.>와 같이 마침표를 찍지 않습니다.
0
마침표 사용의 필수성
2019. 12. 6.
"우리는 주위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를 마침표 빼고 "우리는 주위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로 쓰면 틀린 문장이 되나요?
'문장부호'(2015) 규정에 따르면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따옴표로 직접 인용된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는 것이 원칙이지만 찍지 않는 것도 허용합니다.
0
느낌표와 마침표의 관계
2019. 12. 6.
느낌표도 문장 끝에 쓰는 거니까 마침표라고 할 수 있는지요?
느낌표는 '마침표'라고 할 수 없습니다. 현행 문장 부호 규정(2015)에 따르면 '마침표'는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쓰는 부호이므로, 감탄을 나타내는 느낌표는 마침표가 아닙니다. 다만, 개정 전에는 문장의 끝에 쓰이는 온점, 느낌표, 물음표를 아울러 '마침표'라고 했었습니다.
0
'맟다'의 표현
2019. 12. 6.
'맟다'가 '마치다'의 준말이라는데 맞나요?
 '맟다'는 '마치다'의 준말이 맞습니다. '맟다'는 '어떤 일이나 과정, 절차 따위가 끝나다. 또는 그렇게 하다', '사람이 생(生)을 더 누리지 못하고 끝내다'를 뜻하는 '마치다'의 준말로서 '밤이 맟도록 이야기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마중'의 형태소 분석
2019. 12. 6.
형태소 분석을 할 때 '마중'은 '맞-'과 '-웅'으로 분석해야 하나요?
형태소 분석은 문법적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시적인 쓰임을 중시하는 관점에서는 '마중'을 단일어로 보아 형태소를 더 이상 분석하지 않습니다만, 어원을 중시하는 관점에서는 '마중'을 '맞-+-웅'이 결합한 복합어로 보아 형태소 분석을 하기도 합니다.
0
'마뜩잖다', '마뜩찮다' 바른 표기
2019. 12. 6.
'마뜩잖다/마뜩찮다'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지요?
 '마뜩잖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마뜩잖다'는 '마음에 들 만하지 아니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마뜩하지 않다→마뜩지 않다→마뜩잖다'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나온 형태입니다.
0
'를'의 쓰임
2019. 12. 6.
'놀러를 가다'의 '를'을 목적격 조사로 볼 수 있는지요?
 '놀러를 가다'의 '를'은 목적격 조사가 아니라 보조사입니다. '를'은 체언 뒤에 붙어 '친구를 만나다'처럼 목적격 조사로 쓰이기도 하지만 '에, 으로', 연결 어미 '-아, -게, -지, -고', 받침 없는 일부 부사 뒤에 붙어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로서 "너는 어쩌자고 혼자 시장에를 갔니?", "아무리 해도 흥분이 가라앉지를 않았다.", "그 여자는 내 말은 곧이를 듣지 않아요."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0
'로마자 표기법'의 필요성
2019. 12. 6.
로마자 표기법이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글을 읽을 수 없는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제대로 알리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로 된 우리말을 로마자로 적는 방법으로, 특히 한국어 지명, 인명, 상호 등과 같은 고유 명사의 로마자 표기를 규정에 따라 통일함으로써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정보 검색 등을 편리하게 합니다.
0
거센소리의 로마자 표기
2019. 12. 6.
로마자 표기에서 '잡혀'는 발음대로 'japyeo'로 적으면서, '집현전'은 왜 'Jiphyeonjeon'으로 적나요?
 로마자표기법에 이에 대한 이유는 명백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에 따르면, 음운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그 결과에 따라 적으므로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날 때에도 그 발음대로 '잡혀〔자펴〕-japyeo', '낳지〔나치〕-nachi'와 같이 적습니다. 다만, 체언은 예외적으로 '묵호-Mukho, 집현전-Jiphyeonjeon'과 같이 'ㅎ'을 밝혀 적도록 되어 있을 뿐입니다.
0
어미 '-로다'의 쓰임
2019. 12. 6.
"이것이 책이로다."는 되지만 "학교에 가로다."는 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감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로다'는 서술격 조사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쓰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이것이 책이로다."는 성립되지만 "*학교에 가로다."는 성립되지 않는 것입니다.
0
'-로구나'와 '-구나'의 차이
2019. 12. 6.
"저것은 사람이로구나."와 "저것은 사람이구나."의 차이가 있나요?
 '-로구나'와 '-구나'는 둘 다 종결어미로서 감탄의 뜻을 수반하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다만 '-로구나'가 '-구나'에 비해 더 예스럽고 분명한 표현이라는 차이가 있으며, 형태적으로도 '-로구나'는 '이다', '아니다'의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지만, '-구나'는 이 외에 형용사 어간 뒤에도 붙고 어미 '-었-', '-겠-' 뒤에도 붙어 차이가 있습니다.
0
'-ㄹ는지', '-ㄹ른지', '-ㄹ런지'의 표기
2019. 12. 6.
'-ㄹ는지'와 '-ㄹ른지'와 '-ㄹ런지'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ㄹ는지'가 바른 표기입니다.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또는 종결어미는 '-ㄹ는지'입니다. '-ㄹ는지'는 유음화로 [ㄹ른지]로 발음되어 표기에 혼란이 있습니다.
0
'-ㄴ걸'과 '-ㄴ 걸'의 띄어쓰기
2019. 12. 6.
'소리가 {들린 걸/들린걸} 알고', '소리가 {들리는 걸/들리는걸} 알고'는 어떻게 쓰는 것이 맞는지요?
 '소리가 들린 걸 알고', '소리가 드리는 걸 알고'와 같이 모두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걸'은 의존 명사 '거'(것)와 목적격 조사 'ㄹ'이 결합한 말이므로 앞말과 띄어 쓰고 뒤에 서술어가 옵니다. 한편, '-ㄴ걸', '-는걸'은 구어체로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현재의 사실이 이미 알고 있는 바나 기대와는 다른 것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서 "차는 이미 떠난걸.", "손가락을 빼니 물이 새는걸."처럼 쓰입니다.
0
'띄어 쓰다'와 '붙여 쓰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띄어쓰기', '붙여쓰기'는 붙여 쓰는데, '띄어 쓰다', '붙여 쓰다'도 붙여 쓰는 게 맞나요?
 '띄어 쓰다', '붙여 쓰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띄어쓰기'는 '글을 쓸 때, 각 낱말을 띄어 쓰는 일'을, '붙여쓰기'는 '글을 쓸 때, 각 낱말을 붙여 쓰는 일'을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적습니다만, '띄어 쓰다', '붙여 쓰다'는 연결 어미 '-어'로 '띄다'와 '쓰다', '붙이다'와 '쓰다'가 이어진 것이므로, 각각의 단어를 띄어 '띄어 쓰다', '붙여 쓰다'와 같이 적습니다.
0
'띄어쓰기'의 동사형
2019. 12. 6.
'띄어쓰기'의 동사형은 '띄어쓰기하다'로 검색되는데, '띄어 쓰다'는 아닌가요?
 '띄어 쓰다'는 띄어서 쓴다는 뜻을 나타내는 구로서, 복합어 '띄어쓰기'의 동사형이 아닙니다. '띄어쓰기'는 '글을 쓸 때, 어문 규범에 따라 어떤 말을 앞말과 띄어 쓰는 일'을 뜻하는 복합어로서, 그 동사형은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를 붙여 '띄어쓰기하다'로 씁니다.
0
'띄어쓰기', '띄워쓰기'의 차이
2019. 12. 6.
'띄어쓰기'의 '띄어'는 '띄우다'의 준말 '띄다'라는데 준말로 굳어진 건가요?
 '띄어쓰기'는 준말 '띄다'의 연결형으로 굳어진 말이 맞습니다. '띄어쓰기'는 '띄-+-어+쓰-+-기'로 분석되는 합성어로, 여기서 '띄다'는 '띄우다'의 준말입니다만, 준말 '띄다'를 쓴 '띄어쓰기'만 단어로 굳어진 것입니다.
0
'뜯어먹다'와 '뜯어 먹다' 차이
2019. 12. 6.
사전에 '뜯어먹다'가 '남의 재물 따위를 졸라서 얻거나 억지로 빼앗아 가지다'라는 뜻으로 등재되어 있는데, "염소가 풀을 뜯어 먹다."의 경우엔 먹다를 보조 용언으로 보아서 띄어 쓰는 것이 맞는지요?
 "염소가 풀을 뜯어 먹다."의 '먹다'는 본용언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찾아보신 대로 '남의 재물 따위를 졸라서 얻거나 억지로 빼앗아 가지다'의 뜻으로 쓰이는 '뜯어먹다'는 '뜯다'와 '먹다'의 의미 합이 아닌 다른 제3의 의미를 지닌 합성어로서 붙여 씁니다. 반면, "염소가 풀을 뜯어 먹다."에서 '뜯어 먹다'는 '뜯다'와 '먹다'가 각각 개별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본용언이므로 '뜯어(서) 먹다'처럼 띄어 씁니다.
0
'뚫어져라 바라보다', '뚫어지라 바라보다'의 표현
2019. 12. 6.
"눈을 뚫어져라 바라보았다."에서 '뚫어져라'를 '뚫어지라'로 쓰는 게 맞는 건가요?
"눈을 뚫어져라 바라보았다."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뚫어지다'는 주로 '뚫어져라', '뚫어지게', '뚫어지도록' 꼴로 '보다'류 동사와 함께 쓰여 '뚫어질 정도로 집중하여'의 뜻을 나타냅니다. '뚫어져라'처럼 직접 명령형 어미로 끝난 말이 직접 인용의 형식을 취하지 않고 문장의 중간에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아 간접 명령형인 '뚫어지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직접 명령형인 '뚫어져라'로 굳어진 표현이므로 '뚫어져라'로 써야 합니다.
0
'또 한 번', '또 한번'의 띄어쓰기
2019. 12. 6.
"또 {한번/한 번}의 특별한 일이 생겼습니다."에서 올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또 한 번의 특별한 일이 생겼습니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또 한 번'은 어떤 일이 '거듭되어 한 번 더' 일어났다는 뜻을 나타내므로, '또 한 번'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0
'떼려야', '뗄래야'의 표현
2019. 12. 6.
'떼려야'와 '뗄래야' 중 어느 게 맞는 표현인가요?
 '떼려야'가 맞는 표현입니다. '떼려야'는 '떼다'의 어간에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인 '-려야'가 붙은 말이므로 '떼려야'와 같이 적습니다. '뗄래야'의 '-ㄹ래야'는 '-려야'의 비표준어입니다.
0
'떳떳하지'의 준말
2019. 12. 6.
'떳떳하지'의 준말은 '떳떳지'와 '떳떳치'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떳떳하지'의 준말은 '떳떳지'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떳떳'과 같은 안울림소리 받침으로 끝난 어근 뒤에서는 '하-'가 아주 줄므로, '떳떳하지'는 '떳떳지'로 줄여 씁니다.
0
'땜에'의 표현
2019. 12. 6.
'땜에'는 표준어인가요?
'땜에'는 표준어가 맞습니다. '때문'의 준말 '땜'이 있으므로 '때문에'를 '땜에'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0
'-할 때는'과 '-할 때에는'의 표현
2019. 12. 6.
"공부할 때{는/에는} 말 걸지 마."에서 어느 것이 맞는지요?
 "공부할 때에는 말 걸지 마."처럼 부사격 조사 '에'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에'를 붙이고 보조사 '는'을 붙여 '공부할 때에는 말 걸지 마."와 같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때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서 '시간'의 부사격 조사 '에'가 생략되어 "공부할 때는 말 걸지 마."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부사격 조사는 잘 생략되지 않습니다만, '공부할 때'처럼 시간의 부사어 쓰임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기도 합니다.
0
직접 인용문의 마침표
2019. 12. 6.
"진정하자.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라는 말이 있잖아."는 맞는 표기인가요?
 "진정하자.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라는 말이 있잖아."는 맞는 표기입니다. 직접 인용되는 말은 큰따옴표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에는 작은따옴표를 붙입니다. 또한, 직접 인용되는 말 뒤에는 마침표를 찍는 것이 원칙이나 찍지 않는 것도 허용됩니다. 따라서 "진정하자.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라는 말이 있잖아."와 같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진정하자.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라는 말이 있잖아."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인용문이 열거될 때 따옴표의 쓰임
2019. 12. 6.
와 같이 문장이 나열될 때에 큰따옴표를 각 문장마다 쓰나요, 여러 문장을 한꺼번에 묶어 큰따옴표를 쓰나요?
 인용된 문장들이 부분적으로 한 문장씩 따온 인용문들이라면 각각의 문장에 큰따옴표를 써야 하지만, 여러 문장으로 된 전체 글을 그대로 따온 것이라면 전체 내용을 큰따옴표 하나로 묶어 제시해야 합니다. 다만, 제시된 맥락에서는 한글 이름의 장점들은 직접 인용을 할 이유가 없으므로 <그 밖에도 한글 이름은 소리가 밝고 부드러운 것이 많다는 점, 순수한 토박이말로 지어 옛말을 살려 쓰는 데 큰 도움을 준다는 점, 중국식 한자 이름처럼 음절 수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점, 뜻을 모아 뭉쳐 짧게 줄여 지을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와 같이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0
따옴표 뒤 '이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지금 필요한 건 '실천'입니다."에서 '실천'과 '입니다'를 띄어 써야 하나요?
 "지금 필요한 건 '실천'입니다."와 같이 붙여 씁니다. 여기서 '입니다'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형인데, 한글맞춤법 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므로 조사 '입니다'는 따옴표 뒤에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따라 하다', '따라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친구를 따라 하다'라고 쓸 경우에 '따라하다'라고 동사화해서 붙여 써도 되나요?
'친구를 따라 하다'로 띄어 써야 합니다. '따라(서) 하다'는 합성어도 아니고 본용언 보조 용언 구성도 아니므로 항상 '따라 하다'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등하굣길' 표기
2019. 12. 6.
'등굣길', '하굣길'이 있는데 이를 아울러 나타낼 때에는 '등하교길'로 써야 하나요, '등하굣길'로 써야 하나요?
'등하굣길'로 씁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지만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에 '등하굣길'이 '등굣길과 하굣길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0
'등'의 띄어쓰기
2019. 12. 6.
"책상에는 찻잔, 볼펜, 종교 서적등이 있다."처럼 쓰면 종교 서적 외 또 다른 범주의 서적이 있다는 뜻인가요?
 우리말에서 복수의 '등'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일부에서 관행적으로 "책상에는 찻잔, 볼펜, 종교 서적등이 있다."처럼 '등'을 복수 접미사처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복수의 접미사 '-등'은 없습니다. 우리말에서 '등'은 '그 밖에도 같은 종류의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서 "책상에는 찻잔, 볼펜, 종교 서적 등이 있다."와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굳이 복수의 뜻을 나타내고자 한다면 접미사 '-들'을 써 "책상에는 찻잔, 볼펜, 종교 서적들이 있다."처럼 표현할 수는 있습니다.
0
'들어온 듯하다', '들어온듯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동화 속의 나라에 들어온 듯한 착각'에서 '들어온 듯한'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들어온 듯 한'으로 바꿔야 한다고 나오는데 어느 것이 맞나요?
 '들어온 듯한'으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듯하다'는 동사나 형용사, 또는 '이다'의 관형사형 뒤에 쓰여 앞말이 뜻하는 사건이나 상태 따위를 짐작하거나 추측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으로 "비가 온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 "모자가 좀 작은 듯하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들르다'의 표현
2019. 12. 6.
'들르다'의 활용형은 '들러'와 '들려' 중 어느 것인가요?
표준어 '들르다'의 활용형은 '들러'입니다. '들르다'의 어간에 '-어'가 결합하면 '들르-'의 'ㅡ'가 탈락하여 '들러'가 됩니다. 한편, '들려'는 '들르다'의 비표준어인 '들리다'의 어간에 '-어'가 결합하여 준 말이라 표준어가 아닙니다.
0
'듣기다'의 표현
2019. 12. 6.
'듣다'의 피동형으로 '듣기다'도 쓰이는데 서울에서는 쓰이지 않나요?
 '듣기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듣기다'는 '들리다'의 경상, 함경 방언으로서, 서울에서는 두루 쓰이지 않습니다.
0
문법 정보 '일부 명사 뒤에 붙어'의 뜻
2019. 12. 6.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드리다'를 보면 "(일부 명사 뒤에 붙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용례에 제시된 단어에만 붙는다는 말인가요?
용례에 제시된 단어에만 붙여 쓴다는 말은 아닙니다. 용례에 제시된 '공양드리다', '불공드리다', '말씀드리다' 외에 '-드리다'가 붙어 '공손한 행위'의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부탁드리다', '설명드리다'처럼 다 붙일 수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접미사의 문법 정보 '몇몇 명사 뒤에 붙어'의 '몇몇 명사'는 해당 접사가 붙어 쓰일 수 있는 명사를 가리키는데, '-롭다'와 같은 비생산적인 접사인 경우 사전에 올림말로 등재된 파생어만 붙여 쓰지만, '-드리다'와 같은 생산적인 접사인 경우 그 파생어의 사전 올림말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붙여 씁니다.
0
'건네주다'의 높임말 '건네드리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건네주다'는 붙이는데, 그 높임말인 '건네드리다'는 띄어 쓰나요?
 '건네드리다'로 붙여 씁니다. '건네드리다'는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는 않지만 '돈, 물건 따위를 남에게 옮기어 주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 '건네주다'의 높임말로서 그에 준해 붙여 씁니다.
0
'뒷심'과 '뒤힘'의 표준어
2019. 12. 6.
'뒷심'과 '뒤힘'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뒷심'이 표준어입니다. '어떤 일을 끝까지 견디어 내거나 끌고 나가는 힘'을 뜻하는 말은 '뒤+힘'에서 비롯되었지만 역사적으로 구개음화되어 '뒷심'으로 굳어진 것이 널리 쓰여 표준어로 인정된 것입니다.
0
'뒤 문장', '뒷문장'의 바른 표기
2019. 12. 6.
교과서에 "앞 문장과 뒷문장......"라는 식으로 설명이 되어 있던데, '뒷문장'이 맞는 표기인가요?
 '뒷문장'은 잘못된 표기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뒤 문장'은 하나의 단어가 아니므로 각각의 단어별로 띄어 써야 합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교과서의 문장은 "앞 문장과 뒤 문장......"과 같이 표기해야 합니다.
0
'뒷모습'의 표준 발음
2019. 12. 6.
'뒷모습'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뒷모습'의 표준 발음은 [뒨ː모습]입니다. 표준발음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하므로 '뒷모습'의 'ㅅ'도 [ㄴ]으로 발음합니다.
0
'둘째'의 품사
2019. 12. 6.
"어머니는 둘째에게 더 관심을 가진다."에서 '둘째'는 수사인가요, 관형사인가요?
 "어머니는 둘째에게 더 관심을 가진다."에 쓰인 '둘째'는 명사입니다. '둘째'는 '순서가 두 번째인 차례'를 뜻하는 경우 수사로서 "둘째, 열심히 공부한다."처럼 쓰이고, '순서가 두 번째인 차례의'를 뜻하는 경우 수관형사로서 "그녀는 둘째 아이를 가졌다."와 같이 쓰입니다만, '둘째 자식'을 뜻하는 경우 명사로서 "우리 집에서는 둘째가 애교가 많다."와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0
인명 '河崙'의 표기
2019. 12. 6.
사람 이름 '하륜(河崙)'을 '하윤'으로 쓸 수 있을까요?
 '하륜'은 원칙적으로 '하윤'으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 [붙임 4]에 따르면 성과 이름으로 구성된 인명은 합성어로서 뒤 단어의 첫머리에 두음법칙을 적용해 '하윤'으로 적습니다. 다만, 같은 조항 [붙임 2] 외자로 된 이름을 성에 붙여 쓸 경우에 본음대로 적을 수 있다는 조항에 따라 '하륜'으로 적을 수도 있습니다.
0
'됩니다', '됨니다'의 표기
2019. 12. 6.
"기계가 자동으로 작동{됩니다/됨니다}."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기계가 자동으로 작동됩니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제시된 문장에서 '작동됩니다'는 '작동되다'의 어간에 종결 어미 '-ㅂ니다'가 붙은 것인데, 동화(同化)에 따라 [작똥됨니다]로 소리 나지만, 표기할 때에는 형태소의 본모양을 밝혀 '작동됩니다'로 씁니다.
0
'되어'의 준말
2019. 12. 6.
"우산이 {되/돼} 줄게."라는 가사의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우산이 돼 줄게."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돼 줄게'의 '돼'는 '되다'의 어간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은 '되어'가 준 말이므로 '돼'로 적습니다. 참고로 '되-'는 어간이라 문장에서 어미 없이 홀로 쓰일 수가 없습니다.
0
'되어'의 준말
2019. 12. 6.
'준비되어 있다'를 '준비돼 있다'라고 줄여 쓰면 안 되는 건가요?
 '준비되어 있다'를 '준비돼 있다'와 같이 줄여 적을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 [붙임 2]에 따르면 'ㅚ' 뒤에 '-어, -었-'이 어울려 'ㅙ, ㅙㅆ'으로 될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준비되어'가 '준비돼'로 줄면 준 대로 적을 수 있습니다.
0
'되다'의 활용
2019. 12. 6.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에서 '되라고'는 '돼라고'가 맞는 것이 아닌지요?
 '되라고'가 맞습니다. "할머니께서는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의 '장차 훌륭한 사람이 되라고'는 간접 인용이 된 문장이므로 '되다'의 어간에, 간접 인용절에 쓰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라'와 간접 인용격 조사 '고'를 붙여 '되라고'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되어'의 준말
2019. 12. 6.
"뭐 해도 되."와 "뭐 해도 돼."는 뜻이 다른 건가요?
 "뭐 해도 돼."만 맞는 표기입니다. 제시된 맥락에서 '돼'는 '되다'의 어간에,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ㆍ명령ㆍ청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가 결합한 '되어'가 준 말입니다. 참고로 '되-'는 어간이라 문장에서 어미 없이 쓰일 수가 없습니다.
0
'도착하고 있습니다'의 표현
2019. 12. 6.
"열차가 도착하고 있습니다."와 같이 '도착하다'를 진행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한가요?
 '도착하다'를 진행형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도착하다'는 '목적한 곳에 다다르다'의 뜻으로 계속 진행이 불가능한 행동을 나타내므로, "원호미와 구호물자들이 속속 도착하고 있다."처럼 도착하는 행동들이 연이어 일어나는 경우가 아니라면, '행동이 계속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고 있다'와 의미적으로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반면, '들어오다'는 '밖에서 안으로 이동하다'의 뜻으로 계속 진행이 가능한 행동을 나타내므로 '-고 있다'와 어울려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차가 도착하고 있습니다."는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0
'도입하기로'의 준말
2019. 12. 6.
'도입기로 했다'가 맞나요, '도입키로 했다'가 맞나요?
 '도입기로 했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어간 끝음절의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대로 적는데, 안울림소리 받침 뒤에서 '하'가 아주 줄므로 '도입하기로'를 줄여 적을 때에는 '도입기로'와 같이 적습니다.
0
'-도록'의 쓰임
2019. 12. 6.
'-도록'은 "축대가 무너지지 않도록 단단히 조치하겠습니다."처럼 다른 대상이 어떻게 하게끔 할 때 쓰는 것 같은데, "제가 직접 홍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처럼 쓰는 것도 맞나요?
 "제가 직접 홍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도록'은 앞말이 목적이나 결과, 방식, 정도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서, 특별히 주어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제가 직접 홍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가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제가 직접 홍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는 표현상 잉여적인 측면이 있으므로 "제가 직접 홍보를 하겠습니다."로 표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0
'분명한 데', '분명한데'의 띄어쓰기
2019. 12. 6.
"그 친구가 학교에 온 것은 {분명한데/분명한 데} 종일 안 보인다."에서 '분명한데'가 맞나요, '분명한 데'가 맞나요?
'분명한데'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제시하신 문장에서 '~ 분명한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하는 것이라 연결 어미 '-ㄴ데'를 붙여 '분명한데'와 같이 적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참고로 '곳'이나 '장소', '일'이나 '것', '경우'의 뜻을 나타내는 '데'는 의존 명사이므로 "어디 좋은 데 가니?", "이 약은 머리 아픈 데 먹는다."처럼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비곗덩이'의 표현
2019. 12. 6.
'비곗덩어리'는 있는데 '비곗덩이'는 안 되나요?
 '비곗덩이'도 한 단어이므로 쓸 수 있습니다. '돼지 따위에서 뭉쳐진 비계의 덩이'를 이르는 경우에는 '비곗덩어리'와 크기 차이가 있지만, '몹시 살찐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거나 '추잡하거나 무능한 사람'을 속되게 이를 경우에는 '비곗덩어리'와 뜻이 같습니다.
0
'덜다'의 피동 표현
2019. 12. 6.
'삶의 무게를 덜다' 할 때 '덜다'의 피동사로 '덜리다'가 있는데, '덜어지다'도 쓸 수 있나요?
 '삶의 무게가 덜어지다'도 쓸 수 있습니다. '덜다'의 피동사 '덜리다'를 써 '삶의 무게가 덜리다'로 쓸 수 있지만, 타동사 '덜다'의 어간 '덜-' 뒤에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어지다'가 붙은 '덜어지다'를 써 '삶의 무게가 덜어지다'도 쓸 수 있는 것입니다.
0
'던데'와 '던대'의 바른 표기
2019. 12. 6.
'-라고 한다던데'가 맞나요, '-라고 한다던대'가 맞나요?
 '-라고 한다던데'가 맞습니다. '한다던데'는 '한다고 하던데'가 줄어든 말인데 여기서 '-던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와 상관있는 과거 사실을 회상하여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또는 과거의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참고로 '-던대'라는 어미는 없습니다.
0
'더우려나'와 '추우려나'의 표현
2019. 12. 6.
'더워지려나', '추워지려나'는 맞는 것 같은데 '더우려나', '추우려나'도 맞나요?
 '더우려나', '추우려나'도 맞습니다. '-(으)려나'는 추측을 가볍게 묻는 데 쓰는 종결 어미라 동사 '더워지다', '추워지다'의 어간에는 물론 형용사 '덥다', '춥다'의 어간에도 붙어 '더워지려나', '추워지려나', '더우려나', '추우려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0
'-더라'의 쓰임
2019. 12. 6.
'-더라'는 화자가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전달하는 뜻을 나타내므로, "너는 어제 춥더라."와 같이 타자를 주체로 하는 표현은 되지 않는다고 알고 있는데 "너는 어제 추워하더라."는 왜 되는지요?
 다른 사람이 추운 느낌은 화자가 직접 느낄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이 추위를 느껴 떨거나 하는 행동은 화자가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라'는 화자가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전달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입니다. 따라서, 화자 자신이 추운 느낌은 화자가 직접 느낄 수 있으므로 "나는 어제 춥더라."와 같이 표현할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이 추운 느낌은 화자가 직접 느낄 수 없으므로 "너는 어제 춥더라."라고 표현할 수 없는 것입니다. 반면 화자가 추위를 느껴 떨거나 하는 행동은 자신이 볼 수 없으므로 "나는 어제 추워하더라."라고 표현할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이 추위를 느껴 떨거나 하는 행동은 화자가 볼 수 있으므로 "너는 어제 추워하더라."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 것입니다. 
0
'댓글'과 '답글'
2019. 12. 6.
'댓글'과 '답글'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댓글'과 '답글' 모두 표준어입니다. '댓글'과 '답글은 '인터넷에 오른 원문에 대하여 짤막하게 답하여 올리는 글'을 이르는 복수 표준어입니다.
0
'대해'와 '대하여'의 차이
2019. 12. 6.
'대해'는 '대하여'의 단순한 줄임말인지, 아니면 문법상 차이가 있는지요?
'대해'는 '대하여'의 단순한 줄임말입니다. '대해'는 '대하여'를 줄여 쓴 말로서 형태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고, 의미가 다르거나 쓰임이 구별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0
'대푯값', '대표값'의 바른 표기
2019. 12. 6.
수학 교과서에 '대표값, 함수값, 절대값, 꼭지점'이라고 되어 있던데, 각각 '대푯값, 함숫값, 절댓값, 꼭짓점'이 아닌가요?
 '대푯값', '함숫값', '절댓값', '꼭짓점'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과 순우리말, 순우리말과 한자어가 결합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쳐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각각 [대ː표깝/대ː푣깝], [함ː쑤깝/함ː숟깝] , [절때깝/절땓깝], [꼭찌쩜/꼭찓쩜]으로 발음되는 '대푯값', '함숫값', '절댓값', '꼭짓점'은 사이시옷을 넣어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대요'와 '-냬요'의 쓰임
2019. 12. 6.
"철수가 영희에게 집에 간다고 했어요."를 "철수가 영희에게 집에 간대요.", "영희가 철수에게 이름이 뭐냐고 물었어요."를 "영희가 철수에게 이름이 뭐냬요>"라고 해도 맞는 문장인가요?
 "철수가 영희에게 집에 간댔어요.", "영희가 철수에게 이름이 뭐냬요."와 같이 줄여 쓴 말도 맞는 문장입니다. 우리말에서는 '-ㄴ댔어요'(-ㄴ다고 했어요), '-냬요'(-냐고 해요), '-ㄴ다는'(-ㄴ다고 하는), '-냐는'(-냐고 하는)처럼 간접 인용 문장에서 '-고 하-'를 줄여 쓸 수 있습니다.
0
'대갚음', '되갚음'의 표현
2019. 12. 6.
'{대갚음/되갚음}을 하다' 중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가요?
'대갚음을 하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대갚음'은 '남에게 입은 은혜나 남에게 당한 원한을 잊지 않고 그대로 갚음'의 뜻을 나타내는 명사로 "그녀는 무안을 당한 대갚음을 했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되갚음'은 '갚다'에 접두사 '되-'를 결합한 말인 '되갚다'의 명사형으로 "피나는 훈련으로 지난 패배를 되갚음 직하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밝대'와 '밝데'의 쓰임
2019. 12. 6.
"달이 아주 밝대."와 "달이 아주 밝데."의 쓰임이 어떻게 다른지요?
 '-대'는 '-다고 해'를 줄여 쓴 말로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쓰이고, '-데'는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을 말할 때 쓰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달이 아주 밝대."는 일기 예보나 다른 사람에게서 '오늘 달이 아주 밝다'는 말을 듣고 이를 다시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말이며, "달이 아주 밝데."(해체)는 "달이 아주 밝더라."(해라체)와 같은 뜻으로, 본인이 과거에 직접 보고 느낀 것을 나중에 누군가에게 회상하며 하는 말입니다.
0
'-답다'의 쓰임
2019. 12. 6.
'고난에 처한 사람답지 않게'를 '고난에 처한 사람 같지 않게'로 고쳐야 한다는데 '고난에 처한 사람답지 않게'가 왜 잘못된 건지요?
 '고난에 처한 사람답지 않게'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답다'는 일부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그 성질이나 특성이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꽃답다', '우리 엄마답다'와 같이 쓰이므로 '고난에 처한 사람답지 않게'도 쓸 수 있습니다.
0
'닳다'의 활용
2019. 12. 6.
'닳다'의 관형형은 '닳은'이라고 해야 되나요, 아니면 '단'이라고 해야 되나요?
 '닳은'이라고 해야 합니다. '닳다'는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이 아니고,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는 '-은'이 붙으므로 '닳다'의 어간 '닳-' 뒤에 어미 '-은'이 붙어 '닳은'과 같이 활용합니다.
0
'육개장', '육계장'의 표기
2019. 12. 6.
'육개장'과 '육계장' 중 어느 것이 맞는 표기인가요?
 '육개장'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쇠고기를 삶아서 알맞게 뜯어 넣고 얼큰하게 갖은양념을 하여 끓인 국'을 이르는 말은 '육개장'이 맞습니다. 소고기로 끓인 개장(국)이라는 뜻에서 비롯된 말이니 표기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단음절어의 띄어쓰기
2019. 12. 6.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는 붙여 쓸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좀더 큰 이 새집', '더 큰 이 새책상'은 맞는 표기인가요?
 '좀더 큰 이 새집'은 맞지만, '더 큰 이 새책상'은 '더 큰 이 새 책상'으로 띄어 써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가독성을 위해 붙여 쓸 수 있지만, 의미적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단음절어끼리만 붙여 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좀 더 큰 이 새 집'은 단음절 연속체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단음절어끼리 붙여 '좀더 큰 이 새집'으로 쓸 수 있지만, '더 큰 이 새 책상'은 '책상'이 단음절어가 아니라 '더 큰 이 새책상'으로 붙여 쓸 수 없습니다. 
0
숫자와 단위의 띄어쓰기
2019. 12. 6.
"책상은 다리가 {4 개/4개}, 상판 {1 개/1개}로 구성된 {2 m/2m} 길이의 가구이다."에서 무엇이 원칙이고 허용인가요?
'4 개', '1 개', '2 m'로 띄는 것이 원칙이고 '4개', '1개', '2m'로 붙여 쓰는 것이 허용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3항에 따르면 수와 단위는 띄어 쓰지만, 숫자와 단위 명사는 붙여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현실 언어에서는 '4개', '1개', '2m'로 붙여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0
'단과'의 표준 발음
2019. 12. 6.
'종합반'에 상대되는 개념인 '단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하나의 과목이나 전문 분야를 이르는 '단과'의 표준 발음은 [단꽈]입니다. 2음절 한자어인데 된소리가 나는 것은 '외과'[외ː꽈/웨ː꽈], '이비인후과'[이ː비인후꽈] , '국어과'[구거꽈] , '장미과'[장미꽈]의 '과(科)'가 된소리로 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0
'다시 회복하다'의 표현
2019. 12. 6.
'회복(回復)'에서 '회' 자가 '다시'라는 뜻이 있으니 '다시 회복하다'라고 쓰면 의미 중복이 아닌가요?
 말씀하신 대로 '다시 회복하다'는 의미 중복 표현이 맞습니다. '다시 회복하다'의 '회복하다'는 '원래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원래의 상태를 되찾다'의 뜻을 나타내므로, '이전 상태로 또'의 뜻을 나타내는 '다시'를 굳이 쓸 필요가 없습니다.
0
'다시'와 '또'의 차이
2019. 12. 6.
흔히 "다시 만나요." 혹은 "또 만나요."라는 인사말을 자주 사용하는데, 두 문장의 차이가 있는지요? 차이가 없다면 '다시'와 '또'는 항상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인지요?
 "다시 만나요."의 '다시'는 '다음에 또'의 뜻이므로 '다시 만나요'와 '또 만나요'는 별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항상 '다시'와 '또'를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시'가 '방법이나 방향을 고쳐서 새로이'의 뜻으로 '작품을 다시 만들다'와 같이 쓰이거나 '하다가 그친 것을 계속하여'의 뜻으로 "회사를 다시 일으킬 수 있을까?"와 같이 쓰이는 경우에는 '또'로 바꾸면 뜻이 달라집니다. '또' 역시 '그 밖에 더'의 뜻으로 "무엇이 또 필요한가?"와 같이 쓰이거나 '그뿐만 아니라 다시 더'의 뜻으로 "그는 변호사이며 또 국회의원이다."와 같이 쓰이는 경우에는 '다시'로 바꾸어 쓸 수가 없습니다.
0
'-다만'과 '-다마는'의 표현
2019. 12. 6.
말할 때 '했습니다만', '했습니다마는'을 자주 쓰는데 둘 다 써도 되는 말인지요?
 둘 다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마는'은 종결 어미  '-다, -냐, -자, -지' 뒤에 붙어, 앞의 사실을 인정을 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내는 보조사로서 "가방을 사고 싶다마는 돈이 없다."와 같이 쓰이고, '만'은 '마는'의 준말로 "떡볶이가 먹고는 싶다만 돈이 없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다르므로'와 '다름으로'의 바른 표기
2019. 12. 6.
'다름으로/다르므로' 둘 다 써도 되는지요?
 맥락에 따라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다르므로'는 '다르다'의 어간 '다르-' 뒤에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므로'가 붙어 "그는 보통 사람들과 다르므로 주변의 시선을 모은다."와 같이 쓰입니다. 한편 '다름으로'는 '다르다'의 명사형에 어떤 일의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 '으로'가 결합한 말로 "그들은 성격이 서로 다름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쉽게 가까워질 수 있었다."와 같이 쓰입니다. 참고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 '으로' 뒤에는 '말미암아', '인하여', '하여' 등이 뒤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0
'다대기', '다데기'의 표기
2019. 12. 6.
다진 양념을 뜻하는 '다대기'가 현실적으로 '다데기'로도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다데기'로 쓰는 것이 잘못인가요?
 다진 양념을 뜻하는 말은 '다대기'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이 말은 본디 일본어 'たたき'(다타키)가 변형되어 '다대기'로 굳어진 말입니다. 참고로 '다대기'는 일본어 투 식생활 용어로 분류되어, '다짐' 또는 '다진 양념'으로 순화하여 쓰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0
'-니까'의 쓰임
2019. 12. 6.
"지금은 바쁘니까 이따가 전화할게."와 "제가 전화하니까 친구가 받았어요."에서 각각 '-니까'의 용법이 약간 다른 것 같은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지금은 바쁘니까 이따가 전화할게."의 '-니까'는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가 됨을 나타내고, "제가 전화하니까 친구가 받았어요."의 '-니까'는 어떤 사실을 먼저 진술하고 이와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서 설명함을 나타냅니다. '-니까'는 '-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인데, '-니'는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가 됨을 나타내거나(봄이 오니 꽃이 핀다.) 어떤 사실을 먼저 진술하고 이와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서 설명할 때 쓰는(집에 오니 11시였다.) 연결 어미입니다.
0
'눋다'의 사동사
2019. 12. 6.
음식이 조금 타는 것을 '눋다'라고 하는데, 의도적으로 음식을 조금 태우는 것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의도적으로 음식을 조금 태우는 것은 '눌리다'라고 합니다. '눌리다'는 '눋다'의 사동사로서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태우다'를 뜻하며, '찬밥을 눌려 누룽지를 만들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눈치채다', '눈치 채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눈치채다/눈치 채다'의 띄어쓰기는 무엇이 맞나요?
 '눈치채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눈치채다'는 '남의 마음을 그때그때 상황으로 미루어 알아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서, "아이는 혼날 것을 눈치채고 도망가 버렸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안약'과 '눈약'의 표준 발음
2019. 12. 6.
'안약'과 '눈약'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안약'과 '눈약'의 표준 발음은 [아ː냑], [눈냑]입니다. '안약(眼藥)'은 2음절 한자어로 연음하여 [아ː냑]으로 발음하지만, '눈'과 '약'의 합성어인 '눈약'은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라 'ㄴ'이 첨가되어 [눈냑]으로 발음합니다.
0
'눈도장을 찍다'의 관용구 여부
2019. 12. 6.
관용어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는데, '눈도장을 찍다'라는 표현을 관용어로 볼 수 있을지요? 저는 관용어라 여겨 왔는데, 국립국어원 사전을 보니, '눈도장' 자체가 명사로 되어 있고, 관용어 표시는 붙지 않더군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눈도장(을) 찍다'를 관용구로 보지 않습니다. 관용구는 그 구성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인데, '눈도장(을) 찍다'는 '눈도장'이 '눈짓으로 허락을 얻어 내는 일 또는 상대편의 눈에 띄는 일'을 이르는 합성어로 올라 있어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로 관용구로 올리지 않았습니다. 다만, '눈도장'에는 관용적인 뜻이 있으나 '찍다'에는 관용적인 뜻에 어울리는 뜻이 없으므로 견해에 따라서는 '눈도장(을) 찍다'를 관용구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0
'누구'의 품사
2019. 12. 6.
'누구'는 흔히 미지칭 대명사로 분류되는데 "그렇게 말하는 너는 누구냐?", "누구도 그 일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라는 문장에서 '누구'는 미지칭인가요, 부정칭인가요?
 "그렇게 말하는 너는 누구냐?"와 같은 설명 의문문에 쓰인 '누구'는 전형적인 미지칭 대명사가 맞습니다. 다만, "누구도 그 일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와 같은 평서문이나 "어제 누구를 좀 만났어?"와 같은 판정 의문에 쓰인 '누구'는 부정칭 대명사입니다. 
0
'누상', '루상'의 바른 표기
2019. 12. 6.
야구 중계에서 "루상에 주자가 나갔네요."라는 말을 자주 하는데, 여기서 '루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누상에'라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생각하신 바가 맞습니다. 야구에서, 내야(內野)의 네 귀퉁이에 있는 방석같이 생긴 물건 또는 그 물건의 위를 가리키는 말인 '壘'는 두음법칙에 따라 단어의 첫머리에서는 '누'로 적습니다.
0
'머리에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의 표현
2019. 12. 6.
"그때의 기억이 내 머리에 뇌리를 스치고 지나갔다."는 의미가 중복되는 표현이 맞나요?
 제시하신 문장에 쓰인 '머리'와 '뇌리', '스치다'와 '지나가다'는 뜻이 겹치는 면이 있습니다. 뇌와 중추 신경 등이 들어 있는 '머리'와 사람의 의식이나 기억, 생각 따위가 들어 있는 영역을 이르는 '뇌리'가 그러하고, '어떤 느낌, 생각, 표정 따위가 퍼뜩 떠올랐다가 이내 사라지다'를 뜻하는 '스치다'와 '어떤 표정이나 예감, 생각 따위가 머리를 스쳐 가다'를 뜻하는 '지나가다'가 그러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그때의 기억이 내 머리를 지나갔다." 또는 "그때의 기억이 내 뇌리를 스쳤다."처럼 표현하는 것이 간결합니다.
0
'놓은'의 준말
2019. 12. 6.
놓은'을 '논'이라고 줄여 쓴 걸 봤는데, 이렇게 줄여 쓸 수 있나요?
 '놓다'의 활용형 '놓은'을 '논'으로 줄여 쓸 수 없습니다. 구어에서 간혹 '놓은'을 '논'으로 줄여 말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나, 같은 규칙 활용을 하는 '닿은'을 '단'으로 줄여 쓰지 않듯이 '놓은'을 '논'으로 줄여 쓰지 않습니다.
0
'농촌 마을'의 표현
2019. 12. 6.
'농촌 마을'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곤 하는데요, '농촌'의 '촌'은 마을 촌(村) 자를 쓰는데, 거기다가 '마을'이라는 말을 덧붙여 썼으니 의미 중복 표현으로 잘못된 거 아닌가요?
'농촌 마을'은 의미 중복 표현으로 '농촌'으로 쓰는 것이 더 간결합니다. 다만, '농촌'의 '촌'과 같은 뜻의 '마을'을 덧붙여 '마을'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한 것이므로 잘못이라 하기는 어렵습니다.
0
'놀림받다', '놀림 받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놀림받다'로 붙여 쓰나요, '놀림 받다'로 띄어 쓰나요?
 '놀림받다'로 붙여 적습니다. 몇몇 명사 뒤에 붙어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받다'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0
'놀다'의 활용
2019. 12. 6.
'놀다'와 같은 경우 ㄹ 탈락으로 인하여, '놀-+-은->논'이 되는 것은 알고 있어요. 하지만 현실에서 '놀은'도 사용되는 것 같은데 이것도 허용할 수 있나요?
'놀다'의 관형사형 '놀은'은 허용하지 않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 'ㄹ'이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및 '-오, -ㄹ' 앞에서 원칙에서 벗어나 줄어지면 준 대로 적으므로 '놀다'의 어간 끝 받침 'ㄹ'도 관형사형 '-ㄴ' 앞에서 줄어지면 준 대로 '논'으로 씁니다. 따라서 '놀은'으로는 쓸 수가 없습니다.
0
노래 제목의 띄어쓰기
2019. 12. 6.
노래 제목은 모두 붙여 쓰기가 가능한지요?
 노래 제목은 모두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습니다만, 문장 형식으로 된 노래 제목은 책명이나 작품명에 준해 각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0
'널빤지'와 '널판지'의 표현
2019. 12. 6.
'널빤지'와 '널판지'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널빤지'가 표준어입니다. '판판하고 넓게 켠 나뭇조각'을 뜻하는 말로 '널빤지', '널판자(-板子)' 등은 표준어입니다만, '널판지'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널다'의 활용
2019. 12. 6.
"빨래를 {널으나요/너나요}?"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인지요?
 "빨래를 너나요?"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어간 끝 받침 'ㄹ'이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및 '-오, -ㄹ' 앞에서 원칙에서 벗어나 줄어지면 준 대로 적으므로, '널다'의 어간 끝 받침 'ㄹ'도 '-나(요)' 앞에서 줄어지면 준 대로 '너나(요)'로 씁니다. 덧붙이자면, '-으나(요)'는 종결 어미로 없으므로 '널으나(요)'라는 표현은 쓸 수가 없습니다.
0
'네가', '너가'의 표현
2019. 12. 6.
가끔 서울 사람들이 "너가 했잖아."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바른 표현인지, 아니면 '네가'가 바른 표현인지요?
 "네가 했잖아."가 바른 표현입니다. 현실적으로 '네가'가 '내가'와 발음상 구분이 쉽게 되지 않아 '네가'를 '너가'로 써서 구분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너가'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너' 뒤에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으면 '네가'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냐고 했어요'의 준말
2019. 12. 6.
간접 화법에서 '-댔어요', '-쟀어요', '-랬어요'는 사용하는 것 같은데, '-넀어요'도 쓸 수 있나요?
'-넀어요'도 쓸 수 있습니다. '-다고 했어요', '-자고 했어요', '-라고 했어요'를 각각 '-댔어요', '-쟀어요', '-랬어요'로 줄여 쓰듯이 '-냐고 했어요'도 "엄마가 바지가 크넀어요."와 같이 '-넀어요'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0
'-냐고', '-으냐고', '-느냐고'의 쓰임
2019. 12. 6.
의문문의 간접 인용문은 보통 형용사 뒤 '-(으)냐고', 동사 뒤 '-(느)냐고'를 사용하는데 어떤 교재는 '으'나 '느'를 생략하고 '-냐고'로 쓸 수 있다고 나와 있고, 실제 한국인 발화에서도 '-냐고'로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교재에서 '-냐고'로 나온 문형이 재판에서 '-(으/느)냐고'로 수정되었고 생략 여부에 대한 설명이 없네요. '-냐고'가 문법적으로 옳은지요?
'-냐고'도 쓸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동사 어간 뒤에서는 '-느냐고', 받침으로 끝난 형용사 어간 뒤에서는 '-으냐고', 모음으로 끝난 형용사 어간 뒤에서는 '-냐고'를 씁니다만, 최근 주로 구어에서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의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냐'의 쓰임이 인정되어, 구어에서라면 어간의 품사나 받침 여부에 상관없이 모두 '-냐고'를 쓸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으/느)냐고'의 괄호는 생략할 수 있는 요소임을 나타내므로 '-으냐고', '-느냐고', '-냐고'를 아울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0
'냄새나다', '냄새 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냄새나는/냄새 나는} 옷'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냄새나는 옷'으로 붙여 씁니다. '냄새나다'는 '신선하지 않은 생선이나 더러운 옷, 몸 따위에서 좋지 않은 기운이 나오다'를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생선 냄새 나다', '좋은 냄새 나다'와 같이 앞에 체언 '냄새'를 수식하는 말이 오면 '냄새'를 '나다'와 띄어 씁니다.
0
'내디뎌'와 '내딛어'의 표현
2019. 12. 6.
'내디뎌'와 '내딛어'의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내디뎌'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 규정 제16항에 따르면, 표준어에서 일부 준말의 경우 모음 어미가 연결될 때에는 준말의 활용형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내디디다'의 준말 '내딛다'도 모음 어미 '-어'와 결합해 '내딛어'로 쓰이지 않고 본말 '내디디다'에 모음 어미 '-어'가 결합해 '내디뎌'(내디디어)로 쓰입니다.
0
'있었는데'의 낱말 여부
2019. 12. 6.
"담력이 약한 나는 어떻게든 피할 궁리만 하고 있었는데..."에서 '있었는데'가 낱말이에요?
 '있었는데'는 낱말이 맞습니다.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나 이에 준하는 말, 또는 그 말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조사)을 '낱말(단어)'이라고 하는데. '있었는데'는 낱말 '있다'의 활용형으로서 문장에서 자립적으로 쓸 수 있는 말이므로 '낱말(단어)'이라 할 수 있습니다.
0
약칭 법률명의 표시
2019. 12. 6.
일반적으로 법률명에는 낫표를 사용하는데, 정식 법률명이 아닌 약칭 법률명을 사용할 때도 낫표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예를 들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은 낫표를 사용하는데, 이를 약칭하여 '정보공개법'이라고 사용할 때에도 낫표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법률명의 약칭에도 낫표를 쓸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된 바는 없습니다. 다만, 2015년 개정된 문장 부호 규정에 따르면 홑낫표(「」)는 소제목, 작품 제목, 상호, 법률명, 규정명 등을 나타낼 때 쓰이는데, 약칭 법률명도 법률명이므로 이에 준해 홑낫표를 쓸 수 있겠습니다.
0
'남아 있는'의 띄어쓰기
2019. 12. 6.
'{남아 있는/남아있는} 사람들'에서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남아 있는 사람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남아있는 사람들'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남아 있는'의 '있다'는 '-아' 뒤에 연결되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변화가 끝난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이므로 '남아 있는'과 같이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남아있는'과 같이 붙여 쓸 수도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