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여하튼', '여튼'의 표현
2019. 12. 6.
'여하튼', '여튼'은 모두 표준어인가요?
'여하튼'은 표준어이나 '여튼'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여하튼'은 '의견이나 일의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지만, '여튼'은 '여하튼'의 충청 방언입니다.
0
'도덕적 해이'의 바른 표기
2019. 12. 6.
'moral hazard'를 '도덕적 해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표현인가요?
 'moral hazard'를 '도덕적 해이'로 쓸 수 있습니다. '모럴 해저드(moral hazard)'는 '도덕적 해이'로 다듬어졌습니다.
0
'이루어지다', '기뻐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루어지다', '기뻐하다'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합쳐진 건가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나요?
 '이루어지다', '기뻐하다'는 모두 붙여 씁니다. '이루어지다'는 '이루다'와 '-어지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고, '기뻐하다'는 '기쁘다'에 '-어하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므로 늘 붙여 씁니다. 참고로 합성어가 아니라도 '-어/-아' 뒤에 쓰이는 보조 용언 '지다'와 '하다'는 '피동'이나 품사 전성 등의 문법적인 기능이 있어 관행적으로 '만들어지다', '만족스러워하다'와 같이 본용언과 붙여 씁니다.
0
'어떻냐', '어떠냐'의 표현
2019. 12. 6.
'어떻냐'가 맞나요, '어떠냐'가 맞나요?
 예스러운 느낌의 '어떠냐'와 구어적인 느낌의 '어떻냐'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형용사 '어떠하다'의 준말 '어떻다'는, 우선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예스러운 느낌을 주는 모음 어미 '-으냐'와 결합해 'ㅎ' 불규칙 활용을 하므로 '어떠냐'로 활용합니다. 그리고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주로 구어에 쓰이는 '-냐'와 결합해 규칙 활용을 하므로 '어떻냐'로도 활용합니다.
0
'생각하다 못해'의 준말
2019. 12. 6.
'생각하다 못해'에서 '하'를 통째로 없앤다고 하는데, 항상 '하'를 없애야 한다는 건가요? '생각하다 못해'는 틀린 말이고 '생각다 못해'만 맞는 말인가요?
 '생각하다 못해', '생각다 못해' 모두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생각하다 못해'에서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생각다 못해'로 적습니다만, 줄지 않을 적에는 '생각하다 못해' 그대로 적습니다.
0
'빈칸', '빈 칸'의 띄어쓰기
2019. 12. 6.
교과서에는 "빈 칸에 알맞은 말을 써 넣으시오."로 나오고, 문법 검사기로는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넣으시오."가 맞는다고 나오는데 어떤 게 맞나요?
"빈칸에 알맞은 말을 써 넣으시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빈칸'은 '비어 있는 칸', '비어 있는 부분'을 이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씁니다.
0
'관건'의 표준 발음
2019. 12. 6.
'관건'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관건'의 표준 발음은 [관건/관껀]입니다. '어떤 사물이나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이르는 '관건(關鍵)'은 본디 [관건]을 표준 발음으로 했으나 현실적인 발음을 고려하여 [관껀]도 표준 발음으로 인정했습니다.
0
'하루 새', '하루새'의 표기
2019. 12. 6.
하루만에 무엇을 했다는 뜻으로 쓰려는데요, '하루 새', '하루새', '하룻새' 중 뭐가 맞나요?
'하루 새'가 맞습니다. '하루'와 '새'('사이'의 준말)는 각각의 단어이므로 '하루 새'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안면이 있었던 탓'과 '안면이 있었던 덕'의 표현
2019. 12. 6.
"이미 안면이 있었던 탓인지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다."에서 '탓'이 제대로 쓰인 것인지요?
 "이미 안면이 있었던 탓인지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다."와 같이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탓'은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까닭이나 원인' 또는 '구실이나 핑계로 삼아 원망하거나 나무라는 일'을 뜻하므로 제시된 문장과 같이 긍정적인 맥락에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그러니 '탓' 대신에 '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을 뜻하는 명사 '덕'을 넣어 "이미 안면이 있었던 덕인지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다."와 같이 쓰거나,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뜻하는 의존 명사 '때문'을 넣어 "이미 안면이 있었던 때문인지 분위기가 좋은 편이었다."와 같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0
'여느'와 '어느'의 차이
2019. 12. 6.
'여느'와 '어느'의 의미는 어떻게 다른가요?
'여느'는 '그 밖의 예사로운 또는 다른 보통의'의 뜻으로 "오늘은 여느 때와 달리 일찍 자리에서 일어났다.", "올여름은 여느 여름보다 더운 것 같다."와 같이 쓰입니다. 반면, '어느'는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나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똑똑히 모르거나 꼭 집어 말할 필요가 없는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 쓰는 말로 "어느 것이 맞는 말입니까?", "어느 마을에 가난한 형제가 살았습니다."와 같이 쓰입니다. 특히 '어느'가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에는 '여느'와 혼동되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어느'는 꼭 집어 말하지는 않지만 어떤 것을 가리키고, '여느'는 특정한 것 외 특별하지 않고 흔한 것을 두루 가리키므로 차이가 있습니다.
0
'라볶이', '라뽁기'의 표기
2019. 12. 6.
'라뽁기'는 맞는 표기인가요?
'라면을 떡볶이처럼 볶은 음식을 이르는 말'은 '라볶이'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항에 따르면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라'는 '라면'을 줄여 쓴 것이고 '볶이'는 '떡볶이'의 '볶이'와 마찬가지로 '볶다'의 어간 '볶-' 뒤에 '-이'가 붙어 만들어진 말이므로 어법에 맞도록 형태를 밝혀 '라볶이'로 적습니다.
0
'큐대', '큣대'의 표기
2019. 12. 6.
당구에서 '큐대'가 맞나요, '큣대'가 맞나요?
표기는 '큐대'가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현실 쓰임을 반영한 "우리말샘"에 '큐대'가 '당구에서, 공을 치는 막대기'를 뜻하는 말로 올라 있습니다. '큐대'는 합성어이기는 하나 외래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말이라 한글맞춤법 제30항의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구성 조건에 맞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넣을 수가 없습니다.
0
'척(隻)'과 '척(尺)'의 차이
2019. 12. 6.
'척'이라는 말은 보통 배의 수를 셀 때 쓰는데 이 척을 다른 수의 단위로 사용할 수 있나요?
단위 명사로 쓰이는 '척'은 '척(隻)'과 '척(尺)'이 있습니다. '척(隻)'은 '배를 세는 단위'로 '배 한 척', '여객선 두 척'과 같이 쓰이고, '척(尺)'은 길이의 단위로, "그 집 안방은 창문에서 창문까지 이십오 척 너비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웬 말',?'왠 말'의 표기
2019. 12. 6.
"유가 폭등으로 물가 인상 {웬/왠} 말인가?" 중 옳은 표현이 뭔가요?
 "유가 폭등으로 물가 인상 웬 말인가?"가 맞습니다. '어찌 된'의 뜻을 나타내는 관형사는 '웬'이므로, '웬 말인가?'와 같이 씁니다. 참고로,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는 '왠지'로 "매일 만나는 사람인데 오늘따라 왠지 멋있어 보인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존댓말', '반대말'의 표기 차이
2019. 12. 6.
같은 환경인데도 왜 '존댓말'은 사이시옷이 있고 '반대말'은 없는지요?
 발음상 'ㄴ'이 덧나고 덧나지 않는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존대'와 '말'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은 [존댄말]과 같이 'ㄴ'이 덧나 사이시옷을 받치어 '존댓말'과 같이 적습니다만, '반대'와 '말'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은 [반ː대말]과 같이 'ㄴ'이 덧나지 않아 사이시옷 없이 '반대말'과 같이 적습니다.
0
'불집게'와 '부집게'의 표기
2019. 12. 6.
'불집게'와 '부집게'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불집게', '부집게' 둘 다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8항에 따르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다른 말이 어울릴 때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으므로 '불덩이, 숯불, 석탄 덩이 따위를 집거나 등잔이나 촛불의 불똥을 집는 데 쓰는 집게'를 이르는 말은 '부집게'로만 적어야 할 것 같지만, 'ㄹ'이 탈락하지 않은 '불집게'도 동의어로 있으므로 '불집게'로 적을 수도 있습니다.
0
'주책맞다'와 '주책이다'의 표현
2019. 12. 6.
'주책없다'가 표준어인 것은 규정에 명시돼 있는데 '주책맞다', '주책이다'도 표준어인가요?
 '주책맞다', '주책이다'도 표준어입니다. 다만, '주책맞다'는 '일정한 줏대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여 몹시 실없는 데가 있다'의 뜻으로 쓰이는 형용사이고, '주책이다'는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을 뜻하는 '주책'에 서술격 조사 '이다'를 붙인 표현입니다. 참고로, 본디 '주책이다'는 '주책없다'의 비표준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었고 '주책맞다'는 아예 올라 있지 않았으나, '주책이다'는 한 단어는 아니지만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을 뜻하는 표준어 '주책'에 표준어 '이다'가 결합한 말로 인정되었고, '주책맞다'도 '주책스럽다'의 동의어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었습니다.
0
'불효자', '불효녀'의 차이
2019. 12. 6.
'불효자'가 한자로 '不孝子'라서, 여자가 불효를 했다고 여겼을 때 '불효녀'라고 지칭해야 할 것 같은데 '불효녀'는 맞는 표현인가요? 아니면 '불효자'가 여자, 남자 성별 관계없이 모두를 아우르는 말인 건가요?
 여자가 불효할 때 '불효자', '불효녀'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불효자'는 '어버이를 효성스럽게 잘 섬기지 아니하는 자식'을 뜻하므로 불효하는 여자도 '불효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특별히 '여자'임을 드러내기 위해 '불효'에 '여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녀'를 붙여 '불효녀'라 쓸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없지만 "우리말샘"에는 '불효녀'가 올라 있습니다.
0
'주십시오', '주십시요'의 표기
2019. 12. 6.
'주십시오'와 '주십시요'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주십시오'와 같이 적는 것이 맞습니다. '주십시오'를 그 발음에 따라 '주십시요'로 적는 경우가 있지만,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정중한 명령이나 권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십시오'이므로 형태를 밝혀 '주십시오'와 같이 적습니다.
0
'홍길동 외 4명'의 의미
2019. 12. 6.
만약 홍길동, 김이박, 안강최, 이길수, 최순만 총 5명이 있을 경우, '홍길동 외 4명'이라고 써야 하는지, 아니면 '홍길동 외 5명'이라고 써야 하는지요?
 '홍길동 외 4명'이 맞습니다. '외'는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므로 '홍길동 외 O명'은 홍길동을 제외한 인원을 뜻하므로 홍길동 등 총 5명인 경우 '홍길동 외 4명'이 적절합니다.
0
'손깍지를 끼다'의 표현
2019. 12. 6.
손가락을 맞대며 손을 잡을 때 '손깍지 끼다'를 쓰는데 적절한 표현인가요?
'손깍지를 끼다'는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열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어 잡은 상태'를 뜻하는 '손깍지'와 '팔이나 손을 걸다'를 뜻하는 '끼다'가 의미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손깍지'의 동의어 '깍지'가 쓰인 '깍지(를) 끼다'가 '열 손가락을 서로 엇갈리게 바짝 맞추어 끼다'를 뜻하는 관용구로 있는 것을 보면 '손깍지를 끼다'도 쓸 수 있습니다.
0
'미닫이', '여닫이'의 단어 형성법
2019. 12. 6.
'미닫이'와 '여닫이'는 파생어인가요, 합성어인가요?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미닫이', '여닫이'는 파생어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미닫이'는 '미닫-이'로, '여닫이'는 '여닫-이'로 직접 성분 분석이 되어 있으므로 파생어로 볼 수 있겠습니다.
0
'저질러 놓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저질러놓다'와 '저질러 놓다' 둘 다 맞는 표현인가요?
 '저질러 놓다', '저질러놓다' 둘 다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로 이어진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므로,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끝내고 그 결과를 유지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놓다'는 앞말과 띄어 '저질러 놓다'로 쓰는 것이 원칙이나 앞말과 붙여 '저질러놓다'로 쓸 수도 있습니다. 
0
'생각하지'의 준말
2019. 12. 6.
'{생각치/생각지} 않은 상태' 중 어느 게 맞나요?
 '생각지 않은 상태'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일반적으로 '하' 앞에 오는 받침이 [ㄱ, ㄷ, ㅂ]으로 소리 나면 '하'가 아주 줄므로 '생각하지'는 '생각지'로 줍니다.
0
'형제간', '형제 간'의 띄어쓰기
2019. 12. 6.
"두 사람은 형제간이다."에서의 형제간은 붙여 쓴다는 것을 알겠는데, "형제간에 싸움이 벌어졌다."에서도 '형제간'을 붙여 쓰나요?
 "형제간에 싸움이 벌어졌다."에서도 '형제간'을 붙여 씁니다. '형과 아우 사이'를 이르는 '형제간'은 합성어이므로 늘 붙여 씁니다. 참고로 합성어가 아닌 경우라면 "형과 아우 간에 싸움이 벌어졌다."처럼 관계를 나타내는 '간'은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새 나오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기밀이 새나오고'처럼 쓴 것을 봤는데 띄어쓰기가 적절한지요?
 '기밀이 새 나오고'가 맞습니다. '새나오다'는 합성어도 아니고 '나오다'가 보조 용언도 아니므로 '새(어) 나오다'로 띄어 써야 합니다.
0
'예를 들면', '예를들면'의 띄어쓰기
2019. 12. 6.
'예를 들면'이 맞나요, '예를들면'이 맞나요?
 '예를 들면'이 맞습니다. '예를들면'은 합성어가 아니고 '본보기가 될 만한 사물'을 뜻하는 '예'와, '설명하거나 증명하기 위하여 사실을 가져다 대다'의 뜻을 나타내는 '들다'를 이어서 쓴 구이므로 '예를 들면'으로 띄어 씁니다.
0
'바루기'의 표현
2019. 12. 6.
'바루기'를 국어대사전으로 찾아보니 단어가 없다고 나오는데 바르지 못한 단어인가요?
 '바루기'는 바른 단어입니다. '바루기'는 '비뚤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바르게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바루다'의 명사형으로 표준어입니다. 동사는 '-다'가 붙는 기본형으로 사전에 등재되므로 명사형은 올라 있지 않습니다.
0
'밀어 넣다', '밀어넣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밀어 넣다'는 뜻에 따라 띄어쓰기가 다른가요?
'밀어 넣다'는 항상 띄어 씁니다. '밀어 넣다'는 한 단어가 아니고 '밀다'와 '넣다'가 이어진 말이므로 어떤 문맥에서든지 '밀어 넣다'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0
'-ㄴ가'의 쓰임
2019. 12. 6.
‘뭔가를 들고 오다', '뭔가가 있다’와 같이 ‘뭔가'를 명사처럼 쓸 수 있나요?
 '뭔가'를 명사처럼 쓸 수 있습니다. '뭔가'는 대명사 '뭐' 뒤에 서술격 조사 '이-'와 어미 '-ㄴ가'가 결합한 의문문입니다. 그렇지만 의문문도 명사절처럼 안겨 쓰이므로, 뒤에 격조사를 붙이고 '뭔가를 들고 오다', '뭔가가 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죽을 둥 살 둥', '죽을둥 살둥'의 띄어쓰기
2019. 12. 6.
'{죽을 둥 살 둥/죽을둥 살둥} 달려들다'에서 띄어쓰기가 바른 것은 무엇인가요?
 '죽을 둥 살 둥 달려들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둥'은 '-은/-는/-을 둥 만/마는/말 둥' 구성으로 쓰여 '무슨 일을 하는 듯도 하고 하지 않는 듯도 함'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이뿐만 아니라', '이뿐만아니라'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뿐만 아니라', '이뿐만아니라'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나요?
 '이뿐만 아니라'로 띄어 씁니다. 이는 대명사 '이' 뒤에 보조사 '뿐', '만'이 붙고 뒤에 '아니다'의 활용형 '아니라'가 이어진 구성입니다. 조사 '뿐', '만'은 앞말에 붙여 쓰고 '아니라'는 서술어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멀리하다', '멀리 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멀리하다', '멀리 하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멀리하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멀리하다'는 부사 '멀리' 뒤에, 일부 부사 뒤에 붙어 '동사나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하다'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이므로 붙여 적습니다.
0
'야밤'의 표현
2019. 12. 6.
'야밤'은 군더더기 표현 같은데, 표준어인가요?
 '야밤'은 표준어가 맞습니다. '야(夜)'와 '밤'이 같은 뜻을 나타내므로 의미가 중복되지만, 합쳐서 '깊은 밤'이라는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로 굳어졌으므로 쓸 수 있습니다.
0
'심하다'의 표준 발음
2019. 12. 6.
'심하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심하다'의 표준 발음은 [심ː하다]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에 따르면 받침 'ㄶ, ㅀ'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에 'ㅎ'을 발음하지 않는데, '심하다'처럼 'ㅁ' 뒤에 'ㅎ'이 쓰인 경우에는 [심ː하다]처럼 'ㅎ'을 발음합니다.
0
'본 대로'와 '본 바대로'의 차이
2019. 12. 6.
'본 대로’와 '본 바대로'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본 대로'와 '본 바대로'는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본 대로'는 '본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를 뜻하고, '본 바대로'는 '본 내용이나 일 따위에 근거하거나 그것과 같음'을 나타내므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형태적으로는 '본 대로'의 '대로'는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쓰고, '본 바대로'의 '대로'는 조사로서 앞말과 붙여 적습니다.
0
'다칠까 봐', '다칠까봐'의 띄어쓰기
2019. 12. 6.
'아기가 {다칠까 봐/다칠까봐}' 중 어느 것이 맞는지요?
 '아기가 다칠까 봐'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으)ㄹ까 보다'의 '보다'는 동사 뒤에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입니다만,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본용언과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항상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모세 혈과', '모세혈관'의띄어쓰기
2019. 12. 6.
'모세 혈관'은 붙여 쓰는 게 맞나요, 띄어 쓰는 게 맞나요?
 '모세 혈관'으로 띄어 쓰는 게 원칙이나 '모세혈관'으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으므로 의학 전문어인 '모세 혈관'은 '모세 혈관'(원칙), '모세혈관'(허용)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편'과 '켠'의 표현
2019. 12. 6.
'가슴 한 켠'이 옳은지, 아니면 '가슴 한 편'이 옳은지요?
 '가슴 한편'이 옳습니다. 여기서 '한편'은 합성어로서 '어느 하나의 편이나 방향'을 이릅니다. '방향'이나 '서로 갈라지거나 맞서는 것의 하나'를 가리키는 말은 '편'이며, '켠'은 '편'의 잘못입니다.
0
'왁자지껄'과 '왁자그르르'의 표현
2019. 12. 6.
'왁자지껄'과 '왁자그르르'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왁자지껄'과 '왁자그르르' 둘 다 표준어입니다. '왁자지껄'은 '여럿이 정신이 어지럽도록 시끄럽게 떠들고 지껄이는 소리 또는 모양'을 뜻하고, '왁자그르르'는 '여럿이 한데 모여 시끄럽게 웃고 떠드는 소리 또는 모양'이나 '소문이 갑자기 널리 퍼져 떠들썩하거나 시끄러운 모양'을 뜻해 미세한 뜻 차이가 있는 표준어입니다.
0
'-겠소', '-겠오'의 바른 표현
2019. 12. 6.
하오체 의문문은 '-겠오'가 맞나요, '-겠소'가 맞나요?
 '-겠소'가 맞습니다. 받침 있는 어간이나 어미 '-었-', '-겠-' 뒤에 붙는 하오체 어미는 '-소'이므로 "그곳에는 당신이 가겠소?"와 같이 씁니다.
0
'시래깃국', '시래기국'의 표기
2019. 12. 6.
'시래기국'이 맞나요, '시래깃국'이 맞나요?
'시래깃국'이 맞습니다. 고유어 '시래기'와 고유어 '국'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가 [시래기꾹/시래긷꾹]과 같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므로, 한글맞춤법 제30항의 사이시옷 규정에 따라 사이시옷을 받치어 '시래깃국'과 같이 적습니다.
0
'수용', '숫용'의 표기
2019. 12. 6.
'수용(-龍)'으로 적나요, '숫용(-龍)'으로 적나요?
수컷 용을 뜻하는 말은 '수용'이 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7항에 따르면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하므로 '수컷 용'은 '수용'으로 적습니다. 참고로 발음상 사이시옷과 비슷한 소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접두사의 형태를 '숫-'으로 정한 '숫양', '숫염소', '숫쥐'를 제외하고는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로 '숫-'을 쓰는 것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0
'여쭈다'와 '여쭙다'의 표현
2019. 12. 6.
'여쭈겠습니다', '여쭙겠습니다' 둘 다 맞는 말인가요? 그리고 '{여쭈어/여쭙어} 보겠습니다'도 모두 맞는 말일까요?
먼저, '여쭈겠습니다', '여쭙겠습니다'는 둘 다 맞습니다. '여쭈다', '여쭙다'는 복수 표준어이므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다음, '여쭈어 보겠습니다'가 맞습니다. '여쭈다'는 '여쭈어 보겠습니다'와 같이 활용합니다. 다만 '여쭙다'는 ㅂ 불규칙 용언이라 '여쭙어 보겠습니다'가 아니라 '여쭈워 보겠습니다'와 같이 활용합니다.
0
'읽어 보세요'의 표현
2019. 12. 6.
'읽어 보세요'는 '읽으세요'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읽어 보세요'는 '읽으세요'보다 그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의 뜻이 더 있습니다. '읽으세요', '읽어 보세요'의 차이는 보조 용언 '보다'의 여부인데, 보조 용언 '보다'는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므로, '읽어 보세요'에는 그 뜻이 더해지게 됩니다.
0
'웬만', '왠만'의 표기
2019. 12. 6.
'왠만'과 '웬만'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웬만'이 바른 표기입니다. '웬만'은 '웬만하다'의 어근이고, '웬만하다'는 '정도나 형편이 표준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낫다' 또는 '허용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 상태에 있다'의 뜻으로 각각 "먹고살기가 웬만하다.", "웬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일이다."와 같이 쓰이는 말입니다. 참고로, '왠지'는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0
'설렘'과 '설레임'의 표현
2019. 12. 6.
'설렘'과 '설레임'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설렘'이 표준어입니다.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들떠서 두근거리다'를 뜻하는 표준어 '설레다'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우리말샘"에 올라 있습니다. 한편, '설레임'은 '설레다'의 비표준어인 '설레이다'에서 파생된 명사로 "우리말샘"에 올라 있지만 표준어는 아닙니다.
0
'치어 죽다', '치여 죽다'의 표기
2019. 12. 6.
'치어 죽다'가 맞나요, '치여 죽다'가 맞나요?
 '치여 죽다'가 맞습니다. '-어 죽다'와 어울리는 말은 '차나 수레 따위가 사람을 강한 힘으로 부딪고 지나가다'를 뜻하는 타동사 '치다'의 피동사 '치이다'입니다. '치이다'의 어간에 어미 '-어'가 붙으면 '치이어'가 되고 이를 줄이면 '치여'가 됩니다. 따라서 '치여 죽다'로 적습니다.
0
'짬뽕'의 표기
2019. 12. 6.
외래어 표기 규정상 외래어는 된소리로 표기하지 않는 것으로 아는데 왜 'ちゃんぽん'은 '짬뽕'과 같이 된소리로 표기하나요?
 '짬뽕'은 원어가 변해 굳어진 외래어라 예외적으로 된소리로 표기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짬뽕'의 원어가 '(←<일>champon)'과 같이 제시되어 있어서, '짬뽕'을 일본어 원어대로 하면+E588 '잔폰'으로 적어야 하나 그 발음이 현저히 변하여 '짬뽕'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표제어가 원어와 현저히 다르게 변하였을 경우에는 그 원형을 제시하고, 형태가 변했다는 표시로 원어 정보에 '←'와 같은 기호를 쓰고 있습니다.
0
'이와 같이', '이와같이'의 띄어쓰기
2019. 12. 6.
'~같이'는 '~과 비슷하게'라는 뜻일 때는 붙여 쓰고, '함께 하다'라는 뜻일 때는 띄어 쓴다고 하던데요, '이와 같이'에 쓰인 '같이'는 '비슷하게'라는 의미인데 '이와같이'로 붙여 쓰면 어색하게 느껴져요. 붙여 쓰는 것이 맞는 표기법인가요?
 '이와 같이'로 띄어 쓰는 것이 맞는 표기입니다.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같이'는 조사로서 "얼음장같이 차갑다.", "눈같이 희다."와 같이 쓰고,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 또는 '어떤 상황이나 행동 따위와 다름이 없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같이'는 부사로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 '예상한 바와 같이 주가가 떨어지다'와 같이 주로 격조사 '과' 뒤에 쓰입니다. 질의하신 '이와 같이'의 '같이'는 어떤 상황이나 행동 따위와 다름이 없음을 나타내는 부사로 앞말과 띄어 '이와 같이'로 적습니다.
0
'에게처럼', '에게 처럼'의 띄어쓰기
2019. 12. 6.
'~에게처럼'과 같이 '에게'와 '처럼'을 같이 써야 한다면 띄어 쓰나요, 붙여 쓰나요?
'~에게처럼'과 같이 붙여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쓰므로 '~에게처럼'과 같이 조사가 겹쳐지는 경우에도 각각 그 앞말에 붙여 씁니다.
0
'할게요'와 '할 거예요'의 차이
2019. 12. 6.
'할게요'는 가까운 미래, '할 거예요'는 '먼 미래'라고 이해했는데, "이따가 전화할게요.", "이따가 전화할 거예요."를 보면 좀 어색하네요. 왜 그런가요?
 '-ㄹ게'와 '-ㄹ 거예요'는 가까운 미래나 먼 미래와 같은 시제를 나타내는 말이 아닙니다. '-ㄹ게'는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고, '-ㄹ 것이다'는 전망, 추측, 주관적 소신 따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따가 전화할게요."는 화자가 전화하겠다고 약속하는 말이고, "이따가 전화할 거예요."는 화자가 전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ㄹ 거예요'는 주어가 화자가 아니라면 "친구가 이따가 전화할 거예요."처럼 전망, 추측, 주관적 소신을 나타내지만, 주어가 화자라면 의지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0
'사흘간', '사흘 간'의 띄어쓰기
2019. 12. 6.
기간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는 접미사로 '사흘간'이라고 검색하니까 나오는데, 문제집에는 '사흘 간'이라고 띄어져 있네요. 뭐가 맞는 건가요?
 '사흘간'이 맞습니다. '-간'은 기간을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동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적습니다.
0
'세요'와 '세오'의 표기
2019. 12. 6.
"그 사람은 힘이 너무 {세요/세오}." 중 어느 게 맞는 것이죠?
 어법상 "그 사람은 힘이 너무 세요."와 "그 사람은 힘이 너무 세오." 모두 맞습니다. '세요'는 형용사 '세다'의 어간 '세-' 뒤에, 어떤 사실을 서술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와 두루높임의 보조사 '요'가 붙은 '세어요'가 줄어든 말이고, '세오'는 형용사 '세다'의 어간 '세-' 뒤에,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어 설명의 뜻을 나타내는 하오체 종결 어미 '-오'가 붙은 말이므로 어법상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다만, 현대어에서 하오체는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는 "그 사람은 힘이 너무 세요."와 같이 씁니다.
0
'탐탁하게', '탐탁하지'의 준말
2019. 12. 6.
'탐탁하게'의 준말은 '탐탁케'가 맞고, '탐탁하지'의 준말은 '탐탁지'가 맞는다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탐탁하게'의 준말은 '탐탁게', '탐탁하지'의 준말은 '탐탁지'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2]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일반적으로 '하' 앞에 오는 받침이 [ㄱ, ㄷ, ㅂ]으로 소리 나면 '하'가 아주 줄므로 '탐탁하게', '탐탁하지'는 각각 '탐탁게', '탐탁지'로 줍니다.
0
'유가 증권'의 표준 발음
2019. 12. 6.
'유가 증권'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유가 증권'의 표준 발음은 [유ː까증꿘]입니다. '유가'와 '증권'이 이어진 전문어 구로서 '유가(有價)'의 표준 발음이 [유ː까]이고, '증권(證券)'의 표준 발음이 [증꿘]이므로 이어서 [유ː까증꿘]으로 발음합니다.
0
'우리 집', '우리집'의 띄어쓰기
2019. 12. 6.
'우리 집', '우리집'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우리 집'으로 띄어 씁니다. '우리 집'은 일부 명사 앞에 쓰여 말하는 이가 자기보다 높지 아니한 사람을 상대하여 '어떤 대상이 자기와 친밀한 관계임'을 나타낼 때 쓰는 '우리'와 '집'이 이어진 구이므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우리나라'나 우리나라 사람의 말을 이르는 '우리말'이나 한글을 이르는 '우리글'은 모두 합성어로 붙여 씁니다.
0
'아기 나무', '아기나무'의 띄어쓰기
2019. 12. 6.
학교 받아쓰기 자료에서 '아기 나무'를 붙여 쓰기에 담임께 질문을 드리니 동식물은 붙여쓰기를 한다고 하는데 '아기 나무'를 품종명처럼 붙여 쓸 수 있나요?
'아기 나무'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아기'는 주로 동식물 이름 앞에 쓰여, 짐승의 작은 새끼나 어린 식물을 귀엽게 이르는 말로서 '아기 나무', '아기 다람쥐'와 같이 띄어 씁니다. '아기 나무'는 식물의 품종명이 아니므로 품종명에 준해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0
'신나다', '신 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신나는 놀이를 해요."에서 '신나는'이 맞나요, '신 나는'이 맞나요?
'신나는'이 맞습니다. '신나다'는 '어떤 일에 흥미나 열성이 생겨 기분이 매우 좋아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라 붙여 씁니다. 본디 '신나다'는 구로서 띄어 쓰도록 했으나, 붙여 쓰도록 한 교과서 편수 지침의 띄어쓰기와 모순되어 심의를 거쳐 합성어로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0
'뿐'의 품사
2019. 12. 6.
"우리 둘뿐이다.", "당신이 결정하는 것뿐이라고.", "작자는 멍하니 내려다볼 뿐 그걸 집으려고는 하지 않는다."에서 쓰이는 '뿐'의 품사는 무엇인가요?
"우리 둘뿐이다.", "당신이 결정하는 것뿐이다."의 '뿐'은 조사, "작자는 멍하니 내려다볼 뿐 그걸 집으려고는 하지 않는다."의 '뿐'은 의존 명사입니다. "우리 둘뿐이다.", "당신이 결정하는 것뿐이다."의 '뿐'은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 또는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그리고 "작자는 멍하니 내려다볼 뿐 그걸 집으려고는 하지 않는다."의 '뿐'은 어미 ‘-을’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입니다.
0
'빨간 머리'와 '빨강 머리'의 표현
2019. 12. 6.
체언이 체언을 수식할 수 있다는데, '빨갛다'는 관형형 '빨간'이 있는데도 '빨강 머리 앤'처럼 체언이 수식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빨간 머리', '빨강 머리'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빨갛다'의 관형사형 '빨간'이 있어도 '빨간 빛깔'을 뜻하는 명사 '빨강'으로 '머리'를 꾸며 '빨강 머리'로 쓸 수 있습니다.
0
'-게 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돈을 주게 했다."의 '주게 했다'를 띄어 써야 하나요, 붙여 써야 하나요?
"돈을 주게 했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여기서 '하다'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게 하다' 구성으로 쓰이는 보조 용언으로, 앞말의 행동을 시키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을 나타냅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나 관형사형 뒤 보조 용언은 본용언과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나 '-게' 뒤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돈을 주게 했다."로 띄어 씁니다.
0
성과 호칭어의 띄어쓰기
2019. 12. 6.
만약 성이 '허'인 사람에게 조선 시대 소과 합격자를 의미하는 '생원'을 붙인다면 '허 생원'이라고 띄어 쓰는 것이 옳은가요, 아니면 '허생원'이라고 붙여 쓰는 것이 옳은가요?
'허 생원'이라고 띄어 쓰는 것이 옳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8항에 따르면, 성명 또는 성이나 이름 뒤에 붙는 호칭어나 관직명(官職名) 등은 고유 명사와 별개의 단위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이에 따라서 성 '허'와 호칭어인 '생원’은 '허 생원'과 같이 띄어 씁니다.
0
호와 성명의 띄어쓰기
2019. 12. 6.
'퇴계 이황'과 같은 호와 성명은 띄어 쓰나요, 붙여 쓰나요?
 '퇴계 이황'과 같이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8항 해설에 따르면, 호나 자 등이 성명 앞에 놓일 때에는 '퇴계 이황'과 같이 띄어 씁니다.
0
'아래옷'과 '아랫옷'의 표기
2019. 12. 6.
'윗옷'은 사이시옷이 들어갔는데 반대말인 '아래옷'에는 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나요?
 '아래옷'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조건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구성의 합성어로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면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에 받치어 적는데, '아래옷'은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면서 고유어+고유어 구성이고 뒷말이 모음으로 시작하기는 하나 'ㄴㄴ' 소리가 덧나지 않아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한편, '윗옷'도 사이시옷이 들어갈 조건은 아니나, 표준어규정 제12항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하나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는 조항에 따라 예외적으로 '윗옷'과 같이 적는 것입니다.
0
'서늘하다'와 '써늘하다'의 표현
2019. 12. 6.
'서늘하다'와 '써늘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서늘하다'와 '써늘하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둘 다 '물체의 온도나 기온이 꽤 찬 느낌이 있다'의 뜻을 나타냅니다만 '써늘하다'가 '서늘하다'보다 센 느낌을 줍니다.
0
'맹숭맹숭'과 '맨송맨송'의 표현
2019. 12. 6.
‘정신이 {맹숭맹숭하다/맨송맨송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맹숭맹숭하다'와 '맨송맨송하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맹숭맹숭하다'는 '술 따위에 취한 기분이 전혀 없이 정신이 멀쩡하다'를 뜻하고, '맨송맨송하다'는 '술을 마시고도 취하지 아니하여 정신이 말짱하다'를 뜻해 뜻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0
'하므로', '함으로'의 표기
2019. 12. 6.
'~하므로'는 어떨 때 쓰이고, '~함으로'는 어떨 때 쓰이나요?
 '하므로'는 동사 어간 '하-' 뒤에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므로'가 붙은 형태로 "그는 부지런하므로 성공할 것이다."와 같이 쓰이고, '함으로'는 '하다'의 명사형 '함'에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격 조사 '으로'가 붙은 형태로 "그가 입사함으로 회사 분위기가 바뀌었다."와 같이 쓰입니다. 연결 어미 '-므로' 뒤에는 '써'가 붙지 않는 반면 조사 '으로' 뒤에는 '써'를 붙여서 "그가 입사함으로써 회사 분위기가 바뀌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최솟값', '최소값'의 바른 표기
2019. 12. 6.
수학 문제로 "어떤 함수의 최솟값을 구하라."라는 것이 있고 다른 문제에 '최소값'이라고 적혀 있는 것도 많은데 어떤 표기가 맞는 표기인가요?
 '최솟값'이 맞는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합성어로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므로, 한자어 '최소'와 고유어 '값'이 결합한 합성어로서 앞말 '최소'가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인 '값'의 첫소리가 [깝]과 같이 된소리로 나는 '최솟값'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알려지다'의 표현
2019. 12. 6.
'알려졌다'는 이중 피동으로 틀린 말인지요?
'알려졌다'는 이중 피동도 아니고 틀린 말도 아닙니다. '알려지다'는 '어떤 사실을 다른 사람들이 전해 듣고 알게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 동사로서 어간 '알-'에 사동 접사 '-리-'가 붙은 사동사 '알리다'의 어간에 어미 '-어'가 결합해 줄어든 '알려'와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지다'가 결합하여 한 단어로 굳어진 말입니다.
0
'모니터하다', '모니터링하다'의 표현
2019. 12. 6.
'모니터링하다'가 맞나요, '모니터하다'가 맞나요?
외래어에 '-하다'가 결합하는 데 대해 표준화된 규정은 따로 없습니다만, 우리말에 준한다면 '모니터링하다'가 적절합니다. 우리말에서 '-하다'는 행위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동사나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인데, 현재 외래어 명사 '모니터'는 '방송국이나 신문사의 의뢰를 받아 프로그램이나 기사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는 사람'을 뜻하고, 외래어 명사 '모니터링'은 '방송국이나 신문사 또는 기업체로부터 의뢰를 받고 방송 프로그램이나 신문 기사 또는 제품 따위에 대하여 의견을 제출하는 일'을 뜻하므로 행위를 나타내는 명사 '모니터링'에 '-하다'를 붙여 '모니터링하다'로 씁니다.
0
'날다'의 활용
2019. 12. 6.
'날-+-렴'의 활용형은 '날으렴'인가요, 아니면 '날렴'인가요?
'날렴'입니다. 해라할 자리에 쓰여, 부드러운 명령이나 허락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받침 있는 동사 어간 뒤에는 '-으렴'이 붙지만, 'ㄹ' 받침인 동사 어간이나 받침 없는 동사 어간 뒤에는 '-렴'이 붙습니다. 따라서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난 동사 '날다'는 '날렴'과 같이 활용합니다.
0
'떠내려가 버리다', '떠내려가버리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에서 '떠내려가 버렸다'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강물에 떠내려가 버렸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지만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에는 앞말과 붙여 쓸 수 없으므로, 합성 동사 '떠내려가다'의 활용형 '떠내려가' 뒤의 보조 용언 '버리다'는 앞말과 띄어 '떠내려가 버렸다'와 같이 씁니다.
0
'열하나', '열 하나'의 띄어쓰기
2019. 12. 6.
'열 하나'와 '열하나'중에 무엇이 맞을까요?
  '열하나'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4항에 따르면,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쓰므로 '십일'을 붙여 쓰듯이 '열하나'도 붙여 적습니다.
0
'전세방'과 '전셋집'의 사이시옷 표기
2019. 12. 6.
'전세방'에는 사이시옷이 없는데 '전셋집'에는 사이시옷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전세방'은 한자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이고 '전셋집'은 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합성어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고유어와 고유어,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이에 따라 한자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 '전세방'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고, 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한 합성어로 앞말이 받침 없이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전셋집'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입니다.
0
'만들다'의 명사형
2019. 12. 6.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들음', '만듦', '만듬' 중에 무엇이 맞나요?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이 맞습니다. 우선, 어간이 받침으로 끝난 말의 명사형은 대체로 '먹음', '넓음'과 같이 '-음'이 결합하지만, 'ㄹ' 받침으로 끝난 말의 명사형은 모음으로 끝난 말의 명사형과 마찬가지로 '-ㅁ'이 결합합니다. 다음, 어간 끝 받침 'ㄹ'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탈락하지만 'ㅁ'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이 적절합니다.
0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의 띄어쓰기
2019. 12. 6.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 할 때 '이/그/저'를 지시 대명사라고 하나요? 그리고 뒷말과 띄어 쓰는 게 맞는 건가요? '이것, 저것, 그것'처럼 붙여 쓰나요?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의 '이', '그', '저'는 특정한 대상을 지시하여 가리키는 관형사입니다. 따라서 뒷말과 띄어서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과 같이 씁니다.  참고로 '이것', '그것', '저것'은 '이', '그', '저'와 '것'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라 붙여 쓰지만 '이 사람', '저 사람', '그 사람'은 합성어가 아니므로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0
'막아 내다' 띄어쓰기
2019. 12. 6.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함에 따라 '막아 내다'를 원칙으로 한다고 들었는데, 한 단어라면 '막아내다'라고 붙여 쓰는 게 맞지 않나요?
 '막아 내다'는 한 단어가 아니고 본용언과 보조 용언 구성의 구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막아내다'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나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는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는데, '막아 내다'의 '내다'는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스스로의 힘으로 끝내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이므로 '막아 내다'와 같이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고, '막아내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졸리다', '힘들다'의 활용
2019. 12. 6.
'졸리는', '힘드는'처럼 쓰는 게 맞나요?
 '졸리는', '힘든'처럼 쓰는 것이 맞습니다. '-는'은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이므로 동사 '졸리다'의 어간 뒤에는 '졸리는'과 같이 붙을 수 있지만, 형용사 '힘들다'의 어간 뒤에는 붙을 수가 없습니다. 형용사 '힘들다'의 어간 뒤에는 받침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현재를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어 '힘든'과 같이 활용합니다.
0
'재미없다', '재미없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재미있다'는 하나의 단어라 붙여 쓰는 걸로 알고 있는데, '재미없다'의 경우는 어떤가요?
 '재미없다'도 '재미있다'와 마찬가지로 합성어라 붙여 씁니다. '재미없다'는 '아기자기하게 즐겁고 유쾌한 기분이나 느낌이 없다', '(구어체로) 신상에 좋지 아니하거나 해로운 일이 있게 되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어로 각각 "어제 동생과 같이 본 그 영화는 재미없었다.", "내 말을 듣지 않으면 재미없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이따가'와 '있다가'의 구분
2019. 12. 6.
'있다가', '이따가' 둘 중 어느 게 맞는 표현인가요?
 맥락에 따라 '있다가'와 '이따가'를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이따가'는 '조금 지난 뒤에'의 뜻을 가진 부사로 "이따가 단둘이 있을 때 얘기하자."와 같이 쓰이고, '있다가'는 '있다'에 연결 어미 '-다가'가 붙은 활용형으로, "그곳에 조금 있다가 밖으로 나왔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월요일'의 표준 발음
2019. 12. 6.
'월요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월요일'의 표준 발음은 [워료일]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앞 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 'ㄴ'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하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ㄴ' 첨가는 항상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월요일'은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아 [워료일]로 발음합니다.
0
'것이어야'와 '것이여야'의 표기
2019. 12. 6.
'{것이어야만/것이여야만} 한다' 중 앞의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여야'는 '이어야'의 준말이고 '여야'는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날 경우에 붙는 걸로 아는데 왜 그런가요?
 '것이어야만 한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자음으로 끝난 말 '것' 뒤에 '이-', 어미 '-어야'와 보조사 '만'이 붙으면 형태를 밝혀 '것이어야만'과 같이 적습니다. 그리고 '거'와 같이 모음으로 끝난 말 뒤에 '이다'가 오면 '이-'가 쉽게 탈락되어 '거다'와 같이 씁니다만, '이-' 뒤에 '-어야'와 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그 어미와 축약되어 '거여야'가 됩니다. 
0
'에'와 '에게'의 차이
2019. 12. 6.
"정부는 이 문제를 {일본에게/일본에} 강력히 항의하였다."에서 '일본에'가 맞는다고 하던데 왜 그런가요?
어떤 행동이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는 유정물 뒤에는 '에게', 무정물 뒤에는 '에'가 쓰이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 문제를 일본에 강력히 항의하였다."는 항의하는 대상인 '일본'이 하나의 국가로서 무정물이라 '에게'가 아닌 '에'를 붙이는 것입니다.
0
'사라져 버리다', '사라져버리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사라져 버려'와 '사라져버려'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사라져 버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사라져버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 또는 용언의 관형사형 뒤 보조 용언은 앞말과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되지만, 본용언이 복합 용언인 경우에는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본용언 '사라지다'는 어원적으로 단일어는 아니지만 공시적으로는 단일어로 볼 수 있으므로 단일어에 준하여 '앞말이 나타내는 행동이 이미 끝났음'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버리다'와 어울릴 때 '사라져 버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사라져버려'와 같이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0
'맛나다'의 표준 발음
2019. 12. 6.
'맛나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맛나다'의 표준 발음은 [만나다]입니다. '맛나다'는 표준발음법 제9항에 따라 받침 'ㅅ'이 자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변한 다음, 제18항에 따라 그 'ㄷ'이 'ㄴ' 앞에서 [ㄴ]으로 동화되어 [만나다]로 발음됩니다.
0
자정에 대한 표현
2019. 12. 6.
시간을 공식적으로 말할 때 '오전 12시'라고 해야 할까요, '새벽 영시'라고 해야 할까요?
 둘 다 적절하지 않습니다. '자정'은 전날의 오후와 다음 날의 오전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때이므로 그 앞에 '오전'을 붙여 '오전 12시'라 하기 어렵고, '영시'(24:00부터 01:00까지의 사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굳이 써야 한다면 낮 12시인 정오와 구분해 '밤 12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자정을 조금이라도 지난 경우라면 새로운 하루가 시작된 것이므로 '오전 12시 O분 O초', '새벽 영시 O분 O초' 모두 쓸 수 있습니다.
0
'않는'과 '않은'의 차이
2019. 12. 6.
문제집에 보니까 "일치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라고 되어 있는데 '않는'과 '않은'은 왜 다른가요?
'일치하지 않는'의 '않다'는 보조 동사라 '않는'으로 활용하고 '적절하지 않은'의 '않다'는 보조 형용사라 '않은'으로 활용합니다. '-지 않다'의 '않다'는 본용언이 동사인 경우 보조 동사, 본용언이 형용사인 경우 보조 형용사이므로, 동사 '일치하다' 뒤에 쓰인 '않다'는 보조 동사로서 동사의 현재 관형사형 어미인 '-는'이 붙어 '일치하지 않는'이 되고, 형용사 '적절하다' 뒤에 쓰인 '않다'는 보조 형용사로서 형용사의 현재 관형사형 어미인 '-은'이 붙어 '적절하지 않은'이 되는 것입니다.
0
'별수 없다', '별수없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너도 {별수없는/별수 없는} 학부모구나."는 어떻게 띄어 쓰는 게 맞나요?
 "너도 별수 없는 학부모구나."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별수'는 '있다', '없다' 따위와 함께 쓰여 '달리 어떻게 할 방법'을 이르는 말로 "그 사람이라고 별수 있겠어?", "그는 기를 써 보았지만 별수 없는 노릇이었다."와 같이 쓰입니다.
0
'피었습니다', '피였습니다'의 표기
2019. 12. 6.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피였습니다}."에서 둘 중 어느 게 맞는 표기인가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가 맞습니다. '꽃봉오리 따위가 벌어지다'의 뜻을 나타내는 '피다'의 어간에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었-'과 어말어미 '-습니다'가 결합하면 형태를 밝혀 '피었습니다'와 같이 적습니다.
0
'일일이', '일일히'의 표기
2019. 12. 6.
'일일이'와 '일일히'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일일이'가 바른 표기입니다. '일마다 모두', '하나씩 하나씩' 등의 뜻을 나타내는 표준어의 바른 표기는 '일일이'입니다. 또한 한글맞춤법 제51항 해설에 따르면, 겹쳐 쓰인 명사 뒤에서는 '이'로 적는 경향이 있습니다.
0
'이불'과 '이부자리'의 차이
2019. 12. 6.
아침에 일어나면 상쾌한 공기를 마시면서 이불을 개는데요, 사람들이 '이불'과 '이부자리' 두 가지로 표현하는데 이 둘 중 어떨 때는 '이불'을 쓰고 어떨 때는 '이부자리'를 쓰는지요?
 덮는 침구를 이를 때에는 '이불', 이불과 요를 통틀어 이를 때에는 '이부자리'를 씁니다. '이불'은 잠잘 때 몸을 덮는 침구를 뜻하고 '이부자리'는 이불과 요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0
'어떻게'와 '어떡해' 차이
2019. 12. 6.
'어떻게'와 '어떡해'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어떻게'는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찌 되어 있다'를 뜻하는 '어떻다'의 부사형으로 "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와 같이 서술어 앞에 쓰이고, '어떡해'는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로서 "오늘도 안 오면 어떡해."와 같이 서술어 자리에 쓰입니다.
0
'ad balloon'의 외래어 표기
2019. 12. 6.
'애드벌룬', '애듀벌륜' 중 무엇으로 표기하나요?
 'ad balloon'은 '애드벌룬'으로 씁니다. 'ad balloon'은 본디 구로서 [æd]와 [bəˈluːn]으로 발음되므로 '애드벌룬'으로 적습니다. '애드벌룬'은 '광고하는 글이나 그림 따위를 매달아 공중에 띄우는 풍선'을 이르는 말로 '광고기구', '광고풍선'으로 순화되었음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씻어 주다', '씻겨 주다'의 표현
2019. 12. 6.
남의 발을 씻기는 경우 "남의 발을 씻어 준다."라고 하나요, "남의 발을 씻겨 준다."라고 하나요?
"남의 발을 씻겨 준다."가 맞습니다. 자기 발을 씻는 행위는 '발을 씻다'라고 하지만 남의 발을 씻기는 행위는 '발을 씻기다'라고 합니다. 여기에, 본용언의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는 '주다'를 이으면 '발을 씻겨 주다'가 되는 것입니다.
0
'승낙', '승락'의 바른 표기
2019. 12. 6.
"여행을 가려면 부모님의 {승락/승낙}을 얻어야 한다."에 쓰인 '승락'과 '승낙' 중에서 어떤 표현이 맞춤법에 맞나요?
'승낙'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데, '諾'은 '승낙(承諾)'에서는 본음으로 나고 '수락(受諾), 쾌락(快諾), 허락(許諾)'에서는 속음으로 나므로 '승낙'으로 적습니다.
0
'하얗소'와 '하야오'의 차이
2019. 12. 6.
'하얗소'와 '하야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하얗소', '하야오'에 쓰인 종결 어미 '-소'는 하오할 자리에 쓰여 설명, 의문을 나타내고, '-으오'는 하오할 자리에 쓰여, 설명, 의문,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질의하신 '하얗다'는 형용사라 명령의 의미로 쓰일 수는 없으므로, '하얗소'와 '하야오'는 의미상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하얗다'의 어간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소'가 붙으면 규칙 활용을 해 '하얗소'가 되지만,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오'가 붙으면 'ㅎ' 불규칙 활용을 해 어간 끝 받침 'ㅎ'이 줄어 '하야오'가 됩니다.
0
'하시오', '하시요'의 표기
2019. 12. 6.
'하시오/하시요' 둘 다 쓰이는 것 같은데, 어떤 것이 맞나요?
 '하시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5항 [붙임 2]에 따르면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으므로, '하다'의 어간에 '-시-'와 '-오'가 결합한 말 '하시오'는 [하시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하시오'로 적습니다.
0
'잘나다', '잘 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다은이와 선아는 자기가 더 {잘났다고/잘 났다고} 싸웠다."는 어떻게 띄어쓰기를 해야 맞나요?
"다은이와 선아는 자기가 더 잘났다고 싸웠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잘나다'는 '얼굴이 잘생기거나 예쁘게 생기다', '능력이 남보다 앞서다'의 뜻을 나타내는 합성 동사입니다.
0
'잘 지내', '잘지내'의 띄어쓰기
2019. 12. 6.
'잘지내', '잘 지내' 중 뭐가 맞죠?
 '잘 지내'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잘 지내다'는 합성어가 아니고 '잘'과 '지내다'가 쓰인 구이므로 '잘 지내'와 같이 띄어 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