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stringlengths
1.09k
136k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장르 시대극/사극, 코미디, 아동물 TV 애니메이션 원작 한국의 전래동화 기획 정승배 감독 박치만, 김대중, 이우영, 김동호 성우 전기병, 김성희,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박은숙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이광조(각색) 음악 왕준기, 이남홍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한호흥업(주)동우동화 제작 KBS화인 프로덕션 방송사 KBS 2TV 그 외의 방송사 KBS 1TV, JEI재능TV, KBS 키즈 주니어 방영일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20분 ~ 6시 35분 방영 기간 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화수 전13화 틀 - 토론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는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KBS에서 제작, 방영한 만화·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성우출연 2 제작진 2.1 오프닝 크레딧 2.2 엔딩 크레딧 3 방영 이야기 4 주제곡 5 함께 보기 6 외부 링크 성우출연[편집] 전기병 : 은비 役 김성희 : 까비 役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제작진[편집] 오프닝 크레딧[편집] 기획: 정승배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한호흥업(주), 동우동화 원화감독: 박치만 작화감독: 이준웅 (제4화), 신태용 (제5화) 그래픽디자인: 이영범 텔레시네: 장현수 주제가작사: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음향효과: KBS효과부 음악: 왕준기, 이남홍 녹음: 김설파 연출: 민영문 제작: KBS 엔딩 크레딧[편집]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원화: 김중호, 김백수 원화작감: 고종환 동화: 김명숙, 육성수 선화: 유수정, 김혜자 채화: 서금희, 문미경 배경: 권용남, 정은숙, 박중호 촬영감독: 최동섭 촬영: 전문호, 이준학 필름편집: 황호삼 작화연출: 은봉수 제작진행: 박순신 VTR편집: 장석주, 서송훈 CG: 도경란 제작: KBS 애니메이션 제작: 한호흥업(주) (제4화~제5화) 각색: 이광조 레이아웃: 이양수, 장남수 원화: 김영덕 방영 이야기[편집] 회차 부제 방송일 1화 귀중한 지게도둑의 눈물 1991년 4월 5일 2화 거울푸른구슬 1991년 4월 12일 3화 견우직녀황금알을 낳는 닭 1991년 4월 19일 4화 파란부채 하얀부채원님과 항아리 1991년 4월 26일 5화 자기를 도둑맞은 사람가재가 된 징거미 1991년 5월 3일 6화 소가 된 잠꾸러기은혜갚은 까치 1991년 5월 10일 7화 선녀와 나무꾼훈장님의 거짓말 1991년 5월 17일 8화 하얀 풀잎이상한 돌절구 1991년 5월 24일 9화 돌을 삶는 두 노인울산바위 1991년 5월 31일 10화 곶감과 호랑이천생연분 1991년 6월 7일 11화 별아기수다장이 주먹밥나무 1991년 6월 14일 12화 산돼지와 머슴거짓말에 속은 거짓말쟁이 1991년 6월 21일 13화 참된 우정산부새와 섯하니 1991년 6월 28일 주제곡[편집] 여는곡 :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주제가 주제가작사 :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함께 보기[편집]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 외부 링크[편집]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1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2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3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다음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Naver 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무비스트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미자야 만화 노래 부르자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1년 1월 4일 ~ 1991년 3월 2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영심이(1991년 7월 5일 ~ 1991년 9월 27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2년 1월 17일 ~ 1992년 4월 10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2년 4월 17일 ~ 1992년 7월 10일) 지구는 초록별(1992년 7월 17일 ~ 1992년 8월 14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날아라 슈퍼보드(1992년 8월 21일 ~ 1993년 3월 1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3년 3월 26일 ~ 1993년 6월 18일) 마법사의 아들 코리(1993년 6월 25일 ~ 1993년 9월 17일)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만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비까비의_옛날옛적에&oldid=24010315" 분류: 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1991년 애니메이션코미디 애니메이션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만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4: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장르 시대극/사극, 코미디, 아동물 TV 애니메이션 원작 한국의 전래동화 기획 정승배 감독 박치만, 김대중, 이우영, 김동호 성우 전기병, 김성희,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박은숙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이광조(각색) 음악 왕준기, 이남홍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한호흥업(주)동우동화 제작 KBS화인 프로덕션 방송사 KBS 2TV 그 외의 방송사 KBS 1TV, JEI재능TV, KBS 키즈 주니어 방영일 매주 금요일 오후 6시 20분 ~ 6시 35분 방영 기간 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화수 전13화 틀 - 토론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는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KBS에서 제작, 방영한 만화·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성우출연 2 제작진 2.1 오프닝 크레딧 2.2 엔딩 크레딧 3 방영 이야기 4 주제곡 5 함께 보기 6 외부 링크 성우출연[편집] 전기병 : 은비 役 김성희 : 까비 役 임종국 정기항 최옥희 장광 박신영 안경진 유명숙 이현선 제작진[편집] 오프닝 크레딧[편집] 기획: 정승배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한호흥업(주), 동우동화 원화감독: 박치만 작화감독: 이준웅 (제4화), 신태용 (제5화) 그래픽디자인: 이영범 텔레시네: 장현수 주제가작사: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음향효과: KBS효과부 음악: 왕준기, 이남홍 녹음: 김설파 연출: 민영문 제작: KBS 엔딩 크레딧[편집]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주) 구성: 최진박 각본: 이상운 원화: 김중호, 김백수 원화작감: 고종환 동화: 김명숙, 육성수 선화: 유수정, 김혜자 채화: 서금희, 문미경 배경: 권용남, 정은숙, 박중호 촬영감독: 최동섭 촬영: 전문호, 이준학 필름편집: 황호삼 작화연출: 은봉수 제작진행: 박순신 VTR편집: 장석주, 서송훈 CG: 도경란 제작: KBS 애니메이션 제작: 한호흥업(주) (제4화~제5화) 각색: 이광조 레이아웃: 이양수, 장남수 원화: 김영덕 방영 이야기[편집] 회차 부제 방송일 1화 귀중한 지게도둑의 눈물 1991년 4월 5일 2화 거울푸른구슬 1991년 4월 12일 3화 견우직녀황금알을 낳는 닭 1991년 4월 19일 4화 파란부채 하얀부채원님과 항아리 1991년 4월 26일 5화 자기를 도둑맞은 사람가재가 된 징거미 1991년 5월 3일 6화 소가 된 잠꾸러기은혜갚은 까치 1991년 5월 10일 7화 선녀와 나무꾼훈장님의 거짓말 1991년 5월 17일 8화 하얀 풀잎이상한 돌절구 1991년 5월 24일 9화 돌을 삶는 두 노인울산바위 1991년 5월 31일 10화 곶감과 호랑이천생연분 1991년 6월 7일 11화 별아기수다장이 주먹밥나무 1991년 6월 14일 12화 산돼지와 머슴거짓말에 속은 거짓말쟁이 1991년 6월 21일 13화 참된 우정산부새와 섯하니 1991년 6월 28일 주제곡[편집] 여는곡 :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주제가 주제가작사 : 《최진박》, 작곡: 《임정호》, 노래: 《조갑경, 장재남》 함께 보기[편집]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 외부 링크[편집]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1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2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3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다음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Naver 영화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 무비스트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미자야 만화 노래 부르자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1년 1월 4일 ~ 1991년 3월 2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1년 4월 5일 ~ 1991년 6월 28일) 영심이(1991년 7월 5일 ~ 1991년 9월 27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1992년 1월 17일 ~ 1992년 4월 10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2년 4월 17일 ~ 1992년 7월 10일) 지구는 초록별(1992년 7월 17일 ~ 1992년 8월 14일)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날아라 슈퍼보드(1992년 8월 21일 ~ 1993년 3월 19일)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1993년 3월 26일 ~ 1993년 6월 18일) 마법사의 아들 코리(1993년 6월 25일 ~ 1993년 9월 17일) 이 글은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만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비까비의_옛날옛적에&oldid=24010315" 분류: 199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1991년 애니메이션코미디 애니메이션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대한민국에 관한 토막글만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4: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KBO 리그 관련 기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O 리그 관련 기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 프로 야구 기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개인 기록 1.1 타자 통산 기록 1.2 투수 통산 기록 2 팀 기록 개인 기록[편집] 타자 통산 기록[편집] # 내용 기록 선수 소속 팀 기간 (한국 통산)시즌 수 주석 및 기타 최다 경기 출장 2223경기 정성훈 KIA - 현대 - 넥센 - LG - KIA 1999년 - 20 최다 타석 8807타석 양준혁 삼성 - 해태 - LG - 삼성 1993년 - 2010년 18 최다 타수 7727타수 박용택 LG 2002년 - 17 최다 안타 2384개 박용택 LG 2002년 - 17 최다 2루타 464개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3루타 100개 전준호 롯데 - 현대 - 우리 1991년 - 2009년 19 최다 홈런 467개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루타수 4077루타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볼넷 1278개 양준혁 삼성 - 해태 - LG - 삼성 1993년 - 2010년 18 최다 몸에 맞는 공 222개 최정 SK 2005년 - 11 최다 타점 1498타점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득점 1355득점 이승엽 삼성 - 지바 롯데 - 요미우리 - 오릭스 - 삼성 1995년 - 2017년 15 최다 도루 550도루 전준호 롯데 - 현대 - 우리 1991년 - 2009년 19 투수 통산 기록[편집] # 내용 기록 선수 소속 팀 기간 (한국 통산)시즌 수 주석 및 기타 (투수) 최다 경기 출장 901경기 류택현 OB - LG 1994년 - 2014년 21 최다 이닝 3003이닝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승리 210승 송진우 한화 1989년 - 2009년 21 최다 세이브 277세이브 오승환 삼성 - 한신 - 세인트루이스 - 토론토 2005년 - 13 최다 홀드 177홀드 안지만 삼성 2002년 - 2016년 15 팀 기록[편집] 없음 vdehKBO 리그 관련 기록팀 도루 득점 몸에 맞는 공 병살타 볼넷 승패 실점 실책 안타 연속 기록 타석 타수 타점 투구수 홈런 타자 경기 출장 나이 도루 득점 몸에 맞는 공 병살타 볼넷 삼진 실책 안타 연속 기록 출루 타석 타수 타율 출루율 장타율 타점 홈런 투수 경기 출장 나이 몸에 맞는 공 볼넷 세이브 승패 실점 연속 기록 탈삼진 투구수 투구 이닝 피홈런 홀드 감독 감독 관련 기타 관중 경기 시간 나이 연속 기록 vdeh스포츠 관련 대한민국 기록 사격 수영 스피드 스케이팅 야구 육상 역도 vdeh스포츠 관련 세계 기록올림픽 종목 사격 수영 스피드 스케이팅 육상 역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KBO_리그_관련_기록&oldid=22857851" 분류: KBO 리그 기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6일 (금) 2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Dali, Van, Picasso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ali, Van, Picasso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ali, Van, Picasso"빈지노의 싱글발매일 2013년 12월 18일포맷 디지털 다운로드녹음 2013년, W 스튜디오장르 랩, 힙합길이 3분 43초레이블 일리네어 레코즈CJ E&M 작사가 빈지노작곡가 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프로듀서 피제이 "Dali, Van, Picasso"는 대한민국의 래퍼 빈지노가 2013년 12월 19일 발매한 싱글이자 그의 정규 음반 12의 수록곡이다. 피제이가 프로듀싱하였고 빈지노가 작사하였다. 발매 직후 주요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1][2] 이어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하였다.[3] 2014년 1월, 온라인을 통해 무단 샘플링 논란 후[4] 2월, 샘플 클리어런스 절차를 밟아 원곡자에게 승인받았다.[5] 목차 1 배경 2 평가 및 반응 3 무단 샘플링 논란 4 수록곡 5 크레딧 6 차트 및 수상 6.1 차트 6.2 수상 7 각주 배경[편집] 일리네어 레코즈에서 자신의 솔로 EP 음반 2 4 : 2 6를 발매한 빈지노는 2013년 12월 6일, 티저 이미지와 함께 1년 반만에 같은 달 18일 싱글 "Dali, Van, Picasso"를 발매한다고 알렸다.[6] 빈지노는 곡을 통해 자신의 예술가적 영감과 열정을 세 화가; 살바도르 달리, 빈센트 반 고흐, 파블로 피카소의 이름을 빌려 표현하였으며 아트워크는 자신의 크루인 IAB가 작업하였고 모델은 김원중이 맡았다.[7] 원래 영국 애비로드 스튜디오에 마스터링을 맡겼으나 맘에 들지 않아 국내에서 다시 하였다. 또한 곡 제목에 맞게 아트워크에 사용된 펜던트 목걸이를 직접 디자인하였는데, 곡에 언급된 세 화가의 대표 작품을 하나씩 형상화하였다.[8] 평가 및 반응[편집] 발매 직후 주요 음원 사이트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1] 특히, 아티스트들에게도 극찬받았는데 트위터를 통해 자이언티는 "와인을 물감 삼아 붓질하는 화가같다"고 하였으며, 이정은 "정말 오랜만에 노래 듣다 꿈틀하였다"고 밝혔다.[2][9] 음원 평론 사이트 이즘의 김반야는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미술을 팔레트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그려냈으며, 아티스트를 소재로 자신을 차별화했고, 힙합적 소신을 지켰다."며 평점 5점 만점에 3.5점을 줬다.[10] 또한 연말에 발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부문을 수상하였고[3] 2015년 2월에는 제 12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랩&힙합 - 노래 부문 후보에 올랐다.[11] 무단 샘플링 논란[편집] 발매 후 한 달이 지난 2014년 1월, 온라인을 통해 독일 가수 피바의 "Sud Sehen" 곡과 비슷하다며 표절 논란이 불거졌다.[12] 같은 날, 소속사 일리네어 레코즈는 "표절이 아닌 샘플링"이라고 반박하였고 곡은 쳇 베이커의 "Alone Together"를 무단 샘플링 한 것으로 밝혀졌다.[13] 또한 "작업 과정에서 샘플링을 이용한 곡인지 인지 못하였고 곧바로 저작권사와 샘플 클리어런스 절차를 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4] 이후 2월, 샘플 클리어런스를 마쳐 저작권을 포기, 원곡자에게 권리 양도되었다.[5] 이러한 무단 샘플링 논란 이후 국내에선 샘플링 작법에 대해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14][15] 논란을 겪은 빈지노는 이후 인터뷰에서 "잘못된 점은 인정하고 바로 잡아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결과적으로 필요한, 긍정적인 경험이었다"고 밝혔다.[8] 수록곡[편집] Dali, Van, Picasso # 제목작사작곡 재생 시간 1. Dali, Van, Picasso  빈지노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3:43 2. Dali, Van, Picasso (Clean Ver.)빈지노피제이,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3:43 총 재생 시간: 7:26 크레딧[편집] 음원 사이트 정보에서 발췌하였다.[7] 빈지노 - 작사 피제이 - 프로듀서 Howard Dietz, Arthur Schwartz - 원곡자 고현정 - 믹싱 & 마스터링 허은숙- 녹음 엔지니어 IAB - 아트워크 김상곤 - 촬영 김원중 - 모델 차트 및 수상[편집] 차트[편집] 차트 (2013) 최고 순위 가온 주간 차트[16] 1 가온 월간 차트[17] 10 수상[편집] 2013년 힙합플레이야 어워드 올해의 곡 수상 각주[편집] ↑ 가 나 “빈지노, 신곡 'Dali, Van, Picasso' 음원차트 올킬”. 《한국경제TV》. 2013년 12월 18일. 2015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빈지노, 새 싱글 'Dali, Van, Picasso' 음원사이트 점령”. 힙합플레이야. 2013년 12월 19일. 2015년 1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힙플어워즈 2013, 수상자들을 만나다.”. 《네이버 뮤직》. 힙합플레이야. 2014년 3월 6일.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홍, 세영 (2014년 1월 20일). “빈지노 측 공식입장 “Chet Backer 측과 협의 중…심려끼쳐 죄송” (전문 포함)”. 스포츠동아.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윤, 성열 (2014년 4월 7일). “'표절논란' 빈지노, 원곡자에 곡 사용승인..저작권 넘겨”. 스타뉴스. 2015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빈지노, 싱글'Dali, Van, Picasso' 18일 발표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힙합플레이야. 2013년 12월 6일. ↑ 가 나 "Dali, Van, Picasso", 네이버 뮤직 ↑ 가 나 "빈지노의 바이브", ARENA. 2014년 4월호. ↑ "이정, 빈지노 신곡 극찬…“정말 오랜만에 노래 듣다 꿈틀”". 동아일보. 2013년 12월 18일. ↑ 김반야. "Dali, Van, Picasso", 이즘. 2014년 1월. ↑ "'제12회 한국대중음악상' 힙합, 알앤비 부문 후보 리스트", 리드머. 2015년 2월 3일. ↑ "빈지노 '달리 반 피카소' 표절 의혹…누리꾼 반응 "진짜 똑같다"", 티브이데일리. 2014년 1월 20일. ↑ 윤성열, "빈지노 측 "표절 아닌 샘플링..원작자와 논의할것"", 스타뉴스. 2014년 1월 20일. ↑ "빈지노 "Dali Van Picasso", 표절 의혹에서 샘플링 논란으로..", 리드머. 2014년 1월 20일. ↑ 강일권, "Hip Hop, Copy? Sampling!". ARENA. 2014년 3월호 ↑ 2013년 52주차 디지털 차트, 가온차트. 2015년 11월 16일 확인. ↑ 가온 디지털 월간 차트 2013년 12주차 디지털 차트, 2015년 11월 16일 확인. vdeh빈지노정규 음반12 (2016)EP 음반 2 4 : 2 6 (2012) Up All Night (2014) 싱글 "I'll be Back" 〈진절머리〉 "Dali, Van, Picasso" 〈어쩌라고 (So What)〉 "Break" "We Are Going To" "Life in Color" 관련 문서 음반 목록 노래 목록 일리네어 레코즈 IAB 스튜디오 핫클립 재지팩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ali,_Van,_Picasso&oldid=23063092" 분류: 2013년 싱글빈지노의 노래일리네어 레코즈의 싱글표절 논란 노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0일 (화) 11: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애비게일 브레슬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애비게일 브레슬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애비게일 브레슬린Abigail Breslin 2015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브레슬린본명 애비게일 캐슬린 브레슬린Abigail Kathleen Breslin출생 1996년 4월 14일(1996-04-14) (23세)미국 뉴욕주 뉴욕국적 미국직업 배우, 가수활동 기간 2002년 - 현재 형제자매 스펜서 브레슬린 (오빠) 애비게일 브레슬린(영어: Abigail Breslin, 1996년 4월 14일[1] ~ )은 미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브레슬린은 3세 때 첫 상업 광고에 출연하였고, 5세 때 첫 번째 영화 《싸인》(2002)에 출연했다.[2] 그녀의 다른 영화 역할은 《레이징 헬렌》(2004), 《미스 리틀 선샤인》(2006)로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고,[3] 이후 《사랑의 레시피》(2007), 《님스 아일랜드》(2008), 《마이 시스터즈 키퍼》(2009), 《좀비랜드》(2009), 《랭고》(2011)와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2013)에 출연했다. 2015년 9월, 그녀는 FOX의 호러 코미디 《스크림 퀸스》로, TV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고정 역할로 출연했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영화 1.2 텔레비전 1.3 무대 2 음반 2.1 정규 음반 2.2 싱글 2.3 기타 참여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2 싸인Signs 보 헤스 2004 레이징 헬렌Raising Helen 사라 데이비스 2004 프린세스 다이어리 2The Princess Diaries 2: Royal Engagement 퍼레이드 소녀 캐롤라이나 2004 체스넛 : 센트럴 파크의 영웅Chestnut: Hero of Central Park 레이 2004 킨Keane 키라 베딕 2006 에어 버디즈Air Buddies 로즈버드 / 앨리스 목소리 출연 2006 산타클로스 3The Santa Clause 3: The Escape Clause 트리쉬 2006 최고의 유산The Ultimate Gift 에밀리 로즈 2006 미스 리틀 선샤인Little Miss Sunshine 올리브 후버 2007 사랑의 레시피No Reservations 조 암스트롱 2008 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Definitely, Maybe 마야 헤이즈 2008 님스 아일랜드Nim's Island 님 루소 2008 킷 킷트릿지 : 아메리칸 걸Kit Kittredge: An American Girl 킷 킷트릿지 2009 마이 시스터즈 키퍼My Sister's Keeper 안나 피츠제럴드 2009 좀비랜드Zombieland 리틀 록 2010 퀀텀 퀘스트 : 어 캐시니 스페이스 오딧세이Quantum Quest: A Cassini Space Odyssey 지나 목소리 출연 2010 제이니 존스Janie Jones 제이니 존스 2011 랭고Rango 브리스길라 목소리 출연 2011 뉴욕의 연인들New Year's Eve 헤일리 도일 2011 잠베지아: 신비한 나무섬의 비밀Zambezia 조 목소리 출연 2013 더 콜The Call 케이시 웰슨 2013 악령Haunter 리사 존슨 2013 엔더스 게임Ender's Game 발렌타인 위긴 2013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August: Osage County 진 포드햄 2014 위키드 블러드Wicked Blood 한나 리 2014 퍼펙트 시스터즈Perfect Sisters 산드라 앤더슨 2015 매기Maggie 매기 보겔 2015 파이널 걸Final Girl 베로니카 2016 피어 주식회사Fear, Inc. 제니퍼 아담스 2017 프릭 쇼Freak Show 리넷 2018 새터데이 앳 더 스타라이트Saturday at the Starlight 타비사 후반 작업 2019 좀비랜드 2 리틀 록 2019년 1월 크랭크인 예정, 2019년 10월 11일 개봉예정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02-2009 페어팩스Fairfax 브룩 쟈코비 주연 2002 왓 아이 라이크 어바웃 유What I Like About You 조쉬 에피소드: "The Teddy Bear" 2002 핵Hack 카일라 아담스 에피소드: "Domestic Disturbance" 2004 성범죄수사대: SVULaw & Order: Special Victims Unit 패티 브랜슨 에피소드: "Birthright" 2004 NCIS 샌디 왓슨 에피소드: "See No Evil" 2005 가족 계획Family Plan 니콜 텔레비전 영화 2006 고스트 위스퍼러Ghost Whisperer 사라 애플화이트 에피소드: "Melinda's First Ghost" 2006 그레이 아나토미Grey's Anatomy 메간 클로버 에피소드: "Sometimes a Fantasy" 2015–2016 스크림 퀸스Scream Queens 리비 퍼트니/샤넬 #5 주연 (23 에피소드) 2017 더티 댄싱Dirty Dancing 프란시스 "베이비" 하우스먼 텔레비전 영화 무대[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0 미라클 워커The Miracle Worker 헬렌 켈러 음반[편집] 정규 음반[편집] 제목 음반 정보 판매량 The World Now 발매일: 2015년 6월 15일 포맷: 디지털 다운로드, CD 레이블: 디지털 론치 레코드 TBA 싱글[편집] 연도 노래(곡) 차트 최고순위 음반 미국 2011 "Fight For Me" — 제이니 존스 2013 "Christmas In New York" — TBA 2014 "You Suck" — 기타 참여[편집] 연도 노래(곡) 기타 아티스트 음반 2011 "Hurricane" None 제이니 존스 "Find Love" 알렉산드로 니볼라 "Just A Game" None "House of the Rising Sun" None 2014 "The Worst Part / Auld Lang Syne" 캐시디 레이프 퍼펙트 시스터즈 "Within Me A Lunatic Sings" 스타그로브스 스타그로브스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수상부문 작품 결과 2003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10세 이하 젊은 여자부문 최우수 연기상 싸인 후보 2007 미국 아카데미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미스 리틀 선샤인 후보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엠파이어상 최우수 여자 신인상 후보 고담 어워드 신인 연기상 후보 아이오와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수상 새틀라이트상(국제비평가협회) 영화부문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도쿄 국제 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 수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수상 최우수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 MTV 무비 어워드 최고의 신인상 후보 미국 배우 조합상(스크린 액터 길드 어워드) 영화부문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영화부문 최우수 연기 캐스팅상 수상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영화 비평가 협회 최우수 여우조연상 후보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10세 이하 젊은 여자부문 최우수 연기상 수상 2008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최우수 아역연기상 사랑의 레시피 후보 틴 초이스 어워드 초이스 무비 여자배우상: 액션 어드벤처 님스 아일랜드 후보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사랑의 레시피 후보 2009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킷 킷트릿지 : 아메리칸 걸 후보 2010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장편영화 최우수 연기부문 젊은 여자연기상 마이 시스터즈 키퍼 수상 2012 젊은 예술가상(영 아티스트 어워드) 목소리 젊은 여자배우 부문 최우수 연기상 랭고 후보[4] 2013 미국 배우 조합상(스크린 액터 길드 어워드) 영화부문 최우수 연기 캐스팅상 어거스트: 가족의 초상 후보 2016 판고리아 체인쏘 어워드 최우수 여우주연상 매기 후보 각주[편집] ↑ Zekas, Rita (July 27, 2007). “Abbie shines”. 《Toronto Star》.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ugust 20, 2012에 확인함.  ↑ DeMara, Bruce (2009년 6월 26일). “Family strife lets Abigail Breslin show serious side”. 《Toronto Star》. 2010년 3월 13일에 확인함.  ↑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March 2008). “Oldest/Youngest Winners and Nominees for Acting, By Category”. 《Awards Databas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09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일에 확인함. Statistics are valid through the 80th Academy Awards  다음 글자 무시됨: ‘AMPA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2007 (80th) Awards, presented on February 24, 2008. [document last updated 3/08] ... (* indicates a win). ’ (도움말);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website= 및 |work= (도움말) ↑ “33rd Annual Young Artist Awards”. 《YoungArtistAwards.org》. 2012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애비게일 브레슬린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터넷 브로드웨이 데이터베이스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올무비 (영어) 애비게일 브레슬린 - 월드캣 애비게일 브레슬린 - 인스타그램 애비게일 브레슬린 - 트위터 애비게일 브레슬린 - 페이스북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아역 연기상 조너선 립니키 (1996) 저니 스몰렛 (1997) 이언 마이클 스미스 (1998) 헤일리 조엘 오스먼트 (1999) 제이미 벨 (2000) 다코타 패닝 (2001) 키런 컬킨 (2002) 키샤 캐슬휴스 (2003) 프레디 하이모어 / 에미 로섬 (2004) 프레디 하이모어 / 다코타 패닝 (2005) 폴 데이노 / 애비게일 브레슬린 (2006) 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 / 니키 브론스키 (2007) 데브 파텔 (2008) 시얼샤 로넌 (2009) 헤일리 스타인펠드 (2010) 토머스 혼 (2011) 쿼벤저네이 월리스 (2012) 아델 에그자르코풀로스 (2013) 엘라 콜트레인 (2014) 제이컵 트렘블레이 (2015) 루커스 헤지스 (2016) 브루클린 프린스 (2017) 엘시 피셔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6419715 LCCN: no2004098037 ISNI: 0000 0001 1681 9238 GND: 140509186 SUDOC: 155598457 BNF: cb15880114v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10e2c5cc-3450-425a-9d62-5dea4646f23f NKC: xx0094366 BNE: XX46182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애비게일_브레슬린&oldid=24470083"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연극 배우미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미국의 여자 성우미국의 여자 가수유대계 미국인뉴욕 출신 배우젊은 예술가상 수상자미국 배우 조합상 앙상블 캐스트상(영화) 수상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인용 오류 -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5: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TJ미디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J미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진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태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티제이미디어주식회사TJ MEDIA CO., LTD. 형태 주식회사, 주권상장법인 산업 분야 제조업 창립 1981년 4월 18일 창립자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시장 정보 한국: 032540 상장일 1997년 4월 16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0-17 (삼평동, 판교디지털밸리 5차) 핵심 인물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사업 내용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제품 노래반주기 자본금 6,965,804,500원 (2015.12) 매출액 71,695,413,146원 (2015) 영업이익 1,729,615,904원 (2015) 순이익 2,046,183,670원 (2015) 자산총액 94,675,942,044원 (2015.12) 주요 주주 윤재환 14.40%김우영(최대주주) 21.03%윤나라 19.38%우리사주조합 5.11%(2015.12) 자회사 TJ커뮤니케이션(주)DREAM SASTJ(SHANGHAI) 종업원 208명 (2015.12) 웹사이트 http://www.tjmedia.com TJ미디어(티제이미디어, TJ Media)는 198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음향 기기 업체이다. 2016년 이후 금영을 제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래방기기 제조사로 꼽히고 있다.[1] 브랜드 슬로건은 『노래하는 즐거움, TJ』이다. 목차 1 연혁 2 브랜드 2.1 뮤지콤 2.2 프로 2.3 와우 2.4 질러 2.5 리얼 3 전속 모델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81년 6월: 태진음향 설립 1989년 12월: 가정용 컴퓨터 노래 반주기 《뮤지콤》 출시 1991년 4월: ㈜태진음향으로 법인 전환 1993년 8월: 국내 최초 실제 연주 방식 업소용 노래반주기 〈PRO-500〉 출시 1997년 1월: 태진미디어㈜로 상호변경 1997년 4월: 코스닥 주식시장 등록 1998년 9월: ISO9001 인증 획득 1999년 12월: WOW-DDD (Dance Dance Diet) 출시 2001년 4월: 온라인 노래방 사이트 www.ziller.co.kr 오픈 2001년 11월: 일본 제일흥상社와 전자 목차본 공급 계약 체결 2002년 6월: HDD방식의 동영상 내장 노래반주기 《ziller-OK》 출시 2002년 11월: 세계 최초, 초고속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반주기 《ziller-net》 출시 2003년 2월: 가정용 DVD 노래 반주기 출시 2004년 7월: 5.1채널 돌비 디지털 믹싱이 가능한 음악 스튜디오 건립 2005년 1월 TJ미디어(주)로 사명 변경 및 CI·BI 변경 TJM Entertainment(주) → TJ Space로 변경 TJ media(주) → TJ communication(주)로 변경 2019년 6월 TJ미디어(주) 대표이사로 전임하고 탄현 본사로 이전 서혜옥 대표이사 전임 탄현으로 본사 이전. 브랜드[편집] 뮤지콤[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TS-1500 1989년 미상 TS-1900 미상 미상 TS-2000 미상 미상 TM-2300 미상 미상 TM-2350 미상 미상 TMS-7000 1993년 미상 TMS-8000 미상 미상 프로[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PRO-500 1993년 1999년 3월 PRO-600 1994년 1999년 3월 PRO-660 1994년 1999년 3월 PRO-700 1995년 2002년 9월 PRO-800 1995년 2002년 9월 PRO-900 1995년 2002년 9월 PRO-1100 1996년 2002년 9월 PRO-1150 1997년 2002년 9월 PRO-1170 1997년 2002년 9월 PRO-1200 1997년 2002년 9월 PRO-1500 1997년 2006년 7월 PRO-2000 1997년 2006년 7월 PRO-3000 1997년 2006년 7월 SUPER-302 미상 미상 와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WOW-5000 1998년 2006년 7월 WOW-6000 1998년 2006년 7월 WOW-7200 1999년 2006년 7월 WOW-7300 1999년 2007년 7월 WOW-7300D 2000년 2007년 7월 WOW-7500 2000년 2007년 7월 WOW-7700 1999년 2006년 7월 WOW-7800 1999년 2006년 7월 질러[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TKR-500 2002년 11월 2003년 5월 40GB 예 TKR-500D 2002년 6월 2003년 5월 60GB 예 TKR-500DE 2002년 6월 2003년 5월 40GB 예 TKR-600D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600E 2003년 6월 2004년 5월 40GB 예 TKR-650 2004년 6월 2005년 5월 120GB 예 TKR-700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700II 2004년 6월 2005년 2월 120GB 예 TKR-750 2005년 5월 2006년 10월 120GB 예 MR-800 2005년 2월 2005년 10월 예 MR-80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MR-85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TKR-88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80GB 예 TKR-90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160GB 예 C10 2007년 5월 미상 250GB 예 L10 2007년 8월 미상 300GB 예 S10 2007년 8월 미상 400GB 예 C20 2009년 2월 미상 예 S20 2008년 12월 미상 예 리얼[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구분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업소용 B30 2010년 7월 미상 예 C30 2010년 7월 미상 예 P10 2010년 7월 미상 예 C35 2010년 7월 미상 예 L35 2010년 7월 미상 예 P15 미상 미상 예 C40 미상 미상 예 C45 미상 미상 예 C50F 미상 미상 예 P20 미상 미상 예 S60F 미상 미상 예 S60L 미상 미상 예 C60 미상 미상 예 C60II 미상 미상 예 B60 미상 미상 예 B65 미상 미상 500GB 예 K10 미상 미상 1TB 예 B70 2016년 6월 미상 예 C70 2016년 6월 미상 예 S70F 2016년 6월 미상 예 S70L 2016년 6월 미상 예 P70 2016년 6월 미상 예 K20 2017년 5월 미상 1TB 예 B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S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P80 2018년 5월 미상 2TB 예 가정용 TKR-355H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0C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5HK 미상 미상 1TB 예 전속 모델[편집] 2018년 ~ 현재 : 홍진영 같이 보기[편집] 금영엔터테인먼트 각주[편집] ↑ “[SP]TJ미디어, 업계 1위 탈환...흑자전환”. 이투데이. 2016년 11월 23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TJ미디어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J미디어&oldid=24519389"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1981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기업숨은 분류: 기업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TJ미디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J미디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진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태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티제이미디어주식회사TJ MEDIA CO., LTD. 형태 주식회사, 주권상장법인 산업 분야 제조업 창립 1981년 4월 18일 창립자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시장 정보 한국: 032540 상장일 1997년 4월 16일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0-17 (삼평동, 판교디지털밸리 5차) 핵심 인물 윤재환(대표이사 회장(CEO)) 사업 내용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 제품 노래반주기 자본금 6,965,804,500원 (2015.12) 매출액 71,695,413,146원 (2015) 영업이익 1,729,615,904원 (2015) 순이익 2,046,183,670원 (2015) 자산총액 94,675,942,044원 (2015.12) 주요 주주 윤재환 14.40%김우영(최대주주) 21.03%윤나라 19.38%우리사주조합 5.11%(2015.12) 자회사 TJ커뮤니케이션(주)DREAM SASTJ(SHANGHAI) 종업원 208명 (2015.12) 웹사이트 http://www.tjmedia.com TJ미디어(티제이미디어, TJ Media)는 198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음향 기기 업체이다. 2016년 이후 금영을 제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래방기기 제조사로 꼽히고 있다.[1] 브랜드 슬로건은 『노래하는 즐거움, TJ』이다. 목차 1 연혁 2 브랜드 2.1 뮤지콤 2.2 프로 2.3 와우 2.4 질러 2.5 리얼 3 전속 모델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81년 6월: 태진음향 설립 1989년 12월: 가정용 컴퓨터 노래 반주기 《뮤지콤》 출시 1991년 4월: ㈜태진음향으로 법인 전환 1993년 8월: 국내 최초 실제 연주 방식 업소용 노래반주기 〈PRO-500〉 출시 1997년 1월: 태진미디어㈜로 상호변경 1997년 4월: 코스닥 주식시장 등록 1998년 9월: ISO9001 인증 획득 1999년 12월: WOW-DDD (Dance Dance Diet) 출시 2001년 4월: 온라인 노래방 사이트 www.ziller.co.kr 오픈 2001년 11월: 일본 제일흥상社와 전자 목차본 공급 계약 체결 2002년 6월: HDD방식의 동영상 내장 노래반주기 《ziller-OK》 출시 2002년 11월: 세계 최초, 초고속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반주기 《ziller-net》 출시 2003년 2월: 가정용 DVD 노래 반주기 출시 2004년 7월: 5.1채널 돌비 디지털 믹싱이 가능한 음악 스튜디오 건립 2005년 1월 TJ미디어(주)로 사명 변경 및 CI·BI 변경 TJM Entertainment(주) → TJ Space로 변경 TJ media(주) → TJ communication(주)로 변경 2019년 6월 TJ미디어(주) 대표이사로 전임하고 탄현 본사로 이전 서혜옥 대표이사 전임 탄현으로 본사 이전. 브랜드[편집] 뮤지콤[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TS-1500 1989년 미상 TS-1900 미상 미상 TS-2000 미상 미상 TM-2300 미상 미상 TM-2350 미상 미상 TMS-7000 1993년 미상 TMS-8000 미상 미상 프로[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PRO-500 1993년 1999년 3월 PRO-600 1994년 1999년 3월 PRO-660 1994년 1999년 3월 PRO-700 1995년 2002년 9월 PRO-800 1995년 2002년 9월 PRO-900 1995년 2002년 9월 PRO-1100 1996년 2002년 9월 PRO-1150 1997년 2002년 9월 PRO-1170 1997년 2002년 9월 PRO-1200 1997년 2002년 9월 PRO-1500 1997년 2006년 7월 PRO-2000 1997년 2006년 7월 PRO-3000 1997년 2006년 7월 SUPER-302 미상 미상 와우[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비고 WOW-5000 1998년 2006년 7월 WOW-6000 1998년 2006년 7월 WOW-7200 1999년 2006년 7월 WOW-7300 1999년 2007년 7월 WOW-7300D 2000년 2007년 7월 WOW-7500 2000년 2007년 7월 WOW-7700 1999년 2006년 7월 WOW-7800 1999년 2006년 7월 질러[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TKR-500 2002년 11월 2003년 5월 40GB 예 TKR-500D 2002년 6월 2003년 5월 60GB 예 TKR-500DE 2002년 6월 2003년 5월 40GB 예 TKR-600D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600E 2003년 6월 2004년 5월 40GB 예 TKR-650 2004년 6월 2005년 5월 120GB 예 TKR-700 2003년 6월 2004년 5월 80GB 예 TKR-700II 2004년 6월 2005년 2월 120GB 예 TKR-750 2005년 5월 2006년 10월 120GB 예 MR-800 2005년 2월 2005년 10월 예 MR-80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MR-850F 2005년 10월 2007년 12월 예 TKR-88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80GB 예 TKR-900 2006년 10월 2008년 12월 160GB 예 C10 2007년 5월 미상 250GB 예 L10 2007년 8월 미상 300GB 예 S10 2007년 8월 미상 400GB 예 C20 2009년 2월 미상 예 S20 2008년 12월 미상 예 리얼[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구분 제품모델 출시 단종 용량 네트워크지원 여부 비고 업소용 B30 2010년 7월 미상 예 C30 2010년 7월 미상 예 P10 2010년 7월 미상 예 C35 2010년 7월 미상 예 L35 2010년 7월 미상 예 P15 미상 미상 예 C40 미상 미상 예 C45 미상 미상 예 C50F 미상 미상 예 P20 미상 미상 예 S60F 미상 미상 예 S60L 미상 미상 예 C60 미상 미상 예 C60II 미상 미상 예 B60 미상 미상 예 B65 미상 미상 500GB 예 K10 미상 미상 1TB 예 B70 2016년 6월 미상 예 C70 2016년 6월 미상 예 S70F 2016년 6월 미상 예 S70L 2016년 6월 미상 예 P70 2016년 6월 미상 예 K20 2017년 5월 미상 1TB 예 B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S80 2018년 5월 미상 1TB 예 P80 2018년 5월 미상 2TB 예 가정용 TKR-355H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0CK 미상 미상 16GB 예 TKR-365HK 미상 미상 1TB 예 전속 모델[편집] 2018년 ~ 현재 : 홍진영 같이 보기[편집] 금영엔터테인먼트 각주[편집] ↑ “[SP]TJ미디어, 업계 1위 탈환...흑자전환”. 이투데이. 2016년 11월 23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TJ미디어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J미디어&oldid=24519389"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1981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기업숨은 분류: 기업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1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Z.HERA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Z.HERA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헤라 Z.HERA 기본 정보본명 지혜란출생 1996년 1월 3일(1996-01-03) (23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 가수장르 댄스 팝활동 시기 2006년 ~ 현재 레이블 CJ E&M소속사 아티산뮤직웹사이트 http://cafe.daum.net/ZHERA 지헤라(Z.HERA, 본명: 지혜란, 1996년 1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2013년 EP 앨범 Z.Hera Born으로 데뷔했다. 목차 1 음반 목록 2 출연 작품 3 경력 4 각주 5 외부 링크 음반 목록[원본 편집] EP 앨범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Z.Hera Born》 발매일: 2013년 5월 13일 Peacock (공작새) Re:Start 고백하는 날 Re:Start (Gold Brothers Remix) Peacock (공작새) (English Ver.) Peacock (공작새) (Inst.) 2 《XOX》 발매일: 2015년 7월 22일 피넛버터 XOX (Feat. 가은) Love No.9 Peanut Butter XOX (Inst.) 피넛버터 (Inst.) 싱글 앨범 번호 앨범 정보 트랙 리스트 1 《섬 (D Island)》 발매일: 2014년 7월 9일 섬 (D Island) 섬 (D Island) (Inst.) 출연 작품[원본 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6 인간극장 본인 무림남매, 소림사 가다 편 2013 네일샵 파리스 단역(9회) 2014 띠동갑내기 과외하기 출연자 예능 2015 스쿨랜드 절대비법 지헤라 EBS 2016 무림학교 제니 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박순덕 역도요정 김복주 송시연 2017 쌈 마이웨이 쏘니아 특별 출연 학교 2017 유빛나 2018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탑 매니지먼트 송해나 경력[원본 편집] 2013년 서울소방청소년 명예홍보대사 2014년 애국가작사자규명위원회 홍보대사 각주[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외부 링크[원본 편집] Z.HERA - 인스타그램 Z.HERA - 트위터 Z.HERA - 페이스북 지헤라 다음 공식팬카페 Z.HERA - 시나 웨이보 Z.HERA의 채널 - 유튜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Z.HERA&oldid=23857073" 분류: 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2013년 데뷔2010년대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아이돌 가수한국어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노원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가수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4일 (목) 16: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안부 합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은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일본과 협상, 타결하여 최종적 종결을 약속한 사건을 말한다.[1]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고노 담화와 동일한 내용과[2] 서면으로 총리 대신의 자격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밝혔다. 목차 1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1.1 한국어 1.2 일본어 2 외부 반응 및 논란 2.1 피해자 할머니 2.2 정치권 2.3 여론 조사 2.3.1 TNS 코리아 2.3.2 리얼 미터 2.3.3 조원씨앤아이 2.3.4 중앙일보 2.3.5 시민 단체 2.3.6 UN 2.4 일본의 반응 2.4.1 정치권 2.4.2 일본 국민 2.5 해외 반응 2.5.1 시위 3 협상 이후 일본의 위안부 부정행보 4 협상 이후 한국 정부의 행보 5 국제적 비판 6 같이 보기 7 각주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편집] 또한, 이날 박근혜 정부와 아베 신조 일본 정부는 12월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해결 방안에 합의했으며, 윤병세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은, 12월 28일 오후에 서울특별시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연 뒤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위 합의사항을 발표하였다.[3] 한국어[편집] “ 1. 일본측 표명사항 일-한간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양국 국장급 협의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협의해 왔음. 그 결과에 기초하여 일본 정부로서 이하를 표명함. 1) 위안부 문제는 당시 군의 관여 하에 다수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정부는 책임 통감함. 아베 내각 총리대신은 일본국 내각 총리대신으로서 다시 한번 위안부로서 많은 고통을 겪고 심신에 걸쳐 치유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은 모든 분들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함. 2)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도 본 문제에 진지하게 임해 왔으며, 그러한 경험에 기초하여 이번에 일본 정부의 예산에 의해 모든 전(前) 위안부 분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조치를 모색함. 구체적으로는, 한국 정부가 전(前) 위안부 분들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을 설립하고, 이에 일본 정부 예산으로 자금을 일괄 거출하고, 일-한 양국 정부가 협력하여 모든 전(前) 위안부 분들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행하기로 함. 3) 일본 정부는 상기를 표명함과 함께, 상기 2)의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번 발표를 통해 동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함. 또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와 함께 향후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동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하는 것을 자제함. 2. 한국측 표명사항 한-일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양국 국장급 협의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협의를 해왔음.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 정부로서 이하를 표명함. 1)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표명과 이번 발표에 이르기까지의 조치를 평가하고, 일본 정부가 상기 1. 2)에서 표명한 조치를 착실히 실시한다는 것을 전제로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함.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실시하는 조치에 협력함. 2)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에 대해 공관의 안녕·위엄의 유지라는 관점에서 우려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한국 정부로서도 가능한 대응 방향에 대해 관련 단체와의 협의 등을 통해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함. 3) 한국 정부는 이번에 일본 정부가 표명한 조치가 착실히 실시된다는 것을 전제로 일본 정부와 함께 향후 유엔 등 국제사회에서 동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을 자제함. ”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일본어[편집] “ 1 岸田外務大臣 日韓間の慰安婦問題については、これまで、両国局長協議等において、集中的に協議を行ってきた。その結果に基づき、日本政府として、以下を申し述べます (1) 慰安婦問題は、当時の軍の関与の下に、多数の女性の名誉と尊厳を深く傷つけた問題であり、かかる観点から、日本政府は責任を痛感している 。 安倍(晋三)内閣総理大臣は、日本国の内閣総理大臣として改めて、慰安婦として数多の苦痛を経験され、心身にわたり癒しがたい傷を負われた全ての方々に対し、心からおわびと反省の気持ちを表明する。 (2) 日本政府は、これまでも本問題に真摯に取り組んできたところ、その経験に立って、今般、日本政府の予算により、全ての元慰安婦の方々の心の傷を癒す措置を講じる。具体的には、韓国政府が、元慰安婦の方々の支援を目的とした財団を設立し、これに日本政府の予算で資金を一括で拠出し、日韓両政府が協力し、全ての元慰安婦の方々の名誉と尊厳の回復、心を傷の癒しのための事業を行うこととする。 (3) 日本政府は上記を表明するとともに、上記(2)の措置を着実に実施するとの前提で、今回の発表により、この問題が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されることを確認する。あわせて、日本政府は、韓国政府と共に、今後、国連等国際社会において、本問題について互いに非難・批判することは控える。 2 尹(ユン)外交部長官 韓日間の日本軍慰安婦被害者問題については、これまで、両国局長協議等において、集中的に協議を行ってきた。その結果に基づき、韓国政府として、以下を申し述べる。 (1) 韓国政府は、日本政府の表明と今回の発表に至るまでの取組を評価し、日本政府が上記 1.(2)で表明した措置が着実に実施されるとの前提で、今回の発表により、日本政府と共に、この問題が最終的かつ不可逆的に解決されることを確認する。韓国政府は、日本政府の実施する措置に協力する。 (2) 韓国政府は、日本政府が在韓国日本大使館前の少女像に対し、公館の安寧・威厳の維持の観点から懸念していることを認知し、韓国政府としても、可能な対応方向について関連団体との協議を行う等を通じて、適切に解決されるよう努力する。 (3) 韓国政府は、今般日本政府の表明した措置が着実に実施されるとの前提で、日本政府と共に、今後、国連等国際社会において、本問題について互いに非難・批判することは控える ” (일본어) 한일 외교장관회담 공동기자회견문 전문 외부 반응 및 논란[편집] 피해자 할머니[편집] 정대협에서 올린 인터뷰에서 “우리들이 거지도 아니고 나라에서 생활비 대주고 하니까 먹고 사는 건 충분하다”며 “돈이 탐나서 싸우는 건 절대 아니다”고 밝혔다. <티타임즈>라는 모바일 언론에서 종합한 기사에 따르면, 일부언론에서 할머니들의 반응이 '갈렸다'는 것은 거짓이라고 주장하였다.[4] 2015년 12월 31일, 아베 신조 총리가 사과를 하지 못한다면 천황이 사과 하라는 발언을 하기도 하였다.[5] 한일양국의 최종 합의에 대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사이에서는 반응이 엇갈렸다.[6] 2016년 12월 23일, 기부금은 한국 정부에 의해 설립 된 '화해 · 치유 재단 "에 의해 위안부로 현금 지급되며, 생존 위안부 중 46 명 중 36 명이 수신을하고있다. 사망 한 위안부에 대해 35 명의 유족이 인수를 표명하고있다.[7] 정치권[편집] 논란의 중심에 선 청와대 에서는,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전혀 다른 보도와 사회혼란을 야기시키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남게 하는 것",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재단을 조속히 설립해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 드리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지금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다", 그렇게 정부가 최선을 다한 결과에 대해 '무효'와 '수용 불가'만 주장한다면, 앞으로 어떤 정부도 이런 까다로운 문제에는 손을 놓게 될 것이며, 민간단체나 일부 반대하시는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 "이제 정부의 이런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시고 어렵게 풀린 위안부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고자 하신다면, 이 문제는 24년 전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되고 정부로서도 할머니들 살아생전에 더 이상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게 될 것이란 점을 헤아려주시기 바란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더 이상 한일관계가 경색되지 않고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직시하고 착실하게 합의를 이행해 나가서 양국이 함께 미래로 나가는 중대한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라면서 비판·강조 하였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과거보다 진일보한 합의를 이뤄냈다.”라는 입장을 보였다.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은 ‘위안부 타결, 아쉽지만 외교적으로 잘한 협상’이라고 발언을 했다.[8]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정부는 모양새만 그럴듯하고, 실질적으로는 회피했다”라며 협상 결과에 실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문재인 대표는 위안부 협상은 국회의 동의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위안부협상 무효를 선언 하였다. 이후 비판의 의미로 당명을 활용하여 "민족과 더불어 민주당" 이라는 표어를 내건 현수막을 공개하였다. 정의당은 ‘민감한 외교 문제를 하루 빨리 털어버리려는 욕심이 부른 결과로 매우 졸속적이고 굴욕적인 합의’라고 협상 결과에 대하여 비난하였다.[9] 녹색당은 ‘피해자를 배제한 졸속 협상’이라고 협상 결과에 대하여 비난하는 논평을 게시하였다.[10] 노동당은 "'합의' 말고 진정한 사과와 국가적 법적 책임 이행을 하라!" 는 논평을 게재하여, 정부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11] 여론 조사[편집] TNS 코리아[편집] SBS가 발표하고, 12월 30일 TNS코리아가 조사한 결과, 이번 한일 위안부 협상에 대해서, 긍정: 53.3 % 부정: 40.4 % 의견 유보: 6.3 % 우위: 12.9 % 응답률: 12.9 %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발표하였다.[12] 리얼 미터[편집] 2015년 12월 29일, MBN이 의뢰하고 리얼미터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으며, 이념성향과 지지정당을 불문하고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13] 긍정: 43.2 % 부정: 50.7 % 의견 유보: 6.1 % 우위: 7.5 % 응답률: 4.5 % 조원씨앤아이[편집] 2015년 12월 29일 ~ 12월 30일 조원씨앤아이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14] 긍정: 31.9 % 부정: 62.2 % 의견 유보: 5.8 % 우위: 30.3 % 응답률: 4.4 % 중앙일보[편집] 2015년 12월 29일 ~ 12월 30일 중앙일보가 실시한 위안부 소녀상 이전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15] 긍정: 35.6 % 부정: 53.7 % 의견 유보: 우위: 18.1 % 응답률: 22.8 % 시민 단체[편집] 대한민국 엄마 부대는 "자신들의 가족도 강제 징용당했다, 일본과 아베를 용서해주자"[16] 라면서 기자회견을 열었으며, 엄마 부대의 대표는 "10억엔은 현재의 대한민국의 국력에선 별 의미가 없지만 사과를 통해서 대한민국이 더 나아갈 바탕이 될것" 이라면서, 딸이나 어머니가 그런 일이 있었더래도 자신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을거라고 발언했다.[17] 2015년 12월 31일, 평화나비 네트워크 소속으로 알려진 대학생 30여명이 주한 일본대사관 내에서 기습 시위를 하다가 연행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18]또한 이 시위에 대한 진압 과정에서, 시위 진압 과정 도중 여학생의 속옷이 풀어졌다는 주장이 있었다.[19] UN[편집]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위안부 협상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리더십과 비전을 높이 평가한다", "이번 합의로 두 나라의 관계가 더욱 개선되기를 희망한다" 면서 이번 위안부 합의에 대하여 높게 평가하기도 하였다.[20][21] 이후 협상 내용을 긍정한게 아니라 협상 노력을 좋게 평가한 것이며 자신의 발언에 대해서 오해가 있었다고 하였다.[22] [23] 일본의 반응[편집] 정치권[편집] 아베 신조 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화로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된 것을 환영하고 싶다.”라고 밝혔으며, 청구권을 포함한 법적 문제에 대해서는 1965년에 체결한 한일기본조약으로 이미 해결되었다는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24] 일본 민주당은, 이번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에 대해서, "양국이 외교 노력을 통해 다가가 이번 합의에 이른 것은 매우 의미 깊다고 말하며 새로운 한일 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기본 합의를 바탕으로 역사를 직시하고 한일관계를 더욱 더 유지한다" 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25] 일본 공산당은, 당수 시이 가즈오의 담화를 통해서, "한일 양국 정부의 합의와 그에 대한 기초한 조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전진되었다" 고 평가하고 있으며, "'위안부'들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문제의 전면적 해결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고 공식 입장을 발표하였다.[26] 일본 국민[편집] 일본의 대표적 포털 사이트 야후 재팬에서는 “아베 신조 내각에 실망했다.”,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이냐.”, ‘사상 최악 매국노’ 등의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하여 강도 높은 비난이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27] 일본 극우 성향의 커뮤니티 넷우익 에서는 “바보같이 또 다시 돈을 뜯겼다.”라고 말하며 아베 신조 정권에 대해 맹렬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중이다. 일본 언론에서 예측한 1억 엔이 아닌 10배인 10억 엔을 지불해야 한다는 사실에 분노하고 있기도 하며, 또 매춘부한테 무슨 배상이냐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모욕하기도 하였다. “아사히신문이 지불해라.”, “조센징은 돈 말고는 모른다.”라는 비난성 여론도 이어지고 있으며, 일본 외무성을 비난하고 국교를 단절하라는 극단적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번 합의에 대해서, 일본 내에서도 타결이라는 입장에서 더 이상 문제가 안 나오는 사항을 위해서 합의에 있는 '불가역적 해결'이 되기 위해 한국 여론을 이해하고 극우파의 비방이나 아베내각의 언행문제의 세심한 주의 등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28][29] 해외 반응[편집] 미국 : 미국 국무부 에서는 한일 위안부 합의는 TPP 타결에 준하는 중대한 합의라고 언급하였다.[30] 또한 미국 정부 내에서는 대한민국 과 일본 간의 여러가지 경제협력이 있으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을 견제할 것을 기대하는 분위기이기도 하다.[31]미국에서의 미군 위안부 문제의 공론화에 대해 아주 많은 공을 들인 것으로 유명한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은 "이번 협상이 어느 정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간 이정표가 되었다" 고 하면서도 이번 합의에 더 이상 역사적 진실을 눈가림하지 않고 미래 세대에 제대로 교육하겠다는 일본의 약속이 없어 매우 실망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32][3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는 “평화 발전의 길로 나아가길 바란다.”라는 본론적인 입장과 동시에, 일본에 대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하였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내부에서는, 그동안 지속되어 왔던 한·중간의 대일 역사공조에 금이 간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특히 한·일관계가 가까워짐으로써 박근혜 정부 이후 발전하였던 관계가 다시 소원해질까 우려하고 있기도 하다. 또한 결정적으로, 중국의 위안부 관련 자료 유네스코 기록 유산 등재 과정에서 더 이상 대한민국과 공동전선을 펼치기 어려워짐에 따라 등재가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34] 중화민국: 중화민국 외교부는 이번 한일간의 일본군 위안부 협상 결과를 그대로 대만의 위안부 피해자들에게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35] 또한 중화민국은 국가 배상만 포기한 것이므로, 피해자 개개인은 보상 받을수 있다는 입장이기도 하다. 영국: 영국의 대표 언론 BBC는 ‘역사적 합의’라고 하였으며,[36] 영국의 중도좌파 성향의 신문사 가디언은 ‘한국 위안부 협정은 일본과 미국의 승리’라며 비판 입장을 내걸었다.[3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번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해서 “굴욕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데 대해 민족적 격분을 금치 못하고 있다.”라고 맹비난 하였다.[38]또한, 같은 날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계열의 신문 <조선신보>에서는, "반도 (한반도) 에는 북과 남이 있다", "북한측의 위안부 피해자를 일본측이 해결해야 한다" 고 주장하기도 하였다.[39] 필리핀 : 필리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단체인 "릴라 필리피나" 의 레칠다 엑스트레마두라 사무총장은 12월 29일 필리핀 정부 도 일본에 위안부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하였다.[40] 네덜란드 : 네덜란드의 위안부 피해자들도 아베 신조 총리에게 “우리에게도 동등한 사죄를 하라”고 촉구하였으며, 네덜란드 위안부 피해자 권익 단체인 ‘일본명예부채재단(Foundation of Japanese Honorary Debts)’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약 400명의 네덜란드 국적 일제 위안부가 있었다” 는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이같이 밝혔다. 얀 판 바흐튼동크 단체 대표는 “네덜란드 피해 여성도 반드시 일본의 사죄를 받게 할 것” 이라고 강조하기도 하였다.[41] 시위[편집] 현재 정대협을 비롯한 여러 한인단체들이 연대하여 미국이나 유럽 각지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하여 반대 시위가 열리고 있다.[42] 협상 이후 일본의 위안부 부정행보[편집] 사쿠라다 요시타카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이 위안부 관련 망언을 하였다.[43]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은 강제연행을 부정했으며 또한 전쟁범죄임을 부정했다.[44] 기시다 후미오 외무대신은 성노예임을 부정했다.[45] 우에다 기요시 사이타마현 지사는 위안부 관련 망언을 하였다.[46] 일본 정부가 유엔에 위안부를 부정하는 내용을 공식 제출하였다.[47] 일본 정부가 유엔에 최고위 관료 파견하여 위안부를 부정하였다.[48] 일본 교과서에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삭제하고 관련 내용이 대폭 축소되었다.[49] 자유민주당은 위안부 강제성 부인 연구기관 신설을 공약 했다.[50] 일본 정부는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를 적극 저지하겠다고 하였다.[51] 이나다 도모미 방위상은 위안부 강제성을 부정했다.[52]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는 일본어와 영어로 위안부 강제동원을 부정하였다.[53] 협상 이후 한국 정부의 행보[편집] 한일 정부 간 위안부 합의 문제와 관련, 돈을 받은 어용단체(엄마 부대 등)을 동원해 반(反)정부 여론을 잠재우려 시도한 정황이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포착됐다.[54] 미국 공화당의 일리애나올해 초 일본군 위안부 관련 조치를 준비하려고 했지만 주미 한국 대사관의 요청으로 없던 일이 되었다. "이해하지 못하겠다. 갑자기 한국 대사관에서 연락해왔다. 앞으로는 이런 것을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라고 했다. 로스레티넌 의원은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는 보편적 인권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이 문제와 관련해 활동을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55]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 심포지엄에서 기조 연설에 나선 교수를 막았다.[56] 정부가 지원해 온 각종 위안부 연구와 관련 자료가 사람들에게 밝혀지고 있다.[57] 2014년 5월부터 외교부와 여성가족부가 함께 추진해 5억 원가량 투입된 위안부 백서도 사장될 위기에 처했다[58] 위안부 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시도도 위기를 맞고 있다. 해당 등재사업은 애초 여성가족부 지원을 받아 추진돼 왔는데, 최근 등재사업팀의 사무실에 대해 철수 지시를 내렸다.[59] 합의 이후 외교부는 합의에 반대하는 할머니들에게 모든 연락을 끊었다. 또한 태도가 급변하여 해외로 방문한 할머니들을 홀대했다.[60] 위안부 관련 2017년 예산을 삭감하였다. 2016년 예산보다 31% 13억이나 큰폭으로 삭감되었다.[61]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 2017년 예산을 4억4천만원에서 0원으로 전액 삭감하였다.[62] 위안부 관련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 2016년 예산의 집행을 중단하였다.[63] 재단 발족식이라고 설명하지 않고 "점심을 대접하고 싶다. 식사자리에 나와달라"라며 점심밥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을 동원하려고 하였다. 이에 "파렴치하다"는 반발이 나왔다.[64] 위안부 재단 발족식에 와야 돈이 나온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참석을 요구했다. 이에 위안부 피해자가 일제시기에 강제연행되면서 '돈 벌게 해줄게 따라가자'라던 행위와 유사해 피해자의 가슴에 정부가 대못을 박는 것과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왔다.[65] 박근혜 정부는 피해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재단 설립을 강행했다.[66] 국제적 비판[편집] 히로카 쇼지 국제 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은 “오늘의 합의로 일본군 성노예제로 인해 고통받은 수만 명의 여성들의 정의구현에 종지부를 찍어서는 안 된다. 할머니들은 협상테이블에서 배제되었다. 양국 정부의 이번 협상은 정의회복보다는 책임을 모면하기 위한 정치적 거래였다. 생존자들의 요구가 이번 협상으로 헐값에 매도되어서는 안 된다. 성노예제 생존자들이 그들에게 자행된 범죄에 대해 일본정부로부터 완전하고 전적인 사과를 받을 때까지 정의회복을 향한 싸움은 계속될 것이다.”라고 하였다.[67] 미국의 월간지 ‘카운터펀치’는 "위안부’ 피해자 배신한 한국 정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이보다 완전한 항복은 상상하기 어렵다’‘만약 이것이 사과라면 그래서 한국 정부가 피해보상 요구를 중단해야 한다면 이와 비슷한 사과를 몇 번 더 받으면 한국은 국가로서 기능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라고 비판하였다.[68] LA 타임스 만평을 통해 비판하였다.[69] 노아 펠드먼 미 하버드대 법대 교수는‘한국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정의롭지 못한 사죄’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위안부 할머니들에 대한 일본군의 범죄는 자동차 사고와 완전히 다르다”“돈을 주고 사과를 했다는 이유로 침묵을 약속한다는 것은 부적절하다”“한국 정부가 더 이상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가해자인 일본 측에 해주는 조건으로 할머니들이 어떤 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합의를 해준 것은 분명 (도덕적으로) 잘못된 일로 느껴진다”“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잘못을 지적하는 권리마저 합의에 종속된다는 점도 부당하다.”라고 비판하였다.[70] 미국에서 활동하는 위안부 관련 비정부기구(NGO)인 ‘아시아 폴리시 포인트’관계자도 “한일 정부간 합의는 여성 인권과 역사적 책임규명에 있어 일보 후퇴한 것”이라며 “위안부 피해 여성들과 사전 의견 교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두렵다”고 밝혔다. 합의를 하는 과정에 우리 정부가 위안부 할머니들을 참여시키지 않아 ‘피해자의 권리’가 누락됐다는 점, 그리고 이로 인해 향후 사후대책을 이어가는 데 있어 한국 정부의 난관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점에 대한 지적이다. 미국의 동북아시아 전문가인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연구원은 “한국 정부가 미리 위안부 할머니들과 상의하지 않고 합의를 진행했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다”라며 “한국의 큰 실수이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우를 범하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71]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은 29일 성명을 통해 “일본이 더 이상 역사 수정을 시도하지 않고 미래 세대에게 위안부 문제를 제대로 교육하겠다는 약속이 빠져 있다는 점이 매우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72] 뉴욕 타임스(NYT)는 29일 “위안부 문제 합의의 역풍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보다 박근혜 한국 대통령에게 더욱 거세게 몰아칠 것”이라며 부실한 합의 과정을 조목조목 따졌다. 신문은 법적 혹은 도덕적 책임이 흐릿하게 담긴 합의에 피해자 할머니들의 반발이 거세다는 점을 거론했다. “한일 양국이 합의한 10억엔(830만 달러)의 기금이 46명의 생존 위안부 할머니 1인 당 18만달러에 불과해 모욕으로 느껴질 정도이다”고도 했다. 이성윤 미 터프츠대 플레처 외교전문대학원 교수는 NYT에 “미국에서 커피를 쏟아서 데였을 경우 소송을 통해 받게 되는 액수를 생각한다면 일본의 기금 제안 액수가 얼마나 인색한지 알 수 있다”라며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뤄진 반인륜적 범죄의 희생자들에게 훨씬 많은 배상이 이뤄져야 했다”고 말했다.[73]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위안부 문제에 관해 특별히 임명한 전문가들은 한일 정부 간 합의가 생존자들의 요구에 못 미친다고 비판했다. 소녀상은 역사적 사실과 정의를 상징한다며 한국 정부가 혹시라도 소녀상을 없앨지 깊이 우려된다는 입장도 밝혔다. 일본 정부에 대해서도 책임을 분명히 인정할 것과 공식 사과, 충분한 보상도 거듭 촉구했다.[74] 유엔의 자이드 라아드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3월 10일 제네바의 유엔 유럽 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인권 이사회에서 구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과 한국의 위안부 합의에 대해 유엔 인권 관계자뿐 아니라 “전 위안부 여성 본인들로부터 의문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는 점은 매우 중대하다” 비판했다.[75] 자이드 대표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성노예 생존 여성”이라고 규정하고 위안부 문제가 일본 정부의 전쟁범죄이자 국가범죄임을 환기시켰으며 이어 “합의와 관련해 여러 유엔 인권 조직들, 무엇보다 생존 당사자들이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이드 대표는 “관련 당국자들이 이 용감하고 위엄있는 여성들한테 다가가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며 “궁극적으로 오직 그들만이 진정한 보상을 받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76] 유엔 여성차별 철폐위원회(CEDAW)는 공식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면서 한일 합의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스마트 자한 UN 여성차별철폐위 위원은 "우리는 한일 간 합의가 위안부 여성 문제를 다루면서 피해자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고 느꼈다."라며 비판했다.[77] 유엔 인권이사회 특별절차(Special procedures) 중 하나인 ‘법률과 현실의 여성차별 문제에 관한 실무그룹’의 엘레오노라 지엘린스카 수석보고관 등 3명은 11일(현지시간)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 대한 대망의 사과는 아직 오지 않았다’는 제목의 성명을 내 위안부 협상을 비판하였다. 이들은 성명에서 “과거 일본 정부와 군부의 명백한 책임을 인정하는 분명하고 공식적인 사과와 적절한 배상이 진실과 정의를 지킬 수 있으며, 피해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면서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 생존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한일 양국이 소녀상 철거를 고려하기로 했다”며 “한국 정부가 역사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과거의 유산 뿐 아니라 소녀상마저 제거할 수 있다는 데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합의가 있기까지 피해자들을 20년 이상 대표해온 단체(정대협)와 적절한 협의 과정이 없었다”면서 “이는 진실과 정의를 찾으려고 했던 수십년 간의 노력을 훼손하고, 생존자들을 고통에 빠뜨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쟁 무기로 사용된 여성과 소녀들에 대한 성적 또는 기타 다른 폭력을 비난하고, 여성 피해자들의 보상받을 권리를 옹호함으로 인해 (누구도) 처벌받지 않는 상황을 종식시키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78] 역사학연구회·일본역사학협회 등 일본의 역사연구 관련 단체 15곳은 도쿄 중의원 제1의원회관에서 발표한 연대 성명에서 “(한·일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이라는 인권과 깊이 관련된 문제에서 당사자를 방치한 채 타결을 도모했다”며 “정부 간에 일방적으로 ‘해결’을 선언하고 이후의 논의를 봉쇄하는 듯한 수법으로는 위안부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없다”고 비판했다.[7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만난 두브라브카 시모노비치 유엔 여성 대상 범죄 특별보고관이 “(한국과 일본) 양국의 (위안부 문제 관련 합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의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 중심의 접근이 중요한데 한·일 양국의 합의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양국의 발표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등 인권기구의 권고와 원칙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할머니들을 지지하고 협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80] 타이완의 일본군 위안부 지원단체는 위안부 협상을 비판했다. "전 위안부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은 정치역학의 결과"라고 비판했다.[81] 독일 뮌헨의 활동가들과 시민들은 위안부 협상을 비판했다. '2015년 12월18일 한-일 정부 합의는 무효다', '일본은 역사책에 위안부 문제를 담으라',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도 70년 동안 사과하지 않는 일본이 부끄럽다' 등의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들고 협상과 일본을 비판하는 활동을 하였다.[82] 마에다 아키라 일본 도쿄 조케이대 교수가 엮은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 책은 '12.28합의'에 대해 "어리석음을 되풀이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각국의 피해여성이 사반세기 동안 호소해온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고, 한일 양국 정부의 상황-한.미.일 군사동맹의 이해관계-에 따른 것이라는 의혹이 강하다"고 진단했다. 심지어 한국정부를 향해 "일본정부의 압력에 굴복해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고자 하는 자국민의 목소리를 봉쇄하려는 것일까"라고 꼬집었다.[83] 같이 보기[편집]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 한일기본조약(1965년) 태프트-가쓰라 밀약(TKSA) 화해·치유재단 각주[편집] ↑ “한일 '軍위안부 문제' 최종타결…일본 "책임통감"(2보)”. 《연합뉴스》. 2015년 12월 28일.  ↑ http://m.segye.com/content/html/2015/12/28/20151228003777.html ↑ 이제훈 (2015년 12월 28일). “한·일, 위안부 문제 해결 합의…“군 관여 여성에 상처””. 《한겨레》.  ↑ http://www.ttimes.co.kr/index.html?no=2015122917327780417 ↑ http://news1.kr/articles/?2532027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8/2015122802280.html ↑ 위안부 34 명이 현금 지급 받아 한국 정부의 재단 발표 [1] ↑ 정계성 (2015년 12월 29일). “나경원 “위안부 타결, 아쉽지만 외교적으로 잘한 협상””. 《시사위크》.  ↑ “[브리핑] 한창민 대변인, 한일 외교장관회담 합의 관련”. 《정의당》. 2015년 12월 28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논평] 피해자 배제한 졸속 협상, 위안부 협정 – 시늉과 포장에 급급한 박근혜 스타일의 산물”. 《녹색당》. 2015년 12월 28일.  ↑ “보관 된 사본”.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339315 ↑ http://www.realmeter.net/2015/12/%EA%B5%AD%EB%AF%BC-66-3-%E6%97%A5%EB%8C%80%EC%82%AC%EA%B4%80-%EC%95%9E-%EC%86%8C%EB%85%80%EC%83%81-%EC%9D%B4%EC%A0%84-%EB%B0%98%EB%8C%80%ED%95%9C%EB%8B%A4/ ↑ http://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94 ↑ http://news.joins.com/article/19357957 ↑ http://www.nocutnews.co.kr/news/4527470 ↑ “쿠키뉴스”.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6일에 확인함.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31/0200000000AKR20151231103600004.HTML ↑ http://www.vop.co.kr/A00000977428.htm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8089911 ↑ http://www.un.org/apps/news/story.asp?NewsID=52910#.VoZ3ahWLSUk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60312143753415 반기문, 위안부 합의 환영은 '오해'..할머니들과 첫 만남 ↑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60314020101796 반기문 "위안부 합의, 내용 환영한 것 아니다" ↑ “慰安婦問題、日韓が合意=日本政府「責任を痛感」―人道支援へ10億円財団”. 《지지통신》 (일본어). 2015년 12월 28일. 2015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https://www.dpj.or.jp/article/108072/%E3%80%90%E8%AB%87%E8%A9%B1%E3%80%91%E6%97%A5%E9%9F%93%E3%81%AE%E6%85%B0%E5%AE%89%E5%A9%A6%E5%95%8F%E9%A1%8C%E3%81%AB%E9%96%A2%E3%81%99%E3%82%8B%E5%90%88%E6%84%8F%E3%82%92%E3%81%86%E3%81%91%E3%81%A6 ↑ http://www.jcp.or.jp/akahata/aik15/2015-12-29/2015122901_02_1.html ↑ 국종환 (2015년 12월 28일). “日네티즌 위안부 합의 비판적…"아베 사상최악 매국노"”. 《뉴스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083831 ↑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8084184&date=20151230&type=1&rankingSeq=8&rankingSectionId=104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29/0200000000AKR20151229008400071.HTML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2292518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083838&viewType=pc ↑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0156432784035381&id=15675385380 ↑ 이준삼 (2015년 12월 28일). “<위안부 타결> 中 "일본 반인도적 죄행에 책임지는 태도 보여야"(종합)”. 《연합뉴스》.  ↑ “대만도 한일 위안부협상에 '촉각'…"우리도 한국만큼"”. 《연합뉴스》. 중앙통신사. 2015년 12월 28일.  ↑ 황정우 (2015년 12월 28일). “<위안부 타결> BBC "일본군 성노예 20만명…'역사적 합의'"”. 《연합뉴스》.  ↑ Tisdall, Simon (2015년 12월 28일). “Korean comfort women agreement is a triumph for Japan and the US”. 《가디언》 (영어).  ↑ 강영수 (2015년 12월 29일). “北, 한일 위안부 합의에 "굴욕적 대일외교에 민족적 격분" 주장”. 《조선일보》.  ↑ http://news.joins.com/article/1932257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1&aid=000226167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1&aid=0002261679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4&aid=0000577313 ↑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60114164027863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6164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6164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126_0013860127&cID=10101&pID=10100 ↑ “일본 정부, '위안부 강제연행 증거 없다' 입장 유엔에 제출”. 2016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20일에 확인함.  ↑ http://media.daum.net/foreign/asia/newsview?newsid=20160217120838958 ↑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8783&dable=30.1.5 ↑ http://news.jtbc.joins.com/html/517/NB11259517.html ↑ http://media.daum.net/society/all/newsview?newsid=20160602184604912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japan/755352.html ↑ http://m.hankooki.com/m_dh_view.php?m=&WM=dh&WEB_GSNO=633472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3882834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2232228255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jtbc.joins.com/html/030/NB11179030.html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092117115&code=970100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9279.html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9279.html ↑ http://www.diodeo.com/news/view/166192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49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7502 ↑ http://www.hankookilbo.com/v/96ab4c92c7bc42058d9e2d24b6dd34a9 ↑ http://amnesty.or.kr/12272/ ↑ http://m.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952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73348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hankookilbo.com/v/b4939513378b458298e5be431d9805fd ↑ http://www.ytn.co.kr/_ln/0104_201603120841455269 ↑ http://www.47news.jp/korean/korean_peninsula/2016/03/133981.html ↑ http://www.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34559.html ↑ http://www.ytn.co.kr/_ln/0104_201603120841455269 ↑ http://www.vop.co.kr/A00001001836.html ↑ http://hani.co.kr/arti/politics/diplomacy/746131.html ↑ http://m.media.daum.net/m/media/issue/350/newsview/20160616144636191 ↑ http://www.47news.jp/korean/international_diplomacy/2016/08/144037.htm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56763.html ↑ http://m.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0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5년_한·일_일본군_위안부_협상_타결&oldid=24210769" 분류: 일본군 위안부2015년 대한민국2015년 일본2015년 12월박근혜 정부대한민국-일본 관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영어 인용 (en)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00: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페스카마 15호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스카마 15호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스카마호 사건(PESCAMAR號事件)은 1996년 8월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파나마 국적의 참치잡이 원양어선 페스카마호에서 선상반란이 일어나 한국인 선원 7명을 포함한 11명의 선원이 살해된 사건이다. 목차 1 사건 경위 1.1 사건 배경 1.2 조난과 구조 2 사건 수사 2.1 사건의 전말 3 재판 4 각주 사건 경위[편집] 사건 배경[편집] 페스카마15호 페스카마15호(PESCAMAR No.15)는 1978년에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25명이 승선하는 254톤급 참치잡이 어선이다. 배의 이름은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이다. 사고 당시 배의 선적은 파나마, 선주는 오션 인더스트리이지만 실제 운항관리는 대현수산이, 선원 송출은 제양이 맡고 있어서, 경찰은 업체가 배를 중고로 구입하여 허가가 나지 않아 해외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 이용한 것으로 의심하였다.[1] 원양어선의 외국인 선원 한국인들이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선원직을 기피하게 되었고, 인력난으로 경험이 없거나 임금이 적게 드는 개발도상국의 노동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져 한국인 선원보다 외국인 선원의 비율이 많아졌다. 외국인 선원들은 경력 부족, 저임금과 체불, 무리한 작업, 차별 대우, 문화적 차이와 의사 소통으로 문제를 겪었고, 원양어업은 갈등과 폭력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2][3][4] 조난과 구조[편집] 조난 1996년 8월 19일, 선원송출회사 제양은 부산해양경찰서에 8월 3일 이후로 연락이 없는 페스카마호의 실종 신고를 접수하였다. 보도에 의하면, 페스카마호는 6월 7일 한국인 선원 8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태우고 부산항을 출발하였고, 6월 15일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태우고 남태평양 사모아 부근에서 조업중이었고, 중국 교포 선원들의 조업 거부로 선원 교체를 위해 8월 13일 사모아 어업기지로 입항할 예정이었으나, 8월 3일의 교신을 끝으로 통신이 두절되고 입항도 하지 않았다.[5] 구조 및 조사 1996년 8월 24일 18시 30분경, 일본 해상보안청 경비정이 동경만 남쪽 해상에서 표류중인 페스카마호를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페스카마호에는 한국인 1명과 인도네시아인 6명이 승선해 있었고, 조선족 6명이 감금된 상태였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선원들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부산해운청에 알렸다. 7월 30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페스카마호의 조선족들이 선상생활이 힘들다고 조업을 거부, 귀국시켜 줄 것을 요청하였고, 8월 2일 페스카마호가 사모아로 귀항하던 도중 중국 교포 선원들이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 중국 교포 선원 1명을 살해했으며, 이를 인도네시아 선원 6명이 제압한 후에 선박이 표류되었다는 것이다.[6][7] 한국에 인도 일본 해상경비대는 한국이 일본 정부에 선박의 인도를 요청하였으나, 사건이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온두라스와 관련되어 있어서 5개국 관리들이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8] 사고 선박이 일본 내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국제 관례에 따라 일본에서 1차로 조사를 하게 되었고, 한국 정부에서는 사망자 중에 한국인 수가 가장 많으므로 한국에서 이후의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9] 페스카마호는 8월 26일 일본 영해에서 공해상으로 이동되었고,[10] 한국 정부는 중국측에 한국이 예인과 사법 처리에 관한 관할권을 행사할 것을 통보하였다.[11] 8월 28일, 부산 해경의 구난함이 페스카마호와 선원들을 인도받았고,[12] 8월 31일에 부산에 입항하였다.[13] 사건 수사[편집] 부산해양경찰서는 일본 도리시마 서쪽 해상으로 구난함을 보내어 8월 28일 일본 해상보안청으로부터 페스카마호와 선원과 관련 서류 일체를 인수하고, 6명을 체포하였다.[14] 보도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사건의 전모는 다음과 같다. 사건의 전말[편집] 페스카마호는 1996년 6월 7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하기 위해 한국인 선장을 포함한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싣고 부산남항을 출항하였다. 6월 15일에는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추가로 실었다. 조업중이었던 8월 2일에는 육지에서 맹장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원양어선으로부터 승선한 동원수산 소속 실습기관사가 추가되었다. 6월 27일부터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시작하였으나, 중국 교포 선원들은 작업에 익숙하지 않았고, 선장이 기합을 주자 뱃일이 힘들다고 하선을 요청하였다. 인도네시아 선원 1명은 다른 배에 옮겨탔다. 8월 1일에는 선장이 더 이상 정상 조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조선족 선원들을 사모아에 하선증명서 없이 하선하기로 결정하였다. 조선족 선원들은 8월 2일 새벽에 선장을 살해하고 이용가치가 있다고 살려 두기로 한 1등항해사를 제외한 나머지 한국인 선원들을 조타실로 한 명씩 불러내어 살해했다. 살해된 시신은 바다에 던졌다. 타 선박에서 중도 승선한 실습선원도 산 채로 바다에 빠뜨렸다. 8월 24일, 페스카마호가 일본 도리시마 부근을 지나면서 연료 소모로 기울어졌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선족 선원 5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이 냉동창고에서 작업하다가 인도네시아 선원들이 조선족 선원들을 창고에 가두는 데에 성공하였다. 나머지 조선족 1명도 한국인과 인도네시아인 선원들이 협력하여 포박하였다.[15] 1시간 후, 인근에 일본의 어업지도선이 지나갔고, 생존자가 일본 선박까지 직접 헤엄쳐 도움을 요청하였다.[16] 재판[편집] 이 사건은 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에 있어 속지, 기국, 속인, 보호, 세계주의 중 형법 제6조의 보호주의가 적용되었다. 검찰은 조선족 선원 6명을 해상강도살인, 사체유기, 폭력행위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하였다. 1996년 12월 24일 열린 공판에서 선원들을 살해한 중국 교포 노동자 6명은 모두 사형 판결을 받았고, 2심에서 전재천을 제외한 5명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1997년 7월 25일, 대법원에서는 피고인들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을 확정했다. [판결문] 전재천은 이후 주동자가 아니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는데, 이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2007년 대통령 특사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여섯 명 모두 지금도 무기수의 신분으로 교도소에서 복역중이다. 인도네시아 선원들 중 실습생 살인에 연관된 3명에 대해서 수사한 검찰은 이들을 불구속 상태로 수사하였으나 이들이 조선족 선원들의 강압을 거부할 경우 본인의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인정하여 형법 제12조 강요된 행위를 적용해 불기소 처분했다. 각주[편집] ↑ 78년 日서건조한 소형참치잡이船, 《동아일보》, 1996.9.2 ↑ 값싼 외국선원"시한폭탄", 《동아일보》, 1996.8.26 ↑ 외국선원 과다"예고된 참극",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어선의 船上반란, 《동아일보》, 1996.8.26 ↑ 25명탄 원양어선 16일째 실종, 《경향신문》, 1996.8.20 ↑ 中國교포들 船上반란 한국선원 7명 살해,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선 반란 한인7명 피살, 《한겨레》, 1996.8.26 ↑ 원양어선 한국인 선원 피살사건 원인 채산성 악화 따른 무리한 감량경영 탓, 《한겨레》, 1996.8.26 ↑ 日"반란선박 예인수사", 《동아일보》, 1996.8.26 ↑ 日 수사권 포기한듯, 《동아일보》, 1996.8.27 ↑ '선상반란'관할권 행사 정부,중국에 공식통보, 《한겨레》, 1996.8.29 ↑ 반란선박·선원 인수, 《한겨레》, 1996.8.29 ↑ 페스카마號 오늘입항, 《동아일보》, 1996.8.31 ↑ 해경「페스카마호」호송「船上살인」6명 체포, 《경향신문》, 1996.8.29 ↑ 범행후 혈흔제거 치밀함까지, 《경향신문》, 1996.9.2 ↑ "혼자 살아남았구나"자책의 눈물, 《동아일보》, 1996.9.3 vdeh대한민국의 해양 사건 및 사고1940년대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1950년대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창경호 침몰 사고 (1953년) 행운호 침몰 사고 (1953년) 태신호 화재 사고 (1955년) 1960년대 속초항 입구해상 조난 사고 (1962년) 연호 침몰 사고 (1963년) 갑제호 침몰 사고 (1963년)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4년)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당포함 침몰 사고 (1967년) 천지호 침몰 사고 (1968년) 1970년대 남영호 침몰 사고 (1970년) 한성호 침몰 사고 (1973년) 충무 앞바다 YTL정 침몰 사고 (1974년)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고 (1974년)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1980년대 동남점보페리호 조난 사고 (1984년) 극동호 화재 사고 (1987년) 경신호 침몰 사고 (1988년) 1990년대 602 하나호 침몰 사고 (1990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씨프린스호 침몰 사고 (1995년) 페스카마 15호 사건 (1996년) 제1연평해전 (1999년) 2000년대 제2연평해전 (2002년) 골든로즈호 침몰 사고 (2007년) 마부노호 소말리아 피랍 사건 (2007년)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 (2007년)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 (2008년) 마카오 제우스호 조난 사고 (2008년) 대청해전 (2009년) 2010년대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98금양호 침몰 사고 (2010년) 삼호 주얼리호 피랍 사건 (2011년) 두라 3호 침몰 사고 (2012년) 태안 해병대캠프 실종 사고 (2013년) 세월호 침몰 사고 (2014년) 오룡호 침몰 사고 (2014년) 돌고래호 전복 사고 (2015년)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¹ (2017년) 인천 영흥도 선창 1호 전복 사고 (2017년)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¹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¹: 대한민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2인 이상 한국인이 연관된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스카마_15호_사건&oldid=24098205" 분류: 1996년 대한민국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대한민국의 해양 사고살인 사건선상반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02: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페스카마 15호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스카마 15호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스카마호 사건(PESCAMAR號事件)은 1996년 8월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파나마 국적의 참치잡이 원양어선 페스카마호에서 선상반란이 일어나 한국인 선원 7명을 포함한 11명의 선원이 살해된 사건이다. 목차 1 사건 경위 1.1 사건 배경 1.2 조난과 구조 2 사건 수사 2.1 사건의 전말 3 재판 4 각주 사건 경위[편집] 사건 배경[편집] 페스카마15호 페스카마15호(PESCAMAR No.15)는 1978년에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25명이 승선하는 254톤급 참치잡이 어선이다. 배의 이름은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이다. 사고 당시 배의 선적은 파나마, 선주는 오션 인더스트리이지만 실제 운항관리는 대현수산이, 선원 송출은 제양이 맡고 있어서, 경찰은 업체가 배를 중고로 구입하여 허가가 나지 않아 해외에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 이용한 것으로 의심하였다.[1] 원양어선의 외국인 선원 한국인들이 국민소득이 높아지면서 선원직을 기피하게 되었고, 인력난으로 경험이 없거나 임금이 적게 드는 개발도상국의 노동력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져 한국인 선원보다 외국인 선원의 비율이 많아졌다. 외국인 선원들은 경력 부족, 저임금과 체불, 무리한 작업, 차별 대우, 문화적 차이와 의사 소통으로 문제를 겪었고, 원양어업은 갈등과 폭력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2][3][4] 조난과 구조[편집] 조난 1996년 8월 19일, 선원송출회사 제양은 부산해양경찰서에 8월 3일 이후로 연락이 없는 페스카마호의 실종 신고를 접수하였다. 보도에 의하면, 페스카마호는 6월 7일 한국인 선원 8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태우고 부산항을 출발하였고, 6월 15일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태우고 남태평양 사모아 부근에서 조업중이었고, 중국 교포 선원들의 조업 거부로 선원 교체를 위해 8월 13일 사모아 어업기지로 입항할 예정이었으나, 8월 3일의 교신을 끝으로 통신이 두절되고 입항도 하지 않았다.[5] 구조 및 조사 1996년 8월 24일 18시 30분경, 일본 해상보안청 경비정이 동경만 남쪽 해상에서 표류중인 페스카마호를 발견하였다. 발견 당시 페스카마호에는 한국인 1명과 인도네시아인 6명이 승선해 있었고, 조선족 6명이 감금된 상태였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선원들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부산해운청에 알렸다. 7월 30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중이던 페스카마호의 조선족들이 선상생활이 힘들다고 조업을 거부, 귀국시켜 줄 것을 요청하였고, 8월 2일 페스카마호가 사모아로 귀항하던 도중 중국 교포 선원들이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 중국 교포 선원 1명을 살해했으며, 이를 인도네시아 선원 6명이 제압한 후에 선박이 표류되었다는 것이다.[6][7] 한국에 인도 일본 해상경비대는 한국이 일본 정부에 선박의 인도를 요청하였으나, 사건이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온두라스와 관련되어 있어서 5개국 관리들이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8] 사고 선박이 일본 내에서 발견되었으므로 국제 관례에 따라 일본에서 1차로 조사를 하게 되었고, 한국 정부에서는 사망자 중에 한국인 수가 가장 많으므로 한국에서 이후의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9] 페스카마호는 8월 26일 일본 영해에서 공해상으로 이동되었고,[10] 한국 정부는 중국측에 한국이 예인과 사법 처리에 관한 관할권을 행사할 것을 통보하였다.[11] 8월 28일, 부산 해경의 구난함이 페스카마호와 선원들을 인도받았고,[12] 8월 31일에 부산에 입항하였다.[13] 사건 수사[편집] 부산해양경찰서는 일본 도리시마 서쪽 해상으로 구난함을 보내어 8월 28일 일본 해상보안청으로부터 페스카마호와 선원과 관련 서류 일체를 인수하고, 6명을 체포하였다.[14] 보도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사건의 전모는 다음과 같다. 사건의 전말[편집] 페스카마호는 1996년 6월 7일,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하기 위해 한국인 선장을 포함한 한국인 선원 7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10명을 싣고 부산남항을 출항하였다. 6월 15일에는 괌에서 중국 교포 선원 7명을 추가로 실었다. 조업중이었던 8월 2일에는 육지에서 맹장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원양어선으로부터 승선한 동원수산 소속 실습기관사가 추가되었다. 6월 27일부터 남태평양에서 조업을 시작하였으나, 중국 교포 선원들은 작업에 익숙하지 않았고, 선장이 기합을 주자 뱃일이 힘들다고 하선을 요청하였다. 인도네시아 선원 1명은 다른 배에 옮겨탔다. 8월 1일에는 선장이 더 이상 정상 조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조선족 선원들을 사모아에 하선증명서 없이 하선하기로 결정하였다. 조선족 선원들은 8월 2일 새벽에 선장을 살해하고 이용가치가 있다고 살려 두기로 한 1등항해사를 제외한 나머지 한국인 선원들을 조타실로 한 명씩 불러내어 살해했다. 살해된 시신은 바다에 던졌다. 타 선박에서 중도 승선한 실습선원도 산 채로 바다에 빠뜨렸다. 8월 24일, 페스카마호가 일본 도리시마 부근을 지나면서 연료 소모로 기울어졌고,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선족 선원 5명과 인도네시아 선원 3명이 냉동창고에서 작업하다가 인도네시아 선원들이 조선족 선원들을 창고에 가두는 데에 성공하였다. 나머지 조선족 1명도 한국인과 인도네시아인 선원들이 협력하여 포박하였다.[15] 1시간 후, 인근에 일본의 어업지도선이 지나갔고, 생존자가 일본 선박까지 직접 헤엄쳐 도움을 요청하였다.[16] 재판[편집] 이 사건은 형법의 장소적 적용범위에 있어 속지, 기국, 속인, 보호, 세계주의 중 형법 제6조의 보호주의가 적용되었다. 검찰은 조선족 선원 6명을 해상강도살인, 사체유기, 폭력행위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하였다. 1996년 12월 24일 열린 공판에서 선원들을 살해한 중국 교포 노동자 6명은 모두 사형 판결을 받았고, 2심에서 전재천을 제외한 5명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1997년 7월 25일, 대법원에서는 피고인들의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을 확정했다. [판결문] 전재천은 이후 주동자가 아니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는데, 이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2007년 대통령 특사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여섯 명 모두 지금도 무기수의 신분으로 교도소에서 복역중이다. 인도네시아 선원들 중 실습생 살인에 연관된 3명에 대해서 수사한 검찰은 이들을 불구속 상태로 수사하였으나 이들이 조선족 선원들의 강압을 거부할 경우 본인의 생명을 구할 수 없는 상황이었음을 인정하여 형법 제12조 강요된 행위를 적용해 불기소 처분했다. 각주[편집] ↑ 78년 日서건조한 소형참치잡이船, 《동아일보》, 1996.9.2 ↑ 값싼 외국선원"시한폭탄", 《동아일보》, 1996.8.26 ↑ 외국선원 과다"예고된 참극",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어선의 船上반란, 《동아일보》, 1996.8.26 ↑ 25명탄 원양어선 16일째 실종, 《경향신문》, 1996.8.20 ↑ 中國교포들 船上반란 한국선원 7명 살해, 《경향신문》, 1996.8.26 ↑ 원양선 반란 한인7명 피살, 《한겨레》, 1996.8.26 ↑ 원양어선 한국인 선원 피살사건 원인 채산성 악화 따른 무리한 감량경영 탓, 《한겨레》, 1996.8.26 ↑ 日"반란선박 예인수사", 《동아일보》, 1996.8.26 ↑ 日 수사권 포기한듯, 《동아일보》, 1996.8.27 ↑ '선상반란'관할권 행사 정부,중국에 공식통보, 《한겨레》, 1996.8.29 ↑ 반란선박·선원 인수, 《한겨레》, 1996.8.29 ↑ 페스카마號 오늘입항, 《동아일보》, 1996.8.31 ↑ 해경「페스카마호」호송「船上살인」6명 체포, 《경향신문》, 1996.8.29 ↑ 범행후 혈흔제거 치밀함까지, 《경향신문》, 1996.9.2 ↑ "혼자 살아남았구나"자책의 눈물, 《동아일보》, 1996.9.3 vdeh대한민국의 해양 사건 및 사고1940년대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1950년대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창경호 침몰 사고 (1953년) 행운호 침몰 사고 (1953년) 태신호 화재 사고 (1955년) 1960년대 속초항 입구해상 조난 사고 (1962년) 연호 침몰 사고 (1963년) 갑제호 침몰 사고 (1963년)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4년)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당포함 침몰 사고 (1967년) 천지호 침몰 사고 (1968년) 1970년대 남영호 침몰 사고 (1970년) 한성호 침몰 사고 (1973년) 충무 앞바다 YTL정 침몰 사고 (1974년)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고 (1974년)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1980년대 동남점보페리호 조난 사고 (1984년) 극동호 화재 사고 (1987년) 경신호 침몰 사고 (1988년) 1990년대 602 하나호 침몰 사고 (1990년)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씨프린스호 침몰 사고 (1995년) 페스카마 15호 사건 (1996년) 제1연평해전 (1999년) 2000년대 제2연평해전 (2002년) 골든로즈호 침몰 사고 (2007년) 마부노호 소말리아 피랍 사건 (2007년)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 (2007년)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 (2008년) 마카오 제우스호 조난 사고 (2008년) 대청해전 (2009년) 2010년대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98금양호 침몰 사고 (2010년) 삼호 주얼리호 피랍 사건 (2011년) 두라 3호 침몰 사고 (2012년) 태안 해병대캠프 실종 사고 (2013년) 세월호 침몰 사고 (2014년) 오룡호 침몰 사고 (2014년) 돌고래호 전복 사고 (2015년)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¹ (2017년) 인천 영흥도 선창 1호 전복 사고 (2017년) 허블레아니호 침몰 사고¹ (2019년)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¹: 대한민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2인 이상 한국인이 연관된 사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스카마_15호_사건&oldid=24098205" 분류: 1996년 대한민국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대한민국의 해양 사고살인 사건선상반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02: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모리모토 다카유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모리모토 다카유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모리모토 다카유키 (森本 貴幸)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Takayuki Morimoto출생일 1988년 5월 7일(1988-05-07) (31세)출생지 일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키 180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등번호 9청소년 클럽 기록1995-19981998-20012001-2004 쓰다야마 FC 요미우리 FC 도쿄 베르디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4-20062006-20112011-2012 2012-2013 2013 2013-2015 2016- 도쿄 베르디 카타니아 노바라 카타니아 → 알나스르 (임대) 제프 유나이티드 가와사키 프론탈레 046 00(5) 083 0(16) 021 00(6) 014 00(4) 013 00(6) 073 0(17) 011 00(2)국가대표팀 기록2004-2005 2008 2009- 일본 U-20 일본 U-23 일본 007 00(2) 005 00(1) 017 00(4)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6년 1월 1일 기준이다. 모리모토 다카유키 (森本 貴幸, 1988년 5월 7일, 가와사키 시 ~ )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일본 J1리그의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스트라이커로 활약하고 있다. 목차 1 선수 생활 1.1 유소년기 1.2 도쿄 베르디 1.3 해외 진출 1.3.1 칼초 카타니아 1.3.2 노바라 칼초 1.3.3 알나스르 1.4 일본으로의 복귀 2 통계 2.1 구단 기록 2.2 국가대표 기록 2.2.1 연도별 출장 기록 2.2.2 국가대표 득점 기록 3 수상 3.1 구단 3.1.1 도쿄 베르디 1969 3.2 개인 4 외부 링크 선수 생활[편집] 유소년기[편집]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시에서 태어난 모리모토 다카유키는, 1995년 쓰다야마 FC에서 축구를 시작하였다. 1998년 요미우리 FC로 유소년 팀을 옮겼다. 도쿄 베르디[편집] 도쿄 베르디 소속이었던 2004년 3월 13일, 주빌로 이와타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른 그는, 이 경기에서 J리그 사상 최연소 출장 기록인 15세 10개월 6일을 기록하였다. 데뷔전 이후 계속해서 경기 도중에 투입되었던 모리모토는 5월 5일,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를 상대로 J리그 데뷔골을 기록해 J리그 최연소 득점 기록인 15세 11개월 28일을 수립하였고, 시즌 종료까지 총 네 골을 넣어 같은 해 J리그 최우수 신인상을 획득해 J리그 사상 최연소 수상 기록도 갈아치웠다. 2005년 3월에는 가와사키 프론탈레와의 나비스코컵 예선 경기에서 나비스코컵 사상 최연소 골을 기록하였고, 팀의 성적 부진으로 J2리그에서의 선수 생활도 경험하였다. 해외 진출[편집] 칼초 카타니아[편집] 2006년 7월에는 이탈리아 세리에 A로 승격한 칼초 카타니아로 이적하였고, 이적 후에는 장기간 동안 유스 리그 경기에 출장하였지만, 뛰어난 활약으로 아스콜리와의 경기에서 세리에 A에서의 첫 경기를 치렀다. 2007년 1월 28일 아탈란타 BC와의 경기에서 후반 종료 직전에 출장해 세리에 A 무대에서의 첫 골을 넣었다. 그러나 3월 13일 무릎 부상을 당하며, 6개월 동안 치료를 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의 재능을 높게 판단하여 6월에 완전 이적이 이행되었다. 2008년 12월 14일 카타니아는 모리모토와 3년 계약 연장에 합의하였다. 2008-09 시즌 모리모토는 리그와 코파 이탈리아에서 25경기에 출장하여 10골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모리모토는 무릎 부상의 때때로 그의 발목을 잡았으며, 2009-10 시즌 5골을, 2010-11 시즌에는 2골을 기록하였다. 노바라 칼초[편집] 2011년 7월 11일, 카타니아로부터 공동 소유권을 받으며, 세리에 A로 갓 승격한 노바라 칼초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무릎 부상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던 모리모토는 18경기에 출장하여 4골을 기록하는 데에 그쳤다. 노바라는 2011-12 시즌 18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고, 모리모토는 카타니아로 돌아가게 되었다. 알나스르[편집] 2013년 1월 그는 겨울이적시장에서 아랍에미리트의 알나스르로 임대되면서, 일본인 중동 선수 1호가 되었다. 모리모토는 2012-13 시즌 13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하였다. 일본으로의 복귀[편집] 2013년 8월 13일자로 일본 J2리그의 제프 유나이티드로 이적하였다. 2015년 12월 24일 모리모토는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2년 계약을 맺고 이적하였다. 통계[편집] 구단 기록[편집] 2017년 12월 2일 기준 선수 기록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시즌 구단 리그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일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04 미토 홀리호크 J1 22 4 - 2 0 - 24 4 2005 J2 18 1 1 0 2 2 - 21 3 2006 6 0 - - - 6 0 이탈리아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06-07 카타니아 세리에 A 5 1 - - - 5 1 2007-08 14 1 3 1 - - 17 2 2008-09 23 7 1 2 - - 24 9 2009-10 27 5 4 1 - - 31 6 2010-11 12 1 1 1 - - 13 2 2011-12 노바라 칼초 18 4 1 0 - - 19 4 아랍에미리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2-13 알나스르 13 6 3 1 6 3 - 22 10 이탈리아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2-13 카타니아 세리에 A 5 0 3 0 - - 8 0 일본 리그 FA컵 리그컵 대륙대회 총합 2013 제프 유나이티드 J2 12 2 2 0 - 1 1 15 3 2014 34 10 2 2 - - 36 12 2015 27 5 3 0 - - 30 5 2016 가와사키 프론탈레 J1 11 2 2 0 1 1 - 14 3 2017 11 3 3 4 1 0 7 0 22 7 이탈리아 통산 104 19 13 5 0 0 0 0 122 24 UAE 통산 13 6 3 1 6 3 0 0 22 10 일본 통산 141 27 13 6 6 3 8 1 168 40 커리어 통산 258 52 29 12 12 6 8 1 307 71 국가대표 기록[편집] 연도별 출장 기록[편집] 일본 연도 출전 골 2009 2 1 2010 7 2 2012 1 0 합계 10 3 국가대표 득점 기록[편집] 날짜 장소 상대 득점 결과 대회 2009년 10월 10일 일본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스코틀랜드 – 2–0 친선 경기 2009년 10월 14일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 스타디움 대한민국 1 5–0 친선 경기 2010년 3월 3일 일본 아이치현 도요타 스타디움 바레인 – 2–0 2011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0년 3월 24일 일본 도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대한민국 – 0–2 친선 경기 2010년 5월 30일 오스트리아 그라츠 리베나우어 스타디움 잉글랜드 – 1–2 친선 경기 2010년 6월 4일 스위스 시옹 스타드 투르빌롱 코트디부아르 – 0–2 친선 경기 2010년 9월 4일 일본 요코하마 시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파라과이 – 1–0 친선 경기 2010년 9월 7일 일본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과테말라 2 2–1 친선 경기 2010년 10월 8일 일본 도쿄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아르헨티나 – 1–0 친선 경기 수상[편집] 구단[편집] 도쿄 베르디 1969[편집] 천황배 (1) : 2004 J리그 슈퍼컵 (1) :2005 개인[편집] J리그 올해의 루키 : 2004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프리미어컵 MVP : 200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모리모토 다카유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모리모토 다카유키 프로필 - 사커웨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 마쓰이 2 미즈모토 3 요시히로 4 고바야시 5 마스시마 6 이노하 7 가지야마 8 나카무라 9 히라야마 10 효도 11 컬런 12 미즈노 13 고케구치 14 혼다 15 후나타니 16 나기라 17 이에나가 18 야마모토 19 마에다 20 모리모토 21 니시카와 감독: 오쿠마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1 니시카와 2 호소가이 3 요시다 4 미즈모토 5 나가토모 6 모리시게 7 우치다 8 K. 혼다 9 도요다 10 가지야마 11 오카자키 12 다니구치 13 야스다 14 가가와 15 모리모토 16 T. 혼다 17 리 18 야마모토 감독: 소리마치 vdeh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나라자키 2 아베 3 고마노 4 툴리오 5 나가토모 6 우치다 7 엔도 8 마쓰이 9 오카자키 10 S. 나카무라 11 다마다 12 야노 13 이와마사 14 K. 나카무라 15 곤노 16 오쿠보 17 하세베 18 혼다 19 모리모토 20 이나모토 21 가와시마 22 나카자와 23 가와구치 감독: 오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모리모토_다카유키&oldid=24391935"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축구 선수일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도쿄 베르디의 축구 선수칼초 카타니아의 축구 선수노바라 칼초의 축구 선수알나스르 (리야드)의 축구 선수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축구 선수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J2리그의 축구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일본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가와사키시 출신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선수일본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에 거주한 일본인아비스파 후쿠오카의 축구 선수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축구 선수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7일 (금) 10: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DJ 스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J 스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DJ 스킵 (DJ Skip, 본명: 김도형, 1975년 ~[1])은 대한민국의 힙합 DJ이다. 2000년 데뷔, 쟈니로얄이나 Lecher 같은 락 밴드의 DJ로도 활동하였으나 주로 파티나 클럽에서 스핀 (분위기 흐름이 끊기지 않게 곡을 틀어주는 것)을 하였으며, 2003년에는 한량사, 2009년에는 킹더형 레코드의 CEO로 레이블 운영을 하다가 소속사를 J2 Entertainment로 옮겨갔다. 2010년 4월에는 블로그를 통해 은퇴 선언을 하였으나, 2010년 9월에 컴백하여 가리온의 백업 DJ로 활동하고 있다. 소속 크루는 불한당이며, 킵루츠, Fascinating(MC 성천)과 공동으로 설립한 레이블 LK2Muzic 소속이기도 하다. 목차 1 바이오그래피 2 디스코그래피 3 각주 4 외부 링크 바이오그래피[편집] DJ Skip이 본격적으로 디제잉을 시작한 것은 서울예전 졸업작품 발표회에서 스크래칭과 퍼포먼스 디제잉을 선보인 1999년이었다.[2] 다음 해, 대학로 힙합페스티벌 중 DJ Battle 부문 개인 2위, NuMark Seoul Battle 3위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더불어 일렉코어 Lecher의 DJ를 거쳐[3] 하드코어 펑크 밴드 쟈니로얄의 DJ로 합류하여 활동하였다. 쟈니로얄의 첫 앨범은 2002년 발매되었으며,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다양한 공연 및 앨범 활동에서 함께하였다.[2] 한편 2001년에는 최초의 턴테이블 크루 남사당패를 조직, 클럽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약 2년간 활동하였으며, 역시 마스터플랜에서 만난 Macho와 함께 멀티샵 AT431을 운영하였고, 이는 2003년 언더그라운드 레이블 한량사로 발전하였다. 더불어 2002년부터 홍대 클럽 디디의 레지던트 DJ 활동을 시작으로, 클럽 코스모, Tune, Brooklyn, 캐치라이트, Skool 등 여러 클럽에서 메인 DJ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클럽 활동을 바탕으로 그는 2003년부터 현재 Foundation의 CEO인 HJ와 손을 잡고 Afroking Party를 주최 (DJ Skip이 합류했을 때는 3회였음), 9회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함께하였으며, 이외에도 100~200개의 행사 및 파티를 주최하거나 파티에 참여하였다. 이는 공연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가라사대와 함께 UMF라는 공연 레이블을 만들어 2003년부터 가장 최근인 2009년까지 40여회의 공연을 주최하였다.[2] 더불어 이현도, 이현우, 은지원 등 가요계에서도 세션 DJ로 꾸준히 활동하였으며,[3] 언더에서는 The Z와 함께 SKEZ라는 팀을 결성하여 다수의 앨범에 스크래칭 세션으로 참여하였다. 2007년에는 힙합플레이야 라디오 방송 중 하나인 시원한 라디오 를 진행하였고, 2008년에는 한량사의 해체 이후 신인들을 모아 킹더형 레코드를 설립하였다. 그는 똘배와 함께 공동 CEO를 맡아 여러 활동을 하였으며, 2009년 7월에는 DJ Skip이 신생 레이블 J2 Entertainment의 제작 및 프로모션 분과에 들어가게 되면서 킹더형 레코드의 CEO 자리에서 내려왔고, 그 결과 R-est가 총책임을 맡게 되었다.[4] 또 2008년부터 디자이너 Sheen과 함께 론칭한 스트릿 의류 브랜드 L.S.D.[5] 운영도 겸하였다. 2010년 3월 30일에는 "4월 10일 공연을 마지막으로 힙합 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지 않을 것"이라 밝혀, 사실상의 은퇴 선언을 하였다.[6] 블로그에는 "나쁜 일로 떠나게 되었다"라는 말만 있을 뿐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아 많은 팬들의 아쉬움과 궁금함을 낳았다. 그러나 곧, 가리온의 컴백과 함께 가리온과 함께 활동하는 새 DJ로 돌아와 각종 공연에서 가리온을 서포트하였다.[7] 2012년에는 새로이 조직된 크루 불한당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DJ Skip은 크루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중재와 소통 진행"으로 소개하였다.[8] 2015년에는 같은 불한당 크루의 일원인 킵루츠와 Fascinating(MC 성천)과 LK2Muzic이라는 레이블을 설립하기도 하였다.[9] 디스코그래피[편집] 2003년 11월 15일 DJ Skip's Style vol.1 믹스테입 2009년 3월 11일 This Love Song 4 U 믹스테입 (with DJ Freekey) 각주[편집] ↑ 네이버 인물검색: 디제이 스킵 ↑ 가 나 다 DJ Skip 힙합플레이야 프로필 ↑ 가 나 DJ Skip's Mix CD 보도자료 ↑ DJ Skip 시원한 라디오 Season 2 1부, 2009년 7월 22일 ↑ "DJ Skip, 스트릿 의류브랜드 L.S.D. 론칭", 2008년 9월 29일, 힙합플레이야 뉴스 ↑ "아주 잘 살고 있음", 글쓴이 DJ Skip, DJ Skip의 블로그 "회복 중인 블로그" ↑ “"가리온 “까임방지권은 필요 없다. 실력으로 평가받고 싶다”", 김봉현, 100Beat.com, 2010년 8월 27일 작성, 2010년 8월 27일 확인”. 2010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8일에 확인함.  ↑ Spolight - 불한당 크루, Bluc & Melo, HIPHOPLE Spotlight, 2012년 5월 8일 ↑ “킵루츠와 Fascinating, 레이블 런칭하며 첫 싱글 발표”, 힙합플레이야, 2015년 3월 17일. 외부 링크[편집] DJ Skip의 개인 블로그 "회복중인 블로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DJ_스킵&oldid=24197902" 분류: 대한민국의 힙합 DJ한량사 음악가197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국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6월)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별이 빛나는 깃발) 1814년 9월 17일에 쓰여진 가사 미국의 국가(國歌)작사 프랜시스 스콧 키작곡 존 스태퍼드 스미스도입 1931년 듣기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v • d • e • h 미국의 국가 목록 〈신이여 폐하를 지켜주소서〉(1725~1776) 〈컬럼비아 만세〉(1798~1931) 〈별이 빛나는 깃발〉(1931~현재) 별이 빛나는 깃발 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별이 빛나는 깃발 1953년 미국 해병대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성조기 Fred Waring과 펜실베이니아인들이 1942년에 부름 성조기 마가렛 우드로 윌슨(우드로 윌슨의 딸)이 1915년에 부름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미디어 재생 (1940년) 미디어 재생 (1944년) 성조기(星條旗, The Star-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는 미국의 국가이다.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존 스태퍼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는 주로 각종 스포츠 경기나, 미국 연방정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초청받은 유명한 가수의 독창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영어: Hail, Columbia)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목차 1 역사 2 가사 2.1 1절 2.2 2절 2.3 3절 2.4 4절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맥헨리 요새에서의 전투를 그린 그림 프랜시스 스콧 키의 시는 그 후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se of Fort McHenry)'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그 해에 이 노래가 낱장 악보로 다시 출판되면서 제목도 바뀌었다. 이 곡은 1889년에 해군으로부터 인정 받았고, 1916년에 백악관으로부터 인정 받았으며, 193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후버의 요청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되었다. 프랜시스 스콧 키가 쓴 '별이 빛나는 깃발' 시의 원본. 미국 해군 출신인 존 필립 수자라는 사람이 같은 뜻의 노래를 행진곡으로 바꾼 곡도 유명하다. 곡의 어려운 음계와 박자로 인해 관중 합창이 여의치 않아 여론의 불만이 많고 국가 교체가 건의되기도 했으나 설문 조사등에서는 ‘별이 빛나는 깃발’을 지지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는등 미국을 대표하는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가사[편집] 1절[편집]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른 새벽 여명 사이로 어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직한 띠와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절[편집] On the shore, dimly seen thro’ the mist of the deep, Where the foe’s haughty host in dread silence reposes, What is that which the breeze, o’er the towering steep, As it fitfully blows, half conceals, half discloses? Now it catches the gleam of the morning’s first beam, In full glory reflected, now shines on the stream ’Tis the star-spangled banner. Oh! long may i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저 깊은 안개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해안, 오만한 적군도 공포의 적막 속에서 숨어 있는 그 곳에서 드높이 치솟은 절벽 위로 변덕스런 산들바람 따라 반쯤 가려졌다 반쯤 드러나 보이는 저것이 무엇이냐? 이제 아침의 첫 광휘를 받아 충만한 영광에 반사되어 강물 위로 빛나는, 그것은 바로 성조기. 오! 영원토록 휘날리소서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3절[편집] And where is that band who so vauntingly swore That the havoc of war and the battle’s confusion A home and a country should leave us no more? Their blood has washed out their foul footstep’s pollution. No refuge could save the hireling and slave From the terror of flight, or the gloom of the grave,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doth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그토록 자신만만 호언장담했던 그 무리는 어디 있느뇨? 그리고 전쟁의 파괴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우리에게 집이고 조국이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리라 그들의 피로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의 떼를 씻어냈도다. 그 어떤 피난처도 그 용병들과 노예들을 패주의 공포와 무덤의 암흑으로부터 구해주지 못했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누나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4절[편집] Oh! thus be it ever, when freemen shall stand Between their loved homes and the war’s desolation, Blest with vict’ry and peace, may the Heav’n rescued land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리하여 자유로운 사람들이 사랑하는 그들의 고향과 전쟁 폐허 사이에서 언제나 일어서리라. 승리와 평화로 축복을 받으며 하늘이 구한 이 땅이 우리의 나라를 만들고 지켜 준 신의 권능을 찬양하게 하소서. 대의가 정당하면 우리는 필승할 것이오, 우리의 좌우명은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 그리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리라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외부 링크[편집] 유튜브 동영상(한글번역)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미국의 국가 vdeh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독립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¹ 비독립국 과들루프² 그린란드 마르티니크² 몬트세랫 버뮤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생피에르 미클롱 아루바 앵귈라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보네르 퀴라소 신트마르턴 신트외스타시우스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아카디아 ¹ 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 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 미국 미국 미국인 언어 국가 국기 수도 문화 음식 문학 축제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유학 천연기념물 종교 공휴일 명절 자살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외국인 경제 교통 행정 구역 지리 주 주기 역사 법 연방 정부 정치 정당 대외 관계 대통령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6293289 LCCN: n50081577 GND: 4756592-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의_국가&oldid=24510032" 분류: 미국의 상징미국의 노래영어 노래국가1814년 미국1814년 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디오가 포함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국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6월)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별이 빛나는 깃발) 1814년 9월 17일에 쓰여진 가사 미국의 국가(國歌)작사 프랜시스 스콧 키작곡 존 스태퍼드 스미스도입 1931년 듣기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v • d • e • h 미국의 국가 목록 〈신이여 폐하를 지켜주소서〉(1725~1776) 〈컬럼비아 만세〉(1798~1931) 〈별이 빛나는 깃발〉(1931~현재) 별이 빛나는 깃발 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별이 빛나는 깃발 1953년 미국 해병대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성조기 Fred Waring과 펜실베이니아인들이 1942년에 부름 성조기 마가렛 우드로 윌슨(우드로 윌슨의 딸)이 1915년에 부름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미디어 재생 (1940년) 미디어 재생 (1944년) 성조기(星條旗, The Star-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는 미국의 국가이다.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존 스태퍼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는 주로 각종 스포츠 경기나, 미국 연방정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초청받은 유명한 가수의 독창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영어: Hail, Columbia)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목차 1 역사 2 가사 2.1 1절 2.2 2절 2.3 3절 2.4 4절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맥헨리 요새에서의 전투를 그린 그림 프랜시스 스콧 키의 시는 그 후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se of Fort McHenry)'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그 해에 이 노래가 낱장 악보로 다시 출판되면서 제목도 바뀌었다. 이 곡은 1889년에 해군으로부터 인정 받았고, 1916년에 백악관으로부터 인정 받았으며, 193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후버의 요청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되었다. 프랜시스 스콧 키가 쓴 '별이 빛나는 깃발' 시의 원본. 미국 해군 출신인 존 필립 수자라는 사람이 같은 뜻의 노래를 행진곡으로 바꾼 곡도 유명하다. 곡의 어려운 음계와 박자로 인해 관중 합창이 여의치 않아 여론의 불만이 많고 국가 교체가 건의되기도 했으나 설문 조사등에서는 ‘별이 빛나는 깃발’을 지지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는등 미국을 대표하는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가사[편집] 1절[편집]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른 새벽 여명 사이로 어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직한 띠와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절[편집] On the shore, dimly seen thro’ the mist of the deep, Where the foe’s haughty host in dread silence reposes, What is that which the breeze, o’er the towering steep, As it fitfully blows, half conceals, half discloses? Now it catches the gleam of the morning’s first beam, In full glory reflected, now shines on the stream ’Tis the star-spangled banner. Oh! long may i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저 깊은 안개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해안, 오만한 적군도 공포의 적막 속에서 숨어 있는 그 곳에서 드높이 치솟은 절벽 위로 변덕스런 산들바람 따라 반쯤 가려졌다 반쯤 드러나 보이는 저것이 무엇이냐? 이제 아침의 첫 광휘를 받아 충만한 영광에 반사되어 강물 위로 빛나는, 그것은 바로 성조기. 오! 영원토록 휘날리소서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3절[편집] And where is that band who so vauntingly swore That the havoc of war and the battle’s confusion A home and a country should leave us no more? Their blood has washed out their foul footstep’s pollution. No refuge could save the hireling and slave From the terror of flight, or the gloom of the grave,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doth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그토록 자신만만 호언장담했던 그 무리는 어디 있느뇨? 그리고 전쟁의 파괴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우리에게 집이고 조국이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리라 그들의 피로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의 떼를 씻어냈도다. 그 어떤 피난처도 그 용병들과 노예들을 패주의 공포와 무덤의 암흑으로부터 구해주지 못했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누나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4절[편집] Oh! thus be it ever, when freemen shall stand Between their loved homes and the war’s desolation, Blest with vict’ry and peace, may the Heav’n rescued land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리하여 자유로운 사람들이 사랑하는 그들의 고향과 전쟁 폐허 사이에서 언제나 일어서리라. 승리와 평화로 축복을 받으며 하늘이 구한 이 땅이 우리의 나라를 만들고 지켜 준 신의 권능을 찬양하게 하소서. 대의가 정당하면 우리는 필승할 것이오, 우리의 좌우명은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 그리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리라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외부 링크[편집] 유튜브 동영상(한글번역)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미국의 국가 vdeh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독립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¹ 비독립국 과들루프² 그린란드 마르티니크² 몬트세랫 버뮤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생피에르 미클롱 아루바 앵귈라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보네르 퀴라소 신트마르턴 신트외스타시우스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아카디아 ¹ 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 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 미국 미국 미국인 언어 국가 국기 수도 문화 음식 문학 축제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유학 천연기념물 종교 공휴일 명절 자살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외국인 경제 교통 행정 구역 지리 주 주기 역사 법 연방 정부 정치 정당 대외 관계 대통령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6293289 LCCN: n50081577 GND: 4756592-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의_국가&oldid=24510032" 분류: 미국의 상징미국의 노래영어 노래국가1814년 미국1814년 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디오가 포함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국의 국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6월) 성조기The Star-Spangled Banner(별이 빛나는 깃발) 1814년 9월 17일에 쓰여진 가사 미국의 국가(國歌)작사 프랜시스 스콧 키작곡 존 스태퍼드 스미스도입 1931년 듣기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v • d • e • h 미국의 국가 목록 〈신이여 폐하를 지켜주소서〉(1725~1776) 〈컬럼비아 만세〉(1798~1931) 〈별이 빛나는 깃발〉(1931~현재) 별이 빛나는 깃발 미국 해군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별이 빛나는 깃발 1953년 미국 해병대 군악대가 연주한 것을 녹음한 미디어 성조기 Fred Waring과 펜실베이니아인들이 1942년에 부름 성조기 마가렛 우드로 윌슨(우드로 윌슨의 딸)이 1915년에 부름 듣기에 문제가 있으면 미디어 도움말을 참조하세요. 미디어 재생 (1940년) 미디어 재생 (1944년) 성조기(星條旗, The Star-Spangled Banner, 별이 빛나는 깃발)는 미국의 국가이다. 법률가이자 시인이었던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가 작사하였고, 곡조는 존 스태퍼드 스미스가 작곡한, 영국에서 술을 마실 때 부르는 '천국의 아나크레온에게'(To Anacreon in Heaven)라는 노래를 사용한다. 이 노래는 오늘날에는 주로 각종 스포츠 경기나, 미국 연방정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 초청받은 유명한 가수의 독창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1931년 이전에는 '컬럼비아 만세'(영어: Hail, Columbia) 등이 국가로 쓰이기도 했다. 목차 1 역사 2 가사 2.1 1절 2.2 2절 2.3 3절 2.4 4절 3 외부 링크 역사[편집] 맥헨리 요새에서의 전투를 그린 그림 프랜시스 스콧 키의 시는 그 후 《맥헨리 요새의 방어》(The Defense of Fort McHenry)'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그 해에 이 노래가 낱장 악보로 다시 출판되면서 제목도 바뀌었다. 이 곡은 1889년에 해군으로부터 인정 받았고, 1916년에 백악관으로부터 인정 받았으며, 1931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후버의 요청으로 공식 국가로 인정되었다. 프랜시스 스콧 키가 쓴 '별이 빛나는 깃발' 시의 원본. 미국 해군 출신인 존 필립 수자라는 사람이 같은 뜻의 노래를 행진곡으로 바꾼 곡도 유명하다. 곡의 어려운 음계와 박자로 인해 관중 합창이 여의치 않아 여론의 불만이 많고 국가 교체가 건의되기도 했으나 설문 조사등에서는 ‘별이 빛나는 깃발’을 지지하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는등 미국을 대표하는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 가사[편집] 1절[편집] O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e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 stars, through the peril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e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대는 보이는가, 이른 새벽 여명 사이로 어제 황혼의 미광 속에서 우리가 그토록 자랑스럽게 환호했던, 넓직한 띠와 빛나는 별들이 새겨진 저 깃발이, 치열한 전투 중에서도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 당당히 나부끼고 있는 것이. 포탄의 붉은 섬광과 창공에서 작렬하는 폭탄이 밤새 우리의 깃발이 휘날린 증거라. 오,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는가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2절[편집] On the shore, dimly seen thro’ the mist of the deep, Where the foe’s haughty host in dread silence reposes, What is that which the breeze, o’er the towering steep, As it fitfully blows, half conceals, half discloses? Now it catches the gleam of the morning’s first beam, In full glory reflected, now shines on the stream ’Tis the star-spangled banner. Oh! long may i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저 깊은 안개 사이로 희미하게 보이는 해안, 오만한 적군도 공포의 적막 속에서 숨어 있는 그 곳에서 드높이 치솟은 절벽 위로 변덕스런 산들바람 따라 반쯤 가려졌다 반쯤 드러나 보이는 저것이 무엇이냐? 이제 아침의 첫 광휘를 받아 충만한 영광에 반사되어 강물 위로 빛나는, 그것은 바로 성조기. 오! 영원토록 휘날리소서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3절[편집] And where is that band who so vauntingly swore That the havoc of war and the battle’s confusion A home and a country should leave us no more? Their blood has washed out their foul footstep’s pollution. No refuge could save the hireling and slave From the terror of flight, or the gloom of the grave,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doth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그토록 자신만만 호언장담했던 그 무리는 어디 있느뇨? 그리고 전쟁의 파괴와 전투의 혼란 속에서 우리에게 집이고 조국이고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으리라 그들의 피로 더러운 자신의 발자국의 떼를 씻어냈도다. 그 어떤 피난처도 그 용병들과 노예들을 패주의 공포와 무덤의 암흑으로부터 구해주지 못했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누나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4절[편집] Oh! thus be it ever, when freemen shall stand Between their loved homes and the war’s desolation, Blest with vict’ry and peace, may the Heav’n rescued land Praise the Pow’r that hath made and preserved us a nation! Then conquer we must, when our cause it is just, And this be our motto: "In God is our trust." And the star-spangled banner in triumph shall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오! 그리하여 자유로운 사람들이 사랑하는 그들의 고향과 전쟁 폐허 사이에서 언제나 일어서리라. 승리와 평화로 축복을 받으며 하늘이 구한 이 땅이 우리의 나라를 만들고 지켜 준 신의 권능을 찬양하게 하소서. 대의가 정당하면 우리는 필승할 것이오, 우리의 좌우명은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 그리고 성조기는 승리차게 휘날리리라 자유의 땅과 용자들의 고향에서! 외부 링크[편집] 유튜브 동영상(한글번역)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미국의 국가 vdeh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독립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¹ 비독립국 과들루프² 그린란드 마르티니크² 몬트세랫 버뮤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생피에르 미클롱 아루바 앵귈라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보네르 퀴라소 신트마르턴 신트외스타시우스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아카디아 ¹ 일부가 남아메리카에도 속한다. ² 나라 목록 243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 미국 미국 미국인 언어 국가 국기 수도 문화 음식 문학 축제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유학 천연기념물 종교 공휴일 명절 자살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외국인 경제 교통 행정 구역 지리 주 주기 역사 법 연방 정부 정치 정당 대외 관계 대통령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6293289 LCCN: n50081577 GND: 4756592-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의_국가&oldid=24510032" 분류: 미국의 상징미국의 노래영어 노래국가1814년 미국1814년 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디오가 포함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Diné bizaa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호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빵 종류 빵원산지 대한민국 보통 사용되는 재료 쌀가루 호빵은 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야채 따위의 소를 넣고 김에 쪄서 먹는 찐빵이다. 호빵은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인데, 찐빵은 증기에 쪄서 익힌 빵으로 빵 안에 팥 등을 넣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안흥 찐빵이 유명하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같이 보기 4 각주 개요[편집] 단팥과 같은 속을 둥글고 흰 빵이 둘러싼 형태로,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에 먹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찜통에 찌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해서 먹는다. 속에 단팥이 들어가는 형태가 원조이지만 고기나 치즈, 채소, 고구마 등을 넣을 수도 있다.[1] 최근에는 야채호빵, 불닭호빵, 피자호빵, 단호박호빵, 햄치즈호빵 등으로 속재료가 다양해졌고, 모양도 둥근 모양 대신 네모나 꽈배기 형태가 선보이는 등 여러 변형이 등장했다. 할인점과 편의점에서 주로 팔리며, 샤니, 삼립식품, 롯데제과가 주요 호빵 제조업체이다. 역사[편집] 호빵은 이전에 분식집에서 판매하던 찐빵을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쪄 먹을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이다. 삼립식품 창업자인 허창성이 1969년에 일본을 방문한 것을 계기로 개발되었다. 허창성은 일본 거리에서 파는 찐빵을 보고 제빵업계의 비수기인 겨울철에 팔 수 있는 제품으로 호빵을 고안하여 개발한 끝에 1971년에 처음 출시했다. 삼립식품 호빵이란 이름은 임원회의에서 결정됐다. ‘뜨거워서 호호 분다’, 그리고 ‘온 가족이 웃으며 함께 먹는다’는 의미다.[2] 삼립식품의 호빵은 비싼 가격에도 큰 히트를 기록했다. 가수 김도향이 노래하는 “찬바람이 싸늘하게 두 뺨을 스치면, 따스하던 삼립호빵 몹시도 그리웁구나”란 가사의 광고 배경곡은 1978년 2월 동아방송 대상과 문화방송 광고대상에서 특별상인 노래 광고상을 받고, 호빵의 대중화에 기여했다.[3] 1980년대 이후로는 매출이 정체되었다가, 1990년대에 청춘 스타였던 배우 최수종의 광고 이후 다시 매출액이 늘어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로는 호빵 제품이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한국 요리 호떡 붕어빵 계란빵 각주[편집] ↑ 김지산 (2007년 9월 5일). “제빵업계, '600억 시장' 호빵 전쟁 시작”. 머니투데이.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 김성윤 (2007년 10월 13일). “호빵이 생각난다, 따뜻했던 너”. 조선일보.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 길윤형 (2005년 11월 29일). “찬바람이 싸늘하면 호빵이 그리웁구나”. 한겨레21. 2008년 7월 1일에 확인함.  이 글은 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빵&oldid=24199895" 분류: 한국의 빵간식찐빵팥 요리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MelayuTagalog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해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해달속 (Enhydra) 종: 해달 (E. lutris) 학명 Enhydra lutrisLinnaeus, 1758 아종 아시아해달 (E. l. lutris ) 남방해달 (E. l. nereis) 북방해달 (E. l. kenyoni) 해달의 분포도 해달(海獺, 라틴어: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 영어: sea otter)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이다.[2]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중 가장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에 비할 수 없을 만큼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제한적이지만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해초 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에 의해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협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목차 1 생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계통 분류 3 신체적 특징 4 습성 4.1 먹이 사냥 4.2 사회 구조 4.3 번식과 생활사 5 개체 분포 5.1 러시아 5.2 알래스카 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5.4 캘리포니아 5.5 오리건 6 생태 6.1 식성 6.2 핵심종 6.3 천적 7 인간과의 관계 7.1 모피 거래 7.2 복원과 보존 7.3 경제적 영향 7.4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 7.5 수족관과 동물원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생물 분류[편집]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의 해달 가족. 매우 드물게도 새끼가 쌍둥이이다. 해달의 쌍둥이는 매우 드물게 태어나며, 태어나도 어미가 두 마리를 모두 키울 여력이 없어 대개 한 마리를 버리게 된다.[3] 해달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서술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1751년에 쓴 야장(野帳; feildnote)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1758년에는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해달을 다룬 것을 찾을 수 있다.[4] 이때 최초 학명은 Lutra marina였고, 수많은 변경을 거쳐 1922년에 Enhydra lutris로 학명이 확정되었다.[5]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en/εν 과 hydra/ύδρα로, "물속"이라는 뜻이다.[6]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이다.[7]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으나,[8] 사실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멀다. 한편 서남안에 서식하는 바다수달(Lontra felina)이라는 진귀한 수달종이 따로 있는데, 해달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한다. 현재는 멸종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가 족제비과로서 역시 해양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진화[편집] 해달은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무거운 축이다(신장은 큰수달이 더 길지만, 훨씬 몸매가 날씬하다).[9]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10] 또한 해달은 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평생을 살 수 있다.[11] 해달속(Enhydra)의 유일한 종으로서, 해달은 다른 족제비과 동물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1982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해달이 바다표범과 가까운 근연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12] 유전적 분석 결과 해달 및 그 가장 가까운 현생 근연종인 얼룩목수달, 유럽수달, 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이 약 5백만 년 전의 공조상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13] 화석 증거에 따르면 해달속 계통은 북태평양에서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멸종한 Enhydra macrodonta 종과, 현대 해달인 Enhydra lutris 종이 발생하였다.[5] 해달은 홋카이도 북부와 러시아에서 최초로 진화하여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본토를 걸쳐 동쪽으로 퍼져나갔고, 그 뒤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아메리카 해안으로 퍼져나갔다.[14] 물속으로 들어간 것이 대략 5천만 년, 4천만 년, 2천만 년 전인 고래류, 해우류,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은 해양성 포유류계의 상대적 신참자라고 할 수 있다.[15] 하지만 새끼를 치기 위해서 지면이나 빙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이 해양 생활에 더욱 적응한 종이라 할 수 있다.[16] 아종[편집] 현재까지 3개의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신체 크기 및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과 같다.[9][17] 아종 학명 삼명병 명명자 일반명 설명 분포 이명 E. l. lutris (승명아종) Linnaeus, 1758 그냥 해달[18] 아시아해달[18] 코만도르해달[19] 쿠릴해달[19] 가장 몸집이 큰 아종. 두개골이 넓고 코뼈가 짧다.[18] 쿠릴 열도에서 코만도르스키예 제도까지 서태평양 일대[9] gracilis (Bechstein, 1800) kamtschatica (Dybowski, 1922) marina (Erxleben, 1777) orientalis (Oken, 1816) stelleri (Lesson, 1827) E. l. nereis Merriam, 1904 남방해달[18] 캘리포니아해달[18] 두개골이 보다 좁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작다.[18]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9] E. l. kenyoni[20] Wilson, 1991 북방해달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 북단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18] 캐나다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거의 멸종당했다가, 뱅쿠버 섬과 올림픽 반도에 재도입되었다.[9] 오리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1969년에서 1970년에 걸쳐 워싱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이후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후안데푸카 해협까지 그 서식지가 확장되었으며, 필라포인트에서도 해달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서식지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때때로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 북안에서 발견되는 개체도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21]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신체적 특징[편집] N. N. 콘다코프가 그린 해달의 두개골. 해달은 해양 포유류로서는 가장 작은 종 중 하나이지만,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든다.[11] 수컷 해달의 체중은 22 킬로그램 ~ 45 킬로그램(49 파운드 ~ 99 파운드) 정도이며, 신장은 1.2 미터 ~ 1.55 미터(3 피트 10 인치 ~ 4 피트 10 인치) 정도인데, 체중 54 킬로그램(120 파운드)까지 나가는 표본이 기록된 바 있다.[22] 암컷은 그것보다 작아서, 체중은 14 킬로그램 ~ 33 킬로그램(31 파운드 ~ 73 파운드), 신장 1.0 미터 ~ 1.4 미터(3 피트 3 인치 ~ 4 피트 7 인치) 정도이다.[23] 해달의 음경골은 수컷의 경우 매우 크고 묵직하며 위쪽으로 굽어 있다. 그 길이는 150 밀리미터(5.9 인치), 음경골 뿌리는 15 밀리미터(0.59 인치) 정도이다.[24] 해달은 모피가 두텁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몸집이 더 토실토실해 보인다. 대부분의 해양 포유류와 달리 해달은 고래지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유달리 두꺼운 모피를 통해서 체온을 유지한다.[25] 해달의 털은 1 평방센티미터 당 150,000 가닥(1 평방인치당 거의 백만 가닥) 이상 나 있으며, 해달의 모피는 그 어떤 동물보다도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26] 해달 모피는 방수가 되는 길다란 보호털과 그 아래 짧은 잔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털이 물을 막아 줌으로써 아래의 조밀한 잔털층이 마른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차가운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23] 해달은 털갈이 철이 따로 없고, 매번 조금씩 탈모하고 계속 털이 나기 때문에 연중 내내 모피가 두터움을 유지한다.[27] 보호털의 방수 기능은 철저한 청결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해달은 몸 어느 부위의 털이든지 닿아서 그루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늘어져 있으며, 골격이 희한할 정도로 유연한 덕분이다.[28] 모피의 색깔은 보통 진한 갈색에 은빛 회색의 얼룩이 나 있는데, 노란색이나 쥐색 계통의 갈색도 있고, 개중에는 거의 새까만 색도 있다.[29] 성체 해달의 경우 머리, 목, 가슴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더 밝은 색을 띤다.[29] 리스본 수족관의 해달. 기묘한 유연성을 이용해 그루밍을 하고 있다. 해달은 해양 환경에 여러 모로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 조그만 귀와 콧구멍은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30] 뒷발은 길고 넓적하며 반반하기 때문에 헤엄칠 때 상당한 추진력을 낼 수 있게 해 준다.[31] 뒷발은 그 다섯째 발가락이 가장 길다. 이 발가락 이 덕분에 누워서 헤엄칠 수 있지만, 걷는 것은 어려워한다.[32] 꼬리는 제법 짧고 두꺼우며 약간 넓적한데 근육질이다. 짧은 앞발에는 오므릴 수 있는 갈고리발톱들이 나 있으며, 발바닥에 거칠거칠한 육구가 붙었기 때문에,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용이하다.[33] 이렇게 사지를 오므리고 잔다. 밴쿠버 수족관. 수중에서 해달은 꼬리와 뒷발을 비롯한 몸의 뒤쪽 부분을 위아래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간다.[31] 그리고 그 속도는 최대 시속 9 킬로미터(시속 5.6 마일)에 이른다.[9] 물속으로 들어가면 해달은 짧은 앞다리를 가슴에 딱 붙여 포개어 몸을 전체적으로 길고 유선형으로 만든다.[34] 한편, 수면 위로 올라오면 해달은 배를 드러내고 누워서, 발을 노젓듯 움직이고 꼬리를 옆으로 흔들면서 떠다닌다.[35] 휴식을 취할 때는 사지를 모두 오므려 몸통에 접어 붙이고 체온을 보존한다. 반대로 날씨가 너무 더울 때는 뒷발을 물속에 넣어서 몸을 식히기도 한다.[36] 해달의 몸은 부력이 매우 커서 물에 잘 뜨는데, 이것은 해달의 폐활량이 매우 큰 것과(비슷한 덩치의 육상 포유류의 2.5배 정도이다)[37] 모피 속에 공기가 찬 것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해달은 땅으로 올라오면 걸음걸이가 굴러다닐 듯 어설프지만, 껑충껑충 뛰어서 도망갈 수는 있다.[32] 물이 어둡거나 탁할 경우, 해달은 길고 매우 민감한 수염과 앞발의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다.[11] 연구자들은 해달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연구진이 해달에게 접근했을 때, 해달 쪽으로 바람이 불면 해달이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것은 해달의 후각이 시각보다 경고 감각으로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8] 또 다른 관찰에서 밝혀진 바로는, 해달의 시력은 물 위에서나 물속에서나 도움이 되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물개류만큼 눈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39] 청력은 특별히 좋은 편도 나쁜 편도 아니다.[40]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41]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42] 성체 해달의 치열은 3.1.3.12.1.3.2이다.[43]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44][45]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46]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25]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47] 습성[편집] 예민한 동모와 앞발로 해달은 그 촉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해달은 주행성 동물이다. 해가 뜨기 한 시간쯤 전 아침부터 먹이를 잡아먹기 시작하고, 한낮 동안에는 쉬거나 잠을 잔다.[48] 오후가 되면 몇 시간 동안 또 먹이를 잡아먹다가 해가 지기 전에 그만두고, 한밤중 즈음에 다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48]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특히 밤에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48] 해달을 관찰한 결과, 먹이를 찾고 잡아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24~60% 정도였으며, 이것은 서식지에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 같다.[49] 해달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그루밍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털을 깨끗이 하고, 엉킨 털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고, 털에서 물을 짜내고 털 속으로 공기를 통하게 한다. 관찰하는 도중 해달이 몸을 긁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털 속에 이라던가 다른 기생충이 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50] 먹이를 먹을 때 해달은 물속에서 몸을 주기적으로 굴리는데, 털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1] 먹이 사냥[편집]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30]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23]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51]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51]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25]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52]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53]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54]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53]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55]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23] 사회 구조[편집] 물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서로 손을 잡고 잔다.[56] 이 짐승의 몸이 부력이 매우 크다는 데 주목할 것. 성체든 유체든 먹이 사냥은 혼자 하지만, 해달은 휴식을 취할 때는 래프트(raft)라는 동성(同性) 무리와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래프트는 대략 10~100 마리의 해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컷 래프트가 암컷 래프트보다 규모가 크다.[57] 현재까지 발견된 래프트 중 가장 큰 것은 2000 마리 이상의 해달들이 모여 있었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먼 바다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다시마류 해초에 자기 몸을 묶는다.[58] 짝짓기에 있어서, 번식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암컷들에게 선호받는 수컷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59]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가을이 짝짓기의 절정기이며, 수컷은 자기 세력권을 봄부터 가을까지만 지키고 있는다.[59] 이 기간 동안 수컷은 다른 수컷을 쫓아내기 위해 세력권의 경계를 순찰하는데,[59] 실제로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는 드물다.[57] 성체 암컷은 수컷들의 세력권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는데, 대략 5대 1의 비율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보다 더 많다.[59] 자기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모여서 수컷만 있는 큰 무리를 이루고,[59] 암컷들의 구역을 헤집고 다니면서 짝짓기 상대를 찾는다.[60] 해달은 다양한 음성 행동을 보인다. 새끼의 울음소리는 갈매기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한다.[61] 암컷은 만족했을 때 구구구 거리는 소리를 내고, 이에 비해 수컷은 꿀꿀거리는 소리를 낸다.[62] 고통을 받거나 겁을 먹은 성체는 휘파람소리, 쉬익 하는 새는 소리를 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61][63] 해달이 장난기 많고 사교적인 동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는 취급받지 못한다.[64] 해달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고, 각각의 성체 해달은 사냥, 그루밍, 방어 등의 면에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다.[64] 번식과 생활사[편집]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의 코를 물어뜯는다. 그 탓에 피가 나고 흉터가 진다. 해달은 일부다처이다.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 동반자를 가진다. 하지만 발정기의 암컷과 그 짝이 며칠에 걸쳐 일시적으로 암수 한 쌍의 짝을 이루기도 한다.[51]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다소 거칠다. 수컷은 암컷의 코와 주둥이를 물어뜯어 흉터를 남기고, 어떤 때는 암컷의 머리를 물속에 처박기도 한다.[9] 최소 한 마리의 암컷이 코의 감염으로 인해 사망했음이 보고되어 있다.[65] 출산은 연중 일어나는데, 북방 개체군은 5월과 6월 사이, 남방 개체군은 1월과 3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66] 해달은 착상 지연이 가능한 동물이기 때문에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상 이후에는 4개월 동안 새끼를 배고 있는다.[66] 캘리포니아의 해달은 매년 새끼를 치는데, 그 빈도가 알래스카의 해달의 두 배 정도 높다.[67] 출산은 보통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한 배에 한 새끼를 낳고 막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4 ~ 2.3 킬로그램(3 ~ 5 파운드)이다.[68] 2% 확률로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대개 쌍둥이 중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9]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뜰 수 있고, 이빨 열 개가 보이고, 두꺼운 모피를 두르고 있다.[69] 어미는 태어난 새끼를 몇 시간 동안 핥고 부풀린다. 그루밍이 끝나면 새끼의 털 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 위에 코르크처럼 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수는 하지 못한다.[70] 새끼의 솜털은 13주가 지나면 없어지고 성체의 털과 같은 새 털이 난다.[4] 새끼를 가슴에 안고 떠다니는 어미 해달. 게오르크 스텔러는 “해달은 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애착을 가지고 새끼를 포옹한다.”고 말했다.[71] 수유 기간은 캘리포니아 개체군은 6 ~ 8 개월, 알래스카 개체군은 4 ~ 12 개월 정도 계속된다. 동시에 1 ~ 2개월 정도 지나면 먹이 조각을 조금씩 주기 시작한다.[72] 복부의 유두에서 분비되는 해달의 젖은 지방이 풍부하여 족제비과 동물의 젖보다는 다른 해양성 포유류의 그것과 유사하다.[73] 새끼는 어미의 지도 아래 헤엄과 잠수를 연습하여 수 주가 지나면 바다 밑바닥까지 닿을 수 있다. 새끼가 처음 잡아오는 것은 알록달록한 불가사리나 조약돌 따위의, 먹거리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52] 그러다 6 ~ 8 개월이 지나면 새끼는 독립하게 되는데,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미가 새끼를 버릴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74] 반대쪽 극단적 사례로는, 새끼가 거의 성체만하게 자랐는데도 여전히 어미에게 보살핌을 받는 경우도 있다.[68] 해달의 영아사망률은 높은 편으로, 특히 태어나서 첫 번째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 한 추산에서는 태어나서 1년을 넘기는 새끼는 전체의 25%에 불과했고,[74] 경험이 많은 어미가 낳은 새끼들의 생존률이 가장 높았다.[75] 새끼를 먹이고 키우는 모든 일은 암컷이 도맡아 한다. 또한 가끔 고아가 된 새끼를 거두어 키우는 것도 목격된다.[76] 2010년에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홀로 떨어진 생후 5주의 새끼 암컷 해달을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으로 데려왔더니 나이 9살의 암컷 해달이 먹는 법, 헤엄치는 법, 그루밍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77][78] 이 새끼 해달(이름 "키트")은 2년 뒤인 2012년 6월에 샌디에이고로 옮겨갔다가 2013년 1월에 몬트레이베이로 돌아왔다.[79] 한편 양어미(이름 "마에")는 키트가 샌디에이고에 가 있던 사이 2012년 11월 17일에 11살로 죽었다.[80][81] 어미 해달의 새끼에 대한 헌신의 수준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이 여러 기록을 남긴 바 있다. 어미는 새끼에게 거의 끊임없는 관심을 쏟고, 찬 물에 닿지 않도록 가슴에 올려둔 뒤 조심스럽게 털을 그루밍해 준다.[82] 먹이를 잡을 때는 새끼를 물 위에 남겨두고 잠수하는데, 떠내려가지 않도록 켈프류 수초로 묶어 놓는다.[83] 새끼는 잠들어 있지 않다면,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시끄럽게 울어댄다.[84] 새끼가 죽으면,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의 시체를 계속 데리고 다닌다.[71] 암컷 해달은 태어나고 3, 4년, 수컷은 5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하지만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했다 해도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제대로 새끼를 치지 못한다.[85] 한편 포획된 수컷이 19살의 나이에 새끼를 친 바 있다.[68] 야생에서 해달의 최대 수명은 23살 정도이고,[23] 평균 수명은 수컷이 10 ~ 15살, 암컷이 15 ~ 20살 정도이다.[86] 인간에게 잡혀 사는 해달은 20살을 넘겨 사는 경우가 많은데, 시애틀 수족관의 암컷은 28살까지 살다 죽었다.[87] 야생 해달은 그 이빨이 닳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인해 사육 상태보다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인다.[88] 개체 분포[편집] 해달 보존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캘리포니아 주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해달은 수심 15~23 미터(50~75 피트) 정도의 연안 지역,[89] 즉 해안가에서 1 킬로미터(⅔ 마일) 이내에 서식한다.[90] 해달은 보통 거친 바닷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위투성이 해안지대, 켈프림, 보초 등지에서 찾을 수 있다.[91] 해달은 대부분 암석 기층(基層; substrate) 지역에서 생활하지만, 해저가 진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살 수 있다.[92] 해달은 유빙 사이에서는 생존할 수 있어도 정착빙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고로, 그 서식지는 얼음으로 인한 북방 한계를 가진다.[93] 해달 개체는 대략 1 킬로미터 길이의 행동 범위를 차지하며, 연중 계속 그 행동권에 머무른다.[94] 해달의 개체수는 한때 150,000 마리에서 300,000 마리에 달한 것으로 생각되며,[8] 그 서식지는 일본 북부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중부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꼴을 그렸다. 그러나 1740년대부터 시작된 모피 거래로 인해 해달의 개체수는 13개 무리 1,000~2,000 마리 정도까지 격감하였다. 해달의 개체수 복원 현황은 옛 서식 범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높은 개체 밀도를 자랑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직도 멸종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도 있다. 현재 러시아 동안,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의 개체수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멕시코에서도 재정착이 보고되고 있다.[95]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루어진 추산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약 107,000 마리의 해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96][97][98][99] 1870년에서 1924년 사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사냥 그래프 러시아[편집] 현재 해달 서식지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곳은 러시아이다.[100] 19세기 이전에는 쿠릴 열도 일대에 20,000 마리에서 25,000 마리의 해달이 서식했으며, 캄차카와 코만도르 제도 근처에는 더 많이 살았다. 대남획시대 이후 이 일대, 현 러시아의 해달 개체수는 고작 750 마리에 불과한 바 있었다.[96] 2004년 현재 해달들은 이 지역 모든 옛 서식지에 재도입되었으며, 그 개체수는 도합 27,000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약 19,000 마리는 쿠릴 열도에, 2000 ~ 3500 마리가 캄차카에, 나머지 5000 ~ 5500 마리는 코만도르 제도에 서식한다.[96] 개체수 성장률이 약간 둔화되었으며, 그 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했다고 생각되고 있다.[96] 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알래스카[편집]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101]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97]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102]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51]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편집] 존 웨버의 《해달》. 1788년경.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103]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98]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4]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4] 캘리포니아[편집]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해달. 캘리포니아에는 3,0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38년에 발견된 해달 약 50 마리의 후손이다. 2012년 봄,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실시한 캘리포니아의 해달 머릿수 조사 결과, 총 2,792 마리가 추산되었다. 이것은 2007년 봄에 정점을 찍은 3,026 마리보다는 감소했지만 2010년의 2,711 마리보다는 중가한 것이다.[99][104][105] 모피 거래가 시작되기 전의 개체 수는 약 16,000 마리 정도였다. 현재의 캘리포니아의 해달들은 1938년에 빅서의 빅스비 다리 옆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 가량의 해달 군집의 후손이다.[106] 주요 서식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산마테오 군의 피죤포인트에서 산타바바라 군에 이른다.[105] 1980년대 후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FWS)은 캘리포니아 해달 약 140 마리를 남부 캘리포니아 산니콜라스 섬으로 옮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의 생각과는 의외로, 산니콜라스에 방사된 해달들은 거의 모두 캘리포니아 본토로 헤엄쳐 돌아가 버렸다.[107] 섬 주위의 풍부한 먹이 덕분에 조금씩 개체수가 늘어나는 추세긴 하지만,[107] 2005년 현재 산니콜라스에 남아 있는 해달은 30 마리 뿐이다.[108] 해달 이주 프로그램을 검정한 계획서에서는 향후 5 ~ 10년 안에 해달 개체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산니콜라스 섬의 해달 개체수는 약 50 마리 정도로 증가했을 뿐이다.[109] FWS가 해달 이주 계획을 시행했을 당시, 당국에서는 캘리포니아 개체군의 "영역 관리"(zonal management) 역시 시행하려 시도한 바 있다. 해달과 인간 어업 활동의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포인트컨셉션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에 이르는 "해달 없는 영역"(otter-free zone)을 공표한 것이다. 이 영역 안에서는 산니콜라스 섬만 해달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그외 다른 곳에서 발견된 해달은 포획하여 이동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된 해달 중 많은 수가 폐사했고, 규제를 무시하고 월경하는 수백 마리의 해달을 모두 포획할 실질적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110] 산타바바라 지역의 환경보호센터와 Otter Project가 제기한 소송에 대응하여, 2012년 12월 19일 USFWS는 "해달 없는 영역" 실험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하고, 해달을 다시 멸종위기종으로 취급, 포인트컨셉션 남안에 군집을 재조성하여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111] 한때 샌프란시스코 만에 해달이 넘쳐나던 적도 있었다.[112]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알류트 족들을 몰래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데리고 가서, 현재의 산호세, 산마에토, 산브루노, 앤젤 섬 일대의 하구 퇴적지에서 해달을 사냥하게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알류트 족들은 에스파냐인들에게 붙잡혀 가거나 사살당하기도 했다.[113] 로스 요새를 세운 이반 쿠스코프는 1812년에 보데가 만 2차 항해를 했을 때 해달이 드물어져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알류트족들을 보냈다. 거기서 그들은 다른 러시아 패거리와 미국인 패거리를 만났고, 3개월에 걸쳐 1,160 마리의 해달을 잡았다.[114] 이 지역의 해달 서식지는 1817년이 되자 사실상 씨가 말랐으며, 러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너머 먼 남쪽에서도 해달 사냥을 하려고 에스파냐와 멕시코 측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다.[115] 샌프란시스코의 해달 개체군은 1840년까지는 명맥은 유지한 것 같다. 1840년 당시 보스턴 출신의 존 바티스타 로저스 쿠퍼 선장이라는 자가 푼타데쿠엔틴 토지불하지(현재의 캘리포니아 주 마린 군)를 임대하기 위해 멕시코 주지사 후안 바티스타 알바라도에게 허가를 받았고, 이와 함께 해달 수렵 허가증도 함께 받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당시 코르테마데라 개울 어귀에 해달이 흔했다고 한다.[116] 갈매기와 해달. 2007년 캘리포니아. 빅서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를 1911년 보호한 이래 남방해달의 서식지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나, 2007년과 2010년 사이 해달 개체수와 서식지는 다소 줄어들었다.[117] 2010년 봄 현재, 남방해달의 서식지 북방 한계선은 투니타스 개울에서 남동쪽으로 2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피죤포인트로 옮겨갔고, 남방 한계선은 COP 유전에서 가비오타 주립공원으로 이동했다.[118] 최근에는 특정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가 생산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가 해달이 먹이로 삼는 조개에 집중적으로 감염되어 해달을 중독시키고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질소와 인이 풍부한 고인 물에서 번성한다. 이 질소와 인은 대개 오수 정화조나 농업용 비료가 유출된 것으로, 우기에 유속이 빠를 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다.[119][120] 2010년,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많은 수의 해달 시체가 발견되었으며, 상어 습격률이 증가한 것 역시 해달의 죽음을 재촉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는 상대적으로 지방이 빈약한 편인 해달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상어에 물려서 죽은 해달 시체는 1980년에 8%, 1990년에 15%,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30%로 증가 추세에 있다.[12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해달이 두 번 관측되었는데, 한 번은 라구나 해변에서, 다른 한 번은 샌디에이고 근교 Zuniga Point Jetty에서였다. 이렇게 남쪽에서 해달이 관찰된 것은 기록상 3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123] 오리건[편집]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124]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125]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6] 생태[편집] 식성[편집] 해달은 켈프를 뜯어먹고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음으로써 켈프림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해달이 먹이로 삼는 종은 100종이 넘는다.[127] 그 중에서 해달은 각종 해양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는데, 해달의 먹이가 되는 해양 무척추동물은 성게를 비롯해서 대합·홍합 등 다양한 쌍각류와 전복, 그외 연체동물, 갑각류, 달팽이류 등이 있다.[127] 크기로 보자면 작은 삿갓조개와 게에서부터 문어처럼 큰 것까지 각양각색이다.[127] 성게, 대합, 전복 따위의 먹이의 크기가 다양할 때, 해달은 비슷한 종류의 작은 먹이보다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27]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이 3 인치(7 센티미터)보다 작은 피스모대합은 무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128] 배 위에 조개를 올려놓은 해달. 코의 흉터를 보아 암컷이다. 보다 북쪽의 서식지 일부에서는 해달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1960년대에 암치트카 섬에서 수행된 실험에서(이때 해달의 개체수는 환경용량), 해달의 위장 속의 음식물을 확인했더니 50%가 물고기였다.[129] 물고기 종은 대개 바다 밑바닥에 살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거나,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횟대(Hemilepidotus hemilepidotus)나 참복과 등이었다.[129] 하지만 북아메리카 대륙 연안 알래스카 남부에서는 해달의 먹이로서의 물고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하다.[4][130] 또한 흔히 묘사되는 것과 달리 해달은 불가사리는 거의 먹지 않으며, 켈프류 식물은 해달의 몸 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131] 해달 개체들은 사는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먹이를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자기 어미의 먹이잡는 패턴을 따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132] 해달은 자기들이 선호하는 먹이, 예컨대 성게 같은 것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어로 활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해달 개체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먹이를 바꾼다.[4] 어느 지역에서는 바위틈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을 제외한 전복들을 싹쓸이할 수도 있었지만,[133] 해달이 특정 지역에서 특정 먹이 종을 완전히 절멸시키는 일은 없다.[134] 2007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먹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그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먹이가 소비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해달 개체 각각의 식성은 먹이가 풍부한 지역보다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서 특정 먹이에 특수화되어 있었다.[107] 핵심종[편집] 캘리포니아 연안 후미진 지역. 이런 곳에 모피 거래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해달 군집이 숨어 있다.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9]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135]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136]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136]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36]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136] 천적[편집]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인간과의 관계[편집] 모피 거래[편집] 1896년, 어널래스카 섬의 알류트족 남성들. 해달 사냥을 위해 방수 카약과 옷가지를 사용했다. 해달의 털은 포유류 중 가장 두꺼운 편이다. 해달의 아름다운 털은 많은 사냥꾼들의 목표가 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의 원주민들 역시 식량과 털을 얻을 목적으로 해달을 사냥한 바 있다.[8] 사냥꾼들과 상인들은 가장 귀중한 모피였던 해달 가죽에 대한 외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세계를 헤집고 다녔고, 18세기에 시작된 해양 모피 거래의 일부였던 광범위한 해달 남획의 결과 대략 1백만 마리의 해달이 죽임을 당했다.[8] 18세기 러시아인들이 쿠릴 열도에서 해달을 사냥하기 시작했고,[8] 사냥한 해달은 캬흐타에서 중국인들에게 팔았다. 이 당시 러시아는 태평양 북단을 탐험하고 있었으며, 북빙양 해안선의 지도를 작성하고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비투스 베링을 파견했다.[138] 1741년, 2차 북태평양 항해 당시 베링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베링 섬에서 난파를 당했고, 그 자신을 포함하여 승무원 다수가 사망하였다.[138]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를 포함한 생존 승무원들은 섬의 해변에서 해달을 발견하고, 그해 겨울 해달을 사냥해 잡아먹고 그 가죽으로 도박을 하면서 보냈다.[138] 거의 1,000 마리의 해달을 잡아 죽인 그들은 시베리아로 돌아가 비싼 값을 받고 가죽을 팔았다.[138] 이렇게 하여 소위 말하는 "대남획"(Great Hunt) 시대가 시작되어 그 뒤로 백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러시아인들은 해달 모피가 러시아의 시베리아 팽창의 주요 동기 부여였던 흑담비 모피보다 더 값나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베링 탐사대의 생존자들이 가지고 온 해달 가죽을 캬흐타에서의 값으로 팔았다면, 그들은 베링의 탐사 비용의 10분의 1 정도를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다.[139] 1775년 오호츠크에서 흑담비 모피 값이 2.5 루블이었던 데 반해 해달 모피는 50 ~ 80 루블이나 나갔다. 런던 모피 시장의 해달 모피 매출량(단위: 천). 해달 개체수의 감소로 인해 1880년대부터 매출 급락이 시작된다.[140] 러시아인들의 모피사냥 원정으로 인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개체수는 대폭 감소했고, 1745년이 되자 러시아인들은 알류샨 열도로 옮겨갔다.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원주민인 알류트 족과 거래하여 수달 가죽을 얻었지만, 나중에는 알류트 족을 노예로 만들고, 여자와 아이는 인질로 잡았으며 남자는 고문하고 죽여서 사냥을 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알류트족이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하거나 러시아인들이 옮겨온 병으로 인해 죽었다.[141] 러시아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알류트족 인구는 20,000 여명에서 2,000 여명으로 감소했다.[142] 1760년대에는 러시아인들이 알래스카에 도달했다. 1799년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경쟁적인 모피 사냥 회사들을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로 통폐합하고, 이 회사에 대해 황실 인가와 보호를 보장하여 거래권과 영토 습득을 독점하게 했다. 상인들이 관리하던 회사 운영이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는 제국 해군의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이것은 원주민들에 대한 학대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해군 장교들이 제출한 데 그 원인이 크다. 1818년 알래스카 선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읍민과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받게 되었다.[143] 해달 가죽. 1892년. 남쪽에서는 다른 나라들이 해달 사냥에 뛰어들었다. 현재의 멕시코와 캘리포니아가 되는 해안선을 따라 에스파냐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토착민들에게서 해달 가죽을 사서 아시아에 팔았다.[141]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뱅쿠버 섬에 도달하여 선주민들에게서 해달 모피를 구입했다.[144] 이후 쿡의 배가 중국 항구에 입항하자 이 해달 가죽들은 고가에 빠르게 팔려나가, "부드러운 황금"(soft gold)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그 말이 퍼지자 유럽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해달 모피 무역에 뛰어들기 위해 태평양 북서부로 모여들었다.[144] 러시아는 사냥터를 남쪽으로 확장했고, 러시아 관리자들에게 하청을 받은 미국 선적 선장들과 알류트족 사냥꾼들이 현재의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서 사냥에 착수했다.[145] 1803년에서 1846년 사이, 72척의 미국 배가 캘리포니아 해달 사냥에 참가하였으며, 약 40,000 마리의 가죽과 꼬리를 획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선적의 배는 13척뿐이었으며 수렵한 해달 가죽도 5,696 마리였다.[146] 1812년, 러시아인들은 현재 로스 요새라고 알려진 농경 정착지를 캘리포니아 남부에 건설하고 남방 사령부로 삼았다.[144] 결국 해달 개체수가 너무 감소했기 때문에, 상업적 수렵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알류샨 열도에서의 해달 사냥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보존 측정을 한 1808년 이후 중단되었다.[147] 1834년에는 회사 측에서 추가적 규제를 요청했다.[147] 1867년에 러시아가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했을 당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군은 100,000 마리 이상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사냥을 재개하자 해달은 또다시 빠르게 씨가 말랐다.[148] 해달이 귀해짐에 따라 해달 모피 값도 상승했다. 1880년대에 런던 시장에서 해달 가죽의 가격은 105~165 달러였으나, 1903년에는 1,125 달러까지 치솟았다.[68] 1911년, 러시아, 일본, 대영제국(캐나다), 미국은 해달 및 물개류 보호 국제조약을 체결하고, 해달 수렵 결과물에 대한 지불 중지를 결의했다.[149] 이때 야생 해달은 1,000~2,000여 마리가 남아 있을 뿐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 종이 멸종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복원과 보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해달보호활동입니다. 엑손 발데즈 유조선의 항적을 따라 시커먼 윤기 흐르는 기름이 프린스윌리엄 해협을 뒤덮고 있다. 20세기에 걸쳐 옛 서식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해달의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이 개체수 복원은 해양 환경보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생각되고 있다.[150] 그러나 IUCN은 여전히 해달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달에게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밀어(密漁; poaching), 인간의 어업 활동과의 충돌을 들었다. 해달이 낚시도구에 얽혀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 이제 미국에서 해달 사냥은 원주민들의 제한적 수렵 행위를 제외하면 모두 불법이다.[151]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 극동에서는 밀어 행위가 심각한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사정이 호전되면서 밀어 행위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100] 해달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기름 유출로,[55] 체온 유지를 모피에 유지하는 해달에게 기름 유출은 특히 치명적이다. 해달의 털이 기름을 먹으면, 그 안에 공기를 채울 수 없게 되고, 해달은 저체온증으로 순식간에 죽음에 이른다.[55] 해달이 기름을 마시거나 그루밍하다 삼키게 될 경우, 간과 신장,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55] 1989년 3월 24일의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당시 프린스윌리엄 해협에서 수천 마리의 해달들이 폐사했다. 2006년 현재, 해당 지역에 잔류한 기름은 계속해서 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52] 당시 대중매체의 보도에 의하여 해달에 대한 대중적 동정이 형성되었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장난기 많고 사진발 잘 받는, 죄 없는 구경꾼이던 해달은 완벽한 피해자의 역할을 떠안게 되었다. … 즐겁게 뛰어놀던 귀여운 해달들은 기름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갑작스럽게도 기름범벅이 되어 고통 속에서 겁에 질려 죽어가고 있다.[4]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해달 서식지가 지리적으로 좁다는 것은, 한 번 대형사고가 터지면, 해당 주의 해달 전체의 생존에 재앙이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4][45][51] 기름 유출을 방지하고 해달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해달 구조 활동에서 주된 초점이 맞춰진 중요한 일이다. 또한 해달 개체수를 늘리고 서식지를 넓히는 것 역시 한 번의 기름 유출로 해달들이 싹쓸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 하지만 해달이 조개 수를 감소시킨다는 인식 때문에, 상업적, 오락적, 자급적 이유로 조개 채취를 옹호하는 이들은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는 것에 반대한다. 때로는 어부나 다른 인간들이 불법적으로 해달을 잡아 죽이는 경우도 있다.[153]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달. 뒷발의 기묘한 모양에 주목할 것.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가락이 길어진다.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110]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02]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154]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99]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155]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155][156]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5]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157]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158][159] 경제적 영향[편집] 해달이 좋아하는 먹이, 특히 전복, 대합, 게는 인간의 식량 자원이기도 하다. 몇몇 지역에서는 조개류 수확량의 급락이 해달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해산물을 둘러싼 해달과 인간의 경쟁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공개 토론회가 벌어졌다.[160] 모스랜딩의 이 해달처럼, 해달은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만 일대의 관광자원이다. 남획, 질병, 오염, 지진 등으로 인한 조개 양 감소까지 해달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토론은 복잡했다.[51][161] 북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해안의 해달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개의 수확이 감소하고 있으며, 몇몇 환경보호론자들은 연안에 조개류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은 모피 거래로 인한 해달의 지역적 멸종으로 인한 최근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61] 조개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해달이 조개를 포식함으로써 조개 채취업이 상업적으로 불가능해질 지경까지 감소할 수 있다.[160] 과학자들은 해달과 전복 채취업이 공존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160] 그 외의 특정 조개류에 대해서 역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110] 해달과 인간 경제의 상호작용의 여러 양상은 즉각적으로 직감하기는 어렵다. 해달은 그 유명한 성게 개체수 조절 기능으로 켈프 수확 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켈프는 음식, 제약 산업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162] 인간 잠수부들은 식용 또는 켈프 보호를 위해 붉은성게를 채취하지만, 해달은 더 많은 성게 종을 사냥할 뿐더러 매우 일관되게 그 개체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63] 켈프림 생태계의 건강은 물고기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인간 경제에 있어 중요한 물고기 종의 개체수도 증가하게 된다.[162] 일부 지역에서는 해달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어, 해달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인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162]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편집] 왼쪽: 알류트 족의 해달 부적. 새끼를 끌어안은 어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 고래수염 창으로 해달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알류트 족의 조각. 둘 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표트르 대제 인류학 및 민족지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해달을 묘사한 물건은 일종의 마술적인 성질이 있다고 믿어졌다.[164] 북태평양 일대의 해양 토착 문화, 특히 쿠릴 열도의 아이누 민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인과 이텔멘인, 알류샨 열도의 알류트 족, 하이다과이의 하이다 족,[165] 북아메리카 태평양 해안의 부족들 다수에서 해달은 물질적 자원임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이들 문화권은 대부분 강력한 애니미즘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통은 자연 세계의 많은 요소가 정령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갖가지 전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개중에 해달은 특히 인간과 동질하다고 생각되었다. 누트카 족, 하이다 족을 비롯해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 지역의 퍼스트 네이션스들은 따뜻하고 사치스러운 날가죽을 추장의 예장으로서 사용했다. 해달 날가죽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등의 포틀래치에서 수여되었다.[56] 알류트 족은 해달 뼈에 조각을 해서 장식품 또는 놀잇감으로 사용했고, 해달의 음경골을 가루로 만들어 해열제로 사용했다.[166] 아이누 민족에게 수달은 가끔씩 찾아오는 인간과 조물주 사이의 메신저였다.[167] 아이누 민속에 있어 해달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아이누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クトゥネシㇼカ)는 황금 해달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전쟁과 다툼에 대한 서사시이다. 알류트 족 사이에는 연인 또는 절망한 여자가 바다 속에 투신하여 해달이 되었다는 전설이 다양한 판본으로 널리 퍼져 있다.[168] 이러한 인간과 해달의 관계는 해달의 여러 가지 인간스러운 행동 특성과 결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장난기가 많고, 어미와 새끼 사이에 유대감이 강하며, 도구를 사용한다. 그야말로 의인화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고 할 수 있다.[169] 해달에 대한 상업적 착취가 시작되고, 해달뿐 아니라 아이누와 알류트 역시 쫓겨나고 인구수가 격감했다. 해달의 수가 대폭 감소한 북아메리카 해안의 부족들은 더 이상 생존을 위해 해양 포유류에게 예전같이 의지하지 않았다.[170] 1970년대 이후로는 해달은 그 귀염성과 매력으로 인해 널리 공감을 받게 되었고, 환경 보존 운동의 아이콘적 존재가 되었다.[154] 해달의 동글동글하고 표현력 풍부한 얼굴,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몸은 갖가지 기념품, 엽서, 옷가지, 봉제 장난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 벤쿠버 수족관의 해달 수족관과 동물원[편집] 해달은 인간에게 잡혀 지내면서도 잘 살 수 있으며, 현재 40개소 이상의 수족관과 동물원에서 해달을 사육하고 있다.[172] 시애틀 수족관은 1979년에 개체 티추크(Tichuk)가 태어나고, 1980년대에 새끼가 세 마리 더 태어남으로써, 해달을 수정란부터 성체까지 완전히 사육한 최초의 기관이 되었다.[173] 2007년에는 해달 두 마리가 서로 손을 잡고 물에 떠다니는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2주만에 1백 5십만 회의 조회수를 확보했고, 2013년 현재는 1천 9백만 회를 초과하고 있다.[174] 해당 동영상은 벤쿠버 수족관에서 5년 앞서 촬영된 것으로, 업로드되었을 당시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물 관련 동영상이었다. 동영상에서 털 색깔이 밝은 해달의 이름은 니아크(Nyac)이며,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때 구조된 해달이다.[175][176] 니아크는 2008년 9월에 20살로 죽었다.[177] 같이 보기[편집] 수달 캘리포니아 모피 사냥 보노보노 각주[편집] ↑ 가 나 Doroff, A.; Burdin, A. (2015). “Enhydra lutris (Sea Otter)”. 《IUCN Red 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 가 나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 Tiny Sea Otter Siblings Fight the Odds, Wired Science, June 28, 201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9 ↑ 헨리 리델(Henry George Liddell),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OCLC 17396377.  ↑ Nickerson, p.19 ↑ 가 나 다 라 마 Silverstein, p.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Enhydra Lutis”.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enyon, p.4 ↑ 가 나 다 VanBlaricom, p.11 ↑ Koepfli, K.-P; Wayne, R.K. (1998년 12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tters (Carnivora: Muste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Journal of Zoology 246 (4): 401–416. doi:10.1111/j.1469-7998.1998.tb0017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Koepfli KP; Deere KA; Slater GJ; Begg, Colleen; Begg, Keith; Grassman, Lon; Lucherini, Mauro; Veron, Geraldine; Wayne, Robert K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15–16 ↑ Love, pp.4–6 ↑ Love, p.6 ↑ "Enhydra lutri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18 March 200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ilson; Don. E.; Brownell, R. L.; Burdin, A. M.; Maminov, M. K. (1991년 2월). “Geographic Variation in Sea Otters, Enhydra lutris”. Journal of Mammalogy 72 (1): 22–36. JSTOR 1381977. doi:10.2307/138197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ptner & Sludskii 2002, 1349쪽 ↑ 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 (PDF). 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 2007년 6월. 200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PMID 10396181. doi:10.1017/S0006323199005307.  ↑ The Wildlife Year.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991). ISBN 0-276-42012-8.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Enhydra lutris at MarineBio.org”. 200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eptner & Sludskii 2002, p.1342 ↑ 가 나 다 Nickerson, p.21 ↑ Silverstein, p.14 ↑ Kenyon, pp.37–39 ↑ Love, p.21 and 28 ↑ 가 나 Love, p.27 ↑ 가 나 Silverstein, p.13 ↑ 가 나 Love, p.21 ↑ 가 나 Kenyon, p.70 ↑ Silverstein, p.11 ↑ Kenyon, p.62 ↑ Love, p.22 ↑ VanBlaricom, p.64 ↑ “USFWS Species Profile: Southern sea otter (Enhydra lutris nereis)”.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Kenyon, p.55 ↑ Love, p.23 ↑ Kenyon, p.56 ↑ Kenyon, p.43 ↑ Love, p.74 ↑ Kenyon, p.47 ↑ VanBlaricom, p.17 ↑ 가 나 “Sea Otter” (PD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 1993년 10월.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24 ↑ Ortiz RM (2001년 6월). “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11): 1831–44. PMID 114410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다 Love, pp.69–70 ↑ Love, pp.70–71 ↑ Kenyon, p.7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1993). “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Documentary). U.S.A.: PBS.  ↑ 가 나 Haley, D. (ed.) (1986). 〈Sea Otter〉. 《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 2판. Seattle, Washington: Pacific Search Press. ISBN 0-931397-14-6. OCLC 13760343.  ↑ 가 나 VanBlaricom, p.22 ↑ “Sea otter”. BBC. 2012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AquaFact file”. Vancouver Aquarium Marine Science Centre. 2007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Okerlund, Lana (2007년 10월 4일). “Too Many Sea Otters?”.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49 ↑ VanBlaricom, p.45 ↑ 가 나 다 라 마 VanBlaricom, pp.42–45 ↑ Love, p.50 ↑ 가 나 Kenyon, p.77 ↑ Kenyon, pp.78–79 ↑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은 어미 해달의 비명: JoeMillerUS (2012년 10월 21일). “Alaska Killer Whales vs. Witty Otter”. Youtube.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Silverstein, p.61 ↑ Love, p.52 ↑ 가 나 Love, p.54 ↑ Silverstein, p.30 ↑ 가 나 다 라 Nowak, Roland 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ume II Fif판.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1–1143쪽. ISBN 0-8018-3970-X.  ↑ Kenyon, p.44 ↑ Love, pp.56–61 ↑ 가 나 Love, p.58 ↑ Silverstein, pp.31–32 ↑ Love, p.61 ↑ 가 나 Love, p.63 ↑ Love, p.62 ↑ Love, p.59 ↑ 구본준 (2011년 7월 18일). “이보다 더 귀여울수 없는 아기 동물들”. 한겨레.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Kit the Sea Otter Pup at Play with Her Companion, Mae”. Monterey Bay Aquariu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동영상 ↑ “Sea Otter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Mae, First Otter to Raise a Pup on Exhibit, Die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Watch Mae, who passed away last weekend, play with sea otter pup Kit. We’ll miss her!”.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Kenyon, p.89 ↑ Silverstein, p.31 ↑ Silverstein, p.28 ↑ Love, p.53 ↑ VanBlaricom, p.71 ↑ VanBlaricom, pp.40–41 ↑ VanBlaricom, p.41 ↑ Silverstein, p.17 ↑ Nickerson, p.49 ↑ Silverstein, p.19 ↑ VanBlaricom, p.14 ↑ Kenyon, p.133 ↑ Love, pp.67–69 ↑ VanBlaricom, p.54 ↑ 가 나 다 라 Kornev S.I., Korneva S.M. (2004) Population dynamics and present status of sea otters (Enhydra lutris) of the Kuril Islands and southern Kamchatka. Marine Mammals of the Holarctic, Proceedings of 2004 conference. p.273–278. ↑ 가 나 “Sea Otters –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 Alaska.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arrett-Lennard, Lance (2004년 10월 20일). “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 Vancouver Aquarium. 200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eff, Lisa (2007년 6월 15일). “California otters rebound, but remain at risk”. Associated Press. 201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VanBlaricom, p.62 ↑ Nickerson, p.46 ↑ 가 나 Schrope M (2007년 2월). “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Nature 445 (7129): 703–5. PMID 17301765. doi:10.1038/445703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2011년 8월 22일에 확인함.  ↑ Brian Hatfield, Tim Tinker (2012년 8월 12일). “Spring 2012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Census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pring 2007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 Geological Survey. 2007년 5월 30일.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ilverstein, p.41 ↑ 가 나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Cruz (2008년 1월 18일). “Sea Otter Show Striking Variability In Diets And Feeding Strategies”. ScienceDaily.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roposes that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be Terminated” (PD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5년 10월 5일.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Service Proposes to End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USFWS Pacific Southwest Region. 2011년 8월 17일.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alance sought in sea otter conflict”. CNN. 1999년 3월 24일. 2008년 1월 25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2년 12월 20일). “U.S. will let otters roam along Southern California coast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Southern Sea Otters. nrdc.org ↑ Adele Ogden (1975). The California sea otter trade, 1784–1848.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쪽. ISBN 978-0-520-02806-7.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Hubert Howe Bancroft, Alfred Bates, Ivan Petroff, William Nemos (1887). History of Alaska: 1730–1885. San Francisco, California: A. L. Bancroft & company. 482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촥인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uzanne Stewart and Adrian Praetzellis (2003년 11월). Archeological Research Issues for the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Golden Gate National Recreation Area (PDF). Anthropological Studies Center, Sonoma State University. 335쪽.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ob Battersby, Preston Maginis, Susan Nielsen, Gary Scales, Richard Torney, and Ed Wynne (2008년 5월). Ross, California – The people, the places, the history. Ross Historical Society.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 Young Landis (2010년 8월 3일). “California Sea Otter Numbers Drop Again”. U. S. Geological Survey.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Spring 2010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0년 9월 23일). “Another deadly challenge for the sea otter”.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Miller MA; Kudela RM; Mekebri A; Crane D; Oates SC; Tinker, M. Timothy; Staedler, Michelle; Miller, Woutrina A.; Toy-Choutka, Sharon (2010년 9월 10일). Thompson, Ross, 편집. “Evidence for a Novel Marine Harmful Algal Bloom: Cyanotoxin (Microcystin) Transfer from Land to Sea Otters”. PLoS ONE 5 (9): e12576. PMC 2936937. PMID 20844747. doi:10.1371/journal.pone.001257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Victoria Colliver (2011년 1월 23일). “Sea otter deaths jump in 2010”.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USGS (2012년 04월). “Number of dead California sea otters a record high in 2011” (PDF).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Rare sighting of sea otter off Laguna Beach”. 2011년 12월 7일. 2013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 Jameson, Ronald James (1975).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PDF). Oregon State University. OCLC 9653603.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M.Sc. thesi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Quinn, Beth (2004년 10월 17일). “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PDF). Oregonlive. 201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 Oregonlive. 2009년 2월 20일. 2009년 2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p.18–29 ↑ Love, p.96 ↑ 가 나 Kenyon, p.121 ↑ Love, p.76 ↑ Kenyon, p.119 ↑ VanBlaricom, p.29 ↑ VanBlaricom, p.30 ↑ Nickerson, p.57 ↑ “Aquatic Species at Risk – Species Profile – Sea Otter”. 캐나다 어업해양청.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33 ↑ 가 나 Nickerson, P. “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fenders of Wildlife. 65쪽. 2011년 7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ilverstein, p.35 ↑ James R Gibson,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1969, page 17 ↑ Brass E. (1911) Aus dem Reiche der Pelze, Bd III, Berlin ↑ 가 나 Silverstein, p.37 ↑ Gedney, Larry (1983년 5월 6일). “The Aleut and the Otter”.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Middleton, p.8 ↑ 가 나 다 Silverstein, p.38 ↑ Farris, pg.21, ↑ Mathes, p.326 ↑ 가 나 Middleton, pg.4 ↑ Silverstein, p.40 ↑ VanBlaricom, p.50 ↑ VanBlaricom, p.53 ↑ VanBlaricom, p.65 ↑ Weise, Elizabeth (2007년 1월 31일). “Damage of Exxon Valdez endures”.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Nickerson, pp.47–48 ↑ 가 나 “Sea Otters: Species Description”. Alaska SeaLife Center.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Kreuder C; 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 (2003년 7월).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9 (3): 495–509. PMID 14567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 NOAA magazine (미국 해양대기청). 2003년 1월 21일. 200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City of Monterey. 2008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VanBlaricom, p.34 ↑ 가 나 Love, pp.93–98 ↑ 가 나 다 Silverstein, p.49 ↑ Nickerson, p.70 ↑ Lyapunova R.G. (1963) Museum materials on the Aleuts. Catalog of the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Academy of Sciences, USSR, vol. XXI. ↑ Szpak, Paul; Orchard, Trevor J.; McKechnie, Iain; Gröcke, Darren R. (2012). “Historical Ecology of Late Holocene Sea Otters (Enhydra lutris)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Isotopic and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5): 1553–1571. doi:10.1016/j.jas.2011.12.00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34–35 ↑ Chamberlain, B. (1888). 《Aino Folk Tales》. London,: The folk-lore society, private print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 A. Golder. (1905) Aleutian Stories.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18, No. 70. (July–September), pp.215–222. ↑ N. I. Barabash-Nikiforov (1947) Калан (Enhydra lutris L.) его биология и вопросы хозяйства (The sea otter (Engydra lutris L): biology and management), Published by: Natural Preservation Ministry of the RSFSR, Moscow. ↑ Hatch, David R. (2002) Elakha: Sea Otters, Native People, and European Colonization in the North Pacific. In Changing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5th and 6th Annual Coquille Cultural Preservation Conferences. Donald B. Ivy and R. Scott Byram, eds. pp.79–88. North Bend, OR: Coquille Indian Tribe. ↑ Love, p.97 ↑ VanBlaricom p.69 ↑ “Seattle Aquarium's Youngest Sea Otter Lootas Becomes a Mom”. Business Wire. 2000년 4월 19일.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 cynthiaholmes (2007년 3월 19일). “Otters holding hands”. YouTube. 200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Vancouver sea otters a hit on YouTube”. CBC News. 2007년 4월 3일.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매일 생사 넘나드는 해달의 삶...KBS1'KBS파노라마'”. 국민일보. 2013년 8월 13일.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Vancouver Aquarium's oldest sea otter, Nyac, passes”. Vancouver Aquarium. 2008년 9월 23일.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enyon, Karl W. (1969). The Sea Otter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Washington, D.C.: U.S. Bureau of Sport Fisheries and Wildlife. ISBN 0-486-21346-3.  Love, John A. (1992). Sea Otters. Golden, Colorado: Fulcrum Publishing. ISBN 1-55591-123-4. OCLC 25747993.  Nickerson, Roy (1989). Sea Otters, a Natural History and Guide.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ISBN 0-87701-567-8. OCLC 18414247.  Silverstein, Alvin; Silverstein, Virginia and Robert (1995). The Sea Otter. Brookfield, Connecticut: The Millbrook Press, Inc. ISBN 1-56294-418-5. OCLC 3043654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iddleton, John (2001). Maritim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Today. San Francisco, Californi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lecture.  Farris, Glenn (2007). Mains'l Haul, a Journal of Pacific Maritime History, Vol 43. San Diego, California: Maritime Museum of San Diego. ISSN 1540-3386.  Mathes, Michael (2008). The Russian-Mexican Frontier. Jenner, California: Fort Ross Interpretive Association, Inc. ISBN 978-1-60643-951-7.  VanBlaricom, Glenn R. (2001). Sea Otters. Stillwater, MN: Voyageur Press Inc. ISBN 0-89658-562-X. OCLC 463937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The Otter Project – Nonprofit organization Friends of the Sea Otter - Nonprofit organization Otter 501 – Documentary film (영어) 해달 - Curlie (DMOZ 기반) Field notes by Georg Wilhelm Steller, 1742 (PDF) Live sea otter webcam – Monterey Bay Aquarium Live sea otter webcam – Vancouver Aquarium Otters holding hands – The popular YouTube video Precipice of Survival: The Southern Sea Otter (video) Smithsonian Institution – North American Mammals: Enhydra lutris vdeh현존하는 족제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아메리카오소리아과아메리카오소리속아메리카오소리라텔아과라텔속라텔오소리아과돼지코오소리속돼지코오소리오소리속일본오소리 · 오소리 · 유럽오소리담비아과타이라속타이라울버린속울버린담비속아메리카담비 · 담비 · 바위담비 · 닐기리담비 · 유럽소나무담비 · 산달 · 피셔 · 검은담비족제비오소리아과족제비오소리속보르네오족제비오소리 · 중국족제비오소리 · 자바족제비오소리 · 버마족제비오소리 · 베트남족제비오소리그리슨아과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속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줄무늬족제비속사하라줄무늬족제비 · 줄무늬족제비파타고니아족제비속파타고니아족제비얼룩족제비속얼룩족제비그리슨속작은그리슨 · 큰그리슨족제비아과아메리카밍크속아메리카밍크족제비속긴꼬리족제비 · 등줄무늬족제비 · 말레이시아족제비 · 북방족제비 · 쇠족제비 · 고산족제비 · 족제비 · 유럽밍크 · 검은발족제비 · 긴털족제비 · 스텝긴털족제비 · 아마존족제비 · 콜롬비아족제비 · 일본족제비 · 노랑배족제비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이집트족제비수달아과큰수달속큰수달아메리카수달속북아메리카수달 · 바다수달 · 남아메리카수달 · 긴꼬리수달해달속해달얼룩목수달속얼룩목수달수달속수달 · 수마트라수달민발톱수달속아프리카민발톱수달작은발톱수달속작은발톱수달비단수달속비단수달분류 전거 통제 LCCN: sh85119235 GND: 4169258-5 NDL: 00569259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407 ADW: Enhydra_lutris ARKive: enhydra-lutris EoL: 32858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6078 GBIF: 2433670 iNaturalist: 41860 IRMNG: 10198728 ITIS: 180547 IUCN: 7750 MSW: 14001090 NCBI: 34882 Species+: 7275 uBio: 105591 WoRMS: 24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달&oldid=24216140"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달아과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일본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미국의 포유류캐나다의 포유류북아메리카의 포유류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해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해달속 (Enhydra) 종: 해달 (E. lutris) 학명 Enhydra lutrisLinnaeus, 1758 아종 아시아해달 (E. l. lutris ) 남방해달 (E. l. nereis) 북방해달 (E. l. kenyoni) 해달의 분포도 해달(海獺, 라틴어: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 영어: sea otter)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이다.[2]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중 가장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에 비할 수 없을 만큼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제한적이지만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해초 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에 의해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협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목차 1 생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계통 분류 3 신체적 특징 4 습성 4.1 먹이 사냥 4.2 사회 구조 4.3 번식과 생활사 5 개체 분포 5.1 러시아 5.2 알래스카 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5.4 캘리포니아 5.5 오리건 6 생태 6.1 식성 6.2 핵심종 6.3 천적 7 인간과의 관계 7.1 모피 거래 7.2 복원과 보존 7.3 경제적 영향 7.4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 7.5 수족관과 동물원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생물 분류[편집]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의 해달 가족. 매우 드물게도 새끼가 쌍둥이이다. 해달의 쌍둥이는 매우 드물게 태어나며, 태어나도 어미가 두 마리를 모두 키울 여력이 없어 대개 한 마리를 버리게 된다.[3] 해달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서술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1751년에 쓴 야장(野帳; feildnote)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1758년에는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해달을 다룬 것을 찾을 수 있다.[4] 이때 최초 학명은 Lutra marina였고, 수많은 변경을 거쳐 1922년에 Enhydra lutris로 학명이 확정되었다.[5]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en/εν 과 hydra/ύδρα로, "물속"이라는 뜻이다.[6]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이다.[7]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으나,[8] 사실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멀다. 한편 서남안에 서식하는 바다수달(Lontra felina)이라는 진귀한 수달종이 따로 있는데, 해달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한다. 현재는 멸종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가 족제비과로서 역시 해양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진화[편집] 해달은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무거운 축이다(신장은 큰수달이 더 길지만, 훨씬 몸매가 날씬하다).[9]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10] 또한 해달은 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평생을 살 수 있다.[11] 해달속(Enhydra)의 유일한 종으로서, 해달은 다른 족제비과 동물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1982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해달이 바다표범과 가까운 근연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12] 유전적 분석 결과 해달 및 그 가장 가까운 현생 근연종인 얼룩목수달, 유럽수달, 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이 약 5백만 년 전의 공조상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13] 화석 증거에 따르면 해달속 계통은 북태평양에서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멸종한 Enhydra macrodonta 종과, 현대 해달인 Enhydra lutris 종이 발생하였다.[5] 해달은 홋카이도 북부와 러시아에서 최초로 진화하여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본토를 걸쳐 동쪽으로 퍼져나갔고, 그 뒤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아메리카 해안으로 퍼져나갔다.[14] 물속으로 들어간 것이 대략 5천만 년, 4천만 년, 2천만 년 전인 고래류, 해우류,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은 해양성 포유류계의 상대적 신참자라고 할 수 있다.[15] 하지만 새끼를 치기 위해서 지면이나 빙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이 해양 생활에 더욱 적응한 종이라 할 수 있다.[16] 아종[편집] 현재까지 3개의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신체 크기 및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과 같다.[9][17] 아종 학명 삼명병 명명자 일반명 설명 분포 이명 E. l. lutris (승명아종) Linnaeus, 1758 그냥 해달[18] 아시아해달[18] 코만도르해달[19] 쿠릴해달[19] 가장 몸집이 큰 아종. 두개골이 넓고 코뼈가 짧다.[18] 쿠릴 열도에서 코만도르스키예 제도까지 서태평양 일대[9] gracilis (Bechstein, 1800) kamtschatica (Dybowski, 1922) marina (Erxleben, 1777) orientalis (Oken, 1816) stelleri (Lesson, 1827) E. l. nereis Merriam, 1904 남방해달[18] 캘리포니아해달[18] 두개골이 보다 좁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작다.[18]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9] E. l. kenyoni[20] Wilson, 1991 북방해달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 북단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18] 캐나다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거의 멸종당했다가, 뱅쿠버 섬과 올림픽 반도에 재도입되었다.[9] 오리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1969년에서 1970년에 걸쳐 워싱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이후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후안데푸카 해협까지 그 서식지가 확장되었으며, 필라포인트에서도 해달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서식지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때때로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 북안에서 발견되는 개체도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21]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신체적 특징[편집] N. N. 콘다코프가 그린 해달의 두개골. 해달은 해양 포유류로서는 가장 작은 종 중 하나이지만,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든다.[11] 수컷 해달의 체중은 22 킬로그램 ~ 45 킬로그램(49 파운드 ~ 99 파운드) 정도이며, 신장은 1.2 미터 ~ 1.55 미터(3 피트 10 인치 ~ 4 피트 10 인치) 정도인데, 체중 54 킬로그램(120 파운드)까지 나가는 표본이 기록된 바 있다.[22] 암컷은 그것보다 작아서, 체중은 14 킬로그램 ~ 33 킬로그램(31 파운드 ~ 73 파운드), 신장 1.0 미터 ~ 1.4 미터(3 피트 3 인치 ~ 4 피트 7 인치) 정도이다.[23] 해달의 음경골은 수컷의 경우 매우 크고 묵직하며 위쪽으로 굽어 있다. 그 길이는 150 밀리미터(5.9 인치), 음경골 뿌리는 15 밀리미터(0.59 인치) 정도이다.[24] 해달은 모피가 두텁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몸집이 더 토실토실해 보인다. 대부분의 해양 포유류와 달리 해달은 고래지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유달리 두꺼운 모피를 통해서 체온을 유지한다.[25] 해달의 털은 1 평방센티미터 당 150,000 가닥(1 평방인치당 거의 백만 가닥) 이상 나 있으며, 해달의 모피는 그 어떤 동물보다도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26] 해달 모피는 방수가 되는 길다란 보호털과 그 아래 짧은 잔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털이 물을 막아 줌으로써 아래의 조밀한 잔털층이 마른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차가운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23] 해달은 털갈이 철이 따로 없고, 매번 조금씩 탈모하고 계속 털이 나기 때문에 연중 내내 모피가 두터움을 유지한다.[27] 보호털의 방수 기능은 철저한 청결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해달은 몸 어느 부위의 털이든지 닿아서 그루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늘어져 있으며, 골격이 희한할 정도로 유연한 덕분이다.[28] 모피의 색깔은 보통 진한 갈색에 은빛 회색의 얼룩이 나 있는데, 노란색이나 쥐색 계통의 갈색도 있고, 개중에는 거의 새까만 색도 있다.[29] 성체 해달의 경우 머리, 목, 가슴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더 밝은 색을 띤다.[29] 리스본 수족관의 해달. 기묘한 유연성을 이용해 그루밍을 하고 있다. 해달은 해양 환경에 여러 모로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 조그만 귀와 콧구멍은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30] 뒷발은 길고 넓적하며 반반하기 때문에 헤엄칠 때 상당한 추진력을 낼 수 있게 해 준다.[31] 뒷발은 그 다섯째 발가락이 가장 길다. 이 발가락 이 덕분에 누워서 헤엄칠 수 있지만, 걷는 것은 어려워한다.[32] 꼬리는 제법 짧고 두꺼우며 약간 넓적한데 근육질이다. 짧은 앞발에는 오므릴 수 있는 갈고리발톱들이 나 있으며, 발바닥에 거칠거칠한 육구가 붙었기 때문에,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용이하다.[33] 이렇게 사지를 오므리고 잔다. 밴쿠버 수족관. 수중에서 해달은 꼬리와 뒷발을 비롯한 몸의 뒤쪽 부분을 위아래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간다.[31] 그리고 그 속도는 최대 시속 9 킬로미터(시속 5.6 마일)에 이른다.[9] 물속으로 들어가면 해달은 짧은 앞다리를 가슴에 딱 붙여 포개어 몸을 전체적으로 길고 유선형으로 만든다.[34] 한편, 수면 위로 올라오면 해달은 배를 드러내고 누워서, 발을 노젓듯 움직이고 꼬리를 옆으로 흔들면서 떠다닌다.[35] 휴식을 취할 때는 사지를 모두 오므려 몸통에 접어 붙이고 체온을 보존한다. 반대로 날씨가 너무 더울 때는 뒷발을 물속에 넣어서 몸을 식히기도 한다.[36] 해달의 몸은 부력이 매우 커서 물에 잘 뜨는데, 이것은 해달의 폐활량이 매우 큰 것과(비슷한 덩치의 육상 포유류의 2.5배 정도이다)[37] 모피 속에 공기가 찬 것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해달은 땅으로 올라오면 걸음걸이가 굴러다닐 듯 어설프지만, 껑충껑충 뛰어서 도망갈 수는 있다.[32] 물이 어둡거나 탁할 경우, 해달은 길고 매우 민감한 수염과 앞발의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다.[11] 연구자들은 해달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연구진이 해달에게 접근했을 때, 해달 쪽으로 바람이 불면 해달이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것은 해달의 후각이 시각보다 경고 감각으로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8] 또 다른 관찰에서 밝혀진 바로는, 해달의 시력은 물 위에서나 물속에서나 도움이 되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물개류만큼 눈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39] 청력은 특별히 좋은 편도 나쁜 편도 아니다.[40]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41]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42] 성체 해달의 치열은 3.1.3.12.1.3.2이다.[43]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44][45]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46]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25]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47] 습성[편집] 예민한 동모와 앞발로 해달은 그 촉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해달은 주행성 동물이다. 해가 뜨기 한 시간쯤 전 아침부터 먹이를 잡아먹기 시작하고, 한낮 동안에는 쉬거나 잠을 잔다.[48] 오후가 되면 몇 시간 동안 또 먹이를 잡아먹다가 해가 지기 전에 그만두고, 한밤중 즈음에 다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48]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특히 밤에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48] 해달을 관찰한 결과, 먹이를 찾고 잡아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24~60% 정도였으며, 이것은 서식지에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 같다.[49] 해달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그루밍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털을 깨끗이 하고, 엉킨 털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고, 털에서 물을 짜내고 털 속으로 공기를 통하게 한다. 관찰하는 도중 해달이 몸을 긁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털 속에 이라던가 다른 기생충이 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50] 먹이를 먹을 때 해달은 물속에서 몸을 주기적으로 굴리는데, 털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1] 먹이 사냥[편집]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30]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23]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51]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51]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25]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52]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53]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54]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53]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55]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23] 사회 구조[편집] 물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서로 손을 잡고 잔다.[56] 이 짐승의 몸이 부력이 매우 크다는 데 주목할 것. 성체든 유체든 먹이 사냥은 혼자 하지만, 해달은 휴식을 취할 때는 래프트(raft)라는 동성(同性) 무리와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래프트는 대략 10~100 마리의 해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컷 래프트가 암컷 래프트보다 규모가 크다.[57] 현재까지 발견된 래프트 중 가장 큰 것은 2000 마리 이상의 해달들이 모여 있었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먼 바다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다시마류 해초에 자기 몸을 묶는다.[58] 짝짓기에 있어서, 번식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암컷들에게 선호받는 수컷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59]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가을이 짝짓기의 절정기이며, 수컷은 자기 세력권을 봄부터 가을까지만 지키고 있는다.[59] 이 기간 동안 수컷은 다른 수컷을 쫓아내기 위해 세력권의 경계를 순찰하는데,[59] 실제로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는 드물다.[57] 성체 암컷은 수컷들의 세력권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는데, 대략 5대 1의 비율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보다 더 많다.[59] 자기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모여서 수컷만 있는 큰 무리를 이루고,[59] 암컷들의 구역을 헤집고 다니면서 짝짓기 상대를 찾는다.[60] 해달은 다양한 음성 행동을 보인다. 새끼의 울음소리는 갈매기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한다.[61] 암컷은 만족했을 때 구구구 거리는 소리를 내고, 이에 비해 수컷은 꿀꿀거리는 소리를 낸다.[62] 고통을 받거나 겁을 먹은 성체는 휘파람소리, 쉬익 하는 새는 소리를 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61][63] 해달이 장난기 많고 사교적인 동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는 취급받지 못한다.[64] 해달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고, 각각의 성체 해달은 사냥, 그루밍, 방어 등의 면에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다.[64] 번식과 생활사[편집]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의 코를 물어뜯는다. 그 탓에 피가 나고 흉터가 진다. 해달은 일부다처이다.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 동반자를 가진다. 하지만 발정기의 암컷과 그 짝이 며칠에 걸쳐 일시적으로 암수 한 쌍의 짝을 이루기도 한다.[51]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다소 거칠다. 수컷은 암컷의 코와 주둥이를 물어뜯어 흉터를 남기고, 어떤 때는 암컷의 머리를 물속에 처박기도 한다.[9] 최소 한 마리의 암컷이 코의 감염으로 인해 사망했음이 보고되어 있다.[65] 출산은 연중 일어나는데, 북방 개체군은 5월과 6월 사이, 남방 개체군은 1월과 3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66] 해달은 착상 지연이 가능한 동물이기 때문에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상 이후에는 4개월 동안 새끼를 배고 있는다.[66] 캘리포니아의 해달은 매년 새끼를 치는데, 그 빈도가 알래스카의 해달의 두 배 정도 높다.[67] 출산은 보통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한 배에 한 새끼를 낳고 막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4 ~ 2.3 킬로그램(3 ~ 5 파운드)이다.[68] 2% 확률로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대개 쌍둥이 중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9]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뜰 수 있고, 이빨 열 개가 보이고, 두꺼운 모피를 두르고 있다.[69] 어미는 태어난 새끼를 몇 시간 동안 핥고 부풀린다. 그루밍이 끝나면 새끼의 털 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 위에 코르크처럼 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수는 하지 못한다.[70] 새끼의 솜털은 13주가 지나면 없어지고 성체의 털과 같은 새 털이 난다.[4] 새끼를 가슴에 안고 떠다니는 어미 해달. 게오르크 스텔러는 “해달은 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애착을 가지고 새끼를 포옹한다.”고 말했다.[71] 수유 기간은 캘리포니아 개체군은 6 ~ 8 개월, 알래스카 개체군은 4 ~ 12 개월 정도 계속된다. 동시에 1 ~ 2개월 정도 지나면 먹이 조각을 조금씩 주기 시작한다.[72] 복부의 유두에서 분비되는 해달의 젖은 지방이 풍부하여 족제비과 동물의 젖보다는 다른 해양성 포유류의 그것과 유사하다.[73] 새끼는 어미의 지도 아래 헤엄과 잠수를 연습하여 수 주가 지나면 바다 밑바닥까지 닿을 수 있다. 새끼가 처음 잡아오는 것은 알록달록한 불가사리나 조약돌 따위의, 먹거리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52] 그러다 6 ~ 8 개월이 지나면 새끼는 독립하게 되는데,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미가 새끼를 버릴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74] 반대쪽 극단적 사례로는, 새끼가 거의 성체만하게 자랐는데도 여전히 어미에게 보살핌을 받는 경우도 있다.[68] 해달의 영아사망률은 높은 편으로, 특히 태어나서 첫 번째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 한 추산에서는 태어나서 1년을 넘기는 새끼는 전체의 25%에 불과했고,[74] 경험이 많은 어미가 낳은 새끼들의 생존률이 가장 높았다.[75] 새끼를 먹이고 키우는 모든 일은 암컷이 도맡아 한다. 또한 가끔 고아가 된 새끼를 거두어 키우는 것도 목격된다.[76] 2010년에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홀로 떨어진 생후 5주의 새끼 암컷 해달을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으로 데려왔더니 나이 9살의 암컷 해달이 먹는 법, 헤엄치는 법, 그루밍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77][78] 이 새끼 해달(이름 "키트")은 2년 뒤인 2012년 6월에 샌디에이고로 옮겨갔다가 2013년 1월에 몬트레이베이로 돌아왔다.[79] 한편 양어미(이름 "마에")는 키트가 샌디에이고에 가 있던 사이 2012년 11월 17일에 11살로 죽었다.[80][81] 어미 해달의 새끼에 대한 헌신의 수준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이 여러 기록을 남긴 바 있다. 어미는 새끼에게 거의 끊임없는 관심을 쏟고, 찬 물에 닿지 않도록 가슴에 올려둔 뒤 조심스럽게 털을 그루밍해 준다.[82] 먹이를 잡을 때는 새끼를 물 위에 남겨두고 잠수하는데, 떠내려가지 않도록 켈프류 수초로 묶어 놓는다.[83] 새끼는 잠들어 있지 않다면,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시끄럽게 울어댄다.[84] 새끼가 죽으면,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의 시체를 계속 데리고 다닌다.[71] 암컷 해달은 태어나고 3, 4년, 수컷은 5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하지만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했다 해도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제대로 새끼를 치지 못한다.[85] 한편 포획된 수컷이 19살의 나이에 새끼를 친 바 있다.[68] 야생에서 해달의 최대 수명은 23살 정도이고,[23] 평균 수명은 수컷이 10 ~ 15살, 암컷이 15 ~ 20살 정도이다.[86] 인간에게 잡혀 사는 해달은 20살을 넘겨 사는 경우가 많은데, 시애틀 수족관의 암컷은 28살까지 살다 죽었다.[87] 야생 해달은 그 이빨이 닳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인해 사육 상태보다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인다.[88] 개체 분포[편집] 해달 보존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캘리포니아 주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해달은 수심 15~23 미터(50~75 피트) 정도의 연안 지역,[89] 즉 해안가에서 1 킬로미터(⅔ 마일) 이내에 서식한다.[90] 해달은 보통 거친 바닷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위투성이 해안지대, 켈프림, 보초 등지에서 찾을 수 있다.[91] 해달은 대부분 암석 기층(基層; substrate) 지역에서 생활하지만, 해저가 진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살 수 있다.[92] 해달은 유빙 사이에서는 생존할 수 있어도 정착빙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고로, 그 서식지는 얼음으로 인한 북방 한계를 가진다.[93] 해달 개체는 대략 1 킬로미터 길이의 행동 범위를 차지하며, 연중 계속 그 행동권에 머무른다.[94] 해달의 개체수는 한때 150,000 마리에서 300,000 마리에 달한 것으로 생각되며,[8] 그 서식지는 일본 북부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중부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꼴을 그렸다. 그러나 1740년대부터 시작된 모피 거래로 인해 해달의 개체수는 13개 무리 1,000~2,000 마리 정도까지 격감하였다. 해달의 개체수 복원 현황은 옛 서식 범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높은 개체 밀도를 자랑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직도 멸종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도 있다. 현재 러시아 동안,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의 개체수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멕시코에서도 재정착이 보고되고 있다.[95]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루어진 추산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약 107,000 마리의 해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96][97][98][99] 1870년에서 1924년 사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사냥 그래프 러시아[편집] 현재 해달 서식지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곳은 러시아이다.[100] 19세기 이전에는 쿠릴 열도 일대에 20,000 마리에서 25,000 마리의 해달이 서식했으며, 캄차카와 코만도르 제도 근처에는 더 많이 살았다. 대남획시대 이후 이 일대, 현 러시아의 해달 개체수는 고작 750 마리에 불과한 바 있었다.[96] 2004년 현재 해달들은 이 지역 모든 옛 서식지에 재도입되었으며, 그 개체수는 도합 27,000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약 19,000 마리는 쿠릴 열도에, 2000 ~ 3500 마리가 캄차카에, 나머지 5000 ~ 5500 마리는 코만도르 제도에 서식한다.[96] 개체수 성장률이 약간 둔화되었으며, 그 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했다고 생각되고 있다.[96] 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알래스카[편집]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101]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97]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102]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51]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편집] 존 웨버의 《해달》. 1788년경.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103]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98]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4]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4] 캘리포니아[편집]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해달. 캘리포니아에는 3,0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38년에 발견된 해달 약 50 마리의 후손이다. 2012년 봄,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실시한 캘리포니아의 해달 머릿수 조사 결과, 총 2,792 마리가 추산되었다. 이것은 2007년 봄에 정점을 찍은 3,026 마리보다는 감소했지만 2010년의 2,711 마리보다는 중가한 것이다.[99][104][105] 모피 거래가 시작되기 전의 개체 수는 약 16,000 마리 정도였다. 현재의 캘리포니아의 해달들은 1938년에 빅서의 빅스비 다리 옆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 가량의 해달 군집의 후손이다.[106] 주요 서식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산마테오 군의 피죤포인트에서 산타바바라 군에 이른다.[105] 1980년대 후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FWS)은 캘리포니아 해달 약 140 마리를 남부 캘리포니아 산니콜라스 섬으로 옮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의 생각과는 의외로, 산니콜라스에 방사된 해달들은 거의 모두 캘리포니아 본토로 헤엄쳐 돌아가 버렸다.[107] 섬 주위의 풍부한 먹이 덕분에 조금씩 개체수가 늘어나는 추세긴 하지만,[107] 2005년 현재 산니콜라스에 남아 있는 해달은 30 마리 뿐이다.[108] 해달 이주 프로그램을 검정한 계획서에서는 향후 5 ~ 10년 안에 해달 개체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산니콜라스 섬의 해달 개체수는 약 50 마리 정도로 증가했을 뿐이다.[109] FWS가 해달 이주 계획을 시행했을 당시, 당국에서는 캘리포니아 개체군의 "영역 관리"(zonal management) 역시 시행하려 시도한 바 있다. 해달과 인간 어업 활동의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포인트컨셉션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에 이르는 "해달 없는 영역"(otter-free zone)을 공표한 것이다. 이 영역 안에서는 산니콜라스 섬만 해달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그외 다른 곳에서 발견된 해달은 포획하여 이동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된 해달 중 많은 수가 폐사했고, 규제를 무시하고 월경하는 수백 마리의 해달을 모두 포획할 실질적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110] 산타바바라 지역의 환경보호센터와 Otter Project가 제기한 소송에 대응하여, 2012년 12월 19일 USFWS는 "해달 없는 영역" 실험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하고, 해달을 다시 멸종위기종으로 취급, 포인트컨셉션 남안에 군집을 재조성하여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111] 한때 샌프란시스코 만에 해달이 넘쳐나던 적도 있었다.[112]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알류트 족들을 몰래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데리고 가서, 현재의 산호세, 산마에토, 산브루노, 앤젤 섬 일대의 하구 퇴적지에서 해달을 사냥하게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알류트 족들은 에스파냐인들에게 붙잡혀 가거나 사살당하기도 했다.[113] 로스 요새를 세운 이반 쿠스코프는 1812년에 보데가 만 2차 항해를 했을 때 해달이 드물어져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알류트족들을 보냈다. 거기서 그들은 다른 러시아 패거리와 미국인 패거리를 만났고, 3개월에 걸쳐 1,160 마리의 해달을 잡았다.[114] 이 지역의 해달 서식지는 1817년이 되자 사실상 씨가 말랐으며, 러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너머 먼 남쪽에서도 해달 사냥을 하려고 에스파냐와 멕시코 측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다.[115] 샌프란시스코의 해달 개체군은 1840년까지는 명맥은 유지한 것 같다. 1840년 당시 보스턴 출신의 존 바티스타 로저스 쿠퍼 선장이라는 자가 푼타데쿠엔틴 토지불하지(현재의 캘리포니아 주 마린 군)를 임대하기 위해 멕시코 주지사 후안 바티스타 알바라도에게 허가를 받았고, 이와 함께 해달 수렵 허가증도 함께 받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당시 코르테마데라 개울 어귀에 해달이 흔했다고 한다.[116] 갈매기와 해달. 2007년 캘리포니아. 빅서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를 1911년 보호한 이래 남방해달의 서식지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나, 2007년과 2010년 사이 해달 개체수와 서식지는 다소 줄어들었다.[117] 2010년 봄 현재, 남방해달의 서식지 북방 한계선은 투니타스 개울에서 남동쪽으로 2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피죤포인트로 옮겨갔고, 남방 한계선은 COP 유전에서 가비오타 주립공원으로 이동했다.[118] 최근에는 특정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가 생산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가 해달이 먹이로 삼는 조개에 집중적으로 감염되어 해달을 중독시키고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질소와 인이 풍부한 고인 물에서 번성한다. 이 질소와 인은 대개 오수 정화조나 농업용 비료가 유출된 것으로, 우기에 유속이 빠를 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다.[119][120] 2010년,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많은 수의 해달 시체가 발견되었으며, 상어 습격률이 증가한 것 역시 해달의 죽음을 재촉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는 상대적으로 지방이 빈약한 편인 해달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상어에 물려서 죽은 해달 시체는 1980년에 8%, 1990년에 15%,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30%로 증가 추세에 있다.[12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해달이 두 번 관측되었는데, 한 번은 라구나 해변에서, 다른 한 번은 샌디에이고 근교 Zuniga Point Jetty에서였다. 이렇게 남쪽에서 해달이 관찰된 것은 기록상 3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123] 오리건[편집]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124]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125]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6] 생태[편집] 식성[편집] 해달은 켈프를 뜯어먹고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음으로써 켈프림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해달이 먹이로 삼는 종은 100종이 넘는다.[127] 그 중에서 해달은 각종 해양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는데, 해달의 먹이가 되는 해양 무척추동물은 성게를 비롯해서 대합·홍합 등 다양한 쌍각류와 전복, 그외 연체동물, 갑각류, 달팽이류 등이 있다.[127] 크기로 보자면 작은 삿갓조개와 게에서부터 문어처럼 큰 것까지 각양각색이다.[127] 성게, 대합, 전복 따위의 먹이의 크기가 다양할 때, 해달은 비슷한 종류의 작은 먹이보다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27]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이 3 인치(7 센티미터)보다 작은 피스모대합은 무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128] 배 위에 조개를 올려놓은 해달. 코의 흉터를 보아 암컷이다. 보다 북쪽의 서식지 일부에서는 해달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1960년대에 암치트카 섬에서 수행된 실험에서(이때 해달의 개체수는 환경용량), 해달의 위장 속의 음식물을 확인했더니 50%가 물고기였다.[129] 물고기 종은 대개 바다 밑바닥에 살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거나,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횟대(Hemilepidotus hemilepidotus)나 참복과 등이었다.[129] 하지만 북아메리카 대륙 연안 알래스카 남부에서는 해달의 먹이로서의 물고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하다.[4][130] 또한 흔히 묘사되는 것과 달리 해달은 불가사리는 거의 먹지 않으며, 켈프류 식물은 해달의 몸 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131] 해달 개체들은 사는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먹이를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자기 어미의 먹이잡는 패턴을 따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132] 해달은 자기들이 선호하는 먹이, 예컨대 성게 같은 것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어로 활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해달 개체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먹이를 바꾼다.[4] 어느 지역에서는 바위틈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을 제외한 전복들을 싹쓸이할 수도 있었지만,[133] 해달이 특정 지역에서 특정 먹이 종을 완전히 절멸시키는 일은 없다.[134] 2007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먹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그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먹이가 소비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해달 개체 각각의 식성은 먹이가 풍부한 지역보다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서 특정 먹이에 특수화되어 있었다.[107] 핵심종[편집] 캘리포니아 연안 후미진 지역. 이런 곳에 모피 거래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해달 군집이 숨어 있다.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9]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135]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136]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136]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36]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136] 천적[편집]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인간과의 관계[편집] 모피 거래[편집] 1896년, 어널래스카 섬의 알류트족 남성들. 해달 사냥을 위해 방수 카약과 옷가지를 사용했다. 해달의 털은 포유류 중 가장 두꺼운 편이다. 해달의 아름다운 털은 많은 사냥꾼들의 목표가 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의 원주민들 역시 식량과 털을 얻을 목적으로 해달을 사냥한 바 있다.[8] 사냥꾼들과 상인들은 가장 귀중한 모피였던 해달 가죽에 대한 외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세계를 헤집고 다녔고, 18세기에 시작된 해양 모피 거래의 일부였던 광범위한 해달 남획의 결과 대략 1백만 마리의 해달이 죽임을 당했다.[8] 18세기 러시아인들이 쿠릴 열도에서 해달을 사냥하기 시작했고,[8] 사냥한 해달은 캬흐타에서 중국인들에게 팔았다. 이 당시 러시아는 태평양 북단을 탐험하고 있었으며, 북빙양 해안선의 지도를 작성하고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비투스 베링을 파견했다.[138] 1741년, 2차 북태평양 항해 당시 베링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베링 섬에서 난파를 당했고, 그 자신을 포함하여 승무원 다수가 사망하였다.[138]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를 포함한 생존 승무원들은 섬의 해변에서 해달을 발견하고, 그해 겨울 해달을 사냥해 잡아먹고 그 가죽으로 도박을 하면서 보냈다.[138] 거의 1,000 마리의 해달을 잡아 죽인 그들은 시베리아로 돌아가 비싼 값을 받고 가죽을 팔았다.[138] 이렇게 하여 소위 말하는 "대남획"(Great Hunt) 시대가 시작되어 그 뒤로 백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러시아인들은 해달 모피가 러시아의 시베리아 팽창의 주요 동기 부여였던 흑담비 모피보다 더 값나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베링 탐사대의 생존자들이 가지고 온 해달 가죽을 캬흐타에서의 값으로 팔았다면, 그들은 베링의 탐사 비용의 10분의 1 정도를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다.[139] 1775년 오호츠크에서 흑담비 모피 값이 2.5 루블이었던 데 반해 해달 모피는 50 ~ 80 루블이나 나갔다. 런던 모피 시장의 해달 모피 매출량(단위: 천). 해달 개체수의 감소로 인해 1880년대부터 매출 급락이 시작된다.[140] 러시아인들의 모피사냥 원정으로 인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개체수는 대폭 감소했고, 1745년이 되자 러시아인들은 알류샨 열도로 옮겨갔다.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원주민인 알류트 족과 거래하여 수달 가죽을 얻었지만, 나중에는 알류트 족을 노예로 만들고, 여자와 아이는 인질로 잡았으며 남자는 고문하고 죽여서 사냥을 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알류트족이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하거나 러시아인들이 옮겨온 병으로 인해 죽었다.[141] 러시아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알류트족 인구는 20,000 여명에서 2,000 여명으로 감소했다.[142] 1760년대에는 러시아인들이 알래스카에 도달했다. 1799년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경쟁적인 모피 사냥 회사들을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로 통폐합하고, 이 회사에 대해 황실 인가와 보호를 보장하여 거래권과 영토 습득을 독점하게 했다. 상인들이 관리하던 회사 운영이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는 제국 해군의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이것은 원주민들에 대한 학대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해군 장교들이 제출한 데 그 원인이 크다. 1818년 알래스카 선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읍민과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받게 되었다.[143] 해달 가죽. 1892년. 남쪽에서는 다른 나라들이 해달 사냥에 뛰어들었다. 현재의 멕시코와 캘리포니아가 되는 해안선을 따라 에스파냐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토착민들에게서 해달 가죽을 사서 아시아에 팔았다.[141]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뱅쿠버 섬에 도달하여 선주민들에게서 해달 모피를 구입했다.[144] 이후 쿡의 배가 중국 항구에 입항하자 이 해달 가죽들은 고가에 빠르게 팔려나가, "부드러운 황금"(soft gold)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그 말이 퍼지자 유럽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해달 모피 무역에 뛰어들기 위해 태평양 북서부로 모여들었다.[144] 러시아는 사냥터를 남쪽으로 확장했고, 러시아 관리자들에게 하청을 받은 미국 선적 선장들과 알류트족 사냥꾼들이 현재의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서 사냥에 착수했다.[145] 1803년에서 1846년 사이, 72척의 미국 배가 캘리포니아 해달 사냥에 참가하였으며, 약 40,000 마리의 가죽과 꼬리를 획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선적의 배는 13척뿐이었으며 수렵한 해달 가죽도 5,696 마리였다.[146] 1812년, 러시아인들은 현재 로스 요새라고 알려진 농경 정착지를 캘리포니아 남부에 건설하고 남방 사령부로 삼았다.[144] 결국 해달 개체수가 너무 감소했기 때문에, 상업적 수렵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알류샨 열도에서의 해달 사냥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보존 측정을 한 1808년 이후 중단되었다.[147] 1834년에는 회사 측에서 추가적 규제를 요청했다.[147] 1867년에 러시아가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했을 당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군은 100,000 마리 이상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사냥을 재개하자 해달은 또다시 빠르게 씨가 말랐다.[148] 해달이 귀해짐에 따라 해달 모피 값도 상승했다. 1880년대에 런던 시장에서 해달 가죽의 가격은 105~165 달러였으나, 1903년에는 1,125 달러까지 치솟았다.[68] 1911년, 러시아, 일본, 대영제국(캐나다), 미국은 해달 및 물개류 보호 국제조약을 체결하고, 해달 수렵 결과물에 대한 지불 중지를 결의했다.[149] 이때 야생 해달은 1,000~2,000여 마리가 남아 있을 뿐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 종이 멸종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복원과 보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해달보호활동입니다. 엑손 발데즈 유조선의 항적을 따라 시커먼 윤기 흐르는 기름이 프린스윌리엄 해협을 뒤덮고 있다. 20세기에 걸쳐 옛 서식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해달의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이 개체수 복원은 해양 환경보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생각되고 있다.[150] 그러나 IUCN은 여전히 해달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달에게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밀어(密漁; poaching), 인간의 어업 활동과의 충돌을 들었다. 해달이 낚시도구에 얽혀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 이제 미국에서 해달 사냥은 원주민들의 제한적 수렵 행위를 제외하면 모두 불법이다.[151]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 극동에서는 밀어 행위가 심각한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사정이 호전되면서 밀어 행위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100] 해달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기름 유출로,[55] 체온 유지를 모피에 유지하는 해달에게 기름 유출은 특히 치명적이다. 해달의 털이 기름을 먹으면, 그 안에 공기를 채울 수 없게 되고, 해달은 저체온증으로 순식간에 죽음에 이른다.[55] 해달이 기름을 마시거나 그루밍하다 삼키게 될 경우, 간과 신장,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55] 1989년 3월 24일의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당시 프린스윌리엄 해협에서 수천 마리의 해달들이 폐사했다. 2006년 현재, 해당 지역에 잔류한 기름은 계속해서 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52] 당시 대중매체의 보도에 의하여 해달에 대한 대중적 동정이 형성되었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장난기 많고 사진발 잘 받는, 죄 없는 구경꾼이던 해달은 완벽한 피해자의 역할을 떠안게 되었다. … 즐겁게 뛰어놀던 귀여운 해달들은 기름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갑작스럽게도 기름범벅이 되어 고통 속에서 겁에 질려 죽어가고 있다.[4]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해달 서식지가 지리적으로 좁다는 것은, 한 번 대형사고가 터지면, 해당 주의 해달 전체의 생존에 재앙이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4][45][51] 기름 유출을 방지하고 해달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해달 구조 활동에서 주된 초점이 맞춰진 중요한 일이다. 또한 해달 개체수를 늘리고 서식지를 넓히는 것 역시 한 번의 기름 유출로 해달들이 싹쓸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 하지만 해달이 조개 수를 감소시킨다는 인식 때문에, 상업적, 오락적, 자급적 이유로 조개 채취를 옹호하는 이들은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는 것에 반대한다. 때로는 어부나 다른 인간들이 불법적으로 해달을 잡아 죽이는 경우도 있다.[153]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달. 뒷발의 기묘한 모양에 주목할 것.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가락이 길어진다.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110]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02]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154]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99]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155]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155][156]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5]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157]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158][159] 경제적 영향[편집] 해달이 좋아하는 먹이, 특히 전복, 대합, 게는 인간의 식량 자원이기도 하다. 몇몇 지역에서는 조개류 수확량의 급락이 해달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해산물을 둘러싼 해달과 인간의 경쟁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공개 토론회가 벌어졌다.[160] 모스랜딩의 이 해달처럼, 해달은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만 일대의 관광자원이다. 남획, 질병, 오염, 지진 등으로 인한 조개 양 감소까지 해달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토론은 복잡했다.[51][161] 북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해안의 해달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개의 수확이 감소하고 있으며, 몇몇 환경보호론자들은 연안에 조개류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은 모피 거래로 인한 해달의 지역적 멸종으로 인한 최근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61] 조개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해달이 조개를 포식함으로써 조개 채취업이 상업적으로 불가능해질 지경까지 감소할 수 있다.[160] 과학자들은 해달과 전복 채취업이 공존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160] 그 외의 특정 조개류에 대해서 역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110] 해달과 인간 경제의 상호작용의 여러 양상은 즉각적으로 직감하기는 어렵다. 해달은 그 유명한 성게 개체수 조절 기능으로 켈프 수확 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켈프는 음식, 제약 산업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162] 인간 잠수부들은 식용 또는 켈프 보호를 위해 붉은성게를 채취하지만, 해달은 더 많은 성게 종을 사냥할 뿐더러 매우 일관되게 그 개체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63] 켈프림 생태계의 건강은 물고기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인간 경제에 있어 중요한 물고기 종의 개체수도 증가하게 된다.[162] 일부 지역에서는 해달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어, 해달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인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162]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편집] 왼쪽: 알류트 족의 해달 부적. 새끼를 끌어안은 어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 고래수염 창으로 해달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알류트 족의 조각. 둘 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표트르 대제 인류학 및 민족지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해달을 묘사한 물건은 일종의 마술적인 성질이 있다고 믿어졌다.[164] 북태평양 일대의 해양 토착 문화, 특히 쿠릴 열도의 아이누 민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인과 이텔멘인, 알류샨 열도의 알류트 족, 하이다과이의 하이다 족,[165] 북아메리카 태평양 해안의 부족들 다수에서 해달은 물질적 자원임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이들 문화권은 대부분 강력한 애니미즘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통은 자연 세계의 많은 요소가 정령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갖가지 전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개중에 해달은 특히 인간과 동질하다고 생각되었다. 누트카 족, 하이다 족을 비롯해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 지역의 퍼스트 네이션스들은 따뜻하고 사치스러운 날가죽을 추장의 예장으로서 사용했다. 해달 날가죽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등의 포틀래치에서 수여되었다.[56] 알류트 족은 해달 뼈에 조각을 해서 장식품 또는 놀잇감으로 사용했고, 해달의 음경골을 가루로 만들어 해열제로 사용했다.[166] 아이누 민족에게 수달은 가끔씩 찾아오는 인간과 조물주 사이의 메신저였다.[167] 아이누 민속에 있어 해달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아이누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クトゥネシㇼカ)는 황금 해달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전쟁과 다툼에 대한 서사시이다. 알류트 족 사이에는 연인 또는 절망한 여자가 바다 속에 투신하여 해달이 되었다는 전설이 다양한 판본으로 널리 퍼져 있다.[168] 이러한 인간과 해달의 관계는 해달의 여러 가지 인간스러운 행동 특성과 결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장난기가 많고, 어미와 새끼 사이에 유대감이 강하며, 도구를 사용한다. 그야말로 의인화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고 할 수 있다.[169] 해달에 대한 상업적 착취가 시작되고, 해달뿐 아니라 아이누와 알류트 역시 쫓겨나고 인구수가 격감했다. 해달의 수가 대폭 감소한 북아메리카 해안의 부족들은 더 이상 생존을 위해 해양 포유류에게 예전같이 의지하지 않았다.[170] 1970년대 이후로는 해달은 그 귀염성과 매력으로 인해 널리 공감을 받게 되었고, 환경 보존 운동의 아이콘적 존재가 되었다.[154] 해달의 동글동글하고 표현력 풍부한 얼굴,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몸은 갖가지 기념품, 엽서, 옷가지, 봉제 장난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 벤쿠버 수족관의 해달 수족관과 동물원[편집] 해달은 인간에게 잡혀 지내면서도 잘 살 수 있으며, 현재 40개소 이상의 수족관과 동물원에서 해달을 사육하고 있다.[172] 시애틀 수족관은 1979년에 개체 티추크(Tichuk)가 태어나고, 1980년대에 새끼가 세 마리 더 태어남으로써, 해달을 수정란부터 성체까지 완전히 사육한 최초의 기관이 되었다.[173] 2007년에는 해달 두 마리가 서로 손을 잡고 물에 떠다니는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2주만에 1백 5십만 회의 조회수를 확보했고, 2013년 현재는 1천 9백만 회를 초과하고 있다.[174] 해당 동영상은 벤쿠버 수족관에서 5년 앞서 촬영된 것으로, 업로드되었을 당시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물 관련 동영상이었다. 동영상에서 털 색깔이 밝은 해달의 이름은 니아크(Nyac)이며,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때 구조된 해달이다.[175][176] 니아크는 2008년 9월에 20살로 죽었다.[177] 같이 보기[편집] 수달 캘리포니아 모피 사냥 보노보노 각주[편집] ↑ 가 나 Doroff, A.; Burdin, A. (2015). “Enhydra lutris (Sea Otter)”. 《IUCN Red 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 가 나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 Tiny Sea Otter Siblings Fight the Odds, Wired Science, June 28, 201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9 ↑ 헨리 리델(Henry George Liddell),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OCLC 17396377.  ↑ Nickerson, p.19 ↑ 가 나 다 라 마 Silverstein, p.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Enhydra Lutis”.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enyon, p.4 ↑ 가 나 다 VanBlaricom, p.11 ↑ Koepfli, K.-P; Wayne, R.K. (1998년 12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tters (Carnivora: Muste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Journal of Zoology 246 (4): 401–416. doi:10.1111/j.1469-7998.1998.tb0017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Koepfli KP; Deere KA; Slater GJ; Begg, Colleen; Begg, Keith; Grassman, Lon; Lucherini, Mauro; Veron, Geraldine; Wayne, Robert K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15–16 ↑ Love, pp.4–6 ↑ Love, p.6 ↑ "Enhydra lutri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18 March 200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ilson; Don. E.; Brownell, R. L.; Burdin, A. M.; Maminov, M. K. (1991년 2월). “Geographic Variation in Sea Otters, Enhydra lutris”. Journal of Mammalogy 72 (1): 22–36. JSTOR 1381977. doi:10.2307/138197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ptner & Sludskii 2002, 1349쪽 ↑ 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 (PDF). 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 2007년 6월. 200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PMID 10396181. doi:10.1017/S0006323199005307.  ↑ The Wildlife Year.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991). ISBN 0-276-42012-8.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Enhydra lutris at MarineBio.org”. 200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eptner & Sludskii 2002, p.1342 ↑ 가 나 다 Nickerson, p.21 ↑ Silverstein, p.14 ↑ Kenyon, pp.37–39 ↑ Love, p.21 and 28 ↑ 가 나 Love, p.27 ↑ 가 나 Silverstein, p.13 ↑ 가 나 Love, p.21 ↑ 가 나 Kenyon, p.70 ↑ Silverstein, p.11 ↑ Kenyon, p.62 ↑ Love, p.22 ↑ VanBlaricom, p.64 ↑ “USFWS Species Profile: Southern sea otter (Enhydra lutris nereis)”.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Kenyon, p.55 ↑ Love, p.23 ↑ Kenyon, p.56 ↑ Kenyon, p.43 ↑ Love, p.74 ↑ Kenyon, p.47 ↑ VanBlaricom, p.17 ↑ 가 나 “Sea Otter” (PD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 1993년 10월.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24 ↑ Ortiz RM (2001년 6월). “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11): 1831–44. PMID 114410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다 Love, pp.69–70 ↑ Love, pp.70–71 ↑ Kenyon, p.7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1993). “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Documentary). U.S.A.: PBS.  ↑ 가 나 Haley, D. (ed.) (1986). 〈Sea Otter〉. 《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 2판. Seattle, Washington: Pacific Search Press. ISBN 0-931397-14-6. OCLC 13760343.  ↑ 가 나 VanBlaricom, p.22 ↑ “Sea otter”. BBC. 2012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AquaFact file”. Vancouver Aquarium Marine Science Centre. 2007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Okerlund, Lana (2007년 10월 4일). “Too Many Sea Otters?”.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49 ↑ VanBlaricom, p.45 ↑ 가 나 다 라 마 VanBlaricom, pp.42–45 ↑ Love, p.50 ↑ 가 나 Kenyon, p.77 ↑ Kenyon, pp.78–79 ↑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은 어미 해달의 비명: JoeMillerUS (2012년 10월 21일). “Alaska Killer Whales vs. Witty Otter”. Youtube.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Silverstein, p.61 ↑ Love, p.52 ↑ 가 나 Love, p.54 ↑ Silverstein, p.30 ↑ 가 나 다 라 Nowak, Roland 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ume II Fif판.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1–1143쪽. ISBN 0-8018-3970-X.  ↑ Kenyon, p.44 ↑ Love, pp.56–61 ↑ 가 나 Love, p.58 ↑ Silverstein, pp.31–32 ↑ Love, p.61 ↑ 가 나 Love, p.63 ↑ Love, p.62 ↑ Love, p.59 ↑ 구본준 (2011년 7월 18일). “이보다 더 귀여울수 없는 아기 동물들”. 한겨레.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Kit the Sea Otter Pup at Play with Her Companion, Mae”. Monterey Bay Aquariu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동영상 ↑ “Sea Otter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Mae, First Otter to Raise a Pup on Exhibit, Die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Watch Mae, who passed away last weekend, play with sea otter pup Kit. We’ll miss her!”.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Kenyon, p.89 ↑ Silverstein, p.31 ↑ Silverstein, p.28 ↑ Love, p.53 ↑ VanBlaricom, p.71 ↑ VanBlaricom, pp.40–41 ↑ VanBlaricom, p.41 ↑ Silverstein, p.17 ↑ Nickerson, p.49 ↑ Silverstein, p.19 ↑ VanBlaricom, p.14 ↑ Kenyon, p.133 ↑ Love, pp.67–69 ↑ VanBlaricom, p.54 ↑ 가 나 다 라 Kornev S.I., Korneva S.M. (2004) Population dynamics and present status of sea otters (Enhydra lutris) of the Kuril Islands and southern Kamchatka. Marine Mammals of the Holarctic, Proceedings of 2004 conference. p.273–278. ↑ 가 나 “Sea Otters –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 Alaska.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arrett-Lennard, Lance (2004년 10월 20일). “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 Vancouver Aquarium. 200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eff, Lisa (2007년 6월 15일). “California otters rebound, but remain at risk”. Associated Press. 201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VanBlaricom, p.62 ↑ Nickerson, p.46 ↑ 가 나 Schrope M (2007년 2월). “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Nature 445 (7129): 703–5. PMID 17301765. doi:10.1038/445703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2011년 8월 22일에 확인함.  ↑ Brian Hatfield, Tim Tinker (2012년 8월 12일). “Spring 2012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Census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pring 2007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 Geological Survey. 2007년 5월 30일.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ilverstein, p.41 ↑ 가 나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Cruz (2008년 1월 18일). “Sea Otter Show Striking Variability In Diets And Feeding Strategies”. ScienceDaily.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roposes that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be Terminated” (PD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5년 10월 5일.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Service Proposes to End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USFWS Pacific Southwest Region. 2011년 8월 17일.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alance sought in sea otter conflict”. CNN. 1999년 3월 24일. 2008년 1월 25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2년 12월 20일). “U.S. will let otters roam along Southern California coast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Southern Sea Otters. nrdc.org ↑ Adele Ogden (1975). The California sea otter trade, 1784–1848.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쪽. ISBN 978-0-520-02806-7.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Hubert Howe Bancroft, Alfred Bates, Ivan Petroff, William Nemos (1887). History of Alaska: 1730–1885. San Francisco, California: A. L. Bancroft & company. 482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촥인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uzanne Stewart and Adrian Praetzellis (2003년 11월). Archeological Research Issues for the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Golden Gate National Recreation Area (PDF). Anthropological Studies Center, Sonoma State University. 335쪽.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ob Battersby, Preston Maginis, Susan Nielsen, Gary Scales, Richard Torney, and Ed Wynne (2008년 5월). Ross, California – The people, the places, the history. Ross Historical Society.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 Young Landis (2010년 8월 3일). “California Sea Otter Numbers Drop Again”. U. S. Geological Survey.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Spring 2010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0년 9월 23일). “Another deadly challenge for the sea otter”.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Miller MA; Kudela RM; Mekebri A; Crane D; Oates SC; Tinker, M. Timothy; Staedler, Michelle; Miller, Woutrina A.; Toy-Choutka, Sharon (2010년 9월 10일). Thompson, Ross, 편집. “Evidence for a Novel Marine Harmful Algal Bloom: Cyanotoxin (Microcystin) Transfer from Land to Sea Otters”. PLoS ONE 5 (9): e12576. PMC 2936937. PMID 20844747. doi:10.1371/journal.pone.001257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Victoria Colliver (2011년 1월 23일). “Sea otter deaths jump in 2010”.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USGS (2012년 04월). “Number of dead California sea otters a record high in 2011” (PDF).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Rare sighting of sea otter off Laguna Beach”. 2011년 12월 7일. 2013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 Jameson, Ronald James (1975).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PDF). Oregon State University. OCLC 9653603.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M.Sc. thesi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Quinn, Beth (2004년 10월 17일). “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PDF). Oregonlive. 201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 Oregonlive. 2009년 2월 20일. 2009년 2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p.18–29 ↑ Love, p.96 ↑ 가 나 Kenyon, p.121 ↑ Love, p.76 ↑ Kenyon, p.119 ↑ VanBlaricom, p.29 ↑ VanBlaricom, p.30 ↑ Nickerson, p.57 ↑ “Aquatic Species at Risk – Species Profile – Sea Otter”. 캐나다 어업해양청.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33 ↑ 가 나 Nickerson, P. “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fenders of Wildlife. 65쪽. 2011년 7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ilverstein, p.35 ↑ James R Gibson,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1969, page 17 ↑ Brass E. (1911) Aus dem Reiche der Pelze, Bd III, Berlin ↑ 가 나 Silverstein, p.37 ↑ Gedney, Larry (1983년 5월 6일). “The Aleut and the Otter”.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Middleton, p.8 ↑ 가 나 다 Silverstein, p.38 ↑ Farris, pg.21, ↑ Mathes, p.326 ↑ 가 나 Middleton, pg.4 ↑ Silverstein, p.40 ↑ VanBlaricom, p.50 ↑ VanBlaricom, p.53 ↑ VanBlaricom, p.65 ↑ Weise, Elizabeth (2007년 1월 31일). “Damage of Exxon Valdez endures”.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Nickerson, pp.47–48 ↑ 가 나 “Sea Otters: Species Description”. Alaska SeaLife Center.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Kreuder C; 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 (2003년 7월).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9 (3): 495–509. PMID 14567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 NOAA magazine (미국 해양대기청). 2003년 1월 21일. 200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City of Monterey. 2008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VanBlaricom, p.34 ↑ 가 나 Love, pp.93–98 ↑ 가 나 다 Silverstein, p.49 ↑ Nickerson, p.70 ↑ Lyapunova R.G. (1963) Museum materials on the Aleuts. Catalog of the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Academy of Sciences, USSR, vol. XXI. ↑ Szpak, Paul; Orchard, Trevor J.; McKechnie, Iain; Gröcke, Darren R. (2012). “Historical Ecology of Late Holocene Sea Otters (Enhydra lutris)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Isotopic and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5): 1553–1571. doi:10.1016/j.jas.2011.12.00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34–35 ↑ Chamberlain, B. (1888). 《Aino Folk Tales》. London,: The folk-lore society, private print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 A. Golder. (1905) Aleutian Stories.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18, No. 70. (July–September), pp.215–222. ↑ N. I. Barabash-Nikiforov (1947) Калан (Enhydra lutris L.) его биология и вопросы хозяйства (The sea otter (Engydra lutris L): biology and management), Published by: Natural Preservation Ministry of the RSFSR, Moscow. ↑ Hatch, David R. (2002) Elakha: Sea Otters, Native People, and European Colonization in the North Pacific. In Changing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5th and 6th Annual Coquille Cultural Preservation Conferences. Donald B. Ivy and R. Scott Byram, eds. pp.79–88. North Bend, OR: Coquille Indian Tribe. ↑ Love, p.97 ↑ VanBlaricom p.69 ↑ “Seattle Aquarium's Youngest Sea Otter Lootas Becomes a Mom”. Business Wire. 2000년 4월 19일.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 cynthiaholmes (2007년 3월 19일). “Otters holding hands”. YouTube. 200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Vancouver sea otters a hit on YouTube”. CBC News. 2007년 4월 3일.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매일 생사 넘나드는 해달의 삶...KBS1'KBS파노라마'”. 국민일보. 2013년 8월 13일.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Vancouver Aquarium's oldest sea otter, Nyac, passes”. Vancouver Aquarium. 2008년 9월 23일.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enyon, Karl W. (1969). The Sea Otter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Washington, D.C.: U.S. Bureau of Sport Fisheries and Wildlife. ISBN 0-486-21346-3.  Love, John A. (1992). Sea Otters. Golden, Colorado: Fulcrum Publishing. ISBN 1-55591-123-4. OCLC 25747993.  Nickerson, Roy (1989). Sea Otters, a Natural History and Guide.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ISBN 0-87701-567-8. OCLC 18414247.  Silverstein, Alvin; Silverstein, Virginia and Robert (1995). The Sea Otter. Brookfield, Connecticut: The Millbrook Press, Inc. ISBN 1-56294-418-5. OCLC 3043654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iddleton, John (2001). Maritim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Today. San Francisco, Californi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lecture.  Farris, Glenn (2007). Mains'l Haul, a Journal of Pacific Maritime History, Vol 43. San Diego, California: Maritime Museum of San Diego. ISSN 1540-3386.  Mathes, Michael (2008). The Russian-Mexican Frontier. Jenner, California: Fort Ross Interpretive Association, Inc. ISBN 978-1-60643-951-7.  VanBlaricom, Glenn R. (2001). Sea Otters. Stillwater, MN: Voyageur Press Inc. ISBN 0-89658-562-X. OCLC 463937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The Otter Project – Nonprofit organization Friends of the Sea Otter - Nonprofit organization Otter 501 – Documentary film (영어) 해달 - Curlie (DMOZ 기반) Field notes by Georg Wilhelm Steller, 1742 (PDF) Live sea otter webcam – Monterey Bay Aquarium Live sea otter webcam – Vancouver Aquarium Otters holding hands – The popular YouTube video Precipice of Survival: The Southern Sea Otter (video) Smithsonian Institution – North American Mammals: Enhydra lutris vdeh현존하는 족제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아메리카오소리아과아메리카오소리속아메리카오소리라텔아과라텔속라텔오소리아과돼지코오소리속돼지코오소리오소리속일본오소리 · 오소리 · 유럽오소리담비아과타이라속타이라울버린속울버린담비속아메리카담비 · 담비 · 바위담비 · 닐기리담비 · 유럽소나무담비 · 산달 · 피셔 · 검은담비족제비오소리아과족제비오소리속보르네오족제비오소리 · 중국족제비오소리 · 자바족제비오소리 · 버마족제비오소리 · 베트남족제비오소리그리슨아과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속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줄무늬족제비속사하라줄무늬족제비 · 줄무늬족제비파타고니아족제비속파타고니아족제비얼룩족제비속얼룩족제비그리슨속작은그리슨 · 큰그리슨족제비아과아메리카밍크속아메리카밍크족제비속긴꼬리족제비 · 등줄무늬족제비 · 말레이시아족제비 · 북방족제비 · 쇠족제비 · 고산족제비 · 족제비 · 유럽밍크 · 검은발족제비 · 긴털족제비 · 스텝긴털족제비 · 아마존족제비 · 콜롬비아족제비 · 일본족제비 · 노랑배족제비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이집트족제비수달아과큰수달속큰수달아메리카수달속북아메리카수달 · 바다수달 · 남아메리카수달 · 긴꼬리수달해달속해달얼룩목수달속얼룩목수달수달속수달 · 수마트라수달민발톱수달속아프리카민발톱수달작은발톱수달속작은발톱수달비단수달속비단수달분류 전거 통제 LCCN: sh85119235 GND: 4169258-5 NDL: 00569259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407 ADW: Enhydra_lutris ARKive: enhydra-lutris EoL: 32858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6078 GBIF: 2433670 iNaturalist: 41860 IRMNG: 10198728 ITIS: 180547 IUCN: 7750 MSW: 14001090 NCBI: 34882 Species+: 7275 uBio: 105591 WoRMS: 24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달&oldid=24216140"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달아과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일본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미국의 포유류캐나다의 포유류북아메리카의 포유류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해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해달속 (Enhydra) 종: 해달 (E. lutris) 학명 Enhydra lutrisLinnaeus, 1758 아종 아시아해달 (E. l. lutris ) 남방해달 (E. l. nereis) 북방해달 (E. l. kenyoni) 해달의 분포도 해달(海獺, 라틴어: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 영어: sea otter)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이다.[2]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중 가장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에 비할 수 없을 만큼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제한적이지만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해초 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에 의해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협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목차 1 생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계통 분류 3 신체적 특징 4 습성 4.1 먹이 사냥 4.2 사회 구조 4.3 번식과 생활사 5 개체 분포 5.1 러시아 5.2 알래스카 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5.4 캘리포니아 5.5 오리건 6 생태 6.1 식성 6.2 핵심종 6.3 천적 7 인간과의 관계 7.1 모피 거래 7.2 복원과 보존 7.3 경제적 영향 7.4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 7.5 수족관과 동물원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생물 분류[편집]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의 해달 가족. 매우 드물게도 새끼가 쌍둥이이다. 해달의 쌍둥이는 매우 드물게 태어나며, 태어나도 어미가 두 마리를 모두 키울 여력이 없어 대개 한 마리를 버리게 된다.[3] 해달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서술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1751년에 쓴 야장(野帳; feildnote)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1758년에는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해달을 다룬 것을 찾을 수 있다.[4] 이때 최초 학명은 Lutra marina였고, 수많은 변경을 거쳐 1922년에 Enhydra lutris로 학명이 확정되었다.[5]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en/εν 과 hydra/ύδρα로, "물속"이라는 뜻이다.[6]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이다.[7]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으나,[8] 사실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멀다. 한편 서남안에 서식하는 바다수달(Lontra felina)이라는 진귀한 수달종이 따로 있는데, 해달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한다. 현재는 멸종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가 족제비과로서 역시 해양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진화[편집] 해달은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무거운 축이다(신장은 큰수달이 더 길지만, 훨씬 몸매가 날씬하다).[9]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10] 또한 해달은 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평생을 살 수 있다.[11] 해달속(Enhydra)의 유일한 종으로서, 해달은 다른 족제비과 동물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1982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해달이 바다표범과 가까운 근연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12] 유전적 분석 결과 해달 및 그 가장 가까운 현생 근연종인 얼룩목수달, 유럽수달, 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이 약 5백만 년 전의 공조상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13] 화석 증거에 따르면 해달속 계통은 북태평양에서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멸종한 Enhydra macrodonta 종과, 현대 해달인 Enhydra lutris 종이 발생하였다.[5] 해달은 홋카이도 북부와 러시아에서 최초로 진화하여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본토를 걸쳐 동쪽으로 퍼져나갔고, 그 뒤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아메리카 해안으로 퍼져나갔다.[14] 물속으로 들어간 것이 대략 5천만 년, 4천만 년, 2천만 년 전인 고래류, 해우류,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은 해양성 포유류계의 상대적 신참자라고 할 수 있다.[15] 하지만 새끼를 치기 위해서 지면이나 빙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이 해양 생활에 더욱 적응한 종이라 할 수 있다.[16] 아종[편집] 현재까지 3개의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신체 크기 및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과 같다.[9][17] 아종 학명 삼명병 명명자 일반명 설명 분포 이명 E. l. lutris (승명아종) Linnaeus, 1758 그냥 해달[18] 아시아해달[18] 코만도르해달[19] 쿠릴해달[19] 가장 몸집이 큰 아종. 두개골이 넓고 코뼈가 짧다.[18] 쿠릴 열도에서 코만도르스키예 제도까지 서태평양 일대[9] gracilis (Bechstein, 1800) kamtschatica (Dybowski, 1922) marina (Erxleben, 1777) orientalis (Oken, 1816) stelleri (Lesson, 1827) E. l. nereis Merriam, 1904 남방해달[18] 캘리포니아해달[18] 두개골이 보다 좁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작다.[18]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9] E. l. kenyoni[20] Wilson, 1991 북방해달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 북단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18] 캐나다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거의 멸종당했다가, 뱅쿠버 섬과 올림픽 반도에 재도입되었다.[9] 오리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1969년에서 1970년에 걸쳐 워싱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이후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후안데푸카 해협까지 그 서식지가 확장되었으며, 필라포인트에서도 해달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서식지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때때로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 북안에서 발견되는 개체도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21]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신체적 특징[편집] N. N. 콘다코프가 그린 해달의 두개골. 해달은 해양 포유류로서는 가장 작은 종 중 하나이지만,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든다.[11] 수컷 해달의 체중은 22 킬로그램 ~ 45 킬로그램(49 파운드 ~ 99 파운드) 정도이며, 신장은 1.2 미터 ~ 1.55 미터(3 피트 10 인치 ~ 4 피트 10 인치) 정도인데, 체중 54 킬로그램(120 파운드)까지 나가는 표본이 기록된 바 있다.[22] 암컷은 그것보다 작아서, 체중은 14 킬로그램 ~ 33 킬로그램(31 파운드 ~ 73 파운드), 신장 1.0 미터 ~ 1.4 미터(3 피트 3 인치 ~ 4 피트 7 인치) 정도이다.[23] 해달의 음경골은 수컷의 경우 매우 크고 묵직하며 위쪽으로 굽어 있다. 그 길이는 150 밀리미터(5.9 인치), 음경골 뿌리는 15 밀리미터(0.59 인치) 정도이다.[24] 해달은 모피가 두텁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몸집이 더 토실토실해 보인다. 대부분의 해양 포유류와 달리 해달은 고래지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유달리 두꺼운 모피를 통해서 체온을 유지한다.[25] 해달의 털은 1 평방센티미터 당 150,000 가닥(1 평방인치당 거의 백만 가닥) 이상 나 있으며, 해달의 모피는 그 어떤 동물보다도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26] 해달 모피는 방수가 되는 길다란 보호털과 그 아래 짧은 잔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털이 물을 막아 줌으로써 아래의 조밀한 잔털층이 마른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차가운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23] 해달은 털갈이 철이 따로 없고, 매번 조금씩 탈모하고 계속 털이 나기 때문에 연중 내내 모피가 두터움을 유지한다.[27] 보호털의 방수 기능은 철저한 청결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해달은 몸 어느 부위의 털이든지 닿아서 그루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늘어져 있으며, 골격이 희한할 정도로 유연한 덕분이다.[28] 모피의 색깔은 보통 진한 갈색에 은빛 회색의 얼룩이 나 있는데, 노란색이나 쥐색 계통의 갈색도 있고, 개중에는 거의 새까만 색도 있다.[29] 성체 해달의 경우 머리, 목, 가슴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더 밝은 색을 띤다.[29] 리스본 수족관의 해달. 기묘한 유연성을 이용해 그루밍을 하고 있다. 해달은 해양 환경에 여러 모로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 조그만 귀와 콧구멍은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30] 뒷발은 길고 넓적하며 반반하기 때문에 헤엄칠 때 상당한 추진력을 낼 수 있게 해 준다.[31] 뒷발은 그 다섯째 발가락이 가장 길다. 이 발가락 이 덕분에 누워서 헤엄칠 수 있지만, 걷는 것은 어려워한다.[32] 꼬리는 제법 짧고 두꺼우며 약간 넓적한데 근육질이다. 짧은 앞발에는 오므릴 수 있는 갈고리발톱들이 나 있으며, 발바닥에 거칠거칠한 육구가 붙었기 때문에,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용이하다.[33] 이렇게 사지를 오므리고 잔다. 밴쿠버 수족관. 수중에서 해달은 꼬리와 뒷발을 비롯한 몸의 뒤쪽 부분을 위아래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간다.[31] 그리고 그 속도는 최대 시속 9 킬로미터(시속 5.6 마일)에 이른다.[9] 물속으로 들어가면 해달은 짧은 앞다리를 가슴에 딱 붙여 포개어 몸을 전체적으로 길고 유선형으로 만든다.[34] 한편, 수면 위로 올라오면 해달은 배를 드러내고 누워서, 발을 노젓듯 움직이고 꼬리를 옆으로 흔들면서 떠다닌다.[35] 휴식을 취할 때는 사지를 모두 오므려 몸통에 접어 붙이고 체온을 보존한다. 반대로 날씨가 너무 더울 때는 뒷발을 물속에 넣어서 몸을 식히기도 한다.[36] 해달의 몸은 부력이 매우 커서 물에 잘 뜨는데, 이것은 해달의 폐활량이 매우 큰 것과(비슷한 덩치의 육상 포유류의 2.5배 정도이다)[37] 모피 속에 공기가 찬 것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해달은 땅으로 올라오면 걸음걸이가 굴러다닐 듯 어설프지만, 껑충껑충 뛰어서 도망갈 수는 있다.[32] 물이 어둡거나 탁할 경우, 해달은 길고 매우 민감한 수염과 앞발의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다.[11] 연구자들은 해달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연구진이 해달에게 접근했을 때, 해달 쪽으로 바람이 불면 해달이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것은 해달의 후각이 시각보다 경고 감각으로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8] 또 다른 관찰에서 밝혀진 바로는, 해달의 시력은 물 위에서나 물속에서나 도움이 되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물개류만큼 눈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39] 청력은 특별히 좋은 편도 나쁜 편도 아니다.[40]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41]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42] 성체 해달의 치열은 3.1.3.12.1.3.2이다.[43]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44][45]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46]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25]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47] 습성[편집] 예민한 동모와 앞발로 해달은 그 촉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해달은 주행성 동물이다. 해가 뜨기 한 시간쯤 전 아침부터 먹이를 잡아먹기 시작하고, 한낮 동안에는 쉬거나 잠을 잔다.[48] 오후가 되면 몇 시간 동안 또 먹이를 잡아먹다가 해가 지기 전에 그만두고, 한밤중 즈음에 다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48]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특히 밤에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48] 해달을 관찰한 결과, 먹이를 찾고 잡아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24~60% 정도였으며, 이것은 서식지에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 같다.[49] 해달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그루밍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털을 깨끗이 하고, 엉킨 털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고, 털에서 물을 짜내고 털 속으로 공기를 통하게 한다. 관찰하는 도중 해달이 몸을 긁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털 속에 이라던가 다른 기생충이 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50] 먹이를 먹을 때 해달은 물속에서 몸을 주기적으로 굴리는데, 털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1] 먹이 사냥[편집]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30]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23]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51]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51]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25]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52]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53]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54]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53]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55]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23] 사회 구조[편집] 물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서로 손을 잡고 잔다.[56] 이 짐승의 몸이 부력이 매우 크다는 데 주목할 것. 성체든 유체든 먹이 사냥은 혼자 하지만, 해달은 휴식을 취할 때는 래프트(raft)라는 동성(同性) 무리와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래프트는 대략 10~100 마리의 해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컷 래프트가 암컷 래프트보다 규모가 크다.[57] 현재까지 발견된 래프트 중 가장 큰 것은 2000 마리 이상의 해달들이 모여 있었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먼 바다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다시마류 해초에 자기 몸을 묶는다.[58] 짝짓기에 있어서, 번식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암컷들에게 선호받는 수컷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59]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가을이 짝짓기의 절정기이며, 수컷은 자기 세력권을 봄부터 가을까지만 지키고 있는다.[59] 이 기간 동안 수컷은 다른 수컷을 쫓아내기 위해 세력권의 경계를 순찰하는데,[59] 실제로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는 드물다.[57] 성체 암컷은 수컷들의 세력권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는데, 대략 5대 1의 비율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보다 더 많다.[59] 자기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모여서 수컷만 있는 큰 무리를 이루고,[59] 암컷들의 구역을 헤집고 다니면서 짝짓기 상대를 찾는다.[60] 해달은 다양한 음성 행동을 보인다. 새끼의 울음소리는 갈매기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한다.[61] 암컷은 만족했을 때 구구구 거리는 소리를 내고, 이에 비해 수컷은 꿀꿀거리는 소리를 낸다.[62] 고통을 받거나 겁을 먹은 성체는 휘파람소리, 쉬익 하는 새는 소리를 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61][63] 해달이 장난기 많고 사교적인 동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는 취급받지 못한다.[64] 해달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고, 각각의 성체 해달은 사냥, 그루밍, 방어 등의 면에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다.[64] 번식과 생활사[편집]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의 코를 물어뜯는다. 그 탓에 피가 나고 흉터가 진다. 해달은 일부다처이다.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 동반자를 가진다. 하지만 발정기의 암컷과 그 짝이 며칠에 걸쳐 일시적으로 암수 한 쌍의 짝을 이루기도 한다.[51]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다소 거칠다. 수컷은 암컷의 코와 주둥이를 물어뜯어 흉터를 남기고, 어떤 때는 암컷의 머리를 물속에 처박기도 한다.[9] 최소 한 마리의 암컷이 코의 감염으로 인해 사망했음이 보고되어 있다.[65] 출산은 연중 일어나는데, 북방 개체군은 5월과 6월 사이, 남방 개체군은 1월과 3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66] 해달은 착상 지연이 가능한 동물이기 때문에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상 이후에는 4개월 동안 새끼를 배고 있는다.[66] 캘리포니아의 해달은 매년 새끼를 치는데, 그 빈도가 알래스카의 해달의 두 배 정도 높다.[67] 출산은 보통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한 배에 한 새끼를 낳고 막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4 ~ 2.3 킬로그램(3 ~ 5 파운드)이다.[68] 2% 확률로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대개 쌍둥이 중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9]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뜰 수 있고, 이빨 열 개가 보이고, 두꺼운 모피를 두르고 있다.[69] 어미는 태어난 새끼를 몇 시간 동안 핥고 부풀린다. 그루밍이 끝나면 새끼의 털 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 위에 코르크처럼 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수는 하지 못한다.[70] 새끼의 솜털은 13주가 지나면 없어지고 성체의 털과 같은 새 털이 난다.[4] 새끼를 가슴에 안고 떠다니는 어미 해달. 게오르크 스텔러는 “해달은 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애착을 가지고 새끼를 포옹한다.”고 말했다.[71] 수유 기간은 캘리포니아 개체군은 6 ~ 8 개월, 알래스카 개체군은 4 ~ 12 개월 정도 계속된다. 동시에 1 ~ 2개월 정도 지나면 먹이 조각을 조금씩 주기 시작한다.[72] 복부의 유두에서 분비되는 해달의 젖은 지방이 풍부하여 족제비과 동물의 젖보다는 다른 해양성 포유류의 그것과 유사하다.[73] 새끼는 어미의 지도 아래 헤엄과 잠수를 연습하여 수 주가 지나면 바다 밑바닥까지 닿을 수 있다. 새끼가 처음 잡아오는 것은 알록달록한 불가사리나 조약돌 따위의, 먹거리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52] 그러다 6 ~ 8 개월이 지나면 새끼는 독립하게 되는데,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미가 새끼를 버릴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74] 반대쪽 극단적 사례로는, 새끼가 거의 성체만하게 자랐는데도 여전히 어미에게 보살핌을 받는 경우도 있다.[68] 해달의 영아사망률은 높은 편으로, 특히 태어나서 첫 번째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 한 추산에서는 태어나서 1년을 넘기는 새끼는 전체의 25%에 불과했고,[74] 경험이 많은 어미가 낳은 새끼들의 생존률이 가장 높았다.[75] 새끼를 먹이고 키우는 모든 일은 암컷이 도맡아 한다. 또한 가끔 고아가 된 새끼를 거두어 키우는 것도 목격된다.[76] 2010년에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홀로 떨어진 생후 5주의 새끼 암컷 해달을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으로 데려왔더니 나이 9살의 암컷 해달이 먹는 법, 헤엄치는 법, 그루밍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77][78] 이 새끼 해달(이름 "키트")은 2년 뒤인 2012년 6월에 샌디에이고로 옮겨갔다가 2013년 1월에 몬트레이베이로 돌아왔다.[79] 한편 양어미(이름 "마에")는 키트가 샌디에이고에 가 있던 사이 2012년 11월 17일에 11살로 죽었다.[80][81] 어미 해달의 새끼에 대한 헌신의 수준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이 여러 기록을 남긴 바 있다. 어미는 새끼에게 거의 끊임없는 관심을 쏟고, 찬 물에 닿지 않도록 가슴에 올려둔 뒤 조심스럽게 털을 그루밍해 준다.[82] 먹이를 잡을 때는 새끼를 물 위에 남겨두고 잠수하는데, 떠내려가지 않도록 켈프류 수초로 묶어 놓는다.[83] 새끼는 잠들어 있지 않다면,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시끄럽게 울어댄다.[84] 새끼가 죽으면,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의 시체를 계속 데리고 다닌다.[71] 암컷 해달은 태어나고 3, 4년, 수컷은 5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하지만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했다 해도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제대로 새끼를 치지 못한다.[85] 한편 포획된 수컷이 19살의 나이에 새끼를 친 바 있다.[68] 야생에서 해달의 최대 수명은 23살 정도이고,[23] 평균 수명은 수컷이 10 ~ 15살, 암컷이 15 ~ 20살 정도이다.[86] 인간에게 잡혀 사는 해달은 20살을 넘겨 사는 경우가 많은데, 시애틀 수족관의 암컷은 28살까지 살다 죽었다.[87] 야생 해달은 그 이빨이 닳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인해 사육 상태보다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인다.[88] 개체 분포[편집] 해달 보존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캘리포니아 주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해달은 수심 15~23 미터(50~75 피트) 정도의 연안 지역,[89] 즉 해안가에서 1 킬로미터(⅔ 마일) 이내에 서식한다.[90] 해달은 보통 거친 바닷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위투성이 해안지대, 켈프림, 보초 등지에서 찾을 수 있다.[91] 해달은 대부분 암석 기층(基層; substrate) 지역에서 생활하지만, 해저가 진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살 수 있다.[92] 해달은 유빙 사이에서는 생존할 수 있어도 정착빙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고로, 그 서식지는 얼음으로 인한 북방 한계를 가진다.[93] 해달 개체는 대략 1 킬로미터 길이의 행동 범위를 차지하며, 연중 계속 그 행동권에 머무른다.[94] 해달의 개체수는 한때 150,000 마리에서 300,000 마리에 달한 것으로 생각되며,[8] 그 서식지는 일본 북부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중부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꼴을 그렸다. 그러나 1740년대부터 시작된 모피 거래로 인해 해달의 개체수는 13개 무리 1,000~2,000 마리 정도까지 격감하였다. 해달의 개체수 복원 현황은 옛 서식 범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높은 개체 밀도를 자랑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직도 멸종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도 있다. 현재 러시아 동안,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의 개체수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멕시코에서도 재정착이 보고되고 있다.[95]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루어진 추산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약 107,000 마리의 해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96][97][98][99] 1870년에서 1924년 사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사냥 그래프 러시아[편집] 현재 해달 서식지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곳은 러시아이다.[100] 19세기 이전에는 쿠릴 열도 일대에 20,000 마리에서 25,000 마리의 해달이 서식했으며, 캄차카와 코만도르 제도 근처에는 더 많이 살았다. 대남획시대 이후 이 일대, 현 러시아의 해달 개체수는 고작 750 마리에 불과한 바 있었다.[96] 2004년 현재 해달들은 이 지역 모든 옛 서식지에 재도입되었으며, 그 개체수는 도합 27,000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약 19,000 마리는 쿠릴 열도에, 2000 ~ 3500 마리가 캄차카에, 나머지 5000 ~ 5500 마리는 코만도르 제도에 서식한다.[96] 개체수 성장률이 약간 둔화되었으며, 그 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했다고 생각되고 있다.[96] 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알래스카[편집]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101]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97]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102]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51]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편집] 존 웨버의 《해달》. 1788년경.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103]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98]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4]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4] 캘리포니아[편집]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해달. 캘리포니아에는 3,0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38년에 발견된 해달 약 50 마리의 후손이다. 2012년 봄,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실시한 캘리포니아의 해달 머릿수 조사 결과, 총 2,792 마리가 추산되었다. 이것은 2007년 봄에 정점을 찍은 3,026 마리보다는 감소했지만 2010년의 2,711 마리보다는 중가한 것이다.[99][104][105] 모피 거래가 시작되기 전의 개체 수는 약 16,000 마리 정도였다. 현재의 캘리포니아의 해달들은 1938년에 빅서의 빅스비 다리 옆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 가량의 해달 군집의 후손이다.[106] 주요 서식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산마테오 군의 피죤포인트에서 산타바바라 군에 이른다.[105] 1980년대 후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FWS)은 캘리포니아 해달 약 140 마리를 남부 캘리포니아 산니콜라스 섬으로 옮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의 생각과는 의외로, 산니콜라스에 방사된 해달들은 거의 모두 캘리포니아 본토로 헤엄쳐 돌아가 버렸다.[107] 섬 주위의 풍부한 먹이 덕분에 조금씩 개체수가 늘어나는 추세긴 하지만,[107] 2005년 현재 산니콜라스에 남아 있는 해달은 30 마리 뿐이다.[108] 해달 이주 프로그램을 검정한 계획서에서는 향후 5 ~ 10년 안에 해달 개체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산니콜라스 섬의 해달 개체수는 약 50 마리 정도로 증가했을 뿐이다.[109] FWS가 해달 이주 계획을 시행했을 당시, 당국에서는 캘리포니아 개체군의 "영역 관리"(zonal management) 역시 시행하려 시도한 바 있다. 해달과 인간 어업 활동의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포인트컨셉션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에 이르는 "해달 없는 영역"(otter-free zone)을 공표한 것이다. 이 영역 안에서는 산니콜라스 섬만 해달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그외 다른 곳에서 발견된 해달은 포획하여 이동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된 해달 중 많은 수가 폐사했고, 규제를 무시하고 월경하는 수백 마리의 해달을 모두 포획할 실질적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110] 산타바바라 지역의 환경보호센터와 Otter Project가 제기한 소송에 대응하여, 2012년 12월 19일 USFWS는 "해달 없는 영역" 실험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하고, 해달을 다시 멸종위기종으로 취급, 포인트컨셉션 남안에 군집을 재조성하여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111] 한때 샌프란시스코 만에 해달이 넘쳐나던 적도 있었다.[112]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알류트 족들을 몰래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데리고 가서, 현재의 산호세, 산마에토, 산브루노, 앤젤 섬 일대의 하구 퇴적지에서 해달을 사냥하게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알류트 족들은 에스파냐인들에게 붙잡혀 가거나 사살당하기도 했다.[113] 로스 요새를 세운 이반 쿠스코프는 1812년에 보데가 만 2차 항해를 했을 때 해달이 드물어져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알류트족들을 보냈다. 거기서 그들은 다른 러시아 패거리와 미국인 패거리를 만났고, 3개월에 걸쳐 1,160 마리의 해달을 잡았다.[114] 이 지역의 해달 서식지는 1817년이 되자 사실상 씨가 말랐으며, 러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너머 먼 남쪽에서도 해달 사냥을 하려고 에스파냐와 멕시코 측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다.[115] 샌프란시스코의 해달 개체군은 1840년까지는 명맥은 유지한 것 같다. 1840년 당시 보스턴 출신의 존 바티스타 로저스 쿠퍼 선장이라는 자가 푼타데쿠엔틴 토지불하지(현재의 캘리포니아 주 마린 군)를 임대하기 위해 멕시코 주지사 후안 바티스타 알바라도에게 허가를 받았고, 이와 함께 해달 수렵 허가증도 함께 받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당시 코르테마데라 개울 어귀에 해달이 흔했다고 한다.[116] 갈매기와 해달. 2007년 캘리포니아. 빅서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를 1911년 보호한 이래 남방해달의 서식지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나, 2007년과 2010년 사이 해달 개체수와 서식지는 다소 줄어들었다.[117] 2010년 봄 현재, 남방해달의 서식지 북방 한계선은 투니타스 개울에서 남동쪽으로 2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피죤포인트로 옮겨갔고, 남방 한계선은 COP 유전에서 가비오타 주립공원으로 이동했다.[118] 최근에는 특정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가 생산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가 해달이 먹이로 삼는 조개에 집중적으로 감염되어 해달을 중독시키고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질소와 인이 풍부한 고인 물에서 번성한다. 이 질소와 인은 대개 오수 정화조나 농업용 비료가 유출된 것으로, 우기에 유속이 빠를 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다.[119][120] 2010년,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많은 수의 해달 시체가 발견되었으며, 상어 습격률이 증가한 것 역시 해달의 죽음을 재촉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는 상대적으로 지방이 빈약한 편인 해달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상어에 물려서 죽은 해달 시체는 1980년에 8%, 1990년에 15%,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30%로 증가 추세에 있다.[12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해달이 두 번 관측되었는데, 한 번은 라구나 해변에서, 다른 한 번은 샌디에이고 근교 Zuniga Point Jetty에서였다. 이렇게 남쪽에서 해달이 관찰된 것은 기록상 3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123] 오리건[편집]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124]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125]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6] 생태[편집] 식성[편집] 해달은 켈프를 뜯어먹고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음으로써 켈프림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해달이 먹이로 삼는 종은 100종이 넘는다.[127] 그 중에서 해달은 각종 해양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는데, 해달의 먹이가 되는 해양 무척추동물은 성게를 비롯해서 대합·홍합 등 다양한 쌍각류와 전복, 그외 연체동물, 갑각류, 달팽이류 등이 있다.[127] 크기로 보자면 작은 삿갓조개와 게에서부터 문어처럼 큰 것까지 각양각색이다.[127] 성게, 대합, 전복 따위의 먹이의 크기가 다양할 때, 해달은 비슷한 종류의 작은 먹이보다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27]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이 3 인치(7 센티미터)보다 작은 피스모대합은 무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128] 배 위에 조개를 올려놓은 해달. 코의 흉터를 보아 암컷이다. 보다 북쪽의 서식지 일부에서는 해달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1960년대에 암치트카 섬에서 수행된 실험에서(이때 해달의 개체수는 환경용량), 해달의 위장 속의 음식물을 확인했더니 50%가 물고기였다.[129] 물고기 종은 대개 바다 밑바닥에 살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거나,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횟대(Hemilepidotus hemilepidotus)나 참복과 등이었다.[129] 하지만 북아메리카 대륙 연안 알래스카 남부에서는 해달의 먹이로서의 물고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하다.[4][130] 또한 흔히 묘사되는 것과 달리 해달은 불가사리는 거의 먹지 않으며, 켈프류 식물은 해달의 몸 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131] 해달 개체들은 사는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먹이를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자기 어미의 먹이잡는 패턴을 따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132] 해달은 자기들이 선호하는 먹이, 예컨대 성게 같은 것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어로 활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해달 개체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먹이를 바꾼다.[4] 어느 지역에서는 바위틈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을 제외한 전복들을 싹쓸이할 수도 있었지만,[133] 해달이 특정 지역에서 특정 먹이 종을 완전히 절멸시키는 일은 없다.[134] 2007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먹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그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먹이가 소비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해달 개체 각각의 식성은 먹이가 풍부한 지역보다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서 특정 먹이에 특수화되어 있었다.[107] 핵심종[편집] 캘리포니아 연안 후미진 지역. 이런 곳에 모피 거래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해달 군집이 숨어 있다.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9]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135]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136]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136]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36]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136] 천적[편집]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인간과의 관계[편집] 모피 거래[편집] 1896년, 어널래스카 섬의 알류트족 남성들. 해달 사냥을 위해 방수 카약과 옷가지를 사용했다. 해달의 털은 포유류 중 가장 두꺼운 편이다. 해달의 아름다운 털은 많은 사냥꾼들의 목표가 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의 원주민들 역시 식량과 털을 얻을 목적으로 해달을 사냥한 바 있다.[8] 사냥꾼들과 상인들은 가장 귀중한 모피였던 해달 가죽에 대한 외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세계를 헤집고 다녔고, 18세기에 시작된 해양 모피 거래의 일부였던 광범위한 해달 남획의 결과 대략 1백만 마리의 해달이 죽임을 당했다.[8] 18세기 러시아인들이 쿠릴 열도에서 해달을 사냥하기 시작했고,[8] 사냥한 해달은 캬흐타에서 중국인들에게 팔았다. 이 당시 러시아는 태평양 북단을 탐험하고 있었으며, 북빙양 해안선의 지도를 작성하고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비투스 베링을 파견했다.[138] 1741년, 2차 북태평양 항해 당시 베링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베링 섬에서 난파를 당했고, 그 자신을 포함하여 승무원 다수가 사망하였다.[138]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를 포함한 생존 승무원들은 섬의 해변에서 해달을 발견하고, 그해 겨울 해달을 사냥해 잡아먹고 그 가죽으로 도박을 하면서 보냈다.[138] 거의 1,000 마리의 해달을 잡아 죽인 그들은 시베리아로 돌아가 비싼 값을 받고 가죽을 팔았다.[138] 이렇게 하여 소위 말하는 "대남획"(Great Hunt) 시대가 시작되어 그 뒤로 백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러시아인들은 해달 모피가 러시아의 시베리아 팽창의 주요 동기 부여였던 흑담비 모피보다 더 값나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베링 탐사대의 생존자들이 가지고 온 해달 가죽을 캬흐타에서의 값으로 팔았다면, 그들은 베링의 탐사 비용의 10분의 1 정도를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다.[139] 1775년 오호츠크에서 흑담비 모피 값이 2.5 루블이었던 데 반해 해달 모피는 50 ~ 80 루블이나 나갔다. 런던 모피 시장의 해달 모피 매출량(단위: 천). 해달 개체수의 감소로 인해 1880년대부터 매출 급락이 시작된다.[140] 러시아인들의 모피사냥 원정으로 인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개체수는 대폭 감소했고, 1745년이 되자 러시아인들은 알류샨 열도로 옮겨갔다.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원주민인 알류트 족과 거래하여 수달 가죽을 얻었지만, 나중에는 알류트 족을 노예로 만들고, 여자와 아이는 인질로 잡았으며 남자는 고문하고 죽여서 사냥을 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알류트족이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하거나 러시아인들이 옮겨온 병으로 인해 죽었다.[141] 러시아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알류트족 인구는 20,000 여명에서 2,000 여명으로 감소했다.[142] 1760년대에는 러시아인들이 알래스카에 도달했다. 1799년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경쟁적인 모피 사냥 회사들을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로 통폐합하고, 이 회사에 대해 황실 인가와 보호를 보장하여 거래권과 영토 습득을 독점하게 했다. 상인들이 관리하던 회사 운영이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는 제국 해군의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이것은 원주민들에 대한 학대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해군 장교들이 제출한 데 그 원인이 크다. 1818년 알래스카 선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읍민과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받게 되었다.[143] 해달 가죽. 1892년. 남쪽에서는 다른 나라들이 해달 사냥에 뛰어들었다. 현재의 멕시코와 캘리포니아가 되는 해안선을 따라 에스파냐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토착민들에게서 해달 가죽을 사서 아시아에 팔았다.[141]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뱅쿠버 섬에 도달하여 선주민들에게서 해달 모피를 구입했다.[144] 이후 쿡의 배가 중국 항구에 입항하자 이 해달 가죽들은 고가에 빠르게 팔려나가, "부드러운 황금"(soft gold)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그 말이 퍼지자 유럽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해달 모피 무역에 뛰어들기 위해 태평양 북서부로 모여들었다.[144] 러시아는 사냥터를 남쪽으로 확장했고, 러시아 관리자들에게 하청을 받은 미국 선적 선장들과 알류트족 사냥꾼들이 현재의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서 사냥에 착수했다.[145] 1803년에서 1846년 사이, 72척의 미국 배가 캘리포니아 해달 사냥에 참가하였으며, 약 40,000 마리의 가죽과 꼬리를 획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선적의 배는 13척뿐이었으며 수렵한 해달 가죽도 5,696 마리였다.[146] 1812년, 러시아인들은 현재 로스 요새라고 알려진 농경 정착지를 캘리포니아 남부에 건설하고 남방 사령부로 삼았다.[144] 결국 해달 개체수가 너무 감소했기 때문에, 상업적 수렵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알류샨 열도에서의 해달 사냥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보존 측정을 한 1808년 이후 중단되었다.[147] 1834년에는 회사 측에서 추가적 규제를 요청했다.[147] 1867년에 러시아가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했을 당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군은 100,000 마리 이상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사냥을 재개하자 해달은 또다시 빠르게 씨가 말랐다.[148] 해달이 귀해짐에 따라 해달 모피 값도 상승했다. 1880년대에 런던 시장에서 해달 가죽의 가격은 105~165 달러였으나, 1903년에는 1,125 달러까지 치솟았다.[68] 1911년, 러시아, 일본, 대영제국(캐나다), 미국은 해달 및 물개류 보호 국제조약을 체결하고, 해달 수렵 결과물에 대한 지불 중지를 결의했다.[149] 이때 야생 해달은 1,000~2,000여 마리가 남아 있을 뿐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 종이 멸종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복원과 보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해달보호활동입니다. 엑손 발데즈 유조선의 항적을 따라 시커먼 윤기 흐르는 기름이 프린스윌리엄 해협을 뒤덮고 있다. 20세기에 걸쳐 옛 서식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해달의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이 개체수 복원은 해양 환경보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생각되고 있다.[150] 그러나 IUCN은 여전히 해달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달에게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밀어(密漁; poaching), 인간의 어업 활동과의 충돌을 들었다. 해달이 낚시도구에 얽혀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 이제 미국에서 해달 사냥은 원주민들의 제한적 수렵 행위를 제외하면 모두 불법이다.[151]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 극동에서는 밀어 행위가 심각한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사정이 호전되면서 밀어 행위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100] 해달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기름 유출로,[55] 체온 유지를 모피에 유지하는 해달에게 기름 유출은 특히 치명적이다. 해달의 털이 기름을 먹으면, 그 안에 공기를 채울 수 없게 되고, 해달은 저체온증으로 순식간에 죽음에 이른다.[55] 해달이 기름을 마시거나 그루밍하다 삼키게 될 경우, 간과 신장,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55] 1989년 3월 24일의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당시 프린스윌리엄 해협에서 수천 마리의 해달들이 폐사했다. 2006년 현재, 해당 지역에 잔류한 기름은 계속해서 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52] 당시 대중매체의 보도에 의하여 해달에 대한 대중적 동정이 형성되었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장난기 많고 사진발 잘 받는, 죄 없는 구경꾼이던 해달은 완벽한 피해자의 역할을 떠안게 되었다. … 즐겁게 뛰어놀던 귀여운 해달들은 기름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갑작스럽게도 기름범벅이 되어 고통 속에서 겁에 질려 죽어가고 있다.[4]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해달 서식지가 지리적으로 좁다는 것은, 한 번 대형사고가 터지면, 해당 주의 해달 전체의 생존에 재앙이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4][45][51] 기름 유출을 방지하고 해달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해달 구조 활동에서 주된 초점이 맞춰진 중요한 일이다. 또한 해달 개체수를 늘리고 서식지를 넓히는 것 역시 한 번의 기름 유출로 해달들이 싹쓸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 하지만 해달이 조개 수를 감소시킨다는 인식 때문에, 상업적, 오락적, 자급적 이유로 조개 채취를 옹호하는 이들은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는 것에 반대한다. 때로는 어부나 다른 인간들이 불법적으로 해달을 잡아 죽이는 경우도 있다.[153]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달. 뒷발의 기묘한 모양에 주목할 것.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가락이 길어진다.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110]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02]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154]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99]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155]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155][156]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5]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157]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158][159] 경제적 영향[편집] 해달이 좋아하는 먹이, 특히 전복, 대합, 게는 인간의 식량 자원이기도 하다. 몇몇 지역에서는 조개류 수확량의 급락이 해달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해산물을 둘러싼 해달과 인간의 경쟁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공개 토론회가 벌어졌다.[160] 모스랜딩의 이 해달처럼, 해달은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만 일대의 관광자원이다. 남획, 질병, 오염, 지진 등으로 인한 조개 양 감소까지 해달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토론은 복잡했다.[51][161] 북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해안의 해달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개의 수확이 감소하고 있으며, 몇몇 환경보호론자들은 연안에 조개류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은 모피 거래로 인한 해달의 지역적 멸종으로 인한 최근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61] 조개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해달이 조개를 포식함으로써 조개 채취업이 상업적으로 불가능해질 지경까지 감소할 수 있다.[160] 과학자들은 해달과 전복 채취업이 공존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160] 그 외의 특정 조개류에 대해서 역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110] 해달과 인간 경제의 상호작용의 여러 양상은 즉각적으로 직감하기는 어렵다. 해달은 그 유명한 성게 개체수 조절 기능으로 켈프 수확 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켈프는 음식, 제약 산업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162] 인간 잠수부들은 식용 또는 켈프 보호를 위해 붉은성게를 채취하지만, 해달은 더 많은 성게 종을 사냥할 뿐더러 매우 일관되게 그 개체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63] 켈프림 생태계의 건강은 물고기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인간 경제에 있어 중요한 물고기 종의 개체수도 증가하게 된다.[162] 일부 지역에서는 해달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어, 해달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인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162]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편집] 왼쪽: 알류트 족의 해달 부적. 새끼를 끌어안은 어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 고래수염 창으로 해달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알류트 족의 조각. 둘 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표트르 대제 인류학 및 민족지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해달을 묘사한 물건은 일종의 마술적인 성질이 있다고 믿어졌다.[164] 북태평양 일대의 해양 토착 문화, 특히 쿠릴 열도의 아이누 민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인과 이텔멘인, 알류샨 열도의 알류트 족, 하이다과이의 하이다 족,[165] 북아메리카 태평양 해안의 부족들 다수에서 해달은 물질적 자원임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이들 문화권은 대부분 강력한 애니미즘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통은 자연 세계의 많은 요소가 정령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갖가지 전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개중에 해달은 특히 인간과 동질하다고 생각되었다. 누트카 족, 하이다 족을 비롯해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 지역의 퍼스트 네이션스들은 따뜻하고 사치스러운 날가죽을 추장의 예장으로서 사용했다. 해달 날가죽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등의 포틀래치에서 수여되었다.[56] 알류트 족은 해달 뼈에 조각을 해서 장식품 또는 놀잇감으로 사용했고, 해달의 음경골을 가루로 만들어 해열제로 사용했다.[166] 아이누 민족에게 수달은 가끔씩 찾아오는 인간과 조물주 사이의 메신저였다.[167] 아이누 민속에 있어 해달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아이누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クトゥネシㇼカ)는 황금 해달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전쟁과 다툼에 대한 서사시이다. 알류트 족 사이에는 연인 또는 절망한 여자가 바다 속에 투신하여 해달이 되었다는 전설이 다양한 판본으로 널리 퍼져 있다.[168] 이러한 인간과 해달의 관계는 해달의 여러 가지 인간스러운 행동 특성과 결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장난기가 많고, 어미와 새끼 사이에 유대감이 강하며, 도구를 사용한다. 그야말로 의인화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고 할 수 있다.[169] 해달에 대한 상업적 착취가 시작되고, 해달뿐 아니라 아이누와 알류트 역시 쫓겨나고 인구수가 격감했다. 해달의 수가 대폭 감소한 북아메리카 해안의 부족들은 더 이상 생존을 위해 해양 포유류에게 예전같이 의지하지 않았다.[170] 1970년대 이후로는 해달은 그 귀염성과 매력으로 인해 널리 공감을 받게 되었고, 환경 보존 운동의 아이콘적 존재가 되었다.[154] 해달의 동글동글하고 표현력 풍부한 얼굴,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몸은 갖가지 기념품, 엽서, 옷가지, 봉제 장난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 벤쿠버 수족관의 해달 수족관과 동물원[편집] 해달은 인간에게 잡혀 지내면서도 잘 살 수 있으며, 현재 40개소 이상의 수족관과 동물원에서 해달을 사육하고 있다.[172] 시애틀 수족관은 1979년에 개체 티추크(Tichuk)가 태어나고, 1980년대에 새끼가 세 마리 더 태어남으로써, 해달을 수정란부터 성체까지 완전히 사육한 최초의 기관이 되었다.[173] 2007년에는 해달 두 마리가 서로 손을 잡고 물에 떠다니는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2주만에 1백 5십만 회의 조회수를 확보했고, 2013년 현재는 1천 9백만 회를 초과하고 있다.[174] 해당 동영상은 벤쿠버 수족관에서 5년 앞서 촬영된 것으로, 업로드되었을 당시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물 관련 동영상이었다. 동영상에서 털 색깔이 밝은 해달의 이름은 니아크(Nyac)이며,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때 구조된 해달이다.[175][176] 니아크는 2008년 9월에 20살로 죽었다.[177] 같이 보기[편집] 수달 캘리포니아 모피 사냥 보노보노 각주[편집] ↑ 가 나 Doroff, A.; Burdin, A. (2015). “Enhydra lutris (Sea Otter)”. 《IUCN Red 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 가 나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 Tiny Sea Otter Siblings Fight the Odds, Wired Science, June 28, 201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9 ↑ 헨리 리델(Henry George Liddell),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OCLC 17396377.  ↑ Nickerson, p.19 ↑ 가 나 다 라 마 Silverstein, p.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Enhydra Lutis”.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enyon, p.4 ↑ 가 나 다 VanBlaricom, p.11 ↑ Koepfli, K.-P; Wayne, R.K. (1998년 12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tters (Carnivora: Muste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Journal of Zoology 246 (4): 401–416. doi:10.1111/j.1469-7998.1998.tb0017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Koepfli KP; Deere KA; Slater GJ; Begg, Colleen; Begg, Keith; Grassman, Lon; Lucherini, Mauro; Veron, Geraldine; Wayne, Robert K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15–16 ↑ Love, pp.4–6 ↑ Love, p.6 ↑ "Enhydra lutri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18 March 200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ilson; Don. E.; Brownell, R. L.; Burdin, A. M.; Maminov, M. K. (1991년 2월). “Geographic Variation in Sea Otters, Enhydra lutris”. Journal of Mammalogy 72 (1): 22–36. JSTOR 1381977. doi:10.2307/138197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ptner & Sludskii 2002, 1349쪽 ↑ 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 (PDF). 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 2007년 6월. 200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PMID 10396181. doi:10.1017/S0006323199005307.  ↑ The Wildlife Year.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991). ISBN 0-276-42012-8.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Enhydra lutris at MarineBio.org”. 200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eptner & Sludskii 2002, p.1342 ↑ 가 나 다 Nickerson, p.21 ↑ Silverstein, p.14 ↑ Kenyon, pp.37–39 ↑ Love, p.21 and 28 ↑ 가 나 Love, p.27 ↑ 가 나 Silverstein, p.13 ↑ 가 나 Love, p.21 ↑ 가 나 Kenyon, p.70 ↑ Silverstein, p.11 ↑ Kenyon, p.62 ↑ Love, p.22 ↑ VanBlaricom, p.64 ↑ “USFWS Species Profile: Southern sea otter (Enhydra lutris nereis)”.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Kenyon, p.55 ↑ Love, p.23 ↑ Kenyon, p.56 ↑ Kenyon, p.43 ↑ Love, p.74 ↑ Kenyon, p.47 ↑ VanBlaricom, p.17 ↑ 가 나 “Sea Otter” (PD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 1993년 10월.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24 ↑ Ortiz RM (2001년 6월). “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11): 1831–44. PMID 114410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다 Love, pp.69–70 ↑ Love, pp.70–71 ↑ Kenyon, p.7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1993). “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Documentary). U.S.A.: PBS.  ↑ 가 나 Haley, D. (ed.) (1986). 〈Sea Otter〉. 《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 2판. Seattle, Washington: Pacific Search Press. ISBN 0-931397-14-6. OCLC 13760343.  ↑ 가 나 VanBlaricom, p.22 ↑ “Sea otter”. BBC. 2012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AquaFact file”. Vancouver Aquarium Marine Science Centre. 2007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Okerlund, Lana (2007년 10월 4일). “Too Many Sea Otters?”.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49 ↑ VanBlaricom, p.45 ↑ 가 나 다 라 마 VanBlaricom, pp.42–45 ↑ Love, p.50 ↑ 가 나 Kenyon, p.77 ↑ Kenyon, pp.78–79 ↑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은 어미 해달의 비명: JoeMillerUS (2012년 10월 21일). “Alaska Killer Whales vs. Witty Otter”. Youtube.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Silverstein, p.61 ↑ Love, p.52 ↑ 가 나 Love, p.54 ↑ Silverstein, p.30 ↑ 가 나 다 라 Nowak, Roland 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ume II Fif판.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1–1143쪽. ISBN 0-8018-3970-X.  ↑ Kenyon, p.44 ↑ Love, pp.56–61 ↑ 가 나 Love, p.58 ↑ Silverstein, pp.31–32 ↑ Love, p.61 ↑ 가 나 Love, p.63 ↑ Love, p.62 ↑ Love, p.59 ↑ 구본준 (2011년 7월 18일). “이보다 더 귀여울수 없는 아기 동물들”. 한겨레.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Kit the Sea Otter Pup at Play with Her Companion, Mae”. Monterey Bay Aquariu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동영상 ↑ “Sea Otter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Mae, First Otter to Raise a Pup on Exhibit, Die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Watch Mae, who passed away last weekend, play with sea otter pup Kit. We’ll miss her!”.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Kenyon, p.89 ↑ Silverstein, p.31 ↑ Silverstein, p.28 ↑ Love, p.53 ↑ VanBlaricom, p.71 ↑ VanBlaricom, pp.40–41 ↑ VanBlaricom, p.41 ↑ Silverstein, p.17 ↑ Nickerson, p.49 ↑ Silverstein, p.19 ↑ VanBlaricom, p.14 ↑ Kenyon, p.133 ↑ Love, pp.67–69 ↑ VanBlaricom, p.54 ↑ 가 나 다 라 Kornev S.I., Korneva S.M. (2004) Population dynamics and present status of sea otters (Enhydra lutris) of the Kuril Islands and southern Kamchatka. Marine Mammals of the Holarctic, Proceedings of 2004 conference. p.273–278. ↑ 가 나 “Sea Otters –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 Alaska.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arrett-Lennard, Lance (2004년 10월 20일). “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 Vancouver Aquarium. 200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eff, Lisa (2007년 6월 15일). “California otters rebound, but remain at risk”. Associated Press. 201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VanBlaricom, p.62 ↑ Nickerson, p.46 ↑ 가 나 Schrope M (2007년 2월). “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Nature 445 (7129): 703–5. PMID 17301765. doi:10.1038/445703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2011년 8월 22일에 확인함.  ↑ Brian Hatfield, Tim Tinker (2012년 8월 12일). “Spring 2012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Census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pring 2007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 Geological Survey. 2007년 5월 30일.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ilverstein, p.41 ↑ 가 나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Cruz (2008년 1월 18일). “Sea Otter Show Striking Variability In Diets And Feeding Strategies”. ScienceDaily.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roposes that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be Terminated” (PD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5년 10월 5일.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Service Proposes to End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USFWS Pacific Southwest Region. 2011년 8월 17일.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alance sought in sea otter conflict”. CNN. 1999년 3월 24일. 2008년 1월 25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2년 12월 20일). “U.S. will let otters roam along Southern California coast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Southern Sea Otters. nrdc.org ↑ Adele Ogden (1975). The California sea otter trade, 1784–1848.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쪽. ISBN 978-0-520-02806-7.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Hubert Howe Bancroft, Alfred Bates, Ivan Petroff, William Nemos (1887). History of Alaska: 1730–1885. San Francisco, California: A. L. Bancroft & company. 482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촥인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uzanne Stewart and Adrian Praetzellis (2003년 11월). Archeological Research Issues for the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Golden Gate National Recreation Area (PDF). Anthropological Studies Center, Sonoma State University. 335쪽.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ob Battersby, Preston Maginis, Susan Nielsen, Gary Scales, Richard Torney, and Ed Wynne (2008년 5월). Ross, California – The people, the places, the history. Ross Historical Society.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 Young Landis (2010년 8월 3일). “California Sea Otter Numbers Drop Again”. U. S. Geological Survey.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Spring 2010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0년 9월 23일). “Another deadly challenge for the sea otter”.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Miller MA; Kudela RM; Mekebri A; Crane D; Oates SC; Tinker, M. Timothy; Staedler, Michelle; Miller, Woutrina A.; Toy-Choutka, Sharon (2010년 9월 10일). Thompson, Ross, 편집. “Evidence for a Novel Marine Harmful Algal Bloom: Cyanotoxin (Microcystin) Transfer from Land to Sea Otters”. PLoS ONE 5 (9): e12576. PMC 2936937. PMID 20844747. doi:10.1371/journal.pone.001257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Victoria Colliver (2011년 1월 23일). “Sea otter deaths jump in 2010”.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USGS (2012년 04월). “Number of dead California sea otters a record high in 2011” (PDF).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Rare sighting of sea otter off Laguna Beach”. 2011년 12월 7일. 2013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 Jameson, Ronald James (1975).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PDF). Oregon State University. OCLC 9653603.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M.Sc. thesi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Quinn, Beth (2004년 10월 17일). “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PDF). Oregonlive. 201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 Oregonlive. 2009년 2월 20일. 2009년 2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p.18–29 ↑ Love, p.96 ↑ 가 나 Kenyon, p.121 ↑ Love, p.76 ↑ Kenyon, p.119 ↑ VanBlaricom, p.29 ↑ VanBlaricom, p.30 ↑ Nickerson, p.57 ↑ “Aquatic Species at Risk – Species Profile – Sea Otter”. 캐나다 어업해양청.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33 ↑ 가 나 Nickerson, P. “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fenders of Wildlife. 65쪽. 2011년 7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ilverstein, p.35 ↑ James R Gibson,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1969, page 17 ↑ Brass E. (1911) Aus dem Reiche der Pelze, Bd III, Berlin ↑ 가 나 Silverstein, p.37 ↑ Gedney, Larry (1983년 5월 6일). “The Aleut and the Otter”.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Middleton, p.8 ↑ 가 나 다 Silverstein, p.38 ↑ Farris, pg.21, ↑ Mathes, p.326 ↑ 가 나 Middleton, pg.4 ↑ Silverstein, p.40 ↑ VanBlaricom, p.50 ↑ VanBlaricom, p.53 ↑ VanBlaricom, p.65 ↑ Weise, Elizabeth (2007년 1월 31일). “Damage of Exxon Valdez endures”.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Nickerson, pp.47–48 ↑ 가 나 “Sea Otters: Species Description”. Alaska SeaLife Center.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Kreuder C; 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 (2003년 7월).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9 (3): 495–509. PMID 14567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 NOAA magazine (미국 해양대기청). 2003년 1월 21일. 200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City of Monterey. 2008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VanBlaricom, p.34 ↑ 가 나 Love, pp.93–98 ↑ 가 나 다 Silverstein, p.49 ↑ Nickerson, p.70 ↑ Lyapunova R.G. (1963) Museum materials on the Aleuts. Catalog of the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Academy of Sciences, USSR, vol. XXI. ↑ Szpak, Paul; Orchard, Trevor J.; McKechnie, Iain; Gröcke, Darren R. (2012). “Historical Ecology of Late Holocene Sea Otters (Enhydra lutris)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Isotopic and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5): 1553–1571. doi:10.1016/j.jas.2011.12.00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34–35 ↑ Chamberlain, B. (1888). 《Aino Folk Tales》. London,: The folk-lore society, private print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 A. Golder. (1905) Aleutian Stories.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18, No. 70. (July–September), pp.215–222. ↑ N. I. Barabash-Nikiforov (1947) Калан (Enhydra lutris L.) его биология и вопросы хозяйства (The sea otter (Engydra lutris L): biology and management), Published by: Natural Preservation Ministry of the RSFSR, Moscow. ↑ Hatch, David R. (2002) Elakha: Sea Otters, Native People, and European Colonization in the North Pacific. In Changing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5th and 6th Annual Coquille Cultural Preservation Conferences. Donald B. Ivy and R. Scott Byram, eds. pp.79–88. North Bend, OR: Coquille Indian Tribe. ↑ Love, p.97 ↑ VanBlaricom p.69 ↑ “Seattle Aquarium's Youngest Sea Otter Lootas Becomes a Mom”. Business Wire. 2000년 4월 19일.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 cynthiaholmes (2007년 3월 19일). “Otters holding hands”. YouTube. 200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Vancouver sea otters a hit on YouTube”. CBC News. 2007년 4월 3일.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매일 생사 넘나드는 해달의 삶...KBS1'KBS파노라마'”. 국민일보. 2013년 8월 13일.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Vancouver Aquarium's oldest sea otter, Nyac, passes”. Vancouver Aquarium. 2008년 9월 23일.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enyon, Karl W. (1969). The Sea Otter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Washington, D.C.: U.S. Bureau of Sport Fisheries and Wildlife. ISBN 0-486-21346-3.  Love, John A. (1992). Sea Otters. Golden, Colorado: Fulcrum Publishing. ISBN 1-55591-123-4. OCLC 25747993.  Nickerson, Roy (1989). Sea Otters, a Natural History and Guide.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ISBN 0-87701-567-8. OCLC 18414247.  Silverstein, Alvin; Silverstein, Virginia and Robert (1995). The Sea Otter. Brookfield, Connecticut: The Millbrook Press, Inc. ISBN 1-56294-418-5. OCLC 3043654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iddleton, John (2001). Maritim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Today. San Francisco, Californi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lecture.  Farris, Glenn (2007). Mains'l Haul, a Journal of Pacific Maritime History, Vol 43. San Diego, California: Maritime Museum of San Diego. ISSN 1540-3386.  Mathes, Michael (2008). The Russian-Mexican Frontier. Jenner, California: Fort Ross Interpretive Association, Inc. ISBN 978-1-60643-951-7.  VanBlaricom, Glenn R. (2001). Sea Otters. Stillwater, MN: Voyageur Press Inc. ISBN 0-89658-562-X. OCLC 463937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The Otter Project – Nonprofit organization Friends of the Sea Otter - Nonprofit organization Otter 501 – Documentary film (영어) 해달 - Curlie (DMOZ 기반) Field notes by Georg Wilhelm Steller, 1742 (PDF) Live sea otter webcam – Monterey Bay Aquarium Live sea otter webcam – Vancouver Aquarium Otters holding hands – The popular YouTube video Precipice of Survival: The Southern Sea Otter (video) Smithsonian Institution – North American Mammals: Enhydra lutris vdeh현존하는 족제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아메리카오소리아과아메리카오소리속아메리카오소리라텔아과라텔속라텔오소리아과돼지코오소리속돼지코오소리오소리속일본오소리 · 오소리 · 유럽오소리담비아과타이라속타이라울버린속울버린담비속아메리카담비 · 담비 · 바위담비 · 닐기리담비 · 유럽소나무담비 · 산달 · 피셔 · 검은담비족제비오소리아과족제비오소리속보르네오족제비오소리 · 중국족제비오소리 · 자바족제비오소리 · 버마족제비오소리 · 베트남족제비오소리그리슨아과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속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줄무늬족제비속사하라줄무늬족제비 · 줄무늬족제비파타고니아족제비속파타고니아족제비얼룩족제비속얼룩족제비그리슨속작은그리슨 · 큰그리슨족제비아과아메리카밍크속아메리카밍크족제비속긴꼬리족제비 · 등줄무늬족제비 · 말레이시아족제비 · 북방족제비 · 쇠족제비 · 고산족제비 · 족제비 · 유럽밍크 · 검은발족제비 · 긴털족제비 · 스텝긴털족제비 · 아마존족제비 · 콜롬비아족제비 · 일본족제비 · 노랑배족제비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이집트족제비수달아과큰수달속큰수달아메리카수달속북아메리카수달 · 바다수달 · 남아메리카수달 · 긴꼬리수달해달속해달얼룩목수달속얼룩목수달수달속수달 · 수마트라수달민발톱수달속아프리카민발톱수달작은발톱수달속작은발톱수달비단수달속비단수달분류 전거 통제 LCCN: sh85119235 GND: 4169258-5 NDL: 00569259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407 ADW: Enhydra_lutris ARKive: enhydra-lutris EoL: 32858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6078 GBIF: 2433670 iNaturalist: 41860 IRMNG: 10198728 ITIS: 180547 IUCN: 7750 MSW: 14001090 NCBI: 34882 Species+: 7275 uBio: 105591 WoRMS: 24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달&oldid=24216140"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달아과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일본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미국의 포유류캐나다의 포유류북아메리카의 포유류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해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해달 보전 상태 위기(EN), IUCN 3.1[1]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해달속 (Enhydra) 종: 해달 (E. lutris) 학명 Enhydra lutrisLinnaeus, 1758 아종 아시아해달 (E. l. lutris ) 남방해달 (E. l. nereis) 북방해달 (E. l. kenyoni) 해달의 분포도 해달(海獺, 라틴어: Enhydra lutris 엔히드라 루트리스[*], 영어: sea otter)은 북태평양 북안과 동안에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이다.[2] 다 자란 해달의 몸무게는 14-45Kg이며, 이는 족제빗과의 종 중 가장 무거운 편이지만 해양 포유류에 비할 수 없을 만큼 가볍다. 다른 해양 포유류와는 달리 해달의 보온장치는 지방질이 아니라 매우 두꺼운 털가죽이다. 땅에서 걸을 수 있지만, 땅을 한 번도 밟지 않고 일생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해달은 해안지역에 서식하며 먹이를 위해서는 해면으로 잠수한다. 주식은 성게, 연체동물, 갑각류, 제한적이지만 물고기 등이다. 이들의 식성과 먹는 방식은 여러 방면에서 특이하다. 우선,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동물이라는 점인데 바위를 이용해 조개 등을 깨는 습성에서 볼 수 있다. 서식지에서 해달은 성게 수를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숫자가 줄면 해초 숲이 성게에 의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해달의 식단 중 인간이 섭취하는 종도 있으므로 어부와의 충돌이 일어나기도 한다. 해달의 개체 수는 털을 위한 남획 전 15만 마리에서 30만 마리였지만, 1741년과 19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사냥 때문에 개체 수가 1,000 ~ 2,000마리로 줄었으며 분포지역 또한 줄어들었다. 국제적으로 사냥을 금지하고 재도입 계획에 의해 개체 수는 늘어나 이제는 한때 차지하던 서식지의 66%를 차지하고 있다. 해달의 회복은 종의 회복에 관한 예를 들 때 캘리포니아 귀신고래와 함께 성공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하지만 알류샨 열도와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은 감소하는 등 아직도 위협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달은 여전히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목차 1 생물 분류 1.1 진화 1.2 아종 2 계통 분류 3 신체적 특징 4 습성 4.1 먹이 사냥 4.2 사회 구조 4.3 번식과 생활사 5 개체 분포 5.1 러시아 5.2 알래스카 5.3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5.4 캘리포니아 5.5 오리건 6 생태 6.1 식성 6.2 핵심종 6.3 천적 7 인간과의 관계 7.1 모피 거래 7.2 복원과 보존 7.3 경제적 영향 7.4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 7.5 수족관과 동물원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 자료 11 외부 링크 생물 분류[편집]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의 해달 가족. 매우 드물게도 새끼가 쌍둥이이다. 해달의 쌍둥이는 매우 드물게 태어나며, 태어나도 어미가 두 마리를 모두 키울 여력이 없어 대개 한 마리를 버리게 된다.[3] 해달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서술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가 1751년에 쓴 야장(野帳; feildnote)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후 1758년에는 칼 폰 린네의 《자연의 체계》에서 해달을 다룬 것을 찾을 수 있다.[4] 이때 최초 학명은 Lutra marina였고, 수많은 변경을 거쳐 1922년에 Enhydra lutris로 학명이 확정되었다.[5] 속명 Enhydra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en/εν 과 hydra/ύδρα로, "물속"이라는 뜻이다.[6] 종명은 라틴어 lutris로, "수달"이라는 뜻이다.[7] 옛날에는 "바다비버"라고 불린 적도 있었으나,[8] 사실 비버와는 근연관계가 멀다. 한편 서남안에 서식하는 바다수달(Lontra felina)이라는 진귀한 수달종이 따로 있는데, 해달과 헷갈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수달류의 동물은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해달과 바다수달은 특이하게 해양 연안에 서식한다. 현재는 멸종한 바다밍크(Neovison macrodon)가 족제비과로서 역시 해양 환경에 적응한 종으로, 북아메리카 북동부에 서식했다. 캘리포니아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진화[편집] 해달은 족제비과 동물 중 가장 무거운 축이다(신장은 큰수달이 더 길지만, 훨씬 몸매가 날씬하다).[9] 족제비과에는 13종의 수달류 동물과 족제비류, 오소리류, 밍크류 등의 육상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족제비과 동물이면서 은신처나 소굴을 파지 않고, 제 기능을 하는 항문선이 없다는 점에서 해달은 특이하다.[10] 또한 해달은 물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평생을 살 수 있다.[11] 해달속(Enhydra)의 유일한 종으로서, 해달은 다른 족제비과 동물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1982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해달이 바다표범과 가까운 근연이라고 생각했을 정도였다.[12] 유전적 분석 결과 해달 및 그 가장 가까운 현생 근연종인 얼룩목수달, 유럽수달, 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이 약 5백만 년 전의 공조상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13] 화석 증거에 따르면 해달속 계통은 북태평양에서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멸종한 Enhydra macrodonta 종과, 현대 해달인 Enhydra lutris 종이 발생하였다.[5] 해달은 홋카이도 북부와 러시아에서 최초로 진화하여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본토를 걸쳐 동쪽으로 퍼져나갔고, 그 뒤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아메리카 해안으로 퍼져나갔다.[14] 물속으로 들어간 것이 대략 5천만 년, 4천만 년, 2천만 년 전인 고래류, 해우류,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은 해양성 포유류계의 상대적 신참자라고 할 수 있다.[15] 하지만 새끼를 치기 위해서 지면이나 빙상 위로 올라가야 하는 기각류와 비교하면, 해달이 해양 생활에 더욱 적응한 종이라 할 수 있다.[16] 아종[편집] 현재까지 3개의 아종이 발견되었으며, 신체 크기 및 두개골과 치아 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음과 같다.[9][17] 아종 학명 삼명병 명명자 일반명 설명 분포 이명 E. l. lutris (승명아종) Linnaeus, 1758 그냥 해달[18] 아시아해달[18] 코만도르해달[19] 쿠릴해달[19] 가장 몸집이 큰 아종. 두개골이 넓고 코뼈가 짧다.[18] 쿠릴 열도에서 코만도르스키예 제도까지 서태평양 일대[9] gracilis (Bechstein, 1800) kamtschatica (Dybowski, 1922) marina (Erxleben, 1777) orientalis (Oken, 1816) stelleri (Lesson, 1827) E. l. nereis Merriam, 1904 남방해달[18] 캘리포니아해달[18] 두개골이 보다 좁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작다.[18] 캘리포니아 중부 해안.[9] E. l. kenyoni[20] Wilson, 1991 북방해달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미국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 북단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18] 캐나다에서는 남획으로 인해 거의 멸종당했다가, 뱅쿠버 섬과 올림픽 반도에 재도입되었다.[9] 오리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하려는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하지만 1969년에서 1970년에 걸쳐 워싱턴 주 서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그 이후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이제는 후안데푸카 해협까지 그 서식지가 확장되었으며, 필라포인트에서도 해달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서식지가 동쪽으로 확장되었다. 때때로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 북안에서 발견되는 개체도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21]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신체적 특징[편집] N. N. 콘다코프가 그린 해달의 두개골. 해달은 해양 포유류로서는 가장 작은 종 중 하나이지만, 족제비과 동물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든다.[11] 수컷 해달의 체중은 22 킬로그램 ~ 45 킬로그램(49 파운드 ~ 99 파운드) 정도이며, 신장은 1.2 미터 ~ 1.55 미터(3 피트 10 인치 ~ 4 피트 10 인치) 정도인데, 체중 54 킬로그램(120 파운드)까지 나가는 표본이 기록된 바 있다.[22] 암컷은 그것보다 작아서, 체중은 14 킬로그램 ~ 33 킬로그램(31 파운드 ~ 73 파운드), 신장 1.0 미터 ~ 1.4 미터(3 피트 3 인치 ~ 4 피트 7 인치) 정도이다.[23] 해달의 음경골은 수컷의 경우 매우 크고 묵직하며 위쪽으로 굽어 있다. 그 길이는 150 밀리미터(5.9 인치), 음경골 뿌리는 15 밀리미터(0.59 인치) 정도이다.[24] 해달은 모피가 두텁기 때문에, 땅 위로 올라오면 물속에 있을 때보다 몸집이 더 토실토실해 보인다. 대부분의 해양 포유류와 달리 해달은 고래지방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유달리 두꺼운 모피를 통해서 체온을 유지한다.[25] 해달의 털은 1 평방센티미터 당 150,000 가닥(1 평방인치당 거의 백만 가닥) 이상 나 있으며, 해달의 모피는 그 어떤 동물보다도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26] 해달 모피는 방수가 되는 길다란 보호털과 그 아래 짧은 잔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호털이 물을 막아 줌으로써 아래의 조밀한 잔털층이 마른 상태를 유지한다. 때문에 차가운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으며 열 손실을 제한할 수 있다.[23] 해달은 털갈이 철이 따로 없고, 매번 조금씩 탈모하고 계속 털이 나기 때문에 연중 내내 모피가 두터움을 유지한다.[27] 보호털의 방수 기능은 철저한 청결함에 달려 있기 때문에, 해달은 몸 어느 부위의 털이든지 닿아서 그루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피부가 늘어져 있으며, 골격이 희한할 정도로 유연한 덕분이다.[28] 모피의 색깔은 보통 진한 갈색에 은빛 회색의 얼룩이 나 있는데, 노란색이나 쥐색 계통의 갈색도 있고, 개중에는 거의 새까만 색도 있다.[29] 성체 해달의 경우 머리, 목, 가슴의 털 색깔이 다른 부위보다 더 밝은 색을 띤다.[29] 리스본 수족관의 해달. 기묘한 유연성을 이용해 그루밍을 하고 있다. 해달은 해양 환경에 여러 모로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 조그만 귀와 콧구멍은 열었다 닫았다 할 수 있다.[30] 뒷발은 길고 넓적하며 반반하기 때문에 헤엄칠 때 상당한 추진력을 낼 수 있게 해 준다.[31] 뒷발은 그 다섯째 발가락이 가장 길다. 이 발가락 이 덕분에 누워서 헤엄칠 수 있지만, 걷는 것은 어려워한다.[32] 꼬리는 제법 짧고 두꺼우며 약간 넓적한데 근육질이다. 짧은 앞발에는 오므릴 수 있는 갈고리발톱들이 나 있으며, 발바닥에 거칠거칠한 육구가 붙었기 때문에, 미끄러운 먹이를 잡기 용이하다.[33] 이렇게 사지를 오므리고 잔다. 밴쿠버 수족관. 수중에서 해달은 꼬리와 뒷발을 비롯한 몸의 뒤쪽 부분을 위아래로 흔들어서 앞으로 나아간다.[31] 그리고 그 속도는 최대 시속 9 킬로미터(시속 5.6 마일)에 이른다.[9] 물속으로 들어가면 해달은 짧은 앞다리를 가슴에 딱 붙여 포개어 몸을 전체적으로 길고 유선형으로 만든다.[34] 한편, 수면 위로 올라오면 해달은 배를 드러내고 누워서, 발을 노젓듯 움직이고 꼬리를 옆으로 흔들면서 떠다닌다.[35] 휴식을 취할 때는 사지를 모두 오므려 몸통에 접어 붙이고 체온을 보존한다. 반대로 날씨가 너무 더울 때는 뒷발을 물속에 넣어서 몸을 식히기도 한다.[36] 해달의 몸은 부력이 매우 커서 물에 잘 뜨는데, 이것은 해달의 폐활량이 매우 큰 것과(비슷한 덩치의 육상 포유류의 2.5배 정도이다)[37] 모피 속에 공기가 찬 것 때문에 그러한 것이다. 해달은 땅으로 올라오면 걸음걸이가 굴러다닐 듯 어설프지만, 껑충껑충 뛰어서 도망갈 수는 있다.[32] 물이 어둡거나 탁할 경우, 해달은 길고 매우 민감한 수염과 앞발의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다.[11] 연구자들은 해달에게 잘 보이는 위치에서 연구진이 해달에게 접근했을 때, 해달 쪽으로 바람이 불면 해달이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것은 해달의 후각이 시각보다 경고 감각으로서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시사한다.[38] 또 다른 관찰에서 밝혀진 바로는, 해달의 시력은 물 위에서나 물속에서나 도움이 되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물개류만큼 눈이 좋은 것 같지는 않다.[39] 청력은 특별히 좋은 편도 나쁜 편도 아니다.[40] 성체의 이빨은 32개이고, 그 중 어금니는 둥글납작하여 음식을 잘라내기보다는 까부수는 데 적합하다.[41] 아랫앞니가 세 쌍이 아니라 두 쌍인 육식성 동물은 기각류와 해달 뿐이다.[42] 성체 해달의 치열은 3.1.3.12.1.3.2이다.[43] 해달의 기초 대사율은 비슷한 크기의 육상 포유류보다 2~3배 높다. 해달은 차가운 물속 환경에서 열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엄청난 칼로리를 태워야 하고, 매일 자기 체중의 25~38% 무게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44][45] 소화 효율은 80 ~ 85% 정도이며,[46] 먹은 먹이는 3시간 정도면 소화가 끝나고 배설된다.[25] 수분은 대부분 먹이를 먹으면서 함께 섭취하는데, 다른 해양 포유류와 달리 바닷물을 마시기도 한다. 신장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바닷물에서 맹물을 얻어내고 진한 오줌을 배설한다.[47] 습성[편집] 예민한 동모와 앞발로 해달은 그 촉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는다. 해달은 주행성 동물이다. 해가 뜨기 한 시간쯤 전 아침부터 먹이를 잡아먹기 시작하고, 한낮 동안에는 쉬거나 잠을 잔다.[48] 오후가 되면 몇 시간 동안 또 먹이를 잡아먹다가 해가 지기 전에 그만두고, 한밤중 즈음에 다시 먹이를 잡아먹기도 한다.[48]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특히 밤에 먹이를 먹는 경향이 있다.[48] 해달을 관찰한 결과, 먹이를 찾고 잡아먹는 데 투자하는 시간은 하루에 24~60% 정도였으며, 이것은 서식지에 먹이가 얼마나 풍부한지에 의해 정해지는 것 같다.[49] 해달은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그루밍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털을 깨끗이 하고, 엉킨 털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고, 털에서 물을 짜내고 털 속으로 공기를 통하게 한다. 관찰하는 도중 해달이 몸을 긁는 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털 속에 이라던가 다른 기생충이 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50] 먹이를 먹을 때 해달은 물속에서 몸을 주기적으로 굴리는데, 털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씻어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51] 먹이 사냥[편집] 해달은 짧은 시간 잠수하여 먹이를 사냥하는데, 종종 해저까지 내려간다. 약 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지만,[30] 보통 1분 정도 잠수하고, 아무리 길어도 4분 이상 잠수하지는 않는다.[23] 해달은 돌을 들었다 뒤집을 수 있는 유일한 해양 동물로, 먹이를 찾기 위해 앞발로 돌을 들고 뒤집는다.[51] 또한 해달은 수초에 붙어 있는 달팽이류 등 생물을 떼어내거나, 조개를 찾기 위해 바닷속 진흙을 뒤질 수도 있다.[51] 또한 이빨보다 앞발을 사용하여 물고기를 사냥하는 유일한 해양성 포유류이기도 하다.[25] 양 앞다리 밑에는 각각 헐거운 살주머니가 있는데, 이 주머니는 가슴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해달은 이 주머니 안에 (우선적으로 왼쪽부터) 먹이를 모아서 수면으로 올라온다. 특이하게 주머니 안에 돌도 넣어 오는데, 이것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까부숴 열기 위한 것이다.[52] 그리고 해달은 물 위에 누운 채 떠서, 앞발로 먹이를 찢은 뒤 입으로 가져가서 먹는다. 작은 홍합 따위는 껍데기째 씹어 삼키기도 하지만, 보다 큰 것은 속살을 비틀어 빼내 먹는다.[53] 이때 아랫앞니를 사용해 조개의 속살을 꺼내려고 한다.[54] 가시로 덮여 있는 성게를 먹을 때는, 가시가 가장 짧은 성게 아랫면을 물어뜯는다. 그리고 성게의 부드러운 속살을 껍데기 속에서 핥아 빼먹는다.[53] 해달은 먹이를 사냥하고 먹을 때 돌을 사용하는, 즉 도구를 사용하는 몇 안 되는 포유류 동물이다.[55] 단단한 조개를 열기 위해 조개를 가슴 위에 올려놓고 양발로 돌을 들어 조개를 요란하게 두드린다. 해달이 전복을 돌덩어리에서 떼어내려고 돌멩이로 망치질하듯 전복을 찍어대기도 한다. 관찰 결과 그 타격 속도는 15초 동안 45번 정도이다.[23] 사회 구조[편집] 물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서로 손을 잡고 잔다.[56] 이 짐승의 몸이 부력이 매우 크다는 데 주목할 것. 성체든 유체든 먹이 사냥은 혼자 하지만, 해달은 휴식을 취할 때는 래프트(raft)라는 동성(同性) 무리와 함께 하는 경향이 있다. 래프트는 대략 10~100 마리의 해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컷 래프트가 암컷 래프트보다 규모가 크다.[57] 현재까지 발견된 래프트 중 가장 큰 것은 2000 마리 이상의 해달들이 모여 있었다. 휴식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먼 바다로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 해달은 다시마류 해초에 자기 몸을 묶는다.[58] 짝짓기에 있어서, 번식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암컷들에게 선호받는 수컷이 짝짓기를 하게 된다.[59] 대부분의 서식지에서 가을이 짝짓기의 절정기이며, 수컷은 자기 세력권을 봄부터 가을까지만 지키고 있는다.[59] 이 기간 동안 수컷은 다른 수컷을 쫓아내기 위해 세력권의 경계를 순찰하는데,[59] 실제로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는 드물다.[57] 성체 암컷은 수컷들의 세력권 사이를 자유로이 오갈 수 있는데, 대략 5대 1의 비율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보다 더 많다.[59] 자기 세력권을 가지지 못한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모여서 수컷만 있는 큰 무리를 이루고,[59] 암컷들의 구역을 헤집고 다니면서 짝짓기 상대를 찾는다.[60] 해달은 다양한 음성 행동을 보인다. 새끼의 울음소리는 갈매기의 그것과 비교되기도 한다.[61] 암컷은 만족했을 때 구구구 거리는 소리를 내고, 이에 비해 수컷은 꿀꿀거리는 소리를 낸다.[62] 고통을 받거나 겁을 먹은 성체는 휘파람소리, 쉬익 하는 새는 소리를 내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61][63] 해달이 장난기 많고 사교적인 동물이긴 하지만, 진정한 의미에서의 사회적 동물로는 취급받지 못한다.[64] 해달은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보내고, 각각의 성체 해달은 사냥, 그루밍, 방어 등의 면에서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다.[64] 번식과 생활사[편집] 짝짓기를 하는 도중, 수컷이 암컷의 코를 물어뜯는다. 그 탓에 피가 나고 흉터가 진다. 해달은 일부다처이다.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 동반자를 가진다. 하지만 발정기의 암컷과 그 짝이 며칠에 걸쳐 일시적으로 암수 한 쌍의 짝을 이루기도 한다.[51]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다소 거칠다. 수컷은 암컷의 코와 주둥이를 물어뜯어 흉터를 남기고, 어떤 때는 암컷의 머리를 물속에 처박기도 한다.[9] 최소 한 마리의 암컷이 코의 감염으로 인해 사망했음이 보고되어 있다.[65] 출산은 연중 일어나는데, 북방 개체군은 5월과 6월 사이, 남방 개체군은 1월과 3월 사이에 절정을 이룬다.[66] 해달은 착상 지연이 가능한 동물이기 때문에 임신 기간은 4개월에서 12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착상 이후에는 4개월 동안 새끼를 배고 있는다.[66] 캘리포니아의 해달은 매년 새끼를 치는데, 그 빈도가 알래스카의 해달의 두 배 정도 높다.[67] 출산은 보통 물속에서 이루어지며, 한 배에 한 새끼를 낳고 막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4 ~ 2.3 킬로그램(3 ~ 5 파운드)이다.[68] 2% 확률로 쌍둥이를 낳기도 한다. 하지만 그럴 경우 대개 쌍둥이 중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9] 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뜰 수 있고, 이빨 열 개가 보이고, 두꺼운 모피를 두르고 있다.[69] 어미는 태어난 새끼를 몇 시간 동안 핥고 부풀린다. 그루밍이 끝나면 새끼의 털 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 위에 코르크처럼 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잠수는 하지 못한다.[70] 새끼의 솜털은 13주가 지나면 없어지고 성체의 털과 같은 새 털이 난다.[4] 새끼를 가슴에 안고 떠다니는 어미 해달. 게오르크 스텔러는 “해달은 가히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애착을 가지고 새끼를 포옹한다.”고 말했다.[71] 수유 기간은 캘리포니아 개체군은 6 ~ 8 개월, 알래스카 개체군은 4 ~ 12 개월 정도 계속된다. 동시에 1 ~ 2개월 정도 지나면 먹이 조각을 조금씩 주기 시작한다.[72] 복부의 유두에서 분비되는 해달의 젖은 지방이 풍부하여 족제비과 동물의 젖보다는 다른 해양성 포유류의 그것과 유사하다.[73] 새끼는 어미의 지도 아래 헤엄과 잠수를 연습하여 수 주가 지나면 바다 밑바닥까지 닿을 수 있다. 새끼가 처음 잡아오는 것은 알록달록한 불가사리나 조약돌 따위의, 먹거리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이다.[52] 그러다 6 ~ 8 개월이 지나면 새끼는 독립하게 되는데, 먹이가 부족할 경우에는 어미가 새끼를 버릴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74] 반대쪽 극단적 사례로는, 새끼가 거의 성체만하게 자랐는데도 여전히 어미에게 보살핌을 받는 경우도 있다.[68] 해달의 영아사망률은 높은 편으로, 특히 태어나서 첫 번째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나간다. 한 추산에서는 태어나서 1년을 넘기는 새끼는 전체의 25%에 불과했고,[74] 경험이 많은 어미가 낳은 새끼들의 생존률이 가장 높았다.[75] 새끼를 먹이고 키우는 모든 일은 암컷이 도맡아 한다. 또한 가끔 고아가 된 새끼를 거두어 키우는 것도 목격된다.[76] 2010년에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홀로 떨어진 생후 5주의 새끼 암컷 해달을 몬트레이베이 수족관으로 데려왔더니 나이 9살의 암컷 해달이 먹는 법, 헤엄치는 법, 그루밍하는 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77][78] 이 새끼 해달(이름 "키트")은 2년 뒤인 2012년 6월에 샌디에이고로 옮겨갔다가 2013년 1월에 몬트레이베이로 돌아왔다.[79] 한편 양어미(이름 "마에")는 키트가 샌디에이고에 가 있던 사이 2012년 11월 17일에 11살로 죽었다.[80][81] 어미 해달의 새끼에 대한 헌신의 수준에 대하여 여러 사람들이 여러 기록을 남긴 바 있다. 어미는 새끼에게 거의 끊임없는 관심을 쏟고, 찬 물에 닿지 않도록 가슴에 올려둔 뒤 조심스럽게 털을 그루밍해 준다.[82] 먹이를 잡을 때는 새끼를 물 위에 남겨두고 잠수하는데, 떠내려가지 않도록 켈프류 수초로 묶어 놓는다.[83] 새끼는 잠들어 있지 않다면, 어미가 돌아올 때까지 시끄럽게 울어댄다.[84] 새끼가 죽으면, 어미는 며칠 동안 새끼의 시체를 계속 데리고 다닌다.[71] 암컷 해달은 태어나고 3, 4년, 수컷은 5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하지만 수컷은 성적으로 성숙했다 해도 그 뒤로 몇 년 동안은 제대로 새끼를 치지 못한다.[85] 한편 포획된 수컷이 19살의 나이에 새끼를 친 바 있다.[68] 야생에서 해달의 최대 수명은 23살 정도이고,[23] 평균 수명은 수컷이 10 ~ 15살, 암컷이 15 ~ 20살 정도이다.[86] 인간에게 잡혀 사는 해달은 20살을 넘겨 사는 경우가 많은데, 시애틀 수족관의 암컷은 28살까지 살다 죽었다.[87] 야생 해달은 그 이빨이 닳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인해 사육 상태보다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보인다.[88] 개체 분포[편집] 해달 보존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캘리포니아 주 모로베이에서 떠다니고 있는 해달. 해달은 수심 15~23 미터(50~75 피트) 정도의 연안 지역,[89] 즉 해안가에서 1 킬로미터(⅔ 마일) 이내에 서식한다.[90] 해달은 보통 거친 바닷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위투성이 해안지대, 켈프림, 보초 등지에서 찾을 수 있다.[91] 해달은 대부분 암석 기층(基層; substrate) 지역에서 생활하지만, 해저가 진흙이나 모래로 이루어진 지역에서도 살 수 있다.[92] 해달은 유빙 사이에서는 생존할 수 있어도 정착빙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는 고로, 그 서식지는 얼음으로 인한 북방 한계를 가진다.[93] 해달 개체는 대략 1 킬로미터 길이의 행동 범위를 차지하며, 연중 계속 그 행동권에 머무른다.[94] 해달의 개체수는 한때 150,000 마리에서 300,000 마리에 달한 것으로 생각되며,[8] 그 서식지는 일본 북부에서 시작하여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 중부까지 이르는, 북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활꼴을 그렸다. 그러나 1740년대부터 시작된 모피 거래로 인해 해달의 개체수는 13개 무리 1,000~2,000 마리 정도까지 격감하였다. 해달의 개체수 복원 현황은 옛 서식 범위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높은 개체 밀도를 자랑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직도 멸종을 위협받고 있는 지역도 있다. 현재 러시아 동안,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의 개체수가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일본과 멕시코에서도 재정착이 보고되고 있다.[95]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이루어진 추산 결과, 전 세계적으로 약 107,000 마리의 해달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4][96][97][98][99] 1870년에서 1924년 사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사냥 그래프 러시아[편집] 현재 해달 서식지로서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곳은 러시아이다.[100] 19세기 이전에는 쿠릴 열도 일대에 20,000 마리에서 25,000 마리의 해달이 서식했으며, 캄차카와 코만도르 제도 근처에는 더 많이 살았다. 대남획시대 이후 이 일대, 현 러시아의 해달 개체수는 고작 750 마리에 불과한 바 있었다.[96] 2004년 현재 해달들은 이 지역 모든 옛 서식지에 재도입되었으며, 그 개체수는 도합 27,000 마리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약 19,000 마리는 쿠릴 열도에, 2000 ~ 3500 마리가 캄차카에, 나머지 5000 ~ 5500 마리는 코만도르 제도에 서식한다.[96] 개체수 성장률이 약간 둔화되었으며, 그 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했다고 생각되고 있다.[96] 눈 감고 떠다니는 해달. 알래스카[편집] 알래스카는 해달 서식지의 중앙 지역이다. 1973년에 추산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수는 약 100,000 마리에서 125,000 마리 정도였다.[101] 하지만 2006년까지 알래스카의 해달 수는 73,000여 마리로 떨어졌다.[97] 알류샨 열도의 해달 개체수가 급락한 것이 이 개체수 감소의 대부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개체수 급락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범고래의 포식 활동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있다.[102] 프린스윌리엄 해협의 해달 개체군 역시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으로 수천여 마리의 해달이 떼죽음을 당함으로써 직격타를 맞았다.[51]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편집] 존 웨버의 《해달》. 1788년경. 알래스카 남부에서 북아메리카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해달 서식지는 불연속적이다. 밴쿠버 섬에서는 잔류 개체군이 20세기까지 존속했으나, 1911년 국제보호조약에도 불구하고 결국 1929년에 키유쿠트에서 최후의 해달이 잡힌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9년에서 1972년 사이, 89 마리의 해달이 알래스카에서 밴쿠버 섬 서안으로 공수 또는 수송되었다. 이 89마리는 2004년에는 3,000 마리 이상으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도 뱅쿠버 서안에서 북으로는 스콧 곶, 남으로는 바클리 해협까지 확장되었다.[103] 1989년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중부 해안에서 외따로 떨어져 있던 군집이 발견되었다. 2004년 현재 300 마리에 이르는 이 군집이 알래스카에서 공수된 해달인지, 또는 모피잡이에서 살아남은 해달이 존속한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98] 1969년과 1970년에는 해달 59 마리를 암치트카 섬에서 워싱턴주로 들여왔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루어진 연례 조사에서 개체수는 504~743 마리로 불어났으며 서식지는 올림픽 반도에서 디스트럭션 섬과 필라포인트까지 넓어졌음이 보고되었다.[4]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의 해달은 거의 모두 외부 연안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올림픽 해안을 따라 해변에서 6 피트 떨어진 곳까지 가까이 접근하기도 하지만, 샌환 제도와 푸젓사운드 만에서 보고된 해달 목격담은 대부분 북아메리카수달을 잘못 본 것으로 판명되었다. 북아메리카수달이 해변가에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헷갈린 것이다. 다만 1990년대 중반의 목격담 몇몇은 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었다.[4] 캘리포니아[편집]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해달. 캘리포니아에는 3,0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으며, 이들은 1938년에 발견된 해달 약 50 마리의 후손이다. 2012년 봄,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서 실시한 캘리포니아의 해달 머릿수 조사 결과, 총 2,792 마리가 추산되었다. 이것은 2007년 봄에 정점을 찍은 3,026 마리보다는 감소했지만 2010년의 2,711 마리보다는 중가한 것이다.[99][104][105] 모피 거래가 시작되기 전의 개체 수는 약 16,000 마리 정도였다. 현재의 캘리포니아의 해달들은 1938년에 빅서의 빅스비 다리 옆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 가량의 해달 군집의 후손이다.[106] 주요 서식지는 점차적으로 확장되어 산마테오 군의 피죤포인트에서 산타바바라 군에 이른다.[105] 1980년대 후반,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USFWS)은 캘리포니아 해달 약 140 마리를 남부 캘리포니아 산니콜라스 섬으로 옮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의 생각과는 의외로, 산니콜라스에 방사된 해달들은 거의 모두 캘리포니아 본토로 헤엄쳐 돌아가 버렸다.[107] 섬 주위의 풍부한 먹이 덕분에 조금씩 개체수가 늘어나는 추세긴 하지만,[107] 2005년 현재 산니콜라스에 남아 있는 해달은 30 마리 뿐이다.[108] 해달 이주 프로그램을 검정한 계획서에서는 향후 5 ~ 10년 안에 해달 개체수가 환경용량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산니콜라스 섬의 해달 개체수는 약 50 마리 정도로 증가했을 뿐이다.[109] FWS가 해달 이주 계획을 시행했을 당시, 당국에서는 캘리포니아 개체군의 "영역 관리"(zonal management) 역시 시행하려 시도한 바 있다. 해달과 인간 어업 활동의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포인트컨셉션에서 멕시코와의 국경에 이르는 "해달 없는 영역"(otter-free zone)을 공표한 것이다. 이 영역 안에서는 산니콜라스 섬만 해달 서식지로 지정되었고, 그외 다른 곳에서 발견된 해달은 포획하여 이동시킨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된 해달 중 많은 수가 폐사했고, 규제를 무시하고 월경하는 수백 마리의 해달을 모두 포획할 실질적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폐기되었다.[110] 산타바바라 지역의 환경보호센터와 Otter Project가 제기한 소송에 대응하여, 2012년 12월 19일 USFWS는 "해달 없는 영역" 실험은 실패로 끝났음을 인정하고, 해달을 다시 멸종위기종으로 취급, 포인트컨셉션 남안에 군집을 재조성하여 보호하겠다고 선언했다.[111] 한때 샌프란시스코 만에 해달이 넘쳐나던 적도 있었다.[112]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알류트 족들을 몰래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데리고 가서, 현재의 산호세, 산마에토, 산브루노, 앤젤 섬 일대의 하구 퇴적지에서 해달을 사냥하게 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알류트 족들은 에스파냐인들에게 붙잡혀 가거나 사살당하기도 했다.[113] 로스 요새를 세운 이반 쿠스코프는 1812년에 보데가 만 2차 항해를 했을 때 해달이 드물어져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알류트족들을 보냈다. 거기서 그들은 다른 러시아 패거리와 미국인 패거리를 만났고, 3개월에 걸쳐 1,160 마리의 해달을 잡았다.[114] 이 지역의 해달 서식지는 1817년이 되자 사실상 씨가 말랐으며, 러시아인들은 샌프란시스코 너머 먼 남쪽에서도 해달 사냥을 하려고 에스파냐와 멕시코 측의 허락을 받고자 하였다.[115] 샌프란시스코의 해달 개체군은 1840년까지는 명맥은 유지한 것 같다. 1840년 당시 보스턴 출신의 존 바티스타 로저스 쿠퍼 선장이라는 자가 푼타데쿠엔틴 토지불하지(현재의 캘리포니아 주 마린 군)를 임대하기 위해 멕시코 주지사 후안 바티스타 알바라도에게 허가를 받았고, 이와 함께 해달 수렵 허가증도 함께 받았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그 당시 코르테마데라 개울 어귀에 해달이 흔했다고 한다.[116] 갈매기와 해달. 2007년 캘리포니아. 빅서에서 발견된 약 50 마리를 1911년 보호한 이래 남방해달의 서식지는 계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나, 2007년과 2010년 사이 해달 개체수와 서식지는 다소 줄어들었다.[117] 2010년 봄 현재, 남방해달의 서식지 북방 한계선은 투니타스 개울에서 남동쪽으로 2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피죤포인트로 옮겨갔고, 남방 한계선은 COP 유전에서 가비오타 주립공원으로 이동했다.[118] 최근에는 특정 시아노박테리아(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가 생산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소가 해달이 먹이로 삼는 조개에 집중적으로 감염되어 해달을 중독시키고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질소와 인이 풍부한 고인 물에서 번성한다. 이 질소와 인은 대개 오수 정화조나 농업용 비료가 유출된 것으로, 우기에 유속이 빠를 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다.[119][120] 2010년,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많은 수의 해달 시체가 발견되었으며, 상어 습격률이 증가한 것 역시 해달의 죽음을 재촉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21] 백상아리(Carcharodon carcharias)는 상대적으로 지방이 빈약한 편인 해달을 잡아먹지는 않지만, 상어에 물려서 죽은 해달 시체는 1980년에 8%, 1990년에 15%, 2010년과 2011년 사이에 30%로 증가 추세에 있다.[122] 2011년에는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해달이 두 번 관측되었는데, 한 번은 라구나 해변에서, 다른 한 번은 샌디에이고 근교 Zuniga Point Jetty에서였다. 이렇게 남쪽에서 해달이 관찰된 것은 기록상 3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123] 오리건[편집] 최후의 오리건 토종 해달은 1906년에 사살된 것으로 생각된다. 1970년과 1971년, 알래스카 암치트카 섬에서 95 마리의 해달을 오리건 남부 해안으로 공수했다. 하지만 이 재도입 계획은 실패했고 얼마 있지 않아 해달은 다시 오리건에서 사라졌다.[124] 2004년에는 수컷 해달 한 마리가 케이프아르고의 심프슨 암초를 차지하고 6개월 동안 거기서 살았다. 이 수컷은 워싱턴의 군집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연안 폭풍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간 뒤 사라져 버렸다.[125] 보다 최근에는 2009년 2월 18일에 오리건 주 디포베이에서 수컷 한 마리가 목격되었다. 이 수컷은 캘리포니아나 워싱턴에서 흘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26] 생태[편집] 식성[편집] 해달은 켈프를 뜯어먹고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음으로써 켈프림을 건강하게 유지시킨다. 해달이 먹이로 삼는 종은 100종이 넘는다.[127] 그 중에서 해달은 각종 해양 무척추동물을 주로 잡아먹는데, 해달의 먹이가 되는 해양 무척추동물은 성게를 비롯해서 대합·홍합 등 다양한 쌍각류와 전복, 그외 연체동물, 갑각류, 달팽이류 등이 있다.[127] 크기로 보자면 작은 삿갓조개와 게에서부터 문어처럼 큰 것까지 각양각색이다.[127] 성게, 대합, 전복 따위의 먹이의 크기가 다양할 때, 해달은 비슷한 종류의 작은 먹이보다 큰 먹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27] 캘리포니아에서는 해달이 3 인치(7 센티미터)보다 작은 피스모대합은 무시하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128] 배 위에 조개를 올려놓은 해달. 코의 흉터를 보아 암컷이다. 보다 북쪽의 서식지 일부에서는 해달이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1960년대에 암치트카 섬에서 수행된 실험에서(이때 해달의 개체수는 환경용량), 해달의 위장 속의 음식물을 확인했더니 50%가 물고기였다.[129] 물고기 종은 대개 바다 밑바닥에 살거나,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거나, 느릿느릿 움직이는 붉은횟대(Hemilepidotus hemilepidotus)나 참복과 등이었다.[129] 하지만 북아메리카 대륙 연안 알래스카 남부에서는 해달의 먹이로서의 물고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소하다.[4][130] 또한 흔히 묘사되는 것과 달리 해달은 불가사리는 거의 먹지 않으며, 켈프류 식물은 해달의 몸 속에서 전혀 소화되지 않고 배설된다.[131] 해달 개체들은 사는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와 먹이를 잡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자기 어미의 먹이잡는 패턴을 따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132] 해달은 자기들이 선호하는 먹이, 예컨대 성게 같은 것의 개체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간의 어로 활동 등 다양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각 지역의 해달 개체군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먹이를 바꾼다.[4] 어느 지역에서는 바위틈 깊숙한 곳에 있는 것을 제외한 전복들을 싹쓸이할 수도 있었지만,[133] 해달이 특정 지역에서 특정 먹이 종을 완전히 절멸시키는 일은 없다.[134] 2007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먹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에서는 그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먹이가 소비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놀랍게도 해달 개체 각각의 식성은 먹이가 풍부한 지역보다 먹이가 부족한 지역에서 특정 먹이에 특수화되어 있었다.[107] 핵심종[편집] 캘리포니아 연안 후미진 지역. 이런 곳에 모피 거래에서 살아남은 소수의 해달 군집이 숨어 있다. 해달은 핵심종 개념의 고전적인 예시이다. 해달의 개체수와 몸집이 작음에 비해, 그 존재는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은 성게 등 특정 저생성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억제한다. 성게는 켈프의 줄기 아랫부분을 갉아먹어 켈프가 떠내려 가 죽게 만든다. 켈프림으로 인해 제공되는 생물 서식지와 영양소가 손실되면, 해양 생태계에 엄청난 누적 효과를 일으키게 될 것이다. 북태평양에는 해달이 서식하지 않으며, 때문에 성게가 풍부하여 켈프림이 없고 성게 불모지가 형성되어 있다.[9]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해안에 해달을 재도입한 결과, 연안 생태계의 건강에 있어 획기적인 진보가 있었다.[135] 또한 해달 개체수가 다시 늘어난 알류샨과 코만도르, 캘리포니아 빅서 해안 등지에서도 유사한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136] 다만 캘리포니아의 일부 켈프림 생태계는 해달 없이도 번창하고 있는데, 이 경우 다른 요소에 의해 성게가 조절되는 것 같다.[136] 켈프림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해달의 역할은, 만이나 하구퇴적지 등 닫혀 있는 지형보다 먼 바다를 향해 열려 있는 연안 지형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136] 켈프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해달은 홍합류에게 점령당하기 쉬운 바위투성이 지역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해달이 바위에서 홍합류를 제거하여, 홍합과 경쟁하는 종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하는 데 기여한다.[136] 천적[편집] 해달이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하지만, 그렇게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많은 포식자들은 수달류의 자극적인 취선을 불쾌해 한다. 어린 포식자가 수달류 동물을 죽이기만 하고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해달을 잡아먹는 포식자 중 포유류로는 범고래와 바다사자가 있고, 흰머리수리 역시 수면에 누워 있는 해달을 채어가는 경우가 있다.[55] 땅에서는 어린 해달이 곰이나 코요테에게 공격받기도 한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상어, 특히 백상아리에게 물려 죽는 것이 해달의 사인(死因) 중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또한 해달의 서식지가 북쪽으로 더 확장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상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137] 백상아리는 해달의 주요 포식자로 추측되고 있으며, 상어에게 물려 죽은 해달 시체도 발견된다. 하지만 상어가 실제로 해달을 잡아먹는다는 구체적 증거는 아직 없다.[137] 인간과의 관계[편집] 모피 거래[편집] 1896년, 어널래스카 섬의 알류트족 남성들. 해달 사냥을 위해 방수 카약과 옷가지를 사용했다. 해달의 털은 포유류 중 가장 두꺼운 편이다. 해달의 아름다운 털은 많은 사냥꾼들의 목표가 되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수천 년 전의 원주민들 역시 식량과 털을 얻을 목적으로 해달을 사냥한 바 있다.[8] 사냥꾼들과 상인들은 가장 귀중한 모피였던 해달 가죽에 대한 외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 세계를 헤집고 다녔고, 18세기에 시작된 해양 모피 거래의 일부였던 광범위한 해달 남획의 결과 대략 1백만 마리의 해달이 죽임을 당했다.[8] 18세기 러시아인들이 쿠릴 열도에서 해달을 사냥하기 시작했고,[8] 사냥한 해달은 캬흐타에서 중국인들에게 팔았다. 이 당시 러시아는 태평양 북단을 탐험하고 있었으며, 북빙양 해안선의 지도를 작성하고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길을 찾기 위해 비투스 베링을 파견했다.[138] 1741년, 2차 북태평양 항해 당시 베링은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베링 섬에서 난파를 당했고, 그 자신을 포함하여 승무원 다수가 사망하였다.[138]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를 포함한 생존 승무원들은 섬의 해변에서 해달을 발견하고, 그해 겨울 해달을 사냥해 잡아먹고 그 가죽으로 도박을 하면서 보냈다.[138] 거의 1,000 마리의 해달을 잡아 죽인 그들은 시베리아로 돌아가 비싼 값을 받고 가죽을 팔았다.[138] 이렇게 하여 소위 말하는 "대남획"(Great Hunt) 시대가 시작되어 그 뒤로 백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러시아인들은 해달 모피가 러시아의 시베리아 팽창의 주요 동기 부여였던 흑담비 모피보다 더 값나간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베링 탐사대의 생존자들이 가지고 온 해달 가죽을 캬흐타에서의 값으로 팔았다면, 그들은 베링의 탐사 비용의 10분의 1 정도를 지불할 수 있었을 것이다.[139] 1775년 오호츠크에서 흑담비 모피 값이 2.5 루블이었던 데 반해 해달 모피는 50 ~ 80 루블이나 나갔다. 런던 모피 시장의 해달 모피 매출량(단위: 천). 해달 개체수의 감소로 인해 1880년대부터 매출 급락이 시작된다.[140] 러시아인들의 모피사냥 원정으로 인해 코만도르 제도의 해달 개체수는 대폭 감소했고, 1745년이 되자 러시아인들은 알류샨 열도로 옮겨갔다. 러시아인들은 처음에는 원주민인 알류트 족과 거래하여 수달 가죽을 얻었지만, 나중에는 알류트 족을 노예로 만들고, 여자와 아이는 인질로 잡았으며 남자는 고문하고 죽여서 사냥을 하도록 강요했다. 많은 알류트족이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하거나 러시아인들이 옮겨온 병으로 인해 죽었다.[141] 러시아의 자체 조사에 의하면 알류트족 인구는 20,000 여명에서 2,000 여명으로 감소했다.[142] 1760년대에는 러시아인들이 알래스카에 도달했다. 1799년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경쟁적인 모피 사냥 회사들을 러시아-아메리카 회사로 통폐합하고, 이 회사에 대해 황실 인가와 보호를 보장하여 거래권과 영토 습득을 독점하게 했다. 상인들이 관리하던 회사 운영이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는 제국 해군의 소관으로 이전되었다. 이것은 원주민들에 대한 학대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해군 장교들이 제출한 데 그 원인이 크다. 1818년 알래스카 선주민들은 러시아 제국의 읍민과 동등한 시민권을 보장받게 되었다.[143] 해달 가죽. 1892년. 남쪽에서는 다른 나라들이 해달 사냥에 뛰어들었다. 현재의 멕시코와 캘리포니아가 되는 해안선을 따라 에스파냐 탐험가들이 아메리카 토착민들에게서 해달 가죽을 사서 아시아에 팔았다.[141] 1778년,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 선장이 뱅쿠버 섬에 도달하여 선주민들에게서 해달 모피를 구입했다.[144] 이후 쿡의 배가 중국 항구에 입항하자 이 해달 가죽들은 고가에 빠르게 팔려나가, "부드러운 황금"(soft gold)이라 알려지게 되었다. 그 말이 퍼지자 유럽과 북아메리카 전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해달 모피 무역에 뛰어들기 위해 태평양 북서부로 모여들었다.[144] 러시아는 사냥터를 남쪽으로 확장했고, 러시아 관리자들에게 하청을 받은 미국 선적 선장들과 알류트족 사냥꾼들이 현재의 워싱턴, 오리건, 캘리포니아에서 사냥에 착수했다.[145] 1803년에서 1846년 사이, 72척의 미국 배가 캘리포니아 해달 사냥에 참가하였으며, 약 40,000 마리의 가죽과 꼬리를 획득했다.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선적의 배는 13척뿐이었으며 수렵한 해달 가죽도 5,696 마리였다.[146] 1812년, 러시아인들은 현재 로스 요새라고 알려진 농경 정착지를 캘리포니아 남부에 건설하고 남방 사령부로 삼았다.[144] 결국 해달 개체수가 너무 감소했기 때문에, 상업적 수렵이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렀다. 알류샨 열도에서의 해달 사냥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보존 측정을 한 1808년 이후 중단되었다.[147] 1834년에는 회사 측에서 추가적 규제를 요청했다.[147] 1867년에 러시아가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했을 당시 알래스카의 해달 개체군은 100,000 마리 이상으로 되살아나 있었다. 하지만 미국인들이 사냥을 재개하자 해달은 또다시 빠르게 씨가 말랐다.[148] 해달이 귀해짐에 따라 해달 모피 값도 상승했다. 1880년대에 런던 시장에서 해달 가죽의 가격은 105~165 달러였으나, 1903년에는 1,125 달러까지 치솟았다.[68] 1911년, 러시아, 일본, 대영제국(캐나다), 미국은 해달 및 물개류 보호 국제조약을 체결하고, 해달 수렵 결과물에 대한 지불 중지를 결의했다.[149] 이때 야생 해달은 1,000~2,000여 마리가 남아 있을 뿐으로, 많은 사람들은 이 종이 멸종될 것이라고 생각했다.[4] 복원과 보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해달보호활동입니다. 엑손 발데즈 유조선의 항적을 따라 시커먼 윤기 흐르는 기름이 프린스윌리엄 해협을 뒤덮고 있다. 20세기에 걸쳐 옛 서식지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해달의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이 개체수 복원은 해양 환경보존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생각되고 있다.[150] 그러나 IUCN은 여전히 해달을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해달에게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밀어(密漁; poaching), 인간의 어업 활동과의 충돌을 들었다. 해달이 낚시도구에 얽혀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1] 이제 미국에서 해달 사냥은 원주민들의 제한적 수렵 행위를 제외하면 모두 불법이다.[151] 1991년에 소련이 붕괴한 이후 러시아 극동에서는 밀어 행위가 심각한 걱정거리였다. 하지만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사정이 호전되면서 밀어 행위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100] 해달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은 기름 유출로,[55] 체온 유지를 모피에 유지하는 해달에게 기름 유출은 특히 치명적이다. 해달의 털이 기름을 먹으면, 그 안에 공기를 채울 수 없게 되고, 해달은 저체온증으로 순식간에 죽음에 이른다.[55] 해달이 기름을 마시거나 그루밍하다 삼키게 될 경우, 간과 신장, 폐에 손상을 입게 된다.[55] 1989년 3월 24일의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당시 프린스윌리엄 해협에서 수천 마리의 해달들이 폐사했다. 2006년 현재, 해당 지역에 잔류한 기름은 계속해서 오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52] 당시 대중매체의 보도에 의하여 해달에 대한 대중적 동정이 형성되었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대변인은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장난기 많고 사진발 잘 받는, 죄 없는 구경꾼이던 해달은 완벽한 피해자의 역할을 떠안게 되었다. … 즐겁게 뛰어놀던 귀여운 해달들은 기름과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갑작스럽게도 기름범벅이 되어 고통 속에서 겁에 질려 죽어가고 있다.[4]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해달 서식지가 지리적으로 좁다는 것은, 한 번 대형사고가 터지면, 해당 주의 해달 전체의 생존에 재앙이 일어날 것임을 의미한다.[4][45][51] 기름 유출을 방지하고 해달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해달 구조 활동에서 주된 초점이 맞춰진 중요한 일이다. 또한 해달 개체수를 늘리고 서식지를 넓히는 것 역시 한 번의 기름 유출로 해달들이 싹쓸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 하지만 해달이 조개 수를 감소시킨다는 인식 때문에, 상업적, 오락적, 자급적 이유로 조개 채취를 옹호하는 이들은 해달의 서식지가 넓어지는 것에 반대한다. 때로는 어부나 다른 인간들이 불법적으로 해달을 잡아 죽이는 경우도 있다.[153]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의 해달. 뒷발의 기묘한 모양에 주목할 것. 바깥쪽으로 갈수록 발가락이 길어진다. 최근 수십년 사이, 알류산 열도에서는 예상치 못한 해달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고 있다. 1980년대의 알류샨 열도는 약 55,000 마리에서 100,000 마리의 해달의 보금자리였으나, 2000년에는 6,000 마리 정도로 개체수가 줄어들었다.[110] 가장 널리 인정받는 견해(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범고래들이 해달을 잡아먹었다는 것이다. 해달이 사라지는 패턴이 포식의 증가와 일치한다. 하지만 범고래가 정말 해달을 잡아먹는지, 또 얼마나 잡아먹는지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102] 또 다른 요주의 지역은 캘리포니아로, 1990년대 해달 복원 정도가 등락을 거듭하거나 감소하고 있다.[154] 성체 및 성장기가 거의 끝난 개체의 사망률이 유달리 높으며, 특히 암컷의 사망률이 높음이 보고되었다.[99] 죽은 시체의 부검 결과 질병, 특히 톡소플라즈마 곤디이(Toxoplasma gondii)와 구두충 기생이 캘리포니아 해달의 주요 폐사 원인으로 밝혀졌다.[155] 해달에게 매우 치명적인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은 야생고양이 및 집고양이와 주머니쥐 등이 숙주이며, 집고양이의 분비물이 하수도를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달에게 감염될 수 있다.[155][156] 캘리포니아해달의 폐사에 질병이 큰 것은 확실하지만, 어째서 다른 지역에 비해 캘리포니아의 해달 개체군이 다른 지역의 해달 개체군보다 질병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55] 미국, 러시아, 캐나다 각국은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여 해달 서식지를 보존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에서는 폐기물 투기나 원유 시추와 같은 오염 행위가 일반적인 경우 금지된다.[157] 몬트레이 만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약 1,200 마리, 올림픽 해안 국립해양보호구역에는 500 마리 이상의 해달이 살고 있다.[158][159] 경제적 영향[편집] 해달이 좋아하는 먹이, 특히 전복, 대합, 게는 인간의 식량 자원이기도 하다. 몇몇 지역에서는 조개류 수확량의 급락이 해달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해산물을 둘러싼 해달과 인간의 경쟁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공개 토론회가 벌어졌다.[160] 모스랜딩의 이 해달처럼, 해달은 캘리포니아 몬트레이 만 일대의 관광자원이다. 남획, 질병, 오염, 지진 등으로 인한 조개 양 감소까지 해달에게 책임을 지우려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토론은 복잡했다.[51][161] 북아메리카 대륙 태평양 해안의 해달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도 조개의 수확이 감소하고 있으며, 몇몇 환경보호론자들은 연안에 조개류가 많이 모여 있는 것은 모피 거래로 인한 해달의 지역적 멸종으로 인한 최근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61] 조개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양하지만, 해달이 조개를 포식함으로써 조개 채취업이 상업적으로 불가능해질 지경까지 감소할 수 있다.[160] 과학자들은 해달과 전복 채취업이 공존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하고 있으며,[160] 그 외의 특정 조개류에 대해서 역시 동일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110] 해달과 인간 경제의 상호작용의 여러 양상은 즉각적으로 직감하기는 어렵다. 해달은 그 유명한 성게 개체수 조절 기능으로 켈프 수확 산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켈프는 음식, 제약 산업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162] 인간 잠수부들은 식용 또는 켈프 보호를 위해 붉은성게를 채취하지만, 해달은 더 많은 성게 종을 사냥할 뿐더러 매우 일관되게 그 개체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163] 켈프림 생태계의 건강은 물고기 개체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인간 경제에 있어 중요한 물고기 종의 개체수도 증가하게 된다.[162] 일부 지역에서는 해달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끌어, 해달을 보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인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162] 인간 문화에서의 역할[편집] 왼쪽: 알류트 족의 해달 부적. 새끼를 끌어안은 어미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위쪽: 고래수염 창으로 해달을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알류트 족의 조각. 둘 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표트르 대제 인류학 및 민족지학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해달을 묘사한 물건은 일종의 마술적인 성질이 있다고 믿어졌다.[164] 북태평양 일대의 해양 토착 문화, 특히 쿠릴 열도의 아이누 민족, 캄차카 반도의 코랴크인과 이텔멘인, 알류샨 열도의 알류트 족, 하이다과이의 하이다 족,[165] 북아메리카 태평양 해안의 부족들 다수에서 해달은 물질적 자원임과 동시에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이들 문화권은 대부분 강력한 애니미즘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통은 자연 세계의 많은 요소가 정령들과 관련되어 있다는 갖가지 전설과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개중에 해달은 특히 인간과 동질하다고 생각되었다. 누트카 족, 하이다 족을 비롯해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 지역의 퍼스트 네이션스들은 따뜻하고 사치스러운 날가죽을 추장의 예장으로서 사용했다. 해달 날가죽은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등의 포틀래치에서 수여되었다.[56] 알류트 족은 해달 뼈에 조각을 해서 장식품 또는 놀잇감으로 사용했고, 해달의 음경골을 가루로 만들어 해열제로 사용했다.[166] 아이누 민족에게 수달은 가끔씩 찾아오는 인간과 조물주 사이의 메신저였다.[167] 아이누 민속에 있어 해달은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아이누 유카르 《쿠투네 시르카》(クトゥネシㇼカ)는 황금 해달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전쟁과 다툼에 대한 서사시이다. 알류트 족 사이에는 연인 또는 절망한 여자가 바다 속에 투신하여 해달이 되었다는 전설이 다양한 판본으로 널리 퍼져 있다.[168] 이러한 인간과 해달의 관계는 해달의 여러 가지 인간스러운 행동 특성과 결부지어 생각할 수 있다. 누가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장난기가 많고, 어미와 새끼 사이에 유대감이 강하며, 도구를 사용한다. 그야말로 의인화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다고 할 수 있다.[169] 해달에 대한 상업적 착취가 시작되고, 해달뿐 아니라 아이누와 알류트 역시 쫓겨나고 인구수가 격감했다. 해달의 수가 대폭 감소한 북아메리카 해안의 부족들은 더 이상 생존을 위해 해양 포유류에게 예전같이 의지하지 않았다.[170] 1970년대 이후로는 해달은 그 귀염성과 매력으로 인해 널리 공감을 받게 되었고, 환경 보존 운동의 아이콘적 존재가 되었다.[154] 해달의 동글동글하고 표현력 풍부한 얼굴,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몸은 갖가지 기념품, 엽서, 옷가지, 봉제 장난감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71] 벤쿠버 수족관의 해달 수족관과 동물원[편집] 해달은 인간에게 잡혀 지내면서도 잘 살 수 있으며, 현재 40개소 이상의 수족관과 동물원에서 해달을 사육하고 있다.[172] 시애틀 수족관은 1979년에 개체 티추크(Tichuk)가 태어나고, 1980년대에 새끼가 세 마리 더 태어남으로써, 해달을 수정란부터 성체까지 완전히 사육한 최초의 기관이 되었다.[173] 2007년에는 해달 두 마리가 서로 손을 잡고 물에 떠다니는 영상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2주만에 1백 5십만 회의 조회수를 확보했고, 2013년 현재는 1천 9백만 회를 초과하고 있다.[174] 해당 동영상은 벤쿠버 수족관에서 5년 앞서 촬영된 것으로, 업로드되었을 당시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동물 관련 동영상이었다. 동영상에서 털 색깔이 밝은 해달의 이름은 니아크(Nyac)이며, 1989년 엑손 발데스 기름 누출 사건 때 구조된 해달이다.[175][176] 니아크는 2008년 9월에 20살로 죽었다.[177] 같이 보기[편집] 수달 캘리포니아 모피 사냥 보노보노 각주[편집] ↑ 가 나 Doroff, A.; Burdin, A. (2015). “Enhydra lutris (Sea Otter)”. 《IUCN Red List》.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 가 나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 Tiny Sea Otter Siblings Fight the Odds, Wired Science, June 28, 2013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Final Washington State Sea Otter Recovery Plan”.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07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9 ↑ 헨리 리델(Henry George Liddell),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OCLC 17396377.  ↑ Nickerson, p.19 ↑ 가 나 다 라 마 Silverstein, p.34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Enhydra Lutis”.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Kenyon, p.4 ↑ 가 나 다 VanBlaricom, p.11 ↑ Koepfli, K.-P; Wayne, R.K. (1998년 12월).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otters (Carnivora: Mustel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Journal of Zoology 246 (4): 401–416. doi:10.1111/j.1469-7998.1998.tb00172.x.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Koepfli KP; Deere KA; Slater GJ; Begg, Colleen; Begg, Keith; Grassman, Lon; Lucherini, Mauro; Veron, Geraldine; Wayne, Robert K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PMC 2276185. PMID 18275614. doi:10.1186/1741-7007-6-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15–16 ↑ Love, pp.4–6 ↑ Love, p.6 ↑ "Enhydra lutris". Integrated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18 March 200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Wilson; Don. E.; Brownell, R. L.; Burdin, A. M.; Maminov, M. K. (1991년 2월). “Geographic Variation in Sea Otters, Enhydra lutris”. Journal of Mammalogy 72 (1): 22–36. JSTOR 1381977. doi:10.2307/138197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ptner & Sludskii 2002, 1349쪽 ↑ Sea otter researcher Karl W. Kenyon, after whom the subspecies is named, was never convinced that E. l. kenyoni was a distinct subspecies.“Soundings: The Newsletter of the Monterey Bay Chapter of ACS” (PDF). American Cetacean Society Monterey Bay Chapter. 2007년 6월. 200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PMID 10396181. doi:10.1017/S0006323199005307.  ↑ The Wildlife Year.The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991). ISBN 0-276-42012-8.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Enhydra lutris at MarineBio.org”. 2007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eptner & Sludskii 2002, p.1342 ↑ 가 나 다 Nickerson, p.21 ↑ Silverstein, p.14 ↑ Kenyon, pp.37–39 ↑ Love, p.21 and 28 ↑ 가 나 Love, p.27 ↑ 가 나 Silverstein, p.13 ↑ 가 나 Love, p.21 ↑ 가 나 Kenyon, p.70 ↑ Silverstein, p.11 ↑ Kenyon, p.62 ↑ Love, p.22 ↑ VanBlaricom, p.64 ↑ “USFWS Species Profile: Southern sea otter (Enhydra lutris nereis)”.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Kenyon, p.55 ↑ Love, p.23 ↑ Kenyon, p.56 ↑ Kenyon, p.43 ↑ Love, p.74 ↑ Kenyon, p.47 ↑ VanBlaricom, p.17 ↑ 가 나 “Sea Otter” (PDF).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nvironment, Lands and Parks. 1993년 10월. 2008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24 ↑ Ortiz RM (2001년 6월). “Osmoregulation in marine mammal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11): 1831–44. PMID 1144102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다 Love, pp.69–70 ↑ Love, pp.70–71 ↑ Kenyon, p.76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Reitherman, Bruce (Producer and photographer) (1993). “Waddlers and Paddlers: A Sea Otter Story–Warm Hearts & Cold Water” (Documentary). U.S.A.: PBS.  ↑ 가 나 Haley, D. (ed.) (1986). 〈Sea Otter〉. 《Marine Mammals of Eastern North Pacific and Arctic Waters》 2판. Seattle, Washington: Pacific Search Press. ISBN 0-931397-14-6. OCLC 13760343.  ↑ 가 나 VanBlaricom, p.22 ↑ “Sea otter”. BBC. 2012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Sea otter AquaFact file”. Vancouver Aquarium Marine Science Centre. 2007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Okerlund, Lana (2007년 10월 4일). “Too Many Sea Otters?”.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Love, p.49 ↑ VanBlaricom, p.45 ↑ 가 나 다 라 마 VanBlaricom, pp.42–45 ↑ Love, p.50 ↑ 가 나 Kenyon, p.77 ↑ Kenyon, pp.78–79 ↑ 범고래에게 새끼를 잃은 어미 해달의 비명: JoeMillerUS (2012년 10월 21일). “Alaska Killer Whales vs. Witty Otter”. Youtube.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가 나 Silverstein, p.61 ↑ Love, p.52 ↑ 가 나 Love, p.54 ↑ Silverstein, p.30 ↑ 가 나 다 라 Nowak, Roland M. (1991).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ume II Fif판.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41–1143쪽. ISBN 0-8018-3970-X.  ↑ Kenyon, p.44 ↑ Love, pp.56–61 ↑ 가 나 Love, p.58 ↑ Silverstein, pp.31–32 ↑ Love, p.61 ↑ 가 나 Love, p.63 ↑ Love, p.62 ↑ Love, p.59 ↑ 구본준 (2011년 7월 18일). “이보다 더 귀여울수 없는 아기 동물들”. 한겨레.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Kit the Sea Otter Pup at Play with Her Companion, Mae”. Monterey Bay Aquarium. 201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2일에 확인함. , 동영상 ↑ “Sea Otter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Mae, First Otter to Raise a Pup on Exhibit, Dies”.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Watch Mae, who passed away last weekend, play with sea otter pup Kit. We’ll miss her!”. Monterey Bay Aquarium.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Kenyon, p.89 ↑ Silverstein, p.31 ↑ Silverstein, p.28 ↑ Love, p.53 ↑ VanBlaricom, p.71 ↑ VanBlaricom, pp.40–41 ↑ VanBlaricom, p.41 ↑ Silverstein, p.17 ↑ Nickerson, p.49 ↑ Silverstein, p.19 ↑ VanBlaricom, p.14 ↑ Kenyon, p.133 ↑ Love, pp.67–69 ↑ VanBlaricom, p.54 ↑ 가 나 다 라 Kornev S.I., Korneva S.M. (2004) Population dynamics and present status of sea otters (Enhydra lutris) of the Kuril Islands and southern Kamchatka. Marine Mammals of the Holarctic, Proceedings of 2004 conference. p.273–278. ↑ 가 나 “Sea Otters – Southwest Alaska Sea Otter Recovery Team (SWAKSORT)”.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 Alaska.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Barrett-Lennard, Lance (2004년 10월 20일). “British Columbia: Sea Otter Research Expedition”. Vancouver Aquarium. 2007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eff, Lisa (2007년 6월 15일). “California otters rebound, but remain at risk”. Associated Press. 2011년 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VanBlaricom, p.62 ↑ Nickerson, p.46 ↑ 가 나 Schrope M (2007년 2월). “Food chains: killer in the kelp”. Nature 445 (7129): 703–5. PMID 17301765. doi:10.1038/445703a.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ea Otter Recovery on Vancouver Island's West Coast”. Bamfield Marine Sciences Centre Public Education Programme. 2011년 8월 22일에 확인함.  ↑ Brian Hatfield, Tim Tinker (2012년 8월 12일). “Spring 2012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Census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Spring 2007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 Geological Survey. 2007년 5월 30일.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Silverstein, p.41 ↑ 가 나 다 University of California — Santa Cruz (2008년 1월 18일). “Sea Otter Show Striking Variability In Diets And Feeding Strategies”. ScienceDaily. 2008년 1월 20일에 확인함.  ↑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Proposes that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be Terminated” (PD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5년 10월 5일. 2008년 4월 10일에 확인함.  ↑ “Service Proposes to End Southern Sea Otter Translocation Program”. USFWS Pacific Southwest Region. 2011년 8월 17일.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Balance sought in sea otter conflict”. CNN. 1999년 3월 24일. 2008년 1월 25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2년 12월 20일). “U.S. will let otters roam along Southern California coast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Southern Sea Otters. nrdc.org ↑ Adele Ogden (1975). The California sea otter trade, 1784–1848. Berkeley, Califor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쪽. ISBN 978-0-520-02806-7. 2010년 7월 3일에 확인함.  ↑ Hubert Howe Bancroft, Alfred Bates, Ivan Petroff, William Nemos (1887). History of Alaska: 1730–1885. San Francisco, California: A. L. Bancroft & company. 482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촥인일자= (도움말)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uzanne Stewart and Adrian Praetzellis (2003년 11월). Archeological Research Issues for the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Golden Gate National Recreation Area (PDF). Anthropological Studies Center, Sonoma State University. 335쪽.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Bob Battersby, Preston Maginis, Susan Nielsen, Gary Scales, Richard Torney, and Ed Wynne (2008년 5월). Ross, California – The people, the places, the history. Ross Historical Society. 2010년 11월 3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 Young Landis (2010년 8월 3일). “California Sea Otter Numbers Drop Again”. U. S. Geological Survey.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Spring 2010 Mainland California Sea Otter Survey Results”. USGS Western Ecological Research Center.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Kenneth R. Weiss (2010년 9월 23일). “Another deadly challenge for the sea otter”.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Miller MA; Kudela RM; Mekebri A; Crane D; Oates SC; Tinker, M. Timothy; Staedler, Michelle; Miller, Woutrina A.; Toy-Choutka, Sharon (2010년 9월 10일). Thompson, Ross, 편집. “Evidence for a Novel Marine Harmful Algal Bloom: Cyanotoxin (Microcystin) Transfer from Land to Sea Otters”. PLoS ONE 5 (9): e12576. PMC 2936937. PMID 20844747. doi:10.1371/journal.pone.0012576. 2010년 11월 10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Victoria Colliver (2011년 1월 23일). “Sea otter deaths jump in 2010”. San Francisco Chronicle.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USGS (2012년 04월). “Number of dead California sea otters a record high in 2011” (PDF). Marine Pollution Bulletin. 2012년 12월 22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Rare sighting of sea otter off Laguna Beach”. 2011년 12월 7일. 2013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6일에 확인함.  ↑ Jameson, Ronald James (1975). An Evaluation of Attempts to Reestablish the Sea Otter in Oregon (PDF). Oregon State University. OCLC 9653603. 2017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M.Sc. thesis)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Quinn, Beth (2004년 10월 17일). “Sea otter's stay raises scientists' hopes” (PDF). Oregonlive. 2010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Rare sea otter confirmed at Depoe Bay”. Oregonlive. 2009년 2월 20일. 2009년 2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p.18–29 ↑ Love, p.96 ↑ 가 나 Kenyon, p.121 ↑ Love, p.76 ↑ Kenyon, p.119 ↑ VanBlaricom, p.29 ↑ VanBlaricom, p.30 ↑ Nickerson, p.57 ↑ “Aquatic Species at Risk – Species Profile – Sea Otter”. 캐나다 어업해양청. 2007년 1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Blaricom, p.33 ↑ 가 나 Nickerson, P. “Sea Ot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Defenders of Wildlife. 65쪽. 2011년 7월 9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ilverstein, p.35 ↑ James R Gibson, "Feeding the Russian Fur Trade",1969, page 17 ↑ Brass E. (1911) Aus dem Reiche der Pelze, Bd III, Berlin ↑ 가 나 Silverstein, p.37 ↑ Gedney, Larry (1983년 5월 6일). “The Aleut and the Otter”.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Middleton, p.8 ↑ 가 나 다 Silverstein, p.38 ↑ Farris, pg.21, ↑ Mathes, p.326 ↑ 가 나 Middleton, pg.4 ↑ Silverstein, p.40 ↑ VanBlaricom, p.50 ↑ VanBlaricom, p.53 ↑ VanBlaricom, p.65 ↑ Weise, Elizabeth (2007년 1월 31일). “Damage of Exxon Valdez endures”. USA Today. Associated Press. 200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Nickerson, pp.47–48 ↑ 가 나 “Sea Otters: Species Description”. Alaska SeaLife Center.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Kreuder C; Miller MA, Jessup DA; Lowenstine, LJ; Harris, MD; Ames, JA; Carpenter, TE; Conrad, PA; Mazet, JA (2003년 7월).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ern sea otters (Enhydra lutris nereis) from 1998–2001”.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39 (3): 495–509. PMID 14567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Parasite in cats killing sea otters”. NOAA magazine (미국 해양대기청). 2003년 1월 21일. 2007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National Marine Sanctuaries Regulations”.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Monterey Bay National Marine Sanctuary”. City of Monterey. 2008년 1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Olympic Coast National Marine Sanctuary History”. NOAA. 2008년 3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VanBlaricom, p.34 ↑ 가 나 Love, pp.93–98 ↑ 가 나 다 Silverstein, p.49 ↑ Nickerson, p.70 ↑ Lyapunova R.G. (1963) Museum materials on the Aleuts. Catalog of the Museum of anthropology and ethnography. Academy of Sciences, USSR, vol. XXI. ↑ Szpak, Paul; Orchard, Trevor J.; McKechnie, Iain; Gröcke, Darren R. (2012). “Historical Ecology of Late Holocene Sea Otters (Enhydra lutris) from Northern British Columbia: Isotopic and Zooarchaeological Perspectiv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 (5): 1553–1571. doi:10.1016/j.jas.2011.12.006.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Love, pp.34–35 ↑ Chamberlain, B. (1888). 《Aino Folk Tales》. London,: The folk-lore society, private printing.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F. A. Golder. (1905) Aleutian Stories.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Vol. 18, No. 70. (July–September), pp.215–222. ↑ N. I. Barabash-Nikiforov (1947) Калан (Enhydra lutris L.) его биология и вопросы хозяйства (The sea otter (Engydra lutris L): biology and management), Published by: Natural Preservation Ministry of the RSFSR, Moscow. ↑ Hatch, David R. (2002) Elakha: Sea Otters, Native People, and European Colonization in the North Pacific. In Changing Landscapes: Proceedings of the 5th and 6th Annual Coquille Cultural Preservation Conferences. Donald B. Ivy and R. Scott Byram, eds. pp.79–88. North Bend, OR: Coquille Indian Tribe. ↑ Love, p.97 ↑ VanBlaricom p.69 ↑ “Seattle Aquarium's Youngest Sea Otter Lootas Becomes a Mom”. Business Wire. 2000년 4월 19일. 2007년 3월 9일에 확인함.  ↑ cynthiaholmes (2007년 3월 19일). “Otters holding hands”. YouTube. 2008년 3월 24일에 확인함.  ↑ “Vancouver sea otters a hit on YouTube”. CBC News. 2007년 4월 3일. 200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매일 생사 넘나드는 해달의 삶...KBS1'KBS파노라마'”. 국민일보. 2013년 8월 13일. 2013년 8월 13일에 확인함.  ↑ “Vancouver Aquarium's oldest sea otter, Nyac, passes”. Vancouver Aquarium. 2008년 9월 23일. 2008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8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Heptner, V. G.; Sludskii, A. A. (2002). 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 II, part 1b, Carnivores (Mustelidae and Procyonidae). Washington, D.C. :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and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SBN 90-04-08876-8.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Kenyon, Karl W. (1969). The Sea Otter in the Eastern Pacific Ocean. Washington, D.C.: U.S. Bureau of Sport Fisheries and Wildlife. ISBN 0-486-21346-3.  Love, John A. (1992). Sea Otters. Golden, Colorado: Fulcrum Publishing. ISBN 1-55591-123-4. OCLC 25747993.  Nickerson, Roy (1989). Sea Otters, a Natural History and Guide.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ISBN 0-87701-567-8. OCLC 18414247.  Silverstein, Alvin; Silverstein, Virginia and Robert (1995). The Sea Otter. Brookfield, Connecticut: The Millbrook Press, Inc. ISBN 1-56294-418-5. OCLC 3043654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iddleton, John (2001). Maritim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Today. San Francisco, Californi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 lecture.  Farris, Glenn (2007). Mains'l Haul, a Journal of Pacific Maritime History, Vol 43. San Diego, California: Maritime Museum of San Diego. ISSN 1540-3386.  Mathes, Michael (2008). The Russian-Mexican Frontier. Jenner, California: Fort Ross Interpretive Association, Inc. ISBN 978-1-60643-951-7.  VanBlaricom, Glenn R. (2001). Sea Otters. Stillwater, MN: Voyageur Press Inc. ISBN 0-89658-562-X. OCLC 4639374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위키생물종에 관련된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해달 The Otter Project – Nonprofit organization Friends of the Sea Otter - Nonprofit organization Otter 501 – Documentary film (영어) 해달 - Curlie (DMOZ 기반) Field notes by Georg Wilhelm Steller, 1742 (PDF) Live sea otter webcam – Monterey Bay Aquarium Live sea otter webcam – Vancouver Aquarium Otters holding hands – The popular YouTube video Precipice of Survival: The Southern Sea Otter (video) Smithsonian Institution – North American Mammals: Enhydra lutris vdeh현존하는 족제비과의 종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로라시아상목 목: 식육목 아메리카오소리아과아메리카오소리속아메리카오소리라텔아과라텔속라텔오소리아과돼지코오소리속돼지코오소리오소리속일본오소리 · 오소리 · 유럽오소리담비아과타이라속타이라울버린속울버린담비속아메리카담비 · 담비 · 바위담비 · 닐기리담비 · 유럽소나무담비 · 산달 · 피셔 · 검은담비족제비오소리아과족제비오소리속보르네오족제비오소리 · 중국족제비오소리 · 자바족제비오소리 · 버마족제비오소리 · 베트남족제비오소리그리슨아과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속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줄무늬족제비속사하라줄무늬족제비 · 줄무늬족제비파타고니아족제비속파타고니아족제비얼룩족제비속얼룩족제비그리슨속작은그리슨 · 큰그리슨족제비아과아메리카밍크속아메리카밍크족제비속긴꼬리족제비 · 등줄무늬족제비 · 말레이시아족제비 · 북방족제비 · 쇠족제비 · 고산족제비 · 족제비 · 유럽밍크 · 검은발족제비 · 긴털족제비 · 스텝긴털족제비 · 아마존족제비 · 콜롬비아족제비 · 일본족제비 · 노랑배족제비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이집트족제비수달아과큰수달속큰수달아메리카수달속북아메리카수달 · 바다수달 · 남아메리카수달 · 긴꼬리수달해달속해달얼룩목수달속얼룩목수달수달속수달 · 수마트라수달민발톱수달속아프리카민발톱수달작은발톱수달속작은발톱수달비단수달속비단수달분류 전거 통제 LCCN: sh85119235 GND: 4169258-5 NDL: 00569259 생물 분류 식별자 Wd: Q41407 ADW: Enhydra_lutris ARKive: enhydra-lutris EoL: 328583 화석연구데이터베이스: 46078 GBIF: 2433670 iNaturalist: 41860 IRMNG: 10198728 ITIS: 180547 IUCN: 7750 MSW: 14001090 NCBI: 34882 Species+: 7275 uBio: 105591 WoRMS: 24259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해달&oldid=24216140" 분류: IUCN 적색 목록 위기종수달아과해양 포유류1758년 기재된 동물일본의 포유류러시아의 포유류미국의 포유류캐나다의 포유류북아메리카의 포유류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날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알찬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0: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종로구 (선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로구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종로구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서울특별시 내 종로구 선거구의 경계인구 163,822명 (2015년)유권자 수 133,769명 (2017년)현 선거구신설연도 1988년국회의원 정세균 (더불어민주당)의원 수 1인이전 선거구 종로구·중구 중복되는 선거구서울시의회 종로구 제1선거구종로구 제2선거구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의 정세균 (6선, 2012년~)이다. 서울 종로구는 예로부터 '정치 1번지' 중 하나로 꼽힌다. 윤보선 대통령, 장면 총리, 이명박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정세균 국회의장, 김을동 前 의원의 부친이자 백야 김좌진 장군의 아들 김두한 등이 이곳 선거구 후보로 출마해 모두 종로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전적이 있으며, 여야를 막론하고 매 총선마다 거물급 정치인이 후보로 나서기로 유명하다.[1] 목차 1 지역 정보 2 역사 2.1 선거구 2.2 역대 선거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같이 보기 지역 정보[편집] 종로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지 중 하나로, 대통령의 관저인 청와대와 정부청사인 정부서울청사가 위치해 있다. 헌법재판소, 국세청, 감사원 등의 관공서, 주한 미국 대사관과 주한 일본 대사관 등 각국 대사관, 그리고 주요 신문사와 대표 문화 관광 시설들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의 총인구는 2015년 기준 163,822명이며, 인구밀도는 6,852명/km2이다.[2] 종로구의 인구 분포는 북서부 산지와 남동부 평지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종로구 남동쪽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데 창신동 (25,895명)과 숭인동 (17,215명), 혜화동 (20,066명)과 이화동 (9,215명)이 여기에 속한다. 이에 비해 북서부 지역은 면적이 넓어 인구밀도가 비교적 낮다. 주민수로는 평창동 (19,414명)이 가장 크고, 그 뒤로 청운효자동 (14,354명), 종암동 (11,217명), 사직동 (10,033명), 무악동 (8,619명), 교남동 (4,875명)이 뒤를 잇는다. 그밖에 남쪽의 긴 축을 차지하는 종로 일대와 삼청동, 가회동 등의 상가 지대는 인구수가 5,000명 미만으로 적다.[2] 종로구의 남녀 비율은 여자 50.84% 대 남자 49.16%로 엇비슷한 수준이다. 고령 인구는 65세 이상 24.89%, 65세 미만 75.11%로 높은 편이다.[2] 종로구는 특히 외국인의 비율이 높은데, 1997년 1,915명에서 2015년 8,836명으로 급속히 증가해 전체인구의 5.4%에 달한다. 반면 한국인 인구는 같은 기간에 약 4만여명 감소했다.[2] 전체 종로구 주민 중 자기집에 사는 사람은 40.76%이며, 전세는 29.63%, 월세는 26.18%로 전월세 비율이 자기집 거주 비율보다 높다.[2] 기초생활수급자는 총 4,297명 (2.62%)로 주로 종로 일대와 창신,숭인동 쪽의 비중이 높다.[2] 현 종로구청장은 더불어민주당의 김영종 구청장이다. 종로구는 서울시의회 25개 지역구 중 하나이기도 하며, 2개 선거구에서 시의원 2명을 선출한다. 종로구의 기초의회는 종로구의회로, 2014년 기준으로 4개 지역구에서 구의원 9명을 선출한다.[2]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48년 제1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지금과는 달리 두 개의 선거구, 종로구 갑과 종로구 을로 나뉘어 있었다. 1961년 총선 (제5대 민의원)까지 갑을로 계속 유지되다 1963년 제6대 총선부터 종로구라는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1973년 제9대 총선부터는 중구와 통합되어 종로구·중구가 되었으며, 중선거구제 실시로 국회의원 2인을 선출하게 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는 중구 일대가 다시 종로구와 분리되어 중구가 되었다. 이후로는 종로구 차원의 자잘한 행정구역 경계 변경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 없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역대 선거[편집]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988년부터 2012년까지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인 지역으로, 1988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의원은 단 두 명에 불과하다. 1988년 총선에서 민주정의당의 이종찬 후보가 1.7% 차로 당선되었고, 그 다음 선거인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나서, 2.5% 줄어든 35.5%로 당선되어 2선에 성공했다. 1996년 총선에서는 신한국당의 이명박 후보가 41.0%로 당선, 새정치국민회의의 이종찬 후보가 33.6%로 낙선했다. 그러나 이명박 의원의 총선 선거비용이 초과되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고, 1997년 9월 1심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700만원을 선고받아 항소했다. 이듬해 1998년 2월 이명박 의원은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자진 사퇴했다. 의원직 공석에 따라 7월 21일 치러진 재보궐 선거에서, 지난 총선 때 지지율 17.7%로 3위에 머물렀던 새정치국민회의의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를 누르고 54.4%의 지지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노무현 의원도 2년 뒤 총선에서 "지역주의 벽을 넘겠다"며 부산 북구·강서구 을으로 후보 지역구를 옮기면서, 종로구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노무현 의원과 이명박 의원은 각각 제16대, 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된다. 2000년 총선에서는 1998년 재보궐에서 패한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가 48.7%의 득표를 거두어 초선으로 당선되었으며, 지난 총선에서 2위에 머무른 새천년민주당의 이종찬 후보는 이번에도 40.0%에 머무르면서 연속 낙선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정인봉 의원이 총선을 앞두고 기자들에게 수백만원대의 향응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같은해 5월 검찰에 의해 기소되었다.[3] 정 의원의 공판 불참석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재판 진행이 느려지면서 정 의원에 대한 법원의 체포동의안도 두 번 제출되기도 했으며,[4][5][6] 결국 2002년 대법원이 선거법 위반에 따른 300만원 벌금형 및 당선무효형 확정하면서 의원직에서 물러났다.[7] 정 의원의 사퇴에 따라 치러지게 된 2002년 전반기 재보궐선거를 두고 한나라당에서는 박진 전 대통령 공보비서관, 신영무 변호사, 박계동 전 국회의원 등 7명이, 새천년민주당에서는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과 이정우 변호사, 유인태 전 국회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다.[8][9][10] 최종적으로는 한나라당은 박진 후보로, 새천년민주당은 유인태 후보로, 그리고 민주노동당은 양연수 후보로 공천을 확정했다.[11][12] 그러나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이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4자 구도가 되었다.[13] 8월 8일 투표 결과, 한나라당의 박진 후보가 50.3%로, 무소속 정흥진 후보 (23.8%)와 민주당 유인태 후보 (22.2%)를 가볍게 누르고 당선되었다.[14] 박진 후보의 승리에는 김영삼 대통령의 비서관이라는 이력에 대한 호응과, 정흥진 후보가 민주당 유인태 후보의 표심을 상당부분 잠식한 것이 승리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당시 이회창 대선후보 캠프 일원이기도 했던 박진 의원은 당선 발표 직후 "의원으로서 더 심도 있게 이회창 후보를 보좌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15] 박진 의원은 2004년 총선과 2선의 김홍신 의원을, 2008년 총선에서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를 만나며 거물급 인사들과 대결했으나, 모두 5% 이내 격차로 따돌리고 당선되어 3선 의원으로 등극했다. 하지만 제19대 총선을 앞둔 2011년 11월, "절체절명의 위기의 한나라당을 살리기 위해 '정치 1번지' 종로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며 전격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국회의원 임기는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16] 한편 2008년 총선 당시 통합민주당 선대위원장을 맡기도 했던 정세균 의원은 2009년 4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정동영 전 장관의 무소속 출마를 만류하기 위해, 오는 19대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무주·진안·장수·임실에 불출마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17] 이후 총선을 앞두면서 서울 중구나 종로구, 그밖의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지역구 탐색에 들어갔고, 2011년 12월 1일 종로구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18] 한나라당의 대를 이은 새누리당에서는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조윤선 비례대표 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으나 여론조사에서 두 후보 모두 정세균 의원에게 9.3% 이상 뒤지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종 결정에 진통을 겪었다.[19] 이에 친박계 6선 의원이자 최근 자신의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홍사덕 의원을 출마시키자는 전략공천이 친박계에서 제기되었고,[20] "종로구민에 대한 모욕", "낙하산 공천 시 무소속 출마"이라는 이동관 전 대통령 언론특보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21][22] 2012년 3월 5일 2차 공천 후보명단 발표에서 홍사덕 의원의 종로구 출마가 확정되었다.[23] 2012년 4월 11일 총선 투표 결과, 정세균 후보가 52.2%로 홍사덕 후보의 45.9% 지지율을 6.3%차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어 5선에 성공했다. 2016년 4월 13일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도 정세균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전직 서울시장 오세훈 후보를 12.9%차로 따돌리며, 지난 선거보다 0.4% 늘어난 득표율로 6선 의원에 올랐다. 이후 정세균 의원은 제20대 국회의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임기를 수행하고 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1988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들을 포함한 전체 목록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을 참고 선거 의원 정당 비고 1988 이종찬 민주정의당 1992 민주자유당 1996 이명박 신한국당 서울특별시장 (2002~2006)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8~2013) 1998 노무현 새정치국민회의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3~2008) 2000 정인봉 한나라당 2002 박진 2004 2008 2012 정세균 민주통합당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2016~2018) 2016 더불어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선거 결과 후보 정당 득표 % ±% 2016년 제20대 총선유권자수: 134,507투표수: 84,893 (63.1%) (+6.0)더불어민주당 유지 정세균더불어민주당44,34252.6+0.3오세훈 새누리당33,49039.7-6.2박태순 국민의당4,7255.6N/A하승수 녹색당5900.7N/A윤공규 정의당4580.5N/A김한울 노동당3530.4N/A김대한 무소속1230.1N/A이원옥 무소속1000.1N/A이석인 진리대한당620.1N/A박종구 한나라당560.1N/A 2012년 제19대 총선유권자수: 141,697투표수: 80,981 (57.1%) (+4.9)민주통합당 승리 정세균민주통합당41,73252.3+7.5홍사덕 새누리당36,64145.9-2.5최백순 진보신당6870.9-0.7류승구 무소속2090.3N/A홍성훈 국민행복당1770.2N/A서맹종 무소속1730.2N/A김준수 국민의 힘1530.2N/A정재복 불교연합당680.1N/A 2008년 제18대 총선유권자수: 135,727투표수: 70,868 (52.2%) (-11.8)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4,11348.4+5.4손학규 민주당31,53044.8N/A정인봉 자유선진당3,2824.6N/A최현숙 진보신당1,1381.6N/A김영동 평화통일가정당3650.5N/A 2004년 제17대 총선유권자수: 137,653투표수: 88,123 (64.0%) (+6.4)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7,43142.8-5.9김홍신 열린우리당36,84342.1N/A정흥진 새천년민주당9,61411.0-29.0이선희 민주노동당2,9503.4+1.7백남석 자유민주연합3610.4-3.7양성호 녹색사민당1290.1N/A정재복 노년권익보호당1010.1N/A 2002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1,008투표수: 40,774 (28.9%)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20,30050.3+1.6정흥진 무소속9,59723.8N/A유인태 새천년민주당8,95322.2-17.8양연수 민주노동당1,5003.7+2.0 2000년 제16대 총선유권자수: 142,070투표수: 81,806 (57.6%) (-8.6)한나라당 승리 정인봉한나라당39,47848.7+5.5이종찬 새천년민주당32,36840.0-14.4김경환 자유민주연합3,3414.1-2.6방세현 희망의한국신당1,4301.8N/A양연수 민주노동당1,4081.7N/A최혁 정년진보당1,1411.4N/A여익구 민주국민당8791.1N/A서경원 무소속7680.9N/A강종원 공화당1760.2N/A 1998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4,375투표수: 48,693 (33.7%)새정치국민회의 승리 노무현새정치국민회의26,25154.4+20.8정인봉 한나라당20,99343.5+2.5한석봉 무소속9742.0N/A 1996년 제15대 총선유권자수: 150,189투표수: 99,365 (66.2%) (-4.6)신한국당 유지 이명박신한국당40,23041.0+5.5이종찬 새정치국민회의32,91833.6-1.9노무현 민주당17,33017.7N/A김을동 자유민주연합6,6026.7N/A방세현 무소속4620.5N/A이정남 무소속2530.2N/A김연수 무소속1290.1N/A박종구 21세기한독당1180.1N/A김이준 대한민주당630.1N/A 1992년 제14대 총선유권자수: 165,877투표수: 117,403 (70.8%)민주자유당 승리 이종찬민주자유당41,20835.5-2.5김경재 민주당29,82025.7N/A이내흔 통일국민당28,33624.4N/A정인봉 무소속15,12713.0+0/7심재섭 신정치개혁당8390.7N/A신두완 무소속4180.4N/A윤인식 무소속4090.4N/A 1988년 제13대 총선민주정의당 승리 이종찬민주정의당46,53438.0김명윤 통일민주당44,48836.3N/A정인봉 신민주공화당15,13912.3N/A제정구 한겨레15,03112.3N/A김경민 한주의통일한국당6830.6N/A한상필 사회민주당4180.3N/A차장량 우리정의당3050.2N/A 1988년 이전의 종로구 선거 결과에 대해선 서울 종로구·중구 (1973년~1987년), 서울 제1선거구 (1963년~1972년), 서울 종로구 갑·종로구 을 (1948년~1961년) 문서를 각각 참고하라. 각주[편집] ↑ http://m.newspim.com/news/view/20151231000285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2016 종로통계연보>. 종로구청, 2016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0048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182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812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668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9535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085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0094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14093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00014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1020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230795 ↑ 가 나 다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1998~20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14446 ↑ http://www.fnnews.com/news/201112231050086637?t=y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80328485&code=910402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399725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8335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30553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22614468296213&outlink=1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21314.html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78 같이 보기[편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종로구 vdeh서울특별시의 국회의원선거구 (49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더불어민주당 (36석) 종로구 중구·성동구 갑 용산구 광진구 갑 광진구 을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중랑구 갑 중랑구 을 성북구 갑 성북구 을 강북구 을 도봉구 갑 노원구 갑 노원구 을 노원구 병 은평구 갑 은평구 을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을 마포구 갑 마포구 을 양천구 갑 강서구 갑 강서구 병 구로구 갑 구로구 을 금천구 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을 동작구 갑 강남구 을 송파구 을 송파구 병 강동구 갑 강동구 을 자유한국당 (9석) 강북구 갑 도봉구 을 양천구 을 강서구 을 동작구 을 서초구 을 강남구 갑 강남구 병 송파구 갑 바른미래당 (4석) 중구·성동구 을 관악구 갑 관악구 을 서초구 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종로구_(선거구)&oldid=24401860" 분류: 서울특별시의 선거구서울 종로구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5: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종로구 (선거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로구 (선거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종로구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서울특별시 내 종로구 선거구의 경계인구 163,822명 (2015년)유권자 수 133,769명 (2017년)현 선거구신설연도 1988년국회의원 정세균 (더불어민주당)의원 수 1인이전 선거구 종로구·중구 중복되는 선거구서울시의회 종로구 제1선거구종로구 제2선거구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의 정세균 (6선, 2012년~)이다. 서울 종로구는 예로부터 '정치 1번지' 중 하나로 꼽힌다. 윤보선 대통령, 장면 총리, 이명박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정세균 국회의장, 김을동 前 의원의 부친이자 백야 김좌진 장군의 아들 김두한 등이 이곳 선거구 후보로 출마해 모두 종로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던 전적이 있으며, 여야를 막론하고 매 총선마다 거물급 정치인이 후보로 나서기로 유명하다.[1] 목차 1 지역 정보 2 역사 2.1 선거구 2.2 역대 선거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같이 보기 지역 정보[편집] 종로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울 종로구는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지 중 하나로, 대통령의 관저인 청와대와 정부청사인 정부서울청사가 위치해 있다. 헌법재판소, 국세청, 감사원 등의 관공서, 주한 미국 대사관과 주한 일본 대사관 등 각국 대사관, 그리고 주요 신문사와 대표 문화 관광 시설들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종로구의 총인구는 2015년 기준 163,822명이며, 인구밀도는 6,852명/km2이다.[2] 종로구의 인구 분포는 북서부 산지와 남동부 평지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종로구 남동쪽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데 창신동 (25,895명)과 숭인동 (17,215명), 혜화동 (20,066명)과 이화동 (9,215명)이 여기에 속한다. 이에 비해 북서부 지역은 면적이 넓어 인구밀도가 비교적 낮다. 주민수로는 평창동 (19,414명)이 가장 크고, 그 뒤로 청운효자동 (14,354명), 종암동 (11,217명), 사직동 (10,033명), 무악동 (8,619명), 교남동 (4,875명)이 뒤를 잇는다. 그밖에 남쪽의 긴 축을 차지하는 종로 일대와 삼청동, 가회동 등의 상가 지대는 인구수가 5,000명 미만으로 적다.[2] 종로구의 남녀 비율은 여자 50.84% 대 남자 49.16%로 엇비슷한 수준이다. 고령 인구는 65세 이상 24.89%, 65세 미만 75.11%로 높은 편이다.[2] 종로구는 특히 외국인의 비율이 높은데, 1997년 1,915명에서 2015년 8,836명으로 급속히 증가해 전체인구의 5.4%에 달한다. 반면 한국인 인구는 같은 기간에 약 4만여명 감소했다.[2] 전체 종로구 주민 중 자기집에 사는 사람은 40.76%이며, 전세는 29.63%, 월세는 26.18%로 전월세 비율이 자기집 거주 비율보다 높다.[2] 기초생활수급자는 총 4,297명 (2.62%)로 주로 종로 일대와 창신,숭인동 쪽의 비중이 높다.[2] 현 종로구청장은 더불어민주당의 김영종 구청장이다. 종로구는 서울시의회 25개 지역구 중 하나이기도 하며, 2개 선거구에서 시의원 2명을 선출한다. 종로구의 기초의회는 종로구의회로, 2014년 기준으로 4개 지역구에서 구의원 9명을 선출한다.[2]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48년 제1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지금과는 달리 두 개의 선거구, 종로구 갑과 종로구 을로 나뉘어 있었다. 1961년 총선 (제5대 민의원)까지 갑을로 계속 유지되다 1963년 제6대 총선부터 종로구라는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1973년 제9대 총선부터는 중구와 통합되어 종로구·중구가 되었으며, 중선거구제 실시로 국회의원 2인을 선출하게 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는 중구 일대가 다시 종로구와 분리되어 중구가 되었다. 이후로는 종로구 차원의 자잘한 행정구역 경계 변경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 없이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다. 역대 선거[편집]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988년부터 2012년까지 보수 정당 후보가 강세를 보인 지역으로, 1988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의원은 단 두 명에 불과하다. 1988년 총선에서 민주정의당의 이종찬 후보가 1.7% 차로 당선되었고, 그 다음 선거인 1992년에는 민주자유당 후보로 나서, 2.5% 줄어든 35.5%로 당선되어 2선에 성공했다. 1996년 총선에서는 신한국당의 이명박 후보가 41.0%로 당선, 새정치국민회의의 이종찬 후보가 33.6%로 낙선했다. 그러나 이명박 의원의 총선 선거비용이 초과되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고, 1997년 9월 1심에서 선거법 위반으로 벌금 700만원을 선고받아 항소했다. 이듬해 1998년 2월 이명박 의원은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자진 사퇴했다. 의원직 공석에 따라 7월 21일 치러진 재보궐 선거에서, 지난 총선 때 지지율 17.7%로 3위에 머물렀던 새정치국민회의의 노무현 후보가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를 누르고 54.4%의 지지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노무현 의원도 2년 뒤 총선에서 "지역주의 벽을 넘겠다"며 부산 북구·강서구 을으로 후보 지역구를 옮기면서, 종로구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노무현 의원과 이명박 의원은 각각 제16대, 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된다. 2000년 총선에서는 1998년 재보궐에서 패한 한나라당의 정인봉 후보가 48.7%의 득표를 거두어 초선으로 당선되었으며, 지난 총선에서 2위에 머무른 새천년민주당의 이종찬 후보는 이번에도 40.0%에 머무르면서 연속 낙선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정인봉 의원이 총선을 앞두고 기자들에게 수백만원대의 향응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같은해 5월 검찰에 의해 기소되었다.[3] 정 의원의 공판 불참석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재판 진행이 느려지면서 정 의원에 대한 법원의 체포동의안도 두 번 제출되기도 했으며,[4][5][6] 결국 2002년 대법원이 선거법 위반에 따른 300만원 벌금형 및 당선무효형 확정하면서 의원직에서 물러났다.[7] 정 의원의 사퇴에 따라 치러지게 된 2002년 전반기 재보궐선거를 두고 한나라당에서는 박진 전 대통령 공보비서관, 신영무 변호사, 박계동 전 국회의원 등 7명이, 새천년민주당에서는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과 이정우 변호사, 유인태 전 국회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다.[8][9][10] 최종적으로는 한나라당은 박진 후보로, 새천년민주당은 유인태 후보로, 그리고 민주노동당은 양연수 후보로 공천을 확정했다.[11][12] 그러나 정흥진 전 종로구청장이 공천 결과에 반발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4자 구도가 되었다.[13] 8월 8일 투표 결과, 한나라당의 박진 후보가 50.3%로, 무소속 정흥진 후보 (23.8%)와 민주당 유인태 후보 (22.2%)를 가볍게 누르고 당선되었다.[14] 박진 후보의 승리에는 김영삼 대통령의 비서관이라는 이력에 대한 호응과, 정흥진 후보가 민주당 유인태 후보의 표심을 상당부분 잠식한 것이 승리 요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당시 이회창 대선후보 캠프 일원이기도 했던 박진 의원은 당선 발표 직후 "의원으로서 더 심도 있게 이회창 후보를 보좌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15] 박진 의원은 2004년 총선과 2선의 김홍신 의원을, 2008년 총선에서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를 만나며 거물급 인사들과 대결했으나, 모두 5% 이내 격차로 따돌리고 당선되어 3선 의원으로 등극했다. 하지만 제19대 총선을 앞둔 2011년 11월, "절체절명의 위기의 한나라당을 살리기 위해 '정치 1번지' 종로부터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며 전격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국회의원 임기는 여기서 끝나게 되었다.[16] 한편 2008년 총선 당시 통합민주당 선대위원장을 맡기도 했던 정세균 의원은 2009년 4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정동영 전 장관의 무소속 출마를 만류하기 위해, 오는 19대 총선에서 자신의 지역구인 무주·진안·장수·임실에 불출마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17] 이후 총선을 앞두면서 서울 중구나 종로구, 그밖의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지역구 탐색에 들어갔고, 2011년 12월 1일 종로구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18] 한나라당의 대를 이은 새누리당에서는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조윤선 비례대표 의원 등이 공천 대상으로 거론되었으나 여론조사에서 두 후보 모두 정세균 의원에게 9.3% 이상 뒤지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종 결정에 진통을 겪었다.[19] 이에 친박계 6선 의원이자 최근 자신의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홍사덕 의원을 출마시키자는 전략공천이 친박계에서 제기되었고,[20] "종로구민에 대한 모욕", "낙하산 공천 시 무소속 출마"이라는 이동관 전 대통령 언론특보의 거센 비판에도 불구,[21][22] 2012년 3월 5일 2차 공천 후보명단 발표에서 홍사덕 의원의 종로구 출마가 확정되었다.[23] 2012년 4월 11일 총선 투표 결과, 정세균 후보가 52.2%로 홍사덕 후보의 45.9% 지지율을 6.3%차로 크게 누르고 당선되어 5선에 성공했다. 2016년 4월 13일 치러진 제20대 총선에서도 정세균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전직 서울시장 오세훈 후보를 12.9%차로 따돌리며, 지난 선거보다 0.4% 늘어난 득표율로 6선 의원에 올랐다. 이후 정세균 의원은 제20대 국회의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임기를 수행하고 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1988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들을 포함한 전체 목록은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을 참고 선거 의원 정당 비고 1988 이종찬 민주정의당 1992 민주자유당 1996 이명박 신한국당 서울특별시장 (2002~2006)제17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8~2013) 1998 노무현 새정치국민회의 제16대 대한민국 대통령 (2003~2008) 2000 정인봉 한나라당 2002 박진 2004 2008 2012 정세균 민주통합당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2016~2018) 2016 더불어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선거 결과 후보 정당 득표 % ±% 2016년 제20대 총선유권자수: 134,507투표수: 84,893 (63.1%) (+6.0)더불어민주당 유지 정세균더불어민주당44,34252.6+0.3오세훈 새누리당33,49039.7-6.2박태순 국민의당4,7255.6N/A하승수 녹색당5900.7N/A윤공규 정의당4580.5N/A김한울 노동당3530.4N/A김대한 무소속1230.1N/A이원옥 무소속1000.1N/A이석인 진리대한당620.1N/A박종구 한나라당560.1N/A 2012년 제19대 총선유권자수: 141,697투표수: 80,981 (57.1%) (+4.9)민주통합당 승리 정세균민주통합당41,73252.3+7.5홍사덕 새누리당36,64145.9-2.5최백순 진보신당6870.9-0.7류승구 무소속2090.3N/A홍성훈 국민행복당1770.2N/A서맹종 무소속1730.2N/A김준수 국민의 힘1530.2N/A정재복 불교연합당680.1N/A 2008년 제18대 총선유권자수: 135,727투표수: 70,868 (52.2%) (-11.8)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4,11348.4+5.4손학규 민주당31,53044.8N/A정인봉 자유선진당3,2824.6N/A최현숙 진보신당1,1381.6N/A김영동 평화통일가정당3650.5N/A 2004년 제17대 총선유권자수: 137,653투표수: 88,123 (64.0%) (+6.4)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37,43142.8-5.9김홍신 열린우리당36,84342.1N/A정흥진 새천년민주당9,61411.0-29.0이선희 민주노동당2,9503.4+1.7백남석 자유민주연합3610.4-3.7양성호 녹색사민당1290.1N/A정재복 노년권익보호당1010.1N/A 2002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1,008투표수: 40,774 (28.9%)한나라당 유지 박진한나라당20,30050.3+1.6정흥진 무소속9,59723.8N/A유인태 새천년민주당8,95322.2-17.8양연수 민주노동당1,5003.7+2.0 2000년 제16대 총선유권자수: 142,070투표수: 81,806 (57.6%) (-8.6)한나라당 승리 정인봉한나라당39,47848.7+5.5이종찬 새천년민주당32,36840.0-14.4김경환 자유민주연합3,3414.1-2.6방세현 희망의한국신당1,4301.8N/A양연수 민주노동당1,4081.7N/A최혁 정년진보당1,1411.4N/A여익구 민주국민당8791.1N/A서경원 무소속7680.9N/A강종원 공화당1760.2N/A 1998년 재보궐선거[14]유권자수: 144,375투표수: 48,693 (33.7%)새정치국민회의 승리 노무현새정치국민회의26,25154.4+20.8정인봉 한나라당20,99343.5+2.5한석봉 무소속9742.0N/A 1996년 제15대 총선유권자수: 150,189투표수: 99,365 (66.2%) (-4.6)신한국당 유지 이명박신한국당40,23041.0+5.5이종찬 새정치국민회의32,91833.6-1.9노무현 민주당17,33017.7N/A김을동 자유민주연합6,6026.7N/A방세현 무소속4620.5N/A이정남 무소속2530.2N/A김연수 무소속1290.1N/A박종구 21세기한독당1180.1N/A김이준 대한민주당630.1N/A 1992년 제14대 총선유권자수: 165,877투표수: 117,403 (70.8%)민주자유당 승리 이종찬민주자유당41,20835.5-2.5김경재 민주당29,82025.7N/A이내흔 통일국민당28,33624.4N/A정인봉 무소속15,12713.0+0/7심재섭 신정치개혁당8390.7N/A신두완 무소속4180.4N/A윤인식 무소속4090.4N/A 1988년 제13대 총선민주정의당 승리 이종찬민주정의당46,53438.0김명윤 통일민주당44,48836.3N/A정인봉 신민주공화당15,13912.3N/A제정구 한겨레15,03112.3N/A김경민 한주의통일한국당6830.6N/A한상필 사회민주당4180.3N/A차장량 우리정의당3050.2N/A 1988년 이전의 종로구 선거 결과에 대해선 서울 종로구·중구 (1973년~1987년), 서울 제1선거구 (1963년~1972년), 서울 종로구 갑·종로구 을 (1948년~1961년) 문서를 각각 참고하라. 각주[편집] ↑ http://m.newspim.com/news/view/20151231000285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2016 종로통계연보>. 종로구청, 2016년.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0048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182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7812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668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19535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085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0094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14093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000148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21020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0230795 ↑ 가 나 다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1998~20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5&aid=0000114446 ↑ http://www.fnnews.com/news/201112231050086637?t=y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080328485&code=910402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399725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58335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30553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22614468296213&outlink=1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21314.html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78 같이 보기[편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종로구 vdeh서울특별시의 국회의원선거구 (49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더불어민주당 (36석) 종로구 중구·성동구 갑 용산구 광진구 갑 광진구 을 동대문구 갑 동대문구 을 중랑구 갑 중랑구 을 성북구 갑 성북구 을 강북구 을 도봉구 갑 노원구 갑 노원구 을 노원구 병 은평구 갑 은평구 을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을 마포구 갑 마포구 을 양천구 갑 강서구 갑 강서구 병 구로구 갑 구로구 을 금천구 영등포구 갑 영등포구 을 동작구 갑 강남구 을 송파구 을 송파구 병 강동구 갑 강동구 을 자유한국당 (9석) 강북구 갑 도봉구 을 양천구 을 강서구 을 동작구 을 서초구 을 강남구 갑 강남구 병 송파구 갑 바른미래당 (4석) 중구·성동구 을 관악구 갑 관악구 을 서초구 갑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종로구_(선거구)&oldid=24401860" 분류: 서울특별시의 선거구서울 종로구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15: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라노 말펜사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Aeroporto di Milano-MalpensaMilan Malpensa Airport IATA: MXP – ICAO: LIRF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6 운영기관 Aeroporti di Milano 지역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위치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거점 항공사 알리탈리아 항공블루 파노라마 항공 해발고도 768 ft / 234 m 좌표 북위 45° 37′ 48″ 동경 008° 43′ 23″ / 북위 45.63000° 동경 8.72306°  / 45.63000; 8.72306 웹사이트 http://www.milanomalpensa1.eu 지도 MXP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7/25 3,288 10,785 YES 아스팔트 16R/34L 4,012 13,063 YES 아스팔트 밀라노 말펜사 공항(이탈리아어: Aeroporto di Milano-Malpensa, 영어: Milan Malpensa Airport, IATA : MXP, ICAO : LIMC)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밀라노 중심부에서 약 5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밀라노 도시권 지역의 3개 국제공항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항 노선 2.1 1A 터미널 2.2 1B 터미널 2.3 2 터미널 2.4 화물 노선 3 연계 교통 3.1 도로 교통 3.2 철도 교통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블루 파노라마 항공, 이지젯, 유로 플라이 항공, 리빙스턴 에너지 항공, 네오스 항공, 볼라레 항공, 볼라레웹 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이탈리아의 최대 항공사인 알리탈리아 항공은 2007년 허브공항에서 제외했다. 그 밖에 여러 항공사가 취항한다. 평균 해면고도(above mean sea level)는 234m이로 터미널은 1-A, 1-B, 1-C, 2로 이루어지며 화물터미널인 카고시티(CargoCity)는 1년에 41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활주로는 2개인데, 아스팔트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3,915m로 2012년에 완료 목표로 세 번째 활주로가 공사하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1A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알리탈리아 항공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니오스 항공 암스테르담, 아르카페, 브린디시, 카나리아, 코펜하겐, 푸에르테벤투라, 푼샬, 헤라클리온, 이비자, 카르파토스, 코스, 우페미아라메치아테음​​, 라스팔마스데그랑카니라아, 리스본, 루르드, 마드리드, 미노르카, 미코노스, 팔마데마요르카, 포르토산토, 로즈, 산토리니, 세빌라, 스키아토스, 테네리페 메리디아나 안탈랴, 보드룸, 칼리아리, 푸에트레벤투라, 올비아, 테네리페(소스), 트롯톨리계절편 : 미코노스, 로도스 산토리니 미스트랄 항공 판텔레니아, 후가르다, 라카티아,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람페두사 블루 파노라마 항공 헤라킬리온, 람페두사, 루르드, 로도스, 산토리니 션온에어 알리칸테, 에든버러, 더블린, 두바이, 글래스고(인터내셔널), 섀넌계절편 : 코크, 글래스고(프레스트워크) 스카이 브릿지 에어옵스 페루자 아르바 스타 이비자, 미노르카, 팔마데마요르카 에어 돌로미티 뮌헨 엘바 플라이 엘바 이탈리 항공 람페두사, 로도스, 말라가, 팔마데마요르카 HOP!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 유로피아 에어포스트 로도스 트윈 제트 마르세유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뒤셀도르프, 뮌헨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뮌헨 유로윙스 함부르크계절편 : 뒤셀도르프 저먼윙스 쾰른(본), 하노버 콘텍트 에어 슈투트가르트 KLM 암스테르담 트랜스아비아닷컴 로테르담 룩스 에어 룩셈부르크 브뤼셀 항공 브뤼셀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오스트리아 항공 빈 에어 알프스 살레르노 에게 항공 아테네, 미코노스, 산토리니, 헤라킬리온 이베리아 항공 마드리드 에어 유로파 마드리드 부엘링 항공 바르셀로나, 빌바오, 발렌시아계절편 : 이비사, 팔마데마요르카 블루 에어 안탈리아 TAP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 TAP 익스프레스 포르투 스마트룩스 항공 루르드, 말라가, 테네리페 체코 항공 프라하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스칸디나비아 항공 코펜하겐, 스톡홀름(알란다)계절편 : 오슬로(가르데르모엔) 노르웨이 에어 셔틀 오슬로(가르데르모엔) 아이슬란드 항공 레이캬비크 핀에어 헬싱키 1B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에어링구스 더빌린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상하이(푸둥) 에어 이탈리아 포르탈레자, 아바나, 라로마나, 나탈, 노지베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에어 몰도바 키시네프 알리탈리아 항공 마이애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뉴욕(케네디), 도쿄(나리타) 아메리칸 항공 마이애미, 뉴욕(케네디) 아틀라스 제트 안탈랴 아제르바이잔 항공 바쿠 벨라비아 항공 민스크 블루 파노라마 항공 안티구아, 아루바, 방콕(수완나품), 칸쿤, 카요라르고델수르, 카르타헤나, 큐라소, 아바나, 올긴, 라로마나, 푸껫, 산타클라라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불가리아 항공 소피아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유나이티드 항공 뉴어크 키프로스 항공 라르나카 델타 항공 애틀랜타, 뉴욕(케네디) 이집트 항공 카이로 EI AI 텔아비브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유로 에어포스트 탕헤르 플라이비 버밍엄, 맨체스터 걸프 에어 바레인 이란 항공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야트 에어웨이즈 베오그라드 제트포유 카사블랑카 대한항공 서울(인천) 메리디아나 치시나우, 콜롬보, 다카, 말레, 마르사 알람, 모리셔스, 몸바사, 샤알람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중동항공 베이루트 오만 항공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제 항공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타르 항공 도하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퀸알리아)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제다, 리야드 스카이 항공 안탈랴 스카이브릿지 에어옵스 샤알람알세이크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스리랑카 항공 콜롬보 선 익스프레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이즈미르 선드 오르 텔아비브 시리안 에어 알레포, 다마쿠스 TACV 살 TAM 항공 상파울루(구아룰류스) 타이항공 방콕(수완나품) 튀니스 에어 제르바, 엔피다, 모나스티르, 타바카, 토주르, 튀니스 터키 항공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겐트 이스리아 항공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안탈리아, 바르셀로나, 보드룸, 후가르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팔마데마요르카, 샤름엘셰이크 알리탈리아 항공 세인트마르텐계절편 : 라로마니아, 메일, 몸바사, 산토도밍고, 잔지바르 AMC 항공 엘알라메인, 마르사알람, 샴엘셰이 니오스 항공 아가디르, 알레포, 암만(퀸알리아, 마카), 안탈리아, 앤티가, 알아카바, 반줄, 보아비스타, 카이로, 칸쿤, 캡틴스크링, 제르바, 두바이, 하바나, 후르간, 후가르다, 라로마니아, 라르나카, 룩소르, 마헤, 메일, 마르사알람, 메리다, 메르사마트루, 몸바사, 몬티아프리트, 푼타칸나, 라스알카하마, 레시페, 샐, 살바도르다바이아, 사르마나, 샴엘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미스트랄 항공 후가르다, 라타키아, 텔아비브 아우어 항공 계절편 :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노브에어 제르바, 모나스티르, 타바르카 2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이지젯 아가디르, 암스테르담, 아테네, 바르셀로나, 바리, 베를린(쇠네펠트), 보르도, 브린디시, 브리스톨, 브뤼셀, 칼리아리, 카사블랑카, 카타니아, 코펜하겐, 코르푸, 에딘버러, 이비자, 우페미아라메치아테미, 런던(개트윅), 런던(루턴), 리스본, 리옹, 마드리드, 말라가, 마라케시, 미코노스, 나폴리, 올리비아, 팔레르모, 팔마드마요르카, 파리(샤를 드 골), 포르토, 프라하,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분리, 테살로니키, 툴루즈계절편 : 두브로브니크, 헤라클리온, 코스, 몰타, 로즈, 산토리니, 잔테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 카고 베이징, 청두, 노보시비르스크, 상하이(푸둥), 빈 에어브리지 카고 에어 암스테르담, 프랑크푸르트, 마스트리흐트, 모스크바(도모데도보),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아시아나항공 런던(스탠스테드), 서울(인천), 빈 아틀라스 항공 리마, 산타마리아 카고룩스 캄피나스(비라코푸스), 로스앤젤레스, 룩셈부르크, 마스트리히트, 뉴욕(JFK) 카고룩스 이탈리아 알마티, 바쿠, 두바이, 홍콩, 요하네스버그, 룩셈부르크,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도원) 캐세이패시픽 항공 델리,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홍콩, 런던(히드로), 맨체스터, 뉴욕(JFK), 파리(CDG) 중화항공 두바이, 맨체스터, 타이페이(도원) 중국화물항공 암스테르담, 상하이(푸둥), 우루무치 중국남방항공 카고 암스테르담, 광저우 지스테어 에어 카고 마드리드 DHL 런던(히드로), 런던(루턴), 런던(스탠스테드) 이집트 항공 카고 카이로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암스테르담, 두바이, 나이로비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아부다비, 트리폴리 페덱스 익스프레스 안코나, 쾰른(본), 프랑크푸르트, 리스본, 멤피스, 뉴욕(뉴어크), 파리(샤를 드 골), 피사, 베니스(마르코폴로) 만리장성항공 암스테르담, 첸나이, 상하이(푸둥)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 프랑크푸르트, 제네바, 상하이(푸둥), 선전 대한항공 나보이, 런던(히드로),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빈 MAS 카고 쿠알라룸푸르 미스트랄 항공 루르드 MNG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파리(샤를 드 골) 일본화물항공 암스테르담,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폴렛 항공 하르툼 카타르 항공 도하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엘아이운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브뤼셀, 제다, 리야드 실크웨이 항공 바쿠 서던 에어 애틀랜타, 시카고(오헤어), 뉴욕(JFK) TAROM 부쿠레스트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프리스티나 월드 에어웨이즈 볼티모어, 시카고(오헤어), 멕시코시티, 뉴욕(JFK)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공항버스 자동차 택시 철도 교통[편집] 말펜사 익스프레스 밀라노 공항역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밀라노 말펜사 공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라노_말펜사_공항&oldid=24099573" 분류: 롬바르디아주의 공항밀라노의 교통1909년 개항한 공항194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라노 말펜사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Aeroporto di Milano-MalpensaMilan Malpensa Airport IATA: MXP – ICAO: LIRF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6 운영기관 Aeroporti di Milano 지역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위치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거점 항공사 알리탈리아 항공블루 파노라마 항공 해발고도 768 ft / 234 m 좌표 북위 45° 37′ 48″ 동경 008° 43′ 23″ / 북위 45.63000° 동경 8.72306°  / 45.63000; 8.72306 웹사이트 http://www.milanomalpensa1.eu 지도 MXP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7/25 3,288 10,785 YES 아스팔트 16R/34L 4,012 13,063 YES 아스팔트 밀라노 말펜사 공항(이탈리아어: Aeroporto di Milano-Malpensa, 영어: Milan Malpensa Airport, IATA : MXP, ICAO : LIMC)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밀라노 중심부에서 약 5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밀라노 도시권 지역의 3개 국제공항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항 노선 2.1 1A 터미널 2.2 1B 터미널 2.3 2 터미널 2.4 화물 노선 3 연계 교통 3.1 도로 교통 3.2 철도 교통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블루 파노라마 항공, 이지젯, 유로 플라이 항공, 리빙스턴 에너지 항공, 네오스 항공, 볼라레 항공, 볼라레웹 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이탈리아의 최대 항공사인 알리탈리아 항공은 2007년 허브공항에서 제외했다. 그 밖에 여러 항공사가 취항한다. 평균 해면고도(above mean sea level)는 234m이로 터미널은 1-A, 1-B, 1-C, 2로 이루어지며 화물터미널인 카고시티(CargoCity)는 1년에 41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활주로는 2개인데, 아스팔트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3,915m로 2012년에 완료 목표로 세 번째 활주로가 공사하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1A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알리탈리아 항공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니오스 항공 암스테르담, 아르카페, 브린디시, 카나리아, 코펜하겐, 푸에르테벤투라, 푼샬, 헤라클리온, 이비자, 카르파토스, 코스, 우페미아라메치아테음​​, 라스팔마스데그랑카니라아, 리스본, 루르드, 마드리드, 미노르카, 미코노스, 팔마데마요르카, 포르토산토, 로즈, 산토리니, 세빌라, 스키아토스, 테네리페 메리디아나 안탈랴, 보드룸, 칼리아리, 푸에트레벤투라, 올비아, 테네리페(소스), 트롯톨리계절편 : 미코노스, 로도스 산토리니 미스트랄 항공 판텔레니아, 후가르다, 라카티아,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람페두사 블루 파노라마 항공 헤라킬리온, 람페두사, 루르드, 로도스, 산토리니 션온에어 알리칸테, 에든버러, 더블린, 두바이, 글래스고(인터내셔널), 섀넌계절편 : 코크, 글래스고(프레스트워크) 스카이 브릿지 에어옵스 페루자 아르바 스타 이비자, 미노르카, 팔마데마요르카 에어 돌로미티 뮌헨 엘바 플라이 엘바 이탈리 항공 람페두사, 로도스, 말라가, 팔마데마요르카 HOP!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 유로피아 에어포스트 로도스 트윈 제트 마르세유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뒤셀도르프, 뮌헨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뮌헨 유로윙스 함부르크계절편 : 뒤셀도르프 저먼윙스 쾰른(본), 하노버 콘텍트 에어 슈투트가르트 KLM 암스테르담 트랜스아비아닷컴 로테르담 룩스 에어 룩셈부르크 브뤼셀 항공 브뤼셀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오스트리아 항공 빈 에어 알프스 살레르노 에게 항공 아테네, 미코노스, 산토리니, 헤라킬리온 이베리아 항공 마드리드 에어 유로파 마드리드 부엘링 항공 바르셀로나, 빌바오, 발렌시아계절편 : 이비사, 팔마데마요르카 블루 에어 안탈리아 TAP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 TAP 익스프레스 포르투 스마트룩스 항공 루르드, 말라가, 테네리페 체코 항공 프라하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스칸디나비아 항공 코펜하겐, 스톡홀름(알란다)계절편 : 오슬로(가르데르모엔) 노르웨이 에어 셔틀 오슬로(가르데르모엔) 아이슬란드 항공 레이캬비크 핀에어 헬싱키 1B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에어링구스 더빌린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상하이(푸둥) 에어 이탈리아 포르탈레자, 아바나, 라로마나, 나탈, 노지베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에어 몰도바 키시네프 알리탈리아 항공 마이애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뉴욕(케네디), 도쿄(나리타) 아메리칸 항공 마이애미, 뉴욕(케네디) 아틀라스 제트 안탈랴 아제르바이잔 항공 바쿠 벨라비아 항공 민스크 블루 파노라마 항공 안티구아, 아루바, 방콕(수완나품), 칸쿤, 카요라르고델수르, 카르타헤나, 큐라소, 아바나, 올긴, 라로마나, 푸껫, 산타클라라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불가리아 항공 소피아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유나이티드 항공 뉴어크 키프로스 항공 라르나카 델타 항공 애틀랜타, 뉴욕(케네디) 이집트 항공 카이로 EI AI 텔아비브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유로 에어포스트 탕헤르 플라이비 버밍엄, 맨체스터 걸프 에어 바레인 이란 항공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야트 에어웨이즈 베오그라드 제트포유 카사블랑카 대한항공 서울(인천) 메리디아나 치시나우, 콜롬보, 다카, 말레, 마르사 알람, 모리셔스, 몸바사, 샤알람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중동항공 베이루트 오만 항공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제 항공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타르 항공 도하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퀸알리아)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제다, 리야드 스카이 항공 안탈랴 스카이브릿지 에어옵스 샤알람알세이크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스리랑카 항공 콜롬보 선 익스프레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이즈미르 선드 오르 텔아비브 시리안 에어 알레포, 다마쿠스 TACV 살 TAM 항공 상파울루(구아룰류스) 타이항공 방콕(수완나품) 튀니스 에어 제르바, 엔피다, 모나스티르, 타바카, 토주르, 튀니스 터키 항공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겐트 이스리아 항공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안탈리아, 바르셀로나, 보드룸, 후가르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팔마데마요르카, 샤름엘셰이크 알리탈리아 항공 세인트마르텐계절편 : 라로마니아, 메일, 몸바사, 산토도밍고, 잔지바르 AMC 항공 엘알라메인, 마르사알람, 샴엘셰이 니오스 항공 아가디르, 알레포, 암만(퀸알리아, 마카), 안탈리아, 앤티가, 알아카바, 반줄, 보아비스타, 카이로, 칸쿤, 캡틴스크링, 제르바, 두바이, 하바나, 후르간, 후가르다, 라로마니아, 라르나카, 룩소르, 마헤, 메일, 마르사알람, 메리다, 메르사마트루, 몸바사, 몬티아프리트, 푼타칸나, 라스알카하마, 레시페, 샐, 살바도르다바이아, 사르마나, 샴엘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미스트랄 항공 후가르다, 라타키아, 텔아비브 아우어 항공 계절편 :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노브에어 제르바, 모나스티르, 타바르카 2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이지젯 아가디르, 암스테르담, 아테네, 바르셀로나, 바리, 베를린(쇠네펠트), 보르도, 브린디시, 브리스톨, 브뤼셀, 칼리아리, 카사블랑카, 카타니아, 코펜하겐, 코르푸, 에딘버러, 이비자, 우페미아라메치아테미, 런던(개트윅), 런던(루턴), 리스본, 리옹, 마드리드, 말라가, 마라케시, 미코노스, 나폴리, 올리비아, 팔레르모, 팔마드마요르카, 파리(샤를 드 골), 포르토, 프라하,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분리, 테살로니키, 툴루즈계절편 : 두브로브니크, 헤라클리온, 코스, 몰타, 로즈, 산토리니, 잔테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 카고 베이징, 청두, 노보시비르스크, 상하이(푸둥), 빈 에어브리지 카고 에어 암스테르담, 프랑크푸르트, 마스트리흐트, 모스크바(도모데도보),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아시아나항공 런던(스탠스테드), 서울(인천), 빈 아틀라스 항공 리마, 산타마리아 카고룩스 캄피나스(비라코푸스), 로스앤젤레스, 룩셈부르크, 마스트리히트, 뉴욕(JFK) 카고룩스 이탈리아 알마티, 바쿠, 두바이, 홍콩, 요하네스버그, 룩셈부르크,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도원) 캐세이패시픽 항공 델리,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홍콩, 런던(히드로), 맨체스터, 뉴욕(JFK), 파리(CDG) 중화항공 두바이, 맨체스터, 타이페이(도원) 중국화물항공 암스테르담, 상하이(푸둥), 우루무치 중국남방항공 카고 암스테르담, 광저우 지스테어 에어 카고 마드리드 DHL 런던(히드로), 런던(루턴), 런던(스탠스테드) 이집트 항공 카고 카이로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암스테르담, 두바이, 나이로비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아부다비, 트리폴리 페덱스 익스프레스 안코나, 쾰른(본), 프랑크푸르트, 리스본, 멤피스, 뉴욕(뉴어크), 파리(샤를 드 골), 피사, 베니스(마르코폴로) 만리장성항공 암스테르담, 첸나이, 상하이(푸둥)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 프랑크푸르트, 제네바, 상하이(푸둥), 선전 대한항공 나보이, 런던(히드로),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빈 MAS 카고 쿠알라룸푸르 미스트랄 항공 루르드 MNG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파리(샤를 드 골) 일본화물항공 암스테르담,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폴렛 항공 하르툼 카타르 항공 도하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엘아이운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브뤼셀, 제다, 리야드 실크웨이 항공 바쿠 서던 에어 애틀랜타, 시카고(오헤어), 뉴욕(JFK) TAROM 부쿠레스트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프리스티나 월드 에어웨이즈 볼티모어, 시카고(오헤어), 멕시코시티, 뉴욕(JFK)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공항버스 자동차 택시 철도 교통[편집] 말펜사 익스프레스 밀라노 공항역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밀라노 말펜사 공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라노_말펜사_공항&oldid=24099573" 분류: 롬바르디아주의 공항밀라노의 교통1909년 개항한 공항194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밀라노 말펜사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밀라노 말펜사 공항Aeroporto di Milano-MalpensaMilan Malpensa Airport IATA: MXP – ICAO: LIRF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6 운영기관 Aeroporti di Milano 지역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 위치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거점 항공사 알리탈리아 항공블루 파노라마 항공 해발고도 768 ft / 234 m 좌표 북위 45° 37′ 48″ 동경 008° 43′ 23″ / 북위 45.63000° 동경 8.72306°  / 45.63000; 8.72306 웹사이트 http://www.milanomalpensa1.eu 지도 MXP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7/25 3,288 10,785 YES 아스팔트 16R/34L 4,012 13,063 YES 아스팔트 밀라노 말펜사 공항(이탈리아어: Aeroporto di Milano-Malpensa, 영어: Milan Malpensa Airport, IATA : MXP, ICAO : LIMC)은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밀라노 중심부에서 약 5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밀라노 도시권 지역의 3개 국제공항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항 노선 2.1 1A 터미널 2.2 1B 터미널 2.3 2 터미널 2.4 화물 노선 3 연계 교통 3.1 도로 교통 3.2 철도 교통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블루 파노라마 항공, 이지젯, 유로 플라이 항공, 리빙스턴 에너지 항공, 네오스 항공, 볼라레 항공, 볼라레웹 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이탈리아의 최대 항공사인 알리탈리아 항공은 2007년 허브공항에서 제외했다. 그 밖에 여러 항공사가 취항한다. 평균 해면고도(above mean sea level)는 234m이로 터미널은 1-A, 1-B, 1-C, 2로 이루어지며 화물터미널인 카고시티(CargoCity)는 1년에 41만 톤의 화물을 처리한다. 활주로는 2개인데, 아스팔트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각각 3,915m로 2012년에 완료 목표로 세 번째 활주로가 공사하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1A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알리탈리아 항공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니오스 항공 암스테르담, 아르카페, 브린디시, 카나리아, 코펜하겐, 푸에르테벤투라, 푼샬, 헤라클리온, 이비자, 카르파토스, 코스, 우페미아라메치아테음​​, 라스팔마스데그랑카니라아, 리스본, 루르드, 마드리드, 미노르카, 미코노스, 팔마데마요르카, 포르토산토, 로즈, 산토리니, 세빌라, 스키아토스, 테네리페 메리디아나 안탈랴, 보드룸, 칼리아리, 푸에트레벤투라, 올비아, 테네리페(소스), 트롯톨리계절편 : 미코노스, 로도스 산토리니 미스트랄 항공 판텔레니아, 후가르다, 라카티아,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람페두사 블루 파노라마 항공 헤라킬리온, 람페두사, 루르드, 로도스, 산토리니 션온에어 알리칸테, 에든버러, 더블린, 두바이, 글래스고(인터내셔널), 섀넌계절편 : 코크, 글래스고(프레스트워크) 스카이 브릿지 에어옵스 페루자 아르바 스타 이비자, 미노르카, 팔마데마요르카 에어 돌로미티 뮌헨 엘바 플라이 엘바 이탈리 항공 람페두사, 로도스, 말라가, 팔마데마요르카 HOP! 리옹, 마르세유, 툴루즈 유로피아 에어포스트 로도스 트윈 제트 마르세유 루프트한자 프랑크푸르트, 뒤셀도르프, 뮌헨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뮌헨 유로윙스 함부르크계절편 : 뒤셀도르프 저먼윙스 쾰른(본), 하노버 콘텍트 에어 슈투트가르트 KLM 암스테르담 트랜스아비아닷컴 로테르담 룩스 에어 룩셈부르크 브뤼셀 항공 브뤼셀 스위스 국제항공 취리히 오스트리아 항공 빈 에어 알프스 살레르노 에게 항공 아테네, 미코노스, 산토리니, 헤라킬리온 이베리아 항공 마드리드 에어 유로파 마드리드 부엘링 항공 바르셀로나, 빌바오, 발렌시아계절편 : 이비사, 팔마데마요르카 블루 에어 안탈리아 TAP 포르투갈 리스본, 포르투 TAP 익스프레스 포르투 스마트룩스 항공 루르드, 말라가, 테네리페 체코 항공 프라하 LOT 폴란드 항공 바르샤바 스칸디나비아 항공 코펜하겐, 스톡홀름(알란다)계절편 : 오슬로(가르데르모엔) 노르웨이 에어 셔틀 오슬로(가르데르모엔) 아이슬란드 항공 레이캬비크 핀에어 헬싱키 1B 터미널[편집] 항공사 도착지 에어링구스 더빌린 아에로플로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캐피탈), 상하이(푸둥) 에어 이탈리아 포르탈레자, 아바나, 라로마나, 나탈, 노지베 에어 모리셔스 모리셔스 에어 몰도바 키시네프 알리탈리아 항공 마이애미,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뉴욕(케네디), 도쿄(나리타) 아메리칸 항공 마이애미, 뉴욕(케네디) 아틀라스 제트 안탈랴 아제르바이잔 항공 바쿠 벨라비아 항공 민스크 블루 파노라마 항공 안티구아, 아루바, 방콕(수완나품), 칸쿤, 카요라르고델수르, 카르타헤나, 큐라소, 아바나, 올긴, 라로마나, 푸껫, 산타클라라 영국항공 런던(히스로) 불가리아 항공 소피아 캐세이퍼시픽 항공 홍콩 유나이티드 항공 뉴어크 키프로스 항공 라르나카 델타 항공 애틀랜타, 뉴욕(케네디) 이집트 항공 카이로 EI AI 텔아비브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오피아 항공 아디스아바바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유로 에어포스트 탕헤르 플라이비 버밍엄, 맨체스터 걸프 에어 바레인 이란 항공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야트 에어웨이즈 베오그라드 제트포유 카사블랑카 대한항공 서울(인천) 메리디아나 치시나우, 콜롬보, 다카, 말레, 마르사 알람, 모리셔스, 몸바사, 샤알람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중동항공 베이루트 오만 항공 무스카트 파키스탄 국제 항공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카타르 항공 도하 로시야 항공 상트페테르부르크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로얄 요르단 항공 암만(퀸알리아)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제다, 리야드 스카이 항공 안탈랴 스카이브릿지 에어옵스 샤알람알세이크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스리랑카 항공 콜롬보 선 익스프레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이즈미르 선드 오르 텔아비브 시리안 에어 알레포, 다마쿠스 TACV 살 TAM 항공 상파울루(구아룰류스) 타이항공 방콕(수완나품) 튀니스 에어 제르바, 엔피다, 모나스티르, 타바카, 토주르, 튀니스 터키 항공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키예프(보리스필) 우즈베키스탄 항공 타슈겐트 이스리아 항공 텔아비브 블루 익스프레스 안탈리아, 바르셀로나, 보드룸, 후가르다, 이스탄불(사비하 괵첸), 팔마데마요르카, 샤름엘셰이크 알리탈리아 항공 세인트마르텐계절편 : 라로마니아, 메일, 몸바사, 산토도밍고, 잔지바르 AMC 항공 엘알라메인, 마르사알람, 샴엘셰이 니오스 항공 아가디르, 알레포, 암만(퀸알리아, 마카), 안탈리아, 앤티가, 알아카바, 반줄, 보아비스타, 카이로, 칸쿤, 캡틴스크링, 제르바, 두바이, 하바나, 후르간, 후가르다, 라로마니아, 라르나카, 룩소르, 마헤, 메일, 마르사알람, 메리다, 메르사마트루, 몸바사, 몬티아프리트, 푼타칸나, 라스알카하마, 레시페, 샐, 살바도르다바이아, 사르마나, 샴엘셰이크, 텔아비브, 잔지바르 미스트랄 항공 후가르다, 라타키아, 텔아비브 아우어 항공 계절편 : 안탈리아, 이스탄불(아타튀르크) 노브에어 제르바, 모나스티르, 타바르카 2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이지젯 아가디르, 암스테르담, 아테네, 바르셀로나, 바리, 베를린(쇠네펠트), 보르도, 브린디시, 브리스톨, 브뤼셀, 칼리아리, 카사블랑카, 카타니아, 코펜하겐, 코르푸, 에딘버러, 이비자, 우페미아라메치아테미, 런던(개트윅), 런던(루턴), 리스본, 리옹, 마드리드, 말라가, 마라케시, 미코노스, 나폴리, 올리비아, 팔레르모, 팔마드마요르카, 파리(샤를 드 골), 포르토, 프라하,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분리, 테살로니키, 툴루즈계절편 : 두브로브니크, 헤라클리온, 코스, 몰타, 로즈, 산토리니, 잔테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중국국제항공 카고 베이징, 청두, 노보시비르스크, 상하이(푸둥), 빈 에어브리지 카고 에어 암스테르담, 프랑크푸르트, 마스트리흐트, 모스크바(도모데도보),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아시아나항공 런던(스탠스테드), 서울(인천), 빈 아틀라스 항공 리마, 산타마리아 카고룩스 캄피나스(비라코푸스), 로스앤젤레스, 룩셈부르크, 마스트리히트, 뉴욕(JFK) 카고룩스 이탈리아 알마티, 바쿠, 두바이, 홍콩, 요하네스버그, 룩셈부르크, 오사카(간사이), 타이페이(도원) 캐세이패시픽 항공 델리, 두바이, 프랑크푸르트, 홍콩, 런던(히드로), 맨체스터, 뉴욕(JFK), 파리(CDG) 중화항공 두바이, 맨체스터, 타이페이(도원) 중국화물항공 암스테르담, 상하이(푸둥), 우루무치 중국남방항공 카고 암스테르담, 광저우 지스테어 에어 카고 마드리드 DHL 런던(히드로), 런던(루턴), 런던(스탠스테드) 이집트 항공 카고 카이로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암스테르담, 두바이, 나이로비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아부다비, 트리폴리 페덱스 익스프레스 안코나, 쾰른(본), 프랑크푸르트, 리스본, 멤피스, 뉴욕(뉴어크), 파리(샤를 드 골), 피사, 베니스(마르코폴로) 만리장성항공 암스테르담, 첸나이, 상하이(푸둥) 제이드 카고 인터내셔널 프랑크푸르트, 제네바, 상하이(푸둥), 선전 대한항공 나보이, 런던(히드로), 서울(인천), 상하이(푸둥), 빈 MAS 카고 쿠알라룸푸르 미스트랄 항공 루르드 MNG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파리(샤를 드 골) 일본화물항공 암스테르담, 나고야(주부), 도쿄(나리타) 폴렛 항공 하르툼 카타르 항공 도하 로얄 에어 모로코 카사블랑카, 엘아이운 사우디아라비아 항공 브뤼셀, 제다, 리야드 실크웨이 항공 바쿠 서던 에어 애틀랜타, 시카고(오헤어), 뉴욕(JFK) TAROM 부쿠레스트 터키 항공 이스탄불(아타튀르크), 프리스티나 월드 에어웨이즈 볼티모어, 시카고(오헤어), 멕시코시티, 뉴욕(JFK) 연계 교통[편집] 도로 교통[편집] 공항버스 자동차 택시 철도 교통[편집] 말펜사 익스프레스 밀라노 공항역 외부 링크[편집] 공식 홈페이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밀라노 말펜사 공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밀라노_말펜사_공항&oldid=24099573" 분류: 롬바르디아주의 공항밀라노의 교통1909년 개항한 공항194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5일 (목) 1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브니엘예술중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니엘예술중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5′ 20″ 동경 129° 06′ 10″ / 북위 35.2554994° 동경 129.1028139°  / 35.2554994; 129.1028139 브니엘예술중학교브니엘藝術中學校Peniel Middle School of the Arts 교훈 1. 나는 하나님과 사람과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련다. 2. 나는 마음껏 자라며, 마음껏 생각하며, 마음껏 일하는 사람이 되련다. 3. 나는 웃는 자와 같이 웃고, 우는 자와 같이 우는 사람이 되련다. 4. 나는 조국과 인류가 나를 기다리고 있음을 잊지 않는다. 개교 1996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최재호 교감 김규강 국가 대한민국 위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체육공원로 154 (구서동) 학생 수 254 명 (2015년 4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27 명 (2015년 4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히말라야시다, 교화: 영산홍 학교법인 정선학원 관할관청 부산광역시동래교육지원청 웹사이트 브니엘예술중학교 홈페이지 브니엘예술중학교(브니엘國際藝術中學校)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있는 사립 중학교이다. 2015년 입학생부터는 국제중이 아니라 예술중학생으로 인정한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논란 5 각주 6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58년 9월 15일 : 브니엘학원 설립 1995년 9월 6일 : 구서동 소재 브니엘예술학교 설립인가 (21학급) 1996년 3월 1일 : 제1대 박정환 교장 취임 1996년 3월 5일 : 브니엘예술중학교 1학년 입학(7학급 350명) 1996년 3월 19일 : 구서동 신축교사로 이전 1998년 10월 2일 : 학칙변경인가 (교명변경 브니엘예술중학교) 1999년 2월 13일 : 브니엘예술중학교 제1회 졸업(7학급 331명) 2007년 2월 9일 : 학칙변경인가 (교명변경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 2016년 4월 8일 : 브니엘예술중학교로 교명 환원[1] 2017년 3월 1일 : 제16대 이응희 교장 취임 2018년 2월 7일 : 제20회 브니엘예술중학교 졸업 (졸업생누계:18,692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브니엘예술중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논란[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는 본래 국제적인 예술인을 양성한다는 이유로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로 교명을 바꾸었으나, 교명과는 달리 예술계열 고등학교보다는 특목고나 자율고 진학률이 훨씬 높다는 지적이 있어 다시 브니엘예술중학교로 교명을 되돌렸다. 또한 입학 전형도 일반적인 예술 중학교과는 달리 서류 평가의 비중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2][3] 각주[편집] ↑ 부산고법 "브니엘국제예술중학교 명칭서 '국제' 빼라"《연합뉴스》 2016년 4월 8일, 오수희 기자 ↑ 10명 중 7명 특목·자사고 진학…브니엘예중도 '국제중' 편법《국제신문》 2014년 5월 1일, 윤정길 기자 ↑ 부산 브니엘국제예술중, 특목고 대거 배출《연합뉴스》 2010년 1월 16일, 민영규 기자 외부 링크[편집] 브니엘예술중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부산광역시의 중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서구 가락중학교 경일중학교 낙동중학교 녹산중학교 대저중학교 덕문중학교 명지중학교 명호중학교 신호중학교 지사중학교 금정구 구서여자중학교 금사중학교 금양중학교 금정중학교 남산중학교 동래여자중학교 동현중학교 부곡여자중학교 부곡중학교 부산예술중학교 브니엘예술중학교 장전중학교 기장군 기장중학교 대청중학교 모전중학교 부산중앙중학교 신정중학교 장안중학교 정관중학교 남구 감만중학교 남천중학교 대연중학교 대천중학교 동항중학교 문현여자중학교 분포중학교 석포여자중학교 성동중학교 오륙도중학교 용문중학교 용호중학교 해연중학교 동구 경남여자중학교 금성중학교 부산동여자중학교 부산서중학교 부산중학교 선화여자중학교 동래구 남일중학교 동래중학교 동신중학교 동해중학교 부산내성중학교 사직여자중학교 사직중학교 안락중학교 여명중학교 온천중학교 유락여자중학교 충렬중학교 학산여자중학교 혜화여자중학교 부산진구 가야여자중학교 개금여자중학교 개림중학교 광무여자중학교 덕명여자중학교 동양중학교 동의중학교 동평여자중학교 동평중학교 부산개성중학교 부산국제중학교 부산동중학교 부산진여자중학교 부산진중학교 서면중학교 양동여자중학교 초연중학교 초읍중학교 항도중학교 북구 가람중학교 구남중학교 구포중학교 금곡중학교 금명중학교 대천리중학교 덕천여자중학교 덕천중학교 만덕중학교 명진중학교 백양중학교 신덕중학교 양덕여자중학교 용수중학교 화명중학교 화신중학교 사상구 덕포여자중학교 동주중학교 모동중학교 모라중학교 신라중학교 엄궁중학교 주감중학교 주례여자중학교 주례중학교 학장중학교 사하구 감천중학교 건국중학교 다대중학교 다선중학교 다송중학교 당리중학교 대동중학교 동주여자중학교 두송중학교 사하중학교 삼성중학교 영남중학교 장림여자중학교 장평중학교 하남중학교 하단중학교 서구 경남중학교 대신여자중학교 부산대신중학교 부산여자중학교 부산중앙여자중학교 송도중학교 초장중학교 수영구 광안중학교 동수영중학교 동아중학교 망미중학교 부산수영중학교 한바다중학교 연제구 거성중학교 거제여자중학교 연산중학교 연일중학교 연제중학교 연천중학교 이사벨중학교 토현중학교 영도구 남도여자중학교 부산남중학교 부산영선중학교 부산체육중학교 신선중학교 영도제일중학교 태종대중학교 해동중학교 중구 덕원중학교 해운대구 동백중학교 반송여자중학교 반송중학교 반안중학교 반여중학교 부흥중학교 상당중학교 센텀중학교 신곡중학교 신도중학교 양운중학교 운송중학교 인지중학교 장산중학교 재송여자중학교 재송중학교 해강중학교 해운대여자중학교 해운대중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예술 중학교서울 국립국악중학교 선화예술중학교 예원학교 전통예술중학교 부산 부산예술중학교 브니엘예술중학교 경기 계원예술학교 전북 전주예술중학교 국제중 예술중 체육중 특성화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니엘예술중학교&oldid=22710383" 분류: 예술 중학교부산 금정구의 중학교1996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0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이리스 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이리스 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징대학살 기념관에 전시된 아이리스 장의 동상 아이리스 장 또는 아이리스 순루 장(Iris Chang 아이리스 챙[*], 중국어 간체자: 张纯如, 정체자: 張純如, 병음: Zhāng Chúnrú 장춘루[*], 1968년 3월 28일 ~ 2004년 11월 9일)은 중국계 미국인 역사가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난징 대학살을 주제로 저술한 1997년 베스트셀러 《난징의 강간》으로 유명하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들로부터 수 차례 협박을 당해 정신적 고통을 받는 끝에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아이리스 장은 2007년에 출간된 전기인 《아이리스 장을 찾아서》와 역시 같은 해에 발표된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의 강간》에서 주제로 다뤄지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2 작품 3 유명 인사 4 사망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아이리스 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 이민 온 교수 부모 사이에서 1968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중국본토 출신으로 난징 대학살을 피해 타이완으로 피신한 후, 미국에 정착하였다. 장은 일리노이주 어바나에서 자랐으며, 1985년 같은 주 어바나시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장은 1989년 일리노이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사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작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 타임즈에서 어배너-섐페인 주재 프리랜서 작가로 일했는데, 1년간 6개의 표지에 해당되는 분량의 기사를 썼다. AP와 시카고 트리뷴에서 잠시 동안 일한 뒤, 아이리스 장은 작가로서 경력을 시작하였고, 강의를 하거나, 다양한 잡지를 위해 기사를 작성하였다. 그녀는 대학 시절에 만난 브레톤 더글라스와 결혼하여 아들인 크리스토퍼를 낳았다. 아이리스 장은 그녀의 생애 말년에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살았다. 작품[편집] 아이리스 장은 역사 분야에서 아시아인과 중국계 미국인들의 경험을 담은 세권의 책을 펴냈다. 그녀의 첫 번째 책은 1995년에 발표된 《Thread of the Silkworm (한국제목: 중국 로켓의 아버지 첸쉐썬)》로, 1950년대 매카시즘 광풍이 불던 시기, 중국인 교수인 첸쉐썬의 실제 이야기를 그린다. 비록 치엔 박사가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의 설립자 중의 한 명이었으며, 수년간 미군이 나치 독일 출신인 과학자들에게서 비밀 정보를 털어놓게끔 도왔지만, 그는 갑자기 스파이, 미국의 공산당의 일원으로 모함을 받고, 1950년에서 1955년 동안 가택에 감금되었다. 치엔 박사는 1955년 9월 프레지던트 클리브랜드 상선을 타고,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떠났다. 중국으로 돌아온 후, 치엔 박사는 둥펑 미사일과 후에 실크웜 미사일을 발전시켰다. 후자는 역설적으로 걸프 전쟁,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 일어난 이라크 군대의 미국군 공격에 사용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두 번째 책인 《난징의 강간, 세계 제2차 대전의 잊혀진 홀로코스트》가 1997년 난징 대학살 60주년을 기념으로 발간되었으며, 부분적으로는 그녀의 조부모가 그 학살을 피해 탈추했던 이야기서 영감을 받았다. 이 책은 중일 전쟁 동안 일본군의 무력에 의해 중국인들에게 자행된 잔혹한 범죄행위를 담고있다. 난징의 강간은 일부에서 일본군의 잔학성을 세세히 노출한다는 찬사와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부정확한 사실을 담는다고 주장하며 비난하였다. 이 책이 출간된 뒤, 아이리스 장은 일본 정부가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이 행한 범죄를 사과해야하고, 보상금을 지불해야한다고 캠페인을 열었다. 《난징의 강간》은 일본군의 악랄한 범죄 그 자체를 처음으로 영어로 논픽션으로 쓴 책으로 여겨지며,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10주간 지속되었다. 이책을 기초로 미국의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이 2007년에 발표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세 번째 책인 《미국의 중국인》(2003년)은 중국계 미국인의 역사로 중국계 미국인들이 영원히 이방인으로 취급당했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이전 작품의 스타일에 일관적으로, 이 책은 개인적인 해석에 의존하며, 각각의 이야기에서 강한 감정적인 내용이 그려진다.[출처 필요] 그녀는 “오늘날의 미국은 중국 소수 민족의 성과없이는 지금과 같은 미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며, 중국 혈통을 지닌 모든 미국 유명인사의 얼굴에 흠집을 내려한다. 그들의 업적이 훌륭해도, 미국사회에 그들의 공헌이 크더라도 실상 그들 모두는 한가지 혹은 다른 점에서 정체성에 대해 질문받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유명 인사[편집] 아이리스 장이 작가로 성공하면서, 대중적인 인사로 인식된다. 그녀는 《난징의 강간》으로 대변인, 인터뷰 대상, 그리고 더 넓게는 일본 정부가 중국 침략시 희생자들에게 보상금을 충분히 지불하지 않았다는 의견의 대변자가 요구되었다. 미국에서 《난징의 강간》이 발간된 지 바로 뒤에, 미국 내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아이리스 장은 1997년에 일본 정부가 전쟁 범죄에 사과를 하도록 하도록 제기된 의회결의문의 주요한 홍보인 중 한명이 되어, 1999년 영부인인 힐러리 클린턴을 만나 그 문제를 상의하였다. 사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난징의 강간입니다. 공식 사인으로는 2004년 11월 9일 자살이라 보도되었다. 1996년 난징대학살을 고발한 논픽션 난징의 강간(The Rape of Nanking)을 출간한 후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 시달림을 당해왔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을 수차례 받아 줄곧 공포속에서 생활해왔고 심한 우울증에 시달려 정신과 치료를 받다가 결국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같이 보기[편집] 난징의 강간 난징 대학살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아이리스 장의 공식 홈페이지 — the official home page of Iris Chang (영어) 아이리스 장의 논문 (출처:California Ethnic and Multicultural Archives) (영어) 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세계연합회 아이리스 장에 의해 공동설립된 NGO기구로, 일본군에 저질러진 전쟁 범죄와 극악상에 알지 못하는 세계인에게 깨우침을 주려는 목적을 가진다. (영어) 난징에서의 악몽 (출처:존홉킨스 잡지 인문학과 예술 부분에 실린 수 드 파스콸의이난징의 강간을 읽은 후의 에세이) (영어) 2003년 6월 22일 아이리스 장의 인터뷰 KQED FM Forum (영어) 아이리스 장 영화 - 아이리스 장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영어) 아이리스 장 기념기금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8135 LCCN: n95074518 ISNI: 0000 0001 1465 8573 GND: 121260097 SUDOC: 066973589 BNF: cb13627565p (데이터) NDL: 00759153 NKC: xx002730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이리스_장&oldid=23865201" 분류: 1968년 태어남2004년 죽음미국의 역사가미국의 작가미국의 언론인중국계 미국인난징 대학살화기로 자살한 사람의문사한 사람자살한 작가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섐페인 (일리노이주) 출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7년 12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6: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이리스 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이리스 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징대학살 기념관에 전시된 아이리스 장의 동상 아이리스 장 또는 아이리스 순루 장(Iris Chang 아이리스 챙[*], 중국어 간체자: 张纯如, 정체자: 張純如, 병음: Zhāng Chúnrú 장춘루[*], 1968년 3월 28일 ~ 2004년 11월 9일)은 중국계 미국인 역사가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난징 대학살을 주제로 저술한 1997년 베스트셀러 《난징의 강간》으로 유명하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들로부터 수 차례 협박을 당해 정신적 고통을 받는 끝에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아이리스 장은 2007년에 출간된 전기인 《아이리스 장을 찾아서》와 역시 같은 해에 발표된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의 강간》에서 주제로 다뤄지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2 작품 3 유명 인사 4 사망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아이리스 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으로 이민 온 교수 부모 사이에서 1968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부모는 중국본토 출신으로 난징 대학살을 피해 타이완으로 피신한 후, 미국에 정착하였다. 장은 일리노이주 어바나에서 자랐으며, 1985년 같은 주 어바나시에 있는 일리노이 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장은 1989년 일리노이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신문방송학으로 학사 졸업하였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작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 타임즈에서 어배너-섐페인 주재 프리랜서 작가로 일했는데, 1년간 6개의 표지에 해당되는 분량의 기사를 썼다. AP와 시카고 트리뷴에서 잠시 동안 일한 뒤, 아이리스 장은 작가로서 경력을 시작하였고, 강의를 하거나, 다양한 잡지를 위해 기사를 작성하였다. 그녀는 대학 시절에 만난 브레톤 더글라스와 결혼하여 아들인 크리스토퍼를 낳았다. 아이리스 장은 그녀의 생애 말년에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살았다. 작품[편집] 아이리스 장은 역사 분야에서 아시아인과 중국계 미국인들의 경험을 담은 세권의 책을 펴냈다. 그녀의 첫 번째 책은 1995년에 발표된 《Thread of the Silkworm (한국제목: 중국 로켓의 아버지 첸쉐썬)》로, 1950년대 매카시즘 광풍이 불던 시기, 중국인 교수인 첸쉐썬의 실제 이야기를 그린다. 비록 치엔 박사가 NASA의 제트 추진 연구소의 설립자 중의 한 명이었으며, 수년간 미군이 나치 독일 출신인 과학자들에게서 비밀 정보를 털어놓게끔 도왔지만, 그는 갑자기 스파이, 미국의 공산당의 일원으로 모함을 받고, 1950년에서 1955년 동안 가택에 감금되었다. 치엔 박사는 1955년 9월 프레지던트 클리브랜드 상선을 타고,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떠났다. 중국으로 돌아온 후, 치엔 박사는 둥펑 미사일과 후에 실크웜 미사일을 발전시켰다. 후자는 역설적으로 걸프 전쟁, 2003년 이라크 전쟁에서 일어난 이라크 군대의 미국군 공격에 사용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두 번째 책인 《난징의 강간, 세계 제2차 대전의 잊혀진 홀로코스트》가 1997년 난징 대학살 60주년을 기념으로 발간되었으며, 부분적으로는 그녀의 조부모가 그 학살을 피해 탈추했던 이야기서 영감을 받았다. 이 책은 중일 전쟁 동안 일본군의 무력에 의해 중국인들에게 자행된 잔혹한 범죄행위를 담고있다. 난징의 강간은 일부에서 일본군의 잔학성을 세세히 노출한다는 찬사와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부정확한 사실을 담는다고 주장하며 비난하였다. 이 책이 출간된 뒤, 아이리스 장은 일본 정부가 전쟁 기간 동안 일본군이 행한 범죄를 사과해야하고, 보상금을 지불해야한다고 캠페인을 열었다. 《난징의 강간》은 일본군의 악랄한 범죄 그 자체를 처음으로 영어로 논픽션으로 쓴 책으로 여겨지며,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서 10주간 지속되었다. 이책을 기초로 미국의 다큐멘타리 필름인 《난징》이 2007년에 발표되었다. 아이리스 장의 세 번째 책인 《미국의 중국인》(2003년)은 중국계 미국인의 역사로 중국계 미국인들이 영원히 이방인으로 취급당했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이전 작품의 스타일에 일관적으로, 이 책은 개인적인 해석에 의존하며, 각각의 이야기에서 강한 감정적인 내용이 그려진다.[출처 필요] 그녀는 “오늘날의 미국은 중국 소수 민족의 성과없이는 지금과 같은 미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며, 중국 혈통을 지닌 모든 미국 유명인사의 얼굴에 흠집을 내려한다. 그들의 업적이 훌륭해도, 미국사회에 그들의 공헌이 크더라도 실상 그들 모두는 한가지 혹은 다른 점에서 정체성에 대해 질문받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유명 인사[편집] 아이리스 장이 작가로 성공하면서, 대중적인 인사로 인식된다. 그녀는 《난징의 강간》으로 대변인, 인터뷰 대상, 그리고 더 넓게는 일본 정부가 중국 침략시 희생자들에게 보상금을 충분히 지불하지 않았다는 의견의 대변자가 요구되었다. 미국에서 《난징의 강간》이 발간된 지 바로 뒤에, 미국 내에서 정치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아이리스 장은 1997년에 일본 정부가 전쟁 범죄에 사과를 하도록 하도록 제기된 의회결의문의 주요한 홍보인 중 한명이 되어, 1999년 영부인인 힐러리 클린턴을 만나 그 문제를 상의하였다. 사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난징의 강간입니다. 공식 사인으로는 2004년 11월 9일 자살이라 보도되었다. 1996년 난징대학살을 고발한 논픽션 난징의 강간(The Rape of Nanking)을 출간한 후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 시달림을 당해왔다. 아이리스 장은 일본 극우 세력으로부터 협박을 수차례 받아 줄곧 공포속에서 생활해왔고 심한 우울증에 시달려 정신과 치료를 받다가 결국 2004년 11월 9일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같이 보기[편집] 난징의 강간 난징 대학살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아이리스 장의 공식 홈페이지 — the official home page of Iris Chang (영어) 아이리스 장의 논문 (출처:California Ethnic and Multicultural Archives) (영어) 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의 역사를 보존하려는 세계연합회 아이리스 장에 의해 공동설립된 NGO기구로, 일본군에 저질러진 전쟁 범죄와 극악상에 알지 못하는 세계인에게 깨우침을 주려는 목적을 가진다. (영어) 난징에서의 악몽 (출처:존홉킨스 잡지 인문학과 예술 부분에 실린 수 드 파스콸의이난징의 강간을 읽은 후의 에세이) (영어) 2003년 6월 22일 아이리스 장의 인터뷰 KQED FM Forum (영어) 아이리스 장 영화 - 아이리스 장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영어) 아이리스 장 기념기금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8135 LCCN: n95074518 ISNI: 0000 0001 1465 8573 GND: 121260097 SUDOC: 066973589 BNF: cb13627565p (데이터) NDL: 00759153 NKC: xx002730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이리스_장&oldid=23865201" 분류: 1968년 태어남2004년 죽음미국의 역사가미국의 작가미국의 언론인중국계 미국인난징 대학살화기로 자살한 사람의문사한 사람자살한 작가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섐페인 (일리노이주) 출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7년 12월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6: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대회 개요개최기간 2003년 9월 16일~ 2004년 5월 26일참가클럽 32최종 순위● 우승 팀 포르투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AS 모나코 통계총 경기수 125경기득점 총합 309 (경기당 2.47골)최다득점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9골) ← 2002-03 2004-05 → v • d • e • h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는 49번째 UEFA 최고의 클럽 축구 대회이자, 현재의 형식으로는 12번째 UEFA 챔피언스리그이다. 이번 대회는 결승전이 포르투와 AS 모나코의 경기였을 정도로 이변이 많이 존재하였다. 포르투는 16강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었으며, AS 모나코는 8강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준결승에서 첼시를 꺾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16강에서 유벤투스를, 8강에서 AC 밀란을 꺾은 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지만 준결승에서 포르투에게 탈락하였다. 이 대회가 끝난 후 포르투의 감독이였던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부임하게 된다. 목차 1 예선전 1.1 1차 예선전 1.2 2차 예선전 1.3 3차 예선전 2 조별 리그 2.1 A조 2.2 B조 2.3 C조 2.4 D조 2.5 E조 2.6 F조 2.7 G조 2.8 H조 3 결선 토너먼트 3.1 16강전 3.2 8강전 3.3 준결승전 3.4 결승전 4 최종 순위 5 득점자 6 함께 보기 7 외부 링크 예선전[편집] 1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퓨닉 2-1 KR 레이캬비크 1-0 1-1 셰리프 티라스폴 2-1 FC 플로라 1-0 1-1 HB 토르스하운 1-5 FBK 카우나스 0-1 1-4 바테 1-3 보헤미안 1-0 0-3 바르다르 4-2 배리 타운 유나이티드 3-0 1-2 그레벤마허 0-2 레오타르 0-0 0-2 글렌토런 0-1 HJK 헬싱키 0-0 0-1 슬리마 원더러스 3-3 (a) 스콘토 2-0 1-3 오모니아 2-1 이르티쉬 0-0 2-1 디나모 트빌리시 3-3 (2-4 p) KF 티라나 3-0 0-3 (연장) 2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MTK 헝가리아 3-2 HJK 헬싱키 3-1 0-1 퓨닉 0-3 CSKA 소피아 0-2 0-1 FBK 카우나스 0-5 셀틱 0-4 0-1 레오타르 1-4 슬라비아 프라하 1-2 0-2 셰리프 티라스폴 0-2 샤흐타르 도네츠크 0-0 0-2 질리나 2-1 마카비 텔아비브 1-0 1-1 보헤미안 0-5 로센보르그 0-1 0-4 마리보르 2-3 디나모 자그레브 1-1 1-2 CSKA 모스크바 2-3 바르다르 1-2 1-1 라피드 부쿠레슈티 2-3 안데를레흐트 0-0 2-3 파르티잔 3-3 (a) 유르고르덴 1-1 2-2 비스와 크라쿠프 7-4 오모니아 5-2 2-2 쾨벤하운 10-1 슬리마 원더러스 4-1 6-0 KF 티라나 2-7 GAK 1-5 1-2 3차 예선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르다르 4-5 스파르타 프라하 2-3 2-2 MTK 헝가리아 0-5 셀틱 0-4 0-1 레인저스 3-2 쾨벤하운 1-1 2-1 아우스트리아 빈 0-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0-1 0-0 클뤼프 브뤼허 3-3 (4-2 p)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1 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2-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0 1-3 라치오 4-1 벤피카 3-1 1-0 디나모 키예프 5-1 디나모 자그레브 3-1 2-0 로센보르그 0-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0-1 그라스호퍼 2-3 AEK 아테네 1-0 1-3 질리나 0-5 첼시 0-2 0-3 셀타 비고 3-2 슬라비아 프라하 3-0 0-2 파르티잔 1-1 (4-3 p) 뉴캐슬 유나이티드 0-1 1-0 갈라타사라이 6-0 CSKA 소피아 3-0 3-0 안데를레흐트 4-1 비스와 크라쿠프 3-1 1-0 GAK 2-3 아약스 1-1 1-2 (연장) 조별 리그[편집] 3차 예선전의 승리팀 16팀과 1~10위 협회의 리그 우승 팀 10팀, 1~6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6팀, 총 32개 팀이 한 조당 네 팀씩 총 여덟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다. 각 조의 상위 두 팀은 16강전으로 올라가게 되고, 각 조의 3위 팀은 UEFA컵의 3회전으로 가게 된다. 만약 동점팀이 나올 경우, 다음과 같은 규칙에 의해 순위를 정한다. 상대전적에서 더 많은 승점을 얻은 팀. 상대전적에서 다득점을 한 팀. 상대전적에서 원정골을 많이 기록한 팀.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골 득실차. 전체 조별리그에서의 총 득점. 더 높은 UEFA 점수를 가진 팀. 조별리그 순위에서의 색깔의 의미 16강전에 진출한 팀은 굵은 글씨로 표현됨 UEFA컵으로 가게 된 팀은 굵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이번 시즌의 유럽 대회에서 탈락한 팀은 이탤릭체로 표현됨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올랭피크 리옹 6 3 1 2 7 7 0 10 바이에른 뮌헨 6 2 3 1 6 5 +1 9 셀틱 6 2 1 3 8 7 +1 7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003년 9월 17일 올랭피크 리옹 1:0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2:1 셀틱 2003년 9월 30일 셀틱 2:0 올랭피크 리옹 안데를레흐트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 안데를레흐트 1:0 셀틱 올랭피크 리옹 1:1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 셀틱 3:1 안데를레흐트 바이에른 뮌헨 1:2 올랭피크 리옹 2003년 11월 25일 안데를레흐트 1:0 올랭피크 리옹 셀틱 0:0 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 올랭피크 리옹 3:1 셀틱 바이에른 뮌헨 1:0 안데를레흐트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아스널 6 3 1 2 9 6 +3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6 2 2 2 7 7 0 8 인테르나치오날레 6 2 2 2 8 11 -3 8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003년 9월 17일 디나모 키예프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0:3 인테르나치오날레 2003년 9월 30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0:0 아스널 인테르나치오날레 2:1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0월 21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0 인테르나치오날레 디나모 키예프 2:1 아스널 2003년 11월 5일 인테르나치오날레 1:1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 1:0 디나모 키예프 2003년 11월 25일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3:2 디나모 키예프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아스널 2003년 12월 10일 디나모 키예프 1:1 인테르나치오날레 아스널 2: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S 모나코 6 3 2 1 15 6 +9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6 3 1 2 12 12 0 10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2003년 9월 17일 AEK 아테네 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1:2 AS 모나코 2003년 9월 30일 AS 모나코 4:0 AEK 아테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0월 21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1:0 AS 모나코 AEK 아테네 0: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1월 5일 AS 모나코 8: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PSV 에인트호번 2:0 AEK 아테네 2003년 11월 25일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3:0 AEK 아테네 AS 모나코 1:1 PSV 에인트호번 2003년 12월 10일 AEK 아테네 0:0 AS 모나코 PSV 에인트호번 3: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유벤투스 6 4 1 1 15 6 +9 13 레알 소시에다드 6 2 3 1 8 8 0 9 갈라타사라이 6 2 1 3 6 8 -2 7 올림피아코스 6 1 1 4 6 13 -7 4 2003년 9월 17일 유벤투스 2:1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1:0 올림피아코스 2003년 9월 30일 올림피아코스 1:2 유벤투스 갈라타사라이 1: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0월 21일 갈라타사라이 1:0 올림피아코스 유벤투스 4: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1월 5일 올림피아코스 3:0 갈라타사라이 레알 소시에다드 0:0 유벤투스 2003년 11월 25일 올림피아코스 2:2 레알 소시에다드 2003년 12월 2일 갈라타사라이 2:0 유벤투스 2003년 12월 10일 유벤투스 7:0 올림피아코스 레알 소시에다드 1:1 갈라타사라이 E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 5 0 1 13 2 +11 15 VfB 슈투트가르트 6 4 0 2 9 6 +3 12 파나티나이코스 6 1 1 4 5 13 -8 4 레인저스 6 1 1 4 4 10 -6 4 2003년 9월 16일 레인저스 2:1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5:0 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 파나티나이코스 1:1 레인저스 VfB 슈투트가르트 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 VfB 슈투트가르트 2:0 파나티나이코스 레인저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 파나티나이코스 1:3 VfB 슈투트가르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3:0 레인저스 2003년 11월 26일 VfB 슈투트가르트 1:0 레인저스 파나티나이코스 0: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 레인저스 1:3 파나티나이코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 VfB 슈투트가르트 F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레알 마드리드 6 4 2 0 11 5 +6 14 포르투 6 3 2 1 9 8 +1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2003년 9월 16일 레알 마드리드 4:2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1:1 포르투 2003년 10월 1일 포르투 1:3 레알 마드리드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3:0 파르티잔 2003년 10월 22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2:3 포르투 레알 마드리드 1:0 파르티잔 2003년 11월 4일 포르투 1: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파르티잔 0:0 레알 마드리드 2003년 11월 26일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2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2:1 파르티잔 2003년 12월 9일 레알 마드리드 1:1 포르투 파르티잔 1:1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G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첼시 6 4 1 1 9 3 +6 13 스파르타 프라하 6 2 2 2 5 5 0 8 베식타시 6 2 1 3 5 7 -2 7 라치오 6 1 2 3 6 10 -4 5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 0:1 첼시 베식타시 0:2 라치오 2003년 10월 1일 라치오 2:2 스파르타 프라하 첼시 0:2 '베식타시 2003년 10월 22일 첼시 2:1 라치오 스파르타 프라하 2:1 베식타시 2003년 11월 4일 라치오 0:4 첼시 '베식타시 1:0 스파르타 프라하 2003년 11월 26일 첼시 0:0 스파르타 프라하 라치오 1:1 베식타시 2003년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 1:0 라치오 베식타시 0:2 첼시 H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AC 밀란 6 3 1 2 4 3 +1 10 셀타 비고 6 2 3 1 7 6 +1 9 클뤼프 브뤼허 6 2 2 2 5 6 -1 8 아약스 6 2 0 4 6 7 -1 6 2003년 9월 16일 AC 밀란 1:0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1:1 셀타 비고 2003년 10월 1일 셀타 비고 0:0 AC 밀란 아약스 2:0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0월 22일 아약스 1:0 셀타 비고 AC 밀란 0: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1월 4일 셀타 비고 3:2 아약스 클뤼프 브뤼허 0:1 AC 밀란 2003년 11월 26일 아약스 0:1 AC 밀란 셀타 비고 1:1 클뤼프 브뤼허 2003년 12월 9일 AC 밀란 1:2 셀타 비고 클뤼프 브뤼허 2:1 아약스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바이에른 뮌헨 1-2 레알 마드리드 1-1 0-1 셀타 비고 2-5 아스널 2-3 0-2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2-0 유벤투스 1-0 1-0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2 (a) AS 모나코 2-1 0-1 포르투 3-2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1 1-1 레알 소시에다드 0-2 올랭피크 리옹 0-1 0-1 스파르타 프라하 1-4 밀란 0-0 1-4 슈투트가르트 0-1 첼시 0-1 0-0 8강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3-2 아스널 1-1 2-1 밀란 4-5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4-1 0-4 포르투 4-2 올랭피크 리옹 2-0 2-2 레알 마드리드 5-5 (a) AS 모나코 4-2 1-3 준결승전[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AS 모나코 5-3 첼시 3-1 2-2 포르투 1-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0 1-0 2004년 4월 20일 20:45 CEST AS 모나코 3 – 1 첼시 스타드 루이 되, 모나코 심판: 우르스 마이어 프르쇼  17' 모리엔테스  78' 논다  83'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크레스포  22' 2004년 5월 5일 20:45 CEST 첼시 2 – 2 AS 모나코 스탬포드 브리지, 런던 심판: 안데르스 프리스크 그룅키에르  22' 램파드  44'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바라  45+2' 모리엔테스  60' 2004년 4월 21일 20:45 CEST 포르투 0 – 0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 심판: 마르쿠스 메르크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4년 5월 4일 20:45 CEST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0 – 1 포르투 리아소르 경기장, 라 코루냐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리포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데를레이  60' (페널티)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입니다. 2004년 5월 26일 20:45 AS 모나코 0 – 3 포르투 아레나 아우프샬케, 겔젠키르헨 관중수: 52,000 심판: 킴 밀톤 닐센 리포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27' 데쿠  71' 알레니체프  75'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우승 FC 포르투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FC 포르투 13 7 5 1 20 12 +8 26 2 AS 모나코 13 6 3 4 27 19 +8 21 3 첼시 FC 12 6 4 2 16 10 +6 22 4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2 6 2 4 19 17 +2 20 5 레알 마드리드 FC 10 6 3 1 18 11 +7 21 6 아스널 FC 10 5 2 3 16 11 +5 17 7 AC 밀란 10 5 2 3 11 9 +2 17 8 올랭피크 리옹 10 5 2 3 11 11 0 17 9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8 5 1 2 15 5 +10 16 10 유벤투스 FC 8 4 1 3 15 8 +7 13 11 VfB 슈투트가르트 8 4 1 3 9 7 +2 13 1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8 3 2 3 9 9 0 11 13 FC 바이에른 뮌헨 8 2 4 2 7 7 0 10 14 셀타 비고 8 2 3 3 9 11 -2 9 15 레알 소시에다드 8 2 3 3 8 10 -2 9 16 스파르타 프라하 8 2 3 3 6 9 -3 9 17 PSV 에인트호번 6 3 1 2 8 7 +1 10 18 클뤼프 브뤼허 KV 6 2 2 2 5 6 -1 8 19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6 2 2 2 8 11 -3 8 20 셀틱 FC 6 2 1 3 8 7 +1 7 21 FC 디나모 키예프 6 2 1 3 8 8 0 7 22 갈라타사라이 SK 6 2 1 3 6 8 -2 7 23 베식타시 JK 6 2 1 3 5 7 -2 7 24 RSC 안데를레흐트 6 2 1 3 4 6 -2 7 25 AFC 아약스 6 2 0 4 6 7 -1 6 26 SS 라치오 6 1 2 3 6 10 -3 5 2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6 1 1 4 9 11 -2 4 28 레인저스 FC 6 1 1 4 4 10 -6 4 29 올림피아코스 FC 6 1 1 4 6 13 -7 4 30 파나티나이코스 FC 6 1 1 4 5 13 -8 4 31 FK 파르티잔 6 0 3 3 3 8 -5 3 32 AEK 아테네 6 0 2 4 1 11 -10 2 4강 진출 팀 중 승리한 팀은 결승전을 치르고 결승전은 단판 승부이다. 3.4위전은 따로 치르지 않는다.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16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17위에서 최저 32위이다. 결승전을 제외한 경기는 모두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고 1,2차전 합계 전적도 같고 골득실차도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승리방식에 의해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가려지고 원정 다 득점도 똑같을 경우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 승부가 나지 않을시 승부차기를 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팀을 가린다. 득점자[편집] 순위 이름 팀 득점 1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AS 모나코 9 2 다도 프르쇼 AS 모나코 7 3 로이 마카이 바이에른 뮌헨 6 왈테르 판디아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5 디디에 드로그바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5 하칸 쉬퀴르 갈라타사라이 주니뉴 올랭피크 리옹 티에리 앙리 아스널 함께 보기[편집] UEFA컵 2003-04 UEFA 슈퍼컵 2004 UEFA 인터토토컵 2003 외부 링크[편집] UEFA 홈페이지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RSSSF의 2003-04 챔피언스리그 vdehUEFA 챔피언스리그시즌 1955-56 1956-57 1957-58 1958-59 1959-60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 1968-69 1969-70 1970-71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EFA_챔피언스리그_2003-04&oldid=23436761" 분류: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2003년 축구2004년 축구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8일 (화)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콩고 민주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콩고 공화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콩고 민주 공화국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국기 국장 표어 프랑스어: Justice – Paix – Travail(정의, 평화, 노동)국가 콩고인이여 일어나라 수도 킨샤사 남위 4° 19′ 30″ 동경 15° 19′ 20″ / 남위 4.325° 동경 15.322222°  / -4.325; 15.322222 킨샤사 정치공용어 프랑스어국민어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정치체제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대통령총리 펠리그즈 치저크디오귀스탱 마타타 포뇨역사독립   • 독립 벨기에로부터 독립1960년 6월 30일지리면적 2,344,858km2 (12 위)내수면 비율 3.3%시간대 CET, EET (UTC+1, +2)DST 없음인구2016년 어림 85,026,000명 (16위)인구 밀도 25명/km2 (179위)경제GDP(PPP) 2014년 어림값 • 전체 $557.31억 (78위) • 일인당 $702.784 (174위)HDI 0.304 (186위, 2012년 조사)통화 프랑 (CDF)기타ISO 3166-1 180, CD, COD도메인 .cd국제 전화 +243 1971년에서 1997년까지는 "자이르"라고 불렀다.콩고 공화국과는 전혀 다른 나라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레퓌블리크 데모크라티크 뒤 콩고[*], 문화어: 민주 꽁고)은 아프리카 중부 콩고 강 유역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킨샤사이다. 이웃의 콩고 공화국과 구별하기 위하여 수도 이름을 붙여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하고, 약칭으로 DR 콩고, DRC(이상 영어), RDC(프랑스어)로도 부른다. 목차 1 역사 1.1 역대 대통령 2 지리 3 행정 구역 4 주민 5 언어 6 종교 7 교육 8 문화 9 대외 관계 10 기아문제 11 관련 항목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입니다. 1880년대 초,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 2세의 후원을 받은 헨리 스탠리를 통해 벨기에령(직할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이 되었다. 벨기에령 시절에는 레오폴 2세에 의한 무자비한 착취와 탄압으로 수백만 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조제프 카사부부가 대통령이 되었고, 파트리스 루뭄바가 총리가 되었다. 독립 직후, 지하 자원이 풍부한 카탕가 주가 모이스 촘베의 지도 아래 분리 독립을 선언하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1961년, 총리 루뭄바는 처형당하고 내란을 일으킨 촘베는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 1965년에 촘베가 귀국하여 카사부부 정부의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모부투 세세 세코 참모총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카사부부 정부는 전복되었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촘베는 다시 망명하였다가 알제리로 납치당하여 감금 생활을 하다가 죽었다. 모부투 대통령은 1970년에 나라 이름을 자이르로 고쳤고, 총 32년간 통치하였다. 그러나 모부투의 장기 집권으로 인한 부패, 인권 침해, 국가 경제의 침체 등으로 인해 제1차 콩고 내전이 일어났고, 이 내전에 승리한 게릴라 출신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1997년에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해 나라 이름을 다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바꿨다. 카빌라 정권 집권 직후에는 제2차 콩고 전쟁이 발발했고, 1998년부터 2003년까지의 기간 동안 4백만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2001년 1월, 카빌라는 경호원에 암살당했고, 사망 8일 후에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2003년, 제2차 콩고 전쟁이 중지된 후 2006년 2월에 개정된 헌법에 따라 같은 해 7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조제프 카빌라가 재선되었다. 역대 대통령[편집] 초대 대통령 : 조제프 카사부부 (1960~1965) 2대 : 모부투 세세 세코 (1965~1997) 3대 :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2001) 4대 : 조제프 카빌라 (2001~2019) 5대 : 펠리그즈 치저크디 (2019~현재) 지리[편집] 중앙 서부 지대에 있으며 앙골라,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와 접한다. 적도와 만나며 전체 면적은 2,345,408 km²로 서유럽+남유럽[1] 전체와 비슷한 수준이다. 적도 지대에 있어서인지 많은 강수가 내리며 지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중의 하나다. 평균 강우량은 200 cm에 이르기도 하며 아마존 강 다음으로 가장 큰 열대 우림이 존재하기도 한다. 관목 정글이 국토 일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만난다. 남쪽과 남서 지방은 사바나 지대와 함께 평원 지대가 나타난다. 북쪽에는 빽빽한 목초 지대가 있으며 동쪽 맨 끝으로 가면 빙하가 있는 산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2년 1월 17일 니라공고 산(Mount Nyiragongo)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었다. 용암이 고마 시(Goma)로 흘러들어 45명이 죽었고 12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용암이 키부 호로 흘러들면서 수많은 물고기가 죽기도 했다. 공항의 경우 공항 전체를 용암이 뒤덮지는 못했지만 활주로를 비롯해 수많은 비행기가 피해를 입었다. 폭발 6개월 이후 니아무라지라 화산(Mount Nyamuragira)이 터지고 2006년 한 번 더 터졌다. 두 화산 모두 여전히 활화산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주민[편집] 부슝 쿠바(Bushoong Kuba) 문화의 가면. 주민의 절대다수는 흑인으로, 대부분 반투족에 속한다. 이들은 800여개의 부족으로 나뉘며, 주요 종족으로는 콩고족, 룬다족, 몽고족 등이 있다. 그 밖에 60여만명의 피그미족들이 살고 있으며, 백인도 거주하는데 그 대부분은 벨기에계(系),프랑스인, 미국인,독일인 ,레바논 이다.황인은 중국인,인도인,한국인 이다. 언어[편집] 넓은 영토 때문에 정확히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언어와 그에 딸린 방언이 혼재하고 있다. 2005년 12월 18일, 19일에 걸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국민 61.97%의 투표와 투표자 84.31%의 찬성으로 통과되어 2006년 2월 4일 대법원에 의해 확정된 헌법에 따르면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국민 언어는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이다."고 규정하고 있다.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국제 기구, OIF)가 2005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콩고 민주 공화국 인구의 9%가 프랑스어를 상용(常用)하고, 34%가 경우에 따라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그 추정치를 밝히고 있다. 종교[편집] 대부분은 기독교를 믿는다. 로마 가톨릭이 55%, 개신교(킴방구주의 포함)가 35%, 나머지 자생 종교가 2.4%를 차지한다.[2] 교육[편집] 문맹률이 매우 높다. 문맹률은 약 92.0%에 달한다.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 대외 관계[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독립 이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토의 크기, 풍부한 광물자원, 그리고 전략적 위치라는 이유로 이 나라는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냉전의 긴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인권 유린의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서방세계의 원조가 감소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이웃한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의 군대가 반란을 도와 이 나라의 동쪽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전에 휩싸여 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콜탄(coltan)과 같은 광물 자원을 점령군이 계속 절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은 국제적인 IT 기업들이 콩고 산 불법 콜탄을 구입할 수 없도록 제재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 국가 르완다로 밀반출된 뒤 팔리는 콩고 산 콜탄의 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르완다는 콜탄 광산이 전혀 없음에도, 르완다 군은 콜탄을 팔아서 18개월간 2억 5천만 미국 달러를 벌어들였다.[3] 반란군이 점령한 지역에 세금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DRC(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을 통해 어떠한 돈도 벌어들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가 반란 활동의 재정을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면 됐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4] 콩고 민주 공화국은 남북 모두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63년 4월 1일에 국교가 수립되었다. 주(駐)콩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9년 12월,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1998년 12월 공관이 철수하였다가, 2005년 9월 1인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2008년 7월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대사는 김성철(2008년 9월 30일 부임, 2008년 9월 11일 신임장 제정)이다.[5]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 유럽계 사모펀드 AR의 한국법인인 ARK는 2009년 3월 4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 광산재벌인 조지 포레스트 인터내셔널(GFI)과 수자원·광물 동반 진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국 측은 국내 민간업체 협력을 받아 댐, 상하수도시설 관련 노하우를 제공하는 대신 구리와 코발트를 수입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는 실패하였다. 그이유는 정부 돈 횡령, 사기, 예산부족의 문제로 중단 되었다. 기아문제[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6] 관련 항목[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 비밀정보국 각주[편집] ↑ 대략 2,307,155km² ↑ 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2001년 유엔 보고서 ↑ “풍부한 자원이 국민에겐 오히려 저주가 된 콩고”.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  ↑ “한국과의 관계”.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2009년 7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년 10월 13일).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2016 세계기아지수 보고서》.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콩고 민주 공화국 (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공식 사이트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콩고 민주 공화국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1] vdeh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현행 행정 구역 남우방기주 남키부주 동카사이주 로마미주 루알라바주 마니에마주 마이은돔베주 몽갈라주 바우엘레주 북우방기주 북키부주 상쿠루주 에카퇴르주 오트로마미주 오트우엘레주 오트카탕가주 이투리주 중앙카사이주 중앙콩고주 초포주 추아파주 카사이주 쾅고주 퀼루주 탕가니카주 킨샤사 이전의 행정 구역 반둔두 주 바콩고 주 에카퇴르 주 카사이옥시당탈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카탕가 주 마니에마 주 북키부 주 동부 주 남키부 주 킨샤사 vdeh아프리카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1]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속령 레위니옹 마데이라 제도[* 2] 마요트 멜리야[* 2] 세우타[* 2]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아소르스 제도[* 2] 카나리아 제도[* 2] 미승인 국가 소말릴란드 ↑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나라 목록 245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프랑코포니 회원국회원국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베냉 베트남^ 벨기에*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르메니아^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프랑스 참관국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 코소보^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vdeh아프리카 연합 알제리 앙골라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코모로 콩고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지부티 이집트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가봉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모로코 모잠비크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864542 LCCN: n80061022 ISNI: 0000 0001 2289 9107 GND: 4067357-1 SUDOC: 050165070 BNF: cb13339496v (데이터) HDS: 3474 NDL: 00574550 NKC: ge134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콩고_민주_공화국&oldid=24434478" 분류: 콩고 민주 공화국유엔 회원국프랑스어권스와힐리어권프랑코포니 회원국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반투어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Bamanankan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Thuɔŋjäŋ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ಕನ್ನಡRipoarisch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ugand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Эрзянь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Sesotho sa Leboa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ängö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sotho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Wolof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1: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콩고 민주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콩고 공화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콩고 민주 공화국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국기 국장 표어 프랑스어: Justice – Paix – Travail(정의, 평화, 노동)국가 콩고인이여 일어나라 수도 킨샤사 남위 4° 19′ 30″ 동경 15° 19′ 20″ / 남위 4.325° 동경 15.322222°  / -4.325; 15.322222 킨샤사 정치공용어 프랑스어국민어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정치체제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대통령총리 펠리그즈 치저크디오귀스탱 마타타 포뇨역사독립   • 독립 벨기에로부터 독립1960년 6월 30일지리면적 2,344,858km2 (12 위)내수면 비율 3.3%시간대 CET, EET (UTC+1, +2)DST 없음인구2016년 어림 85,026,000명 (16위)인구 밀도 25명/km2 (179위)경제GDP(PPP) 2014년 어림값 • 전체 $557.31억 (78위) • 일인당 $702.784 (174위)HDI 0.304 (186위, 2012년 조사)통화 프랑 (CDF)기타ISO 3166-1 180, CD, COD도메인 .cd국제 전화 +243 1971년에서 1997년까지는 "자이르"라고 불렀다.콩고 공화국과는 전혀 다른 나라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레퓌블리크 데모크라티크 뒤 콩고[*], 문화어: 민주 꽁고)은 아프리카 중부 콩고 강 유역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킨샤사이다. 이웃의 콩고 공화국과 구별하기 위하여 수도 이름을 붙여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하고, 약칭으로 DR 콩고, DRC(이상 영어), RDC(프랑스어)로도 부른다. 목차 1 역사 1.1 역대 대통령 2 지리 3 행정 구역 4 주민 5 언어 6 종교 7 교육 8 문화 9 대외 관계 10 기아문제 11 관련 항목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입니다. 1880년대 초,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 2세의 후원을 받은 헨리 스탠리를 통해 벨기에령(직할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이 되었다. 벨기에령 시절에는 레오폴 2세에 의한 무자비한 착취와 탄압으로 수백만 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조제프 카사부부가 대통령이 되었고, 파트리스 루뭄바가 총리가 되었다. 독립 직후, 지하 자원이 풍부한 카탕가 주가 모이스 촘베의 지도 아래 분리 독립을 선언하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1961년, 총리 루뭄바는 처형당하고 내란을 일으킨 촘베는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 1965년에 촘베가 귀국하여 카사부부 정부의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모부투 세세 세코 참모총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카사부부 정부는 전복되었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촘베는 다시 망명하였다가 알제리로 납치당하여 감금 생활을 하다가 죽었다. 모부투 대통령은 1970년에 나라 이름을 자이르로 고쳤고, 총 32년간 통치하였다. 그러나 모부투의 장기 집권으로 인한 부패, 인권 침해, 국가 경제의 침체 등으로 인해 제1차 콩고 내전이 일어났고, 이 내전에 승리한 게릴라 출신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1997년에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해 나라 이름을 다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바꿨다. 카빌라 정권 집권 직후에는 제2차 콩고 전쟁이 발발했고, 1998년부터 2003년까지의 기간 동안 4백만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2001년 1월, 카빌라는 경호원에 암살당했고, 사망 8일 후에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2003년, 제2차 콩고 전쟁이 중지된 후 2006년 2월에 개정된 헌법에 따라 같은 해 7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조제프 카빌라가 재선되었다. 역대 대통령[편집] 초대 대통령 : 조제프 카사부부 (1960~1965) 2대 : 모부투 세세 세코 (1965~1997) 3대 :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2001) 4대 : 조제프 카빌라 (2001~2019) 5대 : 펠리그즈 치저크디 (2019~현재) 지리[편집] 중앙 서부 지대에 있으며 앙골라,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와 접한다. 적도와 만나며 전체 면적은 2,345,408 km²로 서유럽+남유럽[1] 전체와 비슷한 수준이다. 적도 지대에 있어서인지 많은 강수가 내리며 지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중의 하나다. 평균 강우량은 200 cm에 이르기도 하며 아마존 강 다음으로 가장 큰 열대 우림이 존재하기도 한다. 관목 정글이 국토 일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만난다. 남쪽과 남서 지방은 사바나 지대와 함께 평원 지대가 나타난다. 북쪽에는 빽빽한 목초 지대가 있으며 동쪽 맨 끝으로 가면 빙하가 있는 산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2년 1월 17일 니라공고 산(Mount Nyiragongo)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었다. 용암이 고마 시(Goma)로 흘러들어 45명이 죽었고 12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용암이 키부 호로 흘러들면서 수많은 물고기가 죽기도 했다. 공항의 경우 공항 전체를 용암이 뒤덮지는 못했지만 활주로를 비롯해 수많은 비행기가 피해를 입었다. 폭발 6개월 이후 니아무라지라 화산(Mount Nyamuragira)이 터지고 2006년 한 번 더 터졌다. 두 화산 모두 여전히 활화산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주민[편집] 부슝 쿠바(Bushoong Kuba) 문화의 가면. 주민의 절대다수는 흑인으로, 대부분 반투족에 속한다. 이들은 800여개의 부족으로 나뉘며, 주요 종족으로는 콩고족, 룬다족, 몽고족 등이 있다. 그 밖에 60여만명의 피그미족들이 살고 있으며, 백인도 거주하는데 그 대부분은 벨기에계(系),프랑스인, 미국인,독일인 ,레바논 이다.황인은 중국인,인도인,한국인 이다. 언어[편집] 넓은 영토 때문에 정확히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언어와 그에 딸린 방언이 혼재하고 있다. 2005년 12월 18일, 19일에 걸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국민 61.97%의 투표와 투표자 84.31%의 찬성으로 통과되어 2006년 2월 4일 대법원에 의해 확정된 헌법에 따르면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국민 언어는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이다."고 규정하고 있다.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국제 기구, OIF)가 2005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콩고 민주 공화국 인구의 9%가 프랑스어를 상용(常用)하고, 34%가 경우에 따라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그 추정치를 밝히고 있다. 종교[편집] 대부분은 기독교를 믿는다. 로마 가톨릭이 55%, 개신교(킴방구주의 포함)가 35%, 나머지 자생 종교가 2.4%를 차지한다.[2] 교육[편집] 문맹률이 매우 높다. 문맹률은 약 92.0%에 달한다.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 대외 관계[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독립 이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토의 크기, 풍부한 광물자원, 그리고 전략적 위치라는 이유로 이 나라는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냉전의 긴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인권 유린의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서방세계의 원조가 감소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이웃한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의 군대가 반란을 도와 이 나라의 동쪽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전에 휩싸여 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콜탄(coltan)과 같은 광물 자원을 점령군이 계속 절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은 국제적인 IT 기업들이 콩고 산 불법 콜탄을 구입할 수 없도록 제재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 국가 르완다로 밀반출된 뒤 팔리는 콩고 산 콜탄의 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르완다는 콜탄 광산이 전혀 없음에도, 르완다 군은 콜탄을 팔아서 18개월간 2억 5천만 미국 달러를 벌어들였다.[3] 반란군이 점령한 지역에 세금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DRC(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을 통해 어떠한 돈도 벌어들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가 반란 활동의 재정을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면 됐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4] 콩고 민주 공화국은 남북 모두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63년 4월 1일에 국교가 수립되었다. 주(駐)콩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9년 12월,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1998년 12월 공관이 철수하였다가, 2005년 9월 1인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2008년 7월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대사는 김성철(2008년 9월 30일 부임, 2008년 9월 11일 신임장 제정)이다.[5]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 유럽계 사모펀드 AR의 한국법인인 ARK는 2009년 3월 4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 광산재벌인 조지 포레스트 인터내셔널(GFI)과 수자원·광물 동반 진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국 측은 국내 민간업체 협력을 받아 댐, 상하수도시설 관련 노하우를 제공하는 대신 구리와 코발트를 수입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는 실패하였다. 그이유는 정부 돈 횡령, 사기, 예산부족의 문제로 중단 되었다. 기아문제[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6] 관련 항목[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 비밀정보국 각주[편집] ↑ 대략 2,307,155km² ↑ 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2001년 유엔 보고서 ↑ “풍부한 자원이 국민에겐 오히려 저주가 된 콩고”.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  ↑ “한국과의 관계”.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2009년 7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년 10월 13일).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2016 세계기아지수 보고서》.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콩고 민주 공화국 (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공식 사이트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콩고 민주 공화국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1] vdeh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현행 행정 구역 남우방기주 남키부주 동카사이주 로마미주 루알라바주 마니에마주 마이은돔베주 몽갈라주 바우엘레주 북우방기주 북키부주 상쿠루주 에카퇴르주 오트로마미주 오트우엘레주 오트카탕가주 이투리주 중앙카사이주 중앙콩고주 초포주 추아파주 카사이주 쾅고주 퀼루주 탕가니카주 킨샤사 이전의 행정 구역 반둔두 주 바콩고 주 에카퇴르 주 카사이옥시당탈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카탕가 주 마니에마 주 북키부 주 동부 주 남키부 주 킨샤사 vdeh아프리카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1]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속령 레위니옹 마데이라 제도[* 2] 마요트 멜리야[* 2] 세우타[* 2]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아소르스 제도[* 2] 카나리아 제도[* 2] 미승인 국가 소말릴란드 ↑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나라 목록 245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프랑코포니 회원국회원국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베냉 베트남^ 벨기에*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르메니아^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프랑스 참관국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 코소보^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vdeh아프리카 연합 알제리 앙골라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코모로 콩고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지부티 이집트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가봉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모로코 모잠비크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864542 LCCN: n80061022 ISNI: 0000 0001 2289 9107 GND: 4067357-1 SUDOC: 050165070 BNF: cb13339496v (데이터) HDS: 3474 NDL: 00574550 NKC: ge134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콩고_민주_공화국&oldid=24434478" 분류: 콩고 민주 공화국유엔 회원국프랑스어권스와힐리어권프랑코포니 회원국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반투어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Bamanankan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Thuɔŋjäŋ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ಕನ್ನಡRipoarisch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ugand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Эрзянь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Sesotho sa Leboa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ängö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sotho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Wolof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1: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콩고 민주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콩고 민주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슷한 이름의 콩고 공화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콩고 민주 공화국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국기 국장 표어 프랑스어: Justice – Paix – Travail(정의, 평화, 노동)국가 콩고인이여 일어나라 수도 킨샤사 남위 4° 19′ 30″ 동경 15° 19′ 20″ / 남위 4.325° 동경 15.322222°  / -4.325; 15.322222 킨샤사 정치공용어 프랑스어국민어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정치체제 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대통령총리 펠리그즈 치저크디오귀스탱 마타타 포뇨역사독립   • 독립 벨기에로부터 독립1960년 6월 30일지리면적 2,344,858km2 (12 위)내수면 비율 3.3%시간대 CET, EET (UTC+1, +2)DST 없음인구2016년 어림 85,026,000명 (16위)인구 밀도 25명/km2 (179위)경제GDP(PPP) 2014년 어림값 • 전체 $557.31억 (78위) • 일인당 $702.784 (174위)HDI 0.304 (186위, 2012년 조사)통화 프랑 (CDF)기타ISO 3166-1 180, CD, COD도메인 .cd국제 전화 +243 1971년에서 1997년까지는 "자이르"라고 불렀다.콩고 공화국과는 전혀 다른 나라이다. 콩고 민주 공화국(프랑스어: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레퓌블리크 데모크라티크 뒤 콩고[*], 문화어: 민주 꽁고)은 아프리카 중부 콩고 강 유역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킨샤사이다. 이웃의 콩고 공화국과 구별하기 위하여 수도 이름을 붙여 킨샤사 콩고라고 부르기도 하고, 약칭으로 DR 콩고, DRC(이상 영어), RDC(프랑스어)로도 부른다. 목차 1 역사 1.1 역대 대통령 2 지리 3 행정 구역 4 주민 5 언어 6 종교 7 교육 8 문화 9 대외 관계 10 기아문제 11 관련 항목 12 각주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역사입니다. 1880년대 초,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 2세의 후원을 받은 헨리 스탠리를 통해 벨기에령(직할 식민지)인 콩고 자유국이 되었다. 벨기에령 시절에는 레오폴 2세에 의한 무자비한 착취와 탄압으로 수백만 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하여 조제프 카사부부가 대통령이 되었고, 파트리스 루뭄바가 총리가 되었다. 독립 직후, 지하 자원이 풍부한 카탕가 주가 모이스 촘베의 지도 아래 분리 독립을 선언하면서 내란이 일어났다. 1961년, 총리 루뭄바는 처형당하고 내란을 일으킨 촘베는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 1965년에 촘베가 귀국하여 카사부부 정부의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모부투 세세 세코 참모총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카사부부 정부는 전복되었고 스스로 대통령이 되었다. 촘베는 다시 망명하였다가 알제리로 납치당하여 감금 생활을 하다가 죽었다. 모부투 대통령은 1970년에 나라 이름을 자이르로 고쳤고, 총 32년간 통치하였다. 그러나 모부투의 장기 집권으로 인한 부패, 인권 침해, 국가 경제의 침체 등으로 인해 제1차 콩고 내전이 일어났고, 이 내전에 승리한 게릴라 출신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1997년에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해 나라 이름을 다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바꿨다. 카빌라 정권 집권 직후에는 제2차 콩고 전쟁이 발발했고, 1998년부터 2003년까지의 기간 동안 4백만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2001년 1월, 카빌라는 경호원에 암살당했고, 사망 8일 후에 그의 아들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 직을 승계하였다. 2003년, 제2차 콩고 전쟁이 중지된 후 2006년 2월에 개정된 헌법에 따라 같은 해 7월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조제프 카빌라가 재선되었다. 역대 대통령[편집] 초대 대통령 : 조제프 카사부부 (1960~1965) 2대 : 모부투 세세 세코 (1965~1997) 3대 :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2001) 4대 : 조제프 카빌라 (2001~2019) 5대 : 펠리그즈 치저크디 (2019~현재) 지리[편집] 중앙 서부 지대에 있으며 앙골라, 콩고 공화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와 접한다. 적도와 만나며 전체 면적은 2,345,408 km²로 서유럽+남유럽[1] 전체와 비슷한 수준이다. 적도 지대에 있어서인지 많은 강수가 내리며 지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 중의 하나다. 평균 강우량은 200 cm에 이르기도 하며 아마존 강 다음으로 가장 큰 열대 우림이 존재하기도 한다. 관목 정글이 국토 일부분을 차지하기도 한다. 서쪽으로는 대서양과 만난다. 남쪽과 남서 지방은 사바나 지대와 함께 평원 지대가 나타난다. 북쪽에는 빽빽한 목초 지대가 있으며 동쪽 맨 끝으로 가면 빙하가 있는 산이 나타나기도 한다. 2002년 1월 17일 니라공고 산(Mount Nyiragongo)이 폭발하여 피해를 입었다. 용암이 고마 시(Goma)로 흘러들어 45명이 죽었고 12만 명 이상이 집을 잃었다. 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용암이 키부 호로 흘러들면서 수많은 물고기가 죽기도 했다. 공항의 경우 공항 전체를 용암이 뒤덮지는 못했지만 활주로를 비롯해 수많은 비행기가 피해를 입었다. 폭발 6개월 이후 니아무라지라 화산(Mount Nyamuragira)이 터지고 2006년 한 번 더 터졌다. 두 화산 모두 여전히 활화산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입니다. 주민[편집] 부슝 쿠바(Bushoong Kuba) 문화의 가면. 주민의 절대다수는 흑인으로, 대부분 반투족에 속한다. 이들은 800여개의 부족으로 나뉘며, 주요 종족으로는 콩고족, 룬다족, 몽고족 등이 있다. 그 밖에 60여만명의 피그미족들이 살고 있으며, 백인도 거주하는데 그 대부분은 벨기에계(系),프랑스인, 미국인,독일인 ,레바논 이다.황인은 중국인,인도인,한국인 이다. 언어[편집] 넓은 영토 때문에 정확히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언어와 그에 딸린 방언이 혼재하고 있다. 2005년 12월 18일, 19일에 걸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국민 61.97%의 투표와 투표자 84.31%의 찬성으로 통과되어 2006년 2월 4일 대법원에 의해 확정된 헌법에 따르면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국민 언어는 콩고어, 링갈라어, 스와힐리어, 루바어이다."고 규정하고 있다. 프랑코포니(프랑스어권 국제 기구, OIF)가 2005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콩고 민주 공화국 인구의 9%가 프랑스어를 상용(常用)하고, 34%가 경우에 따라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고 그 추정치를 밝히고 있다. 종교[편집] 대부분은 기독교를 믿는다. 로마 가톨릭이 55%, 개신교(킴방구주의 포함)가 35%, 나머지 자생 종교가 2.4%를 차지한다.[2] 교육[편집] 문맹률이 매우 높다. 문맹률은 약 92.0%에 달한다. 문화[편집]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많은 토속종교를 통해 부족은 회화·조각·음악·춤·공예·직물·의상 등과 같은 전통예술을 발달시켰다. 발생 지역의 특색에 따라 조각품들을 나눌 수 있는데, 수도 킨샤사는 문화생활과 예술을 권장하고 이를 발달시킨 창조적인 곳으로 미술대학은 회화·조각·건축·세라믹 교육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국립예술학원은 전통음악과 연극을 가르친다. 링갈라어와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시·연극·소설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다른 민족언어에 의한 작품활동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과학공상문학의 발달은 대학과 과학재단,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 다른 큰 도시에도 미술관과 공공도서관이 있다. 여러 다른 문화와 문명이 어우러진 독특한 대중음악은 아프리카에 널리 알려져 여러 가지 댄스 스텝과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그밖에 축구·수영·복싱·농구·레이싱보트 등의 스포츠가 발달하였다. 대외 관계[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은 아프리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서 독립 이후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영토의 크기, 풍부한 광물자원, 그리고 전략적 위치라는 이유로 이 나라는 서방 세계로부터 원조를 획득하기 위하여 냉전의 긴장을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인권 유린의 증거들이 밝혀지면서, 서방세계의 원조가 감소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이웃한 우간다, 부룬디, 르완다의 군대가 반란을 도와 이 나라의 동쪽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내전에 휩싸여 있다. 한 가지 문제점은 콜탄(coltan)과 같은 광물 자원을 점령군이 계속 절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유엔은 국제적인 IT 기업들이 콩고 산 불법 콜탄을 구입할 수 없도록 제재 조치하고 있다. 하지만 인근 국가 르완다로 밀반출된 뒤 팔리는 콩고 산 콜탄의 거래는 막지 못하고 있다. 르완다는 콜탄 광산이 전혀 없음에도, 르완다 군은 콜탄을 팔아서 18개월간 2억 5천만 미국 달러를 벌어들였다.[3] 반란군이 점령한 지역에 세금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DRC(콩고 민주 공화국)은 광물 자원을 통해 어떠한 돈도 벌어들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원 자체가 반란 활동의 재정을 돕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황은 더욱 악화되면 됐지 개선되지 않고 있다.[4] 콩고 민주 공화국은 남북 모두 수교국이다. 대한민국과는 1963년 4월 1일에 국교가 수립되었다. 주(駐)콩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69년 12월,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1998년 12월 공관이 철수하였다가, 2005년 9월 1인 상주공관이 개설되었고 2008년 7월 대사관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대사는 김성철(2008년 9월 30일 부임, 2008년 9월 11일 신임장 제정)이다.[5]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광물자원공사, 유럽계 사모펀드 AR의 한국법인인 ARK는 2009년 3월 4일 콩고 민주 공화국 최대 광산재벌인 조지 포레스트 인터내셔널(GFI)과 수자원·광물 동반 진출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국 측은 국내 민간업체 협력을 받아 댐, 상하수도시설 관련 노하우를 제공하는 대신 구리와 코발트를 수입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는 실패하였다. 그이유는 정부 돈 횡령, 사기, 예산부족의 문제로 중단 되었다. 기아문제[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DRC)의 기아상태는 심각한 수준이다. 아일랜드 NGO인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협력하여 매년 발표하는 세계기아지수(GHI)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은 2016년 자료의 부족으로 세계기아지수를 측정할 수 없었지만 지속적으로 눈여겨봐야할 국가이다. 2013년부터 2014년 조사에 따르면 DRC의 발육 부진 아동 비율은 43퍼센트로 매우 높고 44퍼센트로 조사된 2001년 이래 사실상 변동이 없다. 영유아사망률은 9.8퍼센트로 이번 보고서의 131개국 가운데 영유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국에 해당한다. 더욱이 허약 아동은 8퍼센트에 이른다. 미국 국제개발청(USAID)에 의하면 "반복하는 분쟁, 그에 따른 국내 이재민, 개선된 영농 지식과 기술 부재, 곡물과 가축 질병 만연, 부실한 인트라, 젠더 불평등, 출산율 증가를 비롯한 여러 요인이 DRC의 식량 안보를 위협한다."[6] 관련 항목[편집] 콩고 민주 공화국 비밀정보국 각주[편집] ↑ 대략 2,307,155km² ↑ 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religiouslyremapped.info/others/fulldocument.pdf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2001년 유엔 보고서 ↑ “풍부한 자원이 국민에겐 오히려 저주가 된 콩고”. 조선일보. 2008년 11월 4일.  ↑ “한국과의 관계”.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2009년 7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컨선월드와이드(Concern Worldwide), 독일의 NGO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 그리고 미국의 연구기관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 (2017년 10월 13일). “Global Hunger Index-기아가 없는 세상”. 《2016 세계기아지수 보고서》. 2017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콩고 민주 공화국 (프랑스어)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공식 사이트 주콩고 민주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콩고 민주 공화국 지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1] vdeh 콩고 민주 공화국의 행정 구역현행 행정 구역 남우방기주 남키부주 동카사이주 로마미주 루알라바주 마니에마주 마이은돔베주 몽갈라주 바우엘레주 북우방기주 북키부주 상쿠루주 에카퇴르주 오트로마미주 오트우엘레주 오트카탕가주 이투리주 중앙카사이주 중앙콩고주 초포주 추아파주 카사이주 쾅고주 퀼루주 탕가니카주 킨샤사 이전의 행정 구역 반둔두 주 바콩고 주 에카퇴르 주 카사이옥시당탈 주 카사이오리앙탈 주 카탕가 주 마니에마 주 북키부 주 동부 주 남키부 주 킨샤사 vdeh아프리카의 나라와 지역독립국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1]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속령 레위니옹 마데이라 제도[* 2] 마요트 멜리야[* 2] 세우타[* 2]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아소르스 제도[* 2] 카나리아 제도[* 2] 미승인 국가 소말릴란드 ↑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나라 목록 245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프랑코포니 회원국회원국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베냉 베트남^ 벨기에*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르메니아^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프랑스 참관국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조지아^ 체코^ 코소보^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프랑스어 이외에 공용어가 존재하는 나라^ 프랑스어가 공용어가 아닌 나라 vdeh아프리카 연합 알제리 앙골라 베냉 보츠와나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코모로 콩고 공화국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지부티 이집트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가봉 감비아 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케냐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리 모리타니 모리셔스 모로코 모잠비크 나미비아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이셸 시에라리온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수단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864542 LCCN: n80061022 ISNI: 0000 0001 2289 9107 GND: 4067357-1 SUDOC: 050165070 BNF: cb13339496v (데이터) HDS: 3474 NDL: 00574550 NKC: ge134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콩고_민주_공화국&oldid=24434478" 분류: 콩고 민주 공화국유엔 회원국프랑스어권스와힐리어권프랑코포니 회원국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반투어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Bamanankanবাংলাབོད་ཡིག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ThuɔŋjäŋZazakiDolnoserbskiडोटेली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Avañe'ẽGaelgHausa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lokanoГӀалгӀай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KongoGĩkũyũҚазақшаಕನ್ನಡRipoarischKurdîKernowek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ugandaLimburgsLigureLumbaartLingál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gaļuLatviešuमैथिली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altiမြန်မာဘာသာЭрзяньمازِرونی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Sesotho sa LeboaDiné bizaadOccitanLivvinkarjalaOromooଓଡ଼ିଆИронਪੰਜਾਬੀKapampanganPapiamentu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ängö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iSwatiSesotho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Wolof吴语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1: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2019 서머 종목 리그 오브 레전드 나라 북아메리카 주관 라이엇 게임즈 설립연도 2013년 참가팀 10팀 최근우승팀 팀 리퀴드 (2019 스프링) 최다우승팀 팀 솔로미드 (6회) 홈페이지 na.lolesports.com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영어: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LCS)는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북아메리카 지역 e스포츠 대회이다. 10개의 팀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각 팀마다 18경기를 치르고, 플레이오프 방식을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1년에 스프링 시즌과 서머 시즌으로 나누어지며 각 시즌 1~6위팀은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지며 서머 시즌 우승팀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직행하게 된다. 목차 1 대회 시스템 2 역대 대회 3 각주 4 외부 링크 대회 시스템[편집] 대회 시스템은 2019년 기준 정규 리그 10개 팀이 참가한다. 각 상대팀을 두번씩 만나는 더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뤄 순위를 결정한다. 1위와 2위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진출하며 3위부터 6위까지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하며, 1라운드 - 2라운드 - 결승전 순으로 진행한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는 3위 vs 6위 / 4위 vs 5위간의 경기가 치러진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는 정규리그 1위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올라온 두 팀 중 한 팀을 선택할 수 있는 우선권이 주어진다. 국제 대회 관련 스프링 시즌 우승팀은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 참가하게 되고 1~3위는 리프트 라이벌즈에 참가하게 된다. 서머 시즌 우승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게 된다. 스프링/서머 시즌 1~6위팀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하기 위한 챔피언십 포인트가 주어진다. 챔피언십 포인트 순위 스프링 시즌 서머 시즌 1 90 WC 직행 2 70 90 3 50 70 4 30 40 5-6 10 20 역대 대회[편집] 시즌 스프링 시즌 서머 시즌 우승팀 MVP 포지션 우승팀 MVP 포지션 2013 팀 솔로미드 (없음) 클라우드 9 (없음) 2014 클라우드 9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팀 솔로미드 유 시안 (LMQ XiaoWeiXiao) Mid 2015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카운터 로직 게이밍 이윤재 (TiP Rush) Jungle 2016 카운터 로직 게이밍 김의진 (IMT Reignover) Jungle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7 팀 솔로미드 노동현 (P1 Arrow) AD 팀 솔로미드 쇠렌 비에르그 (TSM Bjergsen) Mid 2018 팀 리퀴드 재커리 블랙 (100 aphromoo) Support 팀 리퀴드 피터 펭 (TL Doublelift) AD 2019 팀 리퀴드 조용인 (TL CoreJJ) Support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홈페이지 vdehe스포츠 대회대회 월드 사이버 게임즈 드림핵 E스포츠 월드컵 IEM 카트라이더 리그 챔피언십 게이밍 시리즈 프로 게이밍 리그 메이저 리그 게이밍 사이버애슬릿 프로페셔널 리그 XLEAGUE.TV 월드 이스포츠 게임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월드 시리즈 오브 비디오 게임즈 월드 리그 e스포츠 분데스리가 프로리그 에볼루션 챔피언십 시리즈 IEF 트윈 갤럭시즈 사이버애슬릿 아마추어 리그 웨스트 텍사스 게이머즈 팀워페어 리그 맨 오브 게이밍 마이너 리그 게이머즈 LCS GPL LPL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디 인터네이셔널 ESL 단체 IeSF KeSPA ESBD UKeSA vdeh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LCS) Cloud9 카운터 로직 게이밍 에코 폭스 이모탈즈 LA 레네가데스 NRG e스포츠 팀 디그니타스 팀 임펄스 팀 리퀴드 팀 솔로미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그_오브_레전드_챔피언십_시리즈&oldid=24140527" 분류: 2013년 설립미국의 e스포츠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03: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쿠바 독립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바 독립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쿠바 독립 전쟁미국-스페인 전쟁의 일부혁명군 장군, 갈락스토 가르시아(우)과 미국 여단장 윌리엄 루들로우, 1898년[1]날짜1895년 2월 24일- 1898년 2월 15일장소쿠바결과 쿠바-미국의 승리쿠바의 독립교전국 스페인 필리핀 도독령 쿠바 미국지휘관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테오 사가스타 파트리시오 몬토조 파스쿠알 세르베라 멕시모 고메츠 호세 마르티 † 칼릭스토 가르시아 안토니오 마체오 그로버 클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윌리엄 셰프터 조지 듀이 윌리엄 T. 샘슨 넬슨 A. 마일즈 병력 24만의 정규군 6만의 자원군(1897년 기준)피해 규모 4,032 ~ 9,413명 전사4만명 이상 질병사[2][3][4] 5,180명 전사3,437명 질병사e[2]385명 미군 전사2,061명 미군 질병사[5] 전체 30만명 이상의 쿠바인 사망[6][7](대부분 질병과 기근) 쿠바의 역사Historia de Cuba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쿠바 총독부 쿠바 독립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미국의 쿠바 보호령 쿠바 공화국 쿠바 혁명 쿠바 미사일 위기 오늘날의 쿠바 v • d • e • h 쿠바 독립 전쟁(영어: Cuban War of Independence, 스페인어 : Guerra de Independencia cubana)은 1895년부터 1898년에 걸쳐 쿠바에서 발발한 독립 전쟁이다.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 제국에서 독립을 위한 마지막 싸움은 시작되었다. 1898년 4월 25일에 미국이 개입하여, 결국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발전한다. 같은 해 8월 12일에 스페인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교전 상태가 종결되었다. 12월 10일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쿠바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목차 1 배경 2 과정 3 미국-스페인 전쟁 4 각주 5 외부 링크 배경[편집] 10년 전쟁(1868년 ~ 1878년)이 끝난 뒤 17년 동안 쿠바의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해 갔다. 1886년 10월에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 원래의 노예는 농민이나 도시 노동자 계급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많은 부유한 쿠바 인이 재산을 잃고 도시의 중산층 대열에 합류했다. 설탕 농장을 주로 미국의 금융 자본이 대량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1895년에는 그 투자액은 5,000만 달러에 달했다. 쿠바는 정치적으로는 스페인의 식민지로 남아 있었지만, 경제적으로 미국에 종속되어 있었다. 1892년 4월 10일에 호세 마르티는 쿠바 혁명당을 설립하고 독립을 향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과정[편집]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의 지배에 반발하는 봉기가 각지에서 발발하면서,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마르티는 3월 25일에 같은 혁명군 지도자이자, 경쟁자인 막시모 고메즈의 동참도 얻어냈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몬테크리스티 선언〉을 발표하고, 평등한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역사적 임무로 전투에 임할 것을 표명했다. 4월 1일 쿠바로 출발한 마르티와 고메즈 등 6명은 11일 쿠바 동부 해안에 상륙하여 진군을 시작했다. 마르티는 5월 19일에 스페인군의 매복에 당하여, 낙마해 죽는다. 그 후에 고메즈와 안토니오 마세오는 양측으로 갈라져 작전을 전개했다. 마세오는 1895년 12월 7일에 전사하였고, 서부 전선이 붕괴해 나가는 가운데 고메즈가 이끄는 부대는 스페인 군에 대한 공격을 계속한다. 이후 교착 상태에 돌입한다. 2년 이상이 경과하면서,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더 이상 전쟁을 꾸려갈 전쟁 자금이 남아 있지 않았다. 1898년 2월 15일에 미국 해군의 군함, ‘메인 호’ 폭발 사건이 발생해 스페인 해군에 의한 소행이라고 보도되었다. 식민지 정부는 자치권을 부여하고 반란군에 양보의 자세를 보였다. 스페인 군 사령관 라몬 블랑코는 반란군의 리더인 고메즈에 미국에 대한 공동 투쟁을 제안했지만 고메즈는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미국-스페인 전쟁[편집] 1898년 4월 11일, 미국의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은 의회에 대해 쿠바에 미군 파견 여부를 교서를 제출한다. 19일 국회 쿠바의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는 공동결의안을 압도적 다수로 채택하여,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승인했다. 4월 25일에 연방 의회는 정식으로 선전 포고를 발령했다. 7월 3일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의 패전과 같은 달, 7월 25일 푸에르토리코에 미군의 상륙에 의해 전쟁을 계속할 힘을 상실한 스페인은 12월 10일에 미국과 〈파리 조약〉을 체결하고 쿠바의 주권을 포기했다. 쿠바는 400년 가까이 이르렀던 스페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되어 1902년 5월 20일에 독립을 달성했다. 그러나 독립은 형식적인 일뿐 이후 미국의 보호국화가 진행하게 된다. 각주[편집] ↑ [ Harper's Pictorial History of the War with Spain (1899), New York: Harper & Bros. ↑ 가 나 Clodfelter, Michael, Warfare and Armed Conflict: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618-1991 ↑ John Lawrence Tone, War and Genocide in Cuba, 1895-1898, Chapel Hill: Univ of NC Press, 2006. p.9 ↑ Hugh Thomas, Cuba, or, The Pursuit of Freedom (1971, 1988) ↑ Dept. of Defense, 1991 Information Please, World Almanac 1984 ↑ Sheina, Robert L., Latin America's Wars: The Age of the Caudillo, 1791-1899 (2003) ↑ COWP: Correlates of War Project, University of Michigan 외부 링크[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바_독립_전쟁&oldid=20917063" 분류: 독립 전쟁스페인 제국1895년 분쟁1896년 분쟁1897년 분쟁1898년 분쟁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Brezhoneg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13일 (화)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쿠바 독립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바 독립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쿠바 독립 전쟁미국-스페인 전쟁의 일부혁명군 장군, 갈락스토 가르시아(우)과 미국 여단장 윌리엄 루들로우, 1898년[1]날짜1895년 2월 24일- 1898년 2월 15일장소쿠바결과 쿠바-미국의 승리쿠바의 독립교전국 스페인 필리핀 도독령 쿠바 미국지휘관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테오 사가스타 파트리시오 몬토조 파스쿠알 세르베라 멕시모 고메츠 호세 마르티 † 칼릭스토 가르시아 안토니오 마체오 그로버 클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윌리엄 셰프터 조지 듀이 윌리엄 T. 샘슨 넬슨 A. 마일즈 병력 24만의 정규군 6만의 자원군(1897년 기준)피해 규모 4,032 ~ 9,413명 전사4만명 이상 질병사[2][3][4] 5,180명 전사3,437명 질병사e[2]385명 미군 전사2,061명 미군 질병사[5] 전체 30만명 이상의 쿠바인 사망[6][7](대부분 질병과 기근) 쿠바의 역사Historia de Cuba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쿠바 총독부 쿠바 독립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미국의 쿠바 보호령 쿠바 공화국 쿠바 혁명 쿠바 미사일 위기 오늘날의 쿠바 v • d • e • h 쿠바 독립 전쟁(영어: Cuban War of Independence, 스페인어 : Guerra de Independencia cubana)은 1895년부터 1898년에 걸쳐 쿠바에서 발발한 독립 전쟁이다.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 제국에서 독립을 위한 마지막 싸움은 시작되었다. 1898년 4월 25일에 미국이 개입하여, 결국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발전한다. 같은 해 8월 12일에 스페인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교전 상태가 종결되었다. 12월 10일에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쿠바의 독립이 승인되었다. 목차 1 배경 2 과정 3 미국-스페인 전쟁 4 각주 5 외부 링크 배경[편집] 10년 전쟁(1868년 ~ 1878년)이 끝난 뒤 17년 동안 쿠바의 사회는 근본적으로 변화해 갔다. 1886년 10월에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다. 원래의 노예는 농민이나 도시 노동자 계급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많은 부유한 쿠바 인이 재산을 잃고 도시의 중산층 대열에 합류했다. 설탕 농장을 주로 미국의 금융 자본이 대량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1895년에는 그 투자액은 5,000만 달러에 달했다. 쿠바는 정치적으로는 스페인의 식민지로 남아 있었지만, 경제적으로 미국에 종속되어 있었다. 1892년 4월 10일에 호세 마르티는 쿠바 혁명당을 설립하고 독립을 향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과정[편집] 1895년 2월 24일에 스페인의 지배에 반발하는 봉기가 각지에서 발발하면서,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마르티는 3월 25일에 같은 혁명군 지도자이자, 경쟁자인 막시모 고메즈의 동참도 얻어냈다.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몬테크리스티 선언〉을 발표하고, 평등한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역사적 임무로 전투에 임할 것을 표명했다. 4월 1일 쿠바로 출발한 마르티와 고메즈 등 6명은 11일 쿠바 동부 해안에 상륙하여 진군을 시작했다. 마르티는 5월 19일에 스페인군의 매복에 당하여, 낙마해 죽는다. 그 후에 고메즈와 안토니오 마세오는 양측으로 갈라져 작전을 전개했다. 마세오는 1895년 12월 7일에 전사하였고, 서부 전선이 붕괴해 나가는 가운데 고메즈가 이끄는 부대는 스페인 군에 대한 공격을 계속한다. 이후 교착 상태에 돌입한다. 2년 이상이 경과하면서, 스페인 식민지 정부에 더 이상 전쟁을 꾸려갈 전쟁 자금이 남아 있지 않았다. 1898년 2월 15일에 미국 해군의 군함, ‘메인 호’ 폭발 사건이 발생해 스페인 해군에 의한 소행이라고 보도되었다. 식민지 정부는 자치권을 부여하고 반란군에 양보의 자세를 보였다. 스페인 군 사령관 라몬 블랑코는 반란군의 리더인 고메즈에 미국에 대한 공동 투쟁을 제안했지만 고메즈는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미국-스페인 전쟁[편집] 1898년 4월 11일, 미국의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은 의회에 대해 쿠바에 미군 파견 여부를 교서를 제출한다. 19일 국회 쿠바의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는 공동결의안을 압도적 다수로 채택하여, 대통령에게 국가 비상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승인했다. 4월 25일에 연방 의회는 정식으로 선전 포고를 발령했다. 7월 3일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의 패전과 같은 달, 7월 25일 푸에르토리코에 미군의 상륙에 의해 전쟁을 계속할 힘을 상실한 스페인은 12월 10일에 미국과 〈파리 조약〉을 체결하고 쿠바의 주권을 포기했다. 쿠바는 400년 가까이 이르렀던 스페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되어 1902년 5월 20일에 독립을 달성했다. 그러나 독립은 형식적인 일뿐 이후 미국의 보호국화가 진행하게 된다. 각주[편집] ↑ [ Harper's Pictorial History of the War with Spain (1899), New York: Harper & Bros. ↑ 가 나 Clodfelter, Michael, Warfare and Armed Conflict: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618-1991 ↑ John Lawrence Tone, War and Genocide in Cuba, 1895-1898, Chapel Hill: Univ of NC Press, 2006. p.9 ↑ Hugh Thomas, Cuba, or, The Pursuit of Freedom (1971, 1988) ↑ Dept. of Defense, 1991 Information Please, World Almanac 1984 ↑ Sheina, Robert L., Latin America's Wars: The Age of the Caudillo, 1791-1899 (2003) ↑ COWP: Correlates of War Project, University of Michigan 외부 링크[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바_독립_전쟁&oldid=20917063" 분류: 독립 전쟁스페인 제국1895년 분쟁1896년 분쟁1897년 분쟁1898년 분쟁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Brezhoneg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13일 (화)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치과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치과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요한 리스의 그림 치의학의 역사는 인류 발생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치의학은 일반 의학과는 다른 역사적 배경이 있다. 목차 1 고대 2 중세 3 근대 3.1 한국 4 각주 5 외부 링크 고대[편집] 고대 사회에서는 질병을 초자연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함무라비 법전 및 에벨의 파피루스에 치아에 관한 내용이 있다.[1] 기원전 280년 경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가 치과 의술을 포함한 의술을 합리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다. 중세[편집]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외과와 의학(내과)은 밀접한 관계였다. 하지만 르네상스를 지나 18세기까지 서유럽에서 의학(내과)은 교회의 사제가 맡는 전문직업(profession)이었고, 외과는 이발사 또는 이발외과의의 장사(trade)였다. 요로결석을 절제하며, 농양에 대한 배농, 사혈, 발치 등의 시술을 했다. 독일에서는 이발외과의들이 목욕탕을 운영하기도 하였으며, 부가적으로 관장을 해 주거나 치아를 뽑아주기도 했다. 다만,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한 해부학과 생리학 등에 힘입어 그동안 교회로부터 천시받던 외과가 점차 내과적 질병을 설명할 수 있게 되자, 본래 뿌리가 다르던 외과와 내과가 점차 통합의 방향으로 발전해 간 반면, 치과는 그대로 남아 독립의 길을 가게 된다. 그러니까 중세까지는 의과와 치과가 구분돼 있었던 것이 아니라, 내과와 외과가 구분되고 외과에서 다시 치과가 구분되는 과정에 있었던 것이다.[2] 근대[편집] 피에르 포샤르 프랑스의 피에르 포샤르가 '근대 치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한국[편집] 한의학과 민간요법을 이용해 구강병을 치료해오던 한국에 1876년 개항 이후 미국과 일본을 통해 근대 치과가 도입되었다.[3] 1885년 미국인 선교사 알렌(Allen)이 제중원에서 발치를 시술한 것을 한국 근대치의학의 시초로 볼 수 있다.[4]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의 전신인 경성치과의학교[5]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의 전신인 쉐프리 (W.J.Sheifley)의 세브란스연합의학교 치과학 교실 중 어느 것이 한국 최초의 치과 교육기관인지는 논란의 대상이다.[6] 1893년 일본인 노다 오지(野田應治)가 인천에 개업을 하고, 1907년부터 한국인 입치사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구강병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치과 진료가 시작되었다.[7] 각주[편집]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gunchi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68[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gunchinew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68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denfol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67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7xp&l_cid=OIM&returl=%2Fqna%2Fopenknowledge%2Flist.html%3Fcategory_id%3DOIM%26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 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깨진 링크([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yuhs.or.kr/press/history/museum/dental/ 과거 내용 찾기)] 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대한치과의사학회 연세치의학박물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서울대학교 치의학박물관 일본 치과의사학회 미국 치과의사학회 이탈리아 치과의사학회 프랑스 치과의사학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치과의_역사&oldid=23850943" 분류: 치의학의학사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spañolFrançaisNederlandsPortuguês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10: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거점국립대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據點 國立大學校 總長協議會)는 대한민국 고등교육법 제10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협의체이다.[1][2] 1996년 출범한 '5개국립대협의회'가 전신이며 현재는 10개 거점국립대학교가 회원교로 참여 중이다. 협의회장은 각 대학 총장이 1년씩 돌아가면서 맡는다.[3][4][5] 목차 1 설립 근거 2 소속대학 목록 2.1 특징 3 같이 보기 4 각주 설립 근거[편집] 고등교육법 제10조[6]에 근거한 대학 협의체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처럼 조직과 운영에 관한 별도의 법률을 두고 설립된 것은 아니다. 소속대학 목록[편집] 전국 10개의 거점국립대학교는 다음과 같다.[7]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권(강원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강원대학교[8] 충북권(충청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권(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북권(전라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북대학교[9] 전남권(광주광역시, 전라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전남대학교[10] 경북권(대구광역시, 경상북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북대학교[11] 경남권(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학교 경상대학교[12] 및 부산대학교[13] 제주권(제주특별자치도)의 거점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특징[편집] 거점국립대학교의 총장들은 대부분 장관급의 예우를 받는다.[14][15] 경상남도의 거점국립대학인 경상대학교를 제외한 거점국립대학들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행정구역명칭을 사용한다. 경상남도의 경우 경상대학교는 사립 경남대학교의 명칭 선점으로 인해 도 명칭을 쓰지 못하고 있다. 부산대학교는 경남권의 거점대학으로 출발하여 1963년 경상남도 부산시가 정부 직할로 개편되자 경상남도민들의 염원에 따라 도립인 경상대학교를 국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경남권의 새로운 거점대학이 되었다. 부산대학교는 개교 당시 경상남도 부산시 소재라는 이유로 가칭 경남대학교로 설립하려 했으나, 직할시 승격을 염두에 두고 서울대학교처럼 대표 지역의 명칭을 사용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의학 교육 과정과 대학 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약학대학은 전북대학교와 제주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두 대학 역시 2020년도에 약학대학이 신설될 예정이다.[16]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부산대학교를 제외하고 수의과대학과 부속동물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경남권에는 경상대학교가 수의과대학을 선점 보유하여 부산대학교는 제외되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 중 오직 부산대학교만이 한의학 교육기관을 가지고 있다. 부산대학교는 2008년부터 한의학전문대학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입학 정원은 50 명이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각 지역의 중등교육 교원을 배출하는 사범대학을 가지고 있으며,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는 충남대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두 보유하고 있다. 단, 충남권에는 거점국립대학교인 충남대학교가 아닌 공주대학교가 국립 사대부고인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모든 거점국립대학은 예술 교육 과정이 있으며, 서울대학교,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에는 한국 음악 교육 과정이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의 모집 정원은 서울대학교 (150명), 전남대학교 (120명), 경북대학교 (120명), 부산대학교 (120명), 충남대학교 (100명), 전북대학교 (80명), 충북대학교 (70명), 강원대학교 (40명), 제주대학교 (40명)이다. 정부의 국립대학 통합 방침에 따라 거점 국립대학교와 교육대학교의 통합설이 돌고 있으며, 실제로 2008년 제주대학교가 제주교육대학교와 통합한 상태이다. 거점국립대학교들은 권역 내 국립대학교들과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삼척대학교는 강원대학교, 상주대학교는 경북대학교, 밀양대학교는 부산대학교, 여수대학교는 전남대학교, 익산대학은 전북대학교에 통합된 상태이다. 교육당국의 법인화 전환 정책에 따라 대부분의 거점 국립대학교들은 학내 분쟁이 고조되었으며 2011년 거점국립대학교 중 유일하게 서울대학교가 법인화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목록 대학발전기금협의회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전국교원양성대학교총장협의회 전국대학원장협의회 전국대학평가협의회 지역중심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스포츠총장협의회 한국신학대학교총장협의회 한국대학홍보협의회(KUPA) 한국지역대학연합 각주[편집] ↑ 9개 국립대 총장 “등급제 반대”《한겨레》2004년 10월 13일 박임근, 이승경, 김남일 기자 ↑ 지방국립대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MBN》2005년 3월 16일 ↑ 지방 국립대 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SBS》2005년 3월 16일 손석민 기자 ↑ “1道 1로스쿨 설치돼야”《강원일보》2005년 3월 17일 최수영 기자 ↑ 지방국립대총장협 `1도 1로스쿨' 주장《연합뉴스》2005년 3월 16일 박상돈 기자 ↑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제주에서 대학 발전 논의”. 《U's Line》. 2016년 2월 21일.  ↑ 춘천 외에 삼척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전주 외에 전북 익산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광주 외에 전남 여수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대구 외에 경북 상주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진주 외에 경남 창원, 통영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부산 외에 경남 밀양, 양산 등에 캠퍼스가 존재한다. ↑ 2010 교육과학기술부공용차량 운영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서울대학교 법인화 이후 서울대학교 총장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다. ↑ [1] vdeh 대한민국의 국·공립 대학 총장 협의회거점국립대학수도권 서울대학교1 2 3 4 강원권 강원대학교1 2 3 4 충북권 충북대학교1 2 3 4 충남권 충남대학교1 2 3 4 전북권 전북대학교1 2 3 4 전남권 전남대학교1 2 3 4 경북권 경북대학교1 2 3 4 경남권 경상대학교1 2 3 부산대학교1 2 3 4 제주권 제주대학교1 2 3 4 지역중심국·공립대학수도권 서울시립대학교3 4 한경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강원권 강릉원주대학교1 2 3 충북권 한국교원대학교2 3 한국교통대학교3 충남권 공주대학교2 3 한밭대학교 전북권 군산대학교3 전남권 목포대학교1 2 3 목포해양대학교3 순천대학교1 2 3 경북권 금오공과대학교 안동대학교2 3 경남권 경남과학기술대학교3 부경대학교3 창원대학교3 한국해양대학교 1각종 의학 교육 기관 2사범대학·부속교육기관 3예술 교육 과정 4법학전문대학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oldid=24215816" 분류: 대한민국의 단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동훈 (야구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동훈 (야구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동훈 Yoo Dong-Hun LG 트윈스 No.69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7년 2월 12일(1977-02-12) (42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3 cm 체중 87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언더)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99년 드래프트 순위 1999년 2차 1라운드(해태 타이거즈) 첫 출장 KBO / 1999년 마지막 경기 KBO / 2013년 9월 26일 광주 대 롯데전 구원 경력 선수 경력 해태 타이거즈 (1999년 ~ 2000년) KIA 타이거즈 (2001년 ~ 2014년) 코치 경력 KIA 타이거즈 체력코치 (2015년 ~ 2016년) KIA 타이거즈 2군 불펜코치 (2016년 ~ 2018년) LG 트윈스 육성군 재활 코치 (2019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아선수권 1997년 타이베이 유동훈(劉東勳, 1977년 2월 12일 ~ )는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우완 언더핸드 투수이자, 현재 KBO 리그 LG 트윈스의 육성군 재활 코치이다. 주로 중간 계투 혹은 마무리 투수로 등판했다. 투구폼이 특이하며 싱커볼을 잘 다루는 투수이다. 목차 1 선수 시절 1.1 아마추어 시절 1.2 해태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시절 2 야구선수 은퇴 후 3 에피소드 4 별명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7 각주 8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장충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94년 8월에 김건덕, 손지환 등과 함께 청소년 국가대표에 선발되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열린 한·미·일 국제 고교야구 대회에 출전, 일본과 공동 우승을 하는 데 기여를 했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 체육학과에 입학하였고, 1997년 5월에는 생애 첫 국가대표팀[1]에 선발되어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제 1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대한민국의 우승에 공헌했다. 그 후 팀 후배 김병현과 함께 졸업 시즌인 1998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야구 팀의 막강 투수진을 형성했다. 해태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1999년에 입단한 그는 데뷔 초반에는 선발 투수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지만, 미들맨으로 보직 변경을 한 뒤부터 가운데로 몰리는 제구력과 느린 직구로 그다지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했다. 하지만 2004년에는 68경기에 구원 투수로 출장하여 2점대 평균자책점, 7승 2패, 5세이브, 7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에 1등 공신이 됐다. 특히 중간 계투로는 드물게 120.2이닝을 던져 주목받았다. 그러나 2004년 9월 9일 병역 비리로 경찰에 소환되어 혐의가 인정됐고 구속되며 서울구치소에 수감됐다. 8개월의 실형을 받고 복역 후, 병무청에서 재검을 받고 광주의 사회복지시설에서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다. 2008년 소집 해제 후 4년 간의 공백 뒤 그라운드로 복귀한 그는 자신의 직구 구속과 맞먹는 130km 초반대의 싱커를 주무기로 리그 최고의 셋업맨 중 1명으로 부활했고, 2008년 5월 26일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 44명 예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2009년에는 한기주가 난조를 보이자 그를 대신해 마무리로 등판했으며, 모두 세이브를 기했다. 특히 후반기에는 평균 자책점 0으로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였다. 2009년 7월 30일 부터 2009년 9월 19일까지 14경기 연속 세이브 포인트를 올렸다. 이는 KBO 리그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또한 통산 4번째 0점대 평균 자책점, 20세이브 이상의 진기록을 올렸다. 통산 0점대 평균 자책점, 20세이브 이상 기록은 선동열, 정대현 이후 3번째였다. 2009년 10월 24일 한국시리즈 1~7차전 등판 상황에 완벽투를 보여주며 입단 이후 처음으로 우승했고, 7차전에서는 나지완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의 한국시리즈 성적은 3.2이닝동안 1피안타, 1피홈런, 1실점, 1자책, 1사사구, 2K,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2.45이다. 2010년에는 블론 세이브가 많아져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지만 높은 피안타율(.283)과 승계주자 실점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심동섭, 손영민과 함께 팀의 계투를 책임졌다. 2014년 시즌 전 스프링 캠프 때 무릎 부상을 당해 시즌 초부터 재활을 매진해 당시 감독이었던 선동열이 그나마 믿을 만한 투수라고 기대를 많이 받았으나 7월 11일 수술이 불가피해졌고, 결국 수술을 포기하며 은퇴를 선언한다.[2] 2015년 시즌 중 김상훈과 같이 은퇴식을 치뤘다.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4년 김상훈과 함께 은퇴를 선언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볼티모어 오리올스와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고 돌아와 2015년 부터 KIA 타이거즈에서 3군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2016년 1군 트레이닝 코치 겸 불펜코치로 보직 변경되었다가 2017년부터는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 에피소드[편집]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구치소에 구속 수감되었을 때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항상 사과를 손에 쥐고 있었다고 한다. 비슷한 경우로는 정현욱이 있으며, 구치소에서 하루에 팔굽혀펴기만 1,000개씩 했다고 한다. 별명[편집]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일 땐 '세일러 유(싱커의 힘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그렇지 않을 땐 '분식회계의 달인', '휘발유동훈', '유동골뱅이'라고 불린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청구초등학교 홍은중학교 장충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1999 해태 4.75 40 1 0 7 9 2 0 0.438 682 155 1/3 155 26 59 19 87 87 82 2000 6.71 29 0 0 0 3 0 1 0.000 281 56 1/3 82 9 28 12 21 50 42 2001 KIA 7.38 17 0 0 2 2 0 0 0.500 210 42 2/3 59 4 16 7 24 43 35 2003 3.80 12 0 0 0 0 1 0 0.000 92 21 1/3 21 2 7 2 11 9 9 2004 2.98 68 0 0 7 2 5 7 0.778 487 120 2/3 105 10 22 19 65 42 40 2008 3.43 55 0 0 6 3 2 8 0.667 316 78 2/3 65 2 18 9 39 32 30 2009 0.52 57 0 0 6 2 22 10 0.750 256 67 1/3 37 2 13 7 38 6 4 2010 2.85 48 0 0 3 2 14 1 0.600 196 47 1/3 46 1 10 7 32 20 15 2011 3.94 47 0 0 3 3 7 2 0.500 201 48 51 4 12 4 21 23 21 2012 5.29 43 0 0 1 0 6 5 1.000 141 34 33 0 10 2 29 20 20 2013 2.92 49 0 0 1 3 0 5 0.250 226 52 1/3 56 3 11 8 38 22 17 통산 11시즌 3.92 465 1 0 36 29 59 39 0.554 3088 724 710 63 206 96 405 354 315 각주[편집] ↑ <체육단신> 野協,국가대표 선발 - 연합뉴스 ↑ KIA 유동훈, 재활 포기하고 그라운드 떠난다 - 한국스포츠 외부 링크[편집] 유동훈 - KBO 투수별 기록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KIA 타이거즈 -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1위)감독 70 조범현코치 71 김종모 | 72 장재중 | 81 간베 | 85 최태원 | 87 김동재 | 88 황병일투수 10 한기주 | 17 정용운 | 19 손영민 | 20 윤석민 | 39 유동훈 | 40 서재응 | 44 로페즈 | 45 이대진 | 54 양현종 | 50 구톰슨 | 68 곽정철포수 12 차일목 | 22 김상훈 (주장)내야수 8 안치홍 | 16 김종국 | 23 최희섭 | 25 이재주 | 27 김상현 | 31 이현곤 | 48 박기남외야수 1 장성호 | 7 이종범 | 15 이용규 | 29 나지완 | 51 김원섭 | 52 최경환다승왕, 최다 이닝 로페즈 | 득점왕 최희섭 | 홈런왕, 타점왕, 최고 장타율, 정규리그 MVP 김상현 | 한국시리즈 MVP 나지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동훈_(야구인)&oldid=24234064" 분류: 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해태 타이거즈 선수KIA 타이거즈 선수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홍은중학교 동문장충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강릉 유씨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第59回NHK紅白歌合戦 장르 대형 음악 프로그램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라디오 제1 방송 기간 2008년 12월 31일 방송 시간 19:20 ~ 21:25, 21:30 ~ 23:45 방송 분량 260분 제작자 NHK 출연자 #사회자・#출연 가수를 참조 닫는 곡 〈반딧불의 빛〉 음성 음성 다중 방송 자막 문자 방송 전편 제58회 NHK 홍백가합전 후편 제60회 NHK 홍백가합전 외부 링크  제59회 NHK 홍백가합전 공식 사이트 《제59회 NHK 홍백가합전》(일본어: 第59回NHK紅白歌合戦 다이고쥬큐카이에누에이치케이코하쿠우타갓센[*])는 2008년 12월 31일에 방송된 통산 59회째인 NHK 홍백가합전이다. 목차 1 소개 2 사회자 3 게스트 심사원 4 출장가수 4.1 1부 4.2 2부 5 외부 링크 소개[편집] 2008년 인기 애니메이션영화 벼랑 위의 포뇨의 주제가를 불렀던 오하시 노조미가 출장하였다. 사회자[편집] 종합사회 - 마츠모토 카즈야, 오노 후미에 아나운서 홍조(紅組)사회 - 나카마 유키에 백조(白組)사회 - 나카이 마사히로 라디오 중계 - 야마다 야스히로, 칸다 아이카 아나운서 게스트 심사원[편집] 모토키 마사히로 : 2009년에 방영할 스페셜 드라마 『언덕 위의 구름』의 주인공 아키야마 사네유키 역. 요시다 사오리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55kg급 금메달리스트. 오타 유키 : 2008년 하계 올림픽 펜싱 남자 개인 플뢰레 은메달리스트. 다카하시 나오코 : 20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여자 마라톤 금메달리스트로, 2008년 은퇴. 마츠모토 코시로 (9대) : 가부키 『勧進帳』의 무사시보 벤케이 역 및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의 돈 키호테 역 등 일본최다상연기록 갱신. 마츠자카 케이코 : 2008년 NHK 대하드라마 『아쓰히메』에서 이쿠시마 역. 강상중 : 베스트셀러 『고민하는 힘』의 저자이자 정치학자. 호리키타 마키 : 『아쓰히메』에서 가즈노미야 역. 츠마부키 사토시 : 2009년 NHK 대하드라마 『천지인』의 주인공 나오에 가네쓰구 역. 우에노 유키코 : 2008년 하계 올림픽 소프트볼 금메달리스트. 출장가수[편집] 진한 글씨는 첫 출장을 나타냄. 괄호 안의 숫자는 출장횟수를 나타냄. 1부[편집] 아카구미(紅組) : 하마사키 아유미 (10) 〈Mirrorcle World〉 Girl next door (1) 〈偶然の確率〉 고다이 나츠코 (15) 〈京都二年坂〉 후지오카 후지마키 & 오하시 노조미 (1) 〈崖の上のポニョ〉 미즈모리 카오리 (6) 〈輪島朝市〉 아키모토 준코 (1) 〈愛のままで…〉 이키모노가카리 (1) 〈SAKURA〉 가와나카 미유키 (21) 〈二輪草〉 후지 아야코 (16) 〈紅い糸〉 나카무라 미츠코 (13) 〈河内おとこ節〉 오오츠카 아이 (5) 〈愛〉 사카모토 후유미 (20) 〈風に立つ〉 시로구미(白組) : 후세 아키라 (24) 〈君は薔薇より美しい〉 미카와 켄이치 (25) 〈さそり座の女 2008〉 키타야마 타케시 (4) 〈希望の詩〉 동방신기 (1) 〈Purple Line~どうして君を好きになってしまったんだろう?〉 Aqua Timez (2) 〈虹〉 기야마 유사쿠 (1) 〈home〉 키마구렌 (1) 〈LIFE〉 마에카와 키요시 (&쿨파이브) (18) 〈東京砂漠〉 WaT (4) 〈36℃〉 포르노그라피티 (7) 〈ギフト〉 히라이 켄 (6) 〈いつか離れる日が来ても〉 아키카와 마사후미 (3) 〈千の風になって〉 2부[편집] 아카구미(紅組) : Perfume (1) 〈ポリリズム〉 SPEED (4) 〈White Love (ReTrack)〉 아오야마 텔마 feat.SoulJa (1) 〈そばにいるね〉 아야카 (3) 〈おかえり〉 코다 쿠미 (4) 〈TABOO〉 안젤라 아키 (3) 〈手紙 〜拝啓 十五の君へ〜〉 aiko (7) 〈KissHug〉 히라하라 아야카 (5) 〈ノクターン〉 고바야시 사치코 (30) 〈楼蘭〉 히토토 요 (5) 〈はじめて〉 나카시마 미카 (7) 〈ORION〉 이시카와 사유리 (31) 〈天城越え〉 덴도 요시미 (13) 〈道頓堀人情〉 와다 아키코 (32) 〈夢〉 시로구미(白組) : 제로 (1) 〈海雪〉 TOKIO (15) 〈雨傘〉 미즈타니 유타카 (1) 〈カリフォルニア・コネクション〉 토쿠나가 히데아키 (3) 〈Rainy Blue〉 이츠키 히로시 (38) 〈凍て鶴〉 모리야마 나오타로 (3) 〈生きてることが辛いなら〉 슈치신 with Pabo (1) 〈羞恥心~陽は、また昇る 紅白スペシャル〉 코부쿠로 (4) 〈時の足音〉 EXILE (4) 〈Ti Amo〉 키타지마 사부로 (45) 〈北の漁場〉 Mr.Children (1) 〈GIFT〉 SMAP (16) 〈この瞬間、きっと夢じゃない 紅白SP〉 모리 신이치 (41) 〈おふくろさん〉 히카와 키요시 (9) 〈きよしのズンドコ節〉 외부 링크[편집] vdehNHK 홍백가합전1950년대 제1회 (1951) 제2회 (1952) 제3회 (1953 1월) 제4회 (1953 12월) 제5회 (1954) 제6회 (1955) 제7회 (1956) 제8회 (1957) 제9회 (1958) 제10회 (1959) 1960년대 제11회 (1960) 제12회 (1961) 제13회 (1962) 제14회 (1963) 제15회 (1964) 제16회 (1965) 제17회 (1966) 제18회 (1967) 제19회 (1968) 제20회 (1969) 1970년대 제21회 (1970) 제22회 (1971) 제23회 (1972) 제24회 (1973) 제25회 (1974) 제26회 (1975) 제27회 (1976) 제28회 (1977) 제29회 (1978) 제30회 (1979) 1980년대 제31회 (1980) 제32회 (1981) 제33회 (1982) 제34회 (1983) 제35회 (1984) 제36회 (1985) 제37회 (1986) 제38회 (1987) 제39회 (1988) 제40회 (1989) 1990년대 제41회 (1990) 제42회 (1991) 제43회 (1992) 제44회 (1993) 제45회 (1994) 제46회 (1995) 제47회 (1996) 제48회 (1997) 제49회 (1998) 제50회 (1999) 2000년대 제51회 (2000) 제52회 (2001) 제53회 (2002) 제54회 (2003) 제55회 (2004) 제56회 (2005) 제57회 (2006) 제58회 (2007) 제59회 (2008) 제60회 (2009) 2010년대 제61회 (2010) 제62회 (2011) 제63회 (2012) 제64회 (2013) 제65회 (2014) 제66회 (2015) 제67회 (2016) 제68회 (2017) 제69회 (2018) 관련 프로그램 홍백음악시합 당신이 선택하는 추억의 홍백 감동의 홍백 퀴즈 홍백검정 망년! 꿈의 홍백가합전 홍백이 태어난 날 명석가홍백! 스튜디오 파크 오미소카 스페셜 관련 항목 출연자 목록 NHK홀 앙케이트 우타♪웃키 노래의 힘 21세기의 그대들에게 ~A song for children~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59회_NHK_홍백가합전&oldid=21323994" 분류: NHK 홍백가합전2008년 12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0일 (일) 13: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취징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징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취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曲靖市 Qǔjìng 약자: 云D 행정 단위 지급시 청사소재지 치린 구 면적 29,8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6,030,000 202/km² 지역전화 874 우편번호 655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qj.gov.cn 취징(곡정, 중국어: 曲靖, 병음: Qǔjìng)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 성의 지급시이다. 중요한 공업 도시로 쿤밍에 이어 윈난 성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목차 1 지리 1.1 기후 2 교통 3 행정 구역 4 경제 5 외부 링크 지리[편집] 쿤밍이 취징에서 서쪽으로 130km 떨어진 곳에 놓여있다. 기후[편집] Qujing (1981−201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24.1 (75.4) 26.1 (79) 29.3 (84.7) 31.1 (88) 33.0 (91.4) 31.9 (89.4) 30.9 (87.6) 30.2 (86.4) 30.9 (87.6) 27.3 (81.1) 25.4 (77.7) 24.4 (75.9) 33 (91.4) 평균최고기온 °C (°F) 14.8 (58.6) 17.1 (62.8) 21.0 (69.8) 23.9 (75) 24.8 (76.6) 24.8 (76.6) 24.9 (76.8) 24.9 (76.8) 23.0 (73.4) 20.2 (68.4) 17.5 (63.5) 14.7 (58.5) 21 (69.7) 일평균기온 °C (°F) 8.2 (46.8) 10.3 (50.5) 13.9 (57) 17.1 (62.8) 18.8 (65.8) 19.9 (67.8) 20.2 (68.4) 19.8 (67.6) 17.9 (64.2) 15.2 (59.4) 11.7 (53.1) 8.5 (47.3) 15.1 (59.2) 평균최저기온 °C (°F) 3.8 (38.8) 5.3 (41.5) 8.5 (47.3) 11.8 (53.2) 14.5 (58.1) 16.5 (61.7) 17.1 (62.8) 16.6 (61.9) 14.7 (58.5) 12.1 (53.8) 7.9 (46.2) 4.3 (39.7) 11.1 (52) 최저기온기록 °C (°F) −4.5 (23.9) −3.8 (25.2) −5.7 (21.7) 1.5 (34.7) 4.8 (40.6) 9.3 (48.7) 10.2 (50.4) 11.7 (53.1) 5.8 (42.4) 3.5 (38.3) −2.4 (27.7) −8.6 (16.5) −8.6 (16.5) 평균 강수량 mm (인치) 22.7 (0.89) 20.3 (0.8) 24.5 (0.96) 34.6 (1.36) 102. (4) 187.8 (7.39) 163.4 (6.43) 153.0 (6.02) 96.9 (3.81) 84.0 (3.31) 38.6 (1.52) 16.8 (0.66) 944.6 (37.15) 평균강수일수 6.7 6.7 6.4 8.3 14.2 18.0 17.8 17.7 14.3 13.5 8.8 5.5 137.9 평균 상대 습도 (%) 66 60 54 55 65 76 79 78 77 79 74 70 69 출처 #1: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출처 #2: Weather China (precipitation days 1971-2000) 교통[편집] 취징은 쿤밍과 320번 국도로 연결된다. 차로는 세 시간 정도 걸린다. 취징의 교통 체계는 잘 발달되어있다. 쿤취 고속도로를 거쳐 도시의 거의 모든 곳으로 접근할 수 있다. 취징에서 출발하여 쿤밍으로 가는 버스가 30분마다 있고 소요시간은 세 시간 정도이다. 버스 정류장에는 취징 주변의 다리, 훙허저우와 같은 다른 목적지로의 노선도 있다. 취징에서는 택시와 버스가 이용가능하다. 택시의 기본 요금은 처음 3km에 5위안 정도이다. 쿤밍과 구이저우와 난닝과 쿤밍을 연결하는 두 개의 철도가 있고 매일 취징의 8개 마을을 통과한다. 철도를 이용하면 취징에서 쿤밍까지 가는데 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다. 취징시 현급 행정구역도 행정 구역[편집] 3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치린 구(麒麟区) 잔이 구(沾益区) 마룽 구(马龙区) 현급시 쉬안웨이 시(宣威市) 현 푸위안 현(富源县) 뤄핑 현(罗平县) 스쭝 현(师宗县) 루량 현(陆良县) 후이쩌 현(会泽县) 경제[편집] 2004년 총 GDP는 342억 위안이었고 1인당 GDP는 6025위안(882달러)였다. 담배, 자동차, 발전과 화학 공학은 취징의 주요 산업이다. 외부 링크[편집] 취징 시 정부 vdeh윈난성의 행정 구역 성도: 쿤밍시 쿤밍시 청궁구 판룽구 우화구 관두구 시산구 둥촨구 진닝구 안닝시 푸민현 이량현 쑹밍현 스린 이족 자치현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쉰뎬 후이족 이족 자치현 취징시 치린구 잔이구 마룽구 쉬안웨이시 푸위안현 뤄핑현 스쭝현 루량현 후이쩌현 위시시 훙타구 장촨구 청장현 퉁하이현 화닝현 이먼현 어산 이족 자치현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 위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바오산시 룽양구 텅충시 스뎬현 룽링현 창닝현 자오퉁시 자오양구 수이푸시 루뎬현 차오자현 옌진현 다관현 융산현 쑤이장현 전슝현 이량현 웨이신현 리장시 구청구 융성현 화핑현 위룽 나시족 자치현 닝랑 이족 자치현 푸얼시 쓰마오구 닝얼 하니족 이족 자치현 모장 하니족 자치현 징둥 이족 자치현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전위안 이족 하니족 라후족 자치현 장청 하니족 이족 자치현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란창 라후족 자치현 시멍 와족 자치현 린창시 린샹구 펑칭현 윈현 융더현 전캉현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창위안 와족 자치현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망시 루이리시 량허현 잉장현 룽촨현 누장 리수족 자치주 루수이시 푸궁현 궁산 두룽족 누족 자치현 란핑 바이족 푸미족 자치현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 샹그릴라시 더친현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 다리 바이족 자치주 다리시 샹윈현 빈촨현 미두현 융핑현 윈룽현 얼위안현 젠촨현 허칭현 양비 이족 자치현 난젠 이족 자치현 웨이산 이족 후이족 자치현 추슝 이족 자치주 추슝시 솽바이현 머우딩현 난화현 야오안현 다야오현 융런현 위안머우현 우딩현 루펑현 훙허 하니족 이족 자치주 멍쯔시 거주시 카이위안시 미러시 뤼춘현 젠수이현 스핑현 루시현 위안양현 훙허현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 허커우 야오족 자치현 핑볜 먀오족 자치현 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 원산시 옌산현 시처우현 마리포현 마관현 추베이현 광난현 푸닝현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징훙시 멍하이현 멍라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취징시&oldid=23449691" 분류: 취징시윈난성의 지급시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Mìng-dĕ̤ng-ngṳ̄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Gĩkũyũ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1일 (금) 1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TEKKEN CRASH Season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Season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시즌2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EKKEN CRASH Season2는 대한민국의 이스포츠 대회 중 하나로 격투 게임인 철권이 주종목이다. 목차 1 리그기간 2 버전 3 특이사항 4 참가팀 5 내용 5.1 16강 5.2 ROYAL RUMBLE 1 5.3 8강 5.4 4강 토너먼트 5.5 ROYAL RUMBLE 2 5.6 개인전 6 대회 결과 리그기간[편집] 녹화 : 2009년 8월 9일 ~ 2009년 10월 11일 방송날자 : 2009년 8월 11일 ~ 2009년 10월 20일 버전[편집]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특이사항[편집] 이벤트전을 많이 준비함. 이벤트전 1 : 연승전 형식의 개인 대전 이벤트전 2 : 개인전 (현재 방식의 로얄럼블) - 미스티 우승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버전의 첫 대회 참가팀[편집] Triple.V(박우정/잭-6, 춘래/헤이하치, 뺑신영/밥) 무한 익스프레스(피리/에디, issac/로우, Ccer/알리샤) The Triumph(미스티/에디, 나락호프/머덕, 홀맨/카즈야) 썬더치킨 리턴즈(HAO/팽, 지삼문에이스/데빌진, Triple.H/킹) Judgment(히라노아야/알리샤, Envy/줄리아, 빈창/라스) 상구대장(Crazy 동팔/카즈야, RaN/크리스티, 통발러브/데빌진) 케케루야(K.K.R/간류, Hoobastank/왕, 디스/레이븐) 드화백(단풍란/화랑, 돌격환/백두산, 갱자/드라구노프) Specialist(레인/미구엘, 푸리주무/리리, 한쿠마1/쿠마) SUPERSTAR(헬프미/리, 소용돌이/데빌진, 말구/로우) 안녕 친구들(레드스타/라스, Moon Light/백두산, Kidjin/레이븐) 파죽지세(No Name/로우, 진샤오랑/샤오유, 오직 연습/니나) 악의 축(달러맨디/머덕, 꼬풀뇽/에디, 인형/쿠마) 하수클럽(소울헌터/로우, 커클/미구엘, 허미르/스티브) BOW(브라몬/레이, 불가리/로져, 설레이/카즈야) 좌파와 우파(G T R/에디, 모큐/밥, The Goonies/미구엘) 예선전에서는 '프린스'라는 아이디를 사용. 내용[편집] 16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Triple.V 2 무한 익스프레스 3 2경기 The Triumph 2 썬더치킨 리턴즈 3 승자전 무한 익스프레스 2 썬더치킨 리턴즈 3 패자전 Tripve.V 2 The Triumph 3 최종전 무한 익스프레스 0 The Triumph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Judgment 3 상구대장 0 2경기 케케루야 2 드화백 3 승자전 Judgment 3 드화백 0 패자전 상구대장 3 케케루야 2 최종전 드화백 0 상구대장 3 C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3 SUPERSTAR 2 2경기 안녕 친구들 3 파죽지세 2 승자전 Specialist 3 안녕 친구들 0 패자전 SUPERSTAR 3 파죽지세 0 최종전 안녕 친구들 3 SUPERSTAR 1 D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악의 축 3 하수클럽 2 2경기 BOW 2 좌파와 우파 3 승자전 악의 축 3 좌파와 우파 0 패자전 하수클럽 2 BOW 3 최종전 좌파와 우파 3 BOW 1 ROYAL RUMBLE 1[편집] 1경기 K.K.R 2 빈창 3 2경기 No Name 3 빈창 0 3경기 No Name 1 Isaac 3 4경기 통발러브 2 Isaac 3 5경기 kidjin 1 Isaac 3 6경기 모큐 1 Isaac 3 7경기 돌격환 3 Isaac 2 8경기 돌격환 3 홀맨 3 9경기 커클 0 홀맨 3 10경기 레인 3 홀맨 2 11경기 레인 3 뺑신영 1 12경기 레인 1 Triple H 3 13경기 인형 0 Triple H 3 14경기 K.K.R 0 Triple H 3 15경기 빈창 0 Triple H 3 16경기 No Name 3 Triple H 2 4승vs4승 타이경기 Triple H 3 Isaac 0 8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썬더치킨 리턴즈 1 안녕 친구들 3 2경기 Judgmant 3 좌파와 우파 2 승자전 안녕 친구들 2 Judgmant 3 패자전 썬더치킨 리턴즈 1 좌파와 우파 3 최종전 안녕 친구들 1 좌파와 우파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2 The Triumph 3 2경기 악의 축 1 상구대장 3 승자전 The Triumph 3 상구대장 2 패자전 Specialist 3 악의 축 2 최종전 상구대장 3 Specialist 2 4강 토너먼트[편집]   준결승전 결승전                 Judgment 4     상구대장 6           상구대장 3     The Triumph 6 3·4위전   좌파와 우파 2   Judgment   6   The Triumph 6     좌파와 우파   1 ROYAL RUMBLE 2[편집] 1경기 한쿠마 2 미스티 1 2경기 한쿠마 2 레드스타 0 3경기 한쿠마 2 광견진 0 4경기 한쿠마 2 홀맨 0 5경기 한쿠마 2 통발러브 0 6경기 한쿠마 2 레인 1 7경기 한쿠마 2 트리플 H 1 개인전[편집]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미스티   2   뺑신영   0     미스티   3     말구   2     말구   2   돌격환   0     미스티   3     모큐   2     Ccer   2   인형   1     Ccer   0     모큐   3     모큐   2   지삼문에이스   0     미스티   3     홀맨   1   레인   2   The Goonies   0     레인   3     Issac   0     Triple H   1   Issac   2     레인   2     홀맨   3   3·4위 결정전   달러맨디   2     춘래   0     달러맨디   1           홀맨   3           홀맨   2   소용돌이     대회 결과[편집] 우승 The Triumph, 준우승 상구대장, 3위 Judgment, 4위 좌파와 우파 MBC게임 TEKKEN CRASH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TEKKEN CRASH Season1(2009.2.4 ~ 2009.3.25) TEKKEN CRASH Season2(2009.8.11 ~ 2009.10.20)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2009.12.2 ~ 2010.1.20) vdehMBC 게임 TEKKEN CRASH(2009~2011)2009년 TEKKEN CRASH Season1 TEKKEN CRASH Season2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 2010년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2 Daum배 TEKKEN CRASH Season1 Daum배 TEKKEN CRASH Season2 2011년 Daum배 TEKKEN CRASH Season3 Daum배 TEKKEN CRASH Season4 vdehSPOTV GAMES TEKKEN CRASH(2015~)2015년 Twitch TEKKEN CRASH vdehSPOTV GAMES STREET FIGHTER CRASH(2016~)2016년 STREET FIGHTER 5 CRAS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EKKEN_CRASH_Season2&oldid=22652052" 분류: 철권리그2009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일 (화) 18: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TEKKEN CRASH Season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Season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EKKEN CRASH 시즌2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EKKEN CRASH Season2는 대한민국의 이스포츠 대회 중 하나로 격투 게임인 철권이 주종목이다. 목차 1 리그기간 2 버전 3 특이사항 4 참가팀 5 내용 5.1 16강 5.2 ROYAL RUMBLE 1 5.3 8강 5.4 4강 토너먼트 5.5 ROYAL RUMBLE 2 5.6 개인전 6 대회 결과 리그기간[편집] 녹화 : 2009년 8월 9일 ~ 2009년 10월 11일 방송날자 : 2009년 8월 11일 ~ 2009년 10월 20일 버전[편집]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특이사항[편집] 이벤트전을 많이 준비함. 이벤트전 1 : 연승전 형식의 개인 대전 이벤트전 2 : 개인전 (현재 방식의 로얄럼블) - 미스티 우승 TEKKEN 6 Broodline Rebellion 버전의 첫 대회 참가팀[편집] Triple.V(박우정/잭-6, 춘래/헤이하치, 뺑신영/밥) 무한 익스프레스(피리/에디, issac/로우, Ccer/알리샤) The Triumph(미스티/에디, 나락호프/머덕, 홀맨/카즈야) 썬더치킨 리턴즈(HAO/팽, 지삼문에이스/데빌진, Triple.H/킹) Judgment(히라노아야/알리샤, Envy/줄리아, 빈창/라스) 상구대장(Crazy 동팔/카즈야, RaN/크리스티, 통발러브/데빌진) 케케루야(K.K.R/간류, Hoobastank/왕, 디스/레이븐) 드화백(단풍란/화랑, 돌격환/백두산, 갱자/드라구노프) Specialist(레인/미구엘, 푸리주무/리리, 한쿠마1/쿠마) SUPERSTAR(헬프미/리, 소용돌이/데빌진, 말구/로우) 안녕 친구들(레드스타/라스, Moon Light/백두산, Kidjin/레이븐) 파죽지세(No Name/로우, 진샤오랑/샤오유, 오직 연습/니나) 악의 축(달러맨디/머덕, 꼬풀뇽/에디, 인형/쿠마) 하수클럽(소울헌터/로우, 커클/미구엘, 허미르/스티브) BOW(브라몬/레이, 불가리/로져, 설레이/카즈야) 좌파와 우파(G T R/에디, 모큐/밥, The Goonies/미구엘) 예선전에서는 '프린스'라는 아이디를 사용. 내용[편집] 16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Triple.V 2 무한 익스프레스 3 2경기 The Triumph 2 썬더치킨 리턴즈 3 승자전 무한 익스프레스 2 썬더치킨 리턴즈 3 패자전 Tripve.V 2 The Triumph 3 최종전 무한 익스프레스 0 The Triumph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Judgment 3 상구대장 0 2경기 케케루야 2 드화백 3 승자전 Judgment 3 드화백 0 패자전 상구대장 3 케케루야 2 최종전 드화백 0 상구대장 3 C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3 SUPERSTAR 2 2경기 안녕 친구들 3 파죽지세 2 승자전 Specialist 3 안녕 친구들 0 패자전 SUPERSTAR 3 파죽지세 0 최종전 안녕 친구들 3 SUPERSTAR 1 D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악의 축 3 하수클럽 2 2경기 BOW 2 좌파와 우파 3 승자전 악의 축 3 좌파와 우파 0 패자전 하수클럽 2 BOW 3 최종전 좌파와 우파 3 BOW 1 ROYAL RUMBLE 1[편집] 1경기 K.K.R 2 빈창 3 2경기 No Name 3 빈창 0 3경기 No Name 1 Isaac 3 4경기 통발러브 2 Isaac 3 5경기 kidjin 1 Isaac 3 6경기 모큐 1 Isaac 3 7경기 돌격환 3 Isaac 2 8경기 돌격환 3 홀맨 3 9경기 커클 0 홀맨 3 10경기 레인 3 홀맨 2 11경기 레인 3 뺑신영 1 12경기 레인 1 Triple H 3 13경기 인형 0 Triple H 3 14경기 K.K.R 0 Triple H 3 15경기 빈창 0 Triple H 3 16경기 No Name 3 Triple H 2 4승vs4승 타이경기 Triple H 3 Isaac 0 8강[편집] A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썬더치킨 리턴즈 1 안녕 친구들 3 2경기 Judgmant 3 좌파와 우파 2 승자전 안녕 친구들 2 Judgmant 3 패자전 썬더치킨 리턴즈 1 좌파와 우파 3 최종전 안녕 친구들 1 좌파와 우파 3 B조 경 기 대 진 표 1경기 Specialist 2 The Triumph 3 2경기 악의 축 1 상구대장 3 승자전 The Triumph 3 상구대장 2 패자전 Specialist 3 악의 축 2 최종전 상구대장 3 Specialist 2 4강 토너먼트[편집]   준결승전 결승전                 Judgment 4     상구대장 6           상구대장 3     The Triumph 6 3·4위전   좌파와 우파 2   Judgment   6   The Triumph 6     좌파와 우파   1 ROYAL RUMBLE 2[편집] 1경기 한쿠마 2 미스티 1 2경기 한쿠마 2 레드스타 0 3경기 한쿠마 2 광견진 0 4경기 한쿠마 2 홀맨 0 5경기 한쿠마 2 통발러브 0 6경기 한쿠마 2 레인 1 7경기 한쿠마 2 트리플 H 1 개인전[편집]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미스티   2   뺑신영   0     미스티   3     말구   2     말구   2   돌격환   0     미스티   3     모큐   2     Ccer   2   인형   1     Ccer   0     모큐   3     모큐   2   지삼문에이스   0     미스티   3     홀맨   1   레인   2   The Goonies   0     레인   3     Issac   0     Triple H   1   Issac   2     레인   2     홀맨   3   3·4위 결정전   달러맨디   2     춘래   0     달러맨디   1           홀맨   3           홀맨   2   소용돌이     대회 결과[편집] 우승 The Triumph, 준우승 상구대장, 3위 Judgment, 4위 좌파와 우파 MBC게임 TEKKEN CRASH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TEKKEN CRASH Season1(2009.2.4 ~ 2009.3.25) TEKKEN CRASH Season2(2009.8.11 ~ 2009.10.20)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2009.12.2 ~ 2010.1.20) vdehMBC 게임 TEKKEN CRASH(2009~2011)2009년 TEKKEN CRASH Season1 TEKKEN CRASH Season2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1 2010년 오뚜기 뿌셔뿌셔배 TEKKEN CRASH Season2 Daum배 TEKKEN CRASH Season1 Daum배 TEKKEN CRASH Season2 2011년 Daum배 TEKKEN CRASH Season3 Daum배 TEKKEN CRASH Season4 vdehSPOTV GAMES TEKKEN CRASH(2015~)2015년 Twitch TEKKEN CRASH vdehSPOTV GAMES STREET FIGHTER CRASH(2016~)2016년 STREET FIGHTER 5 CRASH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EKKEN_CRASH_Season2&oldid=22652052" 분류: 철권리그2009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일 (화) 18: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2 몽키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 몽키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2 몽키즈Twelve Monkeys 감독 테리 길리엄 제작 찰스 로벤 음악 폴 버크마스터 배급사 유니버설 픽처스 개봉일 미국 1995년 12월 27일 대한민국 1996년 4월 5일 언어 영어 《12몽키즈》(Twelve Monkeys)는 1995년에 테리 길리엄이 감독한 스릴러·드라마영화이다. 시간 여행과 음모론을 모티브로 단편 영화 《라 주테》(La Jete)에 영감을 받아서 만들었으며, 시간과 기억을 테마로 하고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대한민국 방송 정보 2.1 한국어 더빙판 성우진 3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2035년 50억 명의 인류를 죽음으로 몰아넣은 바이러스 테러 이후 살아남은 인간들은 지하로 숨어들어간다. 제임스 콜은 이들로부터 파견된 자료수집가이다. 그의 임무는 과거로 가서 바이러스 테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아진 정보를 통해 과거의 테러를 막으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여행의 과정에서 콜은 몇 가지 문제를 겪는다. 1996년으로 보내져야 하는데 착오로 인해 1990년으로 보내져서 정신병원에 갇히기도 하고, 1910년대 프랑스 전쟁터에 보내기지도 한다. 정신병원에 갇힐 당시 그의 주치의였던 레일리 박사는 처음에는 그의 말을 믿지 않았으나, 6년 후 우연히 실제로 그가 시간여행을 한다는 증거들을 본 다음부터 그를 믿기 시작한다. 영화에서 제프리(브래드 피트)는 미래에서 온 자료 수집자 제임스 콜(브루스 윌리스) 로부터 바이러스 테러를 일으켜 인류를 멸망하게 한 12몽키즈라는 집단의 수장으로 의심받는다. 그러나 실제 12몽키즈라는 집단은 바이러스 테러와는 상관없는 순수 동물애호단체였다. 그리고 제프리는 바이러스 연구학자인 자신의 아버지가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에 반감을 가지고 동물원의 동물을 도시에 풀어버리는 일을 계획했을 뿐이었다. 결론적으로 실제 바이러스 테러범은 제프리의 아버지 밑에서 일하던 조수였으며, 이를 알게 된 콜은 그를 막으려다 총격으로 죽는다. 이 장면은 영화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장면이 제임스 콜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자주 꿔온 꿈이었기 때문이다. 어른이 된 자신이 총에 맞아 죽고, 레일리 박사가 이를 보고 뛰어오는 장면을 목격하는, 즉 이 꿈의 주체인 어린아이는 실제 어린 제임스 콜이다. 이러한 설정은 미래와 과거를 통해 같은 사건이 영원히 반복해서 일어나게 된다는 심오한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대한민국 방송 정보[편집] 대한민국에서는 SBS에서 송년특선영화로 방송된 바 있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진[편집] 제임스 콜 - 이정구 캐서린 레일리 - 장유진 제프리 고인즈 - 백순철 고인즈 박사 - 김현직 고인스 박사 조수 - 김용식 김민규, 장호비, 최옥희, 김창주, 도용구, 김태웅, 서윤석, 임성표, 강연숙, 임수아, 황재경 번역 / 김은주 연출 / 송길우 외부 링크[편집] (영어) Twelve Monkeys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12 몽키즈 – 로튼 토마토 (영어) 12 몽키즈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12 몽키즈 – 올무비 vdeh테리 길리엄장편 영화 몬티 파이톤과 성배 (1975) 자버워키 (1977) 시간 도둑들 (1981) 브라질 (1985) 바론의 대모험 (1988) 피셔 킹 (1991) 12 몽키즈 (1995)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 (1998) 그림 형제: 마르바덴 숲의 전설 (2005) 타이드랜드 (2005)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009) 제로법칙의 비밀 (2013) 돈키호테를 죽인 남자 (2018) 단편 영화 스토리 타임 (1968) 미라클 오브 플라이트 (1974) 더 크림슨 퍼머넌트 어슈어런스 (1983) 더 레전드 오브 할로우데가 (2010) 더 홀리 패밀리 (2011) 기타 라 만차 게팅 길리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2_몽키즈&oldid=23683793" 분류: 미국의 SF 영화미국의 스릴러 영화1995년 영화유니버설 픽처스 영화볼티모어를 배경으로 한 영화필라델피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펜실베이니아주에서 촬영한 영화테리 길리엄 감독 영화1990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1996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2035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디스토피아 영화시간 여행 영화세계 종말 이후를 배경으로 한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7: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스타크래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64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스타크래프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스타크래프트StarCraft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발행사 윈도, 맥 OS 북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PAL 지역: 시에라 엔터테인먼트 중국: 아이스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한빛소프트 닌텐도 64닌텐도디자이너 제임스 피니 (리드 디자이너)샘와이즈 디디어 (수석 아트 디렉터)로버트 조르제비치 (테크니컬 아티스트)피터 언더우드 (테크니컬 아티스트)제프리 본 (테크니컬 아티스트) 버전 1.22.4.5905플랫폼 윈도, 맥 OS, OS X, 닌텐도 64출시일 윈도북미: 1998년 3월 31일중국: 1998년 3월 31일대한민국: 1998년 4월 9일맥 OS북미: 1999년 3월닌텐도 64북미: 2000년 6월 13일PAL 지역: 2001년 5월 25일장르 실시간 전략 게임모드 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미디어 CD, 닌텐도 64 카트리지, 디지털 다운로드시스템 사양 운영체제 : Windows 7 이상(Windows 10 RS5 권장) CPU : Intel Core 2 Duo E6600 (2.4 GHz) 또는 AMD Athlon 64 X2 5000+ (2.6 GHz)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8800 GT (512 MB) 또는 ATI Radeon HD 4850 (512 MB)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 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 운영체제 : MacOS® 10.13 (최신 버전) CPU : Intel Core i3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 650M 또는ATI Radeon HD 5670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입력장치 컴퓨터 자판, 마우스후속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웹사이트 https://starcraft.com/ko-kr/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게임랭킹스93%[1] (PC & Mac)77%[2] (Nintendo 64)메타크리틱88/100[3] (PC & Mac)80/100[4] (Nintendo 64)평론 점수평론사점수올게임[5] (PC & Mac)게임프로4.5/5[6] (PC & Mac)4.5/5[7] (Nintendo 64)게임 레볼루션B[8] (PC & Mac)게임스팟9.1/10[9] (PC & Mac)8.4/10[10] (Nintendo 64)IGN9.5/10[11] (PC & Mac)7.7/10[12] (Nintendo 64)PC 게이머 (영국)92%[3] (PC & Mac)PC 존8.8/10[13] (PC & Mac)수상평론사수상GameSpotGreatest Games of All Time[14]AIASGame of the Year[15]Computer Gaming WorldGame of the Year[15]PC PowerPlayGame of the Year –[15]PC GamerRTS Game of the Year[15]Games DomainStrategy Game of the Year[15]Game Informer35th Greatest Game of All Time 《스타크래프트》(Star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1998년 3월 31일 북미와 중국에, 4월 9일에는 대한민국에 발매되었다. 게임의 배경은 26세기 초반 미래의 우주로, 지구에게 버림받은 범죄자 집단인 테란(Terran)과 집단 의식을 가지고 다른 종족을 흡수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드는 저그(Zerg), 초능력과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외계 종족인 프로토스(Protoss) 사이의 전쟁을 다루고 있다.[16][주해 1] 《스타크래프트》와 그 확장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는 1998년 4월(브루드 워는 1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두달 동안 전 세계에서 1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그 해에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 되었고,[17] 2007년 5월 20일 기준으로 블리자드는 950만 장 이상이 팔렸다고 집계했으며,[18] 2009년 2월 28일까지 1100만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다.[19] 1998년 최고의 컴퓨터 전략 게임으로 오리진스 상을 받았고,[20] 그 외에도 다수의 올해의 게임, 올해의 전략 게임, 올해의 멀티플레이어 게임 상을 받았다.[21]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1월 31일까지 세계 판매량의 대략 40%정도인 450만 장[22]이 팔렸으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프로 선수와 팀이 생겨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방송에도 중계되는 등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23]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는 LG소프트[24] 를 통해 발매되었다. 한국어로 수정하지 않고 영문판 그대로 출시[주해 2]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영문판을 그대로 발매함에 따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에서 한글 채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1999년부터는 한글이 지원되는 한스타와 같은 프로그램이 배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2005년 2월 스타크래프트의 버전이 1.1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는 2009년 1월부터 1.16.1 버전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2017년 3월 26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I <3 StarCraft(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1.17패치를 건너 뛴 1.18패치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를 공개하였다.[25] 이후 동월 3월 31일 1.18버전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테스트버전이 먼저 공개되었다. 그 이후 밸런스 문제와 그래픽 카드 호환성 문제로 인해 여러번 연기되었다가 종료되었다. 다음날 4월 19일 새벽부터 정식으로 1.18 패치가 배포되어 전세계 서버가 오픈되었고,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받을수 있게된다.[26][27] 상당한 버그와 화질 개선이 이루어졌고 현재 OS 에 맞춘 환경이 지원하는 패치가 이루어졌다. 목차 1 게임플레이 1.1 달라진 점 1.2 종족의 특성 1.2.1 테란(Terran) 1.2.2 저그(Zerg) 1.2.3 프로토스(Protoss) 1.3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 1.4 2가지 자원 2 멀티플레이어 2.1 래더 랭킹 시스템 2.2 서버 3 스타에디터 4 사용자 제작 지도 5 영향 5.1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 5.2 다른 매체 6 후속 작품 6.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6.2 닌텐도 64판 6.3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6.4 스타크래프트 II 6.5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7 수상 8 기타 9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 10 같이 보기 11 주해 12 각주 13 외부 링크 게임플레이[편집] 《스타크래프트》의 기본적인 게임 전개는 플레이어가 자원을 모아 건물을 짓고 테크 트리를 발전시키며 유닛을 생산해 상대방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게임에 등장하는 자원에는 모든 종류의 생산 활동에 필수인 '광물'과, 고급 유닛이나 건물의 생산, 각종 업그레이드 연구 등에 사용되는 '베스핀 가스'가 있다. 자원은 종족 별로 존재하는 일꾼 유닛(테란의 ‘SCV’, 프로토스의 ‘프로브’, 저그의 ‘드론’)를 통해 채취할 수 있다. 베스핀 가스는 베스핀 간헐천 위에 가스 채집을 위한 건물을 건설해야 채취할 수 있다. 한 번씩 채취할 때 마다 8의 수치가 축적된다.[28][29][30] 게임에는 유닛의 생산을 한정 짓는 한계 수치가 존재한다. 이 한계 수치는 테란의 ‘서플라이 디포’와,[31] 프로토스의 ‘파일런’[32] 과 같은 지원 관장 건물을 건설해서 늘릴 수 있다. 저그의 경우 지원용 건물이 아니라 수송 유닛인 ‘오버로드’를 통해 한계 수치를 늘린다.[33] 기본적으로 최대 유닛 단위는 종족 당 200으로 한정되어 있다.하지만 프로토스의 다크 아칸을 사용할경우 200을 넘길 수는 있긴 하지만 그럴일은 딱히 없다 상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려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적의 전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각종 업그레이드와 기지 확장을 통한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종족별로 저마다의 특징이 있어 그것이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4] 달라진 점[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의 또 다른 게임인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되었다. 워크래프트에서의 종족들은 특수능력과 업그레이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을 뿐 거의 성격이 같았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워 윈드에서 사용된 각 종족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식을 사용해 워크래프트보다 향상된 완성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세 종족은 저마다의 개성적인 일면을 가진다. 처음 발매될 당시에는 세 종족 간에 약간의 불균형이 있었지만, 확장 팩과 약 스무 번에 걸친 패치로 지금은 종족 간 균형이 비교적 잘 맞추어져 있다.[35] 블리자드에서 1998년에 출시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 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에서는 본편과 이어지는 캠페인과 함께 종족 별로 새로운 유닛들과 업그레이드들이 추가되었다. 종족의 특성[편집] 스타크래프트에는 테란, 저그, 프로토스 세 종족이 있다. 이 세 종족은 각자 특유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테란(Terran)[편집] 테란은 인류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종족이다. 원래는 개발중이었던 게임 산산조각난 국가(Shattered Nations)[36]에 등장하려고 했으나 무기한 연기로 인하여 취소되어 이곳에서 테란이라는 종족으로 속한 것이다. 스토리에 의하면 서기 24세기 지구의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범죄자가 늘어나서 망할 지경에 지구는 강대국연합연맹(UPL)을 중심으로 뭉친다. 그들은 한 프로젝트를 계획하는데, 사형할 범죄자나 반정부인사, 복제인간 등을 4대의 우주선에 태워 지구에서 내보내는 것이였다. 이 중 세이렌고 호는 파괴되어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고, 남은 3대가 코프룰루 구역에 정착한 것이 테란의 시작이다. 건물은 건설 가능한 땅이 있으면 지을 수 있으며, 대다수는 공중에 띄울 수도 있다.[37] 다만 피해를 많이 입어 체력 게이지가 붉은색이 되었을 때에는 공격이 없어도 계속 손상되어 결국엔 파괴되기 때문에 재빨리 건설로봇으로 수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저그의 디파일러가 사용하는 기술 '플레이그'에 약하다. 테란 유닛 하나하나는 비교적 약한 편이고, 대부분 이동속도가 느린 편이다. 크게 마린, 메딕, 파이어뱃, 고스트[38]등의 생체 유닛(일명 바이오닉 유닛)과 그 보다 생산시간이 길고 공격력이 강한 기계(일명 메카닉 유닛)유닛[39]으로 나뉘며, 기계 유닛이 많이 모일수록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게 된다. 대다수 유닛이 원거리 공격을 하기 때문에 컨트롤이 많이 필요하고, 따라서 손이 많이 가는 종족이다. 후반에 유령과 전투순양함 체제를 같이 쓰려면 과학 시설 건물을 두 개 지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테란의 건물과 유닛의 체력은 자동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기계 유닛과 건물은 건설로봇의 수리로, 생체 유닛은 확장팩 추가 유닛인 메딕의 치료를 통해서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중재자의 '리콜' 기술이나 저그의 나이더스 커널 건물 같은 대규모 유닛을 순간적으로 이동·수송하는 방법이 테란에게는 없고, 지상방어의 측면에서는 저그의 지하 군체나 프로토스의 광자포 같은 구조물과는 다르게 테란은 방어 유닛을 생산하여 배치해야만 공격이 가능한 건물 '벙커'를 이용해야 한다. 테란이 다른 종족에 비해 월등히 강하다는 소리가 많지만, 테란도 약점에 잘못 걸리면 지는 종족이 되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그 일례로 테란은 세 종족 중 유닛과 건물의 체력이 가장 약한 종족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 회복,[40] 건물 수리 및 방해 스킬도 존재한다. 저그(Zerg)[편집] 영화 에일리언을 연상시키는 우주 괴물인 저그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프로토스의 창조주 젤나가가 프로토스의 실패를 바탕으로 창조한 종족이 저그이고, 개체 하나하나가 자아를 가지고 있는 프로토스와는 반대로 저그는 단 하나의 자아 의식을 가진 초월체(Overmind)를 중심으로 수많은 개체가 군단을 구성한다. 저그가 특정 지역에 정착하면 '점막'(크립)이라고 불리는 생체 물질이 주위 지면을 뒤덮는다. 저그는 이 점막 위에만 건물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종족은 그 위에 건물을 지을 수 없다. 점막은 해처리와 같은 중앙 건물에 의해 최초 생성되고 점막 군체로 확장된다. 자원 수집 역할과 애벌레를 만들어 내 유닛을 생산하도록 하는 부화장의 시스템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다. 이것은 테란의 병영과 프로토스의 관문 같은 유닛 생산 건물이 따로 필요하다는 점과 매우 대조적이며, 저그는 다른 종족보다 더 속도감 있게 게임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41]또한 처음에 오버로드라는 공중유닛이 주어지기 때문에 초반 정찰에 유용하다. 또한 테란 건설로봇의 건물 건설과 프로토스 탐사정의 건물 소환과 달리 저그의 일꾼 유닛인 일벌레는 자신이 건물로 직접 변태한다. 결국 건물 건설을 위해서는 일벌레 하나를 희생할 수 밖에 없다. 유닛 하나하나가 적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약해서 쉽게 죽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시간이 짧아 빠르게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 기동성의 측면에서 타 종족에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체력이 자동으로 회복이 되는 특징도 있으나, 그 속도가 매우 느리다. 타 종족은 건물로 인구수를 충족시키는 반면 저그는 유닛인 대군주가 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격을 받아 죽는 경우에 인구수에 차질이 생긴다.[42] 테란의 전투순양함이나 프로토스의 우주모함만큼 막강한 유닛은 없지만 대신 유닛의 필요 인구수 수치가 낮아 개체수를 타 종족보다 가장 많이 운용할 수 있고, 테란과 프로토스에는 없는 0.5짜리 인구수 유닛[43](스커지, 저글링)도 저그에만 존재한다. 저그는 엄청난 물량으로 상대를 이기는 종족이다. 프로토스(Protoss)[편집] 소수 정예를 지향하는 외계종족 프로토스 역시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젤나가가 아이어에서 살고 있는 종족에서 '최초의 가능성'을 보았고, 이들에게 젤나가의 모든 것을 부여하여 탄생한 종족이 회복 기사, 암흑 기사는 체력도 회복 가능하다. 유닛의 기본능력(공격력, 방어력, 체력)이 매우 뛰어나서 강력한 편이지만, 생산 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며 필요 될 수 있으며 기동성은 여러가지 이동 속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극복이 가능하다.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편집] 유닛 크기(Unit Size)와 피해 형태(Damage Type)는 서로 다른 유닛간의 강하고 약한 상성 관계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 모델이다. 스타크래프트에 존재하는 모든 유닛은 대형, 소형, 중형 중 하나로 구분된다. 이들 구분은 유닛이 어떤 피해 형태를 가진 공격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한다.[44] 일반형 공격은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유닛에게 100% 피해를 준다. 진동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중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25%의 피해만을 준다. 폭발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중형 유닛에게 75%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준다.[44] 2가지 자원[편집]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광물(Minerals)과 베스핀 가스(Vespene Gas)라는 두 가지 형태의 자원을 지원함으로써 플레이어가 더욱 전략적인 선택을 할 수가 있게 되었다. 광물에 비해 베스핀 가스는 희소성도 있고, 노동력을 아무리 많이 투입해도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는다.[28] 보통 광물은 7~10 덩어리가 주어진다. 광물 하나를 채취하면 8씩 늘어난다. 여러 일꾼 유닛이 하나의 광물을 동시에 채취할 수는 없다. 대신에 자원 채취가 끝나면 다른 일꾼이 바로 달라붙어 자원을 캐므로 일꾼이 많을수록 자원채취의 공백이 안 생기므로 짧은 시간동안 많은 자원을 충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덩어리당 2.5기의 일꾼이 가장 적당하다고 한다. 그러니 너무 많으면 효율성도 떨어진다. 베스핀 가스와 마찬가지로 광물도 한계 지점이 있지만, 베스핀 가스가 자원 기지 당 1개소에서만 캘 수 있는 것에 비해서 여러 덩어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물을 모으는 일꾼 유닛이 많아질수록 단위시간당 채취 자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주해 3] 이와는 반대로 또 다른 자원인 베스핀 가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베스핀 가스 채취구에는 일꾼 유닛을 한번에 3기 까지(특정 방향은 4기) 배치하는 것이 가장 채취량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 이상 일꾼 유닛을 투입해도 채취량은 올라가지 않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단위 시간당 채취량은 항상 일정하다. 게다가 베스핀 가스는 무한한 양을 채취할 수 있으나, 일정 정도 수집 후에는 채취 가능한 양이 8에서 2로 줄어든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베스핀 가스는 광물에 비해 항상 부족하다.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채취량을 늘리려면 베스핀 가스 채취구가 있는 자원 기지를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더욱이 게임에 등장하는 강력한 고급 유닛들은 대부분 많은 베스핀 가스를 필요로 한다.[28] 멀티플레이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을 통해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할 수 있다. 한 게임에서 최대 여덟 명이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고, 사람 대신 컴퓨터 플레이어를 인원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플레이어 간에 동맹을 맺어 협동 플레이도 가능하며, 한 쪽의 숫자가 부족한 핸디캡 경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배틀넷에서 유즈 맵 세팅 을 제외한 모든 게임은 조기에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승/패가 기록으로서 남게 되는데, 간혹 네트워크 연결상의 문제로 게임이 종료되면 DISC(Disconnected)로 표시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역시 배틀넷 상에서 편법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해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블리자드는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자사의 모든 배틀넷 망으로부터 그들의 접근을 차단한다.[45] 래더 랭킹 시스템[편집] 밀리 게임은 랭킹에 기록되는 게임으로, 인증 받은 전용 맵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다. 공정한 게임을 위해 해킹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게임이 별개의 서버에서 벌어지기도 한다. '무한 맵' 등 인증되지 않은 맵으로는 밀리 게임을 할 수 없다. 사용자들의 실력을 고려하여 공정하고 편리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았다. 스타크래프트 밀리 랭킹 시스템은 발매 초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으며 밀리 랭킹 시스템을 이용한 대회 진행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4년 1월에 래더 랭킹 시스템을 폐지하였다.[46] 2017년 8월 15일에 출시 된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 새로워진 레더 랭킹 시스템이 개선되었고, 전국 PC방의 순위도 기록하게되는 전용 레더 랭킹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1.19패치에서도 적용되었다. 서버[편집] 스타크래프트 멀티플레이어 시스템을 배틀넷이라고 하며 배틀넷 서버는 공식적으로 Asia, US East, US West, Europe 4개 서버가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사설서버인 Fish 서버와 Brain 서버가 있다. 사용자는 사설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레지스트리 설정을 수정해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1.18 패치가 이루어 지면서 사설 서버였던 피쉬 서버가 레지스트리 설정 없이 자동으로 등록되었다. 1.19패치 이후로 아시아 서버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져 대한민국 플레이어를 위한 Korea 서버와 일본/중국/대만 등 기타 아시아 국가를 위한 Asia 서버로 분리되었다.[47] 따라서 2017년에 이르러 접속 가능한 배틀넷 서버는 U.S. West, U.S. East, Europe, Korea, Asia, Fish (Korea) 6개 서버가 있다. 그러나 피쉬커뮤니케이션측은 10월 1일부터 서비스 종료되어 서버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스타에디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에디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에디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게임 내 탑재된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Campagin Editor)가 있다. 많은 초보 맵 개발자가 사용하지만 기능의 한계를 문제로 이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은 세디터(SSEditor), 스타포지(Star Forge) 등의 고급에디터를 많이 사용한다. 리마스터 발매 이후 역언덕, 넓은 언덕 등이 기본 에디터에 내장되었고, 여러 기능의 추가로 고급에디터를 굳이 설치하지 않고도 어느 정도 쓸만한 수준으로 기본 에디터가 발전했다. 사용자 제작 지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입니다. 스타에디트(StarEdit)라는 스타크래프트와 같이 설치되는 맵을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는 도구로 트리거(Trigger)라는 개념을 통해 특정한 논리를 사용자 맵 내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타크래프트의 멀티플레이 네트워크의 명칭인 배틀넷에서는 본래의 스타크래프트 게임과는 관계 없는 '유즈 맵 세팅(Use Map Settings)' 이라는 별개의 게임이 성행한다. 이들 게임은 유닛의 이름, 속도, 공격력, 방어력, 체력, 생산비용, 생산시간, 업그레이드 시간, 보유 에너지량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영향[편집]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편집]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출시된 오래된 게임이지만, 2016년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의 하나로 꼽혔다.[48][49] 또한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에 PC방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0] 프로게이머들이 경기하는 모습이 MBC 게임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1998년 7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KPGL이 개최되었으며, 1999년 4월 KPGL과 PKO의 양대 리그가 성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하였다. 이를 계승한 온게임넷과 MBC 게임은 2011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명맥을 이어나갔다.[51] 2002년부터는 스타리그의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연봉이 2억이 넘는 선수가 최초로 생겼고, 기업들의 광고와 후원도 많아졌다. 2004년 7월 SKY 프로 리그 2004 결승전에서는 10만 명의 관중이 모여 그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52] 200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RTS 게임들이 스타크래프트를 누르기 위해 도전했으나 그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를 기록했다.[53][54] 다른 매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그 설정과 줄거리, 인물 등을 활용한 공식 소설과 전자책으로도 출판되었다. 스타크래프트: 업 라이징 (2000년) ISBN 00005AS12 (전자책으로만 출시) 스타크래프트: 리버티스 크루세이드 (2001년) ISBN 0-671-04148-7 소설 스타크래프트 1 : 자유의 십자군 (2002년) ISBN 89-8273-393-0 스타크래프트: 젤'나가의 그림자 (2001년) ISBN 0-671-04149-5 소설 스타크래프트 2 : 젤'나가의 그림자 (2003년) ISBN 89-8273-394-9 스타크래프트: 어둠의 속도 (2002년) ISBN 0-671-04150-9 스타크래프트: 칼의 여왕 (2006년 6월) ISBN 0-7434-7133-4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노바 (2006년 12월) ISBN 0-7434-7134-2 스타크래프트 II: 천국의 악마들 스타크래프트 에쒸비 (2005~2009) 오현석 또한 만화가 김성모가 스타크래프트라는 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고[55], 이 작품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드라군 놀이가 유행하였다. 2000년 경에는 신해철, 허니패밀리, 남궁연 등이 참여해서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음반이 나오기도 하였다. 게다가 스프라이트를 이용하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 부터 공인받아 제작한 E스포츠 만화《스타크래프트 에쒸비》를 출판하기도 하였다. 스타크래프트 마지막 이야기 (2018) 게다가 과거에는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 한 식품 상품으로 출시된 적이 있었다. 《스타크래프트 음료》(제일제당) - 스티커가 동봉된 제품뿐만 아니라 캔라벨에 보면 유닛 정보가 쓰여있다. 《스타크 빵》(기린식품) - 스티커가 들어있는 제품으로 알려져있다. 《스타크래프트》(오리온) - 뿐만 아니라 치토스, 엑서스, 썬칩, 트라가트라가 에서도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된 따조와 열쇠고리 형태의 텍도 들어있었다.[56] 후속 작품[편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종족 전쟁》은 1998년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표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팩이다. 이 확장 팩에서는 새로운 캠페인과 각각의 종족에 대해 두 개의 유닛, 새 음악, 새 특수능력과 기술이 추가되었다. 캠페인은 원래 스타크래프트의 이야기, 즉 초월체가 프로토스의 태사다르에 의해 파괴당하고, 프로토스는 저그의 공격을 피해 아이어를 떠나는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닌텐도 64판[편집] 2000년 6월 16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매스 미디어가 《스타크래프트》를 닌텐도 64로 이식한 《스타크래프트 64》를 공동 개발해 닌텐도를 통해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PC용 원작과 그 확장 팩인 〈브루드워〉의 모든 맵을 담았고, 이 게임에서만 가능한 미션과 튜토리얼, 숨겨진 미션인 'Resurrection IV'도 추가되었다.[10] 또한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지원하지 않는 대신, 화면 분할 방식의 멀티 플레이어 기능이 포함되었다.[57] 추가적으로, 온라인 멀티플레이 기능을 본판보다 줄였고 미션 브리핑과 컷씬도 줄였다.[10] Resurrection IV은 저그에게 납치되었던 지구에서 온 인물 알렉세이 스투코프를 짐 레이너가 구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브루드 워 미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닌텐도 64 익스팬션 팩을 필요로 한다.[58] 본래에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개발할 예정이였으나 대신 닌텐도 64로 개발되었다.[59] 닌텐도 64판은 컨트롤러 중앙에 있는 아날로그 스틱을 이용해서 커서를 조작하는데, 이 방식이 마우스에 비해 불편했고, 온라인 기능이 없다는 점 때문에 PC판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60][61] 스타크래프트: 고스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영어: StarCraft: Ghos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였던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스타크래프트의 설정을 기반으로 한다. 블리자드는 이 게임을 2002년에 발표했지만, 2006년 3월 24일 게임의 개발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62] 그리고 곧 블리자드는 개발 중인 게임 목록에서 이 게임을 지웠고, 웹페이지도 삭제했다. 주인공으로 설정된 여성 유령요원 노바는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 나온다. 스타크래프트 II[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II입니다. 《스타크래프트 II》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공식적인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으로 개발한 PC 게임으로, 2007년 5월 19일 서울에서 개최된 2007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World Wide Invitational)에서 스타크래프트2 중 프로토스가 공개되었다. 마침내 2010년 7월 27일 정식 출시가 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 9월 18일을 기준으로 오픈베타가 끝나고,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3년 3월 12일 확장팩인 군단의 심장이 출시되고, 2015년 11월 10일 두 번째이자 마지막 확장팩인 공허의 유산이 출시되었다. 이후 DLC로 노바의 비밀작전이 출시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입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영어: StarCraft: Remastered)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1년 6개월동안의 비밀 리마스터 작업 끝에 2017년 3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중대 발표를 통해 세계최초로 공개되었다. 기존작과 달리 SD 스프라이트가 HD 스프라이트로 전환하게 되었고, 16:9 HD와 4K UHD까지 지원한다. 한국어를 포함한 13개국 언어를 지원하고 클래식 베틀넷 계정과 현재의 베틀넷 계정까지 연동이 가능하다.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배포되며, 리마스터 업그레이드판은 유료로 2017년 8월 15일에 출시되었다. 수상[편집] 다음은 《스타크래프트》가 세계 게임 매체들로부터 상을 받고 평가받은 내역이다. 대표적인 수상 실적만 표기하였으며 전체 수상 내역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수상 목록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다.[21]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5년 IGN (콘솔게임을 포함한 결과로, PC 게임만 보면 3위를 기록했다.)[63]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3년 IGN.[64] 모든 실시간 전략 게임의 표준 - 게임스팟 제공: 역대 최고의 게임들.[65] 1998년 가장 많이 팔린 게임 - PC데이터[17] 기타[편집] 스타크래프트가 1.12 버전으로 패치된 이후 자체적으로 게임 내에서 한글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종전까지는 배틀넷에서만 한글을 사용할 수 있었고 그 외의 화면에서는 한글을 사용하면 서유럽 문자의 이상한 배열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 또, 한글을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았을 때에는 ‘한스타’라는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 한스타는 스타크래프트에서 한글을 표시할 수 있게 해 주고 유닛의 이름이나 메시지 등을 모두 한국어로 번역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스타크래프트는 몇 가지 버그가 있었지만 일부 수정되었다. 2009년부터 8년간 1.16.1 버전을 유지하였으며,[66] 2017년 4월 부터 현재 환경에 맞춰진 1.18 패치가 이루어졌다. 스타크래프트는 클래식 배틀넷 게임으로서 계정을 무한정 생성 가능하였지만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삭제되었다. 그러나 1.19 패치 이후부터, 멀티플레이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리자드 계정이 필요하며, 각 서버당 3개의 배틀넷 계정만을 생성하도록 변경되었다.[67]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편집]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스타크래프트 관련 경기 대회는 다른 국가에서는 블리자드가 직접 대회를 주관한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 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한 것으로, 블리자드는 이것을 문제삼아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에 지적재산권 보상을 요구해왔으나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 측은 거절하였으며 대회 진행을 강행했다.[68][69]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측은 "다만 비영리 게임대회에 대해서는 지적저작권 보상을 요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68] 결국 블리자드는 2010년 10월 28일 서울지방법원에 MBC플러스미디어(MBC GAME)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다음해에 블리자드가 소송을 취하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저작권 논란은 일단락되었다.[70] 이어 11월 3일에는 온미디어(현CJ E&M)(온게임넷)를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71] 같이 보기[편집]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ASL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인물 목록 스타크래프트의 종족 스타크래프트2 스타에디트 스타리그 MSL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배틀넷 e스포츠 PC 게임 주해[편집] ↑ 1998년 4월 9일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가 패키지 게임으로 발매되었을 때 동봉된 매뉴얼에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하지만 이 명칭은 실제 사용자와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그동안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와 게임리그 산업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유닛과 건물을 불렀다. 하지만 이것은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과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사 게임을 현지화할 때, 게임 세계 속의 일반 명사는 현지 언어로 완역하는 정책을 천명하였다. 이 정책에 따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현재 한국어로 완역되어 서비스하고 있으며,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는 모든 유닛 및 건물 명칭(영웅, 일부 유닛 제외)을 모두 한국어 어휘로 번역했다. (예: 해처리 → 부화장, SCV → 건설로봇) 그리고 현 시점까지 출시한 스타크래프트2의 정보를 살펴보면, 전작인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했던 유닛과 건물의 명칭에도 이 정책이 소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유닛과 건물 명칭은 오랫동안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한 명칭을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란이 있다는 프로게임 산업의 지적이 있었으며“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이 건에 대하여 현재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의 공식 입장은 발표된 바 없다. 현재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는 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 문서에서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을 표기할 때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사용되는 통칭명을 사용하고, 옆에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설명서에 나온 이름과 한국어 뜻을 달아 놓았다. ↑ 게임 자체에는 아무런 수정이 가해지지 않았으나, 매뉴얼의 경우는 한국어 번역이 이루어졌다. ↑ 일반적으로 게임 중 경기자는 계속해서 일꾼 유닛을 생산하므로 결과적으로 단위시간당 채취량은 2차 함수의 모양이 된다. 즉, 경기자는 일꾼 유닛을 계속 생산하는 방법을 통해 광물의 단위시간당 채취량을 늘릴 수 있다. 각주[편집] ↑ “StarCraft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64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StarCraft: PC 1998 Reviews”. Metacritic. 2010년 8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N64 2000 Reviews”. Metacritic. 2010년 12월 31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House, Michael L. “StarCraft: Review”. Allgame. April 13, 2009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pril 18, 2008에 확인함.  ↑ Olafson, Peter (2000년 11월 24일). “Review: StarCraft for PC”. GamePro. 2008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Review: StarCraft for N64”. GamePro. 1999년 11월 24일. 2009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olin (April 1998). “StarCraft Review”. Game Revolution. 2016년 3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Dulin, Ron (1998년 4월 15일). “StarCraft for PC Review”. GameSpot. 2013년 11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ielder, Joe (2000년 6월 12일). “StarCraft 64 for Nintendo 64 Review”. GameSpot. 2015년 11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hick, Tom (June 2, 2000). “StarCraft”. IGN. February 23,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6, 2016에 확인함.  ↑ Boulding, Aaron (2000년 6월 9일). “StarCraft 64 Review”.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review”. PC Zone. 2001년 8월 13일. 201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GameSpot. 1998. 2006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Developer Awards”. Blizzard Entertainment. 2006년 1월 1일. 2006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19일에 확인함.  ↑ “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가 나 “Starcraft Named #1 Seller in 1998” (영어). IGN. 1999년 1월 20일.  ↑ “STARCRAFT® II UNVEILED - 블리자드 보도 자료” (영어). Blizzard. 200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9일에 확인함.  ↑ Kris Graft (2009년 2월 12일). “Blizzard Confirms One "Frontline Release" for '09”. Edge. 2009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The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and Design” (영어). Game Manufacterers Association. 2007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Blizzard Deveolper Awards” (영어).  ↑ “블리자드 "스타2 운영 한국법인이 맡을것"”.  ↑ “e스포츠 살릴 `포스트 스타` 나올까”. 디지털타임스.  ↑ LG소프트는 추후 LG계열에서 분리하여 한빛소프트로 이름을 바꾼다. “한빛소프트, KTIC 등서 116억 투자유치”. 매일경제.  ↑ “‘I <3 StarCraft’ 이벤트에 커뮤니티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스타크래프트2 홈페이지》. 2017년 3월 18일.  ↑ “고전 명작 ‘스타크래프트’, 무료 다운로드 시작”. 《블로터》. 2017년 4월 19일.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1.18 패치 노트”.  ↑ 가 나 다 “General Strategy: Resource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30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그러나 간혈지의 자원이 떨어졌을 시 자원이 2씩 채취된다. ↑ 미네랄이 모두 채취되였을 시 미네랄더미는 사라진다. ↑ “Terran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Protoss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Zerg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Protoss Conclave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StarCraf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8년 1월 16일.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취소된 게임의 트레일러 스크린샷중에 등장했던 대표 유닛이 골리앗이었다. 또한 그것을 기반으로 제작한것이 시발점이었다. ↑ 서플라이 디팟, 가스 정제소, 미사일 터렛, 아카데미, 벙커, 아머리와 부속 건물을 제외한 모든 건물(커멘드 센터, 배럭, 엔지니어링 베이, 팩토리, 스타포트, 사이언스)은 띄워서 옮길 수 있으며 다른 곳에 정착할 수도 있다. ↑ 해병, 의무관, 화염방사병, 유령 ↑ 벌쳐, 탱크, 골리앗, scv, 마인, 발키리, 배틀크루저 등등 ↑ scv의 경우 건물을 수리할 수 있고 메딕은 생체 유닛을, 메딕의 특수 기술인 레스토레이션(restoration)을 이용하면 락다운과 같은 특수 기술도 해제할 수 있다.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Zerg Swarm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저그는 인구수가 '지배력'으로 묘사되는데, 대군주가 군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정이 반영되어 오버로드에 인구 충족 능력이 주어진 것이다. ↑ 한 번 만들면 인구수 1을 할당하지만 완성될 때 2기가 만들어진다. ↑ 가 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General Strategy - Damage types and Unit types” (영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영어). Blizzard.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2007WWI, 세계최강 프로게이머들이 한자리에!,게임동아 ↑ “기존 “Asia” 게이트웨이의 이름이 “Korea” 게이트웨이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최승진. “스타크래프트2, ‘스타’ 넘어야 경쟁력 생긴다”. 게임조선.  ↑ “게임차트 게임 주간 순위”. 게임차트. 2011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이 순위는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최세헌. “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 부산일보. 2008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이택수. “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 디지털타임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택수. “에버 스타 리그 8강전 부산 경성대서 열려”. 디지털타임스.  ↑ 전형철 (2003년 4월 1일). “〈스타크로 혼동되는 이라크전〉 이라크에 SCV·메딕 파병?”. 스포테인먼트.  ↑ 배문숙 (2006년 8월 7일). “아리송한 10대 외계어 삐삐 숫자전송이 시초”. 중도일보.  ↑ 블리자드에서 공식 라이센스를 받아 제작한것이며 그 당시에 만화에 내용에는 폭력 및 잔혹성으로 인해 성인만화로 등급을 받은적 있었다. 또한 블리자드 본사에서 보존되어있다. ↑ 그러나 블리자드측과의 소송에서 따조 및 텍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라는 명으로 된 스낵을 판매금지하거나 상표 무효라는 명령을 받게되었다. ↑ “StarCraft 64 Preview”. IGN. 2000년 6월 8일.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Needs Some Expansion”. IGN. 1999년 11월 16일. 2016년 3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on PlayStation?”. IGN. 1998년 4월 6일. 2015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Joe Fielder. “StarCraft64 Review” (영어). Gamespot.  ↑ Ron Dulin. “StarCraft Review” (영어). Gamespot.  ↑ GameSpy: Blizzard Postpones StarCraft: Ghost Indefinitely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2월 11일에 확인함.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영어). Gamespot.  ↑ e스포츠,스타크래프트 해처리 버그, '확~' 줄어든다, 스포츠서울 ↑ “스타크래프트 1.19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스타크래프트, 한-미간 저작권 분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내일신문, 2010년 10월 28일 ↑ 한국e스포츠협회, 스타 리그 ‘강행’…블리자드 저작권 무시? 지디넷코리아, 2010년 10월 13일 ↑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소송으로 비화 경향신문, 2010년 11월 1일 ↑ 곰TV·블리자드, 온게임넷 상대로 소송…스타크래프트 저작권침해 등 DIP통신, 2010년 11월 4일 외부 링크[편집] 비디오 게임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타크래프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클래식 배틀넷 - StarCraft Compendium 스타크래프트 위키 vdeh스타크래프트컴퓨터 게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리마스터 파생 작품 고스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보드 게임 스타크래프트 어드벤처 구성 세계관 등장인물 종족 관련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 MPQ 배틀넷 vdeh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워크래프트 시리즈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 (어둠의 문을 넘어서) 워크래프트 III: 혼돈의 시대 (얼어붙은 왕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확장팩 (불타는 성전, 리치 왕의 분노, 대격변, 판다리아의 안개,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군단, 격전의 아제로스) 하스스톤 하스스톤 (고블린 대 노움, 대 마상시합, 고대 신의 속삭임) 디아블로 시리즈 디아블로 디아블로 II (파괴의 군주) 디아블로 III (영혼을 거두는 자)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고스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오버워치 오버워치 다른 게임들 길 잃은 바이킹 슈퍼맨의 죽음과 귀환 로큰콜 레이싱 블랙쏜 저스티스 리그 태스크 포스 기타 액티비전 블리자드 배틀넷 블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MPQ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타크래프트&oldid=24217821" 분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1998년 비디오 게임스타크래프트실시간 전략 게임윈도우 게임E스포츠 게임매킨토시 게임닌텐도 64 게임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SF 게임비디오 게임 시리즈미국의 비디오 게임영어 비디오 게임독일어 비디오 게임일본어 비디오 게임이탈리아어 비디오 게임MacOS 게임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Kurdî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0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스타크래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타크래프트64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스타크래프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스타크래프트StarCraft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발행사 윈도, 맥 OS 북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PAL 지역: 시에라 엔터테인먼트 중국: 아이스 엔터테인먼트 대한민국: 한빛소프트 닌텐도 64닌텐도디자이너 제임스 피니 (리드 디자이너)샘와이즈 디디어 (수석 아트 디렉터)로버트 조르제비치 (테크니컬 아티스트)피터 언더우드 (테크니컬 아티스트)제프리 본 (테크니컬 아티스트) 버전 1.22.4.5905플랫폼 윈도, 맥 OS, OS X, 닌텐도 64출시일 윈도북미: 1998년 3월 31일중국: 1998년 3월 31일대한민국: 1998년 4월 9일맥 OS북미: 1999년 3월닌텐도 64북미: 2000년 6월 13일PAL 지역: 2001년 5월 25일장르 실시간 전략 게임모드 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미디어 CD, 닌텐도 64 카트리지, 디지털 다운로드시스템 사양 운영체제 : Windows 7 이상(Windows 10 RS5 권장) CPU : Intel Core 2 Duo E6600 (2.4 GHz) 또는 AMD Athlon 64 X2 5000+ (2.6 GHz)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8800 GT (512 MB) 또는 ATI Radeon HD 4850 (512 MB)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 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 운영체제 : MacOS® 10.13 (최신 버전) CPU : Intel Core i3 또는 그 이상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 650M 또는ATI Radeon HD 5670 또는 그 이상 램(RAM) : 4GB이상 하드 디스크 : 10GB 이상 해상도 최소 1024 x 768 디스플레이 해상도입력장치 컴퓨터 자판, 마우스후속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웹사이트 https://starcraft.com/ko-kr/ 평가통합 점수통합사점수게임랭킹스93%[1] (PC & Mac)77%[2] (Nintendo 64)메타크리틱88/100[3] (PC & Mac)80/100[4] (Nintendo 64)평론 점수평론사점수올게임[5] (PC & Mac)게임프로4.5/5[6] (PC & Mac)4.5/5[7] (Nintendo 64)게임 레볼루션B[8] (PC & Mac)게임스팟9.1/10[9] (PC & Mac)8.4/10[10] (Nintendo 64)IGN9.5/10[11] (PC & Mac)7.7/10[12] (Nintendo 64)PC 게이머 (영국)92%[3] (PC & Mac)PC 존8.8/10[13] (PC & Mac)수상평론사수상GameSpotGreatest Games of All Time[14]AIASGame of the Year[15]Computer Gaming WorldGame of the Year[15]PC PowerPlayGame of the Year –[15]PC GamerRTS Game of the Year[15]Games DomainStrategy Game of the Year[15]Game Informer35th Greatest Game of All Time 《스타크래프트》(StarCraf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실시간 전략 게임이다. 1998년 3월 31일 북미와 중국에, 4월 9일에는 대한민국에 발매되었다. 게임의 배경은 26세기 초반 미래의 우주로, 지구에게 버림받은 범죄자 집단인 테란(Terran)과 집단 의식을 가지고 다른 종족을 흡수해 자신들의 것으로 만드는 저그(Zerg), 초능력과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외계 종족인 프로토스(Protoss) 사이의 전쟁을 다루고 있다.[16][주해 1] 《스타크래프트》와 그 확장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는 1998년 4월(브루드 워는 1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두달 동안 전 세계에서 150만 장 이상 판매되어 그 해에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이 되었고,[17] 2007년 5월 20일 기준으로 블리자드는 950만 장 이상이 팔렸다고 집계했으며,[18] 2009년 2월 28일까지 1100만 장 이상이 팔린 것으로 집계되었다.[19] 1998년 최고의 컴퓨터 전략 게임으로 오리진스 상을 받았고,[20] 그 외에도 다수의 올해의 게임, 올해의 전략 게임, 올해의 멀티플레이어 게임 상을 받았다.[21]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1월 31일까지 세계 판매량의 대략 40%정도인 450만 장[22]이 팔렸으며,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프로 선수와 팀이 생겨 스타크래프트 경기가 방송에도 중계되는 등 높은 인기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23]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는 LG소프트[24] 를 통해 발매되었다. 한국어로 수정하지 않고 영문판 그대로 출시[주해 2]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기를 끌었으나, 영문판을 그대로 발매함에 따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에서 한글 채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1999년부터는 한글이 지원되는 한스타와 같은 프로그램이 배포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2005년 2월 스타크래프트의 버전이 1.12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는 2009년 1월부터 1.16.1 버전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2017년 3월 26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I <3 StarCraft(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1.17패치를 건너 뛴 1.18패치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를 공개하였다.[25] 이후 동월 3월 31일 1.18버전을 공개할 예정이었으나 안정성의 문제로 테스트버전이 먼저 공개되었다. 그 이후 밸런스 문제와 그래픽 카드 호환성 문제로 인해 여러번 연기되었다가 종료되었다. 다음날 4월 19일 새벽부터 정식으로 1.18 패치가 배포되어 전세계 서버가 오픈되었고,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받을수 있게된다.[26][27] 상당한 버그와 화질 개선이 이루어졌고 현재 OS 에 맞춘 환경이 지원하는 패치가 이루어졌다. 목차 1 게임플레이 1.1 달라진 점 1.2 종족의 특성 1.2.1 테란(Terran) 1.2.2 저그(Zerg) 1.2.3 프로토스(Protoss) 1.3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 1.4 2가지 자원 2 멀티플레이어 2.1 래더 랭킹 시스템 2.2 서버 3 스타에디터 4 사용자 제작 지도 5 영향 5.1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 5.2 다른 매체 6 후속 작품 6.1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6.2 닌텐도 64판 6.3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6.4 스타크래프트 II 6.5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7 수상 8 기타 9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 10 같이 보기 11 주해 12 각주 13 외부 링크 게임플레이[편집] 《스타크래프트》의 기본적인 게임 전개는 플레이어가 자원을 모아 건물을 짓고 테크 트리를 발전시키며 유닛을 생산해 상대방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게임에 등장하는 자원에는 모든 종류의 생산 활동에 필수인 '광물'과, 고급 유닛이나 건물의 생산, 각종 업그레이드 연구 등에 사용되는 '베스핀 가스'가 있다. 자원은 종족 별로 존재하는 일꾼 유닛(테란의 ‘SCV’, 프로토스의 ‘프로브’, 저그의 ‘드론’)를 통해 채취할 수 있다. 베스핀 가스는 베스핀 간헐천 위에 가스 채집을 위한 건물을 건설해야 채취할 수 있다. 한 번씩 채취할 때 마다 8의 수치가 축적된다.[28][29][30] 게임에는 유닛의 생산을 한정 짓는 한계 수치가 존재한다. 이 한계 수치는 테란의 ‘서플라이 디포’와,[31] 프로토스의 ‘파일런’[32] 과 같은 지원 관장 건물을 건설해서 늘릴 수 있다. 저그의 경우 지원용 건물이 아니라 수송 유닛인 ‘오버로드’를 통해 한계 수치를 늘린다.[33] 기본적으로 최대 유닛 단위는 종족 당 200으로 한정되어 있다.하지만 프로토스의 다크 아칸을 사용할경우 200을 넘길 수는 있긴 하지만 그럴일은 딱히 없다 상대와의 전투에서 승리하려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적의 전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각종 업그레이드와 기지 확장을 통한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종족별로 저마다의 특징이 있어 그것이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34] 달라진 점[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의 또 다른 게임인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향상되었다. 워크래프트에서의 종족들은 특수능력과 업그레이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을 뿐 거의 성격이 같았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워 윈드에서 사용된 각 종족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방식을 사용해 워크래프트보다 향상된 완성도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세 종족은 저마다의 개성적인 일면을 가진다. 처음 발매될 당시에는 세 종족 간에 약간의 불균형이 있었지만, 확장 팩과 약 스무 번에 걸친 패치로 지금은 종족 간 균형이 비교적 잘 맞추어져 있다.[35] 블리자드에서 1998년에 출시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 팩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에서는 본편과 이어지는 캠페인과 함께 종족 별로 새로운 유닛들과 업그레이드들이 추가되었다. 종족의 특성[편집] 스타크래프트에는 테란, 저그, 프로토스 세 종족이 있다. 이 세 종족은 각자 특유한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테란(Terran)[편집] 테란은 인류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종족이다. 원래는 개발중이었던 게임 산산조각난 국가(Shattered Nations)[36]에 등장하려고 했으나 무기한 연기로 인하여 취소되어 이곳에서 테란이라는 종족으로 속한 것이다. 스토리에 의하면 서기 24세기 지구의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범죄자가 늘어나서 망할 지경에 지구는 강대국연합연맹(UPL)을 중심으로 뭉친다. 그들은 한 프로젝트를 계획하는데, 사형할 범죄자나 반정부인사, 복제인간 등을 4대의 우주선에 태워 지구에서 내보내는 것이였다. 이 중 세이렌고 호는 파괴되어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고, 남은 3대가 코프룰루 구역에 정착한 것이 테란의 시작이다. 건물은 건설 가능한 땅이 있으면 지을 수 있으며, 대다수는 공중에 띄울 수도 있다.[37] 다만 피해를 많이 입어 체력 게이지가 붉은색이 되었을 때에는 공격이 없어도 계속 손상되어 결국엔 파괴되기 때문에 재빨리 건설로봇으로 수리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저그의 디파일러가 사용하는 기술 '플레이그'에 약하다. 테란 유닛 하나하나는 비교적 약한 편이고, 대부분 이동속도가 느린 편이다. 크게 마린, 메딕, 파이어뱃, 고스트[38]등의 생체 유닛(일명 바이오닉 유닛)과 그 보다 생산시간이 길고 공격력이 강한 기계(일명 메카닉 유닛)유닛[39]으로 나뉘며, 기계 유닛이 많이 모일수록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게 된다. 대다수 유닛이 원거리 공격을 하기 때문에 컨트롤이 많이 필요하고, 따라서 손이 많이 가는 종족이다. 후반에 유령과 전투순양함 체제를 같이 쓰려면 과학 시설 건물을 두 개 지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테란의 건물과 유닛의 체력은 자동 회복이 불가능하지만 기계 유닛과 건물은 건설로봇의 수리로, 생체 유닛은 확장팩 추가 유닛인 메딕의 치료를 통해서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중재자의 '리콜' 기술이나 저그의 나이더스 커널 건물 같은 대규모 유닛을 순간적으로 이동·수송하는 방법이 테란에게는 없고, 지상방어의 측면에서는 저그의 지하 군체나 프로토스의 광자포 같은 구조물과는 다르게 테란은 방어 유닛을 생산하여 배치해야만 공격이 가능한 건물 '벙커'를 이용해야 한다. 테란이 다른 종족에 비해 월등히 강하다는 소리가 많지만, 테란도 약점에 잘못 걸리면 지는 종족이 되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그 일례로 테란은 세 종족 중 유닛과 건물의 체력이 가장 약한 종족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 회복,[40] 건물 수리 및 방해 스킬도 존재한다. 저그(Zerg)[편집] 영화 에일리언을 연상시키는 우주 괴물인 저그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프로토스의 창조주 젤나가가 프로토스의 실패를 바탕으로 창조한 종족이 저그이고, 개체 하나하나가 자아를 가지고 있는 프로토스와는 반대로 저그는 단 하나의 자아 의식을 가진 초월체(Overmind)를 중심으로 수많은 개체가 군단을 구성한다. 저그가 특정 지역에 정착하면 '점막'(크립)이라고 불리는 생체 물질이 주위 지면을 뒤덮는다. 저그는 이 점막 위에만 건물을 지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종족은 그 위에 건물을 지을 수 없다. 점막은 해처리와 같은 중앙 건물에 의해 최초 생성되고 점막 군체로 확장된다. 자원 수집 역할과 애벌레를 만들어 내 유닛을 생산하도록 하는 부화장의 시스템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이었다. 이것은 테란의 병영과 프로토스의 관문 같은 유닛 생산 건물이 따로 필요하다는 점과 매우 대조적이며, 저그는 다른 종족보다 더 속도감 있게 게임이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41]또한 처음에 오버로드라는 공중유닛이 주어지기 때문에 초반 정찰에 유용하다. 또한 테란 건설로봇의 건물 건설과 프로토스 탐사정의 건물 소환과 달리 저그의 일꾼 유닛인 일벌레는 자신이 건물로 직접 변태한다. 결국 건물 건설을 위해서는 일벌레 하나를 희생할 수 밖에 없다. 유닛 하나하나가 적은 체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약해서 쉽게 죽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시간이 짧아 빠르게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이동속도가 매우 빨라 기동성의 측면에서 타 종족에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체력이 자동으로 회복이 되는 특징도 있으나, 그 속도가 매우 느리다. 타 종족은 건물로 인구수를 충족시키는 반면 저그는 유닛인 대군주가 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격을 받아 죽는 경우에 인구수에 차질이 생긴다.[42] 테란의 전투순양함이나 프로토스의 우주모함만큼 막강한 유닛은 없지만 대신 유닛의 필요 인구수 수치가 낮아 개체수를 타 종족보다 가장 많이 운용할 수 있고, 테란과 프로토스에는 없는 0.5짜리 인구수 유닛[43](스커지, 저글링)도 저그에만 존재한다. 저그는 엄청난 물량으로 상대를 이기는 종족이다. 프로토스(Protoss)[편집] 소수 정예를 지향하는 외계종족 프로토스 역시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설정에 의하면 젤나가가 아이어에서 살고 있는 종족에서 '최초의 가능성'을 보았고, 이들에게 젤나가의 모든 것을 부여하여 탄생한 종족이 회복 기사, 암흑 기사는 체력도 회복 가능하다. 유닛의 기본능력(공격력, 방어력, 체력)이 매우 뛰어나서 강력한 편이지만, 생산 시간이 길고 가격이 비싸며 필요 될 수 있으며 기동성은 여러가지 이동 속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극복이 가능하다. 유닛 크기와 피해 형태[편집] 유닛 크기(Unit Size)와 피해 형태(Damage Type)는 서로 다른 유닛간의 강하고 약한 상성 관계를 설계하는 데 사용된 모델이다. 스타크래프트에 존재하는 모든 유닛은 대형, 소형, 중형 중 하나로 구분된다. 이들 구분은 유닛이 어떤 피해 형태를 가진 공격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한다.[44] 일반형 공격은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유닛에게 100% 피해를 준다. 진동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중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25%의 피해만을 준다. 폭발형 공격은 소형 유닛에게 50%의 피해만을, 중형 유닛에게 75%의 피해만을, 대형 유닛에게 100%의 피해를 준다.[44] 2가지 자원[편집]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광물(Minerals)과 베스핀 가스(Vespene Gas)라는 두 가지 형태의 자원을 지원함으로써 플레이어가 더욱 전략적인 선택을 할 수가 있게 되었다. 광물에 비해 베스핀 가스는 희소성도 있고, 노동력을 아무리 많이 투입해도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는다.[28] 보통 광물은 7~10 덩어리가 주어진다. 광물 하나를 채취하면 8씩 늘어난다. 여러 일꾼 유닛이 하나의 광물을 동시에 채취할 수는 없다. 대신에 자원 채취가 끝나면 다른 일꾼이 바로 달라붙어 자원을 캐므로 일꾼이 많을수록 자원채취의 공백이 안 생기므로 짧은 시간동안 많은 자원을 충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덩어리당 2.5기의 일꾼이 가장 적당하다고 한다. 그러니 너무 많으면 효율성도 떨어진다. 베스핀 가스와 마찬가지로 광물도 한계 지점이 있지만, 베스핀 가스가 자원 기지 당 1개소에서만 캘 수 있는 것에 비해서 여러 덩어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물을 모으는 일꾼 유닛이 많아질수록 단위시간당 채취 자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주해 3] 이와는 반대로 또 다른 자원인 베스핀 가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베스핀 가스 채취구에는 일꾼 유닛을 한번에 3기 까지(특정 방향은 4기) 배치하는 것이 가장 채취량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 이상 일꾼 유닛을 투입해도 채취량은 올라가지 않게끔 되어 있기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단위 시간당 채취량은 항상 일정하다. 게다가 베스핀 가스는 무한한 양을 채취할 수 있으나, 일정 정도 수집 후에는 채취 가능한 양이 8에서 2로 줄어든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베스핀 가스는 광물에 비해 항상 부족하다. 때문에 베스핀 가스의 채취량을 늘리려면 베스핀 가스 채취구가 있는 자원 기지를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더욱이 게임에 등장하는 강력한 고급 유닛들은 대부분 많은 베스핀 가스를 필요로 한다.[28] 멀티플레이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이밍 서비스인 배틀넷을 통해 멀티플레이어 게임을 할 수 있다. 한 게임에서 최대 여덟 명이 동시에 플레이할 수 있고, 사람 대신 컴퓨터 플레이어를 인원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플레이어 간에 동맹을 맺어 협동 플레이도 가능하며, 한 쪽의 숫자가 부족한 핸디캡 경기를 가질 수도 있다. 배틀넷에서 유즈 맵 세팅 을 제외한 모든 게임은 조기에 게임이 종료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승/패가 기록으로서 남게 되는데, 간혹 네트워크 연결상의 문제로 게임이 종료되면 DISC(Disconnected)로 표시될 수 있다. 《스타크래프트》 역시 배틀넷 상에서 편법적인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해킹 프로그램이 존재하는데, 블리자드는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를 발견하면 자사의 모든 배틀넷 망으로부터 그들의 접근을 차단한다.[45] 래더 랭킹 시스템[편집] 밀리 게임은 랭킹에 기록되는 게임으로, 인증 받은 전용 맵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다. 공정한 게임을 위해 해킹 방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게임이 별개의 서버에서 벌어지기도 한다. '무한 맵' 등 인증되지 않은 맵으로는 밀리 게임을 할 수 없다. 사용자들의 실력을 고려하여 공정하고 편리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았다. 스타크래프트 밀리 랭킹 시스템은 발매 초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였으며 밀리 랭킹 시스템을 이용한 대회 진행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4년 1월에 래더 랭킹 시스템을 폐지하였다.[46] 2017년 8월 15일에 출시 된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에서 새로워진 레더 랭킹 시스템이 개선되었고, 전국 PC방의 순위도 기록하게되는 전용 레더 랭킹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1.19패치에서도 적용되었다. 서버[편집] 스타크래프트 멀티플레이어 시스템을 배틀넷이라고 하며 배틀넷 서버는 공식적으로 Asia, US East, US West, Europe 4개 서버가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사설서버인 Fish 서버와 Brain 서버가 있다. 사용자는 사설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레지스트리 설정을 수정해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1.18 패치가 이루어 지면서 사설 서버였던 피쉬 서버가 레지스트리 설정 없이 자동으로 등록되었다. 1.19패치 이후로 아시아 서버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져 대한민국 플레이어를 위한 Korea 서버와 일본/중국/대만 등 기타 아시아 국가를 위한 Asia 서버로 분리되었다.[47] 따라서 2017년에 이르러 접속 가능한 배틀넷 서버는 U.S. West, U.S. East, Europe, Korea, Asia, Fish (Korea) 6개 서버가 있다. 그러나 피쉬커뮤니케이션측은 10월 1일부터 서비스 종료되어 서버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스타에디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에디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에디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게임 내 탑재된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Campagin Editor)가 있다. 많은 초보 맵 개발자가 사용하지만 기능의 한계를 문제로 이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은 세디터(SSEditor), 스타포지(Star Forge) 등의 고급에디터를 많이 사용한다. 리마스터 발매 이후 역언덕, 넓은 언덕 등이 기본 에디터에 내장되었고, 여러 기능의 추가로 고급에디터를 굳이 설치하지 않고도 어느 정도 쓸만한 수준으로 기본 에디터가 발전했다. 사용자 제작 지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제작 지도입니다. 스타에디트(StarEdit)라는 스타크래프트와 같이 설치되는 맵을 만들거나 편집할 수 있는 도구로 트리거(Trigger)라는 개념을 통해 특정한 논리를 사용자 맵 내에 삽입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스타크래프트의 멀티플레이 네트워크의 명칭인 배틀넷에서는 본래의 스타크래프트 게임과는 관계 없는 '유즈 맵 세팅(Use Map Settings)' 이라는 별개의 게임이 성행한다. 이들 게임은 유닛의 이름, 속도, 공격력, 방어력, 체력, 생산비용, 생산시간, 업그레이드 시간, 보유 에너지량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영향[편집] 대한민국에서의 성공과 영향[편집]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출시된 오래된 게임이지만, 2016년까지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게임의 하나로 꼽혔다.[48][49] 또한 《스타크래프트》는 대한민국에 PC방을 퍼뜨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0] 프로게이머들이 경기하는 모습이 MBC 게임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1998년 7월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인 KPGL이 개최되었으며, 1999년 4월 KPGL과 PKO의 양대 리그가 성립되었다. 이를 계기로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하였다. 이를 계승한 온게임넷과 MBC 게임은 2011년까지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명맥을 이어나갔다.[51] 2002년부터는 스타리그의 프로게이머 중에서는 연봉이 2억이 넘는 선수가 최초로 생겼고, 기업들의 광고와 후원도 많아졌다. 2004년 7월 SKY 프로 리그 2004 결승전에서는 10만 명의 관중이 모여 그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52] 2000년대 초반에는 수많은 RTS 게임들이 스타크래프트를 누르기 위해 도전했으나 그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를 기록했다.[53][54] 다른 매체[편집] 《스타크래프트》는 그 설정과 줄거리, 인물 등을 활용한 공식 소설과 전자책으로도 출판되었다. 스타크래프트: 업 라이징 (2000년) ISBN 00005AS12 (전자책으로만 출시) 스타크래프트: 리버티스 크루세이드 (2001년) ISBN 0-671-04148-7 소설 스타크래프트 1 : 자유의 십자군 (2002년) ISBN 89-8273-393-0 스타크래프트: 젤'나가의 그림자 (2001년) ISBN 0-671-04149-5 소설 스타크래프트 2 : 젤'나가의 그림자 (2003년) ISBN 89-8273-394-9 스타크래프트: 어둠의 속도 (2002년) ISBN 0-671-04150-9 스타크래프트: 칼의 여왕 (2006년 6월) ISBN 0-7434-7133-4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노바 (2006년 12월) ISBN 0-7434-7134-2 스타크래프트 II: 천국의 악마들 스타크래프트 에쒸비 (2005~2009) 오현석 또한 만화가 김성모가 스타크래프트라는 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고[55], 이 작품으로 인해 인터넷에서 드라군 놀이가 유행하였다. 2000년 경에는 신해철, 허니패밀리, 남궁연 등이 참여해서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한 옴니버스 음반이 나오기도 하였다. 게다가 스프라이트를 이용하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 부터 공인받아 제작한 E스포츠 만화《스타크래프트 에쒸비》를 출판하기도 하였다. 스타크래프트 마지막 이야기 (2018) 게다가 과거에는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 한 식품 상품으로 출시된 적이 있었다. 《스타크래프트 음료》(제일제당) - 스티커가 동봉된 제품뿐만 아니라 캔라벨에 보면 유닛 정보가 쓰여있다. 《스타크 빵》(기린식품) - 스티커가 들어있는 제품으로 알려져있다. 《스타크래프트》(오리온) - 뿐만 아니라 치토스, 엑서스, 썬칩, 트라가트라가 에서도 스타크래프트를 소재로된 따조와 열쇠고리 형태의 텍도 들어있었다.[56] 후속 작품[편집]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종족 전쟁》은 1998년에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발표된 스타크래프트의 확장팩이다. 이 확장 팩에서는 새로운 캠페인과 각각의 종족에 대해 두 개의 유닛, 새 음악, 새 특수능력과 기술이 추가되었다. 캠페인은 원래 스타크래프트의 이야기, 즉 초월체가 프로토스의 태사다르에 의해 파괴당하고, 프로토스는 저그의 공격을 피해 아이어를 떠나는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닌텐도 64판[편집] 2000년 6월 16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매스 미디어가 《스타크래프트》를 닌텐도 64로 이식한 《스타크래프트 64》를 공동 개발해 닌텐도를 통해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PC용 원작과 그 확장 팩인 〈브루드워〉의 모든 맵을 담았고, 이 게임에서만 가능한 미션과 튜토리얼, 숨겨진 미션인 'Resurrection IV'도 추가되었다.[10] 또한 온라인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지원하지 않는 대신, 화면 분할 방식의 멀티 플레이어 기능이 포함되었다.[57] 추가적으로, 온라인 멀티플레이 기능을 본판보다 줄였고 미션 브리핑과 컷씬도 줄였다.[10] Resurrection IV은 저그에게 납치되었던 지구에서 온 인물 알렉세이 스투코프를 짐 레이너가 구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브루드 워 미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닌텐도 64 익스팬션 팩을 필요로 한다.[58] 본래에는 플레이스테이션으로 개발할 예정이였으나 대신 닌텐도 64로 개발되었다.[59] 닌텐도 64판은 컨트롤러 중앙에 있는 아날로그 스틱을 이용해서 커서를 조작하는데, 이 방식이 마우스에 비해 불편했고, 온라인 기능이 없다는 점 때문에 PC판보다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60][61] 스타크래프트: 고스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입니다.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영어: StarCraft: Ghost)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였던 1인칭 슈팅 게임으로, 스타크래프트의 설정을 기반으로 한다. 블리자드는 이 게임을 2002년에 발표했지만, 2006년 3월 24일 게임의 개발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62] 그리고 곧 블리자드는 개발 중인 게임 목록에서 이 게임을 지웠고, 웹페이지도 삭제했다. 주인공으로 설정된 여성 유령요원 노바는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 나온다. 스타크래프트 II[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II입니다. 《스타크래프트 II》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공식적인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으로 개발한 PC 게임으로, 2007년 5월 19일 서울에서 개최된 2007 블리자드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WWI; World Wide Invitational)에서 스타크래프트2 중 프로토스가 공개되었다. 마침내 2010년 7월 27일 정식 출시가 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 9월 18일을 기준으로 오픈베타가 끝나고,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3년 3월 12일 확장팩인 군단의 심장이 출시되고, 2015년 11월 10일 두 번째이자 마지막 확장팩인 공허의 유산이 출시되었다. 이후 DLC로 노바의 비밀작전이 출시되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입니다.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영어: StarCraft: Remastered)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1년 6개월동안의 비밀 리마스터 작업 끝에 2017년 3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이 러브 스타크래프트 행사에서 중대 발표를 통해 세계최초로 공개되었다. 기존작과 달리 SD 스프라이트가 HD 스프라이트로 전환하게 되었고, 16:9 HD와 4K UHD까지 지원한다. 한국어를 포함한 13개국 언어를 지원하고 클래식 베틀넷 계정과 현재의 베틀넷 계정까지 연동이 가능하다. 기존 스타크래프트 엔솔로지는 무료로 배포되며, 리마스터 업그레이드판은 유료로 2017년 8월 15일에 출시되었다. 수상[편집] 다음은 《스타크래프트》가 세계 게임 매체들로부터 상을 받고 평가받은 내역이다. 대표적인 수상 실적만 표기하였으며 전체 수상 내역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수상 목록 페이지에 정리되어 있다.[21]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5년 IGN (콘솔게임을 포함한 결과로, PC 게임만 보면 3위를 기록했다.)[63] 역사상 최고의 게임 100선 중 7위 - 2003년 IGN.[64] 모든 실시간 전략 게임의 표준 - 게임스팟 제공: 역대 최고의 게임들.[65] 1998년 가장 많이 팔린 게임 - PC데이터[17] 기타[편집] 스타크래프트가 1.12 버전으로 패치된 이후 자체적으로 게임 내에서 한글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종전까지는 배틀넷에서만 한글을 사용할 수 있었고 그 외의 화면에서는 한글을 사용하면 서유럽 문자의 이상한 배열로 바뀌는 현상이 있었다. 또, 한글을 자체적으로 지원하지 않았을 때에는 ‘한스타’라는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었다. 한스타는 스타크래프트에서 한글을 표시할 수 있게 해 주고 유닛의 이름이나 메시지 등을 모두 한국어로 번역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스타크래프트는 몇 가지 버그가 있었지만 일부 수정되었다. 2009년부터 8년간 1.16.1 버전을 유지하였으며,[66] 2017년 4월 부터 현재 환경에 맞춰진 1.18 패치가 이루어졌다. 스타크래프트는 클래식 배틀넷 게임으로서 계정을 무한정 생성 가능하였지만 일정기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삭제되었다. 그러나 1.19 패치 이후부터, 멀티플레이어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블리자드 계정이 필요하며, 각 서버당 3개의 배틀넷 계정만을 생성하도록 변경되었다.[67] 블리자드의 저작권 논란[편집] 대한민국 내에서 열리는 스타크래프트 관련 경기 대회는 다른 국가에서는 블리자드가 직접 대회를 주관한 것과는 달리 대한민국 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한 것으로, 블리자드는 이것을 문제삼아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에 지적재산권 보상을 요구해왔으나 e-스포츠협회와 대회 중계방송사 측은 거절하였으며 대회 진행을 강행했다.[68][69]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측은 "다만 비영리 게임대회에 대해서는 지적저작권 보상을 요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고[68] 결국 블리자드는 2010년 10월 28일 서울지방법원에 MBC플러스미디어(MBC GAME)에 대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다. 이후 다음해에 블리자드가 소송을 취하하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저작권 논란은 일단락되었다.[70] 이어 11월 3일에는 온미디어(현CJ E&M)(온게임넷)를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71] 같이 보기[편집] 위키책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ASL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인물 목록 스타크래프트의 종족 스타크래프트2 스타에디트 스타리그 MSL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배틀넷 e스포츠 PC 게임 주해[편집] ↑ 1998년 4월 9일 대한민국에서 스타크래프트가 패키지 게임으로 발매되었을 때 동봉된 매뉴얼에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이 한국어로 완역되었다. 하지만 이 명칭은 실제 사용자와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그동안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와 게임리그 산업은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유닛과 건물을 불렀다. 하지만 이것은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과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사 게임을 현지화할 때, 게임 세계 속의 일반 명사는 현지 언어로 완역하는 정책을 천명하였다. 이 정책에 따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현재 한국어로 완역되어 서비스하고 있으며, 스타크래프트의 후속작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에서는 모든 유닛 및 건물 명칭(영웅, 일부 유닛 제외)을 모두 한국어 어휘로 번역했다. (예: 해처리 → 부화장, SCV → 건설로봇) 그리고 현 시점까지 출시한 스타크래프트2의 정보를 살펴보면, 전작인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했던 유닛과 건물의 명칭에도 이 정책이 소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 유닛과 건물 명칭은 오랫동안 현지 발음을 기준으로 한 명칭을 고수하고 있었기 때문에 혼란이 있다는 프로게임 산업의 지적이 있었으며“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이 건에 대하여 현재까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의 공식 입장은 발표된 바 없다. 현재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는 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 문서에서는 유닛과 건물의 명칭을 표기할 때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사용되는 통칭명을 사용하고, 옆에 스타크래프트 사용자 설명서에 나온 이름과 한국어 뜻을 달아 놓았다. ↑ 게임 자체에는 아무런 수정이 가해지지 않았으나, 매뉴얼의 경우는 한국어 번역이 이루어졌다. ↑ 일반적으로 게임 중 경기자는 계속해서 일꾼 유닛을 생산하므로 결과적으로 단위시간당 채취량은 2차 함수의 모양이 된다. 즉, 경기자는 일꾼 유닛을 계속 생산하는 방법을 통해 광물의 단위시간당 채취량을 늘릴 수 있다. 각주[편집] ↑ “StarCraft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64 Reviews”. GameRankings. 2011년 4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StarCraft: PC 1998 Reviews”. Metacritic. 2010년 8월 18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StarCraft N64 2000 Reviews”. Metacritic. 2010년 12월 31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House, Michael L. “StarCraft: Review”. Allgame. April 13, 2009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pril 18, 2008에 확인함.  ↑ Olafson, Peter (2000년 11월 24일). “Review: StarCraft for PC”. GamePro. 2008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Review: StarCraft for N64”. GamePro. 1999년 11월 24일. 2009년 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olin (April 1998). “StarCraft Review”. Game Revolution. 2016년 3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Dulin, Ron (1998년 4월 15일). “StarCraft for PC Review”. GameSpot. 2013년 11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Fielder, Joe (2000년 6월 12일). “StarCraft 64 for Nintendo 64 Review”. GameSpot. 2015년 11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0일에 확인함.  ↑ Chick, Tom (June 2, 2000). “StarCraft”. IGN. February 23,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6, 2016에 확인함.  ↑ Boulding, Aaron (2000년 6월 9일). “StarCraft 64 Review”.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review”. PC Zone. 2001년 8월 13일. 2011년 4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GameSpot. 1998. 2006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Developer Awards”. Blizzard Entertainment. 2006년 1월 1일. 2006년 8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19일에 확인함.  ↑ “화려해진 3D 그래픽… ‘스타2’ 어떻게 달라졌나”.  ↑ 가 나 “Starcraft Named #1 Seller in 1998” (영어). IGN. 1999년 1월 20일.  ↑ “STARCRAFT® II UNVEILED - 블리자드 보도 자료” (영어). Blizzard. 2007년 8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19일에 확인함.  ↑ Kris Graft (2009년 2월 12일). “Blizzard Confirms One "Frontline Release" for '09”. Edge. 2009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The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and Design” (영어). Game Manufacterers Association. 2007년 10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Blizzard Deveolper Awards” (영어).  ↑ “블리자드 "스타2 운영 한국법인이 맡을것"”.  ↑ “e스포츠 살릴 `포스트 스타` 나올까”. 디지털타임스.  ↑ LG소프트는 추후 LG계열에서 분리하여 한빛소프트로 이름을 바꾼다. “한빛소프트, KTIC 등서 116억 투자유치”. 매일경제.  ↑ “‘I <3 StarCraft’ 이벤트에 커뮤니티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스타크래프트2 홈페이지》. 2017년 3월 18일.  ↑ “고전 명작 ‘스타크래프트’, 무료 다운로드 시작”. 《블로터》. 2017년 4월 19일.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1.18 패치 노트”.  ↑ 가 나 다 “General Strategy: Resource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30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그러나 간혈지의 자원이 떨어졌을 시 자원이 2씩 채취된다. ↑ 미네랄이 모두 채취되였을 시 미네랄더미는 사라진다. ↑ “Terran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Protoss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Zerg Basics”. 《Battle.ne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Protoss Conclave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StarCraft”.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8년 1월 16일.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취소된 게임의 트레일러 스크린샷중에 등장했던 대표 유닛이 골리앗이었다. 또한 그것을 기반으로 제작한것이 시발점이었다. ↑ 서플라이 디팟, 가스 정제소, 미사일 터렛, 아카데미, 벙커, 아머리와 부속 건물을 제외한 모든 건물(커멘드 센터, 배럭, 엔지니어링 베이, 팩토리, 스타포트, 사이언스)은 띄워서 옮길 수 있으며 다른 곳에 정착할 수도 있다. ↑ 해병, 의무관, 화염방사병, 유령 ↑ 벌쳐, 탱크, 골리앗, scv, 마인, 발키리, 배틀크루저 등등 ↑ scv의 경우 건물을 수리할 수 있고 메딕은 생체 유닛을, 메딕의 특수 기술인 레스토레이션(restoration)을 이용하면 락다운과 같은 특수 기술도 해제할 수 있다. ↑ Kasavin, Greg. “StarCraft Strategy Guide: The Zerg Swarm - Units and Structures”. GameSpot.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저그는 인구수가 '지배력'으로 묘사되는데, 대군주가 군단을 지휘하는 역할을 한다는 설정이 반영되어 오버로드에 인구 충족 능력이 주어진 것이다. ↑ 한 번 만들면 인구수 1을 할당하지만 완성될 때 2기가 만들어진다. ↑ 가 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General Strategy - Damage types and Unit types” (영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2007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Blizzard Support” (영어). Blizzard. 2008년 4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2007WWI, 세계최강 프로게이머들이 한자리에!,게임동아 ↑ “기존 “Asia” 게이트웨이의 이름이 “Korea” 게이트웨이로 변경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최승진. “스타크래프트2, ‘스타’ 넘어야 경쟁력 생긴다”. 게임조선.  ↑ “게임차트 게임 주간 순위”. 게임차트. 2011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이 순위는 언제든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최세헌. “약방엔 감초 PC방엔 스타크”. 부산일보. 2008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이택수. “게임세상 혁명 꿈꾸는 신인류”. 디지털타임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택수. “에버 스타 리그 8강전 부산 경성대서 열려”. 디지털타임스.  ↑ 전형철 (2003년 4월 1일). “〈스타크로 혼동되는 이라크전〉 이라크에 SCV·메딕 파병?”. 스포테인먼트.  ↑ 배문숙 (2006년 8월 7일). “아리송한 10대 외계어 삐삐 숫자전송이 시초”. 중도일보.  ↑ 블리자드에서 공식 라이센스를 받아 제작한것이며 그 당시에 만화에 내용에는 폭력 및 잔혹성으로 인해 성인만화로 등급을 받은적 있었다. 또한 블리자드 본사에서 보존되어있다. ↑ 그러나 블리자드측과의 소송에서 따조 및 텍을 제외한 스타크래프트라는 명으로 된 스낵을 판매금지하거나 상표 무효라는 명령을 받게되었다. ↑ “StarCraft 64 Preview”. IGN. 2000년 6월 8일. 201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Needs Some Expansion”. IGN. 1999년 11월 16일. 2016년 3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StarCraft on PlayStation?”. IGN. 1998년 4월 6일. 2015년 1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16일에 확인함.  ↑ Joe Fielder. “StarCraft64 Review” (영어). Gamespot.  ↑ Ron Dulin. “StarCraft Review” (영어). Gamespot.  ↑ GameSpy: Blizzard Postpones StarCraft: Ghost Indefinitely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2월 11일에 확인함.  ↑ “IGN's Top 100 Games of All Time” (영어). IGN. 2010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2월 2일에 확인함.  ↑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영어). Gamespot.  ↑ e스포츠,스타크래프트 해처리 버그, '확~' 줄어든다, 스포츠서울 ↑ “스타크래프트 1.19 패치가 적용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일반토론장》. 2017년 7월 25일. 2017년 8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스타크래프트, 한-미간 저작권 분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내일신문, 2010년 10월 28일 ↑ 한국e스포츠협회, 스타 리그 ‘강행’…블리자드 저작권 무시? 지디넷코리아, 2010년 10월 13일 ↑ 스타크래프트 저작권, 소송으로 비화 경향신문, 2010년 11월 1일 ↑ 곰TV·블리자드, 온게임넷 상대로 소송…스타크래프트 저작권침해 등 DIP통신, 2010년 11월 4일 외부 링크[편집] 비디오 게임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스타크래프트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스타크래프트 클래식 배틀넷 - StarCraft Compendium 스타크래프트 위키 vdeh스타크래프트컴퓨터 게임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리마스터 파생 작품 고스트)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보드 게임 스타크래프트 어드벤처 구성 세계관 등장인물 종족 관련 스타크래프트 캠페인 에디터 MPQ 배틀넷 vdeh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워크래프트 시리즈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워크래프트 II: 어둠의 물결 (어둠의 문을 넘어서) 워크래프트 III: 혼돈의 시대 (얼어붙은 왕좌)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확장팩 (불타는 성전, 리치 왕의 분노, 대격변, 판다리아의 안개,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군단, 격전의 아제로스) 하스스톤 하스스톤 (고블린 대 노움, 대 마상시합, 고대 신의 속삭임) 디아블로 시리즈 디아블로 디아블로 II (파괴의 군주) 디아블로 III (영혼을 거두는 자)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고스트, 리마스터)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군단의 심장, 공허의 유산, 노바 비밀작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오버워치 오버워치 다른 게임들 길 잃은 바이킹 슈퍼맨의 죽음과 귀환 로큰콜 레이싱 블랙쏜 저스티스 리그 태스크 포스 기타 액티비전 블리자드 배틀넷 블리즈컨 월드와이드 인비테이셔널 MPQ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타크래프트&oldid=24217821" 분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게임1998년 비디오 게임스타크래프트실시간 전략 게임윈도우 게임E스포츠 게임매킨토시 게임닌텐도 64 게임다중 사용자 온라인 게임SF 게임비디오 게임 시리즈미국의 비디오 게임영어 비디오 게임독일어 비디오 게임일본어 비디오 게임이탈리아어 비디오 게임MacOS 게임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단일 플랫폼 모드로 비디오 게임 평점 틀을 사용하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Kurdî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4일 (화) 0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일리걸리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리걸리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나키즘 역사 및 상징 스페인 분리주의 혁명(1873) 미국 헤이마켓 사건(1886) 바르셀로나 비극의 열흘(1909) 멕시코 혁명(1910)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반란(1920) 러시아 크론시타트 반란(1921) 스페인 제2공화국(1931) 스페인 내전(1936)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 프랑스 68혁명(1968) 로마 국제회의 국제 아나키스트 암스테르담 회의 행덕사건 16 인권 선언 자유영역분쟁 아마카스 사건 붉은 역삼각 프로보 전선 WTO시위 베트남 전쟁 반전시위 관련 분파 사회적 아나키즘 정강주의 반역 아나키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상호주의적 아나키즘 환경주의적 아나키즘 실존주의적 아나키즘 여성주의적 아나키즘 초월주의적 아나키즘 인식론적 아나키즘 크립토 아나키즘 기독교 아나키즘 불교 아나키즘 민족아나키즘 아나르코자본주의 아나코-코뮤니즘 아나코 신디칼리즘 퀴어 아나키즘 포스트 레프트 아나키 관계 개념 무신론 고전적 반국가주의 어피너티 그룹 직접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 반권위주의 반자본주의 탈민족주의 반제국주의 후기구조주의 국제주의 반전주의 불법주의 상호주의 수평주의 이성주의 평화주의 반파시즘 반파쇼 자유연합론 양심적 병역 거부 무정부·무군대 예시적 정치 자생적 질서 계급 투쟁 자유사상 자유연애 불가지론 이신론 반신론 회의론 니힐리즘 실존주의 인본주의 시민 불복종 직접행동 노동조합 협동조합 스쾃 파업 불매동맹 포스트모더니즘 다다이즘 사이버펑크 P2P 핵티비즘 자연법 실정법 일리걸리즘 개인주의 자기소유권 관련 텍스트 《조선혁명선언》 《허무당선언》 《사이버스페이스 독립선언문》 《카탈로니아 찬가》 《정치적 정의와 그것이 일반미덕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고찰》 《재산이란 무엇인가》 《경제적 여러 모순의 체계》 《노동자계급의 정치적 능력에대해서》 《근대과학과 아나키즘》 《국가와 무정부》 《신과 국가》 《상호부조론》 《이 책을 훔쳐라》 국제 조직 제1인터네셔널 국제 여단 국제노동자협회 (1992년) 청년국제당 세계산업노동자연맹 전국노동자연합 아나키스트 블랙 크로스 과거 국내 조직 의열단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이천자유회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조선자유노동자조합 조선인신진회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 조선동흥노동동맹 조선노동동흥회 함흠정진청년회 선구독서회 진우연맹 본능아연맹 우리계 다물단 불령사 흑색청년자유연합회 흑로회 흑색공포단 흑전사 흑도회 흑기연맹 흑우연맹 관련 인터넷 조직 Anarkismo.net 코피미즘 선교 교회 스웨덴 해적당 독일 해적당 해적당 인터네셔널 파이러트베이 어나니머스 관련 목록 아나키스트들의 상징 아나코 펑크 밴드 아나키스트 커뮤니티 아나키스트 소설 유대인 아나키스트 러시아 아나키스트 아나키스트 음악가 아나키스트 조직 아나키스트 간행물 아나키스트 시인 아나키스트 영화 관련 경제 산업 혁명 경제 불균형 카르텔 석유 노동가치설 자본론 21세기 자본 제국주의론 자본축적론 기본소득 은 본위제 금 본위제 검은 목요일 브레튼 우즈 체제 스미소니언 협정 킹스턴 체제 변동 환율제 신자유주의 빈곤 노동 빈곤층 모기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유럽 국가부채위기 신용파산스왑 중앙은행 본원통화 통화승수 연방준비제도 지급준비제도 전자화폐 비트코인 관련 인물 고드윈 프루동 크로포트킨 바쿠닌 말라테스타 쿠르베 골드만 버크만 소로 소렐 마흐노 두루티 톨스토이 오웰 파이어아벤트 슈티르너 렌조 노바토레 촘스키 터커 몬슨 푸코 워드 카밀로 촐고츠 호프만 루빈 북친 후미코 슈스이 사카에 김원봉 하기락 백정기 신채호 이회영 이규창 유림 유자명 정화암 김산 홍형의 김종진 원심창 오면직 황상규 박열 나월환 조약골 v • d • e • h 일리걸리즘(illegalism)이란 1900년대 초기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그리고 스위스 등지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에서 파생된 철학이자 전술이다.[1][2] 일리걸리스트들은 공공연히 라이프 스타일로서 범죄를 포용했다. 목차 1 등장 2 비판 3 영향 4 인용문 5 같이 보기 6 참조 7 더 읽을거리 등장[편집] 1890년대 유럽에서 라바콜, 에밀 앙리, 오귀스트 바이양 그리고 카세리오 같은 이들이 아나키즘의 이름으로 대담한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하는데 이는 이후 행위의 프로간다라고 알려지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속에서 일리걸리즘이 싹트기 시작한다. 일리걸리스트들은 막스 슈티르너의 에고이즘에 영향을 받았는데[3], 이전 운동에서 이들과 유사한 전술인 개인의 수복이라는 이론으로 도둑질을 정당화 했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클레망 뒤발이나 마리우스 자코브 같은 이들과는 한가지 다른 지점이 있다. 일리걸리스트들은 자신의 행위에서 모든 도덕적 기반을 버리고, 즉 어떠한 신성한 이름으로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순수한 욕망을 실현하는 행위를 추구했다. 파리에서 이러한 환경은 알베르 리베르타드와 그의 동료들이 설립한 주간지 en:L’Anarchie와 Causeries Populaires를 중심으로 형성(매주 수도 주변의 여러 장소에서 정기적인 미팅이 열렸었다.) 되었다.[4] L’Anarchie, January 3, 1907 피터 크로포트킨을 비롯한 여러 아나키스트들이 그들의 초기 의구심[5] 이후 노동조합에 들어가기로 결정한 것과 달리, 프랑스의 세바스티앙 포르의 Le Libertaire라는 신문을[6] 중심으로 많은 '반생디칼리즘적 아나코 코뮤니스트'들이 남았다. 러시아에선 1905년 이후, 그러한 '반생디칼리즘적 아나코 코뮤니스트'들은 경제적 테러리스트이자 위법적 수용자가 된다."[5] 일리걸리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 안에서 실천 됐다고 분석 된다. "아나키스트 폭탄마와 아나키스트 암살자들(행위의 프로간다) 그리고 아나키스트 강도들은(개인의 수복) 그들의 절망감과 견딜 수 없는 사회에 대한 반감을 폭력적으로 표현했다. 그들은 분명히 반란으로 초대받을 운명이었다.[7] 그러나 좀 더 덜 드라마틱하게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서 그 용어는 법에 의해 금지된 경제적 문제의 유용한 해결책을 의미했다. 많은 이들이 그들의 활동 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강도, 도둑질, 밀수, 그리고 위조등을 행했다."[8] 개인에 의한 그러한 반란 행위 들은[7] 장기적으로 봤을 때 대규모 봉기를 자극하여 혁명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전술의 활동가와 지지자들은 대표적으로 요한 모스트, 루이지 갈레아니 빅토르 세르주 그리고 세베리노 디 조반니 같은 이들이 있었다. "아르헨티나에서 이러한 경향은 극심한 억압이 있었으면서도 한번 강력한 노동 운동이 움찔거렸던 1920년대 말에서 30년대 동안 번성했다. 비록 절망적이었지만, 쇠락하는 운동의 영웅적인 몸부림이었다."[9] 보노갱단의 캐리컬쳐1911년에서 1912년 사이, 벨 에포크 시대에 프랑스와 벨기에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보노 갱단은 일리걸리즘을 포용한 가장 유명한 이들이었다. 갱단은 자신을 일리걸리스트로 규정한 이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당시 프랑스 경찰조차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첨단 기술이었던, 자동차와 연발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본래 이들은 언론에 의하여 단순히 "The Auto Bandits"라 불렸지만, 쥘 보노가 당시 인기있던 일간지인 Petit Parisien와 인터뷰를 하게된 이후 "보노 갱단"이라 불리게 된다. 비판[편집] 일리걸리즘에 대한 옹호는 아나키즘 전류 내에서 엄청난 논쟁을 유발했으며, 특히 개인에 의한 반란 행위보다 노동투쟁을 중시하는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 과의 많은 격론이 있었다. 또한 많은 사회주의자들은 일리걸리즘이 니힐리즘이라고 비판했다. 한때 열렬한 일리걸리즘의 옹호자이자, 보노 갱단을 숨겨준 죄로 체포되어 5년동안 수감된 적이 있었던 빅토르 세르주는 이후 일리걸리즘 비판자가 된다. 그는 그의 자서전인 '한 혁명가의 회고록(Memoirs of a Revolutionary)'에서 일리걸리즘을 "집단적 자살행위"라고 비판했다.[10] 비슷하게 마리우스 자코브 1948년 일리걸리즘에 대한 회의를 표명했다.[11] 영향[편집] 일리걸리즘은 오늘날 반란적 아나키즘과 포스트-레프트 아나키즘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요망고라는 캠페인이 등장 했는데, 여기에서는 개인의 수복이 업데이트된 형태로서 들치기(shoplifting)[12] 을 옹호한다. 호르스트 판타치니는 (1939 3월 4일 - 2001년 12월 24일)[13] 이탈리아계 독일인이자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였는데,[14] 2001년 그가 죽을때 까지 라이프 스타일로서 일리걸리즘을 추구했다. 그는 이탈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의 은행 강도 행위로 미디어의 악명을 얻었다.[13] 1999년 그의 삶을 다룬 Ormai è fatta!라는 영화가 나오기도 했다.[15] 인용문[편집] “ 혁명가는 궁극적으로 일리걸리스트다. 언제나 법의 적합성에 맞춰 행동하는 자는, 기껏해야 잘 길들여진 짐승일 뿐이며 결코 혁명가가 될 수 없다. 법이 곪아감에 따라 혁명이 태어난다. 법을 존중하면서 혁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기이자 모순이다. 자유를 갈망하는 이에게 법은 멍에이며, 자유롭고 싶다면 누구나 그것을 깨부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법이 우리를 강탈해간 주인들에게서 부를 되찾는 것을 금지하며 그들을 보호할 뿐인 곳에서 법적인 수단을 통해 노동자의 해방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는 사기꾼일 뿐이다. 그들에 대한 수용은 인류의 해방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어야 한다. 그러한 목적에 있어서 법은 장벽이며, 우리는 이 장벽과 함께 해방될 수 없을 것이다. 인류가 쟁취한 모든 자유는 법을 뛰어넘어 그들을 타도한 일리걸리스트들의 작품이었다. 폭군이 칼에 찔리고, 죽어나갔다. 이는 어떠한 법률이나 합법적인 수단으로도 불가능했을 일이었을 것이다. 수용은 법에 복종하는 것이 아닌, 그것을 부수어 버릴 때만이 가능하다. 이것이 혁명가이고자 한다면 일리걸리스트가 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오래된 길에서 벗어나 범죄에 대한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   — 리카르도 플로레스 마곤[16] “ 이 사회에서는 경찰과 그들의 보스들을 제외 한다면 모두가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되며, 끊임 없이 감시되고 모든 움직임이 기록되며 통제되는 장소가 있다. 나는 물론 감옥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러나 점점 더 빠른 속도로 이 묘사는 더 많은 공적인 공간에 적합하게 될것이다. 쇼핑몰과 주요 도시의 비즈니스 구역은 CCTV의 감시하에 있다. 무장한 경비원은 학교 도서관 병원 및 박물관을 순찰한다. 공항과 버스 정류장에서 우리는 검색 대상이다. 경찰의 헬리콥터는 도시뿐만 아니라 심지어 범죄를 찾기위해 숲 위를 넘어 비행한다. 경찰의 방법론인 투옥이라는 방법론은 점차 사회 전체에 적용되고 있다. 이 과정은 공포를 통해 부과되며 당국은 우리를 범죄자, 테러리스트, 약물과 폭력으로 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이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두려움이 가득한 순간마다 우리를 위협하는 이 괴물들인 테러리스트들과 범죄자들은 누구인가? 잠시 신중하게 고려하면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이 세상의 통치자들의 눈에서 우리는 적어도 잠재적인 괴물이며 테러리스트이자 범죄자이다. 결국 그들이 단속하고 감시하는 자는 우리들이다. CCTV로 감시되며 버스 정류장에서 검색 대상이 되는 것은 바로 우리들이다. 이러한 일들에 사람들이 너무도 명확하게 눈이 멀어버린 다는 사실을 의아해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공포는 사회 규칙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심지어 우리가 간청하게 하여 우리를 단속하게 만든다. 부모는 자녀의 지문을 FBI와 연결된 경찰기관에 등록한다. 플로리다에 소재한 Applied Digital Solutions(ADS)라는 회사는 개인의 의료및 기타 정보를 보유한 베리칩(AKA "Digital Angel")를 만들어 피부 아래에 이식하려고 한다. 그들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보호’를 위해 이를 사용하길 장려하고 있다. 이식을 받은 사람들은 곧 GPS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감시 될것이다. 또한 밀고를 장려하는 수십개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당국이 찾아 나서는 것을 밀고한 이에게 보상을 준다는 점에서 이는 감옥을 연상시킨다. 물론 다른 죄수들은 그 쓰레기들에게 다른 태도를 취할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 주변에 건설되고 있는 감옥 사회의 풍경에 대한 순전한 묘사에 불과하다. 이러한 과정에 맞서기 위해 이 상황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좀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하다. 감옥과 단속은 범죄가 존재한다는 아이디어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법에 의존하고 있다. 법은 국가의 시민들의 행동이 판단될 수 있다는 객관적인 현실로 묘사된다. 사실 법은 일종의 평등을 만들어낸다. 아나톨 프랑스는 법 앞에서 왕과 거지 모두 빵을 훔쳐 다리 아래서 자는 것을 금지 당했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역설적으로 표현했다. 이로서 우리 모두 법 앞에 평등해 진다는 것은 분명하다. 왜냐하면 단순히 우리 모두가 개인적인 감정이나, 관계, 욕망과 필요가 없는 공허한 무언가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법의 목적은 사회를 규제하는 것이다. 사회 규제의 필요성은 그안의 모든 구성원들의 필요나 욕망을 충족 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이것은 오히려 그것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의 대부분을 속이기 위해 존재한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가장 심각한 종류의 불평등이 존재하는 곳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 자신의 조건에 따라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수단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이다. 상위 계급에게는 사회적 불평등의 상태가 재산과 권력이라는 두 가지의 이름을 가진다. 반면 하위 계급에게 이것은 빈곤과 복종이다. 법은 이 사회의 불평등을 평등으로 둔갑시켜 사회의 지배자에게 봉사하는 거짓말이다. 모든 사람이 그들의 삶을 그들의 양식대로 창조할 수 있도록 존재 조건에 대한 완전하고 평등한 접근이 가능한 상황에서만 개성은 번성할 수 있을 것이다. 꿈과 욕망의 광대한 배열은 분명히 무한한 열정, 사랑과 증오, 갈등과 친화력을 만드는 자신을 표현할 것이다. 재산이나 권력이 존재하지 않는 이 평등은 개성의 무섭고 아름다운 비위계적 불평등을 표현할 것이다. 반대로, 자신의 삶을 창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곳, 즉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포기한 곳, 모든 사람이 아무것도 아닌 자가 되기 때문에 모두가 평등해 지는 곳이있다. 이것은 재산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조차도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사회에서 그들의 지위는 그들이 누구인지에 근거하지 않고, 그들이 가진것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재산과 권력은(개인이 아닌 역할에 달려있는 것)항상 이 사회에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법 앞의 평등은 지배자들이 지배 하는 질서를 보존함으로서 지배자에게 봉사한다. 법 앞의 평등은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불평등을 숨긴다. 그러나 물론 법은 사회질서를 말로서 유지하지 않는다. 법의 말은 그 뒤에 물리적인 힘이 없다면 무의미하다. 그리고 그 물리적인 힘은 경찰, 사법및 감옥과 같은 집행과 처벌의 시스템으로서 존재한다. 법 앞의 평등은, 우리 자신의 삶을 우리자신의 양식대로 창조하기 위한 존재의 조건에 대한 접근의 불평등을 숨기기 위한 겉치장이다. 현실은 이 겉치장을 끊임없이 뚫어 내고 이 상태는 오로지 무력과 공포에 의해 통제된다. 이 세계의 지배자들의 입장에서, 우리는 모두 범죄자(적어도 잠재적으로)들이며 그들의 고요한 잠을위협하는 괴물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법의 베일을 넘어 법을 무시하고 우리의 삶을 되찾을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을 지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법 그자체는(그리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재산과 권력의 사회적 질서)는 우리를 범죄화함으로써 우리를 평등하게 만든다. 따라서 투옥과 단속을 야기하는 법과 사회의 질서가 전세계의 슈퍼마켓의 개발과 함께 보편적인 것이 된것은 이것의 논리적인 귀결이다. 이 점에서 법을 좀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경찰을 감시하는 것은 아무 쓸모가 없다. 모든 개혁은 필연적으로 시스템에 통합될 것이고 법률의 수를 늘리고 감시와 단속의 수준을 올림으로서 사회를 더욱 감옥처럼 만들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개혁하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삶을 살도록 이 상황에 응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있다. 그것을 파괴하기 위해 이 사회를 공격하는 것이다. ”   — Wolfi Landstreicher. Why Do We All Live in Prison? Prison, Law and Social Control[17] “ 경제는(삶에 대한 생존의 지배) 다른 모든 종류의 지배를 유지하기 위한 본질적인 요소다. 희소의 위협이 없이는 사람들을 노동과 보수라는 일상에 복종 시키기 어려워 질것이다. 우린 경제화된 세계에 태어났다. 재산의 사회적 제도는 희소성을 매일의 위협으로 만들었다…... 자신의 삶을 자신의 것으로 창조하고자 하는 우리 같은 이들에게 있어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본질적인 요소인 이 지배는, 우리가 공격해서 파괴해야할 적이다.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도둑질과 스콰팅은 반란적 삶의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 복지 사기, 자선 단체의 급식, 쓰레기 뒤지기, 구걸등은 누군가 정규적인 일을 구하지 않고 살아가게 해줄지는 몰라도, 경제를 공격하지 않으며 그 안에서 작동한다. 도둑질과 스콰팅 또한 종종 그저 생존의 전략일 수가 있다. “집의 권리”를 요구하거나 그들의 스쾃을 합법화 하길 원하는 스콰터들, 그리고 오직 무의미한 상품의 축적을 위해 다른 노동자들처럼 “직업”으로서 활동하는 도둑들은 경제를 파괴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 그들은 단지 이 부의 공정한 몫을 요구할 뿐이다. 그러나 반란적 삶의 일부로서 스쾃과 도둑질을 포용하고 이로써 경제논리에 반항하는 이들이 있다. 이 논리에 의해 강요된 희소성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그들이 만들지 않은 세계에 복종하길 거부하며, 그러한 반란군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허가를 구하지 않고서 그들이 욕망하는 것을 취한다. 이렇게 사회의 경제적 규칙에 거역함으로써 그는 그 자신의 풍요로운 세계를 되찾는다. 그리고 이것은 반란의 행위다. 사회적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서, 개인의 삶은 도난되어야 한다. 그들의 공간에서 우리는 노동과 보수라는 지루한 존재로서 경제적 생존에 시달린다. 우린 우리의 삶을 되살 수 없으며, 되돌려 달라고 구걸할 수도 없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다시 훔쳐낼 때만이 우리의 것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허가를 구하지 않고 우리가 원하는 것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   — Wolfi Landstreicher. STEAL BACK YOUR LIFE(네 삶을 다시 훔쳐)[18] “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우리가 이 사회의 야만적인 군대의 선봉임을 마침내 이해시키도록 하자. 우리는 법과 통제를 벗어나, 미덕과 도덕, 근면에 대한 존중심을 갖지 않는다. 이것들은 우리를 억압하고, 박해하고, 추적할 뿐이다. 반역자는 슬픈 대안에 앞에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본다. 사회에 복종하며 우리의 의지를 제거하고 착취당하는 비참한 무리로 돌아가거나, 사회라는 괴물 전체에 대항한 전투를 받아들이자. 우린 전투를 선호한다. 적들의 진영에서 포위되어 괴롭힘을 당하고 있는 우리에게 모든 무장은 좋다. 보스와 판사들 군인과 경찰들은 모두 우리를 제거하기 위해 단결했다. 우리는 그들의 규범과 도덕과 편견에 대한 깊은 멸시와 함께 자신을 방어한다. 우리에게 노동을 해방할 권리를 거부함으로써, 사회는 우리에게 훔쳐낼 권리를 주었다. 부르주아들이 세상의 모든 부를 소유함으로써, 그들은 우리에게 우리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되찾을 권리를 주었다. 반권위주의자로서, 우리는 누구도 억압하지 않고, 누구에게도 억압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불타는 결의를 가지고 있다. 현재의 사회는 최악의 부조리한 이기주의와 부당함과 억압에 기초하여 우리에게 이를 부인한다. 굶주림으로 죽지 않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수단에 의존해야 한다. 우리를 의기소침하게 만들고 망연자실하게 하는 임금 노동자의 위치를 받아 들이거나, 그렇지 않다면 법의 가장자리라는 수단을 통해 수렁에서 우리 자신을 구원하고 훔쳐내는 위험한 범죄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알려지게 하자! 존재를 빼앗기 위해서 노동(작업장의 노예제에 대한 우리 자신의 굴복)은 도둑질 만큼 편리한 수단이라는 것을! 우리가 싸움에서 풍족하고 광대한 삶을 정복하지 못했다면, 우리가 의지하도록 강요하는 다양한 사회조직적 수단은 최후의 수단에 지나지 않다. 그러니 우리의 기질과 상황에 맞춰 우린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한다. 너의 규범과 법률, 너의 "근면함"이 우리를 얼마나 비웃게 하는지 알지 못하리라! 그리고 이것이 성난 부르주아지와 판사와 근면한 짐승들과 선동적 저널리즘에 직면하여 "런던의 도적들은 우리의 동지다!"라고 선언하는 이유다. 그들은 또한 우리가 자랑스러워할만한 고귀한 도적이다. 우린 그들을 위해 유감의 말과 눈물을 흘리지 않을 것이다. 아니! 그들의 죽음은 우리에게 모범이 될 것이며, 숭고한 러시아 동지들의 좌우명과 함께 우리의 기억에 새겨질 것이다. "아나키스트는 결코 항복하지 않는다!" 아나키스트는 항복하지 않는다! 군중의 외침이나 재판하는 자들의 비난, 경찰의 총알조차도 이를 이루어 내지 못한다! 아나키스트는 항복하지 않는다! ”   — 빅토르 세르주, Anarchists — Bandits[19] “ 범죄에서 지금껏 에고이스트는 자신을 주장하며 신성을 조롱했다. 신성의 파괴는 일반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혁명은 결코 보답하지 않는다. 그러나 거대하고 무모하고 부끄럼 없으며 가책 없이 긍지 높은 범죄가 저 너머에서 천둥소리를 내며 다가오는 것이 들리지 않는가? 하늘이 불길하게 조용해지며 어둑해지는 것이 보이지 않는가? ”   — 막스 슈티르너, "The Unique and Its Property" p. 253[20] “ 개인의 자유는 그의 힘이 끝나는 곳에서 끝난다. 만일 내가 원하고, 나의 힘이 허락한다면, 나는 타인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이 힘을 인정하고 존중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이들에 행사된 힘은 권위가 아니다. 만일 자신을 지배하려는 시도를 방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키고 그들의 힘을 사용한다면, 그들 위에 군림할 누구도 없이 그들은 자유로울 것이다(아나키). 그러나 반대로, 온순한 자들과 겁쟁이들이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채, 그들이 지배받게 내버려 둔다면, 우리는 생물학적 의미에서의 최고의 승리를 보게 될 것이다(천부적 귀족제, Natural aristocracy). 권위는 그것이 가장하는 신성한 이름(신, 도덕, 사회 등)으로 행해지는 권력이다. 이 권력은 사람이 이를 타도할 힘과 활력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숭배하고 봉사해야 한다. 이 권위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슈티르너가 말한 범죄를 저지름으로써 신성을 타도해야 한다. 오직 이를 통해서만 우린 아나키스트일 수 있을 것이다. ”   — Enzo Martucci, a note on authority[21] “ 아나키스트로서 폭력적인 수용의 행위를 옹호하는 두 번째 이유는 이것이 영웅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절망적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속해 있으면서도, 활력이 넘치는 대담한 소수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힘과 해방의 무기로서 도둑질을 포용하는 영웅적인 이유이다. 격렬하고 활기찬 천성을 지니고 자유로운 정신과 독립심이 충만하며, 도덕적, 인간적, 사회적이거나 지적인 모든 종류의 노예제의 족쇄에 속박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고, 가장 수치스러우며 고행적이고 모멸적인 노예제인 경제적 노예제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그의 핏줄 속에서 약동하는 활력과 사자 같은 용맹함을 억누를 수 없을 때, 마음에서 수천 번의 비극적인 천둥이 번쩍일 때, 정신에서 억누를 수 없는 끝없는 재개의 불꽃이 타오를 때, 상상의 영역에서 수천의 미지의 세계가 번뜩일 때, 만족하지 못하는 수천 개의 욕망이 심장과 육신에서 전율하며 고동칠 때, 모든 인간의 거짓말과 사회의 관습을 불태우고 파괴하는 영웅적인 사고가 두뇌에서 번쩍일 때, 그 활기가 넘치는 대담한 소수는 힘과 해방의 무기로서 도둑질을 포용한다. ”   — 렌조 노바토레,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22] 보노 갱단의 사건은 몇몇의 예외를 제외 하고는 당대의 많은 아나키스트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라이오넬은(일리걸리즘의 옹호자인) 이 논쟁의 근본으로 돌아가 개인을 희생시켜서 집단적 정체성을 우위에 두는 많은 아나키스트들에게 되물었다. “ 아나키스트는 사회에 대항한 정당한 방어를 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태어나는 순간 그는 그의 일이 아니며, 그의 존재 이전에 만들어졌고, 그를 거치지 않았으며 그에게 적대하는 법의 무게에 짓눌린다. 자본은 그에게 두 가지 선택을 강제한다. 그것의 노예가 되거나, 반역자가 되거나. 이 절망적인 선택지를 마주하고 그는 빈곤과 박탈에 시달리면서 결핵에 걸려서 천천히 죽어가는 것 대신에, 그의 적과 맞서다 자랑스럽게 죽기 위해 반역자가 되길 택한 것이다. 당신은 그런 선택을 감행한 자를 감히 부인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당신이 설교하는 혁명은 집단적 반란이자 집단적 범죄가 아닌가? 그리고 당신은 그 범죄를 너무도 많은 훌륭한 이론을 통하여 정당화하지만, 어째서 그 범죄를 개인이 행하는 것을 거부하는가? 만일 노동자들이 그들의 노동이 도둑질 당함으로써 얻어진 부를 무력을 통해서라도 되찾을 권리가 있다면, 그리고 그것을 범죄를 통해서라도 옹호할 권리가 있다면, 단지 노동자로 규정되길 원하지 않는 외딴 개인에게도 동일한 권리가 있다. ”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23] 집단적 정체성의 우위를 부정하는 것, 이것이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이 다른 아나키즘에서 분리되는 지점이었다. 이것은 수많은 도덕과 이론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 예를 들어 "살인하지 말지어다"라는 도덕적 계명은 아나키즘과 자본주의 모두에게서 이론적으로 추양 받는다. 그러나 사회는 일반적으로 살인에 반대하는듯하지만 살인에 대한 사형제가 존재하며, 국가의 대리인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살인을 하도록 허가한다. 그리고 노동계급에게 강제되는 억압적인 사회적 조건을 통해 사회적으로 조직화된 살인이 자행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집단성의 이름, 사회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일이었다. 동시에 아나키스트들은 일반적으로 살인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만 특정한 상황(독재자나, 민중을 억압하는 국가의 대리자 등에 대한 암살)이나 혁명의 상황에서 지배계급을 수호하는 이들에 대한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옳다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아나키스트든 자본주의자든 대부분의 인간 그 차체든 간에 살인하지 말지어다라는 계명은 집단적 정체성(대중을 대신하거나 혹은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을 우위로 두는 한 어떠한 도덕적 절대성도 가지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슈티르너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조직화된 폭력이며 개인이 이에 맞서는 것에는 어떠한 반대도 없어야 한다는 주장이 호소력을 갖는 이유였다. 만일 정치가 다른 수단에 의해 연장되는 전쟁(클라우제비츠의 금언을 뒤집어서)이라면 보노 갱단은 잔인하지만 죄수로서의 태도를 버리고 단순히 계급 전쟁의 기본으로 돌아간 것이었다.[24] 같이 보기[편집] 무도덕주의 반란적 아나키즘 행위의 프로파간다 수용적 아나키즘 en:Social bandits 참조[편집] ↑ "The illegalisis in this study,...As anarchist individualists, they came from a milieu whose most important theoretical inspiration was unduubtedly Max Stimer — whose work The Ego and Its Own remains the most powerful negation of the State, and affirniation of the individual, to date."—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p. 5. ↑ "Parallel to the social, collectivist anarchist current there was an individualist one whose partisans emphasized their individual freedom and advised other individuals to do the same...Some individualists rebelled by withdrawing from the economy and forming voluntary associations to achieve self-sufficiency. Others took the route of illegalism, attacking the economy through the direct individual reappropriation of wealth. Thus theft, counterfeiting, swindling and robbery became a way of life for hundreds of individualists, as it was already for countless thousands of proletarians.—"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 "a new generation of anarchists, spurred on by the individualist' ideas of Max Stirner, were to take as their point of departure exactly what Jean Grave objected to, that the rebel who secretly stole was no more than an ordinary thief. The developing theory of 'illegalism^ had no moral basis> recognizing only the reality of might in place of a theory of 'right'. Illegal acts were to be done simply to satisfy one's desires, not for the greater glory of some external 'ideal'. The illegalists were to make a theory of theft without the embarrassment of theoretical justifications."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the history of the French illegalists. 1987. p. 5. ↑ 가 나 "This inability to break definitively with collectivism in all its forms also exhibited itself over the question of the workers’ movement, which divided anarchist-communism into a number of tendencies." "Anarchist-Communism" by Alain Pengam Archived 2009년 3월 12일 - 웨이백 머신 ↑ 영어로 번역하면 자유지상주의자를 뜻하는 libertarian 이라는 단어가 되는데 프랑스 정부가 아나키스트라는 용어를 금지 시켰기 때문에 프랑스에서 아나키스트라는 단어와 광범하게 동의어로 사용되었다.Anarchist FAQ, A.1.3 Why is anarchism also called libertarian socialism? ↑ 가 나 “"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Beyond the Law" by Penelope Nin on Various Authors Articles from “Canenero” ↑ Collin Sick. “Notes on the article “Anarchism, Insurrections and Insurrectionalism””. 2012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Memoirs of a Revolutionary, by Victor Serge ↑ The "Illegalists" Archived 2015년 9월 8일 - 웨이백 머신, by Doug Imrie (published by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 가게의 물건을 몰래 훔치는 것 ↑ 가 나 "Horst Biography" ↑ "He always considered himself an individualist anarchist." "Horst Biography" ↑ "Ormai è fatta!" (1999) at the IMDB ↑ The revolutionary is the ultimate illegalist. The person whose actions always conform to the law will be, in the best of circumstances, a well-domesticated beast, never a revolutionary. Law conserves; revolution regenerates. If one wants change, it is thus necessary to start by breaking the law. To claim that revolution can be made while respecting the law is an aberration, a contradiction. The law is a yoke and anyone who wants to be free has to break it. Anyone who deceives the workers with the emancipation of the proletariat through legal means is a swindler, since the law forbids snatching wealth from the hands of the masters that robbed us. Their expropriation to the benefit of all i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the emancipation of humanity. The law is a brake and we don’t free ourselves with brakes. Every freedom that humanity has conquered has been the work of illegalists who have mastered laws in order to smash them to bits. Tyrants die, stabbed, and no article of the legal code could have gotten rid of them. Expropriation can only come about by breaking the law, certainly not by submitting to it. This is the real reason why if we want to be revolutionaries, we have to be illegalists. It is necessary to get off the beaten paths and open new paths to transgression. Articles from “Machete” #1 ↑ The Network of Domination ↑ Willful Disobedience - Wolfi Landstreicher ↑ https://theanarchistlibrary.org/library/le-retif-anarchists-bandits ↑ https://libcom.org/library/unique-its-property ↑ Enemies of Society: An Anthology of Individualist & Egoist Thought ↑ In Defense of Heroic and Expropriating Anarchism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 Richard Parry, "The Bonnot Gang" pp. 169 더 읽을거리[편집] Parry, Richard (1986). 《The Bonnot Gang》. Rebel Press. ISBN 0-946061-04-1. [1] "The "illegalists" by Doug Imrie. From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Fall-Winter, 1994-95 Cacucci, Pino (2006년 7월 25일). 《Without a Glimmer of Remorse》. Christie Books. ISBN 1-873976-28-3.  On Illegalism and Ultra-Leftism. Philippe Gavi, J-P Sartre, & Pierre Victor. Gallimard, Paris, 1974 "Illegalism and Insurrectionary Anarchism" by Freedom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리걸리즘&oldid=22399654" 분류: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아나키스트 운동범죄생활 양식프랑스의 아나키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2: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황의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의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의조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wang Ui-jo출생일 1992년 8월 28일(1992-08-28) (26세)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키 184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감바 오사카등번호 16청소년 클럽 기록2005-20072008-20102011-2012 풍생중학교풍생고등학교연세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3-20172017- 성남 FC감바 오사카 139 0(35) 040 0(19)국가대표팀 기록‡200920112012-201420182015- 대한민국 U-17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3 (와일드카드)대한민국 003 00(0)000 00(0)015 00(5)007 00(9)027 00(8)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아시안 게임 금 2018 자카르타-팔렘방 남자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24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9년 6월 11일 기준이다. 황의조(黃義助, 1992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현재 J리그 감바 오사카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다. 목차 1 유스팀 경력 2 클럽 경력 2.1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 2.2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 3 국가대표팀 경력 4 경력 통계 4.1 국가대표팀 득점 5 수상 내역 5.1 성남 FC 5.2 대한민국 5.3 개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유스팀 경력[편집] 용인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했고, 성남 FC 유스팀인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를 거쳐, 2011 K리그 드래프트에서 고향팀 성남 FC의 우선지명을 받은 뒤 연세대학교에 입학했다. 2학년 재학 중인 2012년 춘계대학연맹전에서 9경기 9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U리그에서는 16경기에 나서 13골을 터뜨리며 활약했다. 클럽 경력[편집]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편집] 2013년 연세대를 중퇴하고 성남 FC에 입단한 황의조는 프로 데뷔전인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골을 터뜨렸고[1] 2013 시즌 총 리그 22경기에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14 시즌에는 김동섭과 번갈아 원톱 또는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성남 FC의 통산 3번째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리그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015 시즌에는 리그 34경기에 출전하여 15골 3도움을 기록, 득점 랭킹 3위에 올랐다. 5월 31일 전북 현대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2골을 넣으며 성남의 2-1 승리를 이끌었고, 13라운드 주간 MVP로 선정되었다. K리그 선정 주간 베스트 11에 총 7번 이름을 올리며, 데뷔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6 시즌에는 리그 37경기에 출전하여 9골 3도움을 기록했다. 시즌 중반 이성교제 관련 스캔들과 팀의 경기력 저하가 겹치며 다소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성남 FC가 K리그 챌린지로 강등하며 이적설에 돌았으나 결국 성남에 잔류했다. 2017 시즌에는 K리그 챌린지 18경기에 출전, 5골 1도움을 기록했다. 6월 20일 일본 J 리그 감바 오사카로의 이적을 전격 발표했다.[2] 6월 24일 치룬 경남 FC와의 18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성남을 떠났다.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편집] 2017년 6월 28일 J리그 감바 오사카에 입단했다. 계약 기간은 2년, 이적료는 성남 FC와의 합의 하에 공개하지 않았고, 이적 조항에 K리그로 돌아오면 성남으로 복귀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3] 등번호는 11번을 배정받았다. 2017 시즌 중반에 합류, 7월 29일 지역 라이벌 세레소 오사카와의 19라운드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후반 20분 헤딩골을 터뜨리며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리그 1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고 J리그컵에도 2경기 출전했지만, 10월 24일 팀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을 입고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4] 그러나 2018 시즌이 되면서 황의조의 득점력이 폭발하기 시작했고 월드컵 휴식기까지 리그컵을 포함해 22경기에서 무려 12골(리그 7골·리그컵 5골)을 터뜨리며 팀의 확실한 에이스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아시안 게임 이후에도 리그컵을 포함해 12경기에서 10골(리그 9골·리그컵 1골)을 쏟아부으며 한 때 강등권까지 떨어져 있던 소속팀 감바 오사카를 J1리그 9위까지 끌어올리며 리그 잔류의 혁혁한 공을 세웠고 본인도 리그 16골(득점 랭킹 3위)로 시즌을 마쳤다. 그리고 2018년 12월 5일 "11월, 12월 월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 선수"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J리그 시상식에서 1999년 황선홍 전 옌볜 푸더 감독 이후 19년만에 J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2번째 한국 선수가 되었고 12월 7일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정성룡과 가시마 앤틀러스의 AFC 챔피언스리그 2018 우승의 주역 권순태와 함께 J리그 베스트 11 후보자에게 수여되는 '우수 선수상'에도 선정되는 기쁨을 맛보았으며 12월 18일에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수여하는 KFA 올해의 선수상에도 선정됐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유소년 시절부터 각 급 청소년 대표팀을 거쳤으며 2014년 1월에는 AFC U-22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2014년 12월에 2015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열린 국가대표팀 제주도 전지훈련에 선발되었으나[5]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들지는 못하였다. 2015년 8월 24일 월드컵 2차 예선을 앞두고 울리 슈틸리케 감독에게 발탁되어 생애 처음으로 A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9월 4일 경기도 화성에서 열린 라오스전에서 후반 27분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9월 8일 레바논과의 원정경기에서도 후반 31분 석현준과 교체되어 최전방 공격수로 뛰었다.[6] 10월 8일 쿠웨이트 원정 경기에는 뛰지 못했으나, 10월 13일 서울에서 열린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에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을 소화하며 후반 19분에 첫 A매치 골을 기록했다.[7] 2017년 3월 25일 월드컵 예선 지동원이 경고 누적으로 결장하면서 시리아전 대체 발탁이 되었다. 월드컵에는 나서지 못했지만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와일드카드로 선발되면서 인맥 발탁 논란이 있었으나 인맥 발탁 논란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해트트릭 2회를 포함해 7경기에서 무려 9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2연속 아시안 게임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고 더불어 본인도 동갑내기 손흥민과 함께 병역특례를 받았다. 2018년 10월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전 친선경기에 선발출전하여 2015년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 이후 3년만에 A매치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36년 만에 우루과이를 상대로 사상 첫 승리를 거두었다. 참고로 이 골은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이청용 이후 8년만에 기록한 우루과이전 득점이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평가전에서도 2경기 연속골을 터뜨렸고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 첫 경기인 필리핀전에서도 후반 22분 0-0의 균형을 깨는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터뜨리며 이 경기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 그 후, 2019년 6월에 있을 오스트레일리아, 이란전 평가전 명단에도 포함되어 2경기 모두 골을 기록하였다. 참고로 이란전에서의 골은 2011년 AFC 아시안컵 8강전 윤빛가람 이후 8년만에 나온 득점이다.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5/10/13 대한민국, 서울 자메이카 3-0 3-0 친선 경기 2 2018/10/12 대한민국, 서울 우루과이 1-0 2-1 친선 경기 3 2018/11/1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1-0 1-1 친선 경기 4 2018/11/2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우즈베키스탄 2-0 4-0 친선 경기 5 2019/01/07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필리핀 1-0 1-0 2019년 AFC 아시안컵 6 2019/01/16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중국 1-0 2-0 2019년 AFC 아시안컵 7 2019/06/07 대한민국, 부산 오스트레일리아 1-0 1-0 친선 경기 8 2019/06/11 대한민국, 서울 이란 1-0 1-1 친선 경기 수상 내역[편집] 성남 FC[편집] FA컵 우승 1회 (2014년) 대한민국[편집] 아시안 게임 축구 : 금메달 (2018) 개인[편집]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 2018 J리그 베스트 11 : 2018 2019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필리핀 (조별리그) 각주[편집] ↑ “신인이 터졌다! 성남 황의조 프로 데뷔 ‘첫 골’”. 중앙일보. 2013년 3월 3일. 2017년 6월 26일에 확인함.  ↑ “황의조, 감바 오사카 이적 확정 "성공해서 성남으로 복귀하겠다"”. 연합뉴스.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 日 감바 이적…국내 복귀 때는 성남으로”. 뉴스1.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황의조, J리그 감바 오사카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 스포츠서울. 2017년 10월 29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권창훈·강수일 등 대표팀 첫 승선”. 스포츠동아. 2014년 12월 5일.  ↑ “[한국-레바논]황의조 두 번의 A매치, 골은 없었지만 의욕은 살아있었다”. 스포츠서울. 2015년 9월 9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한·자메이카축구> 데뷔골 황의조 "자신감 생겼다"”. 연합뉴스. 2015년 10월 13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황의조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황의조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vdeh감바 오사카 – 현재 명단 1 히가시구치 3 니시노 4 후지하루 5 니와 7 엔도 (주장) 8 이와시타 9 린스 10 후타가와 11 황의조 13 아베 14 요네쿠라 15 곤노 16 다지리 17 묘진 18 후지가야 19 오모리 21 이데구치 22 오재석 24 아카미네 25 세노 27 우치다 28 요메사카 29 패트릭 30 히라오 31 하야시 33 오구라 36 이치마루 37 다카기 감독: 미야모토 vdeh성남 FC - 2014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 전상욱 2 곽해성 3 박희성 4 이요한 5 심우연 6 박진포 7 김철호 8 김성준 9 김동섭 10 제파로프 11 김태환 12 바우지비아 13 김동희 14 정선호 15 김평래 16 황의조 17 이민우 18 이창훈 19 나진성 20 윤영선 21 권태안 22 이종원 23 김영남 24 장석원 25 정우재 26 임채민 27 김남건 28 박준혁 29 유청윤 30 박신우 31 박재성 33 염유신 45 강진욱 89 정산 감독: 김학범 코치: 이영진, 송상우, 오주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 1 조현우 2 곽해성 3 이재명 4 연제민 5 황도연 6 권경원 7 문상윤 8 최성근 9 김경중 10 백성동 11 윤일록 12 김용환 13 이기제 14 김영욱 15 임창우 16 남승우 17 문창진 18 황의조 19 송주훈 20 민상기 21 노동건 22 김현 23 김경민 감독: 이광종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 송범근 2 황현수 3 김민재 4 김진야 5 정태욱 6 김문환 7 손흥민 (주장) 8 이진현 9 황희찬 10 황인범 11 나상호 12 이시영 13 조유민 14 장윤호 15 이승모 16 황의조 17 이승우 18 조현우 19 김건웅 20 김정민 감독: 김학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9년 AFC 아시안컵 1 김승규 2 이용 3 김진수 4 김민재 5 정우영 6 황인범 7 손흥민 (주장) 8 주세종 9 지동원 10 이재성 11 황희찬 12 이승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승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황의조 19 김영권 20 권경원 21 김진현 22 김문환 23 조현우 감독: 벤투 vdeh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1969: 김호 1970: 이회택 1971: 김정남 1972: 박이천 1973: 차범근 1974: 변호영 1975: 김호곤 1976: 최종덕 1977: 조영증 1978: 김재한 1979: 박성화 1980: 이영무 1981: 조광래 1982: 미시상 1983: 김종부 1984: 허정무 1985~2009: 폐지 2010: 박지성 2011: 기성용 2012: 기성용 2013: 손흥민 2014: 손흥민 2015: 김영권 2016: 기성용 2017: 손흥민 2018: 황의조 vdeh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이승엽 최경주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장미란 이승엽 최민호 이용대 신지애 박찬호 박세리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 추신수 박찬호 신지애 이승엽 이청용 김태균 박세리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장미란 박찬호 이청용 박주영 정다래 이대호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 이대호 박주영 박찬호 추신수 이승엽 최경주 기성용 손연재 박태환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기성용 추신수 류현진 박찬호 이대호 류현진 김연아 손연재 박지성 추신수 박태환 이대호 손흥민 기성용 이승엽 손연재 김연아 류현진 박태환 손흥민 추신수 이대호 기성용 이상화 이승엽 손흥민 손연재 추신수 김연아 기성용 류현진 강정호 박지성 이대호 박인비 손연재 손흥민 박인비 김연아 박상영 기성용 이대호 김연경 박지성 추신수 손흥민 김연아 류현진 기성용 추신수 이승엽 이대호 박지성 이동국 양현종 손흥민 류현진 조현우 황의조 김은정 이승우 기성용 추신수 김연아 이대호 범례 : 진한 글씨는 1위 선정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대한민국 국민이 뽑은 올해 최고의 인물 (종합집계)2018년 문재인 박항서 방탄소년단 이국종 도널드 트럼프 손흥민 서지현 김정은 프레디 머큐리 컬링대표팀 팀킴(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이영자 황의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의조&oldid=24509796"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공격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풍생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성남시 출신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2019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Русский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7: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황의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의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의조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wang Ui-jo출생일 1992년 8월 28일(1992-08-28) (26세)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키 184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감바 오사카등번호 16청소년 클럽 기록2005-20072008-20102011-2012 풍생중학교풍생고등학교연세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3-20172017- 성남 FC감바 오사카 139 0(35) 040 0(19)국가대표팀 기록‡200920112012-201420182015- 대한민국 U-17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3 (와일드카드)대한민국 003 00(0)000 00(0)015 00(5)007 00(9)027 00(8)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아시안 게임 금 2018 자카르타-팔렘방 남자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24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9년 6월 11일 기준이다. 황의조(黃義助, 1992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현재 J리그 감바 오사카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다. 목차 1 유스팀 경력 2 클럽 경력 2.1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 2.2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 3 국가대표팀 경력 4 경력 통계 4.1 국가대표팀 득점 5 수상 내역 5.1 성남 FC 5.2 대한민국 5.3 개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유스팀 경력[편집] 용인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했고, 성남 FC 유스팀인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를 거쳐, 2011 K리그 드래프트에서 고향팀 성남 FC의 우선지명을 받은 뒤 연세대학교에 입학했다. 2학년 재학 중인 2012년 춘계대학연맹전에서 9경기 9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U리그에서는 16경기에 나서 13골을 터뜨리며 활약했다. 클럽 경력[편집]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편집] 2013년 연세대를 중퇴하고 성남 FC에 입단한 황의조는 프로 데뷔전인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골을 터뜨렸고[1] 2013 시즌 총 리그 22경기에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14 시즌에는 김동섭과 번갈아 원톱 또는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성남 FC의 통산 3번째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리그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015 시즌에는 리그 34경기에 출전하여 15골 3도움을 기록, 득점 랭킹 3위에 올랐다. 5월 31일 전북 현대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2골을 넣으며 성남의 2-1 승리를 이끌었고, 13라운드 주간 MVP로 선정되었다. K리그 선정 주간 베스트 11에 총 7번 이름을 올리며, 데뷔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6 시즌에는 리그 37경기에 출전하여 9골 3도움을 기록했다. 시즌 중반 이성교제 관련 스캔들과 팀의 경기력 저하가 겹치며 다소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성남 FC가 K리그 챌린지로 강등하며 이적설에 돌았으나 결국 성남에 잔류했다. 2017 시즌에는 K리그 챌린지 18경기에 출전, 5골 1도움을 기록했다. 6월 20일 일본 J 리그 감바 오사카로의 이적을 전격 발표했다.[2] 6월 24일 치룬 경남 FC와의 18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성남을 떠났다.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편집] 2017년 6월 28일 J리그 감바 오사카에 입단했다. 계약 기간은 2년, 이적료는 성남 FC와의 합의 하에 공개하지 않았고, 이적 조항에 K리그로 돌아오면 성남으로 복귀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3] 등번호는 11번을 배정받았다. 2017 시즌 중반에 합류, 7월 29일 지역 라이벌 세레소 오사카와의 19라운드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후반 20분 헤딩골을 터뜨리며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리그 1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고 J리그컵에도 2경기 출전했지만, 10월 24일 팀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을 입고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4] 그러나 2018 시즌이 되면서 황의조의 득점력이 폭발하기 시작했고 월드컵 휴식기까지 리그컵을 포함해 22경기에서 무려 12골(리그 7골·리그컵 5골)을 터뜨리며 팀의 확실한 에이스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아시안 게임 이후에도 리그컵을 포함해 12경기에서 10골(리그 9골·리그컵 1골)을 쏟아부으며 한 때 강등권까지 떨어져 있던 소속팀 감바 오사카를 J1리그 9위까지 끌어올리며 리그 잔류의 혁혁한 공을 세웠고 본인도 리그 16골(득점 랭킹 3위)로 시즌을 마쳤다. 그리고 2018년 12월 5일 "11월, 12월 월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 선수"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J리그 시상식에서 1999년 황선홍 전 옌볜 푸더 감독 이후 19년만에 J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2번째 한국 선수가 되었고 12월 7일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정성룡과 가시마 앤틀러스의 AFC 챔피언스리그 2018 우승의 주역 권순태와 함께 J리그 베스트 11 후보자에게 수여되는 '우수 선수상'에도 선정되는 기쁨을 맛보았으며 12월 18일에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수여하는 KFA 올해의 선수상에도 선정됐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유소년 시절부터 각 급 청소년 대표팀을 거쳤으며 2014년 1월에는 AFC U-22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2014년 12월에 2015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열린 국가대표팀 제주도 전지훈련에 선발되었으나[5]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들지는 못하였다. 2015년 8월 24일 월드컵 2차 예선을 앞두고 울리 슈틸리케 감독에게 발탁되어 생애 처음으로 A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9월 4일 경기도 화성에서 열린 라오스전에서 후반 27분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9월 8일 레바논과의 원정경기에서도 후반 31분 석현준과 교체되어 최전방 공격수로 뛰었다.[6] 10월 8일 쿠웨이트 원정 경기에는 뛰지 못했으나, 10월 13일 서울에서 열린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에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을 소화하며 후반 19분에 첫 A매치 골을 기록했다.[7] 2017년 3월 25일 월드컵 예선 지동원이 경고 누적으로 결장하면서 시리아전 대체 발탁이 되었다. 월드컵에는 나서지 못했지만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와일드카드로 선발되면서 인맥 발탁 논란이 있었으나 인맥 발탁 논란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해트트릭 2회를 포함해 7경기에서 무려 9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2연속 아시안 게임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고 더불어 본인도 동갑내기 손흥민과 함께 병역특례를 받았다. 2018년 10월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전 친선경기에 선발출전하여 2015년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 이후 3년만에 A매치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36년 만에 우루과이를 상대로 사상 첫 승리를 거두었다. 참고로 이 골은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이청용 이후 8년만에 기록한 우루과이전 득점이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평가전에서도 2경기 연속골을 터뜨렸고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 첫 경기인 필리핀전에서도 후반 22분 0-0의 균형을 깨는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터뜨리며 이 경기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 그 후, 2019년 6월에 있을 오스트레일리아, 이란전 평가전 명단에도 포함되어 2경기 모두 골을 기록하였다. 참고로 이란전에서의 골은 2011년 AFC 아시안컵 8강전 윤빛가람 이후 8년만에 나온 득점이다.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5/10/13 대한민국, 서울 자메이카 3-0 3-0 친선 경기 2 2018/10/12 대한민국, 서울 우루과이 1-0 2-1 친선 경기 3 2018/11/1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1-0 1-1 친선 경기 4 2018/11/2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우즈베키스탄 2-0 4-0 친선 경기 5 2019/01/07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필리핀 1-0 1-0 2019년 AFC 아시안컵 6 2019/01/16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중국 1-0 2-0 2019년 AFC 아시안컵 7 2019/06/07 대한민국, 부산 오스트레일리아 1-0 1-0 친선 경기 8 2019/06/11 대한민국, 서울 이란 1-0 1-1 친선 경기 수상 내역[편집] 성남 FC[편집] FA컵 우승 1회 (2014년) 대한민국[편집] 아시안 게임 축구 : 금메달 (2018) 개인[편집]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 2018 J리그 베스트 11 : 2018 2019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필리핀 (조별리그) 각주[편집] ↑ “신인이 터졌다! 성남 황의조 프로 데뷔 ‘첫 골’”. 중앙일보. 2013년 3월 3일. 2017년 6월 26일에 확인함.  ↑ “황의조, 감바 오사카 이적 확정 "성공해서 성남으로 복귀하겠다"”. 연합뉴스.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 日 감바 이적…국내 복귀 때는 성남으로”. 뉴스1.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황의조, J리그 감바 오사카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 스포츠서울. 2017년 10월 29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권창훈·강수일 등 대표팀 첫 승선”. 스포츠동아. 2014년 12월 5일.  ↑ “[한국-레바논]황의조 두 번의 A매치, 골은 없었지만 의욕은 살아있었다”. 스포츠서울. 2015년 9월 9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한·자메이카축구> 데뷔골 황의조 "자신감 생겼다"”. 연합뉴스. 2015년 10월 13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황의조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황의조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vdeh감바 오사카 – 현재 명단 1 히가시구치 3 니시노 4 후지하루 5 니와 7 엔도 (주장) 8 이와시타 9 린스 10 후타가와 11 황의조 13 아베 14 요네쿠라 15 곤노 16 다지리 17 묘진 18 후지가야 19 오모리 21 이데구치 22 오재석 24 아카미네 25 세노 27 우치다 28 요메사카 29 패트릭 30 히라오 31 하야시 33 오구라 36 이치마루 37 다카기 감독: 미야모토 vdeh성남 FC - 2014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 전상욱 2 곽해성 3 박희성 4 이요한 5 심우연 6 박진포 7 김철호 8 김성준 9 김동섭 10 제파로프 11 김태환 12 바우지비아 13 김동희 14 정선호 15 김평래 16 황의조 17 이민우 18 이창훈 19 나진성 20 윤영선 21 권태안 22 이종원 23 김영남 24 장석원 25 정우재 26 임채민 27 김남건 28 박준혁 29 유청윤 30 박신우 31 박재성 33 염유신 45 강진욱 89 정산 감독: 김학범 코치: 이영진, 송상우, 오주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 1 조현우 2 곽해성 3 이재명 4 연제민 5 황도연 6 권경원 7 문상윤 8 최성근 9 김경중 10 백성동 11 윤일록 12 김용환 13 이기제 14 김영욱 15 임창우 16 남승우 17 문창진 18 황의조 19 송주훈 20 민상기 21 노동건 22 김현 23 김경민 감독: 이광종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 송범근 2 황현수 3 김민재 4 김진야 5 정태욱 6 김문환 7 손흥민 (주장) 8 이진현 9 황희찬 10 황인범 11 나상호 12 이시영 13 조유민 14 장윤호 15 이승모 16 황의조 17 이승우 18 조현우 19 김건웅 20 김정민 감독: 김학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9년 AFC 아시안컵 1 김승규 2 이용 3 김진수 4 김민재 5 정우영 6 황인범 7 손흥민 (주장) 8 주세종 9 지동원 10 이재성 11 황희찬 12 이승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승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황의조 19 김영권 20 권경원 21 김진현 22 김문환 23 조현우 감독: 벤투 vdeh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1969: 김호 1970: 이회택 1971: 김정남 1972: 박이천 1973: 차범근 1974: 변호영 1975: 김호곤 1976: 최종덕 1977: 조영증 1978: 김재한 1979: 박성화 1980: 이영무 1981: 조광래 1982: 미시상 1983: 김종부 1984: 허정무 1985~2009: 폐지 2010: 박지성 2011: 기성용 2012: 기성용 2013: 손흥민 2014: 손흥민 2015: 김영권 2016: 기성용 2017: 손흥민 2018: 황의조 vdeh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이승엽 최경주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장미란 이승엽 최민호 이용대 신지애 박찬호 박세리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 추신수 박찬호 신지애 이승엽 이청용 김태균 박세리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장미란 박찬호 이청용 박주영 정다래 이대호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 이대호 박주영 박찬호 추신수 이승엽 최경주 기성용 손연재 박태환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기성용 추신수 류현진 박찬호 이대호 류현진 김연아 손연재 박지성 추신수 박태환 이대호 손흥민 기성용 이승엽 손연재 김연아 류현진 박태환 손흥민 추신수 이대호 기성용 이상화 이승엽 손흥민 손연재 추신수 김연아 기성용 류현진 강정호 박지성 이대호 박인비 손연재 손흥민 박인비 김연아 박상영 기성용 이대호 김연경 박지성 추신수 손흥민 김연아 류현진 기성용 추신수 이승엽 이대호 박지성 이동국 양현종 손흥민 류현진 조현우 황의조 김은정 이승우 기성용 추신수 김연아 이대호 범례 : 진한 글씨는 1위 선정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대한민국 국민이 뽑은 올해 최고의 인물 (종합집계)2018년 문재인 박항서 방탄소년단 이국종 도널드 트럼프 손흥민 서지현 김정은 프레디 머큐리 컬링대표팀 팀킴(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이영자 황의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의조&oldid=24509796"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공격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풍생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성남시 출신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2019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Русский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7: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황의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의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의조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wang Ui-jo출생일 1992년 8월 28일(1992-08-28) (26세)출생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키 184cm포지션 스트라이커클럽 정보현 소속팀 감바 오사카등번호 16청소년 클럽 기록2005-20072008-20102011-2012 풍생중학교풍생고등학교연세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13-20172017- 성남 FC감바 오사카 139 0(35) 040 0(19)국가대표팀 기록‡200920112012-201420182015- 대한민국 U-17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3 (와일드카드)대한민국 003 00(0)000 00(0)015 00(5)007 00(9)027 00(8)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아시안 게임 금 2018 자카르타-팔렘방 남자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24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9년 6월 11일 기준이다. 황의조(黃義助, 1992년 8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현재 J리그 감바 오사카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다. 목차 1 유스팀 경력 2 클럽 경력 2.1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 2.2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 3 국가대표팀 경력 4 경력 통계 4.1 국가대표팀 득점 5 수상 내역 5.1 성남 FC 5.2 대한민국 5.3 개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유스팀 경력[편집] 용인초등학교 4학년 때 축구를 시작했고, 성남 FC 유스팀인 풍생중학교와 풍생고등학교를 거쳐, 2011 K리그 드래프트에서 고향팀 성남 FC의 우선지명을 받은 뒤 연세대학교에 입학했다. 2학년 재학 중인 2012년 춘계대학연맹전에서 9경기 9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을 차지했고, U리그에서는 16경기에 나서 13골을 터뜨리며 활약했다. 클럽 경력[편집] 성남 FC (2013년 ~ 2017년 6월)[편집] 2013년 연세대를 중퇴하고 성남 FC에 입단한 황의조는 프로 데뷔전인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골을 터뜨렸고[1] 2013 시즌 총 리그 22경기에 출전하여 2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14 시즌에는 김동섭과 번갈아 원톱 또는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성남 FC의 통산 3번째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리그 2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했다. 2015 시즌에는 리그 34경기에 출전하여 15골 3도움을 기록, 득점 랭킹 3위에 올랐다. 5월 31일 전북 현대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2골을 넣으며 성남의 2-1 승리를 이끌었고, 13라운드 주간 MVP로 선정되었다. K리그 선정 주간 베스트 11에 총 7번 이름을 올리며, 데뷔 이후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2016 시즌에는 리그 37경기에 출전하여 9골 3도움을 기록했다. 시즌 중반 이성교제 관련 스캔들과 팀의 경기력 저하가 겹치며 다소 부진한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성남 FC가 K리그 챌린지로 강등하며 이적설에 돌았으나 결국 성남에 잔류했다. 2017 시즌에는 K리그 챌린지 18경기에 출전, 5골 1도움을 기록했다. 6월 20일 일본 J 리그 감바 오사카로의 이적을 전격 발표했다.[2] 6월 24일 치룬 경남 FC와의 18라운드 경기를 마지막으로 성남을 떠났다. 감바 오사카 (2017년 6월~)[편집] 2017년 6월 28일 J리그 감바 오사카에 입단했다. 계약 기간은 2년, 이적료는 성남 FC와의 합의 하에 공개하지 않았고, 이적 조항에 K리그로 돌아오면 성남으로 복귀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었다.[3] 등번호는 11번을 배정받았다. 2017 시즌 중반에 합류, 7월 29일 지역 라이벌 세레소 오사카와의 19라운드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후반 20분 헤딩골을 터뜨리며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후, 리그 1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했고 J리그컵에도 2경기 출전했지만, 10월 24일 팀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을 입고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4] 그러나 2018 시즌이 되면서 황의조의 득점력이 폭발하기 시작했고 월드컵 휴식기까지 리그컵을 포함해 22경기에서 무려 12골(리그 7골·리그컵 5골)을 터뜨리며 팀의 확실한 에이스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아시안 게임 이후에도 리그컵을 포함해 12경기에서 10골(리그 9골·리그컵 1골)을 쏟아부으며 한 때 강등권까지 떨어져 있던 소속팀 감바 오사카를 J1리그 9위까지 끌어올리며 리그 잔류의 혁혁한 공을 세웠고 본인도 리그 16골(득점 랭킹 3위)로 시즌을 마쳤다. 그리고 2018년 12월 5일 "11월, 12월 월간 최우수 선수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 선수"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아울러 J리그 시상식에서 1999년 황선홍 전 옌볜 푸더 감독 이후 19년만에 J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2번째 한국 선수가 되었고 12월 7일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정성룡과 가시마 앤틀러스의 AFC 챔피언스리그 2018 우승의 주역 권순태와 함께 J리그 베스트 11 후보자에게 수여되는 '우수 선수상'에도 선정되는 기쁨을 맛보았으며 12월 18일에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수여하는 KFA 올해의 선수상에도 선정됐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유소년 시절부터 각 급 청소년 대표팀을 거쳤으며 2014년 1월에는 AFC U-22 챔피언십에 참가했다. 2014년 12월에 2015년 AFC 아시안컵을 앞두고 열린 국가대표팀 제주도 전지훈련에 선발되었으나[5]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들지는 못하였다. 2015년 8월 24일 월드컵 2차 예선을 앞두고 울리 슈틸리케 감독에게 발탁되어 생애 처음으로 A 대표팀에 이름을 올렸다. 9월 4일 경기도 화성에서 열린 라오스전에서 후반 27분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9월 8일 레바논과의 원정경기에서도 후반 31분 석현준과 교체되어 최전방 공격수로 뛰었다.[6] 10월 8일 쿠웨이트 원정 경기에는 뛰지 못했으나, 10월 13일 서울에서 열린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에 처음으로 선발 출장하여 풀타임을 소화하며 후반 19분에 첫 A매치 골을 기록했다.[7] 2017년 3월 25일 월드컵 예선 지동원이 경고 누적으로 결장하면서 시리아전 대체 발탁이 되었다. 월드컵에는 나서지 못했지만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와일드카드로 선발되면서 인맥 발탁 논란이 있었으나 인맥 발탁 논란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해트트릭 2회를 포함해 7경기에서 무려 9골을 기록하며 대한민국의 2연속 아시안 게임 우승의 1등 공신이 되었고 더불어 본인도 동갑내기 손흥민과 함께 병역특례를 받았다. 2018년 10월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전 친선경기에 선발출전하여 2015년 자메이카와의 친선경기 이후 3년만에 A매치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36년 만에 우루과이를 상대로 사상 첫 승리를 거두었다. 참고로 이 골은 2010년 FIFA 월드컵 16강전 이청용 이후 8년만에 기록한 우루과이전 득점이다.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평가전에서도 2경기 연속골을 터뜨렸고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 첫 경기인 필리핀전에서도 후반 22분 0-0의 균형을 깨는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터뜨리며 이 경기 최우수 선수에 선정됐다. 그 후, 2019년 6월에 있을 오스트레일리아, 이란전 평가전 명단에도 포함되어 2경기 모두 골을 기록하였다. 참고로 이란전에서의 골은 2011년 AFC 아시안컵 8강전 윤빛가람 이후 8년만에 나온 득점이다.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5/10/13 대한민국, 서울 자메이카 3-0 3-0 친선 경기 2 2018/10/12 대한민국, 서울 우루과이 1-0 2-1 친선 경기 3 2018/11/17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1-0 1-1 친선 경기 4 2018/11/20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우즈베키스탄 2-0 4-0 친선 경기 5 2019/01/07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필리핀 1-0 1-0 2019년 AFC 아시안컵 6 2019/01/16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중국 1-0 2-0 2019년 AFC 아시안컵 7 2019/06/07 대한민국, 부산 오스트레일리아 1-0 1-0 친선 경기 8 2019/06/11 대한민국, 서울 이란 1-0 1-1 친선 경기 수상 내역[편집] 성남 FC[편집] FA컵 우승 1회 (2014년) 대한민국[편집] 아시안 게임 축구 : 금메달 (2018) 개인[편집]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 2018 J리그 베스트 11 : 2018 2019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필리핀 (조별리그) 각주[편집] ↑ “신인이 터졌다! 성남 황의조 프로 데뷔 ‘첫 골’”. 중앙일보. 2013년 3월 3일. 2017년 6월 26일에 확인함.  ↑ “황의조, 감바 오사카 이적 확정 "성공해서 성남으로 복귀하겠다"”. 연합뉴스.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 日 감바 이적…국내 복귀 때는 성남으로”. 뉴스1. 2017년 6월 20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황의조, J리그 감바 오사카 훈련 중 햄스트링 부상”. 스포츠서울. 2017년 10월 29일. 2018년 7월 13일에 확인함.  ↑ “황의조·권창훈·강수일 등 대표팀 첫 승선”. 스포츠동아. 2014년 12월 5일.  ↑ “[한국-레바논]황의조 두 번의 A매치, 골은 없었지만 의욕은 살아있었다”. 스포츠서울. 2015년 9월 9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 “<한·자메이카축구> 데뷔골 황의조 "자신감 생겼다"”. 연합뉴스. 2015년 10월 13일. 2018년 7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황의조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황의조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vdeh감바 오사카 – 현재 명단 1 히가시구치 3 니시노 4 후지하루 5 니와 7 엔도 (주장) 8 이와시타 9 린스 10 후타가와 11 황의조 13 아베 14 요네쿠라 15 곤노 16 다지리 17 묘진 18 후지가야 19 오모리 21 이데구치 22 오재석 24 아카미네 25 세노 27 우치다 28 요메사카 29 패트릭 30 히라오 31 하야시 33 오구라 36 이치마루 37 다카기 감독: 미야모토 vdeh성남 FC - 2014년 대한민국 FA컵 우승 (3회) 1 전상욱 2 곽해성 3 박희성 4 이요한 5 심우연 6 박진포 7 김철호 8 김성준 9 김동섭 10 제파로프 11 김태환 12 바우지비아 13 김동희 14 정선호 15 김평래 16 황의조 17 이민우 18 이창훈 19 나진성 20 윤영선 21 권태안 22 이종원 23 김영남 24 장석원 25 정우재 26 임채민 27 김남건 28 박준혁 29 유청윤 30 박신우 31 박재성 33 염유신 45 강진욱 89 정산 감독: 김학범 코치: 이영진, 송상우, 오주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 1 조현우 2 곽해성 3 이재명 4 연제민 5 황도연 6 권경원 7 문상윤 8 최성근 9 김경중 10 백성동 11 윤일록 12 김용환 13 이기제 14 김영욱 15 임창우 16 남승우 17 문창진 18 황의조 19 송주훈 20 민상기 21 노동건 22 김현 23 김경민 감독: 이광종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 송범근 2 황현수 3 김민재 4 김진야 5 정태욱 6 김문환 7 손흥민 (주장) 8 이진현 9 황희찬 10 황인범 11 나상호 12 이시영 13 조유민 14 장윤호 15 이승모 16 황의조 17 이승우 18 조현우 19 김건웅 20 김정민 감독: 김학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9년 AFC 아시안컵 1 김승규 2 이용 3 김진수 4 김민재 5 정우영 6 황인범 7 손흥민 (주장) 8 주세종 9 지동원 10 이재성 11 황희찬 12 이승우 13 구자철 14 홍철 15 정승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황의조 19 김영권 20 권경원 21 김진현 22 김문환 23 조현우 감독: 벤투 vdeh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선수상 1969: 김호 1970: 이회택 1971: 김정남 1972: 박이천 1973: 차범근 1974: 변호영 1975: 김호곤 1976: 최종덕 1977: 조영증 1978: 김재한 1979: 박성화 1980: 이영무 1981: 조광래 1982: 미시상 1983: 김종부 1984: 허정무 1985~2009: 폐지 2010: 박지성 2011: 기성용 2012: 기성용 2013: 손흥민 2014: 손흥민 2015: 김영권 2016: 기성용 2017: 손흥민 2018: 황의조 vdeh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이승엽 최경주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장미란 이승엽 최민호 이용대 신지애 박찬호 박세리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 추신수 박찬호 신지애 이승엽 이청용 김태균 박세리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장미란 박찬호 이청용 박주영 정다래 이대호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 이대호 박주영 박찬호 추신수 이승엽 최경주 기성용 손연재 박태환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기성용 추신수 류현진 박찬호 이대호 류현진 김연아 손연재 박지성 추신수 박태환 이대호 손흥민 기성용 이승엽 손연재 김연아 류현진 박태환 손흥민 추신수 이대호 기성용 이상화 이승엽 손흥민 손연재 추신수 김연아 기성용 류현진 강정호 박지성 이대호 박인비 손연재 손흥민 박인비 김연아 박상영 기성용 이대호 김연경 박지성 추신수 손흥민 김연아 류현진 기성용 추신수 이승엽 이대호 박지성 이동국 양현종 손흥민 류현진 조현우 황의조 김은정 이승우 기성용 추신수 김연아 이대호 범례 : 진한 글씨는 1위 선정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대한민국 국민이 뽑은 올해 최고의 인물 (종합집계)2018년 문재인 박항서 방탄소년단 이국종 도널드 트럼프 손흥민 서지현 김정은 프레디 머큐리 컬링대표팀 팀킴(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이영자 황의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의조&oldid=24509796"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축구 공격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감바 오사카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풍생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성남시 출신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2019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Русский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7: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올림픽 펜싱 대회 개요첫 올림픽 경기 아테네 (1896년)주관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세부 종목 10 (남 5 / 여 5) 역대 대회 1896년 아테네 2012년 런던역대 대회 성적최다 금메달 획득국 이탈리아 (48)최다 금메달리스트 (남) 알라다르 혼그리에 (7) (여) 발렌티나 베찰리(5) 진행 중 2016년 올림픽 펜싱 다음은 올림픽 펜싱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2 남자 2.1 에페 개인전 2.2 에페 단체전 2.3 플뢰레 개인전 2.4 플뢰레 단체전 2.5 사브르 개인전 2.6 사브르 단체전 3 폐지 종목 3.1 남자 3.1.1 마스터 플뢰레 메달 집계[편집]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그리스 (GRE) 2 1 1 4 2 프랑스 (FRA) 1 2 0 3 3 덴마크 (DEN) 0 0 1 1 합계 3 3 2 8 남자[편집] 에페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900년 파리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루이 페레 프랑스 레옹 세 프랑스 1904년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년 런던자세히 가스통 알리베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외젠 올리비에 프랑스 1912년 스톡홀름자세히 파울 안스파흐 벨기에 이반 오시이에르 덴마크 필리프 르 아르디 벨기에 1920년 안트베르펀자세히 아르망 마사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구스타브 부샤르 프랑스 1924년 파리자세히 샤를 델포르트 벨기에 로제 뒤크레 프랑스 닐스 헬슈텐 스웨덴 1928년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조지 캘넌 미국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카를로 아고스토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프란코 리카르디 이탈리아 사베르오 란노 이탈리아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루이지 칸토네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52 헬싱키자세히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다리오 만자로티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를로 파베시 이탈리아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알란 제이 영국 브루노 카바로프 소련 1964 도쿄자세히 그레고리 크리스 소련 헨리 호스킨스 영국 구람 코스타바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쿨사르 죄죄 헝가리 그리고리 크리스 소련 잔루이지 사카로 이탈리아 1972 뮌헨자세히 패니배시 서버 헝가리 자크 라데갤르리 프랑스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76 몬트리올자세히 알렉산더 푸시 서독 한스-위어켄 헨 서독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80 모스크바자세히 요한 하만베리 스웨덴 콜소너이 애르뇌 헝가리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리프 부아스 프랑스 볘어네 배괴 스웨덴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8 서울자세히 아언트 슈미트 서독 필리프 리부 프랑스 안드레이 초우발로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에릭 슈레츠키 프랑스 파벨 콜롭코프 연합 장-미셸 앙리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러시아 이반 트레베호 쿠바 임래 게저 헝가리 2000 시드니자세히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휴 오브리 프랑스 이상기 대한민국 2004 아테네자세히 마어셀 피셔 스위스 왕 레이 중국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2008 베이징자세히 마테오 탈리아리올 이탈리아 파브리스 자네 프랑스 호세 루이스 아바호 스페인 2012 런던자세히 루벤 리마르도 베네수엘라 바르토시 피아세츠키 노르웨이 정진선 대한민국 에페 단체전[편집] 플뢰레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외젠 앙리 그라벨로트 프랑스 앙리 칼로 프랑스 페리클레스 P.M. 그리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저 프랑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게 프랑스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1908 런던 대회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음 1912 스톡홀름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피에트로 스페치알레 이탈리아 리하어트 페어데어베어 오스트리아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로제 뒤크레 프랑스 1924 파리자세히 로제 뒤크레 프랑스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마우리스 판 담머 벨기에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에어빈 카스미어 독일 줄료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조세프 레비스 미국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에드와르 가르데르 프랑스 조르조 보키노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줘앙 뷔앙 프랑스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머실러이 러요스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마닐로 디 로사 이탈리아 1956 멜버른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잔카를로 베르가미니 이탈리아 안토니오 스팔리노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빅토르 즈다노비치 소련 유리 시시킨 소련 알베르트 악셀로드 미국 1964 도쿄자세히 에곤 프란케 폴란드 장 클로드 마낭 프랑스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드림버 이온 루마니아 커무티 얘뇌 헝가리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72 뮌헨자세히 빌톨드 보이다 폴란드 커무티 얘뇌 헝가리 크리스티앙 노옐 프랑스 1976 몬트리올자세히 파비오 달 초토 이탈리아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베르나르 탈바르 프랑스 1980 모스크바자세히 블라디미르 스미르노프 소련 파스칼 졸리오 프랑스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마우로 누마 이탈리아 마티아스 베어 서독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1988 서울자세히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우도 바그너 동독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필리프 옴네 프랑스 세르히 골루빗츠키 연합 엘비스 그레고리 쿠바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레산드로 푸치니 이탈리아 리오넬 플룸낼 프랑스 프랑크 부아댕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김영호 대한민국 랄프 비스도르프 독일 드미트리 솁첸코 러시아 2004 아테네자세히 브리스 귀야르 프랑스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안드레아 카사라 이탈리아 2008 베이징자세히 베냐민 클라이브링크 독일 오타 유키 일본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2012 런던자세히 레이성 중국 알라엘딘 아부엘카셈 이집트 최병철 대한민국 플뢰레 단체전[편집] 사브르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이오아니스 게오르기아디스 그리스 텔레마코스 카라칼로스 그리스 올게르 닐센 덴마크 1900 파리자세히 조르주 드 라 팔레즈 프랑스 레옹 티에보 프랑스 지그프리트 플레슈 오스트리아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마누엘 디아스 쿠바 윌리엄 그리브 미국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 런던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줄러브스키 벨러 헝가리 빌렘 고폴트 폰 롭스도어프 보헤미아 1912 스톡홀름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베케시 벨러 헝가리 메사로스 애르빈 헝가리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알도 나디 이탈리아 아드리아뉘스 더 용 네덜란드 1924 파리자세히 포스터 산도르 헝가리 로제 뒤크레 프랑스 거러이 야노스 헝가리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테르시탼시키 외된 헝가리 페쳐우애 어틸러 헝가리 비노 비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레르 죄르지 헝가리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1936 베를린자세히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1948 런던자세히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빈센초 핀톤 이탈리아 코바시 팔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코바시 팔 헝가리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배르첼리 티보르 헝가리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레프 쿠즈네초프 소련 1960 로마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호르바트 졸탄 헝가리 칼라레세 블라디미로 이탈리아 1964 도쿄자세히 페셔 티보르 헝가리 클로드 아라보 프랑스 우마르 마플리카노프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마크 라키타 소련 페셔 티보르 헝가리 1972 뮌헨자세히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머로트 페터 헝가리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1976 몬트리올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1980 모스크바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미하일 부르체프 소련 게되바리 임레 헝가리 1984 로스앤젤레스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피터 웨스트브루크 미국 1988 서울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야누시 올레흐 폴란드 조반니 스칼초 이탈리아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서보 벤세 헝가리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스타니슬라프 포즈냐코프 러시아 세르게이 샤리코프 러시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마티유 구르댕 프랑스 위라뎃 콧니 독일 2004 아테네자세히 알도 몬타노 이탈리아 넴치크 솔트 헝가리 블라디슬라프 트레디아크 우크라이나 2008 베이징자세히 중만 중국 니콜라 로페 프랑스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2012 런던자세히 실라지 아론 헝가리 디에고 오큐치 이탈리아 니콜라이 코발례프 러시아 사브르 단체전[편집] 폐지 종목[편집] 남자[편집] 마스터 플뢰레[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레오니다스 피르고스 그리스 장 모리스 페로네 프랑스 없음 vdeh올림픽 펜싱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vdeh올림픽 메달리스트 목록하계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골프 럭비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소프트볼 야구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워터스키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펜싱_메달리스트_목록&oldid=22846201" 분류: 진행 중올림픽 펜싱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숨은 분류: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NederlandsPol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4일 (수)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올림픽 펜싱 대회 개요첫 올림픽 경기 아테네 (1896년)주관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세부 종목 10 (남 5 / 여 5) 역대 대회 1896년 아테네 2012년 런던역대 대회 성적최다 금메달 획득국 이탈리아 (48)최다 금메달리스트 (남) 알라다르 혼그리에 (7) (여) 발렌티나 베찰리(5) 진행 중 2016년 올림픽 펜싱 다음은 올림픽 펜싱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2 남자 2.1 에페 개인전 2.2 에페 단체전 2.3 플뢰레 개인전 2.4 플뢰레 단체전 2.5 사브르 개인전 2.6 사브르 단체전 3 폐지 종목 3.1 남자 3.1.1 마스터 플뢰레 메달 집계[편집]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그리스 (GRE) 2 1 1 4 2 프랑스 (FRA) 1 2 0 3 3 덴마크 (DEN) 0 0 1 1 합계 3 3 2 8 남자[편집] 에페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900년 파리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루이 페레 프랑스 레옹 세 프랑스 1904년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년 런던자세히 가스통 알리베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외젠 올리비에 프랑스 1912년 스톡홀름자세히 파울 안스파흐 벨기에 이반 오시이에르 덴마크 필리프 르 아르디 벨기에 1920년 안트베르펀자세히 아르망 마사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구스타브 부샤르 프랑스 1924년 파리자세히 샤를 델포르트 벨기에 로제 뒤크레 프랑스 닐스 헬슈텐 스웨덴 1928년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조지 캘넌 미국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카를로 아고스토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프란코 리카르디 이탈리아 사베르오 란노 이탈리아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루이지 칸토네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52 헬싱키자세히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다리오 만자로티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를로 파베시 이탈리아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알란 제이 영국 브루노 카바로프 소련 1964 도쿄자세히 그레고리 크리스 소련 헨리 호스킨스 영국 구람 코스타바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쿨사르 죄죄 헝가리 그리고리 크리스 소련 잔루이지 사카로 이탈리아 1972 뮌헨자세히 패니배시 서버 헝가리 자크 라데갤르리 프랑스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76 몬트리올자세히 알렉산더 푸시 서독 한스-위어켄 헨 서독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80 모스크바자세히 요한 하만베리 스웨덴 콜소너이 애르뇌 헝가리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리프 부아스 프랑스 볘어네 배괴 스웨덴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8 서울자세히 아언트 슈미트 서독 필리프 리부 프랑스 안드레이 초우발로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에릭 슈레츠키 프랑스 파벨 콜롭코프 연합 장-미셸 앙리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러시아 이반 트레베호 쿠바 임래 게저 헝가리 2000 시드니자세히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휴 오브리 프랑스 이상기 대한민국 2004 아테네자세히 마어셀 피셔 스위스 왕 레이 중국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2008 베이징자세히 마테오 탈리아리올 이탈리아 파브리스 자네 프랑스 호세 루이스 아바호 스페인 2012 런던자세히 루벤 리마르도 베네수엘라 바르토시 피아세츠키 노르웨이 정진선 대한민국 에페 단체전[편집] 플뢰레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외젠 앙리 그라벨로트 프랑스 앙리 칼로 프랑스 페리클레스 P.M. 그리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저 프랑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게 프랑스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1908 런던 대회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음 1912 스톡홀름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피에트로 스페치알레 이탈리아 리하어트 페어데어베어 오스트리아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로제 뒤크레 프랑스 1924 파리자세히 로제 뒤크레 프랑스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마우리스 판 담머 벨기에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에어빈 카스미어 독일 줄료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조세프 레비스 미국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에드와르 가르데르 프랑스 조르조 보키노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줘앙 뷔앙 프랑스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머실러이 러요스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마닐로 디 로사 이탈리아 1956 멜버른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잔카를로 베르가미니 이탈리아 안토니오 스팔리노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빅토르 즈다노비치 소련 유리 시시킨 소련 알베르트 악셀로드 미국 1964 도쿄자세히 에곤 프란케 폴란드 장 클로드 마낭 프랑스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드림버 이온 루마니아 커무티 얘뇌 헝가리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72 뮌헨자세히 빌톨드 보이다 폴란드 커무티 얘뇌 헝가리 크리스티앙 노옐 프랑스 1976 몬트리올자세히 파비오 달 초토 이탈리아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베르나르 탈바르 프랑스 1980 모스크바자세히 블라디미르 스미르노프 소련 파스칼 졸리오 프랑스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마우로 누마 이탈리아 마티아스 베어 서독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1988 서울자세히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우도 바그너 동독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필리프 옴네 프랑스 세르히 골루빗츠키 연합 엘비스 그레고리 쿠바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레산드로 푸치니 이탈리아 리오넬 플룸낼 프랑스 프랑크 부아댕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김영호 대한민국 랄프 비스도르프 독일 드미트리 솁첸코 러시아 2004 아테네자세히 브리스 귀야르 프랑스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안드레아 카사라 이탈리아 2008 베이징자세히 베냐민 클라이브링크 독일 오타 유키 일본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2012 런던자세히 레이성 중국 알라엘딘 아부엘카셈 이집트 최병철 대한민국 플뢰레 단체전[편집] 사브르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이오아니스 게오르기아디스 그리스 텔레마코스 카라칼로스 그리스 올게르 닐센 덴마크 1900 파리자세히 조르주 드 라 팔레즈 프랑스 레옹 티에보 프랑스 지그프리트 플레슈 오스트리아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마누엘 디아스 쿠바 윌리엄 그리브 미국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 런던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줄러브스키 벨러 헝가리 빌렘 고폴트 폰 롭스도어프 보헤미아 1912 스톡홀름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베케시 벨러 헝가리 메사로스 애르빈 헝가리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알도 나디 이탈리아 아드리아뉘스 더 용 네덜란드 1924 파리자세히 포스터 산도르 헝가리 로제 뒤크레 프랑스 거러이 야노스 헝가리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테르시탼시키 외된 헝가리 페쳐우애 어틸러 헝가리 비노 비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레르 죄르지 헝가리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1936 베를린자세히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1948 런던자세히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빈센초 핀톤 이탈리아 코바시 팔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코바시 팔 헝가리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배르첼리 티보르 헝가리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레프 쿠즈네초프 소련 1960 로마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호르바트 졸탄 헝가리 칼라레세 블라디미로 이탈리아 1964 도쿄자세히 페셔 티보르 헝가리 클로드 아라보 프랑스 우마르 마플리카노프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마크 라키타 소련 페셔 티보르 헝가리 1972 뮌헨자세히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머로트 페터 헝가리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1976 몬트리올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1980 모스크바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미하일 부르체프 소련 게되바리 임레 헝가리 1984 로스앤젤레스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피터 웨스트브루크 미국 1988 서울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야누시 올레흐 폴란드 조반니 스칼초 이탈리아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서보 벤세 헝가리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스타니슬라프 포즈냐코프 러시아 세르게이 샤리코프 러시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마티유 구르댕 프랑스 위라뎃 콧니 독일 2004 아테네자세히 알도 몬타노 이탈리아 넴치크 솔트 헝가리 블라디슬라프 트레디아크 우크라이나 2008 베이징자세히 중만 중국 니콜라 로페 프랑스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2012 런던자세히 실라지 아론 헝가리 디에고 오큐치 이탈리아 니콜라이 코발례프 러시아 사브르 단체전[편집] 폐지 종목[편집] 남자[편집] 마스터 플뢰레[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레오니다스 피르고스 그리스 장 모리스 페로네 프랑스 없음 vdeh올림픽 펜싱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vdeh올림픽 메달리스트 목록하계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골프 럭비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소프트볼 야구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워터스키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펜싱_메달리스트_목록&oldid=22846201" 분류: 진행 중올림픽 펜싱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숨은 분류: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NederlandsPol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4일 (수)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올림픽 펜싱 대회 개요첫 올림픽 경기 아테네 (1896년)주관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세부 종목 10 (남 5 / 여 5) 역대 대회 1896년 아테네 2012년 런던역대 대회 성적최다 금메달 획득국 이탈리아 (48)최다 금메달리스트 (남) 알라다르 혼그리에 (7) (여) 발렌티나 베찰리(5) 진행 중 2016년 올림픽 펜싱 다음은 올림픽 펜싱의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2 남자 2.1 에페 개인전 2.2 에페 단체전 2.3 플뢰레 개인전 2.4 플뢰레 단체전 2.5 사브르 개인전 2.6 사브르 단체전 3 폐지 종목 3.1 남자 3.1.1 마스터 플뢰레 메달 집계[편집] 올림픽 펜싱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그리스 (GRE) 2 1 1 4 2 프랑스 (FRA) 1 2 0 3 3 덴마크 (DEN) 0 0 1 1 합계 3 3 2 8 남자[편집] 에페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900년 파리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루이 페레 프랑스 레옹 세 프랑스 1904년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년 런던자세히 가스통 알리베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외젠 올리비에 프랑스 1912년 스톡홀름자세히 파울 안스파흐 벨기에 이반 오시이에르 덴마크 필리프 르 아르디 벨기에 1920년 안트베르펀자세히 아르망 마사르 프랑스 알렉상드르 리프망 프랑스 구스타브 부샤르 프랑스 1924년 파리자세히 샤를 델포르트 벨기에 로제 뒤크레 프랑스 닐스 헬슈텐 스웨덴 1928년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조지 캘넌 미국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조르주 부샤르 프랑스 카를로 아고스토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프란코 리카르디 이탈리아 사베르오 란노 이탈리아 잔카를로 코르나자-메디치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루이지 칸토네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52 헬싱키자세히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다리오 만자로티 이탈리아 오스발트 차펠리 스위스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를로 파베시 이탈리아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주세페 델피노 이탈리아 알란 제이 영국 브루노 카바로프 소련 1964 도쿄자세히 그레고리 크리스 소련 헨리 호스킨스 영국 구람 코스타바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쿨사르 죄죄 헝가리 그리고리 크리스 소련 잔루이지 사카로 이탈리아 1972 뮌헨자세히 패니배시 서버 헝가리 자크 라데갤르리 프랑스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76 몬트리올자세히 알렉산더 푸시 서독 한스-위어켄 헨 서독 쿨사르 죄죄 헝가리 1980 모스크바자세히 요한 하만베리 스웨덴 콜소너이 애르뇌 헝가리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리프 부아스 프랑스 볘어네 배괴 스웨덴 필리프 리부 프랑스 1988 서울자세히 아언트 슈미트 서독 필리프 리부 프랑스 안드레이 초우발로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에릭 슈레츠키 프랑스 파벨 콜롭코프 연합 장-미셸 앙리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러시아 이반 트레베호 쿠바 임래 게저 헝가리 2000 시드니자세히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휴 오브리 프랑스 이상기 대한민국 2004 아테네자세히 마어셀 피셔 스위스 왕 레이 중국 파벨 콜롭코프 러시아 2008 베이징자세히 마테오 탈리아리올 이탈리아 파브리스 자네 프랑스 호세 루이스 아바호 스페인 2012 런던자세히 루벤 리마르도 베네수엘라 바르토시 피아세츠키 노르웨이 정진선 대한민국 에페 단체전[편집] 플뢰레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외젠 앙리 그라벨로트 프랑스 앙리 칼로 프랑스 페리클레스 P.M. 그리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저 프랑스 1900 파리자세히 에밀 코스트 프랑스 앙리 마송 프랑스 마르셀 자크 불렝게 프랑스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라몬 폰스트 쿠바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찰스 타탐 쿠바 1908 런던 대회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음 1912 스톡홀름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피에트로 스페치알레 이탈리아 리하어트 페어데어베어 오스트리아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로제 뒤크레 프랑스 1924 파리자세히 로제 뒤크레 프랑스 필리프 카티오 프랑스 마우리스 판 담머 벨기에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뤼시앙 고댕 프랑스 에어빈 카스미어 독일 줄료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조세프 레비스 미국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1936 베를린자세히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에드와르 가르데르 프랑스 조르조 보키노 이탈리아 1948 런던자세히 줘앙 뷔앙 프랑스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머실러이 러요스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이탈리아 마닐로 디 로사 이탈리아 1956 멜버른자세히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프랑스 잔카를로 베르가미니 이탈리아 안토니오 스팔리노 이탈리아 1960 로마자세히 빅토르 즈다노비치 소련 유리 시시킨 소련 알베르트 악셀로드 미국 1964 도쿄자세히 에곤 프란케 폴란드 장 클로드 마낭 프랑스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드림버 이온 루마니아 커무티 얘뇌 헝가리 다니엘 르브누 프랑스 1972 뮌헨자세히 빌톨드 보이다 폴란드 커무티 얘뇌 헝가리 크리스티앙 노옐 프랑스 1976 몬트리올자세히 파비오 달 초토 이탈리아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베르나르 탈바르 프랑스 1980 모스크바자세히 블라디미르 스미르노프 소련 파스칼 졸리오 프랑스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84 로스엔젤레스자세히 마우로 누마 이탈리아 마티아스 베어 서독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1988 서울자세히 스테파노 체리오니 이탈리아 우도 바그너 동독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소련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필리프 옴네 프랑스 세르히 골루빗츠키 연합 엘비스 그레고리 쿠바 1996 애틀랜타자세히 알레산드로 푸치니 이탈리아 리오넬 플룸낼 프랑스 프랑크 부아댕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김영호 대한민국 랄프 비스도르프 독일 드미트리 솁첸코 러시아 2004 아테네자세히 브리스 귀야르 프랑스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안드레아 카사라 이탈리아 2008 베이징자세히 베냐민 클라이브링크 독일 오타 유키 일본 살바토레 산초 이탈리아 2012 런던자세히 레이성 중국 알라엘딘 아부엘카셈 이집트 최병철 대한민국 플뢰레 단체전[편집] 사브르 개인전[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이오아니스 게오르기아디스 그리스 텔레마코스 카라칼로스 그리스 올게르 닐센 덴마크 1900 파리자세히 조르주 드 라 팔레즈 프랑스 레옹 티에보 프랑스 지그프리트 플레슈 오스트리아 1904 세인트루이스자세히 마누엘 디아스 쿠바 윌리엄 그리브 미국 알베르트손 반 소 포스트 쿠바 1908 런던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줄러브스키 벨러 헝가리 빌렘 고폴트 폰 롭스도어프 보헤미아 1912 스톡홀름자세히 푸치시 예뇌 헝가리 베케시 벨러 헝가리 메사로스 애르빈 헝가리 1920 안트베르펀자세히 네도 나디 이탈리아 알도 나디 이탈리아 아드리아뉘스 더 용 네덜란드 1924 파리자세히 포스터 산도르 헝가리 로제 뒤크레 프랑스 거러이 야노스 헝가리 1928 암스테르담자세히 테르시탼시키 외된 헝가리 페쳐우애 어틸러 헝가리 비노 비니 이탈리아 1932 로스엔젤레스자세히 필레르 죄르지 헝가리 줄리오 가우디니 이탈리아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1936 베를린자세히 카보스 엔드레 헝가리 구스타보 마르치 이탈리아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1948 런던자세히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빈센초 핀톤 이탈리아 코바시 팔 헝가리 1952 헬싱키자세히 코바시 팔 헝가리 게레비치 얼러다르 헝가리 배르첼리 티보르 헝가리 1956 멜버른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레프 쿠즈네초프 소련 1960 로마자세히 카르파티 루돌프 헝가리 호르바트 졸탄 헝가리 칼라레세 블라디미로 이탈리아 1964 도쿄자세히 페셔 티보르 헝가리 클로드 아라보 프랑스 우마르 마플리카노프 소련 1968 멕시코시티자세히 예르지 파브워프스키 폴란드 마크 라키타 소련 페셔 티보르 헝가리 1972 뮌헨자세히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머로트 페터 헝가리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1976 몬트리올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소련 빅토르 시디아크 소련 1980 모스크바자세히 빅토르 크로보푸스코프 소련 미하일 부르체프 소련 게되바리 임레 헝가리 1984 로스앤젤레스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피터 웨스트브루크 미국 1988 서울자세히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야누시 올레흐 폴란드 조반니 스칼초 이탈리아 1992 바르셀로나자세히 서보 벤세 헝가리 마르코 마린 이탈리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1996 애틀랜타자세히 스타니슬라프 포즈냐코프 러시아 세르게이 샤리코프 러시아 장-프랑수아 라무르 프랑스 2000 시드니자세히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마티유 구르댕 프랑스 위라뎃 콧니 독일 2004 아테네자세히 알도 몬타노 이탈리아 넴치크 솔트 헝가리 블라디슬라프 트레디아크 우크라이나 2008 베이징자세히 중만 중국 니콜라 로페 프랑스 미하이 코발리우 루마니아 2012 런던자세히 실라지 아론 헝가리 디에고 오큐치 이탈리아 니콜라이 코발례프 러시아 사브르 단체전[편집] 폐지 종목[편집] 남자[편집] 마스터 플뢰레[편집] 종목 금 은 동 1896 아테네자세히 레오니다스 피르고스 그리스 장 모리스 페로네 프랑스 없음 vdeh올림픽 펜싱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0 2014 2018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vdeh올림픽 메달리스트 목록하계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싱크로나이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골프 럭비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소프트볼 야구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워터스키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펜싱_메달리스트_목록&oldid=22846201" 분류: 진행 중올림픽 펜싱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숨은 분류: 불확실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FrançaisNederlandsPolski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4일 (수)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4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은 서울특별시가 1949년 8월 16일부터 노선을 개편한 1959년까지 운영된 노선을 말한다. 1949년 8월 16일부터 서울승합 등 17개사가 서울특별시로부터 사업면허를 받아 273대를 운행하기 시작하고 시내버스 노선 계획 및 인가가 이루어졌다.[1][2] 당시 소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20환, 대형 시내버스의 요금은 50환이였다.[3] 목차 1 소형 시내버스 2 대형 시내버스 3 경성전기승합자동차(경전버스) 4 함께 보기 5 각주 소형 시내버스[편집] 운행회사 : 서울합승자동차(현 서울승합) - 157대 운행구간 경유지 중랑교 ↔ 서울역 동대문 중랑교 ↔ 마포구 동대문, 서대문 동대문 ↔ 영등포 을지로, 서울역, 노량진 동대문 ↔ 영등포 종로, 서울역, 노량진 왕십리 ↔ 홍제원 광화문 미아리 ↔ 서울역 종로4가 효자동 ↔ 마포구 서울역 대형 시내버스[편집] 운행회사 : 16개사 (광창버스, 덕수운수, 대한교통사, 시내버스(주), 영원자동차, 불로운수사 외)[4] 운행구간 경유지 운행업체 중랑교 ↔ 서울역 청량리, 동대문 광창버스, 덕수운수 중랑교 ↔ 마포 청량리, 동대문, 서대문 미상 동대문 ↔ 영등포 종로, 서울역, 신용산, 노량진 미상 동대문 ↔ 영등포 을지로, 서울역, 신용산, 노량진 미상 왕십리 ↔ 홍제원 을지로4가, 서대문 미상 서울역 ↔ 미아리 총무로4가, 돈암동 대한교통사 조선화재 ↔ 미아리 돈화문, 돈암동 시내버스(주) 효자동 ↔ 노량진 서울역 미상 중앙청 ↔ 서울역 돈화문, 필동 미상 돈암동 ↔ 서울역 종로5가 미상 신길동 ↔ 신길동 조선효소(당산동) 미상 경성전기승합자동차(경전버스)[편집] 아래 노선표는 1950년 1월 11일을 기준으로 한다.[5] 운행구간 배차 간격 차 수 기점 ↔ 종점 출퇴근시 평상시 상용차 예비차 시청 앞 ↔ 동소문 10분 20분 5대 1대 시청 앞 ↔ 돈암동 20분 30분 3대 1대 삼각지 ↔ 보광동 20분 30분 1대 삼각지 ↔ 이태원 미상 1대 을지6가 ↔ 한남동 20분 30분 2대 1대 영천 ↔ 홍제원 20분 30분 1대 영천 ↔ 녹번리 20분 30분 2대 서대문 ↔ 신촌 20분 30분 2대 1대 서대문 ↔ 노고산 20분 1대 서대문 ↔ 서교동 20분 30분 2대 1대 서울역 ↔ 영등포 10분 20분 10대 2대 영천 ↔ 수색 1일 8회 왕복 2대 1대 함께 보기[편집] 1956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59년 서울시내버스 노선 1961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4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66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1970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74년 서울시내버스 운행회사 1985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1쪽. ISBN 2003352002669.  ↑ “60년대 엘리트 직업, 70년대엔 시위대도 길 터줘”. 중앙일보. 2009년 6월 16일.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수도권 시내버스 60년새 273대 → 7600여대 30배 늘어”. 동아일보. 2009년 6월 16일.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4-625쪽. ISBN 2003352002669.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0년 12월 26일). 《서울교통사》. 623쪽. ISBN 20033520026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49년_서울시내버스_노선&oldid=24312574" 분류: 서울특별시의 버스 교통1949년 대한민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2: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난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난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난카이 난바 역 & 다카시마야 오사카 백화점 난바 파크스 난바 마루이 난바(일본어: 難波)는 일본 오사카 시의 지구이다. 오사카 2대 번화가의 하나인 미나미에 포함된다. 주오 구와 나니와 구에 위치한다. 난바는 도시의 주요 중남부 철도 기종점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서일본 여객철도 (야마토지 선), 긴키 닛폰 철도 (켄테쓰 난바 선),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및 고야 선)와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3개 노선 (마스도지 선, 요쓰바시 선, 센니치마에 선)의 역이 이곳에 있다. 미나미가 신사이바시 역 일대부터 난바 역 일대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을 지칭하는데 반해, 난바는 대개, 도톤보리 이남・센니치마에 이서의 지역을 지칭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톤보리・센니치마에・ 미나토마치・닛폰바시를 포함한 지역까지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노점이나 고급점포가 많은 신사이바시에 비해, 미나미의 현관이기도 한 난바는 다종다양한 상점이 혼재한다. JR 난바 역도 난바 역 및 오사카 난바 역과 지하 연결통로 등으로 이어져 있으나, 오랫동안 친숙하게 불린 미나토마치(湊町) 역이라고 하는 구(舊)역명과 소재지인 나니와 구 미나토마치라고 하는 지역 명칭으로부터, 이 역 주변은 현재에도 미나토마치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이미지 중 하나인 글리코 만(Glico Man)과 자이언트 크랩(Giant Crab)이 난바의 도톤보리 수로 주변에 위치한다. 난바는 또한 유흥가로 알려져있으며 오사카의 가장 유명한 술집, 식당, 나이트클럽, 오락실, 파친코 가게가 많이 있다. 이 지역은 또한 쇼핑가로 알려져있으며 다카시마야 백화점과 난바 CITY 쇼핑몰이 있다. 난바 파크스는 "파크 타워'라 불리는 새롭게 개발된 고층 건물로 이루어져있고 120개의 상점과 옥상 정원이 있다. 6층에는 다양한 종류(한식, 일식, 이태리식)의 식당이 있고 2층부터 5층까지는 상점이다. 파크 가든에는 온실이 있어 방문객들이 도시 중심에 있다는 것을 잊게 해준다. 또한 라이브쇼를 위한 원형 극장과 작은 개인적인 채소밭을 가꿀 수 있는 공간 및 짐마차 가게가 있다. 목차 1 범위 2 연혁 2.1 지명의 유래 2.2 최초의 시가화 2.3 메이지 시대(난바신지의 재편) 3 교통 4 같이 보기 범위[편집] 현재의 쵸(町) 이름으로 난바에 해당하는 곳은, 주오 구 난바 1 ~ 5초메, 난바센니치마에, 나니와 구 난바나카 1 ~ 3초메이다.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난바 역 (요츠바시선은 제외) ・ 오사카 난바 역 ・ 다카시마야(백화점) ・ 난바 마루이(패션)가 난바에, 센니치마에 도구야스지 상점가와 난바 그랜드 가게쓰 ・ 파이브업 요시모토 ・NMB48 극장(이상, 극장)이 난바센니치마에에, 난바 파크스와 오사카부립 체육관이 난바나카에 소재하고 있다. 난카이 난바 역과 이 역의 플랫폼 아래에 위치한 난바 CITY는 난바와 난바나카에 걸쳐 있다. 패션 백화점인 난바 마루이와 복합쇼핑몰 난바 파크스를 필두로 아케이드 쇼핑가를 따라 수백 개의 가게・식당・유흥업소가 밀집해 있어 하루종일 수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는 활기찬 모습을 볼 수 있다. 중심 쇼핑가는 난바 마루이 뒤에서 시작해 신사이바시 남단까지 이어지는 에비스바시스지 쇼핑 아케이드와 지하철 닛폰바시 역 방향으로 이어지는 난바난카이도리(なんば南海通り) 쇼핑 아케이드이다. 의류・액세서리는 물론 깜찍한 생활잡화와 생필품 ・기념품을 파는 가게가 많다. 가게 사이사이에 오사카의 명물인 오코노미야키・다코야키・만두를 파는 가게도 있다. 지하에는 거미줄처럼 얽힌 대형 상가도 있다. 난바는 저렴한 생활잡화를 취급하는 가게와 드러그 스토어, 식당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연혁[편집] 지명의 유래[편집] 난바의 지명의 유래가 된 니시나리 군(西成郡) 난바무라(難波村)는, 각각 미나미센바 ・ 시마노우치 ・ 시모센바 ・호리에 일대이고, 우에난바무라(上難波村, 미나미센바)와 시타난바무라(下難波村, 기타)로 구별되었다. 에도시대 초기에 행해진 오사카 성역(城域)의 확장에 수반하여, 우에난바무라는 조그마한 외부 영토로서 그 형태만 남은 정도가 되고, 시타난바무라는 도톤보리천(道頓堀川) 이남으로 이전하였다. 또한 호리에의 개발에 의해, 기즈가와 연안의 지역은 니시나리 군 니시가와 정(西側町) ・ 자이모쿠오키바(材木置場)가 되어 난바에서 분할되었다. 그리고, 1700년(겐로쿠 13년)에 우에난바무라 외부영토가 시타난바무라에 편입되어, 난바무라로 개칭되었다. 최초의 시가화[편집] 난바무라 중에서 가장 처음으로 시가화된 것은 대체로 현재의 주오 구 난바에 있던 난바신지(難波新地)이다. 오사카 역사상 가장 큰 화재였던 1724년(교호 9년)의 교호의 대화재 후에, 덴마바시 남단의 혼사카이 정(本堺町) ・ 교바시 이치쵸메(一丁目) ・ 교바시 북단의 아이오이니시 정(相生西町)과 아이오이히가시 정(相生東町)의 일부가 히요케치(火除地, 방화용 공터)가 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처(移轉處)로서 도톤보리의 남서에 겐사카이 정(元堺町) ・ 겐쿄바시 정(元京橋町) ・ 겐아이오이 정(元相生町) 이렇게 3개의 정이 설치되었다. 그 후 1765년 (메이와 2년)에 이들 3개 정과 겐후시미사카 정(元伏見坂町, 통칭 사카 정(坂町))의 남측이 개발되어, 여기에 난바신지 1쵸메~3쵸메가 형성되었다. 메이지 시대(난바신지의 재편)[편집] 메이지 시대에 접어들면, 1872년(메이지 5년)에 사카 정 속의 난바신지 1쵸메가 미나미사카우라 정(南阪裏町)으로 개칭되어 사카 정(현, 센니치마에 1쵸메)에 편입되었으나, 동시에 겐사카이 정 ・ 겐쿄바시 정 ・ 겐아이오이 정, 이렇게 3개의 정이 난바신지에 편입되어, 난바신지 1쵸메~4쵸메로 개편되었다. 이듬해에는 난바무라 내의 시가화가 진행된 구역을 편입하여, 난바신지 1쵸메~6쵸메가 되었다. 교통[편집] 난바 역 난카이 전기 철도 난카이 본선, 고야 선 오사카 지하철 미도스지 선, 요쓰바시 선, 센니치마에 선 JR 난바 역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야마토지 선) 오사카 난바 역 긴키 닛폰 철도 킨테쓰 난바 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같이 보기[편집] 이마이 게이이치(今井啓一) - 오사카 난바가 백제인 중심지로 발전한 단계의 핵심적 인물은 백제왕족인 백제왕씨(百濟王氏) 가문이라고 밝힘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氏, 백제왕씨) 도톤보리 나리야스 도톤(成安道頓, ja:安井道頓) - 백제인 후손으로서 도톤보리 운하공사를 직접 지휘 백제왕신사(百濟王神社, ja:百済王神社, 일본 오사카부 히라카타 시) 백제주(百濟州) 난바 (위키여행)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난바 vdeh일본의 상점가도쿄 긴자 시부야 아메야요코초 아키하바라 오모테산도 이케부쿠로 하라주쿠 오사카 난바 닛폰바시 덴덴타운 도톤보리 린쿠타운 미도스지 신사이바시 아메리카무라 우메다 그 외 난킨마치 덴진 모토마치 (고베시) 모토마치 (요코하마시) 사카에 산노미야 시조도리 시조카와라마치 신카이치 이세자키 하버랜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난바&oldid=22971581" 분류: 난바나니와구주오구 (오사카시)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장르 액션, 어드벤쳐, 판타지 TV 애니메이션 원작 타카하시 카즈키, 스튜디오 다이스 감독 스기시마 쿠니히사 제작 스튜디오 갸롭/동우에이앤이/TV 도쿄/NAS 방송사 TV 도쿄 방영 기간 2000년 4월 18일 ~ 2004년 9월 29일 화수 224화 그 외 대한민국 애니원, 챔프TV 방영. 전편 유희왕 후편 유희왕 GX 틀 - 토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Yu-Gi-Oh! Duel Monsters)는 2000년 4월 18일부터 2004년 9월 29일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이다. 기존의 만화 유희왕을 계승하는 작품이며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이 발매된 지 1년뒤에 방영되어서 방영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대한민국에서는 SBS에서 2003년 12월 8일부터 2005년 3월 14일까지 1, 2기가 방영되었다. 79화부터는 애니원TV(현 챔프TV)에서 방영되었으며 184화(4기)까지만 방영되었다. 185화~224화(5기)는 한국판으로 끝내 방영 되지 않았다. 방송 종료 후 후속작인 유희왕 GX(총 180화)도 성공적인 인기를 얻었다. 목차 1 작품 소개 1.1 캐릭터 구성 1.2 스토리 구성 2 등장인물 2.1 메인 캐릭터 2.2 구울즈 관련 2.3 도마의 삼중신 관련 2.4 파라오 관련 2.5 주변 캐릭터 3 한국판 주제가 및 스텝 3.1 주제가 3.1.1 1기 3.1.2 3기 3.1.3 4기 3.2 우리말 제작 3.2.1 1기 3.2.2 2기 3.2.3 3기 3.2.4 4기 4 주요 내용 작품 소개[편집] 캐릭터 구성[편집] 듀얼리스트 킹덤 편 주요 반동인물로 패가수스 가 등장했으며 이후 페가서스는 유우기 일행을 돕게 된다. 한편 반동인물로 등장했던 오토기 류지는 주인일행의 보조자로서 이후 등장하게 된다. 배틀 시티 본선 편 주요 반동인물로 마리크 이슈타르가 등장했으며 또한 야미 인격 바쿠라 또한 이 이야기를 계기로 본격적인 악역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한편 여러 듀얼리스트들이 대결 상대로 등장한다. 노아와의 대결 편 주요 반동인물로는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중역들(Big5)과 카이바 노아, 카이바 고자부로가 있으며 덱마스터 규칙 아래서 중역들(Big5)과 주인공 일행이 자유를 위해 서로 겨루는 이야기 구성에 이어 스피릿 시리즈 덱이 소개된다. 배틀 시티 결선 편 주요 반동인물로는 마리크 이슈타르 등이 있으며 야미 인격 바쿠라는 나오지 않는다. 다만 3000년의 세월과 3장의 신의 카드를 건 대결 이전에 어째서 마리크가 야미 인격을 가지게 되었는가 소개된다. 도마와의 대결 편 주요 반동인물로 도마의 삼중신을 자처하는 3인(아멜마, 바론, 라피엘)이 등장해 카이바와 유우기에게 도전장을 내밀고 그 배후에 있는 다츠의 세계 말살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KC 그랑프리 개최 편 주요 반동인물로 지크 프리드가 있으며 카이바를 향한 증오로 지크의 계획을 카이바와 듀얼킹 유우기 일행이 저지하는 이야기가 진행되며 여러 듀얼리스트 및 듀얼 덱 등이 소개된다. 파라오의 기억 세계 편 주요 반동인물로 도적왕 바쿠라가 있으며 기억을 찾고자 석판 앞에 나타난 유우기 일행이 도적왕 바쿠라의 계략에 의해 파라오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 이름없는 파라오의 이름을 알아내는 이야기가 진행된다. 스토리 구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Yu-Gi-Oh! (2000 TV series)입니다. 듀얼리스트 킹덤 편 "페가수스"에 의해 '듀얼리스트 킹덤'에 초대된 유우기는 할아버지와 카이바의 동생인 모쿠바를 구하기 위해 듀얼 게임에 임한다. 그리고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페가수스"를 물리친 후, Big5와는 RPG 게임으로, 오토기 류지와는 DDM 게임으로 이겨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배틀 시티 본선 편 듀얼리스트 킹덤 이후, 세토는 3장의 신의 카드에 대한 정보를 듣고 '배틀 시티'를 통해 유우기와 전국 각지 유수의 모든 듀얼리스트에게 도전장을 내민다. 그로 인해 유희와 그 일행은 파라오의 비밀을 풀 열쇠인 3장의 신의 카드([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를 모으고자 배틀 시티에 출전하게 된다. 노아와의 대결 편 배틀 시티 본선 도중 갑자기 비행선이 외딴 섬으로 가게 되고 이후 유우기 일행은 "카이바 노아"의 계략에 의해 또다시 Big5와 RPG형 듀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카이바 노아에 의해 모쿠바(카이바, 모쿠바) 형제가 이별하게 되자 유우기는 유대감을 강조하며 노아에게 도전장을 내밀게 된다. 배틀 시티 결선 편 드디어 결선이 시작되어 유우기와 죠우노치(조이), 마리크와 카이바는 각각 로얄 배틀 형식으로 상대를 정한다. 그리고 준결승에서 세토와 겨루어 이긴 유우기와 죠우노치를 승리의 제물로 삼아 결승에 진출한 마리크는 3000년의 세월과 3장의 신의 카드를 걸고 최후의 대결을 펼치게 된다. 도마와의 대결 편 갑자기 실체화된 게임 몬스터들이 날뛰자 카이바 코퍼레이션 뿐만 아니라 세계 전체가 발칵 뒤집힌다. 그리고 그 배후의 "도마"를 필두로 '도마의 3중신'을 자처하는 이들(라피엘, 바론, 아멜다)이 나타나 유우기와 카이바에게 대결을 신청하고, 일행은 그 도전을 받아들여 인류 멸망을 멈추기로 한다. KC 그랑프리 개최 편 도마와의 대결로 인해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위신이 추락하자 위신을 다시 높이고자 'KC 그랑프리'를 개최한 카이바를 위해 그랑프리에 참석한 유우기와 죠우노치는 "왈큐레 덱"을 쓰는 지크 로이드의 계략에 휘말리게 되고 그 이면에 숨겨진 "슈레이더 사"와 지크 로이드(본명 지크 프리드 본 슈레이더)의 아픔을 알게 된다. 파라오의 기억 세계 편 기억을 찾고자 석판 앞에 나타난 유우기 일행은 도적왕 바쿠라의 계략에 의해 파라오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우정의 힘으로 파라오의 이름이 "아템"임을 알게 되어 바쿠라를 쓰러트리게 된다. 그리고 아템과 유우기는 파라오의 운명을 건 마지막 듀얼을 시작하게 된다. 등장인물[편집] 메인 캐릭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List of Yu-Gi-Oh! characters입니다. 무토 유우기(유희) 성우 - 카자마 슌스케 / 구자형(어둠의 유희), 엄상현 (유희의 평소 모습) 유희왕 DM의 주인공으로 성격이 소심하여 친구가 없는 외톨이였으나, 천년 퍼즐(천년 아이템중 한 개)을 맞춘 후, 또다른 인격인 어둠의 유우기(어둠의 유우기, 파라오의 영혼)와 인격을 공유하게 된다. 어둠의 유우기는 카드게임에서 백전백승(百戰百勝)이며, 카드게임에 천재적인 소질을 갖고있다. 스토리 전개는 주로 어둠의 유우기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블랙 매지션], 주 사용 덱은 마법사+전사덱. 죠노우치 카츠야(조이) 성우 - 타카하시 히로키 / 강수진 유우기의 친구로, 처음에 보잘것 없는 듀얼 실력을 보여줬으나 어둠의 유우기와 같이 싸워나가며 실력이 급성장하게 된다. 실명 상태였다가 완치된 여동생이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붉은 눈의 흑룡], 주 사용 덱은 전사+드래곤덱. 카이바 세토(카이바) 성우 - 츠다 켄지로 / 박지훈 (초반), 장성호 (현재) 카이바 코퍼레이션(KC)의 사장으로 유우기의 라이벌 관계이다. 고고학이나 역사학에는 관심이 없으나, 계산적인 분야에 타고난 소질이 있다. 항상 냉정함을 유지하나, 유우기의 협력적 경쟁 관계에 있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푸른 눈의 백룡], 주 사용 덱은 파워 덱. 페가시스・J・크로포드(페가수스 J 크로포드) 성우 - 다카스키 지로 / 홍시호 인더스트리얼 일루전(I²)사의 사장으로, 듀얼몬스터즈(Duel Monsters)게임의 창시자이다. 초반에 유우기와 갈등을 보이며 천년 아이템중 하나인 '천년 아이(eye)"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어둠의 바쿠라에게 빼앗긴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새크리파이스], 주 사용 덱은 툰 덱(Toon Deck, 동화 덱)으로 카이바의 동생인 모쿠바와 유우기의 할아버지의 영혼을 봉인한 적이 있다. 이후 유희왕 GX에도 등장한다. 바쿠라 료(바크라) 성우 - 이노우에 요우 (초반), 마츠모토 리카 (중후반) / 김장 (초중반), 정재헌 (후반) 천년 아이템 중 하나인 '천년 링'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우기처럼 또 하나의 인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또다른 어둠의 바쿠라는 원래 바쿠라의 정신과 영혼을 천년 링에 가둬놓고 그 몸을 지배해 유우기와 그 일행들을 계속 위험에 내몰게 된다. 하지만 유우기와 그의 일행에 의해 영혼이 천년 링에 봉인된 상태로 버려지고 원래의 바쿠라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어둠의 마리크가 봉인되기 전, 중반 스토리를 이끄는 인물인 "마리크"와 손을 잡았다가 마리크의 어두운 인격이 사라진 후, 다시 부활하여 후반 스토리를 이끈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위저보드 I,N,A,L](마법카드), 주 사용 덱은 오컬트 덱(Occult Deck,유령 덱)이며 파라오의 영혼과 전생의 악연으로 인해 천년 링에 봉인되어 있었다. 카이바 모크바(모쿠바) 성우 - 타케우치 준코 / 송도영 (초반) - 문남숙 (현재) 카이바의 유일한 혈육이며 친동생이다. 형을 따라 카이바 코퍼레이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유우기 일행에게 냉정한 형과 달리 유우기 일행에게 친절하며 형과의 유대 관계가 돈독하다. 혼다 히로토(우혁) 성우 - 콘도 다카유키 (초반), 기구치 히데히로 (중후반) / 최원형 유우기의 친구들 중 한 명으로, 조노우치와의 우정이 대단하다. 또한 조노우치의 여동생인 시즈카를 좋아하고 있으며 가끔씩 조노우치를 놀리며 아낌없는 조언을 하기도 한다. 듀얼리스트가 아니라서 활약을 잘 하지는 않는다. 마사키 안즈(안수진) 성우 - 마에다 아키 (초반), 사이토 마키 (중후반) / 송도영 (초반) - 박선영 (중후반) 유우기의 친구들 중 한 명으로, 타고난 춤꾼 기질을 자각하고 댄스 유학을 계획하는 인물. 어둠의 유우기와 보통의 유우기 사이에서 고민하면서도 우정을 지켜나가는 편이다. 친구들 중에서는 가장 믿음직한 인물이다.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꼬마천사]이고, 주로 사용하는 덱은 엔젤 덱(Angel Deack, 천사 덱)으로 알려져 있다. 구울즈 관련[편집] 마리크 이슈타르(마리크) 성우 - 이와나가 테츠야 / 이원준 (초반), 변현우 (중후반)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천년 아이템중 하나인 천년 로드(지팡이)를 가지고 있다. 역시 어둠의 인격이 존재하며 중반부의 스토리를 이끄는 인물.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휴머노이드·리바이벌 슬라임](몬스터 카드), 주 사용 덱은 고문 덱. 이시즈 이슈타르(이시즈) 성우 - 시마모토 스미 / 배정미 (초반), 박신희 (중후반)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마리크의 누나. 천년 타우크(목걸이)를 가지고 있으며, 어둠의 인격에 의해 지배를 당하는 동생을 구하기 위해 배틀 시티에 참가한다. 초반과 중반의 스토리를 이어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리시드 이슈타르(리시드) 성우 - 콘도 아츠시 / 안장혁 무덤 수호 일족의 인물로, 마리크가 어둠의 인격을 받아들인 후에 구울즈의 총수로서 유희를 증오하는 것을 곁에서 지켜보며 마리크의 미래를 걱정하는 인물. 나중에 어둠에 묻힐 뻔한 마리크에게 중요한 교훈을 던져준다. 기술사 판도라 성우 - 코야스 타케히토 / 유동균 마술사로서의 길을 걷다 불의의 사고로 얼굴을 다친 후, 구울즈의 일원이 되어 유우기와 매지션 덱의 진정한 고수를 가린다는 명목상의 목적을 두고 겨루어 패배한 인물. 주로 사용하는 카드는 [블랙 매지션], 주 사용 덱은 고문 덱. 과묵한 인형 마임술사처럼 보이지만 마리크에 의해 조종되는 인형에 불과하다. 무한 루프 콤보 덱으로 유우기의 기를 꺾고 궁지에 몰기도 했음에도 무한 루프 콤보 덱의 맹점을 이용한 긍극의 무한 루프 콤보 플레이로 맞선 유우기의 플레이에 지게 된다. 빛의 가면 성우 - 미즈시마 히로 / 김래환 유우기와 카이바의 배틀 시티 예선 마지막 상대로 마리크의 수하이다. 어둠의 가면과 함께 가면덱을 사용하여 유우기와 카이바를 궁지에 몰아넣었지만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게 패배를 당하게 된다. 어둠의 가면 성우 - 이시이 코지 / 임채헌 유우기와 카이바의 배틀 시티 예선 마지막 상대로 마리크의 수하이다. 빛의 가면과 함께 가면덱을 사용하여 유우기와 카이바를 궁지에 몰아넣었지만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게 패배를 당하게 된다. 도마의 삼중신 관련[편집] 다츠 성우 - 에마오 유우 / 이주연 도마의 삼중신을 이끌고 있는 총수이자 전설 상의 왕국인 아틀란티스의 왕이다. 자신이 만든 아틀란티스를 멸망하도록 만들었으며 도마의 삼중신의 아픔을 만든 장본인이자 유희왕에서 가장 고지식한 적이다. 그에 말에 따르면 인간이 어둠에 물들어 지구의 시험에 탈락하게 되었으며 자신은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으나 삼환신에게 패배하였다. 덱은 애니메이션 설정인 오리컬코스 의 덱이다. 라피엘 성우 - 카와하라 요시히사 / 최석필 도마의 삼중신 중 한 명으로 리더로 활동하였다. 본래 미국의 부자 집안의 아들이었으나 다츠의 속임수로 인해 부모님과 동생들을 잃고 나중에 다츠의 술수에 넘어가 다츠의 넘버원 수하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사상 유우기(유희)를 이긴 몇 안되는 사람 중 하나이자 또 하나의 유우기(유희)가 이름 없는 파라오라는 사실을 아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첫 대결에서는 이름 없는 파라오를 이겨 유우기(유희)를 결계에 봉인한 후 두 번째 대결에서는 유우기(유희)의 또다른 인격에게 패배하였으나 본인이 결계에 봉인되는 것을 회피했다. 하지만 다츠에게 진실을 듣고는 분노하여 결계에 봉인되는 운명을 맞이한다. 덱으로는 죽은 동생들이 생일 선물로 준 가디언 덱을 사용한다. 아멜다 성우 - 이에무라 유키시게 / 전태열 도마의 삼중신 중 하나로서 카이바 고자부로에 의해 자신의 동생이 죽게 되었다고 믿고서 다츠의 수하가 되었다. 하지만 다츠가 아멜다에게 카이바 일가에 대한 앙심을 품게 만들고자 카이바 고자부로로 꾸민 술수였다. 그것도 모른 아멜다는 카이바와의 첫대결을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치르다 무승부가 나고, 두 번째 대결에서 카이바의 푸른 눈의 백룡과 크리티우스 의해 패배하게 된다. 덱은 요새(전투기)덱이다. 바론 성우 - 마에다 타케시 / 사성웅 도마의 삼중신 중 하나로 어린시절 고아로서 반항아였다. 하지만 자신이 살던 마을의 교회가 불타고 자신은 결백함에도 의심을 받아 교도소에 가게 된 후 다츠에 의해 다츠의 수하가 되었다. 마리크와의 어둠의 게임에서 패하여 슬픔에 빠져 있던 쿠자크 마이와 만나 쿠자크 마이를 다츠에 일원으로서 이끌게 된다. 죠뇨우치와의 대결에서 패배를 하게 된다. 덱은 아머 덱을 사용한다. 티마이오스 크리티우스 헤르모스 그리모 미르코 유안 데니스 소니아 줄리안 수녀 아이언 하트 다츠의 아버지 10000년전 카드의 정령들과 함께 오레이칼코스의 병사들과 싸웠다. 라피엘에게 패배하여 만신창이가 된 아템에게 티마이오스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크리스 다츠의 딸 아틀란티스의 공주로서 10000년전 카드의 정령들과 함께 오레이칼코스의 병사들과 싸웠다. 이오레 크리스의 어머니이자 다츠의 아내. 다츠에 의해 사후세계에 가서 크리스와 다츠가 오는 것을 기다린다. 파라오 관련[편집] 마하드 6신관 중 하나로 아템의 가장 최 측근으로 아템이 독사에 물리자 아템을 구해준 인연 덕에 가장 큰 충복이 된다. 천년 아이템의 소유자로 천년 링을 이용하여 파라오의 영혼을 가져가려는 도적왕 바쿠라를 막으려고 하나 패배하여 [블랙 매지션]으로 변환된다. 마나 6신관인 마하드의 제자로 아템을 즐겁게 하며 무거운 분위기를 완화시키는 소녀. 사부인 마하드가 패배하여 [블랙 매지션]으로 변환된 후에는 사부인 마하드처럼 어엿한 마법사로서 성장하며 나중에 [블랙 매지션 걸]로 변환되어 사부인 마하드 곁에 머무르게 된다. 키사라 세토의 주력 몬스터인 [푸른 눈의 백룡]의 영혼을 소유한 여인. 세토의 아비인 아크나딘에 의해 고문을 받은 후 쇠약해져 세토의 품에서 사랑을 받으며 세토의 카드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세토의 혼을 받은 카이바가 [푸른 눈의 백룡]을 주력 몬스터로 삼는다. 세토 6신관 중 하나로 아템의 가장 큰 라이벌이자 사촌관계로서 아템의 뒤를 이어 파라오가 되는 신관이다. 키사라는 흰눈을 가진 노예를 구해준 인연 덕에 그녀 안에 있던 정령 [푸른 눈의 백룡]과의 인연이 생기게 된다. 얼굴이 같은 카이바 세토와는 달리 파라오에게 충성을 다하는 등 좋은 성격의 사람으로 묘사되고 있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지팡이를 사용한다. 아이시스 6신관 중 하나로 유일하게 여자 신관이다. 이야기 도중 마하드가 바쿠라와의 일전을 앞두고 갈 때에 그에게 애정 어린 걱정을 하는 것으로 보아 신관이 되지 않았던 시절부터 유우기와 안즈의 관계와 비슷한 관계일 것으로 추측이 된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목걸이를 사용한다. 애니메이션에서만 등장하지만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관계를 암시하는 내용이 존재한다. 시몬 아템의 책사 겸 자문관으로 얼굴은 유우기의 할아버지와 같다. 선대 왕 때부터 소유하고 있던 천년 아이템인 천년 열쇠를 목에 걸고 있으며 마물인 [봉인된 엑조디아]를 사용하여 도적왕 바쿠라의 흉계를 충직하게 막으려고 하지만 힘을 소진해 살해당하며 존재가 사라지게 된다. 아크나딘 세토의 아버지이자 아템의 숙부이다. 천년 아이템을 만드는 일을 하였다. 그가 천년의 눈을 받으면서 하는 소원이 자신의 아들인 세토가 왕위에 오르는 걸 빌었다. 그로 인해 조크의 꾐에 빠져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죽게 된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의 눈을 착용하고 있다. 샤다 6신관 중 하나로 얼굴이 샤디와 가장 흡사하며 카림과 가깝게 지낸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열쇠를 사용하며 신관사제 세토와 우애를 나누는 사이로 도적왕 바쿠라와의 전투에서 세토를 위해 자신의 힘을 주저없이 줄 정도로 신의와 우정이 깊은 헌신적인 인물이다. 카림 6신관 중 하나로 천년 천칭으로 마물을 융합하는 일을 하며 도적왕 바쿠라의 본체인 조크와 대치하였을 때 파라오를 지키다 죽는다. 천년 아이템인 천년 천칭의 소유자로 천년 링의 소유자인 마법술사 마하드 못지 않게 강력한 힘을 파라오를 위해 사용하며 희생한다. 아크나무카논 선파라오이자 아템의 아버지로 조크와 대치한 아템이 시련을 극복하도록 무의식 속에서 그를 격려함으로써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를 부르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도적 바쿠라에 의해 시신이 도굴되기도 하였다. 이후 도적 바쿠라의 원군이 되어준 원령을 받아들임으로서 아들인 아템을 돕는다. 주변 캐릭터[편집] 쿠자크 마이(메이 발렌타인) 성우 - 테라다 하루히 / 차명화 (초반) 전숙경 (중후반) 듀얼리스트 킹덤 이후 유유기 일행과 행동을 함께 했으나 배틀 시티 본선에서 마리크에 패해 절대적 강함을 추구하여 다츠와 손을 잡지만 이후 자신의 가장 소중한 인물인 죠우노치의 희생을 보고 마음을 바꾸는 인물이다. 카와이 시즈카 (죠앤) 성우 - 시노노베 미카 / 차명화 (초반) 문남숙 (중후반) 죠우노치의 여동생으로 죠우노치의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다. 또한 오빠와는 달리 자상한 면모를 지닌 소녀이며 부두에서 처음으로 붕대를 풀어 자신의 친구를 구하고자 희생하려는 오빠를 구출하기도 한다. 마사키 안즈와 친밀하게 지내는 사이. 오토기 류지(듀크) 성우 - 나이토 료 / 김승준 (초반) 김호성 (중후반) 처음에는 페가서스를 이긴 유우기가 실력이 아닌 다른 이유로 이겼을 것이라 단정하고 유우기에게 도전해 역전패를 당하게 되지만 나중에는 유우기 일행과 행동을 함께 하는 인물이다. 듀얼의 흐름을 다소 냉정히 판단하여 다른 일행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레베카 홉킨스(레베카) 성우 - 타가미 시오리 / 김아영 (초반) 서지연 (중후반) 홉킨스 교수의 말괄량이 손녀로 전미 챔피언의 명성에 걸맞게 듀얼 전술이 뛰어난 인물이다. 초반에는 사정을 오해하면서 적개심을 품었으나 유우기가 보여준 진심을 보고서 유우기를 좋아하게 되었으며 KC 그랑프리에도 출전하기도 했다. 무토 스고로쿠 유우기의 할아버지로 듀얼용 카드 소형 판매점의 운영자. 이후 유희왕 GX에서도 등장하여 달라진 도미노 시티를 보여주기도 했다. 아서 홉킨스 무도 스고로쿠의 친구 겸 레베카 홉킨스의 할아버지. 고고학자로 유적의 발굴 현장을 방문한 스고로쿠와 친분을 쌓게 되었다. 카이바 노아 성우 - 요코야마 치사 / 박신희 카이바 고자부로의 친아들로 교통사고를 당한 후, 가상 현실 세계에서 살게 되었다. 이후 카이바 모쿠바를 이용하여 카이바 세토를 이겼으나 유우기에게 패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가상 현실 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이동 요새를 폭파시키고 자신은 모쿠바를 이용해 탈출하다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자부로 곁에서 최후를 맞이한다. 카이바 고자부로 성우 - 코무라 테츠오 / 최석필 카이바 노아의 생부이며 양자로 삼은 카이바 세토에 의해 회장직에서 물러난 경험이 있다. 카이바 세토의 몸을 차지하려는 계획을 실행에 옮김에도 친아들인 카이바 노아가 계획을 저지한다. 레온 윌슨 본명은 레온 하르트 폰 슈레이더. 슈레이더 가의 차남으로 형과 달리 듀얼에 대한 순수한 맘에 KC 그랑프리에 참가하나 형의 교묘한 계락에 빠졌다가 유우기한테 패한 이후 형을 도와 슈레이더 가를 일으키고 있다. 지크 로이드 본명은 지크 프리드 폰 슈레이더. 슈레이더 가의 장남으로 카이바에 대한 열등감을 해소하고자 KC 그랑프리를 혼란에 빠트리나 유우기의 활약으로 무위에 그치고 이후 동생과 함께 슈레이더 가를 재건하고 있다. 비비안 웡 성우 - 타나카 리에 KC 그랑프리에 출전한 듀얼리스트 중의 하나. 예선에서 레베카 홉킨스와 겨루어 지게 되자 유우기의 할아버지인 무토 스고로쿠를 꾀어 유우기와 겨루지만 유우기의 전술에 의해 패배한다. 이후 최종화 엔딩 크레딧 장면에서 쿠자크 마이와 태그 팀을 이루게 된다. 키스 하워드 페가수스 J 크로포드에게 패배한 후 반칙을 일삼으며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재기하지만 준결승전에서 반칙패 당하고 킹덤에서 추방되었다. 이후 구울즈의 총수인 마리크에게 이용당하다가 결국 이성을 잃고 듀얼장에서 뛰쳐나오게 된다. 한국판 주제가 및 스텝[편집] 주제가[편집] 1기[편집] 오프닝 작사: 김주희 작곡: 방용석 편곡: 방용석, 도목정 노래: 솔레노이드 엔딩 THE ONE 노래: 이영미 작·편곡: 방용석 작사: 김주희 녹음·믹싱: 헐리우드매너 3기[편집] Opening WILD DRIVE 노래: 신승훈 Ending 낙원 노래: 김효연 4기[편집] Opening WARRIOR 노래: 류성필 Ending 넘쳐흐르는 감정이 멈추지 않아 노래: 박영탁 우리말 제작[편집] 1기[편집] 번역: 이소영 연출: 김성환 2기[편집] 번역: 이소영 C.G: 조아라 종합편집: 이소연 연출: 김정령 3기[편집] 번역: 정은 녹음·믹싱: 이성수 종합편집: 이소연 타이틀: 조아라 그래픽: 김효정·박수진 조연출: 김정령 연출: 김세령 4기[편집] 번역: 정은 그래픽: 이승용 녹음·믹싱: 이성수 종합편집: 이소연 타이틀: 조아라 조연출: 김정령 연출: 김세령 주요 내용[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List of Yu-Gi-Oh! episodes입니다. 1기 - '듀얼리스트 킹덤' 편 소심하고 외톨이이던 유우기는 8년 만에 천년퍼즐을 맞춘 후 '어둠의 유우기'와 인격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카이바 코퍼레이션의 사장인 "카이바"를 만나게 된 후, 페가수스와의 어둠의 게임에서 진 유우기는, 할아버지인 "무토오 스고로쿠"의 영혼을 빼앗기며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펼쳐지는 대회에 초대를 받게 된다. 그 후 카이바와 모크바의 영혼까지 빼앗기는 것을 보게 되고, 유우기는 듀얼리스트 킹덤 대회의 결승전에 올라와 절친인 조이와의 결승에서 이기고,어둠의 게임 속에서 카드에 봉인된 모두의 영혼(카이바,모쿠바,할아버지)을 돌려받기 위해 페가수스와 듀얼을 펼친다. 2기 - '배틀시티 본선' 편 페가수스와의 듀얼에서 이긴 유우기는 할아버지와 카이바, 모크바의 영혼을 돌려 받고, 페가서스의 방에서 듀얼몬스터즈를 만든 이유를 알게된다. 그 후 카이바는 이시즈를 만나게 되고, 신의 카드 중 하나인,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받아 삼환신을 모으기 위해 배틀 시티라는 대회를 개최하게 된다. 유우기는 이시즈에게 자신의 모습이 담긴 석판을 본 후, 자신이 3000년 전의 파라오였음을 알게 된다. 그 후 파라오의 기억을 되찾기 위해서는 삼환신을 모아야 한다는 이시즈의 말을 듣고 배틀 시티에 참가한다. 3기 - '배틀시티 결선' 편 배틀 시티가 개최되고 유우기는 마리크의 조종을 당하는 침묵의 인형과의 경기를 이긴 후 신의 카드중 하나인,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얻게 된다. 한편 바쿠라는 구울즈의 총수인, 그리고 3장의 신의 카드 중 하나인, [라의 익신룡]의 주인이자 소유자인 마리크를 만나게 되고 서로의 목적이 같음을 알게 되어 협력하기로 한다. 그 후 유우기와 8강전에서 만나 어둠의 게임을 하지만,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극적으로 소환한 유우기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한편 유우기는 배틀 시티 준결승전에서 카이바를 이기고, 결승전에서 어둠의 마리크와의 어둠의 게임도 이겨 삼환신 즉, 3장의 신의 카드를 모두 얻는다. 4기 - '도마와의 대결' 편 기억의 석판에 삼환신을 갖다 대고 기억을 찾으려고 하는 유우기. 그러나 갑작스럽게 삼환신은 힘을 잃고 봉인당하게 된다. 갑자기 세상에 듀얼몬스터즈의 몬스터들이 출현하고…… 유우기는 이렇게 세상을 멸망시키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려는 "도마(Doma)"라는 조직을 알게 된다. 도마와의 피할 수 없는 듀얼을 벌이는 유우기는 전설의 용 디마이오스의 힘을 손에 넣어서 도마와 싸우게 되나, 듀얼에서 패배하여 '또 하나의 어둠의 유우기'를 남겨둔 채 인격을 봉인당하게 된다. 그 후 도마의 본거지를 알아내게 되고, 페가시스가 남겨둔 카드([레전드 오브 하트])로 도마의 수장인 다츠(Dotch)와의 듀얼에서 승리하여, 세상을 구하고 삼환신(3장의 신의 카드-[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을 되찾는다. 5기 - '기억의 세계' 편(대한민국 미방영 스토리 라인) 다시 삼환신을 찾은 유우기는 기억의 석판이 있는 이집트로 가 기억의 세계로 가게 된다. 어둠의 유우기는 거기서 막 왕위에 오른 젊은 파라오였으며, 도적왕 바쿠라를 물려쳐야 끝나는 궁극의 어둠의 게임, 어둠의 RPG를 벌이게 되고, 어둠의 바쿠라의 정체는 어둠의 대사신 조크・네크로파데스였으며, 조크가 부활하게 됨에 따라 기억의 세계는 혼돈으로 빠지게 되고, 이 혼돈을 끝내기 위해서는 파라오의 이름을 알아야된다는 정보를 입수한다, 유우기와 친구들이 파라오의 이름을 알게되고 파라오는 자신의 이름인 아템을 외쳐 삼환신을 융합하여 [빛의 창조신 호르아크티]를 소환, 조크를 물리치게 된다. 현실로 돌아온 유우기 일행은 아템을 명계로 돌려보내기 위해 듀얼을 해서 아템을 패배시켜야 된다. 결국 유우기가 아템과 듀얼을 하기로 하고, 유우기가 승리함에 따라 아템은 명계로 돌아가며 끝난다. vdeh유희왕만화 유희왕 유희왕 R 유희왕 GX 유희왕 5D's 유희왕 ZEXAL 유희왕 D팀 제알 유희왕 ARC-V 유희왕 ARC-V 최강 듀얼리스트 유야!! 극장판 빛의 피라미드 (Pyramid of Light) 시공을 초월한 우정 (Bonds Beyond Time)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The Dark Side of Dimensions) 애니메이션 유희왕 (1998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5D's 유희왕 ZEXAL 유희왕 ARC-V 유희왕 VRAINS 게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온라인 유희왕 듀얼 터미널 유희왕 태그포스 시리즈 유희왕 듀얼 링크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희왕_듀얼몬스터즈&oldid=23289321" 분류: 유희왕일본의 만화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2000년 애니메이션2001년 애니메이션2002년 애니메이션2003년 애니메이션2004년 애니메이션다중 인격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S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Suomi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NederlandsPortuguêsไทย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8일 (화) 22: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형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형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형근李亨根 1951년 당시의 청재 이형근 장군 前 대한민국 외무부 본부 대사 임기 1984년 9월 30일 ~ 1987년 11월 30일 대통령 전두환 신상정보 출생일 1920년 11월 2일(1920-11-02) 출생지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공주 사망일 2002년 1월 13일 (81세) 사망지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 본관 공주(公州) 학력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경력 대한민국 합동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 육군본부 고문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 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행정위원 자유민주연합 고문 겸 외교안보특임위원 희망의 한국신당 고문 정당 무소속 형제 아우 이상근(李尙根, 한국전 때 전사하여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1][2] 배우자 이혜란(李慧蘭)[3][4] 자녀 이미경(장녀) 이훈(장남) 이현(차남) 이애경(차녀) 이은경(삼녀) 이보경(사녀) 친인척 이병권(조카) 이응준(장인) 이정희(장모) 이갑(처외조부) 이창선(처남) 한지원(외손녀) 별명 호(號)는 청재(靑哉)·산남(山南) 일본식 이름은 마쓰야마 다케오(松山武雄) 종교 유교(성리학) → 개신교 군사 경력 육군 대장 시절의 이형근 군복무 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기간 일본 제국 육군(1942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1946년 ~ 1959년) 최종계급 대위(大尉) 대장(大將) 지휘 합동참모총장 육군참모총장 육군본부 고문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 근무 합동참모본부, 육군본부 참전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이형근(李亨根, 1920년 11월 2일 ~ 2002년 1월 13일[5])은 대한민국의 군인, 외교관 겸 정치가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장이다. 목차 1 일생 2 생애 3 가족 및 친척 관계 4 학력 5 함께 보기 6 각주 7 참고 자료 일생[편집] 본관은 공주(公州)이고 호(號)는 청재(靑哉)이다. 1959년 8월 6일을 기하여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충청남도 공주군 출생이며 한때 충청남도 대덕군과 충청남도 대전부과 경성부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초대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이응준(李應俊)의 사위이다.[6] 대한민국 국군 초기 창군 주역이자 원조(元祖)로 평가받는다.[7] 생애[편집] 이형근은 1920년 11월 2일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생하였고,[8] 194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그 후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를 졸업하였다. 일본군 포병 대위로 복무하다가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았다.[9] 종전 후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 1기생으로 입교 신청을 하였지만, 뛰어난 영어 회화 능력으로 UN과 GHQ로부터 면제를 받았다. 이렇게 그는 군사영어학교 1기, 대한민국 육군 사상 최초로 육군 대위 임관하였다.(1946년 1월 15일)[10] 그는 대한민국 국군의 상징인 "군번1번"인데,[11] 당시 군번은 유엔군사령부에서 각국의 참모들의 의견들을 받아들여 엄격히 정해진 것으로 최고사령관의 1번을 의미하였다. 문제는 이형근은 군번 "1번"이라는 문제 때문에 자신이 군번 1번이 되고 싶었던 채병덕과 불구대천지 원수지간이 되기도 했다는 것이다. 임관 후, 그는 남조선국방경비대 제2연대장을 맡았다.[12] 이어서 1946년 5월 1일에 초대 조선경비사관학교 교장을 맡았고, 잠시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관 대리를 겸하였다(1946년 9월 28일 ~ 1946년 12월). 1948년 6월에는 통위부 참모총장[13] 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군으로서는 최초로 미국에 건너가(1948년 8월) 미국의 군사시설을 시찰한 바 있다.[14] 육군 제8사단장(1949년 6월 20일)을 맡았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후방인 육군 제2사단장에 임명(1950년 6월 18일)되어 대전의 사단 본부로 부임(6월 20일)하였고 부대 순시를 마치기도 전에 전쟁 발발 소식을 접했다(6월 25일 8시).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김백일(金白一) 대령으로부터 “지금 적이 전면남침하고 있으니 병력을 끌고 빨리 올라와 달라.”는 연락을 받은 것이다.[15][16] 1950년 10월에는 육군 제3군단장, 1951년 8월에는 육군본부 교육총장을 맡았으며, 1951년 9월에 초대 휴전회담 대표로 참여하였고, 한국군이 북진을 계속하던 1952년 1월에는 육군 제1군단장을 맡았다. 이때부터 그는 동부전선에 진출했다. 유명한 “351고지 전투”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휴전 당시 동부휴전선을 38선에서 북쪽으로 훨씬 밀어 올려둔 것도 그의 공이 컸다.[17] 진급을 거듭한 끝에, 종전 후인 1954년 2월 14일 정일권 장군과 동시에 사성(四星)장군이 되었다. 초대 대장인 백선엽 장군의 뒤를 이어 두 번째의 대장이 된 셈이다.[18] 1954년 2월 초대 합동참모총장, 1956년 6월에는 제9대 육군참모총장이 되었다가 스스로 물러났다.(1958년 5월)[19] 1959년 8월 6일에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한 후, 제8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으로서 예비역 군인들을 지도해오다가 1961년 6월 주필리핀 특명전권대사를 거쳐 주영(駐英)대사를 지냈다.[20] 그 밖에 그는, 미국 육군보병학교와 미국 육군참모대학교도 졸업하였다. 그는 한국 전쟁 당시 10대 미스터리를 제기한 인물로도 유명하다. 만년에 자유민주연합 외교안보특임고문을 잠시 역임한 그는 2001년 2월 하순 시기부터 당뇨와 파킨슨의 합병증으로 투병하다가 2002년 1월 13일 81세로 별세하였다. 가족 및 친척 관계[편집] 처외조부: 이갑(李甲, 1877년 5월 12일 ~ 1917년 6월 13일) 장인: 이응준(李應俊, 1890년 8월 12일 ~ 1985년 7월 8일, 초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역임.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및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장모: 이정희(李正熙, 1897년 ~ 1987년 9월 29일, 이응준의 부인.) 처남: 이창선(李昌善, 1921년 3월 20일 ~ 2014년 12월 12일, 이응준과 이정희의 아들. 일본 도쿄 출생. 대한민국 육사 2기 및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55년 대한민국 육군 대령 예편.) 장녀: 이미경(李美卿, 1940년 2월 23일 ~ , 기혼) 장남: 이훈(李勳, 1947년 7월 21일 ~ , 기혼.) 차남: 이현(李玄, 1950년 9월 7일 ~ , 본명 이헌(李憲). 가수 출신 기업인. 강원도 춘천 출생. 기산통신 사장. 중앙대 연극영화학과 학사 및 한양대 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출신. 기혼.) 차녀: 이애경(李愛卿, 1953년 12월 7일 ~ , 기혼. 인테리어 사업.) 외손녀: 한지원(韓知原, 1981년 12월 15일 ~ , 이애경의 딸. 미국 샌타 모니카 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출신. 2001년 미스코리아 한국일보.) 3녀: 이은경(李恩卿, 1956년 3월 23일 ~ , 기혼.) 4녀: 이보경(李寶卿, 1957년 9월 10일 ~ , 기혼.) 동생: 이상근(李尙根, 1922년 7월 11일 ~ 1950년 9월 24일, 前 육군 제7사단 제3연대장(중령 → 대령). 前 육군 수도사단 제3연대장(대령 계급 당시 전사 → 준장 특진 추서). 대한민국 육사 2기 및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배우자와의 사이에 슬하 1남이 있었던 그는 1950년 9월 24일 한국전에서 전사한 뒤 대한민국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 조카: 이병권(李炳權, 1950년 8월 12일 ~ , 이상근의 아들. 기혼.) 학력[편집]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야전포병학교 졸업 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대한민국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미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미국 육군참모대학교 졸업 함께 보기[편집] 이응준 이효 채병덕 정일권 백선엽 백인엽 이진용 유재흥 원용덕 김백일 신현준 김동하 김성은 김창룡 강문봉 김정렬 김영환 박정희 장도영 박임항 최영희 이한림 송요찬 최경록 강영훈 박경원 정내혁 군번 각주[편집] ↑ 친아우 이상근(李尙根)은 1950년 9월 24일 한국 전쟁 때 29세로 전사하여 대한민국 육군 준장 특진이 추서됨. ↑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준장 이상근 將軍 ↑ 부인 이혜란(李慧蘭)의 아명(兒名)은 이필륜(李弼倫) ↑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 위패 목록 - 대한민국 육군 대장 이형근 將軍 ↑ 《동아일보》 (2002.1.14) 이형근 전합참의장 별세 ↑ “일제괴뢰 만주국서 끈끈한 '군맥' 다져 - 해방후 군부장악.. 5.16때 정치 전면에”. 세계일보. 2006년 8월 6일. 2007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2004) 196쪽.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40년대편 1권》(2004) 196쪽. ↑ “統衛部發表”. 동아일보. 1948년 6월 19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 “退役大將② 李亨根”. 경향신문. 1963년 8월 31일.  참고 자료[편집] 성동기 기자 (2002년 1월 14일). “대한민국 軍 기초 다진 ‘군번 1번’ 떠나다”. 동아일보. 2008년 3월 31일에 확인함.  전임러셀 베로스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관 직무대리1945년 9월 28일 ~ 1946년 12월 후임송호성 전임(초대) 초대 연합참모본부총장1954년 5월 5일 ~ 1956년 6월 27일 후임정일권 전임정일권 제9대 육군참모총장1956년 6월 27일 ~ 1957년 5월 17일 후임백선엽 전임백선엽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1959년 2월 23일 ~ 1959년 8월 6일 후임송요찬 vdeh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총 81명)정계 정래혁 박명근 남재희 정석모 장승태 채문식 한영수 고재청 유한열 오세응 손세일 권중돈 유옥우 김윤환 신상초 이종률 김철 이태구 조종호 진의종 경제계 정수창 유기정 박태준 학계 김상협 정의숙 권이혁 서명원 안세희 박봉식 박승재 김대환 나창주 김만제 한기춘 박일경 윤근식 법조계 정희택 이태청 이진우 윤길중 김사용 이병호 이범렬 임영득 종교계 강신명 이병주 이영복 서경보 조향록 전달출 김봉학 이종흥 여성계 김정례 김행자 안목단 이경숙 노동계 정한주 문화·사회계 이호 송지영 정범석 박인각 김준 권정달 박윤종 이정식 이종찬 언론계 방우영 이원경 이진희 향군대표 이맹기 이형근 국보위 대표 이광노 이기백 심유선 조영길 이우재 김영균 노재원 박종문 정태수 서동렬 vdeh한국 전쟁 지휘관유엔군 김백일 김석원 김점곤 김정렬 김종오 김홍일 민기식 백선엽 백인엽 손원일 송요찬 신성모 신현준 이응준 이종찬 이형근 임부택 임충식 유재흥 장도영 정일권 최영희 최용덕 채병덕 더글러스 맥아더 디오니시오스 아르부지스 라울 마그랭베르느레 로버트 싱크 로렌스 카이저 마크 웨인 클라크 매슈 리지웨이 바질 A. 코드 샘 S. 워커 알렉산더 헤이그 올리버 P. 스미스 월턴 워커 윌리엄 B. 킨 윌리엄 F. 딘 존 H. 처치 제임스 밴 플리트 존 B. 콜터 타흐신 야즈즈 프랭크 W. 밀번 공산군 강건 김광협 김두봉 김무정 김웅 김일성 김책 남일 류경수 박성철 박헌영 방호산 오진우 오백룡 전우 최광 최인 최용건 최춘국 최현 게오르기 주코프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쑹스룬 양건시 왕하이 장융후이 장지후이 저우언라이 주더 펑더화이 한셴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형근&oldid=24126509" 분류: 대한민국 육군 대장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1920년 태어남2002년 죽음당뇨병으로 죽은 사람파킨슨병으로 죽은 사람일제 강점기의 군인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 직무대리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일본 육군사관학교 동문군사영어학교 동문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교토 대학 동문통위부 보병학교 동문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공주시 출신공주 이씨필리핀 주재 대한민국 대사신민주공화당새한국당통일국민당 (대한민국)신정치개혁당신민당 (1994년)자유민주연합 당원희망의 한국신당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미국 육군참모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18: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선 덕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덕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경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선 덕종朝鮮 德宗 경릉(敬陵)내 의경세자(덕종)의 봉분 지위 조선의 추존 국왕 재위 1455년 ~ 1457년(왕세자 재위) 부왕 세조 이름 휘 이장(李暲) 별호 초명은 이숭(李崇), 이현동(李賢同) 자(字)는 원명(原明) 작위는 도원군(桃源君) 시호는 의경세자(懿敬世子) 신상정보 출생일 1438년 출생지 조선 한성부 수양대군 사저 사망일 1457년 9월 20일 (20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경복궁 자선당 부친 세조 모친 정희왕후 배우자 소혜왕후(왕비) 귀인 권씨(후궁) 귀인 윤씨(후궁) 숙의 신씨(후궁) 자녀 월산대군, 명숙공주, 성종 종교 유교(성리학)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생애 1.2 세자 책봉 1.3 죽음 1.4 사후 1.5 추숭과 추존 2 가족 관계 3 능묘 4 기타 5 덕종이 등장한 작품 5.1 드라마 5.2 영화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 생애[편집] 1438년(세종 21년) 수양대군의 사저에서 아버지 수양대군과 어머니 낙랑부대부인의 장자으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세종대왕은 그에게 특별히 현동(賢同)이라는 이름을 친히 지어서 내려주었다. 나중에 어느 정도 자라자 이름은 숭(崇)이라 하고, 자는 원명(原明)이라 하였다. 그리고 관례를 올린 뒤에는 장(暲)으로 이름을 고쳤다. 1445년 8세에 정의대부(正義大夫)의 품계를 받았고, 도원군(桃源君)에 책봉되었으며, 성인이 된 뒤에 이름을 숭에서 장으로 개명하였다. 1450년에는 한확(韓確)의 딸 한씨와 혼례를 올렸다. 1453년 계유정난 때 공로로 흥록대부(興祿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예절이 바르고 학문을 좋아했으며, 해서에 능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 그러나 건강이 좋지 않아 잔병이 잦았다.[1] 세자 책봉[편집] 1455년 아버지 세조가 왕에 올라, 원자(元子)에 책봉되었다가 바로 세자(世子)에 책봉되었다. 1456년 2월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성승 등이 행사장에 별운검을 설치하여 자신은 물론 그의 아버지 세조, 동생 예종을 타살하려 하다 실패했다. 그 해 8월 세조의 명으로 행 태일전직(行太一殿直) 윤기(尹沂)·전 사직(司直) 신선경(愼先庚)·수의 교위(修義校尉) 권치명(權致命)의 딸을 뽑아 세자의 후궁인 동궁 소훈(東宮 昭訓)으로 삼았다. 그러나 후궁들과의 사이에서 본 자녀들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는 죽기 전에 늘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의 혼령에 시달렸으며, 그가 병상에 누워 있을 때 21명의 승려가 경회루에서 공작재를 베풀기도 했다.[1] 하지만 그는 끝내 쾌유되지 못하였다. 죽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현덕왕후입니다. 1457년(세조 3년) 9월 20일(음력 9월 2일)에 20살의 나이로 경복궁 자선당(資善堂)에서 요절하였다. 사인은 가위눌림이라고 하나 불확실하다. 야사는 의경세자와 세조가 단종의 억울한 죽음으로 인해 문종비 현덕왕후의 원한을 샀다고 전하지만, 오히려 덕종이 단종보다 먼저 사망했으므로 이 전설이 허구로 추정된다. 그가 죽자 현덕왕후의 살을 맞고 죽었다는 도사의 말을 신봉한 세조는 형수 현덕왕후의 묘를 파내 시신을 쪼개고 강물에 던졌다. 또는 관곽을 강물에 던졌다고도 하는데, 관곽이 멈춘 곳의 주민들이 임시로 거두었다가 후에 다시 능으로 조성했다 한다. 또,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세자는 용모와 의표(儀表)가 아름답고 온량(溫良) 공경(恭敬)하며, 학문을 좋아하고 또 해서(楷書)를 잘 썼다. 양궁(兩宮)이 애도(哀悼)하니, 시종한 여러 신하들이 마음 아파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라고 서술되어 있는것을 보아 의경세자는 예의 바르고 학문을 좋아하고 해서를 잘쓴 세자였으며 의경세자의 죽음은 당시에 안타까운 죽음이였음을 알 수 있다.[2] 사후[편집] 그가 죽자 그의 비 한씨는 수빈(粹嬪)으로 봉했고 궐내에서 살아도 좋다는 시아버지 세조의 배려에도 사가로 나가 살겠다며 출궁하였다. 수빈 한씨는 사저에서 불우한 세월을 보냈지만 한명회 등과 사돈이 되면서 둘째 아들 자을산군을 왕(王)으로 올리는 묵계를 체결한다. 후에 둘째 아들 자을산군 혈이 성종(成宗)으로 즉위하면서 1469년부터 추숭여론이 나타났고 1470년 1월 왕(王)으로 추존되었다가 1475년 다시 대왕(大王)으로 추존되었다. 추숭과 추존[편집] 1470년(성종 1년), 1월 18일에 의경왕(懿敬王)으로 추숭하였다. 당시 태조 이성계의 아들이자 태종 이방원의 친형인 정종은 사후 시호가 없었고 종묘에도 배향되지 않았으므로 '정종(定宗)'이 아닌 '공정왕(恭靖王)'이라 불렀는데[3], 의경왕(懿敬王) 또한 그러하였다. 아내 수빈 한씨 또한 '왕대비(王大妃)'가 아닌 '인수왕비(仁粹王妃)'로 진책되었다. 이때 그는 왕으로는 추숭되었으나 종묘에는 배향되지 않았다. 당시 그를 왕으로 추존한 뒤 황고로 부르느냐 황백고로 부르느냐를 놓고 논란이 발생하였다. 1475년(성종 6년), 1월 6일에 의경왕(懿敬王)을 의경대왕(懿敬大王)으로 추존하였다.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춘추관(春秋館)에서 논의하여 올린 첫 시호는 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었고 1월 21일(임술)에 최종적으로 예조(禮曹)에서 올린 시호가 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였다. 따라서 인수왕비(仁粹王妃) 또한 인수왕대비(仁粹王大妃)로 진책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왕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조부 : 제4대 세종대왕(世宗大王, 1397~1450, 재위 1418~1450) 조모 : 소헌왕후 청송 심씨(昭憲王后 靑松 沈氏, 1395~1446) 고모 :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1424) 백부 : 제5대 문종대왕(文宗大王, 1414~1452, 재위 1450~1452) 백모 : 현덕왕후 안동 권씨(顯德王后 安東 權氏, 1418~1441) 사촌누나 : 경혜공주(敬惠公主, 1436~1474) 사촌동생 : 제6대 단종대왕(端宗大王, 1441~1457, 재위 1452~1455) 고모 :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1477) 아버지 : 제7대 세조대왕(世祖大王, 1417~1468, 재위 1455~1468) 숙부 : 장소공 안평대군 용(章昭公 安平大君 瑢, 1418~1453) 숙부 : 정간공 임영대군 구(貞簡公 臨瀛大君 璆, 1420~1469) 숙부 : 장의공 광평대군 여(章懿公 廣平大君 璵, 1425~1444) 숙부 : 정민공 금성대군 유(貞愍公 錦城大君 瑜, 1426~1457) 숙부 : 정헌공 평원대군 임(定憲公 平原大君 琳, 1427~1445) 숙부 : 영응대군 염(永膺大君 琰, 1434~1467) 외조부 : 판중추부사 파평부원군 윤번(判中樞府事 坡平府院君 尹璠, 1384~1448) 외조모 : 흥녕부대부인 인천 이씨(興寧府大夫人 仁川 李氏, 1383~1456) 어머니 : 정희왕후 파평 윤씨(貞熹王后 坡平 尹氏, 1418~1483) 동생 : 의숙공주(懿淑公主, 1442~1477)[4] 동생 : 제8대 예종대왕(睿宗大王, 1450~1469, 재위 1468~1469) 추존 덕종대왕(德宗大王, 1438~1457, 왕세자 재위 : 1455~1457) 왕비1명, 간택후궁3명 : 자녀3명 정비 : 소혜왕후 청주 한씨(昭惠王后 淸州 韓氏, 1437~1504)[5] 장자 : 월산대군(月山大君,1454~1488) 며느리 : 승평부대부인 순천 박씨(昇平府大夫人 順天 朴氏 1455~1506)[6] 장녀 : 명숙공주(明淑公主, 1455~1482) 아들 : 제9대 성종대왕(成宗大王, 1457~1494, 재위 1469~1495) 며느리 : 공혜왕후 청주 한씨(恭惠王后 淸州 韓氏, 1456~1474)[7] 며느리 : 폐비 함안 윤씨(廢妃 咸安 尹氏, 미상~1482)[8] 손자 : 원자 이효신(元子 李孝信, 1475~1475) 손자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손자 : 대군(大君) 며느리 : 정현왕후 파평 윤씨(貞顯王后 坡平 尹氏, 1462~1530)[9] 손자 : 제11대 중종대왕(中宗大王, 1488~1544, 재위 1506~1544) 후궁 : 귀인 권씨(貴人 權氏, 미상~1494)[10][11][12] 후궁 : 귀인 윤씨(貴人 尹氏, 생몰년 미상)[10][11][13] 후궁 : 숙의 신씨(淑儀 愼氏, 미상~1476)[14] 능묘[편집] 그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1457년 의경세자가 요절하자, 현재의 위치에 조성되었다. 1504년 소혜왕후 한씨도 승하하여 오른쪽 언덕에 안장되었다. 1970년 5월 26일 서오릉의 하나로 사적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기타[편집] 한편 그의 사후 아버지인 세조가 며느리뻘인 귀인 권씨(貴人 權氏)와 귀인 윤씨(昭訓 尹氏)를 범하려 했다는 추문이 돌았다. 권 귀인과 윤 귀인은 세조의 장남 덕종의 후궁들이었다.[10][11] 김일손은 이 사실을 그대로 사초에 실었다가 사화의 원인이 되었고 김일손 자신도 희생되었다.[10][11]김일손은 귀인권씨의 조카이자 양자 허반(許磐)에게서 들은 것을 사초에 기록하였는데[10] 연산군은 사초 기사 중 권귀인은 바로 덕종의 후궁이온데 세조께서 일찍이 부르셨는데도 분부를 받들지 아니했다'는 구절과 '세조는 귀인 윤씨(昭訓 尹氏)에게 많은 전민과 가사를 내렸고 항상 어가가 따랐다'는 사초의 내용을 구실삼았다.[10][11] 덕종이 등장한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MBC, 1984년~1985년 배우:박병훈) 《한명회》 (KBS 2TV, 1994년 배우:윤다훈) 《왕과 비》 (KBS 1TV, 1998년~2000년 배우:이광기) 《왕과 나》 (SBS, 2007년~2008년 배우:이지오) 《공주의 남자》 (KBS 2TV, 2011년~2011년 배우:권현상)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백성현) 영화[편집] 《세조대왕》(1970년, 배우: 이순재) 같이 보기[편집] 계유정난 세조반정 인수대비 한확 한명회 신숙주 권람 제안대군 인성대군 이세희 의숙공주 정현조 정인지 정숭조 현덕왕후 무오사화 한치형 덕원군 창원군 월산대군 박원종 각주[편집] ↑ 가 나 다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1998) 112페이지 ↑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9권 세조3년 9월 2일 ↑ 정종에게는 숙종 때 정식으로 묘호와 시호가 올려졌다. ↑ 야사 금계필담에는 누나가 1명(이세희) 있었다고 하나, 실재했는지는 확실하지는 않다. ↑ 서원부원군 한확(西城府院君 韓確)의 딸. ↑ 판돈녕부사 박중선(判敦寧府事 朴仲善)의 딸. ↑ 상당부원군 한명회(上黨府院君 韓明澮)의 딸. ↑ 함안부원군 윤기견(咸安府院君 尹起畎)의 딸. ↑ 영원부원군 윤호(鈴原府院君 尹壕)의 딸. ↑ 가 나 다 라 마 바 歷史 왜곡과 조선의 史官 서울신문 2001년 7월 14일자 ↑ 가 나 다 라 마 아는 만큼 힘들다 (이종범의 사림열전) 김일손(金馹孫): 당신의 죽음은 하늘의 시샘이었다 ⑥ 프레시안 2007년 11월 12일자 ↑ 수의교위 권치명(修義校尉 權致命)의 딸. ↑ 현감 윤기(縣監 尹沂)의 딸. ↑ 동지중추부사 신선경(同知中樞府事 愼先庚)의 딸. 외부 링크[편집] 조선 덕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조선 덕종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vdeh조선과 대한제국의 왕자/황자 목록추존왕 목조 소생 안천대군 어선 안원대군 진 안풍대군 정 익조 행리 안창대군 매불 안흥대군 구수 추존왕 익조 소생 함녕대군 안 함창대군 장 함원대군 송 도조 춘 함천대군 원 함릉대군 고태 함양대군 전 함성대군 응거 추존왕 도조 소생 완창대군 자흥 환조 자춘 완원대군 자선 완천대군 평 완성대군 종 이완자불화 이나해 추존왕 환조 소생 태조 성계 완풍대군 원계 영성대군 천계 의안대군 화 태조 소생 진안대군 방우 영안대군 방과 → 정종 익안대군 방의 회안대군 방간 정안대군 방원 → 태종 덕안대군 방연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 정종 소생 의평군 원생 순평군 군생 금평군 의생 선성군 무생 종의군 귀생 진남군 종생 수도군 덕생 임언군 녹생 석보군 복생 덕천군 후생 임성군 호생 도평군 말생 장천군 보생 정석군 융생 무림군 선생 태종 소생 양녕대군 제 효령대군 보 충녕대군 도 → 세종 성녕대군 종 경녕군 비 함녕군 인 온녕군 정 익녕군 치 근녕군 농 희령군 타 후령군 간 혜령군 지 세종 소생 왕세자 향 → 문종 수양대군 유 → 세조 안평대군 용 임영대군 구 광평대군 여 금성대군 유 평원대군 임 영응대군 염 화의군 영 계양군 증 의창군 공 밀성군 침 익현군 연 영해군 당 담양군 거 한남군 어 수춘군 현 영풍군 전 문종 소생 왕세자 홍위 → 단종 단종 소생세조 소생 의경세자 장 → 추존왕 덕종 해양대군 황 → 예종 덕원군 서 창원군 성 추존왕 덕종 소생 월산대군 정 잘산대군 혈 → 성종 예종 소생 인성대군 분 제안대군 현 성종 소생 왕세자 융 → 연산군 진성대군 역 → 중종 무산군 종 안양군 항 봉안군 봉 전성군 변 계성군 순 완원군 수 회산군 념 견성군 돈 익양군 회 경명군 침 운천군 인 양원군 희 이성군 관 영산군 전 연산군 소생 폐세자 황 창녕대군 성 이인수 이영수 이총수 양평군 인 이돈수 중종 소생 왕세자 호 → 인종 경원대군 환 → 명종 복성군 미 금원군 영 봉성군 완 영양군 거 덕흥군 초 → 덕흥대원군 해안군 희 덕양군 기 인종 소생명종 소생 순회세자 부 선조(양자) 선조 소생 영창대군 의 임해군 진 광해군 혼 의안군 성 신성군 후 정원군 부 → 추존왕 원종 의창군 광 순화군 보 인성군 공 인흥군 영 경창군 주 흥안군 제 경평군 늑 영성군 계 광해군 소생 폐세자 지 추존왕 원종 소생 능양대군 종 → 인조 능원대군 보 능창대군 전 능풍군 명 인조 소생 소현세자 왕 봉림대군 호 → 효종 인평대군 요 용성대군 곤 숭선군 징 낙선군 숙 효종 소생 왕세자 연 → 현종 현종 소생 왕세자 순 → 숙종 숙종 소생 왕세자 균 → 경종 성수 영수 연잉군 금 → 영조 연령군 훤 경종 소생영조 소생 효장세자 행 → 추존왕 진종 장헌세자 선 → 추존왕 장조 추존왕 진종 소생 정조(양자) 추존왕 장조 소생 의소세손 정 왕세손 산 → 정조 은언군 인 은신군 진 은전군 찬 정조 소생 문효세자 순 왕세자 공 → 순조 상계군 담(양자) 순조 소생 효명세자 영 → 추존왕 문조 철종(양자) 추존왕 문조 소생 왕세손 환 → 헌종 고종(양자) 헌종 소생철종 소생 원자 융준 고종 소생 왕세자 척 → 순종 완친왕 선 의친왕 강 의민황태자 은 순종 소생의민황태자 소생 원손 진 왕세자 구 vdeh조선의 역대 국왕 추존왕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덕종)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선조 광해군 (원종)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진종) (장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 철종 고종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선_덕종&oldid=24180358" 분류: 조선 덕종1438년 태어남1457년 죽음조선의 왕세자조선의 작가조선의 시인조선의 추존왕조선의 서예가조선의 왕족전주 이씨병사한 사람조선 세조조선 성종조선 예종15세기 한국 사람15세기 한국의 군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7: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루한스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한스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간스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한스크 ЛуганськЛуганск 시기 휘장 루한스크북위 48° 34′ 00″ 동경 39° 20′ 00″ / 북위 48.566667° 동경 39.333333°  / 48.566667; 39.333333좌표: 북위 48° 34′ 00″ 동경 39° 20′ 00″ / 북위 48.566667° 동경 39.333333°  / 48.566667; 39.333333 행정 나라 우크라이나 지역 루한스크주 역사 설립 1795년 인구 인구 425,848 명 (2013년) 인구밀도 1,802 명/km2 지리 면적 257 km2 해발 105 m 기타 시간대 UTC+2 우편번호 91000 지역번호 +380 642 루한스크 성 볼로디미르 성당 루한스크(우크라이나어: Луга́нськ; 러시아어: Луга́нск 루간스크[*])는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주도이자, 돈바스 지역의 역사적인 도시이다. 2004년의 인구는 445,900명이다. 루한스크는 동유럽에서 중요한 공업 도시이다. 1795년에 금속 공장이 이곳에 지어졌다. 옛 이름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에서 유래된 보로실로브그라드(1935년 ~ 1958년, 1970년 ~ 1990년, 러시아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 우크라이나어: Ворошиловград)였다. 2014년 이후부터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장악하고 있다. 목차 1 인구 2 기후 3 행정 구역 (괄호 안은 러시아식 이름) 4 자매 도시 5 루한스크의 유명인 6 각주 7 외부 링크 인구[편집] 1998년의 루한스크 인구는 528,400명이었다. 이중 러시아인이 52.5%, 우크라이나인이 41%, 벨라루스인과 유대인이 1%였다. 사용 언어도 러시아어가 89%, 우크라이나어가 11%였다. 기후[편집] Luhansk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2.8 (55) 17.3 (63.1) 23.1 (73.6) 31.8 (89.2) 36.6 (97.9) 39.4 (102.9) 40.5 (104.9) 42.0 (107.6) 36.8 (98.2) 31.2 (88.2) 22.8 (73) 15.6 (60.1) 42.0 (107.6) 평균최고기온 °C (°F) −1.0 (30.2) −0.4 (31.3) 5.7 (42.3) 15.6 (60.1) 22.2 (72) 26.4 (79.5) 28.7 (83.7) 28.2 (82.8) 21.8 (71.2) 13.9 (57) 5.2 (41.4) 0.1 (32.2) 13.9 (57) 일평균기온 °C (°F) −4.0 (24.8) −4.1 (24.6) 1.4 (34.5) 9.7 (49.5) 15.8 (60.4) 20.1 (68.2) 22.3 (72.1) 21.2 (70.2) 15.3 (59.5) 8.6 (47.5) 1.8 (35.2) −2.7 (27.1) 8.8 (47.8) 평균최저기온 °C (°F) −6.8 (19.8) −7.4 (18.7) −2.4 (27.7) 4.2 (39.6) 9.4 (48.9) 13.8 (56.8) 16.0 (60.8) 14.5 (58.1) 9.4 (48.9) 4.0 (39.2) −1.3 (29.7) −5.5 (22.1) 4.0 (39.2) 최저기온기록 °C (°F) −41.9 (−43.4) −36.9 (−34.4) −27.3 (−17.1) −12.1 (10.2) −8.2 (17.2) −1.8 (28.8) 5.2 (41.4) −0.4 (31.3) −7.2 (19) −16.3 (2.7) −26.3 (−15.3) −29.6 (−21.3) −41.9 (−43.4) 평균 강수량 mm (인치) 36 (1.4) 36 (1.4) 32 (1.3) 33 (1.3) 50 (2) 61 (2.4) 63 (2.5) 34 (1.3) 45 (1.8) 35 (1.4) 39 (1.5) 39 (1.5) 503 (19.8) 평균강우일수 10 8 11 14 13 14 12 8 11 11 13 10 135 평균강설일수 17 16 10 1 0.1 0.03 0 0 0.1 1 7 16 68 평균 상대 습도 (%) 84 82 77 65 62 63 63 60 67 75 84 85 72 출처: Pogoda.ru.net[1] 행정 구역 (괄호 안은 러시아식 이름)[편집] 아드테미우스키 구(Артемівський район, 아르툐몹스키 구(Артёмовский)) 조우트네비 구(Жовтневий район, 좁트네비 구(Жовтневый)) 카미야노브로드시코호 구(Кам'янобродського район, 카메노브로츠키 구(Каменнобродский)) 레닌스키 구(Ленінський район, 레닌스키 구(Ленинский)) 자매 도시[편집] 루블린 (폴란드) 카디프 (영국) 페르니크 (불가리아) 생테티엔 (프랑스) 세케슈페헤르바르 (헝가리) 다칭 시 (중화인민공화국) 루한스크의 유명인[편집] 블라디미르 달 (1801-1872)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각주[편집] ↑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Weather and climate] (러시아어). pogodaiklimat.ru. 2014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루한스크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전거 통제 WorldCat LCCN: n83052584 GND: 4468817-9 이 글은 우크라이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한스크&oldid=24172801" 분류: 루한스크우크라이나의 도시루한스크의 도시우크라이나의 주도우크라이나의 옛 수도루한스크주의 도시숨은 분류: CS1 - 러시아어 인용 (ru)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우크라이나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우크라이나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CebuanoQırımtatarca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alaallisutКоми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پنجابیΠοντιακά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Ślůnski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16: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연제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제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0′ 38″ 동경 129° 05′ 29″ / 북위 35.1773466° 동경 129.0914373°  / 35.1773466; 129.0914373 연제고등학교蓮堤高等學校Yeonje High School 교훈 스스로 다스리고 하나로 뭉쳐 연제에서 세계로 미래로 개교 2006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최종원 교감 김용정 국가 대한민국 위치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30번길 31 (연산동) 학생 수 628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78 명 (2019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교화: 장미 관할관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yeonje.hs.kr 연제고등학교(蓮堤高等學校)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2005년 10월 15일 : 연제고등학교 설립인가 (남녀 8학급 완성 24학급 인가) 2005년 12월 29일 : 연제고등학교 신축교사 준공 2006년 3월 1일 : 초대 김한원 교장 취임 2006년 3월 3일 : 2006학년도 입학식 (8학급 남 4학급, 여 4학급, 계 280명) 2006년 3월 20일 : 정독실 설치 (연학재, 형설재, 청운재, 수연재 160석 완비) 2006년 11월 10일 : 태권도부 창단 (신입생 6명으로 구성) 2007년 3월 1일 : 교내자율장학 연구학교 운영 2007년 11월 23일 : 인조잔디구장 개장 2009년 2월 10일 : 제1회 졸업식(졸업생 263명) 2011년 3월 1일 : 학교 숲 가꾸기 연구학교 운영 2012년 3월 1일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운영(~2017.02.28. 5년) 2016년 10월 28일 : 자율형 공립학교 운영 재지정(2017.03.01. - 2022.02.28. 5년간) 2016년 9월 1일 : 제5대 최종원 교장 취임 2019년 2월 12일 : 제11회 졸업식(250명, 졸업생 총원 3,078명) 2019년 3월 4일 : 제14회 입학식(195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연제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연제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연제고등학교 홈페이지 vdeh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서구 경일고 덕문고 명호고 부산강서고 부산대저고 부산산업과학고 금정구 금정여고 금정전자공고 남산고 내성고 대진전자통신고 동래여고 부산과고 부산사대부고 부산예고 부산정보관광고 브니엘고 브니엘여고 브니엘예고 지산고 기장군 기장고 부산장안고 신정고 장안제일고 정관고 남구 대양전자통신고 대연고 동명공고 동천고 문현여고 배정고 부산경영고 부산공고 부산세무고 부산중앙고 분포고 성지고 예문여고 한국조형예술고 한얼고 동구 경남여고 금성고 데레사여고 부산고 부산컴퓨터과학고 동래구 금정고 대명여고 동래고 동래원예고 동인고 부산전자공고 부산중앙여고 사직고 사직여고 용인고 충렬고 학산여고 혜화여고 부산진구 가야고 개금고 개성고 경남공고 경원고 동의공고 부산국제고 부산동고 부산동성고 부산마케팅고 부산정보고 부산진고 부산진여고 부산진여상 성모여고 세정상고 양정고 한국과학영재학교 북구 경혜여고 금곡고 금명여고 낙동고 만덕고 부산백양고 삼정고 성도고 화명고 사상구 구덕고 대덕여고 사상고 서부산공고 주례여고 사하구 건국고 다대고 대광발명과학고 대동고 동아고 동아공고 부산여고 부산일과학고 부산자동차고 부일외고 부일전자디자인고 삼성여고 성일여고 해동고 서구 경남고 경성전자고 부경고 부산관광고 부산서여고 수영구 덕문여고 부산남일고 부산동여고 부산여상 연제구 계성여상 부산외고 연제고 이사벨고 지구촌고 영도구 광명고 부산남고 부산보건고 부산영상예술고 부산체고 부산해사고 영도여고 중구 남성여고 동주여고 부산디지털고 혜광고 해운대구 반여고 부산국제외고 부산기계공고 부산문화여고 부흥고 센텀고 신도고 양운고 영산고 해강고 해운대고 해운대공고 해운대관광고 해운대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서울 경동고등학교 경일고등학교 고척고등학교 광양고등학교 구현고등학교 금천고등학교 당곡고등학교 대영고등학교 등촌고등학교 면목고등학교 미양고등학교 상암고등학교 서울여자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 수락고등학교 원묵고등학교 중경고등학교 청량고등학교 부산 경남고등학교 경남여자고등학교 개성고등학교 금정고등학교 낙동고등학교 부산남고등학교 부산중앙고등학교 부산진고등학교 부산여자고등학교 사상고등학교 연제고등학교 영도여자고등학교 주례여자고등학교 대구 강동고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구암고등학교 달성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서부고등학교 대진고등학교 상인고등학교 수성고등학교 칠성고등학교 포산고등학교 학남고등학교 호산고등학교 인천 강화고등학교 동인천고등학교 인천공항고등학교 인천상정고등학교 인천신현고등학교 인천예일고등학교 광주 광주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상일여자고등학교 대전 대전고등학교 대전노은고등학교 대전송촌고등학교 대전여자고등학교 충남고등학교 울산 문현고등학교 약사고등학교 세종 한솔고등학교 경기 고색고등학교 군포중앙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 양주고등학교 와부고등학교 운정고등학교 의왕고등학교 저현고등학교 청학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함현고등학교 충북 단양고등학교 오송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청주고등학교 충주고등학교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충남 강경고등학교 논산고등학교 덕산고등학교 대산고등학교 서천여자고등학교 용남고등학교 천안업성고등학교 전남 광양고등학교 나주고등학교 남악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순천고등학교 여수고등학교 해남고등학교 경북 경산고등학교 북삼고등학교 봉화고등학교 상주여자고등학교 안동고등학교 영주제일고등학교 울진고등학교 인동고등학교 점촌고등학교 경남 거제제일고등학교 김해경원고등학교 김해고등학교 김해제일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양산고등학교 웅천고등학교 진양고등학교 진주고등학교 창원중앙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여자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vdeh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태권도부서울 관악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서울체육고등학교 성동고등학교 송곡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목고등학교 잠실고등학교 창동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부산 금정고등학교 금정여자고등학교 동천고등학교 부산골프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체육고등학교 부흥고등학교 연제고등학교 대구 경북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다사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영송여자고등학교 오성고등학교 협성고등학교 인천 강화고등학교 계양고등학교 광성고등학교 부광고등학교 선인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체육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광주 광주체육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 첨단고등학교 대전 대전관저고등학교 대전체육고등학교 울산 방어진고등학교 신정고등학교 우신고등학교 효정고등학교 경기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고양외국어고등학교 광동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기흥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원고등학교 무원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사우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상우고등학교 성안고등학교 소사고등학교 송림고등학교 수내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숙지고등학교 시온고등학교 시흥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운천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천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정발고등학교 충현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평내고등학교 풍덕고등학교 풍생고등학교 효성고등학교 강원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강원체육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상지여자고등학교 철원고등학교 충북 제천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청주신흥고등학교 충북체육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충남 대천고등학교 대천여자고등학교 서산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천안정보고등학교 천안중앙고등학교 충남체육고등학교 전북 군산고등학교 군산여자고등학교 군산중앙고등학교 만경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 전북체육고등학교 전주영생고등학교 진안제일고등학교 전남 광양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여수고등학교 영광고등학교 영광실업고등학교 전남체육고등학교 경북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체육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계림고등학교 금오공업고등학교 김천고등학교 영천고등학교 오상고등학교 포항영신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경남체육고등학교 마산구암고등학교 김해경원고등학교 양산고등학교 양산여자고등학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웅천고등학교 창원용호고등학교 제주 남녕고등학교 남주고등학교 삼성여자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검도부 골프부 국궁부 농구부 동계스포츠부 레슬링부 바둑부 배구부 사격부 수영부 야구부 양궁부 유도부 조정부 축구부 카누부 태권도부 탁구부 펜싱부 필드하키부 핸드볼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연제고등학교&oldid=24454377" 분류: 자율형 공립 고등학교대한민국의 고등학교 태권도부부산 연제구의 고등학교2006년 개교남녀공학 고등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네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 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강 利根川Tone River (지리 유형: 강) 도네강 하구 (2008년) 나라 일본 지방 나가노현 · 군마현 · 도치기현 · 사이타마현 · 이바라키현 · 도쿄도 · 지바현 발원지 오미나카미산  - 고도 1,831m (6,007ft) 하구 태평양 길이 322km (200mi) 면적 16,840km² (6,502sq mi) 유량  - 평균 256m³/s (9,041cu ft/s) 참고 문헌: 《도네 강 100년사》, 《하천편람 2004년판》 도네강(일본어: 利根川, とねがわ 도네가와[*])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다.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하여, 간토 지방을 북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흐른다. 도네강 수계의 본류로, 일본 정부의 하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급 하천으로 관리받고 있다.[1] "반도타로" (坂東太郎)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타로는 도네강이 "간토 지방의 하천 중 장남 격이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임을 의미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수도권의 거주민들을 위한 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네강의 강수량이 수도권 지역의 취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2] 목차 1 지리 2 자연과 생태 2.1 기후와 강물 2.2 지리와 지질 2.3 지하자원 2.4 식생과 곤충 2.5 동물 2.6 어류와 수생생물 3 명칭 4 유역 4.1 본류 4.2 지류와 분류 4.3 늪과 호수 5 역사 5.1 중세 이전 5.2 에도 시대 전기 5.3 에도 시대 후기 5.4 근대의 도네강 5.5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 5.6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 5.7 개발과 지역 마찰 6 주해 7 각주 8 참고 자료 지리[편집] 상류 (군마현 마에바시시) 중류 (군마현 오라군 메이와정) 하류 (이바라키현 - 지바현 경계)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에 자리하고 있는 미쿠니산맥의 오미나카미산(표고 1,840m)에서 발원한다. 남쪽으로 흐르다 다카사키시역을 거쳐 가라스강과 합류하면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쿄만으로 흐르는 에도강과 갈라진 뒤,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의 지리적 경계선을 이루며 동쪽으로 흐르다, 지바현 조시시 근처의 가시마나다에서 태평양과 합류한다. 총연장은 332km로, 시나노강에 이어 일본 내 2위, 유역면적은 약 16,840km2로 일본 내 1위이다. 간토 지방의 1개 도와 5개 현(가나가와현 제외)을 지나가며, 가라스강의 일부 지류가 나가노현 사쿠시에서 발원한다.[3][주 1] 도네강의 상류와 중류, 하류는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4] 상류: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군마현 이세사키시 얏타섬 (八斗島)까지. 중류: 얏타섬에서 지바현 노다시의 에도 강 분기점까지. 하류: 에도강 분기점에서 조시 시의 하구까지. 도네강이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한다는 사실은 1954년 군마현 산악연맹의 "오쿠토네 수원 조사 등산대"에 소속되어 있던 30명이 밝혀냈다. 이들은 발원지를 찾아 강을 직접 거슬러 올라갔다.[5] 발원지에 관련된 최초의 사료는 무로마치 시대에 쓰인,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일대기인 《의경기》로, 《의경기》에는 도네강의 발원지가 지금의 미나카미정 후지와라 부근이라고 적혀있다. 오미나카미산의 이름은 에도 시대 초반인 1640년대에 그려진 막부 공인 지도인 《쇼호구니에즈》에 처음으로 나왔다. 그러나 도네강의 정확한 발원지는 1835년에 그려진 《에도메이소즈카이》나 1858년에 그려진 《도네가와즈시》 등에서 서로 발원지를 다르게 표시하는 등, 오랫동안 밝혀내지 못해왔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강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되어, 1894년과 1926년에 두 번의 조사를 한 후, 1954년 지금의 위치로 발원지를 확정했다. 이 밖에, 군마현 당국이 1975년에 전문가들을 모아 도네강 유역의 종합학술조사를 시행하기도 했다.[6] 도네강의 출발점은 오미나카미산 북동쪽 사면, 표고 1,800m 부근에 있는 삼각형의 골짜기 끝이다. 원류부는 험준한 계곡인데, 크고 작은 못들에서 흘러나온 물들이 오쿠토네호로 모이게 된다. 야기사와 댐, 스다가이 댐, 후지와라 댐을 통과하면서 남서쪽으로 유로를 틀어, 미나카미 온천 부근에서 협곡을 형성하며 남쪽으로 흐른다. 미나카미정 쓰키요노에서 아카다니 천과, 누마타시에서 가타시나강과 합류하는데, 가타시나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하안 단구를 형성한다. 누마타시에서 시부카와시 경계에 걸쳐서는 아야토 계곡을 형성하며 구불구불하게 흐르다, 시부카와시의 시내에서 아가쓰마강과 합류하여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를 통과한다. 다카사키시에서는 가라스강과 합류해, 이세사키시의 얏타섬에 이른다. 얏타섬 부근부터 강의 폭은 넓어진다.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부근에서 약 500m 수준으로,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지역에서는 약 900m 규모로 넓어지는 것이다.[7] 도네 보 (利根大堰)에서는 무사시 수로가 갈라져, 도네강물을 아라카와강과 연결한다. 도네 보를 지나 와타라세강과 합류하여,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가운데를 흘러 이후 남동쪽으로 흐르는데, 이 구간을 따라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의 경계선이 정해졌다. 노다시에서는 에도강과, 지바현 가시와시에서는 도네 운하와 갈라지며, 이바라키현 모리야시에서는 기누강, 도리데시와 기타소마군 도네정의 경계점에서는 고카이강과 합류한다. 가토리시와 도네강 하구언을 지나, 히타치토네강, 구로베강과도 합류한다. 두 강과의 합류 지점을 지나면서 강의 폭은 최대 1km까지 넓어지게 된다.[7] 가미스시와 조시시의 지리적 경계를 이룸을 끝으로,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네강 하류 지역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보유한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 인바 늪, 우시쿠 늪, 데가호 등 여러 개의 자연 습지가 만들어져 있다. 자연과 생태[편집] 도네강은 유역이 넓고 긴 강이기 때문에, 자연 환경과 생태계가 상류, 중류, 하류 지역에서 저마다 다르게 나타나곤 한다. 기후와 강물[편집] 도네강 중류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 있는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의 구리하시 관측소. 과거의 홍수 때 수위에 따라 기둥에 흰 빗금이 그어져 있다. 도네강 유역의 기후는 대체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데, 이는 도네강이 흐르는 간토 평야가 북태평양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이 모두 항상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를 보이지는 않으며,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강수량은 연평균 1,300mm로, 일본 전국의 연평균 강수량 1,700mm보다는 밑돌고 있다.[8] 상류부는 미쿠니산맥을 비롯한 고산 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고 기온이 매우 낮아진다. 상류부 지역은 간토 지방에서 비교적 많은 눈이 내리는 다설지에 속해 있어, 1955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간 누적 적설량을 오미나카미산 발원지가 16m, 야기사와 상류부가 10 ~ 14m, 미나카미정 부근과 가타시나강 상류부가 2 ~ 10m을 기록하고 있다.[8] 이렇게 쌓인 눈은 봄철이 되면 녹아, 도네강을 따라 흐르면서 수도권 지역에서 용수로 쓰이게 된다. 중류부는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비교적 높아지며, 맑은 날씨가 잦아진다. 2007년 8월 16일 구마가야시에서 기록된 기온인 섭씨 40.9도는 같은 날 기후현 다지미시에서 기록된 기온과 함께, 일본 최고 기온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 군마현과 도치기현에서는 여름철에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자주 내린다.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건조한 계절풍이 불어오는데, 군마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건조 계절풍을 "조슈의 강바람", "아카기의 바람", "하루나의 바람"이라고 불러왔다.[9] 하류부는 구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아 습윤한 해안성 기후를 보이기 때문에 중류부보다는 폭염 현상이 비교적 덜 발생하는 편이나, 겨울철에는 흐린 날씨가 비교적 잦아진다.[10] 비는 중류부와 하류부를 중심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태풍이 불어올 때 가장 많이 내린다. 하지만 도네강의 연평균 강수량은 강수량을 처음으로 재기 시작한 1900년부터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20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비가 내린 해와 비가 비교적 적게 내린 해의 강수량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8] 도네강의 연간 유량은 약 91.5t으로, 시나노강, 모가미강, 아가노강, 기타카미강에 이어 일본 내에서는 5위이다. 이는 도네강보다 윗순위에 있는 하천들이 비록 유역 면적이 도네강보다는 좁지만, 모두 적설량이 많은 다설 지역을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유량은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의 관측 지점을 기준으로, 초당 290.43m3이다. 연평균 유량도 일본 전국의 강들 중에서는 5위에 속한다.[11] 지리와 지질[편집] 간나강의 지류인 산바강에서 생산되는 변성암들. "산바세키"라 불리는 이 변성암은 일본의 천연기념물 중 하나이다. 도네강과 시나노강의 분수령인 미쿠니산맥을 이루는 산 중 하나인 다니가와산. 도네강 유역의 상류부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 지형이 대부분이며, 중류부와 하류부의 대부분은 충적 평야이다. 도네강 최상류부의 오쿠토네 주변은 신생대 고제3기에 형성된 화강암 지형이다. 그 밖의 산지들은 신제3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형으로, 간토 산지, 야미조 산지, 아시오 산지는 고생대에서 중생대 사이에 걸쳐 형성된 각암, 사암, 점판암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가라스 강 유역, 특히 간나 강 일대는 일명 "산바가와 변성대"라 불리는데, 간나 강의 산바 골짜기나 지류인 산바 강에서는 "산바세키"라 불리는, 녹색에 가까운 결정 편암 (변성암의 하나)이 다수 발견된다. 군마 현, 도치기 현 일대를 흐르는 지류들의 상류부에는 여러 개의 화산이 있는데, 화산들의 분출 활동으로 만들어진 화산 쇄설물층이나, 용암이 풍화한 화강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발견된다. 중류부와 하류부의 구릉지대와 홍적대지는 제4기에 형성되었는데, 과거 도쿄만에서 흘러와 퇴적된 모래와 진흙으로 형성된 시모우사 지층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지층 위에는 간토 롬층이 덮여 있다. 충적 저지대는 신생대 전기인 갱신새 말기부터 완신세에 걸쳐 형성된 두터운 충적층이 주를 이르며, 지금의 도쿄 만 연안부 등에서는 최대 60m에서 80m 사이까지 두꺼워진다. 한편, 제4기에 간토 산지 등 간토 평야를 에워싼 주변 산지의 융기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상대적으로 평야 중앙부가 침강하는 조분지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충적 저지대에서는 상류에서 흘러온 토사가 충적층에 퇴적되었다. 그 후 침강한 평야 중앙부가 다시 융기하면서 그 곳으로 토사가 쌓여, 지금의 대지와 저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13] 이렇게 형성된 산지나 대지가 지금의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군마 현과 니가타현의 경계를 이루는 미쿠니산맥과, 군마현·도치기현·후쿠시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다이샤쿠산맥, 그리고 이바라키현에서 도치기현에 걸쳐 있는 야미조 산지의 남쪽 사면과, 군마현·나가노현·사이타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간토 산지의 동쪽 사면에 내리는 비가 도네강으로 흐르는 것이다.[13] 미쿠니산맥은 태평양과 동해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미쿠니산맥을 경계로 남쪽 사면은 도네강 본류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못의 발원지를 이루고 있다. 반면 북쪽 사면은 우오노강·나카쓰강 등, 시나노강의 수계를 이루고 있다.[14] 다이샤쿠산맥에 속한 난타이산, 닛코시라네산, 오제고원 등지는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에 내린 비가 각각 기누강, 가타시나강으로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서쪽 사면에는 오제 늪을 수원으로 하는 다다미강이 흐르며, 다다미강은 아가노강과 합류한다. 야미조 산괴, 도리코 산괴, 게이조쿠 산괴, 쓰쿠바 산괴를 포함하는 야미조 산지와, 야미조 산괴에서 이어지는 우쓰노미야시 부근의 대지, 이바라키현 중남부에 펼쳐진 조소 대지도 남북 사면으로 나뉘는데, 남쪽 사면으로는 기누강·고카이강 등이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쪽 사면으로는 도키가와강·아라카와강, 히누마강 등 나카강의 지류들이 태평양으로 흐른다.[15] 간토 산지 북부와 아사마산, 묘기산, 아라후네산 등 군마현과 사이타마현 서부에 있는 산지들에서는 대부분 동쪽 사면으로 아가쓰마강, 가라스강, 오야마강 등이 도네강으로 흐르지만, 사이타마현에 속한 남쪽 사면으로는 아라카와강의 지류들이 아라카와강에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흐른다. 서쪽 사면으로는 시나노강의 지류인 지쿠마강이 흐른다. 그리고 사이타마현 북부의 대지는 제3기 이후 한때 도쿄만의 물이 들어와 가라앉았다가, 제4기 이후 해퇴 운동으로 바닷물이 빠지면서 아카기산, 하루나산이 발달하고,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 대지는 가조시, 삿테시, 구키시 일대에 이르러 차차 고도가 낮아지는데, 이 지역에 모인 물들은 도네강 또는 나카가와강으로 흐르게 된다.[16] 지하자원[편집] 1895년 경의 아시오 광산. 1973년에 문을 닫았다. 도네강 유역에서는 금, 은, 구리, 망간, 철광석 등의 금속 자원과, 석회암, 유황, 천연 가스 등의 비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금속 자원 중 특히 구리는 도네강 유역의 아시오 광산에서 1973년까지 생산해왔다. 이 밖에, 금과 은이 도네강 본류의 상류부와 기누강 상류부에, 망간이 와타라세강 유역에, 철광석이 아가쓰마강 상류부에 매장되어 있다.[17] 한편 비금속 자원 중 유황은 아가쓰마강 상류에, 석회암은 가라스강 유역에 매장되어 있다. 또 석재로는 도치기현의 오야이시 (大谷石)나, 군마현의 산바세키가 담이나 고급 정원석 용도로 채굴되고 있다.[17] 또 천연 가스는 도네강 하류 일대, 에도강 하류 일대의 미나미칸토 가스전 등지에서 채취되고 있다. 1956년 이후 천연가스 채취가 에도강 하류의 도쿄도 고토구, 지바현 이치카와시·후나바시시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내고, 천연 가스를 오랫동안 채취하면서 지반이 침하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도쿄도와 지바현 당국은 가스전 일대의 민간 채굴 사업자로부터 1972년에 가스 채취권을 사들여, 채취를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은 가스를 채취하지 않고 있다.[18] 식생과 곤충[편집] 닛코시의 센조가하라는 고층습원으로, 여러 종류의 고산 식물이 자란다. 도네강의 식생도 상류, 중류와 하류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상류에서는 산악 지대인 오제나 아사마산 북쪽 기슭을 중심으로 고산 식물이 자라며, 센조가하라는 물이끼와 넌출월귤이 자라는 고층습원이다. 또, 상류 지역은 고도에 따라서도 식생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1,6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서는 상록침엽수들이 자라는데, 주로 일본 전나무 고유종인 "시라비소", 좀솔송나무가 자란다. 표고 700 ~ 800m대에서는 너도밤나무와 물갈나무 등이 자란다.[19] 하지만 와타라세 강의 발원지인 아시오 산지는 아시오 광산이 개발되던 당시에 유출된 연기들 때문에 생태계가 크게 무너졌다. 한편 중류에서는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붉가시나무, 모밀잣밤나무 등 원래부터 자생하던 나무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신 주택과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심어 놓은 삼나무와 편백 따위의, 재조림을 목적으로 심은 나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둔치에서는 갈대와 억새류, 쇠뜨기, 개여뀌, 금방동사니 등이 자라고 있으며, 하류 지역에서는 부들과 야생쌀을 볼 수 있다. 갈대 군락은 중류와 하류의 호소나 늪과 같은 습지대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대규모 갈대 군락이 자생하는 와타라세 유수지에서는 하늘지기류, 물옥잠, 등골나물 등 멸종위기종들도 자생하고 있다. 도네강 유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종수는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666종이다. 조류는 물에 영양분이 적은 상류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며, 중류와 하류에서 규조류가 주로 자라고 있다. 그러나 가스미가우라 지역은 수질이 점차 나빠지면서 여름철에 미크로시스티스가 대량으로 증식해 녹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20][21] 도네강 유역에는 외래 식물종도 자라고 있다. 중류 지역에서는 양미역취나 돼지풀이, 하류에서는 가시박, 큰물수세미, 물배추가 자라고 있는데, 이들을 비롯한 외래 식물종들이 생태계를 변화시킨다고 판단한 일본 환경성은 "특정 외래생물의 유입에 따른 생태계 등의 피해 방지에 관한 법률", 곧 "외래생물법"에 따라 도네 강의 외래 식물종들을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도네 강의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국토교통성과 협력하여 외래 식물종들을 제거하고 있다.[22][23] 도네강 유역의 곤충들은 절지동물인 거미목 곤충들을 중심으로,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975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딱정벌레목이 397종, 나비목이 170종, 노린재목이 125종, 거미목이 84종을 차지하고 있다. 상류의 고산 지대에서는 눈나비, 높은산노랑나비, 갈구리신선나비, 실잠자리[주 2], 큰별박이왕잠자리 등 산지에서 잘 자라는 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다. 한편 중류와 하류에는 거미목, 나비목 등이 주로 서식하는데, 이들 중 왕오색나비는 일본 정부에서 "나라나비"[주 3] 로 지정한 상태이다. 이 밖에, 실잠자리목과 청솔귀뚜라미 등 희귀종들도 서식하고 있다. 한편, 강 유역의 히누마 늪에는 노랑실잠자리, 고유종인 히누마실잠자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21][24] 동물[편집] 와타라세 유수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말똥가리. 상류 지역의 산지를 중심으로 반달가슴곰, 일본원숭이, 일본사슴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중류와 하류 지역에서는 인간의 택지 개발과 농경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대형 동물들은 서식하지 않고 있다. 대신, 여우나 너구리, 산토끼, 일본족제비, 작은일본두더지 등이 서식하고 있다. 1994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포유류는 12종 이상, 파충류는 5종, 양서류는 4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1급 수계"로 지정한 일본 내 다른 대규모 하천들에 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약하다. 상류에는 1급수 지표 생물인[25] 꼬리치레도롱뇽의 아종인 일본꼬리치레도롱뇽이 살고 있다.[주 4] 외래종으로는 늪너구리 (뉴트리아), 사향쥐, 황소개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이 외래종들을 모두 생태계를 교란하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감시하고 있다.[26][27] 조류는 곤충들과 식물들이 많은 중류와 하류에서 많이 사는데,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있다. 상류에는 참수리, 검둥수리, 뿔매 따위의 맹금류나, 바위종다리, 잣까마귀 따위의 고산 조류가 산다. 야기사와 댐·후지와라 댐 등 도네강 상류에 있는 댐들에서 이들의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28][29] 이 밖에 계곡 등에는 물총새, 할미새사촌 등이 살고 있다. 중류와 하류에는 참새, 까마귀, 멧새 등 개체가 많은 종 뿐만 아니라, 갈대 군락지를 중심으로 논병아리도 살고 있다. 철새로는 큰고니, 고니가 가스미가우라에 찾아오며, 와타라세 유수지나 와타라세강 합류부의, 자연 식물들이 많이 자라는 곳들을 중심으로 왕새매, 개구리매, 말똥가리, 붉은뺨멧새 등의 맹금류와 오리, 도요과, 물떼새과 등이 철에 따라 찾아오거나, 머무른다.[26][27] 외래종으로는 2003년 도리데시가 처음으로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상사조 (Leiothrix lutea)가 확인된 바 있다.[22][23] 도네 강 유역에서 살아가거나, 철에 따라 오가는 새들은 모두 136종이다.[27] 어류와 수생생물[편집] 백연은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이다. 산란철에는 도네 강 중류까지 거슬러올라 알을 낳는다. 사진은 어른 백연이 붙잡힌 모습이다. 모두 8목 13과 43종의 어류가 도네강에 살거나, 오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류에는 주로 곤들매기, 산천어, 기생개구리가, 중류에는 피라미, 잉어, 금붕어, 참붕어, 장어 등이 서식하며, 멸종위기종인 "제니다나고"[주 5] 도 서식하고 있다. 하류에는 숭어, 농어, 문절망둑, 멸치 등이 올라와서 살며, 하구부에는 감성돔과 가자미 등 주로 바닷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초어 (草魚), 백연 등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들은 점점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 되면 국도 제4호선 도네가와 교 근처에서 뛰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30][31] 도네강으로 들어오는 회유어로는 연어와 은어가 대표적이다. 회유어는 에도 막부 이래 일본 정부가 시행한 용수로 건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실시한 도네강 유역의 특정 지역들의 종합 개발 계획 등으로 댐과 보 (洑) 가 도네강 곳곳에 세워지면서, 한때 그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었었다. 특히 하구에서 154 km 떨어진 도네 보는 회유어들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길의 큰 장애물이었다. 이 때문에 도네 보의 관리를 책임지던 수자원개발공단 (지금의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은 1983년부터 연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어도의 신설과 개축을 실시했다. 2005년부터는 환경보호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여, 은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과, 바다로 내려가는 시점에 보의 문을 여닫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들과 정부의 협력으로, 도네 보를 오가는 은어와 연어의 개체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32] 한편 도네강 하구언은 건설 과정에서 일본재첩의 생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지적을 수용해 설계를 개선한 바 있다.[33] 특정 외래생물로는 블랙배스와 블루길이 하구언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찬넬메기 (찬넬동자개)도 서식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 송사리의 천적인 모스키토피시 (Gambusia affinis)의 서식도 확인된 바 있다.[22][23] 수생·저생생물로는 177종이 확인되었다. 상류와 중류를 중심으로 날도래목, 강도래목, 하루살이목이 서식하고 있으며, 강바닥이 진흙과 모래로 되어 있는 하류에는 우렁이, 왼돌이물달팽이, 갯지렁이, 실지렁이 등이 살고 있다.[30] 도네강 하류 유역은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 후쿠오카현과 사가현의 지쿠고강 하류와 함께 일본산 흡혈충병의 발생지로 알려져 있는데[34], 이 흡혈충들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3년에 몸에서 기생충의 알이 나온 환자의 사례를 끝으로, 기생충 환자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있다.[35] 대신, 강바닥을 굳게 만들고 퇴적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생물들의 유입을 방해하여 생태계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바 있는 바다살이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가 아비코시와 인자이시, 그리고 가스미가우라에서 확인된 바 있다.[22][23][36] 도네강 유역의 내수면 어획량은 일본 전국의 총 어획량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도쿄권과 가깝기 때문에, 어업협동조합이 세워져 어민들이 어획 활동을 자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네강이 지나가는 1도 5현의 81개 조합이 저마다 일본 정부로부터 제1종, 제2종, 제5종 어업 면허를 딴 상태이다.[37] 명칭[편집] "도네강"이라는 이름의 문헌 상의 근거는 《만요슈》 40권에 실린 "아즈마우타" (東歌; 동쪽 지방의 노래) 중 "고즈케국의 노래" 부분에 실린 와카이다.[38] 刀祢河泊乃 可波世毛思良受 多太和多里 奈美尓安布能須 安敞流伎美可母 利根川の 川瀬も知らず ただ渡り 波にあふのす 逢へる君かも — 《만요슈》 40권, 아즈마우타 중, "고즈케국의 노래"에서. 이 와카는 고대 일본어로 쓰인 것으로, 한국어의 이두처럼 문장을 한자로 옮기면서 음에 맞는 글자를 따 온 것이다. 현대어로는 대개 "도네강에서 여울이 흐르는 곳임을 깨닫지도 아니하고 강을 건널 제 문득 덮치는 물보라처럼 그대를 만났어라" 정도로 풀이한다. 이 시는 서민 여성들이 사용하는 "기물진사", 즉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는 표현 방식이 들어간 소몬카(相聞歌)이다. 여기에 대해 이누카이 다카시는 자신의 저서인 《만요의 여행》 중권에서 고즈케국의 노래에 등장하는 강의 너비가 와카의 화자가 건널 수 있었던 정도임을 생각할 때, 도네강에서 와카에 등장하는 지역은 누마타시와 시부카와시 사이의 지역일 것이라고 추정했다.[38] 와카에 쓰인 "刀祢" (도네)의 참의미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여러 개의 가설만이 존재한다. 강이 흐르는 지역인 도네군에서 음을 땄다는 설, 강의 발원지의 주변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즉 "도키미네" (尖き峰)의 발음이 뒤바뀌었다는 설, 발원지인 오미나카미산의 별칭인 "도네다케" (일본어: 刀嶺岳, 刀祢岳, 刀根岳)에서 따왔다는 설[38], 도네노아타이 (等禰直), 또는 도네쓰히코 (椎根津彦)[주 6] 라는 신에서 따왔다는 설[39] 등이 있다. 한편, 어원에 얽힌 설 중에는 아이누어로 "톤나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이 "톤나이"에 관한 해석도 "거대한 골짜기"나 "늪과 호수처럼 넓고 큰 하천" 등으로 나뉜다.[38][39] 한편 도네강의 별명인 "반도타로"는 아시가라 고개에서 우스이 고개까지 경계를 그은 다음, 그 동쪽 지역을 묶어 일컫던 "반도"에서 유래했다. "반도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이다.[40] 비슷한 형태로 별칭이 붙은 강으로는 "쓰쿠시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쓰쿠시지로" (筑紫次郎)라는 별명이 붙은 지쿠고 강, "시코쿠섬을 흐르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시코쿠사부로" (四国三郎)라는 별명이 붙은 요시노강이 있다. 한편, 주고쿠 지방의 고노카와강은 "주고쿠타로"라는 별명이 붙어 있는데, 이는 다른 강들과는 무관하다.[41] 또 지금의 도네 강은 시나노강, 요도가와강 등 다른 지역의 강들과는 다르게[주 7],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전 지역에서 모두 "도네강"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린다. 유역[편집] 도네강의 개략적인 유역도. 살구색 선 안쪽이 모두 도네강 유역의 하천들이다. 도네강의 유역 면적은 총 1만 6,840km2이다. 이는 시코쿠 지방의 면적의 약 80% 정도와 맞먹는다.[42] 이 유역 면적에 속하는 지역을 흐르며, 도네강에 합류하거나 분기하는 모든 하천들을 도네강 수계로 묶는다. 도네강 수계에 속하면서 마지막에 도네강에 합류하는 지류들의 수는 815개로, 요도가와강 수계의 964개, 시나노강 수계의 880개에 이어 일본 내에서 3위에 해당한다.[43] 유역에 속한 행정 구역은 도쿄도를 비롯하여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나가노현의 1도 6현 221시구정촌으로, 일본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200만 명이 도네강 유역에 살고 있다.[42] 본류[편집] 도네강 본류의 길이는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태평양의 하구까지 322km이며, 발원지에서 태평양까지 이르는 동안 지나는 행정 구역은 군마현·사이타마현·이바라키현·지바 현의 4현, 25시 14정 1촌이다. 1896년에 제정된 최초의 하천법(일명 "구 하천법")에 따라 정부의 관리를 받기 시작했으며, 1897년 9월 11일에 내무성 고시 제59호에 따라 "관리 지정 하천 구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하천 등급제가 도입되자, 1965년 3월 24일에 건설성 정령 (政令)으로 도네강 유역의 "관리 지정 하천 구역" 전역이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4] 현재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도네강의 상류 끝은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3], 하류 끝은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 로,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모두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국토교통성이 직할하는 "지정 외 구간"은 군마현 이세사키시와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사이를 흐르는 구간[46] 에서,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까지로, 지바현 도리데시와 지바현 아비코시의 경계인 오토네 교를 기준점으로 하여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 도네강 상류 하천 사무소와 도네강 하류 하천 사무소가 강을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한편 지정 외 구간의 상류 끝인 이세사키시 ~ 다마무라정 구간에서, 오미나카미 산의 발원지까지는 하천법 제9조 제2항에 따른 "지정 구간"으로서, 국토교통성이 군마현지사에게 관리를 위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카사키시 이북 구간은 군마현이 하천 관리를 맡고 있는데, 야기사와 댐 호수 상단부에서 후지와라 댐 바로 아래까지의 구간은 예외로 국토교통성이 직접 관리한다.[3][주 8] 도네강 본류 유역의 시정촌 현 (県) 시정촌 (상류 → 하류 순)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 누마타시, 도네군 쇼와촌, 시부카와시, 기타군마군 요시오카정,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 사와군 다마무라정, 이세사키시, 오타시, 오라군 오이즈미정, 오라군 지요다정, 오라군 메이와정, 오라군 이타쿠라정 사이타마현 혼조시, 후카야시, 구마가야시, 교다시, 하뉴시, 가조시, 구키시 이바라키현 고가시, 사시마군 고카정, 사시마군 사카이정, 반도시, 모리야시, 도리데시, 기타소마군 도네정, 이나시키군 가와치정, 이나시키시, 가미스시 지바현 노다시, 가시와시, 아비코시, 인자이시, 인바군 사카에정, 나리타시, 가토리군 간자키정, 가토리시, 가토리군 도노쇼정, 조시시 지류와 분류[편집] 도네강 수계의 지류들 중 가장 긴 강인 기누강의 류오쿄 (竜王峡). 도네 강 수계를 흐르는 815계의 하천 중, 도네 강에 직접 합류하는 1차 지류들은 다른 수계나 그 본류의 규모와 맞먹는 대규모 하천인 경우가 많다. 도네강의 지류들 중 가장 긴 하천은 기누강으로, 약 176.7km이다. 이는 간토 지방의 다른 1급 수계 본류인 아라카와강(173km)과 맞먹는다. 또, 지류들 중 가장 유역 면적이 넓은 하천은 와타라세강으로, 약 2,601.9km2이다. 이는 지쿠고강 수계의 전체 면적 (2,683km2)이나,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을 흐르는 다카하시강 수계 (2,670km2), 도야마현과 기후현을 흐르는 진즈강 수계의 전체 면적 (2,720km2)과 맞먹는다. 이 밖에, 길이로는 기누강에 이어 와타라세강과 고카이강이 100km를 넘으며, 유역 면적으로는 와타라세강에 이어 아가쓰마강·기누강·고카이강·히타치토네강이 1,000km2을 넘는다.[43][47] 또 도네강에서 갈라지는 하천, 즉 "분류" (分流)로는 지바현 노다시 부근에서 도네강과 갈라지는 에도강, 지바현 가시와시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흐르다 에도강에 합류하는 도네 운하가 있다. 한편, 사이타마현과 도쿄도를 흐르는 나카가와강은 도네강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아라카와강과 나란히 흐르면서 도쿄만에 이른다.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이 아라카와강 수계의 지류라는 오해가 있었다. 그러나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될 무렵, 건설성 하천심의회 관리부회는 나카가와강에서 갈라지는 분류인 신나카가와 방수로가 도네강의 분류인 에도강의 분류, 구 에도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본류로부터 갈라져 직접 바다로 이르는 파류 (派流) 와, 그 파류로 흘러들어오는 지류는 모두 같은 수계에 포함한다"는 하천법의 조항에 따라, 하천법 개정 후 도네강 수계가 1급 수계로 지정됨과 동시에 나카가와강을 도네강 수계에 귀속시켰다.[48]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과 그 지류들은 모두 도네강 수계의 하천이며, 아라카와강 수계와는 무관하다. 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도네강의 몇몇 지류들도 이름이 바뀌었는데, 지역에 따라 히타치강과 기타토네강으로 불리던 하천은 "히타치토네강"으로 묶였고, 구 에도강은 에도강 방수로의 지류가 되었으며, 신나카가와 방수로는 신나카가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8] 도네강 수계의 주요 지류[47][49]유역 연장 및 유역 면적이 출처로 확인된 1차 지류 및 그 1차 지류에 합류하는 2차 지류만 표기. ( ) 안은 호소와 인공호. 주요 1차 지류 유역 연장(km) 유역 면적(km²) 주요 2차 지류분류 주요 호소 유역 도·현 유역 시·군·구 가타시나강 60.8 673.1 오타키강 다니가와강 구리하라강 스게누마호오지리호마루누마호 소네하라호 미사토호 군마현 누마타시 · 도네군 아가쓰마강 76.2 1,365.9 만자강시라스나강시마강누마오강 하루나호(다시로호)(조슈유노호) (오쿠시마호) (시마호) 군마현 시부카와시 · 아가쓰마군 가라스강 45.2 1,800.7 우스이강가부라강간나강 (우스이호) (묘기호) (아라후네호) (오쿠간나호) (간나호) (신스이호) (헤비카미호) 나가노현 사쿠시 군마현 다카사키시 · 안나카시 · 후지오카시 · 도미오카시 · 간라군 · 다노군 사이타마현 지치부시 · 고다마군 와타라세강 107.6 2,601.9 기류강 마쓰다강 야바강하타가와강아키야마강우즈마강오모이가와강야다강 다타라 늪조누마 늪구사키호우메다호와타라세 유수지야나카호 군마현 미도리시 · 기류시 · 오타시 · 다테바야시시 · 오라군 도치기현 닛코시 · 아시카가시 · 사노시 · 오야마시 · 도치기시 · 가누마시 · 시모쓰카군 · 가미쓰카군 이바라키현 고가시 나카가와강 82.2 986.7 곤겐도강오오토시후루토네강모토아라카와강미사토 방수로아야세강신나카가와강 쇼와 늪구로하마 늪하라이치 늪미즈모토 공원미유키호 사이타마현 하뉴시 · 가조시 · 구키시 ·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고시가야시 · 깃카와시 · 구사카시 · 미사토시 · 야시오시 · 기타사이타마군 · 미나미사이타마군 · 기타카쓰시카군 도쿄도 아다치구 ·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에도강 54.7 200.3 사카가와강마마강구 에도강 지바현 노다시 · 나가레야마시 · 마쓰도시 · 이치카와시 · 후나바시시 · 우라야스시 사이타마현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깃카와시 · 미사토시 · 기타카쓰시카군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도쿄도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기누강 176.7 1,770.6 오지카강도가와강다이야강다가와강 기누 늪유노코호사이노코호주젠지호(가와마타호)(야시오호)(이카리호)사누마 늪 도치기현 닛코시 · 우쓰노미야시 · 모카시 · 시모쓰케시 · 가와치군 · 시오야군 · 하가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유키시 · 시모쓰마시 · 모리야시 · 조소시 · 유키군 고카이강 111.8 1,043.1 고교강야다 강 우시쿠 늪(하코지마 유수지) 도치기현 모오카시 · 하가군 · 시오야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시모쓰마시 · 조소시 · 쓰쿠바미라이시 · 모리야시 · 도리데시 · 류가사키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마카베군 · 유키군 · 기타소마군 히타치토네강 27.5 2,156.7 사쿠라가와강고이세강오노강신토네강요코토네강와니가와강 가스미가우라호기타우라호소토나사카우라호요다우라호(미나미시오 조정지)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이시오카시 · 이나시키시 · 가스미가우라시 · 오미타마시 · 나메가타시 · 호코타시 · 가시마시 · 가미스시 · 이타코시 · 사쿠라가와시 · 지쿠세이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이나시키군 지바현 가토리시 그 밖의 1차 지류 및 분류로는 나라사와강, 나라마타강, 다카라가와강, 유비소강, 아카다니강, 우스네강, 히로세강, 오야마강, 하야카와강, 도네 운하, 이누마강, 데가강, 나가토강, 구로베강 등이 있다. 늪과 호수[편집] 이나시키시 쪽에서 본 가스미가우라호. 멀리 쓰쿠바산이 보인다. 도네강 수계에 속한 자연호 중에는 일본에서 제2위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가스미가우라호가 있다. 대부분의 늪과 호수들은 하류 지역에 주로 몰려있는데, 1910년 요시다 도고가 쓴 《도네 치수 논고》에서 이 호소 (湖沼) 들의 생성에 관해 이야기한 바 있다. 이 책에 따르면, 10세기 초 (1000년대)의 도네강 하류에는 "가토리해"라 불리는 거대한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가토리해는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 인바 늪 등이 하나로 합쳐져 있었던 것이다.[50] 그 후 기누강, 고카이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이고, 에도 시대의 하천 준설 공사와 경작지의 개발에 따른 간척 사업 등등으로 사람의 손이 닿으면서 가토리해의 면적은 차차 줄어들어, 마침내 지금의 강줄기가 되었다.[51] 호수의 생성 원인은 다양한데, 가스미가우라호,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는 바다의 일부가 떨어지면서 호수가 된 것이고, 인바 늪, 데가호, 우시쿠 늪, 스고 늪 등은 강의 흐름이 막혀 호수가 된 것이다. 후루토네 늪은 외따로 분류되는데, 도네강의 인위적인 준설 공사로 예전의 유로가 강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에 있었던 늪으로는 미누마다이 용수 건설에 따라 간척된 미누마 늪이나 구로누마 늪, 가사하라 늪[52], 와타라세 유수지를 건설하면서 와타라세강과 우즈하강의 유로로 편입되며 사라진 아카마 늪[53], 1941년부터 1950년까지 벌어진 간척 사업으로 사라진 우치나사카우라호 등이 있다.[54][55] 상류 지역에 있는 천연 호소들의 대부분은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주젠지호는 난타이 산의 분화 활동으로 생긴 용암이 다이야강의 흐름을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이며, 하루나호, 아카이오누마 늪은 각각 하루나산과 아카기산의 화산호이다. 도치기현 닛코시의 사이노코호는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다. 한편, 상류 지역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벌어진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에 따라 여러 곳의 댐이 세워지면서 여러개의 인공호들이 생겼다. 이 인공호들 중 가장 큰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호수는 도네강 본류에 건설된 야기사와 댐의 인공호인 오쿠토네 댐으로, 오쿠토네 댐의 총 저수용량은 2억 430만m3에 이른다. 이는 간토 지방의 호수들 중 가장 많은 양이다.[56] 또한 저수지 면적은 570Ha로, 소토나사카우라호와 맞먹는다.[57] 이 밖에 중류와 하류에는 와타라세 유수지를 비롯하여, 다나카·스고·이나토이의 홍수 조절지, 고카이강의 하코지마 유수지 등이 있다. 한편, 가스미가우라호에서는 1961년에 제정된 수자원 개발 촉진법에 따른 호소수위조절시설로서, 히타치가와 수문을 이용해 다목적 댐으로 바꾸는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58][59], 인바 늪은 1947년의 인바 늪 개발 사업으로 1969년 북부 조정지와 서부 조정지로 나뉘었다.[60][61] 두 사업은 모두 수도권의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천연 호소를 이용하는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의 일부였다. 이 밖에, 주젠지호는 도치기현 당국이 유출구에 1959년 주젠지 댐을 건설하여 주젠지호의 치수와 겐류 폭포의 수량 조절, 그리고 수력 발전 능력의 개선을 꾀하는 등[62] 천연 호소의 개발이 잦았던 것도 도네강 수계의 천연 호소들의 특징이다. 도네강 수계의 주요 호소[63][64][65] 이름 소재지 유출 하천 생성 원인 기수/담수 표고 (m) 면적 (km²) 최대 수심 (m) 비고 가스미가우라호 (전체)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담수 0 220.0 23.3 니시우라호 · 기타우라호 · 소토나사카우라호 포함 니시우라호 이바라키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담수 0 167.6 7.0 호수 수위 조절 시절 기타우라호 이바라키현 와니가와강 해적호 담수 0 35.2 7.8 히타치토네강 유역 주젠지호 도치기현 다이야강 폐색호 담수 1,269 11.8 163.0 기누강 유역유출구에 주젠지 댐이 세워져 있음. 인바 늪 지바현 나가토강인바 방수로 폐색호 담수 1.0 8.9 1.8 북부 · 서부 조정지로 나뉘어 있음. 소토나사카우라호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 0 5.9 23.3 데가호 지바현 데가강 폐색호 담수 3.0 4.1 3.8 우시쿠늪 이바라키현 야다강 폐색호 담수 - 3.49 3.0 고카이강 유역 스고 늪 이바라키현 이누마강 폐색호 담수 - 2.3 2.0 요다 늪 지바현 야스지강 해적호 담수 - 1.25 - 히타치토네강 유역 하루나 호 군마현 누마오 강 화산호 담수 - 1.15 12.6 아가쓰마강 유역 아카기오누마 늪 군마현 누마오강 화산호 담수 - 0.88 12.6 다타라 늪 군마현 쓰루다강 담수 20.0 0.77 - 와타라세강 유역 사이노코호 도치기현 야나기사와강 유류호[주 9] 담수 1,310 0.7 -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감. 유노코호 도치기현 유가와강 화산호 담수 - 0.31 12.0 기누강 유역 기누 늪 도치기현 기누강 화산호 담수 - 0.134 3.0 일본 환경성이 정한 일본의 주요 습지 500곳 중 하나. 그 밖의 천연 호소로는 스가누마 늪, 오지리 늪. 조누마 늪, 쇼와 늪, 구로하마 늪, 하라이치 늪, 후루토네 늪, 가미노이케 늪 등이 있다. 역사[편집] 도네강은 자주 범람하여[주 10]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으며, 홍수 때마다 유로가 복잡하게 뒤엉키는 하천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간토 지방의 중요한 강으로 유역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에 많은 혜택을 주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일본의 위정자들로부터 도네강과 그 지류를 치수와 이수의 차원에서 다스리고자 하였다. 중세 이전[편집] 중세의 도네강 유로. 아라카와강과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흘렀다. 와타라세강, 기누강은 이 때까지는 도네강과는 별도의 수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네강 유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로 추정된다. 군마현의 이와주쿠 유적 등에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하안 단구나 대지 (臺地) 말단부에 살면서, 사냥을 통해 식량을 구하며 생활했던 흔적을 찾을 수 있다.[66] 조몬 시대에는 조몬 해진으로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서 태평양 하구까지의 도네강 일대가 모두 바다가 되었으며, 그 주변의 바닷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이는 패총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조몬 시대 전기에는 북쪽으로 아카기산 남쪽과 서쪽 기슭이나,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모토아라카와강 유역에 주로 패총이 분포했었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 바닷물이 점차 빠지면서 하류로 사람의 생활 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지바현 지바시, 이치카와시, 마쓰도시 등지에서 조몬 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패총들이 발견되고 있다. 야요이 시대에 들어서는 농경 문화가 간토 지방으로 전래되어, 도네강 유역에서도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3세기 후반의 고훈 시대 즈음에는 지금의 도치기현과 군마현에 해당하는 게노 지방(毛野地方)을 중심으로 장구형 무덤이 발달하였는데, 사이타마현의 사이타마 고분군이 대표적이다.[67] 에도 시대 이전의 도네강은 태평양으로 나가는 지점이 지금처럼 조시시가 아니었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사이타마현 교다시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유로를 틀었으며, 지금의 오오토시후루토네강의 유로를 따라 아라카와강, 이루마강과 합류하여 에도만(지금의 도쿄만)으로 흘렀다. 이 가운데 교다시 부근에서는 "아이노카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 당시 오이가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와타라세강은 독립적인 하천으로, 지금의 에도강의 유로를 따라 도네강과 나란히 흘러 에도만으로 유출했으며, 기누강도 마찬가지로 독립된 하천으로 고카이강과 합류하여 가토리해로 유출하고 있었다. 이 와중에 도네강의 본류가 정해진 것은 1457년으로, 오타 도칸이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에서 구사카시를 거쳐 에도만으로 흐르는 하천을 도네강의 본류로 정했다.[68] 또 상류는 지금의 위치보다 더 동쪽에 있었던 히로세강의 유로를 따라, 지금의 이세사키시 부근에서 가라스가와강과 합류했었으나, 1543년에 일어난 홍수로 지금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었다.[69] 이처럼 번잡한 유로를 이루고 있었던 도네강은 홍수로 유로가 자주 바뀌었으며, 유역은 수없이 범람 피해를 입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홍수로는 나라 시대인 758년에 기누강에서 있었던 홍수로, 2천여 경(頃)[주 11]의 토지가 황폐화되었다고 한다.[70] 한편, 도네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치수 사업이 실시된 때는 768년으로, 기누강의 유로를 바꾸는 공사였다.[71] 한편 최초의 이수 사업은 645년 다이카 개신 후 시행된 반전수수법으로 조리제(條里制)가 도네강 유역에서 실시된 것으로, 지금의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오타시, 이바라키현 남부,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그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72] 가마쿠라 시대 (12세기 ~ 14세기)의 가마쿠라 막부는 도네강 개발에 적극적이었는데, 첫 쇼군이었던 미나모토 요리토모는 1194년 도네강 최초의 제방을 무사시국[주 12] 지역에 세웠다. 이어 1199년 4월에는 지토(地頭)들에게 도네강에서 농업 용수를 개발하여 지역을 개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3] 그 뒤로도 막부는 도네강을 계속 개발하였다. 1207년 3월에는 막부가 호조 도키마사에게 도네강 일대를 포함한 무사시국의 개발을 명령하기도 했다.[73] 막부는 둑 건설을 중심으로 한 치수 사업도 꾸준히 진행했는데, 싯켄 호조 마사토키가 1232년에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자리에 가키누마 둑을, 싯켄 호조 도키요리가 1253년에 지금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부근에 둑을 건설했다.[74] 《슈가이쇼》(拾芥抄; 습개초)에서는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을 통해, 가마쿠라 시대의 경지는 헤이안 시대보다 약 16,000 정보[주 13]가 늘은 66,710 정보[주 14]로 늘어나게 되었다고 밝혔다.[73] 무로마치 시대(14세기 ~ 16세기)의 도네강 유역은 가마쿠라 공방의 지배에 놓였으나, 오닌의 난이 일어난 뒤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주 전쟁이 벌어졌기 때문에, 막부가 주도한 치수·이수 사업은 전무했으며, 센고쿠 시대의 도네강 유역은 이즈국을 근거로 세력을 넓히고 있던 고 호조씨의 지배에 놓였다. 4대 당주인 호조 우지마사는 1576년 곤겐도강에 길이 약 900m의 곤겐도둑을 건설했다.[7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뒤를 이어 센고쿠 다이묘들을 공격하고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 호조씨를 치기 위해 오다와라 정벌을 일으켰다. 이 무렵, 이시다 미쓰나리가 무사시국의 오시성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1590년 6월에 장마로 물이 들어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둑으로 막은 뒤 오시성을 향해 물길을 보내 성을 무너뜨려 항복을 받아낸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하지만 지형 문제로 성을 침수시키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제방이 무너지면서 도요토미군에서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오시성은 7월 16일, 고 호조씨의 본거지인 오다와라성이 함락당한 후에야 항복했다. 이 때 미쓰나리가 축조한 제방을 "이시다 둑"이라 부르는데, 자연 제방들을 묶어서 전장 약 28km의 둑을 1주일 간 만들어낸 것이다.[75] 하지만 이 둑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것이었기 때문에, 도네강의 치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에도 시대 전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도네강 동천 사업입니다. 《메이쇼에도햣케이》 (名所江戸百景) 에 소개된 가사이 용수로. 에도 사람들은 "히키후네강"이라 불렀다. 고 호조씨가 망한 후, 고 호조씨가 장악하고 있던 간토 지방의 무사시국, 사가미국, 이즈국, 시모우사국, 가즈사국 일대와, 고즈케국, 시모쓰케국의 남부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넘어갔다. 이에야스는 무사시국의 남쪽에 있던 에도(지금의 도쿄)에 본거지를 정했다. 이에야스는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수에 적극적이었는데, 처음에 벌인 사업은 1594년, 오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 하여금 아이노카와강의 물을 막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교다시 부근에서 나뉘는 도네강의 두 갈래 중, 원래 본류로 불리던 아이노카와강을 막아, 유로를 동쪽으로 흐르는 다른 한 쪽으로 일원화하여 와타라세강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듬해에는 도쿠가와 사천왕의 한 사람으로 고즈케국의 다테바야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도네강 왼쪽 언덕에 총연장 33km, 높이 4.5m ~ 6m, 둑마루 너비가 5.5 ~ 9.1m에 이르는 둑을 건설했다. 당시 일본 덴노가 사용하던 연호를 따 분로쿠 둑으로 불리던 이 댐은 도네강 유역에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 둑이었다.[76] 이 밖에, 같은 시기에 나카조 둑도 지어졌다. 이러한 도네강 수계의 하천 사업은 세키가하라 전투를 통해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창건한 이후에는 이에야스의 가신으로 미카와 후다이 다이묘가 된 이나 다다쓰구와, 그의 자손들인 이나씨가 맡게 되었다. 다다쓰구가 맡은 사업은 1604년 가라스가와강을 취수원으로 하여 도네강 연안에 총연장 20km에 이르는 비젠쿄 용수[주 15] 나 고즈케국 소자번을 다스리던 아키모토 나가토모가 개발한 덴구이와 용수 하류에 뚫은 다이칸 수로 등이 있다. 다다쓰구의 후손들은 대대로 다이칸카시라, 나중에는 간토군다이를 지내면서, 12대 이나 다다타카에 이르기까지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을 책임졌는데, 그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 바로 "도네강 동천 사업" (利根川東遷事業)이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은 에도만이 하구였던 도네강의 유로를 동쪽으로 옮겨, 지금의 조시시에 새로운 하구를 만드는 에도 시대 최대 규모의 치수 사업이었으며, 지금의 도네강을 만든 계기가 되었다. 사업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목적에 관한 사료는 남아있지 않으나, 뒷날 역사 연구자들이 다양한 설이나 견해를 내놓았다. 사업을 시작한 시기는 구리하라 료스케, 사토 도시로, 혼마 기요토시 등이 주장한 1594년 아이노카와강 물막이 사업 당시라는 설이 유력하다. 반면, 사업을 끝낸 시기로는 혼마 기요토시의 1698년 완료설, 네기시 몬조가 주장한 1871년설, 가와다 다케시가 주장한 1890년 도네 운하 개통 이후설 등으로 의견이 나뉘어 있다. 비록 사업 시기에 대해서는 이처럼 의견이 다양하게 나뉘었지만, 도네강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사업의 목적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어느 정도 의견을 맞추게 되었다.[77] 막부의 근거지인 에도와 도네강 유역의 수해를 막기 위한 치수의 목적.[주 16] 도네강 유역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 촉진. 도로와 운하 정비를 통한 물자의 이동로 확보. 군사적 목적. 센다이번 다테씨를 비롯한 도호쿠의 번주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을 가정하였을 때, 이들로부터 에도성을 지키기 위해 도네강을 북쪽의 대규모 자연 해자로 만들고자 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의 주된 사업으로 우선 1621년부터 165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아카호리강을 트는 사업이 있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도호쿠 신칸센 도네가와 교량 근처의 이바라키현 고가시에서 고카정까지의 구간을 개착하여, 1621년에 이나 다다하루가 실시했던 도네강과 와타라세강의 연결 사업인 아라카와도리 개착 사업과 연계하여[주 17] 도네강의 물을 동쪽으로 트는 사업이었다.[78] 이어 1629년부터는 그 때까지 도네강의 지류에 속했던 아라카와강이 새로 물길을 트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루마강 유역으로 들어가면서, 도네강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이를 "아라카와강의 서천" (西遷)이라고 일컬었으며, 옛 유로는 모토아라카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9] 그리고 1635년부터 1644년까지 에도강의 개착 사업을 시행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세키주쿠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따로 도쿄만으로 흐르는 지금의 에도강의 모습이 갖추어졌다.[80] 또, 하류에서 도네강과 합류하는 기누강과 고카이강의 개수도 시행하였는데, 1629년에 그 때까지 기누강에 합류하고 있던 고카이강을 별도의 하천으로 분리하였으며, 1630년에는 고카이강을 도네강과 합류시키는 사업을 시행했다. 그리고 1662년부터 1666년까지 도네강과 가스미가우라호를 잇는 신토네강을 개착하여, 에도 시대 전반기의 치수 사업에 하나의 단락을 지었다.[81] 도네강을 중심으로 한 에도 막부의 치수 행정은 원래 이나씨가 책임을 지고 있었다. 동천 사업이 절정기에 이른 1642년, 세번째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이나 다다하루에게 제방 개수 사업의 모든 책임을 맡긴 뒤, 이나씨의 하천 행정권이 크게 강해졌다. 하지만 다섯번째 쇼군인 도쿠가와 쓰나요시 대에 이르러, 간토 군다이에 책봉된 이나씨가 간조부교의 관리 밑에 놓이게 되면서, 상대적인 권한은 약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나씨의 하천 사업에 대한 자율권은 유지되었는데, 이나씨의 4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카쓰는 가사이 용수로를 1660년에 직권으로 개착했다. 또 고카이강 유역에서도 이나 다다요시가 1630년에 둑을, 5대 당주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훗날 도요타 둑의 원형이 되는 둑을 건설하였는데[주 18], 이 둑들은 1722년에 완성된 후쿠오카 둑과 함께 "간토 3대 제방"으로 불렸다.[82] 이처럼 이나씨는 막부의 지원 아래 도네강 유역에서 다양한 치수 사업을 시행했는데, 이나씨가 치수 사업 때 사용한 공법들을 "이나류" (流) 내지는 "간토류" 라 일컬었다. 에도 시대 후기[편집] 미누마다이 용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누마 운하의 히가시미도리이치노세키 갑문. 파나마 운하와 같은 방식으로 지어졌으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갑문이다. 1716년 기이번주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여덟번째 쇼군의 자리에 올랐다. 요시무네는 교호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국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여 세금 수입을 늘리고자 하였다. 도네강의 하천 개발은 간조긴미야쿠(勘定吟味役) 자리에 있던 이자와 야소베[주 19]가 맡게 되었다. 이 무렵 이자와가 도네강에서 벌인 사업의 중심이었던 것이 바로 "미누마다이 용수" (見沼代用水)의 개착이었다. 당시 도네강 중류 유역의 무사시국 중북부 지방에 살던 농민들은 1604년에 뚫렸던 비젠쿄 용수를 쓰고 있었고, 비젠쿄 용수가 뚫리기 이전에는 "미누마"라는 이름의 호소를 관개용수원으로 쓰고 있었다. 미누마는 이나 다다하루가 17세기 초반[주 20]에 지금의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에 핫초 둑이라는 물막이댐을 건설한 것이 나중에 댐으로 바뀌면서, 저수지로 변한 것이다. 이 "미누마 저수지"는 1660년에 뚫린 가사이 용수로와 함께 지역 농민들의 중요한 수원으로 쓰였다. 그러나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게 되면서 관개용수의 수요가 늘어나자, 미누마 저수지의 물이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83] 요시무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자와를 시켜 1725년 9월에 미누마 저수지를 대신할 새로운 용수, 즉 "미누마다이 용수"[주 21]를 개착하게 하였으며, 미누마 지역의 간척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지금의 교다시에 취수구를 설치하여, 호시카와강을 지나면서 히가시미도리와 니시미도리 부분으로 나뉘어 남하하도록 했다.[84] 용수는 1728년 완성되었는데, 이 용수로 마을 303곳의 1만 2,571정, 고쿠다카 기준으로 약 14만 9,136석의 농지가 관개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731년에는 미누마다이 용수를 이용하여 미누마 운하(見沼通船堀 미누마 쓰센보리[*])를 뚫어 수운 교통 수단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이 운하의 갑문은 파나마 운하의 갑문과 같은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데, 이런 방식으로 설계된 갑문 중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85] 또 고즈케국에서는 지금의 오라군 지요다정과 메이와정 사이를 흐르는 도네 가용수가 세워졌다. 1839년 이 지역의 마을 31곳을 다스리던 묘슈들이 막부에게 도네강에서 물을 끌어다 쓸 수 있게 용수를 뚫어달라고 청원한 것을 시작으로, 용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요다와 메이와 지역을 위해 도네강에서 야다강에 이르는 구간의 용수로를 닦았다. 이후, 낙차가 모자라 물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1846년과 1855년에 용수로를 다시 손보았다.[86] 막부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은 차차 도네강 하류 지역으로 확대되는데, 호소를 간척해 경작지로 바꾸는 정책도 시행되었다. 데가호 간척과 인바 늪 간척이 대표적인 사례로, 데가호에는 1636년에 간척용 배수로인 벤텐 수로가 뚫렸으며, 1661년에 벤텐 수로를 바탕으로 데가호를 간척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671년에 가이노야 사쿠베가 처음으로 데가호의 232Ha를 경작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1676년, 1729년, 1739년의 간척 계획은 홍수로 모두 실패했다. 몇 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막부는 1785년 대규모 간척 사업을 거의 완성시켜갔다. 하지만 이 또한 도네강 유역의 대홍수로 간척지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만족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게 됐다.[87] 한편 인바 늪 간척은 1724년 소메야 겐에몬이 막부로부터 6,000냥의 자금을 빌려 시행했으나, 중간에 자금이 모자라 실패했다. 1783년에 로주 다누마 오키쓰구가, 1840년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가 덴포의 개혁으로 인바 늪 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모두 계획을 입안했던 다누마와 미즈노가 실권을 잃으면서 중지되었다.[88] 도네강 하류의 간척 사업들 중 유일하게 성공한 주로쿠섬 개발은 지금의 가토리시 인근에 있던 사주(砂洲)인 주로쿠섬 지대에 새로운 경작지를 개간하는 것이었는데, 히타치국의 에도사키성을 다스리고 있던 히타치토키씨를 섬기던 신하들이 1590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허락을 받아 우에노시마 마을을 개착한 것이 시초였다. 그 후 1640년 이소야마 마을을 간척하기까지, 14개의 마을을 간척했다.[89] 한편 에도 시대 후기의 치수 사업은 1728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이자와 야소베를 시켜 에도강을 뚫는 것과 쇼나이후루카와강의 분리 사업을 명령한 것이 시초로, 1742년 8월 도네강에 대홍수가 일어난 뒤 같은 해 10월부터는 수해 복구 작업이 시행되었다. 조슈번, 구마모토번, 쓰번 등 간사이 지방의 10개 번에서도 이에 맞추어 강들을 준설하는 사업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수해 작업은 도자마 다이묘들의 재정력을 약화시켜 이들을 감시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다.[90] 그러나 1783년 7월에 발생한 아사마산 대분화로 화산쇄설류가 아가쓰마강에 스며들어 도네강, 에도강까지 번지면서 강바닥이 평상시보다 더 높아지고, 제방 등의 하천 시설들이 무너지면서 홍수의 위험성이 커졌다. 그러자 막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방을 보수하고, 강바닥을 다시 파냈으며, 1843년에는 1654년 이후 약 200년 만에 아카호리강을 준설했다. 같은 시기에 에도강의 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다시"(棒出し)라 불리는 일종의 수제(水制)를 설치하기도 했다.[91][주 22] 또, 18세기 초반 막부의 하천 행정은 간조긴미야쿠에 중용된 이자와 야소베가 맡았다가, 나중에는 후신야쿠 (普請役), 1725년에 설치되어 1732년에 폐지된 시센부교(四川奉行)[주 23] 등의 관직을 거쳐 간조부교 5명이 공동으로 책임지게 되었다. 이 때에도 모든 토목 작업은 반드시 간토군다이였던 이나씨의 재가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이나씨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했다. 그러나 12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타카가 1792년 행실이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명목으로 가이에키(改易)를 당해 다른 봉지로 쫓겨나면서, 이에야스 시대부터 도네강의 치수 사업에 깊숙히 개입하고 있었던 이나씨는 물러나고 간조부교가 관리하는 "시센요스이호 후신야쿠"(四川用水方普請役)라는 자리가 치수 사업을 대신 책임지게 되었다.[92] 에도 시대의 도네강 동천 사업, 아사마산 대분화 이후의 준설 사업 등의 대규모 치수 사업으로 도네강의 방대한 물들은 와타라세강 등과 함께 가토리해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이로써 에도를 비롯한 무사시국 지방의 수해는 차차 줄어들었으며, 반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면서 고쿠다카의 수는 차차 늘어났다. 또 도네강은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에도 지방의 수운 교통로 역할도 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치수 사업에는 역효과도 있었는데, 에도강의 수면보다 표고가 낮은 가스마기우라호 등 하류 저지대는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오히려 수해가 늘어나, 메이지 시대 이후 현대 일본 정부의 도네강 치수 사업에서 중요한 당면 과제로 남게 되었다.[93] 근대의 도네강[편집] 에도가와 수갑문 (1)과 교토쿠 가동 댐(2)의 항공 사진. (출처는 일본 국토교통성.) 1868년에 메이지 정부가 세워지면서, 일본의 행정 기구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하천 행정은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1874년부터 내무성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책임지게 되었는데, 도네강은 1875년 6월 16일에 설치된 내무성 토목료 (土木寮) 산하 도네강 출장소가 맡게 되었다. 이 출장소가 지금의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의 시초였다.[94] 또 1896년 일본 정부는 하천법[주 24]을 공포하여, 도네강을 하천법의 적용을 받는 하천으로 지정했다. 이후의 근대 도네강 개발은 내무성이 주도하게 되었다. 일본 정부는 네덜란드식 치수 공법을 일본 각지의 하천에 도입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Cornelis Johannes van Doorn)을 초빙하여 1872년에 도네 강의 측량 조사를 맡겼는데[95], 이 계획은 1886년 네덜란드인 안토니 토마스 루베르터스 로웬호스트 멀더 (Anthonie Thomas Lubertus Rouwenhorst Mulder)가 세운 "도네강 개수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96] 이 사업의 주요 목표는 지금의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에서 도네강 하구에 이르는 구간을 대상으로 곳곳에 제방을 세워 수해를 예방하고, 도네 운하를 뚫어 수운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 때 처음으로 도네강의 계획 고수 유량을 쟀는데, 초당 3,750m3으로 추산되었다.[97] 사업은 3단계로 나뉘어 시행되었는데 이 사업이 진행되던 사이 1890년 도네 운하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 8월, 두 개의 태풍이 간토 지방을 관통하면서 도네강 유역에 대규모 홍수가 일어났다. 일명 "1910년 8월 대홍수"로 불린 이 수해로 769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북쪽으로는 마에바시시와 미도리시, 서쪽으로는 후지오카시, 남쪽으로는 가와고에시에 이르는, 도네강의 광범위한 배후 지역이 물에 가라앉아 한동안 간토 지방 중앙부는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98] 수해 직후, 일본 정부는 도네강 개수 사업을 대규모로 개정하여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5,570m3까지 상향했다. 사업 계획을 고치는 과정에서 와타라세 유수지를 만드는 사업 계획도 생겼는데, 이 유수지는 그 무렵 아시오 광산에서 대량의 광독이 유출된 일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것으로 정부는 곧 유수지 건설을 정식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99] 이 밖에 제방과 호안의 건설, 1921년에는 요코토네 갑문 건설, 1922년에는 인바 수문 건설, 1923년에는 오노강 수문 건설을 차례로 진행했다. 또한 정부는 도네강 하류에 새로운 수로를 뚫는 사업을 1889년부터 1922년까지 진행했으며, 1926년에는 도네강과 곤겐도강을 물막이로 갈라놓는 사업을 시행했다.[100] 한편 에도강에서는 1927년 세키주쿠 수문과 세키주코 고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에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고자 하였으며, 하류부에는 1920년에 에도가와 방수로를 건설해 유량 조절 능력을 높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기 도네강 개수 공사는 에도강 방수로의 보수가 끝난 1930년에 마침표를 찍었다.[101] 한편, 개수 사업을 한창 진행하던 1923년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도네강 중류의 116곳의 둑들이 무너지거나 헐렸는데, 이 둑들을 복구하는 작업도 진행해야 했다.[102] 그러나 개수 사업이 끝난 뒤에도 도네강은 홍수에 시달렸다. 1935년 9월과 1938년 6월 ~ 7월, 1941년 7월에 일어난 홍수들은 모두 개수 사업을 계획할 당시에 정해놓았던 계획 고수 용량을 크게 초과한 유량을 기록했다. 특히 1938년 여름에 일어난 홍수는 도네강 하류부와 그 배후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는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에도 시대 이전에 가토리해에 속해 있었던 지역이었다.[103] 이에 일본 정부는 기존의 개수 사업을 대신할 새로운 도네강 치수 사업의 책정을 검토했다. 내무성은 아라카와 방수로 건설의 총 지휘를 맡았던 내무성 내무기감 아오야마 아키라를 위원장으로 하는 "도네강 치수 전문위원회"를 설립하고,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1만m3로 상향했다. 이는 1910년에 상향된 고수 용량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수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도네강 개수 사업 증보 계획"이 1938년에 열린 제73회 제국 의회에서 가결되어, 193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104] 이 사업의 주된 계획은 와타라세 유수지를 홍수 조절이 가능한 늪지대로 바꾸는 것과, 도네가와 방수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 무렵 와타라세 유수지는 홍수가 일어났을 때 물들을 스스로 저장할 수 있었지만, 정부는 유수지 주변으로 둑을 에워싸 유수지의 홍수 시 저수 기능을 강화해 조정지로 개량하고자 하였다. 한편 다목적 방수로인 도네가와 방수로를 만드는 사업은 지금의 지바현 아비코시 후사 (지금의 동일본 여객철도 나리타 선 후사 역 주변)를 기점으로 인바 늪 서쪽 끝을 거쳐 지금의 지바시 하나미가와구 게미가와와 가이힌마쿠하리 사이를 흘러 도쿄만으로 유출하는 총연장 27km의 방수로를 뚫어 도네강 하류의 수위를 2m 낮추고, 데가호와 인바 늪의 치수와 간척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또, 정부는 방수로를 도네 운하를 대신할 대규모 운하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방수로를 뚫는 데 쓰고 남은 부지들을 매립지로 써 방수로 주변으로 공업 지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 다나카·스고 조정지를 새로운 유수지로 개발하는 사업, 도네 운하를 방수로로 바꾸는 사업, 도네강 중류부의 둑들을 보수하는 공사도 새로운 사업 계획에 들어있었다.[105] 우선 1937년, 1935년 9월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둑을 보수하는 일부터 시작했으며, 그 후 와타라세 유수지의 새로운 제방을 공사하기 시작했다. 도네 운하는 내무성이 도네 운하 주식회사로부터 운하를 사들여, 도네강과 운하가 이어지는 것을 일단 막은 뒤 방수로화 공사를 시작했다. 고카이강에서는 기존에 있던 둑을 가동 댐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네가와 방수로는 태평양 전쟁으로 예산, 자재, 인력이 모두 충분히 모이지 않아 시행하지 못했고, 사업은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항복한 1945년까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106]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편집] 태풍 캐슬린의 피해를 입은 도네 강 유역의 범람도.[107] 1947년 9월, 태풍 캐슬린(Kathleen)이 도네강 유역을 덮쳤다. 역사상 유례없는 폭우는 전쟁으로 이미 황폐화되어 있던 도네강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조시, 구 오토네정 인근의 둑이 무너져 탁류가 도쿄도 가쓰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대까지 흘러들게 되었다. 또 가라스가와강 유역, 와타라세강 유역은 거의 전역에서 강물이 범람하여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 당시 일본 전국에서 죽거나 사라진 사람의 수는 1,910명인데, 이 중 도네강 유역에서만 1,100명이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108] 하지만 일본은 전쟁으로 너무나 많은 국력을 소모했기 때문에 치수 사업을 재개할 여력이 없었으며, 전쟁 중에 너무 많은 나무들을 베어가는 바람에 물을 막아줄 숲들이 사라지면서 각지에서 홍수 피해가 계속 일어나 캐슬린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점차 늘어나기만 했다. 이에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경제안정본부는 해체된 내각성이 맡고 있던 하천행정을 이어받은 건설성에 새로운 하천 개수 사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 건설성에서 작성한 계획을 《하천 개정 개수 계획》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도네강 수계를 포함하여 일본의 주요 10수계[주 25]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치수 대책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1949년부터 도네강에서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책정되었으며, 여기에는 댐 건설 계획도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도네강에 댐 계획이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시행되기 전인 1926년이었다. 당시 정부는 기누강의 지류인 오지카강에 이카리 댐을 건설하려 했으나, 지형 문제와 이어 터진 전쟁 때문에 도중에 공사가 멈추면서 실패했다. 하지만 1947년 태풍 캐슬린이 유역을 관통하자 정부는 도네강의 계획고수용량을 초당 17,000m3으로 상향하게 되었고, 그 중 초당 14,000m3을 제방, 와타라세·다나카·스고·이나토이에 있는 네 곳의 유수지와 도네강 방수로를 통해 빼내고, 남는 초당 3,000m3의 유량은 상류의 댐들로 조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도네강 상류 19곳의 댐 건설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후지와라, 누마타, 아이마타, 소노하라, 얀바, 사카하라[주 26] 등 6곳에 댐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또 기누강에는 예전에 계획했던 이카리 댐에 가와마타 댐이, 와타라세 강에는 쿠사키 댐의 전신인 고도 댐이 세워지게 되었다. 마침내 1956년 이카리 댐이 완성된 것을 시작으로, 1957년 후지와라 댐이, 1959년 아이마타 댐이 완성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한편 하류에는 새로이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의 새 유로, 도네강 하구 도수제, 에도강 교토쿠 댐 등이 계획되거나 지어졌다.[109] 이 무렵 치수만큼이나 가장 중요했던 문제는 바로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식량과 전력이 너무나 모자랐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26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였던 모노노베 나가호가 제안한 "하수 통제" (河水統制)라는 개념을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내무성이 도입하여 "하수 통제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니시키가와강 등의 치수 사업에 적용해왔으며, 전쟁이 끝난 뒤 테네시강 유역 개발 공사를 벤치마킹한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에는 종전의 치수 사업 뿐만 아니라, 수력 발전과 관개 시설의 설치도 들어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이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추진되던 1950년, 제3차 요시다 내각이 《국토 종합 개발법》을 제정하여 일본을 22개의 특정한 지역으로 나눈 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도네강 수계도 대상 지역에 들어가게 되었다. 1951년 12월, 각료 회의가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결정한 것이었다.[110] 그 후 도네강의 하천 사업은 도네강 수계 전역에 걸쳐 치수·이수 (利水) 등 양면의 고른 발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도네강 수계의 하천 종합 개발은 1936년 도쿄시[주 27]가 주도해 시행한 에도강 하수 통제 사업이 시초이다. 이는 에도강 수갑문(水閘門)을 이용해 새로운 용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111] 이어 군마현이 수력 발전을 목적으로 도네강 최상류부에 댐을 건설하는 《군마현 도네강 하수 통제 계획》을 1937년부터 시행하였으며, 1940년에는 도쿄시가 《도쿄시 제3차 수도 확장 계획》의 수도 발원지로서 도네강을 이용하기 위해 군마현의 계획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112] 전쟁 이후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이 책정되면서 치수 사업이 재개되었지만, 내각이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입안하면서 대규모 하천 종합 개발로 그 규모가 커지게 되었다. 이 계획은 개정 개수 사업의 치수·모래막이 사업과 더불어 기존 댐들의 다목적 댐화, 다다미강의 오제가하라 댐에서 가타시나강으로 물을 유도하는 사업을 비롯한 수력 발전 계획, 인바 늪·데가호 간척, 료소 용수 개발[주 28], 국도 4호선, 국도 6호선 등의 도로망 정비를 포함한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이 계획에서 일본의 수도권 지역의 생활용수를 책임지는 야기사와 댐이 처음으로 등장했다.[113]。 도쿠다 규이치가 제안한 도네강 종합 개발안 중에는 뒷날 실현된 사업이 많다. 이 무렵, 도네강의 치수와 이수 사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냈다. 그 중에 일본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도쿠다 규이치가 낸 의견도 있었다. 도쿠다는 1949년,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초석》(『利根川水系の綜合改革 - 社会主義建設の礎石』)이라는 책을 냈는데, 거기서 도쿠다는 태풍으로 도네강 지역이 참혹한 피해를 입은 것은 에도 시대의 봉건 체제와 제국주의 천황제 때문이라고 규탄했다.[114] 그러면서 도쿠다는 도네강 방수로와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 수로를 통해 하류 지역의 치수 사업을 해결하고, 에도강, 후루토네강, 모토아라카와강으로도 수로를 연결하여 운하로 이용하자고 주장했다. 또 도쿠다는 사이타마현 혼조시에서 도쿄도 다치카와시까지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다마강을 잇는 대운하를 뚫어 수도권 주민들을 위한 수운과 관개수로, 상수도, 공업용 수도 등으로 이용하고, 도네강과 보소 반도의 작은 하천들을 연결하는 운하를 지바현 모바라시까지 건설해 간척 사업에 이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도쿠다는 산간 지역에는 여러 곳에 댐을 적극적으로 건설하는 한편,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대량의 목재를 들여와 숲지대를 조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115] 도쿠다는 이러한 모든 사업을 시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독점 기업을 운영하는 자본가나 불법적인 사업으로 돈을 모은 사람들에게서 8,000억 엔을 징수하여 마련하면 된다고 주장했다.[116] 급진적인 내용이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도움을 청하자는 내용의 민감성 때문에 건설성은 도쿠다의 안을 채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도쿠다가 주장한 운하론의 일부는 무사시 수로나 보소 도수로 등으로 실현되었다.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편집] 야기사와 댐. 도네강 수계의 댐들 중 가장 많은 저수용량을 자랑한다.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시행하던 무렵의 일본은 한국 전쟁 특수 경기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경제 성장은 급격한 공업용수 수요의 증가를 야기했으며, 일본의 인구는 도쿄를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1957년에 도쿄도민을 위한 용수의 공급지로 다마강에 오고우치 댐을 만들었지만, 급격한 수요 증가를 막기엔 턱없이 모자라 도쿄에서 올림픽이 열리던 1964년에는 도쿄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갈수 사태가 일어났다. 또 농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작할 수 있는 대지는 늘어났지만, 그만큼을 충족할 수 있는 농업용수는 없었다. 결국 1958년년, 도네강 하류를 중심으로 염해가 발생하여 많은 농지가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1950년대 ~ 60년대 당시 일본의 수도권에서는 물의 확보가 긴급한 과제였다. 일본 국회는 1961년 수자원 발전 촉진법을 제정하였으며, 1962년에 일본 정부는 나중에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로 전환하는 "수자원 개발 공단"을 발족시켰다. 또, 정부는 도네강과 오사카권의 요도가와강, 나고야권의 기소강, 후쿠오카권의 지쿠고강 등을 대상으로 수자원 광역 종합 계획을 시행했다. 우선 1967년과 1968년에 각각 야기사와 댐과 시모쿠보 댐을 건설하였고, 1969년에는 중류부에 도네 댐(利根大堰)을 건설하였다. 또한 수자원 개발 공단은 도네 도수로 (무사시 수로·아사쿠 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연결해 도쿄도 수도국의 아사카 정수장으로 물을 보내어 도쿄도민의 물 수요를 채우고자 하였다. 한편 1971년에는 도네강 하구언을 건설해 염해의 방지와 수도권의 물 공급량 증가를 도모하는 한편, 상류부에는 1969년에 군마 용수를 건설해 아카기산, 하루나산 등지를 새로이 개간케하고자 했다. 중류부에는 미누마다이 용수와 사이타마 용수로를 정비하여 간토 중앙부의 관개 시설을 보완하였고, 보소 반도 중남부에서는 인바 늪을 간척 (1968년)하고 보소 도수로를 1997년에 신설하였다.[117][118] 또, 가스미가우라호에서도 1963년에 지었었던 히타치 강 수문을 이용해 호수를 댐으로 만드는 《가스미가우라 종합 개발 사업》 (1996년)을 시행했다.[119] 한편 1976년에는 구사키 댐, 1991년에는 나라마타 댐을 완성하여 수도권의 치수 및 이수를 강화했다. 이와 같은 계획을 차차 진행하던 중, 공단은 1974년에 도네강의 개발 계획과 아라카와강의 개발 계획을 아우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계 수자원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도네강은 1964년에 개정한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이 되었고, 이후 환경성이 도네강의 치수 사업을 계속 주도하게 되었다. 1965년에는 《도네강 수계 공사 실시 기본 계획》이 책정되었는데, 이 계획은 이후 도네강 치수를 위해 지켜야 할 새로운 방침이 되었다. 정부는 이 새로운 계획의 책정에 따라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을 계속 상향하여, 지금의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은 초당 22,000m3에 이른다. 이 사이 와타라세 유수지의 조정지화를 1997년에 완성했고, 유수지 안에 저수지를 만들어 유수지를 다목적 댐으로 이용하는 《와타라세 저수지 계획》도 1989년에 완성되었다. 또, 다나카 조절지 (1965년), 스고 조절지 (1960년)를 비롯한 여러 유수지도 제 모습을 갖추었다.[120] 댐으로는 소노하라 댐과 가와마타 댐 (모두 1965년), 가와지 댐 (기누강, 1983년)이 새로 생겼고, 내수 범람의 방지와 새로운 용수의 확보, 데가호의 수질 개선 등을 목적으로, 도네강과 에도강을 연결하는 다목적 인공하천인 기타치바 방수로도 2000년에 완성했다. 2007년에는 나카가와강, 오오토시후루토네강 등의 물을 에도강으로 끌어내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7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 하천인 수도권 외곽 방수로를 완성했다.[121]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는 이처럼 끊임없는 치수·이수 사업을 통하여, 도쿄권 뿐만 아니라 게이힌 공업 지대, 게이요 공업 지대, 가시마 임해 공업 지대 등의 수자원, 전력 자원으로 쓰이면서 일본 경제와 일본 국민의 삶의 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위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도네강의 치수 안전도는 100년 ~ 2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으로, 도네강 유역과 인구밀도가 비교적 비슷한 독일의 라인강 수계의 안전도가 1,250년에서 길게는 10,0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인 것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122] 또 도네강에서 퍼올리는 초당 123m3의 이수총량 중, 25%에 해당하는 초당 33m3의 양은 도네강의 유량이 충분할 때만 취수할 시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라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도네강 수계의 댐 8곳에서 나오는 용수 보급량은 20% 감소했다.[123] 이와 같은 치수·이수 상의 문제를 해결코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계획》을 책정하려 하고 있으며, 그 사전 단계로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을 정했다. 이 방침에는 제방·호안의 정비와 기존 하천 시설의 유지·보수 외에 얀바 댐, 유니시 댐, 난마 댐 등의 다목적 댐 건설 사업, 이나토이 조절지의 굴착과 둑 공사, 그리고 도네강 방수로의 시공을 추진하고 있다.[124] 개발과 지역 마찰[편집] 다나카 쇼조는 아시오 광독 사건의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와타라세 유수지의 건설을 반대했다. 얀바 댐 건설 예정지 (2006년, 아가쓰마강). 1952년에 처음으로 계획한 이래, 아직도 완성하지 못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국무교통대신이었던 마에하라 세이지. 도네강의 하천 개발로 말미암아 유역 주민은 혜택을 얻기도 했지만 개발에 따라 많은 희생과 불편을 감수해야 했으며,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끼리나 지방 자치단체들과 대립하고 있다. 1592년,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부근에 건설한 나카조 둑은 전부터 있었던 자연 제방을 증축하는 방식으로 만든 둑이었다. 이 둑은 주위에 있던 몇개의 둑들을 이어, 홍수가 일어났을 때 둑 상류부에 물을 막아두었다가, 강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적으로 도네강으로 물율 흘려보내는 유수지의 기능을 맡고 있었다. 나카조 둑의 홍수 조절량은 초당 4,000m3로, 현재 도네강 상류에 있는 8곳의 댐과 맞먹는 처리 능력을 발휘했으며, 물이 정해진 용량을 넘으면 시노부(지금의 교다시) 쪽으로 흘려보냈다. 이 때문에 둑 상류의 가미고 지구와 하류의 시모고 지구는 둑을 어떻게 운용하는 지를 두고 이해 관계가 엇갈려 줄곧 대립해왔다. 가미고 지구는 나카조 댐의 높이를 가능한 최대한 낮춰 홍수 피해를 막으려 한 한편, 시모고 지구는 반대로 둑을 최대한 높여서 홍수 피해를 막고자 했다. 때문에 홍수로 파괴된 둑을 다시 복구할 때마다 두 지역은 이 문제를 두고 크게 반목했다. 에도 시대에는 막부의 절대적 통제 하에 두 지구가 공동 조합을 결성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중앙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나카조 댐을 대신할 새로운 둑의 건설을 요구하는 가미고 주민들과, 나카조 둑을 이대로 유지·보수하기를 요구하는 시모고 주민들이 다시 대립하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경관대와 주민들이 충돌하고 사이타마현 의회가 현지사의 불신임 결의를 채택하는 등 현 전체로 혼란이 번지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내무성이 도네강 개수 계획의 하나로 지금과 같은 연속 제방 방식을 채택하여 사태를 수습했지만, 뛰어난 치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나카조 댐의 기능은 이 방식으로 인해 약해졌다.[125] 또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의 책정 이후로 정부가 추진하고자 했던 고카이 강의 이설 계획은 새로운 물길이 지나갈 기타소마군 도네정 주민들을 중심으로 격렬한 반대 여론에 부딪쳐, 1953년 11월에는 취재를 위해 지역을 찾은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의 기자단을 성난 주민들이 감금하고 집단 폭행하는 사건이 터지기에 이르렀다. 결국 1980년에 정부는 치수 계획을 개정하면서 고카이강의 이설 계획을 폐지하고, 대신 강의 제방을 보수하기로 하였다.[126] 한편 댐과 유수지를 건설하면서도 많은 주민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떠나야 하는 등의 희생을 치러야 했고,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커져 마찰이 잦아졌다. 와타라세 유수지는 원래 아시오 광독 사건의 대책으로 계획한 것이지만, 건설 예정지 주변에 살고 있던 도치기현 시모쓰가군 야나카촌(지금의 도치기시의 일부) 주민 300세대가 유수지를 건설하게 되면 떠나야 했기 때문에 다나카 쇼조 등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론을 무시하고 토지 수용법에 따른 강제 집행을 시행하여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놓았으며, 야나카촌은 결국 사라졌다.[127] 또 전쟁 이후의 《도네강 개정 개수 계획》에 들어가 있었던 후지와라 댐은 지역 주민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개시했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군마현의 중재와 함께, 당시 새롭게 부임한 댐 공사 책임자가 지역 주민들과 타협을 시도하면서 가까쓰로 무마할 수 있었다.[128] 가타시나강의 소노하라 댐에서도 오이가미 온천의 일부가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자 주민들이 반대 운동을 주도했다. 오이타현 시모우케 댐 예정지에서 일어난 하치노스 성 분쟁[129], 지쿠고강의 마쓰하라 댐 반대 운동 등과 더불어 "동쪽의 소노하라, 서쪽의 마쓰하라와 시모우케"로 불릴 정도로 규모가 컸다.[130] 또 아가쓰마강의 얀바 댐은 가와라바 온천의 수몰을 반대한 주민들의 계속된 반대로 계획이 시작된 1952년 이후 60년이 넘도록 완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누마타 댐은 수몰 세대가 2,200세대에 이르렀기 때문에 누마타시민들 뿐만 아니라 군마현민들도 반대 운동에 나서 우여곡절을 치른 끝에 1972년 제1차 다나카 가쿠아에 내각이 계획을 백지화했다.[131] 1973년, 일본 정부는 수몰 지역의 생활권 보존 대책으로 《수원지역대책특별조치법》을 시행하여, 가와지 댐, 기류카와 댐, 얀바 댐, 난마 댐, 유니시가와 댐, 가스미가우라호 등의 주위에 살던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주변 지역의 집중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댐 건설과 호수 개발로 이득을 보는 하류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돈을 걷어 재단법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원지역대책기금"을 1976년에 설립하여, 수몰 지역을 위한 대책 마련에 힘썼다.[132] 광역 하천 개발을 두고도 이해 관계에 따른 대립이 커졌다.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으로 등장한 도네강 방수로 계획은 태풍 캐슬린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도쿄도와 사이타마현에서는 찬성했지만 데가호와 인바 늪의 개발이 늦어질 것을 우려한 지바현은 반대하는 등 지방 자치단체마다 의견이 달랐으며, 용지 매수와 막대한 사업비 도출에도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다. 이렇게 사업을 질질 끄는 사이 방수로 건설 예정지에는 주택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경작지로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133] 또 오제하라 댐 계획은 댐의 환경 파괴를 우려한 후생성 (지금의 후생노동성), 문부성 (지금의 문부과학성), 일본자연보호협회가 반대했으며, 다다미강 및 아가노강의 수리권(水利權)을 갖고 있었던 후쿠시마현, 니가타현도 반대했다. 거기에 댐 계획을 통해 도네강 수계의 분수를 요구했던 도쿄도 등 간토 지방의 1도 5현과 격렬하게 대립한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쪽으로 도호쿠 지방의 다른 현들도 개입하여 오제하라 댐 계획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는 간토 지방과 도호쿠 지방 간의 정치적 지역 갈등으로 발전했다. 이 문제는 1996년에 사업 책임자 도쿄 전력이 오제의 수리권을 포기하기로 하여 종식되었다.[134][135]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 보호와 공공 사업에 대한 여론이 커지면서, 댐 사업을 비롯한 하천 개발도 일본 국민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여론을 수용하여,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축소[주 29] 하였으며, 제1차 고이즈미 내각도 도네강 수계에 있던 가타시나강의 도쿠라 댐 계획 등을 중지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여당이 된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국토교통대신이 된 마에하라 세이지는 얀바 댐 계획을 비롯하여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국토교통성 직할 댐 사업의 동결을 발표했다.[136] 하지만 하천 개발로 이익을 얻고 있었던 도쿄도를 비롯한 하류 지역 지방 자치단체들과, 댐 건설 예정지였던 아가쓰마군 나가노하라정, 가와라바 온천 조합 등은 마에하라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여 민주당 정권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규격 제방도 2010년 국정감사에서 폐지하기로 결정했으나, 이시하라 신타로 현 도쿄도지사는 "댐 건설은 중요한 사업"이라며 내각의 결정을 비판했다.[137] 2008년에 내각부 중앙방재회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네강에서 태풍 캐슬린이 불어왔을 때와 같은 홍수 피해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3,800명이 죽고, 160만명의 수재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138] 이 때문에 일본 댐 협회를 비롯한 하천공학 전문가 단체들은 "얀바 댐 등의 치수 공공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39] 다른 한편으로 시민단체가 얀바 댐 등의 사업 부담금 징수에 대한 정지 소송을 재판소에 낸 바 있으며[140], 2000년대에 이르러 하천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나 정부의 방침 전환으로 도네강의 치수·이수 사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주해[편집] ↑ 가라스 강의 지류인 가부라 천의 2차 지류인 미나미마키가와 천의 3차 지류, 우마사카 천이 나가노 현 사쿠 시에서 발원한다. ↑ 오제실잠자리 (オゼイトトンボ)와 홋카이도실잠자리 (エゾイトトンボ)류로, 이들은 일본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퍼져있는 종이다. ↑ 고쿠초 (国蝶 국접[*]) ↑ 일명 "하코네산도롱뇽" (Onychodactylus Japonicus)이라고도 부르며, 지리산 등지에 서식하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과 서식 환경이 거의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기사) ↑ 잉어목 납줄개아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일본 고유종이다. 학명은 Acheilognathus typus 이다. ↑ 한자는 시네쓰히코 (しいねつひこ)라고도 읽을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비슷한 예로는 금강이 있다. 금강 중, 충청남도 부여군 (구 백제 사비성 일대)을 지나는 지역에 한해 백마강 (白馬江)이라 불리고 있다. 관련 기사. ↑ 일본에서, 국토교통성과 수자원기구가 관리하는 댐 및 주변 구간은 모두 국토교통성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특정 수리 (特定水利)라 한다. ↑ 遺留湖. 원래 다른 호수와 하나였다가, 외따로 떨어진 호수를 가리킨다. ↑ 일명 "아바레가와" (暴れ川)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직역하면 "사나운 강"이라는 뜻이다. ↑ 경(頃)은 고대 일본에서 쓰이던 토지 면적 단위였다. 1경 당 약 1Ha에 해당한다. 이 홍수로 약 2,000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었다. ↑ 지금의 도쿄도 및 사이타마현 일대를 다스리던 율령국의 하나였다. ↑ 약 158,677,686m2에 해당한다. 1정보는 3000평으로 계산하며, 1평은 약 3.3m2이다. ↑ 약 661,586,777m2에 해당한다. ↑ 같은 이름을 쓰는 용수로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도 있다. "비젠쿄 용수"라는 이름은 다다쓰구의 당시 관직 이름이었던 "비젠노카미"에서 유래했는데, 비젠은 지금의 주고쿠 지방 오카야마현 동부를 가리키는 옛 이름으로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과는 관계가 없는 지명이다. ↑ 수도 지역의 수해를 막기 위해 치수 사업을 벌인 비슷한 예로, 18세기 조선 왕조가 한양에서 실시한 청계천 준설 사업이 있다. 관련 기사. ↑ 《시모우사노쿠니 큐지코》 (下総国旧事考)에는 1621년에 개착 사업을 실시했다고 적혀 있으나, 《신펜무사시후도키코》 (新編武蔵風土記稿)에는 1624년에 실시했다고 적혀 있다. ↑ 1839년에 지금의 도요타 둑을 건설할 때,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인근에 지었던 둑을 원형으로 참고했다고 전해진다. ↑ 야소베에(弥惣兵衛)는 본명이며, 공적인 장소에서는 자신의 휘(諱)인 다메나가(為永)를 사용했다. ↑ 시기는 간에이 연간 (1624년부터 1641년까지)이며, 정확한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 따라서 "미누마다이"란 미누마 (見沼)를 대신 (代)한다는 뜻으로, 미누마다이 자체가 하나의 지명인 것은 아니다. ↑ "보다시"가 설치된 시기는 네기시 몬조의 《도네강 치수고》의 덴포 연간설 (1830년대) 외에 토목학회의 《메이지 이전의 일본 토목사》의 간에이 연간설 (17세기 초)도 있다. ↑ 에도강, 기누강, 고카이강, 도네강 하류 지역을 관할한다는 데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 일명 "구 하천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 ↑ 도네강, 기타카미강, 나루세강, 에아이강, 모가미강, 시나노강, 조간지강, 기소강, 요도가와강, 요시노강, 지쿠고강을 합쳐 10수계라 불렀다. 시나노강과 조간지강을 제외한 나머지 수계에는 모두 1개 이상의 댐이 세워졌다. ↑ 링크된 시모쿠보 댐의 전신으로, 간나강 수계에 있다. ↑ 지금의 도쿄도 23개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하나의 시였다. 이후 주변 도시들을 통합하여 도쿄도를 설치했다. ↑ "료소" (両総)는 가즈사국과 시모우사국을 가리킨다. 지바현을 비롯한 간토 지방 동쪽 지역의 옛 이름이었다. ↑ 이로 인해 도쿠시마현에서 건설성 (지금의 국토교통성)이 추진하던 호소가와우치 댐 계획 (나카강)을 비롯하여 여러 댐 계획들이 동결되거나 백지화되었다. 각주[편집] ↑ 『河川法第四条第一項の水系を指定する政令』 Archived 2012년 2월 3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일 확인. ↑ 일본 도쿄등 관동지방도 取水제한 시작, 연합뉴스, 1994년 7월 23일. ↑ 가 나 다 群馬県『県内の一級河川の一覧』, 2012년 9월 1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쪽 ~ 7쪽. ↑ 《도네 강 100년사》, 5쪽. ↑ 《도네 강 100년사》, 4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7쪽. ↑ 가 나 다 이상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ダム統合管理事務所『利根川の特徴』, 2012년 9월 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9쪽 ~ 41쪽과 45쪽에서. ↑ 《도네강 100년사》, 39쪽과 42쪽에서. ↑ 《하천편람 2004년판》, 102쪽 ~ 103쪽. ↑ 《도네 강 100년사》, 15쪽 ~ 16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5쪽 ~ 19쪽. ↑ 《도네 강 100년사》, 19쪽. ↑ 《도네 강 100년사》, 22쪽 ~ 25쪽. ↑ 《도네강 100년사》, 24쪽 ~ 25쪽. ↑ 가 나 《도네 강 100년사》, 132쪽 ~ 133쪽. ↑ 《도네강 100년사》, 36쪽 ~ 37쪽. ↑ 《도네강 100년사》, 59쪽. ↑ 《도네 강 100년사》, 59쪽 ~ 60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植物と陸上昆虫』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3일 확인. ↑ 가 나 다 라 環境省『特定外来生物等一覧(外来生物法)』 Archived 2009년 1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다 라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生物(特定外来生物)』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0쪽 ~ 61쪽. ↑ 검룡소에 나타난 꼬리치레도롱뇽: 청정 1급수 지역에만 서식...환경지표종, 아시아투데이, 2011년 5월 26일 작성.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1쪽. ↑ 가 나 다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鳥と小動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藤原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3쪽 ~ 65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魚と水生生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5일 확인. ↑ 独立行政法人水資源機構利根導水総合事務所 2012년 9월 5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自然保護協会『自然保護』 - 河口堰は河川生態系を大幅にかえた - 1998年 2012년 9월 5일 확인. ↑ 다키카와 히로시·우에타케 고이치 외, 『開腹により発見せる日本住血吸虫症5例:利根川流域における日本住血吸虫は滅亡した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9월 7일 확인. ↑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行政施策と肝硬変死亡』 Archived 2009년 12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水土里ネット北総東部『カワヒバリ貝対策について』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33쪽 ~ 135쪽. ↑ 가 나 다 라 《도네강 100년사》, 1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名称の由来』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 강 100년사》, 2쪽. ↑ 国土交通省中国地方整備局浜田河川国道事務所『江の川の概要』 Archived 2012년 11월 1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紹介』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하천편람 2004년판》, 90쪽 ~ 92쪽. ↑ 《도네 강 100년사》, 1596년 ~ 1601년.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管理 川とその機能を保つ維持管理』 Archived 2011년 3월 11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事業概要』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601쪽 ↑ 《일본의 다목적 댐: 직할편》 (1990년), 448쪽 ~ 499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霞ヶ浦河川事務所『昔はどうなっていたか』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299쪽 ~ 300쪽. ↑ 水土里ネット見沼代用水『黒沼笠原沼用水路』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63쪽 ~ 664쪽. ↑ 《도네강 100년사》, 1245쪽. ↑ 《이바라키현사 시정촌편 3》, 396쪽 ~ 400쪽.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総貯水容量順位表 2012년 9월 1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435쪽 ~ 144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21쪽 ~ 126쪽. ↑ 《도네강 100년사》, 1444쪽 ~ 1445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3쪽. ↑ 《일본의 다목적 댐 - 보조편》 (1990년), 176쪽 ~ 177쪽. ↑ 《하천편람 2004년판》, 30쪽 ~ 31쪽. ↑ 邑楽町『都市公園 多々良沼公園』 Archived 2011년 6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5일 확인. ↑ 쇼가쿠칸, 《디지털 다이지센》 (大辭泉; 쇼가쿠칸의 상표) ↑ 《도네강 100년사》, 86쪽 ~ 87쪽. ↑ 《도네강 100년사》, 87쪽. ↑ 《도네강 100년사》, 77쪽 ~ 78쪽. ↑ 《도네강 100년사》, 79쪽. ↑ 《도네강 100년사》, 289쪽. ↑ 《도네강 100년사》, 141쪽. ↑ 《도네강 100년사》, 88쪽. ↑ 가 나 다 《도네강 100년사》, 89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05쪽. ↑ 行田市教育委員会『石田堤』 2012년 9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08쪽 ~ 309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320쪽. ↑ 《도네강 100년사》, 311쪽 ~ 312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도네강 100년사》, 312쪽 ~ 313쪽. ↑ 《도네강 100년사》, 313쪽 ~ 314쪽. ↑ 《도네강 100년사》, 368쪽 ~ 369쪽. ↑ 《도네강 100년사》, 366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374쪽. ↑ 《도네강 100년사》,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5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6쪽. ↑ 《도네강 100년사》, 349쪽 ~ 351쪽. ↑ 《도네강 100년사》, 356쪽 ~ 359쪽. ↑ 《도네강 100년사》, 174쪽 ~ 177쪽. ↑ 《도네강 100년사》, 339쪽 ~ 340쪽. ↑ 《도네강 100년사》, 188쪽. ↑ 《도네강 100년사》, 408쪽. ↑ 《도네 강 100년사》, 418쪽. ↑ 《도네강 100년사》, 530쪽. ↑ 《도네강 100년사》, 504쪽 ~ 511쪽. ↑ 《도네강 100년사》, 568쪽 ~ 574쪽. ↑ 《도네강 100년사》, 636쪽 ~ 657쪽. ↑ 《도네강 100년사》, 680쪽 ~ 688쪽. ↑ 《도네강 100년사》, 731쪽 ~ 732쪽. ↑ 《도네강 100년사》, 759쪽 ~ 778쪽. ↑ 《도네강 100년사》, 782쪽 ~ 787쪽. ↑ 《도네강 100년사》, 803쪽 ~ 831쪽. ↑ 《도네강 100년사》, 820쪽 ~ 860쪽. ↑ 《도네강 100년사》, 880쪽. ↑ 《도네강 100년사》, 874쪽 ~ 880쪽. ↑ 《도네강 100년사》, 923쪽 ~ 960쪽. ↑ 《도네강 100년사》, 1208쪽. ↑ 《도네강 100년사》, 1243쪽 ~ 1244쪽. ↑ 《도네강 100년사》, 1380쪽 ~ 1382쪽. ↑ 《국토 종합 개발: 특정 지역의 길잡이》, 25쪽 ~ 31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5쪽 ~ 18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10쪽 ~ 170쪽. ↑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 - 보소 도수로 관리소, 《보소 도수로의 역사》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가스미가우라 하천 사무소,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067쪽 ~ 1069쪽.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에도강 하천사무소, 《수도권 외곽 방수로》 Archived 2011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물 포럼, 《물 관련 피해 (전반, 세계)》 Archived 2011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도네강 수계 유역 및 하천의 개요” 64쪽 ~ 6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기본 정비 방침》, “기본고수 등에 관한 자료”, 2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16쪽 ~ 523쪽. ↑ 《도네강 100년사》, 950쪽 ~ 951쪽. ↑ 《도네강 100년사》, 564쪽 ~ 569쪽. ↑ 《호수를 넓히다》, 20쪽 ~ 21쪽. ↑ 시모우케 댐의 건설 예정지에, 댐 건설을 반대하던 주민들이 보루를 쌓고 농성을 한 사건이다. 1959년에 일어났다. ↑ 《도네강 100년사》, 1379쪽. ↑ 《누마타시의 역사: 통사편 3》, 649쪽 ~ 652쪽. ↑ 《도네강 100년사》, 1353쪽. ↑ 《도네강 100년사》, 945쪽 ~ 946쪽.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 수리권과 댐 (2): 분수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오자키 미쓰요시, 《오제하라·다다미강·도네강의 수력 개발 개요》, 토목학회지 제33권 5~6호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하천계획과, 『新たな基準に沿った検証の対象とするダム事業を選定する考え方について』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산케이 뉴스, 2011년 3월 14일 기사. Archived 2011년 3월 17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内閣府中央防災会議『利根川の洪水氾濫時の死者数・孤立者数等の公表について』 Archived 2011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마이니치 신문》 도치기판, 2011년 3월 25일 기사에서. 참고 자료[편집]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2005년. 재단법인 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도네 강 10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도네강 100년사》, 1987년. 사단법인 일본하천협회 감수, 《하천편람 2004년판》, 국토개발조사회, 2004년. 전거 통제 VIAF: 260260094 NDL: 0064773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강&oldid=24145291" 분류: 이바라키현의 강도치기현의 강군마현의 강사이타마현의 강지바현의 강도쿄도의 강나가노현의 강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orskPolski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05: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네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 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강 利根川Tone River (지리 유형: 강) 도네강 하구 (2008년) 나라 일본 지방 나가노현 · 군마현 · 도치기현 · 사이타마현 · 이바라키현 · 도쿄도 · 지바현 발원지 오미나카미산  - 고도 1,831m (6,007ft) 하구 태평양 길이 322km (200mi) 면적 16,840km² (6,502sq mi) 유량  - 평균 256m³/s (9,041cu ft/s) 참고 문헌: 《도네 강 100년사》, 《하천편람 2004년판》 도네강(일본어: 利根川, とねがわ 도네가와[*])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다.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하여, 간토 지방을 북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흐른다. 도네강 수계의 본류로, 일본 정부의 하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급 하천으로 관리받고 있다.[1] "반도타로" (坂東太郎)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타로는 도네강이 "간토 지방의 하천 중 장남 격이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임을 의미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수도권의 거주민들을 위한 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네강의 강수량이 수도권 지역의 취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2] 목차 1 지리 2 자연과 생태 2.1 기후와 강물 2.2 지리와 지질 2.3 지하자원 2.4 식생과 곤충 2.5 동물 2.6 어류와 수생생물 3 명칭 4 유역 4.1 본류 4.2 지류와 분류 4.3 늪과 호수 5 역사 5.1 중세 이전 5.2 에도 시대 전기 5.3 에도 시대 후기 5.4 근대의 도네강 5.5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 5.6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 5.7 개발과 지역 마찰 6 주해 7 각주 8 참고 자료 지리[편집] 상류 (군마현 마에바시시) 중류 (군마현 오라군 메이와정) 하류 (이바라키현 - 지바현 경계)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에 자리하고 있는 미쿠니산맥의 오미나카미산(표고 1,840m)에서 발원한다. 남쪽으로 흐르다 다카사키시역을 거쳐 가라스강과 합류하면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쿄만으로 흐르는 에도강과 갈라진 뒤,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의 지리적 경계선을 이루며 동쪽으로 흐르다, 지바현 조시시 근처의 가시마나다에서 태평양과 합류한다. 총연장은 332km로, 시나노강에 이어 일본 내 2위, 유역면적은 약 16,840km2로 일본 내 1위이다. 간토 지방의 1개 도와 5개 현(가나가와현 제외)을 지나가며, 가라스강의 일부 지류가 나가노현 사쿠시에서 발원한다.[3][주 1] 도네강의 상류와 중류, 하류는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4] 상류: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군마현 이세사키시 얏타섬 (八斗島)까지. 중류: 얏타섬에서 지바현 노다시의 에도 강 분기점까지. 하류: 에도강 분기점에서 조시 시의 하구까지. 도네강이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한다는 사실은 1954년 군마현 산악연맹의 "오쿠토네 수원 조사 등산대"에 소속되어 있던 30명이 밝혀냈다. 이들은 발원지를 찾아 강을 직접 거슬러 올라갔다.[5] 발원지에 관련된 최초의 사료는 무로마치 시대에 쓰인,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일대기인 《의경기》로, 《의경기》에는 도네강의 발원지가 지금의 미나카미정 후지와라 부근이라고 적혀있다. 오미나카미산의 이름은 에도 시대 초반인 1640년대에 그려진 막부 공인 지도인 《쇼호구니에즈》에 처음으로 나왔다. 그러나 도네강의 정확한 발원지는 1835년에 그려진 《에도메이소즈카이》나 1858년에 그려진 《도네가와즈시》 등에서 서로 발원지를 다르게 표시하는 등, 오랫동안 밝혀내지 못해왔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강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되어, 1894년과 1926년에 두 번의 조사를 한 후, 1954년 지금의 위치로 발원지를 확정했다. 이 밖에, 군마현 당국이 1975년에 전문가들을 모아 도네강 유역의 종합학술조사를 시행하기도 했다.[6] 도네강의 출발점은 오미나카미산 북동쪽 사면, 표고 1,800m 부근에 있는 삼각형의 골짜기 끝이다. 원류부는 험준한 계곡인데, 크고 작은 못들에서 흘러나온 물들이 오쿠토네호로 모이게 된다. 야기사와 댐, 스다가이 댐, 후지와라 댐을 통과하면서 남서쪽으로 유로를 틀어, 미나카미 온천 부근에서 협곡을 형성하며 남쪽으로 흐른다. 미나카미정 쓰키요노에서 아카다니 천과, 누마타시에서 가타시나강과 합류하는데, 가타시나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하안 단구를 형성한다. 누마타시에서 시부카와시 경계에 걸쳐서는 아야토 계곡을 형성하며 구불구불하게 흐르다, 시부카와시의 시내에서 아가쓰마강과 합류하여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를 통과한다. 다카사키시에서는 가라스강과 합류해, 이세사키시의 얏타섬에 이른다. 얏타섬 부근부터 강의 폭은 넓어진다.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부근에서 약 500m 수준으로,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지역에서는 약 900m 규모로 넓어지는 것이다.[7] 도네 보 (利根大堰)에서는 무사시 수로가 갈라져, 도네강물을 아라카와강과 연결한다. 도네 보를 지나 와타라세강과 합류하여,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가운데를 흘러 이후 남동쪽으로 흐르는데, 이 구간을 따라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의 경계선이 정해졌다. 노다시에서는 에도강과, 지바현 가시와시에서는 도네 운하와 갈라지며, 이바라키현 모리야시에서는 기누강, 도리데시와 기타소마군 도네정의 경계점에서는 고카이강과 합류한다. 가토리시와 도네강 하구언을 지나, 히타치토네강, 구로베강과도 합류한다. 두 강과의 합류 지점을 지나면서 강의 폭은 최대 1km까지 넓어지게 된다.[7] 가미스시와 조시시의 지리적 경계를 이룸을 끝으로,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네강 하류 지역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보유한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 인바 늪, 우시쿠 늪, 데가호 등 여러 개의 자연 습지가 만들어져 있다. 자연과 생태[편집] 도네강은 유역이 넓고 긴 강이기 때문에, 자연 환경과 생태계가 상류, 중류, 하류 지역에서 저마다 다르게 나타나곤 한다. 기후와 강물[편집] 도네강 중류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 있는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의 구리하시 관측소. 과거의 홍수 때 수위에 따라 기둥에 흰 빗금이 그어져 있다. 도네강 유역의 기후는 대체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데, 이는 도네강이 흐르는 간토 평야가 북태평양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이 모두 항상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를 보이지는 않으며,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강수량은 연평균 1,300mm로, 일본 전국의 연평균 강수량 1,700mm보다는 밑돌고 있다.[8] 상류부는 미쿠니산맥을 비롯한 고산 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고 기온이 매우 낮아진다. 상류부 지역은 간토 지방에서 비교적 많은 눈이 내리는 다설지에 속해 있어, 1955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간 누적 적설량을 오미나카미산 발원지가 16m, 야기사와 상류부가 10 ~ 14m, 미나카미정 부근과 가타시나강 상류부가 2 ~ 10m을 기록하고 있다.[8] 이렇게 쌓인 눈은 봄철이 되면 녹아, 도네강을 따라 흐르면서 수도권 지역에서 용수로 쓰이게 된다. 중류부는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비교적 높아지며, 맑은 날씨가 잦아진다. 2007년 8월 16일 구마가야시에서 기록된 기온인 섭씨 40.9도는 같은 날 기후현 다지미시에서 기록된 기온과 함께, 일본 최고 기온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 군마현과 도치기현에서는 여름철에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자주 내린다.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건조한 계절풍이 불어오는데, 군마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건조 계절풍을 "조슈의 강바람", "아카기의 바람", "하루나의 바람"이라고 불러왔다.[9] 하류부는 구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아 습윤한 해안성 기후를 보이기 때문에 중류부보다는 폭염 현상이 비교적 덜 발생하는 편이나, 겨울철에는 흐린 날씨가 비교적 잦아진다.[10] 비는 중류부와 하류부를 중심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태풍이 불어올 때 가장 많이 내린다. 하지만 도네강의 연평균 강수량은 강수량을 처음으로 재기 시작한 1900년부터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20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비가 내린 해와 비가 비교적 적게 내린 해의 강수량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8] 도네강의 연간 유량은 약 91.5t으로, 시나노강, 모가미강, 아가노강, 기타카미강에 이어 일본 내에서는 5위이다. 이는 도네강보다 윗순위에 있는 하천들이 비록 유역 면적이 도네강보다는 좁지만, 모두 적설량이 많은 다설 지역을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유량은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의 관측 지점을 기준으로, 초당 290.43m3이다. 연평균 유량도 일본 전국의 강들 중에서는 5위에 속한다.[11] 지리와 지질[편집] 간나강의 지류인 산바강에서 생산되는 변성암들. "산바세키"라 불리는 이 변성암은 일본의 천연기념물 중 하나이다. 도네강과 시나노강의 분수령인 미쿠니산맥을 이루는 산 중 하나인 다니가와산. 도네강 유역의 상류부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 지형이 대부분이며, 중류부와 하류부의 대부분은 충적 평야이다. 도네강 최상류부의 오쿠토네 주변은 신생대 고제3기에 형성된 화강암 지형이다. 그 밖의 산지들은 신제3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형으로, 간토 산지, 야미조 산지, 아시오 산지는 고생대에서 중생대 사이에 걸쳐 형성된 각암, 사암, 점판암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가라스 강 유역, 특히 간나 강 일대는 일명 "산바가와 변성대"라 불리는데, 간나 강의 산바 골짜기나 지류인 산바 강에서는 "산바세키"라 불리는, 녹색에 가까운 결정 편암 (변성암의 하나)이 다수 발견된다. 군마 현, 도치기 현 일대를 흐르는 지류들의 상류부에는 여러 개의 화산이 있는데, 화산들의 분출 활동으로 만들어진 화산 쇄설물층이나, 용암이 풍화한 화강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발견된다. 중류부와 하류부의 구릉지대와 홍적대지는 제4기에 형성되었는데, 과거 도쿄만에서 흘러와 퇴적된 모래와 진흙으로 형성된 시모우사 지층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지층 위에는 간토 롬층이 덮여 있다. 충적 저지대는 신생대 전기인 갱신새 말기부터 완신세에 걸쳐 형성된 두터운 충적층이 주를 이르며, 지금의 도쿄 만 연안부 등에서는 최대 60m에서 80m 사이까지 두꺼워진다. 한편, 제4기에 간토 산지 등 간토 평야를 에워싼 주변 산지의 융기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상대적으로 평야 중앙부가 침강하는 조분지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충적 저지대에서는 상류에서 흘러온 토사가 충적층에 퇴적되었다. 그 후 침강한 평야 중앙부가 다시 융기하면서 그 곳으로 토사가 쌓여, 지금의 대지와 저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13] 이렇게 형성된 산지나 대지가 지금의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군마 현과 니가타현의 경계를 이루는 미쿠니산맥과, 군마현·도치기현·후쿠시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다이샤쿠산맥, 그리고 이바라키현에서 도치기현에 걸쳐 있는 야미조 산지의 남쪽 사면과, 군마현·나가노현·사이타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간토 산지의 동쪽 사면에 내리는 비가 도네강으로 흐르는 것이다.[13] 미쿠니산맥은 태평양과 동해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미쿠니산맥을 경계로 남쪽 사면은 도네강 본류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못의 발원지를 이루고 있다. 반면 북쪽 사면은 우오노강·나카쓰강 등, 시나노강의 수계를 이루고 있다.[14] 다이샤쿠산맥에 속한 난타이산, 닛코시라네산, 오제고원 등지는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에 내린 비가 각각 기누강, 가타시나강으로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서쪽 사면에는 오제 늪을 수원으로 하는 다다미강이 흐르며, 다다미강은 아가노강과 합류한다. 야미조 산괴, 도리코 산괴, 게이조쿠 산괴, 쓰쿠바 산괴를 포함하는 야미조 산지와, 야미조 산괴에서 이어지는 우쓰노미야시 부근의 대지, 이바라키현 중남부에 펼쳐진 조소 대지도 남북 사면으로 나뉘는데, 남쪽 사면으로는 기누강·고카이강 등이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쪽 사면으로는 도키가와강·아라카와강, 히누마강 등 나카강의 지류들이 태평양으로 흐른다.[15] 간토 산지 북부와 아사마산, 묘기산, 아라후네산 등 군마현과 사이타마현 서부에 있는 산지들에서는 대부분 동쪽 사면으로 아가쓰마강, 가라스강, 오야마강 등이 도네강으로 흐르지만, 사이타마현에 속한 남쪽 사면으로는 아라카와강의 지류들이 아라카와강에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흐른다. 서쪽 사면으로는 시나노강의 지류인 지쿠마강이 흐른다. 그리고 사이타마현 북부의 대지는 제3기 이후 한때 도쿄만의 물이 들어와 가라앉았다가, 제4기 이후 해퇴 운동으로 바닷물이 빠지면서 아카기산, 하루나산이 발달하고,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 대지는 가조시, 삿테시, 구키시 일대에 이르러 차차 고도가 낮아지는데, 이 지역에 모인 물들은 도네강 또는 나카가와강으로 흐르게 된다.[16] 지하자원[편집] 1895년 경의 아시오 광산. 1973년에 문을 닫았다. 도네강 유역에서는 금, 은, 구리, 망간, 철광석 등의 금속 자원과, 석회암, 유황, 천연 가스 등의 비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금속 자원 중 특히 구리는 도네강 유역의 아시오 광산에서 1973년까지 생산해왔다. 이 밖에, 금과 은이 도네강 본류의 상류부와 기누강 상류부에, 망간이 와타라세강 유역에, 철광석이 아가쓰마강 상류부에 매장되어 있다.[17] 한편 비금속 자원 중 유황은 아가쓰마강 상류에, 석회암은 가라스강 유역에 매장되어 있다. 또 석재로는 도치기현의 오야이시 (大谷石)나, 군마현의 산바세키가 담이나 고급 정원석 용도로 채굴되고 있다.[17] 또 천연 가스는 도네강 하류 일대, 에도강 하류 일대의 미나미칸토 가스전 등지에서 채취되고 있다. 1956년 이후 천연가스 채취가 에도강 하류의 도쿄도 고토구, 지바현 이치카와시·후나바시시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내고, 천연 가스를 오랫동안 채취하면서 지반이 침하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도쿄도와 지바현 당국은 가스전 일대의 민간 채굴 사업자로부터 1972년에 가스 채취권을 사들여, 채취를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은 가스를 채취하지 않고 있다.[18] 식생과 곤충[편집] 닛코시의 센조가하라는 고층습원으로, 여러 종류의 고산 식물이 자란다. 도네강의 식생도 상류, 중류와 하류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상류에서는 산악 지대인 오제나 아사마산 북쪽 기슭을 중심으로 고산 식물이 자라며, 센조가하라는 물이끼와 넌출월귤이 자라는 고층습원이다. 또, 상류 지역은 고도에 따라서도 식생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1,6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서는 상록침엽수들이 자라는데, 주로 일본 전나무 고유종인 "시라비소", 좀솔송나무가 자란다. 표고 700 ~ 800m대에서는 너도밤나무와 물갈나무 등이 자란다.[19] 하지만 와타라세 강의 발원지인 아시오 산지는 아시오 광산이 개발되던 당시에 유출된 연기들 때문에 생태계가 크게 무너졌다. 한편 중류에서는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붉가시나무, 모밀잣밤나무 등 원래부터 자생하던 나무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신 주택과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심어 놓은 삼나무와 편백 따위의, 재조림을 목적으로 심은 나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둔치에서는 갈대와 억새류, 쇠뜨기, 개여뀌, 금방동사니 등이 자라고 있으며, 하류 지역에서는 부들과 야생쌀을 볼 수 있다. 갈대 군락은 중류와 하류의 호소나 늪과 같은 습지대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대규모 갈대 군락이 자생하는 와타라세 유수지에서는 하늘지기류, 물옥잠, 등골나물 등 멸종위기종들도 자생하고 있다. 도네강 유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종수는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666종이다. 조류는 물에 영양분이 적은 상류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며, 중류와 하류에서 규조류가 주로 자라고 있다. 그러나 가스미가우라 지역은 수질이 점차 나빠지면서 여름철에 미크로시스티스가 대량으로 증식해 녹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20][21] 도네강 유역에는 외래 식물종도 자라고 있다. 중류 지역에서는 양미역취나 돼지풀이, 하류에서는 가시박, 큰물수세미, 물배추가 자라고 있는데, 이들을 비롯한 외래 식물종들이 생태계를 변화시킨다고 판단한 일본 환경성은 "특정 외래생물의 유입에 따른 생태계 등의 피해 방지에 관한 법률", 곧 "외래생물법"에 따라 도네 강의 외래 식물종들을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도네 강의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국토교통성과 협력하여 외래 식물종들을 제거하고 있다.[22][23] 도네강 유역의 곤충들은 절지동물인 거미목 곤충들을 중심으로,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975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딱정벌레목이 397종, 나비목이 170종, 노린재목이 125종, 거미목이 84종을 차지하고 있다. 상류의 고산 지대에서는 눈나비, 높은산노랑나비, 갈구리신선나비, 실잠자리[주 2], 큰별박이왕잠자리 등 산지에서 잘 자라는 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다. 한편 중류와 하류에는 거미목, 나비목 등이 주로 서식하는데, 이들 중 왕오색나비는 일본 정부에서 "나라나비"[주 3] 로 지정한 상태이다. 이 밖에, 실잠자리목과 청솔귀뚜라미 등 희귀종들도 서식하고 있다. 한편, 강 유역의 히누마 늪에는 노랑실잠자리, 고유종인 히누마실잠자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21][24] 동물[편집] 와타라세 유수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말똥가리. 상류 지역의 산지를 중심으로 반달가슴곰, 일본원숭이, 일본사슴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중류와 하류 지역에서는 인간의 택지 개발과 농경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대형 동물들은 서식하지 않고 있다. 대신, 여우나 너구리, 산토끼, 일본족제비, 작은일본두더지 등이 서식하고 있다. 1994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포유류는 12종 이상, 파충류는 5종, 양서류는 4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1급 수계"로 지정한 일본 내 다른 대규모 하천들에 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약하다. 상류에는 1급수 지표 생물인[25] 꼬리치레도롱뇽의 아종인 일본꼬리치레도롱뇽이 살고 있다.[주 4] 외래종으로는 늪너구리 (뉴트리아), 사향쥐, 황소개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이 외래종들을 모두 생태계를 교란하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감시하고 있다.[26][27] 조류는 곤충들과 식물들이 많은 중류와 하류에서 많이 사는데,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있다. 상류에는 참수리, 검둥수리, 뿔매 따위의 맹금류나, 바위종다리, 잣까마귀 따위의 고산 조류가 산다. 야기사와 댐·후지와라 댐 등 도네강 상류에 있는 댐들에서 이들의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28][29] 이 밖에 계곡 등에는 물총새, 할미새사촌 등이 살고 있다. 중류와 하류에는 참새, 까마귀, 멧새 등 개체가 많은 종 뿐만 아니라, 갈대 군락지를 중심으로 논병아리도 살고 있다. 철새로는 큰고니, 고니가 가스미가우라에 찾아오며, 와타라세 유수지나 와타라세강 합류부의, 자연 식물들이 많이 자라는 곳들을 중심으로 왕새매, 개구리매, 말똥가리, 붉은뺨멧새 등의 맹금류와 오리, 도요과, 물떼새과 등이 철에 따라 찾아오거나, 머무른다.[26][27] 외래종으로는 2003년 도리데시가 처음으로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상사조 (Leiothrix lutea)가 확인된 바 있다.[22][23] 도네 강 유역에서 살아가거나, 철에 따라 오가는 새들은 모두 136종이다.[27] 어류와 수생생물[편집] 백연은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이다. 산란철에는 도네 강 중류까지 거슬러올라 알을 낳는다. 사진은 어른 백연이 붙잡힌 모습이다. 모두 8목 13과 43종의 어류가 도네강에 살거나, 오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류에는 주로 곤들매기, 산천어, 기생개구리가, 중류에는 피라미, 잉어, 금붕어, 참붕어, 장어 등이 서식하며, 멸종위기종인 "제니다나고"[주 5] 도 서식하고 있다. 하류에는 숭어, 농어, 문절망둑, 멸치 등이 올라와서 살며, 하구부에는 감성돔과 가자미 등 주로 바닷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초어 (草魚), 백연 등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들은 점점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 되면 국도 제4호선 도네가와 교 근처에서 뛰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30][31] 도네강으로 들어오는 회유어로는 연어와 은어가 대표적이다. 회유어는 에도 막부 이래 일본 정부가 시행한 용수로 건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실시한 도네강 유역의 특정 지역들의 종합 개발 계획 등으로 댐과 보 (洑) 가 도네강 곳곳에 세워지면서, 한때 그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었었다. 특히 하구에서 154 km 떨어진 도네 보는 회유어들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길의 큰 장애물이었다. 이 때문에 도네 보의 관리를 책임지던 수자원개발공단 (지금의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은 1983년부터 연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어도의 신설과 개축을 실시했다. 2005년부터는 환경보호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여, 은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과, 바다로 내려가는 시점에 보의 문을 여닫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들과 정부의 협력으로, 도네 보를 오가는 은어와 연어의 개체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32] 한편 도네강 하구언은 건설 과정에서 일본재첩의 생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지적을 수용해 설계를 개선한 바 있다.[33] 특정 외래생물로는 블랙배스와 블루길이 하구언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찬넬메기 (찬넬동자개)도 서식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 송사리의 천적인 모스키토피시 (Gambusia affinis)의 서식도 확인된 바 있다.[22][23] 수생·저생생물로는 177종이 확인되었다. 상류와 중류를 중심으로 날도래목, 강도래목, 하루살이목이 서식하고 있으며, 강바닥이 진흙과 모래로 되어 있는 하류에는 우렁이, 왼돌이물달팽이, 갯지렁이, 실지렁이 등이 살고 있다.[30] 도네강 하류 유역은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 후쿠오카현과 사가현의 지쿠고강 하류와 함께 일본산 흡혈충병의 발생지로 알려져 있는데[34], 이 흡혈충들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3년에 몸에서 기생충의 알이 나온 환자의 사례를 끝으로, 기생충 환자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있다.[35] 대신, 강바닥을 굳게 만들고 퇴적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생물들의 유입을 방해하여 생태계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바 있는 바다살이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가 아비코시와 인자이시, 그리고 가스미가우라에서 확인된 바 있다.[22][23][36] 도네강 유역의 내수면 어획량은 일본 전국의 총 어획량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도쿄권과 가깝기 때문에, 어업협동조합이 세워져 어민들이 어획 활동을 자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네강이 지나가는 1도 5현의 81개 조합이 저마다 일본 정부로부터 제1종, 제2종, 제5종 어업 면허를 딴 상태이다.[37] 명칭[편집] "도네강"이라는 이름의 문헌 상의 근거는 《만요슈》 40권에 실린 "아즈마우타" (東歌; 동쪽 지방의 노래) 중 "고즈케국의 노래" 부분에 실린 와카이다.[38] 刀祢河泊乃 可波世毛思良受 多太和多里 奈美尓安布能須 安敞流伎美可母 利根川の 川瀬も知らず ただ渡り 波にあふのす 逢へる君かも — 《만요슈》 40권, 아즈마우타 중, "고즈케국의 노래"에서. 이 와카는 고대 일본어로 쓰인 것으로, 한국어의 이두처럼 문장을 한자로 옮기면서 음에 맞는 글자를 따 온 것이다. 현대어로는 대개 "도네강에서 여울이 흐르는 곳임을 깨닫지도 아니하고 강을 건널 제 문득 덮치는 물보라처럼 그대를 만났어라" 정도로 풀이한다. 이 시는 서민 여성들이 사용하는 "기물진사", 즉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는 표현 방식이 들어간 소몬카(相聞歌)이다. 여기에 대해 이누카이 다카시는 자신의 저서인 《만요의 여행》 중권에서 고즈케국의 노래에 등장하는 강의 너비가 와카의 화자가 건널 수 있었던 정도임을 생각할 때, 도네강에서 와카에 등장하는 지역은 누마타시와 시부카와시 사이의 지역일 것이라고 추정했다.[38] 와카에 쓰인 "刀祢" (도네)의 참의미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여러 개의 가설만이 존재한다. 강이 흐르는 지역인 도네군에서 음을 땄다는 설, 강의 발원지의 주변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즉 "도키미네" (尖き峰)의 발음이 뒤바뀌었다는 설, 발원지인 오미나카미산의 별칭인 "도네다케" (일본어: 刀嶺岳, 刀祢岳, 刀根岳)에서 따왔다는 설[38], 도네노아타이 (等禰直), 또는 도네쓰히코 (椎根津彦)[주 6] 라는 신에서 따왔다는 설[39] 등이 있다. 한편, 어원에 얽힌 설 중에는 아이누어로 "톤나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이 "톤나이"에 관한 해석도 "거대한 골짜기"나 "늪과 호수처럼 넓고 큰 하천" 등으로 나뉜다.[38][39] 한편 도네강의 별명인 "반도타로"는 아시가라 고개에서 우스이 고개까지 경계를 그은 다음, 그 동쪽 지역을 묶어 일컫던 "반도"에서 유래했다. "반도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이다.[40] 비슷한 형태로 별칭이 붙은 강으로는 "쓰쿠시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쓰쿠시지로" (筑紫次郎)라는 별명이 붙은 지쿠고 강, "시코쿠섬을 흐르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시코쿠사부로" (四国三郎)라는 별명이 붙은 요시노강이 있다. 한편, 주고쿠 지방의 고노카와강은 "주고쿠타로"라는 별명이 붙어 있는데, 이는 다른 강들과는 무관하다.[41] 또 지금의 도네 강은 시나노강, 요도가와강 등 다른 지역의 강들과는 다르게[주 7],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전 지역에서 모두 "도네강"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린다. 유역[편집] 도네강의 개략적인 유역도. 살구색 선 안쪽이 모두 도네강 유역의 하천들이다. 도네강의 유역 면적은 총 1만 6,840km2이다. 이는 시코쿠 지방의 면적의 약 80% 정도와 맞먹는다.[42] 이 유역 면적에 속하는 지역을 흐르며, 도네강에 합류하거나 분기하는 모든 하천들을 도네강 수계로 묶는다. 도네강 수계에 속하면서 마지막에 도네강에 합류하는 지류들의 수는 815개로, 요도가와강 수계의 964개, 시나노강 수계의 880개에 이어 일본 내에서 3위에 해당한다.[43] 유역에 속한 행정 구역은 도쿄도를 비롯하여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나가노현의 1도 6현 221시구정촌으로, 일본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200만 명이 도네강 유역에 살고 있다.[42] 본류[편집] 도네강 본류의 길이는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태평양의 하구까지 322km이며, 발원지에서 태평양까지 이르는 동안 지나는 행정 구역은 군마현·사이타마현·이바라키현·지바 현의 4현, 25시 14정 1촌이다. 1896년에 제정된 최초의 하천법(일명 "구 하천법")에 따라 정부의 관리를 받기 시작했으며, 1897년 9월 11일에 내무성 고시 제59호에 따라 "관리 지정 하천 구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하천 등급제가 도입되자, 1965년 3월 24일에 건설성 정령 (政令)으로 도네강 유역의 "관리 지정 하천 구역" 전역이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4] 현재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도네강의 상류 끝은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3], 하류 끝은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 로,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모두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국토교통성이 직할하는 "지정 외 구간"은 군마현 이세사키시와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사이를 흐르는 구간[46] 에서,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까지로, 지바현 도리데시와 지바현 아비코시의 경계인 오토네 교를 기준점으로 하여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 도네강 상류 하천 사무소와 도네강 하류 하천 사무소가 강을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한편 지정 외 구간의 상류 끝인 이세사키시 ~ 다마무라정 구간에서, 오미나카미 산의 발원지까지는 하천법 제9조 제2항에 따른 "지정 구간"으로서, 국토교통성이 군마현지사에게 관리를 위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카사키시 이북 구간은 군마현이 하천 관리를 맡고 있는데, 야기사와 댐 호수 상단부에서 후지와라 댐 바로 아래까지의 구간은 예외로 국토교통성이 직접 관리한다.[3][주 8] 도네강 본류 유역의 시정촌 현 (県) 시정촌 (상류 → 하류 순)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 누마타시, 도네군 쇼와촌, 시부카와시, 기타군마군 요시오카정,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 사와군 다마무라정, 이세사키시, 오타시, 오라군 오이즈미정, 오라군 지요다정, 오라군 메이와정, 오라군 이타쿠라정 사이타마현 혼조시, 후카야시, 구마가야시, 교다시, 하뉴시, 가조시, 구키시 이바라키현 고가시, 사시마군 고카정, 사시마군 사카이정, 반도시, 모리야시, 도리데시, 기타소마군 도네정, 이나시키군 가와치정, 이나시키시, 가미스시 지바현 노다시, 가시와시, 아비코시, 인자이시, 인바군 사카에정, 나리타시, 가토리군 간자키정, 가토리시, 가토리군 도노쇼정, 조시시 지류와 분류[편집] 도네강 수계의 지류들 중 가장 긴 강인 기누강의 류오쿄 (竜王峡). 도네 강 수계를 흐르는 815계의 하천 중, 도네 강에 직접 합류하는 1차 지류들은 다른 수계나 그 본류의 규모와 맞먹는 대규모 하천인 경우가 많다. 도네강의 지류들 중 가장 긴 하천은 기누강으로, 약 176.7km이다. 이는 간토 지방의 다른 1급 수계 본류인 아라카와강(173km)과 맞먹는다. 또, 지류들 중 가장 유역 면적이 넓은 하천은 와타라세강으로, 약 2,601.9km2이다. 이는 지쿠고강 수계의 전체 면적 (2,683km2)이나,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을 흐르는 다카하시강 수계 (2,670km2), 도야마현과 기후현을 흐르는 진즈강 수계의 전체 면적 (2,720km2)과 맞먹는다. 이 밖에, 길이로는 기누강에 이어 와타라세강과 고카이강이 100km를 넘으며, 유역 면적으로는 와타라세강에 이어 아가쓰마강·기누강·고카이강·히타치토네강이 1,000km2을 넘는다.[43][47] 또 도네강에서 갈라지는 하천, 즉 "분류" (分流)로는 지바현 노다시 부근에서 도네강과 갈라지는 에도강, 지바현 가시와시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흐르다 에도강에 합류하는 도네 운하가 있다. 한편, 사이타마현과 도쿄도를 흐르는 나카가와강은 도네강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아라카와강과 나란히 흐르면서 도쿄만에 이른다.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이 아라카와강 수계의 지류라는 오해가 있었다. 그러나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될 무렵, 건설성 하천심의회 관리부회는 나카가와강에서 갈라지는 분류인 신나카가와 방수로가 도네강의 분류인 에도강의 분류, 구 에도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본류로부터 갈라져 직접 바다로 이르는 파류 (派流) 와, 그 파류로 흘러들어오는 지류는 모두 같은 수계에 포함한다"는 하천법의 조항에 따라, 하천법 개정 후 도네강 수계가 1급 수계로 지정됨과 동시에 나카가와강을 도네강 수계에 귀속시켰다.[48]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과 그 지류들은 모두 도네강 수계의 하천이며, 아라카와강 수계와는 무관하다. 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도네강의 몇몇 지류들도 이름이 바뀌었는데, 지역에 따라 히타치강과 기타토네강으로 불리던 하천은 "히타치토네강"으로 묶였고, 구 에도강은 에도강 방수로의 지류가 되었으며, 신나카가와 방수로는 신나카가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8] 도네강 수계의 주요 지류[47][49]유역 연장 및 유역 면적이 출처로 확인된 1차 지류 및 그 1차 지류에 합류하는 2차 지류만 표기. ( ) 안은 호소와 인공호. 주요 1차 지류 유역 연장(km) 유역 면적(km²) 주요 2차 지류분류 주요 호소 유역 도·현 유역 시·군·구 가타시나강 60.8 673.1 오타키강 다니가와강 구리하라강 스게누마호오지리호마루누마호 소네하라호 미사토호 군마현 누마타시 · 도네군 아가쓰마강 76.2 1,365.9 만자강시라스나강시마강누마오강 하루나호(다시로호)(조슈유노호) (오쿠시마호) (시마호) 군마현 시부카와시 · 아가쓰마군 가라스강 45.2 1,800.7 우스이강가부라강간나강 (우스이호) (묘기호) (아라후네호) (오쿠간나호) (간나호) (신스이호) (헤비카미호) 나가노현 사쿠시 군마현 다카사키시 · 안나카시 · 후지오카시 · 도미오카시 · 간라군 · 다노군 사이타마현 지치부시 · 고다마군 와타라세강 107.6 2,601.9 기류강 마쓰다강 야바강하타가와강아키야마강우즈마강오모이가와강야다강 다타라 늪조누마 늪구사키호우메다호와타라세 유수지야나카호 군마현 미도리시 · 기류시 · 오타시 · 다테바야시시 · 오라군 도치기현 닛코시 · 아시카가시 · 사노시 · 오야마시 · 도치기시 · 가누마시 · 시모쓰카군 · 가미쓰카군 이바라키현 고가시 나카가와강 82.2 986.7 곤겐도강오오토시후루토네강모토아라카와강미사토 방수로아야세강신나카가와강 쇼와 늪구로하마 늪하라이치 늪미즈모토 공원미유키호 사이타마현 하뉴시 · 가조시 · 구키시 ·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고시가야시 · 깃카와시 · 구사카시 · 미사토시 · 야시오시 · 기타사이타마군 · 미나미사이타마군 · 기타카쓰시카군 도쿄도 아다치구 ·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에도강 54.7 200.3 사카가와강마마강구 에도강 지바현 노다시 · 나가레야마시 · 마쓰도시 · 이치카와시 · 후나바시시 · 우라야스시 사이타마현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깃카와시 · 미사토시 · 기타카쓰시카군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도쿄도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기누강 176.7 1,770.6 오지카강도가와강다이야강다가와강 기누 늪유노코호사이노코호주젠지호(가와마타호)(야시오호)(이카리호)사누마 늪 도치기현 닛코시 · 우쓰노미야시 · 모카시 · 시모쓰케시 · 가와치군 · 시오야군 · 하가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유키시 · 시모쓰마시 · 모리야시 · 조소시 · 유키군 고카이강 111.8 1,043.1 고교강야다 강 우시쿠 늪(하코지마 유수지) 도치기현 모오카시 · 하가군 · 시오야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시모쓰마시 · 조소시 · 쓰쿠바미라이시 · 모리야시 · 도리데시 · 류가사키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마카베군 · 유키군 · 기타소마군 히타치토네강 27.5 2,156.7 사쿠라가와강고이세강오노강신토네강요코토네강와니가와강 가스미가우라호기타우라호소토나사카우라호요다우라호(미나미시오 조정지)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이시오카시 · 이나시키시 · 가스미가우라시 · 오미타마시 · 나메가타시 · 호코타시 · 가시마시 · 가미스시 · 이타코시 · 사쿠라가와시 · 지쿠세이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이나시키군 지바현 가토리시 그 밖의 1차 지류 및 분류로는 나라사와강, 나라마타강, 다카라가와강, 유비소강, 아카다니강, 우스네강, 히로세강, 오야마강, 하야카와강, 도네 운하, 이누마강, 데가강, 나가토강, 구로베강 등이 있다. 늪과 호수[편집] 이나시키시 쪽에서 본 가스미가우라호. 멀리 쓰쿠바산이 보인다. 도네강 수계에 속한 자연호 중에는 일본에서 제2위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가스미가우라호가 있다. 대부분의 늪과 호수들은 하류 지역에 주로 몰려있는데, 1910년 요시다 도고가 쓴 《도네 치수 논고》에서 이 호소 (湖沼) 들의 생성에 관해 이야기한 바 있다. 이 책에 따르면, 10세기 초 (1000년대)의 도네강 하류에는 "가토리해"라 불리는 거대한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가토리해는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 인바 늪 등이 하나로 합쳐져 있었던 것이다.[50] 그 후 기누강, 고카이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이고, 에도 시대의 하천 준설 공사와 경작지의 개발에 따른 간척 사업 등등으로 사람의 손이 닿으면서 가토리해의 면적은 차차 줄어들어, 마침내 지금의 강줄기가 되었다.[51] 호수의 생성 원인은 다양한데, 가스미가우라호,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는 바다의 일부가 떨어지면서 호수가 된 것이고, 인바 늪, 데가호, 우시쿠 늪, 스고 늪 등은 강의 흐름이 막혀 호수가 된 것이다. 후루토네 늪은 외따로 분류되는데, 도네강의 인위적인 준설 공사로 예전의 유로가 강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에 있었던 늪으로는 미누마다이 용수 건설에 따라 간척된 미누마 늪이나 구로누마 늪, 가사하라 늪[52], 와타라세 유수지를 건설하면서 와타라세강과 우즈하강의 유로로 편입되며 사라진 아카마 늪[53], 1941년부터 1950년까지 벌어진 간척 사업으로 사라진 우치나사카우라호 등이 있다.[54][55] 상류 지역에 있는 천연 호소들의 대부분은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주젠지호는 난타이 산의 분화 활동으로 생긴 용암이 다이야강의 흐름을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이며, 하루나호, 아카이오누마 늪은 각각 하루나산과 아카기산의 화산호이다. 도치기현 닛코시의 사이노코호는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다. 한편, 상류 지역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벌어진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에 따라 여러 곳의 댐이 세워지면서 여러개의 인공호들이 생겼다. 이 인공호들 중 가장 큰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호수는 도네강 본류에 건설된 야기사와 댐의 인공호인 오쿠토네 댐으로, 오쿠토네 댐의 총 저수용량은 2억 430만m3에 이른다. 이는 간토 지방의 호수들 중 가장 많은 양이다.[56] 또한 저수지 면적은 570Ha로, 소토나사카우라호와 맞먹는다.[57] 이 밖에 중류와 하류에는 와타라세 유수지를 비롯하여, 다나카·스고·이나토이의 홍수 조절지, 고카이강의 하코지마 유수지 등이 있다. 한편, 가스미가우라호에서는 1961년에 제정된 수자원 개발 촉진법에 따른 호소수위조절시설로서, 히타치가와 수문을 이용해 다목적 댐으로 바꾸는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58][59], 인바 늪은 1947년의 인바 늪 개발 사업으로 1969년 북부 조정지와 서부 조정지로 나뉘었다.[60][61] 두 사업은 모두 수도권의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천연 호소를 이용하는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의 일부였다. 이 밖에, 주젠지호는 도치기현 당국이 유출구에 1959년 주젠지 댐을 건설하여 주젠지호의 치수와 겐류 폭포의 수량 조절, 그리고 수력 발전 능력의 개선을 꾀하는 등[62] 천연 호소의 개발이 잦았던 것도 도네강 수계의 천연 호소들의 특징이다. 도네강 수계의 주요 호소[63][64][65] 이름 소재지 유출 하천 생성 원인 기수/담수 표고 (m) 면적 (km²) 최대 수심 (m) 비고 가스미가우라호 (전체)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담수 0 220.0 23.3 니시우라호 · 기타우라호 · 소토나사카우라호 포함 니시우라호 이바라키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담수 0 167.6 7.0 호수 수위 조절 시절 기타우라호 이바라키현 와니가와강 해적호 담수 0 35.2 7.8 히타치토네강 유역 주젠지호 도치기현 다이야강 폐색호 담수 1,269 11.8 163.0 기누강 유역유출구에 주젠지 댐이 세워져 있음. 인바 늪 지바현 나가토강인바 방수로 폐색호 담수 1.0 8.9 1.8 북부 · 서부 조정지로 나뉘어 있음. 소토나사카우라호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 0 5.9 23.3 데가호 지바현 데가강 폐색호 담수 3.0 4.1 3.8 우시쿠늪 이바라키현 야다강 폐색호 담수 - 3.49 3.0 고카이강 유역 스고 늪 이바라키현 이누마강 폐색호 담수 - 2.3 2.0 요다 늪 지바현 야스지강 해적호 담수 - 1.25 - 히타치토네강 유역 하루나 호 군마현 누마오 강 화산호 담수 - 1.15 12.6 아가쓰마강 유역 아카기오누마 늪 군마현 누마오강 화산호 담수 - 0.88 12.6 다타라 늪 군마현 쓰루다강 담수 20.0 0.77 - 와타라세강 유역 사이노코호 도치기현 야나기사와강 유류호[주 9] 담수 1,310 0.7 -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감. 유노코호 도치기현 유가와강 화산호 담수 - 0.31 12.0 기누강 유역 기누 늪 도치기현 기누강 화산호 담수 - 0.134 3.0 일본 환경성이 정한 일본의 주요 습지 500곳 중 하나. 그 밖의 천연 호소로는 스가누마 늪, 오지리 늪. 조누마 늪, 쇼와 늪, 구로하마 늪, 하라이치 늪, 후루토네 늪, 가미노이케 늪 등이 있다. 역사[편집] 도네강은 자주 범람하여[주 10]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으며, 홍수 때마다 유로가 복잡하게 뒤엉키는 하천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간토 지방의 중요한 강으로 유역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에 많은 혜택을 주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일본의 위정자들로부터 도네강과 그 지류를 치수와 이수의 차원에서 다스리고자 하였다. 중세 이전[편집] 중세의 도네강 유로. 아라카와강과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흘렀다. 와타라세강, 기누강은 이 때까지는 도네강과는 별도의 수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네강 유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로 추정된다. 군마현의 이와주쿠 유적 등에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하안 단구나 대지 (臺地) 말단부에 살면서, 사냥을 통해 식량을 구하며 생활했던 흔적을 찾을 수 있다.[66] 조몬 시대에는 조몬 해진으로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서 태평양 하구까지의 도네강 일대가 모두 바다가 되었으며, 그 주변의 바닷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이는 패총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조몬 시대 전기에는 북쪽으로 아카기산 남쪽과 서쪽 기슭이나,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모토아라카와강 유역에 주로 패총이 분포했었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 바닷물이 점차 빠지면서 하류로 사람의 생활 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지바현 지바시, 이치카와시, 마쓰도시 등지에서 조몬 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패총들이 발견되고 있다. 야요이 시대에 들어서는 농경 문화가 간토 지방으로 전래되어, 도네강 유역에서도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3세기 후반의 고훈 시대 즈음에는 지금의 도치기현과 군마현에 해당하는 게노 지방(毛野地方)을 중심으로 장구형 무덤이 발달하였는데, 사이타마현의 사이타마 고분군이 대표적이다.[67] 에도 시대 이전의 도네강은 태평양으로 나가는 지점이 지금처럼 조시시가 아니었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사이타마현 교다시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유로를 틀었으며, 지금의 오오토시후루토네강의 유로를 따라 아라카와강, 이루마강과 합류하여 에도만(지금의 도쿄만)으로 흘렀다. 이 가운데 교다시 부근에서는 "아이노카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 당시 오이가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와타라세강은 독립적인 하천으로, 지금의 에도강의 유로를 따라 도네강과 나란히 흘러 에도만으로 유출했으며, 기누강도 마찬가지로 독립된 하천으로 고카이강과 합류하여 가토리해로 유출하고 있었다. 이 와중에 도네강의 본류가 정해진 것은 1457년으로, 오타 도칸이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에서 구사카시를 거쳐 에도만으로 흐르는 하천을 도네강의 본류로 정했다.[68] 또 상류는 지금의 위치보다 더 동쪽에 있었던 히로세강의 유로를 따라, 지금의 이세사키시 부근에서 가라스가와강과 합류했었으나, 1543년에 일어난 홍수로 지금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었다.[69] 이처럼 번잡한 유로를 이루고 있었던 도네강은 홍수로 유로가 자주 바뀌었으며, 유역은 수없이 범람 피해를 입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홍수로는 나라 시대인 758년에 기누강에서 있었던 홍수로, 2천여 경(頃)[주 11]의 토지가 황폐화되었다고 한다.[70] 한편, 도네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치수 사업이 실시된 때는 768년으로, 기누강의 유로를 바꾸는 공사였다.[71] 한편 최초의 이수 사업은 645년 다이카 개신 후 시행된 반전수수법으로 조리제(條里制)가 도네강 유역에서 실시된 것으로, 지금의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오타시, 이바라키현 남부,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그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72] 가마쿠라 시대 (12세기 ~ 14세기)의 가마쿠라 막부는 도네강 개발에 적극적이었는데, 첫 쇼군이었던 미나모토 요리토모는 1194년 도네강 최초의 제방을 무사시국[주 12] 지역에 세웠다. 이어 1199년 4월에는 지토(地頭)들에게 도네강에서 농업 용수를 개발하여 지역을 개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3] 그 뒤로도 막부는 도네강을 계속 개발하였다. 1207년 3월에는 막부가 호조 도키마사에게 도네강 일대를 포함한 무사시국의 개발을 명령하기도 했다.[73] 막부는 둑 건설을 중심으로 한 치수 사업도 꾸준히 진행했는데, 싯켄 호조 마사토키가 1232년에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자리에 가키누마 둑을, 싯켄 호조 도키요리가 1253년에 지금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부근에 둑을 건설했다.[74] 《슈가이쇼》(拾芥抄; 습개초)에서는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을 통해, 가마쿠라 시대의 경지는 헤이안 시대보다 약 16,000 정보[주 13]가 늘은 66,710 정보[주 14]로 늘어나게 되었다고 밝혔다.[73] 무로마치 시대(14세기 ~ 16세기)의 도네강 유역은 가마쿠라 공방의 지배에 놓였으나, 오닌의 난이 일어난 뒤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주 전쟁이 벌어졌기 때문에, 막부가 주도한 치수·이수 사업은 전무했으며, 센고쿠 시대의 도네강 유역은 이즈국을 근거로 세력을 넓히고 있던 고 호조씨의 지배에 놓였다. 4대 당주인 호조 우지마사는 1576년 곤겐도강에 길이 약 900m의 곤겐도둑을 건설했다.[7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뒤를 이어 센고쿠 다이묘들을 공격하고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 호조씨를 치기 위해 오다와라 정벌을 일으켰다. 이 무렵, 이시다 미쓰나리가 무사시국의 오시성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1590년 6월에 장마로 물이 들어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둑으로 막은 뒤 오시성을 향해 물길을 보내 성을 무너뜨려 항복을 받아낸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하지만 지형 문제로 성을 침수시키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제방이 무너지면서 도요토미군에서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오시성은 7월 16일, 고 호조씨의 본거지인 오다와라성이 함락당한 후에야 항복했다. 이 때 미쓰나리가 축조한 제방을 "이시다 둑"이라 부르는데, 자연 제방들을 묶어서 전장 약 28km의 둑을 1주일 간 만들어낸 것이다.[75] 하지만 이 둑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것이었기 때문에, 도네강의 치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에도 시대 전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도네강 동천 사업입니다. 《메이쇼에도햣케이》 (名所江戸百景) 에 소개된 가사이 용수로. 에도 사람들은 "히키후네강"이라 불렀다. 고 호조씨가 망한 후, 고 호조씨가 장악하고 있던 간토 지방의 무사시국, 사가미국, 이즈국, 시모우사국, 가즈사국 일대와, 고즈케국, 시모쓰케국의 남부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넘어갔다. 이에야스는 무사시국의 남쪽에 있던 에도(지금의 도쿄)에 본거지를 정했다. 이에야스는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수에 적극적이었는데, 처음에 벌인 사업은 1594년, 오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 하여금 아이노카와강의 물을 막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교다시 부근에서 나뉘는 도네강의 두 갈래 중, 원래 본류로 불리던 아이노카와강을 막아, 유로를 동쪽으로 흐르는 다른 한 쪽으로 일원화하여 와타라세강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듬해에는 도쿠가와 사천왕의 한 사람으로 고즈케국의 다테바야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도네강 왼쪽 언덕에 총연장 33km, 높이 4.5m ~ 6m, 둑마루 너비가 5.5 ~ 9.1m에 이르는 둑을 건설했다. 당시 일본 덴노가 사용하던 연호를 따 분로쿠 둑으로 불리던 이 댐은 도네강 유역에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 둑이었다.[76] 이 밖에, 같은 시기에 나카조 둑도 지어졌다. 이러한 도네강 수계의 하천 사업은 세키가하라 전투를 통해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창건한 이후에는 이에야스의 가신으로 미카와 후다이 다이묘가 된 이나 다다쓰구와, 그의 자손들인 이나씨가 맡게 되었다. 다다쓰구가 맡은 사업은 1604년 가라스가와강을 취수원으로 하여 도네강 연안에 총연장 20km에 이르는 비젠쿄 용수[주 15] 나 고즈케국 소자번을 다스리던 아키모토 나가토모가 개발한 덴구이와 용수 하류에 뚫은 다이칸 수로 등이 있다. 다다쓰구의 후손들은 대대로 다이칸카시라, 나중에는 간토군다이를 지내면서, 12대 이나 다다타카에 이르기까지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을 책임졌는데, 그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 바로 "도네강 동천 사업" (利根川東遷事業)이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은 에도만이 하구였던 도네강의 유로를 동쪽으로 옮겨, 지금의 조시시에 새로운 하구를 만드는 에도 시대 최대 규모의 치수 사업이었으며, 지금의 도네강을 만든 계기가 되었다. 사업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목적에 관한 사료는 남아있지 않으나, 뒷날 역사 연구자들이 다양한 설이나 견해를 내놓았다. 사업을 시작한 시기는 구리하라 료스케, 사토 도시로, 혼마 기요토시 등이 주장한 1594년 아이노카와강 물막이 사업 당시라는 설이 유력하다. 반면, 사업을 끝낸 시기로는 혼마 기요토시의 1698년 완료설, 네기시 몬조가 주장한 1871년설, 가와다 다케시가 주장한 1890년 도네 운하 개통 이후설 등으로 의견이 나뉘어 있다. 비록 사업 시기에 대해서는 이처럼 의견이 다양하게 나뉘었지만, 도네강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사업의 목적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어느 정도 의견을 맞추게 되었다.[77] 막부의 근거지인 에도와 도네강 유역의 수해를 막기 위한 치수의 목적.[주 16] 도네강 유역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 촉진. 도로와 운하 정비를 통한 물자의 이동로 확보. 군사적 목적. 센다이번 다테씨를 비롯한 도호쿠의 번주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을 가정하였을 때, 이들로부터 에도성을 지키기 위해 도네강을 북쪽의 대규모 자연 해자로 만들고자 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의 주된 사업으로 우선 1621년부터 165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아카호리강을 트는 사업이 있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도호쿠 신칸센 도네가와 교량 근처의 이바라키현 고가시에서 고카정까지의 구간을 개착하여, 1621년에 이나 다다하루가 실시했던 도네강과 와타라세강의 연결 사업인 아라카와도리 개착 사업과 연계하여[주 17] 도네강의 물을 동쪽으로 트는 사업이었다.[78] 이어 1629년부터는 그 때까지 도네강의 지류에 속했던 아라카와강이 새로 물길을 트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루마강 유역으로 들어가면서, 도네강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이를 "아라카와강의 서천" (西遷)이라고 일컬었으며, 옛 유로는 모토아라카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9] 그리고 1635년부터 1644년까지 에도강의 개착 사업을 시행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세키주쿠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따로 도쿄만으로 흐르는 지금의 에도강의 모습이 갖추어졌다.[80] 또, 하류에서 도네강과 합류하는 기누강과 고카이강의 개수도 시행하였는데, 1629년에 그 때까지 기누강에 합류하고 있던 고카이강을 별도의 하천으로 분리하였으며, 1630년에는 고카이강을 도네강과 합류시키는 사업을 시행했다. 그리고 1662년부터 1666년까지 도네강과 가스미가우라호를 잇는 신토네강을 개착하여, 에도 시대 전반기의 치수 사업에 하나의 단락을 지었다.[81] 도네강을 중심으로 한 에도 막부의 치수 행정은 원래 이나씨가 책임을 지고 있었다. 동천 사업이 절정기에 이른 1642년, 세번째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이나 다다하루에게 제방 개수 사업의 모든 책임을 맡긴 뒤, 이나씨의 하천 행정권이 크게 강해졌다. 하지만 다섯번째 쇼군인 도쿠가와 쓰나요시 대에 이르러, 간토 군다이에 책봉된 이나씨가 간조부교의 관리 밑에 놓이게 되면서, 상대적인 권한은 약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나씨의 하천 사업에 대한 자율권은 유지되었는데, 이나씨의 4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카쓰는 가사이 용수로를 1660년에 직권으로 개착했다. 또 고카이강 유역에서도 이나 다다요시가 1630년에 둑을, 5대 당주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훗날 도요타 둑의 원형이 되는 둑을 건설하였는데[주 18], 이 둑들은 1722년에 완성된 후쿠오카 둑과 함께 "간토 3대 제방"으로 불렸다.[82] 이처럼 이나씨는 막부의 지원 아래 도네강 유역에서 다양한 치수 사업을 시행했는데, 이나씨가 치수 사업 때 사용한 공법들을 "이나류" (流) 내지는 "간토류" 라 일컬었다. 에도 시대 후기[편집] 미누마다이 용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누마 운하의 히가시미도리이치노세키 갑문. 파나마 운하와 같은 방식으로 지어졌으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갑문이다. 1716년 기이번주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여덟번째 쇼군의 자리에 올랐다. 요시무네는 교호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국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여 세금 수입을 늘리고자 하였다. 도네강의 하천 개발은 간조긴미야쿠(勘定吟味役) 자리에 있던 이자와 야소베[주 19]가 맡게 되었다. 이 무렵 이자와가 도네강에서 벌인 사업의 중심이었던 것이 바로 "미누마다이 용수" (見沼代用水)의 개착이었다. 당시 도네강 중류 유역의 무사시국 중북부 지방에 살던 농민들은 1604년에 뚫렸던 비젠쿄 용수를 쓰고 있었고, 비젠쿄 용수가 뚫리기 이전에는 "미누마"라는 이름의 호소를 관개용수원으로 쓰고 있었다. 미누마는 이나 다다하루가 17세기 초반[주 20]에 지금의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에 핫초 둑이라는 물막이댐을 건설한 것이 나중에 댐으로 바뀌면서, 저수지로 변한 것이다. 이 "미누마 저수지"는 1660년에 뚫린 가사이 용수로와 함께 지역 농민들의 중요한 수원으로 쓰였다. 그러나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게 되면서 관개용수의 수요가 늘어나자, 미누마 저수지의 물이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83] 요시무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자와를 시켜 1725년 9월에 미누마 저수지를 대신할 새로운 용수, 즉 "미누마다이 용수"[주 21]를 개착하게 하였으며, 미누마 지역의 간척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지금의 교다시에 취수구를 설치하여, 호시카와강을 지나면서 히가시미도리와 니시미도리 부분으로 나뉘어 남하하도록 했다.[84] 용수는 1728년 완성되었는데, 이 용수로 마을 303곳의 1만 2,571정, 고쿠다카 기준으로 약 14만 9,136석의 농지가 관개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731년에는 미누마다이 용수를 이용하여 미누마 운하(見沼通船堀 미누마 쓰센보리[*])를 뚫어 수운 교통 수단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이 운하의 갑문은 파나마 운하의 갑문과 같은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데, 이런 방식으로 설계된 갑문 중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85] 또 고즈케국에서는 지금의 오라군 지요다정과 메이와정 사이를 흐르는 도네 가용수가 세워졌다. 1839년 이 지역의 마을 31곳을 다스리던 묘슈들이 막부에게 도네강에서 물을 끌어다 쓸 수 있게 용수를 뚫어달라고 청원한 것을 시작으로, 용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요다와 메이와 지역을 위해 도네강에서 야다강에 이르는 구간의 용수로를 닦았다. 이후, 낙차가 모자라 물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1846년과 1855년에 용수로를 다시 손보았다.[86] 막부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은 차차 도네강 하류 지역으로 확대되는데, 호소를 간척해 경작지로 바꾸는 정책도 시행되었다. 데가호 간척과 인바 늪 간척이 대표적인 사례로, 데가호에는 1636년에 간척용 배수로인 벤텐 수로가 뚫렸으며, 1661년에 벤텐 수로를 바탕으로 데가호를 간척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671년에 가이노야 사쿠베가 처음으로 데가호의 232Ha를 경작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1676년, 1729년, 1739년의 간척 계획은 홍수로 모두 실패했다. 몇 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막부는 1785년 대규모 간척 사업을 거의 완성시켜갔다. 하지만 이 또한 도네강 유역의 대홍수로 간척지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만족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게 됐다.[87] 한편 인바 늪 간척은 1724년 소메야 겐에몬이 막부로부터 6,000냥의 자금을 빌려 시행했으나, 중간에 자금이 모자라 실패했다. 1783년에 로주 다누마 오키쓰구가, 1840년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가 덴포의 개혁으로 인바 늪 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모두 계획을 입안했던 다누마와 미즈노가 실권을 잃으면서 중지되었다.[88] 도네강 하류의 간척 사업들 중 유일하게 성공한 주로쿠섬 개발은 지금의 가토리시 인근에 있던 사주(砂洲)인 주로쿠섬 지대에 새로운 경작지를 개간하는 것이었는데, 히타치국의 에도사키성을 다스리고 있던 히타치토키씨를 섬기던 신하들이 1590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허락을 받아 우에노시마 마을을 개착한 것이 시초였다. 그 후 1640년 이소야마 마을을 간척하기까지, 14개의 마을을 간척했다.[89] 한편 에도 시대 후기의 치수 사업은 1728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이자와 야소베를 시켜 에도강을 뚫는 것과 쇼나이후루카와강의 분리 사업을 명령한 것이 시초로, 1742년 8월 도네강에 대홍수가 일어난 뒤 같은 해 10월부터는 수해 복구 작업이 시행되었다. 조슈번, 구마모토번, 쓰번 등 간사이 지방의 10개 번에서도 이에 맞추어 강들을 준설하는 사업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수해 작업은 도자마 다이묘들의 재정력을 약화시켜 이들을 감시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다.[90] 그러나 1783년 7월에 발생한 아사마산 대분화로 화산쇄설류가 아가쓰마강에 스며들어 도네강, 에도강까지 번지면서 강바닥이 평상시보다 더 높아지고, 제방 등의 하천 시설들이 무너지면서 홍수의 위험성이 커졌다. 그러자 막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방을 보수하고, 강바닥을 다시 파냈으며, 1843년에는 1654년 이후 약 200년 만에 아카호리강을 준설했다. 같은 시기에 에도강의 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다시"(棒出し)라 불리는 일종의 수제(水制)를 설치하기도 했다.[91][주 22] 또, 18세기 초반 막부의 하천 행정은 간조긴미야쿠에 중용된 이자와 야소베가 맡았다가, 나중에는 후신야쿠 (普請役), 1725년에 설치되어 1732년에 폐지된 시센부교(四川奉行)[주 23] 등의 관직을 거쳐 간조부교 5명이 공동으로 책임지게 되었다. 이 때에도 모든 토목 작업은 반드시 간토군다이였던 이나씨의 재가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이나씨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했다. 그러나 12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타카가 1792년 행실이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명목으로 가이에키(改易)를 당해 다른 봉지로 쫓겨나면서, 이에야스 시대부터 도네강의 치수 사업에 깊숙히 개입하고 있었던 이나씨는 물러나고 간조부교가 관리하는 "시센요스이호 후신야쿠"(四川用水方普請役)라는 자리가 치수 사업을 대신 책임지게 되었다.[92] 에도 시대의 도네강 동천 사업, 아사마산 대분화 이후의 준설 사업 등의 대규모 치수 사업으로 도네강의 방대한 물들은 와타라세강 등과 함께 가토리해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이로써 에도를 비롯한 무사시국 지방의 수해는 차차 줄어들었으며, 반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면서 고쿠다카의 수는 차차 늘어났다. 또 도네강은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에도 지방의 수운 교통로 역할도 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치수 사업에는 역효과도 있었는데, 에도강의 수면보다 표고가 낮은 가스마기우라호 등 하류 저지대는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오히려 수해가 늘어나, 메이지 시대 이후 현대 일본 정부의 도네강 치수 사업에서 중요한 당면 과제로 남게 되었다.[93] 근대의 도네강[편집] 에도가와 수갑문 (1)과 교토쿠 가동 댐(2)의 항공 사진. (출처는 일본 국토교통성.) 1868년에 메이지 정부가 세워지면서, 일본의 행정 기구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하천 행정은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1874년부터 내무성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책임지게 되었는데, 도네강은 1875년 6월 16일에 설치된 내무성 토목료 (土木寮) 산하 도네강 출장소가 맡게 되었다. 이 출장소가 지금의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의 시초였다.[94] 또 1896년 일본 정부는 하천법[주 24]을 공포하여, 도네강을 하천법의 적용을 받는 하천으로 지정했다. 이후의 근대 도네강 개발은 내무성이 주도하게 되었다. 일본 정부는 네덜란드식 치수 공법을 일본 각지의 하천에 도입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Cornelis Johannes van Doorn)을 초빙하여 1872년에 도네 강의 측량 조사를 맡겼는데[95], 이 계획은 1886년 네덜란드인 안토니 토마스 루베르터스 로웬호스트 멀더 (Anthonie Thomas Lubertus Rouwenhorst Mulder)가 세운 "도네강 개수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96] 이 사업의 주요 목표는 지금의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에서 도네강 하구에 이르는 구간을 대상으로 곳곳에 제방을 세워 수해를 예방하고, 도네 운하를 뚫어 수운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 때 처음으로 도네강의 계획 고수 유량을 쟀는데, 초당 3,750m3으로 추산되었다.[97] 사업은 3단계로 나뉘어 시행되었는데 이 사업이 진행되던 사이 1890년 도네 운하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 8월, 두 개의 태풍이 간토 지방을 관통하면서 도네강 유역에 대규모 홍수가 일어났다. 일명 "1910년 8월 대홍수"로 불린 이 수해로 769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북쪽으로는 마에바시시와 미도리시, 서쪽으로는 후지오카시, 남쪽으로는 가와고에시에 이르는, 도네강의 광범위한 배후 지역이 물에 가라앉아 한동안 간토 지방 중앙부는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98] 수해 직후, 일본 정부는 도네강 개수 사업을 대규모로 개정하여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5,570m3까지 상향했다. 사업 계획을 고치는 과정에서 와타라세 유수지를 만드는 사업 계획도 생겼는데, 이 유수지는 그 무렵 아시오 광산에서 대량의 광독이 유출된 일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것으로 정부는 곧 유수지 건설을 정식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99] 이 밖에 제방과 호안의 건설, 1921년에는 요코토네 갑문 건설, 1922년에는 인바 수문 건설, 1923년에는 오노강 수문 건설을 차례로 진행했다. 또한 정부는 도네강 하류에 새로운 수로를 뚫는 사업을 1889년부터 1922년까지 진행했으며, 1926년에는 도네강과 곤겐도강을 물막이로 갈라놓는 사업을 시행했다.[100] 한편 에도강에서는 1927년 세키주쿠 수문과 세키주코 고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에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고자 하였으며, 하류부에는 1920년에 에도가와 방수로를 건설해 유량 조절 능력을 높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기 도네강 개수 공사는 에도강 방수로의 보수가 끝난 1930년에 마침표를 찍었다.[101] 한편, 개수 사업을 한창 진행하던 1923년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도네강 중류의 116곳의 둑들이 무너지거나 헐렸는데, 이 둑들을 복구하는 작업도 진행해야 했다.[102] 그러나 개수 사업이 끝난 뒤에도 도네강은 홍수에 시달렸다. 1935년 9월과 1938년 6월 ~ 7월, 1941년 7월에 일어난 홍수들은 모두 개수 사업을 계획할 당시에 정해놓았던 계획 고수 용량을 크게 초과한 유량을 기록했다. 특히 1938년 여름에 일어난 홍수는 도네강 하류부와 그 배후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는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에도 시대 이전에 가토리해에 속해 있었던 지역이었다.[103] 이에 일본 정부는 기존의 개수 사업을 대신할 새로운 도네강 치수 사업의 책정을 검토했다. 내무성은 아라카와 방수로 건설의 총 지휘를 맡았던 내무성 내무기감 아오야마 아키라를 위원장으로 하는 "도네강 치수 전문위원회"를 설립하고,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1만m3로 상향했다. 이는 1910년에 상향된 고수 용량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수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도네강 개수 사업 증보 계획"이 1938년에 열린 제73회 제국 의회에서 가결되어, 193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104] 이 사업의 주된 계획은 와타라세 유수지를 홍수 조절이 가능한 늪지대로 바꾸는 것과, 도네가와 방수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 무렵 와타라세 유수지는 홍수가 일어났을 때 물들을 스스로 저장할 수 있었지만, 정부는 유수지 주변으로 둑을 에워싸 유수지의 홍수 시 저수 기능을 강화해 조정지로 개량하고자 하였다. 한편 다목적 방수로인 도네가와 방수로를 만드는 사업은 지금의 지바현 아비코시 후사 (지금의 동일본 여객철도 나리타 선 후사 역 주변)를 기점으로 인바 늪 서쪽 끝을 거쳐 지금의 지바시 하나미가와구 게미가와와 가이힌마쿠하리 사이를 흘러 도쿄만으로 유출하는 총연장 27km의 방수로를 뚫어 도네강 하류의 수위를 2m 낮추고, 데가호와 인바 늪의 치수와 간척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또, 정부는 방수로를 도네 운하를 대신할 대규모 운하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방수로를 뚫는 데 쓰고 남은 부지들을 매립지로 써 방수로 주변으로 공업 지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 다나카·스고 조정지를 새로운 유수지로 개발하는 사업, 도네 운하를 방수로로 바꾸는 사업, 도네강 중류부의 둑들을 보수하는 공사도 새로운 사업 계획에 들어있었다.[105] 우선 1937년, 1935년 9월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둑을 보수하는 일부터 시작했으며, 그 후 와타라세 유수지의 새로운 제방을 공사하기 시작했다. 도네 운하는 내무성이 도네 운하 주식회사로부터 운하를 사들여, 도네강과 운하가 이어지는 것을 일단 막은 뒤 방수로화 공사를 시작했다. 고카이강에서는 기존에 있던 둑을 가동 댐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네가와 방수로는 태평양 전쟁으로 예산, 자재, 인력이 모두 충분히 모이지 않아 시행하지 못했고, 사업은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항복한 1945년까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106]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편집] 태풍 캐슬린의 피해를 입은 도네 강 유역의 범람도.[107] 1947년 9월, 태풍 캐슬린(Kathleen)이 도네강 유역을 덮쳤다. 역사상 유례없는 폭우는 전쟁으로 이미 황폐화되어 있던 도네강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조시, 구 오토네정 인근의 둑이 무너져 탁류가 도쿄도 가쓰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대까지 흘러들게 되었다. 또 가라스가와강 유역, 와타라세강 유역은 거의 전역에서 강물이 범람하여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 당시 일본 전국에서 죽거나 사라진 사람의 수는 1,910명인데, 이 중 도네강 유역에서만 1,100명이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108] 하지만 일본은 전쟁으로 너무나 많은 국력을 소모했기 때문에 치수 사업을 재개할 여력이 없었으며, 전쟁 중에 너무 많은 나무들을 베어가는 바람에 물을 막아줄 숲들이 사라지면서 각지에서 홍수 피해가 계속 일어나 캐슬린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점차 늘어나기만 했다. 이에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경제안정본부는 해체된 내각성이 맡고 있던 하천행정을 이어받은 건설성에 새로운 하천 개수 사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 건설성에서 작성한 계획을 《하천 개정 개수 계획》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도네강 수계를 포함하여 일본의 주요 10수계[주 25]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치수 대책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1949년부터 도네강에서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책정되었으며, 여기에는 댐 건설 계획도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도네강에 댐 계획이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시행되기 전인 1926년이었다. 당시 정부는 기누강의 지류인 오지카강에 이카리 댐을 건설하려 했으나, 지형 문제와 이어 터진 전쟁 때문에 도중에 공사가 멈추면서 실패했다. 하지만 1947년 태풍 캐슬린이 유역을 관통하자 정부는 도네강의 계획고수용량을 초당 17,000m3으로 상향하게 되었고, 그 중 초당 14,000m3을 제방, 와타라세·다나카·스고·이나토이에 있는 네 곳의 유수지와 도네강 방수로를 통해 빼내고, 남는 초당 3,000m3의 유량은 상류의 댐들로 조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도네강 상류 19곳의 댐 건설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후지와라, 누마타, 아이마타, 소노하라, 얀바, 사카하라[주 26] 등 6곳에 댐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또 기누강에는 예전에 계획했던 이카리 댐에 가와마타 댐이, 와타라세 강에는 쿠사키 댐의 전신인 고도 댐이 세워지게 되었다. 마침내 1956년 이카리 댐이 완성된 것을 시작으로, 1957년 후지와라 댐이, 1959년 아이마타 댐이 완성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한편 하류에는 새로이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의 새 유로, 도네강 하구 도수제, 에도강 교토쿠 댐 등이 계획되거나 지어졌다.[109] 이 무렵 치수만큼이나 가장 중요했던 문제는 바로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식량과 전력이 너무나 모자랐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26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였던 모노노베 나가호가 제안한 "하수 통제" (河水統制)라는 개념을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내무성이 도입하여 "하수 통제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니시키가와강 등의 치수 사업에 적용해왔으며, 전쟁이 끝난 뒤 테네시강 유역 개발 공사를 벤치마킹한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에는 종전의 치수 사업 뿐만 아니라, 수력 발전과 관개 시설의 설치도 들어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이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추진되던 1950년, 제3차 요시다 내각이 《국토 종합 개발법》을 제정하여 일본을 22개의 특정한 지역으로 나눈 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도네강 수계도 대상 지역에 들어가게 되었다. 1951년 12월, 각료 회의가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결정한 것이었다.[110] 그 후 도네강의 하천 사업은 도네강 수계 전역에 걸쳐 치수·이수 (利水) 등 양면의 고른 발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도네강 수계의 하천 종합 개발은 1936년 도쿄시[주 27]가 주도해 시행한 에도강 하수 통제 사업이 시초이다. 이는 에도강 수갑문(水閘門)을 이용해 새로운 용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111] 이어 군마현이 수력 발전을 목적으로 도네강 최상류부에 댐을 건설하는 《군마현 도네강 하수 통제 계획》을 1937년부터 시행하였으며, 1940년에는 도쿄시가 《도쿄시 제3차 수도 확장 계획》의 수도 발원지로서 도네강을 이용하기 위해 군마현의 계획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112] 전쟁 이후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이 책정되면서 치수 사업이 재개되었지만, 내각이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입안하면서 대규모 하천 종합 개발로 그 규모가 커지게 되었다. 이 계획은 개정 개수 사업의 치수·모래막이 사업과 더불어 기존 댐들의 다목적 댐화, 다다미강의 오제가하라 댐에서 가타시나강으로 물을 유도하는 사업을 비롯한 수력 발전 계획, 인바 늪·데가호 간척, 료소 용수 개발[주 28], 국도 4호선, 국도 6호선 등의 도로망 정비를 포함한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이 계획에서 일본의 수도권 지역의 생활용수를 책임지는 야기사와 댐이 처음으로 등장했다.[113]。 도쿠다 규이치가 제안한 도네강 종합 개발안 중에는 뒷날 실현된 사업이 많다. 이 무렵, 도네강의 치수와 이수 사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냈다. 그 중에 일본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도쿠다 규이치가 낸 의견도 있었다. 도쿠다는 1949년,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초석》(『利根川水系の綜合改革 - 社会主義建設の礎石』)이라는 책을 냈는데, 거기서 도쿠다는 태풍으로 도네강 지역이 참혹한 피해를 입은 것은 에도 시대의 봉건 체제와 제국주의 천황제 때문이라고 규탄했다.[114] 그러면서 도쿠다는 도네강 방수로와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 수로를 통해 하류 지역의 치수 사업을 해결하고, 에도강, 후루토네강, 모토아라카와강으로도 수로를 연결하여 운하로 이용하자고 주장했다. 또 도쿠다는 사이타마현 혼조시에서 도쿄도 다치카와시까지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다마강을 잇는 대운하를 뚫어 수도권 주민들을 위한 수운과 관개수로, 상수도, 공업용 수도 등으로 이용하고, 도네강과 보소 반도의 작은 하천들을 연결하는 운하를 지바현 모바라시까지 건설해 간척 사업에 이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도쿠다는 산간 지역에는 여러 곳에 댐을 적극적으로 건설하는 한편,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대량의 목재를 들여와 숲지대를 조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115] 도쿠다는 이러한 모든 사업을 시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독점 기업을 운영하는 자본가나 불법적인 사업으로 돈을 모은 사람들에게서 8,000억 엔을 징수하여 마련하면 된다고 주장했다.[116] 급진적인 내용이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도움을 청하자는 내용의 민감성 때문에 건설성은 도쿠다의 안을 채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도쿠다가 주장한 운하론의 일부는 무사시 수로나 보소 도수로 등으로 실현되었다.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편집] 야기사와 댐. 도네강 수계의 댐들 중 가장 많은 저수용량을 자랑한다.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시행하던 무렵의 일본은 한국 전쟁 특수 경기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경제 성장은 급격한 공업용수 수요의 증가를 야기했으며, 일본의 인구는 도쿄를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1957년에 도쿄도민을 위한 용수의 공급지로 다마강에 오고우치 댐을 만들었지만, 급격한 수요 증가를 막기엔 턱없이 모자라 도쿄에서 올림픽이 열리던 1964년에는 도쿄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갈수 사태가 일어났다. 또 농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작할 수 있는 대지는 늘어났지만, 그만큼을 충족할 수 있는 농업용수는 없었다. 결국 1958년년, 도네강 하류를 중심으로 염해가 발생하여 많은 농지가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1950년대 ~ 60년대 당시 일본의 수도권에서는 물의 확보가 긴급한 과제였다. 일본 국회는 1961년 수자원 발전 촉진법을 제정하였으며, 1962년에 일본 정부는 나중에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로 전환하는 "수자원 개발 공단"을 발족시켰다. 또, 정부는 도네강과 오사카권의 요도가와강, 나고야권의 기소강, 후쿠오카권의 지쿠고강 등을 대상으로 수자원 광역 종합 계획을 시행했다. 우선 1967년과 1968년에 각각 야기사와 댐과 시모쿠보 댐을 건설하였고, 1969년에는 중류부에 도네 댐(利根大堰)을 건설하였다. 또한 수자원 개발 공단은 도네 도수로 (무사시 수로·아사쿠 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연결해 도쿄도 수도국의 아사카 정수장으로 물을 보내어 도쿄도민의 물 수요를 채우고자 하였다. 한편 1971년에는 도네강 하구언을 건설해 염해의 방지와 수도권의 물 공급량 증가를 도모하는 한편, 상류부에는 1969년에 군마 용수를 건설해 아카기산, 하루나산 등지를 새로이 개간케하고자 했다. 중류부에는 미누마다이 용수와 사이타마 용수로를 정비하여 간토 중앙부의 관개 시설을 보완하였고, 보소 반도 중남부에서는 인바 늪을 간척 (1968년)하고 보소 도수로를 1997년에 신설하였다.[117][118] 또, 가스미가우라호에서도 1963년에 지었었던 히타치 강 수문을 이용해 호수를 댐으로 만드는 《가스미가우라 종합 개발 사업》 (1996년)을 시행했다.[119] 한편 1976년에는 구사키 댐, 1991년에는 나라마타 댐을 완성하여 수도권의 치수 및 이수를 강화했다. 이와 같은 계획을 차차 진행하던 중, 공단은 1974년에 도네강의 개발 계획과 아라카와강의 개발 계획을 아우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계 수자원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도네강은 1964년에 개정한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이 되었고, 이후 환경성이 도네강의 치수 사업을 계속 주도하게 되었다. 1965년에는 《도네강 수계 공사 실시 기본 계획》이 책정되었는데, 이 계획은 이후 도네강 치수를 위해 지켜야 할 새로운 방침이 되었다. 정부는 이 새로운 계획의 책정에 따라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을 계속 상향하여, 지금의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은 초당 22,000m3에 이른다. 이 사이 와타라세 유수지의 조정지화를 1997년에 완성했고, 유수지 안에 저수지를 만들어 유수지를 다목적 댐으로 이용하는 《와타라세 저수지 계획》도 1989년에 완성되었다. 또, 다나카 조절지 (1965년), 스고 조절지 (1960년)를 비롯한 여러 유수지도 제 모습을 갖추었다.[120] 댐으로는 소노하라 댐과 가와마타 댐 (모두 1965년), 가와지 댐 (기누강, 1983년)이 새로 생겼고, 내수 범람의 방지와 새로운 용수의 확보, 데가호의 수질 개선 등을 목적으로, 도네강과 에도강을 연결하는 다목적 인공하천인 기타치바 방수로도 2000년에 완성했다. 2007년에는 나카가와강, 오오토시후루토네강 등의 물을 에도강으로 끌어내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7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 하천인 수도권 외곽 방수로를 완성했다.[121]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는 이처럼 끊임없는 치수·이수 사업을 통하여, 도쿄권 뿐만 아니라 게이힌 공업 지대, 게이요 공업 지대, 가시마 임해 공업 지대 등의 수자원, 전력 자원으로 쓰이면서 일본 경제와 일본 국민의 삶의 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위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도네강의 치수 안전도는 100년 ~ 2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으로, 도네강 유역과 인구밀도가 비교적 비슷한 독일의 라인강 수계의 안전도가 1,250년에서 길게는 10,0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인 것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122] 또 도네강에서 퍼올리는 초당 123m3의 이수총량 중, 25%에 해당하는 초당 33m3의 양은 도네강의 유량이 충분할 때만 취수할 시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라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도네강 수계의 댐 8곳에서 나오는 용수 보급량은 20% 감소했다.[123] 이와 같은 치수·이수 상의 문제를 해결코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계획》을 책정하려 하고 있으며, 그 사전 단계로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을 정했다. 이 방침에는 제방·호안의 정비와 기존 하천 시설의 유지·보수 외에 얀바 댐, 유니시 댐, 난마 댐 등의 다목적 댐 건설 사업, 이나토이 조절지의 굴착과 둑 공사, 그리고 도네강 방수로의 시공을 추진하고 있다.[124] 개발과 지역 마찰[편집] 다나카 쇼조는 아시오 광독 사건의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와타라세 유수지의 건설을 반대했다. 얀바 댐 건설 예정지 (2006년, 아가쓰마강). 1952년에 처음으로 계획한 이래, 아직도 완성하지 못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국무교통대신이었던 마에하라 세이지. 도네강의 하천 개발로 말미암아 유역 주민은 혜택을 얻기도 했지만 개발에 따라 많은 희생과 불편을 감수해야 했으며,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끼리나 지방 자치단체들과 대립하고 있다. 1592년,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부근에 건설한 나카조 둑은 전부터 있었던 자연 제방을 증축하는 방식으로 만든 둑이었다. 이 둑은 주위에 있던 몇개의 둑들을 이어, 홍수가 일어났을 때 둑 상류부에 물을 막아두었다가, 강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적으로 도네강으로 물율 흘려보내는 유수지의 기능을 맡고 있었다. 나카조 둑의 홍수 조절량은 초당 4,000m3로, 현재 도네강 상류에 있는 8곳의 댐과 맞먹는 처리 능력을 발휘했으며, 물이 정해진 용량을 넘으면 시노부(지금의 교다시) 쪽으로 흘려보냈다. 이 때문에 둑 상류의 가미고 지구와 하류의 시모고 지구는 둑을 어떻게 운용하는 지를 두고 이해 관계가 엇갈려 줄곧 대립해왔다. 가미고 지구는 나카조 댐의 높이를 가능한 최대한 낮춰 홍수 피해를 막으려 한 한편, 시모고 지구는 반대로 둑을 최대한 높여서 홍수 피해를 막고자 했다. 때문에 홍수로 파괴된 둑을 다시 복구할 때마다 두 지역은 이 문제를 두고 크게 반목했다. 에도 시대에는 막부의 절대적 통제 하에 두 지구가 공동 조합을 결성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중앙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나카조 댐을 대신할 새로운 둑의 건설을 요구하는 가미고 주민들과, 나카조 둑을 이대로 유지·보수하기를 요구하는 시모고 주민들이 다시 대립하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경관대와 주민들이 충돌하고 사이타마현 의회가 현지사의 불신임 결의를 채택하는 등 현 전체로 혼란이 번지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내무성이 도네강 개수 계획의 하나로 지금과 같은 연속 제방 방식을 채택하여 사태를 수습했지만, 뛰어난 치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나카조 댐의 기능은 이 방식으로 인해 약해졌다.[125] 또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의 책정 이후로 정부가 추진하고자 했던 고카이 강의 이설 계획은 새로운 물길이 지나갈 기타소마군 도네정 주민들을 중심으로 격렬한 반대 여론에 부딪쳐, 1953년 11월에는 취재를 위해 지역을 찾은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의 기자단을 성난 주민들이 감금하고 집단 폭행하는 사건이 터지기에 이르렀다. 결국 1980년에 정부는 치수 계획을 개정하면서 고카이강의 이설 계획을 폐지하고, 대신 강의 제방을 보수하기로 하였다.[126] 한편 댐과 유수지를 건설하면서도 많은 주민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떠나야 하는 등의 희생을 치러야 했고,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커져 마찰이 잦아졌다. 와타라세 유수지는 원래 아시오 광독 사건의 대책으로 계획한 것이지만, 건설 예정지 주변에 살고 있던 도치기현 시모쓰가군 야나카촌(지금의 도치기시의 일부) 주민 300세대가 유수지를 건설하게 되면 떠나야 했기 때문에 다나카 쇼조 등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론을 무시하고 토지 수용법에 따른 강제 집행을 시행하여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놓았으며, 야나카촌은 결국 사라졌다.[127] 또 전쟁 이후의 《도네강 개정 개수 계획》에 들어가 있었던 후지와라 댐은 지역 주민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개시했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군마현의 중재와 함께, 당시 새롭게 부임한 댐 공사 책임자가 지역 주민들과 타협을 시도하면서 가까쓰로 무마할 수 있었다.[128] 가타시나강의 소노하라 댐에서도 오이가미 온천의 일부가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자 주민들이 반대 운동을 주도했다. 오이타현 시모우케 댐 예정지에서 일어난 하치노스 성 분쟁[129], 지쿠고강의 마쓰하라 댐 반대 운동 등과 더불어 "동쪽의 소노하라, 서쪽의 마쓰하라와 시모우케"로 불릴 정도로 규모가 컸다.[130] 또 아가쓰마강의 얀바 댐은 가와라바 온천의 수몰을 반대한 주민들의 계속된 반대로 계획이 시작된 1952년 이후 60년이 넘도록 완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누마타 댐은 수몰 세대가 2,200세대에 이르렀기 때문에 누마타시민들 뿐만 아니라 군마현민들도 반대 운동에 나서 우여곡절을 치른 끝에 1972년 제1차 다나카 가쿠아에 내각이 계획을 백지화했다.[131] 1973년, 일본 정부는 수몰 지역의 생활권 보존 대책으로 《수원지역대책특별조치법》을 시행하여, 가와지 댐, 기류카와 댐, 얀바 댐, 난마 댐, 유니시가와 댐, 가스미가우라호 등의 주위에 살던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주변 지역의 집중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댐 건설과 호수 개발로 이득을 보는 하류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돈을 걷어 재단법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원지역대책기금"을 1976년에 설립하여, 수몰 지역을 위한 대책 마련에 힘썼다.[132] 광역 하천 개발을 두고도 이해 관계에 따른 대립이 커졌다.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으로 등장한 도네강 방수로 계획은 태풍 캐슬린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도쿄도와 사이타마현에서는 찬성했지만 데가호와 인바 늪의 개발이 늦어질 것을 우려한 지바현은 반대하는 등 지방 자치단체마다 의견이 달랐으며, 용지 매수와 막대한 사업비 도출에도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다. 이렇게 사업을 질질 끄는 사이 방수로 건설 예정지에는 주택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경작지로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133] 또 오제하라 댐 계획은 댐의 환경 파괴를 우려한 후생성 (지금의 후생노동성), 문부성 (지금의 문부과학성), 일본자연보호협회가 반대했으며, 다다미강 및 아가노강의 수리권(水利權)을 갖고 있었던 후쿠시마현, 니가타현도 반대했다. 거기에 댐 계획을 통해 도네강 수계의 분수를 요구했던 도쿄도 등 간토 지방의 1도 5현과 격렬하게 대립한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쪽으로 도호쿠 지방의 다른 현들도 개입하여 오제하라 댐 계획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는 간토 지방과 도호쿠 지방 간의 정치적 지역 갈등으로 발전했다. 이 문제는 1996년에 사업 책임자 도쿄 전력이 오제의 수리권을 포기하기로 하여 종식되었다.[134][135]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 보호와 공공 사업에 대한 여론이 커지면서, 댐 사업을 비롯한 하천 개발도 일본 국민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여론을 수용하여,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축소[주 29] 하였으며, 제1차 고이즈미 내각도 도네강 수계에 있던 가타시나강의 도쿠라 댐 계획 등을 중지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여당이 된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국토교통대신이 된 마에하라 세이지는 얀바 댐 계획을 비롯하여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국토교통성 직할 댐 사업의 동결을 발표했다.[136] 하지만 하천 개발로 이익을 얻고 있었던 도쿄도를 비롯한 하류 지역 지방 자치단체들과, 댐 건설 예정지였던 아가쓰마군 나가노하라정, 가와라바 온천 조합 등은 마에하라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여 민주당 정권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규격 제방도 2010년 국정감사에서 폐지하기로 결정했으나, 이시하라 신타로 현 도쿄도지사는 "댐 건설은 중요한 사업"이라며 내각의 결정을 비판했다.[137] 2008년에 내각부 중앙방재회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네강에서 태풍 캐슬린이 불어왔을 때와 같은 홍수 피해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3,800명이 죽고, 160만명의 수재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138] 이 때문에 일본 댐 협회를 비롯한 하천공학 전문가 단체들은 "얀바 댐 등의 치수 공공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39] 다른 한편으로 시민단체가 얀바 댐 등의 사업 부담금 징수에 대한 정지 소송을 재판소에 낸 바 있으며[140], 2000년대에 이르러 하천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나 정부의 방침 전환으로 도네강의 치수·이수 사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주해[편집] ↑ 가라스 강의 지류인 가부라 천의 2차 지류인 미나미마키가와 천의 3차 지류, 우마사카 천이 나가노 현 사쿠 시에서 발원한다. ↑ 오제실잠자리 (オゼイトトンボ)와 홋카이도실잠자리 (エゾイトトンボ)류로, 이들은 일본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퍼져있는 종이다. ↑ 고쿠초 (国蝶 국접[*]) ↑ 일명 "하코네산도롱뇽" (Onychodactylus Japonicus)이라고도 부르며, 지리산 등지에 서식하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과 서식 환경이 거의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기사) ↑ 잉어목 납줄개아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일본 고유종이다. 학명은 Acheilognathus typus 이다. ↑ 한자는 시네쓰히코 (しいねつひこ)라고도 읽을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비슷한 예로는 금강이 있다. 금강 중, 충청남도 부여군 (구 백제 사비성 일대)을 지나는 지역에 한해 백마강 (白馬江)이라 불리고 있다. 관련 기사. ↑ 일본에서, 국토교통성과 수자원기구가 관리하는 댐 및 주변 구간은 모두 국토교통성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특정 수리 (特定水利)라 한다. ↑ 遺留湖. 원래 다른 호수와 하나였다가, 외따로 떨어진 호수를 가리킨다. ↑ 일명 "아바레가와" (暴れ川)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직역하면 "사나운 강"이라는 뜻이다. ↑ 경(頃)은 고대 일본에서 쓰이던 토지 면적 단위였다. 1경 당 약 1Ha에 해당한다. 이 홍수로 약 2,000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었다. ↑ 지금의 도쿄도 및 사이타마현 일대를 다스리던 율령국의 하나였다. ↑ 약 158,677,686m2에 해당한다. 1정보는 3000평으로 계산하며, 1평은 약 3.3m2이다. ↑ 약 661,586,777m2에 해당한다. ↑ 같은 이름을 쓰는 용수로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도 있다. "비젠쿄 용수"라는 이름은 다다쓰구의 당시 관직 이름이었던 "비젠노카미"에서 유래했는데, 비젠은 지금의 주고쿠 지방 오카야마현 동부를 가리키는 옛 이름으로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과는 관계가 없는 지명이다. ↑ 수도 지역의 수해를 막기 위해 치수 사업을 벌인 비슷한 예로, 18세기 조선 왕조가 한양에서 실시한 청계천 준설 사업이 있다. 관련 기사. ↑ 《시모우사노쿠니 큐지코》 (下総国旧事考)에는 1621년에 개착 사업을 실시했다고 적혀 있으나, 《신펜무사시후도키코》 (新編武蔵風土記稿)에는 1624년에 실시했다고 적혀 있다. ↑ 1839년에 지금의 도요타 둑을 건설할 때,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인근에 지었던 둑을 원형으로 참고했다고 전해진다. ↑ 야소베에(弥惣兵衛)는 본명이며, 공적인 장소에서는 자신의 휘(諱)인 다메나가(為永)를 사용했다. ↑ 시기는 간에이 연간 (1624년부터 1641년까지)이며, 정확한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 따라서 "미누마다이"란 미누마 (見沼)를 대신 (代)한다는 뜻으로, 미누마다이 자체가 하나의 지명인 것은 아니다. ↑ "보다시"가 설치된 시기는 네기시 몬조의 《도네강 치수고》의 덴포 연간설 (1830년대) 외에 토목학회의 《메이지 이전의 일본 토목사》의 간에이 연간설 (17세기 초)도 있다. ↑ 에도강, 기누강, 고카이강, 도네강 하류 지역을 관할한다는 데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 일명 "구 하천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 ↑ 도네강, 기타카미강, 나루세강, 에아이강, 모가미강, 시나노강, 조간지강, 기소강, 요도가와강, 요시노강, 지쿠고강을 합쳐 10수계라 불렀다. 시나노강과 조간지강을 제외한 나머지 수계에는 모두 1개 이상의 댐이 세워졌다. ↑ 링크된 시모쿠보 댐의 전신으로, 간나강 수계에 있다. ↑ 지금의 도쿄도 23개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하나의 시였다. 이후 주변 도시들을 통합하여 도쿄도를 설치했다. ↑ "료소" (両総)는 가즈사국과 시모우사국을 가리킨다. 지바현을 비롯한 간토 지방 동쪽 지역의 옛 이름이었다. ↑ 이로 인해 도쿠시마현에서 건설성 (지금의 국토교통성)이 추진하던 호소가와우치 댐 계획 (나카강)을 비롯하여 여러 댐 계획들이 동결되거나 백지화되었다. 각주[편집] ↑ 『河川法第四条第一項の水系を指定する政令』 Archived 2012년 2월 3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일 확인. ↑ 일본 도쿄등 관동지방도 取水제한 시작, 연합뉴스, 1994년 7월 23일. ↑ 가 나 다 群馬県『県内の一級河川の一覧』, 2012년 9월 1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쪽 ~ 7쪽. ↑ 《도네 강 100년사》, 5쪽. ↑ 《도네 강 100년사》, 4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7쪽. ↑ 가 나 다 이상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ダム統合管理事務所『利根川の特徴』, 2012년 9월 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9쪽 ~ 41쪽과 45쪽에서. ↑ 《도네강 100년사》, 39쪽과 42쪽에서. ↑ 《하천편람 2004년판》, 102쪽 ~ 103쪽. ↑ 《도네 강 100년사》, 15쪽 ~ 16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5쪽 ~ 19쪽. ↑ 《도네 강 100년사》, 19쪽. ↑ 《도네 강 100년사》, 22쪽 ~ 25쪽. ↑ 《도네강 100년사》, 24쪽 ~ 25쪽. ↑ 가 나 《도네 강 100년사》, 132쪽 ~ 133쪽. ↑ 《도네강 100년사》, 36쪽 ~ 37쪽. ↑ 《도네강 100년사》, 59쪽. ↑ 《도네 강 100년사》, 59쪽 ~ 60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植物と陸上昆虫』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3일 확인. ↑ 가 나 다 라 環境省『特定外来生物等一覧(外来生物法)』 Archived 2009년 1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다 라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生物(特定外来生物)』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0쪽 ~ 61쪽. ↑ 검룡소에 나타난 꼬리치레도롱뇽: 청정 1급수 지역에만 서식...환경지표종, 아시아투데이, 2011년 5월 26일 작성.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1쪽. ↑ 가 나 다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鳥と小動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藤原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3쪽 ~ 65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魚と水生生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5일 확인. ↑ 独立行政法人水資源機構利根導水総合事務所 2012년 9월 5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自然保護協会『自然保護』 - 河口堰は河川生態系を大幅にかえた - 1998年 2012년 9월 5일 확인. ↑ 다키카와 히로시·우에타케 고이치 외, 『開腹により発見せる日本住血吸虫症5例:利根川流域における日本住血吸虫は滅亡した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9월 7일 확인. ↑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行政施策と肝硬変死亡』 Archived 2009년 12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水土里ネット北総東部『カワヒバリ貝対策について』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33쪽 ~ 135쪽. ↑ 가 나 다 라 《도네강 100년사》, 1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名称の由来』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 강 100년사》, 2쪽. ↑ 国土交通省中国地方整備局浜田河川国道事務所『江の川の概要』 Archived 2012년 11월 1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紹介』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하천편람 2004년판》, 90쪽 ~ 92쪽. ↑ 《도네 강 100년사》, 1596년 ~ 1601년.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管理 川とその機能を保つ維持管理』 Archived 2011년 3월 11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事業概要』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601쪽 ↑ 《일본의 다목적 댐: 직할편》 (1990년), 448쪽 ~ 499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霞ヶ浦河川事務所『昔はどうなっていたか』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299쪽 ~ 300쪽. ↑ 水土里ネット見沼代用水『黒沼笠原沼用水路』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63쪽 ~ 664쪽. ↑ 《도네강 100년사》, 1245쪽. ↑ 《이바라키현사 시정촌편 3》, 396쪽 ~ 400쪽.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総貯水容量順位表 2012년 9월 1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435쪽 ~ 144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21쪽 ~ 126쪽. ↑ 《도네강 100년사》, 1444쪽 ~ 1445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3쪽. ↑ 《일본의 다목적 댐 - 보조편》 (1990년), 176쪽 ~ 177쪽. ↑ 《하천편람 2004년판》, 30쪽 ~ 31쪽. ↑ 邑楽町『都市公園 多々良沼公園』 Archived 2011년 6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5일 확인. ↑ 쇼가쿠칸, 《디지털 다이지센》 (大辭泉; 쇼가쿠칸의 상표) ↑ 《도네강 100년사》, 86쪽 ~ 87쪽. ↑ 《도네강 100년사》, 87쪽. ↑ 《도네강 100년사》, 77쪽 ~ 78쪽. ↑ 《도네강 100년사》, 79쪽. ↑ 《도네강 100년사》, 289쪽. ↑ 《도네강 100년사》, 141쪽. ↑ 《도네강 100년사》, 88쪽. ↑ 가 나 다 《도네강 100년사》, 89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05쪽. ↑ 行田市教育委員会『石田堤』 2012년 9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08쪽 ~ 309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320쪽. ↑ 《도네강 100년사》, 311쪽 ~ 312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도네강 100년사》, 312쪽 ~ 313쪽. ↑ 《도네강 100년사》, 313쪽 ~ 314쪽. ↑ 《도네강 100년사》, 368쪽 ~ 369쪽. ↑ 《도네강 100년사》, 366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374쪽. ↑ 《도네강 100년사》,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5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6쪽. ↑ 《도네강 100년사》, 349쪽 ~ 351쪽. ↑ 《도네강 100년사》, 356쪽 ~ 359쪽. ↑ 《도네강 100년사》, 174쪽 ~ 177쪽. ↑ 《도네강 100년사》, 339쪽 ~ 340쪽. ↑ 《도네강 100년사》, 188쪽. ↑ 《도네강 100년사》, 408쪽. ↑ 《도네 강 100년사》, 418쪽. ↑ 《도네강 100년사》, 530쪽. ↑ 《도네강 100년사》, 504쪽 ~ 511쪽. ↑ 《도네강 100년사》, 568쪽 ~ 574쪽. ↑ 《도네강 100년사》, 636쪽 ~ 657쪽. ↑ 《도네강 100년사》, 680쪽 ~ 688쪽. ↑ 《도네강 100년사》, 731쪽 ~ 732쪽. ↑ 《도네강 100년사》, 759쪽 ~ 778쪽. ↑ 《도네강 100년사》, 782쪽 ~ 787쪽. ↑ 《도네강 100년사》, 803쪽 ~ 831쪽. ↑ 《도네강 100년사》, 820쪽 ~ 860쪽. ↑ 《도네강 100년사》, 880쪽. ↑ 《도네강 100년사》, 874쪽 ~ 880쪽. ↑ 《도네강 100년사》, 923쪽 ~ 960쪽. ↑ 《도네강 100년사》, 1208쪽. ↑ 《도네강 100년사》, 1243쪽 ~ 1244쪽. ↑ 《도네강 100년사》, 1380쪽 ~ 1382쪽. ↑ 《국토 종합 개발: 특정 지역의 길잡이》, 25쪽 ~ 31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5쪽 ~ 18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10쪽 ~ 170쪽. ↑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 - 보소 도수로 관리소, 《보소 도수로의 역사》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가스미가우라 하천 사무소,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067쪽 ~ 1069쪽.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에도강 하천사무소, 《수도권 외곽 방수로》 Archived 2011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물 포럼, 《물 관련 피해 (전반, 세계)》 Archived 2011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도네강 수계 유역 및 하천의 개요” 64쪽 ~ 6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기본 정비 방침》, “기본고수 등에 관한 자료”, 2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16쪽 ~ 523쪽. ↑ 《도네강 100년사》, 950쪽 ~ 951쪽. ↑ 《도네강 100년사》, 564쪽 ~ 569쪽. ↑ 《호수를 넓히다》, 20쪽 ~ 21쪽. ↑ 시모우케 댐의 건설 예정지에, 댐 건설을 반대하던 주민들이 보루를 쌓고 농성을 한 사건이다. 1959년에 일어났다. ↑ 《도네강 100년사》, 1379쪽. ↑ 《누마타시의 역사: 통사편 3》, 649쪽 ~ 652쪽. ↑ 《도네강 100년사》, 1353쪽. ↑ 《도네강 100년사》, 945쪽 ~ 946쪽.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 수리권과 댐 (2): 분수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오자키 미쓰요시, 《오제하라·다다미강·도네강의 수력 개발 개요》, 토목학회지 제33권 5~6호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하천계획과, 『新たな基準に沿った検証の対象とするダム事業を選定する考え方について』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산케이 뉴스, 2011년 3월 14일 기사. Archived 2011년 3월 17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内閣府中央防災会議『利根川の洪水氾濫時の死者数・孤立者数等の公表について』 Archived 2011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마이니치 신문》 도치기판, 2011년 3월 25일 기사에서. 참고 자료[편집]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2005년. 재단법인 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도네 강 10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도네강 100년사》, 1987년. 사단법인 일본하천협회 감수, 《하천편람 2004년판》, 국토개발조사회, 2004년. 전거 통제 VIAF: 260260094 NDL: 0064773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강&oldid=24145291" 분류: 이바라키현의 강도치기현의 강군마현의 강사이타마현의 강지바현의 강도쿄도의 강나가노현의 강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orskPolski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05: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네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 강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강 利根川Tone River (지리 유형: 강) 도네강 하구 (2008년) 나라 일본 지방 나가노현 · 군마현 · 도치기현 · 사이타마현 · 이바라키현 · 도쿄도 · 지바현 발원지 오미나카미산  - 고도 1,831m (6,007ft) 하구 태평양 길이 322km (200mi) 면적 16,840km² (6,502sq mi) 유량  - 평균 256m³/s (9,041cu ft/s) 참고 문헌: 《도네 강 100년사》, 《하천편람 2004년판》 도네강(일본어: 利根川, とねがわ 도네가와[*])은 일본의 강 중 하나이다.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하여, 간토 지방을 북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흐른다. 도네강 수계의 본류로, 일본 정부의 하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급 하천으로 관리받고 있다.[1] "반도타로" (坂東太郎)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반도타로는 도네강이 "간토 지방의 하천 중 장남 격이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임을 의미한다.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일본의 수도권의 거주민들을 위한 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도네강의 강수량이 수도권 지역의 취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2] 목차 1 지리 2 자연과 생태 2.1 기후와 강물 2.2 지리와 지질 2.3 지하자원 2.4 식생과 곤충 2.5 동물 2.6 어류와 수생생물 3 명칭 4 유역 4.1 본류 4.2 지류와 분류 4.3 늪과 호수 5 역사 5.1 중세 이전 5.2 에도 시대 전기 5.3 에도 시대 후기 5.4 근대의 도네강 5.5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 5.6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 5.7 개발과 지역 마찰 6 주해 7 각주 8 참고 자료 지리[편집] 상류 (군마현 마에바시시) 중류 (군마현 오라군 메이와정) 하류 (이바라키현 - 지바현 경계)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에 자리하고 있는 미쿠니산맥의 오미나카미산(표고 1,840m)에서 발원한다. 남쪽으로 흐르다 다카사키시역을 거쳐 가라스강과 합류하면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쿄만으로 흐르는 에도강과 갈라진 뒤, 지바현과 이바라키현의 지리적 경계선을 이루며 동쪽으로 흐르다, 지바현 조시시 근처의 가시마나다에서 태평양과 합류한다. 총연장은 332km로, 시나노강에 이어 일본 내 2위, 유역면적은 약 16,840km2로 일본 내 1위이다. 간토 지방의 1개 도와 5개 현(가나가와현 제외)을 지나가며, 가라스강의 일부 지류가 나가노현 사쿠시에서 발원한다.[3][주 1] 도네강의 상류와 중류, 하류는 보통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4] 상류: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군마현 이세사키시 얏타섬 (八斗島)까지. 중류: 얏타섬에서 지바현 노다시의 에도 강 분기점까지. 하류: 에도강 분기점에서 조시 시의 하구까지. 도네강이 오미나카미산에서 발원한다는 사실은 1954년 군마현 산악연맹의 "오쿠토네 수원 조사 등산대"에 소속되어 있던 30명이 밝혀냈다. 이들은 발원지를 찾아 강을 직접 거슬러 올라갔다.[5] 발원지에 관련된 최초의 사료는 무로마치 시대에 쓰인,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일대기인 《의경기》로, 《의경기》에는 도네강의 발원지가 지금의 미나카미정 후지와라 부근이라고 적혀있다. 오미나카미산의 이름은 에도 시대 초반인 1640년대에 그려진 막부 공인 지도인 《쇼호구니에즈》에 처음으로 나왔다. 그러나 도네강의 정확한 발원지는 1835년에 그려진 《에도메이소즈카이》나 1858년에 그려진 《도네가와즈시》 등에서 서로 발원지를 다르게 표시하는 등, 오랫동안 밝혀내지 못해왔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강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되어, 1894년과 1926년에 두 번의 조사를 한 후, 1954년 지금의 위치로 발원지를 확정했다. 이 밖에, 군마현 당국이 1975년에 전문가들을 모아 도네강 유역의 종합학술조사를 시행하기도 했다.[6] 도네강의 출발점은 오미나카미산 북동쪽 사면, 표고 1,800m 부근에 있는 삼각형의 골짜기 끝이다. 원류부는 험준한 계곡인데, 크고 작은 못들에서 흘러나온 물들이 오쿠토네호로 모이게 된다. 야기사와 댐, 스다가이 댐, 후지와라 댐을 통과하면서 남서쪽으로 유로를 틀어, 미나카미 온천 부근에서 협곡을 형성하며 남쪽으로 흐른다. 미나카미정 쓰키요노에서 아카다니 천과, 누마타시에서 가타시나강과 합류하는데, 가타시나강과의 합류 지점에서 하안 단구를 형성한다. 누마타시에서 시부카와시 경계에 걸쳐서는 아야토 계곡을 형성하며 구불구불하게 흐르다, 시부카와시의 시내에서 아가쓰마강과 합류하여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를 통과한다. 다카사키시에서는 가라스강과 합류해, 이세사키시의 얏타섬에 이른다. 얏타섬 부근부터 강의 폭은 넓어진다.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부근에서 약 500m 수준으로,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지역에서는 약 900m 규모로 넓어지는 것이다.[7] 도네 보 (利根大堰)에서는 무사시 수로가 갈라져, 도네강물을 아라카와강과 연결한다. 도네 보를 지나 와타라세강과 합류하여,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가운데를 흘러 이후 남동쪽으로 흐르는데, 이 구간을 따라 이바라키현과 지바현의 경계선이 정해졌다. 노다시에서는 에도강과, 지바현 가시와시에서는 도네 운하와 갈라지며, 이바라키현 모리야시에서는 기누강, 도리데시와 기타소마군 도네정의 경계점에서는 고카이강과 합류한다. 가토리시와 도네강 하구언을 지나, 히타치토네강, 구로베강과도 합류한다. 두 강과의 합류 지점을 지나면서 강의 폭은 최대 1km까지 넓어지게 된다.[7] 가미스시와 조시시의 지리적 경계를 이룸을 끝으로,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네강 하류 지역에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면적을 보유한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 인바 늪, 우시쿠 늪, 데가호 등 여러 개의 자연 습지가 만들어져 있다. 자연과 생태[편집] 도네강은 유역이 넓고 긴 강이기 때문에, 자연 환경과 생태계가 상류, 중류, 하류 지역에서 저마다 다르게 나타나곤 한다. 기후와 강물[편집] 도네강 중류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 있는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의 구리하시 관측소. 과거의 홍수 때 수위에 따라 기둥에 흰 빗금이 그어져 있다. 도네강 유역의 기후는 대체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한데, 이는 도네강이 흐르는 간토 평야가 북태평양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이 모두 항상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를 보이지는 않으며, 계절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강수량은 연평균 1,300mm로, 일본 전국의 연평균 강수량 1,700mm보다는 밑돌고 있다.[8] 상류부는 미쿠니산맥을 비롯한 고산 지대에 자리하고 있어,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고 기온이 매우 낮아진다. 상류부 지역은 간토 지방에서 비교적 많은 눈이 내리는 다설지에 속해 있어, 1955년부터 2002년까지의 연간 누적 적설량을 오미나카미산 발원지가 16m, 야기사와 상류부가 10 ~ 14m, 미나카미정 부근과 가타시나강 상류부가 2 ~ 10m을 기록하고 있다.[8] 이렇게 쌓인 눈은 봄철이 되면 녹아, 도네강을 따라 흐르면서 수도권 지역에서 용수로 쓰이게 된다. 중류부는 여름철에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비교적 높아지며, 맑은 날씨가 잦아진다. 2007년 8월 16일 구마가야시에서 기록된 기온인 섭씨 40.9도는 같은 날 기후현 다지미시에서 기록된 기온과 함께, 일본 최고 기온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 군마현과 도치기현에서는 여름철에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자주 내린다. 겨울철에는 시베리아 지역에서 건조한 계절풍이 불어오는데, 군마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이러한 건조 계절풍을 "조슈의 강바람", "아카기의 바람", "하루나의 바람"이라고 불러왔다.[9] 하류부는 구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아 습윤한 해안성 기후를 보이기 때문에 중류부보다는 폭염 현상이 비교적 덜 발생하는 편이나, 겨울철에는 흐린 날씨가 비교적 잦아진다.[10] 비는 중류부와 하류부를 중심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태풍이 불어올 때 가장 많이 내린다. 하지만 도네강의 연평균 강수량은 강수량을 처음으로 재기 시작한 1900년부터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며, 20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비가 내린 해와 비가 비교적 적게 내린 해의 강수량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8] 도네강의 연간 유량은 약 91.5t으로, 시나노강, 모가미강, 아가노강, 기타카미강에 이어 일본 내에서는 5위이다. 이는 도네강보다 윗순위에 있는 하천들이 비록 유역 면적이 도네강보다는 좁지만, 모두 적설량이 많은 다설 지역을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연평균 유량은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의 관측 지점을 기준으로, 초당 290.43m3이다. 연평균 유량도 일본 전국의 강들 중에서는 5위에 속한다.[11] 지리와 지질[편집] 간나강의 지류인 산바강에서 생산되는 변성암들. "산바세키"라 불리는 이 변성암은 일본의 천연기념물 중 하나이다. 도네강과 시나노강의 분수령인 미쿠니산맥을 이루는 산 중 하나인 다니가와산. 도네강 유역의 상류부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 지형이 대부분이며, 중류부와 하류부의 대부분은 충적 평야이다. 도네강 최상류부의 오쿠토네 주변은 신생대 고제3기에 형성된 화강암 지형이다. 그 밖의 산지들은 신제3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형으로, 간토 산지, 야미조 산지, 아시오 산지는 고생대에서 중생대 사이에 걸쳐 형성된 각암, 사암, 점판암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가라스 강 유역, 특히 간나 강 일대는 일명 "산바가와 변성대"라 불리는데, 간나 강의 산바 골짜기나 지류인 산바 강에서는 "산바세키"라 불리는, 녹색에 가까운 결정 편암 (변성암의 하나)이 다수 발견된다. 군마 현, 도치기 현 일대를 흐르는 지류들의 상류부에는 여러 개의 화산이 있는데, 화산들의 분출 활동으로 만들어진 화산 쇄설물층이나, 용암이 풍화한 화강암, 안산암, 응회암 등이 발견된다. 중류부와 하류부의 구릉지대와 홍적대지는 제4기에 형성되었는데, 과거 도쿄만에서 흘러와 퇴적된 모래와 진흙으로 형성된 시모우사 지층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지층 위에는 간토 롬층이 덮여 있다. 충적 저지대는 신생대 전기인 갱신새 말기부터 완신세에 걸쳐 형성된 두터운 충적층이 주를 이르며, 지금의 도쿄 만 연안부 등에서는 최대 60m에서 80m 사이까지 두꺼워진다. 한편, 제4기에 간토 산지 등 간토 평야를 에워싼 주변 산지의 융기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상대적으로 평야 중앙부가 침강하는 조분지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충적 저지대에서는 상류에서 흘러온 토사가 충적층에 퇴적되었다. 그 후 침강한 평야 중앙부가 다시 융기하면서 그 곳으로 토사가 쌓여, 지금의 대지와 저지대를 형성하게 되었다.[13] 이렇게 형성된 산지나 대지가 지금의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계를 이루고 있다. 군마 현과 니가타현의 경계를 이루는 미쿠니산맥과, 군마현·도치기현·후쿠시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다이샤쿠산맥, 그리고 이바라키현에서 도치기현에 걸쳐 있는 야미조 산지의 남쪽 사면과, 군마현·나가노현·사이타마현의 경계를 이루는 간토 산지의 동쪽 사면에 내리는 비가 도네강으로 흐르는 것이다.[13] 미쿠니산맥은 태평양과 동해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며, 미쿠니산맥을 경계로 남쪽 사면은 도네강 본류를 비롯한 크고 작은 못의 발원지를 이루고 있다. 반면 북쪽 사면은 우오노강·나카쓰강 등, 시나노강의 수계를 이루고 있다.[14] 다이샤쿠산맥에 속한 난타이산, 닛코시라네산, 오제고원 등지는 남쪽 사면과 동쪽 사면에 내린 비가 각각 기누강, 가타시나강으로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서쪽 사면에는 오제 늪을 수원으로 하는 다다미강이 흐르며, 다다미강은 아가노강과 합류한다. 야미조 산괴, 도리코 산괴, 게이조쿠 산괴, 쓰쿠바 산괴를 포함하는 야미조 산지와, 야미조 산괴에서 이어지는 우쓰노미야시 부근의 대지, 이바라키현 중남부에 펼쳐진 조소 대지도 남북 사면으로 나뉘는데, 남쪽 사면으로는 기누강·고카이강 등이 흘러 도네강과 합류하지만, 북쪽 사면으로는 도키가와강·아라카와강, 히누마강 등 나카강의 지류들이 태평양으로 흐른다.[15] 간토 산지 북부와 아사마산, 묘기산, 아라후네산 등 군마현과 사이타마현 서부에 있는 산지들에서는 대부분 동쪽 사면으로 아가쓰마강, 가라스강, 오야마강 등이 도네강으로 흐르지만, 사이타마현에 속한 남쪽 사면으로는 아라카와강의 지류들이 아라카와강에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흐른다. 서쪽 사면으로는 시나노강의 지류인 지쿠마강이 흐른다. 그리고 사이타마현 북부의 대지는 제3기 이후 한때 도쿄만의 물이 들어와 가라앉았다가, 제4기 이후 해퇴 운동으로 바닷물이 빠지면서 아카기산, 하루나산이 발달하고,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상류에서 운반된 토사물이 쌓이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 대지는 가조시, 삿테시, 구키시 일대에 이르러 차차 고도가 낮아지는데, 이 지역에 모인 물들은 도네강 또는 나카가와강으로 흐르게 된다.[16] 지하자원[편집] 1895년 경의 아시오 광산. 1973년에 문을 닫았다. 도네강 유역에서는 금, 은, 구리, 망간, 철광석 등의 금속 자원과, 석회암, 유황, 천연 가스 등의 비금속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금속 자원 중 특히 구리는 도네강 유역의 아시오 광산에서 1973년까지 생산해왔다. 이 밖에, 금과 은이 도네강 본류의 상류부와 기누강 상류부에, 망간이 와타라세강 유역에, 철광석이 아가쓰마강 상류부에 매장되어 있다.[17] 한편 비금속 자원 중 유황은 아가쓰마강 상류에, 석회암은 가라스강 유역에 매장되어 있다. 또 석재로는 도치기현의 오야이시 (大谷石)나, 군마현의 산바세키가 담이나 고급 정원석 용도로 채굴되고 있다.[17] 또 천연 가스는 도네강 하류 일대, 에도강 하류 일대의 미나미칸토 가스전 등지에서 채취되고 있다. 1956년 이후 천연가스 채취가 에도강 하류의 도쿄도 고토구, 지바현 이치카와시·후나바시시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뽑아내고, 천연 가스를 오랫동안 채취하면서 지반이 침하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도쿄도와 지바현 당국은 가스전 일대의 민간 채굴 사업자로부터 1972년에 가스 채취권을 사들여, 채취를 금지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은 가스를 채취하지 않고 있다.[18] 식생과 곤충[편집] 닛코시의 센조가하라는 고층습원으로, 여러 종류의 고산 식물이 자란다. 도네강의 식생도 상류, 중류와 하류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상류에서는 산악 지대인 오제나 아사마산 북쪽 기슭을 중심으로 고산 식물이 자라며, 센조가하라는 물이끼와 넌출월귤이 자라는 고층습원이다. 또, 상류 지역은 고도에 따라서도 식생이 다르게 나타난다. 표고 1,6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서는 상록침엽수들이 자라는데, 주로 일본 전나무 고유종인 "시라비소", 좀솔송나무가 자란다. 표고 700 ~ 800m대에서는 너도밤나무와 물갈나무 등이 자란다.[19] 하지만 와타라세 강의 발원지인 아시오 산지는 아시오 광산이 개발되던 당시에 유출된 연기들 때문에 생태계가 크게 무너졌다. 한편 중류에서는 상록활엽수림인 동백, 붉가시나무, 모밀잣밤나무 등 원래부터 자생하던 나무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신 주택과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심어 놓은 삼나무와 편백 따위의, 재조림을 목적으로 심은 나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둔치에서는 갈대와 억새류, 쇠뜨기, 개여뀌, 금방동사니 등이 자라고 있으며, 하류 지역에서는 부들과 야생쌀을 볼 수 있다. 갈대 군락은 중류와 하류의 호소나 늪과 같은 습지대에서 주로 볼 수 있는데, 특히 대규모 갈대 군락이 자생하는 와타라세 유수지에서는 하늘지기류, 물옥잠, 등골나물 등 멸종위기종들도 자생하고 있다. 도네강 유역에서 자라는 식물들의 종수는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666종이다. 조류는 물에 영양분이 적은 상류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며, 중류와 하류에서 규조류가 주로 자라고 있다. 그러나 가스미가우라 지역은 수질이 점차 나빠지면서 여름철에 미크로시스티스가 대량으로 증식해 녹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20][21] 도네강 유역에는 외래 식물종도 자라고 있다. 중류 지역에서는 양미역취나 돼지풀이, 하류에서는 가시박, 큰물수세미, 물배추가 자라고 있는데, 이들을 비롯한 외래 식물종들이 생태계를 변화시킨다고 판단한 일본 환경성은 "특정 외래생물의 유입에 따른 생태계 등의 피해 방지에 관한 법률", 곧 "외래생물법"에 따라 도네 강의 외래 식물종들을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도네 강의 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국토교통성과 협력하여 외래 식물종들을 제거하고 있다.[22][23] 도네강 유역의 곤충들은 절지동물인 거미목 곤충들을 중심으로, 2002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975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딱정벌레목이 397종, 나비목이 170종, 노린재목이 125종, 거미목이 84종을 차지하고 있다. 상류의 고산 지대에서는 눈나비, 높은산노랑나비, 갈구리신선나비, 실잠자리[주 2], 큰별박이왕잠자리 등 산지에서 잘 자라는 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다. 한편 중류와 하류에는 거미목, 나비목 등이 주로 서식하는데, 이들 중 왕오색나비는 일본 정부에서 "나라나비"[주 3] 로 지정한 상태이다. 이 밖에, 실잠자리목과 청솔귀뚜라미 등 희귀종들도 서식하고 있다. 한편, 강 유역의 히누마 늪에는 노랑실잠자리, 고유종인 히누마실잠자리 등이 서식하고 있다.[21][24] 동물[편집] 와타라세 유수지를 중심으로 서식하는 말똥가리. 상류 지역의 산지를 중심으로 반달가슴곰, 일본원숭이, 일본사슴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중류와 하류 지역에서는 인간의 택지 개발과 농경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대형 동물들은 서식하지 않고 있다. 대신, 여우나 너구리, 산토끼, 일본족제비, 작은일본두더지 등이 서식하고 있다. 1994년 국토교통성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포유류는 12종 이상, 파충류는 5종, 양서류는 4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1급 수계"로 지정한 일본 내 다른 대규모 하천들에 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약하다. 상류에는 1급수 지표 생물인[25] 꼬리치레도롱뇽의 아종인 일본꼬리치레도롱뇽이 살고 있다.[주 4] 외래종으로는 늪너구리 (뉴트리아), 사향쥐, 황소개구리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이 외래종들을 모두 생태계를 교란하는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하여 감시하고 있다.[26][27] 조류는 곤충들과 식물들이 많은 중류와 하류에서 많이 사는데, 상류 지역, 중류 지역, 하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있다. 상류에는 참수리, 검둥수리, 뿔매 따위의 맹금류나, 바위종다리, 잣까마귀 따위의 고산 조류가 산다. 야기사와 댐·후지와라 댐 등 도네강 상류에 있는 댐들에서 이들의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28][29] 이 밖에 계곡 등에는 물총새, 할미새사촌 등이 살고 있다. 중류와 하류에는 참새, 까마귀, 멧새 등 개체가 많은 종 뿐만 아니라, 갈대 군락지를 중심으로 논병아리도 살고 있다. 철새로는 큰고니, 고니가 가스미가우라에 찾아오며, 와타라세 유수지나 와타라세강 합류부의, 자연 식물들이 많이 자라는 곳들을 중심으로 왕새매, 개구리매, 말똥가리, 붉은뺨멧새 등의 맹금류와 오리, 도요과, 물떼새과 등이 철에 따라 찾아오거나, 머무른다.[26][27] 외래종으로는 2003년 도리데시가 처음으로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상사조 (Leiothrix lutea)가 확인된 바 있다.[22][23] 도네 강 유역에서 살아가거나, 철에 따라 오가는 새들은 모두 136종이다.[27] 어류와 수생생물[편집] 백연은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이다. 산란철에는 도네 강 중류까지 거슬러올라 알을 낳는다. 사진은 어른 백연이 붙잡힌 모습이다. 모두 8목 13과 43종의 어류가 도네강에 살거나, 오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류에는 주로 곤들매기, 산천어, 기생개구리가, 중류에는 피라미, 잉어, 금붕어, 참붕어, 장어 등이 서식하며, 멸종위기종인 "제니다나고"[주 5] 도 서식하고 있다. 하류에는 숭어, 농어, 문절망둑, 멸치 등이 올라와서 살며, 하구부에는 감성돔과 가자미 등 주로 바닷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초어 (草魚), 백연 등 중국 지역에서 온 외래종들은 점점 개체 수가 늘어나고 있는데, 매년 여름철이 되면 국도 제4호선 도네가와 교 근처에서 뛰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30][31] 도네강으로 들어오는 회유어로는 연어와 은어가 대표적이다. 회유어는 에도 막부 이래 일본 정부가 시행한 용수로 건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실시한 도네강 유역의 특정 지역들의 종합 개발 계획 등으로 댐과 보 (洑) 가 도네강 곳곳에 세워지면서, 한때 그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었었다. 특히 하구에서 154 km 떨어진 도네 보는 회유어들이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길의 큰 장애물이었다. 이 때문에 도네 보의 관리를 책임지던 수자원개발공단 (지금의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은 1983년부터 연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을 조사하기 시작하여, 1995년부터 1996년 사이에 어도의 신설과 개축을 실시했다. 2005년부터는 환경보호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여, 은어가 강을 거슬러 올라오는 시점과, 바다로 내려가는 시점에 보의 문을 여닫기로 하였다. 이와 같은 시민들과 정부의 협력으로, 도네 보를 오가는 은어와 연어의 개체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32] 한편 도네강 하구언은 건설 과정에서 일본재첩의 생식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는 환경단체의 지적을 수용해 설계를 개선한 바 있다.[33] 특정 외래생물로는 블랙배스와 블루길이 하구언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찬넬메기 (찬넬동자개)도 서식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 송사리의 천적인 모스키토피시 (Gambusia affinis)의 서식도 확인된 바 있다.[22][23] 수생·저생생물로는 177종이 확인되었다. 상류와 중류를 중심으로 날도래목, 강도래목, 하루살이목이 서식하고 있으며, 강바닥이 진흙과 모래로 되어 있는 하류에는 우렁이, 왼돌이물달팽이, 갯지렁이, 실지렁이 등이 살고 있다.[30] 도네강 하류 유역은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 후쿠오카현과 사가현의 지쿠고강 하류와 함께 일본산 흡혈충병의 발생지로 알려져 있는데[34], 이 흡혈충들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73년에 몸에서 기생충의 알이 나온 환자의 사례를 끝으로, 기생충 환자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고 있다.[35] 대신, 강바닥을 굳게 만들고 퇴적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생물들의 유입을 방해하여 생태계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특정 외래생물로 지정한 바 있는 바다살이민물담치 (Limnoperna fortunei)가 아비코시와 인자이시, 그리고 가스미가우라에서 확인된 바 있다.[22][23][36] 도네강 유역의 내수면 어획량은 일본 전국의 총 어획량에서 3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도쿄권과 가깝기 때문에, 어업협동조합이 세워져 어민들이 어획 활동을 자립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도네강이 지나가는 1도 5현의 81개 조합이 저마다 일본 정부로부터 제1종, 제2종, 제5종 어업 면허를 딴 상태이다.[37] 명칭[편집] "도네강"이라는 이름의 문헌 상의 근거는 《만요슈》 40권에 실린 "아즈마우타" (東歌; 동쪽 지방의 노래) 중 "고즈케국의 노래" 부분에 실린 와카이다.[38] 刀祢河泊乃 可波世毛思良受 多太和多里 奈美尓安布能須 安敞流伎美可母 利根川の 川瀬も知らず ただ渡り 波にあふのす 逢へる君かも — 《만요슈》 40권, 아즈마우타 중, "고즈케국의 노래"에서. 이 와카는 고대 일본어로 쓰인 것으로, 한국어의 이두처럼 문장을 한자로 옮기면서 음에 맞는 글자를 따 온 것이다. 현대어로는 대개 "도네강에서 여울이 흐르는 곳임을 깨닫지도 아니하고 강을 건널 제 문득 덮치는 물보라처럼 그대를 만났어라" 정도로 풀이한다. 이 시는 서민 여성들이 사용하는 "기물진사", 즉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는 표현 방식이 들어간 소몬카(相聞歌)이다. 여기에 대해 이누카이 다카시는 자신의 저서인 《만요의 여행》 중권에서 고즈케국의 노래에 등장하는 강의 너비가 와카의 화자가 건널 수 있었던 정도임을 생각할 때, 도네강에서 와카에 등장하는 지역은 누마타시와 시부카와시 사이의 지역일 것이라고 추정했다.[38] 와카에 쓰인 "刀祢" (도네)의 참의미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여러 개의 가설만이 존재한다. 강이 흐르는 지역인 도네군에서 음을 땄다는 설, 강의 발원지의 주변에 있는 뾰족한 봉우리, 즉 "도키미네" (尖き峰)의 발음이 뒤바뀌었다는 설, 발원지인 오미나카미산의 별칭인 "도네다케" (일본어: 刀嶺岳, 刀祢岳, 刀根岳)에서 따왔다는 설[38], 도네노아타이 (等禰直), 또는 도네쓰히코 (椎根津彦)[주 6] 라는 신에서 따왔다는 설[39] 등이 있다. 한편, 어원에 얽힌 설 중에는 아이누어로 "톤나이"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데, 이 "톤나이"에 관한 해석도 "거대한 골짜기"나 "늪과 호수처럼 넓고 큰 하천" 등으로 나뉜다.[38][39] 한편 도네강의 별명인 "반도타로"는 아시가라 고개에서 우스이 고개까지 경계를 그은 다음, 그 동쪽 지역을 묶어 일컫던 "반도"에서 유래했다. "반도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가장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이다.[40] 비슷한 형태로 별칭이 붙은 강으로는 "쓰쿠시 지방을 흐르는, 일본에서 두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쓰쿠시지로" (筑紫次郎)라는 별명이 붙은 지쿠고 강, "시코쿠섬을 흐르는, 일본에서 세 번째로 길고 큰 강"이라는 뜻의 "시코쿠사부로" (四国三郎)라는 별명이 붙은 요시노강이 있다. 한편, 주고쿠 지방의 고노카와강은 "주고쿠타로"라는 별명이 붙어 있는데, 이는 다른 강들과는 무관하다.[41] 또 지금의 도네 강은 시나노강, 요도가와강 등 다른 지역의 강들과는 다르게[주 7], 발원지에서 하구까지의 전 지역에서 모두 "도네강"이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린다. 유역[편집] 도네강의 개략적인 유역도. 살구색 선 안쪽이 모두 도네강 유역의 하천들이다. 도네강의 유역 면적은 총 1만 6,840km2이다. 이는 시코쿠 지방의 면적의 약 80% 정도와 맞먹는다.[42] 이 유역 면적에 속하는 지역을 흐르며, 도네강에 합류하거나 분기하는 모든 하천들을 도네강 수계로 묶는다. 도네강 수계에 속하면서 마지막에 도네강에 합류하는 지류들의 수는 815개로, 요도가와강 수계의 964개, 시나노강 수계의 880개에 이어 일본 내에서 3위에 해당한다.[43] 유역에 속한 행정 구역은 도쿄도를 비롯하여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나가노현의 1도 6현 221시구정촌으로, 일본 전체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약 1,200만 명이 도네강 유역에 살고 있다.[42] 본류[편집] 도네강 본류의 길이는 오미나카미산의 발원지에서 태평양의 하구까지 322km이며, 발원지에서 태평양까지 이르는 동안 지나는 행정 구역은 군마현·사이타마현·이바라키현·지바 현의 4현, 25시 14정 1촌이다. 1896년에 제정된 최초의 하천법(일명 "구 하천법")에 따라 정부의 관리를 받기 시작했으며, 1897년 9월 11일에 내무성 고시 제59호에 따라 "관리 지정 하천 구역"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하천 등급제가 도입되자, 1965년 3월 24일에 건설성 정령 (政令)으로 도네강 유역의 "관리 지정 하천 구역" 전역이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4] 현재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는 도네강의 상류 끝은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3], 하류 끝은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 로,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모두 1급 하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 국토교통성이 직할하는 "지정 외 구간"은 군마현 이세사키시와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 사이를 흐르는 구간[46] 에서,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와 지바현 조시시 사이에 낀 하구[45]까지로, 지바현 도리데시와 지바현 아비코시의 경계인 오토네 교를 기준점으로 하여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 정비국 도네강 상류 하천 사무소와 도네강 하류 하천 사무소가 강을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한편 지정 외 구간의 상류 끝인 이세사키시 ~ 다마무라정 구간에서, 오미나카미 산의 발원지까지는 하천법 제9조 제2항에 따른 "지정 구간"으로서, 국토교통성이 군마현지사에게 관리를 위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다카사키시 이북 구간은 군마현이 하천 관리를 맡고 있는데, 야기사와 댐 호수 상단부에서 후지와라 댐 바로 아래까지의 구간은 예외로 국토교통성이 직접 관리한다.[3][주 8] 도네강 본류 유역의 시정촌 현 (県) 시정촌 (상류 → 하류 순) 군마현 도네군 미나카미정, 누마타시, 도네군 쇼와촌, 시부카와시, 기타군마군 요시오카정, 마에바시시, 다카사키시, 사와군 다마무라정, 이세사키시, 오타시, 오라군 오이즈미정, 오라군 지요다정, 오라군 메이와정, 오라군 이타쿠라정 사이타마현 혼조시, 후카야시, 구마가야시, 교다시, 하뉴시, 가조시, 구키시 이바라키현 고가시, 사시마군 고카정, 사시마군 사카이정, 반도시, 모리야시, 도리데시, 기타소마군 도네정, 이나시키군 가와치정, 이나시키시, 가미스시 지바현 노다시, 가시와시, 아비코시, 인자이시, 인바군 사카에정, 나리타시, 가토리군 간자키정, 가토리시, 가토리군 도노쇼정, 조시시 지류와 분류[편집] 도네강 수계의 지류들 중 가장 긴 강인 기누강의 류오쿄 (竜王峡). 도네 강 수계를 흐르는 815계의 하천 중, 도네 강에 직접 합류하는 1차 지류들은 다른 수계나 그 본류의 규모와 맞먹는 대규모 하천인 경우가 많다. 도네강의 지류들 중 가장 긴 하천은 기누강으로, 약 176.7km이다. 이는 간토 지방의 다른 1급 수계 본류인 아라카와강(173km)과 맞먹는다. 또, 지류들 중 가장 유역 면적이 넓은 하천은 와타라세강으로, 약 2,601.9km2이다. 이는 지쿠고강 수계의 전체 면적 (2,683km2)이나, 오카야마현, 히로시마현을 흐르는 다카하시강 수계 (2,670km2), 도야마현과 기후현을 흐르는 진즈강 수계의 전체 면적 (2,720km2)과 맞먹는다. 이 밖에, 길이로는 기누강에 이어 와타라세강과 고카이강이 100km를 넘으며, 유역 면적으로는 와타라세강에 이어 아가쓰마강·기누강·고카이강·히타치토네강이 1,000km2을 넘는다.[43][47] 또 도네강에서 갈라지는 하천, 즉 "분류" (分流)로는 지바현 노다시 부근에서 도네강과 갈라지는 에도강, 지바현 가시와시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흐르다 에도강에 합류하는 도네 운하가 있다. 한편, 사이타마현과 도쿄도를 흐르는 나카가와강은 도네강과는 접촉하지 않으며, 아라카와강과 나란히 흐르면서 도쿄만에 이른다.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이 아라카와강 수계의 지류라는 오해가 있었다. 그러나 1964년에 하천법이 개정될 무렵, 건설성 하천심의회 관리부회는 나카가와강에서 갈라지는 분류인 신나카가와 방수로가 도네강의 분류인 에도강의 분류, 구 에도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본류로부터 갈라져 직접 바다로 이르는 파류 (派流) 와, 그 파류로 흘러들어오는 지류는 모두 같은 수계에 포함한다"는 하천법의 조항에 따라, 하천법 개정 후 도네강 수계가 1급 수계로 지정됨과 동시에 나카가와강을 도네강 수계에 귀속시켰다.[48] 이 때문에 나카가와강과 그 지류들은 모두 도네강 수계의 하천이며, 아라카와강 수계와는 무관하다. 또 하천법이 개정되면서 도네강의 몇몇 지류들도 이름이 바뀌었는데, 지역에 따라 히타치강과 기타토네강으로 불리던 하천은 "히타치토네강"으로 묶였고, 구 에도강은 에도강 방수로의 지류가 되었으며, 신나카가와 방수로는 신나카가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8] 도네강 수계의 주요 지류[47][49]유역 연장 및 유역 면적이 출처로 확인된 1차 지류 및 그 1차 지류에 합류하는 2차 지류만 표기. ( ) 안은 호소와 인공호. 주요 1차 지류 유역 연장(km) 유역 면적(km²) 주요 2차 지류분류 주요 호소 유역 도·현 유역 시·군·구 가타시나강 60.8 673.1 오타키강 다니가와강 구리하라강 스게누마호오지리호마루누마호 소네하라호 미사토호 군마현 누마타시 · 도네군 아가쓰마강 76.2 1,365.9 만자강시라스나강시마강누마오강 하루나호(다시로호)(조슈유노호) (오쿠시마호) (시마호) 군마현 시부카와시 · 아가쓰마군 가라스강 45.2 1,800.7 우스이강가부라강간나강 (우스이호) (묘기호) (아라후네호) (오쿠간나호) (간나호) (신스이호) (헤비카미호) 나가노현 사쿠시 군마현 다카사키시 · 안나카시 · 후지오카시 · 도미오카시 · 간라군 · 다노군 사이타마현 지치부시 · 고다마군 와타라세강 107.6 2,601.9 기류강 마쓰다강 야바강하타가와강아키야마강우즈마강오모이가와강야다강 다타라 늪조누마 늪구사키호우메다호와타라세 유수지야나카호 군마현 미도리시 · 기류시 · 오타시 · 다테바야시시 · 오라군 도치기현 닛코시 · 아시카가시 · 사노시 · 오야마시 · 도치기시 · 가누마시 · 시모쓰카군 · 가미쓰카군 이바라키현 고가시 나카가와강 82.2 986.7 곤겐도강오오토시후루토네강모토아라카와강미사토 방수로아야세강신나카가와강 쇼와 늪구로하마 늪하라이치 늪미즈모토 공원미유키호 사이타마현 하뉴시 · 가조시 · 구키시 ·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고시가야시 · 깃카와시 · 구사카시 · 미사토시 · 야시오시 · 기타사이타마군 · 미나미사이타마군 · 기타카쓰시카군 도쿄도 아다치구 ·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에도강 54.7 200.3 사카가와강마마강구 에도강 지바현 노다시 · 나가레야마시 · 마쓰도시 · 이치카와시 · 후나바시시 · 우라야스시 사이타마현 삿테시 · 가스카베시 · 깃카와시 · 미사토시 · 기타카쓰시카군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도쿄도 가쓰시카구 · 에도가와구 기누강 176.7 1,770.6 오지카강도가와강다이야강다가와강 기누 늪유노코호사이노코호주젠지호(가와마타호)(야시오호)(이카리호)사누마 늪 도치기현 닛코시 · 우쓰노미야시 · 모카시 · 시모쓰케시 · 가와치군 · 시오야군 · 하가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유키시 · 시모쓰마시 · 모리야시 · 조소시 · 유키군 고카이강 111.8 1,043.1 고교강야다 강 우시쿠 늪(하코지마 유수지) 도치기현 모오카시 · 하가군 · 시오야군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 시모쓰마시 · 조소시 · 쓰쿠바미라이시 · 모리야시 · 도리데시 · 류가사키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마카베군 · 유키군 · 기타소마군 히타치토네강 27.5 2,156.7 사쿠라가와강고이세강오노강신토네강요코토네강와니가와강 가스미가우라호기타우라호소토나사카우라호요다우라호(미나미시오 조정지)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이시오카시 · 이나시키시 · 가스미가우라시 · 오미타마시 · 나메가타시 · 호코타시 · 가시마시 · 가미스시 · 이타코시 · 사쿠라가와시 · 지쿠세이시 · 쓰쿠바시 · 우시쿠시 · 이나시키군 지바현 가토리시 그 밖의 1차 지류 및 분류로는 나라사와강, 나라마타강, 다카라가와강, 유비소강, 아카다니강, 우스네강, 히로세강, 오야마강, 하야카와강, 도네 운하, 이누마강, 데가강, 나가토강, 구로베강 등이 있다. 늪과 호수[편집] 이나시키시 쪽에서 본 가스미가우라호. 멀리 쓰쿠바산이 보인다. 도네강 수계에 속한 자연호 중에는 일본에서 제2위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가스미가우라호가 있다. 대부분의 늪과 호수들은 하류 지역에 주로 몰려있는데, 1910년 요시다 도고가 쓴 《도네 치수 논고》에서 이 호소 (湖沼) 들의 생성에 관해 이야기한 바 있다. 이 책에 따르면, 10세기 초 (1000년대)의 도네강 하류에는 "가토리해"라 불리는 거대한 호수가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 가토리해는 가스미가우라호를 비롯하여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 인바 늪 등이 하나로 합쳐져 있었던 것이다.[50] 그 후 기누강, 고카이강에서 운반된 토사가 쌓이고, 에도 시대의 하천 준설 공사와 경작지의 개발에 따른 간척 사업 등등으로 사람의 손이 닿으면서 가토리해의 면적은 차차 줄어들어, 마침내 지금의 강줄기가 되었다.[51] 호수의 생성 원인은 다양한데, 가스미가우라호, 기타우라호, 소토나사카우라호는 바다의 일부가 떨어지면서 호수가 된 것이고, 인바 늪, 데가호, 우시쿠 늪, 스고 늪 등은 강의 흐름이 막혀 호수가 된 것이다. 후루토네 늪은 외따로 분류되는데, 도네강의 인위적인 준설 공사로 예전의 유로가 강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에 있었던 늪으로는 미누마다이 용수 건설에 따라 간척된 미누마 늪이나 구로누마 늪, 가사하라 늪[52], 와타라세 유수지를 건설하면서 와타라세강과 우즈하강의 유로로 편입되며 사라진 아카마 늪[53], 1941년부터 1950년까지 벌어진 간척 사업으로 사라진 우치나사카우라호 등이 있다.[54][55] 상류 지역에 있는 천연 호소들의 대부분은 화산 활동으로 생성된 것이다. 주젠지호는 난타이 산의 분화 활동으로 생긴 용암이 다이야강의 흐름을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이며, 하루나호, 아카이오누마 늪은 각각 하루나산과 아카기산의 화산호이다. 도치기현 닛코시의 사이노코호는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다. 한편, 상류 지역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벌어진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에 따라 여러 곳의 댐이 세워지면서 여러개의 인공호들이 생겼다. 이 인공호들 중 가장 큰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호수는 도네강 본류에 건설된 야기사와 댐의 인공호인 오쿠토네 댐으로, 오쿠토네 댐의 총 저수용량은 2억 430만m3에 이른다. 이는 간토 지방의 호수들 중 가장 많은 양이다.[56] 또한 저수지 면적은 570Ha로, 소토나사카우라호와 맞먹는다.[57] 이 밖에 중류와 하류에는 와타라세 유수지를 비롯하여, 다나카·스고·이나토이의 홍수 조절지, 고카이강의 하코지마 유수지 등이 있다. 한편, 가스미가우라호에서는 1961년에 제정된 수자원 개발 촉진법에 따른 호소수위조절시설로서, 히타치가와 수문을 이용해 다목적 댐으로 바꾸는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이 진행되었으며[58][59], 인바 늪은 1947년의 인바 늪 개발 사업으로 1969년 북부 조정지와 서부 조정지로 나뉘었다.[60][61] 두 사업은 모두 수도권의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천연 호소를 이용하는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의 일부였다. 이 밖에, 주젠지호는 도치기현 당국이 유출구에 1959년 주젠지 댐을 건설하여 주젠지호의 치수와 겐류 폭포의 수량 조절, 그리고 수력 발전 능력의 개선을 꾀하는 등[62] 천연 호소의 개발이 잦았던 것도 도네강 수계의 천연 호소들의 특징이다. 도네강 수계의 주요 호소[63][64][65] 이름 소재지 유출 하천 생성 원인 기수/담수 표고 (m) 면적 (km²) 최대 수심 (m) 비고 가스미가우라호 (전체)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담수 0 220.0 23.3 니시우라호 · 기타우라호 · 소토나사카우라호 포함 니시우라호 이바라키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담수 0 167.6 7.0 호수 수위 조절 시절 기타우라호 이바라키현 와니가와강 해적호 담수 0 35.2 7.8 히타치토네강 유역 주젠지호 도치기현 다이야강 폐색호 담수 1,269 11.8 163.0 기누강 유역유출구에 주젠지 댐이 세워져 있음. 인바 늪 지바현 나가토강인바 방수로 폐색호 담수 1.0 8.9 1.8 북부 · 서부 조정지로 나뉘어 있음. 소토나사카우라호 이바라키현 · 지바현 히타치토네강 해적호 기수 0 5.9 23.3 데가호 지바현 데가강 폐색호 담수 3.0 4.1 3.8 우시쿠늪 이바라키현 야다강 폐색호 담수 - 3.49 3.0 고카이강 유역 스고 늪 이바라키현 이누마강 폐색호 담수 - 2.3 2.0 요다 늪 지바현 야스지강 해적호 담수 - 1.25 - 히타치토네강 유역 하루나 호 군마현 누마오 강 화산호 담수 - 1.15 12.6 아가쓰마강 유역 아카기오누마 늪 군마현 누마오강 화산호 담수 - 0.88 12.6 다타라 늪 군마현 쓰루다강 담수 20.0 0.77 - 와타라세강 유역 사이노코호 도치기현 야나기사와강 유류호[주 9] 담수 1,310 0.7 - 주젠지호에서 떨어져 나감. 유노코호 도치기현 유가와강 화산호 담수 - 0.31 12.0 기누강 유역 기누 늪 도치기현 기누강 화산호 담수 - 0.134 3.0 일본 환경성이 정한 일본의 주요 습지 500곳 중 하나. 그 밖의 천연 호소로는 스가누마 늪, 오지리 늪. 조누마 늪, 쇼와 늪, 구로하마 늪, 하라이치 늪, 후루토네 늪, 가미노이케 늪 등이 있다. 역사[편집] 도네강은 자주 범람하여[주 10]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끼쳤으며, 홍수 때마다 유로가 복잡하게 뒤엉키는 하천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간토 지방의 중요한 강으로 유역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에 많은 혜택을 주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일본의 위정자들로부터 도네강과 그 지류를 치수와 이수의 차원에서 다스리고자 하였다. 중세 이전[편집] 중세의 도네강 유로. 아라카와강과 합류하여 도쿄만으로 흘렀다. 와타라세강, 기누강은 이 때까지는 도네강과는 별도의 수계를 가지고 있었다. 도네강 유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로 추정된다. 군마현의 이와주쿠 유적 등에서 구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하안 단구나 대지 (臺地) 말단부에 살면서, 사냥을 통해 식량을 구하며 생활했던 흔적을 찾을 수 있다.[66] 조몬 시대에는 조몬 해진으로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키시 구리하시에서 태평양 하구까지의 도네강 일대가 모두 바다가 되었으며, 그 주변의 바닷가에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이는 패총의 분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조몬 시대 전기에는 북쪽으로 아카기산 남쪽과 서쪽 기슭이나,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모토아라카와강 유역에 주로 패총이 분포했었다. 그러나 후기에 들어 바닷물이 점차 빠지면서 하류로 사람의 생활 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지바현 지바시, 이치카와시, 마쓰도시 등지에서 조몬 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패총들이 발견되고 있다. 야요이 시대에 들어서는 농경 문화가 간토 지방으로 전래되어, 도네강 유역에서도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3세기 후반의 고훈 시대 즈음에는 지금의 도치기현과 군마현에 해당하는 게노 지방(毛野地方)을 중심으로 장구형 무덤이 발달하였는데, 사이타마현의 사이타마 고분군이 대표적이다.[67] 에도 시대 이전의 도네강은 태평양으로 나가는 지점이 지금처럼 조시시가 아니었다. 에도 시대 이전에는 사이타마현 교다시 부근에서 남동쪽으로 유로를 틀었으며, 지금의 오오토시후루토네강의 유로를 따라 아라카와강, 이루마강과 합류하여 에도만(지금의 도쿄만)으로 흘렀다. 이 가운데 교다시 부근에서는 "아이노카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또 당시 오이가와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와타라세강은 독립적인 하천으로, 지금의 에도강의 유로를 따라 도네강과 나란히 흘러 에도만으로 유출했으며, 기누강도 마찬가지로 독립된 하천으로 고카이강과 합류하여 가토리해로 유출하고 있었다. 이 와중에 도네강의 본류가 정해진 것은 1457년으로, 오타 도칸이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스카베시에서 구사카시를 거쳐 에도만으로 흐르는 하천을 도네강의 본류로 정했다.[68] 또 상류는 지금의 위치보다 더 동쪽에 있었던 히로세강의 유로를 따라, 지금의 이세사키시 부근에서 가라스가와강과 합류했었으나, 1543년에 일어난 홍수로 지금의 유로를 따라 흐르게 되었다.[69] 이처럼 번잡한 유로를 이루고 있었던 도네강은 홍수로 유로가 자주 바뀌었으며, 유역은 수없이 범람 피해를 입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홍수로는 나라 시대인 758년에 기누강에서 있었던 홍수로, 2천여 경(頃)[주 11]의 토지가 황폐화되었다고 한다.[70] 한편, 도네강 유역에서 처음으로 치수 사업이 실시된 때는 768년으로, 기누강의 유로를 바꾸는 공사였다.[71] 한편 최초의 이수 사업은 645년 다이카 개신 후 시행된 반전수수법으로 조리제(條里制)가 도네강 유역에서 실시된 것으로, 지금의 군마현 다카사키시와 오타시, 이바라키현 남부, 사이타마현 북부에서 그 흔적들을 확인할 수 있다.[72] 가마쿠라 시대 (12세기 ~ 14세기)의 가마쿠라 막부는 도네강 개발에 적극적이었는데, 첫 쇼군이었던 미나모토 요리토모는 1194년 도네강 최초의 제방을 무사시국[주 12] 지역에 세웠다. 이어 1199년 4월에는 지토(地頭)들에게 도네강에서 농업 용수를 개발하여 지역을 개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3] 그 뒤로도 막부는 도네강을 계속 개발하였다. 1207년 3월에는 막부가 호조 도키마사에게 도네강 일대를 포함한 무사시국의 개발을 명령하기도 했다.[73] 막부는 둑 건설을 중심으로 한 치수 사업도 꾸준히 진행했는데, 싯켄 호조 마사토키가 1232년에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자리에 가키누마 둑을, 싯켄 호조 도키요리가 1253년에 지금의 이바라키현 사시마군 고카정 부근에 둑을 건설했다.[74] 《슈가이쇼》(拾芥抄; 습개초)에서는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을 통해, 가마쿠라 시대의 경지는 헤이안 시대보다 약 16,000 정보[주 13]가 늘은 66,710 정보[주 14]로 늘어나게 되었다고 밝혔다.[73] 무로마치 시대(14세기 ~ 16세기)의 도네강 유역은 가마쿠라 공방의 지배에 놓였으나, 오닌의 난이 일어난 뒤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서 자주 전쟁이 벌어졌기 때문에, 막부가 주도한 치수·이수 사업은 전무했으며, 센고쿠 시대의 도네강 유역은 이즈국을 근거로 세력을 넓히고 있던 고 호조씨의 지배에 놓였다. 4대 당주인 호조 우지마사는 1576년 곤겐도강에 길이 약 900m의 곤겐도둑을 건설했다.[7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의 뒤를 이어 센고쿠 다이묘들을 공격하고 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고 호조씨를 치기 위해 오다와라 정벌을 일으켰다. 이 무렵, 이시다 미쓰나리가 무사시국의 오시성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1590년 6월에 장마로 물이 들어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둑으로 막은 뒤 오시성을 향해 물길을 보내 성을 무너뜨려 항복을 받아낸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하지만 지형 문제로 성을 침수시키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제방이 무너지면서 도요토미군에서 더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오시성은 7월 16일, 고 호조씨의 본거지인 오다와라성이 함락당한 후에야 항복했다. 이 때 미쓰나리가 축조한 제방을 "이시다 둑"이라 부르는데, 자연 제방들을 묶어서 전장 약 28km의 둑을 1주일 간 만들어낸 것이다.[75] 하지만 이 둑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 것이었기 때문에, 도네강의 치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에도 시대 전기[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도네강 동천 사업입니다. 《메이쇼에도햣케이》 (名所江戸百景) 에 소개된 가사이 용수로. 에도 사람들은 "히키후네강"이라 불렀다. 고 호조씨가 망한 후, 고 호조씨가 장악하고 있던 간토 지방의 무사시국, 사가미국, 이즈국, 시모우사국, 가즈사국 일대와, 고즈케국, 시모쓰케국의 남부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넘어갔다. 이에야스는 무사시국의 남쪽에 있던 에도(지금의 도쿄)에 본거지를 정했다. 이에야스는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수에 적극적이었는데, 처음에 벌인 사업은 1594년, 오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넷째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요시로 하여금 아이노카와강의 물을 막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교다시 부근에서 나뉘는 도네강의 두 갈래 중, 원래 본류로 불리던 아이노카와강을 막아, 유로를 동쪽으로 흐르는 다른 한 쪽으로 일원화하여 와타라세강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듬해에는 도쿠가와 사천왕의 한 사람으로 고즈케국의 다테바야시성을 다스리고 있던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도네강 왼쪽 언덕에 총연장 33km, 높이 4.5m ~ 6m, 둑마루 너비가 5.5 ~ 9.1m에 이르는 둑을 건설했다. 당시 일본 덴노가 사용하던 연호를 따 분로쿠 둑으로 불리던 이 댐은 도네강 유역에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 둑이었다.[76] 이 밖에, 같은 시기에 나카조 둑도 지어졌다. 이러한 도네강 수계의 하천 사업은 세키가하라 전투를 통해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창건한 이후에는 이에야스의 가신으로 미카와 후다이 다이묘가 된 이나 다다쓰구와, 그의 자손들인 이나씨가 맡게 되었다. 다다쓰구가 맡은 사업은 1604년 가라스가와강을 취수원으로 하여 도네강 연안에 총연장 20km에 이르는 비젠쿄 용수[주 15] 나 고즈케국 소자번을 다스리던 아키모토 나가토모가 개발한 덴구이와 용수 하류에 뚫은 다이칸 수로 등이 있다. 다다쓰구의 후손들은 대대로 다이칸카시라, 나중에는 간토군다이를 지내면서, 12대 이나 다다타카에 이르기까지 도네강 수계의 하천 개발을 책임졌는데, 그 중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 바로 "도네강 동천 사업" (利根川東遷事業)이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은 에도만이 하구였던 도네강의 유로를 동쪽으로 옮겨, 지금의 조시시에 새로운 하구를 만드는 에도 시대 최대 규모의 치수 사업이었으며, 지금의 도네강을 만든 계기가 되었다. 사업의 시작과 끝, 그리고 그 목적에 관한 사료는 남아있지 않으나, 뒷날 역사 연구자들이 다양한 설이나 견해를 내놓았다. 사업을 시작한 시기는 구리하라 료스케, 사토 도시로, 혼마 기요토시 등이 주장한 1594년 아이노카와강 물막이 사업 당시라는 설이 유력하다. 반면, 사업을 끝낸 시기로는 혼마 기요토시의 1698년 완료설, 네기시 몬조가 주장한 1871년설, 가와다 다케시가 주장한 1890년 도네 운하 개통 이후설 등으로 의견이 나뉘어 있다. 비록 사업 시기에 대해서는 이처럼 의견이 다양하게 나뉘었지만, 도네강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사업의 목적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어느 정도 의견을 맞추게 되었다.[77] 막부의 근거지인 에도와 도네강 유역의 수해를 막기 위한 치수의 목적.[주 16] 도네강 유역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 촉진. 도로와 운하 정비를 통한 물자의 이동로 확보. 군사적 목적. 센다이번 다테씨를 비롯한 도호쿠의 번주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을 가정하였을 때, 이들로부터 에도성을 지키기 위해 도네강을 북쪽의 대규모 자연 해자로 만들고자 했다. 도네강 동천 사업의 주된 사업으로 우선 1621년부터 1654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아카호리강을 트는 사업이 있었다. 이 사업은 지금의 도호쿠 신칸센 도네가와 교량 근처의 이바라키현 고가시에서 고카정까지의 구간을 개착하여, 1621년에 이나 다다하루가 실시했던 도네강과 와타라세강의 연결 사업인 아라카와도리 개착 사업과 연계하여[주 17] 도네강의 물을 동쪽으로 트는 사업이었다.[78] 이어 1629년부터는 그 때까지 도네강의 지류에 속했던 아라카와강이 새로 물길을 트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루마강 유역으로 들어가면서, 도네강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이를 "아라카와강의 서천" (西遷)이라고 일컬었으며, 옛 유로는 모토아라카와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79] 그리고 1635년부터 1644년까지 에도강의 개착 사업을 시행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세키주쿠에서 도네강과 갈라져 따로 도쿄만으로 흐르는 지금의 에도강의 모습이 갖추어졌다.[80] 또, 하류에서 도네강과 합류하는 기누강과 고카이강의 개수도 시행하였는데, 1629년에 그 때까지 기누강에 합류하고 있던 고카이강을 별도의 하천으로 분리하였으며, 1630년에는 고카이강을 도네강과 합류시키는 사업을 시행했다. 그리고 1662년부터 1666년까지 도네강과 가스미가우라호를 잇는 신토네강을 개착하여, 에도 시대 전반기의 치수 사업에 하나의 단락을 지었다.[81] 도네강을 중심으로 한 에도 막부의 치수 행정은 원래 이나씨가 책임을 지고 있었다. 동천 사업이 절정기에 이른 1642년, 세번째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이나 다다하루에게 제방 개수 사업의 모든 책임을 맡긴 뒤, 이나씨의 하천 행정권이 크게 강해졌다. 하지만 다섯번째 쇼군인 도쿠가와 쓰나요시 대에 이르러, 간토 군다이에 책봉된 이나씨가 간조부교의 관리 밑에 놓이게 되면서, 상대적인 권한은 약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나씨의 하천 사업에 대한 자율권은 유지되었는데, 이나씨의 4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카쓰는 가사이 용수로를 1660년에 직권으로 개착했다. 또 고카이강 유역에서도 이나 다다요시가 1630년에 둑을, 5대 당주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훗날 도요타 둑의 원형이 되는 둑을 건설하였는데[주 18], 이 둑들은 1722년에 완성된 후쿠오카 둑과 함께 "간토 3대 제방"으로 불렸다.[82] 이처럼 이나씨는 막부의 지원 아래 도네강 유역에서 다양한 치수 사업을 시행했는데, 이나씨가 치수 사업 때 사용한 공법들을 "이나류" (流) 내지는 "간토류" 라 일컬었다. 에도 시대 후기[편집] 미누마다이 용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누마 운하의 히가시미도리이치노세키 갑문. 파나마 운하와 같은 방식으로 지어졌으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갑문이다. 1716년 기이번주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여덟번째 쇼군의 자리에 올랐다. 요시무네는 교호의 개혁을 추진했는데, 국고의 안정을 위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여 세금 수입을 늘리고자 하였다. 도네강의 하천 개발은 간조긴미야쿠(勘定吟味役) 자리에 있던 이자와 야소베[주 19]가 맡게 되었다. 이 무렵 이자와가 도네강에서 벌인 사업의 중심이었던 것이 바로 "미누마다이 용수" (見沼代用水)의 개착이었다. 당시 도네강 중류 유역의 무사시국 중북부 지방에 살던 농민들은 1604년에 뚫렸던 비젠쿄 용수를 쓰고 있었고, 비젠쿄 용수가 뚫리기 이전에는 "미누마"라는 이름의 호소를 관개용수원으로 쓰고 있었다. 미누마는 이나 다다하루가 17세기 초반[주 20]에 지금의 사이타마시 미도리구에 핫초 둑이라는 물막이댐을 건설한 것이 나중에 댐으로 바뀌면서, 저수지로 변한 것이다. 이 "미누마 저수지"는 1660년에 뚫린 가사이 용수로와 함께 지역 농민들의 중요한 수원으로 쓰였다. 그러나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게 되면서 관개용수의 수요가 늘어나자, 미누마 저수지의 물이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83] 요시무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자와를 시켜 1725년 9월에 미누마 저수지를 대신할 새로운 용수, 즉 "미누마다이 용수"[주 21]를 개착하게 하였으며, 미누마 지역의 간척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지금의 교다시에 취수구를 설치하여, 호시카와강을 지나면서 히가시미도리와 니시미도리 부분으로 나뉘어 남하하도록 했다.[84] 용수는 1728년 완성되었는데, 이 용수로 마을 303곳의 1만 2,571정, 고쿠다카 기준으로 약 14만 9,136석의 농지가 관개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731년에는 미누마다이 용수를 이용하여 미누마 운하(見沼通船堀 미누마 쓰센보리[*])를 뚫어 수운 교통 수단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이 운하의 갑문은 파나마 운하의 갑문과 같은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데, 이런 방식으로 설계된 갑문 중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85] 또 고즈케국에서는 지금의 오라군 지요다정과 메이와정 사이를 흐르는 도네 가용수가 세워졌다. 1839년 이 지역의 마을 31곳을 다스리던 묘슈들이 막부에게 도네강에서 물을 끌어다 쓸 수 있게 용수를 뚫어달라고 청원한 것을 시작으로, 용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요다와 메이와 지역을 위해 도네강에서 야다강에 이르는 구간의 용수로를 닦았다. 이후, 낙차가 모자라 물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1846년과 1855년에 용수로를 다시 손보았다.[86] 막부의 새로운 경작지 개발은 차차 도네강 하류 지역으로 확대되는데, 호소를 간척해 경작지로 바꾸는 정책도 시행되었다. 데가호 간척과 인바 늪 간척이 대표적인 사례로, 데가호에는 1636년에 간척용 배수로인 벤텐 수로가 뚫렸으며, 1661년에 벤텐 수로를 바탕으로 데가호를 간척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671년에 가이노야 사쿠베가 처음으로 데가호의 232Ha를 경작지로 바꾸었다. 그러나 1676년, 1729년, 1739년의 간척 계획은 홍수로 모두 실패했다. 몇 차례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막부는 1785년 대규모 간척 사업을 거의 완성시켜갔다. 하지만 이 또한 도네강 유역의 대홍수로 간척지가 큰 피해를 입으면서 만족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게 됐다.[87] 한편 인바 늪 간척은 1724년 소메야 겐에몬이 막부로부터 6,000냥의 자금을 빌려 시행했으나, 중간에 자금이 모자라 실패했다. 1783년에 로주 다누마 오키쓰구가, 1840년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가 덴포의 개혁으로 인바 늪 개발 계획을 세웠지만, 모두 계획을 입안했던 다누마와 미즈노가 실권을 잃으면서 중지되었다.[88] 도네강 하류의 간척 사업들 중 유일하게 성공한 주로쿠섬 개발은 지금의 가토리시 인근에 있던 사주(砂洲)인 주로쿠섬 지대에 새로운 경작지를 개간하는 것이었는데, 히타치국의 에도사키성을 다스리고 있던 히타치토키씨를 섬기던 신하들이 1590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허락을 받아 우에노시마 마을을 개착한 것이 시초였다. 그 후 1640년 이소야마 마을을 간척하기까지, 14개의 마을을 간척했다.[89] 한편 에도 시대 후기의 치수 사업은 1728년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이자와 야소베를 시켜 에도강을 뚫는 것과 쇼나이후루카와강의 분리 사업을 명령한 것이 시초로, 1742년 8월 도네강에 대홍수가 일어난 뒤 같은 해 10월부터는 수해 복구 작업이 시행되었다. 조슈번, 구마모토번, 쓰번 등 간사이 지방의 10개 번에서도 이에 맞추어 강들을 준설하는 사업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수해 작업은 도자마 다이묘들의 재정력을 약화시켜 이들을 감시하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다.[90] 그러나 1783년 7월에 발생한 아사마산 대분화로 화산쇄설류가 아가쓰마강에 스며들어 도네강, 에도강까지 번지면서 강바닥이 평상시보다 더 높아지고, 제방 등의 하천 시설들이 무너지면서 홍수의 위험성이 커졌다. 그러자 막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방을 보수하고, 강바닥을 다시 파냈으며, 1843년에는 1654년 이후 약 200년 만에 아카호리강을 준설했다. 같은 시기에 에도강의 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보다시"(棒出し)라 불리는 일종의 수제(水制)를 설치하기도 했다.[91][주 22] 또, 18세기 초반 막부의 하천 행정은 간조긴미야쿠에 중용된 이자와 야소베가 맡았다가, 나중에는 후신야쿠 (普請役), 1725년에 설치되어 1732년에 폐지된 시센부교(四川奉行)[주 23] 등의 관직을 거쳐 간조부교 5명이 공동으로 책임지게 되었다. 이 때에도 모든 토목 작업은 반드시 간토군다이였던 이나씨의 재가를 거쳐야 했기 때문에, 이나씨의 영향력은 여전히 강했다. 그러나 12대 당주였던 이나 다다타카가 1792년 행실이 모범적이지 못하다는 명목으로 가이에키(改易)를 당해 다른 봉지로 쫓겨나면서, 이에야스 시대부터 도네강의 치수 사업에 깊숙히 개입하고 있었던 이나씨는 물러나고 간조부교가 관리하는 "시센요스이호 후신야쿠"(四川用水方普請役)라는 자리가 치수 사업을 대신 책임지게 되었다.[92] 에도 시대의 도네강 동천 사업, 아사마산 대분화 이후의 준설 사업 등의 대규모 치수 사업으로 도네강의 방대한 물들은 와타라세강 등과 함께 가토리해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이로써 에도를 비롯한 무사시국 지방의 수해는 차차 줄어들었으며, 반면 새로운 경작지를 개발하면서 고쿠다카의 수는 차차 늘어났다. 또 도네강은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에도 지방의 수운 교통로 역할도 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치수 사업에는 역효과도 있었는데, 에도강의 수면보다 표고가 낮은 가스마기우라호 등 하류 저지대는 치수 사업을 거치면서 오히려 수해가 늘어나, 메이지 시대 이후 현대 일본 정부의 도네강 치수 사업에서 중요한 당면 과제로 남게 되었다.[93] 근대의 도네강[편집] 에도가와 수갑문 (1)과 교토쿠 가동 댐(2)의 항공 사진. (출처는 일본 국토교통성.) 1868년에 메이지 정부가 세워지면서, 일본의 행정 기구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하천 행정은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1874년부터 내무성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책임지게 되었는데, 도네강은 1875년 6월 16일에 설치된 내무성 토목료 (土木寮) 산하 도네강 출장소가 맡게 되었다. 이 출장소가 지금의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의 시초였다.[94] 또 1896년 일본 정부는 하천법[주 24]을 공포하여, 도네강을 하천법의 적용을 받는 하천으로 지정했다. 이후의 근대 도네강 개발은 내무성이 주도하게 되었다. 일본 정부는 네덜란드식 치수 공법을 일본 각지의 하천에 도입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코르넬리스 요하네스 판 도른 (Cornelis Johannes van Doorn)을 초빙하여 1872년에 도네 강의 측량 조사를 맡겼는데[95], 이 계획은 1886년 네덜란드인 안토니 토마스 루베르터스 로웬호스트 멀더 (Anthonie Thomas Lubertus Rouwenhorst Mulder)가 세운 "도네강 개수 사업"으로 구체화되었다.[96] 이 사업의 주요 목표는 지금의 군마현 사와군 다마무라정에서 도네강 하구에 이르는 구간을 대상으로 곳곳에 제방을 세워 수해를 예방하고, 도네 운하를 뚫어 수운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 때 처음으로 도네강의 계획 고수 유량을 쟀는데, 초당 3,750m3으로 추산되었다.[97] 사업은 3단계로 나뉘어 시행되었는데 이 사업이 진행되던 사이 1890년 도네 운하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1910년 8월, 두 개의 태풍이 간토 지방을 관통하면서 도네강 유역에 대규모 홍수가 일어났다. 일명 "1910년 8월 대홍수"로 불린 이 수해로 769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북쪽으로는 마에바시시와 미도리시, 서쪽으로는 후지오카시, 남쪽으로는 가와고에시에 이르는, 도네강의 광범위한 배후 지역이 물에 가라앉아 한동안 간토 지방 중앙부는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98] 수해 직후, 일본 정부는 도네강 개수 사업을 대규모로 개정하여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5,570m3까지 상향했다. 사업 계획을 고치는 과정에서 와타라세 유수지를 만드는 사업 계획도 생겼는데, 이 유수지는 그 무렵 아시오 광산에서 대량의 광독이 유출된 일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것으로 정부는 곧 유수지 건설을 정식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99] 이 밖에 제방과 호안의 건설, 1921년에는 요코토네 갑문 건설, 1922년에는 인바 수문 건설, 1923년에는 오노강 수문 건설을 차례로 진행했다. 또한 정부는 도네강 하류에 새로운 수로를 뚫는 사업을 1889년부터 1922년까지 진행했으며, 1926년에는 도네강과 곤겐도강을 물막이로 갈라놓는 사업을 시행했다.[100] 한편 에도강에서는 1927년 세키주쿠 수문과 세키주코 고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에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하고자 하였으며, 하류부에는 1920년에 에도가와 방수로를 건설해 유량 조절 능력을 높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근대기 도네강 개수 공사는 에도강 방수로의 보수가 끝난 1930년에 마침표를 찍었다.[101] 한편, 개수 사업을 한창 진행하던 1923년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도네강 중류의 116곳의 둑들이 무너지거나 헐렸는데, 이 둑들을 복구하는 작업도 진행해야 했다.[102] 그러나 개수 사업이 끝난 뒤에도 도네강은 홍수에 시달렸다. 1935년 9월과 1938년 6월 ~ 7월, 1941년 7월에 일어난 홍수들은 모두 개수 사업을 계획할 당시에 정해놓았던 계획 고수 용량을 크게 초과한 유량을 기록했다. 특히 1938년 여름에 일어난 홍수는 도네강 하류부와 그 배후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는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은 에도 시대 이전에 가토리해에 속해 있었던 지역이었다.[103] 이에 일본 정부는 기존의 개수 사업을 대신할 새로운 도네강 치수 사업의 책정을 검토했다. 내무성은 아라카와 방수로 건설의 총 지휘를 맡았던 내무성 내무기감 아오야마 아키라를 위원장으로 하는 "도네강 치수 전문위원회"를 설립하고, 계획 고수 용량을 초당 1만m3로 상향했다. 이는 1910년에 상향된 고수 용량의 약 두 배에 이르는 수치였다. 이것을 시작으로 "도네강 개수 사업 증보 계획"이 1938년에 열린 제73회 제국 의회에서 가결되어, 193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104] 이 사업의 주된 계획은 와타라세 유수지를 홍수 조절이 가능한 늪지대로 바꾸는 것과, 도네가와 방수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 무렵 와타라세 유수지는 홍수가 일어났을 때 물들을 스스로 저장할 수 있었지만, 정부는 유수지 주변으로 둑을 에워싸 유수지의 홍수 시 저수 기능을 강화해 조정지로 개량하고자 하였다. 한편 다목적 방수로인 도네가와 방수로를 만드는 사업은 지금의 지바현 아비코시 후사 (지금의 동일본 여객철도 나리타 선 후사 역 주변)를 기점으로 인바 늪 서쪽 끝을 거쳐 지금의 지바시 하나미가와구 게미가와와 가이힌마쿠하리 사이를 흘러 도쿄만으로 유출하는 총연장 27km의 방수로를 뚫어 도네강 하류의 수위를 2m 낮추고, 데가호와 인바 늪의 치수와 간척을 수월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또, 정부는 방수로를 도네 운하를 대신할 대규모 운하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방수로를 뚫는 데 쓰고 남은 부지들을 매립지로 써 방수로 주변으로 공업 지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이 밖에 다나카·스고 조정지를 새로운 유수지로 개발하는 사업, 도네 운하를 방수로로 바꾸는 사업, 도네강 중류부의 둑들을 보수하는 공사도 새로운 사업 계획에 들어있었다.[105] 우선 1937년, 1935년 9월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둑을 보수하는 일부터 시작했으며, 그 후 와타라세 유수지의 새로운 제방을 공사하기 시작했다. 도네 운하는 내무성이 도네 운하 주식회사로부터 운하를 사들여, 도네강과 운하가 이어지는 것을 일단 막은 뒤 방수로화 공사를 시작했다. 고카이강에서는 기존에 있던 둑을 가동 댐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도네가와 방수로는 태평양 전쟁으로 예산, 자재, 인력이 모두 충분히 모이지 않아 시행하지 못했고, 사업은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항복한 1945년까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106] 전쟁 이후의 치수 사업[편집] 태풍 캐슬린의 피해를 입은 도네 강 유역의 범람도.[107] 1947년 9월, 태풍 캐슬린(Kathleen)이 도네강 유역을 덮쳤다. 역사상 유례없는 폭우는 전쟁으로 이미 황폐화되어 있던 도네강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지금의 사이타마현 가조시, 구 오토네정 인근의 둑이 무너져 탁류가 도쿄도 가쓰시카구, 에도가와구 일대까지 흘러들게 되었다. 또 가라스가와강 유역, 와타라세강 유역은 거의 전역에서 강물이 범람하여 하나의 호수처럼 되고 말았다. 당시 일본 전국에서 죽거나 사라진 사람의 수는 1,910명인데, 이 중 도네강 유역에서만 1,100명이 죽은 것으로 밝혀졌다.[108] 하지만 일본은 전쟁으로 너무나 많은 국력을 소모했기 때문에 치수 사업을 재개할 여력이 없었으며, 전쟁 중에 너무 많은 나무들을 베어가는 바람에 물을 막아줄 숲들이 사라지면서 각지에서 홍수 피해가 계속 일어나 캐슬린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점차 늘어나기만 했다. 이에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경제안정본부는 해체된 내각성이 맡고 있던 하천행정을 이어받은 건설성에 새로운 하천 개수 사업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이 때 건설성에서 작성한 계획을 《하천 개정 개수 계획》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도네강 수계를 포함하여 일본의 주요 10수계[주 25]를 대상으로 종합적인 치수 대책을 세우는 것이었다. 이 계획에 따라 1949년부터 도네강에서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책정되었으며, 여기에는 댐 건설 계획도 들어가 있었다. 하지만 도네강에 댐 계획이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개정 개수 사업 계획이 시행되기 전인 1926년이었다. 당시 정부는 기누강의 지류인 오지카강에 이카리 댐을 건설하려 했으나, 지형 문제와 이어 터진 전쟁 때문에 도중에 공사가 멈추면서 실패했다. 하지만 1947년 태풍 캐슬린이 유역을 관통하자 정부는 도네강의 계획고수용량을 초당 17,000m3으로 상향하게 되었고, 그 중 초당 14,000m3을 제방, 와타라세·다나카·스고·이나토이에 있는 네 곳의 유수지와 도네강 방수로를 통해 빼내고, 남는 초당 3,000m3의 유량은 상류의 댐들로 조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도네강 상류 19곳의 댐 건설 후보지를 검토한 끝에, 후지와라, 누마타, 아이마타, 소노하라, 얀바, 사카하라[주 26] 등 6곳에 댐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또 기누강에는 예전에 계획했던 이카리 댐에 가와마타 댐이, 와타라세 강에는 쿠사키 댐의 전신인 고도 댐이 세워지게 되었다. 마침내 1956년 이카리 댐이 완성된 것을 시작으로, 1957년 후지와라 댐이, 1959년 아이마타 댐이 완성되어 가동을 시작했다. 한편 하류에는 새로이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의 새 유로, 도네강 하구 도수제, 에도강 교토쿠 댐 등이 계획되거나 지어졌다.[109] 이 무렵 치수만큼이나 가장 중요했던 문제는 바로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식량과 전력이 너무나 모자랐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26년 도쿄 제국대학 교수였던 모노노베 나가호가 제안한 "하수 통제" (河水統制)라는 개념을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내무성이 도입하여 "하수 통제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니시키가와강 등의 치수 사업에 적용해왔으며, 전쟁이 끝난 뒤 테네시강 유역 개발 공사를 벤치마킹한 "하천 종합 개발 사업"을 시행했다. 이 사업에는 종전의 치수 사업 뿐만 아니라, 수력 발전과 관개 시설의 설치도 들어가 있었다. 이와 같은 하천 개발이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추진되던 1950년, 제3차 요시다 내각이 《국토 종합 개발법》을 제정하여 일본을 22개의 특정한 지역으로 나눈 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추진했다. 도네강 수계도 대상 지역에 들어가게 되었다. 1951년 12월, 각료 회의가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결정한 것이었다.[110] 그 후 도네강의 하천 사업은 도네강 수계 전역에 걸쳐 치수·이수 (利水) 등 양면의 고른 발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도네강 수계의 하천 종합 개발은 1936년 도쿄시[주 27]가 주도해 시행한 에도강 하수 통제 사업이 시초이다. 이는 에도강 수갑문(水閘門)을 이용해 새로운 용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111] 이어 군마현이 수력 발전을 목적으로 도네강 최상류부에 댐을 건설하는 《군마현 도네강 하수 통제 계획》을 1937년부터 시행하였으며, 1940년에는 도쿄시가 《도쿄시 제3차 수도 확장 계획》의 수도 발원지로서 도네강을 이용하기 위해 군마현의 계획에 동참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면서 물거품이 되었다.[112] 전쟁 이후 《도네강 개정 개수 사업》이 책정되면서 치수 사업이 재개되었지만, 내각이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입안하면서 대규모 하천 종합 개발로 그 규모가 커지게 되었다. 이 계획은 개정 개수 사업의 치수·모래막이 사업과 더불어 기존 댐들의 다목적 댐화, 다다미강의 오제가하라 댐에서 가타시나강으로 물을 유도하는 사업을 비롯한 수력 발전 계획, 인바 늪·데가호 간척, 료소 용수 개발[주 28], 국도 4호선, 국도 6호선 등의 도로망 정비를 포함한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이 계획에서 일본의 수도권 지역의 생활용수를 책임지는 야기사와 댐이 처음으로 등장했다.[113]。 도쿠다 규이치가 제안한 도네강 종합 개발안 중에는 뒷날 실현된 사업이 많다. 이 무렵, 도네강의 치수와 이수 사업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냈다. 그 중에 일본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도쿠다 규이치가 낸 의견도 있었다. 도쿠다는 1949년,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초석》(『利根川水系の綜合改革 - 社会主義建設の礎石』)이라는 책을 냈는데, 거기서 도쿠다는 태풍으로 도네강 지역이 참혹한 피해를 입은 것은 에도 시대의 봉건 체제와 제국주의 천황제 때문이라고 규탄했다.[114] 그러면서 도쿠다는 도네강 방수로와 가스미가우라 방수로, 고카이강 수로를 통해 하류 지역의 치수 사업을 해결하고, 에도강, 후루토네강, 모토아라카와강으로도 수로를 연결하여 운하로 이용하자고 주장했다. 또 도쿠다는 사이타마현 혼조시에서 도쿄도 다치카와시까지 도네강과 아라카와강, 다마강을 잇는 대운하를 뚫어 수도권 주민들을 위한 수운과 관개수로, 상수도, 공업용 수도 등으로 이용하고, 도네강과 보소 반도의 작은 하천들을 연결하는 운하를 지바현 모바라시까지 건설해 간척 사업에 이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도쿠다는 산간 지역에는 여러 곳에 댐을 적극적으로 건설하는 한편, 소비에트 연방으로부터 대량의 목재를 들여와 숲지대를 조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115] 도쿠다는 이러한 모든 사업을 시행하는 데 드는 비용은 독점 기업을 운영하는 자본가나 불법적인 사업으로 돈을 모은 사람들에게서 8,000억 엔을 징수하여 마련하면 된다고 주장했다.[116] 급진적인 내용이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도움을 청하자는 내용의 민감성 때문에 건설성은 도쿠다의 안을 채택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도쿠다가 주장한 운하론의 일부는 무사시 수로나 보소 도수로 등으로 실현되었다. 20세기 중후반의 개발 사업[편집] 야기사와 댐. 도네강 수계의 댐들 중 가장 많은 저수용량을 자랑한다. 《도네 특정 지역 종합 개발 계획》을 시행하던 무렵의 일본은 한국 전쟁 특수 경기로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었다. 경제 성장은 급격한 공업용수 수요의 증가를 야기했으며, 일본의 인구는 도쿄를 중심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1957년에 도쿄도민을 위한 용수의 공급지로 다마강에 오고우치 댐을 만들었지만, 급격한 수요 증가를 막기엔 턱없이 모자라 도쿄에서 올림픽이 열리던 1964년에는 도쿄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갈수 사태가 일어났다. 또 농업 기술이 발전하면서 경작할 수 있는 대지는 늘어났지만, 그만큼을 충족할 수 있는 농업용수는 없었다. 결국 1958년년, 도네강 하류를 중심으로 염해가 발생하여 많은 농지가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1950년대 ~ 60년대 당시 일본의 수도권에서는 물의 확보가 긴급한 과제였다. 일본 국회는 1961년 수자원 발전 촉진법을 제정하였으며, 1962년에 일본 정부는 나중에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로 전환하는 "수자원 개발 공단"을 발족시켰다. 또, 정부는 도네강과 오사카권의 요도가와강, 나고야권의 기소강, 후쿠오카권의 지쿠고강 등을 대상으로 수자원 광역 종합 계획을 시행했다. 우선 1967년과 1968년에 각각 야기사와 댐과 시모쿠보 댐을 건설하였고, 1969년에는 중류부에 도네 댐(利根大堰)을 건설하였다. 또한 수자원 개발 공단은 도네 도수로 (무사시 수로·아사쿠 수로)를 건설하여 도네강과 아라카와강을 연결해 도쿄도 수도국의 아사카 정수장으로 물을 보내어 도쿄도민의 물 수요를 채우고자 하였다. 한편 1971년에는 도네강 하구언을 건설해 염해의 방지와 수도권의 물 공급량 증가를 도모하는 한편, 상류부에는 1969년에 군마 용수를 건설해 아카기산, 하루나산 등지를 새로이 개간케하고자 했다. 중류부에는 미누마다이 용수와 사이타마 용수로를 정비하여 간토 중앙부의 관개 시설을 보완하였고, 보소 반도 중남부에서는 인바 늪을 간척 (1968년)하고 보소 도수로를 1997년에 신설하였다.[117][118] 또, 가스미가우라호에서도 1963년에 지었었던 히타치 강 수문을 이용해 호수를 댐으로 만드는 《가스미가우라 종합 개발 사업》 (1996년)을 시행했다.[119] 한편 1976년에는 구사키 댐, 1991년에는 나라마타 댐을 완성하여 수도권의 치수 및 이수를 강화했다. 이와 같은 계획을 차차 진행하던 중, 공단은 1974년에 도네강의 개발 계획과 아라카와강의 개발 계획을 아우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계 수자원 개발 기본 계획》을 수립했다. 도네강은 1964년에 개정한 하천법에 따라 1급 하천이 되었고, 이후 환경성이 도네강의 치수 사업을 계속 주도하게 되었다. 1965년에는 《도네강 수계 공사 실시 기본 계획》이 책정되었는데, 이 계획은 이후 도네강 치수를 위해 지켜야 할 새로운 방침이 되었다. 정부는 이 새로운 계획의 책정에 따라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을 계속 상향하여, 지금의 도네강의 기본고수용량은 초당 22,000m3에 이른다. 이 사이 와타라세 유수지의 조정지화를 1997년에 완성했고, 유수지 안에 저수지를 만들어 유수지를 다목적 댐으로 이용하는 《와타라세 저수지 계획》도 1989년에 완성되었다. 또, 다나카 조절지 (1965년), 스고 조절지 (1960년)를 비롯한 여러 유수지도 제 모습을 갖추었다.[120] 댐으로는 소노하라 댐과 가와마타 댐 (모두 1965년), 가와지 댐 (기누강, 1983년)이 새로 생겼고, 내수 범람의 방지와 새로운 용수의 확보, 데가호의 수질 개선 등을 목적으로, 도네강과 에도강을 연결하는 다목적 인공하천인 기타치바 방수로도 2000년에 완성했다. 2007년에는 나카가와강, 오오토시후루토네강 등의 물을 에도강으로 끌어내 홍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2007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 하천인 수도권 외곽 방수로를 완성했다.[121] 도네강과 도네강 수계는 이처럼 끊임없는 치수·이수 사업을 통하여, 도쿄권 뿐만 아니라 게이힌 공업 지대, 게이요 공업 지대, 가시마 임해 공업 지대 등의 수자원, 전력 자원으로 쓰이면서 일본 경제와 일본 국민의 삶의 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위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도네강의 치수 안전도는 100년 ~ 2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으로, 도네강 유역과 인구밀도가 비교적 비슷한 독일의 라인강 수계의 안전도가 1,250년에서 길게는 10,000년에 한번 준설해야 하는 수준인 것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122] 또 도네강에서 퍼올리는 초당 123m3의 이수총량 중, 25%에 해당하는 초당 33m3의 양은 도네강의 유량이 충분할 때만 취수할 시 있으며, 기후 변화에 따라 강수량이 줄어들면서 도네강 수계의 댐 8곳에서 나오는 용수 보급량은 20% 감소했다.[123] 이와 같은 치수·이수 상의 문제를 해결코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계획》을 책정하려 하고 있으며, 그 사전 단계로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을 정했다. 이 방침에는 제방·호안의 정비와 기존 하천 시설의 유지·보수 외에 얀바 댐, 유니시 댐, 난마 댐 등의 다목적 댐 건설 사업, 이나토이 조절지의 굴착과 둑 공사, 그리고 도네강 방수로의 시공을 추진하고 있다.[124] 개발과 지역 마찰[편집] 다나카 쇼조는 아시오 광독 사건의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와타라세 유수지의 건설을 반대했다. 얀바 댐 건설 예정지 (2006년, 아가쓰마강). 1952년에 처음으로 계획한 이래, 아직도 완성하지 못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의 국무교통대신이었던 마에하라 세이지. 도네강의 하천 개발로 말미암아 유역 주민은 혜택을 얻기도 했지만 개발에 따라 많은 희생과 불편을 감수해야 했으며,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끼리나 지방 자치단체들과 대립하고 있다. 1592년, 지금의 사이타마현 구마가야시 부근에 건설한 나카조 둑은 전부터 있었던 자연 제방을 증축하는 방식으로 만든 둑이었다. 이 둑은 주위에 있던 몇개의 둑들을 이어, 홍수가 일어났을 때 둑 상류부에 물을 막아두었다가, 강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연적으로 도네강으로 물율 흘려보내는 유수지의 기능을 맡고 있었다. 나카조 둑의 홍수 조절량은 초당 4,000m3로, 현재 도네강 상류에 있는 8곳의 댐과 맞먹는 처리 능력을 발휘했으며, 물이 정해진 용량을 넘으면 시노부(지금의 교다시) 쪽으로 흘려보냈다. 이 때문에 둑 상류의 가미고 지구와 하류의 시모고 지구는 둑을 어떻게 운용하는 지를 두고 이해 관계가 엇갈려 줄곧 대립해왔다. 가미고 지구는 나카조 댐의 높이를 가능한 최대한 낮춰 홍수 피해를 막으려 한 한편, 시모고 지구는 반대로 둑을 최대한 높여서 홍수 피해를 막고자 했다. 때문에 홍수로 파괴된 둑을 다시 복구할 때마다 두 지역은 이 문제를 두고 크게 반목했다. 에도 시대에는 막부의 절대적 통제 하에 두 지구가 공동 조합을 결성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메이지 시대에 이르러 중앙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나카조 댐을 대신할 새로운 둑의 건설을 요구하는 가미고 주민들과, 나카조 둑을 이대로 유지·보수하기를 요구하는 시모고 주민들이 다시 대립하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경관대와 주민들이 충돌하고 사이타마현 의회가 현지사의 불신임 결의를 채택하는 등 현 전체로 혼란이 번지기에 이르렀다. 마침내 내무성이 도네강 개수 계획의 하나로 지금과 같은 연속 제방 방식을 채택하여 사태를 수습했지만, 뛰어난 치수 능력을 발휘하고 있었던 나카조 댐의 기능은 이 방식으로 인해 약해졌다.[125] 또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의 책정 이후로 정부가 추진하고자 했던 고카이 강의 이설 계획은 새로운 물길이 지나갈 기타소마군 도네정 주민들을 중심으로 격렬한 반대 여론에 부딪쳐, 1953년 11월에는 취재를 위해 지역을 찾은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마이니치 신문 등의 기자단을 성난 주민들이 감금하고 집단 폭행하는 사건이 터지기에 이르렀다. 결국 1980년에 정부는 치수 계획을 개정하면서 고카이강의 이설 계획을 폐지하고, 대신 강의 제방을 보수하기로 하였다.[126] 한편 댐과 유수지를 건설하면서도 많은 주민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떠나야 하는 등의 희생을 치러야 했고,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커져 마찰이 잦아졌다. 와타라세 유수지는 원래 아시오 광독 사건의 대책으로 계획한 것이지만, 건설 예정지 주변에 살고 있던 도치기현 시모쓰가군 야나카촌(지금의 도치기시의 일부) 주민 300세대가 유수지를 건설하게 되면 떠나야 했기 때문에 다나카 쇼조 등을 중심으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여론을 무시하고 토지 수용법에 따른 강제 집행을 시행하여 주민들을 뿔뿔이 흩어놓았으며, 야나카촌은 결국 사라졌다.[127] 또 전쟁 이후의 《도네강 개정 개수 계획》에 들어가 있었던 후지와라 댐은 지역 주민의 양해를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개시했다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군마현의 중재와 함께, 당시 새롭게 부임한 댐 공사 책임자가 지역 주민들과 타협을 시도하면서 가까쓰로 무마할 수 있었다.[128] 가타시나강의 소노하라 댐에서도 오이가미 온천의 일부가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자 주민들이 반대 운동을 주도했다. 오이타현 시모우케 댐 예정지에서 일어난 하치노스 성 분쟁[129], 지쿠고강의 마쓰하라 댐 반대 운동 등과 더불어 "동쪽의 소노하라, 서쪽의 마쓰하라와 시모우케"로 불릴 정도로 규모가 컸다.[130] 또 아가쓰마강의 얀바 댐은 가와라바 온천의 수몰을 반대한 주민들의 계속된 반대로 계획이 시작된 1952년 이후 60년이 넘도록 완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누마타 댐은 수몰 세대가 2,200세대에 이르렀기 때문에 누마타시민들 뿐만 아니라 군마현민들도 반대 운동에 나서 우여곡절을 치른 끝에 1972년 제1차 다나카 가쿠아에 내각이 계획을 백지화했다.[131] 1973년, 일본 정부는 수몰 지역의 생활권 보존 대책으로 《수원지역대책특별조치법》을 시행하여, 가와지 댐, 기류카와 댐, 얀바 댐, 난마 댐, 유니시가와 댐, 가스미가우라호 등의 주위에 살던 주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주변 지역의 집중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댐 건설과 호수 개발로 이득을 보는 하류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돈을 걷어 재단법인 "도네강·아라카와강 수원지역대책기금"을 1976년에 설립하여, 수몰 지역을 위한 대책 마련에 힘썼다.[132] 광역 하천 개발을 두고도 이해 관계에 따른 대립이 커졌다. 《도네강 개수 증보 계획》으로 등장한 도네강 방수로 계획은 태풍 캐슬린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도쿄도와 사이타마현에서는 찬성했지만 데가호와 인바 늪의 개발이 늦어질 것을 우려한 지바현은 반대하는 등 지방 자치단체마다 의견이 달랐으며, 용지 매수와 막대한 사업비 도출에도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다. 이렇게 사업을 질질 끄는 사이 방수로 건설 예정지에는 주택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경작지로 사용하면서 지금까지 착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133] 또 오제하라 댐 계획은 댐의 환경 파괴를 우려한 후생성 (지금의 후생노동성), 문부성 (지금의 문부과학성), 일본자연보호협회가 반대했으며, 다다미강 및 아가노강의 수리권(水利權)을 갖고 있었던 후쿠시마현, 니가타현도 반대했다. 거기에 댐 계획을 통해 도네강 수계의 분수를 요구했던 도쿄도 등 간토 지방의 1도 5현과 격렬하게 대립한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쪽으로 도호쿠 지방의 다른 현들도 개입하여 오제하라 댐 계획과 도네강 수계의 분수는 간토 지방과 도호쿠 지방 간의 정치적 지역 갈등으로 발전했다. 이 문제는 1996년에 사업 책임자 도쿄 전력이 오제의 수리권을 포기하기로 하여 종식되었다.[134][135]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 보호와 공공 사업에 대한 여론이 커지면서, 댐 사업을 비롯한 하천 개발도 일본 국민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여론을 수용하여, 제2차 하시모토 내각이 대규모 공공 사업을 축소[주 29] 하였으며, 제1차 고이즈미 내각도 도네강 수계에 있던 가타시나강의 도쿠라 댐 계획 등을 중지했다. 2009년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승리하여 여당이 된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국토교통대신이 된 마에하라 세이지는 얀바 댐 계획을 비롯하여 계획 중이거나 건설 중인 국토교통성 직할 댐 사업의 동결을 발표했다.[136] 하지만 하천 개발로 이익을 얻고 있었던 도쿄도를 비롯한 하류 지역 지방 자치단체들과, 댐 건설 예정지였던 아가쓰마군 나가노하라정, 가와라바 온천 조합 등은 마에하라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여 민주당 정권과 대립하게 되었다. 고규격 제방도 2010년 국정감사에서 폐지하기로 결정했으나, 이시하라 신타로 현 도쿄도지사는 "댐 건설은 중요한 사업"이라며 내각의 결정을 비판했다.[137] 2008년에 내각부 중앙방재회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도네강에서 태풍 캐슬린이 불어왔을 때와 같은 홍수 피해가 발생하면 최악의 경우 3,800명이 죽고, 160만명의 수재민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138] 이 때문에 일본 댐 협회를 비롯한 하천공학 전문가 단체들은 "얀바 댐 등의 치수 공공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39] 다른 한편으로 시민단체가 얀바 댐 등의 사업 부담금 징수에 대한 정지 소송을 재판소에 낸 바 있으며[140], 2000년대에 이르러 하천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나 정부의 방침 전환으로 도네강의 치수·이수 사업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주해[편집] ↑ 가라스 강의 지류인 가부라 천의 2차 지류인 미나미마키가와 천의 3차 지류, 우마사카 천이 나가노 현 사쿠 시에서 발원한다. ↑ 오제실잠자리 (オゼイトトンボ)와 홋카이도실잠자리 (エゾイトトンボ)류로, 이들은 일본 도호쿠 지방과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퍼져있는 종이다. ↑ 고쿠초 (国蝶 국접[*]) ↑ 일명 "하코네산도롱뇽" (Onychodactylus Japonicus)이라고도 부르며, 지리산 등지에 서식하는 한국꼬리치레도롱뇽과 서식 환경이 거의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기사) ↑ 잉어목 납줄개아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일본 고유종이다. 학명은 Acheilognathus typus 이다. ↑ 한자는 시네쓰히코 (しいねつひこ)라고도 읽을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비슷한 예로는 금강이 있다. 금강 중, 충청남도 부여군 (구 백제 사비성 일대)을 지나는 지역에 한해 백마강 (白馬江)이라 불리고 있다. 관련 기사. ↑ 일본에서, 국토교통성과 수자원기구가 관리하는 댐 및 주변 구간은 모두 국토교통성이 관리하고 있다. 이를 특정 수리 (特定水利)라 한다. ↑ 遺留湖. 원래 다른 호수와 하나였다가, 외따로 떨어진 호수를 가리킨다. ↑ 일명 "아바레가와" (暴れ川)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이는 직역하면 "사나운 강"이라는 뜻이다. ↑ 경(頃)은 고대 일본에서 쓰이던 토지 면적 단위였다. 1경 당 약 1Ha에 해당한다. 이 홍수로 약 2,000Ha의 면적이 피해를 입었었다. ↑ 지금의 도쿄도 및 사이타마현 일대를 다스리던 율령국의 하나였다. ↑ 약 158,677,686m2에 해당한다. 1정보는 3000평으로 계산하며, 1평은 약 3.3m2이다. ↑ 약 661,586,777m2에 해당한다. ↑ 같은 이름을 쓰는 용수로가 이바라키현 미토시에도 있다. "비젠쿄 용수"라는 이름은 다다쓰구의 당시 관직 이름이었던 "비젠노카미"에서 유래했는데, 비젠은 지금의 주고쿠 지방 오카야마현 동부를 가리키는 옛 이름으로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과는 관계가 없는 지명이다. ↑ 수도 지역의 수해를 막기 위해 치수 사업을 벌인 비슷한 예로, 18세기 조선 왕조가 한양에서 실시한 청계천 준설 사업이 있다. 관련 기사. ↑ 《시모우사노쿠니 큐지코》 (下総国旧事考)에는 1621년에 개착 사업을 실시했다고 적혀 있으나, 《신펜무사시후도키코》 (新編武蔵風土記稿)에는 1624년에 실시했다고 적혀 있다. ↑ 1839년에 지금의 도요타 둑을 건설할 때, 이나 다다쓰네가 1667년에 인근에 지었던 둑을 원형으로 참고했다고 전해진다. ↑ 야소베에(弥惣兵衛)는 본명이며, 공적인 장소에서는 자신의 휘(諱)인 다메나가(為永)를 사용했다. ↑ 시기는 간에이 연간 (1624년부터 1641년까지)이며, 정확한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 따라서 "미누마다이"란 미누마 (見沼)를 대신 (代)한다는 뜻으로, 미누마다이 자체가 하나의 지명인 것은 아니다. ↑ "보다시"가 설치된 시기는 네기시 몬조의 《도네강 치수고》의 덴포 연간설 (1830년대) 외에 토목학회의 《메이지 이전의 일본 토목사》의 간에이 연간설 (17세기 초)도 있다. ↑ 에도강, 기누강, 고카이강, 도네강 하류 지역을 관할한다는 데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되었다. ↑ 일명 "구 하천법"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폭 수정되었다. ↑ 도네강, 기타카미강, 나루세강, 에아이강, 모가미강, 시나노강, 조간지강, 기소강, 요도가와강, 요시노강, 지쿠고강을 합쳐 10수계라 불렀다. 시나노강과 조간지강을 제외한 나머지 수계에는 모두 1개 이상의 댐이 세워졌다. ↑ 링크된 시모쿠보 댐의 전신으로, 간나강 수계에 있다. ↑ 지금의 도쿄도 23개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하나의 시였다. 이후 주변 도시들을 통합하여 도쿄도를 설치했다. ↑ "료소" (両総)는 가즈사국과 시모우사국을 가리킨다. 지바현을 비롯한 간토 지방 동쪽 지역의 옛 이름이었다. ↑ 이로 인해 도쿠시마현에서 건설성 (지금의 국토교통성)이 추진하던 호소가와우치 댐 계획 (나카강)을 비롯하여 여러 댐 계획들이 동결되거나 백지화되었다. 각주[편집] ↑ 『河川法第四条第一項の水系を指定する政令』 Archived 2012년 2월 3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일 확인. ↑ 일본 도쿄등 관동지방도 取水제한 시작, 연합뉴스, 1994년 7월 23일. ↑ 가 나 다 群馬県『県内の一級河川の一覧』, 2012년 9월 1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쪽 ~ 7쪽. ↑ 《도네 강 100년사》, 5쪽. ↑ 《도네 강 100년사》, 4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7쪽. ↑ 가 나 다 이상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ダム統合管理事務所『利根川の特徴』, 2012년 9월 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9쪽 ~ 41쪽과 45쪽에서. ↑ 《도네강 100년사》, 39쪽과 42쪽에서. ↑ 《하천편람 2004년판》, 102쪽 ~ 103쪽. ↑ 《도네 강 100년사》, 15쪽 ~ 16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5쪽 ~ 19쪽. ↑ 《도네 강 100년사》, 19쪽. ↑ 《도네 강 100년사》, 22쪽 ~ 25쪽. ↑ 《도네강 100년사》, 24쪽 ~ 25쪽. ↑ 가 나 《도네 강 100년사》, 132쪽 ~ 133쪽. ↑ 《도네강 100년사》, 36쪽 ~ 37쪽. ↑ 《도네강 100년사》, 59쪽. ↑ 《도네 강 100년사》, 59쪽 ~ 60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植物と陸上昆虫』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3일 확인. ↑ 가 나 다 라 環境省『特定外来生物等一覧(外来生物法)』 Archived 2009년 11월 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다 라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生物(特定外来生物)』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0쪽 ~ 61쪽. ↑ 검룡소에 나타난 꼬리치레도롱뇽: 청정 1급수 지역에만 서식...환경지표종, 아시아투데이, 2011년 5월 26일 작성.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1쪽. ↑ 가 나 다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鳥と小動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藤原ダム 2012년 9월 4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63쪽 ~ 65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魚と水生生物』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5일 확인. ↑ 独立行政法人水資源機構利根導水総合事務所 2012년 9월 5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自然保護協会『自然保護』 - 河口堰は河川生態系を大幅にかえた - 1998年 2012년 9월 5일 확인. ↑ 다키카와 히로시·우에타케 고이치 외, 『開腹により発見せる日本住血吸虫症5例:利根川流域における日本住血吸虫は滅亡したか?』[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2년 9월 7일 확인. ↑ 東京都健康安全研究センター『行政施策と肝硬変死亡』 Archived 2009년 12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水土里ネット北総東部『カワヒバリ貝対策について』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33쪽 ~ 135쪽. ↑ 가 나 다 라 《도네강 100년사》, 1쪽.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名称の由来』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7일 확인. ↑ 《도네 강 100년사》, 2쪽. ↑ 国土交通省中国地方整備局浜田河川国道事務所『江の川の概要』 Archived 2012년 11월 1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利根川の紹介』 Archived 2011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하천편람 2004년판》, 90쪽 ~ 92쪽. ↑ 《도네 강 100년사》, 1596년 ~ 1601년. ↑ 가 나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下流河川事務所『管理 川とその機能を保つ維持管理』 Archived 2011년 3월 11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利根川上流河川事務所『事業概要』 Archived 2011년 5월 14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8일 확인.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1601쪽 ↑ 《일본의 다목적 댐: 직할편》 (1990년), 448쪽 ~ 499쪽. ↑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霞ヶ浦河川事務所『昔はどうなっていたか』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299쪽 ~ 300쪽. ↑ 水土里ネット見沼代用水『黒沼笠原沼用水路』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663쪽 ~ 664쪽. ↑ 《도네강 100년사》, 1245쪽. ↑ 《이바라키현사 시정촌편 3》, 396쪽 ~ 400쪽.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総貯水容量順位表 2012년 9월 14일 확인. ↑ 財団法人日本ダム協会『ダム便覧』矢木沢ダム 2012년 9월 14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435쪽 ~ 144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21쪽 ~ 126쪽. ↑ 《도네강 100년사》, 1444쪽 ~ 1445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3쪽. ↑ 《일본의 다목적 댐 - 보조편》 (1990년), 176쪽 ~ 177쪽. ↑ 《하천편람 2004년판》, 30쪽 ~ 31쪽. ↑ 邑楽町『都市公園 多々良沼公園』 Archived 2011년 6월 17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9월 15일 확인. ↑ 쇼가쿠칸, 《디지털 다이지센》 (大辭泉; 쇼가쿠칸의 상표) ↑ 《도네강 100년사》, 86쪽 ~ 87쪽. ↑ 《도네강 100년사》, 87쪽. ↑ 《도네강 100년사》, 77쪽 ~ 78쪽. ↑ 《도네강 100년사》, 79쪽. ↑ 《도네강 100년사》, 289쪽. ↑ 《도네강 100년사》, 141쪽. ↑ 《도네강 100년사》, 88쪽. ↑ 가 나 다 《도네강 100년사》, 89쪽. ↑ 가 나 《도네강 100년사》, 305쪽. ↑ 行田市教育委員会『石田堤』 2012년 9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308쪽 ~ 309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320쪽. ↑ 《도네강 100년사》, 311쪽 ~ 312쪽. ↑ 《도네강 100년사》, 315쪽. ↑ 《도네강 100년사》, 312쪽 ~ 313쪽. ↑ 《도네강 100년사》, 313쪽 ~ 314쪽. ↑ 《도네강 100년사》, 368쪽 ~ 369쪽. ↑ 《도네강 100년사》, 366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도네강 100년사》, 373쪽 ~ 374쪽. ↑ 《도네강 100년사》,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2쪽. ↑ 《도네강 100년사》, 375쪽. ↑ 《도네강 100년사》, 371쪽 ~ 376쪽. ↑ 《도네강 100년사》, 349쪽 ~ 351쪽. ↑ 《도네강 100년사》, 356쪽 ~ 359쪽. ↑ 《도네강 100년사》, 174쪽 ~ 177쪽. ↑ 《도네강 100년사》, 339쪽 ~ 340쪽. ↑ 《도네강 100년사》, 188쪽. ↑ 《도네강 100년사》, 408쪽. ↑ 《도네 강 100년사》, 418쪽. ↑ 《도네강 100년사》, 530쪽. ↑ 《도네강 100년사》, 504쪽 ~ 511쪽. ↑ 《도네강 100년사》, 568쪽 ~ 574쪽. ↑ 《도네강 100년사》, 636쪽 ~ 657쪽. ↑ 《도네강 100년사》, 680쪽 ~ 688쪽. ↑ 《도네강 100년사》, 731쪽 ~ 732쪽. ↑ 《도네강 100년사》, 759쪽 ~ 778쪽. ↑ 《도네강 100년사》, 782쪽 ~ 787쪽. ↑ 《도네강 100년사》, 803쪽 ~ 831쪽. ↑ 《도네강 100년사》, 820쪽 ~ 860쪽. ↑ 《도네강 100년사》, 880쪽. ↑ 《도네강 100년사》, 874쪽 ~ 880쪽. ↑ 《도네강 100년사》, 923쪽 ~ 960쪽. ↑ 《도네강 100년사》, 1208쪽. ↑ 《도네강 100년사》, 1243쪽 ~ 1244쪽. ↑ 《도네강 100년사》, 1380쪽 ~ 1382쪽. ↑ 《국토 종합 개발: 특정 지역의 길잡이》, 25쪽 ~ 31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5쪽 ~ 18쪽. ↑ 《도네강 수계의 종합적인 개혁》, 30쪽. ↑ 《수자원 개발 공단 30년사》, 110쪽 ~ 170쪽. ↑ 독립행정법인 수자원 기구 - 보소 도수로 관리소, 《보소 도수로의 역사》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가스미가우라 하천 사무소, 《가스미가우라 개발 사업》 Archived 2011년 10월 26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2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1067쪽 ~ 1069쪽. ↑ 국토교통성 간토 지방정비국 에도강 하천사무소, 《수도권 외곽 방수로》 Archived 2011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물 포럼, 《물 관련 피해 (전반, 세계)》 Archived 2011년 10월 25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도네강 수계 유역 및 하천의 개요” 64쪽 ~ 6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수계 하천 기본 정비 방침》, “기본고수 등에 관한 자료”, 25쪽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도네강 100년사》, 516쪽 ~ 523쪽. ↑ 《도네강 100년사》, 950쪽 ~ 951쪽. ↑ 《도네강 100년사》, 564쪽 ~ 569쪽. ↑ 《호수를 넓히다》, 20쪽 ~ 21쪽. ↑ 시모우케 댐의 건설 예정지에, 댐 건설을 반대하던 주민들이 보루를 쌓고 농성을 한 사건이다. 1959년에 일어났다. ↑ 《도네강 100년사》, 1379쪽. ↑ 《누마타시의 역사: 통사편 3》, 649쪽 ~ 652쪽. ↑ 《도네강 100년사》, 1353쪽. ↑ 《도네강 100년사》, 945쪽 ~ 946쪽.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 수리권과 댐 (2): 분수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오자키 미쓰요시, 《오제하라·다다미강·도네강의 수력 개발 개요》, 토목학회지 제33권 5~6호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하천계획과, 『新たな基準に沿った検証の対象とするダム事業を選定する考え方について』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산케이 뉴스, 2011년 3월 14일 기사. Archived 2011년 3월 17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内閣府中央防災会議『利根川の洪水氾濫時の死者数・孤立者数等の公表について』 Archived 2011년 3월 23일 - 웨이백 머신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재단법인 일본 댐 협회, 《댐 편람》 (일본어, 2012년 11월 23일 확인.) ↑ 《마이니치 신문》 도치기판, 2011년 3월 25일 기사에서. 참고 자료[편집] 일본 국토교통성 하천국, 《도네강 수계 하천 정비 기본 방침》, 2005년. 재단법인 국토개발기술연구센터·도네 강 10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도네강 100년사》, 1987년. 사단법인 일본하천협회 감수, 《하천편람 2004년판》, 국토개발조사회, 2004년. 전거 통제 VIAF: 260260094 NDL: 0064773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강&oldid=24145291" 분류: 이바라키현의 강도치기현의 강군마현의 강사이타마현의 강지바현의 강도쿄도의 강나가노현의 강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orskPolski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05: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철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철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명하기 전에 같은 이름을 가졌던 아프리카 BJ이자, 전직 프로게이머에 대해서는 철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철민 출생 1970년 7월 11일(1970-07-11) (48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1년 ~ 현재소속사 더좋은 이엔티 학력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배우자 김미경자녀 딸 이신향, 아들 이태건웹사이트 더좋은 이엔티 이철민 이철민(1970년 7월 11일 ~[1])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기본 정보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예능 4 CF 5 참조 6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출생 : 1970년 7월 11일 (대구광역시)[2] 특기 : 태권도 취미 : 낚시, 운동, 영화감상, 애완견기르기 학력[편집] 대륜고등학교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9년 로드킬 최오광 역 일진 3 사장님 역 2018년 더 매뉴얼 의사 역 (단편 영화) 2017년 역모: 반란의 시대 옥사장 역 대장 김창수 도승선 역 2016년 사랑은 없다 호중 역 터널 장은준 시추장 역 2015년 더 폰 손석호 역 연평해전 김혁 소령 역 위험한 상견례 2 택배남 역 검은손 원무과장 역 2014년 우리는 형제입니다 (We Are Brothers) PD 역 2013년 가시꽃 (Fatal) 김백춘 역 청춘정담 (Believe Me) 여관주인 역 2012년 아부의 왕 (The Suck up project) 손 실장 역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Nameless Gangster : Rules of Time) 형배조직원 6 역 2011년 Mr. 아이돌 (Mr. Idol) 치프가이드 역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The Cat) 치매 할머니 아들 역 수상한 고객들 (Three Customer) 호프집 취객 역 로맨틱 헤븐 (Romantic Heaven) 응식 역 2010년 황해 (The Yellow Sea) 차성남 역 퀴즈왕 (Quiz King) 대학교수 1 역 이끼 (Moss) 기도원장 역 2009년 시크릿 (Secret) 조동철 역 청담보살 (Fortune Salon) 인상남 역 굿모닝 프레지던트 (Good Morning President) 김정호 참모 1(임철진) 역 2008년 아기와 나 (Baby And I) 파출소 경관 역 2007년 바르게 살자 (Going The By Book) 조성욱 역 아들 (My Son) 수감자 역 마파도 2 (Mapado 2) 경호실장 역 2006년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거룩한 계보 (Righteous Ties) 박문수 역 공필두 (Detective Mr. Gong) 곽재구 역 창공으로 (Blue Sky) 이용근 역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2005년 박수칠 때 떠나라 (The Big Scene) 해설 역 2004년 아는 여자 (Someone Special) 사내 역 페이스 (Face) 조 형사 역 2002년 보스 상륙 작전 (Boss X File) 악어 역 라이터를 켜라 (Break Out) 부하 1 역 묻지마 패밀리 (No Comment Family) 위의 남편이 부른 경찰 역 1999년 유령 (Phantom, The Submarine) 531 역 간첩 리철진 (The Spy) 수사요원 1 역 1998년 기막힌 사내들 (The Happenings) 한가닥 5 역 1997년 파트너 (Partner) 지우 친구 역 크레이지 댄스 (Crazy Dance) 똑바로 살아라 (Do The Right Thing) 바꿔치기 역 1996년 보스 (Boss) 투캅스 2 (Two Cops 2) 정보원 역 1995년 48+1 (Flower Cards) 두식 역 아빠는 보디가드 (My Father The Bodyguard) 폭주족 역 1991년 개벽 (Fly High Run Far Kae Byok) 도인들 역 장군의 아들 2 (The General's Son 2) 드라마[편집] 제목 방송사 방송 년도 역할 2019년 JTBC 보좌관 김형도 역 tvN 어비스 박기만 역 2018년 SBS 사의 찬미 학무국장 역 JTBC 뷰티 인사이드 김이사 역 JTBC 미스 함무라비 맹사성 역 SBS 착한마녀전 차종철 역 2017년 OCN 블랙 오소태 역 MBC 밥상 차리는 남자 김진호 역 OCN 듀얼 박유식 역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점쟁이 역 2016년 SBS 낭만닥터 김사부 함승호 역 tvN THE K2 박관수 보좌관 역 KBS1 임진왜란 1592 이기남 역 SBS 미세스 캅 2 박준영 이사 역 OCN 동네의 영웅 조봉철 역 2015년 JTBC 라스트 독사 역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가만히 있으라 불곰파 보스 장태수 역 2014년 tvN 라이어 게임 전영철 / 불독 역 tvN 꽃할배 수사대 사채업자 보스 역 TV조선 불꽃 속으로 다케다 역 KBS2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불곰 역 2013년 JTBC 가시꽃 김백춘 역 OCN 더 바이러스 강태식 역 2012년 KBS1 대왕의 꿈 칠숙 역 TV조선 한반도 조갑석 역 2011년 KBS1 TV 문학관 - 엄지네 고씨 역 KBS2 특별수사대 MSS 지병기 역 2010년 국가가 부른다 마갑성 역 2009년 천하무적 이평강 춘봉 역 2008년 KBS 드라마 복권 3인조 오철민 형사 역 KBS1 큰 언니 김기태 역 KBS2 난 네게 반했어 형철 역 MBC every1 환상기담 KBS2 태양의 여자 1회 소매치기 역 SBS 온에어 김학선 역 2007년 KBS2 착한여자 백일홍 유 주임 역 2006년 눈의 여왕 박동필 역 2005년 MBC 제5공화국 김동겸 역 2004년 KBS2 낭랑 18세 최계진 역 아름다운 유혹 창수 역 2003년 KBS1 무인시대 김척후 역 분이 2002년 SBS 야인시대 권 상사 역 KBS1 제국의 아침 2000년 KBS2 태양은 가득히 1998년 야망의 전설 실미도 훈련병 역 1997년 그대 나를 부를 때 1996년 첫사랑 식당 주인 역 1995년 젊은이의 양지 양춘식 역 예능[편집] tvN 《SNL 코리아》 SBS 《자기야 백년손님》 E채널 《별거가 별거냐》 JTBC 《한끼줍쇼》 게스트 KBS2 《개그콘서트 - 대화가필요해 1987》 신봉선의 아버지 역 게스트 CF[편집] 2010년 해찬들 태양초 고추장 2015년 배달의민족 참조[편집] ↑ “보관 된 사본”.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5일에 확인함.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38456 외부 링크[편집] 이철민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철민&oldid=24405175" 분류: 대구광역시 출신대륜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연극 배우1991년 데뷔더 좋은 이엔티 소속영천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1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철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철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명하기 전에 같은 이름을 가졌던 아프리카 BJ이자, 전직 프로게이머에 대해서는 철구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철민 출생 1970년 7월 11일(1970-07-11) (48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1년 ~ 현재소속사 더좋은 이엔티 학력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배우자 김미경자녀 딸 이신향, 아들 이태건웹사이트 더좋은 이엔티 이철민 이철민(1970년 7월 11일 ~[1])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기본 정보 2 학력 3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3.3 예능 4 CF 5 참조 6 외부 링크 기본 정보[편집] 출생 : 1970년 7월 11일 (대구광역시)[2] 특기 : 태권도 취미 : 낚시, 운동, 영화감상, 애완견기르기 학력[편집] 대륜고등학교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학과 출연작[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9년 로드킬 최오광 역 일진 3 사장님 역 2018년 더 매뉴얼 의사 역 (단편 영화) 2017년 역모: 반란의 시대 옥사장 역 대장 김창수 도승선 역 2016년 사랑은 없다 호중 역 터널 장은준 시추장 역 2015년 더 폰 손석호 역 연평해전 김혁 소령 역 위험한 상견례 2 택배남 역 검은손 원무과장 역 2014년 우리는 형제입니다 (We Are Brothers) PD 역 2013년 가시꽃 (Fatal) 김백춘 역 청춘정담 (Believe Me) 여관주인 역 2012년 아부의 왕 (The Suck up project) 손 실장 역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Nameless Gangster : Rules of Time) 형배조직원 6 역 2011년 Mr. 아이돌 (Mr. Idol) 치프가이드 역 고양이: 죽음을 보는 두 개의 눈 (The Cat) 치매 할머니 아들 역 수상한 고객들 (Three Customer) 호프집 취객 역 로맨틱 헤븐 (Romantic Heaven) 응식 역 2010년 황해 (The Yellow Sea) 차성남 역 퀴즈왕 (Quiz King) 대학교수 1 역 이끼 (Moss) 기도원장 역 2009년 시크릿 (Secret) 조동철 역 청담보살 (Fortune Salon) 인상남 역 굿모닝 프레지던트 (Good Morning President) 김정호 참모 1(임철진) 역 2008년 아기와 나 (Baby And I) 파출소 경관 역 2007년 바르게 살자 (Going The By Book) 조성욱 역 아들 (My Son) 수감자 역 마파도 2 (Mapado 2) 경호실장 역 2006년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거룩한 계보 (Righteous Ties) 박문수 역 공필두 (Detective Mr. Gong) 곽재구 역 창공으로 (Blue Sky) 이용근 역 태양의 이면 (The Other Side Of The Sun) 사채 역 2005년 박수칠 때 떠나라 (The Big Scene) 해설 역 2004년 아는 여자 (Someone Special) 사내 역 페이스 (Face) 조 형사 역 2002년 보스 상륙 작전 (Boss X File) 악어 역 라이터를 켜라 (Break Out) 부하 1 역 묻지마 패밀리 (No Comment Family) 위의 남편이 부른 경찰 역 1999년 유령 (Phantom, The Submarine) 531 역 간첩 리철진 (The Spy) 수사요원 1 역 1998년 기막힌 사내들 (The Happenings) 한가닥 5 역 1997년 파트너 (Partner) 지우 친구 역 크레이지 댄스 (Crazy Dance) 똑바로 살아라 (Do The Right Thing) 바꿔치기 역 1996년 보스 (Boss) 투캅스 2 (Two Cops 2) 정보원 역 1995년 48+1 (Flower Cards) 두식 역 아빠는 보디가드 (My Father The Bodyguard) 폭주족 역 1991년 개벽 (Fly High Run Far Kae Byok) 도인들 역 장군의 아들 2 (The General's Son 2) 드라마[편집] 제목 방송사 방송 년도 역할 2019년 JTBC 보좌관 김형도 역 tvN 어비스 박기만 역 2018년 SBS 사의 찬미 학무국장 역 JTBC 뷰티 인사이드 김이사 역 JTBC 미스 함무라비 맹사성 역 SBS 착한마녀전 차종철 역 2017년 OCN 블랙 오소태 역 MBC 밥상 차리는 남자 김진호 역 OCN 듀얼 박유식 역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점쟁이 역 2016년 SBS 낭만닥터 김사부 함승호 역 tvN THE K2 박관수 보좌관 역 KBS1 임진왜란 1592 이기남 역 SBS 미세스 캅 2 박준영 이사 역 OCN 동네의 영웅 조봉철 역 2015년 JTBC 라스트 독사 역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가만히 있으라 불곰파 보스 장태수 역 2014년 tvN 라이어 게임 전영철 / 불독 역 tvN 꽃할배 수사대 사채업자 보스 역 TV조선 불꽃 속으로 다케다 역 KBS2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불곰 역 2013년 JTBC 가시꽃 김백춘 역 OCN 더 바이러스 강태식 역 2012년 KBS1 대왕의 꿈 칠숙 역 TV조선 한반도 조갑석 역 2011년 KBS1 TV 문학관 - 엄지네 고씨 역 KBS2 특별수사대 MSS 지병기 역 2010년 국가가 부른다 마갑성 역 2009년 천하무적 이평강 춘봉 역 2008년 KBS 드라마 복권 3인조 오철민 형사 역 KBS1 큰 언니 김기태 역 KBS2 난 네게 반했어 형철 역 MBC every1 환상기담 KBS2 태양의 여자 1회 소매치기 역 SBS 온에어 김학선 역 2007년 KBS2 착한여자 백일홍 유 주임 역 2006년 눈의 여왕 박동필 역 2005년 MBC 제5공화국 김동겸 역 2004년 KBS2 낭랑 18세 최계진 역 아름다운 유혹 창수 역 2003년 KBS1 무인시대 김척후 역 분이 2002년 SBS 야인시대 권 상사 역 KBS1 제국의 아침 2000년 KBS2 태양은 가득히 1998년 야망의 전설 실미도 훈련병 역 1997년 그대 나를 부를 때 1996년 첫사랑 식당 주인 역 1995년 젊은이의 양지 양춘식 역 예능[편집] tvN 《SNL 코리아》 SBS 《자기야 백년손님》 E채널 《별거가 별거냐》 JTBC 《한끼줍쇼》 게스트 KBS2 《개그콘서트 - 대화가필요해 1987》 신봉선의 아버지 역 게스트 CF[편집] 2010년 해찬들 태양초 고추장 2015년 배달의민족 참조[편집] ↑ “보관 된 사본”. 2014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5일에 확인함.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1138456 외부 링크[편집] 이철민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철민&oldid=24405175" 분류: 대구광역시 출신대륜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연극 배우1991년 데뷔더 좋은 이엔티 소속영천 이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1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대통합민주신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통합민주신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대통합신당 상징색 주황, 초록 (비공식) 이념 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 당직자 대표 손학규 원내대표 김효석 역사 창당 2007년 8월 5일 해산 2008년 2월 11일 병합한 정당 열린우리당 분당 이전 소속 정당 열린우리당민주당 통합된 정당 통합민주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의석 국회의원 (2007년) 142 / 299 대통합민주신당 (폐쇄)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 대통합신당)은 대한민국의 중도개혁세력임을 주장하는 제 세력이, 민주·개혁·평화·중도·미래세력의 대통합이라는 명분으로 2007년 8월 5일에 창당한 정당이다. 열린우리당 탈당파 80명, 당시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4명,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를 주축으로 한 한나라당의 일부 탈당세력과 시민사회세력을 주축으로 출범했다. 출범 직후 민주당은 유사한 당명이라며 비난하였다. 이후 2007년 8월 20일 신당 출범으로 상대적으로 약해진 열린우리당과의 합당을 통해 의석수 143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 2008년 2월 11일에 민주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여 소멸하였다. 목차 1 창당 과정 2 주요 활동 3 역대 지도부 4 강령 5 주요 선거 기록 5.1 역대 대선 결과 5.2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6 역대 전당대회 6.1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 6.2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 6.3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 6.4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 6.5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 7 역대 정당 당원 8 각주 및 참고자료 창당 과정[편집] 2007년 8월 5일 창당 (의석수 84석 원내 제2당, 당시 제1당은 한나라당) 2007년 8월 20일 열린우리당과 합당 (의석수 143석 원내 제1당, 제2당은 한나라당) 2007년 11월 2일 강길부의원이 탈당하였다. (142석으로 감소) 2007년 11월 12일 민주당과 합당 합의했으나 무산됨. 2007년 12월 19일 정동영을 후보로 2007년 대선에 나섰으나 당시 후보였던 이명박에게 참패함. 2008년 2월 11일 민주당과 통합 선언, 당명을 통합민주당(약칭: 민주당)으로 정함. 주요 활동[편집]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을 흡수한 후에 정동영을 대선 후보로 내세워 제17대 대선에 참여했다. 부단히 친노 이미지를 벗기위한 명분없는 차별화를 시도했으나, 이에 대한 국민들에 대한 반감이 작용하여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에게 큰 표차로 패배하였다. 이로 인해 친노 세력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대선 이후에는 손학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였다. 그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역대 지도부[편집]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비고 1 오충일 대표최고위원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참패로 사퇴 2 손학규 대표최고위원 2008년 1월 11일 ~ 2008년 2월 15일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원내대표 김효석 최고위원 정균환 이미경 조일현 김상희 양길승 사무총장 정동채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신계륜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정책위원회 의장 김진표 대변인 이낙연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우상호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강령[편집] 이 정당은, 그들의 강령 전문에서 '민주', '평화', '통합', '환경'을 4대 기본가치로 삼고, 강령과 정책비전(아래 참조)을 규정했다.[1] 주요 선거 기록[편집] 역대 대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대수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2007년 17대 정동영 6,174,681표 26.14% 2위 낙선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국회의원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2007년 12·19 재보선 3/13 23.0% 4/12 33.3% 2/25 8.0% 역대 전당대회[편집]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편집] 2007년 8월 5일, 통합신당 창당대회는 오충일 창당준비위원장을 대표최고위원으로 추대했다.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편집] 2007년 8월 20일, 통합신당과 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는 열린우리당의 대통합민주신당 흡수합당을 결의하였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편집]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자 선출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시민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합 계 제주울산 2890 4089 5265 3404 강원충북 사퇴 5279 8645 5511 광주전남 19906 26065 9826 부산경남 4508 6689 6614 모바일 1차 7649 7004 6285 모바일 2차 21359 19288 10535 모바일 3차 41023 35846 28464 여론조사 17525 21850 10216 잔여지역 47461 86332 29273 총합 사퇴 168799 216984 110128 경선 초반 제기되어오던 정동영후보 측의 조직동원 및 관권선거 의혹으로 10월 2일 경선 잠정 중단 사태까지 발생했다. 10월 9일부터 경선이 재개되며 손학규,이해찬 후보의 요청으로 지역투표가 일괄적으로 치뤄졌고, 정동영 후보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편집] 득표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비고 1011 손학규 164 53.6% 대표최고위원 1022 우원식 55 18% 1033 김호진 46 15% 104 기타 41 13.4% 총투표수 306 2008년 1월 11일, 통합신당 중앙위는 후보등록 없이 무작위투표를 통해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오충일 대표를 대신할 신임 대표로 선출했다.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편집] 2008년 2월 13일, 통합신당 최고위는 민주당과의 합당을 통한 통합민주당 창당을 의결하였다. 역대 정당 당원[편집] 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 및 참고자료[편집] ↑ 민주신당소개-강령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대통합민주신당 공식홈페이지, 2007년 8월 7일 작성 vdeh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1945년 ~ 1980년 고려민주당 (1945년 8월 18일 ~ 1945년 8월 28일) → 조선민족당 조선민족당 (1945년 8월 28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국민당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1945년 9월 16일 ~ 1949년 2월 10일) → 민주국민당 (1949년 2월 10일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 (1955년 9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통일당 (1957년 11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신민당 (1960년 12월 14일 ~ 1963년 6월 28일) → 민정당 (1963년 6월 28일 ~ 1965년 5월 8일) → 민중당 (1965년 5월 11일 ~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1967년 2월 7일 ~ 1980년 10월 27일) → 신한민주당 민주당 (1963년 7월 18일 ~ 1965년 5월 3일) 국민의당 (1963년 8월 1일 ~ 1964년 9월 17일) 신한당 (1966년 5월 30일 ~ 1967년 2월 7일) 민중당 (1967년 ~ 날짜 미상) → 해산 국민당 (1971년 1월 6일 ~ 1972년 10월 17일) → 해산 민주통일당 (1973년 1월 27일 ~ 1980년 10월 27일) → 해산 1980년 ~ 1997년 민주한국당 (1981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신한민주당 (1985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통일민주당 (1987년 4월 ~ 1990년 1월 22일) → 민주자유당 평화민주당 (1987년 10월 29일 ~ 1991년 4월 15일) → 신민주연합당 (1991년 4월 15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1991년 9월 16일 ~ 1995년 12월 21일) → 통합민주당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11월 21일) → 신한국당 민주당 (1990년 6월 18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1995년 9월 11일 ~ 2000년 1월 20일) → 새천년민주당 1997년 ~ 현재 새천년민주당 (2000년 1월 20일 ~ 2005년 5월 6일) → 민주당 (2005년 5월 6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6월 27일 ~ 2007년 8월 3일) → 민주당 (2007년 8월 3일 ~ 2008년 2월 15일) → 민주당 (2008년 2월 17일 ~ 2011년 12월 23일) → 민주통합당 (2011년 12월 16일 ~ 2013년 5월 3일) → 민주당 (2013년 5월 3일 ~ 2014년 3월 26일) → 새정치민주연합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 더불어민주당 (2015년 12월 28일 ~ 현재) 개혁국민정당 (2002년 8월 29일 ~ 2004년 9월 13일)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2003년 11월 11일 ~ 2007년 8월 20일) →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 8월 5일 ~ 2008년 2월 11일) → 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창조한국당 (2007년 10월 30일 ~ 2012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평화민주당 (2010년 4월 8일 ~ 2012년 2월 14일) → 국민행복당 시민통합당 (2011년 12월 7일 ~ 2011년 12월 16일) → 민주통합당 국민행복당 (2011년 12월 13일 ~ 2012년 4월 12일) → 등록 취소 정통민주당 (2012년 3월 12일 ~ 2012년 3월 16일) → 등록 취소 새정치연합 (2014년 2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2014년 9월 21일 ~ 2016년 10월 19일) → 더불어민주당 국민회의 (2015년 12월 11일 ~ 2016년 1월 25일) → 국민의당 통합신당 (2016년 1월 10일 ~ 2016년 1월 27일) → 국민의당 국민의당 (2016년 2월 2일 ~ 2018년 2월 13일) →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2018년 2월 6일 ~ 현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통합민주신당&oldid=24252368" 분류: 2007년 설립된 정당2008년 폐지문재인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 원내정당민주당 (대한민국)대한민국의 해산된 정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2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대통합민주신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통합민주신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대통합신당 상징색 주황, 초록 (비공식) 이념 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 당직자 대표 손학규 원내대표 김효석 역사 창당 2007년 8월 5일 해산 2008년 2월 11일 병합한 정당 열린우리당 분당 이전 소속 정당 열린우리당민주당 통합된 정당 통합민주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의석 국회의원 (2007년) 142 / 299 대통합민주신당 (폐쇄) 대통합민주신당(大統合民主新黨, 약칭 : 대통합신당)은 대한민국의 중도개혁세력임을 주장하는 제 세력이, 민주·개혁·평화·중도·미래세력의 대통합이라는 명분으로 2007년 8월 5일에 창당한 정당이다. 열린우리당 탈당파 80명, 당시 중도통합민주당 탈당파 4명,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를 주축으로 한 한나라당의 일부 탈당세력과 시민사회세력을 주축으로 출범했다. 출범 직후 민주당은 유사한 당명이라며 비난하였다. 이후 2007년 8월 20일 신당 출범으로 상대적으로 약해진 열린우리당과의 합당을 통해 의석수 143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다. 2008년 2월 11일에 민주당과 합당을 선언하고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여 소멸하였다. 목차 1 창당 과정 2 주요 활동 3 역대 지도부 4 강령 5 주요 선거 기록 5.1 역대 대선 결과 5.2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 6 역대 전당대회 6.1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 6.2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 6.3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 6.4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 6.5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 7 역대 정당 당원 8 각주 및 참고자료 창당 과정[편집] 2007년 8월 5일 창당 (의석수 84석 원내 제2당, 당시 제1당은 한나라당) 2007년 8월 20일 열린우리당과 합당 (의석수 143석 원내 제1당, 제2당은 한나라당) 2007년 11월 2일 강길부의원이 탈당하였다. (142석으로 감소) 2007년 11월 12일 민주당과 합당 합의했으나 무산됨. 2007년 12월 19일 정동영을 후보로 2007년 대선에 나섰으나 당시 후보였던 이명박에게 참패함. 2008년 2월 11일 민주당과 통합 선언, 당명을 통합민주당(약칭: 민주당)으로 정함. 주요 활동[편집]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을 흡수한 후에 정동영을 대선 후보로 내세워 제17대 대선에 참여했다. 부단히 친노 이미지를 벗기위한 명분없는 차별화를 시도했으나, 이에 대한 국민들에 대한 반감이 작용하여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에게 큰 표차로 패배하였다. 이로 인해 친노 세력은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대선 이후에는 손학규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고 이명박 정부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였다. 그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을 창당하였다. 역대 지도부[편집] 대수 역대 대표 직함 임기 비고 1 오충일 대표최고위원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참패로 사퇴 2 손학규 대표최고위원 2008년 1월 11일 ~ 2008년 2월 15일 통합민주당으로 신설합당 원내대표 김효석 최고위원 정균환 이미경 조일현 김상희 양길승 사무총장 정동채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신계륜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정책위원회 의장 김진표 대변인 이낙연 (2007년 8월 5일 ~ 2008년 1월 10일) 우상호 (2008년 1월 14일 ~ 2008년 2월 11일) 강령[편집] 이 정당은, 그들의 강령 전문에서 '민주', '평화', '통합', '환경'을 4대 기본가치로 삼고, 강령과 정책비전(아래 참조)을 규정했다.[1] 주요 선거 기록[편집] 역대 대선 결과[편집] 실시년도 대수 후보자 득표 득표율 결과 당락 2007년 17대 정동영 6,174,681표 26.14% 2위 낙선 역대 재보궐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선거 국회의원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현황 광역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기초자치의회의원 당선자 현황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당선자 수 당선비율 2007년 12·19 재보선 3/13 23.0% 4/12 33.3% 2/25 8.0% 역대 전당대회[편집]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대회[편집] 2007년 8월 5일, 통합신당 창당대회는 오충일 창당준비위원장을 대표최고위원으로 추대했다.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편집] 2007년 8월 20일, 통합신당과 우리당 합당수임기관 합동회의는 열린우리당의 대통합민주신당 흡수합당을 결의하였다.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경선[편집]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자 선출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시민 손학규 정동영 이해찬 합 계 제주울산 2890 4089 5265 3404 강원충북 사퇴 5279 8645 5511 광주전남 19906 26065 9826 부산경남 4508 6689 6614 모바일 1차 7649 7004 6285 모바일 2차 21359 19288 10535 모바일 3차 41023 35846 28464 여론조사 17525 21850 10216 잔여지역 47461 86332 29273 총합 사퇴 168799 216984 110128 경선 초반 제기되어오던 정동영후보 측의 조직동원 및 관권선거 의혹으로 10월 2일 경선 잠정 중단 사태까지 발생했다. 10월 9일부터 경선이 재개되며 손학규,이해찬 후보의 요청으로 지역투표가 일괄적으로 치뤄졌고, 정동영 후보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위원회[편집] 득표순위 이름 득표수 득표율 비고 1011 손학규 164 53.6% 대표최고위원 1022 우원식 55 18% 1033 김호진 46 15% 104 기타 41 13.4% 총투표수 306 2008년 1월 11일, 통합신당 중앙위는 후보등록 없이 무작위투표를 통해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오충일 대표를 대신할 신임 대표로 선출했다. 2008년 2월 13일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의[편집] 2008년 2월 13일, 통합신당 최고위는 민주당과의 합당을 통한 통합민주당 창당을 의결하였다. 역대 정당 당원[편집] 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 및 참고자료[편집] ↑ 민주신당소개-강령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대통합민주신당 공식홈페이지, 2007년 8월 7일 작성 vdeh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역사1945년 ~ 1980년 고려민주당 (1945년 8월 18일 ~ 1945년 8월 28일) → 조선민족당 조선민족당 (1945년 8월 28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국민당 (1945년 9월 2일 ~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 (1945년 9월 16일 ~ 1949년 2월 10일) → 민주국민당 (1949년 2월 10일 ~ 1955년 9월 18일) 민주당 (1955년 9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통일당 (1957년 11월 18일 ~ 1961년 5월 16일) → 해산 신민당 (1960년 12월 14일 ~ 1963년 6월 28일) → 민정당 (1963년 6월 28일 ~ 1965년 5월 8일) → 민중당 (1965년 5월 11일 ~ 1967년 2월 7일) → 신민당 (1967년 2월 7일 ~ 1980년 10월 27일) → 신한민주당 민주당 (1963년 7월 18일 ~ 1965년 5월 3일) 국민의당 (1963년 8월 1일 ~ 1964년 9월 17일) 신한당 (1966년 5월 30일 ~ 1967년 2월 7일) 민중당 (1967년 ~ 날짜 미상) → 해산 국민당 (1971년 1월 6일 ~ 1972년 10월 17일) → 해산 민주통일당 (1973년 1월 27일 ~ 1980년 10월 27일) → 해산 1980년 ~ 1997년 민주한국당 (1981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신한민주당 (1985년 1월 18일 ~ 1988년 4월 26일) 통일민주당 (1987년 4월 ~ 1990년 1월 22일) → 민주자유당 평화민주당 (1987년 10월 29일 ~ 1991년 4월 15일) → 신민주연합당 (1991년 4월 15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1991년 9월 16일 ~ 1995년 12월 21일) → 통합민주당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11월 21일) → 신한국당 민주당 (1990년 6월 18일 ~ 1991년 9월 16일) →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1995년 9월 11일 ~ 2000년 1월 20일) → 새천년민주당 1997년 ~ 현재 새천년민주당 (2000년 1월 20일 ~ 2005년 5월 6일) → 민주당 (2005년 5월 6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2007년 6월 27일 ~ 2007년 8월 3일) → 민주당 (2007년 8월 3일 ~ 2008년 2월 15일) → 민주당 (2008년 2월 17일 ~ 2011년 12월 23일) → 민주통합당 (2011년 12월 16일 ~ 2013년 5월 3일) → 민주당 (2013년 5월 3일 ~ 2014년 3월 26일) → 새정치민주연합 (2014년 3월 26일 ~ 2015년 12월 28일) → 더불어민주당 (2015년 12월 28일 ~ 현재) 개혁국민정당 (2002년 8월 29일 ~ 2004년 9월 13일) →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2003년 11월 11일 ~ 2007년 8월 20일) → 대통합민주신당 (2007년 8월 5일 ~ 2008년 2월 11일) → 통합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년 5월 7일 ~ 2007년 6월 27일) → 중도통합민주당 창조한국당 (2007년 10월 30일 ~ 2012년 4월 26일) → 등록 취소 평화민주당 (2010년 4월 8일 ~ 2012년 2월 14일) → 국민행복당 시민통합당 (2011년 12월 7일 ~ 2011년 12월 16일) → 민주통합당 국민행복당 (2011년 12월 13일 ~ 2012년 4월 12일) → 등록 취소 정통민주당 (2012년 3월 12일 ~ 2012년 3월 16일) → 등록 취소 새정치연합 (2014년 2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2014년 9월 21일 ~ 2016년 10월 19일) → 더불어민주당 국민회의 (2015년 12월 11일 ~ 2016년 1월 25일) → 국민의당 통합신당 (2016년 1월 10일 ~ 2016년 1월 27일) → 국민의당 국민의당 (2016년 2월 2일 ~ 2018년 2월 13일) →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2018년 2월 6일 ~ 현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통합민주신당&oldid=24252368" 분류: 2007년 설립된 정당2008년 폐지문재인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 원내정당민주당 (대한민국)대한민국의 해산된 정당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2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스마트러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마트러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무선인터넷, 스마트 장치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스마트 센서·부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등장과 더불어 유 러닝(u-learning)이 한 단계 진화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자들 간의 명확한 정의는 아직 불분명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목차 1 정의 2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연구 특징 3 전자학습의 개념 및 특징 비교 4 스마트 러닝 구현조건 5 참고문헌 6 외부 링크 정의[편집] 정의 학자 또는 단체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형태와 능력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사고력, 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의 개발을 높이며 협력학습과 개별학습을 위한 기회를 창출하여 학습을 더욱 즐겁게 만드는 것으로서 장치보다 사람과 콘텐츠에 기반을 둔 발전된 ICT 기반의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의 지능형 맞춤학습 곽덕훈(한국이러닝산업협회 세미나, 2010) 스마트 러닝은 스마트 인프라(smart infra)와 스마트한 교육방식(smart way)으로 이루어지며, 스마트 인프라는 클라우딩, 네트워크, 서버, 스마트 디바이스, 임베디드 기기 등을 의미하며 스마트웨이는 맞춤형, 지능형, 융합형, 소셜 러닝, 집단지성 등을 의미 노규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1) 학습자-학습자, 학습자-교수자, 학습자-콘텐츠간의 소통 (communication), 협력 (collaboration), 참여 (participation), 개방, 공유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ICT 기술을 활용하여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전통적 교수, 학습 방식을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지능적, 그리고 상호작용적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총체적인 접근을 의미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2011)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술적인 요소를 학습 요인과 결합하여 학습자의 실제적인 학습활동에 도움을 주는 방법 김태기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연구 특징[편집] 개념 및 특징 연구자 인간중심 학습 패러다임, 유연성, 창의성, 개방성 김성태(2010) 학습자 중심, 지능형, 협력형, 개인형, 소통능력, 문제해결 능력 곽덕훈(2010) 지능형, 맞춤형, 자기주도형, 교수-학습 지원체제 장상현(2010) 현실감, 몰입형, 비형식학습, 인지지원체제, 창조적 사고 이수희(2010) 동기부여, 자기주도형, 실시간형 학습관리, 개인화 김돈정(2010) 지능적, 적응적, 수준별 맞춤형 개별학습, 소셜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이론적 체계적 형식학습, 실천적 맥락적 비형식 학습 임정훈(2011) 스마트 정보통신기술, 학습원천정보, 학습자주도형 학습, 수요자의 요구 노규성 외(2011) 수평적, 쌍방향적, 참여적, 지능적, 상호작용적인 방식의 총체적 접근 조재춘, 임희석 (2012) 학습자 맞춤형 학습과 협력학습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 기술의 활용, 인지와 사고 능력을 증대시키는,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자 주도의 학습형태 방선희(2012) 전자학습의 개념 및 특징 비교[편집] 구분 개념 및 특징 e-러닝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 방송 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m-러닝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학습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이 가능한 형태 u-러닝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접목한 학습의 형태로 PC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학습이 가능한 형태 s-러닝(스마트러닝) 개인화된 기기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학습자주도형, 자기주도형, 상호작용, 지능형, 비형식학습, 현실감 등의 특징 스마트 러닝 구현조건[편집] 1.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문제 중심적 학습환경 설계를 위해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과제 목표 제시 문제 해결을 위해 학습활동에 필요한 정보 자원 제공 학습자의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인지적 지원 도구 학습자-학습자 간, 학습자-교수자 간, 학습자-학습프로그램 간 상호작용 활성화 도구 2. 구현 기술 활용 상호작용 , 모델정의, 훈련장비, 지식전달, 콘텐츠 개발 기술 3. 이러닝 서비스의 스마트화 단기 학습 콘텐츠 활성화 시뮬레이션형 학습 서비스 SNS 기반의 협력학습 서비스 자기주도형 학습 참고문헌[편집] 스마트러닝과 미래교육 (노규성, 선문대/한국디지털정책학회) 외부 링크[편집] 스마트러닝 포럼 세미나 스마트교육학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마트러닝&oldid=24159998" 분류: 교육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7일 (화) 05: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리다이렉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다이렉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입력, 출력, 오류를 위한 표준 스트림. 리다이렉션(redirection)은 컴퓨팅에서 표준 스트림을 사용자 지정 위치로 우회할 수 있는 다양한 유닉스 셸을 포함한 대부분의 명령어 인터프리터에 일반적인 명령이다. 방향 지정[1], 방향 변경[2]으로도 부른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프로그램들은 dup2(2) 시스템 호출이나, 이보다 덜 유연하지만 높은 수준의 stdio 유사물들인 freopen(3)과 popen(3)으로 리다이렉션 기능을 수행한다. 목차 1 표준 입력,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 2 파이프 처리 3 표준 파일 핸들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리다이렉션 4 각주 5 외부 링크 표준 입력, 표준 출력의 리다이렉션[편집] 리다이렉션은 특정한 문자열들을 명령어 사이에 두어서 추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자열들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명령어1 > 파일1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며 이로써 나오는 출력물을 파일1로 내보낸다. 기존에 파일1의 존재하는 경우 기존의 파일 내용은 지우고 새롭게 추가된다. 파일의 끝에 출력물을 추가하려면 >> 연산자를 이용한다: 명령어1 >> 파일1 다음을 이용하면 명령어1 < 파일1 명령어1을 실행하되, 파일1이 입력의 대상이 된다. (자판을 이용하는 것과는 반대로) 명령어1 < 들어오는파일 > 나가는파일 위의 줄은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명령어1은 들어오는파일에서 내용을 불러들인 뒤 나가는파일에 기록한다. 파이프 처리[편집] 세 개의 프로그램의 파이프라인이 텍스트 터미널 위에 실행되는 모습. 특정 프로그램이 명시적인 중간 파일이 없더라도, 다른 프로그램의 출력을 읽게 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어1 | 명령어2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되, 명령어2에 대한 입력으로서 출력을 사용한다. 아래의 줄은 두 개의 리다이렉션과 임시 파일을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명령어1 > 임시파일 명령어2 < 임시파일 rm 임시파일 하지만 여기서 명령어2는 명령어1을 마칠 때까지 실행하지 않으며, 중간 결과물뿐 아니라 각 작업에 요구되는 작업 공간을 보유하기 위해 충분히 큰 스크래치 파일이 필요하다. 이를테면, 도스는 파이프 문법을 인식하지만 이러한 이차적 접근을 이용한다. 명령어 파이프 처리에 대한 좋은 예로, echo를 다른 명령어와 결합하여 비상호적인 셸에서 상호적인 일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echo -e "user\npass" | ftp localhost 위 줄에서 \n은 리턴을 의미한다. 이는 입력 user를 받아 ftp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Enter 키를 누르고 pass를 입력하는 식이다. 도스 환경에서는 format 명령어로 특정 드라이브를 포맷하려면 사용자의 동의를 위해 키보드 입력 Y를 받아야 한다. 다만 다음의 줄을 이용하면 echo y | format c: /q 사용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컴퓨터 자판의 Y를 누르지 않고도) 셸이 직접 Y를 누르게끔 하여 C 드라이브를 빠른 포맷으로 포맷할 수 있다. 표준 파일 핸들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리다이렉션[편집] 본 셸에서 기원한 유닉스 셸에서 처음 두 가지 동작은 문자열 바로 앞에 숫자(파일 서술자)를 두어 수정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스트림이 리다이렉션에 사용되는지에 영향을 준다. 유닉스 표준 입출력 스트림은 다음과 같다: 핸들 이름 설명 0 stdin 표준 입력 1 stdout 표준 출력 2 stderr 표준 오류 이를테면: 명령어1 2> 파일1 위의 줄은 명령어1을 실행하되, 표준 오류 스트림을 파일1로 리다이렉션 처리한다. 각주[편집] ↑ 네이버 지식백과: 방향 지정 (컴퓨터/통신 > 컴퓨터/통신일반) ↑ 네이버 지식백과: 방향 변경 (컴퓨터/통신 > 통신/네트워크 > 컴퓨터네트워크) 외부 링크[편집] dup: duplicate an open file descriptor – System Interfaces 오픈 그룹의 단일 유닉스 규격, Issue 7 참고 Redirection in Window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다이렉션&oldid=22418738" 분류: 스크립트 언어유닉스도스 기술윈도우 관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Italiano日本語Олык марий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5: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전민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민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민수 Jeon Min-Soo LG 트윈스 No.15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89년 3월 18일(1989-03-18) (30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77 cm 체중 76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우익수, 좌익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08년 드래프트 순위 2008년 2차 4라운드(현대 유니콘스) 첫 출장 KBO / 2008년 4월 1일목동 대 한화전 계약금 5,500만원 연봉 4,000만원 (2019년) 경력 우리 히어로즈·히어로즈 (2008년 ~ 2013년) 경찰 야구단 (2010년 ~ 2011년) kt 위즈 (2014년 ~ 2018년) LG 트윈스 (2019년 ~ 현재) 전민수(全敏秀, 1989년 3월 18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수이다. 개명 전 이름은 '전동수'이다. 목차 1 넥센 히어로즈 시절 2 경찰 야구단 시절 3 넥센 히어로즈 복귀 4 kt 위즈 시절 5 LG 트윈스 시절 6 국가대표 경력 7 출신 학교 8 통산 기록 9 각주 넥센 히어로즈 시절[편집] 2008년에 입단하였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09년 시즌 후에 입단하였다. 넥센 히어로즈 복귀[편집]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해 2013년에 방출됐다. kt 위즈 시절[편집] 2014년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2016년 4월 22일 삼성전에서 데뷔 9년만에 프로 첫 안타를 쳐 냈다.[1] 2016년 7월 22일 삼성전에서 끝내기 안타를 쳐 냈다.[2] 2017년 8월 25일 NC전에서 수비를 하던 중 왼쪽 어깨에 부상을 입었고 검진 결과 어깨 근육막이 파열돼 시즌 아웃됐다.[3] 2018년 10월 14일에 방출됐다.[4] LG 트윈스 시절[편집] 2018년 11월 22일에 입단하였다.[5]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7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국가대표 출신 학교[편집] 서울사당초등학교 이수중학교 덕수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08 우리 0.000 11 14 0 0 0 0 0 0 1 0 0 2 0 2 0 0 2009 히어로즈 0.000 4 6 0 0 0 0 0 0 0 0 0 0 0 1 0 0 2016 kt 0.305 74 213 31 65 14 1 3 90 29 5 2 19 4 46 4 0 2017 0.277 55 130 20 36 8 0 1 47 8 2 1 11 0 25 2 1 2018 0.172 21 29 0 5 3 0 0 8 4 0 0 5 0 11 0 0 통산 5시즌 0.270 165 392 51 106 25 1 4 145 42 7 3 37 4 85 6 1 각주[편집] ↑ kt 전민수, 데뷔 9년 만에 첫 안타…역전 2루타 - 일간스포츠 ↑ '전민수 끝내기' kt, 삼성에 짜릿한 재역전승 - OSEN ↑ kt 전민수, 왼 어깨 수술.. 시즌 아웃 - 스타뉴스 ↑ KT, 외야수 전민수 웨이버 공시 - 마이데일리 ↑ LG, 장원삼-심수창-전민수 영입 - 마이데일리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 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07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감독 이종운 투수 박용운 · 성영훈 · 전태현 · 정찬헌 · 진야곱 · 최원제 · 하준호 포수 윤도경 · 장성우 내야수 김경모 · 김선빈 · 안치홍 · 이상원 · 이재곤 · 정재윤 외야수 우동균 · 전동수 · 한희준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민수&oldid=24347841" 분류: 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우익수KBO 리그 좌익수KBO 리그 중견수우리 히어로즈 선수넥센 히어로즈 선수KT 위즈 선수LG 트윈스 선수경찰 야구단 선수서울사당초등학교 동문이수중학교 동문덕수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01: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빌헬름 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빌헬름 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 출생 1832년 8월 16일(1832-08-16)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사망 1920년 8월 31일 (88세) 독일 라이프치히거주지 독일국적 독일인 학력 라이프치히 대학교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독일어: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년 8월 16일 ~ 1920년 8월 31일)는 독일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 생리학자이며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에서 출생하였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후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후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1875년 ~ 1918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879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으며, 이 실험실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어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3권, 1873~1911), 《민족 심리학》(1900~1920), 《심리학원론》(1896), 《철학 세계》(1889) 등이 있다.[1] 목차 1 주요 학문적 연구 1.1 심리학 실험실 1.2 구성주의와 내성법 1.3 민족 심리학 2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 3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 4 함께보기 5 참고 자료 6 각주 7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 주요 학문적 연구[편집] 심리학 실험실[편집] 분트는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라이프치히 대학 측에서 학생들을 처벌할 때 쓰던 강당을 실험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곳에서 바로 과학으로써의 심리학이 처음 탄생하게 되었다고 많은 심리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전의 심리학이 오직 철학의 한 부분으로서 과학적이지 못한 탐구방법에 의해 인간의 마음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반면 분트의 실험실에서는 객관화된 수치, 다시 말해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조작된 정의와 정확한 통계를 통한 과학적인 방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1) 정신 과정의 속도 측정, 2) 시간에 대한 감각, 3) 감각에 대한 분석 4) 주의, 기억, 사고의 연합 등이다. 이로써 심리학은 과학으로써의 학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분트의 실험실에서 공부한 많은 제자들은 서양 학계에서 활발한 심리학 연구와 교육활동을 할만큼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현대 심리학의 시초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이 설치된 1879년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다양한 심리학 분과가 발달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였다.[2] 구성주의와 내성법[편집] 분트는 과학적인 심리학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세상과 정신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을 분석해야 된다고 믿었다. 화학자들이 어떤 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것을 보고 분트는 심리학에서도 인간의 의식에 대해서 구성주의(Structuralism)라는 접근 방법을 택했다. 여기서 구성주의란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감각과 느낌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또한 어떠한 시점과 상황에서도 인간은 다양한 의식 상태가 공존하는데, 분트는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성법(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 자기의 내부 성찰법)(Introspection)을 사용했다. 이처럼 주관적인 측정과 실험 제어를 통해 정신과 의식의 영역을 보다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한 분트는 심리학과 철학을 구별시키는데 일조했다.[3] 분트가 진행한 연구의 배경은 생리학이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연구가 반응 시간이나 감각 과정 혹은 주의에 대한 것에 대한 것에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일반적인 자극, 예를 들어 메트로놈의 소리를 듣거나 향기를 맡는 것에 노출된 후 그들의 감각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다시말해, 분트는 내성법을 이용하여 의식적인 정신 상태를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분트의 내성법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정교한 자기 관찰법의 일종이다. 그래서 그는 심리학 학생들이 개인적인 해석 또는 과거 경험에 의해 한쪽으로 편향되는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의식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물론 이 모든 실험 과정이 개인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고 그것을 단지 관찰할 뿐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다양화시키는 것이 관찰의 일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민족 심리학[편집] 분트는 감각이나 감정 이상의 고등의 정신 과정은 실험법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이라 보고 이것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민족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썼다. 즉, 신화, 언어, 사회, 풍속, 종교, 예술 등 오늘날의 문화인류학이 대상으로 삼는 여러 현상을 여기에 포함시켰다. 원시 시대, 토템 시대, 영웅과 신의 시대, 인간성의 시대의 순으로 문화가 전개해 온 모습을 더듬어 올라가는 일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의 발달을 추적하는 일인 동시에 정신발달 연구의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 심리학과는 별도로 정신 발달의 일반법칙을 발견하기 위하여 원시민족의 정신적 특성을 대상으로 해서 그 문화적 소산인 언어, 예술, 종교, 신화 등에 관하여 연구한 10권에 이르는 대작 《민족심리학》을 저서하였다. 또한 분트는 《국민과 그 철학》(1875)에서 각국의 철학적 특성도 고찰하였다. 민족 심리학에서 다루어진 여러 문제는 오늘날 각기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문화심리학, 문화인류학, 민족학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말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4]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편집]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만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독립된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다. 그의 실험 심리학은 이후에 행동주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많은 실험적 방법들은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또한 그는 정신 기능의 세 부분에 대하여 집중 연구했는데 그것은 생각(thought), 이미지(image), 그리고 감정(feeling)이다. 이것들은 오늘날의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즉,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분트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분트가 심리학 발달에 기여한 것 중 하나는 그의 연구가 아주 잘 통제된 조건(예를 들어 실험적 방법)들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행동주의자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도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와 같은 오늘날의 현대 심리학자들은 내성법의 실험 방법론이 과학적이더라도 그것은 실제로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스키너는 내성법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주관적이고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히 검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후 분트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티츠너(Edward Bradford Titchener, 1867년 1월 11일 ~ 1927년 8월 3일)는 분트의 구성주의를 주도하였으며 ‘마음의 요소’들을 발견하고자 자기 반영적인 내성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구성주의는 내성법의 쇠퇴와 함께 퇴색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성법이 똑똑하고 언변이 좋은 사람들을 지나치게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그 결과가 사람마다, 그리고 경험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퇴색되었다.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편집] 분트 연구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내성법이라는 측정 도구의 주관성이다. 그래서 구성주의와 내성법에 대한 비판과 함께 행동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의 심리학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행동주의는 구성주의보다 더욱 객관화된 심리학의 분야인데, 그 이유는 행동주의가 오로지 관찰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 자체만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파이기 때문이다. 분트의 구성주의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의 요소"를 내성법을 통해 측정하려 했지만, 행동주의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인지주의 등으로 심리학계의 패러다임이 계속 발달하며 변화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분트의 자연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기존에 존재했던 철학과 유사한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었다는 점과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토대를 쌓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함께보기[편집] 윌리엄 제임스 참고 자료[편집] Schacter, Gilbert, Wegner, 《Psychology》 David Myers, 《Exploring Psychology》 최창호, 《20세기를 빛낸 심리학자》 성균관대학교응용심리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각주[편집] ↑ “A brief history of Psychology, Oakely E. Gordon”. 201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Northern Illinois Univ. Wundt Laboratory”.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Paper about Wundt on "SimplyPsychology" ↑ 민족심리학(民族心理學,Völkerpsychologie)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편집] about.com 심리학 연구자료 사이트 스탠포드 백과사전 사이트 빌헬름 분트와 윌리엄 제임스 비교하는 논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472991 LCCN: n50019417 ISNI: 0000 0000 8339 077X GND: 11863562X SELIBR: 309261 SUDOC: 032994850 BNF: cb123907493 (데이터) MGP: 46065 NLA: 35622225 NDL: 00461514 NKC: nlk20000085379 BNE: XX1162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빌헬름_분트&oldid=24473840" 분류: 1832년 태어남1920년 죽음독일의 심리학자독일의 철학자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튀빙겐 대학교 동문만하임 출신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빌헬름 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빌헬름 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 출생 1832년 8월 16일(1832-08-16)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사망 1920년 8월 31일 (88세) 독일 라이프치히거주지 독일국적 독일인 학력 라이프치히 대학교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독일어: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년 8월 16일 ~ 1920년 8월 31일)는 독일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 생리학자이며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에서 출생하였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후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후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1875년 ~ 1918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879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으며, 이 실험실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어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3권, 1873~1911), 《민족 심리학》(1900~1920), 《심리학원론》(1896), 《철학 세계》(1889) 등이 있다.[1] 목차 1 주요 학문적 연구 1.1 심리학 실험실 1.2 구성주의와 내성법 1.3 민족 심리학 2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 3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 4 함께보기 5 참고 자료 6 각주 7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 주요 학문적 연구[편집] 심리학 실험실[편집] 분트는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라이프치히 대학 측에서 학생들을 처벌할 때 쓰던 강당을 실험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곳에서 바로 과학으로써의 심리학이 처음 탄생하게 되었다고 많은 심리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전의 심리학이 오직 철학의 한 부분으로서 과학적이지 못한 탐구방법에 의해 인간의 마음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반면 분트의 실험실에서는 객관화된 수치, 다시 말해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조작된 정의와 정확한 통계를 통한 과학적인 방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1) 정신 과정의 속도 측정, 2) 시간에 대한 감각, 3) 감각에 대한 분석 4) 주의, 기억, 사고의 연합 등이다. 이로써 심리학은 과학으로써의 학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분트의 실험실에서 공부한 많은 제자들은 서양 학계에서 활발한 심리학 연구와 교육활동을 할만큼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현대 심리학의 시초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이 설치된 1879년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다양한 심리학 분과가 발달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였다.[2] 구성주의와 내성법[편집] 분트는 과학적인 심리학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세상과 정신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을 분석해야 된다고 믿었다. 화학자들이 어떤 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것을 보고 분트는 심리학에서도 인간의 의식에 대해서 구성주의(Structuralism)라는 접근 방법을 택했다. 여기서 구성주의란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감각과 느낌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또한 어떠한 시점과 상황에서도 인간은 다양한 의식 상태가 공존하는데, 분트는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성법(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 자기의 내부 성찰법)(Introspection)을 사용했다. 이처럼 주관적인 측정과 실험 제어를 통해 정신과 의식의 영역을 보다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한 분트는 심리학과 철학을 구별시키는데 일조했다.[3] 분트가 진행한 연구의 배경은 생리학이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연구가 반응 시간이나 감각 과정 혹은 주의에 대한 것에 대한 것에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일반적인 자극, 예를 들어 메트로놈의 소리를 듣거나 향기를 맡는 것에 노출된 후 그들의 감각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다시말해, 분트는 내성법을 이용하여 의식적인 정신 상태를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분트의 내성법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정교한 자기 관찰법의 일종이다. 그래서 그는 심리학 학생들이 개인적인 해석 또는 과거 경험에 의해 한쪽으로 편향되는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의식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물론 이 모든 실험 과정이 개인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고 그것을 단지 관찰할 뿐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다양화시키는 것이 관찰의 일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민족 심리학[편집] 분트는 감각이나 감정 이상의 고등의 정신 과정은 실험법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이라 보고 이것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민족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썼다. 즉, 신화, 언어, 사회, 풍속, 종교, 예술 등 오늘날의 문화인류학이 대상으로 삼는 여러 현상을 여기에 포함시켰다. 원시 시대, 토템 시대, 영웅과 신의 시대, 인간성의 시대의 순으로 문화가 전개해 온 모습을 더듬어 올라가는 일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의 발달을 추적하는 일인 동시에 정신발달 연구의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 심리학과는 별도로 정신 발달의 일반법칙을 발견하기 위하여 원시민족의 정신적 특성을 대상으로 해서 그 문화적 소산인 언어, 예술, 종교, 신화 등에 관하여 연구한 10권에 이르는 대작 《민족심리학》을 저서하였다. 또한 분트는 《국민과 그 철학》(1875)에서 각국의 철학적 특성도 고찰하였다. 민족 심리학에서 다루어진 여러 문제는 오늘날 각기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문화심리학, 문화인류학, 민족학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말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4]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편집]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만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독립된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다. 그의 실험 심리학은 이후에 행동주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많은 실험적 방법들은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또한 그는 정신 기능의 세 부분에 대하여 집중 연구했는데 그것은 생각(thought), 이미지(image), 그리고 감정(feeling)이다. 이것들은 오늘날의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즉,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분트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분트가 심리학 발달에 기여한 것 중 하나는 그의 연구가 아주 잘 통제된 조건(예를 들어 실험적 방법)들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행동주의자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도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와 같은 오늘날의 현대 심리학자들은 내성법의 실험 방법론이 과학적이더라도 그것은 실제로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스키너는 내성법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주관적이고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히 검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후 분트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티츠너(Edward Bradford Titchener, 1867년 1월 11일 ~ 1927년 8월 3일)는 분트의 구성주의를 주도하였으며 ‘마음의 요소’들을 발견하고자 자기 반영적인 내성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구성주의는 내성법의 쇠퇴와 함께 퇴색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성법이 똑똑하고 언변이 좋은 사람들을 지나치게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그 결과가 사람마다, 그리고 경험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퇴색되었다.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편집] 분트 연구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내성법이라는 측정 도구의 주관성이다. 그래서 구성주의와 내성법에 대한 비판과 함께 행동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의 심리학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행동주의는 구성주의보다 더욱 객관화된 심리학의 분야인데, 그 이유는 행동주의가 오로지 관찰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 자체만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파이기 때문이다. 분트의 구성주의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의 요소"를 내성법을 통해 측정하려 했지만, 행동주의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인지주의 등으로 심리학계의 패러다임이 계속 발달하며 변화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분트의 자연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기존에 존재했던 철학과 유사한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었다는 점과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토대를 쌓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함께보기[편집] 윌리엄 제임스 참고 자료[편집] Schacter, Gilbert, Wegner, 《Psychology》 David Myers, 《Exploring Psychology》 최창호, 《20세기를 빛낸 심리학자》 성균관대학교응용심리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각주[편집] ↑ “A brief history of Psychology, Oakely E. Gordon”. 201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Northern Illinois Univ. Wundt Laboratory”.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Paper about Wundt on "SimplyPsychology" ↑ 민족심리학(民族心理學,Völkerpsychologie)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편집] about.com 심리학 연구자료 사이트 스탠포드 백과사전 사이트 빌헬름 분트와 윌리엄 제임스 비교하는 논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472991 LCCN: n50019417 ISNI: 0000 0000 8339 077X GND: 11863562X SELIBR: 309261 SUDOC: 032994850 BNF: cb123907493 (데이터) MGP: 46065 NLA: 35622225 NDL: 00461514 NKC: nlk20000085379 BNE: XX1162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빌헬름_분트&oldid=24473840" 분류: 1832년 태어남1920년 죽음독일의 심리학자독일의 철학자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튀빙겐 대학교 동문만하임 출신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빌헬름 분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빌헬름 분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 출생 1832년 8월 16일(1832-08-16)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사망 1920년 8월 31일 (88세) 독일 라이프치히거주지 독일국적 독일인 학력 라이프치히 대학교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독일어: Wilhelm Maximilian Wundt, 1832년 8월 16일 ~ 1920년 8월 31일)는 독일의 심리학자 겸 철학자, 생리학자이며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독일 바덴의 네카라우(현재의 만하임)에서 출생하였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 튀빙겐 대학,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후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후 모교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1875년 ~ 1918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1879년에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하였으며, 이 실험실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이 모여들어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후에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비교 심리학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3권, 1873~1911), 《민족 심리학》(1900~1920), 《심리학원론》(1896), 《철학 세계》(1889) 등이 있다.[1] 목차 1 주요 학문적 연구 1.1 심리학 실험실 1.2 구성주의와 내성법 1.3 민족 심리학 2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 3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 4 함께보기 5 참고 자료 6 각주 7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 주요 학문적 연구[편집] 심리학 실험실[편집] 분트는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라이프치히 대학 측에서 학생들을 처벌할 때 쓰던 강당을 실험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곳에서 바로 과학으로써의 심리학이 처음 탄생하게 되었다고 많은 심리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전의 심리학이 오직 철학의 한 부분으로서 과학적이지 못한 탐구방법에 의해 인간의 마음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반면 분트의 실험실에서는 객관화된 수치, 다시 말해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조작된 정의와 정확한 통계를 통한 과학적인 방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실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1) 정신 과정의 속도 측정, 2) 시간에 대한 감각, 3) 감각에 대한 분석 4) 주의, 기억, 사고의 연합 등이다. 이로써 심리학은 과학으로써의 학문으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분트의 실험실에서 공부한 많은 제자들은 서양 학계에서 활발한 심리학 연구와 교육활동을 할만큼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현대 심리학의 시초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이 설치된 1879년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다양한 심리학 분과가 발달할 수 있도록 이바지하였다.[2] 구성주의와 내성법[편집] 분트는 과학적인 심리학이 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세상과 정신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경험)을 분석해야 된다고 믿었다. 화학자들이 어떤 물질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것을 보고 분트는 심리학에서도 인간의 의식에 대해서 구성주의(Structuralism)라는 접근 방법을 택했다. 여기서 구성주의란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감각과 느낌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방법이다. 또한 어떠한 시점과 상황에서도 인간은 다양한 의식 상태가 공존하는데, 분트는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성법(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 자기의 내부 성찰법)(Introspection)을 사용했다. 이처럼 주관적인 측정과 실험 제어를 통해 정신과 의식의 영역을 보다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한 분트는 심리학과 철학을 구별시키는데 일조했다.[3] 분트가 진행한 연구의 배경은 생리학이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연구가 반응 시간이나 감각 과정 혹은 주의에 대한 것에 대한 것에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일반적인 자극, 예를 들어 메트로놈의 소리를 듣거나 향기를 맡는 것에 노출된 후 그들의 감각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다시말해, 분트는 내성법을 이용하여 의식적인 정신 상태를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분트의 내성법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정교한 자기 관찰법의 일종이다. 그래서 그는 심리학 학생들이 개인적인 해석 또는 과거 경험에 의해 한쪽으로 편향되는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훈련시켰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의식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물론 이 모든 실험 과정이 개인의 해석에 의존하고 있고 그것을 단지 관찰할 뿐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매우 주관적일 수 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다양화시키는 것이 관찰의 일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민족 심리학[편집] 분트는 감각이나 감정 이상의 고등의 정신 과정은 실험법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이라 보고 이것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민족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썼다. 즉, 신화, 언어, 사회, 풍속, 종교, 예술 등 오늘날의 문화인류학이 대상으로 삼는 여러 현상을 여기에 포함시켰다. 원시 시대, 토템 시대, 영웅과 신의 시대, 인간성의 시대의 순으로 문화가 전개해 온 모습을 더듬어 올라가는 일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어린이에서 어른으로의 발달을 추적하는 일인 동시에 정신발달 연구의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그래서 분트는 실험 심리학과는 별도로 정신 발달의 일반법칙을 발견하기 위하여 원시민족의 정신적 특성을 대상으로 해서 그 문화적 소산인 언어, 예술, 종교, 신화 등에 관하여 연구한 10권에 이르는 대작 《민족심리학》을 저서하였다. 또한 분트는 《국민과 그 철학》(1875)에서 각국의 철학적 특성도 고찰하였다. 민족 심리학에서 다루어진 여러 문제는 오늘날 각기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문화심리학, 문화인류학, 민족학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말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4] 현대 심리학에 끼친 영향[편집] 분트의 심리학 실험실은 심리학만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독립된 학문 분야를 탄생시켰다. 그의 실험 심리학은 이후에 행동주의 탄생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많은 실험적 방법들은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또한 그는 정신 기능의 세 부분에 대하여 집중 연구했는데 그것은 생각(thought), 이미지(image), 그리고 감정(feeling)이다. 이것들은 오늘날의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즉,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분트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분트가 심리학 발달에 기여한 것 중 하나는 그의 연구가 아주 잘 통제된 조건(예를 들어 실험적 방법)들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행동주의자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도 실험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 1904년 3월 20일 ~ 1990년 8월 18일)와 같은 오늘날의 현대 심리학자들은 내성법의 실험 방법론이 과학적이더라도 그것은 실제로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스키너는 내성법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주관적이고 오직 관찰 가능한 행동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히 검증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후 분트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티츠너(Edward Bradford Titchener, 1867년 1월 11일 ~ 1927년 8월 3일)는 분트의 구성주의를 주도하였으며 ‘마음의 요소’들을 발견하고자 자기 반영적인 내성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구성주의는 내성법의 쇠퇴와 함께 퇴색되었는데 그 이유는 내성법이 똑똑하고 언변이 좋은 사람들을 지나치게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그 결과가 사람마다, 그리고 경험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구성주의는 퇴색되었다. 이후의 심리학 패러다임의 변화[편집] 분트 연구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내성법이라는 측정 도구의 주관성이다. 그래서 구성주의와 내성법에 대한 비판과 함께 행동주의라는 새로운 흐름의 심리학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행동주의는 구성주의보다 더욱 객관화된 심리학의 분야인데, 그 이유는 행동주의가 오로지 관찰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 자체만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파이기 때문이다. 분트의 구성주의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인간의 "마음의 요소"를 내성법을 통해 측정하려 했지만, 행동주의에서는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후에는 인지주의 등으로 심리학계의 패러다임이 계속 발달하며 변화되었는데, 중요한 것은 분트의 자연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기존에 존재했던 철학과 유사한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꾸어었다는 점과 동시에 실험 심리학을 통해 현대 심리학의 토대를 쌓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빌헬름 분트는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함께보기[편집] 윌리엄 제임스 참고 자료[편집] Schacter, Gilbert, Wegner, 《Psychology》 David Myers, 《Exploring Psychology》 최창호, 《20세기를 빛낸 심리학자》 성균관대학교응용심리연구소, 《인간의 마음과 행동》 각주[편집] ↑ “A brief history of Psychology, Oakely E. Gordon”. 2013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Northern Illinois Univ. Wundt Laboratory”.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Paper about Wundt on "SimplyPsychology" ↑ 민족심리학(民族心理學,Völkerpsychologie)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외부 링크 및 참고 사이트[편집] about.com 심리학 연구자료 사이트 스탠포드 백과사전 사이트 빌헬름 분트와 윌리엄 제임스 비교하는 논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472991 LCCN: n50019417 ISNI: 0000 0000 8339 077X GND: 11863562X SELIBR: 309261 SUDOC: 032994850 BNF: cb123907493 (데이터) MGP: 46065 NLA: 35622225 NDL: 00461514 NKC: nlk20000085379 BNE: XX116227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빌헬름_분트&oldid=24473840" 분류: 1832년 태어남1920년 죽음독일의 심리학자독일의 철학자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동문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튀빙겐 대학교 동문만하임 출신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1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EXP EDITION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XP EDITION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EXP EDITION 기본 정보 국가 미국 대한민국 결성 지역 미국 뉴욕 장르 댄스, 일레트로니카 활동 시기 2014년 ~ 2019년 레이블 NHN벅스 소속사 아임어비비 웹사이트 공식사이트 구성원 프랭키헌터시메코키 이전 구성원 데이비드 앨런 월리스 (David Alan Wallace)타리온 테일러 앤더슨(Tarion Taylor Anderson) EXP EDITION 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의 4인조 남성 그룹이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원생들이 논문을 준비하며 실험적으로 만든 그룹으로 미국에서 먼저 데뷔 후, 2017년 4월 한국에서 첫 싱글앨범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1] 목차 1 성원 1.1 프랭키 (Frankie) 1.2 헌터 (Hunter) 1.3 시메 (Sime) 1.4 코키 (Koki) 2 음반 목록 2.1 미니 앨범 2.2 디지털 싱글 3 음반 외 활동 3.1 방송 3.2 영화 3.3 라디오 3.4 행사 3.5 홍보대사 4 콘서트 4.1 단독 콘서트 4.2 공연 5 수상 내역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원[편집] 프랭키 (Frankie)[편집] 본명 : 프랭키 데폰트 주니어 (Frankie Daponte Jr.) 출생지 : 포르투갈[2] 생일 : 2월 16일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특이사항 : 뉴욕에서 11년간 축구선수로 활동[3] 헌터 (Hunter)[편집] 본명 : 헌터 콜 (Hunter Kohl) 출생지 : 미국 뉴욕[2] 생일 : 6월 29일 포지션 : 랩 특이사항 뉴욕에서 배우로 활동[4] 보이밴드 ‘메이드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출신 시메 (Sime)[편집] 본명 : 시메 코스타 (Šime Košta) 생년월일 : 1992년 1월 17일(1992-01-17) (27세) 출생지 : 크로아티아[2] 학력 :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뮤지컬 전공 포지션 : 보컬, 랩 약력 : 미국에서 음악학교를 졸업하고 ‘메사 앙코르 극장 어워드 극부분 최우수 배우상’, ‘센터 스테이지 어워드 우수 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뮤지컬 배우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 코키 (Koki)[편집] 본명 : 코키 톰린슨 (Koki Tomlinson) 생년월일 : 1993년 2월 4일(1993-02-04) (26세) 출생지 : 홍콩[4] 포지션 : 보컬 특이사항 뉴욕에서 광고모델로 활동했다.[4] KBS2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참가했으나 탈락했다. 음반 목록[편집] 미니 앨범[편집] 순서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FIRST EDITION 발매일: 2018년 1월 11일 FEEL LIKE THIS 가라와라 (GADAWADA) STRESS READY TO GO FEEL LIKE THIS (Solju Remix) 디지털 싱글[편집] 순서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LUV/WRONG 발매일: 2015년 11월 6일 LUV/WRONG[5] (뮤직비디오 - 유튜브)[6] 2 FEEL LIKE THIS 발매일: 2017년 4월 17일 FEEL LIKE THIS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편집] 방송사 제목 출연 기간 역할 참고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전원 2017년 4월 20일 미스터리 싱어 슈퍼주니어 편 KBS1 《이웃집 찰스》 전원 2017년 6월 20일 게스트 JTBC 《팬텀싱어2》 시메 2017년 8월 25일 ~ 2017년 10월 13일 참가자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메 2018년 2월 16일 패널 MBC 캐스팅 콜 프랭키 2018년 4월 KBS2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시메 2018년 6월 2일 출연자 영화[편집] 《더 그레이트 화이트》- 스티븐 역 (헌터) 라디오[편집] 방송사 제목 출연 기간 역할 아리랑 라디오 《K-Poppin'》 전원 2017년 4월 25일 게스트 TBS eFM 《Koreascape》 전원 2017년 5월 4일 평화방송 《한낮의 가요선물》 전원 2017년 5월 24일 EBS 라디오 《English Go Go》 전원 2017년 5월 26일 TBS eFM 《Soundcheck》 헌터 2017년 5월 29일 ~ 2017년 6월 9일 DJ 전원 2017년 6월 9일 게스트 행사[편집] 2017년 5월 19일 여주대학교 용마 축제 (경기도 여주) 2017년 5월 25일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행사 (강원도 원주) 2017년 5월 27일 한라대학교 행사 (강원도 원주) 2017년 11월 4일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독서골든벨 행사 (서울 성동구) 홍보대사[편집] 연도 경력 2017년 제8회 인천공항 bbb-day 캠페인 특임 홍보대사[7] 서울한지문화제 홍보대사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국가 도시 장소 크리스마스 파티 with EXP EDITION 2017년 12월 22일 대한민국 서울 라움아트센터 마제스틱 볼룸 공연[편집] 공연명 날짜 국가 도시 장소 Roskilde Festival 2017년 6월 28일 ~2017년 7월 1일 덴마크 로스킬레 The Voice of DUO 듀오 콘서트 신년음악회 2018년 1월 2일 대한민국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수상 내역[편집] 연도 수상 내역 2017년 6월 8일 럭셔리 브랜드 모델 어워즈 글로벌 K-POP 신인상[8] 9월 9일 국제 K-스타 어워즈 해외 아티스트 부문 우수상 각주[편집] ↑ 이민지 (2017년 6월 20일). “이엑스피 에디션, 미국서 온 F4는 왜 K팝 가수로 데뷔했나”. 《뉴스엔》.  ↑ 가 나 다 김민주 (2017년 6월 21일). “‘이웃집 찰스’ EXP 에디션, 한국愛로 똘똘 뭉친 파란눈 4인방”. 뉴스엔.  ↑ 《EXP edition “좋은 에너지 방출하는 그룹 되고파”》. (인터뷰). bntnews. 2017년 6월 14일.  ↑ 가 나 다 《이엑스피 에디션 “저희요? 성공할 수 있어요, 한국 데뷔도 이뤄냈잖아요”》. (인터뷰). bntnews. 2017년 6월 14일.  ↑ 한국 정식 데뷔전에 나온 노래이다. ↑ 2명의 멤버가 탈퇴전에 출연한 뮤직비디오이다. ↑ 류재용 (2017년 8월 13일). “bbb 코리아, ‘EXP EDITION(이엑스피 에디션)’ 홍보 특임대사로 위촉”. 아크로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정재영 (2017년 6월 8일). “EXP EDITION, '글로벌 KPOP' 신인상 수상 '화제성 입증'”. 미디어펜.  외부 링크[편집] EXP EDITION - 공식 웹사이트 EXP EDITION - 인스타그램 EXP EDITION - 트위터 EXP EDITION - 페이스북 비디오 - 유튜브 EXP EDITION - V LIVE 프랭키 - 인스타그램 헌터 - 인스타그램 시메 - 인스타그램 코키 - 인스타그램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191755f4-0824-4f74-9c99-408e6f3f1fe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XP_EDITION&oldid=24213894" 분류: 2010년대 음악 그룹미국의 팝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미국의 보이 밴드미국의 댄스 음악 그룹2014년 결성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K-pop 음악 그룹너의 목소리가 보여 참가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14: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상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상속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상속(相續)이란 사람의 사망에 의한 재산 및 신분상의 지위의 포괄적인 승계를 말한다. 그 외 실종신고나 인정사망의 경우에도 상속이 개시된다. 상속의 중심은 재산상속에 있다. 상속의 형태 가운데 법정상속주의는 상속인을 법정하는 것이고 자유상속주의는 상속인을 피상속인이 선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민법은 기존의 호주제를 폐지하였으며, 가족재산의 공동상속인 재산상속만을 규정하고 있다. 특허권의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그 특허권은 소멸되어 일반 공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법 제124조). 목차 1 상속 재산 조사 2 시대별 상속비율 3 법정상속순위 3.1 상속결격자 4 유류분 4.1 보장비율 5 대습상속 5.1 예시 5.1.1 사례 6 세금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10 외부 링크 상속 재산 조사[편집] 상속인은 피상속인이 남긴 재산을 조사해야 하는데, 부동산은 국토해양부의 "조상땅 찾기" 서비스를 통해서, 금융재산은 금융감독원의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를 통해 조사할 수 있다. 부동산과 금융재산의 상속재산조사가 완료되면, 피상속인의 유언이 있으면 유언에 따라 나누고, 유언이 없으면 상속재산분할협의를 하여 나누며, 협의도 안 되면 가정법원에 상속재산분할청구를 하여 소송을 통해 상속재산을 나눈다. 시대별 상속비율[편집]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남녀평등의 위주로 상속비율이 변경되었음을 볼수 있다. 1960년 1월 1일 이전 사망자 호주상속인[1]이 전부 상속[2] 1960년 1월 1일 ~ 1978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호주상속인 이외의 피상속인의 아들 1.0 배우자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미혼인 딸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1979년 1월 1일 ~ 1990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배우자 1.5 기타자녀 1.0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현행민법 시행 이후 사망자[3] 배우자 1.5, 직계혈족 1.0 배우자가 없어 상속순위가 3순위 이하로 넘어가는경우 비율의 차등없이 상속인들 전원이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는다. 법정상속순위[편집] [4] 1순위 : 배우자와 직계비속 배우자와 시부모가 있는 상황에서 배우자의 복중에 태아가 있는경우 민법상 태아에게도 상속권이 인정되기 때문에 상속인은 배우자와 복중태아이다. 2순위 : 배우자와 직계존속 3순위 : 형제자매 4순위 : 사촌 이내 방계혈족 5순위 : 소정의 절차를 거쳐 국고귀속 피상속인에게 생존해있는 직계혈족이 전무한상황에서 배우자만 있는경우 배우자가 망자의 재산을 전부 상속한다. 상속결격자[편집] 민법 1004조의 규정에 의하여 법정상속우선순위에 해당하여도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을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상속인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간주하여 법정상속순위상 동순위의 자에게 해당자의 비율만큼 가산하거나 동순위의 자가 없는경우 대습상속에 의한 상속[5]이 개시되며 이 경우에도 해당되지 않는경우 후순위자에게 상속의 권리가 넘어간다.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의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자나 동상속인[6]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 한 자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변조, 파기 또는 은닉한자 유류분[편집] 상속인의 최소한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민법에서 명시되어있는 규정으로 법정상속비율만큼 상속받지 못한경우 법정상속비율의 일정부분을 법률로서 인정해주는 제도이다. 단, 이경우 법원에 소송을 하여야 한다는 유의점이 있고 자기 자신이 상속받은 비율이 하단의 비율 이상인 경우 이미 유류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속받은 것이기 때문에 유류분 소송을 할 수 없다.[7] 보장비율[편집]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50%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10억원이 있고 슬하에 자녀가 2명이 있는 상황에서 자녀들에게는 1억원씩만 상속하고 피상속인의 기타재산이 복지재단 등에 기부된 경우 아들 2명은 각각 복지재단 등에 법정상속분의 50%에 해당하는 2억 5000만원-1억원=1억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형제자매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⅓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3억원이 있고 부모만 생존해 있는 상황에서 제3자에게 재산이 상속된 경우 부모는 각각 그 제3자에게 법정상속분의 ⅓에 해당하는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대습상속[편집] 피상속인의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사망 전 사망한경우 그 사람의 상속예정비율을 그 사람의 상속인에게 대습하여 상속하게 하는 제도 [8] 예시[편집] 배우자와 아들 둘이 있는데 차남이 사망한경우 차남의 상속예정비율 1.0에 해당하는 지분을 차남의 상속인(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 사례[편집] 피상속인 재산 49억원으로 가정하였을때 배우자 21/49 = 21억원 장남 14/49 = 14억원 (차남의 상속예정분 14억원 보전) 차남의 배우자 6/49 = 6억원 차남의 아들 4/49 = 4억원 차남의 딸 4/49 = 4억원 세금[편집] 사망일의 다음 달 부터 6개월 내에 상속세를 관할 세무서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부동산을 상속한 경우, 사망일로 부터 6개월 내에 취득세를 관할 구청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상속세와 취득세의 자진신고기한은 약간 차이가 있으며 구청과 세무서가 다름을 주의해야 한다. 상속재산분할협의가 안 된 경우에는 법정상속분을 기준으로 신고한다. 자진신고기한을 넘기면 20%의 가산세가 부과된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상속법 일본의 상속법 장자상속제(태평양전쟁 패전 이전) 만몽개척단(장자상속제 영향으로 차남이나 3남의 일본남자들이 만주 & 몽골 침략 첨병의 일본군 대량지원)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상속"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통상적으로 피상속인의 장자 ↑ 그 외 자녀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았고, 호주상속인을 제외한 피상속인의 아들은 호주상속인에게 재산의 일부를 분배해달라고 요구할 수는 있었다. ↑ 아들, 딸 혹은 장차남 구분없이 모든 자녀가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으며, 다만 상속인들간의 합의가 되었거나 망자에 대한 부양정도가 특별하다면 법원에 소송을 하여 일정부분을 가산받을수 있다. ↑ 재산형성과정의 기여도 등과 상관없이 선순위 상속자가 있는경우, 후순위 상속자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형제자매와 동업으로 사업하던 a씨가 사망했을때 망자의 1, 2순위 상속인에게 상속의 권리가 인정되며 형제자매에게는 인정되지 않는다) ↑ 극단적으로 부모를 살해한 차남이 있는데 상속결격인이 되자 그의 배우자와 자녀가 대습상속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 배우자와 직계비속은 민법상 상속의 동(1)순위인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망자의 배우자가 태아를 낙태한경우 판례상 상속동순위자를 살해한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해 상속결격인이 되어 시부모에게 상속권리가 넘어간 경우도 있다. ↑ 자기 자신이 망자의 외동딸인데 망자의 재산이 10억원인 상황에서 5억원이 상속된 경우 이미 유류분을 보장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나머지 5억원을 상속받은 주체에게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을 할 수 없음 ↑ 하단의 예시와 같이 차남이 망자의 사망 전 사망하였고 슬하의 배우자와 1남 1녀가 있는데 그 배우자가 망자의 사망 전 재혼한경우, 차남의 배우자는 대습상속의 대상이 아니고 망자의 두 자녀만 대습상속의 대상이 된다. 외부 링크[편집] (법제처) 상속 (금융감독위원회) 상속조회안내 vdeh재산권소유자에 따른 분류 공유재산법 (미국) 협동조합 사유 공공 국유 태생에 따른 분류 지식 개인 이론 상품 비배제성 무임승차 문제 게임 이론 지공주의 선물경제 렌트법 지대추구 소유권 자기 국유 공유지의 비극 응용 상속 물권법 지역권 부동산 권리 공중 어업 사냥 토지 스쾃 통행권 용수 수리 탈취/재분배 징수 인클로저 공용징수 불법 어업 토지개혁 해상강도 본원 축적 민영화 노예제 인신매매 조세 상속세 인두세 누진세 재산세 도둑 학자 프레데릭 바스티아 로널드 코스 헨리 조지 개럿 하딘 데이비드 하비 존 로크 통치론 카를 마르크스 마르셀 모스 존 스튜어트 밀 엘리너 오스트롬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데이비드 리카도 머레이 N. 로스바드 장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애덤 스미스 국부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상속&oldid=23418939" 분류: 상속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Буряад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Latina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imple EnglishSlovenščinaChiSho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olof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5일 (토) 1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상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상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상속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상속(相續)이란 사람의 사망에 의한 재산 및 신분상의 지위의 포괄적인 승계를 말한다. 그 외 실종신고나 인정사망의 경우에도 상속이 개시된다. 상속의 중심은 재산상속에 있다. 상속의 형태 가운데 법정상속주의는 상속인을 법정하는 것이고 자유상속주의는 상속인을 피상속인이 선출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민법은 기존의 호주제를 폐지하였으며, 가족재산의 공동상속인 재산상속만을 규정하고 있다. 특허권의 상속인이 없는 경우에는 그 특허권은 소멸되어 일반 공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법 제124조). 목차 1 상속 재산 조사 2 시대별 상속비율 3 법정상속순위 3.1 상속결격자 4 유류분 4.1 보장비율 5 대습상속 5.1 예시 5.1.1 사례 6 세금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10 외부 링크 상속 재산 조사[편집] 상속인은 피상속인이 남긴 재산을 조사해야 하는데, 부동산은 국토해양부의 "조상땅 찾기" 서비스를 통해서, 금융재산은 금융감독원의 "상속인 금융거래 조회서비스"를 통해 조사할 수 있다. 부동산과 금융재산의 상속재산조사가 완료되면, 피상속인의 유언이 있으면 유언에 따라 나누고, 유언이 없으면 상속재산분할협의를 하여 나누며, 협의도 안 되면 가정법원에 상속재산분할청구를 하여 소송을 통해 상속재산을 나눈다. 시대별 상속비율[편집] 시대의 변화에 따라 남녀평등의 위주로 상속비율이 변경되었음을 볼수 있다. 1960년 1월 1일 이전 사망자 호주상속인[1]이 전부 상속[2] 1960년 1월 1일 ~ 1978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호주상속인 이외의 피상속인의 아들 1.0 배우자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미혼인 딸 0.5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1979년 1월 1일 ~ 1990년 12월 31일 사망자 호주상속인 1.5 배우자 1.5 기타자녀 1.0 피상속인의 사망당시 기혼인 딸 0.25 현행민법 시행 이후 사망자[3] 배우자 1.5, 직계혈족 1.0 배우자가 없어 상속순위가 3순위 이하로 넘어가는경우 비율의 차등없이 상속인들 전원이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는다. 법정상속순위[편집] [4] 1순위 : 배우자와 직계비속 배우자와 시부모가 있는 상황에서 배우자의 복중에 태아가 있는경우 민법상 태아에게도 상속권이 인정되기 때문에 상속인은 배우자와 복중태아이다. 2순위 : 배우자와 직계존속 3순위 : 형제자매 4순위 : 사촌 이내 방계혈족 5순위 : 소정의 절차를 거쳐 국고귀속 피상속인에게 생존해있는 직계혈족이 전무한상황에서 배우자만 있는경우 배우자가 망자의 재산을 전부 상속한다. 상속결격자[편집] 민법 1004조의 규정에 의하여 법정상속우선순위에 해당하여도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을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상속인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간주하여 법정상속순위상 동순위의 자에게 해당자의 비율만큼 가산하거나 동순위의 자가 없는경우 대습상속에 의한 상속[5]이 개시되며 이 경우에도 해당되지 않는경우 후순위자에게 상속의 권리가 넘어간다.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 그의 배우자 또는 상속의 선순위자나 동상속인[6]을 살해하거나 살해하려 한 자 고의로 직계존속, 피상속인과 그 배우자에게 상해를 가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 또는 유언의 철회를 방해한 자 사기 또는 강박으로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을 하게 한 자 피상속인의 상속에 관한 유언서를 위변조, 파기 또는 은닉한자 유류분[편집] 상속인의 최소한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민법에서 명시되어있는 규정으로 법정상속비율만큼 상속받지 못한경우 법정상속비율의 일정부분을 법률로서 인정해주는 제도이다. 단, 이경우 법원에 소송을 하여야 한다는 유의점이 있고 자기 자신이 상속받은 비율이 하단의 비율 이상인 경우 이미 유류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속받은 것이기 때문에 유류분 소송을 할 수 없다.[7] 보장비율[편집] 피상속인의 직계비속, 배우자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50%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10억원이 있고 슬하에 자녀가 2명이 있는 상황에서 자녀들에게는 1억원씩만 상속하고 피상속인의 기타재산이 복지재단 등에 기부된 경우 아들 2명은 각각 복지재단 등에 법정상속분의 50%에 해당하는 2억 5000만원-1억원=1억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형제자매인 경우 법정상속분의 ⅓ 예시 피상속인에게 재산이 3억원이 있고 부모만 생존해 있는 상황에서 제3자에게 재산이 상속된 경우 부모는 각각 그 제3자에게 법정상속분의 ⅓에 해당하는 5000만원을 반환하라는 소송을 청구할 수 있음. 대습상속[편집] 피상속인의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사망 전 사망한경우 그 사람의 상속예정비율을 그 사람의 상속인에게 대습하여 상속하게 하는 제도 [8] 예시[편집] 배우자와 아들 둘이 있는데 차남이 사망한경우 차남의 상속예정비율 1.0에 해당하는 지분을 차남의 상속인(배우자, 자녀 등)에게 상속 사례[편집] 피상속인 재산 49억원으로 가정하였을때 배우자 21/49 = 21억원 장남 14/49 = 14억원 (차남의 상속예정분 14억원 보전) 차남의 배우자 6/49 = 6억원 차남의 아들 4/49 = 4억원 차남의 딸 4/49 = 4억원 세금[편집] 사망일의 다음 달 부터 6개월 내에 상속세를 관할 세무서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부동산을 상속한 경우, 사망일로 부터 6개월 내에 취득세를 관할 구청에 자진신고 및 자진납부를 해야 한다. 상속세와 취득세의 자진신고기한은 약간 차이가 있으며 구청과 세무서가 다름을 주의해야 한다. 상속재산분할협의가 안 된 경우에는 법정상속분을 기준으로 신고한다. 자진신고기한을 넘기면 20%의 가산세가 부과된다.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상속법 일본의 상속법 장자상속제(태평양전쟁 패전 이전) 만몽개척단(장자상속제 영향으로 차남이나 3남의 일본남자들이 만주 & 몽골 침략 첨병의 일본군 대량지원)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상속"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통상적으로 피상속인의 장자 ↑ 그 외 자녀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았고, 호주상속인을 제외한 피상속인의 아들은 호주상속인에게 재산의 일부를 분배해달라고 요구할 수는 있었다. ↑ 아들, 딸 혹은 장차남 구분없이 모든 자녀가 균등한 비율로 망자의 재산을 상속받으며, 다만 상속인들간의 합의가 되었거나 망자에 대한 부양정도가 특별하다면 법원에 소송을 하여 일정부분을 가산받을수 있다. ↑ 재산형성과정의 기여도 등과 상관없이 선순위 상속자가 있는경우, 후순위 상속자에게는 상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형제자매와 동업으로 사업하던 a씨가 사망했을때 망자의 1, 2순위 상속인에게 상속의 권리가 인정되며 형제자매에게는 인정되지 않는다) ↑ 극단적으로 부모를 살해한 차남이 있는데 상속결격인이 되자 그의 배우자와 자녀가 대습상속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 배우자와 직계비속은 민법상 상속의 동(1)순위인 경우에 해당하기 때문에 망자의 배우자가 태아를 낙태한경우 판례상 상속동순위자를 살해한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해 상속결격인이 되어 시부모에게 상속권리가 넘어간 경우도 있다. ↑ 자기 자신이 망자의 외동딸인데 망자의 재산이 10억원인 상황에서 5억원이 상속된 경우 이미 유류분을 보장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나머지 5억원을 상속받은 주체에게 유류분반환청구소송을 할 수 없음 ↑ 하단의 예시와 같이 차남이 망자의 사망 전 사망하였고 슬하의 배우자와 1남 1녀가 있는데 그 배우자가 망자의 사망 전 재혼한경우, 차남의 배우자는 대습상속의 대상이 아니고 망자의 두 자녀만 대습상속의 대상이 된다. 외부 링크[편집] (법제처) 상속 (금융감독위원회) 상속조회안내 vdeh재산권소유자에 따른 분류 공유재산법 (미국) 협동조합 사유 공공 국유 태생에 따른 분류 지식 개인 이론 상품 비배제성 무임승차 문제 게임 이론 지공주의 선물경제 렌트법 지대추구 소유권 자기 국유 공유지의 비극 응용 상속 물권법 지역권 부동산 권리 공중 어업 사냥 토지 스쾃 통행권 용수 수리 탈취/재분배 징수 인클로저 공용징수 불법 어업 토지개혁 해상강도 본원 축적 민영화 노예제 인신매매 조세 상속세 인두세 누진세 재산세 도둑 학자 프레데릭 바스티아 로널드 코스 헨리 조지 개럿 하딘 데이비드 하비 존 로크 통치론 카를 마르크스 마르셀 모스 존 스튜어트 밀 엘리너 오스트롬 칼 폴라니 거대한 전환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데이비드 리카도 머레이 N. 로스바드 장자크 루소 사회계약론 애덤 스미스 국부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상속&oldid=23418939" 분류: 상속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Буряад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Latina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imple EnglishSlovenščinaChiSho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olof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5일 (토) 18: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독립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립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립문 역명판 (개정 전)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247 개업일 1985년 7월 12일 역 번호 326 승강장 구조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기점 9.5 km ■ 수도권 전철 3호선 ← 무악재 (1.1 km) 경복궁 →(1.6 km) 독립문역(獨立門驛)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종로구 청운효자동의 경계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독립문이 있어 역명이 제정되었다. 이 역과 무악재역 사이에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오금발 독립문행 막차 1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나, 열차는 주박하지 않고 지축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한다. 운행을 마친 다음 날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전동열차가 출고된 후 독립문역으로 공차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또한 이 역부터 금호역까지 계속 섬식 승강장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9월 13일 : 독립문역으로 역명 결정[1]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 ~ 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985년 10월 18일 :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됨[2]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승강장 벽면에 태극기의 컬러의 타일이 장식되어 있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무악재 ↑ | 하상 | ↓ 경복궁 상행 ■ 수도권 전철 3호선 불광 · 연신내 · 구파발 · 지축 · 대화 방면 하행 경복궁 · 충무로 · 옥수 · 수서 · 오금 방면 역 주변[편집] 금화터널 대신중학교 대신고등학교 대한노인회 서대문구지회 독립문 독립문역 교차로 독립문초등학교 사직터널 서대문구의회 서대문독립공원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세란병원 천연동행정복지센터 한성과학고등학교 독립문극동아파트 독립문삼호아파트 현저고가차도 서대문역 방면 영천시장 종로노인종합복지관 무악센터 무악동 행정복지센터 새마을금고 세란병원 현대아이파크아파트 무악동 무악재 기업은행 무악현대아파트 IBK기업은행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 승차 9,093 9,325 9,132 9,109 9,113 8,515 8,186 8,183 8,289 8,104 [3] 하차 9,079 9,313 9,305 9,239 9,329 8,995 8,906 8,816 9,031 8,726 승하차 18,172 18,638 18,437 18,349 18,442 17,510 17,092 16,999 17,319 16,83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호선 승차 8,051 8,089 7,910 7,836 8,028 7,987 7,941 8,233 8,332 하차 8,777 8,755 8,034 7,935 8,198 8,171 8,161 8,485 8,600 승하차 16,828 16,844 15,944 15,771 16,226 16,158 16,102 16,178 16,932 사진[편집] 역내 설치된 독립문역 정보 선로측 역명판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 325 무악재대화 방면 ■ 수도권 전철 3호선 327 경복궁오금 방면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독립문역 vdeh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종로3가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고속터미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수서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오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립문역&oldid=24187196" 분류: 수도권 전철 3호선서울 서대문구의 전철역서울 종로구의 전철역198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do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독립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립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립문 역명판 (개정 전)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247 개업일 1985년 7월 12일 역 번호 326 승강장 구조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기점 9.5 km ■ 수도권 전철 3호선 ← 무악재 (1.1 km) 경복궁 →(1.6 km) 독립문역(獨立門驛)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과 종로구 청운효자동의 경계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독립문이 있어 역명이 제정되었다. 이 역과 무악재역 사이에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어서 오금발 독립문행 막차 1편성이 운행되고 있으나, 열차는 주박하지 않고 지축차량사업소로 공차회송한다. 운행을 마친 다음 날 지축차량사업소에서 전동열차가 출고된 후 독립문역으로 공차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또한 이 역부터 금호역까지 계속 섬식 승강장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9월 13일 : 독립문역으로 역명 결정[1]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구파발 ~ 독립문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985년 10월 18일 : 독립문 ~ 양재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됨[2]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승강장 벽면에 태극기의 컬러의 타일이 장식되어 있다.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무악재 ↑ | 하상 | ↓ 경복궁 상행 ■ 수도권 전철 3호선 불광 · 연신내 · 구파발 · 지축 · 대화 방면 하행 경복궁 · 충무로 · 옥수 · 수서 · 오금 방면 역 주변[편집] 금화터널 대신중학교 대신고등학교 대한노인회 서대문구지회 독립문 독립문역 교차로 독립문초등학교 사직터널 서대문구의회 서대문독립공원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세란병원 천연동행정복지센터 한성과학고등학교 독립문극동아파트 독립문삼호아파트 현저고가차도 서대문역 방면 영천시장 종로노인종합복지관 무악센터 무악동 행정복지센터 새마을금고 세란병원 현대아이파크아파트 무악동 무악재 기업은행 무악현대아파트 IBK기업은행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 승차 9,093 9,325 9,132 9,109 9,113 8,515 8,186 8,183 8,289 8,104 [3] 하차 9,079 9,313 9,305 9,239 9,329 8,995 8,906 8,816 9,031 8,726 승하차 18,172 18,638 18,437 18,349 18,442 17,510 17,092 16,999 17,319 16,830 노선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호선 승차 8,051 8,089 7,910 7,836 8,028 7,987 7,941 8,233 8,332 하차 8,777 8,755 8,034 7,935 8,198 8,171 8,161 8,485 8,600 승하차 16,828 16,844 15,944 15,771 16,226 16,158 16,102 16,178 16,932 사진[편집] 역내 설치된 독립문역 정보 선로측 역명판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 325 무악재대화 방면 ■ 수도권 전철 3호선 327 경복궁오금 방면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독립문역 vdeh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종로3가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고속터미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수서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오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립문역&oldid=24187196" 분류: 수도권 전철 3호선서울 서대문구의 전철역서울 종로구의 전철역198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MagyarIdo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 건축물에 대해서는 탑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영화에 대해서는 타워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탑에 관한 것입니다. 빅뱅의 가수에 대해서는 T.O.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6월)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영어: tower)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다. 목차 1 어원 2 역사 3 분류 3.1 기능 3.2 재료 4 나라별 탑 4.1 한국 4.2 중국 4.3 일본 5 관련 문서 6 각주 어원[편집] 한국어에서 탑은 산스크리트어(범어)의 स्तूप (stūpa,스투파)에서 기원한다. 이는 고대 인도에서 온 말로 돔 형태로 만든 흙 무덤을 지칭했던 말이었으며, 불교가 중국을 거쳐오면서 卒塔婆(졸탑파)로 음차되었고 이것이 줄어 오늘날에 쓰이는 탑파(塔婆), 탑(塔)이 되었다. 영어의 Tower는 고대 영어에서는 torr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고대 프랑스어 tor에서 온 것이며, tor는 라틴어인 turris에서 기초한 것이다.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탑파입니다. 동양에서 탑은 불교의 건축물로 원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었다.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러한 방식의 탑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해졌고 이 두 양식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양식이 석탑이다. 서양에서 처음에는 바빌론의 탑이라 불리는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피라미드처럼 종교와 관련된 목적으로 지었다. 그러나 로마시대로 접어들면서 방어 목적으로 각탑을 설치하였고, 중세에는 고딕 건축의 영향을 받아 높고 뾰족하게 지은 교회 건축물이 많았다. 또한, 중세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세운 탑이 많아졌다. 그리고 현대에는 송전탑과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과 전화를 목적으로 한 통신용 탑[1] 등이 등장하였다. 분류[편집] 기능[편집] 1. 인도의 산치 대탑 2.파리의 에펠 탑 3. 캐나다의 CN 타워 4. 이스라엘의 웨스트 뱅크의 감시탑 1.신앙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앞서 말했듯이 동양에서 세워진 탑들은 기본적으로 탑의 내부에 사리를 봉안하며 스투파의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데, 이는 석가모니를 기념하고 그를 따르고자하는 사상이 드러난 것이다. 그런 만큼 탑을 건축한다는 것은 불교의 사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였다. 불교 이외의 종교에서도 탑이 나타나는데 이슬람교의 건축물인 모스크의 옆에 지어지는 미나렛은 이슬람 율법에서 정한 하루 다섯 번의 기도의 시각을 알려주는(아잔이라고 한다.)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 서양의 교회 건축에 쓰인 탑 또한 천상과 지상을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로서 작용하였다. 2.기념물로서의 기능 종교의 색체가 희미해지는 근대에 들어서게 되면 에펠 탑과 같이 , 건국 등 다양한 이유에서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 탑을 짓기 시작했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랜드마크로서 건축되기도 했다. 3.정보전달로서의 기능 1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나렛이나 서양의 탑 에서는 사람의 목소리, 종과 같은 것 등으로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는 빅 벤과 같은 시계탑 또한 만들어졌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CN 타워와 같이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전파를 중계하기 위한 전파탑이 만들어졌다. 4.감시, 전망으로서의 기능 성과 같은 군사목적의 건물 옆에 지어진 탑들은 적이 성에 접근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지어졌다. 현대에 들어서는 전망을 위해서 높은 탑을 짓는 경우도 생겨났다. 공항의 관제탑 역시 이와 같은 목적으로 지어졌다 할 수 있다. 재료[편집] 탑의 건립 시기와 목적, 장소 설립 주체가 다양한 만큼 탑을 구성하는 재료 또한 다양하다. 고대에는 나무, 구운 벽돌, 돌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돌로 건축할 때 대부분은 화강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때로는 안산암이나 점판암등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주로 철이나 콘크리트 따위를 이용한다. 나라별 탑[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4월 24일에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의 추가가 요청되었습니다.) 한국[편집] 한국의 탑은 주로 불교의 영향으로 지어지기 시작했다. 기존에 목탑형식과 전탑형식의 탑이 중국에서 전래 되었는데 이 두 양식은 한국에서 각각 황룡사 구층목탑, 분황사 모전석탑의 형식으로 현지화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들은 새로운 탑의 건립 형식인 석탑을 만들었고 그 예가 바로 미륵사지 석탑이다. 이후에 통일신라 시기에는 삼국의 문화가 융합되며 그 문화가 전성기를 이루기 되는데 이시기에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완성되게 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그 대표적인 예가 불국사 삼층석탑의 탑이다. 석탑양식은 고려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원의 영향으로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사찰의 건축물로서 지어졌던 탑도 있지만 민간에서 단순하게 주변에 있던 돌을 쌓아 올려 만든 돌탑도 있다. 소박하게 만들어진 이런 돌탑들은 토속신앙과 관련이 깊어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과 가까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복의 용도로 이용되었다. 중국[편집] 应县木塔, 응현목탑 중국에서 불탑의 건립은 삼국시대(3세기 경)에 시작된다. 비단길을 통해서 서역으로부터 불교를 전래받은 중국은 기존의 누각 건축으로 인도의 스투파를 재현하였으며 인도와 다른 방식으로 탑을 건립하였다. 이와 같은 탑의 양식은 이후 불교의 전래와 함께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스투파와 같이 사리를 봉납하는 기능은 지속되었다. 남북조시대에는 윈강 석굴, 둔황 석굴과 같은 곳에서 불교가 융성했으며 탑 역시 이 지역에서 건립되었다. 이후 수나라 때 불교가 국교화 되고 당나라시기에 널리 퍼지게 되면서 불탑의 건립이 중국 전역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불탑의 건립은 오대 십국 시대에도 마찬가지로 지속되었다. 이후 송나라가 세워지고 중국의 경제력이 강화되었다. 특히 금나라에게 중국 북부를 뺏기면서 강남지역의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절의 건립도 크게 일어나 탑 역시 많이 건축되었다. 이후 몽골에 의해 정복당한 후 세워진 원나라시기에는 불교가 그리 성행하지 못해 탑의 건립도 부진했다. 명나라가 세워지면서 탑의 건립이 다시 일어나나 명,청시기에는 이전의 송보다 미진했다. 일본[편집] 호류사의 오층목탑 , 일본 최고(最古)의 목탑 일본은 나무가 많은 산지지형이었으며 외세의 침략이 드믐 등 여러요인에 의해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형식이 지속해서 유지되었다. 대개 탑은 삼층과 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탑의 형태는 사각형의 누각형태였다. 탑의 가운데에는 나무기둥인 심주가 있고 심주의 아래에 사리를 묻었다. 이러한 탑의 건립은 불교를 받아들인 6세기부터 시작하여 절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감에 따라서 점차 융성해져 센고쿠 시대와 같은 후세에도 계속해서 탑의 건립이 시도되었다. 목탑의 특성상 화마와 전쟁,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계속적으로 증축과 복원을 통해서 탑을 유지시켰다. 이러한 삼층, 오층목탑 이외에도 돌로만든 오륜탑, 각이 없는 무봉탑등 다양한 형태의 탑이 건립되었다. 관련 문서[편집] 도쿄 타워 N서울타워 에펠탑 피사의 사탑 육화탑 분황사 석탑 부산타워 대구타워 완도타워 양산타워 도쿄 스카이트리 통천각 에펠탑 교토타워 CN 타워 광저우 타워 동방명주탑 톈진 방송탑 베를린 텔레비전탑 빅벤 오스탄키노 타워 타슈켄트 타워 스카이 타워 마카오 타워 리알토 타워 시드니 타워 탈린 TV 타워 삿포로 TV 타워 나고야 TV 타워 황령산타워 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미드타운 타워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탑 ↑ 방송탑 전거 통제 LCCN: sh85136296 GND: 4203577-6 BNF: cb11965217k (데이터) NDL: 010588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탑&oldid=23873787" 분류: 탑건축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6년 4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문단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ᏣᎳᎩ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7일 (일) 0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불교 건축물에 대해서는 탑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타워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영화에 대해서는 타워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탑에 관한 것입니다. 빅뱅의 가수에 대해서는 T.O.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6월) 석공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담긴 불국사의 다보탑도 종교적인 목적(불교)으로 건축된 것이다. 탑(塔) 또는 타워(영어: tower)는 뾰족하게 높이 세운 건축물을 뜻하며 단층 또는 여러 층으로 되어 있다. 목차 1 어원 2 역사 3 분류 3.1 기능 3.2 재료 4 나라별 탑 4.1 한국 4.2 중국 4.3 일본 5 관련 문서 6 각주 어원[편집] 한국어에서 탑은 산스크리트어(범어)의 स्तूप (stūpa,스투파)에서 기원한다. 이는 고대 인도에서 온 말로 돔 형태로 만든 흙 무덤을 지칭했던 말이었으며, 불교가 중국을 거쳐오면서 卒塔婆(졸탑파)로 음차되었고 이것이 줄어 오늘날에 쓰이는 탑파(塔婆), 탑(塔)이 되었다. 영어의 Tower는 고대 영어에서는 torr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고대 프랑스어 tor에서 온 것이며, tor는 라틴어인 turris에서 기초한 것이다. 역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탑파입니다. 동양에서 탑은 불교의 건축물로 원래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지은 건축물이었다.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러한 방식의 탑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해졌고 이 두 양식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양식이 석탑이다. 서양에서 처음에는 바빌론의 탑이라 불리는 메소포타미아의 지구라트나 피라미드처럼 종교와 관련된 목적으로 지었다. 그러나 로마시대로 접어들면서 방어 목적으로 각탑을 설치하였고, 중세에는 고딕 건축의 영향을 받아 높고 뾰족하게 지은 교회 건축물이 많았다. 또한, 중세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세운 탑이 많아졌다. 그리고 현대에는 송전탑과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과 전화를 목적으로 한 통신용 탑[1] 등이 등장하였다. 분류[편집] 기능[편집] 1. 인도의 산치 대탑 2.파리의 에펠 탑 3. 캐나다의 CN 타워 4. 이스라엘의 웨스트 뱅크의 감시탑 1.신앙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앞서 말했듯이 동양에서 세워진 탑들은 기본적으로 탑의 내부에 사리를 봉안하며 스투파의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데, 이는 석가모니를 기념하고 그를 따르고자하는 사상이 드러난 것이다. 그런 만큼 탑을 건축한다는 것은 불교의 사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였다. 불교 이외의 종교에서도 탑이 나타나는데 이슬람교의 건축물인 모스크의 옆에 지어지는 미나렛은 이슬람 율법에서 정한 하루 다섯 번의 기도의 시각을 알려주는(아잔이라고 한다.) 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 서양의 교회 건축에 쓰인 탑 또한 천상과 지상을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로서 작용하였다. 2.기념물로서의 기능 종교의 색체가 희미해지는 근대에 들어서게 되면 에펠 탑과 같이 , 건국 등 다양한 이유에서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 탑을 짓기 시작했다.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랜드마크로서 건축되기도 했다. 3.정보전달로서의 기능 1번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나렛이나 서양의 탑 에서는 사람의 목소리, 종과 같은 것 등으로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는 빅 벤과 같은 시계탑 또한 만들어졌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CN 타워와 같이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전파를 중계하기 위한 전파탑이 만들어졌다. 4.감시, 전망으로서의 기능 성과 같은 군사목적의 건물 옆에 지어진 탑들은 적이 성에 접근하는 것을 감시하기 위해 지어졌다. 현대에 들어서는 전망을 위해서 높은 탑을 짓는 경우도 생겨났다. 공항의 관제탑 역시 이와 같은 목적으로 지어졌다 할 수 있다. 재료[편집] 탑의 건립 시기와 목적, 장소 설립 주체가 다양한 만큼 탑을 구성하는 재료 또한 다양하다. 고대에는 나무, 구운 벽돌, 돌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돌로 건축할 때 대부분은 화강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때로는 안산암이나 점판암등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주로 철이나 콘크리트 따위를 이용한다. 나라별 탑[편집]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동아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6년 4월 24일에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의 추가가 요청되었습니다.) 한국[편집] 한국의 탑은 주로 불교의 영향으로 지어지기 시작했다. 기존에 목탑형식과 전탑형식의 탑이 중국에서 전래 되었는데 이 두 양식은 한국에서 각각 황룡사 구층목탑, 분황사 모전석탑의 형식으로 현지화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들은 새로운 탑의 건립 형식인 석탑을 만들었고 그 예가 바로 미륵사지 석탑이다. 이후에 통일신라 시기에는 삼국의 문화가 융합되며 그 문화가 전성기를 이루기 되는데 이시기에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완성되게 되며. 그 대표적인 예가 그 대표적인 예가 불국사 삼층석탑의 탑이다. 석탑양식은 고려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원의 영향으로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사찰의 건축물로서 지어졌던 탑도 있지만 민간에서 단순하게 주변에 있던 돌을 쌓아 올려 만든 돌탑도 있다. 소박하게 만들어진 이런 돌탑들은 토속신앙과 관련이 깊어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과 가까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복의 용도로 이용되었다. 중국[편집] 应县木塔, 응현목탑 중국에서 불탑의 건립은 삼국시대(3세기 경)에 시작된다. 비단길을 통해서 서역으로부터 불교를 전래받은 중국은 기존의 누각 건축으로 인도의 스투파를 재현하였으며 인도와 다른 방식으로 탑을 건립하였다. 이와 같은 탑의 양식은 이후 불교의 전래와 함께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스투파와 같이 사리를 봉납하는 기능은 지속되었다. 남북조시대에는 윈강 석굴, 둔황 석굴과 같은 곳에서 불교가 융성했으며 탑 역시 이 지역에서 건립되었다. 이후 수나라 때 불교가 국교화 되고 당나라시기에 널리 퍼지게 되면서 불탑의 건립이 중국 전역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불탑의 건립은 오대 십국 시대에도 마찬가지로 지속되었다. 이후 송나라가 세워지고 중국의 경제력이 강화되었다. 특히 금나라에게 중국 북부를 뺏기면서 강남지역의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절의 건립도 크게 일어나 탑 역시 많이 건축되었다. 이후 몽골에 의해 정복당한 후 세워진 원나라시기에는 불교가 그리 성행하지 못해 탑의 건립도 부진했다. 명나라가 세워지면서 탑의 건립이 다시 일어나나 명,청시기에는 이전의 송보다 미진했다. 일본[편집] 호류사의 오층목탑 , 일본 최고(最古)의 목탑 일본은 나무가 많은 산지지형이었으며 외세의 침략이 드믐 등 여러요인에 의해서 중국에서 전래된 목탑형식이 지속해서 유지되었다. 대개 탑은 삼층과 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탑의 형태는 사각형의 누각형태였다. 탑의 가운데에는 나무기둥인 심주가 있고 심주의 아래에 사리를 묻었다. 이러한 탑의 건립은 불교를 받아들인 6세기부터 시작하여 절이 전국적으로 퍼져나감에 따라서 점차 융성해져 센고쿠 시대와 같은 후세에도 계속해서 탑의 건립이 시도되었다. 목탑의 특성상 화마와 전쟁,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데 계속적으로 증축과 복원을 통해서 탑을 유지시켰다. 이러한 삼층, 오층목탑 이외에도 돌로만든 오륜탑, 각이 없는 무봉탑등 다양한 형태의 탑이 건립되었다. 관련 문서[편집] 도쿄 타워 N서울타워 에펠탑 피사의 사탑 육화탑 분황사 석탑 부산타워 대구타워 완도타워 양산타워 도쿄 스카이트리 통천각 에펠탑 교토타워 CN 타워 광저우 타워 동방명주탑 톈진 방송탑 베를린 텔레비전탑 빅벤 오스탄키노 타워 타슈켄트 타워 스카이 타워 마카오 타워 리알토 타워 시드니 타워 탈린 TV 타워 삿포로 TV 타워 나고야 TV 타워 황령산타워 롯폰기 힐스 모리 타워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미드타운 타워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탑 ↑ 방송탑 전거 통제 LCCN: sh85136296 GND: 4203577-6 BNF: cb11965217k (데이터) NDL: 0105885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탑&oldid=23873787" 분류: 탑건축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6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글/2016년 4월일부 지역만을 다루는 모든 글문단에 세계화가 필요한 글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ᏣᎳᎩ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吴语Хальмг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7일 (일) 0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샤 루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 루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샤 루흐 샤 루흐의 두상 지위 재위 1409년 5월 13일 - 1447년 3월 12일 전임자 할릴 술탄 후임자 울루그 베그 신상정보 출생일 1377년 8월 20일 사망일 1447년 3월 12일 왕조 티무르 왕조 종교 이슬람교 샤 루흐 혹은 샤 로흐 (1377년 ~ 1447년, 우즈베크어: Mirzo Shohrux; 페르시아어: شاهرخ)는 티무르 제국 제3대의 군주(재위: 1409년 ~ 1447년)이다. 문무(文武)를 겸비한 명군(名君)으로서 내란을 진압하여, 오스만 투르크와 명나라의 국교를 회복하여 티무르 제국의 융성 시대를 이룩했다. 샤 루흐는 학문·예술에 대한 훌륭한 이해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다음의 울루그 베그의 치세와 함께 티무르풍(風) 이슬람 문화의 최성기를 맞았다. 목차 1 생애 2 대외 관계 3 죽음과 계승 4 각주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샤루흐는 1377년 8월 20일,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티무르이고, 어머니는 카라키타이인 투가이 테르켄 아가였다. 티무르에게 샤루흐는 4번째 아들이었다.[1] 샤 루흐란 페르시아어로 “왕의 얼굴”이라는 의미인데, 페르시아어로 체스의 캐슬링을 이렇게 부른다. 이븐 아랍샤에 의하면, 샤 루흐가 태어났을때 티무르가 체스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이라고 한다.[2] 1397년, 티무르는 샤 루흐에게 미란 샤의 영지였던 시스탄, 후라산, 마잔다란 지역을 맡겼다. 이후 샤루흐는 1399년에 시작된 원정에 참가하여 맘루크 술탄국의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까지 다녀왔고, 오스만 제국의 바예지드 1세를 패배시킨 앙카라 전투에서도 일군의 지휘를 맡았다.[1] 1405년, 티무르가 죽은 뒤 그의 제국은 지배권을 두고 여러 부족들과 장군들의 세력으로 갈렸다. 흑양조는 1410년에 바그다드를 점령함으로써 제국의 서부가 통째로 사라졌다. 하지만 이란와 트란스옥시아나는 1409년에 샤 루흐가 즉위한 뒤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어쨌든 그의 제국은 동방과 서방의 교역로─전설적이기까지 한 비단길을 포함해서─들을 관리했고, 그 덕분에 엄청난 세금을 거뒀다. 이란의 도시들이 파괴된 덕분에 제국의 문화적 중심지는 지금의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드와 아프가니스탄의 헤라트가 되었다. 샤 루흐는 제국의 수도로 사마르칸드가 아닌 헤라트를 선택했다. 덕분에 헤라트는 티무르 왕조의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고, 그의 후계자들도 이 도시에 거주했다. 하지만 두 도시 모두 샤 루흐의 궁전에 엄청난 부를 가져다 주었고, 샤 루흐 역시 엄청난 특권을 내렸다. 두 도시는 예술과 과학에 대한 후원자들로 넘쳐났다. 샤 루흐는 부친 티무르와 달리 이슬람교를 통해 정통성을 재고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자삭보다 샤리아를 중시한 그는 칭기스 왕실의 이름으로 통치하는 관행을 폐지하였으며, 이슬람 지향적인 역사서 편찬을 명했다. 이 정책은 그가 죽은 뒤에는 사라졌다. 이후 칭기스 왕실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은 되려 더 강화되었다.[3] 그의 아내 고와르 샤드는 마슈하드와 헤라트에 모스크와 신락교들을 세웠다. 고와르 샤드 모스크의 건축은 1418년에 끝났다. 제국의 복잡한 인종적 상황이 이 건축물에 반영되었다. 페르시아 문명과 중국에서 빌려 온 예술 기법들, 튀르크어와 아라비아어의 영향을 짙게 받은 페르시아어 등이 보인다. 대외 관계[편집] 본래 티무르 왕조와 홍무제의 제국 사이의 관계는 우호적이었으나, 티무르가 죽기 직전에는 크게 악화되었다. 하지만 샤 루흐의 치세 기간 동안 영락제를 비롯한 그의 후손들이 이끈 명나라와 티무르 왕조의 외교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중국의 진성이 이끄는 사절단이 1414년에서 1420년 사이에 여러 차례 사마르칸드와 헤라트를 방문했으며[4][5], 샤 루흐가 보낸 대규모 사절단 (이 사절단에는 일기 작가로 유명한 기야스 알 딘 낙카쉬도 있었다.) 역시 1419년에서 1422년 사이에 중국을 여행했다.[6][7] 죽음과 계승[편집] 샤 루흐는 이란을 순방하던 도중 죽었다. 샤 루흐의 치세기간 동안 트란스옥시아나를 다스린 그의 아들 미르자 무함마드 타라가이 울루그 베그 b. 샤 루흐가 아버지를 계승했다. 예술적인 재능을 가졌던 아들 바이손구르 (1397년 - 1433년)는 형 만큼은 아니지만 아버지 샤 루흐의 재위기간에 사마르칸드의 행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아버지보다 빨리 죽었는데, 아마 과도한 알코올 섭취가 문제였을 것이다.[8] 전임할릴 술탄 티무르 왕조의 지도자1409년 - 1447년 후임울루그 베그 각주[편집] ↑ 가 나 Aka, İsmail (2010). “Şâhruh”. 《TDV İslâm Ansiklopedisi》. 2019년 5월 27일에 확인함.  ↑ Ibn Arabshah, Ahmed (1936). Tamerlane or Timur the Great Amir. Trans. J.H. Sanders. London: Luzac and Co., p. 47. ↑ 이주엽, 16세기 중앙아시아 신흥국가들의 몽골제국 계승성 연구:우즈벡·카자흐칸국과 무굴제국의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003, p.50. ↑ Tsai, Shih-Shan Henry (2002), Perpetual Happiness: The Ming Emperor Yon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162, ISBN ISBN 0-295-98124-5 ↑ Goodrich, L. Carrington; Tay, C.N. (1976), "Ch'en Ch'eng", in Goodrich, L. Carrington; Fang, Chaoying,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I (A-L),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44–145, ISBN 0-231-03801-1 ↑ Brook, Timothy (1978), 「Chapter 10, Communications and commerce」, in Twitchett, Denis Crispin,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8,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83–584, ISBN 0-521-24333-5 ↑ Brook, Timothy (1998), The Confusions of Pleasure: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34–38, ISBN 0-520-21091-3, ↑ BĀYSONḠOR, ḠĪĀT-AL-DĪN B. ŠĀHROḴ B. TĪMŪR in Encyclopedia Iranica 외부 링크[편집] Farman by Shahrukh vdeh무굴 제국의 황제티무르 왕조 티무르 할릴 술탄 샤 루흐 바부르 이븐 바이순쿠르 샤 마흐무드 이브라함 아부 사이드 구르간 야드가르 무함마드 후세인 바이카라 바디 알 자만 무자파르 후사인 무굴 제국 바부르 후마윤 아크바르 1세 자한기르 샤 자한 1세 아우랑제브 1세 바하두르 샤 1세 (샤 알람 1세) 자한다르 샤 파루크시야르 샤 자한 2세 라피 우드 다울라트 니쿠시야르 모하메드 샤 모하메드 이브라힘 아메드 샤 바하두르 알람기르 2세 샤 자한 3세 샤 알람 2세 아크바르 2세 바하두르 샤 2세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4010955 LCCN: n2005064127 ISNI: 0000 0000 4041 089X GND: 119466058 BNF: cb15569936m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샤_루흐&oldid=24290551" 분류: 1377년 태어남1447년 죽음티무르 왕조페르시아의 군주티무르무슬림 통치자수니파 무슬림헤라트 출신숨은 분류: 우즈베크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페르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7일 (월) 19: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키티 제노비스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티 제노비스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키티 제노비스 사건(Murder of Kitty Genovese)은 1964년 3월 13일 뉴욕주 퀸스에서 캐서린(키티) 제노비스라는 여성이 강도에게 강간살해당한 사건으로, 방관자 효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또한 이 사건을 모티브로 대한민국의 밴드 넬의 6집 앨범 Newton's Apple에서 Dear Genovese라는 곡으로 작곡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목차 1 사건의 전개 2 사건의 여파 3 방관자 효과 4 참고 문헌 5 같이 보기 사건의 전개[편집] 1964년 3월 13일 금요일, 뉴욕 주 퀸스 지역에서 키티라고 불리던 캐서린 제노비스라는 28살의 여성이 지배인으로 일하던 술집에서 야간당번을 마치고 귀가하던 새벽 3시쯤 한 수상한 남성에 의해 자상을 입는다.[1] 제노비스는 분명하고 큰 목소리로 구조 요청을 하였고, 아파트에 살던 동네 사람들은 불을 켜고 사건을 지켜보았다. 제노비스를 살해한 범인인 모즐리는 후에 법정 진술에서 집집마다 불이 켜졌지만 사람들이 사건 장소로 내려올 것 같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고 했다.[2] 갑자기 불을 켜고 지켜보던 사람 중 한 명이 사건 장소로 오지 않는 대신 "그 여자를 내버려 두시오."라고 소리를 질렀다.[2] 그러자 모즐리는 바로 도망을 쳤고, 제노비스는 난자당한 몸을 이끌고 어느 가게 앞으로 드러누웠다.[2] 그러자 모즐리는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의 온몸을 난자했다. 제노비스는 계속 소리를 질렀고, 또다시 아파트 불이 켜지자, 모즐리는 또 도망을 갔다.[3] 제노비스는 힘겹게 자신의 집이 있는 아파트 건물 복도로 걸어갔다. 하지만 몇 분 후에 모즐리가 다시 나타나 제노비스를 강간했다.[3] 이 살인사건은 새벽 3시 15분에서 50분까지 약 35분 동안 일어났다. 집에 불을 켜고 제노비스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은 총 38명이었고, 그들은 직접 사건 현장으로 내려가 제노비스를 구출하지 않았다.[4] 사건이 끝나고 한 명이 경찰에 신고했으나, 그녀는 이미 숨져 있었다. 키티 제노비스의 남동생이 추적 조사한 결과 뉴욕타임즈 기자의 오보였고, 사건을 목격한 사람은 6명, 그 중 2명은 신고를 하였다고 함. 2016년 뉴욕타임즈가 오보를 인정하는 사과 기사를 냄. 사건의 여파[편집] 처음에 이 사건은 뉴욕 타임스지에 달랑 네 줄짜리 기사로 실렸다. 그러나 나중에 뉴욕 주의 섹션 담당 편집자 로젠탈이 그 사건을 목격하고도 도와주지 않은 38명의 방관자들이 있었음을 발견했다.[5] 뉴욕 타임스의 보도는 사실과 매우 다르다.[6] 달리와 라테인은 이 사건에 흥미를 가지고 이에 관련한 심리 실험을 실행했다(책임 분산). 방관자 효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방관자 효과입니다. 방관자 효과 또는 제노비스 신드롬은 주위에 사람들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되는 현상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또 주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을 경우, 곁에서 지켜보기만 할 뿐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 현상이다. 참고 문헌[편집]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7p~98p ↑ 가 나 다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8p ↑ 가 나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99p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로렌 슬레이터,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100p ↑ 한국 스켑틱 2015 vol. 2 같이 보기[편집] 버스44 스탠퍼드 감옥 실험(루시퍼 이펙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키티_제노비스_사건&oldid=24203215" 분류: 사람의 죽음미국의 살인 사건1964년 미국1964년 3월뉴욕의 범죄강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11: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엔리코 페르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리코 페르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출생 1901년 9월 29일(1901-09-29)이탈리아 왕국 라치오주 로마 사망 1954년 11월 28일 (53세)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분야 물리학 소속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괴팅겐 대학교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출신 대학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지도 교수 루이지 푸찬티(이탈리아어: Luigi Puccianti) 지도 학생 리정다오 에토레 마요라나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제프리 추(영어: Geoffrey Chew) 주요 업적 중성자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방사능 원소 인공적인 핵 연쇄 반응페르미-디랙 통계베타 붕괴 수상 마테우치 메달 (1926)노벨 물리학상 (1938)Hughes Medal(1942)Rumford Prize(1953) 엔리코 퍼미(이탈리아어: Enrico Fermi [enˈriːko ˈfermi][*]: 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세계 최초의 핵반응로인 시카고파일 1호를 개발하여 “핵시대의 설계자,”[1] “원자폭탄의 설계자”라고 불린다.[2]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거둔 드문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원자력 이용에 관한 여러 특허를 보유했고 1938년에는 중성자 충격을 통한 유도방사능 연구 및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페르미는 양자론, 핵물리학, 입자물리학, 통계역학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남겼다. 페르미의 첫 기여 분야는 통계역학이다.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배타 원리를 발견한 뒤 페르미는 그 원리를 이상기체에 적용하여 오늘날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부르는 통계적 분포를 이끌어냈다. 오늘날 배타 원리를 따르는 입자를 페르미 입자라고 하는데 이는 물론 페르미의 이름이 붙은 것이다. 그 뒤 페르미는 베타 붕괴가 일어날 때 에너지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와 함께 전하가 없는 보이지 않는 입자가 방출된다고 상정하였고 이 생각을 밀고나가 중성미자라는 가상입자 모형을 정립했다. 페르미의 이론은 훗날 페르미 상호작용이라고 불리었고 더욱 뒤에는 약한 상호작용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이는 자연계의 4대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이다. 방사능과 당시 막 발견되었던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페르미는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쉽게 포획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페르미 나이 방정식을 개발했다. 페르미는 토륨과 우라늄에 느린 중성자를 쏘아보냄으로써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냈다는 결론을 얻었고, 이것으로 노벨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새로이 만들어진 원소들은 그 뒤 핵분열 생성물로 밝혀진다. 이탈리아 인종법이 통과되어 유대계 아내 라우라 카폰이 위험에 처할 것을 우려한 페르미는 1938년 이탈리아를 탈출했다. 미국으로 이민간 페르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페르미는 시카고파일 1호 설계 및 건조 팀을 이끌었으며, 1942년 12월 2일 반응로는 임계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의 지속 가능한 인공적 핵 연쇄 반응을 일으켰다. 1943년 임계에 달한 X-10 그래피티 반응로와 그 이듬해의 B 반응로에도 페르미의 도움이 있었다.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페르미는 F부 부장을 지냈다. F부는 에드워드 텔러의 열핵융합 "슈퍼 폭탄" 제작 부서의 일부였다. 페르미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자리에 동석했으며 폭탄의 효과를 추산하기 위해 자신이 개발한 페르미법을 사용했다. 전쟁이 끝난 뒤 페르미는 일반자문위원회의 로버트 오펜하이머 밑에서 일했다. 오펜하이머는 당시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핵문제 및 정책을 조언하고 있었다. 1949년 8월 소련에서 최초의 핵분열 폭탄 개발에 성공하자 그보다 강력한 수소폭탄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대두했다. 페르미는 도덕적 및 기술적 견지에서 수폭 개발을 강하게 반대했다. 페르미는 1954년 오펜하이머 보안 청문회에서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오펜하이머의 역성을 들었으나 결국 오펜하이머는 관련 기밀 정보 접근권한을 박탈당했다. 페르미는 입자물리학, 특히 파이 입자와 뮤 입자에 관해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성간공간의 물질이 자기장 속에서 가속될 때 우주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측하기도 했다. 페르미의 이름을 딴 상, 개념, 연구소가 수없이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엔리코 페르미 상,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엔리코 페르미 핵발전소, 합성원소 페르뮴 등이 있다. 목차 1 초기 생애 2 피사 고등사범학교 3 로마에서의 교수생활 4 맨해튼 프로젝트 5 전후 행적 6 업적과 영향 6.1 시카고파일-1 7 저서 8 특허 9 각주 10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엔리코 페르미는 1901년 9월 29일 이탈리아 왕국 로마에서 철도성 부장급 공무원 알베르토 페르미(Alberto Fermi)와 초등학교 교사 이다 데 가티스(Ida de Gattis) 슬하의 셋째로 태어났다.[3][4] 두 살 많은 손윗누이 마리아(Maria)와 한 살 많은 손윗형제 기울리오(Giulio)가 있었다. 페르미 부부는 두 아들을 젖먹이를 하러 시골로 내려보냈고, 엔리코는 2살 6개월 때 로마의 가족에게 돌아왔다.[5] 조부의 바람에 따라 천주교식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페르미 가는 대부분의 이탈리아 가족들이 그렇듯이 그다지 독실하지 않았다. 엔리코는 평생동안 불가지론자로 살았다. 어린 시절 그와 형 기울리오는 전기모터를 만들거나 전기·기계 장난감을 갖고 노는 일 등에 관심을 가졌다.[6] 1915년, 기울리오가 목구멍의 농양 제거 수술을 위해 마취를 받았다가 죽었다.[7] 페르미의 첫 물리학 교재는 로마 캄포 데 피오리의 장터에서 발견한 책 한 권, 콜레기오 로마노 교수이자 예수회 신부인 안드레아 카라파가 1840년에 간행한 900페이지짜리 《전자물리수학》(Elementorum physicae mathematicae)이었다. 책은 수학, 고전역학, 천문학, 광학, 음향학을 그 책이 쓰여진 시대 기준으로 다루고 있었다.[8][9] 페르미는 또다른 과학쟁이 소년 엔리코 페르시코와 친해졌다.[10] 둘이는 자이로스코프 제작이나 지구 중력가속도의 정확한 측정 등의 과학 실험을 함께했다.[11] 부친의 직장동료 아돌포 아미데이(Adolfo Amidei)가 페르미에게 물리와 수학에 관한 책 여러 권을 선물하자 페르미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촉진되었다. 페르미는 선물받은 책을 빠르게 읽고 또 익혔다.[12] 피사 고등사범학교[편집] 피사에서 수학하던 시절의 페르미 페르미는 1918년 7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미데이의 충고에 따라 피사의 고등사범학교에 입학원서를 제출했다. 이미 아들 하나를 잃었던 페르미의 부모는 남은 아들을 4년이나 집에서 떨어뜨려 놓기를 주저했고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 진학하길 바랬다. 그러나 결국은 고집을 꺾고 아들의 바람을 들어 주었다. 피사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에게 기숙을 무료로 제공했으나 입학지원자들은 소논문 작성을 포함한 어려운 입학시험을 치러야 했다. 페르미에게 주어진 소논문 주제는 “소리의 구체적 성질”이었다. 17세의 페르미는 진동하는 막대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풀어내어 해에 푸리에 분석을 적용시켰다. 시험감독이었던 주세페 피타렐리(Giuseppe Pittarelli,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동문) 교수는 면접시험에서 페르미에게 장래 탁월한 물리학자가 되겠다고 추켜세웠다. 이렇게 하여 페르미는 대학에 수석으로 입학했다.[13] 고등사범학교 재학 시절 페르미는 프랑코 라세티라는 학생과 어울려 놀았는데, 그는 후일 페르미의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가 된다. 물리학연구실장 루이지 푸치안티는 자신이 페르미에게 더 가르칠 것이 없다고 인정했다. 오히려 푸치안티가 페르미에게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페르미의 양자물리학에 관한 지식은 푸치안티가 관련 주제에 대한 세미나를 열어보라고 요구할 만큼의 경지에 달해 있었다.[14] 이 시기 페르미는 그레고리오 리치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고안한 수학기법인 텐서 미적을 익혔다. 텐서 미적은 일반상대론의 원리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15] 페르미는 처음에는 수학을 주전공으로 삼았지만, 곧 물리학으로 전과했다. 그는 일반상대론, 양자역학, 원자물리학을 거의 독학으로 공부했다.[16] 1920년 9월, 페르미는 물리학부에 들어갔다. 학생이 세 명(페르미, 라세티, 넬로 카라라) 뿐이었기 때문에 푸치안티 교수는 그들이 무슨 목적으로든 자유롭게 연구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 페르미가 엑스선결정학을 연구주제로 정했고, 셋이는 라우에 사진, 즉 결정의 엑스선 사진을 뽑아내기 위해 작업에 착수했다.[17] 대학생활 3년차인 1921년,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누오보 키멘토》에 자신의 첫 논문 두 편을 발표했다. 첫 번째 논문의 제목은 〈병진운동하는 전하 강성계의 동역학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dinamica di un sistema rigido di cariche elettriche in moto traslatorio")였다. 요는 질량이 텐서(삼차원 공간에서 운동하고 변화하는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질량은 고전역학에서는 스칼라량이지만 상대론에서는 속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두 번째 논문의 제목은 〈중력이 균일한 전자기 전하장의 정전기학과 전자기 전하의 무게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elettrostatica di un campo gravitazionale uniforme e sul peso delle masse elettromagnetiche")였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일반상대론을 사용해 전하가 U / c 2 {\displaystyle U/c^{2}} 와 동일한 무게를 가짐을 보였다. 이때 U {\displaystyle U} 는 계의 정전기 에너지이고 c {\displaystyle c} 는 광속이다.[16] 동전기학에서는 4 / 3 ⋅ U / c 2 {\displaystyle 4/3\cdot U/c^{2}} 을 예측하기에, 첫 번째 논문의 내용은 전자기 질량 계산에 있어 동전기학 이론과 상대론이 서로 모순되는 것을 지적하는 것처럼 보였다. 페르미는 이듬해 논문 〈전자기 질량에 관한 동전기학과 상대론의 모순에 관하여〉를 발표해 이 문제를 다루었다. 여기서 페르미는 모순처럼 보이는 것은 상대성의 결과임을 보였다. 이 논문은 높은 평가를 받아 1922년 독일어로 번역되어 독일 학술지 《피지칼리셰 차이츠흐리프트》에 실렸다.[18] 그해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이 렌디콘티 델라카데미아 데이 린체이》에 논문 〈세계선 근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opra i fenomeni che avvengono in vicinanza di una linea oraria")를 투고했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등가원리를 시험해 보고, 소위 "페르미 좌표"라 불리는 것을 도입했다. 페르미는 시간선과 세계선이 가까우면 공간이 유클리드 공간처럼 행동함을 증명했다.[19][20] 광추는 시공간상의 한 점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광선과 그 점에서 출발할 수 있는 모든 광선의 집합인 삼차원 곡면이다. 이 그림에서는 1개 차원이 생략되어 있다. 수직축은 시간선이다. 페르미는 《스쿠올라 노르말레 수페리오레》 1922년 7월호에 논문 〈개연성 정리와 그 적용 몇 가지〉(이탈리아어: "Un teorema di calcolo delle probabilità ed alcune sue applicazioni")를 투고했고,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인 20세에 학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 주제는 엑스선 회절 화상이었다. 이론물리학은 아직 이탈리아에서 대세가 아니었고, 실험물리학에 관한 논문만 가납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탈리아 물리학자들은 독일에서 발생한 상대론과 같은 신개념들을 받아들이는 것이 늦어졌다. 그러나 페르미는 실험물리에 이미 통달했기 때문에 이는 그에게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았다.[20] 1923년, 아우구스트 코프의 단행본 《아인슈타인 상대론의 기초》 이탈리아어판 부록을 쓰던 도중 페르미는 유명한 아인슈타인 방정식 E = m c 2 {\displaystyle E=mc^{2}} 의 함의를 최초로 짚어내게 되었다. 바로 핵 위치 에너지의 개념이었다. 페르미는 부록에 쓰기를, “적어도 근시일 내에는 실현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 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가 폭발을 일으킨 결과 발생할 첫 번째 효과는 그 방법을 찾아낸 불운한 물리학자를 산산조각내는 것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20] 1924년 페르미는 그란데 오리엔테 디탈리아의 "아드리아노 레미(Adriano Lemmi)" 석공집합소에서 프리메이슨에 가입했다.[21] 페르미는 외국으로 나가기로 결정하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막스 보른에게 한 학기 동안 배웠다. 이곳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파스쿠알 요르단을 만났다. 1924년 9월에서 12월 사이에는 수학자 비토 볼테라의 중개로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레이덴에서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연구했다. 레이덴에서 페르미는 헨드릭 로런츠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만났고, 사무엘 고우드스미트와 얀 틴베르헌과 친구가 되었다. 1925년 1월에서 1926년 말까지는 피렌체 대학교에서 수리물리학과 이론역학을 공부했고 라세티와 함께 연구진을 이루어 수은 증기에 자기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 또한 로마 사피엔자 대학교의 세미나에 참여하여 양자역학과 고체물리학 관련 강의를 했다.[22]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파울리 배타원리를 발표하자 페르미는 이상기체에 배타원리를 적용시킨 논문 〈완전 단원자 기체의 양자화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quantizzazione del gas perfetto monoatomico)를 써서 이에 반응했다. 이 논문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배타원리를 따르는 많은 단종입자들로 이루어진 계의 입자 분포를 설명하는 페르미 통계공식이다. 영국의 폴 디랙도 이것이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관련되었음을 보였는데 페르미와 디랙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를 발견했다. 하여 이것은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명명되었다.[23] 그리고 배타원리를 따르는 입자는 페르미 입자(페르미온), 따르지 않는 입자는 보스 입자(보손)라고 부르게 되었다.[24] 로마에서의 교수생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맨해튼 프로젝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후 행적[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업적과 영향[편집] 시카고파일-1[편집] 최초의 원자로로, 시카고대학 운동장의 스탠드 아래쪽에 있던 사용하지 않는 스쿼시코트에서 만들어졌다. 6톤의 우라늄과 50톤의 산화우라늄 그리고 감속재 역할을 하는 400톤의 흑연 벽돌을 층층이 쌓아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물건을 차곡차곡 포개놓은 더미라는 뜻의 파일(pile)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설계와 책임을 페르미가 맡았다. 가로와 세로 각각 7미터의 타원형으로 제작된 시카고파일-1은 중성자 흡수재로 카드뮴봉을 사용했다. 카드뮴봉을 원자로 안에 집어넣으면 연쇄반응이 줄어들고, 빼내면 연쇄반응이 강화되는 제어봉 역할을 했다. 당시에는 방사선이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지 잘 몰랐기 때문에, 카드뮴봉을 줄에 매달고 사람이 줄을 당겨 인출하고 줄을 내려 원자로에 집어넣었다. 1942년 12월 2일 마침내 세계 최초의 원자로 실험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기계가 준비되었고, 페르미는 카드뮴으로 코팅한 제어봉을 천천히 움직였다. 그러자 방사성계수관이 튀었다가 안정되었다. 이후 원자로는 1/2W의 출력 상태로 28분 동안 가동되었고, 실험은 성공적으로 끝이 났다. 이어서 미국의 아르곤원자력연구소에 출력 100kW의 제2의 원자로가, 그리고 워싱턴주 핸포드 지역에 원자폭탄 제조용 플루토늄을 본격적으로 생산하는 원자로가 건설되었다. 저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특허[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Autumn 1954.  ↑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New York Times》. 1954년 11월 29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Segrè 1970, 3–4, 8쪽. ↑ Amaldi 2001, 23쪽. ↑ Cooper 1999, 19쪽. ↑ Segrè 1970, 5–6쪽. ↑ Fermi 1954, 15–16쪽. ↑ Segrè 1970, 7쪽. ↑ Bonolis 2001, 315쪽. ↑ Amaldi 2001, 24쪽. ↑ Segrè 1970, 11-12쪽. ↑ Segrè 1970, 8–10쪽. ↑ Segrè 1970, 11–13쪽. ↑ Segrè 1970, 15–18쪽. ↑ Bonolis 2001, 320쪽. ↑ 가 나 Bonolis 2001, 317–319쪽. ↑ Segrè 1970, 20쪽. ↑ “Über einen Widerspruch zwischen der elektrodynamischen und relativistischen Theorie der elektromagnetischen Masse”. Physikalische Zeitschrift (독일어) 23: 340–344.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 Bertotti 2001, 115쪽. ↑ 가 나 다 Bonolis 2001, 321쪽. ↑ “Enrico Fermi L’Uomo, lo Scienziato e il Massone” (이탈리아어). 2015년 3월 4일에 확인함.  ↑ Bonolis 2001, 321–324쪽. ↑ Bonolis 2001, 329–330쪽. ↑ Cooper 1999, 31쪽.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엔리코 페르미 (영어) 미국 연방 에너지부 - 엔리코 페르미 (영어) 노벨 재단 전기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2006년 11월). “엔리코 페르미”.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엔리코 페르미”.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vdeh 역대 미국 물리학회 학회장1899년–1925년 헨리 어거스터스 롤랜드(1899년)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1901년) 아서 고든 웹스터(1903년) 칼 바루스(1905년) 에드워드 레밍턴 니콜스(1907년) 헨리 크루(1909년) 윌리엄 프랜시스 매기(1911년) 벤저민 오스굿 피어스(1913년) 어니스트 메리트(1914년)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1916년) 헨리 앤드루스 범스티드(1918년) 조지프 스위트먼 에임스(1919년) 시어도어 리먼(1921년) 토머스 코윈 멘덴할(1923년) 데이턴 밀러(1925년) 1926년–1950년 칼 테일러 콤프턴(1927년) 헨리 게일(1929년) 윌리엄 프랜시스 그레이 스완(1931년) 폴 다윈 푸트1933년) 아서 콤프턴1934년) 로버트 윌리엄 우드(1935년) 플로이드 카커 리치트마이어(1936년) 해리슨 매칼리스터 랜들(1937년) 리먼 제임스 브릭스(1938년) 존 토렌스 테이트 시니어(1939년) 존 젤레니(1940년) 조지 브랙스턴 페그램(1941년) 기디언 테이버 스튜어트(1941년) 퍼시 윌리엄스 브리즈먼(1942년) 앨버트 헐(1943) 아서 제프리 뎀프스터(1944년) 하비 플레처(1945년) 에드워드 컨던(1946년) 리 앨빈 두브리지(1947년)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1948년) 프랜시스 휠러 루미스(1949년)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1950년) 1951년–1975년 찰스 크리스티안 라우리첸(1951년) 존 해즈브로크 반 블레크(1952년) 엔리코 페르미(1953년) 한스 베테(1954년) 레이먼드 테일러 비르게(1955년) 유진 와이그너(1956년) 헨리 드울프 스미스(1957년) 제시 빔스(1958년) 조지 유진 울렌벡(1959년) 빅토어 프레더리크 바이스코프(1960년) 프레더릭 사이츠(1961년) 윌리엄 버밀리언 휴스턴(1962년) 존 해리 윌리엄스(1963년) 로버트 배처(1964년) 펠릭스 블로츠(1965년) 존 아치볼드 휠러(1966년) 찰스 하드 타운스(1967년) 존 바딘(1968년) 루이스 월터 알바레스(1969년) 에드워드 밀스 퍼셀(1970년) 로버트 서버(1971년) 필립 맥코드 모스(1972년) 조지프 에드워드 메이어(1973년) 볼프강 쿠르트 헤르만 파노프스키(1974년) 우젠슝(1975년) 1976년–2000년 윌리엄 앨프리듣 파울러(1976년) 조지 페이크(1977년) 노먼 포스터 램지 주니어(1978년) 루이스 M. 브랜스컴(1979년) 허먼 페시배치(1980년) 아서 레너드 숄로우(1981년) 모리스 골드하버(1982년) 로버트 마르샤크(1983년)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1984년) 로버트 라스분 윌슨(1985년) 시드니 드렐(1986년) 발 로그스던 피치(1987년) 제임스 아서 크룸한슬(1989년) 유진 머즈바처(1990년) 니콜라스 블룸베르헌(1991년) 어니스트 마크 헤늘리(1992년) 도널드 뉴턴 랑겐버크(1993년) 버튼 리처(1994년) 찬드라 쿠마르 나란바이 파텔(1995년) 존 로버트 슈리퍼(1996년) 데이비드 앨런 브로믈리(1997년) 앤드루 세슬러(1998년)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1999년) 제임스 S. 랑어(2000년) 2001년–현재 조지 트릴링(2001년) 윌리엄 브링크먼(2002년) 미리엄 사라치크(2003년) 헬렌 퀸(2004년) 마빈 코헨(2005년) 존 홉필드(2006년) 레오 카다노프(2007년) 아서 비넨스토프(2008년) 체리 A. 머레이(2009년) 커티스 캘런(2010년) 배리 바리시(2011년) 로버트 L. 바이어(2012년) 마이클 터너(2013년) 맬컴 로이 비어슬리(2014년) 샘 애런슨(2015년) 호머 닐(2016년) 로라 그린(2017년) vdeh맨해튼 계획지역 클린턴 엔지니어 공장 핸펀드 지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시카고 야금 연구소 에임스 연구소 몬트리올 연구소 산디아 국립 연구소 트리니티 시험 지역 데이턴 계획 카멜 계획 시카고 더미-1 X-10 흑연 반응로 Y-12 국립 안보 단지 관계자 버니바 부시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 토마스 페럴 레슬리 그로브스 케네스 니콜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윌리엄 스털링 파슨스 폴 티베츠 과학자들 로버트 베처 한스 베테 닐스 보어 노리스 브레드베리 제임스 채드윅 아서 콤프턴 엔리코 페르미 리처드 파인만 클라우스 푸쉬스 조지 키스티아코시키 어니스트 로런스 윌리엄 페니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글렌 T. 시보그 루이스 슬로틴 레오 실라로드 에드워드 텔러 리차드 톨만 스타니스와프 울람 헤롤드 클레이튼 우레이 레오나 우드 헤리 K. 더그힐란 친 시웅 우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관련 항목 연대기 핵무기의 역사 S-1 우라늄위원회 잠정위원회 알소스 미션 스미스 보고서 앨버타 프로젝트 실버플래이트 제509 작전군 팻 맨 리틀 보이 에놀라 게이 벅스카 위대한 예술가 (B-2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 폭탄 투하 (관련 논의) 원자 폭탄 스파이 1946년 원자력 법 미군 특별 무기 계획 크로스로드 작전 튜브 앨로이스 더 보기 : 분류:맨해튼 계획 항목 참조 vdeh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뢴트겐 1902: 로런츠 / 제이만 1903: 베크렐 / P. 퀴리 / M. 퀴리 1904: 레일리 1905: 레나르트 1906: 톰슨 1907: 마이컬슨 1908: 리프만 1909: 마르코니 / 브라운 1910: 판데르발스 1911: 빈 1912: 달렌 1913: 카메를링 오너스 1914: 라우에 1915: W. L. 브래그 / W. H. 브래그 1917: 바클라 1918: 플랑크 1919: 슈타르크 1920: 기욤 1921: 아인슈타인 1922: N. 보어 1923: 밀리컨 1924: M. 시그반 1925: 프랑크 / 헤르츠 1926-1950 1926: 페랭 1927: 콤프턴 / C. 윌슨 1928: O. 리처드슨 1929: 드브로이 1930: 라만 1932: 하이젠베르크 1933: 슈뢰딩거 / 디랙 1934: 채드윅 1936: 헤스 / C. D. 앤더슨 1937: 데이비슨 / 톰슨 1938: 페르미 1939: 로런스 1943: 슈테른 1944: 라비 1945: 파울리 1946: 브리지먼 1947: 애플턴 1948: 블래킷 1949: 유카와 1950: 파월 1951-1975 1951: 콕크로프트 / 월턴 1952: 블로흐 / 퍼셀 1953: 제르니커 1954: 보른 / 보테 1955: 램 / 쿠시 1956: 쇼클리 / 바딘 / 브래튼 1957: 양전닝 / 리정다오 1958: 체렌코프 / 프란크 / 탐 1959: 세그레 / 체임벌린 1960: 글레이저 1961: 호프스태터 / 뫼스바워 1962: 란다우 1963: 위그너 / 괴퍼트메이어 / 옌젠 1964: 타운스 / 바소프 / 프로호로프 1965: 도모나가 / 슈윙거 / 파인먼 1966: 카스틀레르 1967: 베테 1968: 앨버레즈 1969: 겔만 1970: 알벤 / 네엘 1971: 가보르 1972: 바딘 / 쿠퍼 / 슈리퍼 1973: 에사키 / 예베르 / 조지프슨 1974: 라일 / 휴이시 1975: A. 보어 / 모텔손 / 레인워터 1976-2000 1976: 릭터 / 팅 1977: P. W. 앤더슨 / 모트 / 밴블렉 1978: 카피차 / 펜지어스 / R. 윌슨 1979: 글래쇼 / 살람 / 와인버그 1980: 크로닌 / 피치 1981: 블룸베르헌 / 숄로 / K. 시그반 1982: K. 윌슨 1983: 찬드라세카르 / 파울러 1984: 루비아 / 판데르메이르 1985: 폰 클리칭 1986: 루스카 / 비니히 / 로러 1987: 베드노르츠 / 뮐러 1988: 레더먼 / 슈워츠 / 스타인버거 1989: 램지 / 데멜트 / 파울 1990: 프리드먼 / 켄들 / R. 테일러 1991: 드 젠 1992: 샤르파크 1993: 헐스 / J. 테일러 1994: 브록하우스 / 슐 1995: 펄 / 라이네스 1996: D. 리 / 오셔로프 / R. 리처드슨 1997: 추 / 코엔타누지 / 필립스 1998: 로플린 / 슈퇴르머 / 추이 1999: 엇호프트 / 펠트만 2000: 알표로프 / 크뢰머 / 킬비 2001-현재 2001: 코넬 / 케털리 / 위먼 2002: 데이비스 / 고시바 / 자코니 2003: 아브리코소프 / 긴즈부르크 / 레깃 2004: 그로스 / 폴리처 / 윌첵 2005: 글라우버 / 홀 / 헨슈 2006: 매더 / 스무트 2007: 페르 / 그륀베르크 2008: 난부 / 고바야시 / 마스카와 2009: 가오 / 보일 / 스미스 2010: 가임 / 노보셀로프 2011: 펄머터 / 슈밋 / 리스 2012: 와인랜드 / 아로슈 2013: 힉스 / 앙글레르 2014: 아카사키 / 아마노 / 나카무라 2015: 가지타 / 맥도널드 2016: 사울레스 / 홀데인 / 코스털리츠 2017: 바이스 / 손 / 배리시 2018: 애슈킨 / 무루 / 스트리클런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노벨 물리학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6670056 LCCN: n50026886 ISNI: 0000 0001 2134 1777 GND: 118683322 SELIBR: 186771 SUDOC: 031563716 BNF: cb12275443t (데이터) BIBSYS: 90057569 MGP: 14167 NLA: 35081390 NDL: 00439406 NKC: jn20000720070 ICCU: IT\ICCU\RAVV\024664 BNE: XX886394 CiNii: DA013762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리코_페르미&oldid=24428442" 분류: 엔리코 페르미1901년 태어남1954년 죽음맨해튼 계획 관련자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이탈리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미국의 노벨상 수상자핵물리학자이탈리아의 망명자미국의 물리학자이탈리아의 물리학자미국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불가지론자미국의 불가지론자피사 대학교 동문괴팅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교수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실험물리학자이론물리학자이탈리아의 발명가로마 출신이탈리아계 미국인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열역학자프리메이슨양자물리학자20세기 물리학자상대성 이론가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CS1 - 영어 인용 (en)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2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엔리코 페르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리코 페르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리코 페르미Enrico Fermi 출생 1901년 9월 29일(1901-09-29)이탈리아 왕국 라치오주 로마 사망 1954년 11월 28일 (53세)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분야 물리학 소속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괴팅겐 대학교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출신 대학 Scuola Normale Superiore di Pisa 지도 교수 루이지 푸찬티(이탈리아어: Luigi Puccianti) 지도 학생 리정다오 에토레 마요라나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제프리 추(영어: Geoffrey Chew) 주요 업적 중성자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방사능 원소 인공적인 핵 연쇄 반응페르미-디랙 통계베타 붕괴 수상 마테우치 메달 (1926)노벨 물리학상 (1938)Hughes Medal(1942)Rumford Prize(1953) 엔리코 퍼미(이탈리아어: Enrico Fermi [enˈriːko ˈfermi][*]: 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다. 세계 최초의 핵반응로인 시카고파일 1호를 개발하여 “핵시대의 설계자,”[1] “원자폭탄의 설계자”라고 불린다.[2]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거둔 드문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원자력 이용에 관한 여러 특허를 보유했고 1938년에는 중성자 충격을 통한 유도방사능 연구 및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페르미는 양자론, 핵물리학, 입자물리학, 통계역학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남겼다. 페르미의 첫 기여 분야는 통계역학이다.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배타 원리를 발견한 뒤 페르미는 그 원리를 이상기체에 적용하여 오늘날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부르는 통계적 분포를 이끌어냈다. 오늘날 배타 원리를 따르는 입자를 페르미 입자라고 하는데 이는 물론 페르미의 이름이 붙은 것이다. 그 뒤 페르미는 베타 붕괴가 일어날 때 에너지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와 함께 전하가 없는 보이지 않는 입자가 방출된다고 상정하였고 이 생각을 밀고나가 중성미자라는 가상입자 모형을 정립했다. 페르미의 이론은 훗날 페르미 상호작용이라고 불리었고 더욱 뒤에는 약한 상호작용이라고 불리게 되는데, 이는 자연계의 4대 기본 상호작용 중 하나이다. 방사능과 당시 막 발견되었던 중성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페르미는 느린 중성자가 빠른 중성자보다 쉽게 포획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 페르미 나이 방정식을 개발했다. 페르미는 토륨과 우라늄에 느린 중성자를 쏘아보냄으로써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냈다는 결론을 얻었고, 이것으로 노벨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새로이 만들어진 원소들은 그 뒤 핵분열 생성물로 밝혀진다. 이탈리아 인종법이 통과되어 유대계 아내 라우라 카폰이 위험에 처할 것을 우려한 페르미는 1938년 이탈리아를 탈출했다. 미국으로 이민간 페르미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페르미는 시카고파일 1호 설계 및 건조 팀을 이끌었으며, 1942년 12월 2일 반응로는 임계점에 도달하여 세계 최초의 지속 가능한 인공적 핵 연쇄 반응을 일으켰다. 1943년 임계에 달한 X-10 그래피티 반응로와 그 이듬해의 B 반응로에도 페르미의 도움이 있었다.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페르미는 F부 부장을 지냈다. F부는 에드워드 텔러의 열핵융합 "슈퍼 폭탄" 제작 부서의 일부였다. 페르미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자리에 동석했으며 폭탄의 효과를 추산하기 위해 자신이 개발한 페르미법을 사용했다. 전쟁이 끝난 뒤 페르미는 일반자문위원회의 로버트 오펜하이머 밑에서 일했다. 오펜하이머는 당시 미국 원자력 위원회에 핵문제 및 정책을 조언하고 있었다. 1949년 8월 소련에서 최초의 핵분열 폭탄 개발에 성공하자 그보다 강력한 수소폭탄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대두했다. 페르미는 도덕적 및 기술적 견지에서 수폭 개발을 강하게 반대했다. 페르미는 1954년 오펜하이머 보안 청문회에서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오펜하이머의 역성을 들었으나 결국 오펜하이머는 관련 기밀 정보 접근권한을 박탈당했다. 페르미는 입자물리학, 특히 파이 입자와 뮤 입자에 관해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성간공간의 물질이 자기장 속에서 가속될 때 우주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측하기도 했다. 페르미의 이름을 딴 상, 개념, 연구소가 수없이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엔리코 페르미 상,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엔리코 페르미 핵발전소, 합성원소 페르뮴 등이 있다. 목차 1 초기 생애 2 피사 고등사범학교 3 로마에서의 교수생활 4 맨해튼 프로젝트 5 전후 행적 6 업적과 영향 6.1 시카고파일-1 7 저서 8 특허 9 각주 10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엔리코 페르미는 1901년 9월 29일 이탈리아 왕국 로마에서 철도성 부장급 공무원 알베르토 페르미(Alberto Fermi)와 초등학교 교사 이다 데 가티스(Ida de Gattis) 슬하의 셋째로 태어났다.[3][4] 두 살 많은 손윗누이 마리아(Maria)와 한 살 많은 손윗형제 기울리오(Giulio)가 있었다. 페르미 부부는 두 아들을 젖먹이를 하러 시골로 내려보냈고, 엔리코는 2살 6개월 때 로마의 가족에게 돌아왔다.[5] 조부의 바람에 따라 천주교식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페르미 가는 대부분의 이탈리아 가족들이 그렇듯이 그다지 독실하지 않았다. 엔리코는 평생동안 불가지론자로 살았다. 어린 시절 그와 형 기울리오는 전기모터를 만들거나 전기·기계 장난감을 갖고 노는 일 등에 관심을 가졌다.[6] 1915년, 기울리오가 목구멍의 농양 제거 수술을 위해 마취를 받았다가 죽었다.[7] 페르미의 첫 물리학 교재는 로마 캄포 데 피오리의 장터에서 발견한 책 한 권, 콜레기오 로마노 교수이자 예수회 신부인 안드레아 카라파가 1840년에 간행한 900페이지짜리 《전자물리수학》(Elementorum physicae mathematicae)이었다. 책은 수학, 고전역학, 천문학, 광학, 음향학을 그 책이 쓰여진 시대 기준으로 다루고 있었다.[8][9] 페르미는 또다른 과학쟁이 소년 엔리코 페르시코와 친해졌다.[10] 둘이는 자이로스코프 제작이나 지구 중력가속도의 정확한 측정 등의 과학 실험을 함께했다.[11] 부친의 직장동료 아돌포 아미데이(Adolfo Amidei)가 페르미에게 물리와 수학에 관한 책 여러 권을 선물하자 페르미의 물리학에 대한 관심은 더욱 촉진되었다. 페르미는 선물받은 책을 빠르게 읽고 또 익혔다.[12] 피사 고등사범학교[편집] 피사에서 수학하던 시절의 페르미 페르미는 1918년 7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미데이의 충고에 따라 피사의 고등사범학교에 입학원서를 제출했다. 이미 아들 하나를 잃었던 페르미의 부모는 남은 아들을 4년이나 집에서 떨어뜨려 놓기를 주저했고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 진학하길 바랬다. 그러나 결국은 고집을 꺾고 아들의 바람을 들어 주었다. 피사 고등사범학교는 학생들에게 기숙을 무료로 제공했으나 입학지원자들은 소논문 작성을 포함한 어려운 입학시험을 치러야 했다. 페르미에게 주어진 소논문 주제는 “소리의 구체적 성질”이었다. 17세의 페르미는 진동하는 막대에 대한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풀어내어 해에 푸리에 분석을 적용시켰다. 시험감독이었던 주세페 피타렐리(Giuseppe Pittarelli,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동문) 교수는 면접시험에서 페르미에게 장래 탁월한 물리학자가 되겠다고 추켜세웠다. 이렇게 하여 페르미는 대학에 수석으로 입학했다.[13] 고등사범학교 재학 시절 페르미는 프랑코 라세티라는 학생과 어울려 놀았는데, 그는 후일 페르미의 가까운 친구이자 동료가 된다. 물리학연구실장 루이지 푸치안티는 자신이 페르미에게 더 가르칠 것이 없다고 인정했다. 오히려 푸치안티가 페르미에게 문제의 답을 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페르미의 양자물리학에 관한 지식은 푸치안티가 관련 주제에 대한 세미나를 열어보라고 요구할 만큼의 경지에 달해 있었다.[14] 이 시기 페르미는 그레고리오 리치와 툴리오 레비치비타가 고안한 수학기법인 텐서 미적을 익혔다. 텐서 미적은 일반상대론의 원리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다.[15] 페르미는 처음에는 수학을 주전공으로 삼았지만, 곧 물리학으로 전과했다. 그는 일반상대론, 양자역학, 원자물리학을 거의 독학으로 공부했다.[16] 1920년 9월, 페르미는 물리학부에 들어갔다. 학생이 세 명(페르미, 라세티, 넬로 카라라) 뿐이었기 때문에 푸치안티 교수는 그들이 무슨 목적으로든 자유롭게 연구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었다. 페르미가 엑스선결정학을 연구주제로 정했고, 셋이는 라우에 사진, 즉 결정의 엑스선 사진을 뽑아내기 위해 작업에 착수했다.[17] 대학생활 3년차인 1921년,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누오보 키멘토》에 자신의 첫 논문 두 편을 발표했다. 첫 번째 논문의 제목은 〈병진운동하는 전하 강성계의 동역학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dinamica di un sistema rigido di cariche elettriche in moto traslatorio")였다. 요는 질량이 텐서(삼차원 공간에서 운동하고 변화하는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량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질량은 고전역학에서는 스칼라량이지만 상대론에서는 속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두 번째 논문의 제목은 〈중력이 균일한 전자기 전하장의 정전기학과 전자기 전하의 무게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elettrostatica di un campo gravitazionale uniforme e sul peso delle masse elettromagnetiche")였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일반상대론을 사용해 전하가 U / c 2 {\displaystyle U/c^{2}} 와 동일한 무게를 가짐을 보였다. 이때 U {\displaystyle U} 는 계의 정전기 에너지이고 c {\displaystyle c} 는 광속이다.[16] 동전기학에서는 4 / 3 ⋅ U / c 2 {\displaystyle 4/3\cdot U/c^{2}} 을 예측하기에, 첫 번째 논문의 내용은 전자기 질량 계산에 있어 동전기학 이론과 상대론이 서로 모순되는 것을 지적하는 것처럼 보였다. 페르미는 이듬해 논문 〈전자기 질량에 관한 동전기학과 상대론의 모순에 관하여〉를 발표해 이 문제를 다루었다. 여기서 페르미는 모순처럼 보이는 것은 상대성의 결과임을 보였다. 이 논문은 높은 평가를 받아 1922년 독일어로 번역되어 독일 학술지 《피지칼리셰 차이츠흐리프트》에 실렸다.[18] 그해 페르미는 이탈리아 학술지 《이 렌디콘티 델라카데미아 데이 린체이》에 논문 〈세계선 근처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opra i fenomeni che avvengono in vicinanza di una linea oraria")를 투고했다. 이 논문에서 페르미는 등가원리를 시험해 보고, 소위 "페르미 좌표"라 불리는 것을 도입했다. 페르미는 시간선과 세계선이 가까우면 공간이 유클리드 공간처럼 행동함을 증명했다.[19][20] 광추는 시공간상의 한 점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광선과 그 점에서 출발할 수 있는 모든 광선의 집합인 삼차원 곡면이다. 이 그림에서는 1개 차원이 생략되어 있다. 수직축은 시간선이다. 페르미는 《스쿠올라 노르말레 수페리오레》 1922년 7월호에 논문 〈개연성 정리와 그 적용 몇 가지〉(이탈리아어: "Un teorema di calcolo delle probabilità ed alcune sue applicazioni")를 투고했고, 이례적으로 젊은 나이인 20세에 학사학위를 받았다. 학위논문 주제는 엑스선 회절 화상이었다. 이론물리학은 아직 이탈리아에서 대세가 아니었고, 실험물리학에 관한 논문만 가납되었다. 이런 이유로 이탈리아 물리학자들은 독일에서 발생한 상대론과 같은 신개념들을 받아들이는 것이 늦어졌다. 그러나 페르미는 실험물리에 이미 통달했기 때문에 이는 그에게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았다.[20] 1923년, 아우구스트 코프의 단행본 《아인슈타인 상대론의 기초》 이탈리아어판 부록을 쓰던 도중 페르미는 유명한 아인슈타인 방정식 E = m c 2 {\displaystyle E=mc^{2}} 의 함의를 최초로 짚어내게 되었다. 바로 핵 위치 에너지의 개념이었다. 페르미는 부록에 쓰기를, “적어도 근시일 내에는 실현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 될 것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무서울 정도의 대량 에너지가 폭발을 일으킨 결과 발생할 첫 번째 효과는 그 방법을 찾아낸 불운한 물리학자를 산산조각내는 것이 될 터이기 때문이다.”[20] 1924년 페르미는 그란데 오리엔테 디탈리아의 "아드리아노 레미(Adriano Lemmi)" 석공집합소에서 프리메이슨에 가입했다.[21] 페르미는 외국으로 나가기로 결정하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막스 보른에게 한 학기 동안 배웠다. 이곳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파스쿠알 요르단을 만났다. 1924년 9월에서 12월 사이에는 수학자 비토 볼테라의 중개로 록펠러 재단의 후원을 받아 레이덴에서 파울 에렌페스트와 함께 연구했다. 레이덴에서 페르미는 헨드릭 로런츠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만났고, 사무엘 고우드스미트와 얀 틴베르헌과 친구가 되었다. 1925년 1월에서 1926년 말까지는 피렌체 대학교에서 수리물리학과 이론역학을 공부했고 라세티와 함께 연구진을 이루어 수은 증기에 자기장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 또한 로마 사피엔자 대학교의 세미나에 참여하여 양자역학과 고체물리학 관련 강의를 했다.[22]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파울리 배타원리를 발표하자 페르미는 이상기체에 배타원리를 적용시킨 논문 〈완전 단원자 기체의 양자화에 관하여〉(이탈리아어: Sulla quantizzazione del gas perfetto monoatomico)를 써서 이에 반응했다. 이 논문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배타원리를 따르는 많은 단종입자들로 이루어진 계의 입자 분포를 설명하는 페르미 통계공식이다. 영국의 폴 디랙도 이것이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관련되었음을 보였는데 페르미와 디랙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를 발견했다. 하여 이것은 페르미-디랙 통계라고 명명되었다.[23] 그리고 배타원리를 따르는 입자는 페르미 입자(페르미온), 따르지 않는 입자는 보스 입자(보손)라고 부르게 되었다.[24] 로마에서의 교수생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맨해튼 프로젝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전후 행적[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업적과 영향[편집] 시카고파일-1[편집] 최초의 원자로로, 시카고대학 운동장의 스탠드 아래쪽에 있던 사용하지 않는 스쿼시코트에서 만들어졌다. 6톤의 우라늄과 50톤의 산화우라늄 그리고 감속재 역할을 하는 400톤의 흑연 벽돌을 층층이 쌓아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물건을 차곡차곡 포개놓은 더미라는 뜻의 파일(pile)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설계와 책임을 페르미가 맡았다. 가로와 세로 각각 7미터의 타원형으로 제작된 시카고파일-1은 중성자 흡수재로 카드뮴봉을 사용했다. 카드뮴봉을 원자로 안에 집어넣으면 연쇄반응이 줄어들고, 빼내면 연쇄반응이 강화되는 제어봉 역할을 했다. 당시에는 방사선이 인체에 얼마나 해로운지 잘 몰랐기 때문에, 카드뮴봉을 줄에 매달고 사람이 줄을 당겨 인출하고 줄을 내려 원자로에 집어넣었다. 1942년 12월 2일 마침내 세계 최초의 원자로 실험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기계가 준비되었고, 페르미는 카드뮴으로 코팅한 제어봉을 천천히 움직였다. 그러자 방사성계수관이 튀었다가 안정되었다. 이후 원자로는 1/2W의 출력 상태로 28분 동안 가동되었고, 실험은 성공적으로 끝이 났다. 이어서 미국의 아르곤원자력연구소에 출력 100kW의 제2의 원자로가, 그리고 워싱턴주 핸포드 지역에 원자폭탄 제조용 플루토늄을 본격적으로 생산하는 원자로가 건설되었다. 저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특허[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Enrico Fermi, architect of the nuclear age, dies”. Autumn 1954.  ↑ “Enrico Fermi Dead at 53; Architect of Atomic Bomb”. 《New York Times》. 1954년 11월 29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Segrè 1970, 3–4, 8쪽. ↑ Amaldi 2001, 23쪽. ↑ Cooper 1999, 19쪽. ↑ Segrè 1970, 5–6쪽. ↑ Fermi 1954, 15–16쪽. ↑ Segrè 1970, 7쪽. ↑ Bonolis 2001, 315쪽. ↑ Amaldi 2001, 24쪽. ↑ Segrè 1970, 11-12쪽. ↑ Segrè 1970, 8–10쪽. ↑ Segrè 1970, 11–13쪽. ↑ Segrè 1970, 15–18쪽. ↑ Bonolis 2001, 320쪽. ↑ 가 나 Bonolis 2001, 317–319쪽. ↑ Segrè 1970, 20쪽. ↑ “Über einen Widerspruch zwischen der elektrodynamischen und relativistischen Theorie der elektromagnetischen Masse”. Physikalische Zeitschrift (독일어) 23: 340–344. 2013년 1월 17일에 확인함.  ↑ Bertotti 2001, 115쪽. ↑ 가 나 다 Bonolis 2001, 321쪽. ↑ “Enrico Fermi L’Uomo, lo Scienziato e il Massone” (이탈리아어). 2015년 3월 4일에 확인함.  ↑ Bonolis 2001, 321–324쪽. ↑ Bonolis 2001, 329–330쪽. ↑ Cooper 1999, 31쪽.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엔리코 페르미 (영어) 미국 연방 에너지부 - 엔리코 페르미 (영어) 노벨 재단 전기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2006년 11월). “엔리코 페르미”.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엔리코 페르미”.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vdeh 역대 미국 물리학회 학회장1899년–1925년 헨리 어거스터스 롤랜드(1899년)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1901년) 아서 고든 웹스터(1903년) 칼 바루스(1905년) 에드워드 레밍턴 니콜스(1907년) 헨리 크루(1909년) 윌리엄 프랜시스 매기(1911년) 벤저민 오스굿 피어스(1913년) 어니스트 메리트(1914년)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1916년) 헨리 앤드루스 범스티드(1918년) 조지프 스위트먼 에임스(1919년) 시어도어 리먼(1921년) 토머스 코윈 멘덴할(1923년) 데이턴 밀러(1925년) 1926년–1950년 칼 테일러 콤프턴(1927년) 헨리 게일(1929년) 윌리엄 프랜시스 그레이 스완(1931년) 폴 다윈 푸트1933년) 아서 콤프턴1934년) 로버트 윌리엄 우드(1935년) 플로이드 카커 리치트마이어(1936년) 해리슨 매칼리스터 랜들(1937년) 리먼 제임스 브릭스(1938년) 존 토렌스 테이트 시니어(1939년) 존 젤레니(1940년) 조지 브랙스턴 페그램(1941년) 기디언 테이버 스튜어트(1941년) 퍼시 윌리엄스 브리즈먼(1942년) 앨버트 헐(1943) 아서 제프리 뎀프스터(1944년) 하비 플레처(1945년) 에드워드 컨던(1946년) 리 앨빈 두브리지(1947년)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1948년) 프랜시스 휠러 루미스(1949년)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1950년) 1951년–1975년 찰스 크리스티안 라우리첸(1951년) 존 해즈브로크 반 블레크(1952년) 엔리코 페르미(1953년) 한스 베테(1954년) 레이먼드 테일러 비르게(1955년) 유진 와이그너(1956년) 헨리 드울프 스미스(1957년) 제시 빔스(1958년) 조지 유진 울렌벡(1959년) 빅토어 프레더리크 바이스코프(1960년) 프레더릭 사이츠(1961년) 윌리엄 버밀리언 휴스턴(1962년) 존 해리 윌리엄스(1963년) 로버트 배처(1964년) 펠릭스 블로츠(1965년) 존 아치볼드 휠러(1966년) 찰스 하드 타운스(1967년) 존 바딘(1968년) 루이스 월터 알바레스(1969년) 에드워드 밀스 퍼셀(1970년) 로버트 서버(1971년) 필립 맥코드 모스(1972년) 조지프 에드워드 메이어(1973년) 볼프강 쿠르트 헤르만 파노프스키(1974년) 우젠슝(1975년) 1976년–2000년 윌리엄 앨프리듣 파울러(1976년) 조지 페이크(1977년) 노먼 포스터 램지 주니어(1978년) 루이스 M. 브랜스컴(1979년) 허먼 페시배치(1980년) 아서 레너드 숄로우(1981년) 모리스 골드하버(1982년) 로버트 마르샤크(1983년) 밀드레드 드레셀하우스(1984년) 로버트 라스분 윌슨(1985년) 시드니 드렐(1986년) 발 로그스던 피치(1987년) 제임스 아서 크룸한슬(1989년) 유진 머즈바처(1990년) 니콜라스 블룸베르헌(1991년) 어니스트 마크 헤늘리(1992년) 도널드 뉴턴 랑겐버크(1993년) 버튼 리처(1994년) 찬드라 쿠마르 나란바이 파텔(1995년) 존 로버트 슈리퍼(1996년) 데이비드 앨런 브로믈리(1997년) 앤드루 세슬러(1998년)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1999년) 제임스 S. 랑어(2000년) 2001년–현재 조지 트릴링(2001년) 윌리엄 브링크먼(2002년) 미리엄 사라치크(2003년) 헬렌 퀸(2004년) 마빈 코헨(2005년) 존 홉필드(2006년) 레오 카다노프(2007년) 아서 비넨스토프(2008년) 체리 A. 머레이(2009년) 커티스 캘런(2010년) 배리 바리시(2011년) 로버트 L. 바이어(2012년) 마이클 터너(2013년) 맬컴 로이 비어슬리(2014년) 샘 애런슨(2015년) 호머 닐(2016년) 로라 그린(2017년) vdeh맨해튼 계획지역 클린턴 엔지니어 공장 핸펀드 지역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시카고 야금 연구소 에임스 연구소 몬트리올 연구소 산디아 국립 연구소 트리니티 시험 지역 데이턴 계획 카멜 계획 시카고 더미-1 X-10 흑연 반응로 Y-12 국립 안보 단지 관계자 버니바 부시 제임스 브라이언트 코넌트 토마스 페럴 레슬리 그로브스 케네스 니콜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윌리엄 스털링 파슨스 폴 티베츠 과학자들 로버트 베처 한스 베테 닐스 보어 노리스 브레드베리 제임스 채드윅 아서 콤프턴 엔리코 페르미 리처드 파인만 클라우스 푸쉬스 조지 키스티아코시키 어니스트 로런스 윌리엄 페니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글렌 T. 시보그 루이스 슬로틴 레오 실라로드 에드워드 텔러 리차드 톨만 스타니스와프 울람 헤롤드 클레이튼 우레이 레오나 우드 헤리 K. 더그힐란 친 시웅 우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관련 항목 연대기 핵무기의 역사 S-1 우라늄위원회 잠정위원회 알소스 미션 스미스 보고서 앨버타 프로젝트 실버플래이트 제509 작전군 팻 맨 리틀 보이 에놀라 게이 벅스카 위대한 예술가 (B-2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 폭탄 투하 (관련 논의) 원자 폭탄 스파이 1946년 원자력 법 미군 특별 무기 계획 크로스로드 작전 튜브 앨로이스 더 보기 : 분류:맨해튼 계획 항목 참조 vdeh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뢴트겐 1902: 로런츠 / 제이만 1903: 베크렐 / P. 퀴리 / M. 퀴리 1904: 레일리 1905: 레나르트 1906: 톰슨 1907: 마이컬슨 1908: 리프만 1909: 마르코니 / 브라운 1910: 판데르발스 1911: 빈 1912: 달렌 1913: 카메를링 오너스 1914: 라우에 1915: W. L. 브래그 / W. H. 브래그 1917: 바클라 1918: 플랑크 1919: 슈타르크 1920: 기욤 1921: 아인슈타인 1922: N. 보어 1923: 밀리컨 1924: M. 시그반 1925: 프랑크 / 헤르츠 1926-1950 1926: 페랭 1927: 콤프턴 / C. 윌슨 1928: O. 리처드슨 1929: 드브로이 1930: 라만 1932: 하이젠베르크 1933: 슈뢰딩거 / 디랙 1934: 채드윅 1936: 헤스 / C. D. 앤더슨 1937: 데이비슨 / 톰슨 1938: 페르미 1939: 로런스 1943: 슈테른 1944: 라비 1945: 파울리 1946: 브리지먼 1947: 애플턴 1948: 블래킷 1949: 유카와 1950: 파월 1951-1975 1951: 콕크로프트 / 월턴 1952: 블로흐 / 퍼셀 1953: 제르니커 1954: 보른 / 보테 1955: 램 / 쿠시 1956: 쇼클리 / 바딘 / 브래튼 1957: 양전닝 / 리정다오 1958: 체렌코프 / 프란크 / 탐 1959: 세그레 / 체임벌린 1960: 글레이저 1961: 호프스태터 / 뫼스바워 1962: 란다우 1963: 위그너 / 괴퍼트메이어 / 옌젠 1964: 타운스 / 바소프 / 프로호로프 1965: 도모나가 / 슈윙거 / 파인먼 1966: 카스틀레르 1967: 베테 1968: 앨버레즈 1969: 겔만 1970: 알벤 / 네엘 1971: 가보르 1972: 바딘 / 쿠퍼 / 슈리퍼 1973: 에사키 / 예베르 / 조지프슨 1974: 라일 / 휴이시 1975: A. 보어 / 모텔손 / 레인워터 1976-2000 1976: 릭터 / 팅 1977: P. W. 앤더슨 / 모트 / 밴블렉 1978: 카피차 / 펜지어스 / R. 윌슨 1979: 글래쇼 / 살람 / 와인버그 1980: 크로닌 / 피치 1981: 블룸베르헌 / 숄로 / K. 시그반 1982: K. 윌슨 1983: 찬드라세카르 / 파울러 1984: 루비아 / 판데르메이르 1985: 폰 클리칭 1986: 루스카 / 비니히 / 로러 1987: 베드노르츠 / 뮐러 1988: 레더먼 / 슈워츠 / 스타인버거 1989: 램지 / 데멜트 / 파울 1990: 프리드먼 / 켄들 / R. 테일러 1991: 드 젠 1992: 샤르파크 1993: 헐스 / J. 테일러 1994: 브록하우스 / 슐 1995: 펄 / 라이네스 1996: D. 리 / 오셔로프 / R. 리처드슨 1997: 추 / 코엔타누지 / 필립스 1998: 로플린 / 슈퇴르머 / 추이 1999: 엇호프트 / 펠트만 2000: 알표로프 / 크뢰머 / 킬비 2001-현재 2001: 코넬 / 케털리 / 위먼 2002: 데이비스 / 고시바 / 자코니 2003: 아브리코소프 / 긴즈부르크 / 레깃 2004: 그로스 / 폴리처 / 윌첵 2005: 글라우버 / 홀 / 헨슈 2006: 매더 / 스무트 2007: 페르 / 그륀베르크 2008: 난부 / 고바야시 / 마스카와 2009: 가오 / 보일 / 스미스 2010: 가임 / 노보셀로프 2011: 펄머터 / 슈밋 / 리스 2012: 와인랜드 / 아로슈 2013: 힉스 / 앙글레르 2014: 아카사키 / 아마노 / 나카무라 2015: 가지타 / 맥도널드 2016: 사울레스 / 홀데인 / 코스털리츠 2017: 바이스 / 손 / 배리시 2018: 애슈킨 / 무루 / 스트리클런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노벨 물리학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6670056 LCCN: n50026886 ISNI: 0000 0001 2134 1777 GND: 118683322 SELIBR: 186771 SUDOC: 031563716 BNF: cb12275443t (데이터) BIBSYS: 90057569 MGP: 14167 NLA: 35081390 NDL: 00439406 NKC: jn20000720070 ICCU: IT\ICCU\RAVV\024664 BNE: XX886394 CiNii: DA0137623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리코_페르미&oldid=24428442" 분류: 엔리코 페르미1901년 태어남1954년 죽음맨해튼 계획 관련자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이탈리아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미국의 노벨상 수상자핵물리학자이탈리아의 망명자미국의 물리학자이탈리아의 물리학자미국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대학 교수이탈리아의 불가지론자미국의 불가지론자피사 대학교 동문괴팅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교수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레이던 대학교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실험물리학자이론물리학자이탈리아의 발명가로마 출신이탈리아계 미국인미국 발명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열역학자프리메이슨양자물리학자20세기 물리학자상대성 이론가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CS1 - 영어 인용 (en)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21: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전체 이름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FC Zenit Saint Petersburg 별칭 Sine-Belo-Golubye (파랑색-하얀색-하늘색)Zenitchiki (대공포 포병)Bomzhi (떠돌이)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925년 5월 25일 구단주 가즈프롬방크 회장 세르게이 푸르센코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경기장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수용 인원 68,134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2018-19 1위 홈 어웨이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25년에 창단되었다. 제니트는 러시아어로 "천정, 정점, 절정"을 뜻한다. 구단의 실 소유주는 세계 5대 천연가스 생산그룹인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다.[1] 제니트는 2007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초로 ,UEFA컵 2007-08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8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1로 꺾고 UEFA 슈퍼컵을 들어올렸으며, 현재 감독은 로베르토 만치니의 뒤를 이어, 러시아의 세르게이 세마크이다. 목차 1 구단 역사 1.1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 1.2 제니트의 형성 과정 1.3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 2 경기장 3 역대 성적 3.1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 3.2 러시아 독립 이후 3.3 유럽 대회 3.4 기타 4 선수 4.1 현재 1군 명단 4.2 임대 선수 명단 4.3 역대 주장 5 코칭 스태프 6 유니폼 7 구단주 8 역대 감독 9 UEFA 랭킹 10 주목할만한 선수 11 파트너십 11.1 다른 축구 클럽 11.2 조합 12 각주 13 외부 링크 구단 역사[편집]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편집] 제니트의 역사는 러시아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과거, '페트로그라드'와 '레닌그라드'로 불렷음)의 정치적으로 가까운 연관이 있다. 1897년, 바실레예프스키 섬에서 러시아에서 최초로 축구경기가 열렸다. 그 경기는 비공식적인 경기로써, 잉글랜드의 '오스트로프' 팀과, 러시아의 '페트로그라드' 라는 팀간의 경기였으며, 그 경기는 잉글랜드 팀이 6 대 0으로 이겼다. 러시아의 팀은 지역 사람들의 아마추어 선수나, 느슨하게 만들어진 연합팀일 뿐이였다. 같은 시간에, 공식적인 축구 구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선수의 자격은 비공식적 이였으며, 매우 느슨하여, 종종, 같은 시즌 동안에 각각 다른 팀에서 소속되어 경기하는것도 수락되었었다. 제니트의 형성 과정[편집] 제니트는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소련 기간 동안 이름과 소유자가 바뀐 축구 구단에 의해 생겨났다. 강력한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조작된 선수 개인들의 업적이나 팀 전체의 운명이 조작되기도 했다. 구단의 명칭은 계속 여러 번 바뀌어왔으며, 소유주와, 주장들은 몇십년 동안 정치적인 억압 밑에서 살아와야 했다. 제니트의 기원은 20세기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몇몇의 과거팀들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지역적으로 경기가 되곤했다. 제니트의 가장 오래된 전신은 한때 볼셰비키라고 불리던 1914년에 창단된 '무르진카(Murzinka)' 구단으로써, 1914년 부터 1924년까지 약 10년간 오부코프스키 스타디움을 사용해왔다. 그 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과 1918년~1922년 에 벌어진 러시아 내전에서도 해체되지 않고 살아 남았다.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편집] 제니트는 1944년에, 소비에트 컵 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를 패배시키며 구단의 첫 명예를 가졌다. 제니트는 늘 레닌그라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왔지만, 소비에트 리그에서는 큰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하였다. 경기장[편집] 현재 제니트의 홈경기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페트로프스키 스타디움에서 신축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으로 옮겼다. 2007년 노후한 키로프 스타디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제니트를 위한 새로운 구장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을 건설 하으며, 이는 2018 러시아 월드컵때도 이용되었다.[2] 건설중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완공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제니트 아레나'로 도 불린다. 역대 성적[편집]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편집]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 (1회) : 1984 소비에트 컵 우승 (1회) : 1944 준우승 (2회) : 1953, 1984 소비에트 슈퍼컵 우승 (1회) : 1985 러시아 독립 이후[편집]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 (4회) : 2007, 2010, 2011-12, 2014-15 준우승 (3회) : 2003, 2012-13, 2013-14 러시아 컵 우승 (2회) : 1999, 2010 준우승 (1회) : 2002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 우승 (1회) : 2003 러시아 슈퍼컵 우승 (2회) : 2008, 2011 준우승 (2회) : 2012, 2013 유럽 대회[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4회 진출) 16강 (4회) : 1985-86 (16강),2011-12 (16강),2012-13 (16강),2013-14 (16강) 조별예선 (1회) : 2014-15 (진행중) UEFA 유로파리그 (8회 진출) 우승 (1회) : 2007-08[3] 8강 (1회) : 2005-06 16강 (3회) : 2008-09,2010-11,2012-13 조별리그 (1회) : 2004-05 UEFA 슈퍼컵 우승 (1회) : 2007-08[4] UEFA 인터토토컵 준우승 (1회) : 2000 기타[편집] 매치 월드컵 우승 (1회) : 2012 조별리그 (2회) : 2011, 2013 선수[편집] 현재 1군 명단[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유리 로디긴 2 DF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주장) 3 DF 데니스 테렌쳬프 5 MF 레안드로 파레데스 6 DF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8 MF 마티아스 크라네비터 3 DF 데니스 테렌쳬프 10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1 FW 세바스티안 드뤼시 13 DF 루이스 네투 14 MF 달레르 쿠자예프 15 DF 엘미르 나비울린 16 MF 크리스티안 노보아 17 MF 올레크 샤토프 18 MF 유리 지르코프 번호 포지션 이름 19 DF 이고르 스몰니코프 20 MF 로베르트 마크 21 MF 알렉산드르 에로킨 22 FW 아르툠 주바 23 DF 미하 메블랴 25 DF 이반 노보셀체프 27 MF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28 DF 예브게니 체르노프 29 FW 안톤 자볼로트니 30 DF 엠마누엘 맘마나 33 MF 에르나니 41 GK 미하일 케르자코프 88 MF 드미트리 보가예프 99 GK 안드레이 루뇨프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예고르 바부린 (→ 루빈 카잔) DF 이반 노보셀체프 (→ 안지 마하치칼라) FW 루카 조르제비치 (→ 아르세날 툴라) 12번 은 제니트의 팬들을 위해 영구 결번 되었다. 역대 주장[편집] 이름 년도 올레크 드미트리예프 1993 – 94 블라디미르 쿨리크 1995 – 96 유리 배르니두브 1997 – 2000 안드레이 코벨레프 2000 – 01 알렉세이 이고닌 2001 – 03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2003 – 07 안드레이 아르샤빈 2007 에리크 하겐 2007 아나톨리 티모슈크 2007 – 09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09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09 – 12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12 다니 2012 – 13 로만 시로코프 2013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4 다니 2014 – 17 도메니코 크리시토 2017 – 18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8 – 코칭 스태프[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5] 지위 이름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코치 알렉산드르 니제닉 코치 이고르 시무텐코프 코치 아나톨리 티모슈크 골키퍼 코치 토미슬라프 로직 골키퍼 코치 미하일 비류코프 주치의 세르게이 푸코프 2군 감독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유니폼[편집] 년도 이름 1997 – 2000 아디다스 2001 – 02 디아도라 2003 – 04 엄브로 2004 – 07 아디다스 2008 – 09 푸마 2010 – 현재 나이키 구단주[편집] 이름 년도 블라디슬라프 구셰프 1990 – 92 레오니드 투프린 1962 – 94 비탈리 뭇코 1995 – 2003 다비드 트락트토벤코 2003 – 05 세르게이 푸르센코 2006 – 08 알렉산드르 듀코프 2008 – 17 세르게이 푸르센코 2017 – 현재 역대 감독[편집] 이름 년도 표트르 필립포프 1936 – 37 미하일 유디네흐 1938 – 39 콘스탄틴 에고로프 1938 – 39 표트르 필립포프 1940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1 – 45 미하일 부튜소프 1946 이반 탈라노프 1946 – 48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8 – 50 게오르기 라신 1950 – 51 블라디미르 레메셰프 1952 – 54 니콜라이 류크시노프 1954 – 55 아르카디 알로프 1956 – 57 게오르기 자르코프 1957 – 60 게나디 본다렌코 1960 에브게니 엘리세예프 1961 – 64 발렌틴 페도로프 1964 – 66 아르카디 알로프 1967 아르템 팔리얀 1968 – 70 예브게니 고랸스키 1970 – 72 게르만 조닌 1973 – 77 유리 모로조프 1977 – 82 이름 년도 파벨 사디린 1983 1/1 – 1986 6/30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7 스타니슬라프 자비도노프 1988 – 89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9 아나톨리 콘코프 1990 비아체슬라프 불라빈 1990 유리 모로조프 1991 비아체슬라프 멜르니코프 1992 – 94 파벨 사디린 1995 – 96 아나톨리 비쇼베츠 1997 1/1 – 1998 7/23 아나톨리 다비도프 1998 – 00 유리 모로조프 2000 – 02 미하일 비류코프 2002 보리스 라포포트 2002 블라스티미 페트르젤라 2003 1/1 – 2006 5/14 딕 아드보카트 2006 7/13 – 2009 8/10 아나톨리 다비도프 (감독대행) 2009 8/10 – 2009 12/11 루차노 스팔레티 2009 12/1 – 2014 3/11 세르게이 세마크 (감독대행) 2014 3/11 – 2014 3/20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2014 3/20 – 2016 5/24 미르체아 루체스쿠 2016 5/24 – 2017 5/28 로베르토 만치니 2017 6/1 – 2018 5/13 세르게이 세마크 2018 5/29 – UEFA 랭킹[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6] 순위 국가 구단 점수 15 SSC 나폴리 70.000 16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67.000 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6.000 주목할만한 선수[편집] 아래 목록은 해당 국가에서 국가대표로 뛴 적이 있는 선수 목록이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은 제니트에서 뛰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가 대표였거나, 현재 (2014년) 국가 대표인 선수를 의미함.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미하일 비류코프 바실리 다닐로프 세르게이 드미트리예프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레오니트 이바노프 안조르 카바자시빌리 블라디미르 카자초노크 니콜라이 라리오노프 프리드리흐 마류틴 세르게이 살니코프 세르게이 시베초프 유리 보이노프 아나톨리 진첸코 바실리 쿨코프 드미트리 라드첸코 발레리 브로신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안드레이 아르샤빈 알렉산드르 부하로프 블라디미르 비스트로프 막심 데멘코 이고리 데니소프 빅토르 파이줄린 알렉산드르 고르시코프 알렉세이 이고닌 알렉세이 이오노프 막심 카눈니코프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안드레이 코벨레프 세르게이 콜로토브킨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블라디미르 레베트 유리 로디긴 비아체슬라프 말라페예프 파벨 모길레베츠 알렉산드르 파노프 세르게이 포드팔리 파벨 포그레브냐크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알렉산드르 랴잔체프 올레크 살렌코 세르게이 세마크 이고리 셈쇼프 올레크 샤토프 로만 시로코프 데니스 주브코 이고르 스몰니코프 레나트 얀바예프 콘스탄틴 지랴노프 아르툠 주바 구 소비에트 연방 소속 국가들 로만 베레좁스키 사르키스 홉세퍈 예르반드 크르바찬 즈미트리 아하로드니크 바리스 하라보이 샤르헤이 혜라시메츠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유리 제브노프 이고르 체미나바 안드레이 쿠르듀모프 페터 노이슈테터 예브게니 타라소프 에기디유스 마유스 다리우스 미체이카 로베르타스 포스쿠스 이르만타스 스툼브리스 세르게이 클레슈첸코 알렉산드루 쿠르티아누 안드레이 마나니코프 바즈겐 마나샨 드미트리 호무하 드미트리 네젤레프 볼로디미르 호릴리 로만 마크시뮤크 세르히 포포프 올렉산드르 스피바크 헤나디 포포비치 올렉산드르 스비스투노우 아나톨리 티모슈크 이호르 자브첸코 유럽 니콜라스 롬바르츠 악셀 비첼 다르코 말레티치 세바스티앙 퓌그레니에 이비차 크리자나츠 마레크 킨츨 파벨 마레시 라데크 시를 미샤엘 룸브 후스티 서볼치 도메니코 크리시토 알레산드로 로시나 미하일 자리츠키 드라간 차디코프스키 벨리체 슈물리코프스키 루카 조르제비치 에리크 하겐 다니 브루누 알베스 루이스 네투 페르난두 메이라 제노 분데아 마테야 케주만 단코 라조비치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밀란 로디치 카밀 촌토팔스키 토마스 후보칸 마르틴 슈크르텔 하비 가르시아 파티흐 테케 아시아 현영민 김동진 이호 남아메리카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에세키엘 가라이 크리스티안 안살디 헐크 살로몬 론돈 파트너십[편집] 다른 축구 클럽[편집] 가즈프롬 이 소유하는 다른 구단 FC 샬케 04[7] FC 샤흐타르 도네츠크[8] 조합[편집] 유투브[9] 로시야 항공[10] 뷔르트[11] NCC AB[12] 아다만트 쥬얼리[13] 코린티아 호텔-상트페테르부르크[14] 탑 일레븐 풋볼 매니저[15] 각주[편집] ↑ “Gazprom fuels Zenit dream”. uefa.com. 2007년 1월 19일. 2007년 8월 8일에 확인함.  ↑ “Stadium St. Petersburg”. 2012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2007/08: Advocaat enjoys an all-time high” (영어). UEFA.com. 2008년 5월 15일.  ↑ “22008: Zenit claim Russian first” (영어). UEFA.com. 2008년 8월 29일.  ↑ [1] – fc-zenit.ru ↑ UEFA Club Coefficients – UEFA.com ↑ “ФК "Зенит" подписал соглашение о партнерстве с ФК "Шальке 04"”. FC Zenit.  ↑ “Сергей Фурсенко: Партнерство с "Шахтером" – шаг актуальный и своевременный”. FC Zenit.  ↑ “Zenit launches new partnership with YouTube”. FC Zenit.  ↑ “Rossiya Airlines becomes official Zenit partner”. FC Zenit.  ↑ “FC Zenit and Würth Severo-Zapad are partners”. FC Zenit.  ↑ “Zenit and the Swedish construction firm NCC signed a partnership agreement”. FC Zenit.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 “Zenit signs partnership contract with Adamant Jewelers”. FC Zenit.  ↑ “Zenit and Corinthia St. Petersburg 5-star hotel have become partners”. FC Zenit.  ↑ “Zenit launches partnership with online manager Top Eleven”. FC Zenit.  외부 링크[편집] (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어/영어) ZenitShop — Official merchandise vdeh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아흐마트 그로즈니 암카르 페름 안지 마하치칼라 아르세날 툴라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크라스노다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스토프 루빈 카잔 SKA-하바로프스크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토스노 우파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vdeh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현재 명단 1 로디긴 2 아뉴코프 3 테렌티에프 4 크리시토 (주장) 5 파레데스 7 폴로스 8 크라네비테르 9 코코린 10 마르키시오 11 드뤼시 14 쿠즈야예프 16 노보아 17 샤토프 18 지르코프 19 스몰니코프 21 에로킨 22 주바 23 메블랴 25 노보셀체프 30 마마나 33 파뉴코프 41 케르자코프 60 이바노비치 88 보가예프 99 루니요프 감독: 세마크 vdeh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1970년대 1971-72: 토트넘 홋스퍼 1972-73: 리버풀 1973-74: 페예노르트 1974-7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76: 리버풀 1976-77: 유벤투스 1977-78: PSV 에인트호번 1978-79: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9-8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0년대 1980-81: 입스위치 타운 1981-82: IFK 예테보리 1982-83: 안데를레흐트 1983-84: 토트넘 홋스퍼 1984-85: 레알 마드리드 1985-86: 레알 마드리드 1986-87: IFK 예테보리 1987-88: 바이어 04 레버쿠젠 1988-89: 나폴리 1989-90: 유벤투스 1990년대 1990-91: 인테르나치오날레 1991-92: 아약스 1992-93: 유벤투스 1993-94: 인테르나치오날레 1994-95: 파르마 1995-96: 바이에른 뮌헨 1996-97: 샬케 04 1997-98: 인테르나치오날레 1998-99: 파르마 1999-2000: 갈라타사라이 2000년대 2000-01: 리버풀 2001-02: 페예노르트 2002-03: 포르투 2003-04: 발렌시아 2004-05: CSKA 모스크바 2005-06: 세비야 2006-07: 세비야 2007-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09: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9-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0년대 2010-11: 포르투 2011-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2-13: 첼시 2013-14: 세비야 2014-15: 세비야 2015-16: 세비야 2016-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7-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8-19: 첼시 vdehUEFA 슈퍼컵 우승팀챔피언스리그 대 컵위너스컵1970년대 1972: 아약스 1973: 아약스 1975: 디나모 키예프 1976: 안데를레흐트 1977: 리버풀 1978: 안데를레흐트 1979: 노팅엄 포리스트 1980년대 1980: 발렌시아 1982: 애스턴 빌라 1983: 애버딘 1984: 유벤투스 1986: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987: 포르투 1988: 메헬렌 1989: 밀란 1990년대 1990: 밀란 199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2: 바르셀로나 1993: 파르마 1994: 밀란 1995: 아약스 1996: 유벤투스 1997: 바르셀로나 1998: 첼시 1999: 라치오 ‎챔피언스리그 대 유로파리그2000년대 2000: 갈라타사라이 2001: 리버풀 2002: 레알 마드리드 2003: 밀란 2004: 발렌시아 2005: 리버풀 2006: 세비야 2007: 밀란 20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 바르셀로나 2010년대 20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 바르셀로나 20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 바이에른 뮌헨 2014: 레알 마드리드 2015: 바르셀로나 2016: 레알 마드리드 2017: 레알 마드리드 20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9: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C_제니트_상트페테르부르크&oldid=24266641" 분류: 러시아의 축구단상트페테르부르크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1925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LivvinkarjalaИрон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2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전체 이름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FC Zenit Saint Petersburg 별칭 Sine-Belo-Golubye (파랑색-하얀색-하늘색)Zenitchiki (대공포 포병)Bomzhi (떠돌이)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925년 5월 25일 구단주 가즈프롬방크 회장 세르게이 푸르센코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경기장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수용 인원 68,134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2018-19 1위 홈 어웨이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25년에 창단되었다. 제니트는 러시아어로 "천정, 정점, 절정"을 뜻한다. 구단의 실 소유주는 세계 5대 천연가스 생산그룹인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다.[1] 제니트는 2007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초로 ,UEFA컵 2007-08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8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1로 꺾고 UEFA 슈퍼컵을 들어올렸으며, 현재 감독은 로베르토 만치니의 뒤를 이어, 러시아의 세르게이 세마크이다. 목차 1 구단 역사 1.1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 1.2 제니트의 형성 과정 1.3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 2 경기장 3 역대 성적 3.1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 3.2 러시아 독립 이후 3.3 유럽 대회 3.4 기타 4 선수 4.1 현재 1군 명단 4.2 임대 선수 명단 4.3 역대 주장 5 코칭 스태프 6 유니폼 7 구단주 8 역대 감독 9 UEFA 랭킹 10 주목할만한 선수 11 파트너십 11.1 다른 축구 클럽 11.2 조합 12 각주 13 외부 링크 구단 역사[편집]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편집] 제니트의 역사는 러시아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과거, '페트로그라드'와 '레닌그라드'로 불렷음)의 정치적으로 가까운 연관이 있다. 1897년, 바실레예프스키 섬에서 러시아에서 최초로 축구경기가 열렸다. 그 경기는 비공식적인 경기로써, 잉글랜드의 '오스트로프' 팀과, 러시아의 '페트로그라드' 라는 팀간의 경기였으며, 그 경기는 잉글랜드 팀이 6 대 0으로 이겼다. 러시아의 팀은 지역 사람들의 아마추어 선수나, 느슨하게 만들어진 연합팀일 뿐이였다. 같은 시간에, 공식적인 축구 구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선수의 자격은 비공식적 이였으며, 매우 느슨하여, 종종, 같은 시즌 동안에 각각 다른 팀에서 소속되어 경기하는것도 수락되었었다. 제니트의 형성 과정[편집] 제니트는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소련 기간 동안 이름과 소유자가 바뀐 축구 구단에 의해 생겨났다. 강력한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조작된 선수 개인들의 업적이나 팀 전체의 운명이 조작되기도 했다. 구단의 명칭은 계속 여러 번 바뀌어왔으며, 소유주와, 주장들은 몇십년 동안 정치적인 억압 밑에서 살아와야 했다. 제니트의 기원은 20세기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몇몇의 과거팀들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지역적으로 경기가 되곤했다. 제니트의 가장 오래된 전신은 한때 볼셰비키라고 불리던 1914년에 창단된 '무르진카(Murzinka)' 구단으로써, 1914년 부터 1924년까지 약 10년간 오부코프스키 스타디움을 사용해왔다. 그 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과 1918년~1922년 에 벌어진 러시아 내전에서도 해체되지 않고 살아 남았다.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편집] 제니트는 1944년에, 소비에트 컵 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를 패배시키며 구단의 첫 명예를 가졌다. 제니트는 늘 레닌그라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왔지만, 소비에트 리그에서는 큰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하였다. 경기장[편집] 현재 제니트의 홈경기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페트로프스키 스타디움에서 신축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으로 옮겼다. 2007년 노후한 키로프 스타디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제니트를 위한 새로운 구장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을 건설 하으며, 이는 2018 러시아 월드컵때도 이용되었다.[2] 건설중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완공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제니트 아레나'로 도 불린다. 역대 성적[편집]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편집]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 (1회) : 1984 소비에트 컵 우승 (1회) : 1944 준우승 (2회) : 1953, 1984 소비에트 슈퍼컵 우승 (1회) : 1985 러시아 독립 이후[편집]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 (4회) : 2007, 2010, 2011-12, 2014-15 준우승 (3회) : 2003, 2012-13, 2013-14 러시아 컵 우승 (2회) : 1999, 2010 준우승 (1회) : 2002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 우승 (1회) : 2003 러시아 슈퍼컵 우승 (2회) : 2008, 2011 준우승 (2회) : 2012, 2013 유럽 대회[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4회 진출) 16강 (4회) : 1985-86 (16강),2011-12 (16강),2012-13 (16강),2013-14 (16강) 조별예선 (1회) : 2014-15 (진행중) UEFA 유로파리그 (8회 진출) 우승 (1회) : 2007-08[3] 8강 (1회) : 2005-06 16강 (3회) : 2008-09,2010-11,2012-13 조별리그 (1회) : 2004-05 UEFA 슈퍼컵 우승 (1회) : 2007-08[4] UEFA 인터토토컵 준우승 (1회) : 2000 기타[편집] 매치 월드컵 우승 (1회) : 2012 조별리그 (2회) : 2011, 2013 선수[편집] 현재 1군 명단[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유리 로디긴 2 DF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주장) 3 DF 데니스 테렌쳬프 5 MF 레안드로 파레데스 6 DF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8 MF 마티아스 크라네비터 3 DF 데니스 테렌쳬프 10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1 FW 세바스티안 드뤼시 13 DF 루이스 네투 14 MF 달레르 쿠자예프 15 DF 엘미르 나비울린 16 MF 크리스티안 노보아 17 MF 올레크 샤토프 18 MF 유리 지르코프 번호 포지션 이름 19 DF 이고르 스몰니코프 20 MF 로베르트 마크 21 MF 알렉산드르 에로킨 22 FW 아르툠 주바 23 DF 미하 메블랴 25 DF 이반 노보셀체프 27 MF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28 DF 예브게니 체르노프 29 FW 안톤 자볼로트니 30 DF 엠마누엘 맘마나 33 MF 에르나니 41 GK 미하일 케르자코프 88 MF 드미트리 보가예프 99 GK 안드레이 루뇨프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예고르 바부린 (→ 루빈 카잔) DF 이반 노보셀체프 (→ 안지 마하치칼라) FW 루카 조르제비치 (→ 아르세날 툴라) 12번 은 제니트의 팬들을 위해 영구 결번 되었다. 역대 주장[편집] 이름 년도 올레크 드미트리예프 1993 – 94 블라디미르 쿨리크 1995 – 96 유리 배르니두브 1997 – 2000 안드레이 코벨레프 2000 – 01 알렉세이 이고닌 2001 – 03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2003 – 07 안드레이 아르샤빈 2007 에리크 하겐 2007 아나톨리 티모슈크 2007 – 09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09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09 – 12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12 다니 2012 – 13 로만 시로코프 2013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4 다니 2014 – 17 도메니코 크리시토 2017 – 18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8 – 코칭 스태프[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5] 지위 이름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코치 알렉산드르 니제닉 코치 이고르 시무텐코프 코치 아나톨리 티모슈크 골키퍼 코치 토미슬라프 로직 골키퍼 코치 미하일 비류코프 주치의 세르게이 푸코프 2군 감독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유니폼[편집] 년도 이름 1997 – 2000 아디다스 2001 – 02 디아도라 2003 – 04 엄브로 2004 – 07 아디다스 2008 – 09 푸마 2010 – 현재 나이키 구단주[편집] 이름 년도 블라디슬라프 구셰프 1990 – 92 레오니드 투프린 1962 – 94 비탈리 뭇코 1995 – 2003 다비드 트락트토벤코 2003 – 05 세르게이 푸르센코 2006 – 08 알렉산드르 듀코프 2008 – 17 세르게이 푸르센코 2017 – 현재 역대 감독[편집] 이름 년도 표트르 필립포프 1936 – 37 미하일 유디네흐 1938 – 39 콘스탄틴 에고로프 1938 – 39 표트르 필립포프 1940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1 – 45 미하일 부튜소프 1946 이반 탈라노프 1946 – 48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8 – 50 게오르기 라신 1950 – 51 블라디미르 레메셰프 1952 – 54 니콜라이 류크시노프 1954 – 55 아르카디 알로프 1956 – 57 게오르기 자르코프 1957 – 60 게나디 본다렌코 1960 에브게니 엘리세예프 1961 – 64 발렌틴 페도로프 1964 – 66 아르카디 알로프 1967 아르템 팔리얀 1968 – 70 예브게니 고랸스키 1970 – 72 게르만 조닌 1973 – 77 유리 모로조프 1977 – 82 이름 년도 파벨 사디린 1983 1/1 – 1986 6/30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7 스타니슬라프 자비도노프 1988 – 89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9 아나톨리 콘코프 1990 비아체슬라프 불라빈 1990 유리 모로조프 1991 비아체슬라프 멜르니코프 1992 – 94 파벨 사디린 1995 – 96 아나톨리 비쇼베츠 1997 1/1 – 1998 7/23 아나톨리 다비도프 1998 – 00 유리 모로조프 2000 – 02 미하일 비류코프 2002 보리스 라포포트 2002 블라스티미 페트르젤라 2003 1/1 – 2006 5/14 딕 아드보카트 2006 7/13 – 2009 8/10 아나톨리 다비도프 (감독대행) 2009 8/10 – 2009 12/11 루차노 스팔레티 2009 12/1 – 2014 3/11 세르게이 세마크 (감독대행) 2014 3/11 – 2014 3/20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2014 3/20 – 2016 5/24 미르체아 루체스쿠 2016 5/24 – 2017 5/28 로베르토 만치니 2017 6/1 – 2018 5/13 세르게이 세마크 2018 5/29 – UEFA 랭킹[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6] 순위 국가 구단 점수 15 SSC 나폴리 70.000 16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67.000 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6.000 주목할만한 선수[편집] 아래 목록은 해당 국가에서 국가대표로 뛴 적이 있는 선수 목록이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은 제니트에서 뛰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가 대표였거나, 현재 (2014년) 국가 대표인 선수를 의미함.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미하일 비류코프 바실리 다닐로프 세르게이 드미트리예프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레오니트 이바노프 안조르 카바자시빌리 블라디미르 카자초노크 니콜라이 라리오노프 프리드리흐 마류틴 세르게이 살니코프 세르게이 시베초프 유리 보이노프 아나톨리 진첸코 바실리 쿨코프 드미트리 라드첸코 발레리 브로신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안드레이 아르샤빈 알렉산드르 부하로프 블라디미르 비스트로프 막심 데멘코 이고리 데니소프 빅토르 파이줄린 알렉산드르 고르시코프 알렉세이 이고닌 알렉세이 이오노프 막심 카눈니코프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안드레이 코벨레프 세르게이 콜로토브킨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블라디미르 레베트 유리 로디긴 비아체슬라프 말라페예프 파벨 모길레베츠 알렉산드르 파노프 세르게이 포드팔리 파벨 포그레브냐크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알렉산드르 랴잔체프 올레크 살렌코 세르게이 세마크 이고리 셈쇼프 올레크 샤토프 로만 시로코프 데니스 주브코 이고르 스몰니코프 레나트 얀바예프 콘스탄틴 지랴노프 아르툠 주바 구 소비에트 연방 소속 국가들 로만 베레좁스키 사르키스 홉세퍈 예르반드 크르바찬 즈미트리 아하로드니크 바리스 하라보이 샤르헤이 혜라시메츠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유리 제브노프 이고르 체미나바 안드레이 쿠르듀모프 페터 노이슈테터 예브게니 타라소프 에기디유스 마유스 다리우스 미체이카 로베르타스 포스쿠스 이르만타스 스툼브리스 세르게이 클레슈첸코 알렉산드루 쿠르티아누 안드레이 마나니코프 바즈겐 마나샨 드미트리 호무하 드미트리 네젤레프 볼로디미르 호릴리 로만 마크시뮤크 세르히 포포프 올렉산드르 스피바크 헤나디 포포비치 올렉산드르 스비스투노우 아나톨리 티모슈크 이호르 자브첸코 유럽 니콜라스 롬바르츠 악셀 비첼 다르코 말레티치 세바스티앙 퓌그레니에 이비차 크리자나츠 마레크 킨츨 파벨 마레시 라데크 시를 미샤엘 룸브 후스티 서볼치 도메니코 크리시토 알레산드로 로시나 미하일 자리츠키 드라간 차디코프스키 벨리체 슈물리코프스키 루카 조르제비치 에리크 하겐 다니 브루누 알베스 루이스 네투 페르난두 메이라 제노 분데아 마테야 케주만 단코 라조비치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밀란 로디치 카밀 촌토팔스키 토마스 후보칸 마르틴 슈크르텔 하비 가르시아 파티흐 테케 아시아 현영민 김동진 이호 남아메리카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에세키엘 가라이 크리스티안 안살디 헐크 살로몬 론돈 파트너십[편집] 다른 축구 클럽[편집] 가즈프롬 이 소유하는 다른 구단 FC 샬케 04[7] FC 샤흐타르 도네츠크[8] 조합[편집] 유투브[9] 로시야 항공[10] 뷔르트[11] NCC AB[12] 아다만트 쥬얼리[13] 코린티아 호텔-상트페테르부르크[14] 탑 일레븐 풋볼 매니저[15] 각주[편집] ↑ “Gazprom fuels Zenit dream”. uefa.com. 2007년 1월 19일. 2007년 8월 8일에 확인함.  ↑ “Stadium St. Petersburg”. 2012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2007/08: Advocaat enjoys an all-time high” (영어). UEFA.com. 2008년 5월 15일.  ↑ “22008: Zenit claim Russian first” (영어). UEFA.com. 2008년 8월 29일.  ↑ [1] – fc-zenit.ru ↑ UEFA Club Coefficients – UEFA.com ↑ “ФК "Зенит" подписал соглашение о партнерстве с ФК "Шальке 04"”. FC Zenit.  ↑ “Сергей Фурсенко: Партнерство с "Шахтером" – шаг актуальный и своевременный”. FC Zenit.  ↑ “Zenit launches new partnership with YouTube”. FC Zenit.  ↑ “Rossiya Airlines becomes official Zenit partner”. FC Zenit.  ↑ “FC Zenit and Würth Severo-Zapad are partners”. FC Zenit.  ↑ “Zenit and the Swedish construction firm NCC signed a partnership agreement”. FC Zenit.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 “Zenit signs partnership contract with Adamant Jewelers”. FC Zenit.  ↑ “Zenit and Corinthia St. Petersburg 5-star hotel have become partners”. FC Zenit.  ↑ “Zenit launches partnership with online manager Top Eleven”. FC Zenit.  외부 링크[편집] (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어/영어) ZenitShop — Official merchandise vdeh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아흐마트 그로즈니 암카르 페름 안지 마하치칼라 아르세날 툴라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크라스노다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스토프 루빈 카잔 SKA-하바로프스크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토스노 우파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vdeh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현재 명단 1 로디긴 2 아뉴코프 3 테렌티에프 4 크리시토 (주장) 5 파레데스 7 폴로스 8 크라네비테르 9 코코린 10 마르키시오 11 드뤼시 14 쿠즈야예프 16 노보아 17 샤토프 18 지르코프 19 스몰니코프 21 에로킨 22 주바 23 메블랴 25 노보셀체프 30 마마나 33 파뉴코프 41 케르자코프 60 이바노비치 88 보가예프 99 루니요프 감독: 세마크 vdeh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1970년대 1971-72: 토트넘 홋스퍼 1972-73: 리버풀 1973-74: 페예노르트 1974-7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76: 리버풀 1976-77: 유벤투스 1977-78: PSV 에인트호번 1978-79: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9-8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0년대 1980-81: 입스위치 타운 1981-82: IFK 예테보리 1982-83: 안데를레흐트 1983-84: 토트넘 홋스퍼 1984-85: 레알 마드리드 1985-86: 레알 마드리드 1986-87: IFK 예테보리 1987-88: 바이어 04 레버쿠젠 1988-89: 나폴리 1989-90: 유벤투스 1990년대 1990-91: 인테르나치오날레 1991-92: 아약스 1992-93: 유벤투스 1993-94: 인테르나치오날레 1994-95: 파르마 1995-96: 바이에른 뮌헨 1996-97: 샬케 04 1997-98: 인테르나치오날레 1998-99: 파르마 1999-2000: 갈라타사라이 2000년대 2000-01: 리버풀 2001-02: 페예노르트 2002-03: 포르투 2003-04: 발렌시아 2004-05: CSKA 모스크바 2005-06: 세비야 2006-07: 세비야 2007-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09: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9-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0년대 2010-11: 포르투 2011-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2-13: 첼시 2013-14: 세비야 2014-15: 세비야 2015-16: 세비야 2016-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7-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8-19: 첼시 vdehUEFA 슈퍼컵 우승팀챔피언스리그 대 컵위너스컵1970년대 1972: 아약스 1973: 아약스 1975: 디나모 키예프 1976: 안데를레흐트 1977: 리버풀 1978: 안데를레흐트 1979: 노팅엄 포리스트 1980년대 1980: 발렌시아 1982: 애스턴 빌라 1983: 애버딘 1984: 유벤투스 1986: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987: 포르투 1988: 메헬렌 1989: 밀란 1990년대 1990: 밀란 199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2: 바르셀로나 1993: 파르마 1994: 밀란 1995: 아약스 1996: 유벤투스 1997: 바르셀로나 1998: 첼시 1999: 라치오 ‎챔피언스리그 대 유로파리그2000년대 2000: 갈라타사라이 2001: 리버풀 2002: 레알 마드리드 2003: 밀란 2004: 발렌시아 2005: 리버풀 2006: 세비야 2007: 밀란 20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 바르셀로나 2010년대 20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 바르셀로나 20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 바이에른 뮌헨 2014: 레알 마드리드 2015: 바르셀로나 2016: 레알 마드리드 2017: 레알 마드리드 20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9: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C_제니트_상트페테르부르크&oldid=24266641" 분류: 러시아의 축구단상트페테르부르크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1925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LivvinkarjalaИрон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2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전체 이름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FC Zenit Saint Petersburg 별칭 Sine-Belo-Golubye (파랑색-하얀색-하늘색)Zenitchiki (대공포 포병)Bomzhi (떠돌이) 리그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창단 연도 1925년 5월 25일 구단주 가즈프롬방크 회장 세르게이 푸르센코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경기장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수용 인원 68,134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2018-19 1위 홈 어웨이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어: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Зенит" Санкт-Петербург)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연고로 하는 러시아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25년에 창단되었다. 제니트는 러시아어로 "천정, 정점, 절정"을 뜻한다. 구단의 실 소유주는 세계 5대 천연가스 생산그룹인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이다.[1] 제니트는 2007년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하였고, 클럽 역사상 최초로 ,UEFA컵 2007-08의 우승을 차지하였으며 2008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2-1로 꺾고 UEFA 슈퍼컵을 들어올렸으며, 현재 감독은 로베르토 만치니의 뒤를 이어, 러시아의 세르게이 세마크이다. 목차 1 구단 역사 1.1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 1.2 제니트의 형성 과정 1.3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 2 경기장 3 역대 성적 3.1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 3.2 러시아 독립 이후 3.3 유럽 대회 3.4 기타 4 선수 4.1 현재 1군 명단 4.2 임대 선수 명단 4.3 역대 주장 5 코칭 스태프 6 유니폼 7 구단주 8 역대 감독 9 UEFA 랭킹 10 주목할만한 선수 11 파트너십 11.1 다른 축구 클럽 11.2 조합 12 각주 13 외부 링크 구단 역사[편집] 제니트가 생기기 이전[편집] 제니트의 역사는 러시아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과거, '페트로그라드'와 '레닌그라드'로 불렷음)의 정치적으로 가까운 연관이 있다. 1897년, 바실레예프스키 섬에서 러시아에서 최초로 축구경기가 열렸다. 그 경기는 비공식적인 경기로써, 잉글랜드의 '오스트로프' 팀과, 러시아의 '페트로그라드' 라는 팀간의 경기였으며, 그 경기는 잉글랜드 팀이 6 대 0으로 이겼다. 러시아의 팀은 지역 사람들의 아마추어 선수나, 느슨하게 만들어진 연합팀일 뿐이였다. 같은 시간에, 공식적인 축구 구단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선수의 자격은 비공식적 이였으며, 매우 느슨하여, 종종, 같은 시즌 동안에 각각 다른 팀에서 소속되어 경기하는것도 수락되었었다. 제니트의 형성 과정[편집] 제니트는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 소련 기간 동안 이름과 소유자가 바뀐 축구 구단에 의해 생겨났다. 강력한 정치적 압박으로 인해 조작된 선수 개인들의 업적이나 팀 전체의 운명이 조작되기도 했다. 구단의 명칭은 계속 여러 번 바뀌어왔으며, 소유주와, 주장들은 몇십년 동안 정치적인 억압 밑에서 살아와야 했다. 제니트의 기원은 20세기의 시작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몇몇의 과거팀들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지역적으로 경기가 되곤했다. 제니트의 가장 오래된 전신은 한때 볼셰비키라고 불리던 1914년에 창단된 '무르진카(Murzinka)' 구단으로써, 1914년 부터 1924년까지 약 10년간 오부코프스키 스타디움을 사용해왔다. 그 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1917년에 일어난 러시아 혁명과 1918년~1922년 에 벌어진 러시아 내전에서도 해체되지 않고 살아 남았다. 소비에트 리그의 제니트[편집] 제니트는 1944년에, 소비에트 컵 결승전에서 CSKA 모스크바를 패배시키며 구단의 첫 명예를 가졌다. 제니트는 늘 레닌그라드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왔지만, 소비에트 리그에서는 큰 임팩트를 보여주진 못하였다. 경기장[편집] 현재 제니트의 홈경기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페트로프스키 스타디움에서 신축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으로 옮겼다. 2007년 노후한 키로프 스타디움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제니트를 위한 새로운 구장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을 건설 하으며, 이는 2018 러시아 월드컵때도 이용되었다.[2] 건설중인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완공된 크레스톱스키 스타디움, '제니트 아레나'로 도 불린다. 역대 성적[편집] 소련 시절 (제니트 레닌그라드)[편집] 소비에트 톱 리그 우승 (1회) : 1984 소비에트 컵 우승 (1회) : 1944 준우승 (2회) : 1953, 1984 소비에트 슈퍼컵 우승 (1회) : 1985 러시아 독립 이후[편집]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 (4회) : 2007, 2010, 2011-12, 2014-15 준우승 (3회) : 2003, 2012-13, 2013-14 러시아 컵 우승 (2회) : 1999, 2010 준우승 (1회) : 2002 러시아 프리미어리그컵 우승 (1회) : 2003 러시아 슈퍼컵 우승 (2회) : 2008, 2011 준우승 (2회) : 2012, 2013 유럽 대회[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4회 진출) 16강 (4회) : 1985-86 (16강),2011-12 (16강),2012-13 (16강),2013-14 (16강) 조별예선 (1회) : 2014-15 (진행중) UEFA 유로파리그 (8회 진출) 우승 (1회) : 2007-08[3] 8강 (1회) : 2005-06 16강 (3회) : 2008-09,2010-11,2012-13 조별리그 (1회) : 2004-05 UEFA 슈퍼컵 우승 (1회) : 2007-08[4] UEFA 인터토토컵 준우승 (1회) : 2000 기타[편집] 매치 월드컵 우승 (1회) : 2012 조별리그 (2회) : 2011, 2013 선수[편집] 현재 1군 명단[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유리 로디긴 2 DF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주장) 3 DF 데니스 테렌쳬프 5 MF 레안드로 파레데스 6 DF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8 MF 마티아스 크라네비터 3 DF 데니스 테렌쳬프 10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1 FW 세바스티안 드뤼시 13 DF 루이스 네투 14 MF 달레르 쿠자예프 15 DF 엘미르 나비울린 16 MF 크리스티안 노보아 17 MF 올레크 샤토프 18 MF 유리 지르코프 번호 포지션 이름 19 DF 이고르 스몰니코프 20 MF 로베르트 마크 21 MF 알렉산드르 에로킨 22 FW 아르툠 주바 23 DF 미하 메블랴 25 DF 이반 노보셀체프 27 MF 마고메드 오즈도예프 28 DF 예브게니 체르노프 29 FW 안톤 자볼로트니 30 DF 엠마누엘 맘마나 33 MF 에르나니 41 GK 미하일 케르자코프 88 MF 드미트리 보가예프 99 GK 안드레이 루뇨프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예고르 바부린 (→ 루빈 카잔) DF 이반 노보셀체프 (→ 안지 마하치칼라) FW 루카 조르제비치 (→ 아르세날 툴라) 12번 은 제니트의 팬들을 위해 영구 결번 되었다. 역대 주장[편집] 이름 년도 올레크 드미트리예프 1993 – 94 블라디미르 쿨리크 1995 – 96 유리 배르니두브 1997 – 2000 안드레이 코벨레프 2000 – 01 알렉세이 이고닌 2001 – 03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2003 – 07 안드레이 아르샤빈 2007 에리크 하겐 2007 아나톨리 티모슈크 2007 – 09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09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09 – 12 뱌체슬라프 말라페예프 2012 다니 2012 – 13 로만 시로코프 2013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4 다니 2014 – 17 도메니코 크리시토 2017 – 18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2018 – 코칭 스태프[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5] 지위 이름 감독 세르게이 세마크 코치 알렉산드르 니제닉 코치 이고르 시무텐코프 코치 아나톨리 티모슈크 골키퍼 코치 토미슬라프 로직 골키퍼 코치 미하일 비류코프 주치의 세르게이 푸코프 2군 감독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유니폼[편집] 년도 이름 1997 – 2000 아디다스 2001 – 02 디아도라 2003 – 04 엄브로 2004 – 07 아디다스 2008 – 09 푸마 2010 – 현재 나이키 구단주[편집] 이름 년도 블라디슬라프 구셰프 1990 – 92 레오니드 투프린 1962 – 94 비탈리 뭇코 1995 – 2003 다비드 트락트토벤코 2003 – 05 세르게이 푸르센코 2006 – 08 알렉산드르 듀코프 2008 – 17 세르게이 푸르센코 2017 – 현재 역대 감독[편집] 이름 년도 표트르 필립포프 1936 – 37 미하일 유디네흐 1938 – 39 콘스탄틴 에고로프 1938 – 39 표트르 필립포프 1940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1 – 45 미하일 부튜소프 1946 이반 탈라노프 1946 – 48 콘스탄틴 레메셰프 1948 – 50 게오르기 라신 1950 – 51 블라디미르 레메셰프 1952 – 54 니콜라이 류크시노프 1954 – 55 아르카디 알로프 1956 – 57 게오르기 자르코프 1957 – 60 게나디 본다렌코 1960 에브게니 엘리세예프 1961 – 64 발렌틴 페도로프 1964 – 66 아르카디 알로프 1967 아르템 팔리얀 1968 – 70 예브게니 고랸스키 1970 – 72 게르만 조닌 1973 – 77 유리 모로조프 1977 – 82 이름 년도 파벨 사디린 1983 1/1 – 1986 6/30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7 스타니슬라프 자비도노프 1988 – 89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1989 아나톨리 콘코프 1990 비아체슬라프 불라빈 1990 유리 모로조프 1991 비아체슬라프 멜르니코프 1992 – 94 파벨 사디린 1995 – 96 아나톨리 비쇼베츠 1997 1/1 – 1998 7/23 아나톨리 다비도프 1998 – 00 유리 모로조프 2000 – 02 미하일 비류코프 2002 보리스 라포포트 2002 블라스티미 페트르젤라 2003 1/1 – 2006 5/14 딕 아드보카트 2006 7/13 – 2009 8/10 아나톨리 다비도프 (감독대행) 2009 8/10 – 2009 12/11 루차노 스팔레티 2009 12/1 – 2014 3/11 세르게이 세마크 (감독대행) 2014 3/11 – 2014 3/20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2014 3/20 – 2016 5/24 미르체아 루체스쿠 2016 5/24 – 2017 5/28 로베르토 만치니 2017 6/1 – 2018 5/13 세르게이 세마크 2018 5/29 – UEFA 랭킹[편집] 2018년 11월 6일 기준[6] 순위 국가 구단 점수 15 SSC 나폴리 70.000 16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67.000 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66.000 주목할만한 선수[편집] 아래 목록은 해당 국가에서 국가대표로 뛴 적이 있는 선수 목록이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이름은 제니트에서 뛰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가 대표였거나, 현재 (2014년) 국가 대표인 선수를 의미함. 소비에트 연방/러시아 미하일 비류코프 바실리 다닐로프 세르게이 드미트리예프 블라디미르 골루베프 알렉산드르 이바노프 레오니트 이바노프 안조르 카바자시빌리 블라디미르 카자초노크 니콜라이 라리오노프 프리드리흐 마류틴 세르게이 살니코프 세르게이 시베초프 유리 보이노프 아나톨리 진첸코 바실리 쿨코프 드미트리 라드첸코 발레리 브로신 알렉산드르 아뉴코프 안드레이 아르샤빈 알렉산드르 부하로프 블라디미르 비스트로프 막심 데멘코 이고리 데니소프 빅토르 파이줄린 알렉산드르 고르시코프 알렉세이 이고닌 알렉세이 이오노프 막심 카눈니코프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안드레이 코벨레프 세르게이 콜로토브킨 안드레이 콘드라쇼프 블라디미르 레베트 유리 로디긴 비아체슬라프 말라페예프 파벨 모길레베츠 알렉산드르 파노프 세르게이 포드팔리 파벨 포그레브냐크 블라디슬라프 라디모프 알렉산드르 랴잔체프 올레크 살렌코 세르게이 세마크 이고리 셈쇼프 올레크 샤토프 로만 시로코프 데니스 주브코 이고르 스몰니코프 레나트 얀바예프 콘스탄틴 지랴노프 아르툠 주바 구 소비에트 연방 소속 국가들 로만 베레좁스키 사르키스 홉세퍈 예르반드 크르바찬 즈미트리 아하로드니크 바리스 하라보이 샤르헤이 혜라시메츠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유리 제브노프 이고르 체미나바 안드레이 쿠르듀모프 페터 노이슈테터 예브게니 타라소프 에기디유스 마유스 다리우스 미체이카 로베르타스 포스쿠스 이르만타스 스툼브리스 세르게이 클레슈첸코 알렉산드루 쿠르티아누 안드레이 마나니코프 바즈겐 마나샨 드미트리 호무하 드미트리 네젤레프 볼로디미르 호릴리 로만 마크시뮤크 세르히 포포프 올렉산드르 스피바크 헤나디 포포비치 올렉산드르 스비스투노우 아나톨리 티모슈크 이호르 자브첸코 유럽 니콜라스 롬바르츠 악셀 비첼 다르코 말레티치 세바스티앙 퓌그레니에 이비차 크리자나츠 마레크 킨츨 파벨 마레시 라데크 시를 미샤엘 룸브 후스티 서볼치 도메니코 크리시토 알레산드로 로시나 미하일 자리츠키 드라간 차디코프스키 벨리체 슈물리코프스키 루카 조르제비치 에리크 하겐 다니 브루누 알베스 루이스 네투 페르난두 메이라 제노 분데아 마테야 케주만 단코 라조비치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밀란 로디치 카밀 촌토팔스키 토마스 후보칸 마르틴 슈크르텔 하비 가르시아 파티흐 테케 아시아 현영민 김동진 이호 남아메리카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에세키엘 가라이 크리스티안 안살디 헐크 살로몬 론돈 파트너십[편집] 다른 축구 클럽[편집] 가즈프롬 이 소유하는 다른 구단 FC 샬케 04[7] FC 샤흐타르 도네츠크[8] 조합[편집] 유투브[9] 로시야 항공[10] 뷔르트[11] NCC AB[12] 아다만트 쥬얼리[13] 코린티아 호텔-상트페테르부르크[14] 탑 일레븐 풋볼 매니저[15] 각주[편집] ↑ “Gazprom fuels Zenit dream”. uefa.com. 2007년 1월 19일. 2007년 8월 8일에 확인함.  ↑ “Stadium St. Petersburg”. 2012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6일에 확인함.  ↑ “2007/08: Advocaat enjoys an all-time high” (영어). UEFA.com. 2008년 5월 15일.  ↑ “22008: Zenit claim Russian first” (영어). UEFA.com. 2008년 8월 29일.  ↑ [1] – fc-zenit.ru ↑ UEFA Club Coefficients – UEFA.com ↑ “ФК "Зенит" подписал соглашение о партнерстве с ФК "Шальке 04"”. FC Zenit.  ↑ “Сергей Фурсенко: Партнерство с "Шахтером" – шаг актуальный и своевременный”. FC Zenit.  ↑ “Zenit launches new partnership with YouTube”. FC Zenit.  ↑ “Rossiya Airlines becomes official Zenit partner”. FC Zenit.  ↑ “FC Zenit and Würth Severo-Zapad are partners”. FC Zenit.  ↑ “Zenit and the Swedish construction firm NCC signed a partnership agreement”. FC Zenit.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3일에 확인함.  ↑ “Zenit signs partnership contract with Adamant Jewelers”. FC Zenit.  ↑ “Zenit and Corinthia St. Petersburg 5-star hotel have become partners”. FC Zenit.  ↑ “Zenit launches partnership with online manager Top Eleven”. FC Zenit.  외부 링크[편집] (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러시아어/영어) ZenitShop — Official merchandise vdeh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아흐마트 그로즈니 암카르 페름 안지 마하치칼라 아르세날 툴라 CSKA 모스크바 디나모 모스크바 크라스노다르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스토프 루빈 카잔 SKA-하바로프스크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FC 토스노 우파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티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vdeh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현재 명단 1 로디긴 2 아뉴코프 3 테렌티에프 4 크리시토 (주장) 5 파레데스 7 폴로스 8 크라네비테르 9 코코린 10 마르키시오 11 드뤼시 14 쿠즈야예프 16 노보아 17 샤토프 18 지르코프 19 스몰니코프 21 에로킨 22 주바 23 메블랴 25 노보셀체프 30 마마나 33 파뉴코프 41 케르자코프 60 이바노비치 88 보가예프 99 루니요프 감독: 세마크 vdeh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1970년대 1971-72: 토트넘 홋스퍼 1972-73: 리버풀 1973-74: 페예노르트 1974-75: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76: 리버풀 1976-77: 유벤투스 1977-78: PSV 에인트호번 1978-79: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9-8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0년대 1980-81: 입스위치 타운 1981-82: IFK 예테보리 1982-83: 안데를레흐트 1983-84: 토트넘 홋스퍼 1984-85: 레알 마드리드 1985-86: 레알 마드리드 1986-87: IFK 예테보리 1987-88: 바이어 04 레버쿠젠 1988-89: 나폴리 1989-90: 유벤투스 1990년대 1990-91: 인테르나치오날레 1991-92: 아약스 1992-93: 유벤투스 1993-94: 인테르나치오날레 1994-95: 파르마 1995-96: 바이에른 뮌헨 1996-97: 샬케 04 1997-98: 인테르나치오날레 1998-99: 파르마 1999-2000: 갈라타사라이 2000년대 2000-01: 리버풀 2001-02: 페예노르트 2002-03: 포르투 2003-04: 발렌시아 2004-05: CSKA 모스크바 2005-06: 세비야 2006-07: 세비야 2007-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8-09: 샤흐타르 도네츠크 2009-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0년대 2010-11: 포르투 2011-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2-13: 첼시 2013-14: 세비야 2014-15: 세비야 2015-16: 세비야 2016-17: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7-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8-19: 첼시 vdehUEFA 슈퍼컵 우승팀챔피언스리그 대 컵위너스컵1970년대 1972: 아약스 1973: 아약스 1975: 디나모 키예프 1976: 안데를레흐트 1977: 리버풀 1978: 안데를레흐트 1979: 노팅엄 포리스트 1980년대 1980: 발렌시아 1982: 애스턴 빌라 1983: 애버딘 1984: 유벤투스 1986: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987: 포르투 1988: 메헬렌 1989: 밀란 1990년대 1990: 밀란 199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992: 바르셀로나 1993: 파르마 1994: 밀란 1995: 아약스 1996: 유벤투스 1997: 바르셀로나 1998: 첼시 1999: 라치오 ‎챔피언스리그 대 유로파리그2000년대 2000: 갈라타사라이 2001: 리버풀 2002: 레알 마드리드 2003: 밀란 2004: 발렌시아 2005: 리버풀 2006: 세비야 2007: 밀란 200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9: 바르셀로나 2010년대 2010: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1: 바르셀로나 201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3: 바이에른 뮌헨 2014: 레알 마드리드 2015: 바르셀로나 2016: 레알 마드리드 2017: 레알 마드리드 20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9: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FC_제니트_상트페테르부르크&oldid=24266641" 분류: 러시아의 축구단상트페테르부르크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1925년 설립된 축구단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 nynorskNorskLivvinkarjalaИрон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20: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군중 십자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중 십자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군중 십자군십자군 전쟁의 일부은자 피에르날짜1096년장소독일과 헝가리 그리고 아나톨리아 반도교전국 기독교 왕국 비잔티움 제국 룸 술탄국지휘관 은자 피에르고티에 생자부아기사 라이날드 알렉시오스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병력 4만 명 → 2만 명 - 9만 명피해 규모 거의 전멸 - 미미 vdeh십자군 성지 십자군 (1095년-1291년) 군중 제1차 1101년 노르웨이 베네치아 제2차 제3차 1197년 제4차 아동 제5차 제6차 남작 제7차 목자 (1251년) 제8차 제9차 1291년 이후 빈민 (1309년) 목자 (1320년) 스미르나 (1343년–1351년) 알렉산드리아 (1365년) 사보이아 (1366년) 바르바리 (1390년) 니코폴리스 (1396년) 바르나 (1443년) 포르투갈 (1481년) 북방 십자군 (1147년-1410년) 벤트 (1147년) 스웨덴 1150년 1249년 1293년 리보니아 (1198년–1290년) 프로이센 (1217년–1274년) 리투아니아 (1283년–1410년) 이단 토벌 십자군 보스니아 (1235년–1241년) 알비파 (1209년–1229년) 아라곤 (1284년-1285년) 디스펜서 (1382년-1383년) 후스파 (1419년–1434년)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군중 십자군 군중 십자군은 정식 십자군에 앞서 떠난 기독교의 십자군을 일컫는다. 영어 표기로는 People's Crusade, 또는 Peasants' Crusade, Paupers' Crusade가 존재하며, 제1차 십자군의 일부로서 1096년에 일어난 서유럽 서민들의 대규모 성지순례 운동이다. 초기 십자군은 제후나 기사(騎士)들에 의한 군사행동이자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 사회의 종교적인 열광으로 생겨난 순례운동이었으며, 무기를 갖지 않은 군중들도 다수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었고 제후를 따르지 않은 채 제멋대로 출발하는 일도 잦았다. 십자군 말기에 소년 십자군과 목자 십자군 등 다양한 군중 십자군이 등장하긴 했지만 그때는 이미 사회의 순례 열기도 식었고 제후들까지 끌어들인 광범위한 운동으로 보기에도 어려웠다. 본항에서 서술하는 군중 십자군은 1096년 4월부터 10월에 일어난 군중 십자군에 대한 것이다. 목차 1 배경 2 유대인 학살 3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 4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 5 지휘 체계 혼란 6 전쟁 결과 7 평가 8 관련항목 배경[편집] 로마 교황 우르바누스 2세는 1095년 11월에 클레르몽 교회회의에서 성지 예루살렘에 군을 파견할 것을 호소했고, 「성지 탈환」의 열정이 순식간에 서유럽을 뒤덮었다. 교황은 당초 프랑스 남부 제후들의 군을 성모 승천 축제일인 이듬해 1096년 8월 15일에 출발시킬 예정이었지만, 그보다 몇 달 전에 예정에 없던 민중이나 하급 기사들의 자발적인 병력이 예루살렘으로 출발했다. 11세기는 중세 온난기로 인구와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고 인간은 이주와 개간, 하극상 등 그 힘을 발산시키며 언제든 폭발할 계기만을 노리고 있었다. 그런 한편으로 서민들은 수년 전부터 가뭄과 기근, 전염병에 시달리면서 그러한 가운데 도피와 구원을 찾아 순례에 참가하는 자들도 있었다. 또한 1095년 초에는 유성우, 오로라, 월식, 혜성 출몰과 같은 천체현상이 일어났고, 이러한 현상들도 서민들에게는 「하늘로부터의 축복」으로 여겨져 자극제가 되었다. 나아가 호밀 등의 맥각균이 일으킨 맥각 중독도 만연했는데, 맥각 중독이 유행하고 난 뒤 속죄나 전지 요양을 위한 순례가 유행하곤 했다. 새로운 천년기(千年紀)가 시작된 11세기 초에는 성경에서 말한 「천년왕국」에 대한 대망마저 다시 부활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들이 우르바누스 2세가 기대했던 수천 명 규모의 기사에 의한 원정을 넘어 4만에 달하는 대규모 이주단으로 확대된 것이다. 그 대부분은 전투 경험이 없는 미숙한 전사, 여자아이들이었다. 이를 정신적으로 주도한 것은 카리스마 높은 열렬한 설교자였던 아미앵의 은자 피에르였는데, 그는 허름한 옷에 당나귀를 타고 북프랑스에서 플랑드르까지 넓은 지역을 돌며 십자군 참여를 설파하고 나섰다. 피에르는 예수가 자신의 눈앞에 나타나 설교하도록 명했다고 주장했고, 그의 추종자들 가운데 십자군을 처음으로 발안한 것은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아닌 은자 피에르라고 주장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군중 십자군에 대한 이미지는 무지하고 무능한 농민 집단으로 자신들이 어디를 지나고 있는지도 몰랐고 도중에 거리만 만나면 모두 예루살렘으로 착각할 정도였다는 부정적인 것도 있지만, 군중 십자군의 참가자를 「서민」으로 부른 것은 성직자나 제후들의 입장에서 서민이라는 뜻이다, 그 중에는 중소 토지 소유자 등 부유한 사람이나 하급 성직자도 참가하고 있었으며, 군사 경험이 없었던 기사들도 참가했다. 십자군에 관한 연대기를 남긴 샤르트르의 후세, 「무산공」 혹은 「무일푼의 발터」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주군도 가신도 없는 하급 기사 고티에 생자부아도 참가자였다. 또한 당시는 예루살렘 순례가 왕성하게 이루어졌던 시기로(피에르 자신도 십자군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한 경험이 있다는 설이 있다) 예루살렘의 거리와 위치를 군중 십자군 중 어느 누구도 몰랐다는 것은 과장이다. 유대인 학살[편집] 십자군 운동이 고조되면서 반유대주의도 폭발했다. 프랑스나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유대인이 무슬림과 같은 적으로 인식되었다.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책임이 유대인에게 있다는 인식에서 거리상 멀리 떨어진 무슬림과는 달리 가까운 곳에 있는 「이교도」였던 유대인에 대해, 십자군 운동 와중에 「멀리까지 싸우러 나갈 것 없이 바로 가까이에 이교도가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예루살렘 원정에 나선 자들의 자금 사정도 있었는데, 라인란트의 유대인 공동체는 당시 기독교인들이 기피하던 고리대에 대한 종교적인 제한이 없어 비교적 풍족한 생활을 누렸고, 십자군에 참가한 대부분은 무기와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돈을 빌려야 했지만 당시의 서구 기독교는 사채를 금지하고 있었으므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에게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들이 십자군의 「연장」으로서 유대인을 죽이는 것에 대한 정당화로 이어졌던 것이다. 유대인 박해의 중심에는 고트 샤르크(Gottschalk)나 폴크마(Volkmar)라는 선교사, 라이닌겐 백작 에미히(Graf Emicho von Leiningen) 등이 있었다. 1096년 봄부터 여름까지 작센, 마그데부르크, 보헤미아, 라인란트(특히 마인츠와 쾰른) 등 각지에서 이들 인물이 이끄는 집단이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해 살육을 자행했다.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편집] 프랑스인 군단을 이끌던 은자 피에르는 1096년 4월 12일에 쾰른에 집결했고, 이곳에서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설교를 통해 십자군 참가자를 더 모으고자 했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피에르의 설교나 독일인이 모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고티에 생자부아의 지휘 아래 수천 명이 출발하여 5월 8일에 헝가리 영내에 도달했다. 그들은 별 저항 없이 칼만 1세가 다스리던 헝가리를 지나 사바 강과 도나우 강의 교차점에 있던 헝가리와 동로마 제국의 국경 도시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베오그라드를 지키던 동로마 제국의 사령관은 대규모 군세가 도착한 것에 놀라 별다른 대처 명령 없이 그들의 시내 출입을 거부했다. 군중 십자군은 식량 보급을 끊고 근처 농촌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베오그라드 중장보병과의 육박전이 벌어졌다. 설상가상 고티에의 부하 16명이 사바 강 넘어 헝가리령인 세문(제문) 시장을 약탈하여 훔친 갑옷이며 옷을 성벽 밖에 걸었다. 최종적으로 군중 십자군에 대한 니시로의 통과가 허가되었고, 식량도 보급되면서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플로부터의 영내 통과를 허가한다는 통지도 내려졌다. 7월 말까지 동로마 병사의 선도를 받으며 군중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에 당도했다.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편집] 베오그라드의 지도(1888년). 위쪽으로 도나우 강이 흐르고 세문(제문) 마을은 왼쪽, 벨그라드(베오그라드)는 오른쪽에 있다. 은자 피에르와 남은 4만 명 규모의 십자군 일행은 4월 20일에 쾰른을 떠났다. 그 뒤 앞에서 서술한 고트 샤르크가 이끄는 군세와 폴크마의 군세,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의 군세도 뒤따랐다. 피에르의 군세는 도나우 강에 도착했고 일부는 배로 도나우 강을 따라 내려가고, 본대는 육로를 따라 에덴부르크(Ödenburg, 지금의 쇼프론)에서 헝가리로 들어갔다. 한편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에미히 등의 군세는 각지의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하면서 피에르의 군세를 뒤쫓듯 독일에서 헝가리로 향하고 있었다. 피에르의 본대는 큰 사건도 일으키지 않은 채 동로마와의 국경 세문에서, 배에서 내린 부대와 합류했다. 세문 성벽에서 고티에의 부하들이 입던 옷과 갑주가 걸려 있는 것을 본 일행들은 의구심을 품었고, 나아가 시장에서 신발 값을 놓고 다투던 끝에 폭동이 일어나면서, 피에르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전면적인 무력 충돌이 벌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헝가리인 4천 인이 살해되고 세문은 군중 십자군에 정복당했다. 십자군은 사바 강을 건너 베오그라드 쪽으로 갔으나 동로마 병사와의 충돌이 일어났고, 주민이 달아난 베오그라드를 점령해 약탈과 방화를 저질렀다. 군중 십자군은 베오그라드에서 7일 동안 행군하여 7월 3일 니시에 도착했다. 니시 마을의 사령관으로부터 「지금 바로 떠난다면 식량은 물론 콘스탄티노플로의 길 안내도 돕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피에르는 이튿날 아침 니시를 떠나려 했지만, 군중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던 독일인 가운데 일부가 지나가던 주민과 말다툼을 벌이다 그만 방앗간에 불을 질렀고, 니시의 병사들은 모두 십자군과의 교전에 들어갔다. 피에르의 제지도 소용이 없었다. 군중 십자군은 니시 병사들에게 완전히 압도되었고 일행의 1/4인 1만 명이 죽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그보다 먼저 베라프랑카에서 다시 모여 7월 12일에 소피아에 도착했다. 여기서부터 동로마 제국이 파견한 안내자가 일행을 데리고 8월 1일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이때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 등의 군세는 헝가리 영내에서 헝가리 기병에게 괴멸되어 콘스탄티노플에 들어간 것은 고티에의 선발대와 피에르의 본대 뿐이었다. 지휘 체계 혼란[편집]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보통의 군대가 아닌 「군대」의 예상 밖의 도착에 난감해했다. 이들의 약탈 행위를 잘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대규모 군대의 식량에 대한 부담에 치안상의 불안도 늘어나자 황제는 3만 명 남짓의 군중 십자군을 보스포루스 해협의 대안으로 건네주기로 결정했고 8월 6일에 일행은 배로 이슬람 영토인 소아시아에 도착했다. 이때 황제가 군중 십자군이 투르크에게 몰살당한 것을 알면서 길 안내도 없이 그냥 십자군을 소아시아로 보낸 것인지, 황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이 굳이 행진을 계속할 것을 주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있다(다만 은자 피에르에게 군중 십자군보다 훨씬 정예병인 투르크군와의 교전은 되도록 피할 것과 서유럽에서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경고한 기록은 남아 있다). 피에르는 고티에가 지휘하는 프랑스인 군단과 비슷한 시기에 도착한 이탈리아인 십자군 부대와 합류했다. 소아시아에서 일행은 농촌 마을을 습격하면서 마르마라 해 동쪽의 라 코메디아라는 마을에 도착했는데, 여기에서 일행 중 독일인과 이탈리아인, 프랑스인이 편을 갈라 말다툼을 벌였다. 피에르는 이미 주도권을 잃었고, 독일인과 이탈리아인은 프랑스인들과 결별하여 레이날도(Rainald)라는 이탈리아인을 새로운 지도자로 추대했고, 프랑스인들의 지휘는 고프리 브루엘(Geoffrey Burel)라는 인물이 맡게 되었다. 피에르가 동로마 황제로부터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를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은 제후들을 기다리지 않고 흩어져 대담하게 소아시아를 공격해 나아갔다, 드디어 프랑스인들은 룸 셀주크 왕조의 수도 니케아 부근에 이르러 근교의 그리스인과 터키인 마을을 약탈했다. 한편 독일인 등 6천명은 니케아의 동쪽으로 하여 4일에 제리골돈(Xerigordon)으로 진격, 9월 18일 이 마을을 함락시키고 약탈 거점으로 삼았다. 룸 셀주크 왕조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공성전을 위해 군대를 파병했고 9월 21일부터 포위 공격전에 들어갔다. 제리골돈에 물 공급이 끊어지자 십자군 병사들은 갈증을 견디다 못해 당나귀의 피와 자신의 오줌을 마실 정도였고, 9월 29일 제리골돈은 어렵지 않게 탈환되었다. 포로가 된 병사들 가운데 이슬람으로 개종한 자들은 페르시아 동부 호라산으로 보내졌고, 개종을 거부한 자들은 살해되었다. 전쟁 결과[편집] 니케아 근교에 진을 친 프랑스인들의 숙영지에는 투르크인 첩자 두 사람이 잠입해, 제리골돈을 함락시킨 독일인들이 니케아까지 함락시켰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순식간에 군내는 흥분상태에 들어갔고 어서 빨리 니케아로 가서 약탈에 가담하자며 어쩔 줄 몰라하는 사람까지 나타났다(물론 니케아로 가는 가도에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복병이 숨은 상태였다). 곧 제리골돈이 실은 투르크인에게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일행에게 전달되었고 흥분은 공포로 변했다. 은자 피에르는 콘스탄티노플의 보급을 받고자 돌아간 상태였고, 군중 십자군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피에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지만, 대다수 군세의 지지를 받던 조프로와는 기다리는 것은 겁쟁이이며 이대로 니케아로 가서 터키인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조프로와의 주장이 지지를 얻으면서 10월 21일 아침, 2만 명의 군중 십자군은 여자와 아이, 노인, 병자를 숙영지에 남겨둔 채 니케아로 행군했다. 그러나 가도를 따라 숙영지에서 3마일 떨어진 드라콘 마을 근처에 이르자 그곳은 나무가 우거진 좁은 골짜기로 이어졌고, 떠들썩하게 진군해온 십자군은 계곡에서 셀주크 왕조의 복병들에게 화살 공격을 당했다. 숙영지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그곳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도망친 상태였다. 군중 십자군은 이 전투로 거의 궤멸되었으며, 여자와 아이 등 항복한 사람들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대신 노예가 되었다. 수천 명에 달하는 병사가 전사하였고 무일푼의 발터 고티에도 죽었다. 조프로와와 뷰렐을 포함한 3천 명 정도는 버려진 옛 성터로 들어가 숨었다가, 동로마 제국이 보스포루스 해협 동쪽으로 보낸 군세와 합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귀환, 나중에 제1차 십자군과 합류하였다. 평가[편집] 군중 십자군에 대한 평가는 11세기 말과 12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다.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가난한 집단이었던 그들이 군사적으로 오히려 짐이 되었던 점이 무질서한 오합지졸로 가는 곳마다 약탈을 저질렀음을 강조하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는 반면, 민중사관 등의 입장에서 당시 중세 유럽의 가난한 생활에서 벗어난 민중들의 움직임으로 보는 것도 있다. 이렇다 할 군사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무너졌지만, 십자군의 성지 순례라는 측면에서 생각하면 오히려 이들 「민중」이야말로 십자군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은자 피에르에 대한 오늘날의 시각도 수상한 선동자, 민중 지도자라는 여러 평가로 나뉜다. 관련항목[편집] 십자군 클레르몽 교회회의 제1차 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소년 십자군 vdeh십자군 관련 주요 인물클레르몽 교회회의십자군 교황 우르바노 2세 은자 피에르 마틸데 백작부인 군중 십자군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기사 르노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제1차 십자군십자군 고드프루아 드 부용 레몽 드 생질 보에몽 드 타란토 아데마르 주교 다임베르트 주교 은자 피에르 탕크레드 보두앵 드 볼로뉴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카르부가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야기 시얀 제2차 십자군십자군 루이 7세 콘라트 3세 아모리 1세 비잔티움 제국 마누일 1세 이슬람 이마드 앗딘 장기 누르 앗딘 마흐무드 제3차 십자군십자군 리처드 1세 필리프 2세 프리드리히 1세 코라도 1세 기 드 뤼지냥 르노 드 사티용 이슬람 살라흐 앗딘 이븐 우슈브 아이유브 제4차 십자군십자군 보두앵 1세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 보니파치오 엔리코 단돌로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5세 이사키오스 2세 알렉시오스 3세 임시 황제 콘스탄티노스 헝가리 이메리 1세 불가리아 칼로얀 알비 십자군십자군 교황 인노첸시오 3세 피에르 드 카스티니오 페테르 2세 루이 8세 블랑카 데 카스티야 툴루즈 레몽 6세 레몽 7세 제5차 십자군십자군 장 드 브리엔 안드라스 2세 제6차 십자군십자군 프리드리히 2세 이슬람 알카밀 제7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이슬람 살라딘 2세 바이바르스 제8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앙리 2세 이슬람 칼라운 십자군 국가 에데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 키프로스 왕국 라틴 제국 테살로니카 왕국 모레아 공국 아테네 공국 낙소스 공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군중_십자군&oldid=19007226" 분류: 십자군기독교의 역사1096년1096년 분쟁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7월 1일 (토) 04: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군중 십자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군중 십자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군중 십자군십자군 전쟁의 일부은자 피에르날짜1096년장소독일과 헝가리 그리고 아나톨리아 반도교전국 기독교 왕국 비잔티움 제국 룸 술탄국지휘관 은자 피에르고티에 생자부아기사 라이날드 알렉시오스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병력 4만 명 → 2만 명 - 9만 명피해 규모 거의 전멸 - 미미 vdeh십자군 성지 십자군 (1095년-1291년) 군중 제1차 1101년 노르웨이 베네치아 제2차 제3차 1197년 제4차 아동 제5차 제6차 남작 제7차 목자 (1251년) 제8차 제9차 1291년 이후 빈민 (1309년) 목자 (1320년) 스미르나 (1343년–1351년) 알렉산드리아 (1365년) 사보이아 (1366년) 바르바리 (1390년) 니코폴리스 (1396년) 바르나 (1443년) 포르투갈 (1481년) 북방 십자군 (1147년-1410년) 벤트 (1147년) 스웨덴 1150년 1249년 1293년 리보니아 (1198년–1290년) 프로이센 (1217년–1274년) 리투아니아 (1283년–1410년) 이단 토벌 십자군 보스니아 (1235년–1241년) 알비파 (1209년–1229년) 아라곤 (1284년-1285년) 디스펜서 (1382년-1383년) 후스파 (1419년–1434년)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군중 십자군 군중 십자군은 정식 십자군에 앞서 떠난 기독교의 십자군을 일컫는다. 영어 표기로는 People's Crusade, 또는 Peasants' Crusade, Paupers' Crusade가 존재하며, 제1차 십자군의 일부로서 1096년에 일어난 서유럽 서민들의 대규모 성지순례 운동이다. 초기 십자군은 제후나 기사(騎士)들에 의한 군사행동이자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 사회의 종교적인 열광으로 생겨난 순례운동이었으며, 무기를 갖지 않은 군중들도 다수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었고 제후를 따르지 않은 채 제멋대로 출발하는 일도 잦았다. 십자군 말기에 소년 십자군과 목자 십자군 등 다양한 군중 십자군이 등장하긴 했지만 그때는 이미 사회의 순례 열기도 식었고 제후들까지 끌어들인 광범위한 운동으로 보기에도 어려웠다. 본항에서 서술하는 군중 십자군은 1096년 4월부터 10월에 일어난 군중 십자군에 대한 것이다. 목차 1 배경 2 유대인 학살 3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 4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 5 지휘 체계 혼란 6 전쟁 결과 7 평가 8 관련항목 배경[편집] 로마 교황 우르바누스 2세는 1095년 11월에 클레르몽 교회회의에서 성지 예루살렘에 군을 파견할 것을 호소했고, 「성지 탈환」의 열정이 순식간에 서유럽을 뒤덮었다. 교황은 당초 프랑스 남부 제후들의 군을 성모 승천 축제일인 이듬해 1096년 8월 15일에 출발시킬 예정이었지만, 그보다 몇 달 전에 예정에 없던 민중이나 하급 기사들의 자발적인 병력이 예루살렘으로 출발했다. 11세기는 중세 온난기로 인구와 농업 생산량이 증가하고 인간은 이주와 개간, 하극상 등 그 힘을 발산시키며 언제든 폭발할 계기만을 노리고 있었다. 그런 한편으로 서민들은 수년 전부터 가뭄과 기근, 전염병에 시달리면서 그러한 가운데 도피와 구원을 찾아 순례에 참가하는 자들도 있었다. 또한 1095년 초에는 유성우, 오로라, 월식, 혜성 출몰과 같은 천체현상이 일어났고, 이러한 현상들도 서민들에게는 「하늘로부터의 축복」으로 여겨져 자극제가 되었다. 나아가 호밀 등의 맥각균이 일으킨 맥각 중독도 만연했는데, 맥각 중독이 유행하고 난 뒤 속죄나 전지 요양을 위한 순례가 유행하곤 했다. 새로운 천년기(千年紀)가 시작된 11세기 초에는 성경에서 말한 「천년왕국」에 대한 대망마저 다시 부활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들이 우르바누스 2세가 기대했던 수천 명 규모의 기사에 의한 원정을 넘어 4만에 달하는 대규모 이주단으로 확대된 것이다. 그 대부분은 전투 경험이 없는 미숙한 전사, 여자아이들이었다. 이를 정신적으로 주도한 것은 카리스마 높은 열렬한 설교자였던 아미앵의 은자 피에르였는데, 그는 허름한 옷에 당나귀를 타고 북프랑스에서 플랑드르까지 넓은 지역을 돌며 십자군 참여를 설파하고 나섰다. 피에르는 예수가 자신의 눈앞에 나타나 설교하도록 명했다고 주장했고, 그의 추종자들 가운데 십자군을 처음으로 발안한 것은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아닌 은자 피에르라고 주장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군중 십자군에 대한 이미지는 무지하고 무능한 농민 집단으로 자신들이 어디를 지나고 있는지도 몰랐고 도중에 거리만 만나면 모두 예루살렘으로 착각할 정도였다는 부정적인 것도 있지만, 군중 십자군의 참가자를 「서민」으로 부른 것은 성직자나 제후들의 입장에서 서민이라는 뜻이다, 그 중에는 중소 토지 소유자 등 부유한 사람이나 하급 성직자도 참가하고 있었으며, 군사 경험이 없었던 기사들도 참가했다. 십자군에 관한 연대기를 남긴 샤르트르의 후세, 「무산공」 혹은 「무일푼의 발터」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주군도 가신도 없는 하급 기사 고티에 생자부아도 참가자였다. 또한 당시는 예루살렘 순례가 왕성하게 이루어졌던 시기로(피에르 자신도 십자군 이전에 예루살렘으로 순례한 경험이 있다는 설이 있다) 예루살렘의 거리와 위치를 군중 십자군 중 어느 누구도 몰랐다는 것은 과장이다. 유대인 학살[편집] 십자군 운동이 고조되면서 반유대주의도 폭발했다. 프랑스나 독일 일부 지역에서는 유대인이 무슬림과 같은 적으로 인식되었다. 예수가 십자가형을 당한 책임이 유대인에게 있다는 인식에서 거리상 멀리 떨어진 무슬림과는 달리 가까운 곳에 있는 「이교도」였던 유대인에 대해, 십자군 운동 와중에 「멀리까지 싸우러 나갈 것 없이 바로 가까이에 이교도가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예루살렘 원정에 나선 자들의 자금 사정도 있었는데, 라인란트의 유대인 공동체는 당시 기독교인들이 기피하던 고리대에 대한 종교적인 제한이 없어 비교적 풍족한 생활을 누렸고, 십자군에 참가한 대부분은 무기와 장비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돈을 빌려야 했지만 당시의 서구 기독교는 사채를 금지하고 있었으므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에게 돈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정들이 십자군의 「연장」으로서 유대인을 죽이는 것에 대한 정당화로 이어졌던 것이다. 유대인 박해의 중심에는 고트 샤르크(Gottschalk)나 폴크마(Volkmar)라는 선교사, 라이닌겐 백작 에미히(Graf Emicho von Leiningen) 등이 있었다. 1096년 봄부터 여름까지 작센, 마그데부르크, 보헤미아, 라인란트(특히 마인츠와 쾰른) 등 각지에서 이들 인물이 이끄는 집단이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해 살육을 자행했다. 고티에 생자부아와 프랑스인[편집] 프랑스인 군단을 이끌던 은자 피에르는 1096년 4월 12일에 쾰른에 집결했고, 이곳에서 독일인들을 대상으로 설교를 통해 십자군 참가자를 더 모으고자 했다. 그러나 프랑스인들은 피에르의 설교나 독일인이 모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고티에 생자부아의 지휘 아래 수천 명이 출발하여 5월 8일에 헝가리 영내에 도달했다. 그들은 별 저항 없이 칼만 1세가 다스리던 헝가리를 지나 사바 강과 도나우 강의 교차점에 있던 헝가리와 동로마 제국의 국경 도시 베오그라드에 도착했다. 베오그라드를 지키던 동로마 제국의 사령관은 대규모 군세가 도착한 것에 놀라 별다른 대처 명령 없이 그들의 시내 출입을 거부했다. 군중 십자군은 식량 보급을 끊고 근처 농촌을 약탈하기 시작했고, 마침내 베오그라드 중장보병과의 육박전이 벌어졌다. 설상가상 고티에의 부하 16명이 사바 강 넘어 헝가리령인 세문(제문) 시장을 약탈하여 훔친 갑옷이며 옷을 성벽 밖에 걸었다. 최종적으로 군중 십자군에 대한 니시로의 통과가 허가되었고, 식량도 보급되면서 동로마의 수도 콘스탄티노플로부터의 영내 통과를 허가한다는 통지도 내려졌다. 7월 말까지 동로마 병사의 선도를 받으며 군중 십자군은 콘스탄티노플에 당도했다. 피에르 등의 발칸 반도 횡단[편집] 베오그라드의 지도(1888년). 위쪽으로 도나우 강이 흐르고 세문(제문) 마을은 왼쪽, 벨그라드(베오그라드)는 오른쪽에 있다. 은자 피에르와 남은 4만 명 규모의 십자군 일행은 4월 20일에 쾰른을 떠났다. 그 뒤 앞에서 서술한 고트 샤르크가 이끄는 군세와 폴크마의 군세,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의 군세도 뒤따랐다. 피에르의 군세는 도나우 강에 도착했고 일부는 배로 도나우 강을 따라 내려가고, 본대는 육로를 따라 에덴부르크(Ödenburg, 지금의 쇼프론)에서 헝가리로 들어갔다. 한편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에미히 등의 군세는 각지의 유대인 공동체를 습격하면서 피에르의 군세를 뒤쫓듯 독일에서 헝가리로 향하고 있었다. 피에르의 본대는 큰 사건도 일으키지 않은 채 동로마와의 국경 세문에서, 배에서 내린 부대와 합류했다. 세문 성벽에서 고티에의 부하들이 입던 옷과 갑주가 걸려 있는 것을 본 일행들은 의구심을 품었고, 나아가 시장에서 신발 값을 놓고 다투던 끝에 폭동이 일어나면서, 피에르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전면적인 무력 충돌이 벌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헝가리인 4천 인이 살해되고 세문은 군중 십자군에 정복당했다. 십자군은 사바 강을 건너 베오그라드 쪽으로 갔으나 동로마 병사와의 충돌이 일어났고, 주민이 달아난 베오그라드를 점령해 약탈과 방화를 저질렀다. 군중 십자군은 베오그라드에서 7일 동안 행군하여 7월 3일 니시에 도착했다. 니시 마을의 사령관으로부터 「지금 바로 떠난다면 식량은 물론 콘스탄티노플로의 길 안내도 돕겠다」는 약속을 받아낸 피에르는 이튿날 아침 니시를 떠나려 했지만, 군중 십자군에 포함되어 있던 독일인 가운데 일부가 지나가던 주민과 말다툼을 벌이다 그만 방앗간에 불을 질렀고, 니시의 병사들은 모두 십자군과의 교전에 들어갔다. 피에르의 제지도 소용이 없었다. 군중 십자군은 니시 병사들에게 완전히 압도되었고 일행의 1/4인 1만 명이 죽었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그보다 먼저 베라프랑카에서 다시 모여 7월 12일에 소피아에 도착했다. 여기서부터 동로마 제국이 파견한 안내자가 일행을 데리고 8월 1일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했다. 이때 고트 샤르크나 폴크마, 라이닝겐 백작 에미히 등의 군세는 헝가리 영내에서 헝가리 기병에게 괴멸되어 콘스탄티노플에 들어간 것은 고티에의 선발대와 피에르의 본대 뿐이었다. 지휘 체계 혼란[편집]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보통의 군대가 아닌 「군대」의 예상 밖의 도착에 난감해했다. 이들의 약탈 행위를 잘 알고 있었을 뿐 아니라, 대규모 군대의 식량에 대한 부담에 치안상의 불안도 늘어나자 황제는 3만 명 남짓의 군중 십자군을 보스포루스 해협의 대안으로 건네주기로 결정했고 8월 6일에 일행은 배로 이슬람 영토인 소아시아에 도착했다. 이때 황제가 군중 십자군이 투르크에게 몰살당한 것을 알면서 길 안내도 없이 그냥 십자군을 소아시아로 보낸 것인지, 황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이 굳이 행진을 계속할 것을 주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있다(다만 은자 피에르에게 군중 십자군보다 훨씬 정예병인 투르크군와의 교전은 되도록 피할 것과 서유럽에서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가 도착할 때까지 기다릴 것을 경고한 기록은 남아 있다). 피에르는 고티에가 지휘하는 프랑스인 군단과 비슷한 시기에 도착한 이탈리아인 십자군 부대와 합류했다. 소아시아에서 일행은 농촌 마을을 습격하면서 마르마라 해 동쪽의 라 코메디아라는 마을에 도착했는데, 여기에서 일행 중 독일인과 이탈리아인, 프랑스인이 편을 갈라 말다툼을 벌였다. 피에르는 이미 주도권을 잃었고, 독일인과 이탈리아인은 프랑스인들과 결별하여 레이날도(Rainald)라는 이탈리아인을 새로운 지도자로 추대했고, 프랑스인들의 지휘는 고프리 브루엘(Geoffrey Burel)라는 인물이 맡게 되었다. 피에르가 동로마 황제로부터 제후들의 십자군 본대를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중 십자군은 제후들을 기다리지 않고 흩어져 대담하게 소아시아를 공격해 나아갔다, 드디어 프랑스인들은 룸 셀주크 왕조의 수도 니케아 부근에 이르러 근교의 그리스인과 터키인 마을을 약탈했다. 한편 독일인 등 6천명은 니케아의 동쪽으로 하여 4일에 제리골돈(Xerigordon)으로 진격, 9월 18일 이 마을을 함락시키고 약탈 거점으로 삼았다. 룸 셀주크 왕조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공성전을 위해 군대를 파병했고 9월 21일부터 포위 공격전에 들어갔다. 제리골돈에 물 공급이 끊어지자 십자군 병사들은 갈증을 견디다 못해 당나귀의 피와 자신의 오줌을 마실 정도였고, 9월 29일 제리골돈은 어렵지 않게 탈환되었다. 포로가 된 병사들 가운데 이슬람으로 개종한 자들은 페르시아 동부 호라산으로 보내졌고, 개종을 거부한 자들은 살해되었다. 전쟁 결과[편집] 니케아 근교에 진을 친 프랑스인들의 숙영지에는 투르크인 첩자 두 사람이 잠입해, 제리골돈을 함락시킨 독일인들이 니케아까지 함락시켰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순식간에 군내는 흥분상태에 들어갔고 어서 빨리 니케아로 가서 약탈에 가담하자며 어쩔 줄 몰라하는 사람까지 나타났다(물론 니케아로 가는 가도에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복병이 숨은 상태였다). 곧 제리골돈이 실은 투르크인에게 함락되었다는 소식이 일행에게 전달되었고 흥분은 공포로 변했다. 은자 피에르는 콘스탄티노플의 보급을 받고자 돌아간 상태였고, 군중 십자군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피에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했지만, 대다수 군세의 지지를 받던 조프로와는 기다리는 것은 겁쟁이이며 이대로 니케아로 가서 터키인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조프로와의 주장이 지지를 얻으면서 10월 21일 아침, 2만 명의 군중 십자군은 여자와 아이, 노인, 병자를 숙영지에 남겨둔 채 니케아로 행군했다. 그러나 가도를 따라 숙영지에서 3마일 떨어진 드라콘 마을 근처에 이르자 그곳은 나무가 우거진 좁은 골짜기로 이어졌고, 떠들썩하게 진군해온 십자군은 계곡에서 셀주크 왕조의 복병들에게 화살 공격을 당했다. 숙영지로 돌아오기는 했지만, 그곳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흩어져 도망친 상태였다. 군중 십자군은 이 전투로 거의 궤멸되었으며, 여자와 아이 등 항복한 사람들은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대신 노예가 되었다. 수천 명에 달하는 병사가 전사하였고 무일푼의 발터 고티에도 죽었다. 조프로와와 뷰렐을 포함한 3천 명 정도는 버려진 옛 성터로 들어가 숨었다가, 동로마 제국이 보스포루스 해협 동쪽으로 보낸 군세와 합류하여 콘스탄티노플로 귀환, 나중에 제1차 십자군과 합류하였다. 평가[편집] 군중 십자군에 대한 평가는 11세기 말과 12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여러 가지로 나뉘어 있다.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가난한 집단이었던 그들이 군사적으로 오히려 짐이 되었던 점이 무질서한 오합지졸로 가는 곳마다 약탈을 저질렀음을 강조하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는 반면, 민중사관 등의 입장에서 당시 중세 유럽의 가난한 생활에서 벗어난 민중들의 움직임으로 보는 것도 있다. 이렇다 할 군사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무너졌지만, 십자군의 성지 순례라는 측면에서 생각하면 오히려 이들 「민중」이야말로 십자군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은자 피에르에 대한 오늘날의 시각도 수상한 선동자, 민중 지도자라는 여러 평가로 나뉜다. 관련항목[편집] 십자군 클레르몽 교회회의 제1차 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소년 십자군 vdeh십자군 관련 주요 인물클레르몽 교회회의십자군 교황 우르바노 2세 은자 피에르 마틸데 백작부인 군중 십자군십자군 은자 피에르 고티에 생자부아 기사 르노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제1차 십자군십자군 고드프루아 드 부용 레몽 드 생질 보에몽 드 타란토 아데마르 주교 다임베르트 주교 은자 피에르 탕크레드 보두앵 드 볼로뉴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1세 (안나 콤니니) 이슬람 카르부가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야기 시얀 제2차 십자군십자군 루이 7세 콘라트 3세 아모리 1세 비잔티움 제국 마누일 1세 이슬람 이마드 앗딘 장기 누르 앗딘 마흐무드 제3차 십자군십자군 리처드 1세 필리프 2세 프리드리히 1세 코라도 1세 기 드 뤼지냥 르노 드 사티용 이슬람 살라흐 앗딘 이븐 우슈브 아이유브 제4차 십자군십자군 보두앵 1세 빌라르두앵의 조프루아 보니파치오 엔리코 단돌로 비잔티움 알렉시오스 5세 이사키오스 2세 알렉시오스 3세 임시 황제 콘스탄티노스 헝가리 이메리 1세 불가리아 칼로얀 알비 십자군십자군 교황 인노첸시오 3세 피에르 드 카스티니오 페테르 2세 루이 8세 블랑카 데 카스티야 툴루즈 레몽 6세 레몽 7세 제5차 십자군십자군 장 드 브리엔 안드라스 2세 제6차 십자군십자군 프리드리히 2세 이슬람 알카밀 제7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이슬람 살라딘 2세 바이바르스 제8차 십자군십자군 성왕 루이 앙리 2세 이슬람 칼라운 십자군 국가 에데사 백국 안티오키아 공국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국 키프로스 왕국 라틴 제국 테살로니카 왕국 모레아 공국 아테네 공국 낙소스 공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군중_십자군&oldid=19007226" 분류: 십자군기독교의 역사1096년1096년 분쟁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7월 1일 (토) 04: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은하철도 999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하철도 999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다이고의 노래에 대해서는 은하철도 999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은하철도 999일본어: 銀河鉄道999 은하철도 999의 모델인 C62형 기관차 장르 모험, SF 만화: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편) 작가 마츠모토 레이지 출판사 소년화보사 레이블 주간 소년 킹 연재 기간 1977년 1월 24일 ~ 1981년 권수 18권 만화: 은하철도 999 (이터널 편) 작가 마츠모토 레이지 출판사 쇼가쿠칸 레이블 월간 빅 골드 연재 기간 1996년 ~ TV 애니메이션: 은하철도 999 원작 마츠모토 레이지 감독 니시자와 노부타카 제작 도에이 애니메이션, 세영동화 방송사 후지 TV MBC, EBS, 투니버스 방영 기간 1978년 9월 14일 ~ 1981년 3월 26일 1996년 11월 18일 ~ 1997년 4월 2일 화수 113화(요약편 제외) 저작권 표기 ⓒ MATSUMOTO LEIJI · TOEI Animation 틀 - 토론 《은하철도 999》(은하철도 구구구, 일본어: 銀河鉄道999 긴가테쓰도스리나인[*])는 마츠모토 레이지(松本零士)가 창작한 만화 또는 이를 원작으로 하는 레이지버스 애니메이션이다. 만화는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소년화보사의 소년 만화 잡지 《소년 킹》 에 연재되었다.[1] 애니메이션은 후지 TV를 통해 1978년 9월 14일부터 1981년 4월 9일까지 2년 6개월에 걸쳐 요약편을 포함하여 모두 113화가 방영되었다. 1979년과 1981년에는 린 타로가 감독한 극장판이 제작, 상영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81년 10월 4일에 오전 8시 특선 만화로 1화와 2화가 최초 방영되고 일주일 후인 10월 11일 12화, 13화 화석의 전사 편을 방영하였다. 그후 방송의 반응이 좋아 113화 전편을 수입하여 1982년 1월 3일부터 1983년 1월 16일까지 문화방송에서 일요일 아침 시간대인 오전 8시에 2편씩 60분으로 묶어 정규 방영되었다. 목차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인물 4 가상장소 및 사물 5 특별판 6 대한민국에서의 방송 6.1 애니메이션 6.2 주제가 관련[5] 6.3 라디오 드라마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의 《은하철도의 밤(銀河鐵道の夜)》에 등장하는 은하철도에서 영감을 얻었으나, 열차의 운행 체계의 세부 사항은 일본의 옛 철도를 본땄다. 원작자 스스로 은하철도의 밤과 증기기관차에 타고 동경에 갔던 젊은 시절의 체험이 기본이 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주해적 캡틴 하록(宇宙海敵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과 함께 애니메이션화가 될 예정이었으나 실현되지 않다가 마츠모토 레이지 원작의 《우주전함 야마토(宇宙戦艦ヤマト)》가 갑자기 인기가 높아져 두 작품 모두 애니메이션화되었다. 같은 시기에 《우주전함 야마토, 새로운 여행》도 TV로 방영되었다. 만화판은 1977년부터 만화 잡지 《소년킹(少年キング)》'에 연재되어 잡지의 대표적인 작품이 되었다. 1981년에 연재가 종료되어, 당시에는 이것으로 완전히 완결되어 속편은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2] 하지만, 1996년부터 소학관(小學館)의 잡지에 속편을 연재하기 시작하여, 해당 잡지를 거쳐 웹상에 불규칙하게 연재하여 999화까지 그리기로 하였다. 신작은 41화까지 그려진 상태이다. 여기에서는 극장판 2편의 설정이 들어가 있어 만화판으로부터의 속편은 아니다. 하지만 단행본으로는 만화판 연재로부터 계속되는 번호가 붙여져 간행되고 있다. 신작에서는 세계관이 확대되고 설정이 적극 변경되어 다른 작품인 《우주해적 캡틴 하록》, 《퀸 에메랄다스》, 《천년여왕》, 《하록 사가 : 니벨룽겐의 반지 ~라인의 황금~》와 이야기가 복잡하게 이어졌고, 메텔과 에메랄다스의 관계도 이전의 라이벌에서 자매로 바뀌었다. 줄거리[편집] 배경은 은하계의 각 행성이 은하철도라 불리는 우주공간을 달리는 열차로 연결된 미래 세계(TV 애니메이션에는 서기 2221년으로 설정[한국에서는 서기 2021년])이다. 우주의 부유한 사람들은 '기계의 몸체'에 정신을 옮겨 기계화 인간이 되어 영원한 생명을 누리고 있었으나 가난한 사람들은 기계의 몸을 얻을 수 없는 데다가, 기계화 인간에게 박해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무료로 기계의 몸을 준다는 안드로메다의 별을 목표로 주인공인 호시노 데츠로(星野鐵郎,한국명 철이)가 신비의 여인 메텔(メーテル)과 은하초특급 999호에 탑승하게 된다. 각 편은 기차가 머무르는 역(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로 진행되고 마무리되며, 별도로 전체적인 이야기가 진행된다. 때는 서기 2221년. 지구는 항공우주 교통의 발달로 우주열차가 은하계 끝까지 왕래하고 혹성간의 왕복운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던 때였으며 지구 안에서는 최첨단 미래도시인 메갈로폴리스가 형성되어서 우주의 부유한 사람들이 '기계의 몸체' 로 전환하여 영원한 생명을 누림과 동시에 쾌적하고 안락한 도시생활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아직 기계화로 전환되지 못한 보통 육신(育身)의 가난한 사람들은 도시 외곽의 허름하고 어두운 빈민촌으로 쫓겨나 기계화 인간들의 온갖 천대와 박해를 받으며 힘들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메갈로폴리스에서 출발한다는 '은하철도 999'를 타면 기계화로 전환하지 않은 보통 사람들을 대상으로 무료로 기계몸으로 개조해 준다는 안드로메다의 별까지 갈 수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을 들은 가난한 사람들은 이제 자신들도 기계화 인간이 되면 마음껏 메가로폴리스를 자유롭게 누빌 수 있다는 희망으로 은하철도의 출발지인 메가로폴리스를 주시하게 된다. 메가로폴리스 외곽 들판에서 어머니와 함께 메가로폴리스로 가고 있는 테츠로(철이)는 눈 내리는 하늘에서 은하열차가 메가로폴리스로 향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그러나 바로 이 때 눈발 속에서 인간사냥을 한다는 기계백작 일당이 나타나 철이 일행을 노리고 있었고 기계백작은 도망가는 철이 어머니를 저격한다. 철이는 어머니가 쓰러지자 눈물을 흘리며 기계몸을 개조해 준다는 별로 함께 가야한다고 하였지만 철이 어머니는 철이에게 유품격인 목걸이를 건네주고 세상을 떠나고 만다. 철이는 어머니를 여의게 되자 울부짖게 되고 어머니 시신을 가져가는 기계인간들을 보면서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어머니를 여의고 홀로 남은 철이는 눈발 속에서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다가 신비스러운 금발미녀인 메텔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로부터 동행한다는 조건으로 은하철도 무임승차권을 받게 된다. 철이는 메텔의 집에 있는 음성탐지기를 통해 자신의 어머니를 사살한 기계인간들이 주변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분노의 눈빛으로 기계인간들을 모두 사살하게 되고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들에게 쫓기기도 했으나 메텔에 의해 무사히 구조되게 된다. 그리고 은하철도 999를 타기위해 메갈로폴리스에 오게 되었지만 이미 철이에 대한 수배령이 발령되어서 경찰들이 추적을 하고 있는 중이었다. 철이와 메텔은 경찰들을 따돌리고 메갈로폴리스 기차역으로 가서 은하철도 999에 탑승하게 되고 999호는 기적을 울리며 첫 출발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철이는 999호를 통해 메갈로폴리스의 야경을 바라보며 멀고도 기나긴 우주여행을 통해 여러가지 경험을 쌓게 되는데.... 마침내 철이와 메텔은 기나긴 우주여행 끝에 드디어 오랜 갈망을 해 왔던 기계 모성인 프로메슘 행성에 도착하게 되고 마침 그 곳에서 행성 안내양으로 활동한다는 지니와 함께 행성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메텔은 철이를 지니에게 맡겨두고 자신은 아버지인 닥터 반과 프로메슘을 만나러 홀로 나가게 된다. 한편 철이는 지니의 안내를 받으며 행성 중심부를 구경하게 되었는데 온갖 유흥과 향락을 즐겨하는 기계인간들을 보고 묘한 의심을 갖게 되었다가 고층건물에서 투신자살로 뛰어내린 중년 기계인간을 통해서 메텔이 프로메슘의 외동딸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알아내게 된다. 그리고 메텔은 마침내 어머니 프로메슘을 알현하기 위해 성전으로 나서게 되지만 철이가 성(城) 밖에서 자신을 찾는다는 프로메슘 부하의 보고를 듣고 철이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이미 메텔의 정체를 알게 된 철이는 경계와 의심의 눈빛으로 메텔을 보게 되는데 때마침 지니를 통해서 자신을 비롯한 우주행성의 여러 소년들을 리더로 삼아서 우주세계를 기계화한다는 프로메슘의 의도를 듣게되자 아무리 유한하고 짧은 인생이라 하더라도 육신을 가진 보통 인간으로 살아가겠다며 결국 기계인간이 되는 것을 포기하기로 결정하게 된다. 이 소식을 듣게 된 프로메슘은 철이의 행동을 자신에 대한 도전과 반역행위로 간주하고 바로 부하를 소환하여 철이를 은하철도 999호에 태워서 블랙홀로 낙하시키라는 사실상 처형이나 다름없는 잔인한 명령을 내린다. 이를 엿듣게 된 메텔은 닥터 반의 요청하에 따라 캡슐을 용광로로 투하하려 했지만 이미 눈치챈 프로메슘에 의해 발각되어 투하를 포기하며 프로메슘에 의해 옥살이를 하게 되고 철이 역시 프로메슘 부하들에 의해 999호로 강제탑승되어 블랙홀로 낙하될 위기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철이와 차장은 이대로 죽을 수는 없다는 투지를 갖고 999호를 통해 블랙홀 탈출을 시도하지만 결국 프로메슘의 행성중력으로 인해 시스템이 마비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말았다. 그리고 옥살이를 하던 메텔은 철이가 위험에 처함을 느끼며 부하들의 빈틈을 노려 탈옥을 하게 되고 999호를 잡던 중력을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철이는 메텔의 도움으로 중력이 해제되자 수동으로 999호를 몰아가며 프로메슘 행성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한편 프로메슘은 999호 탈출소식에 철이와 메텔을 잡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고 철이는 프로메슘 행성으로 잠입하다가 자살을 시도하려는 지니를 만나 그녀의 자살을 만류시키고 메텔을 만나게 되어서 지니의 도움과 희생으로 닥터 반의 캡슐을 가지며 용광로로 투하하려 한다. 하지만 이를 눈치챈 프로메슘이 메텔을 인질로 잡으면서 위기를 맞게 되지만 캡슐이 철이에 의해 떨어지게 되면서 프로메슘은 마지막까지 철이와 메텔을 잡으려 했지만 결국 용광로의 용암에 맞아 사라져 버리게 된다. 행성이 붕괴 조짐을 보이자 미처 대피하지 못한 기계인간들을 보면서 철이와 메텔은 위기에 처하면 보통 육신을 가진 자신들이 더 강해보인다는 것을 느끼게 되면서 999호에 오르게 된다. 프로메슘 행성의 중력 때문에 시스템이 마비되었던 999호는 기적을 우렁차게 울리며 프로메슘 행성을 빠져나가는데 성공한다. 그 이후 메텔은 철이에게 이별을 알리는 편지를 내주고 자신은 777호에 다른 소년과 함께 승차하며 철이와의 이별을 고하게 되고 철이 역시 메텔과의 이별을 고하며 소년시절을 마감하게 된다. 《은하철도 999》가 17년의 세월이 지나 또 다시 발진한다. 용감한 소년 데쓰로, 메텔, 999호에 타는 상냥한 차장, 그리고 우주해적 캡틴 하록이나 해적여왕 에메랄다스 등 마쓰모토 레이지의 친숙한 캐릭터가 새로운 구상과 성대한 스케일로 다시 살아난다. 이야기는 지난번 여행의 1년 후로부터 시작된다. 지구는 신정부 아래 표면상의 평화를 유지한다. 지하 10 km의 지하세계는 얼어붙고, 피지배자들은 미래가 없는 비참한 삶을 살고 있다. 이전에 여왕을 쓰러뜨리고 영웅으로서 맞이할 수 있었던 데쓰로도 새로운 지배자로 부상하여 신정부를 조종하는 어둠의 생명체들과 그리고 그들이 조종하는 살아남은 기계인간들의 보복에 반역자 취급을 받고 사형을 기다리며 지하감옥에 수감되어 있다. 그런 데쓰로의 귀에 다시 그리운 기적이 울린다. 우여곡절 끝에 지하감옥을 탈주한 데쓰로는 메텔을 다시 만나고 999호에 오른다. 등장인물[편집] 성우진의 괄호는 MBC(1996년)/EBS방영 당시이며,성우는 왼쪽부터 일본/1980년 방영판/1996년 재더빙판 순이다. 호시노 데츠로(철이) 본작의 남주인공이자 지구의 메갈로폴리스 근처 빈민촌에서 살고 있는 소년. 어머니와 함께 은하철도가 메갈로폴리스에 들어오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가 인간사냥을 한다는 기계백작으로부터 어머니를 여의고 고아가 되어 방랑하다가 수수께끼의 여인인 메텔에 의해 구조되어 그녀로부터 은하철도 무임승차권을 받아 기계인간으로 개조해준다는 행성으로 가기 위해 은하철도 999호에 승차하며 우주여행을 떠나게 된다. 성격상 모험심이 강하기도 하지만 어머니를 여읜 후로는 마더 콤플랙스 증상이 심해, 엄마를 연상시키는 여자에 대해 아주 민감하다. 마지막에 기계모성인 프로메슘 행성에 왔을 때는 프로메슘의 야욕과 행성인들의 행동을 보고나서 기계인간이 되기를 포기하고 메텔과 이별을 하며 소년시절을 마감한다. 성우: 노자와 마사코/우문희(초기더빙판)/최수민(1989년7월10일재더빙판)(백록 비디오)/(이미자) 메텔(Metel / メーテル) 본작의 여주인공이자 땅딸막한 철이에 비해 늘씬하고 신비스러운 여성. 긴 금발에 오렌지빛 눈동자를 가졌으며 두꺼워 보이는 블랙코트를 입고 있다. 기계의 몸을 갖고자 하는 철이에게 999호 승차권을 주어 함께 기계화 모성으로 떠나게 되었으며 기계화 모성을 지배하는 프로메슘의 딸이다. 영원히 시간의 흐름 속을 여행하는 여자이다. 그녀가 블랙코트를 입고있는 것은 프로메슘에 의해 희생된 사람들의 명복(冥福)을 빈다는 뜻에서 입은 상복(喪服)이며 작품 마지막에 메텔의 대사를 통해서 공개되었다. 성우: 이케다 마사코/정희선(초기더빙판)/故정경애(1989년7월10일재더빙판)(백록 비디오)/(송도영)(1996년2번째재더빙판) 차장 늘 온몸을 제복으로 가리고 다니는 은하철도 999호의 차장. 시리즈의 내용 중 일부분에서 그의 몸이 투명 인간인 듯한 설정이 나오고, '안드로메다의 아라비안나이트'편에서 회오리 바람처럼 나오기도 하여 많은 이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기도 하였다. 소심한 성격의 소유자인 듯하나, 첫 사랑과의 슬픈 재회편을 통해 의외로 넓은 아량과 진실된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는 것이 드러나기도 했다. 성우: 기모쓰키 가네타/(김기현)/장광(백록 비디오) 크레아(Kreah / クレア) 유리 몸을 지닌 999호의 승무원. 아름다운 몸을 원해 유리로 된 몸을 가졌으나 그러한 자신에 대해 후회하고 있다. 마지막에는 산산이 부셔져 버린다. 성우: 이치류사이 하루미/(기경옥)/문지현(백록 비디오) 안탈리우스(Antalius / アンタリウス) 우주 곳곳을 돌아다니며 도적질을 하고 있는 인물. 은하철도 999호가 장기 정차를 하는 틈을 타서 열차 밑에 몰래 탑승하여 승객들을 인질로 삼으며 돈을 요구하게 된다. 하지만 본심상으로는 따스한 마음씨를 지닌 아이들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성우: (안지환) 퀸 에메랄다스 우주해적선 여선장. 긴 금발에 얼굴에 흉터가 있으며 한때 메텔과 진검승부를 벌였던 사이이기도 하다. 처음에 등장한 에메랄다스는 기계인간으로 진짜 에메랄다스는 와병신세를 지고있다. 성우: 타지마 레이코/(정희선) 프로메슘(Promeshum / プロメシム) 기계화 모성의 여왕이자 메텔의 어머니. 전 우주세계를 기계제국으로 만들려는 야욕을 갖고 있으며 철이와 메텔을 잡으려다가 닥터 반이 봉인된 '에너지 캡슐' 에 의해 분출된 용광로 용암에 맞아 사라져버린다. 메텔의 대사에 의하면 옛날엔 사랑이 많았다고 말한 것으로 보아 원래는 성격이 온화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우: 기노야마 료코/박경혜/(정희선) 닥터 반(Dr. Van / ダルタ バン) 메텔의 아버지로 지금은 '에너지 캡슐' 팬던트에 혼령만 봉인되어 있다. 메텔에게 기계모성을 파괴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성우: 긴자 반조/(김기현)/탁원제(백록 비디오) 호시노 카나에(철이 엄마) 철이의 어머니로 상냥하고 다정한 성격을 지녔으며 눈밭에서 기계백작에게 사살 표적이 되자 철이와 함께 피하던 중 사살되어 그 자리에서 죽었다. 시신은 기계백작 일당들이 가져가서 박제화 시켰다. 성우:쓰보이 아키코/김나연/(정희선) 기계백작 인간사냥꾼의 두목이며 기계인간이 되지못한 보통사람들을 대상으로 사냥을 즐기는 기계인간. 눈밭에서 철이와 철이 엄마를 쫓던 중 철이 엄마를 사살하였다가 나중에 가서 철이에 의해 부하들과 함께 저택에서 사살되었다. 죽은 사람의 시신을 이용해 박제를 만든다는 일설이 있다. 성우 : 시바타 히데카츠/(안지환)/강구한(백록 비디오) 미래(Mirai / ミライ) (한국명  지니/ Genie / ジニ) 기계화 모성에서 행성 가이드를 맡고 있는 유리의 나신으로 등장한 여성. 기계화 모성에 도착한 철이의 안내를 맡았으며 마지막에 프로메슘이 손에 쥐고 있던 닥터 반의 에너지 캡슐을 빼앗은 후 철이에게 넘겨주고 숨을 거둔다. (한국판 더빙에서는 지니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999호 메인 컴퓨터 999호의 각종 장치를 제어,판단하고 열차를 무인 운전하는 컴퓨터. 성우:도타니 고지(8화,50화~113화)키튼 야마다(14화~45화)/(김정애)외 한 명 해설 이야기의 끝에서 작가가 남기고 싶은 말이 나오는 부분으로, 이야기에 여운을 남긴다. 성우:다카기 히토시/(김용식)/탁원제(백록 비디오 가상장소 및 사물[편집] 은하철도 999호 지구의 메갈로폴리스를 출발하여 기계혹성인 프로메슘 행성까지 운행하는 증기기관차형의 우주열차. 겉은 19세기 ~ 20세기동안 운행했던 증기기관차 모습을 하고 있지만 내부는 인공지능의 컴퓨터로 장착되어 있다. 운행은 기관사없이 컴퓨터의 조종에 의해 이루어지며 출발을 할 때는 항상 기적을 우렁차게 울리며 김을 품기도 한다. 역에 정차할 때에는 보통 기관차처럼 레일을 통해 달리게 되지만 우주로 날아갈 때는 비행기와 같이 레일없이 하늘을 날으는 모습을 보이며 겉면과 측면에 '999' 라는 숫자가 새겨져 있다. 마지막 프로메슘 때는 컴퓨터의 고장으로 철이가 수동으로 운행했던 적이 있다. 철이와 메텔을 태우며 이들의 우주여행을 도와주는 동반자이기도 하다. 메갈로폴리스 서기 2221년 지구에서 발달하게 된 최첨단 미래도시로 주로 기계화가 된 기계인간들이 주(主) 시민이며 이 곳의 정식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부자(富者)이거나 기계화로 개조되었거나 개조할 수 있는 사람들만 시민 인정을 받는다. 그렇지 못한 가난하고 기계화로 개조할 수 없는 보통 육신의 사람들은 도시 외곽의 빈민촌에서 지내게 되며 메갈로폴리스 도시로의 출입은 할 수 없다. 빈민촌 메갈로폴리스 외곽 구석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이 곳에는 기계화 되지 못한 가난한 보통 육신의 사람들이 지내는 곳으로 호화로운 메갈로폴리스 도시와는 달리 허름하고 초라한 분위기를 띄고 있다. 철이와 철이 부모님도 이 곳에서 지내고 있다. 기계화 인간 (기계인간) 겉모습은 보통인간을 닮아있지만 부속품을 개조하거나 교체를 하면 2천년 이상을 장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기계화 인간이 되면 메갈로폴리스 시민권을 받게 되고 기계화 되지 못한 보통 육신의 사람들을 박해하고 억압하기도 하며 직접 사냥 및 포획까지도 한다. 하지만 대피능력은 보통 인간에 비해 뒤떨어지는 편이며 마지막 프로메슘 때 기계인간들이 철이와 메텔이 달리는 모습을 보고 구조요청을 하기도 하였다. 프로메슘 행성 (기계 모성) 이 작품의 마지막에 나오게 된 행성이자 은하철도 999호의 종착역 역할을 했던 행성. 행성이름은 작품 마지막에 가서야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철이가 오랫동안 갈망해왔던 곳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행성의 여왕이자 메텔의 어머니인 프로메슘의 독재와 야욕이 가득했던 곳이기도 하다. 사실 처음에 나왔던 기계화 인간 무료 개조 역시 프로메슘이 우주 정복을 위한 야욕과 계략으로 꾸며진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철이와 같은 용감한 소년이 리더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했었다. 이 행성에는 프로메슘에 의해 기계화로 개조된 인간들이 주로 유흥 등을 즐기며 방탕한 삶을 보내고 있지만 막판에 행성이 닥터 반에 의해 자폭하게 되면서 대부분 대피를 하지못해 희생되었고 행성도 블랙홀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특별판[편집] 소년의 여정, 그리고 이별 너는 전사와 같이 살아갈 수 있는가 영원한 나그네 에메랄다스 너는 어머니처럼 사랑할 수 있는가 유리의 크레아 대한민국에서의 방송[편집] 애니메이션[편집] 대한민국에서는 1982년 1월 2일부터 1983년 1월 16일까지 일요일 오전 8시에 정규방영되었고, 1996년 11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재더빙하여 방영하였다. 이후 2008년 7월 14일부터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영[3] 되어 12월 18일 종영하였다. 하지만 종영이후에도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 15분에서 12시 15분까지 3편씩 방영했다. 2009년 10월 18일부터 매주 일요일 1시 45분으로 옮겨서 1편을 방영하고 있다. 참고로 EBS 방영분은 1996년에 MBC에서 재더빙한 것이다. 더빙된 한국 방영본의 주제가는 가수 김국환과 민경옥이 불렀다. 방영 당시에는 ‘단순한 공상과학영화가 아니라 어른들도 즐겨 본다’고 보도되었다. 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라디오 방송, 카세트 테이프로도 판매되었다.[4] 주제가 관련[5][편집] 한국판의 첫 주제가는 '눈물 실은 은하철도'라는 곡으로 《은하철도 999》의 우리말 녹음연출을 담당했던 박순웅 PD가 작사하고 마상원이 작곡했다. 방송 당시에는 그 엄청난 인기로 인하여, 80년대 중반까지도 은하철도 999의 주제가라고 하면 이 노래를 틀어줄만큼 잘 알려진 곡이었다. 그러나 정작 방송사인 MBC에서는 외면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곡의 분위기가 슬픈 관계로 아이들이 보는 만화영화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런 까닭에 1화부터 5화까지만 이 주제가로 방영되고, 6화부터는 일본판 원곡의 곡을 번안하여 주제가로 사용하였다.[6] 그러나 이 곡은 MBC 방영 당시 삽입곡으로 사용했고, 백록 비디오 프로덕션판 《은하철도 999》 비디오 발매 당시 이곡이 주제가로 수록되기도 했다. 1980년대에 현대음반에서 발매한 '은하철도 999' 3부작을 보면 작사/작곡에 김관현이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곡은 같은 현대음반의 'TV 만화영화 총집합'이라는 테이프를 보면 김관현 작사/금수레[7] 작곡으로 표시되어 있다. 당시의 만화영화 주제가들은 일본곡들을 번안한 뒤, 그 흔적을 지우기위해 유명인의 명의를 무단으로 도용한 것이다. 그러고는 이 곡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곡이라고 속이고 있었던 것이다. 김관현의 주제가가 마상원의 주제가를 제치고 히트한 데에는 또 다른 어두운 면이 있다. 당시 김관현이 제작한 은하철도999 주제가가 여러 부분에서 히트를 치자 김관현은 그 상업성을 알아차리고 현대음반을 통해 '은하철도 999' 드라마 음반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마상원의 '눈물실은 은하철도'는 녹음과정에서 빼 버리고 자신의 명의로 표절작을 주제곡으로 넣어서 발매하게 된다. 이 앨범은 22만장이나 판매될 정도로 히트를 쳤고, 김관현은 막대한 이윤과 더불어 자신의 이름으로 주제가를 알리게 된다. 라디오 드라마[편집] MBC 라디오에서는 MBC TV에서 방영한 《은하철도 999》를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하여 1982년 9월부터 매일 10분 간 주 5회 방송하기도 했다.[8] 같이 보기[편집] 마쓰모토 레이지 레이지버스 은하철도 999 극장판: (극장판 1기)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 (극장판 2기) 은하철도 999: 이터널 판타지: (극장판 3기) 메텔 레전드: 교향시 숙명: (OVA) 우주교향시 메텔: (OVA) 각주[편집] ↑ “보관 된 사본”. 2004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마츠모토 레이지의 인터뷰, 《아니메쥬(アニメージュ)》, 덕문서점, 1981년 8월호 ↑ 추억의 만화영화 ‘은하철도 999’ 다시 본다, 《문화일보》, 2008.7.12. ↑ 올TV外畵 미니시리즈物 크게 人氣, 《동아일보》, 1982.12.23 ↑ * 1차 출처:(폭로)세계 최고의 표절 작곡자가 마상원이라고?[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딴지일보,2004년 3월 7일 2차 출처(딴지일보 기사에서 퍼온 뒤 수정한 것)블로그 행복이 넘치는 라윤라영이네,소금이의 행복한 하루 ↑ 현재 잘 알려진 주제가는 김관현 작사, 금수레 작곡으로 표기되었는데 이 노래는 실제로는 하시모토 쥰 작사, 히라오 마사아키 작곡의 일본 원곡을 반이상 표절한 곡으로, 때문에 1996년 재방영 당시에는 작사·작곡자 이름이 삭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국 당시 마상원씨는 무척 화를 냈지만 별다른 방도가 없었으며 현재의 한국판 주제가는 번안곡 주제가로 바뀌게 된다. ↑ 당시 유명한 성악가였다. ↑ MBC라디오 6일부터 秋冬季프로 개편 10개프로 신설 교양강화, 《경향신문》, 1982.8.2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은하철도 999 (일본어) 은하철도 999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은하철도 999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한국어) 은하철도 999 - 봄을 기다리는 라메탈 vdeh은하철도 999 시리즈TV 시리즈은하철도 999 (1978년)극장판은하철도 999 (1979년) -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 (1981년) - 은하철도 999: 이터널 판타지 (1998년)특별판은하철도 999: 소년의 여정, 그리고 이별, 은하철도 999: 너는 전사와 같이 살아갈 수 있는가, 은하철도 999: 영원한 나그네 에메랄다스, 은하철도 999: 너는 어머니처럼 사랑할 수 있는가, 은하철도 999: 유리의 클레어OVA메텔 레전드: 교향시 숙명 (2000년) - 우주교향시 메텔 (2004년)스핀오프은하철도 999 리턴즈 - 에피소드 1 신비소녀 쥬라 (2008년)주제가은하철도 999 (노래) (극장판) - 은하철도 999 (사운드트랙) (TV 시리즈) vdeh쇼가쿠칸 만화상 소년소녀부문 75 포의 일족,11인이 있다!(하기오 모토) 76 힘내라 겐키(코야마 유우) / 캡틴,플레이볼(치바 아키오) 77 은하철도 999,전장만화 시리즈(마쓰모토 레이지) 78 다메오야지(후루야 미츠토시) 79 지구를 향해,바람과 나무의 시(타케미야 케이코) 80 시끌별 녀석들(타카하시 루미코) 81 닥터 슬럼프(도리야마 아키라) 82 미유키,터치(아다치 미츠루) 이후 소년부문,여자부문 부문 별 전(1955년 ~ 1974년) 소년소녀부문(1975년 ~ 1982년) 소년부문(1983년 ~ 2002년)→소년을위한 부문(2003년 ~ ) 소녀부문(1983년 ~ 2002년)→소녀를위한 부문(2003년 ~ ) 청년일반부문(1975년 ~ 2002년)→일반을위한 부문(2003년 ~ ) 아동부문(1981년 ~ 2002년)→아동을위한 부문(2003년 ~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하철도_999&oldid=23975235" 분류: 일본의 만화우주를 배경으로 한 만화철도를 소재로 한 작품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만화일본의 애니메이션1978년 애니메이션1979년 애니메이션1980년 애니메이션1981년 애니메이션후지 TV 계열 애니메이션도에이 애니메이션스페이스 오페라문화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우주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1982년 드라마라디오 드라마마쓰모토 레이지2018년 드라마일본의 SF 드라마우주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외계생명을 소재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은하철도 999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agalogVepsän ke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09: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 2018년 1월 10일 골든 디스크 시상식에서 트와이스. 시상식 시상 수상 후보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10 4 골든 디스크상 8 0 서울가요대상 5 4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6 1 멜론 뮤직 어워드 5 1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4 0 지니뮤직 어워드(MGA) 3 0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 2 0 더팩트뮤직어워즈 2 0 케이블TV 방송대상 2 0 네이버 V앱 5 0 Simply K-Pop 2 0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4 0 한국 PD대상 시상식 1 0 올해의 브랜드 대상 1 0 대중문화예술상 1 0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 7 0 오리콘 퀸 어워드 1 0 일본 레코드 대상 1 0 필리핀 K-Pop 어워드 3 0 숨피 어워즈 1 0 총계 수상 74 후보 10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 1위 수상 인기가요 26 뮤직뱅크 23 엠카운트다운 18 더 쇼 2 쇼 음악중심 9 쇼 챔피언 12 총계 수상 90 다음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트와이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이다. 목차 1 시상식 1.1 가요 시상식 1.1.1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1.1.2 골든 디스크 시상식 1.1.3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1.1.4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1.1.5 멜론 뮤직 어워드 1.1.6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1.1.7 지니뮤직 어워드(MGA) 1.1.8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 1.1.9 더팩트뮤직어워즈 1.2 연예 시상식 1.2.1 케이블TV 방송대상 1.2.2 네이버 V앱 1.2.3 ArirangTV Simply K-Pop 1.2.4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1.2.5 한국 PD대상 시상식 1.2.6 올해의 브랜드 대상 1.2.7 대중문화예술상 1.3 해외 시상식 1.3.1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 1.3.2 오리콘 퀸 어워드 1.3.3 일본 레코드 대상 1.3.4 필리핀 K-Pop 어워드 1.3.5 숨피 어워즈 (Annual Soompi Awards) 2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 3 각주 4 외부 링크 시상식[편집] 가요 시상식[편집]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후보[1] 여자 신인상 수상[2]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베스트 퍼포먼스 그룹상 후보 올해의 가수상 후보 올해의 앨범상 후보 2017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노래상 수상 Worldwide Fans' Choice TOP 10 상 수상 Favorite Dance Artist Female 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상 수상 골든 디스크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음반 부문 신인상 수상[3][4] 2017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대상 수상[5]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CeCi 아시아 아이콘상 수상 2019년 트와이스 디지털 음원 본상 수상 음반 부문 본상 수상 하이원 서울가요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본상 후보[6] 하이원 인기상 후보[6] 한류 특별상 후보[6] 신인상 후보[6] 2017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디지털 음원상 수상 댄스 퍼포먼스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2019년 트와이스 본상 수상 가온 차트 K-POP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신인상 후보[7] 2017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4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10월)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2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12월) 수상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가수상 음원(4월) 수상 올해의 가수상 음원(7월) 수상 멜론 뮤직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올해의 베스트송상 수상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미디어 상 후보 2017년 트와이스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뮤직스타일상 댄스 여자 부문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아티스트 TOP 10 상 수상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음원대상 수상 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음원대상 수상 본상 수상 지니뮤직 어워드(MGA)[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베스트 셀링 아티스트상 수상 여자 그룹상 수상 글로벌 베스트 퍼포먼스상 수상 대한민국 대중 음악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음원상 수상 본상 수상 더팩트뮤직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아티스트 수상 월드 와이드 아이콘 수상 연예 시상식[편집] 케이블TV 방송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케이블 TV 음악 PD가 선정한 최고 가수상 수상 2017년 트와이스 올해 가수상 수상 네이버 V앱[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상큼상 수상 2017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2018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2019년 트와이스 Global Artist Top 10 수상 Best Channel 수상 ArirangTV Simply K-Pop[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The Best Performance Rising Star Girl Group상 (신인상) 수상 2016년 트와이스 Best Performance Girl Group 수상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베스트 아티스트상 수상 2018년 트와이스 베스트 아티스트상 수상 페뷸러스 상 수상 올해의 아티스트 상 수상 한국 PD대상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가수상 수상 올해의 브랜드 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6년 트와이스 특별상 수상 대중문화예술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수상 해외 시상식[편집] 일본 골든디스크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올해의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올해의 신인 아티스트 상 (아시아 부문) 수상 올해의 다운로드 곡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신인 아티스트상 (아시아 부문) 수상 2019년 트와이스 올해의 다운로드 곡 (아시아 부문) 수상 BEST 3 앨범 (아시아 부문) 수상 오리콘 퀸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Break Artist Ranking 수상 일본 레코드 대상[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8년 트와이스 우수 작품상 수상 필리핀 K-Pop 어워드[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5년 트와이스 2015 Female Rookie of The Year(신인상) 수상 2016년 트와이스 2016 Song of the year 수상 Best Female Artist/Group 수상 숨피 어워즈 (Annual Soompi Awards)[편집] 연도 수상 후보 수상 부문 결과 2017년 트와이스 Best Female Group 수상 TV 가요 차트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90회) 2016년 (총 23회) CHEER UP (총 11회) 5월 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5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통산 2주) 5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5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5월 2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트리플 크라운) 5월 2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5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6월 3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3주 연속, 통산 4주) 6월 10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4주 연속, 통산 5주) TT (총 12회) 11월 1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11월 2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3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4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1월 6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10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1월 11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11월 13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11월 18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3주 연속) 11월 20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2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11월 25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4주 연속) 12월 2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주 연속) 2017년 (총 36회) TT (총 1회) 1월 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6주) KNOCK KNOCK (총 9회) 3월 2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3월 3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3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3월 7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3월 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3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3월 1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통산 2주) 3월 1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3월 19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3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SIGNAL (총 12회) 5월 24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5월 2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2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5월 27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5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5월 3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6월 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6월 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6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6월 9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6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4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6월 16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통산 3주) LIKEY (총 7회) 11월 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1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1월 12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1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1월 1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11월 26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5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Heart Shaker (총 7회) 12월 21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2월 22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12월 2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12월 24일 SBS 《인기가요》 1위 12월 28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12월 29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12월 31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2018년 (총 28회) Heart Shaker (총 2회) 1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6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1월 13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통산 2주) What is Love? (총 12회) 4월 1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4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4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4월 2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4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4월 25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4월 26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2주 연속) 4월 27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2주 연속) 4월 28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4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5월 2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3주 연속) 5월 6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7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Dance the night away (총 10회) 7월 18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7월 19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7월 20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7월 2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7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2주 연속) 8월 3일 KBS2 《뮤직뱅크》 K-Chart 1위 (통산 2주) 8월 4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2주 연속) 8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3주 연속) (8회 연속 트리플 크라운) 8월 11일 MBC 《쇼 음악중심》 1위 (3주 연속) Yes Or Yes (총 4회) 11월 14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11월 15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11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2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2주 연속) 2019년 (총 3회) Fancy (총 3회) 5월 1일 MBC Music 《쇼 챔피언》 챔피언 송 5월 2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5월 5일 SBS 《인기가요》 1위 각주[편집] ↑ “MAMA 2015 Nominations”.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MA Nominations - Artist Category (Best New Female Artist)”. 《Mwave》. Mnet/CJE&M. 2015년 11월 2일에 확인함.  ↑ “The 30th Anniversary Golden Disk Awards International Voting”. 《The 30th Annual Golden Disk Awards》. Ilgan Sports, DramaHouse, & J Content Hub Co., Ltd. 2016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골든디스크' 세븐틴-트와이스, JTBC2 신인상 수상 '글로벌 인기'”. 《Nate》. Sports Chosun. 2016년 1월 21일에 확인함.  ↑ "[골든디스크] 트와이스, '이변은 없었다'...신인상에서 대상으로 1년만에 '껑충'(종합)", http://www.sedaily.com/NewsView/1OATD4O3LY, 서울경제, 2017년 1월 14일자. ↑ 가 나 다 라 “Seoul Music Awards Global (scroll to K-POP STAR 2015 [LIVE VOTE] and click "Main, Popular (Overseas) and Rookie" to reveal the nominees)”. 《Seoul Music Awards》. SportsSeoul.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9일에 확인함.  ↑ “5th Gaon Chart K-pop Awards, New Artist of the Year nominees”. 《5th Gaon Chart K-pop Awards》. Kpop Construction. 2016년 1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어) 트와이스 - 공식 웹사이트 vdeh트와이스 지효 나연 정연 모모 사나 미나 다현 채영 쯔위 정규 음반한국 《Twicetagram》 일본 《BDZ》 리패키지 음반한국 《TWICEcoaster : LANE 2》 《Merry & Happy》 《Summer Nights》 《The year of "YES"》 일본 《BDZ -Repackage-》 EP 《THE STORY BEGINS》 《PAGE TWO》 《TWICEcoaster : LANE 1》 《SIGNAL》 《What is Love?》 《YES or YES》 《FANCY YOU》 베스트 음반 《#TWICE》 《#TWICE2》 싱글일본 〈One More Time〉 〈Candy Pop〉 〈Wake Me Up〉 〈I WANT YOU BACK〉 〈STAY BY MY SIDE〉 투어TWICELAND -The Opening- · TWICELAND ZONE 2 : Fantasy Park출연 프로그램 TWICE TV 트와이스의 우아한 사생활 로스트 타임 같이 보기 SIXTEEN 박진영 JYP 엔터테인먼트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수상 및 후보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트와이스의_수상_및_후보_목록&oldid=24151935" 분류: 트와이스음악가의 수상 목록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Русский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6: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프랑코 정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코 정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스파냐국 Estado Español ←  ← 1939년 – 1975년 → 국기 문장 표어 "Plvs Vltra. Una, Grande y Libre" (라틴어) "보다 더 멀리. 함께 위대한 자유로"국가 척탄병 행진곡[1] 수도 마드리드 정치공용어 스페인어정부 형태 권위주의 국가카우디요 프란시스코 프랑코역사 • 스페인 내전 종식 • 국가원수 계승법 제정 • 프랑코의 죽음 1939년 4월 1일1947년1975년 11월 20일지리면적 504,030km2내수면 비율 1.04% 기타통화 스페인 페세타 ↑ 본래는 '왕의 행진'이지만, '척탄병 행진곡'이란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스페인의 역사Historia de España 고대 선사 시대 이베리아 로마 이전의 이베리아 로마의 히스파니아 정복 히스파니아의 로마화 중세 수에비 왕국 서고트 왕국 비잔틴령 스파니아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 알안달루스 레콩키스타 근세 가톨릭 군주 압스부르고 스페인 스페인 제국 스페인의 황금기 스페인의 계몽주의 근대 나폴레옹 종속 스페인 반도 전쟁 카디스 코르테스 스페인 입헌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반동과 혁명 스페인 제1공화국 스페인 왕정복고 미국-스페인 전쟁 스페인 제2공화국 스페인 내전 프랑코 정권 현대 스페인의 민주화 오늘날의 스페인 주제별 역사 스페인의 식민사 스페인의 경제사 스페인의 군사사 v • d • e • h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한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스페인 제2공화국을 해체하고 수립한 스페인 정부이다. 공식 명칭은 스페인국(스페인어: Estado Español 에스타도 에스파뇰[*])이다. 목차 1 스페인 내전 2 정체 3 제2차 세계대전 4 고립 5 각주 스페인 내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페인 내전입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제2공화국의 토지개혁에 반대하는 보수 세력과 파시스트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벌어진 스페인 내전을 통해 승리한 프랑코는 1939년 4월 1일 내전의 종결을 선언하였다.[1] 정체[편집] 프랑코 정권은 내전 기간 동안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나치 독일, 베니토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 왕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스페인의 파시즘 정당인 팔랑헤와 동맹을 맺었다. 프랑코는 애초에 반공주의 이외의 정치적 입장이 분명하지는 않았으나 내전을 거치면서 파시즘을 정치 이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또한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을 지지하였다.[2] 정부의 조직은 스페인 의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나 정당 활동의 자유가 없었고 프랑코 스스로 종신 총통에 취임하여 권위주의적인 지배를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편집]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6월 프랑스가 붕괴하자 스페인은 추축국 편에 서 독일에 해군력을 지원하였고 나치에 저항 군인과 탈출하던 군인들을 돌려 보냈다. 이 대가로 나치는 상응할 만한 군력을 제공하여 내전 동안 폭탄을 지원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0년 10월 23일 엔다예에서 만나 추축국에 스페인이 가담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논의했고 프랑코 측은 식량과 군사 지원, 지브롤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등등의 광대한 요구 조건을 달아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 협의가 이뤄지지 못하자 스페인 내 독일의 광산권 채굴 공방이 나타난다. 일부 역사가들은 프랑코가 전쟁에서 히틀러가 결코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알았을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가 단순히 독일에 어떠한 이득도 제공할 필요가 없었기에 그랬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프랑코는 소비에트 연방에 대적할 때 동부 전선으로 추축국 군대 측에 병력을 파견했다. 당시 파견 부대의 이름은 청색부대(División Azul)이었고 이는 팔랑헤 당의 당기 색을 따른 것이다. 프랑코는 1943년 독일의 우세가 꺾여 불리해지자 완전 중립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2차대전에 많은 병력을 동원하지 않은 쿠바 출신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스페인 프랑코 정권 붕괴를 위해 라틴아메리카-미국 연합을 제안했다.[3] 고립[편집]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유엔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한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 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판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이런 요구에 대해 포르투갈과 아일랜드, 일부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국가들만이 이행을 거부했다. 2차 대전 이후에 스페인의 경제는 피폐했다. 배급 카드가 1952년까지 쓰였으며 전쟁과 경제 위기는 팔랑헤 지지 세력으로 하여금 경제 자립 정책을 강구하도록 유도했다. 수입 감소와 자기 충족, 국영 생산과 1차 생산물의 상업 국유화,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의 국유화 등이었다. 프랑코 정권은 1951년 6명의 미국 기자를 추방하여 압제 정권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행태를 보였다.[4] 각주[편집] ↑ Professor Hilton (2005-10-27). "Spain: Repression under Franco after the Civil War[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Cgi.stanford.edu. Retrieved 2009-06-24. ↑ 엔터니 비버, 김원중 역, 스페인 내전, 20세기 모든 이념들의 격전장, 교양인, 2006, ISBN 10-8991799426 ↑ "Batista's Boost", Time, January 18, 1943. Retrieved March 2, 2010. ↑ "Censorship in Spain" TIME April 30, 19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코_정권&oldid=23827806" 분류: 프랑코 정권20세기 스페인냉전기의 정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8일 (금)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프랑코 정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코 정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스파냐국 Estado Español ←  ← 1939년 – 1975년 → 국기 문장 표어 "Plvs Vltra. Una, Grande y Libre" (라틴어) "보다 더 멀리. 함께 위대한 자유로"국가 척탄병 행진곡[1] 수도 마드리드 정치공용어 스페인어정부 형태 권위주의 국가카우디요 프란시스코 프랑코역사 • 스페인 내전 종식 • 국가원수 계승법 제정 • 프랑코의 죽음 1939년 4월 1일1947년1975년 11월 20일지리면적 504,030km2내수면 비율 1.04% 기타통화 스페인 페세타 ↑ 본래는 '왕의 행진'이지만, '척탄병 행진곡'이란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스페인의 역사Historia de España 고대 선사 시대 이베리아 로마 이전의 이베리아 로마의 히스파니아 정복 히스파니아의 로마화 중세 수에비 왕국 서고트 왕국 비잔틴령 스파니아 우마이야 왕조의 히스파니아 정복 알안달루스 레콩키스타 근세 가톨릭 군주 압스부르고 스페인 스페인 제국 스페인의 황금기 스페인의 계몽주의 근대 나폴레옹 종속 스페인 반도 전쟁 카디스 코르테스 스페인 입헌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반동과 혁명 스페인 제1공화국 스페인 왕정복고 미국-스페인 전쟁 스페인 제2공화국 스페인 내전 프랑코 정권 현대 스페인의 민주화 오늘날의 스페인 주제별 역사 스페인의 식민사 스페인의 경제사 스페인의 군사사 v • d • e • h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전에서 승리한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스페인 제2공화국을 해체하고 수립한 스페인 정부이다. 공식 명칭은 스페인국(스페인어: Estado Español 에스타도 에스파뇰[*])이다. 목차 1 스페인 내전 2 정체 3 제2차 세계대전 4 고립 5 각주 스페인 내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스페인 내전입니다. 1936년 프란시스코 프랑코는 스페인 제2공화국의 토지개혁에 반대하는 보수 세력과 파시스트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로 인해 벌어진 스페인 내전을 통해 승리한 프랑코는 1939년 4월 1일 내전의 종결을 선언하였다.[1] 정체[편집] 프랑코 정권은 내전 기간 동안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나치 독일, 베니토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 왕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고 스페인의 파시즘 정당인 팔랑헤와 동맹을 맺었다. 프랑코는 애초에 반공주의 이외의 정치적 입장이 분명하지는 않았으나 내전을 거치면서 파시즘을 정치 이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또한 종교적으로는 로마 가톨릭을 지지하였다.[2] 정부의 조직은 스페인 의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으나 정당 활동의 자유가 없었고 프랑코 스스로 종신 총통에 취임하여 권위주의적인 지배를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편집] 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6월 프랑스가 붕괴하자 스페인은 추축국 편에 서 독일에 해군력을 지원하였고 나치에 저항 군인과 탈출하던 군인들을 돌려 보냈다. 이 대가로 나치는 상응할 만한 군력을 제공하여 내전 동안 폭탄을 지원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40년 10월 23일 엔다예에서 만나 추축국에 스페인이 가담할 것인가에 대한 여부를 논의했고 프랑코 측은 식량과 군사 지원, 지브롤터,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등등의 광대한 요구 조건을 달아 어떤 합의도 이뤄지지 못했다. 협의가 이뤄지지 못하자 스페인 내 독일의 광산권 채굴 공방이 나타난다. 일부 역사가들은 프랑코가 전쟁에서 히틀러가 결코 물러나지 않을 것임을 알았을 것으로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가 단순히 독일에 어떠한 이득도 제공할 필요가 없었기에 그랬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다. 프랑코는 소비에트 연방에 대적할 때 동부 전선으로 추축국 군대 측에 병력을 파견했다. 당시 파견 부대의 이름은 청색부대(División Azul)이었고 이는 팔랑헤 당의 당기 색을 따른 것이다. 프랑코는 1943년 독일의 우세가 꺾여 불리해지자 완전 중립으로 돌아섰다. 그러나 2차대전에 많은 병력을 동원하지 않은 쿠바 출신의 풀헨시오 바티스타는 스페인 프랑코 정권 붕괴를 위해 라틴아메리카-미국 연합을 제안했다.[3] 고립[편집] 전쟁이 끝나자 연합국 측은 스페인이 추축국의 편에 섰다는 이유로 유엔에 가입하려는 의사를 거부한다. 프랑코 정부는 서방 국가들 뿐 아니라 소비에트 연방의 입장에서도 유럽의 파시즘 일로에 서 있는 잔류 세력에 불과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프랑코 정부 비판 의결문이 통과되었고 결의안은 스페인 대사를 추방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각국 정부가 묵묵부답일 경우 불이익을 줄 방안도 강구했다. 이런 요구에 대해 포르투갈과 아일랜드, 일부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국가들만이 이행을 거부했다. 2차 대전 이후에 스페인의 경제는 피폐했다. 배급 카드가 1952년까지 쓰였으며 전쟁과 경제 위기는 팔랑헤 지지 세력으로 하여금 경제 자립 정책을 강구하도록 유도했다. 수입 감소와 자기 충족, 국영 생산과 1차 생산물의 상업 국유화, 건설 및 인프라 구축의 국유화 등이었다. 프랑코 정권은 1951년 6명의 미국 기자를 추방하여 압제 정권임을 스스로 자인하는 행태를 보였다.[4] 각주[편집] ↑ Professor Hilton (2005-10-27). "Spain: Repression under Franco after the Civil War[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Cgi.stanford.edu. Retrieved 2009-06-24. ↑ 엔터니 비버, 김원중 역, 스페인 내전, 20세기 모든 이념들의 격전장, 교양인, 2006, ISBN 10-8991799426 ↑ "Batista's Boost", Time, January 18, 1943. Retrieved March 2, 2010. ↑ "Censorship in Spain" TIME April 30, 19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코_정권&oldid=23827806" 분류: 프랑코 정권20세기 스페인냉전기의 정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8일 (금)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호남고속도로지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남고속도로지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속국도 제251호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속국도 251 호남고속도로지선 고속국도 제251호선 노선도 총연장 54.0 km 개통년 1970년 12월 30일 기점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주요경유지 충청남도 논산시충청남도 계룡시대전광역시 종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 주요교차도로 경부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국도 제1호선국도 제4호선국도 제32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83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호남고속도로(고속국도 제3호선) 기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종점 전라남도 순천시 호남고속도로지선(湖南高速道路支線, 고속국도 제251호선)은 충청남도 논산시를 기점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를 종점으로 하는 호남고속도로의 지선이다. 논산천안고속도로 개통 전까지는 호남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다. 목차 1 역사 2 구성 2.1 차로수 2.2 총연장 2.3 제한속도 3 나들목 · 분기점 4 주요 통과지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2001년 이전의 역사는 호남고속도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1년 8월 25일 : 기존 호남고속도로의 논산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을 분할해 고속국도 제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호남선의 지선)으로 지정[1] 2001년 9월 28일 : 계룡 나들목 개통[2] 2005년 2월 1일 : 2006년까지 유성 나들목 요금소 차로 10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2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2005년 4월 4일 : 2006년 12월까지 소룡교, 마산육교, 벌곡천교 전면 개량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소룡리, 마산리, 벌곡면 신양리 총 2.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2005년 11월 4일 : 양촌휴게소 폐쇄[5] 2009년 2월 9일 : 2011년까지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 양촌면 구간 선형개량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 양촌면 모촌리 2.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 2010년 4월 28일 : 2012년 12월까지 벌곡휴게소 이전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양산리 4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논산 분기점부터 회덕 분기점까지 53.97km 구간을 호남지선고속도로로 고시[8] 2011년 1월 : 양촌 나들목 신설 착공 2011년 4월 25일 : 양촌 나들목 신설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모촌리 198m 구간 도로구역 변경[9] 2012년 7월 25일 : 양촌 나들목 신설 개통.[10] 2013년 8월 19일 : 호남고속도로지선 선형 개량 개통으로 인해 기존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 양촌면 신흥리 2.6km 구간 폐지[11]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종점을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대동'으로 명시[12] 구성[편집] 차로수[편집]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연장[편집] 53.97km 제한속도[편집]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나들목 · 분기점[편집]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중첩 구간은 번호란의 배경색을 참조. 연한 파란색(■): 당진영덕고속도로 중첩 구간 번호 이름 로마자 이름 구간거리 누적거리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직결 1 논산 분기점 Nonsan JC - 0.00 25호선 호남고속도로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충청남도 논산시 2 논산 Nonsan 5.52 5.52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동안로) 2-1 양촌 Yangchon 9.85 15.37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대둔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SA 벌곡휴게소 Beolgok SA 양방향 3 계룡 Gyeryong 12.58 27.95 국도 제1호선 (계백로)국도 제4호선 (계백로)계룡대로 계룡시 4 서대전 분기점 W.Daejeon JC 6.43 34.38 300호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유성 Yuseong 8.43 42.81 국도 제1호선 (세종로)국도 제32호선 (현충원로)북유성대로·월드컵대로·한밭대로 6 유성 분기점 Yuseong JC 2.89 45.70 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7 북대전 N.Daejeon 4.61 50.31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대덕대로)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대덕대로) 8 회덕 분기점 Hoedeok JC 3.61 53.92 1호선 경부고속도로30호선 당진영덕고속도로 대덕구 대전종점 0.05 53.97 주요 통과지[편집]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 가야곡면 - 양촌면 - 벌곡면) - 계룡시 두마면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 - 서구 (봉곡동 - 관저동) - 유성구 (원내동 - 교촌동 - 대정동 - 계산동 - 학하동 - 용계동 - 학하동 - 복용동 - 구암동 - 장대동 - 노은동 - 죽동 - 하기동 - 자운동 - 장동 - 방현동 - 화암동 - 관평동 - 용산동 - 탑립동 - 전민동) - 대덕구 신대동 같이 보기[편집] 호남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각주[편집]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오 늘 의 일 정 (9월28일.금요일)”. 《연합뉴스》. 2001년 9월 28일. 충 남 지사 15:00 계룡 IC개통식(논산시 두마면)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1호,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80호, 2005년 4월 4일. ↑ [충북][대전/충남]고속道옥산-양촌휴게소 11월 폐쇄, 동아일보, 2005년 10월 28일 작성.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52호, 2009년 2월 9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251호, 2010년 4월 28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2010년 12월 28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61호, 2011년 4월 25일. ↑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1071호, 2012년 8월 10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3-585호, 2013년 8월 22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2015년 3월 27일. vdeh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남북 [1] 경부 ()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당진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서울외곽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경인 [110]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예정 [14] 함양울산 [17] 익산평택 [173] 익산평택지선 [202] 새만금포항지선 [255] 강진광주 [500] 광주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폐지 [1] 양재 - 한남 [2] 신월 - 양평 [6] 덕천 - 구포 [6-3] 남해제3지선 [7-2] 구마지선 [15] 목포 - 죽림 [22] 김천영천 [120] 인천 - 서인천 vdeh고속도로 제251호선 호남고속도로지선 논산JC 25 25 논산 양촌 계룡 서대전JC 300 유성 유성JC¹ 30 북대전¹ 회덕JC¹ 1 30 1. 당진영덕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호남고속도로지선vdeh논산시의 교통철도노선 호남선 강경선 역 논산역 개태사역¹ 연산역 부황역¹ 채운역¹ 강경역 연무대역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논산천안 (25) 호남 (25) 호남지선 (251) 나들목·분기점 논산 나들목 서논산 나들목 연무 나들목 양촌 나들목 논산 분기점 일반도로국도 1호 4호 23호 국지도 68호 지방도 643호 645호 691호 697호 799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계백로 논산대로 대백제로 득안대로 교량 노성대교 논산대교 논산신대교 버스시내 논산 시내버스 고속·시외 논산 논산시외 연무 연무시외 강경 기타시내 마이비카드 캐시비 vdeh계룡시의 교통철도노선 호남선 역 계룡역 고속도로노선 호남지선 (251) 나들목 계룡 일반도로국도 1호 4호 지방도 645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계백로 버스시내 계룡 시내버스 논산 시내버스 대전 시내버스 고속·시외 금암 · 신도안 · 양정 · 엄사 기타시내 티머니 vdeh 대전광역시의 도로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광역고속도로 경부 (1) 당진영덕 (30) 통영대전 (35) 호남지선 (251) 대전남부순환 (300) 국도 1호 4호 17호 32호 국지도 32호 57호 시내도시고속갑천도시고속도로광역시도[1] 유성대로 1호 2호 3호 (대청호수로) 4호 (벌곡로) 5호 (회남로) 6호 (대청로) 7호 (중앙로) 8호 (대흥로) 9호 (충무로) 10호 (문화로) 11호 (계족로) 12호 (선화로) 13호 (우암로) 14호 (동서대로) 15호 (갈마로) 16호 (한밭대로) 17호 (대학로) 18호 (엑스포로) 19호 (가정로) 20호 새울로 용운로 21호 (산성로) 22호 (대종로) 대전로 23호 24호 25호 대전로 신탄진로 27호 (한남로) 28호 (오정로) 29호 (계족로) 30호 대흥로 동대전로 31호 (보문로) 32호 (서문로) 33호 (유천로) 34호 (태평로) 35호 (도산로) 36호 (대덕대로) 37호 (가정북로) 38호 (과학로) 39호 (둔산대로) 40호 (갑천도시고속도로) 41호 (문정로) 42호 (문예로) 43호 (갈마역로) 44호 월평서로 월평로 월평동로 45호 청사로 월평중로 46호 (둔산서로) 47호 (둔산중로) 48호 둔지로 청사서로 49호 (둔산북로) 50호 (둔산로) 51호 (둔산남로) 52호 (유등로) 53호 (북유성대로) 54호 보문산로 혜천로 55호 (월드컵대로) 56호 (문지로) 57호 (동춘당로) 58호 (산업단지로) 59호 신일서로 60호 (대흥로) 61호 (배재로) 62호 (사정공원로) 64호 (산서로) 65호 (덕암북로) 66호 (쌍청당로) 67호 (신갈마로) 68호 (한밭대로1003번길) 69호 (장대로) 70호 (변동중로) 71호 온천동로 온천북로 문화원로 72호 73호 74호 (온천북로59번길) 75호 (온천북로33번길) 76호 (대학로76번길) 77호 (대둔산로255번길) 78호 (성산로) 79호 (계백로) 80호 계룡로 충무로 81호 현충원로 유성대로 계룡로 82호 (대화로132번길) 83호 (대화로) 84호 (문화로234번길) 85호 구봉로 구봉산북로 86호 (괴정로) 87호 (관저서로) 88호 (금남구즉로) 89호 대전로 금산로 90호 (노은로) 91호 (노은동로) 92호 (노은서로) 93호 (당디로) 94호 (대둔산로) 95호 (중앙로) 96호 (만년남로) 97호 (만년로) 98호 (석봉로) 99호 (불무로) 100호 지족로 반석동로 반석서로 101호 (대덕대로512번길) 102호 문예로 둔산중로78번길 103호 (벚꽃길) 104호 (현암로) 105호 (만년로) 106호 (계룡로553번길) 107호 (문정로48번길) 108호 (보문산공원로) 109호 (신탄진동로) 110호 복수서로 복수북로 111호 (봉산로) 112호 (아리랑로) 113호 (청사로) 114호 (계족산로) 115호 (동부로) 116호 (수침로) 117호 (둔산로101번길) 118호 (둔산북로90번길) 119호 (신상로) 120호 (관저중로) 121호 (신탄진로681번길) 122호 (충무로) 123호 (대둔산로199번길) 124호 (어덕마을로) 125호 (배재로) 126호 (대종로) 127호 (옥천로) 128호 (온천로) 129호 와룡로136번길 와룡로 130호 (송강로) 131호 (구즉로) 132호 (동서대로1695번길) 133호 관저동로 도안중로 도안남로 관저북로 134호 135호 136호 은구비남로 노은서로 137호 (자운로) 138호 (정림서로) 139호 (정림로) 140호 (계족로633번길) 141호 (중리서로) 142호 (중리북로) 143호 (중리로) 144호 (중리남로) 145호 (은구비로) 146호 (계룡로74번길) 147호 (대학로) 148호 (온천서로) 149호 (유성대로654번길) 150호 (평촌로) 151호 (어은로) 152호 (계룡로571번길) 153호 (변동중로45번길) 154호 (문평동로) 155호 (신일동로) 156호 (신일서로) 157호 (문평서로) 158호 신일서로67번길 신일서로68번길 159호 (백운로) 160호 (관저로) 161호 (월평새뜸로) 162호 (월평중로) 163호 (한밭대로570번길) 164호 (신갈마로) 165호 (월평북로) 166호 (둔산대로117번길) 167호 (왕가봉로) 168호 지족로 송림로 170호 (반석로) 172호 (은구비로) 173호 (계족로140번길) 174호 (용운로) 175호 (백룡로) 176호 (동부로) 177호 동춘당로114번길 동춘당로94번길 178호 (계족산로81번길) 179호 (산내로) 180호 (동구청로) 181호 (은어송로) 182호 (갑천로) 183호 (배울1로) 184호 (테크노4로) 185호 (테크노중앙로) 186호 (노은로426번길) 187호 (박산로) 188호 (배울2로) 189호 (관평1로) 190호 (테크노3로) 테크노1로 191호 192호 193호 (테크노2로) 194호 (관평천변로) 195호 (용산1로) 196호 (테크노6로) 197호 (테크노7로) 198호 (테크노9로) 199호 (테크노10로) 201호 (둔산로31번길) 202호 (대덕대로249번길) 203호 (둔산로31번길) 204호 (대덕대로233번길) 205호 (대덕대로234번길) 206호 (둔산로51번길) 207호 (대덕대로220번길) 208호 둔산로73번길 대덕대로242번길 209호 둔산중로14번길 문정로89번길 210호 (둔산로123번길) 211호 (둔산로137번길) 212호 (조달청길) 213호 (관저동로) 214호 (원내로) 215호 (진잠로42번길) 216호 (진잠로) 217호 대정남로 대정로 218호 (대정북로) 219호 (대정로28번길) 220호 221호 (어은로) 222호 (둔산남로91번길) 223호 (둔산남로105번길) 224호 (복수동로) 225호 (복수남로) 226호 (유등천동로) 227호 (계룡로1716번길) 228호 (보문로162번길) 229호 (수도산로) 230호 (천동초등동길) 231호 (대전로542번길) 232호 (신기로) 233호 (대청로82번길) 234호 (신탄진로756번길) 235호 (목동로) 236호 (노은로) 237호 (서문로) 238호 (쌍청당로) 239호 (현암로) 240호 (복수중로) 241호 (동부로) 242호 (변동로) 243호 (관저로) 244호 (대학로) 245호 (산내로1305번길) 246호 (산내로1257번길) 247호 (엑스포로97번길) 엑스포로123번길 248호 249호 250호 251호 252호 (엑스포로151번길) 253호 (엑스포로123번길) 254호 (동서대로) 255호 (도안중로) 256호 (도안대로) 257호 (월드컵대로) 258호 (도안남로) 259호 (도안동로) 260호 (상대서로) 261호 (상대남로) 262호 (원신흥북로) 263호 (원신흥남로) 264호 (도안북로) 265호 (관저동로) 266호 (도안대로590번길) 267호 (계룡로132번길) 268호 (상대로) 269호 270호 (봉명로) 271호 (원신흥로) 272호 (원신흥남로28번길) 273호 (도안북로) 274호 (원도안로) 275호 (도안중로) 276호 277호 (도안동로13번길) 278호 (도안동로14번길) 279호 (봉우로) 280호 281호 282호 283호 (학하로) 284호 (학하중앙로) 285호 (학하서로) 286호 (학하로159번길) 287호 288호 (학하복용로) 289호 (학하동로) 290호 291호 (동서대로) 292호 (현충원로) 덕명로 293호 294호 295호 296호 297호 298호 299호 (동서대로) 300호 (도안동로) 301호 (갑천도시고속도로) ↑ 대전광역시청 도로현황 (2014년) [1]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남고속도로지선&oldid=24444224" 분류: 호남고속도로지선대한민국의 고속도로충청남도의 도로대전광역시의 도로논산시의 교통계룡시의 교통대전 유성구의 교통대전 서구의 교통대전 대덕구의 교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Bahasa Indonesi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1: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울방송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방송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32′ 52″ 동경 127° 00′ 38″ / 북위 37.5476408° 동경 127.0106485°  / 37.5476408; 127.0106485 서울방송고등학교서울放送高等學校Seoul Broadcasting High School 교훈 마음을 다하여 푸른꿈 키우자 개교 1992년 설립형태 공립 교장 김홍식 교감 이호영 국가 대한민국 위치 서울특별시 성동구 동호로5길 131 (옥수동) 학생 수 529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88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관할관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seb.hs.kr 서울방송고등학교(서울放送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에 위치한 공립 고등학교이다.[1] 목차 1 학교 연혁 2 설치 학과 3 학교 동문 4 참고 자료 5 각주 6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91년 10월 30일 : 동호공업고등학교 설립인가 1991년 12월 31일 : 본관 건물 준공 1992년 3월 1일 : 이종억 초대 교장 취임 1992년 3월 3일 : 제1회 입학식(3개학과 10학급 540명) 1992년 11월 22일 : 실습동 건물 준공 1993년 2월 6일 : 후관 건물 준공 1993년 12월 16일 : 여자 축구부 창단 1995년 2월 13일 : 제1회 졸업식(3개학과 10학급 497명) 1995년 9월 14일 : 후관 증축 교사동 준공 (1,035m2) 1998년 2월 28일 : 여자 축구부 해체 2000년 11월 25일 : 동호정보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인가(2001.3.1) 2006년 10월 26일 : 방송영상콘텐츠분야 특성화고교 학칙 변경 인가(2008.3.1) (방송영상과 5학급, 방송콘텐츠과 3학급) 2008년 2월 29일 : 서울방송고등학교 교명 변경 인가 2010년 6월 30일 : 학칙 변경 (학과 감축 및 신설) 인가 방송영상과(2학급), 방송콘텐츠과(2학급), 방송시스템과(2학급), 방송연예과(1학급) 2016년 3월 1일 : 김홍식 제10대 교장 취임 2017년 2월 3일 : 제23회 졸업식(4개학과 7학급 179명) 연인원 7,522명 설치 학과[편집] 방송영상과 미디어콘텐츠과 방송시스템과 방송연예공연과 학교 동문[편집] 분류:서울방송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서울방송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각주[편집] ↑ 서울특별시의회 (2016년 3월 1일). “서울특별시립학교 설치조례 별표3”.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7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서울방송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서울특별시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강남구 개포고 경기고 경기여고 국악고 단국공고 단대부고 대진디자인고 서울로봇고 서울세종고 수도전기공고 숙명여고 압구정고 영동고 은광여고 중동고 중산고 중대부고 진선여고 청담고 풍문고 현대고 휘문고 강동구 강동고 강일고 광문고 동북고 둔촌고 명일여고 배재고 상일미디어고 상일여고 서울컨벤션고 선사고 성덕고 한영고 한영외고 강북구 미양고 삼각산고 성암국제무역고 신일고 영훈고 창문여고 혜화여고 강서구 강서공고 경복비즈니스고 경복여고 공항고 대일고 덕원여고 덕원예고 동양고 등촌고 마포고 명덕고 명덕여고 명덕외고 서울항공비즈니스고 세현고 수명고 신정여상 영등포공고 영일고 한광고 한서고 화곡고 화곡보건경영고 관악구 광신고 광신정보산업고 구암고 남강고 당곡고 미림여고 미림여자정보과학고 삼성고 서울관광고 서울문영여고 서울미술고 서울여상 성보고 신림고 영락고 영락의료과학고 인헌고 광진구 건대부고 광남고 광양고 대원고 대원여고 대원외고 동대부여고 선화예고 자양고 구로구 경인고 고척고 구로고 구일고 구현고 덕일전자공고 서서울생활과학고 서울공연예고 세종과고 신도림고 예림디자인고 오류고 우신고 유한공고 금천구 금천고 독산고 동일여고 동일여상 문일고 전통예고 노원구 경기기계공고 광운전자공고 노원고 대진고 대진여고 동산정보산업고 미래산업과학고 불암고 상계고 상명고 서라벌고 서울아이티고 수락고 염광고 염광여자메디텍고 영신간호비즈니스고 영신여고 용화여고 월계고 인덕공고 재현고 청원고 청원여고 한국삼육고 혜성여고 도봉구 누원고 도봉고 서울문화고 서울외고 선덕고 세그루패션디자인고 자운고 정의여고 창동고 효문고 동대문구 경희고 경희여고 대광고 동대부고 정화여상 청량고 해성국제컨벤션고 해성여고 휘경공고 휘경여고 휘봉고 동작구 경문고 동작고 서울공고 성남고 수도여고 숭의여고 영등포고 마포구 경성고 광성고 상암고 서울디자인고 서울여고 숭문고 한세사이버보안고 홍대부여고 홍익디자인고 서대문구 가재울고 명지고 이대부고 인창고 중앙여고 한성고 한성과고 서초구 동덕여고 반포고 상문고 서문여고 서울고 서울전자고 서초고 세화고 세화여고 양재고 언남고 성동구 경일고 금호고 덕수고 도선고 무학여고 서울방송고 성수고 성수공고 한대부고 성북구 경동고 계성고 고대부고 고명경영고 대일외고 동구마케팅고 서울사대부고 서울도시과학기술고 석관고 성신여고 용문고 한성여고 홍대부고 송파구 가락고 문정고 문현고 방산고 배명고 보성고 보인고 서울체고 송파공고 영동일고 영파여고 오금고 일신여상 잠신고 잠실고 잠실여고 잠일고 정신여고 창덕여고 양천구 강서고 광영고 광영여고 금옥여고 대일관광고 목동고 백암고 서울금융고 서울영상고 신목고 신서고 양정고 양천고 진명여고 한가람고 영등포구 관악고 대영고 선유고 여의도고 여의도여고 영등포여고 영신고 장훈고 한강미디어고 용산구 배문고 보성여고 서울디지텍고 선린인터넷고 성심여고 신광여고 오산고 용산고 용산공고 중경고 은평구 대성고 동명여고 동명여자정보산업고 선일여고 선일이비즈니스고 선정고 선정국제관광고 세명컴퓨터고 숭실고 신도고 신진과학기술고 예일디자인고 예일여고 은평고 은평메디텍고 진관고 충암고 하나고 종로구 경기상고 경복고 경신고 대동세무고 대신고 덕성여고 동성고 배화여고 상명사대부여고 서울과고 서울국제고 서울예고 서일국제경영고 중앙고 중구 경기여상 대경상고 리라아트고 성동고 성동공고 성동글로벌경영고 이화여고 이화여자외고 장충고 한양공고 환일고 중랑구 면목고 송곡고 송곡관광고 송곡여고 신현고 원묵고 이대병설미디어고 중화고 태릉고 혜원여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강서공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경영고등학교 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단국공업고등학교 대경상업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수고등학교 동구마케팅고등학교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동일여자상업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전자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서일국제경영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이비즈니스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송파공업고등학교 신정여자상업고등학교 신진자동차고등학교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용산공업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부산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대광발명과학고등학교 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대연정보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 부산경영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부산에너지과학고등학교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산항만물류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성심보건고등학교 세정상업고등학교 해운대공업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대구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달서공업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서부공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인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경인여자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관광경영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세무고등학교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정보산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하이텍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청학공업고등학교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한진고등학교 광주 광주경영고등학교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울산 언양고등학교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세종 성남고등학교 세종하이텍고등학교 경기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글로벌통상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세무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광명경영회계고등학교 광명공업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여자정보고등학교 김포제일공업고등학교 남양주공업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산본공업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삼일상업고등학교 성남금융고등학교 성남방송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시화공업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여자상업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인정보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정명정보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공업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강원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거진정보공업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소양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영월공업고등학교 원주공업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홍천농업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충북 국원고등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보은자영고등학교 보은정보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영동인터넷고등학교 옥천상업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증평정보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현도정보고등학교 충남 강경상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광천제일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공업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예산전자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조선공업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전북 강호항공고등학교 군산상업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김제자영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부안제일고등학교 삼례공업고등학교 서림고등학교 오수고등학교 완산여자고등학교 이리공업고등학교 장계공업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진경여자고등학교 진안공업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학산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경마축산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전남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보성정보통신고등학교 삼계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전자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영암전자과학고등학교 완도수산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정남진산업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황산고등학교 경북 감포고등학교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간호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식품과학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산여자상업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고령고등학교 구미여자상업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군위정보고등학교 금성여자상업고등학교 금호공업고등학교 김천상업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다인정보고등학교 명인정보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봉양정보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여자상업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주동산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용운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공업고등학교 청도전자고등학교 청송자동차고등학교 태화고등학교 평해정보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해양과학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흥해공업고등학교 경남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공업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진해세화여자고등학교 창녕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일전산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제주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공업고 과학고 과학중점고 국립고 국제고 기숙형공립고 농업고 마이스터고 영재학교 예술고 외국어고 자율공립고 자율대안고 자율사립고 체육고 특성화고 해양과학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방송고등학교&oldid=24085576" 분류: 특성화 고등학교서울 성동구의 고등학교서울특별시의 공립 고등학교1992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지역 코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역 코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DVD 지역 코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역 코드(영어: region code)는 DVD, 블루레이 디스크, 게임 소프트웨어가 판매 및 사용되는 지역의 정보를 기재한 정보 (코드)이다. 소프트웨어의 지역 및 사용하는 기기의 코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재생 혹은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코드는 코드 제약이 있는 DVD 플레이어나 블루레이, 그리고 게임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역 코딩을 무시하는 DVD 플레이어 또한 상용으로 구매가 가능하며[1] 수많은 DVD 플레이어는 모든 디스크의 재생을 허용하기 위해 지역 제한이 없도록 수정할 수도 있다.[2] 목차 1 DVD 지역 코드 1.1 독립형 DVD 플레이어 1.2 컴퓨터 DVD 드라이브 2 블루레이 디스크 3 비디오 게임 콘솔 4 각주 5 외부 링크 DVD 지역 코드[편집] DVD 지역 지역 코드는 다음과 같은 취지를 가진 일종의 국제 규약이다. 1.DVD의 판매와 수요 등을 관리. 2.지역 배급권에 대한 로얄티를 확보. 3.영상산업 보호. 코드 번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0*ALL 지역 또는 국가에 관계 없이 모든 지역에서 재생 가능 1 북아메리카 (미국, 알래스카, 캐나다), 영국령 버뮤다제도 2 일본, 유럽 (러시아 제외, 그린란드 포함),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프랑스령 기아나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아랍에미레이트) 3 동남아시아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홍콩, 마카오, 타이완, 싱가포르, 대한민국 4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태평양의 모든 섬,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의 섬나라 포함),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 제외) 5 러시아, 아프리카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제외),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북한 6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제외) 7 미확정 8 국가 간을 여행하는 선박이나 항공기 내 독립형 DVD 플레이어[편집] 일반적으로 공장 출하 시 개별 플레이어의 펌웨어에 구성 플래그가 설정된다. 이러한 플래그는 기기의 재생을 허용하는 지역 번호를 보유하고 있다. 지역 제한이 없는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플래그 집합이 없거나 지역 강제 기능이 없이 출하된 DVD 플레이어에 한정된다. 컴퓨터 DVD 드라이브[편집] RPC-1(Regional Playback Control) 펌웨어를 사용하는 오래된 DVD 드라이브는 어떠한 지역에 속하는 DVD라도 재생을 가능하게 함을 의미한다. 더 최신의 드라이브는 RPC-2 펌웨어를 사용하며 이는 하드웨어 수준에서 DVD 지역 코딩을 강제한다. 이러한 드라이브들은 RPC-1 펌웨어로 해킹하거나 플래시 재적용을 하면 지역 제한이 풀리기도 한다. 이는 드라이브 보증을 제거한다.[3] 대부분의 컴퓨터 드라이브에서 사용자들이 지역 코드를 변경할 수 있는 횟수는 최대 5번까지로 제한된다.[4] 허용 횟수가 0에 다다르면 그 드라이브가 다른 컴퓨터에 장착되더라도 마지막에 사용된 지역 번호가 영구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한은 펌웨어라는 드라이브의 컨트롤러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된다. 자사 또는 제3사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거나 RPC-1 펌웨어로 초기화하면(상단 참조) 펌웨어 카운트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편집] 블루레이 디스크#지역 코드를 참조하세요. 비디오 게임 콘솔[편집] 비디오 게임 콘솔(게임기)에도 지역별 실행 제한 체계가 있다. 각주[편집] ↑ Luh, James C. (2001년 6월 1일). “Breaking Down DVD Borders”. 《워싱턴 포스트》.  ↑ Jim Taylor. “DVD FAQ: DVD utilities and region-free information”. Dvddemystified.com. 2010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Doom9 on RPC1 Archived 2017년 1월 13일 - 웨이백 머신. ↑ “Rulemaking hearing: Exemptions from prohibitions on circumvention of technological measures that control access to copyrighted works” (PDF). 2003년 5월 15일. 287, line 18면. 2009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DVD region information with regards to RCE from Home Theater Info (영어) Region Coding - Explanations & Help from The DVDCodes Source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역_코드&oldid=24114319" 분류: 디지털 권리 관리DVD블루레이 디스크비디오 게임 콘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Bahasa Melayu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8일 (일) 18: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