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stringlengths
1.09k
136k
토마호크 (순항유도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마호크 (순항유도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토마호크 기본 정보 종류 순항미사일 제작자 레이시온, 맥도널 더글러스 사용자 미국 실전배치 1983년 대당 가격 130만 달러 제원 추진 Williams International F107-WR-402 터보팬, 고체연료 부스터 발사 중량 1,440 kg 길이 5.56 m6.25 m(부스터 포함) 직경 0.52 m 날개폭 2.67 m 속력 880 km/h 사거리 Block II TLAM-A 2,500 kmBlock III TLAM-C 1,700 kmBlock IV TLAM-E 1,700 kmBlock III TLAM-D 1,300 km 탄두 재래식 450 kg Bullpup, 자탄 분산형무게 130 kg, 폭발력 150 kt W80 핵탄두 유도 INS, GPS, TERCOM, DSMAC 신관 FMU-148 발사 플랫폼 잠수함 21인치 어뢰관, VLS 토마호크 미사일(Tomahawk missile)은 미국 제너럴 다이내믹스사가 1970년대에 개발한 장거리, 전천후, 아음속의 순항미사일이다. 해군용은 잠수중인 잠수함에서 저고도로 발사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1991년 걸프전쟁에서 이라크의 군사시설을 파괴하는 데 공헌함으로써 명성을 얻은 이후 코소보사태 등 1990년대 미군이 개입한 전쟁터에서 사용되었으며, 2001년의 반테러전쟁에서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하는 데도 위력을 발휘하였다.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 하이테크 병기의 대표적 무기이다. 목차 1 제원 2 종류 2.1 TASM(Tomahawk Anti Ship Missile) : 토마호크 대함 미사일 2.2 TLAM(Tomahawk Land Attack Missile) :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 3 개량형 4 전술 토마호크 5 발사 시스템 5.1 캐니스터별 구분 6 통제 시스템 7 연구비용 및 가격 8 사용자 8.1 미국 해군 8.2 영국 해군 8.3 네덜란드 해군 8.4 스페인 해군 9 순항미사일의 특징 9.1 장점 9.1.1 정밀한 타격을 할 수 있다. 9.1.2 비행기처럼 궤도를 변경하며 비행할 수 있다. 9.1.3 저고도로 날 수 있기 때문에 탐지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9.2 단점 9.2.1 GPS 위성을 같이 사용해야한다. 9.2.2 화력이 높지 않다. 10 같은 분류의 미사일 11 같이 보기 12 참고자료 13 외부 링크 제원[편집] 기능 : 장거리, 전천후, 아음속 순항 미사일 제작사 : 레이시온/맥도널 더글러스 단가 : 130만 달러 배치 : 1983년 엔진 : 윌리엄스 인터내셔널 F107-WR-402 터보팬과 고체연료 부스터 중량 : 1,440kg 길이 : 5.56m (부스터 제외) / 6.25m (부스터 포함) 직경 : 0.52m 날개 : 2.67m 속도 : 약 880km/h 항속거리 :1,250~2,500km 탄두 : 재래식: 1,000 lb (450 kg) 불펍, 또는 자탄 분산형, 또는 200 kt급 (840 테라줄) W80 핵탄두 발사 플랫폼 : 수직발사기(VLS)과 잠수함 (어뢰발사관에서 발사 가능) 유도 방식 : GPS, TERCOM, DSMAC 신관 : FMU-148(TLAM 블록III부터 사용), 기타 특수 용도 신관 사용 가능 종류[편집] 크게 대함미사일과 대지미사일로 나뉘며 여러 세부 버전이 존재한다. TASM(Tomahawk Anti Ship Missile) : 토마호크 대함 미사일[편집] BGM/RGM-109B TASM : 레이다 유도식 대함 미사일 TLAM(Tomahawk Land Attack Missile) :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편집] 냉전이 끝나고 많은 대지미사일(TLAM: Tomahawk Land Attack Missile)이 대함미사일(TASM: Tomahawk Anti Ship Missile)로 개조되었다. BGM-109A TLAM-N : W80 핵탄두가 장착되었다. 사정거리는 2,500km로 현재 퇴역하였다. BGM-109C TLAM-C : 재래식으로 사정거리는 1,600km 이다. BGM-109D TLAM-D : 자탄 분산형으로 총 166발의 자탄이 7발씩 22그룹, 6발씩 2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격시 8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산개되며 4개의 그룹은 동시에 산개되고 4개의 그룹은 효율적인 지역공격을 위해 시간적으로 격차를 두고 산개된다. 다중의 목표물들을 공격할 수 있으며 사정거리는 1,250km 이다. RGM/UGM-109E : Block IV TLAM을 채용한 TLAM-C의 개량형이다. BGM-109G 그리폰 GLCM (Ground Launched Cruise Missile) : 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로, 1987년 중거리 핵전력 협정에 의해 트럭형 발사대와 함께 파기되었다. AGM-109H/L MRASM (Medium Range Air to Surface Missile) :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로 개발되었으나 실전배치는 하지 않았다. 개량형[편집] Block III TLAM : GPS를 이용하여 정밀 폭격이 가능하며 사정거리가 향상되었다. 1993년에 실전배치되었다. new Block III TLAM : WR-402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추력제어 및 비행 중 속도조절이 가능해졌다. 기존 버전보다 연료 효율성이 더 높아졌다. Block IV TLAM : 비행중 토마호크가 인식하는 이미지와 사전에 입력된 이미지를 대조할 수 있게 만든 DSMAC(Digital Scene Matching Area Correlator)를 장비하고 있으며, 보다 향상된 터보제트 엔진을 사용한다. Block IV Phase II TLAM : 보다 깊은 종심 공격력과 이동 중인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한 실시간 목표포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술 토마호크[편집] 2004년 후반에 미해군에 실전배치되었다. TV 카메라가 장비된 토마호크 미사일로 전장을 관측해 목표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휘관에게 전송하며 지휘관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16개의 사전입력 목표물 중 동일 목표물을 재공격하거나 다른 목표물 등을 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중심 전쟁 능력의 확보로 비행기, 무인기, 정찰위성, 정찰병, 탱크, 함정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해 이들 센서들에게서 토마호크로 정보전송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토마호크는 더 이상 요격이 힘든 미사일은 아니며, Barak, S-400, Trishul 등의 빠른 대응능력이 있는 SAM으로 격추할 수 있다. 발사 시스템[편집] USS Stethem에서 발사되고 있는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 각 미사일은 수송이나 저장시 미사일을 보호하면서 발사시 발사관 역할을 하는 압력 캐니스터에서 발사된다. 캐니스터별 구분[편집] 토마호크 미사일을 발사중인 미주리호. ABL(Armored Box Launcher)형 : 미주리 전함이 대표적이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수직발사시스템(VLS)형 : 일반 수상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어뢰관형 : 일반 잠수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캡슐 발사 시스템(CLS) : 후기형 LA급 잠수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통제 시스템[편집] v2 TWCS - 1983년 도입된 토마호크 무기통제 시스템으로 그린 스크린으로 불린다. v3 ATWCS - 1994년 도입된 개량형 토마호크 무기 통제 시스템이다. v4 TTWCS - 2003년 도입된 전술 토마호크 무기통제 시스템이다. v5 TWCS - 2006년 도입된 차세대 통제 시스템이다. 연구비용 및 가격[편집] 첫 개발 당시에는 112억 1천만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새로운 토마호크는 1기당 가격이 50% 인하된 60만 달러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구글) 사용자[편집] 미국 해군[편집] 지상용은 1991년 걸프전에서 모두 288발을 사용하였으며, 대함용은 1992년 4월 2일, 2대의 공격형 잠수함(피츠버그 함과 루이빌 함)에서 처음으로 발사되었다. 이라크의 자유 작전에서 다시 사용되기도 했다.[1] 영국 해군[편집] 영국 해군의 핵잠수함 장착을 목적으로 1995년에 60기를 구매하였다. 최초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1998년에 있었으며, 1999년 코소보 전투에서 영국 해군의 잠수함 스플렌디드 호가 영국 잠수함 최초로 실전에서 토마호크를 발사하였다. 코소보 전투 당시 17~20기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2003년 이라크 전쟁의 텔릭 작전(영국군이 실행한 작전)에서 토마호크를 사용하였다. 네덜란드 해군[편집] 2005년 10월 14일, 네덜란드 정부는 30발의 토마호크를 레이시온에서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네덜란드는 토마호크 블록 IV를 보유한 세 번째 국가가 될 것이다. 스페인 해군[편집] 에스파냐의 이지스함과 S80 잠수함 장착을 목적으로 60~100기를 구매하기로 하였으나, 2009년 10월 예산 문제로 구입을 연기하였다. 순항미사일의 특징[편집] 장점[편집] 정밀한 타격을 할 수 있다.[편집] GPS와 INS(관성항법장치)의 유도를 받아서 표적까지 비행해서 타격하기 때문에 오차 범위가 10m도 안 된다. 건물의 창문을 뚫을 정도로 정밀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명중률을 자랑한다. 순항 미사일은 정밀 타격의 장점 때문에 적군에게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시설을 타격하거나, 적의 탄도 미사일 발사대를 타격하거나, 적의 공군 비행장의 활주로에 구멍을 내서 적의 작전활동을 방해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비행기처럼 궤도를 변경하며 비행할 수 있다.[편집]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와 같이 연료가 감당할때까지 몇 시간을 비행할 수 있고 날개도 달려있기 때문에 비행기처럼 비행항로도 변경할 수 있고 요격기가 순항미사일을 격추할 목적으로 공격해올때 회피 기동도 할 수 있다. 순항 미사일은 자폭 무인기와 같다. 저고도로 날 수 있기 때문에 탐지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편집]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처럼 비행항로를 수정해가며 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낮은 높이에서 날 수도 있고, 산맥 사이에서도 비행할 수도 있다. 지구는 둥근데 레이다 전파는 직선으로 나가기 때문에 지상에 설치된 레이다로는 산맥 사이에서 비행하는 소규모 표적을 식별하는데에 제한된다. 적 입장에선 이런 상태의 순항 미사일을 지상 레이다만으로 탐지하기 어려울 뿐더러 탐지하지 못하니 대공 미사일로 요격도 어려워 방공망이 제역할을 하기에 제한된다. 단점[편집] GPS 위성을 같이 사용해야한다.[편집] 순항미사일은 GPS 유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표적까지 비행하기 위해선 GPS 위성의 유도를 받아야 한다. 물론 INS(관성항법장치) 유도를 이용해서 발사할 시점부터 입력된 비행항로로 비행할 수가 있다. INS 장치에 내장된 가속도를 이용해서 비행한 거리, 방향감과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GPS에 비해 정밀도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INS 유도의 치명적인 결점은 처음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미사일에 입력해줬던 비행항로로만 가야 한다. 적군의 요격기가 격추하러 접근해오는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런 비상 상황에서 새로운 비행 항로로 비행할 수도 없다. 초음속을 제외한 통상의 대부분의 순항 미사일들은 마하1도 안되는 시속 1,200km/h 미만의 속도로 비행한다. 여객기랑 다를 바가 없는 느린 속력이기 때문에 1,000km 사거리를 공격하려해도 1시간이나 비행해야하는데 그 1시간 동안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없다. GPS 위성이 있다면 돌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지만, 처음 발사할 때 설정해준 비행 항로밖에 없는 INS 유도의 순항미사일은 생존성이 극히 떨어진다. GPS 위성도 없는 국가가 사용하는 순항미사일은 생존성을 보장받기도 어렵기에 GPS 위성을 반드시 같이 사용해야 한다. 화력이 높지 않다.[편집] 탄도 미사일은 탄두가 거대하며 포물선을 그리며 지상을 향해 마하5 이상의 속력으로 내리찍기 때문에 파괴력이 순항미사일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순항미사일은 최신형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제외하고는 마하1의 속도에 포물선을 그리지도 않고 비행기처럼 날아가다가 자폭하듯이 폭발해서 타격하는 미사일이다. 탄두의 폭발력이 탄도미사일에 비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순항 미사일은 탄도미사일의 부족한 요격 대응 능력과 정밀 타격 능력을 대체할 수 있는 미사일이지만, 화력은 열세한 편이다. 순항미사일은 대게 탄도미사일보다 크기도 작다. 같은 분류의 미사일[편집] 브라모스 대함미사일 바부르 순항 미사일 천룡 순항 미사일 : 대한민국이 국산화에 성공한 순항 미사일 슝펑 순항 미사일 : 대만이 독자적으로 만든 순항 미사일 같이 보기[편집] 미사일 목록 참고자료[편집] ↑ "USS Louisville Returns From Operation Iraqi Freedom Archived 2006년 9월 15일 - 웨이백 머신." Navy Newsstand. May 15, 2003. 외부 링크[편집] 레이시온 공식 사이트 BGM-109 토마호크, 글로벌 시큐리티 vdeh레이시온현재 생산품 AGM-129 ACM JSOW 메버릭 함 암람 피닉스 사이드와인더 ALE-50 견인식 디코이 시스템 ALR-67 레이다 경보 수신기 AN/ASQ-228 ATFLIR AN/SPS-49 AN/TPQ-36 AN/TPQ-37 AN/MPQ-53 AN/MPQ-64 AN/MPQ-65 APG-63 및 APG-70 레이다 APG-65, APG-73, 및 APG-79 레이다 AN/APG-77 APQ-181 AQM-37 제이호크 ASARS-2 AWG-9 레이다 APG-71 토마호크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비치크래프트 1900 비치크래프트 베이런 비치크래프트 보난자 비치크래프트 킹에어 비치크래프트 모델99 재블린 FIM-92 스팅어 GMD 패트리어트 MIM-23 호크 AN/MPQ-64 센티넬 마크 48 어뢰 페이브 포스 페이브웨이 GBU-12 페이브웨이 IV GBU-28 팰렁스 CIWS RAYDAC RIM-116 램 레이시온 호커 4000 레이시온 호커 400XP 호커 800 레이시온 센티넬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다 SLQ-32 Electronic Warfare Suite SQQ-32 Mine-hunting sonar 스탠더드 미사일 T-1 제이호크 T-6 텍산 II 회사 정보 웹사이트 연간 매출액: $000 billion USD (FY2004) 종업원수: 000명 종목명칭: vdeh미국의 유도탄1–50 MGM-1 RIM-2 MIM-3 AIM-4 MGM-5 RGM-6 AIM-7 RIM-8 AIM-9 CIM-10 PGM-11 AGM-12 CGM-13/MGM-13 MIM-14 RGM-15 CGM-16 PGM-17 MGM-18 PGM-19 ADM-20 MGM-21 AGM-22 MIM-23 RIM-24 HGM-25 AIM-26 UGM-27 AGM-28 MGM-29 LGM-30 MGM-31 MGM-32 MQM-33 AQM-34 AQM-35 MQM-36 AQM-37 AQM-38 MQM-39 MQM-40 AQM-41 MQM-42 FIM-43 UUM-44 AGM-45 MIM-46 AIM-47 AGM-48 LIM-49 RIM-50 51–100 MGM-51 MGM-52 AGM-53 AIM-54 RIM-55 PQM-56 MQM-57 MQM-58 RGM-59 AQM-60 MQM-61 AGM-62 AGM-63 AGM-64 AGM-65 RIM-66 RIM-67 AIM-68 AGM-69 LEM-70 BGM-71 MIM-72 UGM-73 BQM-74/MQM-74 BGM-75 AGM-76 FGM-77 AGM-78 AGM-79 AGM-80 AQM-81 AIM-82 AGM-83 AGM-84/RGM-84/UGM-84 RIM-85 AGM-86 AGM-87 AGM-88 UGM-89 BQM-90 AQM-91 FIM-92 XQM-93 YQM-94 AIM-95 UGM-96 AIM-97 YQM-98 LIM-99 LIM-100 101–150 RIM-101 PQM-102 AQM-103 MIM-104 MQM-105 BQM-106 MQM-107 BQM-108 BGM-109 BGM-110 BQM-111 AGM-112 RIM-113 AGM-114 MIM-115 RIM-116 FQM-117 LGM-118 AGM-119 AIM-120 CQM-121 AGM-122 AGM-123 AGM-124 RUM-125/UUM-125 BQM-126 AQM-127 AQM-128 AGM-129 AGM-130 AGM-131 AIM-132 UGM-133 MGM-134 ASM-135 AGM-136 AGM-137 CEM-138 RUM-139 MGM-140 ADM-141 AGM-142 MQM-143 ADM-144 BQM-145 MIM-146 BQM-147 FGM-148 PQM-149 PQM-150 151– FQM-151 AIM-152 AGM-153 AGM-154 BQM-155 RIM-156 MGM-157 AGM-158 AGM-159 ADM-160 RIM-161 RIM-162 GQM-163 MGM-164 RGM-165 MGM-166 BQM-167 MGM-168 AGM-169 MQM-170 MQM-171 FGM-172 GQM-173 RIM-174 같이 보기: 유도탄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토마호크_(순항유도탄)&oldid=23528691" 분류: 레이시온미국의 순항유도탄걸프 전쟁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Soomaalig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2: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250px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벼목 과: 파인애플과 아과: 틸란드시아아과 속: 틸란드시아속 아속: Diaphoranthema 종: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학명 Tillandsia ionanthaPlanchon 이명 Pityrophyllum gracile Beer Tillandsia rubentifolia Poiss. & Menet 에어 플랜트(Air plant)[1]라고도 불리는 틸란드시아 이오난사(학명: Tillandsia forma Ionantha) 는 파인애플목 파인애플과 틸란드시아속의 착생식물로써 통상적으로 나무둥치에서 자라며 밝은 그늘에서 성장한다. 뿌리가 있으나 오로지 착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모두 잘라내어도 상관없다. 또한 뿌리를 영양흡수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아 기생식물과는 다르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가 속하는 틸란드시아 속 식물은 교배종을 제외하고도 약 500여 종 이상이 있다. 원산지는 멕시코 등 해발 450-1700m의 건조한 남아메리카 지역이며 브로워드 카운티, 플로리다에도 토착화되었다.[2][3][4][5] 잎에 있는 미세한 솜털(트리콤)을 이용하여 공기 중 수증기와 유기물을 흡수한다. 트리콤은 긁힘 또는 충격에 벗겨질 수 있으며 벗겨진 트리콤은 재생되지 않는다. 틸란드시아 속은 CAM식물로써 낮에 뜨거운 열로 부터 수분 손실은 막기위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손실을 최소화 하고 밤에 기공을 열어 호흡한다. 그리하여 틸란드시아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야간에 산소를 만들어 내기때문에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 인간에게 유익하다. 또한 번식력과 자생력이 강하기 때문에 애완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크기는 12cm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작은 종이며 대한민국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다음과 같은 변종 외에도 많은 변이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자라난 농장에 따라서도 크기나 모양 등이 달라진다.[2] Tillandsia ionantha var. ionantha - 대부분의 종 서식 영역 Tillandsia ionantha var. stricta Koide - 오악사카주 목차 1 외형 2 번식 방법 3 재배 환경 4 갤러리 5 재배품종 6 각주 7 외부 링크 외형[편집] 잎은 보통 9cm, 가로 6cm 정도로 자라나 크게는 길이 15~17cm 까지 자란다. 잎은 초록색이며 은색의 솜털로 덮혀져 있지만 개화기에는 붉은색으로 물든다. 가시처럼 끝은 뾰족한 얇은 삼각형 형태의 잎 모양을 가지고 있다. 보라색 꽃은 4cm 정도로 자라며 노란 술이 달린다.[6] 번식 방법[편집] 번식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꽃의 수정을 이용한 번식 방법과 자구 촉을 나누기 번식방법이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의 종류 중에는 드루이드와 같이 보라색이 아닌 하얀색 꽃이 피며 잎 주변이 노랑색으로 변하는 알비노 또는 변이종(var)도 있고 이오난사의 변이종만 해도 10종류 이상이 된다.[7] 대부분의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는 ion(보라색)과 anthos(꽃)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합성어인 이름 그대로 화려한 보라색 꽃을 피운다.[8] 일생 동안 한번만 꽃을 피우며 꽃을 피운 후에는 성장을 멈추고 모든 에너지를 오로지 자구번식을 위해 사용한다. 꽃이 필 때는 꽃 주변의 은색 잎들도 붉은색으로 물든다. 이와는 반대로 잎이 꺾이거나 상하면 꺾인 잎만 붉게 물들을 수 있으나 구별하기가 쉽다. 꽃이 피고 수정이 되면 1~2달 후 씨앗 주머니가 생기고 씨방이 단단해진다. 단단해진 씨방속에서 솜털이 달린 씨앗으로 가득차게 되고 씨방이 터진다. 이 때 씨앗이 바람에 날려 나무나 기타 적합한 환경에 안착하게 되어 발아를 할 수 있다. 발아를 하면 성체까지 3~5년이 걸린다. 수정 유무에 상관없이 자구를 생산하고 자구 번식시 더 빠른 성장을 볼수있다. 자구는 약 1년이면 성체의 크기와 비슷해진다. 자구가 자라면 촉을 나누어 모체에서 분리해 키울 수도 있다. 크기가 작을때 분리하면 자생력이 약해 죽을 수도 있다. 자구를 분리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면 커다랗고 둥그런 틸란드시아 클럼프가 만들어진다. 재배 환경[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를 키울 때 한여름철의 직사광선은 과도한 수분손실을 일으켜 잎에 얼룩이 생기거나 잎끝이 말라버리기 때문에 걸러진 빛이 좋고 11월~7월 달 까지는 직사광선을 받아도 상관없다. 틸란드시아는 자외선 이 가장 강한 10월에 가장 빠르고 큰폭으로 성장한다. 공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지만 실내의 공기는 건조하기때문에 일주일에 두 번은 물을 주는것이 좋다. 흙이 필요없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가 용이하지만 인간의 손과 잦은 접촉은 잎끝을 상하게한다. 그리고 중심에 있는 생장점 에 물이 고여있으면 과습현상으로 썩어버릴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자구를 떼고 싶다면 가급적이면 모체의 반 이상의 크기로 자랐을 때 떼는 게 좋다. 모체는 모든 역량을 자구에 집중하기 때문에 붙어있는 동안 자구의 성장이 빠르며 작은 자구를 떼면 성장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단 모체가 과습으로 죽어갈 때는 당장 떼어버리지 않으면 자구도 덩달아 죽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기후에 적응을 잘 하는 틸란드시아 종류 중 하나다. 갤러리[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틸란드시아 덩어리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드루이드 재배품종[편집] Tillandsia 'Aleta'[9] Tillandsia 'Apretado'[9] Tillandsia 'Aristocrat'[9] Tillandsia 'Boreen'[9] Tillandsia 'Califano'[9] Tillandsia 'Chiquininga'[9] Tillandsia 'Cone Head'[9] Tillandsia 'Corinne'[9] Tillandsia 'Curra'[9] Tillandsia 'Dagun'[9] Tillandsia 'Dawn'[9] Tillandsia 'Druid'[9] : 꽃이 피면 이파리가 연노랑으로 변색되는 품종이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흔히 재배된다. Tillandsia 'Frolic'[9] Tillandsia 'Fuego'[9] Tillandsia 'Glenorchy'[9] Tillandsia 'Hand Grenade'[9] Tillandsia 'Haselnuss'[9] Tillandsia 'Hidden Charm'[9] Tillandsia 'Hilda Arriza'[9] Tillandsia 'Huamelula'[9] Tillandsia 'Humbug'[9] Tillandsia 'Jack Staub'[9] Tillandsia 'Jalapa Fortin'[9] Tillandsia 'Joel'[9] Tillandsia 'Key Lime Sundae'[9] Tillandsia 'Kinkin'[9] Tillandsia 'Luke'[9] Tillandsia 'Maidens Blush'[9] Tillandsia 'Miz Ellen'[9] Tillandsia 'Mudlo'[9] Tillandsia 'Noosa'[9] Tillandsia 'Peach'[9] Tillandsia 'Peewee'[9] Tillandsia 'Penito'[9] Tillandsia 'Pine Cone'[9] Tillandsia 'Pink Champagne'[9] Tillandsia 'PJ's Prize'[9] Tillandsia 'Pomona'[9] Tillandsia 'Renate'[9] Tillandsia 'Richard Oeser'[9] Tillandsia 'Rosita'[9] Tillandsia 'Rubra'[9] Tillandsia 'Scion'[9] Tillandsia 'Silver Surprise'[9] Tillandsia 'Silver Trinket'[9] Tillandsia 'Small Mexican'[9] Tillandsia 'Sweet Chocolate'[9] Tillandsia 'Sybil Frasier'[9] Tillandsia 'Tall Velvet'[9] Tillandsia 'Tina Parr'[9] Tillandsia 'Tinca Fire'[9] Tillandsia 'Tisn't'[9] Tillandsia 'Victoria'[9] Tillandsia 'Zebrina'[9] 각주[편집] ↑ “Tillandsia ionanth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PLANTS Database. USDA.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 An Annotated Checklist of the Bromeliaceae of Costa Rica retrieved 3 November 2009 ↑ Checklist of Mexican Bromeliaceae with Notes on Species Distribution and Levels of Endemism Archived 2007-10-30 - 웨이백 머신. retrieved 3 November 2009 ↑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 ↑ Royal Botanic Garden Archived 2012년 9월 14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blushing bride). ↑ Plant Chaser Archived 2012년 12월 27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Druid. ↑ Some magnetic Island Plants: Tillandsia ionantha planch.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BSI Cultivar Registry Archived 2009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11 October 2009 외부 링크[편집] Online Britannica Dictionary: Tilandsi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937140 EoL: 346000 EPPO: TLDIO GBIF: 2695006 iNaturalist: 141279 IPNI: 125266-1 IUCN: 44393060 NCBI: 294061 플랜트 리스트: kew-269169 PLANTS: TIIO POWO: urn:lsid:ipni.org:names:125266-1 트로피코스: 4301689 WCSP: 2691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틸란드시아_이오난타&oldid=24201245" 분류: 코스타리카의 식물상멕시코의 식물상틸란드시아속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제목이 라틴어 학명인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日本語Svenska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250px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벼목 과: 파인애플과 아과: 틸란드시아아과 속: 틸란드시아속 아속: Diaphoranthema 종: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학명 Tillandsia ionanthaPlanchon 이명 Pityrophyllum gracile Beer Tillandsia rubentifolia Poiss. & Menet 에어 플랜트(Air plant)[1]라고도 불리는 틸란드시아 이오난사(학명: Tillandsia forma Ionantha) 는 파인애플목 파인애플과 틸란드시아속의 착생식물로써 통상적으로 나무둥치에서 자라며 밝은 그늘에서 성장한다. 뿌리가 있으나 오로지 착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모두 잘라내어도 상관없다. 또한 뿌리를 영양흡수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아 기생식물과는 다르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가 속하는 틸란드시아 속 식물은 교배종을 제외하고도 약 500여 종 이상이 있다. 원산지는 멕시코 등 해발 450-1700m의 건조한 남아메리카 지역이며 브로워드 카운티, 플로리다에도 토착화되었다.[2][3][4][5] 잎에 있는 미세한 솜털(트리콤)을 이용하여 공기 중 수증기와 유기물을 흡수한다. 트리콤은 긁힘 또는 충격에 벗겨질 수 있으며 벗겨진 트리콤은 재생되지 않는다. 틸란드시아 속은 CAM식물로써 낮에 뜨거운 열로 부터 수분 손실은 막기위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손실을 최소화 하고 밤에 기공을 열어 호흡한다. 그리하여 틸란드시아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야간에 산소를 만들어 내기때문에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 인간에게 유익하다. 또한 번식력과 자생력이 강하기 때문에 애완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크기는 12cm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작은 종이며 대한민국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다음과 같은 변종 외에도 많은 변이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자라난 농장에 따라서도 크기나 모양 등이 달라진다.[2] Tillandsia ionantha var. ionantha - 대부분의 종 서식 영역 Tillandsia ionantha var. stricta Koide - 오악사카주 목차 1 외형 2 번식 방법 3 재배 환경 4 갤러리 5 재배품종 6 각주 7 외부 링크 외형[편집] 잎은 보통 9cm, 가로 6cm 정도로 자라나 크게는 길이 15~17cm 까지 자란다. 잎은 초록색이며 은색의 솜털로 덮혀져 있지만 개화기에는 붉은색으로 물든다. 가시처럼 끝은 뾰족한 얇은 삼각형 형태의 잎 모양을 가지고 있다. 보라색 꽃은 4cm 정도로 자라며 노란 술이 달린다.[6] 번식 방법[편집] 번식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꽃의 수정을 이용한 번식 방법과 자구 촉을 나누기 번식방법이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의 종류 중에는 드루이드와 같이 보라색이 아닌 하얀색 꽃이 피며 잎 주변이 노랑색으로 변하는 알비노 또는 변이종(var)도 있고 이오난사의 변이종만 해도 10종류 이상이 된다.[7] 대부분의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는 ion(보라색)과 anthos(꽃)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합성어인 이름 그대로 화려한 보라색 꽃을 피운다.[8] 일생 동안 한번만 꽃을 피우며 꽃을 피운 후에는 성장을 멈추고 모든 에너지를 오로지 자구번식을 위해 사용한다. 꽃이 필 때는 꽃 주변의 은색 잎들도 붉은색으로 물든다. 이와는 반대로 잎이 꺾이거나 상하면 꺾인 잎만 붉게 물들을 수 있으나 구별하기가 쉽다. 꽃이 피고 수정이 되면 1~2달 후 씨앗 주머니가 생기고 씨방이 단단해진다. 단단해진 씨방속에서 솜털이 달린 씨앗으로 가득차게 되고 씨방이 터진다. 이 때 씨앗이 바람에 날려 나무나 기타 적합한 환경에 안착하게 되어 발아를 할 수 있다. 발아를 하면 성체까지 3~5년이 걸린다. 수정 유무에 상관없이 자구를 생산하고 자구 번식시 더 빠른 성장을 볼수있다. 자구는 약 1년이면 성체의 크기와 비슷해진다. 자구가 자라면 촉을 나누어 모체에서 분리해 키울 수도 있다. 크기가 작을때 분리하면 자생력이 약해 죽을 수도 있다. 자구를 분리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면 커다랗고 둥그런 틸란드시아 클럼프가 만들어진다. 재배 환경[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를 키울 때 한여름철의 직사광선은 과도한 수분손실을 일으켜 잎에 얼룩이 생기거나 잎끝이 말라버리기 때문에 걸러진 빛이 좋고 11월~7월 달 까지는 직사광선을 받아도 상관없다. 틸란드시아는 자외선 이 가장 강한 10월에 가장 빠르고 큰폭으로 성장한다. 공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지만 실내의 공기는 건조하기때문에 일주일에 두 번은 물을 주는것이 좋다. 흙이 필요없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가 용이하지만 인간의 손과 잦은 접촉은 잎끝을 상하게한다. 그리고 중심에 있는 생장점 에 물이 고여있으면 과습현상으로 썩어버릴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자구를 떼고 싶다면 가급적이면 모체의 반 이상의 크기로 자랐을 때 떼는 게 좋다. 모체는 모든 역량을 자구에 집중하기 때문에 붙어있는 동안 자구의 성장이 빠르며 작은 자구를 떼면 성장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단 모체가 과습으로 죽어갈 때는 당장 떼어버리지 않으면 자구도 덩달아 죽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기후에 적응을 잘 하는 틸란드시아 종류 중 하나다. 갤러리[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틸란드시아 덩어리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드루이드 재배품종[편집] Tillandsia 'Aleta'[9] Tillandsia 'Apretado'[9] Tillandsia 'Aristocrat'[9] Tillandsia 'Boreen'[9] Tillandsia 'Califano'[9] Tillandsia 'Chiquininga'[9] Tillandsia 'Cone Head'[9] Tillandsia 'Corinne'[9] Tillandsia 'Curra'[9] Tillandsia 'Dagun'[9] Tillandsia 'Dawn'[9] Tillandsia 'Druid'[9] : 꽃이 피면 이파리가 연노랑으로 변색되는 품종이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흔히 재배된다. Tillandsia 'Frolic'[9] Tillandsia 'Fuego'[9] Tillandsia 'Glenorchy'[9] Tillandsia 'Hand Grenade'[9] Tillandsia 'Haselnuss'[9] Tillandsia 'Hidden Charm'[9] Tillandsia 'Hilda Arriza'[9] Tillandsia 'Huamelula'[9] Tillandsia 'Humbug'[9] Tillandsia 'Jack Staub'[9] Tillandsia 'Jalapa Fortin'[9] Tillandsia 'Joel'[9] Tillandsia 'Key Lime Sundae'[9] Tillandsia 'Kinkin'[9] Tillandsia 'Luke'[9] Tillandsia 'Maidens Blush'[9] Tillandsia 'Miz Ellen'[9] Tillandsia 'Mudlo'[9] Tillandsia 'Noosa'[9] Tillandsia 'Peach'[9] Tillandsia 'Peewee'[9] Tillandsia 'Penito'[9] Tillandsia 'Pine Cone'[9] Tillandsia 'Pink Champagne'[9] Tillandsia 'PJ's Prize'[9] Tillandsia 'Pomona'[9] Tillandsia 'Renate'[9] Tillandsia 'Richard Oeser'[9] Tillandsia 'Rosita'[9] Tillandsia 'Rubra'[9] Tillandsia 'Scion'[9] Tillandsia 'Silver Surprise'[9] Tillandsia 'Silver Trinket'[9] Tillandsia 'Small Mexican'[9] Tillandsia 'Sweet Chocolate'[9] Tillandsia 'Sybil Frasier'[9] Tillandsia 'Tall Velvet'[9] Tillandsia 'Tina Parr'[9] Tillandsia 'Tinca Fire'[9] Tillandsia 'Tisn't'[9] Tillandsia 'Victoria'[9] Tillandsia 'Zebrina'[9] 각주[편집] ↑ “Tillandsia ionanth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PLANTS Database. USDA.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 An Annotated Checklist of the Bromeliaceae of Costa Rica retrieved 3 November 2009 ↑ Checklist of Mexican Bromeliaceae with Notes on Species Distribution and Levels of Endemism Archived 2007-10-30 - 웨이백 머신. retrieved 3 November 2009 ↑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 ↑ Royal Botanic Garden Archived 2012년 9월 14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blushing bride). ↑ Plant Chaser Archived 2012년 12월 27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Druid. ↑ Some magnetic Island Plants: Tillandsia ionantha planch.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BSI Cultivar Registry Archived 2009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11 October 2009 외부 링크[편집] Online Britannica Dictionary: Tilandsi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937140 EoL: 346000 EPPO: TLDIO GBIF: 2695006 iNaturalist: 141279 IPNI: 125266-1 IUCN: 44393060 NCBI: 294061 플랜트 리스트: kew-269169 PLANTS: TIIO POWO: urn:lsid:ipni.org:names:125266-1 트로피코스: 4301689 WCSP: 2691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틸란드시아_이오난타&oldid=24201245" 분류: 코스타리카의 식물상멕시코의 식물상틸란드시아속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제목이 라틴어 학명인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日本語Svenska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조구치 겐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조구치 겐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미조구치 겐지출생 1898년 5월 16일(1898-05-16)일본 아사쿠사사망 1956년 8월 24일 (58세)일본 교토다른 이름 고테켄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편집자활동 기간 1923년 - 1956년 미조구치 겐지(일본어: 溝口 健二, 1898년 5월 16일 ~ 1956년 8월 24일)는 일본의 영화감독이다. 목차 1 생애 2 작품세계 3 작품연보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도쿄 시 아사쿠사 구(현·도쿄도 다이토 구 아사쿠사) 출신으로, 아버지는 목수였다. 그의 가정환경은 비참한 수준이어서 그의 누이를 게이샤로 팔지 않으면 안될 정도였다. 이 일은 겐지의 사고방식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어머니와 누이에 대한 아버지의 학대 사이에서 그는 강하게 저항하곤 했으며, 그는 평생 아버지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13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고베에서 광고 디자인 일을 시작했으며 동시에 미술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유우신일보(又新日報)사의 삽화가로 일하기도 했다. 1920년에 그는 닛카츠 촬영소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처음에는 배우로 시작했으며 3년뒤 감독이 되었고 관동대지진이후 동경촬영소로 옮긴다. 1925년 내연의 여인에게 면도칼로 찔리는 사건을 경험한 이후, 여성을 테마로 한 작품을 독특한 감각으로 그려내기 시작했다. 1939년 나카다 마사이치(永田雅一)의 다이이치 영화사(第一映画社)에 참가하고 이후 다이에이 영화사 창립 이후 전속이 된다. 겐지의 초기 작품들은 탐색에 가까운 것으로 유진 오닐이나 톨스토이등의 작품들로 문예영화를 만들거나 독일 표현주의 영화들을 따라해보거나 하는 것들이었다. 그의 작업속도는 매우 빨라서 몇주만에 영화 한편을 만들어내기도 했고 흥행성적도 좋았다. 그래서 20년대와 30년대 사이에 70여편의 영화를 찍는 것이 가능했는데 현재 이것들은 거의 유실되었다. 뒤쪽의 것들은 소위 경향영화(tendency film)라고 불리는 것들로 겐지는 그 작품들에서 사회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었고 선구적인 존재가 되었다. 1936년의 기온의 자매들과 나니와 엘레지 이후가 되어서야 겐지는 자신의 인생을 대표할 만한 영화들을 찍기 시작했다. 그의 중기에 겐지는 전근대와 근대의 전환기를 담는 사회파 영화인 '뉴 리얼리즘' 감독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마지막 국화 이야기는 문부성으로부터 상을 받았는데 앞선 두 영화처럼 남성중심사회에 반한 여성의 역할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이 시기에 겐지는 그의 유명한 방법론인 '원신, 원샷' 원칙을 확립하였다. 그의 섬세하고 정통적인 세트 디자이너인 미즈타니 히로시는 겐지가 광각렌즈를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다. 전쟁기간동안 겐지는 선전영화를 찍도록 군부로부터 강요받았다. 이중 가장 유명한 것은 충신장 이야기를 담은 사무라이 시대극 원록충신장(1941)이다. 이 시기에 겐지는 문제가 될 만한 소재를 피해서 작품생활을 했다. 일본 여성의 참정권이 인정되던 무렵의 혁명적인 영화 여인의 승리(1946)나 내 사랑은 불탔었지(1949) 이후 겐지는 시대극으로 전환하여 전래되던 이야기들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많이 했는데 주로 비극적 취향이 강했다. 이 때는 시나리오 작가인 요다 요시타카와 주로 함께했다. 이 때가 가장 인정받는 시기로 베니스에서 은사자상을 받은 우게츠 이야기(1953)을 비롯해 그를 국제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오하루의 일생(1951)이 그러하다. 산쇼 태부(1954)는 봉건사대 일본의 유교적 도덕에 관한 이야기이다. 백편에 가까운 그의 영화 중에 칼라영화는 신페이가 이야기(1955)와 양귀비(1955)뿐이다. 겐지는 교토에서 58세로 죽었는데 사인은 백혈병이었다. 작품세계[편집] 겐지의 영화는 주로 여인의 승리를 다루고 있다는 점으로 유명하다. 그는 최초의 대중적 페미니스트 감독으로 꼽힌다. 그는 더 존중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본 사회속에서 학대받고 짓밟힌 여인들의 처지를 잘 드러내었다. 그는 게이샤의 곤경을 자주 다루곤 했지만 그의 주인공들은 창녀, 노동자, 거리의 운동가, 주부 심지어 봉건시대 귀한집 아가씨까지 다양했다. 그의 영화는 일본 회화를 연상시킬정도로 탐미적이다. 그는 롱테이크와 풍성하고 묘사적인 미장센을 추구했다. 클로즈업과 같은 서구풍의 기법은 거의 쓰지 않았다. 그는 보통 몇분이나 되는 신을 만들곤 했고 스턴버그(Josef von Sternberg)풍의 조명과 세팅을 통해 장소에 포인트를 두었다. 겐지는 관객과 캐릭터간의 절묘한 공감을 만들어 특유의 정형화된 아름다움이 튀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다. 그의 가장 좋은 작품들은 대개 상당히 감동적이다. 겐지의 리허설에 대한 강박은 악명높았는데 특히 여배우들이 고생했다. 롱테이크를 좋아했기 때문에 조금의 실수도 재촬영으로 이어졌고 그는 한 샷을 찍기위해 거의 백여번씩 리허설을 하곤 했다. 다나카 쿠니요는 겐지 영화의 단골 여주인공이었는데 한번은 겐지가 그녀에게 역할을 위해 도서관의 모든 책을 읽으라고 강요한 적도 있다고 한다. 겐지는 자끄 리베뜨와 같은 평론가에 의해 서구에서 먼저 재평가를 받았고 특히 장뤼크 고다르를 비롯한 누벨바그 감독들에게 영향을 많이 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의 '원신 원샷' 기법은 앙드레 바쟁과 같은 평론가들에 의해 리얼리즘의 모범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작품연보[편집] 1923년「愛に甦へる日」 1933년「滝の白糸」(原作:泉鏡花) 1935년「折鶴お千」(原作:泉鏡花) 1935년「虞美人草」(原作:夏目漱石) 1936년「浪華悲歌」 1936년「祇園の姉妹」 1938년「露営の歌」 1939년「残菊物語」(原作:村松梢風) 1941년「芸道一代男」 1941-42년「元禄忠臣蔵(前後篇)」(原作:真山青果) 1946년「女性の勝利」 1946년「歌麿をめぐる五人の女」(原作:邦枝完二) 1947년「女優須磨子の恋」(原作:長坂秀雄) 1948년「夜の女たち」(原作:久板栄二郎) 1950년「雪夫人絵図」(原作:舟橋聖一) 1951년「お遊さま」(原作:谷崎潤一郎) 1951년「武蔵野夫人」(原作:大岡昇平) 1952년「西鶴一代女」(原作:井原西鶴):베니스 국제영화제 국제상 1953년 우게츠 이야기(雨月物語)(원작:上田秋成):베니스 국제영화제 은사자상 1953년「祇園囃子」(原作:川口松太郎) 1954년「噂の女」 1954년「近松物語」(原作:近松門左衛門) 1954년「山椒太夫」(原作:森鴎外):베니스 국제영화제 동사자상 1955년「新平家物語」(原作:吉川英治) 1955년「楊貴妃」 1956년「赤線地帯」 같이 보기[편집] 구로사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미조구치 겐지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영어) 미조구치 겐지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 일본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미조구치 겐지 감독 영화1920년대 아침 햇살 (1929, 단편) 도쿄 행진곡 (1929, 단편) 1930년대 唐人お吉 (1930) 폭포의 흰 줄기 (1933) 종이학 오센 (1935) 오사카 엘레지 (1936) 기원의 자매 (1936) 마지막 국화 이야기 (1939) 1940년대 겐로쿠 주신구라 (1941) 우타마로를 둘러싼 다섯 여인들 (1947) 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1947) 1950년대 유키 부인의 초상 (1950) 오유우님 (1951) 무사시노 부인 (1951) 오하루의 일생 (1952) 우게쓰 이야기 (1953) 게이샤 (1953) 산쇼다유 (1954) 소문의 여자 (1954) 치카마츠 이야기 (1954) 양귀비 (1955) 신 헤이케 이야기 (1955) 적선지대 (1956)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9686447 LCCN: n81035400 ISNI: 0000 0001 1042 2248 GND: 120128705 SELIBR: 399425 SUDOC: 027647757 BNF: cb11964488d (데이터) NDL: 00370838 NKC: xx0153701 BNE: XX981234 RKD: 3547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조구치_겐지&oldid=24079629" 분류: 1898년 태어남1956년 죽음일본의 영화 감독도쿄도 출신도쿄도 구부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ymar aru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OccitanPicardPolski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16: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조구치 겐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조구치 겐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미조구치 겐지출생 1898년 5월 16일(1898-05-16)일본 아사쿠사사망 1956년 8월 24일 (58세)일본 교토다른 이름 고테켄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편집자활동 기간 1923년 - 1956년 미조구치 겐지(일본어: 溝口 健二, 1898년 5월 16일 ~ 1956년 8월 24일)는 일본의 영화감독이다. 목차 1 생애 2 작품세계 3 작품연보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도쿄 시 아사쿠사 구(현·도쿄도 다이토 구 아사쿠사) 출신으로, 아버지는 목수였다. 그의 가정환경은 비참한 수준이어서 그의 누이를 게이샤로 팔지 않으면 안될 정도였다. 이 일은 겐지의 사고방식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어머니와 누이에 대한 아버지의 학대 사이에서 그는 강하게 저항하곤 했으며, 그는 평생 아버지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13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고베에서 광고 디자인 일을 시작했으며 동시에 미술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유우신일보(又新日報)사의 삽화가로 일하기도 했다. 1920년에 그는 닛카츠 촬영소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처음에는 배우로 시작했으며 3년뒤 감독이 되었고 관동대지진이후 동경촬영소로 옮긴다. 1925년 내연의 여인에게 면도칼로 찔리는 사건을 경험한 이후, 여성을 테마로 한 작품을 독특한 감각으로 그려내기 시작했다. 1939년 나카다 마사이치(永田雅一)의 다이이치 영화사(第一映画社)에 참가하고 이후 다이에이 영화사 창립 이후 전속이 된다. 겐지의 초기 작품들은 탐색에 가까운 것으로 유진 오닐이나 톨스토이등의 작품들로 문예영화를 만들거나 독일 표현주의 영화들을 따라해보거나 하는 것들이었다. 그의 작업속도는 매우 빨라서 몇주만에 영화 한편을 만들어내기도 했고 흥행성적도 좋았다. 그래서 20년대와 30년대 사이에 70여편의 영화를 찍는 것이 가능했는데 현재 이것들은 거의 유실되었다. 뒤쪽의 것들은 소위 경향영화(tendency film)라고 불리는 것들로 겐지는 그 작품들에서 사회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었고 선구적인 존재가 되었다. 1936년의 기온의 자매들과 나니와 엘레지 이후가 되어서야 겐지는 자신의 인생을 대표할 만한 영화들을 찍기 시작했다. 그의 중기에 겐지는 전근대와 근대의 전환기를 담는 사회파 영화인 '뉴 리얼리즘' 감독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마지막 국화 이야기는 문부성으로부터 상을 받았는데 앞선 두 영화처럼 남성중심사회에 반한 여성의 역할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이 시기에 겐지는 그의 유명한 방법론인 '원신, 원샷' 원칙을 확립하였다. 그의 섬세하고 정통적인 세트 디자이너인 미즈타니 히로시는 겐지가 광각렌즈를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다. 전쟁기간동안 겐지는 선전영화를 찍도록 군부로부터 강요받았다. 이중 가장 유명한 것은 충신장 이야기를 담은 사무라이 시대극 원록충신장(1941)이다. 이 시기에 겐지는 문제가 될 만한 소재를 피해서 작품생활을 했다. 일본 여성의 참정권이 인정되던 무렵의 혁명적인 영화 여인의 승리(1946)나 내 사랑은 불탔었지(1949) 이후 겐지는 시대극으로 전환하여 전래되던 이야기들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많이 했는데 주로 비극적 취향이 강했다. 이 때는 시나리오 작가인 요다 요시타카와 주로 함께했다. 이 때가 가장 인정받는 시기로 베니스에서 은사자상을 받은 우게츠 이야기(1953)을 비롯해 그를 국제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오하루의 일생(1951)이 그러하다. 산쇼 태부(1954)는 봉건사대 일본의 유교적 도덕에 관한 이야기이다. 백편에 가까운 그의 영화 중에 칼라영화는 신페이가 이야기(1955)와 양귀비(1955)뿐이다. 겐지는 교토에서 58세로 죽었는데 사인은 백혈병이었다. 작품세계[편집] 겐지의 영화는 주로 여인의 승리를 다루고 있다는 점으로 유명하다. 그는 최초의 대중적 페미니스트 감독으로 꼽힌다. 그는 더 존중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본 사회속에서 학대받고 짓밟힌 여인들의 처지를 잘 드러내었다. 그는 게이샤의 곤경을 자주 다루곤 했지만 그의 주인공들은 창녀, 노동자, 거리의 운동가, 주부 심지어 봉건시대 귀한집 아가씨까지 다양했다. 그의 영화는 일본 회화를 연상시킬정도로 탐미적이다. 그는 롱테이크와 풍성하고 묘사적인 미장센을 추구했다. 클로즈업과 같은 서구풍의 기법은 거의 쓰지 않았다. 그는 보통 몇분이나 되는 신을 만들곤 했고 스턴버그(Josef von Sternberg)풍의 조명과 세팅을 통해 장소에 포인트를 두었다. 겐지는 관객과 캐릭터간의 절묘한 공감을 만들어 특유의 정형화된 아름다움이 튀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다. 그의 가장 좋은 작품들은 대개 상당히 감동적이다. 겐지의 리허설에 대한 강박은 악명높았는데 특히 여배우들이 고생했다. 롱테이크를 좋아했기 때문에 조금의 실수도 재촬영으로 이어졌고 그는 한 샷을 찍기위해 거의 백여번씩 리허설을 하곤 했다. 다나카 쿠니요는 겐지 영화의 단골 여주인공이었는데 한번은 겐지가 그녀에게 역할을 위해 도서관의 모든 책을 읽으라고 강요한 적도 있다고 한다. 겐지는 자끄 리베뜨와 같은 평론가에 의해 서구에서 먼저 재평가를 받았고 특히 장뤼크 고다르를 비롯한 누벨바그 감독들에게 영향을 많이 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의 '원신 원샷' 기법은 앙드레 바쟁과 같은 평론가들에 의해 리얼리즘의 모범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작품연보[편집] 1923년「愛に甦へる日」 1933년「滝の白糸」(原作:泉鏡花) 1935년「折鶴お千」(原作:泉鏡花) 1935년「虞美人草」(原作:夏目漱石) 1936년「浪華悲歌」 1936년「祇園の姉妹」 1938년「露営の歌」 1939년「残菊物語」(原作:村松梢風) 1941년「芸道一代男」 1941-42년「元禄忠臣蔵(前後篇)」(原作:真山青果) 1946년「女性の勝利」 1946년「歌麿をめぐる五人の女」(原作:邦枝完二) 1947년「女優須磨子の恋」(原作:長坂秀雄) 1948년「夜の女たち」(原作:久板栄二郎) 1950년「雪夫人絵図」(原作:舟橋聖一) 1951년「お遊さま」(原作:谷崎潤一郎) 1951년「武蔵野夫人」(原作:大岡昇平) 1952년「西鶴一代女」(原作:井原西鶴):베니스 국제영화제 국제상 1953년 우게츠 이야기(雨月物語)(원작:上田秋成):베니스 국제영화제 은사자상 1953년「祇園囃子」(原作:川口松太郎) 1954년「噂の女」 1954년「近松物語」(原作:近松門左衛門) 1954년「山椒太夫」(原作:森鴎外):베니스 국제영화제 동사자상 1955년「新平家物語」(原作:吉川英治) 1955년「楊貴妃」 1956년「赤線地帯」 같이 보기[편집] 구로사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미조구치 겐지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영어) 미조구치 겐지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 일본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미조구치 겐지 감독 영화1920년대 아침 햇살 (1929, 단편) 도쿄 행진곡 (1929, 단편) 1930년대 唐人お吉 (1930) 폭포의 흰 줄기 (1933) 종이학 오센 (1935) 오사카 엘레지 (1936) 기원의 자매 (1936) 마지막 국화 이야기 (1939) 1940년대 겐로쿠 주신구라 (1941) 우타마로를 둘러싼 다섯 여인들 (1947) 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1947) 1950년대 유키 부인의 초상 (1950) 오유우님 (1951) 무사시노 부인 (1951) 오하루의 일생 (1952) 우게쓰 이야기 (1953) 게이샤 (1953) 산쇼다유 (1954) 소문의 여자 (1954) 치카마츠 이야기 (1954) 양귀비 (1955) 신 헤이케 이야기 (1955) 적선지대 (1956)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9686447 LCCN: n81035400 ISNI: 0000 0001 1042 2248 GND: 120128705 SELIBR: 399425 SUDOC: 027647757 BNF: cb11964488d (데이터) NDL: 00370838 NKC: xx0153701 BNE: XX981234 RKD: 3547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조구치_겐지&oldid=24079629" 분류: 1898년 태어남1956년 죽음일본의 영화 감독도쿄도 출신도쿄도 구부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ymar aru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OccitanPicardPolski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16: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소설 저자 시구사와 케이이치 삽화 쿠로보시 코하쿠 출판사 KADOKAWA, 아스키 미디어웍스 레이블 덴게키 문고 권수 3권 3권 틀 - 토론 위키프로젝트 라이트 노벨 포털 문학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는 시구사와 케이이치에 의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일러스트는 쿠로보시 코하쿠가 담당하고 있다. 남자 고교생인 신인 라이트 노벨 작가와 현역 소녀 성우가 주역이다. 같은 문고에서 출판되고 있는 「한 대륙의 이야기 시리즈」 이래 12년만인 시구사와 케이이치의 신 시리즈이다. 덴게키 문고 편집부나 라노벨 작가의 일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전권 커버가 양면으로 되어 있어, 작중에 등장하는 서적인 『바이스 버사』(ヴァイス・ヴァーサ)의 표지가 그려져 있다. 목차 1 서적 1.1 소설 2 같이 보기 3 각주 3.1 참조주 4 외부 링크 서적[편집] 소설[편집] 덴게키 문고 타이틀 발매일[1] ISBN 1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 -Time to Play-〈上〉 2014년 1월 10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2734|ISBN 978-4-04-866273-4]] 2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I -Time to Play-〈下〉 2014년 3월 8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3847|ISBN 978-4-04-866384-7]] 3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II -Time to Pray- 2014년 6월 10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6473|ISBN 978-4-04-866647-3]] 대원씨아이 타이틀 발매일 ISBN 1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1 Time to Play (상) 2015년 12월 15일 ISBN 9791133412600 2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2 Time to Play (하) 2016년 1월 13일 ISBN 9791133414123 3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3 Time to Pray 2016년 3월 15일 ISBN 9791133417643 같이 보기[편집] 긴 낱말 각주[편집] 참조주[편집] ↑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新刊詳細”. 《電撃文庫》. KADOKAWA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4년 3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기_라이트노벨_작가인_남고생이_연하의_클래스메이트이자_성우인_여자아이에게_목을_졸리고_있다.&oldid=20300297" 분류: 성우를 소재로 한 작품진행 중인 작품전격 문고긴 낱말일본의 라이트 노벨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2014년 소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English客家語/Hak-kâ-ngî日本語中文文言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2월 25일 (월) 2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미주리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주리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주리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8° 30′ 서경 92° 30′ / 북위 38.5° 서경 92.5°  / 38.5; -92.5 미주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미주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미주리 주 State of Missouri 주기 문장  • 별명: The Show Me State 주도 제퍼슨시티(Jefferson City) 북위 38° 34′ 36″ 서경 92° 10′ 25″ / 북위 38.576667° 서경 92.173611°  / 38.576667; -92.173611최대도시 캔자스시티(Kansas City) 북위 39° 05′ 59″ 서경 94° 34′ 42″ / 북위 39.099722° 서경 94.578333°  / 39.099722; -94.578333 제퍼슨시티 캔자스시티행정 군 115면적전체 180,693 km2폭 385 km길이 480 km내수면 비율 1.16 %위도 36°N - 40°35'N경도 89°6'W - 95°42'W높이최고 540 m평균 240 m최저 70 m시간대 중부: UTC-6/-5인구 17위전체 5,595,211인구밀도 31 (27위)언어공용어 없음기타합중국 가입 1821년 8월 10일 (24번째)약자 MO US-MO웹사이트 www.state.mo.us 미주리주(State of Missouri)는 미국 중서부에 있는 주이다. 북쪽으로 아이오와주, 동쪽으로 미시시피 강을 끼고 일리노이주·켄터키주·테네시주, 남쪽으로 아칸소주, 서쪽으로 오클라호마주·캔자스주·네브래스카주(뒷 두 주와는 미주리 강을 사이에 두고 있다)와 접한다. 1820년, 미주리 타협로 노예주에 속했으며, 결국 남북 전쟁 당시 북부 지지자와 남부 지지자가 반반씩 갈리고 말았다. 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먼이 러마 시 출신이다. 목차 1 역사 1.1 초기 역사 1.2 탐험 1.3 정착 1.4 준주 시대 1.5 주 승격과 확장 1.6 남북 전쟁 1.7 주로서의 향상 1.8 1900년대 중반 1.9 1900년대 후반 1.10 21세기 2 경제 2.1 서비스업 2.2 제조업 2.3 농업 2.4 광업 3 주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기 역사[편집] 미주리 지방에 다른 주민들이 오기 오래 전에 마운드 빌더스로 알려진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다. 인디언들은 지역에 다양한 예술적 흙무더기를 지었다.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도착하였을 때 많은 인디언 종족들이 미주리에 살았다. 미주리 족은 현재의 미주리 동중부에 속하는 지역에 거주하였다. 오세이지 족은 남부와 서부에 속하는 지역들에서 살고 사냥을 하였다. 다른 부족들에는 북부에 살던 폭스 족과 사우크 족이 포함된다. 탐험[편집] 프랑스의 탐험가 자크 마르케트 신부와 루이 졸리에는 아마 미주리 강의 입구를 본 첫 유럽인들이었을 것이다. 1673년, 그들은 미주리 강이 미시시피 강과 만나는 곳에 기호를 붙였다. 1682년, 다른 프랑스의 탐험가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 살은 미시시피 강을 여행하고 미시시피 강 유역을 프랑스령으로 주장하였다. 라 살은 국왕 루이 14세의 명예를 기려 지방을 "루이지애나"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 이후 프랑스의 사냥꾼과 모피 교역인들이 강을 따라 교역지들을 설립하였다. 인디언들을 개종시키려는 프랑스의 선교사들은 다수의 양성소를 창립하였다. 금과 은의 인디언 설화들은 다른 프랑스의 시굴자들을 끌어들였다. 이 모험가들은 현재 세인트프랜시스 카운티에 속하는 지역에서 납과 소금을 찾아 이 광물 자원들을 채굴하려고 남아있었다. 정착[편집] 초기의 미주리 정착지와 교역지들 1700년 경에 예수회 선교사들은 미주리에 첫 유럽인 정착지 세인트 프랜시스 사비어의 양성소를 설립하였다. 그들은 양성소를 오늘날 세인트루이스 근처의 대지에 세웠다. 1703년, 양성소는 근처에 비위생적인 습지라는 이유로 버림받았다. 1735년 경에 현재 일리노이에서 온 정착자들이 세인트제네비에브에 미주리의 첫 영구적 백인 정착지를 설립하였다. 1764년, 피에르 라클레드와 르네 오귀스트 슈토가 세인트루이스를 창립하였다. 1762년에 조인된 비밀적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모든 영토를 스페인에게 포기하였다. 프랑스와 스페인은 7년 전쟁의 동맹국으로 지내왔다. 스페인인들은 지방에 도착한 동부에서 온 개척자들에게 용기를 주었고 정착자들은 스페인의 대지에 쏟아져 들어왔다. 그들의 하나는 유명한 변경 개척자 대니얼 분이었다. 스페인이 그에게 대지의 대략 850 에이커(340 헥타르)를 허가한 후 1799년에 분은 현재의 세인트찰스 카운티로 이주하였다. 1800년, 스페인은 분을 지방행정 장관으로 임명하였다. 그해에 프랑스의 통치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영토를 프랑스에 반환하도록 스페인에 강요하였다. 그때에 와서 오늘날 미주리의 거의는 탐험되고 많은 공동체들이 설립되었다. 유럽에서 자신의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돈이 필요한 나폴레옹은 1803년,루이지애나 영토를 미국에 팔았다. 영토의 북부는 루이지애나 상부로 불리었고 오늘날의 미주리 주를 포함하였다. 루이지애나 상부는 33도 선으로부터 북부로 캐나다, 서부로 로키산맥까지 뻗었다. 1812년, 미국 의회는 미주리 영토를 결성하였다. 1811년 후반과 1812년 초반에 미국을 강타한 3개의 강진들이 미주리의 뉴마드리드 지역에 집중되었다. 과학자들은 지진이 리히터 규모 8 혹은 그 이상으로 측량되어 1906년의 샌프란시스코 지진보다 더욱 강했다고 믿는다. 다행히도 그 지방에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지 않았다. 지진의 강도에 비해서 재산 피해와 사망자수는 작았다. 준주 시대[편집] 미주리 준주는 20,000명 이상의 인구와 함께 시작되었다. 농업과 광업은 번성하고, 학교와 교회들이 지어졌다. 인디언들의 고대 사냥터들이 사라지고 미주리 준주에 너무나 많은 정착자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몇 년 동안에 인디언들은 경계 지방 정착자들에 대항하여 싸웠다. 1812년, 미영 전쟁이 일어나자, 영국은 인디언들에게 무기를 주어 그들에게 미주리 개척자들을 공격하도록 용기를 주었다. 정착자들은 보호를 위하여 요새와 통나무 방책들을 지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인디언들은 지속적으로 많은 정착지들을 급습하였다. 1815년, 인디언들과 미국 정부가 포티지드수 조약을 맺은 후 공격이 끝났다. 주 승격과 확장[편집] 1818년, 미주리는 합중국에 편입되기 위해 미국 의회에 물었다. 준주는 주로 흑인 노예들을 데려온 남부인들이 정착하였다. 노예주로서 편입을 위한 미주리의 신청은 노예주의와 반노예주의 동정자들 사이에 국가적으로 넓은 분쟁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의회가 미주리 타협을 통과시킬 때까지 진정되지 않았다. 이 입법 아래에서 미주리는 1821년 8월 10일, 노예주로서 합중국에 들어갔다. 1820년, 인구 조사국은 준주에는 10,222명의 노예들을 포함하여 66,586명의 주민들이 살았다고 보였다. 미주리 주민들은 알렉산더 맥네어를 첫 주지사로 선출하였다. 미주리 주가 합중국에 들어갔을 때에 국가의 서부 국경 지방이었다. 모피 교역은 주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다. 1822년 존 제이컵 애스터는 아메리카 모피 회사의 세인트루이스 지점을 결성하였다. 다음 12년 안에 애스터는 다른 모피 회사들의 대부분을 망치거나 매입하였다. 그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모피 교역에 가까운 독점권을 가졌다. 1836년, 의회는 인디언들로부터 플랫 카운티로 알려진 지역을 매입하는 데 찬성하였다. 대통령의 포고에 따라 1837년, 미주리 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방은 미주리 주의 서부 경계의 북부에서 미주리 강으로 뻗어있다. 1820년대 이래 미주리 주민들은 산타페이 산길에 멕시코인들과 정규적 무역을 계속 해왔다. 이 유명한 산길은 미주리 주 인디펜던스를 남서부의 산타페이와 이었다. 남서부로부터 들여온 거대한 재산들이 미주리 주로 쏟아져 들어오고 인디펜던스는 바쁘고 번영하는 마을이 되었다. 수천명의 정착자들이 태평양의 북서부로 따라간 거대한 오리건 산길도 또한 인디펜던스에서 시작되었다. 남북 전쟁[편집] 1857년, 미국 대법원은 역사적인 드레드 스콧 대 샌드퍼드 사건을 발표하였다. 법원은 미주리 노예 스콧이 단지 재산이며, 시민이 될 권리들을 가지지 않았다고 판정하였다. 심한 판정은 북부와 남부 사이에 아픈 느낌을 늘였다. 그 동안에 서부 경계 근처에 살던 많은 미주리 주민들은 새롭게 결성된 캔자스 준주가 자유주가 될 것 같은 위기에 놓였다. 더욱 많은 반노예주의 가족들이 캔자스에 정착하면서 미주리와 캔자스 주민들 사이에 산발적인 투쟁이 일어났다. 캔자스 주는 1861년에 자유주가 되었다. 캔자스와 미주리 주민들 간의 싸움은 남북 전쟁으로 들어가며 지속되었다. 미주리는 1861년에 국내적 관심의 중심지가 되었다. 국가는 미주리가 합중국에서 탈퇴하고 새롭게 형성된 맹방에 가입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그해 초순에 클레이번 F. 잭슨이 주민들의 의지를 결심시키는 주의 집회를 추천하였다. 집회는 집회는 2월과 3월에 열렸다. 잭슨과 집회의 의원들은 강한 친남부적이었으나 집회는 합중국에 남도록 투표하였다. 미주리 주민의 대부분은 만약 전쟁이 다가오면 중립에 머물기를 원하였다. 1861년 4월, 남북 전쟁이 시작된 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미주리 주로부터 군인들을 요구하였다. 잭슨 주지사는 링컨의 요구를 거부하였다. 북군과 잭슨이 주지사로서 명령을 내린 미주리 시민군이 6월 17일 분빌에서 충돌하였다. 이 전투는 미주리 주에서 남북 전쟁의 첫 현실의 싸움이었다. 너대니얼 라이언 장군 아래의 북군은 시민군을 패주시키고 미주리 주 북부의 통치를 얻었다. 잭슨과 그의 시민군은 자신들이 재결성한 미주리 주의 남서부로 후퇴하였다. 그러고나서 그들은 스프링필드 근처에 있는 윌슨즈크리크로 전진하였다. 거기서 8월에 시민군과 남군은 피흘리는 전투에서 북군을 물리쳤다. 7월 22일, 주 집회가 다시 열려 친남부적 주의 지도자들을 사무소로부터 몰아내는 투표를 하였다. 집회는 친북부적 사람들과 함께 대체하였다. 해밀턴 R. 갬블이 주지사가 되었다. 9월 잭슨은 10월에 니어쇼에서 만날 입법을 요구하였다. 입법적인 개회를 여는 데 충분하지 못한 의원들이 참석하였다. 그러나 그 출석한 의원들은 합중국에서 탈퇴하고 맹방에 가입하는 투표를 하였다. 남군은 1862년 3월, 북군이 자신들을 아칸소주 피리지에서 꺾을 때까지 미주리 주의 남서부에서 근거지를 통치하였다. 1864년, 스털링 프라이스 장군은 대담한 급슥에서 맹방을 위하여 미주리 주를 재포획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오늘날의 캔자스시티의 일부인 웨스트포트에서 패하였다. 프라이스의 패배는 주에서 전면적인 싸움의 종말을 표하였다. 전쟁을 통하여 북군과 남군 양쪽 게릴라들의 단체들이 미주리 주의 시골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그들은 타운들을 불태우고 약탈하였으며, 죄없는 주민들을 살인하였다. 1865년, 남북 전쟁이 끝난 후, 미주리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그 헌법은 자신이 친남부적이 아니라고 맹세하는 것을 거절한 아무에게 투표하는 권리를 부인한 조항을 포함하였다. 이 인기없는 조항은 1870년에 폐지되었다. 주로서의 향상[편집]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루이지애나 매입 박람회 (1904년) 1850년과 1970년, 사이에 미주리 주에서 많은 변화들이 생겼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는 중요한 교통의 중심지들이 되었다. 경계 지방이 사라지고, 산타페이 산길에 멕시코와의 무역이 끝났다. 세인트루이스가 세계에서 거대한 모피 시장들 중 하나로 남아있음에 불구하고 모피 교역이 적게 중요해졌다. 소작인들은 밭들에서 일한 일부 노예들을 상대적으로 대체하였다. 1875년, 미주리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그 헌법은 주지사의 임기를 2년에서 4년으로 재설립하였다. 또한 비율과 선적 상태를 규제하기 위해 주의 철도 위원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남북 전쟁 이후에 거의 20년 동안 많은 전직 남군 게릴라들이 범죄자가 되었다. 그들은 은행, 역마차와 열차들을 강탈하였다. 1881년, 토머스 T. 크리텐던 주지사는 무법자들을 멈추는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그는 가장 이름난 산적들 중 하나인 제시 제임스의 체포를 위한 5000 달러의 현상금을 제공하였다. 제임스는 1882년 자신의 부하들 중 1명에게 살해되었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에서 루이지애나 매입 박람회가 열렸다. 이 세계 박람회는 미국과 다른 나라들로부터 거의 2천만명의 방문객들을 끌어들였다. 인기있는 전람은 자동차들을 나타냈다. 자동차들 중 하나는 뉴욕 시로부터 세인트루이스로 먼길을 무릎쓰고 운전해 왔다. 1905년, 조지프 W. 포크 주지사는 주의 가장 향상적인 행정 중 하나를 시작하였다. 미주리 주는 주 전체의 예비 선거들을 채택하고 정치적, 사회적과 산업적 개혁들을 시작하였다. 법률들은 미주리의 공장들에서 노동 상태에 대한 조사 요구가 통과되었다. 다른 법률들은 주에서 어린이 노동과 공공적 유용을 규제하였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미주리 주의 광업, 제조업과 농업이 국가의 군사들을 공급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린 카운티에서 태어난 존 퍼싱 장군이 프랑스에서 미군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런디 카운티에서 태어난 에노크 H. 크라우더 장군은 의무 병역 제도의 초대 국장이 되었다. 세인트루이스 지역을 위한 전력의 중요한 근원인 배그널 댐이 1931년에 완공되었다. 댐으로 인해 모아진 물들이 오자크 산맥의 미주리 호를 형성하였다. 1930년대의 대공황이 일어난 동안에 많은 미주리 주민들이 자신들의 직업을 잃고 농부들은 저가격 때문에 고통을 겪었다. 가이 B. 파크 주지사 아래에 주 정부의 피고용인들의 다수가 절단되고 정부의 운영비들이 축소되었다. 연방 정부는 고용과 구제를 마련하도록 미주리 주에서 일부 특약점들을 세웠다. 1900년대 중반[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군사를 위한 공급물들을 마련하기 위해 미주리 주에서 많은 새로운 산업들이 발달하였다. 1945년,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1944년, 인디펜던스의 상원 해리 트루먼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아래에서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루스벨트가 사망한 뒤에 트루먼은 대통령이 되었고, 1948년 대통령으로서 완전한 임기로 당선되었다. 1950년대 동안에 새로운 산업 지대들이 미주리 주의 경제를 상승시켰다. 전자 공장 지대가 조플린에 열리고 세인트루이스와 니어쇼의 공장들이 우주선을 위한 부품들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우라늄 가공 지대는 웰던스프링에서 운영으로 들어갔다. 1960년대 동안에 미주리 주는 더 많은 산업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였다. 그 일은 또한 한 해에 5억 달러의 비즈니스가 된 관광업에 용기를 주었다. 미주리 주의 광업은 1960년대에 크로퍼드, 덴트, 프랭클린, 아이언과 워싱턴 카운티에서 철광석의 매장량들의 발견과 함께 확장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 들어서 미주리 주의 공동 학교들의 대부분이 인종 차별 대우를 폐지하였다. 주 헌법은 인종적으로 분리된 학교들을 위하여 마련되었다. 그러나 1954년, 미국 대법원은 공동 학교들의 의무적 인종 분리는 비헌법적이라고 판결하였다. 1900년대 후반[편집] 1970년대 동안에 도시 문제들은 미주리 주에서 증가적으로 심각해졌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에서 예를 들어 많은 중류 가정들이 외곽들로 이주하였다. 인구의 변화는 거의 재정적 후원의 도시들을 유출시켰다. 부적당한 교통과 늘어나는 범죄가 미주리 주의 도시들의 문제들에 추가되었다. 대도시들은 새로운 비즈니스들과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들의 다운타운 지역들을 재개발하는 시도를 하였다. 미주리 주의 농장 공동체는 1980년대 중반에 국내적 농장 위기가 일어난 동안에 고통을 겪었다. 많은 농부들은 자신들의 농장들을 지킬 여유가 없었다. 미주리 주의 산업들의 다수도 또한 외국 무역 제한이 늦추어지면서 이 시기에 고통을 겪었다. 하지만 주의 경제는 1990년대에 향상되었다. 미주리 주는 또한 환경적 문제들에 직면하임였다. 새로운 대지 개발들로부터 온 유거수가 호수들을 진흙으로 더럽히고 표토의 대지를 빼앗았다. 매립지들과 정화 탱크들로부터 온 오염아 지하수 공급에 위협을 가하였다. 1980년대 초반에 유독한 물질 다이옥신의 높은 레블이 세인트루이스 근처의 타임스비치와 다른 미주리의 지역들에서 발견되었다. 미국 정부는 타임스비치에서 모든 주택과 비즈니스들을 사들였다. 1997년, 정화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정부는 대지를 주에게 넘겨주었다. 미주리 주는 대지에 산길 66 주립 공원을 설립하였다. 1993년, 미시시피-미주리 강을 따라 일어난 파괴적인 홍수가 중서부에서 주들에 심하게 영향을 주었다. 미주리 주는 재앙으로 인해 가장 세게 타격을 받은 주들 중 하나였다. 홍수들은 주에서 재산의 수조 달러의 가치와 수확물에 손상을 입혔다. 21세기[편집] 문제들의 악의에서 주의 경제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의 시작으로 들어가면서 강하게 남아있었다. 많은 농산물들은 지속적으로 번영하였고, 새로운 혹은 확장된 공장들은 도시들에서 튀어올랐다. 추가로 관광업은 미주리 주를 위한 1조 달러의 산업이 되었다. 세인트루이스, 캔자스시티와 스프링필드는 주요 비즈니스, 종교적과 정치적 집회들을 끌어들였다. 오자크 산맥은 넓은 지역으로부터 피서객들을 끌었다. 오자크 산맥의 타운 브랜슨은 주요 목적지를 유지하였다. 브랜슨은 1990년대에 들어서 컨트리 음악 산업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 브랜슨에서 개발된 판로 쇼핑몰들도 또한 타운의 항소에 추가되었다. 경제[편집] 서비스업[편집] 세인트루이스 연방 준비 은행 서비스업은 미주리 주의 고용과 국내총생산의 대략 5분의 4를 차지한다. 서비스업의 대부분은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에 집중되어 있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는 둘다 중서부의 주요한 재정적 도시들 사이에 있다. 각각의 도시는 연방 준비 은행의 구역 지점의 본거지이다. 많은 호텔, 식당과 소매상들도 또한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 지역들에 있다. 주도인 제퍼슨시티는 정부 활동의 중심지이다. 컬럼비아, 캔자스시티, 세인트루이스와 스프링필드는 미주리 주에서 보건의 주요 중심지들이다. 교통 서비스들은 미주리 주의 경제에 중요하다. 주요 이삿짐 회사들은 펜턴에 기지를 두었다. 많은 철도들이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에 큰 운영들을 두었다. 어떤 상사들은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미시시피 강과 미주리 강에서 부선을 이용한다. 제조업[편집]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앤하이저부시 양조장 미주리 주의 제조업은 거의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의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에서 생산된다. 화학, 식료품과 교통 수단들은 주요한 제조품들이다. 화학 산업은 비료, 살충제, 약품과 비누의 생산을 포함한다. 세인트루이스 지역은 주의 총 화학품 제조업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낙농제품 가공 지대들은 스프링필드와 다른 도시들에 있다. 세인트루이스는 주요한 맥주 양조사 앤하이저부시의 본거지이다. 국가의 겨울밀 벨트의 중앙에 있는 캔자스시티에는 큰 밀가루 제분소가 있다. 미주리 주에서 제조되는 교통 수단들은 항공기, 보트, 열차, 트럭과 트럭의 트레일러를 포함한다. 미주리 주는 트럭 생산을 선도하는 주로서 손꼽힌다. 캔자스시티, 세인트루이스와 웬츠빌에 있는 공장 지대들이 트럭을 제조한다. 세인트루이스는 미국에서 군사 항공의 생산을 위한 주요한 주들 중 하나이다. 미주리 주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제품들은 합성 금속 제품, 기계와 인쇄 물자들을 포함한다. 미주리 주의 합성 금속 제품들은 탄약, 문과 상점의 기계 제품들을 포함한다.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공장 지대들은 난방 기계들을 만든다. 캔자스시티는 미국에서 그리팅 카드 생산주 홀마크 카즈의 본거지이다. 농업[편집] 농장들은 미주리 주 대지 지역의 대략 3분의 2를 뒤덮고 있다. 가축과 축산물은 미주리 주 농장 소득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육우, 돼지와 칠면조의 주요한 사육지들 중 하나이다. 육우와 젖소의 생산은 미주리 주의 중부와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돼지 농장들은 주의 전역에 걸쳐 중요하다. 미주리 중부의 농부들은 대부분의 칠면조를 기른다. 수확물도 또한 미주리 주 농장 소득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옥수수, 수수와 콩의 중요한 생산지이다. 옥수수 농장들이 가장 많이 모인 곳은 주의 북부 절반과 남동부의 모퉁이이다. 오드레인 카운티 지역과 주의 남동부 모퉁이는 대부분의 수수를 재배한다. 주의 북부와 남동부는 가장 큰 대두의 생산 지역들이다. 농부들은 면화, 건초와 밀을 대량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광업[편집] 납, 석회와 포틀랜드 시멘트는 미주리 주 광업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납과 석회의 생산에서 주들을 선도하고 있다. 납은 주의 남동부, 특히 아이언과 레이놀즈 카운티들에서 채굴된다. 구리, 은과 아연도 납의 광산들로부터 생산된다. 석회암은 주의 전역을 통하여 채굴된다. 미주리 주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한 생산지이다. 주에는 또한 석탄의 비축분을 가지고 있다. 석탄은 주로 베이츠 카운티에 있는 노천 광산들에서 나온다. 미주리 주의 다른 광물들은 점토, 백운석, 준보석, 화강암, 석유와 모래와 자갈을 포함한다. 주민[편집] 세인트루이스의 야경 2000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미주리 주의 인구가 5,595,211명이라고 보고하였다. 1990년의 5,117,073명에서 대략 9 퍼센트나 증가하였다. 2000년, 조사국에 따르면 미주리 주가 인구에서 50개의 주들 중에 17위이다 미주리 주민의 대략 4분의 3은 주의 8개의 메트로폴리탄 지역에 살고 있다. 대략 3분의 1은 일리노이주에 걸쳐진 세인트루이스 메트로폴리탄 지역에 산다. 미주리 주의 다른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은 컬럼비아, 파예트빌(아칸소주) - 스프링데일(아칸소주) - 로저스, 제퍼슨시티, 조플린, 캔자스시티, 세인트조지프와 스프링필드이다. 캔자스시티는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세인트루이스는 두 번째로 크다. 두 도시는 국가의 주요 교통, 곡식과 가축의 중심지로 손꼽힌다. 다른 중요한 도시들에는 스프링필드, 인디펜던스와 컬럼비아가 있다 미주리 주에 사는 주민들의 대략 11 퍼센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다. 다른 큰 인구 집단에는 독일, 아일랜드, 영국, 아메리카 인디언,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네덜란드 계통의 주민들이 포함된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미주리주 미주리 주정부 홈페이지 vdeh 미국의 행정 구역주 네바다 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뉴욕 뉴저지 뉴햄프셔 델라웨어 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메인 몬태나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시피 미주리 버몬트 버지니아 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이다호 아이오와 아칸소 알래스카 애리조나 앨라배마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와이오밍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유타 인디애나 일리노이 조지아 캔자스 캘리포니아 켄터키 코네티컷 콜로라도 테네시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하와이 특별구워싱턴 D.C. (컬럼비아 특별구)행정 관할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북마리아나 제도 아메리칸사모아 푸에르토리코 군소 제도 나배사 섬 미드웨이 환초 베이커 섬 웨이크 섬 자르비스 섬 존스턴 환초 킹먼 암초 팔미라 환초 하울랜드 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6566329 LCCN: n79029210 ISNI: 0000 0004 0382 5489 GND: 4039591-1 BNF: cb119374724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주리주&oldid=24376111" 분류: 미주리주미국의 주미국 중서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islama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Avañe'ẽ𐌲𐌿𐍄𐌹𐍃𐌺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ñupiak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Kernowek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Diné bizaadOccitanИронਪੰਜਾਬੀKapampanganDeitsch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Хальмг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리야스 모모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리야스 모모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리야스 모모카 기본 정보본명 有安杏果출생 1995년 3월 15일(1995-03-15) (24세)사이타마현국적 일본장르 제이 팝활동 시기 1995년 ~ 2018년2019년 ~ 현재 소속사 어플리코드(2019년 ~ )관련 활동 모모이로 클로버 Z웹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 공식 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有安杏果, 1995년 3월 15일 ~ )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전 모모이로 클로버 Z의 멤버. 목차 1 약력 2 인물 3 출연 3.1 CM 3.2 TV 프로 3.3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3.4 영화 3.5 PV 3.6 그 외 4 작품 4.1 앨범 5 각주 6 외부 링크 약력[편집] 1995년 0살 때, 캐럿에 소속해 아기의 잡지 모델 등, 예능 활동을 시작한다. 2004년 후지TV 「폰킥키즈 21」에 「시스타라빗트」로서 참가. 동시기에 EXPG에 들어간 EXILE의 키즈 댄서등을 맡았다. 2009년 2월 1일, 스타더스트 프로모션에 이적. 아이돌 그룹「Power Age」가입. 동년 5월 31일에 해산했다. 7월 26일, 스타더스트 프로모션의 3-B Jr 멤버에 의한 아이돌 유닛「모모이로 클로버」에 가입했다. 2018년 1월 15일, 이 달 21일 라이브를 마지막으로 그룹을 졸업하는 것을 발표[1]. 아울러 소속사 계약도 종료되게 되었다.그 이유를 본인은 블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1월 21일, 본인 마지막 라이브인「모모이로 클로버 Z 2018 OPENING ~새로운 하늘에~」에 인해 모모이로 클로버 Z를 졸업. 2019년 1월 15일, 활동 재개. 인물[편집] 취미는 노래, 댄스. 특기는 댄스.부모님이 칸사이 출신으로, 칸사이 사투리를 이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인도 태생은 칸사이이다. 모모이로 클로버 Z내에서의 멤버 칼라는 초록. 조금 시시한 캐릭터 담당. 주위로부터 이야기가 길다고 말해지는 것 같다. 니혼 TV 계열로 방송 샤베쿠리 007에서는, 너무나 길어서 다른 출연자는, 이야기를 듣지 않고 변안을 피로했다. 블로그에서는 "있습니다"를, 자신의 성과 걸쳐「아」라고 표기한다. 출연[편집] CM[편집] 져스트 시스템 하나코 9 토미 테레타피즈 봉제인형 P&G 표백제 에이스 이토오 요카도 여름의 바겐 세일 마스터 푸즈 카르칸데리카스타이르카르칸탄 미트칸 주먹밥산 세가토이즈 노래해 춤추자 호빵맨 일본 맥도날드 해피세트 「파비의 숲」 「맥 로보트 2」 「해피의 고리 퍼진다!」 「라이온 킹」 코바야시제약 열기시트 파나소닉 3 CCD 데지캄 쟈스코(현 : 이온) 연말선물 이온 2002 이온 페스티벌·유카타 신학기 준비 페어 DVD TV 시세이도 슈퍼 마일드 샴푸 에스비식품 「녹는 스튜」 「녹는 카레」 닌텐도 포케모션 왕자 네피아 NEW 드레미판트 델 프라도「즐김 초등학교 영어」 환미가게 포켓몬 「뿌려&카레」 하우스식품 프라임 카레 다이와 하우스 토호가스 TV 프로[편집] 프렌치 포테이토 컵(요미우리 TV) - 주연(무로이 시게루)의 딸 역 론브용 (니혼TV) 토요일 특집 드라마 지상의 사랑 ~사랑은 바다를 넘어~ (2001년,NHK) - 유리(주연 : 미나미 카호 · 토요카와 에츠시의 아가씨) 역 산토리 미스터리 대상 스페셜 시의 물가(2001년, TV 아사히) - 아카네자와 히로미 (소녀시대) 역 월요일 미스터리 극장 펫트싯타 사와구치 하나코의 사건부 (2001년, TBS) - 에리 역 화요일 서스펜스 극장 아버지 (2001년, 니혼TV) - 코구레 메구미(주연 : 후지타 마코토의 손) 역 SMAP×SMAP 특별편 사란헤요 사랑의 극장의 사랑의 노래 「켄보하세요~행복해져∼」(2002년, 후지TV) - 쿠사나기 츠요시의 딸 역 초과해 형사 정열계 제359화 (2002년, TV 아사히) 폰킥키즈 21 (2004년 ~ 2005년, 후지TV) - 시스타라빗트 모모카 김전일 소년 사건부 SP (2005년, 니혼TV) 금요일 엔터테인먼트 사모님은 경시총감 (2006년, 후지TV) 드라마 30 이 최근 저작물 ~리턴키즈~ (2006년, TBS) - 츠지야시 유카 역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편집] 요스가노소라 (2010년, AT-X) - 여학생 역 영화[편집] 은의 엔젤 (2004년) - 고바야시 카오리 역 PV[편집] 하야시 아스카「소선물」(2003년) SMAP「친구에게 ~Say What You Will~」(2005년) EXILE「Choo TRAIN」(2008년) EXILE「은하철도 999」(2008년) 그 외[편집] V시네마 기시와다 소년 우연대 GoingMyWay (2003년) 라운드 원「스플래쉬」(DVD) (2004년) 작품[편집] 앨범[편집] ココロノオト (2017년 10월 11일) 각주[편집] ↑ “有安杏果「ももクロ」卒業を電撃発表「普通の女の子の生活を送りたい」”. 《Sponichi Annex》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8년 1월 15일.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아리야스 모모카 공식 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 오피셜 블로그「모모파워 충전소(ももパワー充電所)」 모모이로 클로버 공식 블로그 (GREE) 이미츠부 - imatsubu 모모이로 클로버 오피셜 블로그 아리야스 모모카 - 트위터 아리야스 모모카 - 인스타그램 vdeh모모이로 클로버 Z ■모모타 카나코 ■타카기 레니 ■타마이 시오리 ■사사키 아야카 전 멤버 ■하야미 아카리 ■아리야스 모모카 데뷔 전 멤버 카와카미 리사 타카이 츠키나 와가와 미유 이쿠라 마나미 후지시로 스미레 카시와 유키나 싱글일반 발매인디즈 1.모모이로 펀치 2.미래에 나아가! 메이저 1.가자! 괴도소녀 2.핑키 존즈 3.미래 볼/Chai Maxx 4.Z전설 ~끝없는 혁명~ 5.D'의 순정 6.노동찬가 7.맹렬 우주 교향곡·제7악장 〈무한한 사랑〉 8.소녀 전쟁 9.안녕, 사랑스러운 슬픔들이여 10.GOUNN 11.울어도 괜찮아 12.MOON PRIDE 13.꿈의 부세에 피어봐 14.청춘부 15.「Z」의 맹세 16.더·골든·히스토리 17.BLAST! 18.웃어봐 ~샤오이샤오!~ 착신 한정 1.Re:Story 2.너 성급한것 같아!! 3.천국의 엉터리 4.GODSPEED 5.Sweet Wanderer 한정 발매 1.너 눈 2.아카링에게 보내는 노래 3.흰 바람 4.우리의 센추리 5.울어버릴 것 같은 겨울/강철의 의지 6.한 방울의 웃는 얼굴로…/Chai Maxx ZERO 다른 명의 일본 웃음 백경(모모쿠로테이 이치몬) JUMP!!!!!(Twinkle5) 앨범일반 발매오리지널 1.배틀 앤 로맨스 2.5TH DIMENSION 3.AMARANTHUS 4.백금의 새벽 5.MOMOIRO CLOVER Z 콤필레이션 1.입구 없는 출구 2.MCZ WINTER SONG COLLECTION 베스트 1.MOMOIRO CLOVER Z BEST ALBUM 「모모모십, 반차도 출화」 한정 발매 1.모모쿠로★올 스타즈 2012 2.모모이로 클로버 Z JAPAN TOUR 2013 〈GOUNN〉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7b371d35-de97-4509-8ad6-e40b2e332b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리야스_모모카&oldid=23936212" 분류: 모모이로 클로버 Z일본의 여자 가수아이돌 가수일본의 아이돌199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사이타마현 출신일본의 여자 어린이 배우니혼 대학 동문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Bislam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9일 (금) 2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개발연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개발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DI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DI Sejong 국무조정실 산하의 재단법인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韓國開發硏究院,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는 197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과학분야 종합정책연구소이다. 거시경제, 금융, 재정, 사회보장, 노동, 산업, 무역, 경쟁정책, 북한경제 등 경제·사회 제반 분야의 연구를 통해 정부 정책수립과 제도개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반곡동)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린 'G20 서울 국제심포지엄'에서 'G20 체제의 역할과 정체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함과 아울러, 개발의제를 중심으로 G20 정상회의서 논의될 주요 의제 전반을 사전에 점검하기도 하였다[2]. 펜실베이니아 대학 '국제관계 프로그램(International Relation Program)'산하 '씽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hink Tank and Civil Society Program, TTCSP)'이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씽크탱크 순위(Global Go To Think Tanks Report)'에서 2017년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에서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싱크탱크 5위, 미국 포함 19위에 선정되었다. 아시아주요국가(중국, 인도, 일본, 한국) 중에서는 1위에 랭크되었으며 국제개발 부문 역시 지난해 이어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영국 채텀하우스를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3] 현재 거시경제연구부, 금융경제연구부, 경쟁정책연구부,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재정․복지정책연구부, 북한경제연구부 등 8개 연구부서와 글로벌경제연구TF, 연금재정추계TF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주요 사업 2 연혁 3 조직 3.1 한국개발연구원장 3.1.1 부원장 3.1.1.1 수석이코노미스트그룹 4 부설기관 5 주요 보고서 6 역대원장 7 각주 8 외부 링크 주요 사업[편집] 기관고유사업: 기본연구사업, 연구관련사업, 연구지원사업 일반사업: 민간투자지원사업, 공공기관투자평가사업, 시장경제 및 글로벌경제 관련 특화사업, 국제개발협력사업, 『한국경제·사회발전 60년』기록 사업 - 원로들의 증언 -, G20 관련 연구, 부동산정책 연구역량 강화사업, OECD 한국센터,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응 전략, 서비스경제연구사업,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검정관련 연구 수탁용역사업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사업 연혁[편집] 1970년 12월 31일: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2247호) 제정 공포 1971년 03월 11일: 한국개발연구원 설립 등기 1982년 00월 00일: 국제교류협력센터(IDEP) 설치 1982년 05월 06일: 미국 워싱턴에 한국경제센터(KEI) 설립 1990년 11월 15일: 북한경제연구센터 설치 1991년 12월 27일: 국민경제제도연구원 흡수·통합(법률 제4446호) 1991년 12월 27일: 부설 국민경제교육연구소 발족 1994년 03월 09일: 법·경제연구센터 설치 1995년 12월 05일: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관련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5047호) 개정 1997년 12월 05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 개원 1998년 09월 18일: 국민경제교육연구소를 경제정보센터(EIEC)로 명칭 변경, 본원 이전 1999년 11월 06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을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 명칭 변경 2000년 01월 06일: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2005년 01월 27일: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민간투자지원센터를 흡수하여 법적 부설기관으로 발족 2009년 09월 11일: 국제개발협력센터(CID) 설립 2014년 06월 01일: 규제연구센터 설립 조직[편집] 한국개발연구원장[편집] 감사 연구자문위원회 글로벌경제연구실 중앙전산실 중앙도서실 경제정보센터 종합교육연수원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규제연구센터 국제정책대학원 부원장[편집] 연구조정실 경영지원실 대외협력실 디지털커뮤니케이션실 수석이코노미스트그룹[편집] 거시경제연구부 금융경제연구부 경쟁정책연구부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재정·복지정책연구부 북한경제연구부 부설기관[편집] 경제정보센터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규제연구센터 KDI 국제정책대학원 종합교육연수원 주요 보고서[편집] 1970년대: '연구조사보고서 제1권 기업정리에 대한 의견', '제4차 경제발전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전략', '5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수정과제연구', '6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관련과제연구', 'The Economic and Social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rowth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The Developmental Role of the Foreign Sector and Aid', 'Public Finances During the Korean Modernization Process', 'Financial Development in Korea',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in Economic Development: The Korean Case',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Population Policy, and Demographic Trans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rbanization and Urban Problems', 'Rural Development', 'The Korean Economic "Miracl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The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Korea', '장기경제사회발전 1977~91年 답신보고서', '경제안정화시책자료집(상)', '경제안정화시책자료집(하)', '경제난국 극복대책', '시장구조와 독과점규제' 1980년대: '정부투자기관 관리제도 개선방안', '관세정책의 현황과 개편방향: 정책협의회 자료', '새로운 산업정책의 모색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보고서', '국민연금제도의 기본구상과 경제사회 파급효과' 1990년대: '남북한 경제관계 발전을 위한 기본 구상', '금융실명제 실시 1주년 평가 및 향후 과제', '금융실명제 관련 문답자료', '금융실명제 시행에 따른 세제보완',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 '한국경제 반세기: 역사적 평가와 21세기 비전', '한국경제 반세기: 정책자료집', '경제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경제위기 10년: 평가와 과제' 2000년대: '2011 비전과 과제: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정부산하기관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Reforming the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 ', '중기재정 관리체계의 도입과 정착',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2)',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2)',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에 관한 종합연구',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에 관한 종합연구(2)', '전략적 서비스산업의 중장기 발전방안',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서비스부문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비정규직 문제 종합 연구', '주택시장 분석과 정책과제 연구', '부동산정책의 종합적 검토와 발전방향 모색' 2010년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향', 'Economic Growth in Low Income Countries: How the G20 Can Help to Raise and Sustain it ', 'G20 The Seoul Summit ', 'Toward the Consolidation of the G20 ', 'Global Leadership in Transition ', 'Post Crisis Growth and Developmen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상)',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하)', '전환기 부동산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상)', '전환기 부동산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하)',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1)',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2)' 역대원장[편집] 제1대 김만제 원장(1971.03.11∼1982.01.19) 제2대 김기환 원장(1982.01.19~1983.10.15) 제3대 안승철 원장(1983.11.07~1986.10.17) 제4대 박영철 원장(1986.10.17~1987.05.29) 제5대 구본호 원장(1987.06.03~1992.03.10) 제6대 송희연 원장(1992.03.11~1993.05.17) 제7대 황인정 원장(1993.05.18~1995.03.10) 제8대 차동세 원장(1995.03.11~1998.03.10) 제9대 이진순 원장(1998.03.11~2001.03.10) 제10대 강봉균 원장(2001.03.11~2002.06.10) 제11대 김중수 원장(2002.08.06~2005.08.07) 제12대 현정택 원장(2005.11.24~2009.03.20) 제13대 현오석 원장(2009.03.24~2013.03.21) 제14대 김준경 원장(2013.03.22~2017.12.26) 제15대 최정표 원장(2018.03.29~현재) 각주[편집] ↑ KDI 홈페이지 ↑ 동아일보 '[G20서울국제심포지엄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 KDI, 글로벌 싱크탱크 5위 선정” (카누리어). 2019년 1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개발연구원 - 공식 웹사이트 한국개발연구원 - 알리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한국개발연구원 모바일웹 EIEC 경제정보센터 홈페이지 PIMAC 공공투자관리센터 홈페이지 CID 국제개발협력센터 홈페이지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홈페이지 한국개발연구원 - 페이스북 비디오 - 유튜브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국가보훈처 인사혁신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본부 소속 실장 차장(2인) 조세심판원 대테러센터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산하 공공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무조정실장은 장관급, 국무차장(2인 ; 국무1차장 및 국무2차장)은 차관급이다.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겸임하고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사무처장은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의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이 겸임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개발연구원&oldid=23612705" 분류: 1971년 설립정부출연연구기관싱크탱크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숨은 분류: CS1 - 카누리어 인용 (kr)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일 (금) 16: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생긴 논란이다. 고려대학교 역사 계열 학과 교수진[1][2] 등 2015년 10월 28일 현재 70여개 대학 사학계 교수들이 국정화 교과서 집필을 거부하고 각 학교 대학생들은 국정화 반대 대자보 붙이기 운동을 벌이는 등 국정화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 밖에 정치권에서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시민단체, 진보단체 등 야권에서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10월 27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 기술이 들어갈 것이 없을 것이며, 만약 들어간다면 대통령 자신 부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후 먼저 나온 초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우려했던 내용이 사실로 드러나 문제가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정교과서 폐기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종료되었다. 목차 1 교육부 1.1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 1.2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 1.3 박근혜의 과거 발언 2 찬성 3 반대 4 관련 사건 4.1 비밀 TF 운영논란 4.2 최몽룡 논란 4.3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 5 주요 관련 인물 6 같이 보기 7 각주 교육부[편집]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선언 이후 현재의 역사 교과서들이 좌편향되었다고 주장 하고 있다. 하지만 좌편향되었다는 그 교과서들을 검정에서 합격시킨 주체가 교육부라는 점에서 이중적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4년 1월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한국사 교과서 8종의 오류와 서술 내용 2,250건을 수정해 승인했다고 밝히면서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 인식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으나 1년 9개월이 지나 같은 교과서에 대해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교육부 장관 황우여는 2015년 10월 12일 "이념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에 대해 교육부는 입장을 바꾼 이유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집필진의 소송과 이념 논란이 잇따라 발행 체제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러한 행태는, 교과서를 정치적으로 공격하려다 자기모순에 빠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3]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반대선언에 참여한 교사에 대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집단행위 금지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징계 방침을 밝혔다. 반면 국정화 지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고 집회를 연 교사들에 대해서는‘표현의 자유’를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일보의 취재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정치 중립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우리(교육부)의 소관”이라고 말했다. 이런 입장에 대해 한국일보는 '자의적'이라고 비판했다.[4] 김승환 전라북도 교육감도 과거 유신헌법 개정안 찬반투표 때도 '찬성, 반대 등 어떠한 의사표현도 하지 마라'고 해놓고 반대만 억압한 것의 재판이라며 국정 교과서 반대 교사들을 징계해야 한다면 찬성 선언에 참여한 교사들도 동등한 기준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5][6] 이에 대해 교육부 홍보담당관 남궁양숙은 교육부에서 전교조의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대하여 엄정 대응방침을 밝힌 이유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 아니라 시국선언의 내용이 교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하였기 때문이라면서 공무원인 교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국정화 찬반 여부 정파성을 드러내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입장을 밝혔다.[7] 박근혜의 과거 발언[편집] 박근혜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005년 1월,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대표시절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당시 정부가 한·일협정 관련 문서를 일부 공개하면서 박정희 정부의 굴욕적인 대일협상으로 일제하 징용자 등 피해 당사자들의 청구권이 박탈당했다는 비판이 확산되자 정부의 문서 공개를 비판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한·일협정 관련 문서 공개 다음날인 1월 18일 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직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역사를 정치적으로 다루려고 하면 자신의 잣대로 편리하게 평가하려는 유혹들이 많지 않겠냐"며 "그렇게 되면 국민들도 의혹의 시선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역사는 역사가가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날에는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여당에서 하는 일이 언론이나 국민에게 의혹을 사게 된다면 정부로서는 손해나는 일"이라며 "역사에 관한 일은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역사를 다루겠다는 것은 정부가 정권의 입맛에 맞게 하겠다는 의심을 받게 되고 정권 바뀔 때마다 역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역사 문제는 전문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서 평가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했다. 이처럼 야당 대표 시절 "정권이 역사를 재단해선 안 되고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한 박근혜가 자신의 발언을 정면으로 뒤집고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8][9] 찬성[편집] 기독교 성향의 "한국 기독교 역사교과서 공동대책 위원회"는 국정화를 지지한다며 기자회견에서 선언.[10] 탈북단체 연합도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추진 지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어버이연합등 극우보수단체 회원들은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했다.[11] 보수성향의 일부 언론인 "좌편향된 교과서를 바로잡는 좋은 기회"라며 지지 칼럼. 6명등의 교수, 국정화 지지표명 반대[편집]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소속 382명의 역사학과 교수들이 국정 교과서 집필 불참을 선언하며 반대표명.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총학생회 국정교과서 반대선언 서울대학교 총회, 대학원 총회 등 18개 단체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서울대 네트워크를 결성, 국정화 반대를 위하여 민중 총궐기 집회 참가를 독려.[12] 고려대 교수 160명 기자회견 통해 국정화 반대 의지 표명.[13] 서울대, 고려대 외 전국 70개 대학 역사학과 교수들, 국정 교과서 반대 및 집필거부 선언. 일본중앙대학 요시미 요시아키교수, 일본 사이타마(埼玉)학원대 일본사 연구자인 후쿠토 사나에(服藤早苗) 명예교수등은 한국 국정화 교과서에 대한 의견에 "태평양 전쟁시의 일본이 떠오른다"며 이에 대해 반대 의견.[14] 광주, 전남등의 시민단체, 교육계는 국정화에 대해 거센 반발. 의사학회에 이어 보건의료계 학생 600여명 반대 서명 운동, 의대교수·의대생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동참.[15] 김지철 충남 교육감, 이재정 경기 교육감, 장휘국 광주 교육감 등 다수 교육감의 반대의견 제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은 국정화 저지를 위하여 위헌소송도 가능하다는 의견. 605명의 변호사와 교수등은 교과서 국정화가 '위헌적 결정'이라고 주장.[16][17] 미국 시카고대 브루스 커밍스 석좌교수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바보같은 계획, 아베, 푸틴과 다름이 없다"고 반대의견.[18] 479개의 시민단체등에서 국정화 반대표명. 미국 뉴욕타임스는 11월 19일 사설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적 자유를 퇴행시켜려고 하는 것처럼 보여 우려스럽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이미지를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등으로 비판.[19] 대부분의 기독교 단체는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한국복음주의교회연합 등은 반대입장의 성명서를 발표했다.[20] 대한성공회는 성직자원 총회에서 "매우 위험스런 파시스트적 발상"이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1] 기독교 교사 1017명은 자신들의 실명 명단과 함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기독교사 실천선언" 선언문을 발표했다.[22] 관련 사건[편집] 비밀 TF 운영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고시 전에 예비비를 동원해 비밀TF를 운영한 것이 논란이 되고있다.[23] 최몽룡 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확정 이후 상고사 분야 대표집필자로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가 선정되었다. 최몽룡의 제자들은 최 교수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참여를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는 운동을 벌였다.[24] 최몽룡 교수는 제자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국정교과서 대표집필자로 참여하기로 했다. 최교수가 국사편찬위원회 기자회견에 나오지 않자 최교수 집에 일부 기자들이 방문해 인터뷰를 요청했는데, 제자들과 잔치를 열고 있던 최교수가 기자들을 불러 인터뷰를 마치고 술을 마시던 중 기자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25] 피해 여기자들은 최교수가 신체 접촉을 하고 성적인 농담까지 했다고 밝혔다. 최몽룡 교수는 대표 집필진에서 사퇴하였다.[26]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편집] 대경상업고에서 근무하는 김형도 교사는 자신이 국정교과서 집필진으로 선정되자 그 사실을 동료교사에게 알렸는데 그과정에서 김형도 교사가 동료교사에게 보낸 메시지가 언론에 공개 되면서 김형도 교사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임이 알려졌다. 언론에서 보도한 바에 의하면 이 교사는 상업을 9년간 가르쳤고 한국사는 올해 처음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사실은 많은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고 나머지 집필진의 능력이나 자질도 의심을 받게 했다. 결국 김형도 교사는 국정교과서 집필진에서 자진사퇴 하였다.[27] 주요 관련 인물[편집] 박근혜: 당시 대통령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 황우여: 당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영: 당시 교육부 차관 김동원: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 김정배: 당시 국사편찬위원장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신형식: 국정 한국사 교과서 대표 집필자 이종배: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28] 도종환: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의안번호:2000956 ,역사교과용도서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특별법안의 대표발의자)[29] 같이 보기[편집] 교학사 민중총궐기 문명고등학교: 2017년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한 유일한 학교 각주[편집] ↑ 국사학과(10명) 동양사학과(7명) 서양사학과(5명) 고고미술사학과(7명) 역사교육과(7명)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221127081&code=940100&nv=stand ↑ 교육부 검정하고선…이제 와서 좌편향?KBS 뉴스9, 2015년 10월 16일 ↑ 국정화 반발 누르는 ‘정치 중립 위반’… 교육부의 고무줄 잣대한국일보, 2015년 11월 4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선언 교사 징계 반대"SBS뉴스, 2015년 11월 9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명단 파악? 한다면 찬성도 함께"노컷뉴스, 2015년 11월 9일 ↑ <해명자료>「국정화 반대 교사에게만 정치중립 위반 잣대」 보도 관련 Archived 2015년 11월 18일 - 웨이백 머신교육부 2015년 11월 5일 ↑ 박 대통령, 야당 대표 시절 "역사, 정권이 재단해선 안 돼"노컷뉴스, 2015년 10월 29일 ↑ 박근혜 대통령, 한나라당 대표 시절엔 “역사는 역사학자가 판단해야 한다”더니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http://news1.kr/articles/?2465253 ↑ http://people.incruit.com/news/newsview.asp?gcd=22&newsno=2319514 ↑ http://news1.kr/articles/?2503624 ↑ http://news.donga.com/3/all/20150917/73679420/1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32310365&code=940100 ↑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no=24477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103_0010390266&cID=10201&pID=10200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21514101&code=940100 ↑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51103000640&md=20151104111354_BL&kr=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596 ↑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7310 ↑ http://www.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67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53971 ↑ 비밀TF 운영비도 ‘편법’ 예비비 44억서 당겨 썼다 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서울대 제자들의 호소…"최몽룡선생님 집필 재고해주세요" 뉴스1 ↑ 최몽룡 집필진 자진 사퇴 “자택서 여기자를 성추행” 무슨 상황? ↑ ““여기자에 미안” 최몽룡 교수, 성추행 논란 사퇴”.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9일에 확인함.  ↑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2&cid=1027589&iid=1142563&oid=081&aid=0002646495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155758%7C 찬성 118, 반대 4, 침묵 30명 새누리당, 의원 소신도 '국정화'] ↑ [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사_교과서_국정화_논란&oldid=24194817" 분류: 2015년 대한민국박근혜 정부대한민국의 교육교과서 논쟁대한민국의 논쟁역사 논쟁2015년 논쟁역사 교육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생긴 논란이다. 고려대학교 역사 계열 학과 교수진[1][2] 등 2015년 10월 28일 현재 70여개 대학 사학계 교수들이 국정화 교과서 집필을 거부하고 각 학교 대학생들은 국정화 반대 대자보 붙이기 운동을 벌이는 등 국정화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 밖에 정치권에서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시민단체, 진보단체 등 야권에서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10월 27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 기술이 들어갈 것이 없을 것이며, 만약 들어간다면 대통령 자신 부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후 먼저 나온 초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우려했던 내용이 사실로 드러나 문제가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정교과서 폐기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종료되었다. 목차 1 교육부 1.1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 1.2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 1.3 박근혜의 과거 발언 2 찬성 3 반대 4 관련 사건 4.1 비밀 TF 운영논란 4.2 최몽룡 논란 4.3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 5 주요 관련 인물 6 같이 보기 7 각주 교육부[편집]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선언 이후 현재의 역사 교과서들이 좌편향되었다고 주장 하고 있다. 하지만 좌편향되었다는 그 교과서들을 검정에서 합격시킨 주체가 교육부라는 점에서 이중적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4년 1월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한국사 교과서 8종의 오류와 서술 내용 2,250건을 수정해 승인했다고 밝히면서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 인식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으나 1년 9개월이 지나 같은 교과서에 대해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교육부 장관 황우여는 2015년 10월 12일 "이념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에 대해 교육부는 입장을 바꾼 이유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집필진의 소송과 이념 논란이 잇따라 발행 체제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러한 행태는, 교과서를 정치적으로 공격하려다 자기모순에 빠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3]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반대선언에 참여한 교사에 대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집단행위 금지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징계 방침을 밝혔다. 반면 국정화 지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고 집회를 연 교사들에 대해서는‘표현의 자유’를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일보의 취재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정치 중립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우리(교육부)의 소관”이라고 말했다. 이런 입장에 대해 한국일보는 '자의적'이라고 비판했다.[4] 김승환 전라북도 교육감도 과거 유신헌법 개정안 찬반투표 때도 '찬성, 반대 등 어떠한 의사표현도 하지 마라'고 해놓고 반대만 억압한 것의 재판이라며 국정 교과서 반대 교사들을 징계해야 한다면 찬성 선언에 참여한 교사들도 동등한 기준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5][6] 이에 대해 교육부 홍보담당관 남궁양숙은 교육부에서 전교조의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대하여 엄정 대응방침을 밝힌 이유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 아니라 시국선언의 내용이 교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하였기 때문이라면서 공무원인 교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국정화 찬반 여부 정파성을 드러내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입장을 밝혔다.[7] 박근혜의 과거 발언[편집] 박근혜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005년 1월,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대표시절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당시 정부가 한·일협정 관련 문서를 일부 공개하면서 박정희 정부의 굴욕적인 대일협상으로 일제하 징용자 등 피해 당사자들의 청구권이 박탈당했다는 비판이 확산되자 정부의 문서 공개를 비판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한·일협정 관련 문서 공개 다음날인 1월 18일 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직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역사를 정치적으로 다루려고 하면 자신의 잣대로 편리하게 평가하려는 유혹들이 많지 않겠냐"며 "그렇게 되면 국민들도 의혹의 시선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역사는 역사가가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날에는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여당에서 하는 일이 언론이나 국민에게 의혹을 사게 된다면 정부로서는 손해나는 일"이라며 "역사에 관한 일은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역사를 다루겠다는 것은 정부가 정권의 입맛에 맞게 하겠다는 의심을 받게 되고 정권 바뀔 때마다 역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역사 문제는 전문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서 평가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했다. 이처럼 야당 대표 시절 "정권이 역사를 재단해선 안 되고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한 박근혜가 자신의 발언을 정면으로 뒤집고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8][9] 찬성[편집] 기독교 성향의 "한국 기독교 역사교과서 공동대책 위원회"는 국정화를 지지한다며 기자회견에서 선언.[10] 탈북단체 연합도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추진 지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어버이연합등 극우보수단체 회원들은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했다.[11] 보수성향의 일부 언론인 "좌편향된 교과서를 바로잡는 좋은 기회"라며 지지 칼럼. 6명등의 교수, 국정화 지지표명 반대[편집]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소속 382명의 역사학과 교수들이 국정 교과서 집필 불참을 선언하며 반대표명.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총학생회 국정교과서 반대선언 서울대학교 총회, 대학원 총회 등 18개 단체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서울대 네트워크를 결성, 국정화 반대를 위하여 민중 총궐기 집회 참가를 독려.[12] 고려대 교수 160명 기자회견 통해 국정화 반대 의지 표명.[13] 서울대, 고려대 외 전국 70개 대학 역사학과 교수들, 국정 교과서 반대 및 집필거부 선언. 일본중앙대학 요시미 요시아키교수, 일본 사이타마(埼玉)학원대 일본사 연구자인 후쿠토 사나에(服藤早苗) 명예교수등은 한국 국정화 교과서에 대한 의견에 "태평양 전쟁시의 일본이 떠오른다"며 이에 대해 반대 의견.[14] 광주, 전남등의 시민단체, 교육계는 국정화에 대해 거센 반발. 의사학회에 이어 보건의료계 학생 600여명 반대 서명 운동, 의대교수·의대생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동참.[15] 김지철 충남 교육감, 이재정 경기 교육감, 장휘국 광주 교육감 등 다수 교육감의 반대의견 제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은 국정화 저지를 위하여 위헌소송도 가능하다는 의견. 605명의 변호사와 교수등은 교과서 국정화가 '위헌적 결정'이라고 주장.[16][17] 미국 시카고대 브루스 커밍스 석좌교수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바보같은 계획, 아베, 푸틴과 다름이 없다"고 반대의견.[18] 479개의 시민단체등에서 국정화 반대표명. 미국 뉴욕타임스는 11월 19일 사설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적 자유를 퇴행시켜려고 하는 것처럼 보여 우려스럽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이미지를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등으로 비판.[19] 대부분의 기독교 단체는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한국복음주의교회연합 등은 반대입장의 성명서를 발표했다.[20] 대한성공회는 성직자원 총회에서 "매우 위험스런 파시스트적 발상"이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1] 기독교 교사 1017명은 자신들의 실명 명단과 함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기독교사 실천선언" 선언문을 발표했다.[22] 관련 사건[편집] 비밀 TF 운영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고시 전에 예비비를 동원해 비밀TF를 운영한 것이 논란이 되고있다.[23] 최몽룡 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확정 이후 상고사 분야 대표집필자로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가 선정되었다. 최몽룡의 제자들은 최 교수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참여를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는 운동을 벌였다.[24] 최몽룡 교수는 제자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국정교과서 대표집필자로 참여하기로 했다. 최교수가 국사편찬위원회 기자회견에 나오지 않자 최교수 집에 일부 기자들이 방문해 인터뷰를 요청했는데, 제자들과 잔치를 열고 있던 최교수가 기자들을 불러 인터뷰를 마치고 술을 마시던 중 기자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25] 피해 여기자들은 최교수가 신체 접촉을 하고 성적인 농담까지 했다고 밝혔다. 최몽룡 교수는 대표 집필진에서 사퇴하였다.[26]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편집] 대경상업고에서 근무하는 김형도 교사는 자신이 국정교과서 집필진으로 선정되자 그 사실을 동료교사에게 알렸는데 그과정에서 김형도 교사가 동료교사에게 보낸 메시지가 언론에 공개 되면서 김형도 교사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임이 알려졌다. 언론에서 보도한 바에 의하면 이 교사는 상업을 9년간 가르쳤고 한국사는 올해 처음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사실은 많은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고 나머지 집필진의 능력이나 자질도 의심을 받게 했다. 결국 김형도 교사는 국정교과서 집필진에서 자진사퇴 하였다.[27] 주요 관련 인물[편집] 박근혜: 당시 대통령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 황우여: 당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영: 당시 교육부 차관 김동원: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 김정배: 당시 국사편찬위원장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신형식: 국정 한국사 교과서 대표 집필자 이종배: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28] 도종환: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의안번호:2000956 ,역사교과용도서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특별법안의 대표발의자)[29] 같이 보기[편집] 교학사 민중총궐기 문명고등학교: 2017년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한 유일한 학교 각주[편집] ↑ 국사학과(10명) 동양사학과(7명) 서양사학과(5명) 고고미술사학과(7명) 역사교육과(7명)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221127081&code=940100&nv=stand ↑ 교육부 검정하고선…이제 와서 좌편향?KBS 뉴스9, 2015년 10월 16일 ↑ 국정화 반발 누르는 ‘정치 중립 위반’… 교육부의 고무줄 잣대한국일보, 2015년 11월 4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선언 교사 징계 반대"SBS뉴스, 2015년 11월 9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명단 파악? 한다면 찬성도 함께"노컷뉴스, 2015년 11월 9일 ↑ <해명자료>「국정화 반대 교사에게만 정치중립 위반 잣대」 보도 관련 Archived 2015년 11월 18일 - 웨이백 머신교육부 2015년 11월 5일 ↑ 박 대통령, 야당 대표 시절 "역사, 정권이 재단해선 안 돼"노컷뉴스, 2015년 10월 29일 ↑ 박근혜 대통령, 한나라당 대표 시절엔 “역사는 역사학자가 판단해야 한다”더니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http://news1.kr/articles/?2465253 ↑ http://people.incruit.com/news/newsview.asp?gcd=22&newsno=2319514 ↑ http://news1.kr/articles/?2503624 ↑ http://news.donga.com/3/all/20150917/73679420/1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32310365&code=940100 ↑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no=24477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103_0010390266&cID=10201&pID=10200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21514101&code=940100 ↑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51103000640&md=20151104111354_BL&kr=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596 ↑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7310 ↑ http://www.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67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53971 ↑ 비밀TF 운영비도 ‘편법’ 예비비 44억서 당겨 썼다 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서울대 제자들의 호소…"최몽룡선생님 집필 재고해주세요" 뉴스1 ↑ 최몽룡 집필진 자진 사퇴 “자택서 여기자를 성추행” 무슨 상황? ↑ ““여기자에 미안” 최몽룡 교수, 성추행 논란 사퇴”.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9일에 확인함.  ↑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2&cid=1027589&iid=1142563&oid=081&aid=0002646495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155758%7C 찬성 118, 반대 4, 침묵 30명 새누리당, 의원 소신도 '국정화'] ↑ [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사_교과서_국정화_논란&oldid=24194817" 분류: 2015년 대한민국박근혜 정부대한민국의 교육교과서 논쟁대한민국의 논쟁역사 논쟁2015년 논쟁역사 교육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읍, 10개 면,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북구 1.1 읍·면 1.2 동 2 남구 2.1 읍·면 2.2 동 3 역사 4 각주 5 외부 링크 북구[편집] 읍·면[편집]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흥해읍 (興海邑) 학성리, 중성리, 약성리, 성내리, 남송리, 망천리, 남성리, 옥성리, 성곡리, 초곡리, 마산리, 북송리, 용곡리, 양백리, 용전리, 용천리, 덕장리, 덕성리, 금장리, 흥안리, 곡강리, 용한리, 칠포리, 오도리, 우목리, 죽천리, 매산리, 학천리, 이인리, 대련리 기계면 (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화봉리, 화대리, 내단리, 성계리, 학야리, 봉계리, 고지리, 지가리, 인비리, 남계리, 가안리, 구지리, 계전리, 미현리 기북면 (杞北面) 용기리, 관천리, 율산리, 대곡리, 탑정리, 오덕리, 성법리 신광면 (神光面) 사정리, 토성리, 호리, 우각리, 흥곡리, 냉수리, 죽성리, 상읍리, 안덕리, 기일리, 반곡리, 만석리, 마북리 송라면 (松羅面) 상송리, 하송리, 중산리, 광천리, 조사리, 방석리, 화진리, 대전리, 지경리 죽장면 (竹長面) 입암리, 일광리, 지동리, 정자리, 감곡리, 침곡리, 매현리, 방흥리, 현내리,두마리,봉계리,월평리, 합덕리, 석계리, 상사리, 하사리, 가사리, 상옥리, 하옥리 청하면 (淸河面) 신흥리, 소동리, 고현리, 하대리, 상대리, 서정리, 명안리, 유계리, 청계리, 덕천리, 덕성리, 월포리, 필화리, 용두리, 미남리, 이가리, 방어리, 청진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두호동 (斗湖洞) 두호동 (斗湖洞) 양학동 (良鶴洞) 득량동 (得良洞) 학잠동 (鶴岑洞) 용흥동 (龍興洞) 용흥동 (龍興洞) 우창동 (牛昌洞) 우현동 (牛峴洞) 창포동 (昌浦洞) 죽도동 (竹島洞) 죽도동 (竹島洞) 중앙동 (中央洞) 중앙동 (中央洞) 동빈동1가 (東濱洞一街) 동빈동2가 (東濱洞二街) 덕산동 (德山洞) 덕수동 (德山洞) 여천동 (余川洞) 상원동 (上元洞) 남빈동 (南濱洞) 신흥동 (新興洞) 대흥동 (大興洞) 항구동 (港口洞) 대신동 (大新洞) 학산동 (鶴山洞) 장량동 (長良洞) 장성동 (長城洞) 양덕동 (良德洞) 환여동 (環汝洞) 환호동 (環湖洞) 여남동 (汝南洞) 남구[편집] 읍·면[편집] 3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구룡포읍 (九龍浦邑) 구룡포리, 삼정리, 석병리, 눌태리, 후동리, 병포리, 하정리, 장길리, 구평리, 성동리 연일읍 (延日邑) 오천리, 생지리, 괴정리, 동문리, 인주리, 택전리, 중단리, 중명리, 우복리, 유강리, 자명리, 학전리, 달전리 오천읍 (烏川邑) 문덕리, 광명리, 세계리, 용덕리, 원리, 구정리, 용산리, 문충리, 항사리, 갈평리, 진전리 대송면 (大松面) 남성리, 제내리, 송동리, 옥명리, 공수리, 장동리, 홍계리, 대각리, 산여리 동해면 (東海面) 도구리, 신정리, 금광리,약전리, 석리, 임곡리, 입암리, 상정리, 중산리, 공당리, 마산리, 중흥리, 흥환리, 발산리 장기면 (長鬐面) 읍내리, 임중리, 신창리, 양포리, 계원리, 두원리, 수성리, 산서리, 방산리, 대곡리, 정천리, 신계리, 학곡리, 학계리, 서촌리, 마현리, 금곡리, 영암리, 대진리, 모포리 호미곶면 (虎尾串面) 대보리, 구만리, 대동배리, 강사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대이동 (大梨洞) 대잠동 (大岑洞) 이동 (梨洞) 상대동 (上大洞) 상도동 (上島洞) 대도동 (大島洞) 송도동 (松島洞) 송도동 (松島洞) 제철동 (製鐵洞) 송내동 (松內洞) 송정동 (松亭洞) 괴동동 (槐東洞) 동촌동 (東村洞) 장흥동 (長興洞) 인덕동 (仁德洞) 호동 (虎洞) 청림동 (靑林洞) 청림동 (靑林洞) 일월동 (日月洞) 해도동 (海島洞) 해도동 (海島洞) 효곡동 (孝谷洞) 효자동 (孝子洞) 지곡동 (芝谷洞) 역사[편집] 구 영일군의 역사에 대해서는 영일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흥해군 동상면과 영일군 북면을 영일군 포항면으로 합면하였다.[1]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다.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2]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포항동(浦項洞)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학산동(鶴山洞) 일부 천구정(川口町) 1938년 10월 1일 영일군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형산면 일원 포항읍 일부 대송면 송정동 일부 1946년 포항읍 내의 일본식 명칭인 정(町), 정목(丁目)을 다음과 같이 고쳤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본정(本町) 상원동(上元洞) 명치정(明治町) 덕수동(德壽洞) 욱정(旭町) 여천동(余川洞) 소화정(昭和町) 대신동(大新洞) 영정(榮町) 덕산동(德山洞) 초음정(初音町) 대흥동(大興洞) 신흥정(新興町) 신흥동(新興洞)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동빈1~2가(東濱1~2街) 남빈정(南濱町) 남빈동(南濱洞) 천구정(川口町) 항구동(港口洞) 중정(仲町) 중앙동(中央洞)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을 포항부로 승격하였다. (1부, 1읍, 13면, 1출장소) 1949년 8월 15일 포항부를 포항시로 개칭하였다. (1시, 1읍, 13면, 1출장소) 1973년 7월 1일 영일군 대송면 및 오천면 각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송정동, 송내동, 괴동동, 장흥동, 동촌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1982년 9월 1일 해도1·2동, 상대1·2동 분동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연일읍 4개 리 및 오천읍 일월동을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연일읍 효자동, 지곡동, 이동, 대잠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일월동 1987년 1월 1일 영일군 대송면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호동, 송내동 일부, 괴동동 일부, 장흥동 일부, 동촌동 일부 포항시 일부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4](2구, 4읍, 10면, 25동) 구제 실시로 북구, 남구를 설치하였다.[5] 시조례 제1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구 행정구역(읍·면·행정동) 신 행정구역(읍·면·행정동) 포항시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항구동, 환여동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북구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두호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환여동,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포항시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남구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1998년 9월 1일 과소동 통·폐합[6] 시조례 제18호~제320호 행정동간 통합 및 불합리한 경계 조정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덕수동, 대신동, 동빈동, 학산동, 항구동, 용흥1동, 용흥2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용흥동 2006년 12월 26일 대잠동 신청사 이전 2009년 1월 1일 소규모 동 통합(2구, 4읍, 10면, 15동)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죽도1동, 죽도2동, 기계출장소 북구 중앙동, 죽도동 남구 상대1동, 상대2동, 해도1동, 해도2동 남구 상대동, 해도동 각주[편집]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1읍 14면) ↑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13일) ↑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년 1월 11일) ↑ 시조례 제16호~제320호 불합리한 경계 조정(개정 1997년 9월 1일)(2구, 4읍, 10면, 19동) 외부 링크[편집] 포항시 통계연보 vdeh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남구 대이동 남구 구청소재지: 상대동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대이동 상대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동 효곡동 북구 구청소재지: 중앙동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시의_행정_구역&oldid=21625451" 분류: 포항시의 행정 구역경상북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3일 (토)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읍, 10개 면,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북구 1.1 읍·면 1.2 동 2 남구 2.1 읍·면 2.2 동 3 역사 4 각주 5 외부 링크 북구[편집] 읍·면[편집]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흥해읍 (興海邑) 학성리, 중성리, 약성리, 성내리, 남송리, 망천리, 남성리, 옥성리, 성곡리, 초곡리, 마산리, 북송리, 용곡리, 양백리, 용전리, 용천리, 덕장리, 덕성리, 금장리, 흥안리, 곡강리, 용한리, 칠포리, 오도리, 우목리, 죽천리, 매산리, 학천리, 이인리, 대련리 기계면 (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화봉리, 화대리, 내단리, 성계리, 학야리, 봉계리, 고지리, 지가리, 인비리, 남계리, 가안리, 구지리, 계전리, 미현리 기북면 (杞北面) 용기리, 관천리, 율산리, 대곡리, 탑정리, 오덕리, 성법리 신광면 (神光面) 사정리, 토성리, 호리, 우각리, 흥곡리, 냉수리, 죽성리, 상읍리, 안덕리, 기일리, 반곡리, 만석리, 마북리 송라면 (松羅面) 상송리, 하송리, 중산리, 광천리, 조사리, 방석리, 화진리, 대전리, 지경리 죽장면 (竹長面) 입암리, 일광리, 지동리, 정자리, 감곡리, 침곡리, 매현리, 방흥리, 현내리,두마리,봉계리,월평리, 합덕리, 석계리, 상사리, 하사리, 가사리, 상옥리, 하옥리 청하면 (淸河面) 신흥리, 소동리, 고현리, 하대리, 상대리, 서정리, 명안리, 유계리, 청계리, 덕천리, 덕성리, 월포리, 필화리, 용두리, 미남리, 이가리, 방어리, 청진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두호동 (斗湖洞) 두호동 (斗湖洞) 양학동 (良鶴洞) 득량동 (得良洞) 학잠동 (鶴岑洞) 용흥동 (龍興洞) 용흥동 (龍興洞) 우창동 (牛昌洞) 우현동 (牛峴洞) 창포동 (昌浦洞) 죽도동 (竹島洞) 죽도동 (竹島洞) 중앙동 (中央洞) 중앙동 (中央洞) 동빈동1가 (東濱洞一街) 동빈동2가 (東濱洞二街) 덕산동 (德山洞) 덕수동 (德山洞) 여천동 (余川洞) 상원동 (上元洞) 남빈동 (南濱洞) 신흥동 (新興洞) 대흥동 (大興洞) 항구동 (港口洞) 대신동 (大新洞) 학산동 (鶴山洞) 장량동 (長良洞) 장성동 (長城洞) 양덕동 (良德洞) 환여동 (環汝洞) 환호동 (環湖洞) 여남동 (汝南洞) 남구[편집] 읍·면[편집] 3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구룡포읍 (九龍浦邑) 구룡포리, 삼정리, 석병리, 눌태리, 후동리, 병포리, 하정리, 장길리, 구평리, 성동리 연일읍 (延日邑) 오천리, 생지리, 괴정리, 동문리, 인주리, 택전리, 중단리, 중명리, 우복리, 유강리, 자명리, 학전리, 달전리 오천읍 (烏川邑) 문덕리, 광명리, 세계리, 용덕리, 원리, 구정리, 용산리, 문충리, 항사리, 갈평리, 진전리 대송면 (大松面) 남성리, 제내리, 송동리, 옥명리, 공수리, 장동리, 홍계리, 대각리, 산여리 동해면 (東海面) 도구리, 신정리, 금광리,약전리, 석리, 임곡리, 입암리, 상정리, 중산리, 공당리, 마산리, 중흥리, 흥환리, 발산리 장기면 (長鬐面) 읍내리, 임중리, 신창리, 양포리, 계원리, 두원리, 수성리, 산서리, 방산리, 대곡리, 정천리, 신계리, 학곡리, 학계리, 서촌리, 마현리, 금곡리, 영암리, 대진리, 모포리 호미곶면 (虎尾串面) 대보리, 구만리, 대동배리, 강사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대이동 (大梨洞) 대잠동 (大岑洞) 이동 (梨洞) 상대동 (上大洞) 상도동 (上島洞) 대도동 (大島洞) 송도동 (松島洞) 송도동 (松島洞) 제철동 (製鐵洞) 송내동 (松內洞) 송정동 (松亭洞) 괴동동 (槐東洞) 동촌동 (東村洞) 장흥동 (長興洞) 인덕동 (仁德洞) 호동 (虎洞) 청림동 (靑林洞) 청림동 (靑林洞) 일월동 (日月洞) 해도동 (海島洞) 해도동 (海島洞) 효곡동 (孝谷洞) 효자동 (孝子洞) 지곡동 (芝谷洞) 역사[편집] 구 영일군의 역사에 대해서는 영일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흥해군 동상면과 영일군 북면을 영일군 포항면으로 합면하였다.[1]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다.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2]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포항동(浦項洞)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학산동(鶴山洞) 일부 천구정(川口町) 1938년 10월 1일 영일군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형산면 일원 포항읍 일부 대송면 송정동 일부 1946년 포항읍 내의 일본식 명칭인 정(町), 정목(丁目)을 다음과 같이 고쳤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본정(本町) 상원동(上元洞) 명치정(明治町) 덕수동(德壽洞) 욱정(旭町) 여천동(余川洞) 소화정(昭和町) 대신동(大新洞) 영정(榮町) 덕산동(德山洞) 초음정(初音町) 대흥동(大興洞) 신흥정(新興町) 신흥동(新興洞)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동빈1~2가(東濱1~2街) 남빈정(南濱町) 남빈동(南濱洞) 천구정(川口町) 항구동(港口洞) 중정(仲町) 중앙동(中央洞)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을 포항부로 승격하였다. (1부, 1읍, 13면, 1출장소) 1949년 8월 15일 포항부를 포항시로 개칭하였다. (1시, 1읍, 13면, 1출장소) 1973년 7월 1일 영일군 대송면 및 오천면 각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송정동, 송내동, 괴동동, 장흥동, 동촌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1982년 9월 1일 해도1·2동, 상대1·2동 분동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연일읍 4개 리 및 오천읍 일월동을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연일읍 효자동, 지곡동, 이동, 대잠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일월동 1987년 1월 1일 영일군 대송면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호동, 송내동 일부, 괴동동 일부, 장흥동 일부, 동촌동 일부 포항시 일부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4](2구, 4읍, 10면, 25동) 구제 실시로 북구, 남구를 설치하였다.[5] 시조례 제1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구 행정구역(읍·면·행정동) 신 행정구역(읍·면·행정동) 포항시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항구동, 환여동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북구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두호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환여동,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포항시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남구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1998년 9월 1일 과소동 통·폐합[6] 시조례 제18호~제320호 행정동간 통합 및 불합리한 경계 조정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덕수동, 대신동, 동빈동, 학산동, 항구동, 용흥1동, 용흥2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용흥동 2006년 12월 26일 대잠동 신청사 이전 2009년 1월 1일 소규모 동 통합(2구, 4읍, 10면, 15동)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죽도1동, 죽도2동, 기계출장소 북구 중앙동, 죽도동 남구 상대1동, 상대2동, 해도1동, 해도2동 남구 상대동, 해도동 각주[편집]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1읍 14면) ↑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13일) ↑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년 1월 11일) ↑ 시조례 제16호~제320호 불합리한 경계 조정(개정 1997년 9월 1일)(2구, 4읍, 10면, 19동) 외부 링크[편집] 포항시 통계연보 vdeh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남구 대이동 남구 구청소재지: 상대동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대이동 상대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동 효곡동 북구 구청소재지: 중앙동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시의_행정_구역&oldid=21625451" 분류: 포항시의 행정 구역경상북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3일 (토)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읍, 10개 면,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북구 1.1 읍·면 1.2 동 2 남구 2.1 읍·면 2.2 동 3 역사 4 각주 5 외부 링크 북구[편집] 읍·면[편집]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흥해읍 (興海邑) 학성리, 중성리, 약성리, 성내리, 남송리, 망천리, 남성리, 옥성리, 성곡리, 초곡리, 마산리, 북송리, 용곡리, 양백리, 용전리, 용천리, 덕장리, 덕성리, 금장리, 흥안리, 곡강리, 용한리, 칠포리, 오도리, 우목리, 죽천리, 매산리, 학천리, 이인리, 대련리 기계면 (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화봉리, 화대리, 내단리, 성계리, 학야리, 봉계리, 고지리, 지가리, 인비리, 남계리, 가안리, 구지리, 계전리, 미현리 기북면 (杞北面) 용기리, 관천리, 율산리, 대곡리, 탑정리, 오덕리, 성법리 신광면 (神光面) 사정리, 토성리, 호리, 우각리, 흥곡리, 냉수리, 죽성리, 상읍리, 안덕리, 기일리, 반곡리, 만석리, 마북리 송라면 (松羅面) 상송리, 하송리, 중산리, 광천리, 조사리, 방석리, 화진리, 대전리, 지경리 죽장면 (竹長面) 입암리, 일광리, 지동리, 정자리, 감곡리, 침곡리, 매현리, 방흥리, 현내리,두마리,봉계리,월평리, 합덕리, 석계리, 상사리, 하사리, 가사리, 상옥리, 하옥리 청하면 (淸河面) 신흥리, 소동리, 고현리, 하대리, 상대리, 서정리, 명안리, 유계리, 청계리, 덕천리, 덕성리, 월포리, 필화리, 용두리, 미남리, 이가리, 방어리, 청진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두호동 (斗湖洞) 두호동 (斗湖洞) 양학동 (良鶴洞) 득량동 (得良洞) 학잠동 (鶴岑洞) 용흥동 (龍興洞) 용흥동 (龍興洞) 우창동 (牛昌洞) 우현동 (牛峴洞) 창포동 (昌浦洞) 죽도동 (竹島洞) 죽도동 (竹島洞) 중앙동 (中央洞) 중앙동 (中央洞) 동빈동1가 (東濱洞一街) 동빈동2가 (東濱洞二街) 덕산동 (德山洞) 덕수동 (德山洞) 여천동 (余川洞) 상원동 (上元洞) 남빈동 (南濱洞) 신흥동 (新興洞) 대흥동 (大興洞) 항구동 (港口洞) 대신동 (大新洞) 학산동 (鶴山洞) 장량동 (長良洞) 장성동 (長城洞) 양덕동 (良德洞) 환여동 (環汝洞) 환호동 (環湖洞) 여남동 (汝南洞) 남구[편집] 읍·면[편집] 3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구룡포읍 (九龍浦邑) 구룡포리, 삼정리, 석병리, 눌태리, 후동리, 병포리, 하정리, 장길리, 구평리, 성동리 연일읍 (延日邑) 오천리, 생지리, 괴정리, 동문리, 인주리, 택전리, 중단리, 중명리, 우복리, 유강리, 자명리, 학전리, 달전리 오천읍 (烏川邑) 문덕리, 광명리, 세계리, 용덕리, 원리, 구정리, 용산리, 문충리, 항사리, 갈평리, 진전리 대송면 (大松面) 남성리, 제내리, 송동리, 옥명리, 공수리, 장동리, 홍계리, 대각리, 산여리 동해면 (東海面) 도구리, 신정리, 금광리,약전리, 석리, 임곡리, 입암리, 상정리, 중산리, 공당리, 마산리, 중흥리, 흥환리, 발산리 장기면 (長鬐面) 읍내리, 임중리, 신창리, 양포리, 계원리, 두원리, 수성리, 산서리, 방산리, 대곡리, 정천리, 신계리, 학곡리, 학계리, 서촌리, 마현리, 금곡리, 영암리, 대진리, 모포리 호미곶면 (虎尾串面) 대보리, 구만리, 대동배리, 강사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대이동 (大梨洞) 대잠동 (大岑洞) 이동 (梨洞) 상대동 (上大洞) 상도동 (上島洞) 대도동 (大島洞) 송도동 (松島洞) 송도동 (松島洞) 제철동 (製鐵洞) 송내동 (松內洞) 송정동 (松亭洞) 괴동동 (槐東洞) 동촌동 (東村洞) 장흥동 (長興洞) 인덕동 (仁德洞) 호동 (虎洞) 청림동 (靑林洞) 청림동 (靑林洞) 일월동 (日月洞) 해도동 (海島洞) 해도동 (海島洞) 효곡동 (孝谷洞) 효자동 (孝子洞) 지곡동 (芝谷洞) 역사[편집] 구 영일군의 역사에 대해서는 영일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흥해군 동상면과 영일군 북면을 영일군 포항면으로 합면하였다.[1]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다.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2]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포항동(浦項洞)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학산동(鶴山洞) 일부 천구정(川口町) 1938년 10월 1일 영일군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형산면 일원 포항읍 일부 대송면 송정동 일부 1946년 포항읍 내의 일본식 명칭인 정(町), 정목(丁目)을 다음과 같이 고쳤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본정(本町) 상원동(上元洞) 명치정(明治町) 덕수동(德壽洞) 욱정(旭町) 여천동(余川洞) 소화정(昭和町) 대신동(大新洞) 영정(榮町) 덕산동(德山洞) 초음정(初音町) 대흥동(大興洞) 신흥정(新興町) 신흥동(新興洞)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동빈1~2가(東濱1~2街) 남빈정(南濱町) 남빈동(南濱洞) 천구정(川口町) 항구동(港口洞) 중정(仲町) 중앙동(中央洞)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을 포항부로 승격하였다. (1부, 1읍, 13면, 1출장소) 1949년 8월 15일 포항부를 포항시로 개칭하였다. (1시, 1읍, 13면, 1출장소) 1973년 7월 1일 영일군 대송면 및 오천면 각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송정동, 송내동, 괴동동, 장흥동, 동촌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1982년 9월 1일 해도1·2동, 상대1·2동 분동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연일읍 4개 리 및 오천읍 일월동을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연일읍 효자동, 지곡동, 이동, 대잠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일월동 1987년 1월 1일 영일군 대송면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호동, 송내동 일부, 괴동동 일부, 장흥동 일부, 동촌동 일부 포항시 일부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4](2구, 4읍, 10면, 25동) 구제 실시로 북구, 남구를 설치하였다.[5] 시조례 제1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구 행정구역(읍·면·행정동) 신 행정구역(읍·면·행정동) 포항시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항구동, 환여동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북구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두호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환여동,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포항시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남구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1998년 9월 1일 과소동 통·폐합[6] 시조례 제18호~제320호 행정동간 통합 및 불합리한 경계 조정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덕수동, 대신동, 동빈동, 학산동, 항구동, 용흥1동, 용흥2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용흥동 2006년 12월 26일 대잠동 신청사 이전 2009년 1월 1일 소규모 동 통합(2구, 4읍, 10면, 15동)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죽도1동, 죽도2동, 기계출장소 북구 중앙동, 죽도동 남구 상대1동, 상대2동, 해도1동, 해도2동 남구 상대동, 해도동 각주[편집]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1읍 14면) ↑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13일) ↑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년 1월 11일) ↑ 시조례 제16호~제320호 불합리한 경계 조정(개정 1997년 9월 1일)(2구, 4읍, 10면, 19동) 외부 링크[편집] 포항시 통계연보 vdeh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남구 대이동 남구 구청소재지: 상대동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대이동 상대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동 효곡동 북구 구청소재지: 중앙동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시의_행정_구역&oldid=21625451" 분류: 포항시의 행정 구역경상북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3일 (토)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무로마치 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무로마치 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마쓰다이라 야스치카(松平泰親, 생몰년 미상)는 무로마치 시대 초기,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 무렵의 미카와 국의 무장이다. 에도 시대에 작성된 계보에 따른 통설로는 마쓰다이라 씨 제2대째의 인물이라고 여겨진다. 목차 1 개요 2 활약 3 이후의 마쓰다이라 씨 4 이론 및 제설 개요[편집] 에도 시대에 작성된 아라이 하쿠세키의 계보 《한칸후(藩翰譜)》 또는 후세의 《관정중수제가보(寛政重修諸家譜)》에 따르면, 마쓰다이라 지카우지의 적자이며 사카이 히로치카(酒井広親)는 이복형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계보는 확실한 증거라고 하기엔 충분하지 못하고, 야스치카의 생몰년은 아들이라고 하는 마쓰다이라 노부히로와 마쓰다이라 노부미쓰 형제의 생몰년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야스치카가 지카우지의 아들이라 여기는 계보에 대해서는 검증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야스치카는 마쓰다이라 씨 초대 지카우지의 숙부나 동생이라고도 하며, 에가와 씨(得河氏)의 당주라 여겨지는 세라다 아리치카(世良田有親, 지카우지의 아버지)의 아들 혹은 동생(또는 조카)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호고류찬(好古類纂)》에 수록된 〈도쿠가와 가보(徳川家譜)〉에 따르면, 야스치카는 지카우지의 동생으로 아버지가 도쿠가와 지카스에(徳川親季), 그의 아들로는 마쓰다이라 마스치카(松平益親)와 마쓰다이라 히사치카(松平久親)가 있고, 조카 노부미쓰를 양자로 들였다고 전한다. 또 《계도찬요(系図纂要)》에 따르면, 마스치카와 히사치카 외에 마쓰다이라 모리히사(松平守久)와 마쓰다이라 이에히로(松平家弘)라고 하는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활약[편집] 지카우지가 마쓰다이라 향(아이치현 도요타 시 마츠다이라 정)에 고시키 성(郷敷城, 마쓰다이라 성)을 쌓고 주변 여러 영주의 평정에 나서자, 야스치카는 당주 지카우지를 도와 활약했다. 야스치카는 지카우지의 사후에 가독을 계승하여 마쓰다이라 씨를 주변의 십 수 마을을 영유하는 유력 고쿠진(国人) 영주로 성장시켰다. 마쓰다이라 씨가 마쓰다이라 향으로부터 낮은 산을 넘어 남쪽에 있는 누카타 군 이와즈(岩津, 현재의 오카자키 시 북부 지역)를 점령하여 서 미카와의 평야 지역에 처음으로 진출한 것은 야스치카(또는 노부미쓰)의 시대라고 여겨진다. 묘는 지카우지와 같은 고게쓰인(高月院), 신코묘지(信光明寺), 다이쥬지(大樹寺) 등에 있다. 이후의 마쓰다이라 씨[편집] 야스치카의 뒤를 이은 노부미쓰는 이와즈 마쓰다이라 가(안쇼安城 마쓰다이라 가)를 계승하여 이와즈로 거성을 옮기고 본격적으로 서 미카와 평야 지역을 평정한다. 한편, 마쓰다이라 향은 노부미쓰의 형 다로 노부히로가 계승하여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씨의 시조가 되었다. 이론 및 제설[편집] 그러나 상술한 야스치카의 이력에 대해서는 후세의 도쿠가와 씨와 마쓰다이라 씨의 주장에 따른 것에 지나지 않아 전설의 영역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마쓰다이라 씨 창업의 2대인 지카우지와 야스치카는 동시대의 사료에서 그 이름을 찾아 볼 수가 없어 실재 여부를 의심하는 설도 있다. 야스치카의 생몰년에 관해서는, 태어난 해는 ‘1302년(겐겐 원년)’, 죽은 해는 ‘1377년(덴쥬 3년 / 에이와 3년)’이라 여기는 설도 있다. 전임마쓰다이라 지카우지 제2대 마쓰다이라 종가 당주 후임마쓰다이라 노부미쓰 전임마쓰다이라 지카우지 제2대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 당주 후임마쓰다이라 노부히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쓰다이라_야스치카_(무로마치_시대)&oldid=22817237" 분류: 생몰년 미상무로마치 시대 사람마쓰다이라 씨미카와국인영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9일 (금) 18: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의정부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 제1대대장 중령 김헌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한국 전쟁 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서울특별시 북쪽 17km의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 정면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과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김웅이 이끄는 북한군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구성된 공격집단의 침공을 막아 이를 격멸하고자 한 방어전이다.[1]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각각 동두천·포천을 담당)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전쟁 직전의 부대 개편과 기초훈련 실시로 인해, 2대 대대가 경비를 담당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경원 본도인 3번 도로를 비롯하여 동측의 43번과 서측의 316번이 모두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천산맥과 천보산맥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국도 제3호선(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부근에서 서전을 치르고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의정부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게 되어 이 지역은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아 피아간에 주력이 되었다.[2] 목차 1 전투 준비 1.1 한국군 1.2 북한군 2 포천 전투 2.1 제9연대의 영내 대기 2.2 제9연대 2대대의 전황 2.3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 2.4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 2.5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 2.6 제3연대의 전투참가 2.7 기타 3 동두천 전투 4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 4.1 반격 준비 4.2 동두천 탈환 실패 4.3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 4.4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 5 결과 및 영향 6 각주 전투 준비[편집] 한국군[편집] 1950년 6월에 사단으로 승격된 제7사단은 곧바로 의정부 지역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때 예하에 제1·3·9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을 합하여 총병력이 9,698명이었다. 그런데 전쟁 발발 3주전인 6월 1일로 육군본부에서 일선 명령 제43호를 하달하여 일부부대의 예·배속 관계를 조정함에 따라, 이상근이 이끄는 제3연대가 수도경비사 산하로 예속이 변경됨으로써, 동 연대의 3,050명이 사단을 떠나고, 이날부로 제 1·9 양 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 6,788명의 공력이 이 지역을 맡고 있었던 것이다. 그 뒤로 6월 13일 육본 작전명령 제79호에 의거하여 6월 15일부로 김병휘가 이끄는 제2사단 제25연대가 제7사단에 편입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동 연대는 온양에 위치한 까닭에 의정부로 이동키 위하여 준비하던 바, 주둔지로 선정된 호완리 일대가 민유지였기 때문에 그 징발문제와 막사 및 식수문제 등 일련의 사정으로 말미암아 7월 15일로 이동일자를 연기한 차에 전투에 임하게 되었고 따라서 동 연대는 전투 후에 다시 제2사단에 복귀되었다. 제7사단이 방어임무를 맡은 곳은 서쪽부터 동쪽으로 적성면~쇄역리~일동면 사직리 간의 47km에 달하는 광정면(廣正面)이었다. 그리하여 제7사단은 유재흥 준장의 지휘 하에 예비대가 없이 양 연대를 일선에 내세웠다. 즉,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는 동두천 정면인 좌 일선을,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인 우 일선을 각각 담당하였고, 38도 분계선 방어와 부대교육을 병행 실시하였다. 육군본부에서 교육각서 제 2호에 따른 교육을 실시케 함으로써일선 경비보다도 교육훈련에 더욱 치중하여, 38도 분계선 남연의 전진진지에 1/3 병력만을 배치하고 주력은 28 km 후방의 의정부 부근으로 집결시켜 대대급 이하의 기초훈련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각 연대로 하여금 1개 대대를 경계진지에 배치하고 2개 대대를 의정부 부근으로 뽑아 소정의 교육을 실시케 하되, 3개월마다 순환교대 방식으로 전술을 숙달하게 하였던 것이다.따라서 각 연대의 지휘소도 주력과 함께 모두 의정부 부근에 위치하고, 일선대대는 각각 20 km 내외의 광정면을 경비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제7사단의 동반부인 포천 지역은 윤춘근 중령이 지휘하는 제9연대가 맡아 창수면 추동리 ~ 일동면 사직리 간의 26km에 달하는 책임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는데, 본래 이 지역은 김화에서 영북면 운천리와 포천을 거쳐서 의정부에 이르는 국도 제43호선(호국로)을 중앙에 끼고 동측의 광주산맥과 서측의 천보산맥이 종으로 뻗어 장방구형을 이룬 지대로써 정상적으로는 2개 사단의 방어정면에 해당될 것이다. 이러한 전투정면을 3,400명의 병력을 보유한 제9연대가 전담하여 북한군 제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침공한 제3사단과 대결케 되었는데, 당시에 연대는 사단의 방침에 따라 1개 대대로써 일선경비를 담당하게 하고 2개 대대를 38도 분계선에서 26 km 뒤에 떨어진 양주군 의정부읍 금오리의 연대 지휘소 부근으로 뽑아 소부대 전술교육을 실시하던 상태였다. 따라서 일선경비를 맡은 대대는 전(全)정면배치가 곤란하여 통행의 요로만을 한정하여 거점방어태세를 취하였으니, 이날 제 1선에는 전순기 소령이 지휘하는 제2대대가 발발 이틀 전인 6월 23일부로 이철원이 이끄는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대대본부를 전과 다름없이 포천에 두고 송영환이 이끄는 제7중대를 오른쪽 제 1선으로 하여 국도 제43호선과 38도선이 교차하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에,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는 왼쪽 제1선으로 제7중대의 서쪽의 소로인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이 영평천에 이르는 창수면 가양리·추동리 부근에 각각 배치하는 한편 제5중대는 예비로 4 km 후방의 신북면 신평리(만세교 서쪽) 부근에 공치하였다. 이렇게 볼 때, 대대의 실 병력이 배치된 지역은 6km의 점령지대에 불과하며 그 나머지 19km에 해당하는 산록과 야지는 거의 무방비상태로 있었으며 특히 동측의 일동면 기산리 북쪽은 지방도 제387호선 연변에서 1개 분대의 수색대가 봉쇄할 뿐이었다. 그리고 박창암 중위가 이끄는 보국대대 제2중대가 전날부터 38도 분계선 북쪽의 유정리 부근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나 대대와는 유기적인 협조를 취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북한군[편집] 북한은 전쟁 발발 2주 전인 6월 10일에 평양의 민족보위성에서 비밀리에 군사지휘관회의를 개최하여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 병력의 일선전개를 꾀하였는데, 이때에 벌써 이들은 주력의 침공경로를 철원-연천-동두천-의정부 축선으로 결정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그 회의 직후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은 평강 부근에 지휘소를 개설하였다.(6월 12일) 이때에 북한군은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전개를 꾀하였다. 김웅 중장은 평강으로 나와 중서부전선의 작전을 지도하였다. 제1군단 휘하의 4개 보병사단과 1개 전투여단으로 서울 공략을 획책했다. 특히 제3·4 사단과 제105전차여단을 공격집단으로 묶어 집중적으로 의정부 정면으로 꿰뚫고자 하였다.[3] 단행된 병력의 이동상황으로 볼 때, 이른바 그들의 정예라고 하는 제3, 4 양 사단과 유일한 기갑부대인 제105기갑여단을 철원-포천군 영북면 운천리-연천 부근에 집결시켜 경원선 주변에서 공격태세를 갖추게 한 점과 전쟁 중에 입수한 노획문서 가운데 연천-의정부를 거쳐 조기에 서울을 점령한다고 밝혀진 점, 그리고 개전 이후의 부대기동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그들의 침공기도는 처음부터 주력으로써 의정부로 지향한다는 계책을 세운 것으로 추단된다. 즉, 김웅이 이끄는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하는 동시에, 동측의 김광협이 이끄는 제2군단과 서측의 제1, 6 양 사단과의 협조아래 수도 서울을 침탈 도모코자 하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당 사단의 책임 지역이 그 주목표로 부상하게 되었거니와, 이들은 다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월 18일부로 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의 명의로 된 정찰명령 제 1호를 하달하였는데, 그 개요를 보면, 소대군위 이하의 병력 배치선 까지 정찰토록 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워 특히 유개진지와 병력배치상황 그리고 장애물 지대 및 예상 집결지 등을 확인토록 하였으며, 여기에 이어 공격목표의 선정과 부대의 기동계획을 마련토록 명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정찰을 마친 그들은 6월 22일 14:00부로 전투명령 제 1호를 하달하여 23일 12:00까지 모든 공격준비를 완료토록 촉구하였다. 여기에서 놀라운 사실은 사단의 경계진지와 주진지를 빠짐없이 공격목표로 선정한 점과 포병을 비롯한 공병과 반전차포 및 항공등의 지원 아래 서울까지 일거공략 하려는 계획을 미리 밝히고 있는 점이다. 제3사단(사단장, 소장 리영호)은 포천 북쪽의 영중면 영평천 부근으로 나와, 제7연대(장, 대좌 김창봉)와 제9연대(장, 대좌 김만익)을 좌우 일선에 두고 제8연대(장, 중좌 김병종)을 예비로 보유하였으며 제3사단의 포병연대(장, 대좌 안백성)는 유정리(楡亭里) 부근에서 지원태세를 갖추었다.[4] 포천 전투[편집] 포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포천군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 제7사단장 준장(6월 26일 14.00부로 의정부지구 전투사령관)[5]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6·25 발발 직전,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 중,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에 배치되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 이로써 축석령 너머에 있는 의정부는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제9연대의 영내 대기[편집] 다행히도 제9연대의 전 장병이 영내대기 상태에 있었으니, 이는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전날 사단으로부터 “재량에 따라 주말외출을 실시토록 하라”는 통보를 받고, 오랫동안의 긴장 속에서 대기한 바 있는 병사들에게 외출과 외박을 허용할까 생각하다가 당면의 적정이 수상한 까닭으로 영내에서 휴무하도록 조치하였던 것이다. 그는 뒤에 당시를 회고하며 술회하기를, “오랜만의 외출이라 처음에는, 38선의 경비를 담당하는 제2대대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하려고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적정이 심상치 않았다. 일주일 전부터 철원에 기갑부대가 나타났다는 첩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의 정규군이 38경비대와 교대하였다는 소문이 떠돌고, 6월 23일 밤에는 제2대대장으로부터 영북면 운천리에서 차량대열이 유정리로 이동한다는 보고에 이어 바로 영평천 부근에 전차가 나타났다고 속보되는 등, 모든 면에서 평상시와 달랐다. 그래서 제 1, 3 양 대대의 병사들의 외출준비를 마쳤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일단 중지시키고 이상이 없으면 6월 25일 주간에 시행토록 하자고 하였더니 대대장들도 내 뜻에 따라 모두 영내에 남았으며 나도 감기로 미열이 있었지만 청량리 숙소에 전화연락만을 하고 영내에서 대기하였다”고 하니, 일선 지휘관의 심회를 헤아리고 남음이 있다. 이 같은 조치로 연대의 주력은 금오리에서 대기하고 제2대대는 더욱 경계를 엄히 하던 바, 이날 새벽에 북한군 제3사단은 대좌 김창봉이 이끄는 제7연대를 선봉으로 삼아 제 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일시에 엄습하니, 돌연 포천 정면의 38도 분계선 연변이 불길에 휩싸였다. 제9연대 2대대의 전황[편집]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 대대본부 포천읍)는 3개월마다 상호 교대하는 방식으로 일선 경계임무를 수행케 하는 연대의 방침에 따라 6월 23일부로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기설 진지를 점령하였는데, 이때에 대대장은 제6, 7 양 중대를 제일선에 배치하기에 앞서 “근간에 적의 동향이 심상치 아니하니 경계를 철저히 하고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진지를 더욱 보강하라”고 강조함과 아울러 중화기중대의 기관총 소대를 분할하여 각각 1개소대(기관총 1개반과 81mm 박격포 2문)씩 배속시켰다. 그런데 이날 03:40을 전후하여 공격준비사격을 시작한 북한군은 미리 대대의 병력 배치상황을 탐색한 듯 경계진지만을 골라 포격을 집중하였으니, 오른쪽 제1선인 송영석이 이끄는 제7중대지역에서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와 그 서쪽의 287고지 북쪽에 포화가 집중하고, 왼쪽 제1선인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 지역에는 창수면 가양리-주원리-추하리 일원을 초연으로 뒤덮어 마치 산 전체를 무너뜨릴 듯하였다. 제7중대 정면에는 영중교(일명, 삼팔교)를 넘어선 3대의 전차가 양문교 부근까지 침습하여 포구를 동남쪽을 지향하고 동 중대 제1소대의 진지를 강타하는가 하면 바로 그 서쪽의 희악사 부근에서 수 미상의 적이 측후방으로 침공하여 단숨에 이 소대진지를 삼키고자 하였다. 이때에 동 소대는 소대장이 공석이므로 선임하사가 지휘하여 양문리 남쪽 500m에 있는 무명능선 서단에 배치한 기관총 소대와 함께 이 요선을 지키고 있었는데, 의외의 강습을 받게 되자 가능한 모든 화력을 활용하여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으나 교전 30분 동안에 이미 과반수의 병력을 잃고 어둠속에 분산되고 말았다. 한편 왼쪽 제1선인 제6중대는 성일영 소위가 지휘하는 제 3소대가 추동리에서 한차례 고전을 벌인데 이어, 가양리 장자동으로 집결한 중대의 주력이 그 서남쪽 삼차로를 막아 287고지에 연한 방어진지를 급편 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또한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을 따라 침공한 전차대의 강습으로 말미암아 대동소이한 양상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이리하여 북한군의 전차대가 그 남쪽 2km의 장승거리 삼거리를 넘어서자 제6중대는 분산병력을 수습하여 무이산(포천읍 북쪽 7 km)쪽으로 전진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대대본부와 통신이 두절되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채로 신북면 삼성당리 계곡을 따라 포천읍 쪽으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7, 6 양 중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에 38선에서 12 km 후방인 포천읍에 위치한 대대본부에서는 대대장 전순기 소령이 일선의 위급한 전황을 제9연대장(윤춘근 중령)에게 보고함과 아울러 병력 증원과 특히 대전차 화기의 지원을 요청한 다음 제8중대장 박기순 중위를 대동하고 영중면 소재 만세교 초소로 올라갔다. 그리하여 06:00에 여기에 도착한 대대장은 곧 예비인 제5중대로써 만세교 북측의 좌우측방의 160고지와 208고지에 연한 저지 진지를 급편하게 하여 연대의 주력이 진출할 때까지 지연전을 펴기로 하였는데, 이때에 북한군은 양문교를 넘어 만세교 쪽으로 지향하고 있었으니,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주력으로써 침공하리라고 판단한 대대장의 예견은 적중하였으나, 소총만을 들고 능선을 지키는 병사로서는 이 기계화 부대를 감당키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이다.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편집]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첫 보고를 받은 것은 4시 30분이었는데 그는 대대장의 유선보고를 받는 순간 근래에 야기된 일련의 사건이 연상되어 이것이 곧 북한군의 대규모 공격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사실을 사단에 보고하는 한편 연대비상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의정부읍 금오리에 대기 중인 제 1, 3 양 대대로 하여금 “천계산(424고지)-가랑산(350고지)간의 주진지를 점령하여 기정방침에 따라 적을 저지, 격멸토록 하라”고 명령하는 동시에 제2대대장 전순기 소령에게 현 위치에서 최대한의 지연전을 펴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양 대대가 출동태세를 갖추는 동안에, 허현 대위가 지휘하는 57mm 대전차포 중대로 하여금 만세교로 직행하여 전차대의 예봉을 격쇄토록 조치함과 아울러 2.36인치 로켓포 12문을 모아 역시 만세교 부근의 요선을 지키도록 후속, 급파하였다. 4시간 동안을 홀로 고군분투한 제2대대는 일선 분산병력의 수습에 힘쓰며 북만세선의 진지를 지키고 있었는데 08:00를 전후하여 다시 침습하기 시작한 북한군이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밀고 내려왔다. 그런데 이들은 진지공격 보다도 급속진출을 위주로 삼아 열의 전차를 앞세우고 밀려들자, 208고지 북쪽 기슭의 이학봉이 이끄는 제5중대 2소대 진지에서 기관총 측사화력으로 집중타를 가하니, 선두전차가 만세교 북쪽 300m 거리에서 일단 멈추어 서면서 포구를 돌려 동 진지를 반격하였다. 이로부터 중대는 가용한 모든 화력으로 북한군의 전차에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실탄만 소진케 되었는데, 바로 이때에 연대에서 급파한 대전차포 중대(-)가 만세교에 다다랐다. 이리하여 진전 50m 까지 적을 유도한 동 중대(-)는 선두차를 명중시키고 함성을 지르며 기뻐하였으나 그것은 일순뿐으로 파괴된 줄 알았던 전차는 오히려 진지에 포격을 연발하며 계속 진전으로 육박하는 것이었다. 이에 좌측포가 다시 수 발을 더 명중시켰으나 아랑곳없이 목전에 당도하니, 겁난 병사들이 조준경만을 빼어들고 신북면 신평리(포천 북쪽 5 km)쪽으로 급히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반면에 적은 위세를 돋우어 저지선을 돌파한 다음 다시 탄장선으로 침공하니, 이때가 09:40으로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은 2시간을 채 지나지 못하였으며 제2대대 5중대의 장병들은 구릉에서 이를 방관하는 형상이 되고 말았다.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편집] 북한군 제3사단은 이날 새벽에 38도 분계선을 돌파하여 10 km 남쪽의 만세교 부근까지 돌입한 연후에 일단 멈추어 전열을 정비하는 듯하더니, 이윽고 10:30을 기하여 재공격에 나섰다. 이번에는 김창봉 대좌가 이끄는 제7연대로써 43번 도로를 따라 정면공격을 꾀하는 한편, 김만익 대좌가 이끄는 제9연대를 서측의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포천로)로 우회시켜 일격에 포천을 확보하고자 기도한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이들은 본도상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안백성 대좌가 이끄는 포병부대화력을 여기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계화 부대를 선봉으로 삼아 연대 주저항선의 중앙지대를 돌관하여 장차 크게 공위코자 한 것으로 추단되었다. 그런데 연대(-)는 병력의 부족으로 43번 도로 양 측방의 천계산과 가랑산에 진지를 선정함으로써 서 측방이 공백상태로 남은 데다 대포병 장비나 대전차 화기가 없으니, 이 싸움은 처음부터 그 귀추 여부를 헤아릴 수 있었다.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편집] 일진광풍이 지난 뒤로 연대(-)의 장병들은 후속 도보부대만은 기필코 격멸키로 다짐하고 현 진지를 고수하던 바, 기계화 부대가 지난 1시간 뒤에 이윽고 북한군의 보병이 침공하였다. 이들은 연대 주력의 배치선을 탐지한 듯 먼저 포격을 가하였는데, 120mm 박격포를 비롯한 122mm 유탄포와 76mm 야포 등 곡사화력으로써 특히 제1대대의 진지인 천계산 서쪽에 집중포격을 가한 다음 43번 도로를 따라 2열종대로 열을 지어 거침없이 밀려들었다. 이러는 사이에 북한군의 선두가 신북대교를 넘어서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제3대대와는 통신마저 두절되어 정황을 파악할 수가 없었으며, 제 1대대도 이날 세 차례에 걸친 대결 끝에 42명이 전사하고 80명이 부상하게 된 데다 휴대한 탄약을 모두 소모하고 보니 전의가 떨어져, 보다 적극적인 방어책을 취하지 못한 채로 현 진지를 지키고 있을 따름이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진지 공격보다도 남하진출에 주안한 듯 전차의 엄호 하에 주력으로써 신북대교를 통과하니, 이때가 14:00로서 3시간 동안에 걸친 분투도 보람 없이 끝내 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러나 제3대대와는 통신이 두절되어 끝내 연락을 취하지 못한 채로 연대본부는 제1대대와 함께 철수하기에 이르렀고 명령을 받지 못한 제3대대는 남은 병력으로 가랑산의 진지를 계속 지키고 있다가 이날 밤에 단독으로 철수하여, 왕방산 기슭을 따라 회암령을 넘은 다음 동두천 가도의 양주 덕정리 부근으로 빠지게 되었는데, 전진 중에 대부분이 낙오되어 다음날 아침에 옥정리로 집결한 병력이 10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 뒤로 이 병력은 [대한민국 7보병사단|[제7사단]] 제1연대와 합세하여 의정부로 후퇴하다가 천보산 북쪽에서 다시 분산되어 그 일부만이 우이동으로 집결하게 되는 바, 그 과정은 제1연대의 반격상황에서 약술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연대는 포천 정면에서 북한군 제3사단과 대결 끝에 중과부적으로 분산되어 전투력을 거의 상실하고 제1대대만이 태릉으로 집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제3연대의 전투참가[편집] 포천 정면에서 제9연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인 이날 정오에 사단에서는 제 5포병대대(-)만을 증파하고 후속 예비 병력이 없어 기울어지는 전황을 지켜보던 바, 육군본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대령 이종찬 예하의 이상근 중령이 이끄는 제3연대를 급파하였다. 이 당시에는 이미 제9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져 북한군의 보병부대가 탄장을 통과한지 1시간이 지나고 기계화 부대가 이보다 3시간 전에 포천에 돌입하였던 것이니, 이제 공격의 화살이 곧 목전에 다다른 급황 이었다. 그러나 사단장으로부터 탄장으로 직행하라는 명령을 받은 제3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적정을 확인키 위하여 수색소대장 김철순 중위로 하여금 소대병력을 지휘하여 포천까지 위력정찰토록 지시하고 자신은 주위의 지형을 살피던 바, 15:30에 이르러 수색소대장으로부터 어룡동부근에 북한군의 전차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입수되자 곧 주력을 반전시켜 3 km 후방인 송우리에서 급편방어 태세를 취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송우교를 중심으로 좌우 측방에 각각 2개 중대씩 배치하는 한편 이봉근 중위가 지휘하는 혼성 제11중대로 하여금 국도 제43호선을 포함한 중앙지대를 담당케 하여 진지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때에 마침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현지에 당도하자, 그에게 동측의 2개 중대를 지휘케 하고 제3대대장 김붕상 소령은 제11중대를 포함한 서측의 3개 중대를 맡아, 양 대대로써 방어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장송우 북쪽의 134고지에 연대 관측소를 설정하여 제3대대장과 함께 그 고지로 올라가 본대를 장악하고, 57mm 대전차포 2문을 그 동측의 노변에 배치하였으며, 연대 통신대장 김성규 중위와 제1대대의 통신소대장 김덕수 소위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 대결 태세를 취하였다. 양 대대는 혼성병력을 재조정 하면서 계속 진지를 구축하던 바, 17:00을 전후하여 북한군의 포격이 격렬하게 불을 뿜고 또한 이와 때를 같이하여 심한 소나기가 쏟아졌다. 이때에 양 대대는 개인호의 경우, 2/3 정도 굴착하였을 무렵이었는데, 이같이 포격이 격증하자 진전을 살펴보니, 2,000m 직전방의 도로상에 1단의 기계화 부대가 나타났다. 이들은 마치 나무단을 쌓아올린 우마차 대열과 같이 짙은 위장을 하고 남진을 계속하는데 어느 덧 그 선두가 선단리를 지나 1,500m 전방으로 다가섰다. 이에 양 대대의 진지에서 일제히 사격을 시작하였는데, 특히 연대의 중화기가 집결된 제12중대는 중대장 대리인 김현경 중위가 직접 진두지휘하여, 『거리 1,300』을 불러 81mm박격포 1개 반의 포화를 유도하는가 하면, 동 소대장 최소위는 다른 1개 반을 맡아 포수 진삼섭 일등 중사에게 고폭탄을 쏘라고 외치고 다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동 중대의 기관총 사수 이재철 하사는 장송우 부근에서 기관총을 휘두르는 등 중화기 화력을 퍼부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소총 중대도 60mm 박격포와 각종소총으로 동시 집중 사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 기계화 부대는 아랑곳없이 계속 차전으로 밀려들더니, 선두에선 2대의 전차가 장승거리 부근에 멈추어서면서 제3대대의 관측소에 포격을 가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8대의 전차가 이에 가세하여 포격과 기총으로 양 대대의 진지를 위압하는데, 특히 중화기 진지에는 포격이 심하여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때에 57mm 대전차포가 불을 뿜어 장승거리 부근에 버티고 선전차에 일격을 가하고, 또한 이봉근이 이끄는 제11중대의 화기소대장 이정선 소위가 이끄는 2.36인치 로켓포의 직격탄으로 철갑을 명중시켰으나 이 역시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북한군의 역사화력에 무너지고 말았다. 이로부터 북한군의 전차대가 송우리의 방어진을 돌파하게 되자, 후속 보병만이라도 격멸코자 하였으나, 잇따른 후속종대는 보병뿐만 아니라 전차와 자주포를 비롯한 각종차량이 장사진을 이루어 밀려드니, 더 이상 항거의 수단을 잃고 말았다.조재준이 이끄는 제3중대의 제3소대장 김학석 소위는 여기에서 159여 대의 각종 차량을 헤아렸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는 701호를 표식한 전차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전황이 급전하여 당면한 대책이 화급한데 아무도 다음 행동을 지시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러는 사이에 어느덧 18:30에 이르러 적의 보전협동부대가 침공하자 양 대대의 진지가 무너져 동서 양 측방으로 분산 상태에 이르고 말았다. 그 뒤로 연대(-)는 각 대대장의 단독결정에 따라 철수케 되었는데, 대체로 제1대대는 43번 도로 동측에서, 제3대대는 그 서측에서 각각 퇴로를 모색케 되었으나 병력이 크게 분산되어 이 과정에서 대부분이 본대와 이탈하여 의정부를 목표로 전진케 되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이날 밤 20:00까지 이동교리 축석령에서 수용한 혼합병력이 150명밖에 되지 않아, 21:00에 다시 이곳을 떠나 의정부읍 금오리 남쪽의 155고지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3연대의 소흘면 송우리 전선이 무너짐으로써 이제 포천 지역은 북한군의 독무대로 화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의정부 동북쪽의 방비가 급박한 상황에 이르렀다. 기타[편집] 채병덕 참모총장의 명령에 따라, 육사교도대 생도 1기(262명) 및 2기(227명)가 전투부대를 편성하여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다.(6월 25일 오후)[6] 동두천 전투[편집] 1950년 11월에 벌어진 전투에 대해서는 제2차 동두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이담면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리권무(李權武)가 이끄는 북한군 제4사단은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哨城里),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兩遠里),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積岩里) 일대에 맹렬한 공격준비사격을 집중한 후 전곡-동두천 간 국도 제3호선 평화로 구간에 보, 전(步戰) 협동부대로 편성된 부공을 투입하고 그 서쪽의 적암리-양주시 은현면 봉암리(鳳岩里) 접근로(지방도 제375호선)에 조공을 투입하여 병진공격을 개시하였다. 조선인민군은 38도 분계선 일대의 국군 진지가 거의 무개호이며 배치된 병력도 1개 초소 당 분대나 소대규모인 것을 지상관측으로 확인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단 내의 가용한 모든 화력을 총동원하여 30여 분간이나 국도 제3호선과 그 주변을 맹타하였는데 포격으로 인한 도로파괴가 그들 공격부대의 기동에 제한이 된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포격이었다. 이는 당시 북한군의 정보수집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음을 입증해 주는 전투행동이었으며, 표적의 성질과 기동로의 상태 및 적정을 감안하지 않고 계획된 공격준비사격을 기계적으로 실시한 사실은 소련 군사고문단에 의해 공격명령이 작성되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었다. 이때 의정부에 전투력의 대부분을 주둔시키고 있던 제7사단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고 외출과 외박자의 비상소집, 출동준비, 수송장비의 징발, 철도수송을 위한 협조 등 혼란의 와중에서 아군은 점차 침착하게 긴박한 사태를 수습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함준호(咸俊鎬)가 이끄는 제1연대는 비상출동대기부대인 제3중대를 비상발령과 동시에 초성리 남쪽 176고지로 진출시켰다. 이곳에서 제3중대는, 전차 2대를 앞세우고 전술행군종대로 남하중인 1개 대대규모의 적을 기습하여 격퇴시키고 소요산에 위치하고 있던 이끄는 제2대대장 소령 이의명(李義明)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 이때부터 소요산에서는 밀고 밀리는 치열한 육박전이 펼쳐졌으며 제2대대는 11시가 넘도록 소요산 진지를 사수하고 있었다. 이처럼 소요산에서 한국군이 넓은 방어 지대를 지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대대장 이하 전 장병들이 불타는 투지와 북한군의 강력한 포화에도 유선 통신망이 절단되지 않아 지휘 체계가 유지되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제2대대가 소요산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제1연대는 제1대대(대대장 김봉룡(金鳳龍) 대위)를 마차산에 투입하고 뒤를 이어 김황목(金煌穆)이 이끄는 제3대대를 봉암리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1대대가 마차산의 방어진지를 점령하였을 무렵에는 북한군이 이미 이 고지를 우회하여 전곡읍 간파리(干坡里)방향으로 남하 중에 있었다. 따라서 제1대대는 마차산 정상에서 소요산의 교전상황을 구경하는 처지가 되었으나 대대를 지휘하던 김봉룡(金鳳龍) 대위는 상황변화에 따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다만 연대에서 어떠한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또한 제3대대에 배치된 봉암리에도 북한군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제1연대는 그와 같은 긴박한 상황 하에서 2개 대대를 유휴병력으로 대기시킨 채 시간만 허송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제1연대를 직접 지원하던 제5야전포병대대 제2중대는 주저항선 남쪽 보산리(保山里) 부근에 준비된 진지를 점령한 지 얼마 후에, 밀집대형으로 남하하는 북한군의 1개 대대를 집중포격하여 대부분을 격멸하는 수훈을 세웠다. 하지만 그로부터 몇 시간이 지난 후 패주했던 북한군은 전차를 앞세우고 공격을 재개하였다. 이때 제1연대 57mm 전차포 중대장은 창말고개(동두천 북쪽 2 km 지점)에서 선두 전차 2대의 측면을 사격하여 모두 파괴하였고 이에 당황한 북한군은 다시 초성리 쪽으로 철수해 버렸다. 이러한 승리의 쾌보가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거쳐 방송되는 과정에서 국군의 반격이 개시되었다고 비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 제1연대는 탄약이 떨어져 재보급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으나 보급사정이 풀릴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한군 제4사단은 이날 15시를 전후하여 제107전차연대를 선봉에 내세우고 동두천을 맹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맞선 제2대대는 10시간 동안이나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였으나 마침내 동두천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북한군은 한국군의 주저항선을 돌파한 여세를 몰아 일몰과 더불어 동두천 시내로 진입하였고 한국군 제1연대 제2대대는 어둠 속에서 시가전을 펼쳤으나 역부족하여 양주 덕정리로 철수하여 집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다.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편집]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李亨根)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朴基成)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李貞道)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車甲俊)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文容彩)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兪義濬) 제1대대장 중령 김헌(金憲)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 총참모장 채병덕은 26일 01시, 제7사단은 동두천 방면으로, 새로 투입된 제2사단은 포천 방면으로 진격하여 각각 전날 북한군에 빼앗긴 이곳들을 탈환하라는 작전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에 대해서 제2사단장 등은 무모한 작전이라고 반발하기도 하였다. 명령에 따라, 제7사단은 전날 동두천에서 패퇴한 제1연대에게 동두천을 공격토록 하고, 새로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을 서쪽으로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로 반격을 개시하였다(8시). 이때, 동두천에 주둔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 전면공격을 피하고, 서쪽으로 우회한 은현로 방면으로 내려오려 하였으므로, 1연대는 동두천 읍내와 북쪽 5km의 소요산까지 진출한 반면, 18연대는 우회하던 북한군 제4사단과 조우하였고, 북한군은 동두천 남쪽 7km의 덕정의 좌우측을 협공하였다. 이로써 1연대는 퇴로가 차단되어 병력이 분산되어 버렸다. 반격 준비[편집] 본부가 대전에 소재하고 있던 제2사단(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개전 당일 내려진 명령에 따라, 우선 가용병력인 1개 대대를 이끌고 25일 밤에 의정부로 당도해 있었다.[7] 나머지 병력들은 26일에 올라올 예정이었다.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제7사단 사령부(사단장 유재흥 준장)를 2회 시찰하였다. 제7사단은 전날에 과반수의 병력을 손실한데다 잔병이 분산상태에 있고, 제2사단은 당장 가용병력이 1개 대대 밖에 없으니 병력과 장비의 우열도 문제이지만 보다 화급한 요건은 후방의 예비사단이 현지에 진출하여 전투전개를 할 수 있는 시간 문제였다. 그리하여 그는 시찰 후, 재경(在京)부대를 의정부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동시에 후방 3개 사단을 서울로 이동시키도록 조치하였다. 6월 26일 01:00에 7사단 사령부를 다시 시찰한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의정부를 고수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반격명령을 하달하였다. 제2사단장 이형근 등 군 지도층의 일각에서는, 반격작전을 전개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병력을 축차로 투입하느니 보다 주력이 도착한 후에 전투력을 집중 운용해야 한다는 것, 북상중인 예비사단(제2사단 등)을 한강 남안으로 집결시켜 방어가 유리한 한강선 방어진을 구축함과 아울러 일선 분산병력을 수습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력히 건의하였다. 그러나 채병덕 등 수뇌부는 정치적인 의의와 심리적 영향을 배려한 전략면에서 수도 서울의 포기는 있을 수 없다고 강경하게 맞섰다. 채총장은 무조건 반격으로 전환하라고 엄명하고 북한군 전차는 육탄공격으로 파괴하라고 강조하였다.[8][9] 이에 따라 6월 26일 아침부터, 전날 의정부로 후퇴한 제7사단은 동두천을 목표로 반격을 감행하게 되었으며, 제2사단은 축석령을 경유하여 포천을 목표로 반격하였다. 결국, 6월 25일~26일 사이에 의정부 지구에 투입된 증원부대는 1개 경찰대대를 포함해 총 15개 대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부대들은 건제를 고려하지 않고 축차적으로 투입되었다. 더욱이 탄약을 위시한 각종 보급지원이 뒤따르지 못했으며, 유·무선 통신망이 구성되지 않아 횡적 연락과 협조는 고사하고 상하급 제대간에도 통신이 소통되지 않아 전투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다. 동두천 탈환 실패[편집] 제7사단은 전날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던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 및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분산되었으므로 가용병력은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 예하 제2·3대대(제2대대는 전날 동두천 전투를 치르고 덕정리로 후퇴하였었고, 제3대대는 봉암리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북한군과 조우하지 않았었다.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었다.)와 제3연대 제2대대(제1대대 및 제3대대는 포천 전투 이후 크게 흩어져 버렸다.) 및 전날 제7사단에 새로 배속된 제18연대(연대장 임충식 중령) 예하 2개 대대(제2·3대대)를 합쳐 모두 5개 대대였지만, 실제 병력은 증강된 1개 연대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제7사단은 제1연대로 하여금 의정부에서 곧장 동두천으로 뻗은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을 공격하게 하는 한편,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에서 서쪽으로 7 km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를 공격토록 하였다. 한국군 제7사단은 수색정찰이나 관측을 통한 적정수집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적정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이 무렵 제7사단과 대치한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에서 공격을 위한 재편성을 완료하고 공격개시 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즉 북한군 또한 한국군의 반격과 거의 같은 시각에 의정부를 탈취하기 위한 공격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북한군은 한국군이 국도 제3호선 평화로를 강력히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두천~덕정리~의정부로 이어진 국도 제3호선을 피하여 그 서쪽으로 5 km 우회한 봉암리~덕정리 간 은현로·화합로에 주공(主攻)을 투입하여 기습효과를 노리고 있었다. 한국군의 주공(主攻)인 우일선의 제1연대는 6월 26일 08:0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적의 저항이 전혀 없는 가운데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읍내와 그곳부터 북쪽으로 5 km 나아가 소요산까지 진출하였다. 조공(助攻)인 제18연대는 제1연대보다 2시간이 늦은 6월 26일 1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서북진하다가,[10] 이날 12시경에 화합로변의 은현초등학교 부근을 지날 무렵, 방어로 전환할 것을 명령받았는데, 이는 적의 계속적인 압력으로 의정부가 위협받게 되자 사단장이 취한 조치였다.[11] 이에 따라, 제18연대는 용암리 도락산 북쪽 기슭의 감제고지에 급편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중(13시)[12] 적의 기갑부대가 화합로를 따라 덕정으로 접근 중이었으나 연대는 북한군을 그냥 통과시켰다. 이는 엄청난 전투력의 전차를 직시한 임충식 연대장이 무모한 대결을 회피하고 후속하는 적 보병과의 일전에 대비하여 아군의 배치상태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 봉암리 부근에서 강력한 북한군과 조우하여 분산되고 말았다. 그 얼마 후에 북한군이 동두천에서 남쪽으로 7km의 덕정을 좌우측에서 협공하였으므로 제7사단은 부득이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제7사단이 반격을 전개한 자체가 무모한 작전행동이었다. 제1연대는 반격 중에 적의 강력한 공격에 봉착하여 퇴로가 차단됨으로써 소대, 또는 중대단위로 흩어져 추후 우이동·창동·태릉 방면으로 분산 철수하였다. 또한 이날 저녁까지 마차산에서 연대로부터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제1대대는 어두어진 후에 마차산에서 철수하였으나 끝내 대대 지휘체제가 와해되고 병력은 사방으로 흩어져 창동, 태릉 등지로 분산되었다. 한편 한 제18연대는 그러나 북한군 보병부대는 나타나지 않고 제7사단 본부로부터 이날 밤중까지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한 임충식 연대장은 의정부가 적에게 점령되었다고 판단하고 의정부와 반대편인 서쪽으로 철수를 개시하여 고양군 신도면 삼송리를 경유 28일에 행주나루터에서 한강을 도하한 후 소사·오류동 지역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다.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편집] 26일 01.00에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반격명령을 받은 제2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금오리의 지휘소로 돌아와, 북상 중인 사단의 주력(제5, 제16, 제25연대)이 따라 올라오기를 고대하면서 우선 제5연대의 제2대대장 차갑준 소령에게 총참모장의 명령대로 축석령 북쪽에 있는 적의 전차를 기습하여 파괴토록 지시하였는데, 이것은 반격이라기 보다는 대전차 특수임무부대와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13] 이리하여 26일 03:00, 제5연대 제2대대는 반격을 개시하였다. 2개 대대병력으로는 포천탈환이 어려우므로 축석령을 방어하고 있을 제3연대를 초월 공격하겠다는 것이 사단장의 작전구상이었으나 이는 너무 성급한 반격이었다. 이 무렵 제 3연대는 이미 분산되었는데[14] 제 2·7사단장은 그러한 사실을 모른 채 작전구상을 함으로써 제 2사단의 반격작전은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작전이 되고 말았다.[15] 사단 참모장 최창언 중령이 이끄는 제5연대는 제2대대를 선발대로 먼저 축석령으로 진출시켰으나 제3연대는 그곳에 없었다. 이윽고 자욱한 안개 속에서 전차의 굉음이 들리더니 북한군 기갑부대가 차갑준이 이끄는 제2대대 진전에 나타났다.[16] 이에 제5연대 제2대대 장병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교전한 지 10분도 못 되어 탄약이 떨어지고 투지마저 꺾여 분산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제2대대장은 병력의 일부를 수습하여 태릉으로 철수하고 나머지 병력은 분산되어 한강 남쪽의 낙오자 수집소에 집결하게 되었다. 08시에 이르러, 제5연대 제1대대(대대장 이정도(李貞道) 소령)가 증원부대로 본자일(本自逸)쪽으로 달려왔다. 이 대대 또한 제2대대와 마찬가지로 전투태세를 갖추지 못한 채로 “자일동(自逸洞)에 가면 탄약차가 있을 것이다.”는 통보만을 받고 진출하다가 여기에서 전차대와 부딪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1대대는 고갯마루에 도착하기도 전에 적과 싸워보지도 못한 채 퇴계원방면으로 철수하고 말았다.[17] 이렇게 제2사단은 북한군을 저지하는 데에도 급급한 지경이 되자 문용채가 이끄는 제16연대(25일 청주를 떠나 26일 04:00에야 창동에 도착하였다.)를 상금오동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진출을 저지하려 하였다. 그로부터 약 1시간 후에 전차 20여 대를 앞세운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국군은 전차를 파괴할 수단이 없어 전전긍긍하였다. 다만 김진동 대위가 지휘하는 제16연대 1대대 특공대가 2.36인치 로켓포의 기습적인 집중포격으로 선두 전차 1대를 배수로에 빠지게 함으로써 잠시 동안 북한군의 진출을 지연시켰을 뿐이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 제16연대의 2개 대대는 북한군 보병부대와 한차례의 교전을 치른 후에 태릉과 호원동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12시쯤 제16연대 방어진지를 돌파한 북한군은 의정부를 향해 계속 남하하고 덕정을 점령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를 서쪽에서 협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다급한 상황 아래에서 금오리에 포진한 육군포병학교 제2교도대대장 김풍익 소장은 105mm 곡사포 1문으로 북한군 전차의 무한궤도를 파괴하였지만 제2탄을 장전하는 순간 후속 전차의 포격으로 대대장과 제2중대장 장세풍 대위 및 6번포분대원 모두가 전사하였다. 그 직후부터 북한군 전차대는 한국군의 저항이 거의 없는 가운데 13시경에 의정부 읍내로 진입하였다. 의정부 읍내에서는 철수하는 군인과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주민 및 부상병들의 인파로 대혼잡을 이루고 있었으나 한국군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러한 와중에서 제7사단·제2사단의 전술지휘소는 창동으로 철수하여 새로운 전술지휘소를 개설하게 되었다.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편집] 6월 26일 오전에 창동으로 열차이동한 제25연대(연대장 김병휘 소령)는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의정부 남쪽 교외의 백석천에 제2·3대대를 배치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은 의정부를 점령하자 곧 다음 작전을 위한 재편성과 재보급을 위해 약 4시간동안 지체하고 있었다. 북한군은 이날 17:00시에 공격을 재개하였다. 전차 20대를 앞세우고 접근하는 북한군의 위세에 불안감을 느낀 어느 병사가 오발하는 순간, 한국군 병사들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방어 진지가 북한군에게 노출되었고 얼마 되지 않는 휴대탄약은 교전한 지 2~3분 만에 바닥이 나고 말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북한군 전차대는 백석교를 속속 통과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때 다리 밑에 잠복한 2.36인치 로켓 분대장이 5번전차를 파괴시켰으나 후속전차가 발사한 포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뜻밖에 전차 1대를 잃은 북한군은 충격을 받았는지 더 이상 진격하지 않고 의정부 읍내로 되돌아갔다. 앞서 가던 전차 4대는 호원동 부근에 방어진지를 편성한 제16연대 2대대(대대장 소령 김헌)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친데다가 후속전차가 없음을 확인한 듯 약 2km를 후퇴하여 노상에서 사격태세를 갖추고 후속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편 이들 전차와 격전을 치른 제16연대 2대대는 많은 피해를 입고 분산되었고 이날 밤 백석교 우측에 배치된 제25연대 11중대장 문일수 중위는 전차 특공대를 편성, 지휘하여 노상에 정지 중이던 북한군의 전차 4대를 습격하여 그 중 2대를 파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다음날 6월 27일 새벽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제25연대는 결사적으로 싸웠으나 탄약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태릉, 능곡, 수원 등지로 분산 철수하였다. 한편 육군사관학교장 이준식 준장은 6월 25일 13:00시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생도대대와 배속된 전투경찰대대를 391번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내촌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였다. 다음날 국군은 남하하는 북한군과 격전을 치른 후 태릉으로 철수하여 제9연대(25일, 포천 전투에서 패하여 분산되면서 제1대대는 태릉 방면으로 이동하였었다.)와 더불어 불암산~태릉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미아리~태릉 방어선의 우측 일각을 담당하게 되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포천과 의정부 전선이 무너진 뒤로 그 파급영향은 거의 전 전선에 미치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좌 인접인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은 아직 임진강 방어진을 고수하고 있는데, 동측방이 무너져 그 위협으로 말미암아 철수를 강요당하는 상황에 놓이고, 태릉 정면에서도 생도대대가 적선 후방에 위치케 되는가 하면 춘천의 제6사단과 강릉의 제8사단까지도 수도 서울의 위기에 따른 전술적 및 심리적인 충격으로 작전에 혼미를 거듭하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서울 공격을 제1목표로 삼아 의정부 지역의 전과 확대를 획책하는 한편 일부의 병력을 6월 27일에 벌써 김포반도로 상륙시켜 서측방에서 위협을 가하였다. 각주[편집]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8쪽. ↑ 이하의 지휘관 명단은 모두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戰鬪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6쪽. 참조. ↑ 〈軍 어제와 오늘<30> 「북극성會」(6) “正規출신은 온실의 화초같은 애송이 “短期출신, 후배명예욕 질타”〉 《동아일보》(1993년 7월 29일) 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8쪽. ↑ 이형근은 이 명령에 따를 수 없어서 해임되었다고 회고하고 있으나, 다른 기록들과 맞지 않는다.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4~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 그는 이형근 준장의 친동생이다.)는 25일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패전하여 흩어져 버린 것이다.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9쪽.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의정부_전투&oldid=24189513"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의정부시의 역사육상 전투1950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의정부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 제1대대장 중령 김헌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한국 전쟁 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서울특별시 북쪽 17km의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 정면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과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김웅이 이끄는 북한군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구성된 공격집단의 침공을 막아 이를 격멸하고자 한 방어전이다.[1]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각각 동두천·포천을 담당)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전쟁 직전의 부대 개편과 기초훈련 실시로 인해, 2대 대대가 경비를 담당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경원 본도인 3번 도로를 비롯하여 동측의 43번과 서측의 316번이 모두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천산맥과 천보산맥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국도 제3호선(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부근에서 서전을 치르고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의정부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게 되어 이 지역은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아 피아간에 주력이 되었다.[2] 목차 1 전투 준비 1.1 한국군 1.2 북한군 2 포천 전투 2.1 제9연대의 영내 대기 2.2 제9연대 2대대의 전황 2.3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 2.4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 2.5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 2.6 제3연대의 전투참가 2.7 기타 3 동두천 전투 4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 4.1 반격 준비 4.2 동두천 탈환 실패 4.3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 4.4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 5 결과 및 영향 6 각주 전투 준비[편집] 한국군[편집] 1950년 6월에 사단으로 승격된 제7사단은 곧바로 의정부 지역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때 예하에 제1·3·9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을 합하여 총병력이 9,698명이었다. 그런데 전쟁 발발 3주전인 6월 1일로 육군본부에서 일선 명령 제43호를 하달하여 일부부대의 예·배속 관계를 조정함에 따라, 이상근이 이끄는 제3연대가 수도경비사 산하로 예속이 변경됨으로써, 동 연대의 3,050명이 사단을 떠나고, 이날부로 제 1·9 양 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 6,788명의 공력이 이 지역을 맡고 있었던 것이다. 그 뒤로 6월 13일 육본 작전명령 제79호에 의거하여 6월 15일부로 김병휘가 이끄는 제2사단 제25연대가 제7사단에 편입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동 연대는 온양에 위치한 까닭에 의정부로 이동키 위하여 준비하던 바, 주둔지로 선정된 호완리 일대가 민유지였기 때문에 그 징발문제와 막사 및 식수문제 등 일련의 사정으로 말미암아 7월 15일로 이동일자를 연기한 차에 전투에 임하게 되었고 따라서 동 연대는 전투 후에 다시 제2사단에 복귀되었다. 제7사단이 방어임무를 맡은 곳은 서쪽부터 동쪽으로 적성면~쇄역리~일동면 사직리 간의 47km에 달하는 광정면(廣正面)이었다. 그리하여 제7사단은 유재흥 준장의 지휘 하에 예비대가 없이 양 연대를 일선에 내세웠다. 즉,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는 동두천 정면인 좌 일선을,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인 우 일선을 각각 담당하였고, 38도 분계선 방어와 부대교육을 병행 실시하였다. 육군본부에서 교육각서 제 2호에 따른 교육을 실시케 함으로써일선 경비보다도 교육훈련에 더욱 치중하여, 38도 분계선 남연의 전진진지에 1/3 병력만을 배치하고 주력은 28 km 후방의 의정부 부근으로 집결시켜 대대급 이하의 기초훈련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각 연대로 하여금 1개 대대를 경계진지에 배치하고 2개 대대를 의정부 부근으로 뽑아 소정의 교육을 실시케 하되, 3개월마다 순환교대 방식으로 전술을 숙달하게 하였던 것이다.따라서 각 연대의 지휘소도 주력과 함께 모두 의정부 부근에 위치하고, 일선대대는 각각 20 km 내외의 광정면을 경비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제7사단의 동반부인 포천 지역은 윤춘근 중령이 지휘하는 제9연대가 맡아 창수면 추동리 ~ 일동면 사직리 간의 26km에 달하는 책임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는데, 본래 이 지역은 김화에서 영북면 운천리와 포천을 거쳐서 의정부에 이르는 국도 제43호선(호국로)을 중앙에 끼고 동측의 광주산맥과 서측의 천보산맥이 종으로 뻗어 장방구형을 이룬 지대로써 정상적으로는 2개 사단의 방어정면에 해당될 것이다. 이러한 전투정면을 3,400명의 병력을 보유한 제9연대가 전담하여 북한군 제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침공한 제3사단과 대결케 되었는데, 당시에 연대는 사단의 방침에 따라 1개 대대로써 일선경비를 담당하게 하고 2개 대대를 38도 분계선에서 26 km 뒤에 떨어진 양주군 의정부읍 금오리의 연대 지휘소 부근으로 뽑아 소부대 전술교육을 실시하던 상태였다. 따라서 일선경비를 맡은 대대는 전(全)정면배치가 곤란하여 통행의 요로만을 한정하여 거점방어태세를 취하였으니, 이날 제 1선에는 전순기 소령이 지휘하는 제2대대가 발발 이틀 전인 6월 23일부로 이철원이 이끄는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대대본부를 전과 다름없이 포천에 두고 송영환이 이끄는 제7중대를 오른쪽 제 1선으로 하여 국도 제43호선과 38도선이 교차하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에,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는 왼쪽 제1선으로 제7중대의 서쪽의 소로인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이 영평천에 이르는 창수면 가양리·추동리 부근에 각각 배치하는 한편 제5중대는 예비로 4 km 후방의 신북면 신평리(만세교 서쪽) 부근에 공치하였다. 이렇게 볼 때, 대대의 실 병력이 배치된 지역은 6km의 점령지대에 불과하며 그 나머지 19km에 해당하는 산록과 야지는 거의 무방비상태로 있었으며 특히 동측의 일동면 기산리 북쪽은 지방도 제387호선 연변에서 1개 분대의 수색대가 봉쇄할 뿐이었다. 그리고 박창암 중위가 이끄는 보국대대 제2중대가 전날부터 38도 분계선 북쪽의 유정리 부근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나 대대와는 유기적인 협조를 취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북한군[편집] 북한은 전쟁 발발 2주 전인 6월 10일에 평양의 민족보위성에서 비밀리에 군사지휘관회의를 개최하여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 병력의 일선전개를 꾀하였는데, 이때에 벌써 이들은 주력의 침공경로를 철원-연천-동두천-의정부 축선으로 결정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그 회의 직후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은 평강 부근에 지휘소를 개설하였다.(6월 12일) 이때에 북한군은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전개를 꾀하였다. 김웅 중장은 평강으로 나와 중서부전선의 작전을 지도하였다. 제1군단 휘하의 4개 보병사단과 1개 전투여단으로 서울 공략을 획책했다. 특히 제3·4 사단과 제105전차여단을 공격집단으로 묶어 집중적으로 의정부 정면으로 꿰뚫고자 하였다.[3] 단행된 병력의 이동상황으로 볼 때, 이른바 그들의 정예라고 하는 제3, 4 양 사단과 유일한 기갑부대인 제105기갑여단을 철원-포천군 영북면 운천리-연천 부근에 집결시켜 경원선 주변에서 공격태세를 갖추게 한 점과 전쟁 중에 입수한 노획문서 가운데 연천-의정부를 거쳐 조기에 서울을 점령한다고 밝혀진 점, 그리고 개전 이후의 부대기동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그들의 침공기도는 처음부터 주력으로써 의정부로 지향한다는 계책을 세운 것으로 추단된다. 즉, 김웅이 이끄는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하는 동시에, 동측의 김광협이 이끄는 제2군단과 서측의 제1, 6 양 사단과의 협조아래 수도 서울을 침탈 도모코자 하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당 사단의 책임 지역이 그 주목표로 부상하게 되었거니와, 이들은 다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월 18일부로 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의 명의로 된 정찰명령 제 1호를 하달하였는데, 그 개요를 보면, 소대군위 이하의 병력 배치선 까지 정찰토록 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워 특히 유개진지와 병력배치상황 그리고 장애물 지대 및 예상 집결지 등을 확인토록 하였으며, 여기에 이어 공격목표의 선정과 부대의 기동계획을 마련토록 명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정찰을 마친 그들은 6월 22일 14:00부로 전투명령 제 1호를 하달하여 23일 12:00까지 모든 공격준비를 완료토록 촉구하였다. 여기에서 놀라운 사실은 사단의 경계진지와 주진지를 빠짐없이 공격목표로 선정한 점과 포병을 비롯한 공병과 반전차포 및 항공등의 지원 아래 서울까지 일거공략 하려는 계획을 미리 밝히고 있는 점이다. 제3사단(사단장, 소장 리영호)은 포천 북쪽의 영중면 영평천 부근으로 나와, 제7연대(장, 대좌 김창봉)와 제9연대(장, 대좌 김만익)을 좌우 일선에 두고 제8연대(장, 중좌 김병종)을 예비로 보유하였으며 제3사단의 포병연대(장, 대좌 안백성)는 유정리(楡亭里) 부근에서 지원태세를 갖추었다.[4] 포천 전투[편집] 포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포천군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 제7사단장 준장(6월 26일 14.00부로 의정부지구 전투사령관)[5]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6·25 발발 직전,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 중,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에 배치되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 이로써 축석령 너머에 있는 의정부는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제9연대의 영내 대기[편집] 다행히도 제9연대의 전 장병이 영내대기 상태에 있었으니, 이는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전날 사단으로부터 “재량에 따라 주말외출을 실시토록 하라”는 통보를 받고, 오랫동안의 긴장 속에서 대기한 바 있는 병사들에게 외출과 외박을 허용할까 생각하다가 당면의 적정이 수상한 까닭으로 영내에서 휴무하도록 조치하였던 것이다. 그는 뒤에 당시를 회고하며 술회하기를, “오랜만의 외출이라 처음에는, 38선의 경비를 담당하는 제2대대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하려고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적정이 심상치 않았다. 일주일 전부터 철원에 기갑부대가 나타났다는 첩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의 정규군이 38경비대와 교대하였다는 소문이 떠돌고, 6월 23일 밤에는 제2대대장으로부터 영북면 운천리에서 차량대열이 유정리로 이동한다는 보고에 이어 바로 영평천 부근에 전차가 나타났다고 속보되는 등, 모든 면에서 평상시와 달랐다. 그래서 제 1, 3 양 대대의 병사들의 외출준비를 마쳤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일단 중지시키고 이상이 없으면 6월 25일 주간에 시행토록 하자고 하였더니 대대장들도 내 뜻에 따라 모두 영내에 남았으며 나도 감기로 미열이 있었지만 청량리 숙소에 전화연락만을 하고 영내에서 대기하였다”고 하니, 일선 지휘관의 심회를 헤아리고 남음이 있다. 이 같은 조치로 연대의 주력은 금오리에서 대기하고 제2대대는 더욱 경계를 엄히 하던 바, 이날 새벽에 북한군 제3사단은 대좌 김창봉이 이끄는 제7연대를 선봉으로 삼아 제 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일시에 엄습하니, 돌연 포천 정면의 38도 분계선 연변이 불길에 휩싸였다. 제9연대 2대대의 전황[편집]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 대대본부 포천읍)는 3개월마다 상호 교대하는 방식으로 일선 경계임무를 수행케 하는 연대의 방침에 따라 6월 23일부로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기설 진지를 점령하였는데, 이때에 대대장은 제6, 7 양 중대를 제일선에 배치하기에 앞서 “근간에 적의 동향이 심상치 아니하니 경계를 철저히 하고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진지를 더욱 보강하라”고 강조함과 아울러 중화기중대의 기관총 소대를 분할하여 각각 1개소대(기관총 1개반과 81mm 박격포 2문)씩 배속시켰다. 그런데 이날 03:40을 전후하여 공격준비사격을 시작한 북한군은 미리 대대의 병력 배치상황을 탐색한 듯 경계진지만을 골라 포격을 집중하였으니, 오른쪽 제1선인 송영석이 이끄는 제7중대지역에서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와 그 서쪽의 287고지 북쪽에 포화가 집중하고, 왼쪽 제1선인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 지역에는 창수면 가양리-주원리-추하리 일원을 초연으로 뒤덮어 마치 산 전체를 무너뜨릴 듯하였다. 제7중대 정면에는 영중교(일명, 삼팔교)를 넘어선 3대의 전차가 양문교 부근까지 침습하여 포구를 동남쪽을 지향하고 동 중대 제1소대의 진지를 강타하는가 하면 바로 그 서쪽의 희악사 부근에서 수 미상의 적이 측후방으로 침공하여 단숨에 이 소대진지를 삼키고자 하였다. 이때에 동 소대는 소대장이 공석이므로 선임하사가 지휘하여 양문리 남쪽 500m에 있는 무명능선 서단에 배치한 기관총 소대와 함께 이 요선을 지키고 있었는데, 의외의 강습을 받게 되자 가능한 모든 화력을 활용하여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으나 교전 30분 동안에 이미 과반수의 병력을 잃고 어둠속에 분산되고 말았다. 한편 왼쪽 제1선인 제6중대는 성일영 소위가 지휘하는 제 3소대가 추동리에서 한차례 고전을 벌인데 이어, 가양리 장자동으로 집결한 중대의 주력이 그 서남쪽 삼차로를 막아 287고지에 연한 방어진지를 급편 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또한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을 따라 침공한 전차대의 강습으로 말미암아 대동소이한 양상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이리하여 북한군의 전차대가 그 남쪽 2km의 장승거리 삼거리를 넘어서자 제6중대는 분산병력을 수습하여 무이산(포천읍 북쪽 7 km)쪽으로 전진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대대본부와 통신이 두절되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채로 신북면 삼성당리 계곡을 따라 포천읍 쪽으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7, 6 양 중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에 38선에서 12 km 후방인 포천읍에 위치한 대대본부에서는 대대장 전순기 소령이 일선의 위급한 전황을 제9연대장(윤춘근 중령)에게 보고함과 아울러 병력 증원과 특히 대전차 화기의 지원을 요청한 다음 제8중대장 박기순 중위를 대동하고 영중면 소재 만세교 초소로 올라갔다. 그리하여 06:00에 여기에 도착한 대대장은 곧 예비인 제5중대로써 만세교 북측의 좌우측방의 160고지와 208고지에 연한 저지 진지를 급편하게 하여 연대의 주력이 진출할 때까지 지연전을 펴기로 하였는데, 이때에 북한군은 양문교를 넘어 만세교 쪽으로 지향하고 있었으니,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주력으로써 침공하리라고 판단한 대대장의 예견은 적중하였으나, 소총만을 들고 능선을 지키는 병사로서는 이 기계화 부대를 감당키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이다.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편집]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첫 보고를 받은 것은 4시 30분이었는데 그는 대대장의 유선보고를 받는 순간 근래에 야기된 일련의 사건이 연상되어 이것이 곧 북한군의 대규모 공격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사실을 사단에 보고하는 한편 연대비상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의정부읍 금오리에 대기 중인 제 1, 3 양 대대로 하여금 “천계산(424고지)-가랑산(350고지)간의 주진지를 점령하여 기정방침에 따라 적을 저지, 격멸토록 하라”고 명령하는 동시에 제2대대장 전순기 소령에게 현 위치에서 최대한의 지연전을 펴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양 대대가 출동태세를 갖추는 동안에, 허현 대위가 지휘하는 57mm 대전차포 중대로 하여금 만세교로 직행하여 전차대의 예봉을 격쇄토록 조치함과 아울러 2.36인치 로켓포 12문을 모아 역시 만세교 부근의 요선을 지키도록 후속, 급파하였다. 4시간 동안을 홀로 고군분투한 제2대대는 일선 분산병력의 수습에 힘쓰며 북만세선의 진지를 지키고 있었는데 08:00를 전후하여 다시 침습하기 시작한 북한군이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밀고 내려왔다. 그런데 이들은 진지공격 보다도 급속진출을 위주로 삼아 열의 전차를 앞세우고 밀려들자, 208고지 북쪽 기슭의 이학봉이 이끄는 제5중대 2소대 진지에서 기관총 측사화력으로 집중타를 가하니, 선두전차가 만세교 북쪽 300m 거리에서 일단 멈추어 서면서 포구를 돌려 동 진지를 반격하였다. 이로부터 중대는 가용한 모든 화력으로 북한군의 전차에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실탄만 소진케 되었는데, 바로 이때에 연대에서 급파한 대전차포 중대(-)가 만세교에 다다랐다. 이리하여 진전 50m 까지 적을 유도한 동 중대(-)는 선두차를 명중시키고 함성을 지르며 기뻐하였으나 그것은 일순뿐으로 파괴된 줄 알았던 전차는 오히려 진지에 포격을 연발하며 계속 진전으로 육박하는 것이었다. 이에 좌측포가 다시 수 발을 더 명중시켰으나 아랑곳없이 목전에 당도하니, 겁난 병사들이 조준경만을 빼어들고 신북면 신평리(포천 북쪽 5 km)쪽으로 급히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반면에 적은 위세를 돋우어 저지선을 돌파한 다음 다시 탄장선으로 침공하니, 이때가 09:40으로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은 2시간을 채 지나지 못하였으며 제2대대 5중대의 장병들은 구릉에서 이를 방관하는 형상이 되고 말았다.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편집] 북한군 제3사단은 이날 새벽에 38도 분계선을 돌파하여 10 km 남쪽의 만세교 부근까지 돌입한 연후에 일단 멈추어 전열을 정비하는 듯하더니, 이윽고 10:30을 기하여 재공격에 나섰다. 이번에는 김창봉 대좌가 이끄는 제7연대로써 43번 도로를 따라 정면공격을 꾀하는 한편, 김만익 대좌가 이끄는 제9연대를 서측의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포천로)로 우회시켜 일격에 포천을 확보하고자 기도한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이들은 본도상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안백성 대좌가 이끄는 포병부대화력을 여기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계화 부대를 선봉으로 삼아 연대 주저항선의 중앙지대를 돌관하여 장차 크게 공위코자 한 것으로 추단되었다. 그런데 연대(-)는 병력의 부족으로 43번 도로 양 측방의 천계산과 가랑산에 진지를 선정함으로써 서 측방이 공백상태로 남은 데다 대포병 장비나 대전차 화기가 없으니, 이 싸움은 처음부터 그 귀추 여부를 헤아릴 수 있었다.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편집] 일진광풍이 지난 뒤로 연대(-)의 장병들은 후속 도보부대만은 기필코 격멸키로 다짐하고 현 진지를 고수하던 바, 기계화 부대가 지난 1시간 뒤에 이윽고 북한군의 보병이 침공하였다. 이들은 연대 주력의 배치선을 탐지한 듯 먼저 포격을 가하였는데, 120mm 박격포를 비롯한 122mm 유탄포와 76mm 야포 등 곡사화력으로써 특히 제1대대의 진지인 천계산 서쪽에 집중포격을 가한 다음 43번 도로를 따라 2열종대로 열을 지어 거침없이 밀려들었다. 이러는 사이에 북한군의 선두가 신북대교를 넘어서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제3대대와는 통신마저 두절되어 정황을 파악할 수가 없었으며, 제 1대대도 이날 세 차례에 걸친 대결 끝에 42명이 전사하고 80명이 부상하게 된 데다 휴대한 탄약을 모두 소모하고 보니 전의가 떨어져, 보다 적극적인 방어책을 취하지 못한 채로 현 진지를 지키고 있을 따름이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진지 공격보다도 남하진출에 주안한 듯 전차의 엄호 하에 주력으로써 신북대교를 통과하니, 이때가 14:00로서 3시간 동안에 걸친 분투도 보람 없이 끝내 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러나 제3대대와는 통신이 두절되어 끝내 연락을 취하지 못한 채로 연대본부는 제1대대와 함께 철수하기에 이르렀고 명령을 받지 못한 제3대대는 남은 병력으로 가랑산의 진지를 계속 지키고 있다가 이날 밤에 단독으로 철수하여, 왕방산 기슭을 따라 회암령을 넘은 다음 동두천 가도의 양주 덕정리 부근으로 빠지게 되었는데, 전진 중에 대부분이 낙오되어 다음날 아침에 옥정리로 집결한 병력이 10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 뒤로 이 병력은 [대한민국 7보병사단|[제7사단]] 제1연대와 합세하여 의정부로 후퇴하다가 천보산 북쪽에서 다시 분산되어 그 일부만이 우이동으로 집결하게 되는 바, 그 과정은 제1연대의 반격상황에서 약술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연대는 포천 정면에서 북한군 제3사단과 대결 끝에 중과부적으로 분산되어 전투력을 거의 상실하고 제1대대만이 태릉으로 집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제3연대의 전투참가[편집] 포천 정면에서 제9연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인 이날 정오에 사단에서는 제 5포병대대(-)만을 증파하고 후속 예비 병력이 없어 기울어지는 전황을 지켜보던 바, 육군본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대령 이종찬 예하의 이상근 중령이 이끄는 제3연대를 급파하였다. 이 당시에는 이미 제9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져 북한군의 보병부대가 탄장을 통과한지 1시간이 지나고 기계화 부대가 이보다 3시간 전에 포천에 돌입하였던 것이니, 이제 공격의 화살이 곧 목전에 다다른 급황 이었다. 그러나 사단장으로부터 탄장으로 직행하라는 명령을 받은 제3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적정을 확인키 위하여 수색소대장 김철순 중위로 하여금 소대병력을 지휘하여 포천까지 위력정찰토록 지시하고 자신은 주위의 지형을 살피던 바, 15:30에 이르러 수색소대장으로부터 어룡동부근에 북한군의 전차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입수되자 곧 주력을 반전시켜 3 km 후방인 송우리에서 급편방어 태세를 취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송우교를 중심으로 좌우 측방에 각각 2개 중대씩 배치하는 한편 이봉근 중위가 지휘하는 혼성 제11중대로 하여금 국도 제43호선을 포함한 중앙지대를 담당케 하여 진지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때에 마침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현지에 당도하자, 그에게 동측의 2개 중대를 지휘케 하고 제3대대장 김붕상 소령은 제11중대를 포함한 서측의 3개 중대를 맡아, 양 대대로써 방어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장송우 북쪽의 134고지에 연대 관측소를 설정하여 제3대대장과 함께 그 고지로 올라가 본대를 장악하고, 57mm 대전차포 2문을 그 동측의 노변에 배치하였으며, 연대 통신대장 김성규 중위와 제1대대의 통신소대장 김덕수 소위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 대결 태세를 취하였다. 양 대대는 혼성병력을 재조정 하면서 계속 진지를 구축하던 바, 17:00을 전후하여 북한군의 포격이 격렬하게 불을 뿜고 또한 이와 때를 같이하여 심한 소나기가 쏟아졌다. 이때에 양 대대는 개인호의 경우, 2/3 정도 굴착하였을 무렵이었는데, 이같이 포격이 격증하자 진전을 살펴보니, 2,000m 직전방의 도로상에 1단의 기계화 부대가 나타났다. 이들은 마치 나무단을 쌓아올린 우마차 대열과 같이 짙은 위장을 하고 남진을 계속하는데 어느 덧 그 선두가 선단리를 지나 1,500m 전방으로 다가섰다. 이에 양 대대의 진지에서 일제히 사격을 시작하였는데, 특히 연대의 중화기가 집결된 제12중대는 중대장 대리인 김현경 중위가 직접 진두지휘하여, 『거리 1,300』을 불러 81mm박격포 1개 반의 포화를 유도하는가 하면, 동 소대장 최소위는 다른 1개 반을 맡아 포수 진삼섭 일등 중사에게 고폭탄을 쏘라고 외치고 다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동 중대의 기관총 사수 이재철 하사는 장송우 부근에서 기관총을 휘두르는 등 중화기 화력을 퍼부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소총 중대도 60mm 박격포와 각종소총으로 동시 집중 사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 기계화 부대는 아랑곳없이 계속 차전으로 밀려들더니, 선두에선 2대의 전차가 장승거리 부근에 멈추어서면서 제3대대의 관측소에 포격을 가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8대의 전차가 이에 가세하여 포격과 기총으로 양 대대의 진지를 위압하는데, 특히 중화기 진지에는 포격이 심하여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때에 57mm 대전차포가 불을 뿜어 장승거리 부근에 버티고 선전차에 일격을 가하고, 또한 이봉근이 이끄는 제11중대의 화기소대장 이정선 소위가 이끄는 2.36인치 로켓포의 직격탄으로 철갑을 명중시켰으나 이 역시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북한군의 역사화력에 무너지고 말았다. 이로부터 북한군의 전차대가 송우리의 방어진을 돌파하게 되자, 후속 보병만이라도 격멸코자 하였으나, 잇따른 후속종대는 보병뿐만 아니라 전차와 자주포를 비롯한 각종차량이 장사진을 이루어 밀려드니, 더 이상 항거의 수단을 잃고 말았다.조재준이 이끄는 제3중대의 제3소대장 김학석 소위는 여기에서 159여 대의 각종 차량을 헤아렸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는 701호를 표식한 전차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전황이 급전하여 당면한 대책이 화급한데 아무도 다음 행동을 지시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러는 사이에 어느덧 18:30에 이르러 적의 보전협동부대가 침공하자 양 대대의 진지가 무너져 동서 양 측방으로 분산 상태에 이르고 말았다. 그 뒤로 연대(-)는 각 대대장의 단독결정에 따라 철수케 되었는데, 대체로 제1대대는 43번 도로 동측에서, 제3대대는 그 서측에서 각각 퇴로를 모색케 되었으나 병력이 크게 분산되어 이 과정에서 대부분이 본대와 이탈하여 의정부를 목표로 전진케 되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이날 밤 20:00까지 이동교리 축석령에서 수용한 혼합병력이 150명밖에 되지 않아, 21:00에 다시 이곳을 떠나 의정부읍 금오리 남쪽의 155고지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3연대의 소흘면 송우리 전선이 무너짐으로써 이제 포천 지역은 북한군의 독무대로 화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의정부 동북쪽의 방비가 급박한 상황에 이르렀다. 기타[편집] 채병덕 참모총장의 명령에 따라, 육사교도대 생도 1기(262명) 및 2기(227명)가 전투부대를 편성하여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다.(6월 25일 오후)[6] 동두천 전투[편집] 1950년 11월에 벌어진 전투에 대해서는 제2차 동두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이담면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리권무(李權武)가 이끄는 북한군 제4사단은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哨城里),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兩遠里),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積岩里) 일대에 맹렬한 공격준비사격을 집중한 후 전곡-동두천 간 국도 제3호선 평화로 구간에 보, 전(步戰) 협동부대로 편성된 부공을 투입하고 그 서쪽의 적암리-양주시 은현면 봉암리(鳳岩里) 접근로(지방도 제375호선)에 조공을 투입하여 병진공격을 개시하였다. 조선인민군은 38도 분계선 일대의 국군 진지가 거의 무개호이며 배치된 병력도 1개 초소 당 분대나 소대규모인 것을 지상관측으로 확인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단 내의 가용한 모든 화력을 총동원하여 30여 분간이나 국도 제3호선과 그 주변을 맹타하였는데 포격으로 인한 도로파괴가 그들 공격부대의 기동에 제한이 된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포격이었다. 이는 당시 북한군의 정보수집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음을 입증해 주는 전투행동이었으며, 표적의 성질과 기동로의 상태 및 적정을 감안하지 않고 계획된 공격준비사격을 기계적으로 실시한 사실은 소련 군사고문단에 의해 공격명령이 작성되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었다. 이때 의정부에 전투력의 대부분을 주둔시키고 있던 제7사단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고 외출과 외박자의 비상소집, 출동준비, 수송장비의 징발, 철도수송을 위한 협조 등 혼란의 와중에서 아군은 점차 침착하게 긴박한 사태를 수습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함준호(咸俊鎬)가 이끄는 제1연대는 비상출동대기부대인 제3중대를 비상발령과 동시에 초성리 남쪽 176고지로 진출시켰다. 이곳에서 제3중대는, 전차 2대를 앞세우고 전술행군종대로 남하중인 1개 대대규모의 적을 기습하여 격퇴시키고 소요산에 위치하고 있던 이끄는 제2대대장 소령 이의명(李義明)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 이때부터 소요산에서는 밀고 밀리는 치열한 육박전이 펼쳐졌으며 제2대대는 11시가 넘도록 소요산 진지를 사수하고 있었다. 이처럼 소요산에서 한국군이 넓은 방어 지대를 지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대대장 이하 전 장병들이 불타는 투지와 북한군의 강력한 포화에도 유선 통신망이 절단되지 않아 지휘 체계가 유지되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제2대대가 소요산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제1연대는 제1대대(대대장 김봉룡(金鳳龍) 대위)를 마차산에 투입하고 뒤를 이어 김황목(金煌穆)이 이끄는 제3대대를 봉암리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1대대가 마차산의 방어진지를 점령하였을 무렵에는 북한군이 이미 이 고지를 우회하여 전곡읍 간파리(干坡里)방향으로 남하 중에 있었다. 따라서 제1대대는 마차산 정상에서 소요산의 교전상황을 구경하는 처지가 되었으나 대대를 지휘하던 김봉룡(金鳳龍) 대위는 상황변화에 따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다만 연대에서 어떠한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또한 제3대대에 배치된 봉암리에도 북한군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제1연대는 그와 같은 긴박한 상황 하에서 2개 대대를 유휴병력으로 대기시킨 채 시간만 허송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제1연대를 직접 지원하던 제5야전포병대대 제2중대는 주저항선 남쪽 보산리(保山里) 부근에 준비된 진지를 점령한 지 얼마 후에, 밀집대형으로 남하하는 북한군의 1개 대대를 집중포격하여 대부분을 격멸하는 수훈을 세웠다. 하지만 그로부터 몇 시간이 지난 후 패주했던 북한군은 전차를 앞세우고 공격을 재개하였다. 이때 제1연대 57mm 전차포 중대장은 창말고개(동두천 북쪽 2 km 지점)에서 선두 전차 2대의 측면을 사격하여 모두 파괴하였고 이에 당황한 북한군은 다시 초성리 쪽으로 철수해 버렸다. 이러한 승리의 쾌보가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거쳐 방송되는 과정에서 국군의 반격이 개시되었다고 비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 제1연대는 탄약이 떨어져 재보급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으나 보급사정이 풀릴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한군 제4사단은 이날 15시를 전후하여 제107전차연대를 선봉에 내세우고 동두천을 맹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맞선 제2대대는 10시간 동안이나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였으나 마침내 동두천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북한군은 한국군의 주저항선을 돌파한 여세를 몰아 일몰과 더불어 동두천 시내로 진입하였고 한국군 제1연대 제2대대는 어둠 속에서 시가전을 펼쳤으나 역부족하여 양주 덕정리로 철수하여 집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다.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편집]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李亨根)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朴基成)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李貞道)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車甲俊)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文容彩)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兪義濬) 제1대대장 중령 김헌(金憲)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 총참모장 채병덕은 26일 01시, 제7사단은 동두천 방면으로, 새로 투입된 제2사단은 포천 방면으로 진격하여 각각 전날 북한군에 빼앗긴 이곳들을 탈환하라는 작전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에 대해서 제2사단장 등은 무모한 작전이라고 반발하기도 하였다. 명령에 따라, 제7사단은 전날 동두천에서 패퇴한 제1연대에게 동두천을 공격토록 하고, 새로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을 서쪽으로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로 반격을 개시하였다(8시). 이때, 동두천에 주둔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 전면공격을 피하고, 서쪽으로 우회한 은현로 방면으로 내려오려 하였으므로, 1연대는 동두천 읍내와 북쪽 5km의 소요산까지 진출한 반면, 18연대는 우회하던 북한군 제4사단과 조우하였고, 북한군은 동두천 남쪽 7km의 덕정의 좌우측을 협공하였다. 이로써 1연대는 퇴로가 차단되어 병력이 분산되어 버렸다. 반격 준비[편집] 본부가 대전에 소재하고 있던 제2사단(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개전 당일 내려진 명령에 따라, 우선 가용병력인 1개 대대를 이끌고 25일 밤에 의정부로 당도해 있었다.[7] 나머지 병력들은 26일에 올라올 예정이었다.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제7사단 사령부(사단장 유재흥 준장)를 2회 시찰하였다. 제7사단은 전날에 과반수의 병력을 손실한데다 잔병이 분산상태에 있고, 제2사단은 당장 가용병력이 1개 대대 밖에 없으니 병력과 장비의 우열도 문제이지만 보다 화급한 요건은 후방의 예비사단이 현지에 진출하여 전투전개를 할 수 있는 시간 문제였다. 그리하여 그는 시찰 후, 재경(在京)부대를 의정부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동시에 후방 3개 사단을 서울로 이동시키도록 조치하였다. 6월 26일 01:00에 7사단 사령부를 다시 시찰한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의정부를 고수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반격명령을 하달하였다. 제2사단장 이형근 등 군 지도층의 일각에서는, 반격작전을 전개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병력을 축차로 투입하느니 보다 주력이 도착한 후에 전투력을 집중 운용해야 한다는 것, 북상중인 예비사단(제2사단 등)을 한강 남안으로 집결시켜 방어가 유리한 한강선 방어진을 구축함과 아울러 일선 분산병력을 수습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력히 건의하였다. 그러나 채병덕 등 수뇌부는 정치적인 의의와 심리적 영향을 배려한 전략면에서 수도 서울의 포기는 있을 수 없다고 강경하게 맞섰다. 채총장은 무조건 반격으로 전환하라고 엄명하고 북한군 전차는 육탄공격으로 파괴하라고 강조하였다.[8][9] 이에 따라 6월 26일 아침부터, 전날 의정부로 후퇴한 제7사단은 동두천을 목표로 반격을 감행하게 되었으며, 제2사단은 축석령을 경유하여 포천을 목표로 반격하였다. 결국, 6월 25일~26일 사이에 의정부 지구에 투입된 증원부대는 1개 경찰대대를 포함해 총 15개 대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부대들은 건제를 고려하지 않고 축차적으로 투입되었다. 더욱이 탄약을 위시한 각종 보급지원이 뒤따르지 못했으며, 유·무선 통신망이 구성되지 않아 횡적 연락과 협조는 고사하고 상하급 제대간에도 통신이 소통되지 않아 전투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다. 동두천 탈환 실패[편집] 제7사단은 전날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던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 및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분산되었으므로 가용병력은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 예하 제2·3대대(제2대대는 전날 동두천 전투를 치르고 덕정리로 후퇴하였었고, 제3대대는 봉암리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북한군과 조우하지 않았었다.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었다.)와 제3연대 제2대대(제1대대 및 제3대대는 포천 전투 이후 크게 흩어져 버렸다.) 및 전날 제7사단에 새로 배속된 제18연대(연대장 임충식 중령) 예하 2개 대대(제2·3대대)를 합쳐 모두 5개 대대였지만, 실제 병력은 증강된 1개 연대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제7사단은 제1연대로 하여금 의정부에서 곧장 동두천으로 뻗은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을 공격하게 하는 한편,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에서 서쪽으로 7 km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를 공격토록 하였다. 한국군 제7사단은 수색정찰이나 관측을 통한 적정수집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적정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이 무렵 제7사단과 대치한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에서 공격을 위한 재편성을 완료하고 공격개시 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즉 북한군 또한 한국군의 반격과 거의 같은 시각에 의정부를 탈취하기 위한 공격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북한군은 한국군이 국도 제3호선 평화로를 강력히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두천~덕정리~의정부로 이어진 국도 제3호선을 피하여 그 서쪽으로 5 km 우회한 봉암리~덕정리 간 은현로·화합로에 주공(主攻)을 투입하여 기습효과를 노리고 있었다. 한국군의 주공(主攻)인 우일선의 제1연대는 6월 26일 08:0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적의 저항이 전혀 없는 가운데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읍내와 그곳부터 북쪽으로 5 km 나아가 소요산까지 진출하였다. 조공(助攻)인 제18연대는 제1연대보다 2시간이 늦은 6월 26일 1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서북진하다가,[10] 이날 12시경에 화합로변의 은현초등학교 부근을 지날 무렵, 방어로 전환할 것을 명령받았는데, 이는 적의 계속적인 압력으로 의정부가 위협받게 되자 사단장이 취한 조치였다.[11] 이에 따라, 제18연대는 용암리 도락산 북쪽 기슭의 감제고지에 급편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중(13시)[12] 적의 기갑부대가 화합로를 따라 덕정으로 접근 중이었으나 연대는 북한군을 그냥 통과시켰다. 이는 엄청난 전투력의 전차를 직시한 임충식 연대장이 무모한 대결을 회피하고 후속하는 적 보병과의 일전에 대비하여 아군의 배치상태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 봉암리 부근에서 강력한 북한군과 조우하여 분산되고 말았다. 그 얼마 후에 북한군이 동두천에서 남쪽으로 7km의 덕정을 좌우측에서 협공하였으므로 제7사단은 부득이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제7사단이 반격을 전개한 자체가 무모한 작전행동이었다. 제1연대는 반격 중에 적의 강력한 공격에 봉착하여 퇴로가 차단됨으로써 소대, 또는 중대단위로 흩어져 추후 우이동·창동·태릉 방면으로 분산 철수하였다. 또한 이날 저녁까지 마차산에서 연대로부터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제1대대는 어두어진 후에 마차산에서 철수하였으나 끝내 대대 지휘체제가 와해되고 병력은 사방으로 흩어져 창동, 태릉 등지로 분산되었다. 한편 한 제18연대는 그러나 북한군 보병부대는 나타나지 않고 제7사단 본부로부터 이날 밤중까지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한 임충식 연대장은 의정부가 적에게 점령되었다고 판단하고 의정부와 반대편인 서쪽으로 철수를 개시하여 고양군 신도면 삼송리를 경유 28일에 행주나루터에서 한강을 도하한 후 소사·오류동 지역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다.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편집] 26일 01.00에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반격명령을 받은 제2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금오리의 지휘소로 돌아와, 북상 중인 사단의 주력(제5, 제16, 제25연대)이 따라 올라오기를 고대하면서 우선 제5연대의 제2대대장 차갑준 소령에게 총참모장의 명령대로 축석령 북쪽에 있는 적의 전차를 기습하여 파괴토록 지시하였는데, 이것은 반격이라기 보다는 대전차 특수임무부대와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13] 이리하여 26일 03:00, 제5연대 제2대대는 반격을 개시하였다. 2개 대대병력으로는 포천탈환이 어려우므로 축석령을 방어하고 있을 제3연대를 초월 공격하겠다는 것이 사단장의 작전구상이었으나 이는 너무 성급한 반격이었다. 이 무렵 제 3연대는 이미 분산되었는데[14] 제 2·7사단장은 그러한 사실을 모른 채 작전구상을 함으로써 제 2사단의 반격작전은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작전이 되고 말았다.[15] 사단 참모장 최창언 중령이 이끄는 제5연대는 제2대대를 선발대로 먼저 축석령으로 진출시켰으나 제3연대는 그곳에 없었다. 이윽고 자욱한 안개 속에서 전차의 굉음이 들리더니 북한군 기갑부대가 차갑준이 이끄는 제2대대 진전에 나타났다.[16] 이에 제5연대 제2대대 장병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교전한 지 10분도 못 되어 탄약이 떨어지고 투지마저 꺾여 분산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제2대대장은 병력의 일부를 수습하여 태릉으로 철수하고 나머지 병력은 분산되어 한강 남쪽의 낙오자 수집소에 집결하게 되었다. 08시에 이르러, 제5연대 제1대대(대대장 이정도(李貞道) 소령)가 증원부대로 본자일(本自逸)쪽으로 달려왔다. 이 대대 또한 제2대대와 마찬가지로 전투태세를 갖추지 못한 채로 “자일동(自逸洞)에 가면 탄약차가 있을 것이다.”는 통보만을 받고 진출하다가 여기에서 전차대와 부딪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1대대는 고갯마루에 도착하기도 전에 적과 싸워보지도 못한 채 퇴계원방면으로 철수하고 말았다.[17] 이렇게 제2사단은 북한군을 저지하는 데에도 급급한 지경이 되자 문용채가 이끄는 제16연대(25일 청주를 떠나 26일 04:00에야 창동에 도착하였다.)를 상금오동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진출을 저지하려 하였다. 그로부터 약 1시간 후에 전차 20여 대를 앞세운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국군은 전차를 파괴할 수단이 없어 전전긍긍하였다. 다만 김진동 대위가 지휘하는 제16연대 1대대 특공대가 2.36인치 로켓포의 기습적인 집중포격으로 선두 전차 1대를 배수로에 빠지게 함으로써 잠시 동안 북한군의 진출을 지연시켰을 뿐이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 제16연대의 2개 대대는 북한군 보병부대와 한차례의 교전을 치른 후에 태릉과 호원동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12시쯤 제16연대 방어진지를 돌파한 북한군은 의정부를 향해 계속 남하하고 덕정을 점령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를 서쪽에서 협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다급한 상황 아래에서 금오리에 포진한 육군포병학교 제2교도대대장 김풍익 소장은 105mm 곡사포 1문으로 북한군 전차의 무한궤도를 파괴하였지만 제2탄을 장전하는 순간 후속 전차의 포격으로 대대장과 제2중대장 장세풍 대위 및 6번포분대원 모두가 전사하였다. 그 직후부터 북한군 전차대는 한국군의 저항이 거의 없는 가운데 13시경에 의정부 읍내로 진입하였다. 의정부 읍내에서는 철수하는 군인과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주민 및 부상병들의 인파로 대혼잡을 이루고 있었으나 한국군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러한 와중에서 제7사단·제2사단의 전술지휘소는 창동으로 철수하여 새로운 전술지휘소를 개설하게 되었다.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편집] 6월 26일 오전에 창동으로 열차이동한 제25연대(연대장 김병휘 소령)는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의정부 남쪽 교외의 백석천에 제2·3대대를 배치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은 의정부를 점령하자 곧 다음 작전을 위한 재편성과 재보급을 위해 약 4시간동안 지체하고 있었다. 북한군은 이날 17:00시에 공격을 재개하였다. 전차 20대를 앞세우고 접근하는 북한군의 위세에 불안감을 느낀 어느 병사가 오발하는 순간, 한국군 병사들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방어 진지가 북한군에게 노출되었고 얼마 되지 않는 휴대탄약은 교전한 지 2~3분 만에 바닥이 나고 말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북한군 전차대는 백석교를 속속 통과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때 다리 밑에 잠복한 2.36인치 로켓 분대장이 5번전차를 파괴시켰으나 후속전차가 발사한 포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뜻밖에 전차 1대를 잃은 북한군은 충격을 받았는지 더 이상 진격하지 않고 의정부 읍내로 되돌아갔다. 앞서 가던 전차 4대는 호원동 부근에 방어진지를 편성한 제16연대 2대대(대대장 소령 김헌)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친데다가 후속전차가 없음을 확인한 듯 약 2km를 후퇴하여 노상에서 사격태세를 갖추고 후속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편 이들 전차와 격전을 치른 제16연대 2대대는 많은 피해를 입고 분산되었고 이날 밤 백석교 우측에 배치된 제25연대 11중대장 문일수 중위는 전차 특공대를 편성, 지휘하여 노상에 정지 중이던 북한군의 전차 4대를 습격하여 그 중 2대를 파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다음날 6월 27일 새벽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제25연대는 결사적으로 싸웠으나 탄약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태릉, 능곡, 수원 등지로 분산 철수하였다. 한편 육군사관학교장 이준식 준장은 6월 25일 13:00시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생도대대와 배속된 전투경찰대대를 391번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내촌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였다. 다음날 국군은 남하하는 북한군과 격전을 치른 후 태릉으로 철수하여 제9연대(25일, 포천 전투에서 패하여 분산되면서 제1대대는 태릉 방면으로 이동하였었다.)와 더불어 불암산~태릉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미아리~태릉 방어선의 우측 일각을 담당하게 되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포천과 의정부 전선이 무너진 뒤로 그 파급영향은 거의 전 전선에 미치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좌 인접인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은 아직 임진강 방어진을 고수하고 있는데, 동측방이 무너져 그 위협으로 말미암아 철수를 강요당하는 상황에 놓이고, 태릉 정면에서도 생도대대가 적선 후방에 위치케 되는가 하면 춘천의 제6사단과 강릉의 제8사단까지도 수도 서울의 위기에 따른 전술적 및 심리적인 충격으로 작전에 혼미를 거듭하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서울 공격을 제1목표로 삼아 의정부 지역의 전과 확대를 획책하는 한편 일부의 병력을 6월 27일에 벌써 김포반도로 상륙시켜 서측방에서 위협을 가하였다. 각주[편집]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8쪽. ↑ 이하의 지휘관 명단은 모두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戰鬪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6쪽. 참조. ↑ 〈軍 어제와 오늘<30> 「북극성會」(6) “正規출신은 온실의 화초같은 애송이 “短期출신, 후배명예욕 질타”〉 《동아일보》(1993년 7월 29일) 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8쪽. ↑ 이형근은 이 명령에 따를 수 없어서 해임되었다고 회고하고 있으나, 다른 기록들과 맞지 않는다.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4~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 그는 이형근 준장의 친동생이다.)는 25일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패전하여 흩어져 버린 것이다.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9쪽.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의정부_전투&oldid=24189513"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의정부시의 역사육상 전투1950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의정부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 제1대대장 중령 김헌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한국 전쟁 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서울특별시 북쪽 17km의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 정면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과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김웅이 이끄는 북한군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구성된 공격집단의 침공을 막아 이를 격멸하고자 한 방어전이다.[1]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각각 동두천·포천을 담당)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전쟁 직전의 부대 개편과 기초훈련 실시로 인해, 2대 대대가 경비를 담당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경원 본도인 3번 도로를 비롯하여 동측의 43번과 서측의 316번이 모두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천산맥과 천보산맥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국도 제3호선(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부근에서 서전을 치르고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의정부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게 되어 이 지역은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아 피아간에 주력이 되었다.[2] 목차 1 전투 준비 1.1 한국군 1.2 북한군 2 포천 전투 2.1 제9연대의 영내 대기 2.2 제9연대 2대대의 전황 2.3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 2.4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 2.5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 2.6 제3연대의 전투참가 2.7 기타 3 동두천 전투 4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 4.1 반격 준비 4.2 동두천 탈환 실패 4.3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 4.4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 5 결과 및 영향 6 각주 전투 준비[편집] 한국군[편집] 1950년 6월에 사단으로 승격된 제7사단은 곧바로 의정부 지역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때 예하에 제1·3·9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을 합하여 총병력이 9,698명이었다. 그런데 전쟁 발발 3주전인 6월 1일로 육군본부에서 일선 명령 제43호를 하달하여 일부부대의 예·배속 관계를 조정함에 따라, 이상근이 이끄는 제3연대가 수도경비사 산하로 예속이 변경됨으로써, 동 연대의 3,050명이 사단을 떠나고, 이날부로 제 1·9 양 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 6,788명의 공력이 이 지역을 맡고 있었던 것이다. 그 뒤로 6월 13일 육본 작전명령 제79호에 의거하여 6월 15일부로 김병휘가 이끄는 제2사단 제25연대가 제7사단에 편입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동 연대는 온양에 위치한 까닭에 의정부로 이동키 위하여 준비하던 바, 주둔지로 선정된 호완리 일대가 민유지였기 때문에 그 징발문제와 막사 및 식수문제 등 일련의 사정으로 말미암아 7월 15일로 이동일자를 연기한 차에 전투에 임하게 되었고 따라서 동 연대는 전투 후에 다시 제2사단에 복귀되었다. 제7사단이 방어임무를 맡은 곳은 서쪽부터 동쪽으로 적성면~쇄역리~일동면 사직리 간의 47km에 달하는 광정면(廣正面)이었다. 그리하여 제7사단은 유재흥 준장의 지휘 하에 예비대가 없이 양 연대를 일선에 내세웠다. 즉,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는 동두천 정면인 좌 일선을,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인 우 일선을 각각 담당하였고, 38도 분계선 방어와 부대교육을 병행 실시하였다. 육군본부에서 교육각서 제 2호에 따른 교육을 실시케 함으로써일선 경비보다도 교육훈련에 더욱 치중하여, 38도 분계선 남연의 전진진지에 1/3 병력만을 배치하고 주력은 28 km 후방의 의정부 부근으로 집결시켜 대대급 이하의 기초훈련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각 연대로 하여금 1개 대대를 경계진지에 배치하고 2개 대대를 의정부 부근으로 뽑아 소정의 교육을 실시케 하되, 3개월마다 순환교대 방식으로 전술을 숙달하게 하였던 것이다.따라서 각 연대의 지휘소도 주력과 함께 모두 의정부 부근에 위치하고, 일선대대는 각각 20 km 내외의 광정면을 경비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제7사단의 동반부인 포천 지역은 윤춘근 중령이 지휘하는 제9연대가 맡아 창수면 추동리 ~ 일동면 사직리 간의 26km에 달하는 책임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는데, 본래 이 지역은 김화에서 영북면 운천리와 포천을 거쳐서 의정부에 이르는 국도 제43호선(호국로)을 중앙에 끼고 동측의 광주산맥과 서측의 천보산맥이 종으로 뻗어 장방구형을 이룬 지대로써 정상적으로는 2개 사단의 방어정면에 해당될 것이다. 이러한 전투정면을 3,400명의 병력을 보유한 제9연대가 전담하여 북한군 제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침공한 제3사단과 대결케 되었는데, 당시에 연대는 사단의 방침에 따라 1개 대대로써 일선경비를 담당하게 하고 2개 대대를 38도 분계선에서 26 km 뒤에 떨어진 양주군 의정부읍 금오리의 연대 지휘소 부근으로 뽑아 소부대 전술교육을 실시하던 상태였다. 따라서 일선경비를 맡은 대대는 전(全)정면배치가 곤란하여 통행의 요로만을 한정하여 거점방어태세를 취하였으니, 이날 제 1선에는 전순기 소령이 지휘하는 제2대대가 발발 이틀 전인 6월 23일부로 이철원이 이끄는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대대본부를 전과 다름없이 포천에 두고 송영환이 이끄는 제7중대를 오른쪽 제 1선으로 하여 국도 제43호선과 38도선이 교차하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에,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는 왼쪽 제1선으로 제7중대의 서쪽의 소로인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이 영평천에 이르는 창수면 가양리·추동리 부근에 각각 배치하는 한편 제5중대는 예비로 4 km 후방의 신북면 신평리(만세교 서쪽) 부근에 공치하였다. 이렇게 볼 때, 대대의 실 병력이 배치된 지역은 6km의 점령지대에 불과하며 그 나머지 19km에 해당하는 산록과 야지는 거의 무방비상태로 있었으며 특히 동측의 일동면 기산리 북쪽은 지방도 제387호선 연변에서 1개 분대의 수색대가 봉쇄할 뿐이었다. 그리고 박창암 중위가 이끄는 보국대대 제2중대가 전날부터 38도 분계선 북쪽의 유정리 부근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나 대대와는 유기적인 협조를 취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북한군[편집] 북한은 전쟁 발발 2주 전인 6월 10일에 평양의 민족보위성에서 비밀리에 군사지휘관회의를 개최하여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 병력의 일선전개를 꾀하였는데, 이때에 벌써 이들은 주력의 침공경로를 철원-연천-동두천-의정부 축선으로 결정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그 회의 직후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은 평강 부근에 지휘소를 개설하였다.(6월 12일) 이때에 북한군은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전개를 꾀하였다. 김웅 중장은 평강으로 나와 중서부전선의 작전을 지도하였다. 제1군단 휘하의 4개 보병사단과 1개 전투여단으로 서울 공략을 획책했다. 특히 제3·4 사단과 제105전차여단을 공격집단으로 묶어 집중적으로 의정부 정면으로 꿰뚫고자 하였다.[3] 단행된 병력의 이동상황으로 볼 때, 이른바 그들의 정예라고 하는 제3, 4 양 사단과 유일한 기갑부대인 제105기갑여단을 철원-포천군 영북면 운천리-연천 부근에 집결시켜 경원선 주변에서 공격태세를 갖추게 한 점과 전쟁 중에 입수한 노획문서 가운데 연천-의정부를 거쳐 조기에 서울을 점령한다고 밝혀진 점, 그리고 개전 이후의 부대기동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그들의 침공기도는 처음부터 주력으로써 의정부로 지향한다는 계책을 세운 것으로 추단된다. 즉, 김웅이 이끄는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하는 동시에, 동측의 김광협이 이끄는 제2군단과 서측의 제1, 6 양 사단과의 협조아래 수도 서울을 침탈 도모코자 하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당 사단의 책임 지역이 그 주목표로 부상하게 되었거니와, 이들은 다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월 18일부로 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의 명의로 된 정찰명령 제 1호를 하달하였는데, 그 개요를 보면, 소대군위 이하의 병력 배치선 까지 정찰토록 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워 특히 유개진지와 병력배치상황 그리고 장애물 지대 및 예상 집결지 등을 확인토록 하였으며, 여기에 이어 공격목표의 선정과 부대의 기동계획을 마련토록 명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정찰을 마친 그들은 6월 22일 14:00부로 전투명령 제 1호를 하달하여 23일 12:00까지 모든 공격준비를 완료토록 촉구하였다. 여기에서 놀라운 사실은 사단의 경계진지와 주진지를 빠짐없이 공격목표로 선정한 점과 포병을 비롯한 공병과 반전차포 및 항공등의 지원 아래 서울까지 일거공략 하려는 계획을 미리 밝히고 있는 점이다. 제3사단(사단장, 소장 리영호)은 포천 북쪽의 영중면 영평천 부근으로 나와, 제7연대(장, 대좌 김창봉)와 제9연대(장, 대좌 김만익)을 좌우 일선에 두고 제8연대(장, 중좌 김병종)을 예비로 보유하였으며 제3사단의 포병연대(장, 대좌 안백성)는 유정리(楡亭里) 부근에서 지원태세를 갖추었다.[4] 포천 전투[편집] 포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포천군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 제7사단장 준장(6월 26일 14.00부로 의정부지구 전투사령관)[5]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6·25 발발 직전,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 중,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에 배치되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 이로써 축석령 너머에 있는 의정부는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제9연대의 영내 대기[편집] 다행히도 제9연대의 전 장병이 영내대기 상태에 있었으니, 이는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전날 사단으로부터 “재량에 따라 주말외출을 실시토록 하라”는 통보를 받고, 오랫동안의 긴장 속에서 대기한 바 있는 병사들에게 외출과 외박을 허용할까 생각하다가 당면의 적정이 수상한 까닭으로 영내에서 휴무하도록 조치하였던 것이다. 그는 뒤에 당시를 회고하며 술회하기를, “오랜만의 외출이라 처음에는, 38선의 경비를 담당하는 제2대대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하려고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적정이 심상치 않았다. 일주일 전부터 철원에 기갑부대가 나타났다는 첩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의 정규군이 38경비대와 교대하였다는 소문이 떠돌고, 6월 23일 밤에는 제2대대장으로부터 영북면 운천리에서 차량대열이 유정리로 이동한다는 보고에 이어 바로 영평천 부근에 전차가 나타났다고 속보되는 등, 모든 면에서 평상시와 달랐다. 그래서 제 1, 3 양 대대의 병사들의 외출준비를 마쳤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일단 중지시키고 이상이 없으면 6월 25일 주간에 시행토록 하자고 하였더니 대대장들도 내 뜻에 따라 모두 영내에 남았으며 나도 감기로 미열이 있었지만 청량리 숙소에 전화연락만을 하고 영내에서 대기하였다”고 하니, 일선 지휘관의 심회를 헤아리고 남음이 있다. 이 같은 조치로 연대의 주력은 금오리에서 대기하고 제2대대는 더욱 경계를 엄히 하던 바, 이날 새벽에 북한군 제3사단은 대좌 김창봉이 이끄는 제7연대를 선봉으로 삼아 제 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일시에 엄습하니, 돌연 포천 정면의 38도 분계선 연변이 불길에 휩싸였다. 제9연대 2대대의 전황[편집]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 대대본부 포천읍)는 3개월마다 상호 교대하는 방식으로 일선 경계임무를 수행케 하는 연대의 방침에 따라 6월 23일부로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기설 진지를 점령하였는데, 이때에 대대장은 제6, 7 양 중대를 제일선에 배치하기에 앞서 “근간에 적의 동향이 심상치 아니하니 경계를 철저히 하고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진지를 더욱 보강하라”고 강조함과 아울러 중화기중대의 기관총 소대를 분할하여 각각 1개소대(기관총 1개반과 81mm 박격포 2문)씩 배속시켰다. 그런데 이날 03:40을 전후하여 공격준비사격을 시작한 북한군은 미리 대대의 병력 배치상황을 탐색한 듯 경계진지만을 골라 포격을 집중하였으니, 오른쪽 제1선인 송영석이 이끄는 제7중대지역에서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와 그 서쪽의 287고지 북쪽에 포화가 집중하고, 왼쪽 제1선인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 지역에는 창수면 가양리-주원리-추하리 일원을 초연으로 뒤덮어 마치 산 전체를 무너뜨릴 듯하였다. 제7중대 정면에는 영중교(일명, 삼팔교)를 넘어선 3대의 전차가 양문교 부근까지 침습하여 포구를 동남쪽을 지향하고 동 중대 제1소대의 진지를 강타하는가 하면 바로 그 서쪽의 희악사 부근에서 수 미상의 적이 측후방으로 침공하여 단숨에 이 소대진지를 삼키고자 하였다. 이때에 동 소대는 소대장이 공석이므로 선임하사가 지휘하여 양문리 남쪽 500m에 있는 무명능선 서단에 배치한 기관총 소대와 함께 이 요선을 지키고 있었는데, 의외의 강습을 받게 되자 가능한 모든 화력을 활용하여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으나 교전 30분 동안에 이미 과반수의 병력을 잃고 어둠속에 분산되고 말았다. 한편 왼쪽 제1선인 제6중대는 성일영 소위가 지휘하는 제 3소대가 추동리에서 한차례 고전을 벌인데 이어, 가양리 장자동으로 집결한 중대의 주력이 그 서남쪽 삼차로를 막아 287고지에 연한 방어진지를 급편 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또한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을 따라 침공한 전차대의 강습으로 말미암아 대동소이한 양상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이리하여 북한군의 전차대가 그 남쪽 2km의 장승거리 삼거리를 넘어서자 제6중대는 분산병력을 수습하여 무이산(포천읍 북쪽 7 km)쪽으로 전진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대대본부와 통신이 두절되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채로 신북면 삼성당리 계곡을 따라 포천읍 쪽으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7, 6 양 중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에 38선에서 12 km 후방인 포천읍에 위치한 대대본부에서는 대대장 전순기 소령이 일선의 위급한 전황을 제9연대장(윤춘근 중령)에게 보고함과 아울러 병력 증원과 특히 대전차 화기의 지원을 요청한 다음 제8중대장 박기순 중위를 대동하고 영중면 소재 만세교 초소로 올라갔다. 그리하여 06:00에 여기에 도착한 대대장은 곧 예비인 제5중대로써 만세교 북측의 좌우측방의 160고지와 208고지에 연한 저지 진지를 급편하게 하여 연대의 주력이 진출할 때까지 지연전을 펴기로 하였는데, 이때에 북한군은 양문교를 넘어 만세교 쪽으로 지향하고 있었으니,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주력으로써 침공하리라고 판단한 대대장의 예견은 적중하였으나, 소총만을 들고 능선을 지키는 병사로서는 이 기계화 부대를 감당키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이다.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편집]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첫 보고를 받은 것은 4시 30분이었는데 그는 대대장의 유선보고를 받는 순간 근래에 야기된 일련의 사건이 연상되어 이것이 곧 북한군의 대규모 공격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사실을 사단에 보고하는 한편 연대비상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의정부읍 금오리에 대기 중인 제 1, 3 양 대대로 하여금 “천계산(424고지)-가랑산(350고지)간의 주진지를 점령하여 기정방침에 따라 적을 저지, 격멸토록 하라”고 명령하는 동시에 제2대대장 전순기 소령에게 현 위치에서 최대한의 지연전을 펴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양 대대가 출동태세를 갖추는 동안에, 허현 대위가 지휘하는 57mm 대전차포 중대로 하여금 만세교로 직행하여 전차대의 예봉을 격쇄토록 조치함과 아울러 2.36인치 로켓포 12문을 모아 역시 만세교 부근의 요선을 지키도록 후속, 급파하였다. 4시간 동안을 홀로 고군분투한 제2대대는 일선 분산병력의 수습에 힘쓰며 북만세선의 진지를 지키고 있었는데 08:00를 전후하여 다시 침습하기 시작한 북한군이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밀고 내려왔다. 그런데 이들은 진지공격 보다도 급속진출을 위주로 삼아 열의 전차를 앞세우고 밀려들자, 208고지 북쪽 기슭의 이학봉이 이끄는 제5중대 2소대 진지에서 기관총 측사화력으로 집중타를 가하니, 선두전차가 만세교 북쪽 300m 거리에서 일단 멈추어 서면서 포구를 돌려 동 진지를 반격하였다. 이로부터 중대는 가용한 모든 화력으로 북한군의 전차에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실탄만 소진케 되었는데, 바로 이때에 연대에서 급파한 대전차포 중대(-)가 만세교에 다다랐다. 이리하여 진전 50m 까지 적을 유도한 동 중대(-)는 선두차를 명중시키고 함성을 지르며 기뻐하였으나 그것은 일순뿐으로 파괴된 줄 알았던 전차는 오히려 진지에 포격을 연발하며 계속 진전으로 육박하는 것이었다. 이에 좌측포가 다시 수 발을 더 명중시켰으나 아랑곳없이 목전에 당도하니, 겁난 병사들이 조준경만을 빼어들고 신북면 신평리(포천 북쪽 5 km)쪽으로 급히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반면에 적은 위세를 돋우어 저지선을 돌파한 다음 다시 탄장선으로 침공하니, 이때가 09:40으로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은 2시간을 채 지나지 못하였으며 제2대대 5중대의 장병들은 구릉에서 이를 방관하는 형상이 되고 말았다.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편집] 북한군 제3사단은 이날 새벽에 38도 분계선을 돌파하여 10 km 남쪽의 만세교 부근까지 돌입한 연후에 일단 멈추어 전열을 정비하는 듯하더니, 이윽고 10:30을 기하여 재공격에 나섰다. 이번에는 김창봉 대좌가 이끄는 제7연대로써 43번 도로를 따라 정면공격을 꾀하는 한편, 김만익 대좌가 이끄는 제9연대를 서측의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포천로)로 우회시켜 일격에 포천을 확보하고자 기도한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이들은 본도상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안백성 대좌가 이끄는 포병부대화력을 여기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계화 부대를 선봉으로 삼아 연대 주저항선의 중앙지대를 돌관하여 장차 크게 공위코자 한 것으로 추단되었다. 그런데 연대(-)는 병력의 부족으로 43번 도로 양 측방의 천계산과 가랑산에 진지를 선정함으로써 서 측방이 공백상태로 남은 데다 대포병 장비나 대전차 화기가 없으니, 이 싸움은 처음부터 그 귀추 여부를 헤아릴 수 있었다.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편집] 일진광풍이 지난 뒤로 연대(-)의 장병들은 후속 도보부대만은 기필코 격멸키로 다짐하고 현 진지를 고수하던 바, 기계화 부대가 지난 1시간 뒤에 이윽고 북한군의 보병이 침공하였다. 이들은 연대 주력의 배치선을 탐지한 듯 먼저 포격을 가하였는데, 120mm 박격포를 비롯한 122mm 유탄포와 76mm 야포 등 곡사화력으로써 특히 제1대대의 진지인 천계산 서쪽에 집중포격을 가한 다음 43번 도로를 따라 2열종대로 열을 지어 거침없이 밀려들었다. 이러는 사이에 북한군의 선두가 신북대교를 넘어서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제3대대와는 통신마저 두절되어 정황을 파악할 수가 없었으며, 제 1대대도 이날 세 차례에 걸친 대결 끝에 42명이 전사하고 80명이 부상하게 된 데다 휴대한 탄약을 모두 소모하고 보니 전의가 떨어져, 보다 적극적인 방어책을 취하지 못한 채로 현 진지를 지키고 있을 따름이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진지 공격보다도 남하진출에 주안한 듯 전차의 엄호 하에 주력으로써 신북대교를 통과하니, 이때가 14:00로서 3시간 동안에 걸친 분투도 보람 없이 끝내 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러나 제3대대와는 통신이 두절되어 끝내 연락을 취하지 못한 채로 연대본부는 제1대대와 함께 철수하기에 이르렀고 명령을 받지 못한 제3대대는 남은 병력으로 가랑산의 진지를 계속 지키고 있다가 이날 밤에 단독으로 철수하여, 왕방산 기슭을 따라 회암령을 넘은 다음 동두천 가도의 양주 덕정리 부근으로 빠지게 되었는데, 전진 중에 대부분이 낙오되어 다음날 아침에 옥정리로 집결한 병력이 10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 뒤로 이 병력은 [대한민국 7보병사단|[제7사단]] 제1연대와 합세하여 의정부로 후퇴하다가 천보산 북쪽에서 다시 분산되어 그 일부만이 우이동으로 집결하게 되는 바, 그 과정은 제1연대의 반격상황에서 약술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연대는 포천 정면에서 북한군 제3사단과 대결 끝에 중과부적으로 분산되어 전투력을 거의 상실하고 제1대대만이 태릉으로 집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제3연대의 전투참가[편집] 포천 정면에서 제9연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인 이날 정오에 사단에서는 제 5포병대대(-)만을 증파하고 후속 예비 병력이 없어 기울어지는 전황을 지켜보던 바, 육군본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대령 이종찬 예하의 이상근 중령이 이끄는 제3연대를 급파하였다. 이 당시에는 이미 제9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져 북한군의 보병부대가 탄장을 통과한지 1시간이 지나고 기계화 부대가 이보다 3시간 전에 포천에 돌입하였던 것이니, 이제 공격의 화살이 곧 목전에 다다른 급황 이었다. 그러나 사단장으로부터 탄장으로 직행하라는 명령을 받은 제3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적정을 확인키 위하여 수색소대장 김철순 중위로 하여금 소대병력을 지휘하여 포천까지 위력정찰토록 지시하고 자신은 주위의 지형을 살피던 바, 15:30에 이르러 수색소대장으로부터 어룡동부근에 북한군의 전차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입수되자 곧 주력을 반전시켜 3 km 후방인 송우리에서 급편방어 태세를 취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송우교를 중심으로 좌우 측방에 각각 2개 중대씩 배치하는 한편 이봉근 중위가 지휘하는 혼성 제11중대로 하여금 국도 제43호선을 포함한 중앙지대를 담당케 하여 진지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때에 마침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현지에 당도하자, 그에게 동측의 2개 중대를 지휘케 하고 제3대대장 김붕상 소령은 제11중대를 포함한 서측의 3개 중대를 맡아, 양 대대로써 방어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장송우 북쪽의 134고지에 연대 관측소를 설정하여 제3대대장과 함께 그 고지로 올라가 본대를 장악하고, 57mm 대전차포 2문을 그 동측의 노변에 배치하였으며, 연대 통신대장 김성규 중위와 제1대대의 통신소대장 김덕수 소위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 대결 태세를 취하였다. 양 대대는 혼성병력을 재조정 하면서 계속 진지를 구축하던 바, 17:00을 전후하여 북한군의 포격이 격렬하게 불을 뿜고 또한 이와 때를 같이하여 심한 소나기가 쏟아졌다. 이때에 양 대대는 개인호의 경우, 2/3 정도 굴착하였을 무렵이었는데, 이같이 포격이 격증하자 진전을 살펴보니, 2,000m 직전방의 도로상에 1단의 기계화 부대가 나타났다. 이들은 마치 나무단을 쌓아올린 우마차 대열과 같이 짙은 위장을 하고 남진을 계속하는데 어느 덧 그 선두가 선단리를 지나 1,500m 전방으로 다가섰다. 이에 양 대대의 진지에서 일제히 사격을 시작하였는데, 특히 연대의 중화기가 집결된 제12중대는 중대장 대리인 김현경 중위가 직접 진두지휘하여, 『거리 1,300』을 불러 81mm박격포 1개 반의 포화를 유도하는가 하면, 동 소대장 최소위는 다른 1개 반을 맡아 포수 진삼섭 일등 중사에게 고폭탄을 쏘라고 외치고 다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동 중대의 기관총 사수 이재철 하사는 장송우 부근에서 기관총을 휘두르는 등 중화기 화력을 퍼부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소총 중대도 60mm 박격포와 각종소총으로 동시 집중 사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 기계화 부대는 아랑곳없이 계속 차전으로 밀려들더니, 선두에선 2대의 전차가 장승거리 부근에 멈추어서면서 제3대대의 관측소에 포격을 가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8대의 전차가 이에 가세하여 포격과 기총으로 양 대대의 진지를 위압하는데, 특히 중화기 진지에는 포격이 심하여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때에 57mm 대전차포가 불을 뿜어 장승거리 부근에 버티고 선전차에 일격을 가하고, 또한 이봉근이 이끄는 제11중대의 화기소대장 이정선 소위가 이끄는 2.36인치 로켓포의 직격탄으로 철갑을 명중시켰으나 이 역시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북한군의 역사화력에 무너지고 말았다. 이로부터 북한군의 전차대가 송우리의 방어진을 돌파하게 되자, 후속 보병만이라도 격멸코자 하였으나, 잇따른 후속종대는 보병뿐만 아니라 전차와 자주포를 비롯한 각종차량이 장사진을 이루어 밀려드니, 더 이상 항거의 수단을 잃고 말았다.조재준이 이끄는 제3중대의 제3소대장 김학석 소위는 여기에서 159여 대의 각종 차량을 헤아렸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는 701호를 표식한 전차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전황이 급전하여 당면한 대책이 화급한데 아무도 다음 행동을 지시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러는 사이에 어느덧 18:30에 이르러 적의 보전협동부대가 침공하자 양 대대의 진지가 무너져 동서 양 측방으로 분산 상태에 이르고 말았다. 그 뒤로 연대(-)는 각 대대장의 단독결정에 따라 철수케 되었는데, 대체로 제1대대는 43번 도로 동측에서, 제3대대는 그 서측에서 각각 퇴로를 모색케 되었으나 병력이 크게 분산되어 이 과정에서 대부분이 본대와 이탈하여 의정부를 목표로 전진케 되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이날 밤 20:00까지 이동교리 축석령에서 수용한 혼합병력이 150명밖에 되지 않아, 21:00에 다시 이곳을 떠나 의정부읍 금오리 남쪽의 155고지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3연대의 소흘면 송우리 전선이 무너짐으로써 이제 포천 지역은 북한군의 독무대로 화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의정부 동북쪽의 방비가 급박한 상황에 이르렀다. 기타[편집] 채병덕 참모총장의 명령에 따라, 육사교도대 생도 1기(262명) 및 2기(227명)가 전투부대를 편성하여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다.(6월 25일 오후)[6] 동두천 전투[편집] 1950년 11월에 벌어진 전투에 대해서는 제2차 동두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이담면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리권무(李權武)가 이끄는 북한군 제4사단은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哨城里),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兩遠里),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積岩里) 일대에 맹렬한 공격준비사격을 집중한 후 전곡-동두천 간 국도 제3호선 평화로 구간에 보, 전(步戰) 협동부대로 편성된 부공을 투입하고 그 서쪽의 적암리-양주시 은현면 봉암리(鳳岩里) 접근로(지방도 제375호선)에 조공을 투입하여 병진공격을 개시하였다. 조선인민군은 38도 분계선 일대의 국군 진지가 거의 무개호이며 배치된 병력도 1개 초소 당 분대나 소대규모인 것을 지상관측으로 확인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단 내의 가용한 모든 화력을 총동원하여 30여 분간이나 국도 제3호선과 그 주변을 맹타하였는데 포격으로 인한 도로파괴가 그들 공격부대의 기동에 제한이 된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포격이었다. 이는 당시 북한군의 정보수집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음을 입증해 주는 전투행동이었으며, 표적의 성질과 기동로의 상태 및 적정을 감안하지 않고 계획된 공격준비사격을 기계적으로 실시한 사실은 소련 군사고문단에 의해 공격명령이 작성되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었다. 이때 의정부에 전투력의 대부분을 주둔시키고 있던 제7사단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고 외출과 외박자의 비상소집, 출동준비, 수송장비의 징발, 철도수송을 위한 협조 등 혼란의 와중에서 아군은 점차 침착하게 긴박한 사태를 수습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함준호(咸俊鎬)가 이끄는 제1연대는 비상출동대기부대인 제3중대를 비상발령과 동시에 초성리 남쪽 176고지로 진출시켰다. 이곳에서 제3중대는, 전차 2대를 앞세우고 전술행군종대로 남하중인 1개 대대규모의 적을 기습하여 격퇴시키고 소요산에 위치하고 있던 이끄는 제2대대장 소령 이의명(李義明)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 이때부터 소요산에서는 밀고 밀리는 치열한 육박전이 펼쳐졌으며 제2대대는 11시가 넘도록 소요산 진지를 사수하고 있었다. 이처럼 소요산에서 한국군이 넓은 방어 지대를 지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대대장 이하 전 장병들이 불타는 투지와 북한군의 강력한 포화에도 유선 통신망이 절단되지 않아 지휘 체계가 유지되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제2대대가 소요산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제1연대는 제1대대(대대장 김봉룡(金鳳龍) 대위)를 마차산에 투입하고 뒤를 이어 김황목(金煌穆)이 이끄는 제3대대를 봉암리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1대대가 마차산의 방어진지를 점령하였을 무렵에는 북한군이 이미 이 고지를 우회하여 전곡읍 간파리(干坡里)방향으로 남하 중에 있었다. 따라서 제1대대는 마차산 정상에서 소요산의 교전상황을 구경하는 처지가 되었으나 대대를 지휘하던 김봉룡(金鳳龍) 대위는 상황변화에 따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다만 연대에서 어떠한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또한 제3대대에 배치된 봉암리에도 북한군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제1연대는 그와 같은 긴박한 상황 하에서 2개 대대를 유휴병력으로 대기시킨 채 시간만 허송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제1연대를 직접 지원하던 제5야전포병대대 제2중대는 주저항선 남쪽 보산리(保山里) 부근에 준비된 진지를 점령한 지 얼마 후에, 밀집대형으로 남하하는 북한군의 1개 대대를 집중포격하여 대부분을 격멸하는 수훈을 세웠다. 하지만 그로부터 몇 시간이 지난 후 패주했던 북한군은 전차를 앞세우고 공격을 재개하였다. 이때 제1연대 57mm 전차포 중대장은 창말고개(동두천 북쪽 2 km 지점)에서 선두 전차 2대의 측면을 사격하여 모두 파괴하였고 이에 당황한 북한군은 다시 초성리 쪽으로 철수해 버렸다. 이러한 승리의 쾌보가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거쳐 방송되는 과정에서 국군의 반격이 개시되었다고 비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 제1연대는 탄약이 떨어져 재보급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으나 보급사정이 풀릴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한군 제4사단은 이날 15시를 전후하여 제107전차연대를 선봉에 내세우고 동두천을 맹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맞선 제2대대는 10시간 동안이나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였으나 마침내 동두천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북한군은 한국군의 주저항선을 돌파한 여세를 몰아 일몰과 더불어 동두천 시내로 진입하였고 한국군 제1연대 제2대대는 어둠 속에서 시가전을 펼쳤으나 역부족하여 양주 덕정리로 철수하여 집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다.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편집]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李亨根)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朴基成)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李貞道)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車甲俊)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文容彩)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兪義濬) 제1대대장 중령 김헌(金憲)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 총참모장 채병덕은 26일 01시, 제7사단은 동두천 방면으로, 새로 투입된 제2사단은 포천 방면으로 진격하여 각각 전날 북한군에 빼앗긴 이곳들을 탈환하라는 작전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에 대해서 제2사단장 등은 무모한 작전이라고 반발하기도 하였다. 명령에 따라, 제7사단은 전날 동두천에서 패퇴한 제1연대에게 동두천을 공격토록 하고, 새로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을 서쪽으로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로 반격을 개시하였다(8시). 이때, 동두천에 주둔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 전면공격을 피하고, 서쪽으로 우회한 은현로 방면으로 내려오려 하였으므로, 1연대는 동두천 읍내와 북쪽 5km의 소요산까지 진출한 반면, 18연대는 우회하던 북한군 제4사단과 조우하였고, 북한군은 동두천 남쪽 7km의 덕정의 좌우측을 협공하였다. 이로써 1연대는 퇴로가 차단되어 병력이 분산되어 버렸다. 반격 준비[편집] 본부가 대전에 소재하고 있던 제2사단(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개전 당일 내려진 명령에 따라, 우선 가용병력인 1개 대대를 이끌고 25일 밤에 의정부로 당도해 있었다.[7] 나머지 병력들은 26일에 올라올 예정이었다.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제7사단 사령부(사단장 유재흥 준장)를 2회 시찰하였다. 제7사단은 전날에 과반수의 병력을 손실한데다 잔병이 분산상태에 있고, 제2사단은 당장 가용병력이 1개 대대 밖에 없으니 병력과 장비의 우열도 문제이지만 보다 화급한 요건은 후방의 예비사단이 현지에 진출하여 전투전개를 할 수 있는 시간 문제였다. 그리하여 그는 시찰 후, 재경(在京)부대를 의정부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동시에 후방 3개 사단을 서울로 이동시키도록 조치하였다. 6월 26일 01:00에 7사단 사령부를 다시 시찰한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의정부를 고수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반격명령을 하달하였다. 제2사단장 이형근 등 군 지도층의 일각에서는, 반격작전을 전개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병력을 축차로 투입하느니 보다 주력이 도착한 후에 전투력을 집중 운용해야 한다는 것, 북상중인 예비사단(제2사단 등)을 한강 남안으로 집결시켜 방어가 유리한 한강선 방어진을 구축함과 아울러 일선 분산병력을 수습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력히 건의하였다. 그러나 채병덕 등 수뇌부는 정치적인 의의와 심리적 영향을 배려한 전략면에서 수도 서울의 포기는 있을 수 없다고 강경하게 맞섰다. 채총장은 무조건 반격으로 전환하라고 엄명하고 북한군 전차는 육탄공격으로 파괴하라고 강조하였다.[8][9] 이에 따라 6월 26일 아침부터, 전날 의정부로 후퇴한 제7사단은 동두천을 목표로 반격을 감행하게 되었으며, 제2사단은 축석령을 경유하여 포천을 목표로 반격하였다. 결국, 6월 25일~26일 사이에 의정부 지구에 투입된 증원부대는 1개 경찰대대를 포함해 총 15개 대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부대들은 건제를 고려하지 않고 축차적으로 투입되었다. 더욱이 탄약을 위시한 각종 보급지원이 뒤따르지 못했으며, 유·무선 통신망이 구성되지 않아 횡적 연락과 협조는 고사하고 상하급 제대간에도 통신이 소통되지 않아 전투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다. 동두천 탈환 실패[편집] 제7사단은 전날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던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 및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분산되었으므로 가용병력은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 예하 제2·3대대(제2대대는 전날 동두천 전투를 치르고 덕정리로 후퇴하였었고, 제3대대는 봉암리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북한군과 조우하지 않았었다.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었다.)와 제3연대 제2대대(제1대대 및 제3대대는 포천 전투 이후 크게 흩어져 버렸다.) 및 전날 제7사단에 새로 배속된 제18연대(연대장 임충식 중령) 예하 2개 대대(제2·3대대)를 합쳐 모두 5개 대대였지만, 실제 병력은 증강된 1개 연대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제7사단은 제1연대로 하여금 의정부에서 곧장 동두천으로 뻗은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을 공격하게 하는 한편,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에서 서쪽으로 7 km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를 공격토록 하였다. 한국군 제7사단은 수색정찰이나 관측을 통한 적정수집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적정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이 무렵 제7사단과 대치한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에서 공격을 위한 재편성을 완료하고 공격개시 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즉 북한군 또한 한국군의 반격과 거의 같은 시각에 의정부를 탈취하기 위한 공격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북한군은 한국군이 국도 제3호선 평화로를 강력히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두천~덕정리~의정부로 이어진 국도 제3호선을 피하여 그 서쪽으로 5 km 우회한 봉암리~덕정리 간 은현로·화합로에 주공(主攻)을 투입하여 기습효과를 노리고 있었다. 한국군의 주공(主攻)인 우일선의 제1연대는 6월 26일 08:0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적의 저항이 전혀 없는 가운데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읍내와 그곳부터 북쪽으로 5 km 나아가 소요산까지 진출하였다. 조공(助攻)인 제18연대는 제1연대보다 2시간이 늦은 6월 26일 1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서북진하다가,[10] 이날 12시경에 화합로변의 은현초등학교 부근을 지날 무렵, 방어로 전환할 것을 명령받았는데, 이는 적의 계속적인 압력으로 의정부가 위협받게 되자 사단장이 취한 조치였다.[11] 이에 따라, 제18연대는 용암리 도락산 북쪽 기슭의 감제고지에 급편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중(13시)[12] 적의 기갑부대가 화합로를 따라 덕정으로 접근 중이었으나 연대는 북한군을 그냥 통과시켰다. 이는 엄청난 전투력의 전차를 직시한 임충식 연대장이 무모한 대결을 회피하고 후속하는 적 보병과의 일전에 대비하여 아군의 배치상태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 봉암리 부근에서 강력한 북한군과 조우하여 분산되고 말았다. 그 얼마 후에 북한군이 동두천에서 남쪽으로 7km의 덕정을 좌우측에서 협공하였으므로 제7사단은 부득이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제7사단이 반격을 전개한 자체가 무모한 작전행동이었다. 제1연대는 반격 중에 적의 강력한 공격에 봉착하여 퇴로가 차단됨으로써 소대, 또는 중대단위로 흩어져 추후 우이동·창동·태릉 방면으로 분산 철수하였다. 또한 이날 저녁까지 마차산에서 연대로부터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제1대대는 어두어진 후에 마차산에서 철수하였으나 끝내 대대 지휘체제가 와해되고 병력은 사방으로 흩어져 창동, 태릉 등지로 분산되었다. 한편 한 제18연대는 그러나 북한군 보병부대는 나타나지 않고 제7사단 본부로부터 이날 밤중까지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한 임충식 연대장은 의정부가 적에게 점령되었다고 판단하고 의정부와 반대편인 서쪽으로 철수를 개시하여 고양군 신도면 삼송리를 경유 28일에 행주나루터에서 한강을 도하한 후 소사·오류동 지역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다.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편집] 26일 01.00에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반격명령을 받은 제2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금오리의 지휘소로 돌아와, 북상 중인 사단의 주력(제5, 제16, 제25연대)이 따라 올라오기를 고대하면서 우선 제5연대의 제2대대장 차갑준 소령에게 총참모장의 명령대로 축석령 북쪽에 있는 적의 전차를 기습하여 파괴토록 지시하였는데, 이것은 반격이라기 보다는 대전차 특수임무부대와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13] 이리하여 26일 03:00, 제5연대 제2대대는 반격을 개시하였다. 2개 대대병력으로는 포천탈환이 어려우므로 축석령을 방어하고 있을 제3연대를 초월 공격하겠다는 것이 사단장의 작전구상이었으나 이는 너무 성급한 반격이었다. 이 무렵 제 3연대는 이미 분산되었는데[14] 제 2·7사단장은 그러한 사실을 모른 채 작전구상을 함으로써 제 2사단의 반격작전은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작전이 되고 말았다.[15] 사단 참모장 최창언 중령이 이끄는 제5연대는 제2대대를 선발대로 먼저 축석령으로 진출시켰으나 제3연대는 그곳에 없었다. 이윽고 자욱한 안개 속에서 전차의 굉음이 들리더니 북한군 기갑부대가 차갑준이 이끄는 제2대대 진전에 나타났다.[16] 이에 제5연대 제2대대 장병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교전한 지 10분도 못 되어 탄약이 떨어지고 투지마저 꺾여 분산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제2대대장은 병력의 일부를 수습하여 태릉으로 철수하고 나머지 병력은 분산되어 한강 남쪽의 낙오자 수집소에 집결하게 되었다. 08시에 이르러, 제5연대 제1대대(대대장 이정도(李貞道) 소령)가 증원부대로 본자일(本自逸)쪽으로 달려왔다. 이 대대 또한 제2대대와 마찬가지로 전투태세를 갖추지 못한 채로 “자일동(自逸洞)에 가면 탄약차가 있을 것이다.”는 통보만을 받고 진출하다가 여기에서 전차대와 부딪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1대대는 고갯마루에 도착하기도 전에 적과 싸워보지도 못한 채 퇴계원방면으로 철수하고 말았다.[17] 이렇게 제2사단은 북한군을 저지하는 데에도 급급한 지경이 되자 문용채가 이끄는 제16연대(25일 청주를 떠나 26일 04:00에야 창동에 도착하였다.)를 상금오동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진출을 저지하려 하였다. 그로부터 약 1시간 후에 전차 20여 대를 앞세운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국군은 전차를 파괴할 수단이 없어 전전긍긍하였다. 다만 김진동 대위가 지휘하는 제16연대 1대대 특공대가 2.36인치 로켓포의 기습적인 집중포격으로 선두 전차 1대를 배수로에 빠지게 함으로써 잠시 동안 북한군의 진출을 지연시켰을 뿐이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 제16연대의 2개 대대는 북한군 보병부대와 한차례의 교전을 치른 후에 태릉과 호원동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12시쯤 제16연대 방어진지를 돌파한 북한군은 의정부를 향해 계속 남하하고 덕정을 점령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를 서쪽에서 협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다급한 상황 아래에서 금오리에 포진한 육군포병학교 제2교도대대장 김풍익 소장은 105mm 곡사포 1문으로 북한군 전차의 무한궤도를 파괴하였지만 제2탄을 장전하는 순간 후속 전차의 포격으로 대대장과 제2중대장 장세풍 대위 및 6번포분대원 모두가 전사하였다. 그 직후부터 북한군 전차대는 한국군의 저항이 거의 없는 가운데 13시경에 의정부 읍내로 진입하였다. 의정부 읍내에서는 철수하는 군인과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주민 및 부상병들의 인파로 대혼잡을 이루고 있었으나 한국군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러한 와중에서 제7사단·제2사단의 전술지휘소는 창동으로 철수하여 새로운 전술지휘소를 개설하게 되었다.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편집] 6월 26일 오전에 창동으로 열차이동한 제25연대(연대장 김병휘 소령)는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의정부 남쪽 교외의 백석천에 제2·3대대를 배치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은 의정부를 점령하자 곧 다음 작전을 위한 재편성과 재보급을 위해 약 4시간동안 지체하고 있었다. 북한군은 이날 17:00시에 공격을 재개하였다. 전차 20대를 앞세우고 접근하는 북한군의 위세에 불안감을 느낀 어느 병사가 오발하는 순간, 한국군 병사들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방어 진지가 북한군에게 노출되었고 얼마 되지 않는 휴대탄약은 교전한 지 2~3분 만에 바닥이 나고 말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북한군 전차대는 백석교를 속속 통과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때 다리 밑에 잠복한 2.36인치 로켓 분대장이 5번전차를 파괴시켰으나 후속전차가 발사한 포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뜻밖에 전차 1대를 잃은 북한군은 충격을 받았는지 더 이상 진격하지 않고 의정부 읍내로 되돌아갔다. 앞서 가던 전차 4대는 호원동 부근에 방어진지를 편성한 제16연대 2대대(대대장 소령 김헌)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친데다가 후속전차가 없음을 확인한 듯 약 2km를 후퇴하여 노상에서 사격태세를 갖추고 후속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편 이들 전차와 격전을 치른 제16연대 2대대는 많은 피해를 입고 분산되었고 이날 밤 백석교 우측에 배치된 제25연대 11중대장 문일수 중위는 전차 특공대를 편성, 지휘하여 노상에 정지 중이던 북한군의 전차 4대를 습격하여 그 중 2대를 파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다음날 6월 27일 새벽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제25연대는 결사적으로 싸웠으나 탄약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태릉, 능곡, 수원 등지로 분산 철수하였다. 한편 육군사관학교장 이준식 준장은 6월 25일 13:00시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생도대대와 배속된 전투경찰대대를 391번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내촌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였다. 다음날 국군은 남하하는 북한군과 격전을 치른 후 태릉으로 철수하여 제9연대(25일, 포천 전투에서 패하여 분산되면서 제1대대는 태릉 방면으로 이동하였었다.)와 더불어 불암산~태릉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미아리~태릉 방어선의 우측 일각을 담당하게 되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포천과 의정부 전선이 무너진 뒤로 그 파급영향은 거의 전 전선에 미치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좌 인접인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은 아직 임진강 방어진을 고수하고 있는데, 동측방이 무너져 그 위협으로 말미암아 철수를 강요당하는 상황에 놓이고, 태릉 정면에서도 생도대대가 적선 후방에 위치케 되는가 하면 춘천의 제6사단과 강릉의 제8사단까지도 수도 서울의 위기에 따른 전술적 및 심리적인 충격으로 작전에 혼미를 거듭하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서울 공격을 제1목표로 삼아 의정부 지역의 전과 확대를 획책하는 한편 일부의 병력을 6월 27일에 벌써 김포반도로 상륙시켜 서측방에서 위협을 가하였다. 각주[편집]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8쪽. ↑ 이하의 지휘관 명단은 모두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戰鬪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6쪽. 참조. ↑ 〈軍 어제와 오늘<30> 「북극성會」(6) “正規출신은 온실의 화초같은 애송이 “短期출신, 후배명예욕 질타”〉 《동아일보》(1993년 7월 29일) 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8쪽. ↑ 이형근은 이 명령에 따를 수 없어서 해임되었다고 회고하고 있으나, 다른 기록들과 맞지 않는다.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4~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 그는 이형근 준장의 친동생이다.)는 25일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패전하여 흩어져 버린 것이다.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9쪽.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의정부_전투&oldid=24189513"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의정부시의 역사육상 전투1950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LATAM 브라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ATAM 브라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AM 항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ATAM 브라질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JJ TAM TAM 창립일 1961년 허브 공항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거점 도시 미니스토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상파울루 콩고냐스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산투스 두몬트 공항 아폰소페냐 국제공항 데푸타도 루이스 에두아르두 마젤란 국제공항 에두아르두 고메시 국제공항 탕크레두 네비스 국제공항 살가도 필류 국제공항 힐클리오 루즈 국제공항 핀토 마틴스 국제공항 헤시피 공항 동맹체 원월드 상용고객우대제도 Fidelidade VIP 라운지 VIP Lounge 보유 항공기 164 취항지 수 69 슬로건 Paixão por voar e servir 본사 브라질 상파울루 핵심 인물 Marco Bologna (CEO) 모기업 LATAM 항공 그룹 자회사 LATAM 카고 브라질 LATAM 파라과이 웹사이트 https://www.latam.com/pt_br/ LATAM 브라질(영어: LATAM Brasil, 포르투갈어: LATAM Brasil)은 브라질의 상파울루에 거점을 둔 항공사로, 브라질의 최대 항공사로 남아메리카의 대형 항공사들 중 하나이며,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원월드 항공 동맹의 일원에 속하기도 한다. 허브 공항으로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이 있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자회사 4.1 LATAM 파라과이 4.2 PLA 항공 5 사건 및 사고 6 각주 7 사진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61년 마릴리아 에어택시(포르투갈어: Táxi Aéreo Marília)로 설립해 같은 해 2월 21일에 취항을 시작했다. 1964년 회사의 지분을 농업 비즈니스 사업가가 절반 인수했다. 1966년 본사를 상파울루로 이전했다. 1981년 연간 여객 100만명을 달성하고 이듬해 1982년에 여객 수 200만명을 달성했다. 1986년 8월 재정의 압력으로 인해 브라질 증권 거래소에 상장했다. 1989년 포커 100을 도입했다. 1994년 계열사인 페루에 ARPA 항공을 설립했다. 1997년에 최초로 국제선이 취항되어 미국 노선에 처음 취항했다. 1999년 유럽을 오가는 국제선 노선도 신설됐다. 2008년에 TAM 항공(영어: TAM Airlines)이란 사명으로 변경했다. 같은 해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을 발표해 2010년 5월에 가입했다. 2010년 8월 칠레 항공사인 란 항공과 합병하여 라탐 그룹을 신설하기로 합의했다.[1] 두 회사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와 중남미 항공 업계에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 2012년 6월에 란 항공과 합병을 마무리 하면서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최대 항공사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부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3] 란 항공과 합병한 계기로 2014년에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하고 원월드에 가입했다.[4] 2015년 8월에 통합 브랜드를 발표한데 이어 2016년 5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향후 2018년까지 모든 기종에 통합 브랜드 도장을 적용할 예정이다.[5][6]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LATAM 브라질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으며 * 표시는 원월드 회원에 해당된다. LATAM 칠레 (원월드) LATAM 파라과이 (자회사) 남아프리카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대한항공 (스카이팀) 루프트한자 (스타 얼라이언스) 스위스 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메리칸 항공 (원월드) 에어 이탈리아 에어 프랑스 (스카이팀) 영국항공 (원월드) 웨스트제트 이베리아 항공 (원월드) 인터제트 일본항공 (원월드) 중국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카타르 항공 (원월드) 캐세이퍼시픽 항공 (원월드) 보유 기종[편집] 2012년 5월 기준으로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7년이다.[7][8]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LATAM 브라질의 보유 기종[9][10][11] 기종 대수 주문 승객[12] 비고 J Y 합계 에어버스 A319-100 22 0 0 144 144 에어버스 A320-200 59 12 12 144 156 4대는 LATAM 파라과이 임차 운항1대는 원월드 도장 적용 0 174 174 에어버스 A320neo 2 20 12 156 168 2015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예정[13] 0 174 174 에어버스 A321-200 31 0 0 220 220 에어버스 A350-900 7 6 30 318 348 2016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예정2대는 카타르 항공에 임차 에어버스 A350-1000 0 12 TBA 보잉 767-300ER 14 0 30 191 221 보잉 777-300ER 10 0 56 323 379 합계 143 50 퇴역 기종[편집] LATAM 브라질의 퇴역 기종[11]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비고 에어버스 A330-200 22 1998년 2016년 7대는 예비용으로 저장일부는 TAP 포르투갈, 걸프 에어, 터키 항공에 매각 에어버스 A340-500 2 2007년 2014년 맥도넬더글러스 MD-11 3 2007년 2008년 보잉 임차 운항 EMB-110 밴드레이트 불명 1976년 1996년 포커 27 8 1980년 2000년 포커 50 10 1990년 2001년 포커 100 51 1991년 2008년 자회사[편집] LATAM 파라과이[편집] LATAM 파라과이(영어: LATAM Paraguay)는 파라과이의 아순시온에 거점을 둔 항공사로 1994년 파라과이에 ARPA 항공을 설립하고 소형 기종을 도입해 운항하고 있었다. 1996년 9월 당시 경영 부진에 빠져 있던 라부사 에어 파라과이을 인수 후 합병되어 남아메리카 각국에 취항하는 TAM 메루크스 항공으로 재편했다. TAM 메루크스 회사의 지분 비율은 TAM 항공 94.98%, 파라과이 정부 5.02%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8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현재 이 회사는 에어버스에서 제작한 에어버스 A320-200을 보유하고 있다. PLA 항공[편집] PLA 항공(포르투갈어: Pantanal Linhas Aéreas)은 브라질의 항공사로 총 11개 노선을 취항하고 있다. 본사는 브라질 상파울루 위치해 있으며 1993년에 설립 했으며 2009년 12월에 브라질의 최대 항공사인 TAM 항공에 인수되었다가 2013년에 운항이 중단 되었다. 사건 및 사고[편집]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 인근에 위치한 TAM 항공의 자회사인 TAM 익스프레스 (현. LATAM 카고 브라질) 건물로 지난 2007년에 TAM 항공 3054편로 인해 건물이 전소됐다. LATAM 브라질은 설립 이래 수 차례의 사고를 경험하였다. 2007년에 일어난 TAM 항공 3054편은 브라질의 항공 사고 역사상 대참사를 입은 바 있다. 그 뒤에도 여러 준사고들 때문에 LATAM 브라질은 브라질 항공 당국으로 부터 안전성을 의심 받아왔다. 특히 2010년 독일 항공 사고 조사국인 JACDEC가 항공 안전 순위에서 2년 연속 가장 위험한 항공사로 선정되는 등 불명예를 안았다.[14] 1979년 2월 8일, 상파울루에서 EMB-110 밴드레이트 항공기가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8명 전원이 사망했다. 1984년 7월 4일, EMB-110 밴드레이트 항공기가 리우데자네이루에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7명 전원이 사망했다. 1990년 2월 12일, 포커 27 기종이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에 착륙 시도 도중 공항 밖의 민가와 자동차를 덮쳐 자동차 안에 있던 2명이 사망했다. 1996년 10월 31일, 포커 100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이륙 조금 후에 엔진 고장으로 조종이 불가능해 지면서 항공기는 빌딩이나 주택에 충돌 추락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96명 전원이 사망했다. 또한 추락 여파로 길에 있건 시민 3명이 목숨을 잃었다. 1997년 7월 9일, 비토리아발 상파울루로 향하고 있던 포커 100 기종이 상파울루주 상공 2,400 미터 부근을 지나던 도중 시속 500km 전후로 항해 중 기체 후부에 장착된 폭탄이 기폭 폭발에 의해 생긴 구멍으로 인해 승객 4명이 기체 외부에 추락해 사망했다. 폭발에 의해 기체 우측에 생긴 구멍은 높이 1.5 미터, 폭 2.5 미터에 달했지만 목적지인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착륙했다. 2001년 9월 18일, 포커 100 엔진이 고장 나면서 기내에 뛰어든 승객 1명이 사망했다. 2002년 8월 31일, 연료 부족으로 포커 100 상파울루 근교의 농장에 불시착했다. 사망자와 부상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착륙 당시 농장에 있던 소 한 마리가 목숨을 잃었다. 다행히 포커 100 기종을 비라코푸스 캄피나스 국제공항에 무사히 착륙 했으나 TAM 항공 측은 포커 100 기종을 3년 이내에 완전히 퇴역을 시킬 계획을 세우는 등 중대한 발표를 냈지만 실째로 포커 100 기종이 퇴역한 시기는 3년 늦은 2008년에 완전히 퇴역했다. 2006년 8월 8일, 포커 100 기종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이륙한 직후에 문이 떨어져 나가면서 상파울루 시내에 위치한 슈퍼마켓 근처에 낙하했다. 비행기는 곧바로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회항했다. 낙하 문이 슈퍼마켓을 파괴 했으나 다행히 희생자는 나오지 않았다. 2007년 7월 17일, 포르투알레그레를 출발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가던 TAM 항공 3054편의 에어버스 A320-200 기종이 착륙에 실패 하면서 공항 인근에 위치한 TAM 익스프레스의 건물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99명 전원이 사망했다. 또한 충돌 여파로 건물에 있던 직원 13명이 부상을 입었다.[15] 2010년 2월 12일, 174명의 승객을 태운 항공기가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출발하는 도중에 새와 충돌하면서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다시 회항했다.[16] 각주[편집] ↑ 중남미 최대 항공사 `라탐` 탄생 ↑ "브라질-칠레 항공사 합병 효과 8천40억원" ↑ 칠레-브라질 유력 항공사 합병 마무리 ↑ http://www.usatoday.com/story/todayinthesky/2013/03/07/brazils-tam-to-shift-to-oneworld-as-it-mergers-with-lan/1970037/ ↑ "LAN and TAM to operate as LATAM with a new livery" retrieved 9 August 2015 ↑ "LATAM's entire fleet to have new livery by 2018" retrieved 9 August 2015 ↑ “Frota atual das empresas brasileiras” (포르투갈어). Aeromuseu. 2011년 12월 31일. 2012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일에 확인함.  ↑ https://www.planespotters.net/airline/LATAM-Airlines-Brasil ↑ Airways magazine, Fast Facts - TAM Linhas Aereas, February 2010, p. 25 ↑ TAM Airlines fleet - Official website ↑ 가 나 TAM Fleet | Airfleets aviation ↑ TAM - SeatPlans.com ↑ TAM orders 22 A320neo ↑ 가장 위험한 항공사 `브라질 TAM` 《한국경제》, 2011년 1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 착륙중 화물터미널 충돌 최소 200명 사망… 브라질 최악 항공기 참사 《서울신문》, 2007년 7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 브라질 항공기, 새와 충돌사고로 회항 《연합뉴스》, 2010년 2월 13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사진[편집]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19-1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19-1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20-2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50-900 LATAM 브라질의 보잉 767-300ER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LATAM 브라질 LATAM 브라질 홈페이지 vdehLATAM 항공 그룹항공 동맹 원월드 주요 항공사 LATAM 브라질 LATAM 칠레 전체 소유 항공사 LATAM 아르헨티나 LATAM 에콰도르 LATAM 익스프레스 LATAM 콜롬비아 LATAM 파라과이 LATAM 페루 화물 항공사 LATAM 카고 멕시코 LATAM 카고 브라질 (ABSA 카고 항공) LATAM 카고 콜롬비아 LATAM 카고 칠레 과거 소속 법인 PLA 항공 LAN 도미니카 플로리다 웨스트 국제항공 운항 노선 LATAM 브라질의 운항 노선 LATAM 아르헨티나의 운항 노선 LATAM 에콰도르의 운항 노선 LATAM 칠레의 운항 노선 LATAM 콜롬비아의 운항 노선 LATAM 페루의 운항 노선 vdeh스타얼라이언스창립 회원 루프트한자 스칸디나비아 항공 에어 캐나다 유나이티드 항공 타이 항공 일반 회원 LOT 폴란드 항공 TAP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항공 브뤼셀 항공 선전 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싱가포르 항공 아드리아 항공 아비앙카 항공 아시아나항공 에게 항공 에바 항공 에어 뉴질랜드 에어 인디아 에티오피아 항공 오스트리아 항공 이집트 항공 전일본공수 중국국제항공 코파 항공 크로아티아 항공 터키 항공 연결 회원 올림픽 에어 준야오 항공 제휴 회원 ANA 윙스 PGA 익스프레스 남아프리카 익스프레스 라우다 항공 루프트한자 리저널 아비앙카 니카라과 아비앙카 브라질 아비앙카 엘살바도르 아비앙카 온두라스 아비앙카 코스타리카 아비앙카 페루 에어 뉴질랜드 링크 에어링크 에어재팬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 오스트리아 아처 항공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이집트 에어 익스프레스 재즈 항공 코파 항공 콜롬비아 타이 스마일 항공 터키 항공 카고 포르투갈리아 헬리콜 항공 과거 회원 BMI TAM 항공 TAM 파라과이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PLA 항공 멕시카나 항공 바리그 브라질 항공 블루원 상하이 항공 스위스 글로벌 항공 스팬에어 앤셋 오스트레일리아 콘티넨털 항공 vdeh원월드 회원사창립 회원 아메리칸 항공 영국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콴타스 항공 일반 회원 S7 항공 LATAM 항공 그룹 (LATAM 브라질 · LATAM 칠레) 로열 요르단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스리랑카 항공 이베리아 항공 일본항공 카타르 항공 핀에어 가맹 회원 BA 시티플라이어 J-에어 LATAM 항공 그룹 (LATAM 아르헨티나 · LATAM 에콰도르 · LATAM 익스프레스 · LATAM 콜롬비아 · LATAM 페루) 글로부스 항공 노르딕 리저널 항공 니키 항공 선에어 오브 스칸디나비아 엔보이 항공 오픈스카이스 이베리아 리저널 이베리아 익스프레스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 제트 커넥트 컴에어 콴타스 링크 캐세이 드래곤 항공 과거 회원 JAL 익스프레스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말레브 헝가리 항공 멕시카나 링크 멕시카나 클릭 멕시카나 항공 아메리칸 커넥션 에어링구스 에어 베를린 영국항공 리미티드 캐나디안 항공 킹피셔 항공 트랜스월드 항공 vdeh 브라질의 항공사메인 항공사ALA 항공 · GOL 항공 · NHT 항공 · SETE 항공 · LATAM 브라질 · 바리그 항공 (2006년) · 매리스 항공 · 아비앙카 브라질 · 아줄 브라질 항공 · 팬타나 항공전세 항공사ASTA 항공 · MAP 항공 · 마리스 항공 · 토탈 항공 · 화이트 제트화물 항공사LATAM 카고 브라질 (ABSA 카고 항공) · 리오 에어 · 마스터탑 항공 · 토탈 카고 에어집행 항공사TAM 아비앙카 이그제큐티브 · 글로벌 택시 아에로 · 리델 항공 · 마니우스 아에로 택시 · 아메리카 에어 · 제트수르중단 항공사BETA 카고 · BRA 항공 · SOL 항공 · TEAM 항공 · 간사 항공 · 누아르 항공 · 메타 항공 · 스카이마스터 항공 · 크루즈 항공 · 프루마 항공폐지된 항공사AMG 항공 · AMLA 항공 · ATA 브라질 · CAL 항공 · CITA 항공 · CMT 항공 · ETA 항공 · FLA 항공 · LAB 항공 · LAN 에어 · LAP 항공 · LAW 항공 · NAB 항공 · NLAR 항공 · NTA 항공 · NYRBA 델 브라질 · OMTA 항공 · PENTA 항공 · PLA 항공 · PTA 항공 · SAC 항공 · SACS 항공 · SAVAG 항공 · TAB 항공 · TABA 항공 · TAC 항공 · TAF 항공 · TAL 항공 · TAN 항공 · TAS 항공 · TASA 항공 · TAVAJ 항공 · TCA 항공 · TCB 항공 · TRIP 항공 · VAAI 항공 · VAB 항공 · VASD 항공 · VASP 항공 · VOTEC 항공 · 나탈 항공 · 리얼항공 · 리오 수 항공 · 리코 항공 · 리토리나 항공 · 바리그 로그 · 바리그 항공 (1927년) · 브라질 센트럴 항공 · 브루민스 항공 · 비아브라스 항공 · 사디아 항공 · 수드카토 콘도르 · 아에로갤 · 아에로노트 · 아에로비아 브라질 · 아에로야드 이과수 · 에어비아 항공 · 웹제트 · 유니버설 항공 · 콘도르 수야디카트 · 트랜스 브라질 항공 · 트랜스 콘티넨탈 항공 · 팔툼 에어 · 팬에어 델 브라질 · 프로모달 항공 · 프리스댄트 항공 · 플라이 항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ATAM_브라질&oldid=24076282" 분류: 스타 얼라이언스1961년 설립국영 항공사브라질의 항공사IATA 회원TAM 항공상파울루의 기업상카를루스숨은 분류: CS1 - 포르투갈어 인용 (pt)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kanالعربية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0일 (토)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사쿠라다 네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쿠라다 네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쿠라다 네네(일본어: 桜田ネネ, 한국어 더빙명: 유리)는 《크레용 신짱》에 나오는 등장인물로, 신짱의 친구이다. 성우는 하야시 다마오 / 정유미 (투니버스, 극장판 25기 이후), 장경희 (극장판 24기까지), 한수경(1,2기), 박은숙(4,6,7기)이다. 목차 1 설명 1.1 성미 1.2 토끼인형 1.3 소꿉놀이 1.4 라이벌 설명[편집] 신짱의 유치원 친구들중 한 사람. 별자리는 물고기자리이다.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편에서 어른이 된 유리가 등장하는데 유치원 선생님으로 취직했지만, 성격이 더 안 좋아진 탓에 시집을 못 가고 있다. 성미[편집] 항상 토끼인형을 들고 다니는 귀여운 여자아이지만, 일단 화가 나면 가지고 다니는 토끼인형을 향해 엄청난 주먹을 날린다. 사실 이런 버릇이 처음부터 있는 건 아니었다. 크레용 신짱 초기에는 이 캐릭터가 아주 순진했는데(평소의 엄마같지가 않으면 "평소에 우리엄마가 아니야"라고 외친다), 두 얼굴을 가진 엄마 때문에 이런 성격을 가지게 된 것이다. 혼자서 다른 친구들을 제압할 정도이다. 성격이 변한 후에도 엄마가 토끼인형을 때릴 때마다 여전히 "우리엄마가 아니야"라고 외치기도 한다. 네네의 엄마도 토끼 인형을 가지고 다니며, 평소에는 아주 조신하게 행동한다. 이런 면에서 네네는 역시 엄마를 빼닮았다. 본인은 아빠 닮았다고 주장하지만 신짱이 엄마의 안 좋은 면을 닮았다고 말하면 절대 우리엄마가 그럴리가 없다며 괴로워한 적도 있다. 이미 2살때부터 다른 사람들(특히 마사오)을 리얼소꿉놀이에 끌어놓는 능력이 있으며, 토오루에게는 수갑까지 채워 소꿉놀이에 끌여들였다. 토끼인형[편집] 여러가지 토끼인형을 가지고 있으며(토순이, 행복한 토끼, 샌드백토끼, 딱딱한 토끼 등 그 이외의 여러가지 토끼인형, 비상용 토끼인형 등등) 화가 나면 토끼인형을 구타하지만(기분에 따라 구타하는 토끼인형이 다르다), 실제로는 토끼& 토끼인형을 좋아하는 여자아이다. 주로 토끼인형을 주먹으로 때리며(10기에서는 살아있는 토끼가 자신을 공격하자 토끼귀를 잡아 토끼를 주먹으로 때리려다가 오히려 봉변당했다.), 간혹 토끼인형에 다양한 격투 또는 레슬링 기술(암바, 코브라 트위스트, 팔 꺾기, 새우 꺾기, 수플렉스 이외 여러가지)을 사용할 때도 있고 부메랑이나 뿅망치, 투척 용도(주로 신짱한테)로 사용하기도 한다. 소꿉놀이[편집] 네네의 상징과도 같은 요소. 초창기에는 5살 어린아이다운 매우 순수하고 창의적인 놀이였고 심지어는 놀이를 통해 교훈을 얻는 에피소드가 있었지만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네네의 성격이 표독스럽게 변해버리면서 놀이의 질이 더러워져서 지금은 말이 소꿉놀이지 사실은 성인드라마를 흉내내는 놀이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 처음에는 자발적으로 하겠다고 나서던 다른 남자애들이 지금은 소꿉놀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질색한다. 게다가 이 소꿉놀이의 가장 큰 희생양은 아내에게 시달리는 무능한 남편 역할만 맡는 마사오. 라이벌[편집] 자기네 반에 전학온 스오토메 아이를 첫날부터 집안자랑이나 하는 아이라고 여기며 못마땅하게 여겼고 이후 그녀가 미인계로 쏟아지는 남자들의 관심으로 어장관리 하는걸 보고는 겉과 속이 다른 여우같은 아이라고 확신한다. 그러다 아이가 신노스케를 귀찮게 하는걸 보고는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이때부터 라이벌 관계가 된다. 하지만 시리즈가 계속될수록 점차 친하게 지내는 에피소드도 많이 있었고 특히 원작 한정으로 그녀의 달라진 모습을 보고는 감동받아 친해지는 내용도 있다. vdeh짱구는 못말려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 신-맨 방영 목록 극장판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제5기 제6기 제7기 제8기 제9기 제10기 제11기 제12기 제13기 제14기 제15기 제16기 제17기 제18기 제19기 제20기 제21기 제22기 제23기 제24기 제25기 제26기 제27기 게임 나랑 포이포이 폭풍을 부르는 유치원생 대마왕의 역습 크레용신짱 4 등장인물 노하라 미사에 노하라 히로시 카스카베 방위대(노하라 신노스케 노하라 히마와리 카자마 토루 사토 마사오 보오 시로) 사쿠라다 네네 스오토메 아이 오오하라 나나코 유치원 임직원(타카쿠라 분타: 원장 요시나가 미도리: 해바라기반 담임 마츠자카 우메: 장미반 담임 아게오 마쓰미: 백합반 담임)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류코 오깅 마리) 액션가면 부리부리 자에몽 주제가vdeh일본오프닝 꿈의 END는 언제나 잠을 깨게 한다! 나는야 인기인 파카포로 GO! 날아라 날아라 누님들 안돼안돼의 노래 PLEASURE 흔들흔들 DE-O! 해피해피 Hey Baby! T.W.L 희망산맥 너에게 100퍼센트 나는야 인기인 -25th MIX- 머스캣 엔딩 노래를 부르자 파티조나 대작전 달빛이 살포시 내리는 밤 좋아좋아♡마이걸 오늘은 데이트 전체적으로 좋아요. 극장판 PURENESS 잘가요, 고마워요 잘 지내 Crayon Beats Cry Baby 개구쟁이 길 축하해 옐로 팬지 스트리트 소년이여 거짓말을 하라! RPG 패밀리 파티 OLA!! 친구여 ~ 앞으로도 계속… 로드 무비 웃어봐 ~샤오이샤오!~ 그 외 베스트 앨범 주제가집 vdeh한국오프닝 짱구는 못말려 나는야 인기인 흔들흔들 DE-O! Hey Baby! 부리부리 댄스 엔딩 말썽쟁이 짱구 개미의 노래 해피해피 관련 문서 등장인물 발라드 이름없는 사랑 노래 이 글은 가공 인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쿠라다_네네&oldid=23909825" 분류: 짱구는 못말려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가공 인물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Italiano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2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김보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보연 金甫娟본명 김복순 (金福順[1], 1957년 ~ 2007년) 김윤주 (2007년 ~ )출생 1957년 12월 31일(1957-12-31) (61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가수, 배우활동 기간 1974년 ~ 현재종교 불교 학력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학사형제자매 1남 5녀 중 넷째배우자 전노민 (前, 2004년 ~ 2012년)자녀 슬하 2녀 김보연(金甫娟[2], 본명: 김윤주,[3] 1957년 12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영화 3.2 드라마 3.3 연극 4 방송 5 앨범 6 수상 경력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재학 당시 교장의 추천으로 배우가 되었다. 1974년 영화 《애정이 꽃피는 계절》에서 주인공 남진의 동생 역으로 데뷔한 후, 1975년 MBC 청소년 드라마 《제3교실》로 브라운관에 데뷔하였다. 1976년 MBC 제8기 공채 탤런트로 입문해 영화 《어머니와 아들》로 주목받았고, 그 해 영화 《진짜진짜 미안해》에서 여주인공의 친구 역으로 출연해 하이틴 스타로도 급부상했다. 1978년 작가 김수현이 쓴 MBC 인기 드라마 《당신》에서 뇌종양을 앓는 여고생 역을 맡아 안방극장에서도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고 이 드라마에서 노래하는 장면을 본 레코드사에서 가수로 데뷔할 것을 권유하자 가수로 전격 데뷔하였으며, 박춘석이 작곡한 노래 〈사춘기〉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가요톱텐에서 5주 연속 1위를 했다. 또한 같은 해 MBC 주간 연속극 《막내며느리》에서 처음으로 성인역이자 주역을 맡았다. 1983년 서울국제가요제에서 쟁쟁한 가수들을 물리치고 4집 수록곡 《사랑은 생명의 꽃》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주로 드라마나 하이틴 영화에서 교복 입은 여고생역으로 인기를 끌다가 1982년 배창호가 감독한 영화 데뷔작 《꼬방동네 사람들》에서 빈민촌에 사는 한 많은 여인 '검은 장갑'역을 맡아 연기 인생에서 분수령을 맞는다. 혼신을 다해 연기한 덕분에 그해 대종상영화제에서 김영애, 김혜자를 제치고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극찬을 받았다.[4] 1987년 유학에서 돌아와 활동을 재개하였고 1988년 혼인했다가 1997년 아이들의 교육 문제로 미국에 머물며 같은 해 방영된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끝으로 연예계 활동을 접었다가 2001년 SBS 드라마 《화려한 시절》, 《이 부부가 사는 법》으로 복귀하였다. 딸 둘을 키우던 김보연은 9살 연하인 배우 전노민과 MBC 드라마 《성녀와 마녀》에 함께 출연한 것을 계기로 2004년 혼인했다가 2012년 3월에 합의해 이혼했다. 학력[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연기 활동[편집] 영화[편집] 1974년 《애정이 꽃피는 계절》 ... 남영진의 여동생 역 1976년 《어머니와 아들》 1976년 《진짜 진짜 미안해》 1976년 《진짜 진짜 잊지마》 1977년 《여고 얄개》 ... 신애 역 1977년 《사랑의 계절》 1978년 《우리들의 고교시대》 1978년 《제갈맹순이》 ... 맹순이 역 1979년 《꽃밭에 나비》 ... 장미 역 1979년 《목마 위의 여자》 ... 수경 역 1979년 《말띠 며느리》 1980년 《바람 불어 좋은 날》 ... 미스 유 역 1980년 《달려라 풍선》 ... 달숙 역 1980년 《땅울림》 1980년 《여자의 이 아픔을》 ... 윤희 역 1982년 《대학 얄개》 1982년 《꼬방동네 사람들》 ... 명숙 역 1983년 《오마담의 외출》 ... 오가희 역 1987년 《안녕하세요 하나님》 ... 춘자 역 1988년 《여자 세상》 ... 유나영 역 1988년 《여자가 숨는 숲》 ... 수희 역 1990년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미스 최 역 1990년 《마유미》 ... 김순희 역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 R의 아내 역 1991년 《은마는 오지 않는다》 ... 용녀 역 1994년 《젊은 남자》 ... 손 실장 역 1994년 《무거운 새》 ... 영애 역 1995년 《개같은 날의 오후》 ... 은주 엄마, 박순자 역 1995년 《천재 선언》 ... 설희 역 1997년 《스커트 속의 드라마》 2004년 《늑대의 유혹》 ... 엄마 역 2004년 《그 놈은 멋있었다》 ... 예원 모 역(특별출연) 2004년 《하류인생》 ... 목소리 출연 2005년 《형사 Duelist》 ... 장옷 여인 역(특별출연) 2006년 《원탁의 천사》 ... 원탁 모, 영규 처 역 2009년 《불신지옥》 ... 희진/소진 자매의 모 역 2010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기생 어멈 역(우정출연) 2010년 《요쿠르트 아줌마》 ... 영선 역 2011년 《모비딕》 ... 조 부장 역 2011년 《적과의 동침》 ... 월선 역(특별출연) 2011년 《써니》 ... 과거사진 역(특별출연) 2012년 《나의 PS 파트너》 ... 윤정 모 역(특별출연) 2015년 《워킹걸》 ... 윤관순 역 2019년 《어린 의뢰인》 ... 판사 역(특별출연) 드라마[편집] 1975년 MBC 청소년드라마 《제3교실》 1976년 MBC 일일연속극 《들장미》 ... 막내딸 역 1977년 MBC 일일연속극 《당신》 ... 고3 막내딸 역 1978년 MBC 금요드라마 《막내 며느리》 ... 종갓집 막내며느리 명희 역 1979년 MBC 주간연속극 《엄마, 아빠 좋아》 1980년 MBC 주말연속극 《종점》 1980년 MBC 청춘드라마 《청춘의 초상》 1981년 MBC 추석특집극 《칼과 이슬》 ... 설화 역 1982년 MBC 대하드라마 《여인열전 - 서궁마마》 ... 김개시 역 1982년 MBC 수요드라마 《나라야》 ... 월남여성 람 역 1983년 MBC 미니시리즈 《거부실록 - 무역왕 최봉준》 1983년 MBC 주간연속극 《다녀왔읍니다》 1989년 MBC 창사특집극 《타오르는 강》 ... 쌀분 역 1990년 MBC 미니시리즈 《어둔 하늘 어둔 새》 ... 홍이숙 역 1991년 MBC 수목드라마 《까치 며느리》 ... 수정 역 1991년 KBS2 미니시리즈 《물의 나라》 ... 송미란 역 1992년 SBS 미니시리즈 《작은 도시》 1992년 MBC 일일연속극 《두 자매》 ... 정선주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두 여자》 ... 김영혜 역 1994년 MBC 아침드라마 《큰 언니》 ... 하란 1994년 MBC 미니시리즈 《아담의 도시》 ... 김순옥 역 1995년 MBC 3.1절특집극 《노래만들기》 1995년 MBC 주간연속극 《두 아빠》 1995년 MBC 미니시리즈 《제4공화국》 ... 서교동 민 마담 역 1996년 SBS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 ... 서옥님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이혼하지 않는 이유》 1996년 SBS 일일연속극 《자전거를 타는 여자》 ... 허난수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엄마는 출장중》 ... 오현주 역 1997년 SBS 월요드라마 《재동이》 ... 비디오가게 주인 양말순 역 1997년 SBS 주말극장 《이웃집 여자》 ... 박노순 역 2001년 SBS 일일연속극 《이 부부가 사는 법》 ... 박금자 역 2001년 SBS 주말극장 《화려한 시절》 ... 민주 모 역 2002년 SBS 아침연속극 《얼음꽃》 ... 유재분 역 2003년 MBC 설날특집극 《순덕이》 ... 한명진 역 2003년 MBC 아침드라마 《성녀와 마녀》 ... 배 여사 역 2003년 SBS 미니시리즈 《천년지애》 ... 지에꼬 역 2004년 SBS 미니시리즈 《섬마을 선생님》 ... 외숙모 역 2004년 KBS2 주말연속극 《부모님 전상서》 ... 안금주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눈꽃》 ... 최정선 역 2006년 MBC 일일연속극 《얼마나 좋길래》 ... 신귀녀 역 2006년 KBS2 미니시리즈 《황진이》 ... 매향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스마일 어게인》 ... 정예분 역 2007년 MBC 일일연속극 《아현동 마님》 ... 혜나 모 역 2007년 KBS2 주말연속극 《며느리 전성시대》 ... 윤인경 역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 ... 화신 계모 역 (특별출연) 2007년 SBS 일일연속극 《그 여자가 무서워》 ... (특별출연) 2008년 KBS2 미니시리즈 《연애결혼》 ... 강현 모 역 2008년 SBS 창사특집극 《압록강은 흐른다》 ... 선 여인 역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미워도 다시 한 번 2009》 ... (우정출연) 2010년 MBC 일일연속극 《황금물고기》 ... 이세린 역 2011년 SBS 주말연속극 《신기생뎐》 ... 오화란 역 2011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며느리》 ... 차혜자 역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윤도희 역 2012년 MBC 주말연속극 《신들의 만찬》 ... 백설희 역 2012년 SBS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왕》 ... 조영은 역 (특별출연) 2013년 JTBC 주말연속극 《무자식 상팔자》 ... 영현 모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주말연속극 《백년의 유산》 ... 김명순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일일연속극 《오로라 공주》 ... 황시몽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예쁜 남자》 ... 나홍란 역 2014년 MBC 미니시리즈 《미스터 백》 ... 박에스더 역 2015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차여사》 ... 차미란 역 2015년 OCN 주말드라마 《아름다운 나의신부》 ... 문인숙 역 (특별출연) 2015년 KBS2 미니시리즈 《별난 며느리》 ... 장미희 역 2016년 MBC 월화드라마 《몬스터》 ... 황귀자 역 2016년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 ... 신영애 역 2017년 MBC 주말드라마 《당신은 너무합니다》 ... 백미숙 역 2018년 JTBC 금토드라마 《미스티》 ... 강태욱의 어머니 역 연극[편집] 《뜻대로 하세요》(1980년) 방송[편집] KBS 《9시에 만납시다》 TBS 라디오 《9595쇼》 KBS 《가요산책》 SBS 《주부만세》 SBS 《시선집중, 오늘》 MBC 《우정의 무대》 SBS 《불타는 청춘》 앨범[편집] 1978년 1집 《김보연 골든 앨범 (사춘기)》 1979년 《캐롤송 특집》 1979년 2집 《골든 히트 (생각)》 1980년 3집 《골든 3 (네가 좋아)》 1982년 4집 《김보연 '82 (사랑했단 말 대신)》 1983년 《'83서울국제가요제 금상 수상기념 (사랑은 생명의 꽃)》 수상 경력[편집] 1977년 MBC 연기대상 탤런트부문 신인상 《당신》 1978년 제17회 대종상영화제 신인상 《제갈맹순이》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신인연기상 《당신》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갈맹순이》 1982년 제21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주연상 《꼬방동네 사람들》 1983년 제6회 MBC 서울국제가요제 금상《사랑은 생명의 꽃》 1991년 제12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1년 제2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2년 제3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경마장 가는 길》 1995년 제6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개같은 날의 오후》 2009년 제18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불신지옥》 2009년 제32회 황금촬영상 시상식 인기여우상 《불신지옥》 2010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황금연기상 《황금물고기》 2013년 MBC 연기대상 여자황금연기상 《오로라 공주》 각주[편집] ↑ 《동아일보》1983년 3월 7일 ↑ 《경향신문》1982년 12월 13일 ↑ 전노민 "연애 때 김보연과 키스하다 딸에 들켜 결혼", 《스포츠칸》, 2009년 8월 13일 작성, 2011년 3월 22일 확인. ↑ 김보연은 대역 배우에 무술 장면을 모두 의존하지 않는 유일한 여자 배우로 보도되기도 했다. TV 武術장면을 실감나게…, 《경향신문》, 1982.2.26 기사 참고. 외부 링크[편집] 김보연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부일영화상 여우조연1960년대 도금봉 (1962) 한은진 (1963) 최지희 (1964) 태현실 (1965) 황정순 (1966) - (1967) 황정순 (1968) - (1969) 2000년대 김해숙 (2008) 김보연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김여진 (2011) 박지영 (2012) 장영남 (2013) 김영애 (2014) 문정희 (2015) 박소담 (2016) 김수안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최우수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자연기 | 신인여자연기 vdeh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1960년대 최은희 (1962) 도금봉 (1963) 황정순 (1964) 최은희 (1965) 최은희 (1966) 문정숙 (1967) 문희 (1968) 1970년대 윤정희 (1971) 고은아 (1972) 윤연경 (1973) 김지미 (1974) 김지미 (1975) 최민희 (1976) 윤미라 (1977) 고은아 (1978) 유지인 (1979) 1980년대 정윤희 (1980) 정윤희 (1981) 김보연 (1982) 장미희 (1983) 이미숙 (1984) 김지미 (1985) 최명길 (1986) 강수연 (1987) 강수연 (1989) 1990년대 강수연 (1990) 원미경 (1991) 장미희 (1992) 심혜진 (1993) 윤정희 (1994) 최진실 (1995) 심혜진 (1996) 심혜진 (1997) 심은하 (1999) 2000년대 전도연 (2000) 고소영 (2001) 전지현 (2002) 이미연 (2003) 문소리 (2004) 김혜수 (2005) 전도연 (2006) 김아중 (2007) 김윤진 (2008) 수애 (2009) 2010년대 윤정희 (2010) 김하늘 (2011) 조민수 (2012) 엄정화 (2013) 손예진 (2014) 전지현 (2015) 손예진 (2016) 최희서 (2017) 나문희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1970년대 이효춘, 김영애 (1974) - (1975) 오미연 (1976) 고두심 (1977) 김보연 (1978) 김윤미 (1979) 1980년대 정애리, 이경진 (1981) 이혜숙, 권기선 (1982) 선우은숙 (1983) 강수연 (1984) 최명길 (1985) 허윤정, 최선아 (1986) 한애경, 김희애 (1987) 박순애 (1988) 윤유선 (1989) 1990년대 채시라 (1990) 오연수, 장서희 (1991) 고현정, 이진아 (1992) 유호정, 권소정 (1993) 심은하, 김정난 (1994) 신은경, 김선민 (1995) 김희선 (1996) 이혜영 (1997) 김지영 (1998) 명세빈 (1999) 2000년대 채림 (2000) 하지원 (2001) 공효진 (2002) 장나라 (2003) 한지혜 (2004) 이다해 (2005) 이영아 (2006) 고아라 (2007) 이지아 (2008) 윤아 (2009) 2010년대 황정음 (2010) 유인나 (2011) 유이 (2012) 정은지 (2013) 백진희 (2014) 고아성 (2015) 김고은 (2016) 이세영 (2017) 허율 (2018) 김혜윤 (2019)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춘사영화상 여우조연1990년대 - (1990) 김보연 (1991) 김보연 (1992) 문미봉 (1993) 정경순 (1994) 김보연 (1995) - (1999) 2000년대 김성녀 (2000) - (2001) 예지원 (2002) 송윤아 (2003) 고두심 (2004) 오미희 (2005) 김수미 (2006) 엄지원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이혜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 (2014) - (2015) 엄지원 (2016) 유인영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보연&oldid=24255314"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5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74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창극 배우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의 여자 성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1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김보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보연 金甫娟본명 김복순 (金福順[1], 1957년 ~ 2007년) 김윤주 (2007년 ~ )출생 1957년 12월 31일(1957-12-31) (61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가수, 배우활동 기간 1974년 ~ 현재종교 불교 학력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학사형제자매 1남 5녀 중 넷째배우자 전노민 (前, 2004년 ~ 2012년)자녀 슬하 2녀 김보연(金甫娟[2], 본명: 김윤주,[3] 1957년 12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영화 3.2 드라마 3.3 연극 4 방송 5 앨범 6 수상 경력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재학 당시 교장의 추천으로 배우가 되었다. 1974년 영화 《애정이 꽃피는 계절》에서 주인공 남진의 동생 역으로 데뷔한 후, 1975년 MBC 청소년 드라마 《제3교실》로 브라운관에 데뷔하였다. 1976년 MBC 제8기 공채 탤런트로 입문해 영화 《어머니와 아들》로 주목받았고, 그 해 영화 《진짜진짜 미안해》에서 여주인공의 친구 역으로 출연해 하이틴 스타로도 급부상했다. 1978년 작가 김수현이 쓴 MBC 인기 드라마 《당신》에서 뇌종양을 앓는 여고생 역을 맡아 안방극장에서도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고 이 드라마에서 노래하는 장면을 본 레코드사에서 가수로 데뷔할 것을 권유하자 가수로 전격 데뷔하였으며, 박춘석이 작곡한 노래 〈사춘기〉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가요톱텐에서 5주 연속 1위를 했다. 또한 같은 해 MBC 주간 연속극 《막내며느리》에서 처음으로 성인역이자 주역을 맡았다. 1983년 서울국제가요제에서 쟁쟁한 가수들을 물리치고 4집 수록곡 《사랑은 생명의 꽃》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주로 드라마나 하이틴 영화에서 교복 입은 여고생역으로 인기를 끌다가 1982년 배창호가 감독한 영화 데뷔작 《꼬방동네 사람들》에서 빈민촌에 사는 한 많은 여인 '검은 장갑'역을 맡아 연기 인생에서 분수령을 맞는다. 혼신을 다해 연기한 덕분에 그해 대종상영화제에서 김영애, 김혜자를 제치고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극찬을 받았다.[4] 1987년 유학에서 돌아와 활동을 재개하였고 1988년 혼인했다가 1997년 아이들의 교육 문제로 미국에 머물며 같은 해 방영된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끝으로 연예계 활동을 접었다가 2001년 SBS 드라마 《화려한 시절》, 《이 부부가 사는 법》으로 복귀하였다. 딸 둘을 키우던 김보연은 9살 연하인 배우 전노민과 MBC 드라마 《성녀와 마녀》에 함께 출연한 것을 계기로 2004년 혼인했다가 2012년 3월에 합의해 이혼했다. 학력[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연기 활동[편집] 영화[편집] 1974년 《애정이 꽃피는 계절》 ... 남영진의 여동생 역 1976년 《어머니와 아들》 1976년 《진짜 진짜 미안해》 1976년 《진짜 진짜 잊지마》 1977년 《여고 얄개》 ... 신애 역 1977년 《사랑의 계절》 1978년 《우리들의 고교시대》 1978년 《제갈맹순이》 ... 맹순이 역 1979년 《꽃밭에 나비》 ... 장미 역 1979년 《목마 위의 여자》 ... 수경 역 1979년 《말띠 며느리》 1980년 《바람 불어 좋은 날》 ... 미스 유 역 1980년 《달려라 풍선》 ... 달숙 역 1980년 《땅울림》 1980년 《여자의 이 아픔을》 ... 윤희 역 1982년 《대학 얄개》 1982년 《꼬방동네 사람들》 ... 명숙 역 1983년 《오마담의 외출》 ... 오가희 역 1987년 《안녕하세요 하나님》 ... 춘자 역 1988년 《여자 세상》 ... 유나영 역 1988년 《여자가 숨는 숲》 ... 수희 역 1990년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미스 최 역 1990년 《마유미》 ... 김순희 역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 R의 아내 역 1991년 《은마는 오지 않는다》 ... 용녀 역 1994년 《젊은 남자》 ... 손 실장 역 1994년 《무거운 새》 ... 영애 역 1995년 《개같은 날의 오후》 ... 은주 엄마, 박순자 역 1995년 《천재 선언》 ... 설희 역 1997년 《스커트 속의 드라마》 2004년 《늑대의 유혹》 ... 엄마 역 2004년 《그 놈은 멋있었다》 ... 예원 모 역(특별출연) 2004년 《하류인생》 ... 목소리 출연 2005년 《형사 Duelist》 ... 장옷 여인 역(특별출연) 2006년 《원탁의 천사》 ... 원탁 모, 영규 처 역 2009년 《불신지옥》 ... 희진/소진 자매의 모 역 2010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기생 어멈 역(우정출연) 2010년 《요쿠르트 아줌마》 ... 영선 역 2011년 《모비딕》 ... 조 부장 역 2011년 《적과의 동침》 ... 월선 역(특별출연) 2011년 《써니》 ... 과거사진 역(특별출연) 2012년 《나의 PS 파트너》 ... 윤정 모 역(특별출연) 2015년 《워킹걸》 ... 윤관순 역 2019년 《어린 의뢰인》 ... 판사 역(특별출연) 드라마[편집] 1975년 MBC 청소년드라마 《제3교실》 1976년 MBC 일일연속극 《들장미》 ... 막내딸 역 1977년 MBC 일일연속극 《당신》 ... 고3 막내딸 역 1978년 MBC 금요드라마 《막내 며느리》 ... 종갓집 막내며느리 명희 역 1979년 MBC 주간연속극 《엄마, 아빠 좋아》 1980년 MBC 주말연속극 《종점》 1980년 MBC 청춘드라마 《청춘의 초상》 1981년 MBC 추석특집극 《칼과 이슬》 ... 설화 역 1982년 MBC 대하드라마 《여인열전 - 서궁마마》 ... 김개시 역 1982년 MBC 수요드라마 《나라야》 ... 월남여성 람 역 1983년 MBC 미니시리즈 《거부실록 - 무역왕 최봉준》 1983년 MBC 주간연속극 《다녀왔읍니다》 1989년 MBC 창사특집극 《타오르는 강》 ... 쌀분 역 1990년 MBC 미니시리즈 《어둔 하늘 어둔 새》 ... 홍이숙 역 1991년 MBC 수목드라마 《까치 며느리》 ... 수정 역 1991년 KBS2 미니시리즈 《물의 나라》 ... 송미란 역 1992년 SBS 미니시리즈 《작은 도시》 1992년 MBC 일일연속극 《두 자매》 ... 정선주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두 여자》 ... 김영혜 역 1994년 MBC 아침드라마 《큰 언니》 ... 하란 1994년 MBC 미니시리즈 《아담의 도시》 ... 김순옥 역 1995년 MBC 3.1절특집극 《노래만들기》 1995년 MBC 주간연속극 《두 아빠》 1995년 MBC 미니시리즈 《제4공화국》 ... 서교동 민 마담 역 1996년 SBS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 ... 서옥님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이혼하지 않는 이유》 1996년 SBS 일일연속극 《자전거를 타는 여자》 ... 허난수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엄마는 출장중》 ... 오현주 역 1997년 SBS 월요드라마 《재동이》 ... 비디오가게 주인 양말순 역 1997년 SBS 주말극장 《이웃집 여자》 ... 박노순 역 2001년 SBS 일일연속극 《이 부부가 사는 법》 ... 박금자 역 2001년 SBS 주말극장 《화려한 시절》 ... 민주 모 역 2002년 SBS 아침연속극 《얼음꽃》 ... 유재분 역 2003년 MBC 설날특집극 《순덕이》 ... 한명진 역 2003년 MBC 아침드라마 《성녀와 마녀》 ... 배 여사 역 2003년 SBS 미니시리즈 《천년지애》 ... 지에꼬 역 2004년 SBS 미니시리즈 《섬마을 선생님》 ... 외숙모 역 2004년 KBS2 주말연속극 《부모님 전상서》 ... 안금주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눈꽃》 ... 최정선 역 2006년 MBC 일일연속극 《얼마나 좋길래》 ... 신귀녀 역 2006년 KBS2 미니시리즈 《황진이》 ... 매향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스마일 어게인》 ... 정예분 역 2007년 MBC 일일연속극 《아현동 마님》 ... 혜나 모 역 2007년 KBS2 주말연속극 《며느리 전성시대》 ... 윤인경 역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 ... 화신 계모 역 (특별출연) 2007년 SBS 일일연속극 《그 여자가 무서워》 ... (특별출연) 2008년 KBS2 미니시리즈 《연애결혼》 ... 강현 모 역 2008년 SBS 창사특집극 《압록강은 흐른다》 ... 선 여인 역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미워도 다시 한 번 2009》 ... (우정출연) 2010년 MBC 일일연속극 《황금물고기》 ... 이세린 역 2011년 SBS 주말연속극 《신기생뎐》 ... 오화란 역 2011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며느리》 ... 차혜자 역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윤도희 역 2012년 MBC 주말연속극 《신들의 만찬》 ... 백설희 역 2012년 SBS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왕》 ... 조영은 역 (특별출연) 2013년 JTBC 주말연속극 《무자식 상팔자》 ... 영현 모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주말연속극 《백년의 유산》 ... 김명순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일일연속극 《오로라 공주》 ... 황시몽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예쁜 남자》 ... 나홍란 역 2014년 MBC 미니시리즈 《미스터 백》 ... 박에스더 역 2015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차여사》 ... 차미란 역 2015년 OCN 주말드라마 《아름다운 나의신부》 ... 문인숙 역 (특별출연) 2015년 KBS2 미니시리즈 《별난 며느리》 ... 장미희 역 2016년 MBC 월화드라마 《몬스터》 ... 황귀자 역 2016년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 ... 신영애 역 2017년 MBC 주말드라마 《당신은 너무합니다》 ... 백미숙 역 2018년 JTBC 금토드라마 《미스티》 ... 강태욱의 어머니 역 연극[편집] 《뜻대로 하세요》(1980년) 방송[편집] KBS 《9시에 만납시다》 TBS 라디오 《9595쇼》 KBS 《가요산책》 SBS 《주부만세》 SBS 《시선집중, 오늘》 MBC 《우정의 무대》 SBS 《불타는 청춘》 앨범[편집] 1978년 1집 《김보연 골든 앨범 (사춘기)》 1979년 《캐롤송 특집》 1979년 2집 《골든 히트 (생각)》 1980년 3집 《골든 3 (네가 좋아)》 1982년 4집 《김보연 '82 (사랑했단 말 대신)》 1983년 《'83서울국제가요제 금상 수상기념 (사랑은 생명의 꽃)》 수상 경력[편집] 1977년 MBC 연기대상 탤런트부문 신인상 《당신》 1978년 제17회 대종상영화제 신인상 《제갈맹순이》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신인연기상 《당신》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갈맹순이》 1982년 제21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주연상 《꼬방동네 사람들》 1983년 제6회 MBC 서울국제가요제 금상《사랑은 생명의 꽃》 1991년 제12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1년 제2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2년 제3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경마장 가는 길》 1995년 제6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개같은 날의 오후》 2009년 제18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불신지옥》 2009년 제32회 황금촬영상 시상식 인기여우상 《불신지옥》 2010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황금연기상 《황금물고기》 2013년 MBC 연기대상 여자황금연기상 《오로라 공주》 각주[편집] ↑ 《동아일보》1983년 3월 7일 ↑ 《경향신문》1982년 12월 13일 ↑ 전노민 "연애 때 김보연과 키스하다 딸에 들켜 결혼", 《스포츠칸》, 2009년 8월 13일 작성, 2011년 3월 22일 확인. ↑ 김보연은 대역 배우에 무술 장면을 모두 의존하지 않는 유일한 여자 배우로 보도되기도 했다. TV 武術장면을 실감나게…, 《경향신문》, 1982.2.26 기사 참고. 외부 링크[편집] 김보연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부일영화상 여우조연1960년대 도금봉 (1962) 한은진 (1963) 최지희 (1964) 태현실 (1965) 황정순 (1966) - (1967) 황정순 (1968) - (1969) 2000년대 김해숙 (2008) 김보연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김여진 (2011) 박지영 (2012) 장영남 (2013) 김영애 (2014) 문정희 (2015) 박소담 (2016) 김수안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최우수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자연기 | 신인여자연기 vdeh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1960년대 최은희 (1962) 도금봉 (1963) 황정순 (1964) 최은희 (1965) 최은희 (1966) 문정숙 (1967) 문희 (1968) 1970년대 윤정희 (1971) 고은아 (1972) 윤연경 (1973) 김지미 (1974) 김지미 (1975) 최민희 (1976) 윤미라 (1977) 고은아 (1978) 유지인 (1979) 1980년대 정윤희 (1980) 정윤희 (1981) 김보연 (1982) 장미희 (1983) 이미숙 (1984) 김지미 (1985) 최명길 (1986) 강수연 (1987) 강수연 (1989) 1990년대 강수연 (1990) 원미경 (1991) 장미희 (1992) 심혜진 (1993) 윤정희 (1994) 최진실 (1995) 심혜진 (1996) 심혜진 (1997) 심은하 (1999) 2000년대 전도연 (2000) 고소영 (2001) 전지현 (2002) 이미연 (2003) 문소리 (2004) 김혜수 (2005) 전도연 (2006) 김아중 (2007) 김윤진 (2008) 수애 (2009) 2010년대 윤정희 (2010) 김하늘 (2011) 조민수 (2012) 엄정화 (2013) 손예진 (2014) 전지현 (2015) 손예진 (2016) 최희서 (2017) 나문희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1970년대 이효춘, 김영애 (1974) - (1975) 오미연 (1976) 고두심 (1977) 김보연 (1978) 김윤미 (1979) 1980년대 정애리, 이경진 (1981) 이혜숙, 권기선 (1982) 선우은숙 (1983) 강수연 (1984) 최명길 (1985) 허윤정, 최선아 (1986) 한애경, 김희애 (1987) 박순애 (1988) 윤유선 (1989) 1990년대 채시라 (1990) 오연수, 장서희 (1991) 고현정, 이진아 (1992) 유호정, 권소정 (1993) 심은하, 김정난 (1994) 신은경, 김선민 (1995) 김희선 (1996) 이혜영 (1997) 김지영 (1998) 명세빈 (1999) 2000년대 채림 (2000) 하지원 (2001) 공효진 (2002) 장나라 (2003) 한지혜 (2004) 이다해 (2005) 이영아 (2006) 고아라 (2007) 이지아 (2008) 윤아 (2009) 2010년대 황정음 (2010) 유인나 (2011) 유이 (2012) 정은지 (2013) 백진희 (2014) 고아성 (2015) 김고은 (2016) 이세영 (2017) 허율 (2018) 김혜윤 (2019)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춘사영화상 여우조연1990년대 - (1990) 김보연 (1991) 김보연 (1992) 문미봉 (1993) 정경순 (1994) 김보연 (1995) - (1999) 2000년대 김성녀 (2000) - (2001) 예지원 (2002) 송윤아 (2003) 고두심 (2004) 오미희 (2005) 김수미 (2006) 엄지원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이혜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 (2014) - (2015) 엄지원 (2016) 유인영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보연&oldid=24255314"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5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74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창극 배우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의 여자 성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1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야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1월) 창조주의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그림 신학적 창조의 의미 창조 하나님 창세기 욤 창조주의 관련 설화 창조 신화 천지창조 아담 에덴 동산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금단의 열매 대홍수 신화 노아의 방주 아브라함의 번제물 야곱 설화 요셉 족장설화 과학과의 관계 과학과 종교의 관계 창조주의에 대한 반론 진화에 대한 이슬람교의 관점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 창조주의 유신진화론 열린 진화 계획된 진화 인도된 진화 골격 해석 간격 창조주의 바이오로고스(영어판) 유사과학적 시각의 창조주의 젊은 지구 창조설(창조과학) 오랜 지구 창조설 점진적 창조설 지적설계 창조연대 관련 사건들 스콥스 재판 스티브 프로젝트 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영어판)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관련 예술작품 아담의 창조 v • d • e • h 천사와 야곱의 얍뽁강에서의 씨름 야곱(Jacob : 히브리어 야켑'aqeb'은 "뒤꿈치"라는 뜻)[1]은 창세기의 야곱 부족 설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작은 아들로서 기록되고 있다. 목차 1 이름의 의미 2 야곱 설화의 내용 3 야곱의 아들들 4 가계도 5 관련문서 6 각주 이름의 의미[편집] 히브리인들은 자신들의 자녀를 낳을때 그 당시 상황이나 의미를 담아 이름을 지었다. 야곱이라는 이름의 뜻은 어머니 리브가가 쌍둥이형인 에서를 낳을때, 형 에서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나서 "발꿈치를 잡다"라는 의미이다. 즉, 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발꿈치를 잡고, 딴지를 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그 이름에 담겨 있었다. 후에 야곱의 이름은 이스라엘로 개명된다(창32:24~32). 이때 개명된 이스라엘이라는 뜻은 "하나님과 겨루어 이김"이라는 뜻이다. 하나님과 겨루어 이길 수 있는 자가 있겠는가? 이 말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맺은 하나님의 백성, 자녀로서 하나님의 긍휼함을 입어 마치 아버지가 자녀에게 져주고 사랑하는 것처럼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 곳곳마다, 하나님앞에 불신앙하는 이스라엘 민족에 대하여 야곱아 라고 말하며, 또한 이스라엘아 라고 부르는 장면이 많이 등장한다(이사야 40:27, 41:8, 43:1, 48:12, 예레미야 30:10, 46:27~28, 미가 2:12) 야곱 설화의 내용[편집] 아버지 이삭은 큰 아들 에서가 사냥에 뛰어나고 그가 잡아오는 고기에 맛을 들여 에서를 더욱 사랑하였고, 어머니 리브가는 천막에 머물러 자기를 돕는 야곱을 사랑하였다(창25:27-28). 하루는 에서가 사냥에서 돌아온 날 죽을 끓이고 있던 야곱에게 와서 죽 한그릇을 먹자고 권하자, 야곱이 그에게 죽 한그릇을 주며 장자권을 얻었다(창25:20-34). 아버지가 큰 형 에서를 죽기전에 축복하려고 하자, 그를 편애하는 어머니와 짜고 형과 아버지를 속이고 장자의 축복을 대신 받았다. 이를 안 형 에서에게 분노와 미움을 사서 외삼촌 라반에게 피신했다. 또한 야곱은 라반 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얻기 위하여 7년간 무보수로 봉사하였다. 그런데 첫날밤 라반은 첫째 딸 레아를 들여보냈고, 이를 항의하자 라반은 라헬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7년간 더 일하라고 한다. 라헬을 얻고도 13년을 더 무보수로 일했다. 레아와 라헬 사이에서 1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은 이스라엘 12지파의 조상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요셉과 그의 형제들》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 후에 형 에서를 만나러 여행하던 중 천사(성경본문에는 천사라고 명시되어있지 않고 개역개정과 개역한글 그리고 현대인의 성경 - 어떤 사람 / NIV-a man / 공동번역 - 어떤 분 / 새번역 - 어떤 이 / 히브리어 성경 - אישׁ 라고 나와있다.)와 씨름을 한다. 천사가 넓적다리를 건드려 (개역개정 - '허벅지 관절을 치매 ' / NIV - Touched / 히브리어 성경 - ויגע ) 절게 만든 후 "이스라엘"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게 되었다.(창세기 32:24-28) 그 후로 이스라엘 민족들은 엉덩이쪽의 힘줄을 먹지 않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창세기 32:32) 이집트에 팔려가 총리가 된 요셉에 의하여, 야곱의 가족들은 그곳에 정착을 하게 된다. 야곱의 아들들[편집] 르우벤 - '보라.아들이라' 시므온 - '들으심' 레위 - '연합함' 유다 - '찬송함' 단 - '억울함을 푸심' 납달리 - '경쟁함' 갓 - '복됨' 아셀 - '기쁨' 잇사갈 - '값' 스불론 - '거함' 요셉 - '더함' 베냐민 - '오른손의 아들' 1-4, 9-10은 레아의 아들, 5-6은 라헬의 여종인 빌하의 아들, 7-8은 레아의 여종인 실바의 아들, 11-12는 라헬의 아들이다. 가계도[편집] 데라 사라[2]아브라함하갈하란 나홀 이스마엘밀가롯이스가 이스마엘 부족7 아들[3]브두엘첫째 딸둘째 딸 이사악리브가라반모아브암몬인 에서야곱라헬 빌하 에돔실바 레아 1. 르우벤2. 시므온3. 레위4. 유다9. 잇사갈10. 스불론11. 디나7. 갓8. 아셀5. 단6. 납달리12. 요셉13. 베냐민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단 납달리 갓 아셀 잇사갈 스불론 요셉 베냐민 관련문서[편집] 창조주의 족장설화 제이콥 야코프 등 등 같음 자크 각주[편집] ↑ 《성경의인물들》/잔프랑코라바시 글, 강선남 옮김/성바오로출판사 ↑ Geness 20:12: Sarah was the half-sister of Abraham ↑ Genesis 22:21-22: Uz, Buz, Kemuel, Chesed, Hazo, Pildash, and Jidlaph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02148389276110710871 LCCN: n82025275 NKC: xx014333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곱&oldid=23704109" 분류: 히브리어 성경의 예언자성경의 족장 인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ZazakiEʋegbe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adinoЛаккуLietuviųLatviešu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ښتو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5일 (금) 00: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야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1월) 창조주의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그림 신학적 창조의 의미 창조 하나님 창세기 욤 창조주의 관련 설화 창조 신화 천지창조 아담 에덴 동산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금단의 열매 대홍수 신화 노아의 방주 아브라함의 번제물 야곱 설화 요셉 족장설화 과학과의 관계 과학과 종교의 관계 창조주의에 대한 반론 진화에 대한 이슬람교의 관점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 창조주의 유신진화론 열린 진화 계획된 진화 인도된 진화 골격 해석 간격 창조주의 바이오로고스(영어판) 유사과학적 시각의 창조주의 젊은 지구 창조설(창조과학) 오랜 지구 창조설 점진적 창조설 지적설계 창조연대 관련 사건들 스콥스 재판 스티브 프로젝트 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영어판)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관련 예술작품 아담의 창조 v • d • e • h 천사와 야곱의 얍뽁강에서의 씨름 야곱(Jacob : 히브리어 야켑'aqeb'은 "뒤꿈치"라는 뜻)[1]은 창세기의 야곱 부족 설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작은 아들로서 기록되고 있다. 목차 1 이름의 의미 2 야곱 설화의 내용 3 야곱의 아들들 4 가계도 5 관련문서 6 각주 이름의 의미[편집] 히브리인들은 자신들의 자녀를 낳을때 그 당시 상황이나 의미를 담아 이름을 지었다. 야곱이라는 이름의 뜻은 어머니 리브가가 쌍둥이형인 에서를 낳을때, 형 에서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나서 "발꿈치를 잡다"라는 의미이다. 즉, 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발꿈치를 잡고, 딴지를 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그 이름에 담겨 있었다. 후에 야곱의 이름은 이스라엘로 개명된다(창32:24~32). 이때 개명된 이스라엘이라는 뜻은 "하나님과 겨루어 이김"이라는 뜻이다. 하나님과 겨루어 이길 수 있는 자가 있겠는가? 이 말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맺은 하나님의 백성, 자녀로서 하나님의 긍휼함을 입어 마치 아버지가 자녀에게 져주고 사랑하는 것처럼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 곳곳마다, 하나님앞에 불신앙하는 이스라엘 민족에 대하여 야곱아 라고 말하며, 또한 이스라엘아 라고 부르는 장면이 많이 등장한다(이사야 40:27, 41:8, 43:1, 48:12, 예레미야 30:10, 46:27~28, 미가 2:12) 야곱 설화의 내용[편집] 아버지 이삭은 큰 아들 에서가 사냥에 뛰어나고 그가 잡아오는 고기에 맛을 들여 에서를 더욱 사랑하였고, 어머니 리브가는 천막에 머물러 자기를 돕는 야곱을 사랑하였다(창25:27-28). 하루는 에서가 사냥에서 돌아온 날 죽을 끓이고 있던 야곱에게 와서 죽 한그릇을 먹자고 권하자, 야곱이 그에게 죽 한그릇을 주며 장자권을 얻었다(창25:20-34). 아버지가 큰 형 에서를 죽기전에 축복하려고 하자, 그를 편애하는 어머니와 짜고 형과 아버지를 속이고 장자의 축복을 대신 받았다. 이를 안 형 에서에게 분노와 미움을 사서 외삼촌 라반에게 피신했다. 또한 야곱은 라반 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얻기 위하여 7년간 무보수로 봉사하였다. 그런데 첫날밤 라반은 첫째 딸 레아를 들여보냈고, 이를 항의하자 라반은 라헬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7년간 더 일하라고 한다. 라헬을 얻고도 13년을 더 무보수로 일했다. 레아와 라헬 사이에서 1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은 이스라엘 12지파의 조상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요셉과 그의 형제들》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 후에 형 에서를 만나러 여행하던 중 천사(성경본문에는 천사라고 명시되어있지 않고 개역개정과 개역한글 그리고 현대인의 성경 - 어떤 사람 / NIV-a man / 공동번역 - 어떤 분 / 새번역 - 어떤 이 / 히브리어 성경 - אישׁ 라고 나와있다.)와 씨름을 한다. 천사가 넓적다리를 건드려 (개역개정 - '허벅지 관절을 치매 ' / NIV - Touched / 히브리어 성경 - ויגע ) 절게 만든 후 "이스라엘"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게 되었다.(창세기 32:24-28) 그 후로 이스라엘 민족들은 엉덩이쪽의 힘줄을 먹지 않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창세기 32:32) 이집트에 팔려가 총리가 된 요셉에 의하여, 야곱의 가족들은 그곳에 정착을 하게 된다. 야곱의 아들들[편집] 르우벤 - '보라.아들이라' 시므온 - '들으심' 레위 - '연합함' 유다 - '찬송함' 단 - '억울함을 푸심' 납달리 - '경쟁함' 갓 - '복됨' 아셀 - '기쁨' 잇사갈 - '값' 스불론 - '거함' 요셉 - '더함' 베냐민 - '오른손의 아들' 1-4, 9-10은 레아의 아들, 5-6은 라헬의 여종인 빌하의 아들, 7-8은 레아의 여종인 실바의 아들, 11-12는 라헬의 아들이다. 가계도[편집] 데라 사라[2]아브라함하갈하란 나홀 이스마엘밀가롯이스가 이스마엘 부족7 아들[3]브두엘첫째 딸둘째 딸 이사악리브가라반모아브암몬인 에서야곱라헬 빌하 에돔실바 레아 1. 르우벤2. 시므온3. 레위4. 유다9. 잇사갈10. 스불론11. 디나7. 갓8. 아셀5. 단6. 납달리12. 요셉13. 베냐민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단 납달리 갓 아셀 잇사갈 스불론 요셉 베냐민 관련문서[편집] 창조주의 족장설화 제이콥 야코프 등 등 같음 자크 각주[편집] ↑ 《성경의인물들》/잔프랑코라바시 글, 강선남 옮김/성바오로출판사 ↑ Geness 20:12: Sarah was the half-sister of Abraham ↑ Genesis 22:21-22: Uz, Buz, Kemuel, Chesed, Hazo, Pildash, and Jidlaph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02148389276110710871 LCCN: n82025275 NKC: xx014333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곱&oldid=23704109" 분류: 히브리어 성경의 예언자성경의 족장 인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ZazakiEʋegbe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adinoЛаккуLietuviųLatviešu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ښتو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5일 (금) 00: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민지 (198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민지 (198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민지 출생 1988년 11월 1일(1988-11-01) (30세)대한민국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소속사 눈컴퍼니 웹사이트 눈컴퍼니 이민지이민지 - 인스타그램 이민지(1988년 11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제21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올해의 여자 배우상을 수상했다.[1] 목차 1 학력 2 작품 목록 2.1 드라마 2.2 영화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수원대학교 연극영화과 작품 목록[편집] 드라마[편집] 2014년 Daum tvPot 웹드라마 《썸남썸녀》 - 조연출 역 (특별출연) 2014년 JTBC 수요드라마 《선암여고 탐정단》 - 김하재 역 2015년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88》 - 장미옥 역 (장만옥이자 김정봉 여친)[2] 2016년 Naver TV Cast 웹드라마 《게임회사 여직원들》 - 마시멜 역 2016년 tvN 불금불토스페셜 《안투라지》 - 특별출연 2017년 MBC 수목드라마 《로봇이 아니야》 - 선혜 역 2018년 tvN 월화드라마 《백일의 낭군님》 - 끝녀 역 2019년 KBS2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 윤소미 역 영화[편집] 2010년 《잠복기》 - 현민 역 (단편) 2010년 《부서진 밤》 - 초혜 역 (단편) 2010년 《짐승의 끝》 - 순영 역 (단편) 2011년 《초대》 - 수정 역 (단편) 2011년 《애드벌룬》 - (단편) 2012년 《피크닉투게더》 - (단편) 2012년 《물고기는 말이 없다》 - 현흡 역 (단편) 2013년 《달이 기울면》 - 재아 역 (단편) 2013년 《서울연애》 - (단편) 2013년 《고추가 사라졌다!》 - (단편) 2013년 《세이프》 - (단편) 2013년 《사이비》 - 영선친구 1 & 폭주족 4 역 2014년 《문감독 예고편:40min》 - (단편) 2014년 《현기증》 - 정혜 역 2015년 《비치하트애솔》 - 단발머리여자 역 2015년 《손님》 - 민영 역 2016년 《꿈의 제인》 - 소현 역 2018년 《사라진 밤》 - 숙경 역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제37회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스타상- 배우부문 애드벌룬 수상 2012 제2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연기상-한국경쟁 수상 2016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 꿈의 제인 수상 2017 제26회 부일영화상 신인여자연기상 후보 제38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후보 2018 제5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 제23회 춘사영화제 여우주연상 후보 각주[편집] ↑ 김현록 기자 (2016년 10월 15일). “조현훈 감독 '꿈의 제인', BIFF 3관왕..CGV아트하우상-올해의 배우상”. 《스타뉴스》.  ↑ 이수아 기자 (2015년 7월 13일). “'응답하라 1988', 독립영화 스타 이민지 합류 "의미깊은 드라마"”. 뉴스24. 2015년 7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민지 이민지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이민지 - 인스타그램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민지_(1988년)&oldid=24418656"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수원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05: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중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 중국어 간체자: 汉传佛教, 병음: Hànchuán Fójiào)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킨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서력기원 전후였으며,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인도 불교가 아닌 서역 불교였다.[1] 후한(後漢: 25~220) 말인 2세기 후반에는 서역과 인도에서 온 역경승들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기 시작하면서 불교는 중국에서 확실한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2] 목차 1 불교 연표 2 수·당 이전 2.1 불교의 전래 2.2 불경의 한역 2.3 교단의 형성 2.4 교학연구의 발달 2.5 북조의 폐불 2.6 북위의 석불 2.7 육조시대의 불교 3 수·당 시대 3.1 수·당시대의 불교 3.2 말법사상과 정토교 3.3 선종의 발달 3.4 밀교의 발달 4 근대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불교 연표[원본 편집]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 v • d • e • h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한·중·일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밀교 · 진언종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범례:   = 상좌부 불교 전통   = 대승불교 전통   = 밀교·금강승 전통 수·당 이전[원본 편집] 불교의 전래[원본 편집] 기원전 1세기의 서역 불교의 전파 경로 빨강: 티베트 불교 출현 전의 북방 전파 경로 파랑: 남방 전파 경로 둔황 장안 뤄양 팽성둔황 · 장안 · 뤄양 · 팽성 전한(前漢: BC 206~AD 8) 시대 중국과 서역 여러 나라를 연결하는 동서 교역로가 개척되었는데, 이 교역로가 중국에 불교 전래되는 계기였다. 중국과 서역 연결한 교역로는 전한의 무제(武帝: 재위 BC 141~BC 87)가 처음 개척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교역로는 발달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던 두 지역인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1] 유교나 브라만교는 민족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여 국경을 넘어 다른 민족에게 전해지는 일이 별로 없었지만, 전통적인 브라만교를 비판하고 극복하며 탄생한 불교는 보편주의적 성격이 있었으므로 특정 나라나 민족에 얽매이지 않은 채 인근 여러 나라로 포교와 전도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다. 불교는 이미 기원전 250년경의 아쇼카왕(재위 BC 265~238 또는 273~232) 시대에 인도의 북쪽 국경을 넘어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차츰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던 다수의 오아시스 국가에도 들어갔다. 이에 따라 중국과 서역 사이 개통한 동서교역로 통한 불교의 중국 전파는 필연적으로 일어날 일이었다.[1] 중국 옛 기록에는 서력기원 전후 불교 관련 기록들이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위지(魏志) 서융전(西戎傳)〉에는 《위략(魏略)》을 인용하여, 전한(前漢: BC 206~AD 8) 말기의 애제(哀帝: 재위 BC 7~BC 1)의 원수(元壽: BC 2~BC 1) 원년인 BC 2년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경로(景盧)가 대월지(大月氏)왕의 사자였던 이존(伊存)으로부터 부도경(浮屠經: 불경의 다른 말)을 구전(口傳)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후한서(後漢書)》에는 후한(後漢: 25~220) 명제(明帝)의 영평(永平: 58~75) 8년인 기원후 65년에 명제의 이복 동생인 초왕 유영이 그의 봉토인 팽성(彭城: 지금의 장쑤 성 쉬저우 시)에서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의 뜻이 깊은 말들을 읊조리고 부처의 인사(仁祠: 사찰의 다른 말)를 존중하며 상문(桑門: 승려 · 사문 · 출가자의 다른 말)과 우바새(優婆塞), 즉 승려와 재가신자를 존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 비단길 통해 중국을 방문했던 대상(隊商)이나 사절(使節) 중에 불교 신자가 있었을 테고, 승려가 이들과 함께 온 일도 있었을 것이고, 둔황(敦惶) · 장안(長安) · 뤄양(洛陽) 등에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서서히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역의 여러 나라의 불교가 이 동안에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대략적인 시기가 아닌 특정한 연대를 결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또한 그다지 유의미한 작업도 아니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에서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함께 행해지고 있었는데 당연히 인도 불교 그대로가 아니고 이른바 서역화된 불교였다. 중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이러한 서역 불교였다.[1] 불경의 한역[원본 편집] AD 200년의 파르티아(Parthian Empire: BC 238~AD 226)와 중국의 후한(後漢: 25~220) 파란 눈의 서역(중앙아시아)의 승려와 동아시아의 승려: 베제클리크 천불동, 중국, 9~10세기 기원전 2년에 경로(景盧)가 불경을 구전으로 전수받았으며 기원후 65년에 초왕(楚王) 영(英)이 불교를 믿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중국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불교가 중국에서 확실한 토대를 잡기 시작한 것은 후한(後漢: 25~220) 말에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부터이다. 인도에서 성립된 불교 경전은 서역에 전해지고 다시 서역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왔으며, 인도나 서역의 문자로 쓰여진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파르티아의 태자로 승려가 된 안세고(安世高: ?~168)와 인도의 쿠샨 왕조의 승려인 지루가참(支婁迦懺: fl. 167~186)에 의해서였다. 이 두 역경승이 중국에 온 것은 2세기 후반으로 후한(後漢: 25~220)의 환제(桓帝: 재위 146~167)와 영제(靈帝: 재위 168~189)의 시대였다. 이 두 역경승 외의 후한 시대의 역경자들로는 축불삭(竺佛朔: fl. 168~188[3]) · 안현(安玄: fl. 181[4]) · 지요(支曜: fl. 185[5]) · 강거(康巨) · 강맹상(康猛詳) · 축대력(竺大力: fl. 197[6]) · 담과(曇果) · 지량(支亮) · 엄불조(嚴佛調) 등이 있었다.[2] 이 최초의 시기에서 역경자들이 불교 경전을 번역하는 데 얼마나 힘을 들였는가는 현존하는 그들의 번역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인도인이나 서역인들과는 전혀 다른 중국인이 우여곡절을 거쳐서 불교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외래의 역경자들 덕택이었다.[2] 일반적으로 초기의 번역이 난해하고 딱딱한 것은 번역에 사용한 용어가 각각 다르고 번역된 문장의 형식이 고르지 않으며 음사어(音寫語)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함은 후대의 역경자들에 의하여 차차 개선되어 가다가, 서역의 구자국 출신으로 후진(後秦: 384~417)에서 활동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과 당나라(618~907)의 현장(玄奘: 602~664)에 의하여 획기적인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문제점들이 완전히 극복되었다.[2]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에 포함되는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한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이나 유교사상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가 성행했다.[7] 격의불교는 한편으로는 중국에서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받아들여지고 이해될 수 있게 하며 불교가 토착화되게 하는 순기능을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역기능도 하였다. 격의불교의 역기능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로 비로소 극복되었다.[8] 현장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 한역된 경전을 구역(舊譯)이라 부르고 그 이후에 한역된 경전을 신역(新譯)이라고 부르는데, 구역(舊譯)이라고 하면 특히 구마라습이 번역한 경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2] 교단의 형성[원본 편집]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후조(後趙: 319~351)와 동진(東晉: 317~420)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376년의 전진(前秦: 351~394, 파란색)과 동진(東晉: 317~420, 노란색): 376년은 전진이 최대의 영토를 가진 때로 위의 지도에는 서역의 영토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佛圖澄: 233∼348)과 그의 제자인 도안(道安: 312∼385)의 활동에 의해 교단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불도징은 구자국(龜玆國) 출신의 서역의 승려로 310년(西晋의 永嘉 4)에 뤄양(洛陽)으로 와서 후조(後趙: 319~351) 시대에 활약하였다. 이후 그는 왕의 고문이 되어 군사와 정치에도 참여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북방민족을 불교문화와 신통력으로 이끌어나갔다. 후조의 왕 석륵(石勒)과 석호(石虎)로부터 절대적인 존경과 신임을 받아서 교단과 국가와의 관계가 밀접해졌으며 후조의 영토 안에서의 포교는 석씨(石氏)의 후원에 의하여 강력히 추진되었다. 335년 석호가 업(河南省 安陽縣)에 천도(遷都)하게 되어 그 뒤를 따랐으며 항상 계율의 엄수와 전도에 힘써 그때까지 허용되지 않았던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용하도록 꾀하였다. 제자로는 도안(道安) · 축법태(竺法汰) · 법화(法和) · 법상(法常) 등이 유명하며 하북불교(河北佛敎)를 융성하게 하였다. 불도징이 창건한 사원은 893개이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승려와 재가신자는 그 수가 1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는 영가(永嘉)의 난이 있은 뒤 백성의 괴로움을 구하기 위하여 잔인스러운 맹장이었던 석륵(石勒)을 교화하고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데 전력을 다하였다.[9] 도안(道安: 312∼385)은 12세에 출가하여 불도징(佛圖澄)에 사사하였다. 스승이 죽은 후에는 그를 대신하여 많은 문하생을 지도하였으나 마침 전란시대여서 이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할 수 없이 허베이(河北) · 산시(山西) · 허난(河南)의 여러 곳을 전전하면서 유랑하였다. 뒤에 혜원(慧遠) 등 400명의 문하생과 더불어 양양(襄陽: 湖北省)에 단계사(檀溪寺)를 짓고 엄숙한 구도와 연수를 위주로 하는 교단을 조직하여 국왕과 귀족으로부터 두터운 존경과 신임을 받았다. 379년에는 전진(前秦: 351~394)의 왕인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초빙을 받아 장안에 가서 국가의 고문에 추대되었다. 이리하여 명실공히 불교계의 지도자로서 활약하게 되고, 특히 캐시미르 출신의 승가발징(僧伽跋澄) · 승가제바(僧伽提婆), 토카라국의 담마난제(曇摩難提) 등 외국승을 도와 소승경의 번역을 완성하였다. 그는 또한 그때까지 내려오던 격의불교(格義佛敎)의 오류를 반성하고 《반야경》의 이역(異譯)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참다운 뜻에 이르도록 노력하였다. 또 한역불전(漢譯佛典)의 총목록인 《종리중경목록(綜理衆經目錄)》을 편찬하여 새로이 승단 생활의 의식과 규범을 제정하였다.[10] 교학연구의 발달[원본 편집]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과 도안의 출현으로 불교 사상과 교리를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불교 사상과 불교 교리를 그대로 중국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일이었으므로 격의불교(格義佛敎)라고 하는 편의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격의불교는 중국 고유의 사상인 유가 사상과 도가 사상을 빌려 불교 사상을 유추적(類推的)으로 이해하는 방법이다.[11] 도안(道安: 312~385) · 혜원(慧遠: 335~417) · 축법아(竺法雅) · 강법랑(康法朗) 등이 격의불교의 대표자였다. 이들 중 도안(道安)이나 혜원(慧遠)은 격의불교의 한계성을 느껴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격의불교의 극복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장안에 들어와 신역경론(新譯經論)을 내놓으면서 종래의 잘못된 해석이 바로잡히면서 비로소 이루어졌다.[11] 당시에 구마라습의 문하생을 중심으로 새로운 불교 연구가 왕성하였다. 그 중에서도 승조(僧肇: 384~414)는 반야(般若)와 공(空)에 관하여 독특한 논문을 발표하고, 도생(道生: ?~434)은 돈오성불(敦悟成佛)과 천제성불(闡提成佛)을 주장하였다.[11] 또한, 구마라습 이후, 인도 불교의 경론이 속속 수입되어서 특히 《반야경》·《법화경》·《화엄경》·《열반경》 등의 대승경전의 연구가 활발하였고, 다시 나아가 경전 상호간의 시간적 전후와 교리적인 심천 · 우열을 논하는 교상판석(敎相判釋)이 이루어 졌다. 교상판석은 수나라(隨: 581~618)와 당나라(唐: 618~907) 시대에 중국 불교 특유의 종파들이 성립됨에 있어 그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11] 북조의 폐불[원본 편집]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운강석불 폐불(廢佛)은 사원 · 불당 · 불상 · 경서를 파괴하고 승려와 니승(尼僧)을 환속시키며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장원(莊園)과 노비를 국가가 몰수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불교사에서는 4번의 큰 폐불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삼무일종의 폐불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북위(北魏)의 태무제(재위 423~452)와 북주(北周)의 무제(재위 560~578)의 폐불이 북조에서 일어났다.[12] 폐불을 단행하게 된 이유로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표면적으로는 유 · 불 · 도 3교, 특히 불교와 도교 양교의 대립항쟁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립을 이용하여 그것을 결정적인 단계로까지 이끌어간 것은 역시 정치적 · 경제적 요인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당시의 지배자는 폐불을 단행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치적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12] 북위의 석불[원본 편집] 북위(北魏) 시대에는 대규모 석굴불상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운강석불(雲崗石佛)과 용문석불(龍門石佛)이 있다.[13] 운강석불은 산시성 다퉁현(大同縣)의 서쪽 20km 지점에 있으며 사문통(沙門統) 담요(曇曜)가 문성제(文成帝)에 상주하여 454년에 건국 이래의 5제(五帝)에 대한 추선(追善)과 참회멸죄(懺悔滅罪)를 기원하여 5굴(五窟)을 열게 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더욱 큰 것으로 15굴이 만들어져서 이들은 조각사상 운강기(雲崗期)를 형성하게 된다. 둔황석굴(敦煌石窟)의 계통을 이어 받으면서 탁발씨 부족의 웅혼(雄渾)한 솜씨가 넘쳐 흐른다.[13] 용문석불은 뤄양천도(洛陽遷都)와 더불어 그 교외에 있는 이수하반(伊水河畔)의 용문산(龍門山)에서 파서 만든 석불이다. 운강석불과 마찬가지로 선제(先帝)의 추선(追善)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20여 년의 세월과 거액이 투입되었다. 주요한 북위굴(北魏窟)이 14개 남아 있는데 이들이 용문기(龍門期)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특색으로는 일반적으로 우아 화려하고 서방(西方)적인 냄새가 희박해지며 중국 고유의 것이 나타나 있다.[13] 운강석불과 용문석불 외에 공현(鞏縣) · 천룡산(天龍山) · 향당산(響堂山) 등의 석굴도 북위시대의 것이다.[13] 용문석불의 보살상 육조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양(梁) 무제(武帝: 재위 502~549) 육조 시대(六朝時代)는 강남의 건업에 도읍을 두었던 여섯 왕조, 즉 삼국 시대의 오(吳), 동진(東晋), 남조(南朝)의 송(宋) · 제(齊) · 양(梁) · 진(陳)의 시대를 말한다. "육조"라는 낱말은 강남 땅에서 번영한 귀족정치 · 귀족문화라는 공통성에 착안한 문화사적인 명칭이다.[14] 육조불교의 특색은 육조문화의 일반적인 특색과 마찬가지로 귀족적 · 고답적 · 학술적이었으므로 북조(北朝)의 국가적 · 주술적 · 실천적인 불교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남조에는 족벌귀족이 광대한 장원을 소유하고 제왕 이상의 권세를 누리고 있었다. 그들은 높은 고전적 교양을 몸에 지니고 현학(玄學)을 숭상하며 청담(淸淡)을 즐겼다. 불교도 이들에게는 방외(方外: 속세를 벗어난 곳)와 은일(隱逸)의 가르침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서 《유마경》과 《반야경》 등이 애호되었다. 격의불교가 성행된 것도 이때였다. 여산(廬山)의 혜원(慧遠)이 사문(沙門)은 방외(方外)의 손님이으로 세속적 정치권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고 주장하게 된 것은 그 자신이 동진의 귀족사회에 몸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14] 육조시대의 불교는 전반적으로 지배자들의 보호를 받아 정치에 참여하는 자도 나타나게 되었다. 북조에 있었던 폐불도 없었고 왕후귀족에 의하여 웅대한 사원이 건립되어서 불교의 연구시대라고 칭할 만큼 경론의 연구와 강설이 활발하였다. 제의 태자 문혜(文惠)와 동생 숙자량(肅子良)은 열렬한 불교 신자로서 많은 학승(學僧)을 스승과 벗으로 삼아 강석과 법회를 설치하고 불교서의 편찬사업 등을 행하였다. 양의 무제(武帝: 재위 502~549)는 남조의 여러 제왕 중에서도 뛰어난 교양을 갖고 있어서 불교의 교리에도 정통하였다. 그는 스스로 《단주육문(斷酒肉文)》을 저술하고 대사원을 건립하였으며, 무차대회(無遮大會)와 같은 대법회를 10여 차례나 열었다.[14] 그는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와 관련된 전설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육조시대에는 인도와 서역으로부터 속속 역경승이 들어와 중국승과의 협력하에 많은 중요한 경론을 번역하였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 강량야사(畺良耶舍)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 진제(眞諦) 등의 외국승과 법현(法顯) 등의 중국승이 활약하였다. 또한 양나라 시대는 승황(僧晃) · 법운(法雲) · 지장(智藏)의 3대법사가 출현하였고 또 불교사가로서 유명한 승우(僧祐)가 나와서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과 《홍명집》 등의 많은 저작을 남겼다. 《고승전》을 지은 혜교(慧皎)도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다.[14] 수·당 시대[원본 편집] 구법여행을 떠나는 현장(玄奘: 602~664) 수·당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수 · 당시대의 불교는 중국불교융성의 정점에 위치한다. 수 · 당시대는 중국불교가 새로운 전개를 보이게 된 시대였다. 남북의 분열을 통일한 수나라(隋: 581~618), 그 뒤를 이은 당나라(唐: 618~907)는 세계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번영을 이룩하였는데 이러한 통일국가 시대가 새로운 불교를 요청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새로운 종파들, 즉 특정 경전에 입각한 경종(經宗)들과 특정 논서에 논종(論宗)들이 형성되었으며 중국인 자신에 의한 불교의 체계화 · 조직화가 진행되었다.[15] 수 · 당 이전에도 비담종 · 섭론종 · 성실종 · 지론종 · 열반종 · 삼론종 등의 종(宗)으로 일컬어지는 것이 존재하였으나 이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학파(學派)라고 불러야 할 것으로 뒤의 종파와는 다른 것이었다. 학파로부터 종파로의 발전을 촉진한 계기가 된 것은 사원경제의 독립과 교판(敎判)의 확립이다.[15] 수나라 시대에는 지의(538~597)가 《법화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하는 독자의 교판을 확립하여 천태종을 성립시킴으로써, 엄밀한 의미의 종파가 최초로 만들어졌다. 당나라 시대에 들어와서는 법장(643~712)이 《화엄경》을 중심으로 불교를 체계화하여 사사무애 · 중중무진의 화엄교리를 완성했다. 또한 도선(596~667)은 계율을 연구하여 율종을 창시하였고 현장(602~664)과 규기(632~682)가 인도의 새로운 유가유식설을 기초로 하여 법상종을 열었다. 아울러 선무외(637~735) · 금강지(671~741) · 불공(705~774) 등을 통해 인도로부터 밀교가 들어와 융성하였다.[15] 천태종과 화엄종이 수 · 당불교의 사상적 절정을 이룬 한편, 선종과 정토교는 이들이 미친 영향으로 보면 불교의 중국화와 민중화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선종은 3조 승찬(?~606)과 4조 도신(580~651)을 거쳐 5조 홍인(601~674)의 때에 이르러 승려들과 재가신자가 급증하였고 6조 혜능(638~713)은 그때까지 없었던 도시에 대한 포교를 중시하였다. 혜능의 계통은 남종이라고 불리고 신수(?~706)의 계통은 북종이라 불리는데, 선종은 이 두 파로 갈라진 채 각기 구분되는 교의 및 실천 체계를 유지하였으나 얼마 뒤에 북종은 쇠퇴하고 말았다. 정토교는 담란(476~542) 이후 도작(562~645)과 선도(613~681)가 나와 구칭염불을 보급하여 무식한 민중들의 환영을 받아 많은 신자를 획득하였다. 845년(회창 5년)의 폐불과 연속된 전란으로 말미암아 불교는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었으나 불립문자를 표방한 선종과 민중의 마음속 깊이 파고든 정토교는 쇠퇴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세력을 더하여갔다.[15] 말법사상과 정토교[원본 편집] 정토교의 주된 신앙 대상인 아미타불과 아미타불의 수행(隨行) 보살인 관세음보살(오른쪽)과 대세지보살(왼쪽) 말법사상(末法思想)은 6세기경부터 중국에서 성행된 사상으로 불교의 시대관 · 역사관을 나타낸다. 말법사상에 따르면, 정법시(正法時) · 상법시(像法時) · 말법시(末法時)의 3시가 존재하는데, 정법시(正法時)에는 정법이 엄존하여 교(敎) · 행(行) · 증(證) 모두가 빠짐 없이 갖추어져 있으나 상법시(像法時)에 들어오면 증이 없어지고 교와 행만이 있게 되며 다시 말법시(末法時)에 이르게 되면 행과 증은 없어지고 오직 교의 껍데기만 남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3시사상 외에 오탁(五濁)으로 가득 찬 죄악의 세상이라는 오탁악세(五濁惡世)의 사상과 말법시 후에는 교도 없는 시대가 온다는 법멸사상(法滅思想)도 말법사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법시 · 상법시 · 말법시의 3시의 기간에 대해서는 경전마다 다르나 정법 500년, 상법 1000년, 말법은 1만년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의하면 고타마 붓다의 멸후 1500년이 지나면 말법의 시대에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이때가 552년경에 해당된다고 한다. 552년은 양(梁) 원제의 성승 1년이었으며 또한 북제(北齊) 문선제의 천보 3년이었다.[16] 남북조시대(420~589)에 말법사상과 법멸사상이 일어나게 된 것은 말법사상을 고취한 《대집월장경(大集月藏經)》 등의 경전이 이때에 번역된 것과 불교 교단의 타락과 부패 그리고 전국적인 폐불운동 등이 불교인들에게 위기감을 안겨주었다는 것 등의 이유에서였다. 이러한 말법 도래의 사상을 굳게 믿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러한 시대에 알맞은 불교를 창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해서 성립된 종파가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시대의 도작(562~645) · 선도(613~681)의 정토교와 신행(540~594)의 삼계교였다.[16] 도작(562~645)은 "지금이 말법이로다. 바야흐로 오탁악세에 이르렀으니 오직 정토교 일문(一門)만이 있어 들어가야 할 길이로다"라고 설파하고 창명염불이라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야말로 말법시대에 어울리며 이 방법만이 현실사회에서 유효한 불교적 실천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전수염불(專修念佛)이라고 한다. 도작과 같은 시대의 신행(540~594)도 말법사상과 오탁악세의 죄악관에 입각하여 지금 필요한 것은 경전을 연구하고 강술하며 그 우열을 가리는 일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교를 실천하여 체득할 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는 일이라 하여, 말법시대에 적합한 방법은 비판선택을 가하지 않고 겸허한 자세로 오로지 모든 경전을 받아들이고 모든 부처를 예배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보경보행(普敬普行)이라고 한다. 전수염불과 보경보행은 실천방법으로서는 정반대이나 현세가 말법시라는 강렬한 시대적 인식 속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양자 모두 말법사상의 불교이다.[16] 선종의 발달[원본 편집] 인도에서 기원한 선(禪)이라는 종교적 실천은 중국에 전해져서 새로운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중국 불교의 유력한 종파 중 하나가 되어, 당나라 시대에 선종이라고 하는 호칭이 생겼다. 선종은 그 이전에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가졌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7] 선종의 첫 조사(祖師)라고 하는 보리달마는 2입4행설에 입각한 좌선을 권장하였다. 선종은 그 후에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에게 전해져서 도신과 홍인의 시대에는 그 실천과 행사에 참여하는 신도수가 500명에 이르렀다.[17] 당나라 시대 초기에는 신수(神秀)의 북종선과 혜능(慧能)의 남종선이 대립하여 분열되었다. 북종선은 점오(漸悟)를, 남종선은 돈오를 표방하였다. 혜능은 선종의 6조가 되었으며 문하에 회양(懷讓) · 행사(行思) · 신회(神會) 등이 있었고 강서와 호남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17] 초기에는 북종선이 성했으나 빨리 쇠퇴하였고 초기 이후에는 남종선이 유력해져 남종선 계통이 중국 선종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남종선 계열의 백장(百丈)은 선원에 있어서의 집단생활의 규범이 되는 청규(淸規)를 만들었다. 남종선에서는 5대에 걸쳐서 위산종 · 임제종 · 조동동 · 운문종 · 법안종의 선종 5가(五家)가 성립되었으며, 선종은 정토교와 함께 송나라 시대 이후의 중국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17] 밀교의 발달[원본 편집] 밀교(密敎)는 현교(顯敎)와 대비되는 낱말로 불교의 비밀하고 심오한 교리를 뜻한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인도의 밀교는 대일여래(大日如來)로부터 금강살타 · 용수(龍樹) · 용지(龍智)를 거쳐 금강지(金剛智)와 선무외(善無畏)에게 전해졌다고 한다. 밀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오래전에 동진시대(東晋時代: 317~419)의 전반에 백시리밀다라(帛尸梨密多羅)와 담무란(曇無蘭)에 의하여 《대관정신주경(大灌頂神呪經)》, 《시기병경(時氣病經)》, 《청우주경(請雨呪經)》 등의 많은 밀교 경전이 번역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들 경전은 병을 고치고 비를 오게 하는 주문이나 여러 천신들의 위엄과 덕을 찬미하는 주문 등이 주를 이루는데, 이들을 잡밀(雜密)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주술적인 면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서 순수한 밀교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진언다라니(眞言陀羅尼)나 그 밀법(密法)은 중국사회에 깊이 침투해 들어갔다. 이와 같은 기반 위에 선무외(善無畏: 637~735) · 금강지(金剛智: 671~741) · 불공(不空: 705~774)의 소위 개원(開元)의 3대사(三大士)에 의하여 밀교의 교리 · 의식궤범 · 만다라(曼茶羅) 등이 조직되고 체계화되었다. 이들이 전한 밀교는 《대일경(大日經)》이나 《금강정경(金剛頂經)》 등에 기초를 둔 인도의 정통밀교(正統密敎)였다.[18] 이들의 밀교를 순밀(純密)이라고 불렀다. 근대[원본 편집] 19세기에는 서구 열강의 쇄도와 함께 서양의 종교분류학도 같이 소개되어 이를 기조로 하는 불교의 개혁이 시작되었다. 양문회 거사는 유럽 등의 명사들과도 친교를 가졌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시작된 종교 통제는 문화혁명으로 절정에 달해 중국 불교계는 일대 타격을 입었다.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중일 수교 이후 일본 불교계와의 교류가 늘어나 중국 불교계는 조금씩 회복되는 추세이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중국의 사상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불교 사상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불교의 초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경전한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운허 & 동국역경원, "竺佛朔(축불삭)"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운허 & 동국역경원, "安玄(안현)"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支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竺大力"[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한·당의 사상 > 격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격의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불도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도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학연구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폐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북위의 석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육조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수·당의 불교 > 수·당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말법사상의 불교 > 말법사상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선종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밀교의 발달 > 밀교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원본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의_불교&oldid=24091860" 분류: 중국의 불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བོད་ཡིག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मराठी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3일 (화)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중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 중국어 간체자: 汉传佛教, 병음: Hànchuán Fójiào)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킨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서력기원 전후였으며,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인도 불교가 아닌 서역 불교였다.[1] 후한(後漢: 25~220) 말인 2세기 후반에는 서역과 인도에서 온 역경승들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기 시작하면서 불교는 중국에서 확실한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2] 목차 1 불교 연표 2 수·당 이전 2.1 불교의 전래 2.2 불경의 한역 2.3 교단의 형성 2.4 교학연구의 발달 2.5 북조의 폐불 2.6 북위의 석불 2.7 육조시대의 불교 3 수·당 시대 3.1 수·당시대의 불교 3.2 말법사상과 정토교 3.3 선종의 발달 3.4 밀교의 발달 4 근대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불교 연표[원본 편집]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 v • d • e • h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한·중·일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밀교 · 진언종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범례:   = 상좌부 불교 전통   = 대승불교 전통   = 밀교·금강승 전통 수·당 이전[원본 편집] 불교의 전래[원본 편집] 기원전 1세기의 서역 불교의 전파 경로 빨강: 티베트 불교 출현 전의 북방 전파 경로 파랑: 남방 전파 경로 둔황 장안 뤄양 팽성둔황 · 장안 · 뤄양 · 팽성 전한(前漢: BC 206~AD 8) 시대 중국과 서역 여러 나라를 연결하는 동서 교역로가 개척되었는데, 이 교역로가 중국에 불교 전래되는 계기였다. 중국과 서역 연결한 교역로는 전한의 무제(武帝: 재위 BC 141~BC 87)가 처음 개척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교역로는 발달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던 두 지역인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1] 유교나 브라만교는 민족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여 국경을 넘어 다른 민족에게 전해지는 일이 별로 없었지만, 전통적인 브라만교를 비판하고 극복하며 탄생한 불교는 보편주의적 성격이 있었으므로 특정 나라나 민족에 얽매이지 않은 채 인근 여러 나라로 포교와 전도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다. 불교는 이미 기원전 250년경의 아쇼카왕(재위 BC 265~238 또는 273~232) 시대에 인도의 북쪽 국경을 넘어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차츰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던 다수의 오아시스 국가에도 들어갔다. 이에 따라 중국과 서역 사이 개통한 동서교역로 통한 불교의 중국 전파는 필연적으로 일어날 일이었다.[1] 중국 옛 기록에는 서력기원 전후 불교 관련 기록들이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위지(魏志) 서융전(西戎傳)〉에는 《위략(魏略)》을 인용하여, 전한(前漢: BC 206~AD 8) 말기의 애제(哀帝: 재위 BC 7~BC 1)의 원수(元壽: BC 2~BC 1) 원년인 BC 2년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경로(景盧)가 대월지(大月氏)왕의 사자였던 이존(伊存)으로부터 부도경(浮屠經: 불경의 다른 말)을 구전(口傳)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후한서(後漢書)》에는 후한(後漢: 25~220) 명제(明帝)의 영평(永平: 58~75) 8년인 기원후 65년에 명제의 이복 동생인 초왕 유영이 그의 봉토인 팽성(彭城: 지금의 장쑤 성 쉬저우 시)에서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의 뜻이 깊은 말들을 읊조리고 부처의 인사(仁祠: 사찰의 다른 말)를 존중하며 상문(桑門: 승려 · 사문 · 출가자의 다른 말)과 우바새(優婆塞), 즉 승려와 재가신자를 존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 비단길 통해 중국을 방문했던 대상(隊商)이나 사절(使節) 중에 불교 신자가 있었을 테고, 승려가 이들과 함께 온 일도 있었을 것이고, 둔황(敦惶) · 장안(長安) · 뤄양(洛陽) 등에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서서히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역의 여러 나라의 불교가 이 동안에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대략적인 시기가 아닌 특정한 연대를 결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또한 그다지 유의미한 작업도 아니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에서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함께 행해지고 있었는데 당연히 인도 불교 그대로가 아니고 이른바 서역화된 불교였다. 중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이러한 서역 불교였다.[1] 불경의 한역[원본 편집] AD 200년의 파르티아(Parthian Empire: BC 238~AD 226)와 중국의 후한(後漢: 25~220) 파란 눈의 서역(중앙아시아)의 승려와 동아시아의 승려: 베제클리크 천불동, 중국, 9~10세기 기원전 2년에 경로(景盧)가 불경을 구전으로 전수받았으며 기원후 65년에 초왕(楚王) 영(英)이 불교를 믿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중국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불교가 중국에서 확실한 토대를 잡기 시작한 것은 후한(後漢: 25~220) 말에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부터이다. 인도에서 성립된 불교 경전은 서역에 전해지고 다시 서역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왔으며, 인도나 서역의 문자로 쓰여진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파르티아의 태자로 승려가 된 안세고(安世高: ?~168)와 인도의 쿠샨 왕조의 승려인 지루가참(支婁迦懺: fl. 167~186)에 의해서였다. 이 두 역경승이 중국에 온 것은 2세기 후반으로 후한(後漢: 25~220)의 환제(桓帝: 재위 146~167)와 영제(靈帝: 재위 168~189)의 시대였다. 이 두 역경승 외의 후한 시대의 역경자들로는 축불삭(竺佛朔: fl. 168~188[3]) · 안현(安玄: fl. 181[4]) · 지요(支曜: fl. 185[5]) · 강거(康巨) · 강맹상(康猛詳) · 축대력(竺大力: fl. 197[6]) · 담과(曇果) · 지량(支亮) · 엄불조(嚴佛調) 등이 있었다.[2] 이 최초의 시기에서 역경자들이 불교 경전을 번역하는 데 얼마나 힘을 들였는가는 현존하는 그들의 번역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인도인이나 서역인들과는 전혀 다른 중국인이 우여곡절을 거쳐서 불교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외래의 역경자들 덕택이었다.[2] 일반적으로 초기의 번역이 난해하고 딱딱한 것은 번역에 사용한 용어가 각각 다르고 번역된 문장의 형식이 고르지 않으며 음사어(音寫語)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함은 후대의 역경자들에 의하여 차차 개선되어 가다가, 서역의 구자국 출신으로 후진(後秦: 384~417)에서 활동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과 당나라(618~907)의 현장(玄奘: 602~664)에 의하여 획기적인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문제점들이 완전히 극복되었다.[2]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에 포함되는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한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이나 유교사상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가 성행했다.[7] 격의불교는 한편으로는 중국에서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받아들여지고 이해될 수 있게 하며 불교가 토착화되게 하는 순기능을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역기능도 하였다. 격의불교의 역기능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로 비로소 극복되었다.[8] 현장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 한역된 경전을 구역(舊譯)이라 부르고 그 이후에 한역된 경전을 신역(新譯)이라고 부르는데, 구역(舊譯)이라고 하면 특히 구마라습이 번역한 경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2] 교단의 형성[원본 편집]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후조(後趙: 319~351)와 동진(東晉: 317~420)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376년의 전진(前秦: 351~394, 파란색)과 동진(東晉: 317~420, 노란색): 376년은 전진이 최대의 영토를 가진 때로 위의 지도에는 서역의 영토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佛圖澄: 233∼348)과 그의 제자인 도안(道安: 312∼385)의 활동에 의해 교단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불도징은 구자국(龜玆國) 출신의 서역의 승려로 310년(西晋의 永嘉 4)에 뤄양(洛陽)으로 와서 후조(後趙: 319~351) 시대에 활약하였다. 이후 그는 왕의 고문이 되어 군사와 정치에도 참여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북방민족을 불교문화와 신통력으로 이끌어나갔다. 후조의 왕 석륵(石勒)과 석호(石虎)로부터 절대적인 존경과 신임을 받아서 교단과 국가와의 관계가 밀접해졌으며 후조의 영토 안에서의 포교는 석씨(石氏)의 후원에 의하여 강력히 추진되었다. 335년 석호가 업(河南省 安陽縣)에 천도(遷都)하게 되어 그 뒤를 따랐으며 항상 계율의 엄수와 전도에 힘써 그때까지 허용되지 않았던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용하도록 꾀하였다. 제자로는 도안(道安) · 축법태(竺法汰) · 법화(法和) · 법상(法常) 등이 유명하며 하북불교(河北佛敎)를 융성하게 하였다. 불도징이 창건한 사원은 893개이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승려와 재가신자는 그 수가 1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는 영가(永嘉)의 난이 있은 뒤 백성의 괴로움을 구하기 위하여 잔인스러운 맹장이었던 석륵(石勒)을 교화하고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데 전력을 다하였다.[9] 도안(道安: 312∼385)은 12세에 출가하여 불도징(佛圖澄)에 사사하였다. 스승이 죽은 후에는 그를 대신하여 많은 문하생을 지도하였으나 마침 전란시대여서 이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할 수 없이 허베이(河北) · 산시(山西) · 허난(河南)의 여러 곳을 전전하면서 유랑하였다. 뒤에 혜원(慧遠) 등 400명의 문하생과 더불어 양양(襄陽: 湖北省)에 단계사(檀溪寺)를 짓고 엄숙한 구도와 연수를 위주로 하는 교단을 조직하여 국왕과 귀족으로부터 두터운 존경과 신임을 받았다. 379년에는 전진(前秦: 351~394)의 왕인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초빙을 받아 장안에 가서 국가의 고문에 추대되었다. 이리하여 명실공히 불교계의 지도자로서 활약하게 되고, 특히 캐시미르 출신의 승가발징(僧伽跋澄) · 승가제바(僧伽提婆), 토카라국의 담마난제(曇摩難提) 등 외국승을 도와 소승경의 번역을 완성하였다. 그는 또한 그때까지 내려오던 격의불교(格義佛敎)의 오류를 반성하고 《반야경》의 이역(異譯)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참다운 뜻에 이르도록 노력하였다. 또 한역불전(漢譯佛典)의 총목록인 《종리중경목록(綜理衆經目錄)》을 편찬하여 새로이 승단 생활의 의식과 규범을 제정하였다.[10] 교학연구의 발달[원본 편집]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과 도안의 출현으로 불교 사상과 교리를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불교 사상과 불교 교리를 그대로 중국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일이었으므로 격의불교(格義佛敎)라고 하는 편의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격의불교는 중국 고유의 사상인 유가 사상과 도가 사상을 빌려 불교 사상을 유추적(類推的)으로 이해하는 방법이다.[11] 도안(道安: 312~385) · 혜원(慧遠: 335~417) · 축법아(竺法雅) · 강법랑(康法朗) 등이 격의불교의 대표자였다. 이들 중 도안(道安)이나 혜원(慧遠)은 격의불교의 한계성을 느껴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격의불교의 극복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장안에 들어와 신역경론(新譯經論)을 내놓으면서 종래의 잘못된 해석이 바로잡히면서 비로소 이루어졌다.[11] 당시에 구마라습의 문하생을 중심으로 새로운 불교 연구가 왕성하였다. 그 중에서도 승조(僧肇: 384~414)는 반야(般若)와 공(空)에 관하여 독특한 논문을 발표하고, 도생(道生: ?~434)은 돈오성불(敦悟成佛)과 천제성불(闡提成佛)을 주장하였다.[11] 또한, 구마라습 이후, 인도 불교의 경론이 속속 수입되어서 특히 《반야경》·《법화경》·《화엄경》·《열반경》 등의 대승경전의 연구가 활발하였고, 다시 나아가 경전 상호간의 시간적 전후와 교리적인 심천 · 우열을 논하는 교상판석(敎相判釋)이 이루어 졌다. 교상판석은 수나라(隨: 581~618)와 당나라(唐: 618~907) 시대에 중국 불교 특유의 종파들이 성립됨에 있어 그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11] 북조의 폐불[원본 편집]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운강석불 폐불(廢佛)은 사원 · 불당 · 불상 · 경서를 파괴하고 승려와 니승(尼僧)을 환속시키며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장원(莊園)과 노비를 국가가 몰수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불교사에서는 4번의 큰 폐불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삼무일종의 폐불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북위(北魏)의 태무제(재위 423~452)와 북주(北周)의 무제(재위 560~578)의 폐불이 북조에서 일어났다.[12] 폐불을 단행하게 된 이유로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표면적으로는 유 · 불 · 도 3교, 특히 불교와 도교 양교의 대립항쟁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립을 이용하여 그것을 결정적인 단계로까지 이끌어간 것은 역시 정치적 · 경제적 요인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당시의 지배자는 폐불을 단행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치적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12] 북위의 석불[원본 편집] 북위(北魏) 시대에는 대규모 석굴불상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운강석불(雲崗石佛)과 용문석불(龍門石佛)이 있다.[13] 운강석불은 산시성 다퉁현(大同縣)의 서쪽 20km 지점에 있으며 사문통(沙門統) 담요(曇曜)가 문성제(文成帝)에 상주하여 454년에 건국 이래의 5제(五帝)에 대한 추선(追善)과 참회멸죄(懺悔滅罪)를 기원하여 5굴(五窟)을 열게 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더욱 큰 것으로 15굴이 만들어져서 이들은 조각사상 운강기(雲崗期)를 형성하게 된다. 둔황석굴(敦煌石窟)의 계통을 이어 받으면서 탁발씨 부족의 웅혼(雄渾)한 솜씨가 넘쳐 흐른다.[13] 용문석불은 뤄양천도(洛陽遷都)와 더불어 그 교외에 있는 이수하반(伊水河畔)의 용문산(龍門山)에서 파서 만든 석불이다. 운강석불과 마찬가지로 선제(先帝)의 추선(追善)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20여 년의 세월과 거액이 투입되었다. 주요한 북위굴(北魏窟)이 14개 남아 있는데 이들이 용문기(龍門期)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특색으로는 일반적으로 우아 화려하고 서방(西方)적인 냄새가 희박해지며 중국 고유의 것이 나타나 있다.[13] 운강석불과 용문석불 외에 공현(鞏縣) · 천룡산(天龍山) · 향당산(響堂山) 등의 석굴도 북위시대의 것이다.[13] 용문석불의 보살상 육조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양(梁) 무제(武帝: 재위 502~549) 육조 시대(六朝時代)는 강남의 건업에 도읍을 두었던 여섯 왕조, 즉 삼국 시대의 오(吳), 동진(東晋), 남조(南朝)의 송(宋) · 제(齊) · 양(梁) · 진(陳)의 시대를 말한다. "육조"라는 낱말은 강남 땅에서 번영한 귀족정치 · 귀족문화라는 공통성에 착안한 문화사적인 명칭이다.[14] 육조불교의 특색은 육조문화의 일반적인 특색과 마찬가지로 귀족적 · 고답적 · 학술적이었으므로 북조(北朝)의 국가적 · 주술적 · 실천적인 불교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남조에는 족벌귀족이 광대한 장원을 소유하고 제왕 이상의 권세를 누리고 있었다. 그들은 높은 고전적 교양을 몸에 지니고 현학(玄學)을 숭상하며 청담(淸淡)을 즐겼다. 불교도 이들에게는 방외(方外: 속세를 벗어난 곳)와 은일(隱逸)의 가르침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서 《유마경》과 《반야경》 등이 애호되었다. 격의불교가 성행된 것도 이때였다. 여산(廬山)의 혜원(慧遠)이 사문(沙門)은 방외(方外)의 손님이으로 세속적 정치권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고 주장하게 된 것은 그 자신이 동진의 귀족사회에 몸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14] 육조시대의 불교는 전반적으로 지배자들의 보호를 받아 정치에 참여하는 자도 나타나게 되었다. 북조에 있었던 폐불도 없었고 왕후귀족에 의하여 웅대한 사원이 건립되어서 불교의 연구시대라고 칭할 만큼 경론의 연구와 강설이 활발하였다. 제의 태자 문혜(文惠)와 동생 숙자량(肅子良)은 열렬한 불교 신자로서 많은 학승(學僧)을 스승과 벗으로 삼아 강석과 법회를 설치하고 불교서의 편찬사업 등을 행하였다. 양의 무제(武帝: 재위 502~549)는 남조의 여러 제왕 중에서도 뛰어난 교양을 갖고 있어서 불교의 교리에도 정통하였다. 그는 스스로 《단주육문(斷酒肉文)》을 저술하고 대사원을 건립하였으며, 무차대회(無遮大會)와 같은 대법회를 10여 차례나 열었다.[14] 그는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와 관련된 전설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육조시대에는 인도와 서역으로부터 속속 역경승이 들어와 중국승과의 협력하에 많은 중요한 경론을 번역하였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 강량야사(畺良耶舍)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 진제(眞諦) 등의 외국승과 법현(法顯) 등의 중국승이 활약하였다. 또한 양나라 시대는 승황(僧晃) · 법운(法雲) · 지장(智藏)의 3대법사가 출현하였고 또 불교사가로서 유명한 승우(僧祐)가 나와서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과 《홍명집》 등의 많은 저작을 남겼다. 《고승전》을 지은 혜교(慧皎)도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다.[14] 수·당 시대[원본 편집] 구법여행을 떠나는 현장(玄奘: 602~664) 수·당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수 · 당시대의 불교는 중국불교융성의 정점에 위치한다. 수 · 당시대는 중국불교가 새로운 전개를 보이게 된 시대였다. 남북의 분열을 통일한 수나라(隋: 581~618), 그 뒤를 이은 당나라(唐: 618~907)는 세계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번영을 이룩하였는데 이러한 통일국가 시대가 새로운 불교를 요청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새로운 종파들, 즉 특정 경전에 입각한 경종(經宗)들과 특정 논서에 논종(論宗)들이 형성되었으며 중국인 자신에 의한 불교의 체계화 · 조직화가 진행되었다.[15] 수 · 당 이전에도 비담종 · 섭론종 · 성실종 · 지론종 · 열반종 · 삼론종 등의 종(宗)으로 일컬어지는 것이 존재하였으나 이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학파(學派)라고 불러야 할 것으로 뒤의 종파와는 다른 것이었다. 학파로부터 종파로의 발전을 촉진한 계기가 된 것은 사원경제의 독립과 교판(敎判)의 확립이다.[15] 수나라 시대에는 지의(538~597)가 《법화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하는 독자의 교판을 확립하여 천태종을 성립시킴으로써, 엄밀한 의미의 종파가 최초로 만들어졌다. 당나라 시대에 들어와서는 법장(643~712)이 《화엄경》을 중심으로 불교를 체계화하여 사사무애 · 중중무진의 화엄교리를 완성했다. 또한 도선(596~667)은 계율을 연구하여 율종을 창시하였고 현장(602~664)과 규기(632~682)가 인도의 새로운 유가유식설을 기초로 하여 법상종을 열었다. 아울러 선무외(637~735) · 금강지(671~741) · 불공(705~774) 등을 통해 인도로부터 밀교가 들어와 융성하였다.[15] 천태종과 화엄종이 수 · 당불교의 사상적 절정을 이룬 한편, 선종과 정토교는 이들이 미친 영향으로 보면 불교의 중국화와 민중화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선종은 3조 승찬(?~606)과 4조 도신(580~651)을 거쳐 5조 홍인(601~674)의 때에 이르러 승려들과 재가신자가 급증하였고 6조 혜능(638~713)은 그때까지 없었던 도시에 대한 포교를 중시하였다. 혜능의 계통은 남종이라고 불리고 신수(?~706)의 계통은 북종이라 불리는데, 선종은 이 두 파로 갈라진 채 각기 구분되는 교의 및 실천 체계를 유지하였으나 얼마 뒤에 북종은 쇠퇴하고 말았다. 정토교는 담란(476~542) 이후 도작(562~645)과 선도(613~681)가 나와 구칭염불을 보급하여 무식한 민중들의 환영을 받아 많은 신자를 획득하였다. 845년(회창 5년)의 폐불과 연속된 전란으로 말미암아 불교는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었으나 불립문자를 표방한 선종과 민중의 마음속 깊이 파고든 정토교는 쇠퇴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세력을 더하여갔다.[15] 말법사상과 정토교[원본 편집] 정토교의 주된 신앙 대상인 아미타불과 아미타불의 수행(隨行) 보살인 관세음보살(오른쪽)과 대세지보살(왼쪽) 말법사상(末法思想)은 6세기경부터 중국에서 성행된 사상으로 불교의 시대관 · 역사관을 나타낸다. 말법사상에 따르면, 정법시(正法時) · 상법시(像法時) · 말법시(末法時)의 3시가 존재하는데, 정법시(正法時)에는 정법이 엄존하여 교(敎) · 행(行) · 증(證) 모두가 빠짐 없이 갖추어져 있으나 상법시(像法時)에 들어오면 증이 없어지고 교와 행만이 있게 되며 다시 말법시(末法時)에 이르게 되면 행과 증은 없어지고 오직 교의 껍데기만 남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3시사상 외에 오탁(五濁)으로 가득 찬 죄악의 세상이라는 오탁악세(五濁惡世)의 사상과 말법시 후에는 교도 없는 시대가 온다는 법멸사상(法滅思想)도 말법사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법시 · 상법시 · 말법시의 3시의 기간에 대해서는 경전마다 다르나 정법 500년, 상법 1000년, 말법은 1만년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의하면 고타마 붓다의 멸후 1500년이 지나면 말법의 시대에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이때가 552년경에 해당된다고 한다. 552년은 양(梁) 원제의 성승 1년이었으며 또한 북제(北齊) 문선제의 천보 3년이었다.[16] 남북조시대(420~589)에 말법사상과 법멸사상이 일어나게 된 것은 말법사상을 고취한 《대집월장경(大集月藏經)》 등의 경전이 이때에 번역된 것과 불교 교단의 타락과 부패 그리고 전국적인 폐불운동 등이 불교인들에게 위기감을 안겨주었다는 것 등의 이유에서였다. 이러한 말법 도래의 사상을 굳게 믿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러한 시대에 알맞은 불교를 창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해서 성립된 종파가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시대의 도작(562~645) · 선도(613~681)의 정토교와 신행(540~594)의 삼계교였다.[16] 도작(562~645)은 "지금이 말법이로다. 바야흐로 오탁악세에 이르렀으니 오직 정토교 일문(一門)만이 있어 들어가야 할 길이로다"라고 설파하고 창명염불이라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야말로 말법시대에 어울리며 이 방법만이 현실사회에서 유효한 불교적 실천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전수염불(專修念佛)이라고 한다. 도작과 같은 시대의 신행(540~594)도 말법사상과 오탁악세의 죄악관에 입각하여 지금 필요한 것은 경전을 연구하고 강술하며 그 우열을 가리는 일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교를 실천하여 체득할 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는 일이라 하여, 말법시대에 적합한 방법은 비판선택을 가하지 않고 겸허한 자세로 오로지 모든 경전을 받아들이고 모든 부처를 예배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보경보행(普敬普行)이라고 한다. 전수염불과 보경보행은 실천방법으로서는 정반대이나 현세가 말법시라는 강렬한 시대적 인식 속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양자 모두 말법사상의 불교이다.[16] 선종의 발달[원본 편집] 인도에서 기원한 선(禪)이라는 종교적 실천은 중국에 전해져서 새로운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중국 불교의 유력한 종파 중 하나가 되어, 당나라 시대에 선종이라고 하는 호칭이 생겼다. 선종은 그 이전에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가졌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7] 선종의 첫 조사(祖師)라고 하는 보리달마는 2입4행설에 입각한 좌선을 권장하였다. 선종은 그 후에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에게 전해져서 도신과 홍인의 시대에는 그 실천과 행사에 참여하는 신도수가 500명에 이르렀다.[17] 당나라 시대 초기에는 신수(神秀)의 북종선과 혜능(慧能)의 남종선이 대립하여 분열되었다. 북종선은 점오(漸悟)를, 남종선은 돈오를 표방하였다. 혜능은 선종의 6조가 되었으며 문하에 회양(懷讓) · 행사(行思) · 신회(神會) 등이 있었고 강서와 호남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17] 초기에는 북종선이 성했으나 빨리 쇠퇴하였고 초기 이후에는 남종선이 유력해져 남종선 계통이 중국 선종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남종선 계열의 백장(百丈)은 선원에 있어서의 집단생활의 규범이 되는 청규(淸規)를 만들었다. 남종선에서는 5대에 걸쳐서 위산종 · 임제종 · 조동동 · 운문종 · 법안종의 선종 5가(五家)가 성립되었으며, 선종은 정토교와 함께 송나라 시대 이후의 중국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17] 밀교의 발달[원본 편집] 밀교(密敎)는 현교(顯敎)와 대비되는 낱말로 불교의 비밀하고 심오한 교리를 뜻한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인도의 밀교는 대일여래(大日如來)로부터 금강살타 · 용수(龍樹) · 용지(龍智)를 거쳐 금강지(金剛智)와 선무외(善無畏)에게 전해졌다고 한다. 밀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오래전에 동진시대(東晋時代: 317~419)의 전반에 백시리밀다라(帛尸梨密多羅)와 담무란(曇無蘭)에 의하여 《대관정신주경(大灌頂神呪經)》, 《시기병경(時氣病經)》, 《청우주경(請雨呪經)》 등의 많은 밀교 경전이 번역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들 경전은 병을 고치고 비를 오게 하는 주문이나 여러 천신들의 위엄과 덕을 찬미하는 주문 등이 주를 이루는데, 이들을 잡밀(雜密)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주술적인 면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서 순수한 밀교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진언다라니(眞言陀羅尼)나 그 밀법(密法)은 중국사회에 깊이 침투해 들어갔다. 이와 같은 기반 위에 선무외(善無畏: 637~735) · 금강지(金剛智: 671~741) · 불공(不空: 705~774)의 소위 개원(開元)의 3대사(三大士)에 의하여 밀교의 교리 · 의식궤범 · 만다라(曼茶羅) 등이 조직되고 체계화되었다. 이들이 전한 밀교는 《대일경(大日經)》이나 《금강정경(金剛頂經)》 등에 기초를 둔 인도의 정통밀교(正統密敎)였다.[18] 이들의 밀교를 순밀(純密)이라고 불렀다. 근대[원본 편집] 19세기에는 서구 열강의 쇄도와 함께 서양의 종교분류학도 같이 소개되어 이를 기조로 하는 불교의 개혁이 시작되었다. 양문회 거사는 유럽 등의 명사들과도 친교를 가졌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시작된 종교 통제는 문화혁명으로 절정에 달해 중국 불교계는 일대 타격을 입었다.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중일 수교 이후 일본 불교계와의 교류가 늘어나 중국 불교계는 조금씩 회복되는 추세이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중국의 사상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불교 사상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불교의 초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경전한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운허 & 동국역경원, "竺佛朔(축불삭)"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운허 & 동국역경원, "安玄(안현)"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支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竺大力"[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한·당의 사상 > 격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격의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불도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도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학연구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폐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북위의 석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육조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수·당의 불교 > 수·당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말법사상의 불교 > 말법사상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선종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밀교의 발달 > 밀교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원본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의_불교&oldid=24091860" 분류: 중국의 불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བོད་ཡིག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मराठी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3일 (화)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맥스웰-볼츠만 분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맥스웰-볼츠만 분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맥스웰-볼츠만 분포(Maxwell-Boltzmann 分布)는 물리학과 화학에서 응용하는 확률 분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곳이 통계 역학이다. 모든 물리 계의 온도는 그 계를 구성하는 분자들이나 원자들의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 입자들은 각각 다른 속도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일정하게 변한다. 이러한 속도들의 맥스웰 분포는 모든 속도 범위에 대해 계의 온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다. 만약, 이 분포가 표준 편차 a {\displaystyle a} 에 대한 정규분포처럼 그 성분들이 분산되어 있다면 이 분포는 3차원 벡터의 크기로 생각할 수 있다. 즉, X i {\displaystyle X_{i}} 가 X ∼ N ( 0 , a 2 ) {\displaystyle X\sim N(0,a^{2})} 처럼 분포되면 아래 식이 파라메터 a {\displaystyle a} 로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된다. Z = X 1 2 + X 2 2 + X 3 2 {\displaystyle Z={\sqrt {X_{1}^{2}+X_{2}^{2}+X_{3}^{2}}}} 목차 1 특성 2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물리적 응용 2.1 운동량 벡터의 분포 2.2 에너지의 분포 2.3 속도 벡터 분포 2.4 속력 분포 2.5 전체 속력 3 참고 하기 4 외부 링크 특성[편집] 맥스웰-볼츠만 분포 곡선은 입자들의 평균 표본에서 어떻게 입자 속도가 분포되는지 보여준다. 어떤 주어진 온도에서 매우 적은 입자들만이 매우 낮거나 높은 에너지를 갖는다.(대부분은 두 상태 내부 어딘가에 에너지 준위를 가질 것이다.) 이것은 평균 에너지라고 불린다. 반응이 일어나려면 활성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 한다. 만약 입자의 수를 늘리면, 반응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보다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a = 1 {\displaystyle a=1} 에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Chi-분포와 동일하다. 추가로, 만약 Z {\displaystyle Z} 가 파라메터 a {\displaystyle a} 로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된다면 밑의 식이 Chi-분포처럼 분포될 것이다. W = Z a {\displaystyle W={\frac {Z}{a}}}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제곱 평균은 3 a {\displaystyle {\sqrt {3}}a} 가 된다. 2 < 2 2 / π < 3 {\displaystyle {\sqrt {2}}<2{\sqrt {2/\pi }}<{\sqrt {3}}} 이 될 때, 모드가 제곱 평균보다 항상 낮은 기댓값보다 낮을 것이다.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물리적 응용[편집]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의 압력, 확산 과 같은 기본적인 그 성질을 설명하는 기체 운동 이론의 기본을 형성한다. 이 분포는 기체에서 분자 속도의 분포를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 운동량, 분자 운동량의 크기 등 서로 다른 확률 분포 함수를 가지지만 모두 연관되어 있는 물리량을 광범위하게 나타낸다.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통계 역학을 사용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이 분포는 많은 수의 상호 작용이 없는 입자들로 구성된 양자 효과가 무시되는 계에서 모든 속도 분포 가능성에 대응한다. 기체 상태에서 분자 간의 내부 반응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고 이에 따라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 상태의 조건에서 매우 좋은 접근을 제시한다. 그러나 재조합 및 여기가 중요한 이온층과 공간 플라즈마의 물리학과 같이 탄성 충돌 조건 등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들도 있다. 만약 맥스웰 분포와 그와 관련된 가정을 여기에 적용했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며 물리적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잘못된 결과를 가져다 주는 또다른 예는 바로 기체의 양자적 열 파장이 입자들 간의 거리에 비교하여 충분히 작지 않을 때의 경우이다. 따라서 이 이론은 중요한 양자 효과를 설명하는 데 실패한다. 또한 이것이 비상대론적 가정에 기초하고 있기에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광속을 넘어서는 분자 속도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지 못한다. 맥스웰에 의한 최초 계산은 3가지 방향이 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후에, 볼츠만에 의한 계산은 운동 이론을 사용하는 가정으로 낮췄다.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에너지에 대한 볼츠만 분포로부터 대부분 유도될 수 있다. N i N = g i exp ⁡ ( − E i / k T ) ∑ j g j exp ⁡ ( − E j / k T ) ( 1 ) {\displaystyle {\frac {N_{i}}{N}}={\frac {g_{i}\exp \left(-E_{i}/kT\right)}{\sum _{j}^{}g_{j}\,{\exp \left(-E_{j}/kT\right)}}}\qquad \qquad (1)} 여기서 Ni은 에너지Ei를 가지는 상태i와 겹침 gi에서, 평형온도 T를 가지는 분자들의 수이며, N는 계 안에서 가지는 총 분자들의 수가 된다.그리고 k 는 볼츠만 상수가 된다.(가끔 위의 식은 겹침 인자 gi를 빼고 쓰는 경우가 있음에 유의하라). 이 경우에서, 첨자i는 각개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오히려 gi의 집단은 동일한 에너지 Ei.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왜냐하면 속력과 속도는 에너지로 연관되어 있고, 식 1은 기체 상태의 분자 속도와 온도 간의 관계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 식에 있는 분모는 모듬 분배 함수로 알려져 있다. 운동량 벡터의 분포[편집] 지금까지 맥스웰에 의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유도된 계산들이 후에 1877년 볼츠만이 적은 가정으로 설명되고 이 가정이 더 설득력을 얻었다. 바닥 상태에서 상호 작용이 없는 원자들로만 구성된 "이상 기체"의 경우, 모든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일반적인 입자들에 대하여 운동 에너지와 운동량은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E = p 2 2 m {\displaystyle E={\frac {p^{2}}{2m}}} 여기서 p²는 운동량 벡터의 제곱이 된다. p = [px, py, pz]. 따라서 우리는 식 1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N i N = 1 Z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3 ) {\displaystyle {\frac {N_{i}}{N}}={\frac {1}{Z}}\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3)} Z는 여기서 분배 함수를 나타내며, 식 1에서 분모에 해당된다. m 은 기체의 분자 질량이며, T 는 열역학 온도, k 는 볼츠만 상수이다. Ni/N의 분포는 운동량 성분들의 값으로 분자를 찾을 확률 밀도 함수 fp 에 비례적이다. 따라서 밑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 p ( p x , p y , p z ) = c Z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 4 ) {\displaystyle f_{\mathbf {p} }(p_{x},p_{y},p_{z})={\frac {c}{Z}}\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4)} 규격화 상수 c는 어떠한 운동량이 반드시 1이 되는 값을 가지는 분자의 확률을 알아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래서 식 4에 대한 적분은 모두 px, py, 그리과 pz 이 1이 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다음 식으로 증명된다. c = Z ( 2 π m k T ) 3 . ( 5 ) {\displaystyle c={\frac {Z}{({\sqrt {2\pi mkT}})^{3}}}.\qquad \qquad (5)} 식 5를 식 4에 대입하여 풀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f p ( p x , p y , p z ) = ( 1 2 π m k T ) 3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 6 ) {\displaystyle f_{\mathbf {p} }(p_{x},p_{y},p_{z})={\sqrt {\left({\frac {1}{2\pi mkT}}\right)^{3}}}\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6)} 이 분포는 분산 m k T {\displaystyle mkT} 에 의한 3개의 독립적인 정규 분포 값들 p x {\displaystyle p_{x}} , p y {\displaystyle p_{y}} , p z {\displaystyle p_{z}} 의 곱으로 보일 수 있다. 게다가 운동량의 크기가 a = m k T {\displaystyle a={\sqrt {mkT}}} 만큼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될 것이라고 보일 수 있다. 에너지의 분포[편집] p 2 = 2 m E {\displaystyle p^{2}=2mE} 를 사용하여 에너지 분포에 대한 식을 유도할 수 있다. f E d E = f p ( d p d E ) d E = 2 E π ( k T ) 3   exp ⁡ [ − E k T ] d E . ( 7 ) {\displaystyle f_{E}\,dE=f_{p}\left({\frac {dp}{dE}}\right)\,dE=2{\sqrt {\frac {E}{\pi (kT)^{3}}}}~\exp \left[{\frac {-E}{kT}}\right]\,dE.\qquad \qquad (7)} 에너지가 정규 분포된 세 운동량 값들의 제곱에 대한 합에 비례할 때, 이 분포를 자유도가 3급인 chi-제곱 분포라 한다. f E ( E ) d E = χ 2 ( x ; 3 ) d x {\displaystyle f_{E}(E)\,dE=\chi ^{2}(x;3)\,dx} 여기서 맥스웰-볼츠만 상수는 기체가 양자 기체로 고려되는 것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x = 2 E k T . {\displaystyle x={\frac {2E}{kT}}.\,} 속도 벡터 분포[편집] 속력 확률 밀도fv는 운동량 확률 밀도 함수에 비례한다는 사실로부터 다음과 같이 된다. f v d 3 v = f p ( d p d v ) 3 d 3 v {\displaystyle f_{\mathbf {v} }d^{3}v=f_{\mathbf {p} }\left({\frac {dp}{dv}}\right)^{3}d^{3}v} 그리고 p = mv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f v ( v x , v y , v z ) = ( m 2 π k T ) 3 exp ⁡ [ − m ( v x 2 + v y 2 + v z 2 ) 2 k T ] , ( 8 ) {\displaystyle f_{\mathbf {v} }(v_{x},v_{y},v_{z})={\sqrt {\left({\frac {m}{2\pi kT}}\right)^{3}}}\exp \left[{\frac {-m(v_{x}^{2}+v_{y}^{2}+v_{z}^{2})}{2kT}}\right],\qquad \qquad (8)} 이것이 바로 맥스웰-볼츠만의 속도 분포이다. 무한소[dvx, dvy, dvz]에서 v = [vx, vy, vz]에 대한 어떤 속도를 가진 입자를 찾을 확률은 밑의 식이 된다. f v ( v x , v y , v z ) d v x d v y d v z . {\displaystyle f_{\mathbf {v} }\left(v_{x},v_{y},v_{z}\right)\,dv_{x}\,dv_{y}\,dv_{z}.} 운동량처럼 이 분포는 분산 k T / m {\displaystyle kT/m} 만큼 주어진 세 가지 독립적인 정규 분포 값들 v x {\displaystyle v_{x}} v y {\displaystyle v_{y}} , v z {\displaystyle v_{z}} 의 곱으로 보인다. 이것 역시 벡터 속도 [vx, vy, vz]에 대한 맥스웰-볼츠만 속도 분포가 각 세 가지 방향에 대하여 분포들의 곱이라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f v ( v x , v y , v z ) = f v ( v x ) f v ( v y ) f v ( v z ) {\displaystyle f_{v}\left(v_{x},v_{y},v_{z}\right)=f_{v}(v_{x})f_{v}(v_{y})f_{v}(v_{z})} 한 방향에 대한 분포는 분산 k T m {\displaystyle {\frac {kT}{m}}} 의 정규 분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정지 상태의 기체에 대해 예측했던 것처럼,어떤 방향에 대한 평균 속도는 0이 된다. f v ( v i ) = m 2 π k T exp ⁡ [ − m v i 2 2 k T ] . ( 9 ) {\displaystyle f_{v}(v_{i})={\sqrt {\frac {m}{2\pi kT}}}\exp \left[{\frac {-mv_{i}^{2}}{2kT}}\right].\qquad \qquad (9)} 속력 분포[편집] 온도 298.15K (25 C)에서 불활성 기체들의 속도의 확률 밀도 함수는 정규 분포로 접근하지만 오른쪽으로 편중된 모습을 보이다. y축은 s/m이므로 곡선 상의 면적은 (차지하는 범위만큼의 속도의 확률을 표현한다.) 단위가 없을 것이다. 통계 물리에서는 분자 개개의 속도보다 분자들의 속력에 더 관심을 가진다. 속력에 대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f ( v ) = 4 π ( m 2 π k T ) 3 / 2 v 2 exp ⁡ [ − m v 2 2 k T ] ( 10 ) {\displaystyle f(v)=4\pi \left({\frac {m}{2\pi kT}}\right)^{3/2}\!\!v^{2}\exp \left[{\frac {-mv^{2}}{2kT}}\right]\qquad (10)} 여기서 속력 v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v = v x 2 + v y 2 + v z 2 {\displaystyle v={\sqrt {v_{x}^{2}+v_{y}^{2}+v_{z}^{2}}}} 식 10에 있는 f(v)의 단위는 단위 속력당 확률이거나, 그래프의 오른쪽에서 단지 속력의 반비례가 된다. 그리고 속도가 정규화 분포된 세 속도 성분들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이 되면, 이 분포는 a = k T / m {\displaystyle a={\sqrt {kT/m}}} 만큼의 맥스웰-볼츠만 분포가 된다. 또한 우리는 실제 분포보다 입자들의 평균속력과 같은 물리량을 필요로 한다. 평균 속도, 예상 속도와 제곱 평균은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특성으로부터 나타내질 수 있다. 전체 속력[편집] 위의 식들이 속력 분포를 알 수 있게 해 주지만 일반적으로 실제 분포보다 입자들의 평균 속력와 같이 그 실제적인 양을 필요로 한다. vp는 어떤 계에서 어느 분자에 의해 같아진 속력이고 최댓값이나 f(v)의 모드에 대응한다. 이것을 찾으려면 df/dv을 계산해야 한다.이것을 0으로 두고 v에 대하여 풀면 밑의 식처럼 된다. d f ( v ) d v = 0 {\displaystyle {\frac {df(v)}{dv}}=0}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 p = 2 k T m = 2 R T M {\displaystyle v_{p}={\sqrt {\frac {2kT}{m}}}={\sqrt {\frac {2RT}{M}}}} 평균 속력는 속력 분포의 수학적 평균이므로 다음과 같이 된다. ⟨ v ⟩ = ∫ 0 ∞ v f ( v ) d v = 8 k T π m = 8 R T π M {\displaystyle \langle v\rangle =\int _{0}^{\infty }v\,f(v)\,dv={\sqrt {\frac {8kT}{\pi m}}}={\sqrt {\frac {8RT}{\pi M}}}} 또한 제곱 평균 속도, vrms는 속력에 제곱하여 평균한 값에 제곱근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밑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 r m s = ∫ 0 ∞ v 2 f ( v ) d v = 3 k T m = 3 R T M {\displaystyle v_{\mathrm {rms} }={\sqrt {\int _{0}^{\infty }v^{2}\,f(v)\,dv}}={\sqrt {\frac {3kT}{m}}}={\sqrt {\frac {3RT}{M}}}} 따라서 전체 속력은 아래와 같다. v p < ⟨ v ⟩ < v r m s . {\displaystyle v_{p}<\langle v\rangle <v_{\mathrm {rms} }.} 참고 하기[편집] 볼츠만 상수 레일리 분포 이상 기체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동역학 자외선 파탄 외부 링크[편집] 매스월드에서 맥스웰 분포를 설명한 부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맥스웰-볼츠만_분포&oldid=22872307" 분류: 연속분포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10: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금강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금강군 현황면적 1,472.82km²총인구 54,211[1]명 (2008)읍 1개리 26개군청 소재지 금강읍 금강군(金剛郡)은 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이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행정 구역 4 산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지리[편집] 북조선 통치하의 강원도 동남부, 금강산의 서쪽에 위치한다. 군의 상당 부분은 태백산맥의 산악 지대로 경지는 적다. 가장 높은 지점은 금강산의 비로봉이다. 전체 면적의 약 85%가 산림이다. 금강산에서 발원하는 금강천·동금강천이 군내를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 고성군, 서북쪽으로 회양군, 서쪽으로 창도군과 접한다. 남쪽은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 통치하의 강원도이다. 역사[편집] 현재의 금강군은 구한말에는 회양군에 속하여 있었고, 동남부 일부는 인제군에 속하여 있었다. 1906년에 수입면은 회양군에서 양구군으로 이관되었다. 현재의 군 인민위원회 소재지인 금강읍은 일찍이 말휘리로 불렸다. 말휘리가 포함되어 있던 회양군 장양면은 1938년에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금강산 내금강 지역으로 가는 금강산선 철도가 뚫리기도 하였다. 현재의 금강군 지역은 해방 후에 북조선의 영역이 되었고 6.25 전쟁 중에는 38도선에 가까운 금강산 주변의 이 지역은 격전지가 되었다. 전쟁이 교착 단계에 들어간 1952년 12월, 내금강면의 전역, 사동면·안풍면의 대부분, 인제군 북조선 지배 지역의 전부·양구군 북조선 지배 지역의 일부를 합쳐 금강군이 편성되었다(1읍 26리). 이때 수입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의 서부는 창도군으로 편입되었다. 1987년에 2개리를 창도군에 이관하였고, 2000년 11월에 창도군의 9개리를 편입하였다. 이 때 오천리 · 인패리 · 대정리 · 면천리 · 철벽리는 오천리로, 송거리 · 천리는 송거리로 통합되면서 금강군에 이관되었다. 이로서 옛 수입면의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전부 편입하였다. 행정 구역[편집] 금강읍과 금천리, 금풍리, 내강리, 단풍리, 룡암리, 문등리, 방목리, 백현리, 북점리, 세동리, 소곤리, 속사리, 송거리, 순갑리, 신교리, 신원리, 신읍리, 안미리, 오천리, 이포리, 청두리, 풍미리, 하회리, 현동리, 현리, 화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편집] 주산업은 농업이고 쌀, 옥수수가 주요 작물이다. 그러나 경작 가능한 땅은 8.5%에 불과하다. 제조업과 축산업 또한 지역 경제에 기여를 한다. 금, 텅스텐, 석영 광산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금강산 각주[편집]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2009년. 외부 링크[편집] 금강군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 인민위원회 소재지: 원산시 문천시 원산시 고산군 고성군 금강군 김화군 법동군 세포군 안변군 이천군 창도군 천내군 철원군 통천군 판교군 평강군 회양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강군&oldid=20138282" 분류: 금강군1952년 설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NorskPolski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5일 (토) 21: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임정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정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임정호 (1980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임정호 Lim Jung-Ho 상무 피닉스 야구단 No.30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0년 4월 16일(1990-04-16) (29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8 cm 체중 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3년 드래프트 순위 2013년 3라운드(NC 다이노스) 첫 출장 KBO / 2015년 3월 28일잠실 대 두산전 구원 계약금 7,000만원 연봉 8,700만원 (2017년) 경력 NC 다이노스 (2013년 ~ 2017년) 상무 야구단 (2018년 ~ 현재) 임정호(林正鎬[1], 1990년 4월 16일 ~ )는 KBO 리그 상무 야구단의 투수이다. 목차 1 NC 다이노스 시절 1.1 2015년 시즌 1.1.1 플레이오프 1.2 2016년 시즌 1.3 2017년 시즌 2 상무 야구단 시절 3 출신 학교 4 통산 기록 5 각주 6 외부 링크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5년 시즌[편집] 입단 3년차인 2015년에 1군 경기에 첫 출전을 했다. 2015년 3월 28일 두산전에서 5회말 찰리 쉬렉을 구원해서 등판하면서 데뷔했다. 양의지를 땅볼 아웃으로 잡았으나, 오재원에게 볼넷, 김재환에게 홈런을 맞았다. 김재환의 홈런이 결승타가 되면서 패전 투수가 됐고, 1/3이닝 1볼넷 1피홈런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 80경기에 등판해 48이닝, 1승 2패, 14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특히, 80경기 출장하며 2015년 시즌 최다 출장 투수가 됐다.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4경기에서 2이닝 1피안타 1볼넷 4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차전에서 오재원과 오재일을 삼진 처리했다. 3차전에서도 김현수를 상대로 삼진을 잡아낸 후 오재원을 병살 처리해 이닝을 끝냈다.[2] 방어율 경기수 승 패 세이브 홀드 완투 완봉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삼진 실점 자책 비고 0.00 4 0 0 0 0 0 0 2 1 0 1 0 4 0 0 2016년 시즌[편집] 42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7홀드, 1세이브,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2017년 시즌[편집] 59경기에 등판하여 1승 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상무 야구단 시절[편집] 2018년에 입단하였다. 출신 학교[편집] 성동초등학교 잠신중학교 신일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5 NC 3.75 80 0 0 1 2 0 14 0.333 200 48 31 2 27 5 54 21 20 2016 5.40 42 0 0 1 1 1 7 0.500 111 23.1 25 0 11 6 29 17 14 2017 4.45 59 0 0 1 0 0 7 1.000 134 30.1 30 3 14 2 33 19 15 통산 3시즌 4.34 181 0 0 3 3 1 28 0.500 445 101.2 86 5 52 13 116 57 49 각주[편집] ↑ 한국야구위원회, 2013 가이드북 ↑ 김하진 (2015년 10월 22일). “NC 임정호 “감독님의 첫 칭찬, 기뻤어요””. 《스포츠경향》.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임정호 - KBO 투수별 기록 임정호 - NC 다이노스 vdeh상무 피닉스 - 2019감독 74 박치왕 코치 73 조재호 (주루) 75 임수민 (수비) 76 김기남 (배터리) 78 천종민 (트레이닝) 79 민창호 (트레이닝) 81 이승호 (투수) 투수 11 김찬호 18 심창민 21 남재현 30 임정호 38 이도현 41 박성모 46 박진태 55 김유영 56 최민준 57 김정빈 58 정동윤 61 김정인 69 이승관 91 강동호 96 김유신 97 조성훈 포수 22 권정웅 27 이정훈 31 김재현 40 박상언 내야수 2 강한울 3 김웅빈 5 박성한 6 이재근 10 도태훈 23 최정용 53 양석환 외야수 1 김준완 7 김재유 8 홍현빈 17 이재율 51 조수행 vdehNC 다이노스 - 현재 명단감독 70 이동욱 (감독) 코치 81 손민한 (수석/투수) 27 이호준 (타격) 72 전준호 (작전/주루) 74 한규식 (수비/3루 주루) 75 진종길 (작전/1루 주루) 77 용덕한 (배터리) 88 채종범 (타격보조) 98 김수경 (투수) C팀 감독 97 유영준 C팀 코치 71 이대환 (불펜) 83 정진식 (배터리) 85 이현곤 (수비) 89 박석진 (투수) 90 송재익 (수비) 93 이종욱 (작전/주루) D팀 감독 82 한문연 (총괄/배터리) D팀 코치 76 지연규 (투수) 79 김상엽 (투수/재활) 87 김민호 (타격) 투수 1 유원상 8 김재균 11 윤강민 15 임서준 17 민태호 20 노성호 24 김건태 26 최성영 27 장현식 28 김시훈 29 이민호 30 박진우 35 김학성 37 정수민 38 윤지웅 40 루친스키 43 류재인 45 임창민 46 원종현 51 이재학 55 김진성 56 강윤구 59 구창모 60 홍성무 61 배재환 101 류진욱 -- 프리드릭 포수 12 김형준 20 정범모 23 윤수강 25 양의지 42 신진호 99 박광열 내야수 2 박민우(주장) 3 유영준 4 김철호 5 김찬형 6 김태진 7 이상호 10 지석훈 13 손시헌 16 모창민 18 박석민 32 이원재 39 오영수 52 노진혁 외야수 0 이인혁 9 최승민 31 김성욱 33 이우성 36 권희동 41 강진성 47 나성범 49 박헌욱 116 김주현 육성선수 22 이준평 40 김도환 54 이승헌 58 김영규 63 김진형 64 이우석 67 이범준 72 박민주 89 김영중 97 천재환 98 이민준 99 최상인 100 신민혁 103 소이현 104 이훈 105 이호중 106 노병훈 107 김경년 110 이효준 111 이국필 112 문석종 -- 김희원 -- 손정욱 -- 이지우 -- 조무성 군 입대 선수 공수빈 권법수 김민수 김병재 김준완 김준현 김진호 김태강 김태군 김태현 김호민 도태훈 문성용 박준영 배지환 송동욱 이도현 이재용 이재율 임정호 정성민 조원빈 최금강 최보성 2019년 신인지명 선수 65 박수현(1차지명) 62 송명기(2차 1라운드 지명) 69 전사민(2차 2라운드 지명) 84 최재익(2차 3라운드 지명) 78 배민서(2차 4라운드 지명) 80 김범준(2차 5라운드 지명) 91 하준수(2차 6라운드 지명) 92 최정원(2차 7라운드 지명) 94 박지한(2차 8라운드 지명) 95 서호철(2차 9라운드 지명) 96 노시훈(2차 10라운드 지명)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정호&oldid=24487600" 분류: 199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NC 다이노스 선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잠신중학교 동문신일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평택 임씨상무 야구단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2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용인송담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인송담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용인송담대학교Yong-In Songdam College표어 생각은 혼자하고 행동은 함께하자 종류 전문대학설립 1993년총장 최성식학교법인 학교법인 송담학원학생 수 3,838명 (2017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13명 (2017년)[1]기타교원: 209명 (2017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동부로 61웹사이트 용인송담대학교 홈페이지 용인송담대학교의 위치 용인송담대학교(龍仁松潭大學校, Yong-In Songdam College)는 1993년 송담학원이 경기도 용인시에 설립한 전문대학이다. 1998년 용인송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매년 방학기간 중 산업체 견학, 박람회 참가를 위한 해외단기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9월에는 석담축제가 열린다. 해외 교류는 하와이의 자비오라니 대학(Hawaii-Kapiolani)외 6개 대학과 2개 기관과의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여 상호학술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교육부평가 특성화대학, 주문식교육실시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0년도에는 교육과학기술부 평가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목차 1 연혁 2 교육편제 3 자매 결연 대학 4 저명한 동문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4년 11월 17일 : 용인공업전문대학 설립 1995년 3월 3일 : 개교 1998년 5월 1일 : 용인송담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년 11월 17일 : 본관동 준공 2008년 8월 26일 : 기숙사 준공 2012년 1월 9일 : 용인송담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2] 교육편제[편집] 용인송담대학교는 4계열 27학과를 개설하여 운영중이다.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경영사무과 법무경찰과 비서경영과[3] 사회복지과[3] 세무회계과 유아교육과[3] 항공서비스과 호텔관광과 간호학과[4] 뷰티케어과 의료정보과 건축소방설비과 건축에너지과 기계과 전자과 자동차기계과 정보통신과 전기과 컴퓨터게임과[3] 컴퓨터정보과[3] 실내디자인과 방송영화제작예술과[3] 스타일리스트과 컬러리스트과 3D조형과[3] 리빙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자매 결연 대학[편집] 용인송담대학교는 해외 각종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학술 세미나 등의 행사를 개최하며 교류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대학 목록이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용인송담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전문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3년제 과정 ↑ 4년제 과정 외부 링크[편집] 용인송담대학교 홈페이지 vdeh 경기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한경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지역대학) 한국복지대학교 한국학대학원 사립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강남대학교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경동대학교 (경기도양주Metropol캠퍼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국제사이버대학교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바이오메디캠퍼스)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루터대학교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수원가톨릭대학교 수원대학교 신경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 용인대학교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 중부대학교 (고양캠퍼스)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중앙승가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총신대학교 (양지캠퍼스) 칼빈대학교 평택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한국항공대학교 한세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협성대학교 전문대학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국제대학교 김포대학교 농협대학교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대림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원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 부천대학교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 서정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신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오산대학교 용인송담대학교 웅지세무대학교 유한대학교 장안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 한국폴리텍Ⅱ대학 (안성캠퍼스) ICT폴리텍대학 대학원대학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안산캠퍼스) 서울디지털대학교 (부천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용인송담대학교&oldid=24512126" 분류: 1994년 설립1995년 개교경기도의 전문대학용인시의 학교처인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4: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2014년 ← 2018년 11월 24일 → 2022년 선출의석: 직할시/현시장 22석() 직할시/현시의원 912석(5) 향진시구장 204석() 향진시구민대표 2148석(2) 촌리장 7744석(108) 투표율 직할시장 66.11%(0.20%) 현시장 68.87%(1.53%) 직할시의원 66.14%(0.34%) 현시의원 68.90%(1.52%) 향진시장 69.57%(1.75%) 원주민구장 80.93%(0.48%) 향진시민대표 69.67%(1.83%) 원주민구민대표 80.45%(0.49%) 촌리장 68.93%(1.22%)   제1당 제2당   지도자 우둔이당 주석 차이잉원당 주석 정당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지도자 취임 2017년 8월 20일 2014년 5월 28일 이전선거 결과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386석 향진시구장 80석 향진시구민대표 540석 촌리장 1796석 직할시/현시장 13석 직할시/현시의원 291석 향진시구장 54석 향진시구민대표 194석 촌리장 390석 선거후 의석수 직할시/현시장 15석 직할시/현시의원 394석 향진시구장 84석 향진시구민대표 390석 촌리장 1220석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238석 향진시구장 36석 향진시구민대표 151석 촌리장 285석 의석 증감 직할시/현시장 9석 직할시/현시의원 8석 향진시구장 4석 향진시구민대표 150석 촌리장 576석 직할시/현시장 7석 직할시/현시의원 53석 향진시구장 18석 향진시구민대표 43석 촌리장 105석 득표수 직할시/현시장 6,102,876표 직할시/현시의원 5,000,893표 향진시구장 1,124,744표 향진시구민대표 627,825표 촌리장 2,043,786표 직할시/현시장 4,897,730표 직할시/현시의원 3,844,201표 향진시구장 901,226표 향진시구민대표 350,775표 촌리장 633,126표 득표율 직할시/현시장 48.79% 직할시/현시의원 40.39% 향진시구장 33.58% 향진시구민대표 18.72% 촌리장 17.17% 직할시/현시장 39.16% 직할시/현시의원 31.05% 향진시구장 26.90% 향진시구민대표 10.46% 촌리장 5.32% 득표율 증감 직할시/현시장 8.09% 직할시/현시의원 3.53% 향진시구장 0.13% 향진시구민대표 3.83% 촌리장 6.66% 직할시/현시장 8.39% 직할시/현시의원 6.03% 향진시구장 4.82% 향진시구민대표 2.20% 촌리장 1.23% 2018년 중화민국 직할시장 과 현시장 선거 투표율 : 67.39%  %50403020100 48.79% 39.16%0.73%0.01%11.03%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득실표율 2014년 선거와 정당별 득실율 비교   % 10   8   6   4   2   0  -2  -4  -6  -8-10 +8.09% -8.39%+0.73%-0.04%-0.67%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틀:선거도표/정비 틀:선거도표/정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2018년 중화민국 9합1 선거)는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에 중화민국 자유지구에서 실시 되는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 정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는 10개 항목의 국민투표도 함께 치러졌다. 목차 1 개요 2 일정 3 출마 후보 3.1 직할시장 과 현시장 3.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3.3 향진시구장 3.4 향진시구민대표 3.5 촌리장 4 여론 조사 4.1 정당 지지율 5 선거 결과 5.1 직할시장 과 현시장 5.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5.3 향진시구장 5.4 향진시구민대표 5.5 촌리장 6 각주 개요[편집] 이번 지방 선거는 중화민국의 직할시 (대북시, 신북시, 도원시, 대중시, 대남시, 고웅시 이른바 "6도" 이다), 대만성 (13 현 3시)과 푸젠성 ( 2 현) 지방 자치 단체장과 의회 의원이 선출된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2014 년 중화 민국 지방 선거와 마찬가지로 9 합 1 선거 (직할 시장, 직할시 의원, 현시 의원 향진시 길이 향진시 인민 대표 촌락 길이 산지 출신 구청장 및 평지 원주민 구민 대표)라고도 불린다. 선거 개요 선거 한항 선출의석 대수 직할시장 6 대북시 제7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장 16 대만성 현,지룽시 제18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직할시의원 377 대북시 제13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의원 532 대만성 현,지룽시 제19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향진시구장 198 대만성 향진시 제17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0대 6 원주민구 제2대 향진시민대표 2096 대만성 향진시 제20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1대 50 원주민구 제2대 촌리장 7852 대만성 촌이 제21대 대북시 이 제13대 푸젠성 진먼현 촌이 제11대 푸젠성 롄장현 촌 제10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일정[편집] 8월 16일:중앙 선거위원회가 지방 공직 인원 선거 공고 8월 27일:후보 등록 시작 8월 31일:후보 등록 마감 10월 19일:후보 추첨 결정 번호 11월 24일:투표일 출마 후보[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2018년 직할시장 과 현시장 후보자 목록 직할시.성 현시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띵셔우종 야오원즈 커원저리시쿤우어양 신북시 허우요우이 쑤정창 도원시 천쉬에셩 정원찬 주메이쉬에양리환우푸통 대중시 루수얜 린쟈롱 쏭위앤통 대남시 까오쓰뽀 황웨이저 천용허린이펑쉬종신쑤환즈 고웅시 한꿔위 천치마이 취메이펑쑤잉꿰이 대만성 지룽시 셰리꽁 린요우창 이란현 린쯔먀오 천어우포 린신화천추징린진쿤 신주현 양원커 정차오팡 쉬신잉 예팡똥 신주시 쉬밍차이 린즈졘 셰원진황위앤푸리지췬꾸어롱뤠이 묘률현 쉬야오창 쉬띵전황위얜주타이핑 장화현 왕훼이메이 웨이밍꾸 홍민슝황원링빠이야찬 난터우현 린밍전 홍꾸어하오 운림현 장리산 리진용 린쟈위왕리핑 가의현 우위런 웡장량 우팡밍린꾸어롱 가의시 황민훼이 투싱저 샤오슈리황홍청타이완아청스졔웨이런차이션쫑통 병동현 쑤칭취안 판멍안 리롱런 대동현 라오칭링 루자오하오 펑취앤꾸어황위삔쿠앙리전 화련현 쉬전웨이 루샤오메이 황스펑 펑후현 라이펑웨이 천꾸앙푸 우정롱정칭파천따쏭뤼화위앤웡전셩 푸젠성 진먼현 양전우 천푸하이홍즈헝셰이장홍허청왕청화 롄장현 루쩡잉 쑤뽀하오 웨이야오치앤주수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63 33 27 1 37 27 신북시 66 36 36 18 32 도원시 63 36 35 1 10 47 대중시 65 37 37 13 45 대남시 57 22 37 9 44 고웅시 66 36 38 18 39 대만성 지룽시 31 1 8 17 이란현 34 18 4 36 신주현 36 15 2 5 43 신주시 34 20 12 10 31 묘률현 38 16 10 4 40 장화현 54 29 2 31 난터우현 37 15 17 2 27 운림현 43 20 4 41 가의현 37 28 가의시 23 8 8 3 24 병동현 55 30 3 41 대동현 30 29 4 4 30 화련현 33 2 25 펑후현 19 9 5 26 푸젠성 진먼현 19 3 21 롄장현 9 3 합계 912 494 407 5 59 697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후보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4 도원시(부흥구) 1 3 대중시(화평구) 1 1 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7 대만성 이란현 12 11 10 11 신주현 13 14 1 22 묘률현 18 13 2 29 장화현 26 19 19 44 난터우현 13 13 6 19 운림현 20 5 18 32 가의현 18 2 14 19 병동현 33 12 20 2 56 대동현 16 13 2 28 화련현 13 17 2 13 펑후현 6 3 3 6 푸젠성 진먼현 6 8 1 10 롄장현 4 5 합계 204 138 97 0 3 305 향진시구민대표[편집] 2018년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7 13 도원시(부흥구) 11 4 21 대중시(화평구) 11 6 1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21 5 37 대만성 이란현 131 49 37 2 144 신주현 142 68 5 3 189 묘률현 193 17 6 299 장화현 317 47 85 391 난터우현 163 43 5 208 운림현 228 15 45 300 가의현 193 19 6 256 병동현 334 55 53 2 422 대동현 136 59 6 2 170 화련현 142 92 8 1 144 펑후현 51 4 3 7 76 푸젠성 진먼현 47 20 4 41 롄장현 22 20 13 합계 2,149 523 259 0 21 2,736 촌리장[편집] 2018년 촌리장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456 282 63 16 576 신북시 1,032 300 41 15 1,495 도원시 504 133 4 8 845 대중시 625 139 79 4 1,025 대남시 649 64 115 2 1,222 고웅시 891 173 218 1 1,320 대만성 지룽시 157 33 4 1 258 이란현 233 38 8 1 404 신주현 192 77 1 318 신주시 122 20 1 210 묘률현 275 11 1 512 장화현 589 38 11 2 1,073 난터우현 262 55 4 469 운림현 391 11 1 745 가의현 357 7 646 가의시 84 20 2 128 병동현 463 54 6 1 822 대동현 147 70 5 3 255 화련현 176 138 2 251 펑후현 96 17 2 174 푸젠성 진먼현 37 17 1 69 롄장현 22 23 10 합계 7,760 1,720 524 0 58 12,827 여론 조사[편집] 정당 지지율[편집] 정당 지지율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주진보당 중국국민당 친민당 시역 대연 녹색당 신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무응답 참고 메이리다오 10월 24일 ~ 10월 26일 1069명 20.2 25.0 0.5 3.1 ― ― ― ― ― 35.7 2.0 [1] 메이리다오 9월 19일 ~ 9월 21일 1073명 18.0 19.4 0.6 2.6 0.3 ― ― ― ― 42.4 3.2 [2] 대만 경쟁력 9월 12일 ~ 9월 14일 1068명 19.2 30.8 1.7 5.3 0.5 1.0 0.9 ― ― 40.2 [3] 대만 여론 재단 9월 9일 ~ 9월 12일 1075명 24.7 23.1 4.7 8.0 ― ― ― ― 3.9 34.5 1.1 [4] 트렌드 9월 5일 ~ 9월 7일 1068명 23.6 25.2 2.3 7.1 ― ― 1.4 ― 2.3 25.6 11.5 [5] 메이리다오 8월 22일 ~ 8월 24일 1069명 18.9 19.3 0.4 2.3 0.1 ― ― ― ― 43.7 2.5 [6] 대만 여론 재단 8월 13일 ~ 8월 14일 1074명 24.5 24.5 ― ― ― ― ― ― ― 46.9 4.1 [7] 트렌드 8월 13일 ~ 8월 14일 1068명 18.9 19.3 3.5 8.5 ― ― ― ― 0.5 35.9 12.5 [8] 대만 경쟁력 8월 11일 ~ 8월 13일 1076명 16.4 21.3 2.4 6.8 0.7 1.2 ― ― ― 50.4 [9] 대만 지표 조사 8월 1일 ~ 8월 10일 1098명 15.7 20.4 0.4 2.8 0.1 0.3 ― ― ― 45.4 3.1 [10] 메이리다오 7월 24일 ~ 7월 26일 1070명 18.7 19.8 0.4 2.7 0.2 ― ― ― ― 43.4 4.2 [11] 대만 여론 재단 7월 9일. 7월 11일 1070명 25.2 20.7 ― ― ― ― ― ― ― 49.6 4.5 [12] 메이리다오 6월 24일 ~ 6월 26일 1073명 19.5 19.8 0.5 3.1 0.0 ― ― ― ― 39.5 5.5 [13] 트렌드 6월 23일 ~ 6월 25일 1083명 18.4 23.0 3.0 13.2 ― ― ― ― 1.4 30.6 9.6 [14] 대만 여론 재단 6월 11일 ~ 6월 12일 1073명 23.1 23.0 4.1 8.3 ― ― ― ― 4.5 34.9 2.0 [15] 트렌드 5월 24일 ~ 5월 25일 1104명 22.2 22.6 2.0 8.2 ― ― ― ― 2.5 32.1 10.4 [16] 메이리다오 5월 23일 ~ 5월 25일 1072명 20.8 19.2 0.4 2.3 0.2 ― ― ― ― 43.0 3.9 [17] 대만 여론 재단 5월 14일 ~ 5월 15일 1071명 36.7 21.9 ― ― ― ― ― ― ― 37.4 4.0 [18] 메이리다오 4월 25일 ~ 4월 27일 1071명 23.4 22.1 0.7 2.6 0.2 ― ― ― ― 34.7 3.9 [19] 트렌드 4월 16일 ~ 4월 17일 1079명 30.8 21.7 3.2 12.2 ― ― ― ― 5.6 17.4 9.2 [20] 세대 생각 탱크 3월 26일 ~ 3월 27일 1074명 33.6 28.5 0.3 2.3 0.2 ― ― ― 0.7 4.9 3.9 [21] 선거 결과[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 15 6 1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결과:     중국국민당:394석     민주진보당:238석      무소속:234석     시대역량:16석      친민당:8석      타이완 단결연맹:5석      무당단결연맹:5석      녹색당:3석      민국당:3석      신당:2석      노동당:2석      사회민주당:1석      중화민족즈꽁당:1석 ↓ 394 238 280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당선자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1 도원시(부흥구) 1 1 대중시(화평구) 1 1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1 대만성 이란현 12 8 3 1 신주현 13 10 3 묘률현 18 10 8 장화현 26 9 7 10 난터우현 13 4 2 7 운림현 20 1 9 10 가의현 18 11 11 병동현 33 8 7 18 대동현 16 9 1 6 화련현 13 12 1 펑후현 6 2 4 푸젠성 진먼현 6 3 3 롄장현 4 4 합계 204 85 40 0 0 83 향진시구민대표[편집] 촌리장[편집] 각주[편집] ↑ “美麗島民調:2018年10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美麗島民調:2018年9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不滿意蔡總統施政66% 不滿意賴揆54%”. 2018년 9월 29일.  ↑ “2018年9月「台灣人眼中的蔡英文總統」”. 2018년 9월 29일.  ↑ “時代力量民調:年底大選「藍綠歸隊」,政黨支持度藍「逆轉勝」綠”. 2018년 9월 15일.  ↑ “美麗島民調:2018年8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9일.  ↑ “2018年8月「元首外交、台灣正名與兩岸關係」”. 2018년 8월 24일.  ↑ “《致公黨民調》教育政策影響生育率 民眾期待免費託兒與雙語教育教學”. 2018년 8월 19일.  ↑ “民調:蔡賴滿意度各僅2成 政黨支持度藍勝綠近5個百分點”. 2018년 8월 19일.  ↑ “台灣指標民調》藍綠靠邊站!中間選民崛起,超越認同兩大黨者”. 2018년 8월 24일.  ↑ “美麗島民調:2018年7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일.  ↑ “2018年7月「2018台灣政黨形象」”. 2018년 8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6月國政民調”. 2018년 6월 30일.  ↑ “《致公黨民調》過半民眾認為年改具合理性 8成以上國人認為執行死刑能降低犯罪發生”. 2018년 6월 28일.  ↑ “2018台灣人最喜愛的國家(2018年6月17日)”. 2018년 6월 17일.  ↑ “《致公黨民調》7成民眾憂心缺電 超過4成支持重啟核四 賴神滿意度首次出現死亡交叉”. 2018년 6월 7일.  ↑ “美麗島民調:2018年5月國政民調”. 2018년 6월 2일.  ↑ “民進黨執政兩週年(2018年5月20日)”. 2018년 6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4月國政民調”. 2018년 5월 31일.  ↑ “最新政府施政滿意度與2020年第三勢力形成評估” (PDF). 2018년 5월 31일.  ↑ “縣市長選舉》世代智庫民調:4成5看好民進黨參選人”. 2018년 5월 31일.  vdeh 중화민국의 선거중앙선거총통선거 1948 1954 1960 1966 1972 1978 1984 1990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국민대회선거 1969 1972 1980 1986 1991 1996 2000 2005 입법위원선거 1969 1972 1975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2008 2012 2016 2020 지방선거현시선거 1935 1939 1950 1954 1957 1960 1964 1968 1972 1977 1981 1985 1989 1993 1997 2001 2005 2009 직할시선거 1936 1940 1946 1951 1954 1957 1960 1963 1968 1969 1972 1973 1977 1981 1985 1989 1994 1998 2002 2006 2010 9합1 선거 2014 2018 국민투표초대 투표법 2004 2008 (1월) 2008 (3월) 2대 투표법 2018 지방국민투표 2008 (고웅) 2009 (펑후) 2012 (롄장) 2016 (펑후) 2017 (진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중화민국_지방_선거&oldid=24527967" 분류: 중화민국의 선거2018년 선거2018년 타이완2018년 11월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2014년 ← 2018년 11월 24일 → 2022년 선출의석: 직할시/현시장 22석() 직할시/현시의원 912석(5) 향진시구장 204석() 향진시구민대표 2148석(2) 촌리장 7744석(108) 투표율 직할시장 66.11%(0.20%) 현시장 68.87%(1.53%) 직할시의원 66.14%(0.34%) 현시의원 68.90%(1.52%) 향진시장 69.57%(1.75%) 원주민구장 80.93%(0.48%) 향진시민대표 69.67%(1.83%) 원주민구민대표 80.45%(0.49%) 촌리장 68.93%(1.22%)   제1당 제2당   지도자 우둔이당 주석 차이잉원당 주석 정당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지도자 취임 2017년 8월 20일 2014년 5월 28일 이전선거 결과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386석 향진시구장 80석 향진시구민대표 540석 촌리장 1796석 직할시/현시장 13석 직할시/현시의원 291석 향진시구장 54석 향진시구민대표 194석 촌리장 390석 선거후 의석수 직할시/현시장 15석 직할시/현시의원 394석 향진시구장 84석 향진시구민대표 390석 촌리장 1220석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238석 향진시구장 36석 향진시구민대표 151석 촌리장 285석 의석 증감 직할시/현시장 9석 직할시/현시의원 8석 향진시구장 4석 향진시구민대표 150석 촌리장 576석 직할시/현시장 7석 직할시/현시의원 53석 향진시구장 18석 향진시구민대표 43석 촌리장 105석 득표수 직할시/현시장 6,102,876표 직할시/현시의원 5,000,893표 향진시구장 1,124,744표 향진시구민대표 627,825표 촌리장 2,043,786표 직할시/현시장 4,897,730표 직할시/현시의원 3,844,201표 향진시구장 901,226표 향진시구민대표 350,775표 촌리장 633,126표 득표율 직할시/현시장 48.79% 직할시/현시의원 40.39% 향진시구장 33.58% 향진시구민대표 18.72% 촌리장 17.17% 직할시/현시장 39.16% 직할시/현시의원 31.05% 향진시구장 26.90% 향진시구민대표 10.46% 촌리장 5.32% 득표율 증감 직할시/현시장 8.09% 직할시/현시의원 3.53% 향진시구장 0.13% 향진시구민대표 3.83% 촌리장 6.66% 직할시/현시장 8.39% 직할시/현시의원 6.03% 향진시구장 4.82% 향진시구민대표 2.20% 촌리장 1.23% 2018년 중화민국 직할시장 과 현시장 선거 투표율 : 67.39%  %50403020100 48.79% 39.16%0.73%0.01%11.03%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득실표율 2014년 선거와 정당별 득실율 비교   % 10   8   6   4   2   0  -2  -4  -6  -8-10 +8.09% -8.39%+0.73%-0.04%-0.67%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틀:선거도표/정비 틀:선거도표/정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2018년 중화민국 9합1 선거)는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에 중화민국 자유지구에서 실시 되는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 정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는 10개 항목의 국민투표도 함께 치러졌다. 목차 1 개요 2 일정 3 출마 후보 3.1 직할시장 과 현시장 3.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3.3 향진시구장 3.4 향진시구민대표 3.5 촌리장 4 여론 조사 4.1 정당 지지율 5 선거 결과 5.1 직할시장 과 현시장 5.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5.3 향진시구장 5.4 향진시구민대표 5.5 촌리장 6 각주 개요[편집] 이번 지방 선거는 중화민국의 직할시 (대북시, 신북시, 도원시, 대중시, 대남시, 고웅시 이른바 "6도" 이다), 대만성 (13 현 3시)과 푸젠성 ( 2 현) 지방 자치 단체장과 의회 의원이 선출된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2014 년 중화 민국 지방 선거와 마찬가지로 9 합 1 선거 (직할 시장, 직할시 의원, 현시 의원 향진시 길이 향진시 인민 대표 촌락 길이 산지 출신 구청장 및 평지 원주민 구민 대표)라고도 불린다. 선거 개요 선거 한항 선출의석 대수 직할시장 6 대북시 제7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장 16 대만성 현,지룽시 제18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직할시의원 377 대북시 제13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의원 532 대만성 현,지룽시 제19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향진시구장 198 대만성 향진시 제17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0대 6 원주민구 제2대 향진시민대표 2096 대만성 향진시 제20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1대 50 원주민구 제2대 촌리장 7852 대만성 촌이 제21대 대북시 이 제13대 푸젠성 진먼현 촌이 제11대 푸젠성 롄장현 촌 제10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일정[편집] 8월 16일:중앙 선거위원회가 지방 공직 인원 선거 공고 8월 27일:후보 등록 시작 8월 31일:후보 등록 마감 10월 19일:후보 추첨 결정 번호 11월 24일:투표일 출마 후보[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2018년 직할시장 과 현시장 후보자 목록 직할시.성 현시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띵셔우종 야오원즈 커원저리시쿤우어양 신북시 허우요우이 쑤정창 도원시 천쉬에셩 정원찬 주메이쉬에양리환우푸통 대중시 루수얜 린쟈롱 쏭위앤통 대남시 까오쓰뽀 황웨이저 천용허린이펑쉬종신쑤환즈 고웅시 한꿔위 천치마이 취메이펑쑤잉꿰이 대만성 지룽시 셰리꽁 린요우창 이란현 린쯔먀오 천어우포 린신화천추징린진쿤 신주현 양원커 정차오팡 쉬신잉 예팡똥 신주시 쉬밍차이 린즈졘 셰원진황위앤푸리지췬꾸어롱뤠이 묘률현 쉬야오창 쉬띵전황위얜주타이핑 장화현 왕훼이메이 웨이밍꾸 홍민슝황원링빠이야찬 난터우현 린밍전 홍꾸어하오 운림현 장리산 리진용 린쟈위왕리핑 가의현 우위런 웡장량 우팡밍린꾸어롱 가의시 황민훼이 투싱저 샤오슈리황홍청타이완아청스졔웨이런차이션쫑통 병동현 쑤칭취안 판멍안 리롱런 대동현 라오칭링 루자오하오 펑취앤꾸어황위삔쿠앙리전 화련현 쉬전웨이 루샤오메이 황스펑 펑후현 라이펑웨이 천꾸앙푸 우정롱정칭파천따쏭뤼화위앤웡전셩 푸젠성 진먼현 양전우 천푸하이홍즈헝셰이장홍허청왕청화 롄장현 루쩡잉 쑤뽀하오 웨이야오치앤주수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63 33 27 1 37 27 신북시 66 36 36 18 32 도원시 63 36 35 1 10 47 대중시 65 37 37 13 45 대남시 57 22 37 9 44 고웅시 66 36 38 18 39 대만성 지룽시 31 1 8 17 이란현 34 18 4 36 신주현 36 15 2 5 43 신주시 34 20 12 10 31 묘률현 38 16 10 4 40 장화현 54 29 2 31 난터우현 37 15 17 2 27 운림현 43 20 4 41 가의현 37 28 가의시 23 8 8 3 24 병동현 55 30 3 41 대동현 30 29 4 4 30 화련현 33 2 25 펑후현 19 9 5 26 푸젠성 진먼현 19 3 21 롄장현 9 3 합계 912 494 407 5 59 697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후보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4 도원시(부흥구) 1 3 대중시(화평구) 1 1 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7 대만성 이란현 12 11 10 11 신주현 13 14 1 22 묘률현 18 13 2 29 장화현 26 19 19 44 난터우현 13 13 6 19 운림현 20 5 18 32 가의현 18 2 14 19 병동현 33 12 20 2 56 대동현 16 13 2 28 화련현 13 17 2 13 펑후현 6 3 3 6 푸젠성 진먼현 6 8 1 10 롄장현 4 5 합계 204 138 97 0 3 305 향진시구민대표[편집] 2018년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7 13 도원시(부흥구) 11 4 21 대중시(화평구) 11 6 1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21 5 37 대만성 이란현 131 49 37 2 144 신주현 142 68 5 3 189 묘률현 193 17 6 299 장화현 317 47 85 391 난터우현 163 43 5 208 운림현 228 15 45 300 가의현 193 19 6 256 병동현 334 55 53 2 422 대동현 136 59 6 2 170 화련현 142 92 8 1 144 펑후현 51 4 3 7 76 푸젠성 진먼현 47 20 4 41 롄장현 22 20 13 합계 2,149 523 259 0 21 2,736 촌리장[편집] 2018년 촌리장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456 282 63 16 576 신북시 1,032 300 41 15 1,495 도원시 504 133 4 8 845 대중시 625 139 79 4 1,025 대남시 649 64 115 2 1,222 고웅시 891 173 218 1 1,320 대만성 지룽시 157 33 4 1 258 이란현 233 38 8 1 404 신주현 192 77 1 318 신주시 122 20 1 210 묘률현 275 11 1 512 장화현 589 38 11 2 1,073 난터우현 262 55 4 469 운림현 391 11 1 745 가의현 357 7 646 가의시 84 20 2 128 병동현 463 54 6 1 822 대동현 147 70 5 3 255 화련현 176 138 2 251 펑후현 96 17 2 174 푸젠성 진먼현 37 17 1 69 롄장현 22 23 10 합계 7,760 1,720 524 0 58 12,827 여론 조사[편집] 정당 지지율[편집] 정당 지지율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주진보당 중국국민당 친민당 시역 대연 녹색당 신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무응답 참고 메이리다오 10월 24일 ~ 10월 26일 1069명 20.2 25.0 0.5 3.1 ― ― ― ― ― 35.7 2.0 [1] 메이리다오 9월 19일 ~ 9월 21일 1073명 18.0 19.4 0.6 2.6 0.3 ― ― ― ― 42.4 3.2 [2] 대만 경쟁력 9월 12일 ~ 9월 14일 1068명 19.2 30.8 1.7 5.3 0.5 1.0 0.9 ― ― 40.2 [3] 대만 여론 재단 9월 9일 ~ 9월 12일 1075명 24.7 23.1 4.7 8.0 ― ― ― ― 3.9 34.5 1.1 [4] 트렌드 9월 5일 ~ 9월 7일 1068명 23.6 25.2 2.3 7.1 ― ― 1.4 ― 2.3 25.6 11.5 [5] 메이리다오 8월 22일 ~ 8월 24일 1069명 18.9 19.3 0.4 2.3 0.1 ― ― ― ― 43.7 2.5 [6] 대만 여론 재단 8월 13일 ~ 8월 14일 1074명 24.5 24.5 ― ― ― ― ― ― ― 46.9 4.1 [7] 트렌드 8월 13일 ~ 8월 14일 1068명 18.9 19.3 3.5 8.5 ― ― ― ― 0.5 35.9 12.5 [8] 대만 경쟁력 8월 11일 ~ 8월 13일 1076명 16.4 21.3 2.4 6.8 0.7 1.2 ― ― ― 50.4 [9] 대만 지표 조사 8월 1일 ~ 8월 10일 1098명 15.7 20.4 0.4 2.8 0.1 0.3 ― ― ― 45.4 3.1 [10] 메이리다오 7월 24일 ~ 7월 26일 1070명 18.7 19.8 0.4 2.7 0.2 ― ― ― ― 43.4 4.2 [11] 대만 여론 재단 7월 9일. 7월 11일 1070명 25.2 20.7 ― ― ― ― ― ― ― 49.6 4.5 [12] 메이리다오 6월 24일 ~ 6월 26일 1073명 19.5 19.8 0.5 3.1 0.0 ― ― ― ― 39.5 5.5 [13] 트렌드 6월 23일 ~ 6월 25일 1083명 18.4 23.0 3.0 13.2 ― ― ― ― 1.4 30.6 9.6 [14] 대만 여론 재단 6월 11일 ~ 6월 12일 1073명 23.1 23.0 4.1 8.3 ― ― ― ― 4.5 34.9 2.0 [15] 트렌드 5월 24일 ~ 5월 25일 1104명 22.2 22.6 2.0 8.2 ― ― ― ― 2.5 32.1 10.4 [16] 메이리다오 5월 23일 ~ 5월 25일 1072명 20.8 19.2 0.4 2.3 0.2 ― ― ― ― 43.0 3.9 [17] 대만 여론 재단 5월 14일 ~ 5월 15일 1071명 36.7 21.9 ― ― ― ― ― ― ― 37.4 4.0 [18] 메이리다오 4월 25일 ~ 4월 27일 1071명 23.4 22.1 0.7 2.6 0.2 ― ― ― ― 34.7 3.9 [19] 트렌드 4월 16일 ~ 4월 17일 1079명 30.8 21.7 3.2 12.2 ― ― ― ― 5.6 17.4 9.2 [20] 세대 생각 탱크 3월 26일 ~ 3월 27일 1074명 33.6 28.5 0.3 2.3 0.2 ― ― ― 0.7 4.9 3.9 [21] 선거 결과[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 15 6 1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결과:     중국국민당:394석     민주진보당:238석      무소속:234석     시대역량:16석      친민당:8석      타이완 단결연맹:5석      무당단결연맹:5석      녹색당:3석      민국당:3석      신당:2석      노동당:2석      사회민주당:1석      중화민족즈꽁당:1석 ↓ 394 238 280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당선자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1 도원시(부흥구) 1 1 대중시(화평구) 1 1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1 대만성 이란현 12 8 3 1 신주현 13 10 3 묘률현 18 10 8 장화현 26 9 7 10 난터우현 13 4 2 7 운림현 20 1 9 10 가의현 18 11 11 병동현 33 8 7 18 대동현 16 9 1 6 화련현 13 12 1 펑후현 6 2 4 푸젠성 진먼현 6 3 3 롄장현 4 4 합계 204 85 40 0 0 83 향진시구민대표[편집] 촌리장[편집] 각주[편집] ↑ “美麗島民調:2018年10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美麗島民調:2018年9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不滿意蔡總統施政66% 不滿意賴揆54%”. 2018년 9월 29일.  ↑ “2018年9月「台灣人眼中的蔡英文總統」”. 2018년 9월 29일.  ↑ “時代力量民調:年底大選「藍綠歸隊」,政黨支持度藍「逆轉勝」綠”. 2018년 9월 15일.  ↑ “美麗島民調:2018年8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9일.  ↑ “2018年8月「元首外交、台灣正名與兩岸關係」”. 2018년 8월 24일.  ↑ “《致公黨民調》教育政策影響生育率 民眾期待免費託兒與雙語教育教學”. 2018년 8월 19일.  ↑ “民調:蔡賴滿意度各僅2成 政黨支持度藍勝綠近5個百分點”. 2018년 8월 19일.  ↑ “台灣指標民調》藍綠靠邊站!中間選民崛起,超越認同兩大黨者”. 2018년 8월 24일.  ↑ “美麗島民調:2018年7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일.  ↑ “2018年7月「2018台灣政黨形象」”. 2018년 8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6月國政民調”. 2018년 6월 30일.  ↑ “《致公黨民調》過半民眾認為年改具合理性 8成以上國人認為執行死刑能降低犯罪發生”. 2018년 6월 28일.  ↑ “2018台灣人最喜愛的國家(2018年6月17日)”. 2018년 6월 17일.  ↑ “《致公黨民調》7成民眾憂心缺電 超過4成支持重啟核四 賴神滿意度首次出現死亡交叉”. 2018년 6월 7일.  ↑ “美麗島民調:2018年5月國政民調”. 2018년 6월 2일.  ↑ “民進黨執政兩週年(2018年5月20日)”. 2018년 6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4月國政民調”. 2018년 5월 31일.  ↑ “最新政府施政滿意度與2020年第三勢力形成評估” (PDF). 2018년 5월 31일.  ↑ “縣市長選舉》世代智庫民調:4成5看好民進黨參選人”. 2018년 5월 31일.  vdeh 중화민국의 선거중앙선거총통선거 1948 1954 1960 1966 1972 1978 1984 1990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국민대회선거 1969 1972 1980 1986 1991 1996 2000 2005 입법위원선거 1969 1972 1975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2008 2012 2016 2020 지방선거현시선거 1935 1939 1950 1954 1957 1960 1964 1968 1972 1977 1981 1985 1989 1993 1997 2001 2005 2009 직할시선거 1936 1940 1946 1951 1954 1957 1960 1963 1968 1969 1972 1973 1977 1981 1985 1989 1994 1998 2002 2006 2010 9합1 선거 2014 2018 국민투표초대 투표법 2004 2008 (1월) 2008 (3월) 2대 투표법 2018 지방국민투표 2008 (고웅) 2009 (펑후) 2012 (롄장) 2016 (펑후) 2017 (진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중화민국_지방_선거&oldid=24527967" 분류: 중화민국의 선거2018년 선거2018년 타이완2018년 11월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2014년 ← 2018년 11월 24일 → 2022년 선출의석: 직할시/현시장 22석() 직할시/현시의원 912석(5) 향진시구장 204석() 향진시구민대표 2148석(2) 촌리장 7744석(108) 투표율 직할시장 66.11%(0.20%) 현시장 68.87%(1.53%) 직할시의원 66.14%(0.34%) 현시의원 68.90%(1.52%) 향진시장 69.57%(1.75%) 원주민구장 80.93%(0.48%) 향진시민대표 69.67%(1.83%) 원주민구민대표 80.45%(0.49%) 촌리장 68.93%(1.22%)   제1당 제2당   지도자 우둔이당 주석 차이잉원당 주석 정당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지도자 취임 2017년 8월 20일 2014년 5월 28일 이전선거 결과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386석 향진시구장 80석 향진시구민대표 540석 촌리장 1796석 직할시/현시장 13석 직할시/현시의원 291석 향진시구장 54석 향진시구민대표 194석 촌리장 390석 선거후 의석수 직할시/현시장 15석 직할시/현시의원 394석 향진시구장 84석 향진시구민대표 390석 촌리장 1220석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238석 향진시구장 36석 향진시구민대표 151석 촌리장 285석 의석 증감 직할시/현시장 9석 직할시/현시의원 8석 향진시구장 4석 향진시구민대표 150석 촌리장 576석 직할시/현시장 7석 직할시/현시의원 53석 향진시구장 18석 향진시구민대표 43석 촌리장 105석 득표수 직할시/현시장 6,102,876표 직할시/현시의원 5,000,893표 향진시구장 1,124,744표 향진시구민대표 627,825표 촌리장 2,043,786표 직할시/현시장 4,897,730표 직할시/현시의원 3,844,201표 향진시구장 901,226표 향진시구민대표 350,775표 촌리장 633,126표 득표율 직할시/현시장 48.79% 직할시/현시의원 40.39% 향진시구장 33.58% 향진시구민대표 18.72% 촌리장 17.17% 직할시/현시장 39.16% 직할시/현시의원 31.05% 향진시구장 26.90% 향진시구민대표 10.46% 촌리장 5.32% 득표율 증감 직할시/현시장 8.09% 직할시/현시의원 3.53% 향진시구장 0.13% 향진시구민대표 3.83% 촌리장 6.66% 직할시/현시장 8.39% 직할시/현시의원 6.03% 향진시구장 4.82% 향진시구민대표 2.20% 촌리장 1.23% 2018년 중화민국 직할시장 과 현시장 선거 투표율 : 67.39%  %50403020100 48.79% 39.16%0.73%0.01%11.03%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득실표율 2014년 선거와 정당별 득실율 비교   % 10   8   6   4   2   0  -2  -4  -6  -8-10 +8.09% -8.39%+0.73%-0.04%-0.67%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틀:선거도표/정비 틀:선거도표/정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2018년 중화민국 9합1 선거)는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에 중화민국 자유지구에서 실시 되는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 정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는 10개 항목의 국민투표도 함께 치러졌다. 목차 1 개요 2 일정 3 출마 후보 3.1 직할시장 과 현시장 3.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3.3 향진시구장 3.4 향진시구민대표 3.5 촌리장 4 여론 조사 4.1 정당 지지율 5 선거 결과 5.1 직할시장 과 현시장 5.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5.3 향진시구장 5.4 향진시구민대표 5.5 촌리장 6 각주 개요[편집] 이번 지방 선거는 중화민국의 직할시 (대북시, 신북시, 도원시, 대중시, 대남시, 고웅시 이른바 "6도" 이다), 대만성 (13 현 3시)과 푸젠성 ( 2 현) 지방 자치 단체장과 의회 의원이 선출된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2014 년 중화 민국 지방 선거와 마찬가지로 9 합 1 선거 (직할 시장, 직할시 의원, 현시 의원 향진시 길이 향진시 인민 대표 촌락 길이 산지 출신 구청장 및 평지 원주민 구민 대표)라고도 불린다. 선거 개요 선거 한항 선출의석 대수 직할시장 6 대북시 제7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장 16 대만성 현,지룽시 제18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직할시의원 377 대북시 제13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의원 532 대만성 현,지룽시 제19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향진시구장 198 대만성 향진시 제17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0대 6 원주민구 제2대 향진시민대표 2096 대만성 향진시 제20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1대 50 원주민구 제2대 촌리장 7852 대만성 촌이 제21대 대북시 이 제13대 푸젠성 진먼현 촌이 제11대 푸젠성 롄장현 촌 제10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일정[편집] 8월 16일:중앙 선거위원회가 지방 공직 인원 선거 공고 8월 27일:후보 등록 시작 8월 31일:후보 등록 마감 10월 19일:후보 추첨 결정 번호 11월 24일:투표일 출마 후보[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2018년 직할시장 과 현시장 후보자 목록 직할시.성 현시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띵셔우종 야오원즈 커원저리시쿤우어양 신북시 허우요우이 쑤정창 도원시 천쉬에셩 정원찬 주메이쉬에양리환우푸통 대중시 루수얜 린쟈롱 쏭위앤통 대남시 까오쓰뽀 황웨이저 천용허린이펑쉬종신쑤환즈 고웅시 한꿔위 천치마이 취메이펑쑤잉꿰이 대만성 지룽시 셰리꽁 린요우창 이란현 린쯔먀오 천어우포 린신화천추징린진쿤 신주현 양원커 정차오팡 쉬신잉 예팡똥 신주시 쉬밍차이 린즈졘 셰원진황위앤푸리지췬꾸어롱뤠이 묘률현 쉬야오창 쉬띵전황위얜주타이핑 장화현 왕훼이메이 웨이밍꾸 홍민슝황원링빠이야찬 난터우현 린밍전 홍꾸어하오 운림현 장리산 리진용 린쟈위왕리핑 가의현 우위런 웡장량 우팡밍린꾸어롱 가의시 황민훼이 투싱저 샤오슈리황홍청타이완아청스졔웨이런차이션쫑통 병동현 쑤칭취안 판멍안 리롱런 대동현 라오칭링 루자오하오 펑취앤꾸어황위삔쿠앙리전 화련현 쉬전웨이 루샤오메이 황스펑 펑후현 라이펑웨이 천꾸앙푸 우정롱정칭파천따쏭뤼화위앤웡전셩 푸젠성 진먼현 양전우 천푸하이홍즈헝셰이장홍허청왕청화 롄장현 루쩡잉 쑤뽀하오 웨이야오치앤주수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63 33 27 1 37 27 신북시 66 36 36 18 32 도원시 63 36 35 1 10 47 대중시 65 37 37 13 45 대남시 57 22 37 9 44 고웅시 66 36 38 18 39 대만성 지룽시 31 1 8 17 이란현 34 18 4 36 신주현 36 15 2 5 43 신주시 34 20 12 10 31 묘률현 38 16 10 4 40 장화현 54 29 2 31 난터우현 37 15 17 2 27 운림현 43 20 4 41 가의현 37 28 가의시 23 8 8 3 24 병동현 55 30 3 41 대동현 30 29 4 4 30 화련현 33 2 25 펑후현 19 9 5 26 푸젠성 진먼현 19 3 21 롄장현 9 3 합계 912 494 407 5 59 697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후보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4 도원시(부흥구) 1 3 대중시(화평구) 1 1 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7 대만성 이란현 12 11 10 11 신주현 13 14 1 22 묘률현 18 13 2 29 장화현 26 19 19 44 난터우현 13 13 6 19 운림현 20 5 18 32 가의현 18 2 14 19 병동현 33 12 20 2 56 대동현 16 13 2 28 화련현 13 17 2 13 펑후현 6 3 3 6 푸젠성 진먼현 6 8 1 10 롄장현 4 5 합계 204 138 97 0 3 305 향진시구민대표[편집] 2018년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7 13 도원시(부흥구) 11 4 21 대중시(화평구) 11 6 1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21 5 37 대만성 이란현 131 49 37 2 144 신주현 142 68 5 3 189 묘률현 193 17 6 299 장화현 317 47 85 391 난터우현 163 43 5 208 운림현 228 15 45 300 가의현 193 19 6 256 병동현 334 55 53 2 422 대동현 136 59 6 2 170 화련현 142 92 8 1 144 펑후현 51 4 3 7 76 푸젠성 진먼현 47 20 4 41 롄장현 22 20 13 합계 2,149 523 259 0 21 2,736 촌리장[편집] 2018년 촌리장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456 282 63 16 576 신북시 1,032 300 41 15 1,495 도원시 504 133 4 8 845 대중시 625 139 79 4 1,025 대남시 649 64 115 2 1,222 고웅시 891 173 218 1 1,320 대만성 지룽시 157 33 4 1 258 이란현 233 38 8 1 404 신주현 192 77 1 318 신주시 122 20 1 210 묘률현 275 11 1 512 장화현 589 38 11 2 1,073 난터우현 262 55 4 469 운림현 391 11 1 745 가의현 357 7 646 가의시 84 20 2 128 병동현 463 54 6 1 822 대동현 147 70 5 3 255 화련현 176 138 2 251 펑후현 96 17 2 174 푸젠성 진먼현 37 17 1 69 롄장현 22 23 10 합계 7,760 1,720 524 0 58 12,827 여론 조사[편집] 정당 지지율[편집] 정당 지지율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주진보당 중국국민당 친민당 시역 대연 녹색당 신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무응답 참고 메이리다오 10월 24일 ~ 10월 26일 1069명 20.2 25.0 0.5 3.1 ― ― ― ― ― 35.7 2.0 [1] 메이리다오 9월 19일 ~ 9월 21일 1073명 18.0 19.4 0.6 2.6 0.3 ― ― ― ― 42.4 3.2 [2] 대만 경쟁력 9월 12일 ~ 9월 14일 1068명 19.2 30.8 1.7 5.3 0.5 1.0 0.9 ― ― 40.2 [3] 대만 여론 재단 9월 9일 ~ 9월 12일 1075명 24.7 23.1 4.7 8.0 ― ― ― ― 3.9 34.5 1.1 [4] 트렌드 9월 5일 ~ 9월 7일 1068명 23.6 25.2 2.3 7.1 ― ― 1.4 ― 2.3 25.6 11.5 [5] 메이리다오 8월 22일 ~ 8월 24일 1069명 18.9 19.3 0.4 2.3 0.1 ― ― ― ― 43.7 2.5 [6] 대만 여론 재단 8월 13일 ~ 8월 14일 1074명 24.5 24.5 ― ― ― ― ― ― ― 46.9 4.1 [7] 트렌드 8월 13일 ~ 8월 14일 1068명 18.9 19.3 3.5 8.5 ― ― ― ― 0.5 35.9 12.5 [8] 대만 경쟁력 8월 11일 ~ 8월 13일 1076명 16.4 21.3 2.4 6.8 0.7 1.2 ― ― ― 50.4 [9] 대만 지표 조사 8월 1일 ~ 8월 10일 1098명 15.7 20.4 0.4 2.8 0.1 0.3 ― ― ― 45.4 3.1 [10] 메이리다오 7월 24일 ~ 7월 26일 1070명 18.7 19.8 0.4 2.7 0.2 ― ― ― ― 43.4 4.2 [11] 대만 여론 재단 7월 9일. 7월 11일 1070명 25.2 20.7 ― ― ― ― ― ― ― 49.6 4.5 [12] 메이리다오 6월 24일 ~ 6월 26일 1073명 19.5 19.8 0.5 3.1 0.0 ― ― ― ― 39.5 5.5 [13] 트렌드 6월 23일 ~ 6월 25일 1083명 18.4 23.0 3.0 13.2 ― ― ― ― 1.4 30.6 9.6 [14] 대만 여론 재단 6월 11일 ~ 6월 12일 1073명 23.1 23.0 4.1 8.3 ― ― ― ― 4.5 34.9 2.0 [15] 트렌드 5월 24일 ~ 5월 25일 1104명 22.2 22.6 2.0 8.2 ― ― ― ― 2.5 32.1 10.4 [16] 메이리다오 5월 23일 ~ 5월 25일 1072명 20.8 19.2 0.4 2.3 0.2 ― ― ― ― 43.0 3.9 [17] 대만 여론 재단 5월 14일 ~ 5월 15일 1071명 36.7 21.9 ― ― ― ― ― ― ― 37.4 4.0 [18] 메이리다오 4월 25일 ~ 4월 27일 1071명 23.4 22.1 0.7 2.6 0.2 ― ― ― ― 34.7 3.9 [19] 트렌드 4월 16일 ~ 4월 17일 1079명 30.8 21.7 3.2 12.2 ― ― ― ― 5.6 17.4 9.2 [20] 세대 생각 탱크 3월 26일 ~ 3월 27일 1074명 33.6 28.5 0.3 2.3 0.2 ― ― ― 0.7 4.9 3.9 [21] 선거 결과[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 15 6 1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결과:     중국국민당:394석     민주진보당:238석      무소속:234석     시대역량:16석      친민당:8석      타이완 단결연맹:5석      무당단결연맹:5석      녹색당:3석      민국당:3석      신당:2석      노동당:2석      사회민주당:1석      중화민족즈꽁당:1석 ↓ 394 238 280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당선자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1 도원시(부흥구) 1 1 대중시(화평구) 1 1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1 대만성 이란현 12 8 3 1 신주현 13 10 3 묘률현 18 10 8 장화현 26 9 7 10 난터우현 13 4 2 7 운림현 20 1 9 10 가의현 18 11 11 병동현 33 8 7 18 대동현 16 9 1 6 화련현 13 12 1 펑후현 6 2 4 푸젠성 진먼현 6 3 3 롄장현 4 4 합계 204 85 40 0 0 83 향진시구민대표[편집] 촌리장[편집] 각주[편집] ↑ “美麗島民調:2018年10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美麗島民調:2018年9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不滿意蔡總統施政66% 不滿意賴揆54%”. 2018년 9월 29일.  ↑ “2018年9月「台灣人眼中的蔡英文總統」”. 2018년 9월 29일.  ↑ “時代力量民調:年底大選「藍綠歸隊」,政黨支持度藍「逆轉勝」綠”. 2018년 9월 15일.  ↑ “美麗島民調:2018年8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9일.  ↑ “2018年8月「元首外交、台灣正名與兩岸關係」”. 2018년 8월 24일.  ↑ “《致公黨民調》教育政策影響生育率 民眾期待免費託兒與雙語教育教學”. 2018년 8월 19일.  ↑ “民調:蔡賴滿意度各僅2成 政黨支持度藍勝綠近5個百分點”. 2018년 8월 19일.  ↑ “台灣指標民調》藍綠靠邊站!中間選民崛起,超越認同兩大黨者”. 2018년 8월 24일.  ↑ “美麗島民調:2018年7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일.  ↑ “2018年7月「2018台灣政黨形象」”. 2018년 8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6月國政民調”. 2018년 6월 30일.  ↑ “《致公黨民調》過半民眾認為年改具合理性 8成以上國人認為執行死刑能降低犯罪發生”. 2018년 6월 28일.  ↑ “2018台灣人最喜愛的國家(2018年6月17日)”. 2018년 6월 17일.  ↑ “《致公黨民調》7成民眾憂心缺電 超過4成支持重啟核四 賴神滿意度首次出現死亡交叉”. 2018년 6월 7일.  ↑ “美麗島民調:2018年5月國政民調”. 2018년 6월 2일.  ↑ “民進黨執政兩週年(2018年5月20日)”. 2018년 6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4月國政民調”. 2018년 5월 31일.  ↑ “最新政府施政滿意度與2020年第三勢力形成評估” (PDF). 2018년 5월 31일.  ↑ “縣市長選舉》世代智庫民調:4成5看好民進黨參選人”. 2018년 5월 31일.  vdeh 중화민국의 선거중앙선거총통선거 1948 1954 1960 1966 1972 1978 1984 1990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국민대회선거 1969 1972 1980 1986 1991 1996 2000 2005 입법위원선거 1969 1972 1975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2008 2012 2016 2020 지방선거현시선거 1935 1939 1950 1954 1957 1960 1964 1968 1972 1977 1981 1985 1989 1993 1997 2001 2005 2009 직할시선거 1936 1940 1946 1951 1954 1957 1960 1963 1968 1969 1972 1973 1977 1981 1985 1989 1994 1998 2002 2006 2010 9합1 선거 2014 2018 국민투표초대 투표법 2004 2008 (1월) 2008 (3월) 2대 투표법 2018 지방국민투표 2008 (고웅) 2009 (펑후) 2012 (롄장) 2016 (펑후) 2017 (진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중화민국_지방_선거&oldid=24527967" 분류: 중화민국의 선거2018년 선거2018년 타이완2018년 11월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칼초 카타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초 카타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칼초 카타니아 전체 이름 Calcio Catania SpA 별칭 Rossazzurri ("Red and light-blues"), Gli Elefanti ("코끼리들"),Etnei ("에트나인들") 리그 레가 프로/C 창단 연도 1908년(Educazione Fisica Pro Patria) 1946년(Club Calcio Catania) 감독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수용 인원 23,420 2016-17 레가 프로/C, 11위 홈 어웨이 서드 칼초 카타니아(이탈리아어: Calcio Catania SpA)는 1908년에 창단된 카타니아에 위치한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을 근거로 하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카타니아는 대부분 세리에 B에서 있었으며 이탈리아 프로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에는 5번을 승격하였다. 이 축구단은 세리에 A에서 평범한 성공을 거뒀으며 리그 최고 성적은 1960년대에 이룬 8위다. 아주 예전 카타니아는 코파 델레 알피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목차 1 역사 1.1 재탄생 1.2 황금기 1.3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 1.4 쇠퇴와 부활 1.5 세리에 A 복귀 2 색깔과 엠블럼 3 현재 선수 명단 3.1 1군 명단 3.2 임대 선수 명단 3.3 유스 팀 4 역대 회장 5 역대 감독 6 경기장 정보 7 역대 성적 8 클럽 기록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타니아현에 축구가 들어온 기원은 시칠리아 섬으로 축구 경기를 가져온 영국 화물선의 노동자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초기의 카타니아 팀은 영국 선박에서 일하는 카타니아 선원들로 이루어져 FC 메시나를 상대로 산 라이네리 디 메시나에서 경기를 벌인 로얄 요트 카타니아로 거슬러 올라간다.[1] 초기 클럽 사진; 1908년의 프로 파트리아 시절. 하지만 선원들의 팀은 그저 취미였을뿐이고 카타니아의 첫 프로팀은 1908년 6월 19일에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가에타노 벤티밀리아 와 프란체스코 스투르초 달도브란도가 AS 에두카치오네 피시카 프로 파트리아 라는 명칭으로 설립했다. 초기에 팀은 항상 카타니아 항구를 방문한 선박의 선원(특히 외국 선박)들과 주로 경기를 하였다. 그들의 첫 경기는 이탈리아의 군함 레지나 마르게리타와의 경기였지만 1-1 무승부로 끝나고 말았다. 당시 경기에 라인업에 포함된 선수들은 아살로, 지스몬도, 비안키, 메시나, 슬라이테르, 카카모, 스텔라리오, 빈닌그, 코쿠차, 벤티밀리아 와 파팔라르도이다. 그리고 2년 만에 팀명을 US 카타네세로 바꿨다.[2] 당시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축구가 더욱 조직화되었고 북부 지역 클럽들은 초기 이탈리아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한 반면에 카타니아를 비롯해 이탈리아 남부지역의 클럽들은 립톤, 산트 아가타 와 아고르다드 쿱스 같은 리그에서 뛰었다. US 카타네세는 세계대전으로부터 살아남았고 종전후에 지역 리그인 코파 페데랄레 시칠리아나에서 뛰었다. 7 시즌뒤인 1927년에 팀은 캄피오나토 카타네세에 참가하여 1928–2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클럽은 보다 상위 리그 승격 자격을 얻어었고 클럽 명칭을 처음에는 소치에타 스포르티바 카타니아 라고 바꿨다. 카타니아의 첫 세리에 B 데뷔 시즌인 1934-35 시즌에서 4위를 차지했고 해당시즌 우승 팀은 제노아다.[3] 이 기간에 카타니아는 강등당하기 이전에 세리에 B에서 3 시즌을 보냈다. 세리에 C로 강등 이후에 1938–39 시즌에 시칠리아 지역 라이벌인 시라쿠사와 메시나보다 높은 순위로 리그를 끝내며 우승을 차지했다(시라쿠사 2위 메시나 3위). 세리에 B로 돌아왔지만 리그에서 단 3승만을 거두며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클럽은 2차 세계대전으로 조기에 리그를 마감한 1942-43 시즌에 명칭을 간단히 ACF 카타니아(Associazione Calcio Fascista Catania)로 바꿨다. 재탄생[편집] 2차 대전후, 지역 리그인 캄피오나토 시칠리아노가 정비되었다. US 카타네세는 복귀했고 시즌 말쯤에 엘레판테 카타니아(Elefante Catania)라는 이름의 지역 클럽과 통합하였다.[4] 이렇게 통합된 클럽은 카타나세라는 이름은 유지하였고 세리에 C 1945-46 시즌에 참가하였으나 하위권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같은 시즌에 같은 리그에서 뛴 비르투스 카타니아라는 클럽은 8위를 기록했다.[5] 시즌이 끝나고 카타네세와 비르투스 통합하여 클럽 클럽 칼초 카타니아(Club Calcio Catania)를 만들었고 첫 회장은 카타네세의 회장이였던 산티 만가나로-파사니시다. 카타니아는 세리에 C에서 3 시즌을 보내고 1948-49 시즌에 세리에 B 승격을 위해 고피, 메소라, 아르데시 와 프레보스티 등과 같은 스타들과 함께 레지나와 힘겨운 사투를 벌여 승리를 거뒀다. 황금기[편집]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를 카타니아의 황금기라고 여겨진다. 그 기간에 두 차례에 걸쳐 세리에 A 승격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첫 승격은 세리에 B에서 왔었다. 세리에 B 1953-54 시즌 카타니아는 칼리아리와 프로 파트리아를 꺽고 리그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의 첫 세리에 A 무대에서 12위를 거두며 마감하였지만 우디네세와 같이 재정 스캔들로 인하여 강제로 강등을 당하였다. 1930년대에 팀에서 선수로 뛰었던 카르멜로 디 벨라의 지휘아래에 1959-60 시즌에 세리에 B로부터 승격권을 얻어냈다. 그들의 승격을 위한 레이스는 시즌 마지막날에 3위로 끝나 긴박한 상태였다. 카타니아는 그들의 마지막경기에서 브레시아에게 4:2로 져버렸고 승격을 확실히 하기 위해선 파르마가 트리에스티나로부터 좋은 결과를 걷을 필요가 있었다. 그 좋은 결과는 실현되었고 카타니아는 이리하여 한번 더 승격을 하게되었다. 1960-61 시즌에 카타니아가 세리에 A로 돌아오고 6년간을 잔류하였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은 새롭게 승격한 팀이 전통적 강호인 라치오와 나폴리보다 높은 순위인 8위로 마감하며 강한 인상을 주었다. 이 시즌에는 몇 주목할만한 승리를 거뒀는데 그것은 나폴리와 볼로냐에게 더블을 거두고 삼프도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를 거둔것뿐만아니라 가장 주목할만한 승리는 시칠리아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4:3 승리와 시즌 마지막날 인테르나치오날레를 상대로 카스텔라치 와 칼바네세의 두 골로 승리를 거두었다. 인테르의 상처를 소금으로 비빈 이 승리는 유벤투스와 타이틀 경쟁에서 멀어지게 하였다. 4년후인 1965년에도 역시 리그에서 8위를 거두었다. 이때는 로마와 시칠리아의 더비 라이벌인 메시나보다도 높은 순위였다. 여러 클럽들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선수들도 이기간에 뛰었다(미드필더로는 알바로 비아지니, 시네지뉴, 윙어로는 카를로 파킨, 잔카를로 다노바). 그리고 이탈리아 축구계의 거인들인 유벤투스(2:0), 피오렌티나(2:0), 라치오(1:0)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편집] 카르멜로 디 벨라 감독이 떠난 1966년에 팀이 강등된후에 세리에 B에 있었다. 카타니아는 1969-70 시즌에 3위로 리그를 마감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이렇게 승격하였지만 한 시즌후에 다시 강등당하였다. 그 시즌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에게 3-1 승리와 AC 밀란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인상적인 결과를 내었지만 30경기에서 18골만을 득점하며 득점 결핍에 시달렸다. 1973-74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지만 곧장 세리에 C에서 우승하며 다시 승격을 하였다. 1976-77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곧바로 승격을 하는데는 실패하였다. 짧은 세 시즌후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와 AC밀란 뒤인 3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카타니아는 1983-84 시즌에 세리에 A에 있었지만 그 시즌은 단 한 경기에서 밖에 승리를 거두지 못했으며(그거조차도 피사와의 경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와 브라질의 핵심 선수였던 루바노르와 페드리뉴가 있음에도 승점 12점을 얻는데 그쳐 심각하게 형편없는 시즌임을 증명했다. 쇠퇴와 부활[편집] 세리에 B로 마지막 강등을 당한후 카타니아는 눈에 띄는 쇠퇴를 하기 시작했다. 팀은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계속된 쇠퇴를 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세리에 C1로 강등을 당하기도 했다. 클럽의 역사서 가장 실망적인것이 있다면 1993년에 승격에 성공하였지만 재정문제로 이탈리아축구협회에 의해 취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긴 법정공방 끝에 법원은 이탈리아축구협회의 결정이 무효임을 선언했고 협회에게 카타니아를 다시 리그에 참가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카타니아는 이러하여 에첼렌차 시칠리아(이탈리아 6부 리그소속)에 포함되었지만 그동안에 또다른 시칠리아 축구팀 시라쿠사현의 렌티니를 연고로하는 아틀레티코 레온치오가 있었고 연고지를 카타니아로 옮기고 명칭을 아틀레티코 카타니아라고 다시지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원조" 카타니아는 비교적 몇년 안에 세리에 C로부터 나올수 있었고 심지어 2002년에는 세리에 B로 돌아오기도 했다. 2003년 카타니아는 카소 카타니아(Caso Catania)라고 알려진 세리에 B의 팀구성을 20개에서 24개로 늘리는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시에나는 카타니아와의 경기에서 비등록 선수를 출전시켰고 경기는 1:1 무승부가 되어 카타니아는 승리시에 2점을 더 얻어 강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강등을 당하였다. 카타니아는 강등을 당하기 직전에 2:0 승리를 보상을 받았다. 8월에, 이탈리아축구협회는 카타니아가 제노아와 살레르니타나 등과 함께 세리에 B에 잔류할것과 새롭게 다시 태어난 피오렌티나를 2003-2004 시즌에 추가하였다. 그 결정으로 시위가 일어나고 다른 세리에 B 클럽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시즌 시작이 늦어졌었다. 2004-05 시즌에 팀에 숫자가 24개에서 22개로 줄은 반면에 같은 시간 세리에 A에서는 18개에서 20개로 팀 수를 늘렸다. 시즌을 시작하는 동안에 항공사 윈드 제트의 회장이자 세리에 C1의 시칠리아팀 아치레알레의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 회장이 카타니아를 인수하였다. 카타니아의 새 경영자는 2005-06 시즌에 2위로 마감하여 세리에 A로 승격함에 따라 팀의 부활을 기뻐하였다. 2006년 세리에 A에서 아탈란타와 경기 세리에 A 복귀[편집] 2006-07 시즌 카타니아는 22년 만에 세리에 A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에 2번의 대패를 겪었지만 준수한 시즌을 보냈다. 그들의 첫 복귀시즌에는 2007년 2월 2일에 일어난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 과감하게 변화하게된다.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는 US 팔레르모와 벌인 시칠리아 더비전에서 경찰관 필리포 라치티가 마시미노 스타디움 바깥에 있던 카타니아의 울트라스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건이다.[6] 그 사건으로 인해 이탈리아축구협회의 위원인 루카 판칼리는 이 기간에 리그 경기와 국가대표팀 경기를 포함한 모든 축구 관련 행사를 취소하였다. 카타니아의 회장이자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는 카타니아에서 더 이상 구단을 운영할 상태라가 아니라고 보아 그가 축구계를 기꺼이 떠날것임을 밝혔다. 이탈리아 축구 리그가 재시작한 이후에, 카타니아도 계속해서 진행을 하였지만 슬펌프를 마주하고 말았다. 사실 그들의 슬럼프는 더비 경기의 사고 이전부터 있었고 2007년 4월 말에 우디네세에게 1:0 승리를 거두기전까지 12경기에서 단 한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며 결국 시즌 13위로 마감을 하였다.[7] 다음 시즌에 마리노 감독이 우디네세로 떠나고 실비오 발디니가 팀을 맡았으나 더 팀의 사정을 좋지 않았다. 리그 순위표에서는 형편없었으나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카타니아에게 있어서 역사적이라고 할만한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인상적인 모습도 있었다(준결승에서 로마에게 패배). 한편 발디니 감독은 2008년 3월 31일에 우편을 통해 사임되고, 놀랍게도 발테르 첸가 감독이 그를 대신하였다(세리에 A 수준에서 왈테르 첸가의 경험부족 때문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첸가는 로사추리를 그 시즌 마지막 경기를 홈경기에서 호르헤 안드레스 마르티네스의 동점골로 로마와 1:1 무승부를 거두며 강등권에서 구해냈다. 첸가 감독은 성공적으로 앞으로 다가올 2008-09 시즌을 위해 팀을 맡기로 계약했다. 2009년 6월 5일에, 왈테르 첸가는 카타니아를 떠나 팀의 최대 라이벌인 팔레르모의 감독이 되었다. 첸가가 떠난 빈자리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팀 라벤나에서 단지 1년의 감독경력을 지닌 신참인 잔루카 아트초리가 대신하였다. 아트초리 감독은 라벤나에서 공격적인 4-3-3 포메이션을 쓰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카타니아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셈이었다. 2009년 12월 8일,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잔루카 아트초리로부터 감독직을 이어 카타니아의 감독을 맡았으며 계약 기간은 2011년 6월까지다. 카타니아가 강등권으로 떨어지자, 미하일로비치는 리보르노와의 경기에 데뷔하게된다. 다음 경기에서 토리노 원정에서 유벤투스를 잡아내며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미하일로비치 감독이 피오렌티나로 떠나고 2010-11 시즌를 위해 마르코 잠파올로를 선임하였다. 하지만 2011년 1월에 카타니아는 성적부진으로 잠 파올로 감독을 해임하고 세리에 A 수준 리그에서 감독 경험이 전무하던 아르헨티나의 옛 스타플레이어인 디에고 시메오네를 선임하였다. 2010-11 시즌 로마에서 짧은 기간동안 감독직을 맡았던 빈센초 몬텔라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색깔과 엠블럼[편집] 카타니아의 팀컬러는 붉은색과 담청색이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1군 명단[편집] 2014년 1월 31일 기준[8]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알베르토 프리손 2 DF 히노 페루시 3 DF 니콜라스 스폴리 4 MF 세르히오 알미론 5 DF 알렉시스 롤린 6 DF 니콜라 레그로탈리에 7 FW 프란체스코 페다토 8 MF 야로슬라프 플라실 (보르도에서 임대) 9 FW 곤살로 베르헤시오 10 FW 막시 로페스 11 FW 세바스티안 레토 13 MF 마리아노 이즈코 (주장) 14 DF 주세페 벨루시 15 MF 파비안 리나우도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18 DF 파비안 몬손 19 MF 루카스 카스트로 21 GK 마리아노 안두하르 (나폴리에서 임대) 22 DF 파블로 알바레스 23 FW 킹슬리 보아텡 (밀란에서 임대) 24 DF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26 FW 케코 28 MF 파블로 바리엔토스 31 DF 에리크 카발세타 32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33 DF 치로 카푸아노 (부주장) 34 MF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인테르에서 임대) 35 GK 주세페 피카라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피에트로 테라차노 (아벨리노에서 임대) DF 나빌라 삼바 (고리차에서 임대) MF 페데리코 모레티 (스페치아에서 임대) MF 파비오 시아카 (테르나나에서 임대) MF 미르코 안테누치 (테르나나에서 임대) FW 에드가르 차니 (카르피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FW 슐레이만 두카라 (유베 스타비아에서 임대) FW 막스 바리시치 (밀란에서 임대) FW 에밀리아노 토르톨라노 (카탄차로에서 임대) FW 아메스 폴 (리미니에서 임대) FW 파비오 아베니 (페루자에서 임대) 유스 팀[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주세페 메시나 FW 막스 바리시치 ( 코페르에서 임대) MF 셈 아다모 번호 포지션 이름 FW 파비오 아베니 DF 에리크 카발세타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역대 회장[편집] 1946년 이후의 회장 목록   이름 연도 산티 파사니시 만가나로 1946–48 로렌초 파치오 1948–51 아르투로 미키산티 1951–54 주세페 리초 1954–56 아가티노 페셰미켈레 주프리다 1956–59 이냐치오 마르코초 1959–69 안젤로 마시미노 1969–73 살바토레 코코 1973–74   이름 연도 안젤로 마시미노 1974–87 안젤로 아타구일레 1987–91 살바토레 마시미노 1991–92 안젤로 마시미노 1992–96 그라치아 코딜리오네 1996–00 리카르도 가우치 2000–04 안토니노 풀비렌티 2004–15 역대 감독[편집] 카타니아는 많은 세월 동안에 여러 감독들이 있었으며 그중에는 공동으로 감독직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에 있는 표는 역대 카티니아의 감독을 1946년도부터 순서대로 나열한것이다.[9]   이름 국적 연도 조반니 데니 1946–48 니콜로 니콜로시 1948 미로슬라프 바나스 1948–49 안토니오 마뇨치 1949–50 스타니슬라브 클레인 1950 러요시 폴리체르 1950–51 네레오 마리니 1951–52 브론디 3세 1952 줄리오 카펠리 1952–53 피오라반테 발디 1953 피에로 안드레올리 1953–56 에르네스토 마테오 포지 1956–57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957 니콜로 니콜로시 1958 프란체스코 카포카살레 1958 블라고예 마랴노비치 1958–59 카르멜로 디 벨라 1959–66 루이지 발세키 1966 디노 발라치 1966–67 루이지 발세키 1968 에지치오 루비노 1968–71 안토니오 칼바네세루이지 발세키 1971–72 카르멜로 디 벨라 1972–73 루이지 발세키 1973 구이도 마체티 1974 아델모 프렌나 1974 젠나로 람보네 1974–75 에지치오 루비노 1975–76 구이도 마체티 1976 카르멜로 디 벨라 1976–77   이름 국적 연도 루이지 발세키 1977 카를로 마테우치 1977–78 구이도 마체티 1978 아델모 카펠리 1978–79 젠나로 람보네 1979–80 리노 데 페트릴로 1980–81 구이도 마체티 1981 조르조 미켈로티 1981–82 살보 비안케티 1982 구이도 마체티 1982 잔니 디 마르치오 1982–84 잠바티스타 파브리 1984 안토니오 렌나 1984–85 젠나로 람보네 1985 살보 비안케티 1985–86 안토니오 콜롬반 1986 젠나로 람보네 1986–87 브루노 파체 1987 오스발도 야코니 1987 피에트로 산틴 1987–88 브루노 파체 1988–89 카르멜로 루소 1989–90 안젤로 베네딕토 소르마니 1990–91 주세페 카라만노 1991–92 프란코 반니니 1992 살보 비안케티 1992–93 프란코 인델리카토 1993–94 로렌초 바를라시나 1994 피에르 주세페 모스티 1994–95 안젤로 부세타 1995 람베르토 레오나르디 1995   이름 국적 연도 알도 체란톨라 1995–96 마리오 루소 1996 안젤로 부세타 1996–97 조반니 메이 1997–98 프란코 갈리아르디 1998 피에로 쿠키 1998–99 잔니 시모넬리 1999 – 2000 이보 이아코니 2000 빈첸초 구에리니 2000 – 알도 암마찰로르소 June 2001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2001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1–02 오스발도 야코니 2002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2 – 2003 존 토샥 2002–03 에도아르도 레야 2003 빈첸초 구에리니 2003 가브리엘레 마트리차니스테파노 콜란투오노 2003–04 마우리치오 코스탄티니 2004–05 네도 소네티 2005 파스콸레 마리노 2005–07 실비오 발디니 2007–08 발테르 첸가 2008–9 잔루카 아트초리 2009 – 9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2009 –10 마르코 잠파올로 2010 – 11 디에고 시메오네 2011 빈첸초 몬텔라 2011 - 12 롤란도 마란 2012-13 루이지 데 카니오 2013-14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14- 경기장 정보[편집]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에 쿠르바 노르드 서포터들 명칭: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위치: 카타니아 수용인원: 23,420 개장: 1937년 11월 27일 경기장 크기: 110m x 70m 카타니아는 1937년에 스타디오 치발리(Stadio Cibali)라고 불렸던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를 만들었다. 경기장은 2002년에 전 회장 안젤로 마시미노를 기념해 이름을 붙여졌다. 마시미노는 1969년까지 회장직을 수행했으며 1996년에 세상을 떠났다. 홈경기장을 카타니아 시 남쪽 변두리에 있는 판타노 다르치(Pantano d'Arci) 라고 불리는 산업지역에 스타디오 데이 팔리치(Stadio Dèi Palici) 라고 불리는 33,765명을 수용하는 경기장으로 옮기는 것이 제안되었다.[10] 역대 성적[편집] 세리에 B 우승: 1953–54 승격: 1959–60, 1969–70, 1982–83, 2005–06 코파 델레 알피 준우승: 1964 세리에 C / 세리에 C1 우승: 1938–39, 1947–48, 1948–49, 1974–75, 1979–80 승격: 2001–02 세리에 C2 우승: 1998–99 세리에 D 우승: 1994–95 에첼렌차 시칠리아 승격: 1993–94 클럽 기록[편집] 가장 높은 리그 순위: 8위, 1960–61, 1964–65 그리고 2012-2013 시즌. 리그 최다 출장 선수: 281경기, 1975년과 1984년 사이에 뛴 다미아노 모라. 리그 최다 득점 선수: 47골, 구이도 클레인 과 아델모 프렌나. 세리에 A 최다 출장 선수: 150경기, 1961년과 1966년 사이에 뛴 주세페 바바소리. 세리에 A 최다 승점: 2012-2013 시즌 56점 각주[편집]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RSSSF.com” (영어).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유혈사태로 얼룩진 시칠리아 더비" – 스포탈 코리아 ↑ “Channel4.com”. 2007년 6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Prima Squadra” [First Team]. 《Catania Calcio》 (이탈리아어).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4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WorldStadiums.com”.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칼초 카타니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칼초 카타니아 - 공식 웹사이트 vdeh 세리에 A2018-19시즌 나폴리 라치오 로마 밀란 볼로냐 사수올로 삼프도리아 아탈란타 엠폴리 우디네세 유벤투스 인테르 제노아 칼리아리 키에보 토리노 파르마 프로시노네 피오렌티나 SPAL 과거 참가 구단 노바라 레냐노 레자나 레지나 레체 레코 루케세 베네벤토 베로나 리보르노 만토바 메시나 모데나 바레세 바리 베네치아 브레시아 비첸차 살레르니타나 시에나 아벨리노 아스콜리 안코나 알레산드리아 체세나 카르피 카살레 카타니아 카탄차로 코모 크레모네세 크로토네 테르나나 트레비소 트리에스티나 파도바 팔레르모 페루자 페스카라 포자 프로 베르첼리 프로 파트리아 피사 피스토이에세 피아첸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초_카타니아&oldid=22875860" 분류: 칼초 카타니아1946년 설립된 축구단이탈리아의 축구단세리에 A 구단세리에 B 구단세리에 C 구단숨은 분류: 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영어 인용 (en)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23: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칼초 카타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초 카타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칼초 카타니아 전체 이름 Calcio Catania SpA 별칭 Rossazzurri ("Red and light-blues"), Gli Elefanti ("코끼리들"),Etnei ("에트나인들") 리그 레가 프로/C 창단 연도 1908년(Educazione Fisica Pro Patria) 1946년(Club Calcio Catania) 감독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수용 인원 23,420 2016-17 레가 프로/C, 11위 홈 어웨이 서드 칼초 카타니아(이탈리아어: Calcio Catania SpA)는 1908년에 창단된 카타니아에 위치한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을 근거로 하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카타니아는 대부분 세리에 B에서 있었으며 이탈리아 프로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에는 5번을 승격하였다. 이 축구단은 세리에 A에서 평범한 성공을 거뒀으며 리그 최고 성적은 1960년대에 이룬 8위다. 아주 예전 카타니아는 코파 델레 알피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목차 1 역사 1.1 재탄생 1.2 황금기 1.3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 1.4 쇠퇴와 부활 1.5 세리에 A 복귀 2 색깔과 엠블럼 3 현재 선수 명단 3.1 1군 명단 3.2 임대 선수 명단 3.3 유스 팀 4 역대 회장 5 역대 감독 6 경기장 정보 7 역대 성적 8 클럽 기록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타니아현에 축구가 들어온 기원은 시칠리아 섬으로 축구 경기를 가져온 영국 화물선의 노동자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초기의 카타니아 팀은 영국 선박에서 일하는 카타니아 선원들로 이루어져 FC 메시나를 상대로 산 라이네리 디 메시나에서 경기를 벌인 로얄 요트 카타니아로 거슬러 올라간다.[1] 초기 클럽 사진; 1908년의 프로 파트리아 시절. 하지만 선원들의 팀은 그저 취미였을뿐이고 카타니아의 첫 프로팀은 1908년 6월 19일에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가에타노 벤티밀리아 와 프란체스코 스투르초 달도브란도가 AS 에두카치오네 피시카 프로 파트리아 라는 명칭으로 설립했다. 초기에 팀은 항상 카타니아 항구를 방문한 선박의 선원(특히 외국 선박)들과 주로 경기를 하였다. 그들의 첫 경기는 이탈리아의 군함 레지나 마르게리타와의 경기였지만 1-1 무승부로 끝나고 말았다. 당시 경기에 라인업에 포함된 선수들은 아살로, 지스몬도, 비안키, 메시나, 슬라이테르, 카카모, 스텔라리오, 빈닌그, 코쿠차, 벤티밀리아 와 파팔라르도이다. 그리고 2년 만에 팀명을 US 카타네세로 바꿨다.[2] 당시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축구가 더욱 조직화되었고 북부 지역 클럽들은 초기 이탈리아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한 반면에 카타니아를 비롯해 이탈리아 남부지역의 클럽들은 립톤, 산트 아가타 와 아고르다드 쿱스 같은 리그에서 뛰었다. US 카타네세는 세계대전으로부터 살아남았고 종전후에 지역 리그인 코파 페데랄레 시칠리아나에서 뛰었다. 7 시즌뒤인 1927년에 팀은 캄피오나토 카타네세에 참가하여 1928–2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클럽은 보다 상위 리그 승격 자격을 얻어었고 클럽 명칭을 처음에는 소치에타 스포르티바 카타니아 라고 바꿨다. 카타니아의 첫 세리에 B 데뷔 시즌인 1934-35 시즌에서 4위를 차지했고 해당시즌 우승 팀은 제노아다.[3] 이 기간에 카타니아는 강등당하기 이전에 세리에 B에서 3 시즌을 보냈다. 세리에 C로 강등 이후에 1938–39 시즌에 시칠리아 지역 라이벌인 시라쿠사와 메시나보다 높은 순위로 리그를 끝내며 우승을 차지했다(시라쿠사 2위 메시나 3위). 세리에 B로 돌아왔지만 리그에서 단 3승만을 거두며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클럽은 2차 세계대전으로 조기에 리그를 마감한 1942-43 시즌에 명칭을 간단히 ACF 카타니아(Associazione Calcio Fascista Catania)로 바꿨다. 재탄생[편집] 2차 대전후, 지역 리그인 캄피오나토 시칠리아노가 정비되었다. US 카타네세는 복귀했고 시즌 말쯤에 엘레판테 카타니아(Elefante Catania)라는 이름의 지역 클럽과 통합하였다.[4] 이렇게 통합된 클럽은 카타나세라는 이름은 유지하였고 세리에 C 1945-46 시즌에 참가하였으나 하위권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같은 시즌에 같은 리그에서 뛴 비르투스 카타니아라는 클럽은 8위를 기록했다.[5] 시즌이 끝나고 카타네세와 비르투스 통합하여 클럽 클럽 칼초 카타니아(Club Calcio Catania)를 만들었고 첫 회장은 카타네세의 회장이였던 산티 만가나로-파사니시다. 카타니아는 세리에 C에서 3 시즌을 보내고 1948-49 시즌에 세리에 B 승격을 위해 고피, 메소라, 아르데시 와 프레보스티 등과 같은 스타들과 함께 레지나와 힘겨운 사투를 벌여 승리를 거뒀다. 황금기[편집]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를 카타니아의 황금기라고 여겨진다. 그 기간에 두 차례에 걸쳐 세리에 A 승격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첫 승격은 세리에 B에서 왔었다. 세리에 B 1953-54 시즌 카타니아는 칼리아리와 프로 파트리아를 꺽고 리그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의 첫 세리에 A 무대에서 12위를 거두며 마감하였지만 우디네세와 같이 재정 스캔들로 인하여 강제로 강등을 당하였다. 1930년대에 팀에서 선수로 뛰었던 카르멜로 디 벨라의 지휘아래에 1959-60 시즌에 세리에 B로부터 승격권을 얻어냈다. 그들의 승격을 위한 레이스는 시즌 마지막날에 3위로 끝나 긴박한 상태였다. 카타니아는 그들의 마지막경기에서 브레시아에게 4:2로 져버렸고 승격을 확실히 하기 위해선 파르마가 트리에스티나로부터 좋은 결과를 걷을 필요가 있었다. 그 좋은 결과는 실현되었고 카타니아는 이리하여 한번 더 승격을 하게되었다. 1960-61 시즌에 카타니아가 세리에 A로 돌아오고 6년간을 잔류하였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은 새롭게 승격한 팀이 전통적 강호인 라치오와 나폴리보다 높은 순위인 8위로 마감하며 강한 인상을 주었다. 이 시즌에는 몇 주목할만한 승리를 거뒀는데 그것은 나폴리와 볼로냐에게 더블을 거두고 삼프도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를 거둔것뿐만아니라 가장 주목할만한 승리는 시칠리아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4:3 승리와 시즌 마지막날 인테르나치오날레를 상대로 카스텔라치 와 칼바네세의 두 골로 승리를 거두었다. 인테르의 상처를 소금으로 비빈 이 승리는 유벤투스와 타이틀 경쟁에서 멀어지게 하였다. 4년후인 1965년에도 역시 리그에서 8위를 거두었다. 이때는 로마와 시칠리아의 더비 라이벌인 메시나보다도 높은 순위였다. 여러 클럽들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선수들도 이기간에 뛰었다(미드필더로는 알바로 비아지니, 시네지뉴, 윙어로는 카를로 파킨, 잔카를로 다노바). 그리고 이탈리아 축구계의 거인들인 유벤투스(2:0), 피오렌티나(2:0), 라치오(1:0)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편집] 카르멜로 디 벨라 감독이 떠난 1966년에 팀이 강등된후에 세리에 B에 있었다. 카타니아는 1969-70 시즌에 3위로 리그를 마감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이렇게 승격하였지만 한 시즌후에 다시 강등당하였다. 그 시즌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에게 3-1 승리와 AC 밀란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인상적인 결과를 내었지만 30경기에서 18골만을 득점하며 득점 결핍에 시달렸다. 1973-74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지만 곧장 세리에 C에서 우승하며 다시 승격을 하였다. 1976-77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곧바로 승격을 하는데는 실패하였다. 짧은 세 시즌후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와 AC밀란 뒤인 3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카타니아는 1983-84 시즌에 세리에 A에 있었지만 그 시즌은 단 한 경기에서 밖에 승리를 거두지 못했으며(그거조차도 피사와의 경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와 브라질의 핵심 선수였던 루바노르와 페드리뉴가 있음에도 승점 12점을 얻는데 그쳐 심각하게 형편없는 시즌임을 증명했다. 쇠퇴와 부활[편집] 세리에 B로 마지막 강등을 당한후 카타니아는 눈에 띄는 쇠퇴를 하기 시작했다. 팀은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계속된 쇠퇴를 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세리에 C1로 강등을 당하기도 했다. 클럽의 역사서 가장 실망적인것이 있다면 1993년에 승격에 성공하였지만 재정문제로 이탈리아축구협회에 의해 취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긴 법정공방 끝에 법원은 이탈리아축구협회의 결정이 무효임을 선언했고 협회에게 카타니아를 다시 리그에 참가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카타니아는 이러하여 에첼렌차 시칠리아(이탈리아 6부 리그소속)에 포함되었지만 그동안에 또다른 시칠리아 축구팀 시라쿠사현의 렌티니를 연고로하는 아틀레티코 레온치오가 있었고 연고지를 카타니아로 옮기고 명칭을 아틀레티코 카타니아라고 다시지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원조" 카타니아는 비교적 몇년 안에 세리에 C로부터 나올수 있었고 심지어 2002년에는 세리에 B로 돌아오기도 했다. 2003년 카타니아는 카소 카타니아(Caso Catania)라고 알려진 세리에 B의 팀구성을 20개에서 24개로 늘리는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시에나는 카타니아와의 경기에서 비등록 선수를 출전시켰고 경기는 1:1 무승부가 되어 카타니아는 승리시에 2점을 더 얻어 강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강등을 당하였다. 카타니아는 강등을 당하기 직전에 2:0 승리를 보상을 받았다. 8월에, 이탈리아축구협회는 카타니아가 제노아와 살레르니타나 등과 함께 세리에 B에 잔류할것과 새롭게 다시 태어난 피오렌티나를 2003-2004 시즌에 추가하였다. 그 결정으로 시위가 일어나고 다른 세리에 B 클럽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시즌 시작이 늦어졌었다. 2004-05 시즌에 팀에 숫자가 24개에서 22개로 줄은 반면에 같은 시간 세리에 A에서는 18개에서 20개로 팀 수를 늘렸다. 시즌을 시작하는 동안에 항공사 윈드 제트의 회장이자 세리에 C1의 시칠리아팀 아치레알레의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 회장이 카타니아를 인수하였다. 카타니아의 새 경영자는 2005-06 시즌에 2위로 마감하여 세리에 A로 승격함에 따라 팀의 부활을 기뻐하였다. 2006년 세리에 A에서 아탈란타와 경기 세리에 A 복귀[편집] 2006-07 시즌 카타니아는 22년 만에 세리에 A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에 2번의 대패를 겪었지만 준수한 시즌을 보냈다. 그들의 첫 복귀시즌에는 2007년 2월 2일에 일어난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 과감하게 변화하게된다.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는 US 팔레르모와 벌인 시칠리아 더비전에서 경찰관 필리포 라치티가 마시미노 스타디움 바깥에 있던 카타니아의 울트라스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건이다.[6] 그 사건으로 인해 이탈리아축구협회의 위원인 루카 판칼리는 이 기간에 리그 경기와 국가대표팀 경기를 포함한 모든 축구 관련 행사를 취소하였다. 카타니아의 회장이자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는 카타니아에서 더 이상 구단을 운영할 상태라가 아니라고 보아 그가 축구계를 기꺼이 떠날것임을 밝혔다. 이탈리아 축구 리그가 재시작한 이후에, 카타니아도 계속해서 진행을 하였지만 슬펌프를 마주하고 말았다. 사실 그들의 슬럼프는 더비 경기의 사고 이전부터 있었고 2007년 4월 말에 우디네세에게 1:0 승리를 거두기전까지 12경기에서 단 한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며 결국 시즌 13위로 마감을 하였다.[7] 다음 시즌에 마리노 감독이 우디네세로 떠나고 실비오 발디니가 팀을 맡았으나 더 팀의 사정을 좋지 않았다. 리그 순위표에서는 형편없었으나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카타니아에게 있어서 역사적이라고 할만한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인상적인 모습도 있었다(준결승에서 로마에게 패배). 한편 발디니 감독은 2008년 3월 31일에 우편을 통해 사임되고, 놀랍게도 발테르 첸가 감독이 그를 대신하였다(세리에 A 수준에서 왈테르 첸가의 경험부족 때문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첸가는 로사추리를 그 시즌 마지막 경기를 홈경기에서 호르헤 안드레스 마르티네스의 동점골로 로마와 1:1 무승부를 거두며 강등권에서 구해냈다. 첸가 감독은 성공적으로 앞으로 다가올 2008-09 시즌을 위해 팀을 맡기로 계약했다. 2009년 6월 5일에, 왈테르 첸가는 카타니아를 떠나 팀의 최대 라이벌인 팔레르모의 감독이 되었다. 첸가가 떠난 빈자리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팀 라벤나에서 단지 1년의 감독경력을 지닌 신참인 잔루카 아트초리가 대신하였다. 아트초리 감독은 라벤나에서 공격적인 4-3-3 포메이션을 쓰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카타니아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셈이었다. 2009년 12월 8일,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잔루카 아트초리로부터 감독직을 이어 카타니아의 감독을 맡았으며 계약 기간은 2011년 6월까지다. 카타니아가 강등권으로 떨어지자, 미하일로비치는 리보르노와의 경기에 데뷔하게된다. 다음 경기에서 토리노 원정에서 유벤투스를 잡아내며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미하일로비치 감독이 피오렌티나로 떠나고 2010-11 시즌를 위해 마르코 잠파올로를 선임하였다. 하지만 2011년 1월에 카타니아는 성적부진으로 잠 파올로 감독을 해임하고 세리에 A 수준 리그에서 감독 경험이 전무하던 아르헨티나의 옛 스타플레이어인 디에고 시메오네를 선임하였다. 2010-11 시즌 로마에서 짧은 기간동안 감독직을 맡았던 빈센초 몬텔라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색깔과 엠블럼[편집] 카타니아의 팀컬러는 붉은색과 담청색이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1군 명단[편집] 2014년 1월 31일 기준[8]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알베르토 프리손 2 DF 히노 페루시 3 DF 니콜라스 스폴리 4 MF 세르히오 알미론 5 DF 알렉시스 롤린 6 DF 니콜라 레그로탈리에 7 FW 프란체스코 페다토 8 MF 야로슬라프 플라실 (보르도에서 임대) 9 FW 곤살로 베르헤시오 10 FW 막시 로페스 11 FW 세바스티안 레토 13 MF 마리아노 이즈코 (주장) 14 DF 주세페 벨루시 15 MF 파비안 리나우도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18 DF 파비안 몬손 19 MF 루카스 카스트로 21 GK 마리아노 안두하르 (나폴리에서 임대) 22 DF 파블로 알바레스 23 FW 킹슬리 보아텡 (밀란에서 임대) 24 DF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26 FW 케코 28 MF 파블로 바리엔토스 31 DF 에리크 카발세타 32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33 DF 치로 카푸아노 (부주장) 34 MF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인테르에서 임대) 35 GK 주세페 피카라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피에트로 테라차노 (아벨리노에서 임대) DF 나빌라 삼바 (고리차에서 임대) MF 페데리코 모레티 (스페치아에서 임대) MF 파비오 시아카 (테르나나에서 임대) MF 미르코 안테누치 (테르나나에서 임대) FW 에드가르 차니 (카르피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FW 슐레이만 두카라 (유베 스타비아에서 임대) FW 막스 바리시치 (밀란에서 임대) FW 에밀리아노 토르톨라노 (카탄차로에서 임대) FW 아메스 폴 (리미니에서 임대) FW 파비오 아베니 (페루자에서 임대) 유스 팀[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주세페 메시나 FW 막스 바리시치 ( 코페르에서 임대) MF 셈 아다모 번호 포지션 이름 FW 파비오 아베니 DF 에리크 카발세타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역대 회장[편집] 1946년 이후의 회장 목록   이름 연도 산티 파사니시 만가나로 1946–48 로렌초 파치오 1948–51 아르투로 미키산티 1951–54 주세페 리초 1954–56 아가티노 페셰미켈레 주프리다 1956–59 이냐치오 마르코초 1959–69 안젤로 마시미노 1969–73 살바토레 코코 1973–74   이름 연도 안젤로 마시미노 1974–87 안젤로 아타구일레 1987–91 살바토레 마시미노 1991–92 안젤로 마시미노 1992–96 그라치아 코딜리오네 1996–00 리카르도 가우치 2000–04 안토니노 풀비렌티 2004–15 역대 감독[편집] 카타니아는 많은 세월 동안에 여러 감독들이 있었으며 그중에는 공동으로 감독직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에 있는 표는 역대 카티니아의 감독을 1946년도부터 순서대로 나열한것이다.[9]   이름 국적 연도 조반니 데니 1946–48 니콜로 니콜로시 1948 미로슬라프 바나스 1948–49 안토니오 마뇨치 1949–50 스타니슬라브 클레인 1950 러요시 폴리체르 1950–51 네레오 마리니 1951–52 브론디 3세 1952 줄리오 카펠리 1952–53 피오라반테 발디 1953 피에로 안드레올리 1953–56 에르네스토 마테오 포지 1956–57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957 니콜로 니콜로시 1958 프란체스코 카포카살레 1958 블라고예 마랴노비치 1958–59 카르멜로 디 벨라 1959–66 루이지 발세키 1966 디노 발라치 1966–67 루이지 발세키 1968 에지치오 루비노 1968–71 안토니오 칼바네세루이지 발세키 1971–72 카르멜로 디 벨라 1972–73 루이지 발세키 1973 구이도 마체티 1974 아델모 프렌나 1974 젠나로 람보네 1974–75 에지치오 루비노 1975–76 구이도 마체티 1976 카르멜로 디 벨라 1976–77   이름 국적 연도 루이지 발세키 1977 카를로 마테우치 1977–78 구이도 마체티 1978 아델모 카펠리 1978–79 젠나로 람보네 1979–80 리노 데 페트릴로 1980–81 구이도 마체티 1981 조르조 미켈로티 1981–82 살보 비안케티 1982 구이도 마체티 1982 잔니 디 마르치오 1982–84 잠바티스타 파브리 1984 안토니오 렌나 1984–85 젠나로 람보네 1985 살보 비안케티 1985–86 안토니오 콜롬반 1986 젠나로 람보네 1986–87 브루노 파체 1987 오스발도 야코니 1987 피에트로 산틴 1987–88 브루노 파체 1988–89 카르멜로 루소 1989–90 안젤로 베네딕토 소르마니 1990–91 주세페 카라만노 1991–92 프란코 반니니 1992 살보 비안케티 1992–93 프란코 인델리카토 1993–94 로렌초 바를라시나 1994 피에르 주세페 모스티 1994–95 안젤로 부세타 1995 람베르토 레오나르디 1995   이름 국적 연도 알도 체란톨라 1995–96 마리오 루소 1996 안젤로 부세타 1996–97 조반니 메이 1997–98 프란코 갈리아르디 1998 피에로 쿠키 1998–99 잔니 시모넬리 1999 – 2000 이보 이아코니 2000 빈첸초 구에리니 2000 – 알도 암마찰로르소 June 2001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2001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1–02 오스발도 야코니 2002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2 – 2003 존 토샥 2002–03 에도아르도 레야 2003 빈첸초 구에리니 2003 가브리엘레 마트리차니스테파노 콜란투오노 2003–04 마우리치오 코스탄티니 2004–05 네도 소네티 2005 파스콸레 마리노 2005–07 실비오 발디니 2007–08 발테르 첸가 2008–9 잔루카 아트초리 2009 – 9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2009 –10 마르코 잠파올로 2010 – 11 디에고 시메오네 2011 빈첸초 몬텔라 2011 - 12 롤란도 마란 2012-13 루이지 데 카니오 2013-14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14- 경기장 정보[편집]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에 쿠르바 노르드 서포터들 명칭: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위치: 카타니아 수용인원: 23,420 개장: 1937년 11월 27일 경기장 크기: 110m x 70m 카타니아는 1937년에 스타디오 치발리(Stadio Cibali)라고 불렸던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를 만들었다. 경기장은 2002년에 전 회장 안젤로 마시미노를 기념해 이름을 붙여졌다. 마시미노는 1969년까지 회장직을 수행했으며 1996년에 세상을 떠났다. 홈경기장을 카타니아 시 남쪽 변두리에 있는 판타노 다르치(Pantano d'Arci) 라고 불리는 산업지역에 스타디오 데이 팔리치(Stadio Dèi Palici) 라고 불리는 33,765명을 수용하는 경기장으로 옮기는 것이 제안되었다.[10] 역대 성적[편집] 세리에 B 우승: 1953–54 승격: 1959–60, 1969–70, 1982–83, 2005–06 코파 델레 알피 준우승: 1964 세리에 C / 세리에 C1 우승: 1938–39, 1947–48, 1948–49, 1974–75, 1979–80 승격: 2001–02 세리에 C2 우승: 1998–99 세리에 D 우승: 1994–95 에첼렌차 시칠리아 승격: 1993–94 클럽 기록[편집] 가장 높은 리그 순위: 8위, 1960–61, 1964–65 그리고 2012-2013 시즌. 리그 최다 출장 선수: 281경기, 1975년과 1984년 사이에 뛴 다미아노 모라. 리그 최다 득점 선수: 47골, 구이도 클레인 과 아델모 프렌나. 세리에 A 최다 출장 선수: 150경기, 1961년과 1966년 사이에 뛴 주세페 바바소리. 세리에 A 최다 승점: 2012-2013 시즌 56점 각주[편집]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RSSSF.com” (영어).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유혈사태로 얼룩진 시칠리아 더비" – 스포탈 코리아 ↑ “Channel4.com”. 2007년 6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Prima Squadra” [First Team]. 《Catania Calcio》 (이탈리아어).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4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WorldStadiums.com”.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칼초 카타니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칼초 카타니아 - 공식 웹사이트 vdeh 세리에 A2018-19시즌 나폴리 라치오 로마 밀란 볼로냐 사수올로 삼프도리아 아탈란타 엠폴리 우디네세 유벤투스 인테르 제노아 칼리아리 키에보 토리노 파르마 프로시노네 피오렌티나 SPAL 과거 참가 구단 노바라 레냐노 레자나 레지나 레체 레코 루케세 베네벤토 베로나 리보르노 만토바 메시나 모데나 바레세 바리 베네치아 브레시아 비첸차 살레르니타나 시에나 아벨리노 아스콜리 안코나 알레산드리아 체세나 카르피 카살레 카타니아 카탄차로 코모 크레모네세 크로토네 테르나나 트레비소 트리에스티나 파도바 팔레르모 페루자 페스카라 포자 프로 베르첼리 프로 파트리아 피사 피스토이에세 피아첸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초_카타니아&oldid=22875860" 분류: 칼초 카타니아1946년 설립된 축구단이탈리아의 축구단세리에 A 구단세리에 B 구단세리에 C 구단숨은 분류: 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영어 인용 (en)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23: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칼초 카타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초 카타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칼초 카타니아 전체 이름 Calcio Catania SpA 별칭 Rossazzurri ("Red and light-blues"), Gli Elefanti ("코끼리들"),Etnei ("에트나인들") 리그 레가 프로/C 창단 연도 1908년(Educazione Fisica Pro Patria) 1946년(Club Calcio Catania) 감독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수용 인원 23,420 2016-17 레가 프로/C, 11위 홈 어웨이 서드 칼초 카타니아(이탈리아어: Calcio Catania SpA)는 1908년에 창단된 카타니아에 위치한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을 근거로 하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카타니아는 대부분 세리에 B에서 있었으며 이탈리아 프로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에는 5번을 승격하였다. 이 축구단은 세리에 A에서 평범한 성공을 거뒀으며 리그 최고 성적은 1960년대에 이룬 8위다. 아주 예전 카타니아는 코파 델레 알피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목차 1 역사 1.1 재탄생 1.2 황금기 1.3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 1.4 쇠퇴와 부활 1.5 세리에 A 복귀 2 색깔과 엠블럼 3 현재 선수 명단 3.1 1군 명단 3.2 임대 선수 명단 3.3 유스 팀 4 역대 회장 5 역대 감독 6 경기장 정보 7 역대 성적 8 클럽 기록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타니아현에 축구가 들어온 기원은 시칠리아 섬으로 축구 경기를 가져온 영국 화물선의 노동자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초기의 카타니아 팀은 영국 선박에서 일하는 카타니아 선원들로 이루어져 FC 메시나를 상대로 산 라이네리 디 메시나에서 경기를 벌인 로얄 요트 카타니아로 거슬러 올라간다.[1] 초기 클럽 사진; 1908년의 프로 파트리아 시절. 하지만 선원들의 팀은 그저 취미였을뿐이고 카타니아의 첫 프로팀은 1908년 6월 19일에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가에타노 벤티밀리아 와 프란체스코 스투르초 달도브란도가 AS 에두카치오네 피시카 프로 파트리아 라는 명칭으로 설립했다. 초기에 팀은 항상 카타니아 항구를 방문한 선박의 선원(특히 외국 선박)들과 주로 경기를 하였다. 그들의 첫 경기는 이탈리아의 군함 레지나 마르게리타와의 경기였지만 1-1 무승부로 끝나고 말았다. 당시 경기에 라인업에 포함된 선수들은 아살로, 지스몬도, 비안키, 메시나, 슬라이테르, 카카모, 스텔라리오, 빈닌그, 코쿠차, 벤티밀리아 와 파팔라르도이다. 그리고 2년 만에 팀명을 US 카타네세로 바꿨다.[2] 당시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축구가 더욱 조직화되었고 북부 지역 클럽들은 초기 이탈리아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한 반면에 카타니아를 비롯해 이탈리아 남부지역의 클럽들은 립톤, 산트 아가타 와 아고르다드 쿱스 같은 리그에서 뛰었다. US 카타네세는 세계대전으로부터 살아남았고 종전후에 지역 리그인 코파 페데랄레 시칠리아나에서 뛰었다. 7 시즌뒤인 1927년에 팀은 캄피오나토 카타네세에 참가하여 1928–2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클럽은 보다 상위 리그 승격 자격을 얻어었고 클럽 명칭을 처음에는 소치에타 스포르티바 카타니아 라고 바꿨다. 카타니아의 첫 세리에 B 데뷔 시즌인 1934-35 시즌에서 4위를 차지했고 해당시즌 우승 팀은 제노아다.[3] 이 기간에 카타니아는 강등당하기 이전에 세리에 B에서 3 시즌을 보냈다. 세리에 C로 강등 이후에 1938–39 시즌에 시칠리아 지역 라이벌인 시라쿠사와 메시나보다 높은 순위로 리그를 끝내며 우승을 차지했다(시라쿠사 2위 메시나 3위). 세리에 B로 돌아왔지만 리그에서 단 3승만을 거두며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클럽은 2차 세계대전으로 조기에 리그를 마감한 1942-43 시즌에 명칭을 간단히 ACF 카타니아(Associazione Calcio Fascista Catania)로 바꿨다. 재탄생[편집] 2차 대전후, 지역 리그인 캄피오나토 시칠리아노가 정비되었다. US 카타네세는 복귀했고 시즌 말쯤에 엘레판테 카타니아(Elefante Catania)라는 이름의 지역 클럽과 통합하였다.[4] 이렇게 통합된 클럽은 카타나세라는 이름은 유지하였고 세리에 C 1945-46 시즌에 참가하였으나 하위권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같은 시즌에 같은 리그에서 뛴 비르투스 카타니아라는 클럽은 8위를 기록했다.[5] 시즌이 끝나고 카타네세와 비르투스 통합하여 클럽 클럽 칼초 카타니아(Club Calcio Catania)를 만들었고 첫 회장은 카타네세의 회장이였던 산티 만가나로-파사니시다. 카타니아는 세리에 C에서 3 시즌을 보내고 1948-49 시즌에 세리에 B 승격을 위해 고피, 메소라, 아르데시 와 프레보스티 등과 같은 스타들과 함께 레지나와 힘겨운 사투를 벌여 승리를 거뒀다. 황금기[편집]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를 카타니아의 황금기라고 여겨진다. 그 기간에 두 차례에 걸쳐 세리에 A 승격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첫 승격은 세리에 B에서 왔었다. 세리에 B 1953-54 시즌 카타니아는 칼리아리와 프로 파트리아를 꺽고 리그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의 첫 세리에 A 무대에서 12위를 거두며 마감하였지만 우디네세와 같이 재정 스캔들로 인하여 강제로 강등을 당하였다. 1930년대에 팀에서 선수로 뛰었던 카르멜로 디 벨라의 지휘아래에 1959-60 시즌에 세리에 B로부터 승격권을 얻어냈다. 그들의 승격을 위한 레이스는 시즌 마지막날에 3위로 끝나 긴박한 상태였다. 카타니아는 그들의 마지막경기에서 브레시아에게 4:2로 져버렸고 승격을 확실히 하기 위해선 파르마가 트리에스티나로부터 좋은 결과를 걷을 필요가 있었다. 그 좋은 결과는 실현되었고 카타니아는 이리하여 한번 더 승격을 하게되었다. 1960-61 시즌에 카타니아가 세리에 A로 돌아오고 6년간을 잔류하였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은 새롭게 승격한 팀이 전통적 강호인 라치오와 나폴리보다 높은 순위인 8위로 마감하며 강한 인상을 주었다. 이 시즌에는 몇 주목할만한 승리를 거뒀는데 그것은 나폴리와 볼로냐에게 더블을 거두고 삼프도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를 거둔것뿐만아니라 가장 주목할만한 승리는 시칠리아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4:3 승리와 시즌 마지막날 인테르나치오날레를 상대로 카스텔라치 와 칼바네세의 두 골로 승리를 거두었다. 인테르의 상처를 소금으로 비빈 이 승리는 유벤투스와 타이틀 경쟁에서 멀어지게 하였다. 4년후인 1965년에도 역시 리그에서 8위를 거두었다. 이때는 로마와 시칠리아의 더비 라이벌인 메시나보다도 높은 순위였다. 여러 클럽들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선수들도 이기간에 뛰었다(미드필더로는 알바로 비아지니, 시네지뉴, 윙어로는 카를로 파킨, 잔카를로 다노바). 그리고 이탈리아 축구계의 거인들인 유벤투스(2:0), 피오렌티나(2:0), 라치오(1:0)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편집] 카르멜로 디 벨라 감독이 떠난 1966년에 팀이 강등된후에 세리에 B에 있었다. 카타니아는 1969-70 시즌에 3위로 리그를 마감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이렇게 승격하였지만 한 시즌후에 다시 강등당하였다. 그 시즌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에게 3-1 승리와 AC 밀란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인상적인 결과를 내었지만 30경기에서 18골만을 득점하며 득점 결핍에 시달렸다. 1973-74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지만 곧장 세리에 C에서 우승하며 다시 승격을 하였다. 1976-77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곧바로 승격을 하는데는 실패하였다. 짧은 세 시즌후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와 AC밀란 뒤인 3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카타니아는 1983-84 시즌에 세리에 A에 있었지만 그 시즌은 단 한 경기에서 밖에 승리를 거두지 못했으며(그거조차도 피사와의 경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와 브라질의 핵심 선수였던 루바노르와 페드리뉴가 있음에도 승점 12점을 얻는데 그쳐 심각하게 형편없는 시즌임을 증명했다. 쇠퇴와 부활[편집] 세리에 B로 마지막 강등을 당한후 카타니아는 눈에 띄는 쇠퇴를 하기 시작했다. 팀은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계속된 쇠퇴를 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세리에 C1로 강등을 당하기도 했다. 클럽의 역사서 가장 실망적인것이 있다면 1993년에 승격에 성공하였지만 재정문제로 이탈리아축구협회에 의해 취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긴 법정공방 끝에 법원은 이탈리아축구협회의 결정이 무효임을 선언했고 협회에게 카타니아를 다시 리그에 참가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카타니아는 이러하여 에첼렌차 시칠리아(이탈리아 6부 리그소속)에 포함되었지만 그동안에 또다른 시칠리아 축구팀 시라쿠사현의 렌티니를 연고로하는 아틀레티코 레온치오가 있었고 연고지를 카타니아로 옮기고 명칭을 아틀레티코 카타니아라고 다시지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원조" 카타니아는 비교적 몇년 안에 세리에 C로부터 나올수 있었고 심지어 2002년에는 세리에 B로 돌아오기도 했다. 2003년 카타니아는 카소 카타니아(Caso Catania)라고 알려진 세리에 B의 팀구성을 20개에서 24개로 늘리는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시에나는 카타니아와의 경기에서 비등록 선수를 출전시켰고 경기는 1:1 무승부가 되어 카타니아는 승리시에 2점을 더 얻어 강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강등을 당하였다. 카타니아는 강등을 당하기 직전에 2:0 승리를 보상을 받았다. 8월에, 이탈리아축구협회는 카타니아가 제노아와 살레르니타나 등과 함께 세리에 B에 잔류할것과 새롭게 다시 태어난 피오렌티나를 2003-2004 시즌에 추가하였다. 그 결정으로 시위가 일어나고 다른 세리에 B 클럽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시즌 시작이 늦어졌었다. 2004-05 시즌에 팀에 숫자가 24개에서 22개로 줄은 반면에 같은 시간 세리에 A에서는 18개에서 20개로 팀 수를 늘렸다. 시즌을 시작하는 동안에 항공사 윈드 제트의 회장이자 세리에 C1의 시칠리아팀 아치레알레의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 회장이 카타니아를 인수하였다. 카타니아의 새 경영자는 2005-06 시즌에 2위로 마감하여 세리에 A로 승격함에 따라 팀의 부활을 기뻐하였다. 2006년 세리에 A에서 아탈란타와 경기 세리에 A 복귀[편집] 2006-07 시즌 카타니아는 22년 만에 세리에 A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에 2번의 대패를 겪었지만 준수한 시즌을 보냈다. 그들의 첫 복귀시즌에는 2007년 2월 2일에 일어난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 과감하게 변화하게된다.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는 US 팔레르모와 벌인 시칠리아 더비전에서 경찰관 필리포 라치티가 마시미노 스타디움 바깥에 있던 카타니아의 울트라스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건이다.[6] 그 사건으로 인해 이탈리아축구협회의 위원인 루카 판칼리는 이 기간에 리그 경기와 국가대표팀 경기를 포함한 모든 축구 관련 행사를 취소하였다. 카타니아의 회장이자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는 카타니아에서 더 이상 구단을 운영할 상태라가 아니라고 보아 그가 축구계를 기꺼이 떠날것임을 밝혔다. 이탈리아 축구 리그가 재시작한 이후에, 카타니아도 계속해서 진행을 하였지만 슬펌프를 마주하고 말았다. 사실 그들의 슬럼프는 더비 경기의 사고 이전부터 있었고 2007년 4월 말에 우디네세에게 1:0 승리를 거두기전까지 12경기에서 단 한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며 결국 시즌 13위로 마감을 하였다.[7] 다음 시즌에 마리노 감독이 우디네세로 떠나고 실비오 발디니가 팀을 맡았으나 더 팀의 사정을 좋지 않았다. 리그 순위표에서는 형편없었으나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카타니아에게 있어서 역사적이라고 할만한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인상적인 모습도 있었다(준결승에서 로마에게 패배). 한편 발디니 감독은 2008년 3월 31일에 우편을 통해 사임되고, 놀랍게도 발테르 첸가 감독이 그를 대신하였다(세리에 A 수준에서 왈테르 첸가의 경험부족 때문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첸가는 로사추리를 그 시즌 마지막 경기를 홈경기에서 호르헤 안드레스 마르티네스의 동점골로 로마와 1:1 무승부를 거두며 강등권에서 구해냈다. 첸가 감독은 성공적으로 앞으로 다가올 2008-09 시즌을 위해 팀을 맡기로 계약했다. 2009년 6월 5일에, 왈테르 첸가는 카타니아를 떠나 팀의 최대 라이벌인 팔레르모의 감독이 되었다. 첸가가 떠난 빈자리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팀 라벤나에서 단지 1년의 감독경력을 지닌 신참인 잔루카 아트초리가 대신하였다. 아트초리 감독은 라벤나에서 공격적인 4-3-3 포메이션을 쓰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카타니아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셈이었다. 2009년 12월 8일,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잔루카 아트초리로부터 감독직을 이어 카타니아의 감독을 맡았으며 계약 기간은 2011년 6월까지다. 카타니아가 강등권으로 떨어지자, 미하일로비치는 리보르노와의 경기에 데뷔하게된다. 다음 경기에서 토리노 원정에서 유벤투스를 잡아내며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미하일로비치 감독이 피오렌티나로 떠나고 2010-11 시즌를 위해 마르코 잠파올로를 선임하였다. 하지만 2011년 1월에 카타니아는 성적부진으로 잠 파올로 감독을 해임하고 세리에 A 수준 리그에서 감독 경험이 전무하던 아르헨티나의 옛 스타플레이어인 디에고 시메오네를 선임하였다. 2010-11 시즌 로마에서 짧은 기간동안 감독직을 맡았던 빈센초 몬텔라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색깔과 엠블럼[편집] 카타니아의 팀컬러는 붉은색과 담청색이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1군 명단[편집] 2014년 1월 31일 기준[8]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알베르토 프리손 2 DF 히노 페루시 3 DF 니콜라스 스폴리 4 MF 세르히오 알미론 5 DF 알렉시스 롤린 6 DF 니콜라 레그로탈리에 7 FW 프란체스코 페다토 8 MF 야로슬라프 플라실 (보르도에서 임대) 9 FW 곤살로 베르헤시오 10 FW 막시 로페스 11 FW 세바스티안 레토 13 MF 마리아노 이즈코 (주장) 14 DF 주세페 벨루시 15 MF 파비안 리나우도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18 DF 파비안 몬손 19 MF 루카스 카스트로 21 GK 마리아노 안두하르 (나폴리에서 임대) 22 DF 파블로 알바레스 23 FW 킹슬리 보아텡 (밀란에서 임대) 24 DF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26 FW 케코 28 MF 파블로 바리엔토스 31 DF 에리크 카발세타 32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33 DF 치로 카푸아노 (부주장) 34 MF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인테르에서 임대) 35 GK 주세페 피카라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피에트로 테라차노 (아벨리노에서 임대) DF 나빌라 삼바 (고리차에서 임대) MF 페데리코 모레티 (스페치아에서 임대) MF 파비오 시아카 (테르나나에서 임대) MF 미르코 안테누치 (테르나나에서 임대) FW 에드가르 차니 (카르피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FW 슐레이만 두카라 (유베 스타비아에서 임대) FW 막스 바리시치 (밀란에서 임대) FW 에밀리아노 토르톨라노 (카탄차로에서 임대) FW 아메스 폴 (리미니에서 임대) FW 파비오 아베니 (페루자에서 임대) 유스 팀[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주세페 메시나 FW 막스 바리시치 ( 코페르에서 임대) MF 셈 아다모 번호 포지션 이름 FW 파비오 아베니 DF 에리크 카발세타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역대 회장[편집] 1946년 이후의 회장 목록   이름 연도 산티 파사니시 만가나로 1946–48 로렌초 파치오 1948–51 아르투로 미키산티 1951–54 주세페 리초 1954–56 아가티노 페셰미켈레 주프리다 1956–59 이냐치오 마르코초 1959–69 안젤로 마시미노 1969–73 살바토레 코코 1973–74   이름 연도 안젤로 마시미노 1974–87 안젤로 아타구일레 1987–91 살바토레 마시미노 1991–92 안젤로 마시미노 1992–96 그라치아 코딜리오네 1996–00 리카르도 가우치 2000–04 안토니노 풀비렌티 2004–15 역대 감독[편집] 카타니아는 많은 세월 동안에 여러 감독들이 있었으며 그중에는 공동으로 감독직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에 있는 표는 역대 카티니아의 감독을 1946년도부터 순서대로 나열한것이다.[9]   이름 국적 연도 조반니 데니 1946–48 니콜로 니콜로시 1948 미로슬라프 바나스 1948–49 안토니오 마뇨치 1949–50 스타니슬라브 클레인 1950 러요시 폴리체르 1950–51 네레오 마리니 1951–52 브론디 3세 1952 줄리오 카펠리 1952–53 피오라반테 발디 1953 피에로 안드레올리 1953–56 에르네스토 마테오 포지 1956–57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957 니콜로 니콜로시 1958 프란체스코 카포카살레 1958 블라고예 마랴노비치 1958–59 카르멜로 디 벨라 1959–66 루이지 발세키 1966 디노 발라치 1966–67 루이지 발세키 1968 에지치오 루비노 1968–71 안토니오 칼바네세루이지 발세키 1971–72 카르멜로 디 벨라 1972–73 루이지 발세키 1973 구이도 마체티 1974 아델모 프렌나 1974 젠나로 람보네 1974–75 에지치오 루비노 1975–76 구이도 마체티 1976 카르멜로 디 벨라 1976–77   이름 국적 연도 루이지 발세키 1977 카를로 마테우치 1977–78 구이도 마체티 1978 아델모 카펠리 1978–79 젠나로 람보네 1979–80 리노 데 페트릴로 1980–81 구이도 마체티 1981 조르조 미켈로티 1981–82 살보 비안케티 1982 구이도 마체티 1982 잔니 디 마르치오 1982–84 잠바티스타 파브리 1984 안토니오 렌나 1984–85 젠나로 람보네 1985 살보 비안케티 1985–86 안토니오 콜롬반 1986 젠나로 람보네 1986–87 브루노 파체 1987 오스발도 야코니 1987 피에트로 산틴 1987–88 브루노 파체 1988–89 카르멜로 루소 1989–90 안젤로 베네딕토 소르마니 1990–91 주세페 카라만노 1991–92 프란코 반니니 1992 살보 비안케티 1992–93 프란코 인델리카토 1993–94 로렌초 바를라시나 1994 피에르 주세페 모스티 1994–95 안젤로 부세타 1995 람베르토 레오나르디 1995   이름 국적 연도 알도 체란톨라 1995–96 마리오 루소 1996 안젤로 부세타 1996–97 조반니 메이 1997–98 프란코 갈리아르디 1998 피에로 쿠키 1998–99 잔니 시모넬리 1999 – 2000 이보 이아코니 2000 빈첸초 구에리니 2000 – 알도 암마찰로르소 June 2001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2001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1–02 오스발도 야코니 2002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2 – 2003 존 토샥 2002–03 에도아르도 레야 2003 빈첸초 구에리니 2003 가브리엘레 마트리차니스테파노 콜란투오노 2003–04 마우리치오 코스탄티니 2004–05 네도 소네티 2005 파스콸레 마리노 2005–07 실비오 발디니 2007–08 발테르 첸가 2008–9 잔루카 아트초리 2009 – 9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2009 –10 마르코 잠파올로 2010 – 11 디에고 시메오네 2011 빈첸초 몬텔라 2011 - 12 롤란도 마란 2012-13 루이지 데 카니오 2013-14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14- 경기장 정보[편집]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에 쿠르바 노르드 서포터들 명칭: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위치: 카타니아 수용인원: 23,420 개장: 1937년 11월 27일 경기장 크기: 110m x 70m 카타니아는 1937년에 스타디오 치발리(Stadio Cibali)라고 불렸던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를 만들었다. 경기장은 2002년에 전 회장 안젤로 마시미노를 기념해 이름을 붙여졌다. 마시미노는 1969년까지 회장직을 수행했으며 1996년에 세상을 떠났다. 홈경기장을 카타니아 시 남쪽 변두리에 있는 판타노 다르치(Pantano d'Arci) 라고 불리는 산업지역에 스타디오 데이 팔리치(Stadio Dèi Palici) 라고 불리는 33,765명을 수용하는 경기장으로 옮기는 것이 제안되었다.[10] 역대 성적[편집] 세리에 B 우승: 1953–54 승격: 1959–60, 1969–70, 1982–83, 2005–06 코파 델레 알피 준우승: 1964 세리에 C / 세리에 C1 우승: 1938–39, 1947–48, 1948–49, 1974–75, 1979–80 승격: 2001–02 세리에 C2 우승: 1998–99 세리에 D 우승: 1994–95 에첼렌차 시칠리아 승격: 1993–94 클럽 기록[편집] 가장 높은 리그 순위: 8위, 1960–61, 1964–65 그리고 2012-2013 시즌. 리그 최다 출장 선수: 281경기, 1975년과 1984년 사이에 뛴 다미아노 모라. 리그 최다 득점 선수: 47골, 구이도 클레인 과 아델모 프렌나. 세리에 A 최다 출장 선수: 150경기, 1961년과 1966년 사이에 뛴 주세페 바바소리. 세리에 A 최다 승점: 2012-2013 시즌 56점 각주[편집]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RSSSF.com” (영어).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유혈사태로 얼룩진 시칠리아 더비" – 스포탈 코리아 ↑ “Channel4.com”. 2007년 6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Prima Squadra” [First Team]. 《Catania Calcio》 (이탈리아어).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4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WorldStadiums.com”.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칼초 카타니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칼초 카타니아 - 공식 웹사이트 vdeh 세리에 A2018-19시즌 나폴리 라치오 로마 밀란 볼로냐 사수올로 삼프도리아 아탈란타 엠폴리 우디네세 유벤투스 인테르 제노아 칼리아리 키에보 토리노 파르마 프로시노네 피오렌티나 SPAL 과거 참가 구단 노바라 레냐노 레자나 레지나 레체 레코 루케세 베네벤토 베로나 리보르노 만토바 메시나 모데나 바레세 바리 베네치아 브레시아 비첸차 살레르니타나 시에나 아벨리노 아스콜리 안코나 알레산드리아 체세나 카르피 카살레 카타니아 카탄차로 코모 크레모네세 크로토네 테르나나 트레비소 트리에스티나 파도바 팔레르모 페루자 페스카라 포자 프로 베르첼리 프로 파트리아 피사 피스토이에세 피아첸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초_카타니아&oldid=22875860" 분류: 칼초 카타니아1946년 설립된 축구단이탈리아의 축구단세리에 A 구단세리에 B 구단세리에 C 구단숨은 분류: 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영어 인용 (en)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23: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중립국 감독위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립국 감독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립국 감독위원회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의 깃발.     UN,     대한민국,    민간인,     조중 연합군 (시계 방향) 1976년 공동경비구역과 판문점 구조 약칭 NNSC 결성일 1953년 7월 27일 유형 IGO 형태 위원회 목적 한국 전쟁의 공식 종전 선언이 이뤄질때까지 정전 감시 본부 캠프 보니파스 위치 경기도 파주시 활동 지역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회원 스웨덴, 스위스 공식 언어 영어, 한국어 모기관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제휴기관 주한 미군 대한민국 국방부 활동 인원 5명 웹사이트 NNSC 중립국 감독위원회(中立國監督委員會,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휴전 상황을 감시할 목적으로 수립된 단체이다. 현재 대한민국 측에만 스웨덴과 스위스 위원이 5명씩 주재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는 어느 국가의 위원도 주재하지 않고 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정전 협정문이 서명되면서 설립되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소속으로 북측과 남측의 휴전상태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정전 협정에 따라,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4개의 국가로 이뤄져 있으며, 2개의 중립국은 국제 연합군 사령부에서 지명하였으며, 2개의 다른 중립국은 조선인민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에서 지명하였다. 이들 중립국은 한국 전쟁에 가담하지 않은 국가 중에서 선별되었으며, 유엔사령부 측에선 스웨덴과 스위스를,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에서는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를 택했었다. 1953년 8월 1일, 96명으로 이뤄진 최초의 스위스 중립국 정전 감시 파견 위원단이 판문점에 도착하였다. 이들은 1955년에 41명으로 줄이기로 하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계속 숫자는 줄어갔다. 1982년 이후로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스위스 군은 8명이 되었으며, 1987년까지 약 700명의 스위스 군이 중립국 감독위원회에서 일하였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임무는 정전 협정문 41조에 적혀져 있다: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임무는 본 정전협정에 규정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직책을 집행하며 이러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결과를 군사정전위원회에 보고하는 것이다. 2006년 이후 남한 내에서 이들이 주재하는 별도의 장소는 없다. 한편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에 신생국가인 체코와 슬로바키아 모두 북한 측의 감독위원 자격을 승계하지 않아 사실상 폴란드만이 북한 측의 감독위원회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 측에서는 이마저도 축출 조치하여 폴란드는 본국에서 이 업무를 형식적으로만 맡게 됐다. 목차 1 개관 2 오늘날의 형태 3 미디어 4 외부 링크 개관[편집]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에 대한 감독을 그만두었지만, 다만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군부대가 움직이고 나가는 것에 대한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이 갖고 있던 힘은 점차 줄어갔다. 1956년 6월 각각 14명이었던 것이,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으며, 공동경비구역안의 사무실과 회의장의 크기도 조정되었다. 또한 북측은 소련이 해체되고, 중앙유럽에서 공산주의가 느슨해지는 것에 영향을 받아 1993년에는 체코 대표단을, 1995년에는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시켰다.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오직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국가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와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2006년 이후 캠프 보니파스가 폐쇄 및 반환되었다.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현재 이 주둔지는 조선인민군 측이 차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형태[편집] 최근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중요 역할은 양측간의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화 창구를 유지하는 것이다. 현재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은 판문점에 주재하며 중립국 감독위원회 업무를 보고 있다. 그들의 중요 목적은 군사분계선의 존재를 드러내어, 아직도 지속적인 정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미디어[편집]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에서 이영애가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감시관역을 맡아서 연기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Peace Support - Mission in Korea (NNSC) information about the Swiss participation to the NNSC mission in Korea. Photogallery from Warrant Officer Mäder Pictures taken during tour of duty in 1980.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Kore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립국_감독위원회&oldid=22864160" 분류: 한국 전쟁의 여파한반도 비무장 지대대한민국-스웨덴 관계대한민국-스위스 관계판문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Norsk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8일 (일) 02: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레사 프랭클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레사 프랭클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레사 프랭클린Aretha Franklin 1968년 모습기본 정보본명 아레사 루이즈 프랭클린Aretha Louise Franklin출생 1942년 3월 25일(1942-03-25)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사망 2018년 8월 16일 (76세)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국적 미국장르 소울, 재즈, 블루스, R&B,가스펠, 펑크, 록악기 보컬, 피아노활동 시기 1956년-2018년 레이블 Columbia, Atlantic, Arista, Aretha Records 아레사 루이즈 프랭클린(영어: Aretha Louise Franklin 어리사 루이스 프랭클린[*], 1942년 3월 25일 ~ 2018년 8월 16일)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이다. 음악계에서는 솔의 여왕이라고 불린다. 목차 1 생애 2 경력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멤피스에서 태어나, 디트로이트에서 자랐다. 아버지 C.L. 프랭클린은 침례교 전도사이자, 복음성가 가수였다. 12세때 디트로이트에 있는 아버지의 교회에서 성가를 부르며 성장하면서 가수 경력을 시작하였다. 미국 타임즈가 선정한 20세기 문화예술인 20명 중 한 명이며, 롤링 스톤즈에서 선정한 대중음악 역사상 9번째로 위대한 예술가에 선정되었으며, 영국 모조가 선정한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100명'에서 1위로 선정되었다. 여성 아티스트들 중 플래티넘 싱글(100만장 이상)을 가장 많이 만들어냈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무려 18개의 상을 수상했다. 또한 1987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여성 흑인 아티스트로서 처음으로 입성하였다. 빌보드 R&B 차트 1위곡 최다 보유자(20곡)이며, 'Amazing Grace'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가스펠 앨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미국 가요계에서의 그녀의 입지만큼 전성기 시절의 가창력 또한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는데, 세계 최고의 여성 보컬리스트로 손꼽히는 휘트니 휴스턴마저도 유일하게 아레사 프랭클린의 다음 순서 무대만은 서기 싫어했다고 한다. 완벽한 강약 조절과 리듬감, G2에서 D6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광활한 음역대와 기관총처럼 난사하는 음정 피치들을 포함해 최정상급 가수들도 주눅들게 했던 전설적인 아티스트이다. 그녀의 엄청난 실력을 보여주는 일례로, 세계적인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예정대로 부르기로 되어있었지만 사정상 참석하지 못한 'Nessun Dorma' 무대를 파바로티의 음역에 맞춰진 오케스트라의 원래 키대로 소화해내서 언론과 아티스트들의 극찬을 받은 바 있다. 심지어 아레사 프랭클린은 해당 무대의 악보와 가사를 암기하고 세션과 맞춰보는데 15분밖에 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VH1 Divas Live 라는 공연에서 머라이어 캐리와 셀린 디온을 비롯한 5명의 여가수들과 함께 노래를 부르며 전설적인 셀러브리티인 5명의 여가수를 가창력에서 압살했다고 한다. 후일담으로, 5명의 여가수중 한 명이었던 캐롤 킹의 회고 인터뷰에 따르면 당시 50대 후반이었던 아레사의 가창력을 아무도 따라갈 수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엄청난 가창력에 항상 그녀는 위대한 보컬리스트 순위를 꼽을 때면 여성 중에선 당연히 부동의 1위, 남성들과 견주어도 1~2위를 다툴만한 실력으로 평가받는다. 여가수들의 전설이라 불리는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셀린 디온에게조차 아레사 프랭클린은 가장 존경하는 보컬리스트로 꼽힌다. 그녀를 상징하는 대표곡을 꼽는다면 단연 Respect와 Amazing Grace 일 것이다. 소울의 제왕으로 불렸던 오티스 레딩이 작곡한 Respect는 음악적 완성도 뿐만 아니라 여성의 당당함을 표현한 내용으로도 유명하다. Amazing Grace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가스펠 곡으로 정평이 나 있다. 2018년 8월 16일 디트로이트에 있는 자택에서 76세의 나이에 췌장암으로 사망했다.[1][2] 경력[편집] 1961년 이후 콜롬비아 레코드와 계약한 이후에 수많은 히트곡을 내놓으면서 지금의 자리에 서게 되었다. 복음성가에서 팝 음악으로 전향하기 시작하였고, 수많은 녹음에서 자신의 피아노 연주를 선보인다. 아레사 프랭클린이 가장 인기있던 시기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이었다. 1967년 〈I Never Loved a Man(The Way I Love You)〉, 〈Respect〉, 〈Baby, I Love You〉, 〈(You Make Me Feel Like)A Natural Woman〉, 〈Chain of Fools〉등 톱 10 히트곡 5곡을 녹음했다. 특히 1967년에 녹음된 〈Respect〉는 인권운동 축가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자존심의 상징이 되었다. 1968년에 녹음된 곡들은 〈(Sweet Sweet Baby)Since You've Been Gone〉, 〈Think〉, 〈The House That Jack Built〉와 〈I Say a Little Prayer〉 등이 있다. 다른 히트곡으로는 〈Share Your Love with Me〉(1969년), 〈Calle Me〉(1970년), 〈Spanish Harlem〉과 〈Rock Steady〉(둘다 1971년), 〈Day Dreaming〉(1972년), 〈Until You Come Back to Me(That's What I'm Gonna Do)〉(1973년), 〈Freeway of Love〉(1985년) 등이 있다. 듀엣으로 불렀던 곡들로는 〈Sisters Are Doing It For Themselves〉(1985년 유리스믹스와 듀엣), 〈I Knew You Were Waiting (For Me)〉(1987년 조지 마이클과 듀엣) 등이다. 또한 〈Amazing Grace〉(1972년)와 〈One Lord, One Faith, One Baptism〉(1987년)은 성가복음으로 녹음한 앨범들이다. 이 후, 1991년에 그래미 레전드상(Grammy Legend Award)[3]을 받기도 했다. 21차례 그래미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여성 가수로서는 처음으로 헌액되었다. 저서로는 〈어리사:이 뿌리들로부터〉(1999년 발간)가 있다. 2008년에는 미국의 잡지 《롤링 스톤》이 선정한 '록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순위중 엘비스 프레슬리를 밀치고 1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아레사 프랭클린은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My Country, 'Tis of Thee〉를 불러 주목을 받았다. 각주[편집] ↑ 송수경; 김현 (2018년 8월 17일). “'솔의 여왕' 어리사 프랭클린 영원히 잠들다(종합)”. 《연합뉴스》 (워싱턴·시카고). 2018년 8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  ↑ Jon Pareles (2018년 8월 16일). “Aretha Franklin, the ‘Queen of Soul,’ Dies at 76”. 《The New York Times》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  ↑ “GRAMMY.com”. 2010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레사 프랭클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아레사 프랭클린 - 공식 웹사이트 아레사 프랭클린 - VEVO 채널 아레사 프랭클린 - 인스타그램 아레사 프랭클린 - 트위터 아레사 프랭클린 - 페이스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1577926 LCCN: n84028907 ISNI: 0000 0001 1447 6112 GND: 118967622 SELIBR: 313776 SUDOC: 087931591 BNF: cb13894129s (데이터) BIBSYS: 56662 뮤직브레인즈: 2f9ecbed-27be-40e6-abca-6de49d50299e NLA: 35985429 NDL: 001226753 NKC: js20020429008 BNE: XX875896 CiNii: DA13586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레사_프랭클린&oldid=24085371" 분류: 1942년 태어남2018년 죽음1960년대 가수1970년대 가수1980년대 가수1990년대 가수2000년대 가수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미국의 여자 가수미국의 R&B 가수미국의 소울 가수미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영어 가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그래미상 수상자21세기 작곡가췌장암으로 죽은 사람복음성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alegoHausa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훗 (Hoo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훗 (Hoo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음반에 관한 것입니다. 소녀시대의 노래에 대해서는 훗 (Hoot)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훗 (Hoot) 소녀시대의 EP발매일 2010년 10월 25일녹음 2010년 9월장르 K-Pop, 댄스 팝길이 17:34언어 한국어레이블 KMP홀딩스프로듀서 이수만소녀시대 연표 Run Devil Run(2010) 훗 (Hoot)(2010)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2010)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소녀시대의 세 번째 미니 앨범이다. 2010년 10월 27일 KMP홀딩스를 통해 발매되었다. 켄지, 히치하이커, 황현 등이 앨범에 참여했으며, 이수만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본 앨범의 작업은 활발한 국제적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 대다수 사람들은 2010년 소녀시대의 대한민국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2010년 11월 컴백 예고를 하면서 모두의 예상을 깼다. 앨범에는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을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되었다. 앨범의 컨셉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과 같은 1970년대 핀업 걸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에 초점을 맞췄다. 소녀시대 멤버들은 앨범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참여했고, 유리는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에 작사로 참여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 대체로 앨범 자체는 괜찮지만, 타이틀곡은 약해졌다는 평이 많았다.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가온 앨범 차트에 발매 첫 주 1위에 올랐고, 18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렸다.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는 2위에 오르며 소녀시대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카라가 《KARA BEST 2007-2010》로 기록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 일본에서 총 1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1] 연간 차트에서는 10위에 오르며 성공을 거뒀다.[2] 소녀시대는 앨범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알리며 앨범의 프로모션에 있어 이전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첫 컴백 무대를 가졌으며, 12월 5일 《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쳤다. 목차 1 배경과 개발 2 구성 3 평가 4 발매와 프로모션 5 상업적 성과 6 수록곡 6.1 일본반 7 차트 7.1 주간 차트 7.2 연간 차트 8 인증 및 판매량 9 발매일 10 같이 보기 11 각주 배경과 개발[편집] 2011년 5월 14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기원 국민대합창에서 〈훗 (Hoot)〉 공연 중의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2010년 두 번째 대한민국 정규 앨범 《Oh!》와 리패키지 앨범 《Run Devil Run》을 발매하고 활동했다. 그 해 중반에 활동을 마감하면서 대중들은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소녀시대의 2010년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 소녀시대는 4월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서 아시아 콘서트 투어 Into The New World를 이어갔고, 일본에서 싱글 〈Genie〉와 〈Gee〉를 일본에서 9월과 10월에 각각 발표하였다. 이렇게 대다수 사람들이 예상한 대로 소녀시대는 2010년 하반기를 일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채우는 듯했다.[3][4][5][6]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소녀시대는 10월 말에 대한민국에서 새 앨범을 깜짝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에서의 활동도 병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언론에 알렸다.[7] 앨범 작업은 활발한 국제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8] 그 누구도 컴백을 예상하지 못했고 멤버들 조차 언제 티저가 공개되는지, 누가 먼저 나오는지 예상하지 못했다.[8] 소녀시대 멤버들은 "숨기느라 매우 힘들었다. 이번 앨범이 팬들에게 서프라이즈 같은 선물이기에 준비하는 우리도 재미있고 신났다"고 말했다.[9] 실제로 컨셉을 들키지 않기 위해 써니는 뮤직비디오 촬영 날 머리를 염색하고 다음 날 출국에서는 검은 스프레이로 염색한 머리를 감췄다.[8] 일본 활동, 아시아 콘서트 등과 함께 준비하면서 작업 시간도 부족했는데, 4일만에 안무를 소화해야 했다.[9] 태연과 제시카는 "시간이 부족했던 만큼 더욱 타이트하게 노력했다. 매일같이 모니터를 하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지적해주고 더 잘 하기 위해 회의를 한다"고 말했다.[9] 효연은 "퍼포먼스가 업그레이드 됐다는 것을 팬들이 확실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10] 소녀시대는 한국에서 선보였던 곡들을 다시 일본에서 선보이는 과정에서 한국 활동 당시 아쉬웠던 점을 보강해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훗 (Hoot)》을 준비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11] 세 번째 미니 앨범의 디자인 및 의상, 안무, 뮤직비디오, 무대 연출은 196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 스타일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 《오스틴 파워 시리즈》에 초점을 맞춰 전체적인 테마를 정했다.[12][13] 소녀시대는 이번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직접 참여했다. 수영은 "음악을 듣고 '007'이나 '카우걸', 서부영화가 생각났다. 그런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멤버들 모두도 같은 느낌이었고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누가 들어도 명확한 콘셉트였다"고 말했다.[14]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의 가사는 유리가 직접 작사했는데, 멤버들이 다 같이 가사를 제출해 최종적으로 티파니와 유리의 가사 중 유리의 가사가 선정되었다. 유리의 작사는 슬픈 내용이었고, 티파니의 작사는 예쁘고 행복한 사랑에 대한 것으로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이었다. 유리는 경험담이 아니고 책을 보다 나오게 되었다고 말했다.[15] 구성[편집] 첫 번째 수록곡이자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고고리듬에 복고풍 기타 사운드가 어우러진 댄스 팝 노래이다.[16] 노래의 작곡은 덴마크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마틴 마이클 라르손, 라스 할보 젠슨 그리고 영국의 작곡가 알렉스 제임스가 함께 했다. 이들은 "여성 음악가나 그룹을 위한 자극적인 업템포 노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7] 작사는 작곡가 3명과 이현규가 맡았는데, 마음에 화살을 쏘듯 자꾸 마음을 아프게 하는 남자친구에게 경고하는 내용을 담았다.[18] 두 번째 트랙에 수록된 〈내 잘못이죠 (Mistake)〉는 소녀시대가 처음 선보이는 정통 알앤비 발라드 노래로, 멤버 유리가 직접 작사로 참여했다.[19] 가사는 소녀의 가슴 아픈 짝사랑에 대해 표현했다. 유리는 처음에 사랑스러운 멜로디와 곡의 분위기를 생각해 이에 맞는 가사를 쓸려했지만, 반전이 있는 것이 더 애절함이 있다고 생각해 슬픈 가사를 쓰게되었다고 말했다.[20] 이 노래의 작곡은 Cheryl Yie가, 편곡은 켄지가 맡았다.[18] 세 번째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은 어쿠스틱 기타로 시작해 후반부로 갈 수록 일렉트릭 기타의 전자음이 강조되는 빠른 16비트의 락 발라드 노래이다.[21] 가사는 소녀시대 멤버들의 우정과 사랑에 대한 것이다.[19] 이 곡의 작사는 휘성, 작곡과 편곡은 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5명이 함께 맡았다.[18] 네 번째 수록곡 〈Wake Up〉은 무거운 비트와 함께 진행되는 앨범의 두 번째 업템포 곡이다.[22] 《티브이데일리》에서는 "하드락의 모습을 보여준다. 보아의 락버전같은 느낌을 준다"고 말했다.[21] 노래의 작곡과 편곡은 히치하이커가, 작사는 김부민과 함께 공동으로 했다.[18] 다섯 번째 수록곡이자 앨범의 마지막 노래 〈첫눈에... (Snowy Wish)〉16비트 소프트 락, 슈가 팝 장르의 미디엄 템포 곡이다.[21][22] 황현이 작사, 작곡, 편곡을 모두 도맡아 만들었다.[18]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평가 점수출처점수이즘[23]Soompi[22] 《이즘》의 조이슬은 "이쯤하면 너무 진부한 스토리다. 결국은 작곡가의 이름만을 바꿔가며 같은 음악을 들려주는 기획과 이제는 쉽게 물릴 수 있는 그들의 보컬 스타일, 소녀들의 무의미한 두터운 코러스라인도 언제까지 유효할지는 미지수다"라며 혹평을 했다.[23] 반면 《티브이데일리》에서는 "이번 앨범에서 일취월장한 음악성을 보여줬다. 이번 음반의 전체적인 색깔은 확실하게 락적인 요소가 강하다는 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타이틀곡이 약간 완성도가 떨어지고 아직도 가사가 10대 정신연령에 머문다는 것을 제외하곤 다른 걸 그룹에 비해 월등하다"고 리뷰했다.[21] 《Soompi》에서는 "미니 앨범의 노래들은 하나하나 정말 좋다. 기억하기는 쉽지만, 타이틀 트랙은 확실히 좋지 않다. 앨범에 더 좋은 노래들을 선택해 구성할 수 있었다고 본다. K-Pop 리스너로써 소녀시대의 새 앨범 컨셉과 노래들은 항상 기대하는데, 소녀들은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타이틀곡은 실망 적이다."라고 리뷰했다.[22] 《세계일보》의 한준호는 "모두들 언제 준비를 했을까라는 강한 의문을 제기할 만큼 새로운 사운드와 노래 스타일로 무장했다. 80년대 복고풍 사운드를 새롭게 해석한 번득이는 음악적 행보로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가요계에서 몰아내고 있다"고 평했다.[24] 《프레시안》의 대중음악 평론가 나도원 역시 타이틀곡에 대해서는 혹평 했지만, "타이틀곡은 무뎌졌지만 앨범 단위의 충실도가 부쩍 높아졌다. 삼투압 현상처럼 곡들의 완성도가 타이틀곡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 되어 지금껏 소녀시대의 이름을 내걸고 발표한 앨범들 중 가장 낫다"고 리뷰했다.[25] 발매와 프로모션[편집] 2011년 5월 17일 한양대학교 축제에서 〈훗 (Hoot)〉 공연 중 일명 화살춤을 추고 있는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이번 앨범에서 이전과는 다른 프로모션 행보를 선보였다. 앨범이 나오기 전 한참부터 소식을 알렸던 이전과 달리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전하며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26] 2010년 10월 19일 소녀시대 공식 홈페이지에 티저 이미지와 일부 음원을 공개하면서 컴백을 예고했다.[27] 이와 함께 10월 27일 앨범이 발매된다고 발표했다.[28] 19일에는 서현, 제시카, 티파니의 티저 이미지를, 20일에는 태연, 효연, 써니, 21일에는 윤아, 유리, 수영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공개했다.[29] 24일에는 33초 가량의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30] 25일에는 음반 발매에 앞서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 음원을 공개되었으며,[31] 27일에는 오프라인에서 앨범이 발매되었다.[32] 12월 22일에는 일본에서 기존의 히트곡 5곡을 추가해 일반반, 한정반, 초회한정반, 기간한정반으로 나뉘어 발매되었다.[33] 소녀시대는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타이틀곡 〈훗 (Hoot)〉을 선보이며 첫 무대를 선보였다.[34] 같은 날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평화의 전당에서 열린 제47회 대종상의 초대 가수로 〈Oh!〉와 〈훗 (Hoot〉으로 축하 무대에 올랐다. 대종상에서 공연 이후 무대를 지켜보던 배우들이 무표정으로 반응을 보이자 태도 논란이 일었다.[35][36] 뒤 이어 30일 《쇼! 음악중심》, 31일 《인기가요》에서 차례대로 컴백 무대를 선보이며 앨범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37][38] 30일 《쇼! 음악중심》에서는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을,[39] 31일 《인기가요》에서는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타이틀곡과 함께 선보였다.[40] 한편, 티파니가 11월 14일 공연 도중 넘어져 좌측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손상 진단을 받아 4주간 활동하지 못하게 되었다.[41] 이후 12월 25일 《음악중심》을 시작으로 한 달여 만에 복귀했다.[42] 11월 18일 제8회 대한민국영화대상에서는 이 날 MC를 맡았던 배우 송윤아와 함께 〈훗 (Hoot)〉과 〈소원을 말해봐〉를 부르며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43] 11월 22일에는 《김정은의 초콜릿》에서 기존의 히트곡과 함께 수록곡 〈훗〉,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포함해 총 5곡을 선보였다.[44] 이후 소녀시대는 12월 4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무리했다.[45] 공식 활동이 끝나고 나서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공연을 했고,[46] 12월 17일 《뮤직뱅크》,[47] 12월 25일 《음악중심》, 두 연말 결산 음악 방송에서 2010년 초에 발표했던 〈Oh!〉와 〈훗〉을 선보였다.[48] 상업적 성과[편집] 《훗 (Hoot)》은 2010년 45주차 가온 앨범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49] 다음 주에도 1위를 지키며 2주 연속 1위에 올랐다.[50] 진입 3주차에는 1위 하락한 2위에 올랐으며,[51] 4주차에는 7위 하락한 9위에 올랐다.[52] 《훗 (Hoot)》은 10월 월간 앨범 차트에서는 1위,[53] 11월 월간 차트에서는 3위를 했다.[54] 2010년 대한민국에서 한 해 동안 총 163,066장을 팔아 2011년 가온 연간 앨범 차트에 3위에 올랐다.[55] 2015년 5월까지 대한민국에서 180,825장의 누적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56] 일본에서는 《훗 (Hoot)》 한국어판으로 2010년 11월 15일자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 19위로 데뷔했다.[57] 이후 일본에서 10만 장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2010년 12월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58] 2010년 12월 22일 《훗 (Hoot)》 라이센스 앨범이 발매되고 나서 당일 21,271장을 팔아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2위에 올랐다.[59] 이후 일주일동안 61,000장을 팔아 오리콘 위클리 앨범 차트에서도 2위에 올랐다.[60] 이를 통해 《Hoot》 수입반이 기록했던 19위를 깨고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소녀시대의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앨범 차트에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61] 또한 2010년 51,000장을 팔아 카라의 《KARA BEST 2007-2010》가 보유하고 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62] 2011년 한 해 동안 일본에서 총 148,761장의 음반을 팔아치웠고,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 42위에 올랐다.[63] 수록곡[편집]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  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총 재생 시간: 17:34 일본반[편집] 초회한정반 CD + DVD[64]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6. Gee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3:23 7. Genie  유영진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nny Svendsen, Robin Jenssen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bin Jenssen, Ronny Svendsen 3:44 8. Oh!  김정배, 김영후켄지켄지 3:08 9. Run Devil Run  홍지유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 3:21 10. Show! Show! Show!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38 11. Be Happy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영광의 얼굴들 3:30 차트[편집] 주간 차트[편집] 차트 (2010~11)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49] 1 일본 (오리콘)[61] 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5] 2 연간 차트[편집] 차트 (2010)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55] 3 차트 (2011) 최고순위 일본 (오리콘)[63] 4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6] 43 인증 및 판매량[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일본 (RIAJ)[67] 골드 148,761^ 대한민국 (가온 차트)  None 180,825[56]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발매일[편집] 국가 날짜 포맷 에디션 레이블 출처 콜롬비아 2010년 10월 25일 디지털 음원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68] 스페인 [69] 독일 [70] 타이 [71] 오스트리아 [72] 뉴질랜드 [73] 말레이시아 [74] 라오스 [75] 인도 [76] 브루나이 [77] 대한민국 KMP홀딩스 [18] 2010년 10월 27일 CD [32] 일본 2010년 10월 28일 JA코리아 [78] 2010년 12월 22일 일본어반 나유타웨이브 [79] CD+DVD 일본어 초회호화한정반 [64] 일본어 기간한정반 [80] 캐나다 2011년 9월 6일 CD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81] 홍콩 2011년 11월 2일 CD+DVD 유니버설 뮤직 [82] 타이완 2011년 12월 24일 CD [83] 같이 보기[편집] 2010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각주[편집] ↑ “2010년 45주차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2010년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전창훈 (2010년 10월 15일). “[채널] 일본, 한국 걸 그룹에 반하다”. 《매일신문》.  ↑ “"소녀시대, 비틀스 벤치마킹해 日서 성공"”. 《연합뉴스》. 2010년 10월 29일.  ↑ 홍지민 (2010년 10월 30일). “"열도는 왜 ‘소녀시대’에게 열광하는가"”. 《서울신문》.  ↑ 정호재 (2010년 10월 21일). “소녀시대 대만콘서트가 남긴 3가지 사실”. 《동아일보》.  ↑ 이현우 (2010년 11월 8일). “[인터뷰] 소녀시대, “日本서도 ‘삼촌팬’ 만들고 싶어요””. MK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이현우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훗‘ 기습컴백 비하인드 스토리[인터뷰②]”. 스타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깜짝컴백 서프라이즈에 스릴만점 훗훗훗" (인터뷰)”.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재훈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그룹명 앞에 감히 '국민'을 달아주마”. 뉴시스.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오리콘 1위? 아직 많이 배고프다"(인터뷰①)”.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0월 22일). “'레트로요정' 소녀시대, 원더걸스와 어떻게 다를까?'”.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0월 29일). “각선미 열풍’ 소녀시대, 이번엔 갸날픈 허리?"”.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시, 복고걸 제일 잘어울리는 멤버는? "헤어스타일 예쁜 수영"”.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표 복고는? '훗' 들어보니”.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Q&A on K-pop with Lars Halvor Jensen” (영어). HitQuarters. 2011년 10월 24일.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네이버 뮤직 - Hoot”. 네이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이금준. “소녀시대 ‘훗’ 25일 음원 선공개 이어 27일 앨범 출시… ‘기대 만발’”. SSTV.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유진모 (2010년 11월 8일). “소녀시대 3집, 후크송 수준 뛰어넘어 참 음악세계 입문 알리는 포문 [리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otoway065 (2011년 3월 11일). “Album Review ? SNSD ? 3rd Mini-Album: Hoot” (영어). Soompi.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이슬 (2010년 11월). “이즘 - 조이슬”. 이즘.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한준호 (2010년 11월 4일). “[음반리뷰] 소시의 새 앨범…일렉트로닉 벗어나”. 스포츠월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나도원 (2010년 11월 19일). “성과 담아낸 소녀시대, 왜 슈스케에 밀릴까”. 프레시안.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1월 2일). “가요계, 컴백 소식? 신곡 발표? '쉿!'”. OSEN.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2010년 10월 19일). “소시 3집 앨범 '훗' 티저 이미지·음원 전격공개…'드디어 컴백'”.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수진 (2010년 10월 19일). “[연예파일]소녀시대, 국내 깜짝 컴백! ‘훗’ 발표예정!”. 스포츠경향.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소녀시대 '훗' 멤버 이미지 모두 공개..복고풍 섹시 007 본드걸 변신”. 뉴스한국.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민지 (2010년 10월 24일). “소녀시대, '훗' 티저 영상 공개 '복고풍'으로 '상큼+시크' 동시 강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류수운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 ‘훗’, 뮤비-음원 ‘반응 폭발’”. DIP통신.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차연 (2010년 11월 1일). “소녀시대 '훗', '소녀시대 신드롬' 재현하나”. 노컷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백지은 (2010년 12월 3일). “소녀시대, 22일 '훗' 日 앨범 발매!”.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파격변신' 소녀시대, '화살춤+개미허리춤' 히트예감”. 스포츠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승록 (2010년 10월 30일). “소녀시대인데 배우들 왜 '무덤덤'했을까…"거만?", "불쌍하네"”. 《마이데일리》.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대종상 태도 논란? 몰라서 기분도 안 나빴다””. 《마이데일리》.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2AM, 오늘(29일) 컴백..3번째 격돌 '기대만발'”. 《스포츠투데이》 (아시아경제).  ↑ 전형화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 오늘 (29일) 컴백.. '지' 영광 재현할까”. 《스타뉴스》 (머니투데이).  ↑ 선미경 (2010년 10월 30일). “‘음중’ 컴백 소녀시대, 달콤한 미소의 순백 천사 '러블리 순수'”.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1일). “2NE1 vs 소녀시대, 감성보컬 대결..변신의 여왕은?”.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1월 17일). “'소시' 티파니, 무릎 부상..8인조로”.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티파니 복귀, 소녀시대 ‘환상’ 호흡… "오랜만이야"”. 경인일보. 2010년 12월 26일.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봉준영 (2010년 11월 18일). “송윤아, 소녀시대 뒤지지 않는 몸매와 댄스 '시선집중'”. OSEN.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이선미 (2010년 11월 22일). “‘초콜릿’ 소녀시대, ‘의자춤’ 등 섹시+달콤한 무대로 男心 녹여~”.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언혁 (2010년 12월 4일). “소녀시대 굿바이 이어 카라 컴백, 케이팝 ★ 바통터치 韓日 동시공략”. 뉴스엔.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한승균 (2010년 12월 17일). “'뮤뱅' 소녀시대, 일본열도 매료시킨 섹시미 작렬.. 'oh'부터 '훗'까지”.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45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2010년 46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7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8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0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1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가온 앨범 연간 차트”.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1년 2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우영 (2012년 5월 11일). “소녀시대, 역대 앨범 판매량 100만장 돌파 `눈앞`”. 이데일리.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週間 CDアルバムランキング”. 《오리콘》 (일본어).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최준용 (2010년 12월 22일). “소녀시대, '훗' 발매 당일 2만장··日오리콘 2위 '이례적'”.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0년 12월 28일). “소녀시대 한국어 앨범 '훗', 오리콘 2위”. 연합뉴스.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Girls' Generation Korean mini-album debuted at number two”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김형우 (2010년 12월 30일). “소녀시대 지-훗 이어 이번엔 ‘오’로 일본 열도 공략 ‘또 대박낼까’”. 뉴스엔.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1년 앨범 차트” (일본어). 오리콘.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오리콘 - HOOT (초회호화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2011-01-03”. 《빌보드 재팬》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of 2011”. 《빌보드》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아이튠즈 싱가포르- Hoot”. 《아이튠즈 K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스페인 - Hoot”. 《아이튠즈 ES》 (스페인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독일 - Hoot”. 《아이튠즈 de》 (독일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타이 - Hoot”. 《아이튠즈 T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오스트리아 - Hoot”. 《아이튠즈 AT》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뉴질랜드 - Hoot”. 《아이튠즈 NZ》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말레이시아 - Hoot”. 《아이튠즈 MY》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라오스 - Hoot”. 《아이튠즈 lA》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인도 - Hoot”. 《아이튠즈 IM》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브루나이 - Hoot”. 《아이튠즈 BN》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한국판)”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초회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마존 캐나다 - Hoot” (영어). Amazon.com.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홍콩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홍콩.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vdeh소녀시대 현재 구성원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티파니 수영 서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소녀시대》 《Oh!》 《The Boys》 《I Got a Boy》 《Lion Heart》 《Holiday Night》 일본 《GIRLS' GENERATION》 《GIRLS' GENERATION II 〜Girls & Peace〜》 《LOVE & PEACE》 리패키지대한민국 《Baby Baby》 《Run Devil Run》 일본 《Re:Package Album "GIRLS' GENERATION" ~The Boys~》 컴필레이션 음반 《BEST SELECTION NON STOP MIX》 《THE BEST》 EP 《Gee》 《소원을 말해봐 (Genie)》 《훗 (Hoot)》 《Mr.Mr.》 라이브 음반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 《2011 Girls Generation Tour》 콘서트세계 Into The New World 2011 GIRLS’ GENERATION TOUR Girls' Generation World Tour - Girls & Peace SMTOWN WEEK - Marchen Fantasy GIRLS' GENERATION 4th TOUR "Phantasia" 일본 The 1st Japan Arena Tour Girls' Generation II ~Girls&Peace~ Japan 2nd Tour ~LOVE&PEACE~ Japan 3rd Tour GIRLS' GENERATION 'THE BEST LIVE' at TOKYO DOME 리얼리티 TV 쇼 《소녀 학교에 가다》 《MTV 소녀시대》 《팩토리 걸》 《공포영화 제작소》 《헬로 베이비》 《위험한 소년들》 《채널 소시》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Oh!GG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음반외 활동 목록 콘서트 투어 목록 수상 목록   분류   위키공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훗_(Hoot)&oldid=24128851" 분류: 소녀시대의 EP2010년 EP가온 앨범 차트 1위 음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스페인어 인용 (es)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중국어 인용 (zh)좋은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훗 (Hoo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훗 (Hoo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음반에 관한 것입니다. 소녀시대의 노래에 대해서는 훗 (Hoot)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훗 (Hoot) 소녀시대의 EP발매일 2010년 10월 25일녹음 2010년 9월장르 K-Pop, 댄스 팝길이 17:34언어 한국어레이블 KMP홀딩스프로듀서 이수만소녀시대 연표 Run Devil Run(2010) 훗 (Hoot)(2010)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2010)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소녀시대의 세 번째 미니 앨범이다. 2010년 10월 27일 KMP홀딩스를 통해 발매되었다. 켄지, 히치하이커, 황현 등이 앨범에 참여했으며, 이수만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본 앨범의 작업은 활발한 국제적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 대다수 사람들은 2010년 소녀시대의 대한민국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2010년 11월 컴백 예고를 하면서 모두의 예상을 깼다. 앨범에는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을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되었다. 앨범의 컨셉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과 같은 1970년대 핀업 걸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에 초점을 맞췄다. 소녀시대 멤버들은 앨범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참여했고, 유리는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에 작사로 참여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 대체로 앨범 자체는 괜찮지만, 타이틀곡은 약해졌다는 평이 많았다.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가온 앨범 차트에 발매 첫 주 1위에 올랐고, 18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렸다.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는 2위에 오르며 소녀시대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카라가 《KARA BEST 2007-2010》로 기록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 일본에서 총 1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1] 연간 차트에서는 10위에 오르며 성공을 거뒀다.[2] 소녀시대는 앨범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알리며 앨범의 프로모션에 있어 이전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첫 컴백 무대를 가졌으며, 12월 5일 《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쳤다. 목차 1 배경과 개발 2 구성 3 평가 4 발매와 프로모션 5 상업적 성과 6 수록곡 6.1 일본반 7 차트 7.1 주간 차트 7.2 연간 차트 8 인증 및 판매량 9 발매일 10 같이 보기 11 각주 배경과 개발[편집] 2011년 5월 14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기원 국민대합창에서 〈훗 (Hoot)〉 공연 중의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2010년 두 번째 대한민국 정규 앨범 《Oh!》와 리패키지 앨범 《Run Devil Run》을 발매하고 활동했다. 그 해 중반에 활동을 마감하면서 대중들은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소녀시대의 2010년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 소녀시대는 4월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서 아시아 콘서트 투어 Into The New World를 이어갔고, 일본에서 싱글 〈Genie〉와 〈Gee〉를 일본에서 9월과 10월에 각각 발표하였다. 이렇게 대다수 사람들이 예상한 대로 소녀시대는 2010년 하반기를 일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채우는 듯했다.[3][4][5][6]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소녀시대는 10월 말에 대한민국에서 새 앨범을 깜짝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에서의 활동도 병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언론에 알렸다.[7] 앨범 작업은 활발한 국제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8] 그 누구도 컴백을 예상하지 못했고 멤버들 조차 언제 티저가 공개되는지, 누가 먼저 나오는지 예상하지 못했다.[8] 소녀시대 멤버들은 "숨기느라 매우 힘들었다. 이번 앨범이 팬들에게 서프라이즈 같은 선물이기에 준비하는 우리도 재미있고 신났다"고 말했다.[9] 실제로 컨셉을 들키지 않기 위해 써니는 뮤직비디오 촬영 날 머리를 염색하고 다음 날 출국에서는 검은 스프레이로 염색한 머리를 감췄다.[8] 일본 활동, 아시아 콘서트 등과 함께 준비하면서 작업 시간도 부족했는데, 4일만에 안무를 소화해야 했다.[9] 태연과 제시카는 "시간이 부족했던 만큼 더욱 타이트하게 노력했다. 매일같이 모니터를 하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지적해주고 더 잘 하기 위해 회의를 한다"고 말했다.[9] 효연은 "퍼포먼스가 업그레이드 됐다는 것을 팬들이 확실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10] 소녀시대는 한국에서 선보였던 곡들을 다시 일본에서 선보이는 과정에서 한국 활동 당시 아쉬웠던 점을 보강해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훗 (Hoot)》을 준비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11] 세 번째 미니 앨범의 디자인 및 의상, 안무, 뮤직비디오, 무대 연출은 196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 스타일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 《오스틴 파워 시리즈》에 초점을 맞춰 전체적인 테마를 정했다.[12][13] 소녀시대는 이번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직접 참여했다. 수영은 "음악을 듣고 '007'이나 '카우걸', 서부영화가 생각났다. 그런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멤버들 모두도 같은 느낌이었고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누가 들어도 명확한 콘셉트였다"고 말했다.[14]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의 가사는 유리가 직접 작사했는데, 멤버들이 다 같이 가사를 제출해 최종적으로 티파니와 유리의 가사 중 유리의 가사가 선정되었다. 유리의 작사는 슬픈 내용이었고, 티파니의 작사는 예쁘고 행복한 사랑에 대한 것으로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이었다. 유리는 경험담이 아니고 책을 보다 나오게 되었다고 말했다.[15] 구성[편집] 첫 번째 수록곡이자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고고리듬에 복고풍 기타 사운드가 어우러진 댄스 팝 노래이다.[16] 노래의 작곡은 덴마크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마틴 마이클 라르손, 라스 할보 젠슨 그리고 영국의 작곡가 알렉스 제임스가 함께 했다. 이들은 "여성 음악가나 그룹을 위한 자극적인 업템포 노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7] 작사는 작곡가 3명과 이현규가 맡았는데, 마음에 화살을 쏘듯 자꾸 마음을 아프게 하는 남자친구에게 경고하는 내용을 담았다.[18] 두 번째 트랙에 수록된 〈내 잘못이죠 (Mistake)〉는 소녀시대가 처음 선보이는 정통 알앤비 발라드 노래로, 멤버 유리가 직접 작사로 참여했다.[19] 가사는 소녀의 가슴 아픈 짝사랑에 대해 표현했다. 유리는 처음에 사랑스러운 멜로디와 곡의 분위기를 생각해 이에 맞는 가사를 쓸려했지만, 반전이 있는 것이 더 애절함이 있다고 생각해 슬픈 가사를 쓰게되었다고 말했다.[20] 이 노래의 작곡은 Cheryl Yie가, 편곡은 켄지가 맡았다.[18] 세 번째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은 어쿠스틱 기타로 시작해 후반부로 갈 수록 일렉트릭 기타의 전자음이 강조되는 빠른 16비트의 락 발라드 노래이다.[21] 가사는 소녀시대 멤버들의 우정과 사랑에 대한 것이다.[19] 이 곡의 작사는 휘성, 작곡과 편곡은 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5명이 함께 맡았다.[18] 네 번째 수록곡 〈Wake Up〉은 무거운 비트와 함께 진행되는 앨범의 두 번째 업템포 곡이다.[22] 《티브이데일리》에서는 "하드락의 모습을 보여준다. 보아의 락버전같은 느낌을 준다"고 말했다.[21] 노래의 작곡과 편곡은 히치하이커가, 작사는 김부민과 함께 공동으로 했다.[18] 다섯 번째 수록곡이자 앨범의 마지막 노래 〈첫눈에... (Snowy Wish)〉16비트 소프트 락, 슈가 팝 장르의 미디엄 템포 곡이다.[21][22] 황현이 작사, 작곡, 편곡을 모두 도맡아 만들었다.[18]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평가 점수출처점수이즘[23]Soompi[22] 《이즘》의 조이슬은 "이쯤하면 너무 진부한 스토리다. 결국은 작곡가의 이름만을 바꿔가며 같은 음악을 들려주는 기획과 이제는 쉽게 물릴 수 있는 그들의 보컬 스타일, 소녀들의 무의미한 두터운 코러스라인도 언제까지 유효할지는 미지수다"라며 혹평을 했다.[23] 반면 《티브이데일리》에서는 "이번 앨범에서 일취월장한 음악성을 보여줬다. 이번 음반의 전체적인 색깔은 확실하게 락적인 요소가 강하다는 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타이틀곡이 약간 완성도가 떨어지고 아직도 가사가 10대 정신연령에 머문다는 것을 제외하곤 다른 걸 그룹에 비해 월등하다"고 리뷰했다.[21] 《Soompi》에서는 "미니 앨범의 노래들은 하나하나 정말 좋다. 기억하기는 쉽지만, 타이틀 트랙은 확실히 좋지 않다. 앨범에 더 좋은 노래들을 선택해 구성할 수 있었다고 본다. K-Pop 리스너로써 소녀시대의 새 앨범 컨셉과 노래들은 항상 기대하는데, 소녀들은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타이틀곡은 실망 적이다."라고 리뷰했다.[22] 《세계일보》의 한준호는 "모두들 언제 준비를 했을까라는 강한 의문을 제기할 만큼 새로운 사운드와 노래 스타일로 무장했다. 80년대 복고풍 사운드를 새롭게 해석한 번득이는 음악적 행보로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가요계에서 몰아내고 있다"고 평했다.[24] 《프레시안》의 대중음악 평론가 나도원 역시 타이틀곡에 대해서는 혹평 했지만, "타이틀곡은 무뎌졌지만 앨범 단위의 충실도가 부쩍 높아졌다. 삼투압 현상처럼 곡들의 완성도가 타이틀곡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 되어 지금껏 소녀시대의 이름을 내걸고 발표한 앨범들 중 가장 낫다"고 리뷰했다.[25] 발매와 프로모션[편집] 2011년 5월 17일 한양대학교 축제에서 〈훗 (Hoot)〉 공연 중 일명 화살춤을 추고 있는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이번 앨범에서 이전과는 다른 프로모션 행보를 선보였다. 앨범이 나오기 전 한참부터 소식을 알렸던 이전과 달리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전하며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26] 2010년 10월 19일 소녀시대 공식 홈페이지에 티저 이미지와 일부 음원을 공개하면서 컴백을 예고했다.[27] 이와 함께 10월 27일 앨범이 발매된다고 발표했다.[28] 19일에는 서현, 제시카, 티파니의 티저 이미지를, 20일에는 태연, 효연, 써니, 21일에는 윤아, 유리, 수영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공개했다.[29] 24일에는 33초 가량의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30] 25일에는 음반 발매에 앞서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 음원을 공개되었으며,[31] 27일에는 오프라인에서 앨범이 발매되었다.[32] 12월 22일에는 일본에서 기존의 히트곡 5곡을 추가해 일반반, 한정반, 초회한정반, 기간한정반으로 나뉘어 발매되었다.[33] 소녀시대는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타이틀곡 〈훗 (Hoot)〉을 선보이며 첫 무대를 선보였다.[34] 같은 날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평화의 전당에서 열린 제47회 대종상의 초대 가수로 〈Oh!〉와 〈훗 (Hoot〉으로 축하 무대에 올랐다. 대종상에서 공연 이후 무대를 지켜보던 배우들이 무표정으로 반응을 보이자 태도 논란이 일었다.[35][36] 뒤 이어 30일 《쇼! 음악중심》, 31일 《인기가요》에서 차례대로 컴백 무대를 선보이며 앨범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37][38] 30일 《쇼! 음악중심》에서는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을,[39] 31일 《인기가요》에서는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타이틀곡과 함께 선보였다.[40] 한편, 티파니가 11월 14일 공연 도중 넘어져 좌측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손상 진단을 받아 4주간 활동하지 못하게 되었다.[41] 이후 12월 25일 《음악중심》을 시작으로 한 달여 만에 복귀했다.[42] 11월 18일 제8회 대한민국영화대상에서는 이 날 MC를 맡았던 배우 송윤아와 함께 〈훗 (Hoot)〉과 〈소원을 말해봐〉를 부르며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43] 11월 22일에는 《김정은의 초콜릿》에서 기존의 히트곡과 함께 수록곡 〈훗〉,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포함해 총 5곡을 선보였다.[44] 이후 소녀시대는 12월 4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무리했다.[45] 공식 활동이 끝나고 나서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공연을 했고,[46] 12월 17일 《뮤직뱅크》,[47] 12월 25일 《음악중심》, 두 연말 결산 음악 방송에서 2010년 초에 발표했던 〈Oh!〉와 〈훗〉을 선보였다.[48] 상업적 성과[편집] 《훗 (Hoot)》은 2010년 45주차 가온 앨범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49] 다음 주에도 1위를 지키며 2주 연속 1위에 올랐다.[50] 진입 3주차에는 1위 하락한 2위에 올랐으며,[51] 4주차에는 7위 하락한 9위에 올랐다.[52] 《훗 (Hoot)》은 10월 월간 앨범 차트에서는 1위,[53] 11월 월간 차트에서는 3위를 했다.[54] 2010년 대한민국에서 한 해 동안 총 163,066장을 팔아 2011년 가온 연간 앨범 차트에 3위에 올랐다.[55] 2015년 5월까지 대한민국에서 180,825장의 누적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56] 일본에서는 《훗 (Hoot)》 한국어판으로 2010년 11월 15일자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 19위로 데뷔했다.[57] 이후 일본에서 10만 장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2010년 12월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58] 2010년 12월 22일 《훗 (Hoot)》 라이센스 앨범이 발매되고 나서 당일 21,271장을 팔아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2위에 올랐다.[59] 이후 일주일동안 61,000장을 팔아 오리콘 위클리 앨범 차트에서도 2위에 올랐다.[60] 이를 통해 《Hoot》 수입반이 기록했던 19위를 깨고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소녀시대의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앨범 차트에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61] 또한 2010년 51,000장을 팔아 카라의 《KARA BEST 2007-2010》가 보유하고 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62] 2011년 한 해 동안 일본에서 총 148,761장의 음반을 팔아치웠고,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 42위에 올랐다.[63] 수록곡[편집]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  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총 재생 시간: 17:34 일본반[편집] 초회한정반 CD + DVD[64]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6. Gee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3:23 7. Genie  유영진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nny Svendsen, Robin Jenssen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bin Jenssen, Ronny Svendsen 3:44 8. Oh!  김정배, 김영후켄지켄지 3:08 9. Run Devil Run  홍지유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 3:21 10. Show! Show! Show!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38 11. Be Happy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영광의 얼굴들 3:30 차트[편집] 주간 차트[편집] 차트 (2010~11)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49] 1 일본 (오리콘)[61] 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5] 2 연간 차트[편집] 차트 (2010)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55] 3 차트 (2011) 최고순위 일본 (오리콘)[63] 4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6] 43 인증 및 판매량[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일본 (RIAJ)[67] 골드 148,761^ 대한민국 (가온 차트)  None 180,825[56]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발매일[편집] 국가 날짜 포맷 에디션 레이블 출처 콜롬비아 2010년 10월 25일 디지털 음원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68] 스페인 [69] 독일 [70] 타이 [71] 오스트리아 [72] 뉴질랜드 [73] 말레이시아 [74] 라오스 [75] 인도 [76] 브루나이 [77] 대한민국 KMP홀딩스 [18] 2010년 10월 27일 CD [32] 일본 2010년 10월 28일 JA코리아 [78] 2010년 12월 22일 일본어반 나유타웨이브 [79] CD+DVD 일본어 초회호화한정반 [64] 일본어 기간한정반 [80] 캐나다 2011년 9월 6일 CD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81] 홍콩 2011년 11월 2일 CD+DVD 유니버설 뮤직 [82] 타이완 2011년 12월 24일 CD [83] 같이 보기[편집] 2010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각주[편집] ↑ “2010년 45주차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2010년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전창훈 (2010년 10월 15일). “[채널] 일본, 한국 걸 그룹에 반하다”. 《매일신문》.  ↑ “"소녀시대, 비틀스 벤치마킹해 日서 성공"”. 《연합뉴스》. 2010년 10월 29일.  ↑ 홍지민 (2010년 10월 30일). “"열도는 왜 ‘소녀시대’에게 열광하는가"”. 《서울신문》.  ↑ 정호재 (2010년 10월 21일). “소녀시대 대만콘서트가 남긴 3가지 사실”. 《동아일보》.  ↑ 이현우 (2010년 11월 8일). “[인터뷰] 소녀시대, “日本서도 ‘삼촌팬’ 만들고 싶어요””. MK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이현우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훗‘ 기습컴백 비하인드 스토리[인터뷰②]”. 스타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깜짝컴백 서프라이즈에 스릴만점 훗훗훗" (인터뷰)”.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재훈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그룹명 앞에 감히 '국민'을 달아주마”. 뉴시스.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오리콘 1위? 아직 많이 배고프다"(인터뷰①)”.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0월 22일). “'레트로요정' 소녀시대, 원더걸스와 어떻게 다를까?'”.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0월 29일). “각선미 열풍’ 소녀시대, 이번엔 갸날픈 허리?"”.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시, 복고걸 제일 잘어울리는 멤버는? "헤어스타일 예쁜 수영"”.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표 복고는? '훗' 들어보니”.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Q&A on K-pop with Lars Halvor Jensen” (영어). HitQuarters. 2011년 10월 24일.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네이버 뮤직 - Hoot”. 네이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이금준. “소녀시대 ‘훗’ 25일 음원 선공개 이어 27일 앨범 출시… ‘기대 만발’”. SSTV.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유진모 (2010년 11월 8일). “소녀시대 3집, 후크송 수준 뛰어넘어 참 음악세계 입문 알리는 포문 [리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otoway065 (2011년 3월 11일). “Album Review ? SNSD ? 3rd Mini-Album: Hoot” (영어). Soompi.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이슬 (2010년 11월). “이즘 - 조이슬”. 이즘.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한준호 (2010년 11월 4일). “[음반리뷰] 소시의 새 앨범…일렉트로닉 벗어나”. 스포츠월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나도원 (2010년 11월 19일). “성과 담아낸 소녀시대, 왜 슈스케에 밀릴까”. 프레시안.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1월 2일). “가요계, 컴백 소식? 신곡 발표? '쉿!'”. OSEN.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2010년 10월 19일). “소시 3집 앨범 '훗' 티저 이미지·음원 전격공개…'드디어 컴백'”.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수진 (2010년 10월 19일). “[연예파일]소녀시대, 국내 깜짝 컴백! ‘훗’ 발표예정!”. 스포츠경향.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소녀시대 '훗' 멤버 이미지 모두 공개..복고풍 섹시 007 본드걸 변신”. 뉴스한국.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민지 (2010년 10월 24일). “소녀시대, '훗' 티저 영상 공개 '복고풍'으로 '상큼+시크' 동시 강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류수운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 ‘훗’, 뮤비-음원 ‘반응 폭발’”. DIP통신.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차연 (2010년 11월 1일). “소녀시대 '훗', '소녀시대 신드롬' 재현하나”. 노컷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백지은 (2010년 12월 3일). “소녀시대, 22일 '훗' 日 앨범 발매!”.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파격변신' 소녀시대, '화살춤+개미허리춤' 히트예감”. 스포츠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승록 (2010년 10월 30일). “소녀시대인데 배우들 왜 '무덤덤'했을까…"거만?", "불쌍하네"”. 《마이데일리》.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대종상 태도 논란? 몰라서 기분도 안 나빴다””. 《마이데일리》.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2AM, 오늘(29일) 컴백..3번째 격돌 '기대만발'”. 《스포츠투데이》 (아시아경제).  ↑ 전형화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 오늘 (29일) 컴백.. '지' 영광 재현할까”. 《스타뉴스》 (머니투데이).  ↑ 선미경 (2010년 10월 30일). “‘음중’ 컴백 소녀시대, 달콤한 미소의 순백 천사 '러블리 순수'”.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1일). “2NE1 vs 소녀시대, 감성보컬 대결..변신의 여왕은?”.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1월 17일). “'소시' 티파니, 무릎 부상..8인조로”.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티파니 복귀, 소녀시대 ‘환상’ 호흡… "오랜만이야"”. 경인일보. 2010년 12월 26일.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봉준영 (2010년 11월 18일). “송윤아, 소녀시대 뒤지지 않는 몸매와 댄스 '시선집중'”. OSEN.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이선미 (2010년 11월 22일). “‘초콜릿’ 소녀시대, ‘의자춤’ 등 섹시+달콤한 무대로 男心 녹여~”.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언혁 (2010년 12월 4일). “소녀시대 굿바이 이어 카라 컴백, 케이팝 ★ 바통터치 韓日 동시공략”. 뉴스엔.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한승균 (2010년 12월 17일). “'뮤뱅' 소녀시대, 일본열도 매료시킨 섹시미 작렬.. 'oh'부터 '훗'까지”.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45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2010년 46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7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8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0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1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가온 앨범 연간 차트”.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1년 2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우영 (2012년 5월 11일). “소녀시대, 역대 앨범 판매량 100만장 돌파 `눈앞`”. 이데일리.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週間 CDアルバムランキング”. 《오리콘》 (일본어).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최준용 (2010년 12월 22일). “소녀시대, '훗' 발매 당일 2만장··日오리콘 2위 '이례적'”.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0년 12월 28일). “소녀시대 한국어 앨범 '훗', 오리콘 2위”. 연합뉴스.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Girls' Generation Korean mini-album debuted at number two”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김형우 (2010년 12월 30일). “소녀시대 지-훗 이어 이번엔 ‘오’로 일본 열도 공략 ‘또 대박낼까’”. 뉴스엔.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1년 앨범 차트” (일본어). 오리콘.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오리콘 - HOOT (초회호화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2011-01-03”. 《빌보드 재팬》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of 2011”. 《빌보드》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아이튠즈 싱가포르- Hoot”. 《아이튠즈 K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스페인 - Hoot”. 《아이튠즈 ES》 (스페인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독일 - Hoot”. 《아이튠즈 de》 (독일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타이 - Hoot”. 《아이튠즈 T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오스트리아 - Hoot”. 《아이튠즈 AT》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뉴질랜드 - Hoot”. 《아이튠즈 NZ》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말레이시아 - Hoot”. 《아이튠즈 MY》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라오스 - Hoot”. 《아이튠즈 lA》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인도 - Hoot”. 《아이튠즈 IM》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브루나이 - Hoot”. 《아이튠즈 BN》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한국판)”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초회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마존 캐나다 - Hoot” (영어). Amazon.com.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홍콩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홍콩.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vdeh소녀시대 현재 구성원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티파니 수영 서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소녀시대》 《Oh!》 《The Boys》 《I Got a Boy》 《Lion Heart》 《Holiday Night》 일본 《GIRLS' GENERATION》 《GIRLS' GENERATION II 〜Girls & Peace〜》 《LOVE & PEACE》 리패키지대한민국 《Baby Baby》 《Run Devil Run》 일본 《Re:Package Album "GIRLS' GENERATION" ~The Boys~》 컴필레이션 음반 《BEST SELECTION NON STOP MIX》 《THE BEST》 EP 《Gee》 《소원을 말해봐 (Genie)》 《훗 (Hoot)》 《Mr.Mr.》 라이브 음반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 《2011 Girls Generation Tour》 콘서트세계 Into The New World 2011 GIRLS’ GENERATION TOUR Girls' Generation World Tour - Girls & Peace SMTOWN WEEK - Marchen Fantasy GIRLS' GENERATION 4th TOUR "Phantasia" 일본 The 1st Japan Arena Tour Girls' Generation II ~Girls&Peace~ Japan 2nd Tour ~LOVE&PEACE~ Japan 3rd Tour GIRLS' GENERATION 'THE BEST LIVE' at TOKYO DOME 리얼리티 TV 쇼 《소녀 학교에 가다》 《MTV 소녀시대》 《팩토리 걸》 《공포영화 제작소》 《헬로 베이비》 《위험한 소년들》 《채널 소시》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Oh!GG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음반외 활동 목록 콘서트 투어 목록 수상 목록   분류   위키공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훗_(Hoot)&oldid=24128851" 분류: 소녀시대의 EP2010년 EP가온 앨범 차트 1위 음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스페인어 인용 (es)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중국어 인용 (zh)좋은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월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월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8월) 이 문서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에 관한 것입니다. 경주에 위치한 연못에 대해서는 경주 동궁과 월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이다. 기원전 3세기 중반 경 ~ 기원전 1세기 중반 경, 중앙 아시아와 북아시아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이며 그 국가를 부르는 말이다. 월지는 한자를 차용한 이름이며 실제 이름은 토가라(Thogara)로 추정한다. 목차 1 역사 2 토하리인과의 관계 3 중국《사기》 〈대완열전〉에서의 기록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원본 편집] 기원 전 3세기 중반 경 타림분지에 거주지를 두고 동서무역을 독점하여 흉노를 압박하고 인도에도 진출할 정도로 강세를 유지했다. 대월지는 불교를 받아들이고 불교가 매우 유행을 하면서 북쪽 실크로드(북비단길)을 통하여 불교라는 종교가 없었던 동아시아에 불교를 전파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들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해상으로 인한 전파가 아니고 월지에 의한 실크로드 경유로 전파된 것으로 학계에선 보고 있다. 중국 사기의 글에는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6년 ~ 기원전 176년) 말기에 월지는 흉노에 대패하여 중앙 아시아로 이동하면서, 월지의 영토들도 흉노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 이때 일부가 남아서 서쪽으로 간 세력은 대월지(大月氏)라고 이름을 바꿨다고 하며 남아 있던 부족들은 소월지(小月氏)라고 불렸다고 쓰여있다. 기원 전 162년 흉노의 노상 선우의 공격을 받고 월지의 왕이 살해되었다. 월지는 더 서쪽의 아무르 강 주변 소그디아나로 이동하여 대하를 멸망시키고 이곳을 중심으로 무역을 하며 살아갔다. 이때 대월지의 일부는 인도로 들어가 쿠샨 제국을 건국한다. 기원 전 130년경 전한의 장건이 반흉노 동맹을 제안하러 가지만 대월지는 단호하게 동맹을 거절한다. 이후 기원 전 1세기 중반, 강대해진 토하라인의 쿠샨 제국이 월지 땅에서 동서교역도 하면서 대월지는 쿠샨 제국에게 포함되면서 역사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이 쿠샨 왕조도 대월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토하리인과의 관계[원본 편집] 대부분의 학자들은 월지족이 인도-유럽어족이라고 보고 있고, 고문헌의 토하라인(Tocharians)과 같거나 긴밀히 연결된 종족으로 믿고 있다. 중앙 아시아 연구가인 르네 그루쎄는 당시 서방 측의 문헌과 중국 문헌을 종합해보면 월지는 토하라인과 함께 인도-스키타이의 일종이라고 주장한다. 한 예로 당시 그리스의 사가 프톨레마이오스는 월지의 영역을 토가라(Thogara)로 기록해 두었다. 또한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박트리아를 침략한 민족을 토카로이(Tokharoi)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사기》 〈대완열전〉에서의 기록[원본 편집] 본래 월지국은 둔황과 기련산 사이에 나라를 세웠으나 흉노가 강성해지면서 노상 선우에게 패해 멀리 서쪽으로 이동해간다. 서쪽에 정착한 대월지의 남쪽에는 대하, 서쪽에는 안식(파르티아), 북쪽에는 강거가 있었으며 동쪽 3천리 떨어진 곳엔 대완이 있었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묵돌 선우(모돈 선우) 토하라인 각주[원본 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월지&oldid=24061862" 분류: 쿠샨 왕조박트리아비단길서역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ČeštinaЧӑвашла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ngua Franca Nova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7: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주오·소부 완행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오·소부 완행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오·소부 완행선 완행선을 주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500번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직통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800번대기본 정보운행 국가 일본종류 운행 계통상태 영업 중기점 지바 역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종점 미타카 역 (도쿄도 미타카 시·무사시노 시)역 수 39 (시종착역 포함)경유 노선 주오 본선 (미타카 ~ 오차노미즈 소부 본선 (오차노미즈 ~ 지바개통일 1969년 4월 8일[1]소유자 동일본 여객철도운영자 동일본 여객철도노선 제원영업 거리 60.2km궤간 1067mm (협궤)선로 수 2 (전 구간)전철화 직류 1,500볼트신호 방식 ATS-Pv • d • e • h 노선도 0.0 0.0 상단:지바로부터의 영업 거리하단:도쿄로부터의 영업 거리 소토보 선 게이세이:지바 선 지바모노 1호선 소부 본선 게이세이지바 역 0.0 39.2 지바 역 ↓소부 완행선 소부 쾌속선 1.4 37.8 니시치바 역 구로스나 신호장 3.3 35.9 이나게 역 6.0 33.2 신케미가와 역 7.6 31.6 마쿠하리 역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9.6 29.6 마쿠하리혼고 역 마쿠하리 차량 센터 게이세이:본선 게이세이:지바 선 게이세이쓰다누마 역 신케이:신케이세이 선 12.5 26.7 쓰다누마 역 나라시노 운수구 14.2 25.0 히가시후나바시 역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16.0 23.2 후나바시 역 도부:노다 선 게이세이:본선 도요코:도요 고속선 무사시노 선 18.6 20.6 니시후나바시 역 도쿄 지하철 20.2 19.0 시모우사나카야마 역 21.8 17.4 모토야와타 역 23.8 15.4 이치카와 역 에도 강 ↑지바현/도쿄도↓ 26.4 12.8 고이와 역 신카네 화물선 신코이와조 역 29.2 10.0 신코이와 역 나카 강·아라카와 강 31.0 8.2 히라이 역 도부:가메이도 선 32.9 6.3 가메이도 역 엣슈지마 지선(화물선) 34.4 4.8 긴시초 역 35.8   료고쿠 역 소부 쾌속선 스미다 강 36.7   아사쿠사바시 역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우에노 도쿄 라인 게이힌 도호쿠 선 야마노테 선 37.8   아키하바라 역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소부 본선 구간 38.7 2.6 오차노미즈 역 (신오차노미즈 역) ↓주오 본선 구간 39.5 3.4 스이도바시 역 이다마치 역 -1999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40.4 4.3 이다바시 역 41.9 5.8 이치가야 역 주오 쾌속선 주오 완행선 42.7 6.6 요쓰야 역 도쿄 지하철:마루노우치 선 고세 터널 44.0 7.9 시나노마치 역 44.7 8.6 센다가야 역 야마노테 화물선 (사이쿄 선·쇼난 신주쿠 라인) 야마노테 선 45.7 9.6 요요기 역 오다큐:오다와라 선 게이오:게이오 선 46.4 10.3 신주쿠 역 세이부 신주쿠 역 세이부:신주쿠 선 야마노테 화물선 야마노테 선 47.8 11.7 오쿠보 역 48.9 12.8 히가시나카노 역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50.8 14.7 나카노 역 나카노 전차구 52.5 16.1 고엔지 역 53.4 17.3 아사가야 역 54.8 18.7 오기쿠보 역 56.7 20.6 니시오기쿠보 역 게이오:이노카시라 선 58.6 22.5 기치조지 역 60.2 24.1 미타카 역 미타카 차량 센터 주오 본선 복선 구간 주오·소부 완행선(일본어: 中央・総武緩行線 주오소부칸코센[*])은 일본 도쿄도 미타카 시의 미타카 역에서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의 지바 역 간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소부 본선 상의 운행 계통이다.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은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역 ~ 지바 역 간은 소부 본선에 해당한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주오·소부 선',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주오 선·소부 선 각역정차' 또는 노선을 아예 분리하여 '주오 선 각역정차'와 '소부 선 각역정차' 등으로 안내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행 형태 2.1 시간표 운용 2.1.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2.1.2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 2.1.3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 2.2 우등 열차 등 3 역사 4 차량 4.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4.2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 5 역 목록 6 각주 7 같이 보기 개요[편집] 도쿄 지구의 전철 특정 구간의 운행 계통 중 하나로 도쿄의 도심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동쪽으로는 도쿄의 침상 도시 역할을 하고 있는 지바현 서부의 각도시를 경유하여 현청 소재지인 지바 시까지, 서쪽으로는 도쿄도 중부의 미타카 시까지 뻗어있는 통근 노선이다. 주행하는 전동차 내부나, 여객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노란색 (■, 카나리아 옐로, 구 일본국유철도 황색 계통 1호색)으로 여기서 유래하여 도쿄 근교권에서는 주오·소부 완행선을 '황색의 전차', '노란 전차' 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운행 구간은 주오 본선 복복선 구간 중 완행선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구간, 오차노미즈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소부 지선의 복선 구간 및 소부 본선 복복선 구간의 완행선 (긴시초 역 ~ 지바 역) 구간에 해당한다. 다만, 주오 본선 중 신주쿠 역 ~ 요요기 역 간은 엄연히는 야마노테 선에 속한다. 복복선 구간에서는 주오 쾌속선, 소부 쾌속선이 병행하여 운행하지만 일부를 제외하고는 방향별 복복선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주오 본선 구간의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는 접속을 고려하지 않은 독립적인 운행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신주쿠에서 아키바하라까지는 '도쿄 야마노테 선내 구간'으로 구간 바깥보다 운임이 싸다. 소부 선 구간에서는 혼잡이 매우 심한 반면 주오 선 구간에서 병행하는 쾌속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꽤 한산하여 주오 완행선 구간은 일본 수도권의 통근 노선 중 가장 한산한 노선으로 손꼽힌다. 일본 국토교통성의 조사에 따르면 2007년도의 최고 혼잡 구간의 러시아워 혼잡율은 주오 쾌속선의 198%에 비해 완행선은 91% (요요기 ~ 센다가야) 정도로, 31곳의 조사 구간 중 유일하게 혼잡율이 100% 미만이다. 하지만 쾌속선이 사고 등으로 불통이 되었을 때는 승객들이 완행선으로 몰리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혼잡해진다. 운행 형태[편집] 노선 역명 각역 소쾌 주쾌 소부 본선 지바 ● ● 니시치바 ● | 이나게 ● ● 신케미가와 ● | 마쿠하리 ● | 마쿠하리혼고 ● | 쓰다누마 ● ● 히가시후나바시 ● | 후나바시 ● ● 니시후나바시 ● | 시모사나카야마 ● | 모토야와타 ● | 이치카와 ● ● 고이와 ● | 신코이와 ● ● 히라이 ● | 가메이도 ● | 긴시초 ● ● 소부본선 지선 료고쿠 ● 아사쿠사바시 ● 아키하바라 ●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 ● 스이도바시 ● | 이다바시 ● | 이치가야 ● | 요쓰야 ● ● 시나노마치 ● | 센다가야 ● | 요요기 ● | 신주쿠 ● ● 오쿠보 ● | 히가시나카노 ● | 나카노 ● ● 고엔지 ● ▲ 아사가야 ● ▲ 오기쿠보 ● ● 니시오기쿠보 ● ▲ 기치조지 ● ● 미타카 ● ● 범례 각역: 각역정차 소쾌: 소부 선 쾌속 주쾌: 주오 선 쾌속 ▲: 주오 선 쾌속 열차가 주말에는 통과 보통 아래의 역에서 시종착하는 형태로 운전되고 있다. 주오 본선 나카노 역·미타카 역(무사시코가네이 역·고쿠분지 역·다치카와 역) 소부 본선 지바 역·쓰다누마 역·니시후나바시 역·오차노미즈 역 진한 글씨는 주로 운용되는 행선이다. 오차노미즈 역을 기준으로 서쪽이 주오 본선, 동쪽이 소부 본선이다. 때문에 게이힌 도호쿠 선처럼 상행과 하행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지바 방면은 동행(일본어: 東行 히가시유키[*]), 미타카 방면은 서행(일본어: 西行 니시유키[*])로 안내된다. 완행선의 신주쿠 역 시발 막차는 오전 1시 1분 발 미타카 행이다. 이는 신주쿠 역을 떠나는 시간이 가장 더디며 동시에 1시 대에 발차하는 유일한 열차이기도 하다. 시간표 운용[편집]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결 운행은 도쿄 역에서 발착하는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항상 실시하고 있다. 평일 하루 중의 운행 편수는 지바 시종착, 쓰다누마 시종착이 각 11분 사이클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에서 시간당 11편, 5~6분 당 1편)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 나카노 시종착 열차는 시간당 7편으로 나머지 4편이 미타카 시종착이다. 또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에서는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도 시간당 4편 운전되고 있다.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에는 쓰다누마 역 ~ 니시후나바시 역 간에서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요일과 휴일의 경우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의 운행 편수는 시간당 12편으로 간격은 5분이다. 쓰다누마 시종착과 지바 시종착이 번갈아 운전되는 경우는 평일과 다르지 않지만 나카노 시종착이 시간당 4편 (15분 간격)으로 줄어들고 대신 미타카 시종착이 8편으로 늘어난다.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는 평일과 동일하게 시간당 4편이다.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의 운행 편수가 평일과 크게 다른데 이는 토요일 및 휴일 쾌속이 고엔지, 아사가야, 니시오기쿠보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대규모 공사나 연말 연시 막차 운행 등 주오 쾌속선이 운휴하는 경우에는 오차노미즈 역 ~ 미타카 역 간에서 도쿄 발착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정기적으로는 조조와 심야 시간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편집]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행하여 주오 선 구간에서는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 소부 선 구간에서는 니시후나바시 역 ~ 쓰다누마 역 간이 각각 상호 직결 운행 구간에 해당한다. 소부 선 구간은 러시아워 시간대에만 운전되지만 주오 선 구간은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 시간 당 운행 편수의 약 절반 정도가 도자이 선으로 직결 운행하고 있다. 도자이 선 쾌속 열차가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과도 직결 운행을 하고 있지만 도요 고속철도 차량이 주오 완행선으로 입선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도자이 선 일부 쾌속 열차는 나카노에서 방향을 전환하기도 한다.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편집] 조조와 심야 시간대에는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오 선은 도쿄 역에서, 소부 선은 오차노미즈 역에서 회차 운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주오 선은 쾌속용인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가 사용되어 미타카 이서 구간에서도 운전된다. 또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시간대를 전후하여 아침의 동행 및 야간의 서행만 운전되는 주오 선 무사시코가네이 역이나 다치카와 역에서 시종착하는 주오·소부 선 직통 열차는 완행선용 차량이 이용된다. 우등 열차 등[편집] 신주쿠 역에서 소부 본선 (조시 방면)·나리타 선·우치보 선·소토보 선 방면으로 운행되는 열차나 지바 역에서 주오 본선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나리타 익스프레스를 제외하고 오차노미즈 역 ~ 긴시초 역을 경유한다.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는 각역정차의 운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우등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는 휴일의 정기 열차 (신주쿠와카시오·신주쿠사자나미 호)나 임시 열차 등 극소수이다. 역사[편집] 1923년의 간토 대지진 이전의 소부 본선은 료고쿠바시 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어, 도쿄를 기점으로 하는 일본국유철도 중에서는 스미다가와 강 동안에 종착역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대지진 이전부터 많은 이용객이 스미다가와 강을 건너는 도쿄 시 전차를 이용하고 있어 혼잡이 현저했기 때문에 대지진 이후 재건 계획이 이루어질 당시 료고쿠바시 역과 도심을 잇는 노선을 건설하여 동시에 주오 본선과 연계할 계획을 세워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노선 확장 (복복선화) 건설을 진행하여 전자는 1932년에, 후자는 이듬해인 1933년에 완성되었다. 덧붙여 이 구간을 완성한 후 1943년에는 주오 본선의 만세이바시 역이 폐지되었다.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복복선화가 이상의 경위로 설치된 것에 비해 그 외의 선로 증축 구간은 1960년대 일본국유철도에 의해 이루어진 일명 '통근 5방면 대작전'으로 불리는 수도권 통근 수송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주오 본선 측의 복복선화 사업은 1966년에 나카노 역에서 오기쿠보 역까지, 1969년에 미타카 역까지 완료되어 현재의 주오·소부 선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 사이 1963년에는 야마노테 선에서 일본국유철도 103계 전동차의 신설 투입이 진행됨에 따라 일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가 완행선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소부 본선 측은 1972년 7월 15일에 도쿄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신설과 긴시초 역에서 쓰다누마 역까지의 복복선화에 따라 쾌속 전차를 분리하여 이 때까지 시간당 1~2편 정도밖에 운행하지 않았던 나카노 역 시종착 쾌속이 폐지되었다. 쓰다누마 역에서 지바 역까지는 복선이었기 때문에 쾌속과 같이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1981년 이후 분리되어 현행의 운행 형태가 완성되었다. 1982년에는 101계의 교체를 위해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가 도입되었고, 2000년에는 다시 이들을 교체하기 위해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가 투입되었다. 차량[편집] 파일:209-500yellow.jpg 209계 전동차의 500번대 파일:JR EAST E231 sobu.JPG E231계 모두 전동차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차량은 일부 6도어 차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편방향 4도어 차량으로 10량 편성 형태로 짜여 있다.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209계 전동차 500번대 (1998년 12월 29일 ~ )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0번대 및 209계 전동차 950번대[2](2000년 3월 13일 ~ )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800번대 (2003년 5월 1일 ~ ) 도쿄 지하철 05계 전동차 (1988년 ~ ) 도쿄 지하철 07계 전동차 (2007년 3월 5일 ~ ) 도쿄 지하철 15000계 전동차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역명 일어 역명 로마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JB 39 지바 千葉 Chiba ● ■ 소토보 선, ■ 나리타 선 (JO 28), 소부 쾌속선 (JO 28), ■ 소부 본선 (JO 28) 지바 도시 모노레일 1호선 (CM 03), 지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CM 03)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지바 역, KS 59) 0.0 0.0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JB 38 니시치바 西千葉 Nishi-Chiba │ 1.4 1.4 JB 37 이나게 稲毛 Inage ● 1.9 3.3 이나게 구 JB 36 신케미가와 新検見川 Shin-Kemigawa │ 2.7 6.0 하나미가와 구 JB 35 마쿠하리 幕張 Makuhari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KS 53) 1.6 7.6 JB 34 마쿠하리혼고 幕張本郷 Makuhari-Hongō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KS 52) 2.0 9.6 JB 33 쓰다누마 津田沼 Tsudanuma ●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 선 (신쓰다누마 역, SL 23) 2.9 12.5 나라시노 시[3] JB 32 히가시후나바시 東船橋 Higashi-Funabashi │ 1.7 14.2 후나바시 시 JB 31 후나바시 船橋 Funabashi ● 도부 철도 노다 선 (TD-35), 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KS 22) 1.8 16.0 JB 30 니시후나바시 西船橋 Nishi-Funabashi │ 무사시노 선 (JM 10), 게이요 선,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 (TR 01)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23, 일부 직결 운행) 2.6 18.6 JB 29 시모사나카야마 下総中山 Shimōsa-Nakayama │ 1.6 20.2 JB 28 모토야와타 本八幡 Motoyawata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21) 1.6 21.8 이치카와 시 JB 27 이치카와 市川 Ichikawa ● 2.0 23.8 JB 26 고이와 小岩 Koiwa │ 2.6 26.4 도쿄도 에도가와 구 JB 25 신코이와 新小岩 Shin-Koiwa ● 2.8 29.2 가쓰시카 구 JB 24 히라이 平井 Hirai │ 1.8 31.0 에도가와 구 JB 23 가메이도 亀戸 Kameido │ 도부 철도 가메이도 선 (TS-44) 1.9 32.9 고토 구 JB 22 긴시초 錦糸町 Kinshichō ● 소부 쾌속선 (도쿄 방면, JO 22),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Z-13) 1.5 34.4 스미다 구 JB 21 료고쿠 両国 Ryōgoku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12) 1.5 35.9 JB 20 아사쿠사바시 浅草橋 Asakusabashi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16) 0.8 36.7 다이토 구 JB 19 아키하바라 秋葉原 Akihabara 야마노테 선 (JY 03), 게이힌 도호쿠 선 (JK 28),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H-15)TX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이와모토초 역, S-08) 1.1 37.8 지요다 구 JB 18 오차노미즈 御茶ノ水 Ochanomizu ● 주오 쾌속선 (도쿄 방면, JC 03),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20)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신오차노미즈 역, C-12) 0.9 38.7 JB 17 스이도바시 水道橋 Suidōbashi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미타 선 (I-11) 0.8 39.5 JB 16 이다바시 飯田橋 Iidabashi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6),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10)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3),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06) 0.9 40.4 JB 15 이치가야 市ヶ谷 Ichigaya │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9),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4)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4) 1.5 41.9 JB 14 요쓰야 四ッ谷 Yotsuya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12),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8) 0.8 42.7 신주쿠 구 JB 13 시나노마치 信濃町 Shinanomachi │ 1.3 44.0 JB 12 센다가야 千駄ケ谷 Sendagaya │ 0.7 44.7 시부야 구 JB 11 요요기 代々木 Yoyogi │ 야마노테 선 (JY 1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26) 1.0 45.7 JB 10 신주쿠 新宿 Shinjuku ● 야마노테 선 (JY 17), 사이쿄 선 (JA 11), 쇼난 신주쿠 라인 (JS 20)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OH 01),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신선 (KO 01)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신주쿠 역, E-27 / 신주쿠니시구치 역, E-01)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세이부 신주쿠 역, SS 01) 0.7 46.4 신주쿠 구 JB 09 오쿠보 大久保 Ōkubo │ 1.4 47.8 JB 08 히가시나카노 東中野 Higashi-Nakano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31) 1.1 48.9 나카노 구 JB 07 나카노 中野 Nakano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1, 직결 운행) 1.9 50.8 JB 06 고엔지 高円寺 Kōenji ▲ 1.4 52.2 스기나미 구 JB 05 아사가야 阿佐ヶ谷 Asagaya ▲ 1.2 53.4 JB 04 오기쿠보 荻窪 Ogikubo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1) 1.4 54.8 JB 03 니시오기쿠보 西荻窪 Nishi-Ogikubo ▲ 1.9 56.7 JB 02 기치조지 吉祥寺 Kichijōji ●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IN 17) 1.9 58.6 무사시노 시 JB 01 미타카 三鷹 Mitaka ● 주오 쾌속선 (다카오 방면, JC 12) 1.6 60.2 미타카 시[4] 각주[편집] ↑ 미타카 역 최종 연장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E231계 개발 이후 E231계 900번대로 포함 ↑ 역 구내의 일부는 후나바시 시에 걸쳐 있다. ↑ 미타카 역사의 일부는 무사시노 시에 걸쳐 있다. 같이 보기[편집]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소부 본선 소부 쾌속선 도쿄 메트로 도자이 선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주오·소부 완행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근교 노선■ 도카이도선 - ■ 요코스카선 - ■ 소부 쾌속선 - ■■■ 쇼난 신주쿠 라인 - ■ 게이힌 도호쿠선 - ■■ 네기시선 - ■ 사가미선 - ■ 요코하마선 - ■ 난부선 - ■ 쓰루미선 - ■ 야마노테선 - ■ 주오 본선 - ■ 주오 쾌속선 - ■ 주오 · 소부 완행선 - ■ 오메선 - ■ 이쓰카이치선 - ■ 하치코선 - ■ 우쓰노미야선 - ■ 다카사키선 - ■ 사이쿄선 - ■■ 가와고에선 - ■ 조반선 - ■ 조반 쾌속선 - ■ 나리타선 - ■ 조반 완행선 - ■ 소부 본선 - ■ 우치보선 - ■ 소토보선 - ■ 도가네선 - ■ 게이요선 - ■ 무사시노선 - ■ 조에쓰선 - ■ 료모선 - ■ 미토선 - ■ 이토선 - ■ 닛코선 - ■ 구루리선 - ■ 가시마선 - ■ 신에쓰 본선 - ■ 가라스야마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지바 지사소부 본선(소부 쾌속선 - 소부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 나리타선 - 가시마선 - 소토보선 - 도가네선 - 우치보선 - 구루리선마쿠하리 차량 센터 - 마쿠하리 차량 센터 기사라즈 출장소 - 게이요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지사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요코스카선 - 도카이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도호쿠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다카사키선 - 우쓰노미야선 - 사이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조반선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도쿄 종합 차량 센터 - 다마치 차량 센터 - 오쿠 차량 센터 - 다바타 운전소 - 마쓰도 차량 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오지 지사주오 본선(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오메 선 - 이쓰카이치 선 - 난부 선 - 무사시노 선 - 하치코 선 - 요코하마 선도요다 차량 센터 - 미타카 차량 센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오·소부_완행선&oldid=24226527"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도쿄도의 교통지바현의 교통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주오·소부 완행선1932년 개통한 철도 노선일본국유철도의 철도 노선숨은 분류: Pages using superimpose with unknown parameters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6: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주오·소부 완행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오·소부 완행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오·소부 완행선 완행선을 주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500번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직통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800번대기본 정보운행 국가 일본종류 운행 계통상태 영업 중기점 지바 역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종점 미타카 역 (도쿄도 미타카 시·무사시노 시)역 수 39 (시종착역 포함)경유 노선 주오 본선 (미타카 ~ 오차노미즈 소부 본선 (오차노미즈 ~ 지바개통일 1969년 4월 8일[1]소유자 동일본 여객철도운영자 동일본 여객철도노선 제원영업 거리 60.2km궤간 1067mm (협궤)선로 수 2 (전 구간)전철화 직류 1,500볼트신호 방식 ATS-Pv • d • e • h 노선도 0.0 0.0 상단:지바로부터의 영업 거리하단:도쿄로부터의 영업 거리 소토보 선 게이세이:지바 선 지바모노 1호선 소부 본선 게이세이지바 역 0.0 39.2 지바 역 ↓소부 완행선 소부 쾌속선 1.4 37.8 니시치바 역 구로스나 신호장 3.3 35.9 이나게 역 6.0 33.2 신케미가와 역 7.6 31.6 마쿠하리 역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9.6 29.6 마쿠하리혼고 역 마쿠하리 차량 센터 게이세이:본선 게이세이:지바 선 게이세이쓰다누마 역 신케이:신케이세이 선 12.5 26.7 쓰다누마 역 나라시노 운수구 14.2 25.0 히가시후나바시 역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16.0 23.2 후나바시 역 도부:노다 선 게이세이:본선 도요코:도요 고속선 무사시노 선 18.6 20.6 니시후나바시 역 도쿄 지하철 20.2 19.0 시모우사나카야마 역 21.8 17.4 모토야와타 역 23.8 15.4 이치카와 역 에도 강 ↑지바현/도쿄도↓ 26.4 12.8 고이와 역 신카네 화물선 신코이와조 역 29.2 10.0 신코이와 역 나카 강·아라카와 강 31.0 8.2 히라이 역 도부:가메이도 선 32.9 6.3 가메이도 역 엣슈지마 지선(화물선) 34.4 4.8 긴시초 역 35.8   료고쿠 역 소부 쾌속선 스미다 강 36.7   아사쿠사바시 역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우에노 도쿄 라인 게이힌 도호쿠 선 야마노테 선 37.8   아키하바라 역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소부 본선 구간 38.7 2.6 오차노미즈 역 (신오차노미즈 역) ↓주오 본선 구간 39.5 3.4 스이도바시 역 이다마치 역 -1999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40.4 4.3 이다바시 역 41.9 5.8 이치가야 역 주오 쾌속선 주오 완행선 42.7 6.6 요쓰야 역 도쿄 지하철:마루노우치 선 고세 터널 44.0 7.9 시나노마치 역 44.7 8.6 센다가야 역 야마노테 화물선 (사이쿄 선·쇼난 신주쿠 라인) 야마노테 선 45.7 9.6 요요기 역 오다큐:오다와라 선 게이오:게이오 선 46.4 10.3 신주쿠 역 세이부 신주쿠 역 세이부:신주쿠 선 야마노테 화물선 야마노테 선 47.8 11.7 오쿠보 역 48.9 12.8 히가시나카노 역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50.8 14.7 나카노 역 나카노 전차구 52.5 16.1 고엔지 역 53.4 17.3 아사가야 역 54.8 18.7 오기쿠보 역 56.7 20.6 니시오기쿠보 역 게이오:이노카시라 선 58.6 22.5 기치조지 역 60.2 24.1 미타카 역 미타카 차량 센터 주오 본선 복선 구간 주오·소부 완행선(일본어: 中央・総武緩行線 주오소부칸코센[*])은 일본 도쿄도 미타카 시의 미타카 역에서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의 지바 역 간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소부 본선 상의 운행 계통이다.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은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역 ~ 지바 역 간은 소부 본선에 해당한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주오·소부 선',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주오 선·소부 선 각역정차' 또는 노선을 아예 분리하여 '주오 선 각역정차'와 '소부 선 각역정차' 등으로 안내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행 형태 2.1 시간표 운용 2.1.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2.1.2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 2.1.3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 2.2 우등 열차 등 3 역사 4 차량 4.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4.2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 5 역 목록 6 각주 7 같이 보기 개요[편집] 도쿄 지구의 전철 특정 구간의 운행 계통 중 하나로 도쿄의 도심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동쪽으로는 도쿄의 침상 도시 역할을 하고 있는 지바현 서부의 각도시를 경유하여 현청 소재지인 지바 시까지, 서쪽으로는 도쿄도 중부의 미타카 시까지 뻗어있는 통근 노선이다. 주행하는 전동차 내부나, 여객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노란색 (■, 카나리아 옐로, 구 일본국유철도 황색 계통 1호색)으로 여기서 유래하여 도쿄 근교권에서는 주오·소부 완행선을 '황색의 전차', '노란 전차' 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운행 구간은 주오 본선 복복선 구간 중 완행선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구간, 오차노미즈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소부 지선의 복선 구간 및 소부 본선 복복선 구간의 완행선 (긴시초 역 ~ 지바 역) 구간에 해당한다. 다만, 주오 본선 중 신주쿠 역 ~ 요요기 역 간은 엄연히는 야마노테 선에 속한다. 복복선 구간에서는 주오 쾌속선, 소부 쾌속선이 병행하여 운행하지만 일부를 제외하고는 방향별 복복선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주오 본선 구간의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는 접속을 고려하지 않은 독립적인 운행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신주쿠에서 아키바하라까지는 '도쿄 야마노테 선내 구간'으로 구간 바깥보다 운임이 싸다. 소부 선 구간에서는 혼잡이 매우 심한 반면 주오 선 구간에서 병행하는 쾌속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꽤 한산하여 주오 완행선 구간은 일본 수도권의 통근 노선 중 가장 한산한 노선으로 손꼽힌다. 일본 국토교통성의 조사에 따르면 2007년도의 최고 혼잡 구간의 러시아워 혼잡율은 주오 쾌속선의 198%에 비해 완행선은 91% (요요기 ~ 센다가야) 정도로, 31곳의 조사 구간 중 유일하게 혼잡율이 100% 미만이다. 하지만 쾌속선이 사고 등으로 불통이 되었을 때는 승객들이 완행선으로 몰리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혼잡해진다. 운행 형태[편집] 노선 역명 각역 소쾌 주쾌 소부 본선 지바 ● ● 니시치바 ● | 이나게 ● ● 신케미가와 ● | 마쿠하리 ● | 마쿠하리혼고 ● | 쓰다누마 ● ● 히가시후나바시 ● | 후나바시 ● ● 니시후나바시 ● | 시모사나카야마 ● | 모토야와타 ● | 이치카와 ● ● 고이와 ● | 신코이와 ● ● 히라이 ● | 가메이도 ● | 긴시초 ● ● 소부본선 지선 료고쿠 ● 아사쿠사바시 ● 아키하바라 ●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 ● 스이도바시 ● | 이다바시 ● | 이치가야 ● | 요쓰야 ● ● 시나노마치 ● | 센다가야 ● | 요요기 ● | 신주쿠 ● ● 오쿠보 ● | 히가시나카노 ● | 나카노 ● ● 고엔지 ● ▲ 아사가야 ● ▲ 오기쿠보 ● ● 니시오기쿠보 ● ▲ 기치조지 ● ● 미타카 ● ● 범례 각역: 각역정차 소쾌: 소부 선 쾌속 주쾌: 주오 선 쾌속 ▲: 주오 선 쾌속 열차가 주말에는 통과 보통 아래의 역에서 시종착하는 형태로 운전되고 있다. 주오 본선 나카노 역·미타카 역(무사시코가네이 역·고쿠분지 역·다치카와 역) 소부 본선 지바 역·쓰다누마 역·니시후나바시 역·오차노미즈 역 진한 글씨는 주로 운용되는 행선이다. 오차노미즈 역을 기준으로 서쪽이 주오 본선, 동쪽이 소부 본선이다. 때문에 게이힌 도호쿠 선처럼 상행과 하행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지바 방면은 동행(일본어: 東行 히가시유키[*]), 미타카 방면은 서행(일본어: 西行 니시유키[*])로 안내된다. 완행선의 신주쿠 역 시발 막차는 오전 1시 1분 발 미타카 행이다. 이는 신주쿠 역을 떠나는 시간이 가장 더디며 동시에 1시 대에 발차하는 유일한 열차이기도 하다. 시간표 운용[편집]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결 운행은 도쿄 역에서 발착하는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항상 실시하고 있다. 평일 하루 중의 운행 편수는 지바 시종착, 쓰다누마 시종착이 각 11분 사이클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에서 시간당 11편, 5~6분 당 1편)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 나카노 시종착 열차는 시간당 7편으로 나머지 4편이 미타카 시종착이다. 또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에서는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도 시간당 4편 운전되고 있다.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에는 쓰다누마 역 ~ 니시후나바시 역 간에서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요일과 휴일의 경우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의 운행 편수는 시간당 12편으로 간격은 5분이다. 쓰다누마 시종착과 지바 시종착이 번갈아 운전되는 경우는 평일과 다르지 않지만 나카노 시종착이 시간당 4편 (15분 간격)으로 줄어들고 대신 미타카 시종착이 8편으로 늘어난다.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는 평일과 동일하게 시간당 4편이다.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의 운행 편수가 평일과 크게 다른데 이는 토요일 및 휴일 쾌속이 고엔지, 아사가야, 니시오기쿠보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대규모 공사나 연말 연시 막차 운행 등 주오 쾌속선이 운휴하는 경우에는 오차노미즈 역 ~ 미타카 역 간에서 도쿄 발착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정기적으로는 조조와 심야 시간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편집]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행하여 주오 선 구간에서는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 소부 선 구간에서는 니시후나바시 역 ~ 쓰다누마 역 간이 각각 상호 직결 운행 구간에 해당한다. 소부 선 구간은 러시아워 시간대에만 운전되지만 주오 선 구간은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 시간 당 운행 편수의 약 절반 정도가 도자이 선으로 직결 운행하고 있다. 도자이 선 쾌속 열차가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과도 직결 운행을 하고 있지만 도요 고속철도 차량이 주오 완행선으로 입선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도자이 선 일부 쾌속 열차는 나카노에서 방향을 전환하기도 한다.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편집] 조조와 심야 시간대에는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오 선은 도쿄 역에서, 소부 선은 오차노미즈 역에서 회차 운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주오 선은 쾌속용인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가 사용되어 미타카 이서 구간에서도 운전된다. 또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시간대를 전후하여 아침의 동행 및 야간의 서행만 운전되는 주오 선 무사시코가네이 역이나 다치카와 역에서 시종착하는 주오·소부 선 직통 열차는 완행선용 차량이 이용된다. 우등 열차 등[편집] 신주쿠 역에서 소부 본선 (조시 방면)·나리타 선·우치보 선·소토보 선 방면으로 운행되는 열차나 지바 역에서 주오 본선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나리타 익스프레스를 제외하고 오차노미즈 역 ~ 긴시초 역을 경유한다.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는 각역정차의 운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우등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는 휴일의 정기 열차 (신주쿠와카시오·신주쿠사자나미 호)나 임시 열차 등 극소수이다. 역사[편집] 1923년의 간토 대지진 이전의 소부 본선은 료고쿠바시 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어, 도쿄를 기점으로 하는 일본국유철도 중에서는 스미다가와 강 동안에 종착역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대지진 이전부터 많은 이용객이 스미다가와 강을 건너는 도쿄 시 전차를 이용하고 있어 혼잡이 현저했기 때문에 대지진 이후 재건 계획이 이루어질 당시 료고쿠바시 역과 도심을 잇는 노선을 건설하여 동시에 주오 본선과 연계할 계획을 세워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노선 확장 (복복선화) 건설을 진행하여 전자는 1932년에, 후자는 이듬해인 1933년에 완성되었다. 덧붙여 이 구간을 완성한 후 1943년에는 주오 본선의 만세이바시 역이 폐지되었다.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복복선화가 이상의 경위로 설치된 것에 비해 그 외의 선로 증축 구간은 1960년대 일본국유철도에 의해 이루어진 일명 '통근 5방면 대작전'으로 불리는 수도권 통근 수송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주오 본선 측의 복복선화 사업은 1966년에 나카노 역에서 오기쿠보 역까지, 1969년에 미타카 역까지 완료되어 현재의 주오·소부 선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 사이 1963년에는 야마노테 선에서 일본국유철도 103계 전동차의 신설 투입이 진행됨에 따라 일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가 완행선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소부 본선 측은 1972년 7월 15일에 도쿄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신설과 긴시초 역에서 쓰다누마 역까지의 복복선화에 따라 쾌속 전차를 분리하여 이 때까지 시간당 1~2편 정도밖에 운행하지 않았던 나카노 역 시종착 쾌속이 폐지되었다. 쓰다누마 역에서 지바 역까지는 복선이었기 때문에 쾌속과 같이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1981년 이후 분리되어 현행의 운행 형태가 완성되었다. 1982년에는 101계의 교체를 위해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가 도입되었고, 2000년에는 다시 이들을 교체하기 위해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가 투입되었다. 차량[편집] 파일:209-500yellow.jpg 209계 전동차의 500번대 파일:JR EAST E231 sobu.JPG E231계 모두 전동차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차량은 일부 6도어 차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편방향 4도어 차량으로 10량 편성 형태로 짜여 있다.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209계 전동차 500번대 (1998년 12월 29일 ~ )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0번대 및 209계 전동차 950번대[2](2000년 3월 13일 ~ )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800번대 (2003년 5월 1일 ~ ) 도쿄 지하철 05계 전동차 (1988년 ~ ) 도쿄 지하철 07계 전동차 (2007년 3월 5일 ~ ) 도쿄 지하철 15000계 전동차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역명 일어 역명 로마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JB 39 지바 千葉 Chiba ● ■ 소토보 선, ■ 나리타 선 (JO 28), 소부 쾌속선 (JO 28), ■ 소부 본선 (JO 28) 지바 도시 모노레일 1호선 (CM 03), 지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CM 03)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지바 역, KS 59) 0.0 0.0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JB 38 니시치바 西千葉 Nishi-Chiba │ 1.4 1.4 JB 37 이나게 稲毛 Inage ● 1.9 3.3 이나게 구 JB 36 신케미가와 新検見川 Shin-Kemigawa │ 2.7 6.0 하나미가와 구 JB 35 마쿠하리 幕張 Makuhari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KS 53) 1.6 7.6 JB 34 마쿠하리혼고 幕張本郷 Makuhari-Hongō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KS 52) 2.0 9.6 JB 33 쓰다누마 津田沼 Tsudanuma ●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 선 (신쓰다누마 역, SL 23) 2.9 12.5 나라시노 시[3] JB 32 히가시후나바시 東船橋 Higashi-Funabashi │ 1.7 14.2 후나바시 시 JB 31 후나바시 船橋 Funabashi ● 도부 철도 노다 선 (TD-35), 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KS 22) 1.8 16.0 JB 30 니시후나바시 西船橋 Nishi-Funabashi │ 무사시노 선 (JM 10), 게이요 선,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 (TR 01)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23, 일부 직결 운행) 2.6 18.6 JB 29 시모사나카야마 下総中山 Shimōsa-Nakayama │ 1.6 20.2 JB 28 모토야와타 本八幡 Motoyawata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21) 1.6 21.8 이치카와 시 JB 27 이치카와 市川 Ichikawa ● 2.0 23.8 JB 26 고이와 小岩 Koiwa │ 2.6 26.4 도쿄도 에도가와 구 JB 25 신코이와 新小岩 Shin-Koiwa ● 2.8 29.2 가쓰시카 구 JB 24 히라이 平井 Hirai │ 1.8 31.0 에도가와 구 JB 23 가메이도 亀戸 Kameido │ 도부 철도 가메이도 선 (TS-44) 1.9 32.9 고토 구 JB 22 긴시초 錦糸町 Kinshichō ● 소부 쾌속선 (도쿄 방면, JO 22),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Z-13) 1.5 34.4 스미다 구 JB 21 료고쿠 両国 Ryōgoku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12) 1.5 35.9 JB 20 아사쿠사바시 浅草橋 Asakusabashi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16) 0.8 36.7 다이토 구 JB 19 아키하바라 秋葉原 Akihabara 야마노테 선 (JY 03), 게이힌 도호쿠 선 (JK 28),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H-15)TX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이와모토초 역, S-08) 1.1 37.8 지요다 구 JB 18 오차노미즈 御茶ノ水 Ochanomizu ● 주오 쾌속선 (도쿄 방면, JC 03),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20)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신오차노미즈 역, C-12) 0.9 38.7 JB 17 스이도바시 水道橋 Suidōbashi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미타 선 (I-11) 0.8 39.5 JB 16 이다바시 飯田橋 Iidabashi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6),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10)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3),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06) 0.9 40.4 JB 15 이치가야 市ヶ谷 Ichigaya │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9),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4)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4) 1.5 41.9 JB 14 요쓰야 四ッ谷 Yotsuya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12),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8) 0.8 42.7 신주쿠 구 JB 13 시나노마치 信濃町 Shinanomachi │ 1.3 44.0 JB 12 센다가야 千駄ケ谷 Sendagaya │ 0.7 44.7 시부야 구 JB 11 요요기 代々木 Yoyogi │ 야마노테 선 (JY 1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26) 1.0 45.7 JB 10 신주쿠 新宿 Shinjuku ● 야마노테 선 (JY 17), 사이쿄 선 (JA 11), 쇼난 신주쿠 라인 (JS 20)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OH 01),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신선 (KO 01)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신주쿠 역, E-27 / 신주쿠니시구치 역, E-01)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세이부 신주쿠 역, SS 01) 0.7 46.4 신주쿠 구 JB 09 오쿠보 大久保 Ōkubo │ 1.4 47.8 JB 08 히가시나카노 東中野 Higashi-Nakano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31) 1.1 48.9 나카노 구 JB 07 나카노 中野 Nakano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1, 직결 운행) 1.9 50.8 JB 06 고엔지 高円寺 Kōenji ▲ 1.4 52.2 스기나미 구 JB 05 아사가야 阿佐ヶ谷 Asagaya ▲ 1.2 53.4 JB 04 오기쿠보 荻窪 Ogikubo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1) 1.4 54.8 JB 03 니시오기쿠보 西荻窪 Nishi-Ogikubo ▲ 1.9 56.7 JB 02 기치조지 吉祥寺 Kichijōji ●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IN 17) 1.9 58.6 무사시노 시 JB 01 미타카 三鷹 Mitaka ● 주오 쾌속선 (다카오 방면, JC 12) 1.6 60.2 미타카 시[4] 각주[편집] ↑ 미타카 역 최종 연장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E231계 개발 이후 E231계 900번대로 포함 ↑ 역 구내의 일부는 후나바시 시에 걸쳐 있다. ↑ 미타카 역사의 일부는 무사시노 시에 걸쳐 있다. 같이 보기[편집]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소부 본선 소부 쾌속선 도쿄 메트로 도자이 선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주오·소부 완행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근교 노선■ 도카이도선 - ■ 요코스카선 - ■ 소부 쾌속선 - ■■■ 쇼난 신주쿠 라인 - ■ 게이힌 도호쿠선 - ■■ 네기시선 - ■ 사가미선 - ■ 요코하마선 - ■ 난부선 - ■ 쓰루미선 - ■ 야마노테선 - ■ 주오 본선 - ■ 주오 쾌속선 - ■ 주오 · 소부 완행선 - ■ 오메선 - ■ 이쓰카이치선 - ■ 하치코선 - ■ 우쓰노미야선 - ■ 다카사키선 - ■ 사이쿄선 - ■■ 가와고에선 - ■ 조반선 - ■ 조반 쾌속선 - ■ 나리타선 - ■ 조반 완행선 - ■ 소부 본선 - ■ 우치보선 - ■ 소토보선 - ■ 도가네선 - ■ 게이요선 - ■ 무사시노선 - ■ 조에쓰선 - ■ 료모선 - ■ 미토선 - ■ 이토선 - ■ 닛코선 - ■ 구루리선 - ■ 가시마선 - ■ 신에쓰 본선 - ■ 가라스야마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지바 지사소부 본선(소부 쾌속선 - 소부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 나리타선 - 가시마선 - 소토보선 - 도가네선 - 우치보선 - 구루리선마쿠하리 차량 센터 - 마쿠하리 차량 센터 기사라즈 출장소 - 게이요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지사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요코스카선 - 도카이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도호쿠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다카사키선 - 우쓰노미야선 - 사이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조반선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도쿄 종합 차량 센터 - 다마치 차량 센터 - 오쿠 차량 센터 - 다바타 운전소 - 마쓰도 차량 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오지 지사주오 본선(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오메 선 - 이쓰카이치 선 - 난부 선 - 무사시노 선 - 하치코 선 - 요코하마 선도요다 차량 센터 - 미타카 차량 센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오·소부_완행선&oldid=24226527"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도쿄도의 교통지바현의 교통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주오·소부 완행선1932년 개통한 철도 노선일본국유철도의 철도 노선숨은 분류: Pages using superimpose with unknown parameters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6: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영화에 대해서는 서울역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2층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P31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역 코드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승강장 구조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경부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신창 급행) 남영 →(1.7 km) 경의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 →(3.1 km) 서울역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1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4호선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1호선 : 1334호선 : 426 역 코드 AFC : 150 (1호선)426 (4호선) 승강장 구조 각각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 →(1.1 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19.7 km ■ 수도권 전철 4호선 ← 회현 (0.9 km) 숙대입구 →(1.0 km) 서울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승강장 구조 2면 3선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 공항철도 공덕 →(3.3 km)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다닌다. 경부선, 경의선이 이 역을 기점으로 뻗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역 동부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서부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로 통과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부터 KTX 한정으로 호남선과 전라선 취급이 재개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3년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이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역이며 지하 서울역으로도 통칭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심야에 일반열차 2편성, 직통열차 1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명칭 2 노선 3 역사 3.1 연혁 4 역 구조 4.1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4.2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4.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5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6 역 주변 6.1 서울역광장 6.2 역사 내부 6.3 동쪽 6.4 서쪽 7 승차량 변동 7.1 일반열차 7.2 수도권 전철 8 인접한 역 9 사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명칭[편집] 한국철도공사관할 서울역과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驛), 후자를 지하 서울역(地下-驛)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지하에 있으나 통상 '지하 서울역'이라는 구분 표현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노선[편집]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나 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는 행신역까지 운행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이 역에서 취급하였으나(누리로2편성에 한해 서울역 시.종착)현재 용산역으로 이전되었다.[1] 그리고 경부선 부산발 21시45분 발차 서울행 무궁화호 #1226 열차 역시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관계로 용산역까지만 단축되어 운행되었으나 아래의 상.하행 열차 구간단축으로 무궁화 1226열차는 다시 원래 종착역인 서울역으로 환원되었다 1227열차는 서울역 22시55분발차 동대구행 무궁화1309열차로 단축 부산역23시10분 발차 무궁화1228열차는 동대구역 23시50분 발차 무궁화1310열차로 구간이 단축 되었다 호남선, 전라선 KTX·ITX-새마을·무궁화호와 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는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나 전라선 KTX는 2012년 5월 12일부터 같은 해 8월 12일까지 여수엑스포 기간에 임시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고, 2013년 4월 20일부터 같은 해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이후에도 행신 착발 #603/#4003, 상행 #520/#4006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을 이유로 2014년 6월 30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한하여 누리로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편집]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간이 역사 간이 역사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2]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에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편집] 일반 철도 1900년 7월 8일 :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 개시[3] 1921년 7월 11일 : 경의선 남대문~수색 간 개통[4] 1923년 1월 1일 :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 변경[5] 1925년 9월 30일 : 구 역사 준공 (현 문화역서울 284) 1947년 11월 1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57년 12월 30일 : 서부역사 준공 1988년 9월 12일 : 선상역사 (민자역사) 준공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6]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7] 2003년 11월 28일 : 현 민자역사 준공, 소재지 이전[8]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 누리로 운행 개시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통근열차 운행 종료 (서울 ~ 도라산 구간에서 문산 ~ 도라산 구간으로 단축)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4일 : 평화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12일 : 경부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6월 1일 : 경전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10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2월 9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및 호남선, 전라선 KTX 운행 개시 2017년 2월 28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재개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운행 개시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1974년 8월 15일 : 서울역앞역으로 영업 개시 (출구 9개),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서울역~청량리) 1983년 9월 13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서울역(앞)역으로 결정[9] 1985년 1월 24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5개소를 추가 (출구 14개)[10] 2003년 : 1번 출구 폐쇄 (서울역 광장 환승 센터 건설로 인한 이설 작업) 2004년 : 1번 출구 이설 완료, 서울역과의 환승 통로 개통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2009년 7월 25일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장과 동시에 9-1번 출구 신설 (출구 15개)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2011년 8월 16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착공 2015년 3월 28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공항철도 서울역 15번 출구 개통 (출구 16개) 2017년 11월 28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전 (문화역서울 284) 구 역사 이전 및 영업 개시 역 구조[편집] 한국철도공사 승강장[편집]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 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 앞 승강장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3·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1] ↑신촌 | | | | | | 경의 시·종착역 ↑행신(경의선 KTX)/시·종착역(경부선, 1호선 급행) 서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청량리(경원선)↓/용산(경부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경의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 급행열차(서울-문산) 신촌 · 가좌 · 행신 · 대곡 · 일산 · 문산 방면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천안 · 신창)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3~10 경부선 KTX 부산 · 포항 방면 ITX-새마을 · 무궁화호 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KTX · 무궁화호 진주 · 마산 방면 호남선 KTX 목포 방면 전라선 KTX · 남도해양열차 여수엑스포 방면 장항선 누리로 신창 방면 경의선 평화열차 용산 · 도라산 방면 경원선 백마고지 방면 충북선 · 영동선 무궁화호 · 중부내륙순환열차 제천 · 철암 방면 11·12 경부선 · 경전선 KTX · ITX-새마을 당역종착 13·14 강릉선 KTX 평창 · 강릉 방면 서부 미사용 구 경의중앙선 승강장(2017년 11월 28일까지 사용) 서울교통공사 승강장[편집]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방면 하행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 병점 · 구로 방면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상행 ■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 · 한성대입구 · 창동 · 당고개 방면 하행 이촌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 및 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2019년 6월 30일부터)[12]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직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 공항철도 일반열차 당역 종착[13] 하행 홍대입구 · 김포공항 ·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당역 종착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편집] 구 서울역사(舊 서울驛舍)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면적 2,964㎡시대 일제강점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청파로 426 (봉래동2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14]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15]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편집] 서울역광장[편집]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역사 내부[편집]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롯데마트 서울역점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중소기업마루 동쪽[편집]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시티타워 남대문교회 서쪽[편집]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 승차량 변동[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으며, 대표적인 역으로 손꼽힌다.[출처 필요] 통일호는 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편집]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16]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17]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편집]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18]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19]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18]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19]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20]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행신 방면 KTX경부고속선 · 경부선경전선 · 동해선 광명부산 방면마산 · 포항 방면 경의본선 · 호남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 KTX호남고속선 · 호남선전라선 용산목포 · 여수엑스포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경부선 영등포부산 방면 시·종착역 ITX-새마을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장항선 영등포신창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충북선 영등포제천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부선 용산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전선 영등포진주 방면 시·종착역 중부내륙순환열차 영등포철암 방면 시·종착역 남도해양열차 영등포여수엑스포 방면 시·종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B급행 신창 급행 139 영등포[21]신창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KTX강릉선 청량리강릉 방면 경의본선 문산도라산 방면 DMZ train경의선 용산용산 방면 P314 신촌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시·종착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본선 132 시청소요산 방면광운대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급행 · 경인선 완행경부선 완행 134 남영인천 방면서동탄 ·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425 회현당고개 방면 ■ 수도권 전철 4호선급행 · 완행 427 숙대입구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항철도 직통 시·종착역 A02 공덕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항철도일반 시·종착역 사진[편집] 서울역의 전경 서울역의 야경 2005년의 서울역 서울역 3층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 표 사는 곳 승차권 자동 발매기 옛 서울역 건물 야경 KTX 타는 곳 공항철도 일반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직통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역사 야경 공항철도 개찰구(지하 3층) 3, 4번 승강장에 있는 철도기점 2012년의 서울역 서울역 대합실 공항철도 역사간 출입구 인천국제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방향 9-1번 출구 공항철도 회차로와 전차선 서울역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서울역 지하철-지상역사 직통 개찰구 2016년 4월 서울역 출입구 같이 보기[편집] 서울역 압사 사고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각주[편집] ↑ 장항선의 경우 2016년 12월 8일까지 누리로 열차를 투입 운용하면서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였다. ↑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 역명개칭고시, 《동아일보》, 1922.12.29.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연합뉴스. 2017년 3월 23일. ↑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 진에어 입주…30일부터 탑승수속 서비스 - 아시아경제, 박혜숙 ↑ 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 ↑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 ↑ 이광형 (2011년 8월 9일).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국민일보.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 상행선만 정차하며 하행선 다음역은 금천구청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공항철도 서울역 서울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KTX 서울역(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서울역vdehKTXKTX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행신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경부선 계통서울 ~ 수원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행신 ~ 구포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동해선 계통행신 ~ 포항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경전선 계통행신 ~ 진주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KTX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행신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호남선 계통행신 ~ 서대전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전라선 계통행신 ~ 여수엑스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용산 ~ 서대전 ~ 여수엑스포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KTX 강릉선경강선 계통서울 ~ 강릉서울 - 청량리 - 상봉 - 양평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오대산) - 강릉 vdehITX-새마을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서울 ~ 신해운대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경전선 계통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중앙선 계통청량리 ~ 영주청량리 - 양평 - 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vdeh무궁화호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광주 ~ 목포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충북선 계통동대구 ~ 영주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경전선 계통부전 ~ 목포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용산 ~ 순천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순천 ~ 광주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광주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동해선 계통포항 ~ 순천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포항 ~ 영덕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동대구 ~ 포항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동대구 ~ 부전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중앙선 계통청량리 ~ 부전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단양 - 희방사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영동선 계통강릉 ~ 부전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강릉 ~ 동대구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경북선 계통강릉 ~ 부산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개포 - 용궁 - 점촌 - 함창 - 상주 - 청리 - 옥산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사상 - 부산태백선 계통청량리 ~ 강릉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vdeh누리로호남선 계통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충북선 계통대전 ~ 제천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서울 ~ 제천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장항선 계통서울 ~ 신창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vdeh남도해양열차 (S-train)부산 ~ 보성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서울 ~ 여수엑스포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vdeh평화열차 DMZ train (DMZ train)용산 ~ 도라산용산 - 서울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vdeh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장항선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vdeh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vdeh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선서울 - 공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계양 - 검암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운서 - 공항화물청사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 용유차량기지용유차량삼각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차량기지 vdeh 서울특별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경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우이신설선 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교량 한강철교 당산철교 동작대교 동호대교 청담대교 잠실철교 마곡철교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세종포천 (29) 서울양양 (60) 서울외곽순환 (100) 경인 (120) 인천국제공항 (130) 용인서울 (171) 나들목·분기점 양재 나들목 헌릉 나들목 금천 나들목 신월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송파 나들목 상일 나들목 중랑 나들목 강일 나들목 88 분기점 소하 분기점 강동 나들목 강서 나들목 국도 1호 3호 6호 43호 46호 47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23호 78호 시내간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남부순환로 경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 특별시도 20호 21호 () 30호 31호 41호 () 50호 51호 60호 61호 70호 71호 88호 90호 92호 94호 터널 관악 구기 구룡 국사봉 낙성대 궁동 금화 남산1 남산2 남산3 동망봉 매봉 방화 봉천 북악 불암산 사직 산복 삼청 상도 서리풀 서초 수락산 신림-봉천 오패산 용마 우면산 월드컵 위례 은평 일원 자하문 작동 정릉 호암 홍지문 화곡 고가도로 가리봉 강남터미널 개봉 광명 광희 구로 금천 남산관광 노들 노량진 노량진수원지 도림 도림천 동선 떡전 모래내 미아 문래 봉원 사당 삼각지로터리 삼각지 서대문 서빙고 서소문 서울역 선유 성산 수산시장 수출의다리 신설 아현 압구정 약수 영동대교북단 영등포 영등포역 오류 옥수 욱천 원남 이문 이수 이촌 청계 한강 한남1 한남2 현저 혜화 화곡 화랑 홍제 화양 회현 교량 행주대교 방화대교 가양대교 월드컵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 고개 박석고개 (의주권) 산골고개 (의주권) 미아리고개 (북부권) 망우리고개 (동부권) 남태령고개 (서남권) 달래내고개 (경부권)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환승센터 개화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파발역 도봉산역 서울역 여의도 천왕역 청량리역 잠실 고속·시외 서울경부 센트럴(서울호남) 동서울 상봉 서울남부 김포공항 가락시장 수유리 잠실 장지역 동대문 마장동 서울서부 신촌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김포국제공항 서울공항 여의도공항 인천국제공항* 한국도심공항 교통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서울특별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인천광역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역&oldid=24510511" 분류: 경부선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 용산구의 건축물서울 용산구의 교통서울특별시의 철도역서울 중구의 전철역서울 용산구의 전철역수도권 전철 환승역한국고속철도 정차역1900년 개업한 철도역2010년 개업한 철도역공항 터미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slam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InterlinguaIdo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Basa Sund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영화에 대해서는 서울역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2층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P31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역 코드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승강장 구조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경부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신창 급행) 남영 →(1.7 km) 경의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 →(3.1 km) 서울역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1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4호선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1호선 : 1334호선 : 426 역 코드 AFC : 150 (1호선)426 (4호선) 승강장 구조 각각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 →(1.1 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19.7 km ■ 수도권 전철 4호선 ← 회현 (0.9 km) 숙대입구 →(1.0 km) 서울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승강장 구조 2면 3선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 공항철도 공덕 →(3.3 km)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다닌다. 경부선, 경의선이 이 역을 기점으로 뻗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역 동부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서부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로 통과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부터 KTX 한정으로 호남선과 전라선 취급이 재개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3년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이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역이며 지하 서울역으로도 통칭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심야에 일반열차 2편성, 직통열차 1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명칭 2 노선 3 역사 3.1 연혁 4 역 구조 4.1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4.2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4.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5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6 역 주변 6.1 서울역광장 6.2 역사 내부 6.3 동쪽 6.4 서쪽 7 승차량 변동 7.1 일반열차 7.2 수도권 전철 8 인접한 역 9 사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명칭[편집] 한국철도공사관할 서울역과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驛), 후자를 지하 서울역(地下-驛)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지하에 있으나 통상 '지하 서울역'이라는 구분 표현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노선[편집]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나 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는 행신역까지 운행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이 역에서 취급하였으나(누리로2편성에 한해 서울역 시.종착)현재 용산역으로 이전되었다.[1] 그리고 경부선 부산발 21시45분 발차 서울행 무궁화호 #1226 열차 역시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관계로 용산역까지만 단축되어 운행되었으나 아래의 상.하행 열차 구간단축으로 무궁화 1226열차는 다시 원래 종착역인 서울역으로 환원되었다 1227열차는 서울역 22시55분발차 동대구행 무궁화1309열차로 단축 부산역23시10분 발차 무궁화1228열차는 동대구역 23시50분 발차 무궁화1310열차로 구간이 단축 되었다 호남선, 전라선 KTX·ITX-새마을·무궁화호와 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는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나 전라선 KTX는 2012년 5월 12일부터 같은 해 8월 12일까지 여수엑스포 기간에 임시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고, 2013년 4월 20일부터 같은 해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이후에도 행신 착발 #603/#4003, 상행 #520/#4006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을 이유로 2014년 6월 30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한하여 누리로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편집]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간이 역사 간이 역사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2]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에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편집] 일반 철도 1900년 7월 8일 :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 개시[3] 1921년 7월 11일 : 경의선 남대문~수색 간 개통[4] 1923년 1월 1일 :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 변경[5] 1925년 9월 30일 : 구 역사 준공 (현 문화역서울 284) 1947년 11월 1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57년 12월 30일 : 서부역사 준공 1988년 9월 12일 : 선상역사 (민자역사) 준공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6]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7] 2003년 11월 28일 : 현 민자역사 준공, 소재지 이전[8]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 누리로 운행 개시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통근열차 운행 종료 (서울 ~ 도라산 구간에서 문산 ~ 도라산 구간으로 단축)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4일 : 평화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12일 : 경부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6월 1일 : 경전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10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2월 9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및 호남선, 전라선 KTX 운행 개시 2017년 2월 28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재개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운행 개시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1974년 8월 15일 : 서울역앞역으로 영업 개시 (출구 9개),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서울역~청량리) 1983년 9월 13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서울역(앞)역으로 결정[9] 1985년 1월 24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5개소를 추가 (출구 14개)[10] 2003년 : 1번 출구 폐쇄 (서울역 광장 환승 센터 건설로 인한 이설 작업) 2004년 : 1번 출구 이설 완료, 서울역과의 환승 통로 개통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2009년 7월 25일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장과 동시에 9-1번 출구 신설 (출구 15개)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2011년 8월 16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착공 2015년 3월 28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공항철도 서울역 15번 출구 개통 (출구 16개) 2017년 11월 28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전 (문화역서울 284) 구 역사 이전 및 영업 개시 역 구조[편집] 한국철도공사 승강장[편집]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 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 앞 승강장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3·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1] ↑신촌 | | | | | | 경의 시·종착역 ↑행신(경의선 KTX)/시·종착역(경부선, 1호선 급행) 서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청량리(경원선)↓/용산(경부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경의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 급행열차(서울-문산) 신촌 · 가좌 · 행신 · 대곡 · 일산 · 문산 방면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천안 · 신창)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3~10 경부선 KTX 부산 · 포항 방면 ITX-새마을 · 무궁화호 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KTX · 무궁화호 진주 · 마산 방면 호남선 KTX 목포 방면 전라선 KTX · 남도해양열차 여수엑스포 방면 장항선 누리로 신창 방면 경의선 평화열차 용산 · 도라산 방면 경원선 백마고지 방면 충북선 · 영동선 무궁화호 · 중부내륙순환열차 제천 · 철암 방면 11·12 경부선 · 경전선 KTX · ITX-새마을 당역종착 13·14 강릉선 KTX 평창 · 강릉 방면 서부 미사용 구 경의중앙선 승강장(2017년 11월 28일까지 사용) 서울교통공사 승강장[편집]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방면 하행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 병점 · 구로 방면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상행 ■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 · 한성대입구 · 창동 · 당고개 방면 하행 이촌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 및 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2019년 6월 30일부터)[12]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직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 공항철도 일반열차 당역 종착[13] 하행 홍대입구 · 김포공항 ·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당역 종착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편집] 구 서울역사(舊 서울驛舍)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면적 2,964㎡시대 일제강점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청파로 426 (봉래동2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14]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15]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편집] 서울역광장[편집]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역사 내부[편집]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롯데마트 서울역점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중소기업마루 동쪽[편집]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시티타워 남대문교회 서쪽[편집]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 승차량 변동[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으며, 대표적인 역으로 손꼽힌다.[출처 필요] 통일호는 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편집]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16]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17]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편집]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18]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19]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18]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19]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20]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행신 방면 KTX경부고속선 · 경부선경전선 · 동해선 광명부산 방면마산 · 포항 방면 경의본선 · 호남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 KTX호남고속선 · 호남선전라선 용산목포 · 여수엑스포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경부선 영등포부산 방면 시·종착역 ITX-새마을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장항선 영등포신창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충북선 영등포제천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부선 용산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전선 영등포진주 방면 시·종착역 중부내륙순환열차 영등포철암 방면 시·종착역 남도해양열차 영등포여수엑스포 방면 시·종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B급행 신창 급행 139 영등포[21]신창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KTX강릉선 청량리강릉 방면 경의본선 문산도라산 방면 DMZ train경의선 용산용산 방면 P314 신촌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시·종착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본선 132 시청소요산 방면광운대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급행 · 경인선 완행경부선 완행 134 남영인천 방면서동탄 ·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425 회현당고개 방면 ■ 수도권 전철 4호선급행 · 완행 427 숙대입구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항철도 직통 시·종착역 A02 공덕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항철도일반 시·종착역 사진[편집] 서울역의 전경 서울역의 야경 2005년의 서울역 서울역 3층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 표 사는 곳 승차권 자동 발매기 옛 서울역 건물 야경 KTX 타는 곳 공항철도 일반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직통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역사 야경 공항철도 개찰구(지하 3층) 3, 4번 승강장에 있는 철도기점 2012년의 서울역 서울역 대합실 공항철도 역사간 출입구 인천국제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방향 9-1번 출구 공항철도 회차로와 전차선 서울역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서울역 지하철-지상역사 직통 개찰구 2016년 4월 서울역 출입구 같이 보기[편집] 서울역 압사 사고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각주[편집] ↑ 장항선의 경우 2016년 12월 8일까지 누리로 열차를 투입 운용하면서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였다. ↑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 역명개칭고시, 《동아일보》, 1922.12.29.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연합뉴스. 2017년 3월 23일. ↑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 진에어 입주…30일부터 탑승수속 서비스 - 아시아경제, 박혜숙 ↑ 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 ↑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 ↑ 이광형 (2011년 8월 9일).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국민일보.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 상행선만 정차하며 하행선 다음역은 금천구청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공항철도 서울역 서울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KTX 서울역(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서울역vdehKTXKTX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행신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경부선 계통서울 ~ 수원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행신 ~ 구포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동해선 계통행신 ~ 포항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경전선 계통행신 ~ 진주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KTX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행신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호남선 계통행신 ~ 서대전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전라선 계통행신 ~ 여수엑스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용산 ~ 서대전 ~ 여수엑스포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KTX 강릉선경강선 계통서울 ~ 강릉서울 - 청량리 - 상봉 - 양평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오대산) - 강릉 vdehITX-새마을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서울 ~ 신해운대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경전선 계통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중앙선 계통청량리 ~ 영주청량리 - 양평 - 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vdeh무궁화호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광주 ~ 목포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충북선 계통동대구 ~ 영주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경전선 계통부전 ~ 목포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용산 ~ 순천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순천 ~ 광주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광주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동해선 계통포항 ~ 순천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포항 ~ 영덕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동대구 ~ 포항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동대구 ~ 부전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중앙선 계통청량리 ~ 부전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단양 - 희방사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영동선 계통강릉 ~ 부전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강릉 ~ 동대구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경북선 계통강릉 ~ 부산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개포 - 용궁 - 점촌 - 함창 - 상주 - 청리 - 옥산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사상 - 부산태백선 계통청량리 ~ 강릉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vdeh누리로호남선 계통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충북선 계통대전 ~ 제천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서울 ~ 제천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장항선 계통서울 ~ 신창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vdeh남도해양열차 (S-train)부산 ~ 보성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서울 ~ 여수엑스포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vdeh평화열차 DMZ train (DMZ train)용산 ~ 도라산용산 - 서울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vdeh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장항선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vdeh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vdeh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선서울 - 공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계양 - 검암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운서 - 공항화물청사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 용유차량기지용유차량삼각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차량기지 vdeh 서울특별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경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우이신설선 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교량 한강철교 당산철교 동작대교 동호대교 청담대교 잠실철교 마곡철교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세종포천 (29) 서울양양 (60) 서울외곽순환 (100) 경인 (120) 인천국제공항 (130) 용인서울 (171) 나들목·분기점 양재 나들목 헌릉 나들목 금천 나들목 신월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송파 나들목 상일 나들목 중랑 나들목 강일 나들목 88 분기점 소하 분기점 강동 나들목 강서 나들목 국도 1호 3호 6호 43호 46호 47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23호 78호 시내간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남부순환로 경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 특별시도 20호 21호 () 30호 31호 41호 () 50호 51호 60호 61호 70호 71호 88호 90호 92호 94호 터널 관악 구기 구룡 국사봉 낙성대 궁동 금화 남산1 남산2 남산3 동망봉 매봉 방화 봉천 북악 불암산 사직 산복 삼청 상도 서리풀 서초 수락산 신림-봉천 오패산 용마 우면산 월드컵 위례 은평 일원 자하문 작동 정릉 호암 홍지문 화곡 고가도로 가리봉 강남터미널 개봉 광명 광희 구로 금천 남산관광 노들 노량진 노량진수원지 도림 도림천 동선 떡전 모래내 미아 문래 봉원 사당 삼각지로터리 삼각지 서대문 서빙고 서소문 서울역 선유 성산 수산시장 수출의다리 신설 아현 압구정 약수 영동대교북단 영등포 영등포역 오류 옥수 욱천 원남 이문 이수 이촌 청계 한강 한남1 한남2 현저 혜화 화곡 화랑 홍제 화양 회현 교량 행주대교 방화대교 가양대교 월드컵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 고개 박석고개 (의주권) 산골고개 (의주권) 미아리고개 (북부권) 망우리고개 (동부권) 남태령고개 (서남권) 달래내고개 (경부권)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환승센터 개화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파발역 도봉산역 서울역 여의도 천왕역 청량리역 잠실 고속·시외 서울경부 센트럴(서울호남) 동서울 상봉 서울남부 김포공항 가락시장 수유리 잠실 장지역 동대문 마장동 서울서부 신촌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김포국제공항 서울공항 여의도공항 인천국제공항* 한국도심공항 교통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서울특별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인천광역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역&oldid=24510511" 분류: 경부선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 용산구의 건축물서울 용산구의 교통서울특별시의 철도역서울 중구의 전철역서울 용산구의 전철역수도권 전철 환승역한국고속철도 정차역1900년 개업한 철도역2010년 개업한 철도역공항 터미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slam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InterlinguaIdo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Basa Sund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영화에 대해서는 서울역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2층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P31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역 코드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승강장 구조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경부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신창 급행) 남영 →(1.7 km) 경의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 →(3.1 km) 서울역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1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4호선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1호선 : 1334호선 : 426 역 코드 AFC : 150 (1호선)426 (4호선) 승강장 구조 각각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 →(1.1 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19.7 km ■ 수도권 전철 4호선 ← 회현 (0.9 km) 숙대입구 →(1.0 km) 서울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승강장 구조 2면 3선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 공항철도 공덕 →(3.3 km)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다닌다. 경부선, 경의선이 이 역을 기점으로 뻗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역 동부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서부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로 통과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부터 KTX 한정으로 호남선과 전라선 취급이 재개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3년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이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역이며 지하 서울역으로도 통칭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심야에 일반열차 2편성, 직통열차 1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명칭 2 노선 3 역사 3.1 연혁 4 역 구조 4.1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4.2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4.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5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6 역 주변 6.1 서울역광장 6.2 역사 내부 6.3 동쪽 6.4 서쪽 7 승차량 변동 7.1 일반열차 7.2 수도권 전철 8 인접한 역 9 사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명칭[편집] 한국철도공사관할 서울역과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驛), 후자를 지하 서울역(地下-驛)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지하에 있으나 통상 '지하 서울역'이라는 구분 표현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노선[편집]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나 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는 행신역까지 운행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이 역에서 취급하였으나(누리로2편성에 한해 서울역 시.종착)현재 용산역으로 이전되었다.[1] 그리고 경부선 부산발 21시45분 발차 서울행 무궁화호 #1226 열차 역시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관계로 용산역까지만 단축되어 운행되었으나 아래의 상.하행 열차 구간단축으로 무궁화 1226열차는 다시 원래 종착역인 서울역으로 환원되었다 1227열차는 서울역 22시55분발차 동대구행 무궁화1309열차로 단축 부산역23시10분 발차 무궁화1228열차는 동대구역 23시50분 발차 무궁화1310열차로 구간이 단축 되었다 호남선, 전라선 KTX·ITX-새마을·무궁화호와 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는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나 전라선 KTX는 2012년 5월 12일부터 같은 해 8월 12일까지 여수엑스포 기간에 임시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고, 2013년 4월 20일부터 같은 해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이후에도 행신 착발 #603/#4003, 상행 #520/#4006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을 이유로 2014년 6월 30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한하여 누리로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편집]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간이 역사 간이 역사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2]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에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편집] 일반 철도 1900년 7월 8일 :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 개시[3] 1921년 7월 11일 : 경의선 남대문~수색 간 개통[4] 1923년 1월 1일 :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 변경[5] 1925년 9월 30일 : 구 역사 준공 (현 문화역서울 284) 1947년 11월 1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57년 12월 30일 : 서부역사 준공 1988년 9월 12일 : 선상역사 (민자역사) 준공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6]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7] 2003년 11월 28일 : 현 민자역사 준공, 소재지 이전[8]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 누리로 운행 개시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통근열차 운행 종료 (서울 ~ 도라산 구간에서 문산 ~ 도라산 구간으로 단축)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4일 : 평화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12일 : 경부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6월 1일 : 경전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10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2월 9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및 호남선, 전라선 KTX 운행 개시 2017년 2월 28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재개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운행 개시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1974년 8월 15일 : 서울역앞역으로 영업 개시 (출구 9개),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서울역~청량리) 1983년 9월 13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서울역(앞)역으로 결정[9] 1985년 1월 24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5개소를 추가 (출구 14개)[10] 2003년 : 1번 출구 폐쇄 (서울역 광장 환승 센터 건설로 인한 이설 작업) 2004년 : 1번 출구 이설 완료, 서울역과의 환승 통로 개통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2009년 7월 25일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장과 동시에 9-1번 출구 신설 (출구 15개)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2011년 8월 16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착공 2015년 3월 28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공항철도 서울역 15번 출구 개통 (출구 16개) 2017년 11월 28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전 (문화역서울 284) 구 역사 이전 및 영업 개시 역 구조[편집] 한국철도공사 승강장[편집]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 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 앞 승강장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3·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1] ↑신촌 | | | | | | 경의 시·종착역 ↑행신(경의선 KTX)/시·종착역(경부선, 1호선 급행) 서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청량리(경원선)↓/용산(경부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경의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 급행열차(서울-문산) 신촌 · 가좌 · 행신 · 대곡 · 일산 · 문산 방면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천안 · 신창)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3~10 경부선 KTX 부산 · 포항 방면 ITX-새마을 · 무궁화호 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KTX · 무궁화호 진주 · 마산 방면 호남선 KTX 목포 방면 전라선 KTX · 남도해양열차 여수엑스포 방면 장항선 누리로 신창 방면 경의선 평화열차 용산 · 도라산 방면 경원선 백마고지 방면 충북선 · 영동선 무궁화호 · 중부내륙순환열차 제천 · 철암 방면 11·12 경부선 · 경전선 KTX · ITX-새마을 당역종착 13·14 강릉선 KTX 평창 · 강릉 방면 서부 미사용 구 경의중앙선 승강장(2017년 11월 28일까지 사용) 서울교통공사 승강장[편집]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방면 하행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 병점 · 구로 방면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상행 ■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 · 한성대입구 · 창동 · 당고개 방면 하행 이촌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 및 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2019년 6월 30일부터)[12]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직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 공항철도 일반열차 당역 종착[13] 하행 홍대입구 · 김포공항 ·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당역 종착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편집] 구 서울역사(舊 서울驛舍)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면적 2,964㎡시대 일제강점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청파로 426 (봉래동2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14]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15]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편집] 서울역광장[편집]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역사 내부[편집]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롯데마트 서울역점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중소기업마루 동쪽[편집]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시티타워 남대문교회 서쪽[편집]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 승차량 변동[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으며, 대표적인 역으로 손꼽힌다.[출처 필요] 통일호는 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편집]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16]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17]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편집]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18]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19]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18]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19]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20]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행신 방면 KTX경부고속선 · 경부선경전선 · 동해선 광명부산 방면마산 · 포항 방면 경의본선 · 호남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 KTX호남고속선 · 호남선전라선 용산목포 · 여수엑스포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경부선 영등포부산 방면 시·종착역 ITX-새마을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장항선 영등포신창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충북선 영등포제천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부선 용산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전선 영등포진주 방면 시·종착역 중부내륙순환열차 영등포철암 방면 시·종착역 남도해양열차 영등포여수엑스포 방면 시·종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B급행 신창 급행 139 영등포[21]신창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KTX강릉선 청량리강릉 방면 경의본선 문산도라산 방면 DMZ train경의선 용산용산 방면 P314 신촌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시·종착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본선 132 시청소요산 방면광운대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급행 · 경인선 완행경부선 완행 134 남영인천 방면서동탄 ·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425 회현당고개 방면 ■ 수도권 전철 4호선급행 · 완행 427 숙대입구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항철도 직통 시·종착역 A02 공덕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항철도일반 시·종착역 사진[편집] 서울역의 전경 서울역의 야경 2005년의 서울역 서울역 3층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 표 사는 곳 승차권 자동 발매기 옛 서울역 건물 야경 KTX 타는 곳 공항철도 일반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직통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역사 야경 공항철도 개찰구(지하 3층) 3, 4번 승강장에 있는 철도기점 2012년의 서울역 서울역 대합실 공항철도 역사간 출입구 인천국제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방향 9-1번 출구 공항철도 회차로와 전차선 서울역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서울역 지하철-지상역사 직통 개찰구 2016년 4월 서울역 출입구 같이 보기[편집] 서울역 압사 사고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각주[편집] ↑ 장항선의 경우 2016년 12월 8일까지 누리로 열차를 투입 운용하면서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였다. ↑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 역명개칭고시, 《동아일보》, 1922.12.29.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연합뉴스. 2017년 3월 23일. ↑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 진에어 입주…30일부터 탑승수속 서비스 - 아시아경제, 박혜숙 ↑ 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 ↑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 ↑ 이광형 (2011년 8월 9일).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국민일보.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 상행선만 정차하며 하행선 다음역은 금천구청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공항철도 서울역 서울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KTX 서울역(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서울역vdehKTXKTX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행신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경부선 계통서울 ~ 수원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행신 ~ 구포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동해선 계통행신 ~ 포항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경전선 계통행신 ~ 진주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KTX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행신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호남선 계통행신 ~ 서대전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전라선 계통행신 ~ 여수엑스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용산 ~ 서대전 ~ 여수엑스포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KTX 강릉선경강선 계통서울 ~ 강릉서울 - 청량리 - 상봉 - 양평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오대산) - 강릉 vdehITX-새마을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서울 ~ 신해운대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경전선 계통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중앙선 계통청량리 ~ 영주청량리 - 양평 - 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vdeh무궁화호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광주 ~ 목포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충북선 계통동대구 ~ 영주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경전선 계통부전 ~ 목포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용산 ~ 순천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순천 ~ 광주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광주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동해선 계통포항 ~ 순천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포항 ~ 영덕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동대구 ~ 포항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동대구 ~ 부전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중앙선 계통청량리 ~ 부전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단양 - 희방사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영동선 계통강릉 ~ 부전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강릉 ~ 동대구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경북선 계통강릉 ~ 부산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개포 - 용궁 - 점촌 - 함창 - 상주 - 청리 - 옥산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사상 - 부산태백선 계통청량리 ~ 강릉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vdeh누리로호남선 계통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충북선 계통대전 ~ 제천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서울 ~ 제천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장항선 계통서울 ~ 신창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vdeh남도해양열차 (S-train)부산 ~ 보성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서울 ~ 여수엑스포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vdeh평화열차 DMZ train (DMZ train)용산 ~ 도라산용산 - 서울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vdeh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장항선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vdeh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vdeh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선서울 - 공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계양 - 검암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운서 - 공항화물청사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 용유차량기지용유차량삼각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차량기지 vdeh 서울특별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경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우이신설선 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교량 한강철교 당산철교 동작대교 동호대교 청담대교 잠실철교 마곡철교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세종포천 (29) 서울양양 (60) 서울외곽순환 (100) 경인 (120) 인천국제공항 (130) 용인서울 (171) 나들목·분기점 양재 나들목 헌릉 나들목 금천 나들목 신월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송파 나들목 상일 나들목 중랑 나들목 강일 나들목 88 분기점 소하 분기점 강동 나들목 강서 나들목 국도 1호 3호 6호 43호 46호 47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23호 78호 시내간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남부순환로 경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 특별시도 20호 21호 () 30호 31호 41호 () 50호 51호 60호 61호 70호 71호 88호 90호 92호 94호 터널 관악 구기 구룡 국사봉 낙성대 궁동 금화 남산1 남산2 남산3 동망봉 매봉 방화 봉천 북악 불암산 사직 산복 삼청 상도 서리풀 서초 수락산 신림-봉천 오패산 용마 우면산 월드컵 위례 은평 일원 자하문 작동 정릉 호암 홍지문 화곡 고가도로 가리봉 강남터미널 개봉 광명 광희 구로 금천 남산관광 노들 노량진 노량진수원지 도림 도림천 동선 떡전 모래내 미아 문래 봉원 사당 삼각지로터리 삼각지 서대문 서빙고 서소문 서울역 선유 성산 수산시장 수출의다리 신설 아현 압구정 약수 영동대교북단 영등포 영등포역 오류 옥수 욱천 원남 이문 이수 이촌 청계 한강 한남1 한남2 현저 혜화 화곡 화랑 홍제 화양 회현 교량 행주대교 방화대교 가양대교 월드컵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 고개 박석고개 (의주권) 산골고개 (의주권) 미아리고개 (북부권) 망우리고개 (동부권) 남태령고개 (서남권) 달래내고개 (경부권)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환승센터 개화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파발역 도봉산역 서울역 여의도 천왕역 청량리역 잠실 고속·시외 서울경부 센트럴(서울호남) 동서울 상봉 서울남부 김포공항 가락시장 수유리 잠실 장지역 동대문 마장동 서울서부 신촌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김포국제공항 서울공항 여의도공항 인천국제공항* 한국도심공항 교통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서울특별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인천광역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역&oldid=24510511" 분류: 경부선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 용산구의 건축물서울 용산구의 교통서울특별시의 철도역서울 중구의 전철역서울 용산구의 전철역수도권 전철 환승역한국고속철도 정차역1900년 개업한 철도역2010년 개업한 철도역공항 터미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slam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InterlinguaIdo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Basa Sund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나 홀로 집에 3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 홀로 집에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 홀로 집에 3Home Alone 3 감독 라자 고스넬 제작 존 휴스 각본 존 휴스 출연 알렉스 D. 린즈올렉 크루파리아 킬스테트케빈 킬너스칼렛 요한슨 배급사 20세기 폭스 개봉일 1997년 12월 12일 1998년 7월 17일 시간 105분 언어 영어 제작비 3,200만 달러 수익 $79,082,515 《나 홀로 집에 3》(영어: Home Alone 3)는 1997년 미국의 크리스마스 코미디 영화이다. 존 휴스가 각본를 쓰고 제작을 맡았고, 라자 고스넬가 감독하였다.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속편이지만 맥컬리 컬킨이나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가 참여하지 않은 첫 번째 작품이다. 기존의 맥컬리 컬킨이 연기한 주인공 역할에는 알렉스 D. 린즈가 캐스팅 되었으며 이 영화는 감독 마저 바뀌어 라자 고스넬이 감독하였으며, 속편은 2002년 텔레비전 영화 나 홀로 집에 4가 잇는다. 기존의 나홀로 집에 1~2편과는 완전히 다른 아이디어로 시작하였으며, 10대 인물로 어떻게든 맥컬리 컬킨을 캐스팅 하려 했으나 성사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인물을 중점으로 완전히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로 하여 기존의 아이디어를 변경하였다. 단 집의 배경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그대로 등장한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성우진 3.1 MBC 3.2 SBS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미국 국방부는 어떤 국제 범죄 조직에 의해서 일급 기밀 컴퓨터 칩을 도난당한다. 전 세계적으로 전문적이고 무자비한 절도 행위를 자행해온 국제 범죄 조직이 블랙 마켓에서 이 컴퓨터 칩을 대가로 천만 달러를 요구하고 있다. 이 무자비한 범죄 조직의 악당들은 홍콩에 있는 블랙 마켓의 대장을 찾아가 돈을 요구했다. 대장은 컴퓨터 칩을 찾아온다면 돈을 줄 것을 약속했고 48시간 이내에 컴퓨터 칩을 찾아오라고 했다. 이에 악당들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그 작지만 중요한 컴퓨터 칩을 찾아오기로 하였고 비행기를 타고 미국으로 갔다. 무사히 미국에 도착했고 캘리포니아 주 실리콘벨리에 있는 악당들의 비밀 요새에 숨겨둔 컴퓨터 칩을 찾아서 다시 홍콩으로 되돌아가려고 비행기를 타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국제 공항역에 머무르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겨버렸으니. 공항역에서 보안 검색대 직원들을 지나치게 의식하다보니 무선 조종 자동차에 숨긴 컴퓨터 칩을 잊어버리게 되었고, 대신 악당들 앞에는 빵이 들어있는 어떤 가방과 바뀌게 되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아낸 악당들은 서로 흩어져 주변을 수색해 봤지만 헛수고였다. 악당들은 다 된 밥에 죽을 쒀버린 꼴을 당해 절망적인 상태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적적으로 악당의 대장인 피터가 어떤 할머니에 의해서 컴퓨터 칩이 있는 무선 조종 자동차가 담겨진 가방이, 그 할머니의 물건과 바뀌어 버린 것을 알아채고, 그 할머니가 시카고로 향하는 것까지 알아챈다. 피터는 악당들에게 시카고로 갈 것을 제안했고, 결국 그 컴퓨터 칩을 다시 되찾기 위해서 시카고로 가는 비행기를 탄다. 악당들은 시카고에 도착하여 공항역 주변을 뒤져가면서 다시 그 할머니를 추적한다. 그러나 할머니는 공항역 안에 있는 자동차를 타고 공항역 밖으로 나갔기 때문에 결국 뛰면서 추적하는 악당들의 손에 벗어나 무사히 택시를 탈 수 있었다. 하지만 악당들 중 버튼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해서 할머니가 탑승한 택시 번호를 찍는 데 성공했다. 늦은 밤에 악당들은 공항역에서 할머니의 집까지 태워준 그 택시 기사를 찾아내었고 택시 기사에게 질문하여 할머니의 집을 알아낸다. 그런데 막상 할머니 집에 도착했을 때는 마을 전체의 가정들이 모두가 택시 기사가 묘사한 집과 똑같았다. 이제부터 네 명의 능숙한 고도의 훈련으로 무장한 국제 범죄자들은 컴퓨터 칩을 찾기 위한 계획적이고 치밀한 수색작업에 들어가는데 경찰과 군대와 FBI도 이들의 작전을 막을 수 없다. 알렉스 프루이트는 상상력이 풍부한 8살짜리 꼬마이다. 가족 모두는 일을 하느라 집을 비우게 되고, 수두를 앓고 집에 혼자 남겨진 알렉스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동네를 망원경으로 관찰하던 중 수상한 사람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음모에 대응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출연진[편집] 알렉스 D. 린즈 - 알렉스 프루이트 역 올렉 크루파 - 피터 보프레 역 리아 킬스테트 - 앨리스 리번스 역 레니 본 돌린 - 버튼 저니건 역 데이비드 손턴 - 얼 엉거 역 세스 스미스 - 스탠 프루이트 역 하빌랜드 모리스 - 캐런 프루이트 역 매리언 셀데스 - 헤스 부인 역 케빈 킬너 - 잭 프루이트 역 스칼렛 요한슨 - 몰리 프루이트 역 성우진[편집] MBC[편집] 윤성혜 - 알렉스 프루이트(알렉스 D. 린즈) 이윤연 - 피터 보프레(올렉 크루파) 박영희 - 앨리스 리번스(리아 킬스테트) 권혁수 - 버튼 저니건(레니 본 돌린) 김강산 - 얼 엉거(데이비드 손턴) 전임복 - 헤스 부인(매리언 셀데스) 김용준 - 잭 프루이트(케빈 킬너) 최수진 - 캐런 프루이트(하빌랜드 모리스) 손원일 김영선 엄현정 고성일 김서영 김지영 이자옥 이상훈 최한 표영재 SBS[편집] 이선호 - 알렉스(알렉스 D. 린즈) 이윤선 - 보프레(올렉 크루파) 강희선 - 앨리스(리아 킬스테트) 성완경 - 제니건(레니 본 돌린) 김수중 - 웅거(데이비드 손턴) 이근욱 송연희 기경옥 최문자 조경모 윤복성 소연 김정은 외부 링크[편집]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올무비 vdeh나 홀로 집에영화 나 홀로 집에 (1990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3 (1997년) 나 홀로 집에 4 (2002년) 나 홀로 집에 5 (2012년) 음악 Home Alone (1991년) Home Alone 2: Lost in New York (1992년) Home Alone Christmas (1997년) 비디오 게임 나 홀로 집에 (1991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2006년) 관련 주제 존 휴즈 매콜리 컬킨 토크보이 vdeh존 휴스감독 아직은 사랑을 몰라요 (1984) 조찬 클럽 (1985) 신비의 체험 (1985) 페리스의 해방 (1986) 자동차 대소동 (1987) 결혼의 조건 (1988) 아저씨는 못말려 (1989) 내 사랑 컬리 수 (1991) 작가·각본가 별난 학교 동창회 (1982) 미스터 마마 (1983) 휴가 대소동 (1983) 네이트와 헤이스 (1983) 휴가 대소동 - 유럽 (1985) 핑크빛 연인 (1986) 사랑시대 (1987) 야외 소동 (1988) 크리스마스 대소동 (1989) 나 홀로 집에 (1990) 백마 타고 휘파람 불고 (1991) 귀여운 악마 (1991) 베토벤 (1992) 나 홀로 집에 2 (1992) 개구쟁이 데니스 (1993) 베이비 데이 아웃 (1994) 34번가의 기적 (1994) 101 달마시안 (1996) 플러버 (1997) 나 홀로 집에 3 (1997) 원나잇 크라임 (1998) 비지터 3 - 저스트 비지팅 (2001) 러브 인 맨하탄 (2002) 드릴빗 테일러 (20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_홀로_집에_3&oldid=22329943" 분류: 1997년 영화미국의 영화 작품영어 영화 작품속편 영화나 홀로 집에크리스마스 영화미국의 범죄 코미디 영화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영화20세기 폭스 영화감독 데뷔 영화미국의 코미디 영화미국의 첩보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나 홀로 집에 3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 홀로 집에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 홀로 집에 3Home Alone 3 감독 라자 고스넬 제작 존 휴스 각본 존 휴스 출연 알렉스 D. 린즈올렉 크루파리아 킬스테트케빈 킬너스칼렛 요한슨 배급사 20세기 폭스 개봉일 1997년 12월 12일 1998년 7월 17일 시간 105분 언어 영어 제작비 3,200만 달러 수익 $79,082,515 《나 홀로 집에 3》(영어: Home Alone 3)는 1997년 미국의 크리스마스 코미디 영화이다. 존 휴스가 각본를 쓰고 제작을 맡았고, 라자 고스넬가 감독하였다.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속편이지만 맥컬리 컬킨이나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가 참여하지 않은 첫 번째 작품이다. 기존의 맥컬리 컬킨이 연기한 주인공 역할에는 알렉스 D. 린즈가 캐스팅 되었으며 이 영화는 감독 마저 바뀌어 라자 고스넬이 감독하였으며, 속편은 2002년 텔레비전 영화 나 홀로 집에 4가 잇는다. 기존의 나홀로 집에 1~2편과는 완전히 다른 아이디어로 시작하였으며, 10대 인물로 어떻게든 맥컬리 컬킨을 캐스팅 하려 했으나 성사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인물을 중점으로 완전히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로 하여 기존의 아이디어를 변경하였다. 단 집의 배경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그대로 등장한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성우진 3.1 MBC 3.2 SBS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미국 국방부는 어떤 국제 범죄 조직에 의해서 일급 기밀 컴퓨터 칩을 도난당한다. 전 세계적으로 전문적이고 무자비한 절도 행위를 자행해온 국제 범죄 조직이 블랙 마켓에서 이 컴퓨터 칩을 대가로 천만 달러를 요구하고 있다. 이 무자비한 범죄 조직의 악당들은 홍콩에 있는 블랙 마켓의 대장을 찾아가 돈을 요구했다. 대장은 컴퓨터 칩을 찾아온다면 돈을 줄 것을 약속했고 48시간 이내에 컴퓨터 칩을 찾아오라고 했다. 이에 악당들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그 작지만 중요한 컴퓨터 칩을 찾아오기로 하였고 비행기를 타고 미국으로 갔다. 무사히 미국에 도착했고 캘리포니아 주 실리콘벨리에 있는 악당들의 비밀 요새에 숨겨둔 컴퓨터 칩을 찾아서 다시 홍콩으로 되돌아가려고 비행기를 타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국제 공항역에 머무르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겨버렸으니. 공항역에서 보안 검색대 직원들을 지나치게 의식하다보니 무선 조종 자동차에 숨긴 컴퓨터 칩을 잊어버리게 되었고, 대신 악당들 앞에는 빵이 들어있는 어떤 가방과 바뀌게 되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아낸 악당들은 서로 흩어져 주변을 수색해 봤지만 헛수고였다. 악당들은 다 된 밥에 죽을 쒀버린 꼴을 당해 절망적인 상태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적적으로 악당의 대장인 피터가 어떤 할머니에 의해서 컴퓨터 칩이 있는 무선 조종 자동차가 담겨진 가방이, 그 할머니의 물건과 바뀌어 버린 것을 알아채고, 그 할머니가 시카고로 향하는 것까지 알아챈다. 피터는 악당들에게 시카고로 갈 것을 제안했고, 결국 그 컴퓨터 칩을 다시 되찾기 위해서 시카고로 가는 비행기를 탄다. 악당들은 시카고에 도착하여 공항역 주변을 뒤져가면서 다시 그 할머니를 추적한다. 그러나 할머니는 공항역 안에 있는 자동차를 타고 공항역 밖으로 나갔기 때문에 결국 뛰면서 추적하는 악당들의 손에 벗어나 무사히 택시를 탈 수 있었다. 하지만 악당들 중 버튼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해서 할머니가 탑승한 택시 번호를 찍는 데 성공했다. 늦은 밤에 악당들은 공항역에서 할머니의 집까지 태워준 그 택시 기사를 찾아내었고 택시 기사에게 질문하여 할머니의 집을 알아낸다. 그런데 막상 할머니 집에 도착했을 때는 마을 전체의 가정들이 모두가 택시 기사가 묘사한 집과 똑같았다. 이제부터 네 명의 능숙한 고도의 훈련으로 무장한 국제 범죄자들은 컴퓨터 칩을 찾기 위한 계획적이고 치밀한 수색작업에 들어가는데 경찰과 군대와 FBI도 이들의 작전을 막을 수 없다. 알렉스 프루이트는 상상력이 풍부한 8살짜리 꼬마이다. 가족 모두는 일을 하느라 집을 비우게 되고, 수두를 앓고 집에 혼자 남겨진 알렉스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동네를 망원경으로 관찰하던 중 수상한 사람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음모에 대응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출연진[편집] 알렉스 D. 린즈 - 알렉스 프루이트 역 올렉 크루파 - 피터 보프레 역 리아 킬스테트 - 앨리스 리번스 역 레니 본 돌린 - 버튼 저니건 역 데이비드 손턴 - 얼 엉거 역 세스 스미스 - 스탠 프루이트 역 하빌랜드 모리스 - 캐런 프루이트 역 매리언 셀데스 - 헤스 부인 역 케빈 킬너 - 잭 프루이트 역 스칼렛 요한슨 - 몰리 프루이트 역 성우진[편집] MBC[편집] 윤성혜 - 알렉스 프루이트(알렉스 D. 린즈) 이윤연 - 피터 보프레(올렉 크루파) 박영희 - 앨리스 리번스(리아 킬스테트) 권혁수 - 버튼 저니건(레니 본 돌린) 김강산 - 얼 엉거(데이비드 손턴) 전임복 - 헤스 부인(매리언 셀데스) 김용준 - 잭 프루이트(케빈 킬너) 최수진 - 캐런 프루이트(하빌랜드 모리스) 손원일 김영선 엄현정 고성일 김서영 김지영 이자옥 이상훈 최한 표영재 SBS[편집] 이선호 - 알렉스(알렉스 D. 린즈) 이윤선 - 보프레(올렉 크루파) 강희선 - 앨리스(리아 킬스테트) 성완경 - 제니건(레니 본 돌린) 김수중 - 웅거(데이비드 손턴) 이근욱 송연희 기경옥 최문자 조경모 윤복성 소연 김정은 외부 링크[편집]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올무비 vdeh나 홀로 집에영화 나 홀로 집에 (1990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3 (1997년) 나 홀로 집에 4 (2002년) 나 홀로 집에 5 (2012년) 음악 Home Alone (1991년) Home Alone 2: Lost in New York (1992년) Home Alone Christmas (1997년) 비디오 게임 나 홀로 집에 (1991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2006년) 관련 주제 존 휴즈 매콜리 컬킨 토크보이 vdeh존 휴스감독 아직은 사랑을 몰라요 (1984) 조찬 클럽 (1985) 신비의 체험 (1985) 페리스의 해방 (1986) 자동차 대소동 (1987) 결혼의 조건 (1988) 아저씨는 못말려 (1989) 내 사랑 컬리 수 (1991) 작가·각본가 별난 학교 동창회 (1982) 미스터 마마 (1983) 휴가 대소동 (1983) 네이트와 헤이스 (1983) 휴가 대소동 - 유럽 (1985) 핑크빛 연인 (1986) 사랑시대 (1987) 야외 소동 (1988) 크리스마스 대소동 (1989) 나 홀로 집에 (1990) 백마 타고 휘파람 불고 (1991) 귀여운 악마 (1991) 베토벤 (1992) 나 홀로 집에 2 (1992) 개구쟁이 데니스 (1993) 베이비 데이 아웃 (1994) 34번가의 기적 (1994) 101 달마시안 (1996) 플러버 (1997) 나 홀로 집에 3 (1997) 원나잇 크라임 (1998) 비지터 3 - 저스트 비지팅 (2001) 러브 인 맨하탄 (2002) 드릴빗 테일러 (20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_홀로_집에_3&oldid=22329943" 분류: 1997년 영화미국의 영화 작품영어 영화 작품속편 영화나 홀로 집에크리스마스 영화미국의 범죄 코미디 영화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영화20세기 폭스 영화감독 데뷔 영화미국의 코미디 영화미국의 첩보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새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우(Shrimp)는 절지동물문·갑각아문·연갑강·십각목(새우목) 중 게(단미류)나 소라게(이미류) 등을 제외한 동물의 총칭이다. 굽은 등에 수염이 길고 발이 여러 개 있으며, 딱딱한 껍질 속에 흰 살이 들어 있는, 물에 사는 작은 동물이다. 예전에는 장미아목(長尾亞目, Macrura)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대부분 범배아목 생이하목과 수상새아목에 속한다. 새우는 전 세계에 걸쳐 민물과 바닷물에 서식한다. 평소에는 앞으로 헤엄치지만, 지느러미처럼 생긴 꼬리채를 재빨리 휘둘러 뒤로 헤엄칠 수도 있다. 보리새우와 더불어, 인간의 소비를 위해 잡히고 사육된다. 새우의 크기는 작게는 1~2cm이고, 크게는 20~30cm이다. 목차 1 형태 2 생활사 3 새우와 사람 4 새우에 관한 속담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형태[편집] 유럽갈색새우(Crangon crangon)의 구조 새우의 몸은 게와 마찬가지로 키틴질을 포함하는 단단하고 뻣뻣한 갑각으로 싸여 있고, 여러 개의 몸마디로 되어 있다.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와 가슴은 융합하여 등딱지를 이룬다. 등딱지는 석회질화한 껍데기로 싸여 있는데 이 껍데기를 갑각(甲殼)이라 한다. 갑각은 머리 부분의 뒷가장자리 피부에서 나오는 주름에서 발생한 것이다. 눈마디를 하나의 몸마디로 보면 머리는 6마디, 가슴은 8마디, 배는 7마디로 몸 전체가 21마디로 되어 있다. 각 몸마디에는 한 쌍의 부속지(附屬肢)가 있고 배는 잘 발달되어 있다. 배갑 앞쪽에 하나의 이마뿔이 있는데, 이마뿔은 움직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움직이는 것도 있다. 각 마디는 각각 독립된 껍데기로 싸여 있고, 관절로 연결되어 자유로이 굽혔다 펼 수 있다. 각 모마디에 있는 1쌍씩의 부속지는 부위에 따라 형태와 기능상의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 머리 부속지로는 눈·작은더듬이·더듬이·큰턱·제1작은턱·제2작은턱 등이 있는데, 눈은 보통 한 쌍이며 눈자루와 그 끝에 있는 각막으로 되어 있다. 각막은 투명한 큐티클 층으로 겹눈을 덮고 있다. 몸 속에 호흡계·소화계·순환계·배설계·신경계·감각 기관·근육계 등 여러 가지 기관계가 들어 있다. 호흡계를 이루는 것은 아가미인데, 이것은 가슴다리의 기부에 있으며, 갑각에 덮인 아가미방 안에 들어 있다. 아가미는 구조상 나무 모양 아가미, 실 모양 아가미, 잎 모양 아가미로 구분된다. 소화계로는 입·식도·위·중장·직장·항문 등이 있다. 중장의 배쪽에 간·이자의 관이 열려 있고, 등쪽에 맹장이 열려 있다. 간·이자에서 나오는 소화액은 먹이에 섞이며, 소화 생산물은 중장에서 흡수된다. 새우는 자랄 때마다 낡은 껍데기를 벗고 새 갑각으로 갈아입는 탈피를 한다. 탈피를 하면 잃어버린 부속지도 새로 난다. 새우의 감각 기관으로는 눈·평형포·감각털 등이 있다. 생활사[편집] 생식과정은 교미, 수정과 산란, 포란, 유생의 부화와 그 후의 발생 등으로 구분된다. 알은 산출되면 암컷의 배다리에 붙게 되는데 이것을 포란이라 한다. 갓 부화한 새끼는 다리가 달린 아주 작은 조롱박처럼 보이는데 2-4주가 지나면 몇 차례 변화를 거쳐 성체를 축소시켜 놓은 듯한 모습이 된다. 크기가 작은 새우는 대부분 플랑크톤을 먹는다. 또 몸집이 큰 새우는 바다 바닥에 사는 것을 먹는다. 또 새우들은 물고기와 물 속에 사는 다른 동물의 중요한 먹이가 된다. 어떤 새우는 물고기의 아가미와 입, 비늘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잡아먹어 청소부 역할을 한다. 운동기관은 가슴다리·배다리·배 전체이다. 유영류에서는 배다리를 움직여 헤엄쳐 다니고, 파행류에서는 가슴다리로 걷는다. 보통은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지만 위급할 때는 배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재빨리 후퇴하는 습성이 있다. 계절에 따라 회유하는 것이 있는데, 여름철에는 연안이나 얕은 곳으로, 겨울철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산란을 위해 이른 봄 또는 여름에 연안·내만·내해의 얕은 곳으로 오는 것도 있다. 새우와 사람[편집] 새우구이. 바닥에 소금을 깔고 굽는 모습이다.새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어 세계 각국에서 귀중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물사료나 낚시미끼로도 쓰인다. 한국 연해와 민물에서는 약 80종의 새우류가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서 잡히는 새우의 약 1/3이 아시아에서 잡히며 양식을 하기도 한다. 새우의 요리법은 다양하여 삶아 말려서 먹기도 하고 튀김으로 먹기도 하고 새우젓을 만들기도 한다. 꿍솟 섀 남쁘라. 태국의 새우요리이다. 새우에 관한 속담[편집]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강한 사람들끼리 싸우는 속에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보는 경우) 새우로 잉어를 잡는다(작은 투자로 큰 횡재를 했을 경우) 새우 벼락 맞던 이야기를 한다(지난 일을 공연히 꺼내 쓸데없는 이야기를 할 때) 같이 보기[편집] 크릴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새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새우의 정의 (어린이용) - Curlie (DMOZ 기반) (영어) 새우의 생물학적 설명 - Curlie (DMOZ 기반) (영어) 새우 요리법 - Curlie (DMOZ 기반) vdeh현존하는 십각목의 상과 계: 동물계 상문: 탈피동물상문 문: 절지동물문 아문: 갑각아문 강: 연갑강 아강: 진연갑아강 상목: 진하상목 수상새아목 보리새우상과 젓새우상과 범배아목해로새우하목 마크로막실로카리스과 스퐁기콜라과 해로새우과 프로카리스하목 프로카리스상과 생이하목 돗대기새우상과 오플로포루스상과 새뱅이상과 브레실리아상과 네마토카르키누스상과 프살리도푸스상과 긴손가락새우상과 캄필로노투스상과 징거미새우상과 딱총새우상과 짧은뿔새우상과 도화새우상과 피세토카리스상과 자주새우상과 가재하목 암초가재상과 가시발새우상과 가재상과 남방가재상과 글립페아하목 글립페아상과 가재아재비하목 가재아재비과 쏙붙이과 칼리아니데아과 칼로카리스과 크테노켈레스과 에이코낙시우스과 미켈레아과 스트라락시우스과 토마시니아과 쏙하목 악시아나사과 가재붙이과 탈라시나과 쏙과 닭새우하목 닭새우과 꼬마매미새우과 폴리켈레스하목 폴리켈레스과 집게하목 아이글라상과 새우아재비상과 새우붙이상과 게가재상과 왕게상과 로미스상과 참집게상과 단미하목해면치레절 해면치레상과 호몰로드로미아상과 호몰라상과 닭게절 닭게상과 키클로도립페절 키클로도립페상과 에우브라키우라절헤테로트레마타아절 아이트라상과 벨리아상과 비토그라이아상과 금게상과 은행게상과 붉은무늬부채게상과 털게상과 긴수염게상과 다이라상과 조개치레상과 에리피데스상과 게카르키누쿠스상과 원숭이게상과 헥사푸스상과 밤게상과 물맞이게상과 범게상과 팔리쿠스상과 자게상과 애기털보부채게상과 꽃게상과 포타몬상과 프세우도텔푸사상과 프세우도지우스상과 레트로플루마상과 산호게상과 트리코닥틸루스상과 부채게상과 토라코트레마타아절 크립토키루스상과 바위게상과 달랑게상과 속살이게상과 십각류의 과 목록 vdeh고기 본문  사냥감 : 생선 : 고기 : 가금 : 해산물 가금류와 사냥 고기 곰 닭 오리 칠면조 거위 꿩 뇌조 타조 기러기 메추라기 자고새 비둘기 박쥐 원숭이 토끼 사슴 캥거루 뱀 거북 기각류 앨리게이터 크로커다일 가축 소와 송아지 들소 물소 개 고양이 낙타 코끼리 염소 기니피그 말 양 라마 돼지 야크 곤충 생선과 해산물 게 가재 바닷가재 새우 멸치 베트남메기 배스 메기 잉어 대구 검정우럭 돌고래 장어 가자미 참바리 해덕 넙치 청어 대서양고등어 참고등어 만새기 돛새치 젖빛고기 납작금눈돔 꽁치 농어 민물꼬치고기 폴록 연어 정어리 납서대 황새치 틸라피아 송어 다랑어 명태 성게 해삼 멍게 고래 상어 조리법 간 숙성 구이 고기완자 내장 마른고기 바비큐 베이컨 살라미 살루메 소시지 스테이크 스튜 양념장 연육화 염장 염장고기 육회 생육회 절임 조림 찜 촙 커틀릿 케밥 콘드 비프 타르타르 스테이크 튀김 패티 페퍼로니 퐁뒤 해기스 햄 훈제고기 관련 주제 정육점 식인 배양육 식물성 고기(육류 유사체) 고기 절단기 식육 윤리 식품 보존 도축 적색육 백색육 전거 통제 LCCN: sh85122129 GND: 4155967-8 NDL: 0056176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새우&oldid=24455441" 분류: 십각목해산물식용 갑각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위키데이터 생물 분류 ID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문서생물 분류가 아닌 잠재적인 문서의 생물 분류 식별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বাংলাBrezhonegCatalà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NouormandOccitanPortuguêsRomânăSicilianuSimple EnglishKiswahiliไทยTiếng ViệtWalonVahcuengh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5: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충청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청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청대학교Chung Cheong University표어 성실·협동·창의 종류 전문대학설립 1983년종교 무교총장 오경나설립자 오범수학교법인 학교법인 충청학원학생 수 4,778명 (2017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31명 (2017년)[1]기타교원: 330명 (2017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월곡길 38교색 초록색웹사이트 충청대학교 홈페이지 충청대학교의 위치 충청대학교(忠清大学校, Chung Cheo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이다. 1983년 충청실업전문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하여 1998년에 충청대학으로 개명하고, 2012년에 현재 충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목차 1 연혁 2 교육 편제 3 저명한 동문 4 각주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81년 6월 29일 학교법인 충청학원 교육부 인가 1983년 3월 16일 충청실업전문대학으로 개교 1990년 11월 13일 충청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년 5월 1일 충청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9년 3월 17일 사회교육원 개원 2000년 1월 31일 창업보육센터 개원 2000년 10월 13일 컨벤션센터 준공 2003년 6월 4일 여학생 생활관 준공 2004년 8월 24일 문예관(아트홀) 준공 2012년 2월 1일 충청대학교로 교명 변경 교육 편제[편집]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간호학과 응급구조과 의료미용과 치위생과 식품영양외식학부 식품영양전공 식품전공 호텔외식조리전공 미용예술과 보건의료정보과 식의약품분석과 안경광학과 건축인테리어학부 건축전공 인테리어디자인전공 전기전자학부 반도체장비전공 전기전공 항공자동차기계학부 기계설계전공 자동차전공 항공기계전공 군사학부 국방기술경영전공 국방정보통신전공 전자컴퓨터학부 전자통신전공 컴퓨터정보전공 생명화공과 소방안전과 도시건설정보과 품질경영과 항공보안과 경찰행정과 아동보육과 유아교육과 경영회계학부 경영전공 회계전공 항공호텔관광학부 일본어통역전공 항공관광전공 호텔바리스타전공 사회복지과 부동산지적과 한중비즈니스과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패션디자인전공 예술학부 방송광고제작전공 실용음악전공 사회체육과 굵은 글씨는 4년제 학사학위과정이 가능하다.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충청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충청대학교 대학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충청대학교 홈페이지 vdeh 충청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공군사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충북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증평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 공립 충북도립대학교 사립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극동대학교 꽃동네대학교 서원대학교 세명대학교 순복음총회신학교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유원대학교 (영동캠퍼스) 중원대학교 청주대학교 전문대학 강동대학교 대원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 고등학교 대학교 한국대학야구연맹서울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부산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대구 계명대학교 인천 인천재능대학교 인하대학교 광주 동강대학교 송원대학교 세종 홍익대학교 경기 경희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계사이버대학 중앙대학교 강원 강릉영동대학교 충북 건국대학교 유원대학교 충남 단국대학교 전북 원광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호원대학교 전남 세한대학교 경북 영남대학교 경남 경남대학교 제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한국대학야구협회 가천대학교 평생교육원 세종대학교 평생교육원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KBS스포츠예술과학원 농구부 야구부 축구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충청대학교&oldid=23449003" 분류: 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1983년 개교충청북도의 전문대학청주시의 학교흥덕구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1일 (금) 09: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클로즈드 볼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로즈드 볼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로즈드볼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로즈드 볼트 방식(closed bolt design, closed bolt firing, 폐쇄 노리쇠 방식)은 자동화기에서 발사 준비 상태일 때, 탄약이 약실에 있고 노리쇠(bolt)가 약실을 폐쇄하고 있는 방식이다.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가 전진하여 격발된다. 대부분의 자동소총(M16 소총, AK-47)과 소수의 기관단총(헤클러&코흐 MP5 등)에서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다수의 기관총 및 기관단총에서는 오픈 볼트(open bolt) 방식을 사용한다. 목차 1 오픈 볼트 방식과의 비교 1.1 장점 1.2 단점 2 클로즈드 볼트 방식 화기 3 복합 방식 무기 4 읽을거리 오픈 볼트 방식과의 비교[편집] 장점[편집] 다음과 같은 이유로 초탄 명중률이 높다. 방아쇠를 당겼을 때 노리쇠나 노리쇠 뭉치와 같은 주요 작동 부품들이 움직이지 않는다. 탄약이 약실에 장전된 상태로 있다. 소음 화기에서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를 전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격발 후 노리쇠 및 노리쇠 뭉치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작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탄약 1발을 약실에 장전시켜 놓음으로써 탄창 용량보다 더 많은 탄약을 가지고 다닐 수 있다. 단점[편집]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다. 약실의 열 발산이 적다. 지속 사격 시 약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탄의 화약이나 뇌관이 발화(cook-off)되기 때문에 오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클로즈드 볼트 방식 화기[편집] 대부분의 자동소총 M16 소총 AK-47, AK-74 K2 소총 FN FNC SA80 헤클러&코흐 G36 FN FAL 헤클러&코흐 G3 기관단총 K1 기관단총 헤클러&코흐 MP5 헤클러&코흐 UMP 헤클러&코흐 MP7 미니 우지 복합 방식 무기[편집] FG-42 : 반자동 사격시에는 클로즈드 볼트 방식으로 작동하고, 완전 자동 사격시에는 오픈 볼트 방식으로 작동한다. 읽을거리[편집] 오픈 볼트 화기 작동 방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로즈드_볼트&oldid=10334528" 분류: 화기 작동 방식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日本語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3년 3월 9일 (토) 17: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교토 상가 FC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교토 상가 FC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교토 상가 FC 전체 이름 京都サンガFC 별칭 상가 리그 J2리그 창단 연도 1922년 감독 누노베 다카노리 경기장 니시쿄고쿠 육상경기장 수용 인원 20,389 웹사이트 http://www.sanga-fc.jp/ 2018 J2 19위 홈 어웨이 교토 상가 FC(일본어: 京都サンガFC)는 일본 교토를 연고지로 하는 J리그 팀으로 1922년에 창단했다. 오찌힝즈(일본어: オチヒンズ)라는 애칭으로 불린다.[출처 필요] 2007년에 기존의 교토 퍼플 상가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팀명인 "상가"(일본어: サンガ 산가[*])는 연맹, 또는 연합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의 "Sangha"에서 온 말로 승보에 해당한다. 이는 불교 도시인 교토를 상징한다. 목차 1 역사 2 기록 3 우승 타이틀 4 선수 4.1 현재 선수 명단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22년 교토사범학교 OB들의 축구동호회인 교토 자광 클럽(일본어: 京都紫光クラブ, 교토 시코 크라부)으로 출발했고, 1993년 J리그 출범 당시 교토 시민들이 "교토에도 J리그 팀을"이라는 슬로건 하에 25만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1994년 1월에 교세라, 닌텐도, 와코루 등 교토의 향토기업들이 합자한 "교토 퍼플 상가"가 설립되었고, 동년 7월에는 J리그 준회원의 승인을 받는다. 1995년 JFL 준우승으로 아비스파 후쿠오카와 J리그에 동반승격하나, 2000년에는 종합순위 15위에 그쳐 J2로 강등된다. 2001년 박지성, 마쓰이 다이스케의 활약으로 J2를 우승해 1년 만에 J1에 복귀하게 되었고, 2002년에는 종합순위 5위와 사상 첫 천황배 우승으로 팀의 최전성기를 맞게 되나 이듬해인 2003년도에 종합순위 16위로 추락해 재차 J2로 강등된다. 이 후 2005년 J2 우승으로 승격하나 이듬해 종합순위 18위로 강등되었고, 2007년 J리그 교체전을 통해 다시 승격하는 등 널뛰기 성적을 계속하다가 2010년 연패를 반복한 끝에 17위를 기록, 리그 최다인 4번째 강등을 기록하였다. 2011년에는 J2 7위에 그치며 승격하지 못하였고, 2012년에는 정규 시즌 마지막에 반포레 고후와 득점 없이 비기며 쇼난 벨마레에게 2위 자리를 내주고 승격 플레이오프로 밀려난 뒤 오이타 트리니타에게 0:4로 완패하며 승격이 또 좌절되었다. 기록[편집] 시즌 디비전 팀 수 순위 평균관중 J리그컵 천황배 1996 J1 16 16 9,404 조별 예선 8강 1997 J1 17 14 7,881 조별 예선 4 라운드 1998 J1 18 13 8,015 조별 예선 3 라운드 1999 J1 16 12 8,859 2 라운드 4 라운드 2000 J1 16 15 7,253 4강 3 라운드 2001 J2 12 1 3,808 1 라운드 4 라운드 2002 J1 16 5 10,352 조별 예선 우승 2003 J1 16 16 10,850 조별 예선 3 라운드 2004 J2 12 5 7,807 - 4 라운드 2005 J2 12 1 7,857 - 4 라운드 2006 J1 18 18 9,781 조별 예선 4 라운드 2007 J2 13 3 6,629 - 3 라운드 2008 J1 18 14 13,687 조별 예선 5 라운드 2009 J1 18 12 11,126 조별 예선 3 라운드 2010 J1 18 17 10,510 조별 예선 3 라운드 2011 J2 20 7 6,294 - 준우승 2012 J2 22 3 7,273 - 3 라운드 2013 J2 22 3 7,891 - 3 라운드 2014 J2 22 9 7,520 - 3 라운드 2015 J2 22 17 7,491 - 3 라운드 2016 J2 22 5 6,524 - 2 라운드 2017 J2 22 12 6,748 - 2 라운드 출처: J리그 데이터 우승 타이틀[편집] 천황배 : 우승 2회 1988년, 2002년 J리그 디비전 2 : 우승 2회 2001년, 2005년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스게노 다카노리 (주장) 2 DF 유자와 마사토 3 DF 다카하시 유지 4 DF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 5 MF 요시노 쿄헤이 6 DF 혼다 유키 7 MF 다무라 료스케 13 FW 이와사키 유토 14 MF 센토 게이야 15 DF 소메야 유타 18 MF 모치즈키 레오 19 FW 오노 요헤이 20 MF 이토 슌 21 GK 시미즈 게이스케 22 MF 고야마쓰 도모야 23 MF 시마무라 다쿠야 번호 포지션 이름 24 DF 우치다 쿄헤이 25 DF 아사다 쇼고 26 DF 시모하타 쇼고 27 GK 김철호 29 GK 나가이 다츠노리 30 DF 이시비쓰 요스케 31 FW 오구로 마사시 34 GK 와카하라 도모야 38 MF 시게히로 다쿠야 39 FW 세르히오 에스쿠데로 41 DF 쓰치야 유키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공식 사이트 vdeh J리그J1리그 (2018년) 가시마 앤틀러스 가시와 레이솔 가와사키 프론탈레 감바 오사카 나고야 그램퍼스 FC 도쿄 베갈타 센다이 비셀 고베 사간 도스 산프레체 히로시마 세레소 오사카 쇼난 벨마레 시미즈 에스펄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주빌로 이와타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V-파렌 나가사키 J2리그 (2018년) 교토 상가 FC 기후 도치기 SC 도쿄 베르디 도쿠시마 보르티스 레노파 야마구치 로아소 구마모토 마쓰모토 야마가 마치다 젤비아 몬테디오 야마가타 미토 홀리호크 방포레 고후 아비스파 후쿠오카 알비렉스 니가타 에히메 FC 오미야 아르디자 오이타 트리니타 요코하마 FC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츠바이겐 가나자와 카마타마레 사누키 파지아노 오카야마 J3리그 (2018년)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가이나레 돗토리 감바 오사카 U-23 그루자 모리오카 기라반츠 기타큐슈 나가노 파르세이루 더스파구사쓰 군마 FC 도쿄 U-23 FC 류큐 반라우레 하치노헤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SC 사가미하라 세레소 오사카 U-23 아술 클라로 누마즈 YSCC 요코하마 카탈레 도야마 후지에다 MYFC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교토_상가_FC&oldid=24056126" 분류: 교토 상가 FCJ리그 구단교토시의 스포츠1922년 설립된 축구단일본 사커 리그 구단재팬 풋볼 리그 구단교토부의 스포츠팀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9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5: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북송 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송 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광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광윤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조광윤 (시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송 태조宋 太祖 지위 북송의 초대 황제 재위 960년 ~ 976년 후임자 태종 이름 묘호 태조(太祖) 시호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 신상정보 부친 선조 모친 소헌황후 배우자 효혜황후효명황후효장황후 조광윤趙匡胤 생애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 (49세) 출생지 하북성 고안현 사망지 동경 개봉부 별명 북송 태조 복무 오대 십국 후한/후주 복무 기간 946년 ~ 960년 최종 계급 금군 사령관 지휘 후주 금군 등 기타 이력 북송의 건국자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2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 1.3 시대상의 혼란 1.4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 1.5 배주석병권 2 북송 황제 2.1 통일 전쟁 2.2 정책 2.3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 2.4 생애 후반 3 존호, 시호, 묘호 4 친족 4.1 조부모와 부모 4.2 형제 4.3 황후 4.4 황자 4.5 황녀 5 연호 6 평가 7 기타 7.1 독살설 7.2 화예부인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문헌 11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조광윤은 하북성 탁주(涿州) 고안현 사람으로 부친은 오대 십국때 후당의 금군 장관이었던 조홍은(趙弘殷)이었고, 모친은 두씨(杜氏)이다. 한족[1]이었던 그는 삼국시대 촉한의 유비와 동향[1]이기도 했다. 조홍은과 두태후의 둘째 아들이었던 조광윤에게는 형 조광제, 친동생 조광의와 동생 조광찬, 그리고 이복 동생 조정미가 있었다. 형 조광제(趙光濟)와 막내 동생 조광찬이 요절하면서 그는 사실상 장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되었다. 후당(後唐), 후진(後晋), 후한(後漢)의 3조를 섬기던 부친은 그에게 기대를 걸었고, 그는 아버지 조홍은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군관의 꿈을 키우게 된다. 당나라의 관료 가문이었던 조광윤의 선조는 증조부 부터 이같은 제위 찬탈을 노리는 군벌 아래에서 군관으로 공로를 쌓아왔고 그의 아버지는 956년 사망할 당시에 상당한 고위직 군관이었다. 아버지 조홍은은 후당의 근위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1] 조광윤의 어머니 두씨는 고관의 아내였음에도 사치하지 않고 겸손하였다. 어머니 두씨의 성실성과 지혜와 통찰력은 조광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961년 두씨가 죽은 뒤 조광윤은 황제라는 지위에 얽매이지 않고,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했다고 한다. 946년 20세에 군문에 입대, 후한(後漢)의 장수였던 추밀사(樞密使) 곽위(郭威)의 막료가 되었다. 조광윤은 처음에 후한의 대장 곽위(郭威)의 휘하에 있으면서 무예를 좋아하여 곽위의 눈에 들었다. 948년 곽위를 따라 전장을 누비며 공을 세웠다. 951년 곽위가 후한을 멸망시키고 칭제, 후주(後周)를 건국하자 그는 곽위를 도왔고 개국공신으로 금군군관(禁軍軍官), 전장금군(典掌禁軍)에 보직되었으며 이후 동방과 서방 원정을 수행하였다.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편집] 후주 세종 시영(柴榮)의 부하가 되어 근위군의 장관이 되었다. 이후 시영을 따라 남정에 참여하였으며 양주(揚州) 등지를 공략했다. 후주에서 그는 광국절도사(匡國軍節度使), 전전도지휘사(殿前都指揮使)를 거쳐 검교태위전전도검(檢校太傅殿前都檢), 금군총장령(禁軍總將領)을 역임했다. 시영이 죽자 아들인 시종훈(공제)이 제위를 계승했는데 그의 나이는 7세에 불과했다. 전란의 시대에 어린 군주에게 불안을 느낀 군인들은 자신의 수장인 조광윤이 권력을 쥐는 것을 원했고 마침내 조광윤을 제위에 옹립하는데 이것을 (진교의 변) 이라고 한다. 사건의 경위는 다음과 같다. 960년 초에 북한이 거란과 손잡고 쳐들어왔다. 군사 실력자 조광윤은 이를 막기 위해 북상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카이펑을 떠난 다음날 밤, 진교(카이펑 북방에 있는 소도시)에서 숙영할 때 술이 많이 취해 잠든 그를 동생 조광의가 깨워서 마당으로 끌고 나갔다. 연병장에는 칼을 받쳐든 장교들이 늘어서 있었다. 그들은 조광윤을 보자 마자 외쳤다. "부디 천자가 되어주십시오.[1]" 조광윤이 깨는 순간 순식간에 그의 몸에 천자의 황포가 입혀지고, 만세 (만세는 황제에게만 쓰는 용어이다.)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장교들이 조광윤을 부축하여 말에 태웠다.[1] 조광윤은 개봉에 돌아와서 공제로부터 황위를 물려받아 국명을 대송(大宋)이라고 했다. 그리고 수도는 그대로 카이펑으로 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은 후에 북송이 건국 후, 조광윤의 제위 찬탈을 인의적으로 조작한 것으로 실제로는 조광윤이 무력으로 정권을 빼앗은 찬탈이었다. (그 예로 위에 나온 북한과 요나라의 공격은 당사국인 요나라의 요서에 존재하지도 않고, 한 나라의 총사령관이 출정때 술을 마셨다는 것과 부하들이 당시 황제만 입던 황포를 입혔다고 나온것 자체가 수상하기 짝이 없다.) 준비했던 작전대로 조광윤은 진교에서 회군하여 개봉을 공격했다. 이때 필사적으로 조광윤의 군대를 막았던 금군 총사령관 한통(韓通)이 전사했다. (혹은 조광윤이 자객을 보내 암살했다는 말도 있다.) 그리고 시종훈(공제)를 압박하여 선양이라는 형식적인 절차로 제위를 빼앗았다. 963년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여, 출병한다. 976년 오나라와 월나라 그리고 북한의 잔재를 정복하고, 거란족을 만리장성 밖으로 몰아냈으나 통일 전 50세에 급사를 하게 된다. 동생 태종에 살해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지만, 두주불사하는 그의 음주 습관 때문에 질환에 의한 급사라고 하는 설도 있다. 시대상의 혼란[편집] 당시 시대였던 오대십국 시대가 시작된 해는 당나라가 완전히 멸망한 907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왕조로써의 당나라는 875년 ~ 884년에 걸쳐 일어난 황소의 난에 의해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고, 그 후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관중지역을 지배한 일개 지방정권으로 추락하여 주전충(朱全忠)과 이극용(李克用) 등 절도사 세력이 함께 존재하는 난립상태라고 말할 수 있었다. 오대십국의 오대는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를 뜻하며, 십국은 오월, 민, 형남, 초. 오, 남당, 남한, 북한, 전촉, 후촉을 포함한다.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편집] 당시 후주의 재상이었던, 범질(范質)과 왕부(王溥)는 조광윤과 협상을 했는데 내용은 공제의 제위를 빼앗는 대신 시씨 가문의 보호였다. 이와 같은 맹약으로 조광윤은 시종훈을 죽이지 않았고, 시종훈의 자손은 남송의 멸망 때까지 두터운 보호를 받았다. 시종훈은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송태종은 황제의 예로 장례를 치뤄준다. 태조가 '진교병변' 후에 회군하여 변경 황궁으로 들어왔을 때 어떤 후궁이 어린애를 안고 있는 것을 보고 누구의 아이인지를 묻자 후주 세종의 아들이라 대답했다. 이때 태조는 한 쪽에 서 있던 범질, 조보, 반미(潘美)에게 그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지 물었다. 조보 등은 당연히 제거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대답했지만, 태조는 "내가 남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의 자식마저 죽여야 하다니, 나는 차마 그러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태조는 그 아이를 반미에게 키우라고 준 후에 이후 그 아이에 대해서 묻지 않았으며, 반미도 태조에게 그 아이 이야기를 한번도 꺼내지 않았다. 그 아이는 성인이 된 후에 이름을 유길(惟吉)이라 하고 송조에서 벼슬이 자사(刺史)에 이르렀다. 배주석병권[편집] 휘하 장수들과 술을 마시고, 황제로 옹립되었던 송태조는 961년 역으로 금위군(禁衛軍) 장수 석수신(石守信) 등의 휘하 장수들을 초청하여 말술을 먹이고, 병권을 자발적으로 내놓게 하는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을 단행하였다. 정세가 안정된후 조광윤은 석수신 등 공신들을 초청해 연회를 차렸다. 연회 참석자들이 한창 주흥이 도도해 졌을무렵 조광윤은 갑자기 시종들을 멀리하고 엄숙하게 공신들에게 말하기를 '만일 당신들의 힘이 없었다면 나는 황제로 될 수 없었을 것이오. 그러나 황제가 된 후 나는 매일 편안한 밤을 잘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 말은 들은 장교들은 놀라움을 표하면서 "우리가 어찌 감히 황제에게 다른 마음을 가질수 있겠습니까?"라고들 답했다. 조광윤은 이때 "당신들은 비록 황위를 탐내지 않는다고 치더라도 당신들의 수하에 부귀를 꿈꾸는 자들이 있을까 봐 두려운 것이오. 만일 당신들에게 황포를 걸쳐주는 사람들이 있으면 당신들도 거절하기 힘들 것이 아니겠는가 말이오."라고 말했다. 이에 공신들은 다급히 어떻게 하면 황제를 안심하게 할 수있는가고 조광윤에게 물었다. 조광윤은 크게 한숨을 내쉬면서 "사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재부(財富)라고 보아지오. 당신들은 아예 권리를 내놓고 지방에 내려가 땅을 사고 호화저택 지어놓고 살면서 나와 친척으로 지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소"라고 답했다. 장교들은 조광윤의 말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가 있었다. 다음날 모든 고급 장교들은 모두 황제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였고, 조광윤은 바로 그들의 직무를 해임시켰다.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의 혼란이 군벌의 폐해로 일어났다고 생각한 송태조는 휘하의 군벌들에게도 그러한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하고 술자리에서 자신의 고민을 토로함으로써 하루 저녁에 군벌들의 세력을 넘겨받아 중앙으로 복속시킨다. 이 사건은 지방 군벌에 의한 군웅할거의 국면을 종식시키는 계기가 된다. 태조는 동일한 수단으로 왕언초(王彦超) 등 여러 명의 절도사들의 병권도 박탈하고, 지방의 행정과 재정을 모두 중앙으로 복속시켰다. 북송 황제[편집] 즉위 직후 시영의 신하로 자리를 찬탈했다는 비난에 직면하였다. 태조가 말을 타고 출궁하였다가 대계교(大溪橋)에 당도했을 때 갑자기 화살이 하나 날아와서 황룡기(黃龍旗)에 꽂혔다. 금위군이 당황하자 그는 오히려 가슴을 치면서 "내게 활쏘는 법을 가르쳐 줘 고맙구나!"라고 하고는 금위군이 화살 쏜 사람을 잡지 말라 하였다. 통일 전쟁[편집] 과거제도의 정비와 내치의 안정을 바탕으로 송태조 조광윤은 통일 전쟁을 시행하였다. 963년 중국대륙의 가장 중요한 요지라 할 수 있는 호북성의 형남을 합병했다. 965년에 사천성의 후촉을 병합하고 이땅의 풍부한 물산을 빼앗아 전쟁 비용을 보충한다. 970년경이면 조광윤은 중국의 북부지역을 거의 통일하게 된다. 한편으로 만리장성 안을 넘보던 거란족의 요나라를 정벌하고 후진 때 빼앗겼던 연운 16주를 수복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971년 광동을 지배하던 남한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975년 화남에서 최대세력을 자랑하던 남당을 멸망시키게 되었다. 남은 것은 북쪽의 북한과 남쪽의 오월뿐이었지만 태조는 당돌에서 병사했다. 정책[편집] 계속된 오대십국의 혼란으로 조광윤은 군벌의 힘을 억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나라 때부터 전란의 원인이 되고 있었던 절도사의 힘을 조금씩 줄여 단순한 명예직으로 남겨두었다. 조광윤은 많은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권한을 줄여나갔다. 조광윤의 정치는 만사가 이러한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혈사를 일으키는 것을 싫어했다. 실력있는 인재를 지역색에 가림없이 널리 구해야 된다는 유학자 출신 조보(趙普)의 충고를 받아들여 인재 채용에 관심을 기울였고, 무인정치를 폐하고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시켰다. 이는 일종의 군벌 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려던 그의 정책적인 측면과도 일부 상통했다. 지방에 파견되던 군사지도자 성격의 절도사(節度使) 지배체제를 폐지하고 중앙에서 절도사를 직접 임명하여 파견하되 절도사에게 부여되던 재량권(행정, 사법, 군사권)을 대폭 축소시키고 중앙정부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방관 역시 중앙에서 직접 파견하게 하여 행정적 측면에서도 중앙집권화를 꾀하였다. 지방의 주와 군의 관리들의 재량권을 대폭 축소, 지방의 군권, 재정권, 사법권을 조정에 귀속시키고 중앙에 민정·병정·재정의 3권을 집중하고 금군을 강화하여 황제의 권한을 향상시켰다. 군권을 중앙에 귀속, 집중시키고도 군대 이동이 빈번하고 지방에 파견된 절도사와 군사 지휘관들이 독자세력을 형성하는 것을 경계하여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데 노력했는데 이는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이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과거제도를 개선하여 전시(殿試)를 행하고, 무인보다 문인이 상위에 서는 문치주의를 확립했다. 과거시험이 실질적으로 관료선발 제도로 제 기능을 한 것은 송나라 때부터라고 한다. 흔히 조광윤이 폈던 문민통제 정책이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을 약화시킨걸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남송은 최전성기의 몽골 정예 기병을 상대로 가장 오랫동안 항전한 나라이다. 그는 관료들에게 독서를 권고하였는데 송나라시기 지식인에 대해 중시하고 우대해 주었기에 책을 읽는 풍토를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자신도 독서와 강독에 최대한 참여하려 노력했다. 관료 선발에도 직접 관심을 갖고 지도하였는데, 문관 등용에서 신분의 따지지 않고 평등한 과거 경쟁을 통해 문관들을 대거 발탁했다.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파견되는 관료의 채용을 위한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황제가 형식적으로 주관하거나 보고를 받던 이전의 황제들과는 달리 황제가 직접 과거시험을 실시, 주관하는 전시(殿試)와 어시(御試) 횟수를 늘렸다. 수리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토로 조성하거나 식수조림을 장려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개국황제들이 후환을 없애기 위해, 이전 군주들을 죽인 것에 반해 조광윤은 후주의 시씨를 시작으로 항복한 나라들의 군주들을 살리고, (물론 시씨 같은 경우는 위에 나온 협약 때문 이었고, 점령한 나라들의 반발의 우려 때문이었다.) 귀족으로서의 지위도 보장하였다. 이러한 개혁을 실행함에 있어 점차적으로 새로 선발하여 뽑아들인 관료로 구 귀족 및 지방 호족세력을 억제하되, 서서히 점진적으로 시행하여 반발을 최소화시키기도 하였다. 송태조 조광윤은 중국 역대 황제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명군 중의 명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황제이다.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편집] 석각유훈은 조광윤이 돌에 새겨 자손에게 전한 유언이다. 송왕조의 황제가 즉위를 하면 반드시 이것을 보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그 존재는 극비였고, 궁중에서만 전해져 내려와 정해진 사람들 이외에는 재상조차 알지 못하였다고 한다. 금군의 침입으로 황궁이 점령되어 발견되었고, 처음으로 그 존재가 표면화되었다. 거기에 새겨져 있는 유훈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조광윤에게 황위를 미루었던 시씨 가문의 자손을 대대로 돌봐 주어라. 뜻이 맞지 않다고 사대부를 죽여서는 안 된다. 이 두 개의 유훈이 지켜진 것은 시씨의 자손이 남송이 멸망한 애산 전투에서 운명을 함께 한 것과, 정쟁으로 실각한 관료(신법, 구법의 다툼. 사마광과 진회)가 처형되지 않고 정국의 변화에 의해 좌천되었다 중앙에 복귀하는 것으로 증명하고 있다. 위에 나온 시씨 가문에 대한 맹약과 당시 사대부들의 영향력을 이 유훈은 말해 주고 있다. 생애 후반[편집] 거란족의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976년 10월, 태조는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어 동생 조광의를 불러 대리청정을 시켰다. 976년 11월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사망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49세였다. 그러나 조광윤의 사후 내부 정변에 의해 그의 적자들이 제거되고 그의 친동생인 조광의가 제위를 계승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조광의가 조광윤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존호, 시호, 묘호[편집] <송사(宋史)>에 따르자면, 존호는 963년 쯤에 응천광운인성문무지덕황제(應天廣運仁聖文武至德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며, 968년 11월 경에 존호를 개정,가상하여 응천광운대성신무명도지덕인효황제(應天廣運大聖神武明道至德仁孝皇帝)라는 호를 받았다. 시호는 사후에 영무성문신덕황제(英武聖文神德皇帝)로 추시하였고, 진종 때인 1008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태조(太祖)이고, 능은 영창릉(永昌陵)이다. 친족[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조부 : 추존황제 익조(翼祖) 간공예덕황제(簡恭睿德皇帝) 조경(趙敬) 조모 : 추존황후 간목황후(簡穆皇后) 유씨(劉氏) 부친 : 추존황제 선조(宣祖) 소무예성황제(昭武睿聖皇帝) 조홍은(趙弘殷) 모친 : 추존황후 소헌황후(昭憲皇后) 두씨(杜氏) 형제[편집] 형님 : 조왕(曹王) 조광제(趙光濟) 동생 : 송 태종(宋太宗) 조광의(趙光義) 동생 : 위도왕(魏悼王) 조정미(趙廷美) (947년 ~ 984년) - 이복 동생. 동생 : 지왕(岐王) 조광찬(趙光贊)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군부인(郡夫人) 효혜황후(孝惠皇后) 하씨(賀氏) 회계군부인(會稽郡夫人) (추존) 929년 ~ 958년 건국 후 추존됨. 황후(皇后) 효명황후(孝明皇后) 왕씨(王氏) 낭야군부인(琅邪郡夫人) 960년 ~ 964년 942년 ~ 964년 황후(皇后) 효장황후(孝章皇后) 송씨(宋氏) 개보황후(開寶皇后) 968년 ~ 976년 952년 ~ 994년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등왕(滕王) 혜(慧) 조덕수(趙德秀)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2 연왕(燕王) 의(懿) 조덕소(趙德昭) 951년 ~ 979년 효혜황후 하씨 무공군왕(武功郡王)위왕(魏王)오왕(吳王)월왕(越王) 3 서왕(舒王) 조덕림(趙德林)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4 진왕(秦王) 강혜(康惠) 조덕방(趙德芳) 959년 ~ 981년 효명황후 왕씨 흥원윤(興元尹)담왕(潭王)기왕(岐王)초왕(楚王) 황녀[편집] - 봉호(공주) 봉호(제희)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현숙대장제희(賢肅大長帝姬) 현숙(賢肅) ? ~ 1008년 효혜황후 하씨 소경공주(昭慶公主)정국공주(鄭國公主)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2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현정대장제희(賢靖大長帝姬) 현정(賢靖) ? ~ 1009년 효혜황후 하씨 연경공주(延慶公主)허국공주(許國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 3 진국대장공주(陳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賢惠大長帝姬) 정혜(貞惠)공혜(恭惠) ? ~ 999년 영경공주(永慶公主)괵국공주(虢國公主)제국공주(齊國公主)허국장공주(許國長公主) 4 신국대장공주(申國大長公主) 안혜대장제희(安惠大長帝姬) 요절함 5 성국대장공주(成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顯惠大長帝姬) 요절함 6 영국대장공주(永國大長公主) 선혜대장제희(宣惠大長帝姬) 요절함 연호[편집] 건륭(建隆):960년~963년 11월 건덕(乾德):963년 11월~968년 11월 개보(開寶):968년 11월~976년 평가[편집] 정변으로 집권하였으나 전임 국가의 황제인 후주의 시종훈을 살해하지 않고 도리어 그의 생명을 지켜주었다. 그리고 석각유훈을 비롯, 자신의 유언을 통해서 시씨의 자손을 보호할 것을 유지로 남겼다. 이는 뒤에 주자로부터 덕망높은 군주로 칭송을 받았는데 이는 후대의 학자들도 별 이의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의 배려에 감읍한 시씨의 후손들은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송조의 유신들과 함께 몽골에 맞서 싸우다가 함께 전사한다. 기타[편집] 그는 술을 좋아하였는데 이는 만년에 간질환과 과로로 쓰러지는 등의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일각에서는 그의 애주가 그의 병을 키웠고,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본다. 효명황후 왕씨는 비파와 쟁을 타는 실력이 뛰어났다[2]한다. 독살설[편집] 976년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 그의 아들 덕소와 덕방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최후를 맞이했다. 이를 두고 제위를 은연중에 넘보던 그의 친동생 조광의가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독살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광윤의 두 아들 덕소와 덕방은 조광의에 의해 제거되었다. 화예부인[편집] 후촉을 멸망시킨 뒤 후촉의 왕이었던 맹창 내외를 포로로 사로잡아 귀환했다. 뒤에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사작(詞作)에 능함을 전해 들었기에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그녀는 당당하게 망국의 한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君王城上樹降旗 군왕이 성 위에 항복 깃발 세웠다지만 妾在深宮那得知 첩은 깊은 궁에 있어 알 길이 없었네. 十四萬人齊解甲 14만명이 모두 갑옷을 벗었다 하니 寧無一個是男兒 남아는 하나도 없었던 것인가! 오히려 굳은 충정에 크게 감명한 송태조는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송태조의 후궁이 된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렸다가 조광윤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스스로 자결하였다. 서씨의 재능과 미모로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3]고도 한다. 서씨와 함께 포로로 잡혀오고 맹창이 죽자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던 조광윤은 재빨리 서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다. 《노여록》(爐餘錄)에 의하면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그가 어찌 알았을까? 동생 조광의도 이 재색을 겸비한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3] 서기 976년 겨울 조광윤이 임종이 가까워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 조광윤을 몇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일어나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3]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슬그머니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난다.[3] 같이 보기[편집] 북송 남송 진교의 변 배주석병권 조광의 오대 십국 혜비 서씨 진종 효종 시영 시종훈 애산 전투 황포가신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이나미 리츠코 저, 배신자의 중국사 (김석희 역, 작가정신, 2002) 223페이지 ↑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371페이지 ↑ 가 나 다 라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3페이지 참고문헌[편집] 송사(宋史) 권1 태조본기(太祖本紀) 노여록(爐餘錄)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캐스트 - 송태조 조광윤 대기원시보 - 조광윤(한자) 전임(초대)(후주 공제 시종훈) 제1대 북송의 황제960년 ~ 976년 후임북송 태종 vdeh송나라의 역대 황제추존 성조 희조 순조 익조 선조 북송 태조 태종 진종 인종 영종 신종 철종 휘종 흠종 남송 고종 효종 광종 영종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934032 LCCN: n82085482 ISNI: 0000 0000 6322 3018 GND: 124584330 NLA: 36612171 NDL: 006250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북송_태조&oldid=24395325" 분류: 북송 태조927년 태어남976년 죽음북송의 황제오대 십국 시대의 장군송나라의 장군육군 장군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병사한 사람10세기 중국 사람10세기 중국의 군주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བོད་ཡིག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북송 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송 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광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광윤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조광윤 (시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송 태조宋 太祖 지위 북송의 초대 황제 재위 960년 ~ 976년 후임자 태종 이름 묘호 태조(太祖) 시호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 신상정보 부친 선조 모친 소헌황후 배우자 효혜황후효명황후효장황후 조광윤趙匡胤 생애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 (49세) 출생지 하북성 고안현 사망지 동경 개봉부 별명 북송 태조 복무 오대 십국 후한/후주 복무 기간 946년 ~ 960년 최종 계급 금군 사령관 지휘 후주 금군 등 기타 이력 북송의 건국자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2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 1.3 시대상의 혼란 1.4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 1.5 배주석병권 2 북송 황제 2.1 통일 전쟁 2.2 정책 2.3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 2.4 생애 후반 3 존호, 시호, 묘호 4 친족 4.1 조부모와 부모 4.2 형제 4.3 황후 4.4 황자 4.5 황녀 5 연호 6 평가 7 기타 7.1 독살설 7.2 화예부인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문헌 11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조광윤은 하북성 탁주(涿州) 고안현 사람으로 부친은 오대 십국때 후당의 금군 장관이었던 조홍은(趙弘殷)이었고, 모친은 두씨(杜氏)이다. 한족[1]이었던 그는 삼국시대 촉한의 유비와 동향[1]이기도 했다. 조홍은과 두태후의 둘째 아들이었던 조광윤에게는 형 조광제, 친동생 조광의와 동생 조광찬, 그리고 이복 동생 조정미가 있었다. 형 조광제(趙光濟)와 막내 동생 조광찬이 요절하면서 그는 사실상 장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되었다. 후당(後唐), 후진(後晋), 후한(後漢)의 3조를 섬기던 부친은 그에게 기대를 걸었고, 그는 아버지 조홍은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군관의 꿈을 키우게 된다. 당나라의 관료 가문이었던 조광윤의 선조는 증조부 부터 이같은 제위 찬탈을 노리는 군벌 아래에서 군관으로 공로를 쌓아왔고 그의 아버지는 956년 사망할 당시에 상당한 고위직 군관이었다. 아버지 조홍은은 후당의 근위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1] 조광윤의 어머니 두씨는 고관의 아내였음에도 사치하지 않고 겸손하였다. 어머니 두씨의 성실성과 지혜와 통찰력은 조광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961년 두씨가 죽은 뒤 조광윤은 황제라는 지위에 얽매이지 않고,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했다고 한다. 946년 20세에 군문에 입대, 후한(後漢)의 장수였던 추밀사(樞密使) 곽위(郭威)의 막료가 되었다. 조광윤은 처음에 후한의 대장 곽위(郭威)의 휘하에 있으면서 무예를 좋아하여 곽위의 눈에 들었다. 948년 곽위를 따라 전장을 누비며 공을 세웠다. 951년 곽위가 후한을 멸망시키고 칭제, 후주(後周)를 건국하자 그는 곽위를 도왔고 개국공신으로 금군군관(禁軍軍官), 전장금군(典掌禁軍)에 보직되었으며 이후 동방과 서방 원정을 수행하였다.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편집] 후주 세종 시영(柴榮)의 부하가 되어 근위군의 장관이 되었다. 이후 시영을 따라 남정에 참여하였으며 양주(揚州) 등지를 공략했다. 후주에서 그는 광국절도사(匡國軍節度使), 전전도지휘사(殿前都指揮使)를 거쳐 검교태위전전도검(檢校太傅殿前都檢), 금군총장령(禁軍總將領)을 역임했다. 시영이 죽자 아들인 시종훈(공제)이 제위를 계승했는데 그의 나이는 7세에 불과했다. 전란의 시대에 어린 군주에게 불안을 느낀 군인들은 자신의 수장인 조광윤이 권력을 쥐는 것을 원했고 마침내 조광윤을 제위에 옹립하는데 이것을 (진교의 변) 이라고 한다. 사건의 경위는 다음과 같다. 960년 초에 북한이 거란과 손잡고 쳐들어왔다. 군사 실력자 조광윤은 이를 막기 위해 북상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카이펑을 떠난 다음날 밤, 진교(카이펑 북방에 있는 소도시)에서 숙영할 때 술이 많이 취해 잠든 그를 동생 조광의가 깨워서 마당으로 끌고 나갔다. 연병장에는 칼을 받쳐든 장교들이 늘어서 있었다. 그들은 조광윤을 보자 마자 외쳤다. "부디 천자가 되어주십시오.[1]" 조광윤이 깨는 순간 순식간에 그의 몸에 천자의 황포가 입혀지고, 만세 (만세는 황제에게만 쓰는 용어이다.)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장교들이 조광윤을 부축하여 말에 태웠다.[1] 조광윤은 개봉에 돌아와서 공제로부터 황위를 물려받아 국명을 대송(大宋)이라고 했다. 그리고 수도는 그대로 카이펑으로 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은 후에 북송이 건국 후, 조광윤의 제위 찬탈을 인의적으로 조작한 것으로 실제로는 조광윤이 무력으로 정권을 빼앗은 찬탈이었다. (그 예로 위에 나온 북한과 요나라의 공격은 당사국인 요나라의 요서에 존재하지도 않고, 한 나라의 총사령관이 출정때 술을 마셨다는 것과 부하들이 당시 황제만 입던 황포를 입혔다고 나온것 자체가 수상하기 짝이 없다.) 준비했던 작전대로 조광윤은 진교에서 회군하여 개봉을 공격했다. 이때 필사적으로 조광윤의 군대를 막았던 금군 총사령관 한통(韓通)이 전사했다. (혹은 조광윤이 자객을 보내 암살했다는 말도 있다.) 그리고 시종훈(공제)를 압박하여 선양이라는 형식적인 절차로 제위를 빼앗았다. 963년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여, 출병한다. 976년 오나라와 월나라 그리고 북한의 잔재를 정복하고, 거란족을 만리장성 밖으로 몰아냈으나 통일 전 50세에 급사를 하게 된다. 동생 태종에 살해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지만, 두주불사하는 그의 음주 습관 때문에 질환에 의한 급사라고 하는 설도 있다. 시대상의 혼란[편집] 당시 시대였던 오대십국 시대가 시작된 해는 당나라가 완전히 멸망한 907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왕조로써의 당나라는 875년 ~ 884년에 걸쳐 일어난 황소의 난에 의해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고, 그 후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관중지역을 지배한 일개 지방정권으로 추락하여 주전충(朱全忠)과 이극용(李克用) 등 절도사 세력이 함께 존재하는 난립상태라고 말할 수 있었다. 오대십국의 오대는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를 뜻하며, 십국은 오월, 민, 형남, 초. 오, 남당, 남한, 북한, 전촉, 후촉을 포함한다.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편집] 당시 후주의 재상이었던, 범질(范質)과 왕부(王溥)는 조광윤과 협상을 했는데 내용은 공제의 제위를 빼앗는 대신 시씨 가문의 보호였다. 이와 같은 맹약으로 조광윤은 시종훈을 죽이지 않았고, 시종훈의 자손은 남송의 멸망 때까지 두터운 보호를 받았다. 시종훈은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송태종은 황제의 예로 장례를 치뤄준다. 태조가 '진교병변' 후에 회군하여 변경 황궁으로 들어왔을 때 어떤 후궁이 어린애를 안고 있는 것을 보고 누구의 아이인지를 묻자 후주 세종의 아들이라 대답했다. 이때 태조는 한 쪽에 서 있던 범질, 조보, 반미(潘美)에게 그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지 물었다. 조보 등은 당연히 제거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대답했지만, 태조는 "내가 남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의 자식마저 죽여야 하다니, 나는 차마 그러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태조는 그 아이를 반미에게 키우라고 준 후에 이후 그 아이에 대해서 묻지 않았으며, 반미도 태조에게 그 아이 이야기를 한번도 꺼내지 않았다. 그 아이는 성인이 된 후에 이름을 유길(惟吉)이라 하고 송조에서 벼슬이 자사(刺史)에 이르렀다. 배주석병권[편집] 휘하 장수들과 술을 마시고, 황제로 옹립되었던 송태조는 961년 역으로 금위군(禁衛軍) 장수 석수신(石守信) 등의 휘하 장수들을 초청하여 말술을 먹이고, 병권을 자발적으로 내놓게 하는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을 단행하였다. 정세가 안정된후 조광윤은 석수신 등 공신들을 초청해 연회를 차렸다. 연회 참석자들이 한창 주흥이 도도해 졌을무렵 조광윤은 갑자기 시종들을 멀리하고 엄숙하게 공신들에게 말하기를 '만일 당신들의 힘이 없었다면 나는 황제로 될 수 없었을 것이오. 그러나 황제가 된 후 나는 매일 편안한 밤을 잘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 말은 들은 장교들은 놀라움을 표하면서 "우리가 어찌 감히 황제에게 다른 마음을 가질수 있겠습니까?"라고들 답했다. 조광윤은 이때 "당신들은 비록 황위를 탐내지 않는다고 치더라도 당신들의 수하에 부귀를 꿈꾸는 자들이 있을까 봐 두려운 것이오. 만일 당신들에게 황포를 걸쳐주는 사람들이 있으면 당신들도 거절하기 힘들 것이 아니겠는가 말이오."라고 말했다. 이에 공신들은 다급히 어떻게 하면 황제를 안심하게 할 수있는가고 조광윤에게 물었다. 조광윤은 크게 한숨을 내쉬면서 "사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재부(財富)라고 보아지오. 당신들은 아예 권리를 내놓고 지방에 내려가 땅을 사고 호화저택 지어놓고 살면서 나와 친척으로 지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소"라고 답했다. 장교들은 조광윤의 말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가 있었다. 다음날 모든 고급 장교들은 모두 황제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였고, 조광윤은 바로 그들의 직무를 해임시켰다.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의 혼란이 군벌의 폐해로 일어났다고 생각한 송태조는 휘하의 군벌들에게도 그러한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하고 술자리에서 자신의 고민을 토로함으로써 하루 저녁에 군벌들의 세력을 넘겨받아 중앙으로 복속시킨다. 이 사건은 지방 군벌에 의한 군웅할거의 국면을 종식시키는 계기가 된다. 태조는 동일한 수단으로 왕언초(王彦超) 등 여러 명의 절도사들의 병권도 박탈하고, 지방의 행정과 재정을 모두 중앙으로 복속시켰다. 북송 황제[편집] 즉위 직후 시영의 신하로 자리를 찬탈했다는 비난에 직면하였다. 태조가 말을 타고 출궁하였다가 대계교(大溪橋)에 당도했을 때 갑자기 화살이 하나 날아와서 황룡기(黃龍旗)에 꽂혔다. 금위군이 당황하자 그는 오히려 가슴을 치면서 "내게 활쏘는 법을 가르쳐 줘 고맙구나!"라고 하고는 금위군이 화살 쏜 사람을 잡지 말라 하였다. 통일 전쟁[편집] 과거제도의 정비와 내치의 안정을 바탕으로 송태조 조광윤은 통일 전쟁을 시행하였다. 963년 중국대륙의 가장 중요한 요지라 할 수 있는 호북성의 형남을 합병했다. 965년에 사천성의 후촉을 병합하고 이땅의 풍부한 물산을 빼앗아 전쟁 비용을 보충한다. 970년경이면 조광윤은 중국의 북부지역을 거의 통일하게 된다. 한편으로 만리장성 안을 넘보던 거란족의 요나라를 정벌하고 후진 때 빼앗겼던 연운 16주를 수복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971년 광동을 지배하던 남한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975년 화남에서 최대세력을 자랑하던 남당을 멸망시키게 되었다. 남은 것은 북쪽의 북한과 남쪽의 오월뿐이었지만 태조는 당돌에서 병사했다. 정책[편집] 계속된 오대십국의 혼란으로 조광윤은 군벌의 힘을 억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나라 때부터 전란의 원인이 되고 있었던 절도사의 힘을 조금씩 줄여 단순한 명예직으로 남겨두었다. 조광윤은 많은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권한을 줄여나갔다. 조광윤의 정치는 만사가 이러한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혈사를 일으키는 것을 싫어했다. 실력있는 인재를 지역색에 가림없이 널리 구해야 된다는 유학자 출신 조보(趙普)의 충고를 받아들여 인재 채용에 관심을 기울였고, 무인정치를 폐하고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시켰다. 이는 일종의 군벌 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려던 그의 정책적인 측면과도 일부 상통했다. 지방에 파견되던 군사지도자 성격의 절도사(節度使) 지배체제를 폐지하고 중앙에서 절도사를 직접 임명하여 파견하되 절도사에게 부여되던 재량권(행정, 사법, 군사권)을 대폭 축소시키고 중앙정부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방관 역시 중앙에서 직접 파견하게 하여 행정적 측면에서도 중앙집권화를 꾀하였다. 지방의 주와 군의 관리들의 재량권을 대폭 축소, 지방의 군권, 재정권, 사법권을 조정에 귀속시키고 중앙에 민정·병정·재정의 3권을 집중하고 금군을 강화하여 황제의 권한을 향상시켰다. 군권을 중앙에 귀속, 집중시키고도 군대 이동이 빈번하고 지방에 파견된 절도사와 군사 지휘관들이 독자세력을 형성하는 것을 경계하여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데 노력했는데 이는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이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과거제도를 개선하여 전시(殿試)를 행하고, 무인보다 문인이 상위에 서는 문치주의를 확립했다. 과거시험이 실질적으로 관료선발 제도로 제 기능을 한 것은 송나라 때부터라고 한다. 흔히 조광윤이 폈던 문민통제 정책이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을 약화시킨걸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남송은 최전성기의 몽골 정예 기병을 상대로 가장 오랫동안 항전한 나라이다. 그는 관료들에게 독서를 권고하였는데 송나라시기 지식인에 대해 중시하고 우대해 주었기에 책을 읽는 풍토를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자신도 독서와 강독에 최대한 참여하려 노력했다. 관료 선발에도 직접 관심을 갖고 지도하였는데, 문관 등용에서 신분의 따지지 않고 평등한 과거 경쟁을 통해 문관들을 대거 발탁했다.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파견되는 관료의 채용을 위한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황제가 형식적으로 주관하거나 보고를 받던 이전의 황제들과는 달리 황제가 직접 과거시험을 실시, 주관하는 전시(殿試)와 어시(御試) 횟수를 늘렸다. 수리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토로 조성하거나 식수조림을 장려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개국황제들이 후환을 없애기 위해, 이전 군주들을 죽인 것에 반해 조광윤은 후주의 시씨를 시작으로 항복한 나라들의 군주들을 살리고, (물론 시씨 같은 경우는 위에 나온 협약 때문 이었고, 점령한 나라들의 반발의 우려 때문이었다.) 귀족으로서의 지위도 보장하였다. 이러한 개혁을 실행함에 있어 점차적으로 새로 선발하여 뽑아들인 관료로 구 귀족 및 지방 호족세력을 억제하되, 서서히 점진적으로 시행하여 반발을 최소화시키기도 하였다. 송태조 조광윤은 중국 역대 황제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명군 중의 명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황제이다.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편집] 석각유훈은 조광윤이 돌에 새겨 자손에게 전한 유언이다. 송왕조의 황제가 즉위를 하면 반드시 이것을 보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그 존재는 극비였고, 궁중에서만 전해져 내려와 정해진 사람들 이외에는 재상조차 알지 못하였다고 한다. 금군의 침입으로 황궁이 점령되어 발견되었고, 처음으로 그 존재가 표면화되었다. 거기에 새겨져 있는 유훈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조광윤에게 황위를 미루었던 시씨 가문의 자손을 대대로 돌봐 주어라. 뜻이 맞지 않다고 사대부를 죽여서는 안 된다. 이 두 개의 유훈이 지켜진 것은 시씨의 자손이 남송이 멸망한 애산 전투에서 운명을 함께 한 것과, 정쟁으로 실각한 관료(신법, 구법의 다툼. 사마광과 진회)가 처형되지 않고 정국의 변화에 의해 좌천되었다 중앙에 복귀하는 것으로 증명하고 있다. 위에 나온 시씨 가문에 대한 맹약과 당시 사대부들의 영향력을 이 유훈은 말해 주고 있다. 생애 후반[편집] 거란족의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976년 10월, 태조는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어 동생 조광의를 불러 대리청정을 시켰다. 976년 11월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사망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49세였다. 그러나 조광윤의 사후 내부 정변에 의해 그의 적자들이 제거되고 그의 친동생인 조광의가 제위를 계승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조광의가 조광윤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존호, 시호, 묘호[편집] <송사(宋史)>에 따르자면, 존호는 963년 쯤에 응천광운인성문무지덕황제(應天廣運仁聖文武至德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며, 968년 11월 경에 존호를 개정,가상하여 응천광운대성신무명도지덕인효황제(應天廣運大聖神武明道至德仁孝皇帝)라는 호를 받았다. 시호는 사후에 영무성문신덕황제(英武聖文神德皇帝)로 추시하였고, 진종 때인 1008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태조(太祖)이고, 능은 영창릉(永昌陵)이다. 친족[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조부 : 추존황제 익조(翼祖) 간공예덕황제(簡恭睿德皇帝) 조경(趙敬) 조모 : 추존황후 간목황후(簡穆皇后) 유씨(劉氏) 부친 : 추존황제 선조(宣祖) 소무예성황제(昭武睿聖皇帝) 조홍은(趙弘殷) 모친 : 추존황후 소헌황후(昭憲皇后) 두씨(杜氏) 형제[편집] 형님 : 조왕(曹王) 조광제(趙光濟) 동생 : 송 태종(宋太宗) 조광의(趙光義) 동생 : 위도왕(魏悼王) 조정미(趙廷美) (947년 ~ 984년) - 이복 동생. 동생 : 지왕(岐王) 조광찬(趙光贊)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군부인(郡夫人) 효혜황후(孝惠皇后) 하씨(賀氏) 회계군부인(會稽郡夫人) (추존) 929년 ~ 958년 건국 후 추존됨. 황후(皇后) 효명황후(孝明皇后) 왕씨(王氏) 낭야군부인(琅邪郡夫人) 960년 ~ 964년 942년 ~ 964년 황후(皇后) 효장황후(孝章皇后) 송씨(宋氏) 개보황후(開寶皇后) 968년 ~ 976년 952년 ~ 994년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등왕(滕王) 혜(慧) 조덕수(趙德秀)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2 연왕(燕王) 의(懿) 조덕소(趙德昭) 951년 ~ 979년 효혜황후 하씨 무공군왕(武功郡王)위왕(魏王)오왕(吳王)월왕(越王) 3 서왕(舒王) 조덕림(趙德林)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4 진왕(秦王) 강혜(康惠) 조덕방(趙德芳) 959년 ~ 981년 효명황후 왕씨 흥원윤(興元尹)담왕(潭王)기왕(岐王)초왕(楚王) 황녀[편집] - 봉호(공주) 봉호(제희)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현숙대장제희(賢肅大長帝姬) 현숙(賢肅) ? ~ 1008년 효혜황후 하씨 소경공주(昭慶公主)정국공주(鄭國公主)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2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현정대장제희(賢靖大長帝姬) 현정(賢靖) ? ~ 1009년 효혜황후 하씨 연경공주(延慶公主)허국공주(許國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 3 진국대장공주(陳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賢惠大長帝姬) 정혜(貞惠)공혜(恭惠) ? ~ 999년 영경공주(永慶公主)괵국공주(虢國公主)제국공주(齊國公主)허국장공주(許國長公主) 4 신국대장공주(申國大長公主) 안혜대장제희(安惠大長帝姬) 요절함 5 성국대장공주(成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顯惠大長帝姬) 요절함 6 영국대장공주(永國大長公主) 선혜대장제희(宣惠大長帝姬) 요절함 연호[편집] 건륭(建隆):960년~963년 11월 건덕(乾德):963년 11월~968년 11월 개보(開寶):968년 11월~976년 평가[편집] 정변으로 집권하였으나 전임 국가의 황제인 후주의 시종훈을 살해하지 않고 도리어 그의 생명을 지켜주었다. 그리고 석각유훈을 비롯, 자신의 유언을 통해서 시씨의 자손을 보호할 것을 유지로 남겼다. 이는 뒤에 주자로부터 덕망높은 군주로 칭송을 받았는데 이는 후대의 학자들도 별 이의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의 배려에 감읍한 시씨의 후손들은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송조의 유신들과 함께 몽골에 맞서 싸우다가 함께 전사한다. 기타[편집] 그는 술을 좋아하였는데 이는 만년에 간질환과 과로로 쓰러지는 등의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일각에서는 그의 애주가 그의 병을 키웠고,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본다. 효명황후 왕씨는 비파와 쟁을 타는 실력이 뛰어났다[2]한다. 독살설[편집] 976년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 그의 아들 덕소와 덕방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최후를 맞이했다. 이를 두고 제위를 은연중에 넘보던 그의 친동생 조광의가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독살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광윤의 두 아들 덕소와 덕방은 조광의에 의해 제거되었다. 화예부인[편집] 후촉을 멸망시킨 뒤 후촉의 왕이었던 맹창 내외를 포로로 사로잡아 귀환했다. 뒤에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사작(詞作)에 능함을 전해 들었기에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그녀는 당당하게 망국의 한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君王城上樹降旗 군왕이 성 위에 항복 깃발 세웠다지만 妾在深宮那得知 첩은 깊은 궁에 있어 알 길이 없었네. 十四萬人齊解甲 14만명이 모두 갑옷을 벗었다 하니 寧無一個是男兒 남아는 하나도 없었던 것인가! 오히려 굳은 충정에 크게 감명한 송태조는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송태조의 후궁이 된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렸다가 조광윤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스스로 자결하였다. 서씨의 재능과 미모로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3]고도 한다. 서씨와 함께 포로로 잡혀오고 맹창이 죽자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던 조광윤은 재빨리 서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다. 《노여록》(爐餘錄)에 의하면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그가 어찌 알았을까? 동생 조광의도 이 재색을 겸비한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3] 서기 976년 겨울 조광윤이 임종이 가까워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 조광윤을 몇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일어나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3]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슬그머니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난다.[3] 같이 보기[편집] 북송 남송 진교의 변 배주석병권 조광의 오대 십국 혜비 서씨 진종 효종 시영 시종훈 애산 전투 황포가신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이나미 리츠코 저, 배신자의 중국사 (김석희 역, 작가정신, 2002) 223페이지 ↑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371페이지 ↑ 가 나 다 라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3페이지 참고문헌[편집] 송사(宋史) 권1 태조본기(太祖本紀) 노여록(爐餘錄)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캐스트 - 송태조 조광윤 대기원시보 - 조광윤(한자) 전임(초대)(후주 공제 시종훈) 제1대 북송의 황제960년 ~ 976년 후임북송 태종 vdeh송나라의 역대 황제추존 성조 희조 순조 익조 선조 북송 태조 태종 진종 인종 영종 신종 철종 휘종 흠종 남송 고종 효종 광종 영종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934032 LCCN: n82085482 ISNI: 0000 0000 6322 3018 GND: 124584330 NLA: 36612171 NDL: 006250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북송_태조&oldid=24395325" 분류: 북송 태조927년 태어남976년 죽음북송의 황제오대 십국 시대의 장군송나라의 장군육군 장군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병사한 사람10세기 중국 사람10세기 중국의 군주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བོད་ཡིག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북송 태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북송 태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광윤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광윤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조광윤 (시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송 태조宋 太祖 지위 북송의 초대 황제 재위 960년 ~ 976년 후임자 태종 이름 묘호 태조(太祖) 시호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 신상정보 부친 선조 모친 소헌황후 배우자 효혜황후효명황후효장황후 조광윤趙匡胤 생애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 (49세) 출생지 하북성 고안현 사망지 동경 개봉부 별명 북송 태조 복무 오대 십국 후한/후주 복무 기간 946년 ~ 960년 최종 계급 금군 사령관 지휘 후주 금군 등 기타 이력 북송의 건국자 송 태조(宋太祖, 927년 3월 21일 ~ 976년 11월 14일)는 중국 5대 10국 시대의 장군이자 후주의 장군이며 중국의 송 황조의 창시자이자 북송의 초대 황제(재위: 960년 ~ 976년)이다. 성은 조(趙)이고, 휘는 광윤(匡胤)이다. 5대 후주의 세종을 도와 거란 및 10국 정벌에 출정하였다가 세종 병사 후 공제에게 선양받아 즉위하였다. 그러나 선황실의 후예들을 박해하지 않아 뒤에 주자로부터 그 덕망을 칭송받았다. 송나라 건국 뒤에도 정벌을 단행, 970년경 중국 북방을 거의 통일하였으며, 내정으로는 유교적 문치주의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하였고,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직접 과거 시험을 주관하여 인재 선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비록 중국 재통일은 실패하였으나 그는 중국 재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군주로도 기록된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기 1.2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 1.3 시대상의 혼란 1.4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 1.5 배주석병권 2 북송 황제 2.1 통일 전쟁 2.2 정책 2.3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 2.4 생애 후반 3 존호, 시호, 묘호 4 친족 4.1 조부모와 부모 4.2 형제 4.3 황후 4.4 황자 4.5 황녀 5 연호 6 평가 7 기타 7.1 독살설 7.2 화예부인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참고문헌 11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기[편집] 조광윤은 하북성 탁주(涿州) 고안현 사람으로 부친은 오대 십국때 후당의 금군 장관이었던 조홍은(趙弘殷)이었고, 모친은 두씨(杜氏)이다. 한족[1]이었던 그는 삼국시대 촉한의 유비와 동향[1]이기도 했다. 조홍은과 두태후의 둘째 아들이었던 조광윤에게는 형 조광제, 친동생 조광의와 동생 조광찬, 그리고 이복 동생 조정미가 있었다. 형 조광제(趙光濟)와 막내 동생 조광찬이 요절하면서 그는 사실상 장남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되었다. 후당(後唐), 후진(後晋), 후한(後漢)의 3조를 섬기던 부친은 그에게 기대를 걸었고, 그는 아버지 조홍은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군관의 꿈을 키우게 된다. 당나라의 관료 가문이었던 조광윤의 선조는 증조부 부터 이같은 제위 찬탈을 노리는 군벌 아래에서 군관으로 공로를 쌓아왔고 그의 아버지는 956년 사망할 당시에 상당한 고위직 군관이었다. 아버지 조홍은은 후당의 근위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1] 조광윤의 어머니 두씨는 고관의 아내였음에도 사치하지 않고 겸손하였다. 어머니 두씨의 성실성과 지혜와 통찰력은 조광윤에게 큰 영향을 끼쳤는데 961년 두씨가 죽은 뒤 조광윤은 황제라는 지위에 얽매이지 않고, 죽은 어머니를 그리워했다고 한다. 946년 20세에 군문에 입대, 후한(後漢)의 장수였던 추밀사(樞密使) 곽위(郭威)의 막료가 되었다. 조광윤은 처음에 후한의 대장 곽위(郭威)의 휘하에 있으면서 무예를 좋아하여 곽위의 눈에 들었다. 948년 곽위를 따라 전장을 누비며 공을 세웠다. 951년 곽위가 후한을 멸망시키고 칭제, 후주(後周)를 건국하자 그는 곽위를 도왔고 개국공신으로 금군군관(禁軍軍官), 전장금군(典掌禁軍)에 보직되었으며 이후 동방과 서방 원정을 수행하였다. 군인 생활과 제위 찬탈의 과정[편집] 후주 세종 시영(柴榮)의 부하가 되어 근위군의 장관이 되었다. 이후 시영을 따라 남정에 참여하였으며 양주(揚州) 등지를 공략했다. 후주에서 그는 광국절도사(匡國軍節度使), 전전도지휘사(殿前都指揮使)를 거쳐 검교태위전전도검(檢校太傅殿前都檢), 금군총장령(禁軍總將領)을 역임했다. 시영이 죽자 아들인 시종훈(공제)이 제위를 계승했는데 그의 나이는 7세에 불과했다. 전란의 시대에 어린 군주에게 불안을 느낀 군인들은 자신의 수장인 조광윤이 권력을 쥐는 것을 원했고 마침내 조광윤을 제위에 옹립하는데 이것을 (진교의 변) 이라고 한다. 사건의 경위는 다음과 같다. 960년 초에 북한이 거란과 손잡고 쳐들어왔다. 군사 실력자 조광윤은 이를 막기 위해 북상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카이펑을 떠난 다음날 밤, 진교(카이펑 북방에 있는 소도시)에서 숙영할 때 술이 많이 취해 잠든 그를 동생 조광의가 깨워서 마당으로 끌고 나갔다. 연병장에는 칼을 받쳐든 장교들이 늘어서 있었다. 그들은 조광윤을 보자 마자 외쳤다. "부디 천자가 되어주십시오.[1]" 조광윤이 깨는 순간 순식간에 그의 몸에 천자의 황포가 입혀지고, 만세 (만세는 황제에게만 쓰는 용어이다.)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장교들이 조광윤을 부축하여 말에 태웠다.[1] 조광윤은 개봉에 돌아와서 공제로부터 황위를 물려받아 국명을 대송(大宋)이라고 했다. 그리고 수도는 그대로 카이펑으로 정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은 후에 북송이 건국 후, 조광윤의 제위 찬탈을 인의적으로 조작한 것으로 실제로는 조광윤이 무력으로 정권을 빼앗은 찬탈이었다. (그 예로 위에 나온 북한과 요나라의 공격은 당사국인 요나라의 요서에 존재하지도 않고, 한 나라의 총사령관이 출정때 술을 마셨다는 것과 부하들이 당시 황제만 입던 황포를 입혔다고 나온것 자체가 수상하기 짝이 없다.) 준비했던 작전대로 조광윤은 진교에서 회군하여 개봉을 공격했다. 이때 필사적으로 조광윤의 군대를 막았던 금군 총사령관 한통(韓通)이 전사했다. (혹은 조광윤이 자객을 보내 암살했다는 말도 있다.) 그리고 시종훈(공제)를 압박하여 선양이라는 형식적인 절차로 제위를 빼앗았다. 963년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여, 출병한다. 976년 오나라와 월나라 그리고 북한의 잔재를 정복하고, 거란족을 만리장성 밖으로 몰아냈으나 통일 전 50세에 급사를 하게 된다. 동생 태종에 살해되었다고 하는 설도 있지만, 두주불사하는 그의 음주 습관 때문에 질환에 의한 급사라고 하는 설도 있다. 시대상의 혼란[편집] 당시 시대였던 오대십국 시대가 시작된 해는 당나라가 완전히 멸망한 907년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왕조로써의 당나라는 875년 ~ 884년에 걸쳐 일어난 황소의 난에 의해 멸망한 것이나 다름없고, 그 후 장안(長安)을 중심으로 관중지역을 지배한 일개 지방정권으로 추락하여 주전충(朱全忠)과 이극용(李克用) 등 절도사 세력이 함께 존재하는 난립상태라고 말할 수 있었다. 오대십국의 오대는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를 뜻하며, 십국은 오월, 민, 형남, 초. 오, 남당, 남한, 북한, 전촉, 후촉을 포함한다. 제위 찬탈 이후 시씨 가문의 대우[편집] 당시 후주의 재상이었던, 범질(范質)과 왕부(王溥)는 조광윤과 협상을 했는데 내용은 공제의 제위를 빼앗는 대신 시씨 가문의 보호였다. 이와 같은 맹약으로 조광윤은 시종훈을 죽이지 않았고, 시종훈의 자손은 남송의 멸망 때까지 두터운 보호를 받았다. 시종훈은 젊은 나이로 병사하고 송태종은 황제의 예로 장례를 치뤄준다. 태조가 '진교병변' 후에 회군하여 변경 황궁으로 들어왔을 때 어떤 후궁이 어린애를 안고 있는 것을 보고 누구의 아이인지를 묻자 후주 세종의 아들이라 대답했다. 이때 태조는 한 쪽에 서 있던 범질, 조보, 반미(潘美)에게 그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을지 물었다. 조보 등은 당연히 제거하여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대답했지만, 태조는 "내가 남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그의 자식마저 죽여야 하다니, 나는 차마 그러지 못하겠다."고 하였다. 태조는 그 아이를 반미에게 키우라고 준 후에 이후 그 아이에 대해서 묻지 않았으며, 반미도 태조에게 그 아이 이야기를 한번도 꺼내지 않았다. 그 아이는 성인이 된 후에 이름을 유길(惟吉)이라 하고 송조에서 벼슬이 자사(刺史)에 이르렀다. 배주석병권[편집] 휘하 장수들과 술을 마시고, 황제로 옹립되었던 송태조는 961년 역으로 금위군(禁衛軍) 장수 석수신(石守信) 등의 휘하 장수들을 초청하여 말술을 먹이고, 병권을 자발적으로 내놓게 하는 배주석병권(杯酒釋兵權)을 단행하였다. 정세가 안정된후 조광윤은 석수신 등 공신들을 초청해 연회를 차렸다. 연회 참석자들이 한창 주흥이 도도해 졌을무렵 조광윤은 갑자기 시종들을 멀리하고 엄숙하게 공신들에게 말하기를 '만일 당신들의 힘이 없었다면 나는 황제로 될 수 없었을 것이오. 그러나 황제가 된 후 나는 매일 편안한 밤을 잘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 말은 들은 장교들은 놀라움을 표하면서 "우리가 어찌 감히 황제에게 다른 마음을 가질수 있겠습니까?"라고들 답했다. 조광윤은 이때 "당신들은 비록 황위를 탐내지 않는다고 치더라도 당신들의 수하에 부귀를 꿈꾸는 자들이 있을까 봐 두려운 것이오. 만일 당신들에게 황포를 걸쳐주는 사람들이 있으면 당신들도 거절하기 힘들 것이 아니겠는가 말이오."라고 말했다. 이에 공신들은 다급히 어떻게 하면 황제를 안심하게 할 수있는가고 조광윤에게 물었다. 조광윤은 크게 한숨을 내쉬면서 "사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재부(財富)라고 보아지오. 당신들은 아예 권리를 내놓고 지방에 내려가 땅을 사고 호화저택 지어놓고 살면서 나와 친척으로 지내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소"라고 답했다. 장교들은 조광윤의 말 뜻을 완전히 이해할 수가 있었다. 다음날 모든 고급 장교들은 모두 황제에게 사직서를 제출하였고, 조광윤은 바로 그들의 직무를 해임시켰다. 당나라가 멸망하고 오대십국의 혼란이 군벌의 폐해로 일어났다고 생각한 송태조는 휘하의 군벌들에게도 그러한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하고 술자리에서 자신의 고민을 토로함으로써 하루 저녁에 군벌들의 세력을 넘겨받아 중앙으로 복속시킨다. 이 사건은 지방 군벌에 의한 군웅할거의 국면을 종식시키는 계기가 된다. 태조는 동일한 수단으로 왕언초(王彦超) 등 여러 명의 절도사들의 병권도 박탈하고, 지방의 행정과 재정을 모두 중앙으로 복속시켰다. 북송 황제[편집] 즉위 직후 시영의 신하로 자리를 찬탈했다는 비난에 직면하였다. 태조가 말을 타고 출궁하였다가 대계교(大溪橋)에 당도했을 때 갑자기 화살이 하나 날아와서 황룡기(黃龍旗)에 꽂혔다. 금위군이 당황하자 그는 오히려 가슴을 치면서 "내게 활쏘는 법을 가르쳐 줘 고맙구나!"라고 하고는 금위군이 화살 쏜 사람을 잡지 말라 하였다. 통일 전쟁[편집] 과거제도의 정비와 내치의 안정을 바탕으로 송태조 조광윤은 통일 전쟁을 시행하였다. 963년 중국대륙의 가장 중요한 요지라 할 수 있는 호북성의 형남을 합병했다. 965년에 사천성의 후촉을 병합하고 이땅의 풍부한 물산을 빼앗아 전쟁 비용을 보충한다. 970년경이면 조광윤은 중국의 북부지역을 거의 통일하게 된다. 한편으로 만리장성 안을 넘보던 거란족의 요나라를 정벌하고 후진 때 빼앗겼던 연운 16주를 수복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고 971년 광동을 지배하던 남한을 멸망시켰다. 그리고 975년 화남에서 최대세력을 자랑하던 남당을 멸망시키게 되었다. 남은 것은 북쪽의 북한과 남쪽의 오월뿐이었지만 태조는 당돌에서 병사했다. 정책[편집] 계속된 오대십국의 혼란으로 조광윤은 군벌의 힘을 억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당나라 때부터 전란의 원인이 되고 있었던 절도사의 힘을 조금씩 줄여 단순한 명예직으로 남겨두었다. 조광윤은 많은 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권한을 줄여나갔다. 조광윤의 정치는 만사가 이러한 방법으로 행해졌으며, 혈사를 일으키는 것을 싫어했다. 실력있는 인재를 지역색에 가림없이 널리 구해야 된다는 유학자 출신 조보(趙普)의 충고를 받아들여 인재 채용에 관심을 기울였고, 무인정치를 폐하고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시켰다. 이는 일종의 군벌 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려던 그의 정책적인 측면과도 일부 상통했다. 지방에 파견되던 군사지도자 성격의 절도사(節度使) 지배체제를 폐지하고 중앙에서 절도사를 직접 임명하여 파견하되 절도사에게 부여되던 재량권(행정, 사법, 군사권)을 대폭 축소시키고 중앙정부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방관 역시 중앙에서 직접 파견하게 하여 행정적 측면에서도 중앙집권화를 꾀하였다. 지방의 주와 군의 관리들의 재량권을 대폭 축소, 지방의 군권, 재정권, 사법권을 조정에 귀속시키고 중앙에 민정·병정·재정의 3권을 집중하고 금군을 강화하여 황제의 권한을 향상시켰다. 군권을 중앙에 귀속, 집중시키고도 군대 이동이 빈번하고 지방에 파견된 절도사와 군사 지휘관들이 독자세력을 형성하는 것을 경계하여 이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는데 노력했는데 이는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이 크게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과거제도를 개선하여 전시(殿試)를 행하고, 무인보다 문인이 상위에 서는 문치주의를 확립했다. 과거시험이 실질적으로 관료선발 제도로 제 기능을 한 것은 송나라 때부터라고 한다. 흔히 조광윤이 폈던 문민통제 정책이 송나라 군대의 전투력을 약화시킨걸로 알려져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남송은 최전성기의 몽골 정예 기병을 상대로 가장 오랫동안 항전한 나라이다. 그는 관료들에게 독서를 권고하였는데 송나라시기 지식인에 대해 중시하고 우대해 주었기에 책을 읽는 풍토를 자연스럽게 조성하고 자신도 독서와 강독에 최대한 참여하려 노력했다. 관료 선발에도 직접 관심을 갖고 지도하였는데, 문관 등용에서 신분의 따지지 않고 평등한 과거 경쟁을 통해 문관들을 대거 발탁했다. 지방통치를 위해 전국에 파견되는 관료의 채용을 위한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황제가 형식적으로 주관하거나 보고를 받던 이전의 황제들과는 달리 황제가 직접 과거시험을 실시, 주관하는 전시(殿試)와 어시(御試) 횟수를 늘렸다. 수리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황무지를 개간하여 농토로 조성하거나 식수조림을 장려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개국황제들이 후환을 없애기 위해, 이전 군주들을 죽인 것에 반해 조광윤은 후주의 시씨를 시작으로 항복한 나라들의 군주들을 살리고, (물론 시씨 같은 경우는 위에 나온 협약 때문 이었고, 점령한 나라들의 반발의 우려 때문이었다.) 귀족으로서의 지위도 보장하였다. 이러한 개혁을 실행함에 있어 점차적으로 새로 선발하여 뽑아들인 관료로 구 귀족 및 지방 호족세력을 억제하되, 서서히 점진적으로 시행하여 반발을 최소화시키기도 하였다. 송태조 조광윤은 중국 역대 황제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명군 중의 명군이라는 평가를 받는 황제이다. 석각 유훈의 내용과 해석[편집] 석각유훈은 조광윤이 돌에 새겨 자손에게 전한 유언이다. 송왕조의 황제가 즉위를 하면 반드시 이것을 보는 것이 풍습이 되었다고 한다. 그 존재는 극비였고, 궁중에서만 전해져 내려와 정해진 사람들 이외에는 재상조차 알지 못하였다고 한다. 금군의 침입으로 황궁이 점령되어 발견되었고, 처음으로 그 존재가 표면화되었다. 거기에 새겨져 있는 유훈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조광윤에게 황위를 미루었던 시씨 가문의 자손을 대대로 돌봐 주어라. 뜻이 맞지 않다고 사대부를 죽여서는 안 된다. 이 두 개의 유훈이 지켜진 것은 시씨의 자손이 남송이 멸망한 애산 전투에서 운명을 함께 한 것과, 정쟁으로 실각한 관료(신법, 구법의 다툼. 사마광과 진회)가 처형되지 않고 정국의 변화에 의해 좌천되었다 중앙에 복귀하는 것으로 증명하고 있다. 위에 나온 시씨 가문에 대한 맹약과 당시 사대부들의 영향력을 이 유훈은 말해 주고 있다. 생애 후반[편집] 거란족의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끝내 실패하였다. 976년 10월, 태조는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어 동생 조광의를 불러 대리청정을 시켰다. 976년 11월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사망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49세였다. 그러나 조광윤의 사후 내부 정변에 의해 그의 적자들이 제거되고 그의 친동생인 조광의가 제위를 계승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조광의가 조광윤을 독살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존호, 시호, 묘호[편집] <송사(宋史)>에 따르자면, 존호는 963년 쯤에 응천광운인성문무지덕황제(應天廣運仁聖文武至德皇帝)라는 호를 받았으며, 968년 11월 경에 존호를 개정,가상하여 응천광운대성신무명도지덕인효황제(應天廣運大聖神武明道至德仁孝皇帝)라는 호를 받았다. 시호는 사후에 영무성문신덕황제(英武聖文神德皇帝)로 추시하였고, 진종 때인 1008년에 시호를 가상하여 계운입극영무예문신덕성공지명대효황제(啓運立極英武睿文神德聖功至明大孝皇帝)로 추시하였다. 묘호는 태조(太祖)이고, 능은 영창릉(永昌陵)이다. 친족[편집] 조부모와 부모[편집] 조부 : 추존황제 익조(翼祖) 간공예덕황제(簡恭睿德皇帝) 조경(趙敬) 조모 : 추존황후 간목황후(簡穆皇后) 유씨(劉氏) 부친 : 추존황제 선조(宣祖) 소무예성황제(昭武睿聖皇帝) 조홍은(趙弘殷) 모친 : 추존황후 소헌황후(昭憲皇后) 두씨(杜氏) 형제[편집] 형님 : 조왕(曹王) 조광제(趙光濟) 동생 : 송 태종(宋太宗) 조광의(趙光義) 동생 : 위도왕(魏悼王) 조정미(趙廷美) (947년 ~ 984년) - 이복 동생. 동생 : 지왕(岐王) 조광찬(趙光贊) 황후[편집] 봉호 시호 이름(성씨) 별칭 재위년도 생몰년도 비고 군부인(郡夫人) 효혜황후(孝惠皇后) 하씨(賀氏) 회계군부인(會稽郡夫人) (추존) 929년 ~ 958년 건국 후 추존됨. 황후(皇后) 효명황후(孝明皇后) 왕씨(王氏) 낭야군부인(琅邪郡夫人) 960년 ~ 964년 942년 ~ 964년 황후(皇后) 효장황후(孝章皇后) 송씨(宋氏) 개보황후(開寶皇后) 968년 ~ 976년 952년 ~ 994년 황자[편집]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등왕(滕王) 혜(慧) 조덕수(趙德秀)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2 연왕(燕王) 의(懿) 조덕소(趙德昭) 951년 ~ 979년 효혜황후 하씨 무공군왕(武功郡王)위왕(魏王)오왕(吳王)월왕(越王) 3 서왕(舒王) 조덕림(趙德林) 효혜황후 하씨 요절함 4 진왕(秦王) 강혜(康惠) 조덕방(趙德芳) 959년 ~ 981년 효명황후 왕씨 흥원윤(興元尹)담왕(潭王)기왕(岐王)초왕(楚王) 황녀[편집] - 봉호(공주) 봉호(제희)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위국대장공주(魏國大長公主) 현숙대장제희(賢肅大長帝姬) 현숙(賢肅) ? ~ 1008년 효혜황후 하씨 소경공주(昭慶公主)정국공주(鄭國公主)진국장공주(秦國長公主) 2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현정대장제희(賢靖大長帝姬) 현정(賢靖) ? ~ 1009년 효혜황후 하씨 연경공주(延慶公主)허국공주(許國公主)진국장공주(晉國長公主) 3 진국대장공주(陳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賢惠大長帝姬) 정혜(貞惠)공혜(恭惠) ? ~ 999년 영경공주(永慶公主)괵국공주(虢國公主)제국공주(齊國公主)허국장공주(許國長公主) 4 신국대장공주(申國大長公主) 안혜대장제희(安惠大長帝姬) 요절함 5 성국대장공주(成國大長公主) 현혜대장제희(顯惠大長帝姬) 요절함 6 영국대장공주(永國大長公主) 선혜대장제희(宣惠大長帝姬) 요절함 연호[편집] 건륭(建隆):960년~963년 11월 건덕(乾德):963년 11월~968년 11월 개보(開寶):968년 11월~976년 평가[편집] 정변으로 집권하였으나 전임 국가의 황제인 후주의 시종훈을 살해하지 않고 도리어 그의 생명을 지켜주었다. 그리고 석각유훈을 비롯, 자신의 유언을 통해서 시씨의 자손을 보호할 것을 유지로 남겼다. 이는 뒤에 주자로부터 덕망높은 군주로 칭송을 받았는데 이는 후대의 학자들도 별 이의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의 배려에 감읍한 시씨의 후손들은 1279년 애산 전투에서 송조의 유신들과 함께 몽골에 맞서 싸우다가 함께 전사한다. 기타[편집] 그는 술을 좋아하였는데 이는 만년에 간질환과 과로로 쓰러지는 등의 후유증을 초래하였다. 일각에서는 그의 애주가 그의 병을 키웠고,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고도 본다. 효명황후 왕씨는 비파와 쟁을 타는 실력이 뛰어났다[2]한다. 독살설[편집] 976년 북벌을 계획하던 중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 그의 아들 덕소와 덕방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최후를 맞이했다. 이를 두고 제위를 은연중에 넘보던 그의 친동생 조광의가 쿠데타를 일으켜 그를 독살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광윤의 두 아들 덕소와 덕방은 조광의에 의해 제거되었다. 화예부인[편집] 후촉을 멸망시킨 뒤 후촉의 왕이었던 맹창 내외를 포로로 사로잡아 귀환했다. 뒤에 맹창이 죽자 송태조는 화예부인이 사작(詞作)에 능함을 전해 들었기에 그녀를 불러 시를 짓게 했는데 그녀는 당당하게 망국의 한을 읊었다고 전해진다. 君王城上樹降旗 군왕이 성 위에 항복 깃발 세웠다지만 妾在深宮那得知 첩은 깊은 궁에 있어 알 길이 없었네. 十四萬人齊解甲 14만명이 모두 갑옷을 벗었다 하니 寧無一個是男兒 남아는 하나도 없었던 것인가! 오히려 굳은 충정에 크게 감명한 송태조는 그녀를 후궁으로 삼았다. 송태조의 후궁이 된 화예부인은 기회를 노렸다가 조광윤을 죽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스스로 자결하였다. 서씨의 재능과 미모로 조광윤과 그의 동생인 조광의가 서로 질투하여 다투게 만들었다[3]고도 한다. 서씨와 함께 포로로 잡혀오고 맹창이 죽자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었던 조광윤은 재빨리 서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다. 《노여록》(爐餘錄)에 의하면 '촉주가 죽자 곧 태조의 궁으로 들어가 총애를 받았다.'고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그가 어찌 알았을까? 동생 조광의도 이 재색을 겸비한 서씨를 노리고 있었다.[3] 서기 976년 겨울 조광윤이 임종이 가까워 침대에 누워 거의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조광의는 서씨에 대한 마음을 행동으로 옮겼다. 한밤중에 조광의는 형 조광윤을 몇번이나 불렀으나 대답이 없자 서씨를 희롱했다. 조광윤이 일어나 이를 알고 분노하여 옥부(옥으로 된 도끼)로 바닥을 내리쳤다.[3] 놀란 황후와 태자가 왔을 때는 이미 임종이 가까워져 있었고, 조광의는 슬그머니 자신의 관저로 돌아갔다. 그리고 조광윤은 세상을 떠난다.[3] 같이 보기[편집] 북송 남송 진교의 변 배주석병권 조광의 오대 십국 혜비 서씨 진종 효종 시영 시종훈 애산 전투 황포가신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이나미 리츠코 저, 배신자의 중국사 (김석희 역, 작가정신, 2002) 223페이지 ↑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371페이지 ↑ 가 나 다 라 샹관핑,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인물들(한정민 역, 달과소, 2008) 403페이지 참고문헌[편집] 송사(宋史) 권1 태조본기(太祖本紀) 노여록(爐餘錄)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캐스트 - 송태조 조광윤 대기원시보 - 조광윤(한자) 전임(초대)(후주 공제 시종훈) 제1대 북송의 황제960년 ~ 976년 후임북송 태종 vdeh송나라의 역대 황제추존 성조 희조 순조 익조 선조 북송 태조 태종 진종 인종 영종 신종 철종 휘종 흠종 남송 고종 효종 광종 영종 이종 도종 공제 단종 소제 삼황오제 → 하나라 → 상나라 → 주나라 → 진(秦)나라 → 한나라 → 삼국시대 → 진(晉)나라 / 오호 십육국 → 남조 / 원위 - 북주 - 북제 → 수나라 → 당나라 → 오대 / 십국 → 송나라 / 요나라 / 서하 / 금나라 → 원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934032 LCCN: n82085482 ISNI: 0000 0000 6322 3018 GND: 124584330 NLA: 36612171 NDL: 0062500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북송_태조&oldid=24395325" 분류: 북송 태조927년 태어남976년 죽음북송의 황제오대 십국 시대의 장군송나라의 장군육군 장군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병사한 사람10세기 중국 사람10세기 중국의 군주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བོད་ཡིགMìng-dĕ̤ng-ngṳ̄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0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크라스노다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크라스노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크라스노다르 Краснодар 시기 휘장 크라스노다르북위 45° 02′ 00″ 동경 38° 58′ 00″ / 북위 45.03333° 동경 38.96667°  / 45.03333; 38.96667좌표: 북위 45° 02′ 00″ 동경 38° 58′ 00″ / 북위 45.03333° 동경 38.96667°  / 45.03333; 38.96667 행정 나라 러시아 지역 남부 연방관구 행정구역 크라스노다르 지방 역사 설립 1794년 인구 인구 744,995 명 (2010년) 기타 시간대 모스크바 시간대(UTC+3) 지역번호 +7 861 [1] 크라스노다르(러시아어: Краснода́р, 아디게어: Гъожъие къал)는 러시아 연방 남부의 도시이다. 북코카서스 서부에 위치한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중심지이다. 쿠반 강에 접한 도시이다. 인구는 653,300명(2004년)이고, 모스크바로부터는 남쪽으로 약 1,540km 떨어져 있다. 남쪽으로는 아디게야 공화국과 접한다. 1793년에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서 요새 도시로서 건설되었고 예카테리노다르(Екатеринодар)로 불렸다. 19세기 후반에 철도가 개통하고 나서 크게 발전했다. 1920년 12월에 크라스노다르라고 개칭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은 크라스노다르를 공업도시로 발전시켰다. 정유, 기계 제조업지로 유명하다.[1] 토지가 비옥하고 곡류나 해바라기 등을 수확한다. 농산물 가공도 한다. 목차 1 기후 2 자매 도시 3 각주 4 외부 링크 기후[편집] Krasnodar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20.8 (69.4) 22.2 (72) 28.5 (83.3) 34.7 (94.5) 35.1 (95.2) 37.5 (99.5) 40.7 (105.3) 40.0 (104) 38.5 (101.3) 33.9 (93) 27.4 (81.3) 23.0 (73.4) 40.7 (105.3) 평균최고기온 °C (°F) 4.4 (39.9) 5.7 (42.3) 10.7 (51.3) 18.0 (64.4) 23.2 (73.8) 27.1 (80.8) 30.2 (86.4) 30.2 (86.4) 24.9 (76.8) 18.1 (64.6) 10.7 (51.3) 5.8 (42.4) 17.4 (63.3) 일평균기온 °C (°F) 0.6 (33.1) 1.1 (34) 5.5 (41.9) 12.2 (54) 17.2 (63) 21.3 (70.3) 24.1 (75.4) 23.7 (74.7) 18.5 (65.3) 12.3 (54.1) 6.1 (43) 2.1 (35.8) 12.1 (53.8) 평균최저기온 °C (°F) −2.2 (28) −2.3 (27.9) 1.8 (35.2) 7.6 (45.7) 12.2 (54) 16.4 (61.5) 18.7 (65.7) 18.0 (64.4) 13.3 (55.9) 7.9 (46.2) 2.8 (37) −0.7 (30.7) 7.8 (46) 최저기온기록 °C (°F) −32.9 (−27.2) −29.8 (−21.6) −25.6 (−14.1) −5.6 (21.9) −1.2 (29.8) 4.2 (39.6) 9.5 (49.1) 3.9 (39) −2.2 (28) −9.9 (14.2) −20.4 (−4.7) −27.6 (−17.7) −32.9 (−27.2) 평균 강수량 mm (인치) 66 (2.6) 54 (2.1) 58 (2.3) 51 (2) 68 (2.7) 86 (3.4) 56 (2.2) 44 (1.7) 46 (1.8) 56 (2.2) 73 (2.9) 77 (3) 735 (28.9) 평균강우일수 13 11 14 15 14 14 10 8 10 12 14 15 150 평균강설일수 11 10 6 0.3 0 0 0 0 0 0 3 9 39 평균 상대 습도 (%) 81 76 72 66 66 68 63 62 68 75 81 82 72 평균 월간 일조시간 71 84 136 181 247 277 303 286 238 173 88 55 2,139 출처 #1: Pogoda.ru.net[2] 출처 #2: NOAA (sun, 1961–1990)[3] 자매 도시[편집] 미국 탤러해시 독일 카를스루에 불가리아 부르가스 중국 하얼빈 시 이탈리아 페라라 우크라이나 폴타바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로스토프 나 도누〉 ↑ “Pogoda.ru.net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Krasnodar)” (러시아어). Weather and Climate.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Krasnodar Climate Normals 1961–1990”. 미국 해양대기청.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크라스노다르 (러시아어) 크라스노다르온라인 vdeh크라스노다르 지방의 도시 아빈스크 아나파 압셰론스크 아르마비르 벨로레첸스크 겔렌지크 고랴치클류치 굴케비치 예이스크 코레놉스크 크라스노다르 크로폿킨 크림스크 쿠르가닌스크 라빈스크 노보쿠반스크 노보로시스크 프리모르스코아흐타르스크 슬라뱐스크나쿠바니 소치 템류크 티마숍스크 티호레츠크 투압세 우스티라빈스크 하디젠스크 이 글은 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크라스노다르&oldid=24373154" 분류: 러시아의 도시크라스노다르 지방러시아의 연방주체의 행정 중심지숨은 분류: CS1 - 러시아어 인용 (ru)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АдыгабзэAfrikaansAkan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Словѣньскъ / ⰔⰎⰑⰂⰡⰐⰠⰔⰍⰟ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ГӀалгӀай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Перем Коми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онголमराठीЭрзяньDorerin Naoero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PolskiپنجابیΠοντιακάPortuguêsKirund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ChiTumbukaTwi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Wolof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Zeêuws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07: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반민주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민주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5월) 반민주주의(反民主主義; Anti-democratic thought)는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반민주주의는 반평등이념과는 관련이 없지만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반민주주의를 주장한 주요 인물로는 마르틴 하이데거, 허버트 라가르델, 샤를 모라스, 프리드리히 니체, 플라톤, 카를 슈미트, 오스발트 슈펭글러, 엘라자르 샤흐 등이 있다. 또한, 전제군주제, 귀족제, 파시즘, 법정후견주의, 신권 정치 등의 다양한 정치 사상 및 이데올로기가 민주주의를 반대했다. 목차 1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 1.1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 1.2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 2 더 보기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편집]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편집]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와 이에 기반한 민주주의를 시민들이 공익을 추구하기보단 시민의 충동을 따르게 되는 내부 단결이 없는 무정부사회라고 비판했고, 더 큰 민주주의는 단지 많은 수의 시민들이 말하는 의견만을 따르게 되 이와 같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라고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본질인 자유지상주의를 무정부주의이며 자유에 대한 착각이라고 공격했다.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일관된 통일성의 부족을 플라톤은 이러한 정치를 정치 조직의 한 형태이기보다는 공통의 조직을 차지하는 개인의 단순한 모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 결과, 플라톤은 시민들이 적합하고 부족한 리더십으로써의 아테네 민주주의의 평등 개념 같은 외부 규칙이 없는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각각 개인들에 자신의 욕망의 추구가 자기중심을 잃게 만들고 공동의 이익 대신에 갈등을 추구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 내에서 시민의 대표가 시민의 욕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리더십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개인 목소리의 중요성은 다수의 '민주주의적 요구에' 묻혀서 평가절하된다고 말했다.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편집] 프리드리히 니체는 기독교의 반대자에서 연결된 서구식 민주주의를 보면서, '민주주의' 운동은 기독교의 후계자이며, "사소한 주인을 충족시키면서 장기적인 자신의 이익을 계산하는" 자신의 욕망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상실감을 느끼는" 본질이 없는 민주주의의 사람을 비판했다. 니체는 "개인의 가장 높고 강력한 본능이 열정으로 갑자기 나타날 때, 군중의 양심의 저지를 넘어서서 평균 이상으로 그를 움직이게 한다"면서, "도덕적 관점은 이제 감정 상태, 의지, 재능이 사회에게 평등하다는 의견이 어떻게 유해한지 또는 무해한지 고려된다"라고 주장했다. "확실한 의지, 자기주도적 믿음, 고독의 의지, 심지어는 이유에 대한 큰 힘도 위험으로 느껴진다"라고 말했다. "오늘날 유럽의 도덕은 동물 무리의 도덕이다."라고 말했다. 더 보기[편집] 민주주의의 비판 중국의 민주주의 토론 vdeh 파시즘 이론핵심 교리 국민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 반민주주의 전체주의 일당제 독재 사회진화론 사회개입주의 프롤레타리아 민족 선전 우생학 영웅주의 군국주의 경제개입주의 반공주의 주제 정의 경제 이념 전세계의 파시즘 상징주의 개념 능동관념론 계급협조론 협동조합주의 영웅자본주의 국가사회주의 국민생디칼리슴 국민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제3의 위치 전체주의 사회질서 변종 이탈리아 파시즘 국가사회주의 팔랑헤주의 영국 파시즘 오스트로파시즘 메탁사스주의 국민급진주의 일민주의 렉스주의 교권적 파시즘 군단주의 천황제 파시즘 정당, 조직, 운동아프리카 회의사 오제바브란트바흐 아시아 남의사 백의사 동방회 사쿠라회 가나프당 브리트 하비리오님 북서유럽 알티리 너 하셰리 흑색전선 육군전우협회 브르타뉴 사회국민노동자운동 영국 파시스트 영국 인민당 영국 파시스트 연합 르 카골레 교권인민당 르 페소 플랑드르 국민연합 드블라그 프랑스 대중당 네덜란드 파시스트 총동맹 제국 파시스트 동맹 라푸아 운동 국민연합 국민협조당 녹의사 국민 파시스트 국민당 국민사회주의 블록 국민사회주의 네덜란드 노동자당 국민사회주의 동맹 네덜란드 국민사회주의 운동 노르웨이 국민사회주의 운동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신당 애국인민운동 천둥십자당 렉스당 중앙유럽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조국전선 헝가리 국민사회주의자당 국민전선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주데텐 독일인당 남유럽 알바니아 파시스트당 민주 파시스트당 국민생디칼리슴 공세평의회 에스파냐 팔랑헤 그리스 국민사회주의당 이탈리아 파시즘 이탈리아 사회공화국 메탁사스주의 국가 파시스트당 국민연합 공화 파시스트당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우스타샤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동유럽 불가리아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루마니아 십자군당 철위대 국민급진기지 파시스트 국민공동체 파시스트 국민운동 이탈리아-루마니아 국민문화경제운동 국민사회운동 국민급진기지 팔랑가 루마니아 국민 파스키오 국민부흥전선 불가리아 국민성 진보를 위한 전사단 루마니아 전선 러시아 파시스트당 러시아 여성 파시스트운동 슬로바키아 인민당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블라이카 북미 캐나다의 파시즘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국민연합당 금의사 독일계 미국인 동맹 은의사 남미 라틴아메리카의 팔랑헤주의 브라질 통일주의 볼리비아 사회주의 팔랑헤당 칠레 국민사회주의운동 혁명연합 관련자 압바 아히메이르 니미오 데 안퀸 아라키 사다오 마르 오기어 모리스 바르데체 자크 베노이스트메칭 앙리 베로 졸탄 보소르메니 주세페 보타이 로베르 브라지야크 알퐁스 드 샤토브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구스타브스 켈민슈 엔리코 코라디니 카를로 코스타마그나 리하르트 발터 다레 마르셀 데아 레옹 드그렐 피에르 드리외 라 로셸 고트프리트 페더 지오반니 젠틸레 요제프 괴벨스 한스 프리드리히 카를 귄터 하인리히 힘러 고노에 후미마로 아돌프 히틀러 기타 잇키 이사키 비흐토리 코솔라 아고스티노 란실로 디미트리예 료티치 레오폴도 루고네스 쿠르치오 말라파르테 이오안니스 메탁사스 로베르트 미헬스 오즈왈드 어날드 모즐리 준남작 베니토 무솔리니 이오인 오더피 가로드 오 키나간 세르지오 파눈치오 지오반니 파피니 안테 파빌리치 윌리엄 더들리 펠레이 알프레트 플뢰츠 로베르 폴레 비드쿤 크비슬링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프란시스코 프랑코 뤼시앵 레바테 디오니시오 리드루에호 알프레도 롯코 콘스탄틴 로드자엡스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플리니우 사우가두 라파엘 산체스 마사스 마르게리타 사르파티 카를 슈미트 아르뎅고 소피치 오트마어 슈판 우고 스피리토 살러시 페렌츠 곤살로 토렌테 발레스테르 조르주 발루아 아나스타시 바사츠키 안호상 염동진 박정희 문헌단행본 《파시즘의 교리》 《파시스트 선언》 《파시스트 지식인 선언문》 《나의 투쟁》 《오스월드 모슬리 자서전》 《20세기의 신화》 《히틀러 제2서》 《러시아 파시스트의 유언장》 정기간행물 국가의 정복 다스 라이히 데어 앙그리프 독일일반신문 노르웨이 독일일반신문 네덜란드 독일일반신문 Figli d'Italia 프론텐 간디레아 청년 파시스트지 나는 어디에나 있다 작업 중의 프랑스 뮌헨 베오바흐터 노보프레스 월간 NS 노르웨이-독일 저널 흑군단 데어 슈튀르머 이탈리아 인민 스파르머피아트러 지크날 블라이카 푈키셔 베오바흐터 우리의 길 파시스트 르알바 영상물 《신념의 승리》 《의지의 승리》 《자유의 날: 우리 국방군》 관련 주제 나치 예술 파시스트 건축 영웅사실주의 나치 건축 나치즘과 영화 나치의 예술품 약탈 조직국가조직 독일유산학술협회 파스키 협조원 파시즘 대평의회 황도파 이탈리아 국민주의자 협회 국민사회주의자 국가체육동맹 콰드룸비리 이익단체 파시스트 청년연합 독일계 미국인 동맹 국민청년기구 (그리스) 러시아 파시스트 기구 파시스트 아동연합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남아)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여아) 준군사조직 알바니아 파시스트 민병대 검은 여단 흑의사 청의사 금의사 철위대 회의사 히틀러 청소년단 보국단 무쇠 늑대 창기병대 필리핀 애국연맹 은의사 친위대 특수작전집단 무장친위대 돌격대 베어볼프 국제조직 추축국 NSDAP/AO ODESSA 역사1910년대 아르디티 파쇼 1920년대 아벤티노 분당 아체르보 선거법 로마 진군 뮌헨 폭동 이탈리아 경제투쟁 1930년대 무쇠 의지의 진군 1932년 11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맨챌래 반란 1933년 3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수권법 1934년 2월 6일 위기 오스트리아 내전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스페인 내전 8월 4일 체제 방공 협정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7월 25일 사건 탈나치화 뉘른베르크 재판 관련 주제 반파시즘 반나치동맹 기독교 파시즘 교권적 파시즘 Cryptofascism 나치 밀교 파시스트 (멸칭) 파시스트 밀교 독일화 나치 독일 용어집 나치 경례 이탈리아화 남티롤의 이탈리아화 이슬람 파시즘 일본화 쿠 클럭스 클랜 신파시즘 신나치주의 로마식 경례 사회파시즘 시나키즘 반파시즘 연합 독일 민족주의 운동 나치 독일의 여성 분류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반민주주의&oldid=24057246" 분류: 민주주의선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ČeštinaEnglishEspañolHrvatskiPolskiไทย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반민주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민주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5월) 반민주주의(反民主主義; Anti-democratic thought)는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이념이다. 반민주주의는 반평등이념과는 관련이 없지만 같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반민주주의를 주장한 주요 인물로는 마르틴 하이데거, 허버트 라가르델, 샤를 모라스, 프리드리히 니체, 플라톤, 카를 슈미트, 오스발트 슈펭글러, 엘라자르 샤흐 등이 있다. 또한, 전제군주제, 귀족제, 파시즘, 법정후견주의, 신권 정치 등의 다양한 정치 사상 및 이데올로기가 민주주의를 반대했다. 목차 1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 1.1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 1.2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 2 더 보기 민주주의에 대한 논쟁[편집] 플라톤의 아테네 민주주의 비판[편집]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와 이에 기반한 민주주의를 시민들이 공익을 추구하기보단 시민의 충동을 따르게 되는 내부 단결이 없는 무정부사회라고 비판했고, 더 큰 민주주의는 단지 많은 수의 시민들이 말하는 의견만을 따르게 되 이와 같은 민주주의를 중우정치라고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본질인 자유지상주의를 무정부주의이며 자유에 대한 착각이라고 공격했다.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일관된 통일성의 부족을 플라톤은 이러한 정치를 정치 조직의 한 형태이기보다는 공통의 조직을 차지하는 개인의 단순한 모임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 결과, 플라톤은 시민들이 적합하고 부족한 리더십으로써의 아테네 민주주의의 평등 개념 같은 외부 규칙이 없는 민주주의를 비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각각 개인들에 자신의 욕망의 추구가 자기중심을 잃게 만들고 공동의 이익 대신에 갈등을 추구하게 된다고 말했다. 시민들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 내에서 시민의 대표가 시민의 욕구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리더십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개인 목소리의 중요성은 다수의 '민주주의적 요구에' 묻혀서 평가절하된다고 말했다. 니체의 민주주의 사상[편집] 프리드리히 니체는 기독교의 반대자에서 연결된 서구식 민주주의를 보면서, '민주주의' 운동은 기독교의 후계자이며, "사소한 주인을 충족시키면서 장기적인 자신의 이익을 계산하는" 자신의 욕망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상실감을 느끼는" 본질이 없는 민주주의의 사람을 비판했다. 니체는 "개인의 가장 높고 강력한 본능이 열정으로 갑자기 나타날 때, 군중의 양심의 저지를 넘어서서 평균 이상으로 그를 움직이게 한다"면서, "도덕적 관점은 이제 감정 상태, 의지, 재능이 사회에게 평등하다는 의견이 어떻게 유해한지 또는 무해한지 고려된다"라고 주장했다. "확실한 의지, 자기주도적 믿음, 고독의 의지, 심지어는 이유에 대한 큰 힘도 위험으로 느껴진다"라고 말했다. "오늘날 유럽의 도덕은 동물 무리의 도덕이다."라고 말했다. 더 보기[편집] 민주주의의 비판 중국의 민주주의 토론 vdeh 파시즘 이론핵심 교리 국민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 반민주주의 전체주의 일당제 독재 사회진화론 사회개입주의 프롤레타리아 민족 선전 우생학 영웅주의 군국주의 경제개입주의 반공주의 주제 정의 경제 이념 전세계의 파시즘 상징주의 개념 능동관념론 계급협조론 협동조합주의 영웅자본주의 국가사회주의 국민생디칼리슴 국민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제3의 위치 전체주의 사회질서 변종 이탈리아 파시즘 국가사회주의 팔랑헤주의 영국 파시즘 오스트로파시즘 메탁사스주의 국민급진주의 일민주의 렉스주의 교권적 파시즘 군단주의 천황제 파시즘 정당, 조직, 운동아프리카 회의사 오제바브란트바흐 아시아 남의사 백의사 동방회 사쿠라회 가나프당 브리트 하비리오님 북서유럽 알티리 너 하셰리 흑색전선 육군전우협회 브르타뉴 사회국민노동자운동 영국 파시스트 영국 인민당 영국 파시스트 연합 르 카골레 교권인민당 르 페소 플랑드르 국민연합 드블라그 프랑스 대중당 네덜란드 파시스트 총동맹 제국 파시스트 동맹 라푸아 운동 국민연합 국민협조당 녹의사 국민 파시스트 국민당 국민사회주의 블록 국민사회주의 네덜란드 노동자당 국민사회주의 동맹 네덜란드 국민사회주의 운동 노르웨이 국민사회주의 운동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신당 애국인민운동 천둥십자당 렉스당 중앙유럽 화살십자당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조국전선 헝가리 국민사회주의자당 국민전선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주데텐 독일인당 남유럽 알바니아 파시스트당 민주 파시스트당 국민생디칼리슴 공세평의회 에스파냐 팔랑헤 그리스 국민사회주의당 이탈리아 파시즘 이탈리아 사회공화국 메탁사스주의 국가 파시스트당 국민연합 공화 파시스트당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우스타샤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동유럽 불가리아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 루마니아 십자군당 철위대 국민급진기지 파시스트 국민공동체 파시스트 국민운동 이탈리아-루마니아 국민문화경제운동 국민사회운동 국민급진기지 팔랑가 루마니아 국민 파스키오 국민부흥전선 불가리아 국민성 진보를 위한 전사단 루마니아 전선 러시아 파시스트당 러시아 여성 파시스트운동 슬로바키아 인민당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블라이카 북미 캐나다의 파시즘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국민연합당 금의사 독일계 미국인 동맹 은의사 남미 라틴아메리카의 팔랑헤주의 브라질 통일주의 볼리비아 사회주의 팔랑헤당 칠레 국민사회주의운동 혁명연합 관련자 압바 아히메이르 니미오 데 안퀸 아라키 사다오 마르 오기어 모리스 바르데체 자크 베노이스트메칭 앙리 베로 졸탄 보소르메니 주세페 보타이 로베르 브라지야크 알퐁스 드 샤토브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구스타브스 켈민슈 엔리코 코라디니 카를로 코스타마그나 리하르트 발터 다레 마르셀 데아 레옹 드그렐 피에르 드리외 라 로셸 고트프리트 페더 지오반니 젠틸레 요제프 괴벨스 한스 프리드리히 카를 귄터 하인리히 힘러 고노에 후미마로 아돌프 히틀러 기타 잇키 이사키 비흐토리 코솔라 아고스티노 란실로 디미트리예 료티치 레오폴도 루고네스 쿠르치오 말라파르테 이오안니스 메탁사스 로베르트 미헬스 오즈왈드 어날드 모즐리 준남작 베니토 무솔리니 이오인 오더피 가로드 오 키나간 세르지오 파눈치오 지오반니 파피니 안테 파빌리치 윌리엄 더들리 펠레이 알프레트 플뢰츠 로베르 폴레 비드쿤 크비슬링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프란시스코 프랑코 뤼시앵 레바테 디오니시오 리드루에호 알프레도 롯코 콘스탄틴 로드자엡스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플리니우 사우가두 라파엘 산체스 마사스 마르게리타 사르파티 카를 슈미트 아르뎅고 소피치 오트마어 슈판 우고 스피리토 살러시 페렌츠 곤살로 토렌테 발레스테르 조르주 발루아 아나스타시 바사츠키 안호상 염동진 박정희 문헌단행본 《파시즘의 교리》 《파시스트 선언》 《파시스트 지식인 선언문》 《나의 투쟁》 《오스월드 모슬리 자서전》 《20세기의 신화》 《히틀러 제2서》 《러시아 파시스트의 유언장》 정기간행물 국가의 정복 다스 라이히 데어 앙그리프 독일일반신문 노르웨이 독일일반신문 네덜란드 독일일반신문 Figli d'Italia 프론텐 간디레아 청년 파시스트지 나는 어디에나 있다 작업 중의 프랑스 뮌헨 베오바흐터 노보프레스 월간 NS 노르웨이-독일 저널 흑군단 데어 슈튀르머 이탈리아 인민 스파르머피아트러 지크날 블라이카 푈키셔 베오바흐터 우리의 길 파시스트 르알바 영상물 《신념의 승리》 《의지의 승리》 《자유의 날: 우리 국방군》 관련 주제 나치 예술 파시스트 건축 영웅사실주의 나치 건축 나치즘과 영화 나치의 예술품 약탈 조직국가조직 독일유산학술협회 파스키 협조원 파시즘 대평의회 황도파 이탈리아 국민주의자 협회 국민사회주의자 국가체육동맹 콰드룸비리 이익단체 파시스트 청년연합 독일계 미국인 동맹 국민청년기구 (그리스) 러시아 파시스트 기구 파시스트 아동연합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남아) 파시스트 아동연합 전위대 (여아) 준군사조직 알바니아 파시스트 민병대 검은 여단 흑의사 청의사 금의사 철위대 회의사 히틀러 청소년단 보국단 무쇠 늑대 창기병대 필리핀 애국연맹 은의사 친위대 특수작전집단 무장친위대 돌격대 베어볼프 국제조직 추축국 NSDAP/AO ODESSA 역사1910년대 아르디티 파쇼 1920년대 아벤티노 분당 아체르보 선거법 로마 진군 뮌헨 폭동 이탈리아 경제투쟁 1930년대 무쇠 의지의 진군 1932년 11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맨챌래 반란 1933년 3월 독일 국가의회 선거 수권법 1934년 2월 6일 위기 오스트리아 내전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스페인 내전 8월 4일 체제 방공 협정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7월 25일 사건 탈나치화 뉘른베르크 재판 관련 주제 반파시즘 반나치동맹 기독교 파시즘 교권적 파시즘 Cryptofascism 나치 밀교 파시스트 (멸칭) 파시스트 밀교 독일화 나치 독일 용어집 나치 경례 이탈리아화 남티롤의 이탈리아화 이슬람 파시즘 일본화 쿠 클럭스 클랜 신파시즘 신나치주의 로마식 경례 사회파시즘 시나키즘 반파시즘 연합 독일 민족주의 운동 나치 독일의 여성 분류 vdeh나치즘단체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국가사회주의 독일학생동맹(NSDStB) 국가사회주의 체육국가동맹(NSRL) 국가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동맹(KGRNS) 역사 초기 역사 히틀러의 성공시대 마흐터그라이풍 독일의 재무장 나치 독일 장검의 밤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방공 협정 수정의 밤 제2차 세계 대전 삼국 동맹 조약 홀로코스트 뉘른베르크 재판 탈나치화 신나치주의 이념 파시즘 지도자 원리 군국주의 나치 건축물 강제적 동일화 반민주주의 슈트라서주의 히틀러의 정치관 《나의 투쟁》 《19세기의 기초》 《20세기의 신화》 25개조 강령 신질서 《프로이센과 사회주의》 선전술 종교적 측면 혼합 정치 상징주의 여성정책 나치 인종주의 아리안 인종 피와 명예 우생학 대게르만국 제국으로의 귀환 레벤스라움 우등인종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 민족평등 종교 최종 해결책 강제 수용소 퇴거 강제 의사 재판 절멸 수용소 집단살해 게토 인체실험 노역수용소 대박해 인종 분리 독일 외 미국 나치당 화살십자당 (헝가리) 불가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국가사회주의운동 (불가리아) 독일계 미국인 연합 리히텐슈타인 독일민족운동 그레이셔츠 (남아프리카) 헝가리 국가사회주의당 루마니아 철위대 민족주의당 (노르웨이) 국가사회주의당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 스위스 민족주의 운동 국가사회주의 블록 (스웨덴) 국가사회주의 연맹 (영국) 국가사회주의운동 (미국) 그리스 국가사회주의당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국가단결당 (캐나다) 오제바브란트바흐 (남아프리카 연방) 목록 히틀러의 저서 이데올로기 총수와 임원 나치 당원 과거 나치 당원 히틀러의 연설 SS 장교 관련 인물 아돌프 히틀러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헤르만 괴링 마르틴 보어만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아돌프 아이히만 알베르트 슈페어 루돌프 헤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빌헬름 프리크 루돌프 회스 한스 프랑크 요제프 멩겔레 리하르트 발터 다레 발두어 폰 시라흐 에른스트 룀 디트리히 에카르트 고트프리트 페더 에른스트 한프슈텡글 헤르만 에세르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조지 링컨 록웰 관련 주제 나치즘 밀교 극우 나치 독일의 용어 나치 경례 신나치주의 스톰프런트 볼키스체 운동 스와스티카 사회 진화주의 사회주의 제국당 독일 국가민주당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반민주주의&oldid=24057246" 분류: 민주주의선거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ČeštinaEnglishEspañolHrvatskiPolskiไทย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7: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피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피오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피오 기본 정보본명 표지훈출생 1993년 2월 2일(1993-02-02) (26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직업 래퍼장르 랩, 힙합활동 시기 2011년 ~ 현재 가족 삼촌 표진인레이블 CJ E&M소속사 세븐시즌스소속 그룹 블락비 피오(1993년 2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블락비의 서브래퍼를 맡고 있다. 목차 1 학력 2 음반 3 예능 3.1 고정출연 3.2 게스트 4 드라마 5 광고 6 수상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중암중학교 (졸업)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방송연예과 (재학) 음반[편집] 피오가 그룹 블락비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블락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예능[편집] 고정출연[편집] 2011년 MBC every1 《데스캠프 24시》 2012년 SBS MTV 《더 쇼 : 올 뉴 케이팝》 (2017년 4월 25일 ~ 2017년 10월 10일) 2014년 SBS 《패션왕 코리아 2》 2016년 온 스타일 《립스틱 프린스》 2017년 OLIVE 《요상한 식당》 2017년 온 스타일 《립스틱 프린스 2》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2017년 4월 14일 ~ 2018년 3월 23일) 2018년 tvN 《대탈출 시즌 1》(2018년 7월 1일 ~ 2018년 9월 23일) 2018년 XtvN 《커버브라더스》 2018년 tvN 《신서유기 시즌 5》 (2018년 9월 30일 ~ 2018년 10월 28일) 2018년 tvN 《신서유기 시즌 6》 (2018년 10월 28일 ~ 2018년 12월 02일) 2019년 tvN 《대탈출 시즌 2》 (2019년 3월 17일 ~ 2019년 6월 9일) 2019년 tvN 《놀라운토요일》 도레미 마켓 (2019년 3월 30일 ~ ) 2019년 tvN 《강식당 시즌2》 (2019년 5월 31일 ~ ) 2019년 KBS2 《썸바이벌 1+1》 (2019년 6월 26일 ~ ) 게스트[편집] 2013년 MBC 《세바퀴》 224회 2014년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219회 2014년 SBS 《도전 1000곡》 297회 2016년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40회 2016년 tvN 《문제적남자》 58회, 59회 2017년 SBS 《백종원의 3대천왕》 83회 2017년 MBC 《비밀 예능 연수원》 2017년 SBS 《마스터키 (텔레비전 프로그램)》 3회 2017년 tvN 《문제적남자》 135회 2018년 JTBC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 시즌 2 - 18회 2018년 MBC 《선을 넘는 녀석들》 13,14,15,16회 2018년 MBC 《뜻밖의Q》 22회, 23회 2018년 tvN 《놀라운토요일》 33회 2018년 JTBC 《아이돌룸》 29회 특별출연 2019년 JTBC 《아는 형님》 162회 2019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600회 2019년 SBS 《가로채널》 12회 특별출연 2019년 tvN 《코미디빅리그》 300회 특별출연 2019년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405회 2019년 JTBC 《한끼줍쇼》 121회 2019년 tvN 《인생술집》 117회 2019년 KBS2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24회 2019년 KBS2 《슈퍼맨이 돌아왔다》 272회 2019년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616회 스페셜 MC 2019년 MBC 《복면가왕》 207회, 208회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7 SBS 《사랑의 온도》 강민호 40부작 2018 MBN 《설렘주의보》 윤유준 16부작 2018 tvN 《남자친구》 김진명 16부작 2019 tvN 《호텔 델루나》 지현중 광고[편집] 2016년 쥬씨 (블락비) 2017년 유리카 2018년 에비수 2019년 호텔스컴바인 2019년 질스튜어트 스포츠 모델 2019년 롯데칠성음료 레쓰비 (with. 송민호) 2019년 서브웨이 2019년 이니스프리 포레스트 포맨 올인원 에센스 모델 수상[편집] 2017년 MBC 방송연예대상 인기상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외부 링크[편집] 블락비 페이스북 블락비 팬카페 피오 인스타그램 vdeh블락비 태일 비범 재효 유권 박경 지코 피오 정규 음반 BLOCKBUSTER 미니 음반 New Kids On The Block Welcome To The Block Very Good HER Blooming Period 리패키지 음반 Welcome To The Block (Repackage) 싱글대한민국 Do U Wanna B? JACKPOT 일본 Very Good HER 관련 문서 스타덤 엔터테인먼트 세븐시즌스 KQ 엔터테인먼트 소속사: 세븐시즌스 vdeh세븐시즌스경영진 김규욱 (대표이사) 가수 블락비 지코 태일 비범 재효 유권 박경 피오 관련 문서 세븐시즌스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피오&oldid=24457017"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중암중학교 동문2011년 데뷔블락비의 일원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대한민국의 래퍼대한민국의 남자 래퍼서울특별시 출신 래퍼글로벌사이버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Suomi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2: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1968년 아지만에서 발행된 우표에 그려진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개인 정보전체 이름 Luis Suárez Miramontes출생일 1935년 5월 2일(1935-05-02) (84세)출생지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라코루냐키 175cm포지션 감독 (선수 시절 미드필더)청소년 클럽 기록1949–1953 페르세베란시아파브릴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53–19541954–19551955–19611961–19701970–1973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에스파냐 인두스트리알바르셀로나인테르나치오날레삼프도리아 00017 000(3)0000? 000(?)00122 00(61)00256 00(42)00063 000(9)국가대표팀 기록1957–1972 스페인 00032 00(14)지도자 기록197519751975–19761976–19771977–19781978–19791980–19821988–1991199219941995 인테르나치오날레삼프도리아SPAL 1907칼초 코모칼리아리 칼초데포르티보 라코루냐스페인 U-21스페인인테르나치오날레알바세테 발롬피에인테르나치오날레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스페인어: Luis Suárez Miramontes, 1935년 5월 2일 ~ )는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 겸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필더였다. 스페인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구 선수 가운데 한 사람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정확한 패스와 폭발적인 슈팅 때문에 "건축가"(El Arquitecto)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현재는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스카우트이다. 목차 1 경력 1.1 선수 경력 1.2 감독 경력 2 수상 2.1 클럽 2.2 국가대표 2.3 개인 3 사진 4 외부 링크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1949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청소년 클럽 소속으로 데뷔하였으며 1953년 12월 6일 라 리가 무대에 데뷔하였다. 1955년부터 1961년까지 바르셀로나 소속으로 뛰면서 팀의 라 리가 2회 우승(1958-59, 1959-6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2회 우승(1957, 1959),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2회 우승(1958, 1960)에 공헌하였고 1960년 발롱도르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1961년부터 1970년까지 이탈리아의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으로 뛰면서 팀의 세리에 A 3회 우승(1962-63, 1964-65, 1965-66), 유러피언컵 2회 우승(1964, 1965), 인터콘티넨털컵 2회 우승(1964, 1965)에 공헌하였고 1970년부터 1973년까지 이탈리아의 삼프도리아 소속으로 뛰었다.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에서 스페인의 사상 첫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우승에 공헌하였다. 1962년 FIFA 월드컵과 1966년 FIFA 월드컵에서도 스페인 대표로 출전하였지만 스페인은 두 대회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감독 경력[편집]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스페인 대표팀 감독을 맡았으며 199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의 16강 진출에 공헌하였다. 수상[편집] 클럽[편집] 바르셀로나 라리가 우승 2회 (1958-59, 1959–6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 2회 (1957, 1959)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 2회 (1958, 1960) 인테르나치오날레 세리에 A 우승 3회 (1962-63, 1964-65, 1965-66) 유러피언컵 우승 2회 (1964, 1965) 인터콘티넨털컵 우승 2회(1964, 1965) 국가대표[편집] 스페인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 개인[편집] 1960년 발롱도르 수상 1961년, 1964년 발롱도르 2위 선정 1965년 발롱도르 3위 선정 사진[편집]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1962년) 외부 링크[편집] International Stats Spain player stats Spain manager stats [1]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2년 FIFA 월드컵 1 아라키스타인 2 사두르니 3 카르멜로 4 코야르 (주장) 5 델 솔 6 디 스테파노 7 에체베리아 8 가라이 9 헨토 10 그라시아 11 리비야 12 페이로 13 파친 14 페렌츠 15 마르티네스 16 레이하 17 로드리 18 아델라르도 19 산타마리아 20 세하라 21 수아레스 22 베르헤스 감독: 에레라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우승 (1회) 1 이리바르 2 사두르니 3 카예하 4 가예고 5 올리베야 6 레이하 7 리비야 8 델 솔 9 푸스테 10 파키토 11 페레다 12 비야 13 소코 14 아만시오 15 라페트라 16 마르셀리노 17 수아레스 18 사바야 감독: 비얄롱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66년 FIFA 월드컵 1 이리바르 2 산치스 3 엘라디오 4 델 솔 5 소코 (주장) 6 글라리아 7 우파르테 8 아만시오 9 마르셀리노 10 수아레스 11 헨토 12 베탕쿠르트 13 레이나 14 리비야 15 레이하 16 올리베야 17 가예고 18 피리 19 푸스테 20 페이로 21 아벨라르도 22 라페트라 감독: 비얄롱가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 1990년 FIFA 월드컵 1 수비사레타 2 첸도 3 히메네스 4 안드리누아 5 산치스 6 마르틴 바스케스 7 파르데사 8 키케 9 부트라게뇨 (주장) 10 페르난도 11 비야로야 12 알코르타 13 아블라네도 14 고리스 15 로베르토 16 바케로 17 이에로 18 파스 19 살리나스 20 마놀로 21 미첼 22 오초토레나 감독: 수아레스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감독직vdeh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감독 포사티 (1909–15) 레세고티 (1920–22) 스포티스우드 (1922–24) 슈네이더 (1924–26) 비츠 (1926–28) 비올라 (1928–29) 비츠 (1929–31) 토흐 (1931–32) 비츠 (1932–34) 펠드만 (1934–36) 카라로 (1936) 카스텔라치 (1936–38) 카르넬리 (1938–40) 페루체티 (1940) 잠벨레티 (1941) 피오렌티니 (1941–42) 페라리 (1942–45) 카르카노 (1945–46) 누트리치오 (1946) 메아차 (1947–48) 카르카노 (1948) 애스틀리 (1948) 카펠리 (1949–50) 올리비에리 (1950–52) 포니 (1952–55) 캄파텔리 (1955) 메아차 (1955–56) 프로시 (1956) 페레로 (1957) 메아차 (1957) 카버 (1957–58) 비고노 (1958) 캄파텔리 (1959–60) 아치리 (1960) 카펠리 (1960) Hel. 에레라 (1960–68) 포니 (1968–69) Her. 에레라 (1969–70) 인베르니치 (1970–73) 마시에로 (1973) Hel. 에레라 (1973) 마시에로 (1974) 수아레스 (1974–75) 치아펠라 (1976–77) 베르셀리니 (1977–82) 마르체시 (1982–83) 라디세 (1983–84) 카스타그너 (1984–85) 코르소 (1985–86) 트라파토니 (1986–91) 오리코 (1991–92) 수아레스 (1992) 바놀리 (1992–94) 마리니 (1994) 비안키 (1994–95) 수아레스 (1995) 호지슨 (1995–97) 카스텔리니 (1997) 시모니 (1997–98) 루체스쿠 (1998–99) 카스텔리니 (1999) 호지슨 (1999) 리피 (1999–2000) 타르델리 (2000–01) 쿠페르 (2001–03) 베르델리 (2003) 자케로니 (2003–04) 만치니 (2004–08) 모리뉴 (2008–10) 베니테스 (2010) 레오나르두 (2010–11) 가스페리니 (2011) 라니에리 (2011–12) 스트라마초니 (2012–13) 마차리 (2013–14) 만치니 (2014–16) 더 부르 (2016) 피올리 (2016–17) 스팔레티 (2017–19) 콘테 (2019–) vdeh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브루 (1920) 루에테 (1921-1922) 베라온도 (1921-1928) 곤살레스 (1921-1927) 마테오스 (1922-1933) 이라올라 (1922) 브라헤 (1923) 파라헤스 (1923-1924) 세르누다 (1923-1924) 알바레스 (1924) 루비에라 (1924) 비데아 (1924) 알사가 (1925) 몬탈트 (1925) 로만 (1926-1927) 가르시아 (1934-1936) 로페스 (1941-1942) 킨코세스 (1945) 파사린 (1946) 코로나도 (1947-1962) 에이사기레 (1948-1956) 케사다 (1951) 이세타 (1951) 알칸타라 (1951) 사모라 (1951-1952) 에스카르틴 (1952-1961) 카바니예스 (1953-1954) 바르톨로메 (1955) 델 바예 (1955) 미야스 (1955) 후르호 (1955) 메아나 (1957-1959) 코스타 / 가빌론도 / 라스플라사스 (1959-1960) 에레라 (1960-1962) 비야론가 (1962-1966) 발마냐 (1966-1968) 토바 (1968-1969) 몰로우니 (1969) 아르티가스 (1969) 쿠발라 (1969-1980) 산타마리아 (1980-1982) 무뇨스 (1982-1988) 수아레스 (1988-1991) 미에라 (1991-1992) 클레멘테 (1992-1998) 카마초 (1998-2002) 사에스 (2002-2004) 아라고네스 (2004-2008) 델 보스케 (2008-2016) 로페테기 (2016-2018) 이에로 (2018) 루이스 엔리케 (2018-2019) 로베르토 모레노 (2019-) vdeh발롱도르발롱도르 (1956–2009)1950년대 1956: 매슈스 1957: 디 스테파노 1958: 코파 1959: 디 스테파노 1960년대 1960: 수아레스 1961: 시보리 1962: 마소푸스트 1963: 야신 1964: 로 1965: 에우제비우 1966: 찰턴 1967: 얼베르트 1968: 베스트 1969: 리베라 1970년대 1970: 뮐러 1971: 크라위프 1972: 베켄바워 1973: 크라위프 1974: 크라위프 1975: 블로힌 1976: 베켄바워 1977: 시몬센 1978: 키건 1979: 키건 1980년대 1980: 루메니게 1981: 루메니게 1982: 로시 1983: 플라티니 1984: 플라티니 1985: 플라티니 1986: 벨라노프 1987: 휠릿 1988: 판 바스턴 1989: 판 바스턴 1990년대 1990: 마테우스 1991: 파팽 1992: 판 바스턴 1993: 바조 1994: 스토이치코프 1995: 웨아 1996: 자머 1997: 호나우두 1998: 지단 1999: 히바우두 2000년대 2000: 피구 2001: 오언 2002: 호나우두 2003: 네드베트 2004: 솁첸코 2005: 호나우지뉴 2006: 칸나바로 2007: 카카 2008: 호날두 2009: 메시 FIFA 발롱도르 (2010–2015)2010년대 2010: 메시 2011: 메시 2012: 메시 2013: C. 호날두 2014: C. 호날두 2015: 메시 발롱도르 (2016–현재)2010년대 2016: 호날두 2017: 호날두 2018: 모드리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루이스_수아레스_미라몬테스&oldid=23528631" 분류: 1935년 태어남스페인의 축구 선수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스페인의 축구 감독데포르티보 라코루냐의 축구 선수FC 바르셀로나의 축구 선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선수UC 삼프도리아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감독데포르티보 라코루냐의 축구 감독UC 삼프도리아의 축구 감독칼리아리 칼초의 축구 감독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감독알바세테 발롬피에의 축구 감독196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196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발롱도르 수상자축구 미드필더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스페인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감독1990년 FIFA 월드컵 참가 감독이탈리아의 외국인 축구 감독라리가의 축구 선수세리에 A의 축구 선수스페인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숨은 분류: 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Malagasy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2: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빙허각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빙허각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빙허각 이씨는 조선의 여성실학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다. 목차 1 일생 2 저서 3 전기 자료 4 관련 작품 5 참고자료 6 각주 일생[편집] 1759년 음력 1월 27일(양력 2월 24일) 아버지 이창수(李昌洙)와 어머니 유씨(柳氏)부인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났다. 빙허각의 친가는 조선 세종의 서자 영해군의 가문으로 대대로 명망높은 소론 가문이었으며, 외가 역시 실학 및 고증학 분야에서 일가를 이룬 집안으로 외숙모이자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지은 사주당 이씨(師朱堂李氏)와 그의 아들로 《언문지》의 저자인 유희 등이 유명하다. 이병정은 그녀의 오빠이다. 15살에 실학자인 행정 서유본(徐有本: 1762년 3월 1일(음력 2월 6일)~1822년 8월 26일(음력 7월 10일)[1])과 결혼하였으며, 어린 시동생 서유구를 직접 가르쳤다고 한다. 시가 역시 다수의 실학자를 배출한 집안으로 많은 장서를 가지고 있어 훗날 빙허각의 저술 활동에 큰 도움이 되었다. 슬하에 4남 7녀를 두었으나 불행히도 8명이 일찍 죽고 아들 1명과 딸 2명만이 살아남았다.[2] 남편은 빙허각의 학문적 재능을 존중하였고, 평생 동안 학문적 동지 관계를 유지하였다고 한다. 서유본은 43세라는 뒤늦은 나이에 벼슬에 오르나 숙부 서형수의 옥사로 벼슬에서 일찍 물러났다. 갑자기 곤궁해진 집안을 일으키기 위해 차밭을 직접 가꾸며 생활했으며, 자신의 생활지식과 실학서의 내용을 종합한 가정백과사전을 쓰기 시작한 것이 《규합총서》이다. 이 책의 제목은 남편인 서유본이 직접 붙인 것이다.[3] 1824년 음력 2월 3일(양력 3월 3일), 66세로 세상을 떠났는데 이보다 2년 먼저 죽은 남편을 위해 '절명사(絶命詞)'[4]를 짓고 모든 인사(人事)를 끊은 다음, 머리를 빗지 않고, 얼굴을 씻지 않고 자리에 누워 지낸 지 19개월 만에 남편의 뒤를 따랐다 한다. 저서[편집] <규합총서> <빙허각시집> <청규박물지> 전기 자료[편집]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 관련 작품[편집] 열혈녀자 빙허각 (창작음악극) (2005년) 참고자료[편집] 조선 유일의 여성 실학자이자 경제학자 - 빙허각 이씨 (이코노미 플러스) 역사속의 경기여성 - 빙허각 이씨 <규합총서> 저자 소개 (윤숙자 편역)(질시루 출판) (2003년) 각주[편집] ↑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백씨 좌소산인 묘지명 ↑ 서유구, 《금화지비집》 권7,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 ↑ 서유본, 《좌소산인집》 권1, 〈강거잡영 15수〉 중 제13수의 자주(自註) ↑ 이 작품은 서유구의 문집인 《금화지비집》 권7의 수씨 단인 이씨 묘지명에 실려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빙허각_이씨&oldid=24544401" 분류: 1759년 태어남1824년 죽음조선의 실학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17: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민영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영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다. 처음에는 온건 개화파 정치인이었다가 갑신정변 전후로는 조선 말기 민씨 외척 정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경기도 출신이며 명성황후의 친정 일족이었다. 자(字)는 우홍(遇鴻), 호는 운미(雲楣) 또는 죽미(竹楣)·원정(園丁)·천심죽재(千尋竹齋)이며, 본관은 여흥이다. 목차 1 생애 1.1 출생과 가계 1.2 민씨 세도가의 수장 1.3 정치 활동 1.3.1 온건 개화파 활동 1.3.2 외교 활동 1.4 망명과 죽음 1.5 기타 2 사진 3 가족 관계 4 각주 5 관련 항목 6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 7 참고 문헌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민영익은 1860년 민태호의 독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7대조 민유중의 딸이 숙종 계비로 책봉되면서 중앙 정계의 핵심 세력으로 떠올랐지만, 고조부가 예조판서를 지낸 이후로는 권력에서 점차 소외되었다. 민영익이 태어났을 때, 민태호는 동생 집에 얹혀살면서 콩죽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였다.[1] 흥선대원군의 본부인인 여흥부대부인이 있었으나 그녀는 민태호, 민규호와 촌수가 멀었고, 대원군 역시 척신을 미워하여 별 혜택을 볼 수 없었다. 결국 민태호의 부친, 즉 민영익의 조부의 초상 때 관을 살 돈이 없어 시신을 짚자리로 말아 출상했을 정도로 가난했다. 간고했던 민영익의 집안에 서광이 비치기 시작한 것은 그가 7세 되던 해인 1866년 민치록의 딸이 왕비로 책봉되면서부터였다.[1] 민비 책봉 이전 몇 안 되는 과거 합격자였던 그의 숙부 민규호는 일약 권력의 핵심으로 떠올랐고, 1870년 그의 부친도 과거에 합격해 벼슬길에 올라 승승장구했다.[1] 유년기를 몰락한 양반집안의 후예로 보냈던 민영익도 10대에 접어들면서 권문세가의 후예로 신분이 상승했다. 1874년 민비의 오빠 민승호가 집으로 배달된 의문의 소포가 폭발해 사망했다. 비록 양자였지만 민승호는 민치구의 아들로 태어나 민치록에게 입양된 명성황후의 유일한 혈육이었다. 민씨 세도가의 수장[편집] 고종은 민승호에게 충정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민승호에겐 뒤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민비는 가까운 친척을 배척하고 촌수가 좀 먼 민태호의 아들 민영익을 양자로 삼겠다고 했다.[2] 그러자 민태호는 반대하였고 그의 동생 민규호가 형을 협박했다. "천의(왕후의 뜻)를 어찌 감히 어기겠소? 양자를 보내어 함께 부귀를 누리는 것도 좋지 않겠소이까?" 그래서 민태호의 아들 영익은 민승호의 양자로 들어갔고, 뒤이어 민규호는 이조판서 겸 도통사가 되었다.[2] 민씨 척족의 수장으로 세도를 부리던 민승호가 갑자기 폭사하자, 사람들은 흥선대원군을 의심하였다. 그러나 민승호와 그의 아들이 동시에 폭사했으므로 민씨 일족들은 자신의 아들을 민승호의 사후 양자로 세우기 위해 각자 암투와 경쟁을 벌였다. 하지만 민비는 만약을 대비하여 오빠의 사후 양자로 민영익을 일찌감치 점지해둔 상태였다.[1] 민태호는 아무리 일가라지만 하나뿐인 아들을 양자로 줄 수 없다고 버텼지만, 민규호 등과 민비의 거듭된 설득으로 허락할 수밖에 없었다.[1] 민태호는 품에서 아들을 잃은 대신 권세를 손아귀에 움켜쥐었다. 민비는 친정아버지의 제사를 받드는 유일한 혈육인 민영익을 끔찍이 아꼈다. 촌수로는 조카였지만, 나이 차이가 9세밖에 나지 않았기 때문에 친동생처럼 친하게 대했다.[1] 정치 활동[편집] 온건 개화파 활동[편집] 고종 때인 1877년 문과 급제 후 동도서기적 개화 정책을 지지하면서 별기군의 운영 책임을 맡았다. 이조참의·경리통리기무아문군무사당상(1881년)·군무변정기연사당상(軍務邊情譏沿司堂上) 협판통리아문사무(協辦通理衙門事務)를 역임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민씨 척족의 거물로 지목되어 구식 군대의 공격으로 가옥이 파괴되었다. 난이 수습된 후 사죄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 외교 활동[편집]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 두 번째와 세 번째가 홍영식, 민영익, 왼쪽 세 번째가 유길준 권지 협판교섭통상사무로 톈진에 파견되어 해관사무를 교섭하다가 23세이던 1883년 5월 푸트 주한(駐韓) 미국 공사가 조선에 부임하자 그해 7월 고종은 미국으로 보빙사(報聘使:답례 사절)를 파견한다.[1] 민영익은 보빙사의 정사 및 전권대신이 되어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하였다. 태평양을 건너고 샌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 미주 대륙을 횡단한 다음 뉴욕에서 체스터 아서 미국 대통령과 회동하고 국서를 전하였다. 보스턴 등 각지를 순회하고 유럽을 거쳐 귀국하였다. 중도 개화파의 후원자였으며, 1883년 보부상을 단속하는 혜상공국(惠商公局) 총판이 되기도 했다. 1884년 10월에 친군영(親軍營)이 실시되면서 우영사(右營使)를 역임했다. 친일적 급진 개화파와 갈등이 생겨 1884년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감행할 때 가장 먼저 자객의 기습으로 칼에 맞아 중상을 입었으나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구출되어 미국인 의사 알렌에게 치료를 받고 구사일생으로 회생하였다. 일본에 망명 중인 김옥균·서광범 등을 암살하기 위하여 자객을 밀파한 일도 있었다. 망명과 죽음[편집] 그 뒤 1885년 군국기무아문 협판, 병조 판서, 한성 판윤, 이조·형조·예조의 판서를 지냈으며, 1886년 조선 정부의 친러 거청(親露拒淸) 정책에 반대하여 위안스카이(원세개)에게 이를 밀보했다가 자신의 입장이 난처하여 홍콩으로 망명했다. 뒤에 귀국하여 1889년 판의금부사·1894년 선혜청 당상이 되었다. 대한제국이 성립하자 1898년 의정부 찬정이 되었고, 1905년 을사조약이 성립하자 고종 폐위 음모에 관련되어 홍콩으로 망명, 1910년 한일 합방 소식을 들었음에도 귀국하지 않았다. 그는 상하이에서 체류하다 1914년 죽었다. 기타[편집] 그는 한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측의 권유로 주(駐)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로 일한 적도 있었다. 행서를 잘 썼으며 묵란도에도 능하였다. 사진[편집] 민영익이 그린 〈노근묵란(露根墨蘭)〉 가족 관계[편집] 친조부 : 민치삼(閔致三) 친아버지 : 민태호(閔台鎬, 1834년 ~ 1884년) 여동생 : 순명효황후 민씨 (1872년 ~ 1904년) 매제 : 순종 (1874년 ~ 1926년) 양조부 : 민치록(閔致祿, 1799년~1858년) 양아버지 :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양어머니 : 김재정(金在廷)의 딸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 가 나 황현, 《매천야록》 (정동호 역, 일문서적, 2011) 40페이지 관련 항목[편집] 명성황후 순명효황후 갑신정변 개화파 박규수 박정양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안경수 유길준 이상재 이완용 고종 박영교 이동인 윤웅렬 윤치호 오경석 오세창 유대치 이동녕 이상재 이승만 양기탁 이시영 홍영식 민겸호 민승호 민규호 민태호 민영목 민영환 박정양 박영교 박중양 흥선대원군 안경수 이준용 서재창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편집] 윤순홍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 MBC 김용준 - 1996년 찬란한 여명 KBS1 김광영 - 2002년 명성황후 KBS2 장현성 - 2010년 제중원 SBS 오민석 - 2014년 조선 총잡이 KBS2 안재모 - 2016년 장사의 신 - 객주 2015 KBS2 참고 문헌[편집] 고종실록 순종실록 일성록 고종시대사 외부 링크[편집]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영익&oldid=24438233" 분류: 1860년 태어남1914년 죽음갑신정변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외교관사상가조선의 유학자조선의 서예가조선의 화가유길준윤치호서재필온건개화파수구파대한제국의 정치인대한제국의 관료과거 급제자병사한 사람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여흥 민씨경기도 출신대한제국 고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민영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민영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다. 처음에는 온건 개화파 정치인이었다가 갑신정변 전후로는 조선 말기 민씨 외척 정권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경기도 출신이며 명성황후의 친정 일족이었다. 자(字)는 우홍(遇鴻), 호는 운미(雲楣) 또는 죽미(竹楣)·원정(園丁)·천심죽재(千尋竹齋)이며, 본관은 여흥이다. 목차 1 생애 1.1 출생과 가계 1.2 민씨 세도가의 수장 1.3 정치 활동 1.3.1 온건 개화파 활동 1.3.2 외교 활동 1.4 망명과 죽음 1.5 기타 2 사진 3 가족 관계 4 각주 5 관련 항목 6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 7 참고 문헌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출생과 가계[편집] 민영익은 1860년 민태호의 독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7대조 민유중의 딸이 숙종 계비로 책봉되면서 중앙 정계의 핵심 세력으로 떠올랐지만, 고조부가 예조판서를 지낸 이후로는 권력에서 점차 소외되었다. 민영익이 태어났을 때, 민태호는 동생 집에 얹혀살면서 콩죽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였다.[1] 흥선대원군의 본부인인 여흥부대부인이 있었으나 그녀는 민태호, 민규호와 촌수가 멀었고, 대원군 역시 척신을 미워하여 별 혜택을 볼 수 없었다. 결국 민태호의 부친, 즉 민영익의 조부의 초상 때 관을 살 돈이 없어 시신을 짚자리로 말아 출상했을 정도로 가난했다. 간고했던 민영익의 집안에 서광이 비치기 시작한 것은 그가 7세 되던 해인 1866년 민치록의 딸이 왕비로 책봉되면서부터였다.[1] 민비 책봉 이전 몇 안 되는 과거 합격자였던 그의 숙부 민규호는 일약 권력의 핵심으로 떠올랐고, 1870년 그의 부친도 과거에 합격해 벼슬길에 올라 승승장구했다.[1] 유년기를 몰락한 양반집안의 후예로 보냈던 민영익도 10대에 접어들면서 권문세가의 후예로 신분이 상승했다. 1874년 민비의 오빠 민승호가 집으로 배달된 의문의 소포가 폭발해 사망했다. 비록 양자였지만 민승호는 민치구의 아들로 태어나 민치록에게 입양된 명성황후의 유일한 혈육이었다. 민씨 세도가의 수장[편집] 고종은 민승호에게 충정이란 시호를 내렸다. 그런데 민승호에겐 뒤를 이을 아들이 없어서 민비는 가까운 친척을 배척하고 촌수가 좀 먼 민태호의 아들 민영익을 양자로 삼겠다고 했다.[2] 그러자 민태호는 반대하였고 그의 동생 민규호가 형을 협박했다. "천의(왕후의 뜻)를 어찌 감히 어기겠소? 양자를 보내어 함께 부귀를 누리는 것도 좋지 않겠소이까?" 그래서 민태호의 아들 영익은 민승호의 양자로 들어갔고, 뒤이어 민규호는 이조판서 겸 도통사가 되었다.[2] 민씨 척족의 수장으로 세도를 부리던 민승호가 갑자기 폭사하자, 사람들은 흥선대원군을 의심하였다. 그러나 민승호와 그의 아들이 동시에 폭사했으므로 민씨 일족들은 자신의 아들을 민승호의 사후 양자로 세우기 위해 각자 암투와 경쟁을 벌였다. 하지만 민비는 만약을 대비하여 오빠의 사후 양자로 민영익을 일찌감치 점지해둔 상태였다.[1] 민태호는 아무리 일가라지만 하나뿐인 아들을 양자로 줄 수 없다고 버텼지만, 민규호 등과 민비의 거듭된 설득으로 허락할 수밖에 없었다.[1] 민태호는 품에서 아들을 잃은 대신 권세를 손아귀에 움켜쥐었다. 민비는 친정아버지의 제사를 받드는 유일한 혈육인 민영익을 끔찍이 아꼈다. 촌수로는 조카였지만, 나이 차이가 9세밖에 나지 않았기 때문에 친동생처럼 친하게 대했다.[1] 정치 활동[편집] 온건 개화파 활동[편집] 고종 때인 1877년 문과 급제 후 동도서기적 개화 정책을 지지하면서 별기군의 운영 책임을 맡았다. 이조참의·경리통리기무아문군무사당상(1881년)·군무변정기연사당상(軍務邊情譏沿司堂上) 협판통리아문사무(協辦通理衙門事務)를 역임했다. 1882년 임오군란 때 민씨 척족의 거물로 지목되어 구식 군대의 공격으로 가옥이 파괴되었다. 난이 수습된 후 사죄사절로 일본에 다녀왔다. 외교 활동[편집]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 두 번째와 세 번째가 홍영식, 민영익, 왼쪽 세 번째가 유길준 권지 협판교섭통상사무로 톈진에 파견되어 해관사무를 교섭하다가 23세이던 1883년 5월 푸트 주한(駐韓) 미국 공사가 조선에 부임하자 그해 7월 고종은 미국으로 보빙사(報聘使:답례 사절)를 파견한다.[1] 민영익은 보빙사의 정사 및 전권대신이 되어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하였다. 태평양을 건너고 샌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 미주 대륙을 횡단한 다음 뉴욕에서 체스터 아서 미국 대통령과 회동하고 국서를 전하였다. 보스턴 등 각지를 순회하고 유럽을 거쳐 귀국하였다. 중도 개화파의 후원자였으며, 1883년 보부상을 단속하는 혜상공국(惠商公局) 총판이 되기도 했다. 1884년 10월에 친군영(親軍營)이 실시되면서 우영사(右營使)를 역임했다. 친일적 급진 개화파와 갈등이 생겨 1884년 김옥균 등 급진 개화파가 갑신정변을 감행할 때 가장 먼저 자객의 기습으로 칼에 맞아 중상을 입었으나 독일인 묄렌도르프에게 구출되어 미국인 의사 알렌에게 치료를 받고 구사일생으로 회생하였다. 일본에 망명 중인 김옥균·서광범 등을 암살하기 위하여 자객을 밀파한 일도 있었다. 망명과 죽음[편집] 그 뒤 1885년 군국기무아문 협판, 병조 판서, 한성 판윤, 이조·형조·예조의 판서를 지냈으며, 1886년 조선 정부의 친러 거청(親露拒淸) 정책에 반대하여 위안스카이(원세개)에게 이를 밀보했다가 자신의 입장이 난처하여 홍콩으로 망명했다. 뒤에 귀국하여 1889년 판의금부사·1894년 선혜청 당상이 되었다. 대한제국이 성립하자 1898년 의정부 찬정이 되었고, 1905년 을사조약이 성립하자 고종 폐위 음모에 관련되어 홍콩으로 망명, 1910년 한일 합방 소식을 들었음에도 귀국하지 않았다. 그는 상하이에서 체류하다 1914년 죽었다. 기타[편집] 그는 한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측의 권유로 주(駐)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로 일한 적도 있었다. 행서를 잘 썼으며 묵란도에도 능하였다. 사진[편집] 민영익이 그린 〈노근묵란(露根墨蘭)〉 가족 관계[편집] 친조부 : 민치삼(閔致三) 친아버지 : 민태호(閔台鎬, 1834년 ~ 1884년) 여동생 : 순명효황후 민씨 (1872년 ~ 1904년) 매제 : 순종 (1874년 ~ 1926년) 양조부 : 민치록(閔致祿, 1799년~1858년) 양아버지 :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양어머니 : 김재정(金在廷)의 딸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 가 나 황현, 《매천야록》 (정동호 역, 일문서적, 2011) 40페이지 관련 항목[편집] 명성황후 순명효황후 갑신정변 개화파 박규수 박정양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김옥균 안경수 유길준 이상재 이완용 고종 박영교 이동인 윤웅렬 윤치호 오경석 오세창 유대치 이동녕 이상재 이승만 양기탁 이시영 홍영식 민겸호 민승호 민규호 민태호 민영목 민영환 박정양 박영교 박중양 흥선대원군 안경수 이준용 서재창 민영익이 등장한 작품[편집] 윤순홍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 MBC 김용준 - 1996년 찬란한 여명 KBS1 김광영 - 2002년 명성황후 KBS2 장현성 - 2010년 제중원 SBS 오민석 - 2014년 조선 총잡이 KBS2 안재모 - 2016년 장사의 신 - 객주 2015 KBS2 참고 문헌[편집] 고종실록 순종실록 일성록 고종시대사 외부 링크[편집]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9.05.16일자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민영익&oldid=24438233" 분류: 1860년 태어남1914년 죽음갑신정변조선의 문신조선의 정치인조선의 외교관사상가조선의 유학자조선의 서예가조선의 화가유길준윤치호서재필온건개화파수구파대한제국의 정치인대한제국의 관료과거 급제자병사한 사람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여흥 민씨경기도 출신대한제국 고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23: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동성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성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끼리 하는 결혼에 관한 것입니다. 같은 성별(性別)끼리 하는 결혼에 대해서는 동성 결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한다. 목차 1 역사 2 폐지 3 같이 보기 4 각주 역사[편집]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동성(同姓) 근친혼이 성행하였다. 태종무열왕 김춘추는 진지왕의 아들인 김용춘과 진평왕의 딸인 천명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진지왕이 진평왕의 삼촌이므로 용춘은 천명의 5촌당숙이었다. 진성여왕은 자신의 숙부인 김위홍과 혼인했으며, 김춘추는 김유신의 누이인 문희, 보희와 혼인했는데 문희의 딸인 지소는 삼촌인 김유신에게 시집을 갔고, 김유신의 딸 신광은 고모인 문희의 아들 문무왕에게 시집을 갔다. 헌덕왕은 숙부의 딸과 사촌끼리 결혼하였다. 고려 초에도 왕실의 동성 근친혼이 성행하여 이복남매 간의 결혼까지도 행해졌다. 그러나, 고려 중엽부터 유학의 영향으로 근친혈족 간의 혼인이 규제되기 시작해 고려 말에는 왕실 내의 근친혼풍습이 사라졌다. 유교이념을 기초로 건국된 조선 시대에는 성(姓)과 본(本)이 같은 사람 사이의 혼인이 철저하게 금지되었고, 모계혈족도 6촌까지 혼인이 금지되었다.[1] 조선시대의 동성동본금혼(同姓同本禁婚) 원칙은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의 관습법으로 인정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민법에 이를 규정하였다. 중국에서는 중화민국 민법의 친속편(親屬編)이 시행된 1931년 5월 5일 동성금혼 제도가 폐지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48년에 동성동본금혼 제도가 폐지되었는데, 대한민국 민법 제정 당시에도 이에 대해 시대착오적 입법이라는 반론이 있었다. 폐지[편집] 동성동본 금혼 규정에 대해서는 친족 관계를 확인하기 어려운 지나치게 광범위한 범위에서 단지 성과 본관이 같다는 이유로 혼인을 금지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는 이유로 계속 이의가 제기되었으며, 1978년, 1988년, 1996년에는 각각 1년 동안 '혼인에 관한 특례법'을 시행하여 동성동본인 사실혼 부부가 혼인신고를 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구제하였다. 결국, 1997년 7월 16일에 헌법재판소는 동성동본금혼 규정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려 그 효력을 중지시켰고, 2005년에 민법 개정이 이루어져 같은 해 3월 31일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동성동본 여부를 불문하고 8촌 이내의 혈족 사이에서 혼인을 금지하고 있다.[2] 같이 보기[편집] 근친혼 각주[편집] ↑ "우리 나라의 풍속이 외친(外親)도 동성(同姓)과 다름없이 중히 여기는 까닭으로 6촌까지 분경(奔競)을 금하였으니, 이제부터는 외친(外親) 6촌이면 서로 혼인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라." (조선왕조실록 성종 2년(1471) 6월 18일 10번째기사) ↑ “동성동본금혼 40년 만에 폐지”. 2012년 3월 31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글은 가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성혼&oldid=24067807" 분류: 혼인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가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7: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르조 바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르조 바사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1월) 조르조 바사리 자화상원어이름 Giorgio Vasari출생 1511년 7월 30일피렌체 공화국 아레초사망 1574년 6월 27일 (62세)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국적 이탈리아분야 그림, 건축학력 안드레아 델 사르토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 1511년 7월 30일 - 1574년 6월 27일)는 이탈리아의 화가, 건축가일 뿐만 아니라 특히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하던 예술가들의 전기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1 생애 2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 3 바사리의 작품 4 읽어보기 생애[편집] 1511년 토스카나 지방의 아레초(Arezzo)에서 태어났다. 1524년 피렌체로 가서 안드레아델 사르토(피렌체파 화가. 초상화에 뛰어나다)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고 미켈란젤로의 제자로서, 메디치가(피렌체의 지배자)의 원조를 받으면서 회화, 조각,건축에 종사한 예술가이다..1529년 로마를 방문한 라파엘로와 그 밖의 르네상스 화가들의 작품을 공부하고 고대 로마의 유적을 소묘해 가면서 예술적 영감을 쌓아갔다. 건축가이자 화가로 활동했다.당시 메디치가의 수장이었던 코시모 1세의 힘과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무수한 프레스코화(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많이 그려진 벽화)를 제작하였고 우피치 궁(우피치미술관) 설계 등의 대작들을 연달아 수행했다.화가로서 바사리는 화려하고 지적이지만 독창성은 부족한 보수적인 미술가였다. 그러나 건축가로서는 간결하고 강건한 건축물을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정작 역사상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만든 작업은 1550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의 《미술가 열전》출판이다.개정 작업을 시작, 이탈리아 전국을 일주하면서 취재를 거쳐 1568년에 개정판이자 결정판을 내었다. 그가 남긴 이 르네상스 미술가들의 평전은 후세의 미술사가들로부터 큰 찬사를 받고 있다. 그는 코시모 1세가 권좌에서 물러나 사망한 몇 달 후1574년 숨을 거두었다.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편집] Le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d architet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 (1550-1568) 바사리는 자신의 책 제 1부'서설'에서 고대의 재생을 논하며 당시의 시대를 규정짓기 위해 'Rinascimento'(Renaissanc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쓰는 '르네상스 시대' 라는 역사적 개념이라기 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화가 재생하였다' 라는 평면적 의미였다. 현대 우리가 쓰는 역사적인 의미는 스위스의 미술사학자인 부르크하르트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에서 만들어 낸 개념이다. 바사리의 작품[편집] 바사리가 남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라는 제목의 책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명이 남긴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을 수록한 이 책은 르네상스 미술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택에 바사리는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훗날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오류로 밝혀진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그가 생존했던 시대의 상황과 혼자서 200여명에 대한 평전을 집필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 보면 그가 남긴 오류가 크게 눈에 뜨이지는 않는 것 같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 저술을 통하여 후세에 남긴 간과할 수 없는 업적은 당시의 예술 기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집대성한 '기법론'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조각가,건축가들의 기술적인 측면을 오늘날 파악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는 1986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 초역,출판된 바 있다. (이근배 역, 탐구당 간행). 이 완역본의 축약본을 2000년에 '이태리 르네상스의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한명 출판사에서 재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탐구당본과 한명 출판사 본 모두 현재는 품절된 상태로, 도서관 혹은 헌책방에서만 구할 수 있다. 읽어보기[편집] 크로노스가 아버지 우라누스를 거세하는 장면을 플로렌스의 Palazzo Vecchio (Ducal palace)에 벽화로 남기고 있다. 큰 낫을 들고잇는 이가 크로노스이며 스러져있는 이가 우라노스이다. 우리노스 뒤편으로 보이는 천구의는 우라노스를 의미한다. 우라노스는 하늘의 신이기 때문이다. vdeh메디치 가문인물피렌체의 지배자 코시모 일 베키오 "통풍 걸린자" 피에로 로렌초 일 마니피코 줄리아노 피에로 일 파우토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아노 로렌초 2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무어인" 알레산드로 피렌체 공작 "무어인" 알레산드로 코시모 1세 토스카나 대공작 코시모 1세 프란체스코 1세 페르디난도 1세 코시모 2세 페르디난도 2세 코시모 3세 잔 가스토네 왕비 카테리나 마리아 교황 레오 10세 클레멘스 7세 레오 11세 추기경 남계: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알레산드로 (레오 10세) 조반니 페르디난도 1세 카를로 조반 카를로 레오폴도 프란체스코 마리아 프란체스코여계: 루이지 데 로시 조반니 살비아티 인노센초 키보 베르나르도 살비아티 니콜로 리돌피 로렌초 스트로치 페란테 곤차가 빈첸초 2세 곤차가 주교 및 대주교 필리포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줄리아노 차노비 콘도티에로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돈 조반니 마티아스 계보학 메디치 가문의 족보 Festina Lente건축물빌라 카파졸로 트레비오 카레지 피에솔레 라 퀴에테 콜레살베티 포조아카이아노 카스텔로 메초몬테 아냐노 스페달레토 라 페트라이아 카물리아노 스타비아 라토파이아 체레토구이디 마리뇰레 아레나메타토 포조임페리알레 라페지 람브로자나 라 마자 릴리아노 콜타노 몬테베톨리니 아르티미노 부티 세라베차 궁전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 피티 궁전 빌라 메디치 팔라초 메디치 토르나퀸치 리보르노 피사 마테르데이 팔라초 메디치 디 오타비아노 분수 및 정원 메디치 분수 빌라 디 프라톨리노 요새 아레초 그로세토 피옴비노 피스토이아 산피에로아시에베 시에나 볼테라 예배당 메디치 예배당 메디치 디 그라냐노 예배당 후원자화가, 조각가 및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 산드로 보티첼리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미켈란젤로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도나텔로 미켈로초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 야코포 델라 퀘르차 조르조 바사리 시인 및 문학 인물 아뇰로 폴리치아노 니콜로 마키아벨리 인문주의자 및 철학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 마르실리오 피치노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음악가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 야코포 페리 문장학 메디치 가문의 문장 토스카나 대공작위 산 스테파노 기사단 기관 메디치 은행 미술 메디치 사자 메디치 자기 메디치 꽃병 메디치의 비너스 아라체리아 메디체아 관련 메디치 기린 갈릴레이 위성 음악이 함께하는 이야기: "오페라" 알비치 가 파치 음모 사건 사보나롤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6768219 LCCN: n79084160 ISNI: 0000 0001 2130 9590 GND: 118626213 SELIBR: 207843 SUDOC: 027178021 BNF: cb119277288 (데이터) ULAN: 500017608 뮤직브레인즈: e30bc966-b616-42e1-8484-5bfbcc5d8b63 NLA: 35578126 NDL: 00459589 NKC: jn19990008741 ICCU: IT\ICCU\CFIV\061377 BNE: XX827861 KulturNav: id RKD: 4367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르조_바사리&oldid=23905467" 분류: 1511년 태어남1574년 죽음이탈리아의 화가이탈리아의 건축가이탈리아의 전기 작가이탈리아의 저술가이탈리아의 평론가미술사학자미술 평론가르네상스 화가르네상스 건축가매너리즘 화가아레초 출신16세기 이탈리아 사람16세기 화가16세기 작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16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르조 바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르조 바사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1월) 조르조 바사리 자화상원어이름 Giorgio Vasari출생 1511년 7월 30일피렌체 공화국 아레초사망 1574년 6월 27일 (62세)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국적 이탈리아분야 그림, 건축학력 안드레아 델 사르토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 1511년 7월 30일 - 1574년 6월 27일)는 이탈리아의 화가, 건축가일 뿐만 아니라 특히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하던 예술가들의 전기를 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목차 1 생애 2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 3 바사리의 작품 4 읽어보기 생애[편집] 1511년 토스카나 지방의 아레초(Arezzo)에서 태어났다. 1524년 피렌체로 가서 안드레아델 사르토(피렌체파 화가. 초상화에 뛰어나다)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고 미켈란젤로의 제자로서, 메디치가(피렌체의 지배자)의 원조를 받으면서 회화, 조각,건축에 종사한 예술가이다..1529년 로마를 방문한 라파엘로와 그 밖의 르네상스 화가들의 작품을 공부하고 고대 로마의 유적을 소묘해 가면서 예술적 영감을 쌓아갔다. 건축가이자 화가로 활동했다.당시 메디치가의 수장이었던 코시모 1세의 힘과 영광을 드러내기 위하여 무수한 프레스코화(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 많이 그려진 벽화)를 제작하였고 우피치 궁(우피치미술관) 설계 등의 대작들을 연달아 수행했다.화가로서 바사리는 화려하고 지적이지만 독창성은 부족한 보수적인 미술가였다. 그러나 건축가로서는 간결하고 강건한 건축물을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정작 역사상 그의 이름을 유명하게 만든 작업은 1550년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 명의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의 《미술가 열전》출판이다.개정 작업을 시작, 이탈리아 전국을 일주하면서 취재를 거쳐 1568년에 개정판이자 결정판을 내었다. 그가 남긴 이 르네상스 미술가들의 평전은 후세의 미술사가들로부터 큰 찬사를 받고 있다. 그는 코시모 1세가 권좌에서 물러나 사망한 몇 달 후1574년 숨을 거두었다. 바사리의 '르네상스' 개념[편집] Le Vite de' più eccellenti pittori, scultori, ed architet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 (1550-1568) 바사리는 자신의 책 제 1부'서설'에서 고대의 재생을 논하며 당시의 시대를 규정짓기 위해 'Rinascimento'(Renaissanc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쓰는 '르네상스 시대' 라는 역사적 개념이라기 보다는, '고대 그리스 문화가 재생하였다' 라는 평면적 의미였다. 현대 우리가 쓰는 역사적인 의미는 스위스의 미술사학자인 부르크하르트가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에서 만들어 낸 개념이다. 바사리의 작품[편집] 바사리가 남긴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은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 Architects)'라는 제목의 책이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 200여명이 남긴 삶과 작품에 대한 기록을 수록한 이 책은 르네상스 미술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바사리는 실제로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사람이며, 미켈란젤로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했다. 그는 책에 등장하는 여러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과 직간접적으로 널리 교류했다. 그 덕택에 바사리는 좀 더 생생하고 자세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것 같다. 훗날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오류로 밝혀진 부분들도 적지 않지만, 그가 생존했던 시대의 상황과 혼자서 200여명에 대한 평전을 집필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생각해 보면 그가 남긴 오류가 크게 눈에 뜨이지는 않는 것 같다.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 저술을 통하여 후세에 남긴 간과할 수 없는 업적은 당시의 예술 기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집대성한 '기법론'을 추가하였다는 점이다.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조각가,건축가들의 기술적인 측면을 오늘날 파악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Le Vita De' Piu Eccellenti Architetti, Pittori, et scultori'는 1986년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가전'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에서 초역,출판된 바 있다. (이근배 역, 탐구당 간행). 이 완역본의 축약본을 2000년에 '이태리 르네상스의 미술가 평전'이라는 제목으로 한명 출판사에서 재간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탐구당본과 한명 출판사 본 모두 현재는 품절된 상태로, 도서관 혹은 헌책방에서만 구할 수 있다. 읽어보기[편집] 크로노스가 아버지 우라누스를 거세하는 장면을 플로렌스의 Palazzo Vecchio (Ducal palace)에 벽화로 남기고 있다. 큰 낫을 들고잇는 이가 크로노스이며 스러져있는 이가 우라노스이다. 우리노스 뒤편으로 보이는 천구의는 우라노스를 의미한다. 우라노스는 하늘의 신이기 때문이다. vdeh메디치 가문인물피렌체의 지배자 코시모 일 베키오 "통풍 걸린자" 피에로 로렌초 일 마니피코 줄리아노 피에로 일 파우토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아노 로렌초 2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무어인" 알레산드로 피렌체 공작 "무어인" 알레산드로 코시모 1세 토스카나 대공작 코시모 1세 프란체스코 1세 페르디난도 1세 코시모 2세 페르디난도 2세 코시모 3세 잔 가스토네 왕비 카테리나 마리아 교황 레오 10세 클레멘스 7세 레오 11세 추기경 남계: 조반니 (레오 10세) 줄리오 (클레멘스 7세) 이폴리토 알레산드로 (레오 10세) 조반니 페르디난도 1세 카를로 조반 카를로 레오폴도 프란체스코 마리아 프란체스코여계: 루이지 데 로시 조반니 살비아티 인노센초 키보 베르나르도 살비아티 니콜로 리돌피 로렌초 스트로치 페란테 곤차가 빈첸초 2세 곤차가 주교 및 대주교 필리포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줄리아노 차노비 콘도티에로 조반니 달레 반데 네레 돈 조반니 마티아스 계보학 메디치 가문의 족보 Festina Lente건축물빌라 카파졸로 트레비오 카레지 피에솔레 라 퀴에테 콜레살베티 포조아카이아노 카스텔로 메초몬테 아냐노 스페달레토 라 페트라이아 카물리아노 스타비아 라토파이아 체레토구이디 마리뇰레 아레나메타토 포조임페리알레 라페지 람브로자나 라 마자 릴리아노 콜타노 몬테베톨리니 아르티미노 부티 세라베차 궁전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 피티 궁전 빌라 메디치 팔라초 메디치 토르나퀸치 리보르노 피사 마테르데이 팔라초 메디치 디 오타비아노 분수 및 정원 메디치 분수 빌라 디 프라톨리노 요새 아레초 그로세토 피옴비노 피스토이아 산피에로아시에베 시에나 볼테라 예배당 메디치 예배당 메디치 디 그라냐노 예배당 후원자화가, 조각가 및 건축가 바르톨로메오 암만나티 산드로 보티첼리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미켈란젤로 베르나르도 부온탈렌티 레오나르도 다 빈치 도나텔로 미켈로초 안토니오 델 폴라이올로 야코포 델라 퀘르차 조르조 바사리 시인 및 문학 인물 아뇰로 폴리치아노 니콜로 마키아벨리 인문주의자 및 철학자 피코 델라 미란돌라 마르실리오 피치노 과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음악가 에밀리오 데 카발리에리 야코포 페리 문장학 메디치 가문의 문장 토스카나 대공작위 산 스테파노 기사단 기관 메디치 은행 미술 메디치 사자 메디치 자기 메디치 꽃병 메디치의 비너스 아라체리아 메디체아 관련 메디치 기린 갈릴레이 위성 음악이 함께하는 이야기: "오페라" 알비치 가 파치 음모 사건 사보나롤라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6768219 LCCN: n79084160 ISNI: 0000 0001 2130 9590 GND: 118626213 SELIBR: 207843 SUDOC: 027178021 BNF: cb119277288 (데이터) ULAN: 500017608 뮤직브레인즈: e30bc966-b616-42e1-8484-5bfbcc5d8b63 NLA: 35578126 NDL: 00459589 NKC: jn19990008741 ICCU: IT\ICCU\CFIV\061377 BNE: XX827861 KulturNav: id RKD: 43677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르조_바사리&oldid=23905467" 분류: 1511년 태어남1574년 죽음이탈리아의 화가이탈리아의 건축가이탈리아의 전기 작가이탈리아의 저술가이탈리아의 평론가미술사학자미술 평론가르네상스 화가르네상스 건축가매너리즘 화가아레초 출신16세기 이탈리아 사람16세기 화가16세기 작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16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Corsu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Tarandíne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3일 (토)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연도별 대한민국 영화 ← 2012 2013 2014 → 상세 .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 2019 . 2020 v • d • e • h 다음은 201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목차 1 목록 1.1 1월 1.2 2월 1.3 3월 1.4 4월 1.5 5월 1.6 6월 1.7 7월 1.8 8월 1.9 9월 1.10 10월 1.11 11월 1.12 12월 2 각주 3 참고 자료 목록[편집] 1월[편집] 개봉일 제목 감독 출연 장르 비고 참고 1월 3일 《누나》 이원식 성유리 드라마 [1] 1월 3일 《오하이오 삿포로》 김성준 소이, 태인호 드라마 [2] 1월 9일 《마이 리틀 히어로》 김성훈 김래원, 이성민 드라마 [3] 1월 9일 《박수건달》 조진규 박신양 코미디 [4] 1월 17일 《배꼽》 박보상 이미숙, 천호진, 김승우 코미디 [5] 1월 17일 《베드》 박철수 장혁진, 이민아 드라마 소설 원작 [6] 1월 23일 《7번방의 선물》 이환경 류승룡, 박신혜 코미디 [7] 1월 23일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박영균 이선, 이미자 애니메이션 [8] 1월 24일 《나비와 바다》 박배일 재년, 우영 다큐멘터리 [9] 1월 30일 《베를린》 류승완 하정우, 한석규, 류승범, 전지현 액션 [10] 2월[편집]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분노의 윤리학 신세계 1999, 면회 참을 수 없는 성적유희 감독판 굿바이 홈런 남자사용설명서 불륜의 시대 남쪽으로 튀어 반달곰 3월[편집] 모래가 흐르는 강 좋은 친구들 생생활활 소명 하늘의 별 연애의 온도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 2 누구나 제 명에 죽고 싶다 미스진은 예쁘다 설인 파파로티 사이코메트리 4월[편집] 마지막 중독 공정사회 노리개 왕자가 된 소녀들 태아 3D 전설의 주먹 끝과 시작 런닝맨 비념 5월[편집] 환상속의 그대 고령화 가족 이티피 페스티벌 전국노래자랑 뜨거운 안녕 잠 못 드는 밤 콘돌은 날아간다 창녀의 성적유희 길위에서 자극의 세기 춤추는 숲 몽타주 미나문방구 어디로 갈까요? 6월[편집] 더 웹툰: 예고살인 맛있는 섹스 - 인연 힘내세요, 병헌씨 꼭두각시 닥터 이별계약 홀리 마이 라띠마 앵두야, 연애하자 은밀하게 위대하게 7월[편집] 거짓말 섹스가 좋아 48미터 감시자들 더 테러 라이브 군사통제구역 팔이공지대 링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 미스터 고 전망 좋은 차 - 맛있는 섹스 경복 명왕성 슈퍼피쉬 - 끝없는 여정 콩가네 8월[편집] 관음 - 욕망의 유희 아티스트 봉만대 우리들의 헤어진 여자친구 일탈여행 : 프라이빗 아일랜드 할매 할매 - 시멘트정원 가시꽃 방독피 아름다운 이별은 없다 그리고 싶은 것 렛 미 아웃 가자, 장미여관으로 감기 숨바꼭질 허풍 러브 인 코리아 슈퍼쇼 4 3D 죽지않아 젊은 엄마 노랑머리 - 플라스틱 섹스 설국열차 9월[편집] 벌거숭이 아유레디? 짓 러시안 소설 낭만파 남편의 편지 우리 선희 관상 개똥이 뫼비우스 미스체인지 스파이 천안함 프로젝트 10월[편집] 노라노 녹색의자 2013 - 러브 컨셉츄얼리 맛있는 사랑공식 - 섹스 원 오브 어 카인드 3D 노브레싱 연애의 기술 응징자 공범 말하는 건축 시티:홀 배우는 배우다 히어로 소원택시 깡철이 댄서김의 은밀한 교수법 소원 11월[편집] 고양이 소녀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2 뷰티풀 차일드 안녕? 오케스트라 열한시 잉여들의 히치하이킹 창수 결혼전야 롤플레이 2 : 동침 사이비 완전 소중한 사랑 전망 좋은 하우스 - 관음적 욕망 청춘정담 더 파이브 데드 엔드 블랙 가스펠 잉투기 친구 2 무게 사랑해! 진영아 소녀 야관문 : 욕망의 꽃 동창생 붉은 가족 12월[편집] 몽정애 - 꿈 속의 여인 그녀가 부른다 청야 거짓말 섹스가 좋아 2 용의자 미녀전쟁 시바, 인생을 던져 변호인 캐치미 그 강아지 그 고양이 비밀의 화방 풍경 집으로 가는 길 베일 화려한 외출 각주[편집] ↑ “누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오하이오 삿포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마이 리틀 히어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박수건달”.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배꼽”.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드”. 다음 영화.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7번방의 선물”.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나비와 바다”.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를린”.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KOFIC 영화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3년_대한민국의_영화_목록&oldid=24187447" 분류: 2013년 대한민국2013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연도별 대한민국 영화 ← 2012 2013 2014 → 상세 . ~1947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 1964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 2019 . 2020 v • d • e • h 다음은 201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이다. 목차 1 목록 1.1 1월 1.2 2월 1.3 3월 1.4 4월 1.5 5월 1.6 6월 1.7 7월 1.8 8월 1.9 9월 1.10 10월 1.11 11월 1.12 12월 2 각주 3 참고 자료 목록[편집] 1월[편집] 개봉일 제목 감독 출연 장르 비고 참고 1월 3일 《누나》 이원식 성유리 드라마 [1] 1월 3일 《오하이오 삿포로》 김성준 소이, 태인호 드라마 [2] 1월 9일 《마이 리틀 히어로》 김성훈 김래원, 이성민 드라마 [3] 1월 9일 《박수건달》 조진규 박신양 코미디 [4] 1월 17일 《배꼽》 박보상 이미숙, 천호진, 김승우 코미디 [5] 1월 17일 《베드》 박철수 장혁진, 이민아 드라마 소설 원작 [6] 1월 23일 《7번방의 선물》 이환경 류승룡, 박신혜 코미디 [7] 1월 23일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박영균 이선, 이미자 애니메이션 [8] 1월 24일 《나비와 바다》 박배일 재년, 우영 다큐멘터리 [9] 1월 30일 《베를린》 류승완 하정우, 한석규, 류승범, 전지현 액션 [10] 2월[편집]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분노의 윤리학 신세계 1999, 면회 참을 수 없는 성적유희 감독판 굿바이 홈런 남자사용설명서 불륜의 시대 남쪽으로 튀어 반달곰 3월[편집] 모래가 흐르는 강 좋은 친구들 생생활활 소명 하늘의 별 연애의 온도 지슬 - 끝나지 않은 세월 2 누구나 제 명에 죽고 싶다 미스진은 예쁘다 설인 파파로티 사이코메트리 4월[편집] 마지막 중독 공정사회 노리개 왕자가 된 소녀들 태아 3D 전설의 주먹 끝과 시작 런닝맨 비념 5월[편집] 환상속의 그대 고령화 가족 이티피 페스티벌 전국노래자랑 뜨거운 안녕 잠 못 드는 밤 콘돌은 날아간다 창녀의 성적유희 길위에서 자극의 세기 춤추는 숲 몽타주 미나문방구 어디로 갈까요? 6월[편집] 더 웹툰: 예고살인 맛있는 섹스 - 인연 힘내세요, 병헌씨 꼭두각시 닥터 이별계약 홀리 마이 라띠마 앵두야, 연애하자 은밀하게 위대하게 7월[편집] 거짓말 섹스가 좋아 48미터 감시자들 더 테러 라이브 군사통제구역 팔이공지대 링 우리는 그곳에 있었다 미스터 고 전망 좋은 차 - 맛있는 섹스 경복 명왕성 슈퍼피쉬 - 끝없는 여정 콩가네 8월[편집] 관음 - 욕망의 유희 아티스트 봉만대 우리들의 헤어진 여자친구 일탈여행 : 프라이빗 아일랜드 할매 할매 - 시멘트정원 가시꽃 방독피 아름다운 이별은 없다 그리고 싶은 것 렛 미 아웃 가자, 장미여관으로 감기 숨바꼭질 허풍 러브 인 코리아 슈퍼쇼 4 3D 죽지않아 젊은 엄마 노랑머리 - 플라스틱 섹스 설국열차 9월[편집] 벌거숭이 아유레디? 짓 러시안 소설 낭만파 남편의 편지 우리 선희 관상 개똥이 뫼비우스 미스체인지 스파이 천안함 프로젝트 10월[편집] 노라노 녹색의자 2013 - 러브 컨셉츄얼리 맛있는 사랑공식 - 섹스 원 오브 어 카인드 3D 노브레싱 연애의 기술 응징자 공범 말하는 건축 시티:홀 배우는 배우다 히어로 소원택시 깡철이 댄서김의 은밀한 교수법 소원 11월[편집] 고양이 소녀 붉은 바캉스 검은 웨딩 2 뷰티풀 차일드 안녕? 오케스트라 열한시 잉여들의 히치하이킹 창수 결혼전야 롤플레이 2 : 동침 사이비 완전 소중한 사랑 전망 좋은 하우스 - 관음적 욕망 청춘정담 더 파이브 데드 엔드 블랙 가스펠 잉투기 친구 2 무게 사랑해! 진영아 소녀 야관문 : 욕망의 꽃 동창생 붉은 가족 12월[편집] 몽정애 - 꿈 속의 여인 그녀가 부른다 청야 거짓말 섹스가 좋아 2 용의자 미녀전쟁 시바, 인생을 던져 변호인 캐치미 그 강아지 그 고양이 비밀의 화방 풍경 집으로 가는 길 베일 화려한 외출 각주[편집] ↑ “누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오하이오 삿포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마이 리틀 히어로”.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박수건달”.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배꼽”.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드”. 다음 영화.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7번방의 선물”.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나비와 바다”.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 “베를린”. 씨네21. 2013년 2월 9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KOFIC 영화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3년_대한민국의_영화_목록&oldid=24187447" 분류: 2013년 대한민국2013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8: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MIAT 몽골 항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IAT 몽골 항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몽골 항공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에 “몽골리안 항공”이라는 사명을 사용하던 항공사에 대해서는 훈누 에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MIAT 몽골 항공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OM MGL MONGOL AIR 창립일 1956년 허브 공항 칭기즈 칸 국제공항 상용고객우대제도 Blue Sky Mongolia 보유 항공기 5 취항지 수 8 본사 몽골 울란바토르 핵심 인물 Gungaagiin Jargalsaikhan (CEO) 웹사이트 http://www.miat.com/ MIAT 몽골 항공(몽골어: Монголын Иргэний Агаарын Тээвэр→몽골 민간 항공 수송, 영어: MIAT Monglian Airlines)은 울란바토르 칭기즈 칸 국제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는 몽골의 항공사이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각주 5 사진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56년에 설립되어 같은 해 7월 7일 울란바토르 ~ 이르쿠츠크 노선에 최초로 취항했다. 이 때 베이징, 모스크바 국제선 노선도 열렸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안토노프 An-24와 안토노프 An-26 모델을 운항했다. 1992년 중국 하얼빈의 Y-12기를 도입했고 1992년과 1994년 대한민국의 대한항공으로부터 보잉 727-200 항공기를 도입했다. 1998년 에어버스 A310을 도입했고 2003년 보잉 737-800 항공기를 도입하여 보잉 727-200 항공기는 퇴역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안토노프 An-24와 안토노프 An-26도 노후 기종으로 분류되어 운항 노선에서 차츰 제외되어 현재는 전량 퇴역 되었다. 2008년 4월 CIT 에어로 스페이스부터 두 번째 보잉 737-800 항공기를 임차하였다. 같은 해 7월 국내선 노선에서 완전히 철수했다가 이듬해 6월 보잉 737-800 기종으로 국내선에 다시 취항했다. 2009년 홍콩, 중국 하이난에 국제선에 취항했다. 2010년 6월 직원들의 파업으로 항공기 운항이 한동안 중단됐다. 당시 파업 참가자 대부분이 해고되고 항공사 대표도 교체되었다. 현재 러시아의 아에로플로트, 대한민국의 대한항공과 업무 제휴를 맺고 있다.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MIAT 몽골 항공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1월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하고 있으며 주로 스카이팀 회원과 코드쉐어 협정을 하고 있다. 대한항공 (스카이팀)[1] 아에로플로트 (스카이팀)[2] 캐세이퍼시픽 항공 (원월드)[3] 보유 기종[편집] 2014년 3월 기준으로 MIAT 몽골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11.3년이다.[4][5][6]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MIAT 몽골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B E 합계 각주 보잉 737-700 1 0 12 102 114 [7] 오만 항공 임차 운항[8] 보잉 737-800 3 1 12 150 162 [9] 162 174 보잉 737 MAX 8 1 3 TBA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10] 보잉 767-300ER 2 0 18 245 263 [11] 25 195 220 합계 7 4 퇴역 기종[편집] 에어버스 A310-300 에어버스 A330-300 보잉 727-200 리슈노프 Li-2 밀 Mi-4 밀 Mi-8 안토노프 An-2 안토노프 An-3 안토노프 An-24B 안토노프 An-24RV 안토노프 An-30 카모프 Ka-26 투폴레프 Tu-154M 하얼빈 Y-12 각주[편집] ↑ “Korean Air/MIAT Mongolian Airlines launch codeshare”. Routesonline. 2010년 3월 19일.  ↑ “AEROFLOT / MIAT Mongolia launch codesharing”. Routesonline. 2009년 9월 25일.  ↑ “Cathay Pacific announces new codeshare agreement with MIAT Mongolian Airlines”. Cathay Pacific. 2017년 6월 28일. 2017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http://www.planespotters.net/Airline/MIAT---Mongolian-Airlines ↑ http://www.airfleets.net/flottecie/MIAT%20Mongolian.htm ↑ “MIAT Mongolian Fleet - Official Website”. 2012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7일에 확인함.  ↑ “MIAT Monglian Airlines 737-700 Seat Map”.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MIAT lease Boeing aircraft from Oman Air”. Montsame. 2017년 5월 10일.  ↑ “MIAT Monglian Airlines 737-800 Seat Map (1)”.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MIAT Mongolian Airlines to lease two more B737 MAX 8s”. Ch-Aviation. 2017년 4월 19일.  ↑ “MIAT Monglian Airlines 767-300ER Seat Map”. 2017년 11월 18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사진[편집]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37-800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MIAT 몽골 항공의 보잉 767-300ER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MIAT 몽골 항공 (몽골어/영어) MIAT 몽골 항공 - 공식 웹사이트 vdeh 몽골의 항공사여객 항공사 MIAT 몽골 항공 에어로 몽골리아 칭기즈 항공 훈누 에어 전세 항공사 블루 스카이 항공 스카이 하우스 항공 토마스 에어 폐지된 항공사 이즈니스 항공 한가드 항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MIAT_몽골_항공&oldid=24496633" 분류: 1954년 설립몽골의 항공사국영 항공사IATA 회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몽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Žemaitėška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2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정다빈 (198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다빈 (198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다빈본명 정혜선출생 1980년 3월 4일(1980-03-04)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사망 2007년 2월 10일 (26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0년 ~ 2007년종교 개신교[1]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 학사 정다빈(본명: 정혜선,[2][3][주 1] 1980년 3월 4일 ~ 2007년 2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옥탑방 고양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목차 1 삶과 경력 2 학력 3 사망 4 출연 작품 4.1 텔레비전 드라마 4.2 영화 4.3 뮤직비디오 4.4 광고 5 수상 및 후보 6 각주 6.1 내용주 6.2 참조주 7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정다빈의 본명은 정혜선으로 1980년 3월 4일 경기도 성남시에서 1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4][5] 중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를 거쳐[4] 1999년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를 졸업했다.[6] 이후 배우 데뷔 후인 2003년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부에 연기재능 우수자 전형(수시)으로 지원해 합격해서 이듬해인 2004년 입학했다.[7][8] 정다빈은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98년 서울 압구정동에 있는 아이스크림 가게 앞에서 패션 잡지 쎄씨 모델로 캐스팅되면서 연예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9] 학력[편집] 중원초등학교 숭신여자중학교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연극영상학과 학사 사망[편집] 2007년 2월 10일, 당시 본인 남자친구의 집 화장실에서 수건으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되었다.[10] 2011년 5월 22일, 4년 전 세상을 떠난 배우 고 정다빈이 오전 경기도 양평의 용천사에서 영혼 결혼식을 올렸다.[11] 아래는 사망 전 날 올라온 정다빈의 글이다. 복잡해서죽을것같았다.이유없이화가나서미칠것같았다.멀미가날듯이속이힘들었다.머리가너무아파서눈물이났다.신경질의성낼노의노예가될뻔했다.울다웃다미치는줄알았다.내가나를 잃었다고생각했었고나는뭔가.정체성을잃어갔었다.순간.전기에감전이되듯이.번쩍.갑자기평안해졌다.주님이오셨다.형편없는내게.사랑으로.바보같은내게.나의소중함을알게하시고.용기를주신다.주저앉으려했던나를.가만히.일으켜주신다.나는.이제.괜찮다고.말씀하신다.나는.괜.찮.다. -정다빈, 싸이월드 미니홈피 (2007년 2월 9일)- 출연 작품[편집]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0 순풍산부인과 정유리 SBS 제524회에 출연 돈.com 미스 정[12] 시트콤 태양은 가득히 강민주 KBS2 2001 홍어[주 2] 삼례 KBS TV문학관 뉴 논스톱 정다빈 MBC 시트콤 2002 논스톱 3 정다빈 시트콤 삼총사 장윤정 2003 옥탑방 고양이 남정은 2004 형수님은 열아홉 한유민(정혜원) SBS 2005 그 여름의 태풍 강수민 *다년간 방송된 프로그램의 경우, 정다빈이 출연한 연도 또는 출연하기 시작한 연도를 가리킨다.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0 은행나무 침대 2: 단적비연수 어린 비 2004 그 놈은 멋있었다 한예원 뮤직비디오[편집] 2006년 《사랑안해》 (백지영) 광고[편집] 롯데제과 빼빼로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2 MBC 방송연예대상 시트콤 부문 최우수상 뉴 논스톱 수상 [13] 2003 MBC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옥탑방 고양이 수상 [14] 인기상 옥탑방 고양이 후보 [15] 베스트커플상(김래원과 함께) 옥탑방 고양이 후보 2004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형수님은 열아홉 수상 [16]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2007년 2월 13일 스포츠조선 등에 보도된 정다빈의 운구 사진을 참고하면 관 위의 붉은 천에 ‘聖徒鄭慧善之柩’라고 쓰여 있어 본명 정혜선의 한자 표기가 ‘鄭慧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후 2011년 5월 22일 스타뉴스에 보도된 정다빈의 영혼결혼식 기사 사진을 보면 ‘亡妻河東孺人鄭惠善靈駕’라고 쓰고 있어 정다빈이 하동 정씨임을 알 수 있으나 본명의 한자 표기는 이전과 다른 ‘鄭惠善’으로 쓰고 있다. 둘 중 어느 것이 정확한 한자 표기인지는 확실치 않다. ↑ 2001년 3월 21일 방송. 참조주[편집] ↑ 정은정 (2007년 2월 10일). “크리스천 고(故) 정다빈, 성경책과 함께 입관”. 《헤럴드경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핫포토] 故 정다빈 장례식”. 《스포츠조선》. 2007년 2월 13일. 2015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송지원 (2011년 5월 22일). “[★포토]故 정다빈, 4년 만에 올린 영혼결혼식”. 《스타뉴스》.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가 나 네이버. “네이버 인물정보 > 정다빈”. 《네이버》.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배현정 (2003년 5월 22일). “[스타 데이트] '깜찍이' 정다빈”. 《데일리한국》.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정다빈, 동국대 연극영화과 수시모집 합격”. 《스포츠조선》. 2003년 7월 30일. 2015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김선우 (2003년 7월 30일). “‘옥탑방 고양이’ 탤런트 정다빈, 동국대 연극영상학부 합격”. 《동아일보》.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연예인들 대학생활 엿보기”. 《일요신문》 638. 2004년 8월 8일.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이유현 (2000년 12월 24일). “정다빈, '끼만 가득히'”. 《스포츠조선》. 2001년 1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강건택 기자 (2007년 2월 10일). “탤런트 정다빈 목매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201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1] 정다빈, 영혼 결혼식…"하늘나라서 행복하길" ↑ SBS (2000). “SBS 돈.com > 돈.com 가족들 > 등장인물 관계도표”. 《SBS》. 2001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6일에 확인함.  ↑ 홍제성 (2002년 12월 30일). “`2002 MBC 방송연예 대상'에 김용만”. 《연합뉴스》.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MBC 연기대상에 `대장금' 이영애”. 《연합뉴스》. 2003년 12월 31일.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유상우 (2003년 12월 17일). “MBC 연기대상 후보 확정,여자 최우수 이영애 하지원 격돌”. 《뉴시스》.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 “박신양·김정은 ‘SBS 연기대상’ 대상 공동수상”. 《일요신문》. 2005년 1월 3일. 2015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정다빈 미니홈피 - 싸이월드 정다빈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2000년대 이경규, 최양락, 양동근, 박경림 (2001) 강호동, 김경식, 정다빈 (2002) 김용만, 유재석, 정준하 (2003) 김용만, 이경규, 한예슬 (2004) 이윤석, 박희진, 김제동, 김원희 (2005) 박명수, 조혜련, 정성호, 정선희 (2006) 김제동, 조형기, 나문희 (2007) 이휘재, 박미선, 이문식, 윤해영 (2008) 김구라, 이경실, 정보석, 박미선 (2009) 2010년대 박명수, 조혜련, 이휘재, 박미선, 김구라, 송옥숙, 김성수 (2010) 유재석, 박미선, 김갑수, 윤유선 (2011) 윤종신, 박미선 (2012) 김수로, 정형돈, 박미선 (2013) 서경석, 정준하, 김국진, 윤종신 (2014) 김영철, 하하, 김소연, 한채아, 김성주 (2015) 정준하, 이국주, 김성주 (2016) 박명수, 박나래, 김국진 (2017) 이시언, 차인표, 송은이, 한혜진, 윤종신 (2018) 대상 | 프로그램상 | 최우수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다빈_(1980년)&oldid=24189557" 분류: MBC 방송연예대상 최우수상 수상자1980년 태어남2000년 데뷔2007년 죽음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자살한 배우동국대학교 동문숭신여자중학교 동문중원초등학교 동문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동문성남시 출신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목 매달아 자살한 사람하동 정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онгол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결승전 당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내부경기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독일 아르헨티나 1 0 연장전 후날짜 2014년 7월 13일장소 리우데자네이루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심판 니콜라 리촐리관중 수 74,738날씨 약간 흐림 14 °C (57 °F) 습도 34%[1]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2][3]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4][5] 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6] 제프 마이어,[7][8]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9]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 2 결승전까지의 경기 3 공인구 4 심판진 5 경기 5.1 요약 5.2 상세 정보 5.3 통계 6 현지 반응 7 주요 관객 8 폐막식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배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입니다. 양국은 20번의 맞대결을 펼쳤고, 9번은 아르헨티나가 이겼고, 6번은 독일이 승리를 챙겼으며, 5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이 맞대결에서 양국은 도합 28골을 득점하였다. 6번의 경기는 FIFA 월드컵 경기이며, 2번은 이 대회의 결승전 경기였다. 2014년 결승전은 7번째 FIFA 월드컵 맞대결로, 양국간 맞대결 횟수로 (브라질 vs 스웨덴, 독일 vs 유고슬라비아) 에 이어 최다 맞대결 횟수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역대 맞대결 목록 1958년 FIFA 월드컵 1조, 서독이 아르헨티나에 3–1로 승리.[10] 1966년 FIFA 월드컵 2조, 서독과 아르헨티나가 0–0으로 비김.[11]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기고 두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우승을 거둠.[12]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서독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세번째 우승을 거둠. 독일이 서독으로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2014년 결승전 이전까지의 가장 최근에 거둔 우승.[13] 2006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1로 비기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14]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4-0으로 승리.[15]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서독이 0-0으로 비겼다. FIFA는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상대로 폭력적인 경기 운영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의 라파엘 알브레치트가 퇴장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6][17]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는 서독이 1-0으로 이기는 과정에서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가 퇴장당했고, 결승골은 논란의 페널티킥 골이었다. 2006년 대회 8강전은 독일이 경기를 연장 접전 끝에 1-1로 끝낸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지만, 경기 후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패싸움을 벌여,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와 한명의 독일 선수가 징계를 받았다.[18][19][20][21] 가장 최근에 벌어진 맞대결은 2012년 8월 15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친선전으로, 아르헨티나가 3-1로 이겼다.[22] 대회 전, 2014년 9월 4일에 친선전을 벌일 것으로 계획을 받았고, FIFA 월드컵 종료 후 양국이 치를 첫 경기가 되었다. 이때 아르헨티나가 4-2로 이겼다.[23]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 중 다음의 선수들이 2006년과 2010년 맞대결 당시 포함되었었다: 맞대결에 참가한 양국 선수들 목록 2006년 맞대결 독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필리프 람, 페어 메어테자커,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와 막시 로드리게스 (리오넬 메시와 로드리고 팔라시오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2010년 맞대결 독일: 마누엘 노이어, 제롬 보아텡, 자미 케디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토니 크로스, (교체 요원) 필리프 람, 페어 메르테자커,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로메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교체 요원) 마르틴 데미첼리스, 앙헬 디 마리아, 곤살로 이과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리오넬 메시, 그리고 막시 로드리게스 (마리아노 안두하르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클로제는 2006년 맞대결에서 1골, 2010년 맞대결에서 2골을 넣었고, 뮐러도 2010년 맞대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24] 독일의 요아힘 뢰프 감독은 2006년에 수석코치였고, 2010년에는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까지의 경기[편집] 독일 라운드 아르헨티나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포르투갈 4 - 0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 1 가나 2 - 2 2차전 이란 1 - 0 미국 1 - 0 3차전 나이지리아 3 - 2 G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독일 3 2 1 0 7 2 +5 7 미국 3 1 1 1 4 4 0 4 포르투갈 3 1 1 1 4 7 −3 4 가나 3 0 1 2 4 6 −2 1 조 최종 순위 F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아르헨티나 3 3 0 0 6 3 +3 9 나이지리아 3 1 1 1 3 3 0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1 0 2 4 4 0 3 이란 3 0 1 2 1 4 –3 1 상대 결과 토너먼트전 상대 결과 알제리 2 - 1 (연) 16강전 스위스 1 - 0 (연) 프랑스 1 - 0 8강전 벨기에 1 - 0 브라질 7 - 1 준결승전 네덜란드 0 - 0 (연) (4 - 2 승) 공인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디다스 브라주카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사용될 공인구는 아디다스 브라주카의 변형판인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 (Adidas Brazuca Final Rio) 로 2014년 5월 29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5] 기술적으로 원형 공인구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조별 리그와 앞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에서 쓰인 브라주카와는 다른데, 표면이 녹색, 금색, 그리고 흑색으로 되어 있었다.[25]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는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 과 조'블라니 (2010) 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 전용으로 쓰인 세번째 공인구이다. 심판진[편집] 이탈리아 대표의 니콜라 리촐리가 결승전을 중재할 주심으로 선정되었고, 그와 동행하던 안드레아 스테파니와 레나토 파베라니가 부심을 맡았고, 에콰도르 대표의 카를로스 베라와 크리스티안 레스카노가 각각 대기심과 후보 대기심으로 선정되었다.[26]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리촐리는 조별 리그의 스페인-네덜란드전과 나이지리아-아르헨티나전을,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전을 주관했었다. 그는 2010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과 2013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호루라기를 잡기도 했다. 그는 FIFA 클럽 월드컵 2011, UEFA 유로 2012, 그리고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는 1978년의 세르조 고넬라와 2002년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주관할 3번째 이탈리아인 주심이 되었다.[26] 경기[편집] 요약[편집]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독일의 주장 필리프 람 양국은 준결승전에 선발로 내세운 선수를 그대로 보낼 계획이었으나, 독일은 미드필더 사미 케디라를 종아리 부상으로 잃었다. 그의 자리는 크리스토프 크라머로 대신하게 되었지만, 그도 에세키엘 가라이와 페널티 구역에서 충돌했지만, 본래 경기를 속개하려 했다. 몇분 후, 그는 뇌진탕으로 안드레 쉬를레와 전반에 교체되어 나갔다.[27] 전반전에 곤살로 이과인은 토니 크로스가 머리로 잘못 건낸 공을 가로채 쏘았지만 크게 벗어났다. 몇분 후, 그는 우측에서 건낸 에세키엘 라베시의 크로스를 건드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되었다. 후반전 개시 후, 리오넬 메시는 좋은 기회를 날렸는데, 잘 찔러넣은 패스를 독일 진영에서 받았지만, 독일 골대에서 크게 빗나가게 쏘았다. 연장전에는 로드리고 팔라시오가 마츠 후멜스의 실수로 받은 크로스를 마누엘 노이어의 키를 넘기도록 발등으로 차 넘겼지만, 골망을 가르진 못했다. 독일은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코너킥을 머리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강타했다.[28][29] 독일의 마리오 괴체는 연장전 결승골의 주인공으로 그는 113분에 좌측 측면으로 끌고간 공을 마리오 괴체에게 보냈고, 그는 가슴으로 공을 받아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차서 로메로를 넘기는 결승골을 집어넣었다.[30] 그는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최초의 교체 선수였고,[31] 1966년 독일의 볼프강 베버 이래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최연소 선수 (둘 다 22세) 이기도 했다.[32] 괴체의 골이 터지기 전에도 독일은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전반 종료 직전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머리로 넣으려 했지만 아르헨티나 골대를 강타했다. 쉬를레는 연장전 시작과 함께 괴체로부터 패스를 받아 근거리에서 득점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세르히오 로메로 골키퍼 가슴에 안기기만 했다. 토마스 뮐러도 수비수 두명을 돌파해 독일의 점수차를 늘릴 기회를 잡았지만, 그의 슛도 크게 빗나갔다. 연장전 막판, 메시는 득점이 가능한 거리에서 프리킥을 차 동점골을 넣을 기회를 잡았지만, 이것은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33]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13일 16:00 독일 1 – 0 (연장전) 아르헨티나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수: 74,738 심판: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괴체  113' 리포트 독일 아르헨티나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34' CM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31'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29'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120'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88' 교체 선수: FW 9 안드레 쉬를레 31' MF 19 마리오 괴체 88'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120' 감독: 요아힘 뢰프 GK 1 세르히오 로메로 RB 4 파블로 사발레타 CB 15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2 에세키엘 가라이 LB 16 마르코스 로호 C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64' CM 6 루카스 비글리아 RW 8 엔소 페레스 86' LW 22 에세키엘 라베시 46' SS 10 리오넬 메시 (주장) CF 9 곤살로 이과인 78' 교체 선수: FW 20 세르히오 아궤로  65' 46' FW 18 로드리고 팔라시오 78' MF 5 페르난도 가고 86' 감독: 알레한드로 사벨라 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독일) 부심: 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대기심: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 후보 대기심: 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전체[34] 독일 아르헨티나 득점 1 0 슛 10 10 유효슛 7 2 점유율 60% 40% 코너킥 5 3 반칙 20 16 오프사이드 3 2 선방 2 6 경고 2 2 퇴장 0 0 현지 반응[편집] 아르헨티나-브라질 축구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축구계에서 앙숙 관계인 것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질 관중들은 앞서 준결승전에서 자국을 1-7로 대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탈락을 조롱한 아르헨티나와 다르게 패한 개최국에 존중을 표한 독일을 지지했다. 대부분의 브라질인들은 브라질의 상징적인 홈구장에서 라이벌 국가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안도를 표했다.[35][36][37] 주요 관객[편집] 개최국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제6회 브릭스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릭스 지도자들을 결승전에 초청하였다. 초청받은 지도자들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차기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 대통령,[38] 제이컵 주마 직전의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이 있었다.[39]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진핑 주석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수상은 이 경기를 관전하지 않았다. 이 경기를 관전한 정상으로는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알리 봉고 옹딤바 (가봉), 그리고 개스턴 브라운 (앤티가 바부다) 가 있었고, 가디언지는 이들이 관전하는 것을 "특이하고 엉뚱한 일"이라고 꼬집었다.[40] 호세프는 시상식에서 손수 우승 트로피를 독일 선수들에게 전달했다.[41] 독일의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결승전을 참관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미 사우바도르에서 독일이 포르투갈을 4-0으로 짓밟는 것을 목격했다.[42] 반면 아르헨티나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손자의 생일과 인신후두염이 겹쳐 불참했다.[43] 러시아의 희극인 비탈리 즈도로베트스키는 "천부적인 장난꾸러기"라는 글은 몸통에 쓰고 경기장에 난입해 독일의 베네딕트 회베데스를 뽀뽀하려 했다.[44] 브라질 당국은 그를 체포했지만, 그는 경기 몇시간 후 풀려났다.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결승전을 관전했는데, 이들 중에는 리한나, 믹 재거, 데이비드 베컴, 파비오 칸나바로, 로타어 마테우스, 다니엘 파사레야, 애슈턴 쿠처, 대니얼 크레이그, 톰 브래디, 르브론 제임스, 그리고 펠레가 있었다.[45][46][47][48] 폐막식[편집] 대회 폐막식이 결승전을 앞두고 100분 전에 진행되었다.[49] 폐막식은 2막으로 나뉘었고, 20분동안 진행되었다. 1막에서는 22명이 삼바 춤을 추었고, 32명으로 구성된 사람들은 32개 참가국의 국기 색에 맞추어 나왔다. 2막은 콜롬비아 가수 샤키라 외에 저명한 가수들인 카를리뉴스 브론, 와이클리프 장, 알렉상드르 피레스, 이베치 상갈루, 그리고 기타 연주가 카를로스 산타나가 공연했다.[45][50][51] 브라질의 슈퍼모델 지젤 번천과 스페인의 2010년 우승 주역인 카를레스 푸욜이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지고 등장했다.[52] 같이 보기[편집]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 정치와 스포츠 각주[편집] ↑ “Tactical line-up – Germany–Argentina”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roups & Schedule”.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tche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orld Cup Final: The Best Team vs. the Best Player". Wall Street Journal. 2014년 7월 15일 ↑ “Franz Beckenbau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Sepp Mai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66 FIFA World Cup England: England – Germany FR match report”. FIFA.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Wolfgang Overath”.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58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6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2014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198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9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 “200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 Argentina”. FIFA.com.  ↑ “201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IFA.com.  ↑ “History of the World Cup”. fifaworldcup.webspace.virginmedia.com. 201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sos, Jan. “1966 – Story of England '66”. Planet World Cup.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일에 확인함.  ↑ [1] ↑ [2] ↑ [3] ↑ [4] ↑ “Germany 1 Argentina 3”. 《Goal.com》. 2012년 8월 15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chedule”. Deutscher Fussball-Bund.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Miroslav Klose breaks Ronaldo's record to become the top scorer in World Cup history”. 《Daily Mai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adidas Brazuca Final Rio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9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Nicola Rizzoli to refere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  ↑ Sargeant, Jack (2014년 7월 13일). “Christoph Kramer replaces Sami Khedira in Germany lineup”. 《SB Nation》.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1 Argentina 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2014, Germany vs Argentina: as it happened”.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beat Argentina to win World Cup final with late Mario Götze goal”.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Presenter: Gary Lineker (2014년 7월 13일). 〈Match of the Day Live〉. 《2014 FIFA World Cup: World Cup Final》. 4:07:29에 발생. BBC One. 그거 아세요, 그가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교체 선수라는 것을요? (Do you know, that's the first substitute to score a winning goal in a World Cup final?)  ↑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Messi's World Cup ends on a bitter note”. CBS. Associated Press.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Germany 1–0 Argentina” (PDF).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 “Brazilians Go Back to Real Life”.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13일.  ↑ “Vladimir Putin to attend World Cup final in Brazil”. The Voice of Russia. 2013년 9월 20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Zuma to watch World Cup final”. 《The Citizen》.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guest list has bizarre and random look”.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ilma Rousseff Confirms She Will Hand the Trophy to the World Cup Winner and Says Boos "Are Part of the Job"”. Folha de S.Paulo.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Camargo, Marcelo (2014년 1월 25일). “Germany chancellor and president to watch final at Maracanã”. Agenciabrasil.ebc.com.br.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Payne, Marissa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president isn't attending the World Cup final because of grandson's birthday”.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Moment streaker invades pitch and attempts to KISS German star”. Daily Mirror.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World Cup closing ceremony 2014 sees Shakira, Rihanna, David Beckham, Pele, Tom Brady, Vladimir Putin and more in the crowd as celebrities spotted at Maracana in Rio de Janeiro for final”. 《Daily Mail》.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ese, Rick; Phillips, Dom (2014년 7월 13일). “2014 World Cup draws to a close in conflicted Brazil”. 《The Washington Post》. Rio de Janeiro.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est selfies”.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ormer internationals Lothar Matthaeus, Fabio Cannavaro and Daniel Passarella take a selfie the WC 2014 Final match”. 《Veooz》.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Santana Electrify World Cup 2014 Closing Ceremony”. ND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headlines fairly normal World Cup closing ceremon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ca》.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uyol, Gisele to unveil Trophy prior to th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독일준우승 아르헨티나3위 네덜란드4위 브라질8강 벨기에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프랑스 16강 그리스 나이지리아 멕시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우루과이 칠레 조별 리그 가나 대한민국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페인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이란 이탈리아 잉글랜드 일본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역사 예선 기록 통계 수상 트로피 공식 경기구 공식 마스코트 음악 응원 본선 우루과이 1930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카타르 2022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2030년 예선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결승전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선수 명단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시드 배정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개최국 선정 2014년 2018년 및 2022년 2026년 1930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취소되었으며 1950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vdeh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하계 올림픽 결승전 1928 FIFA 월드컵 결승전 1930 1978 1986 1990 2014 (對 독일 0-1 (연장) 패)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2 (비공식) 1995 (비공식) 2005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93 2004 2007 2015 2016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최종 라운드 1994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기타 경기 對 잉글랜드 2-1 승 (1986) 對 크로아티아 0-3 패 (2018) 對 프랑스 3-4 패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oldid=23985974" 분류: 2014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결승전리우데자네이루의 축구리우데자네이루가 개최한 국제 스포츠 대회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아르헨티나 관계독일 축구 2013-14 시즌아르헨티나 축구 2013-14 시즌2014년 축구2014년 축구 경기2014년 7월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결승전 당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내부경기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독일 아르헨티나 1 0 연장전 후날짜 2014년 7월 13일장소 리우데자네이루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심판 니콜라 리촐리관중 수 74,738날씨 약간 흐림 14 °C (57 °F) 습도 34%[1]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2][3]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4][5] 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6] 제프 마이어,[7][8]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9]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 2 결승전까지의 경기 3 공인구 4 심판진 5 경기 5.1 요약 5.2 상세 정보 5.3 통계 6 현지 반응 7 주요 관객 8 폐막식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배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입니다. 양국은 20번의 맞대결을 펼쳤고, 9번은 아르헨티나가 이겼고, 6번은 독일이 승리를 챙겼으며, 5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이 맞대결에서 양국은 도합 28골을 득점하였다. 6번의 경기는 FIFA 월드컵 경기이며, 2번은 이 대회의 결승전 경기였다. 2014년 결승전은 7번째 FIFA 월드컵 맞대결로, 양국간 맞대결 횟수로 (브라질 vs 스웨덴, 독일 vs 유고슬라비아) 에 이어 최다 맞대결 횟수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역대 맞대결 목록 1958년 FIFA 월드컵 1조, 서독이 아르헨티나에 3–1로 승리.[10] 1966년 FIFA 월드컵 2조, 서독과 아르헨티나가 0–0으로 비김.[11]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기고 두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우승을 거둠.[12]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서독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세번째 우승을 거둠. 독일이 서독으로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2014년 결승전 이전까지의 가장 최근에 거둔 우승.[13] 2006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1로 비기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14]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4-0으로 승리.[15]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서독이 0-0으로 비겼다. FIFA는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상대로 폭력적인 경기 운영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의 라파엘 알브레치트가 퇴장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6][17]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는 서독이 1-0으로 이기는 과정에서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가 퇴장당했고, 결승골은 논란의 페널티킥 골이었다. 2006년 대회 8강전은 독일이 경기를 연장 접전 끝에 1-1로 끝낸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지만, 경기 후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패싸움을 벌여,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와 한명의 독일 선수가 징계를 받았다.[18][19][20][21] 가장 최근에 벌어진 맞대결은 2012년 8월 15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친선전으로, 아르헨티나가 3-1로 이겼다.[22] 대회 전, 2014년 9월 4일에 친선전을 벌일 것으로 계획을 받았고, FIFA 월드컵 종료 후 양국이 치를 첫 경기가 되었다. 이때 아르헨티나가 4-2로 이겼다.[23]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 중 다음의 선수들이 2006년과 2010년 맞대결 당시 포함되었었다: 맞대결에 참가한 양국 선수들 목록 2006년 맞대결 독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필리프 람, 페어 메어테자커,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와 막시 로드리게스 (리오넬 메시와 로드리고 팔라시오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2010년 맞대결 독일: 마누엘 노이어, 제롬 보아텡, 자미 케디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토니 크로스, (교체 요원) 필리프 람, 페어 메르테자커,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로메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교체 요원) 마르틴 데미첼리스, 앙헬 디 마리아, 곤살로 이과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리오넬 메시, 그리고 막시 로드리게스 (마리아노 안두하르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클로제는 2006년 맞대결에서 1골, 2010년 맞대결에서 2골을 넣었고, 뮐러도 2010년 맞대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24] 독일의 요아힘 뢰프 감독은 2006년에 수석코치였고, 2010년에는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까지의 경기[편집] 독일 라운드 아르헨티나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포르투갈 4 - 0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 1 가나 2 - 2 2차전 이란 1 - 0 미국 1 - 0 3차전 나이지리아 3 - 2 G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독일 3 2 1 0 7 2 +5 7 미국 3 1 1 1 4 4 0 4 포르투갈 3 1 1 1 4 7 −3 4 가나 3 0 1 2 4 6 −2 1 조 최종 순위 F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아르헨티나 3 3 0 0 6 3 +3 9 나이지리아 3 1 1 1 3 3 0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1 0 2 4 4 0 3 이란 3 0 1 2 1 4 –3 1 상대 결과 토너먼트전 상대 결과 알제리 2 - 1 (연) 16강전 스위스 1 - 0 (연) 프랑스 1 - 0 8강전 벨기에 1 - 0 브라질 7 - 1 준결승전 네덜란드 0 - 0 (연) (4 - 2 승) 공인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디다스 브라주카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사용될 공인구는 아디다스 브라주카의 변형판인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 (Adidas Brazuca Final Rio) 로 2014년 5월 29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5] 기술적으로 원형 공인구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조별 리그와 앞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에서 쓰인 브라주카와는 다른데, 표면이 녹색, 금색, 그리고 흑색으로 되어 있었다.[25]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는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 과 조'블라니 (2010) 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 전용으로 쓰인 세번째 공인구이다. 심판진[편집] 이탈리아 대표의 니콜라 리촐리가 결승전을 중재할 주심으로 선정되었고, 그와 동행하던 안드레아 스테파니와 레나토 파베라니가 부심을 맡았고, 에콰도르 대표의 카를로스 베라와 크리스티안 레스카노가 각각 대기심과 후보 대기심으로 선정되었다.[26]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리촐리는 조별 리그의 스페인-네덜란드전과 나이지리아-아르헨티나전을,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전을 주관했었다. 그는 2010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과 2013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호루라기를 잡기도 했다. 그는 FIFA 클럽 월드컵 2011, UEFA 유로 2012, 그리고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는 1978년의 세르조 고넬라와 2002년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주관할 3번째 이탈리아인 주심이 되었다.[26] 경기[편집] 요약[편집]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독일의 주장 필리프 람 양국은 준결승전에 선발로 내세운 선수를 그대로 보낼 계획이었으나, 독일은 미드필더 사미 케디라를 종아리 부상으로 잃었다. 그의 자리는 크리스토프 크라머로 대신하게 되었지만, 그도 에세키엘 가라이와 페널티 구역에서 충돌했지만, 본래 경기를 속개하려 했다. 몇분 후, 그는 뇌진탕으로 안드레 쉬를레와 전반에 교체되어 나갔다.[27] 전반전에 곤살로 이과인은 토니 크로스가 머리로 잘못 건낸 공을 가로채 쏘았지만 크게 벗어났다. 몇분 후, 그는 우측에서 건낸 에세키엘 라베시의 크로스를 건드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되었다. 후반전 개시 후, 리오넬 메시는 좋은 기회를 날렸는데, 잘 찔러넣은 패스를 독일 진영에서 받았지만, 독일 골대에서 크게 빗나가게 쏘았다. 연장전에는 로드리고 팔라시오가 마츠 후멜스의 실수로 받은 크로스를 마누엘 노이어의 키를 넘기도록 발등으로 차 넘겼지만, 골망을 가르진 못했다. 독일은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코너킥을 머리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강타했다.[28][29] 독일의 마리오 괴체는 연장전 결승골의 주인공으로 그는 113분에 좌측 측면으로 끌고간 공을 마리오 괴체에게 보냈고, 그는 가슴으로 공을 받아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차서 로메로를 넘기는 결승골을 집어넣었다.[30] 그는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최초의 교체 선수였고,[31] 1966년 독일의 볼프강 베버 이래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최연소 선수 (둘 다 22세) 이기도 했다.[32] 괴체의 골이 터지기 전에도 독일은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전반 종료 직전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머리로 넣으려 했지만 아르헨티나 골대를 강타했다. 쉬를레는 연장전 시작과 함께 괴체로부터 패스를 받아 근거리에서 득점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세르히오 로메로 골키퍼 가슴에 안기기만 했다. 토마스 뮐러도 수비수 두명을 돌파해 독일의 점수차를 늘릴 기회를 잡았지만, 그의 슛도 크게 빗나갔다. 연장전 막판, 메시는 득점이 가능한 거리에서 프리킥을 차 동점골을 넣을 기회를 잡았지만, 이것은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33]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13일 16:00 독일 1 – 0 (연장전) 아르헨티나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수: 74,738 심판: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괴체  113' 리포트 독일 아르헨티나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34' CM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31'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29'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120'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88' 교체 선수: FW 9 안드레 쉬를레 31' MF 19 마리오 괴체 88'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120' 감독: 요아힘 뢰프 GK 1 세르히오 로메로 RB 4 파블로 사발레타 CB 15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2 에세키엘 가라이 LB 16 마르코스 로호 C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64' CM 6 루카스 비글리아 RW 8 엔소 페레스 86' LW 22 에세키엘 라베시 46' SS 10 리오넬 메시 (주장) CF 9 곤살로 이과인 78' 교체 선수: FW 20 세르히오 아궤로  65' 46' FW 18 로드리고 팔라시오 78' MF 5 페르난도 가고 86' 감독: 알레한드로 사벨라 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독일) 부심: 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대기심: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 후보 대기심: 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전체[34] 독일 아르헨티나 득점 1 0 슛 10 10 유효슛 7 2 점유율 60% 40% 코너킥 5 3 반칙 20 16 오프사이드 3 2 선방 2 6 경고 2 2 퇴장 0 0 현지 반응[편집] 아르헨티나-브라질 축구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축구계에서 앙숙 관계인 것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질 관중들은 앞서 준결승전에서 자국을 1-7로 대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탈락을 조롱한 아르헨티나와 다르게 패한 개최국에 존중을 표한 독일을 지지했다. 대부분의 브라질인들은 브라질의 상징적인 홈구장에서 라이벌 국가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안도를 표했다.[35][36][37] 주요 관객[편집] 개최국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제6회 브릭스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릭스 지도자들을 결승전에 초청하였다. 초청받은 지도자들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차기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 대통령,[38] 제이컵 주마 직전의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이 있었다.[39]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진핑 주석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수상은 이 경기를 관전하지 않았다. 이 경기를 관전한 정상으로는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알리 봉고 옹딤바 (가봉), 그리고 개스턴 브라운 (앤티가 바부다) 가 있었고, 가디언지는 이들이 관전하는 것을 "특이하고 엉뚱한 일"이라고 꼬집었다.[40] 호세프는 시상식에서 손수 우승 트로피를 독일 선수들에게 전달했다.[41] 독일의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결승전을 참관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미 사우바도르에서 독일이 포르투갈을 4-0으로 짓밟는 것을 목격했다.[42] 반면 아르헨티나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손자의 생일과 인신후두염이 겹쳐 불참했다.[43] 러시아의 희극인 비탈리 즈도로베트스키는 "천부적인 장난꾸러기"라는 글은 몸통에 쓰고 경기장에 난입해 독일의 베네딕트 회베데스를 뽀뽀하려 했다.[44] 브라질 당국은 그를 체포했지만, 그는 경기 몇시간 후 풀려났다.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결승전을 관전했는데, 이들 중에는 리한나, 믹 재거, 데이비드 베컴, 파비오 칸나바로, 로타어 마테우스, 다니엘 파사레야, 애슈턴 쿠처, 대니얼 크레이그, 톰 브래디, 르브론 제임스, 그리고 펠레가 있었다.[45][46][47][48] 폐막식[편집] 대회 폐막식이 결승전을 앞두고 100분 전에 진행되었다.[49] 폐막식은 2막으로 나뉘었고, 20분동안 진행되었다. 1막에서는 22명이 삼바 춤을 추었고, 32명으로 구성된 사람들은 32개 참가국의 국기 색에 맞추어 나왔다. 2막은 콜롬비아 가수 샤키라 외에 저명한 가수들인 카를리뉴스 브론, 와이클리프 장, 알렉상드르 피레스, 이베치 상갈루, 그리고 기타 연주가 카를로스 산타나가 공연했다.[45][50][51] 브라질의 슈퍼모델 지젤 번천과 스페인의 2010년 우승 주역인 카를레스 푸욜이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지고 등장했다.[52] 같이 보기[편집]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 정치와 스포츠 각주[편집] ↑ “Tactical line-up – Germany–Argentina”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roups & Schedule”.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tche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orld Cup Final: The Best Team vs. the Best Player". Wall Street Journal. 2014년 7월 15일 ↑ “Franz Beckenbau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Sepp Mai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66 FIFA World Cup England: England – Germany FR match report”. FIFA.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Wolfgang Overath”.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58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6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2014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198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9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 “200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 Argentina”. FIFA.com.  ↑ “201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IFA.com.  ↑ “History of the World Cup”. fifaworldcup.webspace.virginmedia.com. 201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sos, Jan. “1966 – Story of England '66”. Planet World Cup.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일에 확인함.  ↑ [1] ↑ [2] ↑ [3] ↑ [4] ↑ “Germany 1 Argentina 3”. 《Goal.com》. 2012년 8월 15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chedule”. Deutscher Fussball-Bund.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Miroslav Klose breaks Ronaldo's record to become the top scorer in World Cup history”. 《Daily Mai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adidas Brazuca Final Rio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9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Nicola Rizzoli to refere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  ↑ Sargeant, Jack (2014년 7월 13일). “Christoph Kramer replaces Sami Khedira in Germany lineup”. 《SB Nation》.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1 Argentina 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2014, Germany vs Argentina: as it happened”.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beat Argentina to win World Cup final with late Mario Götze goal”.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Presenter: Gary Lineker (2014년 7월 13일). 〈Match of the Day Live〉. 《2014 FIFA World Cup: World Cup Final》. 4:07:29에 발생. BBC One. 그거 아세요, 그가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교체 선수라는 것을요? (Do you know, that's the first substitute to score a winning goal in a World Cup final?)  ↑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Messi's World Cup ends on a bitter note”. CBS. Associated Press.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Germany 1–0 Argentina” (PDF).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 “Brazilians Go Back to Real Life”.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13일.  ↑ “Vladimir Putin to attend World Cup final in Brazil”. The Voice of Russia. 2013년 9월 20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Zuma to watch World Cup final”. 《The Citizen》.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guest list has bizarre and random look”.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ilma Rousseff Confirms She Will Hand the Trophy to the World Cup Winner and Says Boos "Are Part of the Job"”. Folha de S.Paulo.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Camargo, Marcelo (2014년 1월 25일). “Germany chancellor and president to watch final at Maracanã”. Agenciabrasil.ebc.com.br.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Payne, Marissa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president isn't attending the World Cup final because of grandson's birthday”.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Moment streaker invades pitch and attempts to KISS German star”. Daily Mirror.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World Cup closing ceremony 2014 sees Shakira, Rihanna, David Beckham, Pele, Tom Brady, Vladimir Putin and more in the crowd as celebrities spotted at Maracana in Rio de Janeiro for final”. 《Daily Mail》.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ese, Rick; Phillips, Dom (2014년 7월 13일). “2014 World Cup draws to a close in conflicted Brazil”. 《The Washington Post》. Rio de Janeiro.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est selfies”.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ormer internationals Lothar Matthaeus, Fabio Cannavaro and Daniel Passarella take a selfie the WC 2014 Final match”. 《Veooz》.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Santana Electrify World Cup 2014 Closing Ceremony”. ND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headlines fairly normal World Cup closing ceremon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ca》.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uyol, Gisele to unveil Trophy prior to th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독일준우승 아르헨티나3위 네덜란드4위 브라질8강 벨기에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프랑스 16강 그리스 나이지리아 멕시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우루과이 칠레 조별 리그 가나 대한민국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페인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이란 이탈리아 잉글랜드 일본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역사 예선 기록 통계 수상 트로피 공식 경기구 공식 마스코트 음악 응원 본선 우루과이 1930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카타르 2022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2030년 예선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결승전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선수 명단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시드 배정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개최국 선정 2014년 2018년 및 2022년 2026년 1930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취소되었으며 1950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vdeh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하계 올림픽 결승전 1928 FIFA 월드컵 결승전 1930 1978 1986 1990 2014 (對 독일 0-1 (연장) 패)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2 (비공식) 1995 (비공식) 2005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93 2004 2007 2015 2016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최종 라운드 1994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기타 경기 對 잉글랜드 2-1 승 (1986) 對 크로아티아 0-3 패 (2018) 對 프랑스 3-4 패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oldid=23985974" 분류: 2014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결승전리우데자네이루의 축구리우데자네이루가 개최한 국제 스포츠 대회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아르헨티나 관계독일 축구 2013-14 시즌아르헨티나 축구 2013-14 시즌2014년 축구2014년 축구 경기2014년 7월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결승전 당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내부경기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독일 아르헨티나 1 0 연장전 후날짜 2014년 7월 13일장소 리우데자네이루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심판 니콜라 리촐리관중 수 74,738날씨 약간 흐림 14 °C (57 °F) 습도 34%[1]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2][3]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4][5] 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6] 제프 마이어,[7][8]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9]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 2 결승전까지의 경기 3 공인구 4 심판진 5 경기 5.1 요약 5.2 상세 정보 5.3 통계 6 현지 반응 7 주요 관객 8 폐막식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배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입니다. 양국은 20번의 맞대결을 펼쳤고, 9번은 아르헨티나가 이겼고, 6번은 독일이 승리를 챙겼으며, 5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이 맞대결에서 양국은 도합 28골을 득점하였다. 6번의 경기는 FIFA 월드컵 경기이며, 2번은 이 대회의 결승전 경기였다. 2014년 결승전은 7번째 FIFA 월드컵 맞대결로, 양국간 맞대결 횟수로 (브라질 vs 스웨덴, 독일 vs 유고슬라비아) 에 이어 최다 맞대결 횟수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역대 맞대결 목록 1958년 FIFA 월드컵 1조, 서독이 아르헨티나에 3–1로 승리.[10] 1966년 FIFA 월드컵 2조, 서독과 아르헨티나가 0–0으로 비김.[11]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기고 두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우승을 거둠.[12]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서독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세번째 우승을 거둠. 독일이 서독으로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2014년 결승전 이전까지의 가장 최근에 거둔 우승.[13] 2006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1로 비기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14]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4-0으로 승리.[15]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서독이 0-0으로 비겼다. FIFA는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상대로 폭력적인 경기 운영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의 라파엘 알브레치트가 퇴장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6][17]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는 서독이 1-0으로 이기는 과정에서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가 퇴장당했고, 결승골은 논란의 페널티킥 골이었다. 2006년 대회 8강전은 독일이 경기를 연장 접전 끝에 1-1로 끝낸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지만, 경기 후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패싸움을 벌여,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와 한명의 독일 선수가 징계를 받았다.[18][19][20][21] 가장 최근에 벌어진 맞대결은 2012년 8월 15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친선전으로, 아르헨티나가 3-1로 이겼다.[22] 대회 전, 2014년 9월 4일에 친선전을 벌일 것으로 계획을 받았고, FIFA 월드컵 종료 후 양국이 치를 첫 경기가 되었다. 이때 아르헨티나가 4-2로 이겼다.[23]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 중 다음의 선수들이 2006년과 2010년 맞대결 당시 포함되었었다: 맞대결에 참가한 양국 선수들 목록 2006년 맞대결 독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필리프 람, 페어 메어테자커,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와 막시 로드리게스 (리오넬 메시와 로드리고 팔라시오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2010년 맞대결 독일: 마누엘 노이어, 제롬 보아텡, 자미 케디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토니 크로스, (교체 요원) 필리프 람, 페어 메르테자커,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로메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교체 요원) 마르틴 데미첼리스, 앙헬 디 마리아, 곤살로 이과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리오넬 메시, 그리고 막시 로드리게스 (마리아노 안두하르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클로제는 2006년 맞대결에서 1골, 2010년 맞대결에서 2골을 넣었고, 뮐러도 2010년 맞대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24] 독일의 요아힘 뢰프 감독은 2006년에 수석코치였고, 2010년에는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까지의 경기[편집] 독일 라운드 아르헨티나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포르투갈 4 - 0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 1 가나 2 - 2 2차전 이란 1 - 0 미국 1 - 0 3차전 나이지리아 3 - 2 G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독일 3 2 1 0 7 2 +5 7 미국 3 1 1 1 4 4 0 4 포르투갈 3 1 1 1 4 7 −3 4 가나 3 0 1 2 4 6 −2 1 조 최종 순위 F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아르헨티나 3 3 0 0 6 3 +3 9 나이지리아 3 1 1 1 3 3 0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1 0 2 4 4 0 3 이란 3 0 1 2 1 4 –3 1 상대 결과 토너먼트전 상대 결과 알제리 2 - 1 (연) 16강전 스위스 1 - 0 (연) 프랑스 1 - 0 8강전 벨기에 1 - 0 브라질 7 - 1 준결승전 네덜란드 0 - 0 (연) (4 - 2 승) 공인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디다스 브라주카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사용될 공인구는 아디다스 브라주카의 변형판인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 (Adidas Brazuca Final Rio) 로 2014년 5월 29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5] 기술적으로 원형 공인구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조별 리그와 앞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에서 쓰인 브라주카와는 다른데, 표면이 녹색, 금색, 그리고 흑색으로 되어 있었다.[25]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는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 과 조'블라니 (2010) 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 전용으로 쓰인 세번째 공인구이다. 심판진[편집] 이탈리아 대표의 니콜라 리촐리가 결승전을 중재할 주심으로 선정되었고, 그와 동행하던 안드레아 스테파니와 레나토 파베라니가 부심을 맡았고, 에콰도르 대표의 카를로스 베라와 크리스티안 레스카노가 각각 대기심과 후보 대기심으로 선정되었다.[26]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리촐리는 조별 리그의 스페인-네덜란드전과 나이지리아-아르헨티나전을,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전을 주관했었다. 그는 2010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과 2013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호루라기를 잡기도 했다. 그는 FIFA 클럽 월드컵 2011, UEFA 유로 2012, 그리고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는 1978년의 세르조 고넬라와 2002년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주관할 3번째 이탈리아인 주심이 되었다.[26] 경기[편집] 요약[편집]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독일의 주장 필리프 람 양국은 준결승전에 선발로 내세운 선수를 그대로 보낼 계획이었으나, 독일은 미드필더 사미 케디라를 종아리 부상으로 잃었다. 그의 자리는 크리스토프 크라머로 대신하게 되었지만, 그도 에세키엘 가라이와 페널티 구역에서 충돌했지만, 본래 경기를 속개하려 했다. 몇분 후, 그는 뇌진탕으로 안드레 쉬를레와 전반에 교체되어 나갔다.[27] 전반전에 곤살로 이과인은 토니 크로스가 머리로 잘못 건낸 공을 가로채 쏘았지만 크게 벗어났다. 몇분 후, 그는 우측에서 건낸 에세키엘 라베시의 크로스를 건드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되었다. 후반전 개시 후, 리오넬 메시는 좋은 기회를 날렸는데, 잘 찔러넣은 패스를 독일 진영에서 받았지만, 독일 골대에서 크게 빗나가게 쏘았다. 연장전에는 로드리고 팔라시오가 마츠 후멜스의 실수로 받은 크로스를 마누엘 노이어의 키를 넘기도록 발등으로 차 넘겼지만, 골망을 가르진 못했다. 독일은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코너킥을 머리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강타했다.[28][29] 독일의 마리오 괴체는 연장전 결승골의 주인공으로 그는 113분에 좌측 측면으로 끌고간 공을 마리오 괴체에게 보냈고, 그는 가슴으로 공을 받아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차서 로메로를 넘기는 결승골을 집어넣었다.[30] 그는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최초의 교체 선수였고,[31] 1966년 독일의 볼프강 베버 이래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최연소 선수 (둘 다 22세) 이기도 했다.[32] 괴체의 골이 터지기 전에도 독일은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전반 종료 직전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머리로 넣으려 했지만 아르헨티나 골대를 강타했다. 쉬를레는 연장전 시작과 함께 괴체로부터 패스를 받아 근거리에서 득점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세르히오 로메로 골키퍼 가슴에 안기기만 했다. 토마스 뮐러도 수비수 두명을 돌파해 독일의 점수차를 늘릴 기회를 잡았지만, 그의 슛도 크게 빗나갔다. 연장전 막판, 메시는 득점이 가능한 거리에서 프리킥을 차 동점골을 넣을 기회를 잡았지만, 이것은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33]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13일 16:00 독일 1 – 0 (연장전) 아르헨티나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수: 74,738 심판: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괴체  113' 리포트 독일 아르헨티나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34' CM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31'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29'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120'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88' 교체 선수: FW 9 안드레 쉬를레 31' MF 19 마리오 괴체 88'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120' 감독: 요아힘 뢰프 GK 1 세르히오 로메로 RB 4 파블로 사발레타 CB 15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2 에세키엘 가라이 LB 16 마르코스 로호 C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64' CM 6 루카스 비글리아 RW 8 엔소 페레스 86' LW 22 에세키엘 라베시 46' SS 10 리오넬 메시 (주장) CF 9 곤살로 이과인 78' 교체 선수: FW 20 세르히오 아궤로  65' 46' FW 18 로드리고 팔라시오 78' MF 5 페르난도 가고 86' 감독: 알레한드로 사벨라 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독일) 부심: 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대기심: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 후보 대기심: 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전체[34] 독일 아르헨티나 득점 1 0 슛 10 10 유효슛 7 2 점유율 60% 40% 코너킥 5 3 반칙 20 16 오프사이드 3 2 선방 2 6 경고 2 2 퇴장 0 0 현지 반응[편집] 아르헨티나-브라질 축구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축구계에서 앙숙 관계인 것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질 관중들은 앞서 준결승전에서 자국을 1-7로 대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탈락을 조롱한 아르헨티나와 다르게 패한 개최국에 존중을 표한 독일을 지지했다. 대부분의 브라질인들은 브라질의 상징적인 홈구장에서 라이벌 국가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안도를 표했다.[35][36][37] 주요 관객[편집] 개최국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제6회 브릭스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릭스 지도자들을 결승전에 초청하였다. 초청받은 지도자들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차기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 대통령,[38] 제이컵 주마 직전의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이 있었다.[39]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진핑 주석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수상은 이 경기를 관전하지 않았다. 이 경기를 관전한 정상으로는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알리 봉고 옹딤바 (가봉), 그리고 개스턴 브라운 (앤티가 바부다) 가 있었고, 가디언지는 이들이 관전하는 것을 "특이하고 엉뚱한 일"이라고 꼬집었다.[40] 호세프는 시상식에서 손수 우승 트로피를 독일 선수들에게 전달했다.[41] 독일의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결승전을 참관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미 사우바도르에서 독일이 포르투갈을 4-0으로 짓밟는 것을 목격했다.[42] 반면 아르헨티나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손자의 생일과 인신후두염이 겹쳐 불참했다.[43] 러시아의 희극인 비탈리 즈도로베트스키는 "천부적인 장난꾸러기"라는 글은 몸통에 쓰고 경기장에 난입해 독일의 베네딕트 회베데스를 뽀뽀하려 했다.[44] 브라질 당국은 그를 체포했지만, 그는 경기 몇시간 후 풀려났다.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결승전을 관전했는데, 이들 중에는 리한나, 믹 재거, 데이비드 베컴, 파비오 칸나바로, 로타어 마테우스, 다니엘 파사레야, 애슈턴 쿠처, 대니얼 크레이그, 톰 브래디, 르브론 제임스, 그리고 펠레가 있었다.[45][46][47][48] 폐막식[편집] 대회 폐막식이 결승전을 앞두고 100분 전에 진행되었다.[49] 폐막식은 2막으로 나뉘었고, 20분동안 진행되었다. 1막에서는 22명이 삼바 춤을 추었고, 32명으로 구성된 사람들은 32개 참가국의 국기 색에 맞추어 나왔다. 2막은 콜롬비아 가수 샤키라 외에 저명한 가수들인 카를리뉴스 브론, 와이클리프 장, 알렉상드르 피레스, 이베치 상갈루, 그리고 기타 연주가 카를로스 산타나가 공연했다.[45][50][51] 브라질의 슈퍼모델 지젤 번천과 스페인의 2010년 우승 주역인 카를레스 푸욜이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지고 등장했다.[52] 같이 보기[편집]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 정치와 스포츠 각주[편집] ↑ “Tactical line-up – Germany–Argentina”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roups & Schedule”.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tche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orld Cup Final: The Best Team vs. the Best Player". Wall Street Journal. 2014년 7월 15일 ↑ “Franz Beckenbau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Sepp Mai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66 FIFA World Cup England: England – Germany FR match report”. FIFA.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Wolfgang Overath”.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58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6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2014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198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9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 “200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 Argentina”. FIFA.com.  ↑ “201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IFA.com.  ↑ “History of the World Cup”. fifaworldcup.webspace.virginmedia.com. 201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sos, Jan. “1966 – Story of England '66”. Planet World Cup.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일에 확인함.  ↑ [1] ↑ [2] ↑ [3] ↑ [4] ↑ “Germany 1 Argentina 3”. 《Goal.com》. 2012년 8월 15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chedule”. Deutscher Fussball-Bund.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Miroslav Klose breaks Ronaldo's record to become the top scorer in World Cup history”. 《Daily Mai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adidas Brazuca Final Rio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9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Nicola Rizzoli to refere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  ↑ Sargeant, Jack (2014년 7월 13일). “Christoph Kramer replaces Sami Khedira in Germany lineup”. 《SB Nation》.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1 Argentina 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2014, Germany vs Argentina: as it happened”.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beat Argentina to win World Cup final with late Mario Götze goal”.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Presenter: Gary Lineker (2014년 7월 13일). 〈Match of the Day Live〉. 《2014 FIFA World Cup: World Cup Final》. 4:07:29에 발생. BBC One. 그거 아세요, 그가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교체 선수라는 것을요? (Do you know, that's the first substitute to score a winning goal in a World Cup final?)  ↑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Messi's World Cup ends on a bitter note”. CBS. Associated Press.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Germany 1–0 Argentina” (PDF).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 “Brazilians Go Back to Real Life”.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13일.  ↑ “Vladimir Putin to attend World Cup final in Brazil”. The Voice of Russia. 2013년 9월 20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Zuma to watch World Cup final”. 《The Citizen》.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guest list has bizarre and random look”.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ilma Rousseff Confirms She Will Hand the Trophy to the World Cup Winner and Says Boos "Are Part of the Job"”. Folha de S.Paulo.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Camargo, Marcelo (2014년 1월 25일). “Germany chancellor and president to watch final at Maracanã”. Agenciabrasil.ebc.com.br.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Payne, Marissa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president isn't attending the World Cup final because of grandson's birthday”.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Moment streaker invades pitch and attempts to KISS German star”. Daily Mirror.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World Cup closing ceremony 2014 sees Shakira, Rihanna, David Beckham, Pele, Tom Brady, Vladimir Putin and more in the crowd as celebrities spotted at Maracana in Rio de Janeiro for final”. 《Daily Mail》.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ese, Rick; Phillips, Dom (2014년 7월 13일). “2014 World Cup draws to a close in conflicted Brazil”. 《The Washington Post》. Rio de Janeiro.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est selfies”.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ormer internationals Lothar Matthaeus, Fabio Cannavaro and Daniel Passarella take a selfie the WC 2014 Final match”. 《Veooz》.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Santana Electrify World Cup 2014 Closing Ceremony”. ND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headlines fairly normal World Cup closing ceremon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ca》.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uyol, Gisele to unveil Trophy prior to th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독일준우승 아르헨티나3위 네덜란드4위 브라질8강 벨기에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프랑스 16강 그리스 나이지리아 멕시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우루과이 칠레 조별 리그 가나 대한민국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페인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이란 이탈리아 잉글랜드 일본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역사 예선 기록 통계 수상 트로피 공식 경기구 공식 마스코트 음악 응원 본선 우루과이 1930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카타르 2022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2030년 예선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결승전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선수 명단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시드 배정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개최국 선정 2014년 2018년 및 2022년 2026년 1930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취소되었으며 1950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vdeh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하계 올림픽 결승전 1928 FIFA 월드컵 결승전 1930 1978 1986 1990 2014 (對 독일 0-1 (연장) 패)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2 (비공식) 1995 (비공식) 2005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93 2004 2007 2015 2016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최종 라운드 1994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기타 경기 對 잉글랜드 2-1 승 (1986) 對 크로아티아 0-3 패 (2018) 對 프랑스 3-4 패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oldid=23985974" 분류: 2014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결승전리우데자네이루의 축구리우데자네이루가 개최한 국제 스포츠 대회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아르헨티나 관계독일 축구 2013-14 시즌아르헨티나 축구 2013-14 시즌2014년 축구2014년 축구 경기2014년 7월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결승전 당일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의 내부경기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독일 아르헨티나 1 0 연장전 후날짜 2014년 7월 13일장소 리우데자네이루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심판 니콜라 리촐리관중 수 74,738날씨 약간 흐림 14 °C (57 °F) 습도 34%[1] ← 2010 2018 →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포르투갈어: Final da Copa do Mundo FIFA de 2014) 은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 팀을 가리는 축구 경기로, 2014년 7월 13일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에서 2014년 FIFA 월드컵의 우승국을 가리기 위해 열렸다.[2][3] 독일은 마리오 괴체가 안드레 쉬를레의 좌측 크로스를 가슴으로 받아내어 왼발로 높은 발리슛을 골로 마무리함으로써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0으로 신승하였다. 이 경기는 두 팀간의 세 번째 결승전 만남으로, 이미 1986년과 1990년 결승전에서 두 번 맞붙은 이래 또다시 재회하여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이 반복된 결승전 매치업으로 기록되었고, 세계 최고의 선수 (리오넬 메시) 와 세계 최강의 국가 (독일) 간의 대결로 언론이 구도를 몰았다.[4][5] 독일은 7차례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이라는 국명으로 6차례)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3차례 (1954년, 1974년, 그리고 1990년) 우승하였으며, 4차례 (1966년, 1982년, 1986년, 그리고 2002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반면 아르헨티나는 4차례 대회 결승전에 진출하였고, 2차례 (1978년과 1986년) 우승하였고, 2차례 (1930년과 1990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독일은 이번 대회에서 4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독일은 재통일 이후 처음으로 우승하였고, 아메리카 대륙에서 개최한 월드컵을 우승한 첫 유럽팀이 되었다. 또한, 월드컵 대회 사상 최초로 세 차례의 월드컵 우승팀이 같은 대륙에서 나오게 되었으며, 이는 전례 없는 일이다. 독일은 2006년의 이탈리아와 2010년 스페인에 이어 정상에 올랐고, 월드컵 우승 횟수도 이탈리아와 동률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결승전은 3대회 연속으로 정규 시간 90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기였다. 이 대회 우승으로 독일은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였다. 우승한 독일 선수단의 미로슬라프 클로제는 승리한 브라질과의 준결승전에서 이 경기의 두 번째 골이자 자신의 16호골을 넣어 15골의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의 호나우두를 제치고 월드컵 역대 최다 득점자로 기록되었으며, 프란츠 베켄바워,[6] 제프 마이어,[7][8] 그리고 볼프강 오베라트[9] (3명 모두 1966년부터 1974년 대회에 참가) 등의 독일 국가대표팀 선배들과 함께 월드컵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모두 경험 (2006년과 2010년에 3위, 2002년에 준우승, 그리고 2014년에 우승) 해본 몇 안되는 선수가 되었다. 목차 1 배경 1.1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 2 결승전까지의 경기 3 공인구 4 심판진 5 경기 5.1 요약 5.2 상세 정보 5.3 통계 6 현지 반응 7 주요 관객 8 폐막식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배경[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입니다. 양국은 20번의 맞대결을 펼쳤고, 9번은 아르헨티나가 이겼고, 6번은 독일이 승리를 챙겼으며, 5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이 맞대결에서 양국은 도합 28골을 득점하였다. 6번의 경기는 FIFA 월드컵 경기이며, 2번은 이 대회의 결승전 경기였다. 2014년 결승전은 7번째 FIFA 월드컵 맞대결로, 양국간 맞대결 횟수로 (브라질 vs 스웨덴, 독일 vs 유고슬라비아) 에 이어 최다 맞대결 횟수를 기록했다. FIFA 월드컵 역대 맞대결 목록 1958년 FIFA 월드컵 1조, 서독이 아르헨티나에 3–1로 승리.[10] 1966년 FIFA 월드컵 2조, 서독과 아르헨티나가 0–0으로 비김.[11] 1986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아르헨티나가 서독을 3-2로 이기고 두번째이자 가장 최근의 우승을 거둠.[12]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 서독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세번째 우승을 거둠. 독일이 서독으로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2014년 결승전 이전까지의 가장 최근에 거둔 우승.[13] 2006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와 연장 접전 끝에 1-1로 비기고,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14] 2010년 FIFA 월드컵 8강전, 독일이 아르헨티나를 4-0으로 승리.[15] 1966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서독이 0-0으로 비겼다. FIFA는 아르헨티나가 독일을 상대로 폭력적인 경기 운영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당시 아르헨티나의 라파엘 알브레치트가 퇴장당해 다음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16][17] 199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는 서독이 1-0으로 이기는 과정에서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가 퇴장당했고, 결승골은 논란의 페널티킥 골이었다. 2006년 대회 8강전은 독일이 경기를 연장 접전 끝에 1-1로 끝낸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지만, 경기 후 아르헨티나 선수들이 패싸움을 벌여, 두명의 아르헨티나 선수와 한명의 독일 선수가 징계를 받았다.[18][19][20][21] 가장 최근에 벌어진 맞대결은 2012년 8월 15일에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발트슈타디온에서 벌어진 친선전으로, 아르헨티나가 3-1로 이겼다.[22] 대회 전, 2014년 9월 4일에 친선전을 벌일 것으로 계획을 받았고, FIFA 월드컵 종료 후 양국이 치를 첫 경기가 되었다. 이때 아르헨티나가 4-2로 이겼다.[23] 맞대결에 다시 참가하는 선수들[편집] 2014년 FIFA 월드컵 엔트리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 중 다음의 선수들이 2006년과 2010년 맞대결 당시 포함되었었다: 맞대결에 참가한 양국 선수들 목록 2006년 맞대결 독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필리프 람, 페어 메어테자커,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하비에르 마스체라노와 막시 로드리게스 (리오넬 메시와 로드리고 팔라시오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2010년 맞대결 독일: 마누엘 노이어, 제롬 보아텡, 자미 케디라, 미로슬라프 클로제, 토니 크로스, (교체 요원) 필리프 람, 페어 메르테자커, 토마스 뮐러, 메수트 외질, 루카스 포돌스키, 그리고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로메로, 세르히오 아구에로, (교체 요원) 마르틴 데미첼리스, 앙헬 디 마리아, 곤살로 이과인,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리오넬 메시, 그리고 막시 로드리게스 (마리아노 안두하르는 결장한 교체 요원이었다) 클로제는 2006년 맞대결에서 1골, 2010년 맞대결에서 2골을 넣었고, 뮐러도 2010년 맞대결에서 선제골을 기록했다.[24] 독일의 요아힘 뢰프 감독은 2006년에 수석코치였고, 2010년에는 감독을 맡았다. 결승전까지의 경기[편집] 독일 라운드 아르헨티나 상대 결과 조별 리그 상대 결과 포르투갈 4 - 0 1차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 1 가나 2 - 2 2차전 이란 1 - 0 미국 1 - 0 3차전 나이지리아 3 - 2 G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독일 3 2 1 0 7 2 +5 7 미국 3 1 1 1 4 4 0 4 포르투갈 3 1 1 1 4 7 −3 4 가나 3 0 1 2 4 6 −2 1 조 최종 순위 F조 1위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아르헨티나 3 3 0 0 6 3 +3 9 나이지리아 3 1 1 1 3 3 0 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 1 0 2 4 4 0 3 이란 3 0 1 2 1 4 –3 1 상대 결과 토너먼트전 상대 결과 알제리 2 - 1 (연) 16강전 스위스 1 - 0 (연) 프랑스 1 - 0 8강전 벨기에 1 - 0 브라질 7 - 1 준결승전 네덜란드 0 - 0 (연) (4 - 2 승) 공인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아디다스 브라주카입니다. 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사용될 공인구는 아디다스 브라주카의 변형판인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 (Adidas Brazuca Final Rio) 로 2014년 5월 29일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5] 기술적으로 원형 공인구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조별 리그와 앞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에서 쓰인 브라주카와는 다른데, 표면이 녹색, 금색, 그리고 흑색으로 되어 있었다.[25] 아디다스 브라주카 피날 히우는 팀가이스트 베를린 (2006) 과 조'블라니 (2010) 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 전용으로 쓰인 세번째 공인구이다. 심판진[편집] 이탈리아 대표의 니콜라 리촐리가 결승전을 중재할 주심으로 선정되었고, 그와 동행하던 안드레아 스테파니와 레나토 파베라니가 부심을 맡았고, 에콰도르 대표의 카를로스 베라와 크리스티안 레스카노가 각각 대기심과 후보 대기심으로 선정되었다.[26] 앞서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동안, 리촐리는 조별 리그의 스페인-네덜란드전과 나이지리아-아르헨티나전을,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벨기에전을 주관했었다. 그는 2010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과 2013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에서 호루라기를 잡기도 했다. 그는 FIFA 클럽 월드컵 2011, UEFA 유로 2012, 그리고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도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는 1978년의 세르조 고넬라와 2002년의 피에를루이지 콜리나에 이어 FIFA 월드컵 결승전을 주관할 3번째 이탈리아인 주심이 되었다.[26] 경기[편집] 요약[편집]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독일의 주장 필리프 람 양국은 준결승전에 선발로 내세운 선수를 그대로 보낼 계획이었으나, 독일은 미드필더 사미 케디라를 종아리 부상으로 잃었다. 그의 자리는 크리스토프 크라머로 대신하게 되었지만, 그도 에세키엘 가라이와 페널티 구역에서 충돌했지만, 본래 경기를 속개하려 했다. 몇분 후, 그는 뇌진탕으로 안드레 쉬를레와 전반에 교체되어 나갔다.[27] 전반전에 곤살로 이과인은 토니 크로스가 머리로 잘못 건낸 공을 가로채 쏘았지만 크게 벗어났다. 몇분 후, 그는 우측에서 건낸 에세키엘 라베시의 크로스를 건드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되었다. 후반전 개시 후, 리오넬 메시는 좋은 기회를 날렸는데, 잘 찔러넣은 패스를 독일 진영에서 받았지만, 독일 골대에서 크게 빗나가게 쏘았다. 연장전에는 로드리고 팔라시오가 마츠 후멜스의 실수로 받은 크로스를 마누엘 노이어의 키를 넘기도록 발등으로 차 넘겼지만, 골망을 가르진 못했다. 독일은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코너킥을 머리로 연결했지만 골대를 강타했다.[28][29] 독일의 마리오 괴체는 연장전 결승골의 주인공으로 그는 113분에 좌측 측면으로 끌고간 공을 마리오 괴체에게 보냈고, 그는 가슴으로 공을 받아 공이 지면에 닿기 전에 차서 로메로를 넘기는 결승골을 집어넣었다.[30] 그는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최초의 교체 선수였고,[31] 1966년 독일의 볼프강 베버 이래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최연소 선수 (둘 다 22세) 이기도 했다.[32] 괴체의 골이 터지기 전에도 독일은 여러 차례 득점 기회를 잡았는데, 전반 종료 직전 베네딕트 회베데스가 머리로 넣으려 했지만 아르헨티나 골대를 강타했다. 쉬를레는 연장전 시작과 함께 괴체로부터 패스를 받아 근거리에서 득점을 시도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세르히오 로메로 골키퍼 가슴에 안기기만 했다. 토마스 뮐러도 수비수 두명을 돌파해 독일의 점수차를 늘릴 기회를 잡았지만, 그의 슛도 크게 빗나갔다. 연장전 막판, 메시는 득점이 가능한 거리에서 프리킥을 차 동점골을 넣을 기회를 잡았지만, 이것은 골대 위쪽으로 날아갔다.[33] 상세 정보[편집] 2014년 7월 13일 16:00 독일 1 – 0 (연장전) 아르헨티나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리우데자네이루 관중수: 74,738 심판: 니콜라 리촐리 (이탈리아) 괴체  113' 리포트 독일 아르헨티나 GK 1 마누엘 노이어 RB 16 필리프 람 (주장) CB 20 제롬 보아텡 CB 5 마츠 후멜스 LB 4 베네딕트 회베데스  34' CM 23 크리스토프 크라머 31' CM 7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29' RW 13 토마스 뮐러 AM 18 토니 크로스 LW 8 메수트 외질 120' CF 11 미로슬라프 클로제 88' 교체 선수: FW 9 안드레 쉬를레 31' MF 19 마리오 괴체 88' DF 17 페어 메르테자커 120' 감독: 요아힘 뢰프 GK 1 세르히오 로메로 RB 4 파블로 사발레타 CB 15 마르틴 데미첼리스 CB 2 에세키엘 가라이 LB 16 마르코스 로호 CM 14 하비에르 마스체라노  64' CM 6 루카스 비글리아 RW 8 엔소 페레스 86' LW 22 에세키엘 라베시 46' SS 10 리오넬 메시 (주장) CF 9 곤살로 이과인 78' 교체 선수: FW 20 세르히오 아궤로  65' 46' FW 18 로드리고 팔라시오 78' MF 5 페르난도 가고 86' 감독: 알레한드로 사벨라 최우수 선수: 마리오 괴체 (독일) 부심: 안드레아 스테파니 (이탈리아) 레나토 파베라니 (이탈리아) 대기심: 카를로스 베라 (에콰도르) 후보 대기심: 크리스티안 레스카노 (에콰도르) 경기 규정: 90분 필요시 연장전 30분 연장전 후에도 동점시 승부차기 교체 선수 12명 등록 최대 3명 교체 가능 통계[편집] 전체[34] 독일 아르헨티나 득점 1 0 슛 10 10 유효슛 7 2 점유율 60% 40% 코너킥 5 3 반칙 20 16 오프사이드 3 2 선방 2 6 경고 2 2 퇴장 0 0 현지 반응[편집] 아르헨티나-브라질 축구 경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축구계에서 앙숙 관계인 것을 짐작할 수 있듯이, 브라질 관중들은 앞서 준결승전에서 자국을 1-7로 대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브라질의 탈락을 조롱한 아르헨티나와 다르게 패한 개최국에 존중을 표한 독일을 지지했다. 대부분의 브라질인들은 브라질의 상징적인 홈구장에서 라이벌 국가가 우승하지 못한 것에 안도를 표했다.[35][36][37] 주요 관객[편집] 개최국의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제6회 브릭스 정상회담을 앞두고 브릭스 지도자들을 결승전에 초청하였다. 초청받은 지도자들 중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차기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 대통령,[38] 제이컵 주마 직전의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이 있었다.[39]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진핑 주석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수상은 이 경기를 관전하지 않았다. 이 경기를 관전한 정상으로는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알리 봉고 옹딤바 (가봉), 그리고 개스턴 브라운 (앤티가 바부다) 가 있었고, 가디언지는 이들이 관전하는 것을 "특이하고 엉뚱한 일"이라고 꼬집었다.[40] 호세프는 시상식에서 손수 우승 트로피를 독일 선수들에게 전달했다.[41] 독일의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결승전을 참관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미 사우바도르에서 독일이 포르투갈을 4-0으로 짓밟는 것을 목격했다.[42] 반면 아르헨티나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대통령은 손자의 생일과 인신후두염이 겹쳐 불참했다.[43] 러시아의 희극인 비탈리 즈도로베트스키는 "천부적인 장난꾸러기"라는 글은 몸통에 쓰고 경기장에 난입해 독일의 베네딕트 회베데스를 뽀뽀하려 했다.[44] 브라질 당국은 그를 체포했지만, 그는 경기 몇시간 후 풀려났다.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결승전을 관전했는데, 이들 중에는 리한나, 믹 재거, 데이비드 베컴, 파비오 칸나바로, 로타어 마테우스, 다니엘 파사레야, 애슈턴 쿠처, 대니얼 크레이그, 톰 브래디, 르브론 제임스, 그리고 펠레가 있었다.[45][46][47][48] 폐막식[편집] 대회 폐막식이 결승전을 앞두고 100분 전에 진행되었다.[49] 폐막식은 2막으로 나뉘었고, 20분동안 진행되었다. 1막에서는 22명이 삼바 춤을 추었고, 32명으로 구성된 사람들은 32개 참가국의 국기 색에 맞추어 나왔다. 2막은 콜롬비아 가수 샤키라 외에 저명한 가수들인 카를리뉴스 브론, 와이클리프 장, 알렉상드르 피레스, 이베치 상갈루, 그리고 기타 연주가 카를로스 산타나가 공연했다.[45][50][51] 브라질의 슈퍼모델 지젤 번천과 스페인의 2010년 우승 주역인 카를레스 푸욜이 FIFA 월드컵 트로피를 가지고 등장했다.[52] 같이 보기[편집] 독일-아르헨티나 축구 경쟁 정치와 스포츠 각주[편집] ↑ “Tactical line-up – Germany–Argentina”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roups & Schedule”.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tche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World Cup Final: The Best Team vs. the Best Player". Wall Street Journal. 2014년 7월 15일 ↑ “Franz Beckenbau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Sepp Maier”.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66 FIFA World Cup England: England – Germany FR match report”. FIFA.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Wolfgang Overath”. Planet World Cup. 2014년 7월 16일에 확인함.  ↑ “1958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6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2014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198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R”. FIFA.com.  ↑ “199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FR – Argentina”. FIFA.com.  ↑ “2006 FIFA World Cup Match Report: Germany – Argentina”. FIFA.com.  ↑ “2010 FIFA World Cup Match Report: Argentina – Germany”. FIFA.com.  ↑ “History of the World Cup”. fifaworldcup.webspace.virginmedia.com. 2014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5일에 확인함.  ↑ Alsos, Jan. “1966 – Story of England '66”. Planet World Cup. 2010년 6월 1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3일에 확인함.  ↑ [1] ↑ [2] ↑ [3] ↑ [4] ↑ “Germany 1 Argentina 3”. 《Goal.com》. 2012년 8월 15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Schedule”. Deutscher Fussball-Bund.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Miroslav Klose breaks Ronaldo's record to become the top scorer in World Cup history”. 《Daily Mail》. 2014년 7월 8일. 2014년 7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adidas Brazuca Final Rio unveil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5월 29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Nicola Rizzoli to refere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  ↑ Sargeant, Jack (2014년 7월 13일). “Christoph Kramer replaces Sami Khedira in Germany lineup”. 《SB Nation》.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1 Argentina 0”. 《BBC Sport》.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2014, Germany vs Argentina: as it happened”.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Germany beat Argentina to win World Cup final with late Mario Götze goal”.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Presenter: Gary Lineker (2014년 7월 13일). 〈Match of the Day Live〉. 《2014 FIFA World Cup: World Cup Final》. 4:07:29에 발생. BBC One. 그거 아세요, 그가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한 교체 선수라는 것을요? (Do you know, that's the first substitute to score a winning goal in a World Cup final?)  ↑ “Numbers Game: All the stats from Germany's fourth World Cup triumph”. 《Firstpost》. 2014년 7월 14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Messi's World Cup ends on a bitter note”. CBS. Associated Press.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Germany 1–0 Argentina” (PDF). 《FIFA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Young, James (2014년 7월 13일). “Brazil falls short, but its World Cup provides unforgettable theater”. 《Sports Illustrated》.  ↑ Brunner, Cody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World Cup final loss to Germany gives Brazil something to cheer about”. Yahoo.  ↑ “Brazilians Go Back to Real Life”. 《The New York Times》. 2014년 7월 13일.  ↑ “Vladimir Putin to attend World Cup final in Brazil”. The Voice of Russia. 2013년 9월 20일.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Zuma to watch World Cup final”. 《The Citizen》. South African Press Associatio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World Cup final guest list has bizarre and random look”. 《The Guardian》.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Dilma Rousseff Confirms She Will Hand the Trophy to the World Cup Winner and Says Boos "Are Part of the Job"”. Folha de S.Paulo.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Camargo, Marcelo (2014년 1월 25일). “Germany chancellor and president to watch final at Maracanã”. Agenciabrasil.ebc.com.br.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 Payne, Marissa (2014년 7월 13일). “Argentina's president isn't attending the World Cup final because of grandson's birthday”. Washington Post.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Moment streaker invades pitch and attempts to KISS German star”. Daily Mirror.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World Cup closing ceremony 2014 sees Shakira, Rihanna, David Beckham, Pele, Tom Brady, Vladimir Putin and more in the crowd as celebrities spotted at Maracana in Rio de Janeiro for final”. 《Daily Mail》. 2014년 7월 13일. 2015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Maese, Rick; Phillips, Dom (2014년 7월 13일). “2014 World Cup draws to a close in conflicted Brazil”. 《The Washington Post》. Rio de Janeiro.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Best selfies”. 《The Daily Telegraph》. 2014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ormer internationals Lothar Matthaeus, Fabio Cannavaro and Daniel Passarella take a selfie the WC 2014 Final match”. 《Veooz》.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Closing ceremony to celebrate Brazil 2014 in style”. FIFA. 2014년 7월 12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Santana Electrify World Cup 2014 Closing Ceremony”. NDTV.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hakira headlines fairly normal World Cup closing ceremon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CBC.ca》. 2014년 7월 13일. 2014년 7월 13일에 확인함.  ↑ “Puyol, Gisele to unveil Trophy prior to the Final”. FIFA.com. 2014년 7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vdeh 2014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조별 리그 (A조 B조(스페인 대 네덜란드)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대한민국 대 알제리)) 결선 토너먼트 (브라질 대 독일) 결승전 일반 정보 시드 배정 선수 명단 통계 일정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브라주카 (공식 경기구) 풀레코 (공식 마스코트) 《One Love, One Rhythm》 (공식 음반) 《2014 피파 월드컵 브라질》 (공식 비디오 게임) 카시롤라 (공식 악기) vdeh2014년 FIFA 월드컵 최종 결과우승 독일준우승 아르헨티나3위 네덜란드4위 브라질8강 벨기에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프랑스 16강 그리스 나이지리아 멕시코 미국 스위스 알제리 우루과이 칠레 조별 리그 가나 대한민국 러시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페인 에콰도르 오스트레일리아 온두라스 이란 이탈리아 잉글랜드 일본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역사 예선 기록 통계 수상 트로피 공식 경기구 공식 마스코트 음악 응원 본선 우루과이 1930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아르헨티나 1978년 스페인 1982년 멕시코 1986년 이탈리아 1990년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대한민국/일본 2002년 독일 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브라질 2014년 러시아 2018년 카타르 2022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26년 2030년 예선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결승전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선수 명단 1930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시드 배정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개최국 선정 2014년 2018년 및 2022년 2026년 1930년 대회에는 예선이 없었고 1942년 대회와 1946년 대회는 취소되었으며 1950년 대회에는 우승국이 로빈 라운드 형식으로 정해졌다. vdeh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FIFA 월드컵 결승전 1954 1966 1974 1982 1986 1990 2002 (對 브라질 0-2 패) 2014 (對 아르헨티나 1-0 (연장) 승)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201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1972 1976 1980 1992 1996 2008 기타 경기 對 이탈리아 3-4 패 (1970) 對 오스트리아 2-3 패 (1978) 對 오스트리아 1-0 승 (1982) 對 프랑스 3-3 (5-4 PSO) (1982) 對 크로아티아 0-3 패 (1998) 對 잉글랜드 2-5 (합계) (2000-01) 對 사우디아라비아 8-0 승 (2002) 對 일본 3-0 승 (2004) 對 대한민국 1-3 패 (2004) 對 태국 5-1 승 (2004) 對 브라질 7-1 승 (2014) 對 대한민국 0-2 패 (2018)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은 제외함. vdeh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하계 올림픽 결승전 1928 FIFA 월드컵 결승전 1930 1978 1986 1990 2014 (對 독일 0-1 (연장) 패)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 1992 (비공식) 1995 (비공식) 2005 코파 아메리카 결승전 1993 2004 2007 2015 2016 FIFA 월드컵 플레이오프 최종 라운드 1994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1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2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2014년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기타 경기 對 잉글랜드 2-1 승 (1986) 對 크로아티아 0-3 패 (2018) 對 프랑스 3-4 패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4년_FIFA_월드컵_결승전&oldid=23985974" 분류: 2014년 FIFA 월드컵FIFA 월드컵 결승전리우데자네이루의 축구리우데자네이루가 개최한 국제 스포츠 대회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독일-아르헨티나 관계독일 축구 2013-14 시즌아르헨티나 축구 2013-14 시즌2014년 축구2014년 축구 경기2014년 7월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Avañe'ẽ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9: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장우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장우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장우 (1986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장우 출생 1986년 6월 1일(1986-06-01) (33세)대한민국 경상북도 문경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3년 ~ 현재소속사 후너스 엔터테인먼트 학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친척 사촌 환희웹사이트 이장우 미니홈피 - 싸이월드 이장우(1986년 6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예능 3.4 공연 3.5 뮤직비디오 4 음반 5 홍보대사 6 수상 및 후보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2003년 KBS 한국방송공사 드라마에서 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그의 부친은 육사·보병학교·경북대 행정학과 및 육군대학교 출신이며 대한민국 육군 준장 예편하였다. 학력[편집] 양재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46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2003 KBS2 저 푸른 초원위에 52부작 MBC 나는 달린다 16부작 SBS 애정만세 50부작 2006 MBC 안녕, 프란체스카 MBC 90일, 사랑할 시간 16부작 2009 MBC 태희 혜교 지현이 최장우 133부작 KBS2 수상한 삼형제 백마탄 70부작 2010 KBS1 웃어라 동해야 김도진 159부작 2011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휴먼 카지노 이재성 단막극 KBS2 영광의 재인 서인우 24부작 2012 MBC 아이두 아이두 박태강 16부작 MBC 오자룡이 간다 오자룡 129부작 2013 KBS2 예쁜 남자 최다비드 16부작 2014 MBC 장미빛 연인들 박차돌 52부작 2016 CTV 황은호탕 2018 KBS2 하나뿐인 내편 왕대륙 106부작 2019 MBN 우아한 가 허윤도 영화[편집]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0 이층의 악당 오순경 2015 두사부 리턴즈 계두식 2019 무지개 여신 예능[편집] 2011년~2012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With. 은정) 2012년~2013년 KBS2 《뮤직뱅크》 MC 2016년 SBS 《정글의 법칙》 공연[편집] 2007년 《햄릿》 ... 햄릿 왕자 역 2008년 《그리스》 뮤직비디오[편집] 연도 제목 가수 비고 2010 니가 따끔거려서 제아 2011 죽을 것만 같아 환희 2011 Bo Peep Bo Peep (Japanese Ver.) 티아라 2011 내가 이렇지 지아(Feat. 하동균) (With. 은정) 음반[편집] 2009년 24/7 - 그 녀석의 여자 2012년 차마 하지 못한 말 2013년 예쁜 남자 OST - 사랑한단 말야 홍보대사[편집] 2010년 경찰청 명예 경찰관 강사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영광의 재인 수상 2012 제7회 아시아모델시상식 뉴스타상 빈칸 수상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오자룡이 간다, 아이두 아이두 수상 2013 제21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상 빈칸 수상 2014 MBC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장미빛 연인들 수상 2018 K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하나뿐인 내편 수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유이) 수상 2019 2019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인물 브랜드 남자 배우 부문 빈칸 수상 외부 링크[편집] 이장우 미니홈피 - 싸이월드 이장우의 수상 목록vdeh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연규진 (1988) 박인환 (1989) 주현 (1990) 홍요섭 (1991) 안대용 (1992) 이병헌 (1993) 천호진 (1994) 이병헌 (1995) 김영철·배용준 (1996) 김흥기 (1997) 류시원 (1998) 이창훈 (1999) 박상민·원빈 (2000) 김갑수·김호진 (2001) 박용하·조민기 (2002) 김승수·박용우 (2003) 소지섭·정지훈 (2004) 손현주·송일국·엄태웅 (2005) 고주원·김진태 (2006) 강지환·장현성·박해진 (2007) 정진영·이필모·이원종 (2008) 오만석·지진희·김승우·정준호·김석훈 (2009) 이종혁·김수로·오지호·윤시윤 (2010) 지창욱·정진영·최다니엘·천정명·이태곤 (2011) 김영철·김동완·신현준·엄태웅·주원 (2012) 김석훈·오지호·주상욱·조정석·조성하 (2013) 최재성·문정혁·이준기·김상경·박영규 (2014) 차태현·장혁 김태우·김갑수·곽시양·임호 (2015) 송일국·이상윤·안재욱·이동건·오민석 (2016) 김승수·송창의·박서준·이동건·이준호·박시후 (2017) 강은탁·박윤재·이상우·이장우·서강준·최다니엘 (2018) 대상 | 남자최우수연기상 | 여자최우수연기상 | 남자우수연기상 | 여자우수연기상 vdeh후너스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홍성광 (대표이사) 가수현재 그룹 제노티 (상도 · 호준 · 제로 · 비쥬 · 상원) 엘리스 (벨라  · 혜성  · 유경  · 소희 · 가린) 로미오 (윤성  · 현경  · 카일 · 승환  · 민성  · 마일로  · 강민) 과거 그룹 제노티 (키도 · 서궁 · 곤 · 제니씨 · 아톰 · P군 · 낙타 · 한솔) 배우현재 소속 곽정욱 박윤재 진예솔 이종박 유하은 설정환 이장우 이윤미 강기둥 김법래 윤다경 김기무 임주은 윤사봉 과거 소속 박세영 관련문서후너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0f9dd2e6-4702-4d4d-bc8b-2562b256826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장우_(배우)&oldid=24494281" 분류: KBS 연기대상 남자 우수연기상 수상자1986년 태어남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R&B 가수2003년 데뷔살아있는 사람동국대학교 동문양재고등학교 동문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동문문경시 출신연안 이씨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8일 (금) 11: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T.I.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I.티아이 2008년 공연 중기본 정보본명 클리퍼드 조지프 해리스 주니어(Clifford Joseph Harris, Jr.)예명 T.I.P.출생 1988년 7월 27일(1988-07-27) (30세)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직업 랩퍼, 작곡가, 배우, 프로듀서장르 힙합악기 키보드, 샘플링활동 시기 2001년 ~ 현재 레이블 아리스타 레코드, 그랜드 허슬 레코드, 아틀란틱 레코드관련 활동 P$C, 제이-지, 릴 웨인, 카니예 웨스트, 루다크리스, 닥터 드레, 에미넴, 어셔, 저스틴 팀버레이크, 메리 제이 블라이즈, 존 레전드, 스위즈 비츠, 버스타 라임즈, 넬리 ,위클리프 진, 제이미 폭스 ,유지케이, 페럴, 릴 존, 8 Ball & MJG, 디디, 리한나, 안드레 3000, 이기 아질레아웹사이트 [1] T.I. (티아이, 본명: Clifford london Tyrone ivy., 1988년 7월 27일 ~ )는 미국의 랩가수 겸 싱어송라이터, 프로듀서, 배우이며, '그랜드 허슬 레코드'의 사장이다. 루다크리스와 비프가 있었으나 화해했다. 목차 1 데뷔 2 성공 3 성공의 지속 4 Paper Trail 5 No Mercy 6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 7 앨범 8 출연 8.1 드라마 8.2 영화 9 외부 링크 데뷔[편집] 그는 어렸을 때 조지아주, 애틀랜타 등지에서 거주했으며 닉네임은 'Tip'이라고 불렸다. T.I.는 랩퍼로서의 이름으로 T.I.를 쓴다.이는 래퍼 Q-Tip을 존경하는 의미에서 tip을 t.i.로 줄인 것이다. 그는 2001년에 'I'm Serious'라는 앨범으로 데뷔한다. 앨범에는 'Neptunes', 제이-지, Young Blooz 등이 참여했으나 아쉽게도 그다지 큰 성적을 거두진 못한다. 성공[편집] 2003년에 두 번째 앨범 《Trap Muzik》이 발매되었다. 미국 내에서 첫주에만 109,000 장이 팔리고 "24s", "Be Easy", "Rubberband Man", "Let's Get Away" 등을 싱글로 내보이면서 꽤나 큰 성적을 얻게 된다. 앨범에는 8Ball & MJG, 카니예 웨스트 등이 참여했다. 그리고 2004년에 발매한 세 번째 앨범 《Urban Legend》는 'Bring Em Out'을 시작으로 'U Don't Know Me','ASAP'으로 빌보드 랩 & 알엔비 차트 18위 ,영국 차트 35위로 오르면서 화려하게 성공했다.또한"ASAP"/"Motivation". However, "Motivation"등의 뮤직비디오 또한 미국 알엔비 & 랩 차트 62위를 하게 된다.200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힙합솔로 상을 받게 되고,'Destiny's Child'의 'Solider'에 릴 웨인과 같이 참여하며,베스트 콜라보래이션 대상을 수여받았다. 성공의 지속[편집] 4번째 앨범《King》은 2006년에 발매됐으며, 첫 주에만 522,200장이 팔렸으며, "What You Know," "Why You Wanna," "Live in the Sky," "Top Back Remix"가 성공하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또 한번 베스트 힙합 솔로 가수 상을 수여받는다. 또한 저스틴 팀버레이크에 곡 "My Love"에 참여하며 49번째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고의 콜라보레이션 상을 수여받는다. 그럼으로써 그는 남부힙합의 제왕이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 2007년 7월 3일에는 5번째 앨범 《T.I VS T.I.P》를 발매한다. 앨범에는 에미넴,Jay-z,Nelly,버스타 라임즈 등이 참여했고, "Big Things Poppin"이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다. Paper Trail[편집] 2008년 6번째 앨범 《Paper Trail》이 발매됐다. 8월부터 그는 "No Matter What","Swing Ya Rag", "Whatever You Like,"을 싱글로 발표하면서 빌보드 차트 1위를 하게 된다. "Live Your Life Feat Rihanna"는 정규앨범 발매후 싱글로 발표됐으며,빌보드 차트 80위에서 1위로 뛰어오르며, 큰 성공을 거둔다. 미국에서 약 300만 장을 팔았으며,2008년 힙합 명반으로 기록됐다. 2009년 총기 소지죄로 6개월간 복역했으며 2010년 3월 26일 출소했다. No Mercy[편집] 2010년 출소후 새 앨범 King Uncaged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 후 새로운 싱글 앨범 "I'm Back" 이 3월 8일 2010년에 발매되었다. T.I.는 출소 하였으나 다시 마약을해 도핑테스트에 걸려 다시 감옥에 들어갔다. 그래서 앨범 'King Uncaged' 는 'No Mercy'로 제목이 바뀌었으며 넵튠스가 프로듀싱하고 크리스 브라운이 피쳐링한 Get Back Up을 뮤직비디오와 함께 첫 싱글로 발매하였다. 앨범은 12월 7일날 발매 하였다. 카니예 웨스트, 에미넴, 크리스 브라운, 키드 커디 등이 참여하였다.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편집] 2012년 12월 그는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를 발표한다. 앞서 그는 릴 웨인과 같이 작업한 'Ball'을 싱글로 먼저 발표했었는데, 반복되고 중독성 있는 후렴구가 특징이다. 그 외에 앨범 작업에 핑크, 안드레 3000, 에이콘, 씨 로 그린 등이 참여했다. 앨범[편집] I'm Serious (2001년) Trap Muzik (2003년) Urban Legend (2004년) King (2006년) T.I. vs. T.I.P. (2007년) Paper Trail (2008년) No Mercy (2010년) Trouble Man : Heavy Is The Head (2012년) Paperwork (2014) Paperwork: The Return (TBA) Paperwork: Love and Liability (TBA) 출연[편집] 드라마[편집] The O.C. (2005), himself Punk'd (2005), himself Entourage (2008) 영화[편집] ATL (2006), 라샤드 스완 아메리칸 갱스터 (2007), 스티브 루이스 For Sale (2008), 오마르 버제스 분노의 질주: 더 오리지널 (2009), 트로이 Takers (2010), 고스트 앤트맨 (2015), 데이브 슬립리스: 크리미널 나이트 (2017), 션 앤트맨과 와스프 (2018), 데이브 크리스탈 (2018)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T.I. T.I. - 공식 웹사이트 (영어) T.I. - 마이스페이스 T.I. - 트위터 T.I. - 페이스북 (영어) T.I. - MTV (영어) T.I. - 올뮤직 (영어) T.I.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8081103 LCCN: no2003109274 ISNI: 0000 0001 2140 6796 GND: 135247365 SUDOC: 087932245 BNF: cb142313462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f7ba7fbe-c6bd-4ac0-bee9-c25c558d7d62 NKC: xx0063401 BNE: XX55686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I.&oldid=22326242"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래퍼미국의 남자 영화 배우미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그래미상 수상자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수상자T.I.미국의 투자가미국의 기업인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6: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윤두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두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두준 기본 정보출생 1989년 7월 4일(1989-07-04) (29세)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직업 가수,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09년 ~ 현재 소속사 어라운드어스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하이라이트웹사이트 윤두준 - 인스타그램윤두준 - 트위터 윤두준(1989년 7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보이 그룹 하이라이트의 리더, 서브보컬을 맡고 있다. 목차 1 학력 2 음반 목록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3.2 영화 3.3 예능 프로그램 3.4 뮤직 비디오 3.5 라디오 3.6 광고 4 수상 및 후보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주엽초등학교 한수중학교 중산고등학교 동신대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음반 목록[편집] 비스트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비스트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피처링 2011년 양파 〈본 아뻬띠〉 2011년 이루펀트 〈키덜트〉 출연 작품[편집] 윤두준이 비스트로 출연한 작품에 대해서는 비스트 (음악 그룹)#기타 활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0 MBC 시트콤 《볼수록 애교만점》 윤두준 특별출연 시트콤 《몽땅 내 사랑》 윤두준 210부작 2011 주말연속극 《천 번의 입맞춤》 윤기준 특별출연 2012 JTBC 시트콤 《청담동 살아요》 윤두준 특별출연 2013 KBS2 수목드라마 《아이리스 2》 서현우 20부작 tvN 목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구대영 16부작 2014 2015 월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2》 구대영 18부작 MBC 창사54주년특집극 《퐁당퐁당 Love》 이도(세종) 2부작 2016 tvN 월화드라마 《싸우자 귀신아》 구대영 특별출연 2017 월화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빙구의 사랑 남주인공 특별출연 2018 KBS2 월화드라마 《라디오 로맨스》 지수호 tvN 월화드라마 《식샤를 합시다 3》 구대영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2 《가문의 영광5-가문의 귀환》 장영민 2013 《아이리스 2: 더 무비》 서현우 드라마 〈아이리스 2〉 극장판 예능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2008 Mnet 《열혈남아》 2009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 - 단비》 2010 《여배우의 집사》 파일럿 2011 JTBC 《뮤직 온 탑》 진행 2012 2014 KBS2 《우리동네 예체능》 축구 편 2015 tvN 《내친구와 식샤를 합시다》 SBS 《정글의 법칙 in 사모아》 2016 MBC 《무한도전》 473회 게스트 2017 JTBC 《뭉쳐야 뜬다》 스위스 편 tvN 《편의점을 털어라》 진행 《집밥 백선생 3》 뮤직 비디오[편집] 2010년 G.NA 〈꺼져줄게 잘살아〉 라디오[편집] 2010년 MBC FM4U 《윤두준, 아이유의 친한친구》 (임시 DJ) 2010년 SBS 파워FM 《파워FM 쿨뮤직》 (일일 DJ) 광고[편집] 2010년 '버커루 진' 모델 2014년 농심 '태풍냉면' 2014년 K리그 홍보대사 2015년 K리그 홍보대사 2017년 크린토피아 수상 및 후보[편집] 비스트의 수상 내역에 대해서는 비스트 (음악 그룹)#수상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비고 2010 MBC 방송연예대상 코미디부문 남자 신인상 몽땅 내 사랑 수상 2013 제6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상 아이리스 2 후보 2016 tvN10 어워즈 로코 킹 식샤를 합시다 2 후보 외부 링크[편집] 윤두준 - 트위터 윤두준 - 인스타그램 vdeh비스트 윤두준 용준형 양요섭 이기광 손동운 정규 음반대한민국 FICTION and FACT Hard to love, How to love Highlight 일본 SO BEAST Guess Who? EP 음반 BEAST IS THE B2ST SHOCK OF THE NEW ERA Mastermind Lights go on again Midnight Sun Good Luck Time ORDINARY 싱글 및 노래대한민국 〈Bad Girl〉 〈Mystery〉 〈Shock〉 〈Special〉 〈Easy〉 〈주먹을 꽉 쥐고〉 〈숨〉 〈Beautiful〉 〈비가 오는 날엔〉 〈Fiction〉 〈이럴 줄 알았어〉 〈Midnight (별 헤는 밤)〉 〈아름다운 밤이야〉 〈괜찮겠니〉 〈I'm Sorry〉 〈Shadow〉 〈이젠 아니야〉 〈Good Luck〉 〈12시 30분〉 〈일하러 가야 돼〉 〈예이(YeY)〉 〈Butterfly〉 〈리본(Ribbon)〉 일본 〈Shock〉 〈Bad Girl〉 〈Midnight -星を数える夜-〉 〈Sad Movie / クリスマスキャロルの頃には〉 〈Adrenaline〉 〈キミはどう?〉 〈One〉 〈Hands Up〉 〈Can't Wait to Love You〉 〈This Is My Life〉 〈#TBM〉 〈YeY〉 〈Only One〉 〈All Is in You〉 〈最後の一言〉 〈Stay Forever Young〉 단독 콘서트 Welcome to BEAST Airline BEAUTIFUL SHOW 같이 보기 큐브 엔터테인먼트 트러블 메이커 굿라이프 비스트의 음반 목록 비스트의 수상 목록 vdeh 단비 김용만 김현철 안영미 윤두준 정형돈 마르코 김용준 조동혁 이전 멤버 탁재훈 단비 천사 한지민 한효주 2NE1 차인표, 류승수 남상미 이지아 박신혜 핑클 (유리, 진) 닉쿤, 송지효 김지수, 신현준, 동해 윤소이, 민효린 신세경, 조동혁 장혁, 김수로, 김사랑, 장혜진 손담비, 정경호, 정아 관련 항목 일요일 일요일 밤에 단비의 방송목록 역대 단비 천사 목록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a5fcb438-2e7a-40d0-81c0-76e730b68f9f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두준&oldid=24459869" 분류: 2009년 데뷔비스트의 일원2000년대 가수2010년대 가수한국어 가수일본어 가수아이돌 가수K-pop 가수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동신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고양시 출신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198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한수중학교 동문중산고등학교 (경기) 동문주엽초등학교 동문파평 윤씨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Bahasa MelayuPortuguês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14: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West Daejeon Station Sky Palace 정보 위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73-1번지 외 23필지 지리 좌표계 북위 36° 19′ 20.91″ 동경 127° 24′ 11.86″ / 북위 36.3224750° 동경 127.4032944°  / 36.3224750; 127.4032944좌표: 북위 36° 19′ 20.91″ 동경 127° 24′ 11.86″ / 북위 36.3224750° 동경 127.4032944°  / 36.3224750; 127.4032944 상태 완공 건축 2016년 ~ 2018년 7월 착공 2016년 완공 예정 2018년 7월 개장 2018년 7월 용도 주거 높이 최상층 134m 기술적 상세 내용 층수 지상 40층, 지하 5층 연면적 56,559.14m2 회사 건축가/건축회사 우방건설 건설사 (주)티케이케미칼 개발사 우방산업 웹사이트 http://skypalace.iusell.co.kr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영어: West Daejeon Station Sky Palace)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에 위치한 지상 40층의 아파트는 2개동으로 구성되며 총 298세대가 있다.[1] 완공 당시 대전광역시에서 15번째와 16번째로 가장 높은 건물이 된다. 서대전역의 주변엔 아파트 단지가 있고 우방 아이유쉘은 우방의 아파트 브랜드이며 스카이팰리스는 하늘궁전을 가리킨다. 2015년 11월 13일에 분양되었고 견본주택이 오픈하였다. 2016년에 착공하여 2018년 7월에 입주하였다. 목차 1 특징 2 내부 시설 3 교통 4 더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특징[편집] 40층 초고층 파노라마 뷰이며 또한 대전 0.1%를 위한 새로운 랜드마크 아파트는 헬기 착륙이 가능하고 내부의 시스템은 디지털 시스템, 보안 시스템, 이코노미 시스템, 친환경 웰빙 시스템이 있다. 내부 시설[편집] 이 건물 안에는 아파트와 근린상업시설이 있으며 101동과 102동의 3층 시설이 다르며 101동의 아파트에는 4층부터 있고 102동의 아파트에는 3층부터 있으며 지하에는 지하주차장이 있다. 층수 시설 4층 ~ 40층 아파트 3층 근린상업시설(101동), 아파트(102동) 2층 근린상업시설 1층 근린상업시설 지하 5층 ~ 지하 1층 지하주차장 교통[편집]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 서대전역 연결 더 보기[편집] 대전광역시의 마천루 목록 각주[편집] ↑ “대전 0.1%를 위한 랜드마크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아이티데일리. 2015년 10월 29일. 2017년 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공식 웹사이트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 스카이스크래퍼 시티 vdeh 대한민국의 마천루서울특별시 31빌딩 63빌딩 정부서울청사 서울스퀘어 롯데호텔 서울 KAL 빌딩 종로타워 광화문 D타워 서울국제금융센터 서울 제1국제금융센터 서울 제2국제금융센터 서울 제3국제금융센터 콘래드 서울 호텔 한기련회관 롯데월드타워 롯데호텔월드 트레이드 타워 뉴 트레이드 타워 아셈타워 파르나스 타워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두산타워 삼성 타워팰리스 삼성 타워팰리스 1차 삼성 타워팰리스 2차 삼성 타워팰리스 3차 목동 하이페리온 목동 트라팰리스 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현대차 컨벤션 호텔 강남 파이낸스 센터 큰길타워 삼성동 아이파크 서초 삼성타운 서초동 대림 아크로비스타 LG트윈타워 파크원 타워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 에스트레뉴 타워 래미안 첼리투스 래미안 강동 팰리스 이스트 센트럴 타워 래미안 용산 더 센트럴 용산시티파크 용산파크타워 용산파크자이 대우월드마크 용산 한강트럼프월드3차 용산 벽산메가트리움 LG유플러스 용산 사옥 KY빌딩 센트레빌 아스테리움 서울 DB금융센터 KDB생명타워 서울드래곤시티 한화 갤러리아포레 상봉 프레미어스 엠코 SBS 방송 센터 GS타워 GT타워 부띠크모나코 서울숲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뚝섬 부영아파트 뚝섬 부영호텔 용산 푸르지오 써밋 LS용산타워 더클래식500 더샵스타시티 디큐브시티 디큐브시티 아파트 강변 테크노마트 신도림 테크노마트 메세나폴리스 메세나폴리스 레지던스 세아타워 마포한강푸르지오 덕수궁 롯데캐슬 반포자이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여의도 대우트럼프월드 잠실 롯데캐슬골드 잠실 엘스 잠실 리센츠 잠실 트리지움 잠실 레이크팰리스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랜드마크 타워 청량리 동부청과 한양수자인 동일하이빌 뉴시티 코업 스타클래스 보라매 쉐르빌 현대 41 타워 아카데미 스위트 대림 아크로빌 현대 슈퍼빌 SK서린빌딩 상봉 듀오트리스 브라운스톤 서울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용산 KCC 웰츠타워 갤러리아 팰리스 삼성SDS타워 향군타워 청계천 두산위브더제니스 잠실 푸르지오 월드마크 남산 트라팰리스 T타워 서울 시티타워 강동 헤르셔 타워 트윈시티 남산타워 육군호텔 G스퀘어 상암카이저팰리스클래식 서울숲 더샵 LSK플러스 용산 오피스 용산 센트럴파크 해링턴 스퀘어 가산 센트럴 푸르지오시티 국제전자센터 여의도우체국 사학연금회관 테헤란로 237 JW 메리어트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 롯데호텔 L7 강남 용산 아모레퍼시픽 여의도 브라이튼 부산광역시 롯데호텔 부산 협성 마리나 G7 해운대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해운대 아이파크 파크 하얏트 부산 부산국제금융센터 해운대 엘시티 더샵 롯데타운타워 KNN 타워 W LG메트로시티 GS하이츠자이 해운대 더샵 센텀스타 해운대 더샵 센텀파크 해운대 더샵 아델리스 해운대센텀엘카사 서면 더샵 센트럴스타 더 게이트 센텀 WBC 더 팰리스 해운대 힐스테이트 위브 SK 허브 스카이 센텀 리더스 마크 이진 베이시티 센텀스카이비즈 해운대 대우 아라트리움 경동 제이드 비아이시티 비아이시티 호텔동 비아이시티 오피스텔동 마린시티자이 해운대 엑소디움 타워 범일 마제스 타워 오션브릿지 해운대 시타딘호텔 해운대 한신휴플러스 구포동 동원 로얄듀크 비스타 동래 한화 꿈에그린 남천 엑슬루 타워 영광골든타워 광안 쌍용예가 디오션 남천 코오롱 하늘채 골든비치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 대연 힐스테이트푸르지오 명지 더샵 퍼스트월드 오륙도 SK뷰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해운대 SK뷰 국제신문빌딩 한화리조트 해운대 씨클라우드 호텔 동래 효성해링턴 플레이스 대구광역시 수성 SK 리더스 뷰 수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두류역 제타시티 마크팰리스 범어 브라운스톤 범어 범어네거리 서한이다음 대구역 센트럴 자이 범어역 우방유쉘 두산 대우트럼프월드 경남 센트로팰리스 경남 센트로팰리스 오피스텔 월드마크 웨스트엔드 SK 허브 스카이 용산동 롯데캐슬 그랜드 대구 월배 아이파크 범어 화성파크드림 범어 센트럴 푸르지오 테크노 폴리스 중흥S클래스 월성 협성휴포레 인천광역시 포스코타워-송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송도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송도 센트럴파크 호텔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청라 대우 푸르지오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 G타워 청라 시티타워 송도 캠퍼스타운 청라 더샵 레이크 파크 송도 IBS타워 용현 엑슬루 타워 청라 엑슬루 타워 에코메트로 포스코 E&C 타워 부영송도타워 송도 센트로드 송도 아메리칸타운 아이파크 연수 푸르지오 학익 엑슬루 타워 청라 롯데캐슬 송도 푸르지오 하버뷰 송도 자이하버뷰 인천 더샵 스카이타워 갯벌타워 미추홀타워 베니키아 프리미어 송도 브릿지 호텔 쉐라톤 그랜드 인천 호텔 홀리데이 인 인천 송도호텔 다인 로얄팰리스 테라스 송도 롯데몰 송도 캐슬파크 로봇타워 송도 AT센터 힐스테이트 송도 더테라스 송도 랜드마크시티 센트럴 더샵 광주광역시 광주 호반 써밋플레이스 금호생명 본사 빌딩 중흥S클래스 스카이31 화정동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상무광명메이루즈 봉선동 남양휴튼 2차 아파트 첨단대우이안 벽산 블루밍 메가시티 아파트 첨단 힐스테이트 리버파크 각화 서희스타힐스 상무 유탑 유블레스 트윈시티 무등산 아이파크 아파트 대우디오빌 광주은행 본점 빌딩 각화 휴먼파크 서희스타힐스 대전광역시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금강 엑슬루 타워 철도기관 공동사옥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유성자이 아파트 대전 스마트 시티 정부대전청사 동아벤처타워 울산광역시 울산 이안 태화강 엑소디움 울산 롯데캐슬스카이 한양립스 더 스카이 신정 두산 위브 더 제니스 태화강 풍림 엑슬루 타워 우정동 마제스 타워 삼산동 대성 스카이렉스 울산 코오롱 파크폴리스 울산 삼환아르누보 롯데호텔 울산 세종특별자치시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도램마을 20단지 한양수자인 에듀파크 범지기마을 10단지 푸르지오 가재마을 세종현대엠코타운 5단지 아파트 세종 지웰 푸르지오 경기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 일산 요진 와이시티 힐스테이트 일산 일산 더샵 그라비스타 일산 킨텍스 꿈에그린 브로멕스 타워 일산 킨텍스 원시티 일산 대방디엠시티 메타폴리스 리첸시아 타워 흥덕IT밸리 네이버 그린팩토리 광교SK뷰레이크타워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동 광교SK뷰레이크타워 오피스텔동 평택용이1차푸르지오 평택용이2차푸르지오 남양주 부영 e그린타운 수지 래미안 이스트팰리스 평촌 아크로타워 하남 벨리체 힐스테이트 광교 금강펜테리움 IX타워 삼성디지털시티 현대성우오스타 코아루 광교 푸르지오 월드마크 그랑시티자이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 시흥 센트럴 푸르지오 평촌 오비즈타워 안양금융센터 광명역 센트럴 자이 G스퀘어 분당스퀘어 강원도 온의동 롯데캐슬 스카이클래스 보광휘닉스파크 블루동 하이원 그랜드 호텔 메인타워 하이원 그랜드 호텔 컨벤션타워 충청북도 신영 지웰시티 청주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창 서청주센트럴파크 충청남도 펜타포트 전라북도 우석대학교 대학본부 건지산 이지움 전주 라마다 호텔 전라남도 E편한세상 광양 엠블호텔 여수 한국농어촌공사 나주 본사 한국전력공사 나주 본사 남교트윈스타 에메랄드퀸 경상북도 장성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용황 협성휴포레 도량 롯데캐슬 골드파크 경상남도 창원 메트로시티 1차 창원 메트로시티 2차 더 시티7 자이 무학자이 거제 장평 유림 노르웨이숲 아파트 스타디메르 제주특별자치도 롯데시티호텔 제주 제주 칼호텔 메종글래드 제주 제주 드림타워 vdeh대전광역시의 마천루대덕구의 마천루 금강 엑슬루 타워 유성구의 마천루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유성자이 아파트 대전 스마트 시티 정부대전청사 중구의 마천루 서대전역 우방 아이유쉘 스카이팰리스 동구의 마천루 철도기관 공동사옥 서구의 마천루 동아벤처타워 이 글은 대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건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대전역_우방_아이유쉘_스카이팰리스&oldid=22066230" 분류: 대전광역시의 아파트대전광역시의 오피스텔대전광역시의 마천루대전 중구의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대전에 관한 토막글건축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8월 22일 (수)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10월) 춍(일본어: チョン 존[*])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그 출신자(한국인 또는 조선 민족)를 낮잡아 부르는 일본어 명칭으로, 일반적으로 한국인을 낮춰 부르는 의미로 사용된다. 목차 1 유래 2 일본 내의 인식 3 파생어 4 각주 유래[편집] 춍이라는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한국인을 비하하는 의미로서의 춍의 용법은 대부분의 일본어사전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속어적 용법인데, 사전에 올라와 있는 의미로서는 온전히 사람 구실을 못하는 자 또는 바보, 천치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용법이 예부터 쓰이고 있었다.[1] 반면 한국인을 부르는 맥락에서의 "춍"은 1990년대 이후 일본 온라인 문화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견해는 춍이 조선(チョウセン)의 축약어라는 설, 한국어 단어 총각에서 유래된 일본어 단어인 춍가(チョンガー)에서 유래에서 왔다는 설 등이 있으나 아직 정설로 확정된 견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춍의 본래 의미도 일종의 차별어, 특히 장애인을 차별하는 단어였기 때문에 한국인을 가리키는 용법과 종종 겸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내의 인식[편집] "춍"은 한국인을 가리키는 경우 심한 차별어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NHK 등 일본의 방송매체에서는 이를 금칙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다른 의미를 가진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를 들어 금칙어설정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파생어[편집] 춍은 여러 종류의 파생어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한국인을 부르는 의미에서 バカチョン(바보 춍)이라는 단어가 주로 반한 감정을 가진 일본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 단어 역시 방송에서는 금칙어로 지정되어 있다. 춍코(チョン公)는 사람이나 동물을 친근하게 또는 가볍게 얕보는 호칭 접미사인 코(公)가 붙은 형태이다. 기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나 대한민국을 특정하여 부를 때는 키타춍(北チョン), 미나미춍(南チョン)이란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2채널등에서는 응(ン)과 소(ソ)라는 글자들의 형태가 비슷한 점을 유희적으로 사용하여 자주 바꿔 표기하므로 쵸소(チョソ)이라고도 쓴다. 각주[편집] ↑ 일본어 사전 《大辞林(다이지린)》. 三省堂(산세도).  (4)〔俗語〕一人前以下であること。 「ばかだの、―だの、野呂間だのと/西洋道中膝栗毛(魯文)」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춍&oldid=21528392" 분류: 인종 및 민족 차별어일본어 낱말일본의 반한 감정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0년 10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8일 (금) 0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권오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권오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권오중權五中 출생 1971년 11월 24일(1971-11-24) (47세)대한민국 서울 마포구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 방송인활동 기간 1992년 ~ 현재종교 개신교[1]소속사 H.W 엔터프라이즈 배우자 엄윤경자녀 아들 권혁준(1999년 출생)수상 2012년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남자조연상 권오중(權五中, 1971년 11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인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3.3 방송 3.4 광고 4 수상 및 후보 5 기타 5.1 홍보대사 5.2 자격증 5.3 저서 5.4 모임 6 참고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권오중은 서울에서 태어나 1992년 뮤지컬배우 첫 데뷔, 이듬해 1993년《랩댄싱대회》에서 출전하여 우승하였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환상속의 그대〉와 가수 이은미의 댄스곡 안무를 맡았다.[2] 이 후, 1994년 배창호 감독의 《젊은 남자》에 출연하면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2][3] 학력[편집] 서울금양초등학교 졸업 선린중학교 졸업 배문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금속공학 학사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 학사 서울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4 사랑의 인사 엄희동 1995 TV시티 이동호 1997 MBC 베스트극장 - 2호선 플랫폼에서 내 안의 천사 남현 예스터데이 봉정복 남자 셋 여자 셋 권오중 1998 사랑해 사랑해 강 사장 1998 ~ 2000 순풍 산부인과 권오중 1998 사랑해서 미안해 1998 승부사 박추 1999 MBC 베스트극장 - 아빠 애인의 남자친구 기훈 사람의 집 심영재 TV영화 러브스토리 기성 2000 좋아 좋아 권오준 2000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권오중 2001 2002 2003 헬로! 발바리 발바리 다모 이원해 2004 섬마을 선생님 박광기 천생연분 황종혁 2005 핑구어리 허태풍 비밀남녀 최도경 MBC 베스트극장 - 러브홀릭 프로젝트 현호 2008 식객 오봉주 2009 살맛납니다 변창수 2010 자유인 이회영 백정기 2011 짝패 강 포수 미쓰 아줌마 고경세 2012 아랑 사또전 돌쇠 2013 백년의 유산 엄기춘 기황후 최무송 2014 모던파머 인삼밭 도둑 2016 아이가 다섯 윤인철 2017 브라보 마이 라이프 김치복 너의 등짝에 스매싱 권오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4 젊은 남자 호중 1998 크리스마스에 눈이 내리면 종훈 2003 튜브 면도날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도서관 남자, 코파는 남자 특별출연 2004 시실리 2km 석태 2005 오로라 공주 정 형사 2007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 쿵푸 김관장 날아라 허동구 권 코치 용의주도 미스신 이준서 사랑방 선수와 어머니 신강구 우정출연 2008 마지막 선물 동현 2010 한걸음 우정출연 나의 선택 - 잊혀진 가방 그 못다한 이야기 본인 2013 콩가네 상조직원 우정출연 2017 양양 중태 단편영화 방송[편집] SBS 《대결천하》 ... MC SBS 《대결! 스타셰프》 ... MC 채널A 《무비홀릭》 ... MC MBC 《찾아라! 맛있는 TV》 ... MC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게스트 MBC 《공감토크쇼 놀러와》 ... MC tvN 《SNL코리아》 ... 게스트 MBC Every 1 《나인 투 식스》 ... 패널 채널A 《미용실》 ... MC MBC 《별바라기》 ... 패널 KBS2 《나는 남자다》 ... MC 채널A 《잘 살아보세》 ... 패널 tvN 《가이드》 ... 패널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 게스트 KBS2 《해피투게더》 ... 게스트 SBS 《판타스틱 듀오》 ... 패널 SBS 《정글의 법칙》 ... 패널 MBN 《이맛이야》 ... MC MBC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 MC MBC 《궁민남편》 ... MC 광고[편집] 1995년 명인제약 메이킨 1997년 코카콜라 네스카페 캔 커피 1999년 오리온 포카칩 1999년 교원구몬 구몬학습 1999년 CJ제일제당 햇반 2000년 농심 오징어 짬뽕 2000년 옥션 2001년 농심 무파마 2002년 CJ제일제당 닥터세닥 2004년 국순당 삼겹살에 메밀한잔 2004년 LG텔레콤 2004년 삼성전자 삼성 DVD 콤보 레코더 2004년 차우니드 1577-5233 2007년 농심 고시히카리 쌀밥 2016년 한국투자저축은행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95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TV시티 후보 1999 SBS 연기대상 인기상 순풍산부인과 수상 2004 MBC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우수 연기상 천생연분 후보 2005 선행칭찬상 시상식 대중예술부문 선행상 빈칸 수상 2006 빈칸 올해의 볼룬티어상 빈칸 수상 2008 제16회 춘사영화상 신인남우상 마지막 선물 후보 2009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빈칸 수상 2011 월간샘터 샘물상 빈칸 수상 SBS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우수 연기상 미쓰 아줌마 후보 2012 보건복지정책홍보 유공자 시상식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빈칸 수상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 부문 남자조연상 아랑사또전 수상 2014 KBS 연예대상 쇼 • 오락부문 남자신인상 나는 남자다 후보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우수상 일밤 - 궁민남편 후보 기타[편집] 홍보대사[편집] 2001년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홍보대사 2002년 천사를 돕는 사람들의 모임 대표 2005년 보건복지부 129콜센터 홍보대사 2008년 희망의 러브하우스 홍보대사 2008년 사랑의 열매 홍보대사 2009년 제14회 당진 쌀사랑 음식축제 홍보대사[4] 2010년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나눔홍보대사 2010년 한국인체조직기증지원본부 명예홍보대사[5] 2011년 국제구호 NGO 기아대책 홍보대사 2011년 경기도 포천시 홍보대사 자격증[편집] 《한식조리사자격증》,《양식조리사자격증》 《2급 사회복지사》[6] 저서[편집] 레시피 북 - 《굿잇츠》(GOOD EATS)[7] 모임[편집] 《천사를 돕는 사람들의 모임》(2002년 권오중이 결성한 자원봉사단체)[8] 참고[편집] ↑ 심규상 (2010년 9월 8일). “배우 권오중과 가수 이현우의 '가방 주인 찾아 삼만리'”. 오마이뉴스.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실제 '교회집사'인 배우 권오중과  ↑ 가 나 김용운 (2008년 7월 11일). “권오줌 "서태지와 아이들, 이은미 안무 맡았었다"”. 이데일리.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권오중 (2001년 8월 15일). “권오중, 춤과 액션으로 맺은 연기와의 인연”. 동아일보. 2013년 2월 21일에 확인함.  ↑ 유의주 (2009년 8월 3일). “탤런트 권오중씨 당진 쌀사랑축제 홍보대사”. 연합뉴스.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문영진 (2010년 7월 1일). “탤런트 권오중,인체조직기증 홍보대사”. 파이낸셜뉴스.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탁진현 (2008년 7월 31일). “‘맛있는 男’ 권오중 쉼없는 봉사활동”. 스포츠월드.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정유진 (2010년 10월 2일). “작가변신 권오중 ‘소중한 아들 딸을 위해 선택하세요’”. 뉴스엔. 2010년 11월 19일에 확인함.  ↑ 이나영 (2009년 8월 26일). “권오중 희귀, 난치성 질환자 돕기 위한 일일호프 연다”. 투데이코리아. 2010년 3월 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권오중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권오중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개인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권오중&oldid=24181406" 분류: 197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창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1992년 데뷔서울금양초등학교 동문선린중학교 동문배문고등학교 동문홍익대학교 동문서울사이버대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교 교수서일대학교 교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수필가비디오 자키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힙합댄서안동 권씨대한민국의 방송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19: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프루아 5세 당주 백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프루아 5세 당주 백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프루아 플랜태저넷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프루아 5세 당주Geoffroy V d'Anjou 지위 앙주 백작 재위 1129년-1151년 9월 7일 전임자 풀크 5세 당주 후임자 앙리 1세 노르망디 공작 재위 1144년–1150년 전임자 에티엥 드 블루아 후임자 앙리 2세 모르탱 백작 재위 1141년–1151년 전임자 외스타슈 4세 후임자 앙리 1세 멘 백작 재위 1126년–1151년 전임자 에르멩가르드 후임자 앙리 1세 이름 휘 조프루아 당주 (프랑스어: Geoffroy d'Anjou) 별호 금잔화백 (프랑스어: Plantagenêt)미남백 (프랑스어: le Bel, 영어: the handsome) 신상정보 출생일 1113년 8월 24일(1113-08-24) 사망일 1113년 8월 24일 (-39세) 사망지 프랑스 샤또 뒤 루아르 매장지 르망의 생 쥘리앙 수도원 가문 앙주 부친 풀크 5세 당주 모친 에르멩가르드 드 멘 배우자 마틸다 자녀 잉글랜드 국왕 헨리 2세낭뜨 백작 조프루아푸아투 백작 기욤 10세 조프루아 5세(Geoffrey V, 1113년 8월 24일 - 1151년 9월 7일)는 노르망디 공작이자 앙주와 뚜렌느, 멘의 백작이며, 헨리 2세의 아버지이자 플랜태저넷 왕가의 시조이다. 1129년에 앙주 백작, 뚜렌느 백작, 멘 백작 작위를 세습했고, 1144년에는 노르망디 공국을 정복해 노르망디 공작이 되었다. 헨리 1세의 딸이자 하인리히 5세의 미망인이었던 마틸다와의 결혼하여 헨리 2세, 낭뜨 백작 조프루아, 푸아투 백작 기욤 10세를 낳았다. 목차 1 생애 초기 2 결혼 3 앙주 백작 4 사망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 초기[편집] 앙주의 풀크 5세와 멘 백작의 딸 아렝뷔르가 사이에서 장자로 태어났다. 전투에 나갈 때마다 금작화 가지를 투구에 꽂은 것 때문에 플랜태저넷(Plantagenet)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의 재능과 기량에 대한 소식을 들은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가 특사를 보내 딸 마틸다와의 결혼 협상이 두 가문 사이에 시작되었다. 협상이 합의에 이르자, 결혼을 위해 15살이 되던 1128년 6월 10일년 루앙에서 기사에 서임되었다. 결혼[편집] 1128년 6월 11일 이뤄진 마틸다와의 결혼은 잉글랜드/노르망디와 앙주 간의 평화 협정 및 동맹의 의미가 강했다. 마틸다는 조프루아보다 11살이 많았으며, 잉글랜드 국왕의 추정상속인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의 황후였던 자신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있었고, 한낱 백작 가문의 아들에 불과한 어린 남편과의 결혼이 불만스러웠다.[1] 때문에 둘 사이의 결혼 생활은 순탄치 못해 종종 격렬한 다툼 끝에 오랜 별거를 반복하는 상태였다. 하지만 결혼을 유지하는 것이 서로에게 이득이 된다는 것을 안 둘 사이에는 가문을 이을 세 명의 아들이 태어났으며, 마틸다는 조프루아보다 더 오래 살았다. 앙주 백작[편집] 1128년 아버지 풀크가 예루살렘 왕국의 왕 보두앵 2세의 상속녀 멜리장드의 베필로 추천되었고, 풀크는 1129년에 앙주 백작령을 조프루아에게 넘기고 예루살렘으로 떠났다.[2] 마르무티에의 존이 서술한 기록에 따르면 조프루와는 아름다운 외모에 붉은 머리카락이었으며 쾌활했으며 위대한 전사였다고 묘사되어 있다. 하지만 디케토의 랄프에 따르면 그의 매력들이 차갑고 천박하며 이기적인 본성을 숨기게 했다라는 평을 남겼다. 1135년 장인 헨리 1세가 사망하자 마틸다는 자신의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 위해 노르망디로 갔다. 노르망디 지역의 영주들은 그녀에게 승복했으나 잉글랜드에서는 그녀의 사촌인 블루아의 스티븐을 왕으로 선출했고, 노르망디도 스티븐 쪽으로 돌아섰다. 이듬해 조프루아는 아내의 왕위계승권 전쟁을 위해 병력을 내어주었고, 1139년 마틸다는 140명의 기사들과 함께 잉글랜드에 상륙했다. 이후 스티븐을 사로잡은 마틸다가 영국의 여영주가 되었으나 그 기간은 매우 짧았고 풀려난 스티븐에 의해 퇴각해야 했다. 1142년에서 1143년 동안 조프루아는 노르망디 서부 전역과 센 남주지역을 장악했고, 1144년 1월 14일에 센을 가로질러 루앙으로 입성해 여름에는 노르망디 공작에 올랐고, 이듬해 루이 7세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았다. 1144년 앙주에 오거스틴 수도원을 세웠다. 조프루아는 1149년까지 공작령을 다스리다 마틸다와 함께 아들 앙리에게 물려주었고, 이 세습은 다음해에 역시 루이 7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조프루아 치세 동안 1129년과 1135년, 1145년 - 1151년 동안 세 번의 반란이 남작들에 의해 발생했으나 모두 제압했다. 남동생인 엘리아와 사이가 나빠 종종 다투었으며 결국 1151년까지 감옥에 가두기도 했다. 이러한 반란의 위협은 그가 노르망디를 정복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고, 그가 잉글랜드에 개입할 여유가 없게 만든 한 이유였다. 1153년에 월링포드 조약이 체결됨으로써 마틸다 쪽은 스티븐이 잉글랜드의 왕이라는 걸 인정하는 대신에 다음 국왕은 그들의 아들인 앙리가 계승하는 결과를 얻어냈다. 사망[편집] 조프루아는 1151년 9월 7일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임종이 다가오자 조프루아는 앙리에게 잉글랜드의 왕이 되고 나면 앙주 백작령과 멘 백작령을 동생 낭뜨 백작 조프루아에게 넘기겠다는 맹세를 하기 전까지는 자신의 시신을 매장하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다. 당연히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한 영지를 동생에게 넘기기를 거부한 앙리는 한동안 시신을 그대로 방치했으나 결국 지인들의 설득에 의해 앙주에서 아버지의 장례식을 성대하게 치렀다.[3] 각주[편집] ↑ 위어,앨리슨 (2011년 3월 20일).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1판. 루비박스. 141쪽. ISBN 978-89-91124-00-4.  ↑ 1131년 보두앵 2세가 사망하자 풀크는 예루살렘의 왕이 되었다. ↑ 위어,앨리슨 (2011년 3월 20일).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1판. 루비박스. 153쪽. ISBN 978-89-91124-00-4.  외부 링크[편집] Find A Grave 사이트의 앙주 백작 조프루아 5세 vdeh노르망디 공작duc de Normandie노르망디가 911년–1135년 롤로* 기욤 1세* 리샤르 1세* 리샤르 2세 리샤르 3세 로베르 1세 기욤 2세** 로베르 2세 앙리 1세** 기욤 (3세) 블루아가 1135년–1144년에티엔**앙주가 1144년–1216년 조프루아 앙리 2세*** 앙리 리샤르 4세*** 장*** 플랜태저넷가 1216년–1259년 앙리 3세*** * 루앙 백작으로서 • ** 앵글인의 왕 겸임 • *** 앵글인의 왕, 아일랜드 영주 겸임 vdeh앙주 백작comte d'Anjou잉젤거가 풀크 1세 적색백 풀크 2세 선량백 조프루아 1세 회복백 풀크 3세 흑색백 조프루아 2세 망치백 샤토됭가 조프루아 3세 수염백 풀크 4세 성급백 조프루아 4세 망치백 풀크 5세 앙주가 조프루아 5세 금잔화백 앙리 리샤르 아르튀르 앙주 카페가 샤를 1세 샤를 2세 마르그레트 발루아앙주가 샤를 3세 필리프 장 앙주 공작 »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68196411 LCCN: n90697027 ISNI: 0000 0003 5570 2299 GND: 1076787428 SUDOC: 078611520 BNF: cb15051738r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프루아_5세_당주_백작&oldid=24216913" 분류: 1113년 태어남1151년 죽음플랜태저넷가샤토됭가노르망디 공작앙주 백작멘 백작무정부시대 관련자창업군주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tinaМакедонскиPlattdüütsch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West-Vlam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3일 (월)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진돗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돗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2년 4월) 이 문서는 동물에 관한 것입니다. 군사용어에 대해서는 진돗개 경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진돗개 다른 이름 진도견 (珍島犬) 원산지 대한민국 특성 몸무게 수컷 18–23 kg 암컷 15–19 kg 키 수컷 50–55 cm 암컷 45–50 cm 애견단체에 의한 분류와 표준 FCI Group 5 Section 5 #334 표준 AKC 비렵견 [? 표준] The AKC Foundation Stock Service (FSS) is an optional recording service for purebred dogs that are not yet eligible for AKC registration. UKC Northern Breeds 표준 개 (Canis lupus familiaris)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진도의 진돗개(珍島의 珍島개) 천연기념물 제53호 지정일 1962년 12월 3일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진도본도 진돗개 (珍島- )는 개 품종 중 하나로, 한국의 대표적인 사냥개이다.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해 주인을 잘 따른다. 그러나 한 주인에게 매이는 성격이 너무 강한지라 사역견으로는 못 쓴다. 어미에 대한 모정이 매우 강하다. 털은 주로 노란 것(황구, 黃狗)과 흰 것(백구, 白狗)이 있으며, 그 외 재구, 네눈박이, 호구, 흑구(黑狗) 등 10여 종류의 다양한 것이 있다. 귀가 쫑긋 서 있고 꼬리는 위로 말려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1962년 진도 특산인 진돗개를 천연기념물 제53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1967년에는 〈한국진돗개보존육성법〉이 제정되어 혈통이 보존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05년 케널 클럽(KC)과 세계애견연맹(FCI)에 정식 품종으로 등록됐다.1995년에는 국제보호육성동물로 공인 지정되었다. 1997년 2차로 개정해 관리되고 있다. 2012년 4월, 진돗개의 총유전체가 모두 해독되었다. 개 품종으로 총유전체가 해독된 경우는 독일의 개 복서이후 두 번째이다.[1] 목차 1 성격 1.1 충성적인 성격 1.2 영리함 1.3 스트레스 2 외모 2.1 몸 2.2 색깔 2.3 발 2.4 보폭 2.5 머리 2.6 무게/키 2.7 사냥 3 각주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성격[편집] 충성적인 성격[편집] 진돗개는 그 충성심과 점잖은 성품으로 대단히 유명하다. 진돗개는 활동적이고 작은 애견들처럼 집안에서 키우기 위한 개가 절대로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생활 공간과 방, 그리고 산책이 필요하며, 보살핌과 관심이 필요한데 어린 시절부터 같이 자란 경우 성견에 대해서 보다 많은 관심과 보살핌이 주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진돗개는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소중히 여겨주는 상대는 오랜 시간이 흘러도 잘 기억하는 편이며 또한 가정내의 서열에 대한 인식도 분명한 편이다. 마당에서 키우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미터에서 3미터 이상의 철망을 쳐야한다. 영리함[편집] 매우 영리하고 활동적인 개이기 때문에 자주 가족안의 인물이나 다른 개와 놀게 해줘야 한다. 진돗개들은 몇번 반복하는 것만으로도 명령을 외우고 주어진 과제를 잘 기억하며, 어떤 진돗개들은 지나치게 영리한 나머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을 하기도 한다. 대개 개한테 흔히 쓰는 명령어나 속임수같은 것들을 너무 빨리 파악하고 터득해서 다루기 힘들 때도 있으며, 혼자 두면 자기만의 놀이법을 찾아낸다. 대개 어린 진돗개는 펜스나 벽을 오르려고 하거나 나무나 땅을 파내는 등이며 집안에 둔 경우엔 씹을 것이 필요한 나머지 집을 뜯기도 하는데, 이 문제로 인해서 많은 진돗개들이 종종 자신의 지배력을 발휘하는 법을 모르는 주인에게 버려져서 애견 보호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어린 진돗개는 씹을 것을 장난감으로 주는 편이 좋다. 스트레스[편집] 많은 사냥개 혈통의 개들이 그렇듯이 진돗개도 적절하게 산책과 운동을 할 공간이 부족하면 스트레스를 받고 묶어만 두면 몹시 사나워진다.[2] 이런 때에 특히 낯선 사람이 다가오게 되면 예민해져서 물려고 들게 된다. 따라서 묶어만 두지 않고 어릴적부터 넓은 공간에서 풀어서 키우면서 사교성을 키우고 친근하게 행동하도록 하는 훈련을 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람들은 진돗개의 외형과 그 영민함, 그리고 충성심과 투쟁근성에 반해서 키우기 시작하지만 이들이 가정의 일원으로 집안에서 성장하는 건 상당한 시간과 노력,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곧 깨닫게 되는데, 키울 예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잘 준비를 하고 무엇보다 개를 독립적인 존재로 키울 생각을 하는 편이 좋다. 일반적인 애완견들은 주인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 하도록 길들여지지만 진돗개들은 대개 그렇게 되지 않는다. 외모[편집] 진돗개는 중형견이며 스피츠 타입의 삼중털을 갖고 있다. 진도 토종견과 외부 개의 혼혈 특징이 두개골상과 머리와 몸의 비율상에서 종종 나타나지만 암수의 형태상의 특징으로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좀 더 각이 기울어진 머리를 갖고 있다. 진돗개가 가진 마르고 기민한 외모는 똑똑하고 강하며 빠른 인상을 준다. (이하에 나온 특징은 평균에 근거한 특징이므로 모든 진돗개에게 해당되지는 않음) 몸[편집] 일반적으로 진돗개의 몸 형태를 두 가지 종류로 분류한다. 통골 혹은 겹개: 이 타입은 보다 땅딸막하고 근육질인 형태로 한국토종견협회(Korean National Dog Assosiation: KNDA)의 분석에 따르면 어깨부터 땅까지의 높이대 몸통의 길이대비 10:10의 동일한 비율을 갖고 있으며 대개 허리가 짧다. 후두 혹은 홋개: 이 타입은 보다 날씬하고 가슴의 높이가 낮으며 허리가 조금 길다. 또한 육체적인 형태가 조금 더 길어져 있어 귀나 입, 머리등이 전체적으로 조금씩 길어서 한국 토종견 협회에서 발표한 전통적인 "진돗개의 비율"에서 약간 더 길어서 10:11이다. 한국 토종견 협회는 이 외에도 각골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바디 타입을 주지하고 있으나 이 타입은 위의 두 개의 전통적인 진돗개 타입이 서로 조합하여 진화하고 있는 단계로 후두의 긴 몸체와 통골의 가슴 크기가 함께 보이고 있다. 켄넬 클럽은 최근에 진돗개의 외모에 대해서 발표한 바 있는데, "네모지게 반듯한 형태로 자란 진돗개는 알맞게 깊은 가슴을 갖고 있으나 지나치게 넓지 않다. 가슴의 가장 깊은 위치는 다리 관절에 닿는다. 가슴살은 발전해서 갈비뼈는 잘 튀어나와있다. 등은 강하고 곧으며 허리는 근육으로 덮여있고 마르고 여위어서 흉곽보다 가늘다. 다리는 대개 구부러져있다."라고 밝힌다. 색깔[편집] 진돗개는 다섯가지 색상을 갖고 있다. 황색(황구): 밀색에 털의 끝부분과 귀끝에 살짝 검은색을 띠는 종이다. 백색(백구): 이 색은 사실상 완벽하게 흰색이나 아이보리나 밝은 갈색이 귀끝이나 다리 뒷부분, 꼬리 등에 살짝 섞인 것이다. 어떤 흰 녀석은 머리부터 등을 타고 꼬리까지 살짝 탄 듯한 라인이 흐르기도 한다. 회색(재구): 멀리서 보면 회색으로 보이는 이 색은 사실은 황색/백색/흑색이 섞인 종이다. 흑색(흑구): 검은색이 전신에 나타나며 얼룩의 형태로 배와 입 그리고 눈 근처와 눈 전체에 나타난다. 얼룩(호구): 호랑이와 같은 패턴이 나타나는 형태로 가느다랗고 검거나 짙은 갈색의 줄무늬가 황색 배경에 나타나며 주로 강아지 일때 보인다. 진도에서는 일반적으로 흑색이나 검붉은 색, 그리고 희고 검은 진돗개를 사냥개로서 좋다고 판단한다. 켄넬 클럽의 경우 6가지 색으로 분류하며 흰색/붉은 황색/회색/흑색/태닝 검정/얼룩 패턴으로 분류한다. 발[편집] 발은 중형사이즈로 종그랗고 단단하며 거무스레하고 단단하다. 발톱은 단단하고 대개 검은색이나 크림색, 회색이다. 보폭[편집] 보폭은 일반적인 중형견의 수준이고 빠르게 이동할 경우 빠르며 가볍고 유연한 발자국을 보인다. 다리는 곧게 움직이며 이에 따라 다리도 곧게 움직인다. 일반적인 스피드에서 머리보다 낮은 위치에서만 움직인다. 머리[편집] 성견이 된 진돗개는 얼굴이 귀보다 넓다. 턱이 잘 발달되어있고 털은 볼에서 풍성하게 자라있으며 귀는 뾰족하게 세모 형태로 안에는 촘촘한 털이 잘 자라있다. 어릴 때는 대개 5~6개월이 되기 전까지 귀가 누워있다. 눈은 아몬드 형태로 동그란 편이며 갈색이고 결코 푸른 색 눈이 없다. 입은 단단하게 당겨져있고 검은색이며 혀는 일반적으로 선명한 핑크색을 추천한다. 차우차우처럼 청검색 혀를 갖기도 하는데 흔하지는 않다. 이빨은 고르고 대상을 물어뜯었을 때 가위처럼 끊어낼 수 있는 치열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가 크며 암컷은 좀 더 여우와 같은 두상을 가진다. 무게/키[편집] 수컷은 48 ~ 53cm, 암컷은 45~50cm 가량이며 수컷 성견의 경우 18~27kg 가량, 암컷 성견의 경우 15~24kg 가량이다. 사냥[편집] 진돗개는 독사나 일반 뱀을 사냥할수 있으며 진돗개가 있는 집이나 근처에는 뱀이 접근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각주[편집] ↑ [1] ↑ 김기현 기자 (2013년 10월 10일). “20대 여성 물어뜯은 진돗개 테이저건으로 제압”. 문화일보.  같이 보기[편집] 한국진도개관리협회 진도개 경보 돌아온 백구 개 풍산개 삽살개 한국애견협회 백구 진도의 진도개 (천연기념물 제53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진돗개 「진도의 진도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진도의 진도개 - 남북의 천연기념물 진도의 진도개 - 문화재청 「진돗개, 세계 명견 반열에 ‘우뚝’」, 《인터넷한겨레》, 2005.7.6. '돌아온 백구'의 진실, 《PD수첩》, MBC, 2006.12.15. 진돗개의 기원, 대한민국 국견협회 진돗개 - 한국애견협회 vdeh개 품종사역견군견/경찰견/번견 마스티프 보르도 마스티프 로트바일러 복서 자이언트 슈나우저 스탠더드 슈나우저 도베르만 핀셔 그레이트 데인 불마스티프 목양견 쿠바츠 저먼 셰퍼드 코몬도르 그레이트 피레니즈 콜리 캉갈 올드 잉글리시 시프도그 풀리 벨지안 타뷰렌 셰틀랜드 시프도그 비어디드 콜리 브리마르 웰시 코기 오스트레일리안 케르피 벨지안 시프도그 피레니안 마스티프 보스롱 티베탄 마스티프 썰매개 사모예드견 시베리안 허스키 알래스칸 맬러뮤트 그린란드견 아메리칸 에스키모 도그 캐나디안 에스키모 도그 치누크 에우로하운드 래브라도 허스키 맥켄지 강 허스키 노던 이누이트 도그 사할린 허스키 세팔라 시베리안 타마스칸 그외 세인트 버나드 베르니즈 마운틴 도그 부비에 데 플랑드르 뉴펀들랜드 수렵견시각 수렵견 아프간 하운드 그레이하운드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아이리시 울프하운드 휘핏 보르조이 살루키 아자와크 후각 수렵견 닥스훈트 블러드하운드 플로트 하운드 미니어처 닥스훈트 쿤하운드 오터하운드 노르위전 엘크하운드 잉글리시 폭스하운드 바셋하운드 해리어 아메리칸 폭스하운드 비글 던커 드리버 바이에른 마운틴 하운드 비글해리어 슈바이처 라우프훈트 스위스하운드 아르투아 하운드 오가르 폴스키 크레타하운드 포르살렌 그외 안달루시안 하운드 바센지 로디지안 리지백 치르네코 델레트나 이비잔 하운드 파라오 하운드 포덴코 카나리오 푸꼭 리지백 타이 리지백 조렵견포인터 저먼 와이어 헤어드 포인터 바이마라너 비즐라 저먼 쇼트 헤어드 포인터 잉글리시 포인터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 컬리 코티드 리트리버 플랫 코티드 리트리버 세터 아이리시 세터 고든 세터 잉글리시 세터 플러싱독/워터독 서섹스 스패니얼 필드 스패니얼 아이리시 워터 스패니얼 클럼버 스패니얼 아메리칸 코커 스패니얼 아메리칸 워터 스패니얼 브리트니 웰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잉글리시 스프링어 스패니얼 잉글리시 코커 스패니얼 테리어견 폭스 테리어 케리 블루 테리어 맨체스터 테리어 베들링턴 테리어 스카이 테리어 실리햄 테리어 케언 테리어 불 테리어 웰시 테리어 아이리시 테리어 웨스트 하일랜드 화이트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 테리어 소프트 코티드 휘튼 테리어 댄디 딘몬트 테리어 미니어처 슈나우저 스카치 테리어 오스트레일리안 테리어 노리치 테리어 에어데일 테리어 잭 러셀 테리어 핏불 테리어 실용견 차이니즈 샤페이 티베탄 테리어 티베탄 스패니얼 라사 압소 프렌치 불도그 보스턴 테리어 스키퍼키 키스혼드 불도그 비숑 프리제 일본 스피츠 차우차우 달마티안 스탠더드 푸들 미니어처 푸들 도사견 시바견 아키타견 동경이 불개 삽살개 제주개 진돗개 통일개 풍산개 애완견 친 말티즈 일본 테리어 잉글리시 토이 스패니얼 파피용 차이니스 크레스티드 토이 맨체스터 테리어 이탈리안 그레이하운드 퍼그 미니어처 핀셔 페키니즈 포메라니안 아펜핀셔 토이 푸들 시추 치와와 요크셔 테리어 실키 테리어 브뤼셀 그리폰 독일 스피츠 미니어처 핀셔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패니얼 킹 찰스 스패니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진돗개&oldid=24175894" 분류: 한국산 개 품종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2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07: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울 필하모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 필하모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뉴서울필하모닉오케스트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울필하모닉(Seoul Philharmonic)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고전 음악 활동 시기 1991-현재 웹사이트 [1] 서울필하모닉은(뉴서울필하모닉) 일반대중에 클래식음악을 정착시키기 위한 폭넓은 연주활동 및 교류사업을 전개하고 한국 교향악의 보급 및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1991년 5월에 창립되었다. 목차 1 연혁 2 주요 사업 3 주요 활동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1년 "대중 속에 사랑 받는 정통 오케스트라" 라는 취지 아래 성악가 출신 김혜란 교수, 첼리스트 출신 김봉 교수 그리고 60여명의 유능한 연주자들이 모여 처음 연주 활동을 시작하였고, 1997년 안당 단장의 제2창단으로 지금에 이르렀다. 2017년 창단 26년 이래 2,600여 회의 각종 정기연주회, 오페라공연 및 기획음악회를 개최하였으며, 그동안 197회의 민간교향악단 사상 최고 많은 횟수의 정기연주회와 매년 80회 이상의 공연을 하는 정통교향악단으로 성장하였다. 주요 사업[편집] 서울필하모닉의 주요 사업은 정기연주회 및 기획연주회 개최, 유능한 연주인의 발굴과 등용, 연주인 국제교류, 클래식 음악발전을 위한 조사연구 등이다. 주요 활동[편집] 서울필하모닉은 매년 8여 회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0년과 2012년은 대한민국 오페라 페스티벌 전 작품을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연주하며, 민간 오페라연합 협회로부터 오페라 반주 최우수 단체로 선정되어 수상을 하였으며, 그 외에 시리즈 음악회로는 "신인발굴음악회", "아티스트페스티벌" 등을 통하여 클래식 음악을 이끌어 나갈 신인을 발굴하고, 환경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양평용문산 "환경 음악회", "무역센터 클래식 음악회", "해설음악회(오페라여행, 뮤지컬여행, 발레여행 등)" 등이 있으며, 관객들을 직접 찾아 가는 공단 및 기업음악회등 다양한 기획공연을 개최하여 클래식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다. 또한 국가행사를 비롯하여 유능한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업으로 서울필하모닉 콩쿠르도 개최하고 있다. 서울필하모닉은 2015년 창단 24주년을 맞이하였다. 음악적 취약 계층의 저소득층과 소외계층, 지방의 소외계층 등을 찾아가 공연하기도 한다. 외부 링크[편집] 서울필하모닉 홈페이지 vdeh대한민국의 관현악단서울권 코레일 심포니 오케스트라 KBS교향악단 강남 심포니 오케스트라 강북구립 청소년 오케스트라 서울 필하모닉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시 유스 오케스트라 오케스트라 앙상블 서울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한국 대학생 연합 오케스트라 하트하트 오케스트라 W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경인권 과천시립교향악단 경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구리시교향악단 군포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성남시립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인천시립교향악단 관동권 강릉시립교향악단 원주시립교향악단 춘천시립교향악단 영남권 경상북도립교향악단 김천시립교향악단 대구시립교향악단 부산시립교향악단 부산심포니오케스트라 울산시립교향악단 진주시립교향악단 창원시립교향악단 포항시립교향악단 호남권 광주시립교향악단 군산시립교향악단 목포시립교향악단 전주시립교향악단 호서권 대전시립교향악단 천안시립교향악단 청주시립교향악단 충남교향악단 충북도립교향악단 제주권 서귀포관악단 제주도립교향악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_필하모닉&oldid=19493894" 분류: 대한민국의 관현악단서울 강남구1991년 설립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2일 (토) 07: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마돈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돈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마돈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마돈나Madonna 2015년 Rebel Heart Tour 공연 중인 마돈나기본 정보본명 Madonna Louise Ciccone마돈나 루이스 치코네출생 1958년 8월 16일(1958-08-16) (60세)미국 미시간주 베이시티국적 미국직업 가수, 배우, 프로듀서, 인권운동가장르 팝, 록, 일렉트로닉악기 보컬, 기타, 타악기활동 시기 1982년 ~ 현재 가족 자녀 6명레이블 사이어, 워너 브라더스, 메이브릭, 라이브 네이션, 인터스코프웹사이트 www.madonna.com/ 마돈나 루이스 치코네(영어: Madonna Louise Ciccone, 1958년 8월 16일 ~ )는 미국의 가수, 배우, 프로듀서, 인권 운동가이다. 마돈나는 미시간주 베이시티에서 태어나 1977년 가수가 되기 위해 뉴욕으로 떠났다. 뉴욕에서 현대무용과 음악 그룹 블랙파스트 클럽, 에미로 활동했다. 1982년에는 사이어 레코드(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계열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1983년 데뷔 음반을 발표했다. 이후 마돈나는 상업적인 뮤직비디오와 성적 매력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을 뿐만 아니라 Ray of Light (1998)과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5)로 그래미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이처럼 오랜기간 활동하면서 많은 히트 곡들을 만들어냈는데 "Like a Virgin", "Papa Don't Preach", "Like a Prayer", "Vogue", "Frozen", "Music", "Hung Up", "4 Minutes"은 마돈나를 대표하는 노래들이다. 비평가들은 다양한 장르의 시도로 마돈나를 찬사를 보냈지만, 종교적 논란에 대한 비판을 해왔다. 마돈나는 가수 생활을 하는 중에 1979년, 영화 데뷔를 했다. 1996년, 뮤지컬 코미디 영화 《에비타》에 출연해 골든 글로브상 뮤지컬-코미디 부문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하지만 다른 영화에서의 역할은 좋지 않은 평을 받았다. 마돈나는 이 외에도 패션 디자이너, 어린이 도서 작가, 영화 감독과 제작자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고있다. 1992년에는 타임 워너와 함께 공동으로 엔터테인먼트 회사 매버릭을 설립했다. 2007년에는 라이브 네이션과 레이블 계약을 체결하는데, 미국에서도 이례적으로 1억 2천 달러를 받았다. 뉴스 미디어에서 "팝의 여왕"으로 불리는 마돈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가수 중 한 명"으로 기록되고 있다.[1][2][3] 총 음반 판매량은 현재 세계적으로 3억 장을 넘기며 여자 가수 중에선 독보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있어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가장 많이 음반 판매한 여자 가수로 등록돼 있다.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인증된 앨범 판매량이 6,300만 장으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음반 판매고를 올린 여자가수이다.[4][5] 2008년 빌보드는 빌보드 핫 100 차트 50주년을 기념해 지난 50년간 아티스트들의 빌보드 싱글차트 100 성적을 분석했고, 마돈나는 비틀즈에 이은 2위인 것으로 확인됐다.[6] 같은 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도 올랐다.[7] 미국의 잡지 《타임》은 마돈나를 "지난 수 세기 동안 가장 강력한 여자 가수"라고 했고, 세계 많은 여자 가수들의 우상, 영감으로도 꼽히고 있다. 목차 1 생애 및 경력 1.1 1958–81: 초기 생애 및 활동 1.2 1982–85: Madonna, Like a Virgin 및 숀 펜과의 결혼 1.3 1986–91: True Blue, Like a Prayer 그리고 Blond Ambition Tour 1.4 1992–96: Sex, Erotica, Bedtime Stories 그리고 영화 활동 1.5 1997–2002: Ray of Light, Music과 Drowned World Tour 1.6 2003–06: American Life와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1.7 2007–09: Hard Candy와 Sticky & Sweet Tour 1.8 2010–현재: W.E., MDNA 및 기타 사업 2 음악 스타일 3 성과 4 음반 목록 5 출연 작품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 및 경력[편집] 1958–81: 초기 생애 및 활동[편집] 마돈나 루이스 치코네는 1958년 8월 16일 미시간 주 베이시티에서 태어났다. 어머니인 마돈나 루이스(옛 포틴)는 프랑스계 캐나다인이었고, 아버지인 실비오 안토니 리치는 미국에 이민한 1세대 이탈리아계 미국인이었다. 마돈나의 아버지는 나중에 크라이슬러와 제너럴 모터스 사의 디자인 엔지니어로 근무하기도 했었다. 마돈나는 자신의 어머니와 이름이 같았는데 이를 구분하기 위해 어머니로부터 "리틀 노니"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8][9] 마돈나의 형제 자매는 총 여섯 명으로 마돈나는 셋째로 태어났다(형제 자매로는 마틴, 안토니, 폴라, 크리스토퍼 그리고 멜라니가 있었다).[10] 마돈나는 디트로이트의 교외인 폰티액과 에이본 타운쉽에서 자랐다(로체스터 힐스의 일부). 마돈나의 어머니는 1963년 12월, 30세의 나이에 유방암으로 죽었다.[10] 마돈나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이유를 이해하지 못했고, 곧 그녀의 행동과 성격 등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11] 아버지인 토니는 마돈나에게 엄마가 죽은 이유를 설명해 주기 위해 두 팔로 감싸 안았는데, 마돈나는 울기 시작했었다. 마돈나는 이후 "나는 그때 너무 어린 아이였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11] 어느 날, 마돈나는 어머니가 죽은 이유를 알게 되고 현실을 부정하기까지 했지만, 결국은 인정하게 된다. 이후 마돈나는 로체스터 아담스 고등학교에 입학해 학교 응원단의 멤버로 가입한다.[10] 우수한 성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미시간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춤으로 장학금을 받기도 했다.[12] 마돈나는 춤에 소질을 가지고 있었고 무용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동성애자이자 무용 선생님인 크리스토퍼 플린과 함께 아버지를 설득해 무용을 시작했다.[13][14] 1977년 말, 마돈나는 대학교를 중퇴해 약간의 돈을 가지고 뉴욕 시로 떠났다.[15][16] 마돈나는 뉴욕에서 던킨 도너츠 웨이스트리로 일했으며 모던 댄스 극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17] 마돈나는 당시 35달러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8] 또한 마돈나는 가수들의 백댄서로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한편 어느 늦은 밤, 마돈나는 한 남자에게 골목으로 끌려갔고 펠라치오까지 하는 수모를 겪었다. 후에 "나는 그때의 일을 잊을 수 없다" 라고 밝히기도 했었다.[19] 마돈나는 1979년 프랑스의 디스코 음악가 패트릭 헤르난데스의 월드 투어 댄서로 무대로 서는 동안, 마돈나는 음악가에 대한 꿈도 함께 키워나간다.[20] 그녀는 길로이 형제와 함께 블랙퍼스트 클럽이라는 음악 밴드를 결성해 드러머로 활동했었다.[21][22] 1980년 마돈나는 드럼머 스티븐 브레이와 두 번째 음악 그룹 에미를 결성하였다. 1982–85: Madonna, Like a Virgin 및 숀 펜과의 결혼[편집] 마돈나는 워너 브러즈. 레코드에 레이블 계약을 체결한다.[23] 1982년 10월 6일 마돈나의 데뷔 싱글 "Everybody"가 발매되고, 노래를 비롯해 안무도 히트를 쳤다.[24] 데뷔 음반인 Madonna는 주로 레지 루카스와 워너 브러스 레코드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루카스가 작업이 끝나기 전 그만둬 추가적인 도움을 요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추가적인 도움은 당시 마돈나의 남자 친구였던 존 베니티즈로 결정돼 음반 작업을 마무리했다. 베니티즈는 트랙 리믹스의 대부분과 세 번째 싱글 "Holiday"를 작곡했다. Madonna는 빌보드 200 8위까지 올라갔고 "Holiday", "Borderline", "Lucky Star"의 히트 싱글을 만들어냈다.[25][26] 1985년 Virgin Tour중의 마돈나. 점차 뮤직비디오와 공연할 때 등 여러 모습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는데, 마돈나의 스타일은 1980년대 여성 패션 트렌드가 되었다. 마돈나의 스타일은 주로 쥬얼리 디자이너 마리폴(Maripol)이 만들었는데, 카프리 팬츠, 망사, 십자가 보석 팬던트, 고무 팔찌, 탈색한 머리 스타일 등이 유행했다.[27] 1984년에는 마돈나의 두 번째 정규 음반 Like A Virgin이 발매된다. 이 음반은 빌보드 200 정상을 차지했고, 여러 국가에서 1위에 올랐다.[25][28] 타이틀 트랙이자 싱글 "Like a Virgin"은 빌보드 핫 100에서 6주동안이나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26]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와 가사는 성관계가 묘사되는 내용과 선정적인 가사 또한 가족관의 파괴로 당시 큰 논란거리였다.[29] 때문에 도덕주의자들은 노래의 방송을 금지시키자는 목소리도 냈다.[30] 또한 1984년 열린 제1회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공연중 결혼식용 대형 케이크에서 나타나 웨딩드레스와 "Boy Toy"라는 문구가 적힌 벨트를 착용하고 공연을 펼치는 모습은 세계적으로 큰 충격이였다. 이날의 무대는 MTV를 비롯한 역사적인 무대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31] Like A Virgin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고 세계적으로 2천만 장 이상이 팔리고있다.[32][33] 전국음반상인협회와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1998년 "지금까지의 최고의 앨범 200" 목록을 발표했고 Like A Virgin도 포함되었다.[34] 한편, 마돈나는 1985년 로맨틱 드라마 영화 《청춘의 승부》 클럽 가수라는 간단한 역할로 출연했다. 마돈나가 직접 부른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인 "Crazy for You"는 빌보드 핫 100 1위를한다.[35] 또한 같은 해, 코미디 영화 《수잔을 찾아서》 출연과 동시에 사운드트랙 "Into the Groove"는 영국에서 처음으로 정상을 차지하는 곡이된다.[36] 마돈나는 이것들의 영화에서 주연은 아니였지만, 충분히 인지도와 배우로써의 또다른 활동을 알릴 수 있었다.[37] 마돈나는 Like a Virgin의 두 번째 싱글 "Material Girl"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하는 동안 숀 펜과 연인관계로 발전했고, 1985년 마돈나의 생일 날 숀 펜과 결혼식을 올렸다.[38] 1985년 4월부터는 북아메리카를 순회하는 마돈나의 첫 콘서트 투어 The Virgin Tour를 시작했다.[39] 같은 해 4월, 마돈나가 1978년에 찍은 누드 사진을 잡지 《플레이보이》와 《펜트하우스》에 그대로 공개했다. 1978년 당시 마돈나는 돈이 매우 부족했고 그때문에 25달러를 받고 찍었다고한다.[40] 사진의 공개로 언론계는 난리가 났었지만 마돈나는 뻔뻔하고 자신감넘치는 모습으로 대응하였다. 사진은 최고 10만 달러에 팔렸다.[40] 1986–91: True Blue, Like a Prayer 그리고 Blond Ambition Tour[편집] 1990년 Blond Ambition World Tour 중의 마돈나. 마돈나의 세 번째 정규 음반 True Blue는 1986년 6월 발매되었다. 이 음반에서 빌보드 핫 100 1위곡은 무려 "Live to Tell", "Papa Don't Preach", "Open Your Heart" 3곡 이였고 "True Blue"와 La Isla Bonita"는 각각 3위와 4위였다.[26][35] 음반은 당시 28여 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해 유래없는 기록을 남겼다.[41] 또한 남편 숀 펜과 함께 영화 《상하히의 유혹》에 출연했고, 데이비드 래이브의 연극 Goose and Tom-Tom에 숀펜과 함께 공동 주연으로 연극 데뷔를 했다.[42] 다음 해에 영화 Who's That Girl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마돈나는 영화 중 "Causing a Commotion"의 타이틀 트랙 등 사운드 트랙에 참여했다.[26] 1987년 6월부터는 Who's That Girl World Tour를 시작했고, 같은 해 9월까지 계속 되었다. 같은 해인 1987년 마돈나의 리믹스 앨범 You Can Dance가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14위까지 올라갔었다.[43] 1987년 12월에는 마돈나와 숀 펜이 이혼 소송 절차를 밟았고, 마돈나는 음주운전과 폭행 등 많은 사건으로 인해 견딜 수 없다며 1989년 1월 이혼을 하게된다.[44] 1989년 1월, 마돈나는 탄산 음료 제조 회사 펩시와 홍보 계약을 체결했다. 광고의 일환 중 한개로 자신의 노래 "Like a Prayer"를 선보였다. "Like a Prayer"의 뮤직비디오에서 십자가를 불태우고 성직자들을 성적 매력으로 유혹하는 등 당시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45] 이에 따라 종교단체들은 펩시의 제품의 불매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후 펩시는 광고를 취소하고 마돈나와의 계약도 해체했다. 그러나, 펩시는 마돈나에게 500만 달러를 주기로 결정했다.[10] 이후 이 노래가 닮긴 마돈나의 네 번째 정규 앨범 Like a Prayer가 발매되었고, 패트릭 레너드와 스티븐 브레이가 앨범의 총 프로듀서를 맡았다.[46] 《롤링 스톤지》는 "음악이 예술에 더 가깝다."며 앨범에 찬사를 보냈다.[47] Like a Prayer는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했고, 미국에서 4백만 장 그리고 세계적으로는 1,400만 장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렸다.[25][48] 이 앨범에서 총 여섯 개의 싱글이 발매되었고, "Like a Prayer"는 빌보드 핫 100 1위, "Express Yourself"와 "Cherish"는 2위에 올랐다.[26][35] 1980년대 말까지 마돈나는 미디어 서치 MTV, 빌보드와 각종 음악 전문지로부터 "지난 10년간 최고의 아티스트"로 선정되었다.[49][50][51] 1990년이 되자, 영화 《딕 크레이시》에서 "브리스리스"라는 역할로 워렌 비티와 함께 타이틀 롤을 맡았다.[52] 마돈나는 영화의 I'm Breathless라는 사운드트랙 앨범을 발매하였고, 1930년대의 영화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곡이라고 밝혔다. 앨범의 싱글인 "Vogue"는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랐고,[53] 수록곡이였던 "Sooner or Later"의 작곡가였던 스티븐 손드하임은 1991년 아카데미 최우수 오리지널 노래 상을 수상하였다.[54] 영화를 촬영하는 동안, 마돈나는 비티와 1990년 말까지 애인 관계를 유지했었다.[55][56] 1990년 4월부터는 Blond Ambition World Tour를 시작했고, 이후 4개월동안 진행했다. 투어에 관해서 마돈나는 "나는 내가 최고의 댄서, 가수가 아니란걸 알아요. 하지만, 내가 최고가 아니여야만 원하는대로 도발할 수 있죠. 이번 투어의 목표는 쓸떼없는 금기를 깨는것이에요"라고 말했다.[57] 《롤링 스톤》은 "정교하고, 성적인 자극적인 안무들, 그리고 이 투어는 1990년 최고의 투어"라고 말하였다.[58] 투어에서 "Like a Virgin" 공연 중 두 남자 댄서와 함께하는 자위와 애무를 연상케하는 퍼포먼스때문에 종교 단체들로부터 극심한 비판을 받았다.[59] 교황은 대중들과 종교 단체들에게 마돈나의 콘서트 보이콧을 명령내리기도했다.[60] 가톨릭 협회 파밀리아 도마니는 마돈나의 에로티시즘을 그만두라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었다.[61] 투어는 나중에 레이저디스크로 발매되었고, 1992년 열린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롱 펌 뮤직비디오상을 수상받았다.[62] 1990년 11월 마돈나의 첫 히트 컴필레이션 앨범 The Immaculate Collection이 발매된다. 앨범에는 "Justify My Love", "Rescue Me"와 같은 두 개의 새로운 노래가 담겨 있었다.[63] 앨범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에서 다이아몬드 인증을 했고, 세계적으로 2700만 장 이상을 팔아치우며 역사상 솔로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이 팔린 컴필레이션 앨범이되었다.[32][64] 첫 번째 싱글 "Justify My Love"는 빌보드 핫 100 1위와 세계 각 차트에서 10위권 진입을 했다.[35][65]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에는 가학피학성 성애, 속박, 동성애 키스, 브리핑 누드 등의 파격적인 장면들을 선보였다.[66][67] 두 번째 싱글 "Rescue Me"는 빌보드 핫 100 15위로 데뷔해 당시 여성 음악가로써는 가장 높은 데뷔 순위였고, 최고 9위까지 진입했었다.[63] 1992–96: Sex, Erotica, Bedtime Stories 그리고 영화 활동[편집] 1993년 The Girlie Show World Tour에서 "Express Yourself" 공연 중의 마돈나. 1992년, 마돈나는 《그들만의 리그》에서 주연을 맡아 출연했다. 영화의 주제가였던 "This Used to Be My Playground"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했었다.[35] 같은 해 마돈나는 레코드 회사(매버릭 레코드), 영화 제작 회사(매버릭 필름) 및 음악, 텔레비전 방송, 도서 출판 및 상품화 등의 부문으로 구성된 자신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매버릭)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타임 워너와 공동으로 설립한것인데, 마돈나는 6천만 달러를 받았다. 매버릭에서 처음으로 발간된 도서는 sex였다. 이 도서에는 스티븐 마이젤이 촬영한 마돈나의 노골적이고 도발적인 성적 세미 누드집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책은 대중들과 언론으로부터 비판적인 반응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며칠만에 1,500,000만 부를 판매해 5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남겼다.[68][69] 비슷한 시기, 마돈나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 Erotica가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2위로 데뷔했다.[25][69] 타이틀 트랙이자 싱글 "Erotica"는 빌보드 핫 100 3위로 만족해야했다.[35] 이 외에 Erotica에는 "Deeper and Deeper", "Bad Girl", "Fever", "Rain", "Bye Bye Baby"와 같은 다섯 개의 싱글이 있었다.[70] 1993년에는 에로틱 스릴러 영화 《육체의 증거》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영화는 평가의원들로부터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71][72] 같은 해에 《스네이크 아이》에도 주연으로 출연해 북미에서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뉴욕 타임스》에서는 이 영화에 대해 "분노와 고통을 실제로 느끼는 것 같은 영화다"라고 말했다.[73] 1993년 10월부터는 The Girlie Show World Tour를 시작했는데, 상반신을 드러낸 옷을 입은 댄서들에게 둘러싸여 채찍을 휘두르는 등 파격적이고 수위높은 공연을들 선보였다.[74] 이로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었다.[59] 이후 1994년 마돈나의 여섯 번째 정규 음반 Bedtime Stories를 발매했는데, 이 음반은 마돈나의 음반중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해 가장 부드러운 음반이다.[75] Bedtime Stories는 빌보드 200 3위로 데뷔했고 네 개의 싱글을 발표했는데, 대표적으로 "Secret"과 "Take a Bow"는 빌보드 핫 100 7주 동안 정상을 차지했다.[35] 비슷한 시기, 마돈나는 헬스 트레이너 카를로스 레온과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76] 1995년 5월에는 발라드 컴필레이션 음반 Something to Remember를 발매한다. 음반에는 "You'll See", "One More Chance"를 비롯해 마빈 게이의 노래를 커버 버전으로 부른 "I Want You"와 같은 세 개의 새로운 노래들도 수록했다.[35][77] 1996년에 마돈나는 《에비타》의 에바 페론 역할로 출연한다.[78][79] 마돈나는 에바 페론 역을 소화하기 위해 보컬 트레이닝을 받았으며, 아르헨티나와 페론의 역사에 대해서도 공부했다. 특히 이 영화에서 6,000개의 이미지와 370여 벌의 의상을 갈아 입어 기네스에 등재되었다.[79] 영화가 개봉된 이후에 호평을 받았으며, 《뉴욕 타임스》는 "이미지 위주의 화면이 많아 다소 모호한 느낌을 주지만, 청충을 휘어잡는 마돈나의 연기는 최고이다"라고 평했다.[80] 또한 에비타 룩 등의 유행도 주도했고, 일부에서는 역사를 왜곡했다거나, 에바 페론을 너무 우상화 했다며 비판을 받기도했다.[81] 이러한 영화의 성공으로 제54회 골든 글로브상에서 뮤지컬, 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과 이어 영화의 사운드 트랙 "You Must Love Me"로 골든 글로브와 아카데미영화상에서 주제가상을 수상했다.[81] 한편, 1996년 10월 14일 마돈나는 카를로스 레온 사이에서 딸 루이스 레온을 낳았다.[82] 1997–2002: Ray of Light, Music과 Drowned World Tour[편집] 2001년 Drowned World Tour 중의 마돈나. 마돈나는 딸 루데스 레온을 출산 한 뒤, 신비주의 카발라에 심취했다. 마돈나는 1997년 여배우 산드라 베른하드에게 유대교 신비주의 교파를 소개받았다.[83] 그리고 1998년 마돈나의 일곱 번째 정규 앨범 Ray of Light를 발매했고, 이 앨범을 통해 자신의 바뀐 사고와 이미지를 보여줬다.[84] 마돈나는 "이 음반은 다른 그 어떤 음반보다도 내 삶의 모든 영역을 보여준다. 나는 최근에 밀교에 심취해있는데, 나를 벗어버린거 같다. 그러나, 내 기분은 현재 최고이고 아기를 출산하며 생명의 신비에 관심을 갖게되었다"라고 이 음반에 대해 말했다.[85] 음반은 긍정적인 평을 받았고, 《실렌트 매거진》에서는 "90년대 팝 음반 중 최고의 명반이다"라고 평했다.[86] Ray of Light는 1999년 열린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팝 보컬, 최우수 댄스 레코딩을 비롯한 세 개의 부문에서 상을 받았고, 《롤링 스톤》에서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앨범 500"에 이 앨범을 포함시켰다.[87][88] 이 음반은 호주, 캐나다, 영국 및 많은 유럽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빌보드 200에서는 2위로 데뷔했으며, 세계적으로 2,000만 장 이상을 팔았다.[25][89] 앨범의 첫 싱글 "Frozen"는 영국에서 처음으로 1위 데뷔를 한 싱글이 되었고, 빌보드 핫 100 여섯 번째 2위 싱글이 돼 마돈나는 가장 많은 2위 싱글을 보유한 아티스트라는 기록을 세웠다.[35][90] 한편, "Frozen"가 벨기에의 작곡가 살바토레가 1993년 발표한 자신의 노래 "Ma Vie Fout L'camp"를 표절했다는 이유로 피소를 당했다.[91] 앨범의 두 번째 싱글 "Ray of Light"는 빌보드 핫 100 5위로 데뷔했다.[92] 한편, 1994년부터 연인 관계였던 카를로스 레온과 "재일 친한 친구로 남고 싶다"며 1998년 12월 결별을 선언했다.[93] 1999년 마돈나는 영화 《뮤직 오브 더 하트》에 주연 로베르타 역으로 출연할 예정이였지만, 웨스 크레이븐 감독은 "창의성이 서로 다르다"며 캐스팅을 취소했다.[94] 또한 영화 《오스틴 파워 2 - 나를 쫓아온 스파이》의 사운드트랙 싱글로 발표된 "Beautiful Stranger"는 나름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며 Ray of Light의 성공을 도왔다. "Beautiful Stranger"는 빌보드 핫 100 19위에 올랐고, 그래미 상 "텔레비전, 미디어 부문 최우수 노래상"을 수상했다.[35][62] 2000년이 되자 마돈나는 영화 《넥스트 베스트 씽》에 출연하며 1971년 발표한 세계적으로 히트를친 돈 맥클린의 "American Pie"를 리메이크한 "Time Stood Still"를 영화의 사운드트랙으로 실었다.[95] 같은 해 9월, 마돈나의 열 번째 정규 음반 Music을 발매한다. Music은 Ray of Light 시절의 일렉트로니카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동성애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다.[96] 《이즘》의 고영탁은 "70년대 말 디스코 클럽을 재현한 음반이라며 "마돈나는 이 앨범을 통해 촌티 나는 70년대 클럽을 다시 불러냈다. 그리고 그 상투성을 통해 음악의 참다운 정의를 내렸다"라고 평했다.[97] 음반은 20여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했고 발매된지 10일만에 세계적으로 400만 장을 팔아치웠다.[87] 미국에서도 첫 주 420,000만 장을 팔아 1위로 데뷔했는데, 이는 Like a Prayer이후 11년만에 정상을 차지한 것이다.[98] 그리고 이 음반에서 "Music", "Don't Tell Me",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과 같은 세 개의 싱글을 빌보드 핫 100 1위에 올려놓았다.[35] 한편,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의 뮤직비디오는 살인 묘사, 자동차 사고 등과 같이 폭력적이라는 이유로 MTV와 VH1에서 방영이 금지되었다.[99] Music은 세계적으로 1,500만 장 정도의 판매고를 올렸다.[100] Music 활동 무렵 마돈나는 절친한 친구 스팅의 아내 트루디 스타일러에게 소개 받은 가이 리치와 1999년부터 사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0년 8월 11일 자신의 아들 로코 리치를 출산했다.[101] 같은 해 12월, 마돈나와 가이 리치는 스코틀랜드 스키보 성에서 결혼식을 올렸다.[102] 2001년 4월부터는 마돈나의 다섯 번째 월드 투어 Drowned World Tour를 시작했다.[59] 투어는 북미와 유럽 도시들을 방문하며 47회의 공연으로 7,500만 달러를 벌어들여 그 해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투어 중 하나였다.[103] 또한 투어 DVD 발매에 맞춰 마돈나의 두 번째 히트 콜렉션 음반 GHV2를 발매했다. GHV2는 미국 빌보드 200 7위로 데뷔했다.[104] 2002년에는 남편 가이 리치가 감독을 맡은 영화 《스웹트 어웨이》에 출연했다. 영국에서는 비디오로만 개봉되는 등 상업적인 성공에 실패했다.[105] 이듬 해, 《007 제20탄 - 어나더 데이》에 카메오로 출연과 영화의 타이틀 곡 "Die Another Day"를 불렀다. 노래는 빌보드 핫 100 8위까지 진입했고, 골든 글로브 상 최우수 오리지널 노래와 골든 라즈베리상 최악의 노래 부문 후보로 올랐다.[35][106] 2003–06: American Life와 Confessions on a Dance Floor[편집] Live 8에서 공연을 펼치던 당시의 마돈나. 《007 제20탄 - 어나더 데이》 출연 이후, 2003년 X-STaTIC Pro=CeSS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기 위해 패션 사진 작가 스티븐 클라인과 공동 작업을 했다. 이후 미국인들의 생활을 기반으로 만든 아홉 번째 정규 음반 American Life를 발매했고, 이 음반은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107] 마돈나는 음반에 대해 "American Life는 내가 이룬 모든 것들을 되돌아 보면, 험난한 여행 같았다. 나는 예전의 내가 이룬 모든 것들을 중요하게 어긴다"라고 말했다.[108] 《더 에드보케이트》의 래리 플릭은 "American Life는 마돈나의 지적이고 서정적인 모습 그리고 모험적인 모습 사이에 있는 음반이다. 2000년에 발매했던 Music과 조금 비슷한데, 이는 게으른 모습일 뿐이다. 아무렇게나 사운드를 만들지 말고 마돈나가 좀 더 심각하게 음악을 생각하면 좋겠다"며 평가했다.[108][109] 첫 싱글 "American Life"는 빌보드 핫 100 37위에 그쳤다.[35] "American Life"의 뮤직비디오에는 부시가 연상되는 사람에게 수류탄을 던지는 등 이라크 전쟁을 반대하는 내용이 담겼으나, 애국심이 없을 것으로 간주될거라며 원래 뮤직비디오는 정식으로 공개되지 않았다.[110] 이외에 《제레미 바인 쇼》에 출연해 "미국이 이라크에서 군대를 철수시켜야 한다. 무고한 시민들에게 폭탄을 투하한다는 것은 매우 잘못 되었다"며 이라크 주둔에 대해 반대하는 활동을 펼쳤다.[111] 한편, 음반은 세계적으로 4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리며 마돈나의 음악 경력 사상 가장 낮은 판매고를 기록했다.[112] 하지만, 빌보드 200에서는 정상을 차지했다. 마돈나는 브리트니 스피어스,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그리고 미시 엘리엇과 2003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 참석해 "Hollywood"를 부르며 도발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공연도중 마돈나는 아길레라, 브리트니와 키스를 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113][114] 2003년 10월에는 브리트니의 싱글 "Me Against the Music" 피처링 가수로 참여했다.[115] 같은 해 11월, 리믹스 앨범 Remixed & Revisited를 발매했다. 이 음반에는 American Life 수록곡들의 리믹스 버전을 포함해 "Your Honesty"라는 새로운 노래를 수록했는데, 이 노래는 Bedtime Stories 당시 녹음했던 노래이다.[116] 마돈나는 또한 동화책 작가로 활동하기 위해 칼라웨이 아트&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체결했다. 마돈나가 처음 발표한 책은 The English Roses로 2003년 9월 출판되었다. 내용은 네 명의 여학생들이 서로를 질투한다는 내용이다.[117] 이 책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 셀러 목록 중 1위로 데뷔했고,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팔린 동화책이라는 기록을 남겼다.[118] 2006년 8월 3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Confessions Tour 중의 마돈나. 2004년 중반 마돈나는 미국과 캐나다, 유럽을 방문하는 Re-Invention World Tour를 시작했고, 1억 2천만 달러를 벌어들여 2004년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투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19] 이후 투어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 음반 I'm Going to Tell You a Secret을 발매했다.[120] 한편, 마돈나는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100인" 중에서 36위에 선정했다.[121] 2005년 1월, 마돈나는 쓰나미 피해자들을 돕기위해 존 레논의 노래 "Imagine" 커버 버전을 발표했으며,[122] 런던에서 Live 8 자선 공연을 펼쳤다.[123] 2005년 11월 마돈나는 열 번째 정규 음반 Confessions on a Dance Floor를 발매했다. 이후 거의 모든 나라 음반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124] 이 음반은 마치 클럽 DJ로 구성된 세트같은 음반 구조를 가졌다. Confessions on a Dance Floor는 모두 댄스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빌보드의 키스 코필드는 "팝의 여왕 본래의 양식으로 돌아간 것을 환영한다"고 글을 썼다.[125] 그리고 이 음반은 그래미 상에서 최우수 일렉트로닉/댄스 앨범을 수상 받았다.[62] 음반의 첫 싱글 "Hung Up"은 45개 나라의 공식 차트에서 1위를 해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다.[126] 두 번째 싱글 "Sorry"는 마돈나의 열두 번째 영국 1위 싱글이 되었다.[36] 2006년 5월부터는 Confessions Tour를 시작했는데, 194억 달러의 수익과 12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여자 가수 역사상 가장 높은 수익률을 자랑하는 투어로 기록되었다.[127] 같은 해, 국제음반산업협회에서는 마돈나가 세계적으로 2억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고 발표했다.[128] 한편, 마돈나는 Confessions Tour를 진행하는 동안, 카발라 단체와 공동으로 말라위의 고아들을 돕는 레이징 말라위라는 재단을 설립했다.[129] 이어 2006년 10월 10일 마돈나는 고아원에 들려 데이비드 반다 무와레라는 남자 아이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반다는 나중에 데이비드 반다 무와레 치코네 리치라는 이름으로 바꿨다.[130] 하지만, 말라위의 인권자문위원회에서 마돈나가 반다를 말라위의 법률을 어긴채 명성을 이용해 불법으로 입양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131] 이후 마돈나는 《오프라 윈프리쇼》에 출연해 "아이를 데려오는데 내 명성이나 돈을 이용하지 않았다. 아프리카에서도 그런 건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보통 사람들과 같이 똑같은 법에 따라 입양을 진행했다. '불법'이란 언론보도는 매우 부정확하며, 우리는 입양을 결정하기 전 18개월의 현지 감정기간을 거쳤다"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성명을 발표했다.[132] 이후 입양 문제는 2008년 5월 28일 완료되었다.[133] 한편, 마돈나는 스웨덴의 의류 도매 업체 H&M와 협력해 M by Madonna라는 의류 라인을 개설했고 2006년부터 세계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134] 콜렉션에서는 스카프, 이브닝 드레스, 몸에 착 달라붙는 가죽 바지 등을 선보였다. 또한 이 의류 라인은 마돈나의 "시대를 초월한 독특하고 항상 화려한 스타일"을 반영했다고 H&M이 전했다.[135] 2007–09: Hard Candy와 Sticky & Sweet Tour[편집] 2008년 마돈나 아르헨티나에서. 마돈나는 라이브 어스 시리즈의 콘서트를 위해 노래 "Hey You"를 발표했다. 노래 발표 첫 주에는 무료로 다운로드를 제공했다. 또한 런던에서 열린 라이브 어스 콘서트에 참여해 공연을 펼쳤다.[136] 비슷한 시기, 마돈나는 지금까지 레이블 계약을 해왔던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끝냈고, 라이브 네이션과 1억 2천만 달러를 받고 10년동안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말라위 사람들이 직면하고있는 문제에 대한 다큐멘터리 영화인 《아임 비코즈 위 아》 제작을 시작했다. 영화의 감독은 나단 리스만이 맡았고, 마돈나는 각본을 맡았다.[137] 마돈나는 《타락과 지혜》라는 또다른 영화에서 처음으로 감독을 맡았다. 《타임스》는 "스스로를 자랑스러워 할만큼 했다"고 말했고,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영화에 대해 "마돈나는 전혀 가망없지 않은 첫 노력을 했지만, 그냥 보관해 놓는게 좋을 것이다"며 혹평을 했다.[138][139] 2007년 12월,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2008년의 등재 리스트 중 한 명으로 마돈나를 선정했다.[140] 이후 2008년 3월 10일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 마돈나는 아니지만 스투지스가 마돈나의 노래 "Burning Up"과 "Ray of Light" 공연을 했다. 이 날 마돈나는 크리스틴토퍼 플린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나의 35년 댄스 선생님임을 떠나서 나의 꿈을 같이해주고, 격려해줬다"고 말했다.[141] 마돈나는 2008년 4월 열한 번째 정규 음반 Hard Candy를 발매했다. 이번 음반은 R&B와 어반 팝에서 영감을 얻었고 저스틴 팀버레이크, 팀발랜드, 퍼렐 윌리엄스 그리고 다니아와 함께 작업을했다.[142] Hard Candy는 미국 빌보드 200을 포함해 37개 나라에서 1위로 데뷔했다.[143][144] 음반의 리드 싱글 "4 Minutes"은 빌보드 핫 100 3위로 데뷔했다. 이로써 빌보드 핫 100 10위권에 37개의 싱글을 진입시켜 과거 가장 많은 10위권 싱글을 보유한 엘비스 프레슬리를 밀어냈다.[145] 영국에서는 마돈나의 13번째 1위 싱글이 돼 여성 음악가로는 가장 많은 1위 싱글을 보유한 기록을 세웠다.[146] 두 번째 싱글은 "Give It 2 Me"로, 빌보드 핫 댄스 클럽 송 차트에서 1위를 하며 마돈나의 39번째 클럽 차트 1위 싱글이 되었다.[147][148] 이후 마돈나는 음반을 홍보하기 위해 라이브 네이션과 함께 Sticky & Sweet Tour를 시작했다. 이 투어는 미국에서만 2억 달러넘게 벌어들여 Confessions Tour를 능가하는 수익률을 보였다.[149] 투어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유럽과 아메리카 그리고 이스라엘에서 공연을 했는데, 4억 달러넘게 벌어들이며 자신의 Confessions Tour 기록을 깨며 역대 여자 가수 투어 성적 1, 2위를 모두 차지했다.[149][150] 2010–현재: W.E., MDNA 및 기타 사업[편집] 2012년 8월 21일 니스에서 열린 MDNA Tour 공연 중의 마돈나. 2010년 1월 마돈나는 아이티를 위한 희망 콘서트 Hope for Haiti Now: A Global Benefit for Earthquake Relief에서 공연을 했다.[151] 4월에는 Sticky & Sweet Tour 실황을 담은 세 번째 라이브 음반 Sticky & Sweet Tour를 발매했다. 이 음반은 라이브네이션에서 처음으로 발매하는 음반이지만, 유통은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에서 맡았다.[152] 한편, 미국 TV 프로그램 《글리》에서 마돈나의 노래로만 이루어진 마돈나 특집 에피소드를 기획했고, 노래 사용을 허락했다.[153] 특집 에피소드는 "The Power of Madonna"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는데, 《Us 위클리》는 대본과 평등에 대한 메시지를 강조하며 "모든 면에서 훌륭했다"고 말했다.[154] 에피소드에 나온 여덟곡의 마돈나 커버 버전을 담은 EP 음반 Glee: The Music, The Power of Madonna는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했다.[155] 마돈나는 자신의 딸 루데스와 함께 의류 브랜드 마테리얼 걸을 런칭했다.[156] 마테리얼 걸은 1980년대 마돈나가 한창 전성기였을 시절 펑키걸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았고, 메이시스 산하로 런칭되었다. 또한 하드캔디 피트니스라는 이름으로 세계적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 사업을 시작해다. 마돈나, 매니저 가이 오시리, 24시간 피트니스 사장 마크 마스트로브는 이 사업에 있어서 동업 관계를 맺었다.[157] 2010년 11월 멕시코시티에서 첫 센터가 개장했고, 마돈나는 이곳을 첫 센터로 선택한 이유로 "세계적 규모의 도시에서 센터 운영을 확인 할 수 있는 매우 훌륭한 곳이라고 믿었다"라고 말했다.[158] 2011년 11월 마돈나와 MG 아이콘은 Truth or Dare by Madonna라는 명으로 신발, 속옷류, 악세사리를 생산하는 두 번째 의류 브랜드를 런칭했고, MG 아이콘 뿐만 아니라 메이시스와 또 다시 동업 관계를 맺었다.[159] 2012년 1월 마돈나의 열두 번째 정규 앨범 제목은 MDNA로 확정되었고, 2012년 3월 26일 발매되었다.[160] 앨범은 발매 첫 주 미국에서 359,000만 장을 팔아 빌보드 200 1위로 데뷔해 마돈나의 여덟 번째 빌보드 200 1위 앨범이 되었다.[161] 이에 앞서 2012년 2월 3일 니키 미나즈와 M.I.A.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첫 싱글 "Give Me All Your Luvin'"을 발매했다.[162] 이 싱글은 빌보드 핫 100 최고 10위까지 올라가면서 마돈나의 38번째 10위권 진입 싱글이 되었는데, 이로인해 싱글 차트 역사상 가장 많은 싱글을 10위권에 진입시킨 가수 기록을 확장했다.[163] 두 번째 싱글 "Girl Gone Wild"는 3월에 발매되었다.[164] 마돈나는 새 앨범 발매에 맞춰 2월 5일 인디애나 폴리스 루카스 오일 스타디움에서 열리는 슈퍼볼 XLVI 히프 타임쇼를 맡았다. 슈퍼볼 공연의 컨셉은 서커스로, 제이미 킹과 서커스 업체 Cirque Du Soleil가 기획을 맡았다.[165][166] 이날 공연에는 씨 로 그린과 LMFAO, 니키 미나즈, M.I.A.가 스페셜 게스트로 무대에 함께 올랐다. 이후 슈퍼볼 XLVI 시청자 수가 1억 4,000만 명을 넘게 기록해 역사상 가장 높은 시청자수를 기록한 히프 타임쇼라고 발표했다.[167] 마돈나는 3월 26일 트위터를 통해 앨범을 홍보하기위한 투어의 제목이 MDNA Tour라고 밝혔다.[168][169][170] 음악 스타일[편집] 마돈나의 음악은 많은 비평가들의 비판과 감시의 대상이 되어왔다. 로버트 엠 그랜트가 2005년 쓴 Contemporary Strategy Analysis에서 마돈나는 확실히 타고난 뛰어난 재능은 없다며 "뛰어난 보컬리스트, 음악가, 댄서, 싱어송라이터, 배우로서 마돈나의 재능은 그다지 대단하지는 않은 것 같다"고 논평했다.[171] 로머트 엠은 마돈나의 성공은 경력 동안 수 많은 다양한 변신과 다른 사람들의 재능에 의존 했기때문이라고 주장했다.[171] 마돈나의 접근 방식은 지금까지의 음악 산업의 성공 방식과는 달랐는데, 마돈나는 경력동안 새로운 음악적 아이디어와 새로운 이미지, 더 높은 명성과 주목을 받기위해 끊임없는 탐구와 실험적인 음악을 해왔다. 그랜트는 "마돈나는 자신을 대중 음악의 여왕으로 확립시키기위해 멈춰있지 않고, 계속 창의적인 것을 만들어냈다"고 결론을 내렸다.[172] 성과[편집] Sticky & Sweet Tour중의 마돈나. 마돈나는 솔로 음악가로는 가장 높은 수익률을 올린 투어 기록을 보유하고있다. 《롤링 스톤》은, 마돈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팝 가수 중 한 명이다"라고 묘사하였다.[173] 마돈나는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자 가수로써 각종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126] 2008년 3월 10일 마돈나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오르기도 했으며,[174] 《빌보드》가 분석한 "빌보드 핫 100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좋은 성과를 낸 아티스트" 순위 중 비틀즈 다음으로 2위로 조사됐다.[175] 또한 마돈나는 세계적으로 수 많은 히트 곡들을 만들어냈는데, 영국에선 13개, 호주 11개 그리고 캐나다에서는 23개의 1위 싱글을 배출해내며 그 어떤 여자 가수보다 많은 기록을 세웠다.[176][177][178] 1998년 《레이디스 홈 저널》이 출판한 100 Most Important Women of the 20th Century에서 마돈나가 중요한 인물로 소개되기도했다.[179] 2003년 7월 VH1과 《피플》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문화 아이콘 200"에서도 7위를 차지했다.[180] 또한 VH1이 "비디오 시대의 가장 위대한 여성 50명" 순위에서 최고의 자리에 선정했다.[181] 그리고 2006년에 발견된 완보동물 생물에는 마돈나의 이름을따 Echiniscus madonnae라는 이름을 붙였다.[182] 상업적 성과 이외에도 《타임》이 2010년 발표한 "지난 수 세기동안 가장 강력한 여성 25" 순위에서 현대 음악에 영향을 끼친 인물로 상위권에 선정되었다.[183] 마돈나는 활동하면서 끊임없는 음악과 비주얼의 변신으로 "여왕의 재발견"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84] 그럼으로써, "마돈나는 자신의 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해 문화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10년 이상 동안 팝의 여왕으로 문제 삼아지지 않았다."[185] 포우즈 에르난데스는 이러한 가치를 부여하며 마돈나가 문화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는 것에 동의했다.[186] 마돈나는 또한 경력에 걸쳐 수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메리 크로스라는 작가는 Madonna: A Biography라는 책 내용 중에서 "대중 음악에 대한 마돈나의 광범위한 영향력은 부정할 수 없다"라고 집필했다. 새로운 팝 아이콘인 넬리 퍼타도, 샤키라 그리고 그웬 스테파니,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들은 모두 마돈나의 도발적인 가사와 섹시한 매력, 여성의 권력에 대한 이미지, 음악 등 여러가지 컨셉들을 따라했다.[187] 또한 브리트니 스피어스와 같이 여성 팝 공연자들인 제니퍼 로페즈, 카일리 미노그, 데스티니 차일드, 핑크, 스파이스 걸스 모두 포우즈 에르난데스에 따르면, "이들은 마돈나의 음악을 듣고, 감탄하며 자랐다. 이들은 모두 마돈나처럼 되고싶다는 매우 직접적인 의미에서 마돈나의 딸들이다"라고 했다.[188] 이중에서 특히 스피어스는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가수로 꼽히고있다.[189] 마돈나는 또한 미국 주류 대중음악 문화에 유럽 스타일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을 끌어들였는데, 스튜어트 프라이스 그리고 미르웨이스라는 유럽의 프로듀서들과 일렉트로닉 음악 작업을 거의다했다.[190] 한편, 마돈나의 음반은 세계적으로 3억 장 이상이 팔려나가고있다.[191] 또한 20세기 여자 록 가수로는 최고의 판매량을 자랑하고 있고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에서만 6,400만 장을 인증받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이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음반을 많이 판 여자 가수라는 기록을 세웠다.[192][193] 마돈나의 높은 음반 판매량에도 불구하고, 2001년 국제음반산업협회에서 불법 복제가 가장 심하게 이루어지고있는 아티스트라고 발표했다.[194] 또한 "이 여성은 오랫동안 업계를 위해 싸웠고 여러 종류의 금융 통제권을 성취했다"며 마돈나는 자신 업계의 경인인들에게 중요한 롤모델로써 찬사를 받아왔고, 마돈나 첫 경력 10년동안 120억 달러가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195] 음반 목록[편집] 정규 음반 1983: Madonna 1984: Like A Virgin 1986: True Blue 1989: Like A Prayer 1992: Erotica 1994: Bedtime Stories 1998: Ray Of Light 2000: Music 2003: American Life 2005: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8: Hard Candy 2012: MDNA 2015: Rebel Heart 2019: Madame X 컴필레이션 음반 1987: You Can Dance 1990: The Immaculate Collection 1995: Something to Remember 2001: GHV2 2003: Remixed & Revisited 2009: Celebration 출연 작품[편집] 스웹트 어웨이(Swept Away, 2002) 넥스트 베스트 씽(The Next Best Thing)1999 걸 식스(Girl 6) 1996 에비타(Evita) 1996 블루 인 더 페이스(Blue In The Face) 1995 포 룸(Four Rooms) 1995 스네이크 아이(Dangerous Game) 1993 육체의 증거(Body Of Evidence) 1993 그림자와 안개(Shadows And Fog) 1992 그들만의 리그(A League Of Their Own) 1992 진실 혹은 대담(Madonna: Truth Or Dare:In Bed With Madonna) 1991 딕 트레이시(Dick Tracy) 1990 야망의 브로드웨이(Bloodhounds Of Broadway) 1989 화려한 유혹(Who's That Girl) 1987 상하이 유혹(Shanghai Surprise) 1986 청춘의 승부(Vision Quest) 1985 수잔을 찾아서(Desperately Seeking Susan) 1985 상처 뿐인 과거(A Certain Sacrifice) 1980 아더와 미니모이 같이 보기[편집] 김완선 대중음악의 별명 목록 가장 많은 음반을 판 음악가 목록 각주[편집] ↑ “Madonna: Rolling Stone”. 《롤링 스톤》. 2008.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ross, Mary (2004). 《Madonna: A Biography》. Canongate U.S. ISBN 0313338116.  ↑ Morton, Andrew (2002). 《Madonna》. Macmillan. ISBN 0312983107.  ↑ RIAA Top Selling Artists ↑ “The American Recording Industry announces its Artists of the Century”. RIAA. 1999년 11월 10일. 200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100 Chart 50th Anniversary ↑ Madonna leads list of Rock Hall inductees – CNN.com ↑ Denise, Worrell (1985년 5월 27일). “Now: Madonna on Madonna”. 《타임》 (영어).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The Child Who Became a Star: Madonna Timeline”. 《The Daily Telegraph》 (영어) (런던). 2006년 7월 26일.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adonna Biography, Discography, Filmography” (영어). Fox News Channel. 2008년 1월 3일. 2012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Taraborrelli 2002, 11–13쪽 ↑ Imogen, Tilden (2001년 7월 4일). “Madonna News”. 《The Guardian》 (영어) (런던).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12쪽 ↑ Taraborrelli 2002, 26–29쪽 ↑ Taraborrelli 2002, 25쪽 ↑ Hosted by Paula Zahn. 〈A Star with Staying Power〉. 《People in the News》. CNN.  ↑ Hosted by Jim Wallasky. 〈Madonna: Queen of Pop〉. 《Biography》. 5 분. The History Channel.  ↑ Rettenmund 1995, 45쪽 ↑ O'Brien 2007, 56쪽 ↑ Taraborrelli 2002, 23쪽 ↑ “Madonna Biography: Part 1”. 《People》. 2003년 9월 2일. 2008년 5월 28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23쪽 ↑ Orzeck, Kurt (2007년 9월 23일). “Madonna, Beastie Boys Nominated For Rock And Roll Hall Of Fame”. 《MTV》 (MTV Networks).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Holden, Stephen (1992년 4월 20일). “Madonna Makes a $60 Million Deal”. 《The New York Times》.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영어) https://www.allmusic.com/artist/madonna-p64565/charts-awards/billboard-albums “Madonna – Charts & Awards – Billboard Album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영어) https://www.allmusic.com/artist/madonna-p64565/charts-awards/billboard-singles “Madonna – Charts & Awards – Billboard Singles”]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Rovi Corporation.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Clerk 2002, 20쪽 ↑ Rettenmund 1995, 67쪽 ↑ Cross 2007, 31쪽 ↑ Voller 1999, 18쪽 ↑ Jocelyn, Vena (2009년 8월 12일). “Can Lady Gaga Top These Iconic MTV VMA Performances?”.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1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Diamond Awards – Certified Albums – RIAA”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10년 1월 3일에 확인함.  ↑ “Contrasting fortunes as Madonna and Jacko turn 50”. 《The Age》 (영어) (멜버른: Fairfax Media). 2008년 8월 15일.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 “Definitive 200 of All-time” (영어). 전국음반상인협회. 2010년 4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Artist Chart History – Madonna”. 《Billboard》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3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Madonna Scores 12th Chart Topper in the UK”. 《BBC》. 2006년 2월 26일.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American Film Institute (1984). “Desperately Seeking Madonna”. 《Film Journal International》 (Arthur M. Sackler Found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0: 20. ISSN 1536-3155.  ↑ Greig, Geordie (2005년 11월 6일). “Geordie Greig Meets Madonna: Secret Life of a Contented Wife”. 《The Sunday Times》 (London).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Warren 외. 2001, 23–25쪽 ↑ 가 나 Morton 2002, 134–135쪽 ↑ Bohem 1990, 78쪽 ↑ “Madonna Biography” (영어). 트리뷴 엔터테인머트 미디어 그룹.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Erlewine, Stephen Thomas (1987년 12월 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12207 “You Can Danc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10년 5월 18일에 확인함.  ↑ Horton 2007, 56쪽 ↑ “‘마돈나 십자가 공연 TV로 중계’논란”. 쿠키뉴스. 2006년 9월 29일. 2011년 2월 4일에 확인함.  ↑ Madonna (1989). 《Like a Prayer》 (Audio CD). Sire Records.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Considine, J.D. (1989년 4월 6일). “Madonna: Like A Prayer: Review”. 《Rolling Stone》 (Jann Wenner). 2007년 1월 21일에 확인함.  ↑ Clerk 2002, 146쪽 ↑ Taraborrelli 2002, 217쪽 ↑ Press release (1990년 5월 25일). “Michael, Madonna Top 'Billboard' Poll”. 《Dayton Daily News》 (Cox Enterprises): 23. ISSN 0897-0920.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Bego 2000, 232쪽 ↑ Morton 2002, 98쪽 ↑ Herrera, Monica (2000년 9월 15일). “Poll: 'Vogue' Is Fave Madonna Chart-Topper”. 《Billboard》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Pitts 2004, 40쪽 ↑ Sporkin, Elizabeth (1990년 7월 2일). “He Still Leaves 'Em Breathless”. 《피플》 (영어). 2009년 7월 30일에 확인함.  ↑ Ciccone, Christopher (2008년 7월 19일). “Warren Beatty, Sean Penn ... and My Sister Madonna's Great Daddy Chair Dilemma”. 《Daily Mail》 (런던). 2009년 5월 23일에 확인함.  ↑ Guilbert 2002, 140쪽 ↑ Walters, Barry (2006년 6월 1일). “Crucifixes, Leather and Hits”.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1067 (56). ISSN 0035-791X.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가 나 다 Smith, Neil (2004년 5월 24일). “Show Stealer Madonna on Tour”. 《BBC》 (영어). 2008년 2월 12일에 확인함.  ↑ Grunt, Gary (2006년 5월 23일). “Madonna's giant cross offensive”. 《BBC》 (영어). 2006년 5월 28일에 확인함.  ↑ Sexton 1993, 88쪽 ↑ 가 나 다 “Grammy Award Winners – Madonna” (영어). 미국리코딩예술산업아카데미.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Cross 2007, 128쪽 ↑ Kawaguchi, Judith (2007년 10월 23일). “Words to Live by: Goh Hotoda”. 《더 재팬 타임스》 (영어). 2012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일에 확인함.  ↑ “Madonna – Justify My Love – Worldwide peaks”. 《Ultratop 50》. Hung Medien. 2010년 5월 28일에 확인함.  ↑ Rich, Joshua (1998년 11월 20일). “Madonna Banned”.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Time Inc.).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Lippens, Nate (2007). “Making Madonna: 10 Moments That Created an Icon”. 《MSN》 (영어). MSN 뮤직. 2008년 1월 4일에 확인함.  ↑ Morton 2002, 54쪽 ↑ 가 나 Kirschling, Gregory (2002년 10월 25일). “The Naked Launch”.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2008년 5월 27일에 확인함.  ↑ “Madonna.com > Discography > Erotica”. 《마돈나 공식 웹사이트》 (영어). Madonna.com. 2014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Metz & Benson 1999, 17–20쪽 ↑ “Body of Evidence”. 《로튼 토마토》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Maslin, Janet (1993년 11월 19일). “A Movie Within a Movie, With a Demure Madonna”. 《더 뉴욕 타임스》 (영어).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Booth, Samantha (2007년 4월 26일). “25 Years of Madonna”. 《데일리 레코드》 (영어) (Trinity Mirror). 2008년 6월 10일에 확인함.  ↑ Taraborrelli 2002, 235쪽 ↑ Voller 1999, 221쪽 ↑ Erlewine, Stephen Thomas (1995년 11월 17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431248 “Something to Remember”]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7월 30일에 확인함.  ↑ Gleiberman, Owen (1996년 12월 20일). “Evita (1997)”. 《엔터테인먼트 위클리》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Maslin, Janet (1996년 12월 6일). “Madonna, Chic Pop Star, As Chic Political Leader”. 《더 뉴욕 타임스》 (영어).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스크린의 여왕 새로 난다”. 동아일보. 1996년 12월 28일. 17면.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정순민 (2006년 12월 9일). “영화 에비타…마돈나 ‘파격 캐스팅’ 96년 빅히트”. 파이낸셜뉴스.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 Steward, Jason (1996년 10월 16일). “Girl for Madonna”. 《더 인디펜던트》 (영어).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Barnes, Anthony (2006년 7월 9일). “Kabbalah: is Madonna losing her religion?”. 《더 인디펜던트》 (영어) (London).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Rooksby 2004, 50쪽 ↑ Michael 2004, 46쪽 ↑ Cinquemani, Sal (2003년 3월 9일). “Madonna: Ray Of Light – Music Review” (영어). 실렌트 매거진. 2009년 7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Madonna's secret to making 'Music'”. 《CNN》 (영어). 2000년 11월 10일. 2008년 2월 9일에 확인함.  ↑ “The Rolling Ston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2013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 Reporter, BBC (1998년 8월 15일). “Madonna: mad for fame at 40”. 《BBC》 (영어). 2009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Metz & Benson 1999, 167쪽 ↑ “Madonna in plagiarism case defeat”. 《BBC》 (영어). 2005년 11월 18일. 2007년 1월 21일에 확인함.  ↑ Jones, Graham (2001년 10월 25일). “Gates 'opens' Windows XP in New York”. 《CNN》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Cross 2007, 134쪽 ↑ Clinton, Paul (1999년 10월 28일). “Review: "Music of the Heart" Hits All the Right Notes”. 《CNN》 (영어). 200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Presenter, Radio 2. “Top 100 47: American Pie”. 《BBC Radio 2》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Bronson 2002, 989쪽 ↑ 고영탁 (2001년 2월). “이즘-마돈나-Music”.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0년 9월 28일). “After 11 Year Absence, Madonna's Back At No. 1”.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2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20일에 확인함.  ↑ Lee, Hann C. (2001년 3월 23일). “Controversial new Madonna video airs on the Web”. 《CNN》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Hastings, Chris (2005년 8월 28일). “Madonna uses secret nightclub 'focus groups' to pick songs for new album”. 《데일리 텔레그래프]]》 (영어) (런던: 텔레그래프 미디어 그룹). 2010년 8월 10일에 확인함.  ↑ CNN Reporter (2000년 8월 11일). “Madonna gives birth to boy”. 《CNN》 (영어). 2006년 5월 5일에 확인함.  ↑ “Madonna Weds Her Guy”. 《BBC》 (영어). 2000년 12월 22일.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1년 12월 29일). “The Year in Touring”. 《빌보드》 (영어) (뉴욕: Nielsen Business Media, Inc) 113 (52): 44. ISSN 0006-2510.  ↑ Erlewine, Stephen Thomas (2001년 11월 1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r559135 “GHV2”]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올뮤직》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5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 flop goes straight to video”. 《BBC》 (영어). 2002년 11월 8일. 2008년 6월 3일에 확인함.  ↑ “Golden Raspberry Awards past winners database”.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영어) (Tribune Company). 2008년 6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American Life by Madonna: Review” (영어). 메타크리틱. 2007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Norris, John (2003년 4월 9일). “Madonna: Her American Life”.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Flick, Larry. “All-Americna Girl”. 《더 에드보케이트》 (영어) (887): 45. ISSN 0001-8996.  ↑ “<마돈나, `아메리칸 라이프' 뮤직 비디오 출시 철회>”. 뉴시스. 2003년 4월 2일.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마돈나 "이라크에서 군대를 철수시켜라"”. 조이뉴스24. 2004년 11월 10일. 2011년 5월 13일에 확인함.  ↑ Susman, Gary (2003년 4월 1일). “Miss 'American'”. 《Entertainment Weekly》. 2010년 5월 17일에 확인함.  ↑ Moss, Corey (2003년 8월 28일). “Madonna Smooches With Britney And Christina”.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Gardner, Elysa (2003년 8월 28일). “Madonna, Spears, Aguilera shock at MTV Awards”. 《USA 투데이》 (영어) (Gannett Company). 2007년 1월 10일에 확인함.  ↑ Taraborrelli 2003, 233쪽 ↑ Brackett 2004, 304쪽 ↑ Cross 2007, 97쪽 ↑ Horton 2007, 197쪽 ↑ Silverman, Stephen M. (2004년 6월 1일). “Madonna Boasts Top-Grossing Show of Year”. 《피플》 (영어). 2008년 5월 23일에 확인함.  ↑ Erlewine, Stephen Thomas (2006년 6월 12일). [(영어) https://www.allmusic.com/album/im-going-to-tell-you-a-secret-r834380 “I'm Going to Tell You a Secret”]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Allmusic》 (영어). Rovi Corporation. 2009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스피어스, 브리트니 (2006년 11월 9일). “Number 36: Madonna”. 《롤링 스톤》 (영어) (Jann Wenner). 2008년 1월 3일에 확인함.  ↑ Associated Press (2005년 1월 16일). “Hollywood, music stars join forces in tsunami telethon”. 《ABC News》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국영 방송).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BBC Reporter. “The Live 8 Event”. 《BBC》 (영어).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arris, Chris (2005년 11월 23일). “Madonna's Confessions Floors Carrie And Carey For Billboard #1”. 《MTV》 (영어) (MTV Networks). 200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05년 11월 19일). “Albums: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Billboard》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17 (47): 45. ISSN 0006-2510. 2009년 7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Glenday 2007, 167쪽 ↑ Caulfield, Keith (2006년 9월 4일). “Madonna's 'Confessions' Tour Sets Record”.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0년 2월 24일에 확인함.  ↑ Press Release (2006년 9월 13일). “IFPI Platinum Europe Awards: July & August 2006”. 국제음반산업협회. 2007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BBC Reporter (2006년 10월 11일). “Madonna 'adopts child in Africa'”. 《BBC》 (영어). 2008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시몬, 페리 (2006년 10월 9일). “Boy Madonna Hopes to Adopt, Leaves Africa”. 《피플》 (영어). 2006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강승훈 (2006년 8월 31일). “"마돈나 입양은 불법!", 말라위 인권단체 주장”. 마이데일리. 201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이규림 (2006년 10월 18일). “마돈나, "이번 입양, 불법 아니다" 성명 발표”. 마이데일리. 2011년 5월 14일에 확인함.  ↑ Tenthani, Raphael (2006년 10월 28일). “Madonna 'Over the Moon' About Finalized Adoption”. 《피플》 (영어). 2008년 5월 28일에 확인함.  ↑ Norman, Pete (2006년 12월 9일). “Madonna's H&M TV Commercial”. 《피플》 (영어). 2007년 3월 7일에 확인함.  ↑ “Madonna’s clothing line goes on sale at H&M” (영어). MSNBC. Associated Press. 2007년 3월 23일.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Herrera, Monica (2007년 7월 16일). “Live Earth London Wraps With Madonna Spectacular”.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10년 2월 25일에 확인함.  ↑ Petridis, Alexis (2007년 8월 9일). “I Am Because We Are review”. 《The Guardian》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Elan, Priya (2008년 4월 3일). “Review: Madonna's Filth and Wisdom”. 《The Times》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Johnston, Sheila (2008년 2월 14일). “Filth and Wisdom: Don't give up the day job, Madonna”. 《The Daily Telegraph》 (영어) (런던).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Madonna, Others Named to Rock Hall of Fame”. 《USA Today》 (영어) (Gannett Company). Associated Press. 2007년 12월 13일. 2007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Madonna Has Her Say At Rock Hall Ceremony”. 《CBS News》 (영어) (CBS Interactive). 2008년 3월 18일. 2010년 5월 18일에 확인함.  ↑ Reid, Shaheem (2008년 8월 8일). “Timbaland Talks About His And Justin Timberlake's 'Hot' Collabo With Madonna”.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4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s Hard Candy Debuts At #1 in 37 countries”. 《마돈나 공식 웹사이트》 (영어) (Madonna.com). 2008년 4월 30일. 2011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Hasty, Katie (2008년 5월 7일). “Madonna Leads Busy Billboard 200 with 7th #1”.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8년 5월 7일에 확인함.  ↑ Hasty, Katie (2008년 4월 2일). “Mariah, Madonna Make Billboard Chart History”.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8년 4월 2일에 확인함.  ↑ Schmidt, Veronica (2008년 4월 21일). “Madonna Goes to No. 1 For the 13th Time”. 《더 타임》 (영어) (런던). 2008년 4월 21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Dance Club Play”. 《Billboard》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20 (32): 64. 2008년 8월 9일. ISSN 0006-2510.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Dance Airplay”. 《빌보드》 (영어) (New York: Nielsen Business Media, Inc) 120 (28): 52. 2008년 7월 8일. ISSN 0006-2510. 200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Kaufman, Gil (2009년 9월 3일). “Madonna Breaks Her Own Solo-Tour Record With Sticky & Sweet”. 《MTV》 (영어) (MTV Networks). 2010년 2월 25일에 확인함.  ↑ Herrera, Monica (2009년 1월 30일). “Madonna Resuming Sticky & Sweet Tour This Summer”.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5월 24일에 확인함.  ↑ Johnston, Maura (2010년 1월 22일). “Madonna Brings Classic 'Like A Prayer' To 'Hope For Haiti Now' Telethon”. MTV.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 “Madonna's 'Sticky & Sweet' Concert To Be Released March 30 On DVD, Blu-Ray And CD”.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0년 1월 12일. 2010년 1월 12일에 확인함.  ↑ Stack, Tim (2009년 10월 21일). “'Glee' Exclusive: Madonna is on board! Is Adam Lambert next?”. 《Entertainment Weekly》. 2010년 3월 4일에 확인함.  ↑ “Exclusive: Madonna Rates Glee's All-Madonna Episode: "Brilliant"”. 《Us Weekly》. 2010년 4월 16일. 2010년 4월 21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10년 4월 28일). “Madonna's 'Glee'tastic 'Celebration' Continues on Hot 100, Digital Chart”. 《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0년 4월 29일에 확인함.  ↑ “Madonna sued over "Material Girl" clothing line”. 《Reuters》. 2010년 8월 20일. 201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Lee, Joyce (2010년 10월 26일). “Madonna to Open "Hard Candy" Gym Chain”. CBS News. 2012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Eisen, Benjy (2010년 11월 29일). “Madonna Opens First 'Hard Candy Fitness' Gym in Mexico City”. Spinner. 2010년 12월 2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Madonna And MG Icon Announce The Launch of The "Truth or Dare by Madonna" Brand”.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1년 11월 3일.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Madonna Reveals New Album Title” (영어). Icon: Official Madonna website (Madonna.com). 2012년 1월 11일. 2012년 1월 11일에 확인함.  ↑ Up for Discussion (2009년 9월 14일). “Madonna Debuts at No. 1 on Billboard 200, Lionel Richie at No. 2” (영어). Billboard.com. 2012년 4월 7일에 확인함.  ↑ Halperin, Shirley (2011년 12월 15일). “Madonna's Interscope-Live Nation Deal Worth $40 Million; Album Due Out in March”. 《더 할리우드 리포터》 (영어). 프로매테우스 글로벌 미디어. 2011년 12월 15일에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Up for Discussion (2009년 9월 14일). “Madonna Scores Record-Extending 38th Hot 100 Top 10” (영어). Billboard.com. 2012년 4월 29일에 확인함.  ↑ “Girl Gone Wild by Madonna” (영어). 아이튠즈 스토어 (미국). Apple Inc. 2012년 3월 2일에 확인함.  ↑ Caulfield, Keith (2011년 9월 3일). “Madonna Fans Rejoice: New Album Due in Spring 2012”. 《빌보드》 (영어) (프로매테우스 그로벌 미디어).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Super Bowl XLVI Halftime show will feature Madonna” (영어). 내셔널 풋볼 리그. 2011년 12월 4일. 2011년 12월 5일에 확인함.  ↑ “Super Bowl XLVI Sets Viewership Record; Madonna's Halftime Show Most Watched Ever” (영어). SB Nation. 2012년 2월 6일. 2012년 2월 6일에 확인함.  ↑ Waddell, Ray (2012년 2월 7일). “Madonna Sets 2012 World Tour Dates” (영어). 빌보드.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 Madonna (2012년 3월 26일). “Madonna MDNA Day on Twitter” (영어). 트위터. 2012년 3월 26일에 확인함.  ↑ Madonna (2012년 2월 10일). “MDNA had the biggest one-day pre-order in iTunes history and by day three, MDNA ranked at No. 1 in iTunes stores in 50 countries.” (영어). MTV. 2012년 2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Grant 2005, 6쪽 ↑ Grant 2005, 3쪽 ↑ Ganz, Caryn (2004). “Biography – Madonna”. 《Rolling Stone》. 2008년 4월 29일에 확인함.  ↑ Cohen, Jonathan (2007년 9월 27일). “Madonna, Beasties, Mellencamp Up For Rock Hall”. 《Billboard》.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Billboard Hot 100 Chart 50th Anniversary”. 《빌보드》 (영어)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9년 10월 1일에 확인함.  ↑ “The musical superstars”. 《BBC》 (영어).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Ryan, Gavin (2009). 《ARIA Singles Chart Book 1988–2008》 (영어) 1판. Mt. Martha, Victoria: Moonlight Publishing. 91–92쪽.  ↑ “Madonna singles discography”. 《RPM》 (영어). RPM Library Archives. 200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Markey, Kevin (1998). 《100 Most Important Women of the 20th Century》 (영어). 레이디스 홈 저널. ISBN 0-696-20823-7.  ↑ Castro, Peter (2003년 7월 21일). “Live From The Headlines”. 《CNN》 (영어). 2010년에 확인함.  ↑ 《50 Greatest Women of the Video Era》 (영어), VH1,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 “Echiniscus madonnae”. 《Tardigrada Newsletter》 (영어). Michalczyk & Kaczmarek. 2006. 2008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14일에 확인함.  ↑ Castillo, Michelle (2010년 11월 18일). “The 25 Most Powerful Women of the Past Century: Madonna (1958–present)”. 《타임》 (영어). 2010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Gallo 2006, 67쪽 ↑ Axelrod 2007, 103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8쪽 ↑ Cross 2007, 107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1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162쪽 ↑ Fouz-Hernández & Jarman-Ivens 2004, 67–70쪽 ↑ Egan, Barry (2010년 1월 3일). “U2 strike a chord in the best albums from 2009”. 《더 인디펜던트》 (영어) (인디펜던트 뉴스 & 미디어). 2010년 7월 23일에 확인함.  ↑ “Top Selling Artists”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6월 9일에 확인함.  ↑ Press Release (1999년 11월 10일). “The American Recording Industry Announces Its Artists of the Century”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200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Arthur, Charles (2001년 6월 13일). “Hi-tech pirates copy CDs 'for a few pence'”. 《더 인디펜던트》 (영어) (인디펜던트 뉴스 & 미디어). 2011년 1월 2일에 확인함.  ↑ Kramarae & Spender 2000, 459쪽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마돈나 (영어) 마돈나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마돈나의 채널 - 유튜브 마돈나 - 인스타그램 마돈나 - 트위터 마돈나 - 페이스북 vdeh마돈나음반정규 Madonna (1983) Like a Virgin (1984) True Blue (1986) Like a Prayer (1989) Erotica (1992) Bedtime Stories (1994) Ray of Light (1998) Music (2000) American Life (2003) Confessions on a Dance Floor (2005) Hard Candy (2008) MDNA (2012) Rebel Heart (2015) 사운드트랙 Who's That Girl (1987) I'm Breathless (1990) Evita (1996) 컴필레이션 Like a Virgin & Other Big Hits! (1984) You Can Dance (1987) The Immaculate Collection (1990) Something to Remember (1995) GHV2 (2001) Remixed & Revisited (2003) Celebration (2009) 콘서트 투어 The Virgin Tour (1985) Who's That Girl World Tour (1987) Blond Ambition World Tour (1990) The Girlie Show World Tour (1993) Drowned World Tour (2001) Re-Invention World Tour (2004) Confessions Tour (2006) Sticky & Sweet Tour (2008 ~ 2009) The MDNA Tour (2012) Rebel Heart Tour (2015 ~ 2016) Madonna: Tears of a Clown (2016) 음반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수상 및 후보   분류   위키공용 vdeh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 영화 뮤지컬/코미디1950-1959 주디 홀리데이 (1950) 준 앨리슨 (1951) 수전 헤이워드 (1952) 에설 머먼 (1953) 주디 갈랜드 (1954) 진 시먼스 (1955) 데버러 카 (1956) 케이 켄들 / 타이나 엘그 (1957) 로절린드 러셀 (1958) 마릴린 먼로 (1959) 1960-1979 셜리 매클레인 (1960) 로절린드 러셀 (1961) 로절린드 러셀 (1962) 셜리 매클레인 (1963) 줄리 앤드루스 (1964) 줄리 앤드루스 (1965) 린 레드그레이브 (1966) 앤 밴크로프트 (1967)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68) 패티 듀크 (1969) 캐리 스노드그레스 (1970) 트위기 (1971) 라이자 미넬리 (1972) 글렌다 잭슨 (1973) 라켈 웰치 (1974) 앤 마그릿 (1975)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76) 다이앤 키턴/마샤 메이슨 (1977) 엘런 버스틴/매기 스미스 (1978) 벳 미들러 (1979) 1980-1999 시시 스페이식 (1980) 버나뎃 피터스 (1981) 줄리 앤드루스 (1982) 줄리 월터스 (1983) 캐서린 터너 (1984) 캐서린 터너 (1985) 시시 스페이식 (1986) 셰어 (1987) 멜러니 그리피스 (1988) 제시카 탠디 (1989) 줄리아 로버츠 (1990) 벳 미들러 (1991) 미란다 리처드슨 (1992) 앤절라 바셋 (1993) 제이미 리 커티스 (1994) 니콜 키드먼 (1995) 마돈나 (1996) 헬렌 헌트 (1997) 귀네스 팰트로 (1998) 재닛 맥티어 (1999) 2000-2020 러네이 젤위거 (2000) 니콜 키드먼 (2001) 러네이 젤위거 (2002) 다이앤 키턴 (2003) 아네트 베닝 (2004) 리스 위더스푼 (2005) 메릴 스트립 (2006) 마리옹 코티야르 (2007) 샐리 호킨스 (2008) 메릴 스트립 (2009) 아네트 베닝 (2010) 미셸 윌리엄스 (2011) 제니퍼 로렌스 (2012) 에이미 애덤스 (2013) 에이미 애덤스 (2014) 제니퍼 로렌스 (2015) 엠마 스톤 (2016) 시얼샤 로넌 (2017) 올리비아 콜먼 (2018) vdeh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올해의 아티스트1996-1999 TLC (1996) 없음 (1997) 없음 (1998) 가스 브룩스 (1999) 2000-2020 없음 (2000) NSYNC (2001) U2 (2002) 마돈나 (2003) 케니 체스니 (2004) 켈리 클락슨 (2005) 래스컬 플래츠 (2006) 캐리 언더우드 (2007) 크리스 브라운 (2008) 테일러 스위프트 (2009) 저스틴 비버 (2010) 테일러 스위프트 (2011) 저스틴 비버 (2012) 테일러 스위프트 (2013) 원 디렉션 (2014) 원 디렉션 (2015) 아리아나 그란데 (2016) 브루노 마스 (2017) 테일러 스위프트 (2018) vdeh일본 골드디스크 대상 아티스트 오브 더 이어 1987년 나카모리 아키나/마돈나 1988년 레베카/비틀스 1989년 보위/본 조비 1990년 사잔올스타즈/마돈나 1991년 마츠토야 유미/마돈나 1992년 차게 앤 아스카/건스 앤 로지스 1993년 차게 앤 아스카/마돈나 1994년 WANDS/비틀스 1995년 TRF/머라이어 캐리 1996년 trf/머라이어 캐리 1997년 아무로 나미에/Me & My 1998년 글레이/셀린 디옹 1999년 B'z/셀린 디옹 2000년 우타다 히카루/셀린 디옹 2001년 하마사키 아유미/비틀스 2002년 하마사키 아유미/백스트리트 보이스 2003년 우타다 히카루/에이브릴 라빈 2004년 하마사키 아유미/여자12악방 2005년 오렌지 렌지/퀸 2006년 코다 쿠미/O-Zone 2007년 코다 쿠미/다니엘 파우터 2008년 EXILE/에이브릴 라빈 2009년 EXILE/마돈나 2010년 아라시/비틀스 2011년 아라시/레이디 가가 2012년 AKB48/레이디 가가 2013년 AKB48/세네루 2014년 AKB48/원 디렉션 2015년 아라시/원 디렉션 2016년 아라시/비틀스 2017년 아라시/아리아나 그란데 최다 수상 아라시/마돈나 (5회)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9270244 LCCN: n84156128 ISNI: 0000 0001 0782 262X GND: 118829688 SELIBR: 212081 SUDOC: 028039637 BNF: cb138969311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79239441-bfd5-4981-a70c-55c3f15c1287 NLA: 35697093 NDL: 00470886 NKC: jn20000720159 ICCU: IT\ICCU\RAVV\090347 RLS: 000006218 BNE: XX893212 CiNii: DA0892662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돈나&oldid=24444899" 분류: 마돈나1958년 태어남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수상자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여우주연상(영화) 수상자미국의 여자 가수미국의 팝 가수미국의 전자 음악가미국의 댄스 음악가미국의 여자 영화 배우미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미국의 성소수자 인권운동가미시간주 출신 음악가미시간 대학교 동문브릿 어워드 수상자살아있는 사람이탈리아계 미국인영어 가수프랑스계 미국인캐나다계 미국인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월드 뮤직 어워드 수상자섹스 긍정 여성주의자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아메리칸 뮤직 어워드 수상자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URL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CymraegDanskDeutschZazakiDolnoserbskiडोटेली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עבריתहिन्दी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ongoҚазақшаПерем КомиКоми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Basa Banyumasan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MirandésNāhuatlNedersaksies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سنڌي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3: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봄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봄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방송이 계획되었거나 아직 종영되지 않은 TV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봄밤 장르 멜로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9년 5월 22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수, 목 밤 8시 55분 ~ 10시 5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32부작 추가 채널 MBC 드라마넷, 넷플릭스 기획 MBC 드라마본부 제작사 제이에스픽쳐스 제작자 이진석 연출 안판석 극본 김은 출연자 한지민, 정해인, 김준한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봄밤 홈페이지 《봄밤》은 2019년 5월 22일부터 방송중인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이며 한지민이 분한 이정인 역은 당초 손예진이 낙점됐으나[1] 개인사정 때문에 고사했다. 한편, 송승환 (이태학 역)이 2016년 SBS 《그래, 그런거야》 이후[2] 해당 작품으로 안방극장 복귀를 했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이정인의 가족 2.3 이정인의 주변 인물 2.4 유지호의 가족 2.5 유지호의 주변 인물 2.6 권기석의 가족 2.7 그 외 인물 2.8 특별출연 3 시청률 4 동시간대 드라마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봄밤은 알고 있다. 당신이 사랑에 빠지리라는 것을.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한지민 : 이정인(35세) 역 - 지역 도서관 사서 정해인 : 유지호(35세) 역 - 약사 김준한 : 권기석(38세) 역 - 은행 본사 심사과 과장, 정인의 연인 이정인의 가족[편집] 임성언 : 이서인(36세) 역 - 이정인의 언니, 방송국 아나운서 주민경 : 이재인(30세) 역 - 이정인의 동생, 대학원생 송승환 : 이태학(61세) 역 - 이정인의 아버지, 수영고등학교 교장 길해연 : 신형선(60세) 역 - 이정인의 어머니, 주부 이무생 : 남시훈(40세) 역 - 이서인의 남편, 치과 병원장 이정인의 주변 인물[편집] 이상희 : 송영주(35세) 역 - 도서관 사서, 친구 윤슬 : 오하린(30세) 역 - 도서관 계약직 유지호의 가족[편집] 오만석 : 유남수(62세) 역 - 유지호의 아버지, 세탁소 운영 김정영 : 고숙희(58세) 역 - 유지호의 어머니, 세탁소 운영 하이안 : 유은우(6세) 역 - 유지호의 아들 유지호의 주변 인물[편집] 서정연 : 왕혜정(40세) 역 - 약사 이유진 : 이예슬(23세) 역 - 약국 아르바이트생 임현수 : 최현수(35세) 역 - 유지호의 친구, 한솔은행 본사 심사과 대리 이창훈 : 박영재(35세) 역 - 유지호의 친구, 공시생 권기석의 가족[편집] 김창완 : 권영국(65세) 역 - 권기석의 아버지, 수영재단 이사장 그 외 인물[편집] 박상준 최기옥 이형석 전석찬 김송일 강후재 김낙형 김종태 육미라 장하란 김학선 김권 특별출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9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22일 4.1% 3.9% 4.6% 제2회 6.2% 6.0% 7.0% 제3회 5월 23일 4.5% 3.6% 4.3% 제4회 6.1% 5.6% 6.3% 제5회 5월 29일 4.2% 4.0% % 제6회 5.9% 6.1% 7.1% 제7회 5월 30일 4.4% 4.4% % 제8회 5.8% 6.4% 7.4% 제9회 6월 5일 % 4.5% 5.5% 제10회 5.9% 6.5% 7.9% 제11회 6월 6일 5.9% 6.8% 8.0% 제12회 7.3% 8.4% 9.8% 제13회 6월 12일 % 5.1% 5.5% 제14회 5.9% 7.0% 7.7% 제15회 6월 13일 6.0% 5.4% 5.8% 제16회 7.1% 7.0% 7.6% 제17회 6월 19일 5.4% 5.0% 5.9% 제18회 7.7% 8.1% 9.4% 제19회 6월 20일 5.6% 6.1% 7.3% 제20회 7.6% 7.7% 8.9% 제21회 6월 26일 5.8% 6.0% 6.7% 제22회 7.8% 7.9% 8.9% 제23회 6월 27일 6.0% 6.0% 6.7% 제24회 7.3% 8.0% 8.9% 제25회 7월 3일 % % % 제26회 % % % 제27회 7월 4일 % % % 제28회 % % % 제29회 7월 10일 % % % 제30회 % % % 제31회 7월 11일 % % % 제32회 % % %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KBS 2TV 수목 미니시리즈 《단, 하나의 사랑》 (2019년 5월 22일 ~ 2019년 7월 11일) SBS 수목 미니시리즈 《절대 그이》 (2019년 5월 15일 ~ 2019년 7월 11일)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ㅂ 2019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각주[편집] ↑ 최지윤 (2019년 1월 29일). “한지민·정해인, 역대급 로맨스···MBC 드라마 '봄밤'”. 뉴시스.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 권지현 (2019년 4월 16일). “‘하나뿐인 내편’ 정재순, 인생 연기를 남기다”. 브라보마이라이프.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편집] 봄밤 공식사이트 네플릭스 봄밤 홈페이지 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더 뱅커(2019년 3월 27일 ~ 2019년 5월 16일) 봄밤(2019년 5월 22일 ~ 2019년 7월 11일) 신입사관 구해령(2019년 7월 17일 ~ )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봄밤》)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vdeh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봄밤》)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몽》) 특집드라마† 과거 거부실록 시리즈 공화국 시리즈 논스톱 시리즈 달수 시리즈 드라마 페스티벌 목금드라마 베스트극장 베스트셀러극장 수사반장 시즌드라마 시트콤 아침드라마 예능드라마 여인열전 시리즈 외화시리즈 일요 드라마 극장 일요아침드라마 일일연속사극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 자유무대 전원일기 조선왕조 오백년 주말연속극 토요드라마 하이킥 시리즈 한국인 재발견 시리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vdeh 수목 미니시리즈1980년대 전반 《겨울 해바라기》 《물보라》 1980년대 후반 《엄마의 방》 《억새풀》 《첫사랑》 《겨울꽃》 《도시의 얼굴》 《인현왕후》 《한중록》 《파문》 《당신의 축배》 1990년대 전반 《사랑의 종말》 《그 여자》 《까치 며느리》 《여명의 눈동자》 《일출봉》 《여자의 방》 《폭풍의 계절》 《야망》 《아들의 여자》 1990년대 후반1995년 《숙희》 《제4공화국》 1996년 《이혼하지 않는 이유》 《사과꽃 향기》 《강가에 앉아서 울다》 《미망》 1997년 《내가 사는 이유》 《영웅신화》 1998년 《육남매》 《대왕의 길》 《적과의 동거》 《수줍은 연인》 《해바라기》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눈물이 보일까봐》 《안녕 내 사랑》 《햇빛속으로》 2000년대 전반2000년 《진실》 《나쁜 친구들》 《이브의 모든 것》 《신 귀공자》 《비밀》 《에어포스》(단막) 《황금시대》 2001년 《맛있는 청혼》 《호텔리어》 《네 자매 이야기》 《반달곰 내 사랑》 《가을에 만난 남자》 《소풍》(단막) 2002년 《그 햇살이 나에게》 《선물》 《난 왜 아빠랑 성이 달라?》(단막) 《로망스》 《네 멋대로 해라》 《링링》(단막) 《리멤버》 《삼총사》 2003년 《눈사람》 《위풍당당 그녀》 《남자의 향기》 《앞집 여자》 《좋은사람》 《나는 달린다》 《사막의 샘》(단막) 《아르곤》(단막) 2004년 《천생연분》 《사랑한다 말해줘》 《결혼하고 싶은 여자》 《황태자의 첫사랑》 《아일랜드》 《12월의 열대야》 2000년대 후반2005년 《슬픈 연가》 《신입사원》 《내 이름은 김삼순》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가을 소나기》 《영재의 전성시대》 2006년 《궁》 《닥터 깽》 《어느 멋진 날》 《오버 더 레인보우》 《여우야 뭐하니》 《90일, 사랑할 시간》 2007년 《궁S》 《고맙습니다》 《메리대구 공방전》 《그라운드 제로》(단막) 《개와 늑대의 시간》 《태왕사신기》 《뉴하트》 2008년 《누구세요?》 《우리들의 해피엔딩》(단막) 《스포트라이트》 《대한민국 변호사》 《베토벤 바이러스》 《종합병원 2》 2009년 《돌아온 일지매》 《신데렐라 맨》 《트리플》 《혼》 《맨땅에 헤딩》 《히어로》 2010년대 전반2010년 《아직도 결혼하고 싶은 여자》 《개인의 취향》 《나는 별 일 없이 산다》(단막) 《런닝, 구》(단막) 《로드 넘버원》 《장난스런 키스》 《즐거운 나의 집》 2011년 《마이 프린세스》 《로열 패밀리》 《최고의 사랑》 《넌 내게 반했어》 《지고는 못살아》 《나도, 꽃!》 2012년 《해를 품은 달》 《더킹 투하츠》 《아이두 아이두》 《아랑사또전》 《못난이 송편》(단막) 《보고싶다》 2013년 《7급 공무원》 《남자가 사랑할 때》 《여왕의 교실》 《투윅스》 《메디컬 탑팀》 《미스코리아》 2014년 《앙큼한 돌싱녀》 《개과천선》 《운명처럼 널 사랑해》 《내 생애 봄날》 《미스터 백》 2010년대 후반2015년 《킬미힐미》 《앵그리맘》 《맨도롱 또똣》 《밤을 걷는 선비》 《그녀는 예뻤다》 《달콤살벌 패밀리》 2016년 《한 번 더 해피엔딩》 《굿바이 미스터 블랙》 《운빨로맨스》 《W》 《쇼핑왕 루이》 《역도요정 김복주》 2017년 《미씽9》 《자체발광 오피스》 《군주 - 가면의 주인》 《죽어야 사는 남자》 《병원선》 《로봇이 아니야》 2018년 《손 꼭 잡고, 지는 석양을 바라보자》 《이리와 안아줘》 《시간》 《내 뒤에 테리우스》 《붉은 달 푸른 해》 2019년 《봄이 오나 봄》 《더 뱅커》 《봄밤》 《신입사관 구해령》 《어쩌다 발견한 하루》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봄밤&oldid=24501464" 분류: 미종영 방송 프로그램2019년 드라마문화방송 수목 미니시리즈김은 시나리오 작품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23: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로다운 30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로다운 3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다운 30 기본 정보 국가 대한민국 장르 록, 블루스 록 활동 시기 2000년 ~ 현재 소속사 붕가붕가레코드 구성원 윤병주 (보컬, 기타)김락건 (베이스)양현모 (드럼) 이전 구성원 이상문 (베이스)이민우 (드럼)김태현 (드럼) 로다운 30 (영어: Lowdown 30)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블루스와 클래식 록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펼치고 있는 트리오 편성의 밴드. 목차 1 구성원 1.1 이전 구성원 2 음반 2.1 정규 앨범 2.2 EP 앨범 2.3 디지털 싱글 2.4 컴필레이션 2.5 참여 앨범 2.6 뮤직 비디오 3 수상 4 인터뷰 5 외부 링크 6 각주 구성원[원본 편집] 윤병주 - 보컬, 기타 (노이즈가든 출신) 김락건 - 베이스 (존도우 출신) 양현모 - 드럼 이전 구성원[원본 편집] 이상문 - 베이스 이민우 - 드럼 김태현 - 드럼 최병준 - 드럼 음반[원본 편집] 정규 앨범[원본 편집] 1집 Jaira (2008년 12월 10일, 석기시대레코드) 2집 1 (2012년 3월 6일, 석기시대레코드) 3집 B (2017년 3월 15일, 붕가붕가레코드) EP 앨범[원본 편집] Another Side Of Jaira (2010년 8월 5일, 석기시대레코드) 디지털 싱글[원본 편집] 아스팔트 feat. 주석 (2011년 11월 25일, 석기시대레코드) 서울의밤 (Sion Mix) (2012년 2월 13일, 라운드앤라운드) 너무긴여행 feat. 조원선 (2013년 11월 25일, 석기시대레코드)[1] 더뜨겁게 feat. 김오키 (2015년 6월 3일, 붕가붕가레코드) 인수김블루스 (2016년 5월 12일, 붕가붕가레코드/왕코프로덕션) 그땐왜 (2017년 2월 16일, 붕가붕가레코드) Pinecone Rock w/ 제이통 (2018년 2월 8일, 붕가붕가레코드) 컴필레이션[원본 편집] Seoul Seoul Seoul (2012년 3월 6일, 라운드앤라운드) 수록곡 "서울의밤 (Sion Mix)" 블루스더, Blues (2012년 10월 5일, 붕가붕가레코드) 수록곡 "한마디만해줘요" 참여 앨범[원본 편집] 미미시스터즈 <미안하지만... 이건 전설이 될 거야> (2011년 3월 15일, 붕가붕가레코드) 참여곡 "대답해주오" (작사/작곡/연주) 다이나믹듀오 <DIGILOG 2/2> (2012년 1월 4일, 아메바컬처) 참여곡 "혹으로알아 (Innocent Prisoner)" (작곡/연주) 제이통 <모히칸과 맨발> (2012년 10월 8일) 참여곡 "구구가가" (편곡/연주) 제이통 <이정훈> (2015년 9월 1일) 참여곡 "갈" (작편곡/연주), "찌찌뽕" (편곡/연주) 뮤직 비디오[원본 편집] 아스팔트 feat. 주석 (2011년) 감독 - 강규헌 거리의먼지처럼 (2012년) 감독 - 김성욱 처연 (2012년) 감독 - 강규헌 너무긴여행 (2013년) 감독 - 박유석 더뜨겁게 feat. 김오키 (2015년) 감독 - 손경호 인수김블루스 (2016년) 감독 - 김광일 그땐왜 (2017년) 감독 - 이주호 가파른길 (2017년) 감독 - 서동혁 aka FLEV 수상[원본 편집] 2012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 노미네이트 - 싱글 "아스팔트"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2 2012년 이매진어워드 올해의 앨범 10 - 2집 <1> 이매진어워드 페이지 2012 2013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음반/최우수 록 음반 노미네이트 - 2집 <1>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3 2016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 수상 - 싱글 "더뜨겁게 feat. 김오키"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6 2018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음반 수상 - 3집 [B] 한국대중음악상홈페이지 2018 인터뷰[원본 편집] [뮤지션인터뷰] 로다운 30 “오리지널리티를 만들고자 했다”[2] 외부 링크[원본 편집] 네이버공식카페 페이스북공식페이지 각주[원본 편집] ↑ “너무 긴 여행 (Feat. 조원선)”. IZM. 2013년 11월 1일.  ↑ “(뮤지션인터뷰) 로다운 30 “오리지널리티를 만들고자 했다””. 유니온프레스. 2012년 3월 28일.  이 글은 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로다운_30&oldid=24196413" 분류: 대한민국의 록 밴드블루스 록 밴드2000년 결성된 음악 그룹2008년 데뷔3인조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2000년대 음악 그룹2010년대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음악 그룹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백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백철 출생 1908년 3월 18일 대한제국 평안북도 의주군 사망 1985년 10월 13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평론가, 교육인 국적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장르 문학평론 백철(白鐵, 일본식 이름: 白矢世哲, 1908년[1] 3월 18일 ~ 1985년 10월 13일[2])은 한국의 문학평론가로, 본명은 백세철(白世哲)이다. 본관은 수원이다. 목차 1 생애 2 사후 3 가족관계 4 같이 보기 5 참고자료 6 각주 생애[편집] 평안북도 의주 소지주 집안 출신이다. 1927년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여 1931년 도쿄 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일제강점기 후반 천황을 찬양하는 글들을 발표하며 친일파로 활동하였다. 도쿄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전일본무산자예술연맹에 가담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을 시작하였고, 당시 프로 시단의 최일선 동인지 《전위시인》에 시 〈9월 1일〉·〈우리들은 알았다 비라의 의미를〉, 평론 〈프롤레타리아 시이노가 실천문제〉를 발표하며 일본 문단에서 활약했다.[3] 1931년 귀국한 뒤 잡지 《개벽》의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중앙위원으로서 해외문학파와의 논쟁에 참가했다. 마르셀 프루스트 류의 신심리주의를 비판하고 사실주의를 옹호하는 평론을 쓰며 카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1934년 제2차 카프 검거 사건이 발생하여 백철도 체포되었다. 전주형무소에서 약 1년 반 동안 수감 생활을 겪고 난 뒤, 객관적 정세가 불리하게 변함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것을 주장하면서 지식인 계층에 관심을 기울이거나 휴머니즘에 대해 논하는 평론을 발표하여 문학적 경향의 변화를 보였다. 중일 전쟁 이후로 《매일신보》 학예부장과 베이징 지부장 등을 지내며 조선문인협회에 참가하는 등 친일 단체에서 활동했다. 유치진의 현대극장에 부설된 국민연극연구소에서 강사를 맡기도 했고, 조선문인보국회에는 평의원으로 가담했다. 쇼와 천황이 해군 함정을 돌아보는 광경을 묘사한 〈천황폐하 어친열 특별관함식 배관근기〉(1940) 등 총 14편의 친일 저작물도 발표[4] 하였다.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중앙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였으며,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을 여러 차례 지냈다. 일제 강점기의 신경향파 평론은 문학을 사회적 영향 관계에 종속되는 것으로 파악했으나, 1950년대의 평론에서는 문학의 역할에 대한 견해가 우파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미국의 신비평이론 등 외국의 문학이론을 소개하는 계몽적인 글을 발표하거나 이무영으로 대표되는 농민 소설의 재발견에 관심을 보였다. 1966년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대한민국 국문학계의 현대문학사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예술원상, 국민훈장 모란장, 서울시 문화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사후[편집]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들어 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가족관계[편집] 조부 : 원호(源浩, 1849년 ~ ? )[5] 백부 : 연근(連根) 종형 : 세보(世輔) 부 : 무근(茂根, 1878년 ~ ? ) 백모 : 강릉 최씨(江陵崔氏) 최중희(崔重禧)의 女 모 : 조근화(趙根嬅) 성건당(誠建堂) 충주 조씨(忠州趙氏), 조영록(趙永祿)의 女 형 : 백세명(白世明, 1899년 ~ 1970년) 천도교 고위간부 형수 : 남원 양씨 (南原梁氏) 양봉하(梁奉河)의 女 형수 : 밀양 박씨(密陽朴氏) 동생 : 세옥(世沃, 1912년 ~ ? ) 같이 보기[편집]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참고자료[편집] 권영민 (2004년 2월 25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409~410쪽쪽. ISBN 89-521-0461-7.  반민족문제연구소 (1995년 7월 1일). 〈백철 : 인간탐구론자에서 국민문학론자로 (김재용)〉. 《친일파 99인 (3)》. 서울: 돌베개. ISBN 89-7199-013-9.  성주현 (2004년 9월). “천도교 인물열전⑤ - 백철”. 《신인간》.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편집] ↑ 백씨 태인파보(1926, 白文定 )에는 1906년이라 한다. ↑ “藝術院회원 文學평론가 白鐵씨 별세” (PDF). 동아일보. 1985년 10월 14일. 11면면. 2008년 5월 3일에 확인함.  ↑ 김윤식 (2007). “문학과 정치의 우정은 어떻게 가능하고 또 지속되는가 - 백철과 임화의 경우”. 《문학의 문학》 (가을 창간호): 318~341쪽.  ↑ 김재용 (2002년 8월). “친일문학 작품목록”. 《실천문학》 (67호): 123~148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백관묵의 족질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백철&oldid=23019632" 분류: 1908년 태어남1985년 죽음의주군 출신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일제 강점기의 시인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대한민국예술원 회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작가백씨수원 백씨태인 백씨천도교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05: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재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재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에 대해서는 유재훈 (야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재훈(1961년 3월 10일 ~ , 서울특별시)은 국제금융공사IFC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의 선임스페셜리스트로 근무하였다. 또한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장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재직하였던 대한민국의 경제부처 공직자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제 20대 사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회계감사국장으로 재직중이다.[1][2][3] [4] 목차 1 학력 2 약력 3 상훈 4 저서 및 논문 5 주요 기고문 6 주요 활동 7 각주 8 외부 연계 학력[편집] 1979 : 경기고등학교 졸업 1983 :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학사 1985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1991 : 프랑스 파리 정치 대학 (Sciences Po de Paris) 경제학석사 1991 : 프랑스 국립행정학교 졸업 2011 : 경기대학교 경제학박사 약력[편집] 행정고시 26회 합격 재무부 경제협력국 외자관리과, 경제협력과 국제통화기금(IMF) 국제수지과정 연수(불어) 해외유학(프랑스 파리정치대학원 석사, 국립행정학교 졸업) 재무부 국고과, 증권발행과, 재정경제원 증권제도담당관실(4급) 아시아개발은행(ADB) 태평양지역국 Economist 금융감독위원회 국제협력과장, 은행감독과장, 증권감독과장(3급) 세계은행(IBRD) 자본시장 담당 Sr. Specialist 국제투자금융공사(IFC)/세계은행(IBRD) Sr. Specialist 금융위원회 대변인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장[5] 한나라당 정책위 수석전문위원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6]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제 20대) 한국 파리정치대학 총동문회장 (전) 한불상공회의소 명예회원 (현) 중국자본시장연구회 회장 (현) 사회적금융연구회 공동의장 (현)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회계감사국장 (현) 상훈[편집] 한국공인회계사회 공로상(2013) 한국상장회사협의회 공로상(2013) 부정부패사범척결 공로 검찰총장표창(2013) 대통령 표창(2014) 대한민국 증권대상 공로상(2015) 저서 및 논문[편집] [저서] Impact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on the Bank's Pacific Developing Member Countries' Economies (편집) (1998, 아시아개발은행(ADB)) The Korean Bond Market : The Next Frontiers(공저)(2008, 한국증권협회) 중국자본시장 발전보고 (2008,중국증권관리감독위원회)(공저) Financing Innovation: How to Build an Efficient Exchange for Small Firms (2008, World Bank) Study on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Financing Patterns of Innovative Firms (2011, Ph.D Thesis, Kyunggi University, Korea) Creating an Artificial Sun : Shedding Light on Korea's Capital Market Development (2016, Korea Securities Depository) [논문] '한국 양도소득세제의 개선방향'(1985.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프랑스 대외원조정책-한국에서의 시사점'(1991, 파리정치대학 석사학위논문) 'Financing Innovation : How to Build an Efficient Exchange for Small Firms'(2007, The World Bank) 'Financing Innovation : Developing SME stock exchanges'(2008, 한국증권연구원) '혁신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자금조달행태에 관한 연구'(2011, 경기대 박사학위논문) '혁신중소기업의 재무적 행태에 관한 연구'(2014, 한국경제발전학회 경제발전연구) (공저) '혁신형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2015, 국회예산정책처) (공저) '혁신형 중소기업의 조직자본과 성과분석'(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공저) 주요 기고문[편집] [매일경제] 거석화폐의 교훈 / 매경춘추 2014년05월08일 붕어빵 봉지 / 매경춘추 2014년05월16일 최고의 프랑스 요리 / 매경춘추 2014년05월24일 탁류 속에 핀 꽃 / 매경춘추 2014년06월02일 코스닥 이야기 / 매경춘추 2014년06월11일 자본주의 얼굴, 증권 / 매경춘추 2014년06월19일 모스카토 포도 / 매경춘추 2014년06월26일 창조와 혁신 키우는 크라우드펀딩 / 특별기고 2016년01월19일 [헤럴드경제] 위안화 역외허브의 꿈 / 경제광장 2014년10월16일 증권 전자화의 첫 걸음, 전자단기사채 / 경제광장 2014년11월20일 한국산 펀드의 세계화 / 경제광장 2015년01월15일 글로벌 주민등록번호의 탄생 / 경제광장 2015년02월05일 1300조원의 의결권 시장 / CEO칼럼 2015년03월02일 자본시장의 해외직구 시대 / CEO칼럼 2015년03월19일 블록체인과 전자증권 / 헤럴드포럼 2016년05월13일 [이데일리] 땅 짚고 헤엄치기의 종언 / 목멱칼럼 2014년07월16일 자본시장 실크로드 / 목멱칼럼 2014년09월01일 [부산일보] 룩셈부르크와 부산 금융중심지 / 부일시론 2015년01월27일 부산이 닦아 준 '막순이'의 눈물 / 부일시론 2015년02월26일 부산의 증권박물관 / 부일시론 2015년03월26일 위안화 금융과 부산 / 부일시론 2015년04월23일 아시아 펀드시장과 AFSF / 부일시론 2015년05월26일 부산 기업시민 'KSD'의 특별한 사회공헌 / 부일시론 2015년06월23일 [국제신문] 문현지구와 금융 삼국지 / 특별기고 2015년01월23일 가상현실 열풍과 부산증권박물관 / CEO 칼럼 2016년05월25일 고령화 시대 '퇴직연금플랫폼' / CEO 칼럼 2016년09월07일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의 新보릿고개를 넘기 위한 발전과 혁신과제 / 금융투자 2014년 6월호 후강통이 한국자본시장 미래에 던지는 시사점 / 2015년 중국자본시장연구 [디지털타임스] 핀테크의 꽃 `캡테크` 주목하자 /디지털타임스 포럼 2015년10월15일 [전자신문] 창조경제 주축, 혁신기업을 위한 자본시장 역할 /전자신문 2016년02월16일 주요 활동[편집] An interview with Xinhua News 예탁결제원, 중국은행과 MOU체결 예탁결제원, 이란 중앙예탁기관(CSDI)과 공동워크숍 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유로클리어뱅크와 투자협력확대 유재훈 사장 한불경제포럼 참석 기조연설 한불상공회의소 '꼬레아페르' 유재훈 사장 인터뷰 SBS CNBC (CEO&CEO)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방만경영 타파 속도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신의 직장은 없다" 유재훈 사장 “예탁결제원, 글로벌 법인식별기호 발급기관에 선정” 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中 교통은행과 위안화 역외허브 활성화 협력 인터뷰 창립 40주년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부산이전 금융기관 CEO에게 듣는다 <1>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2015년 신년사 유재훈 사장, 룩셈부르크 금융사절단과 부산지역 금융발전 논의 범생이 이미지 'NO', 막걸리·의리 'YES'…서울대의 '개성파' 무역학과 성공記 부산금융허브 리더,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자본시장 리더 3인, 특성화고서 '인기스타'된 사연 유재훈 “‘IT DNA’로 예탁결제원 변화·혁신” 터키 찾은 유재훈 예탁원 사장, 현지 금융기관 동분서주 왜? 이란 핵협상 타결 솔타니네자드 이란 중앙예탁기관 사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증권사 CEO 대상 경영설명회 개최 유재훈 예탁원 사장, 'WFC 2015' 참석 <매경CEO특강>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유재훈 예탁원 사장, WFC서 '예탁결제회사의 혁신' 발표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해외에 답 있다' 유재훈 예탁원 사장 "거래소-예탁원 분리 방안 찬성"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청년인턴 대상 CEO 간담회 개최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中 당국과 위안화 허브 구축 관련 면담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유라시아예탁결제회사회의서 주제발표 NSPTV 문현금융단지 1주년 기획(4)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KSD의 BIFC 입주가 부산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유로아시아 경제포럼’ 참가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SIBOS 2015’ 참가 <서경이 만난 사람>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거래소 보유 예탁결제원 지분 단계적 축소" 한국예탁결제원 주도 아시아펀드표준화포럼 출범 유재훈 사장 "전자투표·위임장, 모바일 서비스로 이용도 높일 것" "부산 지리적 강점 살려 중국 자본·외환시장과 윈윈해야"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제2회 국제지식경제연차회의’ 참가 <아시아초대석>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금융계의 '삼성전자' 만들 토대 다지겠다"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ASIFMA 연차회의' 참가 유재훈 사장, “거래소-예탁원 분리, 자본시장 확대 위해 꼭 필요” 2016년 신년사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유재훈 예탁원 사장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자본시장 건전성 제고에 기여" <2016 증권대상> IT혁신부문 금상 / 한국예탁결제원 <명사의 서가> ①유재훈 예탁원 사장 "꾸준히 혁신의 길 걷겠다" <명사의 서가> ②유재훈 "책에서 완벽한 낯섦 만끽…침대 못벗어나면 죽은삶"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전자증권제도 도입해 시장 투명성과 효율성 높이겠다"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日 예탁결제회사와 현안 논의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초청 '제31회 동아비즈니스포럼' 성료 <CEO취재파일> 예탁결제원이 웬 박물관? 만화에 빠졌던 유재훈 사장 이번엔…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NFS 점검차 인니 방문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자본시장 혁신 키워드는 '中'·'핀테크'" 유재훈 예탁원 사장, ISLA 총회 참석 유재훈 예탁원 사장 "전자증권제 조기 시행 추진" 정권말 금융 CEO '막차 티켓' 주인공은 누구? 중국자본시장연구회 사단법인으로 독립…초대 회장에 유재훈 예탁원 사장 유재훈 사장 "아시아에 금융한류 일으킬 것…인니에 韓시스템 수출성공" AIIB 자문단에 현오석 전 부총리·회계감사국장에 유재훈씨 이데일리TV <이데일리 초대석> 제388회 한국예탁결제원 유재훈 사장 예탁원, 중국사회과학원 금융정책연구소와 ‘한·중 금융합작 고위급 포럼’개최 유재훈 예탁원 사장 "AIIB 회계국장, 나라의 중요한 일" 유재훈 예탁결제원 사장 "담보목적 대차제도 도입 중점추진" 부산대,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에 감사패 각주[편집] ↑ “예탁결제원 신임 사장에 유재훈 증선위원”. 뉴시스.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예탁원 사장 후보에 유재훈 금융위 상임위원”. 비즈니스 와치.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예탁원 '젊은피'를 원했나? 신임사장 유재훈 지지율 99.7%”. 한국경제. 2013년 11월 22일. 2013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Hope despite the obstacles: outlook bright for RMB in Korea, says KSD chairman”. Global Capital/ASIAMONEY. 2015년 2월 3일. 2015년 2월 4일에 확인함.  ↑ “백년부국 백년地계”. 나라경제. 2010년 8월 1일. 2010년 8월 1일에 확인함.  ↑ “투자자의 희망과 미래를 위해 자본시장 투명하게”. 나라경제. 2012년 8월 1일. 2012년 8월 1일에 확인함.  외부 연계[편집] 유재훈 NAVER 인물검색 유재훈 Daum 인물검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재훈&oldid=24107268" 분류: 196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대한민국의 공무원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경기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파리 정치 대학 동문국립행정학교 동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0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매드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 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드맨 Mad Men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AMC 방송 기간 2007년 7월 19일 ~ 2015년 5월 17일 방송 시간 47분 방송 시즌 7 방송 횟수 22 출연자 존 햄엘리자베스 모스빈센트 카트하이저재뉴어리 존스크리스티나 헨드릭스재러드 해리스브라이언 뱃마이클 글래디스에런 스테이턴리치 서머매기 시프키어넌 십카제시카 파레케빈 람크리스토퍼 스탠리제이 R. 퍼거슨벤 펠드먼메이슨 베일 코튼로버트 모스존 슬래터리 여는 곡 R2D2, 'A Beautiful Mind' 외부 링크  [www.amctv.com/shows/mad-men ] 《매드맨》(Mad Men)은 감독 매슈 와이너가 만든 미국 시대 드라마 시리즈이다. 영화 제작 및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2007년 7월 19일 케이블 채널 AMC 네트워크에서 첫 방영했다. 92개 에피소드를 포함한 7개 시즌 후 2015년 5월 17일 종영됐다. 매드맨의 시대 배경은 1960년대이며 공간 배경은 뉴욕 시 매디슨 거리에 위치한 가상의 광고회사인 ‘스털링 쿠퍼’이다. 나중에 이 회사의 이름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 로 바뀌며 다시 ‘스털링 쿠퍼 & 파트너’로 바뀐다. 드라마 파일럿 에피소드 (정식 에피소드가 아니라 드라마와 관련된 정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루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매드맨'은 1950년대에 매디슨 거리에서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자칭하는 용어로, 그들 스스로 만들었으며 이 주장은 그때부터 논란이었다. 드라마의 중심은 돈 드레이퍼다. 그는 드라마 초기에 스털링 쿠퍼에서 재능 있는 크리에티브 디렉터로 등장하며 나중에 ‘스털링 쿠퍼 드레이프 프라이스’ 회사의 설립 멤버가 된다. 드라마가 진행되며 돈 드레이퍼가 개인적, 사업상의 인물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구성은 회사와 관련한 사업 이야기도 많이 포함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사생활도 많이 다루며, 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와 1960년대에 만연했던 사회적 풍습이 주 내용이다. 드라마가 시작된 이후부터 매드맨은 대본, 연기, 역사적 진실성에 관련해 격찬을 받았으며, 에미상 15개와 골든 글로브상 4개를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는 베이직 케이블 드라마로서 처음으로 ‘뛰어난 드라마 시리즈’ 부분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시즌 1~4 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매드맨은 역사상 최고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널리 평가 받는다. 목차 1 구상 1.1 영향 1.2 사전제작 1.3 촬영과 제작 계획 1.4 예산 1.5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 1.6 촬영진 및 제작진 2 등장 인물 2.1 주요 등장 인물 2.2 조연 등장 인물 3 에피소드 개요 3.1 1. Smoke Gets in your Eyes 3.2 2. Ladies Room 3.3 3. Marriage of Figaro 3.4 4. New Amsterdam 3.5 5. 5G 3.6 6. Babylon 3.7 7. Red in the Face 3.8 8. The Hobo Code 3.9 9. Shoot 3.10 10. Long Weekend 3.11 11. Indian Summer 3.12 12. Nixon Vs. Kennedy 3.13 13. The Wheel 4 에피소드 정보 4.1 시즌 1 에피소드 정보 4.2 시즌 2 4.3 시즌 3 4.4 시즌 4 4.5 시즌 5 4.6 시즌 6 4.7 시즌 7 5 주제와 상징 5.1 정체성과 과거회상 5.2 불륜과 성차별주의 5.3 세대 차이 5.4 소비 사회 5.5 알코올 의존증 5.6 반문화 5.7 인종차별주의 5.8 흡연 5.9 추락하는 남자 5.10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 5.11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 5.12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 5.13 아인 랜드 6 반응 및 평가 6.1 평점 6.2 평론 6.3 시대적 진정성 6.4 결과와 영향 6.5 수상경력 7 음악 8 매슈 와이너 인터뷰 9 학술 연구 10 작품 속 광고 11 각주 12 외부 링크 구상[편집] 2000년 당시 TV쇼 베커에서 전속 작가로 일하던 매슈 와이너는 《매드맨》 대본의 초안을 작성한다. 2002년 TV 프로듀서 데이비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읽은 뒤 HBO의 《소프라노스》의 작가로 고용한다. 당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보고 "정말 생생하고 아주 새로운 이야기"라며 "1960년대 광고업계에 대한 이 이야기를 통해 당대 이후의 미국사를 조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너와 그의 인더스트리 엔터테인먼트, ICM의 대리인은 그 초고를 HBO와 쇼타임에 판매하려고 했으나 양쪽 모두 거절했다. 적당한 바이어를 찾지 못하자 와이너와 그의 대리인은 시나리오를 판매하기 위한 노력을 한동안 중단한다. 몇년 후 와이너의 팀에 아이라 리즈라는 유능한 매니저가 등장한다. 그녀는 AMC 개발부서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웨인에게 《매드맨》을 살 것을 강력히 권유한다. 마침 《소프라노스》의 마지막 시즌이 끝나고 있었고 AMC는 새 시리즈 기획을 위해 시나리오 시장을 뒤지기 시작하던 상황이었다. "AMC는 자신들이 만드는 첫 번째 TV 시리즈를 특별하게 만들고 싶어했어요. 또 우리는 그 정도 시나리오면 정형화된 대중적 취향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AMC의 사장 에드 캐럴의 말이다. 영향[편집] 와이너는 영화 감독 앨프리드 히치콕과 그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를 시리즈의 시각적 방면에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표현한다. 또 다른 영향으로써는 그는 왕가위 감독의 음향, 미장센과 편집을 꼽았다. 한 인터뷰에서는, 와이너는 1950년대를 그린 1970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매쉬'와 '해피 데이즈'가 '문화적 시금석'이고 누구나 '과거에 대한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상기시켜준다고 더해 말했다. 또한, 그는 《매드맨》이 《소프라노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좀더 세련된, 드라마틱한 버전의 《웨스트윙》이 되었을것이라 예상하였다. 사전제작[편집] 본 드라마의 1,2시즌 중 여섯 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했던 팀 헌터는 매드맨을 “굉장히 잘 운영된 드라마” 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은 드라마의 제작에 착수하기에 앞서 아주 여러 번의 제작 회의를 갖는다. 대본이 나오면 우선 그 날 모두 모여 처음으로 대본을 쭉 읽는다. 그리고 매슈가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그리고 나서 며칠 후면 매슈가 해당 에피소드의 줄거리나 분위기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제작진이 참여하는 제작 회의에서 매슈가 다시 한번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촬영과 제작 계획[편집] 본편 시리즈를 방영하기 전 시범적으로 방송하는 에피소드인 파일럿 에피소드로, 사랑에 눈이 멀다 (Smoke Gets In Your Eyes)는 실버컵 스튜디오와 뉴욕 주변에서 촬영되었고, 후속 에피소드들은 로스앤젤레스 센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본 시리즈는 여러 케이블 채널과 연계된 회사들을 통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또는 미국 케이블 및 위성 TV 채널인 AMC(American Movie Classics)를 통해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와이너를 포함한 작가들은 본 시리즈의 배경이 되었던 동시대 최고의 면목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 량을 축적했는데, 구체적인 세트 구성, 의상, 그리고 역사적인 소품들을 배경으로 진짜와 똑같은 시각적 스타일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파일럿 에피소드의 예산은 삼백만 달러 이상이었지만, 후속 에피소드들의 예산은 각 이백만 달러에서 이백오십만 달러 정도였다. 흡연 장면에서 와이너는 "담배가 없었으면 이 드라마는 장난 같았을 거야. 보기에는 깨끗 했겠지, 하지만 거짓으로 보였을 거야."라고 언급했다. 로버트 모스는 버트램 쿠퍼의 사장 배역으로 1967년에 두 편의 비도덕적인 사업가 역할의 영화 주연을 맡았다. 첫 번째로 와이너 작가의 영감의 원천이었던 "유부남을 위한 가이드"(1967)와 1961년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자신이 맡았던 역할을 재연한 같은 제목의 "노력 없이 성공하는 법"(1967)이다. 와이너는 카메라감독 필 에이브러햄, 파일럿 에피소드만 함께 했던 미술감독 로버트 쇼, 그리고 댄 비숍과 "영화관 보다는 텔레비전에 더 영감을 받았던" 시각적 스타일을 현상하는 데에 협동했다. 《소프라노스》의 베테랑 감독 앨런 테일러는 파일럿 에피소드와 후속 시리즈에서 어조가 어색하지 않게 감독까지 도와주었다. 돈 드레이퍼의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테일러는 돈 뒤에서 촬영하거나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식으로 촬영하였다. 스탈링 쿠퍼에 설정되었던 세트 중 여러 장면들은 좋은 구도를 위해 천장을 포함하였고, 눈 높이보다 낮은 각도에 촬영되었는데, 이것은 사진술,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당시의 건축 양식을 반영된 것이다. 앨런은 동영상 촬영 시 촬영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테디캠이나 헨드헬드 카메라가 "당시의 영상문법과 미적인 특징들이 전형적인 접근법과 딱 맞아 떨어지지 못하며" 따라서, 세트는 현실적인 인형 놀이 감으로 제작되었다. 예산[편집] 2011년 밀러 타바크와 바런 출판사에서 출판된 회사 예측에 따르면, 주식회사 라이언 게이트는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 각 에피소드당 약 271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받았는데, 이는 각각 에피소드 제작비용인 284만 달러보다 약간 적은 수치다. 2011년 3월, 시리즈 제작자와 네트워크 제작자 간의 협상 끝에,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는 2012년 3월 25일 매드맨 시즌 5를 개봉했다. 소문에 의하면 매드맨 제작을 총괄하는 와이너는 3천만 달러 계약을 채결했고, 3개의 시즌을 더 유치시킬 예정이라고 했다. 몇 주 뒤 공개된 재뉴어리 존스와 함께한 마리 클레어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재정적인 성공의 한계를 언급했지만, 배우들은 "우리는 이 드라마를 통해서 그다지 많이 돈을 받지 않았고 그건 서류에도 명시되어 있었어요. 그래도 우리가 TV에 출현하면 우리는 매주 꾸준하게 급료를 받잖아요. 그게 좋은 거죠." 밀러타바크의 분석가 데이비드 조이스는 매드맨의 7년동안의 방영동안 가정 비디오와 아이튠스를 통한 수익이 1억 달러에 달하고, 국제 신디케이션 판매에서는 에피소드당 추가적으로 약 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했다. 이 통계는 2011년 4월 발표된 넥플리스 스트리밍 비디오 수익인 710만에서 1000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제외한 수치이다.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편집] 첫 장면에서 드레이퍼의 등장과 동시에 사무실이 무너지는 장면은 직장 생활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다른 내면의 고통을 반영한다. 사무실 안의 모든 것들이 무너지는 것을 드레이퍼가 그 자리에서 지켜보는 것은 어쩌면 그가 이러한 절박한 상황들을 어느정도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그것을 바꿀 만한 힘이 없어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 장면으로, 검은 실루엣의 드레이퍼는 빌딩에서 떨어지는데 그 배경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이미지 - 빨간 드레스, 검정 스타킹 - 는 주인공의 잦은 외도, 당시에 만연해 있던 사내 여성 편력 등을 암시한다. 또한 이후 등장하는 위스키, 반지, 가족 그림의 이미지들은 앞의 여성들의 이미지와 함께 드레이퍼의 문란한 생활(여자, 술)과 화목한 가정에 대한 의무감(반지, 가족 그림) 둘 사이에서의 갈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건물에서 떨어지는 행동 그 자체도 주목할 만한데, 당시의 성공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드레이퍼는 모두 쟁취하지만, 이것들을 얻고 탐닉하면 할 수록 점점 타락해가는 모습을 건물에서 떨어지는 모습으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으로, 떨어지면서 결국 죽었을 것만 같은 드레이퍼가 언제 그랬다는 듯 멀쩡하게 벤치에 앉아서 담배를 오른손에 끼고 있다. 앞의 두 장면에서 모든 것들이 무너지고, 본인도 엄청난 갈등을 겪고 있지만 그는 항상 겉으로는 아무 일이 없는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인정받는다. 특히 오프닝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들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빌딩에서 떨어지는 장면은 자칫 9.11 테러에서 낙사했던 사람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서, 디자인을 의도적으로 다소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으로 했고, 본래에는 없던 마지막 장면 - 소파에서 담배를 피우는 장면 -을 추가했다고 한다. 오프닝은 RJD2의 “A Beautiful Mine”과 함께 흑백의 남자가 시대적인 광고 포스터, 광고표지판이 비춰지는 높은 빌딩들 사이로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Imaginary Forces가 제작한 이 타이틀은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빌딩으로 가득 채워진 오프닝 타이틀과 떨어지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진 영화 《현기증》의 포스터를 만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Saul Bass)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와이너는 시각적 측면에서 히치콕 감독의 작품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데이비드 칼보나라는 매드맨의 원래 악보를 작곡했고, 이는 2009년 smash cut1월 13일에 공개되었다. TV Guide 2010년 판에서 매드맨의 오프닝 타이틀은 선택된 독자들에 의해 인상적인 오프닝 타이틀 10선 중 9위를 차지했다. 거의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끝에서는 그 시대적의 음악 혹은 데이비드 칼보나라가 작곡한 곡이 연주되면서 검은 화면으로 페이드 아웃 혹은 스매시컷이 되어 끝이 난다.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정도는 오히려 정적 혹은 잔잔한 음악과 함께 끝이 난다. 몇몇 에피소드들은 더 최근의 곡이나 스토리와 연개된 곡이 엔딩 크레딧과 맞물리며 끝이 나기도 한다. 비틀즈는 “Tomorrow Never Knows”를 시즌5의 에피소드 “Lady Lazarus”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같은 트랙은 클로징 크레딧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비틀즈가 텔레비전 시리즈에 음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매드맨에 이를 허락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라이언스게이트는 곡 사용에 대해 $250,000를 지불했다. 밥 딜런의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가 시즌1의 마지막을 장식하기도 했다. 촬영진 및 제작진[편집] 와이너는 쇼 진행자와 메인 작가겸 제작 책임자다. 그는 대본 작성과 공동작성, 역할 캐스팅, 의상과 세트 구성과 같은 부분으로 매 에피소드에 참여한다. 와이너는 시리즈의 모든 부분에 까다롭고 제작 디테일에 관한 기밀유지를 중요시 여기는 걸로 악명 높다. 첫 번째 시즌의 작가진은 와이너뿐만 아니라 두 에피소 드를 쓴 공동 제작책임자인 톰 팔메와 두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 리사 앨버트, 세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와 작가팀인 안드레와 마리아 재퀴매튼, 두 에피소드를 쓴 보조작가 로빈 베이트 각각 두 에피소드를 쓴 프리랜서 작가 브리짓 베다드와 크리스 프로벤자노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제작자로는 공동제작의 블레이크 매코믹, 프로듀서 토드 런던, 공동 제작 책임자 스콧 호른바허가 있다. 첫 번째 시즌의 초기 감독은 네 에피소드를 지휘한 팀 헌터와 파일럿 에피소드를 포함한 세 에피소드를 지휘한 앨런 테일러다.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에드 비앙키, 레슬리 링카 글래터, 앤드루 번스타인 감독과 촬영기사 필 에이브러햄, 폴 피그, 그리고 각시리즈 피날레를 감독한 크리에이터 와이너가 지휘했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등장 인물[편집] 돈 드레이퍼 페기 올슨 피터 캠벨 베티 드레이퍼 로저 스털링 조앤 홀러웨이 살바토레 로마노 폴 킨지 존 햄 - 돈 드레이퍼(Don Draper) 매드맨의 주인공으로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주니어 파트너다. 시즌6부터는 스털링 쿠퍼 앤 파트너스의 파트너가 된다. 돈은 빼어난 외모의 소유자이며 직업적인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물이다. 업계에 들어온 이래 꾸준히 성과를 내 회사 안팎에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과거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돈 드레이퍼는 광고 모델이었던 엘리자베스 베티 드레이퍼와 결혼해 슬하에 세 명의 아이들이 있다. 그러나 돈이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외도해왔다는 사실을 베티에게 알리면서 시즌 3 후반, 드레이퍼 부부는 이혼하게 된다. 돈 드레이퍼의 과거가 잘 알려져있지 않은 이유는 돈이 타인의 신분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다. 드레이퍼의 본명은 리처드 딕 휘트먼이다. 진짜 돈 드레이퍼는 한국전쟁 당시 딕 휘트먼과 함께 전장에 있었던 공병 중위로 딕 휘트먼의 상관이었다. 둘은 야전 병원을 짓던 중에 포격을 받았고 돈 드레이퍼 중위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사망했다. 딕 휘트먼은 경미한 부상만 입고 살아나게 되는데 이 때 딕은 돈의 인식표(개목걸이)와 자신의 인식표를 바꿔 신분을 바꿔치기 한다. 구조된 이후 전역한 딕은 돈 드레이퍼의 이름으로 살면서 가난하고 암울했던 자신의 삶을 벗어나 뉴욕에서 새로운 신분으로 새출발을 한다. 엘리자베스 모스 - 페기 올슨(Peggy Olson) 빈센트 카세이저 - 피트 캠벨(Pete Campbell) 피트 캠벨은 유서 깊고 영향력 있는 뉴욕 가문 출신의 젊고 야심찬 회계부서 간부이다. 그는 1시즌 초반부에 결혼을 하고 유부남이 되지만 결혼 후에도 돈의 비서인 페기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꿨지만 결혼 초기부터 부인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비록 회계 부서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돈이 부서장으로 있는 광고 기획 부서의 일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재능이 인정 받기를 기대한다. 승진과 출세에 대한 욕심은 매우 크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간혹 잘못된 판단으로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돈과 로저로부터 무시 당하기도 한다. 그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명망있는 가문 출신이지만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헀다는 점 때문에 일종의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핍은 그로 하여금 능력 있고 권위 있는 남성상에 대한 동경을 갖게 하였고, 그러한 남성상과 정확히 일치하는 돈에 대해 피트는 동경과 질투를 동시에 느낀다. 재뉴어리 존스 - 베티 드레이퍼(Betty Draper) 돈 드레이퍼의 예전 아내이고 샐리, 바비, 유진 스캇 세 명의 아이들의 엄마이다. 펜실베니아의 필라델피아 엘킨스 파크의 교외에서 성장했고, Bryn Mawr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맨하탄에서 모델 시절 돈을 만났고 이후 그와 결혼했다. 시리즈 초반부에는, 그들은 7년동안 결혼했었고 뉴욕 Qssining에 살았다. 처음 두개의 시즌을 거쳐서, 베티는 점차 그녀의 남편의 외도에 대한 걱정이 심해지게 된다. 몇번의 별거 끝에, 베티는 그녀가 셋째를 임신했다는 걸 알았을 대 돈이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했지만, 첫 째는 그녀의 원나잇 스탠드로 인해 낳은 것이었다. 그녀는 1963년 12월, 돈과 이혼하기 위하여 시즌3 엔딩에서 레노로 떠난다. 1964년 11월, 시즌 4 시작쯔음에 그녀는 돈과 이혼하고 헨리 프란시스와 결혼한다. 그녀와 아이들과 새 남편은 Rye로 이주한다. 그녀와 아이들의 관계는 종종 껄끄러운데, 특히 셀리와 그것이 심하다. 존 슬래터리 - 로저 스털링(Roger Sterling) 로저 스털링은 시즌 1에선 가끔 출연하다 시즌 2부터 정기적으로 출연한다. 그는 스털링 쿠퍼 회사의 두 사장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버지가 버트람 쿠퍼와 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에 ‘스털링 쿠퍼’라는 이름에서 스털링이 쿠퍼보다 먼저 온다. 로저 쿠퍼의 사무실에는 로저가 어릴 적 젊은 버트람 쿠퍼와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즌 2에서 버트람 쿠퍼는 “고인이 된 쿠퍼 부인”이 로저 스털링에게 아내 모나를 소개시켜줬다고 언급한다. 이 때 스털링은 돈 드레이퍼의 전 비서 스무 살 제인과 결혼하려고 현 부인과 이혼 절차를 밟는 중이다. 스털링은 제 2차 세계 대전 해군 베테랑이다. 그는 두 개의 심장마비로 삶에 대한 관점이 바뀌기 전까지 악명 높은 바람둥이였다. 그러나 스털링의 알코올 의존증과 흡연 중독은 그대로다. 제인과 결혼하기 전 로저는 꽤 오랫동안 조앤 할로웨이와 불륜관계였다. 시즌 4에서 둘은 다시 한 번 로맨틱한 만남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앤이 임신을 한다. 시즌 3에선 돈이 1950년대 중반, 광고업에 관심 많은 모피 회사 판매원이었을 때 로저를 만나 고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시즌 4에서 SCDP에서 근무하는 로저는 스털링 쿠퍼에서 일했던 것보다 회사의 하루하루 일과와 덜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맡은 유일한 일은 SCDP 청구서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Lucky Strike 거래를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Chinese Wall” 에피소드에서 Lucky Strike가 거래를 경쟁회사로 옮기며 SCDP는 강제로 감축에 들어간다. 이에 불구하고 시즌 5에서 로저는 새로운 거래를 맡게 되며, 이번에는 열심히 해 시보레 자동차 회사와 큰 거래를 체결한다. 이후 조안이 낳은 자신의 아들을 경제적으로 지지해주고 싶어한다. 조앤은 처음 반대하지만 결국 시즌 6 마지막에 그가 아들의 삶의 일부가 되는 것을 허락한다. 크리스티나 헨드릭스 - 조앤 할로웨이(Joan Holloway) 스털링 쿠퍼에서 총무비서를 담당하며 시즌1에서 로저 스털링이 두 차례의 심장발작 후 관계를 끝낼 때까지 불륜 관계가 지속되었다. 시즌 2에서 그녀는 박사 그레그 해리스 (새뮤얼 페이지)와 약혼을하고 시즌 3에는 결혼에 골인하며 그렉 박사의 요청으로 조앤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그만두게 된다. 그렉 박사의 외과의사로서의 부족한 기술로 인해 노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조앤을 백화점에 복직시키는 것과 스털링 쿠퍼에 연락해서 그녀의 일자리를 부탁해달라고 설득하면서 이들의 결혼 생활은 시험대에 오른다. 조앤의 귀중한 조직과 경영 기술 덕분에 그녀는 나중에 돈, 로저, 버트, 레인이 설립한 새로운 회사에 고용된다. 한편, 그렉의 욕망읜 의사로써 그의 경력을 쌓기 위해 그가 육군에서 수수료를 받으며, 시즌 4 초반에는 기본적인 훈련 후 베트남에 보내진다. 그녀의 남편이 배치될 때, 조앤과 로저는 한번의 관계 후 조앤은 임신을 하게 된다. 조앤은 처음에 유산하기로 결정했지만, 시즌 5 초반 전에 그렉이 아버지가 아닌 것을 비밀리에 출산 하기로 결정한다. 조앤은 잠재적 수입의 손실과 그녀의 희생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것에 몹시 분노한다. 시리즈가 끝날 때쯔음, 그녀는 매캔 임원들의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그녀의 제휴 지분을 인수하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조앤은 홀러웨이 해리스라는 제작 회사를 시작한다. 브라이언 뱃 - 살바토레 로마노(Salvatore Romano) 살바토레 로마노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스털링 쿠퍼의 아트디렉터이다. 그는 동성애자지만 이를 드러내기 꺼려하며 시즌 1에서는 다른 남자와의 섹슈얼한 관계를 피한다. 후에 1962년 살바토레는 그의 성적 정체성을 모르는 키티와 결혼하나 곧 그들의 관계에서 문제점을 느낀다. 살바토레는 켄 코스그로브에게 감정을 느낀다. 출장 중, 돈 드레이퍼는 살바토레의 비밀을 알게되고, 그를 안심시키기 위해 그것에 대해 묻거나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돈 드레이퍼는 한 광고에 "당신의 표현을 제한하라."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며 살바토레에게 그것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그 후에 돈은 살바토레에게 파티오 콜라 광고를 맡기며 그의 커리어에 도움을 준다. 마이클 글래디스 - 폴 킨지(Paul Kinsey) 파이프를 즐겨 피우고 수염을 기르는 폴은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생인 이자 창의적인 작가이고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에 대해 자랑스러워한다. 시리즈가 시작되기 한참 전 그는 조안 할로웨이와 교제를 했었지만 폴이 둘의 사이에 대해 말을 너무 많이 하고 다녔다는 이유로 둘은 좋지 않게 헤어지게 되었다. 페기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폴은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지만 거절 당한다. 시즌2의 대부분에서 폴은 뉴저지 주의 사우스 오렌지에서 온 흑인인 쉴라 화이트와 교제를 하다가 남부지역에서 인종차별 반대운동(Freedom Ride)을 하기 위해 미시시피 주의 옥스포드에서 이별하게 된다. 폴 킨지에게는 저소득층 지역인 뉴저지 주의 몽클레어 남부에 산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지만 조안은 그의 위선적 태도에 대해 조롱을 한다. 그는 경쟁심이 강하기 때문에 대학 시절 친구들을 많이 사귀지 못 하기도 하였고 그보다 글을 더 잘 쓰는 페기와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돈이 새로운 애이전시를 위해 자신이 아닌 페기를 선택한 것에 대해 분노한다. 시즌3 마지막화 이후에는 등장을 하지 않다가 시즌5의 에피소드10에서 해리에게 자신을 크리슈나 의식의 제자라고 소개하며 나타난다. 폴은 해리에게 자신이 쓴 스타 트렉 대본을 확인해 달라고 하지만 해리는 잘 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폴의 여자친구가 폴의 인원 모집 능력 때문에 그를 조종하고 있다는 것을 해리는 나중에 깨닫게 되지만 폴에게 그의 꿈을 따르라고 격려한다. 해리는 폴에게 $500를 주며 최대한 빨리 로스앤젤레스로 가라고 말한다. 에런 스테이턴 - 켄 코스그로브(Ken Cosgrove) 켄 코스그로브는 극중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 에이전시와 광고주 사이의 연락 및 기획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 중 한명으로 버몬트에서 태어났다. 또한 켄은 작가 지망생으로 그의 단편 소설은 잡지 저명한 The Atlantic에 실렸다. 이는 그의 직장동료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폴 킨지와 피트 캠밸은 켄에 대한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The Atlantic에 실린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켄은 콜롬비아 대학을 졸업했으며 그의 아내는 킨시아이다. 그는 아트 디렉터 살바토레 로마노를 존경하고 있으며, 살바토레는 켄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지만 이를 드러내지 않는다. 리치 서머 - 해리 크레인(Harry Crane) 해리는 안경을 쓴, 스털링 쿠퍼社 텔레비전 부문의 미디어 바이어이자 팀장이다. 그의 아이비리그 출신 동료들과는 다르게 그는 위스컨신 대학을을 갔었다. 동료들이 술을 마시거나 여자들을 희롱할 때 함께 하기는 하지만 사실 해리는 헌신적인 가장이다. 물론 시즌 1에서 피트의 비서와 술에 취한 채 하룻밤 잠자리를 가진 적도 있긴 했다. 또한, 이로 인해 부인인 제니퍼와 잠시 떨어져 있기도 했다. 해리는 좋은 사람이긴 하지만 우둔한 선택을 하거나 문제에 직면하는 걸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성향은 시즌 3에서 살바토레 로마노가 해고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그 스스로 옳은 선택이라는 자각을 했지만 그는 결국 드레이퍼와 쿠퍼의 강압으로 Sterling Cooper Draper Pryce에 들어갔다. 스털링 쿠퍼가 매각 중에 있을 때, 해리는 미숙하게도 서부에 새로운 사무실을 열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후에 지나치게 자신의 헐리우드와의 연결을 자랑하고 다니는 허풍쟁이가 돼버린다. 시른 5에서 그는 출장 중에 저지른 불륜을 말하면서 부인과의 신뢰를 깨뜨린다. 그리고 동료 폴의 하레 크리슈나교 여자친구인 Lakshmi에 쉽게 유혹당한다. 그는 점점 더 이미지에만 신경을 쓰고 옹졸한 사람이 되어 간다. 이러한 모습은 시즌 6에서 조안이 그를 꺾고 파트너가 되었을 때 조안에게 울분을 떠뜨림으로써 막을 내린다. 그러나 시즌 7에서 해리는 서부 지점에서 일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간다. 그가 파트너로 승진하는 것이 논의되긴 하지만 이에 조안과 로저는 반대를 하고 있다. 매기 시프 - 레이첼 멘켄(Rachel Menken) 시즌 1에서 고정으로 출연하며 시즌 2와 7에선 특별 출연함. 유대인이자 유대인이 운영하고 유대인을 대상으로 하는 백화점의 사장이다. 시즌 1에서 백화점의 이미지를 개조해줄 광고 대행 회사를 찾다가 스털링 쿠퍼 회사를 방문하게 된다. 그녀는 처음엔 돈 드레이퍼 (돈 드레이퍼 또한 그녀의 저돌적이고 독립적인 이미지를 처음엔 달갑지 않아한다)에 대해 무심한 듯 하지만, 서로에게 위안이 되며 결국 바람을 피게 된다. 그들의 불륜 과정에서 밋지나 아내에겐 말 하지 않았던 얘기들을 해준다. 돈이 피트 캠벨에게 협박을 받았을 때, 그는 레이첼에게 같이 로스 앤젤러스로 도주하자고 제안한다. 그러자 레이첼은 돈에게 아빠로서의 책임을 다시 상기시키며 아버지 없이 자란 삶을 살고도 아이들을 버릴 수 있냐고 물어본다. 돈이 계속 주장을 굽히지 않자, 레이첼은 돈이 그녀와 함께 도주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그저 도피를 위한 도주였음을 깨닫는다. 역설적으로, 레이첼이 돈을 겁쟁이라고 얘기하고 똑바로 생각하라고 질책하자 돈은 오히려 피트 캠벨에게 맞서게 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둘의 관계는 무너지고 쿠퍼는 돈에게 레이첼을 화나게 한 점에 대해 불평한다. 돈과 레이첼 사이의 불륜은 시즌1과 시즌2 사이에서 끝이 난다. 시즌 2에서 돈은 바비와 외식을 하던 중 레이첼과 마주치게 되고 틸덴 캣츠라는 남자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녀의 결혼 소식을 듣고 순간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는 듯 보인다. 나중에 그는 로저와 프레디와 술을 많이 마신 후 클럽 기도(술집 등에서 입구를 지키는 사람)에게 자신의 이름을 '틸덴 캣즈'라고 얘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모습은 돈 드래퍼의 심리 상태를 어느 정도 보여주는 듯 하다. 시즌 7에서 돈은 레이첼에게 아이 2명이 있었으며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조연 등장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에피소드 개요[편집] 1. Smoke Gets in your Eye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Ladies Roo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Marriage of Figaro[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New Amsterda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5G[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Babylon[편집] “Babylon”은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매드맨 시즌 1의 6번째 에피소드이다. 각본은 안드레 작므톤과 마리아 작므톤에 의해 쓰였으며 감독은 앤드류 번스타인이 밭았다. 이 에피소드는 2007년 8월 23일에 방영 되었다. 드레이퍼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해 베티에게 아침을 차려준다. 아침을 가지고 계단을 오르던 중, 드레이퍼는 넘어지고 음식을 바닥에 쏟고 만다. 엎어짐과 동시에 드레이퍼는 그의 이복 동생을 처음 만나던 때를 회상한다. 다음 날,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그의 동료들은 이스라엘 관광청의 임원들과 회의를 하게 된다. 어떠한 전략을 써야할지 고민에 빠진 드레이퍼는 유대인인 레이첼 멘켄을 찾아가 점심을 먹으며 도움을 청한다. 레이첼은 만남을 공적으로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 전화로 그녀의 여동생에게 드레이퍼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고백한다. 그러는 동안, 로저 스털링은 조안 할라웨이를 호텔방에서 만나는데, 여기서 그들이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해왔음이 밝혀진다. 로저는 조안을 완전히 소유하고 싶어하고 그녀 명의의 아파트를 사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한다. 조안은 지금의 자유로움이 편하며 로져가 결국엔 더 어린 여성을 위해 자신을 떠날 것임을 예단하며 제안을 거절한다. 벨 졸리 립스틱 캠페인 준비를 하던 프레디 럼슨은 스털링 쿠퍼의 비서들에게 새로운 립스틱 샘플들을 써보게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한다. 비서들이 제품을 테스트해보는 동안 쿠퍼 사의 남자 직원들은 반투명 유리를 통해 그들을 관찰한다. 대부분의 비서들이 샘플을 써보며 즐거워하지만, 페기 올슨은 그들을 지켜보기만 한다. 이벤트가 끝나고, 그녀는 프레디에게 “한 박스에 담긴 백가지 색깔들” 중 하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샘플 쓰레기가 모여 있는 쓰레기통을 “키스 바구니”라고 부른다. 이에 감명 받은 프레디는 페기의 의견을 다른 크리에이티브 팀에게 알린다. 팀은 페기에게 카피라이터의 직무를 맡긴다. 돈은 미지의 아파트에 들리지만, 미지의 친구 로이가 그들의 오붓한 시간을 방해한다. 세 사람은 “gaslight cafe”에 가서 미지의 친구 공연을 본다. 돈과 로이는 광고와 자본주의에 대해 논하다가 미지의 친구가 유대인에 대한 노래 “Babylonian captivity”를 부르자 일제히 침묵한다. 한 편, 로저는 조안에게 철장에 갇힌 새를 선물로 준다. 조안은 선물을 받고 매우 놀라워하나는데, 선물에는 그들에 관계에 대한 어떤 암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Babylonian captivity”가 계속 이어지면서, 조안과 로저는 호텔을 나서고 서로 낯선 사람인냥 각자 택시에 올라탄다. 문화적 레퍼런스 돈은 “The Best of Everything”이란 소설을 읽는다. 돈과 동료들은 소설 “ Exodus”를 읽는다. 살바토르는 립스틱 중 하나를 “Ethel Rosenberg Pink”라 칭한다. 7. Red in the Face[편집] 에이전시는 닉슨의 캠페인 임원들과의 미팅을 준비하고 있는 시기에 로저는 저녁을 먹고 술 한잔을 하기 위해 돈의 집을 방문하는데, 그 때 로저의 아내인 베티에게 치근대는 바람에 그들의 우정에 금이 간다. 피트는 결혼 선물을 총으로 교환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다. 헬렌은 베티에게 글렌을 봐줬던 날 밤에 대해 대면한다. 8. The Hobo Code[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9. Shoot[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0. Long Weekend[편집] 베티의 아빠 진은 근로자의 날을 맞아 베티를 방문한다. 베티의 엄마의 죽음 이후 만난 아빠의 새로운 연인 글로리아는 한눈에 베티의 눈 밖에 난다. 둘은 근로자의 날 연휴에 돈과 함께 여행을 떠나고 돈은 다음 날 합류하기로 한다.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동료들이 닉슨 캠페인에 대해 논하고, 레이첼과 그녀의 아빠는 백화점 리모델링 계획을 짜기 위해 만난다. 로저는 조앤에게 함께 저녁을 보내자고 하지만 그녀는 그녀의 룸메이트와 밤 마실을 간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피트는 그의 주소 중 하나를 돈에게 알려주고, 스콜스 박사는 다른 회사로 떠난다. 여전히 동료애를 갖고 있는 로저는 돈이 고객을 잃은 것에 대해 마음 쓰지 않도록 도우려 한다. 그들은 광고 오디션에서 어린 쌍둥이를 만나고 그들을 위층에 초대한다. 돈이 집에 갈 생각만 하는 동안 지금은 비어있는 사무실에서 로저는 쌍둥이에게 치근댄다. 한편, 나갈 준비를 하는 동안 조앤의 룸메이트 캐롤은 예상치 못하게 조앤을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충격받은 조앤은 별다른 말 없이 나가자는 말 밖에 하지 못한다. 둘은 두 남자를 집에 데려오고, 상처받은 캐롤은 조앤이 아닌 다른 남자와의 섹스를 거부한다. 쌍둥이 중 하나와 사무실에서 섹스를 하려던 로저는 심장마비를 겪는다. 그는 살아남지만 입원한다. 돈은 모나와 마가렛이 눈물로 포옹을 하는 걸 병원 문밖에서 슬프게 쳐다본다. 돈든 베티에게 전화해 가족 휴가에 참가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베티는 로저의 상태에는 관심 없이 글로리아와 진의 관계에 대해 불평한다. 조안은 베트에게 로저의 상태에 대해 듣는다. 그들의 고객들에게 현재 상태에 대해 전보를 쓰려던 그녀는 눈물을 베트에게 들키고 베트는 젊음을 낭비하지 말라며 조언한다. 피트는 돈과 닉슨을 형편없이 보이게 하는 그럴싸한 존 케네디의 티비 광고를 보기 위해 제 시간에 병원에 도착한다. 레이첼에게 연락이 안 되는 돈은 레이첼네 문을 두드리고, 매우 지친 그를 본 그녀는 그를 들어오게한다. 돈은 레이첼에게 로저의 건강 상태의 불 확실성에 대해 말하고 둘은 사랑을 나눈다. 사정 후, 돈은 그의 삶의 부분적인 이야기를 그녀에게 고백한다. 그녀에게 고백한 그의 어린 시절은 이렇다. 그는 그를 낳다가 죽은 창녀의 아들이며 술취한 아버지와 학대하는 새 엄마와 자랐고 그의 아버지가 돈이 10살때 말에게 맞아 숨진 후, 돈은 그가 안쓰러운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새 엄마와 그녀의 새로운 남편에 의해 양육되었다는 것이다. 11. Indian Summer[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2. Nixon Vs. Kennedy[편집] 에피소드의 배경은 1960년 대통령 선거 날이다. 바트와 돈이 퇴근한 뒤, 스털링 쿠퍼 회사의 직원들은 몰래 선거 파티를 연다. 치열한 선거에 파티 분위기는 점점 무르익고, 직원들은 과음을 하며 파티를 즐긴다. 피트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돈의 것인 아담의 신발상자를 본다. 그 신발상자 안에는 인식표, 편지와 사진이 들어있다. 한 사진은 젊은 돈과 아담이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이 찍혀있다. 피트는 사진을 뒤집어 ‘딕과 아잠, 1994’라고 쓰여저 있는 것을 확인한다. 한편 돈은 새로운 기획 팀장을 뽑아야 하는데, 피트는 이에 눈독들이고 있다. 그러나 돈은 피트를 후보로 여기지 않으며, 돈은 공공연하게 이미 후보들을 정해놓았다. 헐먼 필립은 그 후보들 중 하나이다. 피트는 돈의 신발상자에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해 기획 팀장 자리를 따내려 하며, 그렇게 하면 돈이 어쩔 수 없이 피트에게 그 자리를 내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돈의 비밀이 밝혀지려 하자, 돈은 패닉하고 레이첼 멘켄에게 함께 도주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는 운영해야 할 가게가 있고 돈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거절한다. 그녀는 돈과의 다툼 끝에 돈이 자신과 떠나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누구와 떠나든 상관 없이 그냥 이곳을 떠나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결국 돈은 피트에 협박에도 불구하고 쿠퍼에게 헐먼 필립을 뽑겠다고 말한다. 피트는 분노하며 쿠퍼에게 돈이 딕 위트먼이며, 탈영병이고 범죄자라는 사실을 밝힌다. 하지만 쿠퍼는 이 나라는 그보다 더한 사람들로 인해 만들어졌고 그들로 인해 운영된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13. The Wheel[편집] 베티는 친구의 남편을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결혼 생활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피트는 장인어른의 인맥으로 광고주를 구한다. 페기는 신입 카피라이터로 승진되지만, 본인도 몰랐던 임신 사실과 함께 갑작스레 아기를 출산한다. 아이의 아버지는 피트 캠벨이다. 돈은 동생의 자살 소식을 듣고,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다. 피트가 이번 승진에서 선택 받지 못한 것을 안 장인어른 톰은 피트에게 일을 당분간 쉬고 아이 낳는 데에 열중하라고 충고한다. 드레이퍼 가정에서 베티는 추수감사절 때 친정으로 가져갈 것을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돈은 자신의 회사의 새 동업자로써 일이 너무 많아 추수감사절 때 같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돈이 왜 자신의 가족을 보러 가기 싫어하는지 아는 베티는 "왜 내 가족을 당신 가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라고 말한다. 그 다음날 베티는 장을 보고 집에 오자 현관 엎에 기다리고 있는 프랜신을 만난다. 몹시 동요된 듯한 프랜신은 전화 요금을 지불하면서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고 베티에게 말한다. 바로 맨하탄으로 건 비상정으로 많은 장거리 통화 내역이다. 그 번호로 전화하자 여자가 받았고, 남편이 일주일에 두 번씩은 원도프 호텔에서 자고 온다며 프랜신은 남편의 불륜을 의심한다. 베티가 그녀를 위로하려고 하지만 프랜신은 그저 남편을 독살시키고 싶다 말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베티는 집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돈의 서재에 들어가 전화 요금 고지서를 찾아 주머니 속에 넣는다. 그 와중 헤르만 필립스는 스털링 쿠퍼 회사 광고인들에게 현재 의뢰인들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충고한다. 그는 사람들이 차를 사고 하늘을 날고 싶어한다며 자동차 회사, 항공사와 제약 회사와 계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현재 코닥 회사에서 슬라이드 프로젝터가 새로 출시되었다고 언급한다. 돈이 집에 오자 베티는 남편에게 프랜신의 상황에 대해 알린다. 그리고 그녀는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럴 수 있죠?"라고 물으며 남편의 반응을 살핀다. 돈은 그녀에게 걱정하지 말라며 달래준다. 헤르만 필립스는 코닥의 새로운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돈의 사무실로 가져가 책상에 내려놓으며 제품이 마치 바퀴처럼 멈추지 않고 부드럽게 돌아간다고 말한다. 이에 돈은 코닥이 바퀴를 발명했다며 농담한다. 에피소드 정보[편집] 시즌 1 에피소드 정보[편집] 에피소드 번호 제목 감독 각본 방송일 시청자 (백만) 1 "Smoke Gets In Your Eyes"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26, 2007 1.65 2 "Ladies Room"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19, 2007 1.04 3 "Marriage of Figaro" 에드 비앙키 톰 파머 August 9, 2007 N/A 4 "New Amsterdam" 팀 헌터 리사 앨버트 August 9, 2007 N/A 5 "5G" 레슬리 링카 글래터 매슈 와이너 August 16, 2007 N/A 6 "Babylon" 앤드루 번스타인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ugust 23, 2007 N/A 7 "Red in the Face"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ugust 30, 2007 N/A 8 "The Hobo Code" 필 에이브러햄 Chris Provenzano September 6, 2007 N/A 9 "Shoot" 폴 피그 Chris Provenzano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13, 2007 0.84 10 "Long Weekend"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nd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27, 2007 N/A 11 "Indian Summer" 팀 헌터 톰 파머, 매슈 와이너 October 4, 2007 N/A 12 "Nixon vs. Kennedy" 앨런 테일러 리사 앨버트 &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October 11, 2007 N/A 13 "The Wheel" 매슈 와이너 매슈 와이너, 로빈 비스 October 18, 2007 0.93 시즌 2[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3[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4[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5[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6[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7[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제와 상징[편집] lucky strike ad 정체성과 과거회상[편집] 티비 평론가들은 각자 캐릭터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가장 두드러 지는 것은 드레이퍼가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병사의 정체를 사용해 그의 정체성을 감춘것이다. 팀 굿맨은 매드 맨에서 보다 중요한 테마는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굿맨은 돈 드레이퍼를 " 그는 오랫동안 거짓말 속에서 산 남자로 혼자 지내는 것이 익숙한 사람이 되었다. 세 시즌을 거쳐 우리는 그가 만들어낸 동화같은 삶에서 실존적 고뇌를 겪는것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게커는 "스털링쿠퍼 회사의 사업뿐만아니라 주인공인 돈 드레이퍼 또한 진실을 포장하는 것 같이 거짓말로 만들어졌다. 그의 캠페인들중 하나처럼, 그의 정체성은 기회와 빈정거림 그리고 속임수로 만들어진 솜사탕처럼 달콤한 거짓말이다."라고 했다. 뉴 리퍼블릭 작가 루트 프랭클린은 "이 쇼는 그들이 어떻게 창조되었고 그들의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나를 보여주며 미국 아이콘의 브랜딩 장면으로 우리를 데려가는 방식이다. (러키 스트라이크 담배나 힐튼호텔 라이프 시리얼)"라고 말하며 "이런식으로 우리는 모두 밑에 어떤 거짓말이 깔려있는지 보다는 상품을 팔려는 방식에 집착하는 돈드레이퍼다. 드레이퍼의 치명적 단점은 그의 심리적 인지다. 그가 완벽히 미국의 욕구로 변모하며 그의 원래 성격과는 완전히 단절되는 것이 그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한 리뷰어는 "정체성은 매드맨의 주된 테마다. 모두들 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각자 어긋난 야망과 좌절된 꿈으로 채워지고 그 중 돈드레이퍼는 더더욱시즌 1과 2를 통해 점점 속된말로 해골로 변해간다"라고 말했다. 불륜과 성차별주의[편집] 매드맨은 성 역할에 대한 논의를 더 활발하게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은 결혼, 혹은 약혼을 했음에도 자주 다른 여성들과 성적인 관계를 맺는 남성상을 표현한다. 대부분의 주인공들에게는 혼외불륜의 관계가 있다. 마리 윌슨은 워싱턴 포스트의 논평 페이지에서 “여성과 남성이 서로를, 그리고 권력을 다루는 방법을 보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이런 모습들은 우리의 생각만큼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딸들은 계속해서 권력은 권력을 가진 남자로부터 나온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아름다운 외모는 여자가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사다리가 되어주긴 하지만 여전히 최고의 자리에 오르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LA 타임스는 “특히 성차별주의는 거의 숨막히게 만들 뿐 보기에 즐겁지 않다. 하지만 그것은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들이 맞서 싸우는 힘이며, 여성 스스로를 정의 내리게 하는 반대 급부의 힘이다. 일상의 여성혐오와 겸손의 상호작용은 정신상담가가 남편에게 상담내용을 보고하는 가정주부, 퇴근시간 이후의 일에서는 모두 제외되는 등의 캐릭터들에게 목적과 형태를 제공한다."라고 주장한다. Salon에서 Nelle Engoron은 매드맨이 성문제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프로그램의 남성 캐릭터들은 불륜과 술자리를 위해 처벌을 피하면서 일에서 손을 뗄 수 있는 반면에 여성들은 주로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처벌을 피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Aviva Dove-Viebahn은 “매드멘은 어떻게 성차별주의와 가부장제가 1960년대의 삶, 직업,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지에 대한 미묘한 묘사와 급변하는 광신적 애국주의의 60년대 광고계의 미화된 연기 그 사이를 가로지른다."라고 설명했으며 멀리사 윗코스키는 가디언紙에서 “페기의 우위적 위치는 온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은 강력하게 그 어떠한 여성도 스털링 쿠퍼에서는 페기에 앞서 카피라이터가 된 적이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승진을 둘러싼 상황들은 이것은 단순히 페기 이전에는 그 어떤 여성도 앞에서 스스로의 재능을 드러낸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멀리사는 페기가 승진하게 되는 과정이 메리 웰스 로런스와 Jean Wad Rindlaub와 같이 당대의 성공한 광고계 여성의 성공 스토리와 닮아있다는 점을 짚어냈다. 세대 차이[편집] 세대차이: 미국인들은 1960년대를 ‘기적의 60년대, 활기찬 60년대’로 기억한다. 그러나 밝고 아름다운 60년대의 이면에 심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있다는 비판이 많다. 60년대는 꿈과 희망이 현실이 되는 시대였다. 미국이 영광의 시대에 접어들며 세대차가 나타나게 된다. 돈 드레이퍼와 돈의 부모와의 차이는 대표적인 예다. 20대, 30대는 젊은 나이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더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매드맨에서 세대차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는 음악과 종교다. 매드맨의 각 에피소드는 각각 다른 음악으로 마무리되는데 이 음악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로저는 1차 세계대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반면 돈은 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시점과 각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시대극의 장점은 시대상을 들어 그 시대 인물들의 삶과 정서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매드맨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당대인의 삶과 정서를 신뢰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소비 사회[편집] 소비주의(Consumerism): 소비주의의 사전적 정의는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거나 보호하는 것이다. 소비주의는 매드맨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 매드맨의 배경은 광고회사다. 광고회사의 목적은 어떤 상품의 장점을 찾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매력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에피소드에서 돈 드레이퍼와 그의 동료들은 고객을 유혹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뛰어난 광고 전략을 세워 경쟁적인 시장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고객사를 설득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상품을 매력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는 작업은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뤄진다. 고객을 세대별 집단으로 구분해서 공략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접근이다. 물론 전세대를 아울러 동시대인으로서 한 집단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60년대 남성들은 강한 남성성을 보이며 여성들은 강한 여성성을 보인다. 광고업자들은 연구를 거쳐 상품을 광고할 방법을 고안한다.또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유인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럭키 스트라이크 에피소드에서 "구웠다(toasted)"는 표현으로 럭키 스트라이크의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폭스바겐을 "레몬"으로 비유한 것과 같은 이런 간단한 정의는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있다. 이런 접근 방식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매드맨의 배경이 되는 60년대는 미국인 일반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된 첫 번째 시기다. 또 식자율이 상승하면서 시민 일반이 광고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졌다. 매드맨(60년대 광고업자)은 알콜중독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이 음료를 선택하는 것 역시 소비주의 경향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상그리아(적포도주에 소다수와 레몬 즙을 섞은 음료)나 스프릿츠(백포도주에 소다수를 혼합한 음료)같은 음료는 당시 엘리트 계층에서 유행했던 술이다.당대의 소비주의는 동시대의 평범한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런 인식에 젖어들면서 소비주의는 경제와 사람들의 성격적 특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 의존증[편집] ABC 뉴스는 매드맨에서 드러난 1960년대의 음주문화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라고 말했다. 감독 매슈 와이너는 오피스 내부·외부와 점심·저녁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ABC 뉴스는 이런 주인공들의 모습이 60년대라는 타임 프레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즌 2에서는 프레디 럼슨이 바지에 오줌을 싼 뒤, 알콜 중독 치료를 위한 재활원으로 보내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또한 극중에서 한 텔레비전 리포터는 돈, 베티, 헐만 필립 그리고 로저 스탈링의 과음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시즌 4에서는 돈 드레이퍼가 자기 자신이 알콜 중독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ABC 뉴스가 인용한 한 알콜 및 약물 중독 전문가는 지난 10년 동안 알콜 중독은 질병으로서 인정받았으나 60년대에는 과음 후에 드러나는 부정적인 행동들은 남성적이고 로맨틱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드라마를 본 한 평론가는 시즌 4에서 돈 드레이퍼가 알콜 중독과 싸우는 모습을 가리키며 ‘술 깨는 이야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반문화[편집] 로스 엔젤레스 타임즈는 매드맨은 만연한 문화전쟁의 출현 전인 쉼 없이 바쁜 시기에 이야기 속 인물들이 개인적 해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에서 뛰어나다고 말했다. 한 리뷰어는 패기를 통해 시즌4가 시끄러운 음악과 담배 돌려피우기, 언더그라운드 영화와 같이 그 시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과 함께 반문화 (팝아트의 황제 앤디 워홀)의 도입을 가져왔고 패기가 라이프 잡지의 사진작가(Friend)와 함께 로프트에 방문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자란, 주류에 반하는 저항적인 창의성의 즐거움에 직면한다며 흥분했다. 허핑턴 포스트는 패기가 로비에서 피트가 SCDP 파트너들과 그의 새로운 6000달러 계좌를 기념하기 위해 머무는 동안 그녀의 새로운 비트족 친구들과 만나는 장면에 집중했다. 그들이 그들의 반대 궤도에 승선하는 동안 카메라는 그들의 시선에 머물며 여기에서 우리는 감정적 진실을 찾는다고 말했다. 인종차별주의[편집] Tamara Harris는 Change.org에 “주 내용에 유색인종이 등장하지 않는 사실은 많은 사실을 함축한다" 라고 적었다. 더 명확히 얘기하면 ‘매드맨’은 20세기 중반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만약 당시 내용을 다뤘다면 인종 문제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사실로 인한 비난을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드맨은 돈 드레이퍼와 그의 궤도에 속한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그들은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중반까지 맨해튼에서 일을 하고 생활한 중산층 이상의 상류층 백인들이다. 평등을 위한 투쟁이 그들의 특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사람들은 인종이나 인종차별주의는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유색인종이 집에 있는 경우나 그들의 관점은 전혀 보여주지 않고 일을 하는 모습만 보여주는 초인종주의 (인종 구분 자체를 거부하는 관점) 가 ‘매드맨’ 시리즈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비평가들은 주장한다. 몇몇 저술가들은 Clarence Holte나 Georg Olden, Caroline Robinson Jones 와 같은 1960년대에 업계 진출을 시작해 성공적으로 업계에서 활동한 흑인 광고업계 중역진들에 대한 내용을 생략함으로써 ‘매드맨’시리즈가 역사를 왜곡한다고 보았다. Slate의 기고자 Tanner Colby는 ‘매드맨’이 당시 매디슨가에 있었던 인종 문제를 역사적으로 정확하게 다뤘다고 칭찬했다. 특히 시즌3 ‘The Fog’ 에피소드에서 캠벨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회사가 좌절시킨 사건에서 이러한 정확도가 잘 드러난다. 시즌4 ‘The Beautiful Girls’ 에피소드에서 Fillmore Auto 회사가 흑인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 보이콧을 당하자 페기는 Harry Belafonte를 Fillmore Auto의 대변자로 제안하지만 돈 드레이퍼가 이 제안을 거절하는 장면에서도 잘 드러난다. Colby는 또한 1963년에 Ad Age와 관련해 발행된 expose에서 “2만명의 이상의 전문직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직업군 종사자 중 흑인은 25명 밖에 없었다”. 그는 “매드맨은 비겁하게 인종 관련 문제를 회피하지 않는다. 단지 매디슨가의 비겁함에 대해 솔직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뿐이다.” 라고 얘기했다. 흡연[편집] 럭키 스트라이크 광고 미국에서 현재보다 1960년대에 더욱 흔했던 흡연은 매드맨 시리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여러 등장인물들이 담배 피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파일러트 에피소드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의 대표들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구하기 위해 스털링 쿠퍼에 문의하러 온다. 그 당시에 ‘리더스 다이제스트’ 잡지에서는 흡연이 폐암과 같은 질병의 원이 된다는 발표를 한 시기이다. 흡연이 건강이나 외모에 해롭다는 말은 중요시 여기지 않거나 주로 무시된다. 시즌4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SCDP)와의 광고 계약을 해지시키자 돈 드레이퍼는 뉴욕 타임즈에 ‘내가 담배를 끊는 이유’라는 제목의 광고를 낸다. 그 광고를 통해 SCDP는 더 이상 담배 회사들과의 계약을 거절한다고 밝힌다. 시즌 마지막 회에서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와 대화를 하는 것으로 막을 짓는다. 배우들은 진짜 타바코 담배가 아닌 허브 담배를 피우는데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뉴욕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가 배우들의 건강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배우들이 진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좋지 않을 거예요. 불안해하고 초조하게 되기 때문이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워서 세트장에서 토하는 사람들도 봤다”고 말했다. 추락하는 남자[편집] 방 안의 가구들이 빠르게 무너져 내리고, 남자의 그림자가 높은 광고판으로 만들어진 절벽에서 추락한다. 불안한 느낌의 배경음악이 흘러나오고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분위기가 이어진다. 매드맨의 제작자 매슈 와이너가 만든 이 인트로 영상은 정장을 입은 남자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내용이다. 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는 인트로 영상뿐 아니라 매드맨의 광고 배너와 포스터에도 쓰였다. 9.11 테러를 연상케 해 논란이 뜨거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에 대한 방송사 AMC의 공식 입장은 주인공 돈 드레이퍼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존 햄(돈 드레이퍼)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추락하는 남자’가 돈 드레이퍼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36초에 불과한 이 인트로 영상은 매드맨의 여러 측면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쟁적인 인트로 영상은 여전히 여러 영역에서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01년의 9월 11일 납치된 비행기가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와 충돌하는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비극이 벌어졌다. 빈라덴이 이끄는 알카에다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자신들의 적인 미국의 여객기를 탈취해 뉴욕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인 세계무역센터와 충돌시켰다. 충돌 후 빌딩 내부에 화재가 일어나자 발이 묶인 사람들은 빌딩 밖으로 몸을 던져 목숨을 잃었다. 높은 빌딩에서 몸을 던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매드맨의 인트로 영상은 9.11 테러 이후인 2007년 제작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인트로 영상이 9.11 테러 사건과 당시 희생된 이들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제기했고 실제 9.11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이 이 인트로의 상영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2012년 AMC는 매드맨의 5번째 시즌 홍보를 위해 뉴욕시 사방에 해당 이미지의 포스터를 붙였고 이 일로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다. 논란이 야기되자 매슈 와이너는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줄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관련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편집] 1960년 11월 8일에 있었던 선거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선거 중 하나로 꼽힌다. 닉슨은 로스 엔젤레스의 유명한 호텔인 앰버서더 호텔에서, 케네디는 마사츄세츠 주 하이에니스 포트에 소재한 자신의 거처에서 안락하게 선거 개표 방송을 시청했다. 하지만, 중서부의 농촌과 교외 지역, 그리고 락키 산맥, 대서양에 근접한 주의 표가 개표되면서, 닉슨은 케네디와의 표차를 서서히 줄여가기 시작했다. 자정이 되기도 전에, 뉴욕 타임즈는 헤드라인에 “케네디 대통령 당선”이라는 정보를 실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다 보니, 타임즈의 주필인 터너 캐틀리지는 “중서부의 한 시장이 제발 표를 충분히 확보해 케네디가 당선되기를 기원했다”라고 회상했는데, 이는 타임즈가 12년 전 시카고 트리뷴이 토마스 듀이가 트루먼 전 대통령을 선거에서 이겼다는 오보를 낸 전레에서 비롯한 말이었다. 닉슨은 자정 3시에 새로 연설을 통해, 케네디가 선거를 이겼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암시했다. 뉴스 관계자들은 매우 당황했는데, 이러한 공식적인 대선 패배 인정문은 매우 드문 경우였기 때문이다. 11월 9일, 수요일에 되어서야 닉슨은 확실한 대선 패배를 인정하였고,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3,129의 자치주와 도시 중, 닉슨은 1857개 (59.35%)의 도시에서 승리를 거뒀고 케네디는 1,200 개 (38.35%)에서 이겼다. “언약하지 않은” 선거인들이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의 71개 자치주 (2.27%)에서 승리했으며, 알래스카에서는 케네디와 닉슨이 각각 한 도시씩 가져갔다. 투표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는 닉슨의 본고장인 캘리포니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선거구가 투표 완료를 선언했을 때는 케네디가 37,000표로써 승리한 것으로 보여졌으나, 부재자 투표가 완료된 일주일 후에는 닉슨이 결국 36,000표로 캘리포니아까지 가져갔다. 이와 비슷하게, 하와이에서도 닉슨이 주투표에서 승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재개표 시에는, 케네디가 115표라는 적은 표 차이로 승리했다. 전국민 투표에서는, 케네디가 닉슨을 0.17%라는 20세기 최소의 표차로 승리했다. 대표단 투표에서 케네디의 승리는 더욱 확고했는데, 케네디가 대표단에게서 303표를 가져간데 비해, 닉슨은 219표를 가져갔다. 총 15개의 대표단은 케네디도 닉슨도 아닌 버지니아 주 소속 민주당의 해리 버드 상원의원을 뽑았다. 케네디는 12개의 주에서 3% 미만의 득표율 차로 승리를 구뒀고, 닉슨은 6개의 주에서 비슷한 비율의 득표차로 승리했다. 케네디는 북동쪽 주와 미시간, 일리노이, 미쥬리 등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많은 서중앙 지방에서 승리를 거뒀다. 린든 존슨의 도움으로, 남부 지방 대부분의 주에서 역시 승리를 거뒀는데, 이 중에는 노스 캐롤라이나, 죠지아, 텍사스 등 매우 큰 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닉슨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농업 중심의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서부의 3개 주를 빼놓고는 모든 주에서 앞서갔다. 가장 큰 승리를 거둔 주는 오하이오였다. 뉴욕 타임즈는 이러한 치열함에 대해 케네디가 이긴데에는 그가 천주교였다는 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선거 도중 닉슨은 케네디의 종교를 비난하였고, 그로 인해 북쪽 지역의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케네디의 편으로 붙었다는 것이 그들의 분석이다. 미시간 대학교의 조사팀이 1956년과 1960년에 투표를 실시한 이들에 대한 인터뷰에 의하면, 1956년에 민주당에 투표한 사람들 중 39명 중에 케네디를 뽑은 사람이33명인데 비해, 공화당을 뽑은 이 61명 중 44명이 닉슨에게 투표했다. 이에 의하면, 닉슨은 표 28%를 아이젠하워에게 뺏긴데 비해, 케네디는 단 15%만을 스티븐슨에게 뺏긴셈이다. 결론적으로,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1956년에 지지자들을 잘 관리한 것이다. 케네디는 앞으로 미국에 국가적으로 다가올 도전들을 꿰뚫어보았고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했다. 당선 연설에서 그는 “친애하는 모든 국민 여러분, 저는 앞으로 다가올 4년이 도전과 역경으로 가득찬 시기일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1960년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전국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도움이 절실하며, 저의 모든 정신을 미합중국의 장기적인 발전과 전세계의 자유를 도모하는데 바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라고 주장했다.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편집]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란 여성들의 가장 큰 행복은 아내와 엄마가 되는 것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나 베티 프라이덴의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에서는 교외의 주부들의 인터뷰와 심리학과 미디어 광고조사를 통해 이 개념을 비판하며 세컨드 웨이브 페미니즘을 불러일으켰다. 드라마 매드맨도 프라이덴과 같이 이런 여성의 신비라는 개념이 환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즌1에서 돈 드레이퍼의 아내 베티 드레이퍼는 전형적인 우울한 주부의 모습을 대변한다. 베티 드레이퍼는 표면적으로는 모든 것을 가진 아내이자 어머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손을 떠는 등 불안하고 우울한 증세를 보인다. 드라마에서는 그녀의 결혼생활 또한 불안정한 것으로 비춰진다. 예컨대, 돈 드레이퍼는 계속해서 다른 여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베티는 돈의 감춰진 삶에 대해 계속해서 불안감을 느낀다. 베티는 결국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며 그녀의 불안정한 삶에 대해 털어놓게 된다. 그러나 돈 드레이퍼는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라는 개념에서 드러난 여성의 이상적인 꿈은 주부로 연결된다는 것에 반한다.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그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9화에서 그녀가 과거에 했던 모델 일을 결혼 이후에도 계속해서 꿈꿔왔다는 것이 드러난다. 코카콜라 광고 제의가 들어오자 그녀는 갑자기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일을 시작한다는 것에 대한 사실에 기쁨을 감출 수 없다. 이는 그녀의 꿈은 주부라는 그림자에 의해 가려졌으며, 주부라는 것은 그녀의 이상이 아니라 그저 현실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에서는 베티 드레이퍼라는 인물을 통해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가 진실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고정관념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편집]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는 많은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는데, 우선 이 두 영화의 시대적 배경이 10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서 사회적인 양상에서 굉장히 흡사하다. 두 주인공은 모두 정상적인 가정과 직장을 꾸리고 살지만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점, 과거에 전쟁에 참전했던 경력이 있다는 점 등에서 매우 비슷하다. 이는 겉으로는 아내와 화목한 매일매일을 보내는 것 같고, 실제로도 드레이퍼와 톰은 가족 중심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불륜이라는 소재가 이들의 심적 갈등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또한 두 인물 다 도시 외곽 쪽에 거주하고, 알코올 의존중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술을 자주 마신다는 점에서 라이프스타일도 유사하다. 이 둘은 일에 헌신하는 태도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돈은 자신의 광고 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써 인정받고 있고, 톰도 자신의 직장에 충실하다. 다만 돈 드레이퍼는 자신의 일에 대하여 별다른 불만이나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여, 톰은 표면적으로는 일에 헌신하지만 그것이 영혼이 없는 태도라고 내심 생각하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둘은 각각 한국전쟁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과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굉장히 명예로운 일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 주인공은 이러한 과거를 회피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특히 두 작품 다 PTSD와 비슷한 다소 고통스러운 과거 회상 장면이 나온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는 종전 이후 참전용사들은 정상적인 사회생활 복귀를 꿈꾸지만, 이 두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도 할 수 있다.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은 매드맨(Mad Man)과 예스맨(상사에게 복종하는 사람)으로 각각 나타난다. 아인 랜드[편집] 매드맨 1시즌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이 처음 언급되는 것은 8번째 에피소드 “The Hobo Code” 에서 스털링 쿠퍼 사의 사장인 버트 쿠퍼의 입을 통해서이다. 그는 아인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돈 드레이퍼에게 권한다. 본 에피소드에서 나중에 돈은 고객과의 상담 중 고객이 자신의 광고를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자 “내가 공들인 이 광고를 당신이 감사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 광고를 당신에게 주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당신이 어떻게 되는지 보자” 라는 상당히 도전적이고 어떻게 보면 건방지기까지 한 대사를 말하는데, 이 장면은 돈이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읽고 영향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은 돈을 통해 계속해서 아인 랜드의 철학을 연상시키는 독선 혹은 자기중심성을 관찰할 수 있다. 11번째 에피소드 "Indian Summer"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은 다시 한번 등장한다. 로저가 갑작스럽게 건강에 문제가 생기자 쿠퍼는 돈에게 파트너 자리를 제안한다. 돈은 파트너 제안은 수락하지만 계약서는 필요 없다고 말한다. 쿠퍼는 계약서가 필요 없다는 돈의 말을 듣고 미소를 지으며 "너무 자신감 넘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어서 쿠퍼는 돈에게 아인랜드를 소개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쿠퍼는 계약서도 쓸 필요 없다는 자신감 넘치는 돈의 태도에 감탄했다. 아인랜드의 책에서 강조하는 상황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견지해 성취를 이뤄내는 인간상을 돈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반응 및 평가[편집] 평점[편집] [시즌1 ~ 시즌2] 2007년 7월 19일 저녁 10시 예고편 시청률은 당시 기존의 AMC 드라마 시리즈에 보다 높았으며 120만 가정에서 총 165만명의 시청자들에 의해 1.4점을 얻었다 (household rating). 시즌 1 예고편의 시청자 수는 시즌 2에 비해 두 배 이상 이었으며(206만명) 이는 시즌 2예고편의 강력한 홍보 덕분이었다. 시즌 2첫 방송 이후 시청자 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TV비평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형성했다. 하지만, 175만명이 시즌2 마지막화를 시청했고 이 수치는 시즌2 평균 시청자수 보다 20% 더 높은 수였으며 시즌 1 마지막 화 시청자 수에 비해선 926,000 명이 더 많았다.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청자 수를 포함해 누적 시청자 수는 총 290만명이었다. [시즌 3] 예고편은 2009년 8월 16일에 방영되었으며 첫 상영에 280만명, 그리고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간에 78만명이 시청하였다. 2009년에 매드맨은 시청자 수 57.7% 증가로Nielsen’s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배틀스타 갤랙티카 최종 시즌 바로 다음으로 2등을 차지했다. [시즌 4] 예고편을 29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시즌 3 처음보다 평점이 5퍼센트 증가하였고 시즌 3평균보다는 61퍼센트 증가하였다. 또한 AMC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한 드라마로 등극하였으며 이는 The Walking Dead와 Better Call Saul 방영 때까지 유지되었다. [시즌 5] 예고편인 ‘A Little Kiss’는 350만명이 시청하였고 18 ~ 49세 시청자는 160만명이었다. 이는 매드맨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 수였다. 시즌 5 이전에는 18 ~ 49세 시청자 수에서 100만명 이상의 시청자 수를 기록한 적이 없었다. AMC 채널의 사장인 Charlie Collier는 “Matthew Weiner와 그의 팀은 시즌 5까지 매 시즌을 아름다운 얘기로 잘 풀어냈으며 시즌이 지날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이에 반응해주었다. 이러한 성공은 매우 드물기에 이 프로그램과 카메라에 찍히지 않은 유능한 작가, 출연진을 포함한 전체 팀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라고 얘기했다. 시즌 5 마지막화인 “The Phantom”은 27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매드맨 최종화 중 가장 높은 시청자 수를 기록하였다. 2012년에 매드맨 시리즈는 시청자 수 상승률127%를 기록하며 Nielsen's list of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2등을 차지하였다. 시즌 방영 시간과 요일 에피소드 수 시작 날짜 예고편 시청자 수 최종회 날짜 최종회 시청자 수 평균 시청자 수 시즌1 목요일 P.M 10:00 13 2007년 7월 19일 165만명 2007년 10월 18일 93만명 90만명 시즌2 일요일 P.M 10:00 13 2008년 7월 27일 206만명 2008년 10월 26일 175만명 152만명 시즌3 일요일 P.M 10:00 13 2009년 8월 16일 276만명 2009년 11월8일 232만명 180만명 시즌4 일요일 P.M 10:00 13 2010년 7월 24일 290만명 2010년 10월 17일 244만명 227만명 시즌5 일요일 P.M 10:00 13 2012년 3월 25일 350만명 2012년 6월 10일 270명 270만명 시즌6 일요일 P.M 10:00 13 2013년 4월 7일 337만명 2013년 6월 23일 269만명 249만명 시즌7 파트1 일요일 P.M 10:00 7 2014년 4월13일 227만명 2014년 5월 25일 194만명 201만명 시즌7 파트2 일요일 P.M 10:00 7 2015년 4월5일 227만명 2015년 5월 17일(예정) 아직 진행 중 아직 진행 중 평론[편집] 매드맨은 개봉과 동시에 비평가들의 큰 호평과 비평가들의 역대 최고의 위대한 텔레비전 시리즈로 자리매김 하였다. 미국 영화 연구소는 2007, 2008, 2009, 2010, 2012년에 (2011년에는 방영하지 않았음) 매드맨을 최고의 10개 텔레비전 시리즈 중 하나로 뽑았고, <텔레비전 비평과 협회>, <시카고트리뷴>, <뉴욕타임즈>, <피츠버그 포스트 가제트>, <타임지>, 그리고 <TV 가이드>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출판물들도 매드맨을 2007년 최고의 텔레비전 쇼로 선정했다. 논평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매드맨 첫 시즌 점수는 77/100이었다. 2013년 <TV 가이드>는 2013년 역대 최고의 드라마 60개 중 매드맨을 5위로 선정하였고, 미국 작가 조합에서 역대 최고로 잘 쓰여진 TV 시리즈 101개 중 7위로 선정되었다. 롤링스톤의 멤버 롭 셰필드는 매드맨을 "역대로 가장 위대한 TV 드라마"라고 말했다 . <뉴욕타임즈>의 논평가는 "그리 멀지 않은 과거를 즐기는" 획기적인 시리즈라고 말했다. 시대적 진정성[편집] 60년대 광고업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은 매드맨의 시대적 진정성에 대해 각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지만, 매슈 와이너와 그의 팀은 매드맨이 시대적 진정성과 그 배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다. 매드맨 자문위원 로버트 래빈슨은 매드맨이 포착하고 있는 것은 매우 사실적이다며, 드라마에서 일상적인 음주, 지속적인 흡연, 간부와 비서의 관계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60년대에 카피라이터로 일했던 제리 델라 페미나 또한 드라마가 흡연과 여러가지 사회적 편견을 정확하게 그려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피라이터 알렌 로젠샤인은 드라마의 배경은 완전히 꾸며낸 것이라고 말하며, 실제로 60년대에 매드맨의 등장 인물들처럼 여자를 대했다면, 진작에 해고당했을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60년대에 광고회사 Doyle Dane Bernbach에서 일했던 조지 루이스는 매드맨은 60년대의 고정관념을 드라마를 통해 실체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60년대의 현실은 매드맨과 달랐으며, 광고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매일 힘들게 일했고, 일 외에 활동이라고는 회사에서 하는 농구와 소프트볼이 전부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문화 관측소의 벤자민 슈미츠의 매드맨 언어 분석에 따르면, 매드맨에서 사용된 어휘와 문장은 그 시대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드라마가 그 시대의 언어를 아주 조금밖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과 매드맨의 대부분의 언어와 문장은 그 배경의 시대보다는 현대에서 더 자주 사용되고 있는 언어임을 밝혔다. 따라서 매드맨의 언어는 그 시대의 언어 패턴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매드맨에서 사용되는 "creeps in with striking regularity”와 같은 비즈니스 언어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당시에는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결과와 영향[편집] 매드맨은 1960년대 패션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8년 ‘더 가디언’은 매드맨이 남성 슈트 패션, 특히 높은 웨이스트밴드, 짧은 재킷, 귀판 안경과 페도라와 같은 당시 시대 스타일 슈트의 부활에 한몫을 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매회 나오는 드라마 의상들은 남성에게는 테일러 수트를, 여성에게는 풀스커트에 플로럴 프린트와 가디건을 유행시켰다. 이러한 인기를 반영해 바나나 리퍼블릭은 매드맨 가을 캠페인을 전개했고, 브룩스 브라더스는 매드맨 리미티드 에디션을 판매하기도 했다.[1] 바나나 리퍼블릭 디자인팀과 매드맨 의상 디자이너인 Janie Bryant가 함께 디자인한 컬렉션(Mad Men Capsule Collection)은 많은 드라마 팬과 복고, 오피스룩 매니아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또한 웹사이트 BabyCenter에 의하면 매드맨 때문에 “베티”라는 이름이 2010년 미국에 갑자기 인기가 많아졌다. 나아가 The Arizona Republic에선 20세기 중반 인테리어 디자인의 새로운 관심이 매드맨의 방영과 겹친다고 보고했다. 뉴욕타임즈 극장 비평가 벤 브랜틀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매드맨이 “과음하고 줄담배 피며 여자들이나 쫓아다녔던 1960년대”를 “브로드웨이의 가장 사랑 받는 시대”로 탈바꿈 시켰다고 하며, 그 예시로 2010년과 2011년, 1960년대를 배경으로 나타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세 개를 들었다. 바로 “Promises, Promises”와 “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의 재상연과 “Catch Me If You Can”이다. 또한 브랜틀리는 “Promises, Promises가 원래 배경이었던 60년대 후반이 아니라 1962년을 배경으로 한 이유는 매드맨에 있다고 본다”라고 주장했다. 2009년 TNT에서 한 시즌 동안 상영한 Trust Me는 현대시대 광고회사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텔레비전 비평가 톰 셰일즈는 Trust Me를 매드맨과 Nip/Tuck이라는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합친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그 밖에 2011년 짧게 상영한 The Playboy Cub과 Pan Am 또한 배경이 1963년인데, 둘 다 매드맨을 따라 한 드라마라고 자주 언급된다. 2011년 첫 방송한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The Hour 또한 매드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심지어 2014년 Syfy채널에 방송된 Ascension은 “우주를 배경으로 한 매드맨”이라고 불렸다.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매드맨은 시즌 2, 1화에서 돈 드레이퍼가 프랭크 오하라의 시 “Mayakovsky”를 낭송하자 아마존 웹사이트에서 오하라의 작품이 Top 50로 올라갈 정도의 영향력을 보인다. 또한 회사 매니저 조안 역으로 나오는 크리스티나 헨드릭스의 모래시계 같은 몸매와 관능적인 매력이 인기를 끌며 영국에선 2010년에 여성들의 가슴수술이 10% 증가했다. 몇몇 사람들은 매드맨이 불러온 1960년대 패션과 사회 규범에 대한 열풍을 비판했다. 에이미 벤퍼는 잡지 Salon에서 “과거 회상의 문제점에 대해 경고하는 바로 그 텔레비전 드라마가, 사람들에게 분명히 결함이 있는 과거에 대한 노스탈지아를 일으킨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라고 주장했다. Ms.Magazine의 애나 켈나는 “매드맨이 대중문화에 갖고 있는 어마어마한 영향력 덕분에 신여성인 ‘페기’가 아닌 순종적인 ‘베티’들이 가득한 세대가 만들어졌다”라고 말했다. 2014년 국정보고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평등한 여성 임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매드 맨 시리즈에 존재하는 직장 방침은 없어질 필요가 있다.” 매드맨 프로듀서 매슈 와이너는 오바마 대통령과 동의한다고 하며 “우리 드라마가 미국에 꼭 필요한 국민 토론의 일부가 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2015년,시리즈 오프닝에 돈 드레이퍼가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조각상이 매드맨 시리즈를 위해 타임-라이프 건물 앞에 세워졌다. 매드맨 시리즈는 AMC 케이블 채널의 흥행 불꽃을 점화 시킨 것으로 인정받았다. 수상경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음악[편집] -EP 1 Smoke Gets in Your Eyes- One the street Where you Live - Vic Damone 끝 부분, 돈과 가족들 Caravan (Instrumental) [Remastered] - Gordon Jenkins 돈 기차에서, 집을 행하여 Shangri-La - Robert Maxwell 스트립쇼 바 Band of Gold - Don Cherry 시작할 때, 돈 식당에서 -EP 2 Ladies Room- Great Divide - The Cardigans 끝 Credits I Can Dream, Can't I? - The Andrew Sisters -EP 3 Marriage of Fiagro P.S. I Love You - Bobby Vinton- 끝 Credits -EP 4 New Amsterdam Manhattan - Ella Fitzgerald & The Buddy Bregman Orchestra 마지막 장면, Pete 와 Trudy의 미래 보금자리 Driving Instructor - Bob Newhart -EP 5 Five G Blue in Green - Miles Davis 돈 과 Midge 침대에서 You - The Aquatones 돈과 아담의 저녁 식사 Non Dimenticar - Percy Faith Pete 와 Trudy의 저녁식사 -EP 6 Babylon Babylon - Original Cast Recording Midge 와 돈은 식당에서 노래를 듣는다 -EP 7 Red in the Face Botch-A-Me (Ba-Ba-Baciani Piccina) - Rosemary Clooney 돈이 로저의 등을 쳐줄 때 -EP 8 The Hobo Code (Gimme That) Old Time Religion - Jim Reeves 끝 Credit Concierto de Aranjuez (Adagio) [Master] - Miles Davis 돈이 Midge의 아파트 파티에 참석 -EP 9 Shoot My special Angel - Bobby Helms 끝부분 베티가 비둘기 총으로 사냥할 때 -EP 10 Long Weekend Volare - The McGuire Sisters -EP 11 Indian Summer Fly Me to the Moon (In other words) - Julie London 끝 credits Agua de Beber - Astrud Gilberto & Antonio Carlos Jobim 베티와 새탁기 ^_^;; -EP 12 Nixon vs. Kennedy Metro Polka - Frankie Laine Gopher Mambo - Yma Sumac -EP 13 The Wheel Don't Think Twice, It's Alright (LP Version) - Frankie Valli & The four Seasons Don't Think Twice , It's Alright - Bob Dylan 끝 Credit 매슈 와이너 인터뷰[편집] 문학 계간지인 The Paris Review의 208호에 실린 매슈 와이너의 인터뷰는 그가 어떻게 한 명의 각본가로 성장했는지부터 매드맨의 탄생 비화, 매드맨 각본의 집필 과정 등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 매드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분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와이너는 각본 쓰는 것을 배우기 위해 영화 학교에 진학한 것은 아니었지만 영화 학교를 다니면서 각본가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영화가 성공할 경우 그 스포트라이트는 보통 감독이 받지만 사실은 그 작품의 각본을 쓴 각본가야말로 진정한 작품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와이너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각본 쓰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가 과거에 쓴 다양한 각본은 훗날 매드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매드맨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쓰고나서 3년이 지나서야 AMC에서는 이 이야기를 드라마로 만들어보자고 하였고, 와이너는 자신이 완전히 잊어버리고 있던 그 이야기를 기억해내기 위해 과거에 자신이 썼던 각본들을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는 돈 드레이퍼라는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각본들에 등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각본에 등장하는 돈의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의 어두운 과거, 그가 가난한 시골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많은 미국의 역사 속 위인들처럼 그도 자수성가형 인물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와이너는 리 이아코카, 샘 월튼 그리고 빌 클린턴 같은 미국의 지도자들이 알고보니 모두 불우한 환경 속에서 자란 자수성가형 인물이었다는 점을 알게 된 후 미국 사회에 제이 개츠비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깨달았고, 이러한 영감은 돈이라는 캐릭터에 투영되었다. 와이너의 개인적인 경험 역시 돈이라는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일조하였다. 한번은 그가 일하던 직장에 줄곧 자신이 하버드를 졸업했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결국엔 보다못한 한 사람이 “너 하버드 안 나왔잖아!” 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는 하버드 졸업생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이 사실을 알게 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너무 대수롭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버드에 입학하면 자신의 인생이 바뀔 것이라고 믿고 그렇게 애를 쓰는데, 어떻게 그러한 학력위조를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단 말인가? 와이너는 이 경험이 너무 인상적이어서 돈의 캐릭터 설정에 이를 포함시켰고, 이는 돈이 자신의 과거를 숨긴 채 다른 사람의 신분으로 살아간다는 설정으로 연결되었다. 와이너가 매드맨을 구상할 때 핵심적인 주제로 생각해둔 또다른 요소는 바로 “누가 미국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층인가” 하는 문제였다고 한다. 그는 미국에서 성공의 다른 말은 곧 남성 WASP(앵글로색슨계 백인 신교도)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그는 미국 사회의 주류에 속하는 사람들과 그 그룹에 속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비주류인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이 깊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매드맨을 관통하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라고 와이너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매드맨 시리즈는 결국 부유한 백인들이 속한 ‘우리’ 라는 그룹에 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파일럿 에피소드에 보면 피트 캠벨의 대사 중 “돈과 교육을 더한다고해서 그 사람의 천박한 본질이 사라지지는 않아” 라는 대사가 있다. 이는 ‘우리’ 에서 유태인을 소외시키는 반유태인적 발언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실제로 유태인인 와이너는 어렸을 적 이 말을 학교 선생님께 들었다고 한다. 교사는 와이너가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그런 말을 교실에서 했고, 당시 와이너는 자신이 마치 투명인간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경험 덕분에 자신이 미국 사회의 비주류인 여성이나 동성애자, 혹은 유색인종들의 슬픔에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그가 예로 든 캐릭터는 바로 레이첼 멘켄이다. 그녀는 와이너가 ‘코성형 세대’ 라고 부르는 시대 사람이다. (유대인들은 매부리코를 갖고 있다는 편견이 있다.) 레이첼은 미국 백인 사회문화에 흡수당했다. 그녀는 분명 자신의 부모와는 달리 유태인 기념일을 챙기지 않았을 것이며, 최대한 백인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을 것이다. 코성형 세대의 유태인들은 백인 미국인이 아닌 자신의 부모님들을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 ‘흡수’ 가 바로 미국의 이야기다. 돈과 레이첼은 공통적으로 둘 다 자신이 진짜 누구인지를 숨기고 미국의 주류인 백인 남성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에게 끌리는 것이다. 와이너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바로 페기 올슨이다. 그녀는 자신의 일과 관련해서는 매우 성실하고 적극적이며 재능 또한 있다. 그러나 본인의 사생활에 관해서는 어리석기 짝이 없다. 그녀는 자신이 ‘우리’ 에 속한 삶을 산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틈만 나면 누군가가 그녀에게 “너는 ‘우리’ 의 일부가 아니야” 라고 말하기 일쑤다. 인터뷰에는 와이너가 매드맨의 각본을 집필하는 과정 또한 담겨있다. 각 시즌 초반부에 그는 우선 자신이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이야기들에 대해 메모를 해둔다. 그런 다음 각 에피소드에 어떤 이야기들이 다루어질지 일종의 개요를 만들고, 개요가 완성되면 이제 구체적인 대본을 만들기 위해 본인의 어시스턴트와 함께 방으로 들어가 씬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대본을 만들기 시작한다. 와이너에 따르면 사실 모든 장면들은 그의 머릿속에 이미 들어있고, 그는 그것을 그저 끄집어내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 끄집어내는 작업이 다소 정신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를 도와주는 어시스턴트의 역량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그는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한편 인터뷰에서 와이너가 질문받은 또다른 부분은 바로 드라마 매드맨의 시대적 사실성, 다시 말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60년대 미국을 어쩌면 그렇게 완벽에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본 인터뷰를 진행한 세미 첼러스는 인터뷰를 위해 세트장을 처음 방문한 당시 한 비서의 책상 위에 쌓여있는 편지들이 놀랍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리얼한 것을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편지들의 수신인과 발신인에는 실제 극 중 인물들의 이름이 적혀있었을 뿐만 아니라 1965년에 발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인장까지 찍혀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와이너는 분명 자신의 팀에 그러한 소품들을 실제처럼 보이도록 잘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각본을 집필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신이 당시의 시대상을 서술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가 신경 쓰는 한가지는 드라마가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배우들에게 가능한 천천히 대사를 말하도록 주문한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받는 것이 빨라질수록 그 대화는 작위적으로 보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와이너는 그래서 대화를 주고 받는 연기 도중 배우들이 기침을 하거나 상대역이 이해가 안 되는 말을 할 경우 “뭐라고?” 라고 되묻는 것을 좋아한다. 와이너와 대조적으로 원래 매드맨의 파일럿을 감독한 사람은 이 드라마가 실제 1950년대의 드라마처럼 보이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심지어 파일럿을 흑백으로 제작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배우들이 대사를 말하는 속도 또한 좀 더 빠르기를 원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와이너는 이를 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빠르게 말할 경우 필연적으로 정보의 반복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심지어 배우들이 대화 장면을 찍을 때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도 원치 않았다. 왜냐하면 실생활에서 우리가 대화를 할 때 서로의 이름을 그렇게 자주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학술 연구[편집] 1.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 매드멘: 성, 인종, 민족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적 계층  O'Barr, William M.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Advertising & Society Review 11.4 (2011): n. pag. Web. 05 May 2015. 이 글은 드라마 ‘매드맨’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성, 인종, 민족, 사회 계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사회 계층부분에서 글쓴이는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속한 계층이 매우 한정적인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제한은 상품을 소비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품을 구매할 능력과 의향을 갖춘 사람들만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제한은 드라마에서 상류계층이 어떠한 삶을 사는지는 잘 보여주는 반면 하위계층은 자연스럽게 배척되고 주변인물이 되는 편향된 묘사의 원인이 된다. 이때 하위계층이라 함은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계층을 의미하며 청소부, 웨이터, 엘리베이터 승무원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직업들이지만 항상 주변인물로서 존재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하위계층이 대부분 흑인이라는 점이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하위계층 직업군은 대부분 흑인이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흑인의 사회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매우 낮았음을 보여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60년대 당시에 인종 차별은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 시즌1 에피소드 1에서 돈 드레이퍼가 술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 흑인 웨이터에게 어떤 담배를 피우는지 물어보는 장면을 주목해보자. 돈 드레이퍼가 질문을 한 의도는 본인이 현재 의뢰 받은 담배 회사 ‘럭키 스트라이크’ 를 어떻게 홍보할지에 대한 아이디를 얻고자 함이었다. 흑인 웨이터가 본인은 ‘올드 골드’ 를 피며 그 이유를 설명하여 대화가 길어지자 백인 매니저 (로 추측되는) 사람이 등장하여 돈 드레이퍼에게 흑인 웨이터가 방해 되지는 않는지 물어본다. 이 장면은 흑인이 백인에게 말을 하는 행위가 ‘방해’로 간주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며 ‘기업가’ 입장에선 흑인 또한 소비자이기에 그들의 의견도 반영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지만, 그들과 인간대 인간으로서의 상호 소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그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지는 않는 사회적 분위기 또한 반영한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유태인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태인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부유하기 때문에 광고회사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들이지만 사회적 편견 때문에 여러 문화적 문제점이 생긴다. 시즌1 초반에 레이첼 멘켄이 백화점 홍보를 의뢰하러 돈 드레이퍼를 만났을 때 유태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에 따른 문화적 충돌을 가장 잘 보여준다. 레이첼은 본인이 운영하는 백화점이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삼기 원하지만 돈 드레이퍼와 피트 캠벨은 유대인이 운영한다는 사실 때문에 상류층 보다 하류층을 대상으로 홍보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팅이 결렬되자 피트 캠벨이 돈 드레이퍼에게 돈이 많다고 교육을 잘 받은 것은 아니라는 말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다. 이와 같이 매드멘을 ‘사회적 계층’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당시 미국 사회상(상류 계층의 사상과 삶의 양식, 인종차별, 계층 차별)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드라마 자체의 이해도를 높이고 60년대 미국 사회를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은 위와 같은 접근방식이 매우 필요할 것이다. 2. Historical Accuracy of Mad Men, ‘매드멘’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실의 정확도  "Period Dramas and Historical Accuracy; "Mad Men"" Doing History in Public. Ed. Florence Largillière. N.p., n.d. Web. 5 May 2015. <http://doinghistoryinpublic.org/2014/05/23/period-dramas-and-historical-accuracy-mad-men/>. 3. 등장인물을 살펴보며 알아보는 당시 역사적 배경  Doll, Jen. "Reviewing the 'Mad Men' World by Someone Who Was There." THE WIRE. N.p., 9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www.thewire.com/entertainment/2012/04/reviewing-mad-men-world-someone-who-was-there/50851/>. 4. Seeing History in Mad Men,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요소와 사실들  "Seeing History in ‘Mad Me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15 July 2010. Web. 05 May 2015.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0/07/16/arts/television/20100718-madmen-timeline.html?ref=multimedia&_r=3&>. 5. Selling nostalgia : Mad Men, Postmodernism and Neoliberalism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향수; 매드맨,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신자유주의 Tudor, Deborah. "OpenSIUC." OpenSIUC. N.p.,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opensiuc.lib.siu.edu/gmrc_nm/4/>. 6.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부성애, 실패와 자수성가;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남성성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Critical Quarterly 54.3 (2012): 31-45. Academic Search Premier. Web. 5 May 2015. 작품 속 광고[편집] 매드맨에서 1960년대와 방송이 방영됐던 시기에 있었던 상품들을 광고주 클라이언트 등으로 등장했다. 그 중 러키 스트라이크, 베들레헴 스틸, 폭스바겐, 캐딜락, 플레이텍스, 스팸, 어츠 감자칩, 메이든폼, 질레트, 아메리칸 항공과 클리어라실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은 대부분 또는 모든 상품이나 브랜드가 피피엘(ppl 작품 속 광고)이라고 추측했지만 사실 대부분의 상품들은 오로지 현실성을 위해 포함된 것이었고 피피엘 거래는 없었다.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인터뷰에서 “[피피엘은] 아주 조금밖에 없고 네트워크에서 장사를 더하기 위해 전파한 소문입니다. 항상 실패해요… 4 시즌 동안 4개[의 피피엘이] 있었고 이 드라마에 약 100개의 상품들이 나왔어요. 반은 만들어낸 상품들이고 아무도 출연하기 위해 돈을 주지 않아요.”라고 했다. 와이너에 의하면 피피엘을 한 회사들은 잭 다니엘, 하이네켄, 유니레버와 힐튼이 있었고, 힐튼의 경우는 이미 방송이 나간 후에 감사의 표시로 지불한 것이라고 했다. 하이네켄은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구하려는 클라이언트로 출연을 한다. 또한 광고를 하나만 선보였던 시즌2의 마지막 에피소드 미국 프리미어에서 유일한 광고주이기도 했다. 2007년 6월 20일, Commercial Alert(상업 경보)라는 소비자 권리 운동권 단체는 미국증류주협회에 항의를 했다. 이유는 방송에서 명시적으로 성적인 행동의 묘사와 무책임한 술 중독의 장면을 보여줌으로 매드맨의 스폰서인 잭 다니엘에서 주류 광고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잭다니엘은 5 회에서 이름으로 언급되었다. 시즌4에서 6개의 복고풍 광고들을 만들었고 미국에서 드라마 광고시간에 방송되었다. 광고들의 배경은 가상의 광고 에이전시인 스미스 윈터 미첼 광고회사이고 매드맨과 같은 시기로 설정되어 있다. 광고들에서 사용된 제품들은 도브, 브라이어스, 헬만스, 클론다이크, 스와브와 바세린이다. 와이너는 드라마의 예산을 늘려주거나 광고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면 피피엘을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드맨의 경우에 피피엘은 문제가 많은 경험이라고 느꼈다. 하이네켄의 경우에는 하이네켄의 법무부에서 무책임한 주류섭취를 보여주는 모습을 허락할 수 없다고 하였고, 그의 의지와 달리 매드맨의 세트장에서 촬영됐었던 유니레버의 광고들에게 혐오감을 느꼈다고 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와이너는 2012년에 매드맨에서 다시는 피피엘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각주[편집] ↑ http://blog.naver.com/episode_min/60156896403 외부 링크[편집] 매드맨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매드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매드맨 - TV.com (영어) 매드맨 - TV 가이드 vdeh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 (1970년~)1970-1999 《마커스 웰비, M.D.》 (1970) 《더 볼드 원스: 더 세네이터》 (1971) 《엘리자베스 R》 (1972) 《월튼네 사람들》 (1973) 《위층, 아래층》 (1974) 《위층, 아래층》 (1975) 《폴리스 스토리》 (1976) 《위층, 아래층》 (1977) 《더 락포드 파일스》 (1978) 《루 그랜트》 (1979) 《루 그랜트》 (1980)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2)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3)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4) 《캐그니와 레이시》 (1985) 《캐그니와 레이시》 (1986) 《L.A. 로》 (1987) 《서스티섬씽》 (1988) 《L.A. 로》 (1989) 《L.A. 로》 (1990) 《L.A. 로》 (1991) 《알래스카의 빛》 (1992) 《피켓 펜스》 (1993) 《피켓 펜스》 (1994) 《뉴욕경찰 24시》 (1995) 《ER》 (1996) 《로앤오더》 (1997) 《더 프랙티스》 (1998) 《더 프랙티스》 (1999) 2000-현재 《웨스트 윙》 (2000) 《웨스트 윙》 (2001) 《웨스트 윙》 (2002) 《웨스트 윙》 (2003) 《소프라노스》 (2004) 《로스트》 (2005) 《24》 (2006) 《소프라노스》 (2007) 《매드맨》 (2008) 《매드맨》 (2009) 《매드맨》 (2010) 《매드맨》 (2011) 《홈랜드》 (2012) 《브레이킹 배드》 (2013) 《브레이킹 배드》 (2014) 《왕좌의 게임》 (2015) 《왕좌의 게임》 (2016) 《핸드메이즈 테일》 (2017) 《왕좌의 게임》 (2018) vdeh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자1980년대 데뷔 더 무비 마스터스 1990년대 데뷔 더 로트 리멤버 WENN 2000년대 데뷔 브레이킹 배드 브로큰 트레일 DVD TV 매드맨 무비스 댓 슈크 더 월드 더 프리즈너 슛아웃 2010년대 데뷔 4th and Loud 피드 더 비스트 (2016) 프레익쇼 게임 오브 암즈 헬 온 휠즈 킬링 로 윈터 썬 오너스 매뉴얼 피치 루비콘 스몰 타운 시큐리티 토킹 배드 더 나이트 매니저 턴: 워싱턴스 스파이스 아메리칸 웨스트 (2016) 홀트 앤 캐치 파이어 (2014-2017) 코믹 북 맨 (2012-2018) 현재 방송 중 베터 콜 사울 (2015-) 피어 더 워킹 데드 (2015-) 기킹 아웃 (2016-) 휴먼스 (2015-) 인투 더 배드랜드스 (2015-) 프리처 (2016-) 토킹 데드 (2011-) 토킹 사울 (2016-) 워킹 데드 (2010-) 썬 (2017) 테러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드맨&oldid=24191604" 분류: 프라임타임 에미상 틀2007년 드라마200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뉴욕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직장 연애를 다룬 작품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미국 배우 조합상 드라마 시리즈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작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매드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 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드맨 Mad Men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AMC 방송 기간 2007년 7월 19일 ~ 2015년 5월 17일 방송 시간 47분 방송 시즌 7 방송 횟수 22 출연자 존 햄엘리자베스 모스빈센트 카트하이저재뉴어리 존스크리스티나 헨드릭스재러드 해리스브라이언 뱃마이클 글래디스에런 스테이턴리치 서머매기 시프키어넌 십카제시카 파레케빈 람크리스토퍼 스탠리제이 R. 퍼거슨벤 펠드먼메이슨 베일 코튼로버트 모스존 슬래터리 여는 곡 R2D2, 'A Beautiful Mind' 외부 링크  [www.amctv.com/shows/mad-men ] 《매드맨》(Mad Men)은 감독 매슈 와이너가 만든 미국 시대 드라마 시리즈이다. 영화 제작 및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2007년 7월 19일 케이블 채널 AMC 네트워크에서 첫 방영했다. 92개 에피소드를 포함한 7개 시즌 후 2015년 5월 17일 종영됐다. 매드맨의 시대 배경은 1960년대이며 공간 배경은 뉴욕 시 매디슨 거리에 위치한 가상의 광고회사인 ‘스털링 쿠퍼’이다. 나중에 이 회사의 이름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 로 바뀌며 다시 ‘스털링 쿠퍼 & 파트너’로 바뀐다. 드라마 파일럿 에피소드 (정식 에피소드가 아니라 드라마와 관련된 정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루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매드맨'은 1950년대에 매디슨 거리에서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자칭하는 용어로, 그들 스스로 만들었으며 이 주장은 그때부터 논란이었다. 드라마의 중심은 돈 드레이퍼다. 그는 드라마 초기에 스털링 쿠퍼에서 재능 있는 크리에티브 디렉터로 등장하며 나중에 ‘스털링 쿠퍼 드레이프 프라이스’ 회사의 설립 멤버가 된다. 드라마가 진행되며 돈 드레이퍼가 개인적, 사업상의 인물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구성은 회사와 관련한 사업 이야기도 많이 포함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사생활도 많이 다루며, 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와 1960년대에 만연했던 사회적 풍습이 주 내용이다. 드라마가 시작된 이후부터 매드맨은 대본, 연기, 역사적 진실성에 관련해 격찬을 받았으며, 에미상 15개와 골든 글로브상 4개를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는 베이직 케이블 드라마로서 처음으로 ‘뛰어난 드라마 시리즈’ 부분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시즌 1~4 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매드맨은 역사상 최고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널리 평가 받는다. 목차 1 구상 1.1 영향 1.2 사전제작 1.3 촬영과 제작 계획 1.4 예산 1.5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 1.6 촬영진 및 제작진 2 등장 인물 2.1 주요 등장 인물 2.2 조연 등장 인물 3 에피소드 개요 3.1 1. Smoke Gets in your Eyes 3.2 2. Ladies Room 3.3 3. Marriage of Figaro 3.4 4. New Amsterdam 3.5 5. 5G 3.6 6. Babylon 3.7 7. Red in the Face 3.8 8. The Hobo Code 3.9 9. Shoot 3.10 10. Long Weekend 3.11 11. Indian Summer 3.12 12. Nixon Vs. Kennedy 3.13 13. The Wheel 4 에피소드 정보 4.1 시즌 1 에피소드 정보 4.2 시즌 2 4.3 시즌 3 4.4 시즌 4 4.5 시즌 5 4.6 시즌 6 4.7 시즌 7 5 주제와 상징 5.1 정체성과 과거회상 5.2 불륜과 성차별주의 5.3 세대 차이 5.4 소비 사회 5.5 알코올 의존증 5.6 반문화 5.7 인종차별주의 5.8 흡연 5.9 추락하는 남자 5.10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 5.11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 5.12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 5.13 아인 랜드 6 반응 및 평가 6.1 평점 6.2 평론 6.3 시대적 진정성 6.4 결과와 영향 6.5 수상경력 7 음악 8 매슈 와이너 인터뷰 9 학술 연구 10 작품 속 광고 11 각주 12 외부 링크 구상[편집] 2000년 당시 TV쇼 베커에서 전속 작가로 일하던 매슈 와이너는 《매드맨》 대본의 초안을 작성한다. 2002년 TV 프로듀서 데이비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읽은 뒤 HBO의 《소프라노스》의 작가로 고용한다. 당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보고 "정말 생생하고 아주 새로운 이야기"라며 "1960년대 광고업계에 대한 이 이야기를 통해 당대 이후의 미국사를 조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너와 그의 인더스트리 엔터테인먼트, ICM의 대리인은 그 초고를 HBO와 쇼타임에 판매하려고 했으나 양쪽 모두 거절했다. 적당한 바이어를 찾지 못하자 와이너와 그의 대리인은 시나리오를 판매하기 위한 노력을 한동안 중단한다. 몇년 후 와이너의 팀에 아이라 리즈라는 유능한 매니저가 등장한다. 그녀는 AMC 개발부서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웨인에게 《매드맨》을 살 것을 강력히 권유한다. 마침 《소프라노스》의 마지막 시즌이 끝나고 있었고 AMC는 새 시리즈 기획을 위해 시나리오 시장을 뒤지기 시작하던 상황이었다. "AMC는 자신들이 만드는 첫 번째 TV 시리즈를 특별하게 만들고 싶어했어요. 또 우리는 그 정도 시나리오면 정형화된 대중적 취향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AMC의 사장 에드 캐럴의 말이다. 영향[편집] 와이너는 영화 감독 앨프리드 히치콕과 그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를 시리즈의 시각적 방면에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표현한다. 또 다른 영향으로써는 그는 왕가위 감독의 음향, 미장센과 편집을 꼽았다. 한 인터뷰에서는, 와이너는 1950년대를 그린 1970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매쉬'와 '해피 데이즈'가 '문화적 시금석'이고 누구나 '과거에 대한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상기시켜준다고 더해 말했다. 또한, 그는 《매드맨》이 《소프라노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좀더 세련된, 드라마틱한 버전의 《웨스트윙》이 되었을것이라 예상하였다. 사전제작[편집] 본 드라마의 1,2시즌 중 여섯 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했던 팀 헌터는 매드맨을 “굉장히 잘 운영된 드라마” 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은 드라마의 제작에 착수하기에 앞서 아주 여러 번의 제작 회의를 갖는다. 대본이 나오면 우선 그 날 모두 모여 처음으로 대본을 쭉 읽는다. 그리고 매슈가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그리고 나서 며칠 후면 매슈가 해당 에피소드의 줄거리나 분위기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제작진이 참여하는 제작 회의에서 매슈가 다시 한번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촬영과 제작 계획[편집] 본편 시리즈를 방영하기 전 시범적으로 방송하는 에피소드인 파일럿 에피소드로, 사랑에 눈이 멀다 (Smoke Gets In Your Eyes)는 실버컵 스튜디오와 뉴욕 주변에서 촬영되었고, 후속 에피소드들은 로스앤젤레스 센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본 시리즈는 여러 케이블 채널과 연계된 회사들을 통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또는 미국 케이블 및 위성 TV 채널인 AMC(American Movie Classics)를 통해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와이너를 포함한 작가들은 본 시리즈의 배경이 되었던 동시대 최고의 면목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 량을 축적했는데, 구체적인 세트 구성, 의상, 그리고 역사적인 소품들을 배경으로 진짜와 똑같은 시각적 스타일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파일럿 에피소드의 예산은 삼백만 달러 이상이었지만, 후속 에피소드들의 예산은 각 이백만 달러에서 이백오십만 달러 정도였다. 흡연 장면에서 와이너는 "담배가 없었으면 이 드라마는 장난 같았을 거야. 보기에는 깨끗 했겠지, 하지만 거짓으로 보였을 거야."라고 언급했다. 로버트 모스는 버트램 쿠퍼의 사장 배역으로 1967년에 두 편의 비도덕적인 사업가 역할의 영화 주연을 맡았다. 첫 번째로 와이너 작가의 영감의 원천이었던 "유부남을 위한 가이드"(1967)와 1961년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자신이 맡았던 역할을 재연한 같은 제목의 "노력 없이 성공하는 법"(1967)이다. 와이너는 카메라감독 필 에이브러햄, 파일럿 에피소드만 함께 했던 미술감독 로버트 쇼, 그리고 댄 비숍과 "영화관 보다는 텔레비전에 더 영감을 받았던" 시각적 스타일을 현상하는 데에 협동했다. 《소프라노스》의 베테랑 감독 앨런 테일러는 파일럿 에피소드와 후속 시리즈에서 어조가 어색하지 않게 감독까지 도와주었다. 돈 드레이퍼의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테일러는 돈 뒤에서 촬영하거나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식으로 촬영하였다. 스탈링 쿠퍼에 설정되었던 세트 중 여러 장면들은 좋은 구도를 위해 천장을 포함하였고, 눈 높이보다 낮은 각도에 촬영되었는데, 이것은 사진술,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당시의 건축 양식을 반영된 것이다. 앨런은 동영상 촬영 시 촬영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테디캠이나 헨드헬드 카메라가 "당시의 영상문법과 미적인 특징들이 전형적인 접근법과 딱 맞아 떨어지지 못하며" 따라서, 세트는 현실적인 인형 놀이 감으로 제작되었다. 예산[편집] 2011년 밀러 타바크와 바런 출판사에서 출판된 회사 예측에 따르면, 주식회사 라이언 게이트는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 각 에피소드당 약 271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받았는데, 이는 각각 에피소드 제작비용인 284만 달러보다 약간 적은 수치다. 2011년 3월, 시리즈 제작자와 네트워크 제작자 간의 협상 끝에,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는 2012년 3월 25일 매드맨 시즌 5를 개봉했다. 소문에 의하면 매드맨 제작을 총괄하는 와이너는 3천만 달러 계약을 채결했고, 3개의 시즌을 더 유치시킬 예정이라고 했다. 몇 주 뒤 공개된 재뉴어리 존스와 함께한 마리 클레어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재정적인 성공의 한계를 언급했지만, 배우들은 "우리는 이 드라마를 통해서 그다지 많이 돈을 받지 않았고 그건 서류에도 명시되어 있었어요. 그래도 우리가 TV에 출현하면 우리는 매주 꾸준하게 급료를 받잖아요. 그게 좋은 거죠." 밀러타바크의 분석가 데이비드 조이스는 매드맨의 7년동안의 방영동안 가정 비디오와 아이튠스를 통한 수익이 1억 달러에 달하고, 국제 신디케이션 판매에서는 에피소드당 추가적으로 약 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했다. 이 통계는 2011년 4월 발표된 넥플리스 스트리밍 비디오 수익인 710만에서 1000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제외한 수치이다.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편집] 첫 장면에서 드레이퍼의 등장과 동시에 사무실이 무너지는 장면은 직장 생활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다른 내면의 고통을 반영한다. 사무실 안의 모든 것들이 무너지는 것을 드레이퍼가 그 자리에서 지켜보는 것은 어쩌면 그가 이러한 절박한 상황들을 어느정도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그것을 바꿀 만한 힘이 없어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 장면으로, 검은 실루엣의 드레이퍼는 빌딩에서 떨어지는데 그 배경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이미지 - 빨간 드레스, 검정 스타킹 - 는 주인공의 잦은 외도, 당시에 만연해 있던 사내 여성 편력 등을 암시한다. 또한 이후 등장하는 위스키, 반지, 가족 그림의 이미지들은 앞의 여성들의 이미지와 함께 드레이퍼의 문란한 생활(여자, 술)과 화목한 가정에 대한 의무감(반지, 가족 그림) 둘 사이에서의 갈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건물에서 떨어지는 행동 그 자체도 주목할 만한데, 당시의 성공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드레이퍼는 모두 쟁취하지만, 이것들을 얻고 탐닉하면 할 수록 점점 타락해가는 모습을 건물에서 떨어지는 모습으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으로, 떨어지면서 결국 죽었을 것만 같은 드레이퍼가 언제 그랬다는 듯 멀쩡하게 벤치에 앉아서 담배를 오른손에 끼고 있다. 앞의 두 장면에서 모든 것들이 무너지고, 본인도 엄청난 갈등을 겪고 있지만 그는 항상 겉으로는 아무 일이 없는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인정받는다. 특히 오프닝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들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빌딩에서 떨어지는 장면은 자칫 9.11 테러에서 낙사했던 사람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서, 디자인을 의도적으로 다소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으로 했고, 본래에는 없던 마지막 장면 - 소파에서 담배를 피우는 장면 -을 추가했다고 한다. 오프닝은 RJD2의 “A Beautiful Mine”과 함께 흑백의 남자가 시대적인 광고 포스터, 광고표지판이 비춰지는 높은 빌딩들 사이로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Imaginary Forces가 제작한 이 타이틀은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빌딩으로 가득 채워진 오프닝 타이틀과 떨어지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진 영화 《현기증》의 포스터를 만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Saul Bass)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와이너는 시각적 측면에서 히치콕 감독의 작품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데이비드 칼보나라는 매드맨의 원래 악보를 작곡했고, 이는 2009년 smash cut1월 13일에 공개되었다. TV Guide 2010년 판에서 매드맨의 오프닝 타이틀은 선택된 독자들에 의해 인상적인 오프닝 타이틀 10선 중 9위를 차지했다. 거의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끝에서는 그 시대적의 음악 혹은 데이비드 칼보나라가 작곡한 곡이 연주되면서 검은 화면으로 페이드 아웃 혹은 스매시컷이 되어 끝이 난다.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정도는 오히려 정적 혹은 잔잔한 음악과 함께 끝이 난다. 몇몇 에피소드들은 더 최근의 곡이나 스토리와 연개된 곡이 엔딩 크레딧과 맞물리며 끝이 나기도 한다. 비틀즈는 “Tomorrow Never Knows”를 시즌5의 에피소드 “Lady Lazarus”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같은 트랙은 클로징 크레딧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비틀즈가 텔레비전 시리즈에 음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매드맨에 이를 허락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라이언스게이트는 곡 사용에 대해 $250,000를 지불했다. 밥 딜런의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가 시즌1의 마지막을 장식하기도 했다. 촬영진 및 제작진[편집] 와이너는 쇼 진행자와 메인 작가겸 제작 책임자다. 그는 대본 작성과 공동작성, 역할 캐스팅, 의상과 세트 구성과 같은 부분으로 매 에피소드에 참여한다. 와이너는 시리즈의 모든 부분에 까다롭고 제작 디테일에 관한 기밀유지를 중요시 여기는 걸로 악명 높다. 첫 번째 시즌의 작가진은 와이너뿐만 아니라 두 에피소 드를 쓴 공동 제작책임자인 톰 팔메와 두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 리사 앨버트, 세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와 작가팀인 안드레와 마리아 재퀴매튼, 두 에피소드를 쓴 보조작가 로빈 베이트 각각 두 에피소드를 쓴 프리랜서 작가 브리짓 베다드와 크리스 프로벤자노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제작자로는 공동제작의 블레이크 매코믹, 프로듀서 토드 런던, 공동 제작 책임자 스콧 호른바허가 있다. 첫 번째 시즌의 초기 감독은 네 에피소드를 지휘한 팀 헌터와 파일럿 에피소드를 포함한 세 에피소드를 지휘한 앨런 테일러다.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에드 비앙키, 레슬리 링카 글래터, 앤드루 번스타인 감독과 촬영기사 필 에이브러햄, 폴 피그, 그리고 각시리즈 피날레를 감독한 크리에이터 와이너가 지휘했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등장 인물[편집] 돈 드레이퍼 페기 올슨 피터 캠벨 베티 드레이퍼 로저 스털링 조앤 홀러웨이 살바토레 로마노 폴 킨지 존 햄 - 돈 드레이퍼(Don Draper) 매드맨의 주인공으로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주니어 파트너다. 시즌6부터는 스털링 쿠퍼 앤 파트너스의 파트너가 된다. 돈은 빼어난 외모의 소유자이며 직업적인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물이다. 업계에 들어온 이래 꾸준히 성과를 내 회사 안팎에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과거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돈 드레이퍼는 광고 모델이었던 엘리자베스 베티 드레이퍼와 결혼해 슬하에 세 명의 아이들이 있다. 그러나 돈이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외도해왔다는 사실을 베티에게 알리면서 시즌 3 후반, 드레이퍼 부부는 이혼하게 된다. 돈 드레이퍼의 과거가 잘 알려져있지 않은 이유는 돈이 타인의 신분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다. 드레이퍼의 본명은 리처드 딕 휘트먼이다. 진짜 돈 드레이퍼는 한국전쟁 당시 딕 휘트먼과 함께 전장에 있었던 공병 중위로 딕 휘트먼의 상관이었다. 둘은 야전 병원을 짓던 중에 포격을 받았고 돈 드레이퍼 중위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사망했다. 딕 휘트먼은 경미한 부상만 입고 살아나게 되는데 이 때 딕은 돈의 인식표(개목걸이)와 자신의 인식표를 바꿔 신분을 바꿔치기 한다. 구조된 이후 전역한 딕은 돈 드레이퍼의 이름으로 살면서 가난하고 암울했던 자신의 삶을 벗어나 뉴욕에서 새로운 신분으로 새출발을 한다. 엘리자베스 모스 - 페기 올슨(Peggy Olson) 빈센트 카세이저 - 피트 캠벨(Pete Campbell) 피트 캠벨은 유서 깊고 영향력 있는 뉴욕 가문 출신의 젊고 야심찬 회계부서 간부이다. 그는 1시즌 초반부에 결혼을 하고 유부남이 되지만 결혼 후에도 돈의 비서인 페기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꿨지만 결혼 초기부터 부인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비록 회계 부서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돈이 부서장으로 있는 광고 기획 부서의 일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재능이 인정 받기를 기대한다. 승진과 출세에 대한 욕심은 매우 크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간혹 잘못된 판단으로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돈과 로저로부터 무시 당하기도 한다. 그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명망있는 가문 출신이지만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헀다는 점 때문에 일종의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핍은 그로 하여금 능력 있고 권위 있는 남성상에 대한 동경을 갖게 하였고, 그러한 남성상과 정확히 일치하는 돈에 대해 피트는 동경과 질투를 동시에 느낀다. 재뉴어리 존스 - 베티 드레이퍼(Betty Draper) 돈 드레이퍼의 예전 아내이고 샐리, 바비, 유진 스캇 세 명의 아이들의 엄마이다. 펜실베니아의 필라델피아 엘킨스 파크의 교외에서 성장했고, Bryn Mawr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맨하탄에서 모델 시절 돈을 만났고 이후 그와 결혼했다. 시리즈 초반부에는, 그들은 7년동안 결혼했었고 뉴욕 Qssining에 살았다. 처음 두개의 시즌을 거쳐서, 베티는 점차 그녀의 남편의 외도에 대한 걱정이 심해지게 된다. 몇번의 별거 끝에, 베티는 그녀가 셋째를 임신했다는 걸 알았을 대 돈이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했지만, 첫 째는 그녀의 원나잇 스탠드로 인해 낳은 것이었다. 그녀는 1963년 12월, 돈과 이혼하기 위하여 시즌3 엔딩에서 레노로 떠난다. 1964년 11월, 시즌 4 시작쯔음에 그녀는 돈과 이혼하고 헨리 프란시스와 결혼한다. 그녀와 아이들과 새 남편은 Rye로 이주한다. 그녀와 아이들의 관계는 종종 껄끄러운데, 특히 셀리와 그것이 심하다. 존 슬래터리 - 로저 스털링(Roger Sterling) 로저 스털링은 시즌 1에선 가끔 출연하다 시즌 2부터 정기적으로 출연한다. 그는 스털링 쿠퍼 회사의 두 사장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버지가 버트람 쿠퍼와 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에 ‘스털링 쿠퍼’라는 이름에서 스털링이 쿠퍼보다 먼저 온다. 로저 쿠퍼의 사무실에는 로저가 어릴 적 젊은 버트람 쿠퍼와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즌 2에서 버트람 쿠퍼는 “고인이 된 쿠퍼 부인”이 로저 스털링에게 아내 모나를 소개시켜줬다고 언급한다. 이 때 스털링은 돈 드레이퍼의 전 비서 스무 살 제인과 결혼하려고 현 부인과 이혼 절차를 밟는 중이다. 스털링은 제 2차 세계 대전 해군 베테랑이다. 그는 두 개의 심장마비로 삶에 대한 관점이 바뀌기 전까지 악명 높은 바람둥이였다. 그러나 스털링의 알코올 의존증과 흡연 중독은 그대로다. 제인과 결혼하기 전 로저는 꽤 오랫동안 조앤 할로웨이와 불륜관계였다. 시즌 4에서 둘은 다시 한 번 로맨틱한 만남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앤이 임신을 한다. 시즌 3에선 돈이 1950년대 중반, 광고업에 관심 많은 모피 회사 판매원이었을 때 로저를 만나 고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시즌 4에서 SCDP에서 근무하는 로저는 스털링 쿠퍼에서 일했던 것보다 회사의 하루하루 일과와 덜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맡은 유일한 일은 SCDP 청구서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Lucky Strike 거래를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Chinese Wall” 에피소드에서 Lucky Strike가 거래를 경쟁회사로 옮기며 SCDP는 강제로 감축에 들어간다. 이에 불구하고 시즌 5에서 로저는 새로운 거래를 맡게 되며, 이번에는 열심히 해 시보레 자동차 회사와 큰 거래를 체결한다. 이후 조안이 낳은 자신의 아들을 경제적으로 지지해주고 싶어한다. 조앤은 처음 반대하지만 결국 시즌 6 마지막에 그가 아들의 삶의 일부가 되는 것을 허락한다. 크리스티나 헨드릭스 - 조앤 할로웨이(Joan Holloway) 스털링 쿠퍼에서 총무비서를 담당하며 시즌1에서 로저 스털링이 두 차례의 심장발작 후 관계를 끝낼 때까지 불륜 관계가 지속되었다. 시즌 2에서 그녀는 박사 그레그 해리스 (새뮤얼 페이지)와 약혼을하고 시즌 3에는 결혼에 골인하며 그렉 박사의 요청으로 조앤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그만두게 된다. 그렉 박사의 외과의사로서의 부족한 기술로 인해 노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조앤을 백화점에 복직시키는 것과 스털링 쿠퍼에 연락해서 그녀의 일자리를 부탁해달라고 설득하면서 이들의 결혼 생활은 시험대에 오른다. 조앤의 귀중한 조직과 경영 기술 덕분에 그녀는 나중에 돈, 로저, 버트, 레인이 설립한 새로운 회사에 고용된다. 한편, 그렉의 욕망읜 의사로써 그의 경력을 쌓기 위해 그가 육군에서 수수료를 받으며, 시즌 4 초반에는 기본적인 훈련 후 베트남에 보내진다. 그녀의 남편이 배치될 때, 조앤과 로저는 한번의 관계 후 조앤은 임신을 하게 된다. 조앤은 처음에 유산하기로 결정했지만, 시즌 5 초반 전에 그렉이 아버지가 아닌 것을 비밀리에 출산 하기로 결정한다. 조앤은 잠재적 수입의 손실과 그녀의 희생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것에 몹시 분노한다. 시리즈가 끝날 때쯔음, 그녀는 매캔 임원들의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그녀의 제휴 지분을 인수하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조앤은 홀러웨이 해리스라는 제작 회사를 시작한다. 브라이언 뱃 - 살바토레 로마노(Salvatore Romano) 살바토레 로마노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스털링 쿠퍼의 아트디렉터이다. 그는 동성애자지만 이를 드러내기 꺼려하며 시즌 1에서는 다른 남자와의 섹슈얼한 관계를 피한다. 후에 1962년 살바토레는 그의 성적 정체성을 모르는 키티와 결혼하나 곧 그들의 관계에서 문제점을 느낀다. 살바토레는 켄 코스그로브에게 감정을 느낀다. 출장 중, 돈 드레이퍼는 살바토레의 비밀을 알게되고, 그를 안심시키기 위해 그것에 대해 묻거나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돈 드레이퍼는 한 광고에 "당신의 표현을 제한하라."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며 살바토레에게 그것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그 후에 돈은 살바토레에게 파티오 콜라 광고를 맡기며 그의 커리어에 도움을 준다. 마이클 글래디스 - 폴 킨지(Paul Kinsey) 파이프를 즐겨 피우고 수염을 기르는 폴은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생인 이자 창의적인 작가이고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에 대해 자랑스러워한다. 시리즈가 시작되기 한참 전 그는 조안 할로웨이와 교제를 했었지만 폴이 둘의 사이에 대해 말을 너무 많이 하고 다녔다는 이유로 둘은 좋지 않게 헤어지게 되었다. 페기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폴은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지만 거절 당한다. 시즌2의 대부분에서 폴은 뉴저지 주의 사우스 오렌지에서 온 흑인인 쉴라 화이트와 교제를 하다가 남부지역에서 인종차별 반대운동(Freedom Ride)을 하기 위해 미시시피 주의 옥스포드에서 이별하게 된다. 폴 킨지에게는 저소득층 지역인 뉴저지 주의 몽클레어 남부에 산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지만 조안은 그의 위선적 태도에 대해 조롱을 한다. 그는 경쟁심이 강하기 때문에 대학 시절 친구들을 많이 사귀지 못 하기도 하였고 그보다 글을 더 잘 쓰는 페기와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돈이 새로운 애이전시를 위해 자신이 아닌 페기를 선택한 것에 대해 분노한다. 시즌3 마지막화 이후에는 등장을 하지 않다가 시즌5의 에피소드10에서 해리에게 자신을 크리슈나 의식의 제자라고 소개하며 나타난다. 폴은 해리에게 자신이 쓴 스타 트렉 대본을 확인해 달라고 하지만 해리는 잘 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폴의 여자친구가 폴의 인원 모집 능력 때문에 그를 조종하고 있다는 것을 해리는 나중에 깨닫게 되지만 폴에게 그의 꿈을 따르라고 격려한다. 해리는 폴에게 $500를 주며 최대한 빨리 로스앤젤레스로 가라고 말한다. 에런 스테이턴 - 켄 코스그로브(Ken Cosgrove) 켄 코스그로브는 극중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 에이전시와 광고주 사이의 연락 및 기획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 중 한명으로 버몬트에서 태어났다. 또한 켄은 작가 지망생으로 그의 단편 소설은 잡지 저명한 The Atlantic에 실렸다. 이는 그의 직장동료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폴 킨지와 피트 캠밸은 켄에 대한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The Atlantic에 실린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켄은 콜롬비아 대학을 졸업했으며 그의 아내는 킨시아이다. 그는 아트 디렉터 살바토레 로마노를 존경하고 있으며, 살바토레는 켄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지만 이를 드러내지 않는다. 리치 서머 - 해리 크레인(Harry Crane) 해리는 안경을 쓴, 스털링 쿠퍼社 텔레비전 부문의 미디어 바이어이자 팀장이다. 그의 아이비리그 출신 동료들과는 다르게 그는 위스컨신 대학을을 갔었다. 동료들이 술을 마시거나 여자들을 희롱할 때 함께 하기는 하지만 사실 해리는 헌신적인 가장이다. 물론 시즌 1에서 피트의 비서와 술에 취한 채 하룻밤 잠자리를 가진 적도 있긴 했다. 또한, 이로 인해 부인인 제니퍼와 잠시 떨어져 있기도 했다. 해리는 좋은 사람이긴 하지만 우둔한 선택을 하거나 문제에 직면하는 걸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성향은 시즌 3에서 살바토레 로마노가 해고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그 스스로 옳은 선택이라는 자각을 했지만 그는 결국 드레이퍼와 쿠퍼의 강압으로 Sterling Cooper Draper Pryce에 들어갔다. 스털링 쿠퍼가 매각 중에 있을 때, 해리는 미숙하게도 서부에 새로운 사무실을 열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후에 지나치게 자신의 헐리우드와의 연결을 자랑하고 다니는 허풍쟁이가 돼버린다. 시른 5에서 그는 출장 중에 저지른 불륜을 말하면서 부인과의 신뢰를 깨뜨린다. 그리고 동료 폴의 하레 크리슈나교 여자친구인 Lakshmi에 쉽게 유혹당한다. 그는 점점 더 이미지에만 신경을 쓰고 옹졸한 사람이 되어 간다. 이러한 모습은 시즌 6에서 조안이 그를 꺾고 파트너가 되었을 때 조안에게 울분을 떠뜨림으로써 막을 내린다. 그러나 시즌 7에서 해리는 서부 지점에서 일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간다. 그가 파트너로 승진하는 것이 논의되긴 하지만 이에 조안과 로저는 반대를 하고 있다. 매기 시프 - 레이첼 멘켄(Rachel Menken) 시즌 1에서 고정으로 출연하며 시즌 2와 7에선 특별 출연함. 유대인이자 유대인이 운영하고 유대인을 대상으로 하는 백화점의 사장이다. 시즌 1에서 백화점의 이미지를 개조해줄 광고 대행 회사를 찾다가 스털링 쿠퍼 회사를 방문하게 된다. 그녀는 처음엔 돈 드레이퍼 (돈 드레이퍼 또한 그녀의 저돌적이고 독립적인 이미지를 처음엔 달갑지 않아한다)에 대해 무심한 듯 하지만, 서로에게 위안이 되며 결국 바람을 피게 된다. 그들의 불륜 과정에서 밋지나 아내에겐 말 하지 않았던 얘기들을 해준다. 돈이 피트 캠벨에게 협박을 받았을 때, 그는 레이첼에게 같이 로스 앤젤러스로 도주하자고 제안한다. 그러자 레이첼은 돈에게 아빠로서의 책임을 다시 상기시키며 아버지 없이 자란 삶을 살고도 아이들을 버릴 수 있냐고 물어본다. 돈이 계속 주장을 굽히지 않자, 레이첼은 돈이 그녀와 함께 도주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그저 도피를 위한 도주였음을 깨닫는다. 역설적으로, 레이첼이 돈을 겁쟁이라고 얘기하고 똑바로 생각하라고 질책하자 돈은 오히려 피트 캠벨에게 맞서게 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둘의 관계는 무너지고 쿠퍼는 돈에게 레이첼을 화나게 한 점에 대해 불평한다. 돈과 레이첼 사이의 불륜은 시즌1과 시즌2 사이에서 끝이 난다. 시즌 2에서 돈은 바비와 외식을 하던 중 레이첼과 마주치게 되고 틸덴 캣츠라는 남자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녀의 결혼 소식을 듣고 순간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는 듯 보인다. 나중에 그는 로저와 프레디와 술을 많이 마신 후 클럽 기도(술집 등에서 입구를 지키는 사람)에게 자신의 이름을 '틸덴 캣즈'라고 얘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모습은 돈 드래퍼의 심리 상태를 어느 정도 보여주는 듯 하다. 시즌 7에서 돈은 레이첼에게 아이 2명이 있었으며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조연 등장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에피소드 개요[편집] 1. Smoke Gets in your Eye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Ladies Roo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Marriage of Figaro[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New Amsterda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5G[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Babylon[편집] “Babylon”은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매드맨 시즌 1의 6번째 에피소드이다. 각본은 안드레 작므톤과 마리아 작므톤에 의해 쓰였으며 감독은 앤드류 번스타인이 밭았다. 이 에피소드는 2007년 8월 23일에 방영 되었다. 드레이퍼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해 베티에게 아침을 차려준다. 아침을 가지고 계단을 오르던 중, 드레이퍼는 넘어지고 음식을 바닥에 쏟고 만다. 엎어짐과 동시에 드레이퍼는 그의 이복 동생을 처음 만나던 때를 회상한다. 다음 날,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그의 동료들은 이스라엘 관광청의 임원들과 회의를 하게 된다. 어떠한 전략을 써야할지 고민에 빠진 드레이퍼는 유대인인 레이첼 멘켄을 찾아가 점심을 먹으며 도움을 청한다. 레이첼은 만남을 공적으로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 전화로 그녀의 여동생에게 드레이퍼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고백한다. 그러는 동안, 로저 스털링은 조안 할라웨이를 호텔방에서 만나는데, 여기서 그들이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해왔음이 밝혀진다. 로저는 조안을 완전히 소유하고 싶어하고 그녀 명의의 아파트를 사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한다. 조안은 지금의 자유로움이 편하며 로져가 결국엔 더 어린 여성을 위해 자신을 떠날 것임을 예단하며 제안을 거절한다. 벨 졸리 립스틱 캠페인 준비를 하던 프레디 럼슨은 스털링 쿠퍼의 비서들에게 새로운 립스틱 샘플들을 써보게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한다. 비서들이 제품을 테스트해보는 동안 쿠퍼 사의 남자 직원들은 반투명 유리를 통해 그들을 관찰한다. 대부분의 비서들이 샘플을 써보며 즐거워하지만, 페기 올슨은 그들을 지켜보기만 한다. 이벤트가 끝나고, 그녀는 프레디에게 “한 박스에 담긴 백가지 색깔들” 중 하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샘플 쓰레기가 모여 있는 쓰레기통을 “키스 바구니”라고 부른다. 이에 감명 받은 프레디는 페기의 의견을 다른 크리에이티브 팀에게 알린다. 팀은 페기에게 카피라이터의 직무를 맡긴다. 돈은 미지의 아파트에 들리지만, 미지의 친구 로이가 그들의 오붓한 시간을 방해한다. 세 사람은 “gaslight cafe”에 가서 미지의 친구 공연을 본다. 돈과 로이는 광고와 자본주의에 대해 논하다가 미지의 친구가 유대인에 대한 노래 “Babylonian captivity”를 부르자 일제히 침묵한다. 한 편, 로저는 조안에게 철장에 갇힌 새를 선물로 준다. 조안은 선물을 받고 매우 놀라워하나는데, 선물에는 그들에 관계에 대한 어떤 암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Babylonian captivity”가 계속 이어지면서, 조안과 로저는 호텔을 나서고 서로 낯선 사람인냥 각자 택시에 올라탄다. 문화적 레퍼런스 돈은 “The Best of Everything”이란 소설을 읽는다. 돈과 동료들은 소설 “ Exodus”를 읽는다. 살바토르는 립스틱 중 하나를 “Ethel Rosenberg Pink”라 칭한다. 7. Red in the Face[편집] 에이전시는 닉슨의 캠페인 임원들과의 미팅을 준비하고 있는 시기에 로저는 저녁을 먹고 술 한잔을 하기 위해 돈의 집을 방문하는데, 그 때 로저의 아내인 베티에게 치근대는 바람에 그들의 우정에 금이 간다. 피트는 결혼 선물을 총으로 교환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다. 헬렌은 베티에게 글렌을 봐줬던 날 밤에 대해 대면한다. 8. The Hobo Code[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9. Shoot[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0. Long Weekend[편집] 베티의 아빠 진은 근로자의 날을 맞아 베티를 방문한다. 베티의 엄마의 죽음 이후 만난 아빠의 새로운 연인 글로리아는 한눈에 베티의 눈 밖에 난다. 둘은 근로자의 날 연휴에 돈과 함께 여행을 떠나고 돈은 다음 날 합류하기로 한다.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동료들이 닉슨 캠페인에 대해 논하고, 레이첼과 그녀의 아빠는 백화점 리모델링 계획을 짜기 위해 만난다. 로저는 조앤에게 함께 저녁을 보내자고 하지만 그녀는 그녀의 룸메이트와 밤 마실을 간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피트는 그의 주소 중 하나를 돈에게 알려주고, 스콜스 박사는 다른 회사로 떠난다. 여전히 동료애를 갖고 있는 로저는 돈이 고객을 잃은 것에 대해 마음 쓰지 않도록 도우려 한다. 그들은 광고 오디션에서 어린 쌍둥이를 만나고 그들을 위층에 초대한다. 돈이 집에 갈 생각만 하는 동안 지금은 비어있는 사무실에서 로저는 쌍둥이에게 치근댄다. 한편, 나갈 준비를 하는 동안 조앤의 룸메이트 캐롤은 예상치 못하게 조앤을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충격받은 조앤은 별다른 말 없이 나가자는 말 밖에 하지 못한다. 둘은 두 남자를 집에 데려오고, 상처받은 캐롤은 조앤이 아닌 다른 남자와의 섹스를 거부한다. 쌍둥이 중 하나와 사무실에서 섹스를 하려던 로저는 심장마비를 겪는다. 그는 살아남지만 입원한다. 돈은 모나와 마가렛이 눈물로 포옹을 하는 걸 병원 문밖에서 슬프게 쳐다본다. 돈든 베티에게 전화해 가족 휴가에 참가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베티는 로저의 상태에는 관심 없이 글로리아와 진의 관계에 대해 불평한다. 조안은 베트에게 로저의 상태에 대해 듣는다. 그들의 고객들에게 현재 상태에 대해 전보를 쓰려던 그녀는 눈물을 베트에게 들키고 베트는 젊음을 낭비하지 말라며 조언한다. 피트는 돈과 닉슨을 형편없이 보이게 하는 그럴싸한 존 케네디의 티비 광고를 보기 위해 제 시간에 병원에 도착한다. 레이첼에게 연락이 안 되는 돈은 레이첼네 문을 두드리고, 매우 지친 그를 본 그녀는 그를 들어오게한다. 돈은 레이첼에게 로저의 건강 상태의 불 확실성에 대해 말하고 둘은 사랑을 나눈다. 사정 후, 돈은 그의 삶의 부분적인 이야기를 그녀에게 고백한다. 그녀에게 고백한 그의 어린 시절은 이렇다. 그는 그를 낳다가 죽은 창녀의 아들이며 술취한 아버지와 학대하는 새 엄마와 자랐고 그의 아버지가 돈이 10살때 말에게 맞아 숨진 후, 돈은 그가 안쓰러운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새 엄마와 그녀의 새로운 남편에 의해 양육되었다는 것이다. 11. Indian Summer[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2. Nixon Vs. Kennedy[편집] 에피소드의 배경은 1960년 대통령 선거 날이다. 바트와 돈이 퇴근한 뒤, 스털링 쿠퍼 회사의 직원들은 몰래 선거 파티를 연다. 치열한 선거에 파티 분위기는 점점 무르익고, 직원들은 과음을 하며 파티를 즐긴다. 피트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돈의 것인 아담의 신발상자를 본다. 그 신발상자 안에는 인식표, 편지와 사진이 들어있다. 한 사진은 젊은 돈과 아담이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이 찍혀있다. 피트는 사진을 뒤집어 ‘딕과 아잠, 1994’라고 쓰여저 있는 것을 확인한다. 한편 돈은 새로운 기획 팀장을 뽑아야 하는데, 피트는 이에 눈독들이고 있다. 그러나 돈은 피트를 후보로 여기지 않으며, 돈은 공공연하게 이미 후보들을 정해놓았다. 헐먼 필립은 그 후보들 중 하나이다. 피트는 돈의 신발상자에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해 기획 팀장 자리를 따내려 하며, 그렇게 하면 돈이 어쩔 수 없이 피트에게 그 자리를 내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돈의 비밀이 밝혀지려 하자, 돈은 패닉하고 레이첼 멘켄에게 함께 도주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는 운영해야 할 가게가 있고 돈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거절한다. 그녀는 돈과의 다툼 끝에 돈이 자신과 떠나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누구와 떠나든 상관 없이 그냥 이곳을 떠나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결국 돈은 피트에 협박에도 불구하고 쿠퍼에게 헐먼 필립을 뽑겠다고 말한다. 피트는 분노하며 쿠퍼에게 돈이 딕 위트먼이며, 탈영병이고 범죄자라는 사실을 밝힌다. 하지만 쿠퍼는 이 나라는 그보다 더한 사람들로 인해 만들어졌고 그들로 인해 운영된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13. The Wheel[편집] 베티는 친구의 남편을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결혼 생활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피트는 장인어른의 인맥으로 광고주를 구한다. 페기는 신입 카피라이터로 승진되지만, 본인도 몰랐던 임신 사실과 함께 갑작스레 아기를 출산한다. 아이의 아버지는 피트 캠벨이다. 돈은 동생의 자살 소식을 듣고,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다. 피트가 이번 승진에서 선택 받지 못한 것을 안 장인어른 톰은 피트에게 일을 당분간 쉬고 아이 낳는 데에 열중하라고 충고한다. 드레이퍼 가정에서 베티는 추수감사절 때 친정으로 가져갈 것을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돈은 자신의 회사의 새 동업자로써 일이 너무 많아 추수감사절 때 같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돈이 왜 자신의 가족을 보러 가기 싫어하는지 아는 베티는 "왜 내 가족을 당신 가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라고 말한다. 그 다음날 베티는 장을 보고 집에 오자 현관 엎에 기다리고 있는 프랜신을 만난다. 몹시 동요된 듯한 프랜신은 전화 요금을 지불하면서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고 베티에게 말한다. 바로 맨하탄으로 건 비상정으로 많은 장거리 통화 내역이다. 그 번호로 전화하자 여자가 받았고, 남편이 일주일에 두 번씩은 원도프 호텔에서 자고 온다며 프랜신은 남편의 불륜을 의심한다. 베티가 그녀를 위로하려고 하지만 프랜신은 그저 남편을 독살시키고 싶다 말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베티는 집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돈의 서재에 들어가 전화 요금 고지서를 찾아 주머니 속에 넣는다. 그 와중 헤르만 필립스는 스털링 쿠퍼 회사 광고인들에게 현재 의뢰인들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충고한다. 그는 사람들이 차를 사고 하늘을 날고 싶어한다며 자동차 회사, 항공사와 제약 회사와 계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현재 코닥 회사에서 슬라이드 프로젝터가 새로 출시되었다고 언급한다. 돈이 집에 오자 베티는 남편에게 프랜신의 상황에 대해 알린다. 그리고 그녀는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럴 수 있죠?"라고 물으며 남편의 반응을 살핀다. 돈은 그녀에게 걱정하지 말라며 달래준다. 헤르만 필립스는 코닥의 새로운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돈의 사무실로 가져가 책상에 내려놓으며 제품이 마치 바퀴처럼 멈추지 않고 부드럽게 돌아간다고 말한다. 이에 돈은 코닥이 바퀴를 발명했다며 농담한다. 에피소드 정보[편집] 시즌 1 에피소드 정보[편집] 에피소드 번호 제목 감독 각본 방송일 시청자 (백만) 1 "Smoke Gets In Your Eyes"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26, 2007 1.65 2 "Ladies Room"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19, 2007 1.04 3 "Marriage of Figaro" 에드 비앙키 톰 파머 August 9, 2007 N/A 4 "New Amsterdam" 팀 헌터 리사 앨버트 August 9, 2007 N/A 5 "5G" 레슬리 링카 글래터 매슈 와이너 August 16, 2007 N/A 6 "Babylon" 앤드루 번스타인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ugust 23, 2007 N/A 7 "Red in the Face"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ugust 30, 2007 N/A 8 "The Hobo Code" 필 에이브러햄 Chris Provenzano September 6, 2007 N/A 9 "Shoot" 폴 피그 Chris Provenzano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13, 2007 0.84 10 "Long Weekend"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nd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27, 2007 N/A 11 "Indian Summer" 팀 헌터 톰 파머, 매슈 와이너 October 4, 2007 N/A 12 "Nixon vs. Kennedy" 앨런 테일러 리사 앨버트 &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October 11, 2007 N/A 13 "The Wheel" 매슈 와이너 매슈 와이너, 로빈 비스 October 18, 2007 0.93 시즌 2[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3[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4[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5[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6[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7[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제와 상징[편집] lucky strike ad 정체성과 과거회상[편집] 티비 평론가들은 각자 캐릭터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가장 두드러 지는 것은 드레이퍼가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병사의 정체를 사용해 그의 정체성을 감춘것이다. 팀 굿맨은 매드 맨에서 보다 중요한 테마는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굿맨은 돈 드레이퍼를 " 그는 오랫동안 거짓말 속에서 산 남자로 혼자 지내는 것이 익숙한 사람이 되었다. 세 시즌을 거쳐 우리는 그가 만들어낸 동화같은 삶에서 실존적 고뇌를 겪는것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게커는 "스털링쿠퍼 회사의 사업뿐만아니라 주인공인 돈 드레이퍼 또한 진실을 포장하는 것 같이 거짓말로 만들어졌다. 그의 캠페인들중 하나처럼, 그의 정체성은 기회와 빈정거림 그리고 속임수로 만들어진 솜사탕처럼 달콤한 거짓말이다."라고 했다. 뉴 리퍼블릭 작가 루트 프랭클린은 "이 쇼는 그들이 어떻게 창조되었고 그들의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나를 보여주며 미국 아이콘의 브랜딩 장면으로 우리를 데려가는 방식이다. (러키 스트라이크 담배나 힐튼호텔 라이프 시리얼)"라고 말하며 "이런식으로 우리는 모두 밑에 어떤 거짓말이 깔려있는지 보다는 상품을 팔려는 방식에 집착하는 돈드레이퍼다. 드레이퍼의 치명적 단점은 그의 심리적 인지다. 그가 완벽히 미국의 욕구로 변모하며 그의 원래 성격과는 완전히 단절되는 것이 그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한 리뷰어는 "정체성은 매드맨의 주된 테마다. 모두들 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각자 어긋난 야망과 좌절된 꿈으로 채워지고 그 중 돈드레이퍼는 더더욱시즌 1과 2를 통해 점점 속된말로 해골로 변해간다"라고 말했다. 불륜과 성차별주의[편집] 매드맨은 성 역할에 대한 논의를 더 활발하게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은 결혼, 혹은 약혼을 했음에도 자주 다른 여성들과 성적인 관계를 맺는 남성상을 표현한다. 대부분의 주인공들에게는 혼외불륜의 관계가 있다. 마리 윌슨은 워싱턴 포스트의 논평 페이지에서 “여성과 남성이 서로를, 그리고 권력을 다루는 방법을 보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이런 모습들은 우리의 생각만큼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딸들은 계속해서 권력은 권력을 가진 남자로부터 나온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아름다운 외모는 여자가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사다리가 되어주긴 하지만 여전히 최고의 자리에 오르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LA 타임스는 “특히 성차별주의는 거의 숨막히게 만들 뿐 보기에 즐겁지 않다. 하지만 그것은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들이 맞서 싸우는 힘이며, 여성 스스로를 정의 내리게 하는 반대 급부의 힘이다. 일상의 여성혐오와 겸손의 상호작용은 정신상담가가 남편에게 상담내용을 보고하는 가정주부, 퇴근시간 이후의 일에서는 모두 제외되는 등의 캐릭터들에게 목적과 형태를 제공한다."라고 주장한다. Salon에서 Nelle Engoron은 매드맨이 성문제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프로그램의 남성 캐릭터들은 불륜과 술자리를 위해 처벌을 피하면서 일에서 손을 뗄 수 있는 반면에 여성들은 주로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처벌을 피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Aviva Dove-Viebahn은 “매드멘은 어떻게 성차별주의와 가부장제가 1960년대의 삶, 직업,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지에 대한 미묘한 묘사와 급변하는 광신적 애국주의의 60년대 광고계의 미화된 연기 그 사이를 가로지른다."라고 설명했으며 멀리사 윗코스키는 가디언紙에서 “페기의 우위적 위치는 온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은 강력하게 그 어떠한 여성도 스털링 쿠퍼에서는 페기에 앞서 카피라이터가 된 적이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승진을 둘러싼 상황들은 이것은 단순히 페기 이전에는 그 어떤 여성도 앞에서 스스로의 재능을 드러낸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멀리사는 페기가 승진하게 되는 과정이 메리 웰스 로런스와 Jean Wad Rindlaub와 같이 당대의 성공한 광고계 여성의 성공 스토리와 닮아있다는 점을 짚어냈다. 세대 차이[편집] 세대차이: 미국인들은 1960년대를 ‘기적의 60년대, 활기찬 60년대’로 기억한다. 그러나 밝고 아름다운 60년대의 이면에 심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있다는 비판이 많다. 60년대는 꿈과 희망이 현실이 되는 시대였다. 미국이 영광의 시대에 접어들며 세대차가 나타나게 된다. 돈 드레이퍼와 돈의 부모와의 차이는 대표적인 예다. 20대, 30대는 젊은 나이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더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매드맨에서 세대차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는 음악과 종교다. 매드맨의 각 에피소드는 각각 다른 음악으로 마무리되는데 이 음악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로저는 1차 세계대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반면 돈은 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시점과 각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시대극의 장점은 시대상을 들어 그 시대 인물들의 삶과 정서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매드맨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당대인의 삶과 정서를 신뢰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소비 사회[편집] 소비주의(Consumerism): 소비주의의 사전적 정의는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거나 보호하는 것이다. 소비주의는 매드맨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 매드맨의 배경은 광고회사다. 광고회사의 목적은 어떤 상품의 장점을 찾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매력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에피소드에서 돈 드레이퍼와 그의 동료들은 고객을 유혹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뛰어난 광고 전략을 세워 경쟁적인 시장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고객사를 설득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상품을 매력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는 작업은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뤄진다. 고객을 세대별 집단으로 구분해서 공략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접근이다. 물론 전세대를 아울러 동시대인으로서 한 집단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60년대 남성들은 강한 남성성을 보이며 여성들은 강한 여성성을 보인다. 광고업자들은 연구를 거쳐 상품을 광고할 방법을 고안한다.또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유인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럭키 스트라이크 에피소드에서 "구웠다(toasted)"는 표현으로 럭키 스트라이크의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폭스바겐을 "레몬"으로 비유한 것과 같은 이런 간단한 정의는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있다. 이런 접근 방식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매드맨의 배경이 되는 60년대는 미국인 일반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된 첫 번째 시기다. 또 식자율이 상승하면서 시민 일반이 광고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졌다. 매드맨(60년대 광고업자)은 알콜중독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이 음료를 선택하는 것 역시 소비주의 경향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상그리아(적포도주에 소다수와 레몬 즙을 섞은 음료)나 스프릿츠(백포도주에 소다수를 혼합한 음료)같은 음료는 당시 엘리트 계층에서 유행했던 술이다.당대의 소비주의는 동시대의 평범한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런 인식에 젖어들면서 소비주의는 경제와 사람들의 성격적 특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 의존증[편집] ABC 뉴스는 매드맨에서 드러난 1960년대의 음주문화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라고 말했다. 감독 매슈 와이너는 오피스 내부·외부와 점심·저녁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ABC 뉴스는 이런 주인공들의 모습이 60년대라는 타임 프레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즌 2에서는 프레디 럼슨이 바지에 오줌을 싼 뒤, 알콜 중독 치료를 위한 재활원으로 보내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또한 극중에서 한 텔레비전 리포터는 돈, 베티, 헐만 필립 그리고 로저 스탈링의 과음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시즌 4에서는 돈 드레이퍼가 자기 자신이 알콜 중독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ABC 뉴스가 인용한 한 알콜 및 약물 중독 전문가는 지난 10년 동안 알콜 중독은 질병으로서 인정받았으나 60년대에는 과음 후에 드러나는 부정적인 행동들은 남성적이고 로맨틱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드라마를 본 한 평론가는 시즌 4에서 돈 드레이퍼가 알콜 중독과 싸우는 모습을 가리키며 ‘술 깨는 이야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반문화[편집] 로스 엔젤레스 타임즈는 매드맨은 만연한 문화전쟁의 출현 전인 쉼 없이 바쁜 시기에 이야기 속 인물들이 개인적 해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에서 뛰어나다고 말했다. 한 리뷰어는 패기를 통해 시즌4가 시끄러운 음악과 담배 돌려피우기, 언더그라운드 영화와 같이 그 시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과 함께 반문화 (팝아트의 황제 앤디 워홀)의 도입을 가져왔고 패기가 라이프 잡지의 사진작가(Friend)와 함께 로프트에 방문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자란, 주류에 반하는 저항적인 창의성의 즐거움에 직면한다며 흥분했다. 허핑턴 포스트는 패기가 로비에서 피트가 SCDP 파트너들과 그의 새로운 6000달러 계좌를 기념하기 위해 머무는 동안 그녀의 새로운 비트족 친구들과 만나는 장면에 집중했다. 그들이 그들의 반대 궤도에 승선하는 동안 카메라는 그들의 시선에 머물며 여기에서 우리는 감정적 진실을 찾는다고 말했다. 인종차별주의[편집] Tamara Harris는 Change.org에 “주 내용에 유색인종이 등장하지 않는 사실은 많은 사실을 함축한다" 라고 적었다. 더 명확히 얘기하면 ‘매드맨’은 20세기 중반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만약 당시 내용을 다뤘다면 인종 문제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사실로 인한 비난을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드맨은 돈 드레이퍼와 그의 궤도에 속한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그들은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중반까지 맨해튼에서 일을 하고 생활한 중산층 이상의 상류층 백인들이다. 평등을 위한 투쟁이 그들의 특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사람들은 인종이나 인종차별주의는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유색인종이 집에 있는 경우나 그들의 관점은 전혀 보여주지 않고 일을 하는 모습만 보여주는 초인종주의 (인종 구분 자체를 거부하는 관점) 가 ‘매드맨’ 시리즈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비평가들은 주장한다. 몇몇 저술가들은 Clarence Holte나 Georg Olden, Caroline Robinson Jones 와 같은 1960년대에 업계 진출을 시작해 성공적으로 업계에서 활동한 흑인 광고업계 중역진들에 대한 내용을 생략함으로써 ‘매드맨’시리즈가 역사를 왜곡한다고 보았다. Slate의 기고자 Tanner Colby는 ‘매드맨’이 당시 매디슨가에 있었던 인종 문제를 역사적으로 정확하게 다뤘다고 칭찬했다. 특히 시즌3 ‘The Fog’ 에피소드에서 캠벨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회사가 좌절시킨 사건에서 이러한 정확도가 잘 드러난다. 시즌4 ‘The Beautiful Girls’ 에피소드에서 Fillmore Auto 회사가 흑인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 보이콧을 당하자 페기는 Harry Belafonte를 Fillmore Auto의 대변자로 제안하지만 돈 드레이퍼가 이 제안을 거절하는 장면에서도 잘 드러난다. Colby는 또한 1963년에 Ad Age와 관련해 발행된 expose에서 “2만명의 이상의 전문직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직업군 종사자 중 흑인은 25명 밖에 없었다”. 그는 “매드맨은 비겁하게 인종 관련 문제를 회피하지 않는다. 단지 매디슨가의 비겁함에 대해 솔직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뿐이다.” 라고 얘기했다. 흡연[편집] 럭키 스트라이크 광고 미국에서 현재보다 1960년대에 더욱 흔했던 흡연은 매드맨 시리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여러 등장인물들이 담배 피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파일러트 에피소드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의 대표들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구하기 위해 스털링 쿠퍼에 문의하러 온다. 그 당시에 ‘리더스 다이제스트’ 잡지에서는 흡연이 폐암과 같은 질병의 원이 된다는 발표를 한 시기이다. 흡연이 건강이나 외모에 해롭다는 말은 중요시 여기지 않거나 주로 무시된다. 시즌4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SCDP)와의 광고 계약을 해지시키자 돈 드레이퍼는 뉴욕 타임즈에 ‘내가 담배를 끊는 이유’라는 제목의 광고를 낸다. 그 광고를 통해 SCDP는 더 이상 담배 회사들과의 계약을 거절한다고 밝힌다. 시즌 마지막 회에서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와 대화를 하는 것으로 막을 짓는다. 배우들은 진짜 타바코 담배가 아닌 허브 담배를 피우는데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뉴욕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가 배우들의 건강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배우들이 진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좋지 않을 거예요. 불안해하고 초조하게 되기 때문이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워서 세트장에서 토하는 사람들도 봤다”고 말했다. 추락하는 남자[편집] 방 안의 가구들이 빠르게 무너져 내리고, 남자의 그림자가 높은 광고판으로 만들어진 절벽에서 추락한다. 불안한 느낌의 배경음악이 흘러나오고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분위기가 이어진다. 매드맨의 제작자 매슈 와이너가 만든 이 인트로 영상은 정장을 입은 남자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내용이다. 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는 인트로 영상뿐 아니라 매드맨의 광고 배너와 포스터에도 쓰였다. 9.11 테러를 연상케 해 논란이 뜨거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에 대한 방송사 AMC의 공식 입장은 주인공 돈 드레이퍼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존 햄(돈 드레이퍼)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추락하는 남자’가 돈 드레이퍼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36초에 불과한 이 인트로 영상은 매드맨의 여러 측면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쟁적인 인트로 영상은 여전히 여러 영역에서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01년의 9월 11일 납치된 비행기가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와 충돌하는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비극이 벌어졌다. 빈라덴이 이끄는 알카에다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자신들의 적인 미국의 여객기를 탈취해 뉴욕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인 세계무역센터와 충돌시켰다. 충돌 후 빌딩 내부에 화재가 일어나자 발이 묶인 사람들은 빌딩 밖으로 몸을 던져 목숨을 잃었다. 높은 빌딩에서 몸을 던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매드맨의 인트로 영상은 9.11 테러 이후인 2007년 제작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인트로 영상이 9.11 테러 사건과 당시 희생된 이들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제기했고 실제 9.11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이 이 인트로의 상영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2012년 AMC는 매드맨의 5번째 시즌 홍보를 위해 뉴욕시 사방에 해당 이미지의 포스터를 붙였고 이 일로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다. 논란이 야기되자 매슈 와이너는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줄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관련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편집] 1960년 11월 8일에 있었던 선거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선거 중 하나로 꼽힌다. 닉슨은 로스 엔젤레스의 유명한 호텔인 앰버서더 호텔에서, 케네디는 마사츄세츠 주 하이에니스 포트에 소재한 자신의 거처에서 안락하게 선거 개표 방송을 시청했다. 하지만, 중서부의 농촌과 교외 지역, 그리고 락키 산맥, 대서양에 근접한 주의 표가 개표되면서, 닉슨은 케네디와의 표차를 서서히 줄여가기 시작했다. 자정이 되기도 전에, 뉴욕 타임즈는 헤드라인에 “케네디 대통령 당선”이라는 정보를 실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다 보니, 타임즈의 주필인 터너 캐틀리지는 “중서부의 한 시장이 제발 표를 충분히 확보해 케네디가 당선되기를 기원했다”라고 회상했는데, 이는 타임즈가 12년 전 시카고 트리뷴이 토마스 듀이가 트루먼 전 대통령을 선거에서 이겼다는 오보를 낸 전레에서 비롯한 말이었다. 닉슨은 자정 3시에 새로 연설을 통해, 케네디가 선거를 이겼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암시했다. 뉴스 관계자들은 매우 당황했는데, 이러한 공식적인 대선 패배 인정문은 매우 드문 경우였기 때문이다. 11월 9일, 수요일에 되어서야 닉슨은 확실한 대선 패배를 인정하였고,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3,129의 자치주와 도시 중, 닉슨은 1857개 (59.35%)의 도시에서 승리를 거뒀고 케네디는 1,200 개 (38.35%)에서 이겼다. “언약하지 않은” 선거인들이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의 71개 자치주 (2.27%)에서 승리했으며, 알래스카에서는 케네디와 닉슨이 각각 한 도시씩 가져갔다. 투표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는 닉슨의 본고장인 캘리포니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선거구가 투표 완료를 선언했을 때는 케네디가 37,000표로써 승리한 것으로 보여졌으나, 부재자 투표가 완료된 일주일 후에는 닉슨이 결국 36,000표로 캘리포니아까지 가져갔다. 이와 비슷하게, 하와이에서도 닉슨이 주투표에서 승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재개표 시에는, 케네디가 115표라는 적은 표 차이로 승리했다. 전국민 투표에서는, 케네디가 닉슨을 0.17%라는 20세기 최소의 표차로 승리했다. 대표단 투표에서 케네디의 승리는 더욱 확고했는데, 케네디가 대표단에게서 303표를 가져간데 비해, 닉슨은 219표를 가져갔다. 총 15개의 대표단은 케네디도 닉슨도 아닌 버지니아 주 소속 민주당의 해리 버드 상원의원을 뽑았다. 케네디는 12개의 주에서 3% 미만의 득표율 차로 승리를 구뒀고, 닉슨은 6개의 주에서 비슷한 비율의 득표차로 승리했다. 케네디는 북동쪽 주와 미시간, 일리노이, 미쥬리 등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많은 서중앙 지방에서 승리를 거뒀다. 린든 존슨의 도움으로, 남부 지방 대부분의 주에서 역시 승리를 거뒀는데, 이 중에는 노스 캐롤라이나, 죠지아, 텍사스 등 매우 큰 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닉슨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농업 중심의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서부의 3개 주를 빼놓고는 모든 주에서 앞서갔다. 가장 큰 승리를 거둔 주는 오하이오였다. 뉴욕 타임즈는 이러한 치열함에 대해 케네디가 이긴데에는 그가 천주교였다는 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선거 도중 닉슨은 케네디의 종교를 비난하였고, 그로 인해 북쪽 지역의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케네디의 편으로 붙었다는 것이 그들의 분석이다. 미시간 대학교의 조사팀이 1956년과 1960년에 투표를 실시한 이들에 대한 인터뷰에 의하면, 1956년에 민주당에 투표한 사람들 중 39명 중에 케네디를 뽑은 사람이33명인데 비해, 공화당을 뽑은 이 61명 중 44명이 닉슨에게 투표했다. 이에 의하면, 닉슨은 표 28%를 아이젠하워에게 뺏긴데 비해, 케네디는 단 15%만을 스티븐슨에게 뺏긴셈이다. 결론적으로,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1956년에 지지자들을 잘 관리한 것이다. 케네디는 앞으로 미국에 국가적으로 다가올 도전들을 꿰뚫어보았고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했다. 당선 연설에서 그는 “친애하는 모든 국민 여러분, 저는 앞으로 다가올 4년이 도전과 역경으로 가득찬 시기일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1960년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전국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도움이 절실하며, 저의 모든 정신을 미합중국의 장기적인 발전과 전세계의 자유를 도모하는데 바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라고 주장했다.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편집]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란 여성들의 가장 큰 행복은 아내와 엄마가 되는 것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나 베티 프라이덴의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에서는 교외의 주부들의 인터뷰와 심리학과 미디어 광고조사를 통해 이 개념을 비판하며 세컨드 웨이브 페미니즘을 불러일으켰다. 드라마 매드맨도 프라이덴과 같이 이런 여성의 신비라는 개념이 환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즌1에서 돈 드레이퍼의 아내 베티 드레이퍼는 전형적인 우울한 주부의 모습을 대변한다. 베티 드레이퍼는 표면적으로는 모든 것을 가진 아내이자 어머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손을 떠는 등 불안하고 우울한 증세를 보인다. 드라마에서는 그녀의 결혼생활 또한 불안정한 것으로 비춰진다. 예컨대, 돈 드레이퍼는 계속해서 다른 여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베티는 돈의 감춰진 삶에 대해 계속해서 불안감을 느낀다. 베티는 결국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며 그녀의 불안정한 삶에 대해 털어놓게 된다. 그러나 돈 드레이퍼는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라는 개념에서 드러난 여성의 이상적인 꿈은 주부로 연결된다는 것에 반한다.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그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9화에서 그녀가 과거에 했던 모델 일을 결혼 이후에도 계속해서 꿈꿔왔다는 것이 드러난다. 코카콜라 광고 제의가 들어오자 그녀는 갑자기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일을 시작한다는 것에 대한 사실에 기쁨을 감출 수 없다. 이는 그녀의 꿈은 주부라는 그림자에 의해 가려졌으며, 주부라는 것은 그녀의 이상이 아니라 그저 현실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에서는 베티 드레이퍼라는 인물을 통해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가 진실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고정관념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편집]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는 많은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는데, 우선 이 두 영화의 시대적 배경이 10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서 사회적인 양상에서 굉장히 흡사하다. 두 주인공은 모두 정상적인 가정과 직장을 꾸리고 살지만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점, 과거에 전쟁에 참전했던 경력이 있다는 점 등에서 매우 비슷하다. 이는 겉으로는 아내와 화목한 매일매일을 보내는 것 같고, 실제로도 드레이퍼와 톰은 가족 중심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불륜이라는 소재가 이들의 심적 갈등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또한 두 인물 다 도시 외곽 쪽에 거주하고, 알코올 의존중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술을 자주 마신다는 점에서 라이프스타일도 유사하다. 이 둘은 일에 헌신하는 태도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돈은 자신의 광고 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써 인정받고 있고, 톰도 자신의 직장에 충실하다. 다만 돈 드레이퍼는 자신의 일에 대하여 별다른 불만이나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여, 톰은 표면적으로는 일에 헌신하지만 그것이 영혼이 없는 태도라고 내심 생각하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둘은 각각 한국전쟁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과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굉장히 명예로운 일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 주인공은 이러한 과거를 회피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특히 두 작품 다 PTSD와 비슷한 다소 고통스러운 과거 회상 장면이 나온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는 종전 이후 참전용사들은 정상적인 사회생활 복귀를 꿈꾸지만, 이 두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도 할 수 있다.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은 매드맨(Mad Man)과 예스맨(상사에게 복종하는 사람)으로 각각 나타난다. 아인 랜드[편집] 매드맨 1시즌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이 처음 언급되는 것은 8번째 에피소드 “The Hobo Code” 에서 스털링 쿠퍼 사의 사장인 버트 쿠퍼의 입을 통해서이다. 그는 아인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돈 드레이퍼에게 권한다. 본 에피소드에서 나중에 돈은 고객과의 상담 중 고객이 자신의 광고를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자 “내가 공들인 이 광고를 당신이 감사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 광고를 당신에게 주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당신이 어떻게 되는지 보자” 라는 상당히 도전적이고 어떻게 보면 건방지기까지 한 대사를 말하는데, 이 장면은 돈이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읽고 영향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은 돈을 통해 계속해서 아인 랜드의 철학을 연상시키는 독선 혹은 자기중심성을 관찰할 수 있다. 11번째 에피소드 "Indian Summer"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은 다시 한번 등장한다. 로저가 갑작스럽게 건강에 문제가 생기자 쿠퍼는 돈에게 파트너 자리를 제안한다. 돈은 파트너 제안은 수락하지만 계약서는 필요 없다고 말한다. 쿠퍼는 계약서가 필요 없다는 돈의 말을 듣고 미소를 지으며 "너무 자신감 넘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어서 쿠퍼는 돈에게 아인랜드를 소개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쿠퍼는 계약서도 쓸 필요 없다는 자신감 넘치는 돈의 태도에 감탄했다. 아인랜드의 책에서 강조하는 상황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견지해 성취를 이뤄내는 인간상을 돈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반응 및 평가[편집] 평점[편집] [시즌1 ~ 시즌2] 2007년 7월 19일 저녁 10시 예고편 시청률은 당시 기존의 AMC 드라마 시리즈에 보다 높았으며 120만 가정에서 총 165만명의 시청자들에 의해 1.4점을 얻었다 (household rating). 시즌 1 예고편의 시청자 수는 시즌 2에 비해 두 배 이상 이었으며(206만명) 이는 시즌 2예고편의 강력한 홍보 덕분이었다. 시즌 2첫 방송 이후 시청자 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TV비평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형성했다. 하지만, 175만명이 시즌2 마지막화를 시청했고 이 수치는 시즌2 평균 시청자수 보다 20% 더 높은 수였으며 시즌 1 마지막 화 시청자 수에 비해선 926,000 명이 더 많았다.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청자 수를 포함해 누적 시청자 수는 총 290만명이었다. [시즌 3] 예고편은 2009년 8월 16일에 방영되었으며 첫 상영에 280만명, 그리고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간에 78만명이 시청하였다. 2009년에 매드맨은 시청자 수 57.7% 증가로Nielsen’s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배틀스타 갤랙티카 최종 시즌 바로 다음으로 2등을 차지했다. [시즌 4] 예고편을 29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시즌 3 처음보다 평점이 5퍼센트 증가하였고 시즌 3평균보다는 61퍼센트 증가하였다. 또한 AMC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한 드라마로 등극하였으며 이는 The Walking Dead와 Better Call Saul 방영 때까지 유지되었다. [시즌 5] 예고편인 ‘A Little Kiss’는 350만명이 시청하였고 18 ~ 49세 시청자는 160만명이었다. 이는 매드맨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 수였다. 시즌 5 이전에는 18 ~ 49세 시청자 수에서 100만명 이상의 시청자 수를 기록한 적이 없었다. AMC 채널의 사장인 Charlie Collier는 “Matthew Weiner와 그의 팀은 시즌 5까지 매 시즌을 아름다운 얘기로 잘 풀어냈으며 시즌이 지날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이에 반응해주었다. 이러한 성공은 매우 드물기에 이 프로그램과 카메라에 찍히지 않은 유능한 작가, 출연진을 포함한 전체 팀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라고 얘기했다. 시즌 5 마지막화인 “The Phantom”은 27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매드맨 최종화 중 가장 높은 시청자 수를 기록하였다. 2012년에 매드맨 시리즈는 시청자 수 상승률127%를 기록하며 Nielsen's list of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2등을 차지하였다. 시즌 방영 시간과 요일 에피소드 수 시작 날짜 예고편 시청자 수 최종회 날짜 최종회 시청자 수 평균 시청자 수 시즌1 목요일 P.M 10:00 13 2007년 7월 19일 165만명 2007년 10월 18일 93만명 90만명 시즌2 일요일 P.M 10:00 13 2008년 7월 27일 206만명 2008년 10월 26일 175만명 152만명 시즌3 일요일 P.M 10:00 13 2009년 8월 16일 276만명 2009년 11월8일 232만명 180만명 시즌4 일요일 P.M 10:00 13 2010년 7월 24일 290만명 2010년 10월 17일 244만명 227만명 시즌5 일요일 P.M 10:00 13 2012년 3월 25일 350만명 2012년 6월 10일 270명 270만명 시즌6 일요일 P.M 10:00 13 2013년 4월 7일 337만명 2013년 6월 23일 269만명 249만명 시즌7 파트1 일요일 P.M 10:00 7 2014년 4월13일 227만명 2014년 5월 25일 194만명 201만명 시즌7 파트2 일요일 P.M 10:00 7 2015년 4월5일 227만명 2015년 5월 17일(예정) 아직 진행 중 아직 진행 중 평론[편집] 매드맨은 개봉과 동시에 비평가들의 큰 호평과 비평가들의 역대 최고의 위대한 텔레비전 시리즈로 자리매김 하였다. 미국 영화 연구소는 2007, 2008, 2009, 2010, 2012년에 (2011년에는 방영하지 않았음) 매드맨을 최고의 10개 텔레비전 시리즈 중 하나로 뽑았고, <텔레비전 비평과 협회>, <시카고트리뷴>, <뉴욕타임즈>, <피츠버그 포스트 가제트>, <타임지>, 그리고 <TV 가이드>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출판물들도 매드맨을 2007년 최고의 텔레비전 쇼로 선정했다. 논평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매드맨 첫 시즌 점수는 77/100이었다. 2013년 <TV 가이드>는 2013년 역대 최고의 드라마 60개 중 매드맨을 5위로 선정하였고, 미국 작가 조합에서 역대 최고로 잘 쓰여진 TV 시리즈 101개 중 7위로 선정되었다. 롤링스톤의 멤버 롭 셰필드는 매드맨을 "역대로 가장 위대한 TV 드라마"라고 말했다 . <뉴욕타임즈>의 논평가는 "그리 멀지 않은 과거를 즐기는" 획기적인 시리즈라고 말했다. 시대적 진정성[편집] 60년대 광고업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은 매드맨의 시대적 진정성에 대해 각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지만, 매슈 와이너와 그의 팀은 매드맨이 시대적 진정성과 그 배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다. 매드맨 자문위원 로버트 래빈슨은 매드맨이 포착하고 있는 것은 매우 사실적이다며, 드라마에서 일상적인 음주, 지속적인 흡연, 간부와 비서의 관계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60년대에 카피라이터로 일했던 제리 델라 페미나 또한 드라마가 흡연과 여러가지 사회적 편견을 정확하게 그려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피라이터 알렌 로젠샤인은 드라마의 배경은 완전히 꾸며낸 것이라고 말하며, 실제로 60년대에 매드맨의 등장 인물들처럼 여자를 대했다면, 진작에 해고당했을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60년대에 광고회사 Doyle Dane Bernbach에서 일했던 조지 루이스는 매드맨은 60년대의 고정관념을 드라마를 통해 실체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60년대의 현실은 매드맨과 달랐으며, 광고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매일 힘들게 일했고, 일 외에 활동이라고는 회사에서 하는 농구와 소프트볼이 전부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문화 관측소의 벤자민 슈미츠의 매드맨 언어 분석에 따르면, 매드맨에서 사용된 어휘와 문장은 그 시대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드라마가 그 시대의 언어를 아주 조금밖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과 매드맨의 대부분의 언어와 문장은 그 배경의 시대보다는 현대에서 더 자주 사용되고 있는 언어임을 밝혔다. 따라서 매드맨의 언어는 그 시대의 언어 패턴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매드맨에서 사용되는 "creeps in with striking regularity”와 같은 비즈니스 언어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당시에는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결과와 영향[편집] 매드맨은 1960년대 패션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8년 ‘더 가디언’은 매드맨이 남성 슈트 패션, 특히 높은 웨이스트밴드, 짧은 재킷, 귀판 안경과 페도라와 같은 당시 시대 스타일 슈트의 부활에 한몫을 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매회 나오는 드라마 의상들은 남성에게는 테일러 수트를, 여성에게는 풀스커트에 플로럴 프린트와 가디건을 유행시켰다. 이러한 인기를 반영해 바나나 리퍼블릭은 매드맨 가을 캠페인을 전개했고, 브룩스 브라더스는 매드맨 리미티드 에디션을 판매하기도 했다.[1] 바나나 리퍼블릭 디자인팀과 매드맨 의상 디자이너인 Janie Bryant가 함께 디자인한 컬렉션(Mad Men Capsule Collection)은 많은 드라마 팬과 복고, 오피스룩 매니아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또한 웹사이트 BabyCenter에 의하면 매드맨 때문에 “베티”라는 이름이 2010년 미국에 갑자기 인기가 많아졌다. 나아가 The Arizona Republic에선 20세기 중반 인테리어 디자인의 새로운 관심이 매드맨의 방영과 겹친다고 보고했다. 뉴욕타임즈 극장 비평가 벤 브랜틀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매드맨이 “과음하고 줄담배 피며 여자들이나 쫓아다녔던 1960년대”를 “브로드웨이의 가장 사랑 받는 시대”로 탈바꿈 시켰다고 하며, 그 예시로 2010년과 2011년, 1960년대를 배경으로 나타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세 개를 들었다. 바로 “Promises, Promises”와 “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의 재상연과 “Catch Me If You Can”이다. 또한 브랜틀리는 “Promises, Promises가 원래 배경이었던 60년대 후반이 아니라 1962년을 배경으로 한 이유는 매드맨에 있다고 본다”라고 주장했다. 2009년 TNT에서 한 시즌 동안 상영한 Trust Me는 현대시대 광고회사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텔레비전 비평가 톰 셰일즈는 Trust Me를 매드맨과 Nip/Tuck이라는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합친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그 밖에 2011년 짧게 상영한 The Playboy Cub과 Pan Am 또한 배경이 1963년인데, 둘 다 매드맨을 따라 한 드라마라고 자주 언급된다. 2011년 첫 방송한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The Hour 또한 매드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심지어 2014년 Syfy채널에 방송된 Ascension은 “우주를 배경으로 한 매드맨”이라고 불렸다.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매드맨은 시즌 2, 1화에서 돈 드레이퍼가 프랭크 오하라의 시 “Mayakovsky”를 낭송하자 아마존 웹사이트에서 오하라의 작품이 Top 50로 올라갈 정도의 영향력을 보인다. 또한 회사 매니저 조안 역으로 나오는 크리스티나 헨드릭스의 모래시계 같은 몸매와 관능적인 매력이 인기를 끌며 영국에선 2010년에 여성들의 가슴수술이 10% 증가했다. 몇몇 사람들은 매드맨이 불러온 1960년대 패션과 사회 규범에 대한 열풍을 비판했다. 에이미 벤퍼는 잡지 Salon에서 “과거 회상의 문제점에 대해 경고하는 바로 그 텔레비전 드라마가, 사람들에게 분명히 결함이 있는 과거에 대한 노스탈지아를 일으킨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라고 주장했다. Ms.Magazine의 애나 켈나는 “매드맨이 대중문화에 갖고 있는 어마어마한 영향력 덕분에 신여성인 ‘페기’가 아닌 순종적인 ‘베티’들이 가득한 세대가 만들어졌다”라고 말했다. 2014년 국정보고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평등한 여성 임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매드 맨 시리즈에 존재하는 직장 방침은 없어질 필요가 있다.” 매드맨 프로듀서 매슈 와이너는 오바마 대통령과 동의한다고 하며 “우리 드라마가 미국에 꼭 필요한 국민 토론의 일부가 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2015년,시리즈 오프닝에 돈 드레이퍼가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조각상이 매드맨 시리즈를 위해 타임-라이프 건물 앞에 세워졌다. 매드맨 시리즈는 AMC 케이블 채널의 흥행 불꽃을 점화 시킨 것으로 인정받았다. 수상경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음악[편집] -EP 1 Smoke Gets in Your Eyes- One the street Where you Live - Vic Damone 끝 부분, 돈과 가족들 Caravan (Instrumental) [Remastered] - Gordon Jenkins 돈 기차에서, 집을 행하여 Shangri-La - Robert Maxwell 스트립쇼 바 Band of Gold - Don Cherry 시작할 때, 돈 식당에서 -EP 2 Ladies Room- Great Divide - The Cardigans 끝 Credits I Can Dream, Can't I? - The Andrew Sisters -EP 3 Marriage of Fiagro P.S. I Love You - Bobby Vinton- 끝 Credits -EP 4 New Amsterdam Manhattan - Ella Fitzgerald & The Buddy Bregman Orchestra 마지막 장면, Pete 와 Trudy의 미래 보금자리 Driving Instructor - Bob Newhart -EP 5 Five G Blue in Green - Miles Davis 돈 과 Midge 침대에서 You - The Aquatones 돈과 아담의 저녁 식사 Non Dimenticar - Percy Faith Pete 와 Trudy의 저녁식사 -EP 6 Babylon Babylon - Original Cast Recording Midge 와 돈은 식당에서 노래를 듣는다 -EP 7 Red in the Face Botch-A-Me (Ba-Ba-Baciani Piccina) - Rosemary Clooney 돈이 로저의 등을 쳐줄 때 -EP 8 The Hobo Code (Gimme That) Old Time Religion - Jim Reeves 끝 Credit Concierto de Aranjuez (Adagio) [Master] - Miles Davis 돈이 Midge의 아파트 파티에 참석 -EP 9 Shoot My special Angel - Bobby Helms 끝부분 베티가 비둘기 총으로 사냥할 때 -EP 10 Long Weekend Volare - The McGuire Sisters -EP 11 Indian Summer Fly Me to the Moon (In other words) - Julie London 끝 credits Agua de Beber - Astrud Gilberto & Antonio Carlos Jobim 베티와 새탁기 ^_^;; -EP 12 Nixon vs. Kennedy Metro Polka - Frankie Laine Gopher Mambo - Yma Sumac -EP 13 The Wheel Don't Think Twice, It's Alright (LP Version) - Frankie Valli & The four Seasons Don't Think Twice , It's Alright - Bob Dylan 끝 Credit 매슈 와이너 인터뷰[편집] 문학 계간지인 The Paris Review의 208호에 실린 매슈 와이너의 인터뷰는 그가 어떻게 한 명의 각본가로 성장했는지부터 매드맨의 탄생 비화, 매드맨 각본의 집필 과정 등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 매드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분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와이너는 각본 쓰는 것을 배우기 위해 영화 학교에 진학한 것은 아니었지만 영화 학교를 다니면서 각본가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영화가 성공할 경우 그 스포트라이트는 보통 감독이 받지만 사실은 그 작품의 각본을 쓴 각본가야말로 진정한 작품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와이너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각본 쓰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가 과거에 쓴 다양한 각본은 훗날 매드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매드맨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쓰고나서 3년이 지나서야 AMC에서는 이 이야기를 드라마로 만들어보자고 하였고, 와이너는 자신이 완전히 잊어버리고 있던 그 이야기를 기억해내기 위해 과거에 자신이 썼던 각본들을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는 돈 드레이퍼라는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각본들에 등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각본에 등장하는 돈의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의 어두운 과거, 그가 가난한 시골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많은 미국의 역사 속 위인들처럼 그도 자수성가형 인물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와이너는 리 이아코카, 샘 월튼 그리고 빌 클린턴 같은 미국의 지도자들이 알고보니 모두 불우한 환경 속에서 자란 자수성가형 인물이었다는 점을 알게 된 후 미국 사회에 제이 개츠비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깨달았고, 이러한 영감은 돈이라는 캐릭터에 투영되었다. 와이너의 개인적인 경험 역시 돈이라는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일조하였다. 한번은 그가 일하던 직장에 줄곧 자신이 하버드를 졸업했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결국엔 보다못한 한 사람이 “너 하버드 안 나왔잖아!” 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는 하버드 졸업생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이 사실을 알게 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너무 대수롭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버드에 입학하면 자신의 인생이 바뀔 것이라고 믿고 그렇게 애를 쓰는데, 어떻게 그러한 학력위조를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단 말인가? 와이너는 이 경험이 너무 인상적이어서 돈의 캐릭터 설정에 이를 포함시켰고, 이는 돈이 자신의 과거를 숨긴 채 다른 사람의 신분으로 살아간다는 설정으로 연결되었다. 와이너가 매드맨을 구상할 때 핵심적인 주제로 생각해둔 또다른 요소는 바로 “누가 미국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층인가” 하는 문제였다고 한다. 그는 미국에서 성공의 다른 말은 곧 남성 WASP(앵글로색슨계 백인 신교도)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그는 미국 사회의 주류에 속하는 사람들과 그 그룹에 속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비주류인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이 깊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매드맨을 관통하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라고 와이너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매드맨 시리즈는 결국 부유한 백인들이 속한 ‘우리’ 라는 그룹에 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파일럿 에피소드에 보면 피트 캠벨의 대사 중 “돈과 교육을 더한다고해서 그 사람의 천박한 본질이 사라지지는 않아” 라는 대사가 있다. 이는 ‘우리’ 에서 유태인을 소외시키는 반유태인적 발언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실제로 유태인인 와이너는 어렸을 적 이 말을 학교 선생님께 들었다고 한다. 교사는 와이너가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그런 말을 교실에서 했고, 당시 와이너는 자신이 마치 투명인간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경험 덕분에 자신이 미국 사회의 비주류인 여성이나 동성애자, 혹은 유색인종들의 슬픔에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그가 예로 든 캐릭터는 바로 레이첼 멘켄이다. 그녀는 와이너가 ‘코성형 세대’ 라고 부르는 시대 사람이다. (유대인들은 매부리코를 갖고 있다는 편견이 있다.) 레이첼은 미국 백인 사회문화에 흡수당했다. 그녀는 분명 자신의 부모와는 달리 유태인 기념일을 챙기지 않았을 것이며, 최대한 백인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을 것이다. 코성형 세대의 유태인들은 백인 미국인이 아닌 자신의 부모님들을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 ‘흡수’ 가 바로 미국의 이야기다. 돈과 레이첼은 공통적으로 둘 다 자신이 진짜 누구인지를 숨기고 미국의 주류인 백인 남성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에게 끌리는 것이다. 와이너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바로 페기 올슨이다. 그녀는 자신의 일과 관련해서는 매우 성실하고 적극적이며 재능 또한 있다. 그러나 본인의 사생활에 관해서는 어리석기 짝이 없다. 그녀는 자신이 ‘우리’ 에 속한 삶을 산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틈만 나면 누군가가 그녀에게 “너는 ‘우리’ 의 일부가 아니야” 라고 말하기 일쑤다. 인터뷰에는 와이너가 매드맨의 각본을 집필하는 과정 또한 담겨있다. 각 시즌 초반부에 그는 우선 자신이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이야기들에 대해 메모를 해둔다. 그런 다음 각 에피소드에 어떤 이야기들이 다루어질지 일종의 개요를 만들고, 개요가 완성되면 이제 구체적인 대본을 만들기 위해 본인의 어시스턴트와 함께 방으로 들어가 씬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대본을 만들기 시작한다. 와이너에 따르면 사실 모든 장면들은 그의 머릿속에 이미 들어있고, 그는 그것을 그저 끄집어내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 끄집어내는 작업이 다소 정신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를 도와주는 어시스턴트의 역량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그는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한편 인터뷰에서 와이너가 질문받은 또다른 부분은 바로 드라마 매드맨의 시대적 사실성, 다시 말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60년대 미국을 어쩌면 그렇게 완벽에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본 인터뷰를 진행한 세미 첼러스는 인터뷰를 위해 세트장을 처음 방문한 당시 한 비서의 책상 위에 쌓여있는 편지들이 놀랍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리얼한 것을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편지들의 수신인과 발신인에는 실제 극 중 인물들의 이름이 적혀있었을 뿐만 아니라 1965년에 발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인장까지 찍혀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와이너는 분명 자신의 팀에 그러한 소품들을 실제처럼 보이도록 잘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각본을 집필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신이 당시의 시대상을 서술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가 신경 쓰는 한가지는 드라마가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배우들에게 가능한 천천히 대사를 말하도록 주문한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받는 것이 빨라질수록 그 대화는 작위적으로 보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와이너는 그래서 대화를 주고 받는 연기 도중 배우들이 기침을 하거나 상대역이 이해가 안 되는 말을 할 경우 “뭐라고?” 라고 되묻는 것을 좋아한다. 와이너와 대조적으로 원래 매드맨의 파일럿을 감독한 사람은 이 드라마가 실제 1950년대의 드라마처럼 보이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심지어 파일럿을 흑백으로 제작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배우들이 대사를 말하는 속도 또한 좀 더 빠르기를 원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와이너는 이를 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빠르게 말할 경우 필연적으로 정보의 반복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심지어 배우들이 대화 장면을 찍을 때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도 원치 않았다. 왜냐하면 실생활에서 우리가 대화를 할 때 서로의 이름을 그렇게 자주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학술 연구[편집] 1.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 매드멘: 성, 인종, 민족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적 계층  O'Barr, William M.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Advertising & Society Review 11.4 (2011): n. pag. Web. 05 May 2015. 이 글은 드라마 ‘매드맨’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성, 인종, 민족, 사회 계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사회 계층부분에서 글쓴이는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속한 계층이 매우 한정적인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제한은 상품을 소비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품을 구매할 능력과 의향을 갖춘 사람들만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제한은 드라마에서 상류계층이 어떠한 삶을 사는지는 잘 보여주는 반면 하위계층은 자연스럽게 배척되고 주변인물이 되는 편향된 묘사의 원인이 된다. 이때 하위계층이라 함은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계층을 의미하며 청소부, 웨이터, 엘리베이터 승무원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직업들이지만 항상 주변인물로서 존재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하위계층이 대부분 흑인이라는 점이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하위계층 직업군은 대부분 흑인이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흑인의 사회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매우 낮았음을 보여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60년대 당시에 인종 차별은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 시즌1 에피소드 1에서 돈 드레이퍼가 술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 흑인 웨이터에게 어떤 담배를 피우는지 물어보는 장면을 주목해보자. 돈 드레이퍼가 질문을 한 의도는 본인이 현재 의뢰 받은 담배 회사 ‘럭키 스트라이크’ 를 어떻게 홍보할지에 대한 아이디를 얻고자 함이었다. 흑인 웨이터가 본인은 ‘올드 골드’ 를 피며 그 이유를 설명하여 대화가 길어지자 백인 매니저 (로 추측되는) 사람이 등장하여 돈 드레이퍼에게 흑인 웨이터가 방해 되지는 않는지 물어본다. 이 장면은 흑인이 백인에게 말을 하는 행위가 ‘방해’로 간주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며 ‘기업가’ 입장에선 흑인 또한 소비자이기에 그들의 의견도 반영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지만, 그들과 인간대 인간으로서의 상호 소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그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지는 않는 사회적 분위기 또한 반영한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유태인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태인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부유하기 때문에 광고회사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들이지만 사회적 편견 때문에 여러 문화적 문제점이 생긴다. 시즌1 초반에 레이첼 멘켄이 백화점 홍보를 의뢰하러 돈 드레이퍼를 만났을 때 유태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에 따른 문화적 충돌을 가장 잘 보여준다. 레이첼은 본인이 운영하는 백화점이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삼기 원하지만 돈 드레이퍼와 피트 캠벨은 유대인이 운영한다는 사실 때문에 상류층 보다 하류층을 대상으로 홍보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팅이 결렬되자 피트 캠벨이 돈 드레이퍼에게 돈이 많다고 교육을 잘 받은 것은 아니라는 말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다. 이와 같이 매드멘을 ‘사회적 계층’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당시 미국 사회상(상류 계층의 사상과 삶의 양식, 인종차별, 계층 차별)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드라마 자체의 이해도를 높이고 60년대 미국 사회를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은 위와 같은 접근방식이 매우 필요할 것이다. 2. Historical Accuracy of Mad Men, ‘매드멘’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실의 정확도  "Period Dramas and Historical Accuracy; "Mad Men"" Doing History in Public. Ed. Florence Largillière. N.p., n.d. Web. 5 May 2015. <http://doinghistoryinpublic.org/2014/05/23/period-dramas-and-historical-accuracy-mad-men/>. 3. 등장인물을 살펴보며 알아보는 당시 역사적 배경  Doll, Jen. "Reviewing the 'Mad Men' World by Someone Who Was There." THE WIRE. N.p., 9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www.thewire.com/entertainment/2012/04/reviewing-mad-men-world-someone-who-was-there/50851/>. 4. Seeing History in Mad Men,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요소와 사실들  "Seeing History in ‘Mad Me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15 July 2010. Web. 05 May 2015.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0/07/16/arts/television/20100718-madmen-timeline.html?ref=multimedia&_r=3&>. 5. Selling nostalgia : Mad Men, Postmodernism and Neoliberalism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향수; 매드맨,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신자유주의 Tudor, Deborah. "OpenSIUC." OpenSIUC. N.p.,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opensiuc.lib.siu.edu/gmrc_nm/4/>. 6.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부성애, 실패와 자수성가;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남성성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Critical Quarterly 54.3 (2012): 31-45. Academic Search Premier. Web. 5 May 2015. 작품 속 광고[편집] 매드맨에서 1960년대와 방송이 방영됐던 시기에 있었던 상품들을 광고주 클라이언트 등으로 등장했다. 그 중 러키 스트라이크, 베들레헴 스틸, 폭스바겐, 캐딜락, 플레이텍스, 스팸, 어츠 감자칩, 메이든폼, 질레트, 아메리칸 항공과 클리어라실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은 대부분 또는 모든 상품이나 브랜드가 피피엘(ppl 작품 속 광고)이라고 추측했지만 사실 대부분의 상품들은 오로지 현실성을 위해 포함된 것이었고 피피엘 거래는 없었다.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인터뷰에서 “[피피엘은] 아주 조금밖에 없고 네트워크에서 장사를 더하기 위해 전파한 소문입니다. 항상 실패해요… 4 시즌 동안 4개[의 피피엘이] 있었고 이 드라마에 약 100개의 상품들이 나왔어요. 반은 만들어낸 상품들이고 아무도 출연하기 위해 돈을 주지 않아요.”라고 했다. 와이너에 의하면 피피엘을 한 회사들은 잭 다니엘, 하이네켄, 유니레버와 힐튼이 있었고, 힐튼의 경우는 이미 방송이 나간 후에 감사의 표시로 지불한 것이라고 했다. 하이네켄은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구하려는 클라이언트로 출연을 한다. 또한 광고를 하나만 선보였던 시즌2의 마지막 에피소드 미국 프리미어에서 유일한 광고주이기도 했다. 2007년 6월 20일, Commercial Alert(상업 경보)라는 소비자 권리 운동권 단체는 미국증류주협회에 항의를 했다. 이유는 방송에서 명시적으로 성적인 행동의 묘사와 무책임한 술 중독의 장면을 보여줌으로 매드맨의 스폰서인 잭 다니엘에서 주류 광고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잭다니엘은 5 회에서 이름으로 언급되었다. 시즌4에서 6개의 복고풍 광고들을 만들었고 미국에서 드라마 광고시간에 방송되었다. 광고들의 배경은 가상의 광고 에이전시인 스미스 윈터 미첼 광고회사이고 매드맨과 같은 시기로 설정되어 있다. 광고들에서 사용된 제품들은 도브, 브라이어스, 헬만스, 클론다이크, 스와브와 바세린이다. 와이너는 드라마의 예산을 늘려주거나 광고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면 피피엘을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드맨의 경우에 피피엘은 문제가 많은 경험이라고 느꼈다. 하이네켄의 경우에는 하이네켄의 법무부에서 무책임한 주류섭취를 보여주는 모습을 허락할 수 없다고 하였고, 그의 의지와 달리 매드맨의 세트장에서 촬영됐었던 유니레버의 광고들에게 혐오감을 느꼈다고 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와이너는 2012년에 매드맨에서 다시는 피피엘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각주[편집] ↑ http://blog.naver.com/episode_min/60156896403 외부 링크[편집] 매드맨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매드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매드맨 - TV.com (영어) 매드맨 - TV 가이드 vdeh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 (1970년~)1970-1999 《마커스 웰비, M.D.》 (1970) 《더 볼드 원스: 더 세네이터》 (1971) 《엘리자베스 R》 (1972) 《월튼네 사람들》 (1973) 《위층, 아래층》 (1974) 《위층, 아래층》 (1975) 《폴리스 스토리》 (1976) 《위층, 아래층》 (1977) 《더 락포드 파일스》 (1978) 《루 그랜트》 (1979) 《루 그랜트》 (1980)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2)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3)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4) 《캐그니와 레이시》 (1985) 《캐그니와 레이시》 (1986) 《L.A. 로》 (1987) 《서스티섬씽》 (1988) 《L.A. 로》 (1989) 《L.A. 로》 (1990) 《L.A. 로》 (1991) 《알래스카의 빛》 (1992) 《피켓 펜스》 (1993) 《피켓 펜스》 (1994) 《뉴욕경찰 24시》 (1995) 《ER》 (1996) 《로앤오더》 (1997) 《더 프랙티스》 (1998) 《더 프랙티스》 (1999) 2000-현재 《웨스트 윙》 (2000) 《웨스트 윙》 (2001) 《웨스트 윙》 (2002) 《웨스트 윙》 (2003) 《소프라노스》 (2004) 《로스트》 (2005) 《24》 (2006) 《소프라노스》 (2007) 《매드맨》 (2008) 《매드맨》 (2009) 《매드맨》 (2010) 《매드맨》 (2011) 《홈랜드》 (2012) 《브레이킹 배드》 (2013) 《브레이킹 배드》 (2014) 《왕좌의 게임》 (2015) 《왕좌의 게임》 (2016) 《핸드메이즈 테일》 (2017) 《왕좌의 게임》 (2018) vdeh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자1980년대 데뷔 더 무비 마스터스 1990년대 데뷔 더 로트 리멤버 WENN 2000년대 데뷔 브레이킹 배드 브로큰 트레일 DVD TV 매드맨 무비스 댓 슈크 더 월드 더 프리즈너 슛아웃 2010년대 데뷔 4th and Loud 피드 더 비스트 (2016) 프레익쇼 게임 오브 암즈 헬 온 휠즈 킬링 로 윈터 썬 오너스 매뉴얼 피치 루비콘 스몰 타운 시큐리티 토킹 배드 더 나이트 매니저 턴: 워싱턴스 스파이스 아메리칸 웨스트 (2016) 홀트 앤 캐치 파이어 (2014-2017) 코믹 북 맨 (2012-2018) 현재 방송 중 베터 콜 사울 (2015-) 피어 더 워킹 데드 (2015-) 기킹 아웃 (2016-) 휴먼스 (2015-) 인투 더 배드랜드스 (2015-) 프리처 (2016-) 토킹 데드 (2011-) 토킹 사울 (2016-) 워킹 데드 (2010-) 썬 (2017) 테러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드맨&oldid=24191604" 분류: 프라임타임 에미상 틀2007년 드라마200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뉴욕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직장 연애를 다룬 작품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미국 배우 조합상 드라마 시리즈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작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매드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매드 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매드맨 Mad Men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AMC 방송 기간 2007년 7월 19일 ~ 2015년 5월 17일 방송 시간 47분 방송 시즌 7 방송 횟수 22 출연자 존 햄엘리자베스 모스빈센트 카트하이저재뉴어리 존스크리스티나 헨드릭스재러드 해리스브라이언 뱃마이클 글래디스에런 스테이턴리치 서머매기 시프키어넌 십카제시카 파레케빈 람크리스토퍼 스탠리제이 R. 퍼거슨벤 펠드먼메이슨 베일 코튼로버트 모스존 슬래터리 여는 곡 R2D2, 'A Beautiful Mind' 외부 링크  [www.amctv.com/shows/mad-men ] 《매드맨》(Mad Men)은 감독 매슈 와이너가 만든 미국 시대 드라마 시리즈이다. 영화 제작 및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2007년 7월 19일 케이블 채널 AMC 네트워크에서 첫 방영했다. 92개 에피소드를 포함한 7개 시즌 후 2015년 5월 17일 종영됐다. 매드맨의 시대 배경은 1960년대이며 공간 배경은 뉴욕 시 매디슨 거리에 위치한 가상의 광고회사인 ‘스털링 쿠퍼’이다. 나중에 이 회사의 이름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 로 바뀌며 다시 ‘스털링 쿠퍼 & 파트너’로 바뀐다. 드라마 파일럿 에피소드 (정식 에피소드가 아니라 드라마와 관련된 정보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다루는 에피소드)에 따르면, '매드맨'은 1950년대에 매디슨 거리에서 광고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자칭하는 용어로, 그들 스스로 만들었으며 이 주장은 그때부터 논란이었다. 드라마의 중심은 돈 드레이퍼다. 그는 드라마 초기에 스털링 쿠퍼에서 재능 있는 크리에티브 디렉터로 등장하며 나중에 ‘스털링 쿠퍼 드레이프 프라이스’ 회사의 설립 멤버가 된다. 드라마가 진행되며 돈 드레이퍼가 개인적, 사업상의 인물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 것을 볼 수 있다. 드라마의 구성은 회사와 관련한 사업 이야기도 많이 포함하지만 등장인물들의 사생활도 많이 다루며, 주로 인물들의 감정 변화와 1960년대에 만연했던 사회적 풍습이 주 내용이다. 드라마가 시작된 이후부터 매드맨은 대본, 연기, 역사적 진실성에 관련해 격찬을 받았으며, 에미상 15개와 골든 글로브상 4개를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했다. 이 드라마는 베이직 케이블 드라마로서 처음으로 ‘뛰어난 드라마 시리즈’ 부분에서 에미상을 수상했으며, 시즌 1~4 에서 이 상을 수상했다. 매드맨은 역사상 최고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널리 평가 받는다. 목차 1 구상 1.1 영향 1.2 사전제작 1.3 촬영과 제작 계획 1.4 예산 1.5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 1.6 촬영진 및 제작진 2 등장 인물 2.1 주요 등장 인물 2.2 조연 등장 인물 3 에피소드 개요 3.1 1. Smoke Gets in your Eyes 3.2 2. Ladies Room 3.3 3. Marriage of Figaro 3.4 4. New Amsterdam 3.5 5. 5G 3.6 6. Babylon 3.7 7. Red in the Face 3.8 8. The Hobo Code 3.9 9. Shoot 3.10 10. Long Weekend 3.11 11. Indian Summer 3.12 12. Nixon Vs. Kennedy 3.13 13. The Wheel 4 에피소드 정보 4.1 시즌 1 에피소드 정보 4.2 시즌 2 4.3 시즌 3 4.4 시즌 4 4.5 시즌 5 4.6 시즌 6 4.7 시즌 7 5 주제와 상징 5.1 정체성과 과거회상 5.2 불륜과 성차별주의 5.3 세대 차이 5.4 소비 사회 5.5 알코올 의존증 5.6 반문화 5.7 인종차별주의 5.8 흡연 5.9 추락하는 남자 5.10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 5.11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 5.12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 5.13 아인 랜드 6 반응 및 평가 6.1 평점 6.2 평론 6.3 시대적 진정성 6.4 결과와 영향 6.5 수상경력 7 음악 8 매슈 와이너 인터뷰 9 학술 연구 10 작품 속 광고 11 각주 12 외부 링크 구상[편집] 2000년 당시 TV쇼 베커에서 전속 작가로 일하던 매슈 와이너는 《매드맨》 대본의 초안을 작성한다. 2002년 TV 프로듀서 데이비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읽은 뒤 HBO의 《소프라노스》의 작가로 고용한다. 당시 채즈는 와이너의 대본을 보고 "정말 생생하고 아주 새로운 이야기"라며 "1960년대 광고업계에 대한 이 이야기를 통해 당대 이후의 미국사를 조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와이너와 그의 인더스트리 엔터테인먼트, ICM의 대리인은 그 초고를 HBO와 쇼타임에 판매하려고 했으나 양쪽 모두 거절했다. 적당한 바이어를 찾지 못하자 와이너와 그의 대리인은 시나리오를 판매하기 위한 노력을 한동안 중단한다. 몇년 후 와이너의 팀에 아이라 리즈라는 유능한 매니저가 등장한다. 그녀는 AMC 개발부서 부사장인 크리스티나 웨인에게 《매드맨》을 살 것을 강력히 권유한다. 마침 《소프라노스》의 마지막 시즌이 끝나고 있었고 AMC는 새 시리즈 기획을 위해 시나리오 시장을 뒤지기 시작하던 상황이었다. "AMC는 자신들이 만드는 첫 번째 TV 시리즈를 특별하게 만들고 싶어했어요. 또 우리는 그 정도 시나리오면 정형화된 대중적 취향을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AMC의 사장 에드 캐럴의 말이다. 영향[편집] 와이너는 영화 감독 앨프리드 히치콕과 그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를 시리즈의 시각적 방면에 있어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표현한다. 또 다른 영향으로써는 그는 왕가위 감독의 음향, 미장센과 편집을 꼽았다. 한 인터뷰에서는, 와이너는 1950년대를 그린 1970년대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매쉬'와 '해피 데이즈'가 '문화적 시금석'이고 누구나 '과거에 대한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상기시켜준다고 더해 말했다. 또한, 그는 《매드맨》이 《소프라노스》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좀더 세련된, 드라마틱한 버전의 《웨스트윙》이 되었을것이라 예상하였다. 사전제작[편집] 본 드라마의 1,2시즌 중 여섯 개의 에피소드를 연출했던 팀 헌터는 매드맨을 “굉장히 잘 운영된 드라마” 라고 평가하였다. 그는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들은 드라마의 제작에 착수하기에 앞서 아주 여러 번의 제작 회의를 갖는다. 대본이 나오면 우선 그 날 모두 모여 처음으로 대본을 쭉 읽는다. 그리고 매슈가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그리고 나서 며칠 후면 매슈가 해당 에피소드의 줄거리나 분위기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제작진이 참여하는 제작 회의에서 매슈가 다시 한번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촬영과 제작 계획[편집] 본편 시리즈를 방영하기 전 시범적으로 방송하는 에피소드인 파일럿 에피소드로, 사랑에 눈이 멀다 (Smoke Gets In Your Eyes)는 실버컵 스튜디오와 뉴욕 주변에서 촬영되었고, 후속 에피소드들은 로스앤젤레스 센트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본 시리즈는 여러 케이블 채널과 연계된 회사들을 통한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 또는 미국 케이블 및 위성 TV 채널인 AMC(American Movie Classics)를 통해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다. 와이너를 포함한 작가들은 본 시리즈의 배경이 되었던 동시대 최고의 면목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 량을 축적했는데, 구체적인 세트 구성, 의상, 그리고 역사적인 소품들을 배경으로 진짜와 똑같은 시각적 스타일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파일럿 에피소드의 예산은 삼백만 달러 이상이었지만, 후속 에피소드들의 예산은 각 이백만 달러에서 이백오십만 달러 정도였다. 흡연 장면에서 와이너는 "담배가 없었으면 이 드라마는 장난 같았을 거야. 보기에는 깨끗 했겠지, 하지만 거짓으로 보였을 거야."라고 언급했다. 로버트 모스는 버트램 쿠퍼의 사장 배역으로 1967년에 두 편의 비도덕적인 사업가 역할의 영화 주연을 맡았다. 첫 번째로 와이너 작가의 영감의 원천이었던 "유부남을 위한 가이드"(1967)와 1961년 브로드웨이 연극에서 자신이 맡았던 역할을 재연한 같은 제목의 "노력 없이 성공하는 법"(1967)이다. 와이너는 카메라감독 필 에이브러햄, 파일럿 에피소드만 함께 했던 미술감독 로버트 쇼, 그리고 댄 비숍과 "영화관 보다는 텔레비전에 더 영감을 받았던" 시각적 스타일을 현상하는 데에 협동했다. 《소프라노스》의 베테랑 감독 앨런 테일러는 파일럿 에피소드와 후속 시리즈에서 어조가 어색하지 않게 감독까지 도와주었다. 돈 드레이퍼의 신비스러운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테일러는 돈 뒤에서 촬영하거나 부분적으로 가리는 형식으로 촬영하였다. 스탈링 쿠퍼에 설정되었던 세트 중 여러 장면들은 좋은 구도를 위해 천장을 포함하였고, 눈 높이보다 낮은 각도에 촬영되었는데, 이것은 사진술, 그래픽 디자인, 그리고 당시의 건축 양식을 반영된 것이다. 앨런은 동영상 촬영 시 촬영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테디캠이나 헨드헬드 카메라가 "당시의 영상문법과 미적인 특징들이 전형적인 접근법과 딱 맞아 떨어지지 못하며" 따라서, 세트는 현실적인 인형 놀이 감으로 제작되었다. 예산[편집] 2011년 밀러 타바크와 바런 출판사에서 출판된 회사 예측에 따르면, 주식회사 라이언 게이트는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 각 에피소드당 약 271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받았는데, 이는 각각 에피소드 제작비용인 284만 달러보다 약간 적은 수치다. 2011년 3월, 시리즈 제작자와 네트워크 제작자 간의 협상 끝에, 미국 영화 방송사에서는 2012년 3월 25일 매드맨 시즌 5를 개봉했다. 소문에 의하면 매드맨 제작을 총괄하는 와이너는 3천만 달러 계약을 채결했고, 3개의 시즌을 더 유치시킬 예정이라고 했다. 몇 주 뒤 공개된 재뉴어리 존스와 함께한 마리 클레어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재정적인 성공의 한계를 언급했지만, 배우들은 "우리는 이 드라마를 통해서 그다지 많이 돈을 받지 않았고 그건 서류에도 명시되어 있었어요. 그래도 우리가 TV에 출현하면 우리는 매주 꾸준하게 급료를 받잖아요. 그게 좋은 거죠." 밀러타바크의 분석가 데이비드 조이스는 매드맨의 7년동안의 방영동안 가정 비디오와 아이튠스를 통한 수익이 1억 달러에 달하고, 국제 신디케이션 판매에서는 에피소드당 추가적으로 약 7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했다. 이 통계는 2011년 4월 발표된 넥플리스 스트리밍 비디오 수익인 710만에서 1000만 달러 정도의 수익을 제외한 수치이다. 오프닝과 에피소드 크레디트[편집] 첫 장면에서 드레이퍼의 등장과 동시에 사무실이 무너지는 장면은 직장 생활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다른 내면의 고통을 반영한다. 사무실 안의 모든 것들이 무너지는 것을 드레이퍼가 그 자리에서 지켜보는 것은 어쩌면 그가 이러한 절박한 상황들을 어느정도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그것을 바꿀 만한 힘이 없어 무기력감을 느끼는 것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 장면으로, 검은 실루엣의 드레이퍼는 빌딩에서 떨어지는데 그 배경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이미지 - 빨간 드레스, 검정 스타킹 - 는 주인공의 잦은 외도, 당시에 만연해 있던 사내 여성 편력 등을 암시한다. 또한 이후 등장하는 위스키, 반지, 가족 그림의 이미지들은 앞의 여성들의 이미지와 함께 드레이퍼의 문란한 생활(여자, 술)과 화목한 가정에 대한 의무감(반지, 가족 그림) 둘 사이에서의 갈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건물에서 떨어지는 행동 그 자체도 주목할 만한데, 당시의 성공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드레이퍼는 모두 쟁취하지만, 이것들을 얻고 탐닉하면 할 수록 점점 타락해가는 모습을 건물에서 떨어지는 모습으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장면으로, 떨어지면서 결국 죽었을 것만 같은 드레이퍼가 언제 그랬다는 듯 멀쩡하게 벤치에 앉아서 담배를 오른손에 끼고 있다. 앞의 두 장면에서 모든 것들이 무너지고, 본인도 엄청난 갈등을 겪고 있지만 그는 항상 겉으로는 아무 일이 없는 완벽에 가까운 모습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인정받는다. 특히 오프닝 제작에 참여했던 스태프들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빌딩에서 떨어지는 장면은 자칫 9.11 테러에서 낙사했던 사람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서, 디자인을 의도적으로 다소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으로 했고, 본래에는 없던 마지막 장면 - 소파에서 담배를 피우는 장면 -을 추가했다고 한다. 오프닝은 RJD2의 “A Beautiful Mine”과 함께 흑백의 남자가 시대적인 광고 포스터, 광고표지판이 비춰지는 높은 빌딩들 사이로 떨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Imaginary Forces가 제작한 이 타이틀은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의 빌딩으로 가득 채워진 오프닝 타이틀과 떨어지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 그려진 영화 《현기증》의 포스터를 만든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Saul Bass)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 있다. 와이너는 시각적 측면에서 히치콕 감독의 작품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드러낸다. 또한, 데이비드 칼보나라는 매드맨의 원래 악보를 작곡했고, 이는 2009년 smash cut1월 13일에 공개되었다. TV Guide 2010년 판에서 매드맨의 오프닝 타이틀은 선택된 독자들에 의해 인상적인 오프닝 타이틀 10선 중 9위를 차지했다. 거의 대부분의 에피소드에 끝에서는 그 시대적의 음악 혹은 데이비드 칼보나라가 작곡한 곡이 연주되면서 검은 화면으로 페이드 아웃 혹은 스매시컷이 되어 끝이 난다. 적어도 하나의 에피소드 정도는 오히려 정적 혹은 잔잔한 음악과 함께 끝이 난다. 몇몇 에피소드들은 더 최근의 곡이나 스토리와 연개된 곡이 엔딩 크레딧과 맞물리며 끝이 나기도 한다. 비틀즈는 “Tomorrow Never Knows”를 시즌5의 에피소드 “Lady Lazarus”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같은 트랙은 클로징 크레딧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비틀즈가 텔레비전 시리즈에 음악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매드맨에 이를 허락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라이언스게이트는 곡 사용에 대해 $250,000를 지불했다. 밥 딜런의 "Don't Think Twice It's All Right”가 시즌1의 마지막을 장식하기도 했다. 촬영진 및 제작진[편집] 와이너는 쇼 진행자와 메인 작가겸 제작 책임자다. 그는 대본 작성과 공동작성, 역할 캐스팅, 의상과 세트 구성과 같은 부분으로 매 에피소드에 참여한다. 와이너는 시리즈의 모든 부분에 까다롭고 제작 디테일에 관한 기밀유지를 중요시 여기는 걸로 악명 높다. 첫 번째 시즌의 작가진은 와이너뿐만 아니라 두 에피소 드를 쓴 공동 제작책임자인 톰 팔메와 두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 리사 앨버트, 세 에피소드를 쓴 프로듀서와 작가팀인 안드레와 마리아 재퀴매튼, 두 에피소드를 쓴 보조작가 로빈 베이트 각각 두 에피소드를 쓴 프리랜서 작가 브리짓 베다드와 크리스 프로벤자노로 구성되어있다. 다른 제작자로는 공동제작의 블레이크 매코믹, 프로듀서 토드 런던, 공동 제작 책임자 스콧 호른바허가 있다. 첫 번째 시즌의 초기 감독은 네 에피소드를 지휘한 팀 헌터와 파일럿 에피소드를 포함한 세 에피소드를 지휘한 앨런 테일러다.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에드 비앙키, 레슬리 링카 글래터, 앤드루 번스타인 감독과 촬영기사 필 에이브러햄, 폴 피그, 그리고 각시리즈 피날레를 감독한 크리에이터 와이너가 지휘했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등장 인물[편집] 돈 드레이퍼 페기 올슨 피터 캠벨 베티 드레이퍼 로저 스털링 조앤 홀러웨이 살바토레 로마노 폴 킨지 존 햄 - 돈 드레이퍼(Don Draper) 매드맨의 주인공으로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주니어 파트너다. 시즌6부터는 스털링 쿠퍼 앤 파트너스의 파트너가 된다. 돈은 빼어난 외모의 소유자이며 직업적인 성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물이다. 업계에 들어온 이래 꾸준히 성과를 내 회사 안팎에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과거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돈 드레이퍼는 광고 모델이었던 엘리자베스 베티 드레이퍼와 결혼해 슬하에 세 명의 아이들이 있다. 그러나 돈이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외도해왔다는 사실을 베티에게 알리면서 시즌 3 후반, 드레이퍼 부부는 이혼하게 된다. 돈 드레이퍼의 과거가 잘 알려져있지 않은 이유는 돈이 타인의 신분으로 위장했기 때문이다. 드레이퍼의 본명은 리처드 딕 휘트먼이다. 진짜 돈 드레이퍼는 한국전쟁 당시 딕 휘트먼과 함께 전장에 있었던 공병 중위로 딕 휘트먼의 상관이었다. 둘은 야전 병원을 짓던 중에 포격을 받았고 돈 드레이퍼 중위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사망했다. 딕 휘트먼은 경미한 부상만 입고 살아나게 되는데 이 때 딕은 돈의 인식표(개목걸이)와 자신의 인식표를 바꿔 신분을 바꿔치기 한다. 구조된 이후 전역한 딕은 돈 드레이퍼의 이름으로 살면서 가난하고 암울했던 자신의 삶을 벗어나 뉴욕에서 새로운 신분으로 새출발을 한다. 엘리자베스 모스 - 페기 올슨(Peggy Olson) 빈센트 카세이저 - 피트 캠벨(Pete Campbell) 피트 캠벨은 유서 깊고 영향력 있는 뉴욕 가문 출신의 젊고 야심찬 회계부서 간부이다. 그는 1시즌 초반부에 결혼을 하고 유부남이 되지만 결혼 후에도 돈의 비서인 페기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한다. 그는 행복한 결혼 생활을 꿈꿨지만 결혼 초기부터 부인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비록 회계 부서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돈이 부서장으로 있는 광고 기획 부서의 일에도 적극적으로 관심을 나타내며 자신의 재능이 인정 받기를 기대한다. 승진과 출세에 대한 욕심은 매우 크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간혹 잘못된 판단으로 결정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돈과 로저로부터 무시 당하기도 한다. 그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명망있는 가문 출신이지만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헀다는 점 때문에 일종의 자격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핍은 그로 하여금 능력 있고 권위 있는 남성상에 대한 동경을 갖게 하였고, 그러한 남성상과 정확히 일치하는 돈에 대해 피트는 동경과 질투를 동시에 느낀다. 재뉴어리 존스 - 베티 드레이퍼(Betty Draper) 돈 드레이퍼의 예전 아내이고 샐리, 바비, 유진 스캇 세 명의 아이들의 엄마이다. 펜실베니아의 필라델피아 엘킨스 파크의 교외에서 성장했고, Bryn Mawr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녀는 맨하탄에서 모델 시절 돈을 만났고 이후 그와 결혼했다. 시리즈 초반부에는, 그들은 7년동안 결혼했었고 뉴욕 Qssining에 살았다. 처음 두개의 시즌을 거쳐서, 베티는 점차 그녀의 남편의 외도에 대한 걱정이 심해지게 된다. 몇번의 별거 끝에, 베티는 그녀가 셋째를 임신했다는 걸 알았을 대 돈이 다시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했지만, 첫 째는 그녀의 원나잇 스탠드로 인해 낳은 것이었다. 그녀는 1963년 12월, 돈과 이혼하기 위하여 시즌3 엔딩에서 레노로 떠난다. 1964년 11월, 시즌 4 시작쯔음에 그녀는 돈과 이혼하고 헨리 프란시스와 결혼한다. 그녀와 아이들과 새 남편은 Rye로 이주한다. 그녀와 아이들의 관계는 종종 껄끄러운데, 특히 셀리와 그것이 심하다. 존 슬래터리 - 로저 스털링(Roger Sterling) 로저 스털링은 시즌 1에선 가끔 출연하다 시즌 2부터 정기적으로 출연한다. 그는 스털링 쿠퍼 회사의 두 사장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버지가 버트람 쿠퍼와 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에 ‘스털링 쿠퍼’라는 이름에서 스털링이 쿠퍼보다 먼저 온다. 로저 쿠퍼의 사무실에는 로저가 어릴 적 젊은 버트람 쿠퍼와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즌 2에서 버트람 쿠퍼는 “고인이 된 쿠퍼 부인”이 로저 스털링에게 아내 모나를 소개시켜줬다고 언급한다. 이 때 스털링은 돈 드레이퍼의 전 비서 스무 살 제인과 결혼하려고 현 부인과 이혼 절차를 밟는 중이다. 스털링은 제 2차 세계 대전 해군 베테랑이다. 그는 두 개의 심장마비로 삶에 대한 관점이 바뀌기 전까지 악명 높은 바람둥이였다. 그러나 스털링의 알코올 의존증과 흡연 중독은 그대로다. 제인과 결혼하기 전 로저는 꽤 오랫동안 조앤 할로웨이와 불륜관계였다. 시즌 4에서 둘은 다시 한 번 로맨틱한 만남을 갖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앤이 임신을 한다. 시즌 3에선 돈이 1950년대 중반, 광고업에 관심 많은 모피 회사 판매원이었을 때 로저를 만나 고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진다. 시즌 4에서 SCDP에서 근무하는 로저는 스털링 쿠퍼에서 일했던 것보다 회사의 하루하루 일과와 덜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가 맡은 유일한 일은 SCDP 청구서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Lucky Strike 거래를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Chinese Wall” 에피소드에서 Lucky Strike가 거래를 경쟁회사로 옮기며 SCDP는 강제로 감축에 들어간다. 이에 불구하고 시즌 5에서 로저는 새로운 거래를 맡게 되며, 이번에는 열심히 해 시보레 자동차 회사와 큰 거래를 체결한다. 이후 조안이 낳은 자신의 아들을 경제적으로 지지해주고 싶어한다. 조앤은 처음 반대하지만 결국 시즌 6 마지막에 그가 아들의 삶의 일부가 되는 것을 허락한다. 크리스티나 헨드릭스 - 조앤 할로웨이(Joan Holloway) 스털링 쿠퍼에서 총무비서를 담당하며 시즌1에서 로저 스털링이 두 차례의 심장발작 후 관계를 끝낼 때까지 불륜 관계가 지속되었다. 시즌 2에서 그녀는 박사 그레그 해리스 (새뮤얼 페이지)와 약혼을하고 시즌 3에는 결혼에 골인하며 그렉 박사의 요청으로 조앤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그만두게 된다. 그렉 박사의 외과의사로서의 부족한 기술로 인해 노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조앤을 백화점에 복직시키는 것과 스털링 쿠퍼에 연락해서 그녀의 일자리를 부탁해달라고 설득하면서 이들의 결혼 생활은 시험대에 오른다. 조앤의 귀중한 조직과 경영 기술 덕분에 그녀는 나중에 돈, 로저, 버트, 레인이 설립한 새로운 회사에 고용된다. 한편, 그렉의 욕망읜 의사로써 그의 경력을 쌓기 위해 그가 육군에서 수수료를 받으며, 시즌 4 초반에는 기본적인 훈련 후 베트남에 보내진다. 그녀의 남편이 배치될 때, 조앤과 로저는 한번의 관계 후 조앤은 임신을 하게 된다. 조앤은 처음에 유산하기로 결정했지만, 시즌 5 초반 전에 그렉이 아버지가 아닌 것을 비밀리에 출산 하기로 결정한다. 조앤은 잠재적 수입의 손실과 그녀의 희생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것에 몹시 분노한다. 시리즈가 끝날 때쯔음, 그녀는 매캔 임원들의 괴롭힘의 대상이 되고, 그녀의 제휴 지분을 인수하는데 동의한다. 그리고 조앤은 홀러웨이 해리스라는 제작 회사를 시작한다. 브라이언 뱃 - 살바토레 로마노(Salvatore Romano) 살바토레 로마노는 이탈리아계 미국인으로 스털링 쿠퍼의 아트디렉터이다. 그는 동성애자지만 이를 드러내기 꺼려하며 시즌 1에서는 다른 남자와의 섹슈얼한 관계를 피한다. 후에 1962년 살바토레는 그의 성적 정체성을 모르는 키티와 결혼하나 곧 그들의 관계에서 문제점을 느낀다. 살바토레는 켄 코스그로브에게 감정을 느낀다. 출장 중, 돈 드레이퍼는 살바토레의 비밀을 알게되고, 그를 안심시키기 위해 그것에 대해 묻거나 말하지 않는다. 대신에 돈 드레이퍼는 한 광고에 "당신의 표현을 제한하라."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며 살바토레에게 그것에 대해 간접적으로 언급한다. 그 후에 돈은 살바토레에게 파티오 콜라 광고를 맡기며 그의 커리어에 도움을 준다. 마이클 글래디스 - 폴 킨지(Paul Kinsey) 파이프를 즐겨 피우고 수염을 기르는 폴은 프린스턴 대학교 졸업생인 이자 창의적인 작가이고 진보적인 정치적 성향에 대해 자랑스러워한다. 시리즈가 시작되기 한참 전 그는 조안 할로웨이와 교제를 했었지만 폴이 둘의 사이에 대해 말을 너무 많이 하고 다녔다는 이유로 둘은 좋지 않게 헤어지게 되었다. 페기가 스털링 쿠퍼에서 일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폴은 그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지만 거절 당한다. 시즌2의 대부분에서 폴은 뉴저지 주의 사우스 오렌지에서 온 흑인인 쉴라 화이트와 교제를 하다가 남부지역에서 인종차별 반대운동(Freedom Ride)을 하기 위해 미시시피 주의 옥스포드에서 이별하게 된다. 폴 킨지에게는 저소득층 지역인 뉴저지 주의 몽클레어 남부에 산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지만 조안은 그의 위선적 태도에 대해 조롱을 한다. 그는 경쟁심이 강하기 때문에 대학 시절 친구들을 많이 사귀지 못 하기도 하였고 그보다 글을 더 잘 쓰는 페기와 마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돈이 새로운 애이전시를 위해 자신이 아닌 페기를 선택한 것에 대해 분노한다. 시즌3 마지막화 이후에는 등장을 하지 않다가 시즌5의 에피소드10에서 해리에게 자신을 크리슈나 의식의 제자라고 소개하며 나타난다. 폴은 해리에게 자신이 쓴 스타 트렉 대본을 확인해 달라고 하지만 해리는 잘 썼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폴의 여자친구가 폴의 인원 모집 능력 때문에 그를 조종하고 있다는 것을 해리는 나중에 깨닫게 되지만 폴에게 그의 꿈을 따르라고 격려한다. 해리는 폴에게 $500를 주며 최대한 빨리 로스앤젤레스로 가라고 말한다. 에런 스테이턴 - 켄 코스그로브(Ken Cosgrove) 켄 코스그로브는 극중 광고회사 스털링 쿠퍼 에이전시와 광고주 사이의 연락 및 기획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 중 한명으로 버몬트에서 태어났다. 또한 켄은 작가 지망생으로 그의 단편 소설은 잡지 저명한 The Atlantic에 실렸다. 이는 그의 직장동료들의 질투를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폴 킨지와 피트 캠밸은 켄에 대한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The Atlantic에 실린 그의 자서전에 따르면, 켄은 콜롬비아 대학을 졸업했으며 그의 아내는 킨시아이다. 그는 아트 디렉터 살바토레 로마노를 존경하고 있으며, 살바토레는 켄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지만 이를 드러내지 않는다. 리치 서머 - 해리 크레인(Harry Crane) 해리는 안경을 쓴, 스털링 쿠퍼社 텔레비전 부문의 미디어 바이어이자 팀장이다. 그의 아이비리그 출신 동료들과는 다르게 그는 위스컨신 대학을을 갔었다. 동료들이 술을 마시거나 여자들을 희롱할 때 함께 하기는 하지만 사실 해리는 헌신적인 가장이다. 물론 시즌 1에서 피트의 비서와 술에 취한 채 하룻밤 잠자리를 가진 적도 있긴 했다. 또한, 이로 인해 부인인 제니퍼와 잠시 떨어져 있기도 했다. 해리는 좋은 사람이긴 하지만 우둔한 선택을 하거나 문제에 직면하는 걸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성향은 시즌 3에서 살바토레 로마노가 해고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그 스스로 옳은 선택이라는 자각을 했지만 그는 결국 드레이퍼와 쿠퍼의 강압으로 Sterling Cooper Draper Pryce에 들어갔다. 스털링 쿠퍼가 매각 중에 있을 때, 해리는 미숙하게도 서부에 새로운 사무실을 열 것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이 그 자리를 차지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후에 지나치게 자신의 헐리우드와의 연결을 자랑하고 다니는 허풍쟁이가 돼버린다. 시른 5에서 그는 출장 중에 저지른 불륜을 말하면서 부인과의 신뢰를 깨뜨린다. 그리고 동료 폴의 하레 크리슈나교 여자친구인 Lakshmi에 쉽게 유혹당한다. 그는 점점 더 이미지에만 신경을 쓰고 옹졸한 사람이 되어 간다. 이러한 모습은 시즌 6에서 조안이 그를 꺾고 파트너가 되었을 때 조안에게 울분을 떠뜨림으로써 막을 내린다. 그러나 시즌 7에서 해리는 서부 지점에서 일하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이사를 간다. 그가 파트너로 승진하는 것이 논의되긴 하지만 이에 조안과 로저는 반대를 하고 있다. 매기 시프 - 레이첼 멘켄(Rachel Menken) 시즌 1에서 고정으로 출연하며 시즌 2와 7에선 특별 출연함. 유대인이자 유대인이 운영하고 유대인을 대상으로 하는 백화점의 사장이다. 시즌 1에서 백화점의 이미지를 개조해줄 광고 대행 회사를 찾다가 스털링 쿠퍼 회사를 방문하게 된다. 그녀는 처음엔 돈 드레이퍼 (돈 드레이퍼 또한 그녀의 저돌적이고 독립적인 이미지를 처음엔 달갑지 않아한다)에 대해 무심한 듯 하지만, 서로에게 위안이 되며 결국 바람을 피게 된다. 그들의 불륜 과정에서 밋지나 아내에겐 말 하지 않았던 얘기들을 해준다. 돈이 피트 캠벨에게 협박을 받았을 때, 그는 레이첼에게 같이 로스 앤젤러스로 도주하자고 제안한다. 그러자 레이첼은 돈에게 아빠로서의 책임을 다시 상기시키며 아버지 없이 자란 삶을 살고도 아이들을 버릴 수 있냐고 물어본다. 돈이 계속 주장을 굽히지 않자, 레이첼은 돈이 그녀와 함께 도주하고 싶었던 것이 아니라 그저 도피를 위한 도주였음을 깨닫는다. 역설적으로, 레이첼이 돈을 겁쟁이라고 얘기하고 똑바로 생각하라고 질책하자 돈은 오히려 피트 캠벨에게 맞서게 된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둘의 관계는 무너지고 쿠퍼는 돈에게 레이첼을 화나게 한 점에 대해 불평한다. 돈과 레이첼 사이의 불륜은 시즌1과 시즌2 사이에서 끝이 난다. 시즌 2에서 돈은 바비와 외식을 하던 중 레이첼과 마주치게 되고 틸덴 캣츠라는 남자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그녀의 결혼 소식을 듣고 순간 마음의 동요가 일어나는 듯 보인다. 나중에 그는 로저와 프레디와 술을 많이 마신 후 클럽 기도(술집 등에서 입구를 지키는 사람)에게 자신의 이름을 '틸덴 캣즈'라고 얘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모습은 돈 드래퍼의 심리 상태를 어느 정도 보여주는 듯 하다. 시즌 7에서 돈은 레이첼에게 아이 2명이 있었으며 백혈병으로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조연 등장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에피소드 개요[편집] 1. Smoke Gets in your Eyes[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 Ladies Roo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3. Marriage of Figaro[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New Amsterdam[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5G[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6. Babylon[편집] “Babylon”은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 매드맨 시즌 1의 6번째 에피소드이다. 각본은 안드레 작므톤과 마리아 작므톤에 의해 쓰였으며 감독은 앤드류 번스타인이 밭았다. 이 에피소드는 2007년 8월 23일에 방영 되었다. 드레이퍼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해 베티에게 아침을 차려준다. 아침을 가지고 계단을 오르던 중, 드레이퍼는 넘어지고 음식을 바닥에 쏟고 만다. 엎어짐과 동시에 드레이퍼는 그의 이복 동생을 처음 만나던 때를 회상한다. 다음 날,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그의 동료들은 이스라엘 관광청의 임원들과 회의를 하게 된다. 어떠한 전략을 써야할지 고민에 빠진 드레이퍼는 유대인인 레이첼 멘켄을 찾아가 점심을 먹으며 도움을 청한다. 레이첼은 만남을 공적으로 유지하려 하지만, 결국 전화로 그녀의 여동생에게 드레이퍼에게 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고백한다. 그러는 동안, 로저 스털링은 조안 할라웨이를 호텔방에서 만나는데, 여기서 그들이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해왔음이 밝혀진다. 로저는 조안을 완전히 소유하고 싶어하고 그녀 명의의 아파트를 사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한다. 조안은 지금의 자유로움이 편하며 로져가 결국엔 더 어린 여성을 위해 자신을 떠날 것임을 예단하며 제안을 거절한다. 벨 졸리 립스틱 캠페인 준비를 하던 프레디 럼슨은 스털링 쿠퍼의 비서들에게 새로운 립스틱 샘플들을 써보게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한다. 비서들이 제품을 테스트해보는 동안 쿠퍼 사의 남자 직원들은 반투명 유리를 통해 그들을 관찰한다. 대부분의 비서들이 샘플을 써보며 즐거워하지만, 페기 올슨은 그들을 지켜보기만 한다. 이벤트가 끝나고, 그녀는 프레디에게 “한 박스에 담긴 백가지 색깔들” 중 하나가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샘플 쓰레기가 모여 있는 쓰레기통을 “키스 바구니”라고 부른다. 이에 감명 받은 프레디는 페기의 의견을 다른 크리에이티브 팀에게 알린다. 팀은 페기에게 카피라이터의 직무를 맡긴다. 돈은 미지의 아파트에 들리지만, 미지의 친구 로이가 그들의 오붓한 시간을 방해한다. 세 사람은 “gaslight cafe”에 가서 미지의 친구 공연을 본다. 돈과 로이는 광고와 자본주의에 대해 논하다가 미지의 친구가 유대인에 대한 노래 “Babylonian captivity”를 부르자 일제히 침묵한다. 한 편, 로저는 조안에게 철장에 갇힌 새를 선물로 준다. 조안은 선물을 받고 매우 놀라워하나는데, 선물에는 그들에 관계에 대한 어떤 암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Babylonian captivity”가 계속 이어지면서, 조안과 로저는 호텔을 나서고 서로 낯선 사람인냥 각자 택시에 올라탄다. 문화적 레퍼런스 돈은 “The Best of Everything”이란 소설을 읽는다. 돈과 동료들은 소설 “ Exodus”를 읽는다. 살바토르는 립스틱 중 하나를 “Ethel Rosenberg Pink”라 칭한다. 7. Red in the Face[편집] 에이전시는 닉슨의 캠페인 임원들과의 미팅을 준비하고 있는 시기에 로저는 저녁을 먹고 술 한잔을 하기 위해 돈의 집을 방문하는데, 그 때 로저의 아내인 베티에게 치근대는 바람에 그들의 우정에 금이 간다. 피트는 결혼 선물을 총으로 교환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다. 헬렌은 베티에게 글렌을 봐줬던 날 밤에 대해 대면한다. 8. The Hobo Code[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9. Shoot[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0. Long Weekend[편집] 베티의 아빠 진은 근로자의 날을 맞아 베티를 방문한다. 베티의 엄마의 죽음 이후 만난 아빠의 새로운 연인 글로리아는 한눈에 베티의 눈 밖에 난다. 둘은 근로자의 날 연휴에 돈과 함께 여행을 떠나고 돈은 다음 날 합류하기로 한다. 스털링 쿠퍼에서 돈과 동료들이 닉슨 캠페인에 대해 논하고, 레이첼과 그녀의 아빠는 백화점 리모델링 계획을 짜기 위해 만난다. 로저는 조앤에게 함께 저녁을 보내자고 하지만 그녀는 그녀의 룸메이트와 밤 마실을 간다는 이유로 거절한다. 피트는 그의 주소 중 하나를 돈에게 알려주고, 스콜스 박사는 다른 회사로 떠난다. 여전히 동료애를 갖고 있는 로저는 돈이 고객을 잃은 것에 대해 마음 쓰지 않도록 도우려 한다. 그들은 광고 오디션에서 어린 쌍둥이를 만나고 그들을 위층에 초대한다. 돈이 집에 갈 생각만 하는 동안 지금은 비어있는 사무실에서 로저는 쌍둥이에게 치근댄다. 한편, 나갈 준비를 하는 동안 조앤의 룸메이트 캐롤은 예상치 못하게 조앤을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충격받은 조앤은 별다른 말 없이 나가자는 말 밖에 하지 못한다. 둘은 두 남자를 집에 데려오고, 상처받은 캐롤은 조앤이 아닌 다른 남자와의 섹스를 거부한다. 쌍둥이 중 하나와 사무실에서 섹스를 하려던 로저는 심장마비를 겪는다. 그는 살아남지만 입원한다. 돈은 모나와 마가렛이 눈물로 포옹을 하는 걸 병원 문밖에서 슬프게 쳐다본다. 돈든 베티에게 전화해 가족 휴가에 참가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베티는 로저의 상태에는 관심 없이 글로리아와 진의 관계에 대해 불평한다. 조안은 베트에게 로저의 상태에 대해 듣는다. 그들의 고객들에게 현재 상태에 대해 전보를 쓰려던 그녀는 눈물을 베트에게 들키고 베트는 젊음을 낭비하지 말라며 조언한다. 피트는 돈과 닉슨을 형편없이 보이게 하는 그럴싸한 존 케네디의 티비 광고를 보기 위해 제 시간에 병원에 도착한다. 레이첼에게 연락이 안 되는 돈은 레이첼네 문을 두드리고, 매우 지친 그를 본 그녀는 그를 들어오게한다. 돈은 레이첼에게 로저의 건강 상태의 불 확실성에 대해 말하고 둘은 사랑을 나눈다. 사정 후, 돈은 그의 삶의 부분적인 이야기를 그녀에게 고백한다. 그녀에게 고백한 그의 어린 시절은 이렇다. 그는 그를 낳다가 죽은 창녀의 아들이며 술취한 아버지와 학대하는 새 엄마와 자랐고 그의 아버지가 돈이 10살때 말에게 맞아 숨진 후, 돈은 그가 안쓰러운 사람들이라고 부르는 새 엄마와 그녀의 새로운 남편에 의해 양육되었다는 것이다. 11. Indian Summer[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2. Nixon Vs. Kennedy[편집] 에피소드의 배경은 1960년 대통령 선거 날이다. 바트와 돈이 퇴근한 뒤, 스털링 쿠퍼 회사의 직원들은 몰래 선거 파티를 연다. 치열한 선거에 파티 분위기는 점점 무르익고, 직원들은 과음을 하며 파티를 즐긴다. 피트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돈의 것인 아담의 신발상자를 본다. 그 신발상자 안에는 인식표, 편지와 사진이 들어있다. 한 사진은 젊은 돈과 아담이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이 찍혀있다. 피트는 사진을 뒤집어 ‘딕과 아잠, 1994’라고 쓰여저 있는 것을 확인한다. 한편 돈은 새로운 기획 팀장을 뽑아야 하는데, 피트는 이에 눈독들이고 있다. 그러나 돈은 피트를 후보로 여기지 않으며, 돈은 공공연하게 이미 후보들을 정해놓았다. 헐먼 필립은 그 후보들 중 하나이다. 피트는 돈의 신발상자에서 알아낸 정보를 이용해 기획 팀장 자리를 따내려 하며, 그렇게 하면 돈이 어쩔 수 없이 피트에게 그 자리를 내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돈의 비밀이 밝혀지려 하자, 돈은 패닉하고 레이첼 멘켄에게 함께 도주하자고 말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기는 운영해야 할 가게가 있고 돈에게는 가족이 있다며 거절한다. 그녀는 돈과의 다툼 끝에 돈이 자신과 떠나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누구와 떠나든 상관 없이 그냥 이곳을 떠나고 싶어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결국 돈은 피트에 협박에도 불구하고 쿠퍼에게 헐먼 필립을 뽑겠다고 말한다. 피트는 분노하며 쿠퍼에게 돈이 딕 위트먼이며, 탈영병이고 범죄자라는 사실을 밝힌다. 하지만 쿠퍼는 이 나라는 그보다 더한 사람들로 인해 만들어졌고 그들로 인해 운영된다며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13. The Wheel[편집] 베티는 친구의 남편을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자신의 결혼 생활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피트는 장인어른의 인맥으로 광고주를 구한다. 페기는 신입 카피라이터로 승진되지만, 본인도 몰랐던 임신 사실과 함께 갑작스레 아기를 출산한다. 아이의 아버지는 피트 캠벨이다. 돈은 동생의 자살 소식을 듣고, 가족과 함께 추수감사절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다. 피트가 이번 승진에서 선택 받지 못한 것을 안 장인어른 톰은 피트에게 일을 당분간 쉬고 아이 낳는 데에 열중하라고 충고한다. 드레이퍼 가정에서 베티는 추수감사절 때 친정으로 가져갈 것을 준비하느라 분주하다. 돈은 자신의 회사의 새 동업자로써 일이 너무 많아 추수감사절 때 같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돈이 왜 자신의 가족을 보러 가기 싫어하는지 아는 베티는 "왜 내 가족을 당신 가족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라고 말한다. 그 다음날 베티는 장을 보고 집에 오자 현관 엎에 기다리고 있는 프랜신을 만난다. 몹시 동요된 듯한 프랜신은 전화 요금을 지불하면서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고 베티에게 말한다. 바로 맨하탄으로 건 비상정으로 많은 장거리 통화 내역이다. 그 번호로 전화하자 여자가 받았고, 남편이 일주일에 두 번씩은 원도프 호텔에서 자고 온다며 프랜신은 남편의 불륜을 의심한다. 베티가 그녀를 위로하려고 하지만 프랜신은 그저 남편을 독살시키고 싶다 말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베티는 집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돈의 서재에 들어가 전화 요금 고지서를 찾아 주머니 속에 넣는다. 그 와중 헤르만 필립스는 스털링 쿠퍼 회사 광고인들에게 현재 의뢰인들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충고한다. 그는 사람들이 차를 사고 하늘을 날고 싶어한다며 자동차 회사, 항공사와 제약 회사와 계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현재 코닥 회사에서 슬라이드 프로젝터가 새로 출시되었다고 언급한다. 돈이 집에 오자 베티는 남편에게 프랜신의 상황에 대해 알린다. 그리고 그녀는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럴 수 있죠?"라고 물으며 남편의 반응을 살핀다. 돈은 그녀에게 걱정하지 말라며 달래준다. 헤르만 필립스는 코닥의 새로운 슬라이드 프로젝터를 돈의 사무실로 가져가 책상에 내려놓으며 제품이 마치 바퀴처럼 멈추지 않고 부드럽게 돌아간다고 말한다. 이에 돈은 코닥이 바퀴를 발명했다며 농담한다. 에피소드 정보[편집] 시즌 1 에피소드 정보[편집] 에피소드 번호 제목 감독 각본 방송일 시청자 (백만) 1 "Smoke Gets In Your Eyes"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26, 2007 1.65 2 "Ladies Room" 앨런 테일러 매슈 와이너 July 19, 2007 1.04 3 "Marriage of Figaro" 에드 비앙키 톰 파머 August 9, 2007 N/A 4 "New Amsterdam" 팀 헌터 리사 앨버트 August 9, 2007 N/A 5 "5G" 레슬리 링카 글래터 매슈 와이너 August 16, 2007 N/A 6 "Babylon" 앤드루 번스타인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ugust 23, 2007 N/A 7 "Red in the Face"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ugust 30, 2007 N/A 8 "The Hobo Code" 필 에이브러햄 Chris Provenzano September 6, 2007 N/A 9 "Shoot" 폴 피그 Chris Provenzano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13, 2007 0.84 10 "Long Weekend" 팀 헌터 브리짓 베다드 and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and 매슈 와이너 September 27, 2007 N/A 11 "Indian Summer" 팀 헌터 톰 파머, 매슈 와이너 October 4, 2007 N/A 12 "Nixon vs. Kennedy" 앨런 테일러 리사 앨버트 & Andre Jacquemetton & Maria Jacquemetton October 11, 2007 N/A 13 "The Wheel" 매슈 와이너 매슈 와이너, 로빈 비스 October 18, 2007 0.93 시즌 2[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3[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4[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5[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6[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시즌 7[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제와 상징[편집] lucky strike ad 정체성과 과거회상[편집] 티비 평론가들은 각자 캐릭터의 정체성에 주목한다. 가장 두드러 지는 것은 드레이퍼가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병사의 정체를 사용해 그의 정체성을 감춘것이다. 팀 굿맨은 매드 맨에서 보다 중요한 테마는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굿맨은 돈 드레이퍼를 " 그는 오랫동안 거짓말 속에서 산 남자로 혼자 지내는 것이 익숙한 사람이 되었다. 세 시즌을 거쳐 우리는 그가 만들어낸 동화같은 삶에서 실존적 고뇌를 겪는것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게커는 "스털링쿠퍼 회사의 사업뿐만아니라 주인공인 돈 드레이퍼 또한 진실을 포장하는 것 같이 거짓말로 만들어졌다. 그의 캠페인들중 하나처럼, 그의 정체성은 기회와 빈정거림 그리고 속임수로 만들어진 솜사탕처럼 달콤한 거짓말이다."라고 했다. 뉴 리퍼블릭 작가 루트 프랭클린은 "이 쇼는 그들이 어떻게 창조되었고 그들의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졌나를 보여주며 미국 아이콘의 브랜딩 장면으로 우리를 데려가는 방식이다. (러키 스트라이크 담배나 힐튼호텔 라이프 시리얼)"라고 말하며 "이런식으로 우리는 모두 밑에 어떤 거짓말이 깔려있는지 보다는 상품을 팔려는 방식에 집착하는 돈드레이퍼다. 드레이퍼의 치명적 단점은 그의 심리적 인지다. 그가 완벽히 미국의 욕구로 변모하며 그의 원래 성격과는 완전히 단절되는 것이 그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한 리뷰어는 "정체성은 매드맨의 주된 테마다. 모두들 그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집중한다. 각자 어긋난 야망과 좌절된 꿈으로 채워지고 그 중 돈드레이퍼는 더더욱시즌 1과 2를 통해 점점 속된말로 해골로 변해간다"라고 말했다. 불륜과 성차별주의[편집] 매드맨은 성 역할에 대한 논의를 더 활발하게 만들었다. 이 프로그램은 결혼, 혹은 약혼을 했음에도 자주 다른 여성들과 성적인 관계를 맺는 남성상을 표현한다. 대부분의 주인공들에게는 혼외불륜의 관계가 있다. 마리 윌슨은 워싱턴 포스트의 논평 페이지에서 “여성과 남성이 서로를, 그리고 권력을 다루는 방법을 보는 것은 괴롭고 힘든 일이다. 왜냐하면 이런 모습들은 우리의 생각만큼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딸들은 계속해서 권력은 권력을 가진 남자로부터 나온다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아름다운 외모는 여자가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는 사다리가 되어주긴 하지만 여전히 최고의 자리에 오르지는 못할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LA 타임스는 “특히 성차별주의는 거의 숨막히게 만들 뿐 보기에 즐겁지 않다. 하지만 그것은 흥미로운 여성 캐릭터들이 맞서 싸우는 힘이며, 여성 스스로를 정의 내리게 하는 반대 급부의 힘이다. 일상의 여성혐오와 겸손의 상호작용은 정신상담가가 남편에게 상담내용을 보고하는 가정주부, 퇴근시간 이후의 일에서는 모두 제외되는 등의 캐릭터들에게 목적과 형태를 제공한다."라고 주장한다. Salon에서 Nelle Engoron은 매드맨이 성문제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프로그램의 남성 캐릭터들은 불륜과 술자리를 위해 처벌을 피하면서 일에서 손을 뗄 수 있는 반면에 여성들은 주로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처벌을 피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Aviva Dove-Viebahn은 “매드멘은 어떻게 성차별주의와 가부장제가 1960년대의 삶, 직업,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지에 대한 미묘한 묘사와 급변하는 광신적 애국주의의 60년대 광고계의 미화된 연기 그 사이를 가로지른다."라고 설명했으며 멀리사 윗코스키는 가디언紙에서 “페기의 우위적 위치는 온전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프로그램은 강력하게 그 어떠한 여성도 스털링 쿠퍼에서는 페기에 앞서 카피라이터가 된 적이 없다는 점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승진을 둘러싼 상황들은 이것은 단순히 페기 이전에는 그 어떤 여성도 앞에서 스스로의 재능을 드러낸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멀리사는 페기가 승진하게 되는 과정이 메리 웰스 로런스와 Jean Wad Rindlaub와 같이 당대의 성공한 광고계 여성의 성공 스토리와 닮아있다는 점을 짚어냈다. 세대 차이[편집] 세대차이: 미국인들은 1960년대를 ‘기적의 60년대, 활기찬 60년대’로 기억한다. 그러나 밝고 아름다운 60년대의 이면에 심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있다는 비판이 많다. 60년대는 꿈과 희망이 현실이 되는 시대였다. 미국이 영광의 시대에 접어들며 세대차가 나타나게 된다. 돈 드레이퍼와 돈의 부모와의 차이는 대표적인 예다. 20대, 30대는 젊은 나이에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또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더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고 유연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매드맨에서 세대차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는 음악과 종교다. 매드맨의 각 에피소드는 각각 다른 음악으로 마무리되는데 이 음악들은 사회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고 있다. 로저는 1차 세계대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반면 돈은 2차 세계대전 및 한국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다양한 시점과 각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시대극의 장점은 시대상을 들어 그 시대 인물들의 삶과 정서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매드맨은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당대인의 삶과 정서를 신뢰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소비 사회[편집] 소비주의(Consumerism): 소비주의의 사전적 정의는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키거나 보호하는 것이다. 소비주의는 매드맨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 매드맨의 배경은 광고회사다. 광고회사의 목적은 어떤 상품의 장점을 찾아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매력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에피소드에서 돈 드레이퍼와 그의 동료들은 고객을 유혹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뛰어난 광고 전략을 세워 경쟁적인 시장에서 살아남고자 하는 고객사를 설득하는 것이 그들의 목표다. 상품을 매력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을 찾는 작업은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뤄진다. 고객을 세대별 집단으로 구분해서 공략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접근이다. 물론 전세대를 아울러 동시대인으로서 한 집단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매드맨에 등장하는 60년대 남성들은 강한 남성성을 보이며 여성들은 강한 여성성을 보인다. 광고업자들은 연구를 거쳐 상품을 광고할 방법을 고안한다.또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소비자들에게 유인을 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럭키 스트라이크 에피소드에서 "구웠다(toasted)"는 표현으로 럭키 스트라이크의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폭스바겐을 "레몬"으로 비유한 것과 같은 이런 간단한 정의는 소비자 심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있다. 이런 접근 방식들은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만들어낸다. 매드맨의 배경이 되는 60년대는 미국인 일반이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된 첫 번째 시기다. 또 식자율이 상승하면서 시민 일반이 광고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졌다. 매드맨(60년대 광고업자)은 알콜중독으로 알려졌는데 이들이 음료를 선택하는 것 역시 소비주의 경향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상그리아(적포도주에 소다수와 레몬 즙을 섞은 음료)나 스프릿츠(백포도주에 소다수를 혼합한 음료)같은 음료는 당시 엘리트 계층에서 유행했던 술이다.당대의 소비주의는 동시대의 평범한 사람들이 그들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이런 인식에 젖어들면서 소비주의는 경제와 사람들의 성격적 특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코올 의존증[편집] ABC 뉴스는 매드맨에서 드러난 1960년대의 음주문화에 대해 사실적인 묘사라고 말했다. 감독 매슈 와이너는 오피스 내부·외부와 점심·저녁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ABC 뉴스는 이런 주인공들의 모습이 60년대라는 타임 프레임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즌 2에서는 프레디 럼슨이 바지에 오줌을 싼 뒤, 알콜 중독 치료를 위한 재활원으로 보내지는 사건이 발생한다. 또한 극중에서 한 텔레비전 리포터는 돈, 베티, 헐만 필립 그리고 로저 스탈링의 과음에 대해 지적하기도 한다. 시즌 4에서는 돈 드레이퍼가 자기 자신이 알콜 중독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ABC 뉴스가 인용한 한 알콜 및 약물 중독 전문가는 지난 10년 동안 알콜 중독은 질병으로서 인정받았으나 60년대에는 과음 후에 드러나는 부정적인 행동들은 남성적이고 로맨틱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드라마를 본 한 평론가는 시즌 4에서 돈 드레이퍼가 알콜 중독과 싸우는 모습을 가리키며 ‘술 깨는 이야기’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반문화[편집] 로스 엔젤레스 타임즈는 매드맨은 만연한 문화전쟁의 출현 전인 쉼 없이 바쁜 시기에 이야기 속 인물들이 개인적 해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에서 뛰어나다고 말했다. 한 리뷰어는 패기를 통해 시즌4가 시끄러운 음악과 담배 돌려피우기, 언더그라운드 영화와 같이 그 시대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과 함께 반문화 (팝아트의 황제 앤디 워홀)의 도입을 가져왔고 패기가 라이프 잡지의 사진작가(Friend)와 함께 로프트에 방문하면서 걷잡을 수 없이 자란, 주류에 반하는 저항적인 창의성의 즐거움에 직면한다며 흥분했다. 허핑턴 포스트는 패기가 로비에서 피트가 SCDP 파트너들과 그의 새로운 6000달러 계좌를 기념하기 위해 머무는 동안 그녀의 새로운 비트족 친구들과 만나는 장면에 집중했다. 그들이 그들의 반대 궤도에 승선하는 동안 카메라는 그들의 시선에 머물며 여기에서 우리는 감정적 진실을 찾는다고 말했다. 인종차별주의[편집] Tamara Harris는 Change.org에 “주 내용에 유색인종이 등장하지 않는 사실은 많은 사실을 함축한다" 라고 적었다. 더 명확히 얘기하면 ‘매드맨’은 20세기 중반에 대한 내용이 아니다. 만약 당시 내용을 다뤘다면 인종 문제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이 없었던 사실로 인한 비난을 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매드맨은 돈 드레이퍼와 그의 궤도에 속한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그들은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중반까지 맨해튼에서 일을 하고 생활한 중산층 이상의 상류층 백인들이다. 평등을 위한 투쟁이 그들의 특권을 침해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사람들은 인종이나 인종차별주의는 없는 것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유색인종이 집에 있는 경우나 그들의 관점은 전혀 보여주지 않고 일을 하는 모습만 보여주는 초인종주의 (인종 구분 자체를 거부하는 관점) 가 ‘매드맨’ 시리즈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고 비평가들은 주장한다. 몇몇 저술가들은 Clarence Holte나 Georg Olden, Caroline Robinson Jones 와 같은 1960년대에 업계 진출을 시작해 성공적으로 업계에서 활동한 흑인 광고업계 중역진들에 대한 내용을 생략함으로써 ‘매드맨’시리즈가 역사를 왜곡한다고 보았다. Slate의 기고자 Tanner Colby는 ‘매드맨’이 당시 매디슨가에 있었던 인종 문제를 역사적으로 정확하게 다뤘다고 칭찬했다. 특히 시즌3 ‘The Fog’ 에피소드에서 캠벨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회사가 좌절시킨 사건에서 이러한 정확도가 잘 드러난다. 시즌4 ‘The Beautiful Girls’ 에피소드에서 Fillmore Auto 회사가 흑인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 보이콧을 당하자 페기는 Harry Belafonte를 Fillmore Auto의 대변자로 제안하지만 돈 드레이퍼가 이 제안을 거절하는 장면에서도 잘 드러난다. Colby는 또한 1963년에 Ad Age와 관련해 발행된 expose에서 “2만명의 이상의 전문직이나 창의성을 요구하는 직업군 종사자 중 흑인은 25명 밖에 없었다”. 그는 “매드맨은 비겁하게 인종 관련 문제를 회피하지 않는다. 단지 매디슨가의 비겁함에 대해 솔직할 수 있는 용기가 있을 뿐이다.” 라고 얘기했다. 흡연[편집] 럭키 스트라이크 광고 미국에서 현재보다 1960년대에 더욱 흔했던 흡연은 매드맨 시리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여러 등장인물들이 담배 피우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파일러트 에피소드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의 대표들이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구하기 위해 스털링 쿠퍼에 문의하러 온다. 그 당시에 ‘리더스 다이제스트’ 잡지에서는 흡연이 폐암과 같은 질병의 원이 된다는 발표를 한 시기이다. 흡연이 건강이나 외모에 해롭다는 말은 중요시 여기지 않거나 주로 무시된다. 시즌4에서는 ‘러키 스트라이크’가 스털링 쿠퍼 드레이퍼 프라이스(SCDP)와의 광고 계약을 해지시키자 돈 드레이퍼는 뉴욕 타임즈에 ‘내가 담배를 끊는 이유’라는 제목의 광고를 낸다. 그 광고를 통해 SCDP는 더 이상 담배 회사들과의 계약을 거절한다고 밝힌다. 시즌 마지막 회에서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와 대화를 하는 것으로 막을 짓는다. 배우들은 진짜 타바코 담배가 아닌 허브 담배를 피우는데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뉴욕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그 이유가 배우들의 건강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고 했다. 그는 “배우들이 진짜 담배를 피우는 것은 좋지 않을 거예요. 불안해하고 초조하게 되기 때문이죠. 담배를 너무 많이 피워서 세트장에서 토하는 사람들도 봤다”고 말했다. 추락하는 남자[편집] 방 안의 가구들이 빠르게 무너져 내리고, 남자의 그림자가 높은 광고판으로 만들어진 절벽에서 추락한다. 불안한 느낌의 배경음악이 흘러나오고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분위기가 이어진다. 매드맨의 제작자 매슈 와이너가 만든 이 인트로 영상은 정장을 입은 남자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내용이다. 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는 인트로 영상뿐 아니라 매드맨의 광고 배너와 포스터에도 쓰였다. 9.11 테러를 연상케 해 논란이 뜨거운 ‘추락하는 남자’ 이미지에 대한 방송사 AMC의 공식 입장은 주인공 돈 드레이퍼의 혼란스러운 심경을 표현했다는 것이다. 존 햄(돈 드레이퍼)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추락하는 남자’가 돈 드레이퍼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36초에 불과한 이 인트로 영상은 매드맨의 여러 측면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쟁적인 인트로 영상은 여전히 여러 영역에서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01년의 9월 11일 납치된 비행기가 뉴욕의 세계무역센터와 충돌하는 미국 역사상 유례없는 비극이 벌어졌다. 빈라덴이 이끄는 알카에다는 미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자신들의 적인 미국의 여객기를 탈취해 뉴욕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중 하나인 세계무역센터와 충돌시켰다. 충돌 후 빌딩 내부에 화재가 일어나자 발이 묶인 사람들은 빌딩 밖으로 몸을 던져 목숨을 잃었다. 높은 빌딩에서 몸을 던지는 사람들의 모습은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매드맨의 인트로 영상은 9.11 테러 이후인 2007년 제작되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인트로 영상이 9.11 테러 사건과 당시 희생된 이들을 연상시키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주장을 제기했고 실제 9.11 테러 희생자 유가족들이 이 인트로의 상영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2012년 AMC는 매드맨의 5번째 시즌 홍보를 위해 뉴욕시 사방에 해당 이미지의 포스터를 붙였고 이 일로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다. 논란이 야기되자 매슈 와이너는 그 누구에게도 상처를 줄 의도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관련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케네디 vs 닉슨 대통령 선거[편집] 1960년 11월 8일에 있었던 선거는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선거 중 하나로 꼽힌다. 닉슨은 로스 엔젤레스의 유명한 호텔인 앰버서더 호텔에서, 케네디는 마사츄세츠 주 하이에니스 포트에 소재한 자신의 거처에서 안락하게 선거 개표 방송을 시청했다. 하지만, 중서부의 농촌과 교외 지역, 그리고 락키 산맥, 대서양에 근접한 주의 표가 개표되면서, 닉슨은 케네디와의 표차를 서서히 줄여가기 시작했다. 자정이 되기도 전에, 뉴욕 타임즈는 헤드라인에 “케네디 대통령 당선”이라는 정보를 실어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선거가 너무 치열해지다 보니, 타임즈의 주필인 터너 캐틀리지는 “중서부의 한 시장이 제발 표를 충분히 확보해 케네디가 당선되기를 기원했다”라고 회상했는데, 이는 타임즈가 12년 전 시카고 트리뷴이 토마스 듀이가 트루먼 전 대통령을 선거에서 이겼다는 오보를 낸 전레에서 비롯한 말이었다. 닉슨은 자정 3시에 새로 연설을 통해, 케네디가 선거를 이겼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암시했다. 뉴스 관계자들은 매우 당황했는데, 이러한 공식적인 대선 패배 인정문은 매우 드문 경우였기 때문이다. 11월 9일, 수요일에 되어서야 닉슨은 확실한 대선 패배를 인정하였고,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3,129의 자치주와 도시 중, 닉슨은 1857개 (59.35%)의 도시에서 승리를 거뒀고 케네디는 1,200 개 (38.35%)에서 이겼다. “언약하지 않은” 선거인들이 루이지애나와 미시시피의 71개 자치주 (2.27%)에서 승리했으며, 알래스카에서는 케네디와 닉슨이 각각 한 도시씩 가져갔다. 투표가 얼마나 치열했는지는 닉슨의 본고장인 캘리포니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선거구가 투표 완료를 선언했을 때는 케네디가 37,000표로써 승리한 것으로 보여졌으나, 부재자 투표가 완료된 일주일 후에는 닉슨이 결국 36,000표로 캘리포니아까지 가져갔다. 이와 비슷하게, 하와이에서도 닉슨이 주투표에서 승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재개표 시에는, 케네디가 115표라는 적은 표 차이로 승리했다. 전국민 투표에서는, 케네디가 닉슨을 0.17%라는 20세기 최소의 표차로 승리했다. 대표단 투표에서 케네디의 승리는 더욱 확고했는데, 케네디가 대표단에게서 303표를 가져간데 비해, 닉슨은 219표를 가져갔다. 총 15개의 대표단은 케네디도 닉슨도 아닌 버지니아 주 소속 민주당의 해리 버드 상원의원을 뽑았다. 케네디는 12개의 주에서 3% 미만의 득표율 차로 승리를 구뒀고, 닉슨은 6개의 주에서 비슷한 비율의 득표차로 승리했다. 케네디는 북동쪽 주와 미시간, 일리노이, 미쥬리 등 상대적으로 인구수가 많은 서중앙 지방에서 승리를 거뒀다. 린든 존슨의 도움으로, 남부 지방 대부분의 주에서 역시 승리를 거뒀는데, 이 중에는 노스 캐롤라이나, 죠지아, 텍사스 등 매우 큰 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닉슨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농업 중심의 서부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서부의 3개 주를 빼놓고는 모든 주에서 앞서갔다. 가장 큰 승리를 거둔 주는 오하이오였다. 뉴욕 타임즈는 이러한 치열함에 대해 케네디가 이긴데에는 그가 천주교였다는 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선거 도중 닉슨은 케네디의 종교를 비난하였고, 그로 인해 북쪽 지역의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케네디의 편으로 붙었다는 것이 그들의 분석이다. 미시간 대학교의 조사팀이 1956년과 1960년에 투표를 실시한 이들에 대한 인터뷰에 의하면, 1956년에 민주당에 투표한 사람들 중 39명 중에 케네디를 뽑은 사람이33명인데 비해, 공화당을 뽑은 이 61명 중 44명이 닉슨에게 투표했다. 이에 의하면, 닉슨은 표 28%를 아이젠하워에게 뺏긴데 비해, 케네디는 단 15%만을 스티븐슨에게 뺏긴셈이다. 결론적으로, 민주당이 공화당보다 1956년에 지지자들을 잘 관리한 것이다. 케네디는 앞으로 미국에 국가적으로 다가올 도전들을 꿰뚫어보았고 이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했다. 당선 연설에서 그는 “친애하는 모든 국민 여러분, 저는 앞으로 다가올 4년이 도전과 역경으로 가득찬 시기일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1960년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전국적으로 협력해야 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도움이 절실하며, 저의 모든 정신을 미합중국의 장기적인 발전과 전세계의 자유를 도모하는데 바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라고 주장했다.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편집]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란 여성들의 가장 큰 행복은 아내와 엄마가 되는 것이라는 개념이다. 그러나 베티 프라이덴의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에서는 교외의 주부들의 인터뷰와 심리학과 미디어 광고조사를 통해 이 개념을 비판하며 세컨드 웨이브 페미니즘을 불러일으켰다. 드라마 매드맨도 프라이덴과 같이 이런 여성의 신비라는 개념이 환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시즌1에서 돈 드레이퍼의 아내 베티 드레이퍼는 전형적인 우울한 주부의 모습을 대변한다. 베티 드레이퍼는 표면적으로는 모든 것을 가진 아내이자 어머니다. 그러나 그녀는 이런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손을 떠는 등 불안하고 우울한 증세를 보인다. 드라마에서는 그녀의 결혼생활 또한 불안정한 것으로 비춰진다. 예컨대, 돈 드레이퍼는 계속해서 다른 여자들과 불륜을 저지르고, 베티는 돈의 감춰진 삶에 대해 계속해서 불안감을 느낀다. 베티는 결국 정신과 의사를 찾아가며 그녀의 불안정한 삶에 대해 털어놓게 된다. 그러나 돈 드레이퍼는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라는 개념에서 드러난 여성의 이상적인 꿈은 주부로 연결된다는 것에 반한다. 완벽해 보이는 삶을 살고 있는 베티가 그 삶에 만족하지 못하는 모습이 이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9화에서 그녀가 과거에 했던 모델 일을 결혼 이후에도 계속해서 꿈꿔왔다는 것이 드러난다. 코카콜라 광고 제의가 들어오자 그녀는 갑자기 흥분한 모습을 보이며, 다시 일을 시작한다는 것에 대한 사실에 기쁨을 감출 수 없다. 이는 그녀의 꿈은 주부라는 그림자에 의해 가려졌으며, 주부라는 것은 그녀의 이상이 아니라 그저 현실이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에서는 베티 드레이퍼라는 인물을 통해 여성의 신비(Feminine Mystique)가 진실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낸 고정관념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 (The Man with Grey Flannel Suit)[편집]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는 많은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는데, 우선 이 두 영화의 시대적 배경이 10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서 사회적인 양상에서 굉장히 흡사하다. 두 주인공은 모두 정상적인 가정과 직장을 꾸리고 살지만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점, 과거에 전쟁에 참전했던 경력이 있다는 점 등에서 매우 비슷하다. 이는 겉으로는 아내와 화목한 매일매일을 보내는 것 같고, 실제로도 드레이퍼와 톰은 가족 중심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 그렇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불륜이라는 소재가 이들의 심적 갈등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 또한 두 인물 다 도시 외곽 쪽에 거주하고, 알코올 의존중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술을 자주 마신다는 점에서 라이프스타일도 유사하다. 이 둘은 일에 헌신하는 태도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돈은 자신의 광고 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써 인정받고 있고, 톰도 자신의 직장에 충실하다. 다만 돈 드레이퍼는 자신의 일에 대하여 별다른 불만이나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에 비하여, 톰은 표면적으로는 일에 헌신하지만 그것이 영혼이 없는 태도라고 내심 생각하다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둘은 각각 한국전쟁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과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굉장히 명예로운 일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두 주인공은 이러한 과거를 회피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특히 두 작품 다 PTSD와 비슷한 다소 고통스러운 과거 회상 장면이 나온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는 종전 이후 참전용사들은 정상적인 사회생활 복귀를 꿈꾸지만, 이 두 작품을 통해서 이러한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도 할 수 있다. 매드맨과 회색 양복을 입은 사나이에서 제시하는 인간상은 매드맨(Mad Man)과 예스맨(상사에게 복종하는 사람)으로 각각 나타난다. 아인 랜드[편집] 매드맨 1시즌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이 처음 언급되는 것은 8번째 에피소드 “The Hobo Code” 에서 스털링 쿠퍼 사의 사장인 버트 쿠퍼의 입을 통해서이다. 그는 아인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돈 드레이퍼에게 권한다. 본 에피소드에서 나중에 돈은 고객과의 상담 중 고객이 자신의 광고를 별로 마음에 들어하지 않자 “내가 공들인 이 광고를 당신이 감사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이 광고를 당신에게 주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당신이 어떻게 되는지 보자” 라는 상당히 도전적이고 어떻게 보면 건방지기까지 한 대사를 말하는데, 이 장면은 돈이 랜드의 책 Atlas Shrugged를 읽고 영향 받았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본 드라마에서 시청자들은 돈을 통해 계속해서 아인 랜드의 철학을 연상시키는 독선 혹은 자기중심성을 관찰할 수 있다. 11번째 에피소드 "Indian Summer"에서 아인 랜드의 이름은 다시 한번 등장한다. 로저가 갑작스럽게 건강에 문제가 생기자 쿠퍼는 돈에게 파트너 자리를 제안한다. 돈은 파트너 제안은 수락하지만 계약서는 필요 없다고 말한다. 쿠퍼는 계약서가 필요 없다는 돈의 말을 듣고 미소를 지으며 "너무 자신감 넘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어서 쿠퍼는 돈에게 아인랜드를 소개하고 싶다고 이야기한다. 쿠퍼는 계약서도 쓸 필요 없다는 자신감 넘치는 돈의 태도에 감탄했다. 아인랜드의 책에서 강조하는 상황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견지해 성취를 이뤄내는 인간상을 돈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반응 및 평가[편집] 평점[편집] [시즌1 ~ 시즌2] 2007년 7월 19일 저녁 10시 예고편 시청률은 당시 기존의 AMC 드라마 시리즈에 보다 높았으며 120만 가정에서 총 165만명의 시청자들에 의해 1.4점을 얻었다 (household rating). 시즌 1 예고편의 시청자 수는 시즌 2에 비해 두 배 이상 이었으며(206만명) 이는 시즌 2예고편의 강력한 홍보 덕분이었다. 시즌 2첫 방송 이후 시청자 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TV비평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형성했다. 하지만, 175만명이 시즌2 마지막화를 시청했고 이 수치는 시즌2 평균 시청자수 보다 20% 더 높은 수였으며 시즌 1 마지막 화 시청자 수에 비해선 926,000 명이 더 많았다.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청자 수를 포함해 누적 시청자 수는 총 290만명이었다. [시즌 3] 예고편은 2009년 8월 16일에 방영되었으며 첫 상영에 280만명, 그리고 저녁 11시와 새벽 1시 재방영 시간에 78만명이 시청하였다. 2009년에 매드맨은 시청자 수 57.7% 증가로Nielsen’s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배틀스타 갤랙티카 최종 시즌 바로 다음으로 2등을 차지했다. [시즌 4] 예고편을 29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시즌 3 처음보다 평점이 5퍼센트 증가하였고 시즌 3평균보다는 61퍼센트 증가하였다. 또한 AMC 역사상 가장 많이 시청한 드라마로 등극하였으며 이는 The Walking Dead와 Better Call Saul 방영 때까지 유지되었다. [시즌 5] 예고편인 ‘A Little Kiss’는 350만명이 시청하였고 18 ~ 49세 시청자는 160만명이었다. 이는 매드맨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자 수였다. 시즌 5 이전에는 18 ~ 49세 시청자 수에서 100만명 이상의 시청자 수를 기록한 적이 없었다. AMC 채널의 사장인 Charlie Collier는 “Matthew Weiner와 그의 팀은 시즌 5까지 매 시즌을 아름다운 얘기로 잘 풀어냈으며 시즌이 지날수록 더 많은 시청자들이 이에 반응해주었다. 이러한 성공은 매우 드물기에 이 프로그램과 카메라에 찍히지 않은 유능한 작가, 출연진을 포함한 전체 팀에 대해 자부심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라고 얘기했다. 시즌 5 마지막화인 “The Phantom”은 270만명이 시청하였으며 매드맨 최종화 중 가장 높은 시청자 수를 기록하였다. 2012년에 매드맨 시리즈는 시청자 수 상승률127%를 기록하며 Nielsen's list of Top 10 timeshifted primetime TV programs에서 2등을 차지하였다. 시즌 방영 시간과 요일 에피소드 수 시작 날짜 예고편 시청자 수 최종회 날짜 최종회 시청자 수 평균 시청자 수 시즌1 목요일 P.M 10:00 13 2007년 7월 19일 165만명 2007년 10월 18일 93만명 90만명 시즌2 일요일 P.M 10:00 13 2008년 7월 27일 206만명 2008년 10월 26일 175만명 152만명 시즌3 일요일 P.M 10:00 13 2009년 8월 16일 276만명 2009년 11월8일 232만명 180만명 시즌4 일요일 P.M 10:00 13 2010년 7월 24일 290만명 2010년 10월 17일 244만명 227만명 시즌5 일요일 P.M 10:00 13 2012년 3월 25일 350만명 2012년 6월 10일 270명 270만명 시즌6 일요일 P.M 10:00 13 2013년 4월 7일 337만명 2013년 6월 23일 269만명 249만명 시즌7 파트1 일요일 P.M 10:00 7 2014년 4월13일 227만명 2014년 5월 25일 194만명 201만명 시즌7 파트2 일요일 P.M 10:00 7 2015년 4월5일 227만명 2015년 5월 17일(예정) 아직 진행 중 아직 진행 중 평론[편집] 매드맨은 개봉과 동시에 비평가들의 큰 호평과 비평가들의 역대 최고의 위대한 텔레비전 시리즈로 자리매김 하였다. 미국 영화 연구소는 2007, 2008, 2009, 2010, 2012년에 (2011년에는 방영하지 않았음) 매드맨을 최고의 10개 텔레비전 시리즈 중 하나로 뽑았고, <텔레비전 비평과 협회>, <시카고트리뷴>, <뉴욕타임즈>, <피츠버그 포스트 가제트>, <타임지>, 그리고 <TV 가이드>를 포함한 다수의 국내 출판물들도 매드맨을 2007년 최고의 텔레비전 쇼로 선정했다. 논평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매드맨 첫 시즌 점수는 77/100이었다. 2013년 <TV 가이드>는 2013년 역대 최고의 드라마 60개 중 매드맨을 5위로 선정하였고, 미국 작가 조합에서 역대 최고로 잘 쓰여진 TV 시리즈 101개 중 7위로 선정되었다. 롤링스톤의 멤버 롭 셰필드는 매드맨을 "역대로 가장 위대한 TV 드라마"라고 말했다 . <뉴욕타임즈>의 논평가는 "그리 멀지 않은 과거를 즐기는" 획기적인 시리즈라고 말했다. 시대적 진정성[편집] 60년대 광고업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은 매드맨의 시대적 진정성에 대해 각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지만, 매슈 와이너와 그의 팀은 매드맨이 시대적 진정성과 그 배경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다. 매드맨 자문위원 로버트 래빈슨은 매드맨이 포착하고 있는 것은 매우 사실적이다며, 드라마에서 일상적인 음주, 지속적인 흡연, 간부와 비서의 관계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전했다. 60년대에 카피라이터로 일했던 제리 델라 페미나 또한 드라마가 흡연과 여러가지 사회적 편견을 정확하게 그려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피라이터 알렌 로젠샤인은 드라마의 배경은 완전히 꾸며낸 것이라고 말하며, 실제로 60년대에 매드맨의 등장 인물들처럼 여자를 대했다면, 진작에 해고당했을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60년대에 광고회사 Doyle Dane Bernbach에서 일했던 조지 루이스는 매드맨은 60년대의 고정관념을 드라마를 통해 실체화 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60년대의 현실은 매드맨과 달랐으며, 광고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매일 힘들게 일했고, 일 외에 활동이라고는 회사에서 하는 농구와 소프트볼이 전부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문화 관측소의 벤자민 슈미츠의 매드맨 언어 분석에 따르면, 매드맨에서 사용된 어휘와 문장은 그 시대에 정확히 들어맞지 않는다고 전했다. 그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드라마가 그 시대의 언어를 아주 조금밖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과 매드맨의 대부분의 언어와 문장은 그 배경의 시대보다는 현대에서 더 자주 사용되고 있는 언어임을 밝혔다. 따라서 매드맨의 언어는 그 시대의 언어 패턴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매드맨에서 사용되는 "creeps in with striking regularity”와 같은 비즈니스 언어는 현대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당시에는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결과와 영향[편집] 매드맨은 1960년대 패션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8년 ‘더 가디언’은 매드맨이 남성 슈트 패션, 특히 높은 웨이스트밴드, 짧은 재킷, 귀판 안경과 페도라와 같은 당시 시대 스타일 슈트의 부활에 한몫을 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매회 나오는 드라마 의상들은 남성에게는 테일러 수트를, 여성에게는 풀스커트에 플로럴 프린트와 가디건을 유행시켰다. 이러한 인기를 반영해 바나나 리퍼블릭은 매드맨 가을 캠페인을 전개했고, 브룩스 브라더스는 매드맨 리미티드 에디션을 판매하기도 했다.[1] 바나나 리퍼블릭 디자인팀과 매드맨 의상 디자이너인 Janie Bryant가 함께 디자인한 컬렉션(Mad Men Capsule Collection)은 많은 드라마 팬과 복고, 오피스룩 매니아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았다. 또한 웹사이트 BabyCenter에 의하면 매드맨 때문에 “베티”라는 이름이 2010년 미국에 갑자기 인기가 많아졌다. 나아가 The Arizona Republic에선 20세기 중반 인테리어 디자인의 새로운 관심이 매드맨의 방영과 겹친다고 보고했다. 뉴욕타임즈 극장 비평가 벤 브랜틀리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매드맨이 “과음하고 줄담배 피며 여자들이나 쫓아다녔던 1960년대”를 “브로드웨이의 가장 사랑 받는 시대”로 탈바꿈 시켰다고 하며, 그 예시로 2010년과 2011년, 1960년대를 배경으로 나타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세 개를 들었다. 바로 “Promises, Promises”와 “How to Succeed in Business Without Really Trying”의 재상연과 “Catch Me If You Can”이다. 또한 브랜틀리는 “Promises, Promises가 원래 배경이었던 60년대 후반이 아니라 1962년을 배경으로 한 이유는 매드맨에 있다고 본다”라고 주장했다. 2009년 TNT에서 한 시즌 동안 상영한 Trust Me는 현대시대 광고회사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텔레비전 비평가 톰 셰일즈는 Trust Me를 매드맨과 Nip/Tuck이라는 다른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합친 결과물이라고 주장했다. 그 밖에 2011년 짧게 상영한 The Playboy Cub과 Pan Am 또한 배경이 1963년인데, 둘 다 매드맨을 따라 한 드라마라고 자주 언급된다. 2011년 첫 방송한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The Hour 또한 매드맨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심지어 2014년 Syfy채널에 방송된 Ascension은 “우주를 배경으로 한 매드맨”이라고 불렸다.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매드맨은 시즌 2, 1화에서 돈 드레이퍼가 프랭크 오하라의 시 “Mayakovsky”를 낭송하자 아마존 웹사이트에서 오하라의 작품이 Top 50로 올라갈 정도의 영향력을 보인다. 또한 회사 매니저 조안 역으로 나오는 크리스티나 헨드릭스의 모래시계 같은 몸매와 관능적인 매력이 인기를 끌며 영국에선 2010년에 여성들의 가슴수술이 10% 증가했다. 몇몇 사람들은 매드맨이 불러온 1960년대 패션과 사회 규범에 대한 열풍을 비판했다. 에이미 벤퍼는 잡지 Salon에서 “과거 회상의 문제점에 대해 경고하는 바로 그 텔레비전 드라마가, 사람들에게 분명히 결함이 있는 과거에 대한 노스탈지아를 일으킨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라고 주장했다. Ms.Magazine의 애나 켈나는 “매드맨이 대중문화에 갖고 있는 어마어마한 영향력 덕분에 신여성인 ‘페기’가 아닌 순종적인 ‘베티’들이 가득한 세대가 만들어졌다”라고 말했다. 2014년 국정보고에서 오바마 대통령은 평등한 여성 임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매드 맨 시리즈에 존재하는 직장 방침은 없어질 필요가 있다.” 매드맨 프로듀서 매슈 와이너는 오바마 대통령과 동의한다고 하며 “우리 드라마가 미국에 꼭 필요한 국민 토론의 일부가 될 수 있어서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2015년,시리즈 오프닝에 돈 드레이퍼가 벤치에 앉아 있는 모습의 조각상이 매드맨 시리즈를 위해 타임-라이프 건물 앞에 세워졌다. 매드맨 시리즈는 AMC 케이블 채널의 흥행 불꽃을 점화 시킨 것으로 인정받았다. 수상경력[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음악[편집] -EP 1 Smoke Gets in Your Eyes- One the street Where you Live - Vic Damone 끝 부분, 돈과 가족들 Caravan (Instrumental) [Remastered] - Gordon Jenkins 돈 기차에서, 집을 행하여 Shangri-La - Robert Maxwell 스트립쇼 바 Band of Gold - Don Cherry 시작할 때, 돈 식당에서 -EP 2 Ladies Room- Great Divide - The Cardigans 끝 Credits I Can Dream, Can't I? - The Andrew Sisters -EP 3 Marriage of Fiagro P.S. I Love You - Bobby Vinton- 끝 Credits -EP 4 New Amsterdam Manhattan - Ella Fitzgerald & The Buddy Bregman Orchestra 마지막 장면, Pete 와 Trudy의 미래 보금자리 Driving Instructor - Bob Newhart -EP 5 Five G Blue in Green - Miles Davis 돈 과 Midge 침대에서 You - The Aquatones 돈과 아담의 저녁 식사 Non Dimenticar - Percy Faith Pete 와 Trudy의 저녁식사 -EP 6 Babylon Babylon - Original Cast Recording Midge 와 돈은 식당에서 노래를 듣는다 -EP 7 Red in the Face Botch-A-Me (Ba-Ba-Baciani Piccina) - Rosemary Clooney 돈이 로저의 등을 쳐줄 때 -EP 8 The Hobo Code (Gimme That) Old Time Religion - Jim Reeves 끝 Credit Concierto de Aranjuez (Adagio) [Master] - Miles Davis 돈이 Midge의 아파트 파티에 참석 -EP 9 Shoot My special Angel - Bobby Helms 끝부분 베티가 비둘기 총으로 사냥할 때 -EP 10 Long Weekend Volare - The McGuire Sisters -EP 11 Indian Summer Fly Me to the Moon (In other words) - Julie London 끝 credits Agua de Beber - Astrud Gilberto & Antonio Carlos Jobim 베티와 새탁기 ^_^;; -EP 12 Nixon vs. Kennedy Metro Polka - Frankie Laine Gopher Mambo - Yma Sumac -EP 13 The Wheel Don't Think Twice, It's Alright (LP Version) - Frankie Valli & The four Seasons Don't Think Twice , It's Alright - Bob Dylan 끝 Credit 매슈 와이너 인터뷰[편집] 문학 계간지인 The Paris Review의 208호에 실린 매슈 와이너의 인터뷰는 그가 어떻게 한 명의 각본가로 성장했는지부터 매드맨의 탄생 비화, 매드맨 각본의 집필 과정 등 매우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 매드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분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와이너는 각본 쓰는 것을 배우기 위해 영화 학교에 진학한 것은 아니었지만 영화 학교를 다니면서 각본가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한다. 영화가 성공할 경우 그 스포트라이트는 보통 감독이 받지만 사실은 그 작품의 각본을 쓴 각본가야말로 진정한 작품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와이너는 시간이 날 때마다 각본 쓰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가 과거에 쓴 다양한 각본은 훗날 매드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매드맨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쓰고나서 3년이 지나서야 AMC에서는 이 이야기를 드라마로 만들어보자고 하였고, 와이너는 자신이 완전히 잊어버리고 있던 그 이야기를 기억해내기 위해 과거에 자신이 썼던 각본들을 읽어보았다. 그리고 그는 돈 드레이퍼라는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자신의 각본들에 등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각본에 등장하는 돈의 요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의 어두운 과거, 그가 가난한 시골 출신이라는 점, 그리고 많은 미국의 역사 속 위인들처럼 그도 자수성가형 인물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와이너는 리 이아코카, 샘 월튼 그리고 빌 클린턴 같은 미국의 지도자들이 알고보니 모두 불우한 환경 속에서 자란 자수성가형 인물이었다는 점을 알게 된 후 미국 사회에 제이 개츠비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깨달았고, 이러한 영감은 돈이라는 캐릭터에 투영되었다. 와이너의 개인적인 경험 역시 돈이라는 캐릭터를 구상하는데 일조하였다. 한번은 그가 일하던 직장에 줄곧 자신이 하버드를 졸업했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결국엔 보다못한 한 사람이 “너 하버드 안 나왔잖아!” 라고 말했고 실제로 그는 하버드 졸업생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이 사실을 알게 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너무 대수롭지 않았다는 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버드에 입학하면 자신의 인생이 바뀔 것이라고 믿고 그렇게 애를 쓰는데, 어떻게 그러한 학력위조를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단 말인가? 와이너는 이 경험이 너무 인상적이어서 돈의 캐릭터 설정에 이를 포함시켰고, 이는 돈이 자신의 과거를 숨긴 채 다른 사람의 신분으로 살아간다는 설정으로 연결되었다. 와이너가 매드맨을 구상할 때 핵심적인 주제로 생각해둔 또다른 요소는 바로 “누가 미국사회의 실질적인 지배층인가” 하는 문제였다고 한다. 그는 미국에서 성공의 다른 말은 곧 남성 WASP(앵글로색슨계 백인 신교도)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만큼 그는 미국 사회의 주류에 속하는 사람들과 그 그룹에 속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비주류인 사람들의 문제에 관심이 깊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매드맨을 관통하는 주요한 주제 중 하나라고 와이너는 말한다. 그에 따르면 매드맨 시리즈는 결국 부유한 백인들이 속한 ‘우리’ 라는 그룹에 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파일럿 에피소드에 보면 피트 캠벨의 대사 중 “돈과 교육을 더한다고해서 그 사람의 천박한 본질이 사라지지는 않아” 라는 대사가 있다. 이는 ‘우리’ 에서 유태인을 소외시키는 반유태인적 발언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실제로 유태인인 와이너는 어렸을 적 이 말을 학교 선생님께 들었다고 한다. 교사는 와이너가 유태인이라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그런 말을 교실에서 했고, 당시 와이너는 자신이 마치 투명인간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경험 덕분에 자신이 미국 사회의 비주류인 여성이나 동성애자, 혹은 유색인종들의 슬픔에 진정으로 공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와 관련해 그가 예로 든 캐릭터는 바로 레이첼 멘켄이다. 그녀는 와이너가 ‘코성형 세대’ 라고 부르는 시대 사람이다. (유대인들은 매부리코를 갖고 있다는 편견이 있다.) 레이첼은 미국 백인 사회문화에 흡수당했다. 그녀는 분명 자신의 부모와는 달리 유태인 기념일을 챙기지 않았을 것이며, 최대한 백인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을 것이다. 코성형 세대의 유태인들은 백인 미국인이 아닌 자신의 부모님들을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 ‘흡수’ 가 바로 미국의 이야기다. 돈과 레이첼은 공통적으로 둘 다 자신이 진짜 누구인지를 숨기고 미국의 주류인 백인 남성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에게 끌리는 것이다. 와이너가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바로 페기 올슨이다. 그녀는 자신의 일과 관련해서는 매우 성실하고 적극적이며 재능 또한 있다. 그러나 본인의 사생활에 관해서는 어리석기 짝이 없다. 그녀는 자신이 ‘우리’ 에 속한 삶을 산다고 믿는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틈만 나면 누군가가 그녀에게 “너는 ‘우리’ 의 일부가 아니야” 라고 말하기 일쑤다. 인터뷰에는 와이너가 매드맨의 각본을 집필하는 과정 또한 담겨있다. 각 시즌 초반부에 그는 우선 자신이 흥미롭다고 생각하는 이야기들에 대해 메모를 해둔다. 그런 다음 각 에피소드에 어떤 이야기들이 다루어질지 일종의 개요를 만들고, 개요가 완성되면 이제 구체적인 대본을 만들기 위해 본인의 어시스턴트와 함께 방으로 들어가 씬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대본을 만들기 시작한다. 와이너에 따르면 사실 모든 장면들은 그의 머릿속에 이미 들어있고, 그는 그것을 그저 끄집어내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 끄집어내는 작업이 다소 정신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를 도와주는 어시스턴트의 역량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그는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한편 인터뷰에서 와이너가 질문받은 또다른 부분은 바로 드라마 매드맨의 시대적 사실성, 다시 말해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인 1960년대 미국을 어쩌면 그렇게 완벽에 가깝게 재현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본 인터뷰를 진행한 세미 첼러스는 인터뷰를 위해 세트장을 처음 방문한 당시 한 비서의 책상 위에 쌓여있는 편지들이 놀랍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리얼한 것을 보고 감탄했다고 한다. 편지들의 수신인과 발신인에는 실제 극 중 인물들의 이름이 적혀있었을 뿐만 아니라 1965년에 발행되었음을 증명하는 인장까지 찍혀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와이너는 분명 자신의 팀에 그러한 소품들을 실제처럼 보이도록 잘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적어도 각본을 집필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신이 당시의 시대상을 서술하기 위해 특별히 노력을 기울이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가 신경 쓰는 한가지는 드라마가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배우들에게 가능한 천천히 대사를 말하도록 주문한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받는 것이 빨라질수록 그 대화는 작위적으로 보일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와이너는 그래서 대화를 주고 받는 연기 도중 배우들이 기침을 하거나 상대역이 이해가 안 되는 말을 할 경우 “뭐라고?” 라고 되묻는 것을 좋아한다. 와이너와 대조적으로 원래 매드맨의 파일럿을 감독한 사람은 이 드라마가 실제 1950년대의 드라마처럼 보이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심지어 파일럿을 흑백으로 제작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배우들이 대사를 말하는 속도 또한 좀 더 빠르기를 원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와이너는 이를 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배우들이 대사를 빠르게 말할 경우 필연적으로 정보의 반복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심지어 배우들이 대화 장면을 찍을 때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것도 원치 않았다. 왜냐하면 실생활에서 우리가 대화를 할 때 서로의 이름을 그렇게 자주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학술 연구[편집] 1.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 매드멘: 성, 인종, 민족성,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적 계층  O'Barr, William M. "Mad Men: Gender, Race, Ethnicity, Sexuality, and Class." Advertising & Society Review 11.4 (2011): n. pag. Web. 05 May 2015. 이 글은 드라마 ‘매드맨’을 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성, 인종, 민족, 사회 계층에 대해 다루고 있다. 사회 계층부분에서 글쓴이는 ‘매드맨’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속한 계층이 매우 한정적인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제한은 상품을 소비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품을 구매할 능력과 의향을 갖춘 사람들만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제한은 드라마에서 상류계층이 어떠한 삶을 사는지는 잘 보여주는 반면 하위계층은 자연스럽게 배척되고 주변인물이 되는 편향된 묘사의 원인이 된다. 이때 하위계층이라 함은 경제적으로 부유하지 못한 계층을 의미하며 청소부, 웨이터, 엘리베이터 승무원 등이 포함된다 (실제로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직업들이지만 항상 주변인물로서 존재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하위계층이 대부분 흑인이라는 점이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하위계층 직업군은 대부분 흑인이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 흑인의 사회적 지위가 일반적으로 매우 낮았음을 보여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60년대 당시에 인종 차별은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 시즌1 에피소드 1에서 돈 드레이퍼가 술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 흑인 웨이터에게 어떤 담배를 피우는지 물어보는 장면을 주목해보자. 돈 드레이퍼가 질문을 한 의도는 본인이 현재 의뢰 받은 담배 회사 ‘럭키 스트라이크’ 를 어떻게 홍보할지에 대한 아이디를 얻고자 함이었다. 흑인 웨이터가 본인은 ‘올드 골드’ 를 피며 그 이유를 설명하여 대화가 길어지자 백인 매니저 (로 추측되는) 사람이 등장하여 돈 드레이퍼에게 흑인 웨이터가 방해 되지는 않는지 물어본다. 이 장면은 흑인이 백인에게 말을 하는 행위가 ‘방해’로 간주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며 ‘기업가’ 입장에선 흑인 또한 소비자이기에 그들의 의견도 반영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지만, 그들과 인간대 인간으로서의 상호 소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그들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지는 않는 사회적 분위기 또한 반영한다.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유태인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태인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부유하기 때문에 광고회사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들이지만 사회적 편견 때문에 여러 문화적 문제점이 생긴다. 시즌1 초반에 레이첼 멘켄이 백화점 홍보를 의뢰하러 돈 드레이퍼를 만났을 때 유태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에 따른 문화적 충돌을 가장 잘 보여준다. 레이첼은 본인이 운영하는 백화점이 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삼기 원하지만 돈 드레이퍼와 피트 캠벨은 유대인이 운영한다는 사실 때문에 상류층 보다 하류층을 대상으로 홍보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미팅이 결렬되자 피트 캠벨이 돈 드레이퍼에게 돈이 많다고 교육을 잘 받은 것은 아니라는 말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편견이 드러난다. 이와 같이 매드멘을 ‘사회적 계층’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접근 방식은 당시 미국 사회상(상류 계층의 사상과 삶의 양식, 인종차별, 계층 차별)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드라마 자체의 이해도를 높이고 60년대 미국 사회를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은 위와 같은 접근방식이 매우 필요할 것이다. 2. Historical Accuracy of Mad Men, ‘매드멘’에 등장하는 역사적 사실의 정확도  "Period Dramas and Historical Accuracy; "Mad Men"" Doing History in Public. Ed. Florence Largillière. N.p., n.d. Web. 5 May 2015. <http://doinghistoryinpublic.org/2014/05/23/period-dramas-and-historical-accuracy-mad-men/>. 3. 등장인물을 살펴보며 알아보는 당시 역사적 배경  Doll, Jen. "Reviewing the 'Mad Men' World by Someone Who Was There." THE WIRE. N.p., 9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www.thewire.com/entertainment/2012/04/reviewing-mad-men-world-someone-who-was-there/50851/>. 4. Seeing History in Mad Men,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요소와 사실들  "Seeing History in ‘Mad Men’."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Times, 15 July 2010. Web. 05 May 2015.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10/07/16/arts/television/20100718-madmen-timeline.html?ref=multimedia&_r=3&>. 5. Selling nostalgia : Mad Men, Postmodernism and Neoliberalism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향수; 매드맨, 포스트 모더니즘 그리고 신자유주의 Tudor, Deborah. "OpenSIUC." OpenSIUC. N.p., Apr. 2012. Web. 05 May 2015. <http://opensiuc.lib.siu.edu/gmrc_nm/4/>. 6.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부성애, 실패와 자수성가; 매드멘에서 나타나는 남성성 "The Father, The Failure And The Self-Made Man: Masculinity In Mad Men." Critical Quarterly 54.3 (2012): 31-45. Academic Search Premier. Web. 5 May 2015. 작품 속 광고[편집] 매드맨에서 1960년대와 방송이 방영됐던 시기에 있었던 상품들을 광고주 클라이언트 등으로 등장했다. 그 중 러키 스트라이크, 베들레헴 스틸, 폭스바겐, 캐딜락, 플레이텍스, 스팸, 어츠 감자칩, 메이든폼, 질레트, 아메리칸 항공과 클리어라실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은 대부분 또는 모든 상품이나 브랜드가 피피엘(ppl 작품 속 광고)이라고 추측했지만 사실 대부분의 상품들은 오로지 현실성을 위해 포함된 것이었고 피피엘 거래는 없었다. 제작책임자 매슈 와이너는 인터뷰에서 “[피피엘은] 아주 조금밖에 없고 네트워크에서 장사를 더하기 위해 전파한 소문입니다. 항상 실패해요… 4 시즌 동안 4개[의 피피엘이] 있었고 이 드라마에 약 100개의 상품들이 나왔어요. 반은 만들어낸 상품들이고 아무도 출연하기 위해 돈을 주지 않아요.”라고 했다. 와이너에 의하면 피피엘을 한 회사들은 잭 다니엘, 하이네켄, 유니레버와 힐튼이 있었고, 힐튼의 경우는 이미 방송이 나간 후에 감사의 표시로 지불한 것이라고 했다. 하이네켄은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구하려는 클라이언트로 출연을 한다. 또한 광고를 하나만 선보였던 시즌2의 마지막 에피소드 미국 프리미어에서 유일한 광고주이기도 했다. 2007년 6월 20일, Commercial Alert(상업 경보)라는 소비자 권리 운동권 단체는 미국증류주협회에 항의를 했다. 이유는 방송에서 명시적으로 성적인 행동의 묘사와 무책임한 술 중독의 장면을 보여줌으로 매드맨의 스폰서인 잭 다니엘에서 주류 광고 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 잭다니엘은 5 회에서 이름으로 언급되었다. 시즌4에서 6개의 복고풍 광고들을 만들었고 미국에서 드라마 광고시간에 방송되었다. 광고들의 배경은 가상의 광고 에이전시인 스미스 윈터 미첼 광고회사이고 매드맨과 같은 시기로 설정되어 있다. 광고들에서 사용된 제품들은 도브, 브라이어스, 헬만스, 클론다이크, 스와브와 바세린이다. 와이너는 드라마의 예산을 늘려주거나 광고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면 피피엘을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드맨의 경우에 피피엘은 문제가 많은 경험이라고 느꼈다. 하이네켄의 경우에는 하이네켄의 법무부에서 무책임한 주류섭취를 보여주는 모습을 허락할 수 없다고 하였고, 그의 의지와 달리 매드맨의 세트장에서 촬영됐었던 유니레버의 광고들에게 혐오감을 느꼈다고 했다. 이런 문제들로 인해 와이너는 2012년에 매드맨에서 다시는 피피엘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각주[편집] ↑ http://blog.naver.com/episode_min/60156896403 외부 링크[편집] 매드맨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매드맨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매드맨 - TV.com (영어) 매드맨 - TV 가이드 vdeh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부문 최우수 작품상 (1970년~)1970-1999 《마커스 웰비, M.D.》 (1970) 《더 볼드 원스: 더 세네이터》 (1971) 《엘리자베스 R》 (1972) 《월튼네 사람들》 (1973) 《위층, 아래층》 (1974) 《위층, 아래층》 (1975) 《폴리스 스토리》 (1976) 《위층, 아래층》 (1977) 《더 락포드 파일스》 (1978) 《루 그랜트》 (1979) 《루 그랜트》 (1980)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1)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2)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3) 《힐 스트리트 블루스》 (1984) 《캐그니와 레이시》 (1985) 《캐그니와 레이시》 (1986) 《L.A. 로》 (1987) 《서스티섬씽》 (1988) 《L.A. 로》 (1989) 《L.A. 로》 (1990) 《L.A. 로》 (1991) 《알래스카의 빛》 (1992) 《피켓 펜스》 (1993) 《피켓 펜스》 (1994) 《뉴욕경찰 24시》 (1995) 《ER》 (1996) 《로앤오더》 (1997) 《더 프랙티스》 (1998) 《더 프랙티스》 (1999) 2000-현재 《웨스트 윙》 (2000) 《웨스트 윙》 (2001) 《웨스트 윙》 (2002) 《웨스트 윙》 (2003) 《소프라노스》 (2004) 《로스트》 (2005) 《24》 (2006) 《소프라노스》 (2007) 《매드맨》 (2008) 《매드맨》 (2009) 《매드맨》 (2010) 《매드맨》 (2011) 《홈랜드》 (2012) 《브레이킹 배드》 (2013) 《브레이킹 배드》 (2014) 《왕좌의 게임》 (2015) 《왕좌의 게임》 (2016) 《핸드메이즈 테일》 (2017) 《왕좌의 게임》 (2018) vdeh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전자1980년대 데뷔 더 무비 마스터스 1990년대 데뷔 더 로트 리멤버 WENN 2000년대 데뷔 브레이킹 배드 브로큰 트레일 DVD TV 매드맨 무비스 댓 슈크 더 월드 더 프리즈너 슛아웃 2010년대 데뷔 4th and Loud 피드 더 비스트 (2016) 프레익쇼 게임 오브 암즈 헬 온 휠즈 킬링 로 윈터 썬 오너스 매뉴얼 피치 루비콘 스몰 타운 시큐리티 토킹 배드 더 나이트 매니저 턴: 워싱턴스 스파이스 아메리칸 웨스트 (2016) 홀트 앤 캐치 파이어 (2014-2017) 코믹 북 맨 (2012-2018) 현재 방송 중 베터 콜 사울 (2015-) 피어 더 워킹 데드 (2015-) 기킹 아웃 (2016-) 휴먼스 (2015-) 인투 더 배드랜드스 (2015-) 프리처 (2016-) 토킹 데드 (2011-) 토킹 사울 (2016-) 워킹 데드 (2010-) 썬 (2017) 테러 (201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매드맨&oldid=24191604" 분류: 프라임타임 에미상 틀2007년 드라마200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2010년대 미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영어 텔레비전 프로그램AM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뉴욕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직장 연애를 다룬 작품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시리즈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미국 배우 조합상 드라마 시리즈 앙상블 캐스트상 수상작숨은 분류: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팀 호턴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팀 호턴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팀 호턴스 산업 분야 레스토랑 창립 1964년 창립자 팀 호턴 국가 캐나다 본사 소재지 캐나다온타리오주 해밀턴 핵심 인물 폴 하우스 (회장) 제품 원두커피 도넛 아이스 카푸치노 베이글 샌드위치 머핀 매출액 $ 1.482 빌리언 캐나다 달러 (2006년) 종업원 70,000명 (2005년) 웹사이트 팀 호턴스 팀 호턴스(Tim Hortons Inc. TSX: THI, NYSE: THI)는 커피와 도넛을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이다.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설립한 이후 빠르게 캐나다 전역으로 확장하여 현재 캐나다에서 가장 큰 패스트 커피 전문점이다.[1] 목차 1 역사 1.1 팀 호턴스와 론 조이스 2 자선 사업 3 참고 문헌 4 관련 사진 5 함께 보기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팀 호턴스와 론 조이스[편집]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시에 처음으로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출신의 수비수 팀 호턴스가 "Tim Horton Donuts" 이라는 간판이름을 걸고 시작하였다. 이름은 나중에 "Tim Horton's" 이후에 영문, 불문 공용사용하는 캐나다로써 불문 문법에 맞지않은 "'s"를 일반 "s"로 변경하여 "Tim Hortons"로 개칭되었다. 이 프랜차이즈의 본주인은 1949부터 그가 사망한 해인 1974년까지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의 선수인 팀 호튼이었다.[2] 본인의 이름을 딴 "Tim Horton Donuts" 이란 도넛매장 1호점을 개업한 이후에 해밀턴시의 전직 경찰이었던 론 조이스 (Ron Joyce) 만났다. 론 조이스는 1965년 Ottawa Street에 있는 1호점을 관리하게 된다. 1967년에 론 조이스가 두 개의 새로운 도넛매장을 개점한 이후 그는 팀 호튼의 완벽한 사업 파트너가 되었다. 팀 호튼이 사망한 1974년, 론 조이스는 1백만 달러에 호튼 가족으로부터 회사와 회사가 소유한 40개개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론 조이스는 빠르고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시키게 되었고, 1991년에는 500호점을 오픈하게 된다.[3] 이런 적극적인 론 조이스에 의한 Tim Hortons의 공략이 캐나다 내 "커피와 도넛 식당"의 큰 변화를 일으켰으며, 이런 적극적인 사업의 결과로 캐나다는 일인당 도넛 매점의 비율이 세계최고 국가가 되었다.[4] 회사는 원래 "Tim Donut Limited."가 소유였다. 1990년대 "Tim Donut Limited."의 영문 앞글자만 따와서 "The TDL Group Ltd."로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변경으로 도넛사업자라는 인상을 가리고 지속적인 메뉴개발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게 되었다. 초기 개점한 매장의 경우 아직도 회사 로고에 "Tim Horton's"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공식적인 영문표기는 "Tim Hortons"이다. 이는 과거 "'s"가 "s"로 바뀐 것인데, 이는 캐나다의 특유의 영문과 불문을 혼용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1993년 퀘백주의 상표 언어에 대한 법에 의해서 불문법에 존재하지 않는 "'s"를 사용한 "Tim Horton's"는 상호를 "Tim Hortons"로 변경해야만 했다. 이후 이 상호를 전국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자선 사업[편집] 팀 호턴스는 지역 사회의 어린이들을 위해 1달러짜리 스마일 쿠키를 판매한 수익금으로 자선 활동을 펴왔다. 1996년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서 '해밀턴 어린이 병원'의 기금에 스마일 쿠기 수익금을 기부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다. 그 후 스마일 쿠키는 캐나다 전역의 팀 호턴스 매장으로 번졌고, 지역 병원과 여러 자선 단체를 통해 수많은 어린이들을 돕고 있다. 참고 문헌[편집] ↑ "Wendy's confirms Tim Hortons IPO by March", Ottawa Business Journal, 2005년 12월 1일, [1] Archived 2006년 6월 29일 - 웨이백 머신 ↑ “Tim Horton (1930 - 1974)”.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 Kenneth Kidd (케니스 키드) (2006년 3월 26일). “Timbit nation”. 토론토 스타.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 “The unofficial national sugary snack”.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1994년 9월 1일. 2010년 4월 6일에 확인함.  관련 사진[편집] 팀 호턴스 웨이, 해밀턴 팀 호턴스 1호점 디스플레이 케이스, 팀 호턴스 1호점 함께 보기[편집] 웬디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팀 호턴스 팀 호턴스 - 공식 웹사이트 팀 호턴스 공식 역사 HamiltonSpectator.com 2007년 공식1호 매장 방문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팀_호턴스&oldid=22974988" 분류: 토론토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뉴욕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캐나다의 브랜드캐나다의 커피 전문점캐나다의 패스트푸드 체인도넛 전문점1964년 설립된 기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ebuano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08: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최항 (120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항 (120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항(崔沆, 1209년~1257년 5월 17일(윤 4월 2일))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 권신, 정치가이다.[1] 본관은 우봉(牛峯)이다. 초명은 최만전(崔萬全)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법우(法祐)이고 최우의 서자(庶子)이며 최충헌의 손자이다.[1] 처음에 송광사의 중이 되었으나 1248년 아버지의 명으로 환속하여 상호군과 호부상서를 거쳐 추밀원지주사에 올랐다.[1] 뒤에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으며 진평공(晋平公)에 추증되었다. 1249년부터 1257년까지 8년 동안 고려 왕조의 실권을 맡았다. 정순왕후의 외삼촌으로, 누이 최씨의 딸이 원종의 비 정순왕후에 간택되어 다시 왕실의 외척이 되었다. 그러나 그가 죽고 무신정권은 몰락하게 된다. 임익(任翊), 권위(權韙) 등의 문인에게서 글과 예를 배웠다. 목차 1 생애 1.1 서자와 승려 1.2 관료 생활과 집권 1.3 살상과 권력 강화 1.4 몽골과의 외교전 1.5 생애 후반 2 사후 3 가족 관계 4 최항이 등장한 작품 5 평가 6 함께 보기 7 고려사에 최항 편에 실린 사세구 8 참고 9 참고 문헌 생애[편집] 서자와 승려[편집] 최우의 서자로 창기 서련방의 소생이며 최항 본인의 묘지명에 의하면 1209년에 태어났다. 본관은 우봉(牛峯)이며, 처음 이름은 만전(萬全)이라고 불렀다. 처음 송광사에서 형인 만종과 함께 승려가 되어 쌍봉사 주지로 있다가 1248년 고종 35년에 아버지 최우가 병이들자 속세에 돌아와 항으로 개명하였다. 임익(任翊)에게 글을 배우고 권위(權韙)에게 예를 익혔으며, 당시 고려 시대에 부(父)나 조부(祖父)가 관직생활을 했거나 국가에 공훈을 세웠을 경우에 그 자손을 과거에 의하지 않고 특별히 품계를 받을 수 있었던 '음서제도'로 관직에 올랐다. 관료 생활과 집권[편집] 아버지 생전에 좌우위상호군(左右衛上護軍)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냈다. 추밀원 지주사(樞密院 知奏使)가 되어 아버지 최우로부터 가병(家兵) 5백 명을 분양받았다. 1249년 최우가 죽은 뒤에 정권을 인수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승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다가, 이병부상서(吏兵部尙書) 어사대부(御史大夫) 태자빈객(太子賓客)을 거쳐 병부상서가 되어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를 겸하였다. 이어 동서북면을 총괄하는 교정별감(敎定別監)에 취임한다. 살상과 권력 강화[편집] 시기심이 많아 1250년 전추밀원부사(前樞密院副使) 주숙(周肅) 등을 죽였으며, 무고(誣告)를 듣고도 사람을 시켜 조사하지 않고 이를 맹신하였다. 1251년 계모 대씨(大氏)를 독살하고, 그 일당인 추밀원지사(樞密院知事) 민희(閔曦)와 추밀원부사(樞密院副事) 김경손(金慶孫)을 유배지로 가는 도중에 죽였다. 이어 좌승선(左承宣) 최환(崔峘), 장군 김안(金安), 지유(指諭) 정홍유(鄭洪裕) 등을 유배시키고,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안(鄭晏)을 죽였다. 각 주현의 세금을 감하는 한편 여러 도(道)의 구실아치(아전)를 감원하여 인건비를 절약하여 인망을 얻었다. 아버지의 식읍, 진양후(晋陽候)의 봉작, 대장경의 판각과 강도(江都)의 축성과 대묘(大廟) 창건 등의 공을 표창하는 모든 것을 다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처음 아내 최온(崔瑥)의 딸을 버리고 조계전(趙季甸)의 딸을 취하였으며, 조부 최충헌의 초상화를 창복사(昌福寺)에, 아버지 최우의 초상화를 선원사(禪源寺)에 옮기는 데 성대한 의식을 베풀었다. 다른 사람을 헐뜯는 말을 잘 믿어 사사로운 감정으로 무고하는 자에게도 상을 주고 무고를 받은 자는 가차없이 추국하여 엄벌에 처하였다. 그리하여 1250년 음력 3월에는 주숙(周肅)·장군 김효정(金孝靖) 등을 귀양 보내는 도중에 죽였으며, 장군 최종필(崔宗弼), 나주 부사 이균 등을 귀양 보냈다. 몽골과의 외교전[편집] 1252년 몽골의 사신 다가(多可) 등이 들어오는데, 고종이 강화도에서 나와 육지로 올라와 친히 사신을 맞으라고 요구하자 모든 신하들이 다 그대로 시행하기를 결의하였으나, 최항이 홀로 이를 거부하고 대리로 신안공(新安公) 전(佺)을 보내 맞이하게 하였다. 1253년 몽골은 이를 빌미로 야굴(也窟)과 대군을 보내 고려를 침입 하였고, 고종에게 강화에서 환도하기를 독촉하여 침입하자 영녕공(永寧公) 준(綧) 등이 태자를 보내어 몽골군을 무마시키자고 건의하였으나 끝까지 거절하였다. 생애 후반[편집] 몽골에서 강화(江華) 출륙(出陸)을 요구하자 승천부(昇天府)에 신궐(新闕)을 짓고 응하는 것처럼 위장하였으나, 비밀리에 원종에게 주청하여 사신 접견을 강력히 반대했으며, 52년에는 몽골에서 파견된 사신 다가(多可) 등이 왕의 출륙 친영(親迎)을 요구해 오자 왕이 몸이 불편하다는 핑계로 종실인 신안공(新安公) 왕전(王佺)을 보내어 대신 몽골 사신들을 대면하게 하는 등 아버지 최우의 항몽 정책을 계승, 강경책을 썼다. 1256년 제중강민공신(濟衆康民功臣)에 봉해졌으며, 중서령감수국사(中書令監修國史)로 재직 중 1257년 제3대 고려 최씨무신정권의 집권자로 재위 8년,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로 갑자기 사망했다. 사후[편집] 1257년 사후에 ‘진평공’(眞平公)에 추증하였으며, 적자가 없었으므로 송서(宋壻)의 종이 낳은 최의로 후사를 삼았고, 원종 때에 그의 고택을 철거하였으며 그 땅을 집이 없는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었다.[2] 강화도 진강산 일대에 안장되었다 1963년 강화도 강화군 송해면 양오리의 야산에서 최항 묘지석이 발견되고, 그의 묘소 근처로 추정되는 곳에서 발견된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가 출토되었다. 국보 133호로 지정되었다. 그의 묘지명에 의하면 공신호와 관직 시호는 다음과 같다 康民濟世功臣강민제세공신 特進 金紫光祿大夫 守大師 開府儀同三司 中書令 上柱國 上將軍 監修國史 判吏部御史臺事 大子大師 晉平郡 開國公 食邑三千戶 食實封一千戶 贈諡 光正특진 금자광록대부 수대사 개부의동삼사 중서령 상주국 상장군 감수국사 판이부어사대사 대자대사 진평군 개국공 식읍삼천호 식실봉일천호 증시 광정 가족 관계[편집] 증조부: 최원호 증조모: 진강국대부인 유씨부인 종조부: 최충수 대고모: 최씨 내종숙: 박진재 대고모: 최씨 대고부 겸 증외종조부 : 유숙 조부: 최충헌 아버지: 최우 어머니: 정씨 누이 : 최씨 매부 : 김약선 외조카딸 : 정순왕후, 원종의 비, 충렬왕의 어머니 생모 : 서련방(瑞連房) - 창기 출신 형 : 만종(萬宗) - 승려 정실 : 최씨(崔氏) - 최온(崔瑥)의 딸 계실 : 조씨(趙氏) - 조계순(趙季珣)의 딸 첩 : 이름 미상 - 송서(宋壻)의 여종 아들: 최의 첩 : 심경(心鏡) - 최항이 죽은 후 최의의 첩이 됨. 최항이 등장한 작품[편집] 《무신》(MBC, 2012년~2012년, 배우:백도빈) 평가[편집] 집권 초에는 각 지방의 별공(別貢)과 어량(魚梁, 船舶稅)을 면제하고 가렴주구(苛斂誅求)를 일삼던 교정도감(敎定都監)의 수획원(收獲員)들을 소환, 처벌, 해임하여 민심의 지지를 얻었다. 또한 교정별감의 수획원들의 횡포가 크자 안찰사(按察使)에게 그 임무를 맡기는 등 인심을 얻으려고 힘썼으나 점차 사치와 향락을 추구하였다. 또한 무고(誣告)를 맹신하여 여러 사람을 살상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무신정변 최씨 정권 최우 최충헌 정순왕후 고려사에 최항 편에 실린 사세구[편집] 복사꽃 향기는 수천 집을 감쌌는데 비단 휘장 향취는 십 리에 빗겼구나. 난데없는 미친 바람 좋은 자리에 불어와 붉은 꽃잎 마구 몰아 긴 강을 지나가네. 桃花香裏幾千家, 錦幄氤氳十里斜. 無賴狂風吹好事, 亂驅紅雨過長河. 병에 걸려 죽어갈때 쓴 시(사세구 이다). 나라가 어찌되든 자신의 권세를 신나게 즐기다 간 간신의 모습이 드러난다. 고려사 발췌. 참고[편집] ↑ 가 나 다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귀족사회와 무인정권 > 최씨 무인정권 > 최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http://yoksa.aks.ac.kr/jsp/cc/View.jsp?cc10id=C0002526&keywords=%E5%B4%94%E6%81%92%20%E5%B4%94%E6%B2%86%20%EC%B5%9C%ED%95%AD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최씨 무인정권"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임최우 제7대 고려 무신정권의 집권자제3대 고려 최씨무신정권의 집권자1249년 ~ 1257년 후임최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항_(1209년)&oldid=23035873" 분류: 1209년 태어남1257년 죽음고려의 무신고려의 군인고려의 정치인고려의 불교 신자환속한 사람무신정권우봉 최씨한국의 장군한국의 섭정병사한 사람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7일 (토) 0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