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stringlengths
1.09k
136k
일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각국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각국사 일연 전견명普覺國師 一然 全見明 前 고려국 중서문하성 대선사(前 高麗國 中書門下省 大禪師) 임기 1259년 6월 11일 ~ 1283년 7월 8일 군주 고려 고종 왕철고려 원종 왕정고려 충렬왕 왕거 섭정 교정도감 영수 겸 문하시중 권한대행 김준 안경공 왕창 교정도감 영수 임연 교정도감 영수 임유무 승화후 왕온 신상정보 출생일 1206년 7월 18일 출생지 고려 경상도 장산 사망일 1289년 7월 26일 (83세) 사망지 고려 경상도 군위 거주지 고려 경상도 옥산 고려 경상도 경산 고려 양광도 공주 고려 양광도 천안고려 서해도 해주고려 개경고려 경상도 남해고려 경상도 진주 고려 경상도 군위 본관 옥산(玉山) 학력 1227년 승과 급제 경력 역사가 겸 저술가 정당 무소속 부모 아버지 전언필(全彦弼, 1189 ~ 1211) 어머니 경주 김씨 부인(慶州 金氏 夫人, 1194 ~ 1287) 별명 자(字)는 회연(晦然)·일연(一然) 호(號)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諡號)는 보각(普覺) 탑호(塔號)는 정조(靜照) 일명(一名)은 김견명(金見明) 종교 불교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속성은 전씨, 본관은 옥산(玉山), 속명 전견명(全見明)이며, 처음의 자는 회연(晦然), 나중에 '일연'으로 바꾸었다. 호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이며, 탑호는 정조(靜照)이다.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출생하였고 1214년(고종 1) 9세 때 해양(海陽)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219년 대웅에 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에 올랐다. 1261년(원종 2) 왕의 부름으로 상경,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목우화상(牧牛和尙)의 법통을 계승, 1268년(원종 9) 조지(朝旨)를 받고 운해사(雲海寺)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 그 맹주가 되었다. 1277년(충렬왕 3) 왕명으로 운문사(雲門寺) 주지에 취임, 1281년 왕에게 법설을 강조했고,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百頃)을 받아 경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九山門都會)를 개최했다. 그의 저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이 밖에 <조정사원(祖庭事苑)>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을 지었다. 목차 1 연보 2 저서 2.1 삼국유사(三國遺事) 2.2 기타 저서 3 관련 문화재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연보[편집] 1206년 - 경상도 장산군 (오늘날 경상북도 경산시) 태생 1208년 - 한때 옥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1년 후 직계 일가족과 함께 장산에 귀향. 1209년 - 옥산 땅에서 장산 땅으로 귀향하여 성장. 1219년 - 승려로 출가 1227년 - 승과 시험 합격 1249년 - 남해 정림사에서 수행 (남해의 분사 대장도감에서 조판 사업에 참여), 진주목부사병마금할시상서공부시랑 전광재(팔만대장경 행정총책임자) 혈족. 1259년 - 대선사에 임명 1281년경 - 삼국유사 저술 1283년 - 충렬왕에 의해 국존(국사)으로 추대 1289년 - 인각사에서 입적 저서[편집] 일연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을 썼다고 임종에 든 군위군 인각사 일연비문에 적혀 있다. 《삼국유사》가 가장 유명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편집]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유사를 모아 고려 충렬왕 때의 명승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이 지은 책. 전 5권 2책. 제1은 왕력 기이(王歷紀異), 제2는 문호왕(文虎王) 내지 가락국기(駕洛國記), 제3은 흥법탑상(興法塔像), 제4는 의해(義解), 제5는 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왕력에서 삼국과 가락국의 왕대와 연표를 싣고, 기이(紀異)에서는 고조선 이하 여러 고대국가의 흥폐·신화·전설·신앙 등과 신라 최후의 왕인 경순왕(敬順王)까지의 신라 왕조 및 백제·후백제·가락국에 관계되는 역사 등 62편의 글을 싣고, 흥법(興法)에서는 37편의 글로 신라를 중심으로 불교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의해(義解)에서는 신라의 고승들에 대한 설화 13편을 수록했고, 신주(神呪)에서는 밀교(密敎)의 승려들에 대한 행적 3편을 싣고, 감통(感通)에서는 부처와의 영적 감응을 이룬 일반 신자들의 설화를 실었으며, 피은(避隱)에서는 깊은 학문과 엄격한 도덕률을 지니고 있던 고승들의 이적(異蹟)에 대한 10편의 설화를 싣고, 효선(孝善)에서는 뛰어나게 효행을 한 5사람의 이야기를 수록했다. 특히 단군신화를 비롯하여 향찰문(鄕札文)으로 쓰인 향가 14수가 수록되어 있어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되어 준다. 현재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보이지 않고, 중종 7년(1512)에 당시의 경주 부사 이계복에 의해 중간(重刊)된 정덕본(正德本)이 현재로는 최고본이며, 활자본으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1908년에 된 도쿄 문과대학 사지총서본(東京文科大學史誌叢書本)이고, 그 뒤 1921년에 교토 제대 문학부총서(京都帝大文學部叢書) 제6으로 정덕본을 영인했다. 이 밖에 조선사학회본(朝鮮史學會本)·계명구락부본(啓明俱樂部本)·삼중당본(三中堂本) 등과 이병도의 역주본(譯註本)이 있다. 현재 전하는 책이나, 일연비문에는 적혀 있지 않다. 기타 저서[편집] 《어록》 2권 《게송잡서》(偈頌雜書)3111권 《조동오위》(曹洞五位) 2권 《조도》(祖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 관련 문화재[편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 보물 제428호 같이 보기[편집] 김부식 정습명 삼국유사 삼국사기 이승휴 제왕운기 단군 단군 조선 묘청 윤관 윤언이 윤인함 정지상 김돈중 외부 링크[편집] 일연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대백과사전 vdeh1992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 후기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397390 LCCN: n82094556 ISNI: 0000 0001 1025 2103 GND: 119027860 SUDOC: 121449939 BNF: cb12056258s (데이터) NDL: 00621920 NKC: jx200702130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연&oldid=23993372" 분류: 1206년 태어남1289년 죽음고려의 불교고려의 승려고려의 관료한국의 역사가과거 급제자고려의 작가고려의 서예가경산시 출신병사한 사람무신정권옥산 전씨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lski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1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일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보각국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보각국사 일연 전견명普覺國師 一然 全見明 前 고려국 중서문하성 대선사(前 高麗國 中書門下省 大禪師) 임기 1259년 6월 11일 ~ 1283년 7월 8일 군주 고려 고종 왕철고려 원종 왕정고려 충렬왕 왕거 섭정 교정도감 영수 겸 문하시중 권한대행 김준 안경공 왕창 교정도감 영수 임연 교정도감 영수 임유무 승화후 왕온 신상정보 출생일 1206년 7월 18일 출생지 고려 경상도 장산 사망일 1289년 7월 26일 (83세) 사망지 고려 경상도 군위 거주지 고려 경상도 옥산 고려 경상도 경산 고려 양광도 공주 고려 양광도 천안고려 서해도 해주고려 개경고려 경상도 남해고려 경상도 진주 고려 경상도 군위 본관 옥산(玉山) 학력 1227년 승과 급제 경력 역사가 겸 저술가 정당 무소속 부모 아버지 전언필(全彦弼, 1189 ~ 1211) 어머니 경주 김씨 부인(慶州 金氏 夫人, 1194 ~ 1287) 별명 자(字)는 회연(晦然)·일연(一然) 호(號)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諡號)는 보각(普覺) 탑호(塔號)는 정조(靜照) 일명(一名)은 김견명(金見明) 종교 불교 일연(一然, 속명(본명) 전견명(全見明), 1206년 7월 18일(음력 6월 11일) ~ 1289년 7월 26일(음력 7월 8일))은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로, 보각국사(普覺國師)라고도 한다. 속성은 전씨, 본관은 옥산(玉山), 속명 전견명(全見明)이며, 처음의 자는 회연(晦然), 나중에 '일연'으로 바꾸었다. 호는 무극(無極)·목암(睦庵), 시호는 보각(普覺)이며, 탑호는 정조(靜照)이다. 경상북도 경산(慶山)에서 출생하였고 1214년(고종 1) 9세 때 해양(海陽)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학문을 닦다가 1219년 대웅에 의하여 승려가 되었다.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에 올랐다. 1261년(원종 2) 왕의 부름으로 상경, 선월사(禪月寺) 주지가 되었고 목우화상(牧牛和尙)의 법통을 계승, 1268년(원종 9) 조지(朝旨)를 받고 운해사(雲海寺)에서 선교의 대덕(大德) 1백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개최, 그 맹주가 되었다. 1277년(충렬왕 3) 왕명으로 운문사(雲門寺) 주지에 취임, 1281년 왕에게 법설을 강조했고, 1283년 국존(國尊)으로 추대되어 원경충조의 호를 받고, 이 해 노모의 봉양을 위해서 고향에 돌아갔다. 다음해 조정으로부터 토지 백경(百頃)을 받아 경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했고 궁궐에 들어가서 구산 문도회(九山門都會)를 개최했다. 그의 저서 <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의 신화와 민간설화를 수집하고, 특히 향가를 비롯한 불교 관계 기사를 수록,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문학과 역사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된다. 이 밖에 <조정사원(祖庭事苑)>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을 지었다. 목차 1 연보 2 저서 2.1 삼국유사(三國遺事) 2.2 기타 저서 3 관련 문화재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연보[편집] 1206년 - 경상도 장산군 (오늘날 경상북도 경산시) 태생 1208년 - 한때 옥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1년 후 직계 일가족과 함께 장산에 귀향. 1209년 - 옥산 땅에서 장산 땅으로 귀향하여 성장. 1219년 - 승려로 출가 1227년 - 승과 시험 합격 1249년 - 남해 정림사에서 수행 (남해의 분사 대장도감에서 조판 사업에 참여), 진주목부사병마금할시상서공부시랑 전광재(팔만대장경 행정총책임자) 혈족. 1259년 - 대선사에 임명 1281년경 - 삼국유사 저술 1283년 - 충렬왕에 의해 국존(국사)으로 추대 1289년 - 인각사에서 입적 저서[편집] 일연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불교 관련 서적 80여 권을 썼다고 임종에 든 군위군 인각사 일연비문에 적혀 있다. 《삼국유사》가 가장 유명하다. 삼국유사(三國遺事)[편집]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유사를 모아 고려 충렬왕 때의 명승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이 지은 책. 전 5권 2책. 제1은 왕력 기이(王歷紀異), 제2는 문호왕(文虎王) 내지 가락국기(駕洛國記), 제3은 흥법탑상(興法塔像), 제4는 의해(義解), 제5는 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왕력에서 삼국과 가락국의 왕대와 연표를 싣고, 기이(紀異)에서는 고조선 이하 여러 고대국가의 흥폐·신화·전설·신앙 등과 신라 최후의 왕인 경순왕(敬順王)까지의 신라 왕조 및 백제·후백제·가락국에 관계되는 역사 등 62편의 글을 싣고, 흥법(興法)에서는 37편의 글로 신라를 중심으로 불교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 의해(義解)에서는 신라의 고승들에 대한 설화 13편을 수록했고, 신주(神呪)에서는 밀교(密敎)의 승려들에 대한 행적 3편을 싣고, 감통(感通)에서는 부처와의 영적 감응을 이룬 일반 신자들의 설화를 실었으며, 피은(避隱)에서는 깊은 학문과 엄격한 도덕률을 지니고 있던 고승들의 이적(異蹟)에 대한 10편의 설화를 싣고, 효선(孝善)에서는 뛰어나게 효행을 한 5사람의 이야기를 수록했다. 특히 단군신화를 비롯하여 향찰문(鄕札文)으로 쓰인 향가 14수가 수록되어 있어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문헌이 되어 준다. 현재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보이지 않고, 중종 7년(1512)에 당시의 경주 부사 이계복에 의해 중간(重刊)된 정덕본(正德本)이 현재로는 최고본이며, 활자본으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1908년에 된 도쿄 문과대학 사지총서본(東京文科大學史誌叢書本)이고, 그 뒤 1921년에 교토 제대 문학부총서(京都帝大文學部叢書) 제6으로 정덕본을 영인했다. 이 밖에 조선사학회본(朝鮮史學會本)·계명구락부본(啓明俱樂部本)·삼중당본(三中堂本) 등과 이병도의 역주본(譯註本)이 있다. 현재 전하는 책이나, 일연비문에는 적혀 있지 않다. 기타 저서[편집] 《어록》 2권 《게송잡서》(偈頌雜書)3111권 《조동오위》(曹洞五位) 2권 《조도》(祖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 관련 문화재[편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 보물 제428호 같이 보기[편집] 김부식 정습명 삼국유사 삼국사기 이승휴 제왕운기 단군 단군 조선 묘청 윤관 윤언이 윤인함 정지상 김돈중 외부 링크[편집] 일연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대백과사전 vdeh1992년 선정 이 달의 문화 인물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고려 후기의 문화"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397390 LCCN: n82094556 ISNI: 0000 0001 1025 2103 GND: 119027860 SUDOC: 121449939 BNF: cb12056258s (데이터) NDL: 00621920 NKC: jx2007021300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일연&oldid=23993372" 분류: 1206년 태어남1289년 죽음고려의 불교고려의 승려고려의 관료한국의 역사가과거 급제자고려의 작가고려의 서예가경산시 출신병사한 사람무신정권옥산 전씨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lski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1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라종일 (194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종일 (194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6월) 라종일(나종일, 羅鍾一, 1940년 12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공무원, 외교관이다. 종교는 천주교, 세례명은 요셉이다. 목차 1 생애 2 약력 2.1 학력 2.2 경력 3 수상 경력 4 저서 5 가족 관계 6 관련 항목 7 각주 8 참고 자료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서울 출신으로 1963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나온 후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8년 경희대학교 교수에 임명되어 1978~1998년 경희대학교 교수로 활동하였다. 1997년 김대중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 대통령직 인수위 행정실장이 되었다. 1998년 3월 국가안전기획부 1차장이 되었다가 2차장으로 전임되었다. 그뒤 1999년 국정원 1차장으로 발탁되었다. 2001~2003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역임하였다. 2000년 9월 4일에는 1년 계약직 국정원장 외교특보에 임명되었다.[1] 2004~2007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등을 지냈다. 2007~2011년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가 되었다. 약력[편집] 학력[편집] 1959년 중앙고등학교 졸업 1963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졸업(정치학 학사) 1965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1972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정치학박사/ 국제관계 전공) 경력[편집] 1969년 11월 29일 서울대학교 교양과정 부교수 1972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정치문제연구소(Institute of Political Studies) 객원교수 1972년 ~ 1998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80년 경희대학교 정경대학 학장 1980년 5공헌법준비위원회 위원 1980년 유네스코주최 인권과 평화교육에 관한 태평양 지역회의 한국대표 1983년 ~ 1998년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원장 1988년 ~ 199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장 1989년 유럽연구협회 부회장 1992년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캠프에 참여 1994년 한국유럽학회 회장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총재 외교안보특보 1995년 ~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중앙당 지도위원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통일, 국제특별위원장 1997년 제15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행정실 실장 1998년 3월 10일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1998년 3월 28일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1998년 국제 평화전략연구원 원장 1999년 국가정보원 해외,북한담당 제1차장 1999년 - 2000년 새정치국민회의 외교안보담당 총재특별보좌역 1999년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1999년 국제평화전략연구원 원장 2000년 새천년민주당 총재외교안보특보 2000년 시큐어소프트 고문 2000년 국가정보원 특별보좌관 2000년 국가정보원 외교담당 특별보좌역 2001년 주영국 대한민국 대사 2003년 - 2004년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 보좌관 2003년 - 2004년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겸 사무처장 2004년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 2007년 3월 제10대 전주 우석대학교 총장 2011년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2016년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2019년 6월 - 한·일 의회외교포럼 자문위원 수상 경력[편집] 2006년 옥조근정훈장 저서[편집] 《정치이론 입문》 《현대서구정치론》 (경희대학교출판보, 1982)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증언으로본 한국전쟁》 (예진기획, 1991) 《끝나지 않은 전쟁》 (전예원, 1994) 《유럽연구》 (예진출판사, 1994) 《사람과 정치》 (상경사, 1995) 《끝나지 않는 의문》 (남지, 1997) 《세계의 발견:라종일이 보고 겪은 한국 현대사》(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낙동강》 (형설라이프, 2010) 《아웅산 테러리스트 강민철》(창작과비평, 2013년 10월 10일)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나용균(羅容均) 어머니 : ? 부인 : 홍재자(洪宰子) 딸 : 나연수 딸 : 나영수 딸 : 나한수 아들 : 나경수 장인 : 홍경섭(洪景燮) 처형 : ? 관련 항목[편집] 경희대학교 신건 임동원 이종찬 문희상 서정범 이강래 엄익준 김기섭 각주[편집] ↑ 국정원장 외교특보 나종일씨.. 영남일보 2000.09.04 참고 자료[편집] 나종일 주영대사 내정자 외부 링크[편집] 전임이병기 제22대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1999년 3월 8일 ~ 1999년 3월 23일 후임신건 전임신건 제25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1998년 3월 23일 ~ 1999년 1월 22일 후임(국가정보원 제1차장)나종일 전임(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나종일 제25대 국가정보원 제1차장1999년 1월 22일 ~ 1999년 6월 7일 후임권진호 전임최성홍 제16대 주 영국 대사2001년 5월 ~ 2003년 2월 후임이태식 전임조세형 제16대 주 일본 대사2004년 3월 ~ 2007년 3월 17일 후임유명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종일_(1940년)&oldid=24355618" 분류: 194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나주 나씨서울특별시 출신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경희대학교 교수숭실대학교 교수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대통합민주신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시민통합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대한민국의 정치학자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대한민국의 국가안전기획부 차장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 차장통합신당 당원국민의당 당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09: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2019년 3월 13일에 실시한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부문 투·개표 결과이다. 목차 1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 2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 3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 4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 5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 6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7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 8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 9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 10 같이 보기 11 각주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서울시산림조합 서울특별시 일원 인천산림조합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주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시흥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옹진부천산림조합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옹진군 평택시산림조합 경기도 평택시 고양시산림조합 경기도 고양시 용인시산림조합 경기도 용인시 파주시산림조합 경기도 파주시 이천시산림조합 경기도 이천시 안성시산림조합 경기도 안성시 김포시산림조합 경기도 김포시 포천시산림조합 경기도 포천시 여주시산림조합 경기도 여주시 강화군산림조합 인천광역시 강화군 연천군산림조합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산림조합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산림조합 경기도 양평군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전시산림조합 대전광역시 일원 세종시산림조합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천안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산림조합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보령시 아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아산시 서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계룡산림조합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당진시 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금산군 부여군산림조합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천군 청양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홍성군 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예산군 태안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태안군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청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제천시 보은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영동군 진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진천군 괴산증평산림조합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단양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단양군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광주시산림조합 광주광역시 일원 목포무안산림조합 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여수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순천시 나주시산림조합 전라남도 나주시 광양시산림조합 전라남도 광양시 담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곡성군 구례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구례군 고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보성군 화순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화순군 장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흥군 강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강진군 해남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암군 함평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함평군 영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성군 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완도군 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진도군 신안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신안군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전주완주산림조합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군산시 익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익산시 정읍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정읍시 남원시산림조합 전라북도 남원시 김제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김제시 진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장수군 임실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순창군 고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부안군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부산시산림조합 부산광역시 일원 울산시산림조합 울산광역시 일원 창원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산림조합 경상남도 통영시 사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사천시 김해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산림조합 경상남도 밀양시 거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제시 양산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양산시 의령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안군 창녕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창녕군 고성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고성군 남해군산림조합 경상남도 남해군 하동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합천군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구달성산림조합 대구광역시 일원 포항시산림조합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주시 김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김천시 안동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안동시 구미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구미시 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주시 영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천시 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산림조합 경상북도 문경시 경산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산시 군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군위군 의성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의성군 청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양군 영덕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덕군 청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도군 고령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칠곡군 예천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예천군 봉화군산림조합 경상북도 봉화군 울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올진군 울릉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울릉군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춘천시산림조합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산림조합 강원도 원주시 강릉시산림조합 심재광 43.61% 강원도 강릉시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 강원도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양양속초산림조합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홍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홍천군 횡성군산림조합 강원도 횡성군 영월군산림조합 강원도 영월군 평창군산림조합 강원도 평창군 정선군산림조합 강원도 정선군 철원군산림조합 강원도 철원군 화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산림조합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산림조합 강원도 인제군 고성군산림조합 강원도 고성군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제주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농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수협 산림조합 각주[편집] vdeh 대한민국의 선거대통령 선거 1948 1952 1956 1960.3 1960.8 1963 1967 1971 1972 1978 1979 1980 1981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부통령 선거 1948 1951 1952 1956 1960.3 국회의원 선거 1948 1950 1954 1958 1960 1963 1967 1971 1973 1978 1981 1985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2 1978 지방선거 1952 1956 1960 1991 1995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국민투표 1962 1969 1972 1975 1980 1987 재보궐선거 1948 1949 1952 1954 1955 1956 1959 1960 1961 1965 1968 1969 1970 1971 1977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음영표시는 가까운 시기에 있는 선거입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2회_조합장_선거_산림조합&oldid=24492083" 분류: 대한민국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20: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2019년 3월 13일에 실시한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부문 투·개표 결과이다. 목차 1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 2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 3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 4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 5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 6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7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 8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 9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 10 같이 보기 11 각주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서울시산림조합 서울특별시 일원 인천산림조합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주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시흥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옹진부천산림조합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옹진군 평택시산림조합 경기도 평택시 고양시산림조합 경기도 고양시 용인시산림조합 경기도 용인시 파주시산림조합 경기도 파주시 이천시산림조합 경기도 이천시 안성시산림조합 경기도 안성시 김포시산림조합 경기도 김포시 포천시산림조합 경기도 포천시 여주시산림조합 경기도 여주시 강화군산림조합 인천광역시 강화군 연천군산림조합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산림조합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산림조합 경기도 양평군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전시산림조합 대전광역시 일원 세종시산림조합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천안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산림조합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보령시 아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아산시 서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계룡산림조합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당진시 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금산군 부여군산림조합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천군 청양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홍성군 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예산군 태안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태안군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청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제천시 보은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영동군 진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진천군 괴산증평산림조합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단양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단양군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광주시산림조합 광주광역시 일원 목포무안산림조합 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여수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순천시 나주시산림조합 전라남도 나주시 광양시산림조합 전라남도 광양시 담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곡성군 구례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구례군 고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보성군 화순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화순군 장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흥군 강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강진군 해남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암군 함평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함평군 영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성군 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완도군 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진도군 신안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신안군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전주완주산림조합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군산시 익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익산시 정읍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정읍시 남원시산림조합 전라북도 남원시 김제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김제시 진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장수군 임실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순창군 고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부안군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부산시산림조합 부산광역시 일원 울산시산림조합 울산광역시 일원 창원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산림조합 경상남도 통영시 사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사천시 김해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산림조합 경상남도 밀양시 거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제시 양산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양산시 의령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안군 창녕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창녕군 고성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고성군 남해군산림조합 경상남도 남해군 하동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합천군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구달성산림조합 대구광역시 일원 포항시산림조합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주시 김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김천시 안동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안동시 구미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구미시 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주시 영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천시 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산림조합 경상북도 문경시 경산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산시 군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군위군 의성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의성군 청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양군 영덕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덕군 청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도군 고령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칠곡군 예천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예천군 봉화군산림조합 경상북도 봉화군 울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올진군 울릉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울릉군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춘천시산림조합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산림조합 강원도 원주시 강릉시산림조합 심재광 43.61% 강원도 강릉시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 강원도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양양속초산림조합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홍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홍천군 횡성군산림조합 강원도 횡성군 영월군산림조합 강원도 영월군 평창군산림조합 강원도 평창군 정선군산림조합 강원도 정선군 철원군산림조합 강원도 철원군 화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산림조합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산림조합 강원도 인제군 고성군산림조합 강원도 고성군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제주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농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수협 산림조합 각주[편집] vdeh 대한민국의 선거대통령 선거 1948 1952 1956 1960.3 1960.8 1963 1967 1971 1972 1978 1979 1980 1981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부통령 선거 1948 1951 1952 1956 1960.3 국회의원 선거 1948 1950 1954 1958 1960 1963 1967 1971 1973 1978 1981 1985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2 1978 지방선거 1952 1956 1960 1991 1995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국민투표 1962 1969 1972 1975 1980 1987 재보궐선거 1948 1949 1952 1954 1955 1956 1959 1960 1961 1965 1968 1969 1970 1971 1977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음영표시는 가까운 시기에 있는 선거입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2회_조합장_선거_산림조합&oldid=24492083" 분류: 대한민국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20: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2019년 3월 13일에 실시한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산림조합 부문 투·개표 결과이다. 목차 1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 2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 3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 4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 5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 6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 7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 8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 9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 10 같이 보기 11 각주 수도권(서울인천경기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서울시산림조합 서울특별시 일원 인천산림조합 인천광역시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화성수원오산산림조합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경기도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 양주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시흥지역산림조합 경기도 안양시, 광명시,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옹진부천산림조합 경기도 부천시, 인천광역시 옹진군 평택시산림조합 경기도 평택시 고양시산림조합 경기도 고양시 용인시산림조합 경기도 용인시 파주시산림조합 경기도 파주시 이천시산림조합 경기도 이천시 안성시산림조합 경기도 안성시 김포시산림조합 경기도 김포시 포천시산림조합 경기도 포천시 여주시산림조합 경기도 여주시 강화군산림조합 인천광역시 강화군 연천군산림조합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산림조합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산림조합 경기도 양평군 충남권(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전시산림조합 대전광역시 일원 세종시산림조합 세종특별자치시 일원 천안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천안시 공주시산림조합 충청남도 공주시 보령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보령시 아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아산시 서산시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산시 논산계룡산림조합 충청남도 논산시, 계룡시 당진시산림조합 충청남도 당진시 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금산군 부여군산림조합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서천군 청양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홍성군 예산군산림조합 충청남도 예산군 태안군산림조합 충청남도 태안군 충북권(충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청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산림조합 충청북도 제천시 보은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영동군 진천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진천군 괴산증평산림조합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산림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단양군산림조합 충청북도 단양군 전남권(광주전남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광주시산림조합 광주광역시 일원 목포무안산림조합 전라남도 목포시, 무안군 여수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산림조합 전라남도 순천시 나주시산림조합 전라남도 나주시 광양시산림조합 전라남도 광양시 담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담양군 곡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곡성군 구례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구례군 고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보성군 화순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화순군 장흥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흥군 강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강진군 해남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해남군 영암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암군 함평군산림조합 전라남도 함평군 영광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영광군 장성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장성군 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완도군 진도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진도군 신안군산림조합 전라남도 신안군 전북권(전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전주완주산림조합 전라북도 전주시, 완주군 군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군산시 익산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익산시 정읍시산림조합 전라북도 정읍시 남원시산림조합 전라북도 남원시 김제시산림조합 전라북도 김제시 진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장수군 임실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순창군 고창군산림조합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군산림조합 전라북도 부안군 경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본부)[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부산시산림조합 부산광역시 일원 울산시산림조합 울산광역시 일원 창원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진주시 통영시산림조합 경상남도 통영시 사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사천시 김해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산림조합 경상남도 밀양시 거제시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제시 양산시산림조합 경상남도 양산시 의령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의령군 함안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안군 창녕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창녕군 고성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고성군 남해군산림조합 경상남도 남해군 하동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하동군 산청군산림조합 경상남도 산청군 함양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산림조합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산림조합 경상남도 합천군 경북권(대구경북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대구달성산림조합 대구광역시 일원 포항시산림조합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주시 김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김천시 안동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안동시 구미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구미시 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주시 영천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천시 상주시산림조합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산림조합 경상북도 문경시 경산시산림조합 경상북도 경산시 군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군위군 의성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의성군 청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양군 영덕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영덕군 청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청도군 고령군산림조합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성주군 칠곡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칠곡군 예천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예천군 봉화군산림조합 경상북도 봉화군 울진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올진군 울릉군산림조합 경상북도 울릉군 강원권(강원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춘천시산림조합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산림조합 강원도 원주시 강릉시산림조합 심재광 43.61% 강원도 강릉시 삼척동해태백산림조합 강원도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양양속초산림조합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홍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홍천군 횡성군산림조합 강원도 횡성군 영월군산림조합 강원도 영월군 평창군산림조합 강원도 평창군 정선군산림조합 강원도 정선군 철원군산림조합 강원도 철원군 화천군산림조합 강원도 화천군 양구군산림조합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산림조합 강원도 인제군 고성군산림조합 강원도 고성군 제주권(제주지역본부 소속)[편집] 산림조합명 당선인 득표율 투표율 관할 구역 제주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산림조합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농협 대한민국 제2회 조합장 선거 수협 산림조합 각주[편집] vdeh 대한민국의 선거대통령 선거 1948 1952 1956 1960.3 1960.8 1963 1967 1971 1972 1978 1979 1980 1981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부통령 선거 1948 1951 1952 1956 1960.3 국회의원 선거 1948 1950 1954 1958 1960 1963 1967 1971 1973 1978 1981 1985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2 1978 지방선거 1952 1956 1960 1991 1995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국민투표 1962 1969 1972 1975 1980 1987 재보궐선거 1948 1949 1952 1954 1955 1956 1959 1960 1961 1965 1968 1969 1970 1971 1977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음영표시는 가까운 시기에 있는 선거입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2회_조합장_선거_산림조합&oldid=24492083" 분류: 대한민국의 선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20: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네바 합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네바 합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네바 합의(-合意)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이 1994년 10월 21일 맺은 외교적 국제 합의이다. 이 합의는 2003년 전격적으로 파기되었다. '북한과 미국간에 핵무기 개발에 관한 특별계약', 영어 정식 명칭은 'Agreed Framework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이며 짧게 'Agreed Framework라고 부른다. 북한의 핵개발 포기의 대가로 북미수교, 북미간 평화협정, 북한에 대한 경수로 발전소 건설과 대체 에너지인 중유 공급을 주 내용으로 한다. 미국 의회는 경수로 발전소 건설자금을 비승인하여, 협약은 이후 파기 되었고, 이후 2005년 클린턴 행정부 관료는 북한이 국제 협약후 몇년안에 붕괴될것을 예상하여 협약을 한것이었다.[1] 라고 북미 협약의 숨어있던 배경을 언론에 보도 하였다. 미국의 북한에 대한 중유 공급 역시도 지속 늦춰져서, 북한의 에너지와 경제 난은 가중되었고, 북미간 국제 협약은 실행에 어려움이 지속되었다.[2] 경수로 건설 책임자 스티븐 보즈워스 (Stephen Bosworth)은, 미국 의회의 경수로 자금 불허로, 북미 협약이 추진될 힘을 잃었다고 비판하였다.[3] 목차 1 제네바 합의의 배경 2 제네바 합의 의 공개 및 비공개 전문 3 제네바 합의 이후 4 조약 위반 4.1 미국의 조약 위반 4.2 북한의 조약 위반 4.3 결과 5 제네바 합의 실패의 원인 6 같이 보기 7 각주 제네바 합의의 배경[편집] 1989년 미국 정찰위성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변 원자력 연구소의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을 확인하고,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하면서 북미간 군사적 충돌 위기가 고조되었다. 지미 카터 미국 전대통령이 개인자격으로 방북[4]해 북미간 제네바기본합의서가 극적으로 타결되었다. 제네바 합의 의 공개 및 비공개 전문[편집] 미합중국(이하 미국의 호칭) 대표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으로 호칭) 대표단은 1994. 9. 23부터 10. 21.까지 제네바에서 한반도 핵문제의 전반적 해결을 위한 협상을 가졌다.[5][6] 양측은 비핵화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994. 8. 12. 미국과 북 한 간의 합의 발표문에 포함된 목표의 달성과 1993. 6. 11. 미국과 북한 간 공동발표문 상의 원칙과 준수가 중요함을 재확인하였다. 양측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들을 취하기로 결정하였다. 1. 양측은 북한의 흑연감속 원자로 및 관련시설을 경수로 원자로발전소로 대체하기 위해 협력한다. 1) 미국 대통령의 1994. 10. 20.자 보장서한에 의거하여 미국은 2003년을 목표시한으 로 총발전용량 약2,000MWe의 경수로를 북한에 제공하기 위한 조치를 주선할 책임을 진다. - 미국은 북한에 제공할 경수로의 재정조달 및 공급을 담당할 국제 콘소시엄을 미 국의 주도하에 구성한다. 미국은동 국제 콘소시엄을 대표하여 경수로 사업을 위한 북한과의 주 접촉선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은 국제콘서시엄을 대표하여 본 합의문 서명 후 6개월 내에 북한과 경수로 제공을 위한 공급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한다. 계약 관련 협의는 본 합의문 서명 후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 개시한다. - 필요한 경우 미국과 북한은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을 위 한 양자협정을 체결한다. 2) 1994. 10. 20.자 대체에너지 제공 관련 미국의 보장서한에 의거 미국은 국제콘서시 엄을 대표하여 북한의 흑염감속원자로 동결에 따라 상실될 에너지를 첫번째 경수로 완공시까지 보전하기 위한 조치를 주선한다. - 대체에너지는 난방과 전력생산을 위해 중유로 공급된다. - 중유의 공급은 본 합의문 서명 후 3개월 내 개시되고 양측간 합의된 공급일정 에 따라 연간 50만톤 규모까지 공급된다. 3) 경수로 및 대체에너지 제공에 대한 보장서한 접수 즉시 북한은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을 동결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해체한다. - 북한의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의 동결은 본 합의문서후 1개월 내 완전 이행된다. 동 1개월 동안 및 전체 동결기간 중 IAEA가 이러한 동결 상태를 감 시하는 것이 허용되며, 이를 위해 북한은 IAEA에 대해 전적인 협력을 제공한다. - 북한의 흑연감속원자로 및 관련 시설의 해체는 경수로 사업이 완료될 때 완료 된다. - 미국과 북한은 5MWe 실험용 원자로에서 추출된 사용 후 연료봉을 경수로 건 설기간 동안 안전하게 보관하고 북한 내에서 재처리하지 않는 안전한 방법으로 동 연료가 처리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상호 협력한다. 4) 본 합의후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미국과 북한의 전문가들은 두 종류의 전문가 협의를 가진다. - 한쪽의 협의에서 전문가들은 대체에너지와 흑연감속원자로의 경수로로의 대체와 관련된 문제를 협의한다. - 다른 한쪽의 협의에서 전문가들은 사용 후 연료 보관 및 궁극적 처리를 위한 구체적 조치를 협의한다. 2. 양측은 정치적, 경제적 관계의 완전 정상화를 추구한다. 1) 합의 후 3개월 내 양측은 통신 및 금융거래에 대한 제한을 포함한 무역 및 투자 제한을 완화시켜 나아간다. 2) 양측은 전문가급 협의를 통해 영사 및 여타 기술적 문제가 해결된 후에 쌍방의 수도에 연락사무소를 개설한다. 3) 미국과 북한은 상호 관심사항에 대한 진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양국관계를 대사급 으로까지 격상시켜 나아간다. 3. 양측은 핵이 없는 한반도의 평와와 안전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1) 미국은 북한에 대한 핵무기를 불위협 또는 불사용에 관한 공식 보장을 제공한다. 2) 북한은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일관성있게 취한다. 3) 본 합의문이 대화를 촉진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에 북한은 남북대화에 착수한다. 4. 양측은 국제적 핵비확산 체제 강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 1) 북한은 핵비확산조약(NPT) 당사국으로 잔류하며 동 조약상의 안전조치협정 이행을 허용한다. 2) 경수로 제공을 위한 계약 체결 즉시 동결 대상이 아닌 시설에 대하여 북한과 IAEA간 안전조치 협정에 따라 임시 및 일반사찰이 재개된다. 경수로 공급계약 체 결시까지 안전조치의 연속성을 위해 IAEA가 요청하는 사찰은 동결 대상이 아닌 시설에서 계속된다. 3) 경수로 사업의 상당 부분이 완료될 때, 그러나 주요 핵심 부품의 인도 이전에 북 한은 북한내 모든 핵물질에 관한 최초보고서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검증하는 것과 관련하여 IAEA와의 협의를 거쳐 IAEA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모든 조치를 취하 는 것을 포함하여 IAEA 안전조치협정(INFCIRC/403)을 완전히 이행한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수석대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교부 제1부부장 강석주 미합중국 수석대표 미합중국 본부대사 로버트 갈루치 Delegations of the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held talks in Geneva from September 23 to October 21, 1994, to negotiate an overall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on the Korean peninsula. Both sides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attaining the objectives contained in the August 12, 1994 Agreed Statement between the U.S. and the DPRK and upholding the principles of the June 11, 1993 Joint Statement of the U.S. and the DPRK to achieve peace and security o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The U.S. and DPRK decided to take the following actions for the re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I. Both sides will cooperate to replace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th light-water reactor (LWR) power plants. 1) In accordance with the October 20, 1994 letter of assurance from the U.S. President, the U.S. will undertake to make arrangements for the provision to the DPRK of a light-water reactor project with a total generating capacity of approximately 2,000 MW(e) by a target date of 2003. The U.S. will organize under its leadership an international consortium to finance and supply the light-water reactor project to be provided to the DPRK. The U.S., representing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will serve as the principal point of contact with the DPRK for the LWR project. The U.S., representing the consortium, will make best efforts to secure the conclusion of a supply contract with the DPRK within six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for the provision of the LWR project. Contract talks will begin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date of this document. As necessary, the U.S. and the DPRK will conclude a bilateral agreement for cooperation in the field of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2) In accordance with the October 20, 1994 U.S. letter of assurance from the U.S. President, the U.S., representing the consortium, will make arrangements to offset the energy foregone due to the freeze of the DPRK's graphite moderated reactors, pending completion of the first LWR unit. Alternative energy will be provided in the form of heavy oil for heating and electricity production. Deliveries of heavy oil will begin within three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and will reach a rate of 500,000 tons annually, in accordance with an agreed schedule of deliveries. 3) Upon receipt of U.S. assurance for the provision of light-water reactor and for arrangements for interim energy alternatives, the DPRK will freeze its graphite 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and will eventually dismantle these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The freeze on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ll be fully implemented within one month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During this one-moth period, and throughout the freeze, the IAEA will be allowed to monitor this freeze, and the DPRK will provide full cooperation to the IAEA for this purpose. Dismantlement of the DPRK's graphite-moderated reactors and related facilities will be completed when the LWR project is completed. The U.S. and DPRK will cooperate in finding a method to store safely the spent fuel from the 5 MW(e) experimental reac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LWR project, and to dispose of the fuel in a safe manner that does not involve reprocessing in the DPRK. 4)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date of this document U.S. and DPRK experts will hold two sets of experts talks. At one set of talks, experts will discuss issues related to alternative energy and the replacement of the graphite-moderated reactor program with the LWR project. At the other set of talks, experts will discuss specific arrangements for spent fuel storage and ultimate disposition. II. The two sides will move toward full normaliz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1) Within three months of the date of this Document, both sides will reduce barriers to trade and investment, including restrictions o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financial transactions. 2) Each side will open a liaison office in the other's capital following resolution of consular and other technical issues through expert level discussions. 3) As progress is made on issues of concern to each side, the U.S. and DPRK will upgrade bilateral relations to the Ambassadorial level. III. Both sides will work together for peace and security on a nuclear-free Korean peninsula. 1) The U.S. will provide formal assurances to the DPRK, against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by the U.S. 2) The DPRK will consistently take steps to implement the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o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3) The DPRK will engage in North-South dialogue, as this agreed framework will help create an atmosphere that promotes such a dialogue. IV. Both sides will work together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1) The DPRK will remain a party to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and will allow implementation of its safeguards agreement under the Treaty. 2) Upon conclusion of the supply contract for the provision of the LWR project, ad hoc and routine inspections will resume under the DPRK's safeguards agreement with the IAEA with respect to the facilities not subject to the freeze. Pending conclusion of the supply contract, inspections required by the IAEA for the continuity of safeguards will continue at the facilities not subject to the freeze. 3) Whe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LWR project is completed, but before delivery of key nuclear components, the DPRK will come into full compliance with its safeguards agreement with the IAEA(INFCIRC/403), including taking all steps that may be deemed necessary by the IAEA, following consultations with the Agency with regard to verifying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the DPRK's initial report on all nuclear material in the DPRK. Kang Sok Ju Head of the Delega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irst Vice-Minister of Foreign Affair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obert L. Gallucci Head of the Delegation of United States of America, Ambassador at Larg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아래의 기존 내용은 비공식 내용을 포함한듯. 『미국과 북한 간의 `합의의 틀'과 관련하여 쌍방은 이 합의의 틀에 담겨진 사항들의 이행에 참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양해사항과 정의에 합의했다.[7] 경수로 발전소 사업은 각기 약 1,000㎽/E의 발전용량을 갖는 2기의 기존 원자력 발전소를 대체하는 경수로 발전소로 구성된다. 제2호 원자로의 준공은 제1호 원자로의 준공 후 약 1년 내지 2년 안에 이루어지는 것을 양해한다. 미국 기업이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미국과 북한은 그러한 부품의 공 급이 이루어지기 전에 평화적 핵협력을 위한 쌍무협정을 체결하기로 한다. 그 같은 협정은 경수로 사업의 상당한 부분이 이행되기 전에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북한의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의 동결조치에는 다음의 사항들이 포함된다. 5㎽/E급 시험용 원자로의 연료 재장전 및 가동 금지 50㎽/E 및 200㎽/E급 원자로의 건설 중지 (사용 후 원료) 재처리 금지 방사화학실험실의 봉인 및 가동 중지 (핵)연료 가공 공장의 가동 중지 북한은 더 이상의 흑연감속형 원자로와 관련 설비를 일체 건설하지 않는다. 이 합의문 서명 후 첫해 중 중유(발전 및 난방용)의 대북한 공급 스케줄은 다음과 같이 합의한다. 3개월 이내 5만t 3개월 이후 1년 이내: 추가로 10만t 그 뒤 매년 50만t `합의의 틀'에 명시된 대로 경수로 발전소 의 상당 부분이 완성되었을 때 북한은 북한 내에 있는 모든 핵물질에 관한 북한의 최초보고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IAEA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추가적인 장소와 정보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해 안전조치협정을 전면적으로 이행하기로 한다. 이 양해각서와 `합의의 틀'에 언급된 `경수로 사업의 상당 부분'은 다음과 같이 해석하기로 한다. 경수로 사업을 위한 계약의 체결 경수로 부지의 준비와 굴착의 완료와 경수로 사업용 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 준비의 완료 선정된 경수로 부지에 건설할 공장의 최초 설계도면 완성 사업계획과 일정에 의거한 제1호 원자로의 주요 부품의 확정과 가공 사업 계획과 일정에 의거한 터빈과 발전기를 포함한 제1호 원자로용 비핵 주요부품의 인도 사업계획과 일정에 정해진 진도에 따른 제1호 원자로용 터빈 수용 건물 및 부속 건물의 완공 핵 증기공급 시스템용 부품 공급이 시작될 수 있을 단계까지의 제1호 원자로의 원자로용 건물과 그 부속건물의 완공 사업계획과 일정에 따른 제2호 원자로의 토목공사와 부품의 가공 및 인도 제1호 원자로가 완공되면 북한은 동결상태의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들의 해체에 착수하며 그 같은 해체작업은 제2호 원자로가 준공될 때 완료하기로 한다. 북한의 동결된 흑연감속로와 관련 설비의 해체는 그 설비의 해체나 파괴를 통하여 그 부품과 장비들이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호 원자로의 주요 핵심부품의 인도가 시작되면 북한으로부터의 사용 후 연료의 최종처리를 위한 국외 반출을 개시하여 제1호 원자로가 준공될 때 완료하기로 한다.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기술적 및 안전상의 고려가 요구되는 기간 안에 북한은 최종적 국외 반출을 가능하게 할 사용 후 연료 보관방법을 결정하고 이를 이행하기로 한다. 이 양해각서와 `합의의 틀'에서 언급되는 `주요 핵심부품'은 핵공급그룹(N UCLEAR SUPPLIERS GROUP)의 수출통제품목(EXPORT TRIGGER LIST)에 의하여 통제되는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북미간의 외교 관계를 정상화 하며, 상호간에 특사 파견등을 진행한다. 또한 무역 및 경제 장벽을 해소 하도록 한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공식적인 평화 협정을 체결을 통해서 미국이 북한에 대한 위협이나 핵무기를 통한 공격을 하지 않도록 하는것을 약속한다. 제네바 합의 이후[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네바합의이후 NPT에 복귀하고 핵발전 시설을 동결하였다. 지미 카터 전미국 대통령은 8년 동안 북한의 핵 발전 시설을 가동 중단할수 이었던 제네바 합의는 어느정도 성공적인 국제 합의 였다고 회상하였다. 그러나 미국 의회는 북한과의 국제적 합의는 공산국가인 북한에 대한 회유책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며, 북한에 대한 경수로 발전소 개발 자금을 불허하고, 경수로 발전소는 2001년까지 7년이상 지연되었다.[8] 당시 북미간 국제 합의는 민주당 클린턴 정권이 지미 카터 전대통령을 특사로 보내서 체결 하였지만, 정치적 공세를 하는 야당인 미국 공화당이 의회의 다수당이었기에, 실제로 의회의 자금 승인을 받아서 국제 협약을 미국이 이행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3] 이후, 한·미·일이 참여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를 설립해 경수로 원자로를 짓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200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원심분리 방식의 핵무기 개발사실을 시인하면서 2차 핵위기가 발생해 경수로건설은 중단되고 미국의 중유지원도 중단되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NPT를 탈퇴하고 핵시설을 가동하기 시작해 제네바합의는 파기되었다. 조약 위반[편집] 미국의 조약 위반[편집] 북미관계 정상화 와 제네바 합의에 기록된 북미간의 평화협정을 미국이 거부하였다. 이유는 미국에서 제네바 합의를 체결한 미국 민주당 클린턴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의회의 다수당을 차지하는 미국 공화당은 평화협정 체결은 북한을 비롯한 중국, 러시아등 공산국가 대한 비겁한 회유책이라고 판단하여,[9] 북미 평화협정 체결을 강력하게 반대했다.[10] 북한에 대한 위협중단 하는, 공식적인 평화 협정 체결를 반대하며, 미국이 합의를 위반했다. 북한이 말하는 위협중단이란 한미연합훈련의 영구적 중단을 말한다. 하지만 미국과 한국은 북한의 침략을 가정한 훈련을 지속했다. 북한에 대한 핵무기사용 중단, 미국이 합의를 위반했다. 비록 제네바 합의 핵심 이행 사항이었지만, 한국에 대한 핵우산 중단을 선언하는 것에 미국 의회 는 반대했다. 북한의 조약 위반[편집] 미국의 제네바 합의에 대한 약속 이행이 늦어지면서, 5년이 지난 시점이후에 영변 원자력 연구소의 흑연감속로인 영변 5메가와트 원자로의 가동중단을 다시 가동을 시작하여 북한이 합의를 위반했다. .[11] 조약 사항에 대한 한반도 비핵화선언 시행에 대해서 북한이 합의를 적극적으로 이행하지 않았다. 폐연료봉 재처리 금지에 대한 조약에 대해서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 이후 5년 이상 미국의 약속 불이행을 비판하였고, 1999년 이후 북한 합의를 위반했다. 결과[편집] NPT에 잔류 하기로한 북한은 2003년 1월 부시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이라는 비난조치에 대해서, 북한은 NPT 를 탈퇴 하였다 IAEA 사찰 수용에 대해서 북한은 사찰을 거부하였다. 제네바 합의 실패의 원인[편집] 제네바 합의의 핵심인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이행과제에 대해서, 미국 공화당은 북한과의 합의를 반대하여 핵심적인 경수로 발전 자금지원을 미국 의회 는 불허 하였다.[12]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낸 미국의 클린턴 행정부는 이후 북한이 경수로 프로젝트가 마쳐 지기 전에 붕괴 될것을 예상하여, 북한의 정권이 붕괴전까지 핵 개발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북한과 합의를 하였다고 북한의 김정일이 사망한 이후에 제네바 합의 배경을 실토하였다.[13] 미국의 경수로 발전소 지원을 위한 자금 지원의 미국 의회 불허등 약속 불이행에 대해서, 북한은 5년 이후 핵무기를 개발하였다. 미국은 북한에 대한 신뢰가 없었고 이에 6자 회담을 고수하였으나 6자 회담 참가국들 중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을 통해 미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회담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은채 회담을 위한 회담만 지속되었다. 미국은 북한 핵발전소의 대체 에너지인 중유의 북한 지원은 미국 의회의 반대에 따라서, 지속적인 지연이 발생하여 북한에 심각한 경제난 중 전력난이 야기 되었으며, 한국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대북 식량 지원등이 있었지만, 북한의 1990년 고난의 행군 기간동안 수만명의 북한 주민이 아사 당하는 처절한 고통을 받겠되었다. 제네바 합의의 핵심 당사자인 미국의 경수로 자금및 건설 지연이 되면서, 북한은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을 이후 시작 하였으며, 결국 양측의 신뢰구축은 실패했다. 2002년 미국은 제네바 합의를 비판하던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되면서 북한에 대한 제재 일변도의 정책이 자리잡게 되었다. 제네바 합의는 북한이 주장하는 자체 적인 방어를 위한 핵무기와 관련된 합의 이며, 북한이 이런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기 위하며 북한과 미국간의 대체 에너지 및 공식적인 북미간의 평화 협정 추진을 합의였다. 즉 제네바 합의내용중 실제적인 이행 사항으로 , 한미상호방위조약 및 한미간 군사훈련 중단등의 주장은 실제로 제네바 합의 내용에 명시적으로 기재 된것 이었다.[7] 이와 같은 상황을 둘러싸고 언론과 북한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제네바합의 붕괴의 책임이 어느 쪽에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제네바합의 붕괴에 대한 북한과 미국의 외교적 공방과 관찰자들의 논란 속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몇가지 사항은, 이 문제의 책임 소재를 양국 정부 차원으로 파악하고, 제네바 합의를 비판하는 미국 공화당주도로, 핵발전소의 대체 에너지인 경수로 발전소 자금 지원의 미국 의회 불허 이후, 북한의 핵개발 시인 파문, 그리고 미국 공화당 부시 행정부 등장으로 잡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와 같은 지적에는 제네바합의 자체가 붕괴의 씨앗을 배태하고 있었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으나, 그것은 제네바합의의 의의를 과소평가하고 합의 붕괴를 사후적으로 합리화하는 논리라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14] 같이 보기[편집] 제네바 협정 - 1954년 협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한국의 재통일 한반도 평화 협정 한국전쟁 그랜드바겐 각주[편집] ↑ Kessler, Glenn (2005년 7월 13일). “South Korea Offers To Supply Energy if North Gives Up Arms”. Washingtonpost.com.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http://www.globalsecurity.org/wmd/library/report/gao/rc00020t.pdf#page=5 ↑ 가 나 Behar, Richard (2003년 5월 12일). “Rummy's North Korea Connection What did Donald Rumsfeld know about ABB's deal to build nuclear reactors there? And why won't he talk about it?”. 《CNN Money》. 2007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4일에 확인함.  ↑ http://100.naver.com/100.nhn?docid=15053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제네바합의문 전문 (국, 영문)-1994. 10. 21 - 평화군축센터”. 2004년 2월 5일. 2019년 3월 1일에 확인함.  ↑ “Wayback Machine” (PDF). 2003년 12월 17일. 2019년 3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Agreed Framework of 21 October 1994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DF). IAEA. 1994년 11월 2일. INFCIRC/457. 2003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http://www.jajusibo.com/sub_read.html?uid=31416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PBS. 2009년 5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perle”. PBS. 2003년 3월 27일.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http://www.globalsecurity.org/wmd/library/report/gao/rc00020t.pdf#page=5 ↑ “frontline: kim's nuclear gamble: interviews: robert gallucci”. PBS. 2009년 5월 28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Kessler, Glenn (2005년 7월 13일). “South Korea Offers To Supply Energy if North Gives Up Arms”. Washingtonpost.com. 2009년 6월 9일에 확인함.  ↑ 통일문제연구, 제15권1호(2003년 상반기), pp. 1-26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미사일 실험 1993년 2006년 2009년 2013년 2014년 2017년 8월 29일 2019년 핵 실험 2006년(1차) 2009년(2차) 2013년(3차) 2016년 1월(4차) 2016년 9월(5차) 2017년(6차) 관련 주제 연표 원자력 발전 제네바 합의 6자 회담 조일평양선언 대북 제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2017~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위기 유엔 대북 해상제재 시설 풍계리 핵 실험장 녕변 원자력 연구소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 UN 안보리 결의안 제825호 제1695호 제1718호 제1874호 제1928호 제1985호 제2087호 제2094호 제2270호 제2321호 제2371호 제2375호 제2397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네바_합의&oldid=24190072" 분류: 미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199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핵문제1994년 남북 관계1994년 10월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فارسی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우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도교 道敎 “ 도를 도라 부르면 이미 도가 아니다. 이름 부를 수 있으나 언제나 그 이름은 아니다. ”   — 《도덕경》 기본교의 도 덕 무극 태극 음양 오행 기 내단술 무위 수행과 의식 적선 벽곡 조식 도인 방중 복이 내사 좌망 재초 인물 황제 노자 장자 열자 장도릉 장각 갈홍 진단 구겸지 신선 삼청 원시천존 영보천존 도덕천존 옥황상제 서왕모 동왕공 현천상제 보생대제 주생랑랑 월로 삼관대제 삼태자 이랑신 팔선 관성제군 마조 문창제군 재신 종규 성황 토지공 구황대제 황대선 구천현녀 청룡 백호 주작 현무 황제 상아 제천대성 역사와 종파 태평도 오두미도·천사도 상청 영보파 전진교 정일도 오류파 경전 노자 도덕경 장자 열자 도장 정통도장 속장 성지 태산 동천 봉래산 지역별 베트남 싱가포르 일본 중국 한국 사상 의식 홍콩 v • d • e • h 도교(道敎, 영어: T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1]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 도교 사원으로서의 도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 · 여도사의 체제를 갖춘 교단 도교(敎團道敎) 또는 성립 도교(成立道敎)와 이에서 벗어난 도교 단체 또는 도교 신앙을 통칭하는 민중 도교(民衆道敎)로 구분한다. 현세이익적인 면도 있지만 수행을 통해 신선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교단 도교에 비해 민중 도교는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도교의 창시자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의 창시자인 후한(25~220)시대의 장도릉(34~156)으로 알려져 있다. "도교"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로, 구겸지는 도교를 집대성한 사람 또는 최초의 교단 도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2]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통치자인 황제(黃帝)와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老子)를 신봉한다고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 또는 황로교(黃老教)라고도 한다. 노자와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한 도가(道家)사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목차 1 개설 2 역사 3 경전 4 도교의 신 5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 6 한국의 도교 6.1 삼국 시대 6.2 고려 6.3 조선 7 함께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개설[편집]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는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질 정도이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나,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중국의 민간 신앙으로서의 도교는 중국인의 신앙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즉 중국인은 어떤 종교를 믿든지 그 기본 신앙에는 도교적인 요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교도 여러 가지 파가 있다. 그중에 천사도는 장씨가 교주를 세습하여 현재 대만에도 천사도의 마지막 교주가 생존하고 있다. 신선 · 연단 · 불로장생 · 옥황상제 등을 믿는다. 불교와 교류하면서 서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도교는 엄밀하게 말하면, 신선사상에 중국의 민간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들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에서는 도교와 신선도를 흔히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 · 약학 · 화학 · 연금술(鍊金術)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眞人) · 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교는 현세의 이익을 전적으로 하여 농민 폭동과도 관련을 맺어 송나라 이후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보권(寶卷)》 《공과격(功過格)》 등의 책이 나타났다. 역사[편집] 용호산(龍虎山) 후한(25-220) 말기에 성립된, 장도릉(34-156)을 개조로 하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가 도교의 원류이다. 장도릉의 자손은 장시 성의 용호산(龍虎山)에서 정일교를 개교하였다. 서진(265-317)의 재상의 딸인 위화존(魏華存: 3세기말-4세기)은 모산파 또는 상청파를 열었다. 동진(317-420) 시대에 갈홍(283-c.343)은 《포박자》를 지어 일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 민간신앙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에 이르러 교단도교(敎團道敎)로 확립되어 국가적 종교로 불교와 대립했다.[2] 양나라(502-557)의 도홍경(452-536)은 모산파를 대성하였다. 당(618-907) · 송(960-1279) 시대에는 조정의 지지를 얻어 도교가 성행하였다. 이후 도사들이 퇴폐풍조를 초래하여서 금나라(1115-1234) 때는 혁신 운동이 일어나 전진도(全眞道) · 태일도(太一道) · 진대도(眞大道)의 세 파가 발생하였다. 경전[편집] 도교의 경전으로는 불교의 대장경에 해당하는 도장(道藏)이 있다. 현재의 도장은 5,305권의 《정통도장(正統道藏)》과 180권의 《속장(續藏)》을 합하여 총 5,48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통도장》은 동현(洞玄) · 동진(洞眞) · 동신(洞神)의 "삼동(三洞)"과 태현(太玄) · 태평(太平) · 태청(太淸) · 정일(正一)의 "사보(四輔)"로 구성된 삼동사보(三洞四輔: 세 개의 중심부과 네 개의 보완부)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2] 이러한 구성 체계는 당시에 중국의 한역(漢譯) 불교경전이 체계화되던 것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으로 삼동(三洞)은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 성립되었고 사보(四輔)는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성립되었다.[2] 도교의 신[편집] 용을 타고 있는 세 신선:E. T. C. 베르너, 《중국의 신화와 전설》, 1922 도교는 다신교이다. 도교의 최고신("天尊 · 천존")은 하나인 도(道)의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 · 상청(上清) · 태청(太清)의 삼청(三清 · Three Pure Ones)이다.[1] 옥청은 원시천존(元始天尊), 상청은 영보천존(靈寶天尊) 또는 태상도군(太上道君), 태청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 불린다.[1] 하나인 도(道)가 삼청의 신 또는 신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일기화삼청(一炁化三清: 하나의 기운이 세 가지 맑음으로 나타나다)"이라고 한다.[1] 삼청 (三清 · Three Pure Ones) 원시천존 (元始天尊 · Yuanshi Tianzun)태초의 시작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Primordial Beginning) 영보천존 · 태상도군 (靈寶天尊 · 太上道君 · Lingbao Tianzun)영험한 보석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Numinous Treasure) 도덕천존 · 태상노군 (道德天尊 · 太上老君 · Daode Tianzun)길과 덕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Way and its Virtue) 사어 (四御 · Four Emperors) 옥황상제 · 옥황대제 (玉皇大帝 · Jade Emperor · Yu Huang) 중천자미북극대제 (中天紫微北極大帝 · Beiji Dadi) 구진상궁천황대제 (勾陳上宮天皇大帝 · Tianhuang Dadi) 후천황지기 (后土皇地祇 · Empress of Earth) 팔선 (八仙 · Eight Immortals) 종리권 (鍾離權 · Zhongli Quan) 이철괴 (李鐵拐 · Tie Guaili · Iron-Crutch Li) 한상자 (韓湘子 · Han Xiangzi) 조국구 (曹國舅 · Cao Guojiu · Royal Uncle Cao) 여동빈 (呂洞賓 · Lu Dongbin) 장국로 (張國老 · Zhang Guolao · Elder Zhang Guo) 남채하 (藍采和 · Lan Caihe) 하선고 (何仙姑 · He Xiangu · Immortal Woman He) 서왕모(西王母 · Xi Wangmu) 동방동극청화대제태을구고천존 서방태극천황대제 남방남극장생대제옥청진왕: 원시천존의 9번째 아들 북방북극중천자미대제 승천효법후토황지지 남방남극관음 동방숭은성제 3도10주선옹동화대제군 북방북극현령두모원군 중앙황극황각대선 금광성모 항아 탁탑천왕 나타 이랑진군 토지공 태산대제 뇌공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편집] 도교는 본래 민간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중국의 자연 종교(自然宗敎)이다. 도교는 정령 숭배를 기반으로 하여 신선 사상(神仙思想)을 중심으로 삼고, 거기에 도가(道家) · 역(易) · 음양오행(陰陽五行) · 복서(卜筮) · 참위(讖緯) · 점성(占星) 등의 사상 및 이론과 무격(巫覡: 무당과 박수) 신앙을 가미하고, 다시 그 위에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떠 결합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주목적으로 하는 한편 수(壽: 장수) · 복(福: 오복) · 록(祿: 높은 벼슬)을 구하는 현세이익적인 자연 종교이다. 이 자연 종교로서의 도교는 후대에 종교 교단으로서의 체제와 조직을 갖추어 교단 도교(敎團道敎)가 되었다. 즉,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道藏)》, 도교 사원(寺院)으로서의 도관(道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道士) · 여도사(女道士)의 체제를 갖추어 성립적(成立的) 종교 또는 교단적 종교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대에 따라 도사들 간에 주장의 차이가 생겨나고 이에 따라 많은 분파(分派)가 생겼다. 1910년 경에는 중국에서 140여 개의 도교 종파가 있었다. 이 종파 종교를 성립 도교(成立道敎) 또는 교단 도교(敎團道敎)라 부르고 이에서 벗어난 도교 및 그 집단을 민중 도교(民衆道敎)라고 부른다. 민중 도교는 매우 강한 주술성을 보이며, 고타마 붓다 · 공자 · 관음보살 · 예수 그리스도 · 무함마드 · 관우(關羽) · 토지신 등에 대한 개인적인 신앙을 토대로 형성된 보권(寶卷) 계통의 성격을 띤 종교이다. 민중 도교에 속하는 분파 또는 단체로는 무위교(無爲敎) · 원돈교(圓頓敎) · 홍양교(弘陽敎) · 선천교(先天敎) · 구궁도(九宮道) · 금단팔괘도(金丹八卦道) · 일관도(一貫道)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다. 한국의 도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도교입니다. 삼국 시대[편집] 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기원후 624년의 고구려(BC c.37-AD 668) 영류왕(재위 618-642) 7년 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당나라에서는 천존상(天尊像) · 도법(道法)과 함께 도사(道士)를 파견하였다. 파견된 도사는 노자(老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 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다. 이듬해인 625년에는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와 도교의 교법을 배워왔다. 고구려의 도교와 관련된 다른 기록으로는 643년과 650년의 기록이 있다. 643년의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 2년에는 당시의 실권자인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叔達)을 포함한 도사 8명과 함께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을 보냈다. 고구려 조정에서는 한 사찰에 이들 파견된 도사들이 거처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불교 사원을 도교의 사원인 도관(道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50년의 고구려 보장왕 9년에는 수도인 평양에 있던 반룡사(盤龍寺)의 승려 보덕(普德)이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하여 불교가 쇠퇴하자 이러한 상황을 개탄하며 백제로 옮겨가 전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의 교의를 강론하였다.[3] 이와 같이 고구려에서는 일시적으로 도교를 매우 숭상하였다. 고구려 말기에 융성했던 도교는 《삼국유사》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의 고려본기에서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오두미도였는데, 장도릉이 창시한 최초의 오두미도가 아니라 상당히 수정되고 발전된 형태의 것이었다. 신라(BC 57-AD 935)는 당나라와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였으므로 도교가 상당히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術聖母)를 일명 선도성모(仙桃聖母)라 하여 후세에 여선(女仙)으로 숭배한 일이 있으며, 국가의 제사에 오악신(五岳神)을 받들어 어느 정도 도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는 기록은 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金可紀: ?~859) · 최치원(崔致遠: 857~?) 등은 도교 혹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편집] 고려(918-1392)에 들어와서는 도교를 중시하는 송나라(960-1279)의 풍습이 조금씩 전래하다가 예종(재위 1105-1122) 때에 송나라 휘종(재위 1100-1125)이 도사 두 명을 보내어 도법을 전하였고, 이에 고려에서는 개성(開城)의 북쪽에 복원관(福源觀)이라는 도관(道觀)을 세워 삼청상(三淸像)을 모시고 도사(道士)를 두었다. 그러나 도교는 국가 중심의 도교 의식에 그치고 일반 민중의 종교적 발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성신(星辰)에 대한 신앙, 부적(符籍)의 사용, 경신(庚申)을 지키는 것 등만이 대중화되었다. 도교에서 행하는 제사 및 기도 의식을 재초(齋醮)라고 하는데, 고려에서는 정사색(淨事色)이란 마을이 있어서 여기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편집] 조선에서는 고려의 뒤를 이어 도교의 재초를 행였지만 복원관을 비롯한 여러 재초 거행 장소를 폐지하고 경복궁의 북쪽에 소격서(昭格署)를 한 군데만 두었다. 소격서에 태일전(太一殿) · 삼청전(三淸殿) 등을 세우고 천존(天尊) · 성군(星君) · 신장(神將) 등 수백위(數百位)를 모셔 놓고 때때로 재초를 거행하였다. 지금의 삼청동(三淸洞) · 성제정(星祭井) · 소격동(昭格洞)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는 그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단학(丹學)과 선풍(仙風) 및 도교에서 유래한 풍습이 전대(前代)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나라의 군사들에게서 배운 관우(關羽) 숭배 등이 유행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종교 불교 도장 도안: 도장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불교 승려 손자병법 - 도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VS 오자병법 - 유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역사 > 한국도교의 역사〔개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교 ↑ 가 나 다 라 “道教的神仙系譜” (중국어). 道教全球資訊網. 2009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도교의 성립〉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열반종〉 vdeh종교주요 종교아브라함 계통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바하이교 영지주의 다르마 계통 불교 힌두교 시크교 자이나교 아이야바지교 도(道) 계통 도교 유교 선불교 천도교 원불교 증산도 이란 계통 조로아스터교 미트라교 야지디교 마니교 마즈다크교 신흥 종교 사이언톨로지교 천리교 코피미즘 선교 교회 까오다이교 증산도 현대 이교 통일교 라스타파리 운동 뉴에이지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마라도나교 디스코디어니즘 세이초노이에교 유니테리언주의 이쿠안타오교 전통 종교 및 민간 신앙 부두교 신토 인도 민간 신앙 중국 민간 신앙 마다가스카르 종교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아프리카-아메리카 종교 자바 섬 종교 폴리네시아 종교 필리핀 종교 한국 민간 신앙 호주 토착 종교 고대 종교선사시대 종교 구석기 시대 종교 선교 근동 지역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수메르 종교 고대 셈족 종교 고대 이집트 종교 인도-유럽 고대 그리스 종교 신화 밀의종교 신플라톤주의 고대 로마 종교 신화 태양신 숭배 황제 숭배 미트라교 고(古)발칸반도 종교 독일 이교 베다 힌두교 슬라브 종교 에트루리아 종교 켈트 다신교 하니피즘 유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다신교 범신론/만유신론 비신론 애니미즘/물활론/정령신앙 이신론 일신교/유일신교 초월신론 종교학 비교종교학 신학 이단 종교발달학 종교발생학 종교사학 종교사회학 종교심리학 종교연대표 종교이론 종교인류학 종교철학 창조주의 종교와 사회 개종 개종 권유 선교사 전도/포교 교파의 분리 국교 근본주의/원리주의 내셔널 교회 사이비 종교 성직자 수도 생활 성직자 임명 소수 종교 신권 정치 신파시즘과 종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예언자들 신자 통계 종교교육 종교들의 성장세 종교와 과학 종교와 동성애 종교와 정치 종교의 자유 보편주의 종교적 관용 종교적 다원성 종교혼합주의 종교적 광신 종교적 폭력 종교적 박해 종교적 테러리즘 종교전쟁 세속주의와비종교 무종교 무신론 반종교 불가지론 정교분리 세속화 세속신학 종교 비판/비평 탈구축과 종교 목록 대집회 목록 신 목록 신격화된 인물 목록 신흥 종교 목록 종교 단체 및 조직 목록 종교 및 영적 전통 목록 종교 창시자 목록 종교학자 목록 전거 통제 LCCN: sh85132392 GND: 4059039-2 BNF: cb119335922 (데이터) NDL: 005616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교&oldid=24059420" 분류: 도교도 계통의 종교동아시아의 문화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도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贛語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우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도교 道敎 “ 도를 도라 부르면 이미 도가 아니다. 이름 부를 수 있으나 언제나 그 이름은 아니다. ”   — 《도덕경》 기본교의 도 덕 무극 태극 음양 오행 기 내단술 무위 수행과 의식 적선 벽곡 조식 도인 방중 복이 내사 좌망 재초 인물 황제 노자 장자 열자 장도릉 장각 갈홍 진단 구겸지 신선 삼청 원시천존 영보천존 도덕천존 옥황상제 서왕모 동왕공 현천상제 보생대제 주생랑랑 월로 삼관대제 삼태자 이랑신 팔선 관성제군 마조 문창제군 재신 종규 성황 토지공 구황대제 황대선 구천현녀 청룡 백호 주작 현무 황제 상아 제천대성 역사와 종파 태평도 오두미도·천사도 상청 영보파 전진교 정일도 오류파 경전 노자 도덕경 장자 열자 도장 정통도장 속장 성지 태산 동천 봉래산 지역별 베트남 싱가포르 일본 중국 한국 사상 의식 홍콩 v • d • e • h 도교(道敎, 영어: T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1]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 도교 사원으로서의 도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 · 여도사의 체제를 갖춘 교단 도교(敎團道敎) 또는 성립 도교(成立道敎)와 이에서 벗어난 도교 단체 또는 도교 신앙을 통칭하는 민중 도교(民衆道敎)로 구분한다. 현세이익적인 면도 있지만 수행을 통해 신선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교단 도교에 비해 민중 도교는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도교의 창시자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의 창시자인 후한(25~220)시대의 장도릉(34~156)으로 알려져 있다. "도교"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로, 구겸지는 도교를 집대성한 사람 또는 최초의 교단 도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2]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통치자인 황제(黃帝)와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老子)를 신봉한다고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 또는 황로교(黃老教)라고도 한다. 노자와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한 도가(道家)사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목차 1 개설 2 역사 3 경전 4 도교의 신 5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 6 한국의 도교 6.1 삼국 시대 6.2 고려 6.3 조선 7 함께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개설[편집]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는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질 정도이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나,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중국의 민간 신앙으로서의 도교는 중국인의 신앙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즉 중국인은 어떤 종교를 믿든지 그 기본 신앙에는 도교적인 요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교도 여러 가지 파가 있다. 그중에 천사도는 장씨가 교주를 세습하여 현재 대만에도 천사도의 마지막 교주가 생존하고 있다. 신선 · 연단 · 불로장생 · 옥황상제 등을 믿는다. 불교와 교류하면서 서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도교는 엄밀하게 말하면, 신선사상에 중국의 민간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들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에서는 도교와 신선도를 흔히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 · 약학 · 화학 · 연금술(鍊金術)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眞人) · 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교는 현세의 이익을 전적으로 하여 농민 폭동과도 관련을 맺어 송나라 이후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보권(寶卷)》 《공과격(功過格)》 등의 책이 나타났다. 역사[편집] 용호산(龍虎山) 후한(25-220) 말기에 성립된, 장도릉(34-156)을 개조로 하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가 도교의 원류이다. 장도릉의 자손은 장시 성의 용호산(龍虎山)에서 정일교를 개교하였다. 서진(265-317)의 재상의 딸인 위화존(魏華存: 3세기말-4세기)은 모산파 또는 상청파를 열었다. 동진(317-420) 시대에 갈홍(283-c.343)은 《포박자》를 지어 일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 민간신앙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에 이르러 교단도교(敎團道敎)로 확립되어 국가적 종교로 불교와 대립했다.[2] 양나라(502-557)의 도홍경(452-536)은 모산파를 대성하였다. 당(618-907) · 송(960-1279) 시대에는 조정의 지지를 얻어 도교가 성행하였다. 이후 도사들이 퇴폐풍조를 초래하여서 금나라(1115-1234) 때는 혁신 운동이 일어나 전진도(全眞道) · 태일도(太一道) · 진대도(眞大道)의 세 파가 발생하였다. 경전[편집] 도교의 경전으로는 불교의 대장경에 해당하는 도장(道藏)이 있다. 현재의 도장은 5,305권의 《정통도장(正統道藏)》과 180권의 《속장(續藏)》을 합하여 총 5,48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통도장》은 동현(洞玄) · 동진(洞眞) · 동신(洞神)의 "삼동(三洞)"과 태현(太玄) · 태평(太平) · 태청(太淸) · 정일(正一)의 "사보(四輔)"로 구성된 삼동사보(三洞四輔: 세 개의 중심부과 네 개의 보완부)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2] 이러한 구성 체계는 당시에 중국의 한역(漢譯) 불교경전이 체계화되던 것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으로 삼동(三洞)은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 성립되었고 사보(四輔)는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성립되었다.[2] 도교의 신[편집] 용을 타고 있는 세 신선:E. T. C. 베르너, 《중국의 신화와 전설》, 1922 도교는 다신교이다. 도교의 최고신("天尊 · 천존")은 하나인 도(道)의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 · 상청(上清) · 태청(太清)의 삼청(三清 · Three Pure Ones)이다.[1] 옥청은 원시천존(元始天尊), 상청은 영보천존(靈寶天尊) 또는 태상도군(太上道君), 태청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 불린다.[1] 하나인 도(道)가 삼청의 신 또는 신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일기화삼청(一炁化三清: 하나의 기운이 세 가지 맑음으로 나타나다)"이라고 한다.[1] 삼청 (三清 · Three Pure Ones) 원시천존 (元始天尊 · Yuanshi Tianzun)태초의 시작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Primordial Beginning) 영보천존 · 태상도군 (靈寶天尊 · 太上道君 · Lingbao Tianzun)영험한 보석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Numinous Treasure) 도덕천존 · 태상노군 (道德天尊 · 太上老君 · Daode Tianzun)길과 덕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Way and its Virtue) 사어 (四御 · Four Emperors) 옥황상제 · 옥황대제 (玉皇大帝 · Jade Emperor · Yu Huang) 중천자미북극대제 (中天紫微北極大帝 · Beiji Dadi) 구진상궁천황대제 (勾陳上宮天皇大帝 · Tianhuang Dadi) 후천황지기 (后土皇地祇 · Empress of Earth) 팔선 (八仙 · Eight Immortals) 종리권 (鍾離權 · Zhongli Quan) 이철괴 (李鐵拐 · Tie Guaili · Iron-Crutch Li) 한상자 (韓湘子 · Han Xiangzi) 조국구 (曹國舅 · Cao Guojiu · Royal Uncle Cao) 여동빈 (呂洞賓 · Lu Dongbin) 장국로 (張國老 · Zhang Guolao · Elder Zhang Guo) 남채하 (藍采和 · Lan Caihe) 하선고 (何仙姑 · He Xiangu · Immortal Woman He) 서왕모(西王母 · Xi Wangmu) 동방동극청화대제태을구고천존 서방태극천황대제 남방남극장생대제옥청진왕: 원시천존의 9번째 아들 북방북극중천자미대제 승천효법후토황지지 남방남극관음 동방숭은성제 3도10주선옹동화대제군 북방북극현령두모원군 중앙황극황각대선 금광성모 항아 탁탑천왕 나타 이랑진군 토지공 태산대제 뇌공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편집] 도교는 본래 민간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중국의 자연 종교(自然宗敎)이다. 도교는 정령 숭배를 기반으로 하여 신선 사상(神仙思想)을 중심으로 삼고, 거기에 도가(道家) · 역(易) · 음양오행(陰陽五行) · 복서(卜筮) · 참위(讖緯) · 점성(占星) 등의 사상 및 이론과 무격(巫覡: 무당과 박수) 신앙을 가미하고, 다시 그 위에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떠 결합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주목적으로 하는 한편 수(壽: 장수) · 복(福: 오복) · 록(祿: 높은 벼슬)을 구하는 현세이익적인 자연 종교이다. 이 자연 종교로서의 도교는 후대에 종교 교단으로서의 체제와 조직을 갖추어 교단 도교(敎團道敎)가 되었다. 즉,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道藏)》, 도교 사원(寺院)으로서의 도관(道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道士) · 여도사(女道士)의 체제를 갖추어 성립적(成立的) 종교 또는 교단적 종교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대에 따라 도사들 간에 주장의 차이가 생겨나고 이에 따라 많은 분파(分派)가 생겼다. 1910년 경에는 중국에서 140여 개의 도교 종파가 있었다. 이 종파 종교를 성립 도교(成立道敎) 또는 교단 도교(敎團道敎)라 부르고 이에서 벗어난 도교 및 그 집단을 민중 도교(民衆道敎)라고 부른다. 민중 도교는 매우 강한 주술성을 보이며, 고타마 붓다 · 공자 · 관음보살 · 예수 그리스도 · 무함마드 · 관우(關羽) · 토지신 등에 대한 개인적인 신앙을 토대로 형성된 보권(寶卷) 계통의 성격을 띤 종교이다. 민중 도교에 속하는 분파 또는 단체로는 무위교(無爲敎) · 원돈교(圓頓敎) · 홍양교(弘陽敎) · 선천교(先天敎) · 구궁도(九宮道) · 금단팔괘도(金丹八卦道) · 일관도(一貫道)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다. 한국의 도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도교입니다. 삼국 시대[편집] 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기원후 624년의 고구려(BC c.37-AD 668) 영류왕(재위 618-642) 7년 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당나라에서는 천존상(天尊像) · 도법(道法)과 함께 도사(道士)를 파견하였다. 파견된 도사는 노자(老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 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다. 이듬해인 625년에는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와 도교의 교법을 배워왔다. 고구려의 도교와 관련된 다른 기록으로는 643년과 650년의 기록이 있다. 643년의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 2년에는 당시의 실권자인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叔達)을 포함한 도사 8명과 함께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을 보냈다. 고구려 조정에서는 한 사찰에 이들 파견된 도사들이 거처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불교 사원을 도교의 사원인 도관(道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50년의 고구려 보장왕 9년에는 수도인 평양에 있던 반룡사(盤龍寺)의 승려 보덕(普德)이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하여 불교가 쇠퇴하자 이러한 상황을 개탄하며 백제로 옮겨가 전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의 교의를 강론하였다.[3] 이와 같이 고구려에서는 일시적으로 도교를 매우 숭상하였다. 고구려 말기에 융성했던 도교는 《삼국유사》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의 고려본기에서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오두미도였는데, 장도릉이 창시한 최초의 오두미도가 아니라 상당히 수정되고 발전된 형태의 것이었다. 신라(BC 57-AD 935)는 당나라와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였으므로 도교가 상당히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術聖母)를 일명 선도성모(仙桃聖母)라 하여 후세에 여선(女仙)으로 숭배한 일이 있으며, 국가의 제사에 오악신(五岳神)을 받들어 어느 정도 도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는 기록은 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金可紀: ?~859) · 최치원(崔致遠: 857~?) 등은 도교 혹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편집] 고려(918-1392)에 들어와서는 도교를 중시하는 송나라(960-1279)의 풍습이 조금씩 전래하다가 예종(재위 1105-1122) 때에 송나라 휘종(재위 1100-1125)이 도사 두 명을 보내어 도법을 전하였고, 이에 고려에서는 개성(開城)의 북쪽에 복원관(福源觀)이라는 도관(道觀)을 세워 삼청상(三淸像)을 모시고 도사(道士)를 두었다. 그러나 도교는 국가 중심의 도교 의식에 그치고 일반 민중의 종교적 발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성신(星辰)에 대한 신앙, 부적(符籍)의 사용, 경신(庚申)을 지키는 것 등만이 대중화되었다. 도교에서 행하는 제사 및 기도 의식을 재초(齋醮)라고 하는데, 고려에서는 정사색(淨事色)이란 마을이 있어서 여기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편집] 조선에서는 고려의 뒤를 이어 도교의 재초를 행였지만 복원관을 비롯한 여러 재초 거행 장소를 폐지하고 경복궁의 북쪽에 소격서(昭格署)를 한 군데만 두었다. 소격서에 태일전(太一殿) · 삼청전(三淸殿) 등을 세우고 천존(天尊) · 성군(星君) · 신장(神將) 등 수백위(數百位)를 모셔 놓고 때때로 재초를 거행하였다. 지금의 삼청동(三淸洞) · 성제정(星祭井) · 소격동(昭格洞)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는 그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단학(丹學)과 선풍(仙風) 및 도교에서 유래한 풍습이 전대(前代)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나라의 군사들에게서 배운 관우(關羽) 숭배 등이 유행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종교 불교 도장 도안: 도장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불교 승려 손자병법 - 도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VS 오자병법 - 유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역사 > 한국도교의 역사〔개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교 ↑ 가 나 다 라 “道教的神仙系譜” (중국어). 道教全球資訊網. 2009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도교의 성립〉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열반종〉 vdeh종교주요 종교아브라함 계통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바하이교 영지주의 다르마 계통 불교 힌두교 시크교 자이나교 아이야바지교 도(道) 계통 도교 유교 선불교 천도교 원불교 증산도 이란 계통 조로아스터교 미트라교 야지디교 마니교 마즈다크교 신흥 종교 사이언톨로지교 천리교 코피미즘 선교 교회 까오다이교 증산도 현대 이교 통일교 라스타파리 운동 뉴에이지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마라도나교 디스코디어니즘 세이초노이에교 유니테리언주의 이쿠안타오교 전통 종교 및 민간 신앙 부두교 신토 인도 민간 신앙 중국 민간 신앙 마다가스카르 종교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아프리카-아메리카 종교 자바 섬 종교 폴리네시아 종교 필리핀 종교 한국 민간 신앙 호주 토착 종교 고대 종교선사시대 종교 구석기 시대 종교 선교 근동 지역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수메르 종교 고대 셈족 종교 고대 이집트 종교 인도-유럽 고대 그리스 종교 신화 밀의종교 신플라톤주의 고대 로마 종교 신화 태양신 숭배 황제 숭배 미트라교 고(古)발칸반도 종교 독일 이교 베다 힌두교 슬라브 종교 에트루리아 종교 켈트 다신교 하니피즘 유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다신교 범신론/만유신론 비신론 애니미즘/물활론/정령신앙 이신론 일신교/유일신교 초월신론 종교학 비교종교학 신학 이단 종교발달학 종교발생학 종교사학 종교사회학 종교심리학 종교연대표 종교이론 종교인류학 종교철학 창조주의 종교와 사회 개종 개종 권유 선교사 전도/포교 교파의 분리 국교 근본주의/원리주의 내셔널 교회 사이비 종교 성직자 수도 생활 성직자 임명 소수 종교 신권 정치 신파시즘과 종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예언자들 신자 통계 종교교육 종교들의 성장세 종교와 과학 종교와 동성애 종교와 정치 종교의 자유 보편주의 종교적 관용 종교적 다원성 종교혼합주의 종교적 광신 종교적 폭력 종교적 박해 종교적 테러리즘 종교전쟁 세속주의와비종교 무종교 무신론 반종교 불가지론 정교분리 세속화 세속신학 종교 비판/비평 탈구축과 종교 목록 대집회 목록 신 목록 신격화된 인물 목록 신흥 종교 목록 종교 단체 및 조직 목록 종교 및 영적 전통 목록 종교 창시자 목록 종교학자 목록 전거 통제 LCCN: sh85132392 GND: 4059039-2 BNF: cb119335922 (데이터) NDL: 005616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교&oldid=24059420" 분류: 도교도 계통의 종교동아시아의 문화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도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贛語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우류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우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도교 道敎 “ 도를 도라 부르면 이미 도가 아니다. 이름 부를 수 있으나 언제나 그 이름은 아니다. ”   — 《도덕경》 기본교의 도 덕 무극 태극 음양 오행 기 내단술 무위 수행과 의식 적선 벽곡 조식 도인 방중 복이 내사 좌망 재초 인물 황제 노자 장자 열자 장도릉 장각 갈홍 진단 구겸지 신선 삼청 원시천존 영보천존 도덕천존 옥황상제 서왕모 동왕공 현천상제 보생대제 주생랑랑 월로 삼관대제 삼태자 이랑신 팔선 관성제군 마조 문창제군 재신 종규 성황 토지공 구황대제 황대선 구천현녀 청룡 백호 주작 현무 황제 상아 제천대성 역사와 종파 태평도 오두미도·천사도 상청 영보파 전진교 정일도 오류파 경전 노자 도덕경 장자 열자 도장 정통도장 속장 성지 태산 동천 봉래산 지역별 베트남 싱가포르 일본 중국 한국 사상 의식 홍콩 v • d • e • h 도교(道敎, 영어: Taoism)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 · 오행 · 복서 · 무축 · 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했다. 도교는 하나인 도(道)의 세 가지 모습인 옥청(玉清: 원시천존) · 상청(上清: 영보천존) · 태청(太清: 도덕천존)의 삼청(三清)을 최고신으로 하는 다신교이다.[1] 경전으로는 도교 성전의 집성인 《도장(道藏)》이 있다. 도교의 신자를 도교인 또는 도교도라고 하며, 우화등선(羽化登仙)을 목표로 하는 무리라는 뜻에서 우류(羽流)라고 하기도 한다. 도사(道士)는 도교의 전문적 종교가이며 여성 도사는 여관(女冠)이라고 한다. 도교는 크게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 도교 사원으로서의 도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 · 여도사의 체제를 갖춘 교단 도교(敎團道敎) 또는 성립 도교(成立道敎)와 이에서 벗어난 도교 단체 또는 도교 신앙을 통칭하는 민중 도교(民衆道敎)로 구분한다. 현세이익적인 면도 있지만 수행을 통해 신선이 되는 길을 가르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교단 도교에 비해 민중 도교는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도교의 창시자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의 창시자인 후한(25~220)시대의 장도릉(34~156)으로 알려져 있다. "도교"라는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로, 구겸지는 도교를 집대성한 사람 또는 최초의 교단 도교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2]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통치자인 황제(黃帝)와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老子)를 신봉한다고 하여 황로사상(黃老思想) 또는 황로교(黃老教)라고도 한다. 노자와 장자(莊子)를 중심으로 한 도가(道家)사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목차 1 개설 2 역사 3 경전 4 도교의 신 5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 6 한국의 도교 6.1 삼국 시대 6.2 고려 6.3 조선 7 함께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개설[편집] 도가와 도교는 사상과 신앙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도가의 이론가라 할 수 있는 노자는 종교로서의 도교에서는 신선으로, 옥황상제에 버금가는 신격화가 이루어질 정도이다. 도가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주축으로 하나, 도교는 노자의 저서인 《도덕경》에 절대적인 권위를 부여하고 경전화하였다. 중국의 민간 신앙으로서의 도교는 중국인의 신앙 체계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즉 중국인은 어떤 종교를 믿든지 그 기본 신앙에는 도교적인 요소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도교도 여러 가지 파가 있다. 그중에 천사도는 장씨가 교주를 세습하여 현재 대만에도 천사도의 마지막 교주가 생존하고 있다. 신선 · 연단 · 불로장생 · 옥황상제 등을 믿는다. 불교와 교류하면서 서로 강력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도교는 엄밀하게 말하면, 신선사상에 중국의 민간신앙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종교다. 흔히들 "유불선" 삼교라고는 말하지만 "유불도" 삼교라고는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에서는 도교와 신선도를 흔히 같은 단어로 이해한다. 그 골자는 불로장생에 있으며, 의학 · 약학 · 화학 · 연금술(鍊金術)을 동반하고, 그 위에 신비적인 방술(方術)을 닦음으로써 스스로 진인(眞人) · 신인(神人) 또는 선인(仙人)이 되기를 원한다. 도교가 백성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유교의 성리학처럼 배타주의나 편향주의로 나아가지 않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조화로움을 지녔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으로서의 도교는 현세의 이익을 전적으로 하여 농민 폭동과도 관련을 맺어 송나라 이후 《태상감응편(太上感應篇)》 《보권(寶卷)》 《공과격(功過格)》 등의 책이 나타났다. 역사[편집] 용호산(龍虎山) 후한(25-220) 말기에 성립된, 장도릉(34-156)을 개조로 하는 오두미도 또는 천사도가 도교의 원류이다. 장도릉의 자손은 장시 성의 용호산(龍虎山)에서 정일교를 개교하였다. 서진(265-317)의 재상의 딸인 위화존(魏華存: 3세기말-4세기)은 모산파 또는 상청파를 열었다. 동진(317-420) 시대에 갈홍(283-c.343)은 《포박자》를 지어 일파를 열었다. 하지만 아직 민간신앙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북위(386-534)의 구겸지(365-448)에 이르러 교단도교(敎團道敎)로 확립되어 국가적 종교로 불교와 대립했다.[2] 양나라(502-557)의 도홍경(452-536)은 모산파를 대성하였다. 당(618-907) · 송(960-1279) 시대에는 조정의 지지를 얻어 도교가 성행하였다. 이후 도사들이 퇴폐풍조를 초래하여서 금나라(1115-1234) 때는 혁신 운동이 일어나 전진도(全眞道) · 태일도(太一道) · 진대도(眞大道)의 세 파가 발생하였다. 경전[편집] 도교의 경전으로는 불교의 대장경에 해당하는 도장(道藏)이 있다. 현재의 도장은 5,305권의 《정통도장(正統道藏)》과 180권의 《속장(續藏)》을 합하여 총 5,485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통도장》은 동현(洞玄) · 동진(洞眞) · 동신(洞神)의 "삼동(三洞)"과 태현(太玄) · 태평(太平) · 태청(太淸) · 정일(正一)의 "사보(四輔)"로 구성된 삼동사보(三洞四輔: 세 개의 중심부과 네 개의 보완부)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2] 이러한 구성 체계는 당시에 중국의 한역(漢譯) 불교경전이 체계화되던 것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으로 삼동(三洞)은 4세기말에서 5세기초에 성립되었고 사보(四輔)는 5세기말에서 6세기초에 성립되었다.[2] 도교의 신[편집] 용을 타고 있는 세 신선:E. T. C. 베르너, 《중국의 신화와 전설》, 1922 도교는 다신교이다. 도교의 최고신("天尊 · 천존")은 하나인 도(道)의 다른 모습인 옥청(玉清) · 상청(上清) · 태청(太清)의 삼청(三清 · Three Pure Ones)이다.[1] 옥청은 원시천존(元始天尊), 상청은 영보천존(靈寶天尊) 또는 태상도군(太上道君), 태청은 도덕천존(道德天尊) 또는 태상노군(太上老君)이라 불린다.[1] 하나인 도(道)가 삼청의 신 또는 신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일기화삼청(一炁化三清: 하나의 기운이 세 가지 맑음으로 나타나다)"이라고 한다.[1] 삼청 (三清 · Three Pure Ones) 원시천존 (元始天尊 · Yuanshi Tianzun)태초의 시작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Primordial Beginning) 영보천존 · 태상도군 (靈寶天尊 · 太上道君 · Lingbao Tianzun)영험한 보석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Numinous Treasure) 도덕천존 · 태상노군 (道德天尊 · 太上老君 · Daode Tianzun)길과 덕으로서의 우주적인 존재(Universal Lord of the Way and its Virtue) 사어 (四御 · Four Emperors) 옥황상제 · 옥황대제 (玉皇大帝 · Jade Emperor · Yu Huang) 중천자미북극대제 (中天紫微北極大帝 · Beiji Dadi) 구진상궁천황대제 (勾陳上宮天皇大帝 · Tianhuang Dadi) 후천황지기 (后土皇地祇 · Empress of Earth) 팔선 (八仙 · Eight Immortals) 종리권 (鍾離權 · Zhongli Quan) 이철괴 (李鐵拐 · Tie Guaili · Iron-Crutch Li) 한상자 (韓湘子 · Han Xiangzi) 조국구 (曹國舅 · Cao Guojiu · Royal Uncle Cao) 여동빈 (呂洞賓 · Lu Dongbin) 장국로 (張國老 · Zhang Guolao · Elder Zhang Guo) 남채하 (藍采和 · Lan Caihe) 하선고 (何仙姑 · He Xiangu · Immortal Woman He) 서왕모(西王母 · Xi Wangmu) 동방동극청화대제태을구고천존 서방태극천황대제 남방남극장생대제옥청진왕: 원시천존의 9번째 아들 북방북극중천자미대제 승천효법후토황지지 남방남극관음 동방숭은성제 3도10주선옹동화대제군 북방북극현령두모원군 중앙황극황각대선 금광성모 항아 탁탑천왕 나타 이랑진군 토지공 태산대제 뇌공 교단 도교와 민중 도교[편집] 도교는 본래 민간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중국의 자연 종교(自然宗敎)이다. 도교는 정령 숭배를 기반으로 하여 신선 사상(神仙思想)을 중심으로 삼고, 거기에 도가(道家) · 역(易) · 음양오행(陰陽五行) · 복서(卜筮) · 참위(讖緯) · 점성(占星) 등의 사상 및 이론과 무격(巫覡: 무당과 박수) 신앙을 가미하고, 다시 그 위에 불교의 체제와 조직을 본떠 결합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주목적으로 하는 한편 수(壽: 장수) · 복(福: 오복) · 록(祿: 높은 벼슬)을 구하는 현세이익적인 자연 종교이다. 이 자연 종교로서의 도교는 후대에 종교 교단으로서의 체제와 조직을 갖추어 교단 도교(敎團道敎)가 되었다. 즉, 도교 경전으로서의 《도장(道藏)》, 도교 사원(寺院)으로서의 도관(道觀), 도교의 성직자 또는 전문적인 종교인으로서 도사(道士) · 여도사(女道士)의 체제를 갖추어 성립적(成立的) 종교 또는 교단적 종교가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시대에 따라 도사들 간에 주장의 차이가 생겨나고 이에 따라 많은 분파(分派)가 생겼다. 1910년 경에는 중국에서 140여 개의 도교 종파가 있었다. 이 종파 종교를 성립 도교(成立道敎) 또는 교단 도교(敎團道敎)라 부르고 이에서 벗어난 도교 및 그 집단을 민중 도교(民衆道敎)라고 부른다. 민중 도교는 매우 강한 주술성을 보이며, 고타마 붓다 · 공자 · 관음보살 · 예수 그리스도 · 무함마드 · 관우(關羽) · 토지신 등에 대한 개인적인 신앙을 토대로 형성된 보권(寶卷) 계통의 성격을 띤 종교이다. 민중 도교에 속하는 분파 또는 단체로는 무위교(無爲敎) · 원돈교(圓頓敎) · 홍양교(弘陽敎) · 선천교(先天敎) · 구궁도(九宮道) · 금단팔괘도(金丹八卦道) · 일관도(一貫道)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전적으로 현세이익적이다. 한국의 도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국의 도교입니다. 삼국 시대[편집] 한반도로 도교가 전래된 첫 기록은 기원후 624년의 고구려(BC c.37-AD 668) 영류왕(재위 618-642) 7년 때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영류왕은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도교가 들어올 수 있도록 도와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당나라에서는 천존상(天尊像) · 도법(道法)과 함께 도사(道士)를 파견하였다. 파견된 도사는 노자(老子)의 도법을 강의하였는데 영류왕과 수천 명의 고구려인들이 강의를 들었다. 이듬해인 625년에는 고구려에서 학인들이 당나라로 파견되어 불교와 도교의 교법을 배워왔다. 고구려의 도교와 관련된 다른 기록으로는 643년과 650년의 기록이 있다. 643년의 고구려의 마지막 왕인 보장왕 2년에는 당시의 실권자인 연개소문(淵蓋蘇文)의 건의로 당나라에서 숙달(叔達)을 포함한 도사 8명과 함께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을 보냈다. 고구려 조정에서는 한 사찰에 이들 파견된 도사들이 거처하게 하였는데, 이것은 불교 사원을 도교의 사원인 도관(道觀)으로 삼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50년의 고구려 보장왕 9년에는 수도인 평양에 있던 반룡사(盤龍寺)의 승려 보덕(普德)이 고구려에서 국가적으로 도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경시하여 불교가 쇠퇴하자 이러한 상황을 개탄하며 백제로 옮겨가 전주에 경복사(景福寺)를 세우고 열반종의 교의를 강론하였다.[3] 이와 같이 고구려에서는 일시적으로 도교를 매우 숭상하였다. 고구려 말기에 융성했던 도교는 《삼국유사》보장봉로조(寶藏奉老條)의 고려본기에서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오두미도였는데, 장도릉이 창시한 최초의 오두미도가 아니라 상당히 수정되고 발전된 형태의 것이었다. 신라(BC 57-AD 935)는 당나라와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였으므로 도교가 상당히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자세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국모신(國母神)인 서술성모(西術聖母)를 일명 선도성모(仙桃聖母)라 하여 후세에 여선(女仙)으로 숭배한 일이 있으며, 국가의 제사에 오악신(五岳神)을 받들어 어느 정도 도교적 색채를 띠게 되었다는 기록은 있다. 신라 말기의 김가기(金可紀: ?~859) · 최치원(崔致遠: 857~?) 등은 도교 혹은 신선사상과 관련이 깊은 인물이었다. 고려[편집] 고려(918-1392)에 들어와서는 도교를 중시하는 송나라(960-1279)의 풍습이 조금씩 전래하다가 예종(재위 1105-1122) 때에 송나라 휘종(재위 1100-1125)이 도사 두 명을 보내어 도법을 전하였고, 이에 고려에서는 개성(開城)의 북쪽에 복원관(福源觀)이라는 도관(道觀)을 세워 삼청상(三淸像)을 모시고 도사(道士)를 두었다. 그러나 도교는 국가 중심의 도교 의식에 그치고 일반 민중의 종교적 발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였고, 성신(星辰)에 대한 신앙, 부적(符籍)의 사용, 경신(庚申)을 지키는 것 등만이 대중화되었다. 도교에서 행하는 제사 및 기도 의식을 재초(齋醮)라고 하는데, 고려에서는 정사색(淨事色)이란 마을이 있어서 여기에서 재초가 행해졌다. 조선[편집] 조선에서는 고려의 뒤를 이어 도교의 재초를 행였지만 복원관을 비롯한 여러 재초 거행 장소를 폐지하고 경복궁의 북쪽에 소격서(昭格署)를 한 군데만 두었다. 소격서에 태일전(太一殿) · 삼청전(三淸殿) 등을 세우고 천존(天尊) · 성군(星君) · 신장(神將) 등 수백위(數百位)를 모셔 놓고 때때로 재초를 거행하였다. 지금의 삼청동(三淸洞) · 성제정(星祭井) · 소격동(昭格洞) 등이 당시의 도교 유적이다. 조선에서 도교는 국가적으로는 그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쇠퇴일로를 걷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단학(丹學)과 선풍(仙風) 및 도교에서 유래한 풍습이 전대(前代)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나라의 군사들에게서 배운 관우(關羽) 숭배 등이 유행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종교 불교 도장 도안: 도장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불교 승려 손자병법 - 도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VS 오자병법 - 유교철학에 기초한 병법서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도교 > 한국도교의 역사 > 한국도교의 역사〔개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도교 ↑ 가 나 다 라 “道教的神仙系譜” (중국어). 道教全球資訊網. 2009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도교의 성립〉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열반종〉 vdeh종교주요 종교아브라함 계통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드루즈교 만다야교 바하이교 영지주의 다르마 계통 불교 힌두교 시크교 자이나교 아이야바지교 도(道) 계통 도교 유교 선불교 천도교 원불교 증산도 이란 계통 조로아스터교 미트라교 야지디교 마니교 마즈다크교 신흥 종교 사이언톨로지교 천리교 코피미즘 선교 교회 까오다이교 증산도 현대 이교 통일교 라스타파리 운동 뉴에이지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마라도나교 디스코디어니즘 세이초노이에교 유니테리언주의 이쿠안타오교 전통 종교 및 민간 신앙 부두교 신토 인도 민간 신앙 중국 민간 신앙 마다가스카르 종교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 아프리카 전통 종교 아프리카-아메리카 종교 자바 섬 종교 폴리네시아 종교 필리핀 종교 한국 민간 신앙 호주 토착 종교 고대 종교선사시대 종교 구석기 시대 종교 선교 근동 지역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수메르 종교 고대 셈족 종교 고대 이집트 종교 인도-유럽 고대 그리스 종교 신화 밀의종교 신플라톤주의 고대 로마 종교 신화 태양신 숭배 황제 숭배 미트라교 고(古)발칸반도 종교 독일 이교 베다 힌두교 슬라브 종교 에트루리아 종교 켈트 다신교 하니피즘 유신론 내재신론/만유내재신론 다신교 범신론/만유신론 비신론 애니미즘/물활론/정령신앙 이신론 일신교/유일신교 초월신론 종교학 비교종교학 신학 이단 종교발달학 종교발생학 종교사학 종교사회학 종교심리학 종교연대표 종교이론 종교인류학 종교철학 창조주의 종교와 사회 개종 개종 권유 선교사 전도/포교 교파의 분리 국교 근본주의/원리주의 내셔널 교회 사이비 종교 성직자 수도 생활 성직자 임명 소수 종교 신권 정치 신파시즘과 종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예언자들 신자 통계 종교교육 종교들의 성장세 종교와 과학 종교와 동성애 종교와 정치 종교의 자유 보편주의 종교적 관용 종교적 다원성 종교혼합주의 종교적 광신 종교적 폭력 종교적 박해 종교적 테러리즘 종교전쟁 세속주의와비종교 무종교 무신론 반종교 불가지론 정교분리 세속화 세속신학 종교 비판/비평 탈구축과 종교 목록 대집회 목록 신 목록 신격화된 인물 목록 신흥 종교 목록 종교 단체 및 조직 목록 종교 및 영적 전통 목록 종교 창시자 목록 종교학자 목록 전거 통제 LCCN: sh85132392 GND: 4059039-2 BNF: cb119335922 (데이터) NDL: 0056167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교&oldid=24059420" 분류: 도교도 계통의 종교동아시아의 문화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도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贛語Galegoગુજરાતી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자흐스탄 텡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자흐스탄 텡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자흐스탄 텡게 Қазақ теңгесі (카자흐어)Казахский тенге (러시아어) 200 텡게 (새 디자인) 5, 10, 20, 50과 2,000 텡게 (구 디자인) ISO 4217 코드 KZT 중앙은행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웹사이트 www.nationalbank.kz 사용국 카자흐스탄 인플레이션 5.950% p.a. (2012년 2월 1일 현재) 출처 Basic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homepage 보조단위 1/100 tïın (тиын) 기호 , ₸ 복수형 이 통화의 언어는 형태학적 복수 구분이 없다. 동전 자주 사용됨 1, 2, 5, 10, 20, 50, 100 텡게 지폐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텡게 텡게 (카자흐어: теңге)는 카자흐스탄의 통화이다. 텡게는 100 틴(тиын, 물론 tiyin이나 tijn으로도 번역됨)으로 나뉘어 있다.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에 1 텡게 = 500 루블의 비율로 소련 루블을 대체하고 새로운 카자흐스탄의 화폐로 도입되었다. ISO 4217 부호는 KZT 이다. 카자흐어와 대부분의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텡게"라는 단어는 여러개의 체중계를 의미한다. 단어의 기원은 균형, 평등을 뜻하는 터키어 teğ- 이다. 화폐의 이름은 따라서 리라, 파운드, 페소와 유사하다. 화폐의 이름은 러시아어 단어로 돈을 뜻하는 러시아어: деньги / den’gi 와 관계가 있는데, 이 러시아 단어는 터키어에서 빌려왔다. 목차 1 역사 2 동전 3 지폐 3.1 2006년 지폐 4 인플레이션율 5 출처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자흐스탄은 독립국가연합 중 자국 통화를 가장 늦게 도입한 나라 중 하나다. 1991년 디자이너 멘디베이 알린(Mendybay Alin), 티무르 술레이메노프(Timur Suleymenov), 아심살리 두젤하노프(Asimsaly Duzelkhanov)와 하이룰라 갑잘리노프(Khayrulla Gabzhalilov)로 구성된 "특별 조직"이 창립되었고, 1993년 11월 12일,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의 권한으로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 통화 도입에 관한 법령"이 공포되었다. 결국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부터 유통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로, 11월 15일은 "카자흐스탄 공화국 법정 통화의 날"로 지정 되었다. 1995년 텡게를 인쇄하는 공장이 처음으로 열렸다. 텡게의 첫 위탁은 해외인 영국에서 인쇄되었다. 첫 동전은 독일에서 주조되었다. 새 기호 나브루즈 휴일 이틀 전인 2007년 3월 20일,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텡게의 그림 기호를 승인하였다..[1] 동전[편집] 1, 2, 5, 10, 20, 50, 100 텡게 동전 1993년, 동전은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텡게의 종류로 도입되었다. 50 텡게는 1997년에 도입되었고, 2002년에 200 텡게, 2005년에는 2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동전은: 1 텡게 (황동) 2 텡게 (황동) 5 텡게 (황동) 10 텡게 (황동) 20 텡게 (백동) 50 텡게 (백동) 100 텡게 (바이메탈 동전, 황동과 백동) 가 있다. 기념주화는 20, 50, 100, 500, 1000, 2500, 5000, 10000 텡게의 종류로 발행되었다. 지폐[편집] 1993년,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1,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50, 100, 200 텡게의 종류로 지폐를 발행했다. 이 지폐는 500 과 1000 텡게 지폐는 1994년에 도입되었고, 2000 텡게 지폐는 1996년, 1998년에는 5000 텡게, 2003년에는 10,000 텡게, 2016년에 20,000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지폐는 200 텡게 (구 디자인) 2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흐와자 아마드 야사비 (Khwaja Ahmad Yasavi) 영묘의 조각 1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2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10,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눈표범의 그림. 20,000 텡게 가 있다. 흥미 있게, 비록 (200 텡게 지폐를 제외한) 나머지 지폐 뒷면의 문자는 러시아어로 씌어 있으나, 200 텡게 지폐 뒷면의 문자는 카자흐어어로 씌어 있다. 2006년 지폐[편집] 새 2006년 10,000 텡게 디자인 (영어) 공식 사이트를 보시오.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새 지폐를 2006년 발행했다. 새 지폐는 이전에 있던 지폐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시리즈는 전 지폐보다 훨씬 더 이국적이다. 지폐의 앞면은 수직이고 액면 금액은 카자흐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에 걸친 주요 차이점은 색, 가치, 언더프린트 (underprint, 지폐나 우표 뒷면에 선전의 용도로 찍혀 있는 문자나 기호) 패턴 뿐이다. 그와는 반대로, 지폐의 뒷면은 좀 더 차별화 되었다. 액면 금액은 러시아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는 카자흐스탄 영토 내에 있는 그들만의 독특한 건물이나 자연을 나타낸다. 2006년에 발행된 2,000, 5,000 텡게 지폐의 초판 지폐는 "은행"이라는 단어를 잘못 철자했다(옳은 스펠링 "банкі"을 "банқі"로 잘못 철자했다). 틀린 철자는 카자흐스탄의 문화와 언어의 정치적 중요성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예민한 발행이었다.[2] 인플레이션율[편집] 년도 연인플레이션율 2001     6.4% 2002     6.6% 2003     5.7% 2004     7.9% 2005     9% 2006     8.6% 2007     18.8% 2008     9.5% 1000 tenge commemorative banknote for 2010 year - the Chairmanship of Kazakhstan in OSCE 현재 KZT 환율 구글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야후!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kr.Investing.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XE.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OANDA.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fxtop.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출처[편집] ↑ “보관 된 사본”. 200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3일에 확인함.  ↑ Kazakh central bank misspells ‘bank’ on money 외부 링크[편집] News from the National Bank of Kazakhstan (카자흐어/러시아어/영어) 텡게 2006 구소련의 동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통화 기호 (¤)유통 중 ؋ ₿ ฿ ₵ ¢ ₡ $ ₫ ֏ € ƒ ₲ ₴ ₭ ₾ £ / ₤ ₺ ₼ ₦ ₱ ៛ ₽ ₹ $ ₪ ৳ ₸ ₮ ₩ ¥ 옛 통화 ₳ ₢ ₰ DM ₯ ₠ ₣ ℳ ₥ ₧ ℛℳ ₷ vdeh유럽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유럽 연합 영국 파운드 스털링 불가리아 레프 크로아티아 쿠나 체코 코루나 덴마크 크로네 유로 지브롤터 파운드 헝가리 포린트 폴란드 즈워티 루마니아 레우 스웨덴 크로나 동부 벨라루스 루블 조지아 라리 몰도바 레우 러시아 루블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미승인)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남부 알바니아 레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환 마르카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 디나르 터키 리라 서부 페로 제도 크로나 건지섬 파운드 아이슬란드 크로나 저지섬 파운드 맨섬 파운드 노르웨이 크로네 스위스 프랑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아시아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텡게 키르기스스탄 솜 타지키스탄 소모니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우즈베키스탄 숨 동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마카오 파타카 일본 엔 대한민국 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몽골 투그릭 신 타이완 달러 북아시아 러시아 루블 남아시아 방글라데시 타카 부탄 뉘땀 인도 루피 부탄 몰디브 루피야 네팔 루피 파키스탄 루피 스리랑카 루피 미국 달러 영국령 인도양 지역 동남아시아 브루나이 달러 싱가포르 미얀마 짯 캄보디아 리엘 동티모르 센타부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루피아 라오스 킵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태국 밧 미국 달러 베트남 동 서아시아 압하지야 압사르 인정받지 못함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아르메니아 드람 아르차흐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바레인 디나르 이집트 파운드 가자 지구 유로 키프로스 조지아 라리 이란 리알 이라크 디나르 이스라엘 신 셰켈 팔레스타인 영토 요르단 디나르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쿠웨이트 디나르 레바논 파운드 아르차흐 드람 인정받지 못함 오만 리알 러시아 루블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카타르 리얄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시리아 파운드 터키 리라 북키프로스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예멘 리알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자흐스탄_텡게&oldid=24185093" 분류: 통화 기호유럽의 통화유통통화아시아의 통화카자흐스탄의 경제숨은 분류: 카자흐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оми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자흐스탄 텡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자흐스탄 텡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자흐스탄 텡게 Қазақ теңгесі (카자흐어)Казахский тенге (러시아어) 200 텡게 (새 디자인) 5, 10, 20, 50과 2,000 텡게 (구 디자인) ISO 4217 코드 KZT 중앙은행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웹사이트 www.nationalbank.kz 사용국 카자흐스탄 인플레이션 5.950% p.a. (2012년 2월 1일 현재) 출처 Basic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homepage 보조단위 1/100 tïın (тиын) 기호 , ₸ 복수형 이 통화의 언어는 형태학적 복수 구분이 없다. 동전 자주 사용됨 1, 2, 5, 10, 20, 50, 100 텡게 지폐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텡게 텡게 (카자흐어: теңге)는 카자흐스탄의 통화이다. 텡게는 100 틴(тиын, 물론 tiyin이나 tijn으로도 번역됨)으로 나뉘어 있다.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에 1 텡게 = 500 루블의 비율로 소련 루블을 대체하고 새로운 카자흐스탄의 화폐로 도입되었다. ISO 4217 부호는 KZT 이다. 카자흐어와 대부분의 투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텡게"라는 단어는 여러개의 체중계를 의미한다. 단어의 기원은 균형, 평등을 뜻하는 터키어 teğ- 이다. 화폐의 이름은 따라서 리라, 파운드, 페소와 유사하다. 화폐의 이름은 러시아어 단어로 돈을 뜻하는 러시아어: деньги / den’gi 와 관계가 있는데, 이 러시아 단어는 터키어에서 빌려왔다. 목차 1 역사 2 동전 3 지폐 3.1 2006년 지폐 4 인플레이션율 5 출처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자흐스탄은 독립국가연합 중 자국 통화를 가장 늦게 도입한 나라 중 하나다. 1991년 디자이너 멘디베이 알린(Mendybay Alin), 티무르 술레이메노프(Timur Suleymenov), 아심살리 두젤하노프(Asimsaly Duzelkhanov)와 하이룰라 갑잘리노프(Khayrulla Gabzhalilov)로 구성된 "특별 조직"이 창립되었고, 1993년 11월 12일, 카자흐스탄의 대통령의 권한으로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 통화 도입에 관한 법령"이 공포되었다. 결국 텡게는 1993년 11월 15일부터 유통되었다. 이와 같은 관계로, 11월 15일은 "카자흐스탄 공화국 법정 통화의 날"로 지정 되었다. 1995년 텡게를 인쇄하는 공장이 처음으로 열렸다. 텡게의 첫 위탁은 해외인 영국에서 인쇄되었다. 첫 동전은 독일에서 주조되었다. 새 기호 나브루즈 휴일 이틀 전인 2007년 3월 20일,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텡게의 그림 기호를 승인하였다..[1] 동전[편집] 1, 2, 5, 10, 20, 50, 100 텡게 동전 1993년, 동전은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텡게의 종류로 도입되었다. 50 텡게는 1997년에 도입되었고, 2002년에 200 텡게, 2005년에는 2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동전은: 1 텡게 (황동) 2 텡게 (황동) 5 텡게 (황동) 10 텡게 (황동) 20 텡게 (백동) 50 텡게 (백동) 100 텡게 (바이메탈 동전, 황동과 백동) 가 있다. 기념주화는 20, 50, 100, 500, 1000, 2500, 5000, 10000 텡게의 종류로 발행되었다. 지폐[편집] 1993년,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1, 2, 5, 10, 20, 50 틴, 1, 3, 5, 10, 20, 50, 100, 200 텡게의 종류로 지폐를 발행했다. 이 지폐는 500 과 1000 텡게 지폐는 1994년에 도입되었고, 2000 텡게 지폐는 1996년, 1998년에는 5000 텡게, 2003년에는 10,000 텡게, 2016년에 20,000 텡게가 도입되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지폐는 200 텡게 (구 디자인) 2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흐와자 아마드 야사비 (Khwaja Ahmad Yasavi) 영묘의 조각 1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2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5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10,000 텡게 알파라비의 초상, 눈표범의 그림. 20,000 텡게 가 있다. 흥미 있게, 비록 (200 텡게 지폐를 제외한) 나머지 지폐 뒷면의 문자는 러시아어로 씌어 있으나, 200 텡게 지폐 뒷면의 문자는 카자흐어어로 씌어 있다. 2006년 지폐[편집] 새 2006년 10,000 텡게 디자인 (영어) 공식 사이트를 보시오. 카자흐스탄 국립 은행은 새 지폐를 2006년 발행했다. 새 지폐는 이전에 있던 지폐와 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시리즈는 전 지폐보다 훨씬 더 이국적이다. 지폐의 앞면은 수직이고 액면 금액은 카자흐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에 걸친 주요 차이점은 색, 가치, 언더프린트 (underprint, 지폐나 우표 뒷면에 선전의 용도로 찍혀 있는 문자나 기호) 패턴 뿐이다. 그와는 반대로, 지폐의 뒷면은 좀 더 차별화 되었다. 액면 금액은 러시아어로 씌어 있다. 각 지폐는 카자흐스탄 영토 내에 있는 그들만의 독특한 건물이나 자연을 나타낸다. 2006년에 발행된 2,000, 5,000 텡게 지폐의 초판 지폐는 "은행"이라는 단어를 잘못 철자했다(옳은 스펠링 "банкі"을 "банқі"로 잘못 철자했다). 틀린 철자는 카자흐스탄의 문화와 언어의 정치적 중요성으로 인해 정치적으로 예민한 발행이었다.[2] 인플레이션율[편집] 년도 연인플레이션율 2001     6.4% 2002     6.6% 2003     5.7% 2004     7.9% 2005     9% 2006     8.6% 2007     18.8% 2008     9.5% 1000 tenge commemorative banknote for 2010 year - the Chairmanship of Kazakhstan in OSCE 현재 KZT 환율 구글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야후! 금융: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kr.Investing.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XE.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OANDA.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fxtop.com: KRW AUD CAD CHF EUR GBP HKD JPY USD RUB CNY KRW 출처[편집] ↑ “보관 된 사본”. 2007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3일에 확인함.  ↑ Kazakh central bank misspells ‘bank’ on money 외부 링크[편집] News from the National Bank of Kazakhstan (카자흐어/러시아어/영어) 텡게 2006 구소련의 동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통화 기호 (¤)유통 중 ؋ ₿ ฿ ₵ ¢ ₡ $ ₫ ֏ € ƒ ₲ ₴ ₭ ₾ £ / ₤ ₺ ₼ ₦ ₱ ៛ ₽ ₹ $ ₪ ৳ ₸ ₮ ₩ ¥ 옛 통화 ₳ ₢ ₰ DM ₯ ₠ ₣ ℳ ₥ ₧ ℛℳ ₷ vdeh유럽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유럽 연합 영국 파운드 스털링 불가리아 레프 크로아티아 쿠나 체코 코루나 덴마크 크로네 유로 지브롤터 파운드 헝가리 포린트 폴란드 즈워티 루마니아 레우 스웨덴 크로나 동부 벨라루스 루블 조지아 라리 몰도바 레우 러시아 루블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미승인)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남부 알바니아 레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태환 마르카 북마케도니아 데나르 세르비아 디나르 터키 리라 서부 페로 제도 크로나 건지섬 파운드 아이슬란드 크로나 저지섬 파운드 맨섬 파운드 노르웨이 크로네 스위스 프랑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vdeh아시아의 통화 국가 국기 국장 통화 행정 구역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텡게 키르기스스탄 솜 타지키스탄 소모니 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우즈베키스탄 숨 동아시아 중국 위안 홍콩 달러 마카오 파타카 일본 엔 대한민국 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몽골 투그릭 신 타이완 달러 북아시아 러시아 루블 남아시아 방글라데시 타카 부탄 뉘땀 인도 루피 부탄 몰디브 루피야 네팔 루피 파키스탄 루피 스리랑카 루피 미국 달러 영국령 인도양 지역 동남아시아 브루나이 달러 싱가포르 미얀마 짯 캄보디아 리엘 동티모르 센타부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루피아 라오스 킵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싱가포르 달러 브루나이 태국 밧 미국 달러 베트남 동 서아시아 압하지야 압사르 인정받지 못함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 아르메니아 드람 아르차흐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마나트 바레인 디나르 이집트 파운드 가자 지구 유로 키프로스 조지아 라리 이란 리알 이라크 디나르 이스라엘 신 셰켈 팔레스타인 영토 요르단 디나르 요르단 강 서안 지구 쿠웨이트 디나르 레바논 파운드 아르차흐 드람 인정받지 못함 오만 리알 러시아 루블 압하지야 남오세티야 카타르 리얄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시리아 파운드 터키 리라 북키프로스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예멘 리알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국가 북아메리카의 국가 남아메리카의 국기 북아메리카의 국기 남아메리카의 국장 북아메리카의 국장 아메리카의 통화 남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북아메리카의 행정 구역) 아시아 (아시아의 국가 아시아의 국기 아시아의 국장 아시아의 통화 아시아의 행정 구역)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국가 아프리카의 국기 아프리카의 국장 아프리카의 통화 아프리카의 행정 구역)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국가 오세아니아의 국기 오세아니아의 국장 오세아니아의 통화 오세아니아의 행정 구역) 유럽 (유럽의 국가 유럽의 국기 유럽의 국장 유럽의 통화 유럽의 행정 구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자흐스탄_텡게&oldid=24185093" 분류: 통화 기호유럽의 통화유통통화아시아의 통화카자흐스탄의 경제숨은 분류: 카자흐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оми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Türkmençe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쓰쿠요미노 미코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쿠요미노 미코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3월) 교토의 쓰쿠요미 사당신토 신앙 체계 가미 가구라 미소기 다신교 애니미즘 마츠리 신화 신토 사원(신사) 신사 목록 이치노미야 이십이사 근대 사격제도 신사본청 신사 건축 주요 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 사루타히코 오카미 아메노 우즈메노 미코토 이나리 오미카미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 다케하야 스사노오노 미코토 츠쿠요미노 미코토 주요 문헌 《고사기》 《일본서기》 《풍토기》 《육국사》 《속일본기》 《고어습유》 《신황정통기》 《구사기》 기타 참조사항 일본의 종교 신토 용어집 일본 신화의 신 목록 일본 신화의 신물 목록 일본의 불교 에도 성리학 고신토 국가신토 일본의 요괴 목록 v • d • e • h 쓰쿠요미노 미코토(일본어: 月夜見尊)는 신토와 일본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신이다. 목차 1 신화에서의 기술 1.1 《고사기》 1.2 《일본서기》 1.2.1 신대기(神代紀) 1.2.2 겐조키(顯宗紀) 1.3 후토키(風土記) 1.4 만요슈(萬葉集) 1.5 그 밖의 문헌 2 쓰쿠요미의 한문 표기 3 쓰쿠요미의 이름 뜻 4 쓰쿠요미가 등장하는 작품 5 각주 6 같이 보기 신화에서의 기술[편집] 보통 달을 신격화한, 밤을 지배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신격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고사기》에서는 오노고로시마를 창조한 이자나기노 미코토(伊邪那伎命)가 요미노쿠니(黄泉国)으로부터 도망쳐서 부정한 것을 본 자신의 얼굴을 씻을 때에 그의 오른쪽 눈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며, 다른 한쪽의 눈으로부터 태어난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御神), 코에서 태어난 다케하야스사노오노미코토(建速須佐之男命)과 함께 미하시라노오즈노미코(三貴子)[1]를 이룬다. 반대로 《일본서기》는 《고사기》와는 반대로 왼쪽 눈에서 태어났다거나, 이자나기가 오른손에 갖고 있던 백동거울에서 완성된 모습으로 나왔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으며, 그 지배 영역도 하늘이나 바다 등 일정하지 않다. 태양을 상징하는 아마테라스와 대칭되는 존재로 태어난 점은 비교 신화학의 분야에서 볼 때 여러 지역의 신화에 같은 모티브가 있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국의 반고(盤古)라는 거인의 전설을 담은 《오운역년기(五運歷年記)》에는, 반고가 죽어 그 왼쪽 눈은 태양이 되고 오른쪽 눈은 달이 되었다는 기원담이 있고, 그리스 신화에서도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쌍둥이 남매로 여겨진다. (다만, 아폴론은 원래는 태양신 헬리오스와는 다른 신으로, 양자가 동일시되기에 이른 것은 후대의 일이다.) 또, 《구약성서》 창세기에서는, 천지창조의 4일째에 신이 공중에 '두 개의 거대한 빛', 즉 태양과 달을 만들어내고 각각 낮과 밤을 맡게 하여 빛과 어둠을 나누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아마테라스와 쓰쿠요미의 탄생 또한 태양과 달이 대립을 이루어 탄생했다고 하는 온 세상에 공통되는 해와 달 기원담의 패턴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본 신화에서 쓰쿠요미노미코토는 아마테라스나 스사노오와 대등한 위치에 놓인 중요한 신으로 기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사기》, 《일본서기》의 신화에는 별로 등장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활약상이 부족하다. 다만 《일본서기》 제5단 제11에 인용된 '일서(一書)'에서 곡물의 기원을 말하면서 잠시 언급되는 정도이다. 이것은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라는 대조적 성격을 가진 두 신 사이에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신'을 두어 균형을 맞추고자 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다카미무스비노카미(高皇産靈尊)와 카미무스비노카미(神皇産靈神) 사이에 낀 아메노미나카누쓰노카미(天之御中主神), 호오리노 미코토(山幸彦)와 호데리노 미코토(海幸彦) 사이에 낀 호스세리노 미코토(火酢芹命) 등에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가리켜 일본 신화의 중공(中空) 구조라고 한다. 스사노오와는 지배 영역이나 에피소드가 일부 겹치는 것을 들어, 두 신이 동일인물이라 주창하는 사람도 있다. 《고사기》[편집] 《고사기》상권에는 이자나기의 오른쪽 눈을 씻었을 때에 태어나 아마테라스나 스사노오와 함께 '세 분의 귀한 신(三柱の貴き子)' 라고 불리며, '밤의 식국(食國)을 다스리라'는 명을 이자나기로부터 받았지만, 이 이후의 활약은 일절 없다. 그가 다스린 밤의 식국을 이자나미가 있는 요미노쿠니(夜見國)이라고 하는 설도 있다. 《일본서기》[편집] 신대기(神代紀)[편집] 《일본서기》 신대기의 제5단에서는, 본문에서 "햇빛에 버금가는 빛을 뿜는 달의 신을 낳아, 하늘에 보내어 태양과 함께 지배하는 존재로 삼았다." 고 간결하게 기록되고 있을 뿐이지만, 이어지는 권제1의 '일서'에 있는 다른 전승에는, 이자나기노 미코토가 왼손에 백동거울을 쥐고 오오히로노미코토(大日孁尊)을 낳고, 오른손에는 백동거울을 쥐고 쓰키유미노 미코토(月弓尊)를 낳았다고 적고 있다. 이때 지배 영역에 대해서는 아마테라스와 함께 하늘을 다스리라고 지시받은 이야기가 몇 가지 있는 한편, 일서 제6에는 '푸른 바다의 조수의 8백중을 다스리라'이라고 명받았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어(이것은 달이 밀물과 썰물, 조수 간만의 차를 지배하고 있다는 발상으로부터 온 것 같다), 세 신 탄생의 이야기가 서로 병렬하고 있다. 《일본서기》 제5단 제11의 일서에서는, 아마테라스와 쓰쿠요미는 서로 짝을 지어 함께 사다리로 올라가 하늘을 다스리도록 명을 받았지만, 천상에서 아마테라스로부터 우케모치노카미(保食神)와 만나도록 명령을 받은 쓰쿠요미가 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에 내려가 우케모치노카미가 있는 곳에 이르렀을 때에, 거기서 우케모치노카미는 쓰쿠요미를 대접하기 위해 머리를 돌려 땅으로 향하고서 입에서 밥을 꺼내고, 바다로 향해서 크고 작은 물고기들을, 산으로 머리를 돌려서는 동물들을 입에서 꺼내어 그것으로 상을 차려 내어왔으므로, 쓰쿠요미노 미코토는 이것을 보고 얼굴을 붉히면서 "더럽고 천박한 것. 어찌 감히 입에서 뱉어낸 것을 내게 주느냐?" 라고 화를 내며 그 자리에서 칼을 빼어 우케모치를 베어 죽여 버렸다. 아마테라스는 천상으로 돌아온 쓰쿠요미의 이런 행동을 그의 입을 통해 직접 전해 듣고 몹시 노해서 "그대는 정말 나쁜 신이로구나. 서로 보지 말자." 라고 하면서 쓰쿠요미와는 낮과 밤으로 서로 떨어지게 되었고 그 이후 태양과 달은 하루 하룻밤 멀리 떨어져 살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 신화가 전하는 낮과 밤의 기원이다.(여담으로 그 뒤 우케모치의 시체에서는 소나 말과 같은 가축, 누에, 벼 등이 태어났고, 이것이 곡물의 기원이 되었다고 《일본서기》는 전한다.) 하지만 《고사기》에서는 음식의 신 오오게쓰히메를 죽이는 것은 스사노오의 역할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는 원래는 몇 개의 독립된 신화로서 전해지던 것이 쓰쿠요미 한 명의 신과 관련된 에피소드로 합쳐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겐조키(顯宗紀)[편집] 쓰쿠요미는 신들이 떠난 세상에서 인간의 천황(天皇)이 지배하게 되었던 시대에도 나타났다. 《일본서기》 10권 5의 현종기 3년 봄 2월 정사 초하루 기사에는, 다카미무스비노카미를 자신의 선조라 칭하는 달의 신이 사람에게 빙의되어, "우리 달의 신에게 전지(田地)를 바치라. 만일 청한 대로 나를 받들면 경사가 있으리라." 라고 전했다는 것으로, 그 말대로 야마시로(山背) 국의 가즈노(葛野)군에 신사를 세워 이키(壱岐) 현주(縣主)의 선조 오시미노 스쿠네(押見宿彌)에게 제사를 받들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야마시로 국의 쓰쿠요미 신사(月讀神社)의 유래이며, 처음 달의 신이 나타났던 이키에도 쓰쿠요미 진쟈가 있는데 이것이 야마시로 국 쓰쿠요미 진쟈의 원궁(元宮)이라고 한다. 후토키(風土記)[편집] 《이즈모노쿠니후토키(出雲国風土記)》의 시마네(嶋根)군조에는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들로 보이는 '쓰쿠즈미노미코토(都久豆美命)'라는 신이 등장한다. 千酌の驛家, 郡家の東北のかた一十七里一百八十歩なり. 伊佐奈枳命の御子, 都久豆美命, 此處に坐す. 然れば則ち, 都久豆美と謂ふべきを, 今の人猶千酌と號くるのみ.치쿠미(千酌)의 역가(驛家)는 군가(郡家)의 동북쪽으로 17리 180보 되는 곳에 있다. 이자나기노 미코토(伊佐奈枳命)의 아드님이신 쓰쿠즈미노 미코토(都久豆美命)께서 이곳에 정좌하셨다. 그러므로 즉 쓰쿠즈미라 이르는 것인데 지금 사람들은 치쿠미라고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쓰쿠쓰미'는, 와다쓰미(일본어: 海神)나 야마쓰미(일본어: 山神)의 경우처럼 '달의 신령(쓰쿠쓰미)'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야마시로노쿠니후토키(山城國風土記)》의 '계리(桂里)'조에서도, 쓰쿠요미노 미코토(月讀尊)가 아마테라스의 칙을 받아 일본의 토요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豊葦原中國)로 내려가 우케모치노카미가 있는 곳에 도달했을 때, 탕진계(湯津桂)에 들러섰다는 전설에서 「계리」라는 지명이 비롯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이는 달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어서 말하는 고대 중국의 전설에서부터 비롯된 것으로 쓰쿠요미노 미코토가 계수나무 아래에 서있다고 여긴 발상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만요슈》에도 달의 선인과 계수나무를 함께 묶은 노래가 있다. 일본 신화에서 계수나무와 관련된 신은 많이 있는데, 예를 들면 《고사기》에서 천신으로서 아메노와카히코(天若日子) 밑에서 시중을 들었던 꿩 나키메(鳴女)나, 형을 없애고 해신의 궁에 이른 야마사치히코(山幸彦)의 경우, 여기서 계수나무는 신이 임하는 곳으로 되어 있다. 만요슈(萬葉集)[편집]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와카집 《만요슈》의 노래 중에는, '쓰쿠요미' 또는 '쓰쿠요미오토코(月讀壯士)'라고 하는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이것은 단순한 달의 비유(의인화)로서 그리고 신격으로서, 이러한 두 종류의 성격을 보인다. 또 '오치미즈(헨와카미즈変若水)」= 오쓰' 즉 '다시 젊어지는 물을 맡은 자'로서 나타나 '달과 불사'의 신앙으로서 오키나와(沖縄) '스데미즈'와의 유사성이 민속학자 오리구치 노부오(折口信夫)나 이시다 에이이치로(石田英一郞)에 의해 지적되고 있다. 덧붙여 《만요슈》 속의 노래에는 달을 의인화한 예로서 '쓰키히토(月人)'이나 '사사라에오토코(ささらえ壯士)'등의 표현도 볼 수 있다. 그 밖의 문헌[편집] 《속일본기(續日本紀)》에는, 고닌(光仁) 천황 때에 폭풍우가 거칠어진 원인을 점을 쳐봤더니, 이세의 쓰쿠요미노카미(月讀神)가 원인이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으므로, 그를 사납고 용맹스런 신으로 여겨 신에게 말을 헌상했다고 적고 있다. 《황태신궁의식장(皇太神宮儀式帳)》에서는, '쓰쿠요미노미야노이치엔(月讀宮一院)'의 제신을 가리켜서 이렇게 적고 있다. 月讀命, 御形ハ馬ニ乘ル男ノ形. 紫ノ御衣ヲ着, 金作ノ太刀ヲ佩キタマフ.쓰쿠요미노미코토의 그 모습은 말을 탄 남자의 형상이로되 자색의 어의를 입고, 금으로 만든 타치(太刀)를 찼다. 여기서 《고사기》와 《일본서기》에서는 성별에 관한 한 마디 기술도 없던 쓰쿠요미가 별안간 칼을 차고 말을 탄 남자의 모습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달을 여자라고 본 예로는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綠)》 죠간(貞觀) 7년(865년) 10월 9일조 기사나, 죠간 13년(871년) 10월 10일조에 이즈모 국의 '메쓰키노카미(女月神, 히메쓰키노카미라고도)'가 위계를 하사받은 기사를 들 수 있다. 이는 달의 여신을 제사지낸 신사인것 같다. 이 신은 《고사기》와 《일본서기》, 《만요슈》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이즈모노쿠니후토키》 의우군조에는 '메쓰키노야시로(賣豆貴社)'라 기록되어 있어 동일한 신사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삼대실록》에 나오는 '메쓰키노카미'에 대해서는 죠간 원년(859년) 9월 8일조에 실린 '야마시로 국 쓰쿠요미노카미(山城國月讀神)'라는 기사를 들어 쓰쿠요미와는 다른 계통의 달의 신으로 보기도 한다. 쓰쿠요미의 한문 표기[편집] 그 이름의 한문식 표기에 대해 《고사기》에는 '쓰쿠요미노 미코토(月讀命)' 뿐이지만, 《일본서기》 제5단 본문에는, '월신(月神)'이라는 하나의 신에 대해서 月弓尊, 月夜見尊, 月讀尊 등의 복수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만요슈》에서는 달을 가리켜 쓰쿠요미노오토코(月讀壯士), 쓰키히토노오토코(月人壯士), 쓰쿠요미(月夜見) 등으로도 읊어지고 있다. 《후토키》의 경우는 《이즈모노쿠니후토기》에 쓰쿠쓰미노 미코토(都久豆美命, 쓰쿠쓰미月津見?)가 등장한다.(전해지지 않는 글이지만 야마시로노쿠니후토기에는 月讀尊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약간 후세에 성립한 《연희식(延喜式)》에서는 이세 신궁에서 제사하는 신의 이름으로서 月讀, 月夜見의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쓰쿠요미의 이름 뜻[편집] 달의 신으로, 쓰쿠요미는 달빛을 본다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요미'는 일본에서 말하는 저승, 지하 세계를 뜻하기도 한다. '쓰쿠요미'라는 이름의 유래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우선 가장 유력한 설로서 '쓰쿠요미(月讀) = 달(月)을 보다(讀)'라고 해석해 '달력'과 묶는 설이 있다. 옛날 《고사기》나 《일본서기》에서 쓰이던 특수 가나 사용법인 '쇼다이토쿠슈카나쓰카이(上代特殊仮名遣)'에서는 '달력'이나 '월수를 세는 것'을 의미하는 '읽기[讀み]'의 훈독 표기 사례인 '여미(余美)・여미(餘美)'가 모두 요을류(ヨ乙類) · 미갑류(ミ甲類)로 '月讀'으로 일치하고 있는데, 이를 들어 쓰쿠요미의 원래 뜻은 세월을 센다(讀み)는 뜻에서 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요미(コヨミ: 달력)는, '날짜를 읽는다' 즉 달력(카요미)인데, 쓰쿠요미 또한 '달을 읽는 것'과 연결된다. '읽는다'는 말은 만요슈에도 '세월을 읽는 사람(月日を讀みて)', '달을 읽으면(日を讀む)' 등 시간(세월)을 세는 의미로 사용되는 예가 있으며, 또 달력의 역사에서 달의 차고 이지러짐이나 운행 궤도를 기준으로 최초의 달력을 만들었듯 세계사적으로 음력이 양력보다 먼저 발생했다. 한 달, 두 달 하는 날짜 세는 방법에도 그 자취가 남아 있듯 달과 달력은 매우 관계가 깊다. 즉 쓰쿠요미는 '날짜'를 센다는, '시간의 측정자', '달력이나 시간을 지배하는 신격'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한편, 《일본서기》에서 보이는 '月弓'이란 표기는 초승달과 활을 연관지어 생각한 흔적인듯 하다. 만요슈에는, 상현달이나 하현달 같은 조각달을 가리켜 「참나무활(白眞弓)」이라고 표현한 노래가 있는데(10권 · 2051), '쓰키유미노미코토(月弓尊)'라는 표기도 이러한 발상으로부터 온 이름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 밖에 와타쓰미ㆍ야마쓰미처럼 '쓰쿠요노미(月夜のミ, 여기서 '미'는 카미神靈의 미)' 혹은 '쓰쿠요노카미'로서 '밤의 달신'이라고 하는 설이 있다. 이같이 분명히 갑을이 다른 '요'나, 발음이 다른 '유'의 표기가 나란히 쓰이고 있는 점, 그리고 《고사기》와 《일본서기》, 《만요슈》 뿐만 아니라 《연희식》 등 후세의 문헌에서도 몇 통의 호칭이 있어, 확실히 하나로 정해진 표기법도 없이 요의 갑을이 다른 '쓰쿠요미(月讀)'과 '쓰쿠유미(月夜見)'표기가 나란히 쓰이고 있는 점을 볼 때 쓰쿠요미노 미코토라는 신의 신격은 단순히 한 가지로만 정의할 수는 없다. 쓰쿠요미가 일본 신화에서 관장하는 영역에 대해서도, 《고사기》나 《일본서기》의 신화에서 태양신인 아마테라스는 '하늘' 혹은 '다카마가하라'를 지배하는 것으로 거의 '천상'으로 통일되고 있는데 비해 월신의 지배 영역은 《일본서기》에서 언급한 '태양과 함께 하늘을 다스리는' 것뿐 아니라 '밤의 식국'이나 '푸른 바다의 조수 8백 무리'를 지배하라 명받는 이야기도 있다. 지배 영역이 불안정하다는 것도, 쓰쿠요미의 신격이 복수의 관념이 통합된 불안정하면서도 다양한 것임을 의미하고 있다. 쓰쿠요미가 등장하는 작품[편집] 모리오카 히로유키 《달과 불꽃의 전기》 야마기시 료코 《월독》 마스다 하루히코 《스사노오》 데구치 류세이 《생명 ~홍의 수호신~》 쿠라모토 유우 《쓰쿠요미의 후예》 오기노 마코토 《공작왕》(쓰쿠요미라는 이름을 가지는 인간(여성)과 청진신(남성)이 등장.) 우에야마 데쓰로 《LAMPO-THE HYPERSONIC BOY-》 《크로노 크로스》 《여신전생 시리즈》 《편신명 ~잃어 버려진 인과율~》 《마브러브 얼터네이티브》(쓰쿠요미라는 이름을 가진 캐릭터가 미카도(작중 천황과 같은 위치)의 쌍둥이 누나를 보좌한다. 즉 신이 아닌 인물로 등장.) 《유☆희☆왕》 《NARUTO -나루토- 》(다만, 둔갑술로서 등장.) 《오오카미》(작중에 나오는 검의 이름으로서 등장.) 시바무라 진《우리 집의 여우신령님》 야부키 겐타로《야마토 환상기》(무기로서 등장.) 《이즈모》 도야 마나부 《쓰쿠요미 은밀한 신》 《천상천하》 《마법선생 네기마》 《블레이 블루》(삼휘신 유닛 중 하나) 각주[편집] ↑ 일본 신화에서 가장 격이 높게 여겨지는 세 명의 신 같이 보기[편집] 항아 vdeh일본 신화개벽 신화별천진신 아메노미나카누시노카미 다카미무스히노카미 가미무스히노카미 우마시아시카비히코지노카미 아메노토코타치노카미 신세칠대 구니노토코타치노카미 구니사쓰치노미코토노카미 도요쿠모노노카미 우히지니노카미와 스히지니노카미 쓰누구이노카미와 이쿠구이노카미 오토노지노카미와 오오토노베노카미 오모다루노카미와 아야카시코네노카미 이자나기노 미코토 이자나미노 미코토 개벽 신화 천지개벽 구니우미 가미우미 고천원 신화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서약 아마노 이와토 이즈모 신화 오로치 퇴치 이나바의 흰 토끼 대국주 신화 오쿠니누시노쿠니즈쿠리 위원중국평정 일향신화 천손강림 야마사치히코와 우미사치히코 우가야후키아에즈 인간 시대 진무 동정 다기시미미의 반역 결사팔대 신화상의 토지 고천원 용궁 황천 이즈모 국 아시하라노 나카쓰 국 휴가 국 문헌 고사기 일본서기 그 외 일본의 음식 기원 신화 구니비키 신화 천진신과 국진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쿠요미노_미코토&oldid=20528333" 분류: 천진신달의 신죽음의 신남신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3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월 24일 (수) 2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동성제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성제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성제약 주식회사Dong Sung Bio Pharm. Co.,Ltd.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제약업 창립 1957년 11월 25일 창립자 이선규 시장 정보 한국: 002210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핵심 인물 이양구 (대표이사) 제품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자본금 22,404,756,000원 (2016) 매출액 79,720,854,988원 (2016) 영업이익 -2,289,618,759원 (2016) 순이익 -1,660,443,187원 (2016) 자산총액 125,386,411,764원 (2016) 종업원 322명 (2016.09) 슬로건 Health From Nature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동성제약(東星製藥, Dong Sung Bio Pharm. Co.,Ltd.)은 대한민국의 1957년에 설립된 의약품과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중견 제약업체이다. 대표적인 의약품으로는 정로환, 훼미닌, 세븐에이트, 버블비, 이지엔 푸딩 헤어컬러 등이 있으며, 화장품으로는 더커버클래식, 에이씨케어 등이 있다. 목차 1 연혁 2 제품 2.1 일반의약품 2.2 전문의약품 2.3 의약외품/기타 2.4 염모제/펌제 2.5 화장품 3 판매중단제품(구,서울동성제약,기홍GMP공장,현.아산공장) 4 본사 및 공장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7년: 동성제약 주식회사 설립 1965년: 끓이지 않는 염색약 '양귀비' 출시 1968년: 패션 염색약 '훼미닌' 출시 1971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 공장 신축이전 1972년: 일본 다이코신약 와 기술제휴로 지사제 '정로환' 출시 (발매 첫해 50억 판매기록) 1977년: 서울 성북구 길음동 사옥이전 1980년: 일본 와까모또제약 기술제휴로 영양제 동성와까모또 출시 1983년: 미국 오리리화장품 기술제휴 '오리리카바마크' 출시 1984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사옥 신축이전 1985년: 지사제 어린이 정로환 출시 1987년: 약 냄새가 안 나는 정로환당의정 출시 1990년: 주식상장 1991년: 스위스 Jesmond 사 기술제휴로 무공해 살충제 '비오킬' 출시 1993년: 오리리화장품 문화센터 개관 1994년: 동성장학재단 설립,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 설립 1994년: 동성제약 생활용품 자회사 선희종합상사 설립 1994년: 동성제약-중국 대련화학 살충제 합작 계약체결 1994년: 선희복지재단 설립 1995년: 선희종합상사 에서 동성크리너 상호변경 1997년: 기흥공장 에서 최신시설 KGMP아산공장 준공 1998년: 송음 이선규 약학상 제정 2002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 사옥이전 2006년: 미국지사 동성월드와이드 설립 2007년: 중국 상해지사 한몽상무유한공사 설립, 신개념 마스카라타입 염모제 '이지엔 헤어마스카라' 출시 2008년: 동성장학재단 송음 학술재단으로 변경, 오마샤리프화장품 태국지사 Do Thailavd 설립, '세븐에이트 무향료' 신제품 출시 2009년: 순간 증모제 '세븐에이트 흑채 커버스프레이' 신제품 출시 2010년: 봉독화장품 '에이씨케어 비즈' 신제품 출시 2011년: 거품염모제 '버블비 포밍 헤어칼라' 신제품 출시, 동성루맥스 설립 (LED사업) 2012년: 정수리 냄새 소취제 '동성 데오스칼프' 신제품 출시, 예민한 피부보호 ‘아토24’ 신제품 출시 2013년: 미백기능성화장품 동성 랑스크림 출시, 옻 안 타는 천연 염색 프렌차이즈 런칭 2014년: 광역학치료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 희귀의약품 지정 2014년: 동성제약-대구광역시 대구첨복단지 연구소 건립 MOU체결 2015년: '이지엔 쉐이킹 푸딩 헤어컬러' 염모제 출시 2015년: 멋내기새치 겸용 세븐에이트 무향료 칼라크림 4.5호 신컬러 출시, 세븐에이트 편한염색/쉬운염색 출시, 에이씨케어 파머스파마시 출시 2016년: 주부습진 및 피부질환 치료제 반질크림 재출시 2017년: 동성제약 창립60주년 2017년: 혈액순환장애를 위한 ‘징코린정’ 출시 2017년: 광역학지역 대중화 동성제약연구소 대구암센터 개소 2018년: 동성제약 창립61주년 기업CI변경 제품[편집] 일반의약품[편집] 정로환 동성미녹시달 (3%,5%) 두캅스에이 가네타인액 리베마린 비가졸 슬라인정 유그린에프연고 유그린크림 (반질크림 대채 상품명) 전문의약품[편집] 크라맥스듀오시럽 베로단연고 데타손연고 의약외품/기타[편집] 비오킬 와우레이디 와우순면커버 와우프리미엄(유기농) 아나파테이프 염모제/펌제[편집] 양귀비골드플러스 세븐에이트 훼미린 실키 버블비 이지엔 화장품[편집] 에이씨케어 판매중단제품(구,서울동성제약,기홍GMP공장,현.아산공장)[편집] 동성린덴 뉴-피링 세다뽕 뇌활 오-트링 베비콜트 양귀비 헥사트롱 백동청혈환 위활소 과니볼 안티폴 미화파스티 나이파스 수루피링 뉴-코프 데카메롱 비타구밍 세다뽐 동성귀약 신경피링 동성살충액 메치오닌 도스민 동성짓 데카비타민 메치구롱 케-오 포리칼 오렌지쥬-스시렆 파인애풀쥬-스시렆 생강쥬-스시렆 콜-라쥬스시럽 백독 청혈환 듸파마롱 파파아민 에나킹 뉴-피림 누리하 토스민 스카아민에스 스코루 아이푸라돌 유스티몬 양귀비 헤어칼라 마론 훝파우다 동성벤질 옥사페란 아스레탄3 지놀시럽 88-G 자연갈색 와까모또 훼미린 감비탄 오리리카바마크 싼도롤 어린이정로환 안중산 흑채스프레이 코스믹 카바마스크 휠 지놀타시럽/캅셀 바이락토정 벳쯔 탓치네스 안중산엑스 로드롱 스카민 온한포 다그린 파스탄 SENNEN쑥뜸 유로컵-A 칼라인터뷰 오리리 C로숀 BIO SLEEP INDUCER 수면유도기 이온수 금연향유 노-닉타 엑스—터 당기원 훼미린 스피디칼라 키스미 세븐베스트 비가졸 액 파온칼라크림 모드젤 코밍헤어칼라 아토클리어 반질크림(구,삼공제약의 제품명) 동성 헤이 본사 및 공장[편집] 본사: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아산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관대안길 45 외부 링크[편집] 동성제약 - 공식 웹사이트 자연체감 동성이샵 동성제약에서 운영하는 공식 쇼핑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성제약&oldid=23305461" 분류: 한국거래소 상장 기업1957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대한민국의 제약 기업서울특별시의 기업충청남도의 기업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1일 (금) 23: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엔초 페라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엔초 페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엔초 페라리Enzo Anselmo Ferrari 출생 1898년 2월 18일(1898-02-18)이탈리아 모데나사망 1988년 8월 14일 (90세)이탈리아 마라넬로사인 심부전국적 이탈리아 직업 자동차 디자이너, 기업가부모 알프레도 페라리 시니어(아버지)자녀 알프레도 페라리(디노), 피에로 페라리 엔초 안셀모 페라리(이탈리아어: Enzo Anselmo Ferrari, 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898년 2월 18일 ~ 1988년 8월 14일)는 이탈리아의 기업인으로, 페라리의 창립자이자 F1 자동차 경주팀 스쿠데리아 페라리의 창설자이다. 목차 1 생애 1.1 유년기 ~ 청년기 1.2 페라리 역사의 시작 2 사망 3 상훈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유년기 ~ 청년기[편집] 1898년에 이탈리아의 모데나에서 3남 중 막내로 태어나, 10살 때 우연히 볼로냐에서 열린 자동차 레이스를 본 것이 그의 인생을 바꾸어놓았다. 13살 때부터 운전을 배우기 시작하여 16세에는 스포츠 신문에 축구 기사를 기고하면서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면서 포병으로 입대하였으나, 1916년 아버지 알프레도 시니어와 형 알프레도 주니어가 독감에 걸려 사망하고 말았다. 20세에 모 자동차 회사의 트럭 운전사로 취직하였으며, 그러던 중 이탈리아 최고의 레이서 중 한 명인 펠리체 나차로(Felice Nazzaro)를 만나 그의 소개로 밀라노의 스포츠카 제조사 CMN(Costruzioni Meccaniche Nazionali)으로 직장을 옮기고 운전 실력을 인정받아 레이싱에 데뷔하게 된다. 페라리 역사의 시작[편집] 1920년에 알파 로메오 팀에 입단 후, 점점 두각을 나타내며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시작한다. 이후, 유능한 인재들과 함께 알파 로메오 P1 차량을 개조한 P2로 많은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이탈리아의 명문인 피아트 사까지 누르면서 엔초는 마침내 1인자의 자리에 서게 된다. 1929년에는 마구간을 뜻하는 '스쿠데리아 페라리'라는 자신의 공장을 차려 진정한 페라리 역사의 시작을 알렸다. 이 때문에 오늘날의 페라리 엠블럼에는 말 그림과 함께 "SF"라는 영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바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를 뜻하는 약자이다. 1939년에는 스쿠데리아 팀을 흡수하면서 자신을 내쫓으려는 알파 로메오를 뛰쳐나와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1940년에는 첫 생산 차량인 Tipo 815를 만들었지만, 4년이라는 시간 동안 알파 로메오 와의 계약 때문에 자신의 이름을 딴 레이싱카를 생산할 수 없었다. 1947년에는 드디어 페라리의 진가가 그랑프리와 르망 24시 레이스에서 본격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했고, 1988년까지 무려 5,000번이라는 우승 타이틀을 거머쥘 정도로 스쿠데리아 페라리는 막강한 팀으로 성장하게 된다. 엔초 페라리 (1967년) 사망[편집] 1988년 8월 14일 마지막 역작인 페라리 F40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상훈[편집] 1960년 - 볼로냐 대학교 명예 공학박사 1962년 - UN 함마르셸드 상(Hammarskjöld Prize) 1965년 - 국제 통신 연구소 콜럼버스 상(Premio Columbus, Istituto Internazionale delle Comunicazioni) 1970년 - 이탈리아 문화예술 공로 메달(Medaglia ai benemeriti della cultura e dell'arte) 1979년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1등급(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987년 - 가스페리 상(Premio Alcide De Gasperi) 1988년 - 모데나 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1994년 - 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외부 링크[편집]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539322 LCCN: n80070784 ISNI: 0000 0001 2275 7459 GND: 118686860 SUDOC: 028901304 BNF: cb12064119b (데이터) NDL: 00521615 NKC: jn20000700521 BNE: XX17292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엔초_페라리&oldid=23889833" 분류: 1898년 태어남1988년 죽음자동차 선구자이탈리아의 기업인이탈리아의 자동차 경주 선수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수훈자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탈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이탈리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모데나 출신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0일 (수)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국무대신 임명식 후에 가진 기념 촬영내각총리대신 제97대 아베 신조성립연월일 2016년 8월 3일종료연월일 2017년 8월 3일여당·지지기반 자유민주당·공명당(자공 연립 정권) 내각각료명단 (수상관저)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목차 1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 2 국무대신 3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 4 부대신 5 대신 정무관 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7 세력 조견표 8 관련 항목 9 각주 9.1 주해 9.2 출전 10 외부 링크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편집]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더 나아가 같은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3명이 나오게 됐다. 각각 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유지·야마모토 고조 등인데, 같은 성을 가진 것에 더해 이름의 말미가 ‘1’(고이치, 公一), ‘2’(유지, 有二), ‘3’(고조, 幸三)이라고 돼있다는 것도 화제가 됐다.[2][주 1] 국무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특명 담당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자유민주당 총재 재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 담당) 아소 다로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디플레이션 탈출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1위(부총리) 유임 총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마이넘버 제도 담당) 다카이치 사나에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유임 법무대신 가네다 가쓰토시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첫 입각 외무대신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유임 문부과학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교육 재생 담당 첫 입각 후생노동대신 시오자키 야스히사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5위 유임 농림수산대신 야마모토 유지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바파) 경제산업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손해배상·폐로 등 지원 기구 담당)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산업 경쟁력 담당러시아 경제 분야 협력 담당원자력 경제 피해 담당 첫 입각 국토교통대신 이시이 게이이치 중의원공명당 물순환 정책 담당 유임 환경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방재 담당) 야마모토 고이치 중의원자유민주당(다니가키 그룹) 첫 입각 방위대신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7년 7월 28일 사임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2017년 7월 28일 취임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오키나와 기지 부담 경감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2위 유임 부흥대신 이마무라 마사히로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재생 총괄 담당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사임 요시노 마사요시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취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 안전 담당)(방재 담당)(해양 정책 담당) 마쓰모토 준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영토 문제 담당국토강인화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쿨 재팬 전략 담당)(지적 재산 전략 담당)(과학 기술 정책 담당)(우주 정책 담당)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정보통신기술(IT) 정책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경제 재정 정책 담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경제 재생 담당사회 보장·세금 일체 개혁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남녀 공동 참가 담당) 가토 가쓰노부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1억 총활약 담당일하는 방식 개혁 담당여성 활약 담당재도전 담당납치 문제 담당휴면 예금 담당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지방 창생 담당)(규제 개혁 담당) 야마모토 고조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마을·사람·일 창생 담당행정개혁 담당국가 공무원 제도 담당 첫 입각 국무대신 마루카와 다마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경기 대회 담당 직위 이동 마쓰모토 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의 ‘해양 정책 담당’은 2017년 4월 1일부터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옮김.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편집] 직책 성명 주요 경력 내각관방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노가미 고타로 참의원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스기타 가즈히로 전 내각위기관리감 내각법제국 장관 요코바타케 유스케 전 내각법제차장 하기우다 고이치, 스기타 가즈히로, 요코바타케 유스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유임. 부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부흥 부대신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부흥 부대신 나가사와 히로아키 참의원 / 공명당 내각부 부대신 이시하라 히로타카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내각부 부대신 오치 다카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부 부대신 마쓰모토 요헤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 부대신 하라다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총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아카마 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법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 부대신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외무 부대신 기시 노부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오쓰카 다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기하라 미노루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문부과학 부대신 요시이에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문부과학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미즈오치 도시에이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 부대신 하시모토 가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후생노동 부대신 후루야 노리코 중의원 / 공명당 농림수산 부대신 사이토 겐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농림수산 부대신 이소자키 요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경제산업 부대신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경제산업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다카기 요스케 중의원 / 공명당 국토교통 부대신 다나카 료세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겸 부흥 부대신 스에마쓰 신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세키 요시히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이토 다다히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와카미야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모리야마 마사히토, 사이토 겐, 요시이에 히로유키, 와카미야 겐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다카기 요스케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으로부터 유임.[3] 2016년 8월 5일 임명[4] 대신 정무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비고 내각부대신 정무관 다케무라 노부히데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부대신 정무관 도요다 도시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사임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나가사카 야스마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취임 총무대신 정무관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대신 정무관 도가시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총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시마다 사부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법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노 도시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외무대신 정무관 오다와라 기요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키사와 모토메 참의원 / 자유민주당(산토파) 재무대신 정무관 스기 히사타케 참의원 / 공명당 재무대신 정무관 미키 도루 참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히구치 나오야 중의원 / 공명당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다노세 다이도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호리우치 노리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바바 세이시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호소다 겐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야쿠라 가쓰오 참의원 / 공명당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나카가와 도시나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사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오구시 마사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취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이하라 다쿠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후지이 히사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오노 야스타다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네모토 유키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대신 정무관 히가 나쓰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환경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바야시 다쓰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방위대신 정무관 고바야시 다카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미야자와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6년 8월 5일 임명[5][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고향 만들기 추진 및 문화 외교 담당) 가와이 가쓰유키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가 안전 보장에 관한 중요 정책 및 선거 제도 담당) 시바야마 마사히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교육 재생, 저출산화, 그 외 국정의 중요 과제 담당) 에토 세이이치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정책 기획 담당) 하세가와 에이이치 민간내각홍보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토강인화 및 부흥 등의 사회자본 정비, 지방 창생 및 건강·의료에 관한 성장 전략 담당) 이즈미 히로토 민간전 내각관방참여 전원이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재임명. 세력 조견표[편집] 명칭 세력 국무대신 관방 부장관 부대신 정무관 보좌관 그 외 호소다파 98 6 2 7 5 1 참의원 의장, 총무회장,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회장 무파벌 75 3 0 2 4 1 공명당 60 1 0 3 2 0 누카가파 51 2 0 5 2 0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기시다파 40 2 0 2 2 0 아소파 39 2 0 2 3 0 니카이파 38 1 0 2 3 1 간사장, 선거대책위원장 다니가키단 31 1 0 0 0 0 이시바파 20 1 0 1 1 0 이시하라파 15 1 0 1 1 0 산토파 12 0 0 0 1 0 중의원 의장, 부총재 [주 2] 관련 항목[편집] 아베노믹스 각주[편집] 주해[편집] ↑ 더욱이 총무대신 다카이치 사나에도, 본명은 야마모토 사나에(山本早苗, 옛 성은 다카이치)이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하면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총 4명이 된다. ↑ 2016년 8월 기준으로 다니가키 그룹에는 타 파벌과 겸임하고 있는 의원이 8명이나 소속됐다. 단, 모두 정부의 직무 등에는 오르지 않았다. 출전[편집] ↑ 第3次安倍再改造内閣発足 首相「任期中に改憲」意欲 Archived 2016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도쿄 신문, 2016년 8월 4일 ↑ 「山本トリオ入閣…公一・有二・幸三氏」 Archived 2016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 YOMIURI ONLINE(요미우리 신문), 2016년 8월 3일 ↑ 政府 副大臣25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副大臣会議・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 政府 政務官27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大臣政務官会合・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2016년 8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수상 관저 -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각료 명부            일본의 역대 내각            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 2017년 8월 3일  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  vdeh 일본 역대 내각    이토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1 마쓰카타1 이토2 마쓰카타2 이토3 오쿠마1 야마가타2 이토4 가쓰라1 사이온지1 가쓰라2 사이온지2가쓰라3 야마모토1 오쿠마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1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고노에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2 고노에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1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2 요시다3(改1・改2・改3) 요시다4 요시다5 하토야마 이치로1 하토야마 이치로2 하토야마 이치로3 이시바시 기시1(改) 기시2(改) 이케다1 이케다2(改1・改2・改3) 이케다3(改) 사토1(改1・改2・改3) 사토2(改1・改2) 사토3(改) 다나카 가쿠에이1 다나카 가쿠에이2(改1・改2) 미키(改) 후쿠다 다케오(改) 오히라1 오히라2 스즈키 젠코(改) 나카소네1 나카소네2(改1・改2) 나카소네3 다케시타(改) 우노 가이후1 가이후2(改) 미야자와(改)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改) 하시모토1 하시모토2(改) 오부치(改1・改2) 모리1 모리2(개편 전・개편 후) 고이즈미1(改1・改2) 고이즈미2(改) 고이즈미3(改) 아베 신조1(改) 후쿠다 야스오(改)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간(改1・改2) 노다(改1・改2・改3) 아베 신조2(改) 아베 신조3(改1・改2・改3) 아베 신조4(改) * 내각명은 내각총리대신의 성을 따서 표시한다. * 성으로는 내각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 한해서 이름까지 표시한다. * 이름 뒤의 숫자는 차수를, 개(改)는 개조내각을 의미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oldid=24174020" 분류: 일본의 역대 내각2016년 일본2017년 일본아베 신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2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국무대신 임명식 후에 가진 기념 촬영내각총리대신 제97대 아베 신조성립연월일 2016년 8월 3일종료연월일 2017년 8월 3일여당·지지기반 자유민주당·공명당(자공 연립 정권) 내각각료명단 (수상관저)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목차 1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 2 국무대신 3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 4 부대신 5 대신 정무관 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7 세력 조견표 8 관련 항목 9 각주 9.1 주해 9.2 출전 10 외부 링크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편집]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더 나아가 같은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3명이 나오게 됐다. 각각 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유지·야마모토 고조 등인데, 같은 성을 가진 것에 더해 이름의 말미가 ‘1’(고이치, 公一), ‘2’(유지, 有二), ‘3’(고조, 幸三)이라고 돼있다는 것도 화제가 됐다.[2][주 1] 국무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특명 담당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자유민주당 총재 재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 담당) 아소 다로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디플레이션 탈출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1위(부총리) 유임 총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마이넘버 제도 담당) 다카이치 사나에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유임 법무대신 가네다 가쓰토시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첫 입각 외무대신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유임 문부과학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교육 재생 담당 첫 입각 후생노동대신 시오자키 야스히사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5위 유임 농림수산대신 야마모토 유지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바파) 경제산업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손해배상·폐로 등 지원 기구 담당)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산업 경쟁력 담당러시아 경제 분야 협력 담당원자력 경제 피해 담당 첫 입각 국토교통대신 이시이 게이이치 중의원공명당 물순환 정책 담당 유임 환경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방재 담당) 야마모토 고이치 중의원자유민주당(다니가키 그룹) 첫 입각 방위대신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7년 7월 28일 사임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2017년 7월 28일 취임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오키나와 기지 부담 경감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2위 유임 부흥대신 이마무라 마사히로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재생 총괄 담당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사임 요시노 마사요시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취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 안전 담당)(방재 담당)(해양 정책 담당) 마쓰모토 준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영토 문제 담당국토강인화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쿨 재팬 전략 담당)(지적 재산 전략 담당)(과학 기술 정책 담당)(우주 정책 담당)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정보통신기술(IT) 정책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경제 재정 정책 담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경제 재생 담당사회 보장·세금 일체 개혁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남녀 공동 참가 담당) 가토 가쓰노부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1억 총활약 담당일하는 방식 개혁 담당여성 활약 담당재도전 담당납치 문제 담당휴면 예금 담당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지방 창생 담당)(규제 개혁 담당) 야마모토 고조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마을·사람·일 창생 담당행정개혁 담당국가 공무원 제도 담당 첫 입각 국무대신 마루카와 다마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경기 대회 담당 직위 이동 마쓰모토 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의 ‘해양 정책 담당’은 2017년 4월 1일부터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옮김.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편집] 직책 성명 주요 경력 내각관방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노가미 고타로 참의원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스기타 가즈히로 전 내각위기관리감 내각법제국 장관 요코바타케 유스케 전 내각법제차장 하기우다 고이치, 스기타 가즈히로, 요코바타케 유스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유임. 부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부흥 부대신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부흥 부대신 나가사와 히로아키 참의원 / 공명당 내각부 부대신 이시하라 히로타카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내각부 부대신 오치 다카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부 부대신 마쓰모토 요헤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 부대신 하라다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총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아카마 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법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 부대신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외무 부대신 기시 노부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오쓰카 다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기하라 미노루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문부과학 부대신 요시이에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문부과학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미즈오치 도시에이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 부대신 하시모토 가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후생노동 부대신 후루야 노리코 중의원 / 공명당 농림수산 부대신 사이토 겐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농림수산 부대신 이소자키 요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경제산업 부대신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경제산업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다카기 요스케 중의원 / 공명당 국토교통 부대신 다나카 료세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겸 부흥 부대신 스에마쓰 신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세키 요시히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이토 다다히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와카미야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모리야마 마사히토, 사이토 겐, 요시이에 히로유키, 와카미야 겐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다카기 요스케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으로부터 유임.[3] 2016년 8월 5일 임명[4] 대신 정무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비고 내각부대신 정무관 다케무라 노부히데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부대신 정무관 도요다 도시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사임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나가사카 야스마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취임 총무대신 정무관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대신 정무관 도가시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총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시마다 사부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법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노 도시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외무대신 정무관 오다와라 기요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키사와 모토메 참의원 / 자유민주당(산토파) 재무대신 정무관 스기 히사타케 참의원 / 공명당 재무대신 정무관 미키 도루 참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히구치 나오야 중의원 / 공명당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다노세 다이도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호리우치 노리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바바 세이시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호소다 겐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야쿠라 가쓰오 참의원 / 공명당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나카가와 도시나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사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오구시 마사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취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이하라 다쿠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후지이 히사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오노 야스타다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네모토 유키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대신 정무관 히가 나쓰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환경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바야시 다쓰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방위대신 정무관 고바야시 다카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미야자와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6년 8월 5일 임명[5][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고향 만들기 추진 및 문화 외교 담당) 가와이 가쓰유키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가 안전 보장에 관한 중요 정책 및 선거 제도 담당) 시바야마 마사히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교육 재생, 저출산화, 그 외 국정의 중요 과제 담당) 에토 세이이치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정책 기획 담당) 하세가와 에이이치 민간내각홍보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토강인화 및 부흥 등의 사회자본 정비, 지방 창생 및 건강·의료에 관한 성장 전략 담당) 이즈미 히로토 민간전 내각관방참여 전원이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재임명. 세력 조견표[편집] 명칭 세력 국무대신 관방 부장관 부대신 정무관 보좌관 그 외 호소다파 98 6 2 7 5 1 참의원 의장, 총무회장,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회장 무파벌 75 3 0 2 4 1 공명당 60 1 0 3 2 0 누카가파 51 2 0 5 2 0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기시다파 40 2 0 2 2 0 아소파 39 2 0 2 3 0 니카이파 38 1 0 2 3 1 간사장, 선거대책위원장 다니가키단 31 1 0 0 0 0 이시바파 20 1 0 1 1 0 이시하라파 15 1 0 1 1 0 산토파 12 0 0 0 1 0 중의원 의장, 부총재 [주 2] 관련 항목[편집] 아베노믹스 각주[편집] 주해[편집] ↑ 더욱이 총무대신 다카이치 사나에도, 본명은 야마모토 사나에(山本早苗, 옛 성은 다카이치)이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하면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총 4명이 된다. ↑ 2016년 8월 기준으로 다니가키 그룹에는 타 파벌과 겸임하고 있는 의원이 8명이나 소속됐다. 단, 모두 정부의 직무 등에는 오르지 않았다. 출전[편집] ↑ 第3次安倍再改造内閣発足 首相「任期中に改憲」意欲 Archived 2016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도쿄 신문, 2016년 8월 4일 ↑ 「山本トリオ入閣…公一・有二・幸三氏」 Archived 2016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 YOMIURI ONLINE(요미우리 신문), 2016년 8월 3일 ↑ 政府 副大臣25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副大臣会議・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 政府 政務官27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大臣政務官会合・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2016년 8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수상 관저 -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각료 명부            일본의 역대 내각            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 2017년 8월 3일  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  vdeh 일본 역대 내각    이토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1 마쓰카타1 이토2 마쓰카타2 이토3 오쿠마1 야마가타2 이토4 가쓰라1 사이온지1 가쓰라2 사이온지2가쓰라3 야마모토1 오쿠마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1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고노에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2 고노에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1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2 요시다3(改1・改2・改3) 요시다4 요시다5 하토야마 이치로1 하토야마 이치로2 하토야마 이치로3 이시바시 기시1(改) 기시2(改) 이케다1 이케다2(改1・改2・改3) 이케다3(改) 사토1(改1・改2・改3) 사토2(改1・改2) 사토3(改) 다나카 가쿠에이1 다나카 가쿠에이2(改1・改2) 미키(改) 후쿠다 다케오(改) 오히라1 오히라2 스즈키 젠코(改) 나카소네1 나카소네2(改1・改2) 나카소네3 다케시타(改) 우노 가이후1 가이후2(改) 미야자와(改)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改) 하시모토1 하시모토2(改) 오부치(改1・改2) 모리1 모리2(개편 전・개편 후) 고이즈미1(改1・改2) 고이즈미2(改) 고이즈미3(改) 아베 신조1(改) 후쿠다 야스오(改)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간(改1・改2) 노다(改1・改2・改3) 아베 신조2(改) 아베 신조3(改1・改2・改3) 아베 신조4(改) * 내각명은 내각총리대신의 성을 따서 표시한다. * 성으로는 내각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 한해서 이름까지 표시한다. * 이름 뒤의 숫자는 차수를, 개(改)는 개조내각을 의미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oldid=24174020" 분류: 일본의 역대 내각2016년 일본2017년 일본아베 신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2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국무대신 임명식 후에 가진 기념 촬영내각총리대신 제97대 아베 신조성립연월일 2016년 8월 3일종료연월일 2017년 8월 3일여당·지지기반 자유민주당·공명당(자공 연립 정권) 내각각료명단 (수상관저)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목차 1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 2 국무대신 3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 4 부대신 5 대신 정무관 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7 세력 조견표 8 관련 항목 9 각주 9.1 주해 9.2 출전 10 외부 링크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편집]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더 나아가 같은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3명이 나오게 됐다. 각각 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유지·야마모토 고조 등인데, 같은 성을 가진 것에 더해 이름의 말미가 ‘1’(고이치, 公一), ‘2’(유지, 有二), ‘3’(고조, 幸三)이라고 돼있다는 것도 화제가 됐다.[2][주 1] 국무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특명 담당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자유민주당 총재 재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 담당) 아소 다로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디플레이션 탈출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1위(부총리) 유임 총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마이넘버 제도 담당) 다카이치 사나에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유임 법무대신 가네다 가쓰토시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첫 입각 외무대신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유임 문부과학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교육 재생 담당 첫 입각 후생노동대신 시오자키 야스히사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5위 유임 농림수산대신 야마모토 유지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바파) 경제산업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손해배상·폐로 등 지원 기구 담당)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산업 경쟁력 담당러시아 경제 분야 협력 담당원자력 경제 피해 담당 첫 입각 국토교통대신 이시이 게이이치 중의원공명당 물순환 정책 담당 유임 환경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방재 담당) 야마모토 고이치 중의원자유민주당(다니가키 그룹) 첫 입각 방위대신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7년 7월 28일 사임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2017년 7월 28일 취임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오키나와 기지 부담 경감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2위 유임 부흥대신 이마무라 마사히로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재생 총괄 담당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사임 요시노 마사요시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취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 안전 담당)(방재 담당)(해양 정책 담당) 마쓰모토 준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영토 문제 담당국토강인화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쿨 재팬 전략 담당)(지적 재산 전략 담당)(과학 기술 정책 담당)(우주 정책 담당)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정보통신기술(IT) 정책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경제 재정 정책 담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경제 재생 담당사회 보장·세금 일체 개혁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남녀 공동 참가 담당) 가토 가쓰노부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1억 총활약 담당일하는 방식 개혁 담당여성 활약 담당재도전 담당납치 문제 담당휴면 예금 담당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지방 창생 담당)(규제 개혁 담당) 야마모토 고조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마을·사람·일 창생 담당행정개혁 담당국가 공무원 제도 담당 첫 입각 국무대신 마루카와 다마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경기 대회 담당 직위 이동 마쓰모토 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의 ‘해양 정책 담당’은 2017년 4월 1일부터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옮김.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편집] 직책 성명 주요 경력 내각관방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노가미 고타로 참의원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스기타 가즈히로 전 내각위기관리감 내각법제국 장관 요코바타케 유스케 전 내각법제차장 하기우다 고이치, 스기타 가즈히로, 요코바타케 유스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유임. 부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부흥 부대신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부흥 부대신 나가사와 히로아키 참의원 / 공명당 내각부 부대신 이시하라 히로타카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내각부 부대신 오치 다카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부 부대신 마쓰모토 요헤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 부대신 하라다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총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아카마 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법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 부대신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외무 부대신 기시 노부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오쓰카 다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기하라 미노루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문부과학 부대신 요시이에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문부과학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미즈오치 도시에이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 부대신 하시모토 가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후생노동 부대신 후루야 노리코 중의원 / 공명당 농림수산 부대신 사이토 겐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농림수산 부대신 이소자키 요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경제산업 부대신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경제산업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다카기 요스케 중의원 / 공명당 국토교통 부대신 다나카 료세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겸 부흥 부대신 스에마쓰 신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세키 요시히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이토 다다히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와카미야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모리야마 마사히토, 사이토 겐, 요시이에 히로유키, 와카미야 겐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다카기 요스케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으로부터 유임.[3] 2016년 8월 5일 임명[4] 대신 정무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비고 내각부대신 정무관 다케무라 노부히데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부대신 정무관 도요다 도시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사임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나가사카 야스마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취임 총무대신 정무관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대신 정무관 도가시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총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시마다 사부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법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노 도시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외무대신 정무관 오다와라 기요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키사와 모토메 참의원 / 자유민주당(산토파) 재무대신 정무관 스기 히사타케 참의원 / 공명당 재무대신 정무관 미키 도루 참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히구치 나오야 중의원 / 공명당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다노세 다이도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호리우치 노리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바바 세이시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호소다 겐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야쿠라 가쓰오 참의원 / 공명당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나카가와 도시나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사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오구시 마사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취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이하라 다쿠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후지이 히사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오노 야스타다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네모토 유키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대신 정무관 히가 나쓰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환경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바야시 다쓰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방위대신 정무관 고바야시 다카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미야자와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6년 8월 5일 임명[5][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고향 만들기 추진 및 문화 외교 담당) 가와이 가쓰유키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가 안전 보장에 관한 중요 정책 및 선거 제도 담당) 시바야마 마사히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교육 재생, 저출산화, 그 외 국정의 중요 과제 담당) 에토 세이이치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정책 기획 담당) 하세가와 에이이치 민간내각홍보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토강인화 및 부흥 등의 사회자본 정비, 지방 창생 및 건강·의료에 관한 성장 전략 담당) 이즈미 히로토 민간전 내각관방참여 전원이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재임명. 세력 조견표[편집] 명칭 세력 국무대신 관방 부장관 부대신 정무관 보좌관 그 외 호소다파 98 6 2 7 5 1 참의원 의장, 총무회장,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회장 무파벌 75 3 0 2 4 1 공명당 60 1 0 3 2 0 누카가파 51 2 0 5 2 0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기시다파 40 2 0 2 2 0 아소파 39 2 0 2 3 0 니카이파 38 1 0 2 3 1 간사장, 선거대책위원장 다니가키단 31 1 0 0 0 0 이시바파 20 1 0 1 1 0 이시하라파 15 1 0 1 1 0 산토파 12 0 0 0 1 0 중의원 의장, 부총재 [주 2] 관련 항목[편집] 아베노믹스 각주[편집] 주해[편집] ↑ 더욱이 총무대신 다카이치 사나에도, 본명은 야마모토 사나에(山本早苗, 옛 성은 다카이치)이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하면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총 4명이 된다. ↑ 2016년 8월 기준으로 다니가키 그룹에는 타 파벌과 겸임하고 있는 의원이 8명이나 소속됐다. 단, 모두 정부의 직무 등에는 오르지 않았다. 출전[편집] ↑ 第3次安倍再改造内閣発足 首相「任期中に改憲」意欲 Archived 2016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도쿄 신문, 2016년 8월 4일 ↑ 「山本トリオ入閣…公一・有二・幸三氏」 Archived 2016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 YOMIURI ONLINE(요미우리 신문), 2016년 8월 3일 ↑ 政府 副大臣25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副大臣会議・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 政府 政務官27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大臣政務官会合・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2016년 8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수상 관저 -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각료 명부            일본의 역대 내각            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 2017년 8월 3일  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  vdeh 일본 역대 내각    이토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1 마쓰카타1 이토2 마쓰카타2 이토3 오쿠마1 야마가타2 이토4 가쓰라1 사이온지1 가쓰라2 사이온지2가쓰라3 야마모토1 오쿠마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1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고노에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2 고노에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1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2 요시다3(改1・改2・改3) 요시다4 요시다5 하토야마 이치로1 하토야마 이치로2 하토야마 이치로3 이시바시 기시1(改) 기시2(改) 이케다1 이케다2(改1・改2・改3) 이케다3(改) 사토1(改1・改2・改3) 사토2(改1・改2) 사토3(改) 다나카 가쿠에이1 다나카 가쿠에이2(改1・改2) 미키(改) 후쿠다 다케오(改) 오히라1 오히라2 스즈키 젠코(改) 나카소네1 나카소네2(改1・改2) 나카소네3 다케시타(改) 우노 가이후1 가이후2(改) 미야자와(改)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改) 하시모토1 하시모토2(改) 오부치(改1・改2) 모리1 모리2(개편 전・개편 후) 고이즈미1(改1・改2) 고이즈미2(改) 고이즈미3(改) 아베 신조1(改) 후쿠다 야스오(改)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간(改1・改2) 노다(改1・改2・改3) 아베 신조2(改) 아베 신조3(改1・改2・改3) 아베 신조4(改) * 내각명은 내각총리대신의 성을 따서 표시한다. * 성으로는 내각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 한해서 이름까지 표시한다. * 이름 뒤의 숫자는 차수를, 개(改)는 개조내각을 의미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oldid=24174020" 분류: 일본의 역대 내각2016년 일본2017년 일본아베 신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2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2차 개조내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국무대신 임명식 후에 가진 기념 촬영내각총리대신 제97대 아베 신조성립연월일 2016년 8월 3일종료연월일 2017년 8월 3일여당·지지기반 자유민주당·공명당(자공 연립 정권) 내각각료명단 (수상관저)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일본어: 第3次安倍晋三第2次改造内閣)은 중의원 의원, 자유민주당 총재 아베 신조가 제97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3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존재한 일본의 내각이다.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다. 목차 1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 2 국무대신 3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 4 부대신 5 대신 정무관 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7 세력 조견표 8 관련 항목 9 각주 9.1 주해 9.2 출전 10 외부 링크 내각 인사에 관한 개요[편집]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의 각료 19명 가운데 8명이 유임됐고, 1명은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8명이 처음으로 입각했다. 평균 연령은 60.8세이며 제1차 개조내각인 0.7세를 웃돌았다. 최고령자 및 최연소자는 제1차 개조내각과 동일 인물인데 최고령자는 아소 다로가 75세, 최연소는 마루카와 다마요가 45세이다(모두 발족 시의 나이). 당선 횟수는 12회를 기록한 아소 다로가 최다이며, 4회를 기록한 이나다 도모미가 최소 기록을 남겼다. 더욱이 제1차 개조내각과 마찬가지로 산토파, 민간인의 입각은 없었다.[1] 더 나아가 같은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3명이 나오게 됐다. 각각 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유지·야마모토 고조 등인데, 같은 성을 가진 것에 더해 이름의 말미가 ‘1’(고이치, 公一), ‘2’(유지, 有二), ‘3’(고조, 幸三)이라고 돼있다는 것도 화제가 됐다.[2][주 1] 국무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특명 담당 사항 비고 내각총리대신 아베 신조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자유민주당 총재 재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금융 담당) 아소 다로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디플레이션 탈출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1위(부총리) 유임 총무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마이넘버 제도 담당) 다카이치 사나에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유임 법무대신 가네다 가쓰토시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첫 입각 외무대신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유임 문부과학대신 마쓰노 히로카즈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교육 재생 담당 첫 입각 후생노동대신 시오자키 야스히사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5위 유임 농림수산대신 야마모토 유지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바파) 경제산업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손해배상·폐로 등 지원 기구 담당) 세코 히로시게 참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산업 경쟁력 담당러시아 경제 분야 협력 담당원자력 경제 피해 담당 첫 입각 국토교통대신 이시이 게이이치 중의원공명당 물순환 정책 담당 유임 환경대신내각부 특명담당대신(원자력 방재 담당) 야마모토 고이치 중의원자유민주당(다니가키 그룹) 첫 입각 방위대신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7년 7월 28일 사임 기시다 후미오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4위 2017년 7월 28일 취임 내각관방장관 스가 요시히데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오키나와 기지 부담 경감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2위 유임 부흥대신 이마무라 마사히로 중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 재생 총괄 담당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사임 요시노 마사요시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첫 입각2017년 4월 26일 취임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내각부 특명담당대신(소비자 및 식품 안전 담당)(방재 담당)(해양 정책 담당) 마쓰모토 준 중의원자유민주당(아소파) 영토 문제 담당국토강인화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오키나와 및 북방 대책 담당)(쿨 재팬 전략 담당)(지적 재산 전략 담당)(과학 기술 정책 담당)(우주 정책 담당) 쓰루호 요스케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정보통신기술(IT) 정책 담당 첫 입각 내각부 특명담당대신(경제 재정 정책 담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중의원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경제 재생 담당사회 보장·세금 일체 개혁 담당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취임 순위 제3위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남녀 공동 참가 담당) 가토 가쓰노부 중의원자유민주당(누카가파) 1억 총활약 담당일하는 방식 개혁 담당여성 활약 담당재도전 담당납치 문제 담당휴면 예금 담당 유임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지방 창생 담당)(규제 개혁 담당) 야마모토 고조 중의원자유민주당(기시다파) 마을·사람·일 창생 담당행정개혁 담당국가 공무원 제도 담당 첫 입각 국무대신 마루카와 다마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경기 대회 담당 직위 이동 마쓰모토 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의 ‘해양 정책 담당’은 2017년 4월 1일부터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으로 옮김. 내각관방부장관·내각법제국 장관[편집] 직책 성명 주요 경력 내각관방부장관 하기우다 고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노가미 고타로 참의원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스기타 가즈히로 전 내각위기관리감 내각법제국 장관 요코바타케 유스케 전 내각법제차장 하기우다 고이치, 스기타 가즈히로, 요코바타케 유스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유임. 부대신[편집] 직책 성명 소속 부흥 부대신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부흥 부대신 나가사와 히로아키 참의원 / 공명당 내각부 부대신 이시하라 히로타카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내각부 부대신 오치 다카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부 부대신 마쓰모토 요헤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 부대신 하라다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총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아카마 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법무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모리야마 마사히토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 부대신 소노우라 겐타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외무 부대신 기시 노부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오쓰카 다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재무 부대신 기하라 미노루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문부과학 부대신 요시이에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문부과학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미즈오치 도시에이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 부대신 하시모토 가쿠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후생노동 부대신 후루야 노리코 중의원 / 공명당 농림수산 부대신 사이토 겐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농림수산 부대신 이소자키 요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경제산업 부대신 마쓰무라 요시후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경제산업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다카기 요스케 중의원 / 공명당 국토교통 부대신 다나카 료세이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겸 부흥 부대신 스에마쓰 신스케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세키 요시히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이토 다다히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 부대신 겸 내각부 부대신 와카미야 겐지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모리야마 마사히토, 사이토 겐, 요시이에 히로유키, 와카미야 겐지는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다카기 요스케는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으로부터 유임.[3] 2016년 8월 5일 임명[4] 대신 정무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비고 내각부대신 정무관 다케무라 노부히데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부대신 정무관 도요다 도시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무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사임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나가사카 야스마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2017년 3월 10일 취임 총무대신 정무관 가네코 메구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총무대신 정무관 도가시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바파) 총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시마다 사부로 참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법무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노 도시로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외무대신 정무관 오다와라 기요시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케이 슌스케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외무대신 정무관 다키사와 모토메 참의원 / 자유민주당(산토파) 재무대신 정무관 스기 히사타케 참의원 / 공명당 재무대신 정무관 미키 도루 참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히구치 나오야 중의원 / 공명당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다노세 다이도 중의원 / 자유민주당(이시하라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호리우치 노리코 중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후생노동대신 정무관 바바 세이시 참의원 / 자유민주당(기시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호소다 겐이치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농림수산대신 정무관 야쿠라 가쓰오 참의원 / 공명당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나카가와 도시나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사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오구시 마사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2017년 4월 18일 취임 경제산업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겸 부흥대신 정무관 이하라 다쿠미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후지이 히사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무파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오노 야스타다 참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국토교통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네모토 유키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환경대신 정무관 히가 나쓰미 중의원 / 자유민주당(누카가파) 환경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이바야시 다쓰노리 중의원 / 자유민주당(아소파) 방위대신 정무관 고바야시 다카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니카이파) 방위대신 정무관 겸 내각부대신 정무관 미야자와 히로유키 중의원 / 자유민주당(호소다파) 2016년 8월 5일 임명[5][6] 내각총리대신 보좌관[편집] 직책 성명 소속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고향 만들기 추진 및 문화 외교 담당) 가와이 가쓰유키 중의원자유민주당(무파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가 안전 보장에 관한 중요 정책 및 선거 제도 담당) 시바야마 마사히코 중의원자유민주당(호소다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교육 재생, 저출산화, 그 외 국정의 중요 과제 담당) 에토 세이이치 참의원자유민주당(니카이파)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정책 기획 담당) 하세가와 에이이치 민간내각홍보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국토강인화 및 부흥 등의 사회자본 정비, 지방 창생 및 건강·의료에 관한 성장 전략 담당) 이즈미 히로토 민간전 내각관방참여 전원이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으로부터의 재임명. 세력 조견표[편집] 명칭 세력 국무대신 관방 부장관 부대신 정무관 보좌관 그 외 호소다파 98 6 2 7 5 1 참의원 의장, 총무회장, 간사장 대행, 참의원 의원회장 무파벌 75 3 0 2 4 1 공명당 60 1 0 3 2 0 누카가파 51 2 0 5 2 0 정무조사회장, 국회대책위원장, 참의원 간사장 기시다파 40 2 0 2 2 0 아소파 39 2 0 2 3 0 니카이파 38 1 0 2 3 1 간사장, 선거대책위원장 다니가키단 31 1 0 0 0 0 이시바파 20 1 0 1 1 0 이시하라파 15 1 0 1 1 0 산토파 12 0 0 0 1 0 중의원 의장, 부총재 [주 2] 관련 항목[편집] 아베노믹스 각주[편집] 주해[편집] ↑ 더욱이 총무대신 다카이치 사나에도, 본명은 야마모토 사나에(山本早苗, 옛 성은 다카이치)이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하면 ‘야마모토’라는 성을 가진 각료가 총 4명이 된다. ↑ 2016년 8월 기준으로 다니가키 그룹에는 타 파벌과 겸임하고 있는 의원이 8명이나 소속됐다. 단, 모두 정부의 직무 등에는 오르지 않았다. 출전[편집] ↑ 第3次安倍再改造内閣発足 首相「任期中に改憲」意欲 Archived 2016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 도쿄 신문, 2016년 8월 4일 ↑ 「山本トリオ入閣…公一・有二・幸三氏」 Archived 2016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 YOMIURI ONLINE(요미우리 신문), 2016년 8월 3일 ↑ 政府 副大臣25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副大臣会議・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 政府 政務官27人を決定 - NHK, 2016년 8월 5일 ↑ 初大臣政務官会合・記念撮影 - 수상 관저 홈페이지, 2016년 8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수상 관저 -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각료 명부            일본의 역대 내각            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   제3차 아베 신조 제2차 개조내각  2016년 8월 3일 ~ 2017년 8월 3일  후임 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3차 개조)  vdeh 일본 역대 내각    이토1 구로다 (산조 잠정) 야마가타1 마쓰카타1 이토2 마쓰카타2 이토3 오쿠마1 야마가타2 이토4 가쓰라1 사이온지1 가쓰라2 사이온지2가쓰라3 야마모토1 오쿠마2 데라우치 하라 다카하시 가토 도모사부로 야마모토2 기요우라 가토 다카아키 와카쓰키1 다나카 기이치 하마구치 와카쓰키2 이누카이 사이토 오카다 히로타 하야시 고노에1 히라누마 아베 노부유키 요나이 고노에2 고노에3 도조 고이소 스즈키 간타로 히가시쿠니노미야 시데하라 요시다1 가타야마 아시다 요시다2 요시다3(改1・改2・改3) 요시다4 요시다5 하토야마 이치로1 하토야마 이치로2 하토야마 이치로3 이시바시 기시1(改) 기시2(改) 이케다1 이케다2(改1・改2・改3) 이케다3(改) 사토1(改1・改2・改3) 사토2(改1・改2) 사토3(改) 다나카 가쿠에이1 다나카 가쿠에이2(改1・改2) 미키(改) 후쿠다 다케오(改) 오히라1 오히라2 스즈키 젠코(改) 나카소네1 나카소네2(改1・改2) 나카소네3 다케시타(改) 우노 가이후1 가이후2(改) 미야자와(改) 호소카와 하타 무라야마(改) 하시모토1 하시모토2(改) 오부치(改1・改2) 모리1 모리2(개편 전・개편 후) 고이즈미1(改1・改2) 고이즈미2(改) 고이즈미3(改) 아베 신조1(改) 후쿠다 야스오(改) 아소 하토야마 유키오 간(改1・改2) 노다(改1・改2・改3) 아베 신조2(改) 아베 신조3(改1・改2・改3) 아베 신조4(改) * 내각명은 내각총리대신의 성을 따서 표시한다. * 성으로는 내각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에 한해서 이름까지 표시한다. * 이름 뒤의 숫자는 차수를, 개(改)는 개조내각을 의미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3차_아베_신조_내각_(제2차_개조)&oldid=24174020" 분류: 일본의 역대 내각2016년 일본2017년 일본아베 신조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20: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그레고리오 10세 임기 1271년 9월 1일 전임자 클레멘스 4세후임자 인노첸시오 5세개인정보출생이름 테오발도 비스콘티출생 1210년 신성 로마 제국 피아첸차선종 1276년 1월 10일 신성 로마 제국 알레초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라틴어: Gregorius PP. X, 이탈리아어: Papa Gregorio X)는 제184대 교황(재위: 1271년 9월 1일 - 1276년 1월 10일)이다. 본명은 테오발도 비스콘티(이탈리아어: Teobaldo Visconti)이다.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이다. 1268년에서 1271년까지 이어진 로마 가톨릭교회 역사상 가장 긴 교황 선거에서 선출되었다. 그는 제2차 리옹 공의회를 소집하고 교황 선출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공포하였다. 교황 하드리아노 5세와 교황 요한 21세가 잠시 무효화했던 적을 제외하고는, 그가 제정한 규정들은 교황 바오로 6세가 고칠 때까지 20세기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목차 1 생애 초기 2 프랑스 3 교황 선출 4 몽골과의 외교적 대화 5 제2차 리옹 공의회 6 죽음 7 시복과 시성 8 하얀색 수단 9 시복 10 각주 생애 초기[편집]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1210년 피아첸차에서 태어났다. 그의 경력은 같은 피아첸차 출신인 팔레스트리나 교구장이자 시토회원인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1231-1244)을 위해 일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는 거룩한 인물로 명망 높은 추기경을 보고 감동받았다. 테오발도는 샹파뉴의 트루아퐁텐 수도원의 아빠스로 선출된 후에도 자코모 추기경의 집사로 계속 봉사하였다.[1]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특사로 토스카나와 롬바르디아, 프랑스, 독일을 순차적으로 방문하였다. 테오발도는 아마도 프로방스에서 추기경을 보좌하는 임무를 수행했을 때 프랑스의 유력한 성직자들과 평신도들과 안면을 트게 되었을 것이다.[2] 1239년 추기경이 업무차 피아첸차로 돌아올 때, 그는 이미 산 안토니오 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어 있었다.[3] 이후 그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와 또다시 전쟁을 벌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맞선 십자군을 프랑스에 요청하기 위한 새로운 임무를 띤 추기경과 동반하였다. 1239년 초, 교황은 재차 황제를 파문하였다. 양측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공의회 소집이 요구되었다. 교황은 이에 반대하지 않았지만, 교황령에서 자신의 주최 아래 공의회가 소집하려고 계획하였다. 또한 그는 프리드리히 2세의 모든 적들을 로마로 불러들이려고 하였다. 1240년 테오발도는 자코모 추기경의 요청에 따라 공석 상태가 된 리옹 대성당의 의전참사회원이 되었다.[4] 그레고리오 9세는 끝내 세계 공의회를 소집하지 못하고 1241년 8월 22일 선종하였다. 그레고리오 9세의 후임자 선출은 2개월 이상 소요되었다. 늙고 병이 든 새 교황 첼레스티노 4세는 교황으로 선출된지 불과 17일 만인 1241년 11월 10일 선종하였다. 첼레스티노 4세 사후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교황 선거는 한동안 개최되지 못했다. 교황의 선종 당시 추기경들은 로마에 있었지만, 과거 1241년 8월 22일부터 10월 25일까지의 사도좌 공석 기간 동안 크게 고생했던 기억이 떠올라 즉시 흩어졌다.[5] 그리하여 로마에는 겨우 12명의 추기경들만이 남게 되었다. 1243년 6월까지 추기경 전원이 모이지 않은 상태에서 로마가 아닌 아나니에서 개최된 교황 선거에서 제노바의 시니발도 프레스키 추기경이 교황 인노첸시오 4세로 선출되었다. 1243년 피아첸차 주교가 선종하자 인노첸시오 4세는 테오발도에게 피아첸차 주교직을 맡을 것을 주문했으나, 테오발도는 이를 고사하고 자코모 추기경을 계속 보좌하였다. 자코모 추기경은 1244년 6월 25일 로마에서 선종하였다. 프랑스[편집] 자신의 후원자이자 영성 모범인 추기경이 선종하자 테오발도는 교황청을 떠나 파리로 가서 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였다. 하지만 그는 리옹에 도착했을 때, 리옹의 대주교 필리프의 환대를 받고 그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테오발도는 처음에 그의 요청을 거절했지만 대주교가 한사코 부탁하자 결국 수락하였다. 1244년 7월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프리드리히 2세 황제를 피해 로마를 떠나 망명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자신의 고향인 제노바로 갔다가 리옹으로 향한 그는 세계 공의회를 소집할 계획을 구체적으로 구상했다. 리옹에서 교황을 만난 테오발도는 1245년 6월-7월 개최된 제1차 리옹 공의회 구성을 도왔다.[6] 이 시기에 테오발도는 보나벤투라, 토마스 아퀴나스, 기 파우코이, 피에르 드 타랑테즈, 마테오 루베오 오르시니 등 공의회에 참석한 교부들과 친분 관계를 맺었다. 테오발도는 자신의 공로를 치하받는 차원에서 1246년 9월 9일 리에주 교구의 수석부제로 임명되었다.[7] 그는 인노첸시오 4세의 지시로 거룩한 땅을 되찾기 위한 십자군 원정 설교를 하였다. 십자군과 교황청 둘 다 기금을 모으는데 절박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설교는 생각보다 더 재정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8] 그러나 테오발도는 아직 사제 서품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사제처럼 설교할 수는 없었다. 테오발도가 리에주에 있던 시절은 행복했다고 할 수 없었다. 제1차 리옹 공의회에 참석한 로베르 드 토르테 주교가 1246년 10월 16일 병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선종하였다.[9] 그러자 새 주교 서품을 놓고 분쟁이 일어났다. 프리드리히 2세가 내세운 후보인 위트레흐트 단체장이 주교좌를 탈취하려는 시도를 하자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은 교황으로부터 주교좌성당의 의전참사회원들이 자신을 만날 때까지 외부의 개입을 차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선종하면서 1243년 6월까지 사도좌 공석 상태가 지속되었다. 그 사이 옥신각신하던 선거인들 사이에 의사가 통하여 1240년 10월 30일 베르됭의 주교와 형제지간인 로베르가 선택되었다. 하지만 로베르가 사망하면서 또다시 분쟁이 일어나면서 로베르토 카포치 추기경이 주교 선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당시 테오발도는 의전참사회원이자 수석부제였으므로 이 분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1247년 10월 10일 겔데르 백작 오토 3세의 형제이자 세속적인 인물인 하인리히가 당선되었으나 그는 아직 서품을 받지 못했다. 실제로 그는 이후 12년 동안 주교는 물론이고 사제품을 받지도 않았다. 테오발도가 파리로 가서 자리를 비운 상태였기 때문에 새 주교 선출자는 1250년 말엽까지 주교좌와 착좌하지 못했다.[10] 결국 1258년 하인리히는 주교로 축성되었으며, 스타불로의 유명한 수도원의 아빠스로도 선출되었다.[11] 하지만 성직자가 된 이후에도 하인리히는 과거 군인 시절의 방종했던 생활을 청산하지 못했다. 1262년 그는 수석부제인 테오발도와 정면으로 충돌하였다. 의전참사회의 중에 그는 테오발도로부터 강도 높은 비판을 받았다. 테오발도는 하인리히가 콘라디 드 코엥 르 프리종의 딸 베르타를 강압적으로 취한 사실을 지적하였다. 하인리히는 테오발도를 위협을 행사하였다. 그 결과, 며칠 후에 테오발도는 리에주를 떠나 거룩한 땅으로 성지 순례를 떠났다고 전해진다.[12] 하지만 파리까지 간 그는 그곳에서 오랫동안 계획했던 신학 공부를 재개했다. 파리에 머무는 동안 그는 루이 9세 왕의 벗이 되었다.[13] 1267년 리에주를 떠나 파리로 간 테오발도는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명령으로 1265년 교황 특사로 임명되어 잉글랜드로 간 오토보노 프레스키 추기경을 보좌하게 되었다. 프레스키 추기경이 띤 임무는 시몽 드 몽포르가 이끈 남작들의 반란에 부딪힌 헨리 3세 국왕을 돕는 것이었다.[14] 테오발도는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잉글랜드 왕자 에드워드(훗날의 에드워드 1세)의 벗이 되어 그와 함께 십자군에 참가하기도 했다. 프레스키 추기경은 비테르보로 돌아와서 1268년-1271년 콘클라베에 참여했으며, 이 기간에는 교황이 존재하지 않았다. 교황 선출[편집] 추기경단의 분열로 무려 2년 9개월이나 계속된 교황의 공석을 거쳐 1271년 9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가 교황 클레멘스 4세의 뒤를 이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클레멘스 4세의 선종으로 비테르보에 모인 추기경들은 프랑스파와 이탈리아파로 분열되었다. 루이 9세의 동생이자 클레멘스 4세에 의해 시칠리아 왕으로 등극한 카를로 1세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파는 자기 나라 사람을 교황으로 선출하려고 하였다. 18개월간 교착 상태가 이어지자 교황 선출이 너무 지연되는 것을 더이상 참을 수 없게 된 비테르보 당국과 시민들은 추기경들이 좀 더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추기경들을 감금하고 그들이 모인 관저의 옥상으로 올라가 지붕을 뜯어내 빵과 물 밖에 주지 않았다. 추기경들은 마지막으로 1271년 8월 양측에 3명씩 총 6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하였다. 여섯 명의 추기경들이 추기경들 중 한 명도 선택하지 않자 그들은 외부에서 인물을 모색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리에주의 수석부제를 지낸 테오발도 비스콘티로 결정하였다. 위원회의 결정에 1271년 9월 1일 추기경 전원이 만장일치로 비준하였다. 사실상 이는 프랑스파의 승리나 다름없었다. 테오발도는 프랑스와 가까웠으며, 그의 조카 비체도미노 데 비체도미니스는 엑상프로상스의 대주교이자 카를로 1세의 조언자였기 때문이다. 당시 테오발도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와 함께 팔레스타인의 아크레에서 제9차 십자군에 종군하던 와중에 이 소식을 듣고 놀랐다. 자신의 임무를 도중에 저버리기를 원치 않았던 테오발도가 자신의 교황 선출 소식을 듣고 첫 번째로 한 행동은 십자군에 대한 지원을 호소한 것이었다. 이탈리아로 떠나기 직전 아크레에서 한 마지막 설교에서 그는 “예루살렘아, 내가 만일 너를 잊는다면 내 오른손이 말라버리리라”는 시편 137편 5절을 인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그는 추기경들에 의해 교황으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하루속히 이탈리아로 돌아가야만 했다. 1272년 1월 1일 테오발도 비스콘티는 브린디시에 이르렀으며, 1272년 2월 초에 추기경들이 기다리고 있던 비테르보에 도착하였다.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그는 자신의 교황 선출을 수용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는 교황용 깝바를 걸쳤지만 여전히 자신을 교황이 아닌 주교 선출자(Episcopus-electus)라고 소개함으로써 태도를 조심하였다. 1272년 3월 13일 그는 로마 교황청 일원들과 함께 로마로 들어갔다. 아직 서품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먼저 1272년 3월 19일 사제 서품을 받고 이어서 1272년 3월 27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주교로 서품받고 교황 대관식을 가졌다. 몽골과의 외교적 대화[편집] 1271년 니콜로 폴로와 그의 아들 마르코 폴로에게 쿠빌라이 칸에게 보낼 편지를 전달하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1271년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그레고리오 10세는 몽골을 방문하고 온 니콜로 폴로와 그의 17살짜리 아들 마르코 폴로를 통해 몽골의 대칸 쿠빌라이 칸이 보낸 편지를 받았다. 쿠빌라이 칸은 교황에게 선교사 백 명과 거룩한 무덤 성당의 등잔 기름 일부를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교황은 두 명의 수사와 약간의 기름만을 보내주었다. 몽골로 떠난 수사들은 얼마 안 가 되돌아왔다. 니콜로 폴로와 마르코 폴로 부자는 1275년 몽골 제국으로 다시 가서 교황이 쿠빌라이 칸에게 보낸 기름을 전달하였다.[15] 몽골의 일칸국 지도자 아바카 칸은 몽골과 유럽 간의 군사 협력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1274년 제2차 리옹 공의회에 십여 명으로 구성된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16] 공의회가 폐회한 후, 아바카 칸은 재차 조지아 사람인 바사리 형제를 서방 지도자들에게 외교 사절로 보내 군사들을 준비시켰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이에 그레고리오 10세는 아바카 칸의 사절단에게 일칸국이 십자군 원정에 참여한다면 군사 조직에 편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하였다.[17] 그러나 1276년 1월 10일 그레고리오 10세가 선종하면서 새 십자군 원정 계획은 사실상 좌초되었다. 십자군 원정을 위해 모은 자금은 이탈리아에 배분되었다.[18] 제2차 리옹 공의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2차 리옹 공의회입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 재임하는 동안 소위 ‘피의 비방’ 소문과 그로 인한 유대인에 대한 박해에 반대하는 서신을 썼다.[19] 그리고 교황 선거 과정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는 비테르보의 콘클라베에서 자신이 교황으로 선출되었다는 사실에 착안해, 엄격한 콘클라베 규정을 담은 교황 선거법을 제정한다는 교황 칙서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1274년 7월 16일 제2차 리옹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회법전 조항에 포함되었다. 1272년 로마에 당도하고나서 그의 첫 번째로 한 행동은 전임자 그레고리오 9세의 뜻을 이어받아 공의회 소집에 착수한 것이었다. 교황으로 즉위한 지 이틀 후에 그레고리오 10세는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1세에게 1274년 5월 1일 개최될 공의회에 초대한다는 편지를 보냈다.[20] 그레고리오 10세는 1273년 6월 5일 오르비에토를 떠나 1273년 11월 중엽에 리옹에 도착하였다.[21] 모든 추기경이 그를 따라나섰던 것은 아니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1273년 11월 29일 에드워드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리카르도 안니발디 추기경과 조반니 오르시니 추기경은 아직 로마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과 기 드 몽포르를 수감할 경비가 엄중한 곳을 찾으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22] 두 추기경은 집안 대대로 원수지간이었기 때문에 그들을 로마에 남겨둔 것은 서로를 견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들은 제2차 리옹 공의회 개막식에 참석하지 않았다.[23] 그레고리오 10세는 프랑스 왕 필리프 3세를 즉시 만났는데, 필리프 3세는 즉위 이래 줄곧 열심히 나라를 이끌고 있었다. 필리프 3세가 브나스크 백작령을 교황에게 이양했기 때문에 양측의 만남은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24] 1274년 5월 1일 교황 선거법 제정, 동서 교회의 분열 극복, 십자군 지원 등을 논의하기 위해 리옹에서 14번째 세계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그레고리오 10세는 교황으로서 자신의 주된 목표를 세계 공의회 소집으로 정했으며, 세계 공의회에서 다음과 같은 사안들을 다루게 하였다. 동방 정교회와의 화해와 동서 교회의 분열 종식.[25] 새로운 십자군 원정 준비와 그를 위한 모든 교회의 지원금 납부.[26] 교회의 부패 척결.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를 통한 교황 선거법 제정. 교황은 교리적인 문제가 아닌 규율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27] 그레오리오 10세는 십자군 지원을 위해 모든 성직자에게 수입의 10%를 6년 동안 의무적으로 내도록 했다. 이전의 세계 공의회인 1215년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는 성직자들에게 수입의 5%를 3년 동안 십자군 지원금으로 내도록 한 것과 비교하면 4배나 인상된 셈이었다. 이에 따라 26개의 세무소가 설립되었다.[28] 《위험이 있는 곳에》(Ubi periculum)는 콘클라베에 대해 여러 가지 중요한 사항을 제정했다.[29] 교황이 선종하면 교황과 교황청이 머물러 있는 곳 중 적절한 장소에서 교황 선거를 치러야 한다. 만약 별장이나 시골 지역, 마을에 있다면 추기경단은 성무 금지가 내려져 있지 않은 가장 가까운 도시로 장소를 옮겨야 한다. 교황 선거는 전임 교황 사후 10일 이내에 치러져서는 안 된다.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다. 콘클라베에 불참한 추기경 뿐만 아니라 추기경이 아닌 사람은 선거권을 가질 수 없다. 선종한 교황에 대한 공식 애도 기간은 교황 사후 9일이다. 10일째 되는 날에는 교황 선출 청원 미사를 봉헌한다. 모든 추기경은 교황이 선종한 장소에 머물러 있어야 하며, 그들이 모인 장소를 외부와 차단해야 한다. 추기경들 중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 있을 경우, 미리 양해를 구해 세네 명 정도의 하인을 대동할 수 있다. 그 밖에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부인이 함부로 퇴장하거나 출입할 수 없다. 내벽은 없어야 하지만, 각 추기경의 숙소는 천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그들은 공동으로 기숙해야 한다. 콘클라베가 실시된 장소는 엄중히 경비해야 한다. 추기경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새 교황이 선출되기 전까지는 콘클라베를 떠날 수 없다. 콘클라베 장소가 봉쇄되어 교황 선거가 시작된 뒤에 도착한 추기경도 콘클라베에 참여하여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파문된 경우를 제외하면, 이유를 불문하고 어떤 추기경도 교황 선거에서 배제될 수 없다. 추기경들이 콘클라베에 들어간 후 3일 안에 교황을 선출하지 않으면 추기경들에게 점심과 저녁 중 한 끼만 제공한다. 콘클라베 기간 동안에는 아무도 파문되거나 추기경들 사이에 뇌물을 주고 받거나 어떠한 약조를 하거나 자신이 교황이 된 후에 무엇을 하겠다고 공약할 수 없다. 콘클라베 기간 동안 추기경들은 교황을 선출하는 것 외에 다른 업무에 일체 관여해서는 안 된다. 추기경단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를 받은 사람만이 교황이 된다. 교황이 선종하면 그 즉시 교황 궁무처장과 교황청 내사원장 및 부원장을 제외한 모든 교황청 기구는 업무를 잠시 중단한다. 죽음[편집] 아레초 대성당의 교황 그레고리오 10세 무덤. 그레고리오 10세는 1275년 4월 리옹을 떠난 후 건강이 급격하게 나빠졌다. 그는 탈장 증세로 고생하여 로마로 돌아가는 길에 빈번히 멈춰야 했다. 그는 1275년 9월 30일 빈에서 곧바로 출발해 1275년 10월 6일 로잔에 이르렀다.[30] 로잔에서 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출된 로마왕 루돌프 1세를 만나, 1275년 10월 20일 그에게서 충성 서약을 받았다.[31] 1275년 11월 12일 목요일, 그는 밀라노에 도착했다. 교황 일행은 1275년 12월 5일 레지오에밀리아에 이르렀으며, 같은 해 12월 11일에는 볼로냐에 이르렀다.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탈장 증세로 인해 1275년 크리스마스 때 아레초에서 길을 멈추었다. 그레고리오 10세의 건강은 눈에 띄게 나빠졌으며, 결국 1276년 1월 10일 아레초에서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아레초 대성당 안에 안장되었다. 그의 후임자는 생전에 가깝게 지낸 협력자인 도미니코회원 피에르 드 타랑테즈(교황 인노첸시오 5세)가 되었다.[32] 시복과 시성[편집] 그레고리오 10세가 교황으로 재임한 동안 시성한 인물은 한 명이었다. 그는 1273년 9월 프란카 비살타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였다. 프란차 비살타는 피아첸차 태생의 시토회 수녀로 수도회의 규칙에 따라 엄격한 극기를 하였다. 그녀는 불과 7세의 나이에 수녀원에 들어가 14세 때 서원을 하였다. 나중에 그녀는 수녀원장으로 피선되었다.[33] 1270년 프랑스 왕 루이 9세가 사망하자 그레고리오 10세는 1272년 그에게 하느님의 종 칭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시성 절차를 개시하였다.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는 루케치오 몬데스티니를 시복하였다. 하얀색 수단[편집]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 이탈리아의 역사학자 아고스티노 파라비치니 발리아니는 하얀색 수단을 입은 최초의 교황이 교황 비오 5세(1566-1572)로 알려진 세간의 인식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에 따르면, 1274년에 교황이 하얀색 수단을 입었다는 최초의 기록은 1274년이라고 한다. 이어서 그는 교황으로 선출된 직후 붉은색 망토를 두른 최초의 교황은 교황 그레고리오 7세(1076년)이며, 전통적으로 교황은 선출된 순간 붉은색(망토, 모제타, 신발)과 하얀색 옷(수단, 양말)을 입는다고 덧붙였다.[34][35] 시복[편집] 1713년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10세를 시복하였다. 그의 시성 절차는 1944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재개되었다. 현재 그레고리오 10세의 시성은 그의 전구를 통해 일어난 기적이 요구되어 여전히 미결 상태이다. 각주[편집] ↑ Pietro Maria Campi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II (Piacenza 1651), p. 155, quoting from manuscripts in the Cathedral library at Piacenza and at the Church of S. Antonino. Campi was a Canon of the Cathedral. ↑ Campi, p. 163. ↑ Campi. p. 167. 그가 의전사제로 임명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아마도 밀라노 대구죠인 삼촌의 영향력으로 되었거나 자코모 데 페코라리 추기경의 영향력으로 의전참사회원이 되었을 것이다. 1239년 9월 그는 주교좌 성당 의전참사회원 계약서에 서명하였다. ↑ Campi, p. 169; P. Clerion, Histoire de Lyon Tome troisieme (Lyon 1830), pp. 276-277. Giuseppe de Novaes, Elementi della storia de'sommi pontefici da San Pietro, sino al Pio papa VII III (Roma 1821), p. 249. ↑ Adams, Dr. J. P. “The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0 November 1241-24 June 1243”.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25. ↑ Émile Schoolmeesters, "Tableau des archdiacres de Liége pendant le XIIIe siècle," Leodium II (Liège 1903), p. 5. Berger, Les registres d' Innocent IV Volume I (Paris 1884), p. 334 no. 2260. ↑ Judith Bronstein,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Woodbridge, Suffolk, UK: Boydell Press 2005), pp. 24-25; 115-121.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25.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30-31. ↑ Gallia christiana III (Paris 1725), 939-952, at 948-949. 그는 나중에 1274년 교황 그레고리오 10세에 의해 주교직에서 파면당했다. ↑ Gallia christiana III (Paris 1725), 888-889. Alphonsus Ciaconius, Vitae et Res Gestae Pontificum Romanorum et S.R.E. Cardinalium (ab Augusto Olduino recognitae) Tomus II (Roma 1677), 185—하인리히가 실제로 테오발도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Vita Gregorii X Papae," ab antiquissimo anonymo auctore scripta, in Ludovico Muratori Rerum Italicarum Scriptores Tomus tertius (Mediolani 1733), p. 600. Campi, p. 223. ↑ Francis Gasquet, Henry the Third and the English Church (London 1905), pp. 403-416. ↑ J.R.S. Phillips,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second edition (Oxford: Clarendon 1998), p. 113. ↑ Peter Jackson,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New York: Routledge 2014), especially pp. 167-196. B. Roberg, "Die Tartaren auf dem 2. Konzil von Lyon 1274," Annuarium historiae conciliarum 5 (1973), 241-302. ↑ Jean Richard, Histoire des Croisades (Paris: Fayard 1996), p.465 ↑ Jonathan Riley-Smith, "Atlas des Croisades", p.69 (English-language version: The Atlas of the Crusades (Facts-on-file 1991)) ↑ [1]. Brian Tierney, The Middle Ages: Sources of Medieval History sixth edition, revised, Vol 1 (New York: McGraw-Hill 1999), 259-260. ↑ Thomas Rymer Foedera, Conventiones, Literae et cuiusque generis Acta Publica inter Reges Angliae et alios... editio tertia, Tomus I. pars 2 (The Hague 1745), pp. 121-122. 유럽의 다른 왕들과 제후들, 통치자들에게도 편지를 보냈다. ↑ Augustus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671, 1672. ↑ Rymer, II. 2, pp. 134-135. Potthast, no. 20767. ↑ Isidoro Carini, "Brevis Historia Concilii Lugdunensis," in Specilegio Vaticano di documenti inediti e rari estratti dagli Archivi e dalla Biblioteca della Sede Apostolica Volume I (Roma: Ermanno Loescher 1890), pp. 250-251. ↑ Potthast, no. 20761 (1273년 11월 21일). ↑ J. M. Hussey, The Orthodox Church in the Byzantine Empire (Oxford-New York: OUP 2010), Section VIII, parts 1-3. ↑ Maureen Purcell, Papal Crusading Policy, 1244-1291: The Chief Instruments of Papal Crusading Policy and Crusade to the Holy Land from the Final Loss of Jerusalem to the Fall of Acre 1244-1291 (Leiden: E.J. Brill, 1975), especially pp. 135-195. Judith Bronstein, The Hospitallers and the Holy Land: Financing the Latin East, 1187-1274 (Woodbridge, Suffolk, UK: Boydell Press 2005), pp. 127-133. ↑ Norman Tanner, Church in Council: Conciliar Movements, Religious Practice and the Papacy (New York-London: I.B.Tauris 2011), pp. 24-25. Cf. Edmund J. Fortman, The Triune God: A Historical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Eugene, Oregon, USA: Wipf and Stock Publishers 1999), p. 229. William Crockett et al., Four Views on Hell (Grand Rapids, Michigan, USA: Zondervan, 1996), pp. 111-113. ↑ Baldwin, Pope Gregory X and the Crusades, p. 4. ↑ 프란치스코 파지는 이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Breviarium historico-chronologico-criticum illustriora pontificum Romanorum, Conciliorum Generaliorum acta... III (Antwerp 1718), pp. 406-408. ↑ August Potthast,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II (Berlin 1875), p. 1700 ↑ Pietro Campi, Dell' historia ecclesiastica di Piacenza II (Piacenza 1662), p. 483. ↑ Conclave of 20-21 January 1276 (Dr. J.P.Adams). ↑ Acta Sanctorum: Aprilis Tomus III (Antwerp 1675), pp. 379-404 (biography by Fr. Bertramo Reoldi, O.Cist.). ↑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catholicculture.org》.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 “L'Osservatore Romano”. 《osservatoreromano.va》. 2015년 4월 2일에 확인함.  전임클레멘스 4세 제184대 교황1271년 9월 1일 - 1276년 1월 10일 후임인노첸시오 5세 vdeh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1세기-4세기 베드로 리노 아나클레토 클레멘스 1세 에바리스토 알렉산데르 1세 식스토 1세 텔레스포로 히지노 비오 1세 아니체토 소테르 엘레우테리오 빅토르 1세 제피리노 갈리스토 1세 우르바노 1세 폰시아노 안테로 파비아노 고르넬리오 루치오 1세 스테파노 1세 식스토 2세 디오니시오 펠릭스 1세 에우티키아노 카이오 마르첼리노 마르첼로 1세 에우세비오 멜키아데 실베스테르 1세 마르코 율리오 1세 리베리오 다마소 1세 시리치오 아나스타시오 1세 5세기-8세기 인노첸시오 1세 조시모 보니파시오 1세 첼레스티노 1세 식스토 3세 레오 1세 힐라리오 심플리치오 펠릭스 3세 젤라시오 1세 아나스타시오 2세 심마코 호르미스다 요한 1세 펠릭스 4세 보니파시오 2세 요한 2세 아가피토 1세 실베리오 비질리오 펠라지오 1세 요한 3세 베네딕토 1세 펠라지오 2세 그레고리오 1세 사비니아노 보니파시오 3세 보니파시오 4세 아데오다토 1세 보니파시오 5세 호노리오 1세 세베리노 요한 4세 테오도로 1세 마르티노 1세 에우제니오 1세 비탈리아노 아데오다토 2세 도노 아가토 레오 2세 베네딕토 2세 요한 5세 코논 세르지오 1세 요한 6세 요한 7세 시신니오 콘스탄티노 그레고리오 2세 그레고리오 3세 자카리아 스테파노 2세 바오로 1세 스테파노 3세 하드리아노 1세 레오 3세 9세기-12세기 스테파노 4세 파스칼 1세 에우제니오 2세 발렌티노 그레고리오 4세 세르지오 2세 레오 4세 베네딕토 3세 니콜라오 1세 하드리아노 2세 요한 8세 마리노 1세 하드리아노 3세 스테파노 5세 포르모소 보니파시오 6세 스테파노 6세 로마노 테오도로 2세 요한 9세 베네딕토 4세 레오 5세 세르지오 3세 아나스타시오 3세 란도 요한 10세 레오 6세 스테파노 7세 요한 11세 레오 7세 스테파노 8세 마리노 2세 아가피토 2세 요한 12세 베네딕토 5세 레오 8세 요한 13세 베네딕토 6세 베네딕토 7세 요한 14세 요한 15세 그레고리오 5세 실베스테르 2세 요한 17세 요한 18세 세르지오 4세 베네딕토 8세 요한 19세 베네딕토 9세 실베스테르 3세 베네딕토 9세 그레고리오 6세 클레멘스 2세 베네딕토 9세 다마소 2세 레오 9세 빅토르 2세 스테파노 9세 니콜라오 2세 알렉산데르 2세 그레고리오 7세 빅토르 3세 우르바노 2세 파스칼 2세 젤라시오 2세 갈리스토 2세 호노리오 2세 인노첸시오 2세 첼레스티노 2세 루치오 2세 에우제니오 3세 아나스타시오 4세 하드리아노 4세 알렉산데르 3세 루치오 3세 우르바노 3세 그레고리오 8세 클레멘스 3세 첼레스티노 3세 인노첸시오 3세 13세기-16세기 호노리오 3세 그레고리오 9세 첼레스티노 4세 인노첸시오 4세 알렉산데르 4세 우르바노 4세 클레멘스 4세 그레고리오 10세 인노첸시오 5세 하드리아노 5세 요한 21세 니콜라오 3세 마르티노 4세 호노리오 4세 니콜라오 4세 첼레스티노 5세 보니파시오 8세 베네딕토 11세 클레멘스 5세 요한 22세 베네딕토 12세 클레멘스 6세 인노첸시오 6세 우르바노 5세 그레고리오 11세 우르바노 6세 보니파시오 9세 인노첸시오 7세 그레고리오 12세 마르티노 5세 에우제니오 4세 니콜라오 5세 갈리스토 3세 비오 2세 바오로 2세 식스토 4세 인노첸시오 8세 알렉산데르 6세 비오 3세 율리오 2세 레오 10세 하드리아노 6세 클레멘스 7세 바오로 3세 율리오 3세 마르첼로 2세 바오로 4세 비오 4세 비오 5세 그레고리오 13세 식스토 5세 우르바노 7세 그레고리오 14세 인노첸시오 9세 클레멘스 8세 17세기-20세기 레오 11세 바오로 5세 그레고리오 15세 우르바노 8세 인노첸시오 10세 알렉산데르 7세 클레멘스 9세 클레멘스 10세 인노첸시오 11세 알렉산데르 8세 인노첸시오 12세 클레멘스 11세 인노첸시오 13세 베네딕토 13세 클레멘스 12세 베네딕토 14세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4세 비오 6세 비오 7세 레오 12세 비오 8세 그레고리오 16세 비오 9세 레오 13세 비오 10세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비오 12세 요한 23세 바오로 6세 요한 바오로 1세 요한 바오로 2세 21세기 베네딕토 16세 프란치스코 교황 목록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8778341 LCCN: n82093763 ISNI: 0000 0001 2102 5707 GND: 118718681 SELIBR: 290259 SUDOC: 074465937 BNF: cb13484687f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황_그레고리오_10세&oldid=22442572" 분류: 1210년 태어남1276년 죽음13세기 교황13세기 이탈리아 사람복자 교황비스콘티 가십자군 관련자이탈리아 출신 교황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8일 (화) 20: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8′ 45.00″ 동경 127° 02′ 01.00″ / 북위 37.4791667° 동경 127.0336111°  / 37.4791667; 127.0336111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정문 종류 사립 대학원대학설립 1997년 12월총장 이정숙학교법인 횃불학원학생 수 465 (2018.4.1기준 재적학생수)국가 대한민국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31길 70 (양재동 55)웹사이트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홈페이지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의 위치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이정숙 박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31길 70(양재동)에 위치한 복음주의 신학 대학원이다. 이 대학은 전 세계 선교에 헌신하는 것을 목표로 세워졌다. 목차 1 개요 및 연혁 2 학위과정 3 인가 및 협력기관 4 부설기관 5 외부 링크 개요 및 연혁[편집]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바우뫼로 31길 70에 소재한 복음주의 초교파 신학대학원대학교로서 1997년 12월 교육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설립되었고 한국에서 대학원 수준의 신학교육 전 과정을 영어로 진행한 최초의 신학대학원대학이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한국의 횃불선교센터(Torch Mission Center)와 미국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에 소재한 트리니티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간 5년에 걸친 협의와 협력의 결과로 세워진 국제적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한 전문신학대학원이다. 2005학년도부터는 한국어과정을 신설하여 영어과정과 더불어 신학적, 목회적, 선교적 소양과 지식 그리고 사명을 가진 목회자, 선교사, 신학자, 전문상담인, 교육자 및 기타 기독교 지도자를 양성하고 있다. 전 세계 약 50개국 출신의 졸업생들이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사역하고 있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교단에 소속되지 않은 초교파적인 신학교이다. 학위과정[편집] 학위과정으로는 목회학석사(Master of Divinity, 3년), 문학석사(Master of Arts, 2년), 일반신학석사(Master of Theological Studies, 2년), 교육학석사(Master of Education, 2년), 신학석사(Master of Theology, 2년), 철학박사(Doctor of Philosophy, 3년)과정이 있다. 문학석사과정은 기독교교육학, 기독교상담학전공으로 나뉘고, 신학석사과정은 구약학, 신약학, 조직신학, 교회사, 실천신학, 선교학, 기독교교육학, 통합신학연구, 기독교영성전공으로 나뉘며, 철학박사과정은 신학, 기독교상담학전공으로 나뉜다. 철학박사과정의 신학전공은 성서학, 교회사/조직신학, 다문화학, 기독교교육학전공으로 세분된다. 학위과정 중에는 영어와 한국어로 모두 개설되는 과정(전공) 및 영어 또는 한국어 중 한 가지 언어로만 개설되는 과정(전공)이 있다. 목회학석사(MDiv) 과정을 졸업하고 2년 이상의 사역경력을 갖추면 (사)한국독립교회·선교단체연합회의 목사고시에 응시할 수 있다. 인가 및 협력기관[편집]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는 한국 교육부 외에도 아시아신학연맹(Asia Theological Association)와 국제기독교학교연맹(ACSI)의 인가를 받았고, 미국 국방성 군목 자격을 받을 수 있는 신학대학원이다. 당교는 국제복음주의신학교육협회(ICETE), 한국의 전국신학대학협의회(KAATS), 한국복음주의신학회(KETS), Overseas Council, Refo500 등에 동참 또는 협력하며 활발한 국내 및 국제적 교류를 하고 있다. 부설기관[편집] 부설 연구기관으로 상담센터, 기독교교육센터, 한국이슬람연구소, 성서학연구센터, 영성형성싨실천싢핛세터기 클릿싮챤 가적있 기능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하며, 프로그램 또는 강좌를 운영한다. 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일반인들에게 신학과 성경, 교회음악 등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대한민국의 대학원대학국립경기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한국학대학원 대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사립서울 개신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예명대학원대학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인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주안대학원대학교 대전 건신대학원대학교 울산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 경기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충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전북 원불교대학원대학교 경북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vdeh 서울특별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연건캠퍼스) 육군사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도곡캠퍼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성신교정) 감리교신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케이씨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동덕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삼육대학교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기독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이화여자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총신대학교 (사당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한국성서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한영대학교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전문대학 동양미래대학교 명지전문대학 배화여자대학교 삼육보건대학교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일대학교 숭의여자대학교 인덕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서울강서캠퍼스·서울정수캠퍼스) 한양여자대학교 전공대학 국제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 정화예술대학교 대학원대학 개신대학원대학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순복음대학원대학교 예명대학원대학교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본부·서울지역대학) 경희사이버대학교 고려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서울캠퍼스)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서울캠퍼스·대학로캠퍼스·서초캠퍼스)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강서캠퍼스) 서울사이버대학교 세종사이버대학교 숭실사이버대학교 원광디지털대학교 (서울캠퍼스)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oldid=23929367" 분류: 대한민국의 대학원대학1998년 개교서울특별시의 대학교대한민국의 신학교서울 서초구의 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8일 (목) 14: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중국 오지의 달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 오지의 달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국 오지의 달마(일본어: 中国奥地の達者)는 일본의 도시전설이다. 목차 1 스토리 2 기타 3 달마녀 4 그 외 스토리[편집] 중국의 오지를 여행하던 일본인이 어떤 마을에서 “달마”라고 적힌 간판의 가설흥행장을 발견하고 안에 들어가 보니, 그 안에는 사지가 절단된(경우에 따라서는 혀도 잘린) 일본인이 무대 위에서 구경거리가 되어 있었다. 달마라고 명명된 그 사람은(혀가 잘리지 않은 버전의 경우) “나는 OO에 사는 OOOO이다 살려줘”라고 그곳에 들어온 일본인에게 일본어로 도움을 요청하지만, 흥행장 안의 중국인의 심상치 않은 분위기에 눌려 일본인이 아닌 것처럼 행세한 후에 바로 가게에서 나와 그대로 귀국해 버린다. 그 후, 여행자가 그 “달마”가 밝힌 이름으로 조사해 본 결과, 그 남자는 중국에 혼자 여행을 떠났다가 행방불명된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버전에서는 눈까지 멀어, 여행객이 저도 모르게 “불쌍하게...”라고 뱉은 말을 알아듣고는 “나는 릿쿄대학교의 학생인 OO이다.”라고 이름을 밝힌다. 홀연히 손님이 사라지는 가게의 에피소드와 함께 회자되는 일이 많다. 그 경우 가게에서 행방불명된 애인이나 친구를 찾는 도중 들어간 흥행장 안에서 바로 그 애인이나 친구가 “달마”가 되어 있는 결말이 보통이다. 중국이 아니라 인도가 배경인 버전도 있다. 이 버전에서는 오사카에서 여자에게 어떤 남자가 말을 걸어오면서 따라가다 그대로 행방불명이 된다. 여자의 아버지가 실종신고를 한 후에 집으로 의문의 편지가 배달되는데, 그 편지에는 “인도의 OO라는 장소에 따님을 보았습니다만, 만나러 가시지 않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라고 쓰여 있다. 남자가 편지에 적힌 주소대로 찾아가 보니, 박물관이 나왔다. 박물관 안의 깊숙한 곳에 “달마 인형”이라고 이름붙은 전시물이 있었는데, 그것은 강제로 임신 당한 채 외부생식기를 꿰매어버린, 그리고 사지를 절단당한 채 마약에 중독되어 있는 딸이었다. 딸의 충격적인 모습을 본 아버지는 그 후 자살했다. 기타[편집] 위와 같이 중국 오지 버전 뿐 아니라 인도나 유럽 등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이야기의 기원은 과거 중국에 존재했던 형벌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양복점을 운영하는 부유한 유대인이 있었는데, 그것을 질투하던 독일인에 의해 “이 양복점의 유대인은 이 가게에 들어온 유대인 이외의 여자를 마약 등을 사용하여 홀린 뒤 인신매매단에 팔아넘긴다.”라는 유언비어가 퍼져, 이 이야기가 일본으로 넘어오면서 달마 이야기로 변했다는 설 등이 있다.(반유대주의는 프랑스에서 더욱 음험한 형태로 존재하며, 부띠끄 이야기의 기원도 프랑스로 알려져 있다.) 《시부야 괴담》에서 이 이야기가 영화의 소재로 쓰였다. 달마녀[편집] 조난당한 경우외에 비밀리에 매매되고 있다는 달마녀 전설도 존재한다. 달마녀란 위의 달마와 같이 사지를 절단당한 여성을 가리킨다. 유괴,납치,과도한 사채등으로 돈을 갚지 못했을 때, 끌려간 여성이 사지를 절단당하여, 달마녀화된다고 한다. 관상용이 된 그 달마녀들은 각국의 부호들에 의하여 비밀리에 고가에 매매되고 있다고 한다는 내용의 도시전설이다. 그 외[편집] 대한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에도 비슷한 내용의 도시전설이 존재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_오지의_달마&oldid=15384415" 분류: 일본의 도시전설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5년 12월 12일 (토) 2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곽시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곽시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곽시양 《시카고 타자기》 제작 발표회, 2017년 4월 5일.본명 곽명진출생 1987년 1월 15일(1987-01-15) (32세)국적 대한민국다른 이름 한선우직업 배우소속사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곽시양 곽시양(1987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2.2 영화 2.3 연극 2.4 M/V 3 예능 4 광고 5 음반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중퇴)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4 SBS 《기분 좋은 날》 정희주 2015 Mnet 《칠전팔기 구해라》 강세종 tvN 《오 나의 귀신님》 서준 KBS2 《다 잘될 거야》 강기찬 2016 MBC 《한 번 더 해피엔딩》 피고인 방대한 특별출연 JTBC 《마녀보감》 최풍연 SBS 《끝에서 두번째 사랑》 박준우 2017 MBC 《세가지색 판타지 - 반지의 여왕》 특별출연 KBS2 《2TV 스낵》 곽시양 사원 tvN 《시카고 타자기》 백태민/허영민 KBS2 《쌈 마이웨이》 김남일 특별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야간비행》 신용주 독립영화 2016 《로봇, 소리》 현수 《방 안의 코끼리》 수입차 딜러 이재원 역 옴니버스 영화 (seg. 치킨게임) 《굿바이 싱글》 강지훈 2018 《목격자》 송태호 2019 《장사리 9.15》 박찬년 연극[편집] 《발칙한 로맨스》 (2013년) - 구봉필 역 M/V[편집] 2007년 윤화재인 - 사랑이 이런거였니 2009년 박봄 - You And I 2009년 J-김재섭 - 미쓰리 2009년 SG 워너비 & V.O.S - 사랑합니다 2010년 백지영 - 시간이 지나면 2013년 케이윌 & 차쿤 - 놀아도 예능[편집] 2008년 ETN 《미소년 아일랜드》 2015년 - 2016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 4》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016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6년 JTBC 《마녀를 부탁해》 2016년 JTBC 《비정상회담》 2016년 KBS2 《언니들의 슬램덩크》 2017년 JTBC 《로스트:타임》 2017년 SBS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섬》 2017년 O'live & tvN 《원나잇 푸드트립: 먹방레이스》 2018년 MBC EVERY1 《바다경찰》 광고[편집] 2010년 레스모아 2010년 KTF 2010년 솔브 2014년 삼성 갤럭시 노트3 2014년 현대해상 2015년 잠뱅이 2016년 팬텀 음반[편집]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아시나요 (2015년)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정류장 (2015년) One O One - Love You (2015년) One O One - 마비가 됐어 (2015년) One O One - You Are My Light (2016년)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4 제2회 들꽃영화상 신인남우상 야간비행 후보 2015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뉴스타상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4 수상 KBS 연기대상 일일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다 잘될 거야 수상 2016 제11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 연기자상 수상 제5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남자 신인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후보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드라마 부문 뉴웨이브상 마녀보감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 공식 웹사이트 곽시양 - 인스타그램 곽시양 - 페이스북 곽시양 - 네이버 인물검색 곽시양 - 시나 웨이보 (영어) 곽시양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곽시양&oldid=24432265" 분류: 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현풍 곽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ItalianoBahasa Melayu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15: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곽시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곽시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곽시양 《시카고 타자기》 제작 발표회, 2017년 4월 5일.본명 곽명진출생 1987년 1월 15일(1987-01-15) (32세)국적 대한민국다른 이름 한선우직업 배우소속사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웹사이트 스타하우스엔터테인먼트 곽시양 곽시양(1987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학력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2.2 영화 2.3 연극 2.4 M/V 3 예능 4 광고 5 음반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중퇴)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4 SBS 《기분 좋은 날》 정희주 2015 Mnet 《칠전팔기 구해라》 강세종 tvN 《오 나의 귀신님》 서준 KBS2 《다 잘될 거야》 강기찬 2016 MBC 《한 번 더 해피엔딩》 피고인 방대한 특별출연 JTBC 《마녀보감》 최풍연 SBS 《끝에서 두번째 사랑》 박준우 2017 MBC 《세가지색 판타지 - 반지의 여왕》 특별출연 KBS2 《2TV 스낵》 곽시양 사원 tvN 《시카고 타자기》 백태민/허영민 KBS2 《쌈 마이웨이》 김남일 특별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4 《야간비행》 신용주 독립영화 2016 《로봇, 소리》 현수 《방 안의 코끼리》 수입차 딜러 이재원 역 옴니버스 영화 (seg. 치킨게임) 《굿바이 싱글》 강지훈 2018 《목격자》 송태호 2019 《장사리 9.15》 박찬년 연극[편집] 《발칙한 로맨스》 (2013년) - 구봉필 역 M/V[편집] 2007년 윤화재인 - 사랑이 이런거였니 2009년 박봄 - You And I 2009년 J-김재섭 - 미쓰리 2009년 SG 워너비 & V.O.S - 사랑합니다 2010년 백지영 - 시간이 지나면 2013년 케이윌 & 차쿤 - 놀아도 예능[편집] 2008년 ETN 《미소년 아일랜드》 2015년 - 2016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 4》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016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6년 JTBC 《마녀를 부탁해》 2016년 JTBC 《비정상회담》 2016년 KBS2 《언니들의 슬램덩크》 2017년 JTBC 《로스트:타임》 2017년 SBS 《정글의 법칙 in 수마트라섬》 2017년 O'live & tvN 《원나잇 푸드트립: 먹방레이스》 2018년 MBC EVERY1 《바다경찰》 광고[편집] 2010년 레스모아 2010년 KTF 2010년 솔브 2014년 삼성 갤럭시 노트3 2014년 현대해상 2015년 잠뱅이 2016년 팬텀 음반[편집]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아시나요 (2015년) 《칠전팔기 구해라》 OST - 정류장 (2015년) One O One - Love You (2015년) One O One - 마비가 됐어 (2015년) One O One - You Are My Light (2016년)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4 제2회 들꽃영화상 신인남우상 야간비행 후보 2015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뉴스타상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4 수상 KBS 연기대상 일일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다 잘될 거야 수상 2016 제11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 연기자상 수상 제5회 아시아태평양 스타 어워즈 남자 신인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후보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드라마 부문 뉴웨이브상 마녀보감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끝에서 두번째 사랑 수상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스타하우스 엔터테인먼트 공식 웹사이트 곽시양 - 인스타그램 곽시양 - 페이스북 곽시양 - 네이버 인물검색 곽시양 - 시나 웨이보 (영어) 곽시양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곽시양&oldid=24432265" 분류: 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현풍 곽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ItalianoBahasa Melayu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15: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시라토리 닌자부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라토리 닌자부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동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만화 캐릭터에 관한 것입니다. 야구 선수에 대해서는 백동훈 (야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시라토리 닌자부로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등장 시한장치의 마천루 (극장판)원작자 아오야마 고쇼성우 시오자와 카네토 → 이노우에 가즈히코/혼다 다카코(아역) 서윤선, 김율(어린 시절)프로필나이 28세 전후 성별 남국적 일본직업 경부소개 도쿄 본청의 강행범 소속 경부. 코바야시 스미코의 연인.관련인 메구레 쥬죠, 타카기 와타루, 치바, 사토 미와코(경찰 동료)코바야시 스미코(연인) 시라토리 닌자부로(일본어: 白鳥任三郎, しらとり にんざぶろう)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목차 1 개요 1.1 등장배경 1.2 연인과의 만남 1.3 성격 2 보충 3 성우진 4 각 언어판별 이름 5 각주 개요[편집] 등장배경[편집] 경시청 형사부 수사1과 강행범 수사3계의 경부이며 공무원 1급 시험을 통과한 소위 말하는 엘리트로[1] 극장판《시한 장치의 마천루》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극장판에 등장했을 당시에는 계급이 경부보(警部補)로 극장판에서만 등장시키려고 했지만 경부로 승진하자마자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도 등장하게 된다.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에 처음 등장했을 당시에는 본청으로 처음 발령이 난 것으로 나왔는데, 원작(단행본)에서는 3년 전의 연속 폭탄 사건이 일어났을 당시부터 등장하고 있다. 이 점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과 단행본이 충돌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연인과의 만남[편집] 사토 형사를 짝사랑하여, 그와 연을 맺으려고 계속 프로포즈를 시도했다. 67권 코바야시 선생의 사랑에는 시라토리 경부가 코난이 다니는 데이탄 초등학교의 코바야시 선생님을 사랑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시라토리 경부는 어린 시절에 서점에서 좀도둑들을 혼내주던 코바야시 선생을 보고 말로 좀도둑들을 물리친 적이 있다. 그때 코바야시 선생의 용기에 감동한 시라토리는 형사가 장래희망이 되었고 어른이 되어 경부 (반장)가 되었다. 그래서 코바야시 선생에게 어릴적의 이야기를 함으로써 사랑을 고백하지만, 코바야시 선생은 냉랭했다. 살인사건 목격자로 출석한 경시청에서 자신과 닮은 사토 형사를 보고 시라토리 경부가 사토 형사를 좋아했다는 이야기를 듣는 바람에, 혹시 사토 형사와 닮아서 그런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을 했던 것이다.[2]하지만 코바야시 선생이 시라토리 경부가 자신의 행동이 정당방위라고 주장하는 살인용의자에게 정당방위에 대한 법조항을 외우는 모습을 보면서, 어릴적 서점에서 절도죄에 대한 법조항을 외움으로써 좀도둑을 물리친 남자아이임을 기억했고, 이들은 연인이 된다. 성격[편집] 기본적으로는 고지식하고 신중한 성격이지만 타카기 형사가 사토 형사를 생각하고 있으면 방해를 하거나 헤어지게 하려고 생각하고 있다. 한번 두 명이 데이트를 하는 걸 알면, 주위의 형사들과 함께 조사를 하여 몰래 비디오를 찍어 관찰하는 모습도 보인다. 사격 솜씨는 메구레 경부와 더불어 손이 떨릴 정도로 엉망이다.[3] 음악과 건축에 관심이 있고[4] 프랑스 요리와 와인에 관심이 많다.[5] 보충[편집] 이름은 후지 TV의 경부보 후루하타 닌자부로(古畑任三郎)에서 파생되었다. 극장판에는 메구레 경부와 더불어 모두 등장한다. 참고로 극장판 3기에서는 괴도 키드의 변장한 모습으로 나타난다.[6] 수사용 차량은 토요타 윈덤 (렉서스 ES)이다. 304회 흔들리는 경시청 1200만의 인질편에서 원래 자신이 사용하던 수사 차량인 토요타 크라운에 탑승하였지만 범인이 수사 차량안에 설치한 폭탄이 터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차량이 폭탄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 차량폭발사건 이후 수사용 차량을 토요타 크라운에서 토요타 윈덤 (렉서스 ES)으로 바꾸었으며 현재까지 이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성우진[편집] 일본어판의 경우 초반에는 시오자와 카네토(塩沢兼人)가 맡았으며, 나중에 이노우에 카즈히코(井上 和彦)로 교체되었다. 어렸을 때의 목소리는 혼다 다카코(本田貴子)가 맡았다. 한국어 더빙판은 서윤선이 맡고 있으며, 어린 시절은 김율이 맡았고, 영어 더빙판은 에릭 베일(Eric Vale)이 맡았다. 일본어판 성우 교체 2000년 5월 10일에 시라토리의 역을 담당하고 있던 시오자와 카네토가 뜻하지 않은 사고로 사망해서 《눈동자 속의 암살자》가 명탐정 코난 시리즈 마지막 출연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이듬해에 상영된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부터 성우가 이노우에 카즈히코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계속 맡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노우에 카즈히코가 《눈동자 속의 암살자》에도 출연을 하였는데 맡은 배역이 시라토리 경부의 주치의인 카자토 쿄스케라는 점이다. 각 언어판별 이름[편집]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백동훈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해외판에서는 닌자부로 산토스(Ninzaburo Santos)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각주[편집] ↑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경부 (대한민국의 반장 (경감) 계급)가 아닌 형사 (계급: 경사)로 등장하고 있으나 실제 계급은 메구레 경부와 같은 계급인 경부이다. 만화책에서는 시라토리 경위로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 시라토리 경부 벛꽃의 추억 (전, 후편), 고바야시 선생님의 사랑, 시라토리 경부의 실연, 시간을 초월한 벚꽃의 사랑편 참조 ↑ 극장판 2기 14번째 표적에서 연출 ↑ 극장판 1기, 극장판 2기, 극장판 12기를 참조 ↑ 극장판 2기 14번째 표적, 애니 520화 참조 ↑ 단, 극장판 17기, 극장판 19기, 극장판 20기에서는 등장하지 않았으므로 제외한다 vdeh《명탐정 코난》의 주요 등장 인물주요 인물 쿠도 신이치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리 코고로 아가사 히로시 (브라운) 테이탄 소학교 하이바라 아이 (미야노 시호) 소년 탐정단 (어린이 탐정단) 코바야시 스미코 고교생 등장인물 쿠로바 카이토 스즈키 소노코 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 혼도 에이스케 세라 마스미 경찰 관계자(지방) 오사카 부경 나가노 현경 시즈오카 현경 가나가와 현경 사이타마 현경 야마무라 미사오 경찰 관계자(본청) 메구레 쥬죠 시라토리 닌자부로 사토 미와코 타카기 와타루 치바 형사 미이케 나에코 기타 주변 인물 키사키 에리 쿠도 유사쿠 쿠도 유키코 아라이데 토모아키 오키야 스바루 아무로 토오루 FBI/CIA 제임스 블랙 조디 스털링 아카이 슈이치 안드레 캐멀 혼도 히데미 검은 조직 미야노 아케미 진 워커 베르무트 키안티 코른 라이 키르 vdeh명탐정 코난작품 원작 만화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드라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V SPECIAL THE MOVIE 코난 실종사건 작아진 명탐정 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21기 22기 23기 에피소드 1996년~2000년 2001년~2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 관련 항목 원작 사건 목록 등장인물 목록 검은 조직 FBI 소년 탐정단 OVA 발매 목록 아오야마 고쇼 타카야마 미나미 하야시바라 메구미 APTX4869 관련 문서 소년 선데이 검용전설 야이바 Magic Kaito 괴도 키드 사건 목록 방영 목록 소년탐정 김전일 탐정학원 Q 루팡 3세 유라 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라토리_닌자부로&oldid=24191429" 분류: 진행 중인 작품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가공의 형사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Italiano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공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역사적 예수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천국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경전 구약성경 신약성경 성경 목록 정경 외경 다양한 기독교의 정경 기독교 신학 구원 세례 성찬·성체성사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가톨릭주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변증론 종말론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초대교회 콘스탄티누스 공의회 사도신경 성전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교파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회복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기독교 관련 설화 창조주의 노아의 방주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전례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에큐메니즘 유신진화론 타종교 관계 비판 기독교 포털 v • d • e • h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universal church, 또는 catholic church)[주 1]라고도 한다. 이는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를 따르는 교회의 개념으로, 기독교에서 사도들의 전통인 신구약 성경과 초대교회 지침인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을 따르는 교회 전체로, 즉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교회를 지칭한다.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는 신약성경이 씌어진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로 "에클레시아 카톨리케(고대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의 번역이다. '공통적', '보편적', '일반적'의 뜻인 '카톨리케'와 '교회'의 의미인 '에클레시아'라는 헬라어 단어로 구성된 용어이다. 이는 하나의 교회, 즉 교회의 동방전통을 따르는 정교회와 서방전통을 따르는 천주교와 개신교를 아우르는 모든 교회의 하나 됨을 지칭하는 의미로 서방과 동방교회의 분열이 있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을 중요하게 여긴다.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토미즘이 등장한 12세기 이후에 주장되는 것으로 이와는 별개의 개념이다.[주 2] 목차 1 공교회 용어의 유래 2 공교회주의 2.1 공교회주의 배경 2.1.1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 2.1.2 헬라어의 공용화 2.2 공교회주의 교회구조 2.2.1 공의회 중심 구조 2.2.2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 3 공교회의 4가지 요소 3.1 단일성 3.2 거룩함 3.3 보편성(공통성) 3.4 사도성 4 주해 5 각주 공교회 용어의 유래[편집] ‘공교회'의 용어는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 또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고대 그리스어: Ἰγνάτιος Ἀντιοχείας 이그나티오스 안티오케이아스[*], 35 - 107?)가 1세기에 스미르나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편지인 《스미르나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나타나며, 교인들과 감독(주교)과 관계를 권면하는 문장과 《피라델피아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와 사도를 강조하는 문장에서도 나타난다. "감독[1]이나 그가 지명한 사람에 의해 집행된 모든 성만찬[2]은 정당하다. 감독이 어디에 나타나든지 회중은 그곳에 참석해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어디에 계시든지 그곳에는 공교회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Smyrna, 8:2》[3] "교회는 공교회적이고, 교회 중심은 그리스도이시고, 교회의 스승은 사도들이다." 《Philadelphians, 5:1》 공교회에 대한 이그나티오스의 강조는 1세기 이단들과 분리주의자들과 논쟁에서 사용하였고, 교회는 진리에 충만한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하는 사도의 전승을 따르는 참된 교회여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했다.[4] 공교회주의[편집]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는 초대교회가 사도들의 전승을 기록한 문서인 신약성경과 초대교회가 사용한 구약성경을 인정하고, 교부들이 형성한 초기 교회 신학적 배경과 초기 공의회의 신학적 전통을 존중하고, 서방과 동방교회가 분열되기 이전인 하나로 일치되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를 지향하는 기독교의 사상을 의미한다. 공교회주의 배경[편집]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편집] 공교회주의는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과 관련된다. 313년 기독교를 로마제국의 교회로 공인한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로 천도할 계획을 추진했다. 새로운 제국의 종교로 기독교를 공인했고,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총 5개의 대교구를 구상했다. 콘스탄티노플, 로마,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의 5개 대교구의 교회를 구성하고 각 지역을 관장할 대감독(대주교)을 선출하였다. 현실 교회의 구조인 5개 대교구의 교회는 실제로는 하나의 교회이며 단지 지역을 5개로 구분한 것이라고 여긴 것이 공교회주의의 시작이다. 교회에 이단이나 다양한 신학사조가 등장하기도 했으나 12세기까지 로마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지역적 협업 공동체를 이루며 하나의 교회를 유지하였다. 동일한 신학체계와 동일한 구조, 동일한 예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신조 아래에 있는 교회였다. 이러한 교회의 신학적, 구조적 일치는 기독교회의 자랑이며 잠재적 문제이기도 했다. 헬라어의 공용화[편집] 공교회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신약성경이 쓰인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를 신학용어와 교회용어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연구 언어로 활용하였다. 로마제국 전역에서 사용되었고, 천도 이전에도 황제들의 칙령은 헬라어와 라틴어를 함께 사용하였고 황제 직인에도 헬라어가 병기되었다. 4세기 콘스탄티노플 천도 이후에는 로마제국, 즉 비잔틴 제국의 공용어는 헬라어가 되었다. 헬라어는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및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환영할 일상 언어였지만, 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어려운 외국 언어였다. 점차 세월이 흐르며, 헬라어의 라틴어 번역상 문제나 언어로 인한 문화 차이는 신학과 신학 이해의 차이를 가져왔고, 공교회주의의 잠재적 분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공교회주의 교회구조[편집] 공의회 중심 구조[편집] 4세기부터 11세기까지 교회는 로마제국의 새롭게 천도한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로마, 안디옥,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5개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각교구의 대감독(대주교)은 협의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고, 신학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공의회를 소집하여 각지역 감독(주교)과 대감독들이 협의와 회의를 통해 신학적 교리와 문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절대적 의미의 교종이 존재하지 않았고, 콘스탄티노플 대감독을 의장으로 세워서 진행하며, 감독들과 대감독들이 참여하는 회의, 공의회가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 교회구조였다.[5]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편집] 이런 공교회제도에서 성직은 주님의 동일한 자녀로서 사명을 지닌 자가 받는 거룩한 자격으로 인식하였다. 성직에 대한 계급적 이해나 성도와 동일의 개념과는 다르다. 공교회 내의 성직제도는 대감독에서 감독으로, 감독에서 지역교회 성직자로, 성직자에서 성도로 구성되는 교회 구조를 형성하였다. 성직자는 성도들에서 선출하여 일정한 성직 교육을 받고 훈련을 통해 감독이 성직자로 임명하였고, 성직자 중에서 감독을 선출하여 대감독이 임명하였고, 대감독은 감독들이 선별하여 대감독직을 받고, 대감독들이 임명하였다. 이런 상호 작용을 통해 교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리스도를 향하는 하나이며 동시에 그리스도의 지체로 지역적으로 나뉜 교회였다. 교회 내에서 성도와 성직자 간의 절대적 계급 관계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성직자는 신자와 성직자의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신약의 《디모데서》(디모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기록된 거룩한 사명에 대한 자격으로 보았다.[6][7] 공교회의 4가지 요소[편집] 초대교회부터 교회는 4가지 요소가 공교회를 이루는 요소라고 보았고, 하나(단일성), 거룩함, 보편성(공통성), 사도성이 그 4 요소이다. 이미 2세기 교부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와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도 언급하였으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도 담았다. 단일성[편집] 공교회는 하나(단일성)이며, 성부, 성자, 성령이 하나이듯 공교회는 하나이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성찬, 하나의 세례(침례)가 있다. 신약성경 내에서도 바울로(파울로스)계열의 문헌들은 이를 강조한다. 거룩함[편집] 세상의 교회는 세상의 죄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나, 삼위일체중 하나인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위에 세워진 공교회는 거룩함을 지닌다고 보았다. 기독교인이 세상에 현존하는 교회가 문제와 어려움을 지닌 제한적인 교회이지만, 그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함을 나타내려는 교회이므로 거룩함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보편성(공통성)[편집] 공교회가 세상에서 눈에 보이는 요소중 하나이다. 공교회 즉 공통 교회(보편교회)를 의미한다. 세상에 널리 퍼진 교회는 각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교회이지만 동시에 삼위일체를 믿고,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공통의 공교회를 의미한다. 다른 장소에 같은 신앙과 같은 신앙에 따르는 공통성을 지닌 교회이다. 사도성[편집] 공교회는 사도의 전통을 따르는 교회이다. 공교회의 기준은 사도가 전한 그리스도의 복음과 신앙 전통을 따라야 한다. 사도의 전통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니케아 공의회를 포함한 초대 공의회의 신학사상과 교의와 교회전통을 의미한다. 주해[편집] ↑ '공통, 보편, 일반'을 뜻하는 헬라어 어원인 'catholic'이라는 용어가 천주교, 또는 로마가톨릭교회를 가리키는 용어와 혼용되어서 의미 혼동을 피하고자 같은 의미의 라틴어 어원인 'universal'로도 사용한다. ↑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12세기 형성된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토미즘)에 따라 서방교회에서 교황을 인정하는 교회만을 의미한다. 각주[편집] ↑ 또는 주교 ↑ 또는 성찬례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의 번역을 따름.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 한스 큉. 《그리스도교》. 이종한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2002) ↑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 of the Christian Church. 1st Series, 14 vols, Edited by J. Wace and P. Schaff. (New York: Christians, 1887-92) ↑ Thomas C. Oden. Classic Christianity: a Systimatic Theology. (New York: Harper One, 19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교회&oldid=24180630" 분류: 종교기독교조직신학기독교 신학교회론숨은 분류: 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공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탄생 죽음 부활 승천 역사적 예수 기초 교회 신약성경 사도 천국 복음 연표 베드로 바울로 경전 구약성경 신약성경 성경 목록 정경 외경 다양한 기독교의 정경 기독교 신학 구원 세례 성찬·성체성사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 가톨릭주의 그리스도론 마리아론 변증론 종말론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 초대교회 콘스탄티누스 공의회 사도신경 성전 전도 동서 교회의 분열 십자군 종교 개혁 반종교 개혁 교파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개신교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칼뱅주의 감리교 오순절운동 복음주의 재림주의 신사도운동 성경복귀운동 재세례파 후스파 플리머스 형제단 퀘이커 회복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단일오순절교 유니테리언주의 기독교 관련 설화 창조주의 노아의 방주 기타 일반 강론·설교 기도 전례 교회력 성화상 음악 미술 에큐메니즘 유신진화론 타종교 관계 비판 기독교 포털 v • d • e • h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universal church, 또는 catholic church)[주 1]라고도 한다. 이는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를 따르는 교회의 개념으로, 기독교에서 사도들의 전통인 신구약 성경과 초대교회 지침인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을 따르는 교회 전체로, 즉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교회를 지칭한다. 공교회 또는 보편교회는 신약성경이 씌어진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로 "에클레시아 카톨리케(고대 그리스어: ἐκκλησια καθολικη)"의 번역이다. '공통적', '보편적', '일반적'의 뜻인 '카톨리케'와 '교회'의 의미인 '에클레시아'라는 헬라어 단어로 구성된 용어이다. 이는 하나의 교회, 즉 교회의 동방전통을 따르는 정교회와 서방전통을 따르는 천주교와 개신교를 아우르는 모든 교회의 하나 됨을 지칭하는 의미로 서방과 동방교회의 분열이 있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의 신학적, 역사적 전통을 중요하게 여긴다.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토미즘이 등장한 12세기 이후에 주장되는 것으로 이와는 별개의 개념이다.[주 2] 목차 1 공교회 용어의 유래 2 공교회주의 2.1 공교회주의 배경 2.1.1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 2.1.2 헬라어의 공용화 2.2 공교회주의 교회구조 2.2.1 공의회 중심 구조 2.2.2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 3 공교회의 4가지 요소 3.1 단일성 3.2 거룩함 3.3 보편성(공통성) 3.4 사도성 4 주해 5 각주 공교회 용어의 유래[편집] ‘공교회'의 용어는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 또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고대 그리스어: Ἰγνάτιος Ἀντιοχείας 이그나티오스 안티오케이아스[*], 35 - 107?)가 1세기에 스미르나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편지인 《스미르나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처음 나타나며, 교인들과 감독(주교)과 관계를 권면하는 문장과 《피라델피아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와 사도를 강조하는 문장에서도 나타난다. "감독[1]이나 그가 지명한 사람에 의해 집행된 모든 성만찬[2]은 정당하다. 감독이 어디에 나타나든지 회중은 그곳에 참석해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어디에 계시든지 그곳에는 공교회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Smyrna, 8:2》[3] "교회는 공교회적이고, 교회 중심은 그리스도이시고, 교회의 스승은 사도들이다." 《Philadelphians, 5:1》 공교회에 대한 이그나티오스의 강조는 1세기 이단들과 분리주의자들과 논쟁에서 사용하였고, 교회는 진리에 충만한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하는 사도의 전승을 따르는 참된 교회여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했다.[4] 공교회주의[편집] 공교회주의 또는 보편교회주의는 초대교회가 사도들의 전승을 기록한 문서인 신약성경과 초대교회가 사용한 구약성경을 인정하고, 교부들이 형성한 초기 교회 신학적 배경과 초기 공의회의 신학적 전통을 존중하고, 서방과 동방교회가 분열되기 이전인 하나로 일치되었던 11세기 이전의 교회를 지향하는 기독교의 사상을 의미한다. 공교회주의 배경[편집]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교회[편집] 공교회주의는 로마제국의 기독교 공인과 관련된다. 313년 기독교를 로마제국의 교회로 공인한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로 천도할 계획을 추진했다. 새로운 제국의 종교로 기독교를 공인했고,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하는 총 5개의 대교구를 구상했다. 콘스탄티노플, 로마,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의 5개 대교구의 교회를 구성하고 각 지역을 관장할 대감독(대주교)을 선출하였다. 현실 교회의 구조인 5개 대교구의 교회는 실제로는 하나의 교회이며 단지 지역을 5개로 구분한 것이라고 여긴 것이 공교회주의의 시작이다. 교회에 이단이나 다양한 신학사조가 등장하기도 했으나 12세기까지 로마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지역적 협업 공동체를 이루며 하나의 교회를 유지하였다. 동일한 신학체계와 동일한 구조, 동일한 예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적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신조 아래에 있는 교회였다. 이러한 교회의 신학적, 구조적 일치는 기독교회의 자랑이며 잠재적 문제이기도 했다. 헬라어의 공용화[편집] 공교회주의를 강화하기 위해 신약성경이 쓰인 고대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 즉 헬라어를 신학용어와 교회용어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연구 언어로 활용하였다. 로마제국 전역에서 사용되었고, 천도 이전에도 황제들의 칙령은 헬라어와 라틴어를 함께 사용하였고 황제 직인에도 헬라어가 병기되었다. 4세기 콘스탄티노플 천도 이후에는 로마제국, 즉 비잔틴 제국의 공용어는 헬라어가 되었다. 헬라어는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및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환영할 일상 언어였지만, 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 일부 지역에서는 어려운 외국 언어였다. 점차 세월이 흐르며, 헬라어의 라틴어 번역상 문제나 언어로 인한 문화 차이는 신학과 신학 이해의 차이를 가져왔고, 공교회주의의 잠재적 분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공교회주의 교회구조[편집] 공의회 중심 구조[편집] 4세기부터 11세기까지 교회는 로마제국의 새롭게 천도한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로마, 안디옥,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의 5개 지역으로 구분되었고, 각교구의 대감독(대주교)은 협의를 통해 문제들을 해결하고, 신학적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공의회를 소집하여 각지역 감독(주교)과 대감독들이 협의와 회의를 통해 신학적 교리와 문제를 해결하였다. 따라서 절대적 의미의 교종이 존재하지 않았고, 콘스탄티노플 대감독을 의장으로 세워서 진행하며, 감독들과 대감독들이 참여하는 회의, 공의회가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 교회구조였다.[5] 거룩한 사명으로서 성직자 이해[편집] 이런 공교회제도에서 성직은 주님의 동일한 자녀로서 사명을 지닌 자가 받는 거룩한 자격으로 인식하였다. 성직에 대한 계급적 이해나 성도와 동일의 개념과는 다르다. 공교회 내의 성직제도는 대감독에서 감독으로, 감독에서 지역교회 성직자로, 성직자에서 성도로 구성되는 교회 구조를 형성하였다. 성직자는 성도들에서 선출하여 일정한 성직 교육을 받고 훈련을 통해 감독이 성직자로 임명하였고, 성직자 중에서 감독을 선출하여 대감독이 임명하였고, 대감독은 감독들이 선별하여 대감독직을 받고, 대감독들이 임명하였다. 이런 상호 작용을 통해 교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리스도를 향하는 하나이며 동시에 그리스도의 지체로 지역적으로 나뉜 교회였다. 교회 내에서 성도와 성직자 간의 절대적 계급 관계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성직자는 신자와 성직자의 계급적 관계가 아니라, 신약의 《디모데서》(디모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기록된 거룩한 사명에 대한 자격으로 보았다.[6][7] 공교회의 4가지 요소[편집] 초대교회부터 교회는 4가지 요소가 공교회를 이루는 요소라고 보았고, 하나(단일성), 거룩함, 보편성(공통성), 사도성이 그 4 요소이다. 이미 2세기 교부 안디옥의 이그나티오스와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도 언급하였으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도 담았다. 단일성[편집] 공교회는 하나(단일성)이며, 성부, 성자, 성령이 하나이듯 공교회는 하나이고,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성찬, 하나의 세례(침례)가 있다. 신약성경 내에서도 바울로(파울로스)계열의 문헌들은 이를 강조한다. 거룩함[편집] 세상의 교회는 세상의 죄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나, 삼위일체중 하나인 성자, 예수 그리스도의 위에 세워진 공교회는 거룩함을 지닌다고 보았다. 기독교인이 세상에 현존하는 교회가 문제와 어려움을 지닌 제한적인 교회이지만, 그 본질은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함을 나타내려는 교회이므로 거룩함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보편성(공통성)[편집] 공교회가 세상에서 눈에 보이는 요소중 하나이다. 공교회 즉 공통 교회(보편교회)를 의미한다. 세상에 널리 퍼진 교회는 각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교회이지만 동시에 삼위일체를 믿고, 예수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공통의 공교회를 의미한다. 다른 장소에 같은 신앙과 같은 신앙에 따르는 공통성을 지닌 교회이다. 사도성[편집] 공교회는 사도의 전통을 따르는 교회이다. 공교회의 기준은 사도가 전한 그리스도의 복음과 신앙 전통을 따라야 한다. 사도의 전통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니케아 공의회를 포함한 초대 공의회의 신학사상과 교의와 교회전통을 의미한다. 주해[편집] ↑ '공통, 보편, 일반'을 뜻하는 헬라어 어원인 'catholic'이라는 용어가 천주교, 또는 로마가톨릭교회를 가리키는 용어와 혼용되어서 의미 혼동을 피하고자 같은 의미의 라틴어 어원인 'universal'로도 사용한다. ↑ 천주교회에서 주장하는 로마가톨릭주의 또는 가톨릭주의는 12세기 형성된 토마스 아퀴나스 사상(토미즘)에 따라 서방교회에서 교황을 인정하는 교회만을 의미한다. 각주[편집] ↑ 또는 주교 ↑ 또는 성찬례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의 번역을 따름. ↑ 위르겐 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박봉랑 외 4명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0) ↑ 한스 큉. 《그리스도교》. 이종한 옮김. (왜관: 분도출판사, 2002) ↑ A Select Library of th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 of the Christian Church. 1st Series, 14 vols, Edited by J. Wace and P. Schaff. (New York: Christians, 1887-92) ↑ Thomas C. Oden. Classic Christianity: a Systimatic Theology. (New York: Harper One, 19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공교회&oldid=24180630" 분류: 종교기독교조직신학기독교 신학교회론숨은 분류: 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독일 노동자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노동자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partei 로고 이념 독일의 민족주의범게르만주의반유대주의반자본주의반공주의 스펙트럼 극우 당직자 대표 안톤 드렉슬러 역사 창당 1919년 1월 5일 해산 1920년 2월 24일 선행조직 독일 조국당 후계정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독일 뮌헨 독일 노동자당(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Deutsche Arbeiterpartei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DAP)은 1919년에 창당된 뒤부터 짧은 기간 동안에 존재했던 독일의 정당이다. 1920년에 창당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國家社會主義 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나치오날조치알리스티셰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NSDAP, 나치당)의 전신이다. 목차 1 기원 2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 3 DAP에서 NSDAP로 4 당원 5 각주 기원[편집] 1919년 1월 5일 뮌헨에 있는 퓌르스텐펠더 호프(Fürstenfelder Hof) 호텔에서 신비주의 단체인 툴레 협회의 회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안톤 드렉슬러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1918년 드렉슬러가 설립한 "좋은 평화를 위한 자유 노동자 위원회"(Freien Arbeiterausschuss für einen guten Frieden)가 발전한 단체이기도 했다. 드렉슬러는 1918년 12월 범게르만주의 단체인 범(汎)게르만 동맹(Alldeutscher Verband)의 지도자이면서 그의 멘토였던 파울 타펠(Paul Tafel, 아우크스부르크-뉘른베르크 기계 공장 부장 겸 툴레 협회 회원)과 함께 독일 노동자당 설립을 독려하였다. 드렉슬러는 중산층 정당과는 달리 대중과 민족주의자 모두에게 접촉하는 정당을 구상했다. 초기 회원은 약 40명이었다. 1919년 3월 24일 언론인 겸 툴레 협회의 회원인 카를 하러(Karl Harrer)가 독일 노동자당에 툴레 협회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입당했으며 '정치적 노동자 서클'을 조직하였다. 초기에는 회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모임을 가졌다.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편집] 나중에 위조된 히틀러가 받은 독일 노동자당 회원증 ("회원 번호 7번"이 적혀 있음) 1919년 9월 12일 독일 육군 상병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노동자당에 대한 정보 수집 명령을 받았다. 히틀러는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열린 독일 노동자당의 집회에 참석했다. 그러나 히틀러는 집회에 참석한 대학 교수와 폭력적인 논쟁을 벌였다. 이 사건 직후에 드렉슬러는 히틀러의 웅변술에 감명받아 히틀러에게 입당을 권고했다. 몇 가지 사건 이후에 히틀러는 육군을 떠나 9월 말에 독일 노동자당의 초청으로 입당했다. 히틀러가 입당하던 당시에 독일 노동자당의 회원 번호와 회원증은 존재하지 않았다. 1920년 1월에 처음으로 회원증이 발급되었는데 알파벳 순으로 배정받았다. 이 때 히틀러는 555번을 받았다. 실제로는 55번이었지만 당이 더 크게 보이기 위해 번호는 501번부터 시작되었다. 한편 히틀러는 자신의 회원 번호는 7번이었으며 독일 노동자당 창립 회원 가운데 한 명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인 《나의 투쟁》에서 번호 7번이 붙은 회원증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히틀러는 1919년 10월 16일에 열린 회의에서 자신의 첫 번째 연설을 진행했고 바로 독일 노동자당의 지도자가 된다. DAP에서 NSDAP로[편집] 독일 노동자당(DAP)에 있던 소수의 당원들은 히틀러의 정치적 신념에 매료되었다. 이 정당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광범위하게 호소하기 위해 1920년 2월 24일에 정당 명칭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개칭했다. 이 명칭은 당시에 존재했던 오스트리아의 다른 정당인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Deutsche Nationalsozialistische Arbeiterpartei, DNSAP)을 본뜬 것이었다. 히틀러는 원래 "사회 혁명당"을 제안했지만 루돌프 융(Rudolf Jung, en)은 히틀러가 DNSAP를 따르도록 설득했다.[1] 당원[편집] 히틀러는 초기 당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다음은 초기 당원 가운데 저명한 당원들이다. 안톤 드렉슬러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한스 프랑크 카를 하러 에른스트 룀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각주[편집] ↑ Konrad Heiden, "Les débuts du national-socialisme", Revue d'Allemagne, VII, No. 71 (Sept. 15, 1933), p. 821 vdeh바이마르 공화국의 정당공산주의 독일 공산당(KPD) 독일 공산노동자당(KAPD) 독일 대립공산당(KPO)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독일 사회민주당(SPD)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독일 다수결사회민주당(MSPD) 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SAPD) 기독교 바이에른 인민당(BVP) 중앙당(Zentrum) 기독교 국민당(CVP) 농본주의 바이에른 농민동맹(BB) 농업동맹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농민 농업노동자 민주당(SHBLD) 기독국가농민당(CNBL) 독일 농민당(DBP) 자유주의 독일 민주당(DDP) 독일 인민당(DVP) 독일 국가당(DStP) 보수주의 독일 국가인민당(DNVP) 국민제국당(VRP) 기독사회인민용역(CSVD) 보수인민당(KVP)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DAP) 독일 사회당(DSP) 독일 사회주의자당(DSP)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나치) 독일 민족자유당(DVFP) 국가사회주의 자유운동(NSFB) 기타 독일-하노버당(DHP) 경제당(W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_노동자당&oldid=22715091" 분류: 독일의 정당나치즘아돌프 히틀러1919년 설립된 정당1920년 폐지범독일주의독일 국민주의 정당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독일 노동자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일 노동자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일 노동자당Deutsche Arbeiterpartei 로고 이념 독일의 민족주의범게르만주의반유대주의반자본주의반공주의 스펙트럼 극우 당직자 대표 안톤 드렉슬러 역사 창당 1919년 1월 5일 해산 1920년 2월 24일 선행조직 독일 조국당 후계정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독일 뮌헨 독일 노동자당(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Deutsche Arbeiterpartei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DAP)은 1919년에 창당된 뒤부터 짧은 기간 동안에 존재했던 독일의 정당이다. 1920년에 창당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國家社會主義 獨逸 勞動者黨, 독일어: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나치오날조치알리스티셰 도이체 아르바이터파르타이[*], 약칭 NSDAP, 나치당)의 전신이다. 목차 1 기원 2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 3 DAP에서 NSDAP로 4 당원 5 각주 기원[편집] 1919년 1월 5일 뮌헨에 있는 퓌르스텐펠더 호프(Fürstenfelder Hof) 호텔에서 신비주의 단체인 툴레 협회의 회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안톤 드렉슬러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단체는 1918년 드렉슬러가 설립한 "좋은 평화를 위한 자유 노동자 위원회"(Freien Arbeiterausschuss für einen guten Frieden)가 발전한 단체이기도 했다. 드렉슬러는 1918년 12월 범게르만주의 단체인 범(汎)게르만 동맹(Alldeutscher Verband)의 지도자이면서 그의 멘토였던 파울 타펠(Paul Tafel, 아우크스부르크-뉘른베르크 기계 공장 부장 겸 툴레 협회 회원)과 함께 독일 노동자당 설립을 독려하였다. 드렉슬러는 중산층 정당과는 달리 대중과 민족주의자 모두에게 접촉하는 정당을 구상했다. 초기 회원은 약 40명이었다. 1919년 3월 24일 언론인 겸 툴레 협회의 회원인 카를 하러(Karl Harrer)가 독일 노동자당에 툴레 협회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입당했으며 '정치적 노동자 서클'을 조직하였다. 초기에는 회원 수가 적었기 때문에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모임을 가졌다. 아돌프 히틀러의 입당[편집] 나중에 위조된 히틀러가 받은 독일 노동자당 회원증 ("회원 번호 7번"이 적혀 있음) 1919년 9월 12일 독일 육군 상병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노동자당에 대한 정보 수집 명령을 받았다. 히틀러는 뮌헨에 있는 맥주 하우스에서 열린 독일 노동자당의 집회에 참석했다. 그러나 히틀러는 집회에 참석한 대학 교수와 폭력적인 논쟁을 벌였다. 이 사건 직후에 드렉슬러는 히틀러의 웅변술에 감명받아 히틀러에게 입당을 권고했다. 몇 가지 사건 이후에 히틀러는 육군을 떠나 9월 말에 독일 노동자당의 초청으로 입당했다. 히틀러가 입당하던 당시에 독일 노동자당의 회원 번호와 회원증은 존재하지 않았다. 1920년 1월에 처음으로 회원증이 발급되었는데 알파벳 순으로 배정받았다. 이 때 히틀러는 555번을 받았다. 실제로는 55번이었지만 당이 더 크게 보이기 위해 번호는 501번부터 시작되었다. 한편 히틀러는 자신의 회원 번호는 7번이었으며 독일 노동자당 창립 회원 가운데 한 명이었다고 주장했다. 또한 히틀러는 자신의 저서인 《나의 투쟁》에서 번호 7번이 붙은 회원증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히틀러는 1919년 10월 16일에 열린 회의에서 자신의 첫 번째 연설을 진행했고 바로 독일 노동자당의 지도자가 된다. DAP에서 NSDAP로[편집] 독일 노동자당(DAP)에 있던 소수의 당원들은 히틀러의 정치적 신념에 매료되었다. 이 정당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광범위하게 호소하기 위해 1920년 2월 24일에 정당 명칭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개칭했다. 이 명칭은 당시에 존재했던 오스트리아의 다른 정당인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Deutsche Nationalsozialistische Arbeiterpartei, DNSAP)을 본뜬 것이었다. 히틀러는 원래 "사회 혁명당"을 제안했지만 루돌프 융(Rudolf Jung, en)은 히틀러가 DNSAP를 따르도록 설득했다.[1] 당원[편집] 히틀러는 초기 당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다음은 초기 당원 가운데 저명한 당원들이다. 안톤 드렉슬러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한스 프랑크 카를 하러 에른스트 룀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각주[편집] ↑ Konrad Heiden, "Les débuts du national-socialisme", Revue d'Allemagne, VII, No. 71 (Sept. 15, 1933), p. 821 vdeh바이마르 공화국의 정당공산주의 독일 공산당(KPD) 독일 공산노동자당(KAPD) 독일 대립공산당(KPO)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 독일 사회민주당(SPD)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독일 다수결사회민주당(MSPD) 독일 사회주의노동자당(SAPD) 기독교 바이에른 인민당(BVP) 중앙당(Zentrum) 기독교 국민당(CVP) 농본주의 바이에른 농민동맹(BB) 농업동맹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농민 농업노동자 민주당(SHBLD) 기독국가농민당(CNBL) 독일 농민당(DBP) 자유주의 독일 민주당(DDP) 독일 인민당(DVP) 독일 국가당(DStP) 보수주의 독일 국가인민당(DNVP) 국민제국당(VRP) 기독사회인민용역(CSVD) 보수인민당(KVP)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DAP) 독일 사회당(DSP) 독일 사회주의자당(DSP)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나치) 독일 민족자유당(DVFP) 국가사회주의 자유운동(NSFB) 기타 독일-하노버당(DHP) 경제당(W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독일_노동자당&oldid=22715091" 분류: 독일의 정당나치즘아돌프 히틀러1919년 설립된 정당1920년 폐지범독일주의독일 국민주의 정당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1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곡산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곡산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곡산역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비슷한 이름의 고산역에 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곡산 역사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도라산관리역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160 개업일 1967년 1월 9일 역 번호 K323 종별 무배치간이역(백마역 관리) 노선 경의본선 서울 기점 19.9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대곡 (1.7 km) 백마 →(1.6 km) 곡산역(谷山驛)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에 있는 경의선의 전철역이다. 목차 1 역사 2 역 구조 2.1 승강장 3 역 주변 4 이용객 변동 5 사진 6 인접한 역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67년 1월 9일 :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1] 1968년 4월 1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2] 1976년 4월 16일 :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영업 개시 1996년 12월 18일 : 백마역에서 당 역을 관리 2008년 5월 1일 : 복선전철 공사와 함께 여객 취급 중지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영업 재개, 서울 기점 19.6 km에서 19.9 km로 변경[3] 2009년 12월 1일 : 일반철도 승차권 발매 중지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 대곡 1 | | 2 백마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서울역·청량리·덕소·용문 방면 2 일산·금촌·문산 방면 역 주변[편집] 백석근린공원 백석도서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일산열병합발전소 백석공원 능곡동보건진료소 갈머리 대곡초등학교 한국수자원공사 이용객 변동[편집]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192 294 353 370 429 465 529 550 591 556 [4] 하차 191 298 361 387 433 474 529 553 587 552 사진[편집] 신 역사가 들어서기 이전의 곡산역 곡산역 신 역사의 2번 출입구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K324 백마문산 방면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완행 K322 대곡지평 방면서울 방면 각주[편집]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99호, 1967년 1월 9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8호, 1968년 4월 1일.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383호, 2009년 6월 18일. ↑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한국철도공사 곡산역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곡산역&oldid=24185168" 분류: 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고양시의 전철역1967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2: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지 5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 5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국의 조지 5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지 5세George V 지위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22년 12월 6일-1936년 1월 20일 전임자 (조지 5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10년 5월 6일-1922년 12월 6일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폐지)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백작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백작 앤드루 보너 로 인도 황제 재위 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즉위식 1911년 12월 1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부왕 인도 부왕 겸 총독 길버트 엘리오트 머레이 키니몬드 찰스 하딘지 프레드릭 테사이저 루퍼스 이삭스 E. F. L. 우드 프리맨 프리맨 토마스 웨일스 공 재위 1901년 1월 22일-1910년 5월 6일 대관식 1901년 11월 9일 전임자 앨버트 에드워드 후임자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신상정보 출생일 1865년 6월 3일(1865-06-03) 출생지 대영제국 런던, 말보로 하우스 사망일 1936년 1월 20일 (70세) 사망지 대영제국 노퍽, 샌드링햄 하우스 매장지 대영제국 윈저 성, 세인트조지 성당 가문 윈저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부친 에드워드 7세 모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배우자 테크의 메리 자녀 에드워드 8세조지 6세헤어우드 백작 부인 메리글로스터 공작 헨리켄트 공작 조지존 왕자 조지 5세(영어: George V, 1865년 6월 3일 ~ 1936년 1월 20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자(1927년부터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인도의 황제이다. (재위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본명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영어: George Frederick Ernest Albert Windsor)이다. 초대 윈저 왕가 출신의 군주로,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차남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시 군주로 빅토리아 여왕과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손자이며,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와 독일 제국의 황제이자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의 사촌이다. 1892년 1월 14일에 왕세손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가 죽으면서 그를 이어 왕세손으로 책봉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군주제의 몰락과 함께 많은 해외 영토를 잃은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등과 달리 조지 5세의 대영제국은 역사 상 최대의 영토를 얻게 되었다. 조지 5세의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지형을 바꾼 공산주의, 파시즘, 아일랜드의 공화국화 운동, 그리고 인도의 독립운동 등이 등장하였다. 또한, 1911년 의회법(Parliament Act)의 통과로 직접 선출된 서민원을 선출되지 않은 귀족원에 대하여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1924년 최초로 노동당 (영국) 내각을 맞이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 국민들의 반독(反獨) 정서를 고려하여 할아버지 앨버트 공(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독일식 성(姓)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Windsor)로 바꾸어 윈저 왕가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국민이란 곧 나를 일컬음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목차 1 유년기 2 결혼 3 요크 공 4 웨일스 공 5 재위 기간 5.1 국내 정치 6 죽음 7 성품 8 가족관계 8.1 배우자 8.2 자녀 9 각주 유년기[편집] 선원복을 입은 5살의 조지 5세, 1870년 조지 5세는 1865년 6월 3일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 기간 중 런던의 말보로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이다. 1865년 7월 7일 윈저궁의 성조지 성당에서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 찰스 롱리에게 세례 받았다.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와 17개월의 근소한 나이 차이로, 두 왕자는 함께 교육 받았다. 1871년 존 닐 달튼이 두 왕자의 가정 교사로 발탁되었다. 웨일스 공의 차남으로 웨일스 공과 형 앨버트 빅터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3위에 불과했던 그는 왕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물이 아니었다. 따라서, 유년기에 그는 왕위 계승에 대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며, 훗날 그는 단어 '지식인(highbrow)"과 "눈썹(eyebrow)"를 혼동하고, 철도 짐꾼의 지적 수준에 머물러있다는 평을 듣는 등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 더불어서 지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팽배했다. 조지 5세의 아버지은 "해군 생활은 사내아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교육"이라고 생각했던 인물이었다. 따라서, 1877년, 12세의 나이로 조지 5세는 그의 형과 함께 HMS(His Majesty's Ship)브리타니아의 생도로 훈련을 시작하였다.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는 달리, 조지 5세는 해군 생활을 즐겼다. 해군 복무 경험은 훗날 그의 양육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결혼[편집] 테크의 메리 1901년. 조지는 해군 복무 시절, 몰타에서 복무하던 삼촌인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아래에서 생활하였다. 그 곳에서 조지는 에든버러 공의 딸이자 자신의 사촌 에든버러의 마리아와 사랑에 빠졌다. 빅토리아 여왕,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 그리고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모두 결혼을 허락하였으나, 조지의 어머니 웨일스 공작부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와 에든버러의 마리아의 어머니 러시아의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반대하였다. 웨일스 공작부인은 에든버러 공의 가족의 친독(親獨) 성향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판단하였고,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영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외동딸이었다. 그녀는 영국 국왕의 작은 며느리로서 갑작스레 덴마크의 왕위에 오르게 된 독일의 약소주의 왕자를 아버지로 둔 웨일스 공작부인에게 우위를 양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대단히 꺼려했다. 어머니의 등쌀에 밀려 에든버러의 마리아는 조지의 청혼을 거절하였다. 1893년에 그녀는 루마니아의 왕 페르디난드 1세와 결혼하였다. 1891년 11월, 조지의 형 앨버트 빅터(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는 테크의 메리와 약혼하였다. 테크의 메리는 그녀가 5월에 태어난 사실에 빗대어 메이(May-5월)라 불렸다. 메리의 아버지 테크 공은 뷔르템베르크 가에 속해 있었고, 어머니는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로 아버지 쪽이 조지 2세의 직계 후손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이었다. 독일의 왕족 공작이었던 메리의 할아버지가 백작 부인과 귀천상혼을 맺어 사실 메리는 왕가의 일원이 아니었다. 메리의 양친 모두 사치스러운 생활로 켄싱턴 궁에서 이탈리아의 플로렌스로 망명해야 할 정도로 방탕한 생활을 즐겼다. 이러한 자랑스럽지 못한 부모의 영향으로 메리는 더 검소하고, 의무를 중시하는 책임감 강한 성격으로 굳어졌고, 메리의 이러한 성향은 빅토리아 여왕에게 메리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었다. 약혼 후 6주 뒤, 앨버트 빅터는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이로 조지는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올라서며 아버지 웨일스 공을 이을 미래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조지 또한 6주 간 장티푸스로 침대에 누워있다 겨우 회복된 상태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여전히 테크의 메리를 자신의 손자에게 걸맞은 아내감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조지와 메리는 앨버트 빅터의 애도 기간 동안 가까워졌다. 앨버트 빅터의 죽음 후 1년 뒤, 조지는 메리에게 청혼하여 약혼하였다. 조지와 메리는 1893년 7월 6일,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결혼하였다. 결혼 후 생애 전반에 걸쳐, 조지와 메리는 서로에 대한 의무를 다했다. 조지는 직접 인정하기를, 말로써 감정 표현을 하는데에 서투른 대신, 친애의 편지를 자주 주고 받았다. 요크 공[편집] 샌드링햄 하우스의 요크 별장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의 죽음은 조지를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승격시키며 해군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끝냈다. 조지는 1892년 5월 24일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요크 공(Duke of York), 인버네스 백작(Earl of Iverness), 킬라니 남작(Baron of Killarney)의 칭호를 부여 받고, J.R.태너로부터 헌법사 수업을 받았다. 테크의 메리는 요크 공작부인 전하(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York)의 호칭을 얻었다. 조지와 메리는 주로 노퍽의 샌드링햄 하우스의 작은 요크 별장에 거주하였다. 이는 사교계와 문화 생활 대신 사냥, 낚시, 우표 수집 등을 즐겼던 조지의 성격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피렌체에서 미술과 문학 등에 대한 방대한 교양을 쌓은 메리에게는 매우 지루한 삶이었다. 실제로 그들의 삶은 왕족보다는 평범한 중산층 가족의 생활에 더 가까웠고, 요크 공작 내외를 방문한 사람들은 요크 별장을 "작고 침울한 별장(glum little villa)"라 묘사했다. 조지는 활달한 사교 인사이자 호색가이던 아버지 에드워드 7세와 대비되는 단순하고 편안한 생활을 선호했다. 조지 5세의 공식 전기 작가 해롤드 니콜슨은 훗날 요크 공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그는 젊은 해군 사관 생도와 현명한 왕에 적합할지 모르지만, 요크 공 시절의 그는...동물들을 죽이거나 우표를 모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 조지는 훌륭한 우표 수집가였다. 조지가 우표를 모은 각각 50쪽짜리 328개의 붉은 앨범에는 당시 대영제국에서 발행한 모든 우표가 정리되어 있었다. 조지의 우표 수집은 왕실 우표 컬렉션에 기여하기도 했다. 조지와 메리는 5명의 아들과 딸 1명을 두었다. 윈스턴 처칠의 아버지 랜돌프 처칠 경은 조지가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고 회고했다. 일례로, 헨리 왕자(글로스터 공작)는 조지가 그를 쳐다보기만 해도 기절할 지경이었다. 조지는 더비의 17대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에게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는 그의 어머니(영국의 빅토리아)를 두려워했고, 나(조지 5세)는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를 두려워했으므로 나는 나의 아이들이 나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고야 말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사실 이 일화의 출처는 분명하지 않으며, 조지의 양육 방식의 당시의 평균적인 양육 방식과 조금 달랐다는 점을 내포할 뿐이다. 웨일스 공[편집] 미디어 재생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의 조지, 1901년 요크 공작 내외로서 조지와 메리는 다양한 공적 의무를 맡았다. 1901년 1월 22일, 조지의 조모 빅토리아 여왕가 서거하자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올랐다. 에드워드 7세가 즉위함에 따라 조지는 콘월 공작과 로스시 공작의 칭호를 물려 받았고, 1901년의 대부분 동안 콘월과 요크 공작 전하(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rnwall and York)라 불렸다. 1901년 5월 9일 호주 의회의 개막식 모습 1901년 조지와 메리는 대영제국을 순회하며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그리고 뉴펀들랜드를 방문하였다.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당시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이 기획하였고, 수상 살리스버리 경의 지지를 받았다. 순회 방문의 주된 목적은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에 참전한 점령지들과 식민지들에 대한 보상이었다. 남아프리카에서 조지는 격식을 갖추어 특수하게 디자인된 제2차 보어 전쟁 메달을 식민지군에게 전달했고, 조지와 메리는 정교한 장식들, 값비싼 선물들과 폭죽 등에 의해 환영 받았다. 또한, 조지와 메리는 시민 지도자들, 아프리카인 지도자들, 보어인 포로들을 만났다. 화려한 외부적인 모습에 반해, 모든 남아프리카 거주민들이 순회 방문을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 케이프타운에 거주하는 많은 백인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에 따른 축제와 그 비용을 탐탁치 않아했고, 전쟁이 대영제국의 신민으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보어인들과의 화해를 방해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영어권 언론의 비평가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전쟁 직후의 경제적 곤궁에 처해있는 남아프리카 거주 영국인들의 부담을 더 가중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탄생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개회를 맡았다. 순회 방문은 뉴질랜드에게 그 비약적인 발전을 자랑할 기회가 되었다. 뉴질랜드는 당시 통신업과 가공업에서 영국식 기준을 모방하여 그 기술을 갱신하는 중이었다. 조지는 뉴질랜드인들의 용기, 군사적 덕목들, 충성심과 의무에 대한 책임감 등을 칭찬하여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 뉴질랜드 방문의 본래 목적은 잠재적인 뉴질랜드 이주자들과 관광객들에게 뉴질랜드를 홍보하며, 증대되는 사회적 갈등을 피하는 것이었다. 조지와 메리의 뉴질랜드 방문은 영국 본토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뉴질랜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런던 시청에서의 조지의 연설 중 조지는 "우리의 해외 신자들에게 팽배해 있는 인상은, 해외 경쟁자들에 대항해 식민지 무역의 전통적인 우위를 지키고 싶다면 우리의 본국(영국)은 깨어나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1901년 11월 9일, 조지는 웨일스 공과 체스터 백작의 칭호를 하사 받았다. 에드워드 7세는 조지를 미래의 왕위 계승을 대비하여 훈련시키고 싶어 했다.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국무에서 제외된 웨일스 공 시절의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과 달리, 조지는 국가 문서에 대한 폭넓은 접근이 가능했다. 조지는 동시에 국무와 연설에 대한 메리의 조언과 도움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메리에게도 문서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 1905년 11월부터 1906년 3월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인도의 인종차별을 대단히 혐오하여 인도인들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벌였다. 인도 순회 직후, 조지와 메리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와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에우헤니아의 결혼식 참석을 위한 스페인을 방문했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암살을 가까스로 피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1주 뒤, 노르웨이의 호콘 7세와 조지의 여동생 웨일스의 메우드의 대관식에 참삭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났다. 재위 기간[편집] 조지 5세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의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존 헨리 프레데릭 베이컨 , 1912 1910년 5월 6일, 에드워드 7세가 서거하였고, 조지는 왕위에 올랐다. 조지는 일기에 "나는 나의 절친한 친구이자 최고의 아버지를 잃었다 ...난 나의 아버지와 평생 불친절한 대화를 해본적이 없다. 나는 슬픔에 잠겼지만 신은 내가 나에게 내려진 책임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고, 사랑하는 메이(테크의 메리)는 항상 그래왔듯 나를 위로할 것이다. 신이 내가 부여 받은 무거운 의무에 힘과 안내를 보태기를."라 고백했다. 조지는 메리가 공문서에 "빅토리아 메리(Victoria Mary)"로 서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빅토리아나 메리 중 하나의 이름을 생략하자고 주장했다. 조지와 메리 모두 메리가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이라 불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여 메리는 "메리 여왕(Queen Mary)"라고 불리게 되었다. 1910년,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조지가 젊은 시절 몰타에서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고, 메리와의 결혼은 중혼(重婚)이라는 허위 사실을 출판했다. 같은 소문은 1893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나 조지는 가볍게 웃어 넘긴 적이 있었던 터였다.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체포되었으며, 재판을 거쳐 범죄적 비방 행위로 1년을 복역하였다. 1911년의 델리 접견, 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가 연단 위에 앉아 있다조지는 자신이 의회의 개회식에서 발표하게 될 즉위 선언문의 반가톨릭 성향에 반대해 기존의 형태의 즉위 선언문으로는 개회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즉위 선언문 법안 1910년"은 즉위 선언문의 길이를 축약하였으며, 가톨릭에 대하여 적대적인 부분들은 삭제했다. 조지와 메리의 대관식은 1911년 6월 2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조지의 대관식은 5월 12일부터 런던의 수정궁에서 열린 "제국의 축제(Festival of Empire)"에 의해 기념되었다. "제국의 축제"는 대영제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의 생산품을 전시하는 박람회 형식이었다. 7월에 조지와 메리는 아일랜드를 5일간 방문하여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수천 명의 아일랜드인들은 왕과 왕비를 보기 위해 줄을 서 환호하였다. 같은 해에 조지와 메리는 대관식을 기념하는 델리의 접견(Delhi Durbar)에 참석하기 위해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델리의 접견을 직접 참석한 영국의 최초의 군주가 되었다. 델리의 접견에서 조지와 메리는 인도의 황제와 황후로서 인도의 고위 관료들과 왕자들을 소개 받았다. 12월 15일 조지는 메리와 함께 뉴델리에 초석을 놓았다. 조지와 메리는 인도 아대륙을 순회하였고, 그 도중 조지는 네팔의 대규모 사냥에 참여해 호랑이 21마리, 코뿔소 8마리와 곰을 열흘에 걸쳐 사냥하였다. 조지는 능숙한 사격의 명수였다. 1913년 12월 18일, 번햄 경의 자택에서 그는 6시간 내에 1000마리가 넘는 꿩을 사냥했다. 조지마저도 "이번엔 도를 지나쳤다."라고 인정할 정도였다.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조지 5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조지 5세 국내 정치[편집] 조지 5세의 재위기간에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다. 우선 즉위 4년 후에 일어난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조지 5세는 라디오 연설로 불안에 떨던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더욱이 '군림하며 통치한다.'는 입헌군주제의 원칙을 더욱 확고하게 했다. 1917년에는 영국 국민들의 반독일 감정이 심해지자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왕가로 개명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조지 5세는 개인적으로는 이종사촌 지간인데다가 사이가 좋아서 영국으로 망명하기를 원했으나 반러시아 감정이 심해져서 망명을 취소하였다.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조지 5세는 세계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대신들과 논의하였다. 죽음[편집] 조지 5세는 생전에 폐질환과 늑막염으로 고생한 상태였는데, 1928년에는 패혈증이 악화되어 몸져누웠다. 결국 1936년 1월 20일, 샌드링험 하우스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후임 국왕은 장남 웨일스 공 에드워드였으나, 약 10개월 후인 1936년 12월 11일 퇴위하고, 차남 요크 공작 앨버트가 물려받는다. 성품[편집] 조지 5세는 가정적으로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 그는 자녀들을 군대식으로 가르쳤으며, 무차별적인 체벌도 감행하였다. 특히 장남 에드워드와는 심각한 수준으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조지 5세는 심각한 골초였다. 조지 5세의 취미는 우표 수집으로, 왕궁에는 우표 컬렉션이 있을 정도였다. 가족관계[편집] 조지 5세는 테크의 메리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다. 배우자[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왕비 테크의 메리 Mary of Teck 1867년 5월 26일 1953년 3월 24일 테크 공작 프란츠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장녀 1893년 7월 6일 혼인 자녀[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장남 에드워드 8세 Edward VIII 1894년 6월 23일 1972년 5월 28일 11개월만에 자진 퇴위 퇴위 후 월리스 심슨과 결혼 자녀 없음 차남 조지 6세 George VI 1895년 12월 14일 1952년 2월 6일 엘리자베스 보우스 라이언과 결혼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 영화 《킹스 스피치》의 주인공 2녀 장녀 프린세스 로열 메리[1] Mary, Princess Royal and Countess of Harewood 1897년 4월 25일 1965년 3월 28일 1922년 2월 28일 헨리 라셀레스와 결혼 1951년 리즈대학교 총장 역임 슬하 2남 3남 글로스터 공작 헨리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1900년 3월 31일 1974년 6월 10일 글로스터 공작부인 엘리스와 결혼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출신 영국 육군, 공군원사 뇌졸중으로 사망 슬하 2남 4남 켄트 공작 조지 Prince George, Duke of Kent 1902년 12월 20일 1942년 8월 25일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나와 결혼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슬하 2남 1녀 5남 존 왕자 Prince John 1905년 7월 12일 1919년 1월 18일 자폐증상과 정신쇠약으로 요절 미혼 각주[편집] ↑ 제임스 1세의 장녀와 동명이인 전임에드워드 7세 인도 황제영국 및 자치령 국왕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후임에드워드 8세 vdeh연합왕국(영국) 국왕King of the United Kingdom스튜어트조 앤 하노버조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작센코부르크고타조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윈저조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잉글랜드 국왕/스코트인의 왕 vdeh웨일스 공 (잉글랜드 왕태자)Prince of Wales플랜태저넷조 캐르나펀의 에드워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보르도의 리처드 몬머스의 헨리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미들햄의 에드워드 튜더조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스튜어트조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하노버조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vdeh로스시 공작 (스코틀랜드 왕태자)스튜어트조 ← 캐릭 백작 데이비드 제임스 알렉산더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아서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헨리 프레더릭 찰스 찰스 제임스 찰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하노버조 조지 프레더릭 조지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조지 에드워드 찰스 필립 아서 조지 vdeh영국의 왕자 목록1세대 조지 2세 2세대 웨일스 공 프레더릭 조지 윌리엄 왕자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3세대 조지 3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에드워드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헨리 컴벌랜드와 스트래선의 공작 헨리 프레더릭 왕자 4세대 조지 4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프레더릭 윌리엄 4세 켄트와 스트래선의 공작 에드워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서식스 공작 아우구스투스 프레더릭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퍼스 옥타비우스 왕자 앨프레드 왕자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프레더릭 5세대 앨버트 공* 게오르크 5세 케임브리지 공작 조지 6세대 에드워드 7세 알프레트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7세대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 조지 5세 알렉산더 존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세자 알프레트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코넛 공자 아서 올버니 공작 찰스 에드워드^ 크리스티안 왕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폰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8세대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글로스터 공작 헨리 켄트 공작 조지 존 왕자 요한 레오폴트 왕자^ 휴베르투스 왕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알라스테어 윈저^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9세대 에든버러 공작 필립* * 글로스터 공자 윌리엄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켄트 공작 에드워드 켄트 공자 마이클 10세대 웨일스 공 찰스 요크 공작 앤드루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11세대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세번 자작 제임스 12세대 케임브리지 공자 조지 케임브리지 공자 루이스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여왕과의 혼인에 의하여 왕자가 됨*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영국의 왕자 작위를 수여받음^ 출생 당시에는 영국의 왕자였지만, 후에 영국의 왕자 작위를 박탈당함^^ 왕자 지위를 받을 수 있지만 거부함 vdeh아일랜드의 군주아일랜드 영주 존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아일랜드 국왕 헨리 8세 에드워드 6세 레이디 제인 그레이 메리 1세 &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제임스 1세 찰스 1세 (공위기) 찰스 2세 제임스 2세 윌리엄 3세 & 메리 2세 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그레이트브리튼아일랜드 국왕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그레이트브리튼북아일랜드 국왕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vdeh콘월 공작Duke of Cornwall제1차 (1337년)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몬머스의 헨리 플랜태저넷 랭커스터의 헨리 플랜태저넷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요크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미들햄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1세 스튜어트 찰스 제임스 스튜어트 찰스 2세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제2차 (1376년) 보르도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3차 (1460년) 요크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4차 (1399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vdeh요크 공작플랜태저넷가 제1차 랭글리의 에드먼드 노리치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제2차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튜더가 제3차 헨리 스튜어트가 제4차 찰스 제5차 제임스 하노버가 어니스트 오거스터스 (1716-1728) 에드워드 (1760-1767) 프레더릭 (1784-1827) 윈저가 제6차 조지 윈저 제7차 앨버트 윈저 제8차 HRH 앤드루 윈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389473 LCCN: n80139232 ISNI: 0000 0003 8336 5509 GND: 118690469 SELIBR: 316381 SUDOC: 079726119 BNF: cb119925655 (데이터) BIBSYS: 90640442 뮤직브레인즈: 61fa34e7-b983-4592-bac4-dafd05da1a0e NLA: 36288118 NDL: 01233272 NKC: xx008217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지_5세&oldid=24396734" 분류: 1865년 태어남1936년 죽음영국의 군주잉글랜드의 성공회교도윈저가웨일스 공로스시 공작요크 공작콘월 공작인도 황제에드워드 시대 사람런던 출신영국 육군 원수대훈위 국화장경식 수훈자흑수리 훈장 수훈자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덴마크계 영국인독일계 영국인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개신교도 군주피지의 투이비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ernowek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지 5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 5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국의 조지 5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지 5세George V 지위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22년 12월 6일-1936년 1월 20일 전임자 (조지 5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10년 5월 6일-1922년 12월 6일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폐지)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백작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백작 앤드루 보너 로 인도 황제 재위 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즉위식 1911년 12월 1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부왕 인도 부왕 겸 총독 길버트 엘리오트 머레이 키니몬드 찰스 하딘지 프레드릭 테사이저 루퍼스 이삭스 E. F. L. 우드 프리맨 프리맨 토마스 웨일스 공 재위 1901년 1월 22일-1910년 5월 6일 대관식 1901년 11월 9일 전임자 앨버트 에드워드 후임자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신상정보 출생일 1865년 6월 3일(1865-06-03) 출생지 대영제국 런던, 말보로 하우스 사망일 1936년 1월 20일 (70세) 사망지 대영제국 노퍽, 샌드링햄 하우스 매장지 대영제국 윈저 성, 세인트조지 성당 가문 윈저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부친 에드워드 7세 모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배우자 테크의 메리 자녀 에드워드 8세조지 6세헤어우드 백작 부인 메리글로스터 공작 헨리켄트 공작 조지존 왕자 조지 5세(영어: George V, 1865년 6월 3일 ~ 1936년 1월 20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자(1927년부터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인도의 황제이다. (재위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본명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영어: George Frederick Ernest Albert Windsor)이다. 초대 윈저 왕가 출신의 군주로,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차남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시 군주로 빅토리아 여왕과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손자이며,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와 독일 제국의 황제이자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의 사촌이다. 1892년 1월 14일에 왕세손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가 죽으면서 그를 이어 왕세손으로 책봉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군주제의 몰락과 함께 많은 해외 영토를 잃은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등과 달리 조지 5세의 대영제국은 역사 상 최대의 영토를 얻게 되었다. 조지 5세의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지형을 바꾼 공산주의, 파시즘, 아일랜드의 공화국화 운동, 그리고 인도의 독립운동 등이 등장하였다. 또한, 1911년 의회법(Parliament Act)의 통과로 직접 선출된 서민원을 선출되지 않은 귀족원에 대하여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1924년 최초로 노동당 (영국) 내각을 맞이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 국민들의 반독(反獨) 정서를 고려하여 할아버지 앨버트 공(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독일식 성(姓)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Windsor)로 바꾸어 윈저 왕가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국민이란 곧 나를 일컬음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목차 1 유년기 2 결혼 3 요크 공 4 웨일스 공 5 재위 기간 5.1 국내 정치 6 죽음 7 성품 8 가족관계 8.1 배우자 8.2 자녀 9 각주 유년기[편집] 선원복을 입은 5살의 조지 5세, 1870년 조지 5세는 1865년 6월 3일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 기간 중 런던의 말보로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이다. 1865년 7월 7일 윈저궁의 성조지 성당에서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 찰스 롱리에게 세례 받았다.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와 17개월의 근소한 나이 차이로, 두 왕자는 함께 교육 받았다. 1871년 존 닐 달튼이 두 왕자의 가정 교사로 발탁되었다. 웨일스 공의 차남으로 웨일스 공과 형 앨버트 빅터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3위에 불과했던 그는 왕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물이 아니었다. 따라서, 유년기에 그는 왕위 계승에 대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며, 훗날 그는 단어 '지식인(highbrow)"과 "눈썹(eyebrow)"를 혼동하고, 철도 짐꾼의 지적 수준에 머물러있다는 평을 듣는 등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 더불어서 지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팽배했다. 조지 5세의 아버지은 "해군 생활은 사내아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교육"이라고 생각했던 인물이었다. 따라서, 1877년, 12세의 나이로 조지 5세는 그의 형과 함께 HMS(His Majesty's Ship)브리타니아의 생도로 훈련을 시작하였다.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는 달리, 조지 5세는 해군 생활을 즐겼다. 해군 복무 경험은 훗날 그의 양육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결혼[편집] 테크의 메리 1901년. 조지는 해군 복무 시절, 몰타에서 복무하던 삼촌인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아래에서 생활하였다. 그 곳에서 조지는 에든버러 공의 딸이자 자신의 사촌 에든버러의 마리아와 사랑에 빠졌다. 빅토리아 여왕,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 그리고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모두 결혼을 허락하였으나, 조지의 어머니 웨일스 공작부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와 에든버러의 마리아의 어머니 러시아의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반대하였다. 웨일스 공작부인은 에든버러 공의 가족의 친독(親獨) 성향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판단하였고,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영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외동딸이었다. 그녀는 영국 국왕의 작은 며느리로서 갑작스레 덴마크의 왕위에 오르게 된 독일의 약소주의 왕자를 아버지로 둔 웨일스 공작부인에게 우위를 양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대단히 꺼려했다. 어머니의 등쌀에 밀려 에든버러의 마리아는 조지의 청혼을 거절하였다. 1893년에 그녀는 루마니아의 왕 페르디난드 1세와 결혼하였다. 1891년 11월, 조지의 형 앨버트 빅터(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는 테크의 메리와 약혼하였다. 테크의 메리는 그녀가 5월에 태어난 사실에 빗대어 메이(May-5월)라 불렸다. 메리의 아버지 테크 공은 뷔르템베르크 가에 속해 있었고, 어머니는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로 아버지 쪽이 조지 2세의 직계 후손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이었다. 독일의 왕족 공작이었던 메리의 할아버지가 백작 부인과 귀천상혼을 맺어 사실 메리는 왕가의 일원이 아니었다. 메리의 양친 모두 사치스러운 생활로 켄싱턴 궁에서 이탈리아의 플로렌스로 망명해야 할 정도로 방탕한 생활을 즐겼다. 이러한 자랑스럽지 못한 부모의 영향으로 메리는 더 검소하고, 의무를 중시하는 책임감 강한 성격으로 굳어졌고, 메리의 이러한 성향은 빅토리아 여왕에게 메리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었다. 약혼 후 6주 뒤, 앨버트 빅터는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이로 조지는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올라서며 아버지 웨일스 공을 이을 미래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조지 또한 6주 간 장티푸스로 침대에 누워있다 겨우 회복된 상태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여전히 테크의 메리를 자신의 손자에게 걸맞은 아내감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조지와 메리는 앨버트 빅터의 애도 기간 동안 가까워졌다. 앨버트 빅터의 죽음 후 1년 뒤, 조지는 메리에게 청혼하여 약혼하였다. 조지와 메리는 1893년 7월 6일,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결혼하였다. 결혼 후 생애 전반에 걸쳐, 조지와 메리는 서로에 대한 의무를 다했다. 조지는 직접 인정하기를, 말로써 감정 표현을 하는데에 서투른 대신, 친애의 편지를 자주 주고 받았다. 요크 공[편집] 샌드링햄 하우스의 요크 별장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의 죽음은 조지를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승격시키며 해군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끝냈다. 조지는 1892년 5월 24일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요크 공(Duke of York), 인버네스 백작(Earl of Iverness), 킬라니 남작(Baron of Killarney)의 칭호를 부여 받고, J.R.태너로부터 헌법사 수업을 받았다. 테크의 메리는 요크 공작부인 전하(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York)의 호칭을 얻었다. 조지와 메리는 주로 노퍽의 샌드링햄 하우스의 작은 요크 별장에 거주하였다. 이는 사교계와 문화 생활 대신 사냥, 낚시, 우표 수집 등을 즐겼던 조지의 성격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피렌체에서 미술과 문학 등에 대한 방대한 교양을 쌓은 메리에게는 매우 지루한 삶이었다. 실제로 그들의 삶은 왕족보다는 평범한 중산층 가족의 생활에 더 가까웠고, 요크 공작 내외를 방문한 사람들은 요크 별장을 "작고 침울한 별장(glum little villa)"라 묘사했다. 조지는 활달한 사교 인사이자 호색가이던 아버지 에드워드 7세와 대비되는 단순하고 편안한 생활을 선호했다. 조지 5세의 공식 전기 작가 해롤드 니콜슨은 훗날 요크 공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그는 젊은 해군 사관 생도와 현명한 왕에 적합할지 모르지만, 요크 공 시절의 그는...동물들을 죽이거나 우표를 모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 조지는 훌륭한 우표 수집가였다. 조지가 우표를 모은 각각 50쪽짜리 328개의 붉은 앨범에는 당시 대영제국에서 발행한 모든 우표가 정리되어 있었다. 조지의 우표 수집은 왕실 우표 컬렉션에 기여하기도 했다. 조지와 메리는 5명의 아들과 딸 1명을 두었다. 윈스턴 처칠의 아버지 랜돌프 처칠 경은 조지가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고 회고했다. 일례로, 헨리 왕자(글로스터 공작)는 조지가 그를 쳐다보기만 해도 기절할 지경이었다. 조지는 더비의 17대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에게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는 그의 어머니(영국의 빅토리아)를 두려워했고, 나(조지 5세)는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를 두려워했으므로 나는 나의 아이들이 나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고야 말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사실 이 일화의 출처는 분명하지 않으며, 조지의 양육 방식의 당시의 평균적인 양육 방식과 조금 달랐다는 점을 내포할 뿐이다. 웨일스 공[편집] 미디어 재생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의 조지, 1901년 요크 공작 내외로서 조지와 메리는 다양한 공적 의무를 맡았다. 1901년 1월 22일, 조지의 조모 빅토리아 여왕가 서거하자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올랐다. 에드워드 7세가 즉위함에 따라 조지는 콘월 공작과 로스시 공작의 칭호를 물려 받았고, 1901년의 대부분 동안 콘월과 요크 공작 전하(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rnwall and York)라 불렸다. 1901년 5월 9일 호주 의회의 개막식 모습 1901년 조지와 메리는 대영제국을 순회하며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그리고 뉴펀들랜드를 방문하였다.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당시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이 기획하였고, 수상 살리스버리 경의 지지를 받았다. 순회 방문의 주된 목적은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에 참전한 점령지들과 식민지들에 대한 보상이었다. 남아프리카에서 조지는 격식을 갖추어 특수하게 디자인된 제2차 보어 전쟁 메달을 식민지군에게 전달했고, 조지와 메리는 정교한 장식들, 값비싼 선물들과 폭죽 등에 의해 환영 받았다. 또한, 조지와 메리는 시민 지도자들, 아프리카인 지도자들, 보어인 포로들을 만났다. 화려한 외부적인 모습에 반해, 모든 남아프리카 거주민들이 순회 방문을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 케이프타운에 거주하는 많은 백인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에 따른 축제와 그 비용을 탐탁치 않아했고, 전쟁이 대영제국의 신민으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보어인들과의 화해를 방해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영어권 언론의 비평가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전쟁 직후의 경제적 곤궁에 처해있는 남아프리카 거주 영국인들의 부담을 더 가중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탄생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개회를 맡았다. 순회 방문은 뉴질랜드에게 그 비약적인 발전을 자랑할 기회가 되었다. 뉴질랜드는 당시 통신업과 가공업에서 영국식 기준을 모방하여 그 기술을 갱신하는 중이었다. 조지는 뉴질랜드인들의 용기, 군사적 덕목들, 충성심과 의무에 대한 책임감 등을 칭찬하여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 뉴질랜드 방문의 본래 목적은 잠재적인 뉴질랜드 이주자들과 관광객들에게 뉴질랜드를 홍보하며, 증대되는 사회적 갈등을 피하는 것이었다. 조지와 메리의 뉴질랜드 방문은 영국 본토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뉴질랜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런던 시청에서의 조지의 연설 중 조지는 "우리의 해외 신자들에게 팽배해 있는 인상은, 해외 경쟁자들에 대항해 식민지 무역의 전통적인 우위를 지키고 싶다면 우리의 본국(영국)은 깨어나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1901년 11월 9일, 조지는 웨일스 공과 체스터 백작의 칭호를 하사 받았다. 에드워드 7세는 조지를 미래의 왕위 계승을 대비하여 훈련시키고 싶어 했다.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국무에서 제외된 웨일스 공 시절의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과 달리, 조지는 국가 문서에 대한 폭넓은 접근이 가능했다. 조지는 동시에 국무와 연설에 대한 메리의 조언과 도움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메리에게도 문서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 1905년 11월부터 1906년 3월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인도의 인종차별을 대단히 혐오하여 인도인들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벌였다. 인도 순회 직후, 조지와 메리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와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에우헤니아의 결혼식 참석을 위한 스페인을 방문했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암살을 가까스로 피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1주 뒤, 노르웨이의 호콘 7세와 조지의 여동생 웨일스의 메우드의 대관식에 참삭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났다. 재위 기간[편집] 조지 5세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의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존 헨리 프레데릭 베이컨 , 1912 1910년 5월 6일, 에드워드 7세가 서거하였고, 조지는 왕위에 올랐다. 조지는 일기에 "나는 나의 절친한 친구이자 최고의 아버지를 잃었다 ...난 나의 아버지와 평생 불친절한 대화를 해본적이 없다. 나는 슬픔에 잠겼지만 신은 내가 나에게 내려진 책임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고, 사랑하는 메이(테크의 메리)는 항상 그래왔듯 나를 위로할 것이다. 신이 내가 부여 받은 무거운 의무에 힘과 안내를 보태기를."라 고백했다. 조지는 메리가 공문서에 "빅토리아 메리(Victoria Mary)"로 서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빅토리아나 메리 중 하나의 이름을 생략하자고 주장했다. 조지와 메리 모두 메리가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이라 불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여 메리는 "메리 여왕(Queen Mary)"라고 불리게 되었다. 1910년,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조지가 젊은 시절 몰타에서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고, 메리와의 결혼은 중혼(重婚)이라는 허위 사실을 출판했다. 같은 소문은 1893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나 조지는 가볍게 웃어 넘긴 적이 있었던 터였다.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체포되었으며, 재판을 거쳐 범죄적 비방 행위로 1년을 복역하였다. 1911년의 델리 접견, 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가 연단 위에 앉아 있다조지는 자신이 의회의 개회식에서 발표하게 될 즉위 선언문의 반가톨릭 성향에 반대해 기존의 형태의 즉위 선언문으로는 개회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즉위 선언문 법안 1910년"은 즉위 선언문의 길이를 축약하였으며, 가톨릭에 대하여 적대적인 부분들은 삭제했다. 조지와 메리의 대관식은 1911년 6월 2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조지의 대관식은 5월 12일부터 런던의 수정궁에서 열린 "제국의 축제(Festival of Empire)"에 의해 기념되었다. "제국의 축제"는 대영제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의 생산품을 전시하는 박람회 형식이었다. 7월에 조지와 메리는 아일랜드를 5일간 방문하여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수천 명의 아일랜드인들은 왕과 왕비를 보기 위해 줄을 서 환호하였다. 같은 해에 조지와 메리는 대관식을 기념하는 델리의 접견(Delhi Durbar)에 참석하기 위해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델리의 접견을 직접 참석한 영국의 최초의 군주가 되었다. 델리의 접견에서 조지와 메리는 인도의 황제와 황후로서 인도의 고위 관료들과 왕자들을 소개 받았다. 12월 15일 조지는 메리와 함께 뉴델리에 초석을 놓았다. 조지와 메리는 인도 아대륙을 순회하였고, 그 도중 조지는 네팔의 대규모 사냥에 참여해 호랑이 21마리, 코뿔소 8마리와 곰을 열흘에 걸쳐 사냥하였다. 조지는 능숙한 사격의 명수였다. 1913년 12월 18일, 번햄 경의 자택에서 그는 6시간 내에 1000마리가 넘는 꿩을 사냥했다. 조지마저도 "이번엔 도를 지나쳤다."라고 인정할 정도였다.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조지 5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조지 5세 국내 정치[편집] 조지 5세의 재위기간에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다. 우선 즉위 4년 후에 일어난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조지 5세는 라디오 연설로 불안에 떨던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더욱이 '군림하며 통치한다.'는 입헌군주제의 원칙을 더욱 확고하게 했다. 1917년에는 영국 국민들의 반독일 감정이 심해지자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왕가로 개명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조지 5세는 개인적으로는 이종사촌 지간인데다가 사이가 좋아서 영국으로 망명하기를 원했으나 반러시아 감정이 심해져서 망명을 취소하였다.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조지 5세는 세계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대신들과 논의하였다. 죽음[편집] 조지 5세는 생전에 폐질환과 늑막염으로 고생한 상태였는데, 1928년에는 패혈증이 악화되어 몸져누웠다. 결국 1936년 1월 20일, 샌드링험 하우스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후임 국왕은 장남 웨일스 공 에드워드였으나, 약 10개월 후인 1936년 12월 11일 퇴위하고, 차남 요크 공작 앨버트가 물려받는다. 성품[편집] 조지 5세는 가정적으로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 그는 자녀들을 군대식으로 가르쳤으며, 무차별적인 체벌도 감행하였다. 특히 장남 에드워드와는 심각한 수준으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조지 5세는 심각한 골초였다. 조지 5세의 취미는 우표 수집으로, 왕궁에는 우표 컬렉션이 있을 정도였다. 가족관계[편집] 조지 5세는 테크의 메리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다. 배우자[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왕비 테크의 메리 Mary of Teck 1867년 5월 26일 1953년 3월 24일 테크 공작 프란츠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장녀 1893년 7월 6일 혼인 자녀[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장남 에드워드 8세 Edward VIII 1894년 6월 23일 1972년 5월 28일 11개월만에 자진 퇴위 퇴위 후 월리스 심슨과 결혼 자녀 없음 차남 조지 6세 George VI 1895년 12월 14일 1952년 2월 6일 엘리자베스 보우스 라이언과 결혼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 영화 《킹스 스피치》의 주인공 2녀 장녀 프린세스 로열 메리[1] Mary, Princess Royal and Countess of Harewood 1897년 4월 25일 1965년 3월 28일 1922년 2월 28일 헨리 라셀레스와 결혼 1951년 리즈대학교 총장 역임 슬하 2남 3남 글로스터 공작 헨리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1900년 3월 31일 1974년 6월 10일 글로스터 공작부인 엘리스와 결혼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출신 영국 육군, 공군원사 뇌졸중으로 사망 슬하 2남 4남 켄트 공작 조지 Prince George, Duke of Kent 1902년 12월 20일 1942년 8월 25일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나와 결혼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슬하 2남 1녀 5남 존 왕자 Prince John 1905년 7월 12일 1919년 1월 18일 자폐증상과 정신쇠약으로 요절 미혼 각주[편집] ↑ 제임스 1세의 장녀와 동명이인 전임에드워드 7세 인도 황제영국 및 자치령 국왕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후임에드워드 8세 vdeh연합왕국(영국) 국왕King of the United Kingdom스튜어트조 앤 하노버조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작센코부르크고타조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윈저조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잉글랜드 국왕/스코트인의 왕 vdeh웨일스 공 (잉글랜드 왕태자)Prince of Wales플랜태저넷조 캐르나펀의 에드워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보르도의 리처드 몬머스의 헨리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미들햄의 에드워드 튜더조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스튜어트조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하노버조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vdeh로스시 공작 (스코틀랜드 왕태자)스튜어트조 ← 캐릭 백작 데이비드 제임스 알렉산더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아서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헨리 프레더릭 찰스 찰스 제임스 찰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하노버조 조지 프레더릭 조지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조지 에드워드 찰스 필립 아서 조지 vdeh영국의 왕자 목록1세대 조지 2세 2세대 웨일스 공 프레더릭 조지 윌리엄 왕자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3세대 조지 3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에드워드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헨리 컴벌랜드와 스트래선의 공작 헨리 프레더릭 왕자 4세대 조지 4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프레더릭 윌리엄 4세 켄트와 스트래선의 공작 에드워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서식스 공작 아우구스투스 프레더릭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퍼스 옥타비우스 왕자 앨프레드 왕자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프레더릭 5세대 앨버트 공* 게오르크 5세 케임브리지 공작 조지 6세대 에드워드 7세 알프레트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7세대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 조지 5세 알렉산더 존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세자 알프레트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코넛 공자 아서 올버니 공작 찰스 에드워드^ 크리스티안 왕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폰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8세대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글로스터 공작 헨리 켄트 공작 조지 존 왕자 요한 레오폴트 왕자^ 휴베르투스 왕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알라스테어 윈저^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9세대 에든버러 공작 필립* * 글로스터 공자 윌리엄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켄트 공작 에드워드 켄트 공자 마이클 10세대 웨일스 공 찰스 요크 공작 앤드루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11세대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세번 자작 제임스 12세대 케임브리지 공자 조지 케임브리지 공자 루이스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여왕과의 혼인에 의하여 왕자가 됨*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영국의 왕자 작위를 수여받음^ 출생 당시에는 영국의 왕자였지만, 후에 영국의 왕자 작위를 박탈당함^^ 왕자 지위를 받을 수 있지만 거부함 vdeh아일랜드의 군주아일랜드 영주 존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아일랜드 국왕 헨리 8세 에드워드 6세 레이디 제인 그레이 메리 1세 &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제임스 1세 찰스 1세 (공위기) 찰스 2세 제임스 2세 윌리엄 3세 & 메리 2세 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그레이트브리튼아일랜드 국왕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그레이트브리튼북아일랜드 국왕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vdeh콘월 공작Duke of Cornwall제1차 (1337년)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몬머스의 헨리 플랜태저넷 랭커스터의 헨리 플랜태저넷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요크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미들햄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1세 스튜어트 찰스 제임스 스튜어트 찰스 2세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제2차 (1376년) 보르도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3차 (1460년) 요크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4차 (1399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vdeh요크 공작플랜태저넷가 제1차 랭글리의 에드먼드 노리치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제2차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튜더가 제3차 헨리 스튜어트가 제4차 찰스 제5차 제임스 하노버가 어니스트 오거스터스 (1716-1728) 에드워드 (1760-1767) 프레더릭 (1784-1827) 윈저가 제6차 조지 윈저 제7차 앨버트 윈저 제8차 HRH 앤드루 윈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389473 LCCN: n80139232 ISNI: 0000 0003 8336 5509 GND: 118690469 SELIBR: 316381 SUDOC: 079726119 BNF: cb119925655 (데이터) BIBSYS: 90640442 뮤직브레인즈: 61fa34e7-b983-4592-bac4-dafd05da1a0e NLA: 36288118 NDL: 01233272 NKC: xx008217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지_5세&oldid=24396734" 분류: 1865년 태어남1936년 죽음영국의 군주잉글랜드의 성공회교도윈저가웨일스 공로스시 공작요크 공작콘월 공작인도 황제에드워드 시대 사람런던 출신영국 육군 원수대훈위 국화장경식 수훈자흑수리 훈장 수훈자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덴마크계 영국인독일계 영국인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개신교도 군주피지의 투이비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ernowek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지 5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지 5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국의 조지 5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지 5세George V 지위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22년 12월 6일-1936년 1월 20일 전임자 (조지 5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램지 맥도널드 스탠리 볼드윈 백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재위 1910년 5월 6일-1922년 12월 6일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폐지) 총리 연합왕국 총리 겸 제1대장경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백작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백작 앤드루 보너 로 인도 황제 재위 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즉위식 1911년 12월 12일 전임자 에드워드 7세 후임자 에드워드 8세 부왕 인도 부왕 겸 총독 길버트 엘리오트 머레이 키니몬드 찰스 하딘지 프레드릭 테사이저 루퍼스 이삭스 E. F. L. 우드 프리맨 프리맨 토마스 웨일스 공 재위 1901년 1월 22일-1910년 5월 6일 대관식 1901년 11월 9일 전임자 앨버트 에드워드 후임자 에드워드 앨버트 크리스천 조지 앤드루 패트릭 데이비드 신상정보 출생일 1865년 6월 3일(1865-06-03) 출생지 대영제국 런던, 말보로 하우스 사망일 1936년 1월 20일 (70세) 사망지 대영제국 노퍽, 샌드링햄 하우스 매장지 대영제국 윈저 성, 세인트조지 성당 가문 윈저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부친 에드워드 7세 모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배우자 테크의 메리 자녀 에드워드 8세조지 6세헤어우드 백작 부인 메리글로스터 공작 헨리켄트 공작 조지존 왕자 조지 5세(영어: George V, 1865년 6월 3일 ~ 1936년 1월 20일)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왕이자(1927년부터는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 인도의 황제이다. (재위 1910년 5월 6일 - 1936년 1월 20일). 본명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영어: George Frederick Ernest Albert Windsor)이다. 초대 윈저 왕가 출신의 군주로, 영국의 에드워드 7세의 차남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시 군주로 빅토리아 여왕과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손자이며,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와 독일 제국의 황제이자 프로이센의 왕 빌헬름 2세의 사촌이다. 1892년 1월 14일에 왕세손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가 죽으면서 그를 이어 왕세손으로 책봉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군주제의 몰락과 함께 많은 해외 영토를 잃은 러시아 제국,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등과 달리 조지 5세의 대영제국은 역사 상 최대의 영토를 얻게 되었다. 조지 5세의 재임 기간 동안 정치적 지형을 바꾼 공산주의, 파시즘, 아일랜드의 공화국화 운동, 그리고 인도의 독립운동 등이 등장하였다. 또한, 1911년 의회법(Parliament Act)의 통과로 직접 선출된 서민원을 선출되지 않은 귀족원에 대하여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1924년 최초로 노동당 (영국) 내각을 맞이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 국민들의 반독(反獨) 정서를 고려하여 할아버지 앨버트 공(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의 독일식 성(姓)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Windsor)로 바꾸어 윈저 왕가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국민이란 곧 나를 일컬음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목차 1 유년기 2 결혼 3 요크 공 4 웨일스 공 5 재위 기간 5.1 국내 정치 6 죽음 7 성품 8 가족관계 8.1 배우자 8.2 자녀 9 각주 유년기[편집] 선원복을 입은 5살의 조지 5세, 1870년 조지 5세는 1865년 6월 3일 빅토리아 여왕의 재임 기간 중 런던의 말보로하우스에서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장녀이다. 1865년 7월 7일 윈저궁의 성조지 성당에서 당시 캔터베리 대주교, 찰스 롱리에게 세례 받았다.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와 17개월의 근소한 나이 차이로, 두 왕자는 함께 교육 받았다. 1871년 존 닐 달튼이 두 왕자의 가정 교사로 발탁되었다. 웨일스 공의 차남으로 웨일스 공과 형 앨버트 빅터에 이어 왕위 계승 서열 3위에 불과했던 그는 왕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인물이 아니었다. 따라서, 유년기에 그는 왕위 계승에 대비한 교육을 받지 못하였으며, 훗날 그는 단어 '지식인(highbrow)"과 "눈썹(eyebrow)"를 혼동하고, 철도 짐꾼의 지적 수준에 머물러있다는 평을 듣는 등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 더불어서 지적으로 우수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팽배했다. 조지 5세의 아버지은 "해군 생활은 사내아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교육"이라고 생각했던 인물이었다. 따라서, 1877년, 12세의 나이로 조지 5세는 그의 형과 함께 HMS(His Majesty's Ship)브리타니아의 생도로 훈련을 시작하였다. 그의 형 앨버트 빅터 왕자와는 달리, 조지 5세는 해군 생활을 즐겼다. 해군 복무 경험은 훗날 그의 양육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결혼[편집] 테크의 메리 1901년. 조지는 해군 복무 시절, 몰타에서 복무하던 삼촌인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아래에서 생활하였다. 그 곳에서 조지는 에든버러 공의 딸이자 자신의 사촌 에든버러의 마리아와 사랑에 빠졌다. 빅토리아 여왕, 웨일스 공 앨버트 에드워드(에드워드 7세), 그리고 에든버러 공 알프레트 (작센코부르크고타) 모두 결혼을 허락하였으나, 조지의 어머니 웨일스 공작부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와 에든버러의 마리아의 어머니 러시아의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는 반대하였다. 웨일스 공작부인은 에든버러 공의 가족의 친독(親獨) 성향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판단하였고,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영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에든버러 공작부인은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2세의 외동딸이었다. 그녀는 영국 국왕의 작은 며느리로서 갑작스레 덴마크의 왕위에 오르게 된 독일의 약소주의 왕자를 아버지로 둔 웨일스 공작부인에게 우위를 양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대단히 꺼려했다. 어머니의 등쌀에 밀려 에든버러의 마리아는 조지의 청혼을 거절하였다. 1893년에 그녀는 루마니아의 왕 페르디난드 1세와 결혼하였다. 1891년 11월, 조지의 형 앨버트 빅터(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는 테크의 메리와 약혼하였다. 테크의 메리는 그녀가 5월에 태어난 사실에 빗대어 메이(May-5월)라 불렸다. 메리의 아버지 테크 공은 뷔르템베르크 가에 속해 있었고, 어머니는 케임브리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로 아버지 쪽이 조지 2세의 직계 후손으로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이었다. 독일의 왕족 공작이었던 메리의 할아버지가 백작 부인과 귀천상혼을 맺어 사실 메리는 왕가의 일원이 아니었다. 메리의 양친 모두 사치스러운 생활로 켄싱턴 궁에서 이탈리아의 플로렌스로 망명해야 할 정도로 방탕한 생활을 즐겼다. 이러한 자랑스럽지 못한 부모의 영향으로 메리는 더 검소하고, 의무를 중시하는 책임감 강한 성격으로 굳어졌고, 메리의 이러한 성향은 빅토리아 여왕에게 메리에 대한 확신을 심어 주었다. 약혼 후 6주 뒤, 앨버트 빅터는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이로 조지는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올라서며 아버지 웨일스 공을 이을 미래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조지 또한 6주 간 장티푸스로 침대에 누워있다 겨우 회복된 상태였다. 빅토리아 여왕은 여전히 테크의 메리를 자신의 손자에게 걸맞은 아내감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조지와 메리는 앨버트 빅터의 애도 기간 동안 가까워졌다. 앨버트 빅터의 죽음 후 1년 뒤, 조지는 메리에게 청혼하여 약혼하였다. 조지와 메리는 1893년 7월 6일, 런던의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결혼하였다. 결혼 후 생애 전반에 걸쳐, 조지와 메리는 서로에 대한 의무를 다했다. 조지는 직접 인정하기를, 말로써 감정 표현을 하는데에 서투른 대신, 친애의 편지를 자주 주고 받았다. 요크 공[편집] 샌드링햄 하우스의 요크 별장 형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의 죽음은 조지를 왕위 계승 서열 2순위로 승격시키며 해군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끝냈다. 조지는 1892년 5월 24일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요크 공(Duke of York), 인버네스 백작(Earl of Iverness), 킬라니 남작(Baron of Killarney)의 칭호를 부여 받고, J.R.태너로부터 헌법사 수업을 받았다. 테크의 메리는 요크 공작부인 전하(Her Royal Highness The Duchess of York)의 호칭을 얻었다. 조지와 메리는 주로 노퍽의 샌드링햄 하우스의 작은 요크 별장에 거주하였다. 이는 사교계와 문화 생활 대신 사냥, 낚시, 우표 수집 등을 즐겼던 조지의 성격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는 피렌체에서 미술과 문학 등에 대한 방대한 교양을 쌓은 메리에게는 매우 지루한 삶이었다. 실제로 그들의 삶은 왕족보다는 평범한 중산층 가족의 생활에 더 가까웠고, 요크 공작 내외를 방문한 사람들은 요크 별장을 "작고 침울한 별장(glum little villa)"라 묘사했다. 조지는 활달한 사교 인사이자 호색가이던 아버지 에드워드 7세와 대비되는 단순하고 편안한 생활을 선호했다. 조지 5세의 공식 전기 작가 해롤드 니콜슨은 훗날 요크 공으로서의 조지의 삶을 "그는 젊은 해군 사관 생도와 현명한 왕에 적합할지 모르지만, 요크 공 시절의 그는...동물들을 죽이거나 우표를 모으는 일 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묘사했다. 조지는 훌륭한 우표 수집가였다. 조지가 우표를 모은 각각 50쪽짜리 328개의 붉은 앨범에는 당시 대영제국에서 발행한 모든 우표가 정리되어 있었다. 조지의 우표 수집은 왕실 우표 컬렉션에 기여하기도 했다. 조지와 메리는 5명의 아들과 딸 1명을 두었다. 윈스턴 처칠의 아버지 랜돌프 처칠 경은 조지가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고 회고했다. 일례로, 헨리 왕자(글로스터 공작)는 조지가 그를 쳐다보기만 해도 기절할 지경이었다. 조지는 더비의 17대 백작 에드워드 스탠리에게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는 그의 어머니(영국의 빅토리아)를 두려워했고, 나(조지 5세)는 나의 아버지(에드워드 7세)를 두려워했으므로 나는 나의 아이들이 나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고야 말것이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사실 이 일화의 출처는 분명하지 않으며, 조지의 양육 방식의 당시의 평균적인 양육 방식과 조금 달랐다는 점을 내포할 뿐이다. 웨일스 공[편집] 미디어 재생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의 조지, 1901년 요크 공작 내외로서 조지와 메리는 다양한 공적 의무를 맡았다. 1901년 1월 22일, 조지의 조모 빅토리아 여왕가 서거하자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가 왕위에 올랐다. 에드워드 7세가 즉위함에 따라 조지는 콘월 공작과 로스시 공작의 칭호를 물려 받았고, 1901년의 대부분 동안 콘월과 요크 공작 전하(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rnwall and York)라 불렸다. 1901년 5월 9일 호주 의회의 개막식 모습 1901년 조지와 메리는 대영제국을 순회하며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그리고 뉴펀들랜드를 방문하였다.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당시 식민지 장관 조지프 체임벌린이 기획하였고, 수상 살리스버리 경의 지지를 받았다. 순회 방문의 주된 목적은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에 참전한 점령지들과 식민지들에 대한 보상이었다. 남아프리카에서 조지는 격식을 갖추어 특수하게 디자인된 제2차 보어 전쟁 메달을 식민지군에게 전달했고, 조지와 메리는 정교한 장식들, 값비싼 선물들과 폭죽 등에 의해 환영 받았다. 또한, 조지와 메리는 시민 지도자들, 아프리카인 지도자들, 보어인 포로들을 만났다. 화려한 외부적인 모습에 반해, 모든 남아프리카 거주민들이 순회 방문을 환영한 것은 아니었다. 케이프타운에 거주하는 많은 백인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에 따른 축제와 그 비용을 탐탁치 않아했고, 전쟁이 대영제국의 신민으로서의 그들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보어인들과의 화해를 방해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영어권 언론의 비평가들은 조지와 메리의 방문은 전쟁 직후의 경제적 곤궁에 처해있는 남아프리카 거주 영국인들의 부담을 더 가중시켰다고 비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의 탄생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개회를 맡았다. 순회 방문은 뉴질랜드에게 그 비약적인 발전을 자랑할 기회가 되었다. 뉴질랜드는 당시 통신업과 가공업에서 영국식 기준을 모방하여 그 기술을 갱신하는 중이었다. 조지는 뉴질랜드인들의 용기, 군사적 덕목들, 충성심과 의무에 대한 책임감 등을 칭찬하여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 뉴질랜드 방문의 본래 목적은 잠재적인 뉴질랜드 이주자들과 관광객들에게 뉴질랜드를 홍보하며, 증대되는 사회적 갈등을 피하는 것이었다. 조지와 메리의 뉴질랜드 방문은 영국 본토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뉴질랜드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런던 시청에서의 조지의 연설 중 조지는 "우리의 해외 신자들에게 팽배해 있는 인상은, 해외 경쟁자들에 대항해 식민지 무역의 전통적인 우위를 지키고 싶다면 우리의 본국(영국)은 깨어나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경고하였다. 1901년 11월 9일, 조지는 웨일스 공과 체스터 백작의 칭호를 하사 받았다. 에드워드 7세는 조지를 미래의 왕위 계승을 대비하여 훈련시키고 싶어 했다.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국무에서 제외된 웨일스 공 시절의 조지의 아버지 에드워드 7세과 달리, 조지는 국가 문서에 대한 폭넓은 접근이 가능했다. 조지는 동시에 국무와 연설에 대한 메리의 조언과 도움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메리에게도 문서에 대한 접근을 허락했다. 1905년 11월부터 1906년 3월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인도의 인종차별을 대단히 혐오하여 인도인들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벌였다. 인도 순회 직후, 조지와 메리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와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에우헤니아의 결혼식 참석을 위한 스페인을 방문했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암살을 가까스로 피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1주 뒤, 노르웨이의 호콘 7세와 조지의 여동생 웨일스의 메우드의 대관식에 참삭하기 위해 노르웨이로 떠났다. 재위 기간[편집] 조지 5세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의 대관식. 1911년 6월 22일, 존 헨리 프레데릭 베이컨 , 1912 1910년 5월 6일, 에드워드 7세가 서거하였고, 조지는 왕위에 올랐다. 조지는 일기에 "나는 나의 절친한 친구이자 최고의 아버지를 잃었다 ...난 나의 아버지와 평생 불친절한 대화를 해본적이 없다. 나는 슬픔에 잠겼지만 신은 내가 나에게 내려진 책임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고, 사랑하는 메이(테크의 메리)는 항상 그래왔듯 나를 위로할 것이다. 신이 내가 부여 받은 무거운 의무에 힘과 안내를 보태기를."라 고백했다. 조지는 메리가 공문서에 "빅토리아 메리(Victoria Mary)"로 서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빅토리아나 메리 중 하나의 이름을 생략하자고 주장했다. 조지와 메리 모두 메리가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이라 불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여 메리는 "메리 여왕(Queen Mary)"라고 불리게 되었다. 1910년,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조지가 젊은 시절 몰타에서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고, 메리와의 결혼은 중혼(重婚)이라는 허위 사실을 출판했다. 같은 소문은 1893년에 처음 출판되었으나 조지는 가볍게 웃어 넘긴 적이 있었던 터였다. 소문을 잠재우기 위해 에드워드 마일리우스는 체포되었으며, 재판을 거쳐 범죄적 비방 행위로 1년을 복역하였다. 1911년의 델리 접견, 조지 5세와 테크의 메리가 연단 위에 앉아 있다조지는 자신이 의회의 개회식에서 발표하게 될 즉위 선언문의 반가톨릭 성향에 반대해 기존의 형태의 즉위 선언문으로는 개회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즉위 선언문 법안 1910년"은 즉위 선언문의 길이를 축약하였으며, 가톨릭에 대하여 적대적인 부분들은 삭제했다. 조지와 메리의 대관식은 1911년 6월 2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되었다. 조지의 대관식은 5월 12일부터 런던의 수정궁에서 열린 "제국의 축제(Festival of Empire)"에 의해 기념되었다. "제국의 축제"는 대영제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의 생산품을 전시하는 박람회 형식이었다. 7월에 조지와 메리는 아일랜드를 5일간 방문하여 따뜻한 환영을 받았다. 수천 명의 아일랜드인들은 왕과 왕비를 보기 위해 줄을 서 환호하였다. 같은 해에 조지와 메리는 대관식을 기념하는 델리의 접견(Delhi Durbar)에 참석하기 위해 영국령 인도 제국을 방문하였다. 조지는 델리의 접견을 직접 참석한 영국의 최초의 군주가 되었다. 델리의 접견에서 조지와 메리는 인도의 황제와 황후로서 인도의 고위 관료들과 왕자들을 소개 받았다. 12월 15일 조지는 메리와 함께 뉴델리에 초석을 놓았다. 조지와 메리는 인도 아대륙을 순회하였고, 그 도중 조지는 네팔의 대규모 사냥에 참여해 호랑이 21마리, 코뿔소 8마리와 곰을 열흘에 걸쳐 사냥하였다. 조지는 능숙한 사격의 명수였다. 1913년 12월 18일, 번햄 경의 자택에서 그는 6시간 내에 1000마리가 넘는 꿩을 사냥했다. 조지마저도 "이번엔 도를 지나쳤다."라고 인정할 정도였다.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조지 5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조지 5세 국내 정치[편집] 조지 5세의 재위기간에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났다. 우선 즉위 4년 후에 일어난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조지 5세는 라디오 연설로 불안에 떨던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더욱이 '군림하며 통치한다.'는 입헌군주제의 원칙을 더욱 확고하게 했다. 1917년에는 영국 국민들의 반독일 감정이 심해지자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를 윈저 왕가로 개명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자, 조지 5세는 개인적으로는 이종사촌 지간인데다가 사이가 좋아서 영국으로 망명하기를 원했으나 반러시아 감정이 심해져서 망명을 취소하였다. 1929년에 세계 대공황이 일어나자 조지 5세는 세계 대공황을 해결하기 위해 대신들과 논의하였다. 죽음[편집] 조지 5세는 생전에 폐질환과 늑막염으로 고생한 상태였는데, 1928년에는 패혈증이 악화되어 몸져누웠다. 결국 1936년 1월 20일, 샌드링험 하우스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후임 국왕은 장남 웨일스 공 에드워드였으나, 약 10개월 후인 1936년 12월 11일 퇴위하고, 차남 요크 공작 앨버트가 물려받는다. 성품[편집] 조지 5세는 가정적으로 매우 엄격한 아버지였다. 그는 자녀들을 군대식으로 가르쳤으며, 무차별적인 체벌도 감행하였다. 특히 장남 에드워드와는 심각한 수준으로 대립하였다. 그리고 조지 5세는 심각한 골초였다. 조지 5세의 취미는 우표 수집으로, 왕궁에는 우표 컬렉션이 있을 정도였다. 가족관계[편집] 조지 5세는 테크의 메리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다. 배우자[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왕비 테크의 메리 Mary of Teck 1867년 5월 26일 1953년 3월 24일 테크 공작 프란츠와 공녀 메리 아델라이드의 장녀 1893년 7월 6일 혼인 자녀[편집] 사진 이름 출생 사망 기타 장남 에드워드 8세 Edward VIII 1894년 6월 23일 1972년 5월 28일 11개월만에 자진 퇴위 퇴위 후 월리스 심슨과 결혼 자녀 없음 차남 조지 6세 George VI 1895년 12월 14일 1952년 2월 6일 엘리자베스 보우스 라이언과 결혼 엘리자베스 2세의 아버지 영화 《킹스 스피치》의 주인공 2녀 장녀 프린세스 로열 메리[1] Mary, Princess Royal and Countess of Harewood 1897년 4월 25일 1965년 3월 28일 1922년 2월 28일 헨리 라셀레스와 결혼 1951년 리즈대학교 총장 역임 슬하 2남 3남 글로스터 공작 헨리 Prince Henry, Duke of Gloucester 1900년 3월 31일 1974년 6월 10일 글로스터 공작부인 엘리스와 결혼 샌드허스트 육군사관학교 출신 영국 육군, 공군원사 뇌졸중으로 사망 슬하 2남 4남 켄트 공작 조지 Prince George, Duke of Kent 1902년 12월 20일 1942년 8월 25일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 마리나와 결혼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 슬하 2남 1녀 5남 존 왕자 Prince John 1905년 7월 12일 1919년 1월 18일 자폐증상과 정신쇠약으로 요절 미혼 각주[편집] ↑ 제임스 1세의 장녀와 동명이인 전임에드워드 7세 인도 황제영국 및 자치령 국왕1910년 5월 6일~1936년 1월 20일 후임에드워드 8세 vdeh연합왕국(영국) 국왕King of the United Kingdom스튜어트조 앤 하노버조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작센코부르크고타조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윈저조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잉글랜드 국왕/스코트인의 왕 vdeh웨일스 공 (잉글랜드 왕태자)Prince of Wales플랜태저넷조 캐르나펀의 에드워드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보르도의 리처드 몬머스의 헨리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미들햄의 에드워드 튜더조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스튜어트조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찰스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하노버조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윌리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vdeh로스시 공작 (스코틀랜드 왕태자)스튜어트조 ← 캐릭 백작 데이비드 제임스 알렉산더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아서 제임스 제임스 제임스 헨리 프레더릭 찰스 찰스 제임스 찰스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하노버조 조지 프레더릭 조지 작센코부르크고타-윈저조 앨버트 에드워드 조지 에드워드 찰스 필립 아서 조지 vdeh영국의 왕자 목록1세대 조지 2세 2세대 웨일스 공 프레더릭 조지 윌리엄 왕자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3세대 조지 3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에드워드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헨리 컴벌랜드와 스트래선의 공작 헨리 프레더릭 왕자 4세대 조지 4세 요크와 올버니의 공작 프레더릭 윌리엄 4세 켄트와 스트래선의 공작 에드워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서식스 공작 아우구스투스 프레더릭 케임브리지 공작 아돌퍼스 옥타비우스 왕자 앨프레드 왕자 글로스터와 에든버러의 공작 윌리엄 프레더릭 5세대 앨버트 공* 게오르크 5세 케임브리지 공작 조지 6세대 에드워드 7세 알프레트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7세대 클래런스와 에이번데일의 공작 앨버트 빅터 조지 5세 알렉산더 존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세자 알프레트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코넛 공자 아서 올버니 공작 찰스 에드워드^ 크리스티안 왕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폰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8세대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글로스터 공작 헨리 켄트 공작 조지 존 왕자 요한 레오폴트 왕자^ 휴베르투스 왕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알라스테어 윈저^ 게오르크 빌헬름 왕자^ 9세대 에든버러 공작 필립* * 글로스터 공자 윌리엄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 켄트 공작 에드워드 켄트 공자 마이클 10세대 웨일스 공 찰스 요크 공작 앤드루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11세대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세번 자작 제임스 12세대 케임브리지 공자 조지 케임브리지 공자 루이스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여왕과의 혼인에 의하여 왕자가 됨* * 출생 당시는 영국의 왕자가 아니었지만, 영국의 왕자 작위를 수여받음^ 출생 당시에는 영국의 왕자였지만, 후에 영국의 왕자 작위를 박탈당함^^ 왕자 지위를 받을 수 있지만 거부함 vdeh아일랜드의 군주아일랜드 영주 존 헨리 3세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2세 에드워드 3세 리처드 2세 헨리 4세 헨리 5세 헨리 6세 에드워드 4세 에드워드 5세 리처드 3세 헨리 7세 헨리 8세 아일랜드 국왕 헨리 8세 에드워드 6세 레이디 제인 그레이 메리 1세 & 필립 엘리자베스 1세 제임스 1세 찰스 1세 (공위기) 찰스 2세 제임스 2세 윌리엄 3세 & 메리 2세 앤 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그레이트브리튼아일랜드 국왕 조지 3세 조지 4세 윌리엄 4세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그레이트브리튼북아일랜드 국왕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vdeh콘월 공작Duke of Cornwall제1차 (1337년) 우드스톡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몬머스의 헨리 플랜태저넷 랭커스터의 헨리 플랜태저넷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요크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미들햄의 에드워드 플랜태저넷 아서 튜더 헨리 튜더 에드워드 튜더 헨리 프레더릭 스튜어트 찰스 1세 스튜어트 찰스 제임스 스튜어트 찰스 2세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조지 어거스트 폰 하노버 프레더릭 폰 하노버 조지 어거스트 프레더릭 폰 하노버 앨버트 에드워드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조지 프레더릭 어니스트 앨버트 윈저 에드워드 앨버트 데이비드 윈저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윈저 제2차 (1376년) 보르도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3차 (1460년) 요크의 리처드 플랜태저넷 제4차 (1399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vdeh요크 공작플랜태저넷가 제1차 랭글리의 에드먼드 노리치의 에드워드 요크의 리처드 요크의 에드워드 제2차 슈루즈베리의 리처드 튜더가 제3차 헨리 스튜어트가 제4차 찰스 제5차 제임스 하노버가 어니스트 오거스터스 (1716-1728) 에드워드 (1760-1767) 프레더릭 (1784-1827) 윈저가 제6차 조지 윈저 제7차 앨버트 윈저 제8차 HRH 앤드루 윈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389473 LCCN: n80139232 ISNI: 0000 0003 8336 5509 GND: 118690469 SELIBR: 316381 SUDOC: 079726119 BNF: cb119925655 (데이터) BIBSYS: 90640442 뮤직브레인즈: 61fa34e7-b983-4592-bac4-dafd05da1a0e NLA: 36288118 NDL: 01233272 NKC: xx008217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지_5세&oldid=24396734" 분류: 1865년 태어남1936년 죽음영국의 군주잉글랜드의 성공회교도윈저가웨일스 공로스시 공작요크 공작콘월 공작인도 황제에드워드 시대 사람런던 출신영국 육군 원수대훈위 국화장경식 수훈자흑수리 훈장 수훈자호엔촐레른 왕가장 대사령관덴마크계 영국인독일계 영국인대훈위 국화대수장 수훈자개신교도 군주피지의 투이비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ernowekLatinaLietuviųLatviešu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0: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김해여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해여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해여객 주식회사Gimhai Passenger Corp.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88년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경상남도 김해시전하로304번길 24(내외동 1264, 김해시외버스터미널 내) 핵심 인물 허우기 (대표자) 제품 시외버스 계열사 밀성여객 김해여객(金海旅客)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시외버스 운행 업체이다. 본사는 김해시 외동에 있다. 목차 1 역사 2 차고지 3 운행 노선 3.1 시외버스 4 보유차량 5 함께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1988년 동신버스로 설립해 이후 가야IBS로 분리 했다가 2001년 사명을 변경 하였다.[1] 차고지[편집] 경상남도 김해시 전하로304번길 24 (내외동) (김해본사:김해시외버스터미널내) 운행 노선[편집] 시외버스[편집] 2015년 12월 기준이다.[2]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면허 대수 노선 합계 직행 일반 고속 대수 합계 직행 일반 고속 우등 예비 김해여객 31 19 12 - 40 28 12 - - - 김해 출발 노선 김해 ↔ 주촌 ↔ 장유 ↔ 창원 김해 ↔ 거가대교 ↔ 고현 (경원여객 공동 운행) 김해 ↔ 장유 ↔ 배둔 ↔ 고성 ↔ 통영[3] 김해 ↔ 장유 ↔ 창원 ↔ 마산 ↔ 안동 김해 ↔ 장유 ↔ 창원 ↔ 마산 ↔ 현풍 ↔ 고령 ↔ 거창 김해 ↔ 장유 ↔ 내서(마산대) ↔ 함안 (태영고속, 동일익스프레스 공동 운행, 2017년 4월 7일 신설) 마산 출발 노선 마산 ↔ 영산 ↔ 부곡 마산 ↔ (진례)[4] ↔ 장유농협 ↔ 롯데워터파크 서부산 출발 노선 서부산 ↔ 가락 ↔ 죽림 ↔ 김해 서부산 ↔ 장유 (↔ 진례 ↔ 진영) 서부산 ↔ 영산 ↔ 부곡 보유차량[편집] 기아자동차 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함께 보기[편집] 부산교통 각주[편집] ↑ “김해여객 연혁”. 2015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7일에 확인함.  ↑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경상남도청 교통물류과, 2016년 2월 29일 작성. ↑ 2015년 10월 24일부터 김해공항 경유 노선이 폐지되었다. ↑ 1일 8회 경유 vdeh경상남도의 버스 기업시내·농어촌·마을버스 업체창원시 대운교통 대중교통 동아여객 동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신흥여객 제일교통 진해여객 진해마을버스 창원버스 창원마을버스 김해시 가야IBS 김해BUS 동부교통 진주시 부산교통 부일교통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양산시 세원 푸른교통 법서교통 양산BS 웅상교통 웅진교통 지산마을버스 밀양시 밀양교통 삼남교통 삼랑진교통 영남교통 용활교통 한성교통 거제시 삼화여객 세일교통 사천시 거창고속 삼포교통 통영시 신흥여객 통영교통 농어촌 동일익스프레스(함안군) 고성버스(고성군) 남흥여객(남해군) 산청교통(산청군) 서흥여객(거창군 합천군) 영신버스(창녕군 의령군) 함양지리산고속(함양군) 의령버스(의령군) 하동버스(하동군) 시외버스 업체 거창고속 거제현대고속 경남고속 경원여객 경전여객 고려여객 김해여객 남흥여객 대한여객 동아여객 밀성여객 부산교통 세인공항 세원 신흥여객 영화여객 태영고속 천일고속 천일여객 푸른교통 함양지리산고속 해운대고속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해여객&oldid=23605435" 분류: 1988년 설립2001년 설립김해시의 교통경상남도의 시외버스 기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31일 (목) 2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원기폭발 간바루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기폭발 간바루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원기폭발 간바루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원기폭발 간바루가》(일본어: 元気爆発ガンバルガー 겡키바쿠하츠간바루가[*])는 엘드란 시리즈 2기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1992년 4월 1일부터 1993년 2월 24일까지 방영되었다. 대한민국에는 투니버스에서 《로봇전사 감마》라는 이름으로 방영된 바 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인물 2.1 간바팀 2.2 간바루가 2.3 주변 인물 2.4 대마계 3 각주 줄거리[편집] 빛의 전사 엘드란은 마왕 노크아크와의 싸움을 통해 결국 봉인하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마왕의 부하인 야미노리우스 3세는 미처 봉인하지 못했다. 지상으로 도망간 야미노리우스 3세를 봉인하기 위해 다시 엘드란은 3대의 로봇을 만든다. 한편 하늘 초등학교에 다니는 주인공 3인방은 우연히 학교 뒷산에서 이 3대의 로봇을 발견하게 된다. 이 소년들은 엘드란으로부터 전후 사정을 듣고는 대마왕과 싸우는 일에 응하게 되는데.... 등장인물[편집] 간바팀[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간바팀입니다. 간바루가[편집] 엘드란이 야미노리우스 3세를 막기 위해 보낸 메카로, 국내명은 감마에이스. 킹 엘레판 : 코끼리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다리 부분으로 들어간다. 파일럿은 나대로. 고 타이가 : 호랑이가 로봇으로 변신. 감마 에이스의 몸통 부분이 된다. 파일럿은 강세찬. 마하 이글 : 독수리가 로봇으로 변신하여 감마 에이스의 팔과 날개가 된다. 파일럿은 현승우. 리보루가(감마 라이온) : 감마 에이스가 마계괴물에게 위험을 처했을 때 나타난 날개 달린 거대한 사자 형태의 메카. 파일럿은 나대로. 게키류가(감마 드래곤) : 엘드란에게 받은 황금알에서 태어난 용처럼 생긴 메카. 파일럿은 현승우. 시계 마계 괴물이 시간을 되돌려 나타난 공룡들을 겁먹게 한다. 그레이트 간바루가(그레이트 감마) : 감마 에이스, 감마 라이온, 감마 드래곤이 합체한 로봇으로 초 마계 괴물에게 위험을 당할 때 합체 프로그램이 작동돼서 강세찬이 제대로 맞춰서 위기일발으로 합체한다. 주변 인물[편집] 곤잘레스 = 키리가쿠레 토베에 이 부분의 본문은 키리가쿠레 토베에입니다. 키리가쿠레 카스미 (강세미) / 성우 : 이토 미키 / 전숙경 강세찬의 누나로 운동을 잘하는 편이다. 처음엔 개가 된 아버지 토베에를 싫어했으나 자신을 구해준 이후로는 좋아하게 돼서 개집을 만들어주고 곤잘레스라는 이름을 지어준 장본인. 야미노리우스 3세의 마법으로 자신의 배드민턴 라켓을 마계괴물로 만드는 중에 대신 맞아서 카스미리우스가 되어서 야미노리우스 3세를 마법으로 가둬버리고 그의 램프를 얻어서 본인의 배드민턴 라켓을 마계괴물로 만들고 간바팀과 승부하나 결국 강세찬의 활약으로 패배해서 원래대로 돌아온다. 타치바나 아이코 / 성우 : 이토 미키 / 정선혜 나대로, 강세찬, 현승우의 담임 선생님으로 원병태가 짝사랑하는 상대. 야미노리우스 3세가 기억상실에 걸렸을 때 그를 보호해 주었던 여자 선생님. 야미노리우스 3세가 변장한 모습(민호)을 짝사랑하는데 나중에 다시 기억이 돌아온후 청소기 마계 괴물이 나올때, 민호와 같이 찍었던 사진이 야미노리우스 3세 손에 들어가자 자신이 그토록 짝사랑하던 상대가 야미노리우스 3세인걸 알고 절망한다. 그 때 열심히 싸우던 간바팀의 모습을 보고 용기를 얻어 그를 설득하려고 매번 감마와 같이 출동한다. 열심히 스피커를 통해 설득하지만 계속 실패하는데... 유우키 치나츠 이 부분의 본문은 유우키 치나츠입니다. 코마키 유리카 이 부분의 본문은 코마키 유리카입니다. 타케다 카츠라 (두나) / 성우 : 후카미 리카 / 한원자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네 반 회장이며, 방위대 소속인 타케다 장관의 딸이다. 타케다 장관을 파파라고 부른다. 가끔 자기 것(케이크, 시계)이 마계 괴물이 되기도 한다.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와 류자키 리키야(나대로),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이의 파워벨트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장난감이라 하고서 선생님께 일러바친다. 깐깐한 모범생형. 타케다 장관 이 부분의 본문은 타케다 장관입니다. 류자키 테츠야 (나대호) / 성우 : 오오타니 이쿠에/ 여민정 류자키 리키야(나대로)의 동생으로 주시연의 단짝. 키리가쿠레 코타로(강세찬)이네 어머니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다. 간바팀 중에서 레드감마를 제일 좋아한다. 배달은 자신도 할 수 있다며 나대로에게 큰 소리치고 남자의 약속으로 빈 그릇을 가지고오라는 심부름을 지킨다. 자신의 생일 선물 케이크가 개미 마계 괴물에게 크리스마스 선물 자전거가 산타 마계 괴물에게 도둑맞기도 하지만 마지막에 레드감마가 선물해준다. 유우키 아키에 (주시연) / 성우 : 후카미 리카/ 한신정 유우키 치나츠의 여동생으로 강세찬네 어머님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으며 나대호와 단짝친구다. 언니와 비슷해서 한번뿐이기는 하지만 언니보다 앞서서 특종을 잡은적도 있다. 매지션과 싸울 때에는 골칫덩이였으나 물리칠 때는 도움이 많이 되었다. 아라키 겐조 (원수퍼 아저씨) / 성우 : 오가타 켄이치 / 김광국 이가 없어 틀니를 했다. 무직인 아들 아라키 쥰(원병태)를 가끔 구박하기도 한다. 아라키 쥰 (원병태) / 성우 : 야마구치 켄/ 방성준 대로의 야구팀 코치이기도 하다. 키리가큐레 코타로(강세찬)이 선생님 타치바나 아이코를 좋아하나 선생님이 정의의 기자를 좋아하는 바람에 결국 돈을 털어 기자 패션을 꾸미는 등 기자가 되려고 노력한다. 지우개 마계 괴물에 의해 몸이 투명해져서 하얀 가루를 뒤집어쓰고 화이트감마가 돼서 지우개 마계 괴물의 몸에 하얀 가루를 남겨서 간바팀에게 위치를 알려주는 활약을 한다. 리키야(나대로)의 아버지 / 성우 : 야마구치 켄 / 김정은 나대로의 아버지로 나대로가 소속된 팀의 야구 경기가 있을 때마다 와서 응원을 한다. 자칭 배달경력 30년이라곤 하지만 확실치 않다. 분식집을 경영하고 있다. 배달 때 땡땡이 치거나 음식을 도둑 맞아서 항상 아내에게 혼난다. 펭귄 마계수 편에서 간바팀이 위험에 처했을 때 그들에게는 따뜻한 라면을 배달하고 펭귄 마계수에게는 고추가 듬뿍 들어간 냉국수를 선물하는 멋진 활약을 선보인 적이 있다. 리키야(나대로)의 어머니 / 성우 : 오리카사 아이 / 한원자 류자키 리키야(나대로)네 아버지가 배달을 핑계로 응원갈 때마다 혼내는 잔소리꾼이다. 하지만 진심은 류자키 리키야(나대로) 아버지를 걱정한다. 요스케(승우)의 어머니 / 성우 : 오오타니 이쿠에 / 김선혜[1] 카자마츠리 요스케의 어머니로,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가 100점 맞은 시험지들을 최고의 보물이라고 생각한다. 또 카자마츠리 요스케(현승우)가 최고로 좋은 중학교로 들어가기를 원하고 있으며, 요스케가 불량한 모습으로 수업을 땡땡이 치면 기절을 한다. 또한 매년마다 현승우가 떡 공포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 엘드란 이 부분의 본문은 엘드란입니다. 대마계[편집] 야미노리우스 3세 (미놀리우스3세) / 성우 : 故 소가베 카즈유키 / 최재호 이 부분의 본문은 야미노리우스 3세입니다. 고크아크 (노르아크) / 성우 : 사토 마사하루 / 시영준 마계의 마왕으로 메두사를 연상시키게 하는 외모를 하고 있다. 마왕이면서도 감마를 조종할 정도로 힘이 강한듯 하다. "등장! 감마 라이온, 대로 대 감마 에이스" 편에서 노르아크가 엘드란에게 봉인되고 왼팔이 떨어져나가고 그 왼팔과 동물 마계괴물 백과사전을 준다. 그 왼팔로 더욱 강한 마계괴물을 만들게하고 레드감마를 조종한다. 간바팀에게 패배하고 아직 죽지 않고 영혼이 남아있어 부활의 날까지 야미노리우스 3세의 몸속에 들어간다. 마지막에 자신을 부활시킨 야미노리우스 3세를 배신하고 지구를 파괴한다. 사이아크 (실리아크) / 성우 : 야마구치 켄 노르아크(고크아크)와 색깔만 다를뿐, 생김새는 같은 마왕. 노르아크(고크아크)보다 힘은 떨어지지만 여전히 아주 강력한 마왕이다. 후반에 야미노리우스의 꿈에 나타나 부활을 지시한다. 결국 정말 부활에 성공하지만 감마에게 패했으며, 이후 다시 노르아크(고크아크)와 합세하여 감마를 쳐부수려고 하지만 다시 패했다. 레츠아크 (레트아크) / 성우 : 시마다 빈 노르아크(고크아크),살리아크(사이아크)와 색만 다르지 모습은 똑같다. 색깔은 연두색. 힘은 3마왕 중 제일 약함. 하지만 후반에 살리아크(사이아크), 노르아크(고크아크)와 함께 부활해 감마를 없애버리려 한다. 그러나 감마에게 지고 다른 2마왕과 결합해 감마와 지구를 없애버리려고 하다가 우주에서 영원히 사라진다. 각주[편집] ↑ 한일 성우 모두 코마키 유리카와 중복. 이 전 절대무적 라이징오 제2대 엘드란 시리즈 1992년 4월 1일 ~ 1993년 2월 24일 다 음  열혈최강 고자우라  vdeh엘드란 시리즈TV 시리즈 절대무적 라이징오 원기폭발 간바루거 열혈최강 고자우러 잡지·만화책 완전승리 다이테이오 vdeh1990년대 로봇 애니메이션 목록1990년NG 기사 라무네&40TVA · RPG전설 헤포이TVA · AD 폴리스 OVAOVA · 마신영웅전 와타루 2TVA · 용자 엑스카이저TVA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신 OVAOVA · 암흑신전승 무신 십육야정화OVA1991년기동전사 건담 0083 STARDUST MEMORYOVA · 기동전사 건담 F91MVA · 기갑경찰 메탈잭TVA · 긴급발진 세이버키즈TVA · 데터네이터 오간OVA · 자이언트 로보 지구가 정지하는 날OVA · 겟타 로보 고TVA · 절대무적 라이징오TVA ·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TVA · 노인 ZOVA · 버블검 크래쉬!OVA1992년원기폭발 간바루가TVA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2 Lovers AgainOVA · 기동전사 건담 0083 지온의 잔광MVA · 전설의 용자 다간TVA · 철인 28호 FXTVA ·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TVA1993년기신병단OVA · 8 after manTVA · 열혈최강 고자우라TVA · 초시공세기 오거스 02OVA · 신조인간 캐산OVA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TVA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2 the MovieMVA · 기동전사 V 건담TVA · 특수전차대 도미니온OVA1994년마크로스 플러스OVA · 아이언맨TVA · 미소녀 전사 익셀리온OVA · 기동무투전 G 건담TVA · 레드 바론TVA · 야마토 타케루TVA · 용자경찰 제이데커TVA · 이리아OVA · 패왕대계 류나이트TVA · 패왕대계 류나이트 아듀 레전드OVA · 플라스틱 리틀OVA · 마크로스 플러스 무비 에디션MVA · 마법기사 레이어스TVA · 마크로스 7TVA · 우주의 기사 테카맨 블레이드 2OVA1995년마크로스 7 은하가 나를 부른다MVA · 신기동전기 건담 WTVA · 신세기 에반게리온TVA · 황금용자 골드런TVA · 마크로스 7 EncoreOVA · 공각기동대MVA1996년기동전사 건담 제08 MS 소대OVA · 천공의 에스카플로네TVA · 초자 라이딘TVA 기동신세기 건담 XTVA · 용자지령 다그온TVA · 기동전함 나데시코TVA · 비트 엑스TVA · 비스트 워즈TVA · 파워 돌스OVA · 카쿠고의 스스메OVA1997년넥스트전기 에어가이츠TVA · 녹색전차 해모수TVA · 영혼기병 라젠카TVA · 사쿠라 대전 앵화현란OVA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OVA · 신세기 에반게리온 DEATH & REBIRTHMVA· 신세기 에반게리온 에어/진심을, 너에게MVA · 용자왕 가오가이가TVA · 초마신영웅전 와타루TVA · 초특급 히카리안TVA · 초광속 그랜돌OVA · 마크로스 7 다이너마이트OVA1998년DT 에이트론TVA · 남해기왕 네오랑가TVA · 브레인 파워드TVA · 게키강가 3OVA · 초기동전설 다이나기가OVA · 버블검 크라이시스 도쿄 2040TVA · 기동전함 나데시코 극장판 The Prince of DarknessTVA · 강철 커뮤니케이션TVA · 스프리건MVA · 가사라키TVA · 기동전사 건담 제08 MS 소대 밀러즈 리포트OVA · 비스트 워즈 2TVA · 은하표류 바이팜 13TVA · 진 겟타 로보 세계 최후의 날OVA · 성방무협 아웃로스타TVA1999년초신희 단가이저 3OVA · 브레이크 에이지OVA · 레스톨 특수 구조대TVA · 마장기신 사이버스터TVA · 무한의 리바이어스TVA · THE 빅오TVA · 사쿠라 대전 굉화현란OVA · 아이언 자이언트MVA · 지구방위기업 다이가드TVA · 메다롯트TVA · ∀건담TVA · 듀얼! 파라레 룬룬 이야기TVA · 조이드TVA · 블루 젠더TVA · AD 폴리스TVA · 베터맨TVA※TVA : TV 애니메이션 · MVA : 극장용 애니메이션 · OVA :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원기폭발_간바루거&oldid=23837305" 분류: 로봇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에 관한 틀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1992년 애니메이션1993년 애니메이션선라이즈 작품엘드란 시리즈원기폭발 간바루가닌자를 소재로 한 작품초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0일 (일) 15: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하게타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게타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하게타카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하게타카》 (ハゲタカ)는 작가 마야마 진 경제 소설 《하게타카》를 원작으로 제작 된 일본의 실사영상화 작품. 목차 1 NHK판 1.1 개요 1.1.1 출연진에 대해 1.2 줄거리 1.3 등장인물 · 출연진 1.3.1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1.3.2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 1.3.3 도요 TV 1.3.4 여관 《니시노야》 1.3.5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 1.3.6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 1.3.7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1.3.8 그 외 1.4 제작진 1.5 닫는 곡 1.6 부제 1.7 수상 내역 2 영화 2.1 개요 3 TV 아사히판 3.1 등장인물 · 출연진 3.1.1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 3.1.2 미츠바 은행 3.1.3 그 외 3.2 부제 4 주요 용어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NHK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방송 기간 2007년 2월 17일 ~ 3월 24일 방송 시간 토요일 21:00 - 21:58 방송 분량 58분 방송 횟수 6화 원작 마야마 진 극본 하야시 고지 출연자 오모리 나오시바타 교헤이마쓰다 류헤이구리야마 지아키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07년 2월 17일부터 같은 해 3월 24일까지 NHK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작가 마야마 진 (真山 仁)의 경제 소설이 원작이며, 총 6화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편집]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파 소설을 발표해 온 신문기자 출신 작가 마야마 진의 소설 《하게타카》와 《바이아웃》[1] 을 원작으로, 하야시 고지가 각본을 담당했다. 제1화 ~ 제3화는 《하게타카》, 제4화 ~ 제6화는 《바이아웃》을 기초로 작성됐다. 총6화가 2007년 2월 17일부터 3월 24일까지 매주 토요일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의 〈토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됐다. 방송 후에는 포니캐년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와 DVD로 발매됐다. 출연진에 대해[편집] 출연자 중 한 명인 시바타 교헤이의 폐암 수술 및 요양 때문에, 방송일이 예정됐던 2006년 9월 2일 ~ 10월 7일에서 연기됐다. 또, 출연 예정이었던 나카무라 시도가 음주운전 적발로 출연을 사퇴하고, 마쓰다 류헤이가 대신 기용됐다. 줄거리[편집] 와시즈(오모리 나오)는 거품 경제 붕괴 후, 어떤 사건을 겪고 〈미츠바 은행〉을 퇴사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일본 대표로 취임하며 귀국. 펀드 매니저로써 차례차례 일본 기업을 사들여 〈하게타카〉라는 별명을 얻게된다. 그리고 현 미츠바 은행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이자 자신의 상사였던 시바노(시바타 교헤이)와 재회한다. 은행이 가진 벌크 세일(보유채권 전량매매)을 파는 쪽과 사는 쪽으로... 그 후에도 운명처럼 두 사람은 몇 번이고 부딪히게된다. 드라마 후반에는 와시즈가 목표로 삼았던 대형 전자 회사의 인수(공개매수)에 니시노(마쓰다 류헤이)가 나타난다. 니시노는 IT 벤처 기업의 사장이지만, 집안이 경영했던 여관 〈니시노야〉가 와시즈의 손에 팔린 것을 계기로 기업가로 전향한 과거가 있다. 니시노에게 와시즈는 목표이며,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오모리 나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대표. 미츠바 은행에 1991년 입사. 마루노우치 지점에서 법인영업을 담당, 반년간 시바노 타케오 차장의 부하였으나, 1993년 퇴사.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호라이슨에 입사한다. (제5회) 뉴옥 본사의 지시를 무시하고 오조라 전기 인수를 강행해 호라이즌 재팬 대표에서 해임된다. (최종회) 어느 사건 후, 시바노의 권유로 와시즈 펀드를 설립하고 대표로 취임한다. 나카노부 고로 - 시가 고타로 와시즈의 부하이며, 부동산 거래 전문가. 와시즈의 좋은 이해자이며, 뉴욕 본사에 대한 배임 행위에도 불구하고 뒤에서 계속 작업한다. 무라타 타케시 - 시다마 규사쿠 와시즈의 부하이며, 기업 조사 전문가. (제5회) 하이퍼 크리에이션으로 떠남. (최종회) 와시즈 펀드 설립을 위해, 다시 와시즈에게 돌아간다. 아랑 워드 - 팀 월랜드 와시즈의 부하이자 오른팔이다. 뉴욕 본사에서 온 엘리트. (제5회) 와시즈의 후임으로 호라이즌 재팬의 대표가 된다. 린 해트포드 - 오타 미도리 로랜스 와시즈의 부하. 골드 버그 콜즈 재정 고문.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편집] 시바노 다케오 - 시바타 교헤이 미츠바 은행의 엘리트 사원. 부서는 인사부, 해외유학을 거쳐 국제기획부. 그 후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제1화) 사업전략부부장 (제2화~제3화). 그러나 제3화 마지막에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미츠바 은행을 스스로 퇴사한다. (제4화부터) 기업재생가 (턴어라운드 매니저)로 전신, 오조라 전기의 중역을 거쳐 이사가 되며, 츠카모토의 지원으로 개혁을 실시한다. (최종화) 호라이즌의 명령으로 경비 삭감 이사로 남으며, 피닉스 계획 추진 본부장을 겸임한다. 와시즈 펀드의 요청으로 EBO 후의 새벽의 광학(전 오조라 전기 렌즈 사업부) 사장으로 취임한다. 이지마 료스케 - 나카오 아키라 미츠바 은행 임원(상무이사). 회사의 배후에 사정에 대한 일을 많이 해왔다. (제5화) MGS은행 부은행장. 니시노 오사무를 지원. (최종화) 와시즈로부터 오조라 전기 렌즈 부문 매각 방지를 위한 로비 활동을 의뢰받는다. 누마타 토오루 - 사토이 겐타 미츠바 은행 사원. 홍부부 부장이며 시바노와 동기이자 좋은 동료이다. 도요 TV[편집] 미시마 유카 - 구리야마 지아키 도요 TV 경제부 기자. 과거 아버지가 공장의 거래처 은행에게 거래를 거부당해 자살, 그 후 당시 담당자였던 와시즈의 동향을 추적한다. (제4화) 도요 TV 보도 프로그램 《PRIME11》의 캐스터로 취임. 노나카 유지 - 고이치 만타로 도요 TV 경제부 기자. 유카의 상사. 여관 《니시노야》[편집] 제1화에 등장. 니시노 오사무 - 마쓰다 류헤이 (제1화) 집안이 경영하던 여관이 와시즈에 의해 팔린 후, 가출. (제2화, 제3화) 와시즈에 대한 라이벌 의식으로 창업자금 300만엔을 모은다. (제4화) IT 기업 《하이퍼 크리에이션》을 창업한다. (제5화) 호라이즌이 공개매수를 실시한 오조라 전기의 백기사로 등장해 호라이즌과 공개매수 전쟁을 벌인다. 그 후, 내부자 거래로 체포되어 와시즈를 쏜다. 니시노 쇼고 - 우자키 류도 여관 《니시노야》의 경영자이자 오사무의 아버지. 채권을 산 와시즈에게 여관을 매각당하고, 그 충격으로 자살이나 다름없는 사고사를 당한다. 니시노 아야코 - 나가시마 에이코 (제1화, 제2화) 오사무의 어머니.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편집] 제2화, 제3화에 등장 오코우치 미즈에 - 후지 마나미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사장. 회사의 반을 사유화 하고 있다. 오코우치 노부아키 - 고바야시 마사히로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전무. 미즈에의 장남이다. 모모세 케이이치 - 오카모토 노부토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상무.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편집] 제4화 ~ 제6화에 등장. 오키 쇼자부로 - 스가와라 분타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회장. (제4화) '카리스마 경영'이라 불리는 창업자 였지만, 말기암으로 사망. 츠카모토 쿠니히코 - 오스기 렌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장. 기업 재생가가 된 시바노(대학 동기로 같은 야구부 출신)를 불러들인다. 카토 유키오 - 다나카 민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원. 렌즈 연마 장인이다. 우시지마 세이지 - 도쿠이 유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 정보단말부부장. (최종화) 구조조정 과정에서 시바노와 직원 사이에 끼어, 그 정신적 압박으로 자살한다.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편집] 알버트 클라리스 - 이안 무어 케네스 클라리스 리버풀(KKL).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대표. 와시즈가 이끄는 〈호라이즌 재팬〉에 기업 인수 지시를 내린다. 오가 야스오 - 마쓰시게 유타카 (최종화)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로 부터 오조라 전기 새 사장에 임명된다. 그 외[편집] 쿠사카베 스스무 - 야지마 겐이치 (제3화) 미츠바 은행 계열 투자회사 《아이언 옥스》 대표. 치열한 입찰 경쟁을 벌였다. 토야마 렌이치로 - 미쓰이시 겐 (제3화) 선데이 토이즈 스폰서 선정을 담당한 변호사. 미시마 켄이치 - 와타나베 데쓰 유카의 아버지로 미츠바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자살. (회상 장면에 등장) 리 젠밍 - 하쿠 히로시 (제5화) 중국 전자 기업 《텍슨》 사장. 와시즈에게 직접 오조라 전기 인수를 부탁받는다. 오키 류자부로를 존경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원작 - 마야마 진 각본 - 하야시 고지 음악 - 사토 나오키 연출 - 오토모 게이시, 이노우에 쓰요시,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닫는 곡[편집] 〈Riches I hold in light esteem〉 (부귀영화를 가볍게 여기네) 작사 - 에밀리 브론테 음악 - 사토 나오키 노래 - tomo the tomo 부제[편집] 각 화 부제 목표 (게스트) 방송일 연출 방송시간 시청률 제1화 일본을 싼값에 사들여! 우자키 류도 등 2007년 2월 17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8.7% 제2화 황금 낙하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2월 24일 이노우에 쓰요시 21:00 - 21:58 7.3% 제3화 끝나지 않은 입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3월 3일 22:00 - 22:58 6.0% 제4화 격진! 주주총회 스가와라 분타, 오스기 렌 등 2007년 3월 10일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21:15 - 22:13 6.7% 제5화 백기사 오스기 렌,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17일 21:00 - 21:58 7.2% 최종화 새로운 바이아웃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24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7.1% 평균시청률 7.17%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수상 내역[편집] 제33회 방송 문화 기금상 TV 드라마 부문 '본상', '출연자상" 수상 제44회 갤럭시상 '우수상', '베스트 TV상 그랑프리' 수상 제6회 방송인 그랑프리 '특별상' 수상 제59회 이탈리아상 시리즈 드라마 부문 수상 제32회 골든 체스트 국제 TV 페스티벌 '모스필름 특별상' 수상 제12회 아시아 텔레비전 어워드 시리즈 드라마 부문 '최우수상' 수상 제32회 에란 도르상 TV 부문 '작품상 ​​TV 가이드상', '프로듀서상 다나카 도모유키 기금상' 수상 제7회 영상 기술상 촬영 부분, 조명 부문, 미술 부문 수상 NHK 토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슬로우 스타터(2007.01.27 - 2007.02.03) 하게타카(2007.02.17 - 2007.03.24) 병원의 힘: 호시조라 호스피탈(2007.04.14 - 2007.05.12) 영화[편집] 2009년 6월 6일 도호 배급으로 개봉되었다. 작가 마야마 진에 의한 소설 "하케타카", "하게타카 II", "레드 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히로시 감독을 연출을 맡았다. 개요[편집] NHK 토요일 드라마 《하게타카》가 일본, 해외외에서 높은 평가를 얻으며, 도호 등에 의해 영화화가 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드라마에서 4년 후가 되는 무대에서 출연자·스태프 모두 이전에 방송된 드라마를 거의 답습하고 원작자 마야마 진이 집필 한 속편 "레드 존"을 기반으로 TV 판의 후일담이 될 예정으로, 2009년 6월 개봉을 예정으로, 그해 1월 15일 크랭크인했다. 또한 영화의 개봉에 맞춰, 2009년 5월에 드라마의 노벨 라이즈 책이 "TV 판 하게타카"로 주부와 생활사에서 상하 2권으로 발매되었다. 몇년 영화 프로그램의 방송이 없었던 NHK 종합 TV에서 2010년 8월 7일에 "스페셜 에디션"이 방송되었다. TV 아사히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TV 아사히 방송 기간 2018년 7월 19일 ~ 방송 시간 목요일 21:00 - 21:54 방송 분량 54분 원작 마야마 진 감독 이즈미 세이지 극본 후루야 카즈나오 출연자 아야노 고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18년 7월 19일부터 TV 아사히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아야노 고 아랑 워드 - 이케우치 히로유키 사에키 무네노리 - 스기모토 텟타 나카노부 고로 - 미츠이시 켄 미츠바 은행[편집] 시바노 다케오 - 와타베 아츠로 미야베 미도리 - 사쿠라 에마 이이지마 료스케 - 코바야시 카오루 그 외[편집] 마츠다 타카코 - 사와지리 에리카 마츠다이라 타마카 - 미쓰이시 겐 시바노 아키코 - 호리우치 케이코 시바노 아즈사 - 코레나가 히토미 부제[편집] 각 화 장 부제 방송일 연출 시청률 제1화 제1장 일본을 구입 두드려라! 7월 19일 이즈미 세이지 11.9% 제2화 황금 낙하산끝없는 입찰 7월 26일 11.3% 제3화 격진! 주주 총회 8월 02일 10.4% 제4화 제2장 화이트 나이트 8월 09일 9.6% 평균시청률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TV 아사히 목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2018.04.19 - 2018.06.17) 하게타카(2018.07.19 - ) - vdehTV 아사히(ANN) 목요드라마 (21시, 1990년 이후)1990년대 전반1990년 《강은 울고있다》 《번데기 광경》 《코엔지 순정 상점가》 《자유의 언덕에 내가 남은》 《아름다운 거짓말 붙여 있습니까》 《내가 바다까지 흘려》 《꽃의 계절》 《도쿄만 블루스》 《여자의 적은 남자의 적》 《겨울 오기 전에》 1991년 《일곱 여자 변호사》 《게이샤 코하루의 화려한 모험》 《외과병동 여의사의 사건 파일》 《일곱 여자 변호사II》 1992년 《자정은 다른 얼굴》 《여자 사건기자 타치바나 케이코》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1시리즈) 《대공항 '92 ~사랑의 여행~》 1993년 《일곱 여자 변호사III》 《세일즈 레이디는 무엇을 봤다》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2시리즈) 《여검사 수사 파일》 1994년 《신공항 이야기》 《그와 그녀의 사정》 《대가족 드라마 며느리가 나설》 《엄마의 침대에 계십니다》 1990년대 후반1995년 《아지이치몬메》(제1시리즈) 《우리 어머니이지만 ...》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1시리즈) 《Miss 다이아몬드》 1996년 《아지이치몬메》(제2시리즈) 《불꽃의 소방대》 《소아 병동・생명의 계절》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2시리즈) 1997년 《흐름 판 일곱》 《최고의 식탁》 《보디가드》 《가정부는 봤다!》 1998년 《너무 사랑 않아 좋았다》 《처절! 며느리 시어머니 전쟁 나찰의 집》 《여교사》 《외과의·나츠메 산시로》 1999년 《뉴스캐스터 카스미 레이코》 《사랑의 기적》 《꼭대기》 《연애사기꾼》 2000년대 전반2000년 《연애중독》 《아나자 헤븐 ~eclipse~》 《츠구미에 ... ~ 작은 생명을 잊지 ~》 《스타일!》 2001년 《너의 유키치가 울고있다》 《R-17》 《빙점 2001》 《마지막 가족》 2002년 《혼외연애》 《잠못드는 밤을 안고》 《사토라레》 《체포하라》 2003년 사랑 싸움!》 동물병원 선생님》 키쿠지로와 사키》(제1시리즈) TRICK3》 2004년 《에이스를 노려라!》 《전지가 끊어 질 때까지》 《미나미군의 연인》 《검은 가죽 수첩》 2000년대 후반2005년 《부호형사》 《어택 No.1》 《키쿠지로와 사키》(제2시리즈) 《황혼이혼》 2006년 《야수의 길》 《7명의 여자 변호사》(제1시리즈) 《시모키타 선데이즈》 《다멘즈을》 2007년 《대단한 곳에 시집 버렸다!》 《호텔리어》 《키쿠지로와 사키》(제3시리즈) 《맛있는 밥 가마쿠라·카스가이 쌀 매장》 2008년 《교섭인 ~THE NEGOTIATOR~》 《7명의 여자 변호사》(제2시리즈) 《네 거짓말》 《소아구명》 2009년 《특명계장 타다노 히토시》(4th 시리즈) 《야광의 계단》 《댄디 대디? ~연애소설가 이자키 류노스케~》 《교섭인 ~THE NEGOTIATOR~》(제2시리즈) 2010년대 전반2010년 《엔젤 뱅크 ~ 전직대리인》 《동창회 ~러브 어게인 ​​증후군》 《케이조쿠 ~ 경시청 미해결 사건 전담 연속 수사반》 《나사케의 여자 ~국세국사찰관~》 2011년 《고발 ~국선변호인》 《강철의 여자 season2》 《햇빛은 또 오른다》 《DOCTORS 최강의 명의》 2012년 《성스러운 괴물들》 《W의 비극》 《유류수사》(제 2 시리즈)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1기) 2013년 《중지 씨 《더블스 ~ 두 명의 형사》 《DOCTORS 2 최강의 명의》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2기) 2014년 《긴급취조실》 《BORDER 경시청 수사 1과 살인범 수사 제4계》 《제로의 진실~감찰의·마츠모토 마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3기) 2010년대 후반2015년 《DOCTORS3 최강의 명의》 《아임 홈》 《에이지 해러스먼트》 《유산쟁족》 2016년 《스페셜리스트》 《굿 파트너 무적의 변호사》 《처음 뵙겠습니다, 사랑합니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4기) 2017년 《취활가족~분명, 잘 될 거야~》 《긴급취조실(시즌2)》 《검은 가죽 수첩》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5기) 2018년 《BG~신변경호인~》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 《하게타카》 《리갈 V~전 변호사·타카나시 쇼코~》 2019년 《파견 점쟁이 아타루》 《긴급취조실(시즌3)》 《싸인 -법의학자 유즈키 타카시의 사건-》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6기) 주요 용어[편집] 배임죄 인수 합병 공개매수 주주총회 내부자 거래 일본 금융청 불량채권 잃어버린 10년 관련 항목[편집] 하게타카 (영화) 나나세 다시 한 번 (2008년판. 극중에 오조라 전기의 제품(컴퓨터 등)이 등장한다.) 미네르바 각주[편집] ↑ 2007년 3월 15일에 출시된 문고판은 《하게타카 II》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원작자 마야마 진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게타카&oldid=22893971" 분류: 2007년 드라마NHK의 텔레비전 드라마경제 드라마소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갤럭시 우수상방송문화기금상 본상2018년 드라마TV 아사히 목요드라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Nederland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하게타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게타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하게타카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하게타카》 (ハゲタカ)는 작가 마야마 진 경제 소설 《하게타카》를 원작으로 제작 된 일본의 실사영상화 작품. 목차 1 NHK판 1.1 개요 1.1.1 출연진에 대해 1.2 줄거리 1.3 등장인물 · 출연진 1.3.1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1.3.2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 1.3.3 도요 TV 1.3.4 여관 《니시노야》 1.3.5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 1.3.6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 1.3.7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1.3.8 그 외 1.4 제작진 1.5 닫는 곡 1.6 부제 1.7 수상 내역 2 영화 2.1 개요 3 TV 아사히판 3.1 등장인물 · 출연진 3.1.1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 3.1.2 미츠바 은행 3.1.3 그 외 3.2 부제 4 주요 용어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NHK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방송 기간 2007년 2월 17일 ~ 3월 24일 방송 시간 토요일 21:00 - 21:58 방송 분량 58분 방송 횟수 6화 원작 마야마 진 극본 하야시 고지 출연자 오모리 나오시바타 교헤이마쓰다 류헤이구리야마 지아키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07년 2월 17일부터 같은 해 3월 24일까지 NHK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작가 마야마 진 (真山 仁)의 경제 소설이 원작이며, 총 6화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편집]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파 소설을 발표해 온 신문기자 출신 작가 마야마 진의 소설 《하게타카》와 《바이아웃》[1] 을 원작으로, 하야시 고지가 각본을 담당했다. 제1화 ~ 제3화는 《하게타카》, 제4화 ~ 제6화는 《바이아웃》을 기초로 작성됐다. 총6화가 2007년 2월 17일부터 3월 24일까지 매주 토요일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의 〈토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됐다. 방송 후에는 포니캐년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와 DVD로 발매됐다. 출연진에 대해[편집] 출연자 중 한 명인 시바타 교헤이의 폐암 수술 및 요양 때문에, 방송일이 예정됐던 2006년 9월 2일 ~ 10월 7일에서 연기됐다. 또, 출연 예정이었던 나카무라 시도가 음주운전 적발로 출연을 사퇴하고, 마쓰다 류헤이가 대신 기용됐다. 줄거리[편집] 와시즈(오모리 나오)는 거품 경제 붕괴 후, 어떤 사건을 겪고 〈미츠바 은행〉을 퇴사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일본 대표로 취임하며 귀국. 펀드 매니저로써 차례차례 일본 기업을 사들여 〈하게타카〉라는 별명을 얻게된다. 그리고 현 미츠바 은행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이자 자신의 상사였던 시바노(시바타 교헤이)와 재회한다. 은행이 가진 벌크 세일(보유채권 전량매매)을 파는 쪽과 사는 쪽으로... 그 후에도 운명처럼 두 사람은 몇 번이고 부딪히게된다. 드라마 후반에는 와시즈가 목표로 삼았던 대형 전자 회사의 인수(공개매수)에 니시노(마쓰다 류헤이)가 나타난다. 니시노는 IT 벤처 기업의 사장이지만, 집안이 경영했던 여관 〈니시노야〉가 와시즈의 손에 팔린 것을 계기로 기업가로 전향한 과거가 있다. 니시노에게 와시즈는 목표이며,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오모리 나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대표. 미츠바 은행에 1991년 입사. 마루노우치 지점에서 법인영업을 담당, 반년간 시바노 타케오 차장의 부하였으나, 1993년 퇴사.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호라이슨에 입사한다. (제5회) 뉴옥 본사의 지시를 무시하고 오조라 전기 인수를 강행해 호라이즌 재팬 대표에서 해임된다. (최종회) 어느 사건 후, 시바노의 권유로 와시즈 펀드를 설립하고 대표로 취임한다. 나카노부 고로 - 시가 고타로 와시즈의 부하이며, 부동산 거래 전문가. 와시즈의 좋은 이해자이며, 뉴욕 본사에 대한 배임 행위에도 불구하고 뒤에서 계속 작업한다. 무라타 타케시 - 시다마 규사쿠 와시즈의 부하이며, 기업 조사 전문가. (제5회) 하이퍼 크리에이션으로 떠남. (최종회) 와시즈 펀드 설립을 위해, 다시 와시즈에게 돌아간다. 아랑 워드 - 팀 월랜드 와시즈의 부하이자 오른팔이다. 뉴욕 본사에서 온 엘리트. (제5회) 와시즈의 후임으로 호라이즌 재팬의 대표가 된다. 린 해트포드 - 오타 미도리 로랜스 와시즈의 부하. 골드 버그 콜즈 재정 고문.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편집] 시바노 다케오 - 시바타 교헤이 미츠바 은행의 엘리트 사원. 부서는 인사부, 해외유학을 거쳐 국제기획부. 그 후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제1화) 사업전략부부장 (제2화~제3화). 그러나 제3화 마지막에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미츠바 은행을 스스로 퇴사한다. (제4화부터) 기업재생가 (턴어라운드 매니저)로 전신, 오조라 전기의 중역을 거쳐 이사가 되며, 츠카모토의 지원으로 개혁을 실시한다. (최종화) 호라이즌의 명령으로 경비 삭감 이사로 남으며, 피닉스 계획 추진 본부장을 겸임한다. 와시즈 펀드의 요청으로 EBO 후의 새벽의 광학(전 오조라 전기 렌즈 사업부) 사장으로 취임한다. 이지마 료스케 - 나카오 아키라 미츠바 은행 임원(상무이사). 회사의 배후에 사정에 대한 일을 많이 해왔다. (제5화) MGS은행 부은행장. 니시노 오사무를 지원. (최종화) 와시즈로부터 오조라 전기 렌즈 부문 매각 방지를 위한 로비 활동을 의뢰받는다. 누마타 토오루 - 사토이 겐타 미츠바 은행 사원. 홍부부 부장이며 시바노와 동기이자 좋은 동료이다. 도요 TV[편집] 미시마 유카 - 구리야마 지아키 도요 TV 경제부 기자. 과거 아버지가 공장의 거래처 은행에게 거래를 거부당해 자살, 그 후 당시 담당자였던 와시즈의 동향을 추적한다. (제4화) 도요 TV 보도 프로그램 《PRIME11》의 캐스터로 취임. 노나카 유지 - 고이치 만타로 도요 TV 경제부 기자. 유카의 상사. 여관 《니시노야》[편집] 제1화에 등장. 니시노 오사무 - 마쓰다 류헤이 (제1화) 집안이 경영하던 여관이 와시즈에 의해 팔린 후, 가출. (제2화, 제3화) 와시즈에 대한 라이벌 의식으로 창업자금 300만엔을 모은다. (제4화) IT 기업 《하이퍼 크리에이션》을 창업한다. (제5화) 호라이즌이 공개매수를 실시한 오조라 전기의 백기사로 등장해 호라이즌과 공개매수 전쟁을 벌인다. 그 후, 내부자 거래로 체포되어 와시즈를 쏜다. 니시노 쇼고 - 우자키 류도 여관 《니시노야》의 경영자이자 오사무의 아버지. 채권을 산 와시즈에게 여관을 매각당하고, 그 충격으로 자살이나 다름없는 사고사를 당한다. 니시노 아야코 - 나가시마 에이코 (제1화, 제2화) 오사무의 어머니.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편집] 제2화, 제3화에 등장 오코우치 미즈에 - 후지 마나미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사장. 회사의 반을 사유화 하고 있다. 오코우치 노부아키 - 고바야시 마사히로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전무. 미즈에의 장남이다. 모모세 케이이치 - 오카모토 노부토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상무.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편집] 제4화 ~ 제6화에 등장. 오키 쇼자부로 - 스가와라 분타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회장. (제4화) '카리스마 경영'이라 불리는 창업자 였지만, 말기암으로 사망. 츠카모토 쿠니히코 - 오스기 렌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장. 기업 재생가가 된 시바노(대학 동기로 같은 야구부 출신)를 불러들인다. 카토 유키오 - 다나카 민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원. 렌즈 연마 장인이다. 우시지마 세이지 - 도쿠이 유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 정보단말부부장. (최종화) 구조조정 과정에서 시바노와 직원 사이에 끼어, 그 정신적 압박으로 자살한다.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편집] 알버트 클라리스 - 이안 무어 케네스 클라리스 리버풀(KKL).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대표. 와시즈가 이끄는 〈호라이즌 재팬〉에 기업 인수 지시를 내린다. 오가 야스오 - 마쓰시게 유타카 (최종화)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로 부터 오조라 전기 새 사장에 임명된다. 그 외[편집] 쿠사카베 스스무 - 야지마 겐이치 (제3화) 미츠바 은행 계열 투자회사 《아이언 옥스》 대표. 치열한 입찰 경쟁을 벌였다. 토야마 렌이치로 - 미쓰이시 겐 (제3화) 선데이 토이즈 스폰서 선정을 담당한 변호사. 미시마 켄이치 - 와타나베 데쓰 유카의 아버지로 미츠바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자살. (회상 장면에 등장) 리 젠밍 - 하쿠 히로시 (제5화) 중국 전자 기업 《텍슨》 사장. 와시즈에게 직접 오조라 전기 인수를 부탁받는다. 오키 류자부로를 존경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원작 - 마야마 진 각본 - 하야시 고지 음악 - 사토 나오키 연출 - 오토모 게이시, 이노우에 쓰요시,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닫는 곡[편집] 〈Riches I hold in light esteem〉 (부귀영화를 가볍게 여기네) 작사 - 에밀리 브론테 음악 - 사토 나오키 노래 - tomo the tomo 부제[편집] 각 화 부제 목표 (게스트) 방송일 연출 방송시간 시청률 제1화 일본을 싼값에 사들여! 우자키 류도 등 2007년 2월 17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8.7% 제2화 황금 낙하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2월 24일 이노우에 쓰요시 21:00 - 21:58 7.3% 제3화 끝나지 않은 입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3월 3일 22:00 - 22:58 6.0% 제4화 격진! 주주총회 스가와라 분타, 오스기 렌 등 2007년 3월 10일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21:15 - 22:13 6.7% 제5화 백기사 오스기 렌,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17일 21:00 - 21:58 7.2% 최종화 새로운 바이아웃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24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7.1% 평균시청률 7.17%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수상 내역[편집] 제33회 방송 문화 기금상 TV 드라마 부문 '본상', '출연자상" 수상 제44회 갤럭시상 '우수상', '베스트 TV상 그랑프리' 수상 제6회 방송인 그랑프리 '특별상' 수상 제59회 이탈리아상 시리즈 드라마 부문 수상 제32회 골든 체스트 국제 TV 페스티벌 '모스필름 특별상' 수상 제12회 아시아 텔레비전 어워드 시리즈 드라마 부문 '최우수상' 수상 제32회 에란 도르상 TV 부문 '작품상 ​​TV 가이드상', '프로듀서상 다나카 도모유키 기금상' 수상 제7회 영상 기술상 촬영 부분, 조명 부문, 미술 부문 수상 NHK 토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슬로우 스타터(2007.01.27 - 2007.02.03) 하게타카(2007.02.17 - 2007.03.24) 병원의 힘: 호시조라 호스피탈(2007.04.14 - 2007.05.12) 영화[편집] 2009년 6월 6일 도호 배급으로 개봉되었다. 작가 마야마 진에 의한 소설 "하케타카", "하게타카 II", "레드 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히로시 감독을 연출을 맡았다. 개요[편집] NHK 토요일 드라마 《하게타카》가 일본, 해외외에서 높은 평가를 얻으며, 도호 등에 의해 영화화가 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드라마에서 4년 후가 되는 무대에서 출연자·스태프 모두 이전에 방송된 드라마를 거의 답습하고 원작자 마야마 진이 집필 한 속편 "레드 존"을 기반으로 TV 판의 후일담이 될 예정으로, 2009년 6월 개봉을 예정으로, 그해 1월 15일 크랭크인했다. 또한 영화의 개봉에 맞춰, 2009년 5월에 드라마의 노벨 라이즈 책이 "TV 판 하게타카"로 주부와 생활사에서 상하 2권으로 발매되었다. 몇년 영화 프로그램의 방송이 없었던 NHK 종합 TV에서 2010년 8월 7일에 "스페셜 에디션"이 방송되었다. TV 아사히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TV 아사히 방송 기간 2018년 7월 19일 ~ 방송 시간 목요일 21:00 - 21:54 방송 분량 54분 원작 마야마 진 감독 이즈미 세이지 극본 후루야 카즈나오 출연자 아야노 고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18년 7월 19일부터 TV 아사히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아야노 고 아랑 워드 - 이케우치 히로유키 사에키 무네노리 - 스기모토 텟타 나카노부 고로 - 미츠이시 켄 미츠바 은행[편집] 시바노 다케오 - 와타베 아츠로 미야베 미도리 - 사쿠라 에마 이이지마 료스케 - 코바야시 카오루 그 외[편집] 마츠다 타카코 - 사와지리 에리카 마츠다이라 타마카 - 미쓰이시 겐 시바노 아키코 - 호리우치 케이코 시바노 아즈사 - 코레나가 히토미 부제[편집] 각 화 장 부제 방송일 연출 시청률 제1화 제1장 일본을 구입 두드려라! 7월 19일 이즈미 세이지 11.9% 제2화 황금 낙하산끝없는 입찰 7월 26일 11.3% 제3화 격진! 주주 총회 8월 02일 10.4% 제4화 제2장 화이트 나이트 8월 09일 9.6% 평균시청률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TV 아사히 목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2018.04.19 - 2018.06.17) 하게타카(2018.07.19 - ) - vdehTV 아사히(ANN) 목요드라마 (21시, 1990년 이후)1990년대 전반1990년 《강은 울고있다》 《번데기 광경》 《코엔지 순정 상점가》 《자유의 언덕에 내가 남은》 《아름다운 거짓말 붙여 있습니까》 《내가 바다까지 흘려》 《꽃의 계절》 《도쿄만 블루스》 《여자의 적은 남자의 적》 《겨울 오기 전에》 1991년 《일곱 여자 변호사》 《게이샤 코하루의 화려한 모험》 《외과병동 여의사의 사건 파일》 《일곱 여자 변호사II》 1992년 《자정은 다른 얼굴》 《여자 사건기자 타치바나 케이코》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1시리즈) 《대공항 '92 ~사랑의 여행~》 1993년 《일곱 여자 변호사III》 《세일즈 레이디는 무엇을 봤다》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2시리즈) 《여검사 수사 파일》 1994년 《신공항 이야기》 《그와 그녀의 사정》 《대가족 드라마 며느리가 나설》 《엄마의 침대에 계십니다》 1990년대 후반1995년 《아지이치몬메》(제1시리즈) 《우리 어머니이지만 ...》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1시리즈) 《Miss 다이아몬드》 1996년 《아지이치몬메》(제2시리즈) 《불꽃의 소방대》 《소아 병동・생명의 계절》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2시리즈) 1997년 《흐름 판 일곱》 《최고의 식탁》 《보디가드》 《가정부는 봤다!》 1998년 《너무 사랑 않아 좋았다》 《처절! 며느리 시어머니 전쟁 나찰의 집》 《여교사》 《외과의·나츠메 산시로》 1999년 《뉴스캐스터 카스미 레이코》 《사랑의 기적》 《꼭대기》 《연애사기꾼》 2000년대 전반2000년 《연애중독》 《아나자 헤븐 ~eclipse~》 《츠구미에 ... ~ 작은 생명을 잊지 ~》 《스타일!》 2001년 《너의 유키치가 울고있다》 《R-17》 《빙점 2001》 《마지막 가족》 2002년 《혼외연애》 《잠못드는 밤을 안고》 《사토라레》 《체포하라》 2003년 사랑 싸움!》 동물병원 선생님》 키쿠지로와 사키》(제1시리즈) TRICK3》 2004년 《에이스를 노려라!》 《전지가 끊어 질 때까지》 《미나미군의 연인》 《검은 가죽 수첩》 2000년대 후반2005년 《부호형사》 《어택 No.1》 《키쿠지로와 사키》(제2시리즈) 《황혼이혼》 2006년 《야수의 길》 《7명의 여자 변호사》(제1시리즈) 《시모키타 선데이즈》 《다멘즈을》 2007년 《대단한 곳에 시집 버렸다!》 《호텔리어》 《키쿠지로와 사키》(제3시리즈) 《맛있는 밥 가마쿠라·카스가이 쌀 매장》 2008년 《교섭인 ~THE NEGOTIATOR~》 《7명의 여자 변호사》(제2시리즈) 《네 거짓말》 《소아구명》 2009년 《특명계장 타다노 히토시》(4th 시리즈) 《야광의 계단》 《댄디 대디? ~연애소설가 이자키 류노스케~》 《교섭인 ~THE NEGOTIATOR~》(제2시리즈) 2010년대 전반2010년 《엔젤 뱅크 ~ 전직대리인》 《동창회 ~러브 어게인 ​​증후군》 《케이조쿠 ~ 경시청 미해결 사건 전담 연속 수사반》 《나사케의 여자 ~국세국사찰관~》 2011년 《고발 ~국선변호인》 《강철의 여자 season2》 《햇빛은 또 오른다》 《DOCTORS 최강의 명의》 2012년 《성스러운 괴물들》 《W의 비극》 《유류수사》(제 2 시리즈)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1기) 2013년 《중지 씨 《더블스 ~ 두 명의 형사》 《DOCTORS 2 최강의 명의》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2기) 2014년 《긴급취조실》 《BORDER 경시청 수사 1과 살인범 수사 제4계》 《제로의 진실~감찰의·마츠모토 마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3기) 2010년대 후반2015년 《DOCTORS3 최강의 명의》 《아임 홈》 《에이지 해러스먼트》 《유산쟁족》 2016년 《스페셜리스트》 《굿 파트너 무적의 변호사》 《처음 뵙겠습니다, 사랑합니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4기) 2017년 《취활가족~분명, 잘 될 거야~》 《긴급취조실(시즌2)》 《검은 가죽 수첩》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5기) 2018년 《BG~신변경호인~》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 《하게타카》 《리갈 V~전 변호사·타카나시 쇼코~》 2019년 《파견 점쟁이 아타루》 《긴급취조실(시즌3)》 《싸인 -법의학자 유즈키 타카시의 사건-》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6기) 주요 용어[편집] 배임죄 인수 합병 공개매수 주주총회 내부자 거래 일본 금융청 불량채권 잃어버린 10년 관련 항목[편집] 하게타카 (영화) 나나세 다시 한 번 (2008년판. 극중에 오조라 전기의 제품(컴퓨터 등)이 등장한다.) 미네르바 각주[편집] ↑ 2007년 3월 15일에 출시된 문고판은 《하게타카 II》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원작자 마야마 진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게타카&oldid=22893971" 분류: 2007년 드라마NHK의 텔레비전 드라마경제 드라마소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갤럭시 우수상방송문화기금상 본상2018년 드라마TV 아사히 목요드라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Nederland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하게타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게타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하게타카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하게타카》 (ハゲタカ)는 작가 마야마 진 경제 소설 《하게타카》를 원작으로 제작 된 일본의 실사영상화 작품. 목차 1 NHK판 1.1 개요 1.1.1 출연진에 대해 1.2 줄거리 1.3 등장인물 · 출연진 1.3.1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1.3.2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 1.3.3 도요 TV 1.3.4 여관 《니시노야》 1.3.5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 1.3.6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 1.3.7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1.3.8 그 외 1.4 제작진 1.5 닫는 곡 1.6 부제 1.7 수상 내역 2 영화 2.1 개요 3 TV 아사히판 3.1 등장인물 · 출연진 3.1.1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 3.1.2 미츠바 은행 3.1.3 그 외 3.2 부제 4 주요 용어 5 관련 항목 6 각주 7 외부 링크 NHK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NHK 방송 기간 2007년 2월 17일 ~ 3월 24일 방송 시간 토요일 21:00 - 21:58 방송 분량 58분 방송 횟수 6화 원작 마야마 진 극본 하야시 고지 출연자 오모리 나오시바타 교헤이마쓰다 류헤이구리야마 지아키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07년 2월 17일부터 같은 해 3월 24일까지 NHK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작가 마야마 진 (真山 仁)의 경제 소설이 원작이며, 총 6화로 구성되어 있다. 개요[편집] 경제를 중심으로 한 사회파 소설을 발표해 온 신문기자 출신 작가 마야마 진의 소설 《하게타카》와 《바이아웃》[1] 을 원작으로, 하야시 고지가 각본을 담당했다. 제1화 ~ 제3화는 《하게타카》, 제4화 ~ 제6화는 《바이아웃》을 기초로 작성됐다. 총6화가 2007년 2월 17일부터 3월 24일까지 매주 토요일 NHK 종합 텔레비전, NHK 디지털 위성 하이비전의 〈토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됐다. 방송 후에는 포니캐년을 통해 블루레이 디스크와 DVD로 발매됐다. 출연진에 대해[편집] 출연자 중 한 명인 시바타 교헤이의 폐암 수술 및 요양 때문에, 방송일이 예정됐던 2006년 9월 2일 ~ 10월 7일에서 연기됐다. 또, 출연 예정이었던 나카무라 시도가 음주운전 적발로 출연을 사퇴하고, 마쓰다 류헤이가 대신 기용됐다. 줄거리[편집] 와시즈(오모리 나오)는 거품 경제 붕괴 후, 어떤 사건을 겪고 〈미츠바 은행〉을 퇴사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후,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일본 대표로 취임하며 귀국. 펀드 매니저로써 차례차례 일본 기업을 사들여 〈하게타카〉라는 별명을 얻게된다. 그리고 현 미츠바 은행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이자 자신의 상사였던 시바노(시바타 교헤이)와 재회한다. 은행이 가진 벌크 세일(보유채권 전량매매)을 파는 쪽과 사는 쪽으로... 그 후에도 운명처럼 두 사람은 몇 번이고 부딪히게된다. 드라마 후반에는 와시즈가 목표로 삼았던 대형 전자 회사의 인수(공개매수)에 니시노(마쓰다 류헤이)가 나타난다. 니시노는 IT 벤처 기업의 사장이지만, 집안이 경영했던 여관 〈니시노야〉가 와시즈의 손에 팔린 것을 계기로 기업가로 전향한 과거가 있다. 니시노에게 와시즈는 목표이며, 숙명의 라이벌이었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오모리 나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재팬 대표. 미츠바 은행에 1991년 입사. 마루노우치 지점에서 법인영업을 담당, 반년간 시바노 타케오 차장의 부하였으나, 1993년 퇴사.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호라이슨에 입사한다. (제5회) 뉴옥 본사의 지시를 무시하고 오조라 전기 인수를 강행해 호라이즌 재팬 대표에서 해임된다. (최종회) 어느 사건 후, 시바노의 권유로 와시즈 펀드를 설립하고 대표로 취임한다. 나카노부 고로 - 시가 고타로 와시즈의 부하이며, 부동산 거래 전문가. 와시즈의 좋은 이해자이며, 뉴욕 본사에 대한 배임 행위에도 불구하고 뒤에서 계속 작업한다. 무라타 타케시 - 시다마 규사쿠 와시즈의 부하이며, 기업 조사 전문가. (제5회) 하이퍼 크리에이션으로 떠남. (최종회) 와시즈 펀드 설립을 위해, 다시 와시즈에게 돌아간다. 아랑 워드 - 팀 월랜드 와시즈의 부하이자 오른팔이다. 뉴욕 본사에서 온 엘리트. (제5회) 와시즈의 후임으로 호라이즌 재팬의 대표가 된다. 린 해트포드 - 오타 미도리 로랜스 와시즈의 부하. 골드 버그 콜즈 재정 고문. 미츠바 은행→MGS 은행 (스미쿠라 은행과 합병)[편집] 시바노 다케오 - 시바타 교헤이 미츠바 은행의 엘리트 사원. 부서는 인사부, 해외유학을 거쳐 국제기획부. 그 후 자산유동화대책실실장(제1화) 사업전략부부장 (제2화~제3화). 그러나 제3화 마지막에 은행에 대한 불신으로 미츠바 은행을 스스로 퇴사한다. (제4화부터) 기업재생가 (턴어라운드 매니저)로 전신, 오조라 전기의 중역을 거쳐 이사가 되며, 츠카모토의 지원으로 개혁을 실시한다. (최종화) 호라이즌의 명령으로 경비 삭감 이사로 남으며, 피닉스 계획 추진 본부장을 겸임한다. 와시즈 펀드의 요청으로 EBO 후의 새벽의 광학(전 오조라 전기 렌즈 사업부) 사장으로 취임한다. 이지마 료스케 - 나카오 아키라 미츠바 은행 임원(상무이사). 회사의 배후에 사정에 대한 일을 많이 해왔다. (제5화) MGS은행 부은행장. 니시노 오사무를 지원. (최종화) 와시즈로부터 오조라 전기 렌즈 부문 매각 방지를 위한 로비 활동을 의뢰받는다. 누마타 토오루 - 사토이 겐타 미츠바 은행 사원. 홍부부 부장이며 시바노와 동기이자 좋은 동료이다. 도요 TV[편집] 미시마 유카 - 구리야마 지아키 도요 TV 경제부 기자. 과거 아버지가 공장의 거래처 은행에게 거래를 거부당해 자살, 그 후 당시 담당자였던 와시즈의 동향을 추적한다. (제4화) 도요 TV 보도 프로그램 《PRIME11》의 캐스터로 취임. 노나카 유지 - 고이치 만타로 도요 TV 경제부 기자. 유카의 상사. 여관 《니시노야》[편집] 제1화에 등장. 니시노 오사무 - 마쓰다 류헤이 (제1화) 집안이 경영하던 여관이 와시즈에 의해 팔린 후, 가출. (제2화, 제3화) 와시즈에 대한 라이벌 의식으로 창업자금 300만엔을 모은다. (제4화) IT 기업 《하이퍼 크리에이션》을 창업한다. (제5화) 호라이즌이 공개매수를 실시한 오조라 전기의 백기사로 등장해 호라이즌과 공개매수 전쟁을 벌인다. 그 후, 내부자 거래로 체포되어 와시즈를 쏜다. 니시노 쇼고 - 우자키 류도 여관 《니시노야》의 경영자이자 오사무의 아버지. 채권을 산 와시즈에게 여관을 매각당하고, 그 충격으로 자살이나 다름없는 사고사를 당한다. 니시노 아야코 - 나가시마 에이코 (제1화, 제2화) 오사무의 어머니.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편집] 제2화, 제3화에 등장 오코우치 미즈에 - 후지 마나미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사장. 회사의 반을 사유화 하고 있다. 오코우치 노부아키 - 고바야시 마사히로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전무. 미즈에의 장남이다. 모모세 케이이치 - 오카모토 노부토 장난감 회사 《선데이 토이즈》의 상무. 종합 전자 회사 《오조라 전기》[편집] 제4화 ~ 제6화에 등장. 오키 쇼자부로 - 스가와라 분타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회장. (제4화) '카리스마 경영'이라 불리는 창업자 였지만, 말기암으로 사망. 츠카모토 쿠니히코 - 오스기 렌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장. 기업 재생가가 된 시바노(대학 동기로 같은 야구부 출신)를 불러들인다. 카토 유키오 - 다나카 민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의 사원. 렌즈 연마 장인이다. 우시지마 세이지 - 도쿠이 유 종합전자회사 《오조라 전기》 정보단말부부장. (최종화) 구조조정 과정에서 시바노와 직원 사이에 끼어, 그 정신적 압박으로 자살한다. 바이아웃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편집] 알버트 클라리스 - 이안 무어 케네스 클라리스 리버풀(KKL).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 대표. 와시즈가 이끄는 〈호라이즌 재팬〉에 기업 인수 지시를 내린다. 오가 야스오 - 마쓰시게 유타카 (최종화) 외자 펀드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워크스》로 부터 오조라 전기 새 사장에 임명된다. 그 외[편집] 쿠사카베 스스무 - 야지마 겐이치 (제3화) 미츠바 은행 계열 투자회사 《아이언 옥스》 대표. 치열한 입찰 경쟁을 벌였다. 토야마 렌이치로 - 미쓰이시 겐 (제3화) 선데이 토이즈 스폰서 선정을 담당한 변호사. 미시마 켄이치 - 와타나베 데쓰 유카의 아버지로 미츠바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해 자살. (회상 장면에 등장) 리 젠밍 - 하쿠 히로시 (제5화) 중국 전자 기업 《텍슨》 사장. 와시즈에게 직접 오조라 전기 인수를 부탁받는다. 오키 류자부로를 존경하고 있다. 제작진[편집] 원작 - 마야마 진 각본 - 하야시 고지 음악 - 사토 나오키 연출 - 오토모 게이시, 이노우에 쓰요시,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닫는 곡[편집] 〈Riches I hold in light esteem〉 (부귀영화를 가볍게 여기네) 작사 - 에밀리 브론테 음악 - 사토 나오키 노래 - tomo the tomo 부제[편집] 각 화 부제 목표 (게스트) 방송일 연출 방송시간 시청률 제1화 일본을 싼값에 사들여! 우자키 류도 등 2007년 2월 17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8.7% 제2화 황금 낙하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2월 24일 이노우에 쓰요시 21:00 - 21:58 7.3% 제3화 끝나지 않은 입찰 후지 마나미, 고바야시 마사히로 등 2007년 3월 3일 22:00 - 22:58 6.0% 제4화 격진! 주주총회 스가와라 분타, 오스기 렌 등 2007년 3월 10일 호리키리조노 겐타로 21:15 - 22:13 6.7% 제5화 백기사 오스기 렌,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17일 21:00 - 21:58 7.2% 최종화 새로운 바이아웃 다나카 민 등 2007년 3월 24일 오토모 게이시 21:00 - 21:58 7.1% 평균시청률 7.17%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수상 내역[편집] 제33회 방송 문화 기금상 TV 드라마 부문 '본상', '출연자상" 수상 제44회 갤럭시상 '우수상', '베스트 TV상 그랑프리' 수상 제6회 방송인 그랑프리 '특별상' 수상 제59회 이탈리아상 시리즈 드라마 부문 수상 제32회 골든 체스트 국제 TV 페스티벌 '모스필름 특별상' 수상 제12회 아시아 텔레비전 어워드 시리즈 드라마 부문 '최우수상' 수상 제32회 에란 도르상 TV 부문 '작품상 ​​TV 가이드상', '프로듀서상 다나카 도모유키 기금상' 수상 제7회 영상 기술상 촬영 부분, 조명 부문, 미술 부문 수상 NHK 토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슬로우 스타터(2007.01.27 - 2007.02.03) 하게타카(2007.02.17 - 2007.03.24) 병원의 힘: 호시조라 호스피탈(2007.04.14 - 2007.05.12) 영화[편집] 2009년 6월 6일 도호 배급으로 개봉되었다. 작가 마야마 진에 의한 소설 "하케타카", "하게타카 II", "레드 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히로시 감독을 연출을 맡았다. 개요[편집] NHK 토요일 드라마 《하게타카》가 일본, 해외외에서 높은 평가를 얻으며, 도호 등에 의해 영화화가 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드라마에서 4년 후가 되는 무대에서 출연자·스태프 모두 이전에 방송된 드라마를 거의 답습하고 원작자 마야마 진이 집필 한 속편 "레드 존"을 기반으로 TV 판의 후일담이 될 예정으로, 2009년 6월 개봉을 예정으로, 그해 1월 15일 크랭크인했다. 또한 영화의 개봉에 맞춰, 2009년 5월에 드라마의 노벨 라이즈 책이 "TV 판 하게타카"로 주부와 생활사에서 상하 2권으로 발매되었다. 몇년 영화 프로그램의 방송이 없었던 NHK 종합 TV에서 2010년 8월 7일에 "스페셜 에디션"이 방송되었다. TV 아사히판[편집] 하게타카 ハゲタカ 장르 텔레비전 드라마 방송 국가 일본 방송 채널 TV 아사히 방송 기간 2018년 7월 19일 ~ 방송 시간 목요일 21:00 - 21:54 방송 분량 54분 원작 마야마 진 감독 이즈미 세이지 극본 후루야 카즈나오 출연자 아야노 고 등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 2018년 7월 19일부터 TV 아사히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등장인물 · 출연진[편집] 외자 펀드 《호라이즌재팬 파트너스》[편집] 와시즈 마사히코 - 아야노 고 아랑 워드 - 이케우치 히로유키 사에키 무네노리 - 스기모토 텟타 나카노부 고로 - 미츠이시 켄 미츠바 은행[편집] 시바노 다케오 - 와타베 아츠로 미야베 미도리 - 사쿠라 에마 이이지마 료스케 - 코바야시 카오루 그 외[편집] 마츠다 타카코 - 사와지리 에리카 마츠다이라 타마카 - 미쓰이시 겐 시바노 아키코 - 호리우치 케이코 시바노 아즈사 - 코레나가 히토미 부제[편집] 각 화 장 부제 방송일 연출 시청률 제1화 제1장 일본을 구입 두드려라! 7월 19일 이즈미 세이지 11.9% 제2화 황금 낙하산끝없는 입찰 7월 26일 11.3% 제3화 격진! 주주 총회 8월 02일 10.4% 제4화 제2장 화이트 나이트 8월 09일 9.6% 평균시청률 (간토 지방·비디오 리서치 조사) TV 아사히 목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2018.04.19 - 2018.06.17) 하게타카(2018.07.19 - ) - vdehTV 아사히(ANN) 목요드라마 (21시, 1990년 이후)1990년대 전반1990년 《강은 울고있다》 《번데기 광경》 《코엔지 순정 상점가》 《자유의 언덕에 내가 남은》 《아름다운 거짓말 붙여 있습니까》 《내가 바다까지 흘려》 《꽃의 계절》 《도쿄만 블루스》 《여자의 적은 남자의 적》 《겨울 오기 전에》 1991년 《일곱 여자 변호사》 《게이샤 코하루의 화려한 모험》 《외과병동 여의사의 사건 파일》 《일곱 여자 변호사II》 1992년 《자정은 다른 얼굴》 《여자 사건기자 타치바나 케이코》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1시리즈) 《대공항 '92 ~사랑의 여행~》 1993년 《일곱 여자 변호사III》 《세일즈 레이디는 무엇을 봤다》 《법의학 교실의 사건 파일》(제2시리즈) 《여검사 수사 파일》 1994년 《신공항 이야기》 《그와 그녀의 사정》 《대가족 드라마 며느리가 나설》 《엄마의 침대에 계십니다》 1990년대 후반1995년 《아지이치몬메》(제1시리즈) 《우리 어머니이지만 ...》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1시리즈) 《Miss 다이아몬드》 1996년 《아지이치몬메》(제2시리즈) 《불꽃의 소방대》 《소아 병동・생명의 계절》 《외과의 히이라기마타 사부로》(제2시리즈) 1997년 《흐름 판 일곱》 《최고의 식탁》 《보디가드》 《가정부는 봤다!》 1998년 《너무 사랑 않아 좋았다》 《처절! 며느리 시어머니 전쟁 나찰의 집》 《여교사》 《외과의·나츠메 산시로》 1999년 《뉴스캐스터 카스미 레이코》 《사랑의 기적》 《꼭대기》 《연애사기꾼》 2000년대 전반2000년 《연애중독》 《아나자 헤븐 ~eclipse~》 《츠구미에 ... ~ 작은 생명을 잊지 ~》 《스타일!》 2001년 《너의 유키치가 울고있다》 《R-17》 《빙점 2001》 《마지막 가족》 2002년 《혼외연애》 《잠못드는 밤을 안고》 《사토라레》 《체포하라》 2003년 사랑 싸움!》 동물병원 선생님》 키쿠지로와 사키》(제1시리즈) TRICK3》 2004년 《에이스를 노려라!》 《전지가 끊어 질 때까지》 《미나미군의 연인》 《검은 가죽 수첩》 2000년대 후반2005년 《부호형사》 《어택 No.1》 《키쿠지로와 사키》(제2시리즈) 《황혼이혼》 2006년 《야수의 길》 《7명의 여자 변호사》(제1시리즈) 《시모키타 선데이즈》 《다멘즈을》 2007년 《대단한 곳에 시집 버렸다!》 《호텔리어》 《키쿠지로와 사키》(제3시리즈) 《맛있는 밥 가마쿠라·카스가이 쌀 매장》 2008년 《교섭인 ~THE NEGOTIATOR~》 《7명의 여자 변호사》(제2시리즈) 《네 거짓말》 《소아구명》 2009년 《특명계장 타다노 히토시》(4th 시리즈) 《야광의 계단》 《댄디 대디? ~연애소설가 이자키 류노스케~》 《교섭인 ~THE NEGOTIATOR~》(제2시리즈) 2010년대 전반2010년 《엔젤 뱅크 ~ 전직대리인》 《동창회 ~러브 어게인 ​​증후군》 《케이조쿠 ~ 경시청 미해결 사건 전담 연속 수사반》 《나사케의 여자 ~국세국사찰관~》 2011년 《고발 ~국선변호인》 《강철의 여자 season2》 《햇빛은 또 오른다》 《DOCTORS 최강의 명의》 2012년 《성스러운 괴물들》 《W의 비극》 《유류수사》(제 2 시리즈)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1기) 2013년 《중지 씨 《더블스 ~ 두 명의 형사》 《DOCTORS 2 최강의 명의》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2기) 2014년 《긴급취조실》 《BORDER 경시청 수사 1과 살인범 수사 제4계》 《제로의 진실~감찰의·마츠모토 마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3기) 2010년대 후반2015년 《DOCTORS3 최강의 명의》 《아임 홈》 《에이지 해러스먼트》 《유산쟁족》 2016년 《스페셜리스트》 《굿 파트너 무적의 변호사》 《처음 뵙겠습니다, 사랑합니다.》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4기) 2017년 《취활가족~분명, 잘 될 거야~》 《긴급취조실(시즌2)》 《검은 가죽 수첩》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5기) 2018년 《BG~신변경호인~》 《미해결 여자 경시청 문서 수사관》 《하게타카》 《리갈 V~전 변호사·타카나시 쇼코~》 2019년 《파견 점쟁이 아타루》 《긴급취조실(시즌3)》 《싸인 -법의학자 유즈키 타카시의 사건-》 《닥터-X~외과의·다이몬 미치코~》(제6기) 주요 용어[편집] 배임죄 인수 합병 공개매수 주주총회 내부자 거래 일본 금융청 불량채권 잃어버린 10년 관련 항목[편집] 하게타카 (영화) 나나세 다시 한 번 (2008년판. 극중에 오조라 전기의 제품(컴퓨터 등)이 등장한다.) 미네르바 각주[편집] ↑ 2007년 3월 15일에 출시된 문고판은 《하게타카 II》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원작자 마야마 진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하게타카 - 공식 웹사이트 (영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게타카&oldid=22893971" 분류: 2007년 드라마NHK의 텔레비전 드라마경제 드라마소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화 작품갤럭시 우수상방송문화기금상 본상2018년 드라마TV 아사히 목요드라마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Nederland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르완다 내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르완다 내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9년 12월) 르완다 내전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기간 동안 RDF의 공세 지도.날짜1990년 10월 1일 ~ 1993년 8월 4일(1차 내전, 아루샤 평화 협정으로 끝)1994년 4월 7일 ~ 7월 18일(2차 내전, RPF의 승리)장소르완다 전역결과 르완다 애국전선의 정치적, 군사적 승리 르완다 집단학살의 시작 대호수 난민 위기의 시작교전국 투치족 반군: 르완다 애국전선 (RPF) 후투족 정부군 르완다 국방군 (FAR) 프랑스(-1993) 자이르(1990-91) 인테라하무웨 임푸자무감비지휘관 프레드 레위그예마† 피터 베인가나† 폴 카가메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테오네스테 바고소라 어거스틴 비지문구병력 RPF 20,000명[1] FAR 35,000명[1]피해 규모 5,000명 사망 5,000명 사망 르완다 집단 학살로 총 50만~100만명 사망 르완다 내전은 중앙아프리카의 르완다에서 일어난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정부군과 반정부군 르완다 애국 전선 사이의 내전이다. 르완다 애국 전선과의 첫 충돌은 1990년 10월 1일 시작되었으며, 1993년 8월 4일 과도 정부를 세우는 아루샤 평화 협정의 서명으로 표면적으로 종전되었다.[2] 그러나, 1994년 4월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의 암살이 촉매가 되어 르완다 집단 학살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약 80만명이 사망했다. 전쟁과 집단 학살의 밀접한 원인으로 인해, 일부에서는 대량 학살이 서로 다른 사건이기보다는 전쟁의 새로운 폭발이라고도 보고 있다. 결국 르완다 애국 전선이 공세에 나서 르완다를 점령했다. 후투족 망명 정부는 주변 국가에서 난민 캠프를 설치하면서 새로운 르완다 애국 전선의 정부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르완다 애국 전선 및 여러 반군들은 제1차 콩고 전쟁(1996~1997)을 추진했으며, 이 전쟁은 이후 제2차 콩고 전쟁(1998~2003)으로 번지면서 후투군이 르완다의 재점령을 목표로 이 전쟁에 참전하였다. 따라서, 내전은 공식적으로 1993년에 종료했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르완다 애국 전선이 키갈리를 점령한 1994년에 종전했다고 생각하거나, 1996년 난민 캠프 해산, 더욱으로는 르완다 국경을 따라 존재하는 소규모 게릴라전 등을 통해 계속해서 내전이 지속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목차 1 배경 2 전쟁 과정 3 영화 4 각주 5 참조 6 외부 링크 배경[편집] 당시 르완다는 이 지역에 진출한 소수 14%의 투치족이 왕국을 세워 토착부족인 85%의 후투족을 지배했다. 그 후 1919년 벨기에가 르완다를 지배하고 투치족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종족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벨기에는 투치족 출신 왕들을 내세워 다스렸으나 벨기에가 물러간 후 후투족과 투치족의 갈등으로 내전이 시작되었다. 전쟁 과정[편집] 1959년 투치족과 후투족 사이의 전쟁이 일어나자 국왕 므와미 키게리 5세는 망명을 하고 1961년 1월 르완다는 공화국을 선포했다. 독립 후에 많은 투치족이 쫓겨나자 1963년 이웃나라 부룬디의 투치족이 르완다를 기습 공격하여 이에 대한 복수로 르완다의 투치족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결국 1973년 투치족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후투족 지도자들을 살해했다. 이에 후투족 지도자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살아남은 투치족들이 이웃 나라 우간다로 도망쳐 1990년 우간다로 망명한 사람들 5,000명이 르완다 애국 전선(RPF)를 결성해 르완다를 침략했다. 1992년 후투족 정부와 RPF와의 협상으로 1993년 8월 탄자니아 아루샤에서 아루샤 조약이 체결되었다. 아루샤 조약은 범과도정부를 요구했으나 과도 정부는 성립되지 않았고 1994년 4월 6일 후투족 출신 르완다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와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앙 은타랴미라가 비행기 요격 사고로 수도 키갈리 근처에서 살해당했다. 이 사고는 르완다 대통령 경호대의 소행으로 밝혀져 이튿날 1994년 4월 7일 대통령직을 대행하던 아가트 우윌링기이마나 수상과 많은 온건파 후투족 지도자들이 RPF에게 살해당하고 그 후 수개월 동안 군대와 대통령 경호대, 극단적 후투족 민명대가 20~50만 명에 달하는 투치족 민간인을 살해했다. 1994년 7월 4일부터 투치족이 반격을 하여 수도 키갈리를 함락시키고 RPF는 키갈리에서 외부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를 차단했다. 이에 수도 키갈리에 갇힌 6만 명의 후투족 민간인들이 반군의 보복이 두려워 탈출하기 시작했고 RPF가 르완다 제2의 도시인 부타레와 후투족 최후 거점인 기세니까지 진격하자 후투족들이 피란을 떠났다. 후투족들은 키갈리에서 서남쪽으로 30 km 떨어진 임시정부의 잠정 수도 기타라마시로 가거나 서북부의 국경을 넘어 콩고민주공화국 등지로 피란을 갔다. 피란 중 300만 명의 후투족 난민이 발생했고 식량 부족과 콜레라 등의 전염병으로 많은 피란민이 사망했다. 한편 RPF는 7월 말에 전투 중지를 선언했고 후투족 난민은 1996년 말과 1997년 초에 다시 르완다로 돌아왔다. 영화[편집] Documentary 52': Rwanda, How History can lead to genocide 호텔 르완다 각주[편집] ↑ 가 나 IPEP 2000. ↑ "Timeline: Rwanda", BBC News, 8 August 2008; to support wording "ostensibly ended" 참조[편집] Dallaire, Romeo. "Shake Hands With the Devil: The Failure of Humanity in Rwanda". Arrow Books (2003). ISBNJ 0-09-947893-5 Gourevitch, Philip (2000). 《We Wish To Inform You That Tomorrow We Will Be Killed With Our Families》 3판. London; New York: Picador. ISBN 0-330-37120-7.  Government of Rwanda (2008). “History”.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ment of Rwanda》. 2011년 3월 8일에 확인함.  Government of Rwanda (2009). “Chronology of Events Leading to Liberation”.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ment of Rwanda》. 2012년 3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9일에 확인함.  Mamdani, Mahmood (2002). 《When Victims Become Killers: Colonialism, Nativism, and the Genocide in Rwanda》.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0-691-10280-5.  Melvern, Linda (2000). 《A People Betrayed》. Zed Books.  Prunier, Gérard (1995). 《The Rwanda Crisis, 1959–1994: History of a Genocide》 Hacover판. London: C. Hurst & Co. Publishers. ISBN 1-85065-243-0.  Prunier, Gérard (2009). 《Africa's World Wa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37420-9.  Steele, Jon. "War Junkie: One Man`s Addiction to the Worst Places on Earth" Corgi (2002). ISBN 0-552-14984-5 《Rwanda – The preventable genocide》 (PDF). The Report of International Panel of Eminent Personalities to Investigate the 1994 Genocide in Rwanda and Surrounding Events (IPEP). Addis Ababa: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2000. 2015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Rwanda Civil War, globalsecurity.org Human Rights Developments in Rwanda, Human Rights Watch report of 1992 vdeh탈냉전 시대 아프리카의 분쟁북아프리카 알제리 내전(1991년 ~ 2002년) 리비아 위기(2011년 ~ 현재) 제1차 내전(2011년) 파벌간 폭력(2011년 ~ 2014년) 제2차 내전(2014년 ~ 현재) 튀니지 혁명(2010년 ~ 2011) 서사하라 분쟁(1970년 ~ 현재) 이집트 위기(2011년 ~ 2014년) 혁명(2011년) 시나이 내란(2011년 ~ 현재) 쿠데타 이후 불온사태(2013년 ~ 2014년 수단 분쟁 제2차 수단 내전(1983년 ~ 2005년) 다르푸르 전쟁(2003년 ~ 현재) 유목민(2009년 ~ 현재) SRF(2011년 ~ 현재) 감비아 헌법 분쟁 (2016년 ~ 2017년) ECOWAS 군사 개입 (2017년) 서아프리카 기니비사우 내전(1998년 ~ 1999년) 시에라리온 내전(1991년 ~ 2002년) 라이베리아 내전 제1차 내전(1989년 ~ 1996년) 제2차 내전(1999년 ~ 2003년) 코트디부아르 내전 제1차 내전(2002년 ~ 2007년) 제2차 내전(2010년 ~ 2011년) 보코 하람 내란(1999년 ~ 현재) 나이저 강 삼각주 분쟁(2004년 ~ 현재) 북말리 분쟁(2012년 ~ 현재) 중앙아프리카 공화콩고 분쟁 제1차 내전(1993년 ~ 1994년) 제2차 내전(1997년 ~ 1999년) 앙골라 내전(1975년 ~ 2002년) 차드 내전(2005년 ~ 2010년) 민주콩고 분쟁 제1차 전쟁(1996년 ~ 1997년) 제2차 전쟁(1998년 ~ 2003년) 이투리 분쟁(1999년 ~ 2007년) 동고 분쟁(2009년) 키부 분쟁(2004년 ~ 2013년) 중아공 분쟁 부시 전쟁(2004년 ~ 2007년) 분쟁(2012년 ~ 현재) 동아프리카 르완다 내전(1990년 ~ 1994년) 집단학살 집단강간 지부티 내전 (1991년 ~ 1994)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전쟁(1998년 ~ 2000년) 부룬디 내전(1993년 ~ 2005년) 소말리아 내전(1991년 ~ 현재) 2006년 ~ 2009년 2009년 ~ 현재 남수단 분쟁(2011년 ~ 현재) 인종폭력(2011년 ~ 현재) 내전(2013년 ~ 현재) 관련 주제 주의 저항군 내란(1987년 ~ 현재) 테러와의 전쟁(2001년 ~ 현재) 마그레브 내란(2002년 ~ 현재) 보코 하람 내란(2009년 ~ 현재) 아랍의 봄(2010년 ~ 2011년) 아랍의 겨울 색깔 혁명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아메리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르완다_내전&oldid=24119426" 분류: 르완다의 역사아프리카의 내전아프리카의 전쟁콩고 민주 공화국의 전쟁민족 내전르완다 집단학살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09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3: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꼬마버스 타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꼬마버스 타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목소리 출연 2 방영 목록 2.1 1기 2.2 2기 2.3 3기 2.4 4기 2.5 5기 3 대중 문화 4 번외작 4.1 타요의 씽씽극장 5 각주 6 외부 링크 목소리 출연[편집] 문남숙: 타요 엄상현: 로기, 패트, 샤인 은영선: 라니, 캐리 정선혜: 가니 최하나: 하나 김은아: 누리, 어린 씨투, 토니, 피넛, 앨리스, 봉봉 류승곤: 루키 정미라: 토토, 킨더 남도형: 스피드, 프랭크, 어린 메트 신용우: 씨투 정영웅: 빅, 스카이 장민혁: 어린 빌리, 에어 김장: 크리스 전숙경: 포코 최한: 맥스, 메트 정혜옥: 하트, 트래미 차명화: 네레이션 방영 목록[편집] 1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1기 01화:새내기의 버스 하루(001화) 02화:길 잃은 타요(002화) 03화:타요의 첫 운행(003화) 04화:우리는 친구(004화) 05화:어둠이 무서워요(005화) 06화:고마워요, 씨투!(006화) 07화:사이좋게 지내요(007화) 08화:새 타이어가 갖고 싶어요(008화) 09화:새로운 친구 가니(009화) 10화:하나와 가니(010화) 11화:소풍을 가고 싶어요(011화) 12화:친구가 되고 싶어요(012화) 13화:슈퍼스타 누리(013화) 14화:로기의 딸꾹질(014화) 15화:하나누나의 외출(015화) 16화:최고의 중장비(016화) 17화:마술사 조이(017화) 18화:멋져요! 프랭크, 앨리스(018화) 19화:라니의 오해(019화) 20화:화해해요! 프랭크, 앨리스(020화) 21화:타요의 우주여행(021화) 22화:빨리 달리면 위험해요!(022화) 23화:라니의 쉬는 날(023화) 24화:내가 더 힘들어(024화) 25화:가니가 아파요(025화) 26화:최고의 버스, 타요!(026화) 2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2기 01화:타요와 봉봉(027화) 02화:명콤비 루키와 패트(028화) 03화:선생님이 된 가니(029화) 04화:내가 도와줄게,빅!(030화) 05화:나랑 같이 가자(031화) 06화:놀이터가 생겼어요!(032화) 07화:나나의 도시구경(033화) 08화:누리의 최악의 하루!(034화) 09화:보물은 내거야(035화) 10화:명탐정 로기(036화) 11화:로기의 특별한 손님(037화) 12화:놀이터 반장을 뽑아요!(038화) 13화:씨투의 비밀(039화) 14화:공주님이 되고 싶어요(040화) 15화:어른이 되고 싶어요(041화) 16화:타요가 작아졋어요(042화) 17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1편(043화) 18화:타요의 우주 대모험 2편(044화) 19화:착한 일은 너무 힘들어(045화) 20화:가니의 선물(046화) 21화:용감한 헬리콥터 에어(047화) 22화:장난전화 대소동(048화) 23화:한밤의 유령소동(049화) 24화:나나의 초대(050화) 25화:첫눈이 내려요(051화) 26화:하나의 특별한 하루(052화) 3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3기 01화:새로운 친구 하트(053화) 02화:우리는 한 가족(054화) 03화:청소차 되는 로기(055화) 04화:저도다 이제 알아요(056화) 05화:학교 가는 날(057화) 06화:힘을 내요, 프랭크!(058화) 07화:씨투와 함께하는 주말(059화) 08화:타요의 약속(060화) 09화:스타가 된 가니(061화) 10화:토토와 봉봉(062화) 11화:웃어요 패트(063화) 12화:우리끼리가 최고(064화) 13화:쿠쿠와 챔프의 도시 나들이(065화) 14화:잠이 안 와요(066화) 15화:친해 지고 싶어요(067화) 16화:도시의 영웅 타요와 두리(068화) 17화:우리는 중장비 서커스단(069화) 18화:최고의 정비사(070화) 19화:강아지를 키우고 싶어요(071화) 20화:메트에게 물어봐(072화) 21화:포코의 꽃(073화) 22화:타요의 크리스마스(074화) 23화:타요의 지구방어 대작전 1편(075화) 24화:타요의 지구방어 대작전 2편(076화) 25화:누가 좀 도와줘(077화) 26화:꼬마자동차들의 운동회(078화) 4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4기 01화:두리의 방학숙제(079화) 02화:모두다 친구예요(080화) 03화:내 말좀 믿어줘!(081화) 04화:용기를 주세요(082화) 05화:반가워 피넛(083화) 06화:넌 특별해(084화) 07화:인정받고 싶은 크리스(085화) 08화:동화책도 좋아요(086화) 09화:고마워요 티치(087화) 10화:하나를 위한 선물(088화) 11화:피넛의 오해(089화) 12화:부바와 하루(090화) 13화:긴급출동센터가 생겼어요(091화) 14화:누가 더 멋질까?(092화) 15화:둘이 된 타요(093화) 16화:시골에 간 타요(094화) 17화:로기의 잡동사니 보물(095화) 18화:타요가 경찰이 됐어요(096화) 19화:씨투의 비밀 놀이터(097화) 20화:최고의 명탐정(098화) 21화:꼬마 마법사 아수라(099화) 22화:남산유령 대소동(100화) 23화:트래미의 첫 운행(101화) 24화:트래미의 비밀(102화) 25화:킨더의 소풍(103화) 26화:꼬마버스들의 연극 공연(104화) 5기[편집] 틀:꼬마버스 타요 5기 01화:긴급출동! 타요와 가니(105화) 02화:로기의 기상천외한 도전!(106화) 03화:첼로와 주인(107화) 04화:환상의 짝꿍(108화) 05화:타요와 띠띠뽀의 달리기 경주(109화) 06화:새로운 구조대원이 왔어요(110화) 07화:타요의 새 친구(111화) 08화:킨더의 농장체험(112화) 09화:비밀놀이터 복구 대작전(113화) 10화:힘을 내, 토니(114화) 11화:하트의 비밀(115화) 12화:조이의 마술 공연(116화) 13화:두리를 위한 깜짝 선물(117화) 14화:가니야 고마워(118화) 15화:꼬마버스들이 미국에 갔어요 1편 (119화) 16화:꼬마버스들이 미국에 갔어요 2편 (120화) 17화:로기와 행운의 지니(121화) 18화:신입 시티투어 버스 롤리(122화) 19화:부바의 휴가(123화) 20화:꼬마버스들의 캠핑(124화) 21화:하트가 커졌어요!(125화) 22화:트래미의 소원(126화) 23화:라니의 선물(127화) 24화:제이와 으랏차(128화) 25화:꼬마버스들의 공룡 친구 1편(129화) 26화:꼬마버스들의 공룡 친구 2편(130화) 대중 문화[편집] 동성교통 9401번 타요버스 가니 262번 루돌프 타요버스 2014년 03월 26일, 대중교통 이용의 날을 맞아 서울시에서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인 타요, 로기, 라니 가니의 캐릭터로 디자인해 랩핑한 시내버스 4대를 운행한다. 랩핑 차량된 차량은 총 4대로 KD운송그룹 소속 대원여객 370번이 타요, 같은 그룹 대원교통 2016번이 로기, 북부운수 2211번이 라니 그리고 동성교통 소속 9401번이 가니 분장을 한 랩핑을 하였으며, 이 버스들은 앞으로 1달간 운행한다.[1] 또한 2014년 04월 02일 부터 비공식적으로 동아운수 101번 01대가 전면부만 타요 랩핑을 하고 운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공식적으로 운행하는 04대 외에도 다른 노선에서도 랩핑해 운행하고 있다. 타요버스에 대한 인기가 뜨겁자, 수원시, 성남시, 구미시, 안동시, 순천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등의 지자체에서도 타요버스를 운행하였거나 운행하고있다. 2014년 04월 06일, 04월 20일 두차례에 걸쳐 광화문 광장 차 없는 날 행사장에 타요버스 차량 (04대)이 전시되었다. 이어 동년 07월 16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 서울 캐릭터·라이선싱 페어 2014 에서도 120번 노선의 타요 버스가 전시되었다. 이중 2014년 12월부터 일부 버스에 한해 전면부에 LED를 달아 눈 표정이 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루돌프 뿔과 코를 달아 "루돌프 타요"버스로 운행한다. 또한 이 버스에는 기사들이 산타 복장을 착용하고 운행하게 된다. 2014년 05월 19일 밤에 방송된 MBC FM4U 타블로와 꿈꾸는 라디오에 초대석 타블로의 딸 이하루와 배우 장현성과 두 아들 장준우,장준서가 게스트로 함께 출연하였고 어린이들을 위해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 성우와 전화 연결하는 시간을 마련했고, 만화 주인공의 성우와의 통화를 하였고 '꼬마 버스 타요'의 테마곡을 신청곡으로 제시했었다. 그리고 장현성이 '꼬마버스 타요'의 주인공 성우를 향해 "밤길 버스 운전 조심하기 바랍니다"는 진지한 덕담을 건네어 폭소케 했었다. 2014년 07월 17일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최첨단 놀이시설을 갖춘 워터파크 리조트 미란다호텔에 ‘꼬마버스 타요’캐릭터 룸과 카페가 신설되었다. 그 외에도 경기도 성남시에서는 타요버스의 친구이자 도우미인 러비 디자인으로 랩핑된 청소차를 운영하였으며, 운영된 댓수만 하여도 06대 뿐이다. 번외작[편집] 타요의 씽씽극장[편집] 《타요의 씽씽극장》는 2013년부터 EBS에서 방송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꼬마버스 타요》의 번외작이다.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의 친구 꼬마버스 타요가 다양한 자동차 친구들과 함께 신나는 노래로 꾸미는 새로운 형식의 애니메이션이다. 각주[편집] ↑ "'타요' 못 탔다고 울고 불고... 대구에서도 올라온다" 외부 링크[편집] 꼬마버스 타요 - 공식 웹사이트 꼬마버스 타요의 채널 - 유튜브 꼬마버스 타요 - 구글+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뉴스 《EBS 정오뉴스》 《EBS 저녁뉴스》 영화 《다큐시네마》¹ 《금요극장》 《세계의 명화》 《일요시네마》 《한국영화특선》 드라마 《갤럭시 프로젝트》 《세계의 드라마》 오락 · 음악 《생방송 톡!톡! 보니하니》 《생방송 판다다》 《EBS 스페이스 공감》 《장학퀴즈-학교에 가다》 유아 · 어린이 · 청소년 《딩동댕 유치원》 《두근두근 방방》 《최고다! 호기심딱지》 《방귀대장 뿡뿡이》 《뭐든지 뮤직박스》 《예술아 놀자》 《다큐동화 달팽이》 《최고다! 호기심딱지 시즌4》 《모여라 딩동댕》 다큐 《최고의 요리 비결》 《다큐 오늘》 《아기 동물 귀여워》 《세계테마기행》 《한국기행》 《EBS 다큐프라임》 《글로벌 아빠 찾아 삼만리》 《건축탐구 - 집》 《극한 직업》 《글로벌 특선다큐》 《다큐 시선》 《다문화 고부 열전》 《과학다큐 비욘드》 《글로벌 프로젝트 나눔》 《문화유산 코리아》 《명의》 《글로벌 자연다큐》 《희망풍경》 교양 · 교육 · 통일 《긴급상황 우리몸 X파일》 《생방송 판다다》 《기획특강 - 지식의 기쁨》 《지식채널e》 《미래교육 플러스》 《EBS 초대석》 《질문 있는 특강쇼 - 빅뱅》 《자이언트 펭 TV》 《사건 브리핑 - 안전상황실》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 《고양이를 부탁해》 《통일의 길》 《나눔 0700》 《가족의 발견》 애니메이션 《띠띠뽀 띠띠뽀》 《뽀롱뽀롱 뽀로로》 《페파 피그》 《원더볼즈》 《몰랑》 《정글에서 살아남기 - 화산섬의 비밀》 《꼬마 히어로 슈퍼잭》 《제로니모 스틸턴의 모험》 《탑윙 구조대》 《레이디버그》 《숲속 수사대 명탐정 피트》 《몬카트》 《마샤와 곰》 《로보카 폴리》 《출동! 슈퍼윙스》 《꼬마버스 타요》 《출동! 파자마 삼총사》 《오드봇! 이상한 아이들》 《세미와 매직큐브》 《뽀로로와 노래해요》 《용감한 소방차 레이》 영어 《왕초보 영어》 《매직 아이스크림 트럭》 《보이는 라디오 - EBS 초급 태국어》 《보이는 라디오 - EBS 초급 베트남어》 《성인 문해교육 프로젝트 - 영어하기 좋은 날 2》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¹ 매달 마지막 주 방송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꼬마버스_타요&oldid=24433291" 분류: 2019년 애니메이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Bahasa Indonesia日本語Jawa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5일 (토) 2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황수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수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재상 황희의 아들이며 판서 황치신의 아우이다.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에 녹선되었고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묘법연화경》의 언해를 주관하였고,《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찬진을 감독하였다. 본관은 장수이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2대에 걸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남원부원군에 봉군되었다. 과거 시험을 거치지 않고도 정승을 지낸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2 관료 생활 1.3 세조 반정과 훈신 1.4 사후 2 가족 관계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저서 5 각주 6 관련 항목 7 참고 문헌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황균비(黃均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 황군서(黃君瑞)이고,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 황희이며, 어머니는 양진(楊震)의 딸이다. 황희는 아들 황수신에게 기방 출입을 끊으라고 여러 차례 엄히 꾸짖었으나 아들은 말을 듣지 않았다.[1] 그러자 어느 날 아들이 밖에서 돌아오자 황 정승은 관복(冠服) 차림으로 차려입고 문까지 나와 마치 큰 손님 맞이하듯 했다.[1] 아들이 놀라 엎드리며 그 까닭을 묻자 황 정승은 말합니다. "그동안 나는 너를 아들로 대했는데 도대체 내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네가 나를 아비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너를 손님 맞는 예로 대하는 것이다." 뉘우친 아들은 크게 반성하며 기방 출입을 끊기로 맹세하였다.[1][2] 관료 생활[편집] 1423년(세종 5) 사마시에 응시했다가 낙방했는데, 이때 시관(試官) 중 한사람으로부터 학문이 부진하다고 지적을 당하자, 이를 모욕적으로 여기고 발분해 학문에 진력하였다. 이후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그 뒤 음서 제도로 관직에 나가 종묘부승(宗廟副丞)·종부시직장·사헌부감찰과 사헌부지평·장령·도관서령(䆃官署令) 등을 역임하였다. 1429년 7월 지평·호조정랑 등을 거쳐 사재감부정을 지냈다. 그리고 1432년 경기도관찰사 권제의 요청에 의해 경력(經歷)을 역임하였다. 장령 재직시에는 도성 내에서 인간의 화복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인심을 현혹시키는 무당을 요사하다며 성 밖으로 방출하였다. 1440년 사섬시윤을 거쳐, 그 해 전라도경차관이 되어 함길도 5진(五鎭)을 충실히 하기 위해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민호를 사민(徙民)하는 일에 관여하였다. 그 뒤 내직으로 돌아와 지사간원사를 지냈다. 지형조사로 자리를 옮겨서는 수년간에 걸쳐 결단하기 어려운 옥송을 처결하였다. 1441년 첨지중추원사, 1442년 겸지병조사, 1443년 우부승지에 올랐다. 또한 좌부승지·좌승지를 거쳐, 1446년에는 국초 이래로 문과출신이 아니면 제수되지 못한 도승지에 발탁되었다. 1447년(세종 29) 도승지로 있을 때 파당(派黨)을 만든다는 무고를 받아 한때 삭직되었다가 복직했다. 그러나 자신과 친분관계가 있는 임원준을 의서찬집관(醫書撰集官)으로 부정 발탁한 것이 적발되면서 고신(告身)을 박탈당하였다. 그 뒤 1448년 직첩을 환급받고, 1450년(문종 즉위년) 5월 첨지중추원사로 복직되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한성부윤·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1450년 문종의 특명으로 병조의 습진(習陣) 및 군사검찰(軍士檢察)의 논의에 참여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병조참판이 되어 수양대군이 진법을 정할때 도와 진법을 상정(詳定)하는 것을 성공시켰다. 1452년(문종 2년) 아버지상을 당해 사직했다가 단종이 즉위하자 바로 1452년(단종 즉위년) 관작에 복귀했고, 그 해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그리고 한성부윤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었다가 1455년(세조 1) 우참찬으로 소환되었다. 이때 경상도관찰사 재직시에 작성한 경상도 웅천현의 지도를 올리면서 비방책(備防策)을 건의하였다. 세조 반정과 훈신[편집] 1455년 한명회, 신숙주, 권람 등이 수양대군을 추대하자 반정을 지지하였다. 그는 세조 등극을 지지한 공로로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3등관에 책록되어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 1456년 의정부좌참찬이 되었으며, 1457년에는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리고 우찬성에 오른 뒤, 판예조사를 겸임하면서 예조를 지휘하였다. 1458년 좌찬성, 1459년 1월과 12월 양차에 걸쳐 충청도도순문진휼사(忠淸道都巡問賑恤使)와 경상도모민체찰사(慶尙道募民體察使)로 파견되었다. 그 뒤 귀환해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승자되면서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462년 아산의 전지를 무단 점거했다고 여러 차례 탄핵되었으나, 용서를 받고 유임되었다. 이후 세조의 명을 받아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諺解)를 주관하였다. 1464년 우의정으로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1465년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찬진하였다. 1462년 좌찬성으로서 《경국대전》의 제2차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우의정이 되어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왔다. 세조의 특별 배려로 1466년 영의정 한명회, 좌의정 심회와 함께 문과출신이 아니면서도 예문춘추관의 직책을 겸임하였다.[3] 그리고 1467년 영의정에 올랐다. 사후[편집] 풍모가 뛰어나고 인품이 중후하면서도 성격이 원만하고 기국이 있어 세조대의 민심 수습과 치적에 큰 공헌이 있었다. 그러나 평생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고 한다. 전라도 장수의 창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 그의 묘는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金蠅里)에 있으며 경기도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황희(黃喜) 어머니: 정경부인 청주양씨 형 : 황치신(黃致身) 형 : 황보신(黃保身) 부인 : 정경부인 일선김씨 장남 : 황신(黃 ) 차남 : 황찰(黃察) 삼남 : 황성(黃省) 사남 : 황욱(黃旭) 딸 : 1녀, 3녀 동생 : 황직신(黃直身)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1994년 배우:조재훈) 《왕과 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나성균)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종구) 저서[편집] ≪나부집≫(懦夫集) ≪법화경 언해≫(法華經諺解)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 각주[편집] ↑ 가 나 다 황희 정승의 진정한 자식 교육[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덕일 사랑] 영상(領相)과 총리(總理) Archived 2013년 10월 29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 2006년 03월 20일자 기사 ↑ 경국대전과 대전회통에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은 인물은 예문관과 춘추관의 수장급 이상에 임명할 수 없었다. 관련 항목[편집] 계유정난 세조 찬위 황희 맹사성 황치신 신숙주 한명회 권람 구치관 홍윤성 홍달손 봉석주 남이 좌익공신 적개공신 이시애의 난 이징옥의 난 황윤길 정도전 유자광 황여헌 황군서 참고 문헌[편집] 세조실록 대동야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수신&oldid=22985851" 분류: 1407년 태어남1467년 죽음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작가조선의 공신조선의 번역가영의정음서경기도 출신장수 황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01: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황수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수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수신(黃守身, 1407년 ∼ 1467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자는 수효(秀孝) 또는 계효(季孝)이고 호 나부(懦夫)·췌부(侁夫), 시호는 열성(烈成). 재상 황희의 아들이며 판서 황치신의 아우이다. 계유정난을 지지하여 좌익공신에 녹선되었고 세조의 명을 받아《법화경》《묘법연화경》의 언해를 주관하였고,《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의 찬진을 감독하였다. 본관은 장수이다.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라 2대에 걸쳐 영의정이 되었으며, 남원부원군에 봉군되었다. 과거 시험을 거치지 않고도 정승을 지낸 몇 안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2 관료 생활 1.3 세조 반정과 훈신 1.4 사후 2 가족 관계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저서 5 각주 6 관련 항목 7 참고 문헌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황균비(黃均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릉대도호부사 황군서(黃君瑞)이고,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 황희이며, 어머니는 양진(楊震)의 딸이다. 황희는 아들 황수신에게 기방 출입을 끊으라고 여러 차례 엄히 꾸짖었으나 아들은 말을 듣지 않았다.[1] 그러자 어느 날 아들이 밖에서 돌아오자 황 정승은 관복(冠服) 차림으로 차려입고 문까지 나와 마치 큰 손님 맞이하듯 했다.[1] 아들이 놀라 엎드리며 그 까닭을 묻자 황 정승은 말합니다. "그동안 나는 너를 아들로 대했는데 도대체 내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네가 나를 아비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너를 손님 맞는 예로 대하는 것이다." 뉘우친 아들은 크게 반성하며 기방 출입을 끊기로 맹세하였다.[1][2] 관료 생활[편집] 1423년(세종 5) 사마시에 응시했다가 낙방했는데, 이때 시관(試官) 중 한사람으로부터 학문이 부진하다고 지적을 당하자, 이를 모욕적으로 여기고 발분해 학문에 진력하였다. 이후 다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그 뒤 음서 제도로 관직에 나가 종묘부승(宗廟副丞)·종부시직장·사헌부감찰과 사헌부지평·장령·도관서령(䆃官署令) 등을 역임하였다. 1429년 7월 지평·호조정랑 등을 거쳐 사재감부정을 지냈다. 그리고 1432년 경기도관찰사 권제의 요청에 의해 경력(經歷)을 역임하였다. 장령 재직시에는 도성 내에서 인간의 화복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인심을 현혹시키는 무당을 요사하다며 성 밖으로 방출하였다. 1440년 사섬시윤을 거쳐, 그 해 전라도경차관이 되어 함길도 5진(五鎭)을 충실히 하기 위해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민호를 사민(徙民)하는 일에 관여하였다. 그 뒤 내직으로 돌아와 지사간원사를 지냈다. 지형조사로 자리를 옮겨서는 수년간에 걸쳐 결단하기 어려운 옥송을 처결하였다. 1441년 첨지중추원사, 1442년 겸지병조사, 1443년 우부승지에 올랐다. 또한 좌부승지·좌승지를 거쳐, 1446년에는 국초 이래로 문과출신이 아니면 제수되지 못한 도승지에 발탁되었다. 1447년(세종 29) 도승지로 있을 때 파당(派黨)을 만든다는 무고를 받아 한때 삭직되었다가 복직했다. 그러나 자신과 친분관계가 있는 임원준을 의서찬집관(醫書撰集官)으로 부정 발탁한 것이 적발되면서 고신(告身)을 박탈당하였다. 그 뒤 1448년 직첩을 환급받고, 1450년(문종 즉위년) 5월 첨지중추원사로 복직되었다. 이후 동지중추부사·한성부윤·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1450년 문종의 특명으로 병조의 습진(習陣) 및 군사검찰(軍士檢察)의 논의에 참여했다. 그리고 이듬해에는 병조참판이 되어 수양대군이 진법을 정할때 도와 진법을 상정(詳定)하는 것을 성공시켰다. 1452년(문종 2년) 아버지상을 당해 사직했다가 단종이 즉위하자 바로 1452년(단종 즉위년) 관작에 복귀했고, 그 해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그리고 한성부윤을 거쳐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었다가 1455년(세조 1) 우참찬으로 소환되었다. 이때 경상도관찰사 재직시에 작성한 경상도 웅천현의 지도를 올리면서 비방책(備防策)을 건의하였다. 세조 반정과 훈신[편집] 1455년 한명회, 신숙주, 권람 등이 수양대군을 추대하자 반정을 지지하였다. 그는 세조 등극을 지지한 공로로 1455년(세조 1) 좌익공신 3등관에 책록되어 남원군(南原君)에 봉해졌다. 1456년 의정부좌참찬이 되었으며, 1457년에는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리고 우찬성에 오른 뒤, 판예조사를 겸임하면서 예조를 지휘하였다. 1458년 좌찬성, 1459년 1월과 12월 양차에 걸쳐 충청도도순문진휼사(忠淸道都巡問賑恤使)와 경상도모민체찰사(慶尙道募民體察使)로 파견되었다. 그 뒤 귀환해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에 승자되면서 남원부원군(南原府院君)으로 봉해졌다. 1462년 아산의 전지를 무단 점거했다고 여러 차례 탄핵되었으나, 용서를 받고 유임되었다. 이후 세조의 명을 받아 ≪법화경≫(法華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의 언해(諺解)를 주관하였다. 1464년 우의정으로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 후 1465년에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찬진하였다. 1462년 좌찬성으로서 《경국대전》의 제2차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우의정이 되어 명나라 헌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진하사(進賀使)로 다녀왔다. 세조의 특별 배려로 1466년 영의정 한명회, 좌의정 심회와 함께 문과출신이 아니면서도 예문춘추관의 직책을 겸임하였다.[3] 그리고 1467년 영의정에 올랐다. 사후[편집] 풍모가 뛰어나고 인품이 중후하면서도 성격이 원만하고 기국이 있어 세조대의 민심 수습과 치적에 큰 공헌이 있었다. 그러나 평생 과거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고 한다. 전라도 장수의 창계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열성(烈成)이다. 그의 묘는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金蠅里)에 있으며 경기도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황희(黃喜) 어머니: 정경부인 청주양씨 형 : 황치신(黃致身) 형 : 황보신(黃保身) 부인 : 정경부인 일선김씨 장남 : 황신(黃 ) 차남 : 황찰(黃察) 삼남 : 황성(黃省) 사남 : 황욱(黃旭) 딸 : 1녀, 3녀 동생 : 황직신(黃直身)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한명회》 (KBS2, 1994년~1994년 배우:조재훈) 《왕과 비》 (KBS1, 1998년~2000년 배우:나성균)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이종구) 저서[편집] ≪나부집≫(懦夫集) ≪법화경 언해≫(法華經諺解)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 각주[편집] ↑ 가 나 다 황희 정승의 진정한 자식 교육[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이덕일 사랑] 영상(領相)과 총리(總理) Archived 2013년 10월 29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 2006년 03월 20일자 기사 ↑ 경국대전과 대전회통에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은 인물은 예문관과 춘추관의 수장급 이상에 임명할 수 없었다. 관련 항목[편집] 계유정난 세조 찬위 황희 맹사성 황치신 신숙주 한명회 권람 구치관 홍윤성 홍달손 봉석주 남이 좌익공신 적개공신 이시애의 난 이징옥의 난 황윤길 정도전 유자광 황여헌 황군서 참고 문헌[편집] 세조실록 대동야승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수신&oldid=22985851" 분류: 1407년 태어남1467년 죽음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작가조선의 공신조선의 번역가영의정음서경기도 출신장수 황씨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2일 (월) 01: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동전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전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동전주(銅錢株)란 주가가 1,000원 미만인 상장 주식을 말한다.[1] 동전주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지폐주(紙幣株)라는 말도 많이 쓰이는데, 이는 1,000원 이상의 주식을 말한다. 동전주는 소형주 중에서도 주가가 낮은 주식들이기 때문에 보통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종목이라는 인식이 강하나, 이는 사실 액면가가 얼마인가에 따라 다르다.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이 500원짜리 동전주일 경우 가치가 1/10 로 내려간 상태이지만, 액면가 100원인 주식이 500원이 되어 있을 경우 가치는 액면가 대비 5배 상승한 수치이기 때문이다. 목차 1 특징 2 투자자의 성향 3 대표적인 동전주들 4 동전주 테마 5 함께 보기 6 참고 문헌 특징[편집] 동전주는 증시에서 흔히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된다. 그 이유는, 100,000원짜리 주식이 두배로 상승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500원짜리 주식이 1,000원 혹은 그 이상으로 급등하는 경우는 상당히 많은 편이기 때문이다.[2] 동전주는 실적 개선으로 주가가 저평가된 이유가 해소되거나 강력한 테마주가 되어 상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렇게 되어 지폐주가 되면 투자금 대비 2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강력한 테마에 엮인 경우 10배 이상 상승하는 종목도 적지 않다. 2012년 미래산업은 400원대의 동전주였으나 수주 실적과 더불어 대선 테마주로 엮이면서 1950원까지 상승했고, 본래 500원대의 동전주였던 우리들생명과학은 같은 해 4,000원 넘어 상승했다.[3][4] 실적부진으로 2014년 초 800원대의 동전주였던 파인디앤씨는 실적이 개선되자 같은해 8월 2,000원 이상으로 올랐고, 2013년 500원대의 동전주였던 텍셀네트컴 역시 실적개선으로 2014년에는 2,400원 이상으로 올랐다.[1] 이들은 모두 동전주가 강력한 테마 혹은 실적에 힘입어 지폐주로 등극한 사례로, 동전주가 크게 오르면 많은 투자 수익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증시의 주목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동전주들이 HTS나 증권 포탈 등에서 검색 순위가 급등하곤 한다. 특히 작전 세력이 주가를 올리려는 종목을 물색할 때는 주가가 천원 미만인 동전주들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급등주를 예상하는 요건의 하나로 동전주인지의 여부를 많이 따지곤 한다.[5][6] 투자자의 성향[편집] 보통 증시에서 블루칩으로 인식되는 대형주는 이렇게 크게 상승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큰 차익을 노리고 동전주에 많이 투자하는 경향을 보인다. 기관 투자자들은 동전주에 잘 투자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큰 자금을 굴리는 기관 투자자가 투자하기에는 동전주들이 대체로 시가총액 규모가 작기 때문이다. 다만 기술력이 떨어지거나, 시장점유율이 낮거나, 경영 능력에 문제가 있어 동전주로 머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잡주들을 싸다고 매수하면 더 큰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아, 개인투자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7] 대표적인 동전주들[편집] 슈넬생명과학 : 2015년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후 동전주 테마의 급등을 이끈 종목이다. 10배 가량 급등하여 동전주를 이미 벗어나 상승폭이 꺾인 후 다른 동전주들이 급등을 이어가고 있다. 지엠피 : 라미네이션 시장에서 독일·일본·미국을 제치고 세계 점유율 30%로 세계시장 1위를 자랑하는 강소기업이다. 그러나 주가는 저평가되어 동전주 상태이다.[8] 미래산업 : 2012년도 정치테마주로 이름을 떨친 후 급락한 종목이다. 대주주의 고점 매도로 인해 많은 논란이 되었으나, 급락 후에도 많은 거래량을 보여 왔다. 인디에프 : 소위 힐러리 테마주로 알려지며 2015년에 급등한 종목이다. 우리들생명과학 : 2012년도에 급등하여 주목을 받았던 정치테마주의 대표적인 종목이다. 현재는 우리들휴브레인으로 개명되었고 더이상 동전주가 아니다. 동전주 테마[편집] 2015년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후, 가격이 싼 동전주들이 상승하기 쉽다는 이유로 수급이 몰려 동시다발적으로 큰 상승을 보였는데 이렇게 형성된 테마를 증시에서는 동전주 테마라고 부른다. 동전주 테마주에 해당되는 종목들은 다음과 같다. 슈넬생명과학 지엠피 미래산업 케이디건설 씨씨에스 우리기술 페이퍼코리아 SH홀딩스 피에스엠씨 갑을메탈 제미니투자 웨이포트 함께 보기[편집] 소형주 동전주 테마 테마주 대형주 참고 문헌[편집] ↑ 가 나 '동전株' 실적개선.. '지폐株' 등극 - 파이낸셜뉴스 2014.10.26 ↑ 세밑 증시는 동전주 전성시대? - Chosunbiz - 프리미엄 경제 2011.12.27 ↑ "정치 테마주 투기꾼들 휩쓸고 간 미래산업", 동아일보, Oct 24, 2012 ↑ 정치 테마주의 운명-문재인 테마주, 2월 초부터 부각…정책주 ‘상승세’, 한국경제매거진 2012-10-19 ↑ 작전을 말한다, 하진수 안재만 지음, 참돌, 2013년 04월 ↑ 주가조작, 그리고 아무도 말하지 않는 주식 시장의 비밀 ↑ 싸다고 산 동전주, 알고보니…'쪽박' - 아시아투데이 2014-01-20 ↑ 이 사람 - 국내영업 포기하고 해외로 뛰어 성공한 김양평 GMP회장 “중국의 불법 카피업자들이 ‘당신 물건 최고’라 합디다”, 월간조선 2011년 8월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전주&oldid=20819042" 분류: 증권투자금융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25일 (일) 1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로버트 월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버트 월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버트 월폴 제1대 오포드 백작 로버트 월폴(Robert Walpole, 1st Earl of Orford, KG, KB, 1676년 8월 26일~1745년 3월 18일)은 영국의 정치인이다. 케임브리지 대학을 졸업한 후 휘그당에 들어가 1701년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조지 1세 때 내각의 중심 인물로서 남해 거품 사건 등 어려운 경제 문제들을 잘 처리하여 1715년 첫 총리가 되었고 1721년 4월 4일부터 1727년 6월 11일까지는 영국 총리라는 신분으로써 조지 1세 영국 왕의 대리청정을 맡기도 하였다. 그 후 20년간 총리로 있으면서 정당 간의 다툼·종교적인 대립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에스파냐 왕위 계승 문제로 왕과 다투고 1741년 수상직에서 물러났다. 1742년 백작 작위를 받았다. 영국 정치사에 있어서 책임 내각 정치를 처음 실시한 정치가로 이름이 높다. 목차 1 생애 2 서훈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잉글랜드 동부의 노퍽주의 젠트리 계급 출신으로 집에서는 휘그당을 지지하였다. 이튼스쿨에서 1696년 대학에 가서 성직자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위의 형이 요절했기 때문에 가산의 상속자로, 휘그당에서 하원 의원에 당선하여 정계에 진출한다. 남해 회사 사건에서 정치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여, 앤 여왕 사후 하노버 왕가의 조지 1세(하노버 왕가를 겸하는) 하에서 첫 경제 수장에 취임하여, 사실상 총리로 1721년부터 1742년까지 21년간에 걸친 장기 집권을 운영한다. 대 프랑스 유화책, 토지세 완화 정책으로 스튜어트 왕조의 부활을 목표로 하는 자코바이트의 위협을 이용하여 휘그당과 양당 체제를 구축한다. 1730년대 말부터 있어 온 정치 부패와 소비세 확대, 대 프랑스 평화 정책 등으로 인해 정권이 신뢰를 잃었고, 1741년에 실시된 총선에서 스코틀랜드, 콘월 등에서 패배하여, 여야의 격차가 좁혀졌다. 따라서 당시의 국왕 조지 2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음해 1742년 제1 경제수장 직위에서 사임했다. 이 때문에 의회 내에서 우세한 세력이 내각을 조직하여 의회에 대해 책임을 갖는다는 의원내각제(책임 내각제)의 기초가 만들어졌다. 은퇴 후에는 초대 오 포드 백작이 되었고, 1745년에 사망했다. 서훈[편집] 1725년 바스 훈장 기사장(Knight of the Bath, KB, 작위급 훈장) 1726년 가터 훈장 1742년 백작작위 서임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로버트 월폴 로버트 월폴 경 on the Downing Street website. 휴턴 홀 Cholmondeley Castle vdeh로버트 월폴 총리 내각(1730년 ~ 1742년)남국무상 뉴캐슬 공작(1789년 ~ 1742년) 북국무상 헤링턴 경(1730년 ~ 1742년) 대법관 킹 경(1730년 ~ 1733년) 탤벗 경(1733년 ~ 1737년) 하드위크 경(1737년 ~ 1742년) 추밀원장 트레버 경(1730년) 윌밍턴 백작(1730년 ~ 1742년) 국새상서 윌밍턴 백작(1730년 ~ 1731년) 데번셔 공작(1731년 ~ 1733년) 론스데일 자작(1733년 ~ 1735년) 고돌핀 백작(1735년 ~ 1740년) 익워스의 허베이 경(1740년 ~ 1742년) 해군경 토링턴 자작(1730년 ~ 1733년) 찰스 웨이저 경(1733년 ~ 1742년) 군수대신 아가일 공작(1730년 ~ 1740년) 몬터규 공작(1740년 ~ 1742년) 군부경리관 헨리 펠럼(1730년 ~ 1742년) 왕실집사장 체스터필드 백작(1730년 ~ 1733년) 데번셔 공작(1733년 ~ 1737년) 도싯 공작(1737년 ~ 1742년) 시종장 그래프턴 공작(1730년 ~ 1742년) vdeh영국의 총리그레이트브리튼 왕국1707년 ~ 1801년 월폴 윌밍턴 백작 펠럼 뉴캐슬 공작 데번셔 공작 뉴캐슬 공작 뷰트 백작 G 그렌빌 로킹엄 후작 대 피트 그래프턴 공작 노스 로킹엄 후작 셸번 백작 포틀랜드 공작 소 피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1801년 ~ 1922년 소 피트 애딩턴 소 피트 W. 그렌빌 포틀랜드 공작 퍼시벌 리버풀 백작 캐닝 고드리치 자작 웰링턴 공작 그레이 백작 멜버른 자작 웰링턴 공작 필 멜버른 자작 필 러셀 백작 더비 백작 애버딘 백작 파머스턴 자작 더비 백작 파머스턴 자작 러셀 백작 더비 백작 디즈레일리 글래드스턴 디즈레일리 글래드스턴 솔즈베리 후작 글래드스턴 솔즈베리 후작 글래드스턴 로즈베리 백작 솔즈베리 후작 밸포어 캠벨배너먼 애스퀴스 로이드 조지 보너 로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1922년 ~ 현재 보너 로 볼드윈 맥도널드 볼드윈 맥도널드 볼드윈 체임벌린 처칠 애틀리 처칠 이든 맥밀런 더글러스흄 윌슨 히스 윌슨 캘러헌 대처 메이저 블레어 브라운 캐머런 메이 전거 통제 WorldCat VIAF: 98289961 LCCN: n50024509 ISNI: 0000 0001 2144 8574 GND: 11880605X SUDOC: 028178688 BNF: cb12006582f (데이터) BIBSYS: 90523929 ULAN: 500250653 NLA: 35816200 NKC: js20020211001 RKD: 34462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버트_월폴&oldid=23013370" 분류: 1676년 태어남1745년 죽음영국의 정치인영국의 총리영국의 섭정영국의 백작가터 훈장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동문영국 서민원 원내총무영국 휘그당 정치가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मराठीမြန်မာဘာသာ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4일 (수) 15: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라이슬로이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슬로이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프스를 넘는 스위스 용병(Luzerner Schilling) 라이슬로이퍼(독일어: Reislaufer [raislcyfɐ][*])는 스위스 출신의 용병이다. 가깝게는 근세(Early Modern period)부터 멀게는 계몽 시대(European Enlightenment)가 포함된 중세 후기(Later Middle Ages)까지 외국, 특히 프랑스에 고용되어 전력으로 활용된 병사들로 유명하다. 그들의 용병으로써의 전력은 르네상스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장에서 증명된 전투력은 이후에도 세계 최고의 용병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4악장 5번째 씬에서 스위스 용병을 가리켜 "Switzers" 라고 했다. 목차 1 우위 2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 3 구성과 전술 4 군사적 우세의 종언 5 파비아 전투 이후 5.1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 5.2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 6 현대 6.1 서적 6.2 온라인 6.3 필름 7 외부 링크 우위[편집] 중세 후기 용병전력은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과 기타 분쟁들을 겪어온 베테랑들로써, 한시적 복무가 아닌 직업적 군인으로 유럽 각국에서 중요하게 평가받았고, 전투 지휘관들 역시 급하게 편성된 농노 전력보다는 장기간 전장에서 단련된 병사들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스위스 용병(Reisläufer)은 장창(pike)과 핼버드(halberd)를 이용한 결연한 집단 공격력 덕분에 중세 후기에 그 전력 가치를 인정받았다. 스위스 지방정부에 의뢰만 하면 언제든지 준비된 스위스 용병단을 고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특히 매력적인 요소였다. 스위스엔 수많은 스위스 주(canton)들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주마다 존재하는 지방정부는 병사들을 선발해 무장시키고 언제든지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민병대 운용 조직이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스위스 자체도 때로는 그들을 개개인 자격으로 혹은 작은 규모로 고용하여 운용하였다는 것이다. 스위스 각 주의 전사들은 13세기 초부터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Habsburg)의 모르가르텐(Morgarten)과 라우펜(Laupen)에서 중무장 기사들과 싸워 승리해 국권을 사수한 이후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탈리아 북부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평판과 명성은 더욱 올라갔다. 15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용병으로써 가치가 높아졌고, 부르고뉴 전쟁(Burgundian Wars)에서 혁혁한 승리를 연거푸 거둠으로써 그 가치를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고용상태에 따라서 때로는 독자적인 전투단으로, 때로는 스위스 주 방위군으로 각지를 누볐다. 스위스 용병을 의미하는 그들의 용어 Reisläufer는 글자 그대로 "전쟁에 나가는 사람" 이라는 뜻이며, "군사작전"(military campaign)을 의미하는 중북부 독일어에서 전해진 말이다. 스위스 용병은 상당히 긴 파이크를 들고 거대한 종대(columns)를 구성해 머리를 밀치는 공격 전술과 포로를 사로잡는걸 원치 않는 거침없는 승리의 행진은 무서운 공포와 경외를 불러일으켰으며 마키아벨리(Machiavelli)는 이들의 전투 방식을 자신의 저서 군주론(The Prince)에서 강연한 적이 있을 정도이다. 프랑스의 발루아(Valois) 왕은 스위스 창병(pikemen)을 보병 전력 핵심으로 삼지 않고서는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비록 흔히 "pikemen"으로 표현했지만 스위스 용병 유닛에는 16세기 동안 10년간 핼버드(halberdier)가 유닛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충분히 작은 숫자의 잘 무장된 무기인 석궁과 조잡한 화기류를 사용해 공격 종대가 전진하기 전에 민첩하게 먼저 앞장섰다). 젊은이들은 전장에 싸우러 나갔고 때로는 죽기도 하였지만 외국에서의 복무는 많은 동기를 유발하였는데, 여전히 농업에 의존하는 낙후된 스위스보다는 경제적으로 나았기 때문에, 또는 모험심으로, 혹은 스위스 용병이라는 자부심으로, 그리고 군사 역사가 찰스 오만 경(Sir Charles Oman)이 지적하였듯 두 세기에 걸쳐 축적된 전투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사랑으로 이들은 끊임없이 용병으로 나아갔다. "Bad War." (한스 홀베인)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편집] 대략 1490년까지 스위스는 창을 사용하는 용병을 독점으로 공급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유사 용병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은 란츠크네흐트(Landsknechts)들이었다. 슈바벤(Swabia) 부근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이 독일 용병들은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 숙달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점차 유럽 각지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이들은 스위스 용병과 같이 가공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이들은 더욱 고용하기가 쉬웠으며, 1515년 스위스가 중립을 선포한 뒤로는 스위스 용병들이 왕립 프랑스군에서만 일하게된 반면, 란츠크네흐트들은 돈만 주어진다면 신성 로마 제국 황제(Holy Roman Emperor)의 적에게라도 고용되어 싸웠으며, 심지어는 스위스 용병들도 거부한 전장에서 동포끼리 싸우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 란츠크네흐트들은 처음에는 스위스식의 밝고 화려한 복장을 착용하였지만 얼마 안가서는 적어도 복장의 화려함만큼은 스위스 용병을 뛰어넘게 되었다. 스위스는 이들 모방한것을 칭찬하지 않았지만 이 두 용병단은 고용에서, 그리고 전장에서 극한의 경쟁상대가 되었다. 이들은 16세기 초, 대 이탈리아 전쟁(Great Italian Wars)에서 주요 국가의 분쟁기간 서로 자주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스위스는 보통 "창으로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을 사용하였지만 전투 결과는 야만적이고 참혹한 것 그 자체였고, 이탈리아인들은 이를 "나쁜 전쟁"(bad war)이라고 불렀다. 이 시기의 전문가인 한스 홀베인(Hans Holbein)과 같은 이들은, 거대한 장창을 든 두 종대가 맞닥뜨리는 일은 전투의 큰 소용돌이를 불러일으켰으며 양측에서 무시무시한 수의 사상자들을 낳았다고 증언했다. 란츠크네흐트와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그 뒤에 스위스 용병을 모방한 기타 군대(가장 두드러진것은 스페인에서 그 유명한 테르시오(Tercios)라는 보병 대형으로 한가지 요소인 파이크 사용을 채택했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용병의 가치는 1480년에서 1525년 사이에 정점에 달했다. 특히나 노바라 전투(Battle of Novara)의 경우 거의 완벽한 스위스 용병의 승리였다. 비록 1515년의 끔찍한 마리냐노 전투(Battle of Marignano)에서는 거의 패배에 가까운 결과를 낳았지만 광포한 전투력과 질서정연한 퇴각은 여전히 찬사를 불러왔다.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 측에 선 란츠크네흐트 용병의 공격을 받는 스위스(오른쪽) 그러나 마리냐노 전투는 스위스식 전술이 이제는 더이상 먹혀들지 않는다는 사실의 전조였다. 결국 스위스의 두 세기간에 걸친 빛나는 전력은 비코카 전투(Battle of Bicocca)에서 재앙으로 종결되었다. 스페인군과 란츠크네흐트의 연합군은 축성과 신기술의 도입으로 스위스 용병들에게 괴멸적인 피해를 안겼으며 이는 스위스 용병 자신들의 전투력을 맹신한 오만과 과다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프랑스 왕에게 고용된 이 스위스 용병들은 돌파 불가능한 방어선 앞에서 거듭된 진격만을 하다가 화포 공격에 무너져버렸다. 결과는 지금껏 스위스가 겪어보지 못한 막대한 사상자만 남았을 뿐, 적에게 준 타격은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오만과 자신감 외에 또다른 패배요인은 스위스 용병들이 본래 농부라는 점에 기인한다. 전투가 끝나면 재빨리 고향으로 돌아와 밭일을 해야하는 이들은 종종 서둘렀고, 신중하지 못하였으며, 승리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전장에 뛰어들어 전리품을 챙기고, 급여를 받아 귀환하는 것이었다. 비코카에서의 끔찍한 타격으로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력은 이후 수년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들이 3년 뒤 세기의 격전이었던 파비아 전투(Battle of Pavia)에서 보여준 전투력은 당시 사람들에게 평범함 그 자체였다고 평가되었으며 이 전투는 종종 스위스 용병의 내리막길이 시작된 지표로 그려진다. 구성과 전술[편집]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 대형은 주 방위를 위한 군대와 상이하다. 스위스 주 방위군의 대형은 선봉(Vorhut), 중군(Gewalthut), 후방(Nachhut)의 셋으로 나뉘며, 규모는 각각 다르지만 대개 사다리꼴 형태로 대형을 만든다.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거의 사각형 형태가 되어, 그들을 고용한 군대의 중앙에 자리잡는다. 마찬가지로 방위군은 빠른 이동에 의존하여 적과 교전하는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속도를 내기보다는 서로 속도를 맞추어 동시에 밀고들어가듯한 전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창을 든 진군은 보병을 상대할 때는 그다지 큰 전과를 올리기가 어렵지만 기병의 돌격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진군이 저지된다면 이들은 마리냐노에서 보았듯이 화기 공격에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낸다. 스위스 용병 역시 석궁이나 화승총, 그리고 화포를 사용하지만 이들은 언제나 부차적 요소일 뿐, 대부분의 전력은 사각형의 창병 대열이다. 화기의 갑옷 관통력은 놀라웠지만 당시엔 아직 명중률이 떨어지는데다가 장전 속도도 느렸고, 습도에 특히 민감하였기 때문에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는 어울리지 않았다. 스위스 용병들은 16세기가 되어서도 창병 우선 형태로 유지되었지만, 대형이나 전술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군대의 형태와 유사하게 변모되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그들만의 색깔을 잃어버렸고, 다른 부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 전력으로 바뀌어갔다. 군사적 우세의 종언[편집] 마리냐노와 비코카에서와 같이 스위스 창병은 화기에 취약하였지만 다른 면에서의 단점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강철 로델라(rodela, 검의 일종) 또는 레이피어(rapier, 찌르기 전용 검)와 버클러(Buckler)로 무장한 스페인의 로델레로(rodelero)의 경우, 투구와 흉갑을 착용하였으며 스위스군보다 개인 전투력이 뛰어났다. 만일 이들이 전열을 채 갖추지 않은 스위스 창병들에게 돌진하여 미처 겨누지 못한 창 아래를 파고든다면 갑옷이나 방패 없는 창병들의 결말은 뻔한 것이었다. 스위스와 유사한 전술을 구사하는 독일 용병들은 라벤나 전투(Battle of Ravenna)에서 거의 학살에 가까운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전열만 잘 갖춘다면 이러한 로델레로 같은 부대는 쉽게 무찌를 수 있다. 스위스 용병들은 세미나라 전투(Battle of Seminara)에서 로델레로 부대를 상대해 그러한 결과를 잘 입증하였다. 파비아 전투 이후[편집] 1525년경 맞이한 황금시대의 종언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창병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장에서 주요 보병 전력으로 계속 활용되었다. 프랑스 종교전쟁(French Wars of Religion)중에 스위스 용병들은 그들의 명성을 다시한번 입증하였는데, 특히나 드뢰 전투(Battle of Dreux)에서 스위스 용병들은 전체 위그노(Huguenot) 군대를 저지하여 가톨릭(Catholic) 기병대의 역습을 가능하도록 한 공로를 세웠다.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편집] 1792년 튈르리에서 스위스 근위대의 희생을 기념하여 스위스 루세네에 건립된 사자 기념비. 스위스 용병들은 17세기부터 19세기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에 고용되었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는 역시 프랑스에서 고용하였는데, 스위스 용병들은 늘 그래왔듯이 프랑스 보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프랑스에 고용된 13개 스위스 용병 연대중 가장 유명한 스위스 근위대 연대(Swiss Guard regiment)는 프랑스 위병들의 파란색 군복과 구별되는 빨간색 복장을 착용하였다. 17세기 이후로 스위스 용병들은 점차 그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장창을 버리고 프랑스의 다른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화승총으로 무장하였다. 끝까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스위스 위병들은 1792년 8월 10일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당시 성난 폭도들로부터 이미 튈르리 궁전(Tuileries Palace)에서 달아난지 오래인 국왕 루이 16세(Louis XVI)를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모두 살해되었다. 나폴레옹(Napoleon)의 군대 또한 스위스 용병들을 고용하였는데, 이들은 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군과 구별을 위해 빨간색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이 색상은 대개 나폴레옹의 적들(스페인 전역에서 영국 보병)의 군복 색깔과 유사하여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편집] 16세기 이후 스위스 용병들을 애용한 또다른 국가는 스페인이었다.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 이후 스위스는 개신교(Protestant)를 추종하는 주들과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들로 나뉘었다.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 출신의 용병들은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합스부르크 군대에 점차 많은 수가 고용되었다. 스페인 군 내의 첫 정규 스위스 연대는 1574년 가톨릭을 추종하는 우리주(Uri) 출신의 발터 롤(Walter Roll)이었으며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복무하였고, 17세기 중반에는 10개 이상의 연대들이 스페인군에 고용되었다. 17세기 후반 이들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 소속으로 포르투갈과 싸우고, 카탈로니아(Catalonia) 반란을 진압하는데 투입되었으며 스페인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폴란드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Polish Succession),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Austrian Succession), 그리고 미국 독립전쟁(American Revolution)과 연계되어 영국과의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스페인에서의 이들의 마지막 임무는 프랑스에 대한 반도 전쟁(Peninsular War)이었으며 끝까지 책임을 다한 6개 스위스 용병 연대가 수년간의 전투끝에 쓰러져갔다. 1823년 스페인에서의 스위스 용병들은 이제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과 마찬가지로 스페인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도 자신들의 전술과 복식을 사용하였다. 현대[편집] 1859년 이후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단 하나의 용병부대인 바티칸 근위병(Vatican's Swiss Guard)만을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5세기 동안 교황을 수호하였으며 스위스 용병들의 전성기를 상기시키는 다채로운 복장을 하고 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이제는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외국의 군대에 복무하고 있으며 스페인 내란(Spanish Civil War) 당시에도 주로 공화파 군대로 참여하였다. 서적[편집]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온라인[편집] Fremde Dienste/Service étranger in German, French and Italian in the online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필름[편집] Schweizer im Spanischen Bürgerkrieg (The Swiss in the Spanish Civil War), Director Richard Dindo, 1974 (English-language release 1982). In Swiss German with English sub-titles. 외부 링크[편집] 500 Jahre Schlacht bei Hard, 1999?, on the SFwV SSGA website. In German. Ancient Tactics Tested: Swiss Pike and Ancient Phalanx. 1499–1999, 1999, 500th anniversary of the Swabian War. In German. vdeh서양 중세사중세 전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 제국의 쇠퇴 고대 후기 그리스-로마 다신교의 쇠퇴 기독교화 이슬람의 흥기 불가리아 제1제국 프랑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바이킹 시대 카롤링거 제국 고대 교회 슬라브어 슈이네스게국 키예프 루스 동로마 제국의 중흥 중세 성기 신성로마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조지아 제국 폴란드 왕국 봉건제 동서 대분열 서임권 투쟁 십자군 스콜라주의 수도주의 자치도시 장원제 중세 온난기 몽골의 유럽 침공 중세 후기 백년 전쟁 흑사병 장미 전쟁 후스 전쟁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 가 서방 교회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함락 오스만 제국의 흥기 스위스 용병 기사도 르네상스 인문주의 대학 중세 후기의 위기 소빙기 문화사 건축 미술 교회와 국가 관계 요리 인구 가정 문학 의약 음악 철학 시문학 과학 노예제 기술 전쟁 참조 사항 암흑 시대 중세와 장애인 중세주의 중세 재현 중세학 신중세주의 연표 고전후 시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이슬로이퍼&oldid=22367551" 분류: 스위스의 군사사스위스의 용병중세 유럽의 전쟁직업별 스위스 사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라이슬로이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슬로이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프스를 넘는 스위스 용병(Luzerner Schilling) 라이슬로이퍼(독일어: Reislaufer [raislcyfɐ][*])는 스위스 출신의 용병이다. 가깝게는 근세(Early Modern period)부터 멀게는 계몽 시대(European Enlightenment)가 포함된 중세 후기(Later Middle Ages)까지 외국, 특히 프랑스에 고용되어 전력으로 활용된 병사들로 유명하다. 그들의 용병으로써의 전력은 르네상스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장에서 증명된 전투력은 이후에도 세계 최고의 용병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4악장 5번째 씬에서 스위스 용병을 가리켜 "Switzers" 라고 했다. 목차 1 우위 2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 3 구성과 전술 4 군사적 우세의 종언 5 파비아 전투 이후 5.1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 5.2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 6 현대 6.1 서적 6.2 온라인 6.3 필름 7 외부 링크 우위[편집] 중세 후기 용병전력은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과 기타 분쟁들을 겪어온 베테랑들로써, 한시적 복무가 아닌 직업적 군인으로 유럽 각국에서 중요하게 평가받았고, 전투 지휘관들 역시 급하게 편성된 농노 전력보다는 장기간 전장에서 단련된 병사들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스위스 용병(Reisläufer)은 장창(pike)과 핼버드(halberd)를 이용한 결연한 집단 공격력 덕분에 중세 후기에 그 전력 가치를 인정받았다. 스위스 지방정부에 의뢰만 하면 언제든지 준비된 스위스 용병단을 고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특히 매력적인 요소였다. 스위스엔 수많은 스위스 주(canton)들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주마다 존재하는 지방정부는 병사들을 선발해 무장시키고 언제든지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민병대 운용 조직이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스위스 자체도 때로는 그들을 개개인 자격으로 혹은 작은 규모로 고용하여 운용하였다는 것이다. 스위스 각 주의 전사들은 13세기 초부터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Habsburg)의 모르가르텐(Morgarten)과 라우펜(Laupen)에서 중무장 기사들과 싸워 승리해 국권을 사수한 이후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탈리아 북부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평판과 명성은 더욱 올라갔다. 15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용병으로써 가치가 높아졌고, 부르고뉴 전쟁(Burgundian Wars)에서 혁혁한 승리를 연거푸 거둠으로써 그 가치를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고용상태에 따라서 때로는 독자적인 전투단으로, 때로는 스위스 주 방위군으로 각지를 누볐다. 스위스 용병을 의미하는 그들의 용어 Reisläufer는 글자 그대로 "전쟁에 나가는 사람" 이라는 뜻이며, "군사작전"(military campaign)을 의미하는 중북부 독일어에서 전해진 말이다. 스위스 용병은 상당히 긴 파이크를 들고 거대한 종대(columns)를 구성해 머리를 밀치는 공격 전술과 포로를 사로잡는걸 원치 않는 거침없는 승리의 행진은 무서운 공포와 경외를 불러일으켰으며 마키아벨리(Machiavelli)는 이들의 전투 방식을 자신의 저서 군주론(The Prince)에서 강연한 적이 있을 정도이다. 프랑스의 발루아(Valois) 왕은 스위스 창병(pikemen)을 보병 전력 핵심으로 삼지 않고서는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비록 흔히 "pikemen"으로 표현했지만 스위스 용병 유닛에는 16세기 동안 10년간 핼버드(halberdier)가 유닛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충분히 작은 숫자의 잘 무장된 무기인 석궁과 조잡한 화기류를 사용해 공격 종대가 전진하기 전에 민첩하게 먼저 앞장섰다). 젊은이들은 전장에 싸우러 나갔고 때로는 죽기도 하였지만 외국에서의 복무는 많은 동기를 유발하였는데, 여전히 농업에 의존하는 낙후된 스위스보다는 경제적으로 나았기 때문에, 또는 모험심으로, 혹은 스위스 용병이라는 자부심으로, 그리고 군사 역사가 찰스 오만 경(Sir Charles Oman)이 지적하였듯 두 세기에 걸쳐 축적된 전투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사랑으로 이들은 끊임없이 용병으로 나아갔다. "Bad War." (한스 홀베인)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편집] 대략 1490년까지 스위스는 창을 사용하는 용병을 독점으로 공급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유사 용병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은 란츠크네흐트(Landsknechts)들이었다. 슈바벤(Swabia) 부근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이 독일 용병들은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 숙달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점차 유럽 각지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이들은 스위스 용병과 같이 가공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이들은 더욱 고용하기가 쉬웠으며, 1515년 스위스가 중립을 선포한 뒤로는 스위스 용병들이 왕립 프랑스군에서만 일하게된 반면, 란츠크네흐트들은 돈만 주어진다면 신성 로마 제국 황제(Holy Roman Emperor)의 적에게라도 고용되어 싸웠으며, 심지어는 스위스 용병들도 거부한 전장에서 동포끼리 싸우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 란츠크네흐트들은 처음에는 스위스식의 밝고 화려한 복장을 착용하였지만 얼마 안가서는 적어도 복장의 화려함만큼은 스위스 용병을 뛰어넘게 되었다. 스위스는 이들 모방한것을 칭찬하지 않았지만 이 두 용병단은 고용에서, 그리고 전장에서 극한의 경쟁상대가 되었다. 이들은 16세기 초, 대 이탈리아 전쟁(Great Italian Wars)에서 주요 국가의 분쟁기간 서로 자주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스위스는 보통 "창으로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을 사용하였지만 전투 결과는 야만적이고 참혹한 것 그 자체였고, 이탈리아인들은 이를 "나쁜 전쟁"(bad war)이라고 불렀다. 이 시기의 전문가인 한스 홀베인(Hans Holbein)과 같은 이들은, 거대한 장창을 든 두 종대가 맞닥뜨리는 일은 전투의 큰 소용돌이를 불러일으켰으며 양측에서 무시무시한 수의 사상자들을 낳았다고 증언했다. 란츠크네흐트와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그 뒤에 스위스 용병을 모방한 기타 군대(가장 두드러진것은 스페인에서 그 유명한 테르시오(Tercios)라는 보병 대형으로 한가지 요소인 파이크 사용을 채택했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용병의 가치는 1480년에서 1525년 사이에 정점에 달했다. 특히나 노바라 전투(Battle of Novara)의 경우 거의 완벽한 스위스 용병의 승리였다. 비록 1515년의 끔찍한 마리냐노 전투(Battle of Marignano)에서는 거의 패배에 가까운 결과를 낳았지만 광포한 전투력과 질서정연한 퇴각은 여전히 찬사를 불러왔다.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 측에 선 란츠크네흐트 용병의 공격을 받는 스위스(오른쪽) 그러나 마리냐노 전투는 스위스식 전술이 이제는 더이상 먹혀들지 않는다는 사실의 전조였다. 결국 스위스의 두 세기간에 걸친 빛나는 전력은 비코카 전투(Battle of Bicocca)에서 재앙으로 종결되었다. 스페인군과 란츠크네흐트의 연합군은 축성과 신기술의 도입으로 스위스 용병들에게 괴멸적인 피해를 안겼으며 이는 스위스 용병 자신들의 전투력을 맹신한 오만과 과다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프랑스 왕에게 고용된 이 스위스 용병들은 돌파 불가능한 방어선 앞에서 거듭된 진격만을 하다가 화포 공격에 무너져버렸다. 결과는 지금껏 스위스가 겪어보지 못한 막대한 사상자만 남았을 뿐, 적에게 준 타격은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오만과 자신감 외에 또다른 패배요인은 스위스 용병들이 본래 농부라는 점에 기인한다. 전투가 끝나면 재빨리 고향으로 돌아와 밭일을 해야하는 이들은 종종 서둘렀고, 신중하지 못하였으며, 승리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전장에 뛰어들어 전리품을 챙기고, 급여를 받아 귀환하는 것이었다. 비코카에서의 끔찍한 타격으로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력은 이후 수년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들이 3년 뒤 세기의 격전이었던 파비아 전투(Battle of Pavia)에서 보여준 전투력은 당시 사람들에게 평범함 그 자체였다고 평가되었으며 이 전투는 종종 스위스 용병의 내리막길이 시작된 지표로 그려진다. 구성과 전술[편집]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 대형은 주 방위를 위한 군대와 상이하다. 스위스 주 방위군의 대형은 선봉(Vorhut), 중군(Gewalthut), 후방(Nachhut)의 셋으로 나뉘며, 규모는 각각 다르지만 대개 사다리꼴 형태로 대형을 만든다.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거의 사각형 형태가 되어, 그들을 고용한 군대의 중앙에 자리잡는다. 마찬가지로 방위군은 빠른 이동에 의존하여 적과 교전하는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속도를 내기보다는 서로 속도를 맞추어 동시에 밀고들어가듯한 전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창을 든 진군은 보병을 상대할 때는 그다지 큰 전과를 올리기가 어렵지만 기병의 돌격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진군이 저지된다면 이들은 마리냐노에서 보았듯이 화기 공격에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낸다. 스위스 용병 역시 석궁이나 화승총, 그리고 화포를 사용하지만 이들은 언제나 부차적 요소일 뿐, 대부분의 전력은 사각형의 창병 대열이다. 화기의 갑옷 관통력은 놀라웠지만 당시엔 아직 명중률이 떨어지는데다가 장전 속도도 느렸고, 습도에 특히 민감하였기 때문에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는 어울리지 않았다. 스위스 용병들은 16세기가 되어서도 창병 우선 형태로 유지되었지만, 대형이나 전술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군대의 형태와 유사하게 변모되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그들만의 색깔을 잃어버렸고, 다른 부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 전력으로 바뀌어갔다. 군사적 우세의 종언[편집] 마리냐노와 비코카에서와 같이 스위스 창병은 화기에 취약하였지만 다른 면에서의 단점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강철 로델라(rodela, 검의 일종) 또는 레이피어(rapier, 찌르기 전용 검)와 버클러(Buckler)로 무장한 스페인의 로델레로(rodelero)의 경우, 투구와 흉갑을 착용하였으며 스위스군보다 개인 전투력이 뛰어났다. 만일 이들이 전열을 채 갖추지 않은 스위스 창병들에게 돌진하여 미처 겨누지 못한 창 아래를 파고든다면 갑옷이나 방패 없는 창병들의 결말은 뻔한 것이었다. 스위스와 유사한 전술을 구사하는 독일 용병들은 라벤나 전투(Battle of Ravenna)에서 거의 학살에 가까운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전열만 잘 갖춘다면 이러한 로델레로 같은 부대는 쉽게 무찌를 수 있다. 스위스 용병들은 세미나라 전투(Battle of Seminara)에서 로델레로 부대를 상대해 그러한 결과를 잘 입증하였다. 파비아 전투 이후[편집] 1525년경 맞이한 황금시대의 종언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창병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장에서 주요 보병 전력으로 계속 활용되었다. 프랑스 종교전쟁(French Wars of Religion)중에 스위스 용병들은 그들의 명성을 다시한번 입증하였는데, 특히나 드뢰 전투(Battle of Dreux)에서 스위스 용병들은 전체 위그노(Huguenot) 군대를 저지하여 가톨릭(Catholic) 기병대의 역습을 가능하도록 한 공로를 세웠다.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편집] 1792년 튈르리에서 스위스 근위대의 희생을 기념하여 스위스 루세네에 건립된 사자 기념비. 스위스 용병들은 17세기부터 19세기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에 고용되었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는 역시 프랑스에서 고용하였는데, 스위스 용병들은 늘 그래왔듯이 프랑스 보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프랑스에 고용된 13개 스위스 용병 연대중 가장 유명한 스위스 근위대 연대(Swiss Guard regiment)는 프랑스 위병들의 파란색 군복과 구별되는 빨간색 복장을 착용하였다. 17세기 이후로 스위스 용병들은 점차 그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장창을 버리고 프랑스의 다른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화승총으로 무장하였다. 끝까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스위스 위병들은 1792년 8월 10일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당시 성난 폭도들로부터 이미 튈르리 궁전(Tuileries Palace)에서 달아난지 오래인 국왕 루이 16세(Louis XVI)를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모두 살해되었다. 나폴레옹(Napoleon)의 군대 또한 스위스 용병들을 고용하였는데, 이들은 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군과 구별을 위해 빨간색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이 색상은 대개 나폴레옹의 적들(스페인 전역에서 영국 보병)의 군복 색깔과 유사하여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편집] 16세기 이후 스위스 용병들을 애용한 또다른 국가는 스페인이었다.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 이후 스위스는 개신교(Protestant)를 추종하는 주들과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들로 나뉘었다.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 출신의 용병들은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합스부르크 군대에 점차 많은 수가 고용되었다. 스페인 군 내의 첫 정규 스위스 연대는 1574년 가톨릭을 추종하는 우리주(Uri) 출신의 발터 롤(Walter Roll)이었으며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복무하였고, 17세기 중반에는 10개 이상의 연대들이 스페인군에 고용되었다. 17세기 후반 이들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 소속으로 포르투갈과 싸우고, 카탈로니아(Catalonia) 반란을 진압하는데 투입되었으며 스페인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폴란드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Polish Succession),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Austrian Succession), 그리고 미국 독립전쟁(American Revolution)과 연계되어 영국과의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스페인에서의 이들의 마지막 임무는 프랑스에 대한 반도 전쟁(Peninsular War)이었으며 끝까지 책임을 다한 6개 스위스 용병 연대가 수년간의 전투끝에 쓰러져갔다. 1823년 스페인에서의 스위스 용병들은 이제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과 마찬가지로 스페인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도 자신들의 전술과 복식을 사용하였다. 현대[편집] 1859년 이후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단 하나의 용병부대인 바티칸 근위병(Vatican's Swiss Guard)만을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5세기 동안 교황을 수호하였으며 스위스 용병들의 전성기를 상기시키는 다채로운 복장을 하고 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이제는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외국의 군대에 복무하고 있으며 스페인 내란(Spanish Civil War) 당시에도 주로 공화파 군대로 참여하였다. 서적[편집]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온라인[편집] Fremde Dienste/Service étranger in German, French and Italian in the online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필름[편집] Schweizer im Spanischen Bürgerkrieg (The Swiss in the Spanish Civil War), Director Richard Dindo, 1974 (English-language release 1982). In Swiss German with English sub-titles. 외부 링크[편집] 500 Jahre Schlacht bei Hard, 1999?, on the SFwV SSGA website. In German. Ancient Tactics Tested: Swiss Pike and Ancient Phalanx. 1499–1999, 1999, 500th anniversary of the Swabian War. In German. vdeh서양 중세사중세 전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 제국의 쇠퇴 고대 후기 그리스-로마 다신교의 쇠퇴 기독교화 이슬람의 흥기 불가리아 제1제국 프랑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바이킹 시대 카롤링거 제국 고대 교회 슬라브어 슈이네스게국 키예프 루스 동로마 제국의 중흥 중세 성기 신성로마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조지아 제국 폴란드 왕국 봉건제 동서 대분열 서임권 투쟁 십자군 스콜라주의 수도주의 자치도시 장원제 중세 온난기 몽골의 유럽 침공 중세 후기 백년 전쟁 흑사병 장미 전쟁 후스 전쟁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 가 서방 교회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함락 오스만 제국의 흥기 스위스 용병 기사도 르네상스 인문주의 대학 중세 후기의 위기 소빙기 문화사 건축 미술 교회와 국가 관계 요리 인구 가정 문학 의약 음악 철학 시문학 과학 노예제 기술 전쟁 참조 사항 암흑 시대 중세와 장애인 중세주의 중세 재현 중세학 신중세주의 연표 고전후 시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이슬로이퍼&oldid=22367551" 분류: 스위스의 군사사스위스의 용병중세 유럽의 전쟁직업별 스위스 사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라이슬로이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이슬로이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알프스를 넘는 스위스 용병(Luzerner Schilling) 라이슬로이퍼(독일어: Reislaufer [raislcyfɐ][*])는 스위스 출신의 용병이다. 가깝게는 근세(Early Modern period)부터 멀게는 계몽 시대(European Enlightenment)가 포함된 중세 후기(Later Middle Ages)까지 외국, 특히 프랑스에 고용되어 전력으로 활용된 병사들로 유명하다. 그들의 용병으로써의 전력은 르네상스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으며 전장에서 증명된 전투력은 이후에도 세계 최고의 용병으로 자리매김 하고있다.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햄릿에서 4악장 5번째 씬에서 스위스 용병을 가리켜 "Switzers" 라고 했다. 목차 1 우위 2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 3 구성과 전술 4 군사적 우세의 종언 5 파비아 전투 이후 5.1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 5.2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 6 현대 6.1 서적 6.2 온라인 6.3 필름 7 외부 링크 우위[편집] 중세 후기 용병전력은 백년전쟁(Hundred Years War)과 기타 분쟁들을 겪어온 베테랑들로써, 한시적 복무가 아닌 직업적 군인으로 유럽 각국에서 중요하게 평가받았고, 전투 지휘관들 역시 급하게 편성된 농노 전력보다는 장기간 전장에서 단련된 병사들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스위스 용병(Reisläufer)은 장창(pike)과 핼버드(halberd)를 이용한 결연한 집단 공격력 덕분에 중세 후기에 그 전력 가치를 인정받았다. 스위스 지방정부에 의뢰만 하면 언제든지 준비된 스위스 용병단을 고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들은 특히 매력적인 요소였다. 스위스엔 수많은 스위스 주(canton)들이 존재하였고, 각각의 주마다 존재하는 지방정부는 병사들을 선발해 무장시키고 언제든지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민병대 운용 조직이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스위스 자체도 때로는 그들을 개개인 자격으로 혹은 작은 규모로 고용하여 운용하였다는 것이다. 스위스 각 주의 전사들은 13세기 초부터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Habsburg)의 모르가르텐(Morgarten)과 라우펜(Laupen)에서 중무장 기사들과 싸워 승리해 국권을 사수한 이후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탈리아 북부까지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평판과 명성은 더욱 올라갔다. 15세기에 이르러 이들은 용병으로써 가치가 높아졌고, 부르고뉴 전쟁(Burgundian Wars)에서 혁혁한 승리를 연거푸 거둠으로써 그 가치를 입증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고용상태에 따라서 때로는 독자적인 전투단으로, 때로는 스위스 주 방위군으로 각지를 누볐다. 스위스 용병을 의미하는 그들의 용어 Reisläufer는 글자 그대로 "전쟁에 나가는 사람" 이라는 뜻이며, "군사작전"(military campaign)을 의미하는 중북부 독일어에서 전해진 말이다. 스위스 용병은 상당히 긴 파이크를 들고 거대한 종대(columns)를 구성해 머리를 밀치는 공격 전술과 포로를 사로잡는걸 원치 않는 거침없는 승리의 행진은 무서운 공포와 경외를 불러일으켰으며 마키아벨리(Machiavelli)는 이들의 전투 방식을 자신의 저서 군주론(The Prince)에서 강연한 적이 있을 정도이다. 프랑스의 발루아(Valois) 왕은 스위스 창병(pikemen)을 보병 전력 핵심으로 삼지 않고서는 전투에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기까지 하였다 (비록 흔히 "pikemen"으로 표현했지만 스위스 용병 유닛에는 16세기 동안 10년간 핼버드(halberdier)가 유닛으로 포함되어 있었지만, 충분히 작은 숫자의 잘 무장된 무기인 석궁과 조잡한 화기류를 사용해 공격 종대가 전진하기 전에 민첩하게 먼저 앞장섰다). 젊은이들은 전장에 싸우러 나갔고 때로는 죽기도 하였지만 외국에서의 복무는 많은 동기를 유발하였는데, 여전히 농업에 의존하는 낙후된 스위스보다는 경제적으로 나았기 때문에, 또는 모험심으로, 혹은 스위스 용병이라는 자부심으로, 그리고 군사 역사가 찰스 오만 경(Sir Charles Oman)이 지적하였듯 두 세기에 걸쳐 축적된 전투에 대한 순수한 열정과 사랑으로 이들은 끊임없이 용병으로 나아갔다. "Bad War." (한스 홀베인) 이탈리아 전쟁과 란츠크네흐트[편집] 대략 1490년까지 스위스는 창을 사용하는 용병을 독점으로 공급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이후에 유사 용병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 대부분은 란츠크네흐트(Landsknechts)들이었다. 슈바벤(Swabia) 부근에서 처음으로 대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이 독일 용병들은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 숙달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점차 유럽 각지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비록 이들은 스위스 용병과 같이 가공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이들은 더욱 고용하기가 쉬웠으며, 1515년 스위스가 중립을 선포한 뒤로는 스위스 용병들이 왕립 프랑스군에서만 일하게된 반면, 란츠크네흐트들은 돈만 주어진다면 신성 로마 제국 황제(Holy Roman Emperor)의 적에게라도 고용되어 싸웠으며, 심지어는 스위스 용병들도 거부한 전장에서 동포끼리 싸우는 것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들 란츠크네흐트들은 처음에는 스위스식의 밝고 화려한 복장을 착용하였지만 얼마 안가서는 적어도 복장의 화려함만큼은 스위스 용병을 뛰어넘게 되었다. 스위스는 이들 모방한것을 칭찬하지 않았지만 이 두 용병단은 고용에서, 그리고 전장에서 극한의 경쟁상대가 되었다. 이들은 16세기 초, 대 이탈리아 전쟁(Great Italian Wars)에서 주요 국가의 분쟁기간 서로 자주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스위스는 보통 "창으로 밀어붙이는 전술"(push of pike)을 사용하였지만 전투 결과는 야만적이고 참혹한 것 그 자체였고, 이탈리아인들은 이를 "나쁜 전쟁"(bad war)이라고 불렀다. 이 시기의 전문가인 한스 홀베인(Hans Holbein)과 같은 이들은, 거대한 장창을 든 두 종대가 맞닥뜨리는 일은 전투의 큰 소용돌이를 불러일으켰으며 양측에서 무시무시한 수의 사상자들을 낳았다고 증언했다. 란츠크네흐트와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그 뒤에 스위스 용병을 모방한 기타 군대(가장 두드러진것은 스페인에서 그 유명한 테르시오(Tercios)라는 보병 대형으로 한가지 요소인 파이크 사용을 채택했다.)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용병의 가치는 1480년에서 1525년 사이에 정점에 달했다. 특히나 노바라 전투(Battle of Novara)의 경우 거의 완벽한 스위스 용병의 승리였다. 비록 1515년의 끔찍한 마리냐노 전투(Battle of Marignano)에서는 거의 패배에 가까운 결과를 낳았지만 광포한 전투력과 질서정연한 퇴각은 여전히 찬사를 불러왔다. 마리냐노 전투에서 프랑스 측에 선 란츠크네흐트 용병의 공격을 받는 스위스(오른쪽) 그러나 마리냐노 전투는 스위스식 전술이 이제는 더이상 먹혀들지 않는다는 사실의 전조였다. 결국 스위스의 두 세기간에 걸친 빛나는 전력은 비코카 전투(Battle of Bicocca)에서 재앙으로 종결되었다. 스페인군과 란츠크네흐트의 연합군은 축성과 신기술의 도입으로 스위스 용병들에게 괴멸적인 피해를 안겼으며 이는 스위스 용병 자신들의 전투력을 맹신한 오만과 과다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프랑스 왕에게 고용된 이 스위스 용병들은 돌파 불가능한 방어선 앞에서 거듭된 진격만을 하다가 화포 공격에 무너져버렸다. 결과는 지금껏 스위스가 겪어보지 못한 막대한 사상자만 남았을 뿐, 적에게 준 타격은 극히 미미할 뿐이었다. 오만과 자신감 외에 또다른 패배요인은 스위스 용병들이 본래 농부라는 점에 기인한다. 전투가 끝나면 재빨리 고향으로 돌아와 밭일을 해야하는 이들은 종종 서둘렀고, 신중하지 못하였으며, 승리에 대한 막연한 희망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전장에 뛰어들어 전리품을 챙기고, 급여를 받아 귀환하는 것이었다. 비코카에서의 끔찍한 타격으로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력은 이후 수년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다. 이들이 3년 뒤 세기의 격전이었던 파비아 전투(Battle of Pavia)에서 보여준 전투력은 당시 사람들에게 평범함 그 자체였다고 평가되었으며 이 전투는 종종 스위스 용병의 내리막길이 시작된 지표로 그려진다. 구성과 전술[편집] 스위스 용병들의 전투 대형은 주 방위를 위한 군대와 상이하다. 스위스 주 방위군의 대형은 선봉(Vorhut), 중군(Gewalthut), 후방(Nachhut)의 셋으로 나뉘며, 규모는 각각 다르지만 대개 사다리꼴 형태로 대형을 만든다.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거의 사각형 형태가 되어, 그들을 고용한 군대의 중앙에 자리잡는다. 마찬가지로 방위군은 빠른 이동에 의존하여 적과 교전하는 반면, 용병으로 싸울때는 속도를 내기보다는 서로 속도를 맞추어 동시에 밀고들어가듯한 전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창을 든 진군은 보병을 상대할 때는 그다지 큰 전과를 올리기가 어렵지만 기병의 돌격에 특히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들의 진군이 저지된다면 이들은 마리냐노에서 보았듯이 화기 공격에 상당한 취약성을 드러낸다. 스위스 용병 역시 석궁이나 화승총, 그리고 화포를 사용하지만 이들은 언제나 부차적 요소일 뿐, 대부분의 전력은 사각형의 창병 대열이다. 화기의 갑옷 관통력은 놀라웠지만 당시엔 아직 명중률이 떨어지는데다가 장전 속도도 느렸고, 습도에 특히 민감하였기 때문에 스위스 용병의 전술에는 어울리지 않았다. 스위스 용병들은 16세기가 되어서도 창병 우선 형태로 유지되었지만, 대형이나 전술은 그들이 일하고 있는 군대의 형태와 유사하게 변모되었다. 결과적으로 그들은 그들만의 색깔을 잃어버렸고, 다른 부대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 전력으로 바뀌어갔다. 군사적 우세의 종언[편집] 마리냐노와 비코카에서와 같이 스위스 창병은 화기에 취약하였지만 다른 면에서의 단점도 나타났다. 예를 들어 강철 로델라(rodela, 검의 일종) 또는 레이피어(rapier, 찌르기 전용 검)와 버클러(Buckler)로 무장한 스페인의 로델레로(rodelero)의 경우, 투구와 흉갑을 착용하였으며 스위스군보다 개인 전투력이 뛰어났다. 만일 이들이 전열을 채 갖추지 않은 스위스 창병들에게 돌진하여 미처 겨누지 못한 창 아래를 파고든다면 갑옷이나 방패 없는 창병들의 결말은 뻔한 것이었다. 스위스와 유사한 전술을 구사하는 독일 용병들은 라벤나 전투(Battle of Ravenna)에서 거의 학살에 가까운 피해를 보았다. 하지만 전열만 잘 갖춘다면 이러한 로델레로 같은 부대는 쉽게 무찌를 수 있다. 스위스 용병들은 세미나라 전투(Battle of Seminara)에서 로델레로 부대를 상대해 그러한 결과를 잘 입증하였다. 파비아 전투 이후[편집] 1525년경 맞이한 황금시대의 종언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창병들은 16세기 유럽의 전장에서 주요 보병 전력으로 계속 활용되었다. 프랑스 종교전쟁(French Wars of Religion)중에 스위스 용병들은 그들의 명성을 다시한번 입증하였는데, 특히나 드뢰 전투(Battle of Dreux)에서 스위스 용병들은 전체 위그노(Huguenot) 군대를 저지하여 가톨릭(Catholic) 기병대의 역습을 가능하도록 한 공로를 세웠다. 프랑스 군대에서의 근무[편집] 1792년 튈르리에서 스위스 근위대의 희생을 기념하여 스위스 루세네에 건립된 사자 기념비. 스위스 용병들은 17세기부터 19세기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에 고용되었다. 그러나 가장 많은 수는 역시 프랑스에서 고용하였는데, 스위스 용병들은 늘 그래왔듯이 프랑스 보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였다. 프랑스에 고용된 13개 스위스 용병 연대중 가장 유명한 스위스 근위대 연대(Swiss Guard regiment)는 프랑스 위병들의 파란색 군복과 구별되는 빨간색 복장을 착용하였다. 17세기 이후로 스위스 용병들은 점차 그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장창을 버리고 프랑스의 다른 부대들과 마찬가지로 화승총으로 무장하였다. 끝까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스위스 위병들은 1792년 8월 10일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당시 성난 폭도들로부터 이미 튈르리 궁전(Tuileries Palace)에서 달아난지 오래인 국왕 루이 16세(Louis XVI)를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다가 모두 살해되었다. 나폴레옹(Napoleon)의 군대 또한 스위스 용병들을 고용하였는데, 이들은 전과 마찬가지로 프랑스군과 구별을 위해 빨간색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러나 이 색상은 대개 나폴레옹의 적들(스페인 전역에서 영국 보병)의 군복 색깔과 유사하여 종종 혼동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스페인 군대에서 근무[편집] 16세기 이후 스위스 용병들을 애용한 또다른 국가는 스페인이었다.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 이후 스위스는 개신교(Protestant)를 추종하는 주들과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들로 나뉘었다. 가톨릭을 추종하는 주 출신의 용병들은 16세기 이후 스페인의 합스부르크 군대에 점차 많은 수가 고용되었다. 스페인 군 내의 첫 정규 스위스 연대는 1574년 가톨릭을 추종하는 우리주(Uri) 출신의 발터 롤(Walter Roll)이었으며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복무하였고, 17세기 중반에는 10개 이상의 연대들이 스페인군에 고용되었다. 17세기 후반 이들은 스페인과 그 식민지 소속으로 포르투갈과 싸우고, 카탈로니아(Catalonia) 반란을 진압하는데 투입되었으며 스페인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폴란드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Polish Succession), 이탈리아에서 벌어진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War of the Austrian Succession), 그리고 미국 독립전쟁(American Revolution)과 연계되어 영국과의 전투에도 참여하였다. 스페인에서의 이들의 마지막 임무는 프랑스에 대한 반도 전쟁(Peninsular War)이었으며 끝까지 책임을 다한 6개 스위스 용병 연대가 수년간의 전투끝에 쓰러져갔다. 1823년 스페인에서의 스위스 용병들은 이제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과 마찬가지로 스페인에서 복무한 스위스 용병들도 자신들의 전술과 복식을 사용하였다. 현대[편집] 1859년 이후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단 하나의 용병부대인 바티칸 근위병(Vatican's Swiss Guard)만을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5세기 동안 교황을 수호하였으며 스위스 용병들의 전성기를 상기시키는 다채로운 복장을 하고 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이제는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인들은 개인 자격으로 외국의 군대에 복무하고 있으며 스페인 내란(Spanish Civil War) 당시에도 주로 공화파 군대로 참여하였다. 서적[편집]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Führer, H. R., and Eyer, R. P. (eds.), Schweizer in "Fremden Diensten", 2006. In German. Lienert, Meinrad, Schweizer Sagen und Heldengeschichten, 1915. In German. Miller, Douglas, The Swiss at War, 1979.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1937. Oman, Sir Charles,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rev. ed. 1960. Richards, John, Landsknecht Soldier 1486-1550, 2002. Schaufelberger, Walter, Der Alte Schweizer und Sein Krieg: Studien Zur Kriegführung Vornehmlich im 15. Jahrhundert, 1987 (in German). Singer, P.W. "Corporate Warriors" 2003. Taylor, Frederick Lewis, The Art of War in Italy, 1494-1529, 1921. Wood, James B., The King's Army: Warfare, Soldiers and Society during the Wars of Religion in France, 1562-76, 1996. 온라인[편집] Fremde Dienste/Service étranger in German, French and Italian in the online Historical Dictionary of Switzerland. 필름[편집] Schweizer im Spanischen Bürgerkrieg (The Swiss in the Spanish Civil War), Director Richard Dindo, 1974 (English-language release 1982). In Swiss German with English sub-titles. 외부 링크[편집] 500 Jahre Schlacht bei Hard, 1999?, on the SFwV SSGA website. In German. Ancient Tactics Tested: Swiss Pike and Ancient Phalanx. 1499–1999, 1999, 500th anniversary of the Swabian War. In German. vdeh서양 중세사중세 전기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로마 제국의 쇠퇴 고대 후기 그리스-로마 다신교의 쇠퇴 기독교화 이슬람의 흥기 불가리아 제1제국 프랑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바이킹 시대 카롤링거 제국 고대 교회 슬라브어 슈이네스게국 키예프 루스 동로마 제국의 중흥 중세 성기 신성로마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조지아 제국 폴란드 왕국 봉건제 동서 대분열 서임권 투쟁 십자군 스콜라주의 수도주의 자치도시 장원제 중세 온난기 몽골의 유럽 침공 중세 후기 백년 전쟁 흑사병 장미 전쟁 후스 전쟁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 가 서방 교회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함락 오스만 제국의 흥기 스위스 용병 기사도 르네상스 인문주의 대학 중세 후기의 위기 소빙기 문화사 건축 미술 교회와 국가 관계 요리 인구 가정 문학 의약 음악 철학 시문학 과학 노예제 기술 전쟁 참조 사항 암흑 시대 중세와 장애인 중세주의 중세 재현 중세학 신중세주의 연표 고전후 시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라이슬로이퍼&oldid=22367551" 분류: 스위스의 군사사스위스의 용병중세 유럽의 전쟁직업별 스위스 사람숨은 분류: 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Türkçe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임찬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찬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임찬규 Im Chan-Kyu LG 트윈스 No.1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2년 11월 20일(1992-11-20) (26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5 cm 체중 8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1년 드래프트 순위 2011년 1라운드(LG 트윈스) 첫 출장 KBO / 2011년 4월 2일 잠실 대 두산전 구원 획득 타이틀 2010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헤포스상' 2011년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신인상' 계약금 3억원 연봉 1억 7,500만원 (2019년) 경력 ㅊ LG 트윈스 (2011년 ~ 현재) 경찰 야구단 (2014년 ~ 2015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아시안게임 2018년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아시안 게임 금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야구 임찬규(任燦圭, 1992년 11월 20일 ~ )는 KBO 리그 LG 트윈스의 투수이다. 목차 1 LG 트윈스 시절 1.1 2011 시즌 1.2 2012 시즌 2 경찰 야구단 시절 3 LG 트윈스 복귀 3.1 2016 시즌 3.2 2017 시즌 3.3 2018 시즌 4 등번호 5 논란 6 출신 학교 7 통산 기록 8 각주 9 외부 링크 LG 트윈스 시절[편집] 2011 시즌[편집] 2011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전체 2순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 3억원, 연봉 2,400만원의 조건으로 입단하였다.[1] 2011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고, 65경기에 등판하여 9승 6패, 7세이브를 기록했다. 시즌 막판에는 선발로 2경기에 등판했으나, 선발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2 시즌[편집] 2012년에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 데뷔 때 등번호로 1번을 썼으나, 시즌 후 당시 경찰 야구단에서 제대한 우규민에게 넘겨줬다. 2012년 시즌 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발됐으나 디스크로 인해 불참했다. 경찰 야구단 시절[편집] 2013 시즌 후 배영섭, 신재영 등과 함께 합격했다. 2015년 9월 25일에 제대했다. LG 트윈스 복귀[편집] 2016 시즌[편집] 2016년 8월 4일 두산전에서 5.2이닝 3실점을 기록했다.[2] 2017 시즌[편집] 시범 경기에서 5선발 후보 중 가장 좋은 경기 내용을 기록해 5선발로 낙점받았다. 시즌 첫 선발 경기가 우천 취소로 등판 일정이 밀리며 컨디션 조절에 애를 먹었고, 4월 9일 롯데전에서 3.1이닝 6사사구, 3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다. 4월 15일 kt전에서 5이닝 무실점, 3탈삼진을, 4월 21일 KIA전에서는 5이닝 1실점, 6탈삼진을 기록하며 좋은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고 4월 27일 SK전에서는 7.1이닝 7탈삼진, 무실점으로 1668일만의 QS+를 기록해 강한 인상을 남겼다.[3] 당시 1선발이었던 데이비드 허프가 부상으로 인해 이탈해 4선발로 승격됐다. 2018 시즌[편집] 2018년 7월 4일 NC전에서 7이닝 3실점으로 QS+를 기록했다.[4] 2018년 7월 20일 넥센전에서 데뷔 첫 선발 두 자릿수 승을 달성했다.[5] 등번호[편집] '1' (2011년 ~ 2012년, 2017년 ~ 현재) '29' (2013년 ~ 2016년) 논란[편집] 2011년 6월 8일 한화전 9회초 정원석이 홈 스틸을 시도하자 그가 황급히 홈으로 송구했으나, 이미 투구 동작에 들어갔던터라 이는 보크였다. 그러나 심판들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정원석의 아웃을 선언하는 오심을 범했다.[6] 2013년 5월 26일 SK전에서 끝내기 안타로 LG 트윈스의 승리를 이끌어 경기 MVP로 선정된 정의윤과 당시 KBS N 스포츠의 아나운서였던 정인영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그가 쓰레기통에 물을 받아 인터뷰 중인 정의윤과 정인영을 향해 물벼락을 날렸다. 하지만 그의 실수로 정의윤보다 물을 많이 묻은 정인영은 생중계 중이었지만 잠시 인터뷰를 중지하고 급하게 매무새를 가다듬은 후 다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에 그는 다음 날 사과했지만 KBS N 스포츠의 비난은 계속됐다. 이는 KBS N 스포츠 관계자들과 야구인들과의 싸움으로 번졌는데, 특히 KBS 한성윤 기자와 김성태 PD는 야구인들 전체가 인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감정적인 글을 올렸다. 이에 김정준, 박재홍 등의 야구인들이 반발 의견을 표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KBS N 스포츠는 앞으로 LG 트윈스와의 인터뷰는 없을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보이콧을 선언했었지만 인터뷰는 계속 하고 있다. 당시 LG 트윈스의 감독이었던 김기태, 당시 주장이었던 이병규와 그는 잠실에서 다시 한번 정식으로 아나운서에게 찾아가 사과했다.[7] 이사건으로 물찬규라는 별명이 생겼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가동초등학교 청원중학교 휘문고등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1 LG 4.46 65 0 0 9 6 7 0 0.600 375 82.2 73 8 61 1 62 45 41 2012 4.53 18 0 0 1 5 0 1 0.167 243 55.2 71 5 23 1 31 29 28 2013 4.70 17 0 0 1 1 0 0 0.500 201 44 51 7 21 0 45 24 23 2016 6.51 15 0 0 3 3 0 1 0.500 215 47 46 6 32 6 38 35 34 2017 4.63 27 0 0 6 10 0 0 0.375 560 124.1 133 12 45 24 113 70 64 2018 5.77 29 0 0 11 11 1 0 0.500 680 146.2 195 23 47 13 125 104 94 통산 6시즌 5.11 171 0 0 31 36 8 2 0.463 2274 500.1 569 61 229 45 414 307 284 각주[편집] ↑ LG, 신인 1차 지명 임찬규와 3억 원에 계약 - 세계일보 ↑ LG 임찬규, 5⅔이닝 3실점…1209일만의 승리투수 실패 -마이데일리 ↑ LG 임찬규, SK전 7⅓이닝 무실점 '1668일 만에 QS+' - 마이데일리 ↑ LG 임찬규, 부진 털고 NC전 7이닝 3실점 호투 - 마이데일리 ↑ '데뷔 첫 10승' 임찬규, 달라진 이닝 소화력 - 뉴스1 ↑ LG-한화전 명백한 보크 오심, 왜 나왔나 - 마이데일리 ↑ 임찬규 정인영 아나 물벼락 세리머니 파문 확산 - 세계파이낸스 외부 링크[편집] 임찬규 - KBO 투수별 기록 임찬규 싸이월드 미니홈피 vdehLG 트윈스 - 현재 명단감독 75 류중일 코치 6 유지현 (수석/수비) 9 이병규 (타격) 74 경헌호 (투수) 80 최일언 (투수) 82 세리자와 (배터리) 83 곽현희 (트레이닝) 72 김재걸 (작전) 81 김호 (주루) 86 신경식 (타격) 88 김용일 (트레이닝) 89 김동수 (어시스턴트) 97 김현욱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79 황병일 퓨처스 코치 73 김정민 (배터리) 87 양영동 (주루) 90 이종범 (총괄/타격) 92 가득염 (투수) 93 장진용 (투수) 96 김우석 (수비) 98 박용근 (작전) 육성군 코치 69 유동훈 (재활) 71 안상준 (수비/주루) 72 임훈 (타격) 99 김광삼 (투수) 투수 1 임찬규 3 켈리 11 류제국 17 최동환 18 이동현 19 고우석 21 진해수 23 차우찬 26 정찬헌 28 성동현 29 김영준 30 장원삼 31 신정락 34 이정용 35 윌슨 37 이우찬 38 배재준 39 유원석 40 한선태 43 김정후 48 김지용 49 정용운 51 임지섭 54 여건욱 57 이강욱 58 강정현 59 정우영 60 이상규 61 문광은 64 오석주 65 김태형 67 심수창 68 이상영 -- 이민호 포수 4 이성우 12 김재성 27 유강남 42 정상호 62 전준호 내야수 00 구본혁 0 최현준 2 백승현 5 신민재 7 정주현 8 김용의 10 오지환 13 윤진호 14 양원혁 16 김재율 25 김민성 44 장시윤 46 류형우 50 조셉 52 서상우 63 양종민 외야수 15 전민수 22 김현수(주장) 24 홍창기 32 이천웅 33 박용택 36 이형종 55 채은성 육성 선수 100 김호은 101 강구성 102 문보경 103 김성협 104 남호 105 김성진 106 이재원 107 조선명 108 이지강 109 김의준 110 송찬의 113 임준형 114 이나현 115 안익훈 119 박성준 120 김태형 128 한석현 129 백남원 군입대 선수 김기연 김태영 김주성 문성주 박부성 박재욱 손주영 양석환 이동규 이준형 이진석 이찬혁 임정우 장준원 천원석 최민창 최우혁 최재원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이민호(1차지명) vdeh대한민국 청소년 야구 국가대표팀 - 2010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감독 최재호 코치 강길룡 · 전형도 투수 임찬규 · 윤영삼 · 최현진 · 유창식 · 이현호 · 이태양 · 심창민 포수 유강남 · 유원선 · 김민욱 내야수 강병의 · 강경학 · 백세웅 · 허일 · 강진성 · 하주석 외야수 신철언 · 문우람 · 김호령 · 정진기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3위 감독 이연수 코치 박치왕 · 이상번 · 장재중 투수 윤근영 · 진해수 · 윤지웅 · 김대우 · 진명호 · 정인욱 · 김민수 · 김기태 · 홍성무 포수 이재원 · 최재훈 · 김민수 내야수 조평호 · 김용의 · 최윤석 · 정훈 · 오선진 · 강민국 · 고영민 외야수 이영욱 · 이준호 · 박정준 · 서용주 · 정형식 vdeh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201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감독 90 선동열 코치 71 이강철(투수) · 72 정민철(투수) · 76 유지현(내야 및 작전) · 77 이종범(외야 및 주루) · 88 김재현(타격) · 92 진갑용(배터리)투수 1 임찬규 · 30 최원태¹ · 38 임기영 · 42 장필준 · 45 이용찬 · 50 박종훈 · 51 최충연¹ · 54 양현종 · 57 정우람 · 61 함덕주¹ · 66 박치국¹포수 20 이재원 · 25 양의지내야수 2 오지환¹ · 7 김하성¹ · 8 안치홍 · 10 황재균 · 13 박민우¹ · 52 박병호외야수 17 이정후¹ · 22 김현수(주장) · 31 손아섭 · 32 김재환 · 58 박해민¹1은 금메달 획득 후 병역 특례 혜택을 받았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찬규&oldid=24363847"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LG 트윈스 선수서울가동초등학교 동문휘문고등학교 동문풍천 임씨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2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페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페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페블 스마트워치 페블 스마트워치제조사 페블 테크놀로지 후속 페블 스틸크기 가로 : 52 mm세로 : 36 mm두께 : 11.5 mm[1]무게 페블: 38.0 g[1]운영 체제 페블 OS(FreeRTOS 수정 버전, 클로즈 소스)CPU STM32F205RE Cortex M3 CPU메모리 64KB와 128KB 사이의 RAM저장 1024KB 플래시 메모리센서 3축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데이터 입력 4 버튼, 3축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디스플레이 1.26" 해상도 144 x 168 전자잉크 디스플레이웹사이트 http://getpebble.com 페블(영어: Pebble)은 페블 테크놀로지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킥스타터를 통해 펀딩하여 2013년 출시한 스마트워치이다. 킥스타터에서 1027만 달러를 모금하는 데 성공한다. 이 기록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모금한 금액 중 최고 기록이다. 페블은 아이폰과 특정 안드로이드 장치와 호환된다.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전화, 페이스북과 트위터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알람이 오면 진동으로 알림을 준다. 페블은 동시에 8개의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앱들은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앱 마켓에서 살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기능 2.1 하드웨어 2.2 소프트웨어 2.2.1 페블 SDK 3 페블 스틸 4 페블 타임 5 페블 타임 스틸 6 페블 타임 라운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페블은 에릭 미기코프스키(Eric Migicovsky)에 의해 디자인됐다. 미기코프스키는 비즈니스 와이 콤비네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프로그램(Y Combinator business incubator program)을 통해 그의 아이디어를 구현했다. 미기코프스키는 Draper Fisher Jurvetson의 투자자, Tim Draper 등에게 37만 5천 달러를 펀딩한다. 하지만 추가적인 금액을 펀딩 받지는 못한다. inPulse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출시했으나 대부분 실패한다. 그래서 2012년 4월 11일, 미기코프스키의 페블 테크놀로지는 킥스타터 캠페인을 런칭한다. 목표금액은 10만 달러였으며, 캠페인 런칭 2시간만에 이 금액을 달성했다. 그리고 30일이 지났을 때는 470만 달러를 달성한다. 2012년 5월 18일, 후원자 68,928명에 의해 10,266,844 달러를 모금하고 캠페인은 종료된다. 캠페인 당시 페블의 가격은 첫 200개는 99달러였으며, 115달러였다. 한편, 선주문 때는 150달러였다. 2013년 1월부터 대량생산에 돌입했으며, 주당 15,000대 생산을 목표로 잡았다. 2013년 7월 4일까지 85,000대가 판매됐다. 기능[편집] 하드웨어[편집] 페블은 샤프가 생산하는 1.26인치 144 x 168 전자잉크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진동모터, 지자기센서, 주변 빛센서, 3축 가속도센서를 장착했다. 안드로이드 및 iOS와 블루투스 2.1로 통신한다. 블루투스 4.0이 가능한 장치와 통신할 경우, 블루투스 4.0을 이용한다. 수정된 USB 케이블을 통해 자력으로 연결되어 충전한다. 배터리는 한 번 충전으로 약 7일 정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킥스타터 후원자들의 요청에 의해 방수 기능이 추가됐으며 5기압까지 방수 가능하다. 이는 민물과 바닷물 모두에서 40미터까지 잠수가능함을 의미하며, 더불어 착용상태에서 샤워, 다이빙, 수영 등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편집] 페블에는 FreeRTOS에 기반한 페블 OS가 설치되어 있으며, 몇 개의 앱이 기본 설치되어 있다. 페블 SDK[편집] 페블 테크놀로지는 제품이 배송되기 전에 페블 SDK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2013년 4월 12일, PoC(Proof of Concept, 개념 증명) 와치페이스(watchface) SDK와 문서를 공개했다. PebbleKit이라고 불리는 두 번째 SDK를 2013년 5월 17일 공개했다. 이 버전에서 AppMessag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페블과 스마트폰 장치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페블 스틸[편집] 페블 스틸은 페블의 다음 세대 제품이다. 기존 페블보다 더 작은 몸체를 가진다. 또한 새로운 충전 케이블로 변경됐으며, 페블 로고가 새겨져 있다. 손목 밴드는 메탈과 가죽, 두 모델이 있다. 페블 타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페블 타임 스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페블 타임 라운드[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가 나 https://getpebble.com/discover Archived 2014년 4월 3일 - 웨이백 머신 Pebble Discovery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페블 페블 - 공식 웹사이트 vdeh스마트워치 착용 컴퓨터 계산기 시계 손목 컴퓨터안드로이드 i'm Watch 모토로라 모토액티브 삼성 갤럭시 기어 WIMM 원 ZGPAX s5 Omate 트루스마트 넵튠 파인 watchOS 애플 워치 시리즈 1 시리즈 2 시리즈 3 웨어 OS 에이수스 젠워치 에이수스 젠워치 2 에이수스 젠워치 3 Casio WSD-F10 Casio WSD-F20 화웨이 워치 LG G 워치 LG G 워치 R LG 워치 어베인 LG 워치 어베인 세컨드 에디션 LG 워치 스포츠 LG 워치 스타일 Michael Kors Access 모토 360 1세대 2세대 모토 360 스포츠 Fossil Q Founder Fossil Q Marshal Fossil Q Wander 닉슨 미션 폴라 M600 삼성 기어 라이브 소니 스마트워치 Tag Heuer Connected 타이젠 삼성 갤럭시 기어 삼성 기어 2 삼성 기어 핏 삼성 기어 핏2 삼성 기어 핏2 프로 삼성 기어 S 삼성 기어 S2 삼성 기어 S3 삼성 기어 스포츠 삼성 갤럭시 워치 삼성 갤럭시 워치 액티브 삼성 갤럭시 핏/핏e Fitbit OS Fitbit Ionic Fitbit Versa 기타 Fossil Wrist PDA Ruputer ZYPAD 메타워치 마이크로소프트 밴드 2 페블 페블 타임 퀄컴 Toq 소니 스마트워치 손목 커뮤니케이터 패션 S9110 현대 MB 910 LG GD910 마션 워치 SWaP 클래식 Z1 안드로이드 워치폰 손목 데이터 장치 카시오 데이터뱅크 Timex Datalink 기타 Casio G-Shock GB-6900 Nelsonic Game Watch 소프트웨어 AsteroidOS 타이젠 WatchOS 웨어 O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페블&oldid=24375837" 분류: 안드로이드 장치스마트워치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ÍslenskaItaliano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기간 9월 15일 ~ 10월 2일참가국 16개국 (1개 대륙)경기장 2 (2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이라크● 준우승국 이란● 공동 3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계총 경기수 31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18 → v • d • e • h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에서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 4강에 진출한 팀들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목차 1 지역 예선 2 사건 및 논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토너먼트 4.1 8강전 4.2 4강전 4.3 결승전 지역 예선[편집] 서아시아   동아시아   기타 우즈베키스탄 지역 예선 A조 1위 말레이시아 지역 예선 G조 1위 인도 개최국 자동진출 키르기스스탄 지역 예선 B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예선 H조 1위 예멘 조 2위 추가진출(A조) 이라크 지역 예선 C조 1위 대한민국 지역 예선 I조 1위 오만 조 2위 추가진출(B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예선 D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에선 J조 1위 아랍에미리트 조 2위 추가진출(D조) 이란 지역 예선 E조 1위 일본 지역 에선 K조 1위 태국 조 2위 추가진출(H조) 베트남 조 2위 추가진출(J조) 사건 및 논란[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이란 3 2 1 0 7 3 +4 7 아랍에미리트 3 2 1 0 7 4 +3 7 사우디아라비아 3 0 1 2 6 9 -3 1 인도 3 0 1 2 5 9 -4 1 2016년 9월 15일 16:00 이란 3 – 2 사우디아라비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00 심판: 김대용 세예드  47'가데리  69'아사다바디  70' 리포트 알베쉬  4'알안나지  42' 2016년 9월 15일 19:00 인도 2 – 3 아랍에미리트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스탈린  11'탕잼  36' 리포트 아예드  34'라시드  53'파와지  74' 2016년 9월 18일 16:00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0 심판: 수크비르 싱 알라제즈  51' 리포트 아사다바디  49' 2016년 9월 18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3 – 3 인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700 심판: 왕디 술라이만  34'타리크  82', 83' 리포트 자다브  6'체트리  22'왕잼  90+5'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인도 0 - 3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892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가데리  23'사리피  81' (페널티골), 90+1'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700 심판: 김대용 알두레이위시  65' 리포트 파와지  42'알리 카미스  74'알나크비  81'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일본 3 3 0 0 21 0 +21 9 베트남 3 2 0 1 6 10 -4 6 키르기스스탄 3 1 0 2 2 11 -9 3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2 10 -8 0 2016년 9월 16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키르기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칸야베코프  76'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20:00 일본 7 – 0 베트남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쿠보  16', 64'후쿠오카  24', 51'미야시로  40'케모수  79'야마다  85' 리포트 2016년 9월 19일 16:00 키르기스스탄 0 – 8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5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타나하시  34', 54', 80' (페널티골)쿠보  42', 90+2'나카무라  43', 52'스즈키  56'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20:00 베트남 3 – 2 오스트레일리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467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탕  51', 61'두예 킨엠  86' 리포트 로버트  18', 28' 2016년 9월 22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6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43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코주키  4', 82'미야시로  54'세하타  56'마츠모토  64'타나하시  86' 2016년 9월 22일 16:00 베트남 3 - 1 키르기스스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55 심판: 카미스 모하메드 알쿠와리 캉 키엠  20'막사트  81' (자책골)비에트 쿵  88' 리포트 굴지기트  6'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오만 3 1 2 0 4 1 +3 5 이라크 3 1 2 0 4 3 +1 5 대한민국 3 1 1 1 4 2 +2 4 말레이시아 3 0 1 2 1 7 -6 1 2016년 9월 16일 16:00 대한민국 1 – 2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정찬영  43' 리포트 문타테르  45+2' (페널티골) 50'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19:00 말레이시아 0 – 3 오만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41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리포트 알알라위  20' (페널티골) 78'마르키  63'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16:00 이라크 1 - 1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자일  43' 리포트 알리프  86' 2016년 9월 19일 19:00 오만 0 - 0 대한민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812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31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박정인  4'천성훈  14' (페널티골)고준희  84'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오만 1 - 1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06 심판: 왕디 알알라위  90' 리포트 다우드  37'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0 1 7 6 +1 6 예멘 3 0 1 2 1 4 -3 1 태국 3 0 1 2 5 10 -5 1 2016년 9월 17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예멘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35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김복혁  61', 75' 리포트 2016년 9월 17일 20:00 우즈베키스탄 5 – 3 태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300 심판: 카미스 알말리 무예디노프  24' (페널티골)율도쇼프  45+2' (페널티골), 89'쿰케암  57' (자책골)압둘라에프  82' 리포트 진나와트  2'아르논  58', 90+4' 2016년 9월 20일 16:00 예멘 0 - 1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550 심판: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소비로노프  69' 2014년 9월 20일 20:00 태국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50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하사와트  69' 리포트 경담  41' (페널티골), 63', 67'리강국  79' 2016년 9월 23일 19: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3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973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리강국  75' 리포트 움자코프  49'율도쇼프  62'가니코노프  68' 2016년 9월 23일 19:00 태국 1 - 1 예멘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77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나타폰  47' 리포트 하사와트  69' (자책골)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5일 - 마르가오           이란  5 9월 29일 - 마르가오   베트남  0     이란  1 (6) 9월 26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5)     오만  1 (2) 10월 2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4)     이란  0 (3) 9월 25일 - 밤볼림     이라크  0 (4)   일본  1 9월 29일 - 밤볼림   아랍에미리트  0     일본  2 9월 26일 - 밤볼림     이라크  4     우즈베키스탄  0   이라크  2     8강전[편집] 2016년 9월 25일 16:00 이란 5 - 0 베트남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57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세예드  30', 72'가데리  47'아사다바디  62'호마모라디  69' 리포트 2016년 9월 25일 20:00 일본 1 - 0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428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세코  31' 리포트 2016년 9월 26일 16:00 오만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655 심판: 수크비르 싱 알자드하미  80' 김복혁  84'     승부차기   알알와이 알말키 알카이디 알자드하미 2 - 4 경담 차광 김경속 윤민 김복혁   2016년 9월 26일 19:00 우즈베키스탄 0 - 2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673 심판: 왕디 리포트 다우드  7', 79' 4강전[편집] 2016년 9월 29일 16:00 일본 2 - 4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54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야마다  29', 42' 리포트 다우드  18', 79' (페널티골) 90+4' (페널티골)압둘사다  67' 2016년 9월 29일 19:00 이란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사리피  19' 리포트 경담  80' (페널티골)     승부차기   아하니 에스마일자데 사리아티 코다모라디 사리피 아사다바디 자데흐 6 - 5 경담 김정진 윤민 차광 김복혁 박광민 김경속   결승전[편집] 2016년 10월 2일 18:00 이란 0 - 0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237 심판: 왕디     승부차기   3 - 4   2016년 AFCU-16 축구 선수권 대회 이라크우승 vdeh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85¹ 1986¹ 1988¹ 1990¹ 1992¹ 1994¹ 1996¹ 1998¹ 2000¹ 2002¹ 2004¹ 2006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¹: U-17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654" 분류: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2016년 9월2016년 10월인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16년 청소년 축구2017년 FIFA U-17 월드컵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기간 9월 15일 ~ 10월 2일참가국 16개국 (1개 대륙)경기장 2 (2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이라크● 준우승국 이란● 공동 3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계총 경기수 31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18 → v • d • e • h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에서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 4강에 진출한 팀들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목차 1 지역 예선 2 사건 및 논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토너먼트 4.1 8강전 4.2 4강전 4.3 결승전 지역 예선[편집] 서아시아   동아시아   기타 우즈베키스탄 지역 예선 A조 1위 말레이시아 지역 예선 G조 1위 인도 개최국 자동진출 키르기스스탄 지역 예선 B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예선 H조 1위 예멘 조 2위 추가진출(A조) 이라크 지역 예선 C조 1위 대한민국 지역 예선 I조 1위 오만 조 2위 추가진출(B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예선 D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에선 J조 1위 아랍에미리트 조 2위 추가진출(D조) 이란 지역 예선 E조 1위 일본 지역 에선 K조 1위 태국 조 2위 추가진출(H조) 베트남 조 2위 추가진출(J조) 사건 및 논란[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이란 3 2 1 0 7 3 +4 7 아랍에미리트 3 2 1 0 7 4 +3 7 사우디아라비아 3 0 1 2 6 9 -3 1 인도 3 0 1 2 5 9 -4 1 2016년 9월 15일 16:00 이란 3 – 2 사우디아라비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00 심판: 김대용 세예드  47'가데리  69'아사다바디  70' 리포트 알베쉬  4'알안나지  42' 2016년 9월 15일 19:00 인도 2 – 3 아랍에미리트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스탈린  11'탕잼  36' 리포트 아예드  34'라시드  53'파와지  74' 2016년 9월 18일 16:00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0 심판: 수크비르 싱 알라제즈  51' 리포트 아사다바디  49' 2016년 9월 18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3 – 3 인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700 심판: 왕디 술라이만  34'타리크  82', 83' 리포트 자다브  6'체트리  22'왕잼  90+5'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인도 0 - 3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892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가데리  23'사리피  81' (페널티골), 90+1'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700 심판: 김대용 알두레이위시  65' 리포트 파와지  42'알리 카미스  74'알나크비  81'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일본 3 3 0 0 21 0 +21 9 베트남 3 2 0 1 6 10 -4 6 키르기스스탄 3 1 0 2 2 11 -9 3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2 10 -8 0 2016년 9월 16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키르기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칸야베코프  76'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20:00 일본 7 – 0 베트남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쿠보  16', 64'후쿠오카  24', 51'미야시로  40'케모수  79'야마다  85' 리포트 2016년 9월 19일 16:00 키르기스스탄 0 – 8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5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타나하시  34', 54', 80' (페널티골)쿠보  42', 90+2'나카무라  43', 52'스즈키  56'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20:00 베트남 3 – 2 오스트레일리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467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탕  51', 61'두예 킨엠  86' 리포트 로버트  18', 28' 2016년 9월 22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6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43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코주키  4', 82'미야시로  54'세하타  56'마츠모토  64'타나하시  86' 2016년 9월 22일 16:00 베트남 3 - 1 키르기스스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55 심판: 카미스 모하메드 알쿠와리 캉 키엠  20'막사트  81' (자책골)비에트 쿵  88' 리포트 굴지기트  6'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오만 3 1 2 0 4 1 +3 5 이라크 3 1 2 0 4 3 +1 5 대한민국 3 1 1 1 4 2 +2 4 말레이시아 3 0 1 2 1 7 -6 1 2016년 9월 16일 16:00 대한민국 1 – 2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정찬영  43' 리포트 문타테르  45+2' (페널티골) 50'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19:00 말레이시아 0 – 3 오만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41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리포트 알알라위  20' (페널티골) 78'마르키  63'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16:00 이라크 1 - 1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자일  43' 리포트 알리프  86' 2016년 9월 19일 19:00 오만 0 - 0 대한민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812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31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박정인  4'천성훈  14' (페널티골)고준희  84'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오만 1 - 1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06 심판: 왕디 알알라위  90' 리포트 다우드  37'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0 1 7 6 +1 6 예멘 3 0 1 2 1 4 -3 1 태국 3 0 1 2 5 10 -5 1 2016년 9월 17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예멘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35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김복혁  61', 75' 리포트 2016년 9월 17일 20:00 우즈베키스탄 5 – 3 태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300 심판: 카미스 알말리 무예디노프  24' (페널티골)율도쇼프  45+2' (페널티골), 89'쿰케암  57' (자책골)압둘라에프  82' 리포트 진나와트  2'아르논  58', 90+4' 2016년 9월 20일 16:00 예멘 0 - 1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550 심판: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소비로노프  69' 2014년 9월 20일 20:00 태국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50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하사와트  69' 리포트 경담  41' (페널티골), 63', 67'리강국  79' 2016년 9월 23일 19: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3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973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리강국  75' 리포트 움자코프  49'율도쇼프  62'가니코노프  68' 2016년 9월 23일 19:00 태국 1 - 1 예멘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77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나타폰  47' 리포트 하사와트  69' (자책골)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5일 - 마르가오           이란  5 9월 29일 - 마르가오   베트남  0     이란  1 (6) 9월 26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5)     오만  1 (2) 10월 2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4)     이란  0 (3) 9월 25일 - 밤볼림     이라크  0 (4)   일본  1 9월 29일 - 밤볼림   아랍에미리트  0     일본  2 9월 26일 - 밤볼림     이라크  4     우즈베키스탄  0   이라크  2     8강전[편집] 2016년 9월 25일 16:00 이란 5 - 0 베트남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57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세예드  30', 72'가데리  47'아사다바디  62'호마모라디  69' 리포트 2016년 9월 25일 20:00 일본 1 - 0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428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세코  31' 리포트 2016년 9월 26일 16:00 오만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655 심판: 수크비르 싱 알자드하미  80' 김복혁  84'     승부차기   알알와이 알말키 알카이디 알자드하미 2 - 4 경담 차광 김경속 윤민 김복혁   2016년 9월 26일 19:00 우즈베키스탄 0 - 2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673 심판: 왕디 리포트 다우드  7', 79' 4강전[편집] 2016년 9월 29일 16:00 일본 2 - 4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54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야마다  29', 42' 리포트 다우드  18', 79' (페널티골) 90+4' (페널티골)압둘사다  67' 2016년 9월 29일 19:00 이란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사리피  19' 리포트 경담  80' (페널티골)     승부차기   아하니 에스마일자데 사리아티 코다모라디 사리피 아사다바디 자데흐 6 - 5 경담 김정진 윤민 차광 김복혁 박광민 김경속   결승전[편집] 2016년 10월 2일 18:00 이란 0 - 0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237 심판: 왕디     승부차기   3 - 4   2016년 AFCU-16 축구 선수권 대회 이라크우승 vdeh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85¹ 1986¹ 1988¹ 1990¹ 1992¹ 1994¹ 1996¹ 1998¹ 2000¹ 2002¹ 2004¹ 2006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¹: U-17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654" 분류: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2016년 9월2016년 10월인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16년 청소년 축구2017년 FIFA U-17 월드컵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기간 9월 15일 ~ 10월 2일참가국 16개국 (1개 대륙)경기장 2 (2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이라크● 준우승국 이란● 공동 3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계총 경기수 31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18 → v • d • e • h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에서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 4강에 진출한 팀들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목차 1 지역 예선 2 사건 및 논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토너먼트 4.1 8강전 4.2 4강전 4.3 결승전 지역 예선[편집] 서아시아   동아시아   기타 우즈베키스탄 지역 예선 A조 1위 말레이시아 지역 예선 G조 1위 인도 개최국 자동진출 키르기스스탄 지역 예선 B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예선 H조 1위 예멘 조 2위 추가진출(A조) 이라크 지역 예선 C조 1위 대한민국 지역 예선 I조 1위 오만 조 2위 추가진출(B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예선 D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에선 J조 1위 아랍에미리트 조 2위 추가진출(D조) 이란 지역 예선 E조 1위 일본 지역 에선 K조 1위 태국 조 2위 추가진출(H조) 베트남 조 2위 추가진출(J조) 사건 및 논란[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이란 3 2 1 0 7 3 +4 7 아랍에미리트 3 2 1 0 7 4 +3 7 사우디아라비아 3 0 1 2 6 9 -3 1 인도 3 0 1 2 5 9 -4 1 2016년 9월 15일 16:00 이란 3 – 2 사우디아라비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00 심판: 김대용 세예드  47'가데리  69'아사다바디  70' 리포트 알베쉬  4'알안나지  42' 2016년 9월 15일 19:00 인도 2 – 3 아랍에미리트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스탈린  11'탕잼  36' 리포트 아예드  34'라시드  53'파와지  74' 2016년 9월 18일 16:00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0 심판: 수크비르 싱 알라제즈  51' 리포트 아사다바디  49' 2016년 9월 18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3 – 3 인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700 심판: 왕디 술라이만  34'타리크  82', 83' 리포트 자다브  6'체트리  22'왕잼  90+5'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인도 0 - 3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892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가데리  23'사리피  81' (페널티골), 90+1'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700 심판: 김대용 알두레이위시  65' 리포트 파와지  42'알리 카미스  74'알나크비  81'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일본 3 3 0 0 21 0 +21 9 베트남 3 2 0 1 6 10 -4 6 키르기스스탄 3 1 0 2 2 11 -9 3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2 10 -8 0 2016년 9월 16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키르기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칸야베코프  76'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20:00 일본 7 – 0 베트남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쿠보  16', 64'후쿠오카  24', 51'미야시로  40'케모수  79'야마다  85' 리포트 2016년 9월 19일 16:00 키르기스스탄 0 – 8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5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타나하시  34', 54', 80' (페널티골)쿠보  42', 90+2'나카무라  43', 52'스즈키  56'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20:00 베트남 3 – 2 오스트레일리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467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탕  51', 61'두예 킨엠  86' 리포트 로버트  18', 28' 2016년 9월 22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6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43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코주키  4', 82'미야시로  54'세하타  56'마츠모토  64'타나하시  86' 2016년 9월 22일 16:00 베트남 3 - 1 키르기스스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55 심판: 카미스 모하메드 알쿠와리 캉 키엠  20'막사트  81' (자책골)비에트 쿵  88' 리포트 굴지기트  6'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오만 3 1 2 0 4 1 +3 5 이라크 3 1 2 0 4 3 +1 5 대한민국 3 1 1 1 4 2 +2 4 말레이시아 3 0 1 2 1 7 -6 1 2016년 9월 16일 16:00 대한민국 1 – 2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정찬영  43' 리포트 문타테르  45+2' (페널티골) 50'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19:00 말레이시아 0 – 3 오만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41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리포트 알알라위  20' (페널티골) 78'마르키  63'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16:00 이라크 1 - 1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자일  43' 리포트 알리프  86' 2016년 9월 19일 19:00 오만 0 - 0 대한민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812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31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박정인  4'천성훈  14' (페널티골)고준희  84'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오만 1 - 1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06 심판: 왕디 알알라위  90' 리포트 다우드  37'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0 1 7 6 +1 6 예멘 3 0 1 2 1 4 -3 1 태국 3 0 1 2 5 10 -5 1 2016년 9월 17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예멘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35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김복혁  61', 75' 리포트 2016년 9월 17일 20:00 우즈베키스탄 5 – 3 태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300 심판: 카미스 알말리 무예디노프  24' (페널티골)율도쇼프  45+2' (페널티골), 89'쿰케암  57' (자책골)압둘라에프  82' 리포트 진나와트  2'아르논  58', 90+4' 2016년 9월 20일 16:00 예멘 0 - 1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550 심판: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소비로노프  69' 2014년 9월 20일 20:00 태국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50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하사와트  69' 리포트 경담  41' (페널티골), 63', 67'리강국  79' 2016년 9월 23일 19: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3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973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리강국  75' 리포트 움자코프  49'율도쇼프  62'가니코노프  68' 2016년 9월 23일 19:00 태국 1 - 1 예멘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77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나타폰  47' 리포트 하사와트  69' (자책골)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5일 - 마르가오           이란  5 9월 29일 - 마르가오   베트남  0     이란  1 (6) 9월 26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5)     오만  1 (2) 10월 2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4)     이란  0 (3) 9월 25일 - 밤볼림     이라크  0 (4)   일본  1 9월 29일 - 밤볼림   아랍에미리트  0     일본  2 9월 26일 - 밤볼림     이라크  4     우즈베키스탄  0   이라크  2     8강전[편집] 2016년 9월 25일 16:00 이란 5 - 0 베트남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57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세예드  30', 72'가데리  47'아사다바디  62'호마모라디  69' 리포트 2016년 9월 25일 20:00 일본 1 - 0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428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세코  31' 리포트 2016년 9월 26일 16:00 오만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655 심판: 수크비르 싱 알자드하미  80' 김복혁  84'     승부차기   알알와이 알말키 알카이디 알자드하미 2 - 4 경담 차광 김경속 윤민 김복혁   2016년 9월 26일 19:00 우즈베키스탄 0 - 2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673 심판: 왕디 리포트 다우드  7', 79' 4강전[편집] 2016년 9월 29일 16:00 일본 2 - 4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54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야마다  29', 42' 리포트 다우드  18', 79' (페널티골) 90+4' (페널티골)압둘사다  67' 2016년 9월 29일 19:00 이란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사리피  19' 리포트 경담  80' (페널티골)     승부차기   아하니 에스마일자데 사리아티 코다모라디 사리피 아사다바디 자데흐 6 - 5 경담 김정진 윤민 차광 김복혁 박광민 김경속   결승전[편집] 2016년 10월 2일 18:00 이란 0 - 0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237 심판: 왕디     승부차기   3 - 4   2016년 AFCU-16 축구 선수권 대회 이라크우승 vdeh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85¹ 1986¹ 1988¹ 1990¹ 1992¹ 1994¹ 1996¹ 1998¹ 2000¹ 2002¹ 2004¹ 2006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¹: U-17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654" 분류: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2016년 9월2016년 10월인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16년 청소년 축구2017년 FIFA U-17 월드컵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기간 9월 15일 ~ 10월 2일참가국 16개국 (1개 대륙)경기장 2 (2개 도시) 최종 순위● 우승국 이라크● 준우승국 이란● 공동 3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통계총 경기수 31경기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2014 2018 → v • d • e • h 2016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인도에서 2016년 9월 15일부터 10월 2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대회 4강에 진출한 팀들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2017년 FIFA U-17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다. 목차 1 지역 예선 2 사건 및 논란 3 조별 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4 토너먼트 4.1 8강전 4.2 4강전 4.3 결승전 지역 예선[편집] 서아시아   동아시아   기타 우즈베키스탄 지역 예선 A조 1위 말레이시아 지역 예선 G조 1위 인도 개최국 자동진출 키르기스스탄 지역 예선 B조 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예선 H조 1위 예멘 조 2위 추가진출(A조) 이라크 지역 예선 C조 1위 대한민국 지역 예선 I조 1위 오만 조 2위 추가진출(B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 예선 D조 1위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에선 J조 1위 아랍에미리트 조 2위 추가진출(D조) 이란 지역 예선 E조 1위 일본 지역 에선 K조 1위 태국 조 2위 추가진출(H조) 베트남 조 2위 추가진출(J조) 사건 및 논란[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8강전에서 유리한 대진을 받기 위해 우즈베키스탄과의 조별 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고의적인 패배를 기록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의 장백호 골키퍼는 우즈베키스탄 골키퍼가 직접 찬 공이 그대로 골로 연결되도록 고의적으로 골문 밖으로 나와서 실점을 허용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벌금 20,000 달러, 윤정수 감독에게 벌금 5,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 장백호 골키퍼에게 벌금 1,000 달러, 1년간 국제 대회 출전 정지의 중징계를 내렸다. 또한 아시아 축구 연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이와 유사한 상황이 벌어질 경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201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이 금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별 리그[편집] 보기    조별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A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이란 3 2 1 0 7 3 +4 7 아랍에미리트 3 2 1 0 7 4 +3 7 사우디아라비아 3 0 1 2 6 9 -3 1 인도 3 0 1 2 5 9 -4 1 2016년 9월 15일 16:00 이란 3 – 2 사우디아라비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00 심판: 김대용 세예드  47'가데리  69'아사다바디  70' 리포트 알베쉬  4'알안나지  42' 2016년 9월 15일 19:00 인도 2 – 3 아랍에미리트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스탈린  11'탕잼  36' 리포트 아예드  34'라시드  53'파와지  74' 2016년 9월 18일 16:00 아랍에미리트 1 – 1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0 심판: 수크비르 싱 알라제즈  51' 리포트 아사다바디  49' 2016년 9월 18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3 – 3 인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700 심판: 왕디 술라이만  34'타리크  82', 83' 리포트 자다브  6'체트리  22'왕잼  90+5'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인도 0 - 3 이란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892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가데리  23'사리피  81' (페널티골), 90+1' (페널티골) 2016년 9월 21일 19:00 사우디아라비아 1 - 3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700 심판: 김대용 알두레이위시  65' 리포트 파와지  42'알리 카미스  74'알나크비  81' B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일본 3 3 0 0 21 0 +21 9 베트남 3 2 0 1 6 10 -4 6 키르기스스탄 3 1 0 2 2 11 -9 3 오스트레일리아 3 0 0 3 2 10 -8 0 2016년 9월 16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1 키르기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칸야베코프  76'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20:00 일본 7 – 0 베트남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00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쿠보  16', 64'후쿠오카  24', 51'미야시로  40'케모수  79'야마다  85' 리포트 2016년 9월 19일 16:00 키르기스스탄 0 – 8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50 심판: 야쿠브 압둘 바키 리포트 타나하시  34', 54', 80' (페널티골)쿠보  42', 90+2'나카무라  43', 52'스즈키  56'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20:00 베트남 3 – 2 오스트레일리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467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탕  51', 61'두예 킨엠  86' 리포트 로버트  18', 28' 2016년 9월 22일 16:00 오스트레일리아 0 - 6 일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430 심판: 시바꼰 푸우돔 리포트 코주키  4', 82'미야시로  54'세하타  56'마츠모토  64'타나하시  86' 2016년 9월 22일 16:00 베트남 3 - 1 키르기스스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55 심판: 카미스 모하메드 알쿠와리 캉 키엠  20'막사트  81' (자책골)비에트 쿵  88' 리포트 굴지기트  6' C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오만 3 1 2 0 4 1 +3 5 이라크 3 1 2 0 4 3 +1 5 대한민국 3 1 1 1 4 2 +2 4 말레이시아 3 0 1 2 1 7 -6 1 2016년 9월 16일 16:00 대한민국 1 – 2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정찬영  43' 리포트 문타테르  45+2' (페널티골) 50' (페널티골) 2016년 9월 16일 19:00 말레이시아 0 – 3 오만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41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리포트 알알라위  20' (페널티골) 78'마르키  63' (페널티골) 2016년 9월 19일 16:00 이라크 1 - 1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46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자일  43' 리포트 알리프  86' 2016년 9월 19일 19:00 오만 0 - 0 대한민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812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31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박정인  4'천성훈  14' (페널티골)고준희  84' 리포트 2016년 9월 22일 20:00 오만 1 - 1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06 심판: 왕디 알알라위  90' 리포트 다우드  37' D조[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승점 우즈베키스탄 3 3 0 0 9 2 +7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2 0 1 7 6 +1 6 예멘 3 0 1 2 1 4 -3 1 태국 3 0 1 2 5 10 -5 1 2016년 9월 17일 16: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예멘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35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김복혁  61', 75' 리포트 2016년 9월 17일 20:00 우즈베키스탄 5 – 3 태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300 심판: 카미스 알말리 무예디노프  24' (페널티골)율도쇼프  45+2' (페널티골), 89'쿰케암  57' (자책골)압둘라에프  82' 리포트 진나와트  2'아르논  58', 90+4' 2016년 9월 20일 16:00 예멘 0 - 1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550 심판: 로완 아루무간 리포트 소비로노프  69' 2014년 9월 20일 20:00 태국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150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하사와트  69' 리포트 경담  41' (페널티골), 63', 67'리강국  79' 2016년 9월 23일 19: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3 우즈베키스탄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973 심판: 마소우드 투파예리에흐 리강국  75' 리포트 움자코프  49'율도쇼프  62'가니코노프  68' 2016년 9월 23일 19:00 태국 1 - 1 예멘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377 심판: 차리무라트 쿠르바노프 나타폰  47' 리포트 하사와트  69' (자책골)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9월 25일 - 마르가오           이란  5 9월 29일 - 마르가오   베트남  0     이란  1 (6) 9월 26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5)     오만  1 (2) 10월 2일 - 마르가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4)     이란  0 (3) 9월 25일 - 밤볼림     이라크  0 (4)   일본  1 9월 29일 - 밤볼림   아랍에미리트  0     일본  2 9월 26일 - 밤볼림     이라크  4     우즈베키스탄  0   이라크  2     8강전[편집] 2016년 9월 25일 16:00 이란 5 - 0 베트남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557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세예드  30', 72'가데리  47'아사다바디  62'호마모라디  69' 리포트 2016년 9월 25일 20:00 일본 1 - 0 아랍에미리트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2,428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세코  31' 리포트 2016년 9월 26일 16:00 오만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655 심판: 수크비르 싱 알자드하미  80' 김복혁  84'     승부차기   알알와이 알말키 알카이디 알자드하미 2 - 4 경담 차광 김경속 윤민 김복혁   2016년 9월 26일 19:00 우즈베키스탄 0 - 2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673 심판: 왕디 리포트 다우드  7', 79' 4강전[편집] 2016년 9월 29일 16:00 일본 2 - 4 이라크 GMC 스타디움, 밤볼림 관중수: 1,542 심판: 로완 아루무간 야마다  29', 42' 리포트 다우드  18', 79' (페널티골) 90+4' (페널티골)압둘사다  67' 2016년 9월 29일 19:00 이란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1,014 심판: 아지즈 아시모프 사리피  19' 리포트 경담  80' (페널티골)     승부차기   아하니 에스마일자데 사리아티 코다모라디 사리피 아사다바디 자데흐 6 - 5 경담 김정진 윤민 차광 김복혁 박광민 김경속   결승전[편집] 2016년 10월 2일 18:00 이란 0 - 0 이라크 판디트 자와하랄 네루 스타디움, 마르가오 관중수: 2,237 심판: 왕디     승부차기   3 - 4   2016년 AFCU-16 축구 선수권 대회 이라크우승 vdeh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1985¹ 1986¹ 1988¹ 1990¹ 1992¹ 1994¹ 1996¹ 1998¹ 2000¹ 2002¹ 2004¹ 2006¹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¹: U-17 대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AFC_U-16_축구_선수권_대회&oldid=24490654" 분류: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2016년 9월2016년 10월인도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16년 청소년 축구2017년 FIFA U-17 월드컵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범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범증(范增,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04년)은 중국 초한전쟁 시기 초나라의 장군이자 참모이다. 70세가 될 때까지 은거생활을 하다가 진나라 말기에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항량의 휘하에 들어가 초 의제의 옹립을 건의하였다. 항량이 죽은 후에는 그의 조카인 서초패왕 항우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한왕 유방을 견제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항후 휘하에서 대장군이 되었으며 역양후(歷陽侯)의 작위를 받았다. 별명은 아보(亞父)였다.[1] 목차 1 생애 1.1 출신 1.2 항량의 휘하 1.3 항우의 휘하 1.4 함곡관 돌파 1.5 홍문의 연 1.6 십팔제후왕 분봉 1.7 형양 포위 1.8 반간계와 죽음 2 평가 3 각주 생애[편집] 출신[편집] 초한전쟁 이전의 범증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사기》 〈항우본기〉에 따르면 범증은 본래 거소(居鄛) 출신이었으며 집에 기거하면서 기이한 계책을 잘 냈다고 전한다.[2] 그 외에도 유안은 《괄지지》에서 범증이 본래 촉루산(髑髏山)에 기거하다가 훗날에 항우를 보좌하게 되었다고 주장했고,[3] 순열은 《한기(漢紀)》에서 범증이 부릉(阜陵) 출신이었다고 주장하였다.[4] 항량의 휘하[편집] 기원전 209년 9월, 초나라 귀족 출신인 항량이 진승·오광의 난의 난으로 진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조카인 항우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기원전 208년경, 당시 70세였던 범증은 항량을 찾아가 유세하였다. 범증은 진승·오광의 난이 실패한 이유는 진승(이 초나라의 왕손을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민심을 잃었기 때문임을 지적하며, 항량에게 초나라를 다시 일으키려면 옛 초나라 왕족을 왕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항량은 범증의 말이 옳다고 여기고는 그해 6월에 민간에 숨어살던 초 회왕의 후손 심(心)을 찾아내 초 의제를 옹립하였다.[5] 항우의 휘하[편집] 기원전 208년 9월, 항량은 정도(定陶)에서 진나라의 장군 장한에게 격파당하고 전사하였다.[6] 한편 초 의제는 송의를 상장군(上將軍)으로, 항량의 조카인 노공(魯公) 항우와 범증을 각기 차장(次將)·말장(末將)으로 삼아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를 구원하도록 하였다.[7] 초나라 군대를 지휘하게 된 송의는 조나라를 구원하러 가던 중에 안양(安陽)에 이르러 46일 동안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항우가 기원전 207년 11월에 송의를 살해하고 대신 상장군이 되어 초나라 군대의 지휘권을 장악하고는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의 거록을 구원하였으며 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였다.[8] 이후 범증은 항우를 따르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아보(亞父)"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여순(如淳)에 따르면, "아보"라는 말은 곧 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한다는 뜻으로, 춘추시대의 재상 관중이 제 환공으로부터 "중보(仲父)"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과 같다.[9] 함곡관 돌파[편집] 초 의제는 앞서 송의로 하여금 북쪽으로 조나라를 구원케하고, 패공(沛公) 유방으로 하여금 서쪽으로 함곡관(函谷关)을 공략케하면서 장수들 중 먼저 관중을 평정하는 자를 그 곳의 왕으로 삼기로 약속하였다.[10] 그런데 항우가 장한이 지휘하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항복을 받아내던 와중인 기원전 207년 9월,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관중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206년 10월에는 진왕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다.[11]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항우는 함곡관으로 진군하였다.[12] 유방은 관중에 입성한 후에 함곡관에 장수를 보내 관문을 지키도록 하였는데, 그 장수는 항우를 함곡관 안으로 들여보내주지 않았다. 당시 범증은 항우 휘하에서 대장군을 맡고 있었는데, 함곡관에 들어갈 수 없게되자 화를 내며 "패공은 반역을 하려 하는가?"라 말하더니 곧 집집마다 땔감을 한 다발씩 징발해서 관문을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관문을 열게 하였다.[13] 이에 항우가 함곡관을 돌파하여 희수 서쪽에 이르렀다.[14] 홍문의 연[편집] 함곡관을 돌파한 항우는 40만 대군을 거느리고 홍문(鴻門)에 도달했는데 이때 유방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패상(覇上)에 주둔하고 있었다. 범증은 항우에게 "패공이 산동에 있을 때만 해도 재물과 여색을 탐냈는데 지금 관중에 들어가서는 재물에는 손도 대지 않고 여자도 가까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그 뜻이 작지 않다는 것입니다. 제가 사람을 시켜 그 기운을 보게 했더니 모두 용과 호랑이에 오색인 것이 천자의 기운이었습니다. 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 공격하셔야 합니다."라 말하였다.[15] 그런데 유방의 참모였던 장량은 평소에 항우의 숙부 항백과 친분이 두터웠다. 덕분에 유방과 장량은 항백에게 부탁하여 항우를 찾아가 용서를 빌 기회를 마련하였다. 유방은 100여 명의 기병만을 거느리고 홍문으로 가서 항우의 연회에 참석하고는 자신의 잘못을 말하며 용서를 구하였다. 범증은 연회자리에서 수차례 눈짓을 던지고 옥결(玉玦)을 들어보이며 항우에게 그를 죽이라는 신호를 보냈으나, 유방에게 속아 넘어간 항우는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자 범증은 자리에서 일어나 밖에 있던 항우의 종제 항장(項莊)을 불러 검무를 추는 척하며 유방을 찔러 죽일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항백이 칼을 뽑아 항장과 더불어 검무를 추며 유방의 암살을 막았다. 상황이 나빠지자 장량은 번쾌를 불러와서 목숨을 걸고 유방을 호위하도록 하였다. 분위기가 험악해진 것을 눈치챈 유방은 측간에 가는 척하며 술이 취했다는 핑계로 홍문을 빠져나갔다.[16] 한편 유방이 홍문으로 오면서 백벽(白璧) 한쌍과 옥두(玉斗) 한쌍을 가져와 각기 항우와 범증에게 선물하려 하였으나 범증이 분노한 것을 보고는 그럴 엄두를 내지 못했다. 유방이 빠져나가고 나자 장량이 대신 선물을 항우와 범증에게 전해주었는데, 항우는 백벽을 받아두었으나 범증은 옥두를 땅바닥에 놓고 검을 뽑아 그것을 내리쳐 부숴버리며 "어린 놈과는 일을 도모할 수 없다! 항왕의 천하를 빼앗을 자는 패공이다! 이제 우리는 모두 그에게 사로잡히고 말 것이다!"라 말했다.[17] 십팔제후왕 분봉[편집] 유방을 제압하고 관중에 입성하여 자영을 죽여 진나라를 멸한 항우는 기원전 206년 12월, 중국 전역의 땅을 나누어 함께 진나라를 공격한 18명의 제후들에게 분봉하였다(항우의 십팔제후왕). 그런데 이때 항우와 범증은 유방을 의심하였으나 이제 와서 약속을 져버릴 수 없었고 또한 여러 제후들이 이로 인해 자신들을 배반할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관중을 4개의 나라, 즉 한(漢) · 옹(雍) · 새(塞) · 적(翟)으로 분할하고는 그 중에서도 길이 험해 유배지로나 여겨지던 파촉(巴蜀)을 유방에게 주어 한왕(漢王)으로 봉하였다. 또한 진나라의 옛 장수들인 장한· 사마흔 · 동예 등을 각기 옹왕(雍王) · 새왕(塞王) · 적왕(翟王)으로 봉하여 유방이 파촉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견제하였다.[18] 그러나 분봉이 끝난지 불과 8개월 후인 기원전 206년 8월[19]에 유방이 한신 등의 인재를 기용하여 불시에 함곡관을 빠져나와 방심하고 있던 관중의 세 나라를 공격하며 항우와 맞서기 시작하였다.[20] 이로 인하여 초한전쟁이 시작되었다. 형양 포위[편집] 기원전 204년, 항우는 형양(滎陽)으로 달아난 유방을 추격하여 그 식량 보급로를 끊으려 하였다. 곤궁에 처한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하며 형양을 기점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차지하고 동쪽은 초나라가 차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항우는 아직 제나라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유방의 제안을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역양후(歷陽侯)였던 범증은 이에 반대하며 유방을 먼저 쳐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항우는 범증의 의견을 받아들여 범증과 함께 형양에 주둔한 유방의 군대를 포위하였다.[21] 반간계와 죽음[편집] 범증의 방해 때문에 형양의 포위를 푸는데 실패한 유방은 진평에게 대책을 물었다. 그러자 진평은 "항왕의 강직한 신하들이라면 아보(亞父, 범증) · 종리말 · 용저 · 주은 등 몇 사람밖에 없습니다. 대왕께서 만약에 금 수 만 근을 내놓으실 수 있다면 이간책으로 군신을 갈라놓아 그 마음을 서로 의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라 말하며, 항우와 그 신하들의 사이를 이간질한 후에 초나라를 치면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2] 유방은 진평의 계책을 받아들이고는, 항우의 사자를 맞이할 때에 일부러 호화로운 식사인 태뢰(太牢)를 준비해 두었다가 막상 사자가 도착하자 "아보(亞父, 범증)의 사자가 아니라 항왕의 사자였군."이라 말하며 태뢰를 도로 물리고는 형편없는 식사를 대접하였다. 이 일을 알게 된 항우는 범증이 유방과 밀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점차 그의 권한을 빼앗아갔다. 이에 분노한 범증은 "천하의 일이 크게 정해졌으니 군왕께서 스스로 알아서 하십시오. 저는 고향으로 돌아가 늙어 죽고자 합니다."라 말하였다. 항우가 이를 수락하자 범증은 팽성(彭城)으로 돌아가던 중에 등창이 나서 죽고 말았다.[23] 《황람(皇覽)》에 따르면, 아보 범증의 무덤은 거소현 곽동(郭東)에 있었다. 또한 거소현의 관청 중앙에 "아보의 우물(亞父井)"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거소현의 관리와 백성들이 모두 거소현 관청에서 범증의 제사를 지내주었다. 그곳의 장리(長吏)들 또한 처음 공무를 볼 때에는 먼저 제사를 지낸 후에야 일을 처리했고, 나중에는 범증의 사당을 다시 지은 것이 후한 말기까지도 남아있었다고 한다.[24] 평가[편집] 범증이 죽은 후, 항우를 무찌르고 중국을 통일하여 황제가 된 유방은 낙양의 남궁(南宮)에서 신하들과 연회를 즐기다가 그들에게 자신이 항우를 무찌르고 천하를 얻은 까닭이 무엇인가 물었다. 이에 고기(高起)·왕릉 등이 대답하기를, 유방은 이득을 취하면 이를 신하들과 나누었으나 항우는 질투와 의심이 많아서 이득을 신하들과 나누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유방은 "그대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라 말하며, 자신에게는 장량·소하·한신 등의 인걸들이 있어서 이들을 쓸 줄 알았으나 항우 휘하에는 그런 인걸이 범증 한 사람 뿐이었음에도 그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25] 각주[편집]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정의》 권7 항우본기 ↑ 《사기색은》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예문유취》 권6 인용 〈초한춘추〉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당시 중국에서는 한 해의 시작을 10월, 끝을 이듬해 9월로 삼았었다. 자세한 사항은 전욱력 문서를 참고하라.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vdeh초한전쟁의 주요 인물황제 초 의제 열국 서초(西楚) 한(漢) 구강(九江) 형산 임강 옹(雍) 새(塞) 적(翟) 제(齊) 제북(齊北) 교동(膠東) 연(燕) 요동(遼東) 상산(常山) 대(代) 서위(西魏) 은(殷) 한(韓) 하남 서초군주 항적 장수 환초 영포 우영 우자기 종리말 계포 용저 주란 장한 사마흔 동예 옹치 참모 범증 항백 진평 한군주 유방 장수 한신 번쾌 주발 관영 조참 기신 왕릉 팽월 영포 하후영 참모 장량 소하 육가 역이기 진평 괴철 이좌거 수하 제후서초 옹왕 장한 새왕 사마흔 적왕 동예 구강왕 영포 서위왕 위표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제왕 전광 한 회남왕 영포 양왕 팽월 한왕 한신 조왕 장이 제왕 한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범증&oldid=24144060" 분류: 초한전쟁 관련자기원전 277년 태어남기원전 204년 죽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범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범증(范增,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04년)은 중국 초한전쟁 시기 초나라의 장군이자 참모이다. 70세가 될 때까지 은거생활을 하다가 진나라 말기에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항량의 휘하에 들어가 초 의제의 옹립을 건의하였다. 항량이 죽은 후에는 그의 조카인 서초패왕 항우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한왕 유방을 견제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항후 휘하에서 대장군이 되었으며 역양후(歷陽侯)의 작위를 받았다. 별명은 아보(亞父)였다.[1] 목차 1 생애 1.1 출신 1.2 항량의 휘하 1.3 항우의 휘하 1.4 함곡관 돌파 1.5 홍문의 연 1.6 십팔제후왕 분봉 1.7 형양 포위 1.8 반간계와 죽음 2 평가 3 각주 생애[편집] 출신[편집] 초한전쟁 이전의 범증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사기》 〈항우본기〉에 따르면 범증은 본래 거소(居鄛) 출신이었으며 집에 기거하면서 기이한 계책을 잘 냈다고 전한다.[2] 그 외에도 유안은 《괄지지》에서 범증이 본래 촉루산(髑髏山)에 기거하다가 훗날에 항우를 보좌하게 되었다고 주장했고,[3] 순열은 《한기(漢紀)》에서 범증이 부릉(阜陵) 출신이었다고 주장하였다.[4] 항량의 휘하[편집] 기원전 209년 9월, 초나라 귀족 출신인 항량이 진승·오광의 난의 난으로 진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조카인 항우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기원전 208년경, 당시 70세였던 범증은 항량을 찾아가 유세하였다. 범증은 진승·오광의 난이 실패한 이유는 진승(이 초나라의 왕손을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민심을 잃었기 때문임을 지적하며, 항량에게 초나라를 다시 일으키려면 옛 초나라 왕족을 왕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항량은 범증의 말이 옳다고 여기고는 그해 6월에 민간에 숨어살던 초 회왕의 후손 심(心)을 찾아내 초 의제를 옹립하였다.[5] 항우의 휘하[편집] 기원전 208년 9월, 항량은 정도(定陶)에서 진나라의 장군 장한에게 격파당하고 전사하였다.[6] 한편 초 의제는 송의를 상장군(上將軍)으로, 항량의 조카인 노공(魯公) 항우와 범증을 각기 차장(次將)·말장(末將)으로 삼아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를 구원하도록 하였다.[7] 초나라 군대를 지휘하게 된 송의는 조나라를 구원하러 가던 중에 안양(安陽)에 이르러 46일 동안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항우가 기원전 207년 11월에 송의를 살해하고 대신 상장군이 되어 초나라 군대의 지휘권을 장악하고는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의 거록을 구원하였으며 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였다.[8] 이후 범증은 항우를 따르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아보(亞父)"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여순(如淳)에 따르면, "아보"라는 말은 곧 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한다는 뜻으로, 춘추시대의 재상 관중이 제 환공으로부터 "중보(仲父)"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과 같다.[9] 함곡관 돌파[편집] 초 의제는 앞서 송의로 하여금 북쪽으로 조나라를 구원케하고, 패공(沛公) 유방으로 하여금 서쪽으로 함곡관(函谷关)을 공략케하면서 장수들 중 먼저 관중을 평정하는 자를 그 곳의 왕으로 삼기로 약속하였다.[10] 그런데 항우가 장한이 지휘하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항복을 받아내던 와중인 기원전 207년 9월,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관중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206년 10월에는 진왕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다.[11]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항우는 함곡관으로 진군하였다.[12] 유방은 관중에 입성한 후에 함곡관에 장수를 보내 관문을 지키도록 하였는데, 그 장수는 항우를 함곡관 안으로 들여보내주지 않았다. 당시 범증은 항우 휘하에서 대장군을 맡고 있었는데, 함곡관에 들어갈 수 없게되자 화를 내며 "패공은 반역을 하려 하는가?"라 말하더니 곧 집집마다 땔감을 한 다발씩 징발해서 관문을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관문을 열게 하였다.[13] 이에 항우가 함곡관을 돌파하여 희수 서쪽에 이르렀다.[14] 홍문의 연[편집] 함곡관을 돌파한 항우는 40만 대군을 거느리고 홍문(鴻門)에 도달했는데 이때 유방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패상(覇上)에 주둔하고 있었다. 범증은 항우에게 "패공이 산동에 있을 때만 해도 재물과 여색을 탐냈는데 지금 관중에 들어가서는 재물에는 손도 대지 않고 여자도 가까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그 뜻이 작지 않다는 것입니다. 제가 사람을 시켜 그 기운을 보게 했더니 모두 용과 호랑이에 오색인 것이 천자의 기운이었습니다. 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 공격하셔야 합니다."라 말하였다.[15] 그런데 유방의 참모였던 장량은 평소에 항우의 숙부 항백과 친분이 두터웠다. 덕분에 유방과 장량은 항백에게 부탁하여 항우를 찾아가 용서를 빌 기회를 마련하였다. 유방은 100여 명의 기병만을 거느리고 홍문으로 가서 항우의 연회에 참석하고는 자신의 잘못을 말하며 용서를 구하였다. 범증은 연회자리에서 수차례 눈짓을 던지고 옥결(玉玦)을 들어보이며 항우에게 그를 죽이라는 신호를 보냈으나, 유방에게 속아 넘어간 항우는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자 범증은 자리에서 일어나 밖에 있던 항우의 종제 항장(項莊)을 불러 검무를 추는 척하며 유방을 찔러 죽일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항백이 칼을 뽑아 항장과 더불어 검무를 추며 유방의 암살을 막았다. 상황이 나빠지자 장량은 번쾌를 불러와서 목숨을 걸고 유방을 호위하도록 하였다. 분위기가 험악해진 것을 눈치챈 유방은 측간에 가는 척하며 술이 취했다는 핑계로 홍문을 빠져나갔다.[16] 한편 유방이 홍문으로 오면서 백벽(白璧) 한쌍과 옥두(玉斗) 한쌍을 가져와 각기 항우와 범증에게 선물하려 하였으나 범증이 분노한 것을 보고는 그럴 엄두를 내지 못했다. 유방이 빠져나가고 나자 장량이 대신 선물을 항우와 범증에게 전해주었는데, 항우는 백벽을 받아두었으나 범증은 옥두를 땅바닥에 놓고 검을 뽑아 그것을 내리쳐 부숴버리며 "어린 놈과는 일을 도모할 수 없다! 항왕의 천하를 빼앗을 자는 패공이다! 이제 우리는 모두 그에게 사로잡히고 말 것이다!"라 말했다.[17] 십팔제후왕 분봉[편집] 유방을 제압하고 관중에 입성하여 자영을 죽여 진나라를 멸한 항우는 기원전 206년 12월, 중국 전역의 땅을 나누어 함께 진나라를 공격한 18명의 제후들에게 분봉하였다(항우의 십팔제후왕). 그런데 이때 항우와 범증은 유방을 의심하였으나 이제 와서 약속을 져버릴 수 없었고 또한 여러 제후들이 이로 인해 자신들을 배반할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관중을 4개의 나라, 즉 한(漢) · 옹(雍) · 새(塞) · 적(翟)으로 분할하고는 그 중에서도 길이 험해 유배지로나 여겨지던 파촉(巴蜀)을 유방에게 주어 한왕(漢王)으로 봉하였다. 또한 진나라의 옛 장수들인 장한· 사마흔 · 동예 등을 각기 옹왕(雍王) · 새왕(塞王) · 적왕(翟王)으로 봉하여 유방이 파촉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견제하였다.[18] 그러나 분봉이 끝난지 불과 8개월 후인 기원전 206년 8월[19]에 유방이 한신 등의 인재를 기용하여 불시에 함곡관을 빠져나와 방심하고 있던 관중의 세 나라를 공격하며 항우와 맞서기 시작하였다.[20] 이로 인하여 초한전쟁이 시작되었다. 형양 포위[편집] 기원전 204년, 항우는 형양(滎陽)으로 달아난 유방을 추격하여 그 식량 보급로를 끊으려 하였다. 곤궁에 처한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하며 형양을 기점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차지하고 동쪽은 초나라가 차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항우는 아직 제나라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유방의 제안을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역양후(歷陽侯)였던 범증은 이에 반대하며 유방을 먼저 쳐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항우는 범증의 의견을 받아들여 범증과 함께 형양에 주둔한 유방의 군대를 포위하였다.[21] 반간계와 죽음[편집] 범증의 방해 때문에 형양의 포위를 푸는데 실패한 유방은 진평에게 대책을 물었다. 그러자 진평은 "항왕의 강직한 신하들이라면 아보(亞父, 범증) · 종리말 · 용저 · 주은 등 몇 사람밖에 없습니다. 대왕께서 만약에 금 수 만 근을 내놓으실 수 있다면 이간책으로 군신을 갈라놓아 그 마음을 서로 의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라 말하며, 항우와 그 신하들의 사이를 이간질한 후에 초나라를 치면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2] 유방은 진평의 계책을 받아들이고는, 항우의 사자를 맞이할 때에 일부러 호화로운 식사인 태뢰(太牢)를 준비해 두었다가 막상 사자가 도착하자 "아보(亞父, 범증)의 사자가 아니라 항왕의 사자였군."이라 말하며 태뢰를 도로 물리고는 형편없는 식사를 대접하였다. 이 일을 알게 된 항우는 범증이 유방과 밀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점차 그의 권한을 빼앗아갔다. 이에 분노한 범증은 "천하의 일이 크게 정해졌으니 군왕께서 스스로 알아서 하십시오. 저는 고향으로 돌아가 늙어 죽고자 합니다."라 말하였다. 항우가 이를 수락하자 범증은 팽성(彭城)으로 돌아가던 중에 등창이 나서 죽고 말았다.[23] 《황람(皇覽)》에 따르면, 아보 범증의 무덤은 거소현 곽동(郭東)에 있었다. 또한 거소현의 관청 중앙에 "아보의 우물(亞父井)"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거소현의 관리와 백성들이 모두 거소현 관청에서 범증의 제사를 지내주었다. 그곳의 장리(長吏)들 또한 처음 공무를 볼 때에는 먼저 제사를 지낸 후에야 일을 처리했고, 나중에는 범증의 사당을 다시 지은 것이 후한 말기까지도 남아있었다고 한다.[24] 평가[편집] 범증이 죽은 후, 항우를 무찌르고 중국을 통일하여 황제가 된 유방은 낙양의 남궁(南宮)에서 신하들과 연회를 즐기다가 그들에게 자신이 항우를 무찌르고 천하를 얻은 까닭이 무엇인가 물었다. 이에 고기(高起)·왕릉 등이 대답하기를, 유방은 이득을 취하면 이를 신하들과 나누었으나 항우는 질투와 의심이 많아서 이득을 신하들과 나누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유방은 "그대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라 말하며, 자신에게는 장량·소하·한신 등의 인걸들이 있어서 이들을 쓸 줄 알았으나 항우 휘하에는 그런 인걸이 범증 한 사람 뿐이었음에도 그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25] 각주[편집]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정의》 권7 항우본기 ↑ 《사기색은》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예문유취》 권6 인용 〈초한춘추〉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당시 중국에서는 한 해의 시작을 10월, 끝을 이듬해 9월로 삼았었다. 자세한 사항은 전욱력 문서를 참고하라.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vdeh초한전쟁의 주요 인물황제 초 의제 열국 서초(西楚) 한(漢) 구강(九江) 형산 임강 옹(雍) 새(塞) 적(翟) 제(齊) 제북(齊北) 교동(膠東) 연(燕) 요동(遼東) 상산(常山) 대(代) 서위(西魏) 은(殷) 한(韓) 하남 서초군주 항적 장수 환초 영포 우영 우자기 종리말 계포 용저 주란 장한 사마흔 동예 옹치 참모 범증 항백 진평 한군주 유방 장수 한신 번쾌 주발 관영 조참 기신 왕릉 팽월 영포 하후영 참모 장량 소하 육가 역이기 진평 괴철 이좌거 수하 제후서초 옹왕 장한 새왕 사마흔 적왕 동예 구강왕 영포 서위왕 위표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제왕 전광 한 회남왕 영포 양왕 팽월 한왕 한신 조왕 장이 제왕 한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범증&oldid=24144060" 분류: 초한전쟁 관련자기원전 277년 태어남기원전 204년 죽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범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범증(范增,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04년)은 중국 초한전쟁 시기 초나라의 장군이자 참모이다. 70세가 될 때까지 은거생활을 하다가 진나라 말기에 초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항량의 휘하에 들어가 초 의제의 옹립을 건의하였다. 항량이 죽은 후에는 그의 조카인 서초패왕 항우의 참모로 활동하면서 한왕 유방을 견제하려 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항후 휘하에서 대장군이 되었으며 역양후(歷陽侯)의 작위를 받았다. 별명은 아보(亞父)였다.[1] 목차 1 생애 1.1 출신 1.2 항량의 휘하 1.3 항우의 휘하 1.4 함곡관 돌파 1.5 홍문의 연 1.6 십팔제후왕 분봉 1.7 형양 포위 1.8 반간계와 죽음 2 평가 3 각주 생애[편집] 출신[편집] 초한전쟁 이전의 범증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사기》 〈항우본기〉에 따르면 범증은 본래 거소(居鄛) 출신이었으며 집에 기거하면서 기이한 계책을 잘 냈다고 전한다.[2] 그 외에도 유안은 《괄지지》에서 범증이 본래 촉루산(髑髏山)에 기거하다가 훗날에 항우를 보좌하게 되었다고 주장했고,[3] 순열은 《한기(漢紀)》에서 범증이 부릉(阜陵) 출신이었다고 주장하였다.[4] 항량의 휘하[편집] 기원전 209년 9월, 초나라 귀족 출신인 항량이 진승·오광의 난의 난으로 진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서 조카인 항우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기원전 208년경, 당시 70세였던 범증은 항량을 찾아가 유세하였다. 범증은 진승·오광의 난이 실패한 이유는 진승(이 초나라의 왕손을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 민심을 잃었기 때문임을 지적하며, 항량에게 초나라를 다시 일으키려면 옛 초나라 왕족을 왕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항량은 범증의 말이 옳다고 여기고는 그해 6월에 민간에 숨어살던 초 회왕의 후손 심(心)을 찾아내 초 의제를 옹립하였다.[5] 항우의 휘하[편집] 기원전 208년 9월, 항량은 정도(定陶)에서 진나라의 장군 장한에게 격파당하고 전사하였다.[6] 한편 초 의제는 송의를 상장군(上將軍)으로, 항량의 조카인 노공(魯公) 항우와 범증을 각기 차장(次將)·말장(末將)으로 삼아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를 구원하도록 하였다.[7] 초나라 군대를 지휘하게 된 송의는 조나라를 구원하러 가던 중에 안양(安陽)에 이르러 46일 동안 움직이지 않았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항우가 기원전 207년 11월에 송의를 살해하고 대신 상장군이 되어 초나라 군대의 지휘권을 장악하고는 진나라 군대에게 포위당한 조나라의 거록을 구원하였으며 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였다.[8] 이후 범증은 항우를 따르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아보(亞父)"라는 별명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여순(如淳)에 따르면, "아보"라는 말은 곧 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한다는 뜻으로, 춘추시대의 재상 관중이 제 환공으로부터 "중보(仲父)"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과 같다.[9] 함곡관 돌파[편집] 초 의제는 앞서 송의로 하여금 북쪽으로 조나라를 구원케하고, 패공(沛公) 유방으로 하여금 서쪽으로 함곡관(函谷关)을 공략케하면서 장수들 중 먼저 관중을 평정하는 자를 그 곳의 왕으로 삼기로 약속하였다.[10] 그런데 항우가 장한이 지휘하던 진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그의 항복을 받아내던 와중인 기원전 207년 9월,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관중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206년 10월에는 진왕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아냈다.[11] 이 소식을 듣고 화가 난 항우는 함곡관으로 진군하였다.[12] 유방은 관중에 입성한 후에 함곡관에 장수를 보내 관문을 지키도록 하였는데, 그 장수는 항우를 함곡관 안으로 들여보내주지 않았다. 당시 범증은 항우 휘하에서 대장군을 맡고 있었는데, 함곡관에 들어갈 수 없게되자 화를 내며 "패공은 반역을 하려 하는가?"라 말하더니 곧 집집마다 땔감을 한 다발씩 징발해서 관문을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하여 관문을 열게 하였다.[13] 이에 항우가 함곡관을 돌파하여 희수 서쪽에 이르렀다.[14] 홍문의 연[편집] 함곡관을 돌파한 항우는 40만 대군을 거느리고 홍문(鴻門)에 도달했는데 이때 유방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패상(覇上)에 주둔하고 있었다. 범증은 항우에게 "패공이 산동에 있을 때만 해도 재물과 여색을 탐냈는데 지금 관중에 들어가서는 재물에는 손도 대지 않고 여자도 가까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그 뜻이 작지 않다는 것입니다. 제가 사람을 시켜 그 기운을 보게 했더니 모두 용과 호랑이에 오색인 것이 천자의 기운이었습니다. 때를 놓치지 말고 서둘러 공격하셔야 합니다."라 말하였다.[15] 그런데 유방의 참모였던 장량은 평소에 항우의 숙부 항백과 친분이 두터웠다. 덕분에 유방과 장량은 항백에게 부탁하여 항우를 찾아가 용서를 빌 기회를 마련하였다. 유방은 100여 명의 기병만을 거느리고 홍문으로 가서 항우의 연회에 참석하고는 자신의 잘못을 말하며 용서를 구하였다. 범증은 연회자리에서 수차례 눈짓을 던지고 옥결(玉玦)을 들어보이며 항우에게 그를 죽이라는 신호를 보냈으나, 유방에게 속아 넘어간 항우는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자 범증은 자리에서 일어나 밖에 있던 항우의 종제 항장(項莊)을 불러 검무를 추는 척하며 유방을 찔러 죽일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항백이 칼을 뽑아 항장과 더불어 검무를 추며 유방의 암살을 막았다. 상황이 나빠지자 장량은 번쾌를 불러와서 목숨을 걸고 유방을 호위하도록 하였다. 분위기가 험악해진 것을 눈치챈 유방은 측간에 가는 척하며 술이 취했다는 핑계로 홍문을 빠져나갔다.[16] 한편 유방이 홍문으로 오면서 백벽(白璧) 한쌍과 옥두(玉斗) 한쌍을 가져와 각기 항우와 범증에게 선물하려 하였으나 범증이 분노한 것을 보고는 그럴 엄두를 내지 못했다. 유방이 빠져나가고 나자 장량이 대신 선물을 항우와 범증에게 전해주었는데, 항우는 백벽을 받아두었으나 범증은 옥두를 땅바닥에 놓고 검을 뽑아 그것을 내리쳐 부숴버리며 "어린 놈과는 일을 도모할 수 없다! 항왕의 천하를 빼앗을 자는 패공이다! 이제 우리는 모두 그에게 사로잡히고 말 것이다!"라 말했다.[17] 십팔제후왕 분봉[편집] 유방을 제압하고 관중에 입성하여 자영을 죽여 진나라를 멸한 항우는 기원전 206년 12월, 중국 전역의 땅을 나누어 함께 진나라를 공격한 18명의 제후들에게 분봉하였다(항우의 십팔제후왕). 그런데 이때 항우와 범증은 유방을 의심하였으나 이제 와서 약속을 져버릴 수 없었고 또한 여러 제후들이 이로 인해 자신들을 배반할까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관중을 4개의 나라, 즉 한(漢) · 옹(雍) · 새(塞) · 적(翟)으로 분할하고는 그 중에서도 길이 험해 유배지로나 여겨지던 파촉(巴蜀)을 유방에게 주어 한왕(漢王)으로 봉하였다. 또한 진나라의 옛 장수들인 장한· 사마흔 · 동예 등을 각기 옹왕(雍王) · 새왕(塞王) · 적왕(翟王)으로 봉하여 유방이 파촉에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견제하였다.[18] 그러나 분봉이 끝난지 불과 8개월 후인 기원전 206년 8월[19]에 유방이 한신 등의 인재를 기용하여 불시에 함곡관을 빠져나와 방심하고 있던 관중의 세 나라를 공격하며 항우와 맞서기 시작하였다.[20] 이로 인하여 초한전쟁이 시작되었다. 형양 포위[편집] 기원전 204년, 항우는 형양(滎陽)으로 달아난 유방을 추격하여 그 식량 보급로를 끊으려 하였다. 곤궁에 처한 유방은 항우에게 강화를 요청하며 형양을 기점으로 서쪽은 한나라가 차지하고 동쪽은 초나라가 차지할 것을 제안하였다. 항우는 아직 제나라의 반란을 완전히 진압하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유방의 제안을 받아들이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 역양후(歷陽侯)였던 범증은 이에 반대하며 유방을 먼저 쳐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항우는 범증의 의견을 받아들여 범증과 함께 형양에 주둔한 유방의 군대를 포위하였다.[21] 반간계와 죽음[편집] 범증의 방해 때문에 형양의 포위를 푸는데 실패한 유방은 진평에게 대책을 물었다. 그러자 진평은 "항왕의 강직한 신하들이라면 아보(亞父, 범증) · 종리말 · 용저 · 주은 등 몇 사람밖에 없습니다. 대왕께서 만약에 금 수 만 근을 내놓으실 수 있다면 이간책으로 군신을 갈라놓아 그 마음을 서로 의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라 말하며, 항우와 그 신하들의 사이를 이간질한 후에 초나라를 치면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2] 유방은 진평의 계책을 받아들이고는, 항우의 사자를 맞이할 때에 일부러 호화로운 식사인 태뢰(太牢)를 준비해 두었다가 막상 사자가 도착하자 "아보(亞父, 범증)의 사자가 아니라 항왕의 사자였군."이라 말하며 태뢰를 도로 물리고는 형편없는 식사를 대접하였다. 이 일을 알게 된 항우는 범증이 유방과 밀통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여 점차 그의 권한을 빼앗아갔다. 이에 분노한 범증은 "천하의 일이 크게 정해졌으니 군왕께서 스스로 알아서 하십시오. 저는 고향으로 돌아가 늙어 죽고자 합니다."라 말하였다. 항우가 이를 수락하자 범증은 팽성(彭城)으로 돌아가던 중에 등창이 나서 죽고 말았다.[23] 《황람(皇覽)》에 따르면, 아보 범증의 무덤은 거소현 곽동(郭東)에 있었다. 또한 거소현의 관청 중앙에 "아보의 우물(亞父井)"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거소현의 관리와 백성들이 모두 거소현 관청에서 범증의 제사를 지내주었다. 그곳의 장리(長吏)들 또한 처음 공무를 볼 때에는 먼저 제사를 지낸 후에야 일을 처리했고, 나중에는 범증의 사당을 다시 지은 것이 후한 말기까지도 남아있었다고 한다.[24] 평가[편집] 범증이 죽은 후, 항우를 무찌르고 중국을 통일하여 황제가 된 유방은 낙양의 남궁(南宮)에서 신하들과 연회를 즐기다가 그들에게 자신이 항우를 무찌르고 천하를 얻은 까닭이 무엇인가 물었다. 이에 고기(高起)·왕릉 등이 대답하기를, 유방은 이득을 취하면 이를 신하들과 나누었으나 항우는 질투와 의심이 많아서 이득을 신하들과 나누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에 유방은 "그대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라 말하며, 자신에게는 장량·소하·한신 등의 인걸들이 있어서 이들을 쓸 줄 알았으나 항우 휘하에는 그런 인걸이 범증 한 사람 뿐이었음에도 그조차 제대로 쓰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이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고 답하였다.[25] 각주[편집]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정의》 권7 항우본기 ↑ 《사기색은》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예문유취》 권6 인용 〈초한춘추〉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당시 중국에서는 한 해의 시작을 10월, 끝을 이듬해 9월로 삼았었다. 자세한 사항은 전욱력 문서를 참고하라. ↑ 《사기》 권8 고조본기 ; 《사기》 권16 진초지제월표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56 진승상세가 ↑ 《사기집해》 권7 항우본기 ↑ 《사기》 권8 고조본기 vdeh초한전쟁의 주요 인물황제 초 의제 열국 서초(西楚) 한(漢) 구강(九江) 형산 임강 옹(雍) 새(塞) 적(翟) 제(齊) 제북(齊北) 교동(膠東) 연(燕) 요동(遼東) 상산(常山) 대(代) 서위(西魏) 은(殷) 한(韓) 하남 서초군주 항적 장수 환초 영포 우영 우자기 종리말 계포 용저 주란 장한 사마흔 동예 옹치 참모 범증 항백 진평 한군주 유방 장수 한신 번쾌 주발 관영 조참 기신 왕릉 팽월 영포 하후영 참모 장량 소하 육가 역이기 진평 괴철 이좌거 수하 제후서초 옹왕 장한 새왕 사마흔 적왕 동예 구강왕 영포 서위왕 위표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제왕 전광 한 회남왕 영포 양왕 팽월 한왕 한신 조왕 장이 제왕 한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범증&oldid=24144060" 분류: 초한전쟁 관련자기원전 277년 태어남기원전 204년 죽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936년 하계 올림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36년 하계 올림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베를린 올림픽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취소된 대회에 대해서는 1916년 하계 올림픽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36년 하계 올림픽대회 제11회 하계 올림픽 경기 대회개최국 독일개최 도시 베를린참가국 49개국참가 선수 3963명(남자: 3632명, 여자: 331명)경기 종목 19개 종목, 129개 세부 종목개막식 1936년 8월 1일폐막식 1936년 8월 16일 개회 선언 아돌프 히틀러 총통선수 선서 루돌프 이스마이어성화 점화 프리츠 실겐주경기장 베를린 올림픽 스타디움여름 <  로스앤젤레스 1932 런던 1948  >도쿄-헬싱키 1940  > 1936년 하계 올림픽(영어: 1936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XI Olympiad, 독일어: Olympische Sommerspiele 1936)은 1936년 8월 1일부터 8월 16일까지 독일의 수도 베를린에서 개최된 제11회 하계 올림픽이다. 목차 1 투표 결과 2 참가국 3 개최 종목 3.1 시범 종목 3.2 비공식 종목 4 메달 집계 5 주요 대회 기록 6 외부 링크 투표 결과[편집] 개최지 투표는 1931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IOC 총회에서 결정하였다. 개최지 투표결과 후보 도시 NOC 투표 베를린 독일 43 바르셀로나 스페인 16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0 부다페스트 헝가리 0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0 쾰른 독일 0 더블린 아일랜드 0 프랑크푸르트 독일 0 헬싱키 핀란드 0 로잔 스위스 0 뉘른베르크 독일 0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0 로마 이탈리아 0 참가국[편집] 1936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 참가국들이 파견한 선수단의 인원 수 아프가니스탄, 버뮤다,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리히텐슈타인 5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과 인원은 다음과 같다. 참가국 및 인원 목록 아프가니스탄 (14) 아르헨티나 (51) 오스트레일리아 (32) 오스트리아 (176) 벨기에 (120) 버뮤다 (5) 볼리비아 (1) 브라질 (73) 불가리아 (24) 캐나다 (96) 칠레 (40) 중화민국 (54) 콜롬비아 (5) 코스타리카 (1) 체코슬로바키아 (162) 덴마크 (116) 이집트 (54) 에스토니아 (33) 핀란드 (107) 프랑스 (201) 영국 (207) 독일 (348) (개최국) 그리스 (40) 헝가리 (209) 인도 (27) 아이슬란드 (12) 이탈리아 (182) 일본 (153) 라트비아 (24) 리히텐슈타인 (6) 룩셈부르크 (44) 멕시코 (34) 몰타 (11) 모나코 (6) 네덜란드 (128) 노르웨이 (72) 뉴질랜드 (7) 페루 (40) 필리핀 (28) 폴란드 (112) 포르투갈 (19) 루마니아 (53) 남아프리카 연방 (25) 스위스 (174) 스웨덴 (150) 터키 (48) 우루과이 (37) 미국 (310) 유고슬라비아 (90) 아이티도 개막식에 참가하였으나, 유일하게 참가한 역도 선수가 경기 도중 기권하였다. 개최 종목[편집]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역도 요트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펜싱 폴로 하키 핸드볼 시범 종목[편집] 글라이딩 야구 비공식 종목[편집] 예술 메달 집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3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입니다. 1936년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독일 33 26 30 89 2 미국 24 20 12 56 3 헝가리 10 1 5 16 4 이탈리아 8 9 5 22 5 핀란드 7 6 6 19 프랑스 7 6 6 19 7 스웨덴 6 5 9 20 8 일본 6 4 8 18 9 네덜란드 6 4 7 17 10 영국 4 7 3 14 주요 대회 기록[편집] 처음으로 봉송주자들에 의해 올림픽 성화를 옮기는 행사가 실시되었다. 올림픽 성화는 그리스 아테네 올림피아로부터 올림픽 개최도시까지 옮겨졌으며 이동길이는 총 3000킬로미터였다. 처음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기를 중계하였으며, 베를린 전지역에 25개의 대형 화면을 설치해 올림픽을 무료로 볼수있게 했다. 경기 종목 수는 총 129개였는데, 농구, 카누, 핸드볼 경기가 처음으로 열렸으며 폴로가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 49개국이 참가하였고, 참가선수는 4066명(여 : 328명, 남 : 3738명)이었다. 당시 조선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그래서 조선인 처음으로 마라톤 경기에 손기정과 남승룡이 일본제국 선수로 출전하였으며,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일장기 말소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나치스 정권을 수립한 이후에 개최된 올림픽이었기 때문에 나치스 당기를 독일 국기로 썼다. 미국 흑인선수나 유대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적 분위기도 있었으나, 흑인이었던 미국의 제시 오언스가 4관왕에 올랐다. 히틀러가 제시 오언스를 푸대접했다는 이야기는 정확하지 않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936년 하계 올림픽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 Online Exhibition: Nazi Olympics: Berlin 1936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 Library Bibliography: 1936 Olympics 하계 올림픽 이전 대회 1936년 하계 올림픽베를린 1936 다음 대회 로스앤젤레스 1932 도쿄-헬싱키 1940 vdeh올림픽 경기 종목 경기장 메달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의식 상징 개최지 선정 IOC IOC 총회 NOC 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6) 1908 1912 1916 1920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2028 2032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0 1944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취소선 : 취소된 올림픽, () : 중간 올림픽 vdeh193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근대5종 글라이딩¹ 농구 다이빙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야구¹ 예술² 역도 요트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펜싱 폴로 하키 핸드볼 ¹ 시범 종목 ² 비공식 종목 vdeh1936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버뮤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캐나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페루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인도 일본 중화민국 필리핀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연방 이집트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몰타 벨기에 볼리비아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터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vdeh 독일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경기 대회국가급종합경기대회올림픽 1936년 하계 올림픽 1936년 동계 올림픽 1972년 하계 올림픽 패럴림픽 1972년 하계 패럴림픽 월드 게임 1989년 월드 게임 2005년 월드 게임 유니버시아드 198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별경기대회펜싱 1978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05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수영 1978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육상 198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청소년 육상 선수권 대회 미식축구 2003년 미식축구 월드컵 축구 1974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8 1989년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여자 유로 1995 UEFA 여자 유로 2001 2003년 UEFA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6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2016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체조 1966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81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1989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94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리듬 체조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사격 1909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1986년 세계 시격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농구 1998년 FIBA 세계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 유도 1971년 세계 남자 유도 선수권 대회 1987년 세계 우도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필드 하키 1976년 여자 하키 월드컵 1978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05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11년 유로 하키 챔피언십 2013년 여자 주니어 하키 월드컵 야구 1957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1969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01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 2조 2014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복싱 1982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아마추어 복싱 선수권 대회 핸드볼 1938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58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61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65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74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82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1997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2019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실내 하키 2003년 실내 하키 월드컵 2003년 여자 실내 하키 월드컵 2015년 실내 하키 월드컵 2015년 여자 실내 하키 월드컵 동계 스포츠 1899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1930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3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4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36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5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55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58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60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62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6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0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3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4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5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79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8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85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86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8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0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1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1995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1996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1999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1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4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05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08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1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1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15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올라운드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챔피언십 2017년 U20 세계 남자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 2019년 세계 루지 선수권 대회 2020년 세계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권 대회 탁구 1930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195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1969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06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 프로급육상 베를린 마라톤 테니스 독일 오픈 그리스 | 노르웨이 | 러시아 | 독일 | 스위스 | 영국 | 이탈리아 | 프랑스 | 폴란드 | 스페인 | 터키 | 크로아티아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인도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태국 |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 캐나다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콜롬비아 | 멕시코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0250223 LCCN: n85136486 GND: 2001155-6 NKC: kn200801160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36년_하계_올림픽&oldid=22867367" 분류: 1936년 하계 올림픽독일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1936년 8월1936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āhuatl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吴语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8일 (일) 14: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MBC경남 창원본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BC경남 창원본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13′ 26″ 동경 128° 34′ 42″ / 북위 35.2239071° 동경 128.5783751°  / 35.2239071; 128.5783751 MBC경남 창원본부 1996년 9월 10일에 준공한 MBC경남 창원본부 現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 사옥 한국명 MBC경남 창원 한자표기 MBC慶南 昌原本部 영문표기 MBC Gyeongnam Changwon 약칭 MBC경남 창원 형태 공영 방송 방송 영역 지상파 방송 창립일 1968년 8월 13일 개국일 1969년 2월 1일(라디오) 1972년 10월 5일(TV) 1983년 11월 26일(음악FM) 본사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서9길 11-11 사장 정대균[1] 모기업 문화방송 웹사이트 MBC경남 MBC경남 창원본부(MBC慶南 昌原本部)는 중부경남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상파방송국이다. 1969년에 경남방송(약칭 KBC)으로 개국하였으며 1971년에 마산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0년 7월 1일에 통합 창원시의 출범과 함께 창원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1년 9월 1일에 서부경남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던 구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이 출범함에 따라 MBC경남 창원본부가 되었다. 호출부호는 HLAP이다. 개국 당시 사옥은 마산합포구 서성동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1996년 9월 10일에 마산회원구 양덕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인근에 마산종합운동장과 3·15 아트센터 등이 있다. 목차 1 연혁 1.1 1960년대 1.2 1970년대 1.3 1980년대 1.4 1990년대 1.5 2000년대 1.6 2010년대 2 TV방송 2.1 프로그램 2.2 방송 송출 시설망 3 라디오방송 3.1 프로그램 3.2 MBC경남 창원라디오 3.3 MBC경남 창원 FM4U 3.4 방송 송출 시설망 4 지상파DMB방송 5 연중 캠페인 6 뉴스를 만든 사람들 7 아나운서 7.1 전직 아나운서 8 기상캐스터 9 기타 사항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60년대[편집] 1968년 8월 13일 : 경남방송주식회사 라디오 방송 설립 등기 1969년 2월 1일 : KBC경남방송 개국(출력 10㎾, 주파수 중파 990㎑ HLAP) 마산시 서성동 83-9번지 사옥에서 시작 1970년대[편집] 1971년 9월 28일 : 마산문화방송(주)로 상호 변경 1972년 6월 30일 : 경남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경남문화TV) 설립 등기 1972년 9월 20일 : 경남문화TV 시험방송 개시[2] 1972년 10월 5일 : 경남문화TV가 문화방송의 7번째 제휴 방송국으로 개국. (창원시 불모산에서 호출부호 HLSO, 영상출력 2.5㎾, 음성출력 5㎾, VHF 13번)[3] 1979년 9월 22일 : 일본 KRY 야마구치방송과 자매 결연 1980년대[편집] 1980년 12월 22일 : 컬러TV 방송 개시 1983년 3월 2일 :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와 마산문화TV방송주식회사를 합병(마산문화방송(주)) 1983년 11월 26일 : 음악FM 방송(현 FM4U, 출력 1㎾, FM 100.5㎒)이 개국하여 당시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18시간 동안 방송하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TV방송 출력을 5㎾로 증강하였다. 1987년 7월 25일 : 거제 중계소 설치완료. 1990년대[편집] 1995년 4월 18일 : 중국 산둥전시대와 자매 결연 1996년 7월 1일 : 사옥 이전(마산시 서성동 -> 양덕동) 1996년 9월 10일 : 마산합포구 서성동에서 마산회원구 양덕동으로 신사옥 준공 기념식 1999년 11월 30일 : 표준FM 방송 개국(출력 3㎾, FM 98.9㎒) 2000년대[편집] 2005년 6월 30일 : 디지털TV방송 개국(물리채널 26, 가상채널 11-1, 출력 2.5㎾) 2005년 12월 31일 : 감악산중계소 디지털TV 개시(물리채널 50, 출력 1㎾) 2007년 8월 : 지역방송 최초로 E 스포츠 경기 중계(경남 - STX 마스터즈) 2010년대[편집] 2010년 7월 1일 : 통합 창원시 출범으로 인해 마산문화방송주식회사 이름을 창원문화방송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2011년 8월 8일 : 방송통신위원회가 진주문화방송과 함께 합병 승인(MBC경남으로 출범) 2011년 9월 1일 : 진주문화방송과 합병하여 MBC경남 공식 출범(창원문화방송 → 창원본부, 진주문화방송 → 진주본부) 2012년 10월 4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2013년 7월 17일 : 지상파 디지털TV방송 주파수 재배치 완료 2018년 7월 : AM 송신소 이전 예정 (마산합포구 가포동 → 의창구 북면) TV방송[편집] 1972년 10월 5일 개국하였고, 이후 2005년 6월 30일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하였다.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보도 MBC 뉴스투데이 경남 월~금 오전 07:20 ~ 07:50 토 오전 06:50 ~ 07:10 진행 : 백근곤, 이다슬 MBC 930 뉴스 경남 월~금 오전 09:35 ~ 09:45 진행 : 이다슬 MBC 뉴스데스크 경남 월~금 오후 20:25 ~ 20:45, 토~일 오후 20:20 ~ 20:35 진행 : 문철진, 김혜민 (평일), 진행 : 무작위 (주말) 시사·교양·예능 공간다큐 그곳 (부산MBC 제작) 브라보! 멋진인생 (여수MBC 제작) 생방송 건강클리닉 생방송 경남아 사랑해 전국시대 코미디 파티 (전주MBC 제작) 특집 프로그램 고향의 봄 창작동요제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호출부호 : HLAP-DTV 가상채널 : 11-1 송신소 물리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비고 불모산 송신소 CH 26 2.5 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내서 중계소 CH 17 20W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용등 중계소 CH 35 5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밀양 중계소 CH 40 20W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장승포 중계소 CH 30 20W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거제 중계소 CH 35 20W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통영 중계소 CH 46 2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마암 중계소 CH 17 20W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상리 중계소 CH 34 20W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함안 중계소 CH 39 90W 경남 함안군 산인면 부봉리 산97-5 해인 중계소 CH 43 2W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율곡 중계소 CH 40 20W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초계 중계소 CH 45 20W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죽고리 소출력 CH 45 0.05W 경남 합천군 적중면 죽고리 [4] 삼가 중계소 CH 20 5W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 방송 종료(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호출부호 : HLAP-TV 송신소 채널 출력 송신소 위치 불모산 송신소 CH 13 5 kW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산호 중계소 CH 41 100W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산호동 547-2 용마산 용등 중계소 CH 24 10W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1 장승포 중계소 CH 31 100W 경남 거제시 아주동 산133-19 옥녀봉 거제 중계소 CH 41 100W 경남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산1-1 통영 중계소 CH 37 100W 경남 통영시 산양읍 남평리 산90 미륵산 밀양 중계소 CH 25 100W 경남 밀양시 가곡동 산56-1 마암 중계소 CH 47 100W 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산266 상리 중계소 CH 55 100W 경남 고성군 상리면 무선리 산134 무이산 함안 중계소 CH 53 10W 경남 함안군 가야읍 검암리 산15-1 해인 중계소 CH 29 10W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21-1 삼가 중계소 CH 23 10W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산57 백학산 율곡 중계소 CH 53 100W 경남 합천군 율곡면 제내리 산34-1 초계 중계소 CH 23 100W 경남 합천군 초계면 아막리 산30 라디오방송[편집] 1969년 2월 1일 개국하였다. AM라디오[5] 1채널과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중이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를 가청권역으로서 방송중이다. 프로그램[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MBC경남 창원라디오[편집]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좋은 아침 (창원),(진주) 월~금, 토 30분 (월~금), 50분 (토) 백근곤 (월~금), 남선희(토) 오늘의 경남 월~금 50분 김진철 MBC 정오뉴스 월~일 5분 백율희 즐거운 오후2시 (창원),(진주) 월~금 105분 김용석, 김여민 MBC 15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17시 뉴스 월~일 5분 김혜민 MBC 뉴스네트워크 월~금 10분 부산문화방송 보도국 오늘도 건강하세요 (창원),(진주) 월~금 40분 김혜민 NC 다이노스 프로야구 중계 시즌 평일 홈경기 225분 김형신, 한만정 MBC경남 창원 FM4U[편집] 프로그램명 요일 시간 진행자 FM아침의 행진 월~일 120분 김재영 정오의 희망곡 (창원),(진주) 월~일 120분 조복현 방송 송출 시설망[편집] MBC경남 창원 라디오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북면 송신소[6] AM 990KHz 10kW HLAP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불모산 송신소 FM 98.9MHz 3kW HLAP-SFM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내서 중계소 FM 96.7MHz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상곡리 산163 MBC경남 창원 FM4U 송신소 주파수 출력 호출부호 송신소 위치 불모산 송신소 FM 100.5MHz 1kW HLAP-FM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지상파DMB방송[편집]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과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Busan MBC입니다. 연중 캠페인[편집] 2005년 : 아자 아자 경남 2006년 : 환경수도 경남 2007년 : 힘내라 우리경남 2008년 : 행복한 미래 시작은 마산MBC 2009년 : 40년 사랑 100년 감동으로 2010년 : 함께하면 행복합니다 2011년 : 경남의 미래 함께 열어갑니다 MBC경남 2012년 : 당신이 꿈꾸는 블럭버스터 슈퍼 로케이션 MBC경남 2013년 ~ 현재 : 경남의 문화중심 MBC경남 뉴스를 만든 사람들[편집] 데스크 김상헌 보도국장 취재1부(창원) 이종승 취재1부장 박종웅 부장 장 영 차장 이상훈 차장 윤주화 차장 신은정 차장 문철진 차장 정영민 기자 부정석 기자 이재경 기자 서창우 기자 아나운서[편집] 2018년 입사 : 김혜민 2018년 입사 : 백근곤, 이다슬 전직 아나운서[편집] 오정남(1996~2015, 전 MBC경남 기자, 현 휴직) 정은희(1997~2015, 현 MBC경남 PD) 박정희(2003~2012, 전 MBC경남 PD, 현 경영국) 배수진(2006~2013, 현 MBC경남 편성심의부) 서수진(2012~2014, 현 KBS 경인방송센터 아나운서) 이은지 이윤선 윤보리(2014~2016, 현 YTN 앵커) 이은민 이유정 박인숙 김선희(2005~2006, 현 MBC 강원 영동 기자) 이다솔(현 안동MBC 아나운서) 김지윤(2016~2018, 현 MBC 충북 아나운서) 김형신(1996~2018, 현 보직) 김세희(2016~2018, 현 KBS 포항방송국 아나운서) 김용석(2016~2019, 현 원주mbc 아나운서) 기상캐스터[편집] 박보경 기타 사항[편집] 2015년부터 문화방송 계열사 중 8개사와 함께 수퍼 로케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 전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MBC강원영동 삼척방송국) 같이 보기[편집] KBS창원방송총국 KNN 각주[편집] ↑ MBC경남 진주본부와 겸임 대표이사 사장이다. ↑ “경남문화TV(마산시 서성동 83)”. 경향신문. 1972년 9월 25일. 8면.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 “경남문화TV 10월 5일 개국”. 동아일보. 1972년 9월 22일. 8면.  ↑ “디지털TV 방송 수신 정보 시스템”. 2013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18일에 확인함.  ↑ 이전이 완료되는 2018년 7월 전까지는 AM방송 청취 불가 ↑ 마산합포구 가포해안길 155-27(가포AM송신소)에서 의창구 북면으로 이전 외부 링크[편집]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홈페이지 MBC경남 창원본부 모바일 공식 홈페이지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유튜브 채널 MBC경남 창원본부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 @MBC경남 - 트위터 vdeh경남권의 지상파 방송사 수도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권 제주권 TV방송국부산지역 KNN 6 KBS 2TV 7 KBS 1TV부산 9 EBS1 10-1 EBS2 10-2 부산MBC 11 울산지역 ubc 6 KBS 2TV 7 KBS 1TV울산 9 EBS1 10-1 EBS2 10-2 울산MBC 11 경남동부 KNN 6 KBS 2TV 7 KBS 1TV창원 9 EBS1 10-1 EBS2 10-2 MBC경남 창원 11 경남서부 KNN 6 KBS 2TV 7 KBS 1TV진주 9 EBS1 10-1 EBS2 10-2 MBC경남 진주 11 라디오방송국부산지역 KBS부산(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부산MBC 라디오 / 부산MBC FM4U KNN (러브FM / 파워FM) 부산CBS (라디오/음악FM) febc부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TBN부산교통방송 BBS부산불교방송 WBS부산원음방송 부산영어방송 부산국악방송 AFN EagleFM 울산지역 KBS울산(제1라디오/음악FM) 울산MBC 라디오 / 울산MBC FM4U ubc GreenFMCBS울산 라디오 febc울산극동방송 cpbc부산가톨릭평화방송 TBN울산교통방송 BBS울산불교방송 경남동부 KBS창원(제1라디오/제2라디오/음악FM) MBC경남 창원라디오 / MBC경남 창원FM4U KNN (러브FM / 파워FM) 경남CBS 라디오 febc창원극동방송 TBN경남교통방송 BBS 부산불교방송 AFN ThunderAM AFN EagleFM 경남서부 KBS진주(제1라디오/음악FM) MBC경남 진주라디오 / MBC경남 진주FM4U KNN (러브FM / 파워FM) 경남CBS 라디오 febc창원극동방송 TBN경남교통방송 BBS 부산불교방송 지상파DMBBusan MBCTV myMBC TV CJ O SHOPPING TPEGDMB DriveU-KBSTV KBS STAR HD KBS STAR KBS HEART V-RadioKBS MUSICTPEGKBS MOZEN TPEGKNN DMBTV KNNu ubc u HYUNDAI HOME TPEG DTS vdeh텔레비전 MBC TV 라디오 MBC 표준FM MBC FM4U 문화방송 네트워크국수도권 문화방송(본사) 강원권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 삼척방송국) 충청,제주권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 · 충주방송국) 제주문화방송 호남권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경북권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경남권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 · 진주방송) 지상파DMB 네트워크수도권MBC DMB강원권MY MBC (강원권)충청권MY MBC (충청권)전라권Honam MBC경북권myMBC (경북권)경남권Busan MBC제주권Jeju MBC케이블·위성·IPTV MBC PLUS (MBC 드라마넷 · MBC 에브리원 · MBC 뮤직 · MBC 스포츠플러스 · MBC ON) MBC NET 자회사 MBC C&I MBC 아카데미 MBC 미술센터 MBC 애드컴 iMBC 꿈나무축구재단 MBC 아메리카 블렌딩 (SBS와 합작 투자) 관련 문서 방송문화진흥회 정수장학회 경향신문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 상암 MBC 사옥 폐국 및 이전 계열사 HEN 홀마크/앨리스TV/MBC 라이프/MBC 퀸 Gembc/MBC 게임 MBC 무비스 MBC 스포츠플러스 2 채널TEN 디스코 (텔레비전 채널) MBC ESPN 남원문화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코리아 TVB 코리아 마산문화방송·창원문화방송 진주문화방송 MBC 미디어텍/MBC 프로덕션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 청주문화방송 충주문화방송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BC경남_창원본부&oldid=24188036" 분류: 문화방송계열 방송국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창원시1968년 설립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9: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명규 (195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명규 (195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명규출생 1956년 1월 10일(1956-01-10) (63세)경상북도 김천시국적 대한민국 학력 영남대학교 법학과 학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직업 현.국회의원, 정치인전.기초단체장, 전.변호사정당 자유한국당종교 불교웹사이트 http://www.lmg.or.kr 이명규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전임 소일봉 후임 이종화 신상정보 정당 자유한국당 이명규(李明奎, 1956년 1월 10일(음.1955년 11월 28일) ~ , 경상북도 김천시)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출신, 전직 대구광역시 북구청장(3선), 현재 정치인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국회 4 한나라당 5 논문 6 역대 선거 결과 7 참고 자료 학력[편집] 1961년 3월 ~ 1967년 2월 : 대구수창초등학교 1967년 3월 ~ 1970년 2월 : 대구중학교 1970년 3월 ~ 1973년 2월 : 대구고등학교 1973년 3월 ~ 1980년 2월 : 영남대학교 법학과 1980년 3월 ~ 1988년 2월 : 영남대 대학원 법학 석사 2002년 : 영남대 대학원 법학 박사 경력[편집] 사법고시 합격(30회) 변호사 활동 영남대 객원교수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23대 대구 북구청장(무소속,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1998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 24대 ~ 25대 대구 북구청장(한나라당,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제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초선)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재선) 국회[편집] 2004년 ~ 2005년 :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2004년 ~ 2005년 :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05년 ~ 2006년 : 정무위원회 위원 2005년 :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2005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특별대책위원회 위원 2006년 : 대법원장(이용훈)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6년 : 산업자원위원회 위원, 간사 2007년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7년 : 헌법재판소장(이강국)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8년 : 지식경제위원회 위원 한나라당[편집] 2004년 : 지방자치위원회 2004년 : 법률지원단 2004년 : 재해대책특위 2004년 : 정부개혁 지방분권특위 2004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특위 2005년 : 양극화해소를 위한 따뜻한 사회 추진위 2005년 ~ 2006년 : 원내부대표 2006년 : 혁신위원회 위원 2006년 ~ 2007년 : 여의도연구소 1부소장 2006년 : 대구시장 인수위 자문위원장 2006년 : 대구시당 수석부위원장 2007년 : 지방자치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중앙대책위 한반도대운하 특위 지도위원 2007년 : 대통령선거 직능정책본부 산자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대구 선대위 조직본부장 2008년 4월 :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 2008년 :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2011년 5월 ~ 2012년 2월 :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2012년 2월 :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2015년 12월 ~ : 북구발전전략포럼 이사장 논문[편집] 1988 : 불법원인급여에 관한 연구 (석사) 2002 : 중국 계약법제 연구 (박사)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23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무소속 95,780 표 61.60% 1위 초선, 민선 1기 지방 선거 24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41,039 표 76.80% 1위 재선, 민선 2기 지방 선거 25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89,380 표 77.20% 1위 3선, 민선 3기 총선 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52,727 표 73.23% 1위 초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30,323 표 52.58% 1위 재선 참고 자료[편집] 이명규 의원 홈페이지 전임소일봉 제23·24·25대 대구광역시 북구청장(민선)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후임(직무대리,재보궐)이종화(직무대리)노병정 전 임 (대구 북구 갑)박승국(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7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한나라당 (대구 북구 을)안택수 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서상기 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8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한나라당 → 새누리당 (대구 북구 을)서상기 후 임 (대구 북구 갑)권은희(대구 북구 을)서상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명규_(1956년)&oldid=24108063" 분류: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5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김천시 출신영남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변호사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대구고등학교 동문대구중학교 동문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1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명규 (195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명규 (195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명규출생 1956년 1월 10일(1956-01-10) (63세)경상북도 김천시국적 대한민국 학력 영남대학교 법학과 학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영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직업 현.국회의원, 정치인전.기초단체장, 전.변호사정당 자유한국당종교 불교웹사이트 http://www.lmg.or.kr 이명규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전임 소일봉 후임 이종화 신상정보 정당 자유한국당 이명규(李明奎, 1956년 1월 10일(음.1955년 11월 28일) ~ , 경상북도 김천시)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출신, 전직 대구광역시 북구청장(3선), 현재 정치인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국회 4 한나라당 5 논문 6 역대 선거 결과 7 참고 자료 학력[편집] 1961년 3월 ~ 1967년 2월 : 대구수창초등학교 1967년 3월 ~ 1970년 2월 : 대구중학교 1970년 3월 ~ 1973년 2월 : 대구고등학교 1973년 3월 ~ 1980년 2월 : 영남대학교 법학과 1980년 3월 ~ 1988년 2월 : 영남대 대학원 법학 석사 2002년 : 영남대 대학원 법학 박사 경력[편집] 사법고시 합격(30회) 변호사 활동 영남대 객원교수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 23대 대구 북구청장(무소속,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1998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 24대 ~ 25대 대구 북구청장(한나라당, 대구의 민선 최연소 기초단체장)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제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초선)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갑) (재선) 국회[편집] 2004년 ~ 2005년 : 행정자치위원회 위원 2004년 ~ 2005년 :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05년 ~ 2006년 : 정무위원회 위원 2005년 : 국회운영위원회 위원 2005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특별대책위원회 위원 2006년 : 대법원장(이용훈)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6년 : 산업자원위원회 위원, 간사 2007년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07년 : 헌법재판소장(이강국)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 특별위원회 위원 2008년 : 지식경제위원회 위원 한나라당[편집] 2004년 : 지방자치위원회 2004년 : 법률지원단 2004년 : 재해대책특위 2004년 : 정부개혁 지방분권특위 2004년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특위 2005년 : 양극화해소를 위한 따뜻한 사회 추진위 2005년 ~ 2006년 : 원내부대표 2006년 : 혁신위원회 위원 2006년 ~ 2007년 : 여의도연구소 1부소장 2006년 : 대구시장 인수위 자문위원장 2006년 : 대구시당 수석부위원장 2007년 : 지방자치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중앙대책위 한반도대운하 특위 지도위원 2007년 : 대통령선거 직능정책본부 산자위원장 2007년 : 대통령선거 대구 선대위 조직본부장 2008년 4월 :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 2008년 :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2011년 5월 ~ 2012년 2월 :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 2012년 2월 :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2015년 12월 ~ : 북구발전전략포럼 이사장 논문[편집] 1988 : 불법원인급여에 관한 연구 (석사) 2002 : 중국 계약법제 연구 (박사)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23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무소속 95,780 표 61.60% 1위 초선, 민선 1기 지방 선거 24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41,039 표 76.80% 1위 재선, 민선 2기 지방 선거 25대 기초단체장 대구광역시 북구 한나라당 89,380 표 77.20% 1위 3선, 민선 3기 총선 17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52,727 표 73.23% 1위 초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대구 북구 한나라당 30,323 표 52.58% 1위 재선 참고 자료[편집] 이명규 의원 홈페이지 전임소일봉 제23·24·25대 대구광역시 북구청장(민선)1995년 7월 1일 ~ 2003년 12월 15일 후임(직무대리,재보궐)이종화(직무대리)노병정 전 임 (대구 북구 갑)박승국(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7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한나라당 (대구 북구 을)안택수 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서상기 전 임 (대구 북구 갑)이명규(대구 북구 을)안택수 제18대 국회의원(대구 북구 갑)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한나라당 → 새누리당 (대구 북구 을)서상기 후 임 (대구 북구 갑)권은희(대구 북구 을)서상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명규_(1956년)&oldid=24108063" 분류: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5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김천시 출신영남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변호사대한민국의 대학 교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대구고등학교 동문대구중학교 동문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1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iOS 제품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OS 제품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OS제품목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2018년 9월) 이 문서는 애플의 iOS가 들어간 제품을 비교한다. 목차 1 아이폰 2 아이패드 3 아이팟 터치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아이폰[편집] 아이폰 비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폰 4, 8GB 2007년 6월 29일 16GB 2008년 2월 5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아이폰 OS 1.0 -> 3.1.3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115*11.6mm, 135g 200만 화소 카메라/없음 아이폰 3G 8, 16GB 2008년 7월 11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3.6Mbps (850, 1900, 2100 MHz) 아이폰 OS 2.0 -> iOS 4.2.1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2.1*115.5*12.3mm, 133g 200만 화소 카메라/없음 아이폰 3GS 16GB, 32GB 2009년 6월 19일 8GB 2010년 6월 2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7.2Mbps (850, 1900, 2100 MHz) 아이폰 OS 3.0 -> iOS 6.0.2 삼성 S5PC100, Cortex A8 833MHz (6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150MHz 256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2.1*115.5*12.3mm, 135g 300만 화소 카메라, 480p/30fps 동영상/없음 아이폰 4 16GB, 32GB 2010년 6월 24일 화이트 2011년 4월 28일 8GB 2011년 10월 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7.2Mbps (850, 1900, 2100 MHz) HSUPA 5.76Mbps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512MiB/ 8, 16, 32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500만 화소 카메라, 72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4 CDMA 16GB, 32GB 2011년 2월 10일 화이트 2011년 4월 28일 8GB 2011년 10월 14일 슬레이트 듀얼밴드 CDMA/EV-OD Rev.A (800, 1900MHz)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512MiB/ 8, 16, 32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500만 화소 카메라, 72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4S 2011년 10월 14일 슬레이트 GSM/GPRS/EDGE 850, 900, 1800, 1900MHz UMTS/HSDPA 14.4Mbps (850, 1900, 2100 MHz) HSUPA 5.76Mbps 듀얼밴드 CDMA/Ev-Do Rev.A (800, 1900MHz) iOS 5.0 -> iOS 6.0.2 애플 A5, Cortex A9 듀얼코어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43MP2 512MiB/ 16, 32,64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6*115.2*9.3mm, 137g 8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폰 5 2012년 9월 21일 슬레이트 GSM 모델 A1428*: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4 및 17 대역) CDMA 모델 A1429*: CDMA EV-DO Rev. A 및 Rev. B(800, 1900, 2100 MHz),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1, 3, 5, 13, 25 대역) GSM 모델 A1429*: UMTS/HSPA+/DC-HSDPA(850, 900, 1900, 2100 MHz), GSM/EDGE(850, 900, 1800, 1900 MHz), LTE(1, 3, 5 대역) iOS 6.0 -> iOS 6.0.2 애플 A6, ARM 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43MP3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100mm(4") 16M IPS TFT-LCD, 해상도 640*1136 58.6*123.8*7.6mm, 112g 8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120만 화소 카메라 아이패드[편집]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패드 3G 2010년 4월 30일 스마트패드 UMTS / HSDPA 85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전용) CDMA/EV-DO Rev. A 800, 1,900 MHz 포함 iOS 3.2 -> iOS 5.1.1 애플 A4, ARM Cortex A8 1GHz 파워VR SGX535 256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9.7*242.8*13.4 mm , 730g 미지원 아이패드 WiFi 2010년 4월 30일 스마트패드 WiFi iOS 3.2 -> iOS 5.1.1 애플 A4, ARM Cortex A8 1GHz 파워VR SGX535 256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9.7*242.8*13.4 mm , 680g 미지원 아이패드 2 3G 2011년 3월 11일 스마트패드 UMTS / HSDPA 85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전용) CDMA/EV-DO Rev. A 800, 1,900 MHz 포함 iOS 4.2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5.7*241.2*8.8 mm , 613g(GSM)/607g(CDMA) 후면 70만화소, 72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2 WiFi 2011년 3월 11일 스마트패드 WiFi iOS 4.2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85.7*241.2*8.8 mm , 601g 후면 70만화소, 72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3세대) 셀룰러 2012년 3월 23일 스마트패드 GSM/EDGE (850, 900, 1,800, 1,900 MHz) UMTS/HS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LTE (700, 2100 MHz) (Wi-Fi + 버라이즌 셀룰러 모델 전용) EvDO Rev. A (800, 1,900 MHz) GSM/EDGE (850, 900, 1,800, 1,900 MHz), UMTS/HS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LTE (700 MHz) iOS 5.1 -> iOS 6.0.2 애플 A5X,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60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3세대) WiFi 2012년 3월 23일 스마트패드 WiFi iOS 5.1 -> iOS 6.0.2 애플 A5X,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49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30만 화소 아이패드 (4세대) 셀룰러 2012년 11월 2일 스마트패드 GSM 모델 LTE 700, 2,100 MHz UMTS / HSDPA/HSPA+ / 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CDMA 모델 LTE 700 MHz CDMA/EV-DO Rev. A 800, 1,900 MHz UMTS / HSDPA/HSPA+/DC-HSDPA 850, 900, 1,900, 2,100 MHz GSM / EDGE 850, 900, 1,800, 1,900 MHz iOS 6.0 -> iOS 6.0.2 애플 A6X, ARM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54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6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동영상 아이패드 (4세대) WiFi 2012년 11월 2일 스마트패드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6X, ARMv7s 애플 스위프트 듀얼코어 1.3GHz 파워VR SGX554MP4 1024MiB LPDDR2/ 16, 32,64GB eMMc 246mm(9.7") 16M IPS TFT-LCD 해상도 1536*2048 185*241*9.4 mm , 650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동영상 아이패드 미니 2012년 11월 2일 슬레이트 LTE/CDMA/GSM/EDGE/GPRS iOS 6.0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00mm(7.9")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34.7*200*7.2 mm , 31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아이패드 미니 WiFi 2012년 11월 2일 슬레이트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5, ARM Cortex A9 듀얼코어 1GHz 파워VR SGX543MP2 512MiB LPDDR2/ 16, 32,64GB eMMc 200mm(7.9") 16M IPS TFT-LCD 해상도 768*1024 134.7*200*7.2 mm , 302g 후면 500만화소, 1080p/30fps /120만 화소, 720p 아이팟 터치[편집] 사진 소비자명 출시일 기기 유형 통신지원 운영체제 버전 프로세서 메모리(RAM/ROM) 디스플레이 크기/질량 후면/전면 카메라 비고 아이팟 터치(1세대) MP3P WiFi 아이폰 os 1.0 -> 아이폰 OS 3.1.2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 mm (4.3 in), 120g 없음 아이팟 터치 2세대 8, 16GB 2008년 9월 11일 MP3P WiFi 아이폰 OS 2.0 -> iOS 4.2.1 삼성 32bit ARM1176 CPU , 620MHz (412MHz 다운클럭) 파워VR MBX 라이트 3D 103MHz 128MiB/ 4, 8, 16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5 mm (4.3 in) , 115g 없음 아이팟 터치 3세대 16, 32GB 2009년 9월 9일 MP3P WiFi 아이폰 OS 3.0 -> iOS 5.1.1 삼성 S5PC100, Cortex A8 833MHz (6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150MHz 256MiB/ 8, 16, 32GB 89mm(3.5") 262K TN TFT-LCD, 해상도 320*480 61.8 x 110 x 8.5 mm (4.3 in) , 115g 없음 아이팟 터치 4세대 16GB, 32GB 2010년 6월 24일 MP3P WiFi iOS 4.0 -> iOS 6.0.2 애플 A4, Cortex A8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35 200MHz 256MiB/ 8, 32, 64GB 89mm(3.5") 16M IPS TFT-LCD, 해상도 640*960 58*110*7.1 mm, 101g 후면 70만화소, 720p 동영상 /전면 30만 화소 카메라 아이팟 터치(5세대) 2012년 MP3P WiFi iOS 6.0 -> iOS 6.0.2 애플 A5, Cortex A9 듀얼코어 1000MHz (800MHz 다운클럭) 파워VR SGX543MP2 512MiB/ 16, 32,64GB 100mm(4.0") 16M IPS TFT-LCD, 해상도 640*1136 58.6*123.4x6.1 mm , 88g 500만 화소 카메라, 1080p/30fps 동영상, 플래시/전면 120만 화소 카메라 같이 보기[편집] 스마트폰 비교 외부 링크[편집] Apple - iPhone 모델 비교하기 Apple - iPad 모델 비교하기 vdeh 아이폰제품 아이폰 아이폰 3G 아이폰 3GS 아이폰 4 아이폰 4S 아이폰 5 아이폰 5s 아이폰 5C 아이폰 6 (플러스) 아이폰 6s (플러스) 아이폰 SE 아이폰 7 (플러스) 아이폰 8 (플러스) 아이폰 X XR XS & XS 맥스 같이 보기 애플 아이튠즈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SpringBoard) 아이팟 앱 스토어 대한민국의 아이폰 출시 vdeh아이패드제품 아이패드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5세대 6세대), 아이패드 미니 (1세대 2세대 3세대) 같이 보기 애플 아이튠즈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SpringBoard) 아이팟 앱 스토어 아이폰 vdeh아이팟제품 아이팟 터치 아이팟 클래식 아이팟 나노 아이팟 셔플 아이팟 미니 아이팟 비디오 아이팟 포토 같이 보기 애플 iOS (버전 목록 제품 목록 탈옥) 아이튠즈 앱 스토어 프로덕트 레드 웹사이트: www.apple.com/ipod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IOS_제품_목록&oldid=22851947" 분류: IOS 장치숨은 분류: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2018년 9월낡은 정보를 포함한 모든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سنڌي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5일 (목) 17: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남양 홍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양 홍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양 홍씨(南陽 洪氏)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487,488명으로 조사되었다. 목차 1 역사 2 본관 3 분계 3.1 남양 홍씨 당홍계 3.2 남양 홍씨 토홍계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남양 홍씨는 고려 개국공신이며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중시조로 하는 남양 홍씨 당홍계(南陽 洪氏 唐洪系)와 고려 때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낸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남양 홍씨 토홍계(南陽 洪氏 土洪系)의 두 계통으로 나뉜다. 두 계통은 서로 조상이 같다는 설이 있으나 지금은 당홍과 토홍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관[편집]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華城市)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다. 신라가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고려가 옛 지명으로 복구하여 940년(태조 23)에 당성군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홍다구(洪茶丘)가 원나라의 정동행성 우승(征東行省右丞)이 되었으므로 지익주사(知益州事)로 승격되었다가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다시 익주목(益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으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송(宋)·방(房)·박(朴)·최(崔)·서(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1] 1896년에 경기도 남양군이 되었다. 1914년 수원군에 병합되었다가 1949년 수원시가 분리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었고,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다. 분계[편집] 남양 홍씨 당홍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양 홍씨 당홍계입니다. 남양 홍씨 당홍계(南陽 洪氏 唐洪系)의 시조 홍천하(洪天河)는 고구려 27대 영유왕 때 중국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학과 문화를 혁신시켰다. 신라 27대 선덕여왕 때 유학의 발전에 공을 세워 당성백(唐城伯)에 봉해졌고 태자태사(太子太師)가 되었으며 본관을 당성으로 하였다. 당성이 후에 남양으로 지명이 바뀌어 본관을 남양으로 하고 있는데, 현재는 경기도 화성군 일대이다. 고려 개국공신이며 삼중대광태사인 홍은열(洪殷悅)을 중시조로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남양 홍씨 토홍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양 홍씨 토홍계입니다. 남양 홍씨 토홍계(南陽 洪氏 土洪系)의 시조 홍선행(洪先幸)은 당성에 대대로 살아온 선비의 집안으로 고려 때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냈으며 가문의 기틀을 잡아 가세를 크게 번창시켰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남양으로 하였다. 각주[편집] ↑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도 남양도호부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 백과사전 - 남양 홍씨 당홍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네이버 백과사전 - 남양 홍씨 토홍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성족보(姓族譜) 성족보 - 홍씨(姓族譜 - 洪氏) 이 글은 성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양_홍씨&oldid=24513492" 분류: 홍씨남양 홍씨경기도 소재 성씨화성시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성씨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병아리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병아리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병아리콩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콩목 과: 콩과 속: Cicer 종: 병아리콩 학명 Cicer arietinum Cicer arietinum noir 병아리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집트콩이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1] 목차 1 종류 2 영양성분 3 소비 4 주요 산지 및 생산량 5 재배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종류[편집]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병아리콩: 껍질의 색이 희거나 노란색이며, 알이 굵고 식감이 부드럽다. 벵골콩: 껍질의 색이 검은 색을 띄며, 알이 작다. 껍질을 벗겨 반으로 가른 짜개가 "차나 달(चना दाल)"이라 불리며 남아시아 요리에 흔히 쓰인다. 병아리콩 벵골콩 벵골콩 짜개 영양성분[편집] 병아리콩 100 g (3.5 oz)당 영양가 열량 686 kJ (164 kcal) 탄수화물 27.42 g 지방 2.59 g - 단일불포화지방산 0.583 g - 다불포화지방산 1.156 g 단백질 8.86 g 비타민 A equiv. 1 μg (0%) 티아민 (비타민 B1) 0.116 mg (10%)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0.063 mg (5%) 나이아신 (비타민 B3) 0.526 mg (4%) 판토텐산 (비타민 B5) 0.286 mg (6%) 비타민 B6 0.139 mg (11%) 엽산 (비타민 B9) 172 μg (43%) 비타민 B12 0 μg (0%) 비타민 C 1.3 mg (2%) 비타민 E 0.35 mg (2%) 비타민 K 4 μg (4%) 칼슘 49 mg (5%) 철분 2.89 mg (22%) 마그네슘 48 mg (14%) 인 168 mg (24%) 칼륨 291 mg (6%) 소금 7 mg (0%) 아연 1.53 mg (16%) 퍼센트는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임.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병아리콩은 고영양 식품으로 특히 고단백질,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여러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100g의 삶은 병아리콩은 16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특히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있다. 소비[편집] 식품으로 주로 사용되며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병아리콩을 이용한 것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후무스(Hummus)가 있는데 병아리콩, 타히니, 올리브기름, 레몬주스, 소금, 마늘 등을 섞어 으깬 소스이며, 레바논이나 이집트 등 중동의 향토음식이다. 단백질의 비중이 높고 지방이 적다. 후무스는 연한 노란색에 무스 형태의 되직한 질감으로, 고소한 맛을 내며 빵에 발라먹는 용도로 사용한다. 병아리콩을 삶거나 쪄낸 다음 올리브 오일과 각종 향신료를 섞어 함께 갈아내어 만든다. 이때 얼마나 더 오래 가느냐에 따라 더 씹히는 식감 혹은 매끄러운 식감으로 바뀐다. 혹은 불린 병아리콩을 삶아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인도식 카레에 렌즈콩과 같은 용도로 들어간다. 그 외에 두부를 만들거나 스넥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인다. 인도에서는 덜자란 병아리콩을 줄기에 달린 상태로 거리에서 파는데 깍지를 까서 간식삼아 먹기도한다. 더 자세한 것은 영문위키를 참조하기 바란다. 주요 산지 및 생산량[편집] 병아리콩의 주요 재배지는 인도, 파키스탄, 호주, 중동지역, 서부아시아, 아프리카 북부 등이며 특히 인도는 최대 생산 소비국이다. 아래의 도표는 그 생산량의 영문자료이다. Chickpea output in 2013 Chickpea production from 1961 to 2013 Top Chickpea Producing Countries (in metric tonnes) Rank (2013) Country 2010 2011 2012 2013 1 인도 7,480,000 8,220,000 7,700,000 8,832,500 2 오스트레일리아 602,000 513,338 673,371 813,300 3 파키스탄 561,500 496,000 291,000 751,000 4 터키 530,634 487,477 518,000 506,000 5 미얀마 441,493 473,102 500,000 490,000 6 에티오피아 284,640 322,839 409,733 249,465 7 이란 267,768 290,243 315,000 295,000 8 멕시코 131,895 72,143 271,894 209,941 9 캐나다 128,300 90,800 161,400 169,400 10 미국 87,952 99,881 151,137 157,351 — World 10,897,040 11,497,054 11,613,037 13,102,023 Source: FAO[2] Source: FAO[3] 재배[편집]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재배되며 특히 수확시기에 건조한 기후여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꼬투리 상태에서 발아되는 경우가 생기며 그 외에도 곰팡이에 의한 병해를 입을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콩 각주[편집] ↑ Philologos (2005년 10월 21일). “Chickpeas — On Language”. The Jewish Daily Forward. 2009년 3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4. 2014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Chickpea, 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영어) PlantVillage Chickpea entry with details on propagation, diseases and pests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병아리콩(Chickpe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81375 APDB: 70772 BioLib: 39937 Calflora: 12368 EoL: 685208 EPPO: CIEAR FloraBase: 3766 FoC: 200012048 GBIF: 2947311 GRIN: 10535 iNaturalist: 122854 IPNI: 486336-1 IRMNG: 11195145 ITIS: 26537 NCBI: 3827 플랜트 리스트: ild-4318 PLANTS: CIAR5 POWO: urn:lsid:ipni.org:names:486336-1 트로피코스: 13045294 uBio: 454471 VASCAN: 5704 전거 통제 GND: 4163728-8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병아리콩&oldid=22403069" 분류: 20개 이상의 생물 분류 ID를 사용하는 생물 분류 식별자콩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1753년 기재된 식물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힌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식물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osanskiCatalàCebuano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گیلکی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ëtzebuergeschЛакку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5: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병아리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병아리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병아리콩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콩목 과: 콩과 속: Cicer 종: 병아리콩 학명 Cicer arietinum Cicer arietinum noir 병아리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이집트콩이라고도 한다. 씨의 전체적인 외관이 병아리의 머리 모양과 비슷한 특징이 있으며, 맛은 밤맛이 나고 풍부한 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다. 주로 중동 지역에서 자라며,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기원전 7,500년부터 재배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먼저 재배된 콩류 중 하나이다.[1] 목차 1 종류 2 영양성분 3 소비 4 주요 산지 및 생산량 5 재배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종류[편집]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다. 병아리콩: 껍질의 색이 희거나 노란색이며, 알이 굵고 식감이 부드럽다. 벵골콩: 껍질의 색이 검은 색을 띄며, 알이 작다. 껍질을 벗겨 반으로 가른 짜개가 "차나 달(चना दाल)"이라 불리며 남아시아 요리에 흔히 쓰인다. 병아리콩 벵골콩 벵골콩 짜개 영양성분[편집] 병아리콩 100 g (3.5 oz)당 영양가 열량 686 kJ (164 kcal) 탄수화물 27.42 g 지방 2.59 g - 단일불포화지방산 0.583 g - 다불포화지방산 1.156 g 단백질 8.86 g 비타민 A equiv. 1 μg (0%) 티아민 (비타민 B1) 0.116 mg (10%) 리보플라빈 (비타민 B2) 0.063 mg (5%) 나이아신 (비타민 B3) 0.526 mg (4%) 판토텐산 (비타민 B5) 0.286 mg (6%) 비타민 B6 0.139 mg (11%) 엽산 (비타민 B9) 172 μg (43%) 비타민 B12 0 μg (0%) 비타민 C 1.3 mg (2%) 비타민 E 0.35 mg (2%) 비타민 K 4 μg (4%) 칼슘 49 mg (5%) 철분 2.89 mg (22%) 마그네슘 48 mg (14%) 인 168 mg (24%) 칼륨 291 mg (6%) 소금 7 mg (0%) 아연 1.53 mg (16%) 퍼센트는 1일 영양소 기준치에 대한 비율임.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병아리콩은 고영양 식품으로 특히 고단백질, 풍부한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 외에 여러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다. 100g의 삶은 병아리콩은 16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으며 무게대비 60%의 물, 27%의 탄수화물, 9%의 단백질, 3%의 지방을 함유하는데 특히 지방의 75%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있다. 소비[편집] 식품으로 주로 사용되며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병아리콩을 이용한 것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후무스(Hummus)가 있는데 병아리콩, 타히니, 올리브기름, 레몬주스, 소금, 마늘 등을 섞어 으깬 소스이며, 레바논이나 이집트 등 중동의 향토음식이다. 단백질의 비중이 높고 지방이 적다. 후무스는 연한 노란색에 무스 형태의 되직한 질감으로, 고소한 맛을 내며 빵에 발라먹는 용도로 사용한다. 병아리콩을 삶거나 쪄낸 다음 올리브 오일과 각종 향신료를 섞어 함께 갈아내어 만든다. 이때 얼마나 더 오래 가느냐에 따라 더 씹히는 식감 혹은 매끄러운 식감으로 바뀐다. 혹은 불린 병아리콩을 삶아 샐러드에 넣어 먹거나 인도식 카레에 렌즈콩과 같은 용도로 들어간다. 그 외에 두부를 만들거나 스넥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인다. 인도에서는 덜자란 병아리콩을 줄기에 달린 상태로 거리에서 파는데 깍지를 까서 간식삼아 먹기도한다. 더 자세한 것은 영문위키를 참조하기 바란다. 주요 산지 및 생산량[편집] 병아리콩의 주요 재배지는 인도, 파키스탄, 호주, 중동지역, 서부아시아, 아프리카 북부 등이며 특히 인도는 최대 생산 소비국이다. 아래의 도표는 그 생산량의 영문자료이다. Chickpea output in 2013 Chickpea production from 1961 to 2013 Top Chickpea Producing Countries (in metric tonnes) Rank (2013) Country 2010 2011 2012 2013 1 인도 7,480,000 8,220,000 7,700,000 8,832,500 2 오스트레일리아 602,000 513,338 673,371 813,300 3 파키스탄 561,500 496,000 291,000 751,000 4 터키 530,634 487,477 518,000 506,000 5 미얀마 441,493 473,102 500,000 490,000 6 에티오피아 284,640 322,839 409,733 249,465 7 이란 267,768 290,243 315,000 295,000 8 멕시코 131,895 72,143 271,894 209,941 9 캐나다 128,300 90,800 161,400 169,400 10 미국 87,952 99,881 151,137 157,351 — World 10,897,040 11,497,054 11,613,037 13,102,023 Source: FAO[2] Source: FAO[3] 재배[편집] 고온 건조한 환경에서 잘 재배되며 특히 수확시기에 건조한 기후여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꼬투리 상태에서 발아되는 경우가 생기며 그 외에도 곰팡이에 의한 병해를 입을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콩 각주[편집] ↑ Philologos (2005년 10월 21일). “Chickpeas — On Language”. The Jewish Daily Forward. 2009년 3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1. 2013년 8월 28일에 확인함.  ↑ “Production of Chickpea by countries”. UN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2014. 2014년 11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Chickpea, International Crops Research Institute for the Semi-Arid Tropics (영어) PlantVillage Chickpea entry with details on propagation, diseases and pests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병아리콩(Chickpe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81375 APDB: 70772 BioLib: 39937 Calflora: 12368 EoL: 685208 EPPO: CIEAR FloraBase: 3766 FoC: 200012048 GBIF: 2947311 GRIN: 10535 iNaturalist: 122854 IPNI: 486336-1 IRMNG: 11195145 ITIS: 26537 NCBI: 3827 플랜트 리스트: ild-4318 PLANTS: CIAR5 POWO: urn:lsid:ipni.org:names:486336-1 트로피코스: 13045294 uBio: 454471 VASCAN: 5704 전거 통제 GND: 4163728-8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병아리콩&oldid=22403069" 분류: 20개 이상의 생물 분류 ID를 사용하는 생물 분류 식별자콩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1753년 기재된 식물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힌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식물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বাংলাBosanskiCatalàCebuano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گیلکی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Taqbaylit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LatinaLëtzebuergeschЛакку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5: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프랑수아 미테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수아 미테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프랑수아 미테랑François Mitterrand 1984년 모습 프랑스의 제21대 대통령안도라의 공동대공 임기 1981년 5월 21일~1995년 5월 17일 총리 피에르 모루아 (1981~1984)로랑 파비위스 (1984~1986)자크 시라크 (1986~1988)미셸 로카르 (1988~1991)에디트 크레송 (1991~1992)피에르 베레고부아 (1992~1993)에두아르 발라뒤르 (1993~1995) 전임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후임 자크 시라크 사회당의 제2대 제1서기 임기 1971년 6월 16일~1981년 1월 24일 전임 알랭 사바리 후임 리오넬 조스팽 프랑스의 법무장관 임기 1956년 1월 31일~1957년 6월 12일 총리 기 몰레 전임 로베르 쉬망 후임 에두아르 코르니리옹몰리니에 프랑스의 내무장관 임기 1954년 6월 19일~1955년 2월 23일 총리 피에르 망데스프랑스 전임 레옹 마르티누드디플라 후임 모리스 보르주모누이 신상정보 국적 프랑스 출생일 1916년 10월 26일(1916-10-26) 출생지 프랑스 샤랑트주 자르나크 사망일 1996년 1월 8일 (79세) 사망지 프랑스 파리 학력 파리 대학교파리 정치 대학 정당 불의 십자단→혁신민주사회주의자연합→공화헌법회의→사회당 배우자 다니엘 (1944~1996, 사망) 자녀 4명 프랑수아 모리스 아드리앵 마리 미테랑(François Maurice Adrien Marie Mitterrand, 문화어: 프랑쑤아 미떼랑, 1916년 10월 26일 - 1996년 1월 8일)는 프랑스 공화국의 21대 대통령이다. 프랑스 대통령들 중 제일 오래 집권하였다. 목차 1 경력 1.1 정치 입문 1.2 평가 2 참조 3 외부 링크 경력[편집] 파리 정치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으며 변호사를 개업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를 점령한 독일에 대항한 레지스탕스 조직에 참여하였다. 정치 입문[편집] 1946년부터 1958년까지 프랑스 국민의회 의원으로 활약하면서, 1947-1957년 재향군인부 장관, 국무부 장관, 해외 영토부 장관, 내무부 장관 등을 지냈다. 1959년부터 1962년까지 프랑스 상원 의원을 지냈으며, 국민의회 의원에 선출되었다. 1959년부터 1981년까지는 샤토시농 시장을 역임했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좌파연합 총재(대통령 후보)를 지냈다. 1971년 사회당 제1서기가 되었고, 1974년 좌파 통일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패배하였다. 1981년에는 사회당 서기장(당수)으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전후 오랜 기간 동안 프랑스 사회당(제2대 당의장, 재임 1971년 ~ 1981년)과 범진보주의진영을 이끈 지도자이자, 자당 소속의 첫 번째 프랑스 대통령이다. 외교적으로는 헬무트 슈미트와 헬무트 콜 독일 총리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통해 양국간 화해와 번영, 그리고 유럽통합의 초석을 닦았다. 사형제도를 1982년 없애는 등의 인권을 강조하는 입법과 자주적인 대미관계와는 달리 약소국가와의 외교관계에서는 고자세를 보였고, 1985년에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핵실험을 감시하는 그린피스 소속 레인보우 워리어호를 격추시킨 일과 1995년 김영삼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당시 약속한 테제베(TGV)를 구입하는 조건으로 병인양요 당시 약탈한 한국의 서적을 반환하는 것을 거부해서 국제사회의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1993년 9월 14일부터 9월 16일까지 프랑스의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이 한국을 공식 방문하여 김영삼 대통령과 한-불 정상 회담을 갖고, 프랑스가 소유하고 있는 외규장각 도서를 한국 측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단, 그 구체적인 시기와 절차는 실무 협의하기로 했다. 그 결정의 상징으로 《휘경원원소도감의궤》 상 1권을 9월 15일 한국에 반환하였다. 그리고 프랑스의 고속철도 핵심기술 이전 및 차세대 고속전철 개발 협조를 논의했다. 또한 그는 한국전쟁 참전 프랑스군 전적지와, 대전 엑스포 참관, 국회 연설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2][3] 퇴임 후 8개월만인 1996년 1월, 전립선암으로 타계하였다. 저서로 <영구적 쿠데타> <가능한 사회주의> 등이 있다. 평가[편집] 사회학자 송호근은 기술관료적 성격을 갖는 정치인이라면 불가능했을 사회혁신을 특유의 정치력으로 밀어붙인, "카리스마적인 정치지도자" 중 한 명으로 미테랑 대통령을 언급했다. 국민소득 1만 달러 시점에 분배구조와 복지개혁에 주력하며 노사협력 제도를 창안해 정착시키고, 사회적 투명성과 합리성을 증진하는 제도는 물론 상호신뢰를 높이는 각종 제도를 도입했던 선진국 지도자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4] 참조[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 “한국古書2점 오늘 반환”. 경향신문. 1993년 9월 15일. 1면.  ↑ “미테랑 離韓”. 매일경제신문. 1993년 9월 17일. 1면.  ↑ 송호근, <나는 시민인가>, 문학동네, 2015. 161~162쪽. 외부 링크[편집] (프랑스어) 프랑수아 미테랑 재단 공식홈페이지            제21대 프랑스 대통령           전 임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1981년 5월 10일 ~ 1995년 5월 16일 후 임자크 시라크 샤를 드 골 · 조르주 퐁피두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프랑수아 미테랑 · 자크 시라크 · 니콜라 사르코지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vdeh프랑스 공화국의 역대 국가원수 1940년-1944년(국가원수 직함)과 1944년-1947년(주석 직함)을 제외하고는 1871년 이후 프랑스 국가원수의 호칭은 공화국 대통령이다. 제1공화국(1792-1804) 국민 공회 총재정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제2공화국(1848-1852)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코미시옹 엑스크뤼티브 카베냑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국민방위정부(1870-1871) 루이 쥘 트로쉬 제3공화국(1871-1940)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아르망 뒤포르 쥘 그레비 모리스 루비에 사디 카르노 샤를 뒤퓌 장 카시미르 페리에 샤를 뒤퓌 펠릭스 포르 샤를 뒤퓌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알렉상드르 밀랑 프레데릭 프랑수아 마르살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앙드레 타르디외 알베르 르브륑 비시 프랑스(1940-1944) 필리프 페탱 임시 정부(1944-1947)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레옹 블룸 제4공화국(1947-1959)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제5공화국(1959~)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알랭 포에르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이탤릭체는 직무 대행을 나타낸다 전임피에르 트뤼도 G8 의장1982년 후임로널드 레이건 전임브라이언 멀로니 G8 의장1989년 후임조지 H. W. 부시 vdeh프랑스 되 선정(2005년) 위대한 프랑스인Le Plus Grand Français de tous les temps 1. 샤를 드 골 2. 루이 파스퇴르 3. 아베 피에르 4. 마리 퀴리 5. 콜루슈 6. 빅토르 위고 7. 부르빌 8. 몰리에르 9. 자크 쿠스토 10. 에디트 피아프 11-20위: 마르셀 파뇰 조르주 브라상 페르낭델 장 드 라 퐁텐 쥘 베른 나폴레옹 1세 루이 드 퓌네스 장 가뱅 다니엘 발라부안 세르주 갱스부르 21-30위: 지네딘 지단 샤를마뉴 리노 벤투라 프랑수아 미테랑 귀스타브 에펠 에밀 졸라 에마누엘레 수녀 장 물랭 샤를 아즈나블 이브 몽탕 31-40위: 잔 다르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볼테르 조니 알리데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클로드 프랑수아 크리스티앙 카브롤 장폴 벨몽도 쥘 페리 루이 뤼미에르 41-50위: 미셸 플라티니 자크 시라크 샤를 트르네 조르주 퐁피두 미셸 사르두 시몬 시뇨레 아룬 타지에프 자크 프레베르 에리크 타발리 루이 14세 51-60위: 다비드 두예 앙리 살바도르 장자크 골드만 장 조레스 장 마레 야니크 노아 알베르 카뮈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 윌로 61-70위: 시몬 베유 알랭 들롱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에메 자케 프랑시스 카브렐 브리지트 바르도 기 드 모파상 알렉상드르 뒤마 오노레 드 발자크 폴 베를렌 71-80위: 장자크 루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르노 세샹 베르나르 쿠슈네르 클로드 모네 미셸 세로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미셸 드뤼케르 레뮈 베르생제토릭스 81-90위: 레몽 퓔리도르 샤를 보들레르 피에르 코르네유 아르튀르 랭보 조르주 클레망소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리오넬 조스팽 장 콕토 91-100위: 뤼크 베송 티노 로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장 르누아르 제라르 필리프 장폴 사르트르 카트린 드뇌브 세르주 레지아니 제라르 드파르디외 프랑수아 돌토 vdeh안도라 공동대공 우르젤 주교 페레 두르특스 구일렘 데 몬카다 라몬 트레바일라 아르나우 데 로르다 페레 데 나르보나 니콜라우 카포치 후고 데스바흐 구일렘 아르나우 데 파타우 페레 데 루나 베렝구에르 데릴 이 데 팔라르스 갈체란드 데 빌라노바 프란체스크 데 토비아 아르나우 로게르 데 팔라르스 하우메 데 카르도나 이 데 간디아 로데릭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페레 데 카르도나 호안 데스페스 페드로 호르다 데 우리에스 프란체스크 데 우리에스 미쿠엘 데스푸이그 호안 페레스 가르시아 데 올리반 페렐 데 카스텔레트 호안 디마스 로리스 미쿠엘 헤로니 모렐 후고 암브로스 데 몬카다 안드레우 카펠라 페르나트 데 살바 이 데 살바 루이스 디에스 아욱스 데 아르멘다리스 안토니 페레스 파우 두란 호안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멜키오르 팔라우 이 보스카 페레 데 코폰스 이 데 테익시도르 호안 데스바흐 마르토렐 올레구에르 데 몬트세라트 루페트 훌리아 카노 테바르 시메오 데 구인다 이 아페스테구이 호르디 쿠라도 이 토레블랑카 세바스티아 데 빅토리아 엠파란 이 로욜라 프란체스크 호세프 카탈란 데 오콘 프란체스크 페르난데스 데 하티바 이 콘트레라스 호아킨 데 산티얀 이 발디비엘소 후안 데 가르시아 이 몬테네그로 호세프 데 볼타스 프란체스크 안토니 데 라 두에냐 이 시스네로스 베르나트 프란케스 이 카발레로 보니파키 로페스 이 풀리도 시모 데 구아르디올라 이 호르토네다 호세프 카이할 이 에스트라데 살바도르 카스냐스 이 파게스 라몬 리우 이 카바네스 호안 호세프 라구아르다 이 페놀레라 후안 베늘로치 이 비보 후스티 구이타르트 이 빌라르데보 라몬 이글레시아스 이 나바리 호안 마르티 이 알라니스 호안 엔리크 비베스 시칠리아 프랑스측푸아 백작 로저베르나르 3세 가스통 1세 가스통 2세 가스통 3세 마티외 이사벨 장 1세 가스통 4세 나바라 국왕 프랑수아 1세 카트린 1세 앙리 2세 잔 1세 앙리 3세 루이 2세 프랑스 국왕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루이 18세 샤를 10세 루이 필리프 1세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나폴레옹 2세 나폴레옹 3세 프랑스 대통령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그레비 마리 프랑수아 사디 카르노 장 카시미르페리에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알베르 르브륑 필리프 페탱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샤를 드 골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vdeh냉전의 주요 인물 냉전 미국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미국 국무장관)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소비에트 연방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보리스 옐친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 장관) 아나톨리 도프리닌 (미국 주재 소비에트 연방 대사) 영국 윈스턴 처칠 클레먼트 애틀리 해럴드 맥밀런 해럴드 윌슨 마거릿 대처 서독 콘라트 아데나워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 바티칸 시국 교황 비오 12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총리) 화궈펑 덩샤오핑 자오쯔양 (총서기) 프랑스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중앙유럽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임레 너지 (헝가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에리히 호네커 (동독) 레흐 바웬사 (폴란드)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장제스 장징궈 (중화민국)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대한민국)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호찌민 (베트남) 응오딘지엠 (남베트남) 폴 포트 (캄보디아) 인디라 간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수카르노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 (필리핀) 라틴 아메리카 후안 도밍고 페론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레오폴도 갈티에리 (아르헨티나)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쿠바)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살바도르 아옌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칠레) 중동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하피줄라 아민 바브락 카르말 모하마드 나지불라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아프가니스탄)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 사담 후세인 (이라크)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엘 사다트 (이집트)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트리스 루뭄바 모부투 세세 세코 (콩고/자이르) 콰메 은크루마 (가나) 이디 아민 (우간다) 아고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산투스 조나스 사빔비 (앙골라) 시아드 바레 (소말리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 분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4259620 LCCN: n50000412 ISNI: 0000 0001 2103 5833 GND: 118582887 SELIBR: 207622 SUDOC: 027032302 BNF: cb11916320z (데이터) BIBSYS: 90102425 ULAN: 500219118 NLA: 35356697 NDL: 00450229 NKC: jn19990005768 BNE: XX1034347 CiNii: DA0129045X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프랑수아_미테랑&oldid=24009656" 분류: 1916년 태어남1996년 죽음프랑스의 대통령프랑스의 사회주의자외규장각 도서프랑스 5월 혁명레지스탕스 관련자전립선암으로 죽은 사람민주사회주의자사회당 (프랑스)의 정치인대십자 송골매 훈장경식 수훈자프랑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프랑스의 불가지론자파리 정치 대학 동문프랑스의 알제리 전쟁 관련자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ArpetanGaeilgeGalegoHausa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Xitsong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11: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옥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청남도의 지명에 대해서는 부여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옥저 沃沮 ← 기원전 3세기 – 244년 → 고구려의 속국(56년 ~ 244년) 정치정부 형태 군장국가 기타국교 무속신앙 한국의 역사韓國史 선사시대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고조선시대 단군조선(?~기원전 194년) 위만조선(기원전 194년~기원전 108년) 진(辰)(기원전 4세기~기원전 2세기) 원삼국시대 부여 옥저 동예 마한 진한 변한 삼국시대 고구려(기원전 37년~668년) 백제(기원전 18년~660년) 신라(기원전 57년~ ) 가야(42~562년)   남북국시대 발해(698~926년) 통일신라(676년~ ) 후삼국시대 태봉(901~918년) 후백제(892~936년) 신라( ~935년) 통일왕조시대 고려(918~1392년) 조선(1392~1897년) 대한제국(1897~1910년) 식민지시대 일제 강점기(1910~194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1919~1945년) 현대 군정기 한국 (1945~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48년~현재) 대한민국(1948년~현재) v • d • e • h 옥저(沃沮)는 함경남도 영흥 이북에서 두만강 유역 일대에 걸쳐 있었던 종족과 읍락 집단을 가리킨다. 토지가 비옥하여 오곡을 생산하였고[1][2], 어물과 소금 등의 해산물이 풍부했는데, 고구려에 소금, 어물 등을 공납으로 바쳤다. 옥저는 고구려와 같이 부여족의 한 갈래였으나 풍속이 달랐다.[3] 신랑과 신부가 어린 나이에 약혼을 하고, 신부가 신랑 집에서 살다가 어른이 되면 예물을 주고 신부를 데려오는 민며느리제가 있었고,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풀이나 흙으로 가매장한 후에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공동묘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는 세골장도 있었다.[4] 그 입구에는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죽은 자의 양식으로 하였다. 고구려의 후방 기지 역할을 한 옥저는 조위의 고구려 정벌의 여파로 동천왕 때 침략을 받기도 하였다. 북옥저는 치구루(置溝婁)나 구루로 나타내었고 고구려어로 성(城)을 의미한다고 한다.[5] 목차 1 위치 1.1 통설 1.2 다른 의견 2 변천 3 함께 보기 4 각주 5 참고문헌 및 링크 위치[편집] 옥저는 고대에서 함경도 함흥평야를 중심으로 한 북부의 부족 사회이다. 북은 읍루·부여, 남은 예(濊)에 접하고 있었다. 통설[편집] 옥저는 동옥저로도 불렸고, 다시 남옥저와 북옥저로 구분되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남옥저는 함흥 일대에 있었고, 남으로는 영흥 부근에서 동예와 경계를 이루었으며, 북옥저는 길림 연변에서 두만강까지 다양한 주장이 있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의하면, 옥저와 주변국에 대한 위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의 동쪽으로 큰 바다(大海)를 접하였다. 그 지형은 동북은 좁고, 서남은 길어서 천 리나 된다. 북쪽에는 부여와 읍루, 남쪽에는 예맥에 접하였다.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 濱大海而居 其地形東北狹 西南長 可千里 北與挹婁 夫餘 南與濊貊接 고구려는 요동 동쪽 천리에 있으며, 남으로 조선 예맥, 동으로 옥저, 북으로 부여와 접하였다. 高句麗在遼東之東千里 南與朝鮮 濊貊 東與沃沮 北與夫餘接 북옥저는 치구루라고도 불린다. 남옥저에서 8백여리의 거리에 있으며, 그 풍속은 남과 북이 같으며, 읍루와 접하였다. 北沃沮一名置溝婁 去南沃沮八百餘里 其俗南北皆同 與挹婁接 읍루는 부여 북동쪽 천여리에 있으며, 큰 바다와 접하였다. 남쪽으로는 북옥저에 접하였고, 북쪽은 그 끝을 알지 못한다. 挹婁在夫餘東北千餘里 濱大海 南與北沃沮接 未知其北所極 예는 남으로 진, 북으로 고구려, 옥저와 접하였으며, 동쪽으로는 바다와 접하였다. 지금 조선의 동쪽이 모두 그 땅이다. 濊南與辰韓 北與高句麗 沃沮接 東窮大海 今朝鮮之東皆其地也[6] 《후한서》 「동이열전」의 옥저에 대한 내용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과 같거나 거의 비슷하다. 다른 의견[편집] 다음은 통설과 다른 소수의견이다. 윤내현 주장 - 옥저는 원래 고조선의 제후국으로 요서지역의 대릉하 유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위만조선이 멸망하고 한나라가 이 유역에 현토군을 설치하자 이를 피하여 동으로 이동하여 함경도에 정착한 것이 동옥저이며 옥저와 동옥저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7] 《후한서》에서, ‘한 무제가 조선을 멸망시키고 옥저땅으로 현도군을 삼았다. 뒤에 이맥(夷貊)의 침략을 받아 군(현도군)을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기고는 옥저를 현으로 고치어 낙랑의 동부도위에 속하게 했다.’ 라고 하였다.[8] 이에 대하여 이덕일은 옥저를 고구려 서북쪽으로 옮긴 것으로 여겨 옥저의 위치에 의문을 제기하였다.[9] “(옥저는) 큰 나라 사이에 끼어 있어서 마침내 고구려에 신속(臣屬)하게 되었다.”[10] 라고 하였다.[9] 변천[편집] 남옥저의 중심지역의 집단은 기원전 2세기경 위만조선에 복속되었고, 기원전 108년, 다시 한의 군현에 소속되었다. 임둔군에 소속된 후 기원전 82년 임둔군이 폐지되자 현도군으로 소속이 바뀌었고 기원전 75년 현도군이 제2 현도군으로 이동하였을 때 낙랑군 동부도위(東部都尉)에 소속되었다고 여겨진다.[11] 기원후 30년 한의 제후국으로 봉해졌으나 56년에 다시 고구려에 복속되었다. 244년 관구검이 이끄는 위(魏)나라 군대에 큰 피해를 입어 사실상 옥저는 소멸되고 고구려의 직접지배가 이루어졌다.[12] 함께 보기[편집] 동옥저(東沃沮) 북옥저(北沃沮) 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 각주[편집]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土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흙은 비옥하고 좋으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하고 오곡이 마땅히 잘 되며 밭농사에 좋다.) ↑ 《삼국지》〈위지〉오환선비동이전 옥저전(其土地肥美,背山向海,宜五穀,善田種.)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言語、食飲、居處,衣服,有似句驪。”(언어·음식·거처·의복은 고구려와 닮았다.)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其葬,作大木槨,長十餘丈,開一頭為戶,新死者先假埋之,令皮肉盡,乃取骨置槨中。家人皆共一槨,”(장사는 큰 목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십여장이나 되고 한쪽에 개구부를 만든다. 새로 죽은 자는 이를 임시로 묻었다가, 피부와 살이 썩어지면 이에 뼈만을 취하여 넣는다. 가족이 모두 하나의 곽을 쓴다.) ↑ 노태돈 '옥저' digital 민속학 // '옥저', 《한국민족문화대사전》 //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 〈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 《삼국지》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 “"우리 역사의 출발점… 만주·한반도 지배"”. 주간한국. 2007년 2월 12일. 2011년 9월 5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동이열전 > 옥저전 : “ 武帝滅朝鮮,以沃沮地為玄菟郡。後為夷貊所侵,徙郡於高句驪西北,更以沃沮為縣,屬樂浪東部都尉” ↑ 가 나 이덕일 (2003년 8월 25일). 《살아있는 한국사》 초 1쇄판. 서울: 휴머니스트. ISBN 89-89899-58-3.  ↑ 범엽, 《후한서》(5세기), 〈제85권〉 “ 其土迫小,介於大國之間,遂臣屬句驪。”( 그 땅이 궁핍하고 작으며, 큰 나라 사이에 끼여 있어서, 마침내 고구려에 신하 나라로서 복속하였다. ) ↑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p.247 ↑ “옥저”. 브리태니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고문헌 및 링크[편집] 일연, 《삼국유사》, 고려말 《한국민족문화대사전》 - '옥저' 위키문헌 - 《삼국지》『위지』「오환선비동이전」(한문) 위키문헌 - 《후한서》 「동이열전」(한문) 이현혜, 《한국사》4권 - 『초기국가:고조선 부여 삼한』「동예와 옥저」, 국사편찬위원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옥저&oldid=24147738" 분류: 한국의 옛 나라원삼국 시대옥저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배움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urdîМонголBahasa MelayuNorskPolskiРусскийKiswahili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4일 (토) 1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WWE 벤전스(Vengeance) 또는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Night of Champions)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 퍼 뷰이다. 이 행사는 1999년 아마겟돈(Armageddon)란 이름을 걸고 시작하였으며, 본래 12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페이 퍼 뷰 아마겟돈이 2001년 당시 9·11 테러로 인해 대회명이 문제가 되어, 벤젼스(Vengeance)로 대체가 되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아마겟돈은 2002년에 부활했으며, 벤젼스는 개최 시기를 7월로 변경한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 행사는 2003년까지만 해도 스맥다운의 행사였으나 2004에서 2006년까진 러의 행사로 진행되었다. 2005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와 페이 퍼 뷰 진행시기를 교체하여 6월로 변경되어 되었다. 2007년엔 벤젼스: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Vengeance: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을 걸고 9개의 챔피언쉽이 모두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으로 바뀌어 진행하게 되었고, 2010년 부터는 9월로 개최시기를 변경하여 6년간 진행했으며, 2016년 7월 RAW와 스맥다운이 다시 분리되는 시점부터는 과거 WCW의 월간 TV 스페셜의 명칭이기도 했던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라는 새로운 명칭의 RAW 독점 PPV가 대신 개최될 예정이다. 목차 1 개최한 곳 1.1 벤전스 1.2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 외부 링크 개최한 곳[편집] 벤전스[편집]      * 러 단독 페이 퍼 뷰      * 스맥다운 단독 페이 퍼 뷰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1년 12월 9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11,800 크리스 제리코 (WCW 챔피언) vs.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WWE 챔피언) (WWE & WCW 통합 챔피언십) 2002년 7월 21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2,000 더 락 vs. 디 언더테이커 vs. 커트 앵글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3년 7월 27일 덴버 펩시 센터 9,500 커트 앵글 vs. 브록 레스너 vs. 빅 쇼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4년 7월 11일 하트퍼드 하트퍼드 시빅 센터 7,000 크리스 벤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5년 6월 26일 라스베이거스 토머스 & 맥 센터 9,850 바티스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헬 인 어 셀 매치) 2006년 6월 25일 샬럿 샬럿 밥캐츠 아레나 6,800 D-제너레이션 X (트리플 H & 숀 마이클스) vs. 스피릿 스쿼드 (케니, 조니, 미치, 니키, 미이키) (핸디캡 매치) 2007년 6월 24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5,000 존 시나 vs. 믹 폴리 vs. 바비 래쉴리 vs. 랜디 오턴 vs. 킹 부커 (WWE 챔피언십, 파이브-팩 첼린지 매치) 2011년 10월 23일 샌안토니오 AT&T 센터 8,000 알베르토 델 리오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라스트맨 스탠딩 매치)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편집]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8년 6월 29일 댈러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16,151 트리플 H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09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 와코비아 센터 17,774 CM 펑크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0년 9월 19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3,851 랜디 오턴 vs. 셰이머스 vs. 웨이드 배럿 vs. 존 시나 vs. 에지 vs. 크리스 제리코 (WWE 챔피언십, 식스-팩 첼린지 일리미네이션 매치) 2011년 9월 18일 버펄로 HSBC 아레나 11,000 트리플 H vs. CM 펑크 (노 티큐 매치) 2012년 9월 23일 보스턴 TD 노스뱅크 가든 14,886 CM 펑크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13년 9월 15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0,500 대니얼 브라이언 vs. 랜디 오턴 (WWE 챔피언십) 2014년 9월 21일 내슈빌 브리지스톤 아레나 12,000 존 시나 vs. 브록 레스너 (WWE 챔피언십) 2015년 9월 20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4,369 세스 롤린스 vs. 스팅 (WWE 챔피언십) 외부 링크[편집]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홈페이지 vdehWWE프로그램텔레비전 러 스맥다운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NXT 메인이벤트 NXT UK 205 라이브 토탈 디바스 디바 서치 터프이너프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 인터넷 메인이벤트 애프터번 보텀라인 익스피리언스 프리 포 올 빈티지 페이퍼뷰 로열 럼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패스트 레인 레슬매니아 머니 인 더 뱅크 WWE 슈퍼쇼-다운 스톰핑 그라운즈 익스트림 룰스 서머슬램 헬 인 어 셀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서바이벌 시리즈 TLC: 테이블, 레더, 체어 NXT 페이퍼뷰 NXT 테이크오버 WWE 네트워크 스페셜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토너먼트 WWE 매영 클래식 스타케이드 WWE 그레이티스트 로열 럼블 WWE 크라운 주얼 사라진 페이퍼뷰 뉴 이어스 레벌루션 벤전스 페이백 언포기븐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배틀 그라운드 사이버 선데이 아마게돈 노 머시 노 웨이 아웃 저지먼트 데이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시 디셈버 투 디스멤버 더 레슬링 클래식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 로드블럭 인 유어 하우스 오버 더 에지 풀리 로디드 인베이젼 노 홀즈 바 브레이킹 포인트 브래깅 라이츠 오버 더 리밋 원 나이트 온리 캐피털 캐니지 노 머시 (영국) 리벨리온 에볼루션 백래시 인서렉션 캐피털 퍼니시먼트 페이탈 4웨이 NXT 어라이벌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더 비스트 인 더 이스트 라이브 프롬 매디슨 스퀘어 가든 킹 오브 더 링 배드 블러드 로드블록 과거 제휴 단체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 딥 싸우스 레슬링 하트랜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인터내셔널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멤피스 챔피언십 레슬링 얼티메이트 프로 레슬링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 인물 동창생 명예의 전당 관련 행사 WWE 드래프트 관련 사업 WBF (구) XFL XFL WWE 스튜디오 WWE 네트워크 브랜드별 챔피언 타이틀러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WWE 러 태그팀 챔피언십 WWE 러 위민스 챔피언십 스맥다운 WWE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205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유나이티드 킹덤 (UK)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WWE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UK 우먼스 챔피언십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WWE NXT 챔피언십 WWE NXT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WWE NXT 태그팀 챔피언십 WWE NXT 위민스 챔피언십 기타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WWE 24/7 챔피언십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십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 앙드레 더 자이언트 기념 배틀 로얄 사라진 챔피언 타이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구)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WWE 위민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 밀리언 달러 챔피언십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WWE_나이트_오브_챔피언스&oldid=22325335" 분류: WWE 페이퍼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WWE 벤전스(Vengeance) 또는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Night of Champions)는 WWE가 주관하는 페이 퍼 뷰이다. 이 행사는 1999년 아마겟돈(Armageddon)란 이름을 걸고 시작하였으며, 본래 12월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페이 퍼 뷰 아마겟돈이 2001년 당시 9·11 테러로 인해 대회명이 문제가 되어, 벤젼스(Vengeance)로 대체가 되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아마겟돈은 2002년에 부활했으며, 벤젼스는 개최 시기를 7월로 변경한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 행사는 2003년까지만 해도 스맥다운의 행사였으나 2004에서 2006년까진 러의 행사로 진행되었다. 2005년 〈더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와 페이 퍼 뷰 진행시기를 교체하여 6월로 변경되어 되었다. 2007년엔 벤젼스: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Vengeance: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을 걸고 9개의 챔피언쉽이 모두 진행되었다. 2008년부터는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Night of Champions)란 이름으로 바뀌어 진행하게 되었고, 2010년 부터는 9월로 개최시기를 변경하여 6년간 진행했으며, 2016년 7월 RAW와 스맥다운이 다시 분리되는 시점부터는 과거 WCW의 월간 TV 스페셜의 명칭이기도 했던 클래쉬 오브 챔피언스라는 새로운 명칭의 RAW 독점 PPV가 대신 개최될 예정이다. 목차 1 개최한 곳 1.1 벤전스 1.2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 외부 링크 개최한 곳[편집] 벤전스[편집]      * 러 단독 페이 퍼 뷰      * 스맥다운 단독 페이 퍼 뷰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1년 12월 9일 샌디에이고 샌디에이고 스포츠 아레나 11,800 크리스 제리코 (WCW 챔피언) vs.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WWE 챔피언) (WWE & WCW 통합 챔피언십) 2002년 7월 21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2,000 더 락 vs. 디 언더테이커 vs. 커트 앵글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3년 7월 27일 덴버 펩시 센터 9,500 커트 앵글 vs. 브록 레스너 vs. 빅 쇼 (WWE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 매치) 2004년 7월 11일 하트퍼드 하트퍼드 시빅 센터 7,000 크리스 벤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05년 6월 26일 라스베이거스 토머스 & 맥 센터 9,850 바티스타 vs. 트리플 H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헬 인 어 셀 매치) 2006년 6월 25일 샬럿 샬럿 밥캐츠 아레나 6,800 D-제너레이션 X (트리플 H & 숀 마이클스) vs. 스피릿 스쿼드 (케니, 조니, 미치, 니키, 미이키) (핸디캡 매치) 2007년 6월 24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5,000 존 시나 vs. 믹 폴리 vs. 바비 래쉴리 vs. 랜디 오턴 vs. 킹 부커 (WWE 챔피언십, 파이브-팩 첼린지 매치) 2011년 10월 23일 샌안토니오 AT&T 센터 8,000 알베르토 델 리오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라스트맨 스탠딩 매치)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편집] 날짜 개최한 곳 경기장 관중수 메인 이벤트 2008년 6월 29일 댈러스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16,151 트리플 H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09년 7월 26일 필라델피아 와코비아 센터 17,774 CM 펑크 vs. 제프 하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2010년 9월 19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 13,851 랜디 오턴 vs. 셰이머스 vs. 웨이드 배럿 vs. 존 시나 vs. 에지 vs. 크리스 제리코 (WWE 챔피언십, 식스-팩 첼린지 일리미네이션 매치) 2011년 9월 18일 버펄로 HSBC 아레나 11,000 트리플 H vs. CM 펑크 (노 티큐 매치) 2012년 9월 23일 보스턴 TD 노스뱅크 가든 14,886 CM 펑크 vs. 존 시나 (WWE 챔피언십) 2013년 9월 15일 디트로이트 조 루이스 아레나 10,500 대니얼 브라이언 vs. 랜디 오턴 (WWE 챔피언십) 2014년 9월 21일 내슈빌 브리지스톤 아레나 12,000 존 시나 vs. 브록 레스너 (WWE 챔피언십) 2015년 9월 20일 휴스턴 도요타 센터 14,369 세스 롤린스 vs. 스팅 (WWE 챔피언십) 외부 링크[편집] WWE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홈페이지 vdehWWE프로그램텔레비전 러 스맥다운 WWE 믹스드 매치 챌린지 NXT 메인이벤트 NXT UK 205 라이브 토탈 디바스 디바 서치 터프이너프 트리뷰트 투 더 트루프스 인터넷 메인이벤트 애프터번 보텀라인 익스피리언스 프리 포 올 빈티지 페이퍼뷰 로열 럼블 일리미네이션 체임버 패스트 레인 레슬매니아 머니 인 더 뱅크 WWE 슈퍼쇼-다운 스톰핑 그라운즈 익스트림 룰스 서머슬램 헬 인 어 셀 클래시 오브 챔피언스 서바이벌 시리즈 TLC: 테이블, 레더, 체어 NXT 페이퍼뷰 NXT 테이크오버 WWE 네트워크 스페셜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클래식 더스티 로즈 태그팀 클래식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토너먼트 WWE 매영 클래식 스타케이드 WWE 그레이티스트 로열 럼블 WWE 크라운 주얼 사라진 페이퍼뷰 뉴 이어스 레벌루션 벤전스 페이백 언포기븐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 배틀 그라운드 사이버 선데이 아마게돈 노 머시 노 웨이 아웃 저지먼트 데이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시 디셈버 투 디스멤버 더 레슬링 클래식 디스 튜즈데이 인 텍사스 로드블럭 인 유어 하우스 오버 더 에지 풀리 로디드 인베이젼 노 홀즈 바 브레이킹 포인트 브래깅 라이츠 오버 더 리밋 원 나이트 온리 캐피털 캐니지 노 머시 (영국) 리벨리온 에볼루션 백래시 인서렉션 캐피털 퍼니시먼트 페이탈 4웨이 NXT 어라이벌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더 비스트 인 더 이스트 라이브 프롬 매디슨 스퀘어 가든 킹 오브 더 링 배드 블러드 로드블록 과거 제휴 단체 플로리다 챔피언십 레슬링 딥 싸우스 레슬링 하트랜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인터내셔널 레슬링 어소시에이션 멤피스 챔피언십 레슬링 얼티메이트 프로 레슬링 오하이오 밸리 레슬링 인물 동창생 명예의 전당 관련 행사 WWE 드래프트 관련 사업 WBF (구) XFL XFL WWE 스튜디오 WWE 네트워크 브랜드별 챔피언 타이틀러 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 WWE 러 태그팀 챔피언십 WWE 러 위민스 챔피언십 스맥다운 WWE 챔피언십 WWE 인터콘티넨털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 WWE 스맥다운 위민스 챔피언십 205 라이브 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유나이티드 킹덤 (UK) WWE 유나이티드 킹덤 챔피언십 WWE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UK 우먼스 챔피언십 NXT UK 태그팀 챔피언십 NXT WWE NXT 챔피언십 WWE NXT 노스 아메리칸 챔피언십 WWE NXT 태그팀 챔피언십 WWE NXT 위민스 챔피언십 기타 WWE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WWE 24/7 챔피언십 트리플 크라운 챔피언십 그랜드 슬램 챔피언십 앙드레 더 자이언트 기념 배틀 로얄 사라진 챔피언 타이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E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E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WE 유러피언 챔피언십 WWE 하드코어 챔피언십 (구)WWE 크루저웨이트 챔피언십 WWE 위민스 챔피언십 WWE 디바스 챔피언십 밀리언 달러 챔피언십 WWE 라이트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WF 위민스 태그팀 챔피언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WWE_나이트_오브_챔피언스&oldid=22325335" 분류: WWE 페이퍼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벨 41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 41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벨 412 로스앤젤레스 소방국 소속의 벨 412EP종류 헬리콥터원산국 미국/캐나다제조사 벨 헬리콥터첫 비행 1981년현황 운영중주요 사용자 영국 공군생산 시기 1979년 ~ 생산 대수 869대 이상개발 원형 벨 212파생형 벨 CH-416웹사이트 http://www.bellhelicopter.com 벨 412는 벨 헬리콥터에서 1979년에 개발해 상용화한 다목적 헬리콥터이다. 목차 1 운용 1.1 군사용 1.2 정부기관 2 제원 3 외부 링크 운용[편집] 군사용[편집] 알제리 공군 아르헨티나 공군 보츠나와 국방군 카메룬 공군 칠레 공군 콜롬비아 해군 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엘살바도르 공군 에리트리아 공군 가나 공군 과테말라 공군 가이아나 국방군 온두라스 공군 인도네시아 육군 인도네시아 해군 이탈리아 육군 자메이카 국방군 레소토 국방군 멕시코 공군 네덜란드 공군 노르웨이 공군 파키스탄 육군 파키스탄 해군 파나마 방위군 페루 공군 페루 해군 필리핀 공군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슬로베니아 공군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양경비안전본부 스리랑카 공군 태국 공군 태국 경찰 터키 연안경비대 아랍에미리트 공군 영국 공군 베네수엘라 육군 베네수엘라 해군 짐바브웨 공군 정부기관[편집] 퀸즐랜드 방재본부 뉴사우스웨일즈 경찰본부 브라질 경찰 핀란드 국경수비대 제원[편집] 벨 412의 삼면도 승무원: 1명 또는 2명 승객: 13 명 화물: 3,000 kg 길이: 17.1 m 날개길이: 14.0 m 높이: 4.6 m 기체중량: 3,079 kg 최대이륙중량: 5,397 kg 최대속도: 259 km/h 순항속도: 226 km/h 항속거리: 980km 순항고도: 6,096 m 상승제한고도: 6.86 m/s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벨 412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벨 412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공군 장비전술 수송기 C-130J C-130H CN-235 VIP 수송기 보잉 747-400 보잉 737-300 VCN-235 VC-118 BAe-148 VC-X¹ 전투기 F-4E 팬텀II F-5E 타이거II KF-5E/F 제공호 F-16C/D Block 32+ KF-16 Block 52+ F-15K 슬램이글 FA-50 골든이글 F-35A 라이트닝II KF-X¹ 정찰기 금강정찰기 백두정찰기(신호정보기) RF-4E RF-16, EO-X Falcon 2000s 조기경보통제기E-737공중급유기A330 MRTT무인항공기 하피 글로벌호크¹ 훈련기 T-50 T-37 T-38 T-41 T-59 T-103 KC-100 나라온¹ 공격기 TA-50 KA-1 공대공 미사일 AIM-9P/L/M/X 사이드와인더 AIM-120C 암람 AIM-7 스패로우 공대지 미사일 KEPD 350K(TAURUS KEPD 350K) 하푼 슬램 ER 팝아이 메버릭 함 공대함 미사일 하푼 슬램 ER 메버릭 폭탄 JDAM-ER KGGB MK82 GBU-57/B 벙커버스터 방공무기 나이키 호크 MIM-104F Patriot PAC-2(GEM-T)/PAC-3¹ 천궁 대공미사일(M-SAM) L-SAM K-30 비호 천마 신궁 미스트랄 로켓 2.75인치 히드라 로켓 2.75인치 K-LOGIR 유도 로켓 헬기 벨 205 벨 212 벨 412 UH-60P 블랙호크 HH-60P 페이브호크 VH-60P 블랙호크 카모프 Ka-32 AS-362 수퍼퓨마 KUH-1 수리온¹ 1 : 도입 예정. 대한민국 육군 장비 대한민국 해군 장비 이 글은 항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벨_412&oldid=22960062" 분류: 헬리콥터대한민국의 경찰 장비1979년 첫 비행한 항공기숨은 분류: 항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7: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벨 41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벨 41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벨 412 로스앤젤레스 소방국 소속의 벨 412EP종류 헬리콥터원산국 미국/캐나다제조사 벨 헬리콥터첫 비행 1981년현황 운영중주요 사용자 영국 공군생산 시기 1979년 ~ 생산 대수 869대 이상개발 원형 벨 212파생형 벨 CH-416웹사이트 http://www.bellhelicopter.com 벨 412는 벨 헬리콥터에서 1979년에 개발해 상용화한 다목적 헬리콥터이다. 목차 1 운용 1.1 군사용 1.2 정부기관 2 제원 3 외부 링크 운용[편집] 군사용[편집] 알제리 공군 아르헨티나 공군 보츠나와 국방군 카메룬 공군 칠레 공군 콜롬비아 해군 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엘살바도르 공군 에리트리아 공군 가나 공군 과테말라 공군 가이아나 국방군 온두라스 공군 인도네시아 육군 인도네시아 해군 이탈리아 육군 자메이카 국방군 레소토 국방군 멕시코 공군 네덜란드 공군 노르웨이 공군 파키스탄 육군 파키스탄 해군 파나마 방위군 페루 공군 페루 해군 필리핀 공군 사우디아라비아 공군 슬로베니아 공군 대한민국 공군 대한민국 해양경비안전본부 스리랑카 공군 태국 공군 태국 경찰 터키 연안경비대 아랍에미리트 공군 영국 공군 베네수엘라 육군 베네수엘라 해군 짐바브웨 공군 정부기관[편집] 퀸즐랜드 방재본부 뉴사우스웨일즈 경찰본부 브라질 경찰 핀란드 국경수비대 제원[편집] 벨 412의 삼면도 승무원: 1명 또는 2명 승객: 13 명 화물: 3,000 kg 길이: 17.1 m 날개길이: 14.0 m 높이: 4.6 m 기체중량: 3,079 kg 최대이륙중량: 5,397 kg 최대속도: 259 km/h 순항속도: 226 km/h 항속거리: 980km 순항고도: 6,096 m 상승제한고도: 6.86 m/s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벨 412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벨 412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 공군 장비전술 수송기 C-130J C-130H CN-235 VIP 수송기 보잉 747-400 보잉 737-300 VCN-235 VC-118 BAe-148 VC-X¹ 전투기 F-4E 팬텀II F-5E 타이거II KF-5E/F 제공호 F-16C/D Block 32+ KF-16 Block 52+ F-15K 슬램이글 FA-50 골든이글 F-35A 라이트닝II KF-X¹ 정찰기 금강정찰기 백두정찰기(신호정보기) RF-4E RF-16, EO-X Falcon 2000s 조기경보통제기E-737공중급유기A330 MRTT무인항공기 하피 글로벌호크¹ 훈련기 T-50 T-37 T-38 T-41 T-59 T-103 KC-100 나라온¹ 공격기 TA-50 KA-1 공대공 미사일 AIM-9P/L/M/X 사이드와인더 AIM-120C 암람 AIM-7 스패로우 공대지 미사일 KEPD 350K(TAURUS KEPD 350K) 하푼 슬램 ER 팝아이 메버릭 함 공대함 미사일 하푼 슬램 ER 메버릭 폭탄 JDAM-ER KGGB MK82 GBU-57/B 벙커버스터 방공무기 나이키 호크 MIM-104F Patriot PAC-2(GEM-T)/PAC-3¹ 천궁 대공미사일(M-SAM) L-SAM K-30 비호 천마 신궁 미스트랄 로켓 2.75인치 히드라 로켓 2.75인치 K-LOGIR 유도 로켓 헬기 벨 205 벨 212 벨 412 UH-60P 블랙호크 HH-60P 페이브호크 VH-60P 블랙호크 카모프 Ka-32 AS-362 수퍼퓨마 KUH-1 수리온¹ 1 : 도입 예정. 대한민국 육군 장비 대한민국 해군 장비 이 글은 항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벨_412&oldid=22960062" 분류: 헬리콥터대한민국의 경찰 장비1979년 첫 비행한 항공기숨은 분류: 항공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Türkçe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7: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리보르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보르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리보르노 Livorno 리보르노북위 43° 33′ 00″ 동경 10° 19′ 00″ / 북위 43.55° 동경 10.316667°  / 43.55; 10.316667좌표: 북위 43° 33′ 00″ 동경 10° 19′ 00″ / 북위 43.55° 동경 10.316667°  / 43.55; 10.316667 행정 나라 이탈리아 지역 토스카나주 행정구역 리보르노현 인구 인구 161,162 명 (2010년) 인구밀도 1,500 명/km2 지리 면적 104.8 km2 해발 3 m 상징 수호성인 코르시카의 줄리아 (축일 5월 22일) 기타 시간대 CET (UTC+1)CEST (UTC+2) 우편번호 57100 지역번호 0586 리보르노 - 공식 웹사이트 리보르노(이탈리아어: Livorno)는 이탈리아 서해안, 리구리아 해에 면하는 항구 도시이다. 영어 명인 레그혼(Leghorn)[1][2] 이라고도 알려졌다. 리보르노현의 현도이기도 하다. 피사의 근처에 있으며, 피사와 운하로 연결되면서 중세 시대때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목차 1 역사 2 대중 교통 2.1 공항 2.2 열차 3 스포츠 4 억양 5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19세기 리보르노 항 6 기후 7 자매 도시 8 각주 8.1 참고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17세기 당시 리보르노의 방어시설 리보르노는 1017년에 피사를 방어할 목적의 작은 해안 요새로서 세워졌다. 수 백년간 피사의 영토에 속해있었다.[3] 하지만 피사에게 항구로서의 기능을 제공한건 리보르노가 아니라 멜로리아 전투에서 피사 함대가 전멸당한 후 파괴된 포르토피사노였다.[4] 1404년에서 1421년까지 제노바에 속해있었고 1421년 8월 28일 피렌체에게 매각되었다. 1427년부터 1429년 사이에 인구조사가 이뤄졌다. 그 인구 조사에 따르면 리보르노에는 총 118 가구가 있었고, 423명이 거주했었다고 한다. 수도사, 유대인, 군인, 부랑자들은 인구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5] 중세 리보르노의 유일한 흔적은 옛 항구 지구에 위치한 성벽과 두 개의 탑의 조각들이 전부이다. 피렌체 왕조를 지배하던 메디치 가문이 도래한 후, 일부 개선이 이뤄졌는데, 그중 특히 1518년과 1534년 사이에 오늘날 옛 항구가 건설되었고, 리보르노에 자발적으로 재정착하던 인구도 늘어났지만, 리보르노는 여전히 평범한 해안 요새로서 여겨졌다.[6] 리보르노는 메디치 가문이 대공작으로 있던 시기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기간 "이상적 도시"로서 건설되었다. 16세기 말 건축가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가 이곳에 여러 건물들을 지었다. 1580년대 말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는 리보르노를 자유 무역항으로 선포하였고, 이로 인해 리보르노의 지배권 하에 있는 곳에서 교역품은 면세가 되었다. 이 교역을 규제하기 위해, 1590년에 공작의 관리들은 레지 리보르니네(Leggi Livornine)라는 법을 선포하였다. 이 법은 반종교 개혁이 시작되던 1603년까지 지속됐다. 이 법은 범죄와 공갈로부터 상인들의 활동을 보호하면서 조정이 잘 된 시장을 만들어냈고, 이때 도입된 법들은 국제 무역 법으로 여겨진다. 거기에 기독교의 대한 관용이 확대되어, 이곳의 법은 도시의 상업을 위해서 대중들에게 종교의 자유 권리가 주어졌고 성직자들에 의해 보속을 받으면 사면이 되었다. 대공작은 16세기말부터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추방당하기 시작한 수많은 유대인 이민자들을 받아들였으며, 그들에게 권리와 특권을 제공하였고, 그들은 도시에 상업적 부와 학문적 지식을 기여했다. 리보르노는 계몽된 유럽의 도시이자 지중해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한 곳이 되었다. 수많은 유럽의 외국인들이 리보르노로 이주해왔다. 그중에는 마르틴 루터, 장 칼뱅등을 지지하는 개신교도들이 포함되었다. 프랑스인, 네덜란드인, 잉글랜드인들도 속해있었고, 심지어 정교회를 믿는 그리스인들도 몰려왔다. 한편 유대인들은 과거 대공작과 맺은 조약 하에서 무역에 계속 종사하였다. 1606년 3월 19일 페르디난도 1세 데 메디치가 리보르노를 도시의 지위로 끌어올렸고, 그 행사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포르테차 베키아 예배당에서 열렸다. 성 카테리나 성당 반종교 개혁은 기독교인들 사이에 긴장을 증가시켰고, 교황령에 반체제 인사들은 여러 순수 가톨릭 통치자들의 목표가 되었다. 리보르노의 관용은 종교 전쟁의 피해로 무너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전 기간 동안 리보르노의 상인들은 개신교도 측 유럽과 교역망을 구축해놨고, 네덜란드, 영국, 독일인들은 이 교역망에 남아 활동하였다. 17세기 말, 리보르노는 도시 계획과 확장을 겪었다. 옛 요새의 방어용 말뚝 근처에 새로운 요새와 함께 성벽과 이웃 도시들을 통해 배가 돌아다닐 수 있는 수로가 지어졌다. 피사의 항구가 토사로 막혀버린 후, 바다와의 거리가 멀어져 버렸고 교역에서 지배력을 상실하고 말았다. 그렇게 리보르노가 토스카나 지역의 핵심 항구 지위를 가져갔다. 더욱 강해진 유럽의 강호들이 이 지역에 무역 상사를 재설치했으며, 대표적인 예로 영국의 레반트 회사가 있다. 결국에는 교역망이 성장하게 되면서, 토스카나 지역은 영국 문화와의 접촉이 많아졌다. 영국의 작가, 예술가, 철학자들이 이곳을 방문하는 횟수가 증가했고 두 지역 사회간에 특별한 역사적 결합으로 발전하였다. 영국인들은 리보르노를 레그혼(Leghorn)이라고 불렀다. 수 세기 동안 , 리보르노의 교역 성쇠는 열강들의 흥망에 의해 쇠퇴하고 성장하였다. 영국과 개신교도 동맹들에게 이곳은 교역에 중요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난 19세기 동안에 프랑스가 영국과의 교역을 금지시킴에 따라, 리보르노의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프랑스는 1808년에 토스카나를 점령하여 그들의 제국에 병합시켰다. 1868년 이탈리아가 통일에 성공하면서, 리보르노와 토스카나는 이탈리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리보르노는 자유 무역항 지위를 상실했고 경제적 중요성도 감소하였다. 리보르노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아주 큰 피해를 입었다. 성당과 시나고그를 포함한 많은 역사적 지역과 건물들이 연합군의 본토 침공에 앞서 폭격으로 파괴되었다. 리보르노는 21세기에 들어 경제가 쇠퇴하면서 영향력을 잃어버렸고, 이탈리아의 가장 가난한 북부 도시들 한 곳이다. 대중 교통[편집] 공항[편집] 가장 가까운 공항은 토스카나 지역의 주요 공항인 갈릴레오 갈릴레이 공항이며, 이곳에서 20km 거리에 있다. 열차[편집] 리보르노는 리보르노 중앙 역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포츠[편집] 리보르노는 현재 세리에 B에 참가중인 AS 리보르노 칼초라는 축구팀이 있다. 축구가 가장 잘 알려지고 이곳에서 가장 많이 하는 스포츠이지만, 육상(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00미터 허들 우승)이나 펜싱(알도 몬타노 같은 다른 스포츠 우승자들을 많이 배출해냈다. 또한 리보르노는 야구, 럭비, 미식 축구 팀 역시도 지니고 있다. 억양[편집] 리보르노 사람들은 베르나큘라로 알려진 이탈리아어 토스카나 억양의 변형 형태의 언어로 소통한다. 1982년에 창사한 풍자 코믹 스타일의 잡지사인 일 베르나콜리에레에서 리보르노 억양으로 주로 출판하며, 전국에 배포된다.[7]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19세기 리보르노 항[편집] 16세기 초 리보르노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은 코시모 데 메디치와 그 후손들의 함대에서 일하던 용병들이였다. 이 지역 사회는 성장하여 18, 19세기 리보르노가 지중해 무역의 허브가 되던 때에는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8] 새로 정착한 그리스 이민자들의 대부분은 그리스 서부, 히오스 섬, 이피로스 지역, 소아시아에서 온 이들이다. 16세기 말부터 자유 무역항 지위를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말 리보르노가 흑해, 지중해, 북대서양에 그리스 상업 종사자들과 관련되어 강력한 전략적 위치를 즐기던 때까지 레반트에서 온 교역품, 곡물들을 장기 보관할 창고들이 지어졌다. 19세기 초의 나폴레옹 전쟁 동안 항구 봉쇄, 해적 행위, 화물 몰수와 관련된 대영제국과 프랑스의 분쟁은 그리스 상인들에게 기꺼이 위험을 감수할만한 이점으로 작용하였다. 1820년대부터 그리스 사업가들은 리보르노를 떠난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외 다른 국가들의 개신교도 상인들을 서서히 대체해갔다. 그리스인들은 곡물 시장, 은행업, 선박 중개업에 집중하였다. 흑해에서 온 밀 화물은 잉글랜드로 발송하기 전 리보르노에 들렀다. 그리스 상인들은 알렉산드리아와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다른 목적지로 돌아가는 배에 직물과 다른 상품들을 실었다. 히오스 섬에서 온 그리스인들이 특히 이 무역을 주도했다. 1839년 리보르노는 그리스인과 유대계 이탈리아인이 운영하는 주요 10개의 상점이 있기도 하였다.[9] 그리스인 지역 사회는 그리스 동방 정교회, 그리스어, 그리스 역사를 바탕으로 한 독특한 문화와 사회 정체성을 지녔었다. 1775년 그들은 성 삼위일체 신심회(Confraternita della SS. Trinita)를 창단하고 토스카나 지역 최초의 비가톨릭계 교회인 키에사 델라 산티시마 트리니타를 건설했다.[10] 또한 그리스 지역 사회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이피로스 지역, 히오스 섬, 스미르나에서 온 어린 그리스인들에게 고등 교육을 시켜주기 위해 그리스인 학교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오스만 투르크 제국과 이탈리아에 있는 여러 그리스인 지역 사회와 마찬가지로 1821년 그리스 혁명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을 하기도 하였다. 또한 비그리스인들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로도카나키(Rodocanachi) 가문은 교육학자 엔리코 메이어가 운영하는 "공동 교육 학교"(School of Mutual Education)에 자금을 대주었다. 지역 사회는 가난한 로마 가톨릭 어린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우는데 기여를 하였다. 지역 관리 당국은 그리스 지역 사회(파포우도프, 마우로고르다토스, 로도카나키, 토시차 등등 그외 가문들)의 성공한 구성원들의 기여를 인정하고 그들에게 귀족 작위를 주었다. 1868년 통일과 이탈리아 왕국이 세워진 후, 자유 무역항으로서의 지위와 조약등이 해제되고 나서 그리스인 지역 사회는 쇠퇴했다.[11] 기후[편집] Livorno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9.6 (67.3) 21.5 (70.7) 24.1 (75.4) 25.6 (78.1) 32.2 (90) 35.4 (95.7) 37.8 (100) 36.0 (96.8) 33.6 (92.5) 28.8 (83.8) 25.0 (77) 21.5 (70.7) 37.8 (100) 평균최고기온 °C (°F) 10.8 (51.4) 12.0 (53.6) 14.3 (57.7) 17.2 (63) 21.0 (69.8) 24.9 (76.8) 27.7 (81.9) 27.5 (81.5) 24.8 (76.6) 20.2 (68.4) 15.3 (59.5) 11.8 (53.2) 19 (66.1) 평균최저기온 °C (°F) 4.8 (40.6) 5.4 (41.7) 7.5 (45.5) 10.2 (50.4) 13.7 (56.7) 17.4 (63.3) 20.0 (68) 19.9 (67.8) 17.3 (63.1) 13.3 (55.9) 9.1 (48.4) 6.1 (43) 12.1 (53.7) 최저기온기록 °C (°F) −7.0 (19.4) −6.6 (20.1) −4.8 (23.4) 0.1 (32.2) 3.0 (37.4) 7.8 (46) 11.6 (52.9) 10.8 (51.4) 5.0 (41) 0.6 (33.1) −1.7 (28.9) −5.4 (22.3) −7 (19.4) 평균 강수량 mm (인치) 68 (2.7) 60 (2.4) 69 (2.7) 60 (2.4) 54 (2.1) 40 (1.6) 18 (0.7) 31 (1.2) 73 (2.9) 104 (4.1) 102 (4) 80 (3.1) 759 (29.9) 평균강수일수 8 8 9 8 7 4 2 3 6 9 10 10 84 출처: [12] 자매 도시[편집] 이스라엘 바트얌 스페인 과달라하라 베트남 하이퐁 러시아 노보로시스크 미국 오클랜드 각주[편집] 참고[편집] ↑ Macdonald, A.M. (ed.) (1972). 《Chambers Twentieth Century Dictionary》. Chambers.  ↑ 《Collins Concise Dictionary》 Revis Thi판. Glasgow: HarperCollins. 199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Vaccari et al, p. 15 ↑ Vaccari et al, p. 28 ↑ Vaccari et al, p. 42 ↑ Vaccari et al, p. 48 ↑ “COS'È IL VERNACOLIERE”. Mario Cardinali. 2011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5월 28일에 확인함.  ↑ Vlami Despina (1997) "Commerce and identity in the Greek communities: Livorno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dentities, Cultures, and Creativity)", Diogenes, 22 March 1997 ↑ Harlaftis G., A History of Greek-Owned Shipping, Routledge, London, 1996, p. 50 ↑ Christopoulos, M.D. "Greek Communities Abroad: Organization and Integration. A Case Study of Trieste" Archived 2011년 7월 22일 - 웨이백 머신, Representations, pp. 23–46 ↑ Vlami, D. (undated) "Filopatrides kai filogeneis Hellenes tou Livorno", part of the series The Greece of Benefactors, Hemeresia newspaper, pp. 1–64. In Greek language. Need date of publication. ↑ “Enea.it”. 2016년 4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리보르노 공식 홈페이지 (이탈리아어) 리보르노 항구 홈페이지 vdeh리보르노 현의 행정구역 로시냐노마리티모 리보르노 리오넬렐바 리오마리나 마르차나 마르차나마리나 비보나 사세타 산빈첸초 수베레토 체치나 카스타녜토카르두치 카폴리베리 카프라이아이솔라 캄포넬렐바 캄필리아마리티마 콜레살베티 포르토아추로 포르토페라이오 피옴비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34273104 LCCN: n79097456 ISNI: 0000 0001 2265 1654 GND: 4114431-4 SUDOC: 02643816X BNF: cb118685696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리보르노&oldid=24189654" 분류: 리보르노토스카나주의 코무네리보르노현의 코무네이탈리아의 현도숨은 분류: CS1 관리 - 추가 문구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ebuano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LatinaLigureLumbaart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Napulitano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apiamentu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wi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원자력연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연구원(韓國原子力硏究院,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111(덕진동)에 위치한 195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연구 기관으로 원자로의 연구 및 개발, 방사성 동위원소의 생산 및 핵기술자의 양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1958년 원자력기본법(원자력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원자력연구기관으로 초기에는 정부조직이었으나 1980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설립 취지에 따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 동위원소 생산, 미래 원자력에너지 연구,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 원자력 정책연구 등의 연구업무를 수행하며 연구로인 하나로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연혁 2 주요연구성과 3 주요연구분야 4 조직 4.1 한국원자력연구원 4.1.1 부원장 5 사고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9년 3월 1일 원자력연구소 개소. 1973년 2월 17일 원자력연구소, 방사선의학연구소, 방사선농학연구소가 합쳐져서 한국원자력연구소 발족. 1980년 12월 31일 한국에너지연구소로 이름 바꿈. 1989년 12월 30일 한국원자력연구소로 원래 이름으로 바꿈. 2007년 3월 2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이름 바꿈.[1] 주요연구성과[편집] 1987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1988년 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1995년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자력 설계 및 건조 1996년 한국표준형원전 개발 2001년 방사성 의약품 신양 '밀리칸주' 개발 2002년 일체형 원자로 SMART 기본설계 완료 2003년 지르코늄 신합금 핵연료 피복관 개발 2006년 KALIMER-600 개념설계 완료 2006년 열수력 종합효과실험장치 ATLAS구축 2009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 수주 2010년 냉중성자 연구시설 구축 2011년 대용량 선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주요연구분야[편집] 연구용 원자로 이용 연구개발 하나로 운영, 중성자 이용 연구, 동위원소 이용 기술 개발 수출형원자로 개발 연구용 원자로 수출, SMART 개발 미래원자력 시스템 개발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발,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 초고온가스로(VHTR) 개발, 고준위 폐기물 장기관리 기술 개발 원자력 안전 연구개발 열수력안전연구, 중대사고 연구, 확률론적 안정성 평가(PSA), 원자력 환경 안전 연구, 상용 원전 핵심기술 개발 핵연료, 원자력 재료 개발 핵연료 개발, 원자력 재료개발 미래형 신기술 개발 방사선 융합 기술 개발, 양성자 가속기 개발, 핵융합 기술 개발 조직[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편집] 감사 부원장[편집] 품질경영부 원자력안전·환경연구소 핵연료주기기술연구소 원자로개발연구소 방사선과학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 경영기획본부 안전관리본부 소통협력본부 원자력정책연구센터 사고[편집] 2017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6년 11월 7일부터 2017년 4월 19일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폐기물 실태를 조사하여, 총 36건의 원자력 안전법 위반 사항을 확인하였다.[2] 이 중에는 방폐물 무단 폐기와 관리 기록 조작등도 포함되어 있어서 형사입건 조치하였으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여러 중대 혐의들에 대해서도 위반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 중에는 장갑, 비닐등의 방사성폐기물을 임의로 태웠으며,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물을 빗물관으로 몰래 흘려버리거나, 혹은 방폐물을 함부로 녹이거나 땅에 묻고, 몰래 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소각한 방사성폐기물 4.9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방사선 관리 구역안에서 쓴 장비를 무단으로 매각하는 등의 원자력 안전관리 규정을 상습적으로 위반한걸 잡아내었다.[3] 2018년 1월 20일 밤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연성 폐기물 시설에서는 외벽 수도배관 동파방지용 열선 과열로 불이 나 외벽과 지붕 150㎡가 탔다. 이에 당시 대처가 미흡했던 것에 대해 25일에 사과하였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날 설명자료를 내어 "연구원 내 폐기물처리시설 화재사건에 대한 자체 정밀 재조사 결과 관련 부서 보고 누락으로 대외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이후 오후 7시 23분쯤 연기나 열, 불꽃까지 감지할 수 있는 화재조기경보기(USN)가 첫 경보를 울렸으나, 상황실 근무자들은 불이 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설 인근의 수송용기실험동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해 비상출동했다. 기존 발표내용에서는 이 부분까지 44분여 동안의 상황을 빠뜨린 채 화재감지기를 초기화한 오후 8시 7분부터의 상황만 전해졌다. 결국 초기 감지 시각부터 소방서에 신고된 오후 8시 23분까지 1시간 동안 화재 현장에는 실질적인 화재진압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셈이다. 그리고 원자력연구원이 소방본부와 언론등에 알린 화재 확인 시각은 8시 21분이었다. 2분 뒤 근무자가 소방서에 신고, 초기 진화에 나섰다고 설명하였다. 하재주 원장은 "근무자의 초동대처 미흡과 최조 화재 인지 시각에 대한 담당부서의 임의적인 보고 누락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담당부서장을 즉시 직위해제 했다"며 "추가 조사를 통해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이 사고로 소방서 추산 2천185만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났다.[4][5] 각주[편집] ↑ “한국원자력연구원 연혁”. 2007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ytn.co.kr/_ln/0115_201704201302345843 ↑ http://www.hankookilbo.com/v/e87864ebf2a64927a3d982bba1e4140e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5/0200000000AKR20180125090900063.HTML?input=1195m ↑ http://www.nocutnews.co.kr/news/4912661 외부 링크[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2인) 과학기술혁신본부 본부장 우정사업본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어린이과학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우주전파센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 서울전파관리소 서울북부사무소 부산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 당진사무소 대구전파관리소 강릉전파관리소 전주전파관리소 제주전파관리소 청주전파관리소 울산전파관리소 산하 공공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소관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기술인공제회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한국과학관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정보통신공제조합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학(또는 대학원) 기능을 가진 법인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원자력연구원&oldid=24378703" 분류: 정부출연연구기관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대전 유성구의 건축물원자력 연구소1959년 설립대한민국의 원자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2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원자력연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재단법인 한국원자력연구원(韓國原子力硏究院,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989번길 111(덕진동)에 위치한 1959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 연구 기관으로 원자로의 연구 및 개발, 방사성 동위원소의 생산 및 핵기술자의 양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1958년 원자력기본법(원자력법)에 의해 설립된 국내 유일의 원자력연구기관으로 초기에는 정부조직이었으나 1980년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 원자력 연구원에서는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설립 취지에 따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 동위원소 생산, 미래 원자력에너지 연구,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 원자력 정책연구 등의 연구업무를 수행하며 연구로인 하나로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연혁 2 주요연구성과 3 주요연구분야 4 조직 4.1 한국원자력연구원 4.1.1 부원장 5 사고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59년 3월 1일 원자력연구소 개소. 1973년 2월 17일 원자력연구소, 방사선의학연구소, 방사선농학연구소가 합쳐져서 한국원자력연구소 발족. 1980년 12월 31일 한국에너지연구소로 이름 바꿈. 1989년 12월 30일 한국원자력연구소로 원래 이름으로 바꿈. 2007년 3월 27일 한국원자력연구원으로 이름 바꿈.[1] 주요연구성과[편집] 1987년 중수로 핵연료 국산화 1988년 경수로 핵연료 국산화 1995년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자력 설계 및 건조 1996년 한국표준형원전 개발 2001년 방사성 의약품 신양 '밀리칸주' 개발 2002년 일체형 원자로 SMART 기본설계 완료 2003년 지르코늄 신합금 핵연료 피복관 개발 2006년 KALIMER-600 개념설계 완료 2006년 열수력 종합효과실험장치 ATLAS구축 2009년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 수주 2010년 냉중성자 연구시설 구축 2011년 대용량 선형 양성자 가속기 개발 주요연구분야[편집] 연구용 원자로 이용 연구개발 하나로 운영, 중성자 이용 연구, 동위원소 이용 기술 개발 수출형원자로 개발 연구용 원자로 수출, SMART 개발 미래원자력 시스템 개발 파이로프로세싱 기술 개발, 소듐냉각고속로(SFR) 개발, 초고온가스로(VHTR) 개발, 고준위 폐기물 장기관리 기술 개발 원자력 안전 연구개발 열수력안전연구, 중대사고 연구, 확률론적 안정성 평가(PSA), 원자력 환경 안전 연구, 상용 원전 핵심기술 개발 핵연료, 원자력 재료 개발 핵연료 개발, 원자력 재료개발 미래형 신기술 개발 방사선 융합 기술 개발, 양성자 가속기 개발, 핵융합 기술 개발 조직[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편집] 감사 부원장[편집] 품질경영부 원자력안전·환경연구소 핵연료주기기술연구소 원자로개발연구소 방사선과학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 경영기획본부 안전관리본부 소통협력본부 원자력정책연구센터 사고[편집] 2017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016년 11월 7일부터 2017년 4월 19일까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폐기물 실태를 조사하여, 총 36건의 원자력 안전법 위반 사항을 확인하였다.[2] 이 중에는 방폐물 무단 폐기와 관리 기록 조작등도 포함되어 있어서 형사입건 조치하였으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여러 중대 혐의들에 대해서도 위반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 중에는 장갑, 비닐등의 방사성폐기물을 임의로 태웠으며, 방사성물질에 오염된 물을 빗물관으로 몰래 흘려버리거나, 혹은 방폐물을 함부로 녹이거나 땅에 묻고, 몰래 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소각한 방사성폐기물 4.9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지 않았으며, 방사선 관리 구역안에서 쓴 장비를 무단으로 매각하는 등의 원자력 안전관리 규정을 상습적으로 위반한걸 잡아내었다.[3] 2018년 1월 20일 밤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연성 폐기물 시설에서는 외벽 수도배관 동파방지용 열선 과열로 불이 나 외벽과 지붕 150㎡가 탔다. 이에 당시 대처가 미흡했던 것에 대해 25일에 사과하였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날 설명자료를 내어 "연구원 내 폐기물처리시설 화재사건에 대한 자체 정밀 재조사 결과 관련 부서 보고 누락으로 대외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화재 발생 이후 오후 7시 23분쯤 연기나 열, 불꽃까지 감지할 수 있는 화재조기경보기(USN)가 첫 경보를 울렸으나, 상황실 근무자들은 불이 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설 인근의 수송용기실험동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해 비상출동했다. 기존 발표내용에서는 이 부분까지 44분여 동안의 상황을 빠뜨린 채 화재감지기를 초기화한 오후 8시 7분부터의 상황만 전해졌다. 결국 초기 감지 시각부터 소방서에 신고된 오후 8시 23분까지 1시간 동안 화재 현장에는 실질적인 화재진압 조치가 취해지지 않은 셈이다. 그리고 원자력연구원이 소방본부와 언론등에 알린 화재 확인 시각은 8시 21분이었다. 2분 뒤 근무자가 소방서에 신고, 초기 진화에 나섰다고 설명하였다. 하재주 원장은 "근무자의 초동대처 미흡과 최조 화재 인지 시각에 대한 담당부서의 임의적인 보고 누락으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담당부서장을 즉시 직위해제 했다"며 "추가 조사를 통해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처벌과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이 사고로 소방서 추산 2천185만원 상당의 재산 피해가 났다.[4][5] 각주[편집] ↑ “한국원자력연구원 연혁”. 2007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http://www.ytn.co.kr/_ln/0115_201704201302345843 ↑ http://www.hankookilbo.com/v/e87864ebf2a64927a3d982bba1e4140e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25/0200000000AKR20180125090900063.HTML?input=1195m ↑ http://www.nocutnews.co.kr/news/4912661 외부 링크[편집] 한국원자력연구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2인) 과학기술혁신본부 본부장 우정사업본부 국립중앙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 국립어린이과학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위원회 목록) 국립전파연구원 전파시험인증센터 우주전파센터 중앙전파관리소 위성전파감시센터 서울전파관리소 서울북부사무소 부산전파관리소 광주전파관리소 대전전파관리소 당진사무소 대구전파관리소 강릉전파관리소 전주전파관리소 제주전파관리소 청주전파관리소 울산전파관리소 산하 공공기관 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한국연구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소관기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기술인공제회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한국과학관협회 한국전파진흥협회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정보통신공제조합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대학(또는 대학원) 기능을 가진 법인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원자력연구원&oldid=24378703" 분류: 정부출연연구기관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대전 유성구의 건축물원자력 연구소1959년 설립대한민국의 원자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Françai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22: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02년 FIFA 월드컵 F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2년 FIFA 월드컵 F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02년 FIFA 월드컵은 32팀이 본선에 참가하였고 이들은 4팀씩 8개의 조로 나뉘었다. 2002년 FIFA 월드컵 F조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그리고 스웨덴이 편성된 조이다. F조의 일정은 2002년 6월 2일부터 2002년 6월 12일까지 지속되었다. 스웨덴과 잉글랜드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스웨덴은 잉글랜드와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에 따라 1위를 차지하였고, 그에 따라 2위는 잉글랜드 것이 되었다. 반면 아르헨티나와 나이지리아는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하였다. F조는 다수의 평론가들이 평균 FIFA 랭킹과 FIFA 월드컵에서의 전적에 따라 "죽음의 조"라는 꼬리표를 붙였다. 목차 1 순위 2 아르헨티나 vs 나이지리아 3 잉글랜드 vs 스웨덴 4 스웨덴 vs 나이지리아 5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 6 스웨덴 vs 아르헨티나 7 나이지리아 vs 잉글랜드 8 외부 링크 순위[편집]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스웨덴 3 1 2 0 4 3 +1 5 잉글랜드 3 1 2 0 2 1 +1 5 아르헨티나 3 1 1 1 2 2 0 4 나이지리아 3 0 1 2 1 3 −2 1 모든 시간은 일본의 동아시아 표준시를 따른다. (EAT/UTC+9) 아르헨티나 vs 나이지리아[편집] 2002년 6월 2일 14:30 아르헨티나 1 – 0 나이지리아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이바라키 관중수: 34,050 심판: 질 베시에르 (프랑스) 바티스투타  63' 리포트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CB 6 왈테르 사무엘  51' CB 13 디에고 플라센테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14 디에고 시메오네  90' CM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주장) 78'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81' LF 7 클라우디오 로페스 46' 교체 선수: MF 18 킬리 곤살레스 46' MF 16 파블로 아이마르 78'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81'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GK 1 이케 쇼룬무 RB 16 에페 소제  73' 73' CB 6 타리보 웨스트 CB 5 이삭 오코론코 LB 3 셀레스틴 바바야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2 조지프 요보 CM 4 은완코 카누 48' LM 11 가르바 라왈 CF 9 바르솔로뮤 오그베체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교체 선수: MF 7 피우스 이케디아 48' MF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73'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최우수 선수: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아르헨티나) 부심: 프레데리크 아르놀 (프랑스) 하이너 뮐러 (독일) 대기심: 마르쿠스 메르크 (독일) 잉글랜드 vs 스웨덴[편집] 2002년 6월 2일 18:30 잉글랜드 1 – 1 스웨덴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수: 52,721 심판: 카를루스 이우제니우 시몽 (브라질) 캠벨  24' 리포트  59' 알렉산데르손 잉글랜드 스웨덴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12' LB 3 애슐리 콜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63' CM 18 오언 하그리브스 CM 8 폴 스콜스 LM 11 에밀 헤스키 CF 20 더라이어스 바셀 74' CF 10 마이클 오언 교체 선수: MF 23 키런 다이어 63' MF 19 조 콜 74'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73'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CM 17 망누스 스벤손 56' LM 9 프레드리크 융베리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45' 80' CF 11 헨리크 라르손 교체 선수: MF 8 안데르스 스벤손 56'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80'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최우수 선수: 솔 캠벨 (잉글랜드) 부심: 조르지 올리베이라 (브라질) 유리 두파노프 (벨라루스) 대기심: 마크 실드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vs 나이지리아[편집] 2002년 6월 7일 15:30 스웨덴 2 – 1 나이지리아 고베 윙 스타디움, 고베 관중수: 36,194 심판: 레네 오르투베 (볼리비아) 라르손  35', 63' (페널티골) 리포트  27' 아가호와 스웨덴 나이지리아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31'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69'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CM 8 안데르스 스벤손 83' LM 9 프레드리크 융베리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64' CF 11 헨리크 라르손 교체 선수: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64' MF 17 망누스 스벤손 83'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더베리 GK 1 이케 쇼룬무 RB 2 조지프 요보 CB 6 타리보 웨스트  80' CB 5 이삭 오코론코 LB 14 이페아니 우데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CM 21 존 우타카 LM 3 셀레스틴 바바야로 65'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CF 9 바르솔로뮤 오그베체 70' 교체 선수: FW 4 은완코 카누 65' MF 7 피우스 이케디아 70'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최우수 선수: 헨리크 라르손 (스웨덴) 부심: 미겔 히아코무시 (파라과이) 마트 라짐 아왕 하마트 (말레이시아) 대기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아르헨티나 vs 잉글랜드[편집] 2002년 6월 7일 20:30 아르헨티나 0 – 1 잉글랜드 삿포로 돔, 삿포로 관중수: 35,927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 (이탈리아) 리포트  44' (페널티골) 베컴 아르헨티나 잉글랜드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CB 6 왈테르 사무엘 CB 13 디에고 플라센테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14 디에고 시메오네 CM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주장) 46'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13' 60' LF 18 킬리 곤살레스 64' 교체 선수: MF 16 파블로 아이마르 46'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60' FW 7 클라우디오 로페스 64'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LB 3 애슐리 콜  29'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CM 18 오언 하그리브스 19' CM 21 니키 버트 LM 8 폴 스콜스 CF 10 마이클 오언 80' CF 11 에밀 헤스키  50' 54' 교체 선수: MF 4 트레버 싱클레어 19' FW 17 테디 셰링엄 54' DF 14 웨인 브리지 80'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최우수 선수: 폴 스콜스 (잉글랜드) 부심: 엑토르 베르가라 (캐나다) 모하메드 사에드 (몰디브) 대기심: 브라이언 홀 (미국) 스웨덴 vs 아르헨티나[편집] 2002년 6월 12일 15:30 스웨덴 1 – 1 아르헨티나 미야기 스타디움, 미야기 관중수: 45,777 심판: 알리 부지사임 (아랍에미리트) A. 스벤손  59' 리포트  88' 크레스포 스웨덴 아르헨티나 GK 1 망누스 헤드만 RB 2 올로프 멜베리 CB 15 안드레아스 야콥손 CB 4 요한 미엘비 (주장) LB 16 테디 루치치 RM 7 니클라스 알렉산데르손 CM 8 안데르스 스벤손 68' CM 6 토비아스 린데로트 LM 17 망누스 스벤손  65' CF 11 헨리크 라르손  78' 88' CF 10 마르쿠스 알베크 46' 교체 선수: FW 22 안드레아스 안데르손 46' MF 18 마티아스 욘손 68' FW 21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88' 감독: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GK 12 파블로 카바예로 CB 22 호세 차모트  55' CB 6 왈테르 사무엘 CB 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RM 8 하비에르 사네티 CM 5 마티아스 알메이다  58' 63' LM 3 후안 파블로 소린 63' AM 16 파블로 아이마르 RF 10 아리엘 오르테가 CF 9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주장) 58' LF 7 클라우디오 로페스 교체 선수: FW 19 에르난 크레스포 58' MF 11 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63' MF 18 킬리 곤살레스  75' 63' 기타 징계 선수: FW 21 클라우디오 카니히아  45+2' 감독: 마르셀로 비엘사 최우수 선수: 요한 미엘비 (스웨덴) 부심: 하이너 뮐러 (독일) 마이클 라구나트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기심: 피터 프렌더개스트 (자메이카) 나이지리아 vs 잉글랜드[편집] 2002년 6월 12일 15:30 나이지리아 0 – 0 잉글랜드 나가이 스타디움, 오사카 관중수: 44,864 심판: 브라이언 홀 (미국) 리포트 나이지리아 잉글랜드 GK 22 빈센트 엔예아마 RB 16 에페 소제 CB 2 조지프 요보 CB 5 이삭 오코론코 LB 14 이페아니 우데제 RM 10 제이제이 오코차 (주장) CM 15 저스티스 크리스토퍼 CM 20 제임스 오비오라 LM 23 페미 오파분미 86' CF 17 줄리어스 아가호와 CF 18 베네딕트 아크에그부 교체 선수: MF 7 피우스 이케디아 86' 감독: 페스투스 오니그빈데 GK 1 데이비드 시먼 RB 2 대니 밀스 CB 5 리오 퍼디낸드 CB 6 솔 캠벨 LB 3 애슐리 콜 85' RM 7 데이비드 베컴 (주장) CM 21 니키 버트 CM 8 폴 스콜스 LM 4 트레버 싱클레어 CF 11 에밀 헤스키 69' CF 10 마이클 오언 77' 교체 선수: FW 17 테디 셰링엄 69' FW 20 더라이어스 바셀 77' DF 14 웨인 브리지 85' 감독: 스벤예란 에릭손 최우수 선수: 제이제이 오코차 (나이지리아) 부심: 엑토르 베르가라 (캐나다) 에브젠 암러 (체코) 대기심: 가미카와 도루 (일본) 외부 링크[편집] rsssf 기록 vdeh 2002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조별리그 A조 프랑스 대 세네갈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 대한민국 대 이탈리아 결승전 정보 중계권 논란 경고 기록 시드 배정 스폰서십 통계 선수 명단 공인구 공식 음반 Voices of KOREA/JAPAN 공식 주제곡 vdeh2002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브라질 준우승 독일 3위 터키 4위 대한민국 8강 미국 세네갈 스페인 잉글랜드 16강 덴마크 멕시코 벨기에 스웨덴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파라과이 조별 리그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중국 카메룬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튀니지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2년_FIFA_월드컵_F조&oldid=23895850" 분류: 2002년 FIFA 월드컵아르헨티나 축구 2002년나이지리아 축구 2002년스웨덴 축구 2002년잉글랜드 축구 2001-02 시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osanskiDeutschEnglishEspañolMagyar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21: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다자이후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자이후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자이후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시의 위치 한자 표기 太宰府市 가나 표기 だざいふし 나라 일본 지방 규슈 지방 도도부현 후쿠오카 현 분류코드 40221-4 면적 29.60 km² 인구 72,231명(2018년 10월 1일) 웹사이트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시(일본어: 太宰府市)는 후쿠오카현의 중부에 있는 시이다. 규슈 지구의 통치 조직 다자이후(大宰府)가 설치되고 나서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다자이후 덴만궁 등의 사적이 많이 있어 2007년에는 701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한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교통 3.1 철도 3.2 도로 3.3 정기관광버스 4 관광 5 자매 도시 5.1 일본 국내 5.2 해외 6 외부 링크 지리[편집] 후쿠오카 현의 중부, 후쿠오카 시에서 남동쪽 약 1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시역 북부에는 시오지 산(四王寺山), 시역 동부에는 호만 산(宝満山), 시역 서남부에는 덴파이 산(天拝山)이 있고, 시의 중앙부를 미카사 강(御笠川)이 횡단해 흐르고 있다. 시역 중앙부는 중심 시가지가 발달해 있고 다자이후(大宰府)에 관련된 수많은 사적·명소가 존재한다. 서부, 남부는 후쿠오카 도시권의 주택 지역으로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 다자이후 시에는 대학, 단과 대학, 고등학교 등의 학교가 많다. 학교의 수는 현 내에서도 기타큐슈 시 오리오 지구와 비슷한 수준이며 학생의 거리로 유명하다. 교육 시설이 집중하고 있는 것은 다자이후 시 다자이후 톈만구에 모셔진 스가와라 미치자네(菅原道真)가 "학문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다는 이유와 관련이 있다. 역사[편집] 663년 백강 전투 때 규슈 지방의 방위를 위해 다자이후(大宰府)를 내륙(현재의 다자이후 유적)에 옮겼다고 추정된다. 이곳 다자이후는 한국과 중국의 외교 사신을 영접했던 곳이다. 외국인 사신의 영접관인 고로칸도 이때 세워졌다.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 그리고 가마쿠라 시대까지 다자이후는 일본의 군사적, 행정적 중심지였다. 헤이안 시대에 다자이후는 고위 관리의 유배지이기도 하였다. 이곳에 유배된 고관 중에는 스가와라 미치자네도 있었는데 그의 무덤에 다자이후 덴만궁을 세웠다. 1881년 3월 17일 - 미카사 군 사이후 촌이 다자이후 촌으로 개칭하였다. 1889년 4월 1일 - 정촌제 실시로 미카사 군 다자이후 촌, 미즈키 촌이 성립하였다. 1892년 9월 13일 - 정으로 승격해 다자이후 정이 되었다. 1896년 4월 1일 - 나카 군·무시로다 군·미카사 군의 3군을 통합해 지쿠시 군이 되었다. 1955년 3월 1일 - 지쿠시 군 미즈키 촌과 대등 합병해 새로운 다자이후 정이 되었다. 1982년 4월 1일 - 시로 승격해 다자이후 시가 되었다. 교통[편집] 후쿠오카 공항이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철도[편집] 규슈 여객철도 가고시마 본선 니시닛폰 철도 덴진오무타 선 다자이후 선 도로[편집] 규슈 자동차도 후쿠오카 고속도로 국도 3호선 정기관광버스[편집] 후쿠오카 시의 하카타역 교통 센터와 니시테쓰 버스 센터에서, 1일 2편, 니시테츠 톈진 정기 관광 버스(다자이후 반나절 코스)가 발차하고 있다. 관광[편집] 다자이후 덴만궁 다자이후 천만궁(太宰府天満宮) 규슈 국립박물관(九州国立博物館) 규슈역사자료관(九州歴史資料館) 자매 도시[편집] 일본 국내[편집] 일본 오이타현 나카쓰 시(1992년 9월 26일) 일본 나라현 나라 시(2002년 6월 27일)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 시(2005년 11월 21일) 해외[편집]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1978년 4월 21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다자이후시 (일본어) 다자이후 시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다자이후 덴만궁 vdeh후쿠오카현의 행정 구역후쿠오카시 주오구 니시구 미나미구 사와라구 조난구 하카타구 히가시구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구 고쿠라미나미구 도바타구 모지구 야하타니시구 야하타히가시구 와카마쓰구 그 밖의 시 가마시 가스가시 고가시 구루메시 나카가와시 나카마시 노가타시 다가와시 다자이후시 무나카타시 미야마시 미야와카시 부젠시 아사쿠라시 야나가와시 야메시 오고리시 오노조시 오무타시 오카와시 우키하시 유쿠하시시 이토시마시 이즈카시 지쿠고시 지쿠시노시 후쿠쓰시 가스야군 가스야정 사사구리정 스에정 시메정 신구정 우미정 히사야마정 온가군 미즈마키정 아시야정 오카가키정 온가정 구라테군 고타케정 구라테정 가호군 게이센정 아사쿠라군 지쿠젠정 도호촌 미이군 다치아라이정 미즈마군 오키정 야메군 히로카와정 다가와군 가와라정 가와사키정 소에다정 이토다정 오토정 후쿠치정 아카촌 미야코군 간다정 미야코정 지쿠조군 고게정 요시토미정 지쿠조정 전거 통제 VIAF: 256174110 NDL: 0027784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다자이후시&oldid=22960804" 분류: 다자이후시후쿠오카현의 도시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ebuano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客家語/Hak-kâ-ngîMagyarItaliano日本語مازِرونی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18: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드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드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드KARD 왼쪽부터 BM, 전소민, 전지우, 제이셉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K-pop 활동 시기 2016년 12월 13일 ~ 현재 레이블 카카오 M 소속사 DSP 미디어 웹사이트 KARD 공식사이트 구성원 제이셉BM전소민전지우 카드(KARD)는 대한민국의 4인조 혼성 그룹으로, DSP 미디어 소속이다. 목차 1 활동 1.1 데뷔 전 1.2 2016: Oh NaNa 1.3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 1.4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 1.5 2019: Bomb Bomb 2 구성원 3 음반 목록 4 음반 외 활동 5 콘서트 5.1 단독 콘서트 5.2 공연 6 수상 내역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활동[편집] 데뷔 전[편집] DSP미디어는 2016년 12월 1일 0시 각종 SNS를 통하여 ‘K.A.R.D’라는 타이틀로 공식 채널을 정식 개설하고 커밍업(Coming Up) 티저 이미지를 처음 공개하였다.[1] 12월 2일 자정에 BM과 전지우의 사진을 공개하였으며,[2] 12월 3일 자정에는 제이셉과 전소민의 사진을 공개하였다.[3] 12월 5일 제이셉과 BM이 V앱을 진행하였다.[4] 12월 6일 0시 ‘K.A.R.D’ 프로젝트의 공식 채널을 통해 실루엣 티저 이미지가 추가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미지는 카드가 컨셉으로, 멤버들이 각각 K(King), A(Ace), R(JokeR/블랙조커, 칼라조커)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며 D(hiDden)의 포지션은 '히든 멤버'이다. King은 BM, Ace는 제이셉, Black JokeR는 전소민, Color jokeR는 전지우에 해당한다. DSP 미디어는 "K.A.R.D는 총 3단계에 걸친 하나의 데뷔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매 앨범마다 히든 멤버가 있다. 마지막 카드 ‘D’는 숨겨진 멤버라는 의미와 함께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비장의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일 것이란 중의적인 의미가 내포돼 있다."라고 밝혔다.[5] 12월 6일 오후 6시 제이셉의 랩 퍼포먼스 티저와 전지우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고, 오후 7시 전소민과 전지우가 V앱을 진행하였다.[6] 12월 7일 자정에 BM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와 전소민의 비주얼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다. 2016: Oh NaNa[편집] 왼쪽부터 전소민, 제이셉, 전지우, BM 12월 8일 K.A.R.D 공식 채널을 통해 첫 번째 히든 멤버의 정체가 허영지임을 밝혔고,[7] 히든 멤버 허영지를 포함한 멤버 5명이 V앱을 진행하였다.[8] 12월 9일 Oh NaNa의 뮤직비디오 티저를 공개하였다.[9] 데뷔 전날인 12월 12일 서울특별시 신촌에 있는 퀸 라이브 홀에서 데뷔 파티를 열었고[10], 12월 13일 자정에 첫 번째 디지털 싱글 〈Oh NaNa〉의 음원과 뮤직 비디오를 공개하였다.[11] 첫 번째 싱글 〈Oh NaNa〉의 음원이 공개된 지 하루 만에 아이튠즈 미국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4위를 기록하였고, 아이튠즈 일본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10위에 랭크된 데 이어 영국, 프랑스 등 각 나라별 차트에도 진입하였다.[12] 터키에서는 2위, 브라질에서는 4위를 기록하였다. 〈Oh NaNa〉의 뮤직 비디오는 공개한 지 3일 만에 125만 조회수를 돌파하였고[13], 한 달 만인 2017년 1월에 조회수 550만뷰를 돌파하였다.[14] 아이튠즈 미국 차트 K-pop 부분에서 1단계 올라서 3위에 랭크되었고, 또 1단계 올라서 2위에 랭크되었다. 아이튠즈 스웨덴 차트 K-pop 부분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15] 영국[16], 프랑스[17] 등 각 나라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 카드는 빌보드가 선정한 2016년 올해의 K-pop 신인 아이돌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18][19]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편집] 2017년 4월 25일 WILD KARD PARTY에서 KARD. 1월 19일 미국 빌보드가 주목할 만한 K팝 아티스트 TOP 5로 선정되었다.[20] 2월 16일 총 3단계의 데뷔 프로젝트 중 두 번째 곡인 〈Don't Recall〉을 자정에 공개하였다.[21] 3월 2일 자정에 〈Don't Recall〉 히든 버전을 공개하였다.[22] 〈Don't Recall〉 뮤직 비디오 조회수는 공개한 지 6일 만에 600만뷰를[23], 열흘 만에 777만뷰를[24], 3월 4일에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25] 카드는 4월 21일 LG전자 전략 스마트폰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발탁되어, 세 번째 프로젝트 〈RUMOR〉 활동부터 LG전자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활동을 시작한다. 뮤직 비디오를 비롯한 모든 콘텐츠는 LG전자 G6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된다.[26] 4월 24일 정오에 데뷔 프로젝트 세 번째 곡인 〈RUMOR〉를 공개하였다.[27] 〈RUMOR〉는 발매 이후 25일 오전까지 미국을 비롯한 총 13개국에서 아이튠즈 K팝 차트 1위를 차지하였으며,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음원 발매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공식 유튜브 조회수 기준 180만뷰를 돌파하였다.[28] 4월 25일 오후 8시에 하나투어 브이홀에서 개최한 WILD KARD PARTY에서 신곡 〈RUMOR〉를 공개하였다. 5월 1일 0시 KARD의 공식 유튜브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공개된 ‘Project Vol.3 RUMOR’의 히든 콘텐츠가 공개됐다. 제목은 ‘The Last Hidden’으로 데뷔 프로젝트의 종료를 의미한다.[29] '루머'(RUMOR)는 5월 3일자, 5월 10일자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World Digital Song Sales) 차트에서 2주 연속 톱 3 안에 진입하였다.[30][31] 5월 10일 ‘Don’t Recall’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2,000만뷰를 돌파하였다.[32] 5월 3일 캐나다 벤쿠버 HARBOUR ENENT CENTRE에서 '2017 와일드 카드 투어' 첫 무대를 열었고,[33]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4개국 투어 공연을 확정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시카고, 휴스턴, LA 등 3개 도시에서 공연을 열었다.[34] 6월 17일 멕시코 루나리오홀에서 공연하였다.[35]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브라질 포르탈레자, 살바도르, 헤시피,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에서 공연하였다. 2017년 7월 19일 데뷔 쇼케이스에서 KARD. 7월 19일 미니 1집 《HOLA HOLA》 로 정식 데뷔를 했으며, 데뷔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36] 여기서 공식 팬 클럽 이름 ‘히든 카드’를 밝혔다. 7월 20일 엠카운트다운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정식 데뷔 앨범인 《HOLA HOLA》는 발매된 지 만 하루도 안 된 7월 20일 오전 8시, 총 18개국의 아이튠즈 메인 음반 차트인 톱 앨범즈 부문 톱 10 안에 진입하였다.[37] 곧 이어 반나절 만에 32개국 차트에 오르고 유튜브 조회수 200만뷰를 돌파하였다.[38] 7월 22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수가 공식 채널 및 1theK 계정 합산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39] 7월 26일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를 기록하였다. 타이틀곡 HOLA HOLA가 월드 디지털송 4위, 수록곡 ‘난 멈추지 않는다’가 10위, ‘Living Good’이 12위에 올랐다.[40] 8월 4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1,000만 뷰를 돌파하였다. 카드는 9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월드 투어 ‘2017 WILD KARD TOUR PT.2’를 개최하였다. 영국 런던, 포르투갈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 이탈리아 밀라노, 프랑스 노트르담, 미국(미니애폴리스, 워싱턴D.C, 뉴욕, 마이애미, 샌프란시스코), 칠레, 아르헨티나, 페루 9개국 13개 도시에서 총 15회의 공연을 선보였다.[41] 11월 21일 미니 2집 《You & Me》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은 〈You In Me〉이다.[42] 컴백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 컴백 반나절 만에 미국,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에스토니아, 홍콩, 칠레에서 KARD의 새 앨범 ‘You & Me’가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43] 'You In Me’ 뮤직비디오 공개 5일만에 유튜브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 11월 28일 《더 쇼》1위 후보에 올라서 3위를 기록하였다. 12월 18일 You ln Me 뮤직비디오 조회수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편집] 2018년 7월 27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2018년 1월 21일 싱가포르, 2월 2일 대만 타이페이, 2월 4일 홍콩, 2월 9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4개국 투어를 개최하였다.[44] 카드는 미국의 음악 전문 매체 FUSE TV가 1월 17일 선정한 미국 최대 음악 마켓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뮤직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팀 중 ‘2018년 기대되는 팀’에 유일한 K팝 가수로 이름을 올렸다.[45] 4월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The Kasablanka Hall’에서 ‘2018 WILD KARD TOUR’를 개최하였다. 이어 4월 26일 멜버른, 29일 시드니 등 호주에서도 2차례 투어를 진행하였다.[46] 7월 25일에 세 번째 미니 앨범 《RIDE ON THE WIND》로 컴백하였으며,[47][48] 7월 26일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 무대를 가졌다. 8월 7일 더 쇼 1위 후보에 올라서 2위를 기록하였다. 8월 19일 대한민국에서 데뷔 후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49] 2019: Bomb Bomb[편집] 2019년 4월 12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3월 27일 데뷔 이후 첫 번째 디지털 싱글 〈Bomb Bomb〉으로 컴백하였다.[50] 4월 24일 일본 도쿄 duo MUSIC EXCHANGE에서 콘서트를 2회 개최하며, 4월 27일 한국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제이셉 본명 : 김태형 (金泰亨)[주 1][51] 생년월일 : 1992년 6월 21일(1992-06-21)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52][주 2] 학력 : 방송통신대학교 (휴학)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리드댄서[53]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스페이드) BM 본명 : Matthew Kim (매튜김), 김우진, 김진석[주 3] 생년월일 :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54] 학력 : Upland High School (졸업)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55]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클로버) 전소민 이름 : 전소민 (全昭珉[51]) 생년월일 : 1996년 8월 22일(1996-08-22)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56] 학력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과 (휴학) 포지션 : 메인보컬[57] 특이사항 : 前 퓨리티, 前 에이프릴 멤버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하트) 전지우 이름 : 전지우 (全志佑[51]) 생년월일 : 1996년 10월 4일(1996-10-04)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주 4] 학력 : 청담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드보컬, 서브래퍼[58]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 (다이아)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드의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편집] 카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도시 국가 장소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3일 벤쿠버 캐나다 Harbour Event Centre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AMERICA 2017년 5월 5일 시카고 미국 Copernicus Center 2017년 5월 7일 휴스턴 Stereo Live 2017년 5월 10일 로스앤젤레스 The Theatre at Ace Hote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TKC17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MEXICO 2017년 6월 1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Lunario Auditorio Naciona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BRAZIL 2017년 6월 23일 포르탈레자 브라질 Vila Gale 2017년 6월 25일 사우바도르 Sheraton 2017년 6월 27일 헤시피 Hotel Manibu 2017년 6월 29일 리우데자네이루 CC Marista 2017년 7월 1일 상파울루 Tropical Butanta 2017년 7월 2일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EUROPE 2017년 9월 1일 런던 영국 ULU Live 2017년 9월 3일 리스본 포르투갈 Paradise Garage 2017년 9월 5일 마드리드 스페인 Sala But 2017년 9월 8일 밀라노 이탈리아 Magazzini Generali 2017년 9월 10일 로테르담 네덜란드 Annabel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9월 15일 미네아폴리스 미국 State Theatre 2017년 9월 17일 워싱턴 DC Warner Theatre 2017년 9월 20일 뉴욕 PlayStation Theatre 2017년 9월 22일 마이애미 James L. Knight Center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SOUTH AMERICA 2017년 9월 27일 발파라이소 칠레 Teatro Municipal 2017년 9월 29일 콘셉시온 Gimnasio Municipal 2017년 10월 1일 라세레나 Coliseo Municipal 2017년 10월 4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Teatro Vorterix 2017년 10월 6일 리마 페루 Jockey Club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 미국 The Warfield 2018 WILD KARD TOUR IN ASIA 2018년 1월 21일 주롱 웨스트 싱가포르 Zeep@Big Box 2018년 2월 2일 타이페이 타이완 ATT Show Box 2018년 2월 4일 가우룽완 홍콩 KITEC Rotunda 3 2018년 2월 9일 마닐라 필리핀 KIA Theatre 2018 WILD KARD TOUR 2018년 4월 14일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The Kasablanka Hall WILD KARD in Seoul 2018년 8월 19일 서울 대한민국 YES24 LIVEHALL 「WILD KARD 2018」 TOUR IN BRAZIL 2018년 9월 21일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Vivo Rio 2018년 9월 23일 포르투알레그리 2018년 9월 25일 쿠리치바 Encontro da Amazônia 2018년 9월 27일 벨루오리존치 2018년 9월 30일 상파울루 Espaço das Américas WILD KARD TOUR in Tokyo 2019년 4월 24일 도쿄 일본 duo MUSIC EXCHANGE 2019 WILD KARD IN SEOUL 2019년 4월 27일 서울 대한민국 서강대학교 메리홀 공연[편집] 제목 날짜 도시 국가 장소 Sound K * Dal.komm Concert 2016년 12월 17일 서울 대한민국 달콤커피 상암팬엔터점 앞 Rising star Dreaming Concert 2017년 1월 8일 서울 대한민국 롯데월드 가든 스테이지 롯데월드 공연 2017년 1월 22일 Toronto Kpop Con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2017 KCON LA 2017년 8월 20일 뉴욕 미국 스테이플스 센터 iMe Kpop Fantival 2017 2017년 8월 26일 방콕 태국 Thunder Dome Muangthong Thani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2017년 10월 24일 부산 대한민국 부산 BOF LAND(해운대 구남로) I・SEOUL・U 2주년 시민축제 콘서트 2017년 10월 29일 서울 대한민국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공연존 카운트다운 서울2018 엣 타임스퀘어 2017년 12월 31일 서울 대한민국 영등포 타임스퀘어 K-POP World Festa 2018년 2월 24일 강릉 대한민국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운동장 울산 썸머 페스티벌 2018년 7월 23일 울산 대한민국 울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3·1운동 100주년 One K 콘서트 2019년 3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 K-POP BIG5 Concert 2019년 5월 4일 뒤셀도르프 독일 수상 내역[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2017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신인상 CJ E&M 아메리카 어워드 Hottest Rookie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AAA 뉴웨이브상 2019 한중경영대상 아시아 라이징 스타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16년 12월 8일 네이버 V앱에서, 클 태(泰) 형통할 형(亨) 이라고 언급했다. ↑ 2016년 12월 18일 두시탈출 컬투쇼 에서 충주시에서 태어났다고, 언급 했다. ↑ 한국 이름 : 김우진, 외국인등록증 이름 : 김진석 ↑ 2016년 12월 6일 네이버 V앱에서, 서울 출신이라고 언급했다. 참조주[편집] ↑ 선미경 (2016년 12월 1일). “DSP, 신인 아티스트 그룹 론칭..K.A.R.D 프로젝트 예고”. OSEN.  ↑ “DSP Media teases two members of KARD”. Allkpop.com.  ↑ “Update: DSP Media Reveals Two More Members Of Co-Ed Group K.A.R.D”. soompi.  ↑ 박수인 (2016년 12월 6일). “V앱' K.A.R.D, 뻘쭘해도 괜찮아 신인이니까(종합)”. 헤럴드pop.  ↑ 정지원 (2016년 12월 6일). “DSP 혼성그룹 KARD, 숨겨진 '히든멤버' 예고 '궁금증↑'”. 엑스포츠 뉴스.  ↑ 이호연 (2016년 12월 6일). “V앱' 소민X지우, 반가운 新혼성그룹 K.A.R.D 등장”. 헤럴드pop.  ↑ 이하나 (2016년 12월 8일). “허영지, DSP 신예 혼성 그룹 K.A.R.D의 첫 번째 히든 멤버 선정”. 서울경제.  ↑ 이호연 (2016년 12월 9일). “[어게인TV]'V앱' 허영지, K.A.R.D 위한 특급 와일드 히든 카드”. 헤럴드pop.  ↑ “혼성그룹 k.a.r.d, 데뷔곡 ‘오나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 ‘공개’”. 매일경제. 2016년 12월 9일.  ↑ 유찬희 (2016년 12월 12일). “‘V앱’ K.A.R.D “각자 역할 달라..색다른 모습 보여줄 것”. 텐아시아.  ↑ 김영록 (2016년 12월 12일). “DSP 혼성그룹 K.A.R.D, 오늘밤 데뷔곡 '오나나' 발표”. 스포츠조선.  ↑ 이지석 (2016년 12월 15일). “'DSP 혼성그룹' 카드, 데뷔곡 '오나나' 해외서 호평”. 스포츠서울.  ↑ 이아영 (2016년 12월 16일). “DSP 혼성그룹 카드, '오나나' MV 공개 3일 만 125만뷰 돌파”. 엑스포츠뉴스.  ↑ 정지원 (2017년 1월 11일). “DSP 혼성그룹 카드, 심상찮은 반응…MV 550만뷰 돌파”. 엑스포츠 뉴스.  ↑ “iTunes Charts Sverige”.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UK”.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France”.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10 Best New K-Pop Groups In 2016”. billboard. 2016년 12월 21일.  ↑ 전원 (2016년 12월 22일). “카드, 빌보드 '2016 K팝 신인그룹 톱10' 선정…데뷔 1주일만에 쾌거”. 마이데일리.  ↑ 최지예 (2017년 1월 20일). “카드, 美 빌보드 선정 2017 주목할 K팝 아티스트 톱5”. 마이데일리.  ↑ 조현주 (2017년 2월 6일). “혼성그룹 카드(K.A.R.D), 2월 컴백 대열 합류”. 텐아시아.  ↑ 신미래 (2017년 2월 28일). “K.A.R.D, `돈 리콜` 숨겨진 트랙 예고”. MBN.  ↑ 박수정 (2017년 2월 22일). “K.A.R.D, '돈 리콜' MV 600만뷰 돌파..방송 활동 없이 막강 파급력”. 헤럴드 pop.  ↑ 김하진 (2017년 2월 25일). “카드(KARD), 잭팟 터졌다..M/V 777만뷰 돌파”. 텐아시아.  ↑ 이다원 (2017년 3월 4일). “K.A.R.D, 데뷔 전부터 무서운 상승세…MV 1000만뷰 돌파”. 스포츠경향.  ↑ 전원 (2017년 4월 21일). “"新대세 예약" 카드, LG G6 글로벌 앰버서더 발탁”. 엑스포츠뉴스.  ↑ 윤기백 (2017년 4월 17일). “KARD, 신곡 '루머' 24일 공개… 데뷔 프로젝트 대미 장식”. 스포츠월드.  ↑ 정지원 (2017년 4월 25일). “KARD, 아이튠즈 차트 13개국 1위…글로벌 인기 입증”. OSEN.  ↑ 유병철 (2017년 5월 1일). “KARD, 마지막 ‘히든’ 전격 공개…화려한 대규모 퍼포먼스 탄생”. 한국경제TV.  ↑ 길혜성 (2017년 5월 4일). “'헉' K.A.R.D 뭐지?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韓유일 톱3”. 스타뉴스.  ↑ 길혜성 (2017년 5월 10일). “K.A.R.D,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2주 연속 '톱3'”. 스타뉴스.  ↑ 유병철 (2017년 5월 10일). “KARD, ‘Don’t Recall’ 유튜브 2000만 뷰 돌파…믿고 듣는 KARD 등극”. 한국경제TV.  ↑ 전효진 (2017년 5월 5일). “KARD, 2017 투어 돌입…글로벌 인기·캐나다 열광”. 스포츠동아.  ↑ 정지원 (2017년 3월 21일). “[단독] KARD, 해외가 먼저 불렀다…미국·캐나다·브라질 투어 확정”. OSEN.  ↑ 이미현 (2017년 4월 22일). “KARD, 6월 17일 멕시코 추가 공연…해외 반응 폭발적”. 일간스포츠.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 윤준필 (2017년 7월 19일). “카드(KARD) "타이틀곡 '올라 올라', 첫 데뷔 인사+높이 올라가자는 포부"”. 텐아시아.  ↑ 길혜성 (2017년 7월 20일). “KARD, 역시 괴물 혼성그룹..18國 메인앨범차트 톱1”. 스타뉴스.  ↑ “KARD, 국내외 32개국 차트 장악…'올라 올라' 뮤비 200만↑”. 스포츠조선. 2017년 7월 20일.  ↑ 김미지 (2017년 7월 22일). “KARD '올라 올라' MV 500만 뷰 돌파…글로벌 인기 입증”. 엑스포츠 뉴스.  ↑ 전형화 (2017년 7월 26일). “KARD,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 등극”. 스타뉴스.  ↑ 정지원 (2017년 8월 31일). “[공식입장] KARD, 유럽+미국+남미 9개국 13개 도시 투어개최”. OSEN.  ↑ 정지원 (2017년 11월 8일). “[공식입장] '컴백' KARD, 타이틀곡은 'You In Me'…21일 발표”. OSEN.  ↑ 이혜랑 (2017년 11월 22일). “KARD, ‘You & Me’ 美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 기염”. 《헤럴드 pop》.  ↑ 이하나 (2017년 11월 27일). “KARD,아시아 5개국 투어 확정…글로벌 명성 입증”. 서울경제.  ↑ “美 FUSE TV “KARD, 2018년 기대되는 팀...세계 팬 사로잡아””. 《스포츠동아》. 2018년 1월 19일.  ↑ 김명미 (2018년 2월 23일). “KARD, 인도네시아 이어 호주 월드투어 추가 개최(공식)”. 《뉴스엔》.  ↑ 박서현 (2018년 6월 30일). “KARD, 7월 25일 세 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확정‥여름 달군다(공식)”. 《헤럴드POP》.  ↑ 김은구 (2018년 7월 12일). “KARD, 'RIDE ON THE WIND'로 25일 컴백”. 《이데일리》.  ↑ 장주영 (2018년 7월 2일). “혼성그룹 카드(KARD), 오는 25일 컴백+내달 19일 첫 단독 콘서트”. 서울경제.  ↑ 윤상근 (2019년 3월 18일). “KARD, 27일 '밤밤' 컴백..2019년 새 도약 첫발(공식)”. 《스타뉴스》.  ↑ 가 나 다 “17.07.30 Hola Hola江南簽名會 後記”. 《Facebook》 (중국어). 2017년 8월 7일에 확인함.  ↑ 손예지 (2017년 3월 7일). “K.A.R.D의 매력? “노래·춤·멤버 다 갖춘 3박자” (인터뷰①)”. 텐아시아.  ↑ [1] ↑ THE BIRTH OF MATTHEW KIM ↑ [2] ↑ 길혜성 (2015년 9월 26일). “'신예' 에이프릴, 데뷔 후 첫 추석...'설레는 고향行'”. 스타뉴스.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3] ↑ [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드 카드 - 공식 웹사이트 카드 - 유튜브 카드 - 트위터 카드 - 인스타그램 카드 - 페이스북 카드 - V LIVE BM - 인스타그램 제이셉 - 인스타그램 전지우 - 인스타그램 전소민 - 인스타그램 vdehK♠RD 제이셉 BM 전소민 전지우 EP한국 HOLA HOLA (2017) You & Me (2017) RIDE ON THE WIND (2018) 싱글한국 Oh NaNa (2016) Don't Recall (2017) RUMOR (2017) Bomb Bomb (2019) 출연 프로그램 시크릿 카드 MEMORY KARD 관련 문서 DSP 미디어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분류 vdehDSP 미디어경영진 이호연 (창립자) 성하묵 (부사장) 최미경 (대표이사) 가수현재 소속 클릭비 에이젝스(도우, 윤영, 승엽, 승진, 중희) 오종혁 에이프릴(윤채경, 김채원, 이나은, 양예나, 레이첼, 이진솔) 카드 (BM, 제이셉, 전소민, 전지우) 과거 소속 잼 CO CO 뮤 IDOL MOUNTAIN 젝스키스(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고지용, 장수원) 핑클(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엄지선 2shai Shyne SS501(김현중, 허영생, 김규종, 박정민, 김형준) A'st1 안선하 퓨리티 카라(김성희, 박규리, 한승연, 구하라, 니콜, 강지영) 에이젝스(성민, 서재형, 문지후) 레인보우(김재경, 고우리, 김지숙, 오승아, 노을, 정윤혜, 조현영) 캐스퍼 최현준 배우현재 소속 조시윤 이현주 과거 소속 김규민 조아라 조명운 류지선 문지후 최배영 송찬익 관련 문서 DSP 미디어의 음반 공식 웹사이트: dspmedia.co.kr 전거 통제 VIAF: 26155103914876200920 ISNI: 0000 0004 6993 8195 뮤직브레인즈: ad4e8332-861d-4a49-8235-b72888714be4 멜론: 12718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드_(음악_그룹)&oldid=24540723" 분류: 카드 (음악 그룹)2017년 데뷔2010년대 음악 그룹2016년 결성된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혼성 음악 그룹다국적 음악 그룹DSP 미디어 소속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드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드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드KARD 왼쪽부터 BM, 전소민, 전지우, 제이셉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K-pop 활동 시기 2016년 12월 13일 ~ 현재 레이블 카카오 M 소속사 DSP 미디어 웹사이트 KARD 공식사이트 구성원 제이셉BM전소민전지우 카드(KARD)는 대한민국의 4인조 혼성 그룹으로, DSP 미디어 소속이다. 목차 1 활동 1.1 데뷔 전 1.2 2016: Oh NaNa 1.3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 1.4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 1.5 2019: Bomb Bomb 2 구성원 3 음반 목록 4 음반 외 활동 5 콘서트 5.1 단독 콘서트 5.2 공연 6 수상 내역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활동[편집] 데뷔 전[편집] DSP미디어는 2016년 12월 1일 0시 각종 SNS를 통하여 ‘K.A.R.D’라는 타이틀로 공식 채널을 정식 개설하고 커밍업(Coming Up) 티저 이미지를 처음 공개하였다.[1] 12월 2일 자정에 BM과 전지우의 사진을 공개하였으며,[2] 12월 3일 자정에는 제이셉과 전소민의 사진을 공개하였다.[3] 12월 5일 제이셉과 BM이 V앱을 진행하였다.[4] 12월 6일 0시 ‘K.A.R.D’ 프로젝트의 공식 채널을 통해 실루엣 티저 이미지가 추가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미지는 카드가 컨셉으로, 멤버들이 각각 K(King), A(Ace), R(JokeR/블랙조커, 칼라조커)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며 D(hiDden)의 포지션은 '히든 멤버'이다. King은 BM, Ace는 제이셉, Black JokeR는 전소민, Color jokeR는 전지우에 해당한다. DSP 미디어는 "K.A.R.D는 총 3단계에 걸친 하나의 데뷔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매 앨범마다 히든 멤버가 있다. 마지막 카드 ‘D’는 숨겨진 멤버라는 의미와 함께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비장의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일 것이란 중의적인 의미가 내포돼 있다."라고 밝혔다.[5] 12월 6일 오후 6시 제이셉의 랩 퍼포먼스 티저와 전지우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고, 오후 7시 전소민과 전지우가 V앱을 진행하였다.[6] 12월 7일 자정에 BM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와 전소민의 비주얼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다. 2016: Oh NaNa[편집] 왼쪽부터 전소민, 제이셉, 전지우, BM 12월 8일 K.A.R.D 공식 채널을 통해 첫 번째 히든 멤버의 정체가 허영지임을 밝혔고,[7] 히든 멤버 허영지를 포함한 멤버 5명이 V앱을 진행하였다.[8] 12월 9일 Oh NaNa의 뮤직비디오 티저를 공개하였다.[9] 데뷔 전날인 12월 12일 서울특별시 신촌에 있는 퀸 라이브 홀에서 데뷔 파티를 열었고[10], 12월 13일 자정에 첫 번째 디지털 싱글 〈Oh NaNa〉의 음원과 뮤직 비디오를 공개하였다.[11] 첫 번째 싱글 〈Oh NaNa〉의 음원이 공개된 지 하루 만에 아이튠즈 미국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4위를 기록하였고, 아이튠즈 일본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10위에 랭크된 데 이어 영국, 프랑스 등 각 나라별 차트에도 진입하였다.[12] 터키에서는 2위, 브라질에서는 4위를 기록하였다. 〈Oh NaNa〉의 뮤직 비디오는 공개한 지 3일 만에 125만 조회수를 돌파하였고[13], 한 달 만인 2017년 1월에 조회수 550만뷰를 돌파하였다.[14] 아이튠즈 미국 차트 K-pop 부분에서 1단계 올라서 3위에 랭크되었고, 또 1단계 올라서 2위에 랭크되었다. 아이튠즈 스웨덴 차트 K-pop 부분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15] 영국[16], 프랑스[17] 등 각 나라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 카드는 빌보드가 선정한 2016년 올해의 K-pop 신인 아이돌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18][19]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편집] 2017년 4월 25일 WILD KARD PARTY에서 KARD. 1월 19일 미국 빌보드가 주목할 만한 K팝 아티스트 TOP 5로 선정되었다.[20] 2월 16일 총 3단계의 데뷔 프로젝트 중 두 번째 곡인 〈Don't Recall〉을 자정에 공개하였다.[21] 3월 2일 자정에 〈Don't Recall〉 히든 버전을 공개하였다.[22] 〈Don't Recall〉 뮤직 비디오 조회수는 공개한 지 6일 만에 600만뷰를[23], 열흘 만에 777만뷰를[24], 3월 4일에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25] 카드는 4월 21일 LG전자 전략 스마트폰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발탁되어, 세 번째 프로젝트 〈RUMOR〉 활동부터 LG전자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활동을 시작한다. 뮤직 비디오를 비롯한 모든 콘텐츠는 LG전자 G6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된다.[26] 4월 24일 정오에 데뷔 프로젝트 세 번째 곡인 〈RUMOR〉를 공개하였다.[27] 〈RUMOR〉는 발매 이후 25일 오전까지 미국을 비롯한 총 13개국에서 아이튠즈 K팝 차트 1위를 차지하였으며,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음원 발매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공식 유튜브 조회수 기준 180만뷰를 돌파하였다.[28] 4월 25일 오후 8시에 하나투어 브이홀에서 개최한 WILD KARD PARTY에서 신곡 〈RUMOR〉를 공개하였다. 5월 1일 0시 KARD의 공식 유튜브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공개된 ‘Project Vol.3 RUMOR’의 히든 콘텐츠가 공개됐다. 제목은 ‘The Last Hidden’으로 데뷔 프로젝트의 종료를 의미한다.[29] '루머'(RUMOR)는 5월 3일자, 5월 10일자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World Digital Song Sales) 차트에서 2주 연속 톱 3 안에 진입하였다.[30][31] 5월 10일 ‘Don’t Recall’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2,000만뷰를 돌파하였다.[32] 5월 3일 캐나다 벤쿠버 HARBOUR ENENT CENTRE에서 '2017 와일드 카드 투어' 첫 무대를 열었고,[33]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4개국 투어 공연을 확정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시카고, 휴스턴, LA 등 3개 도시에서 공연을 열었다.[34] 6월 17일 멕시코 루나리오홀에서 공연하였다.[35]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브라질 포르탈레자, 살바도르, 헤시피,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에서 공연하였다. 2017년 7월 19일 데뷔 쇼케이스에서 KARD. 7월 19일 미니 1집 《HOLA HOLA》 로 정식 데뷔를 했으며, 데뷔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36] 여기서 공식 팬 클럽 이름 ‘히든 카드’를 밝혔다. 7월 20일 엠카운트다운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정식 데뷔 앨범인 《HOLA HOLA》는 발매된 지 만 하루도 안 된 7월 20일 오전 8시, 총 18개국의 아이튠즈 메인 음반 차트인 톱 앨범즈 부문 톱 10 안에 진입하였다.[37] 곧 이어 반나절 만에 32개국 차트에 오르고 유튜브 조회수 200만뷰를 돌파하였다.[38] 7월 22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수가 공식 채널 및 1theK 계정 합산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39] 7월 26일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를 기록하였다. 타이틀곡 HOLA HOLA가 월드 디지털송 4위, 수록곡 ‘난 멈추지 않는다’가 10위, ‘Living Good’이 12위에 올랐다.[40] 8월 4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1,000만 뷰를 돌파하였다. 카드는 9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월드 투어 ‘2017 WILD KARD TOUR PT.2’를 개최하였다. 영국 런던, 포르투갈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 이탈리아 밀라노, 프랑스 노트르담, 미국(미니애폴리스, 워싱턴D.C, 뉴욕, 마이애미, 샌프란시스코), 칠레, 아르헨티나, 페루 9개국 13개 도시에서 총 15회의 공연을 선보였다.[41] 11월 21일 미니 2집 《You & Me》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은 〈You In Me〉이다.[42] 컴백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 컴백 반나절 만에 미국,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에스토니아, 홍콩, 칠레에서 KARD의 새 앨범 ‘You & Me’가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43] 'You In Me’ 뮤직비디오 공개 5일만에 유튜브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 11월 28일 《더 쇼》1위 후보에 올라서 3위를 기록하였다. 12월 18일 You ln Me 뮤직비디오 조회수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편집] 2018년 7월 27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2018년 1월 21일 싱가포르, 2월 2일 대만 타이페이, 2월 4일 홍콩, 2월 9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4개국 투어를 개최하였다.[44] 카드는 미국의 음악 전문 매체 FUSE TV가 1월 17일 선정한 미국 최대 음악 마켓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뮤직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팀 중 ‘2018년 기대되는 팀’에 유일한 K팝 가수로 이름을 올렸다.[45] 4월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The Kasablanka Hall’에서 ‘2018 WILD KARD TOUR’를 개최하였다. 이어 4월 26일 멜버른, 29일 시드니 등 호주에서도 2차례 투어를 진행하였다.[46] 7월 25일에 세 번째 미니 앨범 《RIDE ON THE WIND》로 컴백하였으며,[47][48] 7월 26일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 무대를 가졌다. 8월 7일 더 쇼 1위 후보에 올라서 2위를 기록하였다. 8월 19일 대한민국에서 데뷔 후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49] 2019: Bomb Bomb[편집] 2019년 4월 12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3월 27일 데뷔 이후 첫 번째 디지털 싱글 〈Bomb Bomb〉으로 컴백하였다.[50] 4월 24일 일본 도쿄 duo MUSIC EXCHANGE에서 콘서트를 2회 개최하며, 4월 27일 한국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제이셉 본명 : 김태형 (金泰亨)[주 1][51] 생년월일 : 1992년 6월 21일(1992-06-21)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52][주 2] 학력 : 방송통신대학교 (휴학)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리드댄서[53]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스페이드) BM 본명 : Matthew Kim (매튜김), 김우진, 김진석[주 3] 생년월일 :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54] 학력 : Upland High School (졸업)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55]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클로버) 전소민 이름 : 전소민 (全昭珉[51]) 생년월일 : 1996년 8월 22일(1996-08-22)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56] 학력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과 (휴학) 포지션 : 메인보컬[57] 특이사항 : 前 퓨리티, 前 에이프릴 멤버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하트) 전지우 이름 : 전지우 (全志佑[51]) 생년월일 : 1996년 10월 4일(1996-10-04)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주 4] 학력 : 청담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드보컬, 서브래퍼[58]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 (다이아)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드의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편집] 카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도시 국가 장소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3일 벤쿠버 캐나다 Harbour Event Centre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AMERICA 2017년 5월 5일 시카고 미국 Copernicus Center 2017년 5월 7일 휴스턴 Stereo Live 2017년 5월 10일 로스앤젤레스 The Theatre at Ace Hote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TKC17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MEXICO 2017년 6월 1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Lunario Auditorio Naciona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BRAZIL 2017년 6월 23일 포르탈레자 브라질 Vila Gale 2017년 6월 25일 사우바도르 Sheraton 2017년 6월 27일 헤시피 Hotel Manibu 2017년 6월 29일 리우데자네이루 CC Marista 2017년 7월 1일 상파울루 Tropical Butanta 2017년 7월 2일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EUROPE 2017년 9월 1일 런던 영국 ULU Live 2017년 9월 3일 리스본 포르투갈 Paradise Garage 2017년 9월 5일 마드리드 스페인 Sala But 2017년 9월 8일 밀라노 이탈리아 Magazzini Generali 2017년 9월 10일 로테르담 네덜란드 Annabel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9월 15일 미네아폴리스 미국 State Theatre 2017년 9월 17일 워싱턴 DC Warner Theatre 2017년 9월 20일 뉴욕 PlayStation Theatre 2017년 9월 22일 마이애미 James L. Knight Center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SOUTH AMERICA 2017년 9월 27일 발파라이소 칠레 Teatro Municipal 2017년 9월 29일 콘셉시온 Gimnasio Municipal 2017년 10월 1일 라세레나 Coliseo Municipal 2017년 10월 4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Teatro Vorterix 2017년 10월 6일 리마 페루 Jockey Club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 미국 The Warfield 2018 WILD KARD TOUR IN ASIA 2018년 1월 21일 주롱 웨스트 싱가포르 Zeep@Big Box 2018년 2월 2일 타이페이 타이완 ATT Show Box 2018년 2월 4일 가우룽완 홍콩 KITEC Rotunda 3 2018년 2월 9일 마닐라 필리핀 KIA Theatre 2018 WILD KARD TOUR 2018년 4월 14일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The Kasablanka Hall WILD KARD in Seoul 2018년 8월 19일 서울 대한민국 YES24 LIVEHALL 「WILD KARD 2018」 TOUR IN BRAZIL 2018년 9월 21일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Vivo Rio 2018년 9월 23일 포르투알레그리 2018년 9월 25일 쿠리치바 Encontro da Amazônia 2018년 9월 27일 벨루오리존치 2018년 9월 30일 상파울루 Espaço das Américas WILD KARD TOUR in Tokyo 2019년 4월 24일 도쿄 일본 duo MUSIC EXCHANGE 2019 WILD KARD IN SEOUL 2019년 4월 27일 서울 대한민국 서강대학교 메리홀 공연[편집] 제목 날짜 도시 국가 장소 Sound K * Dal.komm Concert 2016년 12월 17일 서울 대한민국 달콤커피 상암팬엔터점 앞 Rising star Dreaming Concert 2017년 1월 8일 서울 대한민국 롯데월드 가든 스테이지 롯데월드 공연 2017년 1월 22일 Toronto Kpop Con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2017 KCON LA 2017년 8월 20일 뉴욕 미국 스테이플스 센터 iMe Kpop Fantival 2017 2017년 8월 26일 방콕 태국 Thunder Dome Muangthong Thani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2017년 10월 24일 부산 대한민국 부산 BOF LAND(해운대 구남로) I・SEOUL・U 2주년 시민축제 콘서트 2017년 10월 29일 서울 대한민국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공연존 카운트다운 서울2018 엣 타임스퀘어 2017년 12월 31일 서울 대한민국 영등포 타임스퀘어 K-POP World Festa 2018년 2월 24일 강릉 대한민국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운동장 울산 썸머 페스티벌 2018년 7월 23일 울산 대한민국 울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3·1운동 100주년 One K 콘서트 2019년 3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 K-POP BIG5 Concert 2019년 5월 4일 뒤셀도르프 독일 수상 내역[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2017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신인상 CJ E&M 아메리카 어워드 Hottest Rookie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AAA 뉴웨이브상 2019 한중경영대상 아시아 라이징 스타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16년 12월 8일 네이버 V앱에서, 클 태(泰) 형통할 형(亨) 이라고 언급했다. ↑ 2016년 12월 18일 두시탈출 컬투쇼 에서 충주시에서 태어났다고, 언급 했다. ↑ 한국 이름 : 김우진, 외국인등록증 이름 : 김진석 ↑ 2016년 12월 6일 네이버 V앱에서, 서울 출신이라고 언급했다. 참조주[편집] ↑ 선미경 (2016년 12월 1일). “DSP, 신인 아티스트 그룹 론칭..K.A.R.D 프로젝트 예고”. OSEN.  ↑ “DSP Media teases two members of KARD”. Allkpop.com.  ↑ “Update: DSP Media Reveals Two More Members Of Co-Ed Group K.A.R.D”. soompi.  ↑ 박수인 (2016년 12월 6일). “V앱' K.A.R.D, 뻘쭘해도 괜찮아 신인이니까(종합)”. 헤럴드pop.  ↑ 정지원 (2016년 12월 6일). “DSP 혼성그룹 KARD, 숨겨진 '히든멤버' 예고 '궁금증↑'”. 엑스포츠 뉴스.  ↑ 이호연 (2016년 12월 6일). “V앱' 소민X지우, 반가운 新혼성그룹 K.A.R.D 등장”. 헤럴드pop.  ↑ 이하나 (2016년 12월 8일). “허영지, DSP 신예 혼성 그룹 K.A.R.D의 첫 번째 히든 멤버 선정”. 서울경제.  ↑ 이호연 (2016년 12월 9일). “[어게인TV]'V앱' 허영지, K.A.R.D 위한 특급 와일드 히든 카드”. 헤럴드pop.  ↑ “혼성그룹 k.a.r.d, 데뷔곡 ‘오나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 ‘공개’”. 매일경제. 2016년 12월 9일.  ↑ 유찬희 (2016년 12월 12일). “‘V앱’ K.A.R.D “각자 역할 달라..색다른 모습 보여줄 것”. 텐아시아.  ↑ 김영록 (2016년 12월 12일). “DSP 혼성그룹 K.A.R.D, 오늘밤 데뷔곡 '오나나' 발표”. 스포츠조선.  ↑ 이지석 (2016년 12월 15일). “'DSP 혼성그룹' 카드, 데뷔곡 '오나나' 해외서 호평”. 스포츠서울.  ↑ 이아영 (2016년 12월 16일). “DSP 혼성그룹 카드, '오나나' MV 공개 3일 만 125만뷰 돌파”. 엑스포츠뉴스.  ↑ 정지원 (2017년 1월 11일). “DSP 혼성그룹 카드, 심상찮은 반응…MV 550만뷰 돌파”. 엑스포츠 뉴스.  ↑ “iTunes Charts Sverige”.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UK”.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France”.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10 Best New K-Pop Groups In 2016”. billboard. 2016년 12월 21일.  ↑ 전원 (2016년 12월 22일). “카드, 빌보드 '2016 K팝 신인그룹 톱10' 선정…데뷔 1주일만에 쾌거”. 마이데일리.  ↑ 최지예 (2017년 1월 20일). “카드, 美 빌보드 선정 2017 주목할 K팝 아티스트 톱5”. 마이데일리.  ↑ 조현주 (2017년 2월 6일). “혼성그룹 카드(K.A.R.D), 2월 컴백 대열 합류”. 텐아시아.  ↑ 신미래 (2017년 2월 28일). “K.A.R.D, `돈 리콜` 숨겨진 트랙 예고”. MBN.  ↑ 박수정 (2017년 2월 22일). “K.A.R.D, '돈 리콜' MV 600만뷰 돌파..방송 활동 없이 막강 파급력”. 헤럴드 pop.  ↑ 김하진 (2017년 2월 25일). “카드(KARD), 잭팟 터졌다..M/V 777만뷰 돌파”. 텐아시아.  ↑ 이다원 (2017년 3월 4일). “K.A.R.D, 데뷔 전부터 무서운 상승세…MV 1000만뷰 돌파”. 스포츠경향.  ↑ 전원 (2017년 4월 21일). “"新대세 예약" 카드, LG G6 글로벌 앰버서더 발탁”. 엑스포츠뉴스.  ↑ 윤기백 (2017년 4월 17일). “KARD, 신곡 '루머' 24일 공개… 데뷔 프로젝트 대미 장식”. 스포츠월드.  ↑ 정지원 (2017년 4월 25일). “KARD, 아이튠즈 차트 13개국 1위…글로벌 인기 입증”. OSEN.  ↑ 유병철 (2017년 5월 1일). “KARD, 마지막 ‘히든’ 전격 공개…화려한 대규모 퍼포먼스 탄생”. 한국경제TV.  ↑ 길혜성 (2017년 5월 4일). “'헉' K.A.R.D 뭐지?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韓유일 톱3”. 스타뉴스.  ↑ 길혜성 (2017년 5월 10일). “K.A.R.D,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2주 연속 '톱3'”. 스타뉴스.  ↑ 유병철 (2017년 5월 10일). “KARD, ‘Don’t Recall’ 유튜브 2000만 뷰 돌파…믿고 듣는 KARD 등극”. 한국경제TV.  ↑ 전효진 (2017년 5월 5일). “KARD, 2017 투어 돌입…글로벌 인기·캐나다 열광”. 스포츠동아.  ↑ 정지원 (2017년 3월 21일). “[단독] KARD, 해외가 먼저 불렀다…미국·캐나다·브라질 투어 확정”. OSEN.  ↑ 이미현 (2017년 4월 22일). “KARD, 6월 17일 멕시코 추가 공연…해외 반응 폭발적”. 일간스포츠.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 윤준필 (2017년 7월 19일). “카드(KARD) "타이틀곡 '올라 올라', 첫 데뷔 인사+높이 올라가자는 포부"”. 텐아시아.  ↑ 길혜성 (2017년 7월 20일). “KARD, 역시 괴물 혼성그룹..18國 메인앨범차트 톱1”. 스타뉴스.  ↑ “KARD, 국내외 32개국 차트 장악…'올라 올라' 뮤비 200만↑”. 스포츠조선. 2017년 7월 20일.  ↑ 김미지 (2017년 7월 22일). “KARD '올라 올라' MV 500만 뷰 돌파…글로벌 인기 입증”. 엑스포츠 뉴스.  ↑ 전형화 (2017년 7월 26일). “KARD,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 등극”. 스타뉴스.  ↑ 정지원 (2017년 8월 31일). “[공식입장] KARD, 유럽+미국+남미 9개국 13개 도시 투어개최”. OSEN.  ↑ 정지원 (2017년 11월 8일). “[공식입장] '컴백' KARD, 타이틀곡은 'You In Me'…21일 발표”. OSEN.  ↑ 이혜랑 (2017년 11월 22일). “KARD, ‘You & Me’ 美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 기염”. 《헤럴드 pop》.  ↑ 이하나 (2017년 11월 27일). “KARD,아시아 5개국 투어 확정…글로벌 명성 입증”. 서울경제.  ↑ “美 FUSE TV “KARD, 2018년 기대되는 팀...세계 팬 사로잡아””. 《스포츠동아》. 2018년 1월 19일.  ↑ 김명미 (2018년 2월 23일). “KARD, 인도네시아 이어 호주 월드투어 추가 개최(공식)”. 《뉴스엔》.  ↑ 박서현 (2018년 6월 30일). “KARD, 7월 25일 세 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확정‥여름 달군다(공식)”. 《헤럴드POP》.  ↑ 김은구 (2018년 7월 12일). “KARD, 'RIDE ON THE WIND'로 25일 컴백”. 《이데일리》.  ↑ 장주영 (2018년 7월 2일). “혼성그룹 카드(KARD), 오는 25일 컴백+내달 19일 첫 단독 콘서트”. 서울경제.  ↑ 윤상근 (2019년 3월 18일). “KARD, 27일 '밤밤' 컴백..2019년 새 도약 첫발(공식)”. 《스타뉴스》.  ↑ 가 나 다 “17.07.30 Hola Hola江南簽名會 後記”. 《Facebook》 (중국어). 2017년 8월 7일에 확인함.  ↑ 손예지 (2017년 3월 7일). “K.A.R.D의 매력? “노래·춤·멤버 다 갖춘 3박자” (인터뷰①)”. 텐아시아.  ↑ [1] ↑ THE BIRTH OF MATTHEW KIM ↑ [2] ↑ 길혜성 (2015년 9월 26일). “'신예' 에이프릴, 데뷔 후 첫 추석...'설레는 고향行'”. 스타뉴스.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3] ↑ [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드 카드 - 공식 웹사이트 카드 - 유튜브 카드 - 트위터 카드 - 인스타그램 카드 - 페이스북 카드 - V LIVE BM - 인스타그램 제이셉 - 인스타그램 전지우 - 인스타그램 전소민 - 인스타그램 vdehK♠RD 제이셉 BM 전소민 전지우 EP한국 HOLA HOLA (2017) You & Me (2017) RIDE ON THE WIND (2018) 싱글한국 Oh NaNa (2016) Don't Recall (2017) RUMOR (2017) Bomb Bomb (2019) 출연 프로그램 시크릿 카드 MEMORY KARD 관련 문서 DSP 미디어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분류 vdehDSP 미디어경영진 이호연 (창립자) 성하묵 (부사장) 최미경 (대표이사) 가수현재 소속 클릭비 에이젝스(도우, 윤영, 승엽, 승진, 중희) 오종혁 에이프릴(윤채경, 김채원, 이나은, 양예나, 레이첼, 이진솔) 카드 (BM, 제이셉, 전소민, 전지우) 과거 소속 잼 CO CO 뮤 IDOL MOUNTAIN 젝스키스(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고지용, 장수원) 핑클(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엄지선 2shai Shyne SS501(김현중, 허영생, 김규종, 박정민, 김형준) A'st1 안선하 퓨리티 카라(김성희, 박규리, 한승연, 구하라, 니콜, 강지영) 에이젝스(성민, 서재형, 문지후) 레인보우(김재경, 고우리, 김지숙, 오승아, 노을, 정윤혜, 조현영) 캐스퍼 최현준 배우현재 소속 조시윤 이현주 과거 소속 김규민 조아라 조명운 류지선 문지후 최배영 송찬익 관련 문서 DSP 미디어의 음반 공식 웹사이트: dspmedia.co.kr 전거 통제 VIAF: 26155103914876200920 ISNI: 0000 0004 6993 8195 뮤직브레인즈: ad4e8332-861d-4a49-8235-b72888714be4 멜론: 12718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드_(음악_그룹)&oldid=24540723" 분류: 카드 (음악 그룹)2017년 데뷔2010년대 음악 그룹2016년 결성된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혼성 음악 그룹다국적 음악 그룹DSP 미디어 소속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드 (음악 그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드 (음악 그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드KARD 왼쪽부터 BM, 전소민, 전지우, 제이셉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K-pop 활동 시기 2016년 12월 13일 ~ 현재 레이블 카카오 M 소속사 DSP 미디어 웹사이트 KARD 공식사이트 구성원 제이셉BM전소민전지우 카드(KARD)는 대한민국의 4인조 혼성 그룹으로, DSP 미디어 소속이다. 목차 1 활동 1.1 데뷔 전 1.2 2016: Oh NaNa 1.3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 1.4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 1.5 2019: Bomb Bomb 2 구성원 3 음반 목록 4 음반 외 활동 5 콘서트 5.1 단독 콘서트 5.2 공연 6 수상 내역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활동[편집] 데뷔 전[편집] DSP미디어는 2016년 12월 1일 0시 각종 SNS를 통하여 ‘K.A.R.D’라는 타이틀로 공식 채널을 정식 개설하고 커밍업(Coming Up) 티저 이미지를 처음 공개하였다.[1] 12월 2일 자정에 BM과 전지우의 사진을 공개하였으며,[2] 12월 3일 자정에는 제이셉과 전소민의 사진을 공개하였다.[3] 12월 5일 제이셉과 BM이 V앱을 진행하였다.[4] 12월 6일 0시 ‘K.A.R.D’ 프로젝트의 공식 채널을 통해 실루엣 티저 이미지가 추가로 공개되었다. 공개된 이미지는 카드가 컨셉으로, 멤버들이 각각 K(King), A(Ace), R(JokeR/블랙조커, 칼라조커)의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며 D(hiDden)의 포지션은 '히든 멤버'이다. King은 BM, Ace는 제이셉, Black JokeR는 전소민, Color jokeR는 전지우에 해당한다. DSP 미디어는 "K.A.R.D는 총 3단계에 걸친 하나의 데뷔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매 앨범마다 히든 멤버가 있다. 마지막 카드 ‘D’는 숨겨진 멤버라는 의미와 함께 상대가 예측하지 못한 비장의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일 것이란 중의적인 의미가 내포돼 있다."라고 밝혔다.[5] 12월 6일 오후 6시 제이셉의 랩 퍼포먼스 티저와 전지우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고, 오후 7시 전소민과 전지우가 V앱을 진행하였다.[6] 12월 7일 자정에 BM의 댄스 퍼포먼스 티저와 전소민의 비주얼 퍼포먼스 티저를 공개하였다. 2016: Oh NaNa[편집] 왼쪽부터 전소민, 제이셉, 전지우, BM 12월 8일 K.A.R.D 공식 채널을 통해 첫 번째 히든 멤버의 정체가 허영지임을 밝혔고,[7] 히든 멤버 허영지를 포함한 멤버 5명이 V앱을 진행하였다.[8] 12월 9일 Oh NaNa의 뮤직비디오 티저를 공개하였다.[9] 데뷔 전날인 12월 12일 서울특별시 신촌에 있는 퀸 라이브 홀에서 데뷔 파티를 열었고[10], 12월 13일 자정에 첫 번째 디지털 싱글 〈Oh NaNa〉의 음원과 뮤직 비디오를 공개하였다.[11] 첫 번째 싱글 〈Oh NaNa〉의 음원이 공개된 지 하루 만에 아이튠즈 미국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4위를 기록하였고, 아이튠즈 일본 차트 케이팝 부분에서 10위에 랭크된 데 이어 영국, 프랑스 등 각 나라별 차트에도 진입하였다.[12] 터키에서는 2위, 브라질에서는 4위를 기록하였다. 〈Oh NaNa〉의 뮤직 비디오는 공개한 지 3일 만에 125만 조회수를 돌파하였고[13], 한 달 만인 2017년 1월에 조회수 550만뷰를 돌파하였다.[14] 아이튠즈 미국 차트 K-pop 부분에서 1단계 올라서 3위에 랭크되었고, 또 1단계 올라서 2위에 랭크되었다. 아이튠즈 스웨덴 차트 K-pop 부분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15] 영국[16], 프랑스[17] 등 각 나라 아이튠즈 차트에서 1위에 랭크되었다. 카드는 빌보드가 선정한 2016년 올해의 K-pop 신인 아이돌에서 8위에 랭크되었다.[18][19] 2017: Don't Recall, RUMOR 및 해외 투어, HOLA HOLA, You & Me[편집] 2017년 4월 25일 WILD KARD PARTY에서 KARD. 1월 19일 미국 빌보드가 주목할 만한 K팝 아티스트 TOP 5로 선정되었다.[20] 2월 16일 총 3단계의 데뷔 프로젝트 중 두 번째 곡인 〈Don't Recall〉을 자정에 공개하였다.[21] 3월 2일 자정에 〈Don't Recall〉 히든 버전을 공개하였다.[22] 〈Don't Recall〉 뮤직 비디오 조회수는 공개한 지 6일 만에 600만뷰를[23], 열흘 만에 777만뷰를[24], 3월 4일에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25] 카드는 4월 21일 LG전자 전략 스마트폰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발탁되어, 세 번째 프로젝트 〈RUMOR〉 활동부터 LG전자 ‘G6’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활동을 시작한다. 뮤직 비디오를 비롯한 모든 콘텐츠는 LG전자 G6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진행된다.[26] 4월 24일 정오에 데뷔 프로젝트 세 번째 곡인 〈RUMOR〉를 공개하였다.[27] 〈RUMOR〉는 발매 이후 25일 오전까지 미국을 비롯한 총 13개국에서 아이튠즈 K팝 차트 1위를 차지하였으며, 뮤직비디오 조회수는 음원 발매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공식 유튜브 조회수 기준 180만뷰를 돌파하였다.[28] 4월 25일 오후 8시에 하나투어 브이홀에서 개최한 WILD KARD PARTY에서 신곡 〈RUMOR〉를 공개하였다. 5월 1일 0시 KARD의 공식 유튜브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공개된 ‘Project Vol.3 RUMOR’의 히든 콘텐츠가 공개됐다. 제목은 ‘The Last Hidden’으로 데뷔 프로젝트의 종료를 의미한다.[29] '루머'(RUMOR)는 5월 3일자, 5월 10일자 월드 디지털 송 세일즈(World Digital Song Sales) 차트에서 2주 연속 톱 3 안에 진입하였다.[30][31] 5월 10일 ‘Don’t Recall’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2,000만뷰를 돌파하였다.[32] 5월 3일 캐나다 벤쿠버 HARBOUR ENENT CENTRE에서 '2017 와일드 카드 투어' 첫 무대를 열었고,[33]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4개국 투어 공연을 확정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시카고, 휴스턴, LA 등 3개 도시에서 공연을 열었다.[34] 6월 17일 멕시코 루나리오홀에서 공연하였다.[35]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브라질 포르탈레자, 살바도르, 헤시피,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에서 공연하였다. 2017년 7월 19일 데뷔 쇼케이스에서 KARD. 7월 19일 미니 1집 《HOLA HOLA》 로 정식 데뷔를 했으며, 데뷔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36] 여기서 공식 팬 클럽 이름 ‘히든 카드’를 밝혔다. 7월 20일 엠카운트다운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정식 데뷔 앨범인 《HOLA HOLA》는 발매된 지 만 하루도 안 된 7월 20일 오전 8시, 총 18개국의 아이튠즈 메인 음반 차트인 톱 앨범즈 부문 톱 10 안에 진입하였다.[37] 곧 이어 반나절 만에 32개국 차트에 오르고 유튜브 조회수 200만뷰를 돌파하였다.[38] 7월 22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수가 공식 채널 및 1theK 계정 합산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39] 7월 26일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를 기록하였다. 타이틀곡 HOLA HOLA가 월드 디지털송 4위, 수록곡 ‘난 멈추지 않는다’가 10위, ‘Living Good’이 12위에 올랐다.[40] 8월 4일, 'Hola Hola'의 뮤직비디오 조회수가 1,000만 뷰를 돌파하였다. 카드는 9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월드 투어 ‘2017 WILD KARD TOUR PT.2’를 개최하였다. 영국 런던, 포르투갈 리스본, 스페인 마드리드, 이탈리아 밀라노, 프랑스 노트르담, 미국(미니애폴리스, 워싱턴D.C, 뉴욕, 마이애미, 샌프란시스코), 칠레, 아르헨티나, 페루 9개국 13개 도시에서 총 15회의 공연을 선보였다.[41] 11월 21일 미니 2집 《You & Me》로 컴백하였다. 타이틀 곡은 〈You In Me〉이다.[42] 컴백 쇼케이스를 개최하였다. 컴백 반나절 만에 미국, 필리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에스토니아, 홍콩, 칠레에서 KARD의 새 앨범 ‘You & Me’가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에 올랐다.[43] 'You In Me’ 뮤직비디오 공개 5일만에 유튜브 500만 뷰를 돌파하였다. 11월 28일 《더 쇼》1위 후보에 올라서 3위를 기록하였다. 12월 18일 You ln Me 뮤직비디오 조회수 1000만뷰를 돌파하였다. 2018: 투어 개최, RIDE ON THE WIND, 첫 단독 콘서트[편집] 2018년 7월 27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2018년 1월 21일 싱가포르, 2월 2일 대만 타이페이, 2월 4일 홍콩, 2월 9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4개국 투어를 개최하였다.[44] 카드는 미국의 음악 전문 매체 FUSE TV가 1월 17일 선정한 미국 최대 음악 마켓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뮤직 페스티벌에 참여하는 팀 중 ‘2018년 기대되는 팀’에 유일한 K팝 가수로 이름을 올렸다.[45] 4월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The Kasablanka Hall’에서 ‘2018 WILD KARD TOUR’를 개최하였다. 이어 4월 26일 멜버른, 29일 시드니 등 호주에서도 2차례 투어를 진행하였다.[46] 7월 25일에 세 번째 미니 앨범 《RIDE ON THE WIND》로 컴백하였으며,[47][48] 7월 26일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컴백 무대를 가졌다. 8월 7일 더 쇼 1위 후보에 올라서 2위를 기록하였다. 8월 19일 대한민국에서 데뷔 후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다.[49] 2019: Bomb Bomb[편집] 2019년 4월 12일 KBS 뮤직뱅크에 출근하는 KARD 3월 27일 데뷔 이후 첫 번째 디지털 싱글 〈Bomb Bomb〉으로 컴백하였다.[50] 4월 24일 일본 도쿄 duo MUSIC EXCHANGE에서 콘서트를 2회 개최하며, 4월 27일 한국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다.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제이셉 본명 : 김태형 (金泰亨)[주 1][51] 생년월일 : 1992년 6월 21일(1992-06-21) (2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52][주 2] 학력 : 방송통신대학교 (휴학) 포지션 : 메인래퍼, 서브보컬, 리드댄서[53]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스페이드) BM 본명 : Matthew Kim (매튜김), 김우진, 김진석[주 3] 생년월일 :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54] 학력 : Upland High School (졸업) 포지션 : 리드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55]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클로버) 전소민 이름 : 전소민 (全昭珉[51]) 생년월일 : 1996년 8월 22일(1996-08-22)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56] 학력 : 서경대학교 실용음악과 (휴학) 포지션 : 메인보컬[57] 특이사항 : 前 퓨리티, 前 에이프릴 멤버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하트) 전지우 이름 : 전지우 (全志佑[51]) 생년월일 : 1996년 10월 4일(1996-10-04) (22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주 4] 학력 : 청담고등학교 (졸업) 포지션 : 리드보컬, 서브래퍼[58] 활동기간 : 2016년 12월 13일 ~ 상징문양 : ◆ (다이아) 음반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카드의 음반 목록입니다. 음반 외 활동[편집] 카드의 음반 외 활동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콘서트[편집] 단독 콘서트[편집] 공연명 날짜 도시 국가 장소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3일 벤쿠버 캐나다 Harbour Event Centre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AMERICA 2017년 5월 5일 시카고 미국 Copernicus Center 2017년 5월 7일 휴스턴 Stereo Live 2017년 5월 10일 로스앤젤레스 The Theatre at Ace Hote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CANADA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TKC17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MEXICO 2017년 6월 17일 멕시코시티 멕시코 Lunario Auditorio Nacional 「WILD KARD 2017」 THE 1ST TOUR IN BRAZIL 2017년 6월 23일 포르탈레자 브라질 Vila Gale 2017년 6월 25일 사우바도르 Sheraton 2017년 6월 27일 헤시피 Hotel Manibu 2017년 6월 29일 리우데자네이루 CC Marista 2017년 7월 1일 상파울루 Tropical Butanta 2017년 7월 2일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EUROPE 2017년 9월 1일 런던 영국 ULU Live 2017년 9월 3일 리스본 포르투갈 Paradise Garage 2017년 9월 5일 마드리드 스페인 Sala But 2017년 9월 8일 밀라노 이탈리아 Magazzini Generali 2017년 9월 10일 로테르담 네덜란드 Annabel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9월 15일 미네아폴리스 미국 State Theatre 2017년 9월 17일 워싱턴 DC Warner Theatre 2017년 9월 20일 뉴욕 PlayStation Theatre 2017년 9월 22일 마이애미 James L. Knight Center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SOUTH AMERICA 2017년 9월 27일 발파라이소 칠레 Teatro Municipal 2017년 9월 29일 콘셉시온 Gimnasio Municipal 2017년 10월 1일 라세레나 Coliseo Municipal 2017년 10월 4일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Teatro Vorterix 2017년 10월 6일 리마 페루 Jockey Club 「WILD KARD 2017」 THE 2ND TOUR IN AMERICA 2017년 10월 8일 로스앤젤레스 미국 The Warfield 2018 WILD KARD TOUR IN ASIA 2018년 1월 21일 주롱 웨스트 싱가포르 Zeep@Big Box 2018년 2월 2일 타이페이 타이완 ATT Show Box 2018년 2월 4일 가우룽완 홍콩 KITEC Rotunda 3 2018년 2월 9일 마닐라 필리핀 KIA Theatre 2018 WILD KARD TOUR 2018년 4월 14일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The Kasablanka Hall WILD KARD in Seoul 2018년 8월 19일 서울 대한민국 YES24 LIVEHALL 「WILD KARD 2018」 TOUR IN BRAZIL 2018년 9월 21일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Vivo Rio 2018년 9월 23일 포르투알레그리 2018년 9월 25일 쿠리치바 Encontro da Amazônia 2018년 9월 27일 벨루오리존치 2018년 9월 30일 상파울루 Espaço das Américas WILD KARD TOUR in Tokyo 2019년 4월 24일 도쿄 일본 duo MUSIC EXCHANGE 2019 WILD KARD IN SEOUL 2019년 4월 27일 서울 대한민국 서강대학교 메리홀 공연[편집] 제목 날짜 도시 국가 장소 Sound K * Dal.komm Concert 2016년 12월 17일 서울 대한민국 달콤커피 상암팬엔터점 앞 Rising star Dreaming Concert 2017년 1월 8일 서울 대한민국 롯데월드 가든 스테이지 롯데월드 공연 2017년 1월 22일 Toronto Kpop Con 2017년 5월 12일 토론토 캐나다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 센터 2017 KCON LA 2017년 8월 20일 뉴욕 미국 스테이플스 센터 iMe Kpop Fantival 2017 2017년 8월 26일 방콕 태국 Thunder Dome Muangthong Thani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2017년 10월 24일 부산 대한민국 부산 BOF LAND(해운대 구남로) I・SEOUL・U 2주년 시민축제 콘서트 2017년 10월 29일 서울 대한민국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공연존 카운트다운 서울2018 엣 타임스퀘어 2017년 12월 31일 서울 대한민국 영등포 타임스퀘어 K-POP World Festa 2018년 2월 24일 강릉 대한민국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 운동장 울산 썸머 페스티벌 2018년 7월 23일 울산 대한민국 울산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3·1운동 100주년 One K 콘서트 2019년 3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 K-POP BIG5 Concert 2019년 5월 4일 뒤셀도르프 독일 수상 내역[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2017 제2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신인상 CJ E&M 아메리카 어워드 Hottest Rookie 2018 제3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드 AAA 뉴웨이브상 2019 한중경영대상 아시아 라이징 스타상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16년 12월 8일 네이버 V앱에서, 클 태(泰) 형통할 형(亨) 이라고 언급했다. ↑ 2016년 12월 18일 두시탈출 컬투쇼 에서 충주시에서 태어났다고, 언급 했다. ↑ 한국 이름 : 김우진, 외국인등록증 이름 : 김진석 ↑ 2016년 12월 6일 네이버 V앱에서, 서울 출신이라고 언급했다. 참조주[편집] ↑ 선미경 (2016년 12월 1일). “DSP, 신인 아티스트 그룹 론칭..K.A.R.D 프로젝트 예고”. OSEN.  ↑ “DSP Media teases two members of KARD”. Allkpop.com.  ↑ “Update: DSP Media Reveals Two More Members Of Co-Ed Group K.A.R.D”. soompi.  ↑ 박수인 (2016년 12월 6일). “V앱' K.A.R.D, 뻘쭘해도 괜찮아 신인이니까(종합)”. 헤럴드pop.  ↑ 정지원 (2016년 12월 6일). “DSP 혼성그룹 KARD, 숨겨진 '히든멤버' 예고 '궁금증↑'”. 엑스포츠 뉴스.  ↑ 이호연 (2016년 12월 6일). “V앱' 소민X지우, 반가운 新혼성그룹 K.A.R.D 등장”. 헤럴드pop.  ↑ 이하나 (2016년 12월 8일). “허영지, DSP 신예 혼성 그룹 K.A.R.D의 첫 번째 히든 멤버 선정”. 서울경제.  ↑ 이호연 (2016년 12월 9일). “[어게인TV]'V앱' 허영지, K.A.R.D 위한 특급 와일드 히든 카드”. 헤럴드pop.  ↑ “혼성그룹 k.a.r.d, 데뷔곡 ‘오나나’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 ‘공개’”. 매일경제. 2016년 12월 9일.  ↑ 유찬희 (2016년 12월 12일). “‘V앱’ K.A.R.D “각자 역할 달라..색다른 모습 보여줄 것”. 텐아시아.  ↑ 김영록 (2016년 12월 12일). “DSP 혼성그룹 K.A.R.D, 오늘밤 데뷔곡 '오나나' 발표”. 스포츠조선.  ↑ 이지석 (2016년 12월 15일). “'DSP 혼성그룹' 카드, 데뷔곡 '오나나' 해외서 호평”. 스포츠서울.  ↑ 이아영 (2016년 12월 16일). “DSP 혼성그룹 카드, '오나나' MV 공개 3일 만 125만뷰 돌파”. 엑스포츠뉴스.  ↑ 정지원 (2017년 1월 11일). “DSP 혼성그룹 카드, 심상찮은 반응…MV 550만뷰 돌파”. 엑스포츠 뉴스.  ↑ “iTunes Charts Sverige”.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UK”.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iTunes Charts France”.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10 Best New K-Pop Groups In 2016”. billboard. 2016년 12월 21일.  ↑ 전원 (2016년 12월 22일). “카드, 빌보드 '2016 K팝 신인그룹 톱10' 선정…데뷔 1주일만에 쾌거”. 마이데일리.  ↑ 최지예 (2017년 1월 20일). “카드, 美 빌보드 선정 2017 주목할 K팝 아티스트 톱5”. 마이데일리.  ↑ 조현주 (2017년 2월 6일). “혼성그룹 카드(K.A.R.D), 2월 컴백 대열 합류”. 텐아시아.  ↑ 신미래 (2017년 2월 28일). “K.A.R.D, `돈 리콜` 숨겨진 트랙 예고”. MBN.  ↑ 박수정 (2017년 2월 22일). “K.A.R.D, '돈 리콜' MV 600만뷰 돌파..방송 활동 없이 막강 파급력”. 헤럴드 pop.  ↑ 김하진 (2017년 2월 25일). “카드(KARD), 잭팟 터졌다..M/V 777만뷰 돌파”. 텐아시아.  ↑ 이다원 (2017년 3월 4일). “K.A.R.D, 데뷔 전부터 무서운 상승세…MV 1000만뷰 돌파”. 스포츠경향.  ↑ 전원 (2017년 4월 21일). “"新대세 예약" 카드, LG G6 글로벌 앰버서더 발탁”. 엑스포츠뉴스.  ↑ 윤기백 (2017년 4월 17일). “KARD, 신곡 '루머' 24일 공개… 데뷔 프로젝트 대미 장식”. 스포츠월드.  ↑ 정지원 (2017년 4월 25일). “KARD, 아이튠즈 차트 13개국 1위…글로벌 인기 입증”. OSEN.  ↑ 유병철 (2017년 5월 1일). “KARD, 마지막 ‘히든’ 전격 공개…화려한 대규모 퍼포먼스 탄생”. 한국경제TV.  ↑ 길혜성 (2017년 5월 4일). “'헉' K.A.R.D 뭐지?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韓유일 톱3”. 스타뉴스.  ↑ 길혜성 (2017년 5월 10일). “K.A.R.D, 美빌보드 월드디지털송차트 2주 연속 '톱3'”. 스타뉴스.  ↑ 유병철 (2017년 5월 10일). “KARD, ‘Don’t Recall’ 유튜브 2000만 뷰 돌파…믿고 듣는 KARD 등극”. 한국경제TV.  ↑ 전효진 (2017년 5월 5일). “KARD, 2017 투어 돌입…글로벌 인기·캐나다 열광”. 스포츠동아.  ↑ 정지원 (2017년 3월 21일). “[단독] KARD, 해외가 먼저 불렀다…미국·캐나다·브라질 투어 확정”. OSEN.  ↑ 이미현 (2017년 4월 22일). “KARD, 6월 17일 멕시코 추가 공연…해외 반응 폭발적”. 일간스포츠. 2018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3일에 확인함.  ↑ 윤준필 (2017년 7월 19일). “카드(KARD) "타이틀곡 '올라 올라', 첫 데뷔 인사+높이 올라가자는 포부"”. 텐아시아.  ↑ 길혜성 (2017년 7월 20일). “KARD, 역시 괴물 혼성그룹..18國 메인앨범차트 톱1”. 스타뉴스.  ↑ “KARD, 국내외 32개국 차트 장악…'올라 올라' 뮤비 200만↑”. 스포츠조선. 2017년 7월 20일.  ↑ 김미지 (2017년 7월 22일). “KARD '올라 올라' MV 500만 뷰 돌파…글로벌 인기 입증”. 엑스포츠 뉴스.  ↑ 전형화 (2017년 7월 26일). “KARD, 美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3위 등극”. 스타뉴스.  ↑ 정지원 (2017년 8월 31일). “[공식입장] KARD, 유럽+미국+남미 9개국 13개 도시 투어개최”. OSEN.  ↑ 정지원 (2017년 11월 8일). “[공식입장] '컴백' KARD, 타이틀곡은 'You In Me'…21일 발표”. OSEN.  ↑ 이혜랑 (2017년 11월 22일). “KARD, ‘You & Me’ 美 아이튠즈 K-POP 앨범차트 '1위' 기염”. 《헤럴드 pop》.  ↑ 이하나 (2017년 11월 27일). “KARD,아시아 5개국 투어 확정…글로벌 명성 입증”. 서울경제.  ↑ “美 FUSE TV “KARD, 2018년 기대되는 팀...세계 팬 사로잡아””. 《스포츠동아》. 2018년 1월 19일.  ↑ 김명미 (2018년 2월 23일). “KARD, 인도네시아 이어 호주 월드투어 추가 개최(공식)”. 《뉴스엔》.  ↑ 박서현 (2018년 6월 30일). “KARD, 7월 25일 세 번째 미니앨범으로 컴백 확정‥여름 달군다(공식)”. 《헤럴드POP》.  ↑ 김은구 (2018년 7월 12일). “KARD, 'RIDE ON THE WIND'로 25일 컴백”. 《이데일리》.  ↑ 장주영 (2018년 7월 2일). “혼성그룹 카드(KARD), 오는 25일 컴백+내달 19일 첫 단독 콘서트”. 서울경제.  ↑ 윤상근 (2019년 3월 18일). “KARD, 27일 '밤밤' 컴백..2019년 새 도약 첫발(공식)”. 《스타뉴스》.  ↑ 가 나 다 “17.07.30 Hola Hola江南簽名會 後記”. 《Facebook》 (중국어). 2017년 8월 7일에 확인함.  ↑ 손예지 (2017년 3월 7일). “K.A.R.D의 매력? “노래·춤·멤버 다 갖춘 3박자” (인터뷰①)”. 텐아시아.  ↑ [1] ↑ THE BIRTH OF MATTHEW KIM ↑ [2] ↑ 길혜성 (2015년 9월 26일). “'신예' 에이프릴, 데뷔 후 첫 추석...'설레는 고향行'”. 스타뉴스. 2015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3] ↑ [4]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카드 카드 - 공식 웹사이트 카드 - 유튜브 카드 - 트위터 카드 - 인스타그램 카드 - 페이스북 카드 - V LIVE BM - 인스타그램 제이셉 - 인스타그램 전지우 - 인스타그램 전소민 - 인스타그램 vdehK♠RD 제이셉 BM 전소민 전지우 EP한국 HOLA HOLA (2017) You & Me (2017) RIDE ON THE WIND (2018) 싱글한국 Oh NaNa (2016) Don't Recall (2017) RUMOR (2017) Bomb Bomb (2019) 출연 프로그램 시크릿 카드 MEMORY KARD 관련 문서 DSP 미디어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목록 분류 vdehDSP 미디어경영진 이호연 (창립자) 성하묵 (부사장) 최미경 (대표이사) 가수현재 소속 클릭비 에이젝스(도우, 윤영, 승엽, 승진, 중희) 오종혁 에이프릴(윤채경, 김채원, 이나은, 양예나, 레이첼, 이진솔) 카드 (BM, 제이셉, 전소민, 전지우) 과거 소속 잼 CO CO 뮤 IDOL MOUNTAIN 젝스키스(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고지용, 장수원) 핑클(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 엄지선 2shai Shyne SS501(김현중, 허영생, 김규종, 박정민, 김형준) A'st1 안선하 퓨리티 카라(김성희, 박규리, 한승연, 구하라, 니콜, 강지영) 에이젝스(성민, 서재형, 문지후) 레인보우(김재경, 고우리, 김지숙, 오승아, 노을, 정윤혜, 조현영) 캐스퍼 최현준 배우현재 소속 조시윤 이현주 과거 소속 김규민 조아라 조명운 류지선 문지후 최배영 송찬익 관련 문서 DSP 미디어의 음반 공식 웹사이트: dspmedia.co.kr 전거 통제 VIAF: 26155103914876200920 ISNI: 0000 0004 6993 8195 뮤직브레인즈: ad4e8332-861d-4a49-8235-b72888714be4 멜론: 127181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드_(음악_그룹)&oldid=24540723" 분류: 카드 (음악 그룹)2017년 데뷔2010년대 음악 그룹2016년 결성된 음악 그룹4인조 음악 그룹혼성 음악 그룹다국적 음악 그룹DSP 미디어 소속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소마젤란 은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소마젤란 은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소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원본: NASA/ESA/HST 위치 별자리 큰부리새자리 적경 00h 52m 44.8s[1] 적위 -72° 49′ 43″[1] 물리적 성질 시선 속도 158 ± 4 km/s[1] 거리 19만 7천 ± 1만 광년 (6만 1천 ± 3천 파섹)[2] 형태 SB(s)m pec[1] 규모 크기 5° 20′ × 3° 5′[1] 광학적 성질 겉보기등급 +2.7[1] 기타 성질 명칭 SMC,[1] NGC 292,[1] PGC 3085,[1] Nubecula Minor[1]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 메시에 천체 목록NGC 천체 목록 소마젤란 은하(NGC 292)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1억 개의 별이 있다. [3][4] 약자로 SMC(영어: Small Magellanic Cloud)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2.7 등급으로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2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일부 학자들은 소마젤란 은하가 한때 막대나선 은하였으나,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은하는 아직 중심에 막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목차 1 관측 역사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관측 역사[편집] 이 은하는 남반구에 위치하며, 첫 관측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천문학자 알 바크와 알 수피는 두 개의 마젤란 은하를 발견하였고, 이 두 은하는 대항해 시대때의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였다. 포르투갈인이 희망봉에서 관측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리고 마젤란이 1519년 ~ 1522년간 관측을 하였으며, 처음 관측할 때에는 이 은하를 성단으로 보았다.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의 1603년 천문지도 우라노메트리아에 있다.[5][6][7] 1834년에서 1838년, 요한 프레더릭 윌리엄 허셜이 해발 20푸트(6.1미터)의 희망봉 중턱에서 관측하였다. 이 은하는 총 37개의 성단과 성운이 있다. 1891년, 하버드 대학의 천문 관측소에서 24인치 (610 밀리미터-61 센티미터)크기의 반사 망원경을 사용하여 소마젤란 은하를 관측하였다. 한 천문학자는 소마젤란 은하를 관측할 때 이 은하가 별을 생성하는 은하임을 알아내었다. 1908년, 소마젤란 은하에서 변광성을 가진 성단이 발견되었고, 이 변광성은 세페이드 변광성이었다. 이 변광성의 주기를 이용하여 소마젤란 은하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외부 은하 중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을 가진 은하로서는 가장 가까운 은하이다. 이 때 관측된 거리는 10,000 파섹(30,000 광년), 즉 태양~소마젤란 은하의 거리였다. 그 당시 관측 기술로는 가장 정확한 값이었으나, 지금은 더 나은 관측 기술이 개발되어 이 값은 아무 의미가 없게 되었다.[8] 같이 보기[편집] 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에 위치한 성단/성운 NGC 265 NGC 290 NGC 346 NGC 347 NGC 602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2006년 12월 1일에 확인함.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내용=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Hilditch, R. W.; Howarth, I. D.; Harries, T. J. (2005). “Forty eclipsing binarie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fundamental parameters and Cloud distanc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57 (1): 304–324. doi:10.1111/j.1365-2966.2005.08653.x.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Robert, Nemiroff; Bonnell, Jerry (2006년 6월 17일). “APOD: 2005 June 17 - The Small Cloud of Magellan”. NASA. 2008년 7월 7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APOD: 2005 June 17 - The Small Cloud of Magellan ↑ Bengt E., Westerlund (1997). 《The Magellanic Clou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80701.  ↑ Stephen James, O'Meara (2002). 《The Caldwell Obj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27965.  ↑ Charlton Thomas, Lewis; Kingery, Hugh Macmaster (1918). 《An elementary Latin dictionary》. American Book Company.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Staff. “Small magellanic Cloud”. NASA/IPAC. 2008년 7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NASA Extragalactic Database entry on the SMC (영어) SEDS entry on the SMC (영어) SMC at ESA/Hubble vdeh신판일반목록 7840개 천체 NGC 268 – NGC 269 – NGC 270 – NGC 271 – NGC 272 – NGC 273 – NGC 274 – NGC 275 – NGC 276 – NGC 277 – NGC 278 – NGC 279 – NGC 280 – NGC 281 – NGC 282 – NGC 283 – NGC 284 – NGC 285 – NGC 286 – NGC 287 – NGC 288 – NGC 289 – NGC 290 – NGC 291 – NGC 292 – NGC 293 – NGC 294 – NGC 295 – NGC 296 – NGC 297 – NGC 298 – NGC 299 – NGC 300 – NGC 301 – NGC 302 – NGC 303 – NGC 304 – NGC 305 – NGC 306 – NGC 307 – NGC 308 – NGC 309 – NGC 310 – NGC 311 – NGC 312 – NGC 313 – NGC 314 – NGC 315 – NGC 316 – NGC 317 vdeh우리은하위치 우주 → 관측 가능한 우주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 국부은하군 → 은하수 준은하군 → 우리은하 은하핵 우리은하의 중심 → 태양계 → 지구 나선팔 궁수자리-용골자리 팔 방패자리-남십자자리 팔 직각자자리-백조자리 팔 페르세우스자리 팔 오리온자리 팔 3킬로파섹 팔 위성 은하왜소은하 목동자리 사냥개자리 큰개자리 용골자리 용자리 화로자리 사자자리 I 사자자리 II 봉황자리 궁수자리 물병자리 조각가자리 큰곰자리 I 큰곰자리 II 작은곰자리 기타 은하 대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 NGC 6822 불꽃놀이 은하 전거 통제 VIAF: 233741604 GND: 416411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소마젤란_은하&oldid=24118645" 분류: 소마젤란 은하국부은하군불규칙은하NGC 천체큰부리새자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1: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수나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나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암나사와 수나사 수나사(male thread) 또는 볼트(bolt)는 바깥쪽에 나사선이 새겨진 나사이다. 대개 원기둥 또는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 숫놈 나사의 어원에서 숫나사로 불렸다. 목차 1 볼트 접합 2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 3 볼트 종류와 등급 4 볼트 구멍 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 5.1 설계미끄럼강도 5.2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5.3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5.4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 6 각주 7 참고문헌 볼트 접합[원본 편집]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1] 볼트 배치 유형볼트의 불규칙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볼트의 정렬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플랜지 부분은 불규칙 배치로 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1]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원본 편집] 두 부재가 양쪽으로 인장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를 사용하여 인장 접합하고 있다 볼트 접합은 전단 접합,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으며, 지압 파괴도 있다.[2] 볼트 종류와 등급[원본 편집]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을 정한다. 예를 들어 F10T(M20)과 같이 표기한다.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3]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4] 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을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5] 볼트 등급 볼트 호칭 공칭 단면적(mm²) 설계볼트장력 T0(kN) F8T M16 201 84 M20 314 132 M22 380 160 M24 453 190 F10T M16 201 106 M20 314 165 M22 380 200 M24 453 237 F13T M16 201 137 M20 314 214 M22 380 259 M24 453 308 볼트 구멍[원본 편집] 고장력 볼트의 구경과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 치수가 정해진다. 단위는 mm이다. 표준구멍에 대하여, M16, M20, M22 볼트는 구멍 크기를 2mm 더 크게 해주고, M24, M27, M30 볼트는 구멍 크기를 3mm 더 크게 해 준다.[6][7][8] 고장력볼트 호칭 표준 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 M16 18 20 18X22 18X40 M20 22 24 22X26 22X50 M22 24 28 24X30 24X55 M24 27 30 27X32 27X60 M27 30 35 30X37 30X67 M30 33 38 33X40 33X7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원본 편집] 1개의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강도는 접합의 종류가 마찰접합인지, 지압접합인지 등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계미끄럼강도,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9] 설계미끄럼강도[원본 편집] 설계미끄럼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10] ϕ = { 1.0 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85 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75 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 {\displaystyle \phi ={\begin{cases}1.0&{\text{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85&{\text{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75&{\text{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end{cases}}} R n = μ h f T 0 N s {\displaystyle R_{n}=\mu h_{f}T_{0}N_{s}} μ {\displaystyle \mu }  : 미끄럼계수(페인트칠하지 않은 블라스트 청소된 마찰면은 0.5) h f {\displaystyle h_{f}}  : 필러계수 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한 경우 또는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한개의 필러가 있는 경우 1.0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2개 이상의 필러가 있는 경우 0.85 T 0 {\displaystyle T_{0}}  : 설계볼트장력(kN) N s {\displaystyle N_{s}}  : 전단면의 수(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만 적용) 만약 마찰접합에서 인장력을 받아 고장력볼트의 장력이 감소할 경우, 위에서 계산한 설계미끄럼강도에 k s = 1 − T u T 0 N b {\displaystyle k_{s}=1-{\frac {T_{u}}{T_{0}N_{b}}}} 를 곱하여 강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기서 Nb는 인장력을 받는 고장력볼트 수, Tu는 소요인장강도(kN)이다.[11]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원본 편집] Fu는 계수하중이라고 할 때,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0]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A b N s {\displaystyle R_{n}=F_{n}A_{b}N_{s}} F n = { F n t = 0.75 F u ( N / m m 2 ) (공 칭 인 장 강 도 ) F n v = 0.5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 F n v = 0.4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 {\displaystyle F_{n}={\begin{cases}F_{nt}=0.75F_{u}(N/mm^{2})&{\text{(공 칭 인 장 강 도 )}}\\F_{nv}=0.5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F_{nv}=0.4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end{cases}}} A b {\displaystyle A_{b}}  : 고장력볼트의 공칭단면적(mm2)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원본 편집] 강도한계상태의 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볼트구멍이 지압 상태가 되는 경우, 고장력볼트 구멍에 대한 지압강도를 검토해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개정에 따라 마찰접합에서도 지압접합 관련 강도를 검토하게 되었다. 여기서 d는 고장력볼트의 공칭직경(mm), Fu는 피접합재의 공칭인장강도(N/mm²), Lc는 하중 작용 방향 볼트구멍 사이 순간격(mm), 그리고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 끝까지의 거리(mm), 즉 두 경우의 Lc 모두에 대해 검토해준다.[12] t는 피접합재의 두께(mm)를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 고장력 볼트 구멍 하나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13] 구멍이 여러개인 경우 Lc에 의해 구분된 구멍 하나당 설계지압강도에 해당 구멍의 개수를 곱하여 더해서 최종적으로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를 구한다.[14] 표준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의 모든 방향에 대한 지압력 또는 장슬롯 구멍이 지압력 방향에 평행인 경우 1.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될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2 L c t F u ( ≤ 2.4 d t F u ) {\displaystyle R_{n}=1.2L_{c}tF_{u}(\leq 2.4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2.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5 L c t F u ( ≤ 3.0 d t F u ) {\displaystyle R_{n}=1.5L_{c}tF_{u}(\leq 3.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장슬롯 구멍에 구멍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지압력을 받을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0 L c t F u ( ≤ 2.0 d t F u ) {\displaystyle R_{n}=1.0L_{c}tF_{u}(\leq 2.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원본 편집] F n t ′ {\displaystyle F_{nt}'} 을 전단력을 고려한 공칭인장강도(N/mm²), F n t , F n v {\displaystyle F_{nt},F_{nv}} 를 공칭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N/mm²), f v {\displaystyle f_{v}} 를 소요전단응력(N/mm²)이라고 한다면,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의 설계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1]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t ′ A b {\displaystyle R_{n}=F_{nt}'A_{b}} F n t ′ = 1.3 F n t − F n t 0.75 F n v f v ≤ F n t {\displaystyle F_{nt}'=1.3F_{nt}-{\frac {F_{nt}}{0.75F_{nv}}}f_{v}\leq F_{nt}} 각주[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수나사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5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58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0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쪽. ↑ 건축구조기준 일부개정안(KS 반영), 353쪽 ↑ 산업표준심의회, (2010년 개정)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지름(KS B ISO 273) 3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68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3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5쪽. ↑ 가 나 다 라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4-65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8쪽. 참고문헌[원본 편집] 한국강구조학회 (2017). 《강구조설계》. 구미서관. ISBN 978-89-8225-13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나사&oldid=24469198" 분류: 잠금장치나사구조공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КыргызчаМонголNederlandsNorsk nynorskOccitanPolsk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수나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나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암나사와 수나사 수나사(male thread) 또는 볼트(bolt)는 바깥쪽에 나사선이 새겨진 나사이다. 대개 원기둥 또는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 숫놈 나사의 어원에서 숫나사로 불렸다. 목차 1 볼트 접합 2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 3 볼트 종류와 등급 4 볼트 구멍 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 5.1 설계미끄럼강도 5.2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5.3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5.4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 6 각주 7 참고문헌 볼트 접합[원본 편집] 강재를 이용해 구조물을 만들 때 볼트를 이용해 강재끼리 접합한다. 이를 '볼트 접합'이라고 하는데, 시공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주요한 건물의 접합부에는 '고장력 볼트'를 사용한다. 볼트 접합 시 볼트의 배치는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정렬 배치'와 불규칙적으로 배치하는 '불규칙 배치'(엇모배치)가 있다. 불규칙 배치가 구조적으로 우수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정렬 배치를 많이 사용한다.[1] 볼트 배치 유형볼트의 불규칙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볼트의 정렬 배치가 적용된 강구조 기둥. 플랜지 부분은 불규칙 배치로 볼트가 체결되어 있다  구조 부재에서 긴 방향으로 볼트 중심선을 연결하는 선을 게이지 라인(gauge line)이라고 하며, 게이지 라인 사이의 간격을 게이지(gauge)라고 한다. 볼트 중심 사이 간격은 피치(pitch)라고 한다. 부재의 가장자리에 있는 볼트 중심에서 측면 끝까지의 거리를 '측단 거리', 길이 방향의 최외단 볼트 중심에서 부재 끝까지의 거리를 '연단 거리'라고 한다.[1] 볼트 접합의 파괴 형식[원본 편집] 두 부재가 양쪽으로 인장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를 사용하여 인장 접합하고 있다 볼트 접합은 전단 접합, 인장 접합이 있다. 전단 접합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피접합재가 양쪽으로 인장되면서, 볼트 구멍 벽이 볼트에 전단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접합을 유지하는데, 이에 따라 피접합재가 두 개인 경우 1면 전단 파괴, 세 개인 경우 2면 전단 파괴가 일어날 수 있다. 인장 접합은 볼트 축 단면이 인장력으로 저항하는 접합을 말한다. 인장 파괴는 볼트가 끊어지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피접합재 가장자리가 파괴되는 방식인 '연단부 파괴', '측단부 파괴'가 있으며, 지압 파괴도 있다.[2] 볼트 종류와 등급[원본 편집] KS 규격에 따라 볼트의 종류와 등급을 정한다. 예를 들어 F10T(M20)과 같이 표기한다. F는 마찰접합용(For friction grip joint), 10은 인장강도 10tf/cm²을 의미하고, T는 인장 시험에 따른 인장강도를 나타낸다.[3] M20은 호칭을 나타낸다.[4] 몇 가지 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을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5] 볼트 등급 볼트 호칭 공칭 단면적(mm²) 설계볼트장력 T0(kN) F8T M16 201 84 M20 314 132 M22 380 160 M24 453 190 F10T M16 201 106 M20 314 165 M22 380 200 M24 453 237 F13T M16 201 137 M20 314 214 M22 380 259 M24 453 308 볼트 구멍[원본 편집] 고장력 볼트의 구경과 구멍의 형태에 따라 구멍 치수가 정해진다. 단위는 mm이다. 표준구멍에 대하여, M16, M20, M22 볼트는 구멍 크기를 2mm 더 크게 해주고, M24, M27, M30 볼트는 구멍 크기를 3mm 더 크게 해 준다.[6][7][8] 고장력볼트 호칭 표준 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 장슬롯 구멍 M16 18 20 18X22 18X40 M20 22 24 22X26 22X50 M22 24 28 24X30 24X55 M24 27 30 27X32 27X60 M27 30 35 30X37 30X67 M30 33 38 33X40 33X75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 강도[원본 편집] 1개의 고장력볼트 접합 설계강도는 접합의 종류가 마찰접합인지, 지압접합인지 등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계미끄럼강도,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 등을 계산하여 가장 작은 값을 채택하여 구한다.[9] 설계미끄럼강도[원본 편집] 설계미끄럼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10] ϕ = { 1.0 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85 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 0.75 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 {\displaystyle \phi ={\begin{cases}1.0&{\text{표 준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수 직 인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85&{\text{대 형 구 멍 또 는 하 중 방 향 에 평 행 한 단 슬 롯 구 멍 인 경 우}}\\0.75&{\text{장 슬 롯 구 멍 인 경 우}}\end{cases}}} R n = μ h f T 0 N s {\displaystyle R_{n}=\mu h_{f}T_{0}N_{s}} μ {\displaystyle \mu }  : 미끄럼계수(페인트칠하지 않은 블라스트 청소된 마찰면은 0.5) h f {\displaystyle h_{f}}  : 필러계수 필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한 경우 또는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한개의 필러가 있는 경우 1.0 필러내 하중 분산을 위해 볼트를 추가하지 않은 경우로써 접합되는 재료 사이에 2개 이상의 필러가 있는 경우 0.85 T 0 {\displaystyle T_{0}}  : 설계볼트장력(kN) N s {\displaystyle N_{s}}  : 전단면의 수(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만 적용) 만약 마찰접합에서 인장력을 받아 고장력볼트의 장력이 감소할 경우, 위에서 계산한 설계미끄럼강도에 k s = 1 − T u T 0 N b {\displaystyle k_{s}=1-{\frac {T_{u}}{T_{0}N_{b}}}} 를 곱하여 강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여기서 Nb는 인장력을 받는 고장력볼트 수, Tu는 소요인장강도(kN)이다.[11]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원본 편집] Fu는 계수하중이라고 할 때, 설계인장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0]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A b N s {\displaystyle R_{n}=F_{n}A_{b}N_{s}} F n = { F n t = 0.75 F u ( N / m m 2 ) (공 칭 인 장 강 도 ) F n v = 0.5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 F n v = 0.4 F u ( N / m m 2 ) (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 {\displaystyle F_{n}={\begin{cases}F_{nt}=0.75F_{u}(N/mm^{2})&{\text{(공 칭 인 장 강 도 )}}\\F_{nv}=0.5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불 포 함 )}}\\F_{nv}=0.4F_{u}(N/mm^{2})&{\text{(공 칭 전 단 강 도 , 나 사 부 포 함 )}}\end{cases}}} A b {\displaystyle A_{b}}  : 고장력볼트의 공칭단면적(mm2) 볼트구멍의 설계지압강도[원본 편집] 강도한계상태의 마찰접합 및 지압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볼트구멍이 지압 상태가 되는 경우, 고장력볼트 구멍에 대한 지압강도를 검토해야 한다. 건축구조기준 개정에 따라 마찰접합에서도 지압접합 관련 강도를 검토하게 되었다. 여기서 d는 고장력볼트의 공칭직경(mm), Fu는 피접합재의 공칭인장강도(N/mm²), Lc는 하중 작용 방향 볼트구멍 사이 순간격(mm), 그리고 구멍의 끝과 피접합재의 끝 또는 인접구멍 끝까지의 거리(mm), 즉 두 경우의 Lc 모두에 대해 검토해준다.[12] t는 피접합재의 두께(mm)를 나타낸다. 각각의 경우 고장력 볼트 구멍 하나에 대한 설계지압강도 ϕ R n {\displaystyle \phi R_{n}} 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13] 구멍이 여러개인 경우 Lc에 의해 구분된 구멍 하나당 설계지압강도에 해당 구멍의 개수를 곱하여 더해서 최종적으로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를 구한다.[14] 표준구멍, 대형구멍, 단슬롯 구멍의 모든 방향에 대한 지압력 또는 장슬롯 구멍이 지압력 방향에 평행인 경우 1.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될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2 L c t F u ( ≤ 2.4 d t F u ) {\displaystyle R_{n}=1.2L_{c}tF_{u}(\leq 2.4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2. 사용하중상태에서 고장력볼트 구멍의 변형이 설계에 고려되지 않는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5 L c t F u ( ≤ 3.0 d t F u ) {\displaystyle R_{n}=1.5L_{c}tF_{u}(\leq 3.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장슬롯 구멍에 구멍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지압력을 받을 경우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1.0 L c t F u ( ≤ 2.0 d t F u ) {\displaystyle R_{n}=1.0L_{c}tF_{u}(\leq 2.0dtF_{u})} 두 값 중 작은 값 채택[12]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 설계강도[원본 편집] F n t ′ {\displaystyle F_{nt}'} 을 전단력을 고려한 공칭인장강도(N/mm²), F n t , F n v {\displaystyle F_{nt},F_{nv}} 를 공칭 인장강도 및 전단강도(N/mm²), f v {\displaystyle f_{v}} 를 소요전단응력(N/mm²)이라고 한다면, 지압접합에서 인장력과 전단력의 조합을 받는 경우의 설계강도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11] ϕ = 0.75 {\displaystyle \phi =0.75} R n = F n t ′ A b {\displaystyle R_{n}=F_{nt}'A_{b}} F n t ′ = 1.3 F n t − F n t 0.75 F n v f v ≤ F n t {\displaystyle F_{nt}'=1.3F_{nt}-{\frac {F_{nt}}{0.75F_{nv}}}f_{v}\leq F_{nt}} 각주[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수나사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5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58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0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6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1쪽. ↑ 건축구조기준 일부개정안(KS 반영), 353쪽 ↑ 산업표준심의회, (2010년 개정)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지름(KS B ISO 273) 3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68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3쪽. ↑ 가 나 한국강구조학회 2017, 65쪽. ↑ 가 나 다 라 한국강구조학회 2017, 67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4-65쪽. ↑ 한국강구조학회 2017, 68쪽. 참고문헌[원본 편집] 한국강구조학회 (2017). 《강구조설계》. 구미서관. ISBN 978-89-8225-13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나사&oldid=24469198" 분류: 잠금장치나사구조공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Hrvatski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КыргызчаМонголNederlandsNorsk nynorskOccitanPolsk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hqip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1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강의 기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강의 기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0년부터 2007년 사이 국내총생산 그래프. 반세기만에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 1조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강의 야경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걸친 서독의 경제적 발전을 이르는 말인 라인 강의 기적에서 유래한 말이다. 목차 1 한국경제 성장 개괄 2 다시 북한을 추월 3 경부고속국도의 등장 4 포항제철소 건립 5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 6 결과 7 각주 8 같이 보기 한국경제 성장 개괄[편집]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 명예교수가 중앙선데이에 대한 답신에서 "박정희 시기는 평균 성장률 8.5%의 고도성장시대였으나, 경제 성장만 놓고 보더라도 폭과 깊이가 널뛰기했던 불확실하고 아슬아슬한 시기였으며, 외환보유액이 언제든지 바닥날 수 있는 불안한 나라였다[1]"고 지적하였듯, 5.16부터 1979년까지 한국은 여러 차례 외환위기와 부도위기를 겪었고, 마이너스 성장만해도 1963년과 1964년의 2분기, 1961년, 1962년, 1965년, 1966년, 1979년의 각각 3분기, 1970년과 1978년 1분기, 1967년과 1968년의 4분기 등 1961~1979 박정희 집권 74분기 중 14분기(19%)에 이르렀으며[2], 매년 두자릿수 심지어 두차례의 2차 오일쇼크후로는 20%에 육박하는 물가인상을 겪어 일본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일수교 및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노동집약 중공업의 중동 진출 등으로써 이를 상쇄하는 한편, 5.16 이전인 1960년도 74개의 개도국에서 사회,문화 복합지표로 15위를 차지[3]하는 등 양질의 인적자원이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밀집되고 국토또한 대부분이 과포화된 상태로 개발이 이루어진 덕분에 꾸준히 내수가 발달하고 이것이 특히 50년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한국 경제성장에, 60년대후반~70년대 전반 음식료품을 제외한 경공업과 기계공업을 빼면, 수출보다 많은 기여를 함으로써[4]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처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으며 기미야 다다시를 비롯한 이시기의 전문가들은 시멘트, 비료, 자동차, 가전, 철강 등에대한 수입대체전략과 면방직, 노동집약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주도전략의 복선형 발전이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다시 북한을 추월[편집] 북한은 1953년 이후 중화학공업 중심의 계획경제를 추진하여 1960년까지 연평균 20%의 경제성장을 기록함으로써 1957년부터 10여년간 일시적으로 대한민국 1인당 국내 총생산을 추월하게 되나, 장면내각에서 내놓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박정희 정권에서 보완해가며 경공업 중심으로 수출을 늘려온 대한민국에게 1969년 혹은 1970년대 중반부터 다시 따라잡히고 비로소 남한이 1980년대 중공업을 축소(산업합리화)함으로써 북한을 크게 따돌리기 시작하여 오늘날 그 격차가 수십배에 이르게 되었다.[5] 전후 북한은 소련의 무상 지원 13억 루블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고[6] 한국은 UN, 미국, 일본에서 수십억 달러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7]반짝 성장보다는 안정을 꾀해 긴축을 펼쳤던 남에 비해 북한이 중공업 투자를 활발히 하였고, 또한 북한의 인구규모가 남한에 열세였을 뿐더러 1인당 원조액이 높아서 한동안 북이 남을 앞서갔던 것으로 보인다. 경부고속국도의 등장[편집] 1950년대 중반에 도로기술 공무원들이 미국의 도로 및 도로공사를 연수 시찰하면서 정부는 아우토반같은 고속도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필요성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여 1960년 국토건설본부가 설립, 장면내각에서 국토개발사업이 실시되며, 5.16 쿠데타 이후 국토계획기본구상(1963년 7월), 국토건설종합계획법(1963년 10월 14일)으로 인해 국토종합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8] 한편,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해 수송난이 심각해졌으나 박정희 군부와 3공화국 박정부는 구일본식의 철도 중심의 개발을 하는 바람에 고속도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2차경제개발계획의 철도예산이 도로예산의 3.5배인 점,[9] 철도보다 고속국도가 훨씬 미래성 있다는 점[10] 등의 비판을 거치며 1967년, 토계획기본구상이 수정 보완되어 대국토건설계획서(안)이 되었고, 이에 고속도로 10개년계획(1970)(고속도로, 문화공보부) 등 여러 고속국도 계획서로써 서울-인천 간 6차선 그리고 서울-수원간 4차선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포함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이 최초로 정부 문서에 명문화되기에 이르러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가 우선순위 싸움을 거치며 세워지게 된다. 포항제철소 건립[편집] 박정희, 김종필, 유원식 등을 위시한 5.16 주체세력은 자립경제를 역설하며 종합제철소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삼화제철을 비롯한 실업계 기반과 부정축재와 화폐개혁 조치를 통해 울산에 종합제철공장을 건립하려 하려 하나 경제적 이유로 미국등으로부터의 반발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런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당의 양순직의원, 야당의 김대중의원 등 국내 여야에서도 종합제철소의 건립 목소리에 어느정도 힘을 실어주었으나[11], 채산성이 맞지않는 다는 이유로 결국 박정희 정부는 밀어붙이지 못하고 연기하기로 한다. 그러다가 한일 기본 조약을 맺은 이후, 무상금 3억 달러와 유상금 2억 달러, 민간 차관 3억 달러 이상(당시의 한국의 국가 예산은 3억 5천만 달러 정도)에 기반한 일본의 전폭적인 지지덕분에 1970년부터 포스코 공장을 밀어부치기 시작했고 10년이상 발전설비를 계속 늘림으로써 채산성을 달성하게 된다.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편집] 5.16 군사정변 후 국가재건 최고회의는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을 통합하는 한편, 이자의 8%p를 국고로 보조해주는 등 고리채를 탕감해주는 등 포퓰리즘을 실현하였고, 한편 정부수매, 담보융자, 국고보조 등을 확대하여 농산물 수출을 장려하는 한편 농업 용수원 개발사업, 낙농 투자 등에 해외차관을 들여와 중농정책을 펼쳤으나 공산품 수출과 달리 계획치를 달성하는데는 실패하여 장면내각의 노선에 역점을 둠으로써 중농정책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1967년까지 농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과반으로서 꾸준히 늘어나는 등 7대 대선까지 선거의 핵심 축이었음에는 변함없었고, 박정희 정부는 많은 자원을 농촌과 농업에 투자하여 농업구조를 혁신하려 하였다. 비록 성과를 거두진 못했으나 농업 부흥 농업구조정책심의위를 설치하고 협업농장이 운영되었었고, 중단되기는 했으나 자립안전농가 조정사업도 시도되었다. 특히 6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는 박정희의 주도아래 적극적인 농업육성책에 돌입하여 그 일환으로 4대강 유역 종합개발, 통일벼 보급, 복합영농화, 새마을운동 등을 실시하였고 중화학공업을 천명하던 1973년 1월에도 "우리가 고도 성장을 계속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화학 공업을 앞으로 중점적으로 육성발전시켜 나가야 하겠고, 수출 산업을 더욱 확충해서 수출의 지속적인 신장을 기해야 하겠고, 농,수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서 농.공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정부는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 물론, 우리가 농어촌에도 중점 개발을 해야 되겠고 딴 일도 해야 되겠지만, 결국은 농어촌을 중점 개방하자면 수출을 해서 외화를 많이 벌어 정부가 그 만큼 부자가 되어야만 농촌에 많이 투자를 할 수 있읍니다. 그래서, 우리는 80년대의 수출 목표를 약 100억 달러까지 올려보자. (...) 그 밖에 우리 농어촌에도 새마을 운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농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게 하여, 우리 농촌도 도시 못지 않게 살기 좋은 농촌으로 만들어 보자는 것입니다. 또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지금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유역 개발을 촉진하고 기타 중요 하천도 개발해야 하겠으며, 항만 개발, 도로망 확장, 고속도로, 고속화 도로, 기존 국도의 포장, 이런 것을 빨리 서둘러야 하겠고, 전 국토의 녹화를 위해서 앞으로 10개년 계획을 수입해 가지고, 80년대 초에 가서는 우리 나라가 완전히 푸른 강산이 되어야 되겠읍니다." 라며 농촌 개발과 농업 진흥을 위한 수출증대는 그의 연설에서 빠지지 않았다. 그러나, 새마을 공장, 농업구조개혁이 실패하고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1977년 연설과 달리 1977년 전후로 농업육성책은 차츰 밀려나고 급속한 지역격차 확대를 수반한 공업화가 실시되나[12][13][14], 1970년대 후반 농업이 GDP의 30~20%를 차지하고 그이전에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민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인들에게 돌아간 혜택으로만 봤을때 그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편집]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주민등록증 발급, 포항제철소 건립, 현대조선(현재, 현대중공업)의 추진, 강남 지역 개발,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등 여러 개발이 이때 이루어졌다. 각주[편집] ↑ ,http://www.eai.or.kr/type/panelView.asp?category=&searchkey=&searchopt=&code=kor_eaiinmedia&catcode=&idx=9858&bytag=n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102Y055&conn_path=I2 ↑ Irma Adelman and Cynthia Morris,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m, Baltimore: The Jo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7 ↑ 김광석, 홍성덕, 한국개발연구 1990 12권 1호 ↑ 통계청, 통계로 본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P.304 ↑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접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 2001년, p707~714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999S&tblId=DT_999S_286062&conn_path=I2 ↑ http://theme.archives.go.kr/next/gyeongbu/makePlan01.do ↑ 경향신문 1966년 6월 10일 2면 중앙 ↑ 경향신문 1966년 6월 20일 ↑ 경향신문 1964년 2월 25일 ↑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 출처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0집 1월편 1월 12일,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 1월편 1977년 연두 기자회견. ↑ 경향신문 1965년 12월 25일 4면, 매일신문 1966년 10월 1일 1면 등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경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강의_기적&oldid=24192066" 분류: 20세기 대한민국대한민국의 경제사한국 전쟁의 여파경제 부흥박정희베트남 전쟁의 여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हिन्दी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강의 기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강의 기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0년부터 2007년 사이 국내총생산 그래프. 반세기만에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 1조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강의 야경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걸친 서독의 경제적 발전을 이르는 말인 라인 강의 기적에서 유래한 말이다. 목차 1 한국경제 성장 개괄 2 다시 북한을 추월 3 경부고속국도의 등장 4 포항제철소 건립 5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 6 결과 7 각주 8 같이 보기 한국경제 성장 개괄[편집]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 명예교수가 중앙선데이에 대한 답신에서 "박정희 시기는 평균 성장률 8.5%의 고도성장시대였으나, 경제 성장만 놓고 보더라도 폭과 깊이가 널뛰기했던 불확실하고 아슬아슬한 시기였으며, 외환보유액이 언제든지 바닥날 수 있는 불안한 나라였다[1]"고 지적하였듯, 5.16부터 1979년까지 한국은 여러 차례 외환위기와 부도위기를 겪었고, 마이너스 성장만해도 1963년과 1964년의 2분기, 1961년, 1962년, 1965년, 1966년, 1979년의 각각 3분기, 1970년과 1978년 1분기, 1967년과 1968년의 4분기 등 1961~1979 박정희 집권 74분기 중 14분기(19%)에 이르렀으며[2], 매년 두자릿수 심지어 두차례의 2차 오일쇼크후로는 20%에 육박하는 물가인상을 겪어 일본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일수교 및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노동집약 중공업의 중동 진출 등으로써 이를 상쇄하는 한편, 5.16 이전인 1960년도 74개의 개도국에서 사회,문화 복합지표로 15위를 차지[3]하는 등 양질의 인적자원이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밀집되고 국토또한 대부분이 과포화된 상태로 개발이 이루어진 덕분에 꾸준히 내수가 발달하고 이것이 특히 50년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한국 경제성장에, 60년대후반~70년대 전반 음식료품을 제외한 경공업과 기계공업을 빼면, 수출보다 많은 기여를 함으로써[4]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처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으며 기미야 다다시를 비롯한 이시기의 전문가들은 시멘트, 비료, 자동차, 가전, 철강 등에대한 수입대체전략과 면방직, 노동집약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주도전략의 복선형 발전이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다시 북한을 추월[편집] 북한은 1953년 이후 중화학공업 중심의 계획경제를 추진하여 1960년까지 연평균 20%의 경제성장을 기록함으로써 1957년부터 10여년간 일시적으로 대한민국 1인당 국내 총생산을 추월하게 되나, 장면내각에서 내놓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박정희 정권에서 보완해가며 경공업 중심으로 수출을 늘려온 대한민국에게 1969년 혹은 1970년대 중반부터 다시 따라잡히고 비로소 남한이 1980년대 중공업을 축소(산업합리화)함으로써 북한을 크게 따돌리기 시작하여 오늘날 그 격차가 수십배에 이르게 되었다.[5] 전후 북한은 소련의 무상 지원 13억 루블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고[6] 한국은 UN, 미국, 일본에서 수십억 달러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7]반짝 성장보다는 안정을 꾀해 긴축을 펼쳤던 남에 비해 북한이 중공업 투자를 활발히 하였고, 또한 북한의 인구규모가 남한에 열세였을 뿐더러 1인당 원조액이 높아서 한동안 북이 남을 앞서갔던 것으로 보인다. 경부고속국도의 등장[편집] 1950년대 중반에 도로기술 공무원들이 미국의 도로 및 도로공사를 연수 시찰하면서 정부는 아우토반같은 고속도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필요성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여 1960년 국토건설본부가 설립, 장면내각에서 국토개발사업이 실시되며, 5.16 쿠데타 이후 국토계획기본구상(1963년 7월), 국토건설종합계획법(1963년 10월 14일)으로 인해 국토종합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8] 한편,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해 수송난이 심각해졌으나 박정희 군부와 3공화국 박정부는 구일본식의 철도 중심의 개발을 하는 바람에 고속도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2차경제개발계획의 철도예산이 도로예산의 3.5배인 점,[9] 철도보다 고속국도가 훨씬 미래성 있다는 점[10] 등의 비판을 거치며 1967년, 토계획기본구상이 수정 보완되어 대국토건설계획서(안)이 되었고, 이에 고속도로 10개년계획(1970)(고속도로, 문화공보부) 등 여러 고속국도 계획서로써 서울-인천 간 6차선 그리고 서울-수원간 4차선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포함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이 최초로 정부 문서에 명문화되기에 이르러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가 우선순위 싸움을 거치며 세워지게 된다. 포항제철소 건립[편집] 박정희, 김종필, 유원식 등을 위시한 5.16 주체세력은 자립경제를 역설하며 종합제철소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삼화제철을 비롯한 실업계 기반과 부정축재와 화폐개혁 조치를 통해 울산에 종합제철공장을 건립하려 하려 하나 경제적 이유로 미국등으로부터의 반발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런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당의 양순직의원, 야당의 김대중의원 등 국내 여야에서도 종합제철소의 건립 목소리에 어느정도 힘을 실어주었으나[11], 채산성이 맞지않는 다는 이유로 결국 박정희 정부는 밀어붙이지 못하고 연기하기로 한다. 그러다가 한일 기본 조약을 맺은 이후, 무상금 3억 달러와 유상금 2억 달러, 민간 차관 3억 달러 이상(당시의 한국의 국가 예산은 3억 5천만 달러 정도)에 기반한 일본의 전폭적인 지지덕분에 1970년부터 포스코 공장을 밀어부치기 시작했고 10년이상 발전설비를 계속 늘림으로써 채산성을 달성하게 된다.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편집] 5.16 군사정변 후 국가재건 최고회의는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을 통합하는 한편, 이자의 8%p를 국고로 보조해주는 등 고리채를 탕감해주는 등 포퓰리즘을 실현하였고, 한편 정부수매, 담보융자, 국고보조 등을 확대하여 농산물 수출을 장려하는 한편 농업 용수원 개발사업, 낙농 투자 등에 해외차관을 들여와 중농정책을 펼쳤으나 공산품 수출과 달리 계획치를 달성하는데는 실패하여 장면내각의 노선에 역점을 둠으로써 중농정책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1967년까지 농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과반으로서 꾸준히 늘어나는 등 7대 대선까지 선거의 핵심 축이었음에는 변함없었고, 박정희 정부는 많은 자원을 농촌과 농업에 투자하여 농업구조를 혁신하려 하였다. 비록 성과를 거두진 못했으나 농업 부흥 농업구조정책심의위를 설치하고 협업농장이 운영되었었고, 중단되기는 했으나 자립안전농가 조정사업도 시도되었다. 특히 6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는 박정희의 주도아래 적극적인 농업육성책에 돌입하여 그 일환으로 4대강 유역 종합개발, 통일벼 보급, 복합영농화, 새마을운동 등을 실시하였고 중화학공업을 천명하던 1973년 1월에도 "우리가 고도 성장을 계속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화학 공업을 앞으로 중점적으로 육성발전시켜 나가야 하겠고, 수출 산업을 더욱 확충해서 수출의 지속적인 신장을 기해야 하겠고, 농,수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서 농.공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정부는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 물론, 우리가 농어촌에도 중점 개발을 해야 되겠고 딴 일도 해야 되겠지만, 결국은 농어촌을 중점 개방하자면 수출을 해서 외화를 많이 벌어 정부가 그 만큼 부자가 되어야만 농촌에 많이 투자를 할 수 있읍니다. 그래서, 우리는 80년대의 수출 목표를 약 100억 달러까지 올려보자. (...) 그 밖에 우리 농어촌에도 새마을 운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농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게 하여, 우리 농촌도 도시 못지 않게 살기 좋은 농촌으로 만들어 보자는 것입니다. 또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지금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유역 개발을 촉진하고 기타 중요 하천도 개발해야 하겠으며, 항만 개발, 도로망 확장, 고속도로, 고속화 도로, 기존 국도의 포장, 이런 것을 빨리 서둘러야 하겠고, 전 국토의 녹화를 위해서 앞으로 10개년 계획을 수입해 가지고, 80년대 초에 가서는 우리 나라가 완전히 푸른 강산이 되어야 되겠읍니다." 라며 농촌 개발과 농업 진흥을 위한 수출증대는 그의 연설에서 빠지지 않았다. 그러나, 새마을 공장, 농업구조개혁이 실패하고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1977년 연설과 달리 1977년 전후로 농업육성책은 차츰 밀려나고 급속한 지역격차 확대를 수반한 공업화가 실시되나[12][13][14], 1970년대 후반 농업이 GDP의 30~20%를 차지하고 그이전에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민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인들에게 돌아간 혜택으로만 봤을때 그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편집]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주민등록증 발급, 포항제철소 건립, 현대조선(현재, 현대중공업)의 추진, 강남 지역 개발,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등 여러 개발이 이때 이루어졌다. 각주[편집] ↑ ,http://www.eai.or.kr/type/panelView.asp?category=&searchkey=&searchopt=&code=kor_eaiinmedia&catcode=&idx=9858&bytag=n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102Y055&conn_path=I2 ↑ Irma Adelman and Cynthia Morris,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m, Baltimore: The Jo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7 ↑ 김광석, 홍성덕, 한국개발연구 1990 12권 1호 ↑ 통계청, 통계로 본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P.304 ↑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접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 2001년, p707~714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999S&tblId=DT_999S_286062&conn_path=I2 ↑ http://theme.archives.go.kr/next/gyeongbu/makePlan01.do ↑ 경향신문 1966년 6월 10일 2면 중앙 ↑ 경향신문 1966년 6월 20일 ↑ 경향신문 1964년 2월 25일 ↑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 출처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0집 1월편 1월 12일,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 1월편 1977년 연두 기자회견. ↑ 경향신문 1965년 12월 25일 4면, 매일신문 1966년 10월 1일 1면 등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경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강의_기적&oldid=24192066" 분류: 20세기 대한민국대한민국의 경제사한국 전쟁의 여파경제 부흥박정희베트남 전쟁의 여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हिन्दी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강의 기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강의 기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0년부터 2007년 사이 국내총생산 그래프. 반세기만에 대한민국은 국내총생산 1조 달러를 기록하였다. 한강의 야경 한강의 기적(漢江의 奇蹟)은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부터 아시아 금융 위기 시기까지 나타난 반세기에 이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용어이다.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 한강의 기적은 원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에 걸친 서독의 경제적 발전을 이르는 말인 라인 강의 기적에서 유래한 말이다. 목차 1 한국경제 성장 개괄 2 다시 북한을 추월 3 경부고속국도의 등장 4 포항제철소 건립 5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 6 결과 7 각주 8 같이 보기 한국경제 성장 개괄[편집] 에즈라 보겔 하버드대 명예교수가 중앙선데이에 대한 답신에서 "박정희 시기는 평균 성장률 8.5%의 고도성장시대였으나, 경제 성장만 놓고 보더라도 폭과 깊이가 널뛰기했던 불확실하고 아슬아슬한 시기였으며, 외환보유액이 언제든지 바닥날 수 있는 불안한 나라였다[1]"고 지적하였듯, 5.16부터 1979년까지 한국은 여러 차례 외환위기와 부도위기를 겪었고, 마이너스 성장만해도 1963년과 1964년의 2분기, 1961년, 1962년, 1965년, 1966년, 1979년의 각각 3분기, 1970년과 1978년 1분기, 1967년과 1968년의 4분기 등 1961~1979 박정희 집권 74분기 중 14분기(19%)에 이르렀으며[2], 매년 두자릿수 심지어 두차례의 2차 오일쇼크후로는 20%에 육박하는 물가인상을 겪어 일본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일수교 및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노동집약 중공업의 중동 진출 등으로써 이를 상쇄하는 한편, 5.16 이전인 1960년도 74개의 개도국에서 사회,문화 복합지표로 15위를 차지[3]하는 등 양질의 인적자원이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밀집되고 국토또한 대부분이 과포화된 상태로 개발이 이루어진 덕분에 꾸준히 내수가 발달하고 이것이 특히 50년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한국 경제성장에, 60년대후반~70년대 전반 음식료품을 제외한 경공업과 기계공업을 빼면, 수출보다 많은 기여를 함으로써[4] 일본, 대만, 싱가포르, 홍콩처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으며 기미야 다다시를 비롯한 이시기의 전문가들은 시멘트, 비료, 자동차, 가전, 철강 등에대한 수입대체전략과 면방직, 노동집약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주도전략의 복선형 발전이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한다. 다시 북한을 추월[편집] 북한은 1953년 이후 중화학공업 중심의 계획경제를 추진하여 1960년까지 연평균 20%의 경제성장을 기록함으로써 1957년부터 10여년간 일시적으로 대한민국 1인당 국내 총생산을 추월하게 되나, 장면내각에서 내놓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박정희 정권에서 보완해가며 경공업 중심으로 수출을 늘려온 대한민국에게 1969년 혹은 1970년대 중반부터 다시 따라잡히고 비로소 남한이 1980년대 중공업을 축소(산업합리화)함으로써 북한을 크게 따돌리기 시작하여 오늘날 그 격차가 수십배에 이르게 되었다.[5] 전후 북한은 소련의 무상 지원 13억 루블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고[6] 한국은 UN, 미국, 일본에서 수십억 달러의 막대한 지원을 받았다[7]반짝 성장보다는 안정을 꾀해 긴축을 펼쳤던 남에 비해 북한이 중공업 투자를 활발히 하였고, 또한 북한의 인구규모가 남한에 열세였을 뿐더러 1인당 원조액이 높아서 한동안 북이 남을 앞서갔던 것으로 보인다. 경부고속국도의 등장[편집] 1950년대 중반에 도로기술 공무원들이 미국의 도로 및 도로공사를 연수 시찰하면서 정부는 아우토반같은 고속도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50년대 후반부터 국토종합개발계획의 필요성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여 1960년 국토건설본부가 설립, 장면내각에서 국토개발사업이 실시되며, 5.16 쿠데타 이후 국토계획기본구상(1963년 7월), 국토건설종합계획법(1963년 10월 14일)으로 인해 국토종합개발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갖추게 되었다.[8] 한편,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해 수송난이 심각해졌으나 박정희 군부와 3공화국 박정부는 구일본식의 철도 중심의 개발을 하는 바람에 고속도로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증폭되었고 그럼에도 2차경제개발계획의 철도예산이 도로예산의 3.5배인 점,[9] 철도보다 고속국도가 훨씬 미래성 있다는 점[10] 등의 비판을 거치며 1967년, 토계획기본구상이 수정 보완되어 대국토건설계획서(안)이 되었고, 이에 고속도로 10개년계획(1970)(고속도로, 문화공보부) 등 여러 고속국도 계획서로써 서울-인천 간 6차선 그리고 서울-수원간 4차선 고속도로 건설계획이 포함됨으로써 고속도로 건설이 최초로 정부 문서에 명문화되기에 이르러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가 우선순위 싸움을 거치며 세워지게 된다. 포항제철소 건립[편집] 박정희, 김종필, 유원식 등을 위시한 5.16 주체세력은 자립경제를 역설하며 종합제철소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삼화제철을 비롯한 실업계 기반과 부정축재와 화폐개혁 조치를 통해 울산에 종합제철공장을 건립하려 하려 하나 경제적 이유로 미국등으로부터의 반발을 가져온다. 그러나 이런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당의 양순직의원, 야당의 김대중의원 등 국내 여야에서도 종합제철소의 건립 목소리에 어느정도 힘을 실어주었으나[11], 채산성이 맞지않는 다는 이유로 결국 박정희 정부는 밀어붙이지 못하고 연기하기로 한다. 그러다가 한일 기본 조약을 맺은 이후, 무상금 3억 달러와 유상금 2억 달러, 민간 차관 3억 달러 이상(당시의 한국의 국가 예산은 3억 5천만 달러 정도)에 기반한 일본의 전폭적인 지지덕분에 1970년부터 포스코 공장을 밀어부치기 시작했고 10년이상 발전설비를 계속 늘림으로써 채산성을 달성하게 된다. 박정희가 주도한 중농정책[편집] 5.16 군사정변 후 국가재건 최고회의는 농업협동조합과 농업은행을 통합하는 한편, 이자의 8%p를 국고로 보조해주는 등 고리채를 탕감해주는 등 포퓰리즘을 실현하였고, 한편 정부수매, 담보융자, 국고보조 등을 확대하여 농산물 수출을 장려하는 한편 농업 용수원 개발사업, 낙농 투자 등에 해외차관을 들여와 중농정책을 펼쳤으나 공산품 수출과 달리 계획치를 달성하는데는 실패하여 장면내각의 노선에 역점을 둠으로써 중농정책이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럼에도 1967년까지 농촌의 인구는 전국 인구의 과반으로서 꾸준히 늘어나는 등 7대 대선까지 선거의 핵심 축이었음에는 변함없었고, 박정희 정부는 많은 자원을 농촌과 농업에 투자하여 농업구조를 혁신하려 하였다. 비록 성과를 거두진 못했으나 농업 부흥 농업구조정책심의위를 설치하고 협업농장이 운영되었었고, 중단되기는 했으나 자립안전농가 조정사업도 시도되었다. 특히 6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는 박정희의 주도아래 적극적인 농업육성책에 돌입하여 그 일환으로 4대강 유역 종합개발, 통일벼 보급, 복합영농화, 새마을운동 등을 실시하였고 중화학공업을 천명하던 1973년 1월에도 "우리가 고도 성장을 계속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화학 공업을 앞으로 중점적으로 육성발전시켜 나가야 하겠고, 수출 산업을 더욱 확충해서 수출의 지속적인 신장을 기해야 하겠고, 농,수산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서 농.공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정부는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 물론, 우리가 농어촌에도 중점 개발을 해야 되겠고 딴 일도 해야 되겠지만, 결국은 농어촌을 중점 개방하자면 수출을 해서 외화를 많이 벌어 정부가 그 만큼 부자가 되어야만 농촌에 많이 투자를 할 수 있읍니다. 그래서, 우리는 80년대의 수출 목표를 약 100억 달러까지 올려보자. (...) 그 밖에 우리 농어촌에도 새마을 운동을 뒷받침하기 위한 중소 공장들이 많이 들어서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농어민들의 소득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게 하여, 우리 농촌도 도시 못지 않게 살기 좋은 농촌으로 만들어 보자는 것입니다. 또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지금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유역 개발을 촉진하고 기타 중요 하천도 개발해야 하겠으며, 항만 개발, 도로망 확장, 고속도로, 고속화 도로, 기존 국도의 포장, 이런 것을 빨리 서둘러야 하겠고, 전 국토의 녹화를 위해서 앞으로 10개년 계획을 수입해 가지고, 80년대 초에 가서는 우리 나라가 완전히 푸른 강산이 되어야 되겠읍니다." 라며 농촌 개발과 농업 진흥을 위한 수출증대는 그의 연설에서 빠지지 않았다. 그러나, 새마을 공장, 농업구조개혁이 실패하고 소득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1977년 연설과 달리 1977년 전후로 농업육성책은 차츰 밀려나고 급속한 지역격차 확대를 수반한 공업화가 실시되나[12][13][14], 1970년대 후반 농업이 GDP의 30~20%를 차지하고 그이전에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농민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인들에게 돌아간 혜택으로만 봤을때 그 의의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편집]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주민등록증 발급, 포항제철소 건립, 현대조선(현재, 현대중공업)의 추진, 강남 지역 개발, 월남전 파병을 통한 군무기 현대화 및 외화 소득 증대,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 등 여러 개발이 이때 이루어졌다. 각주[편집] ↑ ,http://www.eai.or.kr/type/panelView.asp?category=&searchkey=&searchopt=&code=kor_eaiinmedia&catcode=&idx=9858&bytag=n Archived 2015년 12월 22일 - 웨이백 머신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01&tblId=DT_102Y055&conn_path=I2 ↑ Irma Adelman and Cynthia Morris, Societ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m, Baltimore: The Jo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7 ↑ 김광석, 홍성덕, 한국개발연구 1990 12권 1호 ↑ 통계청, 통계로 본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P.304 ↑ 백준기,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접근》,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 2001년, p707~714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999S&tblId=DT_999S_286062&conn_path=I2 ↑ http://theme.archives.go.kr/next/gyeongbu/makePlan01.do ↑ 경향신문 1966년 6월 10일 2면 중앙 ↑ 경향신문 1966년 6월 20일 ↑ 경향신문 1964년 2월 25일 ↑ 이헌창, 한국경제통사 ↑ 출처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0집 1월편 1월 12일, 박정희대통령연설문집 제14집 1월편 1977년 연두 기자회견. ↑ 경향신문 1965년 12월 25일 4면, 매일신문 1966년 10월 1일 1면 등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경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강의_기적&oldid=24192066" 분류: 20세기 대한민국대한민국의 경제사한국 전쟁의 여파경제 부흥박정희베트남 전쟁의 여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हिन्दीBahasa Indonesia日本語ҚазақшаNorsk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산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들Sandeul 기본 정보본명 이정환(李征桓)출생 1992년 3월 20일(1992-03-20) (27세)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직업 가수, 방송인, 뮤지컬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11년 4월 23일 ~ 현재 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소속사 WM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B1A4웹사이트 WM 엔터테인먼트 산들산들 - 트위터산들 - 인스타그램 산들(본명: 이정환, 한자: 李征桓, 1992년 3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B1A4의 메인보컬이다. 목차 1 학력 2 생애 2.1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 2.2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 2.3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 2.4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 3 음반 3.1 참여 음반 4 참여 음반 5 음반 외 활동 5.1 방송 출연 5.2 불후의 명곡 5.3 드라마 5.4 뮤지컬 5.5 진행 5.5.1 라디오 DJ 5.5.2 스페셜 MC 5.6 광고 5.7 그 외 6 경력 6.1 데뷔 전 6.2 데뷔 후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신남초등학교 (졸업) 하남중학교 (졸업) 동아고등학교 (졸업)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재학) 생애[편집]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편집] 1992년 3월 20일, 부산직할시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1남 1녀 중 막내 이정환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현재는 고인이 된 이모와 함께 노래를 들으며 처음으로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됐다.[1] 신남초등학교와 하남중학교를 차례로 졸업하고 동아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학창 시절 친구들과 함께 여러 가요제에 참여하다가 소속사의 캐스팅 제의를 받고 연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연습생 생활 중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에서 대상을 거둔 바가 있다.[2] 2011년4월 23일 MBC 쇼! 음악중심에서 B1A4 미니 1집 Let's Fly의 타이틀곡 "O.K" 무대를 서 산들이라는 예명으로 정식 데뷔를 했다.[3]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B1A4입니다. 2012년, 광화문에서 무대중인 산들 2011년, B1A4의 구성원 산들로 데뷔한 후, 바로와 함께 세바퀴 출연한 후 새싹춤으로 화제가 된 바도 있으며 MBC 《아이돌 스타 육상 수영 선수권 대회》에 출연해 높이뛰기 부문에서 은메달을 따내 활약을 하기도 했다. 또 2012년 여름에는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의 주연 '이주봉' 역에 캐스팅되어 첫 뮤지컬 작을 소화해냈다. 2012년 말, 바로, 신우와 함께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고정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이용 편에서는 홀로 '잊혀진 계절'을 불러 스윗 소로우를 누르고 1승을 거두기도 했으며,[4] 김범룡 편에서는 바로와 함께 '남자답게 사는 법'을 불러 우승을 차지하였다.[5] 2013년 하반기, 드라마 《천 번째 남자》를 원작으로 한 한일합작 뮤지컬 《천 번째 남자》의 남주인공 '김응석' 역에 캐스팅되어 상대역 '구미진'과의 호흡을 맞춰 두 번째 뮤지컬 작품을 안정적으로 연기해냈다. 또 2013년 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임재범 편에서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로 우승을 거두며 다시 고정으로 출연하기 시작했다.[6][7]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편집] 2014년 3월, 3년의 대학 입시 도전 끝에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에 끝내 14학번으로 수시 전형 입학했다.[8] 배우 박보검 또한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14학번으로 입학해 서로 대학 동기가 되었다.[9] 5월부터 6월까지 MBC 7인의 식객 중국 편에 서경석, 김유정 등과 함께 고정 출연했다. 2014년, 뮤지컬 《올슉업》의 주인공 '엘비스' 역에 손호영, 김동준, 유권과 함께 캐스팅됐다. 산들은 무대를 25번 서 이들 중 손호영 다음으로 가장 많은 무대를 섰다. 11월 말부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서울 공연을 시작했다. 특유의 능글거리며 느끼한 엘비스를 이질감 없이 연기하며 발음과 노래 실력 또한 기존의 뮤지컬 배우들에 비해 떨어지지 않은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며 호연을 펼쳤다.[10][11] 2월 1일을 끝으로 서울 공연을 끝마쳤으며,[12] 2월 8일 대구 오페라하우스에 공연을 오르면서 '엘비스'로서의 마지막 무대를 가졌다.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편집] 2015년 4월 5일 부터 12일까지 《일밤-복면가왕》에 복면을 쓰고 '꽃피는 오골계'라는 닉네임으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2라운드에서 닉네임 '앙칼진 백고양이'의 아이비와 겨루며 불렀던 IZi의 〈응급실〉은 대중들에게 그의 이름을 각인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3] 산들이 부른 "응급실"은 복면가왕 Special 음반에 마지막 트랙에 수록되어 수록곡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세우기도 했다.[14] 나중에는 본인의 창법대로가 아닌 기교를 섞어 멋부린 보컬로 노래를 불렀다고 밝혔다.[15] 3회부터 38회까지 연예인 판정단으로 출연했다. '새침데기 불여시'의 정체 걸스데이의 소진이나 '킬리만자로의 표범'의 정체 나윤권, '잘 터져요 와이파이'의 정체 비투비의 이창섭 등을 맞춰내기도 했다.[16][17][18] 7월 26일자 복면가왕 17회 방영분 오프닝에서 김연우와 함께 토이의 노래 〈여전히 아름다운지〉로 호흡을 맞추기도 하였다.[19] 11월 6일 복면가왕에서 큐피트로서 '겨울편지'를 불렀다.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에 출연해 서유석의 '뚝 잘라 말해'를 신나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389표를 받아 두 번째 순서치고 높은 점수를 받아 노을과 럼블피쉬를 제치고 2승을 차지했다.[20] 그리고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특집 편에 출연하여 변진섭의 '그대 내게 다시'를 마음을 촉촉히 적시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첫번째 순서 였음에도 388표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장혁과 정준영 그리고 김선경을 제치고 3승을 거두었다.[21] 현재는 네이버 TV에서 공개되는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에 '박민수' 역에 캐스팅되어 처음으로 정통 연기를 소화해냈다.[22] 또 2015년 하반기에는 뮤지컬 《신데렐라》의 왕자 크리스토퍼 역에 캐스팅되어 뮤지컬 배우들과 호흡을 가지고 있다.[23] 12월 29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진과 함께 2015 《MBC 방송연예대상》에 참석해 남자 신인상 부문의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동프로그램의 판정단인 김형석이 남자 신인상을 타가며 노미네이트되었다. 12월 30일, KBS 2TV 《KBS 가요대축제》에서 가수 황치열과 함께 이미키의 〈먼지가 되어〉를 듀엣으로 연말 무대를 장식한 바가 있다.[24] 음반[편집] B1A4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앨범 정보 트랙리스트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발매일 : 2014년 4월 8일 배급사 : (주)KT뮤직 아파서 아파서 (Inst.) 구르미 그린 달빛 OST Part 2 발매일 : 2016년 8월 30일 배급사 : 벅스 마음을 삼킨다 마음을 삼킨다 (Inst.) 그렇게 있어줘 발매일: 2016년 10월 4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그렇게 있어줘 집 나의 어릴적 이야기 야! 같이 걷는 길 내성적인 보스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2월 7일 배급사 : CJ E&M 한 걸음만 더 한 걸음만 더 (Inst.) 오빠 발매일: 2017년 7월 6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오빠 (Prod. Brother Su)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8월 23일 배급사 : 뮤직앤뉴 말해줘 말해줘 (Inst.) 나쁜 녀석들 : 악의 도시 OST Part.3 발매일 : 2018년 1월 7일 배급사 : CJ E&M Other World Other World (Inst.) Here I am 발매일 : 2018년 8월 28일 배급사 : 로엔엔터테인먼트 러블리 호러블리 ost part.2(KBS2월화드라마) Here I am Here I am (inst.)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 출연[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기간 동반 출연 비고 2014년 Mnet 엠카운트다운 7월 17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MUSIC B1A4의 어느 멋진 날 7월 21일 ~ 9월 8일 B1A4 리얼리티 KBS 2TV 우리동네 예체능 8월 5일 MBC MUSIC 피크닉 라이브 소풍 8월 7일 ~ 8월 14일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 8월 9일 유희열의 스케치북 세 번째 출연 글로벌 리퀘스트 쇼 어송포유 8월 10일 출발드림팀 시즌 2 신우 드림팀 VS 비보이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산들 몰래카메라 MBC every1 주간 아이돌 8월 13일 주간 아이돌 여섯 번째 출연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8일 140805 수원 사운드웨이브 팬싸인회 취재 MBC 세바퀴 8월 23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카라, 씨스타 아이돌 VS 박사 퀴즈 배틀 SBS SBS 가요대전 12월 2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SOLO DAY, 눈이 오면[25] 무대 KBS 2TV KBS 가요대축제 12월 26일 Lonely, SOLO DAY, 틈[26][27] 무대 MBC MBC 가요대제전 12월 31일 Lonely, SOLO DAY 무대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1일 신우, 바로, 공찬 스마트 가족사랑 캠페인 플래시몹 설특집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월 18일 설특집 아이돌스타 육상 농구 풋살 양궁 선수권대회 2월 19일 ~ 2월 20일 신우, 바로, 공찬 높이뛰기 남자 부문 본선 진출 KBS 2TV 설특집 왕좌의 게임 2월 20일 공찬 tvN 리틀빅 히어로 3월 9일 신우, 바로, 공찬 KBS 2TV 출발드림팀 시즌 2 3월 22일 육성재, 다혜, 허영지 연탄배달 특집 뮤비뱅크 스타더스트 3월 26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복면가왕 4월 5일 ~ 12월 20일 1-2회 '꽃피는 오골계' 참가 후 연예인 판정단 합류 JTBC 엄마가 보고있다 5월 9일 콘서트로 불참한 씨엔블루의 강민혁을 대신해 스페셜 MC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5월 19일 , 6월 2일 김필, 이혁, 손준호, 진태현, 김영희 Mnet 4가지쇼 5월 26일 바로, 가희, 알리, 공찬 SBS 2015 드림콘서트 5월 30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세바퀴 6월 5일 서인영, 박정아, 이지현, 박현빈 SBS 잘먹고 잘사는 법 6월 21일 바로, 공찬 6월 28일 공찬 창업스타 7월 3일 ~ 7월 31일 서경석, 전현무, 허영지, 줄리안 퀸타르트 등 KBS 2TV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8월 10일 공승연, 진영, 공찬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3월 4일 ~ 4월 1일 통가 편 MBC 듀엣가요제 4월 29일 ~ 5월 6일 불후의 명곡[편집] 연도 특집 선곡 방영 일자 순서 결과 동참 가수 각주 2012년 송대관 편 송대관 - 〈차표 한 장〉 10월 13일 6번 1패 신우, 바로 [28] 전국노래자랑 편 박상철 - 〈무조건〉 11월 3일 4번 1패 [29] 하춘화 편 하춘화 - 〈아리랑 목동〉 11월 10일 2번 1승 1패 / 322점 [30] 이용 편 이용 - 〈잊혀진 계절〉 11월 17일 5번 1승 1패 / 401점 - [31] 배호 2편 배호 - 〈비 내리는 명동〉 12월 1일 8번 1패 진영, 바로 [32] 김범룡 편 김영배 - 〈남자답게 사는 법〉 12월 8일 6번 1승 / 405점 (우승) 바로 [33] 겨울특집 편 터보 - 〈White Love〉 12월 15일 1번 1패 바로, 김유정 [34] 2013년 해바라기 1편 해바라기 - 〈나는 그대 품안에〉 4월 6일 2번 1패 - [35] 설운도 1편 설운도 - 〈누이〉 6월 29일 4번 1패 신우, 바로 [36] DJ DOC 편 DJ DOC - 〈DOC와 함께 춤을〉 7월 13일 2번 2승 1패 / 371점 진영, 신우 [37] 임재범 편 시나위 -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 10월 26일 7번 1승 / 421점 (우승) - [38][39] 신승훈 편 신승훈 - 〈내 방식대로의 사랑〉 11월 2일 6번 1패 [40] 김정수&김국환 편 김국환 - 〈꽃순이를 아시나요〉 11월 9일 1번 1승 1패 / 347점 [41] 가을남자 특집 편 신중현 - 〈빗속의 여인〉 11월 16일 5번 1승 1패 / 422점 최민수 [42] 박상민 편 박상민 - 〈하나의 사랑〉 11월 30일 2번 1패 - [43] 윤상 편 황치훈 - 〈추억속의 그대〉 12월 21일 4번 1패 [44] 2014년 이미자 1편 이미자 - 〈안 오실까봐〉 3월 15일 3번 1패 신우 [45] 2015년 왕중왕전 쇼쇼쇼 1편 김상희 -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3월 7일 2번 1패 - [46] 서유석 편 서유석 - 〈뚝 잘라 말해〉 4월 25일 2번 2승 1패 / 389점 [47] 리메이크 명곡 1편 변진섭 - 〈그대 내게 다시〉 6월 13일 1번 3승 1패 / 388점 [48] 2016년 하광훈 편 장혜리 -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4월 2일 1번 3승 1패 / 398점 - [49]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드라마 배역 출연 횟수 비고 2015년 TV조선 로스:타임:라이프 박민수 4회 첫 드라마 / 웹드라마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배역 기간 장소 비고 2012년 형제는 용감했다 이주봉 7월 13일 ~ 9월 26일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첫 뮤지컬[50][51] 2013년 천 번째 남자 김응석 9월 28일 ~ 10월 10일 아이아 시어터 도쿄 한일 합작 뮤지컬[52] 2014년 올슉업 엘비스 11월 29일 ~ 2월 8일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53][54] 2015년 신데렐라 크리스토퍼 9월 12일 ~ 11월 8일 충무아트홀 [23][55] 2016년 삼총사 달타냥 4월 2일 ~ 6월 26일 디큐브아트센터 [56] 2017년 서른즈음에 젊은현식 10월 20일 ~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 2018년 아이언 마스크 루이 14세 / 필립 (예정) 9월 13일 ~ 11월 18일 광림아트센터 BBCH홀 진행[편집] 라디오 DJ[편집] MBC 표준FM 《산들의 별이 빛나는 밤에 》 (2018년 7월 9일 ~ 현재) 스페셜 MC[편집] Mnet 《엠카운트다운》 (2012년 12월 13일) MBC 《쇼! 음악중심》 (2013년 2월 9일 ~ 2013년 2월 23일) Mnet 《엠카운트다운 비긴즈》[57] (2014년 7월 17일) JTBC 《엄마가 보고있다》 (2015년 5월 9일) MBC 《쇼! 음악중심》 (2015년 8월 8일) 광고[편집] B1A4로 찍은 광고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 및 전속 모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 외[편집] 하하&타우 〈내 품이 좋다던 사람〉 하동균 대타 피쳐링[58] 제 6대 걸스카우트 홍보대사 주현미 〈동행〉 가이드 보컬 롯데호텔 부산 홍보대사 김연우 콘서트 《戀雨 속 연우》 VCR 스페셜 게스트 경력[편집] 데뷔 전[편집]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2회 대청가요제 1위 제3회 대청가요제 1위 대구 예술대 전국청소년 실용음악콩쿨 장려상 제4회 대청가요제 2위 함양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송정 바다축제 가요제 대상 밀리오레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제12회 드림시티 성동 서울숲가요제 2차 예선 진출 제15회 전국 청소년 댄스 가요대회 최우수상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11회 부산 학생가요제 금상 전국 함양가요제 장려상 포항 가요제 금상 춘장대 전국 뮤직페스타 2년 연속 대상 수상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진출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대상 데뷔 후[편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74회 하춘화 편 1승 (322/500표) 75회 이용 편 1승 (401/500표) 78회 김범룡 편 우승 (405/500표) 109회 DJ DOC 편 2승 (371/500표) 124회 임재범 Vol.2 편 우승 (421/500표) 126회 김정수&김국환 편 1승 (347/500표) 127회 가을남자 특집 편 1승 (422/500표) 196회 서유석 편 2승 (389/500표) 203회 리메이크 특집 편 3승 (388/500표) 245회 하광훈 편 3승 (398/500표) 복면가왕 꽃피는 오골계 1-2회 준우승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결승 진출 듀엣가요제 4연속 우승 제3회 아이돌 스타 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멀리뛰기 부문 5위 제4회 아이돌 스타 육상·수영선수권대회 남자 수영 부문 4위 남자 높이뛰기 부문 공동 2위 아이돌 스타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 부문 3위 각주[편집] ↑ 한인구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가수의 꿈, 세상 떠난 이모와의 약속"”.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6일에 확인함.  ↑ 황미현 인턴기자 (2011년 6월 4일). “B1A4 산들, 데뷔 전 각종 가요제 대상 휩쓸어...‘눈길’”. OSEN.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정수진 기자 (2011년 4월 24일). “B1A4, 성공적 데뷔 무대 '기대감 UP'”.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1월 17일). “'불후의 명곡2' B1A4 산들, '잊혀진 계절' 열창해 이용 감동시켜”. 엑스포츠뉴스.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김경주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 차이로 제압..'최종우승'”. OSEN.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 산들, 눈물의 우승… 고인이 된 이모 향한 마음 애절한 마음 '안쓰러워'”.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산들, 케이윌, 휘성과 함께 ‘불후의 명곡’ 우승 인증 사진 공개… ‘훈훈해’”.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최지예 기자 (2013년 11월 4일). “[단독]B1A4 산들, 명지대 영화뮤지컬 학부 합격 "기쁨 만끽"”.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조연경 기자 (2015년 4월 28일). “뮤뱅MC 박보검 “첫생방 심장떨려..걸그룹보다 엑소 보고파””.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훈 기자 (2015년 1월 19일). “뮤지컬 '올슉업'에 'B1A4 산들' 바람 불어 온다”. 뉴시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1월 30일). “‘올슉업’ 산들, 실력에 재치까지…차세대 뮤지컬돌 노린다”. MBN.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2월 3일). “뮤지컬 '올슉업' 서울 공연 폐막…손호영·동준 등 감사인사”.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최강민 (2015년 4월 12일). “[복면가왕 리뷰] 판정단 사로잡은 B1A4 산들, 가창력 폭발! '응급실'”. iMBC. 2015년 4월 27일에 확인함.  ↑ 홍세영 기자 (2015년 5월 29일). “‘복면가왕’ 31일 음원 출시… 산들 ‘응급실’ 총 10곡 포함”. 스포츠동아.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김윤지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응급실', 일부러 한껏 멋부렸다"”. OSEN.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장아름 기자 (2015년 5월 17일). “'복면가왕' 불여시 정체, 산들이 맞췄다 '걸스데이 소진'”. 뉴스1.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김혜정 기자 (2015년 5월 17일). “'일밤-복면가왕' 산들, "소름~ 걸스데이 소진 선배님" 단번에 맞춰”. 헤럴드경제.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표범, 산들 예상한 나윤권…소울 충만 '위드미' 감탄”. 스포츠조선. 2015년 6월 21일. 2015년 6월 23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클레오파트라가 산들? 가면 벗은 김연우와 환상의 합동 무대”.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26일. 2015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오세림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파워풀한 반전매력 '뚝 잘라 말해'..노을 꺾고 1승”. 텐아시아.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박혜림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그대 내게 다시'로 감미로운 무대 '3연승'”. 헤럴드경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한인구 기자 (2015년 7월 7일). “B1A4 바로·산들,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 캐스팅”.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B1A4 산들, 뮤지컬 '신데렐라' 출연 확정..왕자님 됐다”.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승길 기자 (2015년 12월 30일). “황치열·산들 '먼지가 되어', 정준영·로이킴 못지않네~ [KBS 가요대축제]”. 마이데일리. 2016년 1월 2일에 확인함.  ↑ 박보람과 함께 무대. ↑ 원곡 어반자카파X소유. ↑ 신우, 소유와 합동 무대. ↑ 전원 기자 (2012년 10월 13일). “B1A4 ‘차표한장’ 젊은피 아이돌다운 신선+강렬 무대”.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3일). “'불후2' B1A4, '무조건' 열창… '축제 한바탕'”.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슈속보팀 (2012년 11월 10일). “‘불후의 명곡’ B1A4, 3연패 만에 ‘대망의 1승 영광’”. 헤럴드POP.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17일). “'이용도 울었다'… '불후2' 산들, '음이탈' 불구 '진한 감동' 선사”.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2월 1일). “'불후의 명곡2' B1A4, 리더 진영 가세…실력파 아이돌 입증”.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문완식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차로 누르고 '우승' (종합)”. 스타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태문 기자 (2012년 12월 16일). “김유정 B1A4 커플댄스, "율동 좋고 노래 좋고.. 삼촌팬들 무너졌다"”. 조세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4월 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실력파 아이돌 저력 보여줬다”.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신나라 기자 (2013년 6월 28일). “'불후' B1A4, 누님 팬까지 완벽 접수...설운도·박현빈 긴장 '폭소'”.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3년 7월 13일). “'불후' B1A4 'DOC와 춤을', 정준영 제압 '1승'”.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박정선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 산들, 임재범편 최종우승 '아이돌의 반전' [종합]”.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임재범 특집 최종우승 '눈물펑펑'”.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3년 11월 2일). “'불후' 산들, 상큼·발랄 퍼포먼스..누나 팬 마음 '흔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3년 11월 9일). “'불후' B1A4 산들, '꽃순이를 아시나요' 감성+가창력 폭발”.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3년 11월 16일). “'불후2' 최민수-산들 '빗속의여인', 묘하게 잘 어울리네 '1승'”.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소영 기자 (2013년 11월 30일). “'불후' B1A4 산들, 박상민 '하나의 사랑' 20대 감성 담았다”.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한준호 기자 (2013년 12월 21일). “B1A4 산들, 리틀 문명진 등극!… 완벽한 무대”.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4년 3월 15일). “'불후의명곡' 지적의 여왕 이미자, B1A4엔 흡족 "역시 잘 불러"”.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5년 3월 7일). “‘불후2’ 산들, 역시 아이돌 대표..진한 여운 남겼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5년 4월 25일). “'불후' 산들, 아이돌의 매력은 이런 것 '뚝 잘라 말해'”.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소영 기자 (2015년 6월 14일). “[어저께TV] '불후' B1A4 산들, 복면 벗으니 더 잘하는구나”. OSEN.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김소희 인턴기자 (2016년 4월 2일). “'불후' 산들, 에너지 전달..'내게 남은 사랑을 모두 드릴게요'”. 스타뉴스. 2016년 4월 2일에 확인함.  ↑ 최정아 기자 (2012년 5월 15일). “B1A4 메인보컬 산들,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 캐스팅”.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장진리 기자 (2012년 5월 17일). “B1A4 산들, '형제는 용감했다'로 뮤지컬 데뷔 "떨린다"”. 조이뉴스24.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은구 (2013년 5월 30일). “보이프렌드 동현-B1A4 산들, 한류 뮤지컬 주연 더블캐스팅”. 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허설희 기자 (2014년 10월 6일). “뮤지컬 '올슉업', 손호영·산들·동준·유권 캐스팅…4인4색 매력”.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예나 기자 (2014년 10월 6일). “B1A4 산들, 엘비스 프레슬리 변신…뮤지컬 ‘올슉업’ 주연 낙점”. TV리포트.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서현진·백아연·윤하·엄기준·산들·켄, 뮤지컬 '신데렐라' 확정”.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한철 기자 (2016년 2월 11일). “카이·박형준·신우·산들, 뮤지컬 '삼총사' 달타냥 낙점”. 데일리안. 2016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수 김예원과 함께 공동 MC를 맡았다. ↑ 박현민 기자 (2012년 4월 16일). “[돌발인터뷰] B1A4 산들 "하하 선배님, 내 피처링 무대 후 눈물…혹시?"”. enews24.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산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B1A4 공식 웹사이트 산들 트위터 산들 - 네이버 인물 상세정보 산들 - 네이버 뮤직 vdehB1A4 신우 산들 공찬 정규 음반대한민국 THE B1A4 I IGNITION (2012) Who Am I (2014) Good Timing (2016) 일본 1 (2012) 2 (2014) 3 (2016) 4 (2017) 리패키지 음반 THE B1A4 I IGNITION SPECIAL EDITION (2012) 미니 음반 Let's Fly (2011) It B1A4 (2011) In The Wind (2012) 이게 무슨 일이야 (2013) SOLO DAY (2014) Sweet Girl (2015) ROLLIN' (2017) 디지털 싱글 This Time Is Over (2012) 크리스마스잖아요 (2015) 사운드트랙 음반 부탁해요 캡틴 OST Part 1 (2012) 천 번째 남자 OST Part 1 (2012)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판 OST Part 1 (2013) 응답하라 1994 OST Part 3 (2013)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2014) (산들) 칠전팔기 구해라 OST Part 1 5 6 7 10 (2015) (진영) 싱글대한민국 This Time Is Over (2012) 일본 Beautiful Target (2012) おやすみ Good Night (2012) イゲ ムスン イリヤ ~なんで?どうして? (2013) SOLO DAY (2014) 白いキセキ (2015) Happy Days (2015) You and I (2017) Follow me (2017) 콘서트 투어국내·일본 1st BABA B1A4 Concert (2012-2013) 2013 B1A4 Limited Show AMAZING STORE (2013) 2014 B1A4 Concert THE CLASS (2014) B1A4 Live Tour 2014 LISTEN TO THE B1A4 (2014) 월드 투어 2014 B1A4 Road Trip - READY? (2014) B1A4 ADVENTURE 2015 (2015) 리얼리티텔레비전 매치 업 (2011) 셀카 다이어리 (2012) 깨알플레이어 (2012) 헬로 베이비 (2012) 예능 체력장 (2013) 어느 멋진 날 (2014) GO! B1A4 (2014) 인터넷 BABA B1A4 (2011-2013) B1A4 Road Trip - READY? Behind Clip (2014) BABA B1A4 2 (2015) 참고 문서 진영이 작사 작곡한 노래 신우가 작사 작곡한 노래 바로가 작사 작곡한 노래 WM 엔터테인먼트 오마이걸 이원민 공식색:파스텔 애플라임 팬클럽:바나(BANA) 음반 목록 기타 활동 목록 vdehWM 엔터테인먼트경영진창립자 이원민 대표이사 김진미 소속 가수 B1A4 신우 산들 공찬 오마이걸 효정 미미 유아 승희 지호 비니 아린 온앤오프 효진 이션 제이어스 와이엇 유 라운 MK 과거 소속 가수 태군 H-유진 안진경 진이 진영 바로 아이 연습생 지수연 김연수 신혜진 이승현 이채연 조영인 관련 문서 W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d271ec97-748d-4da1-b2fc-1ed72985a98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들&oldid=24184843"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B1A4의 일원2011년 데뷔아이돌 가수K-pop 가수2010년대 가수한국어 가수WM 엔터테인먼트 소속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부산광역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명지대학교 동문동아고등학교 동문하남중학교 (부산) 동문신남초등학교 (부산) 동문부산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부산광역시 출신 가수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산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산들Sandeul 기본 정보본명 이정환(李征桓)출생 1992년 3월 20일(1992-03-20) (27세)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직업 가수, 방송인, 뮤지컬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11년 4월 23일 ~ 현재 레이블 로엔 엔터테인먼트소속사 WM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B1A4웹사이트 WM 엔터테인먼트 산들산들 - 트위터산들 - 인스타그램 산들(본명: 이정환, 한자: 李征桓, 1992년 3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B1A4의 메인보컬이다. 목차 1 학력 2 생애 2.1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 2.2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 2.3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 2.4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 3 음반 3.1 참여 음반 4 참여 음반 5 음반 외 활동 5.1 방송 출연 5.2 불후의 명곡 5.3 드라마 5.4 뮤지컬 5.5 진행 5.5.1 라디오 DJ 5.5.2 스페셜 MC 5.6 광고 5.7 그 외 6 경력 6.1 데뷔 전 6.2 데뷔 후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신남초등학교 (졸업) 하남중학교 (졸업) 동아고등학교 (졸업)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재학) 생애[편집] 1992 ~ 2010: 탄생, 데뷔 전까지의 삶[편집] 1992년 3월 20일, 부산직할시 (현재 부산광역시)에서 1남 1녀 중 막내 이정환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현재는 고인이 된 이모와 함께 노래를 들으며 처음으로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됐다.[1] 신남초등학교와 하남중학교를 차례로 졸업하고 동아고등학교에 입학했다. 학창 시절 친구들과 함께 여러 가요제에 참여하다가 소속사의 캐스팅 제의를 받고 연습생 생활을 시작했다. 연습생 생활 중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에서 대상을 거둔 바가 있다.[2] 2011년4월 23일 MBC 쇼! 음악중심에서 B1A4 미니 1집 Let's Fly의 타이틀곡 "O.K" 무대를 서 산들이라는 예명으로 정식 데뷔를 했다.[3] 2011 ~ 2013: B1A4로 데뷔, 뮤지컬과 불후의 명곡[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B1A4입니다. 2012년, 광화문에서 무대중인 산들 2011년, B1A4의 구성원 산들로 데뷔한 후, 바로와 함께 세바퀴 출연한 후 새싹춤으로 화제가 된 바도 있으며 MBC 《아이돌 스타 육상 수영 선수권 대회》에 출연해 높이뛰기 부문에서 은메달을 따내 활약을 하기도 했다. 또 2012년 여름에는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의 주연 '이주봉' 역에 캐스팅되어 첫 뮤지컬 작을 소화해냈다. 2012년 말, 바로, 신우와 함께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 고정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이용 편에서는 홀로 '잊혀진 계절'을 불러 스윗 소로우를 누르고 1승을 거두기도 했으며,[4] 김범룡 편에서는 바로와 함께 '남자답게 사는 법'을 불러 우승을 차지하였다.[5] 2013년 하반기, 드라마 《천 번째 남자》를 원작으로 한 한일합작 뮤지컬 《천 번째 남자》의 남주인공 '김응석' 역에 캐스팅되어 상대역 '구미진'과의 호흡을 맞춰 두 번째 뮤지컬 작품을 안정적으로 연기해냈다. 또 2013년 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임재범 편에서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로 우승을 거두며 다시 고정으로 출연하기 시작했다.[6][7] 2014: 대학 입학, 뮤지컬 《올슉업》[편집] 2014년 3월, 3년의 대학 입시 도전 끝에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에 끝내 14학번으로 수시 전형 입학했다.[8] 배우 박보검 또한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14학번으로 입학해 서로 대학 동기가 되었다.[9] 5월부터 6월까지 MBC 7인의 식객 중국 편에 서경석, 김유정 등과 함께 고정 출연했다. 2014년, 뮤지컬 《올슉업》의 주인공 '엘비스' 역에 손호영, 김동준, 유권과 함께 캐스팅됐다. 산들은 무대를 25번 서 이들 중 손호영 다음으로 가장 많은 무대를 섰다. 11월 말부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서울 공연을 시작했다. 특유의 능글거리며 느끼한 엘비스를 이질감 없이 연기하며 발음과 노래 실력 또한 기존의 뮤지컬 배우들에 비해 떨어지지 않은 준수한 실력을 보여주며 호연을 펼쳤다.[10][11] 2월 1일을 끝으로 서울 공연을 끝마쳤으며,[12] 2월 8일 대구 오페라하우스에 공연을 오르면서 '엘비스'로서의 마지막 무대를 가졌다. 2015 ~ : 복면가왕, 그리고 꽃피는 오골계[편집] 2015년 4월 5일 부터 12일까지 《일밤-복면가왕》에 복면을 쓰고 '꽃피는 오골계'라는 닉네임으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2라운드에서 닉네임 '앙칼진 백고양이'의 아이비와 겨루며 불렀던 IZi의 〈응급실〉은 대중들에게 그의 이름을 각인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3] 산들이 부른 "응급실"은 복면가왕 Special 음반에 마지막 트랙에 수록되어 수록곡들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세우기도 했다.[14] 나중에는 본인의 창법대로가 아닌 기교를 섞어 멋부린 보컬로 노래를 불렀다고 밝혔다.[15] 3회부터 38회까지 연예인 판정단으로 출연했다. '새침데기 불여시'의 정체 걸스데이의 소진이나 '킬리만자로의 표범'의 정체 나윤권, '잘 터져요 와이파이'의 정체 비투비의 이창섭 등을 맞춰내기도 했다.[16][17][18] 7월 26일자 복면가왕 17회 방영분 오프닝에서 김연우와 함께 토이의 노래 〈여전히 아름다운지〉로 호흡을 맞추기도 하였다.[19] 11월 6일 복면가왕에서 큐피트로서 '겨울편지'를 불렀다.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에 출연해 서유석의 '뚝 잘라 말해'를 신나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389표를 받아 두 번째 순서치고 높은 점수를 받아 노을과 럼블피쉬를 제치고 2승을 차지했다.[20] 그리고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특집 편에 출연하여 변진섭의 '그대 내게 다시'를 마음을 촉촉히 적시는 분위기로 편곡해 무대를 가졌다. 첫번째 순서 였음에도 388표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장혁과 정준영 그리고 김선경을 제치고 3승을 거두었다.[21] 현재는 네이버 TV에서 공개되는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에 '박민수' 역에 캐스팅되어 처음으로 정통 연기를 소화해냈다.[22] 또 2015년 하반기에는 뮤지컬 《신데렐라》의 왕자 크리스토퍼 역에 캐스팅되어 뮤지컬 배우들과 호흡을 가지고 있다.[23] 12월 29일,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출연진과 함께 2015 《MBC 방송연예대상》에 참석해 남자 신인상 부문의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동프로그램의 판정단인 김형석이 남자 신인상을 타가며 노미네이트되었다. 12월 30일, KBS 2TV 《KBS 가요대축제》에서 가수 황치열과 함께 이미키의 〈먼지가 되어〉를 듀엣으로 연말 무대를 장식한 바가 있다.[24] 음반[편집] B1A4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앨범 정보 트랙리스트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발매일 : 2014년 4월 8일 배급사 : (주)KT뮤직 아파서 아파서 (Inst.) 구르미 그린 달빛 OST Part 2 발매일 : 2016년 8월 30일 배급사 : 벅스 마음을 삼킨다 마음을 삼킨다 (Inst.) 그렇게 있어줘 발매일: 2016년 10월 4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그렇게 있어줘 집 나의 어릴적 이야기 야! 같이 걷는 길 내성적인 보스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2월 7일 배급사 : CJ E&M 한 걸음만 더 한 걸음만 더 (Inst.) 오빠 발매일: 2017년 7월 6일 배급사:(주)로엔엔터테인먼트 오빠 (Prod. Brother Su)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 OST Part.3 발매일 : 2017년 8월 23일 배급사 : 뮤직앤뉴 말해줘 말해줘 (Inst.) 나쁜 녀석들 : 악의 도시 OST Part.3 발매일 : 2018년 1월 7일 배급사 : CJ E&M Other World Other World (Inst.) Here I am 발매일 : 2018년 8월 28일 배급사 : 로엔엔터테인먼트 러블리 호러블리 ost part.2(KBS2월화드라마) Here I am Here I am (inst.)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참여 음반[편집] B1A4로 참여한 음반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목록#그 외 참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수록 앨범 참여곡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해바라기 편 발매일 : 2013년 4월 6일 나는 그대 품안에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신승훈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2일 내 방식대로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김정수&김국환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9일 꽃순이를 아시나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박상민 편 발매일 : 2013년 11월 30일 하나의 사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윤상 편 발매일 : 2013년 12월 21일 추억속의 그대 신의 선물 - 14일 OST 발매일 : 2014년 8월 11일 아파서 아파서 (Inst.)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왕중왕전 쇼쇼쇼 1편 발매일 : 2015년 3월 17일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서유석 편 발매일 : 2015년 4월 25일 뚝 잘라 말해 복면가왕 Special 발매일 : 2015년 5월 31일 응급실 (꽃피는 오골계)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리메이크 명곡 1편 발매일 : 2015년 6월 13일 그대 내게 다시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발매일 : 2015년 9월 21일 One Dream One Korea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하광훈 편 발매일 : 2016년 4월 2일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복면가왕 84회 발매일 : 2016년 11월 6일 겨울 편지 (심장어택 큐피드) The New Classik...And You Got The Winner 발매일 : 2018년 12월 13일 Watch Yo' Back (with 김현정)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 출연[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기간 동반 출연 비고 2014년 Mnet 엠카운트다운 7월 17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MUSIC B1A4의 어느 멋진 날 7월 21일 ~ 9월 8일 B1A4 리얼리티 KBS 2TV 우리동네 예체능 8월 5일 MBC MUSIC 피크닉 라이브 소풍 8월 7일 ~ 8월 14일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 8월 9일 유희열의 스케치북 세 번째 출연 글로벌 리퀘스트 쇼 어송포유 8월 10일 출발드림팀 시즌 2 신우 드림팀 VS 비보이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산들 몰래카메라 MBC every1 주간 아이돌 8월 13일 주간 아이돌 여섯 번째 출연 Mnet 와이드 연예뉴스 8월 18일 140805 수원 사운드웨이브 팬싸인회 취재 MBC 세바퀴 8월 23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카라, 씨스타 아이돌 VS 박사 퀴즈 배틀 SBS SBS 가요대전 12월 21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SOLO DAY, 눈이 오면[25] 무대 KBS 2TV KBS 가요대축제 12월 26일 Lonely, SOLO DAY, 틈[26][27] 무대 MBC MBC 가요대제전 12월 31일 Lonely, SOLO DAY 무대 2015년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1일 신우, 바로, 공찬 스마트 가족사랑 캠페인 플래시몹 설특집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월 18일 설특집 아이돌스타 육상 농구 풋살 양궁 선수권대회 2월 19일 ~ 2월 20일 신우, 바로, 공찬 높이뛰기 남자 부문 본선 진출 KBS 2TV 설특집 왕좌의 게임 2월 20일 공찬 tvN 리틀빅 히어로 3월 9일 신우, 바로, 공찬 KBS 2TV 출발드림팀 시즌 2 3월 22일 육성재, 다혜, 허영지 연탄배달 특집 뮤비뱅크 스타더스트 3월 26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복면가왕 4월 5일 ~ 12월 20일 1-2회 '꽃피는 오골계' 참가 후 연예인 판정단 합류 JTBC 엄마가 보고있다 5월 9일 콘서트로 불참한 씨엔블루의 강민혁을 대신해 스페셜 MC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5월 19일 , 6월 2일 김필, 이혁, 손준호, 진태현, 김영희 Mnet 4가지쇼 5월 26일 바로, 가희, 알리, 공찬 SBS 2015 드림콘서트 5월 30일 진영, 신우, 바로, 공찬 MBC 세바퀴 6월 5일 서인영, 박정아, 이지현, 박현빈 SBS 잘먹고 잘사는 법 6월 21일 바로, 공찬 6월 28일 공찬 창업스타 7월 3일 ~ 7월 31일 서경석, 전현무, 허영지, 줄리안 퀸타르트 등 KBS 2TV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8월 10일 공승연, 진영, 공찬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3월 4일 ~ 4월 1일 통가 편 MBC 듀엣가요제 4월 29일 ~ 5월 6일 불후의 명곡[편집] 연도 특집 선곡 방영 일자 순서 결과 동참 가수 각주 2012년 송대관 편 송대관 - 〈차표 한 장〉 10월 13일 6번 1패 신우, 바로 [28] 전국노래자랑 편 박상철 - 〈무조건〉 11월 3일 4번 1패 [29] 하춘화 편 하춘화 - 〈아리랑 목동〉 11월 10일 2번 1승 1패 / 322점 [30] 이용 편 이용 - 〈잊혀진 계절〉 11월 17일 5번 1승 1패 / 401점 - [31] 배호 2편 배호 - 〈비 내리는 명동〉 12월 1일 8번 1패 진영, 바로 [32] 김범룡 편 김영배 - 〈남자답게 사는 법〉 12월 8일 6번 1승 / 405점 (우승) 바로 [33] 겨울특집 편 터보 - 〈White Love〉 12월 15일 1번 1패 바로, 김유정 [34] 2013년 해바라기 1편 해바라기 - 〈나는 그대 품안에〉 4월 6일 2번 1패 - [35] 설운도 1편 설운도 - 〈누이〉 6월 29일 4번 1패 신우, 바로 [36] DJ DOC 편 DJ DOC - 〈DOC와 함께 춤을〉 7월 13일 2번 2승 1패 / 371점 진영, 신우 [37] 임재범 편 시나위 - 〈그대 앞에 난 촛불이어라〉 10월 26일 7번 1승 / 421점 (우승) - [38][39] 신승훈 편 신승훈 - 〈내 방식대로의 사랑〉 11월 2일 6번 1패 [40] 김정수&김국환 편 김국환 - 〈꽃순이를 아시나요〉 11월 9일 1번 1승 1패 / 347점 [41] 가을남자 특집 편 신중현 - 〈빗속의 여인〉 11월 16일 5번 1승 1패 / 422점 최민수 [42] 박상민 편 박상민 - 〈하나의 사랑〉 11월 30일 2번 1패 - [43] 윤상 편 황치훈 - 〈추억속의 그대〉 12월 21일 4번 1패 [44] 2014년 이미자 1편 이미자 - 〈안 오실까봐〉 3월 15일 3번 1패 신우 [45] 2015년 왕중왕전 쇼쇼쇼 1편 김상희 -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3월 7일 2번 1패 - [46] 서유석 편 서유석 - 〈뚝 잘라 말해〉 4월 25일 2번 2승 1패 / 389점 [47] 리메이크 명곡 1편 변진섭 - 〈그대 내게 다시〉 6월 13일 1번 3승 1패 / 388점 [48] 2016년 하광훈 편 장혜리 -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4월 2일 1번 3승 1패 / 398점 - [49]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드라마 배역 출연 횟수 비고 2015년 TV조선 로스:타임:라이프 박민수 4회 첫 드라마 / 웹드라마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배역 기간 장소 비고 2012년 형제는 용감했다 이주봉 7월 13일 ~ 9월 26일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첫 뮤지컬[50][51] 2013년 천 번째 남자 김응석 9월 28일 ~ 10월 10일 아이아 시어터 도쿄 한일 합작 뮤지컬[52] 2014년 올슉업 엘비스 11월 29일 ~ 2월 8일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53][54] 2015년 신데렐라 크리스토퍼 9월 12일 ~ 11월 8일 충무아트홀 [23][55] 2016년 삼총사 달타냥 4월 2일 ~ 6월 26일 디큐브아트센터 [56] 2017년 서른즈음에 젊은현식 10월 20일 ~ 11월 30일 이화여자대학교 삼성홀 2018년 아이언 마스크 루이 14세 / 필립 (예정) 9월 13일 ~ 11월 18일 광림아트센터 BBCH홀 진행[편집] 라디오 DJ[편집] MBC 표준FM 《산들의 별이 빛나는 밤에 》 (2018년 7월 9일 ~ 현재) 스페셜 MC[편집] Mnet 《엠카운트다운》 (2012년 12월 13일) MBC 《쇼! 음악중심》 (2013년 2월 9일 ~ 2013년 2월 23일) Mnet 《엠카운트다운 비긴즈》[57] (2014년 7월 17일) JTBC 《엄마가 보고있다》 (2015년 5월 9일) MBC 《쇼! 음악중심》 (2015년 8월 8일) 광고[편집] B1A4로 찍은 광고에 대해서는 B1A4의 음반 외 활동 목록#광고 및 전속 모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 외[편집] 하하&타우 〈내 품이 좋다던 사람〉 하동균 대타 피쳐링[58] 제 6대 걸스카우트 홍보대사 주현미 〈동행〉 가이드 보컬 롯데호텔 부산 홍보대사 김연우 콘서트 《戀雨 속 연우》 VCR 스페셜 게스트 경력[편집] 데뷔 전[편집]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2회 대청가요제 1위 제3회 대청가요제 1위 대구 예술대 전국청소년 실용음악콩쿨 장려상 제4회 대청가요제 2위 함양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송정 바다축제 가요제 대상 밀리오레 청소년 가요제 본선 진출 제12회 드림시티 성동 서울숲가요제 2차 예선 진출 제15회 전국 청소년 댄스 가요대회 최우수상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2차 예선 합격 제11회 부산 학생가요제 금상 전국 함양가요제 장려상 포항 가요제 금상 춘장대 전국 뮤직페스타 2년 연속 대상 수상 친친 가요제 2차 예선 진출 2010 대한민국 청소년 가요제 대상 데뷔 후[편집]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74회 하춘화 편 1승 (322/500표) 75회 이용 편 1승 (401/500표) 78회 김범룡 편 우승 (405/500표) 109회 DJ DOC 편 2승 (371/500표) 124회 임재범 Vol.2 편 우승 (421/500표) 126회 김정수&김국환 편 1승 (347/500표) 127회 가을남자 특집 편 1승 (422/500표) 196회 서유석 편 2승 (389/500표) 203회 리메이크 특집 편 3승 (388/500표) 245회 하광훈 편 3승 (398/500표) 복면가왕 꽃피는 오골계 1-2회 준우승 백인백곡 끝까지 간다 결승 진출 듀엣가요제 4연속 우승 제3회 아이돌 스타 육상선수권대회 남자 멀리뛰기 부문 5위 제4회 아이돌 스타 육상·수영선수권대회 남자 수영 부문 4위 남자 높이뛰기 부문 공동 2위 아이돌 스타 올림픽 남자 높이뛰기 부문 3위 각주[편집] ↑ 한인구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가수의 꿈, 세상 떠난 이모와의 약속"”.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6일에 확인함.  ↑ 황미현 인턴기자 (2011년 6월 4일). “B1A4 산들, 데뷔 전 각종 가요제 대상 휩쓸어...‘눈길’”. OSEN.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정수진 기자 (2011년 4월 24일). “B1A4, 성공적 데뷔 무대 '기대감 UP'”.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1월 17일). “'불후의 명곡2' B1A4 산들, '잊혀진 계절' 열창해 이용 감동시켜”. 엑스포츠뉴스.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김경주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 차이로 제압..'최종우승'”. OSEN. 2015년 6월 2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 산들, 눈물의 우승… 고인이 된 이모 향한 마음 애절한 마음 '안쓰러워'”.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성고은 기자 (2013년 10월 26일). “산들, 케이윌, 휘성과 함께 ‘불후의 명곡’ 우승 인증 사진 공개… ‘훈훈해’”. 서울경제. 2015년 5월 7일에 확인함.  ↑ 최지예 기자 (2013년 11월 4일). “[단독]B1A4 산들, 명지대 영화뮤지컬 학부 합격 "기쁨 만끽"”.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조연경 기자 (2015년 4월 28일). “뮤뱅MC 박보검 “첫생방 심장떨려..걸그룹보다 엑소 보고파””.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훈 기자 (2015년 1월 19일). “뮤지컬 '올슉업'에 'B1A4 산들' 바람 불어 온다”. 뉴시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1월 30일). “‘올슉업’ 산들, 실력에 재치까지…차세대 뮤지컬돌 노린다”. MBN.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송초롱 기자 (2015년 2월 3일). “뮤지컬 '올슉업' 서울 공연 폐막…손호영·동준 등 감사인사”.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9일에 확인함.  ↑ 최강민 (2015년 4월 12일). “[복면가왕 리뷰] 판정단 사로잡은 B1A4 산들, 가창력 폭발! '응급실'”. iMBC. 2015년 4월 27일에 확인함.  ↑ 홍세영 기자 (2015년 5월 29일). “‘복면가왕’ 31일 음원 출시… 산들 ‘응급실’ 총 10곡 포함”. 스포츠동아.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김윤지 기자 (2015년 5월 26일). “'4가지쇼' 산들 "'응급실', 일부러 한껏 멋부렸다"”. OSEN. 2015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장아름 기자 (2015년 5월 17일). “'복면가왕' 불여시 정체, 산들이 맞췄다 '걸스데이 소진'”. 뉴스1.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김혜정 기자 (2015년 5월 17일). “'일밤-복면가왕' 산들, "소름~ 걸스데이 소진 선배님" 단번에 맞춰”. 헤럴드경제.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표범, 산들 예상한 나윤권…소울 충만 '위드미' 감탄”. 스포츠조선. 2015년 6월 21일. 2015년 6월 23일에 확인함.  ↑ “‘복면가왕’ 클레오파트라가 산들? 가면 벗은 김연우와 환상의 합동 무대”.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26일. 2015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오세림 (2015년 4월 25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파워풀한 반전매력 '뚝 잘라 말해'..노을 꺾고 1승”. 텐아시아.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박혜림 (2015년 6월 13일). “'불후의 명곡' B1A4 산들 '그대 내게 다시'로 감미로운 무대 '3연승'”. 헤럴드경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한인구 기자 (2015년 7월 7일). “B1A4 바로·산들, 웹드라마 '로스:타임:라이프' 캐스팅”. 엑스포츠뉴스. 2015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B1A4 산들, 뮤지컬 '신데렐라' 출연 확정..왕자님 됐다”.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승길 기자 (2015년 12월 30일). “황치열·산들 '먼지가 되어', 정준영·로이킴 못지않네~ [KBS 가요대축제]”. 마이데일리. 2016년 1월 2일에 확인함.  ↑ 박보람과 함께 무대. ↑ 원곡 어반자카파X소유. ↑ 신우, 소유와 합동 무대. ↑ 전원 기자 (2012년 10월 13일). “B1A4 ‘차표한장’ 젊은피 아이돌다운 신선+강렬 무대”. 뉴스엔.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3일). “'불후2' B1A4, '무조건' 열창… '축제 한바탕'”.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슈속보팀 (2012년 11월 10일). “‘불후의 명곡’ B1A4, 3연패 만에 ‘대망의 1승 영광’”. 헤럴드POP.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금준 기자 (2012년 11월 17일). “'이용도 울었다'… '불후2' 산들, '음이탈' 불구 '진한 감동' 선사”. 아시아경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2년 12월 1일). “'불후의 명곡2' B1A4, 리더 진영 가세…실력파 아이돌 입증”.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문완식 기자 (2012년 12월 8일). “'불후' B1A4, 정동하 1표차로 누르고 '우승' (종합)”. 스타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태문 기자 (2012년 12월 16일). “김유정 B1A4 커플댄스, "율동 좋고 노래 좋고.. 삼촌팬들 무너졌다"”. 조세일보.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4월 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실력파 아이돌 저력 보여줬다”.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신나라 기자 (2013년 6월 28일). “'불후' B1A4, 누님 팬까지 완벽 접수...설운도·박현빈 긴장 '폭소'”.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3년 7월 13일). “'불후' B1A4 'DOC와 춤을', 정준영 제압 '1승'”.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박정선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 산들, 임재범편 최종우승 '아이돌의 반전' [종합]”.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민하나 기자 (2013년 10월 26일). “'불후의 명곡2' 산들, 임재범 특집 최종우승 '눈물펑펑'”. 엑스포츠뉴스.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3년 11월 2일). “'불후' 산들, 상큼·발랄 퍼포먼스..누나 팬 마음 '흔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3년 11월 9일). “'불후' B1A4 산들, '꽃순이를 아시나요' 감성+가창력 폭발”.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3년 11월 16일). “'불후2' 최민수-산들 '빗속의여인', 묘하게 잘 어울리네 '1승'”.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황소영 기자 (2013년 11월 30일). “'불후' B1A4 산들, 박상민 '하나의 사랑' 20대 감성 담았다”.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한준호 기자 (2013년 12월 21일). “B1A4 산들, 리틀 문명진 등극!… 완벽한 무대”.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이우인 기자 (2014년 3월 15일). “'불후의명곡' 지적의 여왕 이미자, B1A4엔 흡족 "역시 잘 불러"”. TV리포트.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권지영 기자 (2015년 3월 7일). “‘불후2’ 산들, 역시 아이돌 대표..진한 여운 남겼다”.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기자 (2015년 4월 25일). “'불후' 산들, 아이돌의 매력은 이런 것 '뚝 잘라 말해'”. OSEN. 2015년 5월 19일에 확인함.  ↑ 정소영 기자 (2015년 6월 14일). “[어저께TV] '불후' B1A4 산들, 복면 벗으니 더 잘하는구나”. OSEN.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김소희 인턴기자 (2016년 4월 2일). “'불후' 산들, 에너지 전달..'내게 남은 사랑을 모두 드릴게요'”. 스타뉴스. 2016년 4월 2일에 확인함.  ↑ 최정아 기자 (2012년 5월 15일). “B1A4 메인보컬 산들,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 캐스팅”. 스포츠월드.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장진리 기자 (2012년 5월 17일). “B1A4 산들, '형제는 용감했다'로 뮤지컬 데뷔 "떨린다"”. 조이뉴스24.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은구 (2013년 5월 30일). “보이프렌드 동현-B1A4 산들, 한류 뮤지컬 주연 더블캐스팅”. 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허설희 기자 (2014년 10월 6일). “뮤지컬 '올슉업', 손호영·산들·동준·유권 캐스팅…4인4색 매력”. 마이데일리.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김예나 기자 (2014년 10월 6일). “B1A4 산들, 엘비스 프레슬리 변신…뮤지컬 ‘올슉업’ 주연 낙점”. TV리포트. 2015년 5월 15일에 확인함.  ↑ 선미경 기자 (2015년 7월 31일). “[단독]서현진·백아연·윤하·엄기준·산들·켄, 뮤지컬 '신데렐라' 확정”. OSEN. 201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이한철 기자 (2016년 2월 11일). “카이·박형준·신우·산들, 뮤지컬 '삼총사' 달타냥 낙점”. 데일리안. 2016년 2월 14일에 확인함.  ↑ 가수 김예원과 함께 공동 MC를 맡았다. ↑ 박현민 기자 (2012년 4월 16일). “[돌발인터뷰] B1A4 산들 "하하 선배님, 내 피처링 무대 후 눈물…혹시?"”. enews24. 2015년 5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산들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B1A4 공식 웹사이트 산들 트위터 산들 - 네이버 인물 상세정보 산들 - 네이버 뮤직 vdehB1A4 신우 산들 공찬 정규 음반대한민국 THE B1A4 I IGNITION (2012) Who Am I (2014) Good Timing (2016) 일본 1 (2012) 2 (2014) 3 (2016) 4 (2017) 리패키지 음반 THE B1A4 I IGNITION SPECIAL EDITION (2012) 미니 음반 Let's Fly (2011) It B1A4 (2011) In The Wind (2012) 이게 무슨 일이야 (2013) SOLO DAY (2014) Sweet Girl (2015) ROLLIN' (2017) 디지털 싱글 This Time Is Over (2012) 크리스마스잖아요 (2015) 사운드트랙 음반 부탁해요 캡틴 OST Part 1 (2012) 천 번째 남자 OST Part 1 (2012) 우리 결혼했어요 세계판 OST Part 1 (2013) 응답하라 1994 OST Part 3 (2013) 신의 선물 - 14일 OST Part 3 (2014) (산들) 칠전팔기 구해라 OST Part 1 5 6 7 10 (2015) (진영) 싱글대한민국 This Time Is Over (2012) 일본 Beautiful Target (2012) おやすみ Good Night (2012) イゲ ムスン イリヤ ~なんで?どうして? (2013) SOLO DAY (2014) 白いキセキ (2015) Happy Days (2015) You and I (2017) Follow me (2017) 콘서트 투어국내·일본 1st BABA B1A4 Concert (2012-2013) 2013 B1A4 Limited Show AMAZING STORE (2013) 2014 B1A4 Concert THE CLASS (2014) B1A4 Live Tour 2014 LISTEN TO THE B1A4 (2014) 월드 투어 2014 B1A4 Road Trip - READY? (2014) B1A4 ADVENTURE 2015 (2015) 리얼리티텔레비전 매치 업 (2011) 셀카 다이어리 (2012) 깨알플레이어 (2012) 헬로 베이비 (2012) 예능 체력장 (2013) 어느 멋진 날 (2014) GO! B1A4 (2014) 인터넷 BABA B1A4 (2011-2013) B1A4 Road Trip - READY? Behind Clip (2014) BABA B1A4 2 (2015) 참고 문서 진영이 작사 작곡한 노래 신우가 작사 작곡한 노래 바로가 작사 작곡한 노래 WM 엔터테인먼트 오마이걸 이원민 공식색:파스텔 애플라임 팬클럽:바나(BANA) 음반 목록 기타 활동 목록 vdehWM 엔터테인먼트경영진창립자 이원민 대표이사 김진미 소속 가수 B1A4 신우 산들 공찬 오마이걸 효정 미미 유아 승희 지호 비니 아린 온앤오프 효진 이션 제이어스 와이엇 유 라운 MK 과거 소속 가수 태군 H-유진 안진경 진이 진영 바로 아이 연습생 지수연 김연수 신혜진 이승현 이채연 조영인 관련 문서 W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d271ec97-748d-4da1-b2fc-1ed72985a98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들&oldid=24184843"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B1A4의 일원2011년 데뷔아이돌 가수K-pop 가수2010년대 가수한국어 가수WM 엔터테인먼트 소속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부산광역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명지대학교 동문동아고등학교 동문하남중학교 (부산) 동문신남초등학교 (부산) 동문부산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부산광역시 출신 가수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앤드류 가필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류 가필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앤드루 가필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앤드류 가필드Andrew Garfield 2013년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에서 가필드본명 앤드루 러셀 가필드Andrew Russell Garfield[1]출생 1983년 8월 20일(1983-08-20) (35세)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국적 미국,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4년 ~ 현재 앤드류 러셀 가필드(영어: Andrew Russell Garfield 앤드루 러셀 가필드[*], 1983년 8월 20일 ~ )는 미국과 영국의 국적을 가진 배우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영국 서리주에서 자랐다. 영국 연극 무대와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하면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으며, 2007년 드라마 영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면서 영화 데뷔를 했다. 2010년 《소셜 네트워크》에서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연기해 주목을 받았고, 비평가들에 찬사를 받아 골든 글로브상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 후보 지명되었다. 이후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에서 주연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해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다시 한 번 스파이더맨 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는 또한 2012년 브로드웨이에서 공연 된 아서 밀러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한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연기해, 이 작품은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에 후보 지명 되었다. 2014년에 그는 스릴러 드라마 《99 홈즈》에서 공동 제작과 주연을 맡았다. 2016년 가필드는 마틴 스코세이지의 《사일런스》와 멜 깁슨의 《핵소 고지》 등 두 작품에서 비평적으로 유명한 시대극 드라마에 출연했다. 그는 데즈먼드 도스 역의 연기로 호평을 받아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로브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및 미국 배우 조합상에 후보 지명되었다. 목차 1 성장 과정 2 경력 2.1 초기 경력 2.2 2010-2011: 초기 경력 2.3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 3 사생활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연극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7 외부 링크 성장 과정[편집] 1983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린(결혼 전 성 힐먼)은 잉글랜드 에식스주 출신이며,[1][2] 아버지 리처드 가필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출신이다.[3][4] 친조부모는 영국 출신이다.[5] 가필드가 3살때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서 영국으로 이주했고, 서리 주 엡솜에서 중산으로 살았다.[3][6][7] 가필드의 아버지 집안은 유대계 집안으로, 가필드 또한 유대계라고 스스로 말했다.[8] 친조부모 집안은 동유럽 (폴란드, 러시아, 루마니아)에서 런던으로 이주했다. 친조부모를 따라 성을 가핑클(Garfinkel)에서 가필드(Garfield)로 바꿨다.[5] 가필드의 부모는 작은 인테리어 디자인 사업을 경영했다. 그 당시 어머니는 유아원 보조 교사였고, 아버지는 길퍼드 수영 클럽의 헤드 코치가 되었다.[9][10] 형제자매로는 의사인 형이 있다.[11] 가필드는 어린 시절 체조 선수이자 수영 선수였다.[4][9] 원래 경업 공부를 할 생각이였지만, 16살때 연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2] 밴스티드에 있는 프라이어리 사립 초등학교를 다니다가 인근 애스티드의 시티오브런던프리먼 학교로 전학했다. 이후 런던 대학교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를 다니다 2004년 졸업했다.[9][13]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프리미어의 가필드 (2009년) 가필드는 길퍼드에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12살이 되자, 청소년 극장에서 연극 《벅시 말론》의 한 역할을 맡아 연기했다.[11] 가필드는 또한 엡솜의 작은 청소년 연극 워크숍 그룹에 참여하고, 주로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4년, 맨체스터의 로열 익스체인지 극장의 맨체스터 이브닝 뉴스 연극상에서 최고의 신인 부문에서 상을 탔으며, 2006년에도 이브닝 스탠더드 연극상에서 뛰어난 신인상을 수상하였다.[7] 가필드는 2005년 채널 4의 드라마 《슈가 러시》에 출연하여 영국에서 텔레비전 데뷔하였다.[7] 2007년에는 《닥터 후》 시즌 3의 "맨해튼의 달렉"과 "달렉의 진화" 에피소드에 출연하였다. 가필드는 《닥터 후》에 출연한 것을 "영광"이라고 하였다.[14] 2007년 10월, 〈버라이어티〉의 "주목하는 배우 10"에 선정되었다.[15] 2007년 11월에는 《로스트 라이언즈》에 출연하여 미국 데뷔이자 첫 장편 영화 데뷔를 하였다. 가필드는 토드 역을 맡았으며, 톰 크루즈, 메릴 스트리프, 로버트 레드퍼드 등과 함께 출연하였다.[15][16] 채널 4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영화로 첫 주연작인 《보이 A》는 2007년 11월에 공개되었다. 교도소에서의 복역을 마친 소년 잭을 연기하였다.[17] 이 영화로 가필드는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8][19] 〈휴스턴 크로니클〉의 에이미 비안콜리는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세심함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라고 하였다.[17] 〈스타 트리뷴〉의 크리스티 디스미스는 "상세한 표현"을 그 예로 들며 반콜리의 의견에 의견에 동감하였다.[20]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경이적"이라고 하였으며, "그는 수많은 다양한, 잭의 인격 파편 조각을 위한 공간을 만들었다"고 하였다.[21] 2008년 가필드는 《천일의 스캔들》에서 작은 역할을 맡았고,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떠오르는 스타로 지명되었다.[15] 2009년, 테리 길리엄 감독의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에 출연하였으며,[16] 발렌티나를 토니로부터 되찾으려는 안톤 역을 맡았다.[22] 또, 드라마 삼부작인 《레드 라이딩》에 출연했다.[8][23]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케네스 터런은 《레드 라이딩》에서 가필드가 두드러졌다고 하였다.[23] 2010-2011: 초기 경력[편집] 샌디에이고 코믹콘 인터내셔널의 가필드 (2011년) 2010년 가필드는 스파이크 존즈가 감독한 단편 영화 《아임 히어》에 출연하였으며,[24] 시에나 길로리와 같이 연기한 이 단편 영화는 선댄스 영화제에 초청되었다.[25] 같은 해, 가필드는 가즈오 이시구로의 2005년 소설 《나를 보내지마》를 원작으로 한 마크 로마넥 감독 SF 디스토피아 영화 《네버 렛 미 고》에 캐리 멀리건, 키이라 나이틀리와 함께 연기하였다.[26]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역할 토미에 대해 "이 아이들을 통해 흐르는 불안감이 있다. 특히 토미한테서. 너무 감각적이고 감정적이면서 동물적이니까. 이것이 토미에 대한 내 관점이다"라고 하였다.[27] 가필드는 작품에서 던지는 실존적 질문에 관심을 보였다.[27]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의 일부가 되는 것에 대해 "꿈은 이루어진다"고 일컬었다.[28] 가필드는 이 영화로 새턴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29] 〈클리블랜드 매거진〉의 클린트 오코너는 이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굉장히 고뇌에 찬 연기"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30] 〈USA 투데이〉는 멀리건과 나이틀리와 비교하면서 가필드를 "진짜의 발견"이라고 평했다.[31] 영화에서 보여준 가필드의 연기력 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평도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였으나,[32]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같은 해, 가필드는 제시 아이젠버그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 출연하였다. 페이스북의 창업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가필드는 에드와도 새버린 역을 맡았다. 가필드는 자신이 맡은 새버린에 대해 "물론, 그가 이 지구 어딘가에서 숨쉬는, 실제 인물이라는 사실은 제 접근법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창조해 주었어요. 왜냐하면 당신은 아주 큰 책임감을 느낄 테니까요."라고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의 감독 데이비드 핀처는《네버 렛 미 고》의 감독인 마크 로마넥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가필드를 만났고, 마크 저커버그를 연기하게 하였다. 핀처는 가필드에 대해 "믿을 수 없는 감정 이입"이라며 새버린 역을 맡게 하였다.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 남우조연상과 떠오르는 스타상, 골든 글로브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33][34] BBC의 마크 커모드는 가필드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소셜 네트워크에서 그가 매우 잘한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하였다.[35] 〈월스트리트 저널〉의 조 모건스턴은 "아주 미묘하면서 슬픈 듯한 매력"으로 묘사되었다고 말했다.[36] 〈롤링 스톤〉은 "가필드를 주목해라. 그는 엄청나게 충격적으로 좋다."라고 하였다.[37] 이렇듯, 가필드의 연기력에 대해 여러 매체들은 절찬을 하였다.[38][39][40] 영화 자체도 매우 좋은 평을 받았으며, 로튼토마토에서는 96%를 받았다.[41] 흥행에서도 성공하였다.[42] 2012년-현재: 어메이징 스파이더맨과 커리어 성공[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가필드 (2014년) 2012년, 가필드는 《스파이더맨 영화 시리즈》의 리부트 작품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주인공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역으로 출연했다. 마크 웨브가 감독한 것으로, 엠마 스톤이 연기한 그웬 스테이시에게 사랑에 빠지는 역할이다.[43][44][45] 가필드는 스파이더맨에 캐스팅된 것에 대해 "여러가지 면에서 엄청난 도전"으로 보았으며, "진짜 같이" "또 다른 방식으로, 마치 살아 숨쉬는 듯"한 캐릭터를 만들어내야 했다.[46] 가필드는 배역을 위해 운동 선수와 거미의 움직임을 공부하였고 둘을 결합하려고 노력했다.[47][48] 가능한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요가와 필라테스를 하였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의 인생 경험을 끌어내었다[49][50] 가필드는 눈물을 흘린 것을 인정하며, "수트를 입은 채로 더 잘 연기하는 배우"가 되는 것을 상상하며 처음으로 스파이더맨 의상을 입었다고 한다.[51] 촬영하면서 4개월간 훈련을 받고,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는 것에 대해 도전적이고 힘들었다고 한다.[52] 〈엘르〉와의 인터뷰에서 가필드는 "필요 이상으로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것 같다. 그게 긍정적인 자극을 줄 거라고 생각했거든. 뭔가를 들이받을 때 에너지가 생긴다. 마찰이 있어야 불씨가 생겨서 결국 불이 나듯이 자신과의 충돌을 통해서 연기적인 에너지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어떤 의미에선 매일이 도전 같았다. 그만큼 훌륭한 동료 배우들과 감독, 스태프들과 함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스파이더맨을 중심에 두고 모든 스태프들이 손을 맞잡고 있는 것 같았다. 그래서 그 중심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는 거다. 최고의 이야기를 뽑아내고자 애를 쓰는 거지" 라고 말했다.[53] 또, 가필드는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옷을 입는 게 꿈이었다. 놀이터에 가는 기분으로 촬영에 임했다."라고 말했다.[54] 영화는 2012년 7월에 공개되었다. 전세계적으로 752,216,557 달러의 흥행 수입을 냈으며, 2012년에 개봉한 영화 중 일곱번째로 좋은 흥행 성적을 올렸으며,[55] 리부트한 영화 중 전세계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올렸다. 영화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으며,[56] 가필드의 연기는 매우 좋은 평을 받았다.[57][58] 〈가디언〉의 피터 브래드쇼는 가필드의 연기에 대해 "완벽한 스파이더맨"이라고 하였으며,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완벽한 연기라고 하였다.[59][60] 2012년 3월, 가필드는 브로드웨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에서 비프 로먼 역을 맡으며 브로드웨이에도 데뷔하였다.[61] 가필드는 이 작품으로 토니상 연극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62] 2014년 4월에 공개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의 속편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에서도 같은 역을 맡았다.[63][64][65] 같은 해, 5월 3일에는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를 진행하였다.[66][67] 2014년 공개 된 드라마 영화 《99 홈스》에서는 주연뿐만 아니라 제작에도 참여하였다.[68] 2015년 2월, 소니와 마블 스튜디오는 스파이더 맨 역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발표 되었다. 이로 인해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의 후편을 폐기하고 프랜차이즈를 폐쇄 하였다. 스파이더 맨의 역할은 톰 홀랜드로 교체 되었다.[69] 그는 또한 엔도 슈사쿠의 1966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사일런스》에서는 로드리게스 신부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2014년부터 제작이 시작되어 영화는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듣고 사라진 스승을 찾아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 로드리게스 신부의 이야기를 다룬다.[70][71] 2014년 11월, 가필드는 의 전쟁 영화 《핵소 리지》에서 데스몬드 도스 역을 연기했다. 영화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오키나와 전투에서 무기 하나 없이 맨몸으로 홀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그 공로를 인정 받아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다루며, 멜 깁슨이 감독을 맡아 가필드는 빈스 본과 샘 워싱턴 등과 공연했다.[72][73] 2016년, 가필드는 2017년 4월부터 리틀턴 극장의 런던 국립 극장에서 공연 되는 토니 커쉬너의 두 편으로 구성 된 연극 《엔젤스 인 아메리카》에서 프라이어 월터 역에 캐스팅 된것이 발표 되었다. 이 작품은 마리안느 엘리엇이 연출을 맡아 러셀 토비와 데니스 고프와 공연한다.[74][75] 사생활[편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시드니 프리미어에서의 스톤과 여자 친구 엠마 스톤 (2014년) 가필드는 미국과 영국 국적을 보유하고 있다.[76] 〈선데이 헤럴드〉와의 2009년 인터뷰에서 "두 곳 다 고향으로 느낀다"며, "다양한 문화를 즐긴다"고 하였다.[77] 가필드는 자주 자신의 작품에 대해 인터뷰를 하지만, 사생활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는 편이다.[78] 가필드는 2008년에 섀넌 우드워드와 교제하였으나, 2011년 헤어졌다.[79] 2011년 중순부터 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출연을 계기로 만난 엠마 스톤과 실제로도 연인 사이로 발전하였다.[80][81][81][82] 2015년에 그들은 결별한 것으로 언론매체에 보도 되었다.[83][84] 2011년, 가필드는 세계 고아 재단 (Worldwide Orphans Foundation)의 스포츠 홍보대사가 되었다.[85] 2013년, 동성 결혼의 합법화를 지지하였다. 2006년 남자 동성 결혼에 관한 연극 《Beautiful Thing》에 출연한 것을 반영하며, "평등은 논쟁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떻게 동정심과 이해심을 두고 논쟁을 벌일 수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86]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맘보 점보Mumbo Jumbo 시모 단편 영화 2007 로스트 라이언즈Lions for Lambs 토드 헤이스 2008 천일의 스캔들The Other Boleyn Girl 프랜시스 웨스턴 2009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The Imaginarium of Doctor Parnassus 안톤 에어Air 톰 단편 영화 2010 아임 히어I'm Here 셸던 단편 영화 네버 렛 미 고Never Let Me Go 토미 D. 소셜 네트워크The Social Network 에드와도 새버린 2012 어메이징 스파이더맨The Amazing Spider-Man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2014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The Amazing Spider-Man 2 스파이더맨 / 피터 파커 라스트 홈99 Homes 데니스 내시 프로듀서로도 참여 2016 사일런스Silence 로드리게스 신부 핵소 고지Hacksaw Ridge 데즈먼드 T. 도스 2017 달링Breathe 로빈 캐번디시 2018 은빛 호숫가 아래서Under the Silver Lake 샘 후반 작업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5 스윙잉Swinging 여러 역할 에피소드: "1.1" 슈가 러시Sugar Rush 톰 5개 에피소드 2006 Simon Schama's Power of Art: Caravaggio 소년 에파소드: "Caravaggio" 2007 닥터 후Doctor Who 프랭크 2개 에피소드, 에피소드: "Daleks in Manhattan" & "Evolution of the Daleks" 프리징Freezing 킷 에피소드: "1.1" Trial & Retribution XI: Closure 마틴 더글러스 에피소드: "Closure: Part 1" 보이 ABoy A 잭 버리지 / 에릭 윌슨 TV 영화 2009 레드 라이딩Red Riding 에디 던퍼드 3개 에피소드 2011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에피소드: "Emma Stone/Coldplay" 2014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aturday Night Live 자신 (호스트) 에피소드: "Andrew Garfield/Coldplay" 연극[편집] 연도 연극 역할 장소 2004 머시Mercy 데시 소호 극장 케스Kes 빌리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5 라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 여러 역할 사운드 극장 로미오와 줄리엣Romeo & Juliet 로미오 몬태규 맨체스터 로열 익스체인지 2006 뷰티풀 팅Beautiful Thing 제이미 사운드 극장 번 / 챗룸 / 시티즌쉽 Burn / Chatroom / Citizenship 버드먼 / 짐 / 스티븐 영국 국립극장 더 오버워밍 The Overwhelming 제프리 영국 투어 2012 세일즈맨의 죽음Death of a Salesman 비프 로먼 브로드웨이 리바이벌 2017 앤젤스 인 아메리카Angels in America 프라이어 월터 로열 내셔널 시어터 수상 및 후보[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앤드류 가필드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각주[편집] ↑ 가 나 “The Birth of Andrew Garfield”. 《California Birth Index》 (영어). 2014년 3월 31일에 확인함.  ↑ Mark Kernes (2012년 6월 27일). “Andrew 'Spider-Man' Garfield Watched Vivid Parody for Inspiration”. 《AVN》 (영어).  ↑ 가 나 Mark Shenton (2006년 5월 15일). “Andrew Garfield” (영어). Broadway.com. 2008년 2월 7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Miles Fielder (2007년 11월 1일). “Andrew Garfield” (영어). The List. 2007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Nate Bloom (2012년 6월 26일). “Interfaith Celebrities: Films Spider-Man & Lola Versus”. 《InterfaithFamily.com》 (영어).  ↑ John Hiscock (2010년 9월 26일). “A child's dream come true: Andrew Garfield”.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 가 나 다 제인 그레이엄 (2010년 10월 7일). “Andrew Garfield: our No 1 hottest young British movie talent” (영어). 가디언 미디어 그룹. 2010년 10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롭 카너발레이. “Lions For Lambs – Andrew Garfield interview” (영어). IndieLondon. 2007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Anita Singh (2010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as Spider-Man: who is he?”. London: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s Parents on How Their Son Is Handling Spider-Man Fame” (영어). 액세스 할리우드. NBC유니버설. 2012년 6월 29일.  ↑ 가 나 Isabel Albiston (2007년 10월 27일). “Andrew Garfield: ready for take-off”. 런던: 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07년 11월 8일에 확인함.  ↑ “Emma & Andrew's Amazing Adventure” (영어). USA 위켄드 (개닛). 2012년 6월 21일. 2013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21일에 확인함.  ↑ “Priory Preparatory school in Banstead celebrates 90 years”. yourlocalguardian.co.uk. 2012년 6월 21일. 2013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12일에 확인함.  ↑ Morgan Jeffery (2012-6-26)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honoured to be part of Doctor Who'.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2-8-6 ↑ 가 나 다 캐런 아이델슨 (2007년 11월 12일). “Andrew Garfield: 'Lions' actor certainly not a lamb anymore”. 《버라이어티》.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박정민 (2009년 5월 24일). “알고 보면 더 재밌다”.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에이미 비안콜리 (2008년 9월 12일). “Boy A” (영어). 휴스턴 크로니클 (Hearst Communications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Spider-Man comes to London".데일리 텔레그래프.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Retrieved 2012-6-19 ↑ 정한석 (2010년 11월 11일). “부드러움 뒤에 강인함”. 씨네21.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크리스티 디스미스 (2008년 9월 5일). “'Boy A' explores secrets, forgiveness” (영어). 스타 트리뷴 (스타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Joe Morgenstern (2008년 7월 25일). “Powerful 'Boy A' Is Top-Grade Tale of a Life on Edge”. 월스트리트 저널 (다우 존스 & 컴퍼니). 2012년 8월 6일에 확인함.  ↑ 이대현 (2011년 10월 22일). “KBS1 TV 명화극장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 23일 0시 55분”. 매일신문.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케네스 튜런 (2010년 9월 15일). “Movie review: 'Never Let Me Go'”.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퍼블리싱).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I'm Here, Written and Directed by Spike Jonze - Released Today on imheremovie.com - Boston Business Journal” (영어). Boston.bizjournals.com. 2010년 3월 1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김은주 (2010년 7월 2일). “新 '스파이더맨' 앤드류 가필드, 누구?”.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태상준 (2011년 4월 8일). “태상준 기자의 CINEMASCOPE - '네버 렛 미 고'”. 아시아경제.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커샌드라 슈클라르스키 (2010년 9월 11일). “Carey Mulligan couldn't bear anyone else starring in 'Never Let Me Go'”. 《위니펙 프리 프레스》. 캐나디언 프레스.  ↑ Charlie McCollum (2010년 9월 29일). “Andrew Garfield: Actor on the verge of stardom”. 《새너제이 머큐리 뉴스》. 미디어뉴스 그룹.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Inception' tops Saturn Awards noms”. 《버라이어티》 (Reed ElsevierInc). 2011년 2월 23일. 2011년 2월 23일에 확인함.  ↑ 클린트 오코너 (2010년 9월 11일). “'Never Let Me Go': full out weeper with Carey Mulligan and Andrew Garfield at TIFF”. 《클리블랜드 매거진》 (영어). Cleveland Magazine Inc. 2013년 1월 28일에 확인함.  ↑ 스콧 볼스 (2010년 9월 14일). “'Never Let Me Go': Never was a movie so bleak and empty”. 《USA 투데이》 (Gannett Co.Inc.).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Firth film leads Golden Globe nods”. 프레스 어소시에이션. 2010년 12월 14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Andrew Garfield: From unknown to ‘Boy A’”. MSNBC. NBC유니버설. 2008년 8월 1일.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rk Kermode (2011-2-4) "What Oscar Got Wrong Again". BBC 뉴스. BBC. 2012-8-8 ↑ 조 모건스턴 (2010년 10월 1일). “Social Network: Password Is Perfection”. 《월스트리트 저널》. 2013년 2월 2일에 확인함.  ↑ 피터 트래버스 (2010년 9월 30일). “The Social Network”. 롤링 스톤.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케네스 튜런 (2010년 10월 1일). “Movie review: 'The Social Network'”.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Owen Gleiberman (2010년 10월 29일). “The Social Network (2010)”.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앤서니 레인 (2012년 7월 9일). “TANGLED WEBS”. 더 뉴요커 (콩데 나스트).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로튼토마토 ↑ “The Social Network (2010)”. 《박스오피스 모조》 (영어). IMDb. 2011년 8월 19일에 확인함.  ↑ “It's Official! Andrew Garfield to Play Spider-Man!”. 《ComingSoon.net》 (영어). CraveOnline. 2010년 7월 1일. 2010년 7월 3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일에 확인함.  ↑ “British actor Andrew Garfield cast as new Spider-Man”. BBC 뉴스 (BBC). 2010년 7월 2일. 2010년 7월 5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데이브 이초프 (2010년 7월 2일). “New ‘Spider-Man’ Finds Its New Spider-Man”.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2010년 7월 6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마크 시나 (2011년 3월 1일). “BAFTA Rising Star Andrew Garfield: 'I Hope I Never Blow Up'”.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3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uary 2011-1-11에 확인함.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access-date= (도움말) ↑ Jeff Boucher (2011년 8월 26일).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on fame: 'It terrifies me'”.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Disappearing into Spidey's Suit” (영어). NPR. 2012년 6월 1일. 2012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그랜트 롤링 (2011년 3월 1일). “Andrew Garfield: Playing Spider-Man is a dream”. 《더 선》 (영국).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Jenalyn Villemarin (2011년 12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s Andrew Garfield Shows Off Bulging Biceps”. 《인터내셔널 비지니스 타임스》. 2012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expounds on Spider-Man production” (영어). Crave Online. 2010년 12월 29일. 2013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로런 슈티 (2012년 1월 19일). “New 'Amazing Spider-Man' Details Revealed: The Kiss, Stunts And What to Expect From the Reboot”. 《할리우드 리포터》 (프로메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22일). “앤드류 가필드, 다시 난다”. 엘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신상민 (2012년 6월 14일). “앤드류 가필드 “3살 때부터 스파이더맨 되는 게 꿈””. 맥스무비.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2012 Worldwide gross” (영어). Box Office Mojo. 2013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영어). 로튼토마토. 2013년 3월 23일에 확인함.  ↑ “'The Amazing Spider-Man': The Early Reviews Are In!” (영어). MTV 뉴스. (바이어컴).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Rosen, Christopher (2012년 3월 7일). “Amazing Spider-Man' Reviews: Critics Weigh In On Andrew Garfield's New Film”.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Inc.).  ↑ Peter Bradshaw (2011-7-5) "The Amazing Spider-Man – review". 가디언. (Guardian Media Group). Retrieved 2012-8-9 ↑ 피터 트래버스 (2012년 6월 29일). “The Amazing Spider-Man”. 롤링 스톤 (Jann Wenner). 2012년 8월 4일에 확인함.  ↑ “Death of a Salesman, Starring Philip Seymour Hoffman and Andrew Garfield, Opens on Broadway” (영어). Broadway.com (Broadway.com, Inc.). 2012년 3월 15일.  ↑ David Rooney (2012년 5월 10일). “His Own Network of Tortured Souls”.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 컴퍼니).  ↑ Rosen, Christopher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 Marc Webb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2'”. 《The Huffington Post》 (AOL). 2013년 1월 7일에 확인함.  ↑ Siegel, Tatiana (2012년 9월 28일). “Andrew Garfield and Director Marc Webb to Return for 'Amazing Spider-Man' Sequel”. 《할리우드 리포터》. 2013년 2월 7일에 확인함.  ↑ Loinaz, Alexis (2012년 11월 13일). “Amazing Spider-Man 2: Andrew Garfield Talks Redesigned Costume, Exploring Spidey's "Double Life"” (영어). E! Online (NBCUniversal). 2013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8일에 확인함.  ↑ Aaron Couch (2014년 4월 12일). “Andrew Garfield, Coldplay Headed to 'Saturday Night Live'”.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4월 12일에 확인함.  ↑ “엠마스톤, 연인 앤드류 가필드와 생방송서 뜨거운 키스…눈길”. MBN. 2014년 5월 6일.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Kit, Borys (2013년 7월 24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Indie Drama '99 Homes'”. 《할리우드 리포터》. 2014년 1월 11일에 확인함.  ↑ Couto, Anthony (2015년 2월 10일). “Sinister Six Delayed at Sony, Spider-Man to Appear in Captain America: Civil War - IGN”. Uk.ign.com. 2015년 6월 5일에 확인함.  ↑ Scott Fundas (2013년 5월 7일). “Andrew Garfield to Star in Martin Scorsese's 'Silence' (EXCLUSIVE)”. 《버라이어티》. 2013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소담 (2014년 2월 14일). “마틴 스콜세지 신작 ‘침묵’ 日원작 불구 대만서 촬영 ‘왜?’”.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Ali Jaafar. “Mel Gibson On ‘Hacksaw Ridge’: Star Circling To Direct Andrew Garfield In Movie - Deadline”. 《Deadline.com》.  ↑ Mike Fleming Jr. “Vince Vaughn to Star in Mel Gibson-Directed ‘Hacksaw Ridge’ - Deadline”. 《Deadline.com》.  ↑ “Coming up at the NT: 2016 and Beyond”. 《National Theatre blog》. 2016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Russell Tovey & Olivier Winner Denise Gough Join Andrew Garfield for National Theatre's Angels in America”. 《Broadway.com》. 2016년 4월 9일에 확인함.  ↑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Who cast this English fool? ... Tobey Maguire is genius’”.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트리뷴 컴퍼니). 2012년 6월 19일에 확인함.  ↑ 브라이언 도널드슨 (2009년 2월 15일). “Rising Star”. 《선데이 헤럴드》 (뉴스퀘스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도나 프리드킨 (2012년 7월 2일). “Andrew Garfield, Emma Stone 'Amazing' together”. USA 투데이 (개닛 컴퍼니). 2012년 8월 7일에 확인함.  ↑ “British Spider-Man star Andrew Garfield splits from girlfriend Shannon Woodward after three year romance”. 《데일리 메일》 (런던). 2011년 5월 27일.  ↑ “This Week's Cover: 'The Amazing Spider-Man' heads up your Summer Must List” (영어).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Time Inc. 2012년 5월 23일. 2012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onfirmed! Emma Stone to Play Gwen Stacy in Spider-Man!” (영어). SuperheroHype.com (CraveOnline). 2010년 10월 5일. 2010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0월 5일에 확인함.  ↑ 배재련 (2014년 4월 15일). “앤드류 가필드, 엠마 스톤 ‘스파이더맨 커플’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뉴스엔미디어. 2014년 5월 13일에 확인함.  ↑ “Emma Stone and Andrew Garfield Have Reportedly Split For Good”. 《Vanity Fair》. 2015년 10월 27일.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Saad, Nardine (2015년 10월 28일). “Emma Stone, Andrew Garfield split 'a couple of months ago,' reports say”. 《Los Angeles Times》. 2016년 2월 20일에 확인함.  ↑ “Andrew Garfield talks about WWO with InStyle Magazine”. 《Those British Boys》 (영어). 2013년 2월 13일. 2014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저스틴 하프 (2013년 4월 17일). “Andrew Garfield backs gay marriage: 'Of course I support it'”. 《디지털 스파이》 (허스트 코퍼레이션). 2013년 4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앤드류 가필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앤드류 가필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 액션 영화 대니얼 크레이그 (2012) 마크 월버그 (2013) 브래들리 쿠퍼 (2014) 톰 하디 (2015) 앤드류 가필드 (2016)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1374636 LCCN: no2008178694 ISNI: 0000 0001 1876 8702 GND: 139448721 SUDOC: 139134034 BNF: cb16186364b (데이터) NKC: xx0144275 BNE: XX5063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앤드류_가필드&oldid=24513548"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남자 연극 배우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미국의 남자 모델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모델로스앤젤레스 출신 배우서리주 출신폴란드계 미국인폴란드계 잉글랜드인러시아계 미국인러시아계 잉글랜드인루마니아계 미국인루마니아계 잉글랜드인미국계 잉글랜드인잉글랜드계 미국인유대계 미국인유대계 잉글랜드인유대인 배우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새턴상 수상자숨은 분류: 중복된 인수를 사용한 틀의 호출을 포함한 문서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অসমীয়া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ҚазақшаKurdîKernowek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atviešuमैथिलीBasa Banyumasan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Dorerin Naoero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ranantongo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1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01′ 46″ 동경 129° 19′ 14″ / 북위 36.0293804° 동경 129.3206797°  / 36.0293804; 129.3206797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浦項製鐵芝谷初等學校Pohang Jecheol Jigok Elementary School 교훈 큰 꿈(자주인), 새 생각(창의인), 참된 행동(도덕인) 개교 1998년 3월 1일 설립형태 사립 교장 김헌수 교감 조한철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295 학생 수 962 명(2014년 4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62 명(2014년 4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소나무 / 교화: 들국화 학교법인 포스코교육재단 관할관청 경상북도포항교육지원청 웹사이트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홈페이지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浦項製鐵芝谷初等學校)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96.12.03.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가칭) 시설 사업 시행 계획 승인 및 건축 승인 1996.12.30.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부지조성(착공부지 9,834평, 건축면적 2,951평) 1997.09.01. 개교추진반 편성 운영 (반장 장칠관 외 7명) 1997.10.06.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설립 인가-6학년과정 36학급,정원 1440명 1998.02.01. 초대 이강화 교장 취임 1998.03.01.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개교 (36학급편성) 1998.04.07.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개교 및 준공식 1999.02.18. 제1회 졸업식 (남 135명, 여 105명. 계 240명) 1999.11.07. 포철교육재단 지정 인성교육 시범학교 운영 보고회 1999.11.12. 경상북도포항교육청 지정 토론문화 준거학교 운영보고회 1999.12.30. 1999학년도 학교 교육계획 추진 최우수학교 표창 - 교육부장관 2000.02.17. 제2회 졸업식(남 135명, 여 105명. 계 240명) 2000.03.02. 특수학급 1학급 증설(남 9명, 여 1명. 계 10명) 2001.09.01. 제2대 김진원 교장 취임 2001.12.10. 초등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단체부문 1위 2002.02.07. 기본 바로 세우기 실천 우수사례 공모대회 - 학교단체부문 대통령상 수상 2003.02.10. 포스코교육재단 지정 창의수업공개 보고회 2003.08.09~13 국악부·음악줄넘기부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공연 2003.09.20~10.02 한·미 교환학습단(미국 인디애나주 Upland 초등학교) 방문-자매결연 2004.02.07. 제2회 아시아 줄넘기 선수권 대회 우승(태국 방콕 : 15개 종목 중 12개 종목 금메달) 2004.02.18. 제6회 졸업식(남 116명, 여 108명. 계 224명) 2005.03.01. 제3대 김칠룡 교장 취임 2005.12.08. 제7회 졸업식(남 115명, 여 109명. 계 224명) 2006.10.18. 꿈나루 도서관 개관 (리모델링) 2006.11.25. 경북교육청 지정 수학영재반 조직 2006.12.13. 창의성교육 시범운영 전국규모 워크숍 2006.12.27. 제12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연속 12회 최우수학교상 2007.05.12. 동리목월 동요경연 ‘대상’ 2007.10.27. 제9회 전국 줄넘기선수권 단체상 2008.12.08. 제4대 김영종 교장 취임 2008.12.16. 제16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연속 16회 최우수학교상 2008.12.16. 세계줄넘기선수권대회(남아프리카공화국)단체전 종합 우승 2009.12.08. 제2회 한ㆍ미 국제수학챔피언십 최우수 단체상 2009.12.16.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100대 교육과정 우수교 2010.09.01. 5대 신동구 교장 취임 2010.11.23. 제20회 전국 영어ㆍ수학학력경시대회 20회 연속 최우수학교상 2010.12.20. 2010 edutop 2년 연속 우수교 선정 2011.10.26. 2011 대한민국좋은학교박람회 최우수교 (교육부) 2012.02.02. 학교폭력예방 우수교 (청와대초청) 2012.05.23. 제5회 APEC 교육장관 방문 학교 공개 2012.12.27. 경북 EdutTop공모전('09행복 '10감동 '12보람 전분야 수상) 2012.12.31. 교육과학기술부선정 전국 100대 인성교육실천 최우수학교 (연속 2회) 2013.01.27. 전국 제1회 감사나눔 페스티발 우수학교 수상 2013.12.27. 우수인성교육프로그램 인증패 수상 (교육부) 2013.12.27. 2013대한민국행복학교박람회 우수교 (교육부) 2014.02.18. 제16회 졸업식 (222명 졸업) 2014.09.01. 제6대 김헌수 교장 취임 2014.09.01. SW(소프트웨어) 시범학교 운영(미래창조과학부) 2014.11.14. 대한민국 창의인성 한마당 부스운영(우수인성프로그램인증) 2014.12.24. 경상북도교육청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15.02.16. 제17회 졸업식(185명 졸업, 총3,630명) 학교 동문[편집] 분류: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경상북도의 초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경산시 경산동부초등학교 경산서부초등학교 경산압량초등학교 경산중앙초등학교 경산초등학교 계당초등학교 금락초등학교 남산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남천초등학교 다문초등학교 대동초등학교 봉황초등학교 부림초등학교 사동초등학교 삼성현초등학교 성암초등학교 옥곡초등학교 와촌초등학교 용성초등학교 임당초등학교 자인초등학교 장산초등학교 정평초등학교 진량초등학교 진성초등학교 청천초등학교 평산초등학교 하양초등학교 하양초등학교 화성분교 하주초등학교 현흥초등학교 경주시 감포초등학교 강동초등학교 건천초등학교 경주초등학교 계림초등학교 괘릉초등학교 금장초등학교 나산초등학교 나원초등학교 내남초등학교 동방초등학교 동천초등학교 모량초등학교 모아초등학교 모아초등학교 모서분교 모화초등학교 불국사초등학교 사방초등학교 산대초등학교 서라벌초등학교 석계초등학교 신라초등학교 아화초등학교 안강제일초등학교 안강초등학교 양남초등학교 양동초등학교 양북초등학교 연안초등학교 영지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용강초등학교 용황초등학교 월성초등학교 유림초등학교 의곡초등학교 의곡초등학교 일부분교 입실초등학교 천북초등학교 천포초등학교 현곡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황남초등학교 황성초등학교 흥무초등학교 고령군 개진초등학교 고령초등학교 다산초등학교 덕곡초등학교 박곡초등학교 성산초등학교 쌍림초등학교 우곡초등학교 운수초등학교 구미시 고아초등학교 광평초등학교 구미문성초등학교 구미봉곡초등학교 구미사곡초등학교 구미신평초등학교 구미오산초등학교 구미왕산초등학교 구미인덕초등학교 구미초등학교 구운초등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 구평초등학교 금오초등학교 남계초등학교 덕촌초등학교 도개초등학교 도량초등학교 도봉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무을초등학교 문장초등학교 비산초등학교 산동초등학교 상모초등학교 선산초등학교 선주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야은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오태초등학교 옥계동부초등학교 옥계초등학교 옥성초등학교 원남초등학교 원호초등학교 인동초등학교 인의초등학교 장천초등학교 정수초등학교 지산초등학교 진평초등학교 천생초등학교 해마루초등학교 해평초등학교 형곡초등학교 형남초등학교 형일초등학교 황상초등학교 군위군 고매초등학교 군위초등학교 부계초등학교 송원초등학교 우보초등학교 의흥초등학교 의흥초등학교 석산분교 효령초등학교 김천시 감천초등학교 개령서부초등학교 개령초등학교 구성초등학교 금릉초등학교 김천다수초등학교 김천동부초등학교 김천동신초등학교 김천모암초등학교 김천부곡초등학교 김천서부초등학교 김천신일초등학교 김천중앙초등학교 김천초등학교 농소초등학교 대덕초등학교 대룡초등학교 봉계초등학교 봉계초등학교 태화분교 아천초등학교 아천초등학교 능치분교 아포초등학교 운곡초등학교 위량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 조마초등학교 증산초등학교 지례초등학교 지례초등학교 부항분교 직지초등학교 문경시 가은초등학교 가은초등학교 희양분교 농암초등학교 농암초등학교 청화분교 당포초등학교 동로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모전초등학교 문경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 산북초등학교 창구분교 산양초등학교 신기초등학교 영순초등학교 용흥초등학교 점촌북초등학교 점촌중앙초등학교 점촌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호서남초등학교 봉화군 내성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 명호초등학교 물야초등학교 법전중앙초등학교 봉성초등학교 봉화초등학교 상운초등학교 서벽초등학교 석포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 두음분교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 소천초등학교 임기분교 재산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상주시 공검초등학교 낙동동부초등학교 낙동초등학교 낙서초등학교 모동초등학교 모서초등학교 백원초등학교 사벌초등학교 상산초등학교 상영초등학교 상주남부초등학교 상주동부초등학교 상주중앙초등학교 상주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옥산초등학교 외남초등학교 외서초등학교 은척초등학교 은척초등학교 무릉분교 이안초등학교 중동초등학교 중모초등학교 청리초등학교 함창중앙초등학교 함창초등학교 화동초등학교 화령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용화분교 화북초등학교 입석분교 성주군 가천초등학교 대가초등학교 대동초등학교 도원초등학교 벽진초등학교 선남초등학교 성주중앙초등학교 성주초등학교 수륜초등학교 용암초등학교 월항초등학교 월항초등학교 지방분교 초전초등학교 초전초등학교 봉소분교 안동시 길안초등학교 길안초등학교 길송분교 길주초등학교 남선초등학교 남후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녹전초등학교 원천분교 대구교육대학교 안동부설초등학교 복주초등학교 북후초등학교 서선초등학교 서후초등학교 서후초등학교 대흥분교 송천초등학교 신성초등학교 안동강남초등학교 안동동부초등학교 안동서부초등학교 안동송현초등학교 안동영호초등학교 안동용상초등학교 안동초등학교 영가초등학교 영남초등학교 온혜초등학교 와룡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삼계분교 일직초등학교 임동초등학교 임하초등학교 풍북초등학교 풍산초등학교 풍천풍서초등학교 영덕군 강구초등학교 남정초등학교 병곡초등학교 영덕야성초등학교 영해초등학교 원황초등학교 지품초등학교 창수초등학교 창수초등학교 인천분교 축산항초등학교 축산항초등학교 경정분교 영양군 석보초등학교 수비초등학교 영양중앙초등학교 영양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청기분교 입암초등학교 영주시 남산초등학교 문수초등학교 봉현초등학교 부석초등학교 순흥초등학교 안정초등학교 영일초등학교 영주가흥초등학교 영주남부초등학교 영주동부초등학교 영주서부초등학교 영주중앙초등학교 영주초등학교 옥대초등학교 이산초등학교 장수초등학교 평은초등학교 풍기북부초등학교 풍기초등학교 영천시 거여초등학교 고경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단포초등학교 대창초등학교 북안초등학교 신녕초등학교 영천동부초등학교 영천중앙초등학교 영천중앙초등학교 화남분교 영천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화덕분교 임고초등학교 자천초등학교 자천초등학교 보현분교 지곡초등학교 청통초등학교 평천초등학교 포은초등학교 화산초등학교 예천군 감천초등학교 상리초등학교 예천남부초등학교 예천동부초등학교 예천초등학교 용궁초등학교 용문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은풍초등학교 지보초등학교 풍양초등학교 호명초등학교 울릉군 남양초등학교 울릉초등학교 저동초등학교 천부초등학교 천부초등학교 현포분교 울진군 기성초등학교 기성초등학교 구산분교 기성초등학교 사동분교 노음초등학교 매화초등학교 부구초등학교 부구초등학교 삼당분교 삼근초등학교 삼근초등학교 옥방분교 온정초등학교 울진남부초등학교 울진초등학교 월송초등학교 죽변초등학교 평해초등학교 후포동부초등학교 후포초등학교 의성군 가음초등학교 구천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다인초등학교 단밀초등학교 단촌초등학교 도리원초등학교 안계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안평초등학교 신평분교 옥전초등학교 의성남부초등학교 의성북부초등학교 의성초등학교 이두초등학교 점곡초등학교 춘산초등학교 청도군 각남초등학교 금천초등학교 남성현초등학교 덕산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유천초등학교 이서초등학교 청도중앙초등학교 청도초등학교 풍각초등학교 화양초등학교 청송군 도평초등학교 부남초등학교 안덕초등학교 이전초등학교 진보초등학교 청송초등학교 파천초등학교 화목초등학교 칠곡군 가산초등학교 관호초등학교 낙산초등학교 다부초등학교 대교초등학교 동명동부초등학교 동명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북삼초등학교 북삼초등학교 오평분교 석적초등학교 숭산초등학교 신동초등학교 약동초등학교 약목초등학교 왜관동부초등학교 왜관중앙초등학교 왜관초등학교 인평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 지천초등학교 학림초등학교 포항시 곡강초등학교 구룡포초등학교 구정초등학교 기계초등학교 기북초등학교 남성초등학교 달전초등학교 대도초등학교 대보초등학교 대송초등학교 대이초등학교 대잠초등학교 대해초등학교 동해초등학교 두호남부초등학교 두호초등학교 문덕초등학교 문충초등학교 상대초등학교 송라초등학교 송림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신흥초등학교 양서초등학교 양포초등학교 양학초등학교 연일초등학교 연일형산초등학교 오천초등학교 용흥초등학교 월포초등학교 유강초등학교 이동초등학교 인덕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 장기초등학교 모포분교 장량초등학교 장성초등학교 죽도초등학교 죽장초등학교 죽장초등학교 상옥분교 죽천초등학교 창포초등학교 청림초등학교 청하초등학교 초곡초등학교 포항남부초등학교 포항대흥초등학교 포항동부초등학교 포항송곡초등학교 포항송도초등학교 포항양덕초등학교 포항영흥초등학교 포항원동초등학교 포항장원초등학교 포항장흥초등학교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포항중앙초등학교 포항초등학교 포항항도초등학교 포항해맞이초등학교 학천초등학교 항구초등학교 효자초등학교 흥해남산초등학교 흥해서부초등학교 흥해초등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사립 초등학교서울 경기초등학교 경복초등학교 경희초등학교 계성초등학교 광운초등학교 금성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북초등학교 동산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상명초등학교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서울삼육초등학교 선일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 숭의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영훈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우촌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유석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추계초등학교 충암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한신초등학교 한양초등학교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부산 남성초등학교 동래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부산삼육초등학교 부산알로이시오초등학교 혜화초등학교 대구 계성초등학교 대구삼육초등학교 영신초등학교 효성초등학교 인천 영화초등학교 인성초등학교 인천동명초등학교 인천박문초등학교 한일초등학교 광주 광주삼육초등학교 광주송원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대전 대전성모초등학교 대전삼육초등학교 경기 소화초등학교 심석초등학교 중앙기독초등학교 강원 동해삼육초등학교 원주삼육초등학교 춘천삼육초등학교 충북 청주대성초등학교 충남 서해삼육초등학교 전남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초등학교 여도초등학교 경북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경남 대우초등학교 샛별초등학교 vdeh학교법인 포스코교육재단광양시 광양제철고등학교 광양제철중학교 광양제철초등학교 광양제철남초등학교 광양제철유치원 포항시 포항제철고등학교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포항제철중학교 포항제철초등학교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포항제철유치원 인천광역시 인천포스코고등학교 포스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oldid=22701594" 분류: 포스코그룹포항시의 초등학교1998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7일 (일) 16: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곤자쿠 이야기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곤자쿠 이야기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즈카본(鈴鹿本) 곤자쿠 이야기집. 가마쿠라 시대의 필사본이다.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今昔物語集, こんじゃくものがたりしゅう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은,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설화 모음집이다. 전31권. 다만 8권·18권·21권은 빠졌다. 《곤자쿠 이야기집》이라는 이름은 각 설화 모두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ハ昔)라는 첫 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데서 유래한 편의적인 이름이다. 목차 1 성립 2 내용 3 영향 4 한국어 번역 5 각주 6 외부 링크 성립[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성립 연대와 작자는 확실하지 않다. 작자가 누구인지는 아예 이야기에 적혀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성립 연대에 대해서는 11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대규모의 전란인 전9년의 역과 후3년의 역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고 있는(다만 후자의 경우는 설화 이름만 남아 있고 본문은 전하지 않는다) 것으로 보아 1120년대 이후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내용[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 구성은 천축(인도)과 진단(震旦, 중국), 그리고 본조(일본)의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에는 먼저 인과응보담 등 불교설화가 소개되어 있으며, 그 뒤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이어지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몇 가지 이야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이야기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昔)라는 첫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며, 「라는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한다」(トナム語リ傳へタルトヤ」)라는 문구로 이야기를 끝맺고 있다. 또한 유사한 내용의 이야기 두 편(내지 세 편)을 이어 소개하는 「이화일류양식」(二話一類様式)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의 원문(스즈카본鈴鹿本)은 평이하게 한자와 가나(仮名)가 섞여 쓰이는 화한혼효문(和漢混淆文)으로 작성되었고(다만 히라가나가 아니라 가타가나이다) 그 문체는 화려한 수사에 별로 집중하지 않는 한편으로 의태어를 많이 사용해서 현장에 있는 듯한 감각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소설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곤자쿠 이야기집 감상」(今昔物語鑑賞)에서 이러한 곤자쿠 이야기집의 문체를 「아름다운 눈빛」(美しいなまなましさ), 「야만으로 빛나고 있다」(野蛮に輝いている)고 평가하고 있다. 어느 지역의, 어떤 사람의 이야기인가를 필수적으로 명기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들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빈칸을 마련해 훗날의 보충을 기하는 형태로 문장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곤자쿠 이야기집》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거가 된 문헌에서 「옛날옛날에 어느 마을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고 있었습니다」라는 서두에서부터 시작되는 설화가 있고 그 인명이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는데, ○○ 국(国)에 □□라는 사람이 있었다」라는 형태로 기술되며, 후일 그 정보가 밝혀질 경우에는 즉시 가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편찬의 의도로 의식적인 누락 부분이 매우 많은 것이다. 영향[편집] 13세기에 성립된 《우지슈이 이야기》에는 곤자쿠 이야기집과 겹치는 이야기가 모두 8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에서 영감을 얻어서 작품을 구상한 근대 일본작가들도 매우 많은데, 대표적인 인물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라쇼몽》(羅生門)과 《코》(鼻)가 유명하다. 일본의 심리학자이자 일본문화 연구자인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에 따르면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라는 대목은 다시 읽고 싶을 정도로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초근대(포스트모더니즘)의 지혜를 담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 당시의 일본인의 의식이 외부 세계와 내부 세계,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지 않은 채로 파악한 현실을 충실하게 적어둔 점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은 그것이 데카르트적(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 절단을 얼마나 초월하느냐에 있으며, 그 점에서 《곤자쿠 이야기집》은 실로 유효한 소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1] 한국어 번역[편집] 2016년 한국의 세창출판사에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555로 《곤자쿠 이야기집》을 번역하였으며, 이시준, 김태광 등이 번역을 맡아 《금석이야기집》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다만 번역의 대상은 천축이나 진단부는 제외하고 일본의 설화를 다룬 본조부에 한정되었다. 각주[편집] ↑ 河合隼雄『対話する生と死』(大和文庫 2006年2月15日発行) 외부 링크[편집] 교토대학 소장 스즈카본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곤자쿠_이야기집&oldid=23901413" 분류: 일본의 책일본 문학일본 문학사12세기 책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Nederlands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01: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곤자쿠 이야기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곤자쿠 이야기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즈카본(鈴鹿本) 곤자쿠 이야기집. 가마쿠라 시대의 필사본이다.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今昔物語集, こんじゃくものがたりしゅう 곤자쿠모노가타리슈[*])은,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 설화 모음집이다. 전31권. 다만 8권·18권·21권은 빠졌다. 《곤자쿠 이야기집》이라는 이름은 각 설화 모두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ハ昔)라는 첫 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데서 유래한 편의적인 이름이다. 목차 1 성립 2 내용 3 영향 4 한국어 번역 5 각주 6 외부 링크 성립[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성립 연대와 작자는 확실하지 않다. 작자가 누구인지는 아예 이야기에 적혀 있지 않아 알 수 없고, 성립 연대에 대해서는 11세기 후반에 일어났던 대규모의 전란인 전9년의 역과 후3년의 역에 관한 설화를 수록하고 있는(다만 후자의 경우는 설화 이름만 남아 있고 본문은 전하지 않는다) 것으로 보아 1120년대 이후 성립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내용[편집]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 구성은 천축(인도)과 진단(震旦, 중국), 그리고 본조(일본)의 3부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에는 먼저 인과응보담 등 불교설화가 소개되어 있으며, 그 뒤에 여러 가지 이야기가 이어지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몇 가지 이야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이야기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今昔)라는 첫머리로 이야기를 시작하며, 「라는 이야기로 전해지고 있다 한다」(トナム語リ傳へタルトヤ」)라는 문구로 이야기를 끝맺고 있다. 또한 유사한 내용의 이야기 두 편(내지 세 편)을 이어 소개하는 「이화일류양식」(二話一類様式)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의 원문(스즈카본鈴鹿本)은 평이하게 한자와 가나(仮名)가 섞여 쓰이는 화한혼효문(和漢混淆文)으로 작성되었고(다만 히라가나가 아니라 가타가나이다) 그 문체는 화려한 수사에 별로 집중하지 않는 한편으로 의태어를 많이 사용해서 현장에 있는 듯한 감각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소설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곤자쿠 이야기집 감상」(今昔物語鑑賞)에서 이러한 곤자쿠 이야기집의 문체를 「아름다운 눈빛」(美しいなまなましさ), 「야만으로 빛나고 있다」(野蛮に輝いている)고 평가하고 있다. 어느 지역의, 어떤 사람의 이야기인가를 필수적으로 명기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들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빈칸을 마련해 훗날의 보충을 기하는 형태로 문장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곤자쿠 이야기집》의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거가 된 문헌에서 「옛날옛날에 어느 마을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고 있었습니다」라는 서두에서부터 시작되는 설화가 있고 그 인명이 구체적으로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는데, ○○ 국(国)에 □□라는 사람이 있었다」라는 형태로 기술되며, 후일 그 정보가 밝혀질 경우에는 즉시 가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편찬의 의도로 의식적인 누락 부분이 매우 많은 것이다. 영향[편집] 13세기에 성립된 《우지슈이 이야기》에는 곤자쿠 이야기집과 겹치는 이야기가 모두 8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곤자쿠 이야기집》에서 영감을 얻어서 작품을 구상한 근대 일본작가들도 매우 많은데, 대표적인 인물이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로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라쇼몽》(羅生門)과 《코》(鼻)가 유명하다. 일본의 심리학자이자 일본문화 연구자인 가와이 하야오(河合隼雄)에 따르면 《곤자쿠 이야기집》의 내용은 「이제는 옛날 이야기가 되었으나」라는 대목은 다시 읽고 싶을 정도로 하나하나의 이야기가 초근대(포스트모더니즘)의 지혜를 담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 당시의 일본인의 의식이 외부 세계와 내부 세계,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지 않은 채로 파악한 현실을 충실하게 적어둔 점에 있다고 지적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의식은 그것이 데카르트적(심신이원론心身二元論) 절단을 얼마나 초월하느냐에 있으며, 그 점에서 《곤자쿠 이야기집》은 실로 유효한 소재를 제공한다는 것이다.[1] 한국어 번역[편집] 2016년 한국의 세창출판사에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555로 《곤자쿠 이야기집》을 번역하였으며, 이시준, 김태광 등이 번역을 맡아 《금석이야기집》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다만 번역의 대상은 천축이나 진단부는 제외하고 일본의 설화를 다룬 본조부에 한정되었다. 각주[편집] ↑ 河合隼雄『対話する生と死』(大和文庫 2006年2月15日発行) 외부 링크[편집] 교토대학 소장 스즈카본 곤자쿠 이야기집(일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곤자쿠_이야기집&oldid=23901413" 분류: 일본의 책일본 문학일본 문학사12세기 책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Nederlands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01: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오제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제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제도(吳制道, 1917년 11월 15일 ~ 2001년 7월 1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해주이며, 평안남도 안주 출신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경력 4 상훈 5 오제도를 연기한 배우 6 역대 선거 결과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46년 제1회 판검사 특별임용시험을 합격하고 서울지방검찰청과 대검찰청에서 검사로 활동하였다. 1940년대와 1950년대초 반공검사로 활동하였다.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이념이 대립한 혼란속에 선우종원과 함께 좌익 전력자를 전향하도록 한 보도연맹을 제안하였다. 이에 법무부,국방부,내무부 사회지도자들의 동의를 거쳐 정부 인사의 주도로 만들어졌다.[1][2] 하였다. 거물간첩 김삼룡과 이주하를 체포[3] 서울 남조선로동당 총책 홍민표를 전향시켜 남로당원 33만명을 자수시켜 다이너마이트 폭동계획을 저지시켰다. 이는 남로당을 와해시켜 남한 내에 공산주의 활동들을 사실상 거의모두 와해시켰다. 북한간첩 성시백, 여간첩 김소산 사건 등 이 시기의 대표적인 공안 사건을 담당했다. 1949년 보도연맹 창설 때 지도위원을 맡았다. 1950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우세가 점쳐지자 자유당의 하수단체인 대한정치공작대가 제1야당인 민국당인사들을 간첩들과 밀통하였다하여 붕괴시키려 하였다. 이에 의문을 품고 수사를 하여 조작극임을 밝혀내는 등 좌우를 가리지 않고 활동하였다. 해방 이후 공산주의와 싸우는 동안 북한의 저격대상 1호로써 신변의 위협이 많았는데 그를 없앨 목적으로 침투한 간첩이 서울 아현동에 세탁소를 차려놓고 암살을 하려다가 70년에 체포되기도 하였다. 5.16 군사정변에 검찰총장직을 제안 받았으나 거절하고 반혁명분자 1호로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변호사로 개업한 후에도 북한연구소를 창립하고 초대 이사장을 맡는 등 여러 보수 단체에서 활동하면서, 박홍의 한국통신 노조 주사파 발언 사건, 권영해의 북풍사건(총풍사건)을 변론하는 등 우파인사에 대한 지원활동에 힘썼다. 1977년 정일형이 3·1 명동사건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치러진 종로 중구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9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제11대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전국구로 국회의원이 되었고 법무부 장관 제의도 있었으나 학원(學園)문제, 남북대화 문제에 대한 견해 차이로 84년말 의원직을 사퇴하고 안보교육활동에 힘썼다. 1997년 5월 주사파 발언이 문제가 되어 박홍이 제소되자 노재봉, 언론인 이도형 등 보수인사 70여명이 후원회를 결성하였다.[4] 같은해 9월 17일 황장엽 전 북한노동당비서가 망명 후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개별면담을 해줄 것을 요청하여 안기부가 마련한 자리에서 만나 의형제를 맺었다. 2001년 법조인 최초로 국가유공자로 인정되어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학력[편집] 평안중학교 졸업 일본 와세다 대학 법학과 졸업 라스아메리카대학교 명예문학박사 로스앤젤레스침례신학대학 명예철학박사 미주리주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경력[편집] 1946년 : 판검사 특별임용시험 합격 서울지검, 대검찰청 검사 군,검,경 합동수사본수 총지휘관 1960년 : 변호사 개업 국제법률가대회 한국대표 1977 라스아메리카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79 로스앤젤레스침례신학대학 명예철학박사 1993 미주리주립대학교 명예정치학박사 한국반공연맹 이사 월간지 '북한' 창간 및 발행인 북한연구소 창립 및 이사장 제9대 국회의원, 세계반공연맹한국대표 한국안보교육협회 이사장 아시아국제예술제 1대~18대 총재 북한탈출동포돕기운동본부 회장 제11대 국회의원 한국국제평화연구소이사장 월간 사상21세기 창간 및 회장 상훈[편집] 을지무공훈장 국민훈장 모란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 근대사법1백주년 검사대표 오제도를 연기한 배우[편집] 권성덕 - 1981년 (제1공화국) MBC 드라마 최무룡 이순재 송재호 박근형 전운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6.10 재보궐선거 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 9대 무소속 30.2% 37,650표 1위 제10대 총선 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 10대 무소속 24.59% 61,270표 3위 낙선 제11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11대 민주정의당 35.6% 5,776,624표 전국구 27번 같이 보기[편집] 반공주의 이인 이주하 김삼룡 성시백 김수임 선우휘 박관수 박용만 박홍 조갑제 서정갑 지만원 헌법을 생각하는 변호사 모임 각주[편집] ↑ 강지웅 외 (2006년 9월 25일). 〈3. 헤어나지 못한 굴레, 레드 콤플렉스 - 잊혀진 대학살, 보도연맹 (이채훈)〉. 《우리들의 현대침묵사 - 한국현대사 미스터리 추적》. 서울: 해냄. ISBN 978-89-7337-771-8.  ↑ “[안내면 인포리] 보도연맹 관련 죄없는 주민 15명 희생”. 옥천신문. 1993년 12월 11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오제도 변호사 별세”. 인터넷 법률신문. 2001년 7월 4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한겨레 21 외부 링크[편집] 오제도 - 대한민국헌정회 김상우 기자 (2002년 1월 29일). “'반공 검사' 오제도 변호사”. 중앙일보.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반공외길' 오제도 변호사 별세”. 한겨레신문 (연합뉴스 인용). 2001년 7월 1일. 2007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전 임 장기영·정일형 제9대 국회의원(종로구·중구)(재보궐) 1977년 6월 11일 ~ 1979년 3월 11일 무소속 정대철 후 임 민관식·정대철 vdeh민주정의당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1번 이재형 7번 정희택² 13번 최상업 19번 이우재² 25번 이건호 31번 박현태 37번 지갑종 43번 최낙철 49번 김종인 55번 김행자¹ 61번 전병우 67번 김지호† 2번 나길조 8번 박동진 14번 황병준 20번 이춘구 26번 신상초 32번 이양우 38번 허청일 44번 김모임 50번 박원탁 56번 이낙훈 62번 정창화† 68번 이성재³ 3번 김종경¹ 9번 정원민 15번 류근환 21번 김현자 27번 오제도 33번 박종관 39번 이상선 45번 이헌기² 51번 이상희 57번 김영구 63번 문용주† 69번 강창희† 4번 이용훈 10번 김정호 16번 김용수 22번 정순덕² 28번 김윤환 34번 고귀남 40번 손춘호 46번 이윤자 52번 이영일 58번 황설 64번 김유상† 70번 이성배† 5번 김기철 11번 윤석순 17번 박태준 23번 배성동 29번 정희채 35번 나웅배² 41번 정시채 47번 이민섭 53번 이경숙 59번 하순봉 65번 장경우† 6번 송지영² 12번 김종호 18번 박경석 24번 김사용 30번 김춘수 36번 김집 42번 안교덕 48번 이영희 54번 조남조 60번 곽정현 66번 류수환† ¹임기 중 사망      ²사퇴      ³승계 전 사퇴      †승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제도&oldid=24187960" 분류: 대한민국의 제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1대 국회의원1917년 태어남해주 오씨안주시 출신일제 강점기 사람와세다 대학 동문대한민국의 검사대한민국의 변호사2001년 죽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9: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여주고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주고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주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16′ 18″ 동경 127° 37′ 58″ / 북위 37.2716830° 동경 127.6329052°  / 37.2716830; 127.6329052 여주고등학교驪州高等學校Yeoju High School 교훈 인간다운 사랑, 아름다운 봉사, 정의로운 실천 개교 1974년 설립형태 사립 교장 임호근 교감 이상주 국가 대한민국 위치 경기도 여주시 세종로 254-58 (교동) 학생 수 514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 47 명 (2018년 5월 1일 기준)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목련 학교법인 동신교육재단 관할관청 경기도교육청 웹사이트 http://www.yeoju.hs.kr 여주고등학교(驪州高等學校)는 경기도 여주시 교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다. 목차 1 학교 연혁 2 학교 동문 3 참고 자료 4 외부 링크 학교 연혁[편집] 1974년 1월 5일 : 학교법인 여흥학원 설립(4학급) 1974년 3월 2일 : 초대 임창선 교장 취임 1989년 9월 22일 : 학칙변경 허가(전 학년 18학급 남/여 공학) 1992년 8월 14일 : 학교법인 동신학원으로 변경 1993년 3월 1일 : 여주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8년 5월 29일 : 학교법인 동신교육재단으로 명칭 변경 2018년 2월 7일 : 제42회 졸업생(175명) 졸업생 누계 9,780명 2018년 9월 1일 : 제11대 임호근 교장 취임 학교 동문[편집] 분류:여주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여주고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여주고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경기도의 고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가평군 가평고 설악고 조종고 청심국제고 청평고 고양시 가좌고 경기영상과학고 고양고 고양국제고 고양동산고 고양예고 고양외고 고양일고 능곡고 대화고 덕이고 도래울고 무원고 백마고 백석고 백송고 백신고 백양고 서정고 성사고 세원고 신일비즈니스고 안곡고 일산고 일산국제컨벤션고 일산대진고 일산동고 저동고 저현고 정발고 주엽고 중산고 풍동고 행신고 화수고 화정고 과천시 과천고 과천여고 과천외고 과천중앙고 광명시 광명경영회계고 광명고 광명공고 광명북고 광문고 광휘고 명문고 소하고 운산고 진성고 충현고 광주시 경화여고 경화여자e비즈니스고 곤지암고 광남고 광주고 광주중앙고 태전고 초월고 구리시 갈매고 구리고 구리여고 서울삼육고 수택고 인창고 토평고 군포시 군포고 군포중앙고 군포e비즈니스고 산본고 산본공고 수리고 용호고 흥진고 김포시 김포고 김포외고 김포제일고 김포제일공고 마송고 사우고 솔터고 양곡고 운양고 장기고 통진고 풍무고 하성고 남양주시 가운고 광동고 금곡고 남양주공고 덕소고 도농고 동화고 마석고 별가람고 별내고 심석고 오남고 와부고 진건고 진접고 청학고 퇴계원고 판곡고 평내고 호평고 동두천시 동두천고 동두천외고 동두천중앙고 보영여고 신흥고 한국문화영상고 부천시 경기경영고 경기국제통상고 경기예고 계남고 덕산고 도당고 범박고 부명고 부천고 부천공고 부천북고 부천여고 부천정보산업고 상동고 상원고 상일고 소명여고 소사고 송내고 수주고 시온고 심원고 역곡고 원미고 원종고 정명고 중원고 중흥고 성남시 계원예고 낙생고 늘푸른고 돌마고 동광고 보평고 복정고 분당경영고 분당고 분당대진고 분당영덕여고 분당중앙고 불곡고 서현고 성남고 성남금융고 성남여고 성남외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성보경영고 성일고 성일정보고 송림고 수내고 숭신여고 야탑고 양영디지털고 운중고 위례한빛고 이매고 이우고 태원고 판교고 풍생고 한솔고 효성고 수원시 경기과고 경기대명고 경기체고 고색고 곡정고 광교고 권선고 대평고 동우여고 동원고 망포고 매원고 매탄고 매향여자정보고 삼일공고 삼일상고 수성고 수원고 수원공고 수원농생명과학고 수원여고 수원외고 수원정보과학고 수원칠보고 수원하이텍고 수일고 숙지고 영덕고 영복여고 영생고 영신여고 유신고 율천고 이의고 장안고 조원고 창현고 천천고 청명고 태장고 한봄고 호매실고 화홍고 효원고 시흥시 경기자동차과학고 군서고 군자디지털과학고 배곧고 서해고 소래고 시화공고 시흥고 시흥능곡고 시흥매화고 신천고 은행고 장곡고 정왕고 한국조리과학고 함현고 안산시 경기모바일과학고 경안고 경일관광경영고 고잔고 광덕고 단원고 대부고 부곡고 상록고 선부고 성안고 성포고 송호고 신길고 안산강서고 안산고 안산공고 안산국제비즈니스고 안산동산고 안산디자인문화고 양지고 원곡고 초지고 한국디지털미디어고 안성시 가온고 경기창조고 안법고 안성고 안성두원공고 안성여고 일죽고 죽산고 한겨레고 안양시 경기글로벌통상고 관양고 근명여자정보고 동안고 백영고 부흥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고 안양공고 안양여고 안양여상 안양예고 안양외고 양명고 양명여고 인덕원고 충훈고 평촌경영고 평촌고 평촌공고 양주시 덕계고 덕정고 덕현고 양주고 양주백석고 옥정고 한국외식과학고 양평군 양동고 양서고 양일고 양평고 양평전자과학고 용문고 지평고 청운고 여주시 경기관광고 대신고 세종고 여강고 여주고 여주자영농업고 여주제일고 이포고 점동고 연천군 연천고 전곡고 오산시 매홀고 성호고 세교고 세마고 오산고 오산정보고 운암고 운천고 용인시 고림고 구성고 기흥고 덕영고 대지고 동백고 백암고 보라고 보정고 상현고 서원고 서천고 성복고 성지고 수지고 신갈고 신봉고 용인고 용인바이오고 용인백현고 용인삼계고 용인 외대부고 죽전고 청덕고 초당고 태성고 포곡고 풍덕고 현암고 홍천고 흥덕고 의왕시 경기외고 모락고 백운고 우성고 의왕고 의정부시 경기북과고 경민고 경민비즈니스고 경민IT고 동국사대 부속 영석고 발곡고 부용고 상우고 송양고 송현고 의정부고 의정부공고 의정부광동고 의정부여고 호원고 효자고 이천시 다산고 마장고 부원고 율면고 이천고 이천세무고 이천양정여고 이천제일고 이현고 장호원고 한국도예고 효양고 파주시 경기세무고 광탄고 교하고 금촌고 동패고 문산고 문산수억고 문산제일고 봉일천고 삼광고 세경고 운정고 율곡고 지산고 파주고 파주여고 한민고 한빛고 평택시 경기물류고 동일공고 라온고 비전고 송탄고 신한고 안중고 은혜고 이충고 진위고 청담고 청북고 태광고 평택고 평택기계공고 평택여고 한광고 한광여고 한국관광고 현화고 효명고 포천시 관인고 동남고 송우고 영북고 일동고 포천고 포천일고 하남시 남한고 미사강변고 미사고 신장고 위례고 풍산고 하남경영고 하남고 한국애니메이션고 화성시 나루고 남양고 능동고 동탄고 동탄국제고 동탄중앙고 두레자연고 반송고 발안바이오과학고 병점고 봉담고 비봉고 삼괴고 송산고 안화고 예당고 이산고 정현고 창의고 하길고 한백고 향남고 향일고 홍익디자인고 화성고 화성반월고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여주고등학교&oldid=23147977" 분류: 여주시의 고등학교경기도의 사립 고등학교일반계 고등학교남녀공학 고등학교1974년 개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4일 (화) 08: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신질서 (나치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질서 (나치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질서 (나치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치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의 종교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강제적 동일화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20세기의 신화》 군국주의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슈트라서주의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흙 우생학 대게르만 제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들의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단체 및 정당 오쎄와브란드왁 영국 파시스트 연합 철위대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조국전선 v • d • e • h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 (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1]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쉬(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2]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재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3] “ 총통은 전유럽의 주인이 나치 제국이라는 신념이 흔들리지 않았다. 아직 많은 전투에 참가해야 하지만, 이것은 의심없이 멋진 승리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지배의 길은 이 곳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을 지배한다는 것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요제프 괴벨스, 1943년 5월 8일[4] 목차 1 용어의 유래 2 이데올로기의 배경 2.1 인종차별주의 2.2 지정학적 전략 2.3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 3 유럽의 구현 3.1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 3.2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 3.3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 3.4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 3.5 재정착 노력 3.6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 4.1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 4.2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 4.3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 4.4 중동와 중앙아시아 5 더 보기 6 각주 7 추가 읽기 용어의 유래[편집] 유럽의 신질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및 추축국의 최대 정복 영역 원래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의 의미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보다 매우 좁은 의미였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신질서로 번역되지만, 더 정확하게 번역을 하자면 재구성(reorganisation)에 가까운 뜻이다. 이 용어가 나치 시기의 제3제국에서는 나치가 유럽의 본질적인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하는 욕망으로 이용되었으며 이 결과 기존의 지정학적 구조가 바뀌었다. 같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1815년 빈 회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승리 당시 국제 정치 질서의 재개편이라는 의미로 이용되었다. 사실, 원래 나치가 만든 완전한 구문은 die Neuordnung Europas(유럽의 신질서)로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은 속어로 많이 이용되었다. 나치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된 유럽이란 "공동 이익"을 목표로 독일 아래 유럽 지역의 공정한 재배열을 시도하며,[5] 나치는 유럽 대륙에서 "아시아적인"을 의미하는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시켰다.[6] 나치의 인종주의적 관점은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볼셰비키(Judeo-Bolshevist)는 모두 파괴되어야 할 범죄 대상으로 보았으며 이것들은 유럽의 문화라고 부를 만한 것이 아닌 야만적인 상태의 것이라고 생각했다.[7] 신질서는 그러므로 좀처럼 이론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에 따라 다시 구성할 수 있었지만 이후 심지어는 실제 구조가 아니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는 절대로 참조하지 않았다. 실제 나치 독일의 헤게모니는 전후 대륙의 지배 보장이었다.[8] 독일외 나머지 유럽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예속과 함께 독일 국가 자체의 팽창주의로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확장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독일이 먼저 유럽의 독보적인 지배 이후 미래에 계획할려 했지만, 신질서는 유럽에서 여분의 시간을 주지 않았다. 나치 선전의 넓은 이용으로 인해 신질서는 서구 미디어의 주화를 얻었다. 특히, 영어권 학회에서는 이에 더욱 포괄적인 정의의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점점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뿐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 국내 정치 및 전쟁 목표를 사용하는 데에 이르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의 아시아 지배 계획이었던 대동아공영권은 이와 거의 비슷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유럽 대내외의 정책을 예상하는 데 이용된다. 이데올로기의 배경[편집] 인종차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치즘과 인종입니다. 지배자 인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나치당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엄격한 계층 구조를 증명하기 위해 인종 분류를 주장했다. 지배자 민족은 가장 순수한 피를 가진 아리아 민족이며, 이는 북유럽 민족과 근소한 차이가 있는 인정된 민족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아 인종은 나머지 인종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나치는 서양 문화가 주로 북유럽이 만들어 다른 문명에 비해 분명히 뛰어났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노르딕인"들은 모든 인종보다 우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치는 세계 정복을 당연히 노르딕인들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개념은 노르디시즘(Nordicism)으로 알려졌다.[10] 지정학적 전략[편집] 게오폴리티크, en:Geopoliti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틀러는 그의 동부 확장 정책을 나의 투쟁에서 드러냈는데, 이는 1924년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에게 영향받은 것이다.[11] 하우스호퍼의 주요 지정학 개념 중 하나는 독일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라시아의 유라시아 심장부(Heartland)를 점령해야 한다는 이론이었다.[12]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편집] 나치의 외교 정책 토론, en:Nazi foreign policy deba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 11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의 히틀러의 연설에서, 청중들에게 독일이 그들을 위해 싸우고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권리(즉, 세계 정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매우 야심찬 목표는 엄청난 양의 전투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3]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 인생 이전에도 미래의 독일 세계 지배를 언급했다. 나중에 공개된 1927년의 루돌프 헤스와 발터 히벨 간의 편지에서, 헤스는 히틀러의 비전에 대해 부연 설명하였다. "세계 평화는 확실히 노력하기에 이상적인 가치이다. 히틀러의 의견은 초강대국이 최고 인종 하나만 명백한 우위를 누리고 있을 경우 실현된다고 생각한다. 즉, [권력]은 세계 경찰로서 동시에 필요한 생활 공간(생활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경쟁이다. 그리고 만약 이 방법들이 그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낮은 인종들은 자신 스스로 제한해야만 한다."[14]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포젠 연설에서 처음 독일의 영토 열망을 언급했다. 그는 충돌과 관련된 국가 목표에 덧붙어 독일이 새로운 지역인 세계적인 전쟁 상태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7년 전쟁은 프로이센이 유라시아에서 최고 강국이 되게 했다. 그 전쟁은 이미 프로이센의 일부가 된 실레지아를 확실하게 통치하기 위해 일어났다. 이 전쟁은 모든 독일 제국, 대 게르만 제국이 1938년 이래로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게 하는 전쟁이 될 것이며 우리는 남아있을 것이다. 이 전쟁은 이제 동쪽으로 열린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마도 독일은 강대국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 세계 제국이 될 것이다. (Germanische Weltreich). 유럽의 구현[편집] 유럽 대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편집] 신질서의 초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어 폴란드 침공 당시 소비에트 연방과의 양면전을 방지하고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일어날 원자재 부족을 막는다. 두 번째로, 전격전을 통해 북유럽과 서유럽(베저위붕 작전과 프랑스 공방전)을 빠르게 공격해 저항을 무력화한다. 이 결과 1940년 초여름까지 덴마크,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가 독일에게 정복되었다. 영국이 독일에게 굴복함으로써 서유럽에서 정치적 우위를 차지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와 같은 방식의 강화 회의는 없어지게 되었다.[15] 국제 노동 기구 같은 모든 국제 기구는 독일의 점령을 등가로 하여 해체되거나 바뀔 수 있었다. 전후 압수된 독일군 총사령관인 발터 폰 브라우히치가 남긴 문서에 따르면, "17세부터 45세까지 혼자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인구는 현지 상황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구금하고 대륙으로 보내야 된다"라고 작성했다. 이 인구는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영국의 모든 금융, 군사, 산업, 문화적 재산을 약탈한 이후[16] 나머지 인구는 공포에 떨도록 했다. 민간인들을 인질로 잡은 이후 사소한 저항에도 모두 사형을 하고자 했다.[17] 이 추방된 남성들은 대부분 루르와 어퍼 실레지아에서 대부분 산업 노동을 할 것으로 예정되었다. 비록 그들은 동부의 노예(나치는 이들을 인간보다 아래로 간주하여 죽을 때 까지 일만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겼음)보다는 덜 잔인했겠지만 작업 및 생활 조건은 매우 열약했을 것이다.[18] 1943년 2월 말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Reichsministerium für die besetzten Ostgebiete)의 오토 브라우티겜(Otto Bräutigam)가 에두아르드 바그너(Eduard Wagner)와 토론 중 하인리히 힘러의 보고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을 때, 보고서에는 힘러가 독일의 승리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아인자츠그루펜과 보안방첩대(Sicherheitsdienst)를 이용하여 인구의 80% 이상의 학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9] 관련 사건에서는 히틀러가 영국 하층 계급을 "인종적으로 열등하다"라고 말한 것이 있었다.[20] 북프랑스의 거대 영토 합병 계획에 따르면, 히틀러는 독일 헤게모니를 대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국령 내로 두는 것을 배척했다.[21] 마찬가지로, 서부와 남부의 라틴 유럽(이스타두 노부, 프랑코 정권, 이탈리아)도 단순히 독일의 종속국 및 괴뢰 상태로만 두었다.[21]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편집] 대 게르만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 게르만 제국으로 계획된 다양한 국경 중, 나치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체계화된 계획 대상(예:제네랄플랜 오스트)과 친위대의 통치 기반 구역을 표시했다.[22]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정교했던 나치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대 게르만 제국"(Grossgerman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수립 계획이었다.[23] 이 미래의 제국은 머지않아 독일 뿐 아니라 사실상 역사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점령한 곳(그레이트브리튼 섬 제외)를 포함했으며 자연의 아리안 민족이 점령할 것이라 믿었다. 제3제국 시기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마르크(Ostmark)같이 단순한 지방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빠르게 적용하여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종본질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의식을 근절시키는 것이었지만 독일어는 계속 존재할 것이었다.[24][25]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편집] 다뉴브 강 이남의 나치 지배, en:Nazi rule over the Danube Riv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직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바나트 지역의 다뉴브 슈바벤(Danube Swabian) 자치령 포함)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성국이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하던 시기 합병되었다. 독일-이탈리아 공동 점령기의 그리스는 그리스 저항운동이 성장하였다. 비록 물리적으로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이탈리아의 지배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공동통치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는 남서부의 절반을 점령했고, 독일은 북동부의 절반을 지배했다. 히틀러는 베오그라드(나중에 프랑수아 외젠-슈타로 이름이 바뀜)과 데살로니카 지역에 영구 독일 기지를 건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26]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A 선, 나치 독일의 우랄 산맥 계획, 헝거 계획, 및 en:Hunger Plan입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의 계획도. 신질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작전은 1941년 6월 22일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는 바르바로사 작전이었다. 이 전역의 목표는 단순한 소련 정권 파괴가 아닌(나치 정권은 정당성과 반소비에트주의를 고려하였다) 유럽 러시아의 인종을 개편하여 제네랄플랜 오스트(Generalplan Ost)로 나치 엘리트들을 심고자 했다.[27] 또한, 히틀러는 소련 영토에 존재하는 광대한 자원을 이용하여 독일에게 총봉쇄 상황의 자급자족을 이룰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는 곡물, 식물성 유지, 사료, 철광석, 니켈, 망간, 석탄, 몰리브데넘이 있었다. 또한, 크림 반도에는 고무, 귤, 목화가 있었다. 흑해에는 물고기가 있었고, 코카서스에서는 석유가 있었다.[28] 나치당의 철학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슬라브 민족에 대한 비인간적인 정책에 항의[29])는 SS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가 주도하는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이곳의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비아리안 민족을 노예화, 강제 이주, 제노사이드 등을 구현하고자 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나온 장기적 목표는 동유럽의 거대한 병합 영토에 독일 민족을 정착시키고, 결국에는 우랄 산맥까지 3제국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유럽의 정착형 식민지의 취득으로 레반스라움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였다.[30] 1942년부터는 준식민지 정권인 폴란드의 폴란드 총독부, 발트3국과 벨라루스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가 설립했다. 또, 모스크바 수도권을 포함한 유럽 러시아의 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코카서스 지역의 코카서스 국가판무관부 두 가지의 총독부가 구상되었다. 이 지역에는 유대인 인구(마지막 해결책)의 홀로코스트와 슬라브 민족의 노예화 정책이 계획되었고 이 계획을 위해 정복 이후 SS 군인이 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러한 각각의 SS 농민군은 아버지에 적어도 7명의 아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31] 독일 여성은 새롭게 병합한 동부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가질 것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레반스라움 프로그램 확장과 제3제국 내에서 적어도 8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독일 여성에게 수여되는 독일 어머니 명예 훈장으로 알려진 주 훈장 제정이 있었다. 마르틴 보어만과 히믈러의 인구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결혼 법안인 일부다처제 허용 법안도 있었다.[32] 히믈러는 적어도 2000년대에는 독일 인구가 약 3억명일 것이라 예상했다. 재정착 노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국으로의 귀향입니다. 독일 점령하의 폴란드의 나치 계획을 보여주는 프로파간다 지도. 1942년, 히틀러의 제국은 유럽의 많은 곳을 점령했지만, 이 지역들은 나치가 원하는 인구보다 부족했다.[33] 독일이 레반스라움 영토를 병합한 후에는 나치 이데올로기식 인종 원칙에 따라 인구를 채울 필요가 있었다.[33] 이것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민족학적 관계의 재배열"로 수행할 수 있었다.[33] 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히틀러가 게르마니아 통합 제국 위원회(독일 민족의 강화를 위한 제국대표부 위원, RKFDV)(독일 민족 복지 사업부 참조) 시기 1939년 10월 7일 히틀러가 구상했다.[33] 이 부는 독일의 폴란드 점령기 당시 히믈러가 공인한 독일 소수민족의 복귀를 위해 시작했다.[33] 히믈러는 전쟁이 계속되는 다른 독일계 점령지에서 독일인 정착민 보호 관할지가 늘어났다. 독일 민족 정착을 위한 영토를 만들기 위해, 폴란드와 프랑스 영토로 수십만 명을 보냈다.[34] 히틀러의 독일계 소수민족 정착의 대다수는 소비에트 연방에게서 얻은 나치-소비에트 시민 교환 조약으로 받은 독일인이었다.[34] 1944년 바르테란트 제국대관구에서 지구 지도자 아서 그레서가 인사를 받는 모습. 1942년 말까지 총 독일계 소수민족 629,000명이 정착했으며, 393,000명의 정착 준비를 끝냈다.[34] 장기적 목표로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프랑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으로 540만명을 정착시키는 것이었다.[34] 독일 제국 내에서 나온 이민자들은 모두 인종이나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나 폴란드 병합 지역에서 강제 수용소로 들어갈 사람으로 분류되었다.[34] 히믈러는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정착민들이 종종 해당국가의 시민으로서 있길 바라는 현상 때문에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34] 1944년 6월 1일 기준 정착/재정착 인구[35] 기원 지역 총 합 합병된 동부 지역에 정착한 인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76,895명 57,249명 리투아니아 51,076명 30,315명 볼히니아, 갈리치아, 나레프 136,958명 109,482명 폴란드 총독부 동부 32,960명 25,956명 베사라비아 93,342명 89,201명 북부 부코비나 43,670명 24,203명 남부 부코비나 52,149명 40,804명 도르부자 15,454명 11,812명 루마니아 레가트 10,115명 1,129명 고트시와 류블랴나 15,008명 13,143명 불가리아 1,945명 226명 세르비아 2,900명 350명 러시아 350,000명 177,146명 그리스 25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8,437명 3,698명 슬로바키아 98명 남부 트롤 88,630명 제국, 보호령, 룩셈부르크 : 68,162명 프랑스 19,226명 알자스, 로렌, 룩셈부르크, 제국, 보호령 : 9,572명 총 합 1,009,113명 662,448명 스페인과 포르투갈[편집] 스페인은 파시스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지도자로 있었으며, 독일 편에 참전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스페인 팔랑헤당은 수많은 영토 점유를 요구했다. 프랑코 장군은 프랑스의 바스크어 지역 뿐 아니라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인 루살롱, 세르다냐, 안도라 영토 할양을 요구했다.[36] 또한, 스페인은 전략적, 이념적 가치로 인해 대영제국의 지브롤터 점령도 요구했다. 또한, 프랑코는 스페인 보호령인 모로코의 재통일 및 프랑스령 알제리주의 오랑 지역, 스페인령 기니의 대규모 확장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요구 사항은 독일이 독일령 카메룬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영토 야망이 있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독일은 스페인이 기니 지역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37] 스페인은 포르투갈을 문화적, 역사적 동질성을 근거로 이베리아 연합이라는 동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38] 스페인이 참전을 거부한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괴뢰국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대서양 장벽의 독일 해군 시설 건립에 대한 일환으로 독일에게 대서양 해안 도시 및 섬을 인계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와 포르투갈령 앙골라를 미테라프리카의 식민지 프로젝트를 일환으로 양도했다.[39]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편집]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편집]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식민정책부, 제국 식민지 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테라프리카(Mittelafrika)의 예상 영토는 연한 파랑색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식민지 제국이 소유한 식민지는 진한 파랑색이다. 포함 가능 영토(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는 파랑색 음영 처리. 아프리카에 대한 히틀러의 지정학적 생각은 항상 유럽 그 자체에 있는 팽창 목표의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식민지 정책은 오직 너가 먼저 대륙을 점령하고 나서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쟁 발발 이전 히틀러는 독일의 옛 식민지는 유럽 자체 영토 목표를 이룬 후 협상을 통해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먼저 유럽 대륙에서 최고가 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독일이 점령할 예정이었다.[40] 히틀러의 아프리카 미래 조직에 관한 전반적인 의도는 세가지 기초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 세 곳중, 북부는 이탈리아 왕국에게 할양할 것이며 중부 지역은 독일이 점령할 의도였다. 나머지 남부 지역은 인종주의를 근거로 한 친나치 아프리카너 국가가 세워질 예정이었다.[40] 1940년 독일 외무부 장관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남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진 것이 나치가 이전 식민지인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확보한 다음 남아프리카 연방에게 위임령으로 주는 것에 공감하였다.[41] 남아프리카는 영국의 보호령인 스와질란드, 바수톨란드, 베추아날란드 및 식민지인 남로디지아 영토를 합병할 수 있다는 보상을 얻었다.[41] 스페인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에 관해 논의했지만,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기를 거부했다. 1940년, 크릭스마리네의 장군참모가 독일 식민지 제국은 파란색으로 묘사(대영 제국을 나타내는 붉은 색이나 분홍색에 반대하여 독일의 영토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색)된 지도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통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확장한다는 훨씬 더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했다.[42] 이 제안된 계획은 미테라프리카로 불리며 심지어는 더 크게 모색된 독일 목표 지도도 존재했다. 이것은 독일이 아프리카에서 우월적인 위치를 만들기 위해 단지 동유럽의 정복 뿐 아닌 유럽 대륙에 걸쳐 만들어진 지역처럼 아프리카도 그러한다는 계획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 얻을 영토 그 자체인 유럽 러시아와 달리, 이 지역은 광대한 독일인 정착 영토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대한 식민지제국의 건설은 주로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드는 것으로, 독일에게는 대륙에서 광대한 지하 자원과 재산을 얻을 수 있고, 거의 무제한적인 노동력도 얻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 정책은 엄격하게 시행될 예정이었으며(백인과 흑인을 분리하는 의미의 차별),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제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일부도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령과 벨기에령 콩고, 북로디지아 및 남로디지아(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도 포함), 니아살랜드, 나이로비를 포함한 케냐 남부(케냐 북부는 이탈리아가 점령하고 있었음), 우간다, 가봉, 우반기-샤리, 나이지리아, 다호메이, 황금 해안, 잔지바르, 니제르와 차드의 거의 대부분, 다카르와 반줄의 해군기지였다.[43] 두 번째 계획은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에서 벨기에령 콩고까지의 모든 유럽과 아프리카의 대서양 해안선 뿐 아닌 카보베르데, 아소르스 제도 등 많은 대서양 앞다의 섬에 걸쳐 서반구에 대해 해군 기지 및 공군 기지 강화와 건설을 할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비슷한 계획으로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대한 계획이었다.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의 아시아 분단 협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 예니세이 강은 일본과 나치 독일의 아시아 분단점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4] 1942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 비밀 회담에서 이들은 아시아를 예니세이 강을 따라 중국 국경, 중국-소비에트 연방 국경,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서부 국경, 이란-영국령 인도 제국 국경을 따라서 분할하기로 합의했다.[44] 이 조약의 초안은 일본 주 독일 대사인 오시마 히로시가 독일에서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인도가 일본에게 할당되었고 독일 해군의 인도양 운영 작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독일 외무부와 해군이 거부하였다.[45] 그러나, 히틀러는 1942년 1월 18일 이 조약에 받아들이고 서명했다.[45]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된 독일 식민지 제국의 옛 오세아니아 식민지(독일령 사모아와 독일령 뉴기니)는 일본이 적어도 삼국 동맹 조약 당시 일시적으로 관심을 가지던 독일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모두 옛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았다).[47] 호주와 뉴질랜드는 히틀러가 이 지역에서 백인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탄했지만 미래의 대동아 공영권 지역으로 설정되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그 장교에게 호주는 "죄수의 후손"이며, 독일의 관심지역이 아니며 장래에는 일본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요제프 괴벨스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괴벨스는 그의 일기에서 일본인들은 항상 "5번째 대륙의 이민을 목적으로 한다고 작성했다.[49] 그의 남아있는 유일한 긴 논의에서, 뉴질랜드인은 아직까지 교목성 운동을 하며 이족보행을 못한다고 말했다.[50] 역사학자 노르먼 리치는 히틀러가 동부의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앵글로색슨족의 두 나라를 정복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잉글랜드인들도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8][51] 중동와 중앙아시아[편집] 1941년 12월 예루살렘 그랜드 무프티인 무함마드 아민 알-후스세이니와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지침 30호, 프리츠 그로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비에트 연방 멸망 프로젝트를 모두 마친 후에는, 지중해 전구를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52]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수에즈 운하와 터키를 통하여 코카서스(이 지역의 대부분은 이미 청색 작전의 결과로 점령하게 됨)에서 바그다드-바스라 지역을 공격해서 1941년 이라크 쿠데타를 지원하여 영국-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53] 그러나, 히틀러는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 지배에 대해 구상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레반트 지역까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허용하려고 했다.[54][55][56] 중동 유대인은 1941년 11월 하즈 아민 알-후스세이니와의 약속에 따라 아인자츠구르페 이집트를 동원하여 몰살할 계획이었다.[55] 터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계에 있는 지역일 뿐 아니라 긴 기간 동안의 적대적인 역사, 이후 소련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히틀러가 중요한 잠재적 동맹으로 인식했다.[57] 독일은 장기적으로 공동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터키에게 독일 지배 하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으며 국방을 명목으로 원하는 지역의 보장을 약속했다. 이 지역에는 터키와 그리스 간의 경계인 에디르네의 재정립, 터키가 영유권 주장을 하던 코카서스의 완충국 형성, 터키-시리아 국경(바그다드 철도와 알레포 주) 및 터키-이라크 국경(모술 빌리예트)의 개정, 이탈리아 왕국의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방어같은 에게 해 문제 해결 등이 있다.[57] 흑해(히틀러는 "단순한 개구리연못"이라고 조롱)[58] 또한 터키의 영향권 중 하나로 양보할 수 있었으며, 흑해 함대를 대신에 독일 함대가 주둔하는 것에 반대했다.[57] 크림 반도(나치는 고텐란트, Gotenland라고 부름)는 독일이 영구적인 영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새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흑해에서 해산물을 "무제한"으로 수탈할 수 있었다.[59] 연합국이 점령한 이란도 반란을 이용하여 추축국의 영역으로 끼워넣을려고 했다.[53] 반소비에트주의의 요새로서의 이란은 1930년대 이미 고려되었으며, 이란에 대한 히틀러의 "아리안 민족의 국가"로 선언한 것도 일치한다(페르시아어로 Iran이라는 말은 "아리안 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다.). 1935년 국명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개칭한 것은 독일 대사의 "아리아인 연대"의 제안으로, 샤가 이를 수락하여 받아들어졌다.[60] 그러나, 이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항상 "이란"이라고 불렀으며, 나치 독일의 성장 천여년 이전부터 계속해왔던 것이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소련, 영국, 미국 다음으로 단일 무역 상대로써 가장 거대한 무역 상대였다.[60] 전쟁 이전 외교적 행보로, 나치 독일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이루어진 니에데마이어-헨팅 탐험(Niedermayer-Hentig Expedition)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이 나라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다.[62] 이들의 목적은 독일-영국 간 충돌시 최대한 중립을 유지하며, 심지어는 영국령 인도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군사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62]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나치 독일 외무부 간 친선관계에도 불구하고, 리펜트로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시키고 1929년부터 독일로 망명해 있던 아마눌라흐 칸 복권을 선호했다.[63] 결국, 히틀러는 이 문제에 대해 로젠버그를 지지했다.[63] 1940년 독일-프랑스 휴전 이후 카불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의 계획을 물어보기 위해 베를린 방문을 시도했다.[64] 가장 특별한 관심사는 전후 국경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영국령 인도에 있던 파슈툰인 1500만명의 "해방"을 희망했고 거기에 더해 북부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확장하고 남으로는 인도양 해안까지 파슈투니스탄처럼 확장하려고 했다.[64] 10월에서 11월 사이 열린 독일-소련 추축국 회담에서 독일이 소련에게 남부-중앙유라시아와 인도 방면으로 소련을 확장시켜줄려고 했을 때, 독일은 아프가니스탄과 협력하기를 꺼려했다.[65] 독일은 이븐 사우드 하의 사우디아라비아를 자연적인 동맹국으로 여겼으며, 아라비아 남서부와 트란스요르단을 양도하려고 했다.[66] 또한, 전후 위성국으로 대아랍연합을 세우는 것이 논의되었다.[54] 처음에는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가 점령하도록 양보할 예정이었지만,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게 휴전을 합의하자 히틀러는 이슬람 세계에 이슬람 국가를 독립시키고 "위험한" 이탈리아와는 달리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범아랍주의 운동을 자연적인 동맹으로 만들려고 했다.[67] 1945년 2월 17일, 특히 히틀러는 측근들에게 독일의 강철 조약이 더 혁명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또한 대영제국 및 프랑스 식민 제국 둘 모두의 영향력을 없애버릴 수 있는 남쪽의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것을 막아버렸다고 후회한다고 말했다.[67]: 자연스럽게,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은 중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있었다면, 우리는 프랑스가 지배하는 이슬람 국가를 해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는 거대한 중동과 이집트도 그렇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운명은 이탈리아인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을 추구할 수 없었다. 모든 이슬람인은 우리의 승리에 진동했다. 이집트인, 이라크인 및 중동 거의 전체가 모두 반란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었다. 우리가 단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을 것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그들을 선동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들의 의무이자 우리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측에서 이탈리아의 존재는 우리를 마비시켰다. 우리의 이슬람 친구들은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을 압제자라 느끼거나 내키지 않는 공범이라고 느끼며 불쾌하게 느꼈을 것이다. 더 보기[편집] 대 게르만 제국은 전 유럽의 모든 게르만족 지역을 점령하여 만들려고 했던 국가 이름이다. 대동아 공영권은 신질서와 범게르만주의를 일본식으로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 제국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중해 점령 프로젝트이다. (en:Imperial Italy)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그로스도이칠란트, Grossdeutschland) 드랑 나흐 오스턴 (Drang nach Osten, "The Drive Eastward") 레반스라움 (Lebensraum) 제네럴플랜 오스트 (Generalplan Ost) 생명의 샘 마지막 해결책 (Final solution) 홀로코스트 유럽 전장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기 신세계 질서 (국제 외교 이론) 포즈난 연설 -1943년 10월 하인리히 힘러의 연설로, SS에게 신 질서의 새부 사항에 대한 연설이다. 헤게모니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각주[편집] ↑ 아돌프 히틀러의 베를린 스포츠 궁전 연설. [1] ↑ Gumkowkski, Janusz; Leszcynski, Kazimierz (1961).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Polonia Pub. House. [2] ↑ Lee, Stephen J. (1987).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p.359 ↑ Spielvogel, Jackson J. (2006). Western Civilization Since 1789, Volume 3. Clark Baxter, p. 855. [3] ↑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July 16, 194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5 June 2011. Quoting Hitler: The Führer emphasized that we had to understand that the Europe of today was nothing but a geographical term; in reality Asia extended up to our frontiers. ↑ Rich, Norman (1972).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p. 212. ↑ Haffner, Sebastian (1979). The Meaning of Hitl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Inc., p. 100. [4] ↑ Hitler, Adolf Mein Kampf ↑ Rosenberg, Alfred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1930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 Geopolitics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ian W. Blouet (2001): ↑ Derwent, Whittlesey German Strategy for World Conquest New York:1942 Farrar and Rinehart ↑ Gerhard Weinberg (2005).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 [5] ↑ . Weinberg, G.L. (1996),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p. 28, ISBN 0-521-56626-6 ↑ Weinberg, A world at arms (2005), p. 175 ↑ Shirer, p. 943 ↑ Shirer, p. 782 ↑ Shirer, p. 949 ↑ Otto Bräutigam: „So hat es sich zugetragen...“ (Holzner Verlag, Germany 1968, p. 590) ↑ Adolf Hitler: Hitler's Table Talk November 5th, 1941 (in: Hitler's Table Talk, Weidenfeld & Nicolson, 1953) ↑ 가 나 Lipgens, Walter (1985).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Continental Plans for European Union 1939-1945》. Walter de Gruyter. 12–13쪽. ISBN 3-11-009724-9.  ↑ “Utopia: The 'Greater Germanic Reich of the German Nation'”. München - Berli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1999.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Rich, Norman (1974).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p. 26.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 Rich (1974), pp. 24-25, 140. ↑ Welch, David (1983). Nazi Propaganda: The Power and the Limitations, p. 145. Taylor & Francis. ISBN 0-389-20400-5. ↑ Kroener et al (2003), p. 165 ↑ Pinkus, Oscar (2005).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175쪽. ISBN 0-7864-2054-5.  ↑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19-822887-2.  ↑ Padfield, Peter (1990) Himmler New York, Henry Holt. See under Rosenberg in index ↑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Padfield (1990), p. 317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6쪽. ISBN 0-15-602754-2.  ↑ 가 나 다 라 마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3).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Oxford University Press. 250쪽. ISBN 0-19-820873-1.  ↑ 가 나 다 라 마 바 Kroener et al (2003), p. 251 ↑ Kroener et al (2003), p. 252 ↑ Stanley G. Payne,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 Norman Rich,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 Glyn Stone, The Oldest Ally: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1941: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41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 Gerhard L. Weinberg,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 가 나 Weinberg 2005, p. 14. ↑ 가 나 Rich (1974), pp. 500-501. ↑ Padfield (1990), p. 309 ↑ Stegemann, Bernd; Vogel, Detlef (1995).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95쪽. ISBN 0-19-822884-8.  ↑ 가 나 Weinberg 2005, p. 13. ↑ 가 나 다 라 Martin, Bernd (2006).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ISBN 1-84545-047-7 pages=267–26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 가 나 다 Martin (2006), p. 271. ↑ Weinberg (2005), p. 13 ↑ 가 나 Rich (1974), p. 415 ↑ People Against Nazism, Communism, and Authoritarianism. Nazi plans for Australia. Retrieved 2 January 2011. [6] ↑ Weinberg (2005), p. 15-16.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5쪽. ISBN 0-15-602754-2.  ↑ Stegemann & Vogel (1995), p. 625.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631 ↑ 가 나 Schwanitz, Wolfgang (2004). 《Germany and the Middle East, 1871-1945》. Markus Wiener Publishers. 94–95쪽. ISBN 1-55876-298-1.  ↑ 가 나 Weinberg (2005), p. 19 ↑ Stegemann & Vogel (1995), p. 178 ↑ 가 나 다 Rich (1974), p. 402. ↑ Hitler (2000), p. 208. ↑ Rich (1974), p. 383. ↑ 가 나 Hiro, Dilip.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 Kegan Paul Inc., p. 296. [7] ↑ Iran's etymology.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2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3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4 ↑ Stegemann & Vogel (1995), p. 165 ↑ Stegemann & Vogel (1995), p. 591 ↑ 가 나 Hitler's Last Will and Political Testament, 17 February 1945 추가 읽기[편집] Evans, Richard J. The Third Reich at War (2009) pp 321–402 Fritz, Stephen G. Ostkrieg: Hitler's War of Extermination in the East (2011) Longerich, Peter. Heinrich Himmler: A Life (2012) Lund, Joachim. "Denmark and the 'European New Order', 1940-1942,"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2004) 13#3 pp 305–321, Mazower, Mark.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2009) Mazower, Mark. "Hitler's New Order, 1939-45," Diplomacy and Statecraft (1996) 3#1 pp 29–53, Snyder, Timothy.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2010)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질서_(나치즘)&oldid=23363866"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치나치 독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ISBNCS1 관리 - 수직선 없음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신질서 (나치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질서 (나치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질서 (나치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치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의 종교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강제적 동일화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20세기의 신화》 군국주의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슈트라서주의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흙 우생학 대게르만 제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들의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단체 및 정당 오쎄와브란드왁 영국 파시스트 연합 철위대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조국전선 v • d • e • h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 (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1]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쉬(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2]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재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3] “ 총통은 전유럽의 주인이 나치 제국이라는 신념이 흔들리지 않았다. 아직 많은 전투에 참가해야 하지만, 이것은 의심없이 멋진 승리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지배의 길은 이 곳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을 지배한다는 것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요제프 괴벨스, 1943년 5월 8일[4] 목차 1 용어의 유래 2 이데올로기의 배경 2.1 인종차별주의 2.2 지정학적 전략 2.3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 3 유럽의 구현 3.1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 3.2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 3.3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 3.4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 3.5 재정착 노력 3.6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 4.1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 4.2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 4.3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 4.4 중동와 중앙아시아 5 더 보기 6 각주 7 추가 읽기 용어의 유래[편집] 유럽의 신질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및 추축국의 최대 정복 영역 원래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의 의미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보다 매우 좁은 의미였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신질서로 번역되지만, 더 정확하게 번역을 하자면 재구성(reorganisation)에 가까운 뜻이다. 이 용어가 나치 시기의 제3제국에서는 나치가 유럽의 본질적인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하는 욕망으로 이용되었으며 이 결과 기존의 지정학적 구조가 바뀌었다. 같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1815년 빈 회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승리 당시 국제 정치 질서의 재개편이라는 의미로 이용되었다. 사실, 원래 나치가 만든 완전한 구문은 die Neuordnung Europas(유럽의 신질서)로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은 속어로 많이 이용되었다. 나치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된 유럽이란 "공동 이익"을 목표로 독일 아래 유럽 지역의 공정한 재배열을 시도하며,[5] 나치는 유럽 대륙에서 "아시아적인"을 의미하는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시켰다.[6] 나치의 인종주의적 관점은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볼셰비키(Judeo-Bolshevist)는 모두 파괴되어야 할 범죄 대상으로 보았으며 이것들은 유럽의 문화라고 부를 만한 것이 아닌 야만적인 상태의 것이라고 생각했다.[7] 신질서는 그러므로 좀처럼 이론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에 따라 다시 구성할 수 있었지만 이후 심지어는 실제 구조가 아니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는 절대로 참조하지 않았다. 실제 나치 독일의 헤게모니는 전후 대륙의 지배 보장이었다.[8] 독일외 나머지 유럽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예속과 함께 독일 국가 자체의 팽창주의로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확장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독일이 먼저 유럽의 독보적인 지배 이후 미래에 계획할려 했지만, 신질서는 유럽에서 여분의 시간을 주지 않았다. 나치 선전의 넓은 이용으로 인해 신질서는 서구 미디어의 주화를 얻었다. 특히, 영어권 학회에서는 이에 더욱 포괄적인 정의의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점점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뿐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 국내 정치 및 전쟁 목표를 사용하는 데에 이르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의 아시아 지배 계획이었던 대동아공영권은 이와 거의 비슷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유럽 대내외의 정책을 예상하는 데 이용된다. 이데올로기의 배경[편집] 인종차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치즘과 인종입니다. 지배자 인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나치당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엄격한 계층 구조를 증명하기 위해 인종 분류를 주장했다. 지배자 민족은 가장 순수한 피를 가진 아리아 민족이며, 이는 북유럽 민족과 근소한 차이가 있는 인정된 민족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아 인종은 나머지 인종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나치는 서양 문화가 주로 북유럽이 만들어 다른 문명에 비해 분명히 뛰어났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노르딕인"들은 모든 인종보다 우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치는 세계 정복을 당연히 노르딕인들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개념은 노르디시즘(Nordicism)으로 알려졌다.[10] 지정학적 전략[편집] 게오폴리티크, en:Geopoliti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틀러는 그의 동부 확장 정책을 나의 투쟁에서 드러냈는데, 이는 1924년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에게 영향받은 것이다.[11] 하우스호퍼의 주요 지정학 개념 중 하나는 독일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라시아의 유라시아 심장부(Heartland)를 점령해야 한다는 이론이었다.[12]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편집] 나치의 외교 정책 토론, en:Nazi foreign policy deba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 11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의 히틀러의 연설에서, 청중들에게 독일이 그들을 위해 싸우고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권리(즉, 세계 정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매우 야심찬 목표는 엄청난 양의 전투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3]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 인생 이전에도 미래의 독일 세계 지배를 언급했다. 나중에 공개된 1927년의 루돌프 헤스와 발터 히벨 간의 편지에서, 헤스는 히틀러의 비전에 대해 부연 설명하였다. "세계 평화는 확실히 노력하기에 이상적인 가치이다. 히틀러의 의견은 초강대국이 최고 인종 하나만 명백한 우위를 누리고 있을 경우 실현된다고 생각한다. 즉, [권력]은 세계 경찰로서 동시에 필요한 생활 공간(생활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경쟁이다. 그리고 만약 이 방법들이 그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낮은 인종들은 자신 스스로 제한해야만 한다."[14]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포젠 연설에서 처음 독일의 영토 열망을 언급했다. 그는 충돌과 관련된 국가 목표에 덧붙어 독일이 새로운 지역인 세계적인 전쟁 상태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7년 전쟁은 프로이센이 유라시아에서 최고 강국이 되게 했다. 그 전쟁은 이미 프로이센의 일부가 된 실레지아를 확실하게 통치하기 위해 일어났다. 이 전쟁은 모든 독일 제국, 대 게르만 제국이 1938년 이래로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게 하는 전쟁이 될 것이며 우리는 남아있을 것이다. 이 전쟁은 이제 동쪽으로 열린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마도 독일은 강대국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 세계 제국이 될 것이다. (Germanische Weltreich). 유럽의 구현[편집] 유럽 대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편집] 신질서의 초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어 폴란드 침공 당시 소비에트 연방과의 양면전을 방지하고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일어날 원자재 부족을 막는다. 두 번째로, 전격전을 통해 북유럽과 서유럽(베저위붕 작전과 프랑스 공방전)을 빠르게 공격해 저항을 무력화한다. 이 결과 1940년 초여름까지 덴마크,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가 독일에게 정복되었다. 영국이 독일에게 굴복함으로써 서유럽에서 정치적 우위를 차지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와 같은 방식의 강화 회의는 없어지게 되었다.[15] 국제 노동 기구 같은 모든 국제 기구는 독일의 점령을 등가로 하여 해체되거나 바뀔 수 있었다. 전후 압수된 독일군 총사령관인 발터 폰 브라우히치가 남긴 문서에 따르면, "17세부터 45세까지 혼자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인구는 현지 상황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구금하고 대륙으로 보내야 된다"라고 작성했다. 이 인구는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영국의 모든 금융, 군사, 산업, 문화적 재산을 약탈한 이후[16] 나머지 인구는 공포에 떨도록 했다. 민간인들을 인질로 잡은 이후 사소한 저항에도 모두 사형을 하고자 했다.[17] 이 추방된 남성들은 대부분 루르와 어퍼 실레지아에서 대부분 산업 노동을 할 것으로 예정되었다. 비록 그들은 동부의 노예(나치는 이들을 인간보다 아래로 간주하여 죽을 때 까지 일만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겼음)보다는 덜 잔인했겠지만 작업 및 생활 조건은 매우 열약했을 것이다.[18] 1943년 2월 말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Reichsministerium für die besetzten Ostgebiete)의 오토 브라우티겜(Otto Bräutigam)가 에두아르드 바그너(Eduard Wagner)와 토론 중 하인리히 힘러의 보고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을 때, 보고서에는 힘러가 독일의 승리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아인자츠그루펜과 보안방첩대(Sicherheitsdienst)를 이용하여 인구의 80% 이상의 학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9] 관련 사건에서는 히틀러가 영국 하층 계급을 "인종적으로 열등하다"라고 말한 것이 있었다.[20] 북프랑스의 거대 영토 합병 계획에 따르면, 히틀러는 독일 헤게모니를 대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국령 내로 두는 것을 배척했다.[21] 마찬가지로, 서부와 남부의 라틴 유럽(이스타두 노부, 프랑코 정권, 이탈리아)도 단순히 독일의 종속국 및 괴뢰 상태로만 두었다.[21]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편집] 대 게르만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 게르만 제국으로 계획된 다양한 국경 중, 나치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체계화된 계획 대상(예:제네랄플랜 오스트)과 친위대의 통치 기반 구역을 표시했다.[22]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정교했던 나치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대 게르만 제국"(Grossgerman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수립 계획이었다.[23] 이 미래의 제국은 머지않아 독일 뿐 아니라 사실상 역사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점령한 곳(그레이트브리튼 섬 제외)를 포함했으며 자연의 아리안 민족이 점령할 것이라 믿었다. 제3제국 시기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마르크(Ostmark)같이 단순한 지방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빠르게 적용하여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종본질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의식을 근절시키는 것이었지만 독일어는 계속 존재할 것이었다.[24][25]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편집] 다뉴브 강 이남의 나치 지배, en:Nazi rule over the Danube Riv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직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바나트 지역의 다뉴브 슈바벤(Danube Swabian) 자치령 포함)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성국이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하던 시기 합병되었다. 독일-이탈리아 공동 점령기의 그리스는 그리스 저항운동이 성장하였다. 비록 물리적으로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이탈리아의 지배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공동통치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는 남서부의 절반을 점령했고, 독일은 북동부의 절반을 지배했다. 히틀러는 베오그라드(나중에 프랑수아 외젠-슈타로 이름이 바뀜)과 데살로니카 지역에 영구 독일 기지를 건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26]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A 선, 나치 독일의 우랄 산맥 계획, 헝거 계획, 및 en:Hunger Plan입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의 계획도. 신질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작전은 1941년 6월 22일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는 바르바로사 작전이었다. 이 전역의 목표는 단순한 소련 정권 파괴가 아닌(나치 정권은 정당성과 반소비에트주의를 고려하였다) 유럽 러시아의 인종을 개편하여 제네랄플랜 오스트(Generalplan Ost)로 나치 엘리트들을 심고자 했다.[27] 또한, 히틀러는 소련 영토에 존재하는 광대한 자원을 이용하여 독일에게 총봉쇄 상황의 자급자족을 이룰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는 곡물, 식물성 유지, 사료, 철광석, 니켈, 망간, 석탄, 몰리브데넘이 있었다. 또한, 크림 반도에는 고무, 귤, 목화가 있었다. 흑해에는 물고기가 있었고, 코카서스에서는 석유가 있었다.[28] 나치당의 철학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슬라브 민족에 대한 비인간적인 정책에 항의[29])는 SS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가 주도하는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이곳의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비아리안 민족을 노예화, 강제 이주, 제노사이드 등을 구현하고자 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나온 장기적 목표는 동유럽의 거대한 병합 영토에 독일 민족을 정착시키고, 결국에는 우랄 산맥까지 3제국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유럽의 정착형 식민지의 취득으로 레반스라움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였다.[30] 1942년부터는 준식민지 정권인 폴란드의 폴란드 총독부, 발트3국과 벨라루스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가 설립했다. 또, 모스크바 수도권을 포함한 유럽 러시아의 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코카서스 지역의 코카서스 국가판무관부 두 가지의 총독부가 구상되었다. 이 지역에는 유대인 인구(마지막 해결책)의 홀로코스트와 슬라브 민족의 노예화 정책이 계획되었고 이 계획을 위해 정복 이후 SS 군인이 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러한 각각의 SS 농민군은 아버지에 적어도 7명의 아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31] 독일 여성은 새롭게 병합한 동부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가질 것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레반스라움 프로그램 확장과 제3제국 내에서 적어도 8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독일 여성에게 수여되는 독일 어머니 명예 훈장으로 알려진 주 훈장 제정이 있었다. 마르틴 보어만과 히믈러의 인구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결혼 법안인 일부다처제 허용 법안도 있었다.[32] 히믈러는 적어도 2000년대에는 독일 인구가 약 3억명일 것이라 예상했다. 재정착 노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국으로의 귀향입니다. 독일 점령하의 폴란드의 나치 계획을 보여주는 프로파간다 지도. 1942년, 히틀러의 제국은 유럽의 많은 곳을 점령했지만, 이 지역들은 나치가 원하는 인구보다 부족했다.[33] 독일이 레반스라움 영토를 병합한 후에는 나치 이데올로기식 인종 원칙에 따라 인구를 채울 필요가 있었다.[33] 이것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민족학적 관계의 재배열"로 수행할 수 있었다.[33] 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히틀러가 게르마니아 통합 제국 위원회(독일 민족의 강화를 위한 제국대표부 위원, RKFDV)(독일 민족 복지 사업부 참조) 시기 1939년 10월 7일 히틀러가 구상했다.[33] 이 부는 독일의 폴란드 점령기 당시 히믈러가 공인한 독일 소수민족의 복귀를 위해 시작했다.[33] 히믈러는 전쟁이 계속되는 다른 독일계 점령지에서 독일인 정착민 보호 관할지가 늘어났다. 독일 민족 정착을 위한 영토를 만들기 위해, 폴란드와 프랑스 영토로 수십만 명을 보냈다.[34] 히틀러의 독일계 소수민족 정착의 대다수는 소비에트 연방에게서 얻은 나치-소비에트 시민 교환 조약으로 받은 독일인이었다.[34] 1944년 바르테란트 제국대관구에서 지구 지도자 아서 그레서가 인사를 받는 모습. 1942년 말까지 총 독일계 소수민족 629,000명이 정착했으며, 393,000명의 정착 준비를 끝냈다.[34] 장기적 목표로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프랑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으로 540만명을 정착시키는 것이었다.[34] 독일 제국 내에서 나온 이민자들은 모두 인종이나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나 폴란드 병합 지역에서 강제 수용소로 들어갈 사람으로 분류되었다.[34] 히믈러는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정착민들이 종종 해당국가의 시민으로서 있길 바라는 현상 때문에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34] 1944년 6월 1일 기준 정착/재정착 인구[35] 기원 지역 총 합 합병된 동부 지역에 정착한 인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76,895명 57,249명 리투아니아 51,076명 30,315명 볼히니아, 갈리치아, 나레프 136,958명 109,482명 폴란드 총독부 동부 32,960명 25,956명 베사라비아 93,342명 89,201명 북부 부코비나 43,670명 24,203명 남부 부코비나 52,149명 40,804명 도르부자 15,454명 11,812명 루마니아 레가트 10,115명 1,129명 고트시와 류블랴나 15,008명 13,143명 불가리아 1,945명 226명 세르비아 2,900명 350명 러시아 350,000명 177,146명 그리스 25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8,437명 3,698명 슬로바키아 98명 남부 트롤 88,630명 제국, 보호령, 룩셈부르크 : 68,162명 프랑스 19,226명 알자스, 로렌, 룩셈부르크, 제국, 보호령 : 9,572명 총 합 1,009,113명 662,448명 스페인과 포르투갈[편집] 스페인은 파시스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지도자로 있었으며, 독일 편에 참전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스페인 팔랑헤당은 수많은 영토 점유를 요구했다. 프랑코 장군은 프랑스의 바스크어 지역 뿐 아니라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인 루살롱, 세르다냐, 안도라 영토 할양을 요구했다.[36] 또한, 스페인은 전략적, 이념적 가치로 인해 대영제국의 지브롤터 점령도 요구했다. 또한, 프랑코는 스페인 보호령인 모로코의 재통일 및 프랑스령 알제리주의 오랑 지역, 스페인령 기니의 대규모 확장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요구 사항은 독일이 독일령 카메룬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영토 야망이 있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독일은 스페인이 기니 지역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37] 스페인은 포르투갈을 문화적, 역사적 동질성을 근거로 이베리아 연합이라는 동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38] 스페인이 참전을 거부한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괴뢰국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대서양 장벽의 독일 해군 시설 건립에 대한 일환으로 독일에게 대서양 해안 도시 및 섬을 인계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와 포르투갈령 앙골라를 미테라프리카의 식민지 프로젝트를 일환으로 양도했다.[39]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편집]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편집]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식민정책부, 제국 식민지 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테라프리카(Mittelafrika)의 예상 영토는 연한 파랑색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식민지 제국이 소유한 식민지는 진한 파랑색이다. 포함 가능 영토(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는 파랑색 음영 처리. 아프리카에 대한 히틀러의 지정학적 생각은 항상 유럽 그 자체에 있는 팽창 목표의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식민지 정책은 오직 너가 먼저 대륙을 점령하고 나서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쟁 발발 이전 히틀러는 독일의 옛 식민지는 유럽 자체 영토 목표를 이룬 후 협상을 통해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먼저 유럽 대륙에서 최고가 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독일이 점령할 예정이었다.[40] 히틀러의 아프리카 미래 조직에 관한 전반적인 의도는 세가지 기초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 세 곳중, 북부는 이탈리아 왕국에게 할양할 것이며 중부 지역은 독일이 점령할 의도였다. 나머지 남부 지역은 인종주의를 근거로 한 친나치 아프리카너 국가가 세워질 예정이었다.[40] 1940년 독일 외무부 장관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남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진 것이 나치가 이전 식민지인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확보한 다음 남아프리카 연방에게 위임령으로 주는 것에 공감하였다.[41] 남아프리카는 영국의 보호령인 스와질란드, 바수톨란드, 베추아날란드 및 식민지인 남로디지아 영토를 합병할 수 있다는 보상을 얻었다.[41] 스페인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에 관해 논의했지만,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기를 거부했다. 1940년, 크릭스마리네의 장군참모가 독일 식민지 제국은 파란색으로 묘사(대영 제국을 나타내는 붉은 색이나 분홍색에 반대하여 독일의 영토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색)된 지도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통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확장한다는 훨씬 더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했다.[42] 이 제안된 계획은 미테라프리카로 불리며 심지어는 더 크게 모색된 독일 목표 지도도 존재했다. 이것은 독일이 아프리카에서 우월적인 위치를 만들기 위해 단지 동유럽의 정복 뿐 아닌 유럽 대륙에 걸쳐 만들어진 지역처럼 아프리카도 그러한다는 계획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 얻을 영토 그 자체인 유럽 러시아와 달리, 이 지역은 광대한 독일인 정착 영토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대한 식민지제국의 건설은 주로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드는 것으로, 독일에게는 대륙에서 광대한 지하 자원과 재산을 얻을 수 있고, 거의 무제한적인 노동력도 얻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 정책은 엄격하게 시행될 예정이었으며(백인과 흑인을 분리하는 의미의 차별),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제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일부도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령과 벨기에령 콩고, 북로디지아 및 남로디지아(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도 포함), 니아살랜드, 나이로비를 포함한 케냐 남부(케냐 북부는 이탈리아가 점령하고 있었음), 우간다, 가봉, 우반기-샤리, 나이지리아, 다호메이, 황금 해안, 잔지바르, 니제르와 차드의 거의 대부분, 다카르와 반줄의 해군기지였다.[43] 두 번째 계획은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에서 벨기에령 콩고까지의 모든 유럽과 아프리카의 대서양 해안선 뿐 아닌 카보베르데, 아소르스 제도 등 많은 대서양 앞다의 섬에 걸쳐 서반구에 대해 해군 기지 및 공군 기지 강화와 건설을 할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비슷한 계획으로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대한 계획이었다.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의 아시아 분단 협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 예니세이 강은 일본과 나치 독일의 아시아 분단점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4] 1942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 비밀 회담에서 이들은 아시아를 예니세이 강을 따라 중국 국경, 중국-소비에트 연방 국경,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서부 국경, 이란-영국령 인도 제국 국경을 따라서 분할하기로 합의했다.[44] 이 조약의 초안은 일본 주 독일 대사인 오시마 히로시가 독일에서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인도가 일본에게 할당되었고 독일 해군의 인도양 운영 작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독일 외무부와 해군이 거부하였다.[45] 그러나, 히틀러는 1942년 1월 18일 이 조약에 받아들이고 서명했다.[45]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된 독일 식민지 제국의 옛 오세아니아 식민지(독일령 사모아와 독일령 뉴기니)는 일본이 적어도 삼국 동맹 조약 당시 일시적으로 관심을 가지던 독일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모두 옛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았다).[47] 호주와 뉴질랜드는 히틀러가 이 지역에서 백인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탄했지만 미래의 대동아 공영권 지역으로 설정되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그 장교에게 호주는 "죄수의 후손"이며, 독일의 관심지역이 아니며 장래에는 일본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요제프 괴벨스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괴벨스는 그의 일기에서 일본인들은 항상 "5번째 대륙의 이민을 목적으로 한다고 작성했다.[49] 그의 남아있는 유일한 긴 논의에서, 뉴질랜드인은 아직까지 교목성 운동을 하며 이족보행을 못한다고 말했다.[50] 역사학자 노르먼 리치는 히틀러가 동부의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앵글로색슨족의 두 나라를 정복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잉글랜드인들도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8][51] 중동와 중앙아시아[편집] 1941년 12월 예루살렘 그랜드 무프티인 무함마드 아민 알-후스세이니와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지침 30호, 프리츠 그로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비에트 연방 멸망 프로젝트를 모두 마친 후에는, 지중해 전구를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52]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수에즈 운하와 터키를 통하여 코카서스(이 지역의 대부분은 이미 청색 작전의 결과로 점령하게 됨)에서 바그다드-바스라 지역을 공격해서 1941년 이라크 쿠데타를 지원하여 영국-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53] 그러나, 히틀러는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 지배에 대해 구상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레반트 지역까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허용하려고 했다.[54][55][56] 중동 유대인은 1941년 11월 하즈 아민 알-후스세이니와의 약속에 따라 아인자츠구르페 이집트를 동원하여 몰살할 계획이었다.[55] 터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계에 있는 지역일 뿐 아니라 긴 기간 동안의 적대적인 역사, 이후 소련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히틀러가 중요한 잠재적 동맹으로 인식했다.[57] 독일은 장기적으로 공동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터키에게 독일 지배 하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으며 국방을 명목으로 원하는 지역의 보장을 약속했다. 이 지역에는 터키와 그리스 간의 경계인 에디르네의 재정립, 터키가 영유권 주장을 하던 코카서스의 완충국 형성, 터키-시리아 국경(바그다드 철도와 알레포 주) 및 터키-이라크 국경(모술 빌리예트)의 개정, 이탈리아 왕국의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방어같은 에게 해 문제 해결 등이 있다.[57] 흑해(히틀러는 "단순한 개구리연못"이라고 조롱)[58] 또한 터키의 영향권 중 하나로 양보할 수 있었으며, 흑해 함대를 대신에 독일 함대가 주둔하는 것에 반대했다.[57] 크림 반도(나치는 고텐란트, Gotenland라고 부름)는 독일이 영구적인 영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새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흑해에서 해산물을 "무제한"으로 수탈할 수 있었다.[59] 연합국이 점령한 이란도 반란을 이용하여 추축국의 영역으로 끼워넣을려고 했다.[53] 반소비에트주의의 요새로서의 이란은 1930년대 이미 고려되었으며, 이란에 대한 히틀러의 "아리안 민족의 국가"로 선언한 것도 일치한다(페르시아어로 Iran이라는 말은 "아리안 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다.). 1935년 국명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개칭한 것은 독일 대사의 "아리아인 연대"의 제안으로, 샤가 이를 수락하여 받아들어졌다.[60] 그러나, 이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항상 "이란"이라고 불렀으며, 나치 독일의 성장 천여년 이전부터 계속해왔던 것이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소련, 영국, 미국 다음으로 단일 무역 상대로써 가장 거대한 무역 상대였다.[60] 전쟁 이전 외교적 행보로, 나치 독일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이루어진 니에데마이어-헨팅 탐험(Niedermayer-Hentig Expedition)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이 나라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다.[62] 이들의 목적은 독일-영국 간 충돌시 최대한 중립을 유지하며, 심지어는 영국령 인도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군사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62]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나치 독일 외무부 간 친선관계에도 불구하고, 리펜트로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시키고 1929년부터 독일로 망명해 있던 아마눌라흐 칸 복권을 선호했다.[63] 결국, 히틀러는 이 문제에 대해 로젠버그를 지지했다.[63] 1940년 독일-프랑스 휴전 이후 카불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의 계획을 물어보기 위해 베를린 방문을 시도했다.[64] 가장 특별한 관심사는 전후 국경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영국령 인도에 있던 파슈툰인 1500만명의 "해방"을 희망했고 거기에 더해 북부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확장하고 남으로는 인도양 해안까지 파슈투니스탄처럼 확장하려고 했다.[64] 10월에서 11월 사이 열린 독일-소련 추축국 회담에서 독일이 소련에게 남부-중앙유라시아와 인도 방면으로 소련을 확장시켜줄려고 했을 때, 독일은 아프가니스탄과 협력하기를 꺼려했다.[65] 독일은 이븐 사우드 하의 사우디아라비아를 자연적인 동맹국으로 여겼으며, 아라비아 남서부와 트란스요르단을 양도하려고 했다.[66] 또한, 전후 위성국으로 대아랍연합을 세우는 것이 논의되었다.[54] 처음에는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가 점령하도록 양보할 예정이었지만,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게 휴전을 합의하자 히틀러는 이슬람 세계에 이슬람 국가를 독립시키고 "위험한" 이탈리아와는 달리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범아랍주의 운동을 자연적인 동맹으로 만들려고 했다.[67] 1945년 2월 17일, 특히 히틀러는 측근들에게 독일의 강철 조약이 더 혁명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또한 대영제국 및 프랑스 식민 제국 둘 모두의 영향력을 없애버릴 수 있는 남쪽의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것을 막아버렸다고 후회한다고 말했다.[67]: 자연스럽게,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은 중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있었다면, 우리는 프랑스가 지배하는 이슬람 국가를 해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는 거대한 중동과 이집트도 그렇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운명은 이탈리아인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을 추구할 수 없었다. 모든 이슬람인은 우리의 승리에 진동했다. 이집트인, 이라크인 및 중동 거의 전체가 모두 반란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었다. 우리가 단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을 것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그들을 선동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들의 의무이자 우리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측에서 이탈리아의 존재는 우리를 마비시켰다. 우리의 이슬람 친구들은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을 압제자라 느끼거나 내키지 않는 공범이라고 느끼며 불쾌하게 느꼈을 것이다. 더 보기[편집] 대 게르만 제국은 전 유럽의 모든 게르만족 지역을 점령하여 만들려고 했던 국가 이름이다. 대동아 공영권은 신질서와 범게르만주의를 일본식으로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 제국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중해 점령 프로젝트이다. (en:Imperial Italy)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그로스도이칠란트, Grossdeutschland) 드랑 나흐 오스턴 (Drang nach Osten, "The Drive Eastward") 레반스라움 (Lebensraum) 제네럴플랜 오스트 (Generalplan Ost) 생명의 샘 마지막 해결책 (Final solution) 홀로코스트 유럽 전장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기 신세계 질서 (국제 외교 이론) 포즈난 연설 -1943년 10월 하인리히 힘러의 연설로, SS에게 신 질서의 새부 사항에 대한 연설이다. 헤게모니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각주[편집] ↑ 아돌프 히틀러의 베를린 스포츠 궁전 연설. [1] ↑ Gumkowkski, Janusz; Leszcynski, Kazimierz (1961).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Polonia Pub. House. [2] ↑ Lee, Stephen J. (1987).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p.359 ↑ Spielvogel, Jackson J. (2006). Western Civilization Since 1789, Volume 3. Clark Baxter, p. 855. [3] ↑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July 16, 194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5 June 2011. Quoting Hitler: The Führer emphasized that we had to understand that the Europe of today was nothing but a geographical term; in reality Asia extended up to our frontiers. ↑ Rich, Norman (1972).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p. 212. ↑ Haffner, Sebastian (1979). The Meaning of Hitl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Inc., p. 100. [4] ↑ Hitler, Adolf Mein Kampf ↑ Rosenberg, Alfred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1930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 Geopolitics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ian W. Blouet (2001): ↑ Derwent, Whittlesey German Strategy for World Conquest New York:1942 Farrar and Rinehart ↑ Gerhard Weinberg (2005).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 [5] ↑ . Weinberg, G.L. (1996),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p. 28, ISBN 0-521-56626-6 ↑ Weinberg, A world at arms (2005), p. 175 ↑ Shirer, p. 943 ↑ Shirer, p. 782 ↑ Shirer, p. 949 ↑ Otto Bräutigam: „So hat es sich zugetragen...“ (Holzner Verlag, Germany 1968, p. 590) ↑ Adolf Hitler: Hitler's Table Talk November 5th, 1941 (in: Hitler's Table Talk, Weidenfeld & Nicolson, 1953) ↑ 가 나 Lipgens, Walter (1985).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Continental Plans for European Union 1939-1945》. Walter de Gruyter. 12–13쪽. ISBN 3-11-009724-9.  ↑ “Utopia: The 'Greater Germanic Reich of the German Nation'”. München - Berli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1999.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Rich, Norman (1974).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p. 26.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 Rich (1974), pp. 24-25, 140. ↑ Welch, David (1983). Nazi Propaganda: The Power and the Limitations, p. 145. Taylor & Francis. ISBN 0-389-20400-5. ↑ Kroener et al (2003), p. 165 ↑ Pinkus, Oscar (2005).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175쪽. ISBN 0-7864-2054-5.  ↑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19-822887-2.  ↑ Padfield, Peter (1990) Himmler New York, Henry Holt. See under Rosenberg in index ↑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Padfield (1990), p. 317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6쪽. ISBN 0-15-602754-2.  ↑ 가 나 다 라 마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3).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Oxford University Press. 250쪽. ISBN 0-19-820873-1.  ↑ 가 나 다 라 마 바 Kroener et al (2003), p. 251 ↑ Kroener et al (2003), p. 252 ↑ Stanley G. Payne,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 Norman Rich,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 Glyn Stone, The Oldest Ally: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1941: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41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 Gerhard L. Weinberg,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 가 나 Weinberg 2005, p. 14. ↑ 가 나 Rich (1974), pp. 500-501. ↑ Padfield (1990), p. 309 ↑ Stegemann, Bernd; Vogel, Detlef (1995).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95쪽. ISBN 0-19-822884-8.  ↑ 가 나 Weinberg 2005, p. 13. ↑ 가 나 다 라 Martin, Bernd (2006).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ISBN 1-84545-047-7 pages=267–26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 가 나 다 Martin (2006), p. 271. ↑ Weinberg (2005), p. 13 ↑ 가 나 Rich (1974), p. 415 ↑ People Against Nazism, Communism, and Authoritarianism. Nazi plans for Australia. Retrieved 2 January 2011. [6] ↑ Weinberg (2005), p. 15-16.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5쪽. ISBN 0-15-602754-2.  ↑ Stegemann & Vogel (1995), p. 625.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631 ↑ 가 나 Schwanitz, Wolfgang (2004). 《Germany and the Middle East, 1871-1945》. Markus Wiener Publishers. 94–95쪽. ISBN 1-55876-298-1.  ↑ 가 나 Weinberg (2005), p. 19 ↑ Stegemann & Vogel (1995), p. 178 ↑ 가 나 다 Rich (1974), p. 402. ↑ Hitler (2000), p. 208. ↑ Rich (1974), p. 383. ↑ 가 나 Hiro, Dilip.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 Kegan Paul Inc., p. 296. [7] ↑ Iran's etymology.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2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3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4 ↑ Stegemann & Vogel (1995), p. 165 ↑ Stegemann & Vogel (1995), p. 591 ↑ 가 나 Hitler's Last Will and Political Testament, 17 February 1945 추가 읽기[편집] Evans, Richard J. The Third Reich at War (2009) pp 321–402 Fritz, Stephen G. Ostkrieg: Hitler's War of Extermination in the East (2011) Longerich, Peter. Heinrich Himmler: A Life (2012) Lund, Joachim. "Denmark and the 'European New Order', 1940-1942,"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2004) 13#3 pp 305–321, Mazower, Mark.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2009) Mazower, Mark. "Hitler's New Order, 1939-45," Diplomacy and Statecraft (1996) 3#1 pp 29–53, Snyder, Timothy.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2010)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질서_(나치즘)&oldid=23363866"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치나치 독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ISBNCS1 관리 - 수직선 없음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신질서 (나치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질서 (나치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질서 (나치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치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의 종교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강제적 동일화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20세기의 신화》 군국주의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슈트라서주의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흙 우생학 대게르만 제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들의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단체 및 정당 오쎄와브란드왁 영국 파시스트 연합 철위대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조국전선 v • d • e • h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 (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1]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쉬(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2]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재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3] “ 총통은 전유럽의 주인이 나치 제국이라는 신념이 흔들리지 않았다. 아직 많은 전투에 참가해야 하지만, 이것은 의심없이 멋진 승리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지배의 길은 이 곳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을 지배한다는 것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요제프 괴벨스, 1943년 5월 8일[4] 목차 1 용어의 유래 2 이데올로기의 배경 2.1 인종차별주의 2.2 지정학적 전략 2.3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 3 유럽의 구현 3.1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 3.2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 3.3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 3.4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 3.5 재정착 노력 3.6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 4.1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 4.2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 4.3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 4.4 중동와 중앙아시아 5 더 보기 6 각주 7 추가 읽기 용어의 유래[편집] 유럽의 신질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및 추축국의 최대 정복 영역 원래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의 의미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보다 매우 좁은 의미였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신질서로 번역되지만, 더 정확하게 번역을 하자면 재구성(reorganisation)에 가까운 뜻이다. 이 용어가 나치 시기의 제3제국에서는 나치가 유럽의 본질적인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하는 욕망으로 이용되었으며 이 결과 기존의 지정학적 구조가 바뀌었다. 같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1815년 빈 회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승리 당시 국제 정치 질서의 재개편이라는 의미로 이용되었다. 사실, 원래 나치가 만든 완전한 구문은 die Neuordnung Europas(유럽의 신질서)로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은 속어로 많이 이용되었다. 나치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된 유럽이란 "공동 이익"을 목표로 독일 아래 유럽 지역의 공정한 재배열을 시도하며,[5] 나치는 유럽 대륙에서 "아시아적인"을 의미하는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시켰다.[6] 나치의 인종주의적 관점은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볼셰비키(Judeo-Bolshevist)는 모두 파괴되어야 할 범죄 대상으로 보았으며 이것들은 유럽의 문화라고 부를 만한 것이 아닌 야만적인 상태의 것이라고 생각했다.[7] 신질서는 그러므로 좀처럼 이론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에 따라 다시 구성할 수 있었지만 이후 심지어는 실제 구조가 아니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는 절대로 참조하지 않았다. 실제 나치 독일의 헤게모니는 전후 대륙의 지배 보장이었다.[8] 독일외 나머지 유럽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예속과 함께 독일 국가 자체의 팽창주의로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확장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독일이 먼저 유럽의 독보적인 지배 이후 미래에 계획할려 했지만, 신질서는 유럽에서 여분의 시간을 주지 않았다. 나치 선전의 넓은 이용으로 인해 신질서는 서구 미디어의 주화를 얻었다. 특히, 영어권 학회에서는 이에 더욱 포괄적인 정의의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점점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뿐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 국내 정치 및 전쟁 목표를 사용하는 데에 이르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의 아시아 지배 계획이었던 대동아공영권은 이와 거의 비슷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유럽 대내외의 정책을 예상하는 데 이용된다. 이데올로기의 배경[편집] 인종차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치즘과 인종입니다. 지배자 인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나치당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엄격한 계층 구조를 증명하기 위해 인종 분류를 주장했다. 지배자 민족은 가장 순수한 피를 가진 아리아 민족이며, 이는 북유럽 민족과 근소한 차이가 있는 인정된 민족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아 인종은 나머지 인종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나치는 서양 문화가 주로 북유럽이 만들어 다른 문명에 비해 분명히 뛰어났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노르딕인"들은 모든 인종보다 우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치는 세계 정복을 당연히 노르딕인들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개념은 노르디시즘(Nordicism)으로 알려졌다.[10] 지정학적 전략[편집] 게오폴리티크, en:Geopoliti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틀러는 그의 동부 확장 정책을 나의 투쟁에서 드러냈는데, 이는 1924년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에게 영향받은 것이다.[11] 하우스호퍼의 주요 지정학 개념 중 하나는 독일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라시아의 유라시아 심장부(Heartland)를 점령해야 한다는 이론이었다.[12]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편집] 나치의 외교 정책 토론, en:Nazi foreign policy deba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 11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의 히틀러의 연설에서, 청중들에게 독일이 그들을 위해 싸우고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권리(즉, 세계 정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매우 야심찬 목표는 엄청난 양의 전투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3]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 인생 이전에도 미래의 독일 세계 지배를 언급했다. 나중에 공개된 1927년의 루돌프 헤스와 발터 히벨 간의 편지에서, 헤스는 히틀러의 비전에 대해 부연 설명하였다. "세계 평화는 확실히 노력하기에 이상적인 가치이다. 히틀러의 의견은 초강대국이 최고 인종 하나만 명백한 우위를 누리고 있을 경우 실현된다고 생각한다. 즉, [권력]은 세계 경찰로서 동시에 필요한 생활 공간(생활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경쟁이다. 그리고 만약 이 방법들이 그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낮은 인종들은 자신 스스로 제한해야만 한다."[14]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포젠 연설에서 처음 독일의 영토 열망을 언급했다. 그는 충돌과 관련된 국가 목표에 덧붙어 독일이 새로운 지역인 세계적인 전쟁 상태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7년 전쟁은 프로이센이 유라시아에서 최고 강국이 되게 했다. 그 전쟁은 이미 프로이센의 일부가 된 실레지아를 확실하게 통치하기 위해 일어났다. 이 전쟁은 모든 독일 제국, 대 게르만 제국이 1938년 이래로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게 하는 전쟁이 될 것이며 우리는 남아있을 것이다. 이 전쟁은 이제 동쪽으로 열린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마도 독일은 강대국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 세계 제국이 될 것이다. (Germanische Weltreich). 유럽의 구현[편집] 유럽 대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편집] 신질서의 초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어 폴란드 침공 당시 소비에트 연방과의 양면전을 방지하고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일어날 원자재 부족을 막는다. 두 번째로, 전격전을 통해 북유럽과 서유럽(베저위붕 작전과 프랑스 공방전)을 빠르게 공격해 저항을 무력화한다. 이 결과 1940년 초여름까지 덴마크,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가 독일에게 정복되었다. 영국이 독일에게 굴복함으로써 서유럽에서 정치적 우위를 차지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와 같은 방식의 강화 회의는 없어지게 되었다.[15] 국제 노동 기구 같은 모든 국제 기구는 독일의 점령을 등가로 하여 해체되거나 바뀔 수 있었다. 전후 압수된 독일군 총사령관인 발터 폰 브라우히치가 남긴 문서에 따르면, "17세부터 45세까지 혼자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인구는 현지 상황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구금하고 대륙으로 보내야 된다"라고 작성했다. 이 인구는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영국의 모든 금융, 군사, 산업, 문화적 재산을 약탈한 이후[16] 나머지 인구는 공포에 떨도록 했다. 민간인들을 인질로 잡은 이후 사소한 저항에도 모두 사형을 하고자 했다.[17] 이 추방된 남성들은 대부분 루르와 어퍼 실레지아에서 대부분 산업 노동을 할 것으로 예정되었다. 비록 그들은 동부의 노예(나치는 이들을 인간보다 아래로 간주하여 죽을 때 까지 일만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겼음)보다는 덜 잔인했겠지만 작업 및 생활 조건은 매우 열약했을 것이다.[18] 1943년 2월 말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Reichsministerium für die besetzten Ostgebiete)의 오토 브라우티겜(Otto Bräutigam)가 에두아르드 바그너(Eduard Wagner)와 토론 중 하인리히 힘러의 보고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을 때, 보고서에는 힘러가 독일의 승리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아인자츠그루펜과 보안방첩대(Sicherheitsdienst)를 이용하여 인구의 80% 이상의 학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9] 관련 사건에서는 히틀러가 영국 하층 계급을 "인종적으로 열등하다"라고 말한 것이 있었다.[20] 북프랑스의 거대 영토 합병 계획에 따르면, 히틀러는 독일 헤게모니를 대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국령 내로 두는 것을 배척했다.[21] 마찬가지로, 서부와 남부의 라틴 유럽(이스타두 노부, 프랑코 정권, 이탈리아)도 단순히 독일의 종속국 및 괴뢰 상태로만 두었다.[21]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편집] 대 게르만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 게르만 제국으로 계획된 다양한 국경 중, 나치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체계화된 계획 대상(예:제네랄플랜 오스트)과 친위대의 통치 기반 구역을 표시했다.[22]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정교했던 나치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대 게르만 제국"(Grossgerman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수립 계획이었다.[23] 이 미래의 제국은 머지않아 독일 뿐 아니라 사실상 역사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점령한 곳(그레이트브리튼 섬 제외)를 포함했으며 자연의 아리안 민족이 점령할 것이라 믿었다. 제3제국 시기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마르크(Ostmark)같이 단순한 지방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빠르게 적용하여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종본질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의식을 근절시키는 것이었지만 독일어는 계속 존재할 것이었다.[24][25]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편집] 다뉴브 강 이남의 나치 지배, en:Nazi rule over the Danube Riv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직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바나트 지역의 다뉴브 슈바벤(Danube Swabian) 자치령 포함)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성국이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하던 시기 합병되었다. 독일-이탈리아 공동 점령기의 그리스는 그리스 저항운동이 성장하였다. 비록 물리적으로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이탈리아의 지배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공동통치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는 남서부의 절반을 점령했고, 독일은 북동부의 절반을 지배했다. 히틀러는 베오그라드(나중에 프랑수아 외젠-슈타로 이름이 바뀜)과 데살로니카 지역에 영구 독일 기지를 건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26]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A 선, 나치 독일의 우랄 산맥 계획, 헝거 계획, 및 en:Hunger Plan입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의 계획도. 신질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작전은 1941년 6월 22일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는 바르바로사 작전이었다. 이 전역의 목표는 단순한 소련 정권 파괴가 아닌(나치 정권은 정당성과 반소비에트주의를 고려하였다) 유럽 러시아의 인종을 개편하여 제네랄플랜 오스트(Generalplan Ost)로 나치 엘리트들을 심고자 했다.[27] 또한, 히틀러는 소련 영토에 존재하는 광대한 자원을 이용하여 독일에게 총봉쇄 상황의 자급자족을 이룰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는 곡물, 식물성 유지, 사료, 철광석, 니켈, 망간, 석탄, 몰리브데넘이 있었다. 또한, 크림 반도에는 고무, 귤, 목화가 있었다. 흑해에는 물고기가 있었고, 코카서스에서는 석유가 있었다.[28] 나치당의 철학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슬라브 민족에 대한 비인간적인 정책에 항의[29])는 SS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가 주도하는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이곳의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비아리안 민족을 노예화, 강제 이주, 제노사이드 등을 구현하고자 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나온 장기적 목표는 동유럽의 거대한 병합 영토에 독일 민족을 정착시키고, 결국에는 우랄 산맥까지 3제국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유럽의 정착형 식민지의 취득으로 레반스라움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였다.[30] 1942년부터는 준식민지 정권인 폴란드의 폴란드 총독부, 발트3국과 벨라루스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가 설립했다. 또, 모스크바 수도권을 포함한 유럽 러시아의 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코카서스 지역의 코카서스 국가판무관부 두 가지의 총독부가 구상되었다. 이 지역에는 유대인 인구(마지막 해결책)의 홀로코스트와 슬라브 민족의 노예화 정책이 계획되었고 이 계획을 위해 정복 이후 SS 군인이 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러한 각각의 SS 농민군은 아버지에 적어도 7명의 아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31] 독일 여성은 새롭게 병합한 동부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가질 것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레반스라움 프로그램 확장과 제3제국 내에서 적어도 8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독일 여성에게 수여되는 독일 어머니 명예 훈장으로 알려진 주 훈장 제정이 있었다. 마르틴 보어만과 히믈러의 인구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결혼 법안인 일부다처제 허용 법안도 있었다.[32] 히믈러는 적어도 2000년대에는 독일 인구가 약 3억명일 것이라 예상했다. 재정착 노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국으로의 귀향입니다. 독일 점령하의 폴란드의 나치 계획을 보여주는 프로파간다 지도. 1942년, 히틀러의 제국은 유럽의 많은 곳을 점령했지만, 이 지역들은 나치가 원하는 인구보다 부족했다.[33] 독일이 레반스라움 영토를 병합한 후에는 나치 이데올로기식 인종 원칙에 따라 인구를 채울 필요가 있었다.[33] 이것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민족학적 관계의 재배열"로 수행할 수 있었다.[33] 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히틀러가 게르마니아 통합 제국 위원회(독일 민족의 강화를 위한 제국대표부 위원, RKFDV)(독일 민족 복지 사업부 참조) 시기 1939년 10월 7일 히틀러가 구상했다.[33] 이 부는 독일의 폴란드 점령기 당시 히믈러가 공인한 독일 소수민족의 복귀를 위해 시작했다.[33] 히믈러는 전쟁이 계속되는 다른 독일계 점령지에서 독일인 정착민 보호 관할지가 늘어났다. 독일 민족 정착을 위한 영토를 만들기 위해, 폴란드와 프랑스 영토로 수십만 명을 보냈다.[34] 히틀러의 독일계 소수민족 정착의 대다수는 소비에트 연방에게서 얻은 나치-소비에트 시민 교환 조약으로 받은 독일인이었다.[34] 1944년 바르테란트 제국대관구에서 지구 지도자 아서 그레서가 인사를 받는 모습. 1942년 말까지 총 독일계 소수민족 629,000명이 정착했으며, 393,000명의 정착 준비를 끝냈다.[34] 장기적 목표로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프랑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으로 540만명을 정착시키는 것이었다.[34] 독일 제국 내에서 나온 이민자들은 모두 인종이나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나 폴란드 병합 지역에서 강제 수용소로 들어갈 사람으로 분류되었다.[34] 히믈러는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정착민들이 종종 해당국가의 시민으로서 있길 바라는 현상 때문에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34] 1944년 6월 1일 기준 정착/재정착 인구[35] 기원 지역 총 합 합병된 동부 지역에 정착한 인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76,895명 57,249명 리투아니아 51,076명 30,315명 볼히니아, 갈리치아, 나레프 136,958명 109,482명 폴란드 총독부 동부 32,960명 25,956명 베사라비아 93,342명 89,201명 북부 부코비나 43,670명 24,203명 남부 부코비나 52,149명 40,804명 도르부자 15,454명 11,812명 루마니아 레가트 10,115명 1,129명 고트시와 류블랴나 15,008명 13,143명 불가리아 1,945명 226명 세르비아 2,900명 350명 러시아 350,000명 177,146명 그리스 25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8,437명 3,698명 슬로바키아 98명 남부 트롤 88,630명 제국, 보호령, 룩셈부르크 : 68,162명 프랑스 19,226명 알자스, 로렌, 룩셈부르크, 제국, 보호령 : 9,572명 총 합 1,009,113명 662,448명 스페인과 포르투갈[편집] 스페인은 파시스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지도자로 있었으며, 독일 편에 참전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스페인 팔랑헤당은 수많은 영토 점유를 요구했다. 프랑코 장군은 프랑스의 바스크어 지역 뿐 아니라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인 루살롱, 세르다냐, 안도라 영토 할양을 요구했다.[36] 또한, 스페인은 전략적, 이념적 가치로 인해 대영제국의 지브롤터 점령도 요구했다. 또한, 프랑코는 스페인 보호령인 모로코의 재통일 및 프랑스령 알제리주의 오랑 지역, 스페인령 기니의 대규모 확장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요구 사항은 독일이 독일령 카메룬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영토 야망이 있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독일은 스페인이 기니 지역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37] 스페인은 포르투갈을 문화적, 역사적 동질성을 근거로 이베리아 연합이라는 동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38] 스페인이 참전을 거부한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괴뢰국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대서양 장벽의 독일 해군 시설 건립에 대한 일환으로 독일에게 대서양 해안 도시 및 섬을 인계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와 포르투갈령 앙골라를 미테라프리카의 식민지 프로젝트를 일환으로 양도했다.[39]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편집]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편집]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식민정책부, 제국 식민지 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테라프리카(Mittelafrika)의 예상 영토는 연한 파랑색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식민지 제국이 소유한 식민지는 진한 파랑색이다. 포함 가능 영토(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는 파랑색 음영 처리. 아프리카에 대한 히틀러의 지정학적 생각은 항상 유럽 그 자체에 있는 팽창 목표의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식민지 정책은 오직 너가 먼저 대륙을 점령하고 나서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쟁 발발 이전 히틀러는 독일의 옛 식민지는 유럽 자체 영토 목표를 이룬 후 협상을 통해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먼저 유럽 대륙에서 최고가 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독일이 점령할 예정이었다.[40] 히틀러의 아프리카 미래 조직에 관한 전반적인 의도는 세가지 기초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 세 곳중, 북부는 이탈리아 왕국에게 할양할 것이며 중부 지역은 독일이 점령할 의도였다. 나머지 남부 지역은 인종주의를 근거로 한 친나치 아프리카너 국가가 세워질 예정이었다.[40] 1940년 독일 외무부 장관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남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진 것이 나치가 이전 식민지인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확보한 다음 남아프리카 연방에게 위임령으로 주는 것에 공감하였다.[41] 남아프리카는 영국의 보호령인 스와질란드, 바수톨란드, 베추아날란드 및 식민지인 남로디지아 영토를 합병할 수 있다는 보상을 얻었다.[41] 스페인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에 관해 논의했지만,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기를 거부했다. 1940년, 크릭스마리네의 장군참모가 독일 식민지 제국은 파란색으로 묘사(대영 제국을 나타내는 붉은 색이나 분홍색에 반대하여 독일의 영토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색)된 지도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통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확장한다는 훨씬 더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했다.[42] 이 제안된 계획은 미테라프리카로 불리며 심지어는 더 크게 모색된 독일 목표 지도도 존재했다. 이것은 독일이 아프리카에서 우월적인 위치를 만들기 위해 단지 동유럽의 정복 뿐 아닌 유럽 대륙에 걸쳐 만들어진 지역처럼 아프리카도 그러한다는 계획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 얻을 영토 그 자체인 유럽 러시아와 달리, 이 지역은 광대한 독일인 정착 영토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대한 식민지제국의 건설은 주로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드는 것으로, 독일에게는 대륙에서 광대한 지하 자원과 재산을 얻을 수 있고, 거의 무제한적인 노동력도 얻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 정책은 엄격하게 시행될 예정이었으며(백인과 흑인을 분리하는 의미의 차별),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제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일부도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령과 벨기에령 콩고, 북로디지아 및 남로디지아(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도 포함), 니아살랜드, 나이로비를 포함한 케냐 남부(케냐 북부는 이탈리아가 점령하고 있었음), 우간다, 가봉, 우반기-샤리, 나이지리아, 다호메이, 황금 해안, 잔지바르, 니제르와 차드의 거의 대부분, 다카르와 반줄의 해군기지였다.[43] 두 번째 계획은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에서 벨기에령 콩고까지의 모든 유럽과 아프리카의 대서양 해안선 뿐 아닌 카보베르데, 아소르스 제도 등 많은 대서양 앞다의 섬에 걸쳐 서반구에 대해 해군 기지 및 공군 기지 강화와 건설을 할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비슷한 계획으로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대한 계획이었다.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의 아시아 분단 협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 예니세이 강은 일본과 나치 독일의 아시아 분단점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4] 1942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 비밀 회담에서 이들은 아시아를 예니세이 강을 따라 중국 국경, 중국-소비에트 연방 국경,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서부 국경, 이란-영국령 인도 제국 국경을 따라서 분할하기로 합의했다.[44] 이 조약의 초안은 일본 주 독일 대사인 오시마 히로시가 독일에서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인도가 일본에게 할당되었고 독일 해군의 인도양 운영 작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독일 외무부와 해군이 거부하였다.[45] 그러나, 히틀러는 1942년 1월 18일 이 조약에 받아들이고 서명했다.[45]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된 독일 식민지 제국의 옛 오세아니아 식민지(독일령 사모아와 독일령 뉴기니)는 일본이 적어도 삼국 동맹 조약 당시 일시적으로 관심을 가지던 독일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모두 옛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았다).[47] 호주와 뉴질랜드는 히틀러가 이 지역에서 백인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탄했지만 미래의 대동아 공영권 지역으로 설정되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그 장교에게 호주는 "죄수의 후손"이며, 독일의 관심지역이 아니며 장래에는 일본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요제프 괴벨스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괴벨스는 그의 일기에서 일본인들은 항상 "5번째 대륙의 이민을 목적으로 한다고 작성했다.[49] 그의 남아있는 유일한 긴 논의에서, 뉴질랜드인은 아직까지 교목성 운동을 하며 이족보행을 못한다고 말했다.[50] 역사학자 노르먼 리치는 히틀러가 동부의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앵글로색슨족의 두 나라를 정복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잉글랜드인들도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8][51] 중동와 중앙아시아[편집] 1941년 12월 예루살렘 그랜드 무프티인 무함마드 아민 알-후스세이니와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지침 30호, 프리츠 그로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비에트 연방 멸망 프로젝트를 모두 마친 후에는, 지중해 전구를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52]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수에즈 운하와 터키를 통하여 코카서스(이 지역의 대부분은 이미 청색 작전의 결과로 점령하게 됨)에서 바그다드-바스라 지역을 공격해서 1941년 이라크 쿠데타를 지원하여 영국-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53] 그러나, 히틀러는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 지배에 대해 구상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레반트 지역까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허용하려고 했다.[54][55][56] 중동 유대인은 1941년 11월 하즈 아민 알-후스세이니와의 약속에 따라 아인자츠구르페 이집트를 동원하여 몰살할 계획이었다.[55] 터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계에 있는 지역일 뿐 아니라 긴 기간 동안의 적대적인 역사, 이후 소련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히틀러가 중요한 잠재적 동맹으로 인식했다.[57] 독일은 장기적으로 공동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터키에게 독일 지배 하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으며 국방을 명목으로 원하는 지역의 보장을 약속했다. 이 지역에는 터키와 그리스 간의 경계인 에디르네의 재정립, 터키가 영유권 주장을 하던 코카서스의 완충국 형성, 터키-시리아 국경(바그다드 철도와 알레포 주) 및 터키-이라크 국경(모술 빌리예트)의 개정, 이탈리아 왕국의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방어같은 에게 해 문제 해결 등이 있다.[57] 흑해(히틀러는 "단순한 개구리연못"이라고 조롱)[58] 또한 터키의 영향권 중 하나로 양보할 수 있었으며, 흑해 함대를 대신에 독일 함대가 주둔하는 것에 반대했다.[57] 크림 반도(나치는 고텐란트, Gotenland라고 부름)는 독일이 영구적인 영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새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흑해에서 해산물을 "무제한"으로 수탈할 수 있었다.[59] 연합국이 점령한 이란도 반란을 이용하여 추축국의 영역으로 끼워넣을려고 했다.[53] 반소비에트주의의 요새로서의 이란은 1930년대 이미 고려되었으며, 이란에 대한 히틀러의 "아리안 민족의 국가"로 선언한 것도 일치한다(페르시아어로 Iran이라는 말은 "아리안 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다.). 1935년 국명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개칭한 것은 독일 대사의 "아리아인 연대"의 제안으로, 샤가 이를 수락하여 받아들어졌다.[60] 그러나, 이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항상 "이란"이라고 불렀으며, 나치 독일의 성장 천여년 이전부터 계속해왔던 것이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소련, 영국, 미국 다음으로 단일 무역 상대로써 가장 거대한 무역 상대였다.[60] 전쟁 이전 외교적 행보로, 나치 독일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이루어진 니에데마이어-헨팅 탐험(Niedermayer-Hentig Expedition)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이 나라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다.[62] 이들의 목적은 독일-영국 간 충돌시 최대한 중립을 유지하며, 심지어는 영국령 인도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군사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62]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나치 독일 외무부 간 친선관계에도 불구하고, 리펜트로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시키고 1929년부터 독일로 망명해 있던 아마눌라흐 칸 복권을 선호했다.[63] 결국, 히틀러는 이 문제에 대해 로젠버그를 지지했다.[63] 1940년 독일-프랑스 휴전 이후 카불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의 계획을 물어보기 위해 베를린 방문을 시도했다.[64] 가장 특별한 관심사는 전후 국경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영국령 인도에 있던 파슈툰인 1500만명의 "해방"을 희망했고 거기에 더해 북부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확장하고 남으로는 인도양 해안까지 파슈투니스탄처럼 확장하려고 했다.[64] 10월에서 11월 사이 열린 독일-소련 추축국 회담에서 독일이 소련에게 남부-중앙유라시아와 인도 방면으로 소련을 확장시켜줄려고 했을 때, 독일은 아프가니스탄과 협력하기를 꺼려했다.[65] 독일은 이븐 사우드 하의 사우디아라비아를 자연적인 동맹국으로 여겼으며, 아라비아 남서부와 트란스요르단을 양도하려고 했다.[66] 또한, 전후 위성국으로 대아랍연합을 세우는 것이 논의되었다.[54] 처음에는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가 점령하도록 양보할 예정이었지만,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게 휴전을 합의하자 히틀러는 이슬람 세계에 이슬람 국가를 독립시키고 "위험한" 이탈리아와는 달리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범아랍주의 운동을 자연적인 동맹으로 만들려고 했다.[67] 1945년 2월 17일, 특히 히틀러는 측근들에게 독일의 강철 조약이 더 혁명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또한 대영제국 및 프랑스 식민 제국 둘 모두의 영향력을 없애버릴 수 있는 남쪽의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것을 막아버렸다고 후회한다고 말했다.[67]: 자연스럽게,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은 중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있었다면, 우리는 프랑스가 지배하는 이슬람 국가를 해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는 거대한 중동과 이집트도 그렇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운명은 이탈리아인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을 추구할 수 없었다. 모든 이슬람인은 우리의 승리에 진동했다. 이집트인, 이라크인 및 중동 거의 전체가 모두 반란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었다. 우리가 단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을 것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그들을 선동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들의 의무이자 우리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측에서 이탈리아의 존재는 우리를 마비시켰다. 우리의 이슬람 친구들은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을 압제자라 느끼거나 내키지 않는 공범이라고 느끼며 불쾌하게 느꼈을 것이다. 더 보기[편집] 대 게르만 제국은 전 유럽의 모든 게르만족 지역을 점령하여 만들려고 했던 국가 이름이다. 대동아 공영권은 신질서와 범게르만주의를 일본식으로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 제국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중해 점령 프로젝트이다. (en:Imperial Italy)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그로스도이칠란트, Grossdeutschland) 드랑 나흐 오스턴 (Drang nach Osten, "The Drive Eastward") 레반스라움 (Lebensraum) 제네럴플랜 오스트 (Generalplan Ost) 생명의 샘 마지막 해결책 (Final solution) 홀로코스트 유럽 전장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기 신세계 질서 (국제 외교 이론) 포즈난 연설 -1943년 10월 하인리히 힘러의 연설로, SS에게 신 질서의 새부 사항에 대한 연설이다. 헤게모니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각주[편집] ↑ 아돌프 히틀러의 베를린 스포츠 궁전 연설. [1] ↑ Gumkowkski, Janusz; Leszcynski, Kazimierz (1961).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Polonia Pub. House. [2] ↑ Lee, Stephen J. (1987).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p.359 ↑ Spielvogel, Jackson J. (2006). Western Civilization Since 1789, Volume 3. Clark Baxter, p. 855. [3] ↑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July 16, 194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5 June 2011. Quoting Hitler: The Führer emphasized that we had to understand that the Europe of today was nothing but a geographical term; in reality Asia extended up to our frontiers. ↑ Rich, Norman (1972).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p. 212. ↑ Haffner, Sebastian (1979). The Meaning of Hitl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Inc., p. 100. [4] ↑ Hitler, Adolf Mein Kampf ↑ Rosenberg, Alfred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1930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 Geopolitics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ian W. Blouet (2001): ↑ Derwent, Whittlesey German Strategy for World Conquest New York:1942 Farrar and Rinehart ↑ Gerhard Weinberg (2005).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 [5] ↑ . Weinberg, G.L. (1996),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p. 28, ISBN 0-521-56626-6 ↑ Weinberg, A world at arms (2005), p. 175 ↑ Shirer, p. 943 ↑ Shirer, p. 782 ↑ Shirer, p. 949 ↑ Otto Bräutigam: „So hat es sich zugetragen...“ (Holzner Verlag, Germany 1968, p. 590) ↑ Adolf Hitler: Hitler's Table Talk November 5th, 1941 (in: Hitler's Table Talk, Weidenfeld & Nicolson, 1953) ↑ 가 나 Lipgens, Walter (1985).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Continental Plans for European Union 1939-1945》. Walter de Gruyter. 12–13쪽. ISBN 3-11-009724-9.  ↑ “Utopia: The 'Greater Germanic Reich of the German Nation'”. München - Berli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1999.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Rich, Norman (1974).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p. 26.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 Rich (1974), pp. 24-25, 140. ↑ Welch, David (1983). Nazi Propaganda: The Power and the Limitations, p. 145. Taylor & Francis. ISBN 0-389-20400-5. ↑ Kroener et al (2003), p. 165 ↑ Pinkus, Oscar (2005).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175쪽. ISBN 0-7864-2054-5.  ↑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19-822887-2.  ↑ Padfield, Peter (1990) Himmler New York, Henry Holt. See under Rosenberg in index ↑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Padfield (1990), p. 317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6쪽. ISBN 0-15-602754-2.  ↑ 가 나 다 라 마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3).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Oxford University Press. 250쪽. ISBN 0-19-820873-1.  ↑ 가 나 다 라 마 바 Kroener et al (2003), p. 251 ↑ Kroener et al (2003), p. 252 ↑ Stanley G. Payne,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 Norman Rich,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 Glyn Stone, The Oldest Ally: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1941: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41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 Gerhard L. Weinberg,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 가 나 Weinberg 2005, p. 14. ↑ 가 나 Rich (1974), pp. 500-501. ↑ Padfield (1990), p. 309 ↑ Stegemann, Bernd; Vogel, Detlef (1995).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95쪽. ISBN 0-19-822884-8.  ↑ 가 나 Weinberg 2005, p. 13. ↑ 가 나 다 라 Martin, Bernd (2006).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ISBN 1-84545-047-7 pages=267–26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 가 나 다 Martin (2006), p. 271. ↑ Weinberg (2005), p. 13 ↑ 가 나 Rich (1974), p. 415 ↑ People Against Nazism, Communism, and Authoritarianism. Nazi plans for Australia. Retrieved 2 January 2011. [6] ↑ Weinberg (2005), p. 15-16.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5쪽. ISBN 0-15-602754-2.  ↑ Stegemann & Vogel (1995), p. 625.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631 ↑ 가 나 Schwanitz, Wolfgang (2004). 《Germany and the Middle East, 1871-1945》. Markus Wiener Publishers. 94–95쪽. ISBN 1-55876-298-1.  ↑ 가 나 Weinberg (2005), p. 19 ↑ Stegemann & Vogel (1995), p. 178 ↑ 가 나 다 Rich (1974), p. 402. ↑ Hitler (2000), p. 208. ↑ Rich (1974), p. 383. ↑ 가 나 Hiro, Dilip.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 Kegan Paul Inc., p. 296. [7] ↑ Iran's etymology.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2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3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4 ↑ Stegemann & Vogel (1995), p. 165 ↑ Stegemann & Vogel (1995), p. 591 ↑ 가 나 Hitler's Last Will and Political Testament, 17 February 1945 추가 읽기[편집] Evans, Richard J. The Third Reich at War (2009) pp 321–402 Fritz, Stephen G. Ostkrieg: Hitler's War of Extermination in the East (2011) Longerich, Peter. Heinrich Himmler: A Life (2012) Lund, Joachim. "Denmark and the 'European New Order', 1940-1942,"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2004) 13#3 pp 305–321, Mazower, Mark.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2009) Mazower, Mark. "Hitler's New Order, 1939-45," Diplomacy and Statecraft (1996) 3#1 pp 29–53, Snyder, Timothy.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2010)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질서_(나치즘)&oldid=23363866"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치나치 독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ISBNCS1 관리 - 수직선 없음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신질서 (나치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질서 (나치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 질서 (나치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치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나치 독일의 종교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강제적 동일화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20세기의 신화》 군국주의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슈트라서주의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흙 우생학 대게르만 제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들의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단체 및 정당 오쎄와브란드왁 영국 파시스트 연합 철위대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조국전선 v • d • e • h 신질서 (新秩序, 독일어: Neuordnung, 영어: New order) 또는 유럽 신질서 (독일어: Neuordnung Europas, 영어: New order of Europe)는 나치 독일이 유럽에 부과한 정치적 계획, 궁극적으로는 세계 정복 계획의 이름을 뜻한다. 신질서는 이미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구축되었으나, 1941년 아돌프 히틀러의 선언으로 공개적으로 선포되었다. 나는 1941년이 대유럽 세계 질서의 역사적 연도라고 확신한다.[1] 무엇보다도, 이것은 나치즘이 범게르만주의의 아리아-노르딕 지배자 민족의 인종본질주의이자 독일 정착민의 동유럽 정착형 식민주의이고, 유대인과 그 외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운터멘쉬(Untermensch)라고 부르는, 살 가치가 없는 생명의 홀로코스트와 집단 학살, 강제 이주, 노예를 수반했다.[2] 나치 독일의 공격적 영토 팽창주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된다. 이 신질서는 나치 독일의 외교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로, 일부는 나치 독일이 유럽을 재한적으로 지배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궁극적으로 나치 독일이 세계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발판이라고 추측하고 있다.[3] “ 총통은 전유럽의 주인이 나치 제국이라는 신념이 흔들리지 않았다. 아직 많은 전투에 참가해야 하지만, 이것은 의심없이 멋진 승리로 기록될 것이다. 세계 지배의 길은 이 곳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확실하다. 유럽을 지배한다는 것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요제프 괴벨스, 1943년 5월 8일[4] 목차 1 용어의 유래 2 이데올로기의 배경 2.1 인종차별주의 2.2 지정학적 전략 2.3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 3 유럽의 구현 3.1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 3.2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 3.3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 3.4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 3.5 재정착 노력 3.6 스페인과 포르투갈 4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 4.1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 4.2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 4.3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 4.4 중동와 중앙아시아 5 더 보기 6 각주 7 추가 읽기 용어의 유래[편집] 유럽의 신질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및 추축국의 최대 정복 영역 원래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의 의미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보다 매우 좁은 의미였다. 이 말은 일반적으로 신질서로 번역되지만, 더 정확하게 번역을 하자면 재구성(reorganisation)에 가까운 뜻이다. 이 용어가 나치 시기의 제3제국에서는 나치가 유럽의 본질적인 국경을 다시 그리도록 하는 욕망으로 이용되었으며 이 결과 기존의 지정학적 구조가 바뀌었다. 같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1815년 빈 회의,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의 승리 당시 국제 정치 질서의 재개편이라는 의미로 이용되었다. 사실, 원래 나치가 만든 완전한 구문은 die Neuordnung Europas(유럽의 신질서)로 노이오르드눙(Neuordnung)은 속어로 많이 이용되었다. 나치 정부의 목표에 따르면,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된 유럽이란 "공동 이익"을 목표로 독일 아래 유럽 지역의 공정한 재배열을 시도하며,[5] 나치는 유럽 대륙에서 "아시아적인"을 의미하는 소비에트 연방을 제외시켰다.[6] 나치의 인종주의적 관점은 소비에트 연방의 유대-볼셰비키(Judeo-Bolshevist)는 모두 파괴되어야 할 범죄 대상으로 보았으며 이것들은 유럽의 문화라고 부를 만한 것이 아닌 야만적인 상태의 것이라고 생각했다.[7] 신질서는 그러므로 좀처럼 이론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에 따라 다시 구성할 수 있었지만 이후 심지어는 실제 구조가 아니더라도 소비에트 러시아는 절대로 참조하지 않았다. 실제 나치 독일의 헤게모니는 전후 대륙의 지배 보장이었다.[8] 독일외 나머지 유럽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예속과 함께 독일 국가 자체의 팽창주의로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었다. 유럽 이외의 지역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확장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독일이 먼저 유럽의 독보적인 지배 이후 미래에 계획할려 했지만, 신질서는 유럽에서 여분의 시간을 주지 않았다. 나치 선전의 넓은 이용으로 인해 신질서는 서구 미디어의 주화를 얻었다. 특히, 영어권 학회에서는 이에 더욱 포괄적인 정의의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점점 나치 독일의 아돌프 히틀러 뿐 아니라 모든 외국에서 국내 정치 및 전쟁 목표를 사용하는 데에 이르었다. 따라서, 일본 제국의 아시아 지배 계획이었던 대동아공영권은 이와 거의 비슷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요즘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추축국의 승리 이후 나치 독일의 유럽 대내외의 정책을 예상하는 데 이용된다. 이데올로기의 배경[편집] 인종차별주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나치즘과 인종입니다. 지배자 인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나치당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엄격한 계층 구조를 증명하기 위해 인종 분류를 주장했다. 지배자 민족은 가장 순수한 피를 가진 아리아 민족이며, 이는 북유럽 민족과 근소한 차이가 있는 인정된 민족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아 인종은 나머지 인종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나치는 서양 문화가 주로 북유럽이 만들어 다른 문명에 비해 분명히 뛰어났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노르딕인"들은 모든 인종보다 우수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나치는 세계 정복을 당연히 노르딕인들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개념은 노르디시즘(Nordicism)으로 알려졌다.[10] 지정학적 전략[편집] 게오폴리티크, en:Geopoliti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히틀러는 그의 동부 확장 정책을 나의 투쟁에서 드러냈는데, 이는 1924년 지정학자 카를 하우스호퍼에게 영향받은 것이다.[11] 하우스호퍼의 주요 지정학 개념 중 하나는 독일이 세계를 지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라시아의 유라시아 심장부(Heartland)를 점령해야 한다는 이론이었다.[12] 나치 제국주의의 예상 영토 범위[편집] 나치의 외교 정책 토론, en:Nazi foreign policy deba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30년 11일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대학교에서의 히틀러의 연설에서, 청중들에게 독일이 그들을 위해 싸우고 세계의 "지배"를 달성할 권리(즉, 세계 정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매우 야심찬 목표는 엄청난 양의 전투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3] 히틀러는 자신의 정치 인생 이전에도 미래의 독일 세계 지배를 언급했다. 나중에 공개된 1927년의 루돌프 헤스와 발터 히벨 간의 편지에서, 헤스는 히틀러의 비전에 대해 부연 설명하였다. "세계 평화는 확실히 노력하기에 이상적인 가치이다. 히틀러의 의견은 초강대국이 최고 인종 하나만 명백한 우위를 누리고 있을 경우 실현된다고 생각한다. 즉, [권력]은 세계 경찰로서 동시에 필요한 생활 공간(생활권)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경쟁이다. 그리고 만약 이 방법들이 그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경우, 낮은 인종들은 자신 스스로 제한해야만 한다."[14]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포젠 연설에서 처음 독일의 영토 열망을 언급했다. 그는 충돌과 관련된 국가 목표에 덧붙어 독일이 새로운 지역인 세계적인 전쟁 상태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 7년 전쟁은 프로이센이 유라시아에서 최고 강국이 되게 했다. 그 전쟁은 이미 프로이센의 일부가 된 실레지아를 확실하게 통치하기 위해 일어났다. 이 전쟁은 모든 독일 제국, 대 게르만 제국이 1938년 이래로 점령한 지역을 합병하게 하는 전쟁이 될 것이며 우리는 남아있을 것이다. 이 전쟁은 이제 동쪽으로 열린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아마도 독일은 강대국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독일 세계 제국이 될 것이다. (Germanische Weltreich). 유럽의 구현[편집] 유럽 대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폴란드와 서부 유럽의 군사 작전[편집] 신질서의 초기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939년 8월 23일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어 폴란드 침공 당시 소비에트 연방과의 양면전을 방지하고 영국의 해상 봉쇄로 인해 일어날 원자재 부족을 막는다. 두 번째로, 전격전을 통해 북유럽과 서유럽(베저위붕 작전과 프랑스 공방전)을 빠르게 공격해 저항을 무력화한다. 이 결과 1940년 초여름까지 덴마크,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가 독일에게 정복되었다. 영국이 독일에게 굴복함으로써 서유럽에서 정치적 우위를 차지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열린 파리 강화 회의와 같은 방식의 강화 회의는 없어지게 되었다.[15] 국제 노동 기구 같은 모든 국제 기구는 독일의 점령을 등가로 하여 해체되거나 바뀔 수 있었다. 전후 압수된 독일군 총사령관인 발터 폰 브라우히치가 남긴 문서에 따르면, "17세부터 45세까지 혼자 생활할 수 있는 모든 인구는 현지 상황의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구금하고 대륙으로 보내야 된다"라고 작성했다. 이 인구는 전체의 25%를 차지했다. 영국의 모든 금융, 군사, 산업, 문화적 재산을 약탈한 이후[16] 나머지 인구는 공포에 떨도록 했다. 민간인들을 인질로 잡은 이후 사소한 저항에도 모두 사형을 하고자 했다.[17] 이 추방된 남성들은 대부분 루르와 어퍼 실레지아에서 대부분 산업 노동을 할 것으로 예정되었다. 비록 그들은 동부의 노예(나치는 이들을 인간보다 아래로 간주하여 죽을 때 까지 일만 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겼음)보다는 덜 잔인했겠지만 작업 및 생활 조건은 매우 열약했을 것이다.[18] 1943년 2월 말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Reichsministerium für die besetzten Ostgebiete)의 오토 브라우티겜(Otto Bräutigam)가 에두아르드 바그너(Eduard Wagner)와 토론 중 하인리히 힘러의 보고서를 읽을 기회가 있었을 때, 보고서에는 힘러가 독일의 승리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아인자츠그루펜과 보안방첩대(Sicherheitsdienst)를 이용하여 인구의 80% 이상의 학살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9] 관련 사건에서는 히틀러가 영국 하층 계급을 "인종적으로 열등하다"라고 말한 것이 있었다.[20] 북프랑스의 거대 영토 합병 계획에 따르면, 히틀러는 독일 헤게모니를 대륙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제국령 내로 두는 것을 배척했다.[21] 마찬가지로, 서부와 남부의 라틴 유럽(이스타두 노부, 프랑코 정권, 이탈리아)도 단순히 독일의 종속국 및 괴뢰 상태로만 두었다.[21] 대 게르만 제국의 수립[편집] 대 게르만 제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 게르만 제국으로 계획된 다양한 국경 중, 나치 독일에서 부분적으로 체계화된 계획 대상(예:제네랄플랜 오스트)과 친위대의 통치 기반 구역을 표시했다.[22]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정교했던 나치의 프로젝트 중 하나는 새로 정복한 지역에서 "대 게르만 제국"(Grossgermanisches Reich Deutscher Nation) 수립 계획이었다.[23] 이 미래의 제국은 머지않아 독일 뿐 아니라 사실상 역사적으로 게르만 민족이 점령한 곳(그레이트브리튼 섬 제외)를 포함했으며 자연의 아리안 민족이 점령할 것이라 믿었다. 제3제국 시기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마르크(Ostmark)같이 단순한 지방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빠르게 적용하여 글라이히샬퉁(Gleichschaltung)을 적용할 계획이었다. 이것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종본질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의식을 근절시키는 것이었지만 독일어는 계속 존재할 것이었다.[24][25] 남동부 유럽의 독일 지배 확립[편집] 다뉴브 강 이남의 나치 지배, en:Nazi rule over the Danube River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소비에트 러시아 침공 직전, 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왕국, 루마니아, 불가리아 왕국, 세르비아(바나트 지역의 다뉴브 슈바벤(Danube Swabian) 자치령 포함)은 이미 나치 독일의 위성국이었다. 몬테네그로 왕국은 이탈리아 왕국이 알바니아를 점령하던 시기 합병되었다. 독일-이탈리아 공동 점령기의 그리스는 그리스 저항운동이 성장하였다. 비록 물리적으로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이탈리아의 지배 하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공동통치 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는 남서부의 절반을 점령했고, 독일은 북동부의 절반을 지배했다. 히틀러는 베오그라드(나중에 프랑수아 외젠-슈타로 이름이 바뀜)과 데살로니카 지역에 영구 독일 기지를 건설할 수 있는 권한을 얻는다.[26] 동부 유럽의 레반스라움 점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A-A 선, 나치 독일의 우랄 산맥 계획, 헝거 계획, 및 en:Hunger Plan입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의 계획도. 신질서의 장기적인 계획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작전은 1941년 6월 22일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하는 바르바로사 작전이었다. 이 전역의 목표는 단순한 소련 정권 파괴가 아닌(나치 정권은 정당성과 반소비에트주의를 고려하였다) 유럽 러시아의 인종을 개편하여 제네랄플랜 오스트(Generalplan Ost)로 나치 엘리트들을 심고자 했다.[27] 또한, 히틀러는 소련 영토에 존재하는 광대한 자원을 이용하여 독일에게 총봉쇄 상황의 자급자족을 이룰려고 했다. 우크라이나에는 곡물, 식물성 유지, 사료, 철광석, 니켈, 망간, 석탄, 몰리브데넘이 있었다. 또한, 크림 반도에는 고무, 귤, 목화가 있었다. 흑해에는 물고기가 있었고, 코카서스에서는 석유가 있었다.[28] 나치당의 철학자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슬라브 민족에 대한 비인간적인 정책에 항의[29])는 SS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가 주도하는 동부 점령 지역 제국 정부의 프로젝트인 이곳의 슬라브 민족을 포함한 비아리안 민족을 노예화, 강제 이주, 제노사이드 등을 구현하고자 했다.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나온 장기적 목표는 동유럽의 거대한 병합 영토에 독일 민족을 정착시키고, 결국에는 우랄 산맥까지 3제국의 영토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동유럽의 정착형 식민지의 취득으로 레반스라움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였다.[30] 1942년부터는 준식민지 정권인 폴란드의 폴란드 총독부, 발트3국과 벨라루스의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우크라이나의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가 설립했다. 또, 모스크바 수도권을 포함한 유럽 러시아의 모스크바 국가판무관부, 코카서스 지역의 코카서스 국가판무관부 두 가지의 총독부가 구상되었다. 이 지역에는 유대인 인구(마지막 해결책)의 홀로코스트와 슬라브 민족의 노예화 정책이 계획되었고 이 계획을 위해 정복 이후 SS 군인이 유럽 러시아 지역에서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러한 각각의 SS 농민군은 아버지에 적어도 7명의 아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31] 독일 여성은 새롭게 병합한 동부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를 가질 것이 권장되었다. 이러한 출산 장려 정책으로는 레반스라움 프로그램 확장과 제3제국 내에서 적어도 8명 이상의 아이를 낳은 독일 여성에게 수여되는 독일 어머니 명예 훈장으로 알려진 주 훈장 제정이 있었다. 마르틴 보어만과 히믈러의 인구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결혼 법안인 일부다처제 허용 법안도 있었다.[32] 히믈러는 적어도 2000년대에는 독일 인구가 약 3억명일 것이라 예상했다. 재정착 노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제국으로의 귀향입니다. 독일 점령하의 폴란드의 나치 계획을 보여주는 프로파간다 지도. 1942년, 히틀러의 제국은 유럽의 많은 곳을 점령했지만, 이 지역들은 나치가 원하는 인구보다 부족했다.[33] 독일이 레반스라움 영토를 병합한 후에는 나치 이데올로기식 인종 원칙에 따라 인구를 채울 필요가 있었다.[33] 이것은 전쟁이 끝나기 전에 "민족학적 관계의 재배열"로 수행할 수 있었다.[33] 이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는 히틀러가 게르마니아 통합 제국 위원회(독일 민족의 강화를 위한 제국대표부 위원, RKFDV)(독일 민족 복지 사업부 참조) 시기 1939년 10월 7일 히틀러가 구상했다.[33] 이 부는 독일의 폴란드 점령기 당시 히믈러가 공인한 독일 소수민족의 복귀를 위해 시작했다.[33] 히믈러는 전쟁이 계속되는 다른 독일계 점령지에서 독일인 정착민 보호 관할지가 늘어났다. 독일 민족 정착을 위한 영토를 만들기 위해, 폴란드와 프랑스 영토로 수십만 명을 보냈다.[34] 히틀러의 독일계 소수민족 정착의 대다수는 소비에트 연방에게서 얻은 나치-소비에트 시민 교환 조약으로 받은 독일인이었다.[34] 1944년 바르테란트 제국대관구에서 지구 지도자 아서 그레서가 인사를 받는 모습. 1942년 말까지 총 독일계 소수민족 629,000명이 정착했으며, 393,000명의 정착 준비를 끝냈다.[34] 장기적 목표로는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프랑스, 헝가리, 루마니아 등으로 540만명을 정착시키는 것이었다.[34] 독일 제국 내에서 나온 이민자들은 모두 인종이나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나 폴란드 병합 지역에서 강제 수용소로 들어갈 사람으로 분류되었다.[34] 히믈러는 프랑스와 룩셈부르크의 정착민들이 종종 해당국가의 시민으로서 있길 바라는 현상 때문에 유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34] 1944년 6월 1일 기준 정착/재정착 인구[35] 기원 지역 총 합 합병된 동부 지역에 정착한 인구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76,895명 57,249명 리투아니아 51,076명 30,315명 볼히니아, 갈리치아, 나레프 136,958명 109,482명 폴란드 총독부 동부 32,960명 25,956명 베사라비아 93,342명 89,201명 북부 부코비나 43,670명 24,203명 남부 부코비나 52,149명 40,804명 도르부자 15,454명 11,812명 루마니아 레가트 10,115명 1,129명 고트시와 류블랴나 15,008명 13,143명 불가리아 1,945명 226명 세르비아 2,900명 350명 러시아 350,000명 177,146명 그리스 250명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8,437명 3,698명 슬로바키아 98명 남부 트롤 88,630명 제국, 보호령, 룩셈부르크 : 68,162명 프랑스 19,226명 알자스, 로렌, 룩셈부르크, 제국, 보호령 : 9,572명 총 합 1,009,113명 662,448명 스페인과 포르투갈[편집] 스페인은 파시스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지도자로 있었으며, 독일 편에 참전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스페인 팔랑헤당은 수많은 영토 점유를 요구했다. 프랑코 장군은 프랑스의 바스크어 지역 뿐 아니라 카탈루냐어 사용 지역인 루살롱, 세르다냐, 안도라 영토 할양을 요구했다.[36] 또한, 스페인은 전략적, 이념적 가치로 인해 대영제국의 지브롤터 점령도 요구했다. 또한, 프랑코는 스페인 보호령인 모로코의 재통일 및 프랑스령 알제리주의 오랑 지역, 스페인령 기니의 대규모 확장도 요구했다. 특히, 마지막 요구 사항은 독일이 독일령 카메룬을 다시 부활시키려는 영토 야망이 있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고, 오히려 독일은 스페인이 기니 지역을 포기하도록 강요했다.[37] 스페인은 포르투갈을 문화적, 역사적 동질성을 근거로 이베리아 연합이라는 동맹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38] 스페인이 참전을 거부한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괴뢰국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들은 대서양 장벽의 독일 해군 시설 건립에 대한 일환으로 독일에게 대서양 해안 도시 및 섬을 인계했다. 포르투갈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와 포르투갈령 앙골라를 미테라프리카의 식민지 프로젝트를 일환으로 양도했다.[39] 유럽 이외 세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계획[편집] 아프리카 식민지 범위 계획[편집]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식민정책부, 제국 식민지 연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미테라프리카(Mittelafrika)의 예상 영토는 연한 파랑색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식민지 제국이 소유한 식민지는 진한 파랑색이다. 포함 가능 영토(포르투갈 제국의 영토)는 파랑색 음영 처리. 아프리카에 대한 히틀러의 지정학적 생각은 항상 유럽 그 자체에 있는 팽창 목표의 보조적인 위치에 있었다. "식민지 정책은 오직 너가 먼저 대륙을 점령하고 나서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전쟁 발발 이전 히틀러는 독일의 옛 식민지는 유럽 자체 영토 목표를 이룬 후 협상을 통해 돌려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먼저 유럽 대륙에서 최고가 된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독일이 점령할 예정이었다.[40] 히틀러의 아프리카 미래 조직에 관한 전반적인 의도는 세가지 기초 지역으로 분할되어 있었다. 세 곳중, 북부는 이탈리아 왕국에게 할양할 것이며 중부 지역은 독일이 점령할 의도였다. 나머지 남부 지역은 인종주의를 근거로 한 친나치 아프리카너 국가가 세워질 예정이었다.[40] 1940년 독일 외무부 장관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남아프리카 지도자들과 회담을 가진 것이 나치가 이전 식민지인 독일령 남서아프리카를 확보한 다음 남아프리카 연방에게 위임령으로 주는 것에 공감하였다.[41] 남아프리카는 영국의 보호령인 스와질란드, 바수톨란드, 베추아날란드 및 식민지인 남로디지아 영토를 합병할 수 있다는 보상을 얻었다.[41] 스페인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에 관해 논의했지만, 히틀러는 비시 프랑스의 지지를 잃을까 두려워 전쟁 중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기를 거부했다. 1940년, 크릭스마리네의 장군참모가 독일 식민지 제국은 파란색으로 묘사(대영 제국을 나타내는 붉은 색이나 분홍색에 반대하여 독일의 영토에 전통적으로 쓰이던 색)된 지도와 함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통해 대서양에서 인도양으로 확장한다는 훨씬 더 세부적인 계획을 제안했다.[42] 이 제안된 계획은 미테라프리카로 불리며 심지어는 더 크게 모색된 독일 목표 지도도 존재했다. 이것은 독일이 아프리카에서 우월적인 위치를 만들기 위해 단지 동유럽의 정복 뿐 아닌 유럽 대륙에 걸쳐 만들어진 지역처럼 아프리카도 그러한다는 계획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 얻을 영토 그 자체인 유럽 러시아와 달리, 이 지역은 광대한 독일인 정착 영토로 고려하지 않았다. 광대한 식민지제국의 건설은 주로 경제학적 요인으로 만드는 것으로, 독일에게는 대륙에서 광대한 지하 자원과 재산을 얻을 수 있고, 거의 무제한적인 노동력도 얻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 정책은 엄격하게 시행될 예정이었으며(백인과 흑인을 분리하는 의미의 차별),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 영토는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제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뿐 아니라, 프랑스, 벨기에,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지 일부도 포함되었다. 이 지역은 프랑스령과 벨기에령 콩고, 북로디지아 및 남로디지아(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일부도 포함), 니아살랜드, 나이로비를 포함한 케냐 남부(케냐 북부는 이탈리아가 점령하고 있었음), 우간다, 가봉, 우반기-샤리, 나이지리아, 다호메이, 황금 해안, 잔지바르, 니제르와 차드의 거의 대부분, 다카르와 반줄의 해군기지였다.[43] 두 번째 계획은 노르웨이의 트론헤임에서 벨기에령 콩고까지의 모든 유럽과 아프리카의 대서양 해안선 뿐 아닌 카보베르데, 아소르스 제도 등 많은 대서양 앞다의 섬에 걸쳐 서반구에 대해 해군 기지 및 공군 기지 강화와 건설을 할 것이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비슷한 계획으로는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 대한 계획이었다. 추축국 세력 간 아시아 분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의 아시아 분단 협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 예니세이 강은 일본과 나치 독일의 아시아 분단점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4] 1942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 비밀 회담에서 이들은 아시아를 예니세이 강을 따라 중국 국경, 중국-소비에트 연방 국경,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서부 국경, 이란-영국령 인도 제국 국경을 따라서 분할하기로 합의했다.[44] 이 조약의 초안은 일본 주 독일 대사인 오시마 히로시가 독일에서 발표했지만, 처음에는 인도가 일본에게 할당되었고 독일 해군의 인도양 운영 작전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에 독일 외무부와 해군이 거부하였다.[45] 그러나, 히틀러는 1942년 1월 18일 이 조약에 받아들이고 서명했다.[45] 이 조약은 추축국의 전략적 협력에 해로우며 인도양 경계를 넘기 위해서는 지루한 합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45] 이것은 중동에서 독일-일본의 영국에 대한 합동 공세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45] 연합군 해운에 대한 일본군의 인도양 기습은 실론 공격(스리랑카)과 함께 성공적이었지만, 이들은 이후 독일과 일본의 전략적 재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46] 독일은 적극적으로 방어선에 시계를 유지하고 일본의 "세계에서 독일의 영역"이라는 추축국 분할과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대했다.[46] 따라서, 일본은 마다가스카르에 계획된 대규모 공세를 취소하고 독일에게 작전 권한을 주었다.[46] 일본의 오세아니아 양보[편집]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여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일본의 위임통치령이 된 독일 식민지 제국의 옛 오세아니아 식민지(독일령 사모아와 독일령 뉴기니)는 일본이 적어도 삼국 동맹 조약 당시 일시적으로 관심을 가지던 독일에게 판매할 수 있었다(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독일 모두 옛 식민지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하지 않았다).[47] 호주와 뉴질랜드는 히틀러가 이 지역에서 백인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한탄했지만 미래의 대동아 공영권 지역으로 설정되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그 장교에게 호주는 "죄수의 후손"이며, 독일의 관심지역이 아니며 장래에는 일본인의 식민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고, 요제프 괴벨스와 의견을 공유하면서 괴벨스는 그의 일기에서 일본인들은 항상 "5번째 대륙의 이민을 목적으로 한다고 작성했다.[49] 그의 남아있는 유일한 긴 논의에서, 뉴질랜드인은 아직까지 교목성 운동을 하며 이족보행을 못한다고 말했다.[50] 역사학자 노르먼 리치는 히틀러가 동부의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앵글로색슨족의 두 나라를 정복하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잉글랜드인들도 같은 운명을 공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48][51] 중동와 중앙아시아[편집] 1941년 12월 예루살렘 그랜드 무프티인 무함마드 아민 알-후스세이니와 아돌프 히틀러. 총통 지침 30호, 프리츠 그로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비에트 연방 멸망 프로젝트를 모두 마친 후에는, 지중해 전구를 강화할 계획을 세웠다.[52]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수에즈 운하와 터키를 통하여 코카서스(이 지역의 대부분은 이미 청색 작전의 결과로 점령하게 됨)에서 바그다드-바스라 지역을 공격해서 1941년 이라크 쿠데타를 지원하여 영국-이라크 전쟁을 지원하고, 결과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을 지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53] 그러나, 히틀러는 이 지역의 독일 식민지 지배에 대해 구상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레반트 지역까지는 이탈리아의 지배를 허용하려고 했다.[54][55][56] 중동 유대인은 1941년 11월 하즈 아민 알-후스세이니와의 약속에 따라 아인자츠구르페 이집트를 동원하여 몰살할 계획이었다.[55] 터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경계에 있는 지역일 뿐 아니라 긴 기간 동안의 적대적인 역사, 이후 소련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히틀러가 중요한 잠재적 동맹으로 인식했다.[57] 독일은 장기적으로 공동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터키에게 독일 지배 하와 동등한 지위를 보장했으며 국방을 명목으로 원하는 지역의 보장을 약속했다. 이 지역에는 터키와 그리스 간의 경계인 에디르네의 재정립, 터키가 영유권 주장을 하던 코카서스의 완충국 형성, 터키-시리아 국경(바그다드 철도와 알레포 주) 및 터키-이라크 국경(모술 빌리예트)의 개정, 이탈리아 왕국의 침해에 대한 적절한 방어같은 에게 해 문제 해결 등이 있다.[57] 흑해(히틀러는 "단순한 개구리연못"이라고 조롱)[58] 또한 터키의 영향권 중 하나로 양보할 수 있었으며, 흑해 함대를 대신에 독일 함대가 주둔하는 것에 반대했다.[57] 크림 반도(나치는 고텐란트, Gotenland라고 부름)는 독일이 영구적인 영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요새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흑해에서 해산물을 "무제한"으로 수탈할 수 있었다.[59] 연합국이 점령한 이란도 반란을 이용하여 추축국의 영역으로 끼워넣을려고 했다.[53] 반소비에트주의의 요새로서의 이란은 1930년대 이미 고려되었으며, 이란에 대한 히틀러의 "아리안 민족의 국가"로 선언한 것도 일치한다(페르시아어로 Iran이라는 말은 "아리안 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다.). 1935년 국명을 페르시아에서 이란으로 개칭한 것은 독일 대사의 "아리아인 연대"의 제안으로, 샤가 이를 수락하여 받아들어졌다.[60] 그러나, 이란 사람들은 자신의 나라를 항상 "이란"이라고 불렀으며, 나치 독일의 성장 천여년 이전부터 계속해왔던 것이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독일은 소련, 영국, 미국 다음으로 단일 무역 상대로써 가장 거대한 무역 상대였다.[60] 전쟁 이전 외교적 행보로, 나치 독일 외무부는 아프가니스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고,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이루어진 니에데마이어-헨팅 탐험(Niedermayer-Hentig Expedition)에도 불구하고 독일 제국이 나라를 활용하는 데 실패했다고 믿었다.[62] 이들의 목적은 독일-영국 간 충돌시 최대한 중립을 유지하며, 심지어는 영국령 인도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공격하는 데 군사적으로 이용하려고 했다.[62]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나치 독일 외무부 간 친선관계에도 불구하고, 리펜트로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전복시키고 1929년부터 독일로 망명해 있던 아마눌라흐 칸 복권을 선호했다.[63] 결국, 히틀러는 이 문제에 대해 로젠버그를 지지했다.[63] 1940년 독일-프랑스 휴전 이후 카불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대한 독일의 계획을 물어보기 위해 베를린 방문을 시도했다.[64] 가장 특별한 관심사는 전후 국경으로, 아프가니스탄은 영국령 인도에 있던 파슈툰인 1500만명의 "해방"을 희망했고 거기에 더해 북부 아프가니스탄 국경을 확장하고 남으로는 인도양 해안까지 파슈투니스탄처럼 확장하려고 했다.[64] 10월에서 11월 사이 열린 독일-소련 추축국 회담에서 독일이 소련에게 남부-중앙유라시아와 인도 방면으로 소련을 확장시켜줄려고 했을 때, 독일은 아프가니스탄과 협력하기를 꺼려했다.[65] 독일은 이븐 사우드 하의 사우디아라비아를 자연적인 동맹국으로 여겼으며, 아라비아 남서부와 트란스요르단을 양도하려고 했다.[66] 또한, 전후 위성국으로 대아랍연합을 세우는 것이 논의되었다.[54] 처음에는 이 지역들을 이탈리아가 점령하도록 양보할 예정이었지만,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게 휴전을 합의하자 히틀러는 이슬람 세계에 이슬람 국가를 독립시키고 "위험한" 이탈리아와는 달리 국가사회주의 독일과 범아랍주의 운동을 자연적인 동맹으로 만들려고 했다.[67] 1945년 2월 17일, 특히 히틀러는 측근들에게 독일의 강철 조약이 더 혁명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또한 대영제국 및 프랑스 식민 제국 둘 모두의 영향력을 없애버릴 수 있는 남쪽의 아랍 세계로 진출하는 것을 막아버렸다고 후회한다고 말했다.[67]: 자연스럽게, 베니토 무솔리니의 이탈리아 제국은 중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있었다면, 우리는 프랑스가 지배하는 이슬람 국가를 해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영향을 받는 거대한 중동과 이집트도 그렇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운명은 이탈리아인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정책을 추구할 수 없었다. 모든 이슬람인은 우리의 승리에 진동했다. 이집트인, 이라크인 및 중동 거의 전체가 모두 반란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었다. 우리가 단지 그들을 돕기 위해 할 수 있을 것을 생각한다면, 심지어 그들을 선동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들의 의무이자 우리들의 관심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 측에서 이탈리아의 존재는 우리를 마비시켰다. 우리의 이슬람 친구들은 필연적으로 우리 자신을 압제자라 느끼거나 내키지 않는 공범이라고 느끼며 불쾌하게 느꼈을 것이다. 더 보기[편집] 대 게르만 제국은 전 유럽의 모든 게르만족 지역을 점령하여 만들려고 했던 국가 이름이다. 대동아 공영권은 신질서와 범게르만주의를 일본식으로 만든 것이다. 이탈리아 제국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지중해 점령 프로젝트이다. (en:Imperial Italy)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그로스도이칠란트, Grossdeutschland) 드랑 나흐 오스턴 (Drang nach Osten, "The Drive Eastward") 레반스라움 (Lebensraum) 제네럴플랜 오스트 (Generalplan Ost) 생명의 샘 마지막 해결책 (Final solution) 홀로코스트 유럽 전장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점령기 신세계 질서 (국제 외교 이론) 포즈난 연설 -1943년 10월 하인리히 힘러의 연설로, SS에게 신 질서의 새부 사항에 대한 연설이다. 헤게모니 제2차 세계 대전의 추축국의 승리 각주[편집] ↑ 아돌프 히틀러의 베를린 스포츠 궁전 연설. [1] ↑ Gumkowkski, Janusz; Leszcynski, Kazimierz (1961). Poland Under Nazi Occupation. Polonia Pub. House. [2] ↑ Lee, Stephen J. (1987). The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p.359 ↑ Spielvogel, Jackson J. (2006). Western Civilization Since 1789, Volume 3. Clark Baxter, p. 855. [3] ↑ Martin Bormann’s Minutes of a Meeting at Hitler’s Headquarters (July 16, 1941). German History in Documents and Images. Retrieved 5 June 2011. Quoting Hitler: The Führer emphasized that we had to understand that the Europe of today was nothing but a geographical term; in reality Asia extended up to our frontiers. ↑ Rich, Norman (1972).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p. 212. ↑ Haffner, Sebastian (1979). The Meaning of Hitler.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Inc., p. 100. [4] ↑ Hitler, Adolf Mein Kampf ↑ Rosenberg, Alfred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1930 ("The Myth of the 20th Century") ↑ Geopolitics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ian W. Blouet (2001): ↑ Derwent, Whittlesey German Strategy for World Conquest New York:1942 Farrar and Rinehart ↑ Gerhard Weinberg (2005).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Cambridge, England,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9. [5] ↑ . Weinberg, G.L. (1996),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p. 28, ISBN 0-521-56626-6 ↑ Weinberg, A world at arms (2005), p. 175 ↑ Shirer, p. 943 ↑ Shirer, p. 782 ↑ Shirer, p. 949 ↑ Otto Bräutigam: „So hat es sich zugetragen...“ (Holzner Verlag, Germany 1968, p. 590) ↑ Adolf Hitler: Hitler's Table Talk November 5th, 1941 (in: Hitler's Table Talk, Weidenfeld & Nicolson, 1953) ↑ 가 나 Lipgens, Walter (1985). 《Documents on the History of European Integration: Continental Plans for European Union 1939-1945》. Walter de Gruyter. 12–13쪽. ISBN 3-11-009724-9.  ↑ “Utopia: The 'Greater Germanic Reich of the German Nation'”. München - Berlin: Institut für Zeitgeschichte. 1999.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Rich, Norman (1974).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p. 26.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 Rich (1974), pp. 24-25, 140. ↑ Welch, David (1983). Nazi Propaganda: The Power and the Limitations, p. 145. Taylor & Francis. ISBN 0-389-20400-5. ↑ Kroener et al (2003), p. 165 ↑ Pinkus, Oscar (2005).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175쪽. ISBN 0-7864-2054-5.  ↑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0).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101쪽. ISBN 0-19-822887-2.  ↑ Padfield, Peter (1990) Himmler New York, Henry Holt. See under Rosenberg in index ↑ “보관 된 사본”. 2011년 7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2일에 확인함.  ↑ Padfield (1990), p. 317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6쪽. ISBN 0-15-602754-2.  ↑ 가 나 다 라 마 Kroener, Bernhard R.; Müller, Rolf-Dieter; Umbreit, Hans (2003).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Organiz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German sphere of power. Wartime administration, economy, and manpower resources 1942-1944/5》. Oxford University Press. 250쪽. ISBN 0-19-820873-1.  ↑ 가 나 다 라 마 바 Kroener et al (2003), p. 251 ↑ Kroener et al (2003), p. 252 ↑ Stanley G. Payne, Franco and Hitler: Spain, Germany, and World War II ↑ Norman Rich, Hitler's War Aims: Ideology, the Nazi State and the Course of Expansion ↑ Glyn Stone, The Oldest Ally: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1941: Britain and the Portuguese Connection, 1936-41 (Royal Historical Society Studies in History) ↑ Gerhard L. Weinberg, Visions of Victory: The Hopes of Eight World War II Leaders ↑ 가 나 Weinberg 2005, p. 14. ↑ 가 나 Rich (1974), pp. 500-501. ↑ Padfield (1990), p. 309 ↑ Stegemann, Bernd; Vogel, Detlef (1995).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University Press. 295쪽. ISBN 0-19-822884-8.  ↑ 가 나 Weinberg 2005, p. 13. ↑ 가 나 다 라 Martin, Bernd (2006). 《Japan and Germany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ISBN 1-84545-047-7 pages=267–268 |isbn= 값 확인 필요: invalid character (도움말).  CS1 관리 - 수직선 없음 (링크) ↑ 가 나 다 Martin (2006), p. 271. ↑ Weinberg (2005), p. 13 ↑ 가 나 Rich (1974), p. 415 ↑ People Against Nazism, Communism, and Authoritarianism. Nazi plans for Australia. Retrieved 2 January 2011. [6] ↑ Weinberg (2005), p. 15-16. ↑ Fest, Joachim C. (1973). 《Hitler》. Verlagg Ulstein. 685쪽. ISBN 0-15-602754-2.  ↑ Stegemann & Vogel (1995), p. 625.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631 ↑ 가 나 Schwanitz, Wolfgang (2004). 《Germany and the Middle East, 1871-1945》. Markus Wiener Publishers. 94–95쪽. ISBN 1-55876-298-1.  ↑ 가 나 Weinberg (2005), p. 19 ↑ Stegemann & Vogel (1995), p. 178 ↑ 가 나 다 Rich (1974), p. 402. ↑ Hitler (2000), p. 208. ↑ Rich (1974), p. 383. ↑ 가 나 Hiro, Dilip.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 Kegan Paul Inc., p. 296. [7] ↑ Iran's etymology.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2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3 ↑ 가 나 Stegemann & Vogel (1995), p. 164 ↑ Stegemann & Vogel (1995), p. 165 ↑ Stegemann & Vogel (1995), p. 591 ↑ 가 나 Hitler's Last Will and Political Testament, 17 February 1945 추가 읽기[편집] Evans, Richard J. The Third Reich at War (2009) pp 321–402 Fritz, Stephen G. Ostkrieg: Hitler's War of Extermination in the East (2011) Longerich, Peter. Heinrich Himmler: A Life (2012) Lund, Joachim. "Denmark and the 'European New Order', 1940-1942," Contemporary European History, (2004) 13#3 pp 305–321, Mazower, Mark. Hitler's Empire: How the Nazis Ruled Europe (2009) Mazower, Mark. "Hitler's New Order, 1939-45," Diplomacy and Statecraft (1996) 3#1 pp 29–53, Snyder, Timothy. Bloodlands: Europe Between Hitler and Stalin (2010)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질서_(나치즘)&oldid=23363866" 분류: 제2차 세계 대전의 정치나치 독일숨은 분류: 인용 오류 - ISBNCS1 관리 - 수직선 없음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NederlandsPolski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7일 (목) 15: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