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stringlengths
1.09k
136k
금강초롱꽃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초롱꽃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금강초롱꽃 보전 상태 관심필요(LC: least concern)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초롱꽃과 아과: 초롱꽃아과 속: 금강초롱꽃속(Hanabusaya)Nakai 종: 금강초롱꽃(H. asiatica) 학명 Hanabusaya asiatica(Nakai) Nakai 금강초롱꽃(학명: Hanabusaya asiatica)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고유종이다. 금강초롱꽃속(Hanabusaya)은 한국 고유 속 7가지 중 하나이다. 목차 1 이름 2 분포 지역 3 특징 4 습성 5 이용 6 유사종 7 각주 8 외부 링크 이름[편집] 금강초롱꽃속의 학명 Hanabusaya는 조선총독부의 지원을 받아 한반도 식물을 연구하던 일본의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이 과거 초대 조선 공사를 지낸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속명으로 삼은 것이다. 종소명도 발견지인 조선을 반영한 것이 아닌, 아시아산이라는 뜻의 asiatica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금강산 묘길상 부근의 군락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는 등 금강초롱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하나부사야속이라 부르지 않고, 1976년부터 금강산이아(Keumkangsania)속이라고 라틴어 속명을 바꾸어 쓰는데, 학술적으로는 인정받지 못한다.[1] 분포 지역[편집] 경기도의 유명산·화악산·명지산·강원도의 치악산·오대산·설악산·북한의 금강산 등 한국 중부 지방의 높은 산에만 산다.[1] 특징[편집]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높이는 30~90cm로 직립으로 자란다. 잎의 형태를 보면, 근생엽은 밑부분에 달려 있고 비늘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12mm로서 4-6개의 잎이 어긋나기하지만 윗부분의 것은 마디사이가 짧기 때문에 모여나기한 것 같고 난상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으나 윗부분에는 털이 다소 있고 길이 5.5~15cm, 폭 2.5~7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통꽃으로 피며 길이가 4.5~4.8cm, 직경이 2cm로서 연한 자주색 또는 백색(for.alba T.Lee)이고 밑을 향해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2mm, 중앙부의 나비는 1-2mm로서 털이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수술대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8-9mm이고 암술대는 끝에 털이 있으며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말리고, 씨방은 하위이다. 과실은 3실이고, 종자는 많다. 뿌리는 굵게 덩이뿌리를 형성하면서 뻗고 갈라지며, 몇개의 잔뿌리가 뻗어 있다. 초롱꽃속이나 잔대속의 식물들과는 달리 줄기에 나는 잎이 줄기 중앙에 4∼6장씩 모여서 달리므로 구분된다.[1] 습성[편집]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충분한 광을 요한다. 실생으로 번식하며, 고산식물로 15~25℃에서 잘 자라고 환기를 요한다. 이용[편집] 관화식물로 화분식재용이나 화단용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 유사종[편집] 변종 검산초롱꽃(Hanabusaya asiatica var. latisepala)은 평안북도와 함경남도의 심산지역에서 자생한다.[2] 아종에는 흰금강초롱꽃(H. asiatica Nakai for. alba T. Lee)이 있다. 각주[편집] ↑ 가 나 다 현진오 (2007년 9월 8일). “[현진오의 野, 야생화다!] 금강초롱꽃, 외국유래 학명붙은 사연”. 《서울신문》. 2016년 1월 2일에 확인함.  ↑ Kim, Y. D., et al. (1999). Molecular evidence for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Hanabusaya asiatica Nakai (Campanulace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42(2), 168-73. 외부 링크[편집] 국립생물자원관 멸종위기 야생생물 - 금강초롱꽃 환경부 자연생태 라이브러리 동영상관 생물 분류 식별자Hanabusaya asiatica Wd: Q15548104 GBIF: 3166590 iNaturalist: 554569 IPNI: 142532-1 IUCN: 13188466 NCBI: 103032 플랜트 리스트: kew-370509 POWO: urn:lsid:ipni.org:names:142532-1 트로피코스: 5501748 WCSP: 370509 Symphyandra asiatica Wd: Q38608631 GBIF: 3166594 IPNI: 145469-1 트로피코스: 50045232 vdeh한국의 고유종포유류 고라니 멧토끼 제주등줄쥐 조류 노랑부리백로 크낙새 양서류 고리도롱뇽 꼬마도롱뇽 수원청개구리 제주도롱뇽 아무르산개구리 이끼도롱뇽 파충류 부경고사우루스 † 코레아노사우루스 † 코레아케라톱스 † 어류 가시납지리 가는돌고기 각시붕어 감돌고기 금강모치 기름종개 긴몰개 꺽저기 꺽지 꼬치동자개 꾸구리 꾹저구 끄리 낙동납자루 누치 눈동자개 돌마자 돌상어 동사리 됭경모치 드렁허리 모래주사 무태장어 묵납자루 미유기 미호종개 배가사리 부안종개 새코미꾸리 서호납줄갱이 † 섬진자가사리 수수미꾸리 쉬리 어름치 얼룩새코미꾸리 얼룩동사리 여울마자 왕종개 임실납자루 좀수수치 줄납자루 참쉬리 참종개 치리 칼납자루 큰볏말뚝망둥어 큰줄납자루 흰수마자 곤충 가는무늬하루살이 갑옷바퀴 강하루살이 고려소똥풍뎅이 고수귀뚜라미붙이 규산애꽃벌 극동붙이금풍뎅이 금빛하루살이 긴날개중베짱이 긴배자루맵시벌 꼬마측범잠자리 노동귀뚜라미붙이 노랑띠들명나방 동대귀뚜라미붙이 두눈강도래 둥근허리애꽃벌 등줄어리쌕쌔기 모마디뿔개미 뭉퉁강도래 민날개강도래 비단벌레 비룡귀뚜라미붙이 뾰족가슴좁쌀바구미 사슴벌레붙이 산여치 산측범잠자리 서해안모래풍뎅이 소똥구리붙이 알락좀과실파리 엷은털왕사슴벌레 영일모래풍뎅이 오대개미 오대산귀뚜라미붙이 우리여치 운문산반딧불이 원표애보라사슴벌레 제주붉은버섯벌레 제주청날개애메뚜기 조계길쭉먼지벌레 진길쭉먼지벌레 참송장풍뎅이 털보왕사슴벌레 털애꽃벌 톱니땅풍뎅이 팔공산밑들이메뚜기 한강모래풍뎅이 한국모래풍뎅이 한국강도래 한국큰그물강도래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해동길쭉먼지벌레 협각류 고려기수가게거미 고려잔나비거미 관악유령거미 동국땅거미 들갈거미 모가게거미 모산굴뚝거미 목이유령거미 반도굴아기거미 반도비탈거미 백운가게거미 백운비탈가게거미 부채유령거미 삼각굴뚝거미 삼악가게거미 속리가게거미 속리유령거미 왕굴뚝거미 용기가게거미 참구멍응애 팔공가게거미 한국깔때기거미 한국거북이등거미 한국늑대거미 한국땅거미 화엄접시거미 환선굴뚝거미 환선잔나비거미 갑각류 두두럭징거미새우 민손옆새우 연체동물 띠구슬알다슬기 산골조개 참달팽이 환형동물 거진꼬리해삼 파우손모조해삼 식물 구상나무 풍산가문비 문수조릿대 신이대 제주조릿대 수원사시나무 쌍실버들 제주산버들 개수양버들 개족도리풀 섬버들 키버들 큰산버들 병개암나무 너도밤나무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매자나무 모데미풀 꼬리말발도리 양덕고광나무 섬고광나무 고광나무 서울고광나무 금강인가목 섬국수나무 산이스라지 섬벚나무 흑산가시 가시복분자딸기 섬나무딸기 떡조팝나무 긴잎산조팝나무 개느삼 큰꽃땅비싸리 민땅비싸리 해변싸리 솔비나무 좀갈매나무 섬피나무 개염주나무 노각나무 한라산참꽃나무 미선나무 개나리 만리화 산개나리 장수만리화 물들메나무 서울제비꽃 섬새우난초 섬쥐똥나무 숫명다래나무 버들개회나무 오동나무 이노리나무 줄댕강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개나리 구상나무 금강초롱꽃 단양쑥부쟁이 덕우기름나물 할미꽃 분취 강계버들 돌부추 선부추 좀부추 균계 연살색잔나비버섯 동심기계충버섯 † : 절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강초롱꽃&oldid=22999271" 분류: 자동으로 기본명이 추가된 생물 분류 식별자초롱꽃과풀꽃한국의 고유종 식물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spañolSvenska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3일 (화) 0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강혜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혜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혜정 출생 1982년 1월 4일(1982-01-04) (37세)대한민국 인천광역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7년 ~ 현재소속사 씨제스 엔터테인먼트 배우자 타블로자녀 딸 이하루웹사이트 씨제스 엔터테인먼트 강혜정 강혜정(1982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1] 목차 1 학력 2 데뷔 3 결혼과 가족 4 활동 4.1 영화 4.2 드라마 4.3 연극 4.4 더빙 4.5 방송 4.6 라디오 4.7 뮤직비디오 4.8 홍보 대사 4.9 광고 5 수상 내역 6 각주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인천외국어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데뷔[편집] 강혜정은 1997년 하이틴 잡지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2] 1998년 SBS 드라마 《은실이》에서 주인공 은실이를 괴롭히는 이복 언니 "영채 역"을 연기하며, 배우로 데뷔하였다. 2001년 영화 《나비》를 통해 스크린 데뷔를 하였고, 이 영화로 그해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여우 주연상을 수상하였다.[3] 2003년 오디션을 통해 300 대 1의 경쟁을 뚫고 영화 《올드보이》에서 "미도 역"에 발탁되었고,[4][5][6] 제57회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며, 국내외 큰 화제를 모으며, 강혜정은 제24회 청룡 영화상 여우 조연상, 제2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 여우상 등을 수상하며, 차세대 충무로 스타로 인정받았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영화 《쓰리, 몬스터》, 《남극 일기》, 《연애의 목적》, 《도마뱀》, 《허브》 등 에 출연하였으며,[3] 2005년 출연한 《웰컴 투 동막골》이 8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톱배우로 올라섰다.[7] 결혼과 가족[편집] 2008년 말 지인의 소개로 만난 래퍼 타블로와 친분을 쌓았고, 이후 연인관계로 발전하였다. 타블로가 자신이 진행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을 통해 교제사실을 공식인정하였고, 강혜정 또한 미니홈피를 통해 열애사실을 인정하였다.[8][9][10][11][12][13][14] 1년 열애끝에 2009년 10월 26일 결혼식을 올렸다.[15][16] 2010년 5월 2일 외동딸 이하루를 출산하였다.[17][18] 같은해 9월 출산 4개월만에 연극 《프루프》를 통해 연극에 첫 도전하며, 연기활동을 재개하였다. 2012년 11월 6일 방송된 SBS 《힐링캠프 - 기쁘지 아니한가》 남편 타블로 편에 깜짝 출연했다.[19][20] 활동[편집] 영화[편집] 개봉 년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17년 루시드 드림 소현 역 김준성 2014년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정현 역 김성호 2012년 뒷담화:감독이 미쳤어요 이재용 다큐멘터리,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작 2009년 걸프렌즈 송이 역 강석범 우리 집에 왜 왔니 이수강 역 황수아 킬미 서진영 역 양종현 트라이앵글 오성혜 역 지영수 TV 영화,한일 합작프로젝트 '텔레시네마' 웨딩 팰리스 크리스틴 유 2007년 허브 차상은 역 허인무 2006년 도마뱀 아리 역 강지은 2005년 친절한 금자씨 뉴스 앵커 역 박찬욱 우정 출연 웰컴 투 동막골 여일 역 박광현 보이지 않는 물결 노이 역 펜엑 라타나루앙 남극일기 이유진 역 임필성 특별출연 연애의 목적 미술교사 최홍 역 한재림 2004년 쓰리, 몬스터 - 컷 피아니스트 아내 역 박찬욱 한국, 일본, 홍콩 공동 제작 영화 2003년 올드보이 미도 역 2001년 나비 유키 역 문승욱 드라마[편집] 2017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저글러스》 ... 왕정애 역 2014년 MBC 단막극 《드라마 페스티벌 - 내 인생의 혹》 ... 신금지 역 2012년 tvN 월화 미니시리즈 《결혼의 꼼수》 ... 유건희 역 2011년 MBC 월화 미니시리즈 《미스 리플리》 ... 문희주 역 2008년 SBS 수목 드라마스페셜 《온에어》 ... 강혜정 역(특별출연) 2007년 KBS2 월화 미니시리즈 《꽃 찾으러 왔단다》 ... 나하나 역 2003년 인터넷 드라마 《내방네방 - 제1부 '402호 이야기'》 2002년 MBC 청춘시트콤 《논스톱3》 ... 강혜정 역 1999년 MBC 청춘시트콤 《점프》 ... 강혜정 역 1998년 SBS 월화 드라마 《은실이》 ... 장영채 역 연극[편집] 2010년 《프루프》... 캐서린 역 더빙[편집] 2006 애니메이션 《빨간모자의 진실》... 빨간 모자 역 (더빙)[21] 방송[편집] 2013년 ~ 2014년 KBS2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일상및 미션 전달, 돌아왔을때 출연 2012년 SBS 《힐링캠프 - 기쁘지 아니한가》 ※특별출연 2009년 MBC 《황금어장 - 무릎팍도사》 2009년 KBS1 《낭독의 발견》 2009년 KBS2 《해피투게더》 2008년 MBC 《놀러와》 라디오[편집] 2016년 MBC FM4U 《이루마의 골든디스크》 (5일간 임시진행) 2015년 MBC FM4U 《타블로와 꿈꾸는 라디오》 (9일간 임시 진행) 2009년 SBS 파워FM 《송은이 신봉선의 동고동락》 2007년 KBS 쿨FM 《안재욱, 차태현의 미스터 라디오》 뮤직비디오[편집] 2008년 거미 〈거울을 보다가〉 2004년 한영애 〈외로운 가로등〉 ※봉준호 감독 연출 2004년 SG워너비 〈Timeless〉, 〈죽을만큼 사랑했어요〉 2002년 왁스 〈부탁해요〉 2003년 포지션 〈e-sperado〉 1998년 태사자 〈Time〉 홍보 대사[편집] 2012년 《세이브 더 칠드런》 홍보대사 (with 타블로) 광고[편집] 한국 마스타푸드 트윅스(Twix) SG세계물산 옴파로스 ※원빈과 출연 LG카드 (현 신한카드) 매일유업 카페라떼 매일유업 아침에 사과 요구르트 신한금융투자 SMORE CMA ※타블로와 출연 교육부 보건복지부 아이행복카드 ※실제 자녀 이하루와 김소현, 유수영과 공동 출연 수상 내역[편집] 2006년 제43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6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연애의 목적》 2005년 제1회 프리미어 라이징 스타 어워즈 여우주연상[22]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4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26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웰컴 투 동막골》 2005년 제3회 CGV 관객이 뽑은 올해의 영화상 최고의 여자배우상[23] 《올드보이》 2004년 제5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 《올드보이》 2004년 제24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상 《올드보이》 2004년 제4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신인배우상《올드보이》 2003년 제24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올드보이》 2001년 제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여우주연상 《나비》 각주[편집] ↑ 강혜정 - 네이버인물정보 ↑ “스타매력탐방 : 소녀에서 여인까지 팔색조 강혜정”. 스포츠조선. 2005년 8월 11일.  ↑ 가 나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cine2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영화세상 : 올드보이 미도역 강혜정”. 한국일보. 2003년 12월 1일.  ↑ “강혜정 “빨간 립스틱에 입 튀어나온 덕에 ‘올드보이’ 미도 발탁””. 뉴스엔. 2009년 12월 17일.  ↑ “최민식 “강혜정, 올드보이 오디션 진짜 회칼들고 등장””. 뉴스엔. 2012년 2월 7일.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naver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타블로 “강혜정과 만남에 더 좋은 사람 될 것같다” 애틋 사랑고백”. 뉴스엔. 2009년 2월 6일.  ↑ “타블로, "강혜정은 내 천국"… 커플사진 공개 '다정'”. 이데일리. 2009년 9월 2일.  ↑ “강혜정, 타블로와 첫키스 깜짝공개 “볼 뽀뽀, 입술에도 받고싶더라””. 뉴스엔. 2009년 12월 8일.  ↑ “타블로-강혜정 일본서 빗속데이트 “건담 보려고 폭우속 달렸다””. 뉴스엔. 2009년 8월 14일.  ↑ “타블로 "강혜정, 나랑 똑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 노컷뉴스. 2012년 4월 30일.  ↑ “타블로 강혜정과 결혼 발표 “첫눈에 반한 강혜정, 나의 운명”(입장전문)”. 뉴스엔. 2012년 9월 5일.  ↑ “임신 5주 강혜정, 촉망받는 여배우서 타블로 아내까지 ‘여자라서 행복해요’”. 무비조이. 2012년 9월 5일.  ↑ “타블로-강혜정, 철통 보안 속 '비공개 결혼식' 올려”. 마이데일리. 2009년 10월 26일.  ↑ “타블로-강혜정 부부, 영화 같은 결혼식 현장 공개”. 매일경제. 2009년 10월 27일.  ↑ “타블로-강혜정, 2일 첫 딸 출산…"신비로운 기적의 날"”. 이데일리. 2010년 5월 2일.  ↑ “타블로-강혜정 부부, 첫 딸 출산 '너무 행복해~'”. 조이뉴스24. 2010년 5월 2일.  ↑ “‘힐링캠프’ 타블로-강혜정 부부, 딸 하루 양 첫 공개…‘귀요미!’”. 스포츠동아. 2012년 11월 6일.  ↑ “타블로 딸 공개, '누가봐도 타블로-강혜정 딸!' 방송 최초 공개!”. 문화저널21. 2012년 11월 6일.  ↑ “강혜정,"촬영이야, 더빙이야" ; '빨간모자'로 완벽 성우변신”. 마이데일리. 2006년 3월 21일.  ↑ “조승우 강혜정, 프리미어 선정 '한국영화 뉴파워' 선정”. 스타뉴스. 2005년 9월 29일.  ↑ “최민식·강혜정 '2004 관객이 뽑은 최고배우'”. 스타뉴스. 2005년 1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강혜정 미니홈피 - 싸이월드 강혜정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강혜정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강혜정의 수상 목록vdeh대종상 여우조연상 수상자1960년대 한은진 (1962) 황정순 (1963) 최지희 (1964) 윤인자 (1965) 황정순 (1966) 주증녀 (1967) 황정순 (1968) 1970년대 사미자 (1971) 도금봉 (1972) 최인숙 (1973) 도금봉 (1974) 박정자 (1975) 태현실 (1976) 선우용여 (1977) 문정숙 (1978) 정애란 (1979) 1980년대 김신재 (1980) 김형자 (1981) - (1982) 고두심 (1983) 박정자 (1984) 한은진 (1985) 이혜영 (1986) 김형자 (1987) 김지미 (1989) 1990년대 유혜리 (1990) 배종옥 (1991) 이혜영 (1992) 이미연 (1993) 남수정 (1994) 정경순 (1995) 김청 (1996) 정경순 (1997) 이미연 (1999) 2000년대 김여진 (2000) 윤소정 (2001) 방은진 (2002) 송윤아 (2003) 김가연 (2004) 나문희 (2005) 강혜정 (2006) 심혜진 (2007) 김해숙 (2008) 김영애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심은경 (2011) 김해숙 (2012) 장영남 (2013) 김영애 (2014) 김해숙 (2015) 라미란 (2016) 김소진 (2017) 진서연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대한민국 영화대상 여우조연 오지혜 (2002) 윤여정 (2003) 고두심 (2004) 강혜정 (2005) 추자현 (2006) 공효진 (2007) 김지영 (2008) 미개최 (2009) 윤여정 (2010)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 남우 | 신인 여우 2011년 이후 폐지 vdeh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2000년대 전도연 (2000) 이영애 (2001) 배두나 (2002) 문소리 (2003) 강혜정 (2004) 강혜정 (2005) 엄정화 (2006) 예지원 (2007) 김민희 (2008) 김혜자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탕웨이 (2011) 황정민 (2012) 정유미 (2013) - (2014) 김민희 (2015) 손예진 (2016) 한예리 (2017) 이솜 (2018) * 2010년 이후 여우주연상과 여우조연상을 여자연기자상으로 통합대상 |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청룡영화상 여우조연1960년대 최지희 (1963) 황정순 (1964) 황정순 (1965) 조미령 (1966) 한은진 (1967) 황정순 (1969) 1970년대 사미자 (1970) 전계현 (1971) 안인숙 (1972) 최정민 (1973) 1990년대 손숙 (1990) 김보연 (1991) 이혜영 (1992) 김혜선 (1993) 정경순 (1994) 송옥숙 (1995) 조은숙 (1996) 정경순 (1997) 유혜정 (1998) 이미연 (1999) 2000년대 하지원 (2000) 오지혜 (2001) 송윤아 (2002) 강혜정 (2003) 염정아 (2004) 강혜정 (2005) 정유미 (2006) 나문희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김수미 (2011) 문정희 (2012) 라미란 (2013) 김영애 (2014) 전혜진 (2015) 박소담 (2016) 김소진 (2017) 김향기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여우1980년대 - (1980) 나영희 (1981) - (1983) 이보희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최진실 (1991) 이아로 (1992) 오정해 (1993) 박선영 (1994) 이지은 (1995) 이정현 (1996) 이혜은 (1997) 전도연 (1998) 김윤진 (1999) 2000년대 김규리, 박예진, 이영진 (2000) 서주희 (2001) 손예진 (2002) 임수정 (2003) 강혜정 (2004) 정유미 (2005) 한효주 (2006) 박시연 (2007) 서우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이민정 (2010) 유다인 (2011) 김고은 (2012) 정은채 (2013) 임지연 (2014) 권소현 (2015) 정하담 (2016) 최희서 (2017) 김가희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씨제스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회장:백창주 배우남성 곽도원 강홍석 류준열 박성웅 설경구 송새벽 송일국 서장원 이창용 최민식 진혁 정석원 한선천 여성 강혜정 김유리 김혜은 문소리 박주미 류혜영 라미란 정선아 채시라 윤지혜 이레 이청아 황정음 정인선 임세미 홍서영 가수 JYJ(김재중, 김준수,박유천동생박유환) 거미 노을 관련 항목 씨제스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vdehYG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양현석 (회장·총괄 프로듀서) 황보경 (대표이사·사장) 가수현재 소속 그룹 지누션 지누 션 원타임 테디 오진환 송백경 태빈 빅뱅 G-Dragon T.O.P. 태양 대성 악동뮤지션 이찬혁 이수현 WINNER 강승윤 김진우 이승훈 송민호 iKON 김진환 송윤형 BOBBY 김동혁 구준회 정찬우 젝스키스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강성훈 장수원 블랙핑크 지수 제니 로제 리사 트레저 13 방예담 최현석 김준규 윤재혁 하루토 박정우 소정환 하윤빈 마시호 김도영 요시노리 박지훈 아사히 현재 소속 솔로 이은주 페리 이하이 원 CL 박산다라 과거 소속 그룹 킵식스 박동호 심영호 이새영 스위티 안내영 성미현 빅마마 이영현 이지영 신연아 박민혜 XO 전승우 강성민 바운스 강진우 김우근 원티드 김재석 전상환 하동균 서재호 비바소울 Jood Samuel D'low 소울스타 이창근 이승우 이규훈 45RPM 이현배 J-Kwondo 에시리 G.R. 스토니 스컹크 스컬 쿠시 YMGA 마스타 우 디지털 마스터 에픽하이 타블로 DJ 투컷 미쓰라 진 과거 소속 솔로 휘성 거미 렉시 세븐 프라임 레드락 JC지은 공민지 박봄 남태현 싸이 승리 B.I 유닛 · 프로젝트 그룹 무가당 GD&TOP GD X TAEYANG 하이 수현 BOM&HI CL&민지 수펄스 MOBB 배우현재 소속 이수혁 임예진 차승원 정혜영 최지우 장현성 유인나 남주혁 손호준 이성경 갈소원 강동원 김희애 김희정 김새론 황승언 과거 소속 구혜선 박한별 임아람 정성일 허이재 강혜정 양경모 양현모 이종석 프로듀서현재 소속 FUTURE BOUNCE (최필강 a.k.a PK·DEE.P) BIGTONE 강규용 a.k.a Q Rovin 함승천 강욱진 Choice37 Lydia Paek 장석준 a.k.a AiRPLAY 조성확 민연재 과거 소속 용감한 형제 강동철 강흑철 DJ Murf 방송인현재 소속 안영미 과거 소속 유병재 오상진 하이그라운드 타블로(대표) 검정치마 조휴일 밀릭 인크레더블 8 코드쿤스트 이디오테잎 디구루 제제 디알 펀치넬로 오프온오프 영채널 콜드 혁오 오혁 임동건 임현제 이인우 더블랙레이블 테디(대표) 쿠시 자이언티 R.Tee DRESS 서원진 전소미 Joe Rhee 24 Peejay 재규어중사 Bryan Cha$e 오케이션 Seoppoem DJ BOID YGX 승리 (대표) 안다 권현빈 Blue.D PSYG 싸이(대표) 연습생 장한나 조미연 문수아 이채영 지니 박 임수아 박서영 최래성 김종섭 YG케이플러스현재 소속여성 모델 허보미 한혜연 이루영 오혜지 강승현 박예운 지호진 김현희 이승미 정지영 이수진 최영지 김예지 신하영 이성경 최소라 황소희 유은비 정한솔 신해남 이송이 이호정 신현지 지이수 김효정 주희정 이정현 이재이 엄유정 박수진 정유정 이하은 송현민 여연희 황현주 김혜아 현지은 홍효 엄예진 배윤영 엘리스 나딘 박선하 이다정 김수빈 김은선 정소현 윤선아 권지야 최하림 신예민 이연주 김예림 박세진 신혜진 박정민 최정인 전민옥 김세인 윤은화 심소영 안예원 박효린 김설희 최세희 고은비 남성 모델 송재희 김영 최창욱 박병민 이현욱 김필수 박형섭 장기용 변우석 남주혁 주우재 정성중 김보헌 임후석 김종훈 이봄찬 조환 서홍석 맹주호 이후림 김태완 김기범 김태우 이석찬 정용수 강희 박기태 서수원 이규호 박보성 신재혁 이현준 김학수 김성욱 신용국 최한빈 데이비드 권현빈 정의성 김정식 김민종 최연규 방주호 김현진 조효인 강성진 이지석 조성훈 휘황 야마토 코타 칸슈지 타모츠 관련 문서 YG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YG PLUS 하이그라운드의 음반 더블랙레이블의 음반 YGX의 음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9653055 LCCN: no2017032217 ISNI: 0000 0001 1057 4989 GND: 1089557779 SUDOC: 119913143 BNF: cb15003162d (데이터) BNE: XX518288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혜정&oldid=24138884" 분류: 대한민국 영화대상 수상자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인천외국어고등학교 동문1997년 데뷔인천광역시 출신198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YG 엔터테인먼트 소속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Svenska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심기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기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심기섭 대한민국의 제27·28·29대 강원도 강릉시장 임기 1995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전임 권혁신 후임 최명희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44년 10월 21일(1944-10-21) (74세) 출생지 일제 강점기 강원도 강릉 거주지 대한민국 본관 삼척 학력 성균관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 강릉시농업협동조합 조합장 농협중앙회 운영위원 제13대 민주정의당 국회의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강릉시지부 지부장 민주자유당 국책자문위원 민선 제1·2·3대 강릉시장 강릉정보산업진흥원 초대 이사장 정당 민주정의당 → 무소속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한나라당 심기섭(沈起燮, 1944년 10월 21일 ~ , 강원도 강릉시)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기초단체장이었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함께 보기 4 역대 선거 결과 5 각주 6 참고 자료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1957년 강릉경포초등학교 졸업 1960년 강릉중학교 졸업 1963년 강릉상업고등학교 졸업 1971년 성균관대학교 상과대학 학사 1976년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편집] 1982년 ~ 1988년 강릉시농업협동조합 조합장 1985년 ~ 1988년 농협중앙회 운영위원 1988년 ~ 1992년 제13대 민주정의당 국회의원(초선) 1991년 관동문학회 문학상 제정 1993년 ~ 1995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강릉시지부 지부장 1994년 민주자유당 국책자문위원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선 초대(제1대) 강릉시 시장[1] 1997년 ~ 성균관대학교 총동문회 부회장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민선 제2대 강릉시 시장(재선) 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민선 제3대 강릉시 시장(대한민국 최초의 민선 3연선 기초단체장)[1] 2003년 2월 13일 ~ 2006년 3월 30일 강릉정보산업진흥원 초대 이사장(강릉시장 당연직)[2] 함께 보기[편집] 심대평 심완구 심우영 심재홍 심상대 심재민 심재덕 심의조 심춘택 심헌구 심재국 심민 심규언 심영목 심성택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13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13대 민주정의당 34.0% 6,670,494표 전국구 39번 승계 제14대 총선 국회의원(강원 원주시) 14대 무소속 23.29% 16,754표 3위 낙선 제1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7대 (민선 1기) 민주자유당 25.70% 27,031표 1위 제2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8대 (민선 2기) 한나라당 51.70% 50,218표 1위 제3회 지방 선거 강원도 강릉시장 29대 (민선 3기) 한나라당 44.95% 40,557표 1위 10·28 재보궐선거 국회의원(강원 강릉시) 18대 무소속 11.52% 7,883표 3위 낙선 각주[편집] ↑ 가 나 “강릉시청”. 2013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22일에 확인함.  ↑ 디지털강릉문화대전 참고 자료[편집] 심기섭 - 대한민국헌정회 외부 링크[편집] vdeh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의원 전국구 1번 채문식 7번 김동인 13번 이동진 19번 최창윤² 25번 손주환² 31번 김길홍 37번 신영순 2번 윤길중 8번 이광노 14번 이도선 20번 최재욱 26번 이상하 32번 강재섭 38번 도영심 3번 정석모 9번 이윤자 15번 김종기 21번 유기천 27번 김장숙 33번 김정길 39번 심기섭† 4번 강영훈² 10번 이원조 16번 지연태 22번 나창주 28번 양경자 34번 조남옥 40번 안찬희† 5번 이병용 11번 김종곤 17번 박철언 23번 서상목 29번 이상회 35번 이재황 41번 최상진† 6번 박태준 12번 김인기 18번 조경목 24번 박승재 30번 홍세기 36번 임인규 ²사직      †승계 전임권혁신 제27·28·29대 강원도 강릉시장(민선)1995년 7월 1일 ~ 2006년 3월 30일 후임(권한대행)박종혁최명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심기섭&oldid=24110053" 분류: 대한민국의 제13대 국회의원194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강릉시 출신경포초등학교 동문강릉중학교 동문강릉상업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금융인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강릉시장민주정의당한나라당의 정치인삼척 심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21: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광한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한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원 광한루(南原 廣寒樓)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281호 (1963년 1월 21일 지정)수량 1동시대 조선소유 국유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요천로 1447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광한루(廣寒樓)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누각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81호로 지정되었다. 광한루, 광한루원, 남원 목차 1 개요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조선 태조 때 황희가 남원에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처음엔 ‘광통루’(廣通樓)라 불렀다고 한다. ‘광한루’라는 이름은 세종 16년(1434년) 정인지가 고쳐 세운 뒤 "월궁의 광한청허부와 흡사하다"하여 이름을 바꾸었다. 지금 건물은 정유재란 때 불에 탄 것을 인조 16년(1638년) 남원부사 신감에 의하여 다시 지어진 것으로 부속건물은 정조 때 세운 것이다.[1] 전면에는 부사 이상억이 쓴, ‘호남제일루’라는 판액이 걸려 있다. 누각에는 83점의 편액이 있으며, 용성지에 실려 있는 것과 합하면 약 200여 수가 된다. 김종직, 정철, 정인지, 강희맹, 백광훈, 이경여 등의 시가 있다. 또한 광한루는 판소리 춘향가의 주인공인 성춘향과 이몽룡이 만난 곳으로 유명하다. 현재는 광한루원이라는 공원으로 확장되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광한루원 춘향전 각주[편집] ↑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광한루 광한루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광한루원 공식 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누정서울 경회루 낙천정 망원정 보신각 부용정 봉황각 석파정 세검정 아소정 오운정 용양봉저정 용왕정 탑골공원 팔각정 향원정 황학정 부산 노을정 망미루 모연정 세심정 야망정 영가대 하마정 해월정 대구 관수정 동계정 봉무정 소계정 수월루 압로정 이노정 태고정 하목정 하엽정 원호루 인천 연미정 광주 만귀정 만취정 부용정 양과동정 취가정 풍암정 풍영정 호가정 환벽당 대전 백운루 삼매당 옥류각 취백정 울산태화루세종 독락정 경기 금수정 대성원 반구정 보산정 봉황정 사은정 산영루 세심정 애련정 영월루 육괴정 택승정 항미정 화석정 강원 경포대 고석정 금강정 금란정 방해정 소양정 오성정 요선정 운암정 월파정 의상대 자규루 조양루 죽서루 천학정 청간정 학음정 해암정 합강정 해운정 호해정 충북 가학루 관란정 관어대 경호정 금남루 금병헌 금호루 낙건정 독락정 동고정 무농정 봉양정 빙옥정 삼호정 세심정 양신정 여의정 월송정 읍청루 응청각 채하정 청녕각 침강정 탁사정 팔영루 한벽루 한천정 함벽정(영동) 함벽정(청주) 화수루 화수정 충남 공북루 광복루 경이정 노은정 반월루 백화정 사송정 사자루 쌍수정 석송정 수북정 여민루 여하정 영남루 영일루 우화루 원산정 이수정 임리정 진남루 청허정 팔괘정 화암정 전북 고무정 광제정 광한루 구암정 귀래정 낙덕정 만취정 무진정 벽남정 사계정 송정 쌍계정 수덕정 수선루 수운정 쌍벽루 아석정 어은정 어필각 연파정 영광정 영모정 영월정 양요정 오괴정 오리정 운서정 월파정 육모정 자락정 자천대 추천대 취석정 태고정 퇴수정 풍욕정 피향정 학남정 한벽당 한풍루 함벽루 함벽정 전남 거연정 고사정 관어정 광풍각 기영정 기오정 낙민루 남극루 남휘루 남희정 독수정 동백정 만호정 면앙정 명옥헌 물염정 방춘정 방호정 벽류정 부춘정(영암) 부춘정(화순) 사인정 상월정 석문정 세연정 송강정 송석정 식영정(담양) 식영정(무안) 쌍계정 여택정 연계정 영벽정 영보정 영팔정 용호정 운조루 운흥정 자형정 장범루 장암정 장춘정 정수루 죽림정 척서정 청계정 초연정 침계정 침류정 한후정 함허정 호은정 환산정 회사정 회선정 경북 경체정 관가정 귀래정 귀애정 낙강정 뇌풍정 도암정 동계정 만귀정 만세루 만우정(안동) 만우정(청송) 만휴정 망미정 망양정 매학정 모은정 방초정 백운정 벽송정 벽절정 병암정 봉황대 부나원루 분옥정 사미정 산수정 삼괴정 삼귀정 삼휴정 선몽대 소류정 송만정 수봉정 시북정 만취정 야일당 야옹정(봉화) 야옹정(예천) 약천정 영이정 옥간정 월송정 용암정 일신재 일우정 조양각 천운정 청간정 청암정 초간정 침락정 침류정 쾌재정 태고정 포석정 화수루 경남 거연정 건계정 계림정 관수루 관수정 광암정 광풍루 교수정 기양루 농산정 농월정 뇌룡정 망경루 무진정 문암정 벽한정 봉명정 부사정 부용정 비봉루 삼은정 소천정 심소정 쌍계루 수암정 악양루 악양정 연화대 영남루 오연정 완재정 요수정 우곡정 월연정 일원정 정암루 청학루 촉석루 취수정 팔영루 학사루 함벽루 함화루 현산정 호연정 제주 관덕정 연북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한루&oldid=22347538" 분류: 대한민국의 누정전라북도의 보물남원시의 문화재남원시의 건축물조선의 건축물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07: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메이저 영감 2 나폴레옹 3 모세(모지스) 4 스노볼 5 스퀼러 6 프레더릭 7 필킹턴 8 존스 9 복서 10 윔퍼 11 클로버 12 미니무스(미니머스) 13 뮤리엘 14 벤자민 15 몰리 메이저 영감[편집] 메이저 영감(Old Major)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돼지이며, 그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한다. 그는 농장의 모든 동물의 존경을 받았던 늙은 수퇘지였다. 책의 첫부분에 메이저 영감은 농장의 동물들에게 자신이 12년을 살아오면서 겪었던 인간들의 불공평한 지배와 억압에 대해 연설하며 인간에 맞선 혁명을 호소한다. 또한 그는 동물들에게 자신의 꿈꾼 이상적인 세계, 즉 인간이 사라지고 영국이 동물들에 의해 통치되는 세상에 대해 말하며 영국의 짐승들이란 노래를 퍼뜨린다. 그는 사흘 후 잠결에 사망하지만 그의 이상은 동물농장의 모든 동물들에게 퍼져 돼지들 중 특히 나폴레옹과 스노볼을 주축으로 혁명을 위한 준비를 해나간다. 나폴레옹[편집] 나폴레옹(Napoleon)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동물 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독재자 돼지이며 소련의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서기1879년~1953년)을 상징한다. 초기 프랑스판 번역에서는 세자르(율리우스 카이사르)로 번역되었다. 버크셔 돼지로, 생김새가 약간 사나워 보이고 덩치가 크다. 말재주는 없었지만 고집이 세고 모든 일에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의지가 강했다. 그는 메이저 영감(Old Major;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의 동물주의(공산주의) 이론을 스노볼(Snowball; 레프 트로츠키를 상징)과 함께 체계화 시키던 중, 장원 농장(매너 농장, Manor Farm; 농노가 해방되지 않은 제정 러시아를 나타냄)에서 동물의 봉기가 일어났다. 농장주 존스 부부(Mr. and Mrs. Jones;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를 상징)와 일꾼들이 쫓겨나고, 스노볼과 스퀼러(Squealer) 등의 돼지들은 함께 동물 농장을 선포한다. 봉기 이후에 각종 단체를 조직하는 열성적 혁명가 스노볼과는 반대로 그는 비밀리에 블루벨이 낳은 개(비밀 경찰) 9마리를 친위대로 키웠다. 나중에 스노볼과 풍차 건립 문제(경제 개발 문제)를 두고 크게 대립하게 되자, 자신의 친위대인 9마리의 개들로 스노볼을 축출하고 독재자의 자리에 오른다. 집권 3주 후, 그는 풍차를 건립하기로 선언하고 자신이 그동안 금지해 왔던 이웃 농장주와의 거래를 스스로 시작한다. 동시에 그는 자신의 대변인이 된 스퀼러를 통해 동물 농장의 법인 7계명까지 바꾸면서 자신을 정당화시킨다. 그런데 풍차 공사가 절반쯤 진행되었을 때 풍차가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고, 그 후 동물들은 다시 풍차를 건립하고 '나폴레옹 풍차'라고 명명되지만, 풍차의 전투 때 프레더릭 일당에 폭약에 의해 또다시 파괴된다. 그리고 세 번째로 풍차를 건립할 때 복서가 쓰러졌고, 결국 완공되었지만 전기를 생산하지는 못하고 옥수수를 찧는 데 사용하게 된다. 동물 농장은 점점 안정되지만, 돼지들과 개를 제외한 모든 동물은 굶주림에 시달린다. 결국, 나폴레옹과 돼지들은 인간들처럼 두 발로 걷고 옷을 입고 인간을 불러 술자리를 함으로써 동물 농장은 봉기 이전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 되어버린다. 원작자 조지 오웰은 사회주의 좌파 지식인이었으며 봉건주의 나라인 러시아가 민중 봉기인 러시아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으로 탈바꿈 한데 찬성하였다. 러시아 혁명의 최종적 승자인 레닌이 사망하자, 진정한 공산주의자 중의 한명이었던 레프 트로츠키(본명 레프 브론스타인)가 정권을 이어받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오지프(조지프) 스탈린이 정권을 잡고 트로츠키를 해외 추방한데 분개하여 이 소설을 작성하였다. 소설에 나오는 나폴레옹이 스탈린이며 쫓겨난 스노볼이 트로츠키를 의미한다. 나폴레옹은 스노볼이 인간(자본가)들과 결탁하여 배신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로는 나폴레옹 자신이 인간(자본가)들에게 뒷돈을 받는 장면이 묘사되는데 이는 스탈린이 경제난이 극심해져서 정권 유지가 곤란해지자, 영국 자본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군수 산업을 키우는 내용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독일의 히틀러는 이를 간파하고 공산주의(영국 자본가들의 지원을 받는 소련의 스탈린)를 몰락시키지 못하면 유대인의 세상(영국 유대인 자본가들의 세상)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불가침조약을 깨고 독소침공을 감행한다. 모세(모지스)[편집] 모세(Moses)는 존스 씨가 가장 귀여워하는 집까마귀이다. 동물들에게 슈가 캔디 마운틴이라는, 1년 내내 일요일이라 일하지 않아도 되며 천지가 각설탕과 케이크로 널려 있는 나라가 구름 너머 어딘가에 있다고 말했다. 동물들은 모세가 일도 하지 않고 이런 말이나 지껄이는 것이 불쾌했지만, 동물들 중 일부는 슈가 캔디 마운틴이 실존한다고 믿었다. 동물들의 반란으로 존스 씨와 일꾼들, 존스 씨의 부인이 농장에서 쫓겨날 때 존스 씨 일행을 따라 농장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몇 년 후 풍차의 전투가 일어난 후에 돌아와서 슈가 캔디 마운틴 이야기를 계속했고, 자신이 정말 그 나라에 가 봤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정교회를 상징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정교회 수도사인 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스노볼[편집] 스노볼(Snowball)은 쾌활하고 뛰어난 언변가에 여러 가지 재주를 지닌 돼지이며, 돼지들 중에서도 최고의 명필이었다. 7계명도 직접 썼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되기 전 나폴레옹과 공동 대장을 맡았다. 외양간의 전투 때 전략을 짜고 손수 동물들을 지휘하고 작전 명령을 하면서 싸웠다. 존스에게 총 한 발을 등에 맞았는데, 이것은 나중에 나폴레옹의 이빨에 뜯긴 상처였다고 조작되었다. 이 전투에서의 공로로 복서와 함께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다. 풍차 건립 계획을 주장하다가 나폴레옹의 개들에 의해 농장에서 축출되었고, 그 후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 후로도 많이 언급된다. 스탈린에 의해 쫓겨난 레프 트로츠키와 그의 휘하에 있던 혁명가들을 상징한다. 스퀼러[편집] 스퀼러(Squealer)는 나폴레옹의 대변인으로 아주 뛰어난 언변가이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동물들을 설득하고, 과거의 농장 역사를 조작하고 스노볼이 존스 씨의 첩자였다는 등 스노볼의 행적도 조작했다. 나중에 '네발은 좋고 두 발은 나쁘다!'를 외치던 양들을 자작나무 숲으로 데리고 가서 새로운 구호('네발은 좋고 두 발은 더욱 좋다!')를 외치도록 교육했다. 소설 속에서 처음으로 두 발로 걸은 돼지이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또는 '프라우다' 지를 상징한다. 프레더릭[편집] 프레더릭(Priderick)은 소설 동물 농장에 등장하는 몇 안 되는 인간 중 한 명으로, 핀치필드 농장의 농장주이다. 이웃 농장인 폭스우드보다 크기는 작았지만 운영은 잘되었다. 폭스우드의 농장주 필킹턴을 아주 싫어하고 필킹턴도 그를 싫어하여 서로 의견이 일치한 적이 없었다. 나폴레옹에게 위조 지폐를 지불하고 동물 농장의 목재를 몽땅 사간 적도 있다. 풍차 전투 초반에 총을 앞세워 동물들에게 부상을 입혀 후퇴하게 하고 폭약으로 풍차를 파괴시켰다. 그런데 파괴시킨 것이 동물들을 적개심에 차게 하여, 동물 농장 동물들에게 패배했다. 핀치필드는 제3제국(나치 독일)을 상징하고 프레더릭은 총통 아돌프 히틀러를 상징한다. 필킹턴[편집] 필킹턴(Pilkington)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간으로, 동물 농장에 인접해 있는 폭스우드 농장을 소유하고 있다. 필킹턴은 매우 게으른 사람이어서 그의 폭스우드 농장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 필킹턴은 미국의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으로 묘사되며, 그의 농장 폭스우드는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상징한다. 필킹턴은 핀치필드의 농장주인 프레드릭과 철천지 원수이지만 존스가 동물 농장을 탈환하려 할 때 프레드릭과 협조하여 동물 농장에 무장한 일꾼들을 보내 존스를 돕는다. 동물 농장의 나폴레옹과 친하게 지내려 하지만, 나폴레옹이 프레드릭의 꼬임에 넘어가 필킹턴의 목재 구입 의사를 거절하고 그를 적으로 취급하면서 둘의 관계가 악화된다. 후에 동물 농장이 프레드릭의 침공을 받았을 때 나폴레옹으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지만 거절하며 알아서 하라고 한다. 존스[편집] 존스(Mr. Jones)는 조지 오웰의 소설인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물로 제정 러시아의 로마노프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를 상징한다. 소설에서 메이너 농장<니콜라스 2세의 통치하의 러시아를 상징함>의 주인이다. 농장 동물들을 못살게 굴고 학대하고 먹이도 잘 주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축들이 반감을 가져 동물 반란 을 일으키게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메이저 영감의 연설 때 모임에 참석한 농장 동물들이 연설이 끝나고 영국의 짐승들을 합창할 때 존즈 씨는 헛간에 여우가 침입했다고 단정하고 총을 쏘아 모임이 빨리 끝났다. 어느 날 존즈 씨의 부하들이 동물들의 먹이주는 시간을 잘 안지키고 존즈는 부실한 농장 경영과 동물에 대한 나쁜 대우에 메이너 농장 동물들이 반기를 들어 인간무리 일당을 농장 밖으로 내쫓는다. 그 후 존즈는 레드 라이언 술집에 술에 계속 취해있고 반란을 일으킨 동물들을 폄하하였다. 어느날 존즈는 이웃농장 주인들과 그들의 부하를 이끌고 메이너 농장에서 동물 농장<볼셰비키들이 세운 러시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상징함>으로 명칭을 바꾼 농장으로 공격하지만 외양간 전투에서 후퇴하였고 큰 실패와 피해를 받았다. 다시 술집에 잠적하여 알코올 중독자가 되지만 후에 알코올 중독자 수용 시설에서 죽는다. (소설 내용의 첫 중간부터 존즈의 행방이 잘 나오지 않다가 끝 부분에 조금 나온다) 역사적으로 보면 니콜라스 2세는 제정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였다. 황제가에는 매우 부유하고 풍족한 삶을 누렸지만 당시 러시아 백성들은 많이 굶주렸다. 왕가의 사치행위와 부실한 통치<제 1차 세계대전의 참가로 많은 러시아 병사들이 죽었고 식량부족난이 극심하였지만 조치를 취하지 않았거나 무신경 썼다.>로 인해 국민들이 반기를 일으켜 1917년에 3월 혁명으로 차르가 붕괴하였다. 그 후 케렌스키 임시정부가 통치 할때 시베리아의 별장에서 살다가 볼셰비키당의 러시아 장악이후 왕가 모두 총살당하였다. 복서[편집] 복서는 동물 농장에 나오는 말로, 코 밑에 2개의 하얀 줄무늬가 있다. 힘이 말 두세 마리를 합친 정도로 세다. 외양간의 전투에서 용감히 싸워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고 풍차 건설 때 가장 열심히 일했다. 풍차 전투에서 가장 큰 부상을 당했으며 나폴레옹을 믿고 따르며 '나폴레옹은 언제나 옳다'를 좌우명으로 삼기까지 했으나, 결국에는 나폴레옹이 아파서 일을 못한다는 이유로 도축장에 팔아버렸다. 쉽게 세뇌당하고 어리석고 우매한 민중을 상징한다. 윔퍼[편집] 동물농장의 지도자인 나폴레옹이 같이 경쟁한 지도자 스노볼을 추방시킨후 농장 밖의 사람들과 거래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나폴레옹은 농장 밖에 사람들과 거래하는것을 도와주는 중재자인 인간 윔퍼를 고용한다. 윔퍼는 유일하게 사람으로써 동물농장을 드나들수 있다. 허나 동물들은 그를 증오한다. 윔퍼는 소련 때 중진국을 상징한다. 클로버[편집] 나이가 제법 든 암말인데 새끼를 4번이나 낳았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뮤리엘의 도움으로 7계명이 날조되어가는 것을 여러 번 발견하지만, 이상함을 느낄 뿐 날조되었다는 것을 알지는 못했다. 아기 오리 떼에게 울타리를 만들어 주고, 복서가 쓰러졌을 때 약을 먹여 주고, 복서에게 말동무가 되어 주고, 농장에 새로 사들인 말 세 마리에게 이야기를 해 주며 부모 같은 존재가 되어 주는 등 등장인물 중에서 동정과 친절함을 가장 많이 보여주는 동물이고, 복서와 더불어 민중 계급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미니무스(미니머스)[편집] 미니무스(Minimus) 돼지는 지도자 나폴레옹 돼지를 위해 시를 쓰거나 등 문학작품을 짓는다. 미니무스는 시와 노래작곡에 대단한 재주가 있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영국의 짐승들' 부르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다른 노래를 부르게 했는데, 그 대신 부르게 한 노래는 미니무스가 작곡한 것이었다. 미니무스는 작가인 막심 고리키와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를 상징한다. 뮤리엘[편집] 글을 천천히 읽을 줄 아는 늙은 염소이다. 덕분에 신문 조각을 가지고 와 동물들에게 읽어 준다. 클로버에게 날조되어가는 7계명을 여러 번 읽어 주었다. 소설의 마지막에 뮤리엘이 죽는 것은 남아있던 지식인층의 소멸을 상징한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클로버와 마찬가지로 의외로 정이많고 따뜻힌 마음을 가지고 있다 . 벤자민[편집] 농장에서 가장 나이가 많고 성질도 제일 고약하고 성격도 매우 무뚝뚝한 당나귀이다. 그는 속마음으로 복서를 매우 존중하고 존경한다. 벤자민에 얽힌 이야기에 따르면, 벤자민은 소련의 유대인 혹은 냉소적 지식인을 상징한다. 1. 하느님이 파리를 쫓으라고 그에게 꼬리를 달아준다라는 말이지만 자기(벤자민)에게는 차리리 꼬리도 파리도 없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2. '존스 무리를 내쫓고 지금이 더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벤자민은 '당나귀는 오래 산다네. 당나귀 죽은일이 있나?'라고 답변한다. 3. 풍차 전투때 프레드릭이 동물들의 힘들고 정성스럽게 지은 (아직 안에 기계만 없고 겉만 완성됨)풍차에 폭약을 넣을때 오직 동물중들 벤자민만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지 알았다. 4. 풍차재건에 몰두하는 복서가 다쳤을 때 다른 동물보다 유난히 걱정하는 동물이 벤자민이다. 복서가 쓰러졌을 때 동물들이 스퀼러에게 복서가 쓰러졌다고 알리러 스퀼러에게 달려갈 때, 클로버와 함께 복서 곁에 남아서 파리를 쫓아 주었고 나중에 복서가 마구간에서 쉴 때도 파리를 쫓아 주었다. 복서가 말 도살업자한테 팔려가기 직전에 복서와 떠나는것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복서가 팔려나갈때 동물농장의 동물들은 흥분한 벤자민을 처음 보았다고 한다. 복서가 팔려나간후에 벤자민은 우울해졌다. 5. 클로버가 늙어 눈이 나빠져서 헛간 벽에 쓰여졌던 7계명(사실상 1계명)을 못읽어 벤자민에게 읽어주라고 요청했다. 벤자민은 '절대 7계명을 읽지않겠다.'는 그의 신념을 한번만 깨고 읽어주었다. 몰리[편집] 흰 말이며 메이저 영감이 연설할 때 꼴찌로 도착했고 각설탕을 씹고 있었다. 읽기와 쓰기를 배울 때 자기 이름에 들어가는 알파벳 여섯 글자 빼고는 배우지 않았으며 리본을 달고 다닌다. 외양간의 전투가 끝나고 겨울이 오자 몰리는 사라졌는데, 얼마 후 목격자가 나타났고, 그는 몰리가 어떤 술집의 이륜마차를 끄는 일을 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그 후 동물들은 몰리 얘기를 입 밖에 내지 않았다. 몰리는 부르주아, 망명한 귀족(을)를 상징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물_농장의_등장인물&oldid=24454290" 분류: 동물 농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동물 농장의 등장인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목차 1 메이저 영감 2 나폴레옹 3 모세(모지스) 4 스노볼 5 스퀼러 6 프레더릭 7 필킹턴 8 존스 9 복서 10 윔퍼 11 클로버 12 미니무스(미니머스) 13 뮤리엘 14 벤자민 15 몰리 메이저 영감[편집] 메이저 영감(Old Major)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돼지이며, 그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한다. 그는 농장의 모든 동물의 존경을 받았던 늙은 수퇘지였다. 책의 첫부분에 메이저 영감은 농장의 동물들에게 자신이 12년을 살아오면서 겪었던 인간들의 불공평한 지배와 억압에 대해 연설하며 인간에 맞선 혁명을 호소한다. 또한 그는 동물들에게 자신의 꿈꾼 이상적인 세계, 즉 인간이 사라지고 영국이 동물들에 의해 통치되는 세상에 대해 말하며 영국의 짐승들이란 노래를 퍼뜨린다. 그는 사흘 후 잠결에 사망하지만 그의 이상은 동물농장의 모든 동물들에게 퍼져 돼지들 중 특히 나폴레옹과 스노볼을 주축으로 혁명을 위한 준비를 해나간다. 나폴레옹[편집] 나폴레옹(Napoleon)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동물 농장(Animal Farm)에 나오는 독재자 돼지이며 소련의 독재자 이오시프 스탈린(서기1879년~1953년)을 상징한다. 초기 프랑스판 번역에서는 세자르(율리우스 카이사르)로 번역되었다. 버크셔 돼지로, 생김새가 약간 사나워 보이고 덩치가 크다. 말재주는 없었지만 고집이 세고 모든 일에 자신의 뜻을 관철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의지가 강했다. 그는 메이저 영감(Old Major; 블라디미르 레닌을 상징)의 동물주의(공산주의) 이론을 스노볼(Snowball; 레프 트로츠키를 상징)과 함께 체계화 시키던 중, 장원 농장(매너 농장, Manor Farm; 농노가 해방되지 않은 제정 러시아를 나타냄)에서 동물의 봉기가 일어났다. 농장주 존스 부부(Mr. and Mrs. Jones;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를 상징)와 일꾼들이 쫓겨나고, 스노볼과 스퀼러(Squealer) 등의 돼지들은 함께 동물 농장을 선포한다. 봉기 이후에 각종 단체를 조직하는 열성적 혁명가 스노볼과는 반대로 그는 비밀리에 블루벨이 낳은 개(비밀 경찰) 9마리를 친위대로 키웠다. 나중에 스노볼과 풍차 건립 문제(경제 개발 문제)를 두고 크게 대립하게 되자, 자신의 친위대인 9마리의 개들로 스노볼을 축출하고 독재자의 자리에 오른다. 집권 3주 후, 그는 풍차를 건립하기로 선언하고 자신이 그동안 금지해 왔던 이웃 농장주와의 거래를 스스로 시작한다. 동시에 그는 자신의 대변인이 된 스퀼러를 통해 동물 농장의 법인 7계명까지 바꾸면서 자신을 정당화시킨다. 그런데 풍차 공사가 절반쯤 진행되었을 때 풍차가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고, 그 후 동물들은 다시 풍차를 건립하고 '나폴레옹 풍차'라고 명명되지만, 풍차의 전투 때 프레더릭 일당에 폭약에 의해 또다시 파괴된다. 그리고 세 번째로 풍차를 건립할 때 복서가 쓰러졌고, 결국 완공되었지만 전기를 생산하지는 못하고 옥수수를 찧는 데 사용하게 된다. 동물 농장은 점점 안정되지만, 돼지들과 개를 제외한 모든 동물은 굶주림에 시달린다. 결국, 나폴레옹과 돼지들은 인간들처럼 두 발로 걷고 옷을 입고 인간을 불러 술자리를 함으로써 동물 농장은 봉기 이전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 되어버린다. 원작자 조지 오웰은 사회주의 좌파 지식인이었으며 봉건주의 나라인 러시아가 민중 봉기인 러시아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으로 탈바꿈 한데 찬성하였다. 러시아 혁명의 최종적 승자인 레닌이 사망하자, 진정한 공산주의자 중의 한명이었던 레프 트로츠키(본명 레프 브론스타인)가 정권을 이어받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오지프(조지프) 스탈린이 정권을 잡고 트로츠키를 해외 추방한데 분개하여 이 소설을 작성하였다. 소설에 나오는 나폴레옹이 스탈린이며 쫓겨난 스노볼이 트로츠키를 의미한다. 나폴레옹은 스노볼이 인간(자본가)들과 결탁하여 배신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 실제로는 나폴레옹 자신이 인간(자본가)들에게 뒷돈을 받는 장면이 묘사되는데 이는 스탈린이 경제난이 극심해져서 정권 유지가 곤란해지자, 영국 자본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군수 산업을 키우는 내용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독일의 히틀러는 이를 간파하고 공산주의(영국 자본가들의 지원을 받는 소련의 스탈린)를 몰락시키지 못하면 유대인의 세상(영국 유대인 자본가들의 세상)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여 불가침조약을 깨고 독소침공을 감행한다. 모세(모지스)[편집] 모세(Moses)는 존스 씨가 가장 귀여워하는 집까마귀이다. 동물들에게 슈가 캔디 마운틴이라는, 1년 내내 일요일이라 일하지 않아도 되며 천지가 각설탕과 케이크로 널려 있는 나라가 구름 너머 어딘가에 있다고 말했다. 동물들은 모세가 일도 하지 않고 이런 말이나 지껄이는 것이 불쾌했지만, 동물들 중 일부는 슈가 캔디 마운틴이 실존한다고 믿었다. 동물들의 반란으로 존스 씨와 일꾼들, 존스 씨의 부인이 농장에서 쫓겨날 때 존스 씨 일행을 따라 농장에서 사라졌다. 그리고 몇 년 후 풍차의 전투가 일어난 후에 돌아와서 슈가 캔디 마운틴 이야기를 계속했고, 자신이 정말 그 나라에 가 봤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정교회를 상징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정교회 수도사인 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스노볼[편집] 스노볼(Snowball)은 쾌활하고 뛰어난 언변가에 여러 가지 재주를 지닌 돼지이며, 돼지들 중에서도 최고의 명필이었다. 7계명도 직접 썼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되기 전 나폴레옹과 공동 대장을 맡았다. 외양간의 전투 때 전략을 짜고 손수 동물들을 지휘하고 작전 명령을 하면서 싸웠다. 존스에게 총 한 발을 등에 맞았는데, 이것은 나중에 나폴레옹의 이빨에 뜯긴 상처였다고 조작되었다. 이 전투에서의 공로로 복서와 함께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다. 풍차 건립 계획을 주장하다가 나폴레옹의 개들에 의해 농장에서 축출되었고, 그 후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그 후로도 많이 언급된다. 스탈린에 의해 쫓겨난 레프 트로츠키와 그의 휘하에 있던 혁명가들을 상징한다. 스퀼러[편집] 스퀼러(Squealer)는 나폴레옹의 대변인으로 아주 뛰어난 언변가이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동물들을 설득하고, 과거의 농장 역사를 조작하고 스노볼이 존스 씨의 첩자였다는 등 스노볼의 행적도 조작했다. 나중에 '네발은 좋고 두 발은 나쁘다!'를 외치던 양들을 자작나무 숲으로 데리고 가서 새로운 구호('네발은 좋고 두 발은 더욱 좋다!')를 외치도록 교육했다. 소설 속에서 처음으로 두 발로 걸은 돼지이다.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또는 '프라우다' 지를 상징한다. 프레더릭[편집] 프레더릭(Priderick)은 소설 동물 농장에 등장하는 몇 안 되는 인간 중 한 명으로, 핀치필드 농장의 농장주이다. 이웃 농장인 폭스우드보다 크기는 작았지만 운영은 잘되었다. 폭스우드의 농장주 필킹턴을 아주 싫어하고 필킹턴도 그를 싫어하여 서로 의견이 일치한 적이 없었다. 나폴레옹에게 위조 지폐를 지불하고 동물 농장의 목재를 몽땅 사간 적도 있다. 풍차 전투 초반에 총을 앞세워 동물들에게 부상을 입혀 후퇴하게 하고 폭약으로 풍차를 파괴시켰다. 그런데 파괴시킨 것이 동물들을 적개심에 차게 하여, 동물 농장 동물들에게 패배했다. 핀치필드는 제3제국(나치 독일)을 상징하고 프레더릭은 총통 아돌프 히틀러를 상징한다. 필킹턴[편집] 필킹턴(Pilkington)은 조지 오웰(George Owell)의 소설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간으로, 동물 농장에 인접해 있는 폭스우드 농장을 소유하고 있다. 필킹턴은 매우 게으른 사람이어서 그의 폭스우드 농장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 필킹턴은 미국의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 대통령과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으로 묘사되며, 그의 농장 폭스우드는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상징한다. 필킹턴은 핀치필드의 농장주인 프레드릭과 철천지 원수이지만 존스가 동물 농장을 탈환하려 할 때 프레드릭과 협조하여 동물 농장에 무장한 일꾼들을 보내 존스를 돕는다. 동물 농장의 나폴레옹과 친하게 지내려 하지만, 나폴레옹이 프레드릭의 꼬임에 넘어가 필킹턴의 목재 구입 의사를 거절하고 그를 적으로 취급하면서 둘의 관계가 악화된다. 후에 동물 농장이 프레드릭의 침공을 받았을 때 나폴레옹으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지만 거절하며 알아서 하라고 한다. 존스[편집] 존스(Mr. Jones)는 조지 오웰의 소설인 동물 농장에 나오는 인물로 제정 러시아의 로마노프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를 상징한다. 소설에서 메이너 농장<니콜라스 2세의 통치하의 러시아를 상징함>의 주인이다. 농장 동물들을 못살게 굴고 학대하고 먹이도 잘 주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가축들이 반감을 가져 동물 반란 을 일으키게하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메이저 영감의 연설 때 모임에 참석한 농장 동물들이 연설이 끝나고 영국의 짐승들을 합창할 때 존즈 씨는 헛간에 여우가 침입했다고 단정하고 총을 쏘아 모임이 빨리 끝났다. 어느 날 존즈 씨의 부하들이 동물들의 먹이주는 시간을 잘 안지키고 존즈는 부실한 농장 경영과 동물에 대한 나쁜 대우에 메이너 농장 동물들이 반기를 들어 인간무리 일당을 농장 밖으로 내쫓는다. 그 후 존즈는 레드 라이언 술집에 술에 계속 취해있고 반란을 일으킨 동물들을 폄하하였다. 어느날 존즈는 이웃농장 주인들과 그들의 부하를 이끌고 메이너 농장에서 동물 농장<볼셰비키들이 세운 러시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상징함>으로 명칭을 바꾼 농장으로 공격하지만 외양간 전투에서 후퇴하였고 큰 실패와 피해를 받았다. 다시 술집에 잠적하여 알코올 중독자가 되지만 후에 알코올 중독자 수용 시설에서 죽는다. (소설 내용의 첫 중간부터 존즈의 행방이 잘 나오지 않다가 끝 부분에 조금 나온다) 역사적으로 보면 니콜라스 2세는 제정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였다. 황제가에는 매우 부유하고 풍족한 삶을 누렸지만 당시 러시아 백성들은 많이 굶주렸다. 왕가의 사치행위와 부실한 통치<제 1차 세계대전의 참가로 많은 러시아 병사들이 죽었고 식량부족난이 극심하였지만 조치를 취하지 않았거나 무신경 썼다.>로 인해 국민들이 반기를 일으켜 1917년에 3월 혁명으로 차르가 붕괴하였다. 그 후 케렌스키 임시정부가 통치 할때 시베리아의 별장에서 살다가 볼셰비키당의 러시아 장악이후 왕가 모두 총살당하였다. 복서[편집] 복서는 동물 농장에 나오는 말로, 코 밑에 2개의 하얀 줄무늬가 있다. 힘이 말 두세 마리를 합친 정도로 세다. 외양간의 전투에서 용감히 싸워 동물 영웅 1등 훈장을 받았고 풍차 건설 때 가장 열심히 일했다. 풍차 전투에서 가장 큰 부상을 당했으며 나폴레옹을 믿고 따르며 '나폴레옹은 언제나 옳다'를 좌우명으로 삼기까지 했으나, 결국에는 나폴레옹이 아파서 일을 못한다는 이유로 도축장에 팔아버렸다. 쉽게 세뇌당하고 어리석고 우매한 민중을 상징한다. 윔퍼[편집] 동물농장의 지도자인 나폴레옹이 같이 경쟁한 지도자 스노볼을 추방시킨후 농장 밖의 사람들과 거래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나폴레옹은 농장 밖에 사람들과 거래하는것을 도와주는 중재자인 인간 윔퍼를 고용한다. 윔퍼는 유일하게 사람으로써 동물농장을 드나들수 있다. 허나 동물들은 그를 증오한다. 윔퍼는 소련 때 중진국을 상징한다. 클로버[편집] 나이가 제법 든 암말인데 새끼를 4번이나 낳았다. 나폴레옹이 독재자가 된 후 뮤리엘의 도움으로 7계명이 날조되어가는 것을 여러 번 발견하지만, 이상함을 느낄 뿐 날조되었다는 것을 알지는 못했다. 아기 오리 떼에게 울타리를 만들어 주고, 복서가 쓰러졌을 때 약을 먹여 주고, 복서에게 말동무가 되어 주고, 농장에 새로 사들인 말 세 마리에게 이야기를 해 주며 부모 같은 존재가 되어 주는 등 등장인물 중에서 동정과 친절함을 가장 많이 보여주는 동물이고, 복서와 더불어 민중 계급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미니무스(미니머스)[편집] 미니무스(Minimus) 돼지는 지도자 나폴레옹 돼지를 위해 시를 쓰거나 등 문학작품을 짓는다. 미니무스는 시와 노래작곡에 대단한 재주가 있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영국의 짐승들' 부르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다른 노래를 부르게 했는데, 그 대신 부르게 한 노래는 미니무스가 작곡한 것이었다. 미니무스는 작가인 막심 고리키와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를 상징한다. 뮤리엘[편집] 글을 천천히 읽을 줄 아는 늙은 염소이다. 덕분에 신문 조각을 가지고 와 동물들에게 읽어 준다. 클로버에게 날조되어가는 7계명을 여러 번 읽어 주었다. 소설의 마지막에 뮤리엘이 죽는 것은 남아있던 지식인층의 소멸을 상징한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클로버와 마찬가지로 의외로 정이많고 따뜻힌 마음을 가지고 있다 . 벤자민[편집] 농장에서 가장 나이가 많고 성질도 제일 고약하고 성격도 매우 무뚝뚝한 당나귀이다. 그는 속마음으로 복서를 매우 존중하고 존경한다. 벤자민에 얽힌 이야기에 따르면, 벤자민은 소련의 유대인 혹은 냉소적 지식인을 상징한다. 1. 하느님이 파리를 쫓으라고 그에게 꼬리를 달아준다라는 말이지만 자기(벤자민)에게는 차리리 꼬리도 파리도 없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2. '존스 무리를 내쫓고 지금이 더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벤자민은 '당나귀는 오래 산다네. 당나귀 죽은일이 있나?'라고 답변한다. 3. 풍차 전투때 프레드릭이 동물들의 힘들고 정성스럽게 지은 (아직 안에 기계만 없고 겉만 완성됨)풍차에 폭약을 넣을때 오직 동물중들 벤자민만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지 알았다. 4. 풍차재건에 몰두하는 복서가 다쳤을 때 다른 동물보다 유난히 걱정하는 동물이 벤자민이다. 복서가 쓰러졌을 때 동물들이 스퀼러에게 복서가 쓰러졌다고 알리러 스퀼러에게 달려갈 때, 클로버와 함께 복서 곁에 남아서 파리를 쫓아 주었고 나중에 복서가 마구간에서 쉴 때도 파리를 쫓아 주었다. 복서가 말 도살업자한테 팔려가기 직전에 복서와 떠나는것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복서가 팔려나갈때 동물농장의 동물들은 흥분한 벤자민을 처음 보았다고 한다. 복서가 팔려나간후에 벤자민은 우울해졌다. 5. 클로버가 늙어 눈이 나빠져서 헛간 벽에 쓰여졌던 7계명(사실상 1계명)을 못읽어 벤자민에게 읽어주라고 요청했다. 벤자민은 '절대 7계명을 읽지않겠다.'는 그의 신념을 한번만 깨고 읽어주었다. 몰리[편집] 흰 말이며 메이저 영감이 연설할 때 꼴찌로 도착했고 각설탕을 씹고 있었다. 읽기와 쓰기를 배울 때 자기 이름에 들어가는 알파벳 여섯 글자 빼고는 배우지 않았으며 리본을 달고 다닌다. 외양간의 전투가 끝나고 겨울이 오자 몰리는 사라졌는데, 얼마 후 목격자가 나타났고, 그는 몰리가 어떤 술집의 이륜마차를 끄는 일을 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그 후 동물들은 몰리 얘기를 입 밖에 내지 않았다. 몰리는 부르주아, 망명한 귀족(을)를 상징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동물_농장의_등장인물&oldid=24454290" 분류: 동물 농장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갈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갈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갈 서(諸葛 緖, ?~?)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 서진의 정치가며, 제갈충(諸葛 沖)의 아버지이다. 목차 1 생애 2 《삼국지연의》 속 제갈서 3 제갈 서의 친족관계 4 각주 생애[편집] 정원 2년(255년), 관구검의 난을 틈타 동오의 승상 손준이 쳐들어오자, 태산태수로서 연주자사 등애의 지휘를 받아 여장 땅에서 손준 군을 저지했다.[1] 후에 옹주자사가 되어, 263년, 종회, 등애와 함께 촉 정벌전의 대장이 되었다.[1] 등애는 답중에 주둔한 강유를 공격하는 한편, 제갈서는 음평 교두에 주둔하여 강유가 물러나 양안관을 구원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강유가 공함곡으로 빠져나와 북쪽으로 나아가 옹주를 공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 속아 30리나 후퇴하여 강유가 교두를 빠져나와 검각으로 퇴각하는 길을 열어주었다. 뒤늦게 추격했을 때에는 강유가 하루 전에 이미 교두를 나간 뒤였다. 등애가 음평 길로 나아가 강유성을 치려 하자, 이를 따르지 않고 백수관으로 가 종회(鍾會)와 합류했다. 이로 인해 종회의 고발을 받아 군세를 빼앗기고 도읍에 소환되었다. 그 후, 서진 시대에는 태상을 거쳐 위위를 역임하였다.[2] 《삼국지연의》 속 제갈서[편집] 263년, 등애의 부장이 되어 촉 정벌전에 참전하여, 답중에 있는 강유(姜維)의 퇴로를 끊었으나, 영수(甯隨)의 계책으로 검각으로 패퇴하였다. 이에 격노한 종회에게 죽을 뻔하였지만, 등애의 소속이였기 때문에 군세를 빼앗기고 자신은 낙양으로 호송되었다. 제갈 서의 친족관계[편집] 각주[편집] ↑ 가 나 진수, 《삼국지》 권28 왕관구제갈등종전 ↑ 방현령 등, 《진서》 권31 열전 제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갈서&oldid=23898011" 분류: 삼국지 위나라의 인물서진 사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2일 (금) 12: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두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두베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두베 Dubhe 큰곰자리 성도(星圖). 두베(Dubhe)는 그림 중앙에서 약간 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큰곰자리 알파, α UMa, Alpha UMa 플램스티드 명명법 큰곰자리 50 밝은 별 목록 HR 430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95689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5384 소천성표 BD+62°1161 히파르코스 목록 HIP 54061 다른 이름 아크, Ak, CCDM J11037+6145AB, FK5 417, GC 15185, PPM 17705, WDS J11037+6145AB[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큰곰자리 적경(α) 11h 03m 43.67152s[2] 적위(δ) +61° 45′ 03.7249″[2] 겉보기등급(m) 1.79[3] 절대등급(M) –1.10 ± 0.04[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9 km/s[5] 적경 고유운동 –134.11 mas/년[2] 적위 고유운동 –34.70 mas/년[2] 성질 광도 A: 316 L☉[6] 분광형 A: K0 III[6] + B: F0 V[7] U-B 색지수 +0.93[3] B-V 색지수 +1.07[3] 변광성 분류 변광성으로 의심됨.[8] 추가 사항 질량 A: 4.25 / B: ~1.6 M☉[6] 표면온도 A: 4,660 K[9] 중원소 함량 (Fe/H) A: –0.20 ± 0.07[9] 표면 중력 (log g) A: 2.46[9]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두베[10] 또는 큰곰자리 알파(Alpha UMa, α UMa)는 큰곰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 명칭인 '알파'와 달리 별자리에서 가장 밝지는 않다. 목차 1 설명 2 명명법 3 문화 4 각주 설명[편집] 큰곰자리 알파 A와 희미한 짝별 B 두베는 북두칠성의 일원이며 북극성 폴라리스를 향해 나란히 놓여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지구로부터 약 123 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이다.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베는 분광쌍성으로 짝별은 분광형 F0 V의 주계열성이다. 두 별은 평균적으로 약 23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질량중심을 44.4 년에 1회 공전하고 있다.[7] 이외에 주인별로부터 8 분각 떨어진 곳에 F8 분광형, 7 등급 밝기의 분광쌍성이 또 있다. 이 분광쌍성은 '큰곰자리 알파 C'로 불리기도 하나, 두베와는 별도로 HD 95638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7] 두베는 1000분의 1 등급 진폭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지금까지 10 가지의 방사진동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그 주기는 6.4 시간부터 6.4 일 사이이다.[11] 두베는 큰곰자리를 이루는 구성원이기는 하나 큰곰자리 운동성단(우주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별의 무리)에는 속해 있지 않다.[12] 명명법[편집] 큰곰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 방식으로 붙인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에는 두베와 '아크'가 있다. 두베는 아랍어로 곰을 의미하는 단어 '두브'에서 왔다. 이 '두브'는 아랍어 구문 ظهر الدب الاكبر‏ ('자르 아드-두브 알-아크바르', 큰곰의 등)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잘 불리지 않는 이름 '아크'는 '눈'이라는 뜻이다.[13]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취지하에 WGSN(항성명칭심의위원회)을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에서 최초로 발표한 항성명칭 고시문에 두베가 포함되어 정식명칭으로 등재되었다.[15]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두베는 자미원(紫微垣)의 북두(北斗, '북쪽의 국자')에 속해 있다. 북두는 두베, 큰곰자리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의 일곱 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두베의 단독 명칭은 북두일(北斗一, '북두의 첫 번째 별) 또는 천추(天樞)이다.[16] 힌두교인들은 이 별을 '일곱 리쉬' 중 한 명인 '크라투'로 부른다.[13] 문화[편집] 두베는 유타주의 공식 주성(州星)이다.[17] 'USS 두베'는 과거 미국 해군 소속이었던 배의 이름이다.[18] 각주[편집] ↑ “DUBHE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Bibcode:2007A&A...474..653V. arXiv:0708.1752. doi:10.1051/0004-6361:20078357.  ↑ 가 나 다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Carney, Bruce W.; 외. (March 2008), “Rotation and Macroturbulence in Metal-Poor Field Red Giant and Red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3): 892–906, Bibcode:2008AJ....135..892C, arXiv:0711.4984, doi:10.1088/0004-6256/135/3/892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가 나 다 Guenther, D. B.; Demarque, P.;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Kreidl, T. (2000). “Evolutionary Model and Oscillation Frequencies for α Ursae Majoris: A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0 (1): L45–L48. Bibcode:2000ApJ...530L..45G. PMID 10642202. doi:10.1086/312473.  ↑ 가 나 다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가 나 다 McWilliam, Andrew (December 199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urvey of 671 GK giants. I - Stellar atmosphere parameters and abundance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4: 1075–1128, Bibcode:1990ApJS...74.1075M, doi:10.1086/191527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Shupe, D.; Gautier, T. N.; Kreidl, T.; Everett, D. (2000). “The Detection of Multimodal Oscillations on α Ursae Majo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2 (2): L133. Bibcode:2000ApJ...532L.133B. PMID 10715242. arXiv:astro-ph/0002512. doi:10.1086/312573.  ↑ Motz, Lloyd; Nathanson, Carol (1988).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Doubleday. 39쪽. ISBN 978-0385176002.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438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 State of Utah. “Utah State Centennial Star - Dubhe”. 《Utah's Online Library》.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Section Patrol Craft Photo Archive Dubhe (ID 2562)”. 《NavSource Online》.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좌표: 11h 03m 43.7s, +61° 45′ 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두베&oldid=24042647" 분류: 큰곰자리다중성K형 거성F형 주계열성유타주의 상징바이어 천체플램스티드 천체변광성 후보숨은 분류: 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urlanעבריתहिन्दी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ëtzebuerge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두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두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두베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두베 Dubhe 큰곰자리 성도(星圖). 두베(Dubhe)는 그림 중앙에서 약간 위에 있다. 명칭 바이어 명명법 큰곰자리 알파, α UMa, Alpha UMa 플램스티드 명명법 큰곰자리 50 밝은 별 목록 HR 4301 헨리 드레이퍼 목록 HD 95689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SAO 15384 소천성표 BD+62°1161 히파르코스 목록 HIP 54061 다른 이름 아크, Ak, CCDM J11037+6145AB, FK5 417, GC 15185, PPM 17705, WDS J11037+6145AB[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큰곰자리 적경(α) 11h 03m 43.67152s[2] 적위(δ) +61° 45′ 03.7249″[2] 겉보기등급(m) 1.79[3] 절대등급(M) –1.10 ± 0.04[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9 km/s[5] 적경 고유운동 –134.11 mas/년[2] 적위 고유운동 –34.70 mas/년[2] 성질 광도 A: 316 L☉[6] 분광형 A: K0 III[6] + B: F0 V[7] U-B 색지수 +0.93[3] B-V 색지수 +1.07[3] 변광성 분류 변광성으로 의심됨.[8] 추가 사항 질량 A: 4.25 / B: ~1.6 M☉[6] 표면온도 A: 4,660 K[9] 중원소 함량 (Fe/H) A: –0.20 ± 0.07[9] 표면 중력 (log g) A: 2.46[9]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두베[10] 또는 큰곰자리 알파(Alpha UMa, α UMa)는 큰곰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항성이다. 바이어 명명법 명칭인 '알파'와 달리 별자리에서 가장 밝지는 않다. 목차 1 설명 2 명명법 3 문화 4 각주 설명[편집] 큰곰자리 알파 A와 희미한 짝별 B 두베는 북두칠성의 일원이며 북극성 폴라리스를 향해 나란히 놓여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지구로부터 약 123 광년 떨어져 있으며 중심핵에 있는 수소를 소진하여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이다. 맨눈으로 볼 때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사실 두베는 분광쌍성으로 짝별은 분광형 F0 V의 주계열성이다. 두 별은 평균적으로 약 23 천문단위 떨어져 있으며 질량중심을 44.4 년에 1회 공전하고 있다.[7] 이외에 주인별로부터 8 분각 떨어진 곳에 F8 분광형, 7 등급 밝기의 분광쌍성이 또 있다. 이 분광쌍성은 '큰곰자리 알파 C'로 불리기도 하나, 두베와는 별도로 HD 95638 명칭이 부여되어 있다.[7] 두베는 1000분의 1 등급 진폭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지금까지 10 가지의 방사진동 형태가 관측되었으며 그 주기는 6.4 시간부터 6.4 일 사이이다.[11] 두베는 큰곰자리를 이루는 구성원이기는 하나 큰곰자리 운동성단(우주공간에서 같은 움직임을 보여주는 별의 무리)에는 속해 있지 않다.[12] 명명법[편집] 큰곰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 방식으로 붙인 이름이다.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이름에는 두베와 '아크'가 있다. 두베는 아랍어로 곰을 의미하는 단어 '두브'에서 왔다. 이 '두브'는 아랍어 구문 ظهر الدب الاكبر‏ ('자르 아드-두브 알-아크바르', 큰곰의 등)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잘 불리지 않는 이름 '아크'는 '눈'이라는 뜻이다.[13]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하는 취지하에 WGSN(항성명칭심의위원회)을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에서 최초로 발표한 항성명칭 고시문에 두베가 포함되어 정식명칭으로 등재되었다.[15]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두베는 자미원(紫微垣)의 북두(北斗, '북쪽의 국자')에 속해 있다. 북두는 두베, 큰곰자리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제타, 에타의 일곱 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두베의 단독 명칭은 북두일(北斗一, '북두의 첫 번째 별) 또는 천추(天樞)이다.[16] 힌두교인들은 이 별을 '일곱 리쉬' 중 한 명인 '크라투'로 부른다.[13] 문화[편집] 두베는 유타주의 공식 주성(州星)이다.[17] 'USS 두베'는 과거 미국 해군 소속이었던 배의 이름이다.[18] 각주[편집] ↑ “DUBHE -- Spectroscopic binary”, 《SIMBAD》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1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Bibcode:2007A&A...474..653V. arXiv:0708.1752. doi:10.1051/0004-6361:20078357.  ↑ 가 나 다 Johnson, H. L.; 외.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1966CoLPL...4...99J  ↑ Carney, Bruce W.; 외. (March 2008), “Rotation and Macroturbulence in Metal-Poor Field Red Giant and Red Horizontal Branch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3): 892–906, Bibcode:2008AJ....135..892C, arXiv:0711.4984, doi:10.1088/0004-6256/135/3/892  ↑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1953GCRV..C......0W  ↑ 가 나 다 Guenther, D. B.; Demarque, P.;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Kreidl, T. (2000). “Evolutionary Model and Oscillation Frequencies for α Ursae Majoris: A Comparison with Observation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0 (1): L45–L48. Bibcode:2000ApJ...530L..45G. PMID 10642202. doi:10.1086/312473.  ↑ 가 나 다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가 나 다 McWilliam, Andrew (December 1990), “High-resolution spectroscopic survey of 671 GK giants. I - Stellar atmosphere parameters and abundance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4: 1075–1128, Bibcode:1990ApJS...74.1075M, doi:10.1086/191527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Buzasi, D.; Catanzarite, J.; Laher, R.; Conrow, T.; Shupe, D.; Gautier, T. N.; Kreidl, T.; Everett, D. (2000). “The Detection of Multimodal Oscillations on α Ursae Majoris”. 《The Astrophysical Journal》 532 (2): L133. Bibcode:2000ApJ...532L.133B. PMID 10715242. arXiv:astro-ph/0002512. doi:10.1086/312573.  ↑ Motz, Lloyd; Nathanson, Carol (1988).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Doubleday. 39쪽. ISBN 978-0385176002.  ↑ 가 나 Allen, R.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판. New York: Dover Publications Inc. 438쪽. ISBN 0-486-21079-0. 2012년 9월 4일에 확인함.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 State of Utah. “Utah State Centennial Star - Dubhe”. 《Utah's Online Library》.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 “Section Patrol Craft Photo Archive Dubhe (ID 2562)”. 《NavSource Online》. 2018년 2월 14일에 확인함.  좌표: 11h 03m 43.7s, +61° 45′ 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두베&oldid=24042647" 분류: 큰곰자리다중성K형 거성F형 주계열성유타주의 상징바이어 천체플램스티드 천체변광성 후보숨은 분류: 기타 외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urlanעבריתहिन्दी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ëtzebuerge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6일 (화)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장시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시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시 성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江西省 Jiāngxī Shěng 약자: 赣 행정 단위 성 청사소재지 난창 (南昌) 면적 166,900km² (18위)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5,290,000 (13위) 271/km² (16위) 공산당 서기 류치(刘奇) 성장 이롄훙(易炼红) 민족 한족 - 99.7%쉐족 - 0.2% ISO 3166-2 CN-36 시차 UTC+8 웹사이트: www.jiangxi.gov.cn 장시성(강서성, 중국어: 江西省, 병음: Jiāngxī Shěng)은 중화인민공화국 중남부에 있는 성이다. 창강 남쪽에 있으며 성도는 난창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경제 4 행정구역 5 문화 6 관광 7 자매 도시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춘추전국시대에는 주로 초나라의 영역이며, 한나라 때는 양주에 속했다. 오대십국의 시기에는 남당이 홍주를 도읍으로 하여 이것이 남창의 기원이 되었다. 원나라 때는 현대의 장시성 지역에 가까운 강서행성이 성립되었고, 명청 시대도 이것에 준했다. 명대에 경덕진의 도자기가 활발하게 생산되어 해외에까지 수출되었다. 중화민국 때는 강서 남부 산간지대는 마오쩌둥의 정강산 혁명 근거지가 되었고,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임시 정부가 서금에 놓였다. 중국 국민당의 공세에 의해 중국 공산당은 서금을 폐쇄하고 옌안을 목적지로 하는 장정에 나서게 된다. 지리[편집] 중국 중부의 내륙부에 위치해, 북쪽은 후베이성, 안후이 성, 동쪽은 저장성, 푸젠성, 남쪽은 광둥성, 서쪽은 후난성과 접한다. 성 북부는 장강 남해안이 되어, 중국 최대의 담수호인 《포양 호》가 펼쳐진다. 남부는 산지 지형으로, 중국공산당 역사상 유명한 《정강산》도 있다. 경제[편집] 벼농사가 주요 작물이며, 유채와 면화와 같은 환금작물도 재배된다. 장시 성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구리나 텅스텐, 금, 은, 우라늄, 토리움, 탄타룸, 니오비움 등의 매장량이 중국에서도 수위에 있다. 구리 광산이 있는 데싱과 텅스텐 광산이 있는 다유현은 광산으로 유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차 산업이 발달한 장시 성은 주위의 성들과 비교할 때 가난한 성에 해당하며, 이것은 주변의 다른 성들이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성들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장시 성의 기술과 경제의 중심지는 난창이다. 행정구역[편집] 11개의 지급시에 25개의 시직할구, 11개의 현급시와 64개의 현이 있다. 지급시는 다음과 같다. 장시 성의 행정구역 № 이름 한자 병음 면적(Km2) 인구(2010년) 시청소재지 지급시 1 난창 시(남창시) 南昌市 Nánchāng Shì 7432.18 5,042,565 둥후 구 2 징더전 시(경덕진시) 景德镇市 Jǐngdézhèn Shì 5256.23 1,587,477 창장 구 3 핑샹 시(평향시) 萍乡市 Píngxiāng Shì 3823.99 1,854,510 안위안 구 4 주장 시(구강시) 九江市 Jiǔjiāng Shì 18796.79 4,728,763 쉰양 구 5 신위 시(신여시) 新余市 Xīnyú Shì 3177.68 1,138,873 위수이 구 6 잉탄 시(응담시) 鹰潭市 Yīngtán Shì 3556.74 1,124,906 웨후 구 7 간저우 시(감주시) 赣州市 Gànzhōu Shì 39317.14 8,368,440 장궁 구 8 지안 시(길안시) 吉安市 Jí'ān Shì 25283.80 4,810,340 지저우 구 9 이춘 시(의춘시) 宜春市 Yíchūn Shì 18637.67 5,419,575 위안저우 구 10 푸저우 시(무주시) 抚州市 Fǔzhōu Shì 18811.12 3,912,312 린촨 구 11 상라오 시(상요시) 上饶市 Shàngráo Shì 22826.04 6,579,714 신저우 구 문화[편집] 징더전의 도자기 공예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도자기로 유명한 징더전이 있다. 장시 성은 역사 이래로 선종의 중심지였고, 하카 건축의 뛰어난 예를 발견할 수 있는 곳이다. 다른 지방에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장시의 요리도 풍부하고 특징적이다. 향이 중국 내에서도 강한 편에 속하며, 매운 고추와 피클 등의 강한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 장시 성 북쪽 3분의 2는 간어의 사용자가 집중된 지역이다. 난창화, 이춘화, 지안화가 이에 포함된다. 성 남쪽 3분의 1은 하카어를 사용한다. 또한 성 북쪽 경계를 따라 만다린어, 후이저우어, 우어가 사용된다. 간주는 중국 희곡의 하나로 장시 성에서 행해지는 독특한 문화이다. 장시성은 오랫동안 불교 선종의 역사적 중심지였으며, 하카 건축의 빼어난 예가 많다. 관광[편집] 루샨 국립공원 지우장 시의 북쪽 항 근처는 루 산의 리조트 지역으로 유명하다. 또한 시 근처의 둥린 사와 티에푸 사는 주요 불교 사원이다. 루 산 (庐山 려산) - 세계자연유산 산칭 산 (三清山 삼청산) - 세계자연유산 둥린 사 (东林寺 동림사) 티에푸 사 (铁佛寺 철불사) 룽후 산 (龙虎山 용호산) 자매 도시[편집] 필리핀 보홀 주 미국 켄터키주 브라질 마투그로수두술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장시성 (중국어) 공식 홈페이지 vdeh장시성의 행정구역 성도: 난창시 난창시 둥후구 시후구 칭윈푸구 완리구 칭산후구 신젠구 난창현 진셴현 안이현 징더전시 주산구 창장구 러핑시 푸량현 핑샹시 안위안구 샹둥구 롄화현 상리현 루시현 주장시 쉰양구 롄시구 차이쌍구 뤼창시 궁칭청시 루산시 우닝현 펑쩌현 융슈현 슈수이현 후커우현 더안현 두창현 신위시 위수이구 펀이현 잉탄시 웨후구 위장구 구이시시 간저우시 장궁구 난캉구 간셴구 루이진시 스청현 안위안현 닝두현 쉰우현 싱궈현 딩난현 상유현 위두현 룽난현 충이현 신펑현 취안난현 다위현 후이창현 지안시 지저우구 칭위안구 징강산시 지안현 융펑현 융신현 신간현 타이허현 샤장현 쑤이촨현 안푸현 지수이현 완안현 이춘시 위안저우구 펑청시 장수시 가오안시 퉁구현 징안현 이펑현 펑신현 완짜이현 상가오현 푸저우시 린촨구 둥샹구 난펑현 러안현 진시현 난청현 쯔시현 이황현 광창현 리촨현 충런현 상라오시 신저우구 광펑구 더싱시 상라오현 포양현 우위안현 옌산현 위간현 헝펑현 이양현 위산현 완녠현 vdeh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성 간쑤성 광둥성 구이저우성 랴오닝성 산둥성 산시성 (산서성) 산시성 (섬서성) 쓰촨성 안후이성 윈난성 장시성 장쑤성 저장성 지린성 칭하이성 푸젠성 하이난성 허난성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후난성 후베이성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직할시 베이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톈진시 특별행정구 마카오 홍콩 타이완성(현재는 분리된 타이베이, 가오슝,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시 포함)과 푸젠성 일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실효 통치 지역이 아니며 중화민국의 영토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39032961 LCCN: n79128971 GND: 4110252-6 BNF: cb12066284j (데이터) NDL: 00777888 NKC: ge88462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시성&oldid=24421128" 분류: 장시성숨은 분류: 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Gaeilge贛語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ongo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Kapampang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吴语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17: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강하엽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하엽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2월) 크레타 침공 당시 낙하산강착 강하엽병(降下獵兵, 독일어: Fallschirmjäger 팔쉬름예거[*])는 독일에서의 공수부대의 명칭이다. 원어인 팔쉬름(Fallschirm)은 낙하산, 예거(jäger)는 엽병(경보병)을 의미하며 독일어에서는 자국 이외의 공수부대도 "팔쉬름예거"라고 부른다. 나치 독일의 팔쉬름예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최초로 대규모 강하작전을 실시한 부대이며 대규모 강하작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된 대전중기 이후는 정예보병부대로서 활약했다. 사령관은 크루트 슈투덴트로 이 부대가 존재했던 기간 내내 역임하였다. 영연방이나 미국의 공수부대와는 달리 독일의 팔시름예거는 일부 예외를 빼곤 육군이 아닌 공군소속관할이었다. 목차 1 역사 2 작전 3 장비 4 목록 4.1 독일 국방군 4.1.1 공군 4.1.1.1 대규모부대 4.1.1.2 사단 4.1.1.3 여단 및 연대 4.1.2 그 외 부대 4.1.2.1 무장친위대SS 4.1.2.2 육군 5 참고 자료 역사[편집] 독일군 최초의 공수부대는 1936년 1월 2일에 결정되었다.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의 괴링연대 제1대대에서 모집한 24명의 훈련생이 그들이었다. 이들은 3월에 슈텐달에서 공군이 개설한 낙하산 강하 훈련 학교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1936년 10월에는 중낙하산 보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의 편제가 결정되었고 1937년부터 공군시설을 빌려 훈련을 개시했다. 이 부대는 1938년 6월 1일부로 대대로 증강되었는데 1939년 1월 1일을 기해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제1팔쉬름예거 연대 제2대대로 나뉘었다. 개전초기엔 몇 개 대대뿐이던 병력은 그 후 3개 팔슈름야거 연대에 지원화기 및 항공기를 추가하여 사단규모까지 확대하였다. 이것이 제7항공사단(제1팔쉬름예거사단의 전신)이다. 1940년 4월 9일 강하엽병 부대는 덴마크 침공에서 최초로 강하작전을 실시했다. 이들은 이른 아침 올보르공항을 공격, 점령했다. 이 공항은 이후 노르웨이 침공에서 독일 공군의 연료보급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또 이 공격에서 올보르 주변의 다리 여러곳을 점거하였다. 이날은 마스네도 요새공격 등 덴마크 내 여러곳에서 강하작전이 펼쳐졌다. 적과의 교전이 있던 최초의 공수공격은 베젤 연습작전 초기 노르웨이 스타방에르 인근의 솔라공항을 탈취한 때이다. 이에 이은 노르웨이전에서는 강하엽병 최초의 패배도 있었다. 1940년 4월 14일 1개 중대가 돔바스의 마을과 철도접합점에 강하, 노르웨이 공군에 의해 격파되었다. 이후엔 제7항공사단의 강하엽병이 재편성되어 새로운 공군엘리트 보병사단군의 중심이 되었다. 이들 사단에는 제1강하엽병 사단에서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다. 각 사단은 기계화보병사단으로서의 편성과 장비를 제공받았고 서부전선에서 때때로(적공세에 대한) 「소방부대」역할을 맡는 경우가 있었다. 그 구성부대는 전장에선 사단에서 분리된 임시전투단 편성으로 있거나 머릿수만 채운 부대나 장비로 편성되는 일도 있었다. 이들 부대는 독일군의 관습대로, 이를테면 프랑스전 때의 ‘에르트만 집단’, 북아프리카의 람케 강하엽병 여단(Fallschirmjäger-Brigade Ramcke)같이 지휘관의 이름으로 불렀다. 1944년 중기 이후 강하엽병은 전황변화로 인해 강하훈련을 시행하지 않게 되었지만 일종의 경칭으로서 ‘강하엽병’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대전말기의 팔쉬름예거 사단은 12개 이상으로 늘었고 신설사단에선 훈련부족으로 질이 떨어져있었다. 이들 사단 중 제9강하엽병사단은 제2차 대전중에 독일에서 창설된 마지막 강하엽병 사단이었다. 이 사단은 1945년 4월 베를린 전투 중 괴멸되었다. 또한 같은 공군소속이라도 이들 강하엽병 사단과 독일공군야전사단은 별개였다. 야전사단은 독일공군의 잉여병력으로 창설된 편성, 운용 모두 빈약한 경보병사단이었다. 54,449명 이상의 강하엽병이 전사했으며 8000명 이상이 행방 불명되었다. 작전[편집] 강하엽병은 1940년의 강하작전에서 에반에말 요새의 점령, 북유럽침공에서의 강하작전, 1944년의 몬테카시노 전투,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의 카랑탕 방위전(TV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묘사되어있다.) 등 많은 격전지에 참전하였다. 강하엽병의 가장 유명한 강하작전은 1941년 크레타 전투이다. 제7항공사단의 거의 대부분이 투입된 이 작전은 당초부터 차질이 있어서 강하 중이나 착지직후에 공격을 받아 전사하는 병사가 줄을 이었다. 또 당시엔 소총이나 기관총 등 부피가 큰 장비는 컨테이너에 넣어서 투하했는데 병사와 한참 떨어진 위치에 투하되어 회수할 때까지 권총이나 수류탄으로만 싸워야하는 처지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비행장을 점거하고 나서야 수송기로 제5산악엽병사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격전 끝에 어떻게든 크레타섬을 점령했지만 강하엽병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를 본 히틀러는 이런 종류의 대규모 강하작전은 성공가망이 희박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작전에선 강하 이전의 기습효과를 잃고 있었으며 이를 잃지 않았다면 피해를 줄일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연합군도 대규모 강하작전을 할 때마다 손해가 늘어났기에 대전말기에는 비슷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1943년 12월 20일부터 28일에 걸쳐 제1팔쉬름예거 사단 3연대 3대대는 이탈리아 오르토나 전투에 참가하였다. 몬테카시노 전투 중 제1강하엽병사단은 일반 보병으로서 행동하였다. 추축국이 건물을 이용할 위험이 있기에 연합군이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폭격으로 파괴한 결과 이 잔해는 공교롭게도 깨진 바위조각으로 만들어진 견고한 요새처럼 되었고 그 때문에 남은 팔쉬름예거는 거듭되는 돌격이나 엄청난 포격에도 끈질기게 버티며 수 개월간 전투를 지속할 수 있었다. 연합군은 팔쉬름예거의 굳건한 수비에 대해 ‘녹색 악마’라는 별명을 붙였고 그들이 측면으로부터 포위될 위험성 때문에 철수한 후에서야 폴란드군과 프랑스령 모로코부대가 수도원터를 점령할 수 있었다. 장비[편집] 일반적인 독일군 헬멧(우측)과 팔시름예거 헬멧(좌측 뒤) 강하엽병의 장비는 보통의 경우 매우 양호했으며 독일군에서도 가장 우수한 무기를 지급받았다. 이들은 전자동사격이 가능한 자동소총이나 무반동포, 겔릭포를 실전에서 사용한 최초의 부대이다. 또 강하엽병에게는 독일군의 근대화된 헬멧 ‘슈탈헬름 M1935’을 기초로한 전용헬멧이 지급되었다. 강하 중에 낙하산줄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외형은 표준헬멧에서 전방의 차양과 측면에서부터 후면까지의 굴곡을 축소한 형상이 되었고 가죽제 안쪽머리받이나 턱끈도 전용구조로 변경하였다. 강하엽병이 사용한 낙하산은 캐노피가 연합군 것처럼 양쪽어깨 부분에서 하네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등 중앙의 끈 하나로 연결된 방식이기 때문에 강착자는 하강 중에 자세제어를 거의 할 수 없었으며 또 비행기에서 앞으로 펼친 자세로 뛰어내려야만 했다. 게다가 무릎과 팔꿈치로만 착지하기 때문에 패드를 장착하고 있어도 부상율은 현저히 높았다.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장비의 수도 적었으며 권총집에 넣은 권총 한 정과 수류탄, 짧은 대검 정도였다. 소총, 기타 무기는 병사와는 별도로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투하했기 때문에 회수할 때까지는 빈약한 무장 상태였다. 이에 반해 대전 중기 이후에 실전투입된 연합군 공수부대는 케이스에 넣은 소총이나 기관단총을 휴대하고 강하했다. 일본군의 낙하산부대도 팔렘방의 강하작전에서 무장컨테이너를 회수할 때까지 경장비로 전투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일본군 낙하산부대도 나중에 기관단총이나 분할식소총을 장비했다. FG42를 겨누고 있는 병사 이 장비문제에 대하여 헤르만 괴링은 소총, 기관단총, 경기관총의 기능을 통일한, 게다가 경량이며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범용무기의 개발을 지시했고, FG42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1943년부터 종전까지 소수가 제조, 배치되었다. 목록[편집] 독일 국방군[편집] 공군[편집] 대규모부대[편집] 제1강하엽병군 (Erste Fallschirmjägerarmee) 제1강하엽병군단(I. Fallschirmjägerkorps) 제2강하엽병군단II. Fallschirmjägerkorps) 사단[편집] 제1강하엽병사단(1.Fallschirmjägerdivision) 제2강하엽병사단(2.Fallschirmjägerdivision) 제3강하엽병사단(3.Fallschirmjägerdivision) 제4강하엽병사단(4.Fallschirmjägerdivision) 이탈리아군 공수사단에서 많은 병사가 추가되었다. 제5강하엽병사단5.Fallschirmjägerdivision) 제6강하엽병사단(6.Fallschirmjägerdivision) 제7강하엽병사단(7.Fallschirmjägerdivision) 제8강하엽병사단(8.Fallschirmjägerdivision) 제9강하엽병사단(9.Fallschirmjägerdivision) 제10강하엽병사단(10.Fallschirmjägerdivision) 제11강하엽병사단(1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0강하엽병사단(20.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1강하엽병사단(2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강하엽병 훈련보충사단(Fallschirmjäger-Ausbildungs-und-Ersatz-Division) 여단 및 연대[편집] 람케 강하엽병여단 강습돌격연대 (Luftlande-Sturmregiment) 제1, 2, 3, 4 대대로 편성 바렌틴 연대 (Luftwaffen-Regiment Barenthin) 타부대에서 소집된 병사로 구성 강하 돌격포 여단 3호 돌격포 및 4호 돌격포를 장비한 돌격포 부대 제11 강하돌격포 여단(Luftwaffen-Regiment Barenthin XI) 제12 강하돌격포 여단(Fallschirm-Sturmgeschütz-Brigade XII) 교도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Lehrregiment) 강하엽병연대 z.b.V(Fallschirmjäger-Regiment z.b.V) 휘브너 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Regiment Hübner) 그 외 부대[편집] 무장친위대SS[편집] 제500 SS 강하엽병대대(5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제600 SS 강하엽병대대(6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육군[편집] 중강하엽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 브란덴부르크 연대(Brandenburg-Regiment) 제22 강습보병사단(22.Luftlande-Infanterie-Division) 제91 강습보병사단(91.Luftlande-Infanterie-Division) 참고 자료[편집] 《알기쉬운 제2차 세계대전사 5》 이대영 저 - 호비스트 출판 돔바스 전투에서의 팔슈름야거 미국 전략전술보고 제2차대전에서의 팔슈름야거 Report vdeh 강하엽병 제부대의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헤르베르트 아프라티스 하인츠 파울 아돌프 구스타프 알트만 헬무트 아르프케 요제프 바르메틀러 카를하인츠 베커(곡엽) 에리히 바이네 카를 베르거 헤르베르트 바이어 에른스트 블라우엔슈타이너 볼프강 폰 블뤼허 백작 루돌프 뵐라인 루돌프 뵈흐믈러 브루노 브레우어 만프레트 뷔트너? 게오르크 르쿨트르 에곤 델리카 루돌프 돈트 라인하르트 카를 에거(곡엽) 요한 엥겔하르트 볼프강 에르트만 베르너 에발트 페르디난트 폴틴 헤르베르트 프리스 에른스트 프뢰밍 빌헬름 풀다 로베르트 가슈트 알프레트 겐츠 발터 게리케(곡엽) 에른스트 게르머 지크프리트 게르슈트너 헬무트 구스타프 괴르츠 프란츠 그라스멜(곡엽) 쿠르트 그뢰슈케(곡엽) 안드레아스 하글 라이노 하머 프리드리히 하우버 리하르트 하이드리히(곡엽검) 루트비히 하일만(곡엽검) 에리히 헬만 하리 헤어만 막스 헤르츠바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데어 하이테 남작(곡엽) 요하네스마티아스 횐샤이트 에두아르트 게오르크 휘프너 게오르크 루페르트 야코프 롤프 카를 에른스트 예거 박사 지크프리트 얌로프스키 빌헬름 켐프케 호르스트 케르핀 헬무트 케루트 카를 코흐 발터 코흐 빌리 코흐 루돌프 크라트체르트 하인츠 크링크 한스 크로흐(곡엽검) 마르틴 퀴흐네 루돌프 쿠르츠 카를 랑게마이어 박사 에리히 레프코프스키 발터 리빙 롤프 마거 요하네스 마르숄레크 오이겐 마인들(곡엽검?) 요아힘 마이스너 오토 멩게스 게르하르트 메르틴스 하인츠 마이어(곡엽) 베르너 밀히 박사 게르트 미슈케 카를 노이호프 하인리히 노이만 하인리히 오르트 후고 파울 헤르베르트 파이트슈 에리히 피트촌카(곡엽) 프리츠 프라거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곡엽검금강석) 지크프리트 라멜트 에른스트 빌리 라프레거 아돌프 라이닝하우스 파울에른스트 레니슈 루돌프 레네케(곡엽) 헬무트 링글러 아르놀트 폰 론 발터 잔데르 브루노 자센 게르하르트 샤흐트 마르틴 셰흐터 리하르트 슈임프 호르스트 슈임프케 게르하르트 슈이르머(곡엽) 알프레트 슐렘 헤르베르트 슈미트 레온하르트 슈미트? 카를로타르 슐츠(곡엽) 에리히 슈스터 알프레트 슈바르츠만 귄터 젬페르트 후베르트 슈니어스 알베르트 슈테켄 에트가어 슈텐트츨러 쿠르트 슈테파니 귄터 슈트라에흘러포흘 쿠르트 슈투덴트(곡엽) 알프레트 슈투름 카를 슈테판 타네르트 한슷 토이젠 코르트 티톈 에리히 팀 루돌프 토스흐카 호르스트 트레베스 하인리히 트레트너(곡엽) 헤르베르트 트로트츠 알렉산더 울리히 쿠르트 베트 피크토어 피탈리? 헬무트 바그너 에리히 발터(곡엽검) 프리드리히빌헬름 방게린 하인리히 벨슈코프 발터 베르너 한스카를 비티히 루돌프 비트치히(곡엽) 힐마르 차흔 오토 지라흐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하엽병&oldid=22730091" 분류: 독일의 공수 부대 및 조직낙하산병독일어 낱말루프트바페독일의 특수부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9일 (화) 0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강하엽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하엽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2월) 크레타 침공 당시 낙하산강착 강하엽병(降下獵兵, 독일어: Fallschirmjäger 팔쉬름예거[*])는 독일에서의 공수부대의 명칭이다. 원어인 팔쉬름(Fallschirm)은 낙하산, 예거(jäger)는 엽병(경보병)을 의미하며 독일어에서는 자국 이외의 공수부대도 "팔쉬름예거"라고 부른다. 나치 독일의 팔쉬름예거는 제2차 세계 대전 최초로 대규모 강하작전을 실시한 부대이며 대규모 강하작전을 수행할 수 없게 된 대전중기 이후는 정예보병부대로서 활약했다. 사령관은 크루트 슈투덴트로 이 부대가 존재했던 기간 내내 역임하였다. 영연방이나 미국의 공수부대와는 달리 독일의 팔시름예거는 일부 예외를 빼곤 육군이 아닌 공군소속관할이었다. 목차 1 역사 2 작전 3 장비 4 목록 4.1 독일 국방군 4.1.1 공군 4.1.1.1 대규모부대 4.1.1.2 사단 4.1.1.3 여단 및 연대 4.1.2 그 외 부대 4.1.2.1 무장친위대SS 4.1.2.2 육군 5 참고 자료 역사[편집] 독일군 최초의 공수부대는 1936년 1월 2일에 결정되었다.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의 괴링연대 제1대대에서 모집한 24명의 훈련생이 그들이었다. 이들은 3월에 슈텐달에서 공군이 개설한 낙하산 강하 훈련 학교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1936년 10월에는 중낙하산 보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의 편제가 결정되었고 1937년부터 공군시설을 빌려 훈련을 개시했다. 이 부대는 1938년 6월 1일부로 대대로 증강되었는데 1939년 1월 1일을 기해 공군으로 이관되었고 제1팔쉬름예거 연대 제2대대로 나뉘었다. 개전초기엔 몇 개 대대뿐이던 병력은 그 후 3개 팔슈름야거 연대에 지원화기 및 항공기를 추가하여 사단규모까지 확대하였다. 이것이 제7항공사단(제1팔쉬름예거사단의 전신)이다. 1940년 4월 9일 강하엽병 부대는 덴마크 침공에서 최초로 강하작전을 실시했다. 이들은 이른 아침 올보르공항을 공격, 점령했다. 이 공항은 이후 노르웨이 침공에서 독일 공군의 연료보급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또 이 공격에서 올보르 주변의 다리 여러곳을 점거하였다. 이날은 마스네도 요새공격 등 덴마크 내 여러곳에서 강하작전이 펼쳐졌다. 적과의 교전이 있던 최초의 공수공격은 베젤 연습작전 초기 노르웨이 스타방에르 인근의 솔라공항을 탈취한 때이다. 이에 이은 노르웨이전에서는 강하엽병 최초의 패배도 있었다. 1940년 4월 14일 1개 중대가 돔바스의 마을과 철도접합점에 강하, 노르웨이 공군에 의해 격파되었다. 이후엔 제7항공사단의 강하엽병이 재편성되어 새로운 공군엘리트 보병사단군의 중심이 되었다. 이들 사단에는 제1강하엽병 사단에서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다. 각 사단은 기계화보병사단으로서의 편성과 장비를 제공받았고 서부전선에서 때때로(적공세에 대한) 「소방부대」역할을 맡는 경우가 있었다. 그 구성부대는 전장에선 사단에서 분리된 임시전투단 편성으로 있거나 머릿수만 채운 부대나 장비로 편성되는 일도 있었다. 이들 부대는 독일군의 관습대로, 이를테면 프랑스전 때의 ‘에르트만 집단’, 북아프리카의 람케 강하엽병 여단(Fallschirmjäger-Brigade Ramcke)같이 지휘관의 이름으로 불렀다. 1944년 중기 이후 강하엽병은 전황변화로 인해 강하훈련을 시행하지 않게 되었지만 일종의 경칭으로서 ‘강하엽병’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대전말기의 팔쉬름예거 사단은 12개 이상으로 늘었고 신설사단에선 훈련부족으로 질이 떨어져있었다. 이들 사단 중 제9강하엽병사단은 제2차 대전중에 독일에서 창설된 마지막 강하엽병 사단이었다. 이 사단은 1945년 4월 베를린 전투 중 괴멸되었다. 또한 같은 공군소속이라도 이들 강하엽병 사단과 독일공군야전사단은 별개였다. 야전사단은 독일공군의 잉여병력으로 창설된 편성, 운용 모두 빈약한 경보병사단이었다. 54,449명 이상의 강하엽병이 전사했으며 8000명 이상이 행방 불명되었다. 작전[편집] 강하엽병은 1940년의 강하작전에서 에반에말 요새의 점령, 북유럽침공에서의 강하작전, 1944년의 몬테카시노 전투,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의 카랑탕 방위전(TV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묘사되어있다.) 등 많은 격전지에 참전하였다. 강하엽병의 가장 유명한 강하작전은 1941년 크레타 전투이다. 제7항공사단의 거의 대부분이 투입된 이 작전은 당초부터 차질이 있어서 강하 중이나 착지직후에 공격을 받아 전사하는 병사가 줄을 이었다. 또 당시엔 소총이나 기관총 등 부피가 큰 장비는 컨테이너에 넣어서 투하했는데 병사와 한참 떨어진 위치에 투하되어 회수할 때까지 권총이나 수류탄으로만 싸워야하는 처지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비행장을 점거하고 나서야 수송기로 제5산악엽병사단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격전 끝에 어떻게든 크레타섬을 점령했지만 강하엽병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를 본 히틀러는 이런 종류의 대규모 강하작전은 성공가망이 희박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작전에선 강하 이전의 기습효과를 잃고 있었으며 이를 잃지 않았다면 피해를 줄일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 연합군도 대규모 강하작전을 할 때마다 손해가 늘어났기에 대전말기에는 비슷한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1943년 12월 20일부터 28일에 걸쳐 제1팔쉬름예거 사단 3연대 3대대는 이탈리아 오르토나 전투에 참가하였다. 몬테카시노 전투 중 제1강하엽병사단은 일반 보병으로서 행동하였다. 추축국이 건물을 이용할 위험이 있기에 연합군이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폭격으로 파괴한 결과 이 잔해는 공교롭게도 깨진 바위조각으로 만들어진 견고한 요새처럼 되었고 그 때문에 남은 팔쉬름예거는 거듭되는 돌격이나 엄청난 포격에도 끈질기게 버티며 수 개월간 전투를 지속할 수 있었다. 연합군은 팔쉬름예거의 굳건한 수비에 대해 ‘녹색 악마’라는 별명을 붙였고 그들이 측면으로부터 포위될 위험성 때문에 철수한 후에서야 폴란드군과 프랑스령 모로코부대가 수도원터를 점령할 수 있었다. 장비[편집] 일반적인 독일군 헬멧(우측)과 팔시름예거 헬멧(좌측 뒤) 강하엽병의 장비는 보통의 경우 매우 양호했으며 독일군에서도 가장 우수한 무기를 지급받았다. 이들은 전자동사격이 가능한 자동소총이나 무반동포, 겔릭포를 실전에서 사용한 최초의 부대이다. 또 강하엽병에게는 독일군의 근대화된 헬멧 ‘슈탈헬름 M1935’을 기초로한 전용헬멧이 지급되었다. 강하 중에 낙하산줄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외형은 표준헬멧에서 전방의 차양과 측면에서부터 후면까지의 굴곡을 축소한 형상이 되었고 가죽제 안쪽머리받이나 턱끈도 전용구조로 변경하였다. 강하엽병이 사용한 낙하산은 캐노피가 연합군 것처럼 양쪽어깨 부분에서 하네스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등 중앙의 끈 하나로 연결된 방식이기 때문에 강착자는 하강 중에 자세제어를 거의 할 수 없었으며 또 비행기에서 앞으로 펼친 자세로 뛰어내려야만 했다. 게다가 무릎과 팔꿈치로만 착지하기 때문에 패드를 장착하고 있어도 부상율은 현저히 높았다.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장비의 수도 적었으며 권총집에 넣은 권총 한 정과 수류탄, 짧은 대검 정도였다. 소총, 기타 무기는 병사와는 별도로 컨테이너에 수납하여 투하했기 때문에 회수할 때까지는 빈약한 무장 상태였다. 이에 반해 대전 중기 이후에 실전투입된 연합군 공수부대는 케이스에 넣은 소총이나 기관단총을 휴대하고 강하했다. 일본군의 낙하산부대도 팔렘방의 강하작전에서 무장컨테이너를 회수할 때까지 경장비로 전투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일본군 낙하산부대도 나중에 기관단총이나 분할식소총을 장비했다. FG42를 겨누고 있는 병사 이 장비문제에 대하여 헤르만 괴링은 소총, 기관단총, 경기관총의 기능을 통일한, 게다가 경량이며 강하시에 휴대할 수 있는 범용무기의 개발을 지시했고, FG42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1943년부터 종전까지 소수가 제조, 배치되었다. 목록[편집] 독일 국방군[편집] 공군[편집] 대규모부대[편집] 제1강하엽병군 (Erste Fallschirmjägerarmee) 제1강하엽병군단(I. Fallschirmjägerkorps) 제2강하엽병군단II. Fallschirmjägerkorps) 사단[편집] 제1강하엽병사단(1.Fallschirmjägerdivision) 제2강하엽병사단(2.Fallschirmjägerdivision) 제3강하엽병사단(3.Fallschirmjägerdivision) 제4강하엽병사단(4.Fallschirmjägerdivision) 이탈리아군 공수사단에서 많은 병사가 추가되었다. 제5강하엽병사단5.Fallschirmjägerdivision) 제6강하엽병사단(6.Fallschirmjägerdivision) 제7강하엽병사단(7.Fallschirmjägerdivision) 제8강하엽병사단(8.Fallschirmjägerdivision) 제9강하엽병사단(9.Fallschirmjägerdivision) 제10강하엽병사단(10.Fallschirmjägerdivision) 제11강하엽병사단(1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0강하엽병사단(20.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제21강하엽병사단(21.Fallschirmjägerdivision) 미편성 강하엽병 훈련보충사단(Fallschirmjäger-Ausbildungs-und-Ersatz-Division) 여단 및 연대[편집] 람케 강하엽병여단 강습돌격연대 (Luftlande-Sturmregiment) 제1, 2, 3, 4 대대로 편성 바렌틴 연대 (Luftwaffen-Regiment Barenthin) 타부대에서 소집된 병사로 구성 강하 돌격포 여단 3호 돌격포 및 4호 돌격포를 장비한 돌격포 부대 제11 강하돌격포 여단(Luftwaffen-Regiment Barenthin XI) 제12 강하돌격포 여단(Fallschirm-Sturmgeschütz-Brigade XII) 교도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Lehrregiment) 강하엽병연대 z.b.V(Fallschirmjäger-Regiment z.b.V) 휘브너 강하엽병연대(Fallschirmjäger-Regiment Hübner) 그 외 부대[편집] 무장친위대SS[편집] 제500 SS 강하엽병대대(5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제600 SS 강하엽병대대(600. SS-Fallschirmjäger-Bataillon) 육군[편집] 중강하엽병중대(Schwere-Fallschirminfanterie-Kompanie) 브란덴부르크 연대(Brandenburg-Regiment) 제22 강습보병사단(22.Luftlande-Infanterie-Division) 제91 강습보병사단(91.Luftlande-Infanterie-Division) 참고 자료[편집] 《알기쉬운 제2차 세계대전사 5》 이대영 저 - 호비스트 출판 돔바스 전투에서의 팔슈름야거 미국 전략전술보고 제2차대전에서의 팔슈름야거 Report vdeh 강하엽병 제부대의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헤르베르트 아프라티스 하인츠 파울 아돌프 구스타프 알트만 헬무트 아르프케 요제프 바르메틀러 카를하인츠 베커(곡엽) 에리히 바이네 카를 베르거 헤르베르트 바이어 에른스트 블라우엔슈타이너 볼프강 폰 블뤼허 백작 루돌프 뵐라인 루돌프 뵈흐믈러 브루노 브레우어 만프레트 뷔트너? 게오르크 르쿨트르 에곤 델리카 루돌프 돈트 라인하르트 카를 에거(곡엽) 요한 엥겔하르트 볼프강 에르트만 베르너 에발트 페르디난트 폴틴 헤르베르트 프리스 에른스트 프뢰밍 빌헬름 풀다 로베르트 가슈트 알프레트 겐츠 발터 게리케(곡엽) 에른스트 게르머 지크프리트 게르슈트너 헬무트 구스타프 괴르츠 프란츠 그라스멜(곡엽) 쿠르트 그뢰슈케(곡엽) 안드레아스 하글 라이노 하머 프리드리히 하우버 리하르트 하이드리히(곡엽검) 루트비히 하일만(곡엽검) 에리히 헬만 하리 헤어만 막스 헤르츠바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데어 하이테 남작(곡엽) 요하네스마티아스 횐샤이트 에두아르트 게오르크 휘프너 게오르크 루페르트 야코프 롤프 카를 에른스트 예거 박사 지크프리트 얌로프스키 빌헬름 켐프케 호르스트 케르핀 헬무트 케루트 카를 코흐 발터 코흐 빌리 코흐 루돌프 크라트체르트 하인츠 크링크 한스 크로흐(곡엽검) 마르틴 퀴흐네 루돌프 쿠르츠 카를 랑게마이어 박사 에리히 레프코프스키 발터 리빙 롤프 마거 요하네스 마르숄레크 오이겐 마인들(곡엽검?) 요아힘 마이스너 오토 멩게스 게르하르트 메르틴스 하인츠 마이어(곡엽) 베르너 밀히 박사 게르트 미슈케 카를 노이호프 하인리히 노이만 하인리히 오르트 후고 파울 헤르베르트 파이트슈 에리히 피트촌카(곡엽) 프리츠 프라거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곡엽검금강석) 지크프리트 라멜트 에른스트 빌리 라프레거 아돌프 라이닝하우스 파울에른스트 레니슈 루돌프 레네케(곡엽) 헬무트 링글러 아르놀트 폰 론 발터 잔데르 브루노 자센 게르하르트 샤흐트 마르틴 셰흐터 리하르트 슈임프 호르스트 슈임프케 게르하르트 슈이르머(곡엽) 알프레트 슐렘 헤르베르트 슈미트 레온하르트 슈미트? 카를로타르 슐츠(곡엽) 에리히 슈스터 알프레트 슈바르츠만 귄터 젬페르트 후베르트 슈니어스 알베르트 슈테켄 에트가어 슈텐트츨러 쿠르트 슈테파니 귄터 슈트라에흘러포흘 쿠르트 슈투덴트(곡엽) 알프레트 슈투름 카를 슈테판 타네르트 한슷 토이젠 코르트 티톈 에리히 팀 루돌프 토스흐카 호르스트 트레베스 하인리히 트레트너(곡엽) 헤르베르트 트로트츠 알렉산더 울리히 쿠르트 베트 피크토어 피탈리? 헬무트 바그너 에리히 발터(곡엽검) 프리드리히빌헬름 방게린 하인리히 벨슈코프 발터 베르너 한스카를 비티히 루돌프 비트치히(곡엽) 힐마르 차흔 오토 지라흐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하엽병&oldid=22730091" 분류: 독일의 공수 부대 및 조직낙하산병독일어 낱말루프트바페독일의 특수부대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עבריתMagyar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9일 (화) 0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금치훈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치훈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2급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공2급 금치훈장(공1급 금치훈장 부장) 공4급 금치훈장 금치훈장(일본어: 金鵄勲章 킨시쿤쇼[*], 영어: Order of the Golden Kite)은 일본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다. 수여 대상은 일본 제국 육군과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과 군속이다. 금치장(金鵄章)이라고도 불리었다. 이름의 유래는 진무 천황의 동정(東征)에서 진무의 활 시위에 멈춘 황금빛의 솔개가 빛을 발하여 나가스네히코의 군대에게 현기증을 나게 하였다는 일본 신화에 근거한다. 목차 1 역사 2 공급 2.1 공1급 2.2 공2급 2.3 공3급 2.4 공4급 2.5 공5급 2.6 공6급 2.7 공7급 3 디자인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금치훈장은 1890년 메이지 23년 2월 11일(기원절) 메이지 천황이 발표한 〈금치훈장창설조칙〉(金鵄勲章創設ノ詔勅)에 의해 만들어졌고, 같은 날 공표된 칙령 11호 〈금치훈장 등급제식과 패용식〉[1] 에 따라 제식 등의 여러 사항이 제정되었다. 무공이 뛰어난 자들을 공1급부터 시작하여, 공7급까지 일곱 등급으로 나누어 공급에 따라 훈장을 수여하게 하였다. 청일 전쟁 시작 후 1892년 9월 29일에는 〈금치훈장연금령〉[2] 이 제정되어 “공급에 따라 종신 연금”을 주도록 하였다.[3] 1945년 태평양 전쟁의 패전 후에 금치훈장에 대한 사무를 소관하고 있던 육군성과 해군성이 모두 폐지되었고, 각각 제1복원성, 제2복원성이 사무를 이어갔다. 이듬해 1946년에는 생존자에 대한 서훈이 일시 정지되었다. 1947년 5월 3일에는 일본 헌법이 시행되었다.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시에 의하여 이날 시행된 〈내각 관제 폐지 등에 관한 정령〉[4] 1조에 따라 〈금치훈장 서사조례〉(金鵄勲章叙賜条例)[5] 〈금치훈장 등급제식과 패용식〉 등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금치 훈장은 폐지되었다. 2003년 일본에서는 법 개정까지 훈장의 등급을 숫자로 나타내고 있었다. 금치훈장의 등급은 공급(功級)으로 불리어서 ‘공n급’으로 표시하였다. 직함 표기를 할 때 표시 순서는 직위 → 계급 → 위계 → 훈등 → 공급 → 작위 →학위 → 이름 순이다. 예를 들자면 ‘추밀원 의장 원수 육군 대장 종일위 대훈위 공일급 공작 야마가타 아리토모’로 표기한다. 공급[편집] 공1급 금치훈장을 패용한 가타오카 시치로(해군 정장) 육군 정장으로 오른쪽 가슴에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에 나란히 공1급 부장을 패용한 가와무라 가게아키 육군 약장으로 공1급 부장을 오른쪽에 패용한 오카무라 야스지 금치훈장에 부수하여 서훈을 받은 군인의 공적을 나타내기 위한 등급이다. 위계, 훈등과 더불어 ‘공○급’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를 했다.[6] 각 급은 공식적으로 공급 금치훈장처럼 등급 + 금치훈장 형태로 불린다. 또한 공급에 따라 하사되는 연금도 달라졌다. 공1급[편집] 대상 : 천황 직례부대의 장관(친보직) 사령관에게 특별 전위를 수여한다. 패용 : 정장은 대수로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에 숙이고, 부장은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900엔 공2급[편집] 대상 : 공로가 있는 장군, 영관급 최상위 공급이다. 패용 : 정장(공1급 금치훈장과 동일)은 오른쪽 늑골에 패용한다. 연금 : 650엔 공3급[편집] 대상 : 장관이 첫 서임받는 급수이며, 공로가 있는 영관, 위관의 최상위 공급이다. 패용 : 정장 (공2급 금치부장과 동일)은 중수로 목에 패용한다. 연금 : 400엔 공4급[편집] 대상 : 영관급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 위관, 준사관, 하사관의 최상위 공급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210엔 공5급[편집] 대상 : 위관급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 또한 공로가 있는 준사관, 하사관의 공급. 또한 최상의 병사의 공급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140엔 공6급[편집] 대상 : 준사관, 하사관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이다. 또한 공로가 있는 병사의 공급이 된다.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 : 90엔 공7급[편집] 대상 : 사병들에게 처음 서임되는 공급이다. 패용 : 정장은 소수로 왼쪽 갈빗대에 패용한다. 연금액 : 65엔 디자인[편집] 공급에 따른 리본 공7급 공6급 공5급 공4급 공3급 공2급 공1급 각주[편집] ↑ 「金鵄勲章ノ等級製式及佩用式」, 칙령 제11호, 1890년 2월 11일 ↑ 〈금치훈장연금령〉(金鵄勲章年金令), 1894년 칙령 제173호 ↑ 〈금치훈장연금령〉(金鵄勲章年金令), 1894년 칙령 제173호, 제1조 ↑ 「内閣官制の廃止等に関する政令」, 1947년 쇼와 22년 정령 제4호 ↑ 〈금치훈장 서사조례〉(金鵄勲章叙賜条例), 1894년 칙령 제193호 ↑ 肩書きにおける表示順は、職、階級、위계, 훈등, 공급, 작위, 학위, 성명となる(예:추밀원의장 원수육군대장종1위대훈위공1급공작山縣有朋)。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금치훈장 Japan, Cabinet Office: 장식과 메달—금치훈장, 현 훈장 제도에서 언급하지 않은 것 일본 조폐국: 금치훈장 제작 과정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제국 해군 금치훈장 수상 vdeh 일본의 훈장국화장 대훈위 국화장경식 대훈위 국화대수장 동화장 동화대수장(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욱일장 욱일대수장(훈일등 욱일대수장) 욱일중광장 욱일중수장 욱일소수장 욱일쌍광장 욱일단광장 서보장 서보대수장 서보중광장 서보중수장 서보소수장 서보쌍광장 서보단관장 보관장보관대수장 보관모단장 보관백접장 보관등화장 보관행엽장 보관파광장문화훈장 문화훈장 수장자 목록 폐지된 훈장 금치훈장 관련항목 훈장 위계 포장 상배 위험업무종사자서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치훈장&oldid=23276127#공급" 분류: 일본의 군사훈장금치훈장 수훈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16일 (일) 15: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스테릭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스테릭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화에 대해서는 아스테릭스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아스테릭스》(프랑스어: Astérix or Astérix le Gaulois, 영어: Asterix)는 프랑스의 르네 고시니가 쓰고 알베르 우데르조가 그린 만화로, 1959년 10월 29일 프랑스의 만화 잡지 삘로뜨(Pilote)에 처음 발표되었다. 1977년 고시니가 사망하고 나서는 우데르조가 혼자 만화를 그리고 있다. 로마군과 싸우는 켈트족 전사들의 이야기이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총 34권이 출판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문학과지성사에서 2001년부터 2008년에 걸쳐 33권까지 간행하였으며, 2013년 3월에 최종권인 34권을 출판함으로써 완간되었다.[1] 목차 1 등장인물 1.1 켈트족 1.1.1 갈리아 또는 골(프랑스) 1.1.2 브르통(영국) 1.1.3 헬베티아(스위스) 1.2 라틴족 1.2.1 로마제국(이탈리아) 1.3 게르만족 1.3.1 고트 (독일) 1.3.2 노르만(북유럽) 1.3.3 벨기에 1.4 이집트인(이집트) 2 작품 목록 3 영화 4 각주 5 외부 링크 등장인물[편집] 켈트족[편집] 갈리아 또는 골(프랑스)[편집] 아스테릭스 키작은 꾀돌이 전사. 마법 물약을 마시면 힘이 세진다. 오벨릭스 아스테릭스의 가장 친한 친구. 직업은 선돌 배달부. 어렸을 적 물약통에 빠져 평생 그 효과를 보게 됐다. 애완견 이데픽스를 항상 데리고 다닌다. 파노라믹스 드루이드교 사제. 여러 가지 물약과 시약을 만들 수 있는데, 특히 '마법 물약'은 초인적인 힘이 생기는 해 아스테릭스를 비롯한 골족(族) 사람들이 많이 이용함을 볼 수 있다. 아브라라쿠르식스 마을의 대장. 항상 하늘이 무너질까봐 걱정한다. 방패꾼들이 드는 방패를 타고 이동하는 게 보통인데, 대장치곤 굴러떨어질 때가 많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서 이 방패는 베르생제토릭스의 것이었는데 로마군(軍)에 의해 결국 아브라라쿠르식스에게 흘러들어가게 된 사실이 밝혀진다. 골라골라트릭스 마을의 생선가게 주인. 자기 생선을 함부로 다루면 참지를 못한다. 종종 오토마틱스와 싸우는 걸 볼 수 있으며, 결국 이 싸움이 골족 사람들의 싸움으로 번지기도 한다. 자바자바린느 골라골라트릭스의 아내. 아메릭스 오벨릭스의 사촌형. 《아스테릭스, 황금낫을 찾아라》편에 등장. 로마군에 의해 감금됐다가 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의 도움으로 재회한다. 아즈카노닉스 마을의 노병. 실력도 얼마 안 되면서 허세만 대단하다. 그의 아내는 오벨릭스가 사랑할 만큼 미인이다. 아쉬랑스투릭스 자칭 최고의 음유시인이라고 하나, 듣는 이들은 못 들어주겠다고 생각한다. 그 때문인지 종종 오토마틱스에게 맞으며 이야기의 끝 부분에선 줄에 묶여 잔치에 참여하지 못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아스테릭스, 라하자드 왕국에 가다》편에선 노래를 불러 왕국에 비를 내린 적도 있으며, 《아스테릭스와 신(神)들의 전당》에선 신들의 전당에서 돼지 멱따는 소리로 노래해 로마인들을 전부 내쫓은 적도 있다. 노래가 무거운지 이따금씩 음표를 쓸어내는 경우가 있다. 자신의 재능을 이해하지 못하는 마을 사람들을 야만인이라 부르며 화를 낸다. 오토마틱스 갈리아 마을의 대장장이. 아쉬랑스투릭스가 노래만 부르려 하면 항상 때린다. 골라골라트릭스와는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아 자주 싸운다. 홀리데익스 루테시아에 사는 아브라라쿠르식스의 조카. 노르만인들에게 잡히게 된다. 베르생제토릭스 갈리아의 영웅.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패해 무기를 내려놓은 후 처형당한다. 브르통(영국)[편집] 조리퐁락스 칸티움의 한 작은 마을에 살고 있는 브로통인. 로마군에 저항하기 위해 마술 물약을 가지러 골에 있는 그의 사촌 아스테릭스를 만나러 간다. 마을까지 마술 물약을 가지고 가는 동안 온갖 모험을 겪는다. 크린락스 조리퐁락스의 친구로, 런더니움에서 골의 항아리 라는 여인숙을 운영한다. 오벨릭스와 런더니움 탑에 갇히지만 오벨릭스의 도움으로 탈옥한다. 젠틀락스 크린락스의 사촌. 여인숙을 운영한다. 얼떠리락스 럭비 선수.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던 중 마술 물약을 마시게 된다. 젠틀탁스 <로마군이 된 아스테릭스>에 나오는 인물로, 로마군에 입대한다. 헬베티아(스위스)[편집] 라틴족[편집] 로마제국(이탈리아)[편집] 율리우스 카이사르 갈리아의 모든 지방을 점령하고도 아스테릭스가 사는 작은 마을을 빼앗지 못해 골머리를 썩고 있다. 카이우스 보누스 《골족(族)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나오는 '프티보눔' 지방의 백부장. 마법 물약을 이용해 자신의 충성스런 오른팔 마르쿠스 사카푸스를 배신하고 홀로 황제가 되려 했으나, 결국 파노라믹스의 스프를 마시고 수염이 잔뜩 나 일을 그르치고 몽골 지방으로 보내진다. 마르쿠스 사카푸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카이우스 보누스의 충성스런 오른팔. 속으론 마법 물약을 이용해 카이우스 보누스를 배신하고 혼자 황제가 되려 했으나, 결국 카이우스 보누스가 일을 그르쳐 실패한다. 칼리굴라 미누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에 나오는 '프티보눔' 지방의 키 작은 병사. '로마의 놀이'에서 술래가 돼 골족 포로로 변장한 뒤 스파이로 아스테릭스가 사는 마을에 들어간다. 마법 물약까지 먹었지만, 골족 마을 특유의 축제 놀이로 결국 정체가 밝혀진다. 툴리우스 옥토푸스 《골족의 영웅,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덩치 큰 로마군(軍) 병사. 골족 마을의 사제 파노라믹스를 납치하는가 하면, 파노라믹스가 지시하는 마법 물약을 만들기 위해 그리스 상인으로부터 금값을 주고 딸기를 구해오기도 해 카이우스 보누스에게 원형 경기장 관람권을 받았다. 카이우스 코집투스 《글래디에이터가 된 아스테릭스》편에 등장하는 검투사 조련사. 스포츠티우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편에 등장하는 로마 팀 대표선수이자 병사. 골족 사람들에 의해 사기가 떨어져 올림픽에서 우승하진 못 했지만 후에 백부장으로 승진한다. 출세리우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편에 등장하며 스포츠티우스의 코치 겸 감독이자 백부장으로, 후에 올림픽에서 승리한 아스테릭스의 도움을 받아 스포츠티우스와 함께 사령관으로 승진한다. 랑겔루스 《아스테릭스, 마을의 대결투》편에 등장하는 로마의 장군. 자신의 영리한 보좌관 페르클루스와 로마에 저항하지 않고 로마의 풍습을 받아들이려 하는 골족 족장 세룸 콩크리트릭스를 이용해 골족 마을을 점령하려 했다. 아브라라쿠르식스와 콩크리트릭스와 대결을 붙여 콩크리트릭스가 우승하면 그와 페르클루스를 검투장으로 보내버리려고 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마법 물약을 마신 아브라라쿠르식스에 의해 콩크리트릭스는 결투에서 지고 결국 페르클루스와 함께 줄행랑 친다. 미우무스 이간질리우스 《아스테릭스와 로마군 스파이》편에 나온 로마군 간첩. 마을에 내분을 일으키지만 늘 그렇듯 실패하고 검투장의 사자들에게 던져지는 불쌍한 신세가 된다. 마르쿠스 브루투스 로마의 장군으로 카이사르의 총애를 받는다.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에서 잠깐 출연했으며 후에 카이사르를 시해한다. 카이우스 졸리기부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게으름뱅이 로마군. 어찌나 게으름뱅이인지 15년간 진급을 한 번도 못 했다고 한다. 호민관 뒤틀리우스 잡동사니우스로부터 오베르뉴인(人)으로 변장해 베르생제토릭스의 방패에 대한 정보를 캐내오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포도주에 잔뜩 취해 오히려 미슐랭우스의 정보를 아스테릭스에게 알려주고 감옥에 갇힌다. 후에 카이사르의 눈에 띄어 운좋게 백부장으로까지 승진하는 파란만장한 병사. 풍선부러푸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딸기코의 백부장. 허가 없이 군대를 떠났던 로마군 병사 마르쿠스 포커우스를 눈 감아 준다는 조건으로 베르생제토릭스의 방패를 갖게 되나, 오베르뉴의 상인 알랑빅스에게 포도주 한 항아리를 받고 팔아버린다. 나중에는 졸리기부스와 함께 포도주를 퍼마시다 술에 취하고 얼떨결에 제르고비 주둔부대 대장으로 승진한다. 류마티우스 미슐랭우스, 마르쿠스 포커우스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편에 등장하는 두 병사들로 현재는 제대해 각자 바퀴 장사와 음식점 경영을 하고 있다. 미슐랭우스는 당시 아무도 건드릴 생각을 못 한 베르생제토릭스 방패를 갖고 가려 한 병사로 노름에 빠진 나머지 마르쿠스 포커우스와의 노름에서 결국 방패를 잃는다. 한편 미슐랭우스로부터 방패를 갖게 된 마르쿠스 포커우스는 백부장 풍선부러푸스에게 정체가 발각돼 다시 방패를 넘기고, 이 방패는 오베르뉴의 상인 알랑빅스를 거쳐 최종적으로 골족 마을의 대장 아브라라쿠르식스가 소유한다. 카이우스 긴코푸리우스 《아스테릭스와 예언자》에 등장하는 긴 코를 가진 특이한 외모의 백부장. 주사위를 던져 그 수를 맞추는 것으로 예언자를 시험했는데 우연히 예언자가 그 수를 맞추자 엉터리가 아닌 것으로 착각, 그를 이용해 골족 마을을 정복하고 카이사르의 자리까지 넘보려 했다. 그러나 실패해서 골족 마을 사람들에게 흠씬 두들겨맞은 감찰관 클로디우스 블랙쿠스에게 강등당해 일개 병사가 되고 만다. 튈리우스 걸리보로부스 《아스테릭스와 두 쪽난 마을》에 등장하는 백부장. 또다른 골족 마을 사람인 어물트리트릭스가 잘못 갖다 준 가짜 마법 물약을 마신 후 골족 마을을 점령하려 했으나 가짜 약의 효과로 몸이 부풀어 아스테릭스 일행에게 참패한다. 게르만족[편집] 고트 (독일)[편집] 텔레비릭 《아스테릭스, 고트족(族) 국경을 넘다》에 등장하는 고트족 마을의 대장. 파노라믹스를 잡아와 그의 마법을 이용하려 했으나 완고한 파노라믹스의 태도에 실패하고, 바꾸리데릭의 반란에 휘말리게 된다. 쿠테타리크 바꾸리데릭 골족 언어 통역사. 고트족끼리 서로 권력싸움을 하게 하려는 파노라믹스의 계략에 휘말려, 마법 물약을 먹고 반란을 일으켜 대장 자리를 빼앗았으나 대장 자리를 노리는 또다른 동족들과 싸우게 된다. 제너럴 일렉트릭 고트족 청소부. 파노라믹스의 마법 물약을 마시고 단숨에 대장 자리에 오르려 하였다. 파쇼모아클릭 아내한테 꼼짝못하는 공처가로 마법 물약을 마시고 일렉트릭과 싸웠다. 시시리크, 사소리크 뿌셔뿌셔리크 치매리크, 이크리크 노르만(북유럽)[편집] 울라프 그로스바프 노르만족의 우두머리. 벨기에[편집] 일흔여섯식스 타르릭스 얀반아이크식스 이집트인(이집트)[편집] 클레오파트라 카이사르의 애인이자 이집트의 여왕.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편에 나온다. 누메로비스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에 등장하는 알렉산드리아의 건축가로 클레오파트라로부터 궁전을 3개월 만에 지으라는 특명을 받았다. 아몽포비스 누메로비스의 라이벌. 누메로비스를 악어밥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테니스코트니스《로마군이된 아스테릭스》에 등장하는 사람으로 로마군 사령부를 여인숙으로 착각해 로마군에 입대하게 되었다. 작품 목록[편집] 한국어판은 문학과지성사에서 독점 출판하고 있다.[2] 2008년에 33권까지 한국어판이 나온 이후 2009년에 34권 "Asterix and Obelix's Birthday: The Golden Book"이 출판되었으나, 오랫동안 한국어판으로는 나오지 않다가 2013년에 와서야 비로소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 01권 《골족(族)의 영웅, 아스테릭스》 02권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 03권 《글래디에이터가 된 아스테릭스》 04권 《아스테릭스, 바이킹을 물리치다》 05권 《아스테릭스, 올림픽에 나가다》 06권 《아스테릭스, 신대륙을 발견하다》 07권 《아스테릭스, 고트족(族) 국경을 넘다》 08권 《아스테릭스, 황금 낫을 찾아라》 09권 《아스테릭스와 골의 12보물》 10권 《아스테릭스, 마을의 대결투》 11권 《아스테릭스, 영국에 가다》 12권 《로마군(軍)이 된 아스테릭스》 13권 《아스테릭스와 무적의 방패》 14권 《아스테릭스, 솥단지를 채워라》 15권 《아스테릭스, 스페인에 가다》 16권 《아스테릭스와 로마군 스파이》 17권 《아스테릭스, 스위스에 가다》 18권 《아스테릭스와 신(神)들의 전당》 19권 《아스테릭스와 카이사르의 월계관》 20권 《아스테릭스와 예언자》 21권 《아스테릭스, 코르시카에 가다》 22권 《아스테릭스와 카이사르의 선물》 23권 《오벨릭스 선돌 판매 회사》 24권 《아스테릭스, 벨기에에 가다》 25권 《아스테릭스와 두 쪽 난 마을》 26권 《아스테릭스의 오디세이아》 27권 《아스테릭스의 아기》 28권 《아스테릭스, 라하자드 왕국에 가다》 29권 《장미와 검(劍)》 30권 《오벨릭스의 수난》 31권 《아스테릭스와 라 트라비아타》 32권 《아스테릭스, 골 마을의 개학》 33권 《아스테릭스, 하늘이 무너지다》 34권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 영화[편집] 1999년에 오리지널 스토리로 'Claude Zidi'가 감독한 'Asterix & Obelix vs. Caesar (Astérix et Obélix contre César)'가 있으며, 2002년엔 《아스테릭스, 클레오파트라를 만나다》편이 'Alain Chabat'이 감독한 'Asterix & Obelix: Mission Cleopatre (Astérix et Obélix: Mission Cléopâtre)'라는 제목으로 실사 영화화돼 개봉했다. 또 실사로 'Frédéric Forestier'와 'Thomas Langmann'이 감독한 영화 'Asterix at the Olympic Games (Astérix aux Jeux olympiques)'은 2008년 개봉했는데 7800만유로를 쏟아부어 '가장 많은 돈을 쓴 영화'라는 말이 붙은 데다가 프랑스 축구의 전설인 지네딘 지단을 출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유럽 각국에서 흥행에 참패했다. 각주[편집] ↑ 문학과지성사 : 《아스테릭스, 생일 축하해!》 책 소개 참조. - 2013년 3월 20일 확인 ↑ 그보다 훨씬 전인 1992년과 1993년에 제1권과 제28권이 코스모스에서 각각 《검투사 아스테릭스》와 《인도 라자드 왕국에 가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나 현재는 절판. 외부 링크[편집] (영어) 아스테릭스 공식 홈페이지 (영어) Asterix around the World - 세계 각국의 언어로 출판된 판본을 소개하는 팬페이지. 문학과지성사 : 한국어판 아스테릭스 소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81481486 LCCN: n85383106 GND: 4351915-5 NKC: aun201482194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스테릭스&oldid=22893856" 분류: 아스테릭스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ÆngliscالعربيةAsturianu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Mirandés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PolskiΠοντιακά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일 (목) 00: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큐전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전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 전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 엔 매출액 1,706억 3,9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영업이익 308억 3,2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순이익 58억 5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자산총액 1조 734억 8,600만 엔 (2011년 3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 한큐 한신 홀딩스 100%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웹사이트 한큐 전철 공식 홈페이지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07년 10월 19일 후신 분할신설: 한큐 전철 분할존속: 한큐 한신 홀딩스 해체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엔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한큐 전철 주식회사(阪急電鉄株式会社, Hankyu Corporation)는 일본의 긴키 지방에 노선을 갖고 있는 민간 전철 회사이다. 오테 사철(大手私鉄)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전철 회사의 하나이며 일반적인 약칭은 한큐이다. 한큐 한신 홀딩스의 자회사로, 한큐 한신 토호 그룹에 소속하는 기업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宝塚歌劇団)을 운영하고 있고, 1936년부터 1988년까지는 프로 야구 팀 "한큐 브레이브스(현재의 오릭스 버펄로스)"의 구단주이기도 했다. 본사 사무실은 오사카부 오사카 시 키타 구에 위치해 있지만, 등기상의 본사 소재지는 오사카부 이케다 시 사가에 정이다. 스룻토KANSAI의 카드에 인쇄 된 부호는 HK이다. 목차 1 역사 1.1 연표 2 한큐 전철의 호칭 3 철도 사업 3.1 노선 3.1.1 고베 선 계통 3.1.2 다카라즈카 선 계통 3.1.3 교토 선 계통 3.2 열차 종별 3.2.1 열차 종별의 표시 3.3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 3.4 차량 3.5 운임 3.5.1 회수권 4 특기 사항 4.1 홈의 호칭 4.2 역·차내에서의 안내 4.3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 4.4 부활한 「우선 좌석」 4.5 텔레비전·영화 촬영 4.6 그 외 5 관계 기업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원본 편집] 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 한큐한신 홀딩스 탄생 기념 헤드 마크를 게시한 6000계 전철. 하나쿠마 역 홈에서 1907년에 설립된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가 1910년 3월 10일에 현재의 다카라즈카 본선·미노오 선에 해당하는 우메다 - 다카라즈카,이시바시 - 미노오를 개업한 것이 시작. 창업자 고바야시 이치조는 경영 안정을 위해 연선 개발에 힘을 써 주택지 분양, 다카라즈카 신온천, 다카라즈카 가극대(후의 소녀가극단, 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등의 사업을 다각적으로 전개했다. 계속 되어 한신간의 수송에 참가. 1918년, 회사명을 한신 급행 전철으로 개칭. 현재까지 계속 되는 약칭 「한큐」는 이것에 유래한다(정식 회사명에도 채용된다). 한신간에 참가한 것으로, 이후 이미 한신간에 도시간연락 전철을 영업하고 있었던 한신 전기 철도와는 격렬하게 싸우는 라이벌 관계가 되었다. 1936년에는 고베시내의 산노미야 역에 고가선으로 노선 연장했다. 덧붙여 「전철」이라고 하는 말은, 「전기 철도」라고 하는 말을 상호에 사용하는 것에,철도성이 어디까지나 궤도법 준거의 「전기 궤도」인 것을 근거로서 난색을 나타낸 것으로부터 대책으로서 고바야시 이치조가 생각해 낸 말로, 이후 궤도법 감독하의 각사가 고속 전기 철도에의 탈피를 도모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되게 되었다. 1943년, 전시 기업 통합 정책(육상 교통 사업 조정법)에 의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덧붙여 이때 「한큐」라는 약칭은 공식으로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게이한신(급행)」이라고 여겨졌지만,오사카 시전의 전차 정류장명에서도 「한큐한신전」(우메다)·「게이한신 급행전」(덴로쿠) 등과 혼합해서 이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전후의 1949년에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이 게이한 전기철도로서 재분리. 이때 약칭도 「게이한신」으로부터 「한큐」로 되돌리고 있다. 1973년,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92년 스트아드페아시스템「라가르스르」를 개시한다. 그러나,버블붕괴로 쟈야마치 지구 등의 재개발 사업의 실패에 의한 거액의 손실을 입었다. 1995년 1월 17일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고베 본선·이타미 선·이마즈 선 등이 심대한 피해를 받았지만 동년 6월 12일에 거의 전선이 복구,1998년에는 이타미 역도 재건되었다. 지진 재해 이후도, 길어지는 소비불황이나 서일본 여객철도(JR서일본)등과의 격렬한 경합, 1자녀화등의 영향에 의해 수송 인원은 감소. 부동산·호텔 사업의 재편이나, 다카라즈카 신온천 이래 90년이상의 역사를 가지는 유원지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의 폐원,포트 아일랜드에 있던 「고베 포트피어 랜드」로부터의 사업 철퇴(그 후 고베 시가 운영을 하다가 2006년 폐원)등, 그룹 사업의 재편이 진행된다. 그 집대성으로서 2005년 4월 1일에 구·한큐 전철로부터 철도, 부동산, 레저, 유통의 4사업을 분할 승계하는 신·한큐 전철(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로부터 상호 변경)과 호텔 경영을 통괄하는 한큐 호텔 매니지먼트, 여행업의 한큐 교통사의 직영 사업회사 2회사가 맞추어 3회사로 재편해, 구·한큐 전철은 지주회사 한큐홀딩스(현·한큐 한신 홀딩스)(으)로 이행했다. 덧붙여 2007년 10월 19일 창업 100주년을 맞이했다. 연표[원본 편집] 1906년 1월 15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철도 창립 발기인회 설립. 1907년 6월 1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로 회사명 변경. 1907년 10월 19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창립총회. 1910년 3월 10일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 다카라즈카간, 미노오 선 이시바시 - 미노오간이 개통. 1911년 5월 1일 다카라즈카 신온천(후의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이 개업. 1913년 7월 1일 다카라즈카 창가대(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를 조직. 1918년 2월 4일 한신 급행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21년 9월 2일 서보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이 개통. 1925년 6월 1일 우메다 한큐빌딩(구관)에 한큐 마켓이 개업. 1925년 10월 15일 신쿄판철도(1930년에 게이한 전기철도에 합병)에 의해 텐짐바시 - 아와지간이 개통. 1926년 12월 18일 서보 선이 전노선 개통. 이마즈 선으로 개칭. 1928년 1월 16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와지 - 다카츠키마치(현재의 다카츠키 시) 간이 개통. 1928년 11월 1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다카츠키마치 - 사이인간이 개통. 1928년 11월 9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라시야마 선이 개통. 1929년 4월 15일 우메다 역에 한큐백화점이 개점. 1932년 8월 연극, 영화의 흥행을 주된 목적으로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현재의 도호)를 설립. 1936년 4월 1일 고베 본선 서나다(현재의 오지코엔 역) - 고베(현재의 산노미야 역) 간이 개통. 1943년 10월 1일 한신 급행 전철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 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1945년 5월 1일 가타노 전기 철도의 사업을 양도해 가타노 선으로 한다. 1946년 11월 20일 생산부를 닛코 식산 주식회사(현·한큐 산업 주식회사)로서 분사화. 1949년 1월 1일 기타노 선을 휴지. 1949년 12월 1일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을 게이한 전기철도(신)로 분리. 신쿄판선을 교토 본선으로 개칭. 1967년 3월 1일 센리야마 선이 센리 선으로 개칭,기타센리 역까지 개통. 기타센리 역에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자동 개찰기설치. 1968년 4월 7일 고베 본선이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와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69년 12월 6일 센리 선·교토 본선이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73년 4월 1일 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73년 11월 23일 우메다 역의 이전 확장 공사가 완료. 1988년 10월 31일 한큐블레이브스를 오리엔트·리스(현 오릭스)에 양도. 1989년 4월 1일 선불 카드「라가르카드」도입. 1989년 12월 7일 분사·지주회사화의 준비를 위한 완전 자회사·한큐 전철 분할 준비 주식회사(현 한큐 전철)의 등기상의 설립 연월일. 1992년 4월 1일 스트아드 페아시스템 「라가르스르」개시. 1994년 9월 1일 일본 최초의 부정 승차방지 시스템 「페어 라이드 시스템(Fare ride system)」을 도입.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각선에 피해. 동년 1월 23일까지 교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고베 본선의 일부에서 운행 재개. 1995년 2월 5일 이마즈 선이 전선 복구. 1995년 3월 11일 이타미 선이 신이타미 - 이타미(가역) 간에서 운행 재개. 1995년 6월 12일 고베 본선이 전선 복구.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1997년 11월 17일 다카라즈카 본선으로 노세 전철 일본생명보험 주오 역까지 노선연장을 실시하는 직통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의 운전을 개시. 1998년 2월 15일 산요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을 중지, 고베 본선은 신가이치까지의 운행. 1998년 10월 1일 이마즈(남)선 1인 승무 운전을 개시. 1998년 11월 21일 이타미 역 본역이 완성.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은 단선으로 운전 재개. 1999년 3월 6일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이 복선 운전 재개, 지진 재해로부터 실로 4년 만에 완전 복구. 1999년 4월 1일 전노선의 전차량으로 우선 좌석을 폐지(전차량의 전좌석을 우선 좌석화). 2002년 10월 1일 교토 본선으로 여성 전용 차량을 2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6300계의 특급·통근 특급·쾌속 특급에만 설정. 동년12월 2일부터 본격 도입. 2003년 6월 10일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시험적으로 도입(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7월 11일부터 본격 도입. 2004년 8월 1일 비접촉형 IC카드 PiTaPa에 의한 승차 서비스를 개시. HANA PLUS 카드 발행. 2005년4월 1일 한큐 전철·한큐 호텔 매니지먼트·한큐 교통사의 각사를 직할 하는 지주회사 한큐홀딩스에 이행. 동일자로 철도·부동산등의 사업은 회사 분할에 의해서 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에 승계시킨 다음 동사를 한큐 전철로 개칭, 구 한큐 전철을 한큐홀딩스로 개칭. 2006년 1월 21일 JR서일본의 ICOCA로 철도 노선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2006년 7월 1일 PiTaPa 대응 카드를 이용한 「IC정기권 서비스(PiTaPa 정기 서비스)」를 개시. 2006년 10월 1일 모회사의 한큐홀딩스가 한신 전기 철도와의 경영 통합에 수반해 한큐 한신 홀딩스로 회사명 변경. 2007년 10월 1일 HANA PLUS 카드를 대신해 STACIA 카드 발행 개시. 2007년 10월 19일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다. 2007년 10월 29일 전노선의 전차량에 우선 좌석을 재설치.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의 장소를 일부 변경. 한큐 전철의 호칭[원본 편집] 간사이 사철 에서는 "ㅇㅇ전차"라는 호칭이 정착하고, 차내 방송이나 역의 게시물, 웹 사이트에서도 "ㅇㅇ전차"라는 애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큐 전철은 공식적으로는 "한큐 전차"라고는 안내하지 않는다. 이것은 1992년의 창업 85주년을 계기로 회사 측이 공식 통칭을 "한큐 전철"으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객 사이에서는 현재까지도 "한큐 전차", "한큐 선", "한큐"이라고 하는 약칭이 많이 사용되고, 교토 시영 지하철 시조 역, 오사카 시영 지하철 우메다 역 등 타사·타국에서 환승 안내 표시도 "한큐 전차"이다. 그러나 한큐 측에서도 용품 간행물은 때때로 "한큐 전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큐 전철은 "전기 철도"라는 호칭을 "전철"로 생략하고, 공식적인 사명으로 정한(당시의 회사 명은 "한신 급행 전철") 일본 최초의 철도 회사이다. 지하철 노선 철도 사업[원본 편집] 노선[원본 편집] 크게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의 3개로 나눌 수 있어 각각 본선과 거기에 부수 하는 지선을 가진다. 라인 칼라는 노선도 외, 홈의 발차 번선, 보통 전철의 행선지 표시판(각 지선만)등에 사용되고 있다. 고베 선 계통[원본 편집] 고베 본선(神戸本線):우메다(梅田) 역(오사카 시) - 산노미야(三宮) 역(고베 시) 이타미 선(伊丹線):쓰카구치(塚口) 역(효고현 아마가사키 시) - 이타미(伊丹) 역(효고 현 이타미 시) 이마즈 선(今津線):다카라즈카(宝塚) 역(효고 현 다카라즈카 시) - 이마즈(今津) 역(효고 현 니시노미야 시) 고요 선(甲陽線):슈쿠가와(夙川) 역 - 코요엔(甲陽園) 역(니시노미야 시) 다카라즈카 선 계통[원본 편집] 다카라즈카 본선(宝塚本線):우메다 역 - 다카라즈카 역 미노오 선(箕面線):이시바시(石橋) 역(오사카부 이케다 시) - 미노오(箕面) 역(오사카 부 미노오시) 교토 선 계통[원본 편집] 교토 본선(京都本線):주소(十三) 역(오사카 시) - 가와라마치(河原町)역(교토 시) 센리 선(千里線):덴진바시스지6초메(天神橋筋六丁目) 역(오사카 시) - 기타센리(北千里) 역(오사카 부 스이타 시) 아라시야마 선(嵐山線):가쓰라(桂) 역 - 아라시야마(嵐山) 역(교토 시) 이 외 , 다카라즈카 본선 주소 - 다카라즈카간, 고베 본선 주소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 이마즈(기타)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의 환상 구간을 「순환선」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각 역의 운임표 주변에 게시되고 있던 설명서 등에도 그 기술을 볼 수 있었지만, 동구간에 환상 운전은 행해지지 않은 것 외 「순환선」의 호칭은 JR 오사카 순환선을 연상 시키기도 해 적극적으로는 이용되지 않았다. 운임 계산에 있어서의 설명서나 기획 승차권·정기승차권의 유효 구간 표시등에서 조금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1] 한큐의 노선에는 터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공사기간과 비용이 늘어나고, 메이지 - 타이쇼 시대의 토목 기술에서는 위험이 컸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터널 공사를 피했기 때문이다. 다카라즈카 선은 터널을 필요로 하는 루트를 피한 결과, 커브가 많은 노선이 되었다. 현재에도 터널은 제2종 철도 사업 구간(고베 고속선)을 제외하면 전선으로 3개소밖에 존재하지 않고, 그 중 2개소는 사이인 - 가와하라마치간과 덴로쿠 부근의 지하선에 통하는 입구여서, 출입구가 있는 순수한 터널은 센리 선의 센리 터널 하나이다. 덧붙여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노세 전철에는 수많은 터널이 있다. 한신 니시오사카 선이 긴테쓰남바 역까지 개통하는 2009년 이후는(개업 후는 한신 남바선으로 개칭), 간사이에서는 유일 오사카 시 주오 구에 노선이 없는 대기업 사철이 된다(다만 교토 본선의 차량 자체는 사카이스지 선을 개입시키고 주오 구에 노선 연장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열차 종별[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 대해 설정되는 열차 종별은 다음과 같다. 특급·통근 특급·쾌속 급행 고베 선·교토 선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 다카라즈카 선 급행·통근 급행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준급 고베 선·이마즈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센리 선 통근 준급 다카라즈카 선·미노오 선 열차 종별의 표시[원본 편집] 열차 종별은 선두 차량 전면의 통과 표지등이나 종별 표시기로 식별할 수 있다. 통과 표지등의 점등 패턴은 다음과 같다. 정면에서 봤을 때 양쪽이 점등 - 쾌속 급행·통근 특급·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특급(임시·대절·회송·시운전 열차도 포함한다)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이 점등 - 통근 준급·준급·통근 급행·급행 점등되지 않았음 - 보통 급행의 점등 패턴은 긴키 일본 철도와 같다.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원본 편집] 오사카 시 교통국:교토 선·센리 선과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연결 운행.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차량의 노선연장은 기본으로서 다카츠키 시까지이지만, 시운전이나 이벤트 등에서 노선 연장한 실적이 있다. 고베 고속 철도:고베 선이 도자이 선 신가이치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전기 철도:1998년까지 고베 선이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을 경유해 산요 전철 본선 스마우라코겐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도 고베 선 한큐롯코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은 현재에도 산노미야 역까지 노선 연장하고 있어 즉시의 회송 때, 우메다 측에도 수백 미터 주행하기 때문에 승객 취급은 하고 있지 않는 한큐 선내를 달리는 산요 차량은 존재한다. 덧붙여 1998년까지는 롯코 역으로부터 한큐미카게 역 서쪽의 대피선까지 회송되어 즉시를 하고 있었다. 노세 전철:다카라즈카 선이 노선 연장. 노세 전철은 한큐 그룹의 일원으로,2003년 이후는 도색도 한큐와 같다. 노세 전철의 차량(원래는 한큐의 차량)은 차량 검사나 이벤트 시에 히라이 차고나 쇼쟈쿠 차고까지 입선하고 있다. 차량[원본 편집]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및 그 후신의 한신 급행 전철(한큐)에 의해서 부설된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과 기타오사카 전기 철도 및 그 후신의 신쿄판철도에 의해서 부설된 교토선과는 그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차량 규격에 차이가 있다. 차량의 전장품도, 다카라즈카 선은 도시바제, 교토 선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토요 전기 제조제로 나눌 수 있다. 지금도 이 관습을 계속 지키고 있다(그 밖에 도시바 제품은 다카라즈카 선의 전장품 외에 전역의 역무기기나 전철의 공조 장치,엘리베이터, 업무용 PC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매스 콘은 간사이에서는 드물게 원 핸들 매스 콘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전후 1948년의 550형이후 모든 한큐차량은 계열의 나니와 공사 기계(후의 알나 공업 기계)가 건조하고 있었다(차량을 신규 제조하는 것을 「건조」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한큐와 도부 철도,도쿄 도 교통국,오사카 시 교통국등의 주된 납입처가 경영 상황의 어려움으로부터 차량 신조를 억제, 수주가 격감했기 때문에 2002년에 동사는 해산. 그 후의 한큐차의 건조 메이커로 선택된 것은 지금까지 간사이의 대기업 사철과 거래가 없었던(다만, 공영인 교토 시·오사카 시와는 거래가 있었다)히타치 제작소. 덧붙여 한큐의 경영 사정은 여전히 어려워 1960년대 후반 - 1980년대 전반에 제조된 차량을 아르나 차량이나 글로벌 텍에서 갱신 공사를 시공해 연명 사용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1970년대 전반까지의 차량에 관해서는 재차의 갱신 공사 시공이 된다). 최근의 차량(갱신차 포함한다)에는 경년 열화도 고려해 차체나 도어부에 꽤 진한 색을 사용하게 되었다. 덧붙여 외부도색에 대해서는 8000계 도입시와 9300계 도입시에 신색채용(메탈릭 오렌지등이 검토되었다)의 안이 부상했던 적이 있지만, 이용자나 사내로부터도 항의나 반대 의견이 속출했기 때문에 6000,7000계열의 지붕부분을 아이보리색으로 고치는 것 이외는 폐안이 되었다(다만 현재에도 이용자나 부내중에서는 아이보리색을 차체 하단 부분에도 마련하는 정도이면 좋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교토 선에 노선 연장한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의 차량에 관해서는,스텐레스 차체에 차계의 띠를 감은 66계가 달리고 있다. 이전에는 알루미늄제 차체에 다대를 감은 60계도 달리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 있어서의 형식의 부번은 다음과 같다. 한큐 전철의 형식 번호는 1980년대에 폐차된 810계를 마지막으로, 이후는 4자리수가 되어 있다. 부수차(T차)에는 동계의 전동차(M차)의 차번에 5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중간차에는 선두차의 차번에 50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모하,쿠하 등의 형식 기호는 붙이지 않는다. C#7613(7013F에 속하는 산노미야의 2호차)를 예에 취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7 (천의 자리)…차량 형식의 계열을 나타낸다. 1로부터 시작되어 형태나 성능마다 9까지의 숫자로 나눌 수 있다(4는 사업용차). 6 (백의 자리)…0 - 4선두차,5 - 9중간차,0 - 2·5 - 7다카라즈카 선,3·4·8·9교토 선. 1100계 - 3100계까지는 0·5가 고베 선용,1·6이 다카라즈카 선용이었다. 2·7은 평상시는 사용하지 않고, 시작차나 특별 차량용으로 비울 수 있다. 1 (십의 자리)…0 - 4전동차,5 - 9부수차 3 (일의 자리)…제조 순위 번호. 제조순서에 타사와 같은 1은 아니고 0부터 붙일 수 있다(산요 전기 철도도 같다). 다만,3300계까지 교토 선용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1부터 시작되도록 되고 있었다. 다만, 원래 선두차였던 차량으로 그 후의 개조로 운전대를 철거(중간차화)했을 경우에서도 개번 되는 일 없이 제조 당시의 번호인 채로 사용되고 있는(예:3000계의C#3000) 경우가 있다.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9000계 8200계 8000계 7000계 6000계 5100계 5000계 3100계(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3000계 2000계(편성은 소멸,부수차만 존재。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교토 선 9300계 8300계 7300계 6300계 5300계 3300계 2300계 사업용 4050형 운임[원본 편집] 어른 보통 여객 운임(소아 반액). 2004년 12월 1일 기준. 영업 거리 운임(엔) 영업 거리 운임(엔) 최초 구간 4 km 150 34 - 42 360 5 - 9 180 43 - 51 390 10 - 14 220 52 - 60 450 15 - 19 260 61 - 70 510 20 - 26 270 71 - 76 600 27 - 33 310 회수권[원본 편집] 다음과 같은 종류의 회수권을 발매하고 있다. 유효기간은 발매일부터 3개월 후의 말일까지. 덧붙여 낮시간대 10 - 16시간의 사이에 입장·정산 사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말에는 주말 다이어로 운전하는 평일(명절·연말 연시 기간)도 포함한다. 보통 회수권 - 10회분의 금액으로 11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 - 평일 낮·토요일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2회 승차 가능. 하프 시차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6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의 하프판. 토·일 회수권 - 주말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4회 승차 가능. 하프 토·일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7회 승차 가능. 토·일 회수권의 하프판. 노세 전철·고베 고속·산요 전철·고베 전철 연락은 보통 회수권·하프 시차 회수권·하프 토일 회수권만의 발매이다. 유효 구간이 한큐 선내만되는 경우는 회수권 카드로의 발매도 실시하고 있다. 회수권 카드만, 보통 회수권 22회권(20회분의 금액)을 발매하고 있다. 2007년 4월 1일부터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모든 회수권에 대해서는 유효기간내이면 한신 전철에서도 이용 가능해졌다. 다만 그대로는 이용하지 못하고, 한신선으로 이용할 때는 입장전에 청색의 매표기로 한신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또, 한신 선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회수권도 이와 같이 한큐로 사용 가능하다. 이쪽도 사용전에 적색의 매표기로 한큐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한큐는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때, 회수권을 1매만 권면에 기재된 액면의 금권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0엔 구간을 27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승차했을 경우, 하차시에 18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을 할 수 있다. 불리를 알면서 합계 금액이 과잉이 되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예:510엔 구간을 26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 하차시에 26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이 때는 개찰기·정산기의 이용은 하지 못하고, 계원 창구에서 정산할 필요가 있다. 2008년 12월 29일에 위조 레인보우 카드(오사카시 교통국의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의 사용이 발각되었기 때문에,2009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매표기로의 라가르카드를 포함한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로의 회수권 및 회수 카드로의 교환을 할 수 없게 될 예정이다.[2] 특기 사항[원본 편집] 홈의 호칭[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홈을 부르는 법은 「○번선」이지만, 한큐 전철에서는 「○호선」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이다. 이것은 「○번선」이 사내에서의 구내 배선에 대해서 부르는 법이기 때문이다. 다만,산노미야 역은 예외적으로 「0번 홈」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을 하고 있다. 홈이 2차량분밖에 없는 역에서는 섬식·대향식에 관계 없이 원칙으로서 자동 방송으로 홈 번호를 말하지 않고 「여러분, 곧 아와지 방면을 향하는 전철이 도착합니다」(교토 선)과 같이, 행선지의 방면에서 표현한다. 예외적으로 홈이 3차량분 이상 있는 역에서도 번호를 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교토 선의 역이나, 우등 열차 통과역에 많다. 예:소노다 역,아이카와 역,이바라키시 역,다카쓰키시 역,가쓰라 역). 단지 차량이 입선하고 올 때의 방송에서는 「0호선에 들어갔던 전철은…」이라고 홈의 안내도 포함해 안내된다. 또,니가와 역은 한신 경마개최시의 임시 열차의 관계로 회송차의 발착이 있기 위해 행선지조차 붙지 않는다. 이전에는 쇼자쿠 역도 배선의 관계상 1개의 홈에서 양방향의 열차가 나오기 위해 행선지가 붙지 않았지만, 열차 안내 장치·방송 기기의 갱신에 의해 2008년 2월부터 우등 열차 정차역 같은 수준의 상세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아와지 역에는 1호선이 없고,2 - 5호선만 존재한다. 이전에는 1호선이 존재했으나[3] 사내 업무에도,승객에게도 혼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1호선 폐지 시에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경위가 있다. 덧붙여 쇼자쿠 역에도 1호선 홈이 없지만, 이것은 다른 이유에 의한다.(쇼자쿠 역#역 구조를 참조) 가쓰라 역에는 1호선의 근처에 「C호선」이 있다. 원래는 인접하는 차량 기지의 C호선을 것을 홈을 설치하고 역으로 한 것이다.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점으로 1호선이 없는 아와지 역과 같은 이유이다. 신포우 선과 교토 선에서는 열차의 홈의 「노란선의 안쪽에 물러서 주세요.」의 발음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역·차내에서의 안내[원본 편집]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 2000년대 전반무렵까지 만들어진 안내 사인등의 서체에는 주로 「나르」가 이용되었다.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 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상기의 것과 폰트나 영문자 표기등이 다르다. 덴진바시스지 6초메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다음은 텐짐바시스지료쿠초메, 덴로쿠입니다」라는 아나운스를 한다. 약칭을 육성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드문 예이다. 우메다, 산노미야, 다카라즈카 등의 JR의 노선으로 갈아 타기가 가능한 역에 도착할 때의 환승 안내에서는 구 일본 국철시대부터 일관해서 JR선의 안내를 하고 있지 않다. 다만 2006 - 2007년의 다이어 개정으로 노선도에는 표기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오사카 시 교통국은 사카이스지 선 오기마치 역을 JR 오사카 순환선의 환승역으로서 안내하고 있지만, 한큐전차의 노선도에는 그 취지가 기재되지 않았다. 역 구내의 자동 방송은 탤런트인 가타야마 미쓰오와 마리코 유미가 담당하고 있다. 덧붙여서 가타야마는 JR 다카라즈카 선의 역 방송도 맡고 있다.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했다. 구체적으로는 자사 선내에서의 차장의 호루라기에 의한 발차 신호를 원칙 폐지. 우등 열차의 정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까지 멈추지 않습니다」로부터 「다음은 00역에 정차」. 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 또 안내 회수를 주요역을 제외해 원칙 1회로 했다. 2005년 10월 1일부터 차내에서의 안내 방송을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은 00, 00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 2006년 10월 1일부터는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에서,2007년 3월 16일부터는 교토 선의 역 홈에서의 안내 방송을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우메다행입니다」로부터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오사카 우메다행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4] 우메다·산노미야·신가이치·가와하라마치의 4역에 대해서는 「오사카 우메다」 「고베 산노미야」 「고베 신개발지」 「교토 가와하라마치」와 같이 아나운스 한다.(반복하는 경우는 2번째 이후 오사카·고베·교토의 부분을 생략 한다)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종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설정했다. 2003년 6월 10일부터 1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동년 7월 11일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또 교토선에 직통하는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이나 같은 한큐 그룹의 노세 전철·고베 전철이 도입되고 있다. 또 이「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에 대한 아나운스는, 육성에 의해서 조금 다른 일이 있다. 설정 차량:1차량(고베·다카라즈카·교토·기타센리·이타미·미노오·카와니시노세구치 방면 선두 차량) 부활한 「우선 좌석」[원본 편집] 하나 더, 한큐 전철의 독자 룰로서 특필된 것이 「전석 우선 좌석」이다. 한큐 전철에서는 「특정의 자리를 고집하지 않고, 모든 좌석에서 쌍방양보의 정신을」이라는 일로부터, 정해진 우선 좌석을 폐지해 1999년 4월부터 「전석 우선 좌석」을 도입하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서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이 설정된 것은, 동업 타사가 「우선 좌석 부근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을 off」라고 하는 룰을 빠짐없이 도입했지만, 한큐는 특정의 우선 좌석이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그런데 , 한큐 전철측의 기대와는 정반대로 이 「전석 우선 좌석」은 잘 쓰이지 않고, 거의 좌석의 쌍방양보를 하지 않다고 하는 현상으로 2007년 6월말의 한큐한신 홀딩스의 주주 총회에서 재설치의 요망이 있던 것을 기회로 전석 우선 좌석을 재검토하게 되어, 동년 10월 29일에 「전석 우선 좌석」은 폐지되어 다시 「우선 좌석」을 설치했다. 그러나, 우선 좌석의 설치 개소는 기본적으로 각 차량의 「우메다를 전방으로 했을 때의 최후미 좌석」이지만 운전대, 혹은 운전대 자취가 존재하는 차량은 그러한 역측의 좌석이 되고 있어 중간에 운전대 및 그 폐지 개조를 실시한 차량이 포함되는 편성(고베 선의8032F등)은 우선 좌석이 차량에 의해서 앞쪽에 있거나 뒤편에 있어 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염려가 있다. 텔레비전·영화 촬영[원본 편집] 1990년대 후반무렵에 간사이의 철도 사업자에서는 처음으로 외부의 사업자의 TV프로,영화,드라마의 촬영을 인정했다.(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최초로 이 사업을 개시한 것은 게이세이 전철이다) 철도 사업자에서는 유일하게 일본 총무성에서 동경110도 CS위탁 방송사업자 인정을 받고 있어 2002년부터 다카라즈카 가극 전문 채널 「다카라즈카·스카이·스테이지」를 방송하고 있다. 그 외[원본 편집] 한큐홀딩스(현·한큐한신 홀딩스)로서 지주회사가 되기 전의 구·한큐 전철은 1936년부터 1988년까지 프로 야구 구단인 한큐 블레이브스(후에 오릭스·블루 웨이브, 현재는 오릭스 버펄로스)를 가져, 그 본거지(전용 구장)으로서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후의 한큐 니시노미야 스타디움,2002년에 폐쇄)을 소유하고 있었다. 등기상의 본점 소재지를 오사카부 이케다 시에 두고 있어서, 이케다 시를 소관하는 도요노 세무서의 법인세 랭크에서는 항상 톱이다. 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처음으로 「학생 전용 출구」를 1965년에 고요 선 고요소노 역을 시작으로 일부의 역에서 개설했다(교복 착용이 조건). 1969년에는 「통근 전용 출구」를 쓰카구치 역, 이케다 역, 도다 역에 설치했다. 이러한 출입구는 1992년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출퇴근 시간 등의 역 안내 업무의 임시 안내계(아르바이트)로서 학생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 이름대로 대학생과 전문학교생이 고용 대상이다. 간사이 사철로 처음으로 역 구내에 입식·우동 가게를 마련한 것은 한큐 전철이다. 국제 문화 공원 도시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5] 관계 기업[원본 편집] 한큐 한신 도호 그룹에 속하는 전기업의 일람은 한큐 한신 도호 그룹을 참조. 한큐백화점 도호 한신 전기 철도 한큐 전철 그룹 노세 전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한큐 버스 한큐 데넨 버스 신에쓰 버스 단고가이리쿠 교통 한큐 택시 한큐 교통사 간사이 TV 방송 - FNN/FNS의 준키국. 후지산케이 그룹에도 가깝다 한큐커뮤니케이션(옛 TBSBritannica) 알나 차량 스테이션 파이낸스 씨어터·드라마 시티 어번·에이스 모리쿠미 고마·스타디움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도쿄 라쿠텐치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자동화 시스템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시모츠이 전철 - 한큐 전철이 자본 참가하고 있지만, 관계는 비교적 희박하다. 젠탄 버스 - 일찍이 한큐 전철의 관련 기업이었다. 이케다 은행 - 한큐 한신 홀딩스가 대주주로, 한큐 전철의 역 구내에 설치된 ATM(PatSat)의 관리 은행. 마이니치 방송 - 간사이 TV의 개국에 기여한 이미지가 강하지만,마이니치 방송의 전신인 신일본 방송의 개국에도 기여했다. FM오사카 - 한큐 한신 홀딩스가 주주로 되어 있다. 현재 SDD(스톱·드링크·드라이빙[Stop-Drink-Driving])프로젝트(음주 운전을 하지 말자는 운동)의 스폰서로서 한큐 한신 도호 홀딩스로서 제공. Kiss-FM KOBE - 시기는 불명하지만, 과거에 제공 프로그램이 있었다. 각주[원본 편집] ↑ 참고 링크:한큐 전철 첫 참배 승차권의 안내(첫 참배 그룹과 티켓 등에 기재가 있다)http://rail.hankyu.co.jp/hatsumoude/ Archived 2007년 12월 10일 - 웨이백 머신 ↑ “5,000엔 라가르카드(소아2,500엔)의 발매 중지 및 스루토KANSAI카드에 의한 회수권의 발매 중지에 대해”. 2009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오사카측의 터미널이 텐짐바시 역(현재의 텐짐바시스지 6초메 역)이었던 무렵에 아와지 - 주소간의 열차에 사용되고 있었다 ↑ “참고 사이트(일본어)”.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참고 pdf 파일(일본어)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일본어) 한큐 전철 정보 (일본어) 한큐 전철 주식회사 회사 정보 vdeh한큐 한신 도호 그룹지주회사 한큐 한신 홀딩스 철도산업 한큐 전철(한큐 전철 고베 본선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 한큐 전철 교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전기 철도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보유노세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롯코 마야 철도 버스·택시 사업 한큐 버스 한신 버스 한큐 시골 버스 신테츠 버스 단고 해륙 교통 오사카 공항 교통 한큐 택시 한신 택시 여행·운송 사업 한큐 한신 교통사 홀딩스〔한큐 교통사(한큐 한신 비지니스 여행/트라픽스)/한큐 한신 익스프레스〕 호텔 사업 한큐 한신 호텔(한큐 한신 레스토랑) 부동산 사업 한큐 부동산 한신 부동산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사업 도호 다카라즈카 가극단 주식회사 오에스 코마 스타디움 간사이 TV 방송 한큐 커뮤니케이션 소매 사업 H2O 리테일링 (기업)〔한큐 한신 백화점(한큐 백화점 한신 백화점) 주식회사 한쇼쿠(한큐 오아시스 한큐 패밀리 스토어 한큐 닛쇼 스토어 주식회사 한큐 프레쉬엘)〕 주식회사 한큐 리테일즈(아스나스) 북 퍼스트 그외 사업 한신 타이거스 프로 야구팀 한큐 한신 카드 관련 시설 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신 고시엔 구장 우메다 한큐 빌딩 한큐 그랜드 빌딩 한큐 차야마치 빌딩 하비스 오사카 우메다 한신 제2 빌딩 관련 항목 대규모 사철(준 대기업 사철) 센슈 이케다 홀딩스 FNN FNS 스룻토KANSAI PiTaPa Hanica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시 교통국(오사카 시영 지하철) 산요 전기 철도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전철 신포선 한큐 마을(우메다) 한큐·한신 경영 통합 한큐 전철 (소설) vdeh일본의 대규모 · 준대규모 사유 철도간토대규모 사철 게이세이 전철(게이세이) 게이오 전철(게이오) 게이힌 급행 전철(게이큐) 도부 철도(도부) 도쿄 급행 전철(도큐)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 사가미 철도(소테쓰) 세이부 철도(세이부) 오다큐 전철(오다큐) 준대규모 사철 신케이세이 전철(신케이세이) 주부대규모 사철 나고야 철도(메이테쓰)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긴키대규모 사철 게이한 전기 철도(게이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난카이 전기 철도(난카이) 한신 전기 철도(한신) 한큐 전철(한큐) 준대규모 사철 고베 고속 철도(고베 고속)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기타큐) 산요 전기 철도(산요) 센보쿠 고속 철도(센보쿠 고속) 관련 사철 고베 전철(신테쓰/신덴) 규슈대규모 사철 서일본 철도(니시테쓰) 그룹 게이오 게이세이 게이큐 게이한 긴테쓰 난카이 니시테쓰 도부 도큐 메이테쓰 세이부(HD) 소테쓰(HD) 오다큐 한큐 한신 토호(HD) 관련 문서 JR 사철 일본 민영 철도 협회 PASMO 트랜 패스 manaca 스룻토 KANSAI PiTaPa nimoc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큐전철&oldid=22982191" 분류: 1907년 설립2005년 폐지2005년 설립이케다시복합 기업한큐 전철한큐 한신 홀딩스한큐 한신 도호 그룹한신 전기 철도일본의 철도 기업다카라즈카 가극단19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2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큐전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전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큐 전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 엔 매출액 1,706억 3,9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영업이익 308억 3,2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순이익 58억 500만 엔 (2011년 3월 기준) 자산총액 1조 734억 8,600만 엔 (2011년 3월 31일 기준) 주요 주주 한큐 한신 홀딩스 100%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웹사이트 한큐 전철 공식 홈페이지 한큐 전철 주식회사Hankyu Corporation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1907년 10월 19일 후신 분할신설: 한큐 전철 분할존속: 한큐 한신 홀딩스 해체 2005년 4월 1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오사카부 오사카 시 기타 구 시바다 1초메 16번 1호 사업 지역 게이한신 지역 핵심 인물 스미 가즈오(대표이사 및 사장) 자본금 1억엔 모기업 한큐 한신 토호 그룹 한큐 전철 주식회사(阪急電鉄株式会社, Hankyu Corporation)는 일본의 긴키 지방에 노선을 갖고 있는 민간 전철 회사이다. 오테 사철(大手私鉄)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전철 회사의 하나이며 일반적인 약칭은 한큐이다. 한큐 한신 홀딩스의 자회사로, 한큐 한신 토호 그룹에 소속하는 기업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단인 다카라즈카 가극단(宝塚歌劇団)을 운영하고 있고, 1936년부터 1988년까지는 프로 야구 팀 "한큐 브레이브스(현재의 오릭스 버펄로스)"의 구단주이기도 했다. 본사 사무실은 오사카부 오사카 시 키타 구에 위치해 있지만, 등기상의 본사 소재지는 오사카부 이케다 시 사가에 정이다. 스룻토KANSAI의 카드에 인쇄 된 부호는 HK이다. 목차 1 역사 1.1 연표 2 한큐 전철의 호칭 3 철도 사업 3.1 노선 3.1.1 고베 선 계통 3.1.2 다카라즈카 선 계통 3.1.3 교토 선 계통 3.2 열차 종별 3.2.1 열차 종별의 표시 3.3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 3.4 차량 3.5 운임 3.5.1 회수권 4 특기 사항 4.1 홈의 호칭 4.2 역·차내에서의 안내 4.3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 4.4 부활한 「우선 좌석」 4.5 텔레비전·영화 촬영 4.6 그 외 5 관계 기업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원본 편집] 한큐백화점 우메다 본점 한큐한신 홀딩스 탄생 기념 헤드 마크를 게시한 6000계 전철. 하나쿠마 역 홈에서 1907년에 설립된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가 1910년 3월 10일에 현재의 다카라즈카 본선·미노오 선에 해당하는 우메다 - 다카라즈카,이시바시 - 미노오를 개업한 것이 시작. 창업자 고바야시 이치조는 경영 안정을 위해 연선 개발에 힘을 써 주택지 분양, 다카라즈카 신온천, 다카라즈카 가극대(후의 소녀가극단, 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등의 사업을 다각적으로 전개했다. 계속 되어 한신간의 수송에 참가. 1918년, 회사명을 한신 급행 전철으로 개칭. 현재까지 계속 되는 약칭 「한큐」는 이것에 유래한다(정식 회사명에도 채용된다). 한신간에 참가한 것으로, 이후 이미 한신간에 도시간연락 전철을 영업하고 있었던 한신 전기 철도와는 격렬하게 싸우는 라이벌 관계가 되었다. 1936년에는 고베시내의 산노미야 역에 고가선으로 노선 연장했다. 덧붙여 「전철」이라고 하는 말은, 「전기 철도」라고 하는 말을 상호에 사용하는 것에,철도성이 어디까지나 궤도법 준거의 「전기 궤도」인 것을 근거로서 난색을 나타낸 것으로부터 대책으로서 고바야시 이치조가 생각해 낸 말로, 이후 궤도법 감독하의 각사가 고속 전기 철도에의 탈피를 도모할 때에 유용하게 활용되게 되었다. 1943년, 전시 기업 통합 정책(육상 교통 사업 조정법)에 의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덧붙여 이때 「한큐」라는 약칭은 공식으로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게이한신(급행)」이라고 여겨졌지만,오사카 시전의 전차 정류장명에서도 「한큐한신전」(우메다)·「게이한신 급행전」(덴로쿠) 등과 혼합해서 이용되고 있었다고 한다. 전후의 1949년에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이 게이한 전기철도로서 재분리. 이때 약칭도 「게이한신」으로부터 「한큐」로 되돌리고 있다. 1973년,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92년 스트아드페아시스템「라가르스르」를 개시한다. 그러나,버블붕괴로 쟈야마치 지구 등의 재개발 사업의 실패에 의한 거액의 손실을 입었다. 1995년 1월 17일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고베 본선·이타미 선·이마즈 선 등이 심대한 피해를 받았지만 동년 6월 12일에 거의 전선이 복구,1998년에는 이타미 역도 재건되었다. 지진 재해 이후도, 길어지는 소비불황이나 서일본 여객철도(JR서일본)등과의 격렬한 경합, 1자녀화등의 영향에 의해 수송 인원은 감소. 부동산·호텔 사업의 재편이나, 다카라즈카 신온천 이래 90년이상의 역사를 가지는 유원지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의 폐원,포트 아일랜드에 있던 「고베 포트피어 랜드」로부터의 사업 철퇴(그 후 고베 시가 운영을 하다가 2006년 폐원)등, 그룹 사업의 재편이 진행된다. 그 집대성으로서 2005년 4월 1일에 구·한큐 전철로부터 철도, 부동산, 레저, 유통의 4사업을 분할 승계하는 신·한큐 전철(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로부터 상호 변경)과 호텔 경영을 통괄하는 한큐 호텔 매니지먼트, 여행업의 한큐 교통사의 직영 사업회사 2회사가 맞추어 3회사로 재편해, 구·한큐 전철은 지주회사 한큐홀딩스(현·한큐 한신 홀딩스)(으)로 이행했다. 덧붙여 2007년 10월 19일 창업 100주년을 맞이했다. 연표[원본 편집] 1906년 1월 15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철도 창립 발기인회 설립. 1907년 6월 1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로 회사명 변경. 1907년 10월 19일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창립총회. 1910년 3월 10일 다카라즈카 본선 우메다 - 다카라즈카간, 미노오 선 이시바시 - 미노오간이 개통. 1911년 5월 1일 다카라즈카 신온천(후의 다카라즈카 패밀리 랜드)이 개업. 1913년 7월 1일 다카라즈카 창가대(현재의 다카라츠카 가극단)를 조직. 1918년 2월 4일 한신 급행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21년 9월 2일 서보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이 개통. 1925년 6월 1일 우메다 한큐빌딩(구관)에 한큐 마켓이 개업. 1925년 10월 15일 신쿄판철도(1930년에 게이한 전기철도에 합병)에 의해 텐짐바시 - 아와지간이 개통. 1926년 12월 18일 서보 선이 전노선 개통. 이마즈 선으로 개칭. 1928년 1월 16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와지 - 다카츠키마치(현재의 다카츠키 시) 간이 개통. 1928년 11월 1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다카츠키마치 - 사이인간이 개통. 1928년 11월 9일 신쿄판철도에 의해 아라시야마 선이 개통. 1929년 4월 15일 우메다 역에 한큐백화점이 개점. 1932년 8월 연극, 영화의 흥행을 주된 목적으로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현재의 도호)를 설립. 1936년 4월 1일 고베 본선 서나다(현재의 오지코엔 역) - 고베(현재의 산노미야 역) 간이 개통. 1943년 10월 1일 한신 급행 전철이 게이한 전기철도를 합병, 게이한신 급행 전철이 된다. 1945년 5월 1일 가타노 전기 철도의 사업을 양도해 가타노 선으로 한다. 1946년 11월 20일 생산부를 닛코 식산 주식회사(현·한큐 산업 주식회사)로서 분사화. 1949년 1월 1일 기타노 선을 휴지. 1949년 12월 1일 가타노 선·우지 선·게이신 선·이시야마사카모토 선을 게이한 전기철도(신)로 분리. 신쿄판선을 교토 본선으로 개칭. 1967년 3월 1일 센리야마 선이 센리 선으로 개칭,기타센리 역까지 개통. 기타센리 역에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자동 개찰기설치. 1968년 4월 7일 고베 본선이 고베 고속 철도·산요 전기 철도와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69년 12월 6일 센리 선·교토 본선이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직통 운전 개시. 1973년 4월 1일 한큐 전철로 회사명 변경. 1973년 11월 23일 우메다 역의 이전 확장 공사가 완료. 1988년 10월 31일 한큐블레이브스를 오리엔트·리스(현 오릭스)에 양도. 1989년 4월 1일 선불 카드「라가르카드」도입. 1989년 12월 7일 분사·지주회사화의 준비를 위한 완전 자회사·한큐 전철 분할 준비 주식회사(현 한큐 전철)의 등기상의 설립 연월일. 1992년 4월 1일 스트아드 페아시스템 「라가르스르」개시. 1994년 9월 1일 일본 최초의 부정 승차방지 시스템 「페어 라이드 시스템(Fare ride system)」을 도입. 1995년 1월 17일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각선에 피해. 동년 1월 23일까지 교토 본선, 다카라즈카 본선, 고베 본선의 일부에서 운행 재개. 1995년 2월 5일 이마즈 선이 전선 복구. 1995년 3월 11일 이타미 선이 신이타미 - 이타미(가역) 간에서 운행 재개. 1995년 6월 12일 고베 본선이 전선 복구.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1997년 11월 17일 다카라즈카 본선으로 노세 전철 일본생명보험 주오 역까지 노선연장을 실시하는 직통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의 운전을 개시. 1998년 2월 15일 산요 전기 철도와의 상호 직통 운전을 중지, 고베 본선은 신가이치까지의 운행. 1998년 10월 1일 이마즈(남)선 1인 승무 운전을 개시. 1998년 11월 21일 이타미 역 본역이 완성.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은 단선으로 운전 재개. 1999년 3월 6일 이타미(가역) - 이타미간이 복선 운전 재개, 지진 재해로부터 실로 4년 만에 완전 복구. 1999년 4월 1일 전노선의 전차량으로 우선 좌석을 폐지(전차량의 전좌석을 우선 좌석화). 2002년 10월 1일 교토 본선으로 여성 전용 차량을 2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6300계의 특급·통근 특급·쾌속 특급에만 설정. 동년12월 2일부터 본격 도입. 2003년 6월 10일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시험적으로 도입(자세한 것은 특기 사항 참조). 7월 11일부터 본격 도입. 2004년 8월 1일 비접촉형 IC카드 PiTaPa에 의한 승차 서비스를 개시. HANA PLUS 카드 발행. 2005년4월 1일 한큐 전철·한큐 호텔 매니지먼트·한큐 교통사의 각사를 직할 하는 지주회사 한큐홀딩스에 이행. 동일자로 철도·부동산등의 사업은 회사 분할에 의해서 한큐 전철 분할 준비(주)에 승계시킨 다음 동사를 한큐 전철로 개칭, 구 한큐 전철을 한큐홀딩스로 개칭. 2006년 1월 21일 JR서일본의 ICOCA로 철도 노선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2006년 7월 1일 PiTaPa 대응 카드를 이용한 「IC정기권 서비스(PiTaPa 정기 서비스)」를 개시. 2006년 10월 1일 모회사의 한큐홀딩스가 한신 전기 철도와의 경영 통합에 수반해 한큐 한신 홀딩스로 회사명 변경. 2007년 10월 1일 HANA PLUS 카드를 대신해 STACIA 카드 발행 개시. 2007년 10월 19일 창립 100주년을 맞이한다. 2007년 10월 29일 전노선의 전차량에 우선 좌석을 재설치.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의 장소를 일부 변경. 한큐 전철의 호칭[원본 편집] 간사이 사철 에서는 "ㅇㅇ전차"라는 호칭이 정착하고, 차내 방송이나 역의 게시물, 웹 사이트에서도 "ㅇㅇ전차"라는 애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큐 전철은 공식적으로는 "한큐 전차"라고는 안내하지 않는다. 이것은 1992년의 창업 85주년을 계기로 회사 측이 공식 통칭을 "한큐 전철"으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객 사이에서는 현재까지도 "한큐 전차", "한큐 선", "한큐"이라고 하는 약칭이 많이 사용되고, 교토 시영 지하철 시조 역, 오사카 시영 지하철 우메다 역 등 타사·타국에서 환승 안내 표시도 "한큐 전차"이다. 그러나 한큐 측에서도 용품 간행물은 때때로 "한큐 전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한큐 전철은 "전기 철도"라는 호칭을 "전철"로 생략하고, 공식적인 사명으로 정한(당시의 회사 명은 "한신 급행 전철") 일본 최초의 철도 회사이다. 지하철 노선 철도 사업[원본 편집] 노선[원본 편집] 크게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의 3개로 나눌 수 있어 각각 본선과 거기에 부수 하는 지선을 가진다. 라인 칼라는 노선도 외, 홈의 발차 번선, 보통 전철의 행선지 표시판(각 지선만)등에 사용되고 있다. 고베 선 계통[원본 편집] 고베 본선(神戸本線):우메다(梅田) 역(오사카 시) - 산노미야(三宮) 역(고베 시) 이타미 선(伊丹線):쓰카구치(塚口) 역(효고현 아마가사키 시) - 이타미(伊丹) 역(효고 현 이타미 시) 이마즈 선(今津線):다카라즈카(宝塚) 역(효고 현 다카라즈카 시) - 이마즈(今津) 역(효고 현 니시노미야 시) 고요 선(甲陽線):슈쿠가와(夙川) 역 - 코요엔(甲陽園) 역(니시노미야 시) 다카라즈카 선 계통[원본 편집] 다카라즈카 본선(宝塚本線):우메다 역 - 다카라즈카 역 미노오 선(箕面線):이시바시(石橋) 역(오사카부 이케다 시) - 미노오(箕面) 역(오사카 부 미노오시) 교토 선 계통[원본 편집] 교토 본선(京都本線):주소(十三) 역(오사카 시) - 가와라마치(河原町)역(교토 시) 센리 선(千里線):덴진바시스지6초메(天神橋筋六丁目) 역(오사카 시) - 기타센리(北千里) 역(오사카 부 스이타 시) 아라시야마 선(嵐山線):가쓰라(桂) 역 - 아라시야마(嵐山) 역(교토 시) 이 외 , 다카라즈카 본선 주소 - 다카라즈카간, 고베 본선 주소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 이마즈(기타) 선 다카라즈카 - 니시노미야기타구치간의 환상 구간을 「순환선」이라고 호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각 역의 운임표 주변에 게시되고 있던 설명서 등에도 그 기술을 볼 수 있었지만, 동구간에 환상 운전은 행해지지 않은 것 외 「순환선」의 호칭은 JR 오사카 순환선을 연상 시키기도 해 적극적으로는 이용되지 않았다. 운임 계산에 있어서의 설명서나 기획 승차권·정기승차권의 유효 구간 표시등에서 조금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1] 한큐의 노선에는 터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공사기간과 비용이 늘어나고, 메이지 - 타이쇼 시대의 토목 기술에서는 위험이 컸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터널 공사를 피했기 때문이다. 다카라즈카 선은 터널을 필요로 하는 루트를 피한 결과, 커브가 많은 노선이 되었다. 현재에도 터널은 제2종 철도 사업 구간(고베 고속선)을 제외하면 전선으로 3개소밖에 존재하지 않고, 그 중 2개소는 사이인 - 가와하라마치간과 덴로쿠 부근의 지하선에 통하는 입구여서, 출입구가 있는 순수한 터널은 센리 선의 센리 터널 하나이다. 덧붙여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노세 전철에는 수많은 터널이 있다. 한신 니시오사카 선이 긴테쓰남바 역까지 개통하는 2009년 이후는(개업 후는 한신 남바선으로 개칭), 간사이에서는 유일 오사카 시 주오 구에 노선이 없는 대기업 사철이 된다(다만 교토 본선의 차량 자체는 사카이스지 선을 개입시키고 주오 구에 노선 연장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열차 종별[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 대해 설정되는 열차 종별은 다음과 같다. 특급·통근 특급·쾌속 급행 고베 선·교토 선 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 다카라즈카 선 급행·통근 급행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준급 고베 선·이마즈 선·다카라즈카 선·교토 선·센리 선 통근 준급 다카라즈카 선·미노오 선 열차 종별의 표시[원본 편집] 열차 종별은 선두 차량 전면의 통과 표지등이나 종별 표시기로 식별할 수 있다. 통과 표지등의 점등 패턴은 다음과 같다. 정면에서 봤을 때 양쪽이 점등 - 쾌속 급행·통근 특급·특급 일본생명보험 익스프레스·특급(임시·대절·회송·시운전 열차도 포함한다)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이 점등 - 통근 준급·준급·통근 급행·급행 점등되지 않았음 - 보통 급행의 점등 패턴은 긴키 일본 철도와 같다. 타사 노선과의 직통 운전[원본 편집] 오사카 시 교통국:교토 선·센리 선과 사카이스지 선과 상호 연결 운행.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차량의 노선연장은 기본으로서 다카츠키 시까지이지만, 시운전이나 이벤트 등에서 노선 연장한 실적이 있다. 고베 고속 철도:고베 선이 도자이 선 신가이치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전기 철도:1998년까지 고베 선이 고베 고속 철도 도자이 선을 경유해 산요 전철 본선 스마우라코겐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도 고베 선 한큐롯코 역까지 노선 연장. 산요 차량은 현재에도 산노미야 역까지 노선 연장하고 있어 즉시의 회송 때, 우메다 측에도 수백 미터 주행하기 때문에 승객 취급은 하고 있지 않는 한큐 선내를 달리는 산요 차량은 존재한다. 덧붙여 1998년까지는 롯코 역으로부터 한큐미카게 역 서쪽의 대피선까지 회송되어 즉시를 하고 있었다. 노세 전철:다카라즈카 선이 노선 연장. 노세 전철은 한큐 그룹의 일원으로,2003년 이후는 도색도 한큐와 같다. 노세 전철의 차량(원래는 한큐의 차량)은 차량 검사나 이벤트 시에 히라이 차고나 쇼쟈쿠 차고까지 입선하고 있다. 차량[원본 편집] 미노오 아리마 전기 궤도 및 그 후신의 한신 급행 전철(한큐)에 의해서 부설된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과 기타오사카 전기 철도 및 그 후신의 신쿄판철도에 의해서 부설된 교토선과는 그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차량 규격에 차이가 있다. 차량의 전장품도, 다카라즈카 선은 도시바제, 교토 선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토요 전기 제조제로 나눌 수 있다. 지금도 이 관습을 계속 지키고 있다(그 밖에 도시바 제품은 다카라즈카 선의 전장품 외에 전역의 역무기기나 전철의 공조 장치,엘리베이터, 업무용 PC등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매스 콘은 간사이에서는 드물게 원 핸들 매스 콘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전후 1948년의 550형이후 모든 한큐차량은 계열의 나니와 공사 기계(후의 알나 공업 기계)가 건조하고 있었다(차량을 신규 제조하는 것을 「건조」라고 표현한다). 그러나 한큐와 도부 철도,도쿄 도 교통국,오사카 시 교통국등의 주된 납입처가 경영 상황의 어려움으로부터 차량 신조를 억제, 수주가 격감했기 때문에 2002년에 동사는 해산. 그 후의 한큐차의 건조 메이커로 선택된 것은 지금까지 간사이의 대기업 사철과 거래가 없었던(다만, 공영인 교토 시·오사카 시와는 거래가 있었다)히타치 제작소. 덧붙여 한큐의 경영 사정은 여전히 어려워 1960년대 후반 - 1980년대 전반에 제조된 차량을 아르나 차량이나 글로벌 텍에서 갱신 공사를 시공해 연명 사용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1970년대 전반까지의 차량에 관해서는 재차의 갱신 공사 시공이 된다). 최근의 차량(갱신차 포함한다)에는 경년 열화도 고려해 차체나 도어부에 꽤 진한 색을 사용하게 되었다. 덧붙여 외부도색에 대해서는 8000계 도입시와 9300계 도입시에 신색채용(메탈릭 오렌지등이 검토되었다)의 안이 부상했던 적이 있지만, 이용자나 사내로부터도 항의나 반대 의견이 속출했기 때문에 6000,7000계열의 지붕부분을 아이보리색으로 고치는 것 이외는 폐안이 되었다(다만 현재에도 이용자나 부내중에서는 아이보리색을 차체 하단 부분에도 마련하는 정도이면 좋다는 의견도 소수 존재하고 있다). 덧붙여 교토 선에 노선 연장한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의 차량에 관해서는,스텐레스 차체에 차계의 띠를 감은 66계가 달리고 있다. 이전에는 알루미늄제 차체에 다대를 감은 60계도 달리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 있어서의 형식의 부번은 다음과 같다. 한큐 전철의 형식 번호는 1980년대에 폐차된 810계를 마지막으로, 이후는 4자리수가 되어 있다. 부수차(T차)에는 동계의 전동차(M차)의 차번에 5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중간차에는 선두차의 차번에 500을 더한 번호를 붙인다. 모하,쿠하 등의 형식 기호는 붙이지 않는다. C#7613(7013F에 속하는 산노미야의 2호차)를 예에 취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7 (천의 자리)…차량 형식의 계열을 나타낸다. 1로부터 시작되어 형태나 성능마다 9까지의 숫자로 나눌 수 있다(4는 사업용차). 6 (백의 자리)…0 - 4선두차,5 - 9중간차,0 - 2·5 - 7다카라즈카 선,3·4·8·9교토 선. 1100계 - 3100계까지는 0·5가 고베 선용,1·6이 다카라즈카 선용이었다. 2·7은 평상시는 사용하지 않고, 시작차나 특별 차량용으로 비울 수 있다. 1 (십의 자리)…0 - 4전동차,5 - 9부수차 3 (일의 자리)…제조 순위 번호. 제조순서에 타사와 같은 1은 아니고 0부터 붙일 수 있다(산요 전기 철도도 같다). 다만,3300계까지 교토 선용은 신쿄판시대의 자취로 1부터 시작되도록 되고 있었다. 다만, 원래 선두차였던 차량으로 그 후의 개조로 운전대를 철거(중간차화)했을 경우에서도 개번 되는 일 없이 제조 당시의 번호인 채로 사용되고 있는(예:3000계의C#3000) 경우가 있다.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 9000계 8200계 8000계 7000계 6000계 5100계 5000계 3100계(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3000계 2000계(편성은 소멸,부수차만 존재。일부 노세 전철에 양도) 교토 선 9300계 8300계 7300계 6300계 5300계 3300계 2300계 사업용 4050형 운임[원본 편집] 어른 보통 여객 운임(소아 반액). 2004년 12월 1일 기준. 영업 거리 운임(엔) 영업 거리 운임(엔) 최초 구간 4 km 150 34 - 42 360 5 - 9 180 43 - 51 390 10 - 14 220 52 - 60 450 15 - 19 260 61 - 70 510 20 - 26 270 71 - 76 600 27 - 33 310 회수권[원본 편집] 다음과 같은 종류의 회수권을 발매하고 있다. 유효기간은 발매일부터 3개월 후의 말일까지. 덧붙여 낮시간대 10 - 16시간의 사이에 입장·정산 사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말에는 주말 다이어로 운전하는 평일(명절·연말 연시 기간)도 포함한다. 보통 회수권 - 10회분의 금액으로 11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 - 평일 낮·토요일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2회 승차 가능. 하프 시차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6회 승차 가능. 시차 회수권의 하프판. 토·일 회수권 - 주말 유효. 10회분의 금액으로 14회 승차 가능. 하프 토·일 회수권 - 5회분의 금액으로 7회 승차 가능. 토·일 회수권의 하프판. 노세 전철·고베 고속·산요 전철·고베 전철 연락은 보통 회수권·하프 시차 회수권·하프 토일 회수권만의 발매이다. 유효 구간이 한큐 선내만되는 경우는 회수권 카드로의 발매도 실시하고 있다. 회수권 카드만, 보통 회수권 22회권(20회분의 금액)을 발매하고 있다. 2007년 4월 1일부터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모든 회수권에 대해서는 유효기간내이면 한신 전철에서도 이용 가능해졌다. 다만 그대로는 이용하지 못하고, 한신선으로 이용할 때는 입장전에 청색의 매표기로 한신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또, 한신 선 180엔,260엔,310엔 구간의 회수권도 이와 같이 한큐로 사용 가능하다. 이쪽도 사용전에 적색의 매표기로 한큐의 회수권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한큐는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때, 회수권을 1매만 권면에 기재된 액면의 금권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50엔 구간을 27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승차했을 경우, 하차시에 18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을 할 수 있다. 불리를 알면서 합계 금액이 과잉이 되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예:510엔 구간을 260엔의 보통 승차권(또는 회수권)으로 입장, 하차시에 260엔의 회수권을 가지고 목적지를 지나쳐서 정산) 이 때는 개찰기·정산기의 이용은 하지 못하고, 계원 창구에서 정산할 필요가 있다. 2008년 12월 29일에 위조 레인보우 카드(오사카시 교통국의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의 사용이 발각되었기 때문에,2009년 2월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매표기로의 라가르카드를 포함한 스루토KANSAI 대응 카드로의 회수권 및 회수 카드로의 교환을 할 수 없게 될 예정이다.[2] 특기 사항[원본 편집] 홈의 호칭[원본 편집] 일반적으로 홈을 부르는 법은 「○번선」이지만, 한큐 전철에서는 「○호선」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이다. 이것은 「○번선」이 사내에서의 구내 배선에 대해서 부르는 법이기 때문이다. 다만,산노미야 역은 예외적으로 「0번 홈」이라고 하는 부르는 법을 하고 있다. 홈이 2차량분밖에 없는 역에서는 섬식·대향식에 관계 없이 원칙으로서 자동 방송으로 홈 번호를 말하지 않고 「여러분, 곧 아와지 방면을 향하는 전철이 도착합니다」(교토 선)과 같이, 행선지의 방면에서 표현한다. 예외적으로 홈이 3차량분 이상 있는 역에서도 번호를 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교토 선의 역이나, 우등 열차 통과역에 많다. 예:소노다 역,아이카와 역,이바라키시 역,다카쓰키시 역,가쓰라 역). 단지 차량이 입선하고 올 때의 방송에서는 「0호선에 들어갔던 전철은…」이라고 홈의 안내도 포함해 안내된다. 또,니가와 역은 한신 경마개최시의 임시 열차의 관계로 회송차의 발착이 있기 위해 행선지조차 붙지 않는다. 이전에는 쇼자쿠 역도 배선의 관계상 1개의 홈에서 양방향의 열차가 나오기 위해 행선지가 붙지 않았지만, 열차 안내 장치·방송 기기의 갱신에 의해 2008년 2월부터 우등 열차 정차역 같은 수준의 상세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아와지 역에는 1호선이 없고,2 - 5호선만 존재한다. 이전에는 1호선이 존재했으나[3] 사내 업무에도,승객에게도 혼란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1호선 폐지 시에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경위가 있다. 덧붙여 쇼자쿠 역에도 1호선 홈이 없지만, 이것은 다른 이유에 의한다.(쇼자쿠 역#역 구조를 참조) 가쓰라 역에는 1호선의 근처에 「C호선」이 있다. 원래는 인접하는 차량 기지의 C호선을 것을 홈을 설치하고 역으로 한 것이다. 번호를 차례차례로 보내지 않았던 점으로 1호선이 없는 아와지 역과 같은 이유이다. 신포우 선과 교토 선에서는 열차의 홈의 「노란선의 안쪽에 물러서 주세요.」의 발음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역·차내에서의 안내[원본 편집]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 2000년대 전반무렵까지 만들어진 안내 사인등의 서체에는 주로 「나르」가 이용되었다. 한큐 전철의 승강장 역명판의 예(한큐 니시노미야 가덴즈 개업 후의 니시노미야기타구치 역).상기의 것과 폰트나 영문자 표기등이 다르다. 덴진바시스지 6초메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다음은 텐짐바시스지료쿠초메, 덴로쿠입니다」라는 아나운스를 한다. 약칭을 육성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드문 예이다. 우메다, 산노미야, 다카라즈카 등의 JR의 노선으로 갈아 타기가 가능한 역에 도착할 때의 환승 안내에서는 구 일본 국철시대부터 일관해서 JR선의 안내를 하고 있지 않다. 다만 2006 - 2007년의 다이어 개정으로 노선도에는 표기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오사카 시 교통국은 사카이스지 선 오기마치 역을 JR 오사카 순환선의 환승역으로서 안내하고 있지만, 한큐전차의 노선도에는 그 취지가 기재되지 않았다. 역 구내의 자동 방송은 탤런트인 가타야마 미쓰오와 마리코 유미가 담당하고 있다. 덧붙여서 가타야마는 JR 다카라즈카 선의 역 방송도 맡고 있다. 1996년 1월 1일, 「젠틀 사운드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역·차내에서의 안내를 변경했다. 구체적으로는 자사 선내에서의 차장의 호루라기에 의한 발차 신호를 원칙 폐지. 우등 열차의 정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까지 멈추지 않습니다」로부터 「다음은 00역에 정차」. 차역의 안내를 「다음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 또 안내 회수를 주요역을 제외해 원칙 1회로 했다. 2005년 10월 1일부터 차내에서의 안내 방송을 「다음의 정차역은 00입니다」로부터 「다음은 00, 00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 2006년 10월 1일부터는 고베 선·다카라즈카 선에서,2007년 3월 16일부터는 교토 선의 역 홈에서의 안내 방송을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우메다행입니다」로부터 「지금 도착의 전철은 각 역 정차 오사카 우메다행입니다」로 변경하고 있다.[4] 우메다·산노미야·신가이치·가와하라마치의 4역에 대해서는 「오사카 우메다」 「고베 산노미야」 「고베 신개발지」 「교토 가와하라마치」와 같이 아나운스 한다.(반복하는 경우는 2번째 이후 오사카·고베·교토의 부분을 생략 한다)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원본 편집] 한큐 전철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 off를 종일 규칙으로 한 차량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을 전열차로 설정했다. 2003년 6월 10일부터 1개월간 한정으로 시험 도입, 동년 7월 11일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또 교토선에 직통하는 오사카 시 교통국 지하철 사카이스지 선이나 같은 한큐 그룹의 노세 전철·고베 전철이 도입되고 있다. 또 이「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에 대한 아나운스는, 육성에 의해서 조금 다른 일이 있다. 설정 차량:1차량(고베·다카라즈카·교토·기타센리·이타미·미노오·카와니시노세구치 방면 선두 차량) 부활한 「우선 좌석」[원본 편집] 하나 더, 한큐 전철의 독자 룰로서 특필된 것이 「전석 우선 좌석」이다. 한큐 전철에서는 「특정의 자리를 고집하지 않고, 모든 좌석에서 쌍방양보의 정신을」이라는 일로부터, 정해진 우선 좌석을 폐지해 1999년 4월부터 「전석 우선 좌석」을 도입하고 있었다. 한큐 전철에서 「휴대 전화 전원 off 차량」이 설정된 것은, 동업 타사가 「우선 좌석 부근에서는 휴대 전화의 전원을 off」라고 하는 룰을 빠짐없이 도입했지만, 한큐는 특정의 우선 좌석이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 그런데 , 한큐 전철측의 기대와는 정반대로 이 「전석 우선 좌석」은 잘 쓰이지 않고, 거의 좌석의 쌍방양보를 하지 않다고 하는 현상으로 2007년 6월말의 한큐한신 홀딩스의 주주 총회에서 재설치의 요망이 있던 것을 기회로 전석 우선 좌석을 재검토하게 되어, 동년 10월 29일에 「전석 우선 좌석」은 폐지되어 다시 「우선 좌석」을 설치했다. 그러나, 우선 좌석의 설치 개소는 기본적으로 각 차량의 「우메다를 전방으로 했을 때의 최후미 좌석」이지만 운전대, 혹은 운전대 자취가 존재하는 차량은 그러한 역측의 좌석이 되고 있어 중간에 운전대 및 그 폐지 개조를 실시한 차량이 포함되는 편성(고베 선의8032F등)은 우선 좌석이 차량에 의해서 앞쪽에 있거나 뒤편에 있어 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염려가 있다. 텔레비전·영화 촬영[원본 편집] 1990년대 후반무렵에 간사이의 철도 사업자에서는 처음으로 외부의 사업자의 TV프로,영화,드라마의 촬영을 인정했다.(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최초로 이 사업을 개시한 것은 게이세이 전철이다) 철도 사업자에서는 유일하게 일본 총무성에서 동경110도 CS위탁 방송사업자 인정을 받고 있어 2002년부터 다카라즈카 가극 전문 채널 「다카라즈카·스카이·스테이지」를 방송하고 있다. 그 외[원본 편집] 한큐홀딩스(현·한큐한신 홀딩스)로서 지주회사가 되기 전의 구·한큐 전철은 1936년부터 1988년까지 프로 야구 구단인 한큐 블레이브스(후에 오릭스·블루 웨이브, 현재는 오릭스 버펄로스)를 가져, 그 본거지(전용 구장)으로서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후의 한큐 니시노미야 스타디움,2002년에 폐쇄)을 소유하고 있었다. 등기상의 본점 소재지를 오사카부 이케다 시에 두고 있어서, 이케다 시를 소관하는 도요노 세무서의 법인세 랭크에서는 항상 톱이다. 일본의 철도 사업자로 처음으로 「학생 전용 출구」를 1965년에 고요 선 고요소노 역을 시작으로 일부의 역에서 개설했다(교복 착용이 조건). 1969년에는 「통근 전용 출구」를 쓰카구치 역, 이케다 역, 도다 역에 설치했다. 이러한 출입구는 1992년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출퇴근 시간 등의 역 안내 업무의 임시 안내계(아르바이트)로서 학생반이 설치되어 있다. 그 이름대로 대학생과 전문학교생이 고용 대상이다. 간사이 사철로 처음으로 역 구내에 입식·우동 가게를 마련한 것은 한큐 전철이다. 국제 문화 공원 도시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5] 관계 기업[원본 편집] 한큐 한신 도호 그룹에 속하는 전기업의 일람은 한큐 한신 도호 그룹을 참조. 한큐백화점 도호 한신 전기 철도 한큐 전철 그룹 노세 전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한큐 버스 한큐 데넨 버스 신에쓰 버스 단고가이리쿠 교통 한큐 택시 한큐 교통사 간사이 TV 방송 - FNN/FNS의 준키국. 후지산케이 그룹에도 가깝다 한큐커뮤니케이션(옛 TBSBritannica) 알나 차량 스테이션 파이낸스 씨어터·드라마 시티 어번·에이스 모리쿠미 고마·스타디움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도쿄 라쿠텐치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자동화 시스템 - 도호 그룹이기도 하다 시모츠이 전철 - 한큐 전철이 자본 참가하고 있지만, 관계는 비교적 희박하다. 젠탄 버스 - 일찍이 한큐 전철의 관련 기업이었다. 이케다 은행 - 한큐 한신 홀딩스가 대주주로, 한큐 전철의 역 구내에 설치된 ATM(PatSat)의 관리 은행. 마이니치 방송 - 간사이 TV의 개국에 기여한 이미지가 강하지만,마이니치 방송의 전신인 신일본 방송의 개국에도 기여했다. FM오사카 - 한큐 한신 홀딩스가 주주로 되어 있다. 현재 SDD(스톱·드링크·드라이빙[Stop-Drink-Driving])프로젝트(음주 운전을 하지 말자는 운동)의 스폰서로서 한큐 한신 도호 홀딩스로서 제공. Kiss-FM KOBE - 시기는 불명하지만, 과거에 제공 프로그램이 있었다. 각주[원본 편집] ↑ 참고 링크:한큐 전철 첫 참배 승차권의 안내(첫 참배 그룹과 티켓 등에 기재가 있다)http://rail.hankyu.co.jp/hatsumoude/ Archived 2007년 12월 10일 - 웨이백 머신 ↑ “5,000엔 라가르카드(소아2,500엔)의 발매 중지 및 스루토KANSAI카드에 의한 회수권의 발매 중지에 대해”. 2009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오사카측의 터미널이 텐짐바시 역(현재의 텐짐바시스지 6초메 역)이었던 무렵에 아와지 - 주소간의 열차에 사용되고 있었다 ↑ “참고 사이트(일본어)”.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2월 16일에 확인함.  ↑ 참고 pdf 파일(일본어)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일본어) 한큐 전철 정보 (일본어) 한큐 전철 주식회사 회사 정보 vdeh한큐 한신 도호 그룹지주회사 한큐 한신 홀딩스 철도산업 한큐 전철(한큐 전철 고베 본선 한큐 전철 다카라즈카 본선 한큐 전철 교토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전기 철도 본선 한신 전기 철도 한신 난바 선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고베 전철 보유노세 전철 호쿠신 급행 전철 고베 고속 철도 롯코 마야 철도 버스·택시 사업 한큐 버스 한신 버스 한큐 시골 버스 신테츠 버스 단고 해륙 교통 오사카 공항 교통 한큐 택시 한신 택시 여행·운송 사업 한큐 한신 교통사 홀딩스〔한큐 교통사(한큐 한신 비지니스 여행/트라픽스)/한큐 한신 익스프레스〕 호텔 사업 한큐 한신 호텔(한큐 한신 레스토랑) 부동산 사업 한큐 부동산 한신 부동산 엔터테인먼트·커뮤니케이션 사업 도호 다카라즈카 가극단 주식회사 오에스 코마 스타디움 간사이 TV 방송 한큐 커뮤니케이션 소매 사업 H2O 리테일링 (기업)〔한큐 한신 백화점(한큐 백화점 한신 백화점) 주식회사 한쇼쿠(한큐 오아시스 한큐 패밀리 스토어 한큐 닛쇼 스토어 주식회사 한큐 프레쉬엘)〕 주식회사 한큐 리테일즈(아스나스) 북 퍼스트 그외 사업 한신 타이거스 프로 야구팀 한큐 한신 카드 관련 시설 다카라즈카 대극장 한신 고시엔 구장 우메다 한큐 빌딩 한큐 그랜드 빌딩 한큐 차야마치 빌딩 하비스 오사카 우메다 한신 제2 빌딩 관련 항목 대규모 사철(준 대기업 사철) 센슈 이케다 홀딩스 FNN FNS 스룻토KANSAI PiTaPa Hanica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시 교통국(오사카 시영 지하철) 산요 전기 철도 게이한 전기 철도 한큐전철 신포선 한큐 마을(우메다) 한큐·한신 경영 통합 한큐 전철 (소설) vdeh일본의 대규모 · 준대규모 사유 철도간토대규모 사철 게이세이 전철(게이세이) 게이오 전철(게이오) 게이힌 급행 전철(게이큐) 도부 철도(도부) 도쿄 급행 전철(도큐)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 사가미 철도(소테쓰) 세이부 철도(세이부) 오다큐 전철(오다큐) 준대규모 사철 신케이세이 전철(신케이세이) 주부대규모 사철 나고야 철도(메이테쓰)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긴키대규모 사철 게이한 전기 철도(게이한)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난카이 전기 철도(난카이) 한신 전기 철도(한신) 한큐 전철(한큐) 준대규모 사철 고베 고속 철도(고베 고속)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기타큐) 산요 전기 철도(산요) 센보쿠 고속 철도(센보쿠 고속) 관련 사철 고베 전철(신테쓰/신덴) 규슈대규모 사철 서일본 철도(니시테쓰) 그룹 게이오 게이세이 게이큐 게이한 긴테쓰 난카이 니시테쓰 도부 도큐 메이테쓰 세이부(HD) 소테쓰(HD) 오다큐 한큐 한신 토호(HD) 관련 문서 JR 사철 일본 민영 철도 협회 PASMO 트랜 패스 manaca 스룻토 KANSAI PiTaPa nimoc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큐전철&oldid=22982191" 분류: 1907년 설립2005년 폐지2005년 설립이케다시복합 기업한큐 전철한큐 한신 홀딩스한큐 한신 도호 그룹한신 전기 철도일본의 철도 기업다카라즈카 가극단1910년 개통한 철도 노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2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빠 어릴 적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빠 어릴 적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빠 어릴 적엔 장르 명랑만화 만화 작가 강모림 출판사 서울문화사 연재 잡지 아이큐점프 발매일 1997년 12월 ~ 1998년 2월 권수 2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강모림 - 《아빠 어릴 적엔》 기획 홍상운 총감독 장문심 캐릭터 디자인 김정결, 장문심 음악 이성장, 윤세희 제작 비엔비웍스 방송사 MBC 방영일 2016년 1월 12일 ~ 2016년 12월 30일 화수 총 45화(화당 2부, 본방송 : 26화, 재방송 19화) 틀 - 토론 관련 항목 국가별 한국 · 일본 · 중국 · 대만 · 홍콩 미국(코믹스) · 프랑스 · 영국 목록 만화 작품 (대한민국 · 일본) 만화 스토리 작가 분류 만화 작품 만화 만화가 위키프로젝트 만화 작품 포털 만화 v • d • e • h 《아빠 어릴 적엔》은 강모림의 만화 및 비엔비웍스가 이를 각색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방영 일시 2 제작진 3 방영 목록 3.1 2016년 4 유사한 작품 5 외부 링크 방영 일시[편집] 방영 채널 방영 기간 방영 시간 MBC 2016년 1월 12일 ~ 2016년 8월 9일 화요일 오후 3시 55분 ~ 4시 25분 2016년 8월 26일 ~ 2016년 12월 30일 금요일 오후 3시 10분 ~ 3시 40분 제작진[편집] 기획 : 홍상운 책임 프로듀서 : 최창규 총감독 · 제작자 : 장문심 제작 : 비엔비웍스 원작 : 강모림 배경 감독 : 서강호 연출 감독 : 장문심, 김정결 제작 프로듀서 : 최헌국 시나리오 · 각색 : 조석신, 이서연, 윤세희 해외 마케팅 프로듀서 : 이형기 스토리 보드 : 오윤호, 윤홍권, 김정결 캐릭터 디자인 : 김정결, 장문심 애니메이션 : 오윤호, 박현수, 오진영, 홍준호, 변지성, 이일호, 윤병락, 홍순호, 오은주, 배완례, 이윤례, 최윤희, 한나영, 박소연, 이정민, 홍혜연, 성기용, 김은미, 윤지희, 김은애, 김주혜 배경 : 최태미, 이호준, 장혜리, 이수지, 안미래, 최미나 렌더링 · 편집 : 최헌국 목소리 출연 : 안소이, 이종혁, 기경옥, 류승곤, 강시현 작곡 : 이성장 작사 : 윤세희, 이성장 노래 : 서가영 녹음 · 믹싱 : 김승민, 정명우 음향 효과 : 김병찬 제작 지원 : 지오그린, 바닐라투어 행정 : 하숙자 조연출 : 조은희 방영 목록[편집] 2016년[편집] 회차 방영일 부제 1화 1월 12일 내가 먹을겨 덤벼봐 2화 1월 19일 닭싸움해유 만화가게 가유 3화 1월 26일 난 네가 좋아 극장 탈출 4화 2월 2일 곤충 소동 아버지 구두 5화 2월 16일 수박 서리 부대 북청 물장수 6화 2월 23일 은주를 구하라 우리 할머니 7화 3월 8일 반장 아무개 아르바이트 8화 3월 22일 김치 내 사랑 자전거 9화 3월 29일 꾀병 텔레비전 사유 10화 4월 5일 우리는 친구 추억의 뽑기 11화 4월 12일 생활 통지표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 12화 4월 19일 어릿광대 옛날 이야기 13화 4월 26일 붕어빵 대보름달 14화 5월 3일 안 계시면 오라이 사춘기 15화 5월 10일 어버이날 선물 썰매타기 16화 5월 17일 발명왕 소룡 굴렁쇠 17화 5월 24일 엿장수 맘대로 신비한 모자 18화 5월 31일 전화기 칩스 선생님 19화 6월 7일 권투 시합 가족의 사랑 20화 6월 14일 새마을 운동 선생님 죄송해유 21화 6월 21일 나도 라면 나라 사랑 22화 6월 28일 추억의 약장수 태권도 23화 7월 5일 머리하는 날 빨간 손 파란 손 24화 7월 12일 아버지의 실직 불주사 맞는날 25화 7월 19일 콩쿨 대회 거리의 사진사 26화 7월 26일 꽁보리밥 도시락 나는 어쩌라구유 27화 8월 2일 내가 먹을겨(재) 덤벼봐(재) 28화 8월 9일 닭싸움해유(재) 만화가게 가유(재) 29화 8월 26일 난 네가 좋아(재) 극장 탈출(재) 30화 9월 2일 곤충 소동(재) 아버지 구두(재) 31화 9월 9일 수박 서리 부대(재) 북청 물장수(재) 32화 9월 23일 은주를 구하라(재) 우리 할머니(재) 33화 9월 30일 반장 아무개(재) 아르바이트(재) 34화 10월 7일 김치 내 사랑(재) 자전거(재) 35화 10월 14일 꾀병(재) 텔레비전 사유(재) 36화 10월 21일 우리는 친구(재) 추억의 뽑기(재) 37화 10월 28일 생활 통지표(재)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재) 38화 11월 4일 어릿광대(재) 옛날 이야기(재) 39화 11월 11일 붕어빵(재) 대보름달(재) 40화 11월 18일 안 계시면 오라이(재) 사춘기(재) 41화 11월 25일 어버이날 선물(재) 썰매타기(재) 42화 12월 2일 발명왕 소룡(재) 굴렁쇠(재) 43화 12월 16일 엿장수 맘대로(재) 신비한 모자(재) 44화 12월 23일 전화기(재) 칩스 선생님(재) 45화 12월 30일 권투 시합(재) 가족의 사랑(재) 유사한 작품[편집] 검정고무신 안녕 자두야 외부 링크[편집] MBC 만화마당 다시보기 - 아빠 어릴 적엔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빠_어릴_적엔&oldid=23335243" 분류: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6년 애니메이션1997년 만화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한민국의 만화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5일 (화) 15: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아빠 어릴 적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빠 어릴 적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빠 어릴 적엔 장르 명랑만화 만화 작가 강모림 출판사 서울문화사 연재 잡지 아이큐점프 발매일 1997년 12월 ~ 1998년 2월 권수 2권 TV 애니메이션 원작 강모림 - 《아빠 어릴 적엔》 기획 홍상운 총감독 장문심 캐릭터 디자인 김정결, 장문심 음악 이성장, 윤세희 제작 비엔비웍스 방송사 MBC 방영일 2016년 1월 12일 ~ 2016년 12월 30일 화수 총 45화(화당 2부, 본방송 : 26화, 재방송 19화) 틀 - 토론 관련 항목 국가별 한국 · 일본 · 중국 · 대만 · 홍콩 미국(코믹스) · 프랑스 · 영국 목록 만화 작품 (대한민국 · 일본) 만화 스토리 작가 분류 만화 작품 만화 만화가 위키프로젝트 만화 작품 포털 만화 v • d • e • h 《아빠 어릴 적엔》은 강모림의 만화 및 비엔비웍스가 이를 각색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방영 일시 2 제작진 3 방영 목록 3.1 2016년 4 유사한 작품 5 외부 링크 방영 일시[편집] 방영 채널 방영 기간 방영 시간 MBC 2016년 1월 12일 ~ 2016년 8월 9일 화요일 오후 3시 55분 ~ 4시 25분 2016년 8월 26일 ~ 2016년 12월 30일 금요일 오후 3시 10분 ~ 3시 40분 제작진[편집] 기획 : 홍상운 책임 프로듀서 : 최창규 총감독 · 제작자 : 장문심 제작 : 비엔비웍스 원작 : 강모림 배경 감독 : 서강호 연출 감독 : 장문심, 김정결 제작 프로듀서 : 최헌국 시나리오 · 각색 : 조석신, 이서연, 윤세희 해외 마케팅 프로듀서 : 이형기 스토리 보드 : 오윤호, 윤홍권, 김정결 캐릭터 디자인 : 김정결, 장문심 애니메이션 : 오윤호, 박현수, 오진영, 홍준호, 변지성, 이일호, 윤병락, 홍순호, 오은주, 배완례, 이윤례, 최윤희, 한나영, 박소연, 이정민, 홍혜연, 성기용, 김은미, 윤지희, 김은애, 김주혜 배경 : 최태미, 이호준, 장혜리, 이수지, 안미래, 최미나 렌더링 · 편집 : 최헌국 목소리 출연 : 안소이, 이종혁, 기경옥, 류승곤, 강시현 작곡 : 이성장 작사 : 윤세희, 이성장 노래 : 서가영 녹음 · 믹싱 : 김승민, 정명우 음향 효과 : 김병찬 제작 지원 : 지오그린, 바닐라투어 행정 : 하숙자 조연출 : 조은희 방영 목록[편집] 2016년[편집] 회차 방영일 부제 1화 1월 12일 내가 먹을겨 덤벼봐 2화 1월 19일 닭싸움해유 만화가게 가유 3화 1월 26일 난 네가 좋아 극장 탈출 4화 2월 2일 곤충 소동 아버지 구두 5화 2월 16일 수박 서리 부대 북청 물장수 6화 2월 23일 은주를 구하라 우리 할머니 7화 3월 8일 반장 아무개 아르바이트 8화 3월 22일 김치 내 사랑 자전거 9화 3월 29일 꾀병 텔레비전 사유 10화 4월 5일 우리는 친구 추억의 뽑기 11화 4월 12일 생활 통지표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 12화 4월 19일 어릿광대 옛날 이야기 13화 4월 26일 붕어빵 대보름달 14화 5월 3일 안 계시면 오라이 사춘기 15화 5월 10일 어버이날 선물 썰매타기 16화 5월 17일 발명왕 소룡 굴렁쇠 17화 5월 24일 엿장수 맘대로 신비한 모자 18화 5월 31일 전화기 칩스 선생님 19화 6월 7일 권투 시합 가족의 사랑 20화 6월 14일 새마을 운동 선생님 죄송해유 21화 6월 21일 나도 라면 나라 사랑 22화 6월 28일 추억의 약장수 태권도 23화 7월 5일 머리하는 날 빨간 손 파란 손 24화 7월 12일 아버지의 실직 불주사 맞는날 25화 7월 19일 콩쿨 대회 거리의 사진사 26화 7월 26일 꽁보리밥 도시락 나는 어쩌라구유 27화 8월 2일 내가 먹을겨(재) 덤벼봐(재) 28화 8월 9일 닭싸움해유(재) 만화가게 가유(재) 29화 8월 26일 난 네가 좋아(재) 극장 탈출(재) 30화 9월 2일 곤충 소동(재) 아버지 구두(재) 31화 9월 9일 수박 서리 부대(재) 북청 물장수(재) 32화 9월 23일 은주를 구하라(재) 우리 할머니(재) 33화 9월 30일 반장 아무개(재) 아르바이트(재) 34화 10월 7일 김치 내 사랑(재) 자전거(재) 35화 10월 14일 꾀병(재) 텔레비전 사유(재) 36화 10월 21일 우리는 친구(재) 추억의 뽑기(재) 37화 10월 28일 생활 통지표(재) 아빠한테 데려다 줘유(재) 38화 11월 4일 어릿광대(재) 옛날 이야기(재) 39화 11월 11일 붕어빵(재) 대보름달(재) 40화 11월 18일 안 계시면 오라이(재) 사춘기(재) 41화 11월 25일 어버이날 선물(재) 썰매타기(재) 42화 12월 2일 발명왕 소룡(재) 굴렁쇠(재) 43화 12월 16일 엿장수 맘대로(재) 신비한 모자(재) 44화 12월 23일 전화기(재) 칩스 선생님(재) 45화 12월 30일 권투 시합(재) 가족의 사랑(재) 유사한 작품[편집] 검정고무신 안녕 자두야 외부 링크[편집] MBC 만화마당 다시보기 - 아빠 어릴 적엔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아침드라마 (《모두 다 쿵따리》) 일일연속극 (《용왕님 보우하사》) 월화드라마 (《검법남녀 2》) 수목 미니시리즈 (《신입사관 구해령》)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몽》) 예능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섹션TV 연예통신》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나 혼자 산다》 《침착한 주말》 《전지적 참견 시점》 《쇼! 음악중심》 《출발! 비디오 여행》 《신비한TV 서프라이즈》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호구의 연애》 《구해줘! 홈즈》 《복면가왕》 《방송연예대상》¹ 《연기대상》¹ 《가요대제전》¹ 시사교양 《생방송 오늘아침》 《기분 좋은 날》 《실화탐사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파워매거진》 《우리말 나들이》 《생방송 오늘저녁》 《네트워크 특선》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MBC 스페셜》 《PD수첩》 《MBC 100분 토론》 《휴먼다큐 사람이 좋다》 《나누면 행복》 《우리동네 피터팬》 《문화사색》 《탐나는 TV》 《기억·록, 100년을 탐험하다》 《TV 예술무대》 《통일전망대》 《생방송 행복드림 로또 6/45》 《MBC 다큐프라임》(수도권,부산,영동용) 《시골 주치의 프로젝트 왕진원정대》 《어린이에게 새생명을》² 뉴스 《MBC 뉴스투데이》 《930 MBC 뉴스》 《12 MBC 뉴스》 《2시 뉴스외전》 《MBC 뉴스데스크》 (《MBC 스포츠뉴스》) 《MBC 주말뉴스》 《MBC 뉴스특보》² 스포츠 《스포츠 다이어리》 《스포츠 매거진》 《MBC 스포츠 특집》² 어린이 《뽀뽀뽀 모두야 놀자》 《MBC 만화마당 《빠샤메카드》 《아이돌타임 프리파라》 《꾸러기 식사 교실》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빠_어릴_적엔&oldid=23335243" 분류: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6년 애니메이션1997년 만화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한민국의 만화만화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5일 (화) 15: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김성훈 (199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훈 (1993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성훈 (야구 선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성훈 Kim Seong-Hun 삼성 라이온즈 No.4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3년 10월 27일(1993-10-27) (25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72 cm 체중 6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좌타 수비 위치 2루수, 유격수, 3루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16년 드래프트 순위 2016년 2차 6라운드(삼성 라이온즈) 첫 출장 KBO / 2017년 7월 28일고척 대 넥센전 계약금 6,000만원 연봉 7,000만원 (2019년) 경력 삼성 라이온즈 (2016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유니버시아드 2015년 광주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야구 유니버시아드 동 2015 광주 야구 김성훈(1993년 10월 27일 ~ )은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내야수, 외야수이다. 목차 1 아마추어 시절 2 삼성 라이온즈 시절 3 출신 학교 4 통산 기록 5 각주 6 외부 링크 아마추어 시절[편집] 청원고등학교 시절 외야수로 활동했지만 프로에서 지명되지 못해 대학에 진학했고,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에 진학하자마자 포지션을 유격수로 변경했다. 디지털서울문예대 2학년 때인 2013년 대학야구 춘계리그에서 허정협과 함께 고려대와 원광대를 꺾으며 돌풍을 일으켰으며,[1] 4학년 때인 2015년 춘계리그에서도 주장이자 1번 타자로 맹활약해 팀이 첫 전국 대회 8강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2]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2015년 7월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돼 주전으로 활약하며[3] 한국이 20년 만에 유니버시아드 야구 메달을 획득하는 데 일조했다. 삼성 라이온즈 시절[편집] 2016년 신인 드래프트 2차 6라운드에 지명돼 입단하였다. 유격수가 아닌 2루수로 2군 생활을 시작했지만 2군에서 타격 부진으로 1군에 올라갈 기회를 좀처럼 잡지 못했다. 10월 8일 1군 최종 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1군에 등록됐으나 경기에는 출장하지 못했다. 2017년 시즌 김상수의 부상으로 인해 생긴 팀의 내야 키스톤의 공백을 강한울과 조동찬만으로 메꾸기엔 무리라는 판단을 한 김한수 감독에 의해 7월에 1군으로 콜업됐다. 7월 29일에 넥센전에서 데뷔 첫 경기를 치렀고, 경기에서 1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7월 30일에 첫 선발 출장해 데뷔 첫 안타를 번트 안타로 기록했다. 이후 8월 2일 두산전에서 니퍼트를 상대로 데뷔 첫 3루타를 쳐 냈고 허경민의 실책으로 득점하는 등 좋은 활약들을 꾸준히 펼쳤다. 후반기에만 47경기에 나서 타율 0.318, 18타점, 4도루를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시즌을 보냈다. 규정 타석은 채우지 못했지만 출루율 0.370으로 높은 출루율을 기록했다.장타력은 부족했지만 적극적인 주루가 팀 타선에 큰 활력소가 됐다. 2018년 5월 김상수의 부상 공백으로 꾸준한 기회를 얻었다. 9월 19일 KIA전에서 데뷔 첫 5안타를 기록하는 등 후반부 들어 클러치 히팅 능력이 빛을 발하며 2할대 타율, 24타점, 12도루를 기록했다. 출신 학교[편집] 서울길동초등학교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서울 청원고등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타율 경기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실 볼넷 사구 삼진 병살 실책 2017 삼성 0.318 47 151 27 48 4 2 0 56 18 4 2 12 1 16 2 2 2018 0.243 110 185 24 45 9 3 0 60 24 12 6 16 6 23 2 4 통산 2시즌 0.270 157 336 51 93 13 5 0 116 42 16 8 28 7 39 4 6 각주[편집] ↑ 김기중 (2013년 4월 3일). “디지털서울문예대, 고려대·원광대 이겼다”. 《한국대학신문》.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임주형 (2015년 4월 10일). “대학야구, 만년 꼴찌의 반란”. 《서울신문》.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박준형 (2015년 7월 10일). “김성훈,'첫 안타 신고합니다' (광주U대회)”. 《조선일보》. OSEN. 2018년 11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김성훈 - KBO 타자별 기록 vdeh삼성 라이온즈 - 현재 명단감독 86 김한수 코치 82 김태한 (수석) 76 이영수 (타격) 78 강봉규 (타격) 79 박진만 (수비) 85 최태원 (작전) 88 오치아이 (투수) 90 권오원 (트레이닝) 91 정현욱 (불펜) 96 진갑용 (배터리) 97 강명구 (주루) 99 황두성 (트레이닝) -- 시라사카 (트레이닝) 퓨처스 감독 84 성준 퓨처스 코치 72 이윤효 (작전) 74 박재현 (주루) 75 조규제 (투수) 77 김종훈 (타격) 98 채상병 (배터리) 육성군 코치 70 신동주 (타격) 71 조동찬 (수비) 89 이정식 (배터리) 94 조진호 (투수) 투수 00 홍정우 1 윤성환 2 우규민 11 정인욱 13 맥과이어 15 양창섭 17 김대우 19 정광운 20 이승현 26 장필준 27 한기주 29 백정현 35 헤일리 40 최지광 43 장지훈 44 문용익 45 권오준 46 박세웅 48 김시현 49 김용하 51 최충연 54 김태우 56 최채흥 57 임현준 60 김승현 61 이수민 102 이재익 103 김윤수 106 박용민 109 맹성주 111 김동찬 113 안도원 포수 12 김민수 47 강민호(주장) 52 김응민 68 서주원 112 최종현 114 채상준 내야수 4 김성훈 6 손주인 7 김상수 8 김호재 14 박계범 16 이원석 23 김재현 32 최영진 41 백승민 50 러프 62 공민규 63 윤정빈 66 이태훈 101 김태수 105 곽경문 115 김선우 117 김성표 외야수 9 박찬도 24 김기환 31 이현동 34 김헌곤 37 황선도 38 김동엽 55 이성곤 58 박해민 59 최선호 64 송준석 65 구자욱 군입대 선수 강한울 구준범 권정웅 김결의 김성윤 김성한 남기효 심창민 안주형 윤대경 윤영수 임대한 이성규 최민구 2019년 신인지명 선수 46 원태인(1차지명) 53 이학주(2차 1라운드 지명) 42 김도환(2차 2라운드 지명) 3 양우현(2차 3라운드 지명) 28 이병헌(2차 4라운드 지명) 30 오상민(2차 5라운드 지명) 104 김준우(2차 6라운드 지명) 108 서장민(2차 7라운드 지명) 116 이해승(2차 8라운드 지명) 118 박승규(2차 9라운드 지명) 120 김연준(2차 10라운드 지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성훈_(1993년)&oldid=24154185"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내야수KBO 리그 2루수KBO 리그 유격수KBO 리그 3루수KBO 리그 외야수KBO 리그 중견수KBO 리그 지명 타자삼성 라이온즈 선수서울길동초등학교 동문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동문청원고등학교 (서울) 동문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23: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노모 히데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모 히데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노모 히데오野茂 英雄 Hideo Nomo 노모 히데오(2011년)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68년 8월 31일(1968-08-31) (50세) 출신지 오사카부 오사카 시 미나토 구 신장 188 cm 체중 9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89년 드래프트 순위 1순위 첫 출장 NPB / 1990년 4월 10일 MLB / 1995년 5월 2일 마지막 경기 NPB / 1994년 8월 24일 MLB / 2008년 4월 18일 경력 신일본제철 긴테쓰 버펄로스(1990 ~ 199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1995 ~ 1998) 뉴욕 메츠(1998) 밀워키 브루어스(1999) 디트로이트 타이거스(2000) 보스턴 레드삭스(2001)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2 ~ 2004)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2005) 캔자스시티 로열스(2008) 일본 국가대표팀 올림픽 1988년 일본 야구 전당 전당 헌액자 선출년 2014년 득표율 82.4%(324표 중 243표) 선출방법 경기자 표창 노모 히데오 일본어식 한자 표기: 野茂 英雄 가나 표기: のも ひでお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노모 히데오 통용 표기: 노모 히데오 로마자: Hideo Nomo 메달 기록 일본의 선수 남자 야구 올림픽 은 1988 서울 야구 노모 히데오(일본어: 野茂 英雄, 1968년 8월 31일 ~ )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수상·타이틀 경력 2.3.1 타이틀 2.3.2 수상 2.4 개인 기록 2.4.1 첫 기록(NPB) 2.4.2 기록 달성 경력(NPB) 2.4.3 기타 2.4.4 MLB 2.5 등번호 2.6 연도별 투수 성적 3 외부 링크 인물[원본 편집] 오사카부 오사카 시 미나토 구 출신으로 사회인 야구팀인 신일본제철에서 활약을 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일본 대표팀 선수로 출전, 팀의 은메달 획득에 공헌을 하였다. 198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1순위로 지명을 받아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하여 데뷔 첫 해인 1990년에 시즌 최다인 18승과 2.91의 평균자책점, 287탈삼진, 6할9푼2리의 최고 승률을 연거푸 기록하여 신인왕과 MVP를 석권하였다. 5년간 일본에서의 선수생활을 마치고 메이저 리그 진출을 선언하여 1995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하였다. 입단 첫 해 13승 6패의 성적과 평균자책점 2.54의 좋은 성적으로 그 해 신인상을 수상하는 등 훌륭한 활약을 보였으며, 타자에게 등을 보이는 꽈배기 스타일의 독특한 투구폼과 낙차 큰 포크볼로 리그 정상급 투수로 자리매김하였다. 2008년 시즌을 끝으로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상세 정보[원본 편집] 출신 학교[원본 편집] 오사카 부립 세이조 공업 고등학교 선수 경력[원본 편집] 사회인 시대 신일본제철 NPB 긴테쓰 버펄로스(1990년 ~ 1994년) MLB 로스앤젤레스 다저스(1995년 ~ 1998년) 뉴욕 메츠(1998년) 밀워키 브루어스(1999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2000년) 보스턴 레드삭스(2001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02년 ~ 2004년) 탬파베이 데블 레이스(2005년) 캔자스시티 로열스(2008년) 국가대표 경력 1988년 서울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 수상·타이틀 경력[원본 편집] 타이틀[원본 편집] NPB 다승왕 : 4회(1990년 ~ 1993년) 최고 승률 : 1회(1990년) 최우수 평균 자책점 : 1회(1990년) 최다 탈삼진 : 4회(1990년 ~ 1993년) MLB 최다 탈삼진 : 2회(1995년, 2001년) 수상[원본 편집] NPB 신인왕(1990년) MVP : 1회(1990년) 베스트 나인 : 1회(1990년) 사와무라 에이지상 : 1회(1990년) 월간 MVP : 2회(1990년 6월, 1992년 8월) 일본 프로 스포츠 대상(1990년) 호치 프로 스포츠 대상(1990년) 넘버 MVP상(1990년) MLB 신인왕(1995년) 월간 MVP : 2회(1995년 6월, 1996년 9월) 개인 기록[원본 편집] 첫 기록(NPB)[원본 편집] 첫 등판·첫 선발 : 1990년 4월 10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차전(후지이데라 구장), 6이닝 4실점에서 패전 투수 첫 탈삼진 : 상동, 1회초에 기요하라 가즈히로로부터 첫 승리·첫 완투 승리 : 1990년 4월 29일, 대 오릭스 브레이브스 5차전(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9이닝 2실점 첫 완봉 승리 : 1990년 6월 24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13차전(도쿄 돔) 기록 달성 경력(NPB)[원본 편집] 통산 1000탈삼진 : 1993년 8월 27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16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5회말에 다카하시 사토시로부터 ※역대 90번째(사상 최고 속도 : 871회) 통산 1000투구 이닝 : 1994년 5월 31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9차전(후지이데라 구장) ※역대 253번째 기타[원본 편집] 1경기 17탈삼진 달성 당시 프로 야구 타이 기록(1990년 4월 29일) 1경기 개인 최다 볼넷 16개 프로 야구 신기록(1994년) 시즌 탈삼진률 10.99 프로 야구 신기록(1990년, 달성 당시) 6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프로 야구 신기록(1991년 4월 7일 ~ 5월 9일) 프로 야구 사상 최단 경기 통산 1000 탈삼진 달성 올스타전 출장 : 5회(1990년 ~ 1994년) MLB[원본 편집] 노히트 노런 : 2회(1996년, 2001년) MLB 올스타전 출장 : 1회(1995년) ※선발 투수. 등번호[원본 편집] 11(1990년 ~ 1994년, 1999년, 2001년, 2005년) 16(1995년 ~ 1998년) 23(2000년) 10(2002년 ~ 2004년) 91(2008년) 연도별 투수 성적[원본 편집]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상대타자 투구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WHIP 1990년 긴테쓰 29 27 21 2 1 18 8 0 -- .692 975 235.0 167 18 109 2 4 287 12 0 87 76 2.91 1.17 1991년 31 29 22 4 0 17 11 1 -- .607 1024 242.1 183 21 128 1 5 287 15 1 92 82 3.05 1.28 1992년 30 29 17 5 1 18 8 0 -- .692 900 216.2 150 13 117 0 1 228 4 0 73 64 2.66 1.23 1993년 32 32 14 2 0 17 12 0 -- .586 1064 243.1 201 22 148 1 7 276 13 1 106 100 3.70 1.43 1994년 17 17 6 0 0 8 7 0 -- .533 512 114.0 96 9 86 0 2 126 7 0 55 46 3.63 1.60 1995년 LAD 28 28 4 3 0 13 6 0 -- .684 780 191.1 124 14 78 2 5 236 19 5 63 54 2.54 1.06 1996년 33 33 3 2 0 16 11 0 -- .593 932 228.1 180 23 85 6 2 234 11 3 93 81 3.19 1.16 1997년 33 33 1 0 0 14 12 0 -- .538 904 207.1 193 23 92 2 9 233 10 4 104 98 4.25 1.37 1998년 12 12 2 0 0 2 7 0 -- .222 295 67.2 57 8 38 0 3 73 4 1 39 38 5.05 1.40 NYM 17 16 1 0 0 4 5 0 -- .444 392 89.2 73 11 56 2 1 94 9 3 49 48 4.82 1.44 '98 소계 29 28 3 0 0 6 12 0 -- .333 687 157.1 130 19 94 2 4 167 13 4 88 86 4.92 1.42 1999년 MIL 28 28 0 0 0 12 8 0 0 .600 767 176.1 173 27 78 2 3 161 10 1 96 89 4.54 1.42 2000년 DET 32 31 1 0 0 8 12 0 0 .400 828 190.0 191 31 89 1 3 181 16 0 102 100 4.74 1.47 2001년 BOS 33 33 2 2 1 13 10 0 0 .565 849 198.0 171 26 96 2 3 220 6 0 105 99 4.50 1.35 2002년 LAD 34 34 0 0 0 16 6 0 0 .727 926 220.1 189 26 101 5 2 193 6 0 92 83 3.39 1.32 2003년 33 33 2 2 0 16 13 0 0 .552 897 218.1 175 24 98 6 1 177 11 0 82 75 3.09 1.25 2004년 18 18 0 0 0 4 11 0 0 .267 393 84.0 105 19 42 1 4 54 3 0 77 77 8.25 1.75 2005년 TB 19 19 0 0 0 5 8 0 0 .385 472 100.2 127 16 51 2 2 59 3 0 82 81 7.24 1.77 2008년 KC 3 0 0 0 0 0 0 0 0 ---- 27 4.1 10 3 4 0 0 3 1 0 9 9 18.69 3.23 NPB : 5년 139 134 80 13 2 78 46 1 -- .629 4475 1051.1 797 83 588 4 19 1204 51 2 413 368 3.15 1.32 MLB : 12년 323 318 16 9 1 123 109 0 0 .530 8462 1976.1 1768 251 908 31 38 1918 109 17 993 932 4.24 1.35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외부 링크[원본 편집] (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일본어) 노모 히데오 팬사이트 - BALLPLAYERS.JP -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MLB,  ESPN,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The Baseball Cube,  Baseball-Reference (Minors) '그라운드 떠난 노모'- 스타들, '노모를 말하다' 《조이뉴스》, 2008년 7월 21일 vdeh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 역대 회원투수 가네다 마사이치 이나오 가즈히사 고야마 마사아키 요네다 데쓰야 가지모토 다카오 미나가와 무쓰오 무라야마 미노루 스즈키 게이시 호리우치 쓰네오 야마다 히사시 에나쓰 유타카 히라마쓰 마사지 히가시오 오사무 무라타 조지 기타벳푸 마나부 사사키 가즈히로 다카쓰 신고 구도 기미야스 노모 히데오 야마모토 마사히로(야마모토 마사) 이와세 히토키 구로다 히로키 야수 야마우치 가즈히로 에노모토 기하치 노무라 가쓰야 나가시마 시게오 히로세 요시노리 장훈(하리모토 이사오) 오 사다하루 에토 신이치 도이 마사히로 다카기 모리미치 마쓰바라 마코토 시바타 이사오 오스기 가쓰오 후지타 다이라 기누가사 사치오 후쿠모토 유타카 야마자키 히로유키 야마모토 고지 아리토 미치요 와카마쓰 쓰토무 야자와 겐이치 가토 히데지 가도타 히로미쓰 오시마 야스노리 아라이 히로마사 아키야마 고지 고마다 노리히로 다쓰나미 가즈요시 이치로(스즈키 이치로) 기요하라 가즈히로 후루타 아쓰야 노무라 겐지로 이시이 다쿠로 마쓰이 히데키 다나카 유키오 마에다 도모노리 가네모토 도모아키 마쓰이 가즈오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이나바 아쓰노리 미야모토 신야 고쿠보 히로키 알렉스 라미레스 나카무라 노리히로 다니시게 모토노부 이구치 다다히토 와다 가즈히로 아라이 다카히로 후쿠도메 고스케 아라키 마사히로 아오키 노리치카 아베 신노스케 도리타니 다카시 우치카와 세이이치 후쿠우라 가즈야 vdeh사와무라 에이지상1940년대 1947: 벳쇼 다케히코 1948: 나카오 히로시 1949: 후지모토 히데오 1950년대 1950: 사나다 시게오 1951: 스기시타 시게루 1952: 스기시타 시게루 1953: 오토모 다쿠미 1954: 스기시타 시게루 1955: 벳쇼 다케히코 1956: 가네다 마사이치 1957: 가네다 마사이치 1958: 가네다 마사이치 1959: 무라야마 미노루 1960년대 1960: 호리모토 리쓰오 1961: 곤도 히로시 1962: 고야마 마사아키 1963: 이토 요시아키 1964: 진 바크 1965: 무라야마 미노루 1966: 무라야마 미노루, 호리우치 쓰네오 1967: 오가와 겐타로 1968: 에나쓰 유타카 1969: 다카하시 가즈미 1970년대 1970: 히라마쓰 마사지 1972: 호리우치 쓰네오 1973: 다카하시 가즈미 1974: 호시노 센이치 1975: 소토코바 요시로 1976: 이케가야 고지로 1977: 고바야시 시게루 1978: 마쓰오카 히로무 1979: 고바야시 시게루 1980년대 1981: 니시모토 다카시 1982: 기타벳푸 마나부 1983: 엔도 가즈히코 1985: 고마쓰 다쓰오 1986: 기타벳푸 마나부 1987: 구와타 마스미 1988: 오노 유타카 1989: 사이토 마사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사사오카 신지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이마나카 신지 1994: 야마모토 마사히로 1995: 사이토 마사키 1996: 사이토 마사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가와사키 겐지로 1999: 우에하라 고지 2000년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우에하라 고지 2003: 이가와 게이, 사이토 가즈미 2004: 가와카미 겐신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와쿠이 히데아키 2010년대 2010: 마에다 겐타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마에다 겐타 2016: 크리스 존슨 2017: 스가노 도모유키 2018: 스가노 도모유키 ※1947년에 제정됨.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퍼시픽 리그 MVP1950년대 1950: 벳토 가오루 1951: 야마모토 가즈토 1952: 유키 스스무 1953: 오카모토 이사미 1954: 오시타 히로시 1955: 이이다 도쿠지 1956: 나카니시 후토시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야마우치 가즈히로 1961: 노무라 가쓰야 1962: 하리모토 이사오 1963: 노무라 가쓰야 1964: 조 스탠카 1965: 노무라 가쓰야 1966: 노무라 가쓰야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요네다 데쓰야 1969: 나가이케 도쿠지 1970년대 1970: 기타루 마사아키 1971: 나가이케 도쿠지 1972: 후쿠모토 유타카 1973: 노무라 가쓰야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가토 히데지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야마다 히사시 1979: 찰리 매뉴엘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에나쓰 유타카 1982: 오치아이 히로미쓰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부머 웰스 1985: 오치아이 히로미쓰 1986: 이시게 히로미치 1987: 히가시오 오사무 1988: 가도타 히로미쓰 1989: 랄프 브라이언트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궈타이위안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이치로 1995: 이치로 1996: 이치로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마쓰이 가즈오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1: 터피 로즈 2002: 알렉스 카브레라 2003: 조지마 겐지 2004: 마쓰나카 노부히코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2011: 우치카와 세이이치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야나기타 유키 2016: 오타니 쇼헤이 2017: 데니스 사파테 2018: 야마카와 호타카 vdeh퍼시픽 리그 신인왕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가게야마 가즈오 1952: 나카니시 후토시 1953: 도요다 야스미쓰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에노모토 기하치 1956: 이나오 가즈히사 1957: 기무라 다모쓰 1958: 스기우라 다다시 1959: 하리모토 이사오 1960년대 1961: 도쿠히사 도시아키 1962: 오자키 유키오 1965: 이케나가 마사아키 1967: 다카하시 요시마사 1969: 아리토 미치요 1970년대 1970: 사토 미치오 1971: 미나가와 야스오 1972: 가토 하지메 1973: 니이미 사토시 1974: 미쓰이 마사하루 1975: 야마구치 다카시 1976: 후지타 마나부 1977: 사토 요시노리 1978: 무라카미 유키히로 1979: 마쓰누마 히로히사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이시게 히로미치 1982: 오이시 다이지로 1983: 후타무라 다다미 1984: 후지타 히로마사 1985: 구마노 데루미쓰 1986: 기요하라 가즈히로 1987: 아와노 히데유키 1988: 모리야마 료지 1989: 사카이 쓰토무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하세가와 시게토시 1992: 다카무라 히로시 1993: 스기야마 겐토 1994: 와타나베 히데카즈 1995: 히라이 마사후미 1996: 가네코 마코토 1997: 고사카 마코토 1998: 오제키 다쓰야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1: 오쿠보 마사노부 2002: 쇼다 이쓰키 2003: 와다 쓰요시 2004: 미세 고지 2005: 구보 야스토모 2006: 야기 도모야 2007: 다나카 마사히로 2008: 고마쓰 사토시 2009: 셋쓰 다다시 2010년대 2010: 사카키바라 료 2011: 마키타 가즈히사 2012: 마스다 나오야 2013: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4: 이시카와 아유무 2015: 아리하라 고헤이 2016: 다카나시 히로토시 2017: 겐다 소스케 2018: 다나카 가즈키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퍼시픽 리그 다승왕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에토 다다시 1952: 노구치 마사아키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다쿠와 모토지, 다나카 후미오 1955: 다쿠와 모토지 1956: 미우라 마사요시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구보 유키히로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고야마 마사아키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요네다 데쓰야 1967: 이케나가 마사아키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나리타 후미오 1971: 기타루 마사아키 1972: 야마다 히사시, 가네다 도메히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히가시오 오사무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스즈키 게이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이마이 유타로, 무라타 조지 1982: 구도 미키오 1983: 히가시오 오사무, 야마우치 가즈히로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사토 요시노리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야마오키 유키히코 1988: 와타나베 히사노부,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쓰우라 히로아키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와타나베 히사노부, 노모 히데오 1991: 노모 히데오 1992: 노모 히데오 1993: 노다 고지, 노모 히데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킵 그로스 1996: 킵 그로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고이케 히데오 1998: 니시구치 후미야, 다케다 가즈히로, 구로키 도모히로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와쿠이 히데아키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와쿠이 히데아키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가네코 지히로 2011: 다나카 마사히로, D. J. 홀튼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와쿠이 히데아키 2016: 와다 쓰요시 2017: 기쿠치 유세이, 히가시하마 나오 2018: 다와타 신사부로 vdeh퍼시픽 리그 최우수 평균 자책점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유키 스스무 1952: 유키 스스무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나카가와 다카시 1956: 이나오 가즈히사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구보타 오사무 1963: 구보 유키히로 1964: 쓰마지마 요시로 1965: 미우라 기요히로 1966: 이나오 가즈히사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기타루 마사아키 1970년대 1970: 사토 미치오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세이 도시히코 1973: 요네다 데쓰야 1974: 사토 미치오 1975: 무라타 조지 1976: 무라타 조지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구치 데쓰지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오카베 노리아키 1982: 다카하시 사토시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구도 기미야스 1986: 사토 요시노리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고노 히로후미 1989: 무라타 조지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와타나베 도미오 1992: 아카호리 모토유키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신타니 히로시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이라부 히데키 1997: 고미야마 사토루 1998: 가네무라 사토루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에비스 노부유키 2001: 나단 민치 2002: 가네다 마사히코 2003: 사이토 가즈미,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4: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나루세 요시히사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다르빗슈 유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이시카와 아유무 2017: 기쿠치 유세이 2018: 기시 다카유키 vdeh퍼시픽 리그 최우수 승률 투수1950년대 1950: 노무라 다케시 1951: 나카타니 노부오 1952: 유키 스스무 1953: 오가미 다케토시 1954: 니시무라 사다아키 1955: 나카무라 다이세이 1956: 우에무라 요시노부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아키모토 유사쿠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미나가와 무쓰오 1963: 다나카 쓰토무, 모리나카 지카라 1964: 조 스탠카 1965: 하야시 도시히코 1966: 미나가와 무쓰오 1967: 이시이 시게오 1968: 무라카미 마사노리 1969: 세이 도시히코 1970년대 1970: 사사키 고이치로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사토 미치오 1973: 야기사와 소로쿠 1974: 다케무라 가즈요시 1975: 스즈키 게이시, 노무라 오사무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이나바 미쓰오 1978: 야마다 히사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마시바 시게쿠니 1982: 구도 미키오 1983: 다카하시 나오키 1984: 이시카와 마사루 1985: 이시모토 요시아키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궈타이위안 1989: 호시노 노부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구도 기미야스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궈타이위안 1995: 히라이 마사후미 1996: 호시노 노부유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구로키 도모히로 1999: 시노하라 다카유키 2000년대 2000: 오노 신고 2001: 다노우에 게이사부로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사이토 가즈미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나루세 요시히사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스기우치 도시야 2010년대 2010: 스기우치 도시야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셋쓰 다다시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기시 다카유키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와다 쓰요시 2017: 센가 고다이 2018: 마이크 볼싱어 vdeh퍼시픽 리그 최다 탈삼진1950년대 1950: 요네카와 야스오 1951: 아베 하치로 1952: 유키 스스무 1953: 요네카와 야스오 1954: 다쿠와 모토지 1955: 가와무라 히사후미 1956: 가지모토 다카오 1957: 가지모토 다카오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스기우라 다다시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요네다 데쓰야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오자키 유키오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다나카 쓰토무 1967: 스즈키 게이시 1968: 스즈키 게이시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스즈키 게이시 1971: 스즈키 게이시 1972: 스즈키 게이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스즈키 게이시 1975: 히가시오 오사무 1976: 무라타 조지 1977: 무라타 조지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무라타 조지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무라타 조지 1982: 마쓰누마 히로히사 1983: 야마오키 유키히코 1984: 사토 요시노리 1985: 사토 요시노리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아와노 히데유키 1988: 오가와 히로시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노모 히데오 1992: 노모 히데오 1993: 노모 히데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구도 기미야스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니시구치 후미야 1999: 구도 기미야스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4: 아라카키 나기사 2005: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스기우치 도시야 2009: 스기우치 도시야 2010년대 2010: 다르빗슈 유 2011: 다르빗슈 유 2012: 다나카 마사히로 2013: 가네코 지히로 2014: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5: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6: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7: 노리모토 다카히로 2018: 노리모토 다카히로 ※1989년에 타이틀로 제정됨. vdeh퍼시픽 리그 베스트 나인 (투수 부문)1950년대 1950: 아라마키 아쓰시 1951: 에토 다다시 1952: 유키 스스무 1953: 가와사키 도쿠지 1954: 니시무라 사다아키 1955: 나카무라 다이세이 1956: 가지모토 다카오 1957: 이나오 가즈히사 1958: 이나오 가즈히사 1959: 스기우라 다다시 1960년대 1960: 오노 쇼이치 1961: 이나오 가즈히사 1962: 이나오 가즈히사 1963: 이나오 가즈히사 1964: 조 스탠카 1965: 오자키 유키오 1966: 다나카 쓰토무 1967: 아다치 미쓰히로 1968: 미나가와 무쓰오 1969: 스즈키 게이시 1970년대 1970: 기타루 마사아키 1971: 야마다 히사시 1972: 야마다 히사시 1973: 나리타 후미오 1974: 가네다 도메히로 1975: 스즈키 게이시 1976: 야마다 히사시 1977: 야마다 히사시 1978: 스즈키 게이시 1979: 야마다 히사시 1980년대 1980: 기다 이사무 1981: 무라타 조지 1982: 구도 미키오 1983: 히가시오 오사무 1984: 이마이 유타로 1985: 히가시오 오사무 1986: 와타나베 히사노부 1987: 구도 기미야스 1988: 니시자키 유키히로 1989: 아와노 히데유키 1990년대 1990: 노모 히데오 1991: 궈타이위안 1992: 이시이 다케히로 1993: 구도 기미야스 1994: 이라부 히데키 1995: 이라부 히데키 1996: 에릭 힐만 1997: 니시구치 후미야 1998: 니시구치 후미야 1999: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0년대 2000: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1: 마쓰자카 다이스케 2002: 제레미 파웰 2003: 사이토 가즈미 2004: 이와쿠마 히사시 2005: 스기우치 도시야 2006: 사이토 가즈미 2007: 다르빗슈 유 2008: 이와쿠마 히사시 2009: 다르빗슈 유 2010년대 2010: 와다 쓰요시 2011: 다나카 마사히로 2012: 요시카와 미쓰오 2013: 다나카 마사히로 2014: 가네코 지히로 2015: 오타니 쇼헤이 2016: 오타니 쇼헤이 2017: 기쿠치 유세이 2018: 기쿠치 유세이 vdeh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1988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감독30 스즈키 요시노부코치 31 가와시마 가쓰지 32 야마나카 마사타케 투수 11 시오자키 데쓰야 12 와타나베 도미오 14 스즈키 데쓰 15 기쿠치 사토시 16 요시다 슈지 18 이시이 다케히로 19 노모 히데오 포수 20 후루타 아쓰야 22 오타케 아쓰요시 내야수 1 니시 마사후미 2 가쓰라기 히로키 3 요네자키 군지 6 노무라 겐지로 9 오가와 히로후미 10 쓰쓰이 다이스케 28 오모리 다케시 외야수 8 나카지마 데루시 21 마에다 마코토 25 마쓰모토 야스시 27 도마시노 겐지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14974892 LCCN: n95116087 ISNI: 0000 0000 8475 6868 NDL: 00397785 CiNii: DA0992146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노모_히데오&oldid=23405729" 분류: 196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투수긴테쓰 버펄로스 선수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일본 프로 야구 신인왕 수상자일본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뉴욕 메츠 선수밀워키 브루어스 선수보스턴 레드삭스 선수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선수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선수캔자스시티 로열스 선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해의 신인상 수상자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일본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일본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오사카시 출신명구회사와무라 에이지상 수상자일본 야구전당 헌액자기쿠치 간상 수상자198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내셔널 리그 올스타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연도별 투수 성적을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Français日本語Malagas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3일 (목) 10: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니언 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니언 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유니언 잭 (마블 코믹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현재 영국의 국기로 사용중인 유니언 잭 유니언 잭(영어: Union Jack) 또는 유니언 기(영어: Union Flag 유니언 플래그[*])는 영국의 국기에서 사용하는 왕실 깃발 디자인이며, 여러 영국 연방 왕국 국기에 포함된다. 목차 1 역사 1.1 1801년 이전 유니언 잭 1.2 1801년 이후 유니언 잭 1.3 현재의 국기 디자인 문제 2 유니언 잭을 포함하는 국기 또는 주기 2.1 국기, 속령의 기 2.2 주기 3 같이 보기 역사[편집] 유니언 잭의 구성 초창기의 유니언 잭 1707년까지 스코틀랜드에서 널리 사용된 유니언 잭 웨일스의 적룡 문양이 포함된 유니언 잭 디자인 1801년 이전 유니언 잭[편집]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가 1603년 잉글랜드의 왕위를 물려받아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가 되면서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은 동군연합이 되었다. 1606년 4월 12일 왕령으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동군연합을 상징하는 새로운 기를 제정했다. 이 기는 잉글랜드의 국기(흰 바탕에 붉은 십자를 그린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와 스코틀랜드의 국기(파란 바탕에 흰 X자 모양의 십자를 그린 성 안드레아 십자)를 겹쳐서 만들었다. 처음에는 선박과 해군의 기로만 사용했으며 1634년에 국왕의 배에만 사용하도록 제한했었다. 1707년 선포한 합병령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합하면서 국기가 되었다. 여러 가지 밝기의 파란 색이 스코틀랜드 기에 사용한다. 유니언 기 배경색은 짙은 네이비 블루(팬턴 280)이며, 현재 스코틀랜드 국기에 사용하는 배경색은 2003년 스코틀랜드 의회에서 정한 옅은 로열 블루(팬턴 300)이다. 웨일스는 1282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병합해서 잉글랜드 일부로 여겼기 때문이다. 현재 웨일스 국기는 20세기에 만들었다. 아일랜드 왕국은 1542년부터 잉글랜드와 동군연합 상태로 있었지만 이 유니언 잭에는 표현하지 않았다. 1801년 이전 유니언 잭은 처음 채택한 미국의 국기에서도 왼쪽 귀퉁이에 사용했었다. 말하자면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국기를 합해서 만든 게 바로 유니언 기이다. 1801년 이후 유니언 잭[편집] 현재 유니언 잭은 1800년 선포한 합병령으로 1801년 1월 1일, 아일랜드 왕국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결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되면서 만들었다. 아일랜드 나타내는 성 파트리치오 십자(흰 바탕에 붉은 X자 모양의 십자가를 그림)가를 스코틀랜드의 성 안드레아 십자 위에 추가했다. 붉은 십자는 잉글랜드의 헨리 2세가 아일랜드를 다스리기 위해 보낸 피츠제럴드 가문의 문장에서 온 것으로 생각한다. 실제 이 문양은 아일랜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하프나 켈트 십자, 토끼풀, 또는 (1922년 이후) 아일랜드 삼색기를 사용한다. 현재의 국기 디자인 문제[편집] 많은 웨일스 사람들은 적룡기나 성 데이비드 기를 포함한 새로운 유니언 플래그를 제작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몇몇 사람들은 실제로 그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기도 하다. 기존 디자인(잉글랜드+스코틀랜드+(북)아일랜드)은 현재의 영국 구성 국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유니언 잭이 생길 때에는 웨일스가 잉글랜드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웨일스 국기가 반영되지 않았으나, 현재는 웨일스가 잉글랜드에서 독립했으니 마땅히 유니언 잭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반대하는 쪽에서는 웨일스가 왕국(kingdom) 지위가 아닌 공국(公國, principality; 웨일스 공 참고) 지위이기 때문에 유니언 플래그에 반영할 수 없다는 논리를 들고 있다(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구(舊) 아일랜드는 각각 왕국의 지위를 지닌 채 연합왕국을 이루었다). 2007년 11월 말, 웨일스 렉섬이 지역구인 이언 루카스 영국 하원 의원(노동당)이 하원 의사당에서 웨일스의 깃발이 유니언 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보수당의 스튜어드 잭슨 의원(지역구: 잉글랜드 피터버러)이 “희한한 제안(eccentric proposal)”이라고 비난하였으나, 마거릿 호지 문화부 장관은 국기의 개정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유니언 잭을 포함하는 국기 또는 주기[편집] 영국 국기인 유니언 잭은 영국이 아닌 여러 나라의 국기에도 사용되고 있다. 독립국 중에는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투발루, 피지의 국기에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도 1965년 현재의 단풍나무 기를 채택하기 전까지는 유니언 잭을 국기에 사용했다. 매니토바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온타리오주의 기에는 영국 국기가 들어있다. 미국의 하와이주는 영국의 지배를 겪지는 않았음에도 유니언 잭이 들어있다. 피지는 공화국으로 출범한 이후에도 아직까지 유니언 잭이 남아있다. 니우에는 별이 추가되어 있다. 국기, 속령의 기[편집] 뉴질랜드의 국기 니우에의 기 몬트세랫의 기 버뮤다의 기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의 기 세인트헬레나의 기 앵귈라의 기 어센션 섬의 기 영국령 남극 지역의 기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기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기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기 쿡 제도의 기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의 기 투발루의 국기 트리스탄다쿠냐 제도의 기 포클랜드 제도의 기 피지의 국기 핏케언 제도의 기 주기[편집] 뉴사우스웨일스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매니토바주의 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기 (캐나다) 빅토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온타리오주의 기 (캐나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하와이주의 기 (미국) 같이 보기[편집] 영국의 기 목록 대영 제국의 기 목록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유니언 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니언_잭&oldid=24375315" 분류: 대영 제국영국의 기기 도안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CymraegDeutschEnglishEsperantoFøroysktGaeilgeहिन्दीBahasa IndonesiaລາວമലയാളംBahasa MelayuScotsSlovenščina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0: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위덕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덕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덕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6° 0′ 46″ 동경 129° 16′ 59.2″ / 북위 36.01278° 동경 129.283111°  / 36.01278; 129.283111 위덕대학교Uiduk University표어 진리탐구, 인격도야, 이타자리 종류 사립설립 1995년종교 대한불교진각종총장 장익학교법인 회당학원학부생 수 3,173명 (2018년)[1]대학원생 수 266명 (2018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27명 (2018년)[1]기타교원: 91명 (2018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동해대로 261상징물 배롱나무, 코뿔소웹사이트 http://www.uu.ac.kr/ 위덕대학교의 위치 위덕대학교(威德大學校, Uiduk University)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사립 대학이다. 진각종에서 설립하였다. 목차 1 연혁 2 교육편제 2.1 학부 3 주요 동문 4 각주 연혁[편집] 1995년 12월 16일 : 위덕대학교 설립 1996년 3월 11일 : 개교 1999년 9월 3일 : 대학박물관 설립 2012년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2]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3] 교육편제[편집] 학부[편집] 다음은 2018년 기준 위덕대학교의 학부 과정 일람이다. 인문사회 사범 자연 공학 예체능 불교문화학과 자율전공학부 일본언어문화학과 경찰행정학과 경찰정보보안학과 소방방재학과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사회복지학과 항공관광학과 유아교육과 특수교육학부 초등특수교육전공 중등특수교육전공 외식산업학부 제과제빵전공 호텔조리전공 식품영양학전공 보건관리학과 간호학과 물리치료학과 언어청각치료학과 에너지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원전·제어시스템공학전공 IT융합학과 그린에너지공학부 반도체전자공학전공 신재생에너지공학전공 건강스포츠학부 레저스포츠전공 평생체육지도전공 주요 동문[편집] 분류:위덕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43개 사립대학 정부 재정지원 제한, 연합뉴스, 2012년 8월 31일 작성.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일반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vdeh학교법인 회당학원 위덕대학교 심인고등학교 진선여자고등학교 심인중학교 진선여자중학교 vdeh 경상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금오공과대학교 안동대학교 육군3사관학교 공립 경북도립대학교 사립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 경운대학교 경일대학교 경주대학교 김천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 대구사이버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오성캠퍼스) 대신대학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동양대학교 (영주캠퍼스)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 영남신학대학교 위덕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한동대학교 전문대학 가톨릭상지대학교 경북과학대학교 경북보건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구미대학교 대경대학교 (메인캠퍼스) 문경대학교 서라벌대학교 선린대학교 성덕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영남외국어대학 포항대학교 한국폴리텍Ⅵ대학 (구미캠퍼스·영주캠퍼스) 호산대학교 대학원대학 경안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한국복지사이버대학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위덕대학교&oldid=24521461" 분류: 경상북도의 대학교경주시의 학교1995년 설립1996년 개교대한민국의 불교 대학위덕대학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4일 (목) 0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광화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화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광화문 光化門 광화문 정면기본 정보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지리 좌표계 북위 37° 34′ 33.68″ 동경 126° 58′ 36.84″ / 북위 37.5760222° 동경 126.9769000°  / 37.5760222; 126.9769000상태 사용 중완공 1395년1864년 (복원)2010년 (복원)파괴 1592년 (임진왜란)1950년 (한국 전쟁) 철거 1927년 (이전)용도 경복궁 정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다.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1] 1395년에 세워졌으며,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치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의 석축부에는 세 개의 홍례문이 있다. 가운데 문은 임금이 다니는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다. 광화문의 천장에는 주작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광화문은 한국 전쟁으로 두 차례 소실되었으며, 월대와 해태 등을 제외한 일부 복원공사가 완료되어 2010년 8월 15일에 공개되었다.[2] 목차 1 역사 1.1 조선시대 1.2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1.3 전후 복원 2 갤러리 3 영상 4 교통 5 같이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광화문과 해치 (1900년경) 조선시대[편집] 1395년 조선 태조 때 창건되어 정도전에 의해 '사정문' (四正門)으로 명명되었다. 당시 '오문' (午門)이라 불리기도 했다. 1425년 조선 세종 때에 들어 집현전의 학사들이 지금의 '광화문' (光化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3] 임진왜란 당시에는 경복궁과 함께 방화로 소실되었으나, 조선 후기에 흥선대원군(헌의대원왕 이하응)이 경복궁을 다시 중건하면서 재건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편집]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일대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상 청사 앞을 가린다는 이유를 들어 광화문을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3] 그러나 조선은 물론 일본의 지식인들까지 철거 결정에 반발하였다. 특히 야나기 무네요시는 1922년 일본 잡지 <개조> (改造)에 '사라져가려고 하는 어느 조선 건축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광화문의 운명을 기리는 글을 게재하였고, 일본에서 발표된 이후 《동아일보》에 한국어 번역본이 실리면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한 반대 여론이 들끓게 되었다. 이에 조선총독부는 광화문 철거 계획을 철회하고 총독부 청사가 완공된 이듬해인 1927년 광화문을 건춘문 (경복궁의 동문) 쪽으로 이전 설치하였다.[3] 광화문은 1945년 해방 이후에도 이 자리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출처 필요]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폭격을 맞아 광화문의 목조 부분이 불에 타 없어지고 석축만 남게 되었다.[4] 이후 석축은 그대로 두고 현판은 새로 제작, 상부는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1968년 12월 11일에 중건하였다. 하지만 광화문의 자리를 경복궁의 본래 축이 아닌 총독부 청사의 축에 맞춰 재건축하였고[5], 건축 전부터 겉모양만 복원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여론이 일기도 했다.[6] 더구나 높이도 원래 높이보다 좀 더 높게 지어졌으며, 현판 역시 한자 현판이 아닌 당대 한글 전용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한글로 쓴 현판을 사용하였다.[3] 전후 복원[편집] 1995년에 문민정부에서는 2003년부터 광화문을 부분 철거하고 2009년까지 본래의 위치에서 석축 위의 목조 건물로 복원할 것을 발표하였다.[7] 2006년부터는 문화재청 주도의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기존의 광화문을 고종 중건기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해 철거 · 해체하였다.[8] 광화문 복원 사업은 2010년 10월에 완료될 예정이었으나[9] G20 서울 정상회의의 개최로 인해 앞당겨져 8월 15일 광복절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광화문 편액(扁額)은 조선 후기 경복궁 중건 시 훈련대장(訓鍊大將)으로 영건도감 제조(營建都監 提調)를 겸하여 서사관(書寫官)으로 광화문 편액을 쓴 임태영 장군의 서체를 원형 복원한 것이다. 갤러리[편집] 조선총독부 건물 앞에 놓인 광화문의 모습 (1990년대) 광화문내측(2002년) 광화문 현판의 모습 (2012년) 광화문 수문장의 모습 (2012년) 광화문 (2015년) 광화문 전경 (2016년) 광화문과 관광객들의 모습 광화문 내측 (2018년) 영상[편집] 광화문 영상보기 교통[편집] ■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광화문 오픈 스트리트 맵에 광화문의 지도가 있습니다. 한국 포털 역사 포털 문화유산 포털 광화문 광장 경복궁 정도전 광화문역 광화문로 세종대로 숭례문 흥인지문 세종대왕 흥선대원군 각주[편집] ↑ 윤희철 (2016년 11월 19일). “[윤희철의 건축스케치]경복궁의 가을”. 《경향신문》. 2016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 권영전 (2010년 8월 15일). “'원모습 복원' 광화문 현판 모습 드러내”. 《연합뉴스》 (서울). 2016년 11월 19일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전국역사지도사모임 (2016년 12월). 《표석을 따라 경성을 거닐다》. 유씨북스. 220-223쪽.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광화문 복원(光化門 復元), 《동아일보》, 1966.2.17. ↑ 광화문(光化門) 복원, 《경향신문》, 1968.12.11. ↑ 광화문 복원(光化門 復元)에 이론(異論), 《경향신문》, 1968.3.20. ↑ 광화문(光化門)도 제모습 찾는다, 《경향신문》, 1995.2.28. ↑ 경복궁 창건 당시 광화문 터 보존한다, 세계일보, 2007년 12월 24일 ↑ 경복궁 광화문 복원 상량식…내년 10월 복원 완료, 뉴시스, 2009년 11월 26일 좌표: 북위 37° 34′ 33.76″ 동경 126° 58′ 37.27″ / 북위 37.5760444° 동경 126.9770194°  / 37.5760444; 126.97701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화문&oldid=24400150" 분류: 서울특별시의 문대한민국의 성문경복궁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KapampanganPolskiไทยTagalog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0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951년 아시안 게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51년 아시안 게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1회 아시안 게임1951 एशियाई खेल1951 Asian Games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도시 뉴델리참가국 11개국참가 선수 489명종목 8개 종목개회식 1951년 3월 4일폐회식 1951년 3월 11일 공식 개회 선언 라젠드라 프라사드 대통령선수 선서 발데브 싱성화 점화 달리프 싱주경기장 델리 경기장이전 대회 / 다음 대회 첫 대회 1954 마닐라 1951년 아시안 게임은 1951년 3월 4일부터 3월 1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안 게임이다. 11개국에서 총 489명의 선수가 참가해 8개 종목에 걸쳐 기량을 겨루었다. 목차 1 대회 이전의 상황 2 경기 종목 3 참가국 4 메달 집계 5 대회 이모저모 대회 이전의 상황[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 인도 선수단의 입장 아시안 게임 이전에는 극동 선수권 대회가 있었다. 극동 선수권 대회는 1913년 필리핀 체육인의 중심으로 만들어진 대회로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홍콩을 중심으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는 1937년에 발발한 중일 전쟁을 계기로 폐지되고 만다. 그 후 지속하지 못하다가 다시 아시아인들의 위한 스포츠가 논의가 시작한 것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이 열리던 기간이었다. 그때 아시아 13개국 단장들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아시아 지역 대회 개최에 대한 사전 협의를 요청했다. 1948년 8월 8일에는 인도 올림픽 위원회 대표였던 구루 두트 손디(Guru Dutt Sondhi)가 아시안 게임을 창설하기로 결의했다. 1949년 2월 13일에는 인도 델리에서 아시아 경기 연맹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경기 종목[원본 편집]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참가국[원본 편집]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네팔, 버마(현재의 미얀마), 실론(현재의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인도, 일본, 태국, 필리핀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스리랑카, 싱가포르, 태국 7개국은 1회 대회부터 지금까지 아시안 게임 역사상 한 번도 빠짐 없이 참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원래 1951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한국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불참했으며, 중국은 등록 마감 시한까지 선수 명단을 등록하지 못하여 불참했다. 또한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카슈미르 분쟁을 이유로 불참했으며, 소련, 베트남은 정치 체제를 이유로 참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네팔 (8) 버마 (58) 실론 (3)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49) 인도 (151) (개최국) 인도네시아 (35) 일본 (72) 태국 필리핀 메달 집계[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일본 24 21 15 60 2 인도 15 16 20 51 3 이란 8 6 2 16 4 싱가포르 5 7 2 14 5 필리핀 5 6 8 19 6 실론 0 1 0 1 7 인도네시아 0 0 5 5 8 버마 0 0 3 3 합계 57 57 55 169 대회 이모저모[원본 편집] 아시안 게임 최초의 금메달리스트는 수영 자유형 1,500m에 출전한 싱가포르의 수영 선수인 네오 취콕이다. 그는 수영 자유형 4개 종목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4관왕이 되었다. 아시안 게임 이전 1951년 아시안 게임뉴델리 1951 다음 없음 마닐라 1954 vdeh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상징 개최지 선정 OCA NOC APC NPC 하계 아시안 게임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동계 아시안 게임 1986 1990 1996 1999 2003 2007 2011 2017 2021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05 2007 2009 (실내) 2009 (무도) 2013 2017 2021 해변 아시안 게임 2008 2010 2012 2014 2016 2020 청소년 아시안 게임 2009 2013 2017 2021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10 2014 2018 2022 2026 vdeh1951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51년_아시안_게임&oldid=24134321" 분류: 1951년 아시안 게임하계 아시안 게임1951년 인도1951년 스포츠인도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뉴델리1951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1951년 3월인도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ikol Central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3: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951년 아시안 게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51년 아시안 게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1회 아시안 게임1951 एशियाई खेल1951 Asian Games대회 개요개최국 인도개최 도시 뉴델리참가국 11개국참가 선수 489명종목 8개 종목개회식 1951년 3월 4일폐회식 1951년 3월 11일 공식 개회 선언 라젠드라 프라사드 대통령선수 선서 발데브 싱성화 점화 달리프 싱주경기장 델리 경기장이전 대회 / 다음 대회 첫 대회 1954 마닐라 1951년 아시안 게임은 1951년 3월 4일부터 3월 11일까지 인도 뉴델리에서 개최된 제1회 아시안 게임이다. 11개국에서 총 489명의 선수가 참가해 8개 종목에 걸쳐 기량을 겨루었다. 목차 1 대회 이전의 상황 2 경기 종목 3 참가국 4 메달 집계 5 대회 이모저모 대회 이전의 상황[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개막식에서 인도 선수단의 입장 아시안 게임 이전에는 극동 선수권 대회가 있었다. 극동 선수권 대회는 1913년 필리핀 체육인의 중심으로 만들어진 대회로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홍콩을 중심으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는 1937년에 발발한 중일 전쟁을 계기로 폐지되고 만다. 그 후 지속하지 못하다가 다시 아시아인들의 위한 스포츠가 논의가 시작한 것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이 열리던 기간이었다. 그때 아시아 13개국 단장들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아시아 지역 대회 개최에 대한 사전 협의를 요청했다. 1948년 8월 8일에는 인도 올림픽 위원회 대표였던 구루 두트 손디(Guru Dutt Sondhi)가 아시안 게임을 창설하기로 결의했다. 1949년 2월 13일에는 인도 델리에서 아시아 경기 연맹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 경기 종목[원본 편집]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참가국[원본 편집] 총 11개국이 참가하였다. 네팔, 버마(현재의 미얀마), 실론(현재의 스리랑카),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인도, 일본, 태국, 필리핀이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다.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스리랑카, 싱가포르, 태국 7개국은 1회 대회부터 지금까지 아시안 게임 역사상 한 번도 빠짐 없이 참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원래 1951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한국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불참했으며, 중국은 등록 마감 시한까지 선수 명단을 등록하지 못하여 불참했다. 또한 파키스탄은 인도와의 카슈미르 분쟁을 이유로 불참했으며, 소련, 베트남은 정치 체제를 이유로 참가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네팔 (8) 버마 (58) 실론 (3) 싱가포르 아프가니스탄 이란 (49) 인도 (151) (개최국) 인도네시아 (35) 일본 (72) 태국 필리핀 메달 집계[원본 편집] 1951년 아시안 게임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일본 24 21 15 60 2 인도 15 16 20 51 3 이란 8 6 2 16 4 싱가포르 5 7 2 14 5 필리핀 5 6 8 19 6 실론 0 1 0 1 7 인도네시아 0 0 5 5 8 버마 0 0 3 3 합계 57 57 55 169 대회 이모저모[원본 편집] 아시안 게임 최초의 금메달리스트는 수영 자유형 1,500m에 출전한 싱가포르의 수영 선수인 네오 취콕이다. 그는 수영 자유형 4개 종목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4관왕이 되었다. 아시안 게임 이전 1951년 아시안 게임뉴델리 1951 다음 없음 마닐라 1954 vdeh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상징 개최지 선정 OCA NOC APC NPC 하계 아시안 게임 1951 1954 1958 1962 1966 1970 1974 1978 1982 1986 1990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2026 2030 동계 아시안 게임 1986 1990 1996 1999 2003 2007 2011 2017 2021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05 2007 2009 (실내) 2009 (무도) 2013 2017 2021 해변 아시안 게임 2008 2010 2012 2014 2016 2020 청소년 아시안 게임 2009 2013 2017 2021 장애인 아시안 게임 2010 2014 2018 2022 2026 vdeh1951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농구 다이빙 사이클 수구 수영 역도 육상 축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51년_아시안_게임&oldid=24134321" 분류: 1951년 아시안 게임하계 아시안 게임1951년 인도1951년 스포츠인도에서 개최된 스포츠 대회뉴델리1951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1951년 3월인도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ikol CentralCatalà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ភាសាខ្មែរ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3: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맨발의 청춘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2 방송 기간 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방송 시간 월, 화 저녁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방송 횟수 16부작 기획 윤흥식 연출 김용규, 전산(5회~16회) 조연출 김원용, 김형석 극본 이찬규 출연자 배용준, 고소영 외 음성 한국어 《맨발의 청춘》은 1998년 2월 2일부터 1998년 3월 24일까지 방영된 월화 미니시리즈인데 당시 IMF 상황이었음에도 비현실적이자 통속적인 멜로극 형식을 표방했다는 지적 외에도 방송 당일에야 첫 회분을 완성하는 등 촬영일정에 허덕거려야 했다[1]. 한편,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여 프로포즈 이후 이어진 월화 미니시리즈의 슬럼프에서 벗어났으나 작위적 상황설정과 우연의 남발, 어설픈 연기 등의 지적을 받아왔다[2]. 목차 1 방송 시간 2 기획 의도 3 등장 인물 4 참고 사항 5 각주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98년 2월 2일 ~ 1998년 2월 24일 월, 화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1시간 2분) 1998년 3월 2일 ~ 1998년 3월 24일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1시간 10분) 기획 의도[편집] 출생의 비밀을 갖고 태어난 주인공의 사랑과 야망을 그린 드라마[3] 등장 인물[편집] 배용준 : 장요석 역 - 주인공, 정자의 사생아, 경찰대 졸업 고소영 : 기혜준 역 - 요석을 사랑하는 법조인 집안의 딸 변우민 : 기승준 역 - 성재의 아들, 혜준의 오빠 이종원 : 장상엽 역 - 명식의 아들, 깡패 김원희 : 김예주 역 - 상엽의 애인 박근형 : 기성재 역 -서울지검 특수부 부장검사, 혜준의 아버지) 김무생 : 장명식 역 - 요석의 생부, 암흑가의 보스 김성겸 : 장도수 역 - 명식의 아버지 이보희 : 한수림 역 - 요석의 어머니 정성모 : 강수 역 김학철 : 장명식의 오른팔 역 오욱철 : 기성재 고문 변호사 역 정동남 : 장명식의 부하 역 김주승 유태웅 김주영 김창숙 이배국 양금석 박소현 김세준 박남현 문미봉 이종만 안대용 권이지 강경헌 이칸희 이은주 강성진 김하균 참고 사항[편집] 김원희를 주역으로 캐스팅하는 과정에서 SBS 측과 한때 마찰을 빚었다. 인기 스타 배용준을 내세워 초반부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엉성한 짜임새, 어설픈 연기, 과도한 폭력 장면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는데[4] 첫 회가 나간 뒤 주인공인 배용준이 "과도한 폭력드라마는 싫다"며 촬영을 거부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다. 야외촬영에 전산 PD를 5회부터 급히 투입시켰는데 KBS 측은 "담당 PD 김용규의 건강이 좋지 않아서 그랬다"고 해명했지만 방송가 측에서는 KBS 측이 일부 연기자들과 김용규 PD의 관계, 폭력묘사에 대한 비난 여론 등을 의식하여 전산 PD를 5회부터 투입한 것으로 보았다. 극 중 장영필 역의 이종원이 본인의 무리를 이끌고 상대편 조직의 은거지를 급습하여 패싸움을 벌이는 장면이 지나치게 폭력적이란 이유로 98년 2월 9일 방송위원회 회의에서 경고 조치를 받았다[5]. 각주[편집] ↑ 노형석 (1998년 2월 3일). “궁핍한 시대 안방극장 또 사랑놀음 대결”. 한겨레신문.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오광수 (1998년 2월 2일). “스타군단의'멜로물'맞대결”. 경향신문.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 이나리 (1998년 2월 11일). “TV 드라마 “아직도 정신 못차렸나””. 세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진달래꽃 필 때까지(1998년 1월 5일 ~ 1998년 1월 26일) 맨발의 청춘(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거짓말(1998년 3월 30일 ~ 1998년 6월 2일)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맨발의_청춘_(1998년_드라마)&oldid=24526695" 분류: 1998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숨은 분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9: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맨발의 청춘 (1998년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맨발의 청춘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2 방송 기간 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방송 시간 월, 화 저녁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방송 횟수 16부작 기획 윤흥식 연출 김용규, 전산(5회~16회) 조연출 김원용, 김형석 극본 이찬규 출연자 배용준, 고소영 외 음성 한국어 《맨발의 청춘》은 1998년 2월 2일부터 1998년 3월 24일까지 방영된 월화 미니시리즈인데 당시 IMF 상황이었음에도 비현실적이자 통속적인 멜로극 형식을 표방했다는 지적 외에도 방송 당일에야 첫 회분을 완성하는 등 촬영일정에 허덕거려야 했다[1]. 한편,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여 프로포즈 이후 이어진 월화 미니시리즈의 슬럼프에서 벗어났으나 작위적 상황설정과 우연의 남발, 어설픈 연기 등의 지적을 받아왔다[2]. 목차 1 방송 시간 2 기획 의도 3 등장 인물 4 참고 사항 5 각주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1998년 2월 2일 ~ 1998년 2월 24일 월, 화 저녁 6시 8분 ~ 7시 10분 (1시간 2분) 1998년 3월 2일 ~ 1998년 3월 24일 월, 화 밤 9시 50분 ~ 11시 (1시간 10분) 기획 의도[편집] 출생의 비밀을 갖고 태어난 주인공의 사랑과 야망을 그린 드라마[3] 등장 인물[편집] 배용준 : 장요석 역 - 주인공, 정자의 사생아, 경찰대 졸업 고소영 : 기혜준 역 - 요석을 사랑하는 법조인 집안의 딸 변우민 : 기승준 역 - 성재의 아들, 혜준의 오빠 이종원 : 장상엽 역 - 명식의 아들, 깡패 김원희 : 김예주 역 - 상엽의 애인 박근형 : 기성재 역 -서울지검 특수부 부장검사, 혜준의 아버지) 김무생 : 장명식 역 - 요석의 생부, 암흑가의 보스 김성겸 : 장도수 역 - 명식의 아버지 이보희 : 한수림 역 - 요석의 어머니 정성모 : 강수 역 김학철 : 장명식의 오른팔 역 오욱철 : 기성재 고문 변호사 역 정동남 : 장명식의 부하 역 김주승 유태웅 김주영 김창숙 이배국 양금석 박소현 김세준 박남현 문미봉 이종만 안대용 권이지 강경헌 이칸희 이은주 강성진 김하균 참고 사항[편집] 김원희를 주역으로 캐스팅하는 과정에서 SBS 측과 한때 마찰을 빚었다. 인기 스타 배용준을 내세워 초반부터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엉성한 짜임새, 어설픈 연기, 과도한 폭력 장면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았는데[4] 첫 회가 나간 뒤 주인공인 배용준이 "과도한 폭력드라마는 싫다"며 촬영을 거부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다. 야외촬영에 전산 PD를 5회부터 급히 투입시켰는데 KBS 측은 "담당 PD 김용규의 건강이 좋지 않아서 그랬다"고 해명했지만 방송가 측에서는 KBS 측이 일부 연기자들과 김용규 PD의 관계, 폭력묘사에 대한 비난 여론 등을 의식하여 전산 PD를 5회부터 투입한 것으로 보았다. 극 중 장영필 역의 이종원이 본인의 무리를 이끌고 상대편 조직의 은거지를 급습하여 패싸움을 벌이는 장면이 지나치게 폭력적이란 이유로 98년 2월 9일 방송위원회 회의에서 경고 조치를 받았다[5]. 각주[편집] ↑ 노형석 (1998년 2월 3일). “궁핍한 시대 안방극장 또 사랑놀음 대결”. 한겨레신문.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 오광수 (1998년 2월 2일). “스타군단의'멜로물'맞대결”. 경향신문.  ↑ 김희경 (1998년 2월 17일). “KBS'맨발의 청춘' "꾹 참고 본다마는…"”. 동아일보.  ↑ 이나리 (1998년 2월 11일). “TV 드라마 “아직도 정신 못차렸나””. 세계일보. 2018년 6월 25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월화 미니시리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진달래꽃 필 때까지(1998년 1월 5일 ~ 1998년 1월 26일) 맨발의 청춘(1998년 2월 2일 ~ 1998년 3월 24일) 거짓말(1998년 3월 30일 ~ 1998년 6월 2일)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맨발의_청춘_(1998년_드라마)&oldid=24526695" 분류: 1998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숨은 분류: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9: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박보영의 작품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보영의 작품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너의 결혼식》 언론시사회 에서 박보영. 다음은 대한민국의 배우 박보영의 작품 목록이다. 목차 1 출연 작품 1.1 영화 1.2 드라마 2 기타 활동 2.1 뮤직비디오 2.2 음반 2.3 화보 2.4 텔레비전 프로그램 2.5 라디오 프로그램 3 홍보대사 4 광고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참고 2005 《이퀄(Equal)》 김다미 단편 영화[1][2] 2008 《울학교 이티》 한송이 《초감각 커플》 현진 《과속스캔들》 황정남/황제인 2009 《시선 1318》 - <릴레이> 김희수 옴니버스 영화[3][4] 2011 《리오》 쥬엘 목소리 더빙 2012 《미확인 동영상: 절대클릭금지》 세희 《늑대소년》 순이/은주 2013 《눈의 여왕》 겔다 목소리 더빙 2014 《피끓는 청춘》 박영숙 2015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차주란/시즈코 《돌연변이》 주진 《열정같은소리하고있네》 도라희 2018 《너의 결혼식》 환승희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참고 2006 EBS 《비밀의 교정》 차아랑 2007 SBS 《마녀유희》 어린 마유희 SBS 《달려라 고등어》 심청아 SBS 《왕과 나》 어린 폐비 윤씨 2008 KBS 《정글피쉬》 이은수 단막극[5][6] KBS 《최강칠우》 최우영 특별출연 (1회)[7] SBS 《스타의 연인》 어린 이마리 특별출연 (1회)[8] 2015 tvN 《오 나의 귀신님》 나봉선 2017 JTBC 《힘쎈여자 도봉순》 도봉순 2019 tvN 《어비스》 고세연 기타 활동[편집] 뮤직비디오[편집] 연도 가수 제목 비고 2007 구정현 Goodbye Sadness 오죽했으면, 그러니까 [9][10] FLY TO THE SKY 오늘도 이쁜걸 2008 박혜경 사랑과 우정사이 유리(Yuri) 가슴아 제발 2011 IU 나만 몰랐던 이야기 BEAST Fiction 2013 SPEED 슬픈 약속 노개런티 출연 [11][12][13][14] It's over (Feat. 박보영) 음반[편집] 연도 제목 앨범 비고 2008 자유시대 《과속스캔들》 OST 원곡(그룹 '모자이크')[15] 2012 나의 왕자님(My Prince) 《늑대소년》 OST 2013 It's over (Feat. 박보영) 1집 Superior Speed SPEED의 노래 피처링 2014 피끓는 청춘 《피끓는 청춘》 OST 2015 떠난다 《오 나의 귀신님》 OST 2018 내 얘기 좀 들어봐 《너의 결혼식》 OST 화보[편집] 연도 발행월 잡지명 2007 11월 Junior 2008 12월 Cine21(681호), Film2.0(417호), 대학내일, PC사랑, SCREEN 2009 1월 SCREEN, City life(162호) 2월 VOGUE girl, Allure 3월 Cine21(693호), Uway 6월 Movie Week(381호) 12월 ELLE 2011 6월 ELLE girl 10월 NYLON 2012 6월 Movie Week(531호), NYLON, COSMOPOLITAN 7월 Uway 10월 VOGUE 12월 Cine21(882호) 2013 1월 DAZED & CONFUSED, Esquire, InStyle 5월 Harper's BAZAAR 6월 W 11월 THE STAR 12월 Harper's BAZAAR, ELLE 2014 1월 magazine M(45호,48호), THE BIG ISSUE(76호), Cine21(940호), W 2월 K WAVE, MAXMOVIE MAGAZINE 3월 VOGUE girl 2015 6월 magazine M(118호), Harper's BAZAAR 7월 SURE 9월 MAXMOVIE MAGAZINE 10월 magazine M(136호), Céci, OhBoy! 11월 magazine M(140호), THE STAR, LADY경향, ELLE, COSMOPOLITAN 12월 Cine21(1035호), NYLON 2016 3월 InStyle 11월 ELLE 12월 Céci 2017 5월 여성조선, 우먼센스 2018 8월 1stLOOK, 씨네21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16] 날짜 비고 2006 《선생님과 함께하는 5월 이야기》 보조 진행자 내레이션 5.18 기념재단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교육 동영상[17] 2007 SBS 《김미화의 U》 10월 1일 355회 SBS 《퀴즈! 육감대결》 10월 28일 26회 2008 SBS 《퀴즈! 육감대결》 1월 6일 36회 《앙드레 김 패션쇼》 메인 모델 10월 16일 제9회 세계지식포럼[18] 10월 19일 제15회 제주 억새꽃 축제[19] KBS 《개그콘서트》 12월 28일 447회 봉숭아학당-왕비호 2010 SBS 《스타 금의환향 프로젝트 달고나》 12월 25일 파일럿 프로그램 2011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9일 25회 부천 뮤지엄 만화규장각 MBC 《세바퀴》 목소리 출연 이경실 전화연결 1월 22일 87회 다짜고짜 스피드 퀴즈 MBC 《무한도전》 길 첫사랑 재연 1월 29일 234회 TV는 사랑을 싣고 특집 MBC 《7일간의 기적》 2월 17일 26회 KBS 《해피투게더 시즌3》 8월 18일 210회 동안 스타 특집 MBC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20일 페루 편 자원봉사 내레이션 11월 27일 2012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3월 25일 379회 KBS 《개그콘서트》 5월 27일 648회 생활의 발견 SBS E! 《TV 컬투쇼》 5월 28일 스타와 토킹 어바웃 MBC 《놀러와》 6월 4일 391회 국민 여동생 스페셜 KBS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10월 29일 96회 SBS E! 《TV 컬투쇼》 10월 31일 제2회 컬투쇼 UCC 웹툰 콘테스트 Mnet 《슈퍼스타K 4》 11월 2일 12회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1월 4일 118회 헌터의 역습 SBS 《접속! 무비월드》 11월 10일 영화는 수다다 MBC 《2012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11월 14일 엘살바도르 편 11월 21일 KBS 《연예가중계》 11월 17일 게릴라 데이트 MBC 《휴먼다큐 사랑》 내레이션 11월 29일 내겐 너무 예쁜 언니 편 MBC 《놀러와》 12월 3일 411회~412회 트루맨쇼 12월 17일 MBC 《위대한 유산 아리랑》 MC 12월 6일 생방송 2013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1월 6일 420회 KBS 《폭력 없는 학교-이제 네가 말할 차례》 역할극 재연 내레이션 1월 23일 다큐멘터리 채널CGV 《선데이 시네마》 내레이션 2월 ~ 10월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MBC 《섹션TV 연예통신》 2월 22일 라이징 스타 SBS 《정글의 법칙 in 뉴질랜드》 병만족 3월 8일 ~ 5월 10일 10부작 On Style 《겟 잇 뷰티-셀프》 5월 27일 일주일 동안 방영 평일 오전 7시, 오후 1시, 11시 주말 오전 9시, 오후 2시, 12시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2》 목소리 출연 9월 22일 457회 MBC 《2013 코이카의 꿈》 자원봉사 내레이션 10월 26일 인도네시아 편 내레이션 11월 2일 2014 SBS 《금요일엔 수다다》 1월 18일 그들 각자의 영화관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월 19일 181회 농촌 로맨스 KBS W 《애프터스쿨의 뷰티바이블》 2월 25일 2015 KBS 《해피선데이-1박 2일 시즌3》 차태현의 여사친[20] 6월 14일 545회~547회 두근두근 우정여행 6월 21일 6월 28일 tvN 《코미디빅리그》 7월 5일 127회 갑과 을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 10월 18일 269회 추억 유산 레이스 MBC 《섹션TV 연예통신》 11월 15일 스타ting KBS 《연예가중계》 11월 21일 게릴라 데이트 KBS 《개그콘서트》 11월 29일 823회 유.전.자 2016 Mnet, tvN 《위키드(WE KID)》 멘토 2월 18일 ~ 4월 7일 8부작 Mnet 《엠카운트다운》 특별 MC 6월 30일 KCON 2016 뉴욕 2017 JTBC 《힘쎈여자 도봉순 커밍순》 2월 17일 0회 스페셜 JTBC 《한끼줍쇼》 2월 22일 19회 2018 MBC 《섹션TV 연예통신》 7월30일 928회 Comedy TV 《맛있는녀석들》 8월31일 184회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날짜 비고회 2012 SBS 파워FM 《최화정의 파워타임》 5월 10일 KBS 쿨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5월 14일 MBC FM4U 《푸른밤, 정엽입니다》 5월 16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19일 MBC FM4U 《간미연의 친한친구》 5월 20일 MBC 표준FM 《윤하의 별이 빛나는 밤에》 5월 21일 SBS 파워FM 《장기하의 대단한 라디오》 5월 24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0월 23일 MBC FM4U 《유세윤과 뮤지의 친한친구》 10월 24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16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2월 27일 2014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월 21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월 22일 2015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11월 18일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11월 23일 2017 팟캐스트 《송은이&김숙 비밀보장》 3월 29일 100회 특집 전화연결 2018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4월 18일, 4월 19일 스페셜DJ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5월 31일 깜짝전화연결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5일, 6월 6일 스페셜DJ SBS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6월 18일 스페셜DJ SBS 파워FM 《박소현의 러브 게임》 8월 3일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8월 14일 VLIVE 《배우What수다》 8월 16일 홍보대사[편집] 연도 활동명 2009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 행복공감봉사단 2기 단장[21] 굿 다운로더 스타 서포터즈[22] 2010 서울 G20 정상회의 성공기원 스타 서포터즈[23] 2011 제15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홍보대사[24] 2012 인터넷 신문 '캠퍼스 오늘' 명예 기자[25] 2013 생태교통 수원 2013 홍보대사[26] 한국국제협력단(KOICA) 홍보대사[27] 2014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사랑, 하나 더' 캠페인[28][29] 경찰병원 명예 홍보대사[30] 2014~2015 CJ CGV 글로벌 사회공헌 프로젝트 '토토의 작업실' 홍보대사 (베트남[31], 인도네시아[32]) 2015~현재 관세청 홍보대사[33][34] 2017 산돌초록우산어린이체 프로젝트 손글씨 재능기부[35] 광고[편집] 연도 기업명 브랜드명 품목 비고 2006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36] 공익 광고 롯데제과 자일리톨 휘바 껌 SK케미칼 트라스트 의약품 한국석유화학협회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 행사 홍보 포스터 이현어패럴 블루테일[37] 의류 오뚜기 맛있는 오뚜기밥 레토르트 식품 진라면컵 인스턴트 식품 우리금융지주 우리은행 금융 2006~2007 한국교육방송공사 EBSi 기업 PR 2007 웅진코웨이 룰루 비데 한신공영 세븐밸리 아웃렛 SK텔레콤 Ting 이동 통신 예신퍼슨스 마루아이[38] 의류 2008 한국존슨앤드존슨 클린앤클리어[39] 화장품 2008~2009 농심 안성탕면[40] 인스턴트 식품 2009 이베이코리아 G마켓 스타샵[41] 의류 기획재정부 행복공감 복권위원회[42] 공익 광고 빙그레 끌레도르[43] 아이스크림 농협목우촌 또래오래[44] 치킨 삼성그룹 하하하 캠페인[45] 기업 PR 2009~2010 MPK그룹 미스터피자[46] 피자 2009~2011 하이마트 하이마트[47] 전자제품 쇼핑몰 2011~2013 이스트소프트 줌[48] 인터넷 포털 사이트 2013 한국닌텐도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49] 콘솔 게임 스타럭스[50] 레스포색[51] 가방 ELCA[52]한국 크리니크[53] 화장품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54] 파프리카[55] 채소 2013~2016 넥슨 코리아 서든어택[56][57][58][59] 온라인 게임 2015~2016 와이디온라인 갓 오브 하이스쿨[60] 모바일 게임 LG유플러스 홈IoT(IoT@home)[61] 인터넷 서비스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62] 시리얼 코익[63] 안나 수이 로맨티카[64] 향수 지면 광고 삼성화재 애니카 다이렉트[65] 자동차보험 2015~2017 무학 좋은데이[66][67] 소주 2015~2018 클레어스코리아 게리쏭9컴플렉스[68] 화장품 한국, 중국 클라우드9[69] 2015~현재 LG유니참 쏘피 바디피트[70][71][72] 생리대 한국, 중국 2016~2017 나눔씨엔씨 씽크네이처[73][74][75] 헤어케어 씽크네이처 세라마데카 바디워시&바디로션 2016~2018 동원F&B 동원몰[76][77] 식품 쇼핑몰 2016~2018 한국코카콜라 토레타 by 아쿠아리우스[78][79] 음료수 2017 롯데하이마트 롯데하이마트[80] 전자제품 쇼핑몰 2017~현재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파프리카[81] 채소 동아제약 가그린[82] 덴탈케어 2018~현재 지앤푸드 굽네치킨[83] 치킨 같이 보기[편집] 박보영의 수상 및 후보 목록 각주[편집] ↑ 2005년 제7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현실도전상 수상작 ↑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2008년 12월 27일). “박보영 첫 출연작 영화 '이퀄'은 무슨 작품?”. 한국일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2008년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폐막작 ↑ 이승영 (2008년 4월 1일). “‘입맞춤’·‘시선1318’, 전주영화제 개·폐막작”. 뉴시스. 2016년 12월 5일에 확인함.  ↑ 2010년 9월 23일 극장판 개봉 ↑ 박세연 (2010년 9월 16일). “박보영-김수현 `정글피쉬1` 23일 극장판 개봉”. 매일경제. 2017년 1월 16일에 확인함.  ↑ 김형우 (2009년 1월 11일). “구혜선 “과속스캔들 박보영 너무 잘돼 나도 행복” 왕과나 폐비 인연 의리 과시”. 뉴스엔.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김건우 (2008년 12월 6일). “충무로 블루칩' 박보영, '스타의 연인' 카메오 출연”. 스타뉴스.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김연정 (2007년 5월 18일). “정일우-백성현 ‘Goodbye Sadness' 정체는 12억 짜리 프로젝트”. 연합뉴스.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강희수 (2007년 5월 29일). “‘굿바이 새드니스’ 동영상, 1주일 만에 100만 클릭”. OSEN. 2017년 2월 28일에 확인함.  ↑ 성예라 (2013년 1월 8일). “'슬픈약속' 박보영 노개런티, "시나리오가 좋아서"”. 머니투데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조애진 (2013년 1월 9일). “아이돌 뮤비와 5·18 ‘대박 만남’”. 한겨레. 2017년 1월 13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3년 1월 11일). “5.18 다룬 박보영 뮤비, 광주MBC '뉴스데스크'서 보도”. OSEN.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신원철 (2013년 1월 8일). “박보영 노개런티로 MV 출연…'대박나서 밥이나 사주세요'”. 엑스포츠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고재완 (2008년 12월 4일). “'충무로 뉴아이콘' 박보영, 그에게 궁금한 몇가지”.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단순 게스트일 경우 공백 처리 ↑ 민웅기 (2007년 5월 15일). “'충무로 뉴아이콘' 박보영, 그에게 궁금한 몇가지”. 연합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지미 (2008년 10월 17일). “'열정 빛난 피날 레…앙드레 김 패션쇼”. 매일경제.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 김지선 (2008년 10월 19일). “'억새꽃.오름.제주도 '굉~장히 아름다워요'”. 연합뉴스.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여자 사람 친구'의 줄임말 ↑ 백종민 (2009년 5월 1일). “복권위원회, 배우 박보영 행복공감봉사단장 위촉”. 조이뉴스24.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김건우 (2009년 11월 10일). “원빈·이민호·박보영 "전 국민 '굿 다운로더' 되길"”. 스타뉴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오대일 (2010년 10월 21일). “'G20 성공기원' 입 모은 국민 스타들”. 노컷뉴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안진용 (2011년 6월 8일). “박보영,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얼굴 됐다”. 한국일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2년 11월 13일). “'늑대소년' 박보영 "나도 이제 대학생 기자"”. 세계일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송재원 (2013년 4월 23일). “생태교통 수원 2013' 홍보대사 위촉패 수여받는 박보영”.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문성호 (2013년 11월 25일). “코이카 홍보대사 박상원의 바통을 이어받은 박보영”. 서울신문.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박찬수 (2014년 6월 10일). “박보영, 빈곤아동 돕기 재능기부”. 뉴시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조준영 (2014년 6월 10일).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박보영, '재능기부' 비화 공개”. TV리포트.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고범준 (2014년 12월 24일). “박보영, 경찰병원 명예홍보대사 위촉”. 뉴시스.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유병철 (2014년 6월 10일). “박보영 재능기부, 한가인 하지원 이어 베트남 청소년 위해 멘토로 나서 ‘훈훈’”. 한국경제TV.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윤기백 (2015년 10월 22일). “CJ CGV, 인도네시아 토토의 작업실 영화제 개최… 박보영 동참”. 스포츠월드.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김민우 (2015년 9월 21일). “탤런트 박보영, 관세청 홍보대사로 위촉”. 머니투데이. 2016년 5월 24일에 확인함.  ↑ 이현재 (2016년 5월 12일). “[국경관리연수원]중학교에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방”. 조세일보.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송송이 (2017년 9월 12일). “‘박보영, 손글씨 재능기부…위기상황 아동 위해”. 스포츠경향. 2017년 9월 13일에 확인함.  ↑ 이형석 (2008년 12월 5일). “충무로 ‘18세 박보영’ 찜”. 헤럴드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유상우 (2006년 8월 3일). “'반올림#3' 서민우, 블루테일 모델”.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임순 (2007년 9월 27일). “마루아이 모델 ‘유승호·박보영’ 인기”. 한국섬유신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온라인뉴스팀 (2014년 8월 18일). “남지현, 과거 박보영과 광고 촬영…앳된 모습 '눈길'”. 스포츠서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병희 (2009년 4월 21일). “농심 '안성탕면' : 신세대 아이콘 박보영·김현중 닭살 멘트”. 한국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보람 (2009년 3월 6일). “"박보영 따라하기"… 패션 스타일 `불티`”. 매일경제.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 이기룡 (2009년 5월 1일). “영화배우 박보영, 복권위원회 행복공감봉사단장 위촉”.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성운 (2009년 5월 4일). “박보영, 임수정에 이어 '끌레도르' 모델 발탁”. 노컷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혜진 (2009년 5월 20일). “여기도 치킨, 저기도 치킨…“불황엔 치킨광고가 판친다””. 헤럴드팝.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이직 (2009년 6월 30일). “삼성 하하하 캠페인 2009 성공적 마무리”. 베타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심수진 (2009년 7월 10일). “‘국민 남매’ 유승호와 박보영, ‘미스터 피자’ 새 모델로”. 노컷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문미영 (2009년 2월 10일). “차태현-박보영 최고몸값 '하이마트 커플'”. 한국일보.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박종권 (2011년 6월 21일). “박보영, 광고에서 커리어우먼으로 변신”. 스포츠조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 공식 계정 (2013년 1월 23일). “『튀어나와요 동물의 숲』의 다이렉트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트위터.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Starluxe, 레스포색 한국 공식 수입 업체 ↑ 뉴미디어부 (2013년 2월 15일). “박보영 '레스포색' 한국인 첫 뮤즈 선정!”. 매일신문.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The Estée Lauder Companies Inc. ↑ 박태성 (2013년 3월 5일). “박보영, `크리니크 새 모델이에요`”. 매일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KOREA Paprika Growers Association Group ↑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3년 5월 28일). “2013 박보영 파프리카 CF”.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6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최종봉 (2013년 1월 10일). “청순 여배우 '박보영' FPS 게임 서든어택에 등장”. 포모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구남인 (2014년 3월 6일). “서든어택, 꿀잼 업데이트 5탄 '1대 1 전용채널' 추가”.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조상현 (2014년 6월 12일). “서든어택, '승리의 6월' 캠페인 제 2탄 공개...신규 콘텐츠 및 이벤트 진행”.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최종봉 (2015년 10월 1일). “서든어택, 신규 '박보영' 캐릭터 출시와 함께 팬미팅 진행”. 포모스.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박상진 (2015년 7월 10일). “박보영, 갓 오브 하이스쿨' 홍보 모델 발탁”. 엑스포츠뉴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권오용 (2015년 9월 29일). “LGU+, 홈IoT 온라인 광고 3000만 뷰 넘어”. 일간스포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이광호 (2015년 11월 3일). “동서식품, '포스트 그래놀라' 신규 TV 광고 온에어”.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KOICC, 안나 수이 향수 한국 공식 수입 업체 ↑ 정은나리 (2015년 11월 3일). “박보영, 국민여동생의 변신…'매혹적 요정'”. 세계일보. 2016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김현민 (2015년 12월 31일). “2016년 새해인사말, 국민 귀요미 박보영의 새해 대박 인사! “삼촌들~ 대박!””. 헤럴드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제갈수만 (2015년 12월 10일). “무학, 순한소주 좋은데이 모델에 배우 박보영 선정”. 뉴시스.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태현 (2016년 11월 21일). “무학, 박보영과 '좋은데이' 모델 재계약”. 이데일리.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박윤진 (2015년 12월 23일). “박보영, 클레어스코리아 얼굴 됐다…亞시장 공략”. 마이데일리.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 황지혜 (2017년 3월 14일). “박보영, 3년 연속 ‘클라우드9’ 전속모델 재계약”. 뉴스1. 2017년 3월 14일에 확인함.  ↑ 전상희 (2015년 10월 2일). “쏘피 바디피트, 4가지 라인별 ‘안심숙면420 슈퍼롱’ 출시”. 스포츠조선.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짜이서울 (2016년 2월 12일). “한국 판매 NO.1 박보영 강추 한방 생리대 귀애랑, 내몸에순한면”. 짜이서울. 2017년 2월 1일에 확인함.  ↑ 위키트리 (2017년 5월 12일). “'마음도 예뻐' 생리대 10만개 기부한 박보영”. 위키트리. 2017년 5월 16일에 확인함.  ↑ 김정혁 (2016년 12월 21일). “박보영, 자연주의 브랜드 씽크네이처 샴푸 모델로 발탁”. 아시아경제.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씽크네이처 홈페이지 (2017년 1월 2일). “잡지광고 좋은생각 2017년 2월”. 씽크네이처 홈페이지.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수지 (2017년 4월 7일). “'힘쎈여자 도봉순' 박보영, 캄보디아 고아원 기부 위한 팬사인회 개최”. 스포츠서울. 2017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이주현 (2016년 2월 22일). “동원몰, 1등 식품쇼핑몰 경쟁력 강화…박보영 모델 선정”.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황상욱 (2017년 5월 12일). “알뜰하게 푸드득(FOOD得)할 땐, '동원몰'”. 부산일보사. 2017년 5월 16일에 확인함.  ↑ 이주현 (2016년 4월 25일). “코카-콜라, 수분보충 음료 '토레타' 광고모델 박보영 선정”. 아시아경제. 2016년 5월 23일에 확인함.  ↑ 김성원 (2017년 2월 13일). “코카-콜라사 ‘토레타’, 배우 박보영 광고 모델 2년 연속 선정”. 파이낸셜뉴스. 2017년 2월 13일에 확인함.  ↑ 심성미 (2017년 6월 14일). “[2017 상반기 고객감동 방송광고] 롯데하이마트, 매달 다른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안”. 한국경제.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7년 6월 1일). “7년 파프리카 CF (30초)”. 한국파프리카생산자자조회.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민승기 (2017년 6월 27일). “동아제약, ‘가그린’ 새 TV광고 선봬”. 머니투데이. 2017년 6월 27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8년 12월 12일). “박보영-차은우 "굽네치킨 새 얼굴 됐어요"”. 합뉴스. 201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박보영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보영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박보영 - 한시네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보영의_작품_목록&oldid=24152058" 분류: 여자 배우 작품 목록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5일 (일) 17: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야마구치 데쓰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마구치 데쓰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마구치 데쓰야山口 鉄也 Tetsuya Yamaguchi 요미우리 자이언츠 No.47 야마구치 데쓰야(2013년) 기본 정보 국적 일본 생년월일 1983년 11월 11일(1983-11-11) (35세) 출신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 시 가나가와 구 신장 184 cm 체중 8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05년 드래프트 순위 육성 선수 드래프트 1순위 첫 출장 2007년 4월 29일 연봉 3억 2,000만 엔(2017년)[1]※2015년부터 3년 계약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2006 ~ ) 일본 국가대표팀 WBC 2009년, 2013년 야마구치 데쓰야 일본어식 한자 표기: 山口 鉄也 가나 표기: やまぐち てつや 국립국어원 표준 표기: 야마구치 데쓰야 통용 표기: 야마구치 테츠야 로마자: Tetsuya Yamaguchi 메달 기록 일본의 선수 남자 야구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금 2009 로스앤젤레스 2009 WBC 야마구치 데쓰야(일본어: 山口 鉄也, 1983년 11월 11일 ~ )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이며, 현재 센트럴 리그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소속 선수(투수)이다. 홀드수, 홀드 포인트수의 세계 기록 보유자이다. 애칭은 ‘굿 상’(ぐっさん).[2] 목차 1 인물 2 상세 정보 2.1 출신 학교 2.2 선수 경력 2.3 수상·타이틀 경력 2.3.1 타이틀 2.3.2 수상 2.4 개인 기록 2.4.1 투수 기록 2.4.2 타격 기록 2.4.3 기록 달성 경력 2.4.4 기타 2.5 등번호 2.6 연도별 투수 성적 3 각주 4 외부 링크 인물[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상세 정보[편집] 출신 학교[편집] 요코하마 시립 요코하마 상업고등학교 선수 경력[편집] 프로팀 경력 요미우리 자이언츠(2006년 ~ ) 국가 대표 경력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수상·타이틀 경력[편집] 타이틀[편집] 최우수 중간 계투 : 3회(2009년, 2012년, 2013년) 수상[편집] 신인왕(2008년) 골든 루키상(2008년) 도쿄 돔 MVP 특별상(2008년, 2012년) 월간 MVP : 1회(2012년 7월) ‘조지아혼’상 : 1회(2012년도 제4회) 통산 200 홀드 연맹 수상(2014년 6월) 개인 기록[편집] 투수 기록[편집] 첫 등판 : 2007년 4월 2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 첫 승리 : 2007년 5월 9일, 대 한신 타이거스 8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첫 탈삼진 : 상동, 8회말에 도리타니 다카시로부터 헛스윙 삼진 첫 홀드 : 2007년 8월 29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차전(삿포로 돔), 8회초 1사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무실점 첫 세이브 : 2008년 4월 22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우쓰노미야 기요하라 구장), 8회초 2사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과 1/3이닝 무실점 첫 선발 : 2010년 4월 3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3과 1/3이닝 4실점 첫 선발 승리 : 2010년 4월 10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2차전(도쿄 돔), 7과 2/3이닝 3실점 타격 기록[편집] 첫 안타 : 2008년 10월 8일, 대 한신 타이거스 24차전(도쿄 돔), 7회말에 스캇 애치슨으로부터 좌전 안타 기록 달성 경력[편집] 통산 100홀드 : 2011년 9월 6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13차전(나고야 돔), 8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통산 200홀드 : 2014년 6월 6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3차전(도쿄 돔), 9회초 1사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과 1/3이닝 무실점 ※NPB 사상 최초 통산 500경기 등판 : 2014년 9월 24일, 대 주니치 드래곤스 23차전(나고야 돔), 7회말에 2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1실점 ※역대 94번째 통산 250홀드 : 2015년 9월 26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3차전(도쿄 돔), 7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NPB 사상 최초 통산 600경기 등판 : 2016년 7월 22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5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12회말에 5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1실점 ※역대 38번째 기타[편집] 9년 연속 60경기 등판(2008년 ~ 2016년) ※일본 프로 야구 기록 통산 270홀드(2016년 시즌 종료 시점) ※세계 기록 통산 320홀드 포인트(2016년 시즌 종료 시점) ※세계 기록 올스타전 출장 : 5회(2009년, 2012년 ~ 2015년) 한 타석의 투구수 19구 : 2013년 8월 24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19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8회말에 쓰루오카 가즈나리를 헛스윙 삼진 처리 ※역대 3번째, 프로 야구 타이 기록 등번호[편집] 102(2006년 ~ 2007년 시즌 도중) 99(2007년 시즌 도중 ~ 2007년 시즌 종료) 47(2008년 ~ ) 39(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연도별 투수 성적[편집] 연도 소속 등판 선발 완투 완봉 무볼넷 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승률 상대타자 투구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고의사구 몸맞 탈삼진 폭투 보크 실점 자책점 평자책 WHIP 2007년 요미우리 32 0 0 0 0 2 0 0 2 1.000 114 25.1 24 2 15 2 2 21 3 1 14 11 3.91 1.54 2008년 67 0 0 0 0 11 2 2 23 .846 293 73.2 61 3 12 1 3 69 4 0 20 19 2.32 0.99 2009년 73 0 0 0 0 9 1 4 35 .900 292 78.0 53 1 14 1 5 62 3 0 12 11 1.27 0.86 2010년 73 2 0 0 0 8 3 5 20 .727 364 88.2 80 10 16 1 8 85 6 0 33 30 3.05 1.08 2011년 60 0 0 0 0 5 1 2 25 .833 239 61.2 45 2 16 0 3 38 4 0 12 12 1.75 0.99 2012년 72 0 0 0 0 3 2 5 44 .600 277 75.1 47 1 7 2 3 68 2 0 7 7 0.84 0.72 2013년 64 0 0 0 0 4 3 6 38 .571 262 66.2 47 1 17 2 2 55 3 0 12 9 1.22 0.96 2014년 60 0 0 0 0 4 3 2 35 .571 246 56.1 61 1 20 3 6 42 1 1 19 19 3.04 1.44 2015년 60 0 0 0 0 4 5 2 29 .444 216 52.2 48 5 15 2 2 31 2 0 18 16 2.73 1.20 2016년 63 0 0 0 0 1 6 1 19 .143 204 48.0 48 6 12 2 28 1 0 30 26 4.88 1.25 통산 : 10년 624 2 0 0 0 50 20 28 270 .714 2303 626.1 466 26 132 36 499 29 2 177 160 2.30 1.03 2016년 시즌 종료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붉은색 글씨는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고 성적. 각주[편집] ↑ 巨人 - 契約更改 - プロ野球 - 닛칸 스포츠, 2016년 11월 24일 확인 ↑ 先発転向の巨人・山口鉄也。成否を握る“マイナス思考”。(1/2) Number Web, 2010년 10월 2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개인 연도별 성적 - 야마구치 데쓰야 - 일본 야구 기구 공식 홈페이지 vdeh센트럴 리그 신인왕1950년대 1950: 오시마 노부오 1951: 마쓰다 기요시 1952: 사토 다카오 1953: 곤도 마사토시 1954: 히로오카 다쓰로 1955: 니시무라 가즈노리 1956: 아키야마 노보루 1957: 후지타 모토시 1958: 나가시마 시게오 1959: 구와타 다케시 1960년대 1960: 호리모토 리쓰오 1961: 곤도 히로시 1962: 조노우치 구니오 1964: 다카하시 시게유키 1966: 호리우치 쓰네오 1967: 다케가미 시로 1968: 다카다 시게루 1969: 다부치 고이치 1970년대 1970: 야자와 겐이치 1971: 세키모토 시토시 1972: 야스다 다케시 1974: 후지나미 유키오 1976: 다오 야스시 1977: 사이토 아키오 1978: 스미 미쓰오 1979: 후지사와 기미야 1980년대 1980: 오카다 아키노부 1981: 하라 다쓰노리 1982: 쓰다 쓰네미 1983: 마키하라 히로미 1984: 고바야카와 다케히코 1985: 가와바타 준 1986: 나가토미 히로시 1987: 아라이 유키오 1988: 다쓰나미 가즈요시 1989: 도마시노 겐지 1990년대 1990: 요다 쓰요시 1991: 모리타 고이치 1992: 구지 데루요시 1993: 이토 도모히토 1994: 야부 게이이치 1995: 야마우치 야스유키 1996: 니시 도시히사 1997: 사와자키 도시카즈 1998: 가와카미 겐신 1999: 우에하라 고지 2000년대 2000: 긴조 다쓰히코 2001: 아카호시 노리히로 2002: 이시카와 마사노리 2003: 기사누키 히로시 2004: 가와시마 료 2005: 아오키 노리치카 2006: 소요기 에이신 2007: 우에조노 게이지 2008: 야마구치 데쓰야 2009: 마쓰모토 데쓰야 2010년대 2010: 조노 히사요시 2011: 사와무라 히로카즈 2012: 노무라 유스케 2013: 오가와 야스히로 2014: 오세라 다이치 2015: 야마사키 야스아키 2016: 다카야마 슌 2017: 교다 요타 2018: 아즈마 가쓰키 ※상기 이외의 연도는 수상자 없음 vdeh센트럴 리그 최우수 중간 계투1990년대 1996: 고노 히로후미 1997: 시마다 나오야 1998: 오치아이 에이지 1999: 이와세 히토키 2000년대 2000: 이와세 히토키 2001: 기즈카 아쓰시 2002: 이시이 히로토시 2003: 이와세 히토키 2004: 오카모토 신야 2005: 후지카와 규지 2006: 후지카와 규지, 가토 다케하루 2007: 구보타 도모유키 2008: 구보타 도모유키 2009: 야마구치 데쓰야 2010년대 2010: 아사오 다쿠야 2011: 아사오 다쿠야 2012: 야마구치 데쓰야 2013: 스캇 매티슨, 야마구치 데쓰야 2014: 후쿠하라 시노부 2015: 후쿠하라 시노부 2016: 스캇 매티슨 2017: 구와하라 겐타로, 마르코스 마테오 2018: 곤도 가즈키 vdeh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감독83 하라 다쓰노리코치 72 이토 쓰토무(수석 코치) 71 야마다 히사시(투수) 92 요다 쓰요시(투수) 81 시노즈카 가즈노리(타격) 63 다카시로 노부히로(내야 수비 주루) 73 오가타 고이치(외야 수비 주루) 투수 11 다르빗슈 유 14 마하라 다카히로 15 다나카 마사히로 16 와쿠이 히데아키 18 마쓰자카 다이스케 19 이와타 미노루 20 이와쿠마 히사시 22 후지카와 규지 26 우쓰미 데쓰야 28 고마쓰 사토시 31 와타나베 슌스케 39 야마구치 데쓰야 47 스기우치 도시야 포수 2 조지마 겐지 10 아베 신노스케 29 이시하라 요시유키 내야수 5 구리하라 겐타 6 나카지마 히로유키 7 가타오카 야스유키 8 이와무라 아키노리 9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25 무라타 슈이치 52 가와사키 무네노리 외야수 1 후쿠도메 고스케 23 아오키 노리치카 24 우치카와 세이이치 35 가메이 요시유키 41 이나바 아쓰노리 51 이치로 vdeh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3위감독88 야마모토 고지코치 78 히가시오 오사무(투수 종합) 99 나시다 마사타카(야수 종합) 92 요다 쓰요시(투수) 81 다쓰나미 가즈요시(타격) 63 다카시로 노부히로(내야 수비 주루) 73 오가타 고이치(외야 수비 주루) 75 하시가미 히데키(전략) 투수 11 와쿠이 히데아키 14 노미 아쓰시 15 사와무라 히로카즈 16 이마무라 다케루 17 다나카 마사히로 18 스기우치 도시야 20 마에다 겐타 21 모리후쿠 마사히코 26 우쓰미 데쓰야 28 오토나리 겐지 35 마키타 가즈히사 47 야마구치 데쓰야 50 셋쓰 다다시 포수 2 아이카와 료지 10 아베 신노스케 27 스미타니 긴지로 내야수 1 도리타니 다카시 3 이바타 히로카즈 5 마쓰다 노부히로 6 사카모토 하야토 7 마쓰이 가즈오 41 이나바 아쓰노리 46 혼다 유이치 외야수 9 이토이 요시오 13 나카타 쇼 24 우치카와 세이이치 34 조노 히사요시 61 가쿠나카 가쓰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마구치_데쓰야&oldid=22164396" 분류: 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야구 선수일본 프로 야구 투수요미우리 자이언츠 선수일본 프로 야구 신인왕 수상자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요코하마시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연도별 투수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31일 (금) 02: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과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7′ 동경 127° 00′  / 북위 37.450° 동경 127.000°  / 37.450; 127.000 과천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1914년까지 존재한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과천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과천시 과천시청 청사 과천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35.86 km2 세대 21,011 가구 (2018) 총인구 57,663 명 (2018) 인구밀도 1,608 명/km2 행정동 6개 법정동 10개 시장 김종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신창현(더불어민주당)(의왕시·과천시) 시청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69 홈페이지 http://www.gccity.go.kr/ 상징 시목 밤나무 시화 철쭉 시조 비둘기 과천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다. 북쪽으로 관악산(632m)과 구룡산(306m), 우면산(293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접하고, 청계산(618m)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서쪽으로는 안양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접한다. 서울대공원·서울경마공원 등의 문화시설이 있고, 정부과천청사가 위치한다. 과천시의 시외 지역 전화번호는 서울특별시와 동일한 02이다. 시목은 밤나무, 시화는 철쭉, 시조(市鳥)는 비둘기, 시의 동물은 말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3.1 인구 구조와 추이 4 문화·관광 5 교육 기관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6.3 버스 6.3.1 버스 업체 7 주요 기관 8 자매 도시 9 출신 인물 10 사진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6년 이전의 역사는 과천군, 시흥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의 역사는 과천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율목군이라고 칭하였고, 757년 신라 경덕왕 때는 한산주 율진군이 되었고, 940년 고려 태조 때는 과주로 바뀌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는 과주현으로, 1413년 조선 태종 때는 경기도 광주목에 속한 과천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5월 26일 경기도 과천군으로 변경되었고, 1914년 시흥군에 흡수되어 지금의 과천시 일대(종전의 과천군 군내면과 동면 주암리)는 시흥군 과천면이 되었다. 1963년 건설부 고시에 의해 1990년까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으며, 1979년 경기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었다.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7개의 중앙부처가 위치하였다.[1] 1985년 8월 1일 시외전화 요금수입 감소, 이미 서울통화권으로 자연스럽게 편입된 광명시, 고양군 신도읍(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광주군 서부면(현 하남시 일부)을 제외한 다른 경기도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과 같은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2] 정부서울청사 및 청와대와의 연락 용이 차원에서 종래 안양시 통화권(지역번호 0343) 지역이었던 과천지역이 서울특별시 통화권(지역번호 02)으로 편입되었다.[3] 1986년 1월 1일 시흥군 과천면 일원에 과천시가 설치되었다.[4] 2012년 말부터 정부과천청사의 정부 기관 대부분이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여 과천청사에는 법무부, 공무원 교육원 등이 남으며, 중앙정부의 서울·경인 지역 지방청들이 입주할 계획이다. 지리[편집] 과천중앙공원 현충탑 과천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북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와 접해있으며,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5] 기반암은 대부분이 호상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양재천 연안에는 충적지가 널리 발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서쪽에 629m의 관악산, 응봉(鷹峰:348m), 동쪽으로 청계산(618m) 등이 솟아 있다. 관악산과 청계산은 북쪽에 있는 구룡산(306m), 우면산(293m)과 함께 북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쪽으로는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이룬다. 북동쪽에는 한강의 지류인 양재천이 흐르고, 양재천 양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하였다. 과천시의 면적은 35.86 km²로 대한민국에서 구리시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좁고,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0.036%, 경기도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천시 전체 면적의 85.4%인 30.64 km²가 개발제한구역이다.[6]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과천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과천시 행정구역 과천시의 행정 구역은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5.86 km²[6]이고,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7527 명, 2만0903 가구[7]이다. 행정동 한자 면적 (km²) 인구 (명) 세대 중앙동 中央洞 6.99 6,869 2,501 갈현동 葛峴洞 4.36 11,345 3,645 별양동 別陽洞 0.68 11,148 3,796 부림동 富林洞 0.37 10,456 3,754 과천동 果川洞 10.77 9,521 4,119 문원동 文原洞 12.69 8,188 3,088 과천시 果川市 35.86 57,527 20,903 *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구조와 추이[편집] 과천시는 2010년 12월 말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8.6%, 65세 이상 인구는 8.8%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2.6%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2.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6.4로 여자가 다소 많다.[8] 과천시의 인구는 2009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사이에 7만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 5월 이후 6만명 대로 다시 줄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과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90년 72,325명 1995년 68,005명 2000년 66,592명 2005년 56,587명 2010년 66,319명 2015년 64,817명 문화·관광[편집]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과천과학관 서울대공원[9] 서울대공원은 과천시 청계산 막계동에 있는 공원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동물원과 식물원이 있다. 놀이공원인 서울랜드와 더불어 서울·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에 나서는 과천의 명소다. 서울랜드[10] 서울랜드는 과천시 막계동에 있는 테마파크이다. 세계의 광장, 모험의 나라, 환상의 나라, 미래의 나라 및 삼천리 동산 등 각각 독특한 주제를 갖춘 위락 시설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설치하여 1988년 5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문을 열었다. 1994년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더불어 대공원역을 통한 서울대공원의 동·식물원, 산림욕장, 국립현대미술관 등과 연계한 이용이 점차 활성화되어 현재는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장소가 되었다. 해마다 튤립, 벚꽃, 국화 등 화려한 꽃 축제를 개최한다. 그리고 전시 이벤트 등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 개장에 따른 쇼를 도입하여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야간 휴식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11] 국립과천과학관은 과천시 상하벌로에 위치한 과학관으로, 과학기술자료를 수집·조사·연구하여 이를 보존·전시하며, 각종 과학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는 시설로서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이며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다. 2008년 11월 14일 개관하였다. 렛츠런파크 서울[12] 렛츠런파크 서울은 과천시 주암동 685에 위치한 경마장이다. 전 이름은 서울 경마공원으로, 한국마사회가 1989년 9월 1일에 개장하였고, 약 7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대 2개소를 비롯하여 가족공원과 승마장, 마사박물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고 있으며 주말에는 6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13] 국립현대미술관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술관으로, 1969년 경복궁 소전시관에서 개관한 것을 시작으로 1973년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현 위치로 한 번 더 이관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2006년 과천 청사 개관 20주년을 맞아 직제 개정 및 경영 혁신을 통한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랜드, 서울대공원과 함께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코스로 교육, 문화의 장이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옛 기무사령부 터에 서울분관이 있다. 과천향교(경기도지정 문화재 제9호) 연주대(경기도지정 기념물 제20호] 기암절벽에 자리잡은 암자로 해발 629m지점에 있다. 추사박물관[14] 남태령 교육 기관[편집] 청계초등학교 과천고등학교 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과천고등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과천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과천중학교 과천문원중학교 초등학교    과천초등학교 - 과천시 최초의 교육 기관 이였으며 1982,3,4년 각각 문원, 청계, 관문 초등학교가 개교 하면서 분리 되었다. 관문초등학교 문원초등학교 청계초등학교 교통[편집] 도로[편집] 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덕원 나들목) 국도 : 국도 제47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양시) ← 정부과천청사역 - 과천역 - 대공원역 - 경마공원역 - 선바위역 → (서울특별시 서초구) 버스[편집] 많은 타 지역 버스가 과천대로와 중앙로를 경유하며, 과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과천여객과 마을버스 회사인 과천운수가 존재한다. 버스 업체[편집] 시내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여객 장정훈 문원동 142 마을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운수 장정훈 문원동 142 주요 기관[편집] 경기도립과천도서관 정부과천청사 한국마사회 과천시시설관리공단 -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은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의 연습 장소였다. 경기과천교육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문원도서관 과천문화원 과천시청소년수련관 관문체육공원 문원체육공원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캐나다 앨버타주 에어드리 시 (1997)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2005)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 군 시라하마 정[15] 출신 인물[편집] 김동찬 - 축구 선수 김승일 - 시인 김신욱 - 축구 선수 김평래 - 축구 선수 김해진 - 피겨 스케이팅 선수 문정원 - 플로리스트 신아영 - 방송인 오반석 - 축구 선수 오효주 - 아나운서 이수혁 - 배우 이진하 - 디자이너 정윤기 - 야구 선수 진 - 가수 (방탄소년단 멤버) 후이 - 가수 (펜타곤 멤버) 레나 - 래퍼 (프리스틴 멤버) 사진[편집] 과천시민회관 등 과천중앙공원 서울랜드 시민회관 정부과천청사 시내전경 각주[편집] ↑ 2011년 제28회 통계연보 Archived 2013년 12월 30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5일 확인 ↑ 통신공사 "과천전화 서울편입 민정당만 생색" 동아일보, 1985.1.11. ↑ 과천지역 서울통화권 편입 안내 경향신문, 1985.7.29. 소형광고 ↑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 2010년 제28회 통계연보, 위치 및 면적 ↑ 가 나 과천시 위치/면적/지도 과천시 홈페이지, 2015.6.9. 확인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8년 4월 9일 확인. ↑ 과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통계연보 PDF자료 ↑ [grandpark.seoul.go.kr 홈페이지] ↑ [www.seoulland.co.kr 홈페이지] ↑ [www.sciencecenter.go.kr 홈페이지] ↑ [www.kra.co.kr 홈페이지] ↑ [www.mmca.go.kr 홈페이지] ↑ [www.chusamuseum.go.kr 홈페이지] ↑ 김기중 (2009년 7월 1일). “과천시-일본 시라하마정, 자매결연 체결”. 뉴시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굴다리시장 청계산 갱매폭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과천시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과천시청 (공식)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vdeh 경기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수원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기도 과천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앙동 갈현동 과천동 문원동 별양동 부림동 중앙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과천시&oldid=24520713" 분류: 과천시경기도의 도시1986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과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7′ 동경 127° 00′  / 북위 37.450° 동경 127.000°  / 37.450; 127.000 과천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1914년까지 존재한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과천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과천시 과천시청 청사 과천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35.86 km2 세대 21,011 가구 (2018) 총인구 57,663 명 (2018) 인구밀도 1,608 명/km2 행정동 6개 법정동 10개 시장 김종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신창현(더불어민주당)(의왕시·과천시) 시청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69 홈페이지 http://www.gccity.go.kr/ 상징 시목 밤나무 시화 철쭉 시조 비둘기 과천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다. 북쪽으로 관악산(632m)과 구룡산(306m), 우면산(293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접하고, 청계산(618m)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서쪽으로는 안양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접한다. 서울대공원·서울경마공원 등의 문화시설이 있고, 정부과천청사가 위치한다. 과천시의 시외 지역 전화번호는 서울특별시와 동일한 02이다. 시목은 밤나무, 시화는 철쭉, 시조(市鳥)는 비둘기, 시의 동물은 말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3.1 인구 구조와 추이 4 문화·관광 5 교육 기관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6.3 버스 6.3.1 버스 업체 7 주요 기관 8 자매 도시 9 출신 인물 10 사진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6년 이전의 역사는 과천군, 시흥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의 역사는 과천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율목군이라고 칭하였고, 757년 신라 경덕왕 때는 한산주 율진군이 되었고, 940년 고려 태조 때는 과주로 바뀌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는 과주현으로, 1413년 조선 태종 때는 경기도 광주목에 속한 과천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5월 26일 경기도 과천군으로 변경되었고, 1914년 시흥군에 흡수되어 지금의 과천시 일대(종전의 과천군 군내면과 동면 주암리)는 시흥군 과천면이 되었다. 1963년 건설부 고시에 의해 1990년까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으며, 1979년 경기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었다.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7개의 중앙부처가 위치하였다.[1] 1985년 8월 1일 시외전화 요금수입 감소, 이미 서울통화권으로 자연스럽게 편입된 광명시, 고양군 신도읍(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광주군 서부면(현 하남시 일부)을 제외한 다른 경기도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과 같은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2] 정부서울청사 및 청와대와의 연락 용이 차원에서 종래 안양시 통화권(지역번호 0343) 지역이었던 과천지역이 서울특별시 통화권(지역번호 02)으로 편입되었다.[3] 1986년 1월 1일 시흥군 과천면 일원에 과천시가 설치되었다.[4] 2012년 말부터 정부과천청사의 정부 기관 대부분이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여 과천청사에는 법무부, 공무원 교육원 등이 남으며, 중앙정부의 서울·경인 지역 지방청들이 입주할 계획이다. 지리[편집] 과천중앙공원 현충탑 과천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북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와 접해있으며,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5] 기반암은 대부분이 호상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양재천 연안에는 충적지가 널리 발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서쪽에 629m의 관악산, 응봉(鷹峰:348m), 동쪽으로 청계산(618m) 등이 솟아 있다. 관악산과 청계산은 북쪽에 있는 구룡산(306m), 우면산(293m)과 함께 북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쪽으로는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이룬다. 북동쪽에는 한강의 지류인 양재천이 흐르고, 양재천 양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하였다. 과천시의 면적은 35.86 km²로 대한민국에서 구리시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좁고,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0.036%, 경기도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천시 전체 면적의 85.4%인 30.64 km²가 개발제한구역이다.[6]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과천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과천시 행정구역 과천시의 행정 구역은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5.86 km²[6]이고,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7527 명, 2만0903 가구[7]이다. 행정동 한자 면적 (km²) 인구 (명) 세대 중앙동 中央洞 6.99 6,869 2,501 갈현동 葛峴洞 4.36 11,345 3,645 별양동 別陽洞 0.68 11,148 3,796 부림동 富林洞 0.37 10,456 3,754 과천동 果川洞 10.77 9,521 4,119 문원동 文原洞 12.69 8,188 3,088 과천시 果川市 35.86 57,527 20,903 *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구조와 추이[편집] 과천시는 2010년 12월 말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8.6%, 65세 이상 인구는 8.8%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2.6%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2.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6.4로 여자가 다소 많다.[8] 과천시의 인구는 2009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사이에 7만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 5월 이후 6만명 대로 다시 줄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과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90년 72,325명 1995년 68,005명 2000년 66,592명 2005년 56,587명 2010년 66,319명 2015년 64,817명 문화·관광[편집]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과천과학관 서울대공원[9] 서울대공원은 과천시 청계산 막계동에 있는 공원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동물원과 식물원이 있다. 놀이공원인 서울랜드와 더불어 서울·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에 나서는 과천의 명소다. 서울랜드[10] 서울랜드는 과천시 막계동에 있는 테마파크이다. 세계의 광장, 모험의 나라, 환상의 나라, 미래의 나라 및 삼천리 동산 등 각각 독특한 주제를 갖춘 위락 시설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설치하여 1988년 5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문을 열었다. 1994년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더불어 대공원역을 통한 서울대공원의 동·식물원, 산림욕장, 국립현대미술관 등과 연계한 이용이 점차 활성화되어 현재는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장소가 되었다. 해마다 튤립, 벚꽃, 국화 등 화려한 꽃 축제를 개최한다. 그리고 전시 이벤트 등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 개장에 따른 쇼를 도입하여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야간 휴식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11] 국립과천과학관은 과천시 상하벌로에 위치한 과학관으로, 과학기술자료를 수집·조사·연구하여 이를 보존·전시하며, 각종 과학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는 시설로서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이며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다. 2008년 11월 14일 개관하였다. 렛츠런파크 서울[12] 렛츠런파크 서울은 과천시 주암동 685에 위치한 경마장이다. 전 이름은 서울 경마공원으로, 한국마사회가 1989년 9월 1일에 개장하였고, 약 7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대 2개소를 비롯하여 가족공원과 승마장, 마사박물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고 있으며 주말에는 6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13] 국립현대미술관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술관으로, 1969년 경복궁 소전시관에서 개관한 것을 시작으로 1973년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현 위치로 한 번 더 이관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2006년 과천 청사 개관 20주년을 맞아 직제 개정 및 경영 혁신을 통한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랜드, 서울대공원과 함께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코스로 교육, 문화의 장이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옛 기무사령부 터에 서울분관이 있다. 과천향교(경기도지정 문화재 제9호) 연주대(경기도지정 기념물 제20호] 기암절벽에 자리잡은 암자로 해발 629m지점에 있다. 추사박물관[14] 남태령 교육 기관[편집] 청계초등학교 과천고등학교 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과천고등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과천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과천중학교 과천문원중학교 초등학교    과천초등학교 - 과천시 최초의 교육 기관 이였으며 1982,3,4년 각각 문원, 청계, 관문 초등학교가 개교 하면서 분리 되었다. 관문초등학교 문원초등학교 청계초등학교 교통[편집] 도로[편집] 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덕원 나들목) 국도 : 국도 제47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양시) ← 정부과천청사역 - 과천역 - 대공원역 - 경마공원역 - 선바위역 → (서울특별시 서초구) 버스[편집] 많은 타 지역 버스가 과천대로와 중앙로를 경유하며, 과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과천여객과 마을버스 회사인 과천운수가 존재한다. 버스 업체[편집] 시내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여객 장정훈 문원동 142 마을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운수 장정훈 문원동 142 주요 기관[편집] 경기도립과천도서관 정부과천청사 한국마사회 과천시시설관리공단 -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은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의 연습 장소였다. 경기과천교육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문원도서관 과천문화원 과천시청소년수련관 관문체육공원 문원체육공원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캐나다 앨버타주 에어드리 시 (1997)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2005)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 군 시라하마 정[15] 출신 인물[편집] 김동찬 - 축구 선수 김승일 - 시인 김신욱 - 축구 선수 김평래 - 축구 선수 김해진 - 피겨 스케이팅 선수 문정원 - 플로리스트 신아영 - 방송인 오반석 - 축구 선수 오효주 - 아나운서 이수혁 - 배우 이진하 - 디자이너 정윤기 - 야구 선수 진 - 가수 (방탄소년단 멤버) 후이 - 가수 (펜타곤 멤버) 레나 - 래퍼 (프리스틴 멤버) 사진[편집] 과천시민회관 등 과천중앙공원 서울랜드 시민회관 정부과천청사 시내전경 각주[편집] ↑ 2011년 제28회 통계연보 Archived 2013년 12월 30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5일 확인 ↑ 통신공사 "과천전화 서울편입 민정당만 생색" 동아일보, 1985.1.11. ↑ 과천지역 서울통화권 편입 안내 경향신문, 1985.7.29. 소형광고 ↑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 2010년 제28회 통계연보, 위치 및 면적 ↑ 가 나 과천시 위치/면적/지도 과천시 홈페이지, 2015.6.9. 확인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8년 4월 9일 확인. ↑ 과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통계연보 PDF자료 ↑ [grandpark.seoul.go.kr 홈페이지] ↑ [www.seoulland.co.kr 홈페이지] ↑ [www.sciencecenter.go.kr 홈페이지] ↑ [www.kra.co.kr 홈페이지] ↑ [www.mmca.go.kr 홈페이지] ↑ [www.chusamuseum.go.kr 홈페이지] ↑ 김기중 (2009년 7월 1일). “과천시-일본 시라하마정, 자매결연 체결”. 뉴시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굴다리시장 청계산 갱매폭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과천시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과천시청 (공식)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vdeh 경기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수원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기도 과천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앙동 갈현동 과천동 문원동 별양동 부림동 중앙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과천시&oldid=24520713" 분류: 과천시경기도의 도시1986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과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과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7° 27′ 동경 127° 00′  / 북위 37.450° 동경 127.000°  / 37.450; 127.000 과천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1914년까지 존재한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과천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과천시 과천시청 청사 과천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35.86 km2 세대 21,011 가구 (2018) 총인구 57,663 명 (2018) 인구밀도 1,608 명/km2 행정동 6개 법정동 10개 시장 김종천(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신창현(더불어민주당)(의왕시·과천시) 시청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69 홈페이지 http://www.gccity.go.kr/ 상징 시목 밤나무 시화 철쭉 시조 비둘기 과천시(果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부에 있는 시이다. 북쪽으로 관악산(632m)과 구룡산(306m), 우면산(293m)을 경계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초구와 접하고, 청계산(618m)을 경계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서쪽으로는 안양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접한다. 서울대공원·서울경마공원 등의 문화시설이 있고, 정부과천청사가 위치한다. 과천시의 시외 지역 전화번호는 서울특별시와 동일한 02이다. 시목은 밤나무, 시화는 철쭉, 시조(市鳥)는 비둘기, 시의 동물은 말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3.1 인구 구조와 추이 4 문화·관광 5 교육 기관 6 교통 6.1 도로 6.2 철도 6.3 버스 6.3.1 버스 업체 7 주요 기관 8 자매 도시 9 출신 인물 10 사진 11 각주 12 같이 보기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6년 이전의 역사는 과천군, 시흥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의 역사는 과천시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율목군이라고 칭하였고, 757년 신라 경덕왕 때는 한산주 율진군이 되었고, 940년 고려 태조 때는 과주로 바뀌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는 과주현으로, 1413년 조선 태종 때는 경기도 광주목에 속한 과천현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5월 26일 경기도 과천군으로 변경되었고, 1914년 시흥군에 흡수되어 지금의 과천시 일대(종전의 과천군 군내면과 동면 주암리)는 시흥군 과천면이 되었다. 1963년 건설부 고시에 의해 1990년까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었으며, 1979년 경기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었다.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기획재정부 등 경제부처를 중심으로 7개의 중앙부처가 위치하였다.[1] 1985년 8월 1일 시외전화 요금수입 감소, 이미 서울통화권으로 자연스럽게 편입된 광명시, 고양군 신도읍(현 고양시 덕양구 일부), 광주군 서부면(현 하남시 일부)을 제외한 다른 경기도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 등과 같은 숱한 논란에도 불구하고[2] 정부서울청사 및 청와대와의 연락 용이 차원에서 종래 안양시 통화권(지역번호 0343) 지역이었던 과천지역이 서울특별시 통화권(지역번호 02)으로 편입되었다.[3] 1986년 1월 1일 시흥군 과천면 일원에 과천시가 설치되었다.[4] 2012년 말부터 정부과천청사의 정부 기관 대부분이 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하여 과천청사에는 법무부, 공무원 교육원 등이 남으며, 중앙정부의 서울·경인 지역 지방청들이 입주할 계획이다. 지리[편집] 과천중앙공원 현충탑 과천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중소도시로 북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와 접해있으며,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5] 기반암은 대부분이 호상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양재천 연안에는 충적지가 널리 발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서쪽에 629m의 관악산, 응봉(鷹峰:348m), 동쪽으로 청계산(618m) 등이 솟아 있다. 관악산과 청계산은 북쪽에 있는 구룡산(306m), 우면산(293m)과 함께 북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쪽으로는 안양시, 동쪽으로는 성남시, 남쪽으로는 의왕시와 경계를 이룬다. 북동쪽에는 한강의 지류인 양재천이 흐르고, 양재천 양안에는 범람원이 발달하였다. 과천시의 면적은 35.86 km²로 대한민국에서 구리시에 이어 두 번째로 면적이 좁고,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0.036%, 경기도 면적의 0.3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천시 전체 면적의 85.4%인 30.64 km²가 개발제한구역이다.[6]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과천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과천시 행정구역 과천시의 행정 구역은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5.86 km²[6]이고, 인구는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5만7527 명, 2만0903 가구[7]이다. 행정동 한자 면적 (km²) 인구 (명) 세대 중앙동 中央洞 6.99 6,869 2,501 갈현동 葛峴洞 4.36 11,345 3,645 별양동 別陽洞 0.68 11,148 3,796 부림동 富林洞 0.37 10,456 3,754 과천동 果川洞 10.77 9,521 4,119 문원동 文原洞 12.69 8,188 3,088 과천시 果川市 35.86 57,527 20,903 * 인구는 2017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구조와 추이[편집] 과천시는 2010년 12월 말 기준으로 0~14세 인구는 18.6%, 65세 이상 인구는 8.8%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2.6%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2.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6.4로 여자가 다소 많다.[8] 과천시의 인구는 2009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사이에 7만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 5월 이후 6만명 대로 다시 줄었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과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90년 72,325명 1995년 68,005명 2000년 66,592명 2005년 56,587명 2010년 66,319명 2015년 64,817명 문화·관광[편집]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과천과학관 서울대공원[9] 서울대공원은 과천시 청계산 막계동에 있는 공원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동물원과 식물원이 있다. 놀이공원인 서울랜드와 더불어 서울·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에 나서는 과천의 명소다. 서울랜드[10] 서울랜드는 과천시 막계동에 있는 테마파크이다. 세계의 광장, 모험의 나라, 환상의 나라, 미래의 나라 및 삼천리 동산 등 각각 독특한 주제를 갖춘 위락 시설을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설치하여 1988년 5월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문을 열었다. 1994년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과 더불어 대공원역을 통한 서울대공원의 동·식물원, 산림욕장, 국립현대미술관 등과 연계한 이용이 점차 활성화되어 현재는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장소가 되었다. 해마다 튤립, 벚꽃, 국화 등 화려한 꽃 축제를 개최한다. 그리고 전시 이벤트 등을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 개장에 따른 쇼를 도입하여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야간 휴식 공간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11] 국립과천과학관은 과천시 상하벌로에 위치한 과학관으로, 과학기술자료를 수집·조사·연구하여 이를 보존·전시하며, 각종 과학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는 시설로서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이며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다. 2008년 11월 14일 개관하였다. 렛츠런파크 서울[12] 렛츠런파크 서울은 과천시 주암동 685에 위치한 경마장이다. 전 이름은 서울 경마공원으로, 한국마사회가 1989년 9월 1일에 개장하였고, 약 7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대 2개소를 비롯하여 가족공원과 승마장, 마사박물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고 있으며 주말에는 6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13] 국립현대미술관은 대한민국 최대의 미술관으로, 1969년 경복궁 소전시관에서 개관한 것을 시작으로 1973년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관하였으며, 1986년 현 위치로 한 번 더 이관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관장은 고위공무원 나급(2~3급 상당)이며 2006년 과천 청사 개관 20주년을 맞아 직제 개정 및 경영 혁신을 통한 행정형 책임운영기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서울랜드, 서울대공원과 함께 수도권 시민들의 일일 나들이 코스로 교육, 문화의 장이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의 옛 기무사령부 터에 서울분관이 있다. 과천향교(경기도지정 문화재 제9호) 연주대(경기도지정 기념물 제20호] 기암절벽에 자리잡은 암자로 해발 629m지점에 있다. 추사박물관[14] 남태령 교육 기관[편집] 청계초등학교 과천고등학교 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고등학교    과천고등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 과천중앙고등학교 과천외국어고등학교 중학교    과천중학교 과천문원중학교 초등학교    과천초등학교 - 과천시 최초의 교육 기관 이였으며 1982,3,4년 각각 문원, 청계, 관문 초등학교가 개교 하면서 분리 되었다. 관문초등학교 문원초등학교 청계초등학교 교통[편집] 도로[편집] 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덕원 나들목) 국도 : 국도 제47호선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양시) ← 정부과천청사역 - 과천역 - 대공원역 - 경마공원역 - 선바위역 → (서울특별시 서초구) 버스[편집] 많은 타 지역 버스가 과천대로와 중앙로를 경유하며, 과천시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인 과천여객과 마을버스 회사인 과천운수가 존재한다. 버스 업체[편집] 시내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여객 장정훈 문원동 142 마을버스 업체명 대표자 위 치 과천운수 장정훈 문원동 142 주요 기관[편집] 경기도립과천도서관 정부과천청사 한국마사회 과천시시설관리공단 -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은 피겨스케이팅 선수 김연아의 연습 장소였다. 경기과천교육도서관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문원도서관 과천문화원 과천시청소년수련관 관문체육공원 문원체육공원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캐나다 앨버타주 에어드리 시 (1997)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난닝 시 (2005)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 군 시라하마 정[15] 출신 인물[편집] 김동찬 - 축구 선수 김승일 - 시인 김신욱 - 축구 선수 김평래 - 축구 선수 김해진 - 피겨 스케이팅 선수 문정원 - 플로리스트 신아영 - 방송인 오반석 - 축구 선수 오효주 - 아나운서 이수혁 - 배우 이진하 - 디자이너 정윤기 - 야구 선수 진 - 가수 (방탄소년단 멤버) 후이 - 가수 (펜타곤 멤버) 레나 - 래퍼 (프리스틴 멤버) 사진[편집] 과천시민회관 등 과천중앙공원 서울랜드 시민회관 정부과천청사 시내전경 각주[편집] ↑ 2011년 제28회 통계연보 Archived 2013년 12월 30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5일 확인 ↑ 통신공사 "과천전화 서울편입 민정당만 생색" 동아일보, 1985.1.11. ↑ 과천지역 서울통화권 편입 안내 경향신문, 1985.7.29. 소형광고 ↑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년 12월 28일) ↑ 2010년 제28회 통계연보, 위치 및 면적 ↑ 가 나 과천시 위치/면적/지도 과천시 홈페이지, 2015.6.9. 확인 ↑ 주민등록 인구통계 Archived 2011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행정자치부, 2018년 4월 9일 확인. ↑ 과천시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11년통계연보 PDF자료 ↑ [grandpark.seoul.go.kr 홈페이지] ↑ [www.seoulland.co.kr 홈페이지] ↑ [www.sciencecenter.go.kr 홈페이지] ↑ [www.kra.co.kr 홈페이지] ↑ [www.mmca.go.kr 홈페이지] ↑ [www.chusamuseum.go.kr 홈페이지] ↑ 김기중 (2009년 7월 1일). “과천시-일본 시라하마정, 자매결연 체결”. 뉴시스.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도움말) 같이 보기[편집] 굴다리시장 청계산 갱매폭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과천시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과천시청 (공식)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안양시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과천시     경기도 의왕시 vdeh 경기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수원시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기도 과천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앙동 갈현동 과천동 문원동 별양동 부림동 중앙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과천시&oldid=24520713" 분류: 과천시경기도의 도시1986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날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Tagalog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3일 (수) 23: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Bad Robot Productions 산업 분야 영화, 텔레비전 창립 1998년, 미국 국가 미국 핵심 인물 J. J. 에이브럼스, 브라이언 버크 웹사이트 www.badrobot.com 배드 로봇 프로덕션 (Bad Robot Productions)은 2001년 J. J. 에이브럼스가 설립한 영화 & TV 제작회사로 J. J. 에이브럼스가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브라이언 버크는 부회장을 맡고 있다. 배드 로봇은 원래 터치스톤 픽처스의 자사였으나 2006년 J. J. 에이브럼스와의 계약에 따라서 파라마운트 픽쳐스, 유니버설 스튜디오, 컬럼비아 픽처스, 스크린 젬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와 함께 분리되었다. 그 후 두 회사는 계약 해지 기일까지 식스 디그리스와 브라이언에 대해서를 제작해 동반자 역할을 계속 해왔다. 로봇이 튀어나오면서 "BAD ROBOT!" 목소리가 나오는 로고는 2001년에 제작되었다.[1][2] 목차 1 제작 작품 1.1 영화 2 TV 시리즈 3 각주 4 외부 링크 제작 작품[편집] 영화[편집] 개봉 연도 제목 감독 제작비 흥행 2001 캔디 케인 존 달 2300만달러 3664만달러 2008 클로버필드 맷 리브스 2500만달러 1억 7076만 달러 2009 스타 트렉: 더 비기닝 J. J. 에이브럼스 1억 5000만달러 3억 8568만달러 2010 굿모닝 에브리원 로저 미첼 4000만달러 5878만달러 2011 슈퍼 에이트 J. J. 에이브럼스 5000만달러 2억 5942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브래드 버드 1억 4500만달러 6억 9305만달러 2013 스타 트렉: 다크니스 J. J. 에이브럼스 1억 8500만달러 4억 5181만달러 2015 인피니틀리 폴라 베어 마야 포브스 670만달러 210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크리스토퍼 매쿼리 150만달러 6827만달러 스타 워즈: 깨어난 포스 J. J. 에이브럼스 3억 600만달러 20억 6822만달러 2016 클로버필드 10번지 댄 트랙턴버그 1500만달러 1억 1020만달러 스타 트렉 비욘드 저스틴 린 1억 8500만달러 3억 4350만달러 2018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줄리어스 오나 4500만달러 없음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크리스토퍼 매쿼리 1억 7800만달러 7역 9100만달러 오버로드 줄리어스 에이버리 3800만달러 4170만달러 개봉 예정 영화 2019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J. J. 에이브럼스 TV 시리즈[편집] 방영년도 제목 특징 1998-2002 펠리시티 완결 2001–2006 앨리어스 종료 2004–2010 로스트 완결 2005 더 캐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5-2006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ABC에서 취소했다.) 2006–2007 브라이언에 대해서 완결 2006–2007 식스 디그리즈 종료 2008–2013 프린지 완결 2009 희망의 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9-2010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HBO에서 취소했다.) 2010 언더커버스 종료 2011-2016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완결 2012 알카트라즈 종영 2012-2014 레볼루션 종영 2013 올모스트 휴먼 종영 2014 빌리브 종영 2016 웨스트월드: 인공지능의 역습 방영중 각주[편집] ↑ 목소리의 주인공은 J. J.의 자녀인 핸리, 그레시 에이브럼스 ↑ EW Gets the Stories Behind Those Goofy TV Production-Company Logos, The title came to creator J.J. Abrams during a writers' meeting, and he recorded his children, Henry and Gracie (ages 2 and 3), saying the words into his Powerbook's microphone. "That day in the office while editing," says Abrams, "I put together sound effects on my computer, burned a QuickTime movie on a CD, gave it to postproduction, and three days later it was on national television.", issue: December 07, 2001, Entertainment Weekly 외부 링크[편집]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공식 웹사이트 vdeh 미국의 주요 영화 배급 및 제작사할리우드 5대 메이저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컴캐스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포커스 피처스 / 워킹 타이틀 필름스) 유니버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Amblin Partners <협력관계>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드림웍스, Participant Media)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픽쳐스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Paramount Players (코미디 센트럴 필름스, 니켈로디언 무비스, MTV 필름스) CBS 코퍼레이션 CBS Films 워너 미디어 그룹Warner Bros.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뉴 라인 시네마,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DC 엔터테인먼트 Warner Bros. Family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Turner Broadcasting System HBO Films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컴퍼니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마블 엔터테인먼트 (마블 스튜디오 外) 루카스 필름 터치스톤 픽처스 <해체> (할리우드 픽처스, 카라반 픽처스) Disney Nature ESPN Films, UTV Motion Pictures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20세기 폭스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그룹 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트라이스타 픽처스 (TriStar Productions) 스크린 젬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Sony Pictures Worldwide Acquisitions Triumph Films, Destination Films, Stage 6 Films, Affirm Films 할리우드 미니-메이저 영화사들MGM Holidings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유나이티드 아티스츠 <前: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 오라이온 픽쳐스 Weinstein Family 미라맥스/디멘션 필름스 <前:월트 디즈니 컴퍼니, 現: beIN Media Group> 와인스타인 컴퍼니 -> Lantern Entertainment Lions Gate Entertainment 라이언스 게이트/서밋 엔터테인먼트 렐러티비티 미디어 로그 픽처스 Trigger Street Productions Millennium Entertainment Millennium Films 제작사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前:워너 브라더스, 現:20세기 폭스>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現:워너 브라더스> Revolution Studios <前: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 픽처스 <前:워너 브라더스, 現:컴캐스트> 스카이댄스 미디어 <現:바이어컴> 해즈브로 스튜디오 할리우드 영화 투자사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前:20세기 폭스, 現:워너 브라더스> TSG 엔터테인먼트 <現:20세기 폭스> 할리우드 영화 제작사 Kennedy Miller Mitchell Scott Free Productions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실버 픽처스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 Centropolis Entertainment 이매진 엔터테인먼트 Morgan Creek Entertainment Group The Kennedy/Marshall Company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스 레이크쇼어 엔터테인먼트 One Race Films Bad Hat Harry Productions 1492 픽처스 오리지널 필름 ImageMovers The Playtone Company Happy Madison Productions 신카피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GK 필름스 월든 미디어 The Kerner Entertainment Company 플래티넘 듄스 플랜 B 엔터테인먼트 WingNut Films Marv Films Chernin Entertainment 사라진 헐리우드 영화사PolyGram Filmed Entertainment Propaganda Films Gramercy Pictures Interscope Communications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밴티지 타임 워너 Geffen Film Company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 퍼스트 내셔널 픽처스 RKO 픽처스 Carolco Pictures The Ladd Company Rysher Entertainment Overture Films vdehJ. J. 에이브럼스영화감독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슈퍼 에이트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2019) 제작 졸업 (1996) 서버번 (1999) 캔디 케인 (2001) 클로버필드 (2008)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굿모닝 에브리원 (2010) 슈퍼 에이트 (2011)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클로버필드 10번지 (2016) 스타트렉 비욘드 (2016)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2018)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오버로드 (2018) 각본 수첩 속의 행운 (1990) 헨리의 이야기 (1991) 사랑 이야기 (1992) 두 낚시꾼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1997) 아마겟돈 (1998) 캔디 케인 (2001)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슈퍼 에이트 (2011)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텔레비전 펠리시티 (1998–2002) 앨리어스 (2001–2006) 로스트 (2004–10) 프린지 (2008–13) 언더커버스 (2010) 프로덕션 회사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배드_로봇_프로덕션스&oldid=24030222" 분류: 1998년 설립배드 로봇 프로덕션미국의 영화 제작사J. J. 에이브럼스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Bad Robot Productions 산업 분야 영화, 텔레비전 창립 1998년, 미국 국가 미국 핵심 인물 J. J. 에이브럼스, 브라이언 버크 웹사이트 www.badrobot.com 배드 로봇 프로덕션 (Bad Robot Productions)은 2001년 J. J. 에이브럼스가 설립한 영화 & TV 제작회사로 J. J. 에이브럼스가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브라이언 버크는 부회장을 맡고 있다. 배드 로봇은 원래 터치스톤 픽처스의 자사였으나 2006년 J. J. 에이브럼스와의 계약에 따라서 파라마운트 픽쳐스, 유니버설 스튜디오, 컬럼비아 픽처스, 스크린 젬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워너 브라더스와 함께 분리되었다. 그 후 두 회사는 계약 해지 기일까지 식스 디그리스와 브라이언에 대해서를 제작해 동반자 역할을 계속 해왔다. 로봇이 튀어나오면서 "BAD ROBOT!" 목소리가 나오는 로고는 2001년에 제작되었다.[1][2] 목차 1 제작 작품 1.1 영화 2 TV 시리즈 3 각주 4 외부 링크 제작 작품[편집] 영화[편집] 개봉 연도 제목 감독 제작비 흥행 2001 캔디 케인 존 달 2300만달러 3664만달러 2008 클로버필드 맷 리브스 2500만달러 1억 7076만 달러 2009 스타 트렉: 더 비기닝 J. J. 에이브럼스 1억 5000만달러 3억 8568만달러 2010 굿모닝 에브리원 로저 미첼 4000만달러 5878만달러 2011 슈퍼 에이트 J. J. 에이브럼스 5000만달러 2억 5942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브래드 버드 1억 4500만달러 6억 9305만달러 2013 스타 트렉: 다크니스 J. J. 에이브럼스 1억 8500만달러 4억 5181만달러 2015 인피니틀리 폴라 베어 마야 포브스 670만달러 210만달러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크리스토퍼 매쿼리 150만달러 6827만달러 스타 워즈: 깨어난 포스 J. J. 에이브럼스 3억 600만달러 20억 6822만달러 2016 클로버필드 10번지 댄 트랙턴버그 1500만달러 1억 1020만달러 스타 트렉 비욘드 저스틴 린 1억 8500만달러 3억 4350만달러 2018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줄리어스 오나 4500만달러 없음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크리스토퍼 매쿼리 1억 7800만달러 7역 9100만달러 오버로드 줄리어스 에이버리 3800만달러 4170만달러 개봉 예정 영화 2019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J. J. 에이브럼스 TV 시리즈[편집] 방영년도 제목 특징 1998-2002 펠리시티 완결 2001–2006 앨리어스 종료 2004–2010 로스트 완결 2005 더 캐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5-2006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ABC에서 취소했다.) 2006–2007 브라이언에 대해서 완결 2006–2007 식스 디그리즈 종료 2008–2013 프린지 완결 2009 희망의 힘 파일럿만 방영 (정규 방영은 2009-2010 시즌에 방영할려 했으나 HBO에서 취소했다.) 2010 언더커버스 종료 2011-2016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완결 2012 알카트라즈 종영 2012-2014 레볼루션 종영 2013 올모스트 휴먼 종영 2014 빌리브 종영 2016 웨스트월드: 인공지능의 역습 방영중 각주[편집] ↑ 목소리의 주인공은 J. J.의 자녀인 핸리, 그레시 에이브럼스 ↑ EW Gets the Stories Behind Those Goofy TV Production-Company Logos, The title came to creator J.J. Abrams during a writers' meeting, and he recorded his children, Henry and Gracie (ages 2 and 3), saying the words into his Powerbook's microphone. "That day in the office while editing," says Abrams, "I put together sound effects on my computer, burned a QuickTime movie on a CD, gave it to postproduction, and three days later it was on national television.", issue: December 07, 2001, Entertainment Weekly 외부 링크[편집]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 공식 웹사이트 vdeh 미국의 주요 영화 배급 및 제작사할리우드 5대 메이저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컴캐스트 유니버설 스튜디오 (포커스 피처스 / 워킹 타이틀 필름스) 유니버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Amblin Partners <협력관계>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드림웍스, Participant Media)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픽쳐스 (파라마운트 애니메이션) Paramount Players (코미디 센트럴 필름스, 니켈로디언 무비스, MTV 필름스) CBS 코퍼레이션 CBS Films 워너 미디어 그룹Warner Bros.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뉴 라인 시네마, 캐슬 록 엔터테인먼트) DC 엔터테인먼트 Warner Bros. Family Entertainment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Turner Broadcasting System HBO Films 카툰 네트워크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컴퍼니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월트 디즈니 픽처스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마블 엔터테인먼트 (마블 스튜디오 外) 루카스 필름 터치스톤 픽처스 <해체> (할리우드 픽처스, 카라반 픽처스) Disney Nature ESPN Films, UTV Motion Pictures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20세기 폭스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소니 픽처스 모션 픽처스 그룹 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트라이스타 픽처스 (TriStar Productions) 스크린 젬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스 Sony Pictures Worldwide Acquisitions Triumph Films, Destination Films, Stage 6 Films, Affirm Films 할리우드 미니-메이저 영화사들MGM Holidings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유나이티드 아티스츠 <前:유나이티드 인터내셔널 픽처스> 오라이온 픽쳐스 Weinstein Family 미라맥스/디멘션 필름스 <前:월트 디즈니 컴퍼니, 現: beIN Media Group> 와인스타인 컴퍼니 -> Lantern Entertainment Lions Gate Entertainment 라이언스 게이트/서밋 엔터테인먼트 렐러티비티 미디어 로그 픽처스 Trigger Street Productions Millennium Entertainment Millennium Films 제작사 리젠시 엔터프라이즈 <前:워너 브라더스, 現:20세기 폭스>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現:워너 브라더스> Revolution Studios <前: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레전더리 픽처스 <前:워너 브라더스, 現:컴캐스트> 스카이댄스 미디어 <現:바이어컴> 해즈브로 스튜디오 할리우드 영화 투자사 랫팩-듄 엔터테인먼트 <前:20세기 폭스, 現:워너 브라더스> TSG 엔터테인먼트 <現:20세기 폭스> 할리우드 영화 제작사 Kennedy Miller Mitchell Scott Free Productions 제리 브룩하이머 필름스 실버 픽처스 (다크 캐슬 엔터테인먼트) Centropolis Entertainment 이매진 엔터테인먼트 Morgan Creek Entertainment Group The Kennedy/Marshall Company 크루즈/와그너 프로덕션스 레이크쇼어 엔터테인먼트 One Race Films Bad Hat Harry Productions 1492 픽처스 오리지널 필름 ImageMovers The Playtone Company Happy Madison Productions 신카피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GK 필름스 월든 미디어 The Kerner Entertainment Company 플래티넘 듄스 플랜 B 엔터테인먼트 WingNut Films Marv Films Chernin Entertainment 사라진 헐리우드 영화사PolyGram Filmed Entertainment Propaganda Films Gramercy Pictures Interscope Communications 바이어컴 파라마운트 밴티지 타임 워너 Geffen Film Company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 퍼스트 내셔널 픽처스 RKO 픽처스 Carolco Pictures The Ladd Company Rysher Entertainment Overture Films vdehJ. J. 에이브럼스영화감독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슈퍼 에이트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2019) 제작 졸업 (1996) 서버번 (1999) 캔디 케인 (2001) 클로버필드 (2008) 스타 트렉: 더 비기닝 (2009) 굿모닝 에브리원 (2010) 슈퍼 에이트 (2011)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2011) 스타 트렉 다크니스 (2013)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2015)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클로버필드 10번지 (2016) 스타트렉 비욘드 (2016) 클로버필드 패러독스 (2018)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2018) 오버로드 (2018) 각본 수첩 속의 행운 (1990) 헨리의 이야기 (1991) 사랑 이야기 (1992) 두 낚시꾼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1997) 아마겟돈 (1998) 캔디 케인 (2001) 미션 임파서블 3 (2006) 슈퍼 에이트 (2011)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15) 텔레비전 펠리시티 (1998–2002) 앨리어스 (2001–2006) 로스트 (2004–10) 프린지 (2008–13) 언더커버스 (2010) 프로덕션 회사 배드 로봇 프로덕션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배드_로봇_프로덕션스&oldid=24030222" 분류: 1998년 설립배드 로봇 프로덕션미국의 영화 제작사J. J. 에이브럼스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4일 (일) 16:3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태지와 아이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태지와 아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태지와 아이들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랩/힙합 활동 시기 1992년 ~ 1996년 레이블 예당음향반도음반 이전 구성원 서태지이주노양현석 대표곡 난 알아요 1992년 환상속의 그대 이제는 너와 함께한 시간속에서 이밤이 깊어가지만 하여가 1993년 너에게 우리들만의 추억 마지막 축제 발해를 꿈꾸며 1994년 교실 이데아 아이들의 눈으로 영원 널 지우려 해 Come Back Home 1995년 필승 Free Style Good Bye 1996년 시대유감 K-pop 포털 서태지와 아이들(Taiji Boys, Seo Taiji & Boys)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보컬, 작사·작곡의 서태지와 코러스 및 백보컬과 안무를 맡은 이주노, 양현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1집 《서태지와 아이들》로 데뷔하였으며 4집 《SEOTAIJI & BOYS IV》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목차 1 활동 내용 1.1 데뷔 및 활동 (1992–1995) 1.2 은퇴 (1996) 2 영향 3 은퇴 이후 4 이전 구성원 5 음반 목록 6 수상 6.1 가요 프로그램 1위 7 광고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활동 내용[편집] 데뷔 및 활동 (1992–1995)[편집] 시나위의 해체 이후 서태지는 당시 대한민국에 막 도입되기 시작한 미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 때의 미디 작업으로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등 서태지와 아이들 1집에 수록될 곡들의 일부가 만들어진다.[1] 새로운 음악 활동을 모색하던 서태지는 1992년 1월에 양현석, 이주노를 만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고 1992년 4월에 1집 《Yo! Taiji》를 발표한다. 1992년 4월 11일, MBC의 특종 TV 연예에 데뷔하게 된 그들은 방송 3사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을 모두 석권 하였다. 당시 심사위원들은 노래를 듣고 7.8점이라는 역대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리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실제 데뷔는 1992년 3월 14일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였다. 또한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서울가요대상 최고 인기상, 스포츠서울 올해의 가수상, 대한민국 영상음악 대상 골든 디스크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요상과 신인 가수상,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등 그해 가요계에 부여된 모든 상을 휩쓸었고 《Yo! Taiji》는 데뷔 음반으로는 최다 판매량인 18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1993년 6월에 발표된 2집은 〈하여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220만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했다. 또한 다시 한 번 각 방송사 및 언론사의 가요 프로그램 1위를 휩쓸었으며, 각종 상을 수상하게 된다. 음악적인 면에서도 〈하여가〉의 힙합음악에 국악을 접목시킨 음악과 〈수시아〉의 158비트에 달하는 빠른 멜로디는 1990년대 말 테크노 열풍에 한발 앞서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 2집 발표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은 잠시 일본 공연을 했으며 3집 앨범 제작을 위해 몇 달간의 공백기를 가진다. 그러던 1994년 8월 3집 앨범을 발표하며 〈발해를 꿈꾸며〉를 시작으로 3집 활동을 시작한다. 3집에서는 기존의 댄스 음악의 비중이 약해지고 록의 비중이 늘어났다. 댄스 음악에 열광했던 일부 팬들은 실망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의 교육을 비판한 〈교실 이데아〉 등은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3집은 16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대한민국 100대 명반[3] 에 선정되었다. 3집때에는 사탄설 등 서태지와 아이들을 둘러싼 각종 괴소문들이 횡행했는데, 이는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들어보면 사탄의 메시지가 들어 있다는 괴소문이 PC 통신을 통해 전국에 퍼졌고, 언론에까지 보도되면서 생겨난 것이다. 이 외에도 동성애자설, 임신설 등이 퍼졌다. 이러한 괴소문들은 MBC 뉴스데스크, KBS 추적 60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교실 이데아〉를 직접 돌려 틀어 사실 무근임을 밝혀내면서 잠잠해졌다.[4] (교실 이데아 소동) 또한 3집에는 기존 앨범에서는 볼 수 없는 강한 사회적 메시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기존의 앨범은 상업적 색채가 강한 사랑 이야기가 주를 이룬 데 반해, 3집 앨범에는 통일, 교육 현실, 마약 문제 등의 사회 비판적 내용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특히 뉴 메탈 색채를 강하게 드러낸 〈교실 이데아〉는 교육 현실을 직설적으로 꼬집으면서 10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런 사회적인 색채의 음악과 그에 대한 당시 10대 팬 들의 반응 이후 ‘서태지 담론’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1994년 대한민국 학계와 언론계가 뽑은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에 가수로서는 최초로 선정되는 등[5] 다양한 일들이 있었지만, 정작 그가 시도한 음악적 변화 자체는 큰 대중적 주목을 끌지 못했다.[4] 하지만 훗날 서태지의 음악적 성취가 재평가 되면서 3집 수록곡인 〈발해를 꿈꾸며〉가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당시 서태지와 아이들은 앨범때마다 수십 회 이상의 TV 출연을 하면서도 꾸준히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1992년, 1994년, 1995년에 각각 1, 2, 3집 활동에 해당하는 라이브 앨범을 발표하였다. 또한 1992년, 1993년, 1994년에는 환경문제를 주제로 당대 아티스트들이 모인 환경 콘서트인 '내일은 늦으리'에 참가하여 환경 문제에 목소리를 더했다. 일본에도 진출하여 1994년에는 일본판 앨범을 발매하였다. 은퇴 (1996)[편집] 훗날 서태지는 4집 발표 전에 이미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1~3집 활동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누린 그들이지만, 너무나 바쁜 일정, 시간에 쫓겨 앨범을 만드는 데 대한 부담이 너무나 컸다고 그 후 당시를 떠올리며 심경을 밝혔다.[1] 3집에서 댄스적인 색채를 없애고 록, 메탈 등을 선보인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5년 10월에 4집을 발매함과 동시에 갱스터 랩 스타일의 〈컴백홈〉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갱스터 랩은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생소한 장르로, 기존의 인기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일부의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4집 음반은 발매 첫날 30만장이 팔리는 등 총 240만장 이상이 팔려 당시까지 대한민국 가요계 역사상 세 번째 더블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앨범 발매때마다 그러하듯, 서태지와 아이들은 각 방송사 가요순위 1위를 휩쓸었고, 〈컴백홈〉을 듣고 다시 집으로 돌아온 학생의 이야기가 각 방송사 뉴스를 통해 전파를 타는 기현상도 벌어졌다. 또한 `컴백 홈` 방송 출연 당시 립싱크 공연에 반발하여 마이크를 아예 소지하지 않는 등의 파격 행위도 이어졌다. 1995년 연말에 큰 활약을 펼친 후에도 그들은 길거리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펼쳐 〈필승〉의 뮤직 비디오를 만드는 등 인기몰이를 계속하였으나, 이듬해 1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에서 방송된 공연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 1월 31일에는 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움에 대한 부담과 이에 따라 창작의 고통이 컸으며 화려할 때 미련없이 떠난다"라는 말을 남기고 돌연 그룹 해체와 은퇴를 선언하며 미국으로 떠났다. 이날 서태지와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은퇴 소식은 전 사회적인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각 방송사 9시 뉴스의 메인 뉴스가 되었고, 각 일간지의 일면을 장식했다.[4] 2월에는 베스트 앨범을 발표하였다. 3달 여의 활동 끝에 그룹은 은퇴했지만 4집의 여파는 은퇴 이후에도 남았다. 4집 수록곡인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에서 가사를 지적받았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이 곡을 가사가 삭제된 상태에서 그대로 4집에 수록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진 이후 공연 윤리 위원회의 검열 제도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으며, 포크가수 정태춘의 심의 철폐 운동과 시너지를 일으켜 현재 공윤의 사전심의 철폐에 공을 세웠다고 평가된다.[6] 실제로 공연 윤리 위원회는 1996년 6월 7일에 폐지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7월 10일에 〈시대유감〉 싱글 앨범이 발표되어 가사가 삭제되지 않은 원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은퇴 선언 이후 미국으로 떠난 서태지는 1년여간 아무런 음악적 활동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했다.[1] 영향[편집]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이후로 대한민국 음악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기 전에는 발라드나 트로트 음악 등이 대한민국 대중 음악계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로 랩 음악이 가미된 댄스 음악이 가요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가요계는 정확히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한 1992년 4월 11일을 기점으로 구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활동은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반향도 불러 일으켰는데, 서태지와 아이들은 “10대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며 청소년들의 지지를 얻었다. 4집 앨범 수록곡 중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자 이에 항의하는 의미로 가사가 전부 삭제된 채 앨범에 실렸으며, 이 외에 다른 수록곡들도 심의에 제출된 곡의 가사와 앨범에 실린 곡의 가사가 서로 다르다는 이유로 물의를 빚었다. 결국 이 사건이 음반 사전 심의규제 폐지 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사전 심의 제도는 폐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후 H.O.T.와 젝스키스 등의 이후 아이돌 시장의 시초를 만들었다. 국내 아이돌그룹의 시작은 H.O.T.이지만 그건 시스템을 만든 것이고 휴식기와 활동기의 구분도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이고 한국어 랩도 처음 방송에서 시도한 그룹이었다. 은퇴 이후[편집] 그룹의 리더였던 서태지는 잠적 기간을 거쳐 이른바 서태지 밴드를 결성, 록 위주의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양현석과 이주노는 각각 음반 기획자와 안무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에 양현석은 YG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후배 가수들을 양성하고 있다. 멤버 전원이 자신보다 최소 12살 이상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 서태지는 16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고 양현석은 12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으며 이주노는 23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7] 병역은 양현석만 현역 입대 후 의가사전역했으며 나머지는 면제되었다. 이전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서태지 본명 : 정현철 생년월일 : 1972년 2월 21일(1972-02-21) (4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학력 : 서울북공업고등학교 (자퇴)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이주노 본명 : 이상우 생년월일 : 1967년 2월 10일(1967-02-10) (52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학력 : 소래고등학교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양현석 이름 : 양현석 생년월일 : 1969년 12월 2일(1969-12-02) (49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학력 : 광명공업고등학교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음반 목록[편집]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발매: 1992년 3월 23일) 1집은 180만장 돌파. 데뷔곡이며 댄스스타일과 랩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원래는 YoYoYo 믹싱이 없었으나 양현석의 의견에 따라 추가했다. 《서태지와 아이들 2집》 (발매: 1993년 6월 21일) : 랩 메탈에 태평소 가락을 덧붙여 화제가 된 하여가를 비롯한 발라드와 댄스계열 음악들이 수록되었다. 2집은 22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매: 1994년 8월 10일) : 통일의 염원을 노래한 발해를 꿈꾸며, 입시 및 교육제도를 비판한 교실이데아, 마약의 문제를 다룬 제킬박사와 하이드 등의 록계열의 음악이 수록되었다. 3집은 16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4집》 (발매: 1995년 10월 5일) : 서태지의 특이한 랩 창법이 화제가 된 갱스터 랩 음악인 컴백홈, 사회의 전반적인 부조리에 대한 비판을 얼터너티브 록 음악에 담아낸 시대유감, 금전지상주의를 비판한 1996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 김종서와 함께 작업한 프리스타일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 3집이 음악의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이뤄냈다면 4집에서는 음악 외의 부분, 즉 패션 스타일이나, 안무 등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Live & Techno Mix》(발매:1992년 11월 20일) : '92 서태지와 아이들 콘서트 실황 일부와 1집 리믹스로 구성되어 있다. 《'93 마지막 축제》(발매:1994년 1월 15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2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3 마지막 축제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발매:1995년 3월 27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Goodbye Best Album》(발매:1996년 2월 10일) : 96년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선언후 발매된 베스트앨범이다. Good Bye 가사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유감》 (발매: 1996년 7월 10일) : 사전심의제도 폐지를 기념하여 발매된 싱글 음반, 시대유감의 가사 무삭제본과 이전 앨범의 곡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로 발매된 마지막 음반이다. 수상[편집] 1992년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대상 1992년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2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2년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 1992년 MBC 10대 가수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신인가수상 1992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3년 서울가요대상 작곡상, 기획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3년 대한민국 골든디스크 본상 1993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3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3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4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4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5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5년 서울가요대상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골든디스크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인기가요(컴백홈) 1996년 MTV MUSIC VIDEO Asian Viewer (컴백홈)[8]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66회) 1992년 (총 42회) 난 알아요 (총 26회) 6월 16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1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23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26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30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0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14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1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1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2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5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8월 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주 연속) 8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1주 연속) 환상속의 그대 (총 16회) 9월 1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18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25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2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5주 연속) 10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1일 KBS 《가요톱텐》 1위 10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4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6주 연속) 11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1993년 (총 13회) 하여가 (총 13회) 7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6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8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1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5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7주 연속) 9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4주 연속) 9월 10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1995년 (총 11회) Come Back Home (총 11회) 11월 3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5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0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12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7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11월 19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11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12월 6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광고[편집] LG전자 미니스타 SK하이닉스 CD 비젼 유니레버 코리아 칸츄리콘 같이 보기[편집] 교실 이데아 소동 각주[편집] ↑ 가 나 다 2008년 8월 6일 MBC에서 방영된 ‘서태지 컴백 스페셜 북공고 1학년 1반 25번’에서 밝힌 내용 ↑ 대중 음악 100대 명반 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Ⅱ’ 《경향신문》, 2007년 12월 6일 ↑ “공식 홈페이지의 3집 설명”. 2009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추억의 LP 여행)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下, 《주간한국》, 2005년 1월 19일 ↑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 월간중앙 별책부록, 1995. ↑ '동백 아가씨'가 금지곡 된 진짜 이유 오마이뉴스, 2005년 1월 30일 ↑ 진짜 ‘아이들’과 결혼한 서태지와아이들 3명 ‘평균 17살차’ ↑ '컴백홈'아시아권서 1위 외부 링크[편집]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마이스페이스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라스트 FM vdeh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1 (1992) Seotaiji and Boys 2 (1993) Seotaiji and Boys 3 (1994) Seotaiji and Boys 4 (1995) 비정규 앨범 Live & Techno Mix (1992) '93 마지막 축제 (1994) 다른 하늘이 열리고 (1995) Goodbye Best Album (1996) 싱글 / 노래 "난 알아요" "환상 속의 그대" "하여가" "너에게" "발해를 꿈꾸며" "교실 이데아" "Come Back Home" "필승" "시대유감" 컴필레이션 앨범92 내일은 늦으리관련 문서 서태지 개인 음반 교실 이데아 소동 vdeh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자1990년대 변진섭 (1990) 태진아 (1991)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서태지와 아이들 (1993) 김건모 (1994) 룰라 (1995) 클론 (1996) H.O.T (1997) H.O.T · 젝스키스 (1998) 조성모 · 핑클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김건모 (2001) 보아 (2002) 이효리 (2003) 신화 (2004) 동방신기 (2006) 빅뱅 (2007) 원더걸스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싸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태지와_아이들&oldid=24550945" 분류: 서태지와 아이들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1990년대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힙합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1991년 결성된 음악 그룹1992년 데뷔1996년 해체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0일 (수) 0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태지와 아이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태지와 아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태지와 아이들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랩/힙합 활동 시기 1992년 ~ 1996년 레이블 예당음향반도음반 이전 구성원 서태지이주노양현석 대표곡 난 알아요 1992년 환상속의 그대 이제는 너와 함께한 시간속에서 이밤이 깊어가지만 하여가 1993년 너에게 우리들만의 추억 마지막 축제 발해를 꿈꾸며 1994년 교실 이데아 아이들의 눈으로 영원 널 지우려 해 Come Back Home 1995년 필승 Free Style Good Bye 1996년 시대유감 K-pop 포털 서태지와 아이들(Taiji Boys, Seo Taiji & Boys)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보컬, 작사·작곡의 서태지와 코러스 및 백보컬과 안무를 맡은 이주노, 양현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1집 《서태지와 아이들》로 데뷔하였으며 4집 《SEOTAIJI & BOYS IV》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목차 1 활동 내용 1.1 데뷔 및 활동 (1992–1995) 1.2 은퇴 (1996) 2 영향 3 은퇴 이후 4 이전 구성원 5 음반 목록 6 수상 6.1 가요 프로그램 1위 7 광고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활동 내용[편집] 데뷔 및 활동 (1992–1995)[편집] 시나위의 해체 이후 서태지는 당시 대한민국에 막 도입되기 시작한 미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 때의 미디 작업으로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등 서태지와 아이들 1집에 수록될 곡들의 일부가 만들어진다.[1] 새로운 음악 활동을 모색하던 서태지는 1992년 1월에 양현석, 이주노를 만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고 1992년 4월에 1집 《Yo! Taiji》를 발표한다. 1992년 4월 11일, MBC의 특종 TV 연예에 데뷔하게 된 그들은 방송 3사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을 모두 석권 하였다. 당시 심사위원들은 노래를 듣고 7.8점이라는 역대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리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실제 데뷔는 1992년 3월 14일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였다. 또한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서울가요대상 최고 인기상, 스포츠서울 올해의 가수상, 대한민국 영상음악 대상 골든 디스크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요상과 신인 가수상,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등 그해 가요계에 부여된 모든 상을 휩쓸었고 《Yo! Taiji》는 데뷔 음반으로는 최다 판매량인 18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1993년 6월에 발표된 2집은 〈하여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220만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했다. 또한 다시 한 번 각 방송사 및 언론사의 가요 프로그램 1위를 휩쓸었으며, 각종 상을 수상하게 된다. 음악적인 면에서도 〈하여가〉의 힙합음악에 국악을 접목시킨 음악과 〈수시아〉의 158비트에 달하는 빠른 멜로디는 1990년대 말 테크노 열풍에 한발 앞서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 2집 발표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은 잠시 일본 공연을 했으며 3집 앨범 제작을 위해 몇 달간의 공백기를 가진다. 그러던 1994년 8월 3집 앨범을 발표하며 〈발해를 꿈꾸며〉를 시작으로 3집 활동을 시작한다. 3집에서는 기존의 댄스 음악의 비중이 약해지고 록의 비중이 늘어났다. 댄스 음악에 열광했던 일부 팬들은 실망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의 교육을 비판한 〈교실 이데아〉 등은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3집은 16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대한민국 100대 명반[3] 에 선정되었다. 3집때에는 사탄설 등 서태지와 아이들을 둘러싼 각종 괴소문들이 횡행했는데, 이는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들어보면 사탄의 메시지가 들어 있다는 괴소문이 PC 통신을 통해 전국에 퍼졌고, 언론에까지 보도되면서 생겨난 것이다. 이 외에도 동성애자설, 임신설 등이 퍼졌다. 이러한 괴소문들은 MBC 뉴스데스크, KBS 추적 60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교실 이데아〉를 직접 돌려 틀어 사실 무근임을 밝혀내면서 잠잠해졌다.[4] (교실 이데아 소동) 또한 3집에는 기존 앨범에서는 볼 수 없는 강한 사회적 메시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기존의 앨범은 상업적 색채가 강한 사랑 이야기가 주를 이룬 데 반해, 3집 앨범에는 통일, 교육 현실, 마약 문제 등의 사회 비판적 내용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특히 뉴 메탈 색채를 강하게 드러낸 〈교실 이데아〉는 교육 현실을 직설적으로 꼬집으면서 10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런 사회적인 색채의 음악과 그에 대한 당시 10대 팬 들의 반응 이후 ‘서태지 담론’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1994년 대한민국 학계와 언론계가 뽑은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에 가수로서는 최초로 선정되는 등[5] 다양한 일들이 있었지만, 정작 그가 시도한 음악적 변화 자체는 큰 대중적 주목을 끌지 못했다.[4] 하지만 훗날 서태지의 음악적 성취가 재평가 되면서 3집 수록곡인 〈발해를 꿈꾸며〉가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당시 서태지와 아이들은 앨범때마다 수십 회 이상의 TV 출연을 하면서도 꾸준히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1992년, 1994년, 1995년에 각각 1, 2, 3집 활동에 해당하는 라이브 앨범을 발표하였다. 또한 1992년, 1993년, 1994년에는 환경문제를 주제로 당대 아티스트들이 모인 환경 콘서트인 '내일은 늦으리'에 참가하여 환경 문제에 목소리를 더했다. 일본에도 진출하여 1994년에는 일본판 앨범을 발매하였다. 은퇴 (1996)[편집] 훗날 서태지는 4집 발표 전에 이미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1~3집 활동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누린 그들이지만, 너무나 바쁜 일정, 시간에 쫓겨 앨범을 만드는 데 대한 부담이 너무나 컸다고 그 후 당시를 떠올리며 심경을 밝혔다.[1] 3집에서 댄스적인 색채를 없애고 록, 메탈 등을 선보인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5년 10월에 4집을 발매함과 동시에 갱스터 랩 스타일의 〈컴백홈〉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갱스터 랩은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생소한 장르로, 기존의 인기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일부의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4집 음반은 발매 첫날 30만장이 팔리는 등 총 240만장 이상이 팔려 당시까지 대한민국 가요계 역사상 세 번째 더블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앨범 발매때마다 그러하듯, 서태지와 아이들은 각 방송사 가요순위 1위를 휩쓸었고, 〈컴백홈〉을 듣고 다시 집으로 돌아온 학생의 이야기가 각 방송사 뉴스를 통해 전파를 타는 기현상도 벌어졌다. 또한 `컴백 홈` 방송 출연 당시 립싱크 공연에 반발하여 마이크를 아예 소지하지 않는 등의 파격 행위도 이어졌다. 1995년 연말에 큰 활약을 펼친 후에도 그들은 길거리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펼쳐 〈필승〉의 뮤직 비디오를 만드는 등 인기몰이를 계속하였으나, 이듬해 1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에서 방송된 공연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 1월 31일에는 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움에 대한 부담과 이에 따라 창작의 고통이 컸으며 화려할 때 미련없이 떠난다"라는 말을 남기고 돌연 그룹 해체와 은퇴를 선언하며 미국으로 떠났다. 이날 서태지와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은퇴 소식은 전 사회적인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각 방송사 9시 뉴스의 메인 뉴스가 되었고, 각 일간지의 일면을 장식했다.[4] 2월에는 베스트 앨범을 발표하였다. 3달 여의 활동 끝에 그룹은 은퇴했지만 4집의 여파는 은퇴 이후에도 남았다. 4집 수록곡인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에서 가사를 지적받았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이 곡을 가사가 삭제된 상태에서 그대로 4집에 수록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진 이후 공연 윤리 위원회의 검열 제도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으며, 포크가수 정태춘의 심의 철폐 운동과 시너지를 일으켜 현재 공윤의 사전심의 철폐에 공을 세웠다고 평가된다.[6] 실제로 공연 윤리 위원회는 1996년 6월 7일에 폐지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7월 10일에 〈시대유감〉 싱글 앨범이 발표되어 가사가 삭제되지 않은 원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은퇴 선언 이후 미국으로 떠난 서태지는 1년여간 아무런 음악적 활동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했다.[1] 영향[편집]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이후로 대한민국 음악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기 전에는 발라드나 트로트 음악 등이 대한민국 대중 음악계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로 랩 음악이 가미된 댄스 음악이 가요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가요계는 정확히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한 1992년 4월 11일을 기점으로 구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활동은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반향도 불러 일으켰는데, 서태지와 아이들은 “10대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며 청소년들의 지지를 얻었다. 4집 앨범 수록곡 중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자 이에 항의하는 의미로 가사가 전부 삭제된 채 앨범에 실렸으며, 이 외에 다른 수록곡들도 심의에 제출된 곡의 가사와 앨범에 실린 곡의 가사가 서로 다르다는 이유로 물의를 빚었다. 결국 이 사건이 음반 사전 심의규제 폐지 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사전 심의 제도는 폐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후 H.O.T.와 젝스키스 등의 이후 아이돌 시장의 시초를 만들었다. 국내 아이돌그룹의 시작은 H.O.T.이지만 그건 시스템을 만든 것이고 휴식기와 활동기의 구분도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이고 한국어 랩도 처음 방송에서 시도한 그룹이었다. 은퇴 이후[편집] 그룹의 리더였던 서태지는 잠적 기간을 거쳐 이른바 서태지 밴드를 결성, 록 위주의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양현석과 이주노는 각각 음반 기획자와 안무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에 양현석은 YG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후배 가수들을 양성하고 있다. 멤버 전원이 자신보다 최소 12살 이상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 서태지는 16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고 양현석은 12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으며 이주노는 23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7] 병역은 양현석만 현역 입대 후 의가사전역했으며 나머지는 면제되었다. 이전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서태지 본명 : 정현철 생년월일 : 1972년 2월 21일(1972-02-21) (4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학력 : 서울북공업고등학교 (자퇴)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이주노 본명 : 이상우 생년월일 : 1967년 2월 10일(1967-02-10) (52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학력 : 소래고등학교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양현석 이름 : 양현석 생년월일 : 1969년 12월 2일(1969-12-02) (49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학력 : 광명공업고등학교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음반 목록[편집]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발매: 1992년 3월 23일) 1집은 180만장 돌파. 데뷔곡이며 댄스스타일과 랩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원래는 YoYoYo 믹싱이 없었으나 양현석의 의견에 따라 추가했다. 《서태지와 아이들 2집》 (발매: 1993년 6월 21일) : 랩 메탈에 태평소 가락을 덧붙여 화제가 된 하여가를 비롯한 발라드와 댄스계열 음악들이 수록되었다. 2집은 22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매: 1994년 8월 10일) : 통일의 염원을 노래한 발해를 꿈꾸며, 입시 및 교육제도를 비판한 교실이데아, 마약의 문제를 다룬 제킬박사와 하이드 등의 록계열의 음악이 수록되었다. 3집은 16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4집》 (발매: 1995년 10월 5일) : 서태지의 특이한 랩 창법이 화제가 된 갱스터 랩 음악인 컴백홈, 사회의 전반적인 부조리에 대한 비판을 얼터너티브 록 음악에 담아낸 시대유감, 금전지상주의를 비판한 1996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 김종서와 함께 작업한 프리스타일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 3집이 음악의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이뤄냈다면 4집에서는 음악 외의 부분, 즉 패션 스타일이나, 안무 등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Live & Techno Mix》(발매:1992년 11월 20일) : '92 서태지와 아이들 콘서트 실황 일부와 1집 리믹스로 구성되어 있다. 《'93 마지막 축제》(발매:1994년 1월 15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2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3 마지막 축제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발매:1995년 3월 27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Goodbye Best Album》(발매:1996년 2월 10일) : 96년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선언후 발매된 베스트앨범이다. Good Bye 가사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유감》 (발매: 1996년 7월 10일) : 사전심의제도 폐지를 기념하여 발매된 싱글 음반, 시대유감의 가사 무삭제본과 이전 앨범의 곡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로 발매된 마지막 음반이다. 수상[편집] 1992년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대상 1992년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2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2년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 1992년 MBC 10대 가수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신인가수상 1992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3년 서울가요대상 작곡상, 기획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3년 대한민국 골든디스크 본상 1993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3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3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4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4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5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5년 서울가요대상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골든디스크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인기가요(컴백홈) 1996년 MTV MUSIC VIDEO Asian Viewer (컴백홈)[8]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66회) 1992년 (총 42회) 난 알아요 (총 26회) 6월 16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1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23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26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30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0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14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1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1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2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5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8월 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주 연속) 8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1주 연속) 환상속의 그대 (총 16회) 9월 1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18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25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2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5주 연속) 10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1일 KBS 《가요톱텐》 1위 10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4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6주 연속) 11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1993년 (총 13회) 하여가 (총 13회) 7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6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8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1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5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7주 연속) 9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4주 연속) 9월 10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1995년 (총 11회) Come Back Home (총 11회) 11월 3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5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0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12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7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11월 19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11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12월 6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광고[편집] LG전자 미니스타 SK하이닉스 CD 비젼 유니레버 코리아 칸츄리콘 같이 보기[편집] 교실 이데아 소동 각주[편집] ↑ 가 나 다 2008년 8월 6일 MBC에서 방영된 ‘서태지 컴백 스페셜 북공고 1학년 1반 25번’에서 밝힌 내용 ↑ 대중 음악 100대 명반 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Ⅱ’ 《경향신문》, 2007년 12월 6일 ↑ “공식 홈페이지의 3집 설명”. 2009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추억의 LP 여행)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下, 《주간한국》, 2005년 1월 19일 ↑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 월간중앙 별책부록, 1995. ↑ '동백 아가씨'가 금지곡 된 진짜 이유 오마이뉴스, 2005년 1월 30일 ↑ 진짜 ‘아이들’과 결혼한 서태지와아이들 3명 ‘평균 17살차’ ↑ '컴백홈'아시아권서 1위 외부 링크[편집]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마이스페이스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라스트 FM vdeh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1 (1992) Seotaiji and Boys 2 (1993) Seotaiji and Boys 3 (1994) Seotaiji and Boys 4 (1995) 비정규 앨범 Live & Techno Mix (1992) '93 마지막 축제 (1994) 다른 하늘이 열리고 (1995) Goodbye Best Album (1996) 싱글 / 노래 "난 알아요" "환상 속의 그대" "하여가" "너에게" "발해를 꿈꾸며" "교실 이데아" "Come Back Home" "필승" "시대유감" 컴필레이션 앨범92 내일은 늦으리관련 문서 서태지 개인 음반 교실 이데아 소동 vdeh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자1990년대 변진섭 (1990) 태진아 (1991)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서태지와 아이들 (1993) 김건모 (1994) 룰라 (1995) 클론 (1996) H.O.T (1997) H.O.T · 젝스키스 (1998) 조성모 · 핑클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김건모 (2001) 보아 (2002) 이효리 (2003) 신화 (2004) 동방신기 (2006) 빅뱅 (2007) 원더걸스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싸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태지와_아이들&oldid=24550945" 분류: 서태지와 아이들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1990년대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힙합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1991년 결성된 음악 그룹1992년 데뷔1996년 해체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0일 (수) 0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서태지와 아이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태지와 아이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태지와 아이들 기본 정보 결성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 랩/힙합 활동 시기 1992년 ~ 1996년 레이블 예당음향반도음반 이전 구성원 서태지이주노양현석 대표곡 난 알아요 1992년 환상속의 그대 이제는 너와 함께한 시간속에서 이밤이 깊어가지만 하여가 1993년 너에게 우리들만의 추억 마지막 축제 발해를 꿈꾸며 1994년 교실 이데아 아이들의 눈으로 영원 널 지우려 해 Come Back Home 1995년 필승 Free Style Good Bye 1996년 시대유감 K-pop 포털 서태지와 아이들(Taiji Boys, Seo Taiji & Boys)은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이다. 보컬, 작사·작곡의 서태지와 코러스 및 백보컬과 안무를 맡은 이주노, 양현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1집 《서태지와 아이들》로 데뷔하였으며 4집 《SEOTAIJI & BOYS IV》를 끝으로 해체되었다. 목차 1 활동 내용 1.1 데뷔 및 활동 (1992–1995) 1.2 은퇴 (1996) 2 영향 3 은퇴 이후 4 이전 구성원 5 음반 목록 6 수상 6.1 가요 프로그램 1위 7 광고 8 같이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활동 내용[편집] 데뷔 및 활동 (1992–1995)[편집] 시나위의 해체 이후 서태지는 당시 대한민국에 막 도입되기 시작한 미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 때의 미디 작업으로 〈난 알아요〉, 〈환상속의 그대〉등 서태지와 아이들 1집에 수록될 곡들의 일부가 만들어진다.[1] 새로운 음악 활동을 모색하던 서태지는 1992년 1월에 양현석, 이주노를 만나 '서태지와 아이들'을 결성하고 1992년 4월에 1집 《Yo! Taiji》를 발표한다. 1992년 4월 11일, MBC의 특종 TV 연예에 데뷔하게 된 그들은 방송 3사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을 모두 석권 하였다. 당시 심사위원들은 노래를 듣고 7.8점이라는 역대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다. 그리고 서태지와 아이들의 실제 데뷔는 1992년 3월 14일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였다. 또한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서울가요대상 최고 인기상, 스포츠서울 올해의 가수상, 대한민국 영상음악 대상 골든 디스크상,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 인기 가요상과 신인 가수상,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등 그해 가요계에 부여된 모든 상을 휩쓸었고 《Yo! Taiji》는 데뷔 음반으로는 최다 판매량인 180만장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1993년 6월에 발표된 2집은 〈하여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국내 최초로 220만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했다. 또한 다시 한 번 각 방송사 및 언론사의 가요 프로그램 1위를 휩쓸었으며, 각종 상을 수상하게 된다. 음악적인 면에서도 〈하여가〉의 힙합음악에 국악을 접목시킨 음악과 〈수시아〉의 158비트에 달하는 빠른 멜로디는 1990년대 말 테크노 열풍에 한발 앞서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2] 2집 발표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은 잠시 일본 공연을 했으며 3집 앨범 제작을 위해 몇 달간의 공백기를 가진다. 그러던 1994년 8월 3집 앨범을 발표하며 〈발해를 꿈꾸며〉를 시작으로 3집 활동을 시작한다. 3집에서는 기존의 댄스 음악의 비중이 약해지고 록의 비중이 늘어났다. 댄스 음악에 열광했던 일부 팬들은 실망하기도 하였으나, 한국의 교육을 비판한 〈교실 이데아〉 등은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3집은 16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대한민국 100대 명반[3] 에 선정되었다. 3집때에는 사탄설 등 서태지와 아이들을 둘러싼 각종 괴소문들이 횡행했는데, 이는 〈교실 이데아〉를 거꾸로 들어보면 사탄의 메시지가 들어 있다는 괴소문이 PC 통신을 통해 전국에 퍼졌고, 언론에까지 보도되면서 생겨난 것이다. 이 외에도 동성애자설, 임신설 등이 퍼졌다. 이러한 괴소문들은 MBC 뉴스데스크, KBS 추적 60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교실 이데아〉를 직접 돌려 틀어 사실 무근임을 밝혀내면서 잠잠해졌다.[4] (교실 이데아 소동) 또한 3집에는 기존 앨범에서는 볼 수 없는 강한 사회적 메시지가 수록되어 있었다. 기존의 앨범은 상업적 색채가 강한 사랑 이야기가 주를 이룬 데 반해, 3집 앨범에는 통일, 교육 현실, 마약 문제 등의 사회 비판적 내용들이 대거 등장하였다. 특히 뉴 메탈 색채를 강하게 드러낸 〈교실 이데아〉는 교육 현실을 직설적으로 꼬집으면서 10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런 사회적인 색채의 음악과 그에 대한 당시 10대 팬 들의 반응 이후 ‘서태지 담론’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1994년 대한민국 학계와 언론계가 뽑은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에 가수로서는 최초로 선정되는 등[5] 다양한 일들이 있었지만, 정작 그가 시도한 음악적 변화 자체는 큰 대중적 주목을 끌지 못했다.[4] 하지만 훗날 서태지의 음악적 성취가 재평가 되면서 3집 수록곡인 〈발해를 꿈꾸며〉가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음악과 생활' 교과서에 수록되기도 하였다. 당시 서태지와 아이들은 앨범때마다 수십 회 이상의 TV 출연을 하면서도 꾸준히 라이브 공연을 펼쳤다. 1992년, 1994년, 1995년에 각각 1, 2, 3집 활동에 해당하는 라이브 앨범을 발표하였다. 또한 1992년, 1993년, 1994년에는 환경문제를 주제로 당대 아티스트들이 모인 환경 콘서트인 '내일은 늦으리'에 참가하여 환경 문제에 목소리를 더했다. 일본에도 진출하여 1994년에는 일본판 앨범을 발매하였다. 은퇴 (1996)[편집] 훗날 서태지는 4집 발표 전에 이미 서태지와 아이들의 은퇴가 예정되어 있었다고 밝혔다. 1~3집 활동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누린 그들이지만, 너무나 바쁜 일정, 시간에 쫓겨 앨범을 만드는 데 대한 부담이 너무나 컸다고 그 후 당시를 떠올리며 심경을 밝혔다.[1] 3집에서 댄스적인 색채를 없애고 록, 메탈 등을 선보인 서태지와 아이들은 1995년 10월에 4집을 발매함과 동시에 갱스터 랩 스타일의 〈컴백홈〉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갱스터 랩은 당시 대한민국에서는 생소한 장르로, 기존의 인기를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일부의 관측도 있었다. 그러나 4집 음반은 발매 첫날 30만장이 팔리는 등 총 240만장 이상이 팔려 당시까지 대한민국 가요계 역사상 세 번째 더블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앨범 발매때마다 그러하듯, 서태지와 아이들은 각 방송사 가요순위 1위를 휩쓸었고, 〈컴백홈〉을 듣고 다시 집으로 돌아온 학생의 이야기가 각 방송사 뉴스를 통해 전파를 타는 기현상도 벌어졌다. 또한 `컴백 홈` 방송 출연 당시 립싱크 공연에 반발하여 마이크를 아예 소지하지 않는 등의 파격 행위도 이어졌다. 1995년 연말에 큰 활약을 펼친 후에도 그들은 길거리에서 게릴라 콘서트를 펼쳐 〈필승〉의 뮤직 비디오를 만드는 등 인기몰이를 계속하였으나, 이듬해 1월 19일 MBC 인기가요 베스트 50에서 방송된 공연을 끝으로 활동을 중단하였다. 1월 31일에는 성균관대학교 유림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움에 대한 부담과 이에 따라 창작의 고통이 컸으며 화려할 때 미련없이 떠난다"라는 말을 남기고 돌연 그룹 해체와 은퇴를 선언하며 미국으로 떠났다. 이날 서태지와 아이들의 갑작스러운 은퇴 소식은 전 사회적인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각 방송사 9시 뉴스의 메인 뉴스가 되었고, 각 일간지의 일면을 장식했다.[4] 2월에는 베스트 앨범을 발표하였다. 3달 여의 활동 끝에 그룹은 은퇴했지만 4집의 여파는 은퇴 이후에도 남았다. 4집 수록곡인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에서 가사를 지적받았다. 서태지와 아이들은 이 곡을 가사가 삭제된 상태에서 그대로 4집에 수록하였다. 이 사실이 알려진 이후 공연 윤리 위원회의 검열 제도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으며, 포크가수 정태춘의 심의 철폐 운동과 시너지를 일으켜 현재 공윤의 사전심의 철폐에 공을 세웠다고 평가된다.[6] 실제로 공연 윤리 위원회는 1996년 6월 7일에 폐지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7월 10일에 〈시대유감〉 싱글 앨범이 발표되어 가사가 삭제되지 않은 원곡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은퇴 선언 이후 미국으로 떠난 서태지는 1년여간 아무런 음악적 활동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했다.[1] 영향[편집]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이후로 대한민국 음악계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기 전에는 발라드나 트로트 음악 등이 대한민국 대중 음악계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서태지와 아이들 이후로 랩 음악이 가미된 댄스 음악이 가요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가요계는 정확히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한 1992년 4월 11일을 기점으로 구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활동은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반향도 불러 일으켰는데, 서태지와 아이들은 “10대들의 대통령”이라 불리며 청소년들의 지지를 얻었다. 4집 앨범 수록곡 중 〈시대유감〉은 공연윤리위원회의 심의에 통과하지 못하자 이에 항의하는 의미로 가사가 전부 삭제된 채 앨범에 실렸으며, 이 외에 다른 수록곡들도 심의에 제출된 곡의 가사와 앨범에 실린 곡의 가사가 서로 다르다는 이유로 물의를 빚었다. 결국 이 사건이 음반 사전 심의규제 폐지 운동에 큰 도움을 주었고, 현재 사전 심의 제도는 폐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후 H.O.T.와 젝스키스 등의 이후 아이돌 시장의 시초를 만들었다. 국내 아이돌그룹의 시작은 H.O.T.이지만 그건 시스템을 만든 것이고 휴식기와 활동기의 구분도 서태지와 아이들이 처음이고 한국어 랩도 처음 방송에서 시도한 그룹이었다. 은퇴 이후[편집] 그룹의 리더였던 서태지는 잠적 기간을 거쳐 이른바 서태지 밴드를 결성, 록 위주의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양현석과 이주노는 각각 음반 기획자와 안무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에 양현석은 YG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여 후배 가수들을 양성하고 있다. 멤버 전원이 자신보다 최소 12살 이상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 서태지는 16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고 양현석은 12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으며 이주노는 23살 연하의 여성과 결혼했다.[7] 병역은 양현석만 현역 입대 후 의가사전역했으며 나머지는 면제되었다. 이전 구성원[편집] 이름 소개 서태지 본명 : 정현철 생년월일 : 1972년 2월 21일(1972-02-21) (47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 학력 : 서울북공업고등학교 (자퇴)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이주노 본명 : 이상우 생년월일 : 1967년 2월 10일(1967-02-10) (52세)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학력 : 소래고등학교 포지션 : 리드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양현석 이름 : 양현석 생년월일 : 1969년 12월 2일(1969-12-02) (49세)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학력 : 광명공업고등학교 포지션 : 메인래퍼 활동기간 : 1992년 ~ 1996년 음반 목록[편집] 《서태지와 아이들 1집》 (발매: 1992년 3월 23일) 1집은 180만장 돌파. 데뷔곡이며 댄스스타일과 랩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원래는 YoYoYo 믹싱이 없었으나 양현석의 의견에 따라 추가했다. 《서태지와 아이들 2집》 (발매: 1993년 6월 21일) : 랩 메탈에 태평소 가락을 덧붙여 화제가 된 하여가를 비롯한 발라드와 댄스계열 음악들이 수록되었다. 2집은 22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3집》 (발매: 1994년 8월 10일) : 통일의 염원을 노래한 발해를 꿈꾸며, 입시 및 교육제도를 비판한 교실이데아, 마약의 문제를 다룬 제킬박사와 하이드 등의 록계열의 음악이 수록되었다. 3집은 160만장 돌파. 《서태지와 아이들 4집》 (발매: 1995년 10월 5일) : 서태지의 특이한 랩 창법이 화제가 된 갱스터 랩 음악인 컴백홈, 사회의 전반적인 부조리에 대한 비판을 얼터너티브 록 음악에 담아낸 시대유감, 금전지상주의를 비판한 1996 그들이 지구를 지배했을 때, 김종서와 함께 작업한 프리스타일 등의 곡이 수록되었다. 3집이 음악의 측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이뤄냈다면 4집에서는 음악 외의 부분, 즉 패션 스타일이나, 안무 등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었다. 《Live & Techno Mix》(발매:1992년 11월 20일) : '92 서태지와 아이들 콘서트 실황 일부와 1집 리믹스로 구성되어 있다. 《'93 마지막 축제》(발매:1994년 1월 15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2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3 마지막 축제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발매:1995년 3월 27일) : 서태지와 아이들의 3집활동을 마무리하는 '95 다른 하늘이 열리고 콘서트 실황음반이다. 《Goodbye Best Album》(발매:1996년 2월 10일) : 96년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선언후 발매된 베스트앨범이다. Good Bye 가사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시대유감》 (발매: 1996년 7월 10일) : 사전심의제도 폐지를 기념하여 발매된 싱글 음반, 시대유감의 가사 무삭제본과 이전 앨범의 곡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로 발매된 마지막 음반이다. 수상[편집] 1992년 TV저널 올해의 스타상 대상 1992년 서울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2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2년 KBS 가요대상 15대 가수상 1992년 MBC 10대 가수가요제 최고 인기가요상, 신인가수상 1992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3년 서울가요대상 작곡상, 기획상, 올해의 가수상, 최고인기가수상 1993년 대한민국 골든디스크 본상 1993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3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3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4년 MBC 10대가수가요제 본상 1994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4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5년 KBS 가요대상 본상 1995년 서울가요대상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골든디스크 최고인기가수상 1995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최고인기가요(컴백홈) 1996년 MTV MUSIC VIDEO Asian Viewer (컴백홈)[8]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66회) 1992년 (총 42회) 난 알아요 (총 26회) 6월 16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1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23일 SBS 《인기가요》 1위 6월 26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6월 30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7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0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14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1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1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2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7월 2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7월 3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5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8월 7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4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8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주 연속) 8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1주 연속) 환상속의 그대 (총 16회) 9월 11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18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9월 25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2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10월 4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9일 MBC 《여러분의인기가요》 1위 (5주 연속) 10월 11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1일 KBS 《가요톱텐》 1위 10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10월 2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11월 4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6주 연속) 11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1993년 (총 13회) 하여가 (총 13회) 7월 18일 SBS 《인기가요》 1위 7월 2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6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8월 8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1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15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18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2일 SBS 《인기가요》 1위 8월 25일 KBS 《가요톱텐》 1위 8월 29일 SBS 《인기가요》 1위 (7주 연속) 9월 1일 KBS 《가요톱텐》 1위 (4주 연속) 9월 10일 MBC 《결정최고인기가요》 1위 (통산 2주) 1995년 (총 11회) Come Back Home (총 11회) 11월 3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5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8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0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11월 12일 SBS 《TV가요20》 1위 11월 15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17일 MBC 《인기가요베스트50》 1위 (3주 연속) (BEST OF BEST) 11월 19일 SBS 《TV가요20》 1위 (3주 연속) 11월 22일 KBS 《가요톱텐》 1위 11월 29일 KBS 《가요톱텐》 1위 12월 6일 KBS 《가요톱텐》 1위 (5주 연속) (골든컵) 광고[편집] LG전자 미니스타 SK하이닉스 CD 비젼 유니레버 코리아 칸츄리콘 같이 보기[편집] 교실 이데아 소동 각주[편집] ↑ 가 나 다 2008년 8월 6일 MBC에서 방영된 ‘서태지 컴백 스페셜 북공고 1학년 1반 25번’에서 밝힌 내용 ↑ 대중 음악 100대 명반 30위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와 아이들Ⅱ’ 《경향신문》, 2007년 12월 6일 ↑ “공식 홈페이지의 3집 설명”. 2009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추억의 LP 여행) <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下, 《주간한국》, 2005년 1월 19일 ↑ 『광복 50년 한국을 바꾼 100인』 월간중앙 별책부록, 1995. ↑ '동백 아가씨'가 금지곡 된 진짜 이유 오마이뉴스, 2005년 1월 30일 ↑ 진짜 ‘아이들’과 결혼한 서태지와아이들 3명 ‘평균 17살차’ ↑ '컴백홈'아시아권서 1위 외부 링크[편집]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마이스페이스 (영어) 서태지와 아이들 - 라스트 FM vdeh서태지와 아이들 서태지 양현석 이주노 정규 앨범 Seotaiji and Boys 1 (1992) Seotaiji and Boys 2 (1993) Seotaiji and Boys 3 (1994) Seotaiji and Boys 4 (1995) 비정규 앨범 Live & Techno Mix (1992) '93 마지막 축제 (1994) 다른 하늘이 열리고 (1995) Goodbye Best Album (1996) 싱글 / 노래 "난 알아요" "환상 속의 그대" "하여가" "너에게" "발해를 꿈꾸며" "교실 이데아" "Come Back Home" "필승" "시대유감" 컴필레이션 앨범92 내일은 늦으리관련 문서 서태지 개인 음반 교실 이데아 소동 vdeh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자1990년대 변진섭 (1990) 태진아 (1991) 서태지와 아이들 (1992) 서태지와 아이들 (1993) 김건모 (1994) 룰라 (1995) 클론 (1996) H.O.T (1997) H.O.T · 젝스키스 (1998) 조성모 · 핑클 (1999) 2000년대 조성모 (2000) 김건모 (2001) 보아 (2002) 이효리 (2003) 신화 (2004) 동방신기 (2006) 빅뱅 (2007) 원더걸스 (2008) 소녀시대 (2009) 2010년대 소녀시대 (2010) 슈퍼주니어 (2011) 싸이 (2012) EXO (2013) EXO (2014) EXO (2015) EXO (2016) 방탄소년단 (2017) 방탄소년단 (2018) 대상 최고 앨범상 신인상 OST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태지와_아이들&oldid=24550945" 분류: 서태지와 아이들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대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1990년대 음악 그룹3인조 음악 그룹한국어 음악 그룹영어 음악 그룹남성 음악 그룹대한민국의 힙합 그룹대한민국의 보이 밴드1991년 결성된 음악 그룹1992년 데뷔1996년 해체된 음악 그룹아이돌 그룹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0일 (수) 00: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퍼머넌트 웨이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머넌트 웨이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4월) 펌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펌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파마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파마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퍼머넌트 웨이브(영어: permanent wave; 문화어: 볶음머리) 또는 펌(영어: perm)은 헤어스타일의 하나이다. 목차 1 역사 2 개요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실용적인 열 방식을 만들어낸 최초의 사람은 1872년의 마르셀 그라토(Marcel Grateau)이다.[1] 개요[편집] 머리에 헤어 아이론 또는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한 일시적인 웨이브와는 달리, 머리를 감아도 반영구적으로 형태가 유지되는 웨이브라는 의미로 생겨난 말이다. 일반적인 경우, 화학적인 작용을 가진 약제를 사용하며 모발에서 시스틴 결합의 환원과 산화 등의 화학반응을 의도적으로 일으키는 것으로 모발의 구조나 형태를 변화시킨 후 고정시키는 것이다. 파마를 뜻하는 영어 permanent wave(퍼머넌트 웨이브)는 줄여서 perm(펌)이라고도 하는데, 요즘은 웨이브를 가진 머리를 스트레이트 스타일로 바꾸는 경우를 스트레이트 파마라고 부르는 등, 각각의 화학작용으로 스타일을 바꾸는 것 자체를 파마라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태어나서부터 웨이브가 있는 경우는 파마라 하지 않고 곱슬머리라 한다. 또한 요즘은 디지털펌이나 볼륨펌 등, 파마의 종류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헤어스타일 각주[편집] ↑ Ed. Foan, G.A. & Bari-Woolls, J., "The Art and Craft of Hairdressing, Pitman, 1938. There were three editions and the second (1938) edited by Bari-Woollss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is subject.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퍼머넌트 웨이브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099983 GND: 4267540-6 BNF: cb12011114v (데이터) NDL: 01070329 이 글은 패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퍼머넌트_웨이브&oldid=21380277" 분류: 머리 모양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패션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14: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윤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진서 2011년 영화 《결정적 한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의 윤진서본명 윤수경 (尹水京)출생 1983년 8월 5일(1983-08-05) (3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학사 졸업웹사이트 www.yoonjinseo.com 윤진서(1983년 8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윤수경으로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목차 1 삶과 경력 1.1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 2 학력 3 활동 영역 3.1 2003년 이후의 활동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음반 5.2 저서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편집] 윤진서의 본명은 윤수경(尹水京)으로[1] 1983년 8월 5일 서울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나, 구일초등학교, 신서중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울예대 연극과를 졸업했다.[2] 그녀는 가정 환경에 대해 2013년 발간한 산문집에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 또래 아이들이 나는 늘 부러웠다.”,[3] “난 아버지랑 같이 살지 못”했다,[4] “행복하고 따뜻했던 가정은 아니었”다고[5] 쓰고 있다. 윤진서는 고등학교 시절 단짝 친구들과 떨어지기 싫어 인원제한이 없던 연극부에 가입해서 활동했다.[6] 고등학교 2학년[주 1] 여름방학 때 상명대학교가 주최한 고등학생을 위한 영화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는데, 그곳에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유럽 영화를 접하고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녀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영화의 신세계에 나는 홀딱 빠져버렸고, 아직도 세상엔 재미있고 훌륭한 영화들이 많으며, 내가 본 영화는 그중 천분의 일도 채 되지 않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7] 윤진서는 이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1년 영화 《버스, 정류장》에 오디션을 거쳐 단역(여학생3)으로 캐스팅돼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개봉은 2002년),[8] 2008년 필름2.0과의 인터뷰에서 왜 배우가 됐냐는 질문에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영화를 연출해본 경험이 있다. (...) 배우로 한 학년 아래 후배를 캐스팅했는데 연기가 너무 답답한 거다. 자꾸 예쁘게만 보이려고 하는 거다. (...)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아우라가 함께 있었으면 했다. 그래서 차라리 내가 연기를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나는 미인이 아니니까 영화에서 예쁘게만 보이지 않을 거라는 이상한 자신감 같은 것이 있었다.”라고 말하였다.[9] 학력[편집] 서울구일초등학교 (졸업) 신서중학교 (졸업) 양천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졸업) 활동 영역[편집] 2003년 이후의 활동[편집] 단역과 단편영화 출연 경력이 전부였던 신인 배우 윤진서는 2003년 11월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화제작 《올드보이》에 출연하면서 처음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윤진서가 이름이 있는 배역으로 출연한 첫 작품으로, 그녀는 조연이긴 하나 중요한 역할인 이우진(유연석/유지태 분)의 누나 이수아를 연기했다.[10][11] 윤진서는 이 작품에서 신비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12][13]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14] 윤진서는 《올드보이》가 개봉한 다음 달인 2003년 12월 류승범과 같이 출연한 MBC의 5분 드라마인 《한뼘드라마》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을 통해 텔레비전에도 얼굴을 비추었다.[15] 다음 해인 2004년 초 윤진서는 서태지의 7집 《7th Issue》 수록곡인 〈로보트〉와 〈Heffy End〉 및 〈Live Wi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였다.[16][17] 같은 해 9월 개봉한 야구를 소재로 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야구장 직원 박은아 역으로 출연해 감사용(이범수 분)과의 로맨스를 연기했다.[11] 그녀는 《슈퍼스타 감사용》에 출연한 이후 발음 교정의 필요성을 느껴 성우에게 발성과 발음을 교습받았다.[18] 윤진서는 이 해 영화 잡지 프리미어가 영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과대평가된 여자배우에 1위인 전지현에 이어 2위에 뽑히기도 했다.[19] 이후 2005년 10월 개봉한 일곱 남녀의 사랑을 그린 로맨스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꽃미남 가수를 짝사랑하는 예비수녀 임수경을 연기했는데,[20] “평범한 캐릭터보다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해보고 싶”어 이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11월 개봉한 《사랑해, 말순씨》에서는 극중 광호(이재응 분)가 짝사랑하는 옆방 누나 은숙을 연기했다.[22][23] 윤진서는 2007년 개봉한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 《바람 피기 좋은 날》에 김혜수, 이민기, 이종혁과 함께 출연해 이종혁(여우 두 마리 역)의 상대역인 내숭쟁이 주부 작은 새를 연기했고,[24]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한 공포영화 《두 사람이다》에서 주변 사람들의 살해 시도에 시달리는 고등학생 김가인을 연기했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1 아름다운 유년 누나 단편영화 2002 버스, 정류장 여학생3 취화선 단역(기생)[주 2] 역할 이름 없음 2003 모빌(자장가) 옴니버스 영화 《쇼 미》 중 한 편[주 3] 올드보이 이수아/미장원 소녀 따로 또 같이 옴니버스 영화 《이공》 중 한 편[주 4] 2004 슈퍼스타 감사용 박은아 나의 새 남자친구 단편영화[주 5] 2005 친절한 금자 씨 감방 죄수 우정출연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임수경 사랑해, 말순씨 은숙 2007 바람 피기 좋은 날 작은새 두 사람이다 김가인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가 원작 울어도 좋습니까? 영남 2008 비스티 보이즈 지원 우린 액션배우다 uncredited, 본인 다큐멘터리 영화 이리 진서 2010 비밀애 연이 2011 결정적 한방 박하영 2012 영화판 다큐멘터리 영화 2013 그녀가 부른다 진경 2014 경주 김여정 산타바바라 수경 2015 태양을 쏴라 사라 2017 커피메이트 인영 2018 리벤져 말리 †개봉일(공개일) 순.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3 한뼘드라마 진서 MBC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주 6] 2004 파리의 연인 단역 SBS 마지막회에 출연 MBC 베스트극장 정맑음 MBC 〈액션배우 정맑음〉 편[주 7] 2009 돌아온 일지매 달이/월희 1인2역 2010 도망자 플랜 B 윤소란 형사 KBS2 2012 일년에 열두남자 나미루 tvN 2013 상속자들 차은석 SBS 1회 특별출연 KBS 드라마 스페셜 서하진 KBS2 〈진진〉 편[주 8] 2014 패션왕 코리아 2 출연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염미 SBS 나에게 건배 라여주 UMAX & O'live 2016 대박 숙빈 최씨 SBS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곡명 가수 2004 로보트 서태지 Heffy End Live Wire 2005 귀로 나얼 2009 잘 지내 정엽 2010 지나간다 김범수 2011 옷자락이라도 M시그널 2014 날 위로하려거든 윤상 그 밖의 활동[편집] 음반[편집] 2008년 〈L'amourse〉 (디지털 싱글) 2009년 〈내가 꿈꾸는 그 곳〉 (돌아온 일지매 OST 4번 트랙) 저서[편집] 산문집 《Vivre sa vie》(비브르 사 비). 그책, 2013, ISBN 978-89-94040-41-7 소설 《파리 빌라》. 달, 2015, ISBN 979-11-58160-05-0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올드보이 수상 [1] 제3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2] 2014 제1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그녀가 부른다 후보 [3] 201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냄새를 보는 소녀 후보 [4] 2016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스타부문 공감스타상 나에게 건배 수상 [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대박 후보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FILM2.0》 2008년 11월호 인터뷰 기사에서는 1학년 때라고 쓰고 있으나 윤진서의 산문집을 참고하여 여기서는 2학년으로 표기하였다. ↑ 《취화선》 DVD 기준으로 1시간 14분 25초 경에 등장. ↑ 옴니버스 영화 《쇼 미》(Show Me)는 2003년 8월 26일 서울 시네마오즈 상영관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옴니버스 영화 《이공》(異共)은 2003년 12월 8일 SK텔레콤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포털사이트 다음의 무료 온라인 영화제인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중 하나로, 2004년 10월 25일 첫 공개되었다. (출처). ↑ 20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5일까지 4회에 걸쳐 방송. ↑ 2004년 9월 17일 방송. ↑ 2013년 12월 8일 방송. 참조주[편집] ↑ 이경미 (2010년 4월 11일). “생활속 작은실천이 지구 바꿔요”. 한겨레.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윤씨의 본명인 ‘수경’도 한자로는 물 수(水)에 서울 경(京)이어서 서울의 한강과 뜻이 통한다.  ↑ 씨네21. “인물 - 윤진서”.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19쪽. ↑ 윤진서, 《Vivre sa vie》, 21쪽. ↑ 윤진서, 《Vivre sa vie》, 30쪽. ↑ 이영진 (2003년 12월 3일). “제게서 비현실적인 분위기가 풍기나요? <올드보이>의 배우 윤진서”. 《씨네21》.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27-29쪽. ↑ 황세원 (2007년 2월 9일). “‘바람피기 좋은 날’ 윤진서 “숱하게 떨어진 오디션…결국 비결은 솔직””. 쿠키뉴스.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하정민 (2008년 11월). “토크2.1 <이리> 윤진서”. 《FILM2.0》 (413). ISSN 1599-1261.  ↑ 정명화 (2008년 11월 20일). “윤진서 "美 '올드보이' 수아 역은 무명배우가 했으면"”. 조이뉴스24.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규한 (2004년 9월 13일). “[인터뷰] <슈퍼스타 감사용> 윤진서 - 상큼한 청순미의 화신”. 맥스무비.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규창 (2004년 10월 14일). “'올드보이' 윤진서 vs '주홍글씨' 엄지원 닮은젊은?”. 스타뉴스.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박혜명 (2007년 8월 3일). “진서는 한사람이다”. 《씨네21》.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일간스포츠. “제46회 백상예술대상”.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문용성 (2003년 12월 21일). “류승범-윤진서 '크리스마스 연인'”. 굿데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원 (2004년 3월 25일). “서태지 또다시 윤진서 ‘찜’”. 스포츠투데이. 서태지는 7집 타이틀곡 ‘로보트’ 뮤직비디오에 이어 후속곡 ‘heffy end’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윤진서를 선택했다.  ↑ 윤현진 (2009년 4월 7일). “서태지 ‘줄리엣’ 뮤비 주연, 최준영 ‘눈길’”. 뉴스엔.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4년 9월 20일). “윤진서, 성우로부터 대사 맹연습”. 연합뉴스.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04년 11월 29일). “왜 강동원과 전지현이 과대평가된 남녀배우로 뽑혔을까?”. 헤럴드경제.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05년 8월 11일). “윤진서-정경호, 예비수녀-댄스가수 사랑 그려”. 스타뉴스.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5년 10월 5일). “윤진서, "불같은 사랑을 하고 싶다"”. 조이뉴스24.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고미석 (2005년 11월 3일). “[씨네리뷰]아! 기억속의 다락방…‘사랑해, 말순씨’”. 동아일보.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김천홍 (2005년 11월 3일). “윤진서, 청춘 멜로물 '울어도 좋습니까?' 촬영 시작”. 스포츠조선.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정우성 (2007년 3월).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작은 새’ 배우 윤진서”. 《레이디경향》.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7년 8월 14일). “[리뷰]'두사람이다', 수위 높은 올해 마지막 공포물”. 조이뉴스24.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윤진서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FNC 엔터테인먼트) 윤진서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윤진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윤진서 - 인스타그램 윤진서 - 트위터 윤진서 - 페이스북 윤진서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FNC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한성호 (대표, 총괄 프로듀서) 한승훈 (이사) 김영선 (이사) 가수현재 그룹 FT아일랜드 (최종훈  · 이홍기  · 이재진  · 최민환  · 송승현) 씨엔블루 (정용화  · 이종현  · 강민혁  · 이정신) AOA (지민  · 유나  · 유경  · 혜정  · 설현  · 찬미) 엔플라잉 (이승협  · 권광진  · 차훈  · 김재현  · 유회승) SF9 (영빈  · 인성  · 재윤  · 다원  · 로운  · 주호  · 태양  · 휘영  · 찬희) 허니스트 (김철민  · 김환  · 서동성  · 오승석) 체리블렛 (해윤  · 유주  · 미래  · 보라  · 지원  · 코코로  · 레미  · 채린  · 린린  · 메이) 현재 솔로 초아 과거 그룹 M시그널 (견우  · 전근화) AOA (유경  · 초아  · 민아) 과거 솔로 주니엘 오원빈 이노베이터 배우현재 배우 박광현 이동건 정진영 윤진서 조재윤 성혁 김원희 곽동연 정해인 박두식 정우 정유진 과거 배우 이다해 이한나 이엘리야 김민서 정혜성 희극인현재 희극인 송은이 이국주 문세윤 정형돈 유재석 노홍철 김용만 이세영 과거 희극인 지석진 방송인 조우종 문지애 드라마 PD신우철관련 방송 미남이시네요 (SBS, 2009)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 상속자들 (SBS, 2013) 청담동 111 (tvN, 2013 ~ 2014) 백년의 신부 (TV조선, 2014) 학교 2015 (KBS, 2015) 언니는 살아있다 (SBS, 2017) 달콤한 원수 (SBS, 2017) 황후의 품격 (sbs, 2018) 관련 항목 FNC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VIAF: 271957935 ISNI: 0000 0004 2657 54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진서&oldid=24036064"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서울구일초등학교 동문신서중학교 동문양천여자고등학교 동문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Polski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윤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진서 2011년 영화 《결정적 한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의 윤진서본명 윤수경 (尹水京)출생 1983년 8월 5일(1983-08-05) (3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학사 졸업웹사이트 www.yoonjinseo.com 윤진서(1983년 8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윤수경으로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목차 1 삶과 경력 1.1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 2 학력 3 활동 영역 3.1 2003년 이후의 활동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음반 5.2 저서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편집] 윤진서의 본명은 윤수경(尹水京)으로[1] 1983년 8월 5일 서울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나, 구일초등학교, 신서중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울예대 연극과를 졸업했다.[2] 그녀는 가정 환경에 대해 2013년 발간한 산문집에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 또래 아이들이 나는 늘 부러웠다.”,[3] “난 아버지랑 같이 살지 못”했다,[4] “행복하고 따뜻했던 가정은 아니었”다고[5] 쓰고 있다. 윤진서는 고등학교 시절 단짝 친구들과 떨어지기 싫어 인원제한이 없던 연극부에 가입해서 활동했다.[6] 고등학교 2학년[주 1] 여름방학 때 상명대학교가 주최한 고등학생을 위한 영화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는데, 그곳에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유럽 영화를 접하고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녀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영화의 신세계에 나는 홀딱 빠져버렸고, 아직도 세상엔 재미있고 훌륭한 영화들이 많으며, 내가 본 영화는 그중 천분의 일도 채 되지 않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7] 윤진서는 이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1년 영화 《버스, 정류장》에 오디션을 거쳐 단역(여학생3)으로 캐스팅돼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개봉은 2002년),[8] 2008년 필름2.0과의 인터뷰에서 왜 배우가 됐냐는 질문에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영화를 연출해본 경험이 있다. (...) 배우로 한 학년 아래 후배를 캐스팅했는데 연기가 너무 답답한 거다. 자꾸 예쁘게만 보이려고 하는 거다. (...)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아우라가 함께 있었으면 했다. 그래서 차라리 내가 연기를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나는 미인이 아니니까 영화에서 예쁘게만 보이지 않을 거라는 이상한 자신감 같은 것이 있었다.”라고 말하였다.[9] 학력[편집] 서울구일초등학교 (졸업) 신서중학교 (졸업) 양천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졸업) 활동 영역[편집] 2003년 이후의 활동[편집] 단역과 단편영화 출연 경력이 전부였던 신인 배우 윤진서는 2003년 11월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화제작 《올드보이》에 출연하면서 처음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윤진서가 이름이 있는 배역으로 출연한 첫 작품으로, 그녀는 조연이긴 하나 중요한 역할인 이우진(유연석/유지태 분)의 누나 이수아를 연기했다.[10][11] 윤진서는 이 작품에서 신비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12][13]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14] 윤진서는 《올드보이》가 개봉한 다음 달인 2003년 12월 류승범과 같이 출연한 MBC의 5분 드라마인 《한뼘드라마》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을 통해 텔레비전에도 얼굴을 비추었다.[15] 다음 해인 2004년 초 윤진서는 서태지의 7집 《7th Issue》 수록곡인 〈로보트〉와 〈Heffy End〉 및 〈Live Wi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였다.[16][17] 같은 해 9월 개봉한 야구를 소재로 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야구장 직원 박은아 역으로 출연해 감사용(이범수 분)과의 로맨스를 연기했다.[11] 그녀는 《슈퍼스타 감사용》에 출연한 이후 발음 교정의 필요성을 느껴 성우에게 발성과 발음을 교습받았다.[18] 윤진서는 이 해 영화 잡지 프리미어가 영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과대평가된 여자배우에 1위인 전지현에 이어 2위에 뽑히기도 했다.[19] 이후 2005년 10월 개봉한 일곱 남녀의 사랑을 그린 로맨스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꽃미남 가수를 짝사랑하는 예비수녀 임수경을 연기했는데,[20] “평범한 캐릭터보다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해보고 싶”어 이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11월 개봉한 《사랑해, 말순씨》에서는 극중 광호(이재응 분)가 짝사랑하는 옆방 누나 은숙을 연기했다.[22][23] 윤진서는 2007년 개봉한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 《바람 피기 좋은 날》에 김혜수, 이민기, 이종혁과 함께 출연해 이종혁(여우 두 마리 역)의 상대역인 내숭쟁이 주부 작은 새를 연기했고,[24]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한 공포영화 《두 사람이다》에서 주변 사람들의 살해 시도에 시달리는 고등학생 김가인을 연기했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1 아름다운 유년 누나 단편영화 2002 버스, 정류장 여학생3 취화선 단역(기생)[주 2] 역할 이름 없음 2003 모빌(자장가) 옴니버스 영화 《쇼 미》 중 한 편[주 3] 올드보이 이수아/미장원 소녀 따로 또 같이 옴니버스 영화 《이공》 중 한 편[주 4] 2004 슈퍼스타 감사용 박은아 나의 새 남자친구 단편영화[주 5] 2005 친절한 금자 씨 감방 죄수 우정출연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임수경 사랑해, 말순씨 은숙 2007 바람 피기 좋은 날 작은새 두 사람이다 김가인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가 원작 울어도 좋습니까? 영남 2008 비스티 보이즈 지원 우린 액션배우다 uncredited, 본인 다큐멘터리 영화 이리 진서 2010 비밀애 연이 2011 결정적 한방 박하영 2012 영화판 다큐멘터리 영화 2013 그녀가 부른다 진경 2014 경주 김여정 산타바바라 수경 2015 태양을 쏴라 사라 2017 커피메이트 인영 2018 리벤져 말리 †개봉일(공개일) 순.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3 한뼘드라마 진서 MBC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주 6] 2004 파리의 연인 단역 SBS 마지막회에 출연 MBC 베스트극장 정맑음 MBC 〈액션배우 정맑음〉 편[주 7] 2009 돌아온 일지매 달이/월희 1인2역 2010 도망자 플랜 B 윤소란 형사 KBS2 2012 일년에 열두남자 나미루 tvN 2013 상속자들 차은석 SBS 1회 특별출연 KBS 드라마 스페셜 서하진 KBS2 〈진진〉 편[주 8] 2014 패션왕 코리아 2 출연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염미 SBS 나에게 건배 라여주 UMAX & O'live 2016 대박 숙빈 최씨 SBS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곡명 가수 2004 로보트 서태지 Heffy End Live Wire 2005 귀로 나얼 2009 잘 지내 정엽 2010 지나간다 김범수 2011 옷자락이라도 M시그널 2014 날 위로하려거든 윤상 그 밖의 활동[편집] 음반[편집] 2008년 〈L'amourse〉 (디지털 싱글) 2009년 〈내가 꿈꾸는 그 곳〉 (돌아온 일지매 OST 4번 트랙) 저서[편집] 산문집 《Vivre sa vie》(비브르 사 비). 그책, 2013, ISBN 978-89-94040-41-7 소설 《파리 빌라》. 달, 2015, ISBN 979-11-58160-05-0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올드보이 수상 [1] 제3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2] 2014 제1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그녀가 부른다 후보 [3] 201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냄새를 보는 소녀 후보 [4] 2016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스타부문 공감스타상 나에게 건배 수상 [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대박 후보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FILM2.0》 2008년 11월호 인터뷰 기사에서는 1학년 때라고 쓰고 있으나 윤진서의 산문집을 참고하여 여기서는 2학년으로 표기하였다. ↑ 《취화선》 DVD 기준으로 1시간 14분 25초 경에 등장. ↑ 옴니버스 영화 《쇼 미》(Show Me)는 2003년 8월 26일 서울 시네마오즈 상영관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옴니버스 영화 《이공》(異共)은 2003년 12월 8일 SK텔레콤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포털사이트 다음의 무료 온라인 영화제인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중 하나로, 2004년 10월 25일 첫 공개되었다. (출처). ↑ 20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5일까지 4회에 걸쳐 방송. ↑ 2004년 9월 17일 방송. ↑ 2013년 12월 8일 방송. 참조주[편집] ↑ 이경미 (2010년 4월 11일). “생활속 작은실천이 지구 바꿔요”. 한겨레.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윤씨의 본명인 ‘수경’도 한자로는 물 수(水)에 서울 경(京)이어서 서울의 한강과 뜻이 통한다.  ↑ 씨네21. “인물 - 윤진서”.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19쪽. ↑ 윤진서, 《Vivre sa vie》, 21쪽. ↑ 윤진서, 《Vivre sa vie》, 30쪽. ↑ 이영진 (2003년 12월 3일). “제게서 비현실적인 분위기가 풍기나요? <올드보이>의 배우 윤진서”. 《씨네21》.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27-29쪽. ↑ 황세원 (2007년 2월 9일). “‘바람피기 좋은 날’ 윤진서 “숱하게 떨어진 오디션…결국 비결은 솔직””. 쿠키뉴스.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하정민 (2008년 11월). “토크2.1 <이리> 윤진서”. 《FILM2.0》 (413). ISSN 1599-1261.  ↑ 정명화 (2008년 11월 20일). “윤진서 "美 '올드보이' 수아 역은 무명배우가 했으면"”. 조이뉴스24.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규한 (2004년 9월 13일). “[인터뷰] <슈퍼스타 감사용> 윤진서 - 상큼한 청순미의 화신”. 맥스무비.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규창 (2004년 10월 14일). “'올드보이' 윤진서 vs '주홍글씨' 엄지원 닮은젊은?”. 스타뉴스.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박혜명 (2007년 8월 3일). “진서는 한사람이다”. 《씨네21》.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일간스포츠. “제46회 백상예술대상”.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문용성 (2003년 12월 21일). “류승범-윤진서 '크리스마스 연인'”. 굿데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원 (2004년 3월 25일). “서태지 또다시 윤진서 ‘찜’”. 스포츠투데이. 서태지는 7집 타이틀곡 ‘로보트’ 뮤직비디오에 이어 후속곡 ‘heffy end’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윤진서를 선택했다.  ↑ 윤현진 (2009년 4월 7일). “서태지 ‘줄리엣’ 뮤비 주연, 최준영 ‘눈길’”. 뉴스엔.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4년 9월 20일). “윤진서, 성우로부터 대사 맹연습”. 연합뉴스.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04년 11월 29일). “왜 강동원과 전지현이 과대평가된 남녀배우로 뽑혔을까?”. 헤럴드경제.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05년 8월 11일). “윤진서-정경호, 예비수녀-댄스가수 사랑 그려”. 스타뉴스.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5년 10월 5일). “윤진서, "불같은 사랑을 하고 싶다"”. 조이뉴스24.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고미석 (2005년 11월 3일). “[씨네리뷰]아! 기억속의 다락방…‘사랑해, 말순씨’”. 동아일보.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김천홍 (2005년 11월 3일). “윤진서, 청춘 멜로물 '울어도 좋습니까?' 촬영 시작”. 스포츠조선.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정우성 (2007년 3월).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작은 새’ 배우 윤진서”. 《레이디경향》.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7년 8월 14일). “[리뷰]'두사람이다', 수위 높은 올해 마지막 공포물”. 조이뉴스24.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윤진서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FNC 엔터테인먼트) 윤진서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윤진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윤진서 - 인스타그램 윤진서 - 트위터 윤진서 - 페이스북 윤진서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FNC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한성호 (대표, 총괄 프로듀서) 한승훈 (이사) 김영선 (이사) 가수현재 그룹 FT아일랜드 (최종훈  · 이홍기  · 이재진  · 최민환  · 송승현) 씨엔블루 (정용화  · 이종현  · 강민혁  · 이정신) AOA (지민  · 유나  · 유경  · 혜정  · 설현  · 찬미) 엔플라잉 (이승협  · 권광진  · 차훈  · 김재현  · 유회승) SF9 (영빈  · 인성  · 재윤  · 다원  · 로운  · 주호  · 태양  · 휘영  · 찬희) 허니스트 (김철민  · 김환  · 서동성  · 오승석) 체리블렛 (해윤  · 유주  · 미래  · 보라  · 지원  · 코코로  · 레미  · 채린  · 린린  · 메이) 현재 솔로 초아 과거 그룹 M시그널 (견우  · 전근화) AOA (유경  · 초아  · 민아) 과거 솔로 주니엘 오원빈 이노베이터 배우현재 배우 박광현 이동건 정진영 윤진서 조재윤 성혁 김원희 곽동연 정해인 박두식 정우 정유진 과거 배우 이다해 이한나 이엘리야 김민서 정혜성 희극인현재 희극인 송은이 이국주 문세윤 정형돈 유재석 노홍철 김용만 이세영 과거 희극인 지석진 방송인 조우종 문지애 드라마 PD신우철관련 방송 미남이시네요 (SBS, 2009)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 상속자들 (SBS, 2013) 청담동 111 (tvN, 2013 ~ 2014) 백년의 신부 (TV조선, 2014) 학교 2015 (KBS, 2015) 언니는 살아있다 (SBS, 2017) 달콤한 원수 (SBS, 2017) 황후의 품격 (sbs, 2018) 관련 항목 FNC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VIAF: 271957935 ISNI: 0000 0004 2657 54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진서&oldid=24036064"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서울구일초등학교 동문신서중학교 동문양천여자고등학교 동문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Polski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윤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진서 2011년 영화 《결정적 한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의 윤진서본명 윤수경 (尹水京)출생 1983년 8월 5일(1983-08-05) (3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학사 졸업웹사이트 www.yoonjinseo.com 윤진서(1983년 8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윤수경으로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목차 1 삶과 경력 1.1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 2 학력 3 활동 영역 3.1 2003년 이후의 활동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음반 5.2 저서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편집] 윤진서의 본명은 윤수경(尹水京)으로[1] 1983년 8월 5일 서울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나, 구일초등학교, 신서중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울예대 연극과를 졸업했다.[2] 그녀는 가정 환경에 대해 2013년 발간한 산문집에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 또래 아이들이 나는 늘 부러웠다.”,[3] “난 아버지랑 같이 살지 못”했다,[4] “행복하고 따뜻했던 가정은 아니었”다고[5] 쓰고 있다. 윤진서는 고등학교 시절 단짝 친구들과 떨어지기 싫어 인원제한이 없던 연극부에 가입해서 활동했다.[6] 고등학교 2학년[주 1] 여름방학 때 상명대학교가 주최한 고등학생을 위한 영화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는데, 그곳에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유럽 영화를 접하고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녀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영화의 신세계에 나는 홀딱 빠져버렸고, 아직도 세상엔 재미있고 훌륭한 영화들이 많으며, 내가 본 영화는 그중 천분의 일도 채 되지 않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7] 윤진서는 이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1년 영화 《버스, 정류장》에 오디션을 거쳐 단역(여학생3)으로 캐스팅돼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개봉은 2002년),[8] 2008년 필름2.0과의 인터뷰에서 왜 배우가 됐냐는 질문에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영화를 연출해본 경험이 있다. (...) 배우로 한 학년 아래 후배를 캐스팅했는데 연기가 너무 답답한 거다. 자꾸 예쁘게만 보이려고 하는 거다. (...)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아우라가 함께 있었으면 했다. 그래서 차라리 내가 연기를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나는 미인이 아니니까 영화에서 예쁘게만 보이지 않을 거라는 이상한 자신감 같은 것이 있었다.”라고 말하였다.[9] 학력[편집] 서울구일초등학교 (졸업) 신서중학교 (졸업) 양천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졸업) 활동 영역[편집] 2003년 이후의 활동[편집] 단역과 단편영화 출연 경력이 전부였던 신인 배우 윤진서는 2003년 11월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화제작 《올드보이》에 출연하면서 처음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윤진서가 이름이 있는 배역으로 출연한 첫 작품으로, 그녀는 조연이긴 하나 중요한 역할인 이우진(유연석/유지태 분)의 누나 이수아를 연기했다.[10][11] 윤진서는 이 작품에서 신비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12][13]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14] 윤진서는 《올드보이》가 개봉한 다음 달인 2003년 12월 류승범과 같이 출연한 MBC의 5분 드라마인 《한뼘드라마》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을 통해 텔레비전에도 얼굴을 비추었다.[15] 다음 해인 2004년 초 윤진서는 서태지의 7집 《7th Issue》 수록곡인 〈로보트〉와 〈Heffy End〉 및 〈Live Wi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였다.[16][17] 같은 해 9월 개봉한 야구를 소재로 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야구장 직원 박은아 역으로 출연해 감사용(이범수 분)과의 로맨스를 연기했다.[11] 그녀는 《슈퍼스타 감사용》에 출연한 이후 발음 교정의 필요성을 느껴 성우에게 발성과 발음을 교습받았다.[18] 윤진서는 이 해 영화 잡지 프리미어가 영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과대평가된 여자배우에 1위인 전지현에 이어 2위에 뽑히기도 했다.[19] 이후 2005년 10월 개봉한 일곱 남녀의 사랑을 그린 로맨스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꽃미남 가수를 짝사랑하는 예비수녀 임수경을 연기했는데,[20] “평범한 캐릭터보다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해보고 싶”어 이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11월 개봉한 《사랑해, 말순씨》에서는 극중 광호(이재응 분)가 짝사랑하는 옆방 누나 은숙을 연기했다.[22][23] 윤진서는 2007년 개봉한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 《바람 피기 좋은 날》에 김혜수, 이민기, 이종혁과 함께 출연해 이종혁(여우 두 마리 역)의 상대역인 내숭쟁이 주부 작은 새를 연기했고,[24]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한 공포영화 《두 사람이다》에서 주변 사람들의 살해 시도에 시달리는 고등학생 김가인을 연기했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1 아름다운 유년 누나 단편영화 2002 버스, 정류장 여학생3 취화선 단역(기생)[주 2] 역할 이름 없음 2003 모빌(자장가) 옴니버스 영화 《쇼 미》 중 한 편[주 3] 올드보이 이수아/미장원 소녀 따로 또 같이 옴니버스 영화 《이공》 중 한 편[주 4] 2004 슈퍼스타 감사용 박은아 나의 새 남자친구 단편영화[주 5] 2005 친절한 금자 씨 감방 죄수 우정출연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임수경 사랑해, 말순씨 은숙 2007 바람 피기 좋은 날 작은새 두 사람이다 김가인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가 원작 울어도 좋습니까? 영남 2008 비스티 보이즈 지원 우린 액션배우다 uncredited, 본인 다큐멘터리 영화 이리 진서 2010 비밀애 연이 2011 결정적 한방 박하영 2012 영화판 다큐멘터리 영화 2013 그녀가 부른다 진경 2014 경주 김여정 산타바바라 수경 2015 태양을 쏴라 사라 2017 커피메이트 인영 2018 리벤져 말리 †개봉일(공개일) 순.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3 한뼘드라마 진서 MBC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주 6] 2004 파리의 연인 단역 SBS 마지막회에 출연 MBC 베스트극장 정맑음 MBC 〈액션배우 정맑음〉 편[주 7] 2009 돌아온 일지매 달이/월희 1인2역 2010 도망자 플랜 B 윤소란 형사 KBS2 2012 일년에 열두남자 나미루 tvN 2013 상속자들 차은석 SBS 1회 특별출연 KBS 드라마 스페셜 서하진 KBS2 〈진진〉 편[주 8] 2014 패션왕 코리아 2 출연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염미 SBS 나에게 건배 라여주 UMAX & O'live 2016 대박 숙빈 최씨 SBS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곡명 가수 2004 로보트 서태지 Heffy End Live Wire 2005 귀로 나얼 2009 잘 지내 정엽 2010 지나간다 김범수 2011 옷자락이라도 M시그널 2014 날 위로하려거든 윤상 그 밖의 활동[편집] 음반[편집] 2008년 〈L'amourse〉 (디지털 싱글) 2009년 〈내가 꿈꾸는 그 곳〉 (돌아온 일지매 OST 4번 트랙) 저서[편집] 산문집 《Vivre sa vie》(비브르 사 비). 그책, 2013, ISBN 978-89-94040-41-7 소설 《파리 빌라》. 달, 2015, ISBN 979-11-58160-05-0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올드보이 수상 [1] 제3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2] 2014 제1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그녀가 부른다 후보 [3] 201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냄새를 보는 소녀 후보 [4] 2016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스타부문 공감스타상 나에게 건배 수상 [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대박 후보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FILM2.0》 2008년 11월호 인터뷰 기사에서는 1학년 때라고 쓰고 있으나 윤진서의 산문집을 참고하여 여기서는 2학년으로 표기하였다. ↑ 《취화선》 DVD 기준으로 1시간 14분 25초 경에 등장. ↑ 옴니버스 영화 《쇼 미》(Show Me)는 2003년 8월 26일 서울 시네마오즈 상영관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옴니버스 영화 《이공》(異共)은 2003년 12월 8일 SK텔레콤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포털사이트 다음의 무료 온라인 영화제인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중 하나로, 2004년 10월 25일 첫 공개되었다. (출처). ↑ 20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5일까지 4회에 걸쳐 방송. ↑ 2004년 9월 17일 방송. ↑ 2013년 12월 8일 방송. 참조주[편집] ↑ 이경미 (2010년 4월 11일). “생활속 작은실천이 지구 바꿔요”. 한겨레.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윤씨의 본명인 ‘수경’도 한자로는 물 수(水)에 서울 경(京)이어서 서울의 한강과 뜻이 통한다.  ↑ 씨네21. “인물 - 윤진서”.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19쪽. ↑ 윤진서, 《Vivre sa vie》, 21쪽. ↑ 윤진서, 《Vivre sa vie》, 30쪽. ↑ 이영진 (2003년 12월 3일). “제게서 비현실적인 분위기가 풍기나요? <올드보이>의 배우 윤진서”. 《씨네21》.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27-29쪽. ↑ 황세원 (2007년 2월 9일). “‘바람피기 좋은 날’ 윤진서 “숱하게 떨어진 오디션…결국 비결은 솔직””. 쿠키뉴스.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하정민 (2008년 11월). “토크2.1 <이리> 윤진서”. 《FILM2.0》 (413). ISSN 1599-1261.  ↑ 정명화 (2008년 11월 20일). “윤진서 "美 '올드보이' 수아 역은 무명배우가 했으면"”. 조이뉴스24.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규한 (2004년 9월 13일). “[인터뷰] <슈퍼스타 감사용> 윤진서 - 상큼한 청순미의 화신”. 맥스무비.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규창 (2004년 10월 14일). “'올드보이' 윤진서 vs '주홍글씨' 엄지원 닮은젊은?”. 스타뉴스.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박혜명 (2007년 8월 3일). “진서는 한사람이다”. 《씨네21》.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일간스포츠. “제46회 백상예술대상”.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문용성 (2003년 12월 21일). “류승범-윤진서 '크리스마스 연인'”. 굿데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원 (2004년 3월 25일). “서태지 또다시 윤진서 ‘찜’”. 스포츠투데이. 서태지는 7집 타이틀곡 ‘로보트’ 뮤직비디오에 이어 후속곡 ‘heffy end’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윤진서를 선택했다.  ↑ 윤현진 (2009년 4월 7일). “서태지 ‘줄리엣’ 뮤비 주연, 최준영 ‘눈길’”. 뉴스엔.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4년 9월 20일). “윤진서, 성우로부터 대사 맹연습”. 연합뉴스.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04년 11월 29일). “왜 강동원과 전지현이 과대평가된 남녀배우로 뽑혔을까?”. 헤럴드경제.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05년 8월 11일). “윤진서-정경호, 예비수녀-댄스가수 사랑 그려”. 스타뉴스.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5년 10월 5일). “윤진서, "불같은 사랑을 하고 싶다"”. 조이뉴스24.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고미석 (2005년 11월 3일). “[씨네리뷰]아! 기억속의 다락방…‘사랑해, 말순씨’”. 동아일보.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김천홍 (2005년 11월 3일). “윤진서, 청춘 멜로물 '울어도 좋습니까?' 촬영 시작”. 스포츠조선.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정우성 (2007년 3월).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작은 새’ 배우 윤진서”. 《레이디경향》.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7년 8월 14일). “[리뷰]'두사람이다', 수위 높은 올해 마지막 공포물”. 조이뉴스24.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윤진서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FNC 엔터테인먼트) 윤진서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윤진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윤진서 - 인스타그램 윤진서 - 트위터 윤진서 - 페이스북 윤진서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FNC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한성호 (대표, 총괄 프로듀서) 한승훈 (이사) 김영선 (이사) 가수현재 그룹 FT아일랜드 (최종훈  · 이홍기  · 이재진  · 최민환  · 송승현) 씨엔블루 (정용화  · 이종현  · 강민혁  · 이정신) AOA (지민  · 유나  · 유경  · 혜정  · 설현  · 찬미) 엔플라잉 (이승협  · 권광진  · 차훈  · 김재현  · 유회승) SF9 (영빈  · 인성  · 재윤  · 다원  · 로운  · 주호  · 태양  · 휘영  · 찬희) 허니스트 (김철민  · 김환  · 서동성  · 오승석) 체리블렛 (해윤  · 유주  · 미래  · 보라  · 지원  · 코코로  · 레미  · 채린  · 린린  · 메이) 현재 솔로 초아 과거 그룹 M시그널 (견우  · 전근화) AOA (유경  · 초아  · 민아) 과거 솔로 주니엘 오원빈 이노베이터 배우현재 배우 박광현 이동건 정진영 윤진서 조재윤 성혁 김원희 곽동연 정해인 박두식 정우 정유진 과거 배우 이다해 이한나 이엘리야 김민서 정혜성 희극인현재 희극인 송은이 이국주 문세윤 정형돈 유재석 노홍철 김용만 이세영 과거 희극인 지석진 방송인 조우종 문지애 드라마 PD신우철관련 방송 미남이시네요 (SBS, 2009)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 상속자들 (SBS, 2013) 청담동 111 (tvN, 2013 ~ 2014) 백년의 신부 (TV조선, 2014) 학교 2015 (KBS, 2015) 언니는 살아있다 (SBS, 2017) 달콤한 원수 (SBS, 2017) 황후의 품격 (sbs, 2018) 관련 항목 FNC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VIAF: 271957935 ISNI: 0000 0004 2657 54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진서&oldid=24036064"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서울구일초등학교 동문신서중학교 동문양천여자고등학교 동문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Polski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윤진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진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진서 2011년 영화 《결정적 한방》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의 윤진서본명 윤수경 (尹水京)출생 1983년 8월 5일(1983-08-05) (3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 현재소속사 FNC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학사 졸업웹사이트 www.yoonjinseo.com 윤진서(1983년 8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본명은 윤수경으로 2001년 연기 활동을 시작해 2003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올드보이》에 조연으로 출연하면서 얼굴이 알려졌다. 《올드보이》로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이후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2004년), 《바람 피기 좋은 날》(2007년), 《두 사람이다》(2007년), 《비스티 보이즈》(2008년), 《비밀애》(2010년), 드라마 《돌아온 일지매》(2009년), 《도망자 플랜 B》(2010년), 《일년에 열두남자》(2012년), 《냄새를 보는 소녀》(2015년) 등에 출연했다. 목차 1 삶과 경력 1.1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 2 학력 3 활동 영역 3.1 2003년 이후의 활동 4 출연 작품 4.1 영화 4.2 텔레비전 4.3 뮤직 비디오 5 그 밖의 활동 5.1 음반 5.2 저서 6 수상 및 후보 7 각주 7.1 내용주 7.2 참조주 8 외부 링크 삶과 경력[편집] 어린 시절과 배우 데뷔[편집] 윤진서의 본명은 윤수경(尹水京)으로[1] 1983년 8월 5일 서울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나, 구일초등학교, 신서중학교, 양천여자고등학교를 거쳐 서울예대 연극과를 졸업했다.[2] 그녀는 가정 환경에 대해 2013년 발간한 산문집에서 “아버지에게 사랑을 받으며 자라는 또래 아이들이 나는 늘 부러웠다.”,[3] “난 아버지랑 같이 살지 못”했다,[4] “행복하고 따뜻했던 가정은 아니었”다고[5] 쓰고 있다. 윤진서는 고등학교 시절 단짝 친구들과 떨어지기 싫어 인원제한이 없던 연극부에 가입해서 활동했다.[6] 고등학교 2학년[주 1] 여름방학 때 상명대학교가 주최한 고등학생을 위한 영화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는데, 그곳에서 만난 친구들을 통해 유럽 영화를 접하고 흠뻑 빠지게 되었다. 그녀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영화의 신세계에 나는 홀딱 빠져버렸고, 아직도 세상엔 재미있고 훌륭한 영화들이 많으며, 내가 본 영화는 그중 천분의 일도 채 되지 않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7] 윤진서는 이후 고등학교 3학년 때인 2001년 영화 《버스, 정류장》에 오디션을 거쳐 단역(여학생3)으로 캐스팅돼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는데(개봉은 2002년),[8] 2008년 필름2.0과의 인터뷰에서 왜 배우가 됐냐는 질문에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영화를 연출해본 경험이 있다. (...) 배우로 한 학년 아래 후배를 캐스팅했는데 연기가 너무 답답한 거다. 자꾸 예쁘게만 보이려고 하는 거다. (...) 뭔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아우라가 함께 있었으면 했다. 그래서 차라리 내가 연기를 해봐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나는 미인이 아니니까 영화에서 예쁘게만 보이지 않을 거라는 이상한 자신감 같은 것이 있었다.”라고 말하였다.[9] 학력[편집] 서울구일초등학교 (졸업) 신서중학교 (졸업) 양천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졸업) 활동 영역[편집] 2003년 이후의 활동[편집] 단역과 단편영화 출연 경력이 전부였던 신인 배우 윤진서는 2003년 11월 개봉한 박찬욱 감독의 화제작 《올드보이》에 출연하면서 처음 주목을 받았다. 이 영화는 윤진서가 이름이 있는 배역으로 출연한 첫 작품으로, 그녀는 조연이긴 하나 중요한 역할인 이우진(유연석/유지태 분)의 누나 이수아를 연기했다.[10][11] 윤진서는 이 작품에서 신비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12][13] 2004년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14] 윤진서는 《올드보이》가 개봉한 다음 달인 2003년 12월 류승범과 같이 출연한 MBC의 5분 드라마인 《한뼘드라마》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을 통해 텔레비전에도 얼굴을 비추었다.[15] 다음 해인 2004년 초 윤진서는 서태지의 7집 《7th Issue》 수록곡인 〈로보트〉와 〈Heffy End〉 및 〈Live Wi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였다.[16][17] 같은 해 9월 개봉한 야구를 소재로 한 영화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는 야구장 직원 박은아 역으로 출연해 감사용(이범수 분)과의 로맨스를 연기했다.[11] 그녀는 《슈퍼스타 감사용》에 출연한 이후 발음 교정의 필요성을 느껴 성우에게 발성과 발음을 교습받았다.[18] 윤진서는 이 해 영화 잡지 프리미어가 영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과대평가된 여자배우에 1위인 전지현에 이어 2위에 뽑히기도 했다.[19] 이후 2005년 10월 개봉한 일곱 남녀의 사랑을 그린 로맨스 영화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에서 꽃미남 가수를 짝사랑하는 예비수녀 임수경을 연기했는데,[20] “평범한 캐릭터보다는 영화적인 캐릭터를 해보고 싶”어 이 작품을 선택했다고 말했다.[21] 같은 해 11월 개봉한 《사랑해, 말순씨》에서는 극중 광호(이재응 분)가 짝사랑하는 옆방 누나 은숙을 연기했다.[22][23] 윤진서는 2007년 개봉한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 《바람 피기 좋은 날》에 김혜수, 이민기, 이종혁과 함께 출연해 이종혁(여우 두 마리 역)의 상대역인 내숭쟁이 주부 작은 새를 연기했고,[24]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를 원작으로 한 공포영화 《두 사람이다》에서 주변 사람들의 살해 시도에 시달리는 고등학생 김가인을 연기했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01 아름다운 유년 누나 단편영화 2002 버스, 정류장 여학생3 취화선 단역(기생)[주 2] 역할 이름 없음 2003 모빌(자장가) 옴니버스 영화 《쇼 미》 중 한 편[주 3] 올드보이 이수아/미장원 소녀 따로 또 같이 옴니버스 영화 《이공》 중 한 편[주 4] 2004 슈퍼스타 감사용 박은아 나의 새 남자친구 단편영화[주 5] 2005 친절한 금자 씨 감방 죄수 우정출연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임수경 사랑해, 말순씨 은숙 2007 바람 피기 좋은 날 작은새 두 사람이다 김가인 만화가 강경옥의 동명 만화가 원작 울어도 좋습니까? 영남 2008 비스티 보이즈 지원 우린 액션배우다 uncredited, 본인 다큐멘터리 영화 이리 진서 2010 비밀애 연이 2011 결정적 한방 박하영 2012 영화판 다큐멘터리 영화 2013 그녀가 부른다 진경 2014 경주 김여정 산타바바라 수경 2015 태양을 쏴라 사라 2017 커피메이트 인영 2018 리벤져 말리 †개봉일(공개일) 순. 텔레비전[편집] 연도 제목 역할 방송사 비고 2003 한뼘드라마 진서 MBC 〈크리스마스의 연인〉 편[주 6] 2004 파리의 연인 단역 SBS 마지막회에 출연 MBC 베스트극장 정맑음 MBC 〈액션배우 정맑음〉 편[주 7] 2009 돌아온 일지매 달이/월희 1인2역 2010 도망자 플랜 B 윤소란 형사 KBS2 2012 일년에 열두남자 나미루 tvN 2013 상속자들 차은석 SBS 1회 특별출연 KBS 드라마 스페셜 서하진 KBS2 〈진진〉 편[주 8] 2014 패션왕 코리아 2 출연 SBS 2015 냄새를 보는 소녀 염미 SBS 나에게 건배 라여주 UMAX & O'live 2016 대박 숙빈 최씨 SBS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곡명 가수 2004 로보트 서태지 Heffy End Live Wire 2005 귀로 나얼 2009 잘 지내 정엽 2010 지나간다 김범수 2011 옷자락이라도 M시그널 2014 날 위로하려거든 윤상 그 밖의 활동[편집] 음반[편집] 2008년 〈L'amourse〉 (디지털 싱글) 2009년 〈내가 꿈꾸는 그 곳〉 (돌아온 일지매 OST 4번 트랙) 저서[편집] 산문집 《Vivre sa vie》(비브르 사 비). 그책, 2013, ISBN 978-89-94040-41-7 소설 《파리 빌라》. 달, 2015, ISBN 979-11-58160-05-0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출처 2004 제40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올드보이 수상 [1] 제3회 대한민국영화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2] 2014 제1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그녀가 부른다 후보 [3] 2015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냄새를 보는 소녀 후보 [4] 2016 제10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케이블스타부문 공감스타상 나에게 건배 수상 [5] S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대박 후보 각주[편집] 내용주[편집] ↑ 《FILM2.0》 2008년 11월호 인터뷰 기사에서는 1학년 때라고 쓰고 있으나 윤진서의 산문집을 참고하여 여기서는 2학년으로 표기하였다. ↑ 《취화선》 DVD 기준으로 1시간 14분 25초 경에 등장. ↑ 옴니버스 영화 《쇼 미》(Show Me)는 2003년 8월 26일 서울 시네마오즈 상영관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옴니버스 영화 《이공》(異共)은 2003년 12월 8일 SK텔레콤의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준(June)을 통해 처음 공개되었다(출처). ↑ 포털사이트 다음의 무료 온라인 영화제인 ‘다음검색 필름페스티벌’ 상영작 중 하나로, 2004년 10월 25일 첫 공개되었다. (출처). ↑ 2003년 12월 22일부터 12월 25일까지 4회에 걸쳐 방송. ↑ 2004년 9월 17일 방송. ↑ 2013년 12월 8일 방송. 참조주[편집] ↑ 이경미 (2010년 4월 11일). “생활속 작은실천이 지구 바꿔요”. 한겨레.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윤씨의 본명인 ‘수경’도 한자로는 물 수(水)에 서울 경(京)이어서 서울의 한강과 뜻이 통한다.  ↑ 씨네21. “인물 - 윤진서”.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19쪽. ↑ 윤진서, 《Vivre sa vie》, 21쪽. ↑ 윤진서, 《Vivre sa vie》, 30쪽. ↑ 이영진 (2003년 12월 3일). “제게서 비현실적인 분위기가 풍기나요? <올드보이>의 배우 윤진서”. 《씨네21》.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 윤진서, 《Vivre sa vie》, 27-29쪽. ↑ 황세원 (2007년 2월 9일). “‘바람피기 좋은 날’ 윤진서 “숱하게 떨어진 오디션…결국 비결은 솔직””. 쿠키뉴스. 2014년 1월 31일에 확인함.  ↑ 하정민 (2008년 11월). “토크2.1 <이리> 윤진서”. 《FILM2.0》 (413). ISSN 1599-1261.  ↑ 정명화 (2008년 11월 20일). “윤진서 "美 '올드보이' 수아 역은 무명배우가 했으면"”. 조이뉴스24.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가 나 김규한 (2004년 9월 13일). “[인터뷰] <슈퍼스타 감사용> 윤진서 - 상큼한 청순미의 화신”. 맥스무비.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규창 (2004년 10월 14일). “'올드보이' 윤진서 vs '주홍글씨' 엄지원 닮은젊은?”. 스타뉴스.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박혜명 (2007년 8월 3일). “진서는 한사람이다”. 《씨네21》.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일간스포츠. “제46회 백상예술대상”. 2014년 7월 12일에 확인함.  ↑ 문용성 (2003년 12월 21일). “류승범-윤진서 '크리스마스 연인'”. 굿데이.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이재원 (2004년 3월 25일). “서태지 또다시 윤진서 ‘찜’”. 스포츠투데이. 서태지는 7집 타이틀곡 ‘로보트’ 뮤직비디오에 이어 후속곡 ‘heffy end’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으로 윤진서를 선택했다.  ↑ 윤현진 (2009년 4월 7일). “서태지 ‘줄리엣’ 뮤비 주연, 최준영 ‘눈길’”. 뉴스엔.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윤고은 (2004년 9월 20일). “윤진서, 성우로부터 대사 맹연습”. 연합뉴스.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서병기 (2004년 11월 29일). “왜 강동원과 전지현이 과대평가된 남녀배우로 뽑혔을까?”. 헤럴드경제.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김현록 (2005년 8월 11일). “윤진서-정경호, 예비수녀-댄스가수 사랑 그려”. 스타뉴스.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5년 10월 5일). “윤진서, "불같은 사랑을 하고 싶다"”. 조이뉴스24.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 고미석 (2005년 11월 3일). “[씨네리뷰]아! 기억속의 다락방…‘사랑해, 말순씨’”. 동아일보. 2014년 7월 2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김천홍 (2005년 11월 3일). “윤진서, 청춘 멜로물 '울어도 좋습니까?' 촬영 시작”. 스포츠조선.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정우성 (2007년 3월). “영화 ‘바람피기 좋은 날’의 ‘작은 새’ 배우 윤진서”. 《레이디경향》.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정명화 (2007년 8월 14일). “[리뷰]'두사람이다', 수위 높은 올해 마지막 공포물”. 조이뉴스24.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윤진서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윤진서 공식 웹사이트 (FNC 엔터테인먼트) 윤진서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윤진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윤진서 - 인스타그램 윤진서 - 트위터 윤진서 - 페이스북 윤진서 미니홈피 - 싸이월드 vdeh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1960년대 - (1965) - (1966) 문희, 남정임 (1967) 윤정희 (1968) 전양자 (1969) 1970년대 김지수 (1970) 김윤정 (1971) 나오미 (1972) 박지영, 최정민 (1973) 진도희, 명희 (1974) 문숙, 양정화 (1975) 김형자 (1976) 유미나, 명현숙 (1977) 정희 (1978) 이인옥 (1979) 1980년대 원미경 (1980) 이미숙, 김민희 (1981) 나영희, 안소영 (1982) 박선희 (1983) 이보희 (1984) 조용원 (1985) 이혜영 (1986) 김혜수 (1987) 신혜수, 하희라 (1988) 진영미 (1989) 1990년대 이미연 (1990) 김성령, 지경원 (1991) 이아로 (1992) 오연수 (1993) 류금신, 지수원 (1994) 정선경 (1995) 김선재 (1996) 이은정 (1997) 최지우 (1998) 전지현 (1999) 2000년대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출연진 (2000) 서정 (2001) 이요원 (2002) 손예진 (2003) 윤진서 (2004) 수애 (2005) 정유미 (2006) 박시연 (2007) 한예슬 (2008) 박보영 (2009) 2010년대 조안 (2010) 신현빈 (2011) 배수지 (2012) 한예리 (2013) 김향기 (2014) 천우희 (2015) 박소담 (2016) 이상희 (2017) 최희서 (2018) 이재인 (2019) 대상 | 작품상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FNC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한성호 (대표, 총괄 프로듀서) 한승훈 (이사) 김영선 (이사) 가수현재 그룹 FT아일랜드 (최종훈  · 이홍기  · 이재진  · 최민환  · 송승현) 씨엔블루 (정용화  · 이종현  · 강민혁  · 이정신) AOA (지민  · 유나  · 유경  · 혜정  · 설현  · 찬미) 엔플라잉 (이승협  · 권광진  · 차훈  · 김재현  · 유회승) SF9 (영빈  · 인성  · 재윤  · 다원  · 로운  · 주호  · 태양  · 휘영  · 찬희) 허니스트 (김철민  · 김환  · 서동성  · 오승석) 체리블렛 (해윤  · 유주  · 미래  · 보라  · 지원  · 코코로  · 레미  · 채린  · 린린  · 메이) 현재 솔로 초아 과거 그룹 M시그널 (견우  · 전근화) AOA (유경  · 초아  · 민아) 과거 솔로 주니엘 오원빈 이노베이터 배우현재 배우 박광현 이동건 정진영 윤진서 조재윤 성혁 김원희 곽동연 정해인 박두식 정우 정유진 과거 배우 이다해 이한나 이엘리야 김민서 정혜성 희극인현재 희극인 송은이 이국주 문세윤 정형돈 유재석 노홍철 김용만 이세영 과거 희극인 지석진 방송인 조우종 문지애 드라마 PD신우철관련 방송 미남이시네요 (SBS, 2009) 넌 내게 반했어 (MBC, 2011) 상속자들 (SBS, 2013) 청담동 111 (tvN, 2013 ~ 2014) 백년의 신부 (TV조선, 2014) 학교 2015 (KBS, 2015) 언니는 살아있다 (SBS, 2017) 달콤한 원수 (SBS, 2017) 황후의 품격 (sbs, 2018) 관련 항목 FNC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전거 통제 VIAF: 271957935 ISNI: 0000 0004 2657 543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진서&oldid=24036064" 분류: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8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서울구일초등학교 동문신서중학교 동문양천여자고등학교 동문FNC 엔터테인먼트 소속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Polski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5일 (월) 14: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항성 질량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항성 질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항성 질량은 천문학자들이 어떤 항성의 질량을 표시할 때 쓰는 용어이다. 보통 ‘태양질량(M☉)의 몇 배’ 형식으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시리우스의 질량은 2.02 M☉으로 표시한다.[1] 어떤 항성의 질량은 생애주기동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 내부적 원인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면 짝별로부터 물질을 흡수하면 질량은 늘어나며, 항성풍이나 맥동으로 물질을 뿜어내면 질량은 줄어든다. 목차 1 속성 2 범위 3 질량 변화 4 참고 문헌 속성[편집] 항성은 보통 태어났을 때의 질량에 따라 그 운명이 결정되므로 질량 정도에 기준하여 항성의 종류를 나눈다. 태양질량 0.5배 이하의 별은 ‘질량이 매우 작은 별’로 점근거성가지(AGB)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장 백색 왜성이 된다. ‘질량이 작은 별’은 태양 질량 1.8~2.2배(구성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경계가 없다.)보다 작은 항성들로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들어가며 여기서 축퇴하는 헬륨핵을 만든다. ‘중간질량 항성’은 태양질량의 7~10배 이하 항성들로, 헬륨융합 작용으로 축퇴하는 탄소-산소 핵을 만든다. ‘무거운 항성’은 최소 태양질량의 5~6배, 크게는 7~10배 이상의 항성으로 이런 별은 탄소 융합작용을 거쳐 중심핵이 붕괴된 뒤 초신성 폭발로 생을 끝마친다.[2] 이런 거대한 천체는 죽은 뒤에 중심부에 항성질량 블랙홀을 남긴다. 항성의 반지름과 질량으로부터 표면중력이 결정된다. 거대한 별 표면의 중력은 주계열 단계 항성에 비해 매우 작으며 반대로 백색왜성 등 밀집성은 주계열성보다 막대하게 표면중력이 크다. 표면중력은 항성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끼치며, 중력이 높을수록 흡수선의 폭은 넓어진다.[3] 범위[편집] 용골자리 에타는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 중 아주 무거운 집단에 속하는 별로, 질량은 대충 태양의 100~150배로 추측된다.[4] 에타별의 생애는 매우 짧아 수백만 년에 불과하다. 아치스 성단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시대 우주에서 항성이 지니는 질량상한은 태양의 150배라고 한다.[5] 한계수치가 왜 이 값인지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어떤 별이 가스를 우주로 날려버리지 않으면서 가장 밝게 빛날 수 있는 한계를 에딩턴 광도로 표시하는데 이 법칙이 한계질량에 대해 일부 해답을 주고 있다. 다만 성단 RMC 136a에 있는 R136a1의 질량이 태양의 265배임이 최근 밝혀져 에딩턴 한계의 신빙성에 의문을 던졌다.[6] 여기에 대해 한 연구에 따르면 RMC 136a 내 질량 150배보다 큰 천체는 한계질량 가까운 쌍성 두 개가 합쳐져 생긴 것이라 하여, 기존의 질량이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했다.[7] 빅 뱅 이후 처음 탄생한 태초의 항성 질량은 지금보다 훨씬 커 최대 태양의 300배 이상이었으리라 추측되는데,[8] 그 이유는 리튬보다 무거운 원소가 당시 항성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질량이 무거운만큼 이 별들(항성종족 III)은 빠르게 죽었고 지금은 단지 이론상의 천체일 뿐이다. 반대로 황새치자리 AB A의 짝별 황새치자리 AB C의 질량은 목성의 93배에 불과한데 이는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우는 주계열 별 중 가장 가벼운 값이다.[9] 항성의 중원소함량이 태양과 비슷할 경우 가질 수 있는 최솟값은 대략 목성의 75배 정도이다.[10][11] 그러나 항성에 있는 중원소의 양이 극도로 적을 경우 최솟값은 좀 더 올라가서 태양의 8.3% 또는 목성의 87배 정도가 된다.[11][12] 이보다 작은 천체를 갈색 왜성이라고 하며, 가스 행성과 항성 사이의 회색지대를 차지한다. 질량 변화[편집] 지금도 태양은 전자기 에너지를 태양풍 형태 물질로 우주공간에 뿜으면서 질량을 조금씩 잃고 있다. 그 비율은 매년 약 2~3×10^-14 M☉이다.[13] 태양이 적색거성 단계에 들어서면 물질은 더욱 빠른 속도로 태양을 탈출할 것이며 그 속도는 진화단계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에 이를 때 1년에 7~9×10^−14 M☉이 될 것이며, 점근거성가지 단계에서는 10−6 M☉까지 올라가고, 태양이 죽음을 맞아 행성상성운이 되었을 때에는 10−5 ~ 10−4 M☉으로 가장 빠른 속도로 질량을 우주에 뿌릴 것이다. 이렇게 태양이 백색 왜성이 되기 전까지 우주에 내보내는 질량은 초기질량의 46%에 이른다.[14] 참고 문헌[편집] ↑ Liebert, J.; 외. (2005), “The Age and Progenitor Mass of Sirius B”, 《The Astrophysical Journal》 630 (1): L69–L72, Bibcode:2005ApJ...630L..69L, arXiv:astro-ph/0507523, doi:10.1086/462419.  ↑ Kwok, Sun (2000), 《The origin and evolution of planetary nebulae》, Cambridge astrophysics series 3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104쪽, ISBN 0-521-62313-8.  ↑ Unsöld, Albrecht (2001), 《The New Cosmos》 5판, New York: Springer, 180–185, 215–216쪽, ISBN 3540678778.  ↑ Smith, Nathan (1998), “The Behemoth Eta Carinae: A Repeat Offender”, 《Mercury Magazin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27: 20,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NASA's Hubble Weighs in on the Heaviest Stars in the Galaxy》, NASA News, 2005년 3월 3일, 2006년 8월 4일에 확인함.  ↑ 《Stars Just Got Bigger》,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0년 7월 21일, 2010년 7월 24일에 확인함.  ↑ LiveScience.com, "Mystery of the 'Monster Stars' Solved: It Was a Monster Mash", Natalie Wolchover, 2012-08-07 ↑ 《Ferreting Out The First Stars》, Harvard-Smiths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2005년 9월 22일, 2006년 9월 5일에 확인함.  ↑ 《Weighing the Smallest Stars》, ESO, 2005년 1월 1일, 200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Boss, Alan (2001년 4월 3일), 《Are They Planets or What?》,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2006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6월 8일에 확인함.  ↑ 가 나 Shiga, David (2006년 8월 17일), 《Mass cut-off between stars and brown dwarfs revealed》, New Scientist, 2006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3일에 확인함.  ↑ 《Hubble glimpses faintest stars》, BBC, 2006년 8월 18일, 2006년 8월 22일에 확인함.  ↑ Carroll, Bradley W.; Ostlie, Dale A. (1995), 《An Introduction to Modern Astrophysics》 revis 2판, Benjamin Cummings, 409쪽, ISBN 0201547309.  ↑ Schröder, K.-P.; Connon Smith, Robert (2008), “Distant future of the Sun and Earth revisited”,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6 (1): 155–163, Bibcode:2008MNRAS.386..155S, arXiv:0801.4031, doi:10.1111/j.1365-2966.2008.13022.x  vdeh항성진화 항성 형성 전주계열성 주계열성 수평거성 점근거성 끌어올림 불안정띠 레드클럼프 행성상성운 원시 행성계 원반 밝은 청색변광성 볼프-레이에별 신성 의사 초신성 초신성 극초신성 색등급도 원시별 분자운 보크구상체 젊은 항성체 허빅-아로천체 하야시 경로 하야시 한계 헤니에이 경로 황소자리 T형 항성 허빅 Ae/Be 별 종류 준왜성 (B형) 왜성 (청색 주황색 적색 황색) 준거성 거성 (청색 적색) 밝은 거성 초거성 (청색 적색 황색) 극대거성 (황색) 청색 낙오성 껍질별 특이별 (Ap/Bp 별 바륨별 탄소별 CH 별 수은-망가니즈 별 Am 별 S형 별) 테크네튬 별 변광성 (불규칙 반규칙 오리온) 잔해 백색왜성 (흑색왜성) 중성자별 (펄서 마그네타) 항성질량 블랙홀 밀집성 쿼크별 프레온 별 Q별 퍼즈볼 보손 별 그라바스타 암흑 에너지 별 검은 별 약전자기별 자기권 연속적 붕괴 천체 암흑물질성 이론적인 별 암흑물질성 쿼시 별 손-지트코프 천체 아이언 스타 중간 단계 갈색왜성 준갈색왜성 떠돌이 행성 구조 핵 대류층 복사층 광구 흑점 채층 코로나 태양풍 (거품) 성진학 에딩턴 한계 핵합성 알파 반응 삼중 알파 과정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헬륨섬광 CNO 순환 탄소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 산소 연소 과정 규소 연소 과정 S-과정 R-과정 특성 항성 분류 항성 명칭 항성 역학 유효온도 항성운동학 (고유운동 시선속도) 항성 자기장 등급 (절대등급 겉보기등급 사진등급) 질량 반지름 광도 금속함량 미소난류 행성계 항성 자전 항성계 (쌍성 다중성 접촉쌍성) UBV 측광계 항성 목록 별자리별 질량이 큰 별 질량이 작은 별 반지름이 큰 별 밝게 보이는 별 광도가 큰 별 가까운 별 갈색왜성 항성 천문학 연대표 항성목록 헨리 드레이퍼 목록 히파르코스 목록 고전역학 뉴턴의 블랙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항성_질량&oldid=16066010" 분류: 항성천문학항성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EnglishРусский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3월 24일 (목) 22: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11월 11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월 11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1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5번째(윤년일 경우 316번째) 날에 해당한다. 10월 - 11월 - 12월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2019년 기준모두 보기 11월 11일 2044년: 금요일 2043년: 수요일 2042년: 화요일 2041년: 월요일 2040년: 일요일 2039년: 금요일 2038년: 목요일 2037년: 수요일 2036년: 화요일 2035년: 일요일 2034년: 토요일 2033년: 금요일 2032년: 목요일 2031년: 화요일 2030년: 월요일 2029년: 일요일 2028년: 토요일 2027년: 목요일 2026년: 수요일 2025년: 화요일 2024년: 월요일 2023년: 토요일 2022년: 금요일 2021년: 목요일 2020년: 수요일 2019년: 월요일 2018년: 일요일 2017년: 토요일 2016년: 금요일 2015년: 수요일 2014년: 화요일 2013년: 월요일 2012년: 일요일 2011년: 금요일 2010년: 목요일 2009년: 수요일 2008년: 화요일 2007년: 일요일 2006년: 토요일 2005년: 금요일 2004년: 목요일 2003년: 화요일 2002년: 월요일 2001년: 일요일 2000년: 토요일 1999년: 목요일 1998년: 수요일 1997년: 화요일 1996년: 월요일 1995년: 토요일 목차 1 사건 2 문화 3 탄생 4 사망 5 기념일 6 관련 항목 사건[편집] 1889년 - 워싱턴 준주가 워싱턴주로 승격 1918년 - 제1차 세계 대전 종료 1931년 - 영국 연방 수립 1942년 - 독일 및 이탈리아군 안톤 작전 개시. 비시 프랑스를 무력으로 점령. 1945년 - 대한민국 해군의 모태가 되는 해방병단이 결성되다. 1960년 - 대한민국 총리 장면에 의해 대한민국의 정보기관인 중앙정보연구위원회(국정원의 전신)가 조직되다. 1975년 - 앙골라가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하다. 1977년 - 이리역 폭발사고가 일어나다. 1981년 - 앤티가 바부다가 유엔에 회원국으로 가입하다. 2003년 - 열린우리당이 창당하다. 2010년 - 제5차 서울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다. 2014년 - 포르투갈에서 레지오넬라증의 유행으로 278명이 감염되고 5명이 사망했다. 문화[편집] 1675년 - 라이프니츠가 y = f(x)의 그래프 아래의 면적을 계산하는데 처음으로 적분 계산법을 도입하다. 1911년 - 가나의 축구 클럽인 하츠 오브 오크가 창단되다. 1991년 - 서울지방항공청이 발족하다. 2001년 - 도전! 골든벨이 KBS 1TV에서 방송시간을 변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2년 - 제4대 천주교 마산교구장으로 안명옥 주교가 착좌하였다. 2005년 - 전라남도청이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신도시로 이전함. 대한민국 춘포역이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역사로서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011년 - KBS 2TV의 금요 시츄에이션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시즌 2)'이 시즌 1을 시청했던 수 많은 시청자들의 요구에 따라 2년 7개월간의 공백을 깨고 다시 부활되었다. 2014년 - KBO 리그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삼성 라이온즈가 넥센 히어로즈를 11대 1로 꺾고 시리즈 전적 4승 2패로 사상 첫 한국시리즈 4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2016년 -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2018년 -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100주년을 맞아 전 세계 70여 개국 정상들이 참가한 가운데 프랑스 파리 개선문과 샹젤리제 거리 일대에서 종전 10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탄생[편집] 1050년 - 신성로마제국 하인리히 4세 1657년 - 오스트리아의 장군 구이도 슈타렘베르크 1821년 - 러시아의 소설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1863년 - 프랑스의 화가 폴 시냐크 1875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참모총장 콘라트 폰 횟첸도르프 1864년 - 프랑스의 소설가 모리스 르블랑 1864년 - 오스트리아의 평화주의자 알프레트 헤르만 프리트 1869년 - 이탈리아 왕국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1882년 -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1885년 - 미국의 장군 조지 S. 패튼. 1922년 - 미국 소설가 커트 보네거트 1941년 - 대한민국의 배우 태현실. 1945년 - 니카라과의 대통령, 혁명 지도자 다니엘 오르테가 1952년 - 일본의 가수 요시 이쿠조 1955년 - 부탄의 군주 지미 싱게 왕축 1962년 - 미국의 배우 데미 무어 1962년 - 대한민국의 배우 최명길. 1968년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영하 1972년 - 미국의 야구 선수 다니엘 리오스 1972년 -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이상민 1973년 - 미국의 가수,기타리스트 제이슨 화이트 1974년 - 미국 영화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1977년 - 포르투갈의 축구 선수 마니시 1983년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김치우 1983년 - 일본의 영화 배우, 모델 아오이 소라 1983년 - 독일의 축구 선수 필리프 람 1983년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 김혜선 1987년 - 일본의 가수 테고시 유야 1988년 -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이성혜 1989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한희 1989년 - 일본의 가수 다나카 레이나 (모닝구무스메) 1989년 -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애덤 리펀 1990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한가빈 1992년 - 대한민국의 가수 최민환 (FT아일랜드). 1994년 - 대한민국의 가수 해령 (베스티). 1995년 - 대한민국의 래퍼 쿤 (업텐션). 1998년 - 대한민국의 아역배우 오재무 사망[편집] 1751년 - 프랑스의 철학자 쥘리앵 오프루아 드 라메트리. 1855년 - 덴마크의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 1917년 - 하와이 왕국의 여왕 릴리우오칼라니. 1958년 - 프랑스의 영화평론가 앙드레 바쟁. 1982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행자. 1984년 - 미국의 인권 운동가 마틴 루터 킹 1세. 2004년 - 팔레스타인의 정치가 야세르 아라파트. 2007년 - 미국의 영화감독 델버트 만. 2010년 - 대한민국의 모델이자 배우 유동숙. 2016년 - 미국의 배우 로버트 본. 2018년 - 일본의 정치인 소노다 히로유키. 기념일[편집] 농업인의 날 - 대한민국 보행자의 날 - 대한민국 광고의 날 - 대한민국 눈의 날 - 대한민국, 대한안과학회 지체장애인의 날 - 대한민국,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식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주관 정부기념행사) 및 6·25전쟁에 참전한 21개국 빼빼로 데이 - 대한민국 앙골라 독립기념일 - 앙골라 영령 기념일 - 영연방 국가의 현충일 미국: 재향군인의 날 - 과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기념일이었으나 1954년 5월 24일 아이젠하워 대통령에 의해 모든 전쟁의 재향군인의 날(Veterans day)로 바뀌게 됨 광군절(독신자의 날) 레일데이 - 대한민국 독립기념일 - 폴란드 관련 항목[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1월 11일 전날: 11월 10일 다음날: 11월 12일 - 전달: 10월 11일 다음달: 12월 11일 음력: 11월 11일 모두 보기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1월_11일&oldid=23910551" 분류: 11월 11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অসমীয়াAsturianuАвар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Kaszëbsczi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ދިވެހިބަސް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ArpetanFurlanFryskGaeilgeGagauz贛語GàidhligGalegoBahasa Hulontaloગુજરાતી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gbo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alaallisutಕನ್ನಡКъарачай-малкъарRipoarischKurdîКоми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NāhuatlNapulitan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vialNouormand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ଓଡ଼ିଆਪੰਜਾਬੀPangasinanKapampangan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Setswana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дмурт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alonWinarayХальмг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VahcuenghZeêuws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22: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은 KBS 제1라디오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다. 진행자는 홍소연 아나운서이며, 방송시간은 평일 오전 11시 10분부터 오전 11시 40분까지이다. 목차 1 코너 1.1 매일 코너 1.2 요일별 코너 2 지역 자체 프로그램 3 외부 링크 코너[편집] 매일 코너[편집] 핫클릭! 설왕설래(정영진, 유승찬) 요일별 코너[편집] (월) 빅퀴즈! 답이 보인다/빅데이터 인사이드 (화) 마음을 읽으면 트렌트가 보인다/앱속으로 들어온 빅데이터 (수) 빅퀴즈! 답이 보인다/돈이보이는 빅데이터 (목) 트렌드 차이나/빅데이터는 승부사 (금) 이곳으로 떠나볼까/이것이 궁금하다 지역 자체 프로그램[편집] 다음 지역 프로그램은 자체 캠페인이 끝난뒤 오전 11시 11분에 방송된다. 안동, 포항, 울산은 개별로 자체제작을 하지않고, 대구, 부산의 자사프로그램을 송출한다. 춘천, 대전, 전주, 창원은 자체방송을 하지 않는다. 방송국 지역 타이틀명 진행자 KBS원주 영서남부 라디오에 물어보세요 유연배 KBS충주 충북북부 92.1 여기는 라디오 충주입니다 김경희 KBS청주 충북남부 생생충북 김보경 KBS대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생생 매거진 오늘 손지민 KBS부산KBS울산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라디오정보센터 차경애 KBS광주 광주광역시전라남도중북부전라북도 라디오정보시대 박재효 KBS목포KBS순천 전남서남지방전남동부지방 라디오상담실 김석훈최명순 KBS진주 경상남도 지금은 정보시대 김미균 KBS제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오늘 고새롬 외부 링크[편집] KBS 제1라디오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공식 홈페이지 KBS 1라디오 평일 프로그램 이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다음 라디오 주치의 신성원입니다 와이파이 삼국지 백은하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KBS춘천 1라디오 평일 프로그램 이전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 다음 라디오 주치의 신성원입니다 와이파이 삼국지 백은하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빅데이터로_보는_세상&oldid=24444328"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8일 (화) 1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호찌민 지하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찌민 지하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찌민 지하철Đường sắt đô th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정보종류 지하철국가 베트남운행 지역 호찌민 시소유자 도시철도국노선 수 1 (건설중)9 (계획중) 운영개업일 2020[1]시설총 영업거리 173km궤간 1,435mm최고속도 80 km/h노선도 호찌민 지하철(베트남어: Đường sắt đô thị Thành phố Hồ Chí Minh / 塘鐵都市城舖胡志明)은 베트남 호찌민 시가 운영을 계획하고 있는 미개통된 지하철 망이다. 이 망은 2001년에 심한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종합 대중교통 망 계획의 일부로 호찌민과 이웃하는 성을 포함하여 처음 제안되었다.[2][3] 현재 대부분의 망이 기획 단계에 있으며 기금이 마련됨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연결하는 망 중에 9군에 있는 벤탄 시장과 수오이티엔을 연결하는 1호선은 원래 2017년 말이나 2018년에 완공할 예정이었지만,[4][5], 이후 2020년까지 연기되었다.[1] 2호선의 건설은 2010년 8월에 시작되었다.[6] 목차 1 현재 계획 2 2007년 개정 계획 2.1 1호선 2.2 2호선 2.3 3호선 2.4 4호선 2.5 5~6호선 2.6 기타 노선 3 각주 4 외부 링크 현재 계획[편집] 최종 계획인 2013년 4월 8일 결의안 No. 568/QĐ-TTg에 의해 승인되었다.[7] 그 계획에 의하면 호찌민 시 도시 철도 체계는 다음과 같다.[8] 2013년 마스터 플랜 노선 연장 (km) 역 경로 참고  1  19.7 14 벤탄 시장-수오이띠엔 놀이공원 건설중[9] 비엔호아나 빈즈엉 성까지 연장 가능  2  48 ? 꾸찌 현 -떠이닌 버스역- 탐르엉 - 벤타인 - 투티엠 1단계: 벤타인 - 탐르엉 (11개 역이 건설중)[10]  3A  19.8 ? 벤탄 - 꽁호아 환승역[nb 1] - 떤끼엔 떤안까지 확장 가능  3B  12.1 ? 꽁호아 환승역- 티응헤 - 빈프억 환승역[nb 2] 투쩌우못까지 확장 가능, 빈즈엉 지하철과 연결  4  36.2 ? 탄쑤언 - 푸뉴언 환승역 - 벤타인 - 히엡프억  4B  5.2 ? 쟈딘 공원 (4호선) - 탄손나트 국제공항 - 랑짜카 (5호선) 1단계: 탄손나트 국제공항 - 랑짜카[11]  5  26 ? 껀지우옥 버스역 - 버이히엔 - 할짜까 - 사이공 교 1단계: 바이히엔-사이공 교[12]  6  5.6 ? 바께오 환승역- 푸럼 환승역 2013년 계획에서는 트램과 모노레일 노선도 들어가 있다. 2013년 마스터 플랜 노선 연장 (km) 역 경로 참조 트램 1 12.8 ? 바손 (1호선) - 보반끼엣 - 리치우호앙 - 현재의 서부버스역 (벤쎄미엔 떠이) 빈꿔이까지 연장 가능 모노레일 2 27.2 ? 50번 국도 - 쑤언트이 (2군) - 빈꿔이 모노레일 3 16.5 ? 응우옌 오안과 판반찌 환승- 꽝쭝 소프트웨어 파크 - 떤짜인히엡 철도역 2007년 개정 계획[편집] 호치민 지하철 프로젝트는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의 의장 직속 정부 조직인 도시철도 관리국(MAUR)이 관리한다.[13] 이 조직이 내놓은 2007년 계획에는 적어도 6개의 도시철도가 필요하다. 이 도시 교통 개발 마스터플랜은 2020년까지 총 길이 37km의 모노레일 또는 경전철 노선 3개를 개발하고 총 길이 107km인 지하철 6개를 개발할 계획이다.[14] 이미 버스 교통의 주요 허브인 1군에 있는 벤탄 시장은 여러 노선을 연결하는 주요 허브가 될 것이다. 2007 마스터플랜[15] 노선 연장 (km)   역  경로  1  19.7 14 벤탄 시장–수오이띠엔 놀이공원, 9군  2  11.3[16] 11 벤탄 시장–탐르엉, 12군  3  10.4 ? 벤탄 시장–빈떤  4  16 ? 랑짜까, 떤빈–반타인 공원, 빈타인 군  5  17 ? 투티엠, 2군–껀지으억, 8군  6  6 ? 바께오 떤빈–푸람, 6군 1호선[편집] 1호선 예상도 2007년 4월 10일, 호찌민 시 정부는 11억 달러의 1호선을 승인했다. 벤탄 시장에서 19.7km를 운행하다가, 지하로 오페라 하우스, 바쏜 조선소 구간 2.6km 달리다가, 사이공 강을 건너 지상으로 수오이 띠엔 공원으로 가며 2군을 통과하여, 9군의 롱빈에서 종착역까지 이어진다. 모두 1호선에는 14개의 역이 있으며 그 중 벤탄, 오페라 하우스, 바쏜 3개 역은 지하에 역이 만들어지게 된다.[15] 2800만 달러의 비용이 소요되는 1호선 롱빈 구간 작업은 2008년 2월 21일에 시작되었다.[17][18] 사이공 강 동쪽에서 지상으로 올라가는 부분의 건설은 2012년 8월에 시작되었다.[19] 2호선[편집] 2호선 예상도 미국 달러로 $1.2억이 소요되는 2호선에 대한 계획은 MVA 아시아 사에 의해 2008년 11월에 제안되었고[20], 2008년 12월에 정부에 의해 승인을 받았다. 2호선은 벤탄 시장과 12군의 탐르옹 사이에 11개의 역을 포함할 것이다. 팜홍타이, 깍망탕탐, 쯔엉찐 거리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이어진다. 주요 구간의 총 길이 11.3km 중 9.6km가 지하로 연결된다.[16] 탄손나트 국제공항 근처의 쯔엉찐(떠이닌 버스 정류장), 사이공 역 근처의 호아헝이 주요역으로 포함될 것이다. 벤탄 시장의 동쪽에서 투티엠 신도시로 확장된 2호선은 원래 MVA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확장은 노선의 전체 길이는 19km가 될 것이다.[4][21] 이 프로젝트의 예상 비용은 독일재건은행, 아시아개발은행과 유럽​​투자은행에 의해 지원될 것이다.[4][22] 2008년 2월 독일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8,600만 유로를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건설은 공식적으로 2010년 8월에 시작하여[6], 2020년에 개장을 위해 25 헥타르 넓은 탐 루옹 창고로 시작할 것이다.[23] 3호선[편집] 지하철 3호선은 동쪽으로 벤탄 시장과 서쪽으로 빈탄 군의 안락[15]과의 사이와 촐롱(차이나타운)으로 알려져 있는 5군, 6군을 사이를 통과한다. 시 인민위원회가 자금 펀딩과 지원을 위해 프랑스 정부와 얘기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3호선에 대해서는 다른 노선보다 세부 사항이 더 잘 알려져 있지 않다.[24]확정은 되지 않았지만, 2006년 문서를 보면 가능한 3호선의 확장노선을 벤탄 시장의 북쪽에서 트득 군까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21] 4호선[편집] 스페인 컨설팅 회사인 Ardanuy Ingenieria는 2009년 10월 6일, 4호선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제공하기로 계약을 맺었다.[15] 이 노선은 떤빈 군(탄손나트 국제공항 근처)의 랑짜까 교차로에서 빈타인 군의 반타인 공원까지 16km를 확장된다. 5~6호선[편집] 2009년 4월 4일, 스페인의 IDOM, Ingeniería, Arquitectura y Consultoría SA는 5호선(2군 투티엠에서 8군 껀지윽까지 20km 구간)과 6호선(떤빈 군의 바께오에서 6군의 푸람까지 6km 구간) 구간에 대해 호찌민 도시 철도와 계약을 체결했다. 연구는 12개월 이내에 완료되어야 한다.[25] 기타 노선[편집] 중국 상하이 대외 경제 기술 합작 회사(Sfeco)는 고법 군과 4군 사이의 응우옌 오안 – 응우옌 반린 지하철 노선 12km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다.[26] 2006년 문서는 그 노선을 탄손나트 국제공항에 연결하는 보조 회선과 나베 현에 대한 남쪽 확장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21] 각주[편집] ↑ 가 나 “Ho Chi Minh City selects underground contractors”.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4년 7월 26일. 2015년 4월 25일에 확인함.  ↑ Robert Schwandl (2007). “Ho Chi Minh City Metro”. 《UrbanRail.net》. 2010년 5월 26일에 확인함.  ↑ “Ho Chi Minh City plans to build a metro network”.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02년 5월 1일. 2010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The work begins: HCM City to have first subway in 2014”. 《VietnamNet Bridge》. 2010년 4월 30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Work starts on Ho Chi Minh City metro line”.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4 August 2010. 28 August 201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Ceremony launches work on Ho Chin Minh City metro Line 2”.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0년 8월 25일.  ↑ “Decision 568/QĐ-TTg”. 《Thu Vien Phap Luat》.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Master plan of urban railways system”. 《MAUR》 (영어). 2017년 4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 HCM khởi công ga ngầm metro Bến Thành”.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HCM khởi công tuyến tàu điện ngầm số 2”.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5 tuyến metro của TP HCM đang triển khai đến đâu?”.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TPHCM: Tuyến metro số 2 và 5 đủ vốn vẫn chưa thể khởi công”. 2017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5일에 확인함.  ↑ “Overview of Management Authority for Urban Railways”. 2012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 M.Vong (2007년 4월 10일). “Vietnam to build first subway with Japanese ai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호치민 지하철”. 《Railway-Technology.com》.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City sets to start construction of metro route No.2”. 《Thanh Nien》 (Sai Gon Giai Phong). 2010년 6월 2일. 2010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10일에 확인함.  ↑ “Ho Chi Minh City breaks ground”.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년 2월 28일. 201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Duc Trung (2008년 2월 18일). “Vietnam’s first subway line ready to break ground”. 《Thanh Nien》.  ↑ “Work starts on Ho Chin Minh City metro Line 1”.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2년 8월 31일.  ↑ Dinh Muoi (2008년 11월 30일). “Plans for HCMC's second metro route submitte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MVA Asia Ltd (October 2006). “Preparing the Ho Chi Minh City Metro Rail System Project: Technical Assistance Reports” (PDF). 아시아개발은행. 4쪽. 2010년 6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10일에 확인함.  ↑ Dinh Muoi (2008년 12월 11일). “HCMC's subway route No.2 approved”.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theaveasia (2015년 1월 20일). “Construction work starts on Metro Line No. 2 in Ho Chi Minh City”. 《AveAsia》. 2016년 6월 17일에 확인함.  ↑ Tran Tam (2009년 6월 12일). “City seeks French support for metro project”.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Minh Quang (2009년 4월 7일). “Spanish firm signs metro deal”. 《Thanh Nien》.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 “China investor likely to replace Russian firms in subway project”. 《The SGT Daily》. October 2006. 2011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14일에 확인함.  내용주 ↑ Cộng Hoà 환승역은 베트남어로 "Ngã sáu Cộng Hoà", junction of Nguyễn Văn Cừ Blv. Trần Phú, Lý Thái Tổ, Hùng Vương, Nguyễn Thị Minh Khai, Phạm Viết Chánh ↑ 빈프억 환승역 또는 베트남어로 "Ngã tư Bình Phước"는 NH1A와 NH13의 환승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찌민 지하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Management Authority for Urban Railways An updated map of the future Saigon Metro Ho Chi Minh at UrbanRail.net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찌민_지하철&oldid=24201585" 분류: 호찌민시의 교통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영어 인용 (en)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anskEnglishFrançais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Svensk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8: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Jorge Mario Pedro Vargas Llosa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2010년) 출생 1936년 3월 28일(1936-03-28) (83세)페루 아레키파 직업 작가, 정치인, 언론인, 수필가 국적 페루, 스페인 모교 산마르코스 국립 대학교 (Universidad Nacional Mayor de San Marcos),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박사 수상내역 세르반테스 문학상(1994년) 노벨 문학상(2010년) 배우자 훌리아 우르키디 (1955–1964)패트리샤 요사(Patricia Llosa) (1965–2016) 자녀 알바로 바르가스 요사곤살로 바르가스 요사모르가나 바르가스 요사 웹사이트 http://www.mvargasllosa.com 제1대 바르가스 요사 후작 호르헤 마리오 페드로 바르가스 요사(스페인어: Jorge Mario Pedro Vargas Llosa, I marqués de Vargas Llosa, 1936년 3월 28일 ~ )는 페루의 작가, 정치인, 언론인, 수필가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중요한 소설가와 수필가 중 한 사람이며, 라틴 아메리카의 붐 세대를 이끌어 가는 작가 중 한 사람이다.[1] 2010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바르가스 요사는 1960년대에 명성을 얻었다. 그 시절에 그는 "《도시와 개들》"(La ciudad y los perros, The City and the Dogs, 1963/1966)[2]), "《녹색의 집》"(La casa verde, 1965/1968), 기념비적인 작품인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Conversación en la catedral, 1969/1975) 등을 발표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지만 알베르토 후지모리 후보에 패했다. 2011년 2월 3일 스페인의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칙령 134/2011호에 의해 그를 후작으로 봉작하였다.[3] 목차 1 노벨 문학상 수상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3 장르 및 연도 별 작품 목록 3.1 소설 4 각주 5 외부 링크 노벨 문학상 수상[편집] 2010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았는데 스웨덴 한림원은 바르가스 요사를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그의 권력 구조 지도와 개인의 저항, 반란, 패배에 대한 그의 강력한 이미지들 때문에 이 상을 드립니다.[4]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편집] 바르가스 요사의 작품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양가적 측면을 모두 보인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규범적 범주의 규정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케이스 부커(M. Keith Booker)는 바르가스 요사의 초기작만큼은 분명히 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초기작들은 일반적으로 ‘모더니즘적 특징’이라고 알려져 있는 요소들을 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르가스 요사의 후기작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 성향을 보인다. 이러한 작품들은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작품의 일반적 특징에 따라 매우 가볍고, 익살스러우며, 우스운 어조, 포스트모더니즘적 인물설정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장르 및 연도 별 작품 목록[편집] 소설[편집] 괄호 안의 년도는 해당 작품이 한국어로 번역된 첫 해. 1959 – Los jefes (두목들) 1963 – La ciudad y los perros (도시와 개들) 1966 – La casa verde (『녹색의 집』, 1986) 1969 – Conversación en la catedral (카테드랄 주점에서의 대화) 1973 – Pantaleón y las visitadoras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2009) 1977 – La tía Julia y el escribidor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2009) 1981 – La guerra del fin del mundo (『세상 종말 전쟁』, 2003) 1987 – El hablador (허풍쟁이) 1988 – Elogio de la madrastra (『새엄마 찬양』, 2010) 1993 – Lituma en los Andes (안데스의 리투마) 1997 – Los cuadernos de don Rigoberto (『리고베르토씨의 비밀노트』, 2004) 2000 – La fiesta del chivo (『염소의 축제』, 2010) 2003 – El paraíso en la otra esquina (『천국은 다른 곳에』, 2010) 2006 – Travesuras de la niña mala (『나쁜 소녀의 짓궂음』, 2011) 2010 – El sueño del celta(켈트족의 꿈) 각주[편집] ↑ Boland & Harvey 1988, 7쪽 과 Cevallos 1991, 272쪽 ↑ 첫 번째 연도는 원래 출판연도이며 두 번째 연도는 영어판 출간연도임. ↑ “Real Decreto 134/2011, de 3 de febrero, por el que se concede el título de Marqués de Vargas Llosa a don Jorge Mario Vargas Llosa.” (pdf) (스페인어). Boletín Oficial del Estado.  ↑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10”. Nobelprize. 2010년 10월 7일. 2010년 10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문학 포털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월드캣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가디언 (영어)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뉴욕 타임스 vdeh 노벨 문학상 수상자경제학상 | 문학상 | 물리학상 | 생리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1901-1925 1901: 프뤼돔 1902: 몸젠 1903: 비에른손 1904: 미스트랄 / 에체가라이 1905: 시엔키에비치 1906: 카르두치 1907: 키플링 1908: 오이켄 1909: 라겔뢰프 1910: 폰 하이제 1911: 마테를링크 1912: 하웁트만 1913: 타고르 1915: 롤랑 1916: 폰 헤이덴스탐 1917: 기엘레루프 / 폰토피단 1919: 슈피텔러 1920: 함순 1921: 프랑스 1922: 베나벤테 1923: 예이츠 1924: 레이몬트 1925: 쇼 1926-1950 1926: 델레다 1927: 베르그손 1928: 운세트 1929: 만 1930: 루이스 1931: 카를펠트 1932: 골즈워디 1933: 부닌 1934: 피란델로 1936: 오닐 1937: 마르탱뒤가르 1938: 벅 1939: 실란패 1944: 옌센 1945: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1946: 헤세 1947: 지드 1948: 엘리엇 1949: 포크너 1950: 러셀 1951-1975 1951: 라게르크비스트 1952: 모리아크 1953: 처칠 1954: 헤밍웨이 1955: 락스네스 1956: 히메네스 1957: 카뮈 1958: 파스테르나크 1959: 콰시모도 1960: 페르스 1961: 안드리치 1962: 스타인벡 1963: 세페리스 1964: 사르트르 (수상 거부) 1965: 숄로호프 1966: 아그논 / 작스 1967: 아스투리아스 1968: 가와바타 1969: 베케트 1970: 솔제니친 1971: 네루다 1972: 뵐 1973: 화이트 1974: 욘손 / 마르틴손 1975: 몬탈레 1976-2000 1976: 벨로 1977: 알레익산드레 1978: 싱어 1979: 엘리티스 1980: 미워시 1981: 카네티 1982: 마르케스 1983: 골딩 1984: 사이페르트 1985: 시몽 1986: 소잉카 1987: 브로드스키 1988: 마푸즈 1989: 셀라 1990: 파스 1991: 고디머 1992: 월컷 1993: 모리슨 1994: 오에 1995: 히니 1996: 심보르스카 1997: 포 1998: 사라마구 1999: 그라스 2000: 가오싱젠 2001-현재 2001: 나이폴 2002: 임레 2003: 쿠체 2004: 옐리네크 2005: 핀터 2006: 파무크 2007: 레싱 2008: 르클레지오 2009: 뮐러 2010: 요사 2011: 트란스트뢰메르 2012: 모옌 2013: 먼로 2014: 모디아노 2015: 알렉시예비치 2016: 딜런 2017: 이시구로 2019: vdeh←  2010년 노벨상 수상자  →물리학상 안드레 가임 (러시아, 네덜란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러시아, 영국) 화학상 리처드 F. 헥 (미국) 네기시 에이이치 (일본) 스즈키 아키라 (일본) 생리학·의학상 로버트 G. 에드워즈 (영국) 문학상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페루, 스페인) 평화상 류샤오보 (중국) 경제학상 피터 다이아몬드 (미국) 데일 모텐슨 (미국)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 (키프로스, 영국)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2003942 LCCN: n79079153 ISNI: 0000 0001 2278 019X GND: 118803964 SELIBR: 99221 SUDOC: 027177610 BNF: cb11927697t (데이터) BIBSYS: 90054988 NLA: 35577956 NDL: 00459580 NKC: jn19990008739 ICCU: IT\ICCU\CFIV\010589 RLS: 000083043 BNE: XX1064943 CiNii: DA0004805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리오_바르가스_요사&oldid=23389609" 분류: 193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페루의 작가페루의 수필가페루의 소설가노벨 문학상 수상자페루의 노벨상 수상자스페인계 페루인스페인의 후작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동문산마르코스 국립 대학교 동문미겔 데 세르반테스 상 수상자하버드 대학교 교수로마 가톨릭교회 이탈자페루의 극작가페루의 문학 평론가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페루의 무신론자숨은 분류: CS1 - 스페인어 인용 (es)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àidhligGalego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Nāhuatl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31일 (월) 10: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요도도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도도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요도 도노 요도 도노(일본어: 淀殿, 1569년(에이로쿠 12년)경 ~ 1615년(게이쵸 20년) 5월 8일)는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의 여성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측실이다. 요도기미(일본어: 淀君)라고도 불린다. 센고쿠 다이묘인 아자이 나가마사(浅井長政)의 처(妻)이자 오다 노부나가(織田信秀)의 누이동생인 오이치(お市)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로, 본명은 아자이 자차(浅井茶々) 또는 아자이 기쿠코(浅井菊子)이다. 히데요시의 외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豊臣秀頼)의 생모이다. 오사카 전투에서 패하면서 오사카 성(大坂城)에서 아들 히데요리와 그 운명을 함께하였다. 목차 1 생애 1.1 유년기 1.2 혼인 1.3 말년과 사망 2 요도도노가 등장한 작품 3 호칭 4 기타 인물상 및 에피소드 생애[편집] 유년기[편집] 1569년경 아버지 아자이 나가마사의 영지인 오미 국(近江国) 오다니 성(小谷城)에서 출생하였다. 덴쇼(天正) 원년(1573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외숙인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로부터 공격 받고 성을 잃을 때 어머니인 오이치, 동생들인 하쓰(初), 에요(江与)와 함께 후지카케 나가카쓰(藤掛永勝)에 의해 구출되어 목숨을 건졌다. 이 때 아버지인 나가마사와 조부 히사마사(久政)는 자결하였고 가문의 후계자이자 동생인 만보쿠마루(万福丸)는 노부나가의 명령에 의해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의 손에 죽음을 당하였다. 이후 또 다른 외숙인 오다 노부카네(織田信包)에게 거두어져 기요스 성(清洲城)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덴쇼 10년(1582년) 노부나가가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明智光秀)에게 암살당한 뒤, 같은 해 어머니 오이치가 오다 가문의 가신인 시바타 가쓰이에(柴田勝家)와 재혼하면서 가쓰이에의 거성인 에치젠 국(越前国) 기타노쇼 성(北の庄城)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나 이듬해인 덴쇼 11년 (1583년) 양부 가쓰이에는 하시바 히데요시와의 싸움인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패하여 자결하였고, 오이치 또한 남편의 뒤를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히데요시의 보호로 살아남은 자차를 비롯한 세 자매는 이후 오다 나가마스(織田長益)에게 거두어져 아즈치 성(安土城)에 머물렀다. 이 때 아자이 나가마사의 누나로 친고모인 교고쿠 마리아(京極マリア)와의 혈연 관계를 빌어 교고쿠 다쓰코(京極竜子)의 후견을 받았다. 혼인[편집] 덴쇼 16년(158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실이 되었다. 자차가 측실이 된 데에는 자차의 어머니 오이치를 사모하였던 히데요시가 세 자매 중 가장 오이치를 닮은 자차를 선택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듬해인 덴쇼 17년(1589년) 아들 쓰루마쓰(鶴松)를 출산하였다. 아들의 탄생에 기뻐한 히데요시로부터 야마시로 국(山城国) 요도 성(淀城)을 하사받으면서 「요도노 가타(淀の方)」라는 호칭으로 불렸다. 쓰루마쓰는 덴쇼 19년(1591년) 사망하였으나 1593년 차남 히데요리(秀頼)가 태어나면서 후계자 문제는 해결되었다. 히데요리의 후견으로 자신의 유모인 오오쿠라쿄노 쓰보네(大蔵卿局), 오네바노 쓰보네(饗庭局) 등을 중용하여 도요토미 가문 내에서 실권을 쥐었다. 또한 고야 산(高野山) 지묘인(持明院)에 양친의 초상을 모시고 아버지인 나가마사를 비롯한 아자이 일족의 명복을 빌기 위한 요겐인(養源院)을 건립하였다. 말년과 사망[편집] 게이초 5년(1600년) 부교(奉行)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가 다이로(大老)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에 대항하여 군사를 일으키면서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가 발발하였다. 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은 표면적으로 관여하지 않고 관망하는 태도를 유지하였으나 상당수의 직할령을 상실하였다. 이후 에도(江戸)에 노골적으로 무가 정권(武家政権)을 수립하기 시작한 이에야스와 대립하였으나 게이초 20년(1615년) 오사카 전투(大坂の役)에서 완패하면서 아들 히데요리, 가신 오노 하루나가(大野治長) 등과 함께 자결하였다. 묘소는 교토(京都) 히가시야마(東山)의 요겐인(養源院), 오사카(大阪) 다이유지(太融寺)에 위치해 있으나 요도 도노가 실제로 자결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은 없고, 시신 또한 발견되지 않은 탓에 일각에서는 요도도노가 히데요리와 함께 사쓰마(薩摩), 우에노(上野) 등지로 달아났다는 설도 있다. 요도도노가 등장한 작품[편집] 한국 《임진왜란》(MBC, 1985년~1986년, 배우:이혜숙) 《불멸의 이순신》 (KBS, 2004년~2005년, 배우:김혜진) 《징비록》 (KBS, 2015년, 배우:손가영) 《임진왜란 1592》 (KBS, 2016년, 배우:한소연) 일본 《천지인》 (NHK, 2009년, 배우:후카다 쿄코) 《고우~공주들의 전국~》 (NHK, 2011년, 배우:미야자와 리에) 《군사 칸베에》 (NHK, 2014년, 배우:니카이도 후미) 《사나다마루》 (NHK, 2016년, 배우:다케우치 유코) 호칭[편집] 요도도노의 이름은 자차(茶々, 또는 오차お茶) 또는 기쿠코(菊子)로, 생전에 쓰이던 이름은 자차이며 기쿠코는 조정으로부터 내려진 공식적인 이름으로서 문서에 사용된 이름일 뿐 실제로 요도 도노 본인이 사용하였던 이름은 아니다. 요도 도노의 생전에는 머물렀던 거소의 명칭을 따서 요도노 가타(淀の方), 요도노 우에사마(淀之上様), 요도노 뇨보(淀の女房) 혹은 니노 마루도노(二の丸殿), 니시노 마루도노(西の丸殿) 등으로 통용되었다. 히데요시의 사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다이코인(大広院,大康院)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현대에 통용되는 요도 도노(淀殿), 혹은 요도 기미(淀君)라는 호칭은 막상 요도 도노의 생전에는 쓰인 바가 없으며, 모두 에도 시대 이후에 생겨난 호칭이다. 「요도기미(淀君)」라는 호칭이 정착된 것은 메이지 시대, 쓰보우치 쇼요(坪内逍遥)의 유명 희곡인 『기리히토하(桐一葉)』의 상연 이후라는 것이 정설이다. 오와다 테쓰오(小和田哲男), 다나카 타카코(田中貴子) 등의 주장에 따르면 '요도(淀)'라는 이름에 대한 경칭으로 굳이 '기미(君)'를 쓴 것은 당시 유녀, 매춘부 등을 표현할 때 「유군(遊君)」, 「쓰지 기미(辻君)」와 같이 '기미(君)'라는 글자를 자주 사용한 것에서 착안하여 요도 도노에게 악녀, 음부의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인 표현이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기미(君)' 자체는 경칭의 뜻 외에 특별히 안 좋은 의미를 가진 단어는 아니며, 에도 바쿠후 말기에 편찬된 「도쿠가와 바쿠후 가보(徳川幕府家譜)」에 따르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계실인 아사히 히메(朝日姫),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계실 스겐인(崇源院)을 일컬을 때에도 각각 「아사히 기미(朝日君)」, 「오에요 기미(於江与君)」라는 호칭을 사용하였으므로 '기미(君)'가 반드시 요도 도노를 멸시할 의도로 일부러 사용된 표현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한편 1960년 이노우에 야스시(井上靖)의 소설 『요도 도노의 일기(淀どの日記)』 이후 요도 도노의 호칭으로는 「요도 도노(淀殿)」가 일반화되었으며, '요도 기미'는 1987년의 NHK 대하드라마인 『독안룡 마사무네(独眼竜政宗)』 이후로 방송계에서도 일절 쓰이지 않는 표현이 되었다가 2006년 공명의 갈림길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다시쓰이게 되었다. 기타 인물상 및 에피소드[편집]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정실로 요도도노의 며느리였던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딸 센히메는 요도 도노의 조카이기도 하다. 여동생 스겐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카 도요토미 히데카쓰(豊臣秀勝)와 결혼했으나 임진왜란 중 남편을 잃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장남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여 얻은 딸이 센히메이다. 요도 도노 모자와 최후를 함께 한 것으로 알려진 가신 오오노 하루나가는 요도 도노와는 젖형제 사이로, 이미 당대부터 두 사람이 내밀한 관계를 가진 사이라는 소문이 돌았을 정도로 둘의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히데요리가 히데요시의 친자식이 아닌 오오노 하루나가의 자식이라는 설도 있었다. 친정의 혈연을 중시하여 가문의 멸문지화 이후 방랑하던 사촌 오다 노부카쓰(織田信雄)를 오사카 성으로 불러들여 지내도록 조치하였다. 또한 동생 에요가 도쿠가와 히데타다와 재혼하자 에요와 에요의 전 남편인 하시바 히데카쓰(豊臣秀勝)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조카 사다코(完子)를 거두어 친딸처럼 키우기도 하였다. 이후 사다코는 구게(公家)의 일원인 구조 유키이에(九条幸家)의 정실이 되었다. 오사카 전투 당시 히데요리를 성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요도 도노 본인만이 전장에 나타나 군사들을 독려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당대에 여성이 전장에 나타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었으나, 총대장이 한 번도 전선에 나와 보지 않은 데 반해 그 모친만이 빈번하게 나타난 것은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었다. 그러나 오사카 겨울, 여름 양 전투 내내 요도 도노와의 의견 대립으로 도요토미 진영에서 출분한 사람들은 오다 일족 몇몇과 가타기리 가쓰모토(片桐且元) 등 소수로, 요도 도노는 패색이 짙어지는 동안에도 마지막까지 오사카 성과 도요토미 군을 장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요도도노의 사후, 기일마다 요도 도노의 묘소에 시녀들이 모여 법요를 거행하였던 것이 그 시녀들의 자손에게도 죽 이어져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여동생인 조쿄인, 스겐인와는 어린 시절부터 매우 사이 좋은 자매 관계를 유지하였다. 어머니 오이치의 사후, 두 동생에게 "너희들은 오미의 명문 아자이 가문의 딸들이다. 꼴사납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 라고 훈계하였다고 한다. 요도도노의 어머니 오이치는 센고쿠 시대 최고의 미녀로 유명하였는데, 장녀인 요도 도노 또한 오이치를 닮아 미인이었다고 한다. 특히 오이치와 같이 키가 커서 170 cm 가량의 장신이었다고 전해지며, 아들 히데요리 또한 아버지 히데요시와 달리 요도 도노를 닮아 체격이 당당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반면 여동생 에요는 언니와 달리 몸집이 작았다. vdeh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도요토미 가문 오만도코로 기타노만도코로 요도도노 | 도요토미 히데나가(히데야스) 닛슈니 아사히히메 | 하시바 히데카쓰(이시마쓰마루) 도요토미 쓰루마쓰 | 도요토미 구니마쓰 덴슈니 | 하시바 히데카쓰 도요토미 히데토시 도요토미 히데카쓰 하시바 히데야스 하시바 나가요시 하시바 다카요시 다이묘오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도시이에(도시나가) 모리 데루모토 우에스기 가게카쓰 우키타 히데이에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삼중로 이코마 지카마사 호리오 요시하루 나카무라 가즈우지 오봉행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 | 미야베 게이준 도미타 잇파쿠 기타 다이묘 취차 어가중 칠수조 교토소사대 황모의중 문치파 무단파 시즈가타케의 칠본창 칠장 정책 태합검지 도수령 병농분리 신분통제령 인소령 총무사령 훤화정지령 해적정지령 바테렌 추방령 기요스 회의 주고쿠 국분 시코쿠 국분 규슈 국분 오슈 임치 천정대판 천정통보 전쟁 혼노지의 변 야마자키 전투 시즈가타케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기슈 정벌 시코쿠 정벌 도야마 전투 규슈 정벌 오다와라 정벌 센보쿠 잇키 가사이·오자키 잇키 구노헤 마사자네의 난 우메키타 잇키 임진왜란 정유재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직할령 태합장입지 오사카 사카이 교토 후시미 나가사키 | 오사카 성 후시미 성 주라쿠다이 나고야 성 야마자키 성 묘카쿠지 성 교토 신성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무가정권 도요토미 씨(하시바 씨 기노시타 씨) 관백 태합 도요쿠니 신사 오사카 번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8083655 LCCN: n81058408 ISNI: 0000 0000 6724 2312 SUDOC: 117989223 NDL: 0062673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요도도노&oldid=24283176" 분류: 1615년 죽음센고쿠 시대 사람일본의 자살한 사람아자이씨도요토미씨기노시타 씨에치젠국 사람오미국 사람오사카성일본의 인물신 (센고쿠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여자17세기 일본 사람16세기 일본 사람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kol Central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6일 (일) 14: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테르시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르시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68년 하일리하레 전투 그림. 창병방진 및 대포등 당시 군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림 오른쪽에 스페인군의 테르시오가 있다. 테르시오(Tercio)는 1534년부터 1704년에 걸쳐 스페인 왕국이 채용한 군사편성 혹은 그 부대의 전투대형을 말한다. 단순히 전투대형을 지칭할 때는 스페인 방진(Spanish square)이라고 부른다. 테르시오의 편성 및 전투대형은 17세기 초엽까지 유럽 각국에서 왕성하게 모방했다. 목차 1 역사 1.1 이전 역사 1.2 영광과 쇠퇴 2 편성 3 전투대형 4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 4.1 네덜란드 4.2 스웨덴 4.3 프랑스 5 참고자료 6 관련항목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전 역사[편집] 약 700년에 걸친 레콩키스타를 완료한 스페인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게 되었고, 이제 유럽 강국의 지위를 타국과 다투게 되었다. 1494년 프랑스의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침공에 의해 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자, 스페인은 아라곤 왕국에 연유한 계승권을 이유로 이 전쟁에 개입했다.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한 스페인군이었으나, 세미나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이 당시 스페인군은 검과 원형방패를 장비한 로델레로(Rodelero;보병)과 히네테(Jinete)라고 불리는 경기병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편성은 중기병과 스위스 창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프랑스군에게 야전에서 승리할 수는 없었다(상세한 것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항목을 참조). 전후 곤살로는 이탈리아에 남아 스페인군의 군제개혁을 진행했다. 즉 원형방패와 검을 폐지하고, 스위스 창병과 같은 파이크를 지니게 했다. 창병은 밀집대형(방진)을 조직하고 주위와 양익에 소형의 투사병(크로스보우, 총)을 배치했다. 그리고 곤살로는 장교의 숫자를 증가시켰다. 그때까지 1명의 장교가 병사 100~600명을 지휘했으나, 곤살로는 병사 300명 당 약 4~6명의 장교를 배치시켰다. 이것은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한 부대는 1,000명 전후로 구성되고, 지휘관에는 코로넬(Coronel;대령)의 계급이 내려졌다. 지휘관의 계급에 유래해 이 부대는 코로네리아(Coronelía;코로네냐 라고도)라고 부르게 되었다(다만 이런 개혁은 체리뇰라 전투 이후라는 설도 있다). 1503년 이 신식 스페인군은 체리뇰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 체리뇰라 전투는 또한 화기와 야전 축성이 효과를 발휘한 전투이기도 하다. 이후 군대의 구성에서 화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었다. 영광과 쇠퇴[편집] 1534년 스페인군은 3개(서쪽:Tercero=영어:Third)의 부대를 이탈리아 반도에 보냈다. 테르시오란 명칭은 이 시기 처음으로 출현했으나, 이렇게 3개의 부대로 나누게 된 유래에 대해 생각해 보자. 부대에는 각각 롬바르디아(Lombardia), 나폴리(Napoli), 시칠리아(Sicilia) 란 호칭이 붙여졌다. 당시 군대는 주로 용병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시에 따라 고용되는 것이 기본이었다. 테르시오도 주요 구성원은 용병이었으나, 이탈리아 반도를(훗날 네덜란드에서도) 계속 지킬 필요가 있었기에 테르시오는 평상시에도 유지되었고, 상비군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장시간에 걸친 고용은 항상 일정이상의 숙련도,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으로써 스페인군의 강력함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이로 인해 스페인 국고는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것은 신대륙에서 들어오는 금은으로 인해 윤택해진 스페인에게도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지출을 강요해 역대 국왕은 여러 번에 걸쳐 국가 파산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1525년 파비아 전투. 아직 테르시오라는 호칭으로 불리지는 않았으나, 편성은 이미 확립되어 있었다. 그런데도 16세기를 통해 테르시오는 최정예의 군단으로서 각지에서 활약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를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테르시오의 힘으로 스페인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승리했고, 프랑스의 이탈리아에 대한 개입을 좌절시켰다. 네덜란드의 반란도 16세기말까지 거의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자, 테르시오에게 도전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네덜란드의 마우리츠 판 나사우는 테르시오를 격파하기 위해 신식 군대를 편성하고, 네덜란드식 대대라고 불리는 전투대형을 내놓았다. 마우리츠의 개혁은 유럽에 퍼지게 되었고,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이것을 집대성하고 세련되게 만들어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이런 도전을 받은 테르시오도 곧 개혁에 착수했다. 1635년 펠리페 4세는 포고를 알리고, 테르시오의 군제개혁을 진행시켰다. 테르시오 1부대에 있는 병사 정원수를 3,000명에서 1,000명 전후로 감소시키고, 지휘의 효율화에 노력했다. 시대에 뒤쳐졌던 전투대형도 개량해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융합시킨 새로운 대형을 채용했다. 1637년에는 민병을 테르시오 속에 참가시키면서 지방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군단을 편성하고 동원병력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패를 겪는등, 이미 스페인과 테르시오의 군사적 우위는 잃어버린 뒤였다. 그 후에도 테르시오는 여러가지 개량이 가해졌으나, 1704년 펠리페 5세(루이 14세의 손자)가 프랑스식의 연대와 대대를 구성하는 군제를 채용하게 되면서 테르시오는 소멸하게 되었다. 편성[편집] 테르시오의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었으나, 이글에는 초기 시기의 편성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병과는 아래의 4종류가 있다. 파이크병(Pikeman) – 파이크(장창)을 갖고, 갑옷은 일부 혹은 전혀 장비하지 않은 창병. 코르스렛(Corselet) – 파이크를 갖고, 갑옷과 투구로 완전히 무장한 창병. 아르케부스 총병(Arquebusier) – 아르케부스(화승총)을 갖고 있는 총병. 머스켓 총병(Musketeer) – 머스켓 총을 갖고 있는 총병. 즉 이 당시 머스켓은 아르케부스보다 대형인 총의 호칭이었다. 머스켓이 축소되어 선입된 총 전반을 가리키는 호칭이 된 것은 17세기에 들어서였다.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250명(혹은 300명)이었다. 대위 1명, 중위 1명, 중사 1명, 기수 1명으로 중대를 지휘하고, 그외 종자 1명, 보급계장교 1명, 고적수(鼓笛手) 1명, 종군사제 1명, 이발사 1명이 참가하였다. 장교를 포함한 중대 본부요원의 총 숫자는 11명이었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중대에는 아래의 2종류가 존재했다(아래 기록은 병사수 250명을 기준으로 한 경우) A – 본부요원 11명, 파이크병 108명, 코르스렛 111명, 머스켓 총병 20명 B – 본부요원 11명, 아르케부스 총병 224명, 머스켓 총병 15명 테르시오 1부대는 A중대 10개, B중대 2개인 12개중대로 구성되어 있다(병사 300명의 경우 A중대 8개, B중대 2개인 10개중대). 총 숫자는 3,000명 정도이고, 그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32명, 파이크병 1,080명, 코르스렛 1,111명, 아르케부스 총병 448명, 머스켓 총병 230명이었다. 전체의 지휘는 대령(코로넬)이 맡았고, 그를 보좌하는 장교단(테르시오 전체의 본부요원)은 30명 전후였다. 다만 이것은 이상적인 완전편성의 숫자이고, 꼭 현실의 테르시오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1개중대의 병력수는 150명 정도인 경우가 많았고, 이상치의 절반인 1,500명 혹은 그 이하의 병력수로 구성된 테르시오가 대부분이었다 초기때 창과 총의 비율은 약 3:1이었다. 이것은 중기병의 위협이 매우 커서, 창병의 방어능력이 중요시 된 것이 이유였다. 시대가 흐르면서 화기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또 피스톨 기병의 대두로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면서 이 비율은 크게 변화되었다. 16세기 후반에는 2:1이 되었고, 16세기말에는 1.5:1, 17세기 초엽에는 1:1이 되었다. 그 후 창병은 감소가 지속되었고, 17세기말에는 총검이 개발되면서 창병은 완전히 모습을 감추었다. 무엇보다 위의 내용에 따라 얼마안가 곧 테르시오도 소멸하게 되었다. 전투대형[편집] 전투시 테르시오는 창병과 총병을 조합해 하나의 거대한 방진을 만들었다. 즉 창병이 종심 20열에서 30열 정도의 방진을 조직한다. 이 방진의 사방(四方)을 2열의 총병이 들어가 에워싼다. 이때 정면에는 위력이 큰 머스켓 총병을 배치한다. 거기에 네귀퉁이에는 종심 4열에서 6열 정도의 총병의 작은 방진을 조직한다. 이로 인해 모든 방위에서 사각이 없는 방진이 완성되었다. 다만, 숫자는 완전한 정원수일 때 였다. 병력이 실제로 절반에 불과할 때는 이것도 분배가 필요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종심의 깊이 및 횡렬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되었다. 스페인은 이 전투대형을 “Cuadro de Terreno”(야전방진)이라고 불렀다. 타국에서는 이 전투대형 자체를 테르시오라고 불렀고, 혹은 단순하게 스페인 방진이라고 불렀다. 한편 테르시오의 방어 편중은 명백했다. 이것은 스페인의 전투 교훈에서 얻어진 것이다. 레콩키스타의 전투에서 산악지대가 많은 이베리아 반도의 지세에서 많은 이슬람의 거점을 탈취하는 공성전이 있었다. 테르시오 이전의 장비가 요새 돌입때의 난전에 적합한 검과 원형방패였던 것도 이것을 나타낸다.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중기병의 위협에 직면한 스페인은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을 감소시킬 방법을 생각했다. 성벽, 화기, 참호 같은 공성전의 방어적 요소가 나오게 된 것은 이런 과거의 경험에서 비추어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 결과 이 정도까지 방어를 중시한 대형 방진이 완성된 것이다. 말하자면, 테르시오는 보병에 의해 구성된 요새였다. 이 때문에 테르시오의 기동력은 매우 나빠져 이동 및 방향전환에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테르시오의 목적이 방어에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결과였다. 적을 맞아 싸우는 경우에는 움직일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이쪽에서 공격에 나서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페인은 테르시오의 전면에 대포를 배치했다. 이것은 또한 요새의 개념을 야전에 집어 넣은 것이기도 했다. 테르시오를 격파하려면 공성전과 마찬가지로 외벽(창병)을 제거하고, 포격으로 대형을 무너뜨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16세기 거대하고 둔중한 대포는 야전에서 테르시오를 무너뜨릴 정도의 포격을 가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결국 스페인의 적들이 선택한 것은 그들의 적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6세기의 전장은 테르시오 끼리 마주쳐 충돌하고 조금씩 상대방의 창병을 제거하는 광경이 되풀이되었다. 승리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가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철수하거나, 병사의 사기가 저하되어 스스로 붕괴되는 것을 기다리는 수밖에는 없었다. 이 시대는 용병이 군대의 주력이었기 때문에 부대로써 결속력이 낮아 사기저하에 의한 붕괴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점에서 상비군적인 테르시오는 결속력이 높아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또한, 붕괴되더라도 괴멸적인 타격을 받는 일은 어려웠다. 테르시오는 추격을 할 수 없었다. 야전에 의한 조기 결판이 기대되는 시대는 없었다. 전술적으로나 전략적으로도 방어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결전보다 기동전이나 소모전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전쟁의 기간은 장기화 되었다.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편집] 네덜란드[편집] 군제개혁의 선구자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 1568년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네덜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스페인은 진압을 위해 테르시오를 항상 네덜란드에 주둔시켰다. 또한 각지의 반란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감시하는 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요새의 숫자에 비례해 주둔병도 증가하여 스페인군 전체의 규모는 확대되었다. 스페인군이 규모를 확대하자, 대항세력인 프랑스등 타국도 군대를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유럽의 군대가 팽대화된 원인 중 하나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진행한 전략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총독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는 테르시오에게 승리할 방법을 연구했다. 테르시오의 최대 결점은 공격에 사용할 수 없는 혹은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었다. 여기서 마우리츠는 화기에 주목했다. 당시 화기는 명중률, 신뢰성이 낮았지만, 창방진에 대해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마우리츠는 중대의 창병을 감소시키고, 총병을 증가시켰다. 앞에 이야기한 16세기말 테르시오의 창:총의 비율은 1.5:1 이었으나, 이것을 마우리츠는 역전시켜 1:1.5 가 되게 하였다. 17세기 중반에는 네덜란드군의 화기는 계속 증가해 1:2가 되었다. 아래 16세기말 네덜란드군의 편성과 전투대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네덜란드군의 기본편성은 중대로써 정원수는 100명~150명 정도였다.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4명, 파이크병 50명, 총병 86명이었다(150명일 때). 통상 10개~20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었고,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였다. 전시에는 4개~6개정도의 중대를 조합해 대대(전대)를 만들었다. 대대는 테르시오의 결점을 불식시키기 위한 새로운 대형이었다. 전투대형으로써 테르시오의 결점은 2가지 였다. 하나는 거대해서 둔중한 점. 전열의 병사가 교전할 때 후열의 병사는 가만히 있는다는 점이 2번째였다. 이런 결점을 개량해 마우리츠가 내놓은 것은 네덜란드식 대형이라 불리는 전투대형이었다. 테르시오보다 얇은 종심 10열의 창병방진을 조직하고, 그 양익 아니면 후방에 같은 종심 10열의 총병방진을 배치한 것이다. 대규모의 회전에서 이 대대를 교차해 배치한다. 실질적으로 네덜란드식 대대는 테르시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부대의 기동력 및 유연성은 향상되었으나, 반대로 방어력은 저하되었다. 그러나 마우리츠는 이것을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방어를 중시할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거기에 마우리츠는 일제사격 전술을 발전시켜, 후방행진(카운터 마치)라고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여 장진을 실시한다. 그 사이 후열의 병사가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가한다. 이것을 되풀이 하는 것으로 인해 이론상 끊임없이 일제사격을 퍼부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복잡한 부대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훈련이 필요했다. 마우리츠는 총병의 일련의 행동을 패턴화시켜 이것을 기초로 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런 교육방법은 네덜란드식 교련이라고 불렸고, 그 효과가 높자 순식간에 각국에 파급되었다. 스웨덴[편집]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마우리츠식 군제개혁을 더욱 발전시켰다. 구스타브 아돌프는 전국적으로 징병제를 실시해 동원 병력의 증가에 노력했다. 또한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중대(中隊)안의 장교의 숫자를 대폭으로 증가시켰다. 스웨덴군의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150명이었다. 그 내역은 장교 16명, 파이크병 54명, 머스켓 총병 72명, 사무원 8명이었다. 통상 8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어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가 되었다. 네덜란드군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여러 개의 중대를 조합했으나, 구스타브 아돌프는 네덜란드식 대대를 개량해 스웨덴식 대대를 만들어 냈고, 이것을 상위 단위로써 여단을 창설했다. 스웨덴식 대대는 창병방진의 후방에 총병방진을 배치하고, 거기에 후방에 예비의 총병방진을 배치하였다. 3번째 총병은 언제라도 양익의 지원으로 돌릴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전투시 이 대대를 복잡하게 조합한 스웨덴식 여단을 운용했다. 거기에 구스타브 아돌프는 각 여단 사이에 연대포라 불리는 경량화된 소형 대포를 배치하여 전체의 화력을 높였다. 또 구스타브 아돌프는 후방행진 이상으로 공격적인 점진(漸進)일제사격 전술이라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장진을 실시한다. 후열의 병사는 전열의 병사 앞으로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한다. 이것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적에게 접근하면서 일제사격을 퍼붓는 것이다. 첨진일제사격 전술은 적의 대열을 격파할 가능성을 총병에게 주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의 구스타프 아돌프. 또한 구스타브 아돌프는 기병, 포병에도 개혁을 실시했다. 전투시 스웨덴 기병은 카라콜을 이용하지 않고, 발도돌격전술(사벨 차지)을 사용했다. 이것은 잃어버렸던 기병의 타격력을 어느정도 회복시킬 수 있었다. 또 기병에게 머스켓 총병의 소부대를 참가시켜, 기병의 화력을 크게 높였다(다만 기동력은 떨어졌다). 포병의 보충은 구스타브 아돌프가 특히 힘을 기울였던 점이다. 30년 전쟁에 참가한 1630년 시점에서 스웨덴군은 타국에 몇배에 달하는 포병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보병지원을 위해 연대포를 개발한 것은 위에 언급했다. 스웨덴군이 특히 걸출했던 점은 이들 보병, 기병, 포병을 단독의 병과가 아닌, 조합하여 운용했던 점이다. 이런 운용방법을 삼병전술이라 불리었다.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삼병전술을 이용한 스웨덴군은 황제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스웨덴식 군제개혁은 네덜란드식 군제개혁과 마찬가지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테르시오가 스페인 방진을 폐지하고 새로운 대형을 개발한 것은 1635년의 일이었다. 이것은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합성한 것이다. 프랑스[편집] 1643년 로크루아 전투. 스페인의 테르시오는 대패를 맞았고, 그 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이탈리아 전쟁이래, 프랑스는 스페인의 주적이었다. 16세기초엽은 테르시오에 의해 스페인이 우위에 섰으나, 얼마안가 프랑스는 이 군제를 모방해 대항했다. 다만 프랑스군은 의연히 중기병을 군대의 중핵으로 삼았다. 17세기에 이르자, 프랑스는 네덜란드식 군제개혁을 진행해 나갔다. 여기서도 기병을 중시한 프랑스군은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을 조합해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스페인군의 테르시오를 격파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와 다르게 본가 스페인의 테르시오를 격파한 것으로 결정적으로 그 가치를 저하시켰다. 그 후도 테르시오는 개량을 하면서 계속 사용되었으나, 1704년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 5세가 테르시오를 대신해 연대와 대대의 편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어코 테르시오는 소멸했다. 참고자료[편집] 일본위키 참고문헌입니다. (バート・S・ホール)著、市場泰雄訳、『火器の誕生とヨーロッパの戦争』平凡社 ジェフリー・パーカー著、大久保桂子訳、『長篠合戦の世界史 -ヨーロッパ軍事革命の衝撃1500年-1800年』同文館出版 ウィリアム・H・マクニール著、高橋均訳、『戦争の世界史 -技術と軍隊と社会』刀水書房 マイケル・ハワード著、奥村房夫、奥村大作共訳、『ヨーロッパ史と戦争』学陽書房 관련항목[편집] 알라트리스테(17세기 유럽을 무대로 한 소설. 3권에서 테르시오의 전투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외부 링크[편집] https://web.archive.org/web/20020526110755/http://www.geocities.com/ao1617/Index.html - 상세한 테르시오의 해설(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테르시오&oldid=23719522" 분류: 30년 전쟁스페인의 역사군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7일 (일) 07: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테르시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르시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568년 하일리하레 전투 그림. 창병방진 및 대포등 당시 군대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그림 오른쪽에 스페인군의 테르시오가 있다. 테르시오(Tercio)는 1534년부터 1704년에 걸쳐 스페인 왕국이 채용한 군사편성 혹은 그 부대의 전투대형을 말한다. 단순히 전투대형을 지칭할 때는 스페인 방진(Spanish square)이라고 부른다. 테르시오의 편성 및 전투대형은 17세기 초엽까지 유럽 각국에서 왕성하게 모방했다. 목차 1 역사 1.1 이전 역사 1.2 영광과 쇠퇴 2 편성 3 전투대형 4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 4.1 네덜란드 4.2 스웨덴 4.3 프랑스 5 참고자료 6 관련항목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전 역사[편집] 약 700년에 걸친 레콩키스타를 완료한 스페인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게 되었고, 이제 유럽 강국의 지위를 타국과 다투게 되었다. 1494년 프랑스의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침공에 의해 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자, 스페인은 아라곤 왕국에 연유한 계승권을 이유로 이 전쟁에 개입했다.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한 스페인군이었으나, 세미나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이 당시 스페인군은 검과 원형방패를 장비한 로델레로(Rodelero;보병)과 히네테(Jinete)라고 불리는 경기병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편성은 중기병과 스위스 창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프랑스군에게 야전에서 승리할 수는 없었다(상세한 것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항목을 참조). 전후 곤살로는 이탈리아에 남아 스페인군의 군제개혁을 진행했다. 즉 원형방패와 검을 폐지하고, 스위스 창병과 같은 파이크를 지니게 했다. 창병은 밀집대형(방진)을 조직하고 주위와 양익에 소형의 투사병(크로스보우, 총)을 배치했다. 그리고 곤살로는 장교의 숫자를 증가시켰다. 그때까지 1명의 장교가 병사 100~600명을 지휘했으나, 곤살로는 병사 300명 당 약 4~6명의 장교를 배치시켰다. 이것은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한 부대는 1,000명 전후로 구성되고, 지휘관에는 코로넬(Coronel;대령)의 계급이 내려졌다. 지휘관의 계급에 유래해 이 부대는 코로네리아(Coronelía;코로네냐 라고도)라고 부르게 되었다(다만 이런 개혁은 체리뇰라 전투 이후라는 설도 있다). 1503년 이 신식 스페인군은 체리뇰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 체리뇰라 전투는 또한 화기와 야전 축성이 효과를 발휘한 전투이기도 하다. 이후 군대의 구성에서 화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었다. 영광과 쇠퇴[편집] 1534년 스페인군은 3개(서쪽:Tercero=영어:Third)의 부대를 이탈리아 반도에 보냈다. 테르시오란 명칭은 이 시기 처음으로 출현했으나, 이렇게 3개의 부대로 나누게 된 유래에 대해 생각해 보자. 부대에는 각각 롬바르디아(Lombardia), 나폴리(Napoli), 시칠리아(Sicilia) 란 호칭이 붙여졌다. 당시 군대는 주로 용병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시에 따라 고용되는 것이 기본이었다. 테르시오도 주요 구성원은 용병이었으나, 이탈리아 반도를(훗날 네덜란드에서도) 계속 지킬 필요가 있었기에 테르시오는 평상시에도 유지되었고, 상비군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장시간에 걸친 고용은 항상 일정이상의 숙련도,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으로써 스페인군의 강력함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이로 인해 스페인 국고는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것은 신대륙에서 들어오는 금은으로 인해 윤택해진 스페인에게도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지출을 강요해 역대 국왕은 여러 번에 걸쳐 국가 파산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1525년 파비아 전투. 아직 테르시오라는 호칭으로 불리지는 않았으나, 편성은 이미 확립되어 있었다. 그런데도 16세기를 통해 테르시오는 최정예의 군단으로서 각지에서 활약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를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테르시오의 힘으로 스페인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승리했고, 프랑스의 이탈리아에 대한 개입을 좌절시켰다. 네덜란드의 반란도 16세기말까지 거의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자, 테르시오에게 도전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네덜란드의 마우리츠 판 나사우는 테르시오를 격파하기 위해 신식 군대를 편성하고, 네덜란드식 대대라고 불리는 전투대형을 내놓았다. 마우리츠의 개혁은 유럽에 퍼지게 되었고,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이것을 집대성하고 세련되게 만들어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이런 도전을 받은 테르시오도 곧 개혁에 착수했다. 1635년 펠리페 4세는 포고를 알리고, 테르시오의 군제개혁을 진행시켰다. 테르시오 1부대에 있는 병사 정원수를 3,000명에서 1,000명 전후로 감소시키고, 지휘의 효율화에 노력했다. 시대에 뒤쳐졌던 전투대형도 개량해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융합시킨 새로운 대형을 채용했다. 1637년에는 민병을 테르시오 속에 참가시키면서 지방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군단을 편성하고 동원병력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패를 겪는등, 이미 스페인과 테르시오의 군사적 우위는 잃어버린 뒤였다. 그 후에도 테르시오는 여러가지 개량이 가해졌으나, 1704년 펠리페 5세(루이 14세의 손자)가 프랑스식의 연대와 대대를 구성하는 군제를 채용하게 되면서 테르시오는 소멸하게 되었다. 편성[편집] 테르시오의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었으나, 이글에는 초기 시기의 편성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병과는 아래의 4종류가 있다. 파이크병(Pikeman) – 파이크(장창)을 갖고, 갑옷은 일부 혹은 전혀 장비하지 않은 창병. 코르스렛(Corselet) – 파이크를 갖고, 갑옷과 투구로 완전히 무장한 창병. 아르케부스 총병(Arquebusier) – 아르케부스(화승총)을 갖고 있는 총병. 머스켓 총병(Musketeer) – 머스켓 총을 갖고 있는 총병. 즉 이 당시 머스켓은 아르케부스보다 대형인 총의 호칭이었다. 머스켓이 축소되어 선입된 총 전반을 가리키는 호칭이 된 것은 17세기에 들어서였다.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250명(혹은 300명)이었다. 대위 1명, 중위 1명, 중사 1명, 기수 1명으로 중대를 지휘하고, 그외 종자 1명, 보급계장교 1명, 고적수(鼓笛手) 1명, 종군사제 1명, 이발사 1명이 참가하였다. 장교를 포함한 중대 본부요원의 총 숫자는 11명이었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중대에는 아래의 2종류가 존재했다(아래 기록은 병사수 250명을 기준으로 한 경우) A – 본부요원 11명, 파이크병 108명, 코르스렛 111명, 머스켓 총병 20명 B – 본부요원 11명, 아르케부스 총병 224명, 머스켓 총병 15명 테르시오 1부대는 A중대 10개, B중대 2개인 12개중대로 구성되어 있다(병사 300명의 경우 A중대 8개, B중대 2개인 10개중대). 총 숫자는 3,000명 정도이고, 그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32명, 파이크병 1,080명, 코르스렛 1,111명, 아르케부스 총병 448명, 머스켓 총병 230명이었다. 전체의 지휘는 대령(코로넬)이 맡았고, 그를 보좌하는 장교단(테르시오 전체의 본부요원)은 30명 전후였다. 다만 이것은 이상적인 완전편성의 숫자이고, 꼭 현실의 테르시오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1개중대의 병력수는 150명 정도인 경우가 많았고, 이상치의 절반인 1,500명 혹은 그 이하의 병력수로 구성된 테르시오가 대부분이었다 초기때 창과 총의 비율은 약 3:1이었다. 이것은 중기병의 위협이 매우 커서, 창병의 방어능력이 중요시 된 것이 이유였다. 시대가 흐르면서 화기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또 피스톨 기병의 대두로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면서 이 비율은 크게 변화되었다. 16세기 후반에는 2:1이 되었고, 16세기말에는 1.5:1, 17세기 초엽에는 1:1이 되었다. 그 후 창병은 감소가 지속되었고, 17세기말에는 총검이 개발되면서 창병은 완전히 모습을 감추었다. 무엇보다 위의 내용에 따라 얼마안가 곧 테르시오도 소멸하게 되었다. 전투대형[편집] 전투시 테르시오는 창병과 총병을 조합해 하나의 거대한 방진을 만들었다. 즉 창병이 종심 20열에서 30열 정도의 방진을 조직한다. 이 방진의 사방(四方)을 2열의 총병이 들어가 에워싼다. 이때 정면에는 위력이 큰 머스켓 총병을 배치한다. 거기에 네귀퉁이에는 종심 4열에서 6열 정도의 총병의 작은 방진을 조직한다. 이로 인해 모든 방위에서 사각이 없는 방진이 완성되었다. 다만, 숫자는 완전한 정원수일 때 였다. 병력이 실제로 절반에 불과할 때는 이것도 분배가 필요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종심의 깊이 및 횡렬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되었다. 스페인은 이 전투대형을 “Cuadro de Terreno”(야전방진)이라고 불렀다. 타국에서는 이 전투대형 자체를 테르시오라고 불렀고, 혹은 단순하게 스페인 방진이라고 불렀다. 한편 테르시오의 방어 편중은 명백했다. 이것은 스페인의 전투 교훈에서 얻어진 것이다. 레콩키스타의 전투에서 산악지대가 많은 이베리아 반도의 지세에서 많은 이슬람의 거점을 탈취하는 공성전이 있었다. 테르시오 이전의 장비가 요새 돌입때의 난전에 적합한 검과 원형방패였던 것도 이것을 나타낸다.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중기병의 위협에 직면한 스페인은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을 감소시킬 방법을 생각했다. 성벽, 화기, 참호 같은 공성전의 방어적 요소가 나오게 된 것은 이런 과거의 경험에서 비추어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 결과 이 정도까지 방어를 중시한 대형 방진이 완성된 것이다. 말하자면, 테르시오는 보병에 의해 구성된 요새였다. 이 때문에 테르시오의 기동력은 매우 나빠져 이동 및 방향전환에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테르시오의 목적이 방어에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결과였다. 적을 맞아 싸우는 경우에는 움직일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이쪽에서 공격에 나서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페인은 테르시오의 전면에 대포를 배치했다. 이것은 또한 요새의 개념을 야전에 집어 넣은 것이기도 했다. 테르시오를 격파하려면 공성전과 마찬가지로 외벽(창병)을 제거하고, 포격으로 대형을 무너뜨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16세기 거대하고 둔중한 대포는 야전에서 테르시오를 무너뜨릴 정도의 포격을 가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결국 스페인의 적들이 선택한 것은 그들의 적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6세기의 전장은 테르시오 끼리 마주쳐 충돌하고 조금씩 상대방의 창병을 제거하는 광경이 되풀이되었다. 승리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가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철수하거나, 병사의 사기가 저하되어 스스로 붕괴되는 것을 기다리는 수밖에는 없었다. 이 시대는 용병이 군대의 주력이었기 때문에 부대로써 결속력이 낮아 사기저하에 의한 붕괴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점에서 상비군적인 테르시오는 결속력이 높아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또한, 붕괴되더라도 괴멸적인 타격을 받는 일은 어려웠다. 테르시오는 추격을 할 수 없었다. 야전에 의한 조기 결판이 기대되는 시대는 없었다. 전술적으로나 전략적으로도 방어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결전보다 기동전이나 소모전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전쟁의 기간은 장기화 되었다.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편집] 네덜란드[편집] 군제개혁의 선구자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 1568년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네덜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스페인은 진압을 위해 테르시오를 항상 네덜란드에 주둔시켰다. 또한 각지의 반란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감시하는 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요새의 숫자에 비례해 주둔병도 증가하여 스페인군 전체의 규모는 확대되었다. 스페인군이 규모를 확대하자, 대항세력인 프랑스등 타국도 군대를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유럽의 군대가 팽대화된 원인 중 하나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진행한 전략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총독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는 테르시오에게 승리할 방법을 연구했다. 테르시오의 최대 결점은 공격에 사용할 수 없는 혹은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었다. 여기서 마우리츠는 화기에 주목했다. 당시 화기는 명중률, 신뢰성이 낮았지만, 창방진에 대해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마우리츠는 중대의 창병을 감소시키고, 총병을 증가시켰다. 앞에 이야기한 16세기말 테르시오의 창:총의 비율은 1.5:1 이었으나, 이것을 마우리츠는 역전시켜 1:1.5 가 되게 하였다. 17세기 중반에는 네덜란드군의 화기는 계속 증가해 1:2가 되었다. 아래 16세기말 네덜란드군의 편성과 전투대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네덜란드군의 기본편성은 중대로써 정원수는 100명~150명 정도였다.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4명, 파이크병 50명, 총병 86명이었다(150명일 때). 통상 10개~20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었고,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였다. 전시에는 4개~6개정도의 중대를 조합해 대대(전대)를 만들었다. 대대는 테르시오의 결점을 불식시키기 위한 새로운 대형이었다. 전투대형으로써 테르시오의 결점은 2가지 였다. 하나는 거대해서 둔중한 점. 전열의 병사가 교전할 때 후열의 병사는 가만히 있는다는 점이 2번째였다. 이런 결점을 개량해 마우리츠가 내놓은 것은 네덜란드식 대형이라 불리는 전투대형이었다. 테르시오보다 얇은 종심 10열의 창병방진을 조직하고, 그 양익 아니면 후방에 같은 종심 10열의 총병방진을 배치한 것이다. 대규모의 회전에서 이 대대를 교차해 배치한다. 실질적으로 네덜란드식 대대는 테르시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부대의 기동력 및 유연성은 향상되었으나, 반대로 방어력은 저하되었다. 그러나 마우리츠는 이것을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방어를 중시할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거기에 마우리츠는 일제사격 전술을 발전시켜, 후방행진(카운터 마치)라고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여 장진을 실시한다. 그 사이 후열의 병사가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가한다. 이것을 되풀이 하는 것으로 인해 이론상 끊임없이 일제사격을 퍼부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복잡한 부대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훈련이 필요했다. 마우리츠는 총병의 일련의 행동을 패턴화시켜 이것을 기초로 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런 교육방법은 네덜란드식 교련이라고 불렸고, 그 효과가 높자 순식간에 각국에 파급되었다. 스웨덴[편집]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마우리츠식 군제개혁을 더욱 발전시켰다. 구스타브 아돌프는 전국적으로 징병제를 실시해 동원 병력의 증가에 노력했다. 또한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중대(中隊)안의 장교의 숫자를 대폭으로 증가시켰다. 스웨덴군의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150명이었다. 그 내역은 장교 16명, 파이크병 54명, 머스켓 총병 72명, 사무원 8명이었다. 통상 8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어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가 되었다. 네덜란드군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여러 개의 중대를 조합했으나, 구스타브 아돌프는 네덜란드식 대대를 개량해 스웨덴식 대대를 만들어 냈고, 이것을 상위 단위로써 여단을 창설했다. 스웨덴식 대대는 창병방진의 후방에 총병방진을 배치하고, 거기에 후방에 예비의 총병방진을 배치하였다. 3번째 총병은 언제라도 양익의 지원으로 돌릴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전투시 이 대대를 복잡하게 조합한 스웨덴식 여단을 운용했다. 거기에 구스타브 아돌프는 각 여단 사이에 연대포라 불리는 경량화된 소형 대포를 배치하여 전체의 화력을 높였다. 또 구스타브 아돌프는 후방행진 이상으로 공격적인 점진(漸進)일제사격 전술이라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장진을 실시한다. 후열의 병사는 전열의 병사 앞으로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한다. 이것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적에게 접근하면서 일제사격을 퍼붓는 것이다. 첨진일제사격 전술은 적의 대열을 격파할 가능성을 총병에게 주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의 구스타프 아돌프. 또한 구스타브 아돌프는 기병, 포병에도 개혁을 실시했다. 전투시 스웨덴 기병은 카라콜을 이용하지 않고, 발도돌격전술(사벨 차지)을 사용했다. 이것은 잃어버렸던 기병의 타격력을 어느정도 회복시킬 수 있었다. 또 기병에게 머스켓 총병의 소부대를 참가시켜, 기병의 화력을 크게 높였다(다만 기동력은 떨어졌다). 포병의 보충은 구스타브 아돌프가 특히 힘을 기울였던 점이다. 30년 전쟁에 참가한 1630년 시점에서 스웨덴군은 타국에 몇배에 달하는 포병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보병지원을 위해 연대포를 개발한 것은 위에 언급했다. 스웨덴군이 특히 걸출했던 점은 이들 보병, 기병, 포병을 단독의 병과가 아닌, 조합하여 운용했던 점이다. 이런 운용방법을 삼병전술이라 불리었다.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삼병전술을 이용한 스웨덴군은 황제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스웨덴식 군제개혁은 네덜란드식 군제개혁과 마찬가지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테르시오가 스페인 방진을 폐지하고 새로운 대형을 개발한 것은 1635년의 일이었다. 이것은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합성한 것이다. 프랑스[편집] 1643년 로크루아 전투. 스페인의 테르시오는 대패를 맞았고, 그 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이탈리아 전쟁이래, 프랑스는 스페인의 주적이었다. 16세기초엽은 테르시오에 의해 스페인이 우위에 섰으나, 얼마안가 프랑스는 이 군제를 모방해 대항했다. 다만 프랑스군은 의연히 중기병을 군대의 중핵으로 삼았다. 17세기에 이르자, 프랑스는 네덜란드식 군제개혁을 진행해 나갔다. 여기서도 기병을 중시한 프랑스군은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을 조합해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스페인군의 테르시오를 격파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와 다르게 본가 스페인의 테르시오를 격파한 것으로 결정적으로 그 가치를 저하시켰다. 그 후도 테르시오는 개량을 하면서 계속 사용되었으나, 1704년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 5세가 테르시오를 대신해 연대와 대대의 편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어코 테르시오는 소멸했다. 참고자료[편집] 일본위키 참고문헌입니다. (バート・S・ホール)著、市場泰雄訳、『火器の誕生とヨーロッパの戦争』平凡社 ジェフリー・パーカー著、大久保桂子訳、『長篠合戦の世界史 -ヨーロッパ軍事革命の衝撃1500年-1800年』同文館出版 ウィリアム・H・マクニール著、高橋均訳、『戦争の世界史 -技術と軍隊と社会』刀水書房 マイケル・ハワード著、奥村房夫、奥村大作共訳、『ヨーロッパ史と戦争』学陽書房 관련항목[편집] 알라트리스테(17세기 유럽을 무대로 한 소설. 3권에서 테르시오의 전투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외부 링크[편집] https://web.archive.org/web/20020526110755/http://www.geocities.com/ao1617/Index.html - 상세한 테르시오의 해설(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테르시오&oldid=23719522" 분류: 30년 전쟁스페인의 역사군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7일 (일) 07: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남상국 (기업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상국 (기업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상국 (1945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남상국출생 1945년 5월 22일(1945-05-22)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아산시사망 2004년 3월 11일 (58세)한강사인 투신자살국적 대한민국 학력 서울대학교직업 기업인 남상국(南相國, 1945년 5월 22일 ~ 2004년 3월 11일, 충청남도 아산)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주)대우건설 사장을 역임했다. 목차 1 생애 2 평가 3 상훈 4 가족 5 각주 생애[편집] 서울대학교 공업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1974년 2월 평사원으로 대우그룹에 입사하였다.[1] 평사원으로 20년간 대우그룹의 건설부문의 중견 요직을 역임하고 각지의 건설현장에서 근무하였으며[2] 이후 이사로 발탁되어 1997년 2월 15일 대우그룹 건설부문 전무에 임명되었고[3], 1998년 초고층 주상복합의 가능성을 보고 여의도'트럼프 월드'의 개발을 시작, 프리미엄이 50%이상 상승하여 당첨자들의 대만족평을 받기도 하였다.[2] 그해 7월 31일 숙명여자대학 행정관 준공식에 참석하였다.[4] 1998년 대우그룹 개발사업본부 본부장에 임명되어 서종욱 이사, 정재영 이사, 김건희 상무 등을 ‘스리 톱’으로 채용하기도 했다.[5] 1998년 12월 31일 (주)대우그룹 계열사별로 실시된 특별 승진 인사 때, 그는 대우그룹 건설부문 전무에서 사장으로 2계급 특진하였다.[6] 1999년 대우그룹 건설부문 대표이사·사장이 되었고, 1999년 1월 5일 건설부문 국내사업분야담당이 되었다.[7] 2월 5일 아파트 공사현장 안전점검의 날을 주관하였다.[8] 2000년 10월 22일 대우그룹 계열사들이 법인 분리될 때 대우건설 사장에 유임되었으며[9][10] 2001년 대우건설이 (주)대우그룹에서 떨어져 나와 신설법인으로 태어난 뒤[2] 2002년 (주)대우건설 대표이사·사장을 지냈다. 2002년 대한건설협회 회원이사에 선임되었다.[11] 2002년 5월 1일에는 대한건설협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12] 2002년8월 1일 한국사랑의집짓기운동연합회에서 주관하는 사랑의 집짓기운동에 동참하여 3천만원 상당의 숙소와 식사를 지원하였으며 아산지역 사업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에게는 대우건설 직원연수원(도고그린호텔)의 객실과 1주일동안 자원봉사자들의 아침과 저녁식사를 지원하기도 했다.[13] 2004년 3월 21일 한강수난구조대원들이 한남대교 아래에서 사체를 인양하는 모습 2003년 9월 5일 노건평에게 "사장직을 연임할 수 있도록 힘써 달라"는 청탁과 함께 3천만 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았고[14][15] 수사하는 과정에서, 3월 11일 방송에서 대통령 노무현이 공식 기자회견에서 처음엔 실명이 언급되지 않았으나, 나중에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돈을 건넨 자신의 이름이 실명으로 언급되었다. 2004년 3월 11일 남상국은 한강에 투신자살했다.[15] 그 사건으로 말미암아 노건평은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16] 이로써 남상국이 살아 있었다면 역시 유죄 판결을 받았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평가[편집] 대우그룹의 환란 후 그룹 내부의 파열상황에서도 우수한 인재의 누수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철저한 인력관리야말로 비결중의 비결이라고 지적한다.[2] 회사의 경영침체로 워크아웃 상태가 되었을 때, 그는 직원들의 마음을 독려하여 다잡았고, 개발사업을 늘렸다 한다. 그가 사장이던 2001년∼2003년 대우건설이 수주한 사업들이 2004∼2006년 연평균 5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는 증언도 있다.[5] 상훈[편집] 2003년 12월 21일 주택건설의 날, 주택건설 산업 공로로 건설교통부 장관으로부터 금탑산업훈장을 수상받았다.[17] 가족[편집] 부인 김선옥[18] 각주[편집] ↑ <목요기획 건설업계 이공계CEO 두각> 기술·경영 접목… 시너지 만점 파이낸셜뉴스 2003-08-06자 ↑ 가 나 다 라 [프론티어] 남상국 대우건설 사장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가 나 donga.com[뉴스]-[이코노카페]대우건설 故남상국 사장에 대한 재평가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네이버 뉴스 ↑ 대우重·(주)대우 6개社로 분할 파이낸셜뉴스 2000-10-22자 ↑ 대우중공업·(주)대우, 6개사로 분할 파이낸셜뉴스 2000-10-22자 ↑ 대한건설협회, 회원이사 선임 파이낸셜뉴스 2002-03-31자 ↑ 심현영씨등 7명, 대한건설協 부회장 선임 :: 네이버 뉴스 ↑ 대우건설 3000만원 지원 사랑의 집짓기운동 동참[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국민일보 2002-08-01자 ↑ "노건평씨, 인사청탁 대가로 3천만원 수수" 프레시안 2004-03-10일자 기사 ↑ 가 나 노건평, 이번엔 '판사 전용통로' 이용해 물의 프레시안 2004-05-01자 기사 ↑ 법원 넘어간 노건평·박연차…공방 예고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22일 주택건설의 날 행사 파이낸셜뉴스 2003-12-21자 ↑ [weekly chosun] 모멸… 자괴… 자살 盧 정권에서 스러져간 사람들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남상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남상국_(기업인)&oldid=24536395" 분류: 1945년 태어남2004년 죽음아산시 출신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투신자살한 사람익사한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04: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6년 KBO 포스트시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KBO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계획되었거나 진행 중인 야구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2016 타이어뱅크 KBO 포스트시즌은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목차 1 달라지는 점 2 진출팀 소개 3 대진표 4 와일드카드 결정전 4.1 출장자 명단 4.2 경기 기록 4.3 1차전 4.4 2차전 5 준플레이오프 5.1 출장자 명단 5.2 경기 기록 5.3 1차전 5.4 2차전 5.5 3차전 5.6 4차전 6 플레이오프 6.1 출장자 명단 6.2 경기 기록 6.3 1차전 6.4 2차전 6.5 3차전 6.6 4차전 7 한국시리즈 8 중계 일정 8.1 TV 중계 8.1.1 와일드카드 결정전 8.1.2 준플레이오프 8.1.3 플레이오프 8.2 라디오 중계 8.2.1 와일드카드 결정전 8.2.2 준플레이오프 8.2.3 플레이오프 9 같이 보기 달라지는 점[편집]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4,5위간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시작으로 승리팀이 3위팀과 준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이후 2위팀과 플레이오프,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는 순으로 포스트시즌이 진행된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전 2선승제로 한다. 4위 팀에게 1승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므로 5위 팀은 2경기를 모두 이겨야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그 외의 경우(1차전이나 2차전에서 4위 팀이 한게임이라도 이기거나 비길경우)는 4위 팀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올해부터 잠실 중립구장 규정이 완전히 폐지되어 정규리그 1위팀이 홈 어드밴티지를 가지게 된다. 즉 1위팀은 1/2/6/7차전 경기를 홈에서 치루며,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경우에는 3/4/5차전을 홈에서 치루게 된다. 진출팀 소개[편집] 2016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팀은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 KIA 타이거즈이다. 특히 2013년 이후 3년만에 서울을 연고로 하는 3개팀(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LG 트윈스)이 모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먼저, 두산 베어스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며, 지난 시즌 준플레이오프부터 시작해서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데 이어 이번 시즌에는 더스틴 니퍼트, 마이클 보우덴, 장원준, 유희관의 일명 "판타스틱 4" 선발진을 앞세워 1995년 이후 무려 21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동시에 단일 시즌 최다승인 93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하면서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까지 세웠다. 정규시즌 2위 NC 다이노스는 2014년부터 3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성공,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직행에 성공했다. 시즌 초중반에는 15연승까지 달리는 등 승승장구하며 한때 선두 두산을 위협했으나, 주축 선수들 중 일부의 사건 사고 연루와 선발진 공백을 시즌 중에 겪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극복하며 무난히 3년 연속 가을야구의 초대를 받았다. 정규시즌 3위 넥센 히어로즈는 4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을 기록했는데, 올 시즌 주축선수들의 대거 이탈로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김세현을 비롯한 기존 선수들의 재발견과 신재영을 필두로 한 신진 선수들도 발굴했다. 동시에 기존의 거포군단에서 기동력을 중심으로하는 다른 팀 컬러를 확립하며 값진 기록을 세웠다. 한편, 지난 시즌 9위를 기록했던 LG 트윈스는 지난 시즌부터 착실하게 투타 리빌딩을 성공적으로 하면서 완벽한 신구조화를 일구어 내며 정규시즌 4위로 2014년 이후 2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스트시즌 티켓을 따낸 KIA 타이거즈는 2011년 이후 무려 5년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였다. KIA의 김기태 감독은 2013년 LG 감독 2년차에 LG를 가을야구를 진출 시킨데 이어 KIA 감독 부임 2년차만에 팀을 가을야구로 이끄는데 성공했다. 대진표[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1  두산 베어스 4     2  NC 다이노스 3     2  NC 다이노스 0     3  넥센 히어로즈 1     4  LG 트윈스 1     4  LG 트윈스 2     4  LG 트윈스 3     5  KIA 타이거즈 1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이병규(7),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이형종, 문선재, 채은성 KIA 타이거즈 감독 - 김기태 코치 - 박흥식, 김종국, 조계현, 이대진, 김태룡, 김창희, 나카무라 다케시, 유동훈 투수 - 임창용, 최영필, 윤석민, 지크 스프루일, 고효준, 한승혁, 헥터 노에시, 홍건희, 김윤동, 양현종, 김광수, 김진우 포수 - 이성우, 한승택 내야수 - 김선빈, 서동욱, 안치홍, 강한울, 이범호, 김주형, 고영우, 브렛 필 외야수 - 신종길, 김주찬, 나지완, 이호신, 김호령, 노수광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어드밴티지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10월 10일(월) 1차전 KIA 타이거즈 4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헥터 노에시(KIA 타이거즈) 10월 11일(화) 2차전 KIA 타이거즈 0 - 1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류제국(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 0 0 0 2 0 1 0 1 0 4 5 1 0 LG 트윈스 0 0 0 0 0 0 0 2 0 2 6 2 2 승리 투수 : 헥터 노에시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임창용  홀드 : 고효준, 윤석민 KIA 임창용, 역대 포스트 시즌 최고령 세이브 (만 40세 4개월 6일) 1차전 MVP : KIA 헥터 노에시 7이닝 2실점(1자책) 1볼넷 3탈삼진 5피안타 (투구수 : 98개) 1차전에서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KIA에서는 헥터 노에시가 각각 등판했다. 양팀 외국인 에이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전개된 경기는 4회에 KIA 쪽으로 넘어갔다. 4회초, 브렛 필의 중전 안타와 나지완의 우익 선상 2루타로 만든 1사 2,3루에서 이범호의 2루 플라이와 안치홍의 땅볼로 찬스가 무산되는듯 했지만, 안치홍의 유격수 땅볼 타구를 오지환이 잡지 못하며 루상의 주자 2명을 모두 홈으로 불러들여 2:0으로 앞서 나갔다. 이후, KIA는 6회초, 브렛 필의 2루타와 김주찬의 1루 땅볼로 만든 1사 3루에서 나지완의 중견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가했고, 8회초에 2사 2루에서 김주찬의 적시타로 2루 주자 노수광이 홈을 밣으며, 스코어를 4:0으로 벌렸다. LG는 이어진 8회말 공격에서 오지환의 2루타와 이병규(7)의 내야 플라이 타구를 김선빈이 놓치면서 만든 무사 1,3루 상황에서 유강남의 안타로 1점을 만회했고, 이어진 대타 서상우의 타석에서 폭투로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1점을 더 추가했지만, 1루 주자 유강남의 주루 미스로 아웃이 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가져오지 못하고, 1차전을 내주게 되었다. 이 날 경기는 양 팀의 유격수로 인해 희비가 갈렸다. LG는 앞서 언급한 4회초에 오지환의 실책으로 2점을 내주며 KIA에 분위기를 내줬고, 반면, KIA의 유격수 김선빈은 2회와 4회에 두 번의 안타성 타구를 병살로 연결시키는 호수비를 선보이며, LG의 분위기를 끊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1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KIA 타이거즈 0 0 0 0 0 0 0 0 0 0 1 2 6 LG 트윈스 ◄ 0 0 0 0 0 0 0 0 1 1 8 0 4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임창용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LG 류제국, 역대 포스트 시즌 한 경기 최다 몸에 맞는 공 타이 기록 (3개, 6번째) LG 김용의, 역대 포스트 시즌 3번째 끝내기 희생플라이 2차전 MVP : LG 류제국 8이닝 0실점 6볼넷 6탈삼진 1피안타 (투구수 : 116개) 2차전에서 LG에서는 류제국이, KIA에서는 양현종이 각각 등판했다. 이날 경기는 역대 최고의 투수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투수전이 펼쳐졌다. LG 선발 류제국은 6회 1사까지 노히트를 기록하는 등, 8이닝동안 6볼넷 1피안타 6탈삼진으로 최고의 피칭을 보였다. KIA 선발 양현종은 6이닝 동안 95개의 공을 던지면서 2회말을 제외하고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다. 하지만, 주자를 한 명도 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줬다. 1회 말 선두타자 출루, 3회 말 1사 2, 3루, 4회 말 선두타자 출루, 그리고 5,6회 이어지는 실점 위기를 완벽히 막아냈다. 또한 야수들도 호수비를 펼치며 양팀의 선발투수들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5회말, LG가 2사 2루 상황에서 박용택의 안타성 타구를 좌익수 김주찬이 뒤로 넘어지면서 캐치하며 실점을 막았고, 이어진 6최초, KIA 공격에서 1사 2루 상황에서 나지완의 안타성 타구를 유격수 오지환이 다이빙 캐치로 막아내며, 실점을 막았다. 특히, 8회말, 2사 1,3루의 상황에서 양석환의 안타성 타구를 KIA의 우익수 노수광이 그림 같은 다이빙 캐치로 잡아 양팀의 응원단의 희비를 엇갈리게 했다. 경기의 승패는 9회말에 갈렸다. 정상호의 안타와 손주인의 고의4구, 서상우의 안타로 만든 1사 만루상황에서 김용의의 중견수 희생플라이에 3루주자가 홈에 들어오면서 LG 트윈스가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참고로 당시 희생플라이를 만든 중견수는 김호령이었는데, 당시 김용의의 타구였다면, 보통 공을 잡는것을 포기하고 끝내기 안타가 될 정도의 타구였으나, 끝까지 쫓아가서 플라이공을 포구했고, 끝내기 안타가 아닌 희생플라이를 만들어내어 그 투혼에 탈락을 했음에도 찬사를 받았다.) 준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넥센 히어로즈 감독 - 염경엽 코치 - 이강철, 박철영, 강병식, 홍원기, 손혁, 정수성, 박승민, 심재학 투수 - 앤디 밴 헤켄, 스캇 맥그레거, 신재영, 오주원, 마정길, 박주현, 황덕균, 김정훈, 이보근, 김상수, 김세현 포수 - 박동원, 김재현, 주효상 내야수 - 서건창, 김민성, 윤석민, 김하성, 채태인, 김지수, 김웅빈 외야수 - 고종욱, 이택근, 대니 돈, 유재신, 임병욱, 강지광, 김민준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13일(목) 1차전 LG 트윈스 7 - 0 넥센 히어로즈 서울 고척스카이돔 18시 30분 16,300명 김용의(LG 트윈스) 10월 14일(금) 2차전 LG 트윈스 1 - 5 넥센 히어로즈 18시 30분 16,300명 앤디 밴 헤켄(넥센 히어로즈) 10월 15일(토) 이동일 10월 16일(일) 3차전 넥센 히어로즈 1 - 4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4시 00분 25,000명 유강남(LG 트윈스) 10월 17일(월) 4차전 넥센 히어로즈 4 - 5 LG 트윈스 18시 30분 24,352명 이동현(LG 트윈스) 승리팀: LG 트윈스, 준플레이오프 MVP: 오지환(LG 트윈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13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 1 0 0 0 3 2 1 0 0 7 9 1 3 넥센 히어로즈 0 0 0 0 0 0 0 0 0 0 11 0 2 승리 투수 : 헨리 소사  패전 투수 : 스캇 맥그레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1차전 MVP : LG 김용의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 (준PO 1차전 타율 : 0.750) 1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1차전은 초반에 승부가 갈렸다. 1회초, LG는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투수땅볼, 박용택의 안타로 만든 1사 1,3루에서 히메네스의 1루 땅볼로 선취점을 올렸다. 이후 소강상태 경기는 5회초에 LG쪽으로 분위기가 넘어간다. 양석환의 볼넷과 정상호의 안타, 손주인의 희생 번트로 만든 1사 2,3루에서 김용의의 좌중간 2루타로 2점을 추가했고, 박용택의 적시타로 LG는 5회초에 3점을 내며 달아났고, 6회초에는 오지환의 내야 안타와 채은성의 2루타로 만든 무사 2,3루에서 폭투와 정상호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더 추가했다. LG는 7회초에도 김용의의 안타와 이천웅의 희생 번트, 박용택의 적시타로 1점 더 추가 승부에 사실상 쐐기를 박았다. 넥센은 LG보다 안타를 2개 더 때렸으나, 타선의 응집력이 아쉬웠다. 특히, 1회말과, 4회말에 두차레의 만루찬스를 살리지 못한 것이 뼈아팠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14일 - 서울 고척스카이돔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1 0 1 4 0 1 넥센 히어로즈 ◄ 1 0 1 3 0 0 0 0 X 5 10 1 6 승리 투수 : 앤디 밴 헤켄  패전 투수 : 우규민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넥센 – 임병욱 (우규민 상대로 3회 1점) 2차전 MVP : 넥센 앤디 밴 헤켄 7.2이닝 1실점 1볼넷 5탈삼진 3피안타 (투구수 : 102개) 2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2차전은 1차전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1회말, 넥센은 고종욱의 안타와 김하성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획득했고, 3회말에는 임병욱이 우중간을 넘어가는 솔로홈런(비거리: 125m)를 날리며, 2:0으로 앞서나갔다.(이 홈런은 서울 고척스카이돔구장의 포스트시즌 1호 홈런이 되었다.) 넥센은 4회말, 김민성과 이택근읜 연속안타와 박동원의 희생 번트, 임병욱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서건창의 2타점 적시타와 고종욱의 1타점 적시타로 3점을 추가, 전날 두 차례의 만루 상황에서 타선이 터지지 않은 아쉬움을 날렸다. LG는 8회초에 1점을 만회했지만, 승부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였고, 전날 불붙은 타격감이 하루 만에 식어버린 것이 아쉬웠다. 반면, 넥센은 선발 앤디 밴 헤켄에 7.2이닝 호투에 힘입어 시리즈를 원점으로 만들고, 승부는 잠실로 넘어가게 되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1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0 0 0 1 0 0 0 0 1 6 1 2 LG 트윈스 ◄ 0 0 0 2 0 0 2 0 X 4 9 0 6 승리 투수 : 데이비드 허프  패전 투수 : 신재영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정찬헌홈런 :  LG – 유강남 (4회 신재영 상대로 4회 2점) 3차전 MVP : LG 유강남 4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준PO 3차전 타율 : 0.250) 3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신재영이,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1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넥센 히어로즈 0 4 0 0 0 0 0 0 0 4 6 2 2 LG 트윈스 ◄ 0 0 2 0 2 0 0 1 X 5 13 0 4 승리 투수 : 정찬헌  패전 투수 : 김세현  세이브 : 임정우  홀드 : {{{홀드투수}}} 4차전 MVP : LG 이동현 2.1이닝 0실점 0볼넷 1탈삼진 0피안타 (투구수 : 26개) 4차전에서 넥센에서는 스캇 맥그레거가,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준플레이오프 MVP : 오지환 0.500 (12타수 6안타 4볼넷 3타점 2득점) 플레이오프[편집] 출장자 명단[편집] 팀 선수 명단 NC 다이노스 감독 - 김경문 코치 - 이동욱, 전준호, 최기문, 박승호, 최일언, 이광길, 구천서, 양승관 투수 - 임정호, 이민호, 재크 스튜어트, 에릭 해커, 배재환, 임창민, 원종현, 장현식, 김진성, 구창모, 최금강 포수 - 김태군, 용덕한 내야수 - 박민우, 모창민, 이상호, 지석훈, 손시헌, 에릭 테임즈, 박석민, 조영훈, 이호준 외야수 - 김준완, 김종호, 김성욱, 이종욱, 나성범, 권희동 LG 트윈스 감독 - 양상문 코치 - 서용빈, 김정민, 경헌호, 한혁수, 유지현, 강상수, 박종호, 최정우 투수 - 우규민, 류제국, 이동현, 임정우, 진해수, 정찬헌, 데이비드 허프, 김지용, 헨리 소사, 봉중근, 임찬규, 윤지웅 포수 - 유강남, 정상호 내야수 - 황목치승, 루이스 히메네스, 오지환, 손주인, 윤진호, 정성훈, 양석환, 서상우 외야수 - 김용의, 안익훈, 이천웅, 박용택, 문선재, 채은성 경기 기록[편집] 2016 타이어뱅크 KBO 플레이오프 일시 경기 원정팀(선공) 스코어 홈팀(후공) 개최 구장 개시 시각 관중수 경기 MVP 10월 21일(금) 1차전 LG 트윈스 2 - 3 NC 다이노스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18시 30분 11,000명 용덕한(NC 다이노스) 10월 22일(토) 2차전 LG 트윈스 0 - 2 NC 다이노스 14시 00분 11,000명 박석민(NC 다이노스) 10월 23일(일) 이동일 10월 24일(월) 3차전 NC 다이노스 1 - 2 LG 트윈스 서울 잠실 야구장 18시 30분 25,000명 양석환(LG 트윈스) 10월 25일(화) 4차전 NC 다이노스 8 - 3 LG 트윈스 18시 30분 25,000명 에릭 해커(NC 다이노스) 승리팀: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박석민(NC 다이노스) 1차전[편집] 2016년 10월 21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1 1 0 2 3 0 5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0 0 3 3 10 0 3 승리 투수 : 임창민  패전 투수 : 임정우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정찬헌, 진해수홈런 :  LG – 루이스 히메네스 (7회 에릭 해커 상대로 7회 1점), 정상호 (8회 에릭 해커 상대로 8회 1점) 1차전 MVP : NC 용덕한 1타수 1안타 1타점 (PO 1차전 타율 : 1.000) 1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헨리 소사가 각각 등판했다. 2차전[편집] 2016년 10월 22일 - 마산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LG 트윈스 0 0 0 0 0 0 0 0 0 0 4 0 1 NC 다이노스 ◄ 0 0 0 0 0 0 2 0 X 2 5 1 1 승리 투수 : 재크 스튜어트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이민호  홀드 : 원종현홈런 :  NC –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로 7회 2점) 2차전 MVP : NC 박석민 3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1홈런 (PO 2차전 타율 : 0.333) 2차전에서 NC에서는 재크 스튜어트가, LG에서는 데이비드 허프가 각각 등판했다. 3차전[편집] 2016년 10월 2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R H E B NC 다이노스 0 0 0 0 0 1 0 0 0 0 0 1 6 1 9 LG 트윈스 ◄ 1 0 0 0 0 0 0 0 0 0 1 2 6 1 16 승리 투수 : 임정우  패전 투수 : 김진성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 3차전 MVP : LG 양석환 1타수 1안타 1타점 (PO 3차전 타율 : 1.000) 3차전에서 NC에서는 장현식이, LG에서는 류제국이 각각 등판했다. 4차전[편집] 2016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NC 다이노스 ◄ 0 0 0 1 0 0 3 2 2 8 13 0 5 LG 트윈스 0 0 1 0 0 0 0 2 0 3 8 0 5 승리 투수 : 에릭 해커  패전 투수 : 데이비드 허프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NC – 에릭 테임즈 (우규민 상대 4회 1점), 박석민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1점), 김성욱 (데이비드 허프 상대 7회 2점) 4차전 MVP : NC 에릭 해커 7이닝 1실점 3볼넷 1탈삼진 6피안타 (투구수 : 105개) 플레이오프 MVP : NC 박석민 0.222 (9타수 2안타 4볼넷 2홈런 3타점 3득점) 4차전에서 NC에서는 에릭 해커가, LG에서는 우규민이 각각 등판했다. 한국시리즈[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6년 한국시리즈입니다. 중계 일정[편집] 2016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되었다. TV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1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녹화중계 KBS N 스포츠 - 캐스터: 이호근, 해설: 송진우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박재홍 SPOTV - 캐스터: 최두영, 해설: 염종석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이종범 준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KBS 2TV - 캐스터: 김현태, 해설: 이용철 2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3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4차전 SBS TV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플레이오프[편집] 1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정민철 2차전 KBS 2TV - 캐스터: 유지철, 해설: 이용철 3차전 주관방송사 Sky Sports - 캐스터: 임용수, 해설: 이효봉 옵튜브 중계 MBC SPORTS+ - 캐스터: 한명재, 해설: 허구연 SBS Sports - 캐스터: 정우영, 해설: 이순철 KBS N 스포츠 - 캐스터: 강성철, 해설: 송진우, 장성호 SPOTV - 캐스터: 김민수 해설: 염종석 4차전 MBC TV - 캐스터: 한명재, 해설: 정민철, 이종범 라디오 중계[편집] 와일드카드 결정전[편집] KBS 제2라디오 - 캐스터: 유지철, 해설: 동봉철 준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플레이오프[편집] 틀:없다 같이 보기[편집] 2016년 KBO 리그 2016년 한국시리즈 vdehKBO 포스트시즌1980년대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년대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년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년대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vdeh 2016년 대한민국 야구 « 2015 2017 » 국내 리그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 한국시리즈) 퓨처스 리그 고교 야구 대한민국 고교야구 주말리그 황금사자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제4회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학 야구 KBA 회장기 춘계 추계 KBO 총재기 대통령기 대학야구선수권 아시안대회 아시아시리즈 KBO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KBO_포스트시즌&oldid=24249273" 분류: KBO 포스트시즌2016년 야구2016년 대한민국2016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0일 (월) 12: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 총 15개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은 유엔 총회에서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유엔 총회는 해마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 가운데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1965년까지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6개국 총 1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1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 1.1 상임이사국 1.2 비상임이사국 2 지역 그룹 2.1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 3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4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4.1 1946년-1965년 4.2 1966년-현재 5 이사국 재임 기간 6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 7 같이 보기 8 각주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편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원국 (2019년 기준) 지도      상임이사국      비상임이사국 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중화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71년 (중화민국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프랑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러시아 동유럽 지역 1991년 (소련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영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미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비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적도 기니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쿠웨이트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8년 2019년 인도네시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9년 2020년 벨기에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독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폴란드 동유럽 지역 2018년 2019년 페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도미니카 공화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지역 그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엔 지역 그룹입니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동유럽 지역 그룹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무소속      유엔 비회원국 또는 영토 유엔은 전체 회원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국 의석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된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3개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2개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2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2개국(최소한 1개국은 서유럽 국가) 동유럽(경제 이행 국가) 지역 그룹: 1개국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유엔 총회는 해마다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하며 선거는 매년 10월 16일에 시작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전체 회원국의 과반수 가운데 2/3 이상이 찬성하면 선출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중임은 가능하지만 연임은 불가능하다. 선거 계획표 비상임이사국의 임기가 시작되는 연도 홀수 해 짝수 해 아프리카 1개국 2개국 * 아시아 태평양 1개국 1개국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1개국 1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2개국 없음 동유럽 없음 1개국 (*)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1968년부터 짝수 해에 아랍 국가 1개국에 배정된 비상임이사국 의석이 교체되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만료되면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며 반대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임기가 만료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선출된다.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편집] 1946년부터 1965년까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6개국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2개국 영국 연방: 1개국 동유럽: 1개국 중동: 1개국 서유럽: 1개국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편집] 연도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46년-1971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화민국 1971년-1991년 중화인민공화국 1991년-현재 러시아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편집] 1946년-1965년[편집] 연도 라틴 아메리카 지역 영국 연방 지역 동유럽과 아시아 지역[1] 중동 지역 서유럽 지역 1946년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폴란드 이집트 네덜란드 1947년 콜롬비아 시리아 벨기에 1948년 아르헨티나 캐나다 우크라이나 SSR 1949년 쿠바 이집트 노르웨이 1950년 에콰도르 인도 유고슬라비아 1951년 브라질 터키 네덜란드 1952년 칠레 파키스탄 그리스 1953년 콜롬비아 레바논 덴마크 1954년 브라질 뉴질랜드 터키 1955년 페루 이란 벨기에 1956년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유고슬라비아 1957년 콜롬비아 필리핀 이라크 스웨덴 1958년 파나마 캐나다 일본 1959년 아르헨티나 튀니지 이탈리아 1960년 에콰도르 실론 폴란드 1961년 칠레 터키 아랍 연합 공화국 라이베리아[2] 1962년 베네수엘라 가나 루마니아 아일랜드 1963년 브라질 필리핀 모로코[3] 노르웨이 1964년 볼리비아 코트디부아르[4] 체코슬로바키아 1965년 우루과이 말레이시아 요르단 네덜란드 1966년-현재[편집] 연도 아프리카 지역 * 아랍 국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아랍 국가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1966년 말리 나이지리아 우간다 일본 요르단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네덜란드 뉴질랜드 불가리아 1967년 에티오피아 인도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1968년 알제리 * 세네갈 파키스탄 파라과이 헝가리 1969년 잠비아 네팔 콜롬비아 핀란드 스페인 1970년 부룬디 시에라리온 시리아 * 니카라과 폴란드 1971년 소말리아 일본 아르헨티나 벨기에 이탈리아 1972년 기니 수단 * 인도 파나마 유고슬라비아 1973년 케냐 인도네시아 페루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1974년 카메룬 모리타니 이라크 * 코스타리카 벨로루시 SSR 1975년 탄자니아 일본 가이아나 이탈리아 스웨덴 1976년 베냉 리비아 * 파키스탄 파나마 루마니아 1977년 모리타니 인도 베네수엘라 캐나다 서독 1978년 가봉 나이지리아 쿠웨이트 * 볼리비아 체코슬로바키아 1979년 잠비아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노르웨이 포르투갈 1980년 니제르 튀니지 * 필리핀 멕시코 동독 1981년 우간다 일본 파나마 아일랜드 스페인 1982년 토고 자이르 요르단 * 가이아나 폴란드 1983년 짐바브웨 파키스탄 니카라과 몰타 네덜란드 1984년 부르키나파소[5] 이집트 * 인도 페루 우크라이나 SSR 1985년 마다가스카르 태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1986년 콩고 가나 아랍에미리트 * 베네수엘라 불가리아 1987년 잠비아 일본 아르헨티나 서독 이탈리아 1988년 알제리 * 세네갈 네팔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1989년 에티오피아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캐나다 핀란드 1990년 코트디부아르 자이르 예멘 *[6] 쿠바 루마니아 1991년 짐바브웨 인도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벨기에 1992년 카보베르데 모로코 * 일본 베네수엘라 헝가리 1993년 지부티 파키스탄 브라질 뉴질랜드 스페인 1994년 나이지리아 르완다 오만 * 아르헨티나 체코 1995년 보츠와나 인도네시아 온두라스 독일 이탈리아 1996년 이집트 * 기니비사우 대한민국 칠레 폴란드 1997년 케냐 일본 코스타리카 포르투갈 스웨덴 1998년 가봉 감비아 바레인 * 브라질 슬로베니아 1999년 나미비아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캐나다 네덜란드 2000년 말리 튀니지 *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우크라이나 2001년 모리셔스 싱가포르 콜롬비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2002년 카메룬 기니 시리아 * 멕시코 불가리아 2003년 앙골라 파키스탄 칠레 독일 스페인 2004년 알제리 * 베냉 필리핀 브라질 루마니아 2005년 탄자니아 일본 아르헨티나 덴마크 그리스 2006년 가나 콩고 공화국 카타르 * 페루 슬로바키아 200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파나마 벨기에 이탈리아 2008년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 베트남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2009년 우간다 일본 멕시코 터키 오스트리아 2010년 가봉 나이지리아 레바논 * 브라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콜롬비아 독일 포르투갈 2012년 모로코 * 토고 파키스탄 과테말라 아제르바이잔 2013년 르완다 대한민국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룩셈부르크 2014년 차드 나이지리아 요르단 *[7] 칠레 리투아니아 2015년 앙골라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뉴질랜드 스페인 2016년 이집트 * 세네갈 일본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2017년 에티오피아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이탈리아[8] 스웨덴 2018년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 페루 네덜란드[8] 폴란드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도미니카 공화국 독일 벨기에 2020년 니제르 튀니지 * 베트남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에스토니아 이사국 재임 기간[편집]      상임이사국      2019년 비상임이사국      옛 유엔 회원국 연도 국가 첫 임기 연도 최근의 임기 연도 지역 그룹 각주 74년 프랑스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영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미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48년 중화인민공화국 1971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상임이사국. 46년 소련 1946년 1991년 동유럽 지역 옛 상임이사국. 러시아가 승계함. 28년 러시아 1991년 2020년 동유럽 지역 상임이사국. 26년 중화민국 1946년 197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옛 상임이사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승계함. 22년 일본 1958년 201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년 브라질 1946년 201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8년 아르헨티나 1948년 201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콜롬비아 1947년 201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인도 1950년 201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년 파키스탄 1952년 201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3년 이탈리아 1959년 2017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벨기에 194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캐나다 1948년 200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독일 197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서독 시대의 임기 4년 포함. 11년 폴란드 1946년 2019년 동유럽 지역 10년 오스트레일리아 1946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칠레 1952년 2015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네덜란드 1946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나이지리아 1966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10년 파나마 1958년 200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페루 1955년 201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스페인 1969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베네수엘라 1962년 201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9년 이집트 1946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2년 포함. 8년 덴마크 1953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인도네시아 1973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8년 노르웨이 1949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우크라이나 1948년 2017년 동유럽 지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임기 4년 포함. 7년 말레이시아 1965년 201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7년 멕시코 1946년 201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7년 뉴질랜드 1954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루마니아 1962년 2005년 동유럽 지역 7년 터키 1951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유고슬라비아 1950년 198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에 걸쳐 있었음. 6년 알제리 1968년 198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오스트리아 1973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볼리비아 1964년 201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불가리아 1966년 2003년 동유럽 지역 6년 코스타리카 1974년 200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코트디부아르 1964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쿠바 1949년 199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콰도르 1950년 199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티오피아 1967년 2018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봉 1978년 2011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나 1962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요르단 1965년 201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6년 모로코 1963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필리핀 1957년 200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6년 포르투갈 1979년 201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세네갈 1968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7년 2020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스웨덴 1957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시리아 1947년 200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1년 포함. 6년 튀니지 1959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잠비아 1969년 1988년 아프리카 지역 5년 아일랜드 1962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5년 우간다 1966년 2010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앙골라 2003년 201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방글라데시 1979년 200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베냉 1976년 2005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부르키나파소 1984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첫 임기 7개월 동안에는 오트볼타라는 이름을 사용했음. 4년 카메룬 1974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핀란드 1969년 199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그리스 1952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기니 1972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가이아나 1975년 198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헝가리 1968년 1993년 동유럽 지역 4년 이라크 1957년 197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자메이카 1979년 200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케냐 1973년 1998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쿠웨이트 1978년 201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레바논 1953년 201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리비아 1976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4년 말리 1966년 2001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모리셔스 1977년 2002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네팔 1969년 198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니카라과 1970년 198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콩고 공화국 1986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대한민국 1996년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르완다 1994년 2014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탄자니아 1975년 200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토고 1982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우루과이 1965년 2017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자이르 1982년 1991년 아프리카 지역 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 4년 짐바브웨 1983년 1992년 아프리카 지역 3년 체코슬로바키아 1964년 197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었음. 2년 아제르바이잔 2012년 2013년 동유럽 지역 2년 바레인 1998년 199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0년 2011년 동유럽 지역 2년 보츠와나 1995년 199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부룬디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벨로루시 SSR 1974년 1975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벨라루스. 2년 카보베르데 1992년 1993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실론 1960년 196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현재의 스리랑카. 2년 차드 2014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크로아티아 2008년 2009년 동유럽 지역 2년 체코 1994년 1995년 동유럽 지역 2년 지부티 1993년 1994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도미니카 공화국 2019년 202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감비아 1998년 199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동독 1980년 1981년 동유럽 지역 2년 적도 기니 2018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과테말라 2012년 201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기니비사우 1996년 1997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온두라스 1995년 199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이란 1955년 195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카자흐스탄 2017년 2018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리투아니아 2014년 2015년 동유럽 지역 2년 룩셈부르크 2013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마다가스카르 1985년 198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몰타 1983년 198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모리타니 1974년 1975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나미비아 1999년 2000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니제르 1980년 198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오만 1994년 199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파라과이 1968년 196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시에라리온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싱가포르 2001년 200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슬로바키아 2006년 2007년 동유럽 지역 2년 슬로베니아 1998년 1999년 동유럽 지역 2년 소말리아 1971년 1972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수단 1972년 197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태국 1985년 198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85년 198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카타르 2006년 200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에미리트 1986년 198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61년 1962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현재의 이집트, 시리아에 걸쳐 있었음. 2년 베트남 2008년 200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예멘 1990년 199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선출 당시부터 첫 임기 5개월 동안에는 남예멘이었음. 남예멘이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과 통일된 이후에도 그 자리를 승계받았음. 1년 라이베리아 1961년 1961년 아프리카 지역 임기 1년만 역임하고 사퇴함.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편집] 다음은 유엔 회원국 가운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들이다.      옛 유엔 회원국 국가 지역 그룹 아프가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알바니아 동유럽 지역 안도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앤티가 바부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르메니아 동유럽 지역 바하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바베이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벨리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부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브루나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캄보디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코모로 아프리카 지역 키프로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도미니카 연방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엘살바도르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에리트레아 아프리카 지역 에스토니아 동유럽 지역 에스와티니 아프리카 지역 피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지아 동유럽 지역 그레나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티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슬란드 서유럽과 기타 지역 이스라엘 서유럽과 기타 지역 키리바시 무소속 키르기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오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트비아 동유럽 지역 레소토 아프리카 지역 리히텐슈타인 서유럽과 기타 지역 말라위 아프리카 지역 몰디브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마셜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몰도바 동유럽 지역 모나코 서유럽과 기타 지역 몽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모잠비크 아프리카 지역 미얀마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나우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북마케도니아 동유럽 지역 팔라우 아시아 태평양 지역 파푸아뉴기니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인트키츠 네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루시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사모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산마리노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투메 프린시페 아프리카 지역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르비아 동유럽 지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세이셸 아프리카 지역 솔로몬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남수단 아프리카 지역 수리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스위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타지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탕가니카 영국 연방 지역 동티모르 아시아 태평양 지역 통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르크메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발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즈베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바누아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잔지바르 영국 연방 지역 같이 보기[편집] 유엔 회원국 각주[편집] ↑ 동유럽 지역 대표 의석과 아시아 지역 대표 의석은 1956년까지 단일 의석이었다. ↑ 라이베리아는 1961년에 서유럽 대표로 선출되었다. ↑ 모로코는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중동 대표로 선출되었다. ↑ 코트디부아르는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영국 연방 대표로 선출되었다. ↑ 1984년 8월까지의 국명은 오트볼타 공화국이었다. ↑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던 당시에는 남예멘이었으며 1990년 5월 남예멘과 북예멘이 통일되면서 예멘이 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지만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가 중동 분쟁 해결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거절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신하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 가 나 2016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비상임이사국의 2년 임기를 각각 1년씩 나누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네덜란드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이다. vdeh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이사국 상임이사국 러시아 미국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비상임이사국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폴란드 페루 (2018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도미니카 공화국 벨기에 독일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vdeh 유엔주요 기구 총회(→ 의장)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사무총장 사무부총장 주요 본부 뉴욕 (본부) 나이로비 빈 제네바 기금 및 계획 유니세프(UNICEF)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난민 기구(UNHCR)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 유엔 인구 기금(UNFPA)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유엔 환경 계획(UNEP)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UNRWA)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 전문 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보건 기구(WHO) 유네스코(UNESCO) 국제 노동 기구(ILO)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국제 해사 기구(IMO) 세계 기상 기구(WMO)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만국 우편 연합(UPU) 세계 관광 기구(UNWTO) 기타 기구 유엔 에이즈 합동 계획(UNAIDS) 유엔 재해 경감 국제 전략(UNISDR) 유엔 프로젝트 조달 기구(UNOPS) 관련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세계 무역 기구(WTO)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화학 무기 금지 기구(OPCW) 국제 형사 재판소(ICC) 국제 무역 센터(ITC) 회원국 정회원 옵서버 역사 국제 연맹 대서양 헌장 연합국 공동 선언 유엔(UN) 회원국 확장의 역사 결의안 총회 결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관련 항목 유엔 헌장 유엔기 유엔의 날 국제 기념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기념 공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지속가능 개발 목표 유엔 대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엔_안전_보장_이사회_이사국_목록&oldid=24511000" 분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oomaalig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 총 15개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은 유엔 총회에서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유엔 총회는 해마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 가운데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1965년까지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6개국 총 1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1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 1.1 상임이사국 1.2 비상임이사국 2 지역 그룹 2.1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 3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4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4.1 1946년-1965년 4.2 1966년-현재 5 이사국 재임 기간 6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 7 같이 보기 8 각주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편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회원국 (2019년 기준) 지도      상임이사국      비상임이사국 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중화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71년 (중화민국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프랑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러시아 동유럽 지역 1991년 (소련이 보유하고 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영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미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1946년 비상임이사국[편집] 국가 지역 그룹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적도 기니 아프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쿠웨이트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8년 2019년 인도네시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19년 2020년 벨기에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독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2019년 2020년 폴란드 동유럽 지역 2018년 2019년 페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8년 2019년 도미니카 공화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019년 2020년 지역 그룹[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유엔 지역 그룹입니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동유럽 지역 그룹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무소속      유엔 비회원국 또는 영토 유엔은 전체 회원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국 의석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된다. 아프리카 지역 그룹: 3개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2개국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2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2개국(최소한 1개국은 서유럽 국가) 동유럽(경제 이행 국가) 지역 그룹: 1개국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유엔 총회는 해마다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하며 선거는 매년 10월 16일에 시작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전체 회원국의 과반수 가운데 2/3 이상이 찬성하면 선출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중임은 가능하지만 연임은 불가능하다. 선거 계획표 비상임이사국의 임기가 시작되는 연도 홀수 해 짝수 해 아프리카 1개국 2개국 * 아시아 태평양 1개국 1개국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1개국 1개국 서유럽과 기타 지역 2개국 없음 동유럽 없음 1개국 (*) 아랍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1968년부터 짝수 해에 아랍 국가 1개국에 배정된 비상임이사국 의석이 교체되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만료되면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며 반대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 아랍 국가 1개국의 임기가 만료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국가 1개국이 선출되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선출된다.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편집] 1946년부터 1965년까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6개국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2개국 영국 연방: 1개국 동유럽: 1개국 중동: 1개국 서유럽: 1개국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편집] 연도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1946년-1971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화민국 1971년-1991년 중화인민공화국 1991년-현재 러시아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편집] 1946년-1965년[편집] 연도 라틴 아메리카 지역 영국 연방 지역 동유럽과 아시아 지역[1] 중동 지역 서유럽 지역 1946년 브라질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폴란드 이집트 네덜란드 1947년 콜롬비아 시리아 벨기에 1948년 아르헨티나 캐나다 우크라이나 SSR 1949년 쿠바 이집트 노르웨이 1950년 에콰도르 인도 유고슬라비아 1951년 브라질 터키 네덜란드 1952년 칠레 파키스탄 그리스 1953년 콜롬비아 레바논 덴마크 1954년 브라질 뉴질랜드 터키 1955년 페루 이란 벨기에 1956년 쿠바 오스트레일리아 유고슬라비아 1957년 콜롬비아 필리핀 이라크 스웨덴 1958년 파나마 캐나다 일본 1959년 아르헨티나 튀니지 이탈리아 1960년 에콰도르 실론 폴란드 1961년 칠레 터키 아랍 연합 공화국 라이베리아[2] 1962년 베네수엘라 가나 루마니아 아일랜드 1963년 브라질 필리핀 모로코[3] 노르웨이 1964년 볼리비아 코트디부아르[4] 체코슬로바키아 1965년 우루과이 말레이시아 요르단 네덜란드 1966년-현재[편집] 연도 아프리카 지역 * 아랍 국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아랍 국가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서유럽과 기타 지역 동유럽 지역 1966년 말리 나이지리아 우간다 일본 요르단 *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네덜란드 뉴질랜드 불가리아 1967년 에티오피아 인도 브라질 캐나다 덴마크 1968년 알제리 * 세네갈 파키스탄 파라과이 헝가리 1969년 잠비아 네팔 콜롬비아 핀란드 스페인 1970년 부룬디 시에라리온 시리아 * 니카라과 폴란드 1971년 소말리아 일본 아르헨티나 벨기에 이탈리아 1972년 기니 수단 * 인도 파나마 유고슬라비아 1973년 케냐 인도네시아 페루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1974년 카메룬 모리타니 이라크 * 코스타리카 벨로루시 SSR 1975년 탄자니아 일본 가이아나 이탈리아 스웨덴 1976년 베냉 리비아 * 파키스탄 파나마 루마니아 1977년 모리타니 인도 베네수엘라 캐나다 서독 1978년 가봉 나이지리아 쿠웨이트 * 볼리비아 체코슬로바키아 1979년 잠비아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노르웨이 포르투갈 1980년 니제르 튀니지 * 필리핀 멕시코 동독 1981년 우간다 일본 파나마 아일랜드 스페인 1982년 토고 자이르 요르단 * 가이아나 폴란드 1983년 짐바브웨 파키스탄 니카라과 몰타 네덜란드 1984년 부르키나파소[5] 이집트 * 인도 페루 우크라이나 SSR 1985년 마다가스카르 태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1986년 콩고 가나 아랍에미리트 * 베네수엘라 불가리아 1987년 잠비아 일본 아르헨티나 서독 이탈리아 1988년 알제리 * 세네갈 네팔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1989년 에티오피아 말레이시아 콜롬비아 캐나다 핀란드 1990년 코트디부아르 자이르 예멘 *[6] 쿠바 루마니아 1991년 짐바브웨 인도 에콰도르 오스트리아 벨기에 1992년 카보베르데 모로코 * 일본 베네수엘라 헝가리 1993년 지부티 파키스탄 브라질 뉴질랜드 스페인 1994년 나이지리아 르완다 오만 * 아르헨티나 체코 1995년 보츠와나 인도네시아 온두라스 독일 이탈리아 1996년 이집트 * 기니비사우 대한민국 칠레 폴란드 1997년 케냐 일본 코스타리카 포르투갈 스웨덴 1998년 가봉 감비아 바레인 * 브라질 슬로베니아 1999년 나미비아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캐나다 네덜란드 2000년 말리 튀니지 * 방글라데시 자메이카 우크라이나 2001년 모리셔스 싱가포르 콜롬비아 아일랜드 노르웨이 2002년 카메룬 기니 시리아 * 멕시코 불가리아 2003년 앙골라 파키스탄 칠레 독일 스페인 2004년 알제리 * 베냉 필리핀 브라질 루마니아 2005년 탄자니아 일본 아르헨티나 덴마크 그리스 2006년 가나 콩고 공화국 카타르 * 페루 슬로바키아 200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파나마 벨기에 이탈리아 2008년 부르키나파소 리비아 * 베트남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2009년 우간다 일본 멕시코 터키 오스트리아 2010년 가봉 나이지리아 레바논 * 브라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콜롬비아 독일 포르투갈 2012년 모로코 * 토고 파키스탄 과테말라 아제르바이잔 2013년 르완다 대한민국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룩셈부르크 2014년 차드 나이지리아 요르단 *[7] 칠레 리투아니아 2015년 앙골라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뉴질랜드 스페인 2016년 이집트 * 세네갈 일본 우루과이 우크라이나 2017년 에티오피아 카자흐스탄 볼리비아 이탈리아[8] 스웨덴 2018년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 페루 네덜란드[8] 폴란드 201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도미니카 공화국 독일 벨기에 2020년 니제르 튀니지 * 베트남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에스토니아 이사국 재임 기간[편집]      상임이사국      2019년 비상임이사국      옛 유엔 회원국 연도 국가 첫 임기 연도 최근의 임기 연도 지역 그룹 각주 74년 프랑스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영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74년 미국 1946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임이사국. 48년 중화인민공화국 1971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상임이사국. 46년 소련 1946년 1991년 동유럽 지역 옛 상임이사국. 러시아가 승계함. 28년 러시아 1991년 2020년 동유럽 지역 상임이사국. 26년 중화민국 1946년 197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옛 상임이사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승계함. 22년 일본 1958년 201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0년 브라질 1946년 201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8년 아르헨티나 1948년 201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콜롬비아 1947년 201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4년 인도 1950년 201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년 파키스탄 1952년 201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13년 이탈리아 1959년 2017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벨기에 194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캐나다 1948년 200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2년 독일 1977년 202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서독 시대의 임기 4년 포함. 11년 폴란드 1946년 2019년 동유럽 지역 10년 오스트레일리아 1946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칠레 1952년 2015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네덜란드 1946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나이지리아 1966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10년 파나마 1958년 200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페루 1955년 201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10년 스페인 1969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10년 베네수엘라 1962년 201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9년 이집트 1946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2년 포함. 8년 덴마크 1953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인도네시아 1973년 2020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8년 노르웨이 1949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8년 우크라이나 1948년 2017년 동유럽 지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임기 4년 포함. 7년 말레이시아 1965년 201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7년 멕시코 1946년 201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7년 뉴질랜드 1954년 201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루마니아 1962년 2005년 동유럽 지역 7년 터키 1951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7년 유고슬라비아 1950년 198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에 걸쳐 있었음. 6년 알제리 1968년 198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오스트리아 1973년 201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볼리비아 1964년 2018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불가리아 1966년 2003년 동유럽 지역 6년 코스타리카 1974년 200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코트디부아르 1964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쿠바 1949년 199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콰도르 1950년 1992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6년 에티오피아 1967년 2018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봉 1978년 2011년 아프리카 지역 6년 가나 1962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요르단 1965년 201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6년 모로코 1963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필리핀 1957년 200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6년 포르투갈 1979년 201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세네갈 1968년 2017년 아프리카 지역 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07년 2020년 아프리카 지역 6년 스웨덴 1957년 2018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6년 시리아 1947년 200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1년 포함. 6년 튀니지 1959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6년 잠비아 1969년 1988년 아프리카 지역 5년 아일랜드 1962년 2002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5년 우간다 1966년 2010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앙골라 2003년 201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방글라데시 1979년 200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베냉 1976년 2005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부르키나파소 1984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첫 임기 7개월 동안에는 오트볼타라는 이름을 사용했음. 4년 카메룬 1974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핀란드 1969년 1990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그리스 1952년 2006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4년 기니 1972년 200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가이아나 1975년 198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헝가리 1968년 1993년 동유럽 지역 4년 이라크 1957년 197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자메이카 1979년 2001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케냐 1973년 1998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쿠웨이트 1978년 201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레바논 1953년 201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4년 리비아 1976년 2009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4년 말리 1966년 2001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모리셔스 1977년 2002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네팔 1969년 198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니카라과 1970년 1984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콩고 공화국 1986년 2007년 아프리카 지역 4년 대한민국 1996년 2014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4년 르완다 1994년 2014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탄자니아 1975년 2006년 아프리카 지역 4년 토고 1982년 2013년 아프리카 지역 4년 우루과이 1965년 2017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4년 자이르 1982년 1991년 아프리카 지역 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 4년 짐바브웨 1983년 1992년 아프리카 지역 3년 체코슬로바키아 1964년 1979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었음. 2년 아제르바이잔 2012년 2013년 동유럽 지역 2년 바레인 1998년 199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0년 2011년 동유럽 지역 2년 보츠와나 1995년 199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부룬디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벨로루시 SSR 1974년 1975년 동유럽 지역 현재의 벨라루스. 2년 카보베르데 1992년 1993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실론 1960년 196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현재의 스리랑카. 2년 차드 2014년 2015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크로아티아 2008년 2009년 동유럽 지역 2년 체코 1994년 1995년 동유럽 지역 2년 지부티 1993년 1994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도미니카 공화국 2019년 2020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감비아 1998년 199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동독 1980년 1981년 동유럽 지역 2년 적도 기니 2018년 2019년 아프리카 지역 2년 과테말라 2012년 2013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기니비사우 1996년 1997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온두라스 1995년 199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이란 1955년 195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카자흐스탄 2017년 2018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리투아니아 2014년 2015년 동유럽 지역 2년 룩셈부르크 2013년 201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마다가스카르 1985년 1986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몰타 1983년 1984년 서유럽과 기타 지역 2년 모리타니 1974년 1975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나미비아 1999년 2000년 아프리카 지역 2년 니제르 1980년 198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오만 1994년 199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파라과이 1968년 1969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시에라리온 1970년 1971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싱가포르 2001년 2002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슬로바키아 2006년 2007년 동유럽 지역 2년 슬로베니아 1998년 1999년 동유럽 지역 2년 소말리아 1971년 1972년 아프리카 지역 2년 수단 1972년 1973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2년 태국 1985년 198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1985년 1986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2년 카타르 2006년 200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에미리트 1986년 1987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2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61년 1962년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현재의 이집트, 시리아에 걸쳐 있었음. 2년 베트남 2008년 2009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2년 예멘 1990년 1991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선출 당시부터 첫 임기 5개월 동안에는 남예멘이었음. 남예멘이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과 통일된 이후에도 그 자리를 승계받았음. 1년 라이베리아 1961년 1961년 아프리카 지역 임기 1년만 역임하고 사퇴함.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편집] 다음은 유엔 회원국 가운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들이다.      옛 유엔 회원국 국가 지역 그룹 아프가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알바니아 동유럽 지역 안도라 서유럽과 기타 지역 앤티가 바부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르메니아 동유럽 지역 바하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바베이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벨리즈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부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브루나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캄보디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지역 코모로 아프리카 지역 키프로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도미니카 연방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엘살바도르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에리트레아 아프리카 지역 에스토니아 동유럽 지역 에스와티니 아프리카 지역 피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지아 동유럽 지역 그레나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티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아이슬란드 서유럽과 기타 지역 이스라엘 서유럽과 기타 지역 키리바시 무소속 키르기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오스 아시아 태평양 지역 라트비아 동유럽 지역 레소토 아프리카 지역 리히텐슈타인 서유럽과 기타 지역 말라위 아프리카 지역 몰디브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마셜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미크로네시아 연방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몰도바 동유럽 지역 모나코 서유럽과 기타 지역 몽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모잠비크 아프리카 지역 미얀마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나우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북마케도니아 동유럽 지역 팔라우 아시아 태평양 지역 파푸아뉴기니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인트키츠 네비스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루시아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사모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산마리노 서유럽과 기타 지역 상투메 프린시페 아프리카 지역 사우디아라비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세르비아 동유럽 지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동유럽 지역 세이셸 아프리카 지역 솔로몬 제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남수단 아프리카 지역 수리남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스위스 서유럽과 기타 지역 타지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탕가니카 영국 연방 지역 동티모르 아시아 태평양 지역 통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르크메니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투발루 아시아 태평양 지역 우즈베키스탄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바누아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잔지바르 영국 연방 지역 같이 보기[편집] 유엔 회원국 각주[편집] ↑ 동유럽 지역 대표 의석과 아시아 지역 대표 의석은 1956년까지 단일 의석이었다. ↑ 라이베리아는 1961년에 서유럽 대표로 선출되었다. ↑ 모로코는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중동 대표로 선출되었다. ↑ 코트디부아르는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영국 연방 대표로 선출되었다. ↑ 1984년 8월까지의 국명은 오트볼타 공화국이었다. ↑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던 당시에는 남예멘이었으며 1990년 5월 남예멘과 북예멘이 통일되면서 예멘이 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지만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가 중동 분쟁 해결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거절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신하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 가 나 2016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비상임이사국의 2년 임기를 각각 1년씩 나누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네덜란드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이다. vdeh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이사국 상임이사국 러시아 미국 영국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비상임이사국 코트디부아르 적도 기니 쿠웨이트 폴란드 페루 (2018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도미니카 공화국 벨기에 독일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9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vdeh 유엔주요 기구 총회(→ 의장)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사무총장 사무부총장 주요 본부 뉴욕 (본부) 나이로비 빈 제네바 기금 및 계획 유니세프(UNICEF) 유엔 개발 계획(UNDP) 유엔 난민 기구(UNHCR) 세계 식량 계획(WFP) 유엔 마약 범죄 사무소(UNODC) 유엔 인구 기금(UNFPA)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 유엔 환경 계획(UNEP)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사업 기구(UNRWA) 유엔 여성기구(UN Women)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 전문 기구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 통화 기금(IMF) 세계 보건 기구(WHO) 유네스코(UNESCO) 국제 노동 기구(ILO)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국제 해사 기구(IMO) 세계 기상 기구(WMO) 세계 지식 재산권 기구(WIPO)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유엔 산업 개발 기구(UNIDO) 만국 우편 연합(UPU) 세계 관광 기구(UNWTO) 기타 기구 유엔 에이즈 합동 계획(UNAIDS) 유엔 재해 경감 국제 전략(UNISDR) 유엔 프로젝트 조달 기구(UNOPS) 관련 기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세계 무역 기구(WTO)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 화학 무기 금지 기구(OPCW) 국제 형사 재판소(ICC) 국제 무역 센터(ITC) 회원국 정회원 옵서버 역사 국제 연맹 대서양 헌장 연합국 공동 선언 유엔(UN) 회원국 확장의 역사 결의안 총회 결의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관련 항목 유엔 헌장 유엔기 유엔의 날 국제 기념일 유엔 글로벌 콤팩트 유엔 기념 공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지속가능 개발 목표 유엔 대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엔_안전_보장_이사회_이사국_목록&oldid=24511000" 분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oomaalig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창조과학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창조과학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사과학(유사과학) 의사과학의 문제점 과학적 사실 왜곡 데이터의 조작 과학적 방법론의 부재 반지성주의의 조장 가짜뉴스의 유포 연구 부정행위 의사과학의 분류 원형과학 쓰레기과학 반과학 화물숭배과학 과거의 원형과학 연금술 점성술 대체의학 의사과학/사이비과학 (쓰레기과학) 창조과학 젊은 지구 창조설 지적 설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게임뇌 평평한 지구설 골상학 논란의 대상 피라미드 파워 육각수 (물) 물은 답을 알고있다. 지구공동설 초심리학 혈액형 성격설 관상학 정신분석학 세포 기억설 바이오리듬 켐트레일 유사의학 대체 암 치료법 동종요법 해독 안티백신 안아키 정치 현상과 매개한 경우 전환 치료 성적 지향 전환 시도 의사과학 단체 한국창조과학회 평평한 지구 학회 v • d • e • h 한국창조과학회(韓國創造科學會, 영어: Korean Association of Creationism Research)는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한국 개신교 계열의 종교적 반과학 단체이다. 이들은 반지성주의에 입각해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을 이용하며, 진화학을 비롯해 이미 증명된 과학들을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축자영감설에 따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가 문자적으로 사실이며, 젊은 지구설이 창조과학적으로 입증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이들은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창조주의(Creationism)가 포함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진화를 포함하여 자연에서 관찰되는 사실들을 부정하며, 학술적인 연구 실적이 없어 과학 학회로 볼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과학을 부정하는 종교적 반과학 단체로 보고 있다.[1] 목차 1 역사 1.1 연혁 2 주장 3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 4 비판 4.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 4.2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 4.3 근본주의 개신교 4.4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 4.5 가짜뉴스의 유포 4.6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 4.7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0년 8월 12일에서 15일 사이에 제칠일안식교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가 저술한 '새로운 지질학'이란 책의 의사과학적인 주장에 영향을 받은 미국 창조과학회의 헨리 M 모리스(Henry M. Morris)와 듀안 T. 기쉬(Duane T. Gish)와 같은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창조과학을 전파하였고, 이에 조직신학자 안명준이 제안하여[2][3] 당시 진화생물학 및 우주천문학과 연관성이 적은 이공계 전공자들 중 반도체물리학자 양승훈이[4], 재료공학자 김영길 교수를 초대 회장으로 하여 식물생리학자 이웅상교수와 함께 1981년 1월 31일에 한국창조과학회를 설립하였다.[5][6] 일반적으로 현대 지질학에 대한 반대로 시작되었지만 초기에 진화생물학, 지질학 및 천문학 분야의 전공자가 없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적 축자영감설의 해석을 추종하며 우주 및 지구 연대를 6천년-1만년 등으로 매우 짧다고 주장하는 젋은 지구 창조설을 주장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태도로 인해 천문학과 생물학 그리고 지질학계의 정설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 과학적 관점과는 전혀 동떨어진 유사과학적인 관점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7] 또한 진화생물학을 특정하여 이에 "반대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의 홍수지질학에 더불어 조나단 웰스의 영향을 받은 통일교적 기원을 갖고 있기에 초반에 이 단체는 통일교와 관련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창조과학회는 후에 이것이 오해라고 해명하려 했으나[8][9][10] 바이오로고스를 비롯한 신학단체에서는 조나단 웰스에서 기원한 창조과학회의 안티진화생물학 주장이 문선명에 의한 직접적인 교시에 의한 것임을 명시하여[11] 이것이 반기독교적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창조과학은 사실상 통일교와 제7일 안식교에 의해 그 핵심 논리의 기반이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이들의 반기독교적 근본과 반과학성 때문에 창조과학회의 최초 설립자였던 물리학자 양승훈과 조직신학자 안명준 등은 이를 지적했지만 창조과학회는 이들을 배척했고, 따라서 이들은 창조과학회를 탈퇴하게 되었다.[12] 하지만 이들이 주장하는 오랜 지구 창조설 역시 진화를 비롯한 명백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기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13] 연혁[편집] 1981년 1월 31일: 한국창조과학회 창립 1990년 11월 12일: 사단법인 한국창조과학회 설립인가 1997년 9월: 한국창조과학회 홈페이지 개설 주장[편집] 한국창조과학회의 주장은 일반적으로 일치되지 않거나, 내부에서도 여러가지 충돌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주장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성경은 절대적으로 옳으며 역사적, 과학적 사실을 담고 있다.[14] 진화론은 무신론적이며 인본주의적이므로 복음 전파의 장애물이다.[15] 진화는 거짓이다.[16] 현대 과학이 서술하는 자연사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이 계속해서 증명되고 있다.[17] 축자영감설에 입각하여 젊은 지구 창조설을 입증하는 창조과학만이 현대 과학의 올바른 대안이다.[18] 공교육기관에서도 진화론 대신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 시간에 가르쳐야 한다.[19]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편집]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차세대사역"의 일환으로[20] 창조과학의 명칭을 "착한과학"으로 변형하여 2013년부터 중고생들 대상으로 창조과학 동아리 지원, 진로탐방, 창조과학회 참여자들에 의한 강연, 창조과학 탐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1][22] 2014년까지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이 교육프로그램에 "착한과학 프로젝트"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에 그 명칭을 다시 "창조실험과학"으로 재변경하였다.[23] 이와 관련하여 한국창조과학회는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보급과 함께 청소년 대상 창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할 주식회사 착한과학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24][25][26] 비판[편집] 창조과학회는 과학적으로 이미 명백한 사실로 밝혀진 진화[27][28][29]를 비롯하여 다양한 과학적 사실들을 부정하므로, 모든 양심적인 과학자들은 창조과학회의 주장을 일종의 사이비과학으로 보고 있으며[30], 이는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의사과학으로서 이미 위치가 정해진 창조과학의 한계와, 유신진화론 등으로 과학과 충분히 대립하지 않을 수 있는 창조주의를 유사과학적 틀에 가두어 버림으로서 기독교를 반지성주의에 물들게 하고 신학적 깊이를 얕게 만들었기 때문이다.[3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편집] 이들은 논문의 인용에 있어서 많은 오류를 범하며, 논리의 비약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이 단체의 직접적인 연구는 전무하며, 과학계에 출판된 과학논문이 단 한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내용의 과학적 자문 없이 어린이용 서적도 만들어 논란이 있다.[32] 심각한 것은 진화가 명백한 사실로 증명된 현재에 이를 부정하기 위해 사실과 다른 주장들을 아이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반지성주의를 유발시킬 수 있는 큰 문제를 낳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창조과학회가 과학학회가 아님을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33] 심지어는 종분화가 대진화와 같은 정의를 가짐에도 이것이 다르다는 식의 억지 주장들을 함으로서, 과학계에서 기본적으로 가진 정의들을 왜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기독교 창조론을 정규 과학과목 교과서에 포함시켜 가르쳐야 한다며 학술연구 결과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헌법소원 등의 과학 외적인 방법으로 교육계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34] 그러나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2항의 정교분리 원칙[35] 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로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36] 에 입각하여 지적설계론 및 기독교 창조론을 초·중등 과정의 과학교육 시간에 가르치도록 강제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례가 존재한다.[37] 근본주의 개신교[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론을 지지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며 안식일교 계열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지지하는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현대과학의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타협적인 오랜 지구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은 지지하지 않는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는 창조과학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고는 하지만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적인 인물들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 1장 및 2장에 기술된 6일간의 천지창조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든 입장에 대해서 "신앙이 과학에 타협한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38]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랜 지구 창조설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2008년에 한국창조과학회의 창립 멤버인 양승훈 교수를 제명한 바 있다.[18][39][40] 무엇보다, 창조과학의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에 대해 반증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가 있는 토론과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8][41]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편집] 창조과학회에서는 진화론이 단지 진화 생물학만이 아니라 빅뱅 이론, 화학진화, 고고학, 천문학, 지질학 등의 넓은 분야에 걸쳐 있다는 주장을 하나, 이는 논리의 비약으로 끊임없이 지적받고 있다. 때때로 창조과학회에서는 다른 과학 논문을 인용하기도 하나, 원래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일부만 체리 피킹하여 사용하는 등의 행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창조과학회에서 인용하는 논문 중 문제가 되고 있는 주제의 예시들이다. 달의 충돌구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가지고, 이것이 달의 나이, 지구의 나이 및 진화론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을 아무런 인용없이 했다.[42] 창조과학회는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에 대한 글을 쓰면서 "RATE에서 태양의 활동은 훨씬 더 왕성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는 점이나 "필자의 생각에는 양성자 평균 밀도에 대한 H-3의 기여를 2×10^-5, He-3의 기여를 1/12×1.6×10^-4로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는 점에 대해 아무런 이유 제시도, 인용도 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43] 창조과학회는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현상에 대해 이것이 창조설의 근거인 듯이 글을 서술했으나,[44], 에디아카라 동물군의 발견으로, 캄브리아기의 대폭발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자 이 발견이 진화론의 기초를 무너뜨린다고 주장했다.[45] 그런데, 여기에서 이들이 인용한 논문들은 진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내용이며, 긴시간에 걸쳐 진화한 모습들을 서술한다.[46][47] 창조과학회는 굴의 진화에 관한 논문을 인용하며, 굴의 진화가 잘못되었고, 그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다른 무늬가 되는거라고 주장하였으나[48], 그들이 글에서 언급한 1922년 원본 논문과 재발견 논문, 그리고 인용된 서적에는 이 발견이 쥬라기 시절 굴의 화석이며, 다른 서식지에 따라 다르게 진화해 온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49][50][51] 창조과학회는 현화식물의 화분에 대해 고식물학적 수수께끼이며, 새로 발견된 화분의 화석으로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쓰고 있는데[52], 이 화석을 발견한 실제 논문을 보면, 이것은 초기 단계의 현화식물 진화를 증명하는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된다고 쓰여있다.[53] 창조과학회는 고대 지구에선 산소의 양이 많았다고 주장하며 밀러 실험과 화학진화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54]. 그러나 이 주장에 나온 인용 자료는 산소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55]. 창조과학회는 원시대기를 산화성이라고 주장했으나, 2011 논문에서는, 달의 대기 분석을 통해 원시대기가 환원성이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었다[56]. 창조과학회에서는 또한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된 것을 가지고, "그들이 다람쥐처럼 보였다면, 아마도 그들은 다람쥐였을 것이다."라는 비약을 하며, 이것이 진화론적 패러다임과 들어맞지 않는 이유라고 했다[57]. 인용한 논문을 보면, 이것은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일 뿐 다람쥐는 아니며, 이 화석은 중이의 뼈 형태가 포유류의 진화를 지지한다고 나와있다.[58] 또한, 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왜곡하여, 진화에 영향을 주는 항시 증가하는 유전정보(과학에서의 정의는 유전자 다양성)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비주류 주장을 펼치는데,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서 재정의하는 유전정보는 유전자의 총량, 새로운 기능, 유전체의 총량을 섞어쓰며, 각각의 분리된 정의에서의 정보는 항시 증가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부분이다[59].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이 형성되는 겸형 적혈구 유전자나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에 대해서는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는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생기지 않았다고 증가하며,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는 트랜스포존과 같은 것에서는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셋 모두가 증가하는 플라스미드나 용원성 생활사 바이러스의 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주장을 한다. 또한, ENCODE project의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정크 DNA라는 개념이 사라졌다고 주장하기까지 하는 것이다. (Junk DNA는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그 기능이 있다고 해서 앞의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들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60] 이와 비슷한 주장으로 "이로운 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주장도 있는데, 이 역시 위의 유전정보에 대한 주장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근거도 없는 주장으로서, 변이의 유리함과 불리함은 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모든 변이는 유리한 변이가 될 수도, 불리한 변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깝다. 이들은 초파리의 변이의 한 종류인 안테나페디아의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것이 불리한 변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 변이 역시 특정 환경에서는 유리한 변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61] 창조과학회에서는 마치 과학자들이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 이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처럼 주장하는 경향도 있으며, 이럴 경우 의도적으로 원 논문에 대한 인용을 피하고 기사만을 인용하는 등 악질적인 왜곡을 서슴치 않는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한 창조가 이 세상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DNA 연구를 왜곡한다. 네안데르탈인과 인간에 관한 DNA 연구와 통하여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상호 교배가 가능했음이 밝혀졌음에도, 이들은 그냥 두개의 다른 종이라고 주장하며, 다지역 기원설이 힘을 얻는 와중에도 한 지역의 인류가 전세계로 급격히 퍼졌음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오래된 주장을 한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이미 증명된 진화이론을 부정하며 돌연변이는 많이 일어나나 그 돌연변이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아직까지 입증이 안 되었다는 주장을 하지만, 앞서 말한 "이로운 변이가 주장하지 않는다"와 같이 아무런 근거도 없으며, 생명의 연속성은 DNA의 서열 탐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가짜뉴스의 유포[편집] NTD라는 언론사에서 해외의 연구를 바탕으로 쓰여진 기사[62]를 엉터리로 번역해서 잘못 쓰여진 기사[63]를 내었는데, 그대로 가져다가 그것이 마치 진화론을 무너뜨리는 것처럼 왜곡해서 기사를 썼다.[64] 이와같은 무분별한 가짜뉴스의 유포로 인해 실제 연구의 결과를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편집] 2013년부터 한국창조과학회는 착한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2015년 주식회사 착한과학 설립 이후에는 창조실험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조과학 교육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특히 진화학 및 지질학 관련 강연 및 실습 프로그램에서 진화에 의한 종분화의 부정 및 노아의 홍수에 의한 단기간의 지층 형성 등 현대 과학의 추세를 무시하는 사이비과학을 가르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22][65]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여타 창조과학 운동처럼 창조과학이 과학이며 교육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미국의 다른 단체들에 의해 시행된 창조과학 운동에 대해 과학계와 교육계, 시민권단체, 장로교, 성공회, 천주교, 감리교에서 이미 반대 성명을 낸 적이 있다.[66] 일반적으로 복음주의권에서도 창조과학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창조과학을 지지하는 단체는 극보수주의적 근본주의자들 뿐이다. 2017년 9월부터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몇몇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창조과학의 해악성에 대해 알리는 릴레이 기고문을 게시하고 있다[67] 같이 보기[편집] 김영길 (공학자) 의사과학 창조과학 지적설계 평평한 지구 학회 창조주의 축자영감설 반지성주의 제칠일안식교 통일교 각주[편집] ↑ “창조과학의 반 지성주의”.  ↑ 안명준, "기독교와 과학", 성경과 세계, 유윤종외 (평택대학교출판부:2016)), 186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4262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5823 ↑ [1]한국에서의 창조론 운동의 회고와 전망 ↑ '창조론' 내부 논쟁 시작되다(뉴스앤조이) ↑ [2]강건일, <진화론 창조론 산책>, 참과학 ↑ “창조과학의 회고와 전망, 통일교 집단으로 오인받아”.  ↑ “통일교 신자 조나단 웰스”.  ↑ “진화학 반대의 통일교적 기원”.  ↑ http://biologos.org/blogs/ted-davis-reading-the-book-of-nature/science-and-the-bible-intelligent-design-part-4 ↑ “내가 창조과학회를 떠난 네가지 이유”.  ↑ http://mall.godpeople.com/?G=9788988042663 ↑ 한국창조과학회.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 한국창조과학회. “Mission-창조신앙의 회복”.  ↑ 한국창조과학회. “진화론의 거짓을 폭로합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부정되고 있는 수십 억 년의 지구연대”.  ↑ 가 나 다 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 "창조과학 운동은 세월호와 유사" -<창조에서 홍수까지> 출간 "아마추어가 창조론 조타수 자처"”.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 주장은 지구의 나이를 1만여 년 내외로 보는 젊은 지구설과, 노아의 홍수에 의해 대격변이 일어나 현재의 모든 지층이 형성되었다는 격변설이다.  ↑ 한국창조과학회. “Goal-교육개혁”.  ↑ 11월 차세대사역자모임 성료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11월 뉴스레터”.  ↑ 가 나 “2013.10.26 착한과학프로젝트 - 고려대 탐방 성료”. 두번째 실험 파트는 동물 실험파트로 생명유전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파리를 이용하여 초파리 알에서 부터 성체까지를 관찰하고, 돌연변이가 된 초파리 등도 함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돌연변이를 통한 종의 변화나 발달은 이루어 지지 않음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 예를 들면, 2013년 10월 뉴스레터 에는 "착한과학 지질탐사캠프"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는데 2015년 직후 "창조실험과학 지질탐사캠프" 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있다. ↑ 한국창조과학회장 이은일. “다시 새로운 출발선에서”. 2015년 새로운 출발을 다시 다짐하면서, 창조과학 관련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 보급 등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착한과학을 통해 교육 컨설팅을 비롯하여, 대안학교 등과 연계한 창조과학적인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새로운 시도들이 있을 것입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제2회 정기 이사회 및 총회 성료”. 출판 관련해서 ㈜착한과학으로 명칭변경, CMS 후원제도 시행 및 학술대회 개최 예정지 건에 대하여 보고 하였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4년 3월 교육위원회의 성료”. (주)착한과학이 촬영-편집을 담당  ↑ http://www.nas.edu/evolution/TheoryOrFact.html ↑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14-007-0260-0 ↑ http://bio.biologists.org/content/early/2015/10/23/bio.014241?utm_source=TrendMD&utm_medium=cpc&utm_campaign=Biol_Open_TrendMD_1 ↑ https://ncse.com/ ↑ “교회가 창조과학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  ↑ “어린이용 서적들" ↑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print.asp?ctcd=C02&nNewsNumb=002371100008 ↑ “진화론만 가르치는 교과서는 위헌”… 창조과학회,헌법소원 낸다-국민일보 2009년 5월 19일자,유영대 기자 ↑ “국가법령정보센터_대한민국헌법”.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 “First Amendment”.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 “Tammy Kitzmiller, et al. v. Dover Area School District, et al., Case No. 04cv2688”.  ↑ ““창조과학회서도 엇갈리는 지구 나이””.  ↑ 크리스천투데이. “양승훈 교수의 ‘한국창조과학회를 떠나며…’”.  ↑ 뉴스M(미주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와 창조과학회, '창조론'으로 대립(양 교수 "오랜 지구론" 주장…창조과학회, 제명으로 응수)”.  ↑ McComas, William 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Rationales and Strategies (TEN MYTHS OF SCIENCE: REEXAMINING WHAT WE THINK WE KNOW)》.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창조주의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종들은 전적으로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형성된 지구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명백히 그와 같은 신념이 거짓이라 것을 반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종의 창조관을 반증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과학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창조과학”이라는 용어는 일종의 모순어법인 것이다. 창조과학은 종교적인 신념과 같은 것이며, 그것을 반증 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달의 가장 큰 바다는 충돌 충돌구가 아니었다.(Lunar Impact: Major Moon Basin Was Not a Big Hit)”.  ↑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 : 젊은 달의 반대 증거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Helium-3 capture in lunar regolith and the age of the moon)”.  ↑ “캄브리아기의 폭발 : 창조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The Cambrian Explosion : A Strong Argument Favoring Creation)”.  ↑ “창조과학회,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된 척추동물 물고기 화석은 진화론의 기초를 붕괴시키고 있다. (Cambrian Fossil Intensifies Evolutionary Conundrum)”.  ↑ “A primitive fish from the Cambrian of North America”.  ↑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 “잘못됐던 굴의 진화 이야기(Evolution’s oyster twis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The Use of Gryphaea in the Correlation of the Lower Lias”.  ↑ “THE EVOLUTION OF THE LIASSIC OYSTERS OSTREA-GRYPHAEA”.  ↑ “Oyster life positions and shell beds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land” (PDF).  ↑ “현화식물의 잃어버린 화분 미스터리 : 고식물학적 수수께끼 (Mystery of the Flower’s Missing Pollen: A Paleobotanical Puzzle)”.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Potomacapnos apeleutheron gen. et sp. nov., a new Early Cretaceous angiosperm from the Potomac Group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udicot leaf architecture”.  ↑ “'생명의 기원' 논란의 종지부 : 산소는 처음부터 있었다.(Curtains for OOL: Oxygen Was Present from the Star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Making oxygen before life”.  ↑ “Academic Aspects of Lunar Water Resources and Their Relevance to Lunar Protolife”.  ↑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되었다.(Jurassic Squirrels?)”.  ↑ “Three new Jurassic euharamiyidan species reinforce early divergence of mammals”. Our findings also favour a Late Triassic origin of mammals in Laurasia and two independent detachment events of the middle ear bon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 http://skepties.net/p/1830/ ↑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589 ↑ http://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0030245 ↑ “유전자 분석이 진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 “진화에 대한 새로운 발견”. , 해당 글의 제목은 "진화론 무너지나"였다가 가짜 뉴스임이 판명된 후 수정되었다. ↑ “근거 잃은 진화론”. :해당 내용은 NTD뉴스를 그대로 옮긴 것에 창조과학회의 사견을 더한 것으로, 오타인 "저널 오브 에볼루션"까지 그대로 가져왔다. ↑ “2013.11.23 부산 씨리얼 창조과학 캠프 성료”. 이번 캠프에서는 아이들 앞에서 직접 시연한 지층 실험과, 습곡이 오랜 시간 걸려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몸소 체험하도록 굳기를 달리한 찰흙으로 습곡을 만드는 실험을 추가했다.  ↑ “미국과학교육센터 Voices for evolution”.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브릭 소리마당: 창조과학 연속 기고 외부 링크[편집] 한국창조과학회 - 공식 웹사이트 한국창조과학회 - 페이스북 한국창조과학회 - 트위터 착한과학연구소 - 공식 웹사이트 (보존된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창조과학회&oldid=24508754" 분류: 한국의 기독교기독교계 신흥 종교창조주의의사과학창조과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창조과학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창조과학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사과학(유사과학) 의사과학의 문제점 과학적 사실 왜곡 데이터의 조작 과학적 방법론의 부재 반지성주의의 조장 가짜뉴스의 유포 연구 부정행위 의사과학의 분류 원형과학 쓰레기과학 반과학 화물숭배과학 과거의 원형과학 연금술 점성술 대체의학 의사과학/사이비과학 (쓰레기과학) 창조과학 젊은 지구 창조설 지적 설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게임뇌 평평한 지구설 골상학 논란의 대상 피라미드 파워 육각수 (물) 물은 답을 알고있다. 지구공동설 초심리학 혈액형 성격설 관상학 정신분석학 세포 기억설 바이오리듬 켐트레일 유사의학 대체 암 치료법 동종요법 해독 안티백신 안아키 정치 현상과 매개한 경우 전환 치료 성적 지향 전환 시도 의사과학 단체 한국창조과학회 평평한 지구 학회 v • d • e • h 한국창조과학회(韓國創造科學會, 영어: Korean Association of Creationism Research)는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한국 개신교 계열의 종교적 반과학 단체이다. 이들은 반지성주의에 입각해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을 이용하며, 진화학을 비롯해 이미 증명된 과학들을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축자영감설에 따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가 문자적으로 사실이며, 젊은 지구설이 창조과학적으로 입증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이들은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창조주의(Creationism)가 포함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진화를 포함하여 자연에서 관찰되는 사실들을 부정하며, 학술적인 연구 실적이 없어 과학 학회로 볼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과학을 부정하는 종교적 반과학 단체로 보고 있다.[1] 목차 1 역사 1.1 연혁 2 주장 3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 4 비판 4.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 4.2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 4.3 근본주의 개신교 4.4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 4.5 가짜뉴스의 유포 4.6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 4.7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0년 8월 12일에서 15일 사이에 제칠일안식교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가 저술한 '새로운 지질학'이란 책의 의사과학적인 주장에 영향을 받은 미국 창조과학회의 헨리 M 모리스(Henry M. Morris)와 듀안 T. 기쉬(Duane T. Gish)와 같은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창조과학을 전파하였고, 이에 조직신학자 안명준이 제안하여[2][3] 당시 진화생물학 및 우주천문학과 연관성이 적은 이공계 전공자들 중 반도체물리학자 양승훈이[4], 재료공학자 김영길 교수를 초대 회장으로 하여 식물생리학자 이웅상교수와 함께 1981년 1월 31일에 한국창조과학회를 설립하였다.[5][6] 일반적으로 현대 지질학에 대한 반대로 시작되었지만 초기에 진화생물학, 지질학 및 천문학 분야의 전공자가 없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적 축자영감설의 해석을 추종하며 우주 및 지구 연대를 6천년-1만년 등으로 매우 짧다고 주장하는 젋은 지구 창조설을 주장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태도로 인해 천문학과 생물학 그리고 지질학계의 정설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 과학적 관점과는 전혀 동떨어진 유사과학적인 관점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7] 또한 진화생물학을 특정하여 이에 "반대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의 홍수지질학에 더불어 조나단 웰스의 영향을 받은 통일교적 기원을 갖고 있기에 초반에 이 단체는 통일교와 관련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창조과학회는 후에 이것이 오해라고 해명하려 했으나[8][9][10] 바이오로고스를 비롯한 신학단체에서는 조나단 웰스에서 기원한 창조과학회의 안티진화생물학 주장이 문선명에 의한 직접적인 교시에 의한 것임을 명시하여[11] 이것이 반기독교적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창조과학은 사실상 통일교와 제7일 안식교에 의해 그 핵심 논리의 기반이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이들의 반기독교적 근본과 반과학성 때문에 창조과학회의 최초 설립자였던 물리학자 양승훈과 조직신학자 안명준 등은 이를 지적했지만 창조과학회는 이들을 배척했고, 따라서 이들은 창조과학회를 탈퇴하게 되었다.[12] 하지만 이들이 주장하는 오랜 지구 창조설 역시 진화를 비롯한 명백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기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13] 연혁[편집] 1981년 1월 31일: 한국창조과학회 창립 1990년 11월 12일: 사단법인 한국창조과학회 설립인가 1997년 9월: 한국창조과학회 홈페이지 개설 주장[편집] 한국창조과학회의 주장은 일반적으로 일치되지 않거나, 내부에서도 여러가지 충돌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주장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성경은 절대적으로 옳으며 역사적, 과학적 사실을 담고 있다.[14] 진화론은 무신론적이며 인본주의적이므로 복음 전파의 장애물이다.[15] 진화는 거짓이다.[16] 현대 과학이 서술하는 자연사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이 계속해서 증명되고 있다.[17] 축자영감설에 입각하여 젊은 지구 창조설을 입증하는 창조과학만이 현대 과학의 올바른 대안이다.[18] 공교육기관에서도 진화론 대신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 시간에 가르쳐야 한다.[19]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편집]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차세대사역"의 일환으로[20] 창조과학의 명칭을 "착한과학"으로 변형하여 2013년부터 중고생들 대상으로 창조과학 동아리 지원, 진로탐방, 창조과학회 참여자들에 의한 강연, 창조과학 탐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1][22] 2014년까지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이 교육프로그램에 "착한과학 프로젝트"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에 그 명칭을 다시 "창조실험과학"으로 재변경하였다.[23] 이와 관련하여 한국창조과학회는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보급과 함께 청소년 대상 창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할 주식회사 착한과학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24][25][26] 비판[편집] 창조과학회는 과학적으로 이미 명백한 사실로 밝혀진 진화[27][28][29]를 비롯하여 다양한 과학적 사실들을 부정하므로, 모든 양심적인 과학자들은 창조과학회의 주장을 일종의 사이비과학으로 보고 있으며[30], 이는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의사과학으로서 이미 위치가 정해진 창조과학의 한계와, 유신진화론 등으로 과학과 충분히 대립하지 않을 수 있는 창조주의를 유사과학적 틀에 가두어 버림으로서 기독교를 반지성주의에 물들게 하고 신학적 깊이를 얕게 만들었기 때문이다.[3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편집] 이들은 논문의 인용에 있어서 많은 오류를 범하며, 논리의 비약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이 단체의 직접적인 연구는 전무하며, 과학계에 출판된 과학논문이 단 한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내용의 과학적 자문 없이 어린이용 서적도 만들어 논란이 있다.[32] 심각한 것은 진화가 명백한 사실로 증명된 현재에 이를 부정하기 위해 사실과 다른 주장들을 아이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반지성주의를 유발시킬 수 있는 큰 문제를 낳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창조과학회가 과학학회가 아님을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33] 심지어는 종분화가 대진화와 같은 정의를 가짐에도 이것이 다르다는 식의 억지 주장들을 함으로서, 과학계에서 기본적으로 가진 정의들을 왜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기독교 창조론을 정규 과학과목 교과서에 포함시켜 가르쳐야 한다며 학술연구 결과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헌법소원 등의 과학 외적인 방법으로 교육계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34] 그러나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2항의 정교분리 원칙[35] 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로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36] 에 입각하여 지적설계론 및 기독교 창조론을 초·중등 과정의 과학교육 시간에 가르치도록 강제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례가 존재한다.[37] 근본주의 개신교[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론을 지지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며 안식일교 계열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지지하는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현대과학의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타협적인 오랜 지구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은 지지하지 않는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는 창조과학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고는 하지만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적인 인물들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 1장 및 2장에 기술된 6일간의 천지창조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든 입장에 대해서 "신앙이 과학에 타협한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38]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랜 지구 창조설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2008년에 한국창조과학회의 창립 멤버인 양승훈 교수를 제명한 바 있다.[18][39][40] 무엇보다, 창조과학의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에 대해 반증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가 있는 토론과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8][41]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편집] 창조과학회에서는 진화론이 단지 진화 생물학만이 아니라 빅뱅 이론, 화학진화, 고고학, 천문학, 지질학 등의 넓은 분야에 걸쳐 있다는 주장을 하나, 이는 논리의 비약으로 끊임없이 지적받고 있다. 때때로 창조과학회에서는 다른 과학 논문을 인용하기도 하나, 원래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일부만 체리 피킹하여 사용하는 등의 행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창조과학회에서 인용하는 논문 중 문제가 되고 있는 주제의 예시들이다. 달의 충돌구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가지고, 이것이 달의 나이, 지구의 나이 및 진화론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을 아무런 인용없이 했다.[42] 창조과학회는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에 대한 글을 쓰면서 "RATE에서 태양의 활동은 훨씬 더 왕성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는 점이나 "필자의 생각에는 양성자 평균 밀도에 대한 H-3의 기여를 2×10^-5, He-3의 기여를 1/12×1.6×10^-4로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는 점에 대해 아무런 이유 제시도, 인용도 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43] 창조과학회는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현상에 대해 이것이 창조설의 근거인 듯이 글을 서술했으나,[44], 에디아카라 동물군의 발견으로, 캄브리아기의 대폭발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자 이 발견이 진화론의 기초를 무너뜨린다고 주장했다.[45] 그런데, 여기에서 이들이 인용한 논문들은 진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내용이며, 긴시간에 걸쳐 진화한 모습들을 서술한다.[46][47] 창조과학회는 굴의 진화에 관한 논문을 인용하며, 굴의 진화가 잘못되었고, 그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다른 무늬가 되는거라고 주장하였으나[48], 그들이 글에서 언급한 1922년 원본 논문과 재발견 논문, 그리고 인용된 서적에는 이 발견이 쥬라기 시절 굴의 화석이며, 다른 서식지에 따라 다르게 진화해 온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49][50][51] 창조과학회는 현화식물의 화분에 대해 고식물학적 수수께끼이며, 새로 발견된 화분의 화석으로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쓰고 있는데[52], 이 화석을 발견한 실제 논문을 보면, 이것은 초기 단계의 현화식물 진화를 증명하는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된다고 쓰여있다.[53] 창조과학회는 고대 지구에선 산소의 양이 많았다고 주장하며 밀러 실험과 화학진화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54]. 그러나 이 주장에 나온 인용 자료는 산소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55]. 창조과학회는 원시대기를 산화성이라고 주장했으나, 2011 논문에서는, 달의 대기 분석을 통해 원시대기가 환원성이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었다[56]. 창조과학회에서는 또한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된 것을 가지고, "그들이 다람쥐처럼 보였다면, 아마도 그들은 다람쥐였을 것이다."라는 비약을 하며, 이것이 진화론적 패러다임과 들어맞지 않는 이유라고 했다[57]. 인용한 논문을 보면, 이것은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일 뿐 다람쥐는 아니며, 이 화석은 중이의 뼈 형태가 포유류의 진화를 지지한다고 나와있다.[58] 또한, 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왜곡하여, 진화에 영향을 주는 항시 증가하는 유전정보(과학에서의 정의는 유전자 다양성)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비주류 주장을 펼치는데,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서 재정의하는 유전정보는 유전자의 총량, 새로운 기능, 유전체의 총량을 섞어쓰며, 각각의 분리된 정의에서의 정보는 항시 증가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부분이다[59].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이 형성되는 겸형 적혈구 유전자나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에 대해서는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는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생기지 않았다고 증가하며,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는 트랜스포존과 같은 것에서는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셋 모두가 증가하는 플라스미드나 용원성 생활사 바이러스의 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주장을 한다. 또한, ENCODE project의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정크 DNA라는 개념이 사라졌다고 주장하기까지 하는 것이다. (Junk DNA는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그 기능이 있다고 해서 앞의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들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60] 이와 비슷한 주장으로 "이로운 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주장도 있는데, 이 역시 위의 유전정보에 대한 주장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근거도 없는 주장으로서, 변이의 유리함과 불리함은 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모든 변이는 유리한 변이가 될 수도, 불리한 변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깝다. 이들은 초파리의 변이의 한 종류인 안테나페디아의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것이 불리한 변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 변이 역시 특정 환경에서는 유리한 변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61] 창조과학회에서는 마치 과학자들이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 이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처럼 주장하는 경향도 있으며, 이럴 경우 의도적으로 원 논문에 대한 인용을 피하고 기사만을 인용하는 등 악질적인 왜곡을 서슴치 않는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한 창조가 이 세상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DNA 연구를 왜곡한다. 네안데르탈인과 인간에 관한 DNA 연구와 통하여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상호 교배가 가능했음이 밝혀졌음에도, 이들은 그냥 두개의 다른 종이라고 주장하며, 다지역 기원설이 힘을 얻는 와중에도 한 지역의 인류가 전세계로 급격히 퍼졌음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오래된 주장을 한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이미 증명된 진화이론을 부정하며 돌연변이는 많이 일어나나 그 돌연변이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아직까지 입증이 안 되었다는 주장을 하지만, 앞서 말한 "이로운 변이가 주장하지 않는다"와 같이 아무런 근거도 없으며, 생명의 연속성은 DNA의 서열 탐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가짜뉴스의 유포[편집] NTD라는 언론사에서 해외의 연구를 바탕으로 쓰여진 기사[62]를 엉터리로 번역해서 잘못 쓰여진 기사[63]를 내었는데, 그대로 가져다가 그것이 마치 진화론을 무너뜨리는 것처럼 왜곡해서 기사를 썼다.[64] 이와같은 무분별한 가짜뉴스의 유포로 인해 실제 연구의 결과를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편집] 2013년부터 한국창조과학회는 착한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2015년 주식회사 착한과학 설립 이후에는 창조실험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조과학 교육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특히 진화학 및 지질학 관련 강연 및 실습 프로그램에서 진화에 의한 종분화의 부정 및 노아의 홍수에 의한 단기간의 지층 형성 등 현대 과학의 추세를 무시하는 사이비과학을 가르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22][65]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여타 창조과학 운동처럼 창조과학이 과학이며 교육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미국의 다른 단체들에 의해 시행된 창조과학 운동에 대해 과학계와 교육계, 시민권단체, 장로교, 성공회, 천주교, 감리교에서 이미 반대 성명을 낸 적이 있다.[66] 일반적으로 복음주의권에서도 창조과학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창조과학을 지지하는 단체는 극보수주의적 근본주의자들 뿐이다. 2017년 9월부터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몇몇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창조과학의 해악성에 대해 알리는 릴레이 기고문을 게시하고 있다[67] 같이 보기[편집] 김영길 (공학자) 의사과학 창조과학 지적설계 평평한 지구 학회 창조주의 축자영감설 반지성주의 제칠일안식교 통일교 각주[편집] ↑ “창조과학의 반 지성주의”.  ↑ 안명준, "기독교와 과학", 성경과 세계, 유윤종외 (평택대학교출판부:2016)), 186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4262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5823 ↑ [1]한국에서의 창조론 운동의 회고와 전망 ↑ '창조론' 내부 논쟁 시작되다(뉴스앤조이) ↑ [2]강건일, <진화론 창조론 산책>, 참과학 ↑ “창조과학의 회고와 전망, 통일교 집단으로 오인받아”.  ↑ “통일교 신자 조나단 웰스”.  ↑ “진화학 반대의 통일교적 기원”.  ↑ http://biologos.org/blogs/ted-davis-reading-the-book-of-nature/science-and-the-bible-intelligent-design-part-4 ↑ “내가 창조과학회를 떠난 네가지 이유”.  ↑ http://mall.godpeople.com/?G=9788988042663 ↑ 한국창조과학회.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 한국창조과학회. “Mission-창조신앙의 회복”.  ↑ 한국창조과학회. “진화론의 거짓을 폭로합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부정되고 있는 수십 억 년의 지구연대”.  ↑ 가 나 다 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 "창조과학 운동은 세월호와 유사" -<창조에서 홍수까지> 출간 "아마추어가 창조론 조타수 자처"”.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 주장은 지구의 나이를 1만여 년 내외로 보는 젊은 지구설과, 노아의 홍수에 의해 대격변이 일어나 현재의 모든 지층이 형성되었다는 격변설이다.  ↑ 한국창조과학회. “Goal-교육개혁”.  ↑ 11월 차세대사역자모임 성료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11월 뉴스레터”.  ↑ 가 나 “2013.10.26 착한과학프로젝트 - 고려대 탐방 성료”. 두번째 실험 파트는 동물 실험파트로 생명유전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파리를 이용하여 초파리 알에서 부터 성체까지를 관찰하고, 돌연변이가 된 초파리 등도 함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돌연변이를 통한 종의 변화나 발달은 이루어 지지 않음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 예를 들면, 2013년 10월 뉴스레터 에는 "착한과학 지질탐사캠프"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는데 2015년 직후 "창조실험과학 지질탐사캠프" 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있다. ↑ 한국창조과학회장 이은일. “다시 새로운 출발선에서”. 2015년 새로운 출발을 다시 다짐하면서, 창조과학 관련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 보급 등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착한과학을 통해 교육 컨설팅을 비롯하여, 대안학교 등과 연계한 창조과학적인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새로운 시도들이 있을 것입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제2회 정기 이사회 및 총회 성료”. 출판 관련해서 ㈜착한과학으로 명칭변경, CMS 후원제도 시행 및 학술대회 개최 예정지 건에 대하여 보고 하였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4년 3월 교육위원회의 성료”. (주)착한과학이 촬영-편집을 담당  ↑ http://www.nas.edu/evolution/TheoryOrFact.html ↑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14-007-0260-0 ↑ http://bio.biologists.org/content/early/2015/10/23/bio.014241?utm_source=TrendMD&utm_medium=cpc&utm_campaign=Biol_Open_TrendMD_1 ↑ https://ncse.com/ ↑ “교회가 창조과학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  ↑ “어린이용 서적들" ↑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print.asp?ctcd=C02&nNewsNumb=002371100008 ↑ “진화론만 가르치는 교과서는 위헌”… 창조과학회,헌법소원 낸다-국민일보 2009년 5월 19일자,유영대 기자 ↑ “국가법령정보센터_대한민국헌법”.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 “First Amendment”.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 “Tammy Kitzmiller, et al. v. Dover Area School District, et al., Case No. 04cv2688”.  ↑ ““창조과학회서도 엇갈리는 지구 나이””.  ↑ 크리스천투데이. “양승훈 교수의 ‘한국창조과학회를 떠나며…’”.  ↑ 뉴스M(미주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와 창조과학회, '창조론'으로 대립(양 교수 "오랜 지구론" 주장…창조과학회, 제명으로 응수)”.  ↑ McComas, William 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Rationales and Strategies (TEN MYTHS OF SCIENCE: REEXAMINING WHAT WE THINK WE KNOW)》.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창조주의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종들은 전적으로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형성된 지구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명백히 그와 같은 신념이 거짓이라 것을 반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종의 창조관을 반증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과학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창조과학”이라는 용어는 일종의 모순어법인 것이다. 창조과학은 종교적인 신념과 같은 것이며, 그것을 반증 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달의 가장 큰 바다는 충돌 충돌구가 아니었다.(Lunar Impact: Major Moon Basin Was Not a Big Hit)”.  ↑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 : 젊은 달의 반대 증거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Helium-3 capture in lunar regolith and the age of the moon)”.  ↑ “캄브리아기의 폭발 : 창조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The Cambrian Explosion : A Strong Argument Favoring Creation)”.  ↑ “창조과학회,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된 척추동물 물고기 화석은 진화론의 기초를 붕괴시키고 있다. (Cambrian Fossil Intensifies Evolutionary Conundrum)”.  ↑ “A primitive fish from the Cambrian of North America”.  ↑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 “잘못됐던 굴의 진화 이야기(Evolution’s oyster twis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The Use of Gryphaea in the Correlation of the Lower Lias”.  ↑ “THE EVOLUTION OF THE LIASSIC OYSTERS OSTREA-GRYPHAEA”.  ↑ “Oyster life positions and shell beds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land” (PDF).  ↑ “현화식물의 잃어버린 화분 미스터리 : 고식물학적 수수께끼 (Mystery of the Flower’s Missing Pollen: A Paleobotanical Puzzle)”.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Potomacapnos apeleutheron gen. et sp. nov., a new Early Cretaceous angiosperm from the Potomac Group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udicot leaf architecture”.  ↑ “'생명의 기원' 논란의 종지부 : 산소는 처음부터 있었다.(Curtains for OOL: Oxygen Was Present from the Star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Making oxygen before life”.  ↑ “Academic Aspects of Lunar Water Resources and Their Relevance to Lunar Protolife”.  ↑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되었다.(Jurassic Squirrels?)”.  ↑ “Three new Jurassic euharamiyidan species reinforce early divergence of mammals”. Our findings also favour a Late Triassic origin of mammals in Laurasia and two independent detachment events of the middle ear bon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 http://skepties.net/p/1830/ ↑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589 ↑ http://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0030245 ↑ “유전자 분석이 진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 “진화에 대한 새로운 발견”. , 해당 글의 제목은 "진화론 무너지나"였다가 가짜 뉴스임이 판명된 후 수정되었다. ↑ “근거 잃은 진화론”. :해당 내용은 NTD뉴스를 그대로 옮긴 것에 창조과학회의 사견을 더한 것으로, 오타인 "저널 오브 에볼루션"까지 그대로 가져왔다. ↑ “2013.11.23 부산 씨리얼 창조과학 캠프 성료”. 이번 캠프에서는 아이들 앞에서 직접 시연한 지층 실험과, 습곡이 오랜 시간 걸려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몸소 체험하도록 굳기를 달리한 찰흙으로 습곡을 만드는 실험을 추가했다.  ↑ “미국과학교육센터 Voices for evolution”.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브릭 소리마당: 창조과학 연속 기고 외부 링크[편집] 한국창조과학회 - 공식 웹사이트 한국창조과학회 - 페이스북 한국창조과학회 - 트위터 착한과학연구소 - 공식 웹사이트 (보존된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창조과학회&oldid=24508754" 분류: 한국의 기독교기독교계 신흥 종교창조주의의사과학창조과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창조과학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창조과학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사과학(유사과학) 의사과학의 문제점 과학적 사실 왜곡 데이터의 조작 과학적 방법론의 부재 반지성주의의 조장 가짜뉴스의 유포 연구 부정행위 의사과학의 분류 원형과학 쓰레기과학 반과학 화물숭배과학 과거의 원형과학 연금술 점성술 대체의학 의사과학/사이비과학 (쓰레기과학) 창조과학 젊은 지구 창조설 지적 설계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게임뇌 평평한 지구설 골상학 논란의 대상 피라미드 파워 육각수 (물) 물은 답을 알고있다. 지구공동설 초심리학 혈액형 성격설 관상학 정신분석학 세포 기억설 바이오리듬 켐트레일 유사의학 대체 암 치료법 동종요법 해독 안티백신 안아키 정치 현상과 매개한 경우 전환 치료 성적 지향 전환 시도 의사과학 단체 한국창조과학회 평평한 지구 학회 v • d • e • h 한국창조과학회(韓國創造科學會, 영어: Korean Association of Creationism Research)는 기독교 근본주의에 기초하여 기독교적 세계관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한국 개신교 계열의 종교적 반과학 단체이다. 이들은 반지성주의에 입각해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을 이용하며, 진화학을 비롯해 이미 증명된 과학들을 반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들은 축자영감설에 따라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창조가 문자적으로 사실이며, 젊은 지구설이 창조과학적으로 입증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이들은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창조주의(Creationism)가 포함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진화를 포함하여 자연에서 관찰되는 사실들을 부정하며, 학술적인 연구 실적이 없어 과학 학회로 볼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과학을 부정하는 종교적 반과학 단체로 보고 있다.[1] 목차 1 역사 1.1 연혁 2 주장 3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 4 비판 4.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 4.2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 4.3 근본주의 개신교 4.4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 4.5 가짜뉴스의 유포 4.6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 4.7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0년 8월 12일에서 15일 사이에 제칠일안식교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가 저술한 '새로운 지질학'이란 책의 의사과학적인 주장에 영향을 받은 미국 창조과학회의 헨리 M 모리스(Henry M. Morris)와 듀안 T. 기쉬(Duane T. Gish)와 같은 사람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창조과학을 전파하였고, 이에 조직신학자 안명준이 제안하여[2][3] 당시 진화생물학 및 우주천문학과 연관성이 적은 이공계 전공자들 중 반도체물리학자 양승훈이[4], 재료공학자 김영길 교수를 초대 회장으로 하여 식물생리학자 이웅상교수와 함께 1981년 1월 31일에 한국창조과학회를 설립하였다.[5][6] 일반적으로 현대 지질학에 대한 반대로 시작되었지만 초기에 진화생물학, 지질학 및 천문학 분야의 전공자가 없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근본주의적 축자영감설의 해석을 추종하며 우주 및 지구 연대를 6천년-1만년 등으로 매우 짧다고 주장하는 젋은 지구 창조설을 주장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려는 태도로 인해 천문학과 생물학 그리고 지질학계의 정설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 과학적 관점과는 전혀 동떨어진 유사과학적인 관점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7] 또한 진화생물학을 특정하여 이에 "반대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조지 맥크리디 프라이스의 홍수지질학에 더불어 조나단 웰스의 영향을 받은 통일교적 기원을 갖고 있기에 초반에 이 단체는 통일교와 관련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창조과학회는 후에 이것이 오해라고 해명하려 했으나[8][9][10] 바이오로고스를 비롯한 신학단체에서는 조나단 웰스에서 기원한 창조과학회의 안티진화생물학 주장이 문선명에 의한 직접적인 교시에 의한 것임을 명시하여[11] 이것이 반기독교적임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창조과학은 사실상 통일교와 제7일 안식교에 의해 그 핵심 논리의 기반이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이들의 반기독교적 근본과 반과학성 때문에 창조과학회의 최초 설립자였던 물리학자 양승훈과 조직신학자 안명준 등은 이를 지적했지만 창조과학회는 이들을 배척했고, 따라서 이들은 창조과학회를 탈퇴하게 되었다.[12] 하지만 이들이 주장하는 오랜 지구 창조설 역시 진화를 비롯한 명백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기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13] 연혁[편집] 1981년 1월 31일: 한국창조과학회 창립 1990년 11월 12일: 사단법인 한국창조과학회 설립인가 1997년 9월: 한국창조과학회 홈페이지 개설 주장[편집] 한국창조과학회의 주장은 일반적으로 일치되지 않거나, 내부에서도 여러가지 충돌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주장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성경은 절대적으로 옳으며 역사적, 과학적 사실을 담고 있다.[14] 진화론은 무신론적이며 인본주의적이므로 복음 전파의 장애물이다.[15] 진화는 거짓이다.[16] 현대 과학이 서술하는 자연사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이 계속해서 증명되고 있다.[17] 축자영감설에 입각하여 젊은 지구 창조설을 입증하는 창조과학만이 현대 과학의 올바른 대안이다.[18] 공교육기관에서도 진화론 대신 기독교 창조론을 과학 시간에 가르쳐야 한다.[19] 청소년 대상 교육활동[편집]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차세대사역"의 일환으로[20] 창조과학의 명칭을 "착한과학"으로 변형하여 2013년부터 중고생들 대상으로 창조과학 동아리 지원, 진로탐방, 창조과학회 참여자들에 의한 강연, 창조과학 탐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21][22] 2014년까지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이 교육프로그램에 "착한과학 프로젝트"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5년에 그 명칭을 다시 "창조실험과학"으로 재변경하였다.[23] 이와 관련하여 한국창조과학회는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보급과 함께 청소년 대상 창조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할 주식회사 착한과학을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24][25][26] 비판[편집] 창조과학회는 과학적으로 이미 명백한 사실로 밝혀진 진화[27][28][29]를 비롯하여 다양한 과학적 사실들을 부정하므로, 모든 양심적인 과학자들은 창조과학회의 주장을 일종의 사이비과학으로 보고 있으며[30], 이는 기독교를 포함한 종교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의사과학으로서 이미 위치가 정해진 창조과학의 한계와, 유신진화론 등으로 과학과 충분히 대립하지 않을 수 있는 창조주의를 유사과학적 틀에 가두어 버림으로서 기독교를 반지성주의에 물들게 하고 신학적 깊이를 얕게 만들었기 때문이다.[31] 과학 학회로서의 논란[편집] 이들은 논문의 인용에 있어서 많은 오류를 범하며, 논리의 비약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또한, 이 단체의 직접적인 연구는 전무하며, 과학계에 출판된 과학논문이 단 한개도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내용의 과학적 자문 없이 어린이용 서적도 만들어 논란이 있다.[32] 심각한 것은 진화가 명백한 사실로 증명된 현재에 이를 부정하기 위해 사실과 다른 주장들을 아이들에게 주입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반지성주의를 유발시킬 수 있는 큰 문제를 낳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창조과학회가 과학학회가 아님을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33] 심지어는 종분화가 대진화와 같은 정의를 가짐에도 이것이 다르다는 식의 억지 주장들을 함으로서, 과학계에서 기본적으로 가진 정의들을 왜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향적이고 정치적인 교과서 개정 시도[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기독교 창조론을 정규 과학과목 교과서에 포함시켜 가르쳐야 한다며 학술연구 결과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헌법소원 등의 과학 외적인 방법으로 교육계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34] 그러나 이는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2항의 정교분리 원칙[35] 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로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에 명시된 정교분리의 원칙[36] 에 입각하여 지적설계론 및 기독교 창조론을 초·중등 과정의 과학교육 시간에 가르치도록 강제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례가 존재한다.[37] 근본주의 개신교[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론을 지지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며 안식일교 계열의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지지하는 축자영감설에 기초한 기독교 세계관만을 고집하기 때문에, 현대과학의 연구 성과에 상대적으로 타협적인 오랜 지구 창조론 및 지적설계론은 지지하지 않는다.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는 창조과학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고는 하지만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적인 인물들은 기독교 성경의 창세기 1장 및 2장에 기술된 6일간의 천지창조를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모든 입장에 대해서 "신앙이 과학에 타협한 결과"라고 비난하고 있다.[38]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젊은 지구 창조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랜 지구 창조설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2008년에 한국창조과학회의 창립 멤버인 양승훈 교수를 제명한 바 있다.[18][39][40] 무엇보다, 창조과학의 지지자들은 창조과학에 대해 반증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인 의미가 있는 토론과 논쟁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8][41] 낮은 신빙성과 의도적인 왜곡[편집] 창조과학회에서는 진화론이 단지 진화 생물학만이 아니라 빅뱅 이론, 화학진화, 고고학, 천문학, 지질학 등의 넓은 분야에 걸쳐 있다는 주장을 하나, 이는 논리의 비약으로 끊임없이 지적받고 있다. 때때로 창조과학회에서는 다른 과학 논문을 인용하기도 하나, 원래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일부만 체리 피킹하여 사용하는 등의 행위를 보이고 있다. 다음은 창조과학회에서 인용하는 논문 중 문제가 되고 있는 주제의 예시들이다. 달의 충돌구에 관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가지고, 이것이 달의 나이, 지구의 나이 및 진화론에 위협이 된다는 주장을 아무런 인용없이 했다.[42] 창조과학회는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에 대한 글을 쓰면서 "RATE에서 태양의 활동은 훨씬 더 왕성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는 점이나 "필자의 생각에는 양성자 평균 밀도에 대한 H-3의 기여를 2×10^-5, He-3의 기여를 1/12×1.6×10^-4로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는 점에 대해 아무런 이유 제시도, 인용도 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43] 창조과학회는 캄브리아기의 대폭발 현상에 대해 이것이 창조설의 근거인 듯이 글을 서술했으나,[44], 에디아카라 동물군의 발견으로, 캄브리아기의 대폭발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자 이 발견이 진화론의 기초를 무너뜨린다고 주장했다.[45] 그런데, 여기에서 이들이 인용한 논문들은 진화의 과정을 연구하는 내용이며, 긴시간에 걸쳐 진화한 모습들을 서술한다.[46][47] 창조과학회는 굴의 진화에 관한 논문을 인용하며, 굴의 진화가 잘못되었고, 그저 주변의 환경에 따라 다른 무늬가 되는거라고 주장하였으나[48], 그들이 글에서 언급한 1922년 원본 논문과 재발견 논문, 그리고 인용된 서적에는 이 발견이 쥬라기 시절 굴의 화석이며, 다른 서식지에 따라 다르게 진화해 온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49][50][51] 창조과학회는 현화식물의 화분에 대해 고식물학적 수수께끼이며, 새로 발견된 화분의 화석으로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쓰고 있는데[52], 이 화석을 발견한 실제 논문을 보면, 이것은 초기 단계의 현화식물 진화를 증명하는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된다고 쓰여있다.[53] 창조과학회는 고대 지구에선 산소의 양이 많았다고 주장하며 밀러 실험과 화학진화를 비판하는 글을 썼다[54]. 그러나 이 주장에 나온 인용 자료는 산소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55]. 창조과학회는 원시대기를 산화성이라고 주장했으나, 2011 논문에서는, 달의 대기 분석을 통해 원시대기가 환원성이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었다[56]. 창조과학회에서는 또한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된 것을 가지고, "그들이 다람쥐처럼 보였다면, 아마도 그들은 다람쥐였을 것이다."라는 비약을 하며, 이것이 진화론적 패러다임과 들어맞지 않는 이유라고 했다[57]. 인용한 논문을 보면, 이것은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일 뿐 다람쥐는 아니며, 이 화석은 중이의 뼈 형태가 포유류의 진화를 지지한다고 나와있다.[58] 또한, 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왜곡하여, 진화에 영향을 주는 항시 증가하는 유전정보(과학에서의 정의는 유전자 다양성)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비주류 주장을 펼치는데, 이러한 잘못된 주장에서 재정의하는 유전정보는 유전자의 총량, 새로운 기능, 유전체의 총량을 섞어쓰며, 각각의 분리된 정의에서의 정보는 항시 증가한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부분이다[59]. 예를 들어 새로운 기능이 형성되는 겸형 적혈구 유전자나 대장균의 장기간 진화 실험에 대해서는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는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생기지 않았다고 증가하며, 유전자의 총량이 증가하는 트랜스포존과 같은 것에서는 유전체의 총량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심지어는 셋 모두가 증가하는 플라스미드나 용원성 생활사 바이러스의 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주장을 한다. 또한, ENCODE project의 정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마치 정크 DNA라는 개념이 사라졌다고 주장하기까지 하는 것이다. (Junk DNA는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그 기능이 있다고 해서 앞의 유전자 중복과 같은 현상들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다.)[60] 이와 비슷한 주장으로 "이로운 변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주장도 있는데, 이 역시 위의 유전정보에 대한 주장과 마찬가지로 어떠한 근거도 없는 주장으로서, 변이의 유리함과 불리함은 환경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모든 변이는 유리한 변이가 될 수도, 불리한 변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 말장난에 가깝다. 이들은 초파리의 변이의 한 종류인 안테나페디아의 사진을 공개하면서 이것이 불리한 변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 변이 역시 특정 환경에서는 유리한 변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61] 창조과학회에서는 마치 과학자들이 새로운 발견을 했을 때 이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처럼 주장하는 경향도 있으며, 이럴 경우 의도적으로 원 논문에 대한 인용을 피하고 기사만을 인용하는 등 악질적인 왜곡을 서슴치 않는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한 창조가 이 세상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는 단체라고 주장하며, DNA 연구를 왜곡한다. 네안데르탈인과 인간에 관한 DNA 연구와 통하여 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상호 교배가 가능했음이 밝혀졌음에도, 이들은 그냥 두개의 다른 종이라고 주장하며, 다지역 기원설이 힘을 얻는 와중에도 한 지역의 인류가 전세계로 급격히 퍼졌음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오래된 주장을 한다. 창조과학회의 추종자들은, 이미 증명된 진화이론을 부정하며 돌연변이는 많이 일어나나 그 돌연변이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아직까지 입증이 안 되었다는 주장을 하지만, 앞서 말한 "이로운 변이가 주장하지 않는다"와 같이 아무런 근거도 없으며, 생명의 연속성은 DNA의 서열 탐구를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가짜뉴스의 유포[편집] NTD라는 언론사에서 해외의 연구를 바탕으로 쓰여진 기사[62]를 엉터리로 번역해서 잘못 쓰여진 기사[63]를 내었는데, 그대로 가져다가 그것이 마치 진화론을 무너뜨리는 것처럼 왜곡해서 기사를 썼다.[64] 이와같은 무분별한 가짜뉴스의 유포로 인해 실제 연구의 결과를 왜곡하는 등의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의사과학교육[편집] 2013년부터 한국창조과학회는 착한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고, 2015년 주식회사 착한과학 설립 이후에는 창조실험과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조과학 교육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특히 진화학 및 지질학 관련 강연 및 실습 프로그램에서 진화에 의한 종분화의 부정 및 노아의 홍수에 의한 단기간의 지층 형성 등 현대 과학의 추세를 무시하는 사이비과학을 가르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22][65] 창조과학 운동에 대한 각계의 반대 성명[편집] 한국창조과학회는 여타 창조과학 운동처럼 창조과학이 과학이며 교육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미국의 다른 단체들에 의해 시행된 창조과학 운동에 대해 과학계와 교육계, 시민권단체, 장로교, 성공회, 천주교, 감리교에서 이미 반대 성명을 낸 적이 있다.[66] 일반적으로 복음주의권에서도 창조과학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창조과학을 지지하는 단체는 극보수주의적 근본주의자들 뿐이다. 2017년 9월부터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몇몇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창조과학의 해악성에 대해 알리는 릴레이 기고문을 게시하고 있다[67] 같이 보기[편집] 김영길 (공학자) 의사과학 창조과학 지적설계 평평한 지구 학회 창조주의 축자영감설 반지성주의 제칠일안식교 통일교 각주[편집] ↑ “창조과학의 반 지성주의”.  ↑ 안명준, "기독교와 과학", 성경과 세계, 유윤종외 (평택대학교출판부:2016)), 186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4262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5823 ↑ [1]한국에서의 창조론 운동의 회고와 전망 ↑ '창조론' 내부 논쟁 시작되다(뉴스앤조이) ↑ [2]강건일, <진화론 창조론 산책>, 참과학 ↑ “창조과학의 회고와 전망, 통일교 집단으로 오인받아”.  ↑ “통일교 신자 조나단 웰스”.  ↑ “진화학 반대의 통일교적 기원”.  ↑ http://biologos.org/blogs/ted-davis-reading-the-book-of-nature/science-and-the-bible-intelligent-design-part-4 ↑ “내가 창조과학회를 떠난 네가지 이유”.  ↑ http://mall.godpeople.com/?G=9788988042663 ↑ 한국창조과학회.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  ↑ 한국창조과학회. “Mission-창조신앙의 회복”.  ↑ 한국창조과학회. “진화론의 거짓을 폭로합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부정되고 있는 수십 억 년의 지구연대”.  ↑ 가 나 다 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 "창조과학 운동은 세월호와 유사" -<창조에서 홍수까지> 출간 "아마추어가 창조론 조타수 자처"”. 한국창조과학회의 핵심 주장은 지구의 나이를 1만여 년 내외로 보는 젊은 지구설과, 노아의 홍수에 의해 대격변이 일어나 현재의 모든 지층이 형성되었다는 격변설이다.  ↑ 한국창조과학회. “Goal-교육개혁”.  ↑ 11월 차세대사역자모임 성료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11월 뉴스레터”.  ↑ 가 나 “2013.10.26 착한과학프로젝트 - 고려대 탐방 성료”. 두번째 실험 파트는 동물 실험파트로 생명유전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초파리를 이용하여 초파리 알에서 부터 성체까지를 관찰하고, 돌연변이가 된 초파리 등도 함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돌연변이를 통한 종의 변화나 발달은 이루어 지지 않음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 예를 들면, 2013년 10월 뉴스레터 에는 "착한과학 지질탐사캠프"라는 명칭으로 되어 있는데 2015년 직후 "창조실험과학 지질탐사캠프" 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어 있다. ↑ 한국창조과학회장 이은일. “다시 새로운 출발선에서”. 2015년 새로운 출발을 다시 다짐하면서, 창조과학 관련 출판, 미디어제작, 자료 보급 등이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착한과학을 통해 교육 컨설팅을 비롯하여, 대안학교 등과 연계한 창조과학적인 과학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새로운 시도들이 있을 것입니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3년 제2회 정기 이사회 및 총회 성료”. 출판 관련해서 ㈜착한과학으로 명칭변경, CMS 후원제도 시행 및 학술대회 개최 예정지 건에 대하여 보고 하였다.  ↑ “한국창조과학회 2014년 3월 교육위원회의 성료”. (주)착한과학이 촬영-편집을 담당  ↑ http://www.nas.edu/evolution/TheoryOrFact.html ↑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00114-007-0260-0 ↑ http://bio.biologists.org/content/early/2015/10/23/bio.014241?utm_source=TrendMD&utm_medium=cpc&utm_campaign=Biol_Open_TrendMD_1 ↑ https://ncse.com/ ↑ “교회가 창조과학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  ↑ “어린이용 서적들" ↑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print.asp?ctcd=C02&nNewsNumb=002371100008 ↑ “진화론만 가르치는 교과서는 위헌”… 창조과학회,헌법소원 낸다-국민일보 2009년 5월 19일자,유영대 기자 ↑ “국가법령정보센터_대한민국헌법”. 국교는 인정되지 아니하며 종교와 정치는 분리된다  ↑ “First Amendment”.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Congress shall make no law respecting an establishment of religion  ↑ “Tammy Kitzmiller, et al. v. Dover Area School District, et al., Case No. 04cv2688”.  ↑ ““창조과학회서도 엇갈리는 지구 나이””.  ↑ 크리스천투데이. “양승훈 교수의 ‘한국창조과학회를 떠나며…’”.  ↑ 뉴스M(미주뉴스앤조이). “양승훈 교수와 창조과학회, '창조론'으로 대립(양 교수 "오랜 지구론" 주장…창조과학회, 제명으로 응수)”.  ↑ McComas, William F.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Rationales and Strategies (TEN MYTHS OF SCIENCE: REEXAMINING WHAT WE THINK WE KNOW)》.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1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9일에 확인함. 창조주의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종들은 전적으로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해 형성된 지구 상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명백히 그와 같은 신념이 거짓이라 것을 반증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종의 창조관을 반증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 과학적이라고 볼 수 없으며, “창조과학”이라는 용어는 일종의 모순어법인 것이다. 창조과학은 종교적인 신념과 같은 것이며, 그것을 반증 가능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달의 가장 큰 바다는 충돌 충돌구가 아니었다.(Lunar Impact: Major Moon Basin Was Not a Big Hit)”.  ↑ “달 표토의 헬륨-3 함유량과 달의 나이 : 젊은 달의 반대 증거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Helium-3 capture in lunar regolith and the age of the moon)”.  ↑ “캄브리아기의 폭발 : 창조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The Cambrian Explosion : A Strong Argument Favoring Creation)”.  ↑ “창조과학회,캄브리아기에서 발견된 척추동물 물고기 화석은 진화론의 기초를 붕괴시키고 있다. (Cambrian Fossil Intensifies Evolutionary Conundrum)”.  ↑ “A primitive fish from the Cambrian of North America”.  ↑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 “잘못됐던 굴의 진화 이야기(Evolution’s oyster twis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The Use of Gryphaea in the Correlation of the Lower Lias”.  ↑ “THE EVOLUTION OF THE LIASSIC OYSTERS OSTREA-GRYPHAEA”.  ↑ “Oyster life positions and shell beds from the Upper Jurassic of Poland” (PDF).  ↑ “현화식물의 잃어버린 화분 미스터리 : 고식물학적 수수께끼 (Mystery of the Flower’s Missing Pollen: A Paleobotanical Puzzle)”.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Potomacapnos apeleutheron gen. et sp. nov., a new Early Cretaceous angiosperm from the Potomac Group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eudicot leaf architecture”.  ↑ “'생명의 기원' 논란의 종지부 : 산소는 처음부터 있었다.(Curtains for OOL: Oxygen Was Present from the Start)”. 2014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Making oxygen before life”.  ↑ “Academic Aspects of Lunar Water Resources and Their Relevance to Lunar Protolife”.  ↑ “쥐라기에서 다람쥐와 유사한 포유류 화석이 발견되었다.(Jurassic Squirrels?)”.  ↑ “Three new Jurassic euharamiyidan species reinforce early divergence of mammals”. Our findings also favour a Late Triassic origin of mammals in Laurasia and two independent detachment events of the middle ear bon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 http://skepties.net/p/1830/ ↑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589 ↑ http://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0030245 ↑ “유전자 분석이 진화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 “진화에 대한 새로운 발견”. , 해당 글의 제목은 "진화론 무너지나"였다가 가짜 뉴스임이 판명된 후 수정되었다. ↑ “근거 잃은 진화론”. :해당 내용은 NTD뉴스를 그대로 옮긴 것에 창조과학회의 사견을 더한 것으로, 오타인 "저널 오브 에볼루션"까지 그대로 가져왔다. ↑ “2013.11.23 부산 씨리얼 창조과학 캠프 성료”. 이번 캠프에서는 아이들 앞에서 직접 시연한 지층 실험과, 습곡이 오랜 시간 걸려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몸소 체험하도록 굳기를 달리한 찰흙으로 습곡을 만드는 실험을 추가했다.  ↑ “미국과학교육센터 Voices for evolution”.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브릭 소리마당: 창조과학 연속 기고 외부 링크[편집] 한국창조과학회 - 공식 웹사이트 한국창조과학회 - 페이스북 한국창조과학회 - 트위터 착한과학연구소 - 공식 웹사이트 (보존된 문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창조과학회&oldid=24508754" 분류: 한국의 기독교기독교계 신흥 종교창조주의의사과학창조과학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13: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잎새버섯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잎새버섯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잎새버섯 생물 분류 역: 진핵생물 계: 균계 아계: 쌍핵균아계 문: 담자균문 아문: 담자균아문 강: 담자균강 목: 구멍장이버섯목 과: 왕잎새버섯과 속: 잎새버섯속 종: 잎새버섯(G. frondosa) 학명 Grifola frondosa(Dicks.) Gray 이명 Polyporus frondosus Fr.[1]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은 은행나뭇잎같은 갓들이 여러 겹으로 겹쳐진 것처럼 생겼으며, 색은 검은색이나 갈색, 혹은 흰색이다. 일본에서는 마이다케 버섯이라고 부른다. 목차 1 항암 효과 2 사례 3 양식 4 요리 5 각주 항암 효과[편집] 버섯에는 면역다당체 특히 베타글루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물질이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버섯을 대상으로 항암효과를 연구했으며, 그 중 하나가 잎새버섯이다. 잎새버섯의 정제과정에서 면역다당체가 농축된 MD fraction이 가장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2007년 꽃송이버섯의 항암면역물질 보유량이 잎새버섯 보다 3배, 표고버섯의 12배, 영지버섯의 3배, 아가리쿠스의 5배 뛰어나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2] 하지만 항암효과는 단순히 항암면역물질인 베타글루칸의 함량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1998년 미국 FDA는 잎새버섯 추출물을 항암보조제로 시판을 승인했다. 하지만 잎새버섯은 주로 의학이 아닌 대체의학계에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연구 발표가 될 경우 대체의학이 아닌 의학적인 발견으로 간주되므로 아직은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다고 말할 수가 없다. 2005년 1월 20일 미국 암협회는 암치료 대체치료요법 안내책자에서 마이다케 버섯의 추출물인 Maitake D-fraction(마이타케 디-프렉션)을 암치료 대체요법 제품으로 소개했다. 같은 해 5월 9일 미국 FDA는 마이타케 디-프렉선의 2단계 신약임상시험을 허가했다.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는 임상시험결과 항암효과가 인정되었다고 발표했다.[3] 이 분야의 권위자는 20여년간 항암물질을 연구해 온 일본 고베 약학대의 난바 히로아키 교수로서, 잎새버섯 추출물 연구성과로 미국 대체의학회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했다.[4] 2012년 현재 일본의 600명 이상, 미국의 3,000명 이상의 의사들이 항암제와 잎새버섯 엑기스 및 정제를 병용하여 치료하고 있다.[5] 사례[편집] 일본의 시부타미 중앙병원 원장인 시미즈 묘우세이가 암이 전신에 퍼져 3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고, 항암치료와 병행하여 잎새버섯 액기스를 5개월간 복용하고 나은 사례가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그 의사의 저서가 암환자의 필독서로 알려지기도 했다.[6][7] 양식[편집] 1980년 일본에서 최초로 양식 재배에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에서도 많이 양식해서 판매 중이다. 요리[편집] 항암효과로 유명한 영지버섯, 상황버섯 등은 딱딱하여 물에 달여먹는 방법만 소개되나, 잎새버섯은 양식되어 시판되는 송이버섯 처럼 각종 요리를 해먹는다. 각주[편집] ↑ McIlvaine, Charles; Robert K. Macadam; and Robert L. Shaffer. 1973. One Thousand American Fungi. Dover Publications. New York. 729 pp. (Polyporus frondosus, pp. 482-483 & Plate CXXVIII.)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1984452 ↑ http://m.cancerline.co.kr/?article=5216 ↑ http://m.cancerline.co.kr/?article=6539 ↑ http://m.cancerline.co.kr/?article=609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2230626 ↑ http://m.cancerline.co.kr/?article=7835 전거 통제 LCCN: sh99001493 NDL: 005756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잎새버섯&oldid=20092340" 분류: 왕잎새버섯과1785년 기재된 균류숨은 분류: 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CebuanoCorsuČeštinaDeutschEnglishEesti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PolskiPiemontèi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19일 (일) 2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란제리 소녀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란제리 소녀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란제리 소녀시대 장르 드라마, 로맨스, 청춘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7년 9월 11일 ~ 2017년 10월 3일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10시 ~ 11시 10분 방송 분량 70분 방송 횟수 8부작 추가 채널 KBS 드라마, KBS WORLD 원작 김용희의 소설 《란제리 소녀시대》 기획 KBS 드라마 제작국 책임프로듀서 문준하 프로듀서 노상훈 제작사 FNC애드컬쳐, 씨그널 엔터테인먼트 그룹 제작자 안석준, 민현일, 이성진 연출 홍석구 극본 윤경아 출연자 보나, 채서진, 서영주, 이종현, 여회현, 도희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란제리 소녀시대 홈페이지 《란제리 소녀시대》는 배우들의 캐스팅도 촬영 2주 전부터 급히 진행되어 땜빵 드라마라는 편견을 안고[1] KBS 2TV에서 2017년 9월 11일부터 2017년 10월 3일까지 방영된 월화드라마다. 작가 김용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1979년 대구를 배경으로 그 시절 여고생들의 사랑과 우정을 다루었다. 8부작 드라마로는 이례적으로 웰메이드라는 호평을 받으며 마무리 됐다. 신인 배우들로 채워진 라인업에 막대한 제작비 없이도 스토리와 연출만 탄탄하다면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다는 진리를 일깨웠다.[2] 목차 1 소개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정희네 식구들 2.3 정현여고 사람들 2.4 주변 인물 2.5 그 외 3 시청률 4 OST 4.1 Part. 1 4.2 Part. 2 5 같이 보기 6 동시간대 드라마 7 수상 8 각주 9 외부 링크 소개[편집] 1979년 대구를 배경으로 소녀들의 성장통과 사랑을 그린 드라마이다. 고등학생들의 풋풋한 첫사랑과 아무나 빨갱이로 잡아넣는 폭력적 시대였지만 그 시대만이 가질 수 있는 낭만이 있었던 1970년대 대구를 표현해낸 작품이다. 란제리의 의미에 대해 배우 서영주가 인터뷰를 했다.[3] '란제리 소녀시대'라는 제목이 가진 의미 또한 원작과는 달라졌다. 이에 왜 제목이 '란제리 소녀시대'인지에 대해 의문을 갖는 시청자들도 적지 않았다. 더욱이 지상파 드라마에 란제리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것이 충격적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이에 대해 서영주는 "제목만 봤을 땐 나도 파격적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저 란제리로 이슈를 끌려고 한 게 아니다. 란제리를 드라마에 풀어내는 게 어떻게 가능할까 싶었는데 정말 가능하더라"며 제목에 대한 해명을 전했다. 특히 서영주는 "드라마에 등장한 '끈난닝구'가 일종의 란제리다. 그 '끈난닝구'는 서울 사람들이 입는 것으로 여겨지며 소녀들의 로망으로 나온다"고 설명했다. 극 중 이정희를 비롯한 소녀들은 '끈난닝구'라고 불리는 캐미솔 톱을 교복 안에 입는 걸 일종의 로망으로 여겼다. 이어 서영주는 "소녀들의 사랑과 성장 이야기를 보여주는 가운데 '끈난닝구' 즉 란제리가 그들의 로망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며 "그 로망으로 잘 표현됐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보나 : 이정희 역 - 고2 채서진 : 박혜주 역 - 고2. 서울에서 전학 옴. 서영주 : 배동문 역 - 고2. 정희에게 첫눈에 반함. 이종현 : 주영춘 역 - 20세. 약국집 잡일을 도와주는 일명 약방총각 여회현 : 손진 역 - 고3. 전교 1등을 놓친 적 없는 수재 도희 : 심애숙 역 - 고2. 학교 일진 아카시아파 수장. 정희 4인방의 숙적 정희네 식구들[편집] 권해효 : 정희의 아버지 이귀남 역 - 40대 후반. 자그마한 메리야스 공장 사장. 자수성가한 자린고비 김선영 : 정희의 어머니 박필례 역 - 40대 후반 박하나 : 홍도화 역 - 30대 중후반. 정희네 일을 도와주는 식모. 정희네 남매가 이모로 부름. 조병규 : 이봉수 역 - 정희의 쌍둥이 오빠. 혜주를 짝사랑함. 정현여고 사람들[편집] 인교진 : 오만상 역 - 30대 후반. 정희네 담임이자 수학 교사 김재화 : 왕봉자 역 - 30대 중반. 교련 교사 백은경 : 전현희 역 - 정희 4인방 중 한 명 방수진 : 김언주 역 - 정희네 반 우등생이자 정희 4인방 중 한 명 서예슬 : 소은자 역 - 정희 4인방 중 한 명 김수현 : 김기려 역 이봄 : 박귀자 역 - 정희네 반 반장 주변 인물[편집] 조덕현 : 혜주의 아버지 역 - 40대 후반. 서울에 있는 대학교수 한그림 : 3번 언니 역 - 20세. 정희네 메리야스 공장 3번 시다 조아인 : 주앵초 역 - 7세. 영춘의 동생 그 외[편집] 조미녀 : 아카시아파 일진 학생 역 보라 : 아카시아파 일진 학생 역 문호진 : 약사 역 문가영 최나무 김석진 이우 김로은 이수연 : 선숙 역 이채경 : 손진의 어머니 역 안보현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4] AGB 시청률[5]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9월 11일 4.7% 4.8% 4.3% 4.4% 제2회 9월 12일 4.8% 5.1% 4.8% 5.0% 제3회 9월 18일 4.8% 4.9% 4.1% 4.2% 제4회 9월 19일 5.0% 5.2% 4.1% 4.3% 제5회 9월 25일 5.0% 5.3% 4.2% 4.4% 제6회 9월 26일 5.3% 5.4% 4.7% 4.8% 제7회 10월 2일 4.5% 4.8% 4.4% 4.7% 제8회 10월 3일 3.8% 3.9% 3.7% 3.8% OST[편집] Part. 1[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OST Part.1 재윤, 허니스트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9월 13일장르 드라마음악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다시 우리 만나도  한승훈한승훈, 김창락, 정진욱재윤(SF9) 3:43 2. 반하겠어 (Drama Ver.)  김철민, 신승익, Denis Seo김철민, 신승익, Denis Seo허니스트(HONEYST) 3:51 3. 다시 우리 만나도 (Inst.)   한승훈, 김창락, 정진욱  3:43 총 재생 시간: 11:17 Part. 2[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OST Part.2 혜정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7년 9월 19일장르 드라마음악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사랑소녀  고진영, 정진욱고진영, 정진욱혜정 3:40 총 재생 시간: 3:40 같이 보기[편집] 《응답하라 1988》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ㄹ 2017년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MBC 월화드라마 《왕은 사랑한다》 : 2017년 7월 17일 ~ 2017년 9월 19일 SBS 월화드라마 《조작》 : 2017년 7월 24일 ~ 2017년 9월 12일 《사랑의 온도》 : 2017년 9월 18일 ~ 2017년 11월 21일 수상[편집] 2017년 KBS 연기대상 남자 연작 · 단막극상 여회현 각주[편집] ↑ “이종현 "'란제리소녀시대'=땜빵드라마? 사실 섭섭했죠"”.  ↑ “‘란제리 소녀시대’, 8부작 ‘땜빵드라마’의 대반란”.  ↑ “서영주 "'란제리 소녀시대' 속 란제리, 소녀들의 로망으로 표현"”.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2017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란제리 소녀시대 공식사이트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학교 2017(2017년 7월 17일 ~ 2017년 9월 5일) 란제리 소녀시대(2017년 9월 11일 ~ 2017년 10월 3일) 마녀의 법정(2017년 10월 9일 ~ 2017년 11월 28일) vdeh 월화드라마2000년대 전반2000년 《나는 그녀가 좋다》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바보같은 사랑》 《RNA》 《가을동화》 《눈꽃》 2001년 《귀여운 여인》 《비단향꽃무》 《인생은 아름다워》 《쿨》 《순정》 《미나》 2002년 《겨울연가》 《햇빛 사냥》 《거침없는 사랑》 《러빙유》 《천국의 아이들》 《고독》 2003년 《아내》 《여름향기》 《상두야, 학교가자》 《그녀는 짱》 2004년 《낭랑 18세》 《백설공주》 《북경 내 사랑》 《구미호 외전》 《오!필승 봉순영》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0년대 후반2005년 《쾌걸춘향》 《열여덟 스물아홉》 《러브홀릭》 《그녀가 돌아왔다》 《웨딩》 《이 죽일 놈의 사랑》 2006년 《안녕하세요 하느님》 《봄의 왈츠》 《미스터 굿바이》 《포도밭 그 사나이》 《구름계단》 《눈의 여왕》 2007년 《꽃피는 봄이 오면》 《헬로! 애기씨》 《꽃 찾으러 왔단다》 《한성별곡》 《아이 엠 샘》 《얼렁뚱땅 흥신소》 《못된 사랑》 2008년 《싱글파파는 열애 중》 《강적들》 《살아가는 동안 후회할 줄 알면서 저지르는 일들》(단막) 《최강칠우》 《연애결혼》 《그들이 사는 세상》 2009년 《꽃보다 남자》 《남자이야기》 《결혼 못하는 남자》 《2009 전설의 고향》 《공주가 돌아왔다》 《천하무적 이평강》 2010년대 전반2010년 《공부의 신》 《부자의 탄생》 《국가가 부른다》 《구미호: 여우누이뎐》 《성균관 스캔들》 《매리는 외박중》 2011년 《드림하이》 《강력반》 《동안미녀》 《스파이 명월》 《포세이돈》 《브레인》 2012년 《드림하이 2》 《사랑비》 《빅》 《해운대 연인들》 《울랄라 부부》 《학교 2013》 2013년 《광고천재 이태백》 《직장의 신》 《상어》 《굿 닥터》 《미래의 선택》 《총리와 나》 2014년 《태양은 가득히》 《빅맨》 《트로트의 연인》 《연애의 발견》 《내일도 칸타빌레》 《힐러》 2010년대 후반2015년 《블러드》 《후아유 - 학교 2015》 《너를 기억해》 《별난 며느리》 《발칙하게 고고》 《오 마이 비너스》 2016년 《무림학교》 《베이비시터》(단막) 《동네변호사 조들호》 《백희가 돌아왔다》(단막) 《뷰티풀 마인드》 《구르미 그린 달빛》 《우리집에 사는 남자》 《화랑》 2017년 《완벽한 아내》 《개인주의자 지영씨》(단막) 《쌈 마이웨이》 《학교 2017》 《란제리 소녀시대》 《마녀의 법정》 《저글러스》 2018년 《라디오 로맨스》 《우리가 만난 기적》 《너도 인간이니?》 《러블리 호러블리》 《최고의 이혼》 《땐뽀걸즈》 2019년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국민 여러분!》 《퍼퓸》 《너의 노래를 들려줘》 《조선로코 녹두전》 TV 소설 | 1TV 아침 | 2TV 아침 | 1TV 일일 | 2TV 일일 | 월화 | 수목 | 금요 | 금토 | 주말 (연속극  · 특별기획) | 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란제리_소녀시대&oldid=24002730" 분류: 2017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대한민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대구광역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한국방송공사 청소년 드라마씨그널엔터테인먼트그룹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0일 (수) 01: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스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قەشقەر 喀什 Kāshí 약자: 아팍 호자의 묘 행정 단위 현급시 면적 5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40,000 793/km² 지역전화 0998 ISO 3166-2 CN-65-01 우편번호 844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xjks.gov.cn 카스(위구르어: قەشقەر 캐슈캐르, 중국어: 喀什, 병음: Kāshí)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다. 1999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20만5,056명이다. 인구의 80%는 현지 토착민인 위구르족 등이 차지한다. 고대 소륵국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이슬람의 거점도시로 발전하였고, 1986년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날씨 4 교통 4.1 항공 4.2 육상 4.3 철도 5 주민 6 일요 시장 7 행정 구역 8 볼거리 9 자매 도시 10 갤러리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고대에는 소륵국(疏勒國)의 수도였다. 타림분지 주변에는 예부터 코카소이드라고 하는 인도유럽 어족계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소륵국도 그 중의 하나이다. 흉노가 강성했던 시대에는 간접지배를 받았지만, 중국이 통일되어 한나라가 서역으로 진출해 서역도호부를 설치하면서, 그 세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중국의 세력이 후퇴하면, 유연이나 돌궐 등 북방민족의 간접 지배하에 떨어지거나 당이 안서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안서 4진의 하나인 소륵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소륵은 타림분지 남부를 지나는 실크로드 남로의 요충지이며, 이 땅을 방문한 당나라의 현장은 소륵을 불교가 번성한 나라라고 기술하고 있다. 북방의 몽골고원에서 서돌궐을 대신하였던 위구르가 9세기가 되어 약해지면서, 키르기즈에 멸망 당하자 위구르족이 대거 서천, 타림분지로 남하하였다. 위구르는 토착의 구인어계 민족과 혼혈해, 이 땅의 언어가 터키어 계열의 위구르화되었다. 10세기에는 최초의 터키계 이슬람 왕조인 카라한 왕조의 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넘어 카슈가르에 들어와 그 왕도가 된 적도 있다. 송나라 때에는 거란족이 세운 서요에 속하였으며, 원나라 때에는 차가타이 한국의 도시가 되었고, 명나라 때에는 야르칸드 한국에 속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카슈가르는 이슬람화된 위구르족의 종교 중심지가 된다. 청나라 때는 건륭제의 신장 정복 정책에 의해, 카슈가르 곧 례주가 설치되어 신강 남부를 통치하는 참찬대신이 주재했다. 청나라 말기의 혼란기에는 코칸드 한국에서 온 야크브 베크가 카슈가르를 거점으로 잠시 타림분지 일대를 지배했지만, 좌종당에 의해 토벌 되었다. 청나라가 멸망하고, 1913년에 소륵현이 설치되어, 1933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단기간이지만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이 땅에 섰던 적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에는 소륵현에서 카스 시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왔다. 1986년 대외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카스 지구 행정관공서가 설치되어 있다. 위구르족이 많아 동쪽 투르키스탄 분리운동이 번성하고, 신장 위구르 자치주의 분리독립을 위한 테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리[편집] 카스는 북위 39° 24’26” , 동경 76° 6’47”의 텐산 산맥 주변의 타클라마칸 사막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평균 1,289.5m이며 최고 해발고도는 1502m, 최저 해발고도는 1264m이다. 아무다리야 강 계곡의 길과 코칸트, 사마르칸트, 알마티, 아커쑤, 호탄으로부터의 길의 접합점에 위치한다. 카스는 고대부터 정치와 상업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카스 오아시스는 중국으로부터의 남북길이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에서 만나는 곳에 있다. 또한 타슈쿠르간의 정북쪽과 현재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부 잘랄라바드에 해당하는 고대 불교 왕국 간다라를 통과한다. 현재의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은 키르기스스탄과의 국경이고 주요 실크로드가 아라이 계곡입구에서 교차하여 남서쪽으로 발흐, 북서쪽으로 페르가나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날씨[편집] 쾨펜의 기후 구분에 의하면 카슈가르는 사막 기후(BWk)이다. 뜨거운 여름과 차가운 겨울을 가지며 두 계절 간 큰 온도차를 가지고 있다. 월간 일평균 기온은 1월에 −5.3 °C 에서 7월에는 25.6 °C까기 치솟는다. 반면, 연간 평균은 11.84 °C이다. 봄은 길고 빨리 오며, 가을은 비교적 다소 짧다. 카슈가르는 지상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로, 연간 강수량이 64mm에 지나지 않는다. 가장 습한 달인 7월조차도 평균강수량 9.1mm 수준 밖에 기록되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찬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보기 힘들다. 1월은 최저 −24.4 °C까지 내려가고, 7월에는 40.1 °C까지 올라간다. 서리가 없는 기간은 평균 215일을 기록한다. 월간 평균 일조량은 3월엔 50% 정도이고, 9월엔 70% 정도여서, 년간 2,726 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한다. Kashgar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0.3 (32.5) 5.1 (41.2) 13.5 (56.3) 22.2 (72) 26.4 (79.5) 30.2 (86.4) 32.1 (89.8) 30.7 (87.3) 26.5 (79.7) 19.8 (67.6) 10.6 (51.1) 1.9 (35.4) 18.3 (64.9) 일평균기온 °C (°F) −5.0 (23) −0.6 (30.9) 7.6 (45.7) 15.4 (59.7) 19.7 (67.5) 23.2 (73.8) 25.4 (77.7) 24.0 (75.2) 19.2 (66.6) 12.3 (54.1) 4.3 (39.7) −2.9 (26.8) 11.9 (53.4) 평균최저기온 °C (°F) −10.2 (13.6) −6.2 (20.8) 1.7 (35.1) 8.6 (47.5) 12.9 (55.2) 16.1 (61) 18.6 (65.5) 17.2 (63) 11.9 (53.4) 4.7 (40.5) −1.9 (28.6) −7.7 (18.1) 5.5 (41.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1 (0.08) 5.7 (0.22) 6.7 (0.26) 5.2 (0.2) 8.5 (0.33) 7.7 (0.3) 9.1 (0.36) 7.9 (0.31) 5.3 (0.21) 2.5 (0.1) 1.6 (0.06) 1.7 (0.07) 64.0 (2.52) 평균강수일수 (≥ 0.1 mm) 2.2 2.1 2.3 1.6 2.9 3.5 3.7 3.7 2.5 1.1 .6 1.7 27.9 평균 상대 습도 (%) 67 58 48 40 41 41 43 49 53 56 61 70 52.0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4.9 160.1 184.5 213.7 255.6 304.3 312.2 287.5 259.4 239.9 196.2 158.0 2,726.3 가능 일조율 52 53 50 54 58 68 69 68 70 69 65 54 61.5 출처: 중국기상국[1] 교통[편집] 카슈가르 공항 카슈가르 역(철도) 항공[편집] 카슈가르 공항은 주로 국내선으로 이용되며, 대부분 우루무치에서 연결되는 교통 수단이다. 유일한 국제선 비행기는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화물과 승객이 연결된다. 육상[편집] 이곳은 카라코람 고속도로(Karakorum highway, KKH)의 시작점이며 파키스탄과의 국경인 쿤자랍 고개를 넘어 이슬라마바드까지 연결된다.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정기 버스 노선이 존재하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으로 가는 길도 있다. 철도[편집] 카슈가르는 중국 서단의 철도 역을 가지고 있다.[2] 이곳에서 나머지 중국 철도 네트워크가 란신선으로 연결된다. 1999년 12월, 카스에는 신장성 남부를 가로지르는 란신 철도(南疆铁路, Lanxin Railway)가 개통되었다.[3] 카슈가르로 가는 기차는 주로 우루무치에서 매일 출발하며, 약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2007년 현재, 이 철도는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카슈가르-호탄 선이 2011년 개통되어 카슈가르를 남부 타림 분지에 있는 사처 현(야르칸드), 카르길리크 그리고 호탄과 연결한다. 주민[편집] 카슈가르 시장 대부분의 주민이 이슬람교도인 위구르족이다. 신장의 최대 도시이자, 주도인 우루무치와 비교할 때, 카슈가르는 덜 산업화되었고, 한 족 거주자가 월등히 적다. 1998년에는 카슈가르 도시 인구 311,141명 중 81%가 위구르 족이었고, 18%가 한족이었다.[4] 2000년 인구조사에서 카슈가르의 인구는 340,640명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의 인구조사에서 이 수치는 506,640명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인구 증가의 요인 중 일부는 국경의 변화 때문이며, 도시 인구를 포함한 수치이기도 하다.[5] 일요 시장[편집] 카슈가르 국제시장 카스에서는 매주 일요일 유서깊은 큰 시장인 일요시장이 열린다. 이 곳에서는 주변 농민들이 직접 제배한 다양한 과일과 채소, 공예품 등이 거래된다. 고대로부터 일요시장은 실크로드에서 가장 큰 시장중에 하나였지만, 지금은 그 명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원래는 일요일에만 열리는 비상설 시장이지만, 최근에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카스를 찾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시장이다. 시장에서는 주변 호탄 등지에서 만들어진 비단, 카펫, 캐쉬미어, 옥, 귀금속들도 거래된다. 행정 구역[편집] 4개 가도, 8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변사소: 恰萨街道, 亚瓦格街道, 吾斯塘博依街道, 库木代尔瓦扎街道. 향: 乃则尔巴格乡, 夏马勒巴格乡, 多来特巴格乡, 浩罕乡, 色满乡, 荒地乡, 伯什克然木乡, 帕哈太克里乡. 볼거리[편집] 카라쿨 호(카라쿨 호수) 모하메드 카슈가르의 묘 막이불탑 민가(民家)/고(古)주택가 위스푸하스모스크 이드가 모스크-애제타이 청진사 직인가(수공예품 거리) 향비묘 (아팍호자의 묘) 반초성(班超城); 서역을 제패한 반초의 유적 대바자르 자매 도시[편집] 파키스탄 길기트 (2009년) 말레이시아 믈라카 (2012년 2월)[6] 갤러리[편집] 아이티걸 모스크 향비묘(아팍호자의 묘) 그옆의 모스크 각주[편집]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년) (중국어). 중국기상국. 2011년 7월.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6일에 확인함.  ↑ “Issue 21 – Analysis – Fear and Loathing split Xinjiang’s would-be Las Vegas”.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tanley W. Toops (2004년 3월 15일). 〈The Demography of Xinjiang〉. S. Frederick Starr.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Routledge. 256–257쪽. ISBN 978-0765613189.  ↑ “KĀSHÍ SHÌ (County-level City)”. 《시 인구》.  ↑ “Malacca ties up with sister city Kashgar”. New Straits Times.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카스시 (중국어) 공식 웹사이트 vdeh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수부: 우루무치시 우루무치시 톈산구 사이바커구 신스구 수이모거우구 터우툰허구 다반청구 미둥구 우루무치현 커라마이시 커라마이구 두산쯔구 바이젠탄구 우얼허구 투루판시 가오창구 퉈커쉰현 산산현 하미시 이저우구 이우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허톈 지구 허톈시 허톈현 뤄푸현 민펑현 피산현 처러현 위톈현 모위현 아커쑤 지구 아커쑤시 원쑤현 사야현 바이청현 아와티현 쿠처현 커핑현 신허현 우스현 카스 지구 카스시 바추현 쩌푸현 가스현 예청현 웨푸후현 수러현 마이가이티현 잉지사현 사처현 수푸현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아투스시 아허치현 우차현 아커타오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쿠얼러시 허징현 위리현 허숴현 체모현 보후현 룬타이현 뤄창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시 푸캉시 치타이현 마나쓰현 지무싸얼현 후투비현 무러이 카자흐 자치현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아라산커우시 징허현 원취안현 이리 카자흐 자치주자치주 직할 이닝시 쿠이툰시 이닝현 터커쓰현 니러커현 자오쑤현 신위안현 훠청현 궁류현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타청 지구 타청시 우쑤시 어민현 위민현 사완현 퉈리현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아러타이 지구 아러타이시 칭허현 지무나이현 푸윈현 부얼진현 푸하이현 하바허현 자치구직할현급시 스허쯔시 아라얼시 투무수커시 우자취시 베이툰시 톄먼관시 솽허시 커커다라시 쿤위시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부성급자치주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8276862 LCCN: n80110337 GND: 4395054-1 BNF: cb119476450 (데이터) NDL: 006283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스시&oldid=24183487" 분류: 카스시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현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카스 지구의 행정 구역위구르족비단길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위구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GĩkũyũКыргызчаLadinoLietuviųLatviešu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스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قەشقەر 喀什 Kāshí 약자: 아팍 호자의 묘 행정 단위 현급시 면적 5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40,000 793/km² 지역전화 0998 ISO 3166-2 CN-65-01 우편번호 844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xjks.gov.cn 카스(위구르어: قەشقەر 캐슈캐르, 중국어: 喀什, 병음: Kāshí)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다. 1999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20만5,056명이다. 인구의 80%는 현지 토착민인 위구르족 등이 차지한다. 고대 소륵국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이슬람의 거점도시로 발전하였고, 1986년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날씨 4 교통 4.1 항공 4.2 육상 4.3 철도 5 주민 6 일요 시장 7 행정 구역 8 볼거리 9 자매 도시 10 갤러리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고대에는 소륵국(疏勒國)의 수도였다. 타림분지 주변에는 예부터 코카소이드라고 하는 인도유럽 어족계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소륵국도 그 중의 하나이다. 흉노가 강성했던 시대에는 간접지배를 받았지만, 중국이 통일되어 한나라가 서역으로 진출해 서역도호부를 설치하면서, 그 세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중국의 세력이 후퇴하면, 유연이나 돌궐 등 북방민족의 간접 지배하에 떨어지거나 당이 안서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안서 4진의 하나인 소륵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소륵은 타림분지 남부를 지나는 실크로드 남로의 요충지이며, 이 땅을 방문한 당나라의 현장은 소륵을 불교가 번성한 나라라고 기술하고 있다. 북방의 몽골고원에서 서돌궐을 대신하였던 위구르가 9세기가 되어 약해지면서, 키르기즈에 멸망 당하자 위구르족이 대거 서천, 타림분지로 남하하였다. 위구르는 토착의 구인어계 민족과 혼혈해, 이 땅의 언어가 터키어 계열의 위구르화되었다. 10세기에는 최초의 터키계 이슬람 왕조인 카라한 왕조의 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넘어 카슈가르에 들어와 그 왕도가 된 적도 있다. 송나라 때에는 거란족이 세운 서요에 속하였으며, 원나라 때에는 차가타이 한국의 도시가 되었고, 명나라 때에는 야르칸드 한국에 속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카슈가르는 이슬람화된 위구르족의 종교 중심지가 된다. 청나라 때는 건륭제의 신장 정복 정책에 의해, 카슈가르 곧 례주가 설치되어 신강 남부를 통치하는 참찬대신이 주재했다. 청나라 말기의 혼란기에는 코칸드 한국에서 온 야크브 베크가 카슈가르를 거점으로 잠시 타림분지 일대를 지배했지만, 좌종당에 의해 토벌 되었다. 청나라가 멸망하고, 1913년에 소륵현이 설치되어, 1933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단기간이지만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이 땅에 섰던 적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에는 소륵현에서 카스 시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왔다. 1986년 대외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카스 지구 행정관공서가 설치되어 있다. 위구르족이 많아 동쪽 투르키스탄 분리운동이 번성하고, 신장 위구르 자치주의 분리독립을 위한 테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리[편집] 카스는 북위 39° 24’26” , 동경 76° 6’47”의 텐산 산맥 주변의 타클라마칸 사막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평균 1,289.5m이며 최고 해발고도는 1502m, 최저 해발고도는 1264m이다. 아무다리야 강 계곡의 길과 코칸트, 사마르칸트, 알마티, 아커쑤, 호탄으로부터의 길의 접합점에 위치한다. 카스는 고대부터 정치와 상업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카스 오아시스는 중국으로부터의 남북길이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에서 만나는 곳에 있다. 또한 타슈쿠르간의 정북쪽과 현재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부 잘랄라바드에 해당하는 고대 불교 왕국 간다라를 통과한다. 현재의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은 키르기스스탄과의 국경이고 주요 실크로드가 아라이 계곡입구에서 교차하여 남서쪽으로 발흐, 북서쪽으로 페르가나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날씨[편집] 쾨펜의 기후 구분에 의하면 카슈가르는 사막 기후(BWk)이다. 뜨거운 여름과 차가운 겨울을 가지며 두 계절 간 큰 온도차를 가지고 있다. 월간 일평균 기온은 1월에 −5.3 °C 에서 7월에는 25.6 °C까기 치솟는다. 반면, 연간 평균은 11.84 °C이다. 봄은 길고 빨리 오며, 가을은 비교적 다소 짧다. 카슈가르는 지상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로, 연간 강수량이 64mm에 지나지 않는다. 가장 습한 달인 7월조차도 평균강수량 9.1mm 수준 밖에 기록되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찬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보기 힘들다. 1월은 최저 −24.4 °C까지 내려가고, 7월에는 40.1 °C까지 올라간다. 서리가 없는 기간은 평균 215일을 기록한다. 월간 평균 일조량은 3월엔 50% 정도이고, 9월엔 70% 정도여서, 년간 2,726 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한다. Kashgar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0.3 (32.5) 5.1 (41.2) 13.5 (56.3) 22.2 (72) 26.4 (79.5) 30.2 (86.4) 32.1 (89.8) 30.7 (87.3) 26.5 (79.7) 19.8 (67.6) 10.6 (51.1) 1.9 (35.4) 18.3 (64.9) 일평균기온 °C (°F) −5.0 (23) −0.6 (30.9) 7.6 (45.7) 15.4 (59.7) 19.7 (67.5) 23.2 (73.8) 25.4 (77.7) 24.0 (75.2) 19.2 (66.6) 12.3 (54.1) 4.3 (39.7) −2.9 (26.8) 11.9 (53.4) 평균최저기온 °C (°F) −10.2 (13.6) −6.2 (20.8) 1.7 (35.1) 8.6 (47.5) 12.9 (55.2) 16.1 (61) 18.6 (65.5) 17.2 (63) 11.9 (53.4) 4.7 (40.5) −1.9 (28.6) −7.7 (18.1) 5.5 (41.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1 (0.08) 5.7 (0.22) 6.7 (0.26) 5.2 (0.2) 8.5 (0.33) 7.7 (0.3) 9.1 (0.36) 7.9 (0.31) 5.3 (0.21) 2.5 (0.1) 1.6 (0.06) 1.7 (0.07) 64.0 (2.52) 평균강수일수 (≥ 0.1 mm) 2.2 2.1 2.3 1.6 2.9 3.5 3.7 3.7 2.5 1.1 .6 1.7 27.9 평균 상대 습도 (%) 67 58 48 40 41 41 43 49 53 56 61 70 52.0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4.9 160.1 184.5 213.7 255.6 304.3 312.2 287.5 259.4 239.9 196.2 158.0 2,726.3 가능 일조율 52 53 50 54 58 68 69 68 70 69 65 54 61.5 출처: 중국기상국[1] 교통[편집] 카슈가르 공항 카슈가르 역(철도) 항공[편집] 카슈가르 공항은 주로 국내선으로 이용되며, 대부분 우루무치에서 연결되는 교통 수단이다. 유일한 국제선 비행기는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화물과 승객이 연결된다. 육상[편집] 이곳은 카라코람 고속도로(Karakorum highway, KKH)의 시작점이며 파키스탄과의 국경인 쿤자랍 고개를 넘어 이슬라마바드까지 연결된다.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정기 버스 노선이 존재하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으로 가는 길도 있다. 철도[편집] 카슈가르는 중국 서단의 철도 역을 가지고 있다.[2] 이곳에서 나머지 중국 철도 네트워크가 란신선으로 연결된다. 1999년 12월, 카스에는 신장성 남부를 가로지르는 란신 철도(南疆铁路, Lanxin Railway)가 개통되었다.[3] 카슈가르로 가는 기차는 주로 우루무치에서 매일 출발하며, 약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2007년 현재, 이 철도는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카슈가르-호탄 선이 2011년 개통되어 카슈가르를 남부 타림 분지에 있는 사처 현(야르칸드), 카르길리크 그리고 호탄과 연결한다. 주민[편집] 카슈가르 시장 대부분의 주민이 이슬람교도인 위구르족이다. 신장의 최대 도시이자, 주도인 우루무치와 비교할 때, 카슈가르는 덜 산업화되었고, 한 족 거주자가 월등히 적다. 1998년에는 카슈가르 도시 인구 311,141명 중 81%가 위구르 족이었고, 18%가 한족이었다.[4] 2000년 인구조사에서 카슈가르의 인구는 340,640명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의 인구조사에서 이 수치는 506,640명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인구 증가의 요인 중 일부는 국경의 변화 때문이며, 도시 인구를 포함한 수치이기도 하다.[5] 일요 시장[편집] 카슈가르 국제시장 카스에서는 매주 일요일 유서깊은 큰 시장인 일요시장이 열린다. 이 곳에서는 주변 농민들이 직접 제배한 다양한 과일과 채소, 공예품 등이 거래된다. 고대로부터 일요시장은 실크로드에서 가장 큰 시장중에 하나였지만, 지금은 그 명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원래는 일요일에만 열리는 비상설 시장이지만, 최근에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카스를 찾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시장이다. 시장에서는 주변 호탄 등지에서 만들어진 비단, 카펫, 캐쉬미어, 옥, 귀금속들도 거래된다. 행정 구역[편집] 4개 가도, 8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변사소: 恰萨街道, 亚瓦格街道, 吾斯塘博依街道, 库木代尔瓦扎街道. 향: 乃则尔巴格乡, 夏马勒巴格乡, 多来特巴格乡, 浩罕乡, 色满乡, 荒地乡, 伯什克然木乡, 帕哈太克里乡. 볼거리[편집] 카라쿨 호(카라쿨 호수) 모하메드 카슈가르의 묘 막이불탑 민가(民家)/고(古)주택가 위스푸하스모스크 이드가 모스크-애제타이 청진사 직인가(수공예품 거리) 향비묘 (아팍호자의 묘) 반초성(班超城); 서역을 제패한 반초의 유적 대바자르 자매 도시[편집] 파키스탄 길기트 (2009년) 말레이시아 믈라카 (2012년 2월)[6] 갤러리[편집] 아이티걸 모스크 향비묘(아팍호자의 묘) 그옆의 모스크 각주[편집]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년) (중국어). 중국기상국. 2011년 7월.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6일에 확인함.  ↑ “Issue 21 – Analysis – Fear and Loathing split Xinjiang’s would-be Las Vegas”.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tanley W. Toops (2004년 3월 15일). 〈The Demography of Xinjiang〉. S. Frederick Starr.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Routledge. 256–257쪽. ISBN 978-0765613189.  ↑ “KĀSHÍ SHÌ (County-level City)”. 《시 인구》.  ↑ “Malacca ties up with sister city Kashgar”. New Straits Times.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카스시 (중국어) 공식 웹사이트 vdeh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수부: 우루무치시 우루무치시 톈산구 사이바커구 신스구 수이모거우구 터우툰허구 다반청구 미둥구 우루무치현 커라마이시 커라마이구 두산쯔구 바이젠탄구 우얼허구 투루판시 가오창구 퉈커쉰현 산산현 하미시 이저우구 이우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허톈 지구 허톈시 허톈현 뤄푸현 민펑현 피산현 처러현 위톈현 모위현 아커쑤 지구 아커쑤시 원쑤현 사야현 바이청현 아와티현 쿠처현 커핑현 신허현 우스현 카스 지구 카스시 바추현 쩌푸현 가스현 예청현 웨푸후현 수러현 마이가이티현 잉지사현 사처현 수푸현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아투스시 아허치현 우차현 아커타오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쿠얼러시 허징현 위리현 허숴현 체모현 보후현 룬타이현 뤄창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시 푸캉시 치타이현 마나쓰현 지무싸얼현 후투비현 무러이 카자흐 자치현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아라산커우시 징허현 원취안현 이리 카자흐 자치주자치주 직할 이닝시 쿠이툰시 이닝현 터커쓰현 니러커현 자오쑤현 신위안현 훠청현 궁류현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타청 지구 타청시 우쑤시 어민현 위민현 사완현 퉈리현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아러타이 지구 아러타이시 칭허현 지무나이현 푸윈현 부얼진현 푸하이현 하바허현 자치구직할현급시 스허쯔시 아라얼시 투무수커시 우자취시 베이툰시 톄먼관시 솽허시 커커다라시 쿤위시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부성급자치주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8276862 LCCN: n80110337 GND: 4395054-1 BNF: cb119476450 (데이터) NDL: 006283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스시&oldid=24183487" 분류: 카스시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현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카스 지구의 행정 구역위구르족비단길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위구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GĩkũyũКыргызчаLadinoLietuviųLatviešu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스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스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قەشقەر 喀什 Kāshí 약자: 아팍 호자의 묘 행정 단위 현급시 면적 5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440,000 793/km² 지역전화 0998 ISO 3166-2 CN-65-01 우편번호 844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xjks.gov.cn 카스(위구르어: قەشقەر 캐슈캐르, 중국어: 喀什, 병음: Kāshí)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현급 도시이다. 1999년의 조사에서 인구는 20만5,056명이다. 인구의 80%는 현지 토착민인 위구르족 등이 차지한다. 고대 소륵국의 수도였으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 이슬람의 거점도시로 발전하였고, 1986년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날씨 4 교통 4.1 항공 4.2 육상 4.3 철도 5 주민 6 일요 시장 7 행정 구역 8 볼거리 9 자매 도시 10 갤러리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고대에는 소륵국(疏勒國)의 수도였다. 타림분지 주변에는 예부터 코카소이드라고 하는 인도유럽 어족계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소륵국도 그 중의 하나이다. 흉노가 강성했던 시대에는 간접지배를 받았지만, 중국이 통일되어 한나라가 서역으로 진출해 서역도호부를 설치하면서, 그 세력 아래로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중국의 세력이 후퇴하면, 유연이나 돌궐 등 북방민족의 간접 지배하에 떨어지거나 당이 안서도호부를 설치하면서, 안서 4진의 하나인 소륵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소륵은 타림분지 남부를 지나는 실크로드 남로의 요충지이며, 이 땅을 방문한 당나라의 현장은 소륵을 불교가 번성한 나라라고 기술하고 있다. 북방의 몽골고원에서 서돌궐을 대신하였던 위구르가 9세기가 되어 약해지면서, 키르기즈에 멸망 당하자 위구르족이 대거 서천, 타림분지로 남하하였다. 위구르는 토착의 구인어계 민족과 혼혈해, 이 땅의 언어가 터키어 계열의 위구르화되었다. 10세기에는 최초의 터키계 이슬람 왕조인 카라한 왕조의 세력이 파미르 고원을 넘어 카슈가르에 들어와 그 왕도가 된 적도 있다. 송나라 때에는 거란족이 세운 서요에 속하였으며, 원나라 때에는 차가타이 한국의 도시가 되었고, 명나라 때에는 야르칸드 한국에 속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카슈가르는 이슬람화된 위구르족의 종교 중심지가 된다. 청나라 때는 건륭제의 신장 정복 정책에 의해, 카슈가르 곧 례주가 설치되어 신강 남부를 통치하는 참찬대신이 주재했다. 청나라 말기의 혼란기에는 코칸드 한국에서 온 야크브 베크가 카슈가르를 거점으로 잠시 타림분지 일대를 지배했지만, 좌종당에 의해 토벌 되었다. 청나라가 멸망하고, 1913년에 소륵현이 설치되어, 1933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단기간이지만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이 땅에 섰던 적도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52년에는 소륵현에서 카스 시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왔다. 1986년 대외로 개방되면서 동시에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카스 지구 행정관공서가 설치되어 있다. 위구르족이 많아 동쪽 투르키스탄 분리운동이 번성하고, 신장 위구르 자치주의 분리독립을 위한 테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지리[편집] 카스는 북위 39° 24’26” , 동경 76° 6’47”의 텐산 산맥 주변의 타클라마칸 사막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고도는 평균 1,289.5m이며 최고 해발고도는 1502m, 최저 해발고도는 1264m이다. 아무다리야 강 계곡의 길과 코칸트, 사마르칸트, 알마티, 아커쑤, 호탄으로부터의 길의 접합점에 위치한다. 카스는 고대부터 정치와 상업의 중심지로 유명했다. 카스 오아시스는 중국으로부터의 남북길이 타클라마칸 사막 주변에서 만나는 곳에 있다. 또한 타슈쿠르간의 정북쪽과 현재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동부 잘랄라바드에 해당하는 고대 불교 왕국 간다라를 통과한다. 현재의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은 키르기스스탄과의 국경이고 주요 실크로드가 아라이 계곡입구에서 교차하여 남서쪽으로 발흐, 북서쪽으로 페르가나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날씨[편집] 쾨펜의 기후 구분에 의하면 카슈가르는 사막 기후(BWk)이다. 뜨거운 여름과 차가운 겨울을 가지며 두 계절 간 큰 온도차를 가지고 있다. 월간 일평균 기온은 1월에 −5.3 °C 에서 7월에는 25.6 °C까기 치솟는다. 반면, 연간 평균은 11.84 °C이다. 봄은 길고 빨리 오며, 가을은 비교적 다소 짧다. 카슈가르는 지상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 중 하나로, 연간 강수량이 64mm에 지나지 않는다. 가장 습한 달인 7월조차도 평균강수량 9.1mm 수준 밖에 기록되지 않는다. 극단적으로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찬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보기 힘들다. 1월은 최저 −24.4 °C까지 내려가고, 7월에는 40.1 °C까지 올라간다. 서리가 없는 기간은 평균 215일을 기록한다. 월간 평균 일조량은 3월엔 50% 정도이고, 9월엔 70% 정도여서, 년간 2,726 시간의 일조 시간을 기록한다. Kashgar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0.3 (32.5) 5.1 (41.2) 13.5 (56.3) 22.2 (72) 26.4 (79.5) 30.2 (86.4) 32.1 (89.8) 30.7 (87.3) 26.5 (79.7) 19.8 (67.6) 10.6 (51.1) 1.9 (35.4) 18.3 (64.9) 일평균기온 °C (°F) −5.0 (23) −0.6 (30.9) 7.6 (45.7) 15.4 (59.7) 19.7 (67.5) 23.2 (73.8) 25.4 (77.7) 24.0 (75.2) 19.2 (66.6) 12.3 (54.1) 4.3 (39.7) −2.9 (26.8) 11.9 (53.4) 평균최저기온 °C (°F) −10.2 (13.6) −6.2 (20.8) 1.7 (35.1) 8.6 (47.5) 12.9 (55.2) 16.1 (61) 18.6 (65.5) 17.2 (63) 11.9 (53.4) 4.7 (40.5) −1.9 (28.6) −7.7 (18.1) 5.5 (41.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1 (0.08) 5.7 (0.22) 6.7 (0.26) 5.2 (0.2) 8.5 (0.33) 7.7 (0.3) 9.1 (0.36) 7.9 (0.31) 5.3 (0.21) 2.5 (0.1) 1.6 (0.06) 1.7 (0.07) 64.0 (2.52) 평균강수일수 (≥ 0.1 mm) 2.2 2.1 2.3 1.6 2.9 3.5 3.7 3.7 2.5 1.1 .6 1.7 27.9 평균 상대 습도 (%) 67 58 48 40 41 41 43 49 53 56 61 70 52.0 평균 월간 일조시간 154.9 160.1 184.5 213.7 255.6 304.3 312.2 287.5 259.4 239.9 196.2 158.0 2,726.3 가능 일조율 52 53 50 54 58 68 69 68 70 69 65 54 61.5 출처: 중국기상국[1] 교통[편집] 카슈가르 공항 카슈가르 역(철도) 항공[편집] 카슈가르 공항은 주로 국내선으로 이용되며, 대부분 우루무치에서 연결되는 교통 수단이다. 유일한 국제선 비행기는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화물과 승객이 연결된다. 육상[편집] 이곳은 카라코람 고속도로(Karakorum highway, KKH)의 시작점이며 파키스탄과의 국경인 쿤자랍 고개를 넘어 이슬라마바드까지 연결된다.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정기 버스 노선이 존재하한다. 또한, 키르기스스탄으로 가는 길도 있다. 철도[편집] 카슈가르는 중국 서단의 철도 역을 가지고 있다.[2] 이곳에서 나머지 중국 철도 네트워크가 란신선으로 연결된다. 1999년 12월, 카스에는 신장성 남부를 가로지르는 란신 철도(南疆铁路, Lanxin Railway)가 개통되었다.[3] 카슈가르로 가는 기차는 주로 우루무치에서 매일 출발하며, 약 24시간 정도 소요된다. 2007년 현재, 이 철도는 파키스탄과 연결하는 것을 추진중이다. 카슈가르-호탄 선이 2011년 개통되어 카슈가르를 남부 타림 분지에 있는 사처 현(야르칸드), 카르길리크 그리고 호탄과 연결한다. 주민[편집] 카슈가르 시장 대부분의 주민이 이슬람교도인 위구르족이다. 신장의 최대 도시이자, 주도인 우루무치와 비교할 때, 카슈가르는 덜 산업화되었고, 한 족 거주자가 월등히 적다. 1998년에는 카슈가르 도시 인구 311,141명 중 81%가 위구르 족이었고, 18%가 한족이었다.[4] 2000년 인구조사에서 카슈가르의 인구는 340,640명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의 인구조사에서 이 수치는 506,640명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인구 증가의 요인 중 일부는 국경의 변화 때문이며, 도시 인구를 포함한 수치이기도 하다.[5] 일요 시장[편집] 카슈가르 국제시장 카스에서는 매주 일요일 유서깊은 큰 시장인 일요시장이 열린다. 이 곳에서는 주변 농민들이 직접 제배한 다양한 과일과 채소, 공예품 등이 거래된다. 고대로부터 일요시장은 실크로드에서 가장 큰 시장중에 하나였지만, 지금은 그 명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여전히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진다. 원래는 일요일에만 열리는 비상설 시장이지만, 최근에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카스를 찾는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시장이다. 시장에서는 주변 호탄 등지에서 만들어진 비단, 카펫, 캐쉬미어, 옥, 귀금속들도 거래된다. 행정 구역[편집] 4개 가도, 8개 향을 관할한다. 가도변사소: 恰萨街道, 亚瓦格街道, 吾斯塘博依街道, 库木代尔瓦扎街道. 향: 乃则尔巴格乡, 夏马勒巴格乡, 多来特巴格乡, 浩罕乡, 色满乡, 荒地乡, 伯什克然木乡, 帕哈太克里乡. 볼거리[편집] 카라쿨 호(카라쿨 호수) 모하메드 카슈가르의 묘 막이불탑 민가(民家)/고(古)주택가 위스푸하스모스크 이드가 모스크-애제타이 청진사 직인가(수공예품 거리) 향비묘 (아팍호자의 묘) 반초성(班超城); 서역을 제패한 반초의 유적 대바자르 자매 도시[편집] 파키스탄 길기트 (2009년) 말레이시아 믈라카 (2012년 2월)[6] 갤러리[편집] 아이티걸 모스크 향비묘(아팍호자의 묘) 그옆의 모스크 각주[편집]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년) (중국어). 중국기상국. 2011년 7월.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6일에 확인함.  ↑ “Issue 21 – Analysis – Fear and Loathing split Xinjiang’s would-be Las Vegas”.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06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13일에 확인함.  ↑ Stanley W. Toops (2004년 3월 15일). 〈The Demography of Xinjiang〉. S. Frederick Starr.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Routledge. 256–257쪽. ISBN 978-0765613189.  ↑ “KĀSHÍ SHÌ (County-level City)”. 《시 인구》.  ↑ “Malacca ties up with sister city Kashgar”. New Straits Times. 2013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카스시 (중국어) 공식 웹사이트 vdeh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 구역 수부: 우루무치시 우루무치시 톈산구 사이바커구 신스구 수이모거우구 터우툰허구 다반청구 미둥구 우루무치현 커라마이시 커라마이구 두산쯔구 바이젠탄구 우얼허구 투루판시 가오창구 퉈커쉰현 산산현 하미시 이저우구 이우현 바리쿤 카자흐 자치현 허톈 지구 허톈시 허톈현 뤄푸현 민펑현 피산현 처러현 위톈현 모위현 아커쑤 지구 아커쑤시 원쑤현 사야현 바이청현 아와티현 쿠처현 커핑현 신허현 우스현 카스 지구 카스시 바추현 쩌푸현 가스현 예청현 웨푸후현 수러현 마이가이티현 잉지사현 사처현 수푸현 타스쿠얼간 타지크 자치현 커쯔러쑤 키르기스 자치주 아투스시 아허치현 우차현 아커타오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쿠얼러시 허징현 위리현 허숴현 체모현 보후현 룬타이현 뤄창현 옌치 후이족 자치현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시 푸캉시 치타이현 마나쓰현 지무싸얼현 후투비현 무러이 카자흐 자치현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아라산커우시 징허현 원취안현 이리 카자흐 자치주자치주 직할 이닝시 쿠이툰시 이닝현 터커쓰현 니러커현 자오쑤현 신위안현 훠청현 궁류현 차부차얼 시버 자치현 타청 지구 타청시 우쑤시 어민현 위민현 사완현 퉈리현 허부커싸이얼 몽골 자치현 아러타이 지구 아러타이시 칭허현 지무나이현 푸윈현 부얼진현 푸하이현 하바허현 자치구직할현급시 스허쯔시 아라얼시 투무수커시 우자취시 베이툰시 톄먼관시 솽허시 커커다라시 쿤위시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부성급자치주이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8276862 LCCN: n80110337 GND: 4395054-1 BNF: cb119476450 (데이터) NDL: 006283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스시&oldid=24183487" 분류: 카스시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현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카스 지구의 행정 구역위구르족비단길숨은 분류: CS1 - 중국어 인용 (zh)위구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GĩkũyũКыргызчаLadinoLietuviųLatviešu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مازِرونیनेपालीNederlandsNorskଓଡ଼ିଆ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클레어 패터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어 패터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Clair Cameron Patterson 출생 1922년 6월 2일(1922-06-02) 미국 아이오와주 미첼빌 사망 1995년 12월 5일 (73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랜치 국적 미국 분야 지구화학 소속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출신 대학 그리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 해리슨 브라운 주요 업적 지구의 나이 계산, 납에 의한 대기 오염 연구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영어: Clair Cameron Patterson, 1922년 6월 2일 ~ 1995년 12월 5일)은 미국의 지구화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이다. 아이오와주의 그리널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종신교수직을 얻었다. 패터슨은 우라늄·납법을 발달시켜서 납·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포함되는 납동위체를 이용하고, 지구의 나이를 45.5억년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당시의 모든 계산보다 정확하였고, 이후에도 지구의 나이에 대한 예측은 변화가 없다. 패터슨은 194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를 하는 중에 처음으로 납 오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의 납 오염에 대한 일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대기나 인체에 있어서의 납농도의 증대와 그 위험성에 관한 전면적인 재평가에 연결되고, 그 후 그의 운동은 납이 첨가된 휘발유와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땜납 사용금지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다했다. 목차 1 생애 2 지구의 나이의 계산 3 환경중의 납 오염 4 납 오염 반대 운동 5 각주 6 참고 문헌 생애[편집] 아이오와주의 미첼빌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에 재학 중일때 아내인 로리 매클리어리를 만났다. 패터슨은 그리널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분자분광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잠시 맨해튼 계획에 종사하였다가,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테네시주의 오크리지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질량분석법을 배웠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패터슨은 시카고 대학교에 되돌아왔다. 아내인 로리는 적외 분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패터슨 자신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해리슨 브라운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다.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원 생활을 경과하고, 패터슨은 지도 교수인 해리슨 브라운과 함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지질학부로 옮겼고, 지구화학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2] 퍼트는 평생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적을 두었다. 그와 로리는 4명의 아이를 낳았다. 지구의 나이의 계산[편집] 해리슨 브라운은 화성암 중의 납동위체를 꼽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1948년에 자신의 지도를 받는 학생이던 클레어 패터슨에게 졸업 과제로서 주었다. 이 기간에 패터슨은 운석은 태양계의 형성의 뒤에 남은 찌꺼기이며, 운석의 나이를 측정함으로 지구의 나이를 밝힐 수 있다고 하는 추측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험을 했다. 실험자료를 모으는 것에는 시간이 걸리고, 1953년에 최후의 표본을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손에 넣었다. 그는 운석에서 얻어낸 실험자료를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 가져가서 그곳에 있는 좋은 최신 모델의 질량 분석기로 분석을 하였다. 그 후 곧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패터슨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패터슨이 발표한 지구의 나이는 45.50억년(오차7000만년)이었고, 2014년 현재에는 오차의 범위가 약 2000만년으로 작아졌지만 이 숫자는 지금도 변하고 있지 않다. 환경중의 납 오염[편집] 그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납을 보통인 암석으로 단리하고, 동위체의 조성을 결정하는 능력이 있어, 대서양과 태평양의 퇴적물 중의 납을 조사했다. 대륙이 바다에 흙더미를 퇴적시킨 다른 연대부터, 현재 환경중에 인위적으로 확산한 납의 양은 바다에 퇴적한 양의 80배이며, 납의 지구화학적인 사이클은 현저하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분석 방법의 한계가 있었으므로, 그는 다른 연구법도 취하였다. 깊은 곳의 바닷물은 표층부근의 바닷물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바륨과 같은 금속 원소와는 대조적으로 3 ~ 10배의 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것에 의해 그는 납농도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수준의 2배정도인 당시의 상식을 의심하게 되었다. 패터슨은 당초의 실험으로 이용한 공백에 보여지는 혼입물의 문제에 되돌아갔다. 그린란드에서 얻은 빙상 코어에서 대기중의 납 함유량은 내연 엔진의 노킹을 절감한다고 해서 테트라에틸납이 연료에 널리 사용되게 되어서 바로 후에 꾸준히 위험할때까지 증대하기 시작한 것을 그는 찾아냈다. 계속해서 실험자료에 납이 혼입한 원인이 제조에 있어서 납이 각양각색 사용되고 있는 것과 대기 중의 납 오염인 것을 특별히 정하고, 그의 발견은 공중위생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나머지의 인생을 될 수 있는 한 환경에서 납을 제거하는 것에 바쳤다. 납 오염 반대 운동[편집] 1965년부터 클레어 패터슨은 납 오염 반대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으며, 《Contaminated and Natural Lead Environments of Man》의 출판과 함께 패터슨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환경과 식물 연쇄에 있어서의 납의 수준이 증대하고 있는 문제에 대중에게 눈길을 끌기로 했다. 다른 과학자의 실험 방법을 비판하고 있는 것도 있어서, 그는 로버트 키호와 같은 권위 있는 전문가의 강한 반대도 있었다. 납이 첨가된 휘발유인 유연휘발유를 석유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노력을 하는 중에 에틸 사의 로비 활동이나, 토머스 미즐리의 유산(테트라에틸납이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 납을 첨가하는 공업 전체에 대하여 싸웠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의 저자인 빌 브라이슨은 납공업에 대한 패터슨의 비판을 받고, 중립으로 여겨지고 있는 미국 연방공중보건국을 포함시켜 많은 연구 기관에서 계약이 거부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1971년에는 미국 전체 국가연구 회의의 대기납오염위원회로부터 제외되었지만, 그가 당시 그 분야의 제일인자이었던 것을 생각하니 대단히 기묘했다. 패터슨의 노력은 최종적으로는 1973년의 환경보전기관(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선언, 미국 전체의 모든 휘발유에 첨가된 납의 60 ~ 65%의 단계적인 삭감과 1986년까지의 최종적인 제거에 연결되었다. 미국인의 혈중 납농도는, 1990년대 후반에 80%까지 떨어졌다고 보고되었다.[3] 다음에 그는 비슷한 실험적인 부족에 의해 납의 증대를 숨겨지고 있었던 식품에 눈을 돌렸다. 어떤 연구로 신선한 물고기와 비교되어 있는 통조림의 물고기는 1그램당 0.3 ~ 1400나노그램의 납 농도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내보였다. 한편 공적인 연구소는 400 ~ 700나노그램의 증대라고 보고하고 있다.[4] 그는 1600년 전 페루인의 뼈의 납·바륨·칼슘 농도를 비교하고, 현대의 인류에 있어서 700배로부터 1200배나 되는 납을 소유하고 있어, 다른 원소에서는 그다지의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냈다.[5] 1978년에 클레어 패터슨은 납 수준의 증대와 감소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다 많은 연구를 필요하다고 논의하고 있는 국가연구 회의의 위원에게 임명되었다.[6] 그의 의견은 78쪽의 반대 의견서에 저술되어 있으며, 그곳에서는 휘발유, 식품용기, 페인트, 유약, 수도관에 있어서 즉각 규제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해져 있다. 30년 후 이 내용의 대부분은 받아들여지고, 미국과 세계의 다른 많은 나라에서 실행에 옮겨졌다. 각주[편집] ↑ Biographical memoir by George R. Tilton ↑ “Interview with Shirley Cohen from the Caltech Oral History archives” (PDF).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8일에 확인함.  ↑ Blood Lead Levels Keep Dropping; New Guidelines Proposed for Those Most Vulnerable Archived 2006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1997년2월 20일) ↑ Settle, D. M.; Patterson (1980), “Lead in albacore: guide to lead pollution in Americans”, Science 207: 1167 ~ 76 ↑ Ericson, J.E.; Shirahata, H.; Patterson, C.C. (1975), “Skeletal concentrations of lead in ancient Peruvians”, N. Engl. J. Med. 300: 949 ~ 51 ↑ Lead in the Human Environ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0) 참고 문헌[편집] Patterson, C. (1956), “Age of meteorites and the Earth”,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0: 230 ~ 237, doi : 10.1016/0016-7037(56)90036-9 Patterson, C.; Chow, T. J. (1962), “The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lead isotopes in pelagic sedimen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26: 263 ~ 308, doi : 10.1016/0016-7037(62)90016-9 Patterson, C. (1965), “Contaminated and natural environments of man”, Arch. Environ. Health 11: 344 ~ 360, PMID 14334042 빌 브라이슨 (2003),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ISBN 89-7291-364-2 Davidson, Cliff I., ed. (1998), Clean Hands: Clair Patterson's Crusade against Environmental Lead Contamination,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pp. xxxiv+162, ISBN 1-56072-568-0 McGrayne, S. Bertsch (2002), “Ch. 9: Lead-Free Gasoline and Clair C. Patterson”, Prometheans in the Lab, New York: McGraw-Hill, ISBN 0-07-140795-2 Tilton, George R., Clair Cameron Patterson Denworth, L. Toxic Truth: A Scientist, A Doctor, and the Battle over Lead, Beacon Press, 2009. Casanova, I (1998), “Clair C. Patterson (1922-1995), discoverer of the age of the Earth.”, Int. Microbiol. 1 (3): 231–2, 1998 Sep, PMID 10943366 Flegal, A R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4–70, 1998 Aug, doi : 10.1006/enrs.1998.3861, PMID 9725987 Needleman, H L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 two views of lead toxicity.”, Environ. Res. 78 (2): 79–85,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7, PMID 9719611 Flegal, A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5–185, 1998 Aug, PMID 9719609 Nriagu, J O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s paradigm of "show me the data" on environmental lead poisoning.”, Environ. Res. 78 (2): 71–8,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8, PMID 971961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0595213 LCCN: n83028608 ISNI: 0000 0000 2325 8806 GND: 121321088 NLA: 492862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레어_패터슨&oldid=22329658" 분류: 1922년 태어남1995년 죽음미국의 지질학자미국의 활동가지구화학자맨해튼 계획 관련자아이오와주 출신그리널 대학교 동문시카고 대학교 동문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클레어 패터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어 패터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Clair Cameron Patterson 출생 1922년 6월 2일(1922-06-02) 미국 아이오와주 미첼빌 사망 1995년 12월 5일 (73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랜치 국적 미국 분야 지구화학 소속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출신 대학 그리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 해리슨 브라운 주요 업적 지구의 나이 계산, 납에 의한 대기 오염 연구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영어: Clair Cameron Patterson, 1922년 6월 2일 ~ 1995년 12월 5일)은 미국의 지구화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이다. 아이오와주의 그리널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종신교수직을 얻었다. 패터슨은 우라늄·납법을 발달시켜서 납·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포함되는 납동위체를 이용하고, 지구의 나이를 45.5억년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당시의 모든 계산보다 정확하였고, 이후에도 지구의 나이에 대한 예측은 변화가 없다. 패터슨은 194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를 하는 중에 처음으로 납 오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의 납 오염에 대한 일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대기나 인체에 있어서의 납농도의 증대와 그 위험성에 관한 전면적인 재평가에 연결되고, 그 후 그의 운동은 납이 첨가된 휘발유와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땜납 사용금지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다했다. 목차 1 생애 2 지구의 나이의 계산 3 환경중의 납 오염 4 납 오염 반대 운동 5 각주 6 참고 문헌 생애[편집] 아이오와주의 미첼빌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에 재학 중일때 아내인 로리 매클리어리를 만났다. 패터슨은 그리널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분자분광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잠시 맨해튼 계획에 종사하였다가,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테네시주의 오크리지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질량분석법을 배웠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패터슨은 시카고 대학교에 되돌아왔다. 아내인 로리는 적외 분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패터슨 자신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해리슨 브라운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다.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원 생활을 경과하고, 패터슨은 지도 교수인 해리슨 브라운과 함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지질학부로 옮겼고, 지구화학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2] 퍼트는 평생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적을 두었다. 그와 로리는 4명의 아이를 낳았다. 지구의 나이의 계산[편집] 해리슨 브라운은 화성암 중의 납동위체를 꼽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1948년에 자신의 지도를 받는 학생이던 클레어 패터슨에게 졸업 과제로서 주었다. 이 기간에 패터슨은 운석은 태양계의 형성의 뒤에 남은 찌꺼기이며, 운석의 나이를 측정함으로 지구의 나이를 밝힐 수 있다고 하는 추측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험을 했다. 실험자료를 모으는 것에는 시간이 걸리고, 1953년에 최후의 표본을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손에 넣었다. 그는 운석에서 얻어낸 실험자료를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 가져가서 그곳에 있는 좋은 최신 모델의 질량 분석기로 분석을 하였다. 그 후 곧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패터슨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패터슨이 발표한 지구의 나이는 45.50억년(오차7000만년)이었고, 2014년 현재에는 오차의 범위가 약 2000만년으로 작아졌지만 이 숫자는 지금도 변하고 있지 않다. 환경중의 납 오염[편집] 그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납을 보통인 암석으로 단리하고, 동위체의 조성을 결정하는 능력이 있어, 대서양과 태평양의 퇴적물 중의 납을 조사했다. 대륙이 바다에 흙더미를 퇴적시킨 다른 연대부터, 현재 환경중에 인위적으로 확산한 납의 양은 바다에 퇴적한 양의 80배이며, 납의 지구화학적인 사이클은 현저하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분석 방법의 한계가 있었으므로, 그는 다른 연구법도 취하였다. 깊은 곳의 바닷물은 표층부근의 바닷물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바륨과 같은 금속 원소와는 대조적으로 3 ~ 10배의 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것에 의해 그는 납농도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수준의 2배정도인 당시의 상식을 의심하게 되었다. 패터슨은 당초의 실험으로 이용한 공백에 보여지는 혼입물의 문제에 되돌아갔다. 그린란드에서 얻은 빙상 코어에서 대기중의 납 함유량은 내연 엔진의 노킹을 절감한다고 해서 테트라에틸납이 연료에 널리 사용되게 되어서 바로 후에 꾸준히 위험할때까지 증대하기 시작한 것을 그는 찾아냈다. 계속해서 실험자료에 납이 혼입한 원인이 제조에 있어서 납이 각양각색 사용되고 있는 것과 대기 중의 납 오염인 것을 특별히 정하고, 그의 발견은 공중위생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나머지의 인생을 될 수 있는 한 환경에서 납을 제거하는 것에 바쳤다. 납 오염 반대 운동[편집] 1965년부터 클레어 패터슨은 납 오염 반대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으며, 《Contaminated and Natural Lead Environments of Man》의 출판과 함께 패터슨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환경과 식물 연쇄에 있어서의 납의 수준이 증대하고 있는 문제에 대중에게 눈길을 끌기로 했다. 다른 과학자의 실험 방법을 비판하고 있는 것도 있어서, 그는 로버트 키호와 같은 권위 있는 전문가의 강한 반대도 있었다. 납이 첨가된 휘발유인 유연휘발유를 석유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노력을 하는 중에 에틸 사의 로비 활동이나, 토머스 미즐리의 유산(테트라에틸납이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 납을 첨가하는 공업 전체에 대하여 싸웠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의 저자인 빌 브라이슨은 납공업에 대한 패터슨의 비판을 받고, 중립으로 여겨지고 있는 미국 연방공중보건국을 포함시켜 많은 연구 기관에서 계약이 거부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1971년에는 미국 전체 국가연구 회의의 대기납오염위원회로부터 제외되었지만, 그가 당시 그 분야의 제일인자이었던 것을 생각하니 대단히 기묘했다. 패터슨의 노력은 최종적으로는 1973년의 환경보전기관(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선언, 미국 전체의 모든 휘발유에 첨가된 납의 60 ~ 65%의 단계적인 삭감과 1986년까지의 최종적인 제거에 연결되었다. 미국인의 혈중 납농도는, 1990년대 후반에 80%까지 떨어졌다고 보고되었다.[3] 다음에 그는 비슷한 실험적인 부족에 의해 납의 증대를 숨겨지고 있었던 식품에 눈을 돌렸다. 어떤 연구로 신선한 물고기와 비교되어 있는 통조림의 물고기는 1그램당 0.3 ~ 1400나노그램의 납 농도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내보였다. 한편 공적인 연구소는 400 ~ 700나노그램의 증대라고 보고하고 있다.[4] 그는 1600년 전 페루인의 뼈의 납·바륨·칼슘 농도를 비교하고, 현대의 인류에 있어서 700배로부터 1200배나 되는 납을 소유하고 있어, 다른 원소에서는 그다지의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냈다.[5] 1978년에 클레어 패터슨은 납 수준의 증대와 감소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다 많은 연구를 필요하다고 논의하고 있는 국가연구 회의의 위원에게 임명되었다.[6] 그의 의견은 78쪽의 반대 의견서에 저술되어 있으며, 그곳에서는 휘발유, 식품용기, 페인트, 유약, 수도관에 있어서 즉각 규제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해져 있다. 30년 후 이 내용의 대부분은 받아들여지고, 미국과 세계의 다른 많은 나라에서 실행에 옮겨졌다. 각주[편집] ↑ Biographical memoir by George R. Tilton ↑ “Interview with Shirley Cohen from the Caltech Oral History archives” (PDF).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8일에 확인함.  ↑ Blood Lead Levels Keep Dropping; New Guidelines Proposed for Those Most Vulnerable Archived 2006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1997년2월 20일) ↑ Settle, D. M.; Patterson (1980), “Lead in albacore: guide to lead pollution in Americans”, Science 207: 1167 ~ 76 ↑ Ericson, J.E.; Shirahata, H.; Patterson, C.C. (1975), “Skeletal concentrations of lead in ancient Peruvians”, N. Engl. J. Med. 300: 949 ~ 51 ↑ Lead in the Human Environ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0) 참고 문헌[편집] Patterson, C. (1956), “Age of meteorites and the Earth”,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0: 230 ~ 237, doi : 10.1016/0016-7037(56)90036-9 Patterson, C.; Chow, T. J. (1962), “The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lead isotopes in pelagic sedimen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26: 263 ~ 308, doi : 10.1016/0016-7037(62)90016-9 Patterson, C. (1965), “Contaminated and natural environments of man”, Arch. Environ. Health 11: 344 ~ 360, PMID 14334042 빌 브라이슨 (2003),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ISBN 89-7291-364-2 Davidson, Cliff I., ed. (1998), Clean Hands: Clair Patterson's Crusade against Environmental Lead Contamination,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pp. xxxiv+162, ISBN 1-56072-568-0 McGrayne, S. Bertsch (2002), “Ch. 9: Lead-Free Gasoline and Clair C. Patterson”, Prometheans in the Lab, New York: McGraw-Hill, ISBN 0-07-140795-2 Tilton, George R., Clair Cameron Patterson Denworth, L. Toxic Truth: A Scientist, A Doctor, and the Battle over Lead, Beacon Press, 2009. Casanova, I (1998), “Clair C. Patterson (1922-1995), discoverer of the age of the Earth.”, Int. Microbiol. 1 (3): 231–2, 1998 Sep, PMID 10943366 Flegal, A R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4–70, 1998 Aug, doi : 10.1006/enrs.1998.3861, PMID 9725987 Needleman, H L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 two views of lead toxicity.”, Environ. Res. 78 (2): 79–85,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7, PMID 9719611 Flegal, A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5–185, 1998 Aug, PMID 9719609 Nriagu, J O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s paradigm of "show me the data" on environmental lead poisoning.”, Environ. Res. 78 (2): 71–8,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8, PMID 971961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0595213 LCCN: n83028608 ISNI: 0000 0000 2325 8806 GND: 121321088 NLA: 492862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레어_패터슨&oldid=22329658" 분류: 1922년 태어남1995년 죽음미국의 지질학자미국의 활동가지구화학자맨해튼 계획 관련자아이오와주 출신그리널 대학교 동문시카고 대학교 동문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클레어 패터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어 패터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Clair Cameron Patterson 출생 1922년 6월 2일(1922-06-02) 미국 아이오와주 미첼빌 사망 1995년 12월 5일 (73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시랜치 국적 미국 분야 지구화학 소속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출신 대학 그리널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지도 교수 해리슨 브라운 주요 업적 지구의 나이 계산, 납에 의한 대기 오염 연구 클레어 캐머런 패터슨(영어: Clair Cameron Patterson, 1922년 6월 2일 ~ 1995년 12월 5일)은 미국의 지구화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이다. 아이오와주의 그리널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종신교수직을 얻었다. 패터슨은 우라늄·납법을 발달시켜서 납·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포함되는 납동위체를 이용하고, 지구의 나이를 45.5억년이라고 계산했다. 이는 당시의 모든 계산보다 정확하였고, 이후에도 지구의 나이에 대한 예측은 변화가 없다. 패터슨은 194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에서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연구를 하는 중에 처음으로 납 오염에 우연히 알게 되었다. 그의 납 오염에 대한 일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일어나는 대기나 인체에 있어서의 납농도의 증대와 그 위험성에 관한 전면적인 재평가에 연결되고, 그 후 그의 운동은 납이 첨가된 휘발유와 식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땜납 사용금지에 있어서 큰 역할을 다했다. 목차 1 생애 2 지구의 나이의 계산 3 환경중의 납 오염 4 납 오염 반대 운동 5 각주 6 참고 문헌 생애[편집] 아이오와주의 미첼빌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 있는 그리널 대학교에 재학 중일때 아내인 로리 매클리어리를 만났다. 패터슨은 그리널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분자분광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에 잠시 맨해튼 계획에 종사하였다가,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테네시주의 오크리지로 이주하였고, 그곳에서 질량분석법을 배웠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패터슨은 시카고 대학교에 되돌아왔다. 아내인 로리는 적외 분광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패터슨 자신은 시카고 대학교에서 해리슨 브라운의 지도하에 박사 과정을 밟았다. 시카고 대학교에서의 연구원 생활을 경과하고, 패터슨은 지도 교수인 해리슨 브라운과 함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지질학부로 옮겼고, 지구화학 프로그램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2] 퍼트는 평생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 적을 두었다. 그와 로리는 4명의 아이를 낳았다. 지구의 나이의 계산[편집] 해리슨 브라운은 화성암 중의 납동위체를 꼽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1948년에 자신의 지도를 받는 학생이던 클레어 패터슨에게 졸업 과제로서 주었다. 이 기간에 패터슨은 운석은 태양계의 형성의 뒤에 남은 찌꺼기이며, 운석의 나이를 측정함으로 지구의 나이를 밝힐 수 있다고 하는 추측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험을 했다. 실험자료를 모으는 것에는 시간이 걸리고, 1953년에 최후의 표본을 캐니언 디아블로 운석에 손에 넣었다. 그는 운석에서 얻어낸 실험자료를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 가져가서 그곳에 있는 좋은 최신 모델의 질량 분석기로 분석을 하였다. 그 후 곧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패터슨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당시 패터슨이 발표한 지구의 나이는 45.50억년(오차7000만년)이었고, 2014년 현재에는 오차의 범위가 약 2000만년으로 작아졌지만 이 숫자는 지금도 변하고 있지 않다. 환경중의 납 오염[편집] 그는 마이크로그램 단위의 납을 보통인 암석으로 단리하고, 동위체의 조성을 결정하는 능력이 있어, 대서양과 태평양의 퇴적물 중의 납을 조사했다. 대륙이 바다에 흙더미를 퇴적시킨 다른 연대부터, 현재 환경중에 인위적으로 확산한 납의 양은 바다에 퇴적한 양의 80배이며, 납의 지구화학적인 사이클은 현저하게 방해를 받고 있는 것을 보일 수 있었다. 분석 방법의 한계가 있었으므로, 그는 다른 연구법도 취하였다. 깊은 곳의 바닷물은 표층부근의 바닷물과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바륨과 같은 금속 원소와는 대조적으로 3 ~ 10배의 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것에 의해 그는 납농도는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수준의 2배정도인 당시의 상식을 의심하게 되었다. 패터슨은 당초의 실험으로 이용한 공백에 보여지는 혼입물의 문제에 되돌아갔다. 그린란드에서 얻은 빙상 코어에서 대기중의 납 함유량은 내연 엔진의 노킹을 절감한다고 해서 테트라에틸납이 연료에 널리 사용되게 되어서 바로 후에 꾸준히 위험할때까지 증대하기 시작한 것을 그는 찾아냈다. 계속해서 실험자료에 납이 혼입한 원인이 제조에 있어서 납이 각양각색 사용되고 있는 것과 대기 중의 납 오염인 것을 특별히 정하고, 그의 발견은 공중위생에 있어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나머지의 인생을 될 수 있는 한 환경에서 납을 제거하는 것에 바쳤다. 납 오염 반대 운동[편집] 1965년부터 클레어 패터슨은 납 오염 반대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으며, 《Contaminated and Natural Lead Environments of Man》의 출판과 함께 패터슨은 공업적인 원인으로 환경과 식물 연쇄에 있어서의 납의 수준이 증대하고 있는 문제에 대중에게 눈길을 끌기로 했다. 다른 과학자의 실험 방법을 비판하고 있는 것도 있어서, 그는 로버트 키호와 같은 권위 있는 전문가의 강한 반대도 있었다. 납이 첨가된 휘발유인 유연휘발유를 석유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노력을 하는 중에 에틸 사의 로비 활동이나, 토머스 미즐리의 유산(테트라에틸납이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 납을 첨가하는 공업 전체에 대하여 싸웠다.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의 저자인 빌 브라이슨은 납공업에 대한 패터슨의 비판을 받고, 중립으로 여겨지고 있는 미국 연방공중보건국을 포함시켜 많은 연구 기관에서 계약이 거부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1971년에는 미국 전체 국가연구 회의의 대기납오염위원회로부터 제외되었지만, 그가 당시 그 분야의 제일인자이었던 것을 생각하니 대단히 기묘했다. 패터슨의 노력은 최종적으로는 1973년의 환경보전기관(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선언, 미국 전체의 모든 휘발유에 첨가된 납의 60 ~ 65%의 단계적인 삭감과 1986년까지의 최종적인 제거에 연결되었다. 미국인의 혈중 납농도는, 1990년대 후반에 80%까지 떨어졌다고 보고되었다.[3] 다음에 그는 비슷한 실험적인 부족에 의해 납의 증대를 숨겨지고 있었던 식품에 눈을 돌렸다. 어떤 연구로 신선한 물고기와 비교되어 있는 통조림의 물고기는 1그램당 0.3 ~ 1400나노그램의 납 농도가 증대하고 있는 것을 내보였다. 한편 공적인 연구소는 400 ~ 700나노그램의 증대라고 보고하고 있다.[4] 그는 1600년 전 페루인의 뼈의 납·바륨·칼슘 농도를 비교하고, 현대의 인류에 있어서 700배로부터 1200배나 되는 납을 소유하고 있어, 다른 원소에서는 그다지의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냈다.[5] 1978년에 클레어 패터슨은 납 수준의 증대와 감소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다 많은 연구를 필요하다고 논의하고 있는 국가연구 회의의 위원에게 임명되었다.[6] 그의 의견은 78쪽의 반대 의견서에 저술되어 있으며, 그곳에서는 휘발유, 식품용기, 페인트, 유약, 수도관에 있어서 즉각 규제 조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해져 있다. 30년 후 이 내용의 대부분은 받아들여지고, 미국과 세계의 다른 많은 나라에서 실행에 옮겨졌다. 각주[편집] ↑ Biographical memoir by George R. Tilton ↑ “Interview with Shirley Cohen from the Caltech Oral History archives” (PDF). 2011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18일에 확인함.  ↑ Blood Lead Levels Keep Dropping; New Guidelines Proposed for Those Most Vulnerable Archived 2006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1997년2월 20일) ↑ Settle, D. M.; Patterson (1980), “Lead in albacore: guide to lead pollution in Americans”, Science 207: 1167 ~ 76 ↑ Ericson, J.E.; Shirahata, H.; Patterson, C.C. (1975), “Skeletal concentrations of lead in ancient Peruvians”, N. Engl. J. Med. 300: 949 ~ 51 ↑ Lead in the Human Environ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80) 참고 문헌[편집] Patterson, C. (1956), “Age of meteorites and the Earth”,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0: 230 ~ 237, doi : 10.1016/0016-7037(56)90036-9 Patterson, C.; Chow, T. J. (1962), “The occurrence and significance of lead isotopes in pelagic sediment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26: 263 ~ 308, doi : 10.1016/0016-7037(62)90016-9 Patterson, C. (1965), “Contaminated and natural environments of man”, Arch. Environ. Health 11: 344 ~ 360, PMID 14334042 빌 브라이슨 (2003), 거의 모든 것의 역사, 까치, ISBN 89-7291-364-2 Davidson, Cliff I., ed. (1998), Clean Hands: Clair Patterson's Crusade against Environmental Lead Contamination,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pp. xxxiv+162, ISBN 1-56072-568-0 McGrayne, S. Bertsch (2002), “Ch. 9: Lead-Free Gasoline and Clair C. Patterson”, Prometheans in the Lab, New York: McGraw-Hill, ISBN 0-07-140795-2 Tilton, George R., Clair Cameron Patterson Denworth, L. Toxic Truth: A Scientist, A Doctor, and the Battle over Lead, Beacon Press, 2009. Casanova, I (1998), “Clair C. Patterson (1922-1995), discoverer of the age of the Earth.”, Int. Microbiol. 1 (3): 231–2, 1998 Sep, PMID 10943366 Flegal, A R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4–70, 1998 Aug, doi : 10.1006/enrs.1998.3861, PMID 9725987 Needleman, H L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 two views of lead toxicity.”, Environ. Res. 78 (2): 79–85,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7, PMID 9719611 Flegal, A (1998), “Clair Patterson's Influence on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 Res. 78 (2): 65–185, 1998 Aug, PMID 9719609 Nriagu, J O (1998), “Clair Patterson and Robert Kehoe's paradigm of "show me the data" on environmental lead poisoning.”, Environ. Res. 78 (2): 71–8, 1998 Aug, doi : 10.1006/enrs.1997.3808, PMID 971961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0595213 LCCN: n83028608 ISNI: 0000 0000 2325 8806 GND: 121321088 NLA: 492862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클레어_패터슨&oldid=22329658" 분류: 1922년 태어남1995년 죽음미국의 지질학자미국의 활동가지구화학자맨해튼 계획 관련자아이오와주 출신그리널 대학교 동문시카고 대학교 동문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Català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2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을 나타낸 그래프 2007-2008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는 2006년 후반기 이후 2008년 전반기까지 약 2년간 세계 식량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사건을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의 식량 가격 폭등은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와 선진국 양쪽 모두에 정치적·경제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켰다. 목차 1 원인 1.1 구체적 원인 1.2 근본적 원인 2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 2.1 방글라데시 2.2 브라질 2.3 부르키나파소 2.4 카메룬 2.5 코트디부아르 2.6 이집트 2.7 에티오피아 2.8 아이티 2.9 인도 2.10 인도네시아 2.11 라틴 아메리카 2.12 멕시코 2.13 모잠비크 2.14 파키스탄 2.15 버마 2.16 파나마 2.17 필리핀 2.18 러시아 2.19 세네갈 2.20 소말리아 2.21 타지키스탄 2.22 예멘 3 같이 보기 원인[편집] 구체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구체적 원인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06년 말미에 일어난 식량가격 폭등의 중요한 원인으로 곡물 생산국가들의 가뭄과 원유가격의 상승이 지적되고있다. 석유가격의 상승은 비료 값과 운송비, 농기계 운용비등을 상승시켰다. 또한 전체적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아시아(특히 중국과 인도)의 많은 중산층에서 소비하는 식량의 양이 증가한 것도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선진국에서 생물연료(원료의 대부분이 곡물인)의 사용이 증가한 것도 한가지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들이 작용하는 가운데 세계 식량 비축량이 감소하게 되자 전 세계적인 식량 가격은 급등하게 된다. 근본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근본적인 원인 역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무역 및 농업 생산에 있어서의 구조적 변화, 선진국들이 자국농민의 보호를 위해 행한 막대한 보조금 지급, 값비싼 원료와 연료가 요구되는 식량으로의 농업산업 다양화, 상품시장에서의 투기, 기후변화 등이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2009년 현재 세계경제위기로 인해 식량의 가격은 상당히 떨어진 상태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편집] 식량가격폭등은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세네갈, 모리타니,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모로코 등지에서는 2007년 말에서 2008년 초까지 식량가격폭등에 대한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다. 그밖에 멕시코, 볼리비아, 예멘,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도 식량가격폭등과 관련된 폭동이 발생했다. 방글라데시[편집] 수도 다카 주변에서 10,000명의 낮은 임금과 높은 식량가격에 불만을 품은 노동자들이 자동차와 버스에 방화하고 공장시설을 파괴했다. 최소한 20명의 경찰관을 포함하여 수십명의 사람들이 이과정에서 부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나라는 2002년 이후 식량 공급이 수요를 상회했지만 석유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농법으로 인해 식량 가격은 대폭 상승했다. 경제학자들은 30만~150만명의 방글라데시인들이 굶주림을 겪고있다고 추정한다. 브라질[편집] 2008년 4월, 브라질 정부는 일시적으로 쌀의 수출을 금지했다.이는 브라질내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부르키나파소[편집] 2008년 2월 22일, 세계에서 가장 먼저 식량 폭동이 일어났다. 최대 65%의 식량가격 상승에 반발하여 이 나라의 제2, 제3의 도시에서 폭동이 발발하였으며 이는 수도인 와가두구에까지 번졌다. 군대가 동원되어 진압작전을 펼쳤으며 한 마을에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기도 했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식량에 붙는 세금을 낮추고 비축된 식량을 방출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카메룬[편집] 코코아 생산량이 세계에서 4번째를 달리는 카메룬은 2008년 2월 말 식량 및 연료 가격의 폭등과 폴 비야(Paul Biya) 대통령의 임기연장(25년간 통치를 명문화)에 반발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최소 7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는 등 15년 이래 가장 큰 불안정을 겪었다. 사망자의 숫자는 24명까지 늘어났다. 카메룬 정부는 쌀, 밀가루, 어류에 붙는 세금을 경감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정부는 소매상들과 수입상품에 붙는 관세를 낮추데 합의함으로써 식량 가격을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 4월말 식물가격은 안정되지 않고 몇몇 물품은 오히려 더 상승했다. 2008년 4월 24일 카메룬 정부는 카메룬의 식량생산량을 배가하고 식량자급을 달성하기 위한 긴급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코트디부아르[편집] 3월 31일, 수도 아비장에서 식량가격폭등의 항의하는 수십명의 시위대에 경찰이 최류탄을 쏘는 것이 목격되었다. 이 폭동은 식량과 연료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당시 단 삼일만에 소고기의 가격은 kg당 $1.68 에서 $2.16 로 상승했으며 휘발유의 가격은 리터당 $1.68 에서 $2.16로 폭등했다. 이집트[편집] 4월 8일 공업도시 마할라(Mahalla)에서 식량 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개입하여 7세 소년이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식량 가격, 특히 지난 몇달동안 두배가 오른 빵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많은 인구가 고통 받았다. 에티오피아[편집] 가뭄과 식량가격폭등으로 수천명의 주민들이 기근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아이티[편집] 2008년 4월 12일 아이티 상원은 총리인 알렉시스(Jacques-Édouard Alexis)를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폭동발생을 이유로 실각시켰다. 이 폭동으로 5명이 사망했다. 2007년 말 이후 2달 만에 연료가격이 3배로 뜀에 따라 쌀과 콩, 과일과 연유등의 가격도 50% 가량 상승했다. 높은 물가와 쌀에 대한 보조금을 15% 삭감하는 정책이 발표되자 그해 4월에 폭동이 발생했다. 인도[편집] 2007년 식량부족으로 인해 웨스트벵골 주에서 폭동이 발발했다. 인도는 바스마티종 쌀을 제외한 모든 쌀의 수출을 금했다. 인도네시아[편집] 2008년 1월이후 식량 가격과 휘발유 가격이 거의 2배로 상승하자 이에 항의하는 거리시위가 발생했다. 라틴 아메리카[편집] 2008년 4월, 국제 연합 식량 연합 기구(FAO)에 소속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브라질리아에서 만나 높은 식량 가격과 식량의 부족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폭동에 대처하기 위한 모임을 가졌다. 멕시코[편집] 멕시코의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은 경제계의 대표들을 만나 2008년 12월 까지 커피, 정어리, 참치, 석유, 스프, 홍차등 150개 품목의 가격을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이 조치는 2004년 12월 이후 4.95%로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모잠비크[편집] 2월 중순 모잠비크의 시골마을 초케(Chokwe)에서 폭동이 시작되어 수도인 마푸토까지 번졌다. 이 과정에서 최소한 4명이 사망했다. 파키스탄[편집] 파키스탄 육군은 농경지와 창고로부터 식량을 강탈당하는 것을 막기위해 곳곳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식량가격 상승을 막지 못했다. 파키스탄의 신정부는 식량 비축분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난 받았다. 버마[편집] 한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쌀 생산량을 자랑했던 버마는 지금도 자급량을 채우고도 남을만한 쌀을 생산하고 있다. 40년간 쌀의 수출량은 400만 톤에서 지난해 4만톤으로 급감했는데, 이는 버마 군부의 태만으로 관개나 보관에 필요한 인프라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2008년 5월 3일 사이클론 나르기스는 버마의 쌀 경작지를 강타했고 많은 농경지를 훼손시켰다. FAO는 이 지역이 동남아시아 쌀 생산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식량 부족과 배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군사정부는 쌀 가격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같은 비율로 쌀을 수출하고 있다. 한 버마경제전문가는 "사이클론은 적어도 2번의 수확기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해당 지역에는 아무런 산출물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이는 수년간 쌀과 식량부족을 야기할 수 있고, 버마 경제가 입는 타격은 더욱더 심해질 것" 이라고 예측했다. 파나마[편집] 파나마에서는 높은 쌀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비싼 시장가격으로 쌀을 사들인 다음 식료 가판대에서 다른 값싼 대체제와 쌀을 교환할 수 있게 하였다. 필리핀[편집] 필리핀의 아로요정부는 4월 13일, "필리핀에서 식량 가격과 관련된 폭동이 없을 것이고 아이티와 같은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의장 Sergio Apostol은 "아이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반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필리핀은 식량 부족을 겪고있지 않으며, 이는 아이티의 상황과는 다른 것" 이라 말했다. "식량 폭동은 먼 곳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라고 말한 법무부 장관 Raul Gonzalez의 발언은 정부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4월 15일 세계최대의 쌀 수입국인 필리핀은 중국과 일본 및 아시아의 주요국가들에게 쌀 수출 금지 정책의 해금을 위한 긴급회의를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 필리핀의 농림부 장관은 "자유무역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진술했다. 2008년 4월 말 필리핀 정부는 세계은행에 쌀 수출국이 쌀 수출을 금지정책을 풀도록 압력을 행사해 줄것을 건의했다. 러시아[편집] 러시아 정부는 2007년 10월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국민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소매상들에게 선거가 있기 전까지 식량 가격을 동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 가격 동결은 2008년 5월 1일에 해제되었다. 세네갈[편집] 2008년 3월 31일, 세네갈에서 식량과 연료 가격 상승에 항의하는 폭동이 발생했다. 24명의 시위대가 체포된 뒤 구금당한 것에 대해 지역의 한 인권단체는 보안군에 대한 고문과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로 인해 더 큰 규모의 시위가 2008년 4월 26일 다카르에서 발생했다. 소말리아[편집] 식량가격 폭등과 통화가치의 붕괴로 분노한 수천명의 소말리아인들이 2008년 5월 5일 폭동을 일으켜 최소한 5명이 정부군과 무장한 가계 주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여러 목격자와 관계자들이 전하고 있다. 이 시위는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침공으로 인해 인권유린이 한창인 가운데 일어났다. 타지키스탄[편집] 세계 각지의 여러 미디어는 타지키스탄 곳곳에서 식량위기의 전조가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나라 전체가 심각한 기근상태에 빠져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UN은 타지키스탄 인구의 1/3인 670만명이 2008~2009년 겨울을 나기위한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예멘[편집] 식량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폭동이 3월 말에서 4월 초까지 예멘 남부에서 발생하였다. 경찰서가 불탔고 무장한 시위대에 의해 바리케이트가 쳐졌으며 예멘군은 진압을 위해 탱크와 군용차량을 배치했다. 수천명의 시위대가 며칠동안 대치를 계속하였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었지만 당국은 인명피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위대측은 부상당한 14명중 적어도 한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같이 보기[편집] 애그플레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7~2008년_세계_식료품_가격_위기&oldid=22422110"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2월2007년2008년경제 문제아프리카의 경제아시아의 경제폭동국제경제학2007년 경제2008년 경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日本語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cilianuதமிழ்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8: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7~2008년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12월) 세계식량가격 상승을 나타낸 그래프 2007-2008 세계 식료품 가격 위기는 2006년 후반기 이후 2008년 전반기까지 약 2년간 세계 식량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사건을 의미한다. 이 기간동안의 식량 가격 폭등은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와 선진국 양쪽 모두에 정치적·경제적 불안정을 심화시켰고 사회적 불안을 가중시켰다. 목차 1 원인 1.1 구체적 원인 1.2 근본적 원인 2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 2.1 방글라데시 2.2 브라질 2.3 부르키나파소 2.4 카메룬 2.5 코트디부아르 2.6 이집트 2.7 에티오피아 2.8 아이티 2.9 인도 2.10 인도네시아 2.11 라틴 아메리카 2.12 멕시코 2.13 모잠비크 2.14 파키스탄 2.15 버마 2.16 파나마 2.17 필리핀 2.18 러시아 2.19 세네갈 2.20 소말리아 2.21 타지키스탄 2.22 예멘 3 같이 보기 원인[편집] 구체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구체적 원인에 대해서는 계속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06년 말미에 일어난 식량가격 폭등의 중요한 원인으로 곡물 생산국가들의 가뭄과 원유가격의 상승이 지적되고있다. 석유가격의 상승은 비료 값과 운송비, 농기계 운용비등을 상승시켰다. 또한 전체적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아시아(특히 중국과 인도)의 많은 중산층에서 소비하는 식량의 양이 증가한 것도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선진국에서 생물연료(원료의 대부분이 곡물인)의 사용이 증가한 것도 한가지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들이 작용하는 가운데 세계 식량 비축량이 감소하게 되자 전 세계적인 식량 가격은 급등하게 된다. 근본적 원인[편집] 식량가격 급등의 근본적인 원인 역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무역 및 농업 생산에 있어서의 구조적 변화, 선진국들이 자국농민의 보호를 위해 행한 막대한 보조금 지급, 값비싼 원료와 연료가 요구되는 식량으로의 농업산업 다양화, 상품시장에서의 투기, 기후변화 등이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2009년 현재 세계경제위기로 인해 식량의 가격은 상당히 떨어진 상태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세계 각국에 끼친 영향[편집] 식량가격폭등은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세네갈, 모리타니,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모로코 등지에서는 2007년 말에서 2008년 초까지 식량가격폭등에 대한 시위와 폭동이 일어났다. 그밖에 멕시코, 볼리비아, 예멘,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지에서도 식량가격폭등과 관련된 폭동이 발생했다. 방글라데시[편집] 수도 다카 주변에서 10,000명의 낮은 임금과 높은 식량가격에 불만을 품은 노동자들이 자동차와 버스에 방화하고 공장시설을 파괴했다. 최소한 20명의 경찰관을 포함하여 수십명의 사람들이 이과정에서 부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나라는 2002년 이후 식량 공급이 수요를 상회했지만 석유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농법으로 인해 식량 가격은 대폭 상승했다. 경제학자들은 30만~150만명의 방글라데시인들이 굶주림을 겪고있다고 추정한다. 브라질[편집] 2008년 4월, 브라질 정부는 일시적으로 쌀의 수출을 금지했다.이는 브라질내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부르키나파소[편집] 2008년 2월 22일, 세계에서 가장 먼저 식량 폭동이 일어났다. 최대 65%의 식량가격 상승에 반발하여 이 나라의 제2, 제3의 도시에서 폭동이 발발하였으며 이는 수도인 와가두구에까지 번졌다. 군대가 동원되어 진압작전을 펼쳤으며 한 마을에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기도 했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식량에 붙는 세금을 낮추고 비축된 식량을 방출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카메룬[편집] 코코아 생산량이 세계에서 4번째를 달리는 카메룬은 2008년 2월 말 식량 및 연료 가격의 폭등과 폴 비야(Paul Biya) 대통령의 임기연장(25년간 통치를 명문화)에 반발하는 폭동이 일어났다. 최소 7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는 등 15년 이래 가장 큰 불안정을 겪었다. 사망자의 숫자는 24명까지 늘어났다. 카메룬 정부는 쌀, 밀가루, 어류에 붙는 세금을 경감할 것을 약속했다. 또한 정부는 소매상들과 수입상품에 붙는 관세를 낮추데 합의함으로써 식량 가격을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2008년 4월말 식물가격은 안정되지 않고 몇몇 물품은 오히려 더 상승했다. 2008년 4월 24일 카메룬 정부는 카메룬의 식량생산량을 배가하고 식량자급을 달성하기 위한 긴급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코트디부아르[편집] 3월 31일, 수도 아비장에서 식량가격폭등의 항의하는 수십명의 시위대에 경찰이 최류탄을 쏘는 것이 목격되었다. 이 폭동은 식량과 연료가격의 급등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당시 단 삼일만에 소고기의 가격은 kg당 $1.68 에서 $2.16 로 상승했으며 휘발유의 가격은 리터당 $1.68 에서 $2.16로 폭등했다. 이집트[편집] 4월 8일 공업도시 마할라(Mahalla)에서 식량 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경찰이 개입하여 7세 소년이 머리에 총상을 입고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식량 가격, 특히 지난 몇달동안 두배가 오른 빵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많은 인구가 고통 받았다. 에티오피아[편집] 가뭄과 식량가격폭등으로 수천명의 주민들이 기근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아이티[편집] 2008년 4월 12일 아이티 상원은 총리인 알렉시스(Jacques-Édouard Alexis)를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폭동발생을 이유로 실각시켰다. 이 폭동으로 5명이 사망했다. 2007년 말 이후 2달 만에 연료가격이 3배로 뜀에 따라 쌀과 콩, 과일과 연유등의 가격도 50% 가량 상승했다. 높은 물가와 쌀에 대한 보조금을 15% 삭감하는 정책이 발표되자 그해 4월에 폭동이 발생했다. 인도[편집] 2007년 식량부족으로 인해 웨스트벵골 주에서 폭동이 발발했다. 인도는 바스마티종 쌀을 제외한 모든 쌀의 수출을 금했다. 인도네시아[편집] 2008년 1월이후 식량 가격과 휘발유 가격이 거의 2배로 상승하자 이에 항의하는 거리시위가 발생했다. 라틴 아메리카[편집] 2008년 4월, 국제 연합 식량 연합 기구(FAO)에 소속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브라질리아에서 만나 높은 식량 가격과 식량의 부족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폭동에 대처하기 위한 모임을 가졌다. 멕시코[편집] 멕시코의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은 경제계의 대표들을 만나 2008년 12월 까지 커피, 정어리, 참치, 석유, 스프, 홍차등 150개 품목의 가격을 동결하기로 합의했다. 이 조치는 2004년 12월 이후 4.95%로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모잠비크[편집] 2월 중순 모잠비크의 시골마을 초케(Chokwe)에서 폭동이 시작되어 수도인 마푸토까지 번졌다. 이 과정에서 최소한 4명이 사망했다. 파키스탄[편집] 파키스탄 육군은 농경지와 창고로부터 식량을 강탈당하는 것을 막기위해 곳곳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식량가격 상승을 막지 못했다. 파키스탄의 신정부는 식량 비축분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난 받았다. 버마[편집] 한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쌀 생산량을 자랑했던 버마는 지금도 자급량을 채우고도 남을만한 쌀을 생산하고 있다. 40년간 쌀의 수출량은 400만 톤에서 지난해 4만톤으로 급감했는데, 이는 버마 군부의 태만으로 관개나 보관에 필요한 인프라가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2008년 5월 3일 사이클론 나르기스는 버마의 쌀 경작지를 강타했고 많은 농경지를 훼손시켰다. FAO는 이 지역이 동남아시아 쌀 생산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식량 부족과 배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군사정부는 쌀 가격에 대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같은 비율로 쌀을 수출하고 있다. 한 버마경제전문가는 "사이클론은 적어도 2번의 수확기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고 해당 지역에는 아무런 산출물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이는 수년간 쌀과 식량부족을 야기할 수 있고, 버마 경제가 입는 타격은 더욱더 심해질 것" 이라고 예측했다. 파나마[편집] 파나마에서는 높은 쌀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비싼 시장가격으로 쌀을 사들인 다음 식료 가판대에서 다른 값싼 대체제와 쌀을 교환할 수 있게 하였다. 필리핀[편집] 필리핀의 아로요정부는 4월 13일, "필리핀에서 식량 가격과 관련된 폭동이 없을 것이고 아이티와 같은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의장 Sergio Apostol은 "아이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반면,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필리핀은 식량 부족을 겪고있지 않으며, 이는 아이티의 상황과는 다른 것" 이라 말했다. "식량 폭동은 먼 곳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라고 말한 법무부 장관 Raul Gonzalez의 발언은 정부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4월 15일 세계최대의 쌀 수입국인 필리핀은 중국과 일본 및 아시아의 주요국가들에게 쌀 수출 금지 정책의 해금을 위한 긴급회의를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 필리핀의 농림부 장관은 "자유무역이 이루어져야한다"고 진술했다. 2008년 4월 말 필리핀 정부는 세계은행에 쌀 수출국이 쌀 수출을 금지정책을 풀도록 압력을 행사해 줄것을 건의했다. 러시아[편집] 러시아 정부는 2007년 10월 식량가격상승으로 인한 국민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소매상들에게 선거가 있기 전까지 식량 가격을 동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 가격 동결은 2008년 5월 1일에 해제되었다. 세네갈[편집] 2008년 3월 31일, 세네갈에서 식량과 연료 가격 상승에 항의하는 폭동이 발생했다. 24명의 시위대가 체포된 뒤 구금당한 것에 대해 지역의 한 인권단체는 보안군에 대한 고문과 가혹행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로 인해 더 큰 규모의 시위가 2008년 4월 26일 다카르에서 발생했다. 소말리아[편집] 식량가격 폭등과 통화가치의 붕괴로 분노한 수천명의 소말리아인들이 2008년 5월 5일 폭동을 일으켜 최소한 5명이 정부군과 무장한 가계 주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여러 목격자와 관계자들이 전하고 있다. 이 시위는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침공으로 인해 인권유린이 한창인 가운데 일어났다. 타지키스탄[편집] 세계 각지의 여러 미디어는 타지키스탄 곳곳에서 식량위기의 전조가 보이고 있으며 에너지 부족으로 인해 나라 전체가 심각한 기근상태에 빠져들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UN은 타지키스탄 인구의 1/3인 670만명이 2008~2009년 겨울을 나기위한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예멘[편집] 식량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폭동이 3월 말에서 4월 초까지 예멘 남부에서 발생하였다. 경찰서가 불탔고 무장한 시위대에 의해 바리케이트가 쳐졌으며 예멘군은 진압을 위해 탱크와 군용차량을 배치했다. 수천명의 시위대가 며칠동안 대치를 계속하였고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체포되었지만 당국은 인명피해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위대측은 부상당한 14명중 적어도 한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같이 보기[편집] 애그플레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7~2008년_세계_식료품_가격_위기&oldid=22422110"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12월2007년2008년경제 문제아프리카의 경제아시아의 경제폭동국제경제학2007년 경제2008년 경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日本語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icilianuதமிழ்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8: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대회 정보지역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2019년)창설 1946년코스 찰스턴 컨트리 클럽 (2019년)파 72길이 6,693 야드 (6,120 m)주최 USGA투어 LPGA 투어형식 스트로크 플레이상금 5,000,000 달러 개최 월 5월 - 6월대회 기록합계 272, 안니카 소렌스탐 (1996)272, 줄리 잉스터 (1999)272, 전인지 (2015)점수 –16, 줄리 잉스터 (1999)최근 우승자 아리야 주타누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United States Women's Open Championship) 또는 US 여자 오픈은 전미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가 주최하는 13개의 골프 대회 중 하나이자, 5개의 LPGA 투어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이다. 목차 1 개관 2 역대 우승자 3 역대 한국인 챔피언[3] 4 각주 5 외부 링크 개관[편집] 1946년에 창설된 US 여자 오픈은 LPGA가 1950년에 설립된 이후 LPGA가 인정한 유일한 메이저 대회였다. 여자 프로 골프 선수 협회(Women's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WPGA)가 처음 3년 동안 대회를 운영하였고, 다음 4년 동안 LPGA가 운영하다가 1953년에 USGA 대회가 되었다.[1] 일반적으로는 7월 초에 개최되며, LPGA 시즌의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이다. 이 대회는 여자 골프에서 가장 높은 상금을 가지고 있다. US 오픈과 달리 US 여자 오픈은 세계적으로 메이저 대회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adies European Tour; LET)는 미국에서 열리는 세 개의 메이저 대회를 인정하지 않으며, JLPGA 투어는 자체적인 메이저 대회를 가지고 있다. 다만 LPGA 투어가 여자 골프에서 지배적인 투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중요성은 제한적이다. 2007년 외국인 선수의 숫자가 처음으로 미국인 선수를 넘었다.[2] 2008년 대회에서 19세의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인비가 우승하였으며, 박인비는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역대 우승자[편집] 연도 우승자 국적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총상금($) 우승자상금 ($) 2018 아리야 주타누간 태국 277 −11 플레이오프 5,000,000 900,000 2017 박성현 대한민국 277 −11 2타 5,000,000 900,000 2016 브리타니 랭 미국 282 −6 플레이오프 4,500,000 810,000 2015 전인지 대한민국 272 −8 1타 4,500,000 810,000 2014 미셸 위 미국 278 −2 2타 4,000,000 720,000 2013 박인비 대한민국 280 −8 4타 3,250,000 585,000 2012 최나연 대한민국 281 −7 4타 3,250,000 585,000 2011 유소연 대한민국 281 −3 플레이오프 3,250,000 585,000 2010 폴라 크리머 미국 281 −3 4타 3,250,000 585,000 2009 지은희 대한민국 284 E 1타 3,250,000 585,000 2008 박인비 대한민국 283 −9 4타 3,250,000 585,000 2007 크리스티 커 미국 279 −5 2타 3,100,000 560,000 2006 안니카 소렌스탐 (3) 스웨덴 284 E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5 김주연 대한민국 287 +3 2타 3,100,000 560,000 2004 멕 말론 (2) 미국 274 −10 2타 3,100,000 560,000 2003 힐러리 렁키 미국 283 −1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2 줄리 잉스터 (2) 미국 276 −4 2타 3,000,000 535,000 2001 카리 웹 (2) 오스트레일리아 273 −7 8타 2,900,000 520,000 2000 카리 웹 오스트레일리아 282 −6 5타 2,750,000 500,000 1999 줄리 잉스터 미국 272 −16 5타 1,750,000 315,000 1998 박세리 대한민국 290 +6 플레이오프 1,500,000 267,500 역대 한국인 챔피언[3][편집] 1998년 박세리 2005년 김주연 2008년 박인비 2009년 지은희 2011년 유소연 2012년 최나연 2013년 박인비 2015년 전인지 2017년 박성현 각주[편집] ↑ “U.S. Women's Open: History”. USGA. 2013.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3일에 확인함.  ↑ “U.S. Women's Open Notebook”. PGA 투어. 2007년 6월 26일. 2013년 3월 6일에 확인함.  ↑ 김경무 (2017년 7월 17일). ““박성현 US 여자오픈 우승 ‘드디어 해냈다’”. 한겨레.  외부 링크[편집] (영어)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S_여자_오픈_챔피언십&oldid=23843903" 분류: 골프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월) 2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대회 정보지역 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2019년)창설 1946년코스 찰스턴 컨트리 클럽 (2019년)파 72길이 6,693 야드 (6,120 m)주최 USGA투어 LPGA 투어형식 스트로크 플레이상금 5,000,000 달러 개최 월 5월 - 6월대회 기록합계 272, 안니카 소렌스탐 (1996)272, 줄리 잉스터 (1999)272, 전인지 (2015)점수 –16, 줄리 잉스터 (1999)최근 우승자 아리야 주타누간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United States Women's Open Championship) 또는 US 여자 오픈은 전미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가 주최하는 13개의 골프 대회 중 하나이자, 5개의 LPGA 투어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이다. 목차 1 개관 2 역대 우승자 3 역대 한국인 챔피언[3] 4 각주 5 외부 링크 개관[편집] 1946년에 창설된 US 여자 오픈은 LPGA가 1950년에 설립된 이후 LPGA가 인정한 유일한 메이저 대회였다. 여자 프로 골프 선수 협회(Women's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WPGA)가 처음 3년 동안 대회를 운영하였고, 다음 4년 동안 LPGA가 운영하다가 1953년에 USGA 대회가 되었다.[1] 일반적으로는 7월 초에 개최되며, LPGA 시즌의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이다. 이 대회는 여자 골프에서 가장 높은 상금을 가지고 있다. US 오픈과 달리 US 여자 오픈은 세계적으로 메이저 대회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adies European Tour; LET)는 미국에서 열리는 세 개의 메이저 대회를 인정하지 않으며, JLPGA 투어는 자체적인 메이저 대회를 가지고 있다. 다만 LPGA 투어가 여자 골프에서 지배적인 투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중요성은 제한적이다. 2007년 외국인 선수의 숫자가 처음으로 미국인 선수를 넘었다.[2] 2008년 대회에서 19세의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인비가 우승하였으며, 박인비는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역대 우승자[편집] 연도 우승자 국적 점수 파 2위와의 차이 총상금($) 우승자상금 ($) 2018 아리야 주타누간 태국 277 −11 플레이오프 5,000,000 900,000 2017 박성현 대한민국 277 −11 2타 5,000,000 900,000 2016 브리타니 랭 미국 282 −6 플레이오프 4,500,000 810,000 2015 전인지 대한민국 272 −8 1타 4,500,000 810,000 2014 미셸 위 미국 278 −2 2타 4,000,000 720,000 2013 박인비 대한민국 280 −8 4타 3,250,000 585,000 2012 최나연 대한민국 281 −7 4타 3,250,000 585,000 2011 유소연 대한민국 281 −3 플레이오프 3,250,000 585,000 2010 폴라 크리머 미국 281 −3 4타 3,250,000 585,000 2009 지은희 대한민국 284 E 1타 3,250,000 585,000 2008 박인비 대한민국 283 −9 4타 3,250,000 585,000 2007 크리스티 커 미국 279 −5 2타 3,100,000 560,000 2006 안니카 소렌스탐 (3) 스웨덴 284 E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5 김주연 대한민국 287 +3 2타 3,100,000 560,000 2004 멕 말론 (2) 미국 274 −10 2타 3,100,000 560,000 2003 힐러리 렁키 미국 283 −1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2 줄리 잉스터 (2) 미국 276 −4 2타 3,000,000 535,000 2001 카리 웹 (2) 오스트레일리아 273 −7 8타 2,900,000 520,000 2000 카리 웹 오스트레일리아 282 −6 5타 2,750,000 500,000 1999 줄리 잉스터 미국 272 −16 5타 1,750,000 315,000 1998 박세리 대한민국 290 +6 플레이오프 1,500,000 267,500 역대 한국인 챔피언[3][편집] 1998년 박세리 2005년 김주연 2008년 박인비 2009년 지은희 2011년 유소연 2012년 최나연 2013년 박인비 2015년 전인지 2017년 박성현 각주[편집] ↑ “U.S. Women's Open: History”. USGA. 2013.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3일에 확인함.  ↑ “U.S. Women's Open Notebook”. PGA 투어. 2007년 6월 26일. 2013년 3월 6일에 확인함.  ↑ 김경무 (2017년 7월 17일). ““박성현 US 여자오픈 우승 ‘드디어 해냈다’”. 한겨레.  외부 링크[편집] (영어)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 공식 웹사이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US_여자_오픈_챔피언십&oldid=23843903" 분류: 골프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NederlandsNorskPortuguês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1일 (월) 2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견양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견양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12월) 견양검 甄良劍 지위 강주도독(康州都督) 신상정보 출생일 ? 사망일 936년 음력 9월 사망지 고려 진주 (現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왕조 후백제 가문 후백제 배우자 有 종교 불교 견양검(甄良劍, ? ~ 936년 음력 9월)은 후백제 초대 군주 견훤의 둘째 아들이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양검이 등장한 작품 3.1 TV 드라마 4 참고문헌 생애[편집] 본래에는 강주(康州)에서 도독(都督)을 지내고 있었다. 935년, 아버지 견훤이 서자이자 넷째 아들인 이복 동생 금강을 편애하여 적장자인 동복 형 신검 대신에 왕태자로 삼으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위기를 느낀 형 신검과 아우 용검, 아찬 능환 등과 더불에 모반을 일으켜 금강을 암살하고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시켰다. 형인 신검이 왕위에 오른 후에도 직위를 유지하였다. 이후에 견훤이 고려로 망명했다가 936년에 왕건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오자 이에 맞섰다. 그러나 박영규를 비롯한 후백제의 장수들이 일찍이 투항하는 바람에 전력에 큰 공백이 생겨 전세가 불리해졌다. 결국 마지막 전투인 일리천 전투에서 고려군에게 패배하고 신검, 용검, 능환 등과 함께 항복하였다. 항복한 이후에 모반을 꾀하고 견훤을 몰아냈던 벌을 받아 아우인 용검과 함께 징벌되어 그는 진주로 귀양을 갔다가 그곳에서 사형에 처해졌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아자개(阿慈介) 조모 : 상원부인(上院夫人) 계조모 : 남원부인(南院夫人) 부왕 : 견훤(甄萱 867~936 재위:892/900~935) 모후 : 왕비 박씨(王妃 朴氏) 본인 : 견양검(甄良劍, ? ~ 936년) 양검이 등장한 작품[편집] TV 드라마[편집] 《태조 왕건》(KBS, 2000년~2002년, 배우: 주민준, 서후) 참고문헌[편집]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견양검&oldid=22876314" 분류: 생년 미상936년 죽음후백제의 왕족육군 군인후백제의 군인한국의 장군전주 견씨후백제 사람사형된 사람견훤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1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0일 (화) 00: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박희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희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박희양(朴熙陽, 1867년 음력 8월 22일~1932년 양력 9월 8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역시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박이양의 동생이다. 본관은 반남이다. 목차 1 가족관계 2 생애 3 같이 보기 4 참고자료 5 각주 가족관계[편집] 증조부 : 박종구(朴宗球) 조부 : 박용수(朴容壽) 부 : 박제순(朴齊恂) -- 양부 : 박제성(朴齊性) 생애[편집] 1885년 법부 주사를 시작으로 농상공부 주사, 참서관, 서기관과 문관전고소(文官銓考所)[1] 위원을 거치는 등 대한제국의 관료로 근무했다.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된 1910년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중추원 부찬의에 임명되었으며, 1912년에는 한국병합기념장을 수여받았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참전 군인과 그 가족들을 위로하기 위한 경성군인후원회에 기부금 2원을 납부하였고, 1915년 한일 병합 5주년을 기하여 식민통치를 홍보하고자 열린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에 부회원으로 참가하여 10원을 기부한 일이 있다. 1916년에는 조선총독부의 반도사편찬사업에 조사주임에 임명되었다. 반도사편찬사업은 일본인과 조선인이 본래 한 뿌리였음을 명확히 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으로 제시된 사업이다. 1920년 유교의 부흥을 내세운 친일 단체로 박이양이 이사로 있던 대동사문회에 평사로 참가하였다. 1921년 중추원 개편 때 주임대우 참의가 되어 1924년까지 재임했다. 중추원에 재직한 총 기간은 약 14년이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공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같이 보기[편집] 조선총독부 중추원 대동사문회 참고자료[편집]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7년 12월). 〈박희양〉 (PDF). 《2007년도 조사보고서 II - 친일반민족행위결정이유서》. 서울. 645~650쪽쪽. 발간등록번호 11-1560010-0000002-10.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각주[편집] ↑ “대한제국 직원록 1908년 (02. 내각 > 문관전고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08년 11월 17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희양&oldid=24200133" 분류: 1867년 태어남1932년 죽음대한제국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관료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친일인명사전 수록자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반남 박씨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3: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타히라 리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타히라 리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타히라 리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타히라 리나片平里菜기본 정보출생 1992년 5월 12일(1992-05-12) (27세)일본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국적 일본직업 싱어송라이터장르 J-pop악기 보컬, 기타활동 시기 2012년 - 현재 레이블 소니 뮤직 아티스트소속사 포니캐년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 공식 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일본어: 片平 里菜, 1992년 5월 12일 ~ )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 출신. 소속 레이블은 포니캐년, 소속사무소는 소니 뮤직 아티스트다. 목차 1 내력 2 디스코그래피 2.1 싱글 2.1.1 디지털 싱글 / EP 2.2 앨범 2.2.1 정규 앨범 2.3 참여 작품 2.3.1 싱글 2.3.2 앨범 3 타이업 4 라이브 4.1 라이브 투어 5 출연 5.1 영화 5.2 CM 5.3 라디오 5.3.1 인터넷 라디오 6 각주 7 외부 링크 내력[편집] 2011년 9월 FM TOKYO가 주최하는 10대 청소년 대상 여름 페스티벌 「섬광라이어트2011」의 파이널 스테이지에 출연하여 자작곡 여름밤으로 1만여팀 중에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 결과로 2012년 소니 워크맨 브랜드의 광고 캠페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Play You. 레이블에서 제1탄 아티스트로 발탁된다.[1][2] SMA과 계약했다. 2013년 1월 디지털 싱글 「시작하며」를 발매했다.[1] 8월 7일 포니캐년 레이블에서 싱글 「여름밤」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했다. 2014년 1월 25일 두번째 싱글 「여자는 울지 않아」를 발매. 1월 31일부터 첫번째 원맨 투어 「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를 단독 라이브 콘서트 투어를 시작한다. 4월 3일부터 FM 요코하마에서 새 방송 프로그램 「카타코토 라디오」 진행을 시작했다[3]. 4월 30일 세번째 싱글 「Oh JANE/당신」을 발매했다. 8월 6일 첫번째 정규 앨범 「amazing sky」를 발매했다. 2015년 2월 25일 네번째 싱글 「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했다. 8월 다섯번째 싱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를 발매했다. 2016년 1월 13일 여섯번째 싱글 「이 눈물을 모르죠」를 완전한정생산반으로 발매했다. 2월 3일에는 두번째 정규 앨범 「최고의 짓」을 발매했다. 3월 17일 오키나와 국제 영화제에서 노래 최고의 짓을 소재로 제작된 동명의 영화 최고의 짓이 월드 프리미어 초청 상영되었다. 카타히라 리나는 이 영화에서 본인 역할로 직접 출연하였다[4]. 4월 1일 일곱번째 싱글 결로를 발매했다. 7월 22일 iTunes 한정으로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를 발매했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싱글[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5] 1st 2013년 8월 7일 여름밤 CD PCCA-03871 44위 2nd 2014년 1월 15일 여자는 울지 않아 CD PCCA-03959 18위 3rd 2014년 4월 30일 Oh JANE/당신 CD PCCA-04010 28위 4th 2015년 2월 25일 누군가는/매캐한 CD+DVD PCCA-4175(완전한정생산반) 25위 CD PCCA-4176(통상반) 5th 2015년 8월 28일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CD+DVD PCCA-04276(완전한정생산반) 37위 CD PCCA-04277(통상반) 6th 2016년 1월 13일 이 눈물을 모르죠 CD PCCA-70468(완전수량한정생산반) 15위 7th 2016년 4월 27일 결로 CD+DVD PCCA-04378(초회한정반) 24위 CD PCCA-04379(통상반) CD PCCA-70741(TV애니메이션「마요이가」반) 8th 2017년3월1일 이름 CD+DVD PCCA-04500(초회한정반) 44위 CD PCCA-04501(통상반) 디지털 싱글 / EP[편집] 발매일 타이틀 판매형태 2013년 1월 16일 시작하며 디지털 음원 2016년 7월 22일 기타치며 부르는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 디지털 음원 2017년6월21일 lucy 디지털 음원 앨범[편집] 정규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6] 1st 2014년 8월 6일 amazing sky CD+DVD PCCA-4064(초회한정반) 12위 CD PCCA-4065(통상반) 2nd 2016년 2월 3일 최고의 짓 CD+DVD PCCA-4339(완전수량한정생산반) 8위 CD PCCA-4340 (통상반) 3rd 2017년 12월 20일 사랑 탓 CD PCCA-04605 참여 작품[편집] 싱글[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아티스트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7] 게스트 보컬 2015년 12월 9일 거짓말 하는 입술 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 CD+DVD CTCR-40375/B(완전한정생산반)  16위 CD CTCR-40376(통상반) 앨범[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참가곡 컴필레이션 2012년 6월 27일 ASIAN KUNG-FU GENERATION presents NANO-MUGEN COMPILATION 2012 CD(2장) KSCL-2056/2057 시작하며 2014년 12월 10일 아오하라이드 “MUSIC RIDE” CD ESCL-4321 여자는 울지 않아 2016년 1월 27일 30th anniversary THE BLUE HEARTS re-mix『re-spect』 CD 정열의 장미情熱の薔薇[8] 타이업[편집] 사용년도 곡명 타이업 2012년 시작하며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편 CM송[2] 2013년 baby J SPORTS STADIUM2013 중계 테마송 Come Back Home 후쿠시마 TV개국50주년 이미지송 FM802 2013년 8월 「HEAVY ROTATION」 여름밤 니혼테레비계열 『뮤직 드래곤』 2013년 7월 오프닝 테마 2014년 여자는 울지 않아 TV 아사히계열 『musicる TV』 2014년 1월 오프닝 테마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1월 엔딩 테마 쇼가쿠칸 『CanCam』 2014년 4월호&5월호 CM송[9] Hey boy! J SPORTS STADIUM2014 중계 테마송 짝사랑의 맛 TOKYO FM『SCHOOL OF LOCK!』 공식 벨런타인 송[10] 작은 돌은 차버려 후쿠시마 TV 「함께 걷자! 후쿠시마」 이미지 송[11] Oh JANE TBS 계열 『CDTV』 2014년 5월 엔딩 테마[12]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5월 엔딩 테마 당신 KADOKAWA 배급 영화 『라이브』 주제가[13] 마음은 NHK-FM 『Music Line』 2014년8・9월 엔딩 테마[14] tiny room 아이에스 필드 배급 영화 『버니 플래퍼즈』 삽입곡[15] 2015년 누군가는 수험생응원프로젝트『Toppo 돌파』 공식 응원송[16] 스타터 J SPORTS STADIUM2015 중계 테마송[17] 모습 영화 「가구라메」 주제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TBS 계열 『왕의 브런치』의 8・9월 엔딩 테마 2016년 Party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KKBOX TV CM송[18] 결로 애니메이션 「마요이가」엔딩 테마[19] 라이브[편집] 라이브 투어[편집] 일정 타이틀 세부사항 연주 라이브 1st 2013년4월1일 - 4월30일 카타히라 리나 꾸밈없는 웃는 얼굴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3 공연일・장소(20개 장소 2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4월1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4월2일 오후나토 FREAKS 4월3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4월5일 아오모리 ASYLUM 4월7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4월8일 미토 club SONIC mito 4월9일 지바 SHIZU SOUND STREAM 4월11일 시즈오카 MESCALIN DRIVE 4월12일 나가노 LIVE HOUSE J 4월14일 오사카 Soap opera classics 4월15일 고베 WYNTERLAND 4월16일 오카야마 CRAZYMAMA 2nd Room 4월19일 구마모토 しそにぬ 시소니누[*] 4월20일 사가 RAG-G 4월21일 후쿠오카 Hair Design Gram 4월22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4월23일 히로시마 ふらんす座 프랑스자[*] 4월24일 요나고 Live House ONE MAKE 4월29일 센다이 시민활동시어터 4월30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디지털 싱글「시작하며」를 발매하며 개최했다. 카타히라 리나 최초의 전국 투어. 최종공연은 카타히라 리나 자신이 최초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라이브를 했던 지역, 후쿠시마시의 라이브하우스 『Live Space C-moon』에서 열렸다[20]. 2nd 2014년5월12일 - 7월11일 카타히라 리나 그 장소에서 우연히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4 공연일・장소(23개 장소 2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이벤트명) 5월12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5월13일 오후나토 FREAKS 5월14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5월17일 이시노마키 遊楽館 かなんホール 유가쿠칸 가난홀[*] 5월20일 아키타 CLUB SWINDLE 5월21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5월24일 후쿠시마 하토리코 고원 레지나 숲(바람과 록 CARAVAN후쿠오카 ~이와세군 텐에이무라~) 5월25일 요코하마 아카렌가지구 야외 특설공연장(GREENROOM FESTIVAL’14) 6월8일 나고야 EDITS(SAKAE SP-RING 2014) 6월9일 나가노 LIVE HOUSE J 6월10일 니가타 SHOW! CASE!! 6월17일 삿포로 COLONY 6월21일 마츠야마 キティホール 키티홀[*] 6월23일 오카야마 城下公会堂 시로시타코카이도[*] 6월24일 히로시마 ナミキジャンクション 나미키정션[*] 6월27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6월28일 구마모토 Arbaro 6월30일 후쿠오카 ROOMS 7월2일 가고시마 SR HALL 7월4일 타카마츠 MONSTER 7월8일 오사카 KITCHEN和 키친니코[*] 7월9일 교토 磔磔 타쿠타쿠[*] 7월11일 도쿄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 비고 3rd싱글「Oh JANE/당신」 발매 후에 개최. 덧붙여, 같은 싱글의 수록곡 「그 장소에서 우연히」를 투어 타이틀로 삼았다. 최종공연은 도쿄도 도시마 구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의 강당에서, “완전 언플러그드 원맨”으로, 마이크 앰프를 쓰지 않은 언플러그드 상태로 원맨 라이브가 이루어졌다.[21][22]. 덧붙여 마지막 공연에서 자신의 두번째 원맨투어를 발표했다[22]. 원맨라이브 1st 2014년1월31일 - 2월9일 카타히라 리나 1st 원맨 투어 2014〝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 공연일・장소(3개 장소 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월30일 도쿄 渋谷WWW 시부야WWW[*] 2월8일 오사카 南堀江knave 미나미호리에네이브[*] 2월9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備考 2nd싱글「여자는 울지 않아」을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메이저 데뷔 후 첫 라이브 투어. 투어 마지막 날 후쿠시마 공연에서 세번째 싱글의 발매를 발표했다[23]. 2nd 2014년11월16일 - 12월13일 카타히라 리나 2rd 원맨 투어 2014〝amazing sky〟 공연일・장소(6개 장소 6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1월16일 아이치 ell. FISTALL 11월18일 미야기 LIVE HOUSE enn 2nd 11월23일 오사카 UMEDA AKASO 11월24일 도쿄 恵比寿LIQUIDROOM 에비스리퀴드룸[*] 12월6일 후쿠오카 Queblick 12월13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1st앨범 「amazing sky」를 발매한 후 개최했다. 3rd 2015년5월9일 - 7월19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5〝최고의 짓〟 공연일・장소(12개 장소 12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5월9일 오사카 BIG CAT 5월24일 삿포로 cube garden 6월12일 도쿄 시부야 TSUTAYA O-EAST 6月19日 이시노마키 BLUE RESITANCE 6月20日 오후나토 FREAKS 6月21日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6月26日 나고야 Electric Lady Land 7月3日 다카마츠 DIME 7月5日 히로시마 CLUB QUATTRO 7月10日 구마모토 CIB 7月12日 후쿠오카 스미요시신사 노가쿠당(住吉神社能楽殿 스미요시진쟈 노가쿠당[*]) 7月19日 이와키 club SONIC iwaki 備考 4th싱글「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한 후 개최했다. 4th 2016년2월6일 - 3월21일 카타히라 리나 3rd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그런 식으로 사랑할 수 있어?〟 공연일・장소(10개 장소 1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2월6일 고리야마 HIP SHOT JAPAN 2월7일 사이타마 HEAVEN'S ROCK さいたま新都心 사이타마신토신[*] VJ-3 2월13일 니가타ㅏ GOLDEN PIGS RED STAGE 2월14일 센다이 Rensa 2월28일 후쿠오카 Drum Logos 3월5일 홋카이도 PENNY LANE 24 3월12일 히로시마 Club Quattro 3월13일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3월18일 오사카 なんばHatch 난바Hatch[*] 3월21일 도쿄 Zepp DiverCity 비고 2nd앨범「최고의 짓」을 발매한 후에 개최. 투어 마지막날인 도쿄 공연에서 4번째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개최를 발표했다. 5th 2016년6월10일 - 8월13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2016〝저기 이런 세상이라고 해도 둘이서만큼은 잘 해나가자 공연일・장소(18개 장소 19공연) 공연일 지명 장소 6月10日 교토 磔磔 타쿠타쿠[*] 6月12日 마츠야마 키티홀(キティホール) 6月13日 다카마츠 DIME 6月14日 히로시마 클럽 콰트로(クラブクアトロ) 6月17日 요코하마 요코하마 붉은 벽돌 창고1호관 홀 6月19日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6月20日 하마마츠 LiveHouse浜松窓枠 LiveHouse하마마츠마도와쿠[*] 6月24日 삿포로 PENNY LANE24 7月1日 후쿠오카 都久志会館 츠쿠시카이칸[*] 7月3日 구마모토 B.9 V1 7月8日 니가타 LOTS 7月10日 카나자와 MILLION CITY 7月19日 센다이 Rensa 7月22日 고리야마 HIP SHOT JAPAN 7月23日 모리오카 CLUB CHANGE WAVE 7月29日 오카야마 CRAZYMAMA KINGDOM 7月31日 오사카 오사카 시 중앙공회당 8月12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8月13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비고 7th싱글 「결로」를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출연[편집] 영화[편집] 최고의 짓(2016년, 제8회 오키나와 국제영화제 출품) - 주연・카타히라 리나(본인) 역[4] CM[편집]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 편 산토리 「호로요이」(2015년3월 - ) 라디오[편집] YOKOHAMA RADIO APARTMENT 「카타코토라디오 カタコトラジオ 」 (2014년4월3일 - , FM 요코하마)[3] 인터넷 라디오[편집] SCHOOL OF LOCK!, 스마트폰LOCKS!・『카타히라LOCKS!』 (2012년11월15일 - 2015년9월30일 、JFN・TOKYO FM) 각주[편집] ↑ 가 나 “섬광라이어트출신 카타히라 리나의 화제곡이 디지털 싱글로”. ナタリー. 2013년 1월 15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片平里菜 (2013년 3월 30일). 《Power Push 카타히라 리나 데뷔까지의 족적을 따라가는 인터뷰와 연표》. 인터뷰어: 西廣智一. “ナタリー”. 2013년 8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4월부터 매주 80분간 라디오 생방송에 도전”. ナタリー. 2014년 3월 27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의 노래 「최고의 짓」이 영화화, 카타히라 본인역으로 주연”. 《映画ナタリー》. 2016년 3월 17일. 2016년 3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예능인사전》. 오리콘.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앨범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오리콘.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オリコン. 2013년 8월 14일에 확인함.  ↑ “유데타마고, 블루하츠의 콜라보 앨범에서 멤버들을 그리다”.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자는 울지 않아」가 CanCam테레비 CM송으로”. ナタリー. 2014년 2월 19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SOL!」 공식 발렌타인 송, 오늘밤 온에어”. ナタリー. 2014년 2월 13일. 2014년 2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를 흥분시키는 신곡과 정규 방송 결정”. ナタリー. 2014년 3월 18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신곡 “Oh JANE”이, TBS『CDTV』의 5월 엔딩 테마로 결정”. ロッキング・オン. 2014년 4월 15일.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4월 발매 신작에 카메다 세이지, 스카파라의 모테기, 오키 참가”. ナタリー.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데뷔 기념일인 8월 7일에 니코니코생방송 특별방송 결정. 호화 게스트도”. BARKS. 2014년 8월 1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성을 위한 영화에 삽입곡 「tiny room」 제공”. ナタリー. 2014년 5월 29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수험생 응원송 완성, SOL!생방송 출연 및 첫방송”. ナタリー. 2014년 12월 12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야구방송 테마송에 신곡 제공”. ナタリー. 2015년 2월 1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KKBOX」 CM송을”. BARKS. 2016년 2월 22일. 2016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애니메이션 「마요이가」ED곡을 4월에 싱글로 발매”. ナタリー. 2016년 2월 29일. 2016년 3월 1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에서 집같은 분위기로 투어 파이널 공연”. ナタリー. 2013년 5월 1일.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22살 생일에 도호쿠지방부터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스타트”. BARKS. 2014년 5월 13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가을 원맨투어 발표. 공연횟수도 배로 늘어”. BARKS. 2014년 7월 13일.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서프라이즈 발표도! 카타히라 리나, 첫 원맨투어가 후쿠시마에서 막을 내리다”. ナタリー. 2014년 2월 10일. 2014년 2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공식 블로그 카타히라 리나 - 유튜브 카타히라 리나 - 인스타그램 카타히라 리나 - 트위터 vdeh카타히라 리나싱글맥시1.여름밤 - 2.여자는 울지 않아 - 3.Oh JANE/당신 - 4.누군가는/매캐한 - 5.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 6.이 눈물을 모르죠 - 7.결로 - 8.이름디지털 싱글1.시작하며 - 2.Lucy앨범정규 오리지널1.amazing sky - 2.최고의 짓 - 3.사랑 탓EP디지털 한정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LIVE E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타히라_리나&oldid=24484501"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여자 가수일본의 여자 싱어송라이터후쿠시마현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Magyar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0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카타히라 리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타히라 리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타히라 리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카타히라 리나片平里菜기본 정보출생 1992년 5월 12일(1992-05-12) (27세)일본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국적 일본직업 싱어송라이터장르 J-pop악기 보컬, 기타활동 시기 2012년 - 현재 레이블 소니 뮤직 아티스트소속사 포니캐년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 공식 웹사이트 카타히라 리나(일본어: 片平 里菜, 1992년 5월 12일 ~ )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후쿠시마현 후쿠시마 시 출신. 소속 레이블은 포니캐년, 소속사무소는 소니 뮤직 아티스트다. 목차 1 내력 2 디스코그래피 2.1 싱글 2.1.1 디지털 싱글 / EP 2.2 앨범 2.2.1 정규 앨범 2.3 참여 작품 2.3.1 싱글 2.3.2 앨범 3 타이업 4 라이브 4.1 라이브 투어 5 출연 5.1 영화 5.2 CM 5.3 라디오 5.3.1 인터넷 라디오 6 각주 7 외부 링크 내력[편집] 2011년 9월 FM TOKYO가 주최하는 10대 청소년 대상 여름 페스티벌 「섬광라이어트2011」의 파이널 스테이지에 출연하여 자작곡 여름밤으로 1만여팀 중에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그 결과로 2012년 소니 워크맨 브랜드의 광고 캠페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Play You. 레이블에서 제1탄 아티스트로 발탁된다.[1][2] SMA과 계약했다. 2013년 1월 디지털 싱글 「시작하며」를 발매했다.[1] 8월 7일 포니캐년 레이블에서 싱글 「여름밤」을 발매하며 메이저 데뷔했다. 2014년 1월 25일 두번째 싱글 「여자는 울지 않아」를 발매. 1월 31일부터 첫번째 원맨 투어 「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를 단독 라이브 콘서트 투어를 시작한다. 4월 3일부터 FM 요코하마에서 새 방송 프로그램 「카타코토 라디오」 진행을 시작했다[3]. 4월 30일 세번째 싱글 「Oh JANE/당신」을 발매했다. 8월 6일 첫번째 정규 앨범 「amazing sky」를 발매했다. 2015년 2월 25일 네번째 싱글 「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했다. 8월 다섯번째 싱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를 발매했다. 2016년 1월 13일 여섯번째 싱글 「이 눈물을 모르죠」를 완전한정생산반으로 발매했다. 2월 3일에는 두번째 정규 앨범 「최고의 짓」을 발매했다. 3월 17일 오키나와 국제 영화제에서 노래 최고의 짓을 소재로 제작된 동명의 영화 최고의 짓이 월드 프리미어 초청 상영되었다. 카타히라 리나는 이 영화에서 본인 역할로 직접 출연하였다[4]. 4월 1일 일곱번째 싱글 결로를 발매했다. 7월 22일 iTunes 한정으로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를 발매했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싱글[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5] 1st 2013년 8월 7일 여름밤 CD PCCA-03871 44위 2nd 2014년 1월 15일 여자는 울지 않아 CD PCCA-03959 18위 3rd 2014년 4월 30일 Oh JANE/당신 CD PCCA-04010 28위 4th 2015년 2월 25일 누군가는/매캐한 CD+DVD PCCA-4175(완전한정생산반) 25위 CD PCCA-4176(통상반) 5th 2015년 8월 28일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CD+DVD PCCA-04276(완전한정생산반) 37위 CD PCCA-04277(통상반) 6th 2016년 1월 13일 이 눈물을 모르죠 CD PCCA-70468(완전수량한정생산반) 15위 7th 2016년 4월 27일 결로 CD+DVD PCCA-04378(초회한정반) 24위 CD PCCA-04379(통상반) CD PCCA-70741(TV애니메이션「마요이가」반) 8th 2017년3월1일 이름 CD+DVD PCCA-04500(초회한정반) 44위 CD PCCA-04501(통상반) 디지털 싱글 / EP[편집] 발매일 타이틀 판매형태 2013년 1월 16일 시작하며 디지털 음원 2016년 7월 22일 기타치며 부르는 LIVE EP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 디지털 음원 2017년6월21일 lucy 디지털 음원 앨범[편집] 정규 앨범[편집]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6] 1st 2014년 8월 6일 amazing sky CD+DVD PCCA-4064(초회한정반) 12위 CD PCCA-4065(통상반) 2nd 2016년 2월 3일 최고의 짓 CD+DVD PCCA-4339(완전수량한정생산반) 8위 CD PCCA-4340 (통상반) 3rd 2017년 12월 20일 사랑 탓 CD PCCA-04605 참여 작품[편집] 싱글[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아티스트 매체 제품번호 최고순위오리콘[7] 게스트 보컬 2015년 12월 9일 거짓말 하는 입술 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 CD+DVD CTCR-40375/B(완전한정생산반)  16위 CD CTCR-40376(통상반) 앨범[편집] 종류 발매일 타이틀 매체 제품번호 참가곡 컴필레이션 2012년 6월 27일 ASIAN KUNG-FU GENERATION presents NANO-MUGEN COMPILATION 2012 CD(2장) KSCL-2056/2057 시작하며 2014년 12월 10일 아오하라이드 “MUSIC RIDE” CD ESCL-4321 여자는 울지 않아 2016년 1월 27일 30th anniversary THE BLUE HEARTS re-mix『re-spect』 CD 정열의 장미情熱の薔薇[8] 타이업[편집] 사용년도 곡명 타이업 2012년 시작하며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편 CM송[2] 2013년 baby J SPORTS STADIUM2013 중계 테마송 Come Back Home 후쿠시마 TV개국50주년 이미지송 FM802 2013년 8월 「HEAVY ROTATION」 여름밤 니혼테레비계열 『뮤직 드래곤』 2013년 7월 오프닝 테마 2014년 여자는 울지 않아 TV 아사히계열 『musicる TV』 2014년 1월 오프닝 테마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1월 엔딩 테마 쇼가쿠칸 『CanCam』 2014년 4월호&5월호 CM송[9] Hey boy! J SPORTS STADIUM2014 중계 테마송 짝사랑의 맛 TOKYO FM『SCHOOL OF LOCK!』 공식 벨런타인 송[10] 작은 돌은 차버려 후쿠시마 TV 「함께 걷자! 후쿠시마」 이미지 송[11] Oh JANE TBS 계열 『CDTV』 2014년 5월 엔딩 테마[12] TV 가나가와 『saku saku』 2014년 5월 엔딩 테마 당신 KADOKAWA 배급 영화 『라이브』 주제가[13] 마음은 NHK-FM 『Music Line』 2014년8・9월 엔딩 테마[14] tiny room 아이에스 필드 배급 영화 『버니 플래퍼즈』 삽입곡[15] 2015년 누군가는 수험생응원프로젝트『Toppo 돌파』 공식 응원송[16] 스타터 J SPORTS STADIUM2015 중계 테마송[17] 모습 영화 「가구라메」 주제가 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TBS 계열 『왕의 브런치』의 8・9월 엔딩 테마 2016년 Party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KKBOX TV CM송[18] 결로 애니메이션 「마요이가」엔딩 테마[19] 라이브[편집] 라이브 투어[편집] 일정 타이틀 세부사항 연주 라이브 1st 2013년4월1일 - 4월30일 카타히라 리나 꾸밈없는 웃는 얼굴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3 공연일・장소(20개 장소 2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4월1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4월2일 오후나토 FREAKS 4월3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4월5일 아오모리 ASYLUM 4월7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4월8일 미토 club SONIC mito 4월9일 지바 SHIZU SOUND STREAM 4월11일 시즈오카 MESCALIN DRIVE 4월12일 나가노 LIVE HOUSE J 4월14일 오사카 Soap opera classics 4월15일 고베 WYNTERLAND 4월16일 오카야마 CRAZYMAMA 2nd Room 4월19일 구마모토 しそにぬ 시소니누[*] 4월20일 사가 RAG-G 4월21일 후쿠오카 Hair Design Gram 4월22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4월23일 히로시마 ふらんす座 프랑스자[*] 4월24일 요나고 Live House ONE MAKE 4월29일 센다이 시민활동시어터 4월30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디지털 싱글「시작하며」를 발매하며 개최했다. 카타히라 리나 최초의 전국 투어. 최종공연은 카타히라 리나 자신이 최초로 연주하며 노래하는 라이브를 했던 지역, 후쿠시마시의 라이브하우스 『Live Space C-moon』에서 열렸다[20]. 2nd 2014년5월12일 - 7월11일 카타히라 리나 그 장소에서 우연히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2014 공연일・장소(23개 장소 2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이벤트명) 5월12일 이시노마키 BLUE RESISTANCE 5월13일 오후나토 FREAKS 5월14일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5월17일 이시노마키 遊楽館 かなんホール 유가쿠칸 가난홀[*] 5월20일 아키타 CLUB SWINDLE 5월21일 이와키 club SONIC iwaki 5월24일 후쿠시마 하토리코 고원 레지나 숲(바람과 록 CARAVAN후쿠오카 ~이와세군 텐에이무라~) 5월25일 요코하마 아카렌가지구 야외 특설공연장(GREENROOM FESTIVAL’14) 6월8일 나고야 EDITS(SAKAE SP-RING 2014) 6월9일 나가노 LIVE HOUSE J 6월10일 니가타 SHOW! CASE!! 6월17일 삿포로 COLONY 6월21일 마츠야마 キティホール 키티홀[*] 6월23일 오카야마 城下公会堂 시로시타코카이도[*] 6월24일 히로시마 ナミキジャンクション 나미키정션[*] 6월27일 야마구치 Organ’s Melody 6월28일 구마모토 Arbaro 6월30일 후쿠오카 ROOMS 7월2일 가고시마 SR HALL 7월4일 타카마츠 MONSTER 7월8일 오사카 KITCHEN和 키친니코[*] 7월9일 교토 磔磔 타쿠타쿠[*] 7월11일 도쿄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 비고 3rd싱글「Oh JANE/당신」 발매 후에 개최. 덧붙여, 같은 싱글의 수록곡 「그 장소에서 우연히」를 투어 타이틀로 삼았다. 최종공연은 도쿄도 도시마 구 『自由学園明日館 지유가쿠엔 묘니치칸[*]』의 강당에서, “완전 언플러그드 원맨”으로, 마이크 앰프를 쓰지 않은 언플러그드 상태로 원맨 라이브가 이루어졌다.[21][22]. 덧붙여 마지막 공연에서 자신의 두번째 원맨투어를 발표했다[22]. 원맨라이브 1st 2014년1월31일 - 2월9일 카타히라 리나 1st 원맨 투어 2014〝여자는 울고, 웃고, 외쳐〟 공연일・장소(3개 장소 3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월30일 도쿄 渋谷WWW 시부야WWW[*] 2월8일 오사카 南堀江knave 미나미호리에네이브[*] 2월9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備考 2nd싱글「여자는 울지 않아」을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메이저 데뷔 후 첫 라이브 투어. 투어 마지막 날 후쿠시마 공연에서 세번째 싱글의 발매를 발표했다[23]. 2nd 2014년11월16일 - 12월13일 카타히라 리나 2rd 원맨 투어 2014〝amazing sky〟 공연일・장소(6개 장소 6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11월16일 아이치 ell. FISTALL 11월18일 미야기 LIVE HOUSE enn 2nd 11월23일 오사카 UMEDA AKASO 11월24일 도쿄 恵比寿LIQUIDROOM 에비스리퀴드룸[*] 12월6일 후쿠오카 Queblick 12월13일 후쿠시마 Live Space C-moon 비고 1st앨범 「amazing sky」를 발매한 후 개최했다. 3rd 2015년5월9일 - 7월19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5〝최고의 짓〟 공연일・장소(12개 장소 12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5월9일 오사카 BIG CAT 5월24일 삿포로 cube garden 6월12일 도쿄 시부야 TSUTAYA O-EAST 6月19日 이시노마키 BLUE RESITANCE 6月20日 오후나토 FREAKS 6月21日 미야코 KLUB COUNTER ACTION 6月26日 나고야 Electric Lady Land 7月3日 다카마츠 DIME 7月5日 히로시마 CLUB QUATTRO 7月10日 구마모토 CIB 7月12日 후쿠오카 스미요시신사 노가쿠당(住吉神社能楽殿 스미요시진쟈 노가쿠당[*]) 7月19日 이와키 club SONIC iwaki 備考 4th싱글「누군가는/매캐한」을 발매한 후 개최했다. 4th 2016년2월6일 - 3월21일 카타히라 리나 3rd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그런 식으로 사랑할 수 있어?〟 공연일・장소(10개 장소 10공연) 공연일 지명 공연장 2월6일 고리야마 HIP SHOT JAPAN 2월7일 사이타마 HEAVEN'S ROCK さいたま新都心 사이타마신토신[*] VJ-3 2월13일 니가타ㅏ GOLDEN PIGS RED STAGE 2월14일 센다이 Rensa 2월28일 후쿠오카 Drum Logos 3월5일 홋카이도 PENNY LANE 24 3월12일 히로시마 Club Quattro 3월13일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3월18일 오사카 なんばHatch 난바Hatch[*] 3월21일 도쿄 Zepp DiverCity 비고 2nd앨범「최고의 짓」을 발매한 후에 개최. 투어 마지막날인 도쿄 공연에서 4번째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개최를 발표했다. 5th 2016년6월10일 - 8월13일 카타히라 리나 연주하며 노래하는 원맨 투어 2016〝저기 이런 세상이라고 해도 둘이서만큼은 잘 해나가자 공연일・장소(18개 장소 19공연) 공연일 지명 장소 6月10日 교토 磔磔 타쿠타쿠[*] 6月12日 마츠야마 키티홀(キティホール) 6月13日 다카마츠 DIME 6月14日 히로시마 클럽 콰트로(クラブクアトロ) 6月17日 요코하마 요코하마 붉은 벽돌 창고1호관 홀 6月19日 나고야 다이아몬드홀(ダイアモンドホール) 6月20日 하마마츠 LiveHouse浜松窓枠 LiveHouse하마마츠마도와쿠[*] 6月24日 삿포로 PENNY LANE24 7月1日 후쿠오카 都久志会館 츠쿠시카이칸[*] 7月3日 구마모토 B.9 V1 7月8日 니가타 LOTS 7月10日 카나자와 MILLION CITY 7月19日 센다이 Rensa 7月22日 고리야마 HIP SHOT JAPAN 7月23日 모리오카 CLUB CHANGE WAVE 7月29日 오카야마 CRAZYMAMA KINGDOM 7月31日 오사카 오사카 시 중앙공회당 8月12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8月13日 도쿄 에비스 더 가든 홀(恵比寿 ザ・ガーデンホール) 비고 7th싱글 「결로」를 발매한 후에 개최했다. 출연[편집] 영화[편집] 최고의 짓(2016년, 제8회 오키나와 국제영화제 출품) - 주연・카타히라 리나(본인) 역[4] CM[편집] SONY Sound Premium 「시작하며」 편 산토리 「호로요이」(2015년3월 - ) 라디오[편집] YOKOHAMA RADIO APARTMENT 「카타코토라디오 カタコトラジオ 」 (2014년4월3일 - , FM 요코하마)[3] 인터넷 라디오[편집] SCHOOL OF LOCK!, 스마트폰LOCKS!・『카타히라LOCKS!』 (2012년11월15일 - 2015년9월30일 、JFN・TOKYO FM) 각주[편집] ↑ 가 나 “섬광라이어트출신 카타히라 리나의 화제곡이 디지털 싱글로”. ナタリー. 2013년 1월 15일. 2013년 1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片平里菜 (2013년 3월 30일). 《Power Push 카타히라 리나 데뷔까지의 족적을 따라가는 인터뷰와 연표》. 인터뷰어: 西廣智一. “ナタリー”. 2013년 8월 18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4월부터 매주 80분간 라디오 생방송에 도전”. ナタリー. 2014년 3월 27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의 노래 「최고의 짓」이 영화화, 카타히라 본인역으로 주연”. 《映画ナタリー》. 2016년 3월 17일. 2016년 3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예능인사전》. 오리콘. 2016년 5월 4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앨범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오리콘. 2016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CD 싱글랭킹”. 《오리콘 예능인 사전》. オリコン. 2013년 8월 14일에 확인함.  ↑ “유데타마고, 블루하츠의 콜라보 앨범에서 멤버들을 그리다”. 2015년 12월 10일.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자는 울지 않아」가 CanCam테레비 CM송으로”. ナタリー. 2014년 2월 19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SOL!」 공식 발렌타인 송, 오늘밤 온에어”. ナタリー. 2014년 2월 13일. 2014년 2월 17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를 흥분시키는 신곡과 정규 방송 결정”. ナタリー. 2014년 3월 18일. 2014년 3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신곡 “Oh JANE”이, TBS『CDTV』의 5월 엔딩 테마로 결정”. ロッキング・オン. 2014년 4월 15일.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4월 발매 신작에 카메다 세이지, 스카파라의 모테기, 오키 참가”. ナタリー. 2014년 2월 22일. 2014년 2월 22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데뷔 기념일인 8월 7일에 니코니코생방송 특별방송 결정. 호화 게스트도”. BARKS. 2014년 8월 1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여성을 위한 영화에 삽입곡 「tiny room」 제공”. ナタリー. 2014년 5월 29일. 2014년 8월 6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의 수험생 응원송 완성, SOL!생방송 출연 및 첫방송”. ナタリー. 2014년 12월 12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야구방송 테마송에 신곡 제공”. ナタリー. 2015년 2월 1일. 2015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KKBOX」 CM송을”. BARKS. 2016년 2월 22일. 2016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애니메이션 「마요이가」ED곡을 4월에 싱글로 발매”. ナタリー. 2016년 2월 29일. 2016년 3월 1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출신지 후쿠시마에서 집같은 분위기로 투어 파이널 공연”. ナタリー. 2013년 5월 1일. 2013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카타히라 리나, 22살 생일에 도호쿠지방부터 연주하며 노래하는 투어 스타트”. BARKS. 2014년 5월 13일.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카타히라 리나, 가을 원맨투어 발표. 공연횟수도 배로 늘어”. BARKS. 2014년 7월 13일. 2014년 8월 3일에 확인함.  ↑ “서프라이즈 발표도! 카타히라 리나, 첫 원맨투어가 후쿠시마에서 막을 내리다”. ナタリー. 2014년 2월 10일. 2014년 2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 카타히라 리나 공식 블로그 카타히라 리나 - 유튜브 카타히라 리나 - 인스타그램 카타히라 리나 - 트위터 vdeh카타히라 리나싱글맥시1.여름밤 - 2.여자는 울지 않아 - 3.Oh JANE/당신 - 4.누군가는/매캐한 - 5.누구라 해도 신데렐라 스토리 - 6.이 눈물을 모르죠 - 7.결로 - 8.이름디지털 싱글1.시작하며 - 2.Lucy앨범정규 오리지널1.amazing sky - 2.최고의 짓 - 3.사랑 탓EP디지털 한정 카타히라 리나 기타치며 노래하는 원맨투어 2016(LIVE EP)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타히라_리나&oldid=24484501" 분류: 199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여자 가수일본의 여자 싱어송라이터후쿠시마현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Magyar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0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도네이션웨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네이션웨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네이션웨어(donationware)는 사용자에게 완전한 기능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지만 프로그래머나 일반 업체(일반적으로 비영리)에 선택적인 기부를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도네이션웨어가 모든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구입은 선택이기 때문에 프리웨어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목차 1 역사 2 유명한 예 3 참조 4 같이 보기 역사[편집] 레드 라이더(Red Ryder)는 1980년대에 애플 매킨토시용으로 작성된 통신 및 단말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이름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인터넷에 처음 배포된 도네이션웨어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였다. 펜실베니아에 위치한 프리소프트 컴퍼니를 설립한 스캇 왓슨(Scott Watson)이 작성하였다. 광고에 돈을 들이지 않고 전자 게시판에 레드 라이더를 제공하여 왓슨은 맥용 1등 통신 프로그램을 시장화하여 배포할 수 있었다. 그는 상점에 이것을 판매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한 사람 누구에게나 그에게 40불을 보내면 좋겠다는 것이 의도였다. 나중에 그는 "저는 저작권 침해 문제의 이점을 이용했습니다. 수많은 프로그램 이용자들이 마음대로 이를 복사해갔죠. 저는 무료로 뭔가를 배포하고 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마음에 들어서 돈을 지불한다면 소프트웨어를 파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이익을 얻으리라 추측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유명한 예[편집] Vim CCleaner 참조[편집] Jesse Reichler (2006년) Donationware experience - An article describing experiments with Donationware: Ethical Software, Work Equalization, Temporary Licenses, Collective Bargaining, and Microdonations at Donationcoder. 같이 보기[편집] 선물 경제 - 기부 경제 프리웨어 vdeh소프트웨어 배포사용권 비어웨어 자유 자유-오픈 소스 오픈 소스 사유 퍼블릭 도메인 보상 모형 상용 소프트웨어 크리플웨어 셰어웨어 내그웨어 포스트카드웨어 프리웨어 케어웨어 도네이션웨어 애드웨어 크라우드펀딩 Freemium 제공 방식 디지털 배급 번들 사전 설치 소프트웨어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직접설치 파일 공유 사기 및 불법 베이퍼웨어 셔블웨어 스케어웨어 악성 소프트웨어 랜섬웨어 스파이웨어 웜 트로이 목마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어밴던웨어 장기 지원 복제 방지 디지털 권한 관리 소프트웨어 저작권 소프트웨어 특허 제품 키 제품 활성화 하드웨어 제한 이 글은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네이션웨어&oldid=17006176" 분류: 소프트웨어 사용권소프트웨어 배포프리웨어숨은 분류: 소프트웨어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日本語Mirandés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7월 31일 (일)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조니 에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니 에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니 에번스 2017년의 에번스개인 정보전체 이름 Jonathan Grant Evans출생일 1988년 1월 3일(1988-01-03) (31세)출생지 북아일랜드 벨파스트키 188cm포지션 센터백클럽 정보현 소속팀 레스터 시티등번호 6청소년 클럽 기록2004-2006 맨체스터 유나이티드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6-2015 2006 2006-2007 2008 2015-2018 2018-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로열 앤트워프 (임대) → 선덜랜드 (임대) → 선덜랜드 (임대) 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 레스터 시티 131 00(4) 011 00(2) 018 00(1) 015 00(0) 089 00(5) 013 00(0)국가대표팀 기록‡ 2004-2005 2006 2006- 북아일랜드 U-16 북아일랜드 U-17 북아일랜드 U-21 북아일랜드 006 00(0) 008 00(1) 003 00(0) 070 00(2)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9년 2월 3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8년 6월 5일 기준이다. 조너선 그랜트 "조니" 에번스(Jonathan Grant "Jonny" Evans, 1988년 1월 3일,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 )는 북아일랜드의 축구 선수로 프리미어리그의 클럽 레스터 시티 소속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2 국가대표팀 경력 3 수상 4 사소한 것 5 각주 6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그린아일랜드 FC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한 에번스는 2004년 7월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스카웃되었다. 2006-07 시즌 초반에는 앤트워프에서 임대생활을 했으며 맨유로 돌아와 다시 챔피언십리그의 선덜랜드로 임대되었다. 2007년 9월 26일 코번트리 시티와의 칼링 컵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공식 데뷔전을 치렀다. 2007-08 시즌 겨울이적시장에서 선덜랜드의 감독인 로이 킨의 요청으로 선덜랜드에 재임대되었다. 2008-09 시즌에는 헤라르드 피케의 이적으로 다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복귀했다. 팀의 3번째 수비수가 된 그는 리오 퍼디낸드와 네마냐 비디치의 결장 시 공백을 메우거나 컵 대회에 주로 출전하는 등 출전 시간을 늘려나가기 시작하였다. 2011-12 시즌엔 주전 센터백으로 리그 29경기를 포함하여 시즌 총 40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러나, 잦은 실수와 주전 경쟁에 밀린 에반스는 8월 30일에 웨스트 브로미치와 4년 계약을 맺고 이적함으로써 11년 간의 맨유 생활을 청산하였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2006년 9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의 공식 경기 출장 경험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18세의 어린 나이로 북아일랜드 대표팀에 선발되어 스페인과의 유로 2008 예선전에 출장하였다. 북아일랜드는 이 경기에서 3:2로 승리하였다. 현재는 북아일랜드의 수비진의 주전 멤버로 나오고 있다. 수상[편집] 챔피언십리그 - 2006-07 FA 커뮤니티 실드 (2) - 2010, 2011 FIFA 클럽 월드컵 - 2008 프리미어리그 (3) - 2008-09, 2010-11, 2012-13 풋볼 리그 컵 (2) - 2009, 2010 사소한 것[편집] 에번스는 영국 학생의 성적을 측정하는 국가자격시험인 GCSE 9과목 모두 A+ 혹은 A의 성적을 받았다.[1] 각주[편집] ↑ “Manchester News - Jonathan Evans. Latest News. Greenisland F.C. [[2007년]] [[12월 19일]]”. 2008년 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5월 29일에 확인함.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영어) 프로필 ManUtd.com (영어) 조니 에번스의 블로그 vdeh레스터 시티 FC – 현재 명단 1 슈마이켈 3 칠웰 4 쇠윈쥐 5 모건 6 에번스 7 그레이 8 이헤아나초 9 바디 10 메디슨 11 올브라이턴 12 워드 14 페레이라 15 매과이어 17 야쿠포비치 18 아마티 19 반스 21 틸레만스 22 제임스 24 멘디 25 은디디 28 푸흐스 29 베날루안 31 게잘 38 초우두리 감독: 로저스 vdeh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6 1 맥고번 2 매클로플린 3 퍼거슨 4 매콜리 5 J. 에번스 6 베어드 7 맥긴 8 데이비스 (주장) 9 그리그 10 래퍼티 11 워싱턴 12 캐롤 13 C. 에번스 14 댈러스 15 매컬로 16 노우드 17 맥네어 18 휴스 19 워드 20 카스카트 21 매지니스 22 호드슨 23 매너스 감독: 오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니_에번스&oldid=23702911"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로열 앤트워프 FC의 축구 선수선덜랜드 AFC의 축구 선수웨스트브로미치 앨비언 FC의 축구 선수레스터 시티 FC의 축구 선수축구 센터백벨기에의 외국인 축구 선수북아일랜드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북아일랜드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리시 풋볼 리그의 축구 선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Malti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mple English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4일 (목) 21: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개미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꿀을 빠는 고기개미 개미학 (Myrmecology, 현지 발음: [mɜːrmᵻˈkɒlədʒi]: 그리스어의 μύρμηξ, myrmex, "개미" 와 λόγος, logos, "학문" 에서 유래함) 은 개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집중하는 곤충학의 분파이다. 몇몇 초기 개미학자들은 개미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의 형태로 여겼으며, 이를 연구하여 인류 사회의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출처 필요] 개미는 그 복잡하고 다양한 진사회성의 형태, 사회적 조직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사회체계의 혁신에 관한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개미 사회는 그 다양함과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중요함으로 인해 생물다양성과 보존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요즈음에 개미 군체는 기계학습, 복잡한 상호작용 연결망과, 마주침과 상호작용 네트워크, 병렬연산 등의 컴퓨터 분야의 추계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모델화하는 일에도 사용된다.[1] 목차 1 역사 2 학제간의 응용 3 소설 속의 개미학자 4 유명한 개미학자 4.1 현시대의 개미학자 5 관련 용어 6 참고 문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개미의 삶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먼 옛날부터 수많은 고대의 전통민요와 함께 존재해왔지만, 개미학 myrmecology 이라는 단어는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가 만들어냈다. 개미의 삶에 대한 탐색에 기반한 최초의 과학적 사고는 처음에는 본능, 학습, 사회에 대한 발상에 흥미가 있었던 스위스의 심리학자 오거스트 포렐 (1848–1931) 이 보여주었다. 그는 1874년에 스위스의 개미에 대한 저서 'Les fourmis de la Suisse' 를 썼고, 그의 집의 이름을 'La Fourmilière' (개미군체) 라고 지었다. 포렐은 초기의 연구에서 한 군체에 복수의 종의 개미를 혼합하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그는 개미의 polydomy와 monodomy를 적었고 이를 국가의 군체와 비교하였다.[2] 휠러는 개미의 사회적인 조직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개미를 관찰하였고, 1910년에 우즈홀에서 초개체에 대한 발상을 선도한 "유기체로서의 개미군락"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휠러는 군체 내에서 먹이를 공유하는 영양교환을 개미 사회의 핵심으로 여겼다. 이는 염색한 음식을 이용하여 연구되었고 어떻게 음식이 군체 내에서 퍼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2] 호레이스 도니소프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개미의 계통분류학을 연구했다. 이러한 전통은 생물학의 다른 분야가 진보하기 전까지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었다. 유전학의 도래, 비교행동학의 발상과 진보는 새로운 사상을 이끌었다. 이러한 조사는 사회생물학으로 명명된 분야를 창설한 에드워드 윌슨이 선도하였다.[2] 학제간의 응용[편집] 공학자들은 생체모방을 위해, 네트워크 공학자들은 좀 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위해 개미를 연구한다. 어떻게 개미의 무리가 교통 정체 없이 움직이는지, 명령을 하달하는 상위 존재 없이 최대한 효율적인 경로로 이동하기 위해 움직임을 최적화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미 개미 연구의 성과를 구조적인 설계와 상호연결망에 적용한 수많은 사례가 있지만, 인류가 만든 체계의 효율성은 여전히 개미군체의 효율성에 근접하지 못했다. 소설 속의 개미학자[편집] 워너 브라더스가 1954년에 개봉한 흑백서사영화 Them! 은 워싱턴DC의 농무부에서 개미학자 해롤드 메드포드 박사를(에드먼드 그웬 역) 방문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유명한 개미학자[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어니스트 앙드레 (1838–1911), 프랑스의 곤충학자 토마스 보그마이어 (1892–1975), 독일-브라질의 신학자, 곤충학자 윌리엄 L. 메이시 주니어 (1922–1997), 미국의 곤충학자 지오반니 코벨리 (1849–1937),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로베레토 박물관의 책임자 아서 찰스 콜 주니어 (1908–1955), 미국의 곤충학자 월터 세실 크롤리, 영국의 곤충학자 윌리엄 스틸 크라이튼 (1902–1973), 미국의 곤충학자 호레이스 도니소프 (1870–1951), 영국의 개미학자이며 몇몇 개미종을 명명함 카를로 에메리 (1848–1925),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 (1745–1808), 덴마크의 곤충학자, 린네의 제자 어거스트 포렐 (1848–1931), 스위스의 개미학자이며 사람과 개미의 뇌 구조를 연구함 에밀 어거스트 괼디 (1859–1917), 스위스-브라질의 자연학자, 동물학자 윌리엄 굴드 (1715–1799), 호레이스 도니소프가 "영국의 개미학의 아버지" 라 서술함 로버트 에드먼드 그레그 (1912–1991), 미국의 곤충학자 토마스 카버힐 젤던 (1811–1872), 영국의 내과의사, 동물학자, 식물학자 발터 볼프강 켐프 (1920–1976), 브라질의 개미학자 하인리히 커터 (1896–1990), 스위스의 개미학자 니콜라스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쿠즈네초프-우담스키'로도 알려짐 (1898–1963)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이으 (1762–1833) 프랑스의 곤충학자 존 러벅 경 (첫 번째 에이브버리 남작) (1834–1913), 막시목의 감각기관에 대해 저술함 윌리엄 T. 만 (1886–1960), 미국의 곤충학자 구스타브 마이어 (1830–1908),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이자 빈의 해충의 교수, 막시목의 전문가 카를로 메노지 also as Carlo Minozzi (1892–1943),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빌헬름 닐란델 (1822–1899), 핀란드의 식물학자, 선태식물학자, 균류학자, 곤충학자, 개미학자 바질 데렉 랙 몰리 (1920–1969), 유전학, 동물의 사회적 행동, 농해충의 행동을 연구함 퍼거스 오루크 (1923– 2010),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율리우스 로저 (1819–1865), 독일의 내과의사, 곤충학자, 민속학자 펠릭스 상치 (1872–1940), 스위스의 곤충학자 시어도어 크리스찬 쉬네일라 (1902–1968), 미국의 동물심리학자 프레데릭 스미스 (1805–1879), 1949년부터 대영박물관의 동물학부에서 일한 막시목의 전문가 로이 R. 스넬링 (1934–2008),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수많은 희귀하거나 새로운 개미 종에 대한 중요한 발견에 기여함 에리히 바스만 (1859–1931),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 닐 앨버트 웨버 (1908–2001), 미국의 개미학자 존 오바다야 웨스트우드 (1805–1893), 영국의 곤충학자, 지질학자이며 예술적인 재능이 있다고 기록됨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무척추동물학 분야의 큐레이터이며 다양한 신종을 기술함 현시대의 개미학자[편집] 도낫 아고스티, 스위스의 곤충학자 체자레 바로니 우르바니, 스위스의 개미 분류학자 머레이 S. 블룸 (1929–), 미국의 화학생태학자, 페로몬의 전문가 배리 볼턴, 영국의 개미분류학자 알프레드 부싱어, 독일의 개미학자 앙리 카냥, 프랑스의 개미학자 존 S. 클라크, 스코틀랜드의 개미학자 세드릭 알렉스 콜링우드, 영국의 곤충학자 마크 애미던 데럽, 미국의 개미학자 프란세스크 자비에르 에스파달레 이 겔라베르트, 스페인의 개미학자, 지중해와 마카로네시아의 개미와 외래종의 전문가 데보라 고든 (1955–), 개미 군체의 행동과 생태학을 연구함 윌리엄 H. 고트왈드 주니어, 미국의 곤충학자 마이클 J. 그린, 화학적 단서와 행동패턴의 상효작용을 연구함 베르트 휄도블러 (1936–), 퓰리처상을 수상한 독일의 개미학자 로랑 켈러 (1961–), 스위스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개미학자 존. E. 라트케 존 T. 롱기노, 미국의 곤충학자 마크 W. 모페트 (1958–), 미국의 곤충학자, 사진작가 코리 S. 모로, 미국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곤충학자이며 개미의 진화와 다각화에 대해 저술함 저스틴 오블 슈미트,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개미, 말벌, 거미류의 화학적, 행동적 방어행위에 대해 연구함 베른하르트 사이페르트, 독일의 곤충학자 스티븐 O. 섀턱, 미국의-호주의 곤충학자 마리오 R. 스미스, 미국의 곤충학자 로버트 W. 테일러, 호주의 개미학자 알베르토 티나트 라네라, 스페인의 개미학자 월터 R. 칭켈, 미국의 개미학자 제임스 C. 트레거, 미국의 개미학자 게리 J. 엄프리, 미국의 생물통계학자, 개미학자 필립 S. 워드, 미국의 곤충학자 에드워드 오즈본 윌슨 (1929–),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개미학자이며 사회생물학 분야를 혁신함 관련 용어[편집] Myrmecochorous (형용사) 개미가 흩뜨리는 Myrmecophagous (형용사) 개미에게 먹이가 되는 Myrmecophile (명사) 개미와 동지를 공유하는 습성이 있는 유기체. myrmecophilous (형용사), myrmecophily (명사) myrmidon (명사)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개미가 제우스의 권능을 통해 변신한 개미인간이며, 아킬레스의 전사로서 싸웠다. 참고 문서[편집] 개미사육 개미사육장 벌, 말벌, 개미 기록회 스티그머지, 개미 등의 사회성 곤충의 협업을 돕는 생물학적 기제 개미학 뉴스, 개미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국제적인, 비영리적인 학술지 국제사회곤충연맹 개미집단최적화 군집지능 각주[편집] ↑ Deborah Gordon (2010). 《Ant Encounters Interaction Networks and Colony Behavior》.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3쪽. ISBN 978-0691138794.  ↑ 가 나 다 Sleigh, Charlotte (2007) Six legs better : a cultural history of myrmec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8445-4 외부 링크[편집] Documentary about myrmecology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개미학&oldid=24067290" 분류: 곤충학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8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Bosanski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6: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개미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미학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꿀을 빠는 고기개미 개미학 (Myrmecology, 현지 발음: [mɜːrmᵻˈkɒlədʒi]: 그리스어의 μύρμηξ, myrmex, "개미" 와 λόγος, logos, "학문" 에서 유래함) 은 개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집중하는 곤충학의 분파이다. 몇몇 초기 개미학자들은 개미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의 형태로 여겼으며, 이를 연구하여 인류 사회의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출처 필요] 개미는 그 복잡하고 다양한 진사회성의 형태, 사회적 조직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사회체계의 혁신에 관한 연구를 위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개미 사회는 그 다양함과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중요함으로 인해 생물다양성과 보존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요즈음에 개미 군체는 기계학습, 복잡한 상호작용 연결망과, 마주침과 상호작용 네트워크, 병렬연산 등의 컴퓨터 분야의 추계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모델화하는 일에도 사용된다.[1] 목차 1 역사 2 학제간의 응용 3 소설 속의 개미학자 4 유명한 개미학자 4.1 현시대의 개미학자 5 관련 용어 6 참고 문서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개미의 삶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먼 옛날부터 수많은 고대의 전통민요와 함께 존재해왔지만, 개미학 myrmecology 이라는 단어는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가 만들어냈다. 개미의 삶에 대한 탐색에 기반한 최초의 과학적 사고는 처음에는 본능, 학습, 사회에 대한 발상에 흥미가 있었던 스위스의 심리학자 오거스트 포렐 (1848–1931) 이 보여주었다. 그는 1874년에 스위스의 개미에 대한 저서 'Les fourmis de la Suisse' 를 썼고, 그의 집의 이름을 'La Fourmilière' (개미군체) 라고 지었다. 포렐은 초기의 연구에서 한 군체에 복수의 종의 개미를 혼합하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그는 개미의 polydomy와 monodomy를 적었고 이를 국가의 군체와 비교하였다.[2] 휠러는 개미의 사회적인 조직에 대한 새로운 관점으로 개미를 관찰하였고, 1910년에 우즈홀에서 초개체에 대한 발상을 선도한 "유기체로서의 개미군락"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휠러는 군체 내에서 먹이를 공유하는 영양교환을 개미 사회의 핵심으로 여겼다. 이는 염색한 음식을 이용하여 연구되었고 어떻게 음식이 군체 내에서 퍼지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2] 호레이스 도니소프와 같은 몇몇 학자들은 개미의 계통분류학을 연구했다. 이러한 전통은 생물학의 다른 분야가 진보하기 전까지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었다. 유전학의 도래, 비교행동학의 발상과 진보는 새로운 사상을 이끌었다. 이러한 조사는 사회생물학으로 명명된 분야를 창설한 에드워드 윌슨이 선도하였다.[2] 학제간의 응용[편집] 공학자들은 생체모방을 위해, 네트워크 공학자들은 좀 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위해 개미를 연구한다. 어떻게 개미의 무리가 교통 정체 없이 움직이는지, 명령을 하달하는 상위 존재 없이 최대한 효율적인 경로로 이동하기 위해 움직임을 최적화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미 개미 연구의 성과를 구조적인 설계와 상호연결망에 적용한 수많은 사례가 있지만, 인류가 만든 체계의 효율성은 여전히 개미군체의 효율성에 근접하지 못했다. 소설 속의 개미학자[편집] 워너 브라더스가 1954년에 개봉한 흑백서사영화 Them! 은 워싱턴DC의 농무부에서 개미학자 해롤드 메드포드 박사를(에드먼드 그웬 역) 방문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유명한 개미학자[편집]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어니스트 앙드레 (1838–1911), 프랑스의 곤충학자 토마스 보그마이어 (1892–1975), 독일-브라질의 신학자, 곤충학자 윌리엄 L. 메이시 주니어 (1922–1997), 미국의 곤충학자 지오반니 코벨리 (1849–1937),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로베레토 박물관의 책임자 아서 찰스 콜 주니어 (1908–1955), 미국의 곤충학자 월터 세실 크롤리, 영국의 곤충학자 윌리엄 스틸 크라이튼 (1902–1973), 미국의 곤충학자 호레이스 도니소프 (1870–1951), 영국의 개미학자이며 몇몇 개미종을 명명함 카를로 에메리 (1848–1925),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 (1745–1808), 덴마크의 곤충학자, 린네의 제자 어거스트 포렐 (1848–1931), 스위스의 개미학자이며 사람과 개미의 뇌 구조를 연구함 에밀 어거스트 괼디 (1859–1917), 스위스-브라질의 자연학자, 동물학자 윌리엄 굴드 (1715–1799), 호레이스 도니소프가 "영국의 개미학의 아버지" 라 서술함 로버트 에드먼드 그레그 (1912–1991), 미국의 곤충학자 토마스 카버힐 젤던 (1811–1872), 영국의 내과의사, 동물학자, 식물학자 발터 볼프강 켐프 (1920–1976), 브라질의 개미학자 하인리히 커터 (1896–1990), 스위스의 개미학자 니콜라스 쿠즈네초프,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쿠즈네초프-우담스키'로도 알려짐 (1898–1963)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이으 (1762–1833) 프랑스의 곤충학자 존 러벅 경 (첫 번째 에이브버리 남작) (1834–1913), 막시목의 감각기관에 대해 저술함 윌리엄 T. 만 (1886–1960), 미국의 곤충학자 구스타브 마이어 (1830–1908),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이자 빈의 해충의 교수, 막시목의 전문가 카를로 메노지 also as Carlo Minozzi (1892–1943), 이탈리아의 곤충학자 빌헬름 닐란델 (1822–1899), 핀란드의 식물학자, 선태식물학자, 균류학자, 곤충학자, 개미학자 바질 데렉 랙 몰리 (1920–1969), 유전학, 동물의 사회적 행동, 농해충의 행동을 연구함 퍼거스 오루크 (1923– 2010), 아일랜드의 동물학자 율리우스 로저 (1819–1865), 독일의 내과의사, 곤충학자, 민속학자 펠릭스 상치 (1872–1940), 스위스의 곤충학자 시어도어 크리스찬 쉬네일라 (1902–1968), 미국의 동물심리학자 프레데릭 스미스 (1805–1879), 1949년부터 대영박물관의 동물학부에서 일한 막시목의 전문가 로이 R. 스넬링 (1934–2008),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수많은 희귀하거나 새로운 개미 종에 대한 중요한 발견에 기여함 에리히 바스만 (1859–1931), 오스트리아의 곤충학자 닐 앨버트 웨버 (1908–2001), 미국의 개미학자 존 오바다야 웨스트우드 (1805–1893), 영국의 곤충학자, 지질학자이며 예술적인 재능이 있다고 기록됨 윌리엄 모턴 휠러 (1865–1937),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무척추동물학 분야의 큐레이터이며 다양한 신종을 기술함 현시대의 개미학자[편집] 도낫 아고스티, 스위스의 곤충학자 체자레 바로니 우르바니, 스위스의 개미 분류학자 머레이 S. 블룸 (1929–), 미국의 화학생태학자, 페로몬의 전문가 배리 볼턴, 영국의 개미분류학자 알프레드 부싱어, 독일의 개미학자 앙리 카냥, 프랑스의 개미학자 존 S. 클라크, 스코틀랜드의 개미학자 세드릭 알렉스 콜링우드, 영국의 곤충학자 마크 애미던 데럽, 미국의 개미학자 프란세스크 자비에르 에스파달레 이 겔라베르트, 스페인의 개미학자, 지중해와 마카로네시아의 개미와 외래종의 전문가 데보라 고든 (1955–), 개미 군체의 행동과 생태학을 연구함 윌리엄 H. 고트왈드 주니어, 미국의 곤충학자 마이클 J. 그린, 화학적 단서와 행동패턴의 상효작용을 연구함 베르트 휄도블러 (1936–), 퓰리처상을 수상한 독일의 개미학자 로랑 켈러 (1961–), 스위스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개미학자 존. E. 라트케 존 T. 롱기노, 미국의 곤충학자 마크 W. 모페트 (1958–), 미국의 곤충학자, 사진작가 코리 S. 모로, 미국의 혁신적인 생물학자, 곤충학자이며 개미의 진화와 다각화에 대해 저술함 저스틴 오블 슈미트, 미국의 곤충학자이며 개미, 말벌, 거미류의 화학적, 행동적 방어행위에 대해 연구함 베른하르트 사이페르트, 독일의 곤충학자 스티븐 O. 섀턱, 미국의-호주의 곤충학자 마리오 R. 스미스, 미국의 곤충학자 로버트 W. 테일러, 호주의 개미학자 알베르토 티나트 라네라, 스페인의 개미학자 월터 R. 칭켈, 미국의 개미학자 제임스 C. 트레거, 미국의 개미학자 게리 J. 엄프리, 미국의 생물통계학자, 개미학자 필립 S. 워드, 미국의 곤충학자 에드워드 오즈본 윌슨 (1929–),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의 개미학자이며 사회생물학 분야를 혁신함 관련 용어[편집] Myrmecochorous (형용사) 개미가 흩뜨리는 Myrmecophagous (형용사) 개미에게 먹이가 되는 Myrmecophile (명사) 개미와 동지를 공유하는 습성이 있는 유기체. myrmecophilous (형용사), myrmecophily (명사) myrmidon (명사)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에 등장하는, 개미가 제우스의 권능을 통해 변신한 개미인간이며, 아킬레스의 전사로서 싸웠다. 참고 문서[편집] 개미사육 개미사육장 벌, 말벌, 개미 기록회 스티그머지, 개미 등의 사회성 곤충의 협업을 돕는 생물학적 기제 개미학 뉴스, 개미 연구를 위한 독립적인, 국제적인, 비영리적인 학술지 국제사회곤충연맹 개미집단최적화 군집지능 각주[편집] ↑ Deborah Gordon (2010). 《Ant Encounters Interaction Networks and Colony Behavior》.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3쪽. ISBN 978-0691138794.  ↑ 가 나 다 Sleigh, Charlotte (2007) Six legs better : a cultural history of myrmec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8445-4 외부 링크[편집] Documentary about myrmecology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개미학&oldid=24067290" 분류: 곤충학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8년 8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BosanskiCatalà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 .lojban.КыргызчаLatinaLietuvių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6: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문부식 (195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부식 (195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부식(文富軾, 1959년 ~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전 진보신당 대변인이었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목차 1 개요 2 경력 3 논란 3.1 조선일보 관련 3.2 택시기사 폭행 사건 4 시집 5 수필집 6 방송 출연 7 각주 개요[편집] 문부식은 유복한 군인 집안으로, 아버지 문경삼은 육사 8기로 김종필과 동기였으나 1959년 부조리와 이승만 정권에 환멸을 느끼고 대령으로 전역했다.[1] 부산 고신대 신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2년 3월 18일, 전두환 독재 정권과 미국의 묵인 하에 이루어진 광주항쟁의 진상을 알리고자 부산 미국문화원에 방화했다. 당시 정부에서는 이 사건을 불순세력의 사주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여 문부식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6년 9개월만인 1988년 12월 석방되었으나, 7개월 후 한미문제연구소 사건으로 다시 구속되어 1년 6개월 형을 받고 만기출소했다.[2] 김은숙과는 1980년 복학하면서 고신대학교 같은 3학년 학생으로 서로 사귀게 되었다. 방화후 각각 군입대 및 노동현장으로 갈 계획이였으나 사건이 의외로 커지고 3월 20일 서정화 내무부장관의 강경한 담화가 발표되자 둘은 일단 도피하기로 했다. 우선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지학순 주교에게 갈 목적으로 3월 20일 밤차를 타고 21일 원주에 도착했으나 해외출장 중으로 만날 수 없어 원주교육원의 최기식 신부에게 찾아갔다. 1982년 4월 1일 자수를 두 시간 앞두고 최기식 신부에게 부탁해 성단관리인 문길환과 원주에서 치악산 서점을 경영하던 김영애와 김현장을 증인으로 세우고 김은숙과 결혼식을 대신한 예식을 올렸다.[1] 경력[편집] 1995년부터 출판일을 시작해, 도서출판 삼인의 주간과 계간 당대비평의 편집위원을 거쳐 꾸리에 출판사 비상근 기획위원으로 일했다. 2011년 12월 5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진보신당 대변인으로 일했다.[3] 2013년 7월 격월간지 <말과활>을 창간했다.[4] 논란[편집] 조선일보 관련[편집] 2002년 7월 12일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동의대 사건 민주화 인정은 납득할 수 없다>는 제목으로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광기의 시대를 생각함>(삼인)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가 지난 4월 동의대 사건 관련자 46명에 대해 화재 진상규명을 하기에 앞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한 것은 성급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민주화운동 인정 여부는 공론 영역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설득력을 갖추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여 발표 매체 및 내용을 둘러 싸고 민주화 운동가들 사이에 논란이 되었다.[5] 이후 같은 매체에 2003년 2월 4일 '슬픔에 관하여- 겨울, 광화문 단상'을 기고하여 광화문의 촛불의 의미를 부정하고 폄하한다는 비난을 받았다.[6] 택시기사 폭행 사건[편집] 2011년 12월 29일 택시기사 폭행 및 경찰서 공공기물을 파손하여 진보신당 대변인 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당시 언론에는 문부식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이유로 택시기사를 폭행했다고 전해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당 택시기사 이**씨는 "문 대변인이 홍대 앞에서 택시를 탔는데 만취가 돼 있었다. 택시를 타는 곳에 배웅을 나온 사람들과 앞선 술자리에서 괴로운 얘기들이 오간 것 같았다. 그런데, 일산으로 가는 중간에 문 대변인이 나를 아까 술자리에 함께 있던 사람으로 오해했던 것 같다. 운전을 하고 있는데 중간에 갑자기 '00야, 네가 왜 운전을 하고 있냐', '지금 어디로 가는거냐', ' 00야, 네가 왜 택시를 몰고 있냐'고 하다가 (별다른 대답이 없거나 본인의 생각과 다른 대답이 나오자) 갑자기 뒤에서 얼굴을 때렸다"라고 증언했다. 김 진보신당은 즉시 문부식을 대변인직에서 해임했고, 홍세화 대표가 택시기사와 해당지구대를 직접 방문해 사과의 뜻을 전했다. 당 택시기사는 사정을 이해하고 "언론에 보도가 된 것이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으며, "당대회에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7] 시집[편집] 문부식 (1993). 《꽃들》. 푸른숲. ISBN 8971840420.  수필집[편집] 문부식 (2002). 《잃어버린 기억 을 찾아서: 광기 의 시대 를 생각함》. 삼인. ISBN 8987519686.  방송 출연[편집] KBS 《이것이 인생이다》 미 문화원사건 문부식씨의 잃어버린 시간들 (1998년 8월 20일 방송) 각주[편집] ↑ 가 나 이정호 (2011년 5월 27일). “부산미문화원 방화사건, 김은숙을 추모하며”. 참세상. 2012년 5월 9일에 확인함.  ↑ 하니리포터 지승호 (2002년 8월 26일). “문부식과 '광기의 시대'”. 한겨레.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류정민 기자 (2011년 12월 5일). “'미문화원 방화' 문부식, 진보신당 대변인 됐다”.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손정호 기자 (2015년 5월 8일). “[손정호기자의 피플&]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주동 문부식 격월간 '말과활'기획주간”. 부산일보.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 민임동기 기자 (2002년 7월 18일). ““왜 하필 조선일보와…” 문부식 논쟁 가열”.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임순혜 (2003년 2월 5일). “<조선> 꼭두각시로 전락한 문부식씨”. 오마이뉴스.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종철 (2012년 1월 2일). “문 전 대변인 사건 관련해 당원여러분께 간략히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2014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부식_(1959년)&oldid=23034579" 분류: 195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테러리스트방화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2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문부식 (195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문부식 (195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문부식(文富軾, 1959년 ~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로, 전 진보신당 대변인이었다.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목차 1 개요 2 경력 3 논란 3.1 조선일보 관련 3.2 택시기사 폭행 사건 4 시집 5 수필집 6 방송 출연 7 각주 개요[편집] 문부식은 유복한 군인 집안으로, 아버지 문경삼은 육사 8기로 김종필과 동기였으나 1959년 부조리와 이승만 정권에 환멸을 느끼고 대령으로 전역했다.[1] 부산 고신대 신학과에 재학 중이던 1982년 3월 18일, 전두환 독재 정권과 미국의 묵인 하에 이루어진 광주항쟁의 진상을 알리고자 부산 미국문화원에 방화했다. 당시 정부에서는 이 사건을 불순세력의 사주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여 문부식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6년 9개월만인 1988년 12월 석방되었으나, 7개월 후 한미문제연구소 사건으로 다시 구속되어 1년 6개월 형을 받고 만기출소했다.[2] 김은숙과는 1980년 복학하면서 고신대학교 같은 3학년 학생으로 서로 사귀게 되었다. 방화후 각각 군입대 및 노동현장으로 갈 계획이였으나 사건이 의외로 커지고 3월 20일 서정화 내무부장관의 강경한 담화가 발표되자 둘은 일단 도피하기로 했다. 우선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지학순 주교에게 갈 목적으로 3월 20일 밤차를 타고 21일 원주에 도착했으나 해외출장 중으로 만날 수 없어 원주교육원의 최기식 신부에게 찾아갔다. 1982년 4월 1일 자수를 두 시간 앞두고 최기식 신부에게 부탁해 성단관리인 문길환과 원주에서 치악산 서점을 경영하던 김영애와 김현장을 증인으로 세우고 김은숙과 결혼식을 대신한 예식을 올렸다.[1] 경력[편집] 1995년부터 출판일을 시작해, 도서출판 삼인의 주간과 계간 당대비평의 편집위원을 거쳐 꾸리에 출판사 비상근 기획위원으로 일했다. 2011년 12월 5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진보신당 대변인으로 일했다.[3] 2013년 7월 격월간지 <말과활>을 창간했다.[4] 논란[편집] 조선일보 관련[편집] 2002년 7월 12일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동의대 사건 민주화 인정은 납득할 수 없다>는 제목으로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광기의 시대를 생각함>(삼인)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가 지난 4월 동의대 사건 관련자 46명에 대해 화재 진상규명을 하기에 앞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한 것은 성급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민주화운동 인정 여부는 공론 영역에서 충분한 논의를 통해 설득력을 갖추고 사회적 합의를 거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여 발표 매체 및 내용을 둘러 싸고 민주화 운동가들 사이에 논란이 되었다.[5] 이후 같은 매체에 2003년 2월 4일 '슬픔에 관하여- 겨울, 광화문 단상'을 기고하여 광화문의 촛불의 의미를 부정하고 폄하한다는 비난을 받았다.[6] 택시기사 폭행 사건[편집] 2011년 12월 29일 택시기사 폭행 및 경찰서 공공기물을 파손하여 진보신당 대변인 직에서 자진 사퇴했다. 당시 언론에는 문부식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이유로 택시기사를 폭행했다고 전해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당 택시기사 이**씨는 "문 대변인이 홍대 앞에서 택시를 탔는데 만취가 돼 있었다. 택시를 타는 곳에 배웅을 나온 사람들과 앞선 술자리에서 괴로운 얘기들이 오간 것 같았다. 그런데, 일산으로 가는 중간에 문 대변인이 나를 아까 술자리에 함께 있던 사람으로 오해했던 것 같다. 운전을 하고 있는데 중간에 갑자기 '00야, 네가 왜 운전을 하고 있냐', '지금 어디로 가는거냐', ' 00야, 네가 왜 택시를 몰고 있냐'고 하다가 (별다른 대답이 없거나 본인의 생각과 다른 대답이 나오자) 갑자기 뒤에서 얼굴을 때렸다"라고 증언했다. 김 진보신당은 즉시 문부식을 대변인직에서 해임했고, 홍세화 대표가 택시기사와 해당지구대를 직접 방문해 사과의 뜻을 전했다. 당 택시기사는 사정을 이해하고 "언론에 보도가 된 것이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으며, "당대회에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7] 시집[편집] 문부식 (1993). 《꽃들》. 푸른숲. ISBN 8971840420.  수필집[편집] 문부식 (2002). 《잃어버린 기억 을 찾아서: 광기 의 시대 를 생각함》. 삼인. ISBN 8987519686.  방송 출연[편집] KBS 《이것이 인생이다》 미 문화원사건 문부식씨의 잃어버린 시간들 (1998년 8월 20일 방송) 각주[편집] ↑ 가 나 이정호 (2011년 5월 27일). “부산미문화원 방화사건, 김은숙을 추모하며”. 참세상. 2012년 5월 9일에 확인함.  ↑ 하니리포터 지승호 (2002년 8월 26일). “문부식과 '광기의 시대'”. 한겨레.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류정민 기자 (2011년 12월 5일). “'미문화원 방화' 문부식, 진보신당 대변인 됐다”.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손정호 기자 (2015년 5월 8일). “[손정호기자의 피플&]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사건 주동 문부식 격월간 '말과활'기획주간”. 부산일보.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 민임동기 기자 (2002년 7월 18일). ““왜 하필 조선일보와…” 문부식 논쟁 가열”. 미디어오늘.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임순혜 (2003년 2월 5일). “<조선> 꼭두각시로 전락한 문부식씨”. 오마이뉴스. 2012년 4월 30일에 확인함.  ↑ 김종철 (2012년 1월 2일). “문 전 대변인 사건 관련해 당원여러분께 간략히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2014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문부식_(1959년)&oldid=23034579" 분류: 195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대한민국의 테러리스트방화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2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오현경 (197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현경 (197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현경 출생 1970년 3월 25일(1970-03-25) (49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7년 ~ 현재종교 개신교(장로회)소속사 화이브라더스코리아 학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자녀 홍채령(딸)수상 1990년 KBS 연기대상 신인상2008년 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웹사이트 화이브라더스코리아 오현경오현경 - 인스타그램 오현경(1970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1989년 미스코리아 진(眞)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작 3.1 드라마 3.2 영화 4 방송 활동 4.1 예능 4.2 라디오 4.3 내레이션 5 경력 6 수상 및 후보 7 참고 사항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70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전라남도 나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경기도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87년에 CF 모델로 활동하였고, 이듬해 1988년 KBS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로 연기자로 데뷔하였다.[1] 1989년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재학 중에 제33회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진'으로 선발되었다. 이후 CF 모델과 드라마 주·조연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1998년말 활동을 중단하고 미국에서 머무르게 된다. 2002년 귀국하여 계몽사 홍승표 회장과 결혼식을 올렸고, 딸을 출산하였다. 결혼 4년 뒤인 2006년 이혼했으며 오상지로 개명했다가 다시 원래 이름으로 바꿨다.[2]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에 출연하면서 8년 만에 연예계 활동을 재기하였다. 당시 이 작품은 시청률 30%를 상회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었고, 여러 작품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학력[편집]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연극영화전공 (석사과정 수료)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88년 KBS2 청춘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1989년 KBS1 일요아침드라마 《당추동 사람들》 ... 태권도 사범 아셔더 역 1990년 KBS2 주말연속극 《야망의 세월》 ... 박형숙 역 1990년 MBC 대하드라마 《대원군》 ... 각순황귀비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분노의 왕국》 ... 이복남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억새 바람》 ... 제니 역 1993년 KBS1 일일연속극 《들국화》 ... 은경 역 1994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목소리를 낮춰요》 1994년 SBS 수목드라마 《이 남자가 사는 법》 ... 장수미 역 1994년 KBS2 미니시리즈 《폴리스》 ... 송채연 역 1994년 MBC 수목드라마 《아들의 여자》 ... 박숙 역 1995년 SBS 월화드라마 《야망의 불꽃》 ... 박부희 역 1995년 KBS2 미니시리즈 《남자 만들기》 ... 영애 역 1996년 EBS 설날특집극 《까치 까치 설날은》 ... 국길란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컬러 - 옐로》 ... 주홍미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머나먼 나라》 ... 장상희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화려한 휴가》 ... 이한나 역 1997년 KBS2 미니시리즈 《폭풍속으로》 ... 은주 역 1997년 MBC 미니시리즈 《불꽃놀이》 ... 재희 역 1997년 KBS2 일요아침드라마 《세 여자》 ... 문정 역 1997년 SBS 월화드라마 《사랑하니까》 ... 어지나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나화신 역 2009년 MBC 일일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 ... 이현경 역 2009년 tvN 미니시리즈 《미세스 타운 - 남편이 죽었다》 ... 서홍주 역 2010년 MBC 주말연속극 《글로리아》 ... 나진주 역 2011년 SBS 아침드라마 《미쓰 아줌마》 ... 강금화 역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 민세화 역 2012년 SBS 대기획《대풍수》 ... 수련개 역 2013년 tvN 미니시리즈 《우와한 녀》 ... 조아라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상어》 ... 유선영 역 2013년 KBS2 주말연속극 《왕가네 식구들》 ... 왕수박 역[3] 2014년 SBS 주말 2부작드라마 《엄마의 선택》 ... 진소영 역 2014년 MBC 주말특별기획 《전설의 마녀》 ... 손풍금 역 2015년 tvN 일일연속극 《울지 않는 새》 ... 천미자 역 2016년 SBS 주말특별기획 《미녀 공심이》 ... 주재분 역 2016년 KBS2 주말연속극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 이동숙 역 2018년 KBS2 미니시리즈 《라디오 로맨스》 ... 남주하 역 2018년 MBC 주말특별기획 《신과의 약속》 ... 김재희 역 2019년 KBS2 미니시리즈 《왜그래 풍상씨》 ... 친구 역(특별출연) 영화[편집] 2015년 《스물》 ... 동우 모 역 방송 활동[편집] 예능[편집] 1990년 KBS2 《가족오락관》 ... 게스트 1995년 HBS 《스타 한마당 우리는 맞수》 ... MC 1995년 MBC 《우정의 무대》 ... 게스트 1996년 SBS 《토요미스테리 극장》 ... MC 1996년 HBS 《도전! 남자 중의 남자》 ... MC 1996년 KBS2 《슈퍼선데이 - 오현경의 여인극장》 1997년 GTV 《시선 집중 패션 자키》 ... MC 1997년 MBC 《퀴즈 영화탐험》 ... MC 2011년 tvN 《뮤직토크쇼 러브송》 ... MC 2013년 JTBC 《미스코리아 비밀의 화원》 ... MC 2013년 KBS W 《버킷리스트》 ... MC 2014년 JTBC 《유자식 상팔자》 ... MC 2014년 MBC QUEEN 《소원을 말해봐》 ... MC 2016년 TV조선 《모란봉 클럽》 ... MC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 게스트 2017년 6월 24일 ~ 2017년 7월 1일 KBS2 《배틀 트립》 ... 여행 게스트 라디오[편집] 1993년 MBC 《FM은 내 친구》 ... DJ 2014년 EBS 《EBS FM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낭독자 내레이션[편집] 《희망 다큐 무지개》 (SBS) 경력[편집] 1998년 공주영상대학 겸임교수 2003년 JY골프 대표 2003년 휴먼컴 이사장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89 제33회 미스코리아 眞 빈칸 수상 1990 KBS 연기대상 신인상 야망의 세월 수상 2008 제16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 조강지처 클럽 수상 SBS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여자 연기상 수상 10대 스타상 수상 2013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왕가네 식구들 후보 2014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후보 SBS 연기대상 특집,단막극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엄마의 선택 수상 2015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수상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최우수상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후보 MBC 연기대상 주말특별기획부문 조연상 신과의 약속 후보 참고 사항[편집] 오현경의 고등학교 후배[4]인 김지수는 오현경과 같은 미스코리아 출신이었던 김혜리가 출연한 KBS 1TV 《태조 왕건》 강비 역 물망[5]에 한때 거론됐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현경 ↑ 「연기자 터잡기」일단 성공 美人(미인)대회 출신…「야망의 세월」형숙役(역) 오... - 동아일보 ↑ 오현경→오상지→다시 '오현경'으로 돌아온다 - 스타뉴스 ↑ 여기서 나온 유행어가 바로 ‘나 미스코리아 나갔던 여자야’인데 드라마 극중에서는 실제로 1993년 미스코리아 대회에 출전하여 진(眞)을 수상하였다. ↑ 이현희 (2015년 2월 2일). “'런닝맨' 김지수 오현경 미모 극찬 "학창시절 여신이었다"”. TV리포트.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배국남 (2000년 3월 23일). “서구이미지 벗고 '강비'로 飛上”. 한국일보.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틀:깨진 링 외부 링크[편집] 오현경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미스코리아 진(眞) 1988년 1989년오현경 1990년 김성령 서정민 미스코리아 서울 1988년 1989년고현정, 남궁옥, 박은경, 오현경, 이재경, 장경숙, 채경진 1990년 강주현, 김성령, 김정애, 김혜리, 박수현, 양현정 김태화, 김현숙, 서정민, 양정아, 윤제선, 이승은, 이종희 vdeh미스코리아 진1950년대 박현옥 (1957) 오금순 (1958) 오현주 (1959) 1960년대 손미희자 (1960) 서양희 (1961) 서범주 (1962) 김명자 (1963) 신정현 (1964) 김은지 (1965) 윤귀현 (1966) 홍정애 (1967) 김윤정 (1968) 임현정 (1969) 1970년대 유영애 (1970) 노미애 (1971) 박연주 (1972) 김영주 (1973) 김은정 (1974) 서지혜 (1975) 정경숙† (1976) 김성희 (1977) 손정은 (1978) 서재화 (1979) 1980년대 김은정 (1980) 이은정 (1981) 박선희 (1982) 임미숙 (1983) 최영옥 (1984) 배영란 (1985) 김지은 (1986) 장윤정 (1987) 김성령 (1988) 오현경 (1989) 1990년대 서정민 (1990) 이영현 (1991) 유하영 (1992) 궁선영 (1993) 한성주 (1994) 김윤정 (1995) 이은희 (1996) 김지연 (1997) 최지현 (1998) 김연주 (1999) 2000년대 김사랑 (2000) 김민경 (2001) 금나나 (2002) 최윤영 (2003) 김소영 (2004) 김주희 (2005) 이하늬 (2006) 이지선 (2007) 나리 (2008) 김주리 (2009) 2010년대 정소라 (2010) 이성혜 (2011) 김유미 (2012) 유예빈 (2013) 김서연 (2014) 이민지† (2015) 김진솔† (2016) 서재원† (2017) 김수민† (2018)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하지 않은 인물.1983년 이전까지는 그 해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이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 1983년 이후에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은 당선된 다음 해에 열리는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했다.2016년 당선자 이후부터는 미스 유니버스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지 못한다. vdeh화이브라더스코리아 대표이사:지승범 배우남성 김윤석 주원 김상호 이동휘 유해진 최태준 주진모 엄태웅 김성오 송새벽 김민재 민진웅 지윤호 이선호 유승목 주진모 무진성 신주환 최정헌 류경수 김영웅 장명갑 여성 이시영 임지연 김옥빈 이다희 오현경 박혜수 한선화 김주현 채서진 전수진 정다빈 오연아 서영희 하연주 황우슬혜 박세완 강별 송상은 배민정 길해연 이전 소속 김정은 가수남성 건일 이수웅 여성 박보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현경_(1970년)&oldid=24507796" 분류: 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87년 데뷔미스코리아 진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방송인서울여의도초등학교 동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장원중학교 동문계원예술고등학교 동문단국대학교 동문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장로교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9: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오현경 (1970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현경 (197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오현경 출생 1970년 3월 25일(1970-03-25) (49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7년 ~ 현재종교 개신교(장로회)소속사 화이브라더스코리아 학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자녀 홍채령(딸)수상 1990년 KBS 연기대상 신인상2008년 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웹사이트 화이브라더스코리아 오현경오현경 - 인스타그램 오현경(1970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1989년 미스코리아 진(眞)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작 3.1 드라마 3.2 영화 4 방송 활동 4.1 예능 4.2 라디오 4.3 내레이션 5 경력 6 수상 및 후보 7 참고 사항 8 각주 9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70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전라남도 나주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녀는 경기도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이던 1987년에 CF 모델로 활동하였고, 이듬해 1988년 KBS 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로 연기자로 데뷔하였다.[1] 1989년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1학년 재학 중에 제33회 미스코리아 대회에서 '진'으로 선발되었다. 이후 CF 모델과 드라마 주·조연으로 활발히 활동했다. 1998년말 활동을 중단하고 미국에서 머무르게 된다. 2002년 귀국하여 계몽사 홍승표 회장과 결혼식을 올렸고, 딸을 출산하였다. 결혼 4년 뒤인 2006년 이혼했으며 오상지로 개명했다가 다시 원래 이름으로 바꿨다.[2]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에 출연하면서 8년 만에 연예계 활동을 재기하였다. 당시 이 작품은 시청률 30%를 상회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었고, 여러 작품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학력[편집] 계원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단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연극영화전공 (석사과정 수료)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88년 KBS2 청춘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1989년 KBS1 일요아침드라마 《당추동 사람들》 ... 태권도 사범 아셔더 역 1990년 KBS2 주말연속극 《야망의 세월》 ... 박형숙 역 1990년 MBC 대하드라마 《대원군》 ... 각순황귀비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분노의 왕국》 ... 이복남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억새 바람》 ... 제니 역 1993년 KBS1 일일연속극 《들국화》 ... 은경 역 1994년 SBS 일요아침드라마 《목소리를 낮춰요》 1994년 SBS 수목드라마 《이 남자가 사는 법》 ... 장수미 역 1994년 KBS2 미니시리즈 《폴리스》 ... 송채연 역 1994년 MBC 수목드라마 《아들의 여자》 ... 박숙 역 1995년 SBS 월화드라마 《야망의 불꽃》 ... 박부희 역 1995년 KBS2 미니시리즈 《남자 만들기》 ... 영애 역 1996년 EBS 설날특집극 《까치 까치 설날은》 ... 국길란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컬러 - 옐로》 ... 주홍미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머나먼 나라》 ... 장상희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화려한 휴가》 ... 이한나 역 1997년 KBS2 미니시리즈 《폭풍속으로》 ... 은주 역 1997년 MBC 미니시리즈 《불꽃놀이》 ... 재희 역 1997년 KBS2 일요아침드라마 《세 여자》 ... 문정 역 1997년 SBS 월화드라마 《사랑하니까》 ... 어지나 역 2007년 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나화신 역 2009년 MBC 일일시트콤 《지붕 뚫고 하이킥!》 ... 이현경 역 2009년 tvN 미니시리즈 《미세스 타운 - 남편이 죽었다》 ... 서홍주 역 2010년 MBC 주말연속극 《글로리아》 ... 나진주 역 2011년 SBS 아침드라마 《미쓰 아줌마》 ... 강금화 역 2011년 tvN 미니시리즈 《버디버디》 ... 민세화 역 2012년 SBS 대기획《대풍수》 ... 수련개 역 2013년 tvN 미니시리즈 《우와한 녀》 ... 조아라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상어》 ... 유선영 역 2013년 KBS2 주말연속극 《왕가네 식구들》 ... 왕수박 역[3] 2014년 SBS 주말 2부작드라마 《엄마의 선택》 ... 진소영 역 2014년 MBC 주말특별기획 《전설의 마녀》 ... 손풍금 역 2015년 tvN 일일연속극 《울지 않는 새》 ... 천미자 역 2016년 SBS 주말특별기획 《미녀 공심이》 ... 주재분 역 2016년 KBS2 주말연속극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 이동숙 역 2018년 KBS2 미니시리즈 《라디오 로맨스》 ... 남주하 역 2018년 MBC 주말특별기획 《신과의 약속》 ... 김재희 역 2019년 KBS2 미니시리즈 《왜그래 풍상씨》 ... 친구 역(특별출연) 영화[편집] 2015년 《스물》 ... 동우 모 역 방송 활동[편집] 예능[편집] 1990년 KBS2 《가족오락관》 ... 게스트 1995년 HBS 《스타 한마당 우리는 맞수》 ... MC 1995년 MBC 《우정의 무대》 ... 게스트 1996년 SBS 《토요미스테리 극장》 ... MC 1996년 HBS 《도전! 남자 중의 남자》 ... MC 1996년 KBS2 《슈퍼선데이 - 오현경의 여인극장》 1997년 GTV 《시선 집중 패션 자키》 ... MC 1997년 MBC 《퀴즈 영화탐험》 ... MC 2011년 tvN 《뮤직토크쇼 러브송》 ... MC 2013년 JTBC 《미스코리아 비밀의 화원》 ... MC 2013년 KBS W 《버킷리스트》 ... MC 2014년 JTBC 《유자식 상팔자》 ... MC 2014년 MBC QUEEN 《소원을 말해봐》 ... MC 2016년 TV조선 《모란봉 클럽》 ... MC 2017년 MBC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 게스트 2017년 6월 24일 ~ 2017년 7월 1일 KBS2 《배틀 트립》 ... 여행 게스트 라디오[편집] 1993년 MBC 《FM은 내 친구》 ... DJ 2014년 EBS 《EBS FM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낭독자 내레이션[편집] 《희망 다큐 무지개》 (SBS) 경력[편집] 1998년 공주영상대학 겸임교수 2003년 JY골프 대표 2003년 휴먼컴 이사장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1989 제33회 미스코리아 眞 빈칸 수상 1990 KBS 연기대상 신인상 야망의 세월 수상 2008 제16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 조강지처 클럽 수상 SBS 연기대상 연속극부문 여자 연기상 수상 10대 스타상 수상 2013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왕가네 식구들 후보 2014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후보 SBS 연기대상 특집,단막극부문 여자 특별연기상 엄마의 선택 수상 2015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전설의 마녀 수상 2018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최우수상 발칙한 동거 - 빈방 있음 후보 MBC 연기대상 주말특별기획부문 조연상 신과의 약속 후보 참고 사항[편집] 오현경의 고등학교 후배[4]인 김지수는 오현경과 같은 미스코리아 출신이었던 김혜리가 출연한 KBS 1TV 《태조 왕건》 강비 역 물망[5]에 한때 거론됐다.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오현경 ↑ 「연기자 터잡기」일단 성공 美人(미인)대회 출신…「야망의 세월」형숙役(역) 오... - 동아일보 ↑ 오현경→오상지→다시 '오현경'으로 돌아온다 - 스타뉴스 ↑ 여기서 나온 유행어가 바로 ‘나 미스코리아 나갔던 여자야’인데 드라마 극중에서는 실제로 1993년 미스코리아 대회에 출전하여 진(眞)을 수상하였다. ↑ 이현희 (2015년 2월 2일). “'런닝맨' 김지수 오현경 미모 극찬 "학창시절 여신이었다"”. TV리포트.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 배국남 (2000년 3월 23일). “서구이미지 벗고 '강비'로 飛上”. 한국일보. 2016년 9월 27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틀:깨진 링 외부 링크[편집] 오현경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미스코리아 진(眞) 1988년 1989년오현경 1990년 김성령 서정민 미스코리아 서울 1988년 1989년고현정, 남궁옥, 박은경, 오현경, 이재경, 장경숙, 채경진 1990년 강주현, 김성령, 김정애, 김혜리, 박수현, 양현정 김태화, 김현숙, 서정민, 양정아, 윤제선, 이승은, 이종희 vdeh미스코리아 진1950년대 박현옥 (1957) 오금순 (1958) 오현주 (1959) 1960년대 손미희자 (1960) 서양희 (1961) 서범주 (1962) 김명자 (1963) 신정현 (1964) 김은지 (1965) 윤귀현 (1966) 홍정애 (1967) 김윤정 (1968) 임현정 (1969) 1970년대 유영애 (1970) 노미애 (1971) 박연주 (1972) 김영주 (1973) 김은정 (1974) 서지혜 (1975) 정경숙† (1976) 김성희 (1977) 손정은 (1978) 서재화 (1979) 1980년대 김은정 (1980) 이은정 (1981) 박선희 (1982) 임미숙 (1983) 최영옥 (1984) 배영란 (1985) 김지은 (1986) 장윤정 (1987) 김성령 (1988) 오현경 (1989) 1990년대 서정민 (1990) 이영현 (1991) 유하영 (1992) 궁선영 (1993) 한성주 (1994) 김윤정 (1995) 이은희 (1996) 김지연 (1997) 최지현 (1998) 김연주 (1999) 2000년대 김사랑 (2000) 김민경 (2001) 금나나 (2002) 최윤영 (2003) 김소영 (2004) 김주희 (2005) 이하늬 (2006) 이지선 (2007) 나리 (2008) 김주리 (2009) 2010년대 정소라 (2010) 이성혜 (2011) 김유미 (2012) 유예빈 (2013) 김서연 (2014) 이민지† (2015) 김진솔† (2016) 서재원† (2017) 김수민† (2018)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하지 않은 인물.1983년 이전까지는 그 해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이 미스 유니버스에 출전, 1983년 이후에 당선된 미스코리아 진은 당선된 다음 해에 열리는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했다.2016년 당선자 이후부터는 미스 유니버스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지 못한다. vdeh화이브라더스코리아 대표이사:지승범 배우남성 김윤석 주원 김상호 이동휘 유해진 최태준 주진모 엄태웅 김성오 송새벽 김민재 민진웅 지윤호 이선호 유승목 주진모 무진성 신주환 최정헌 류경수 김영웅 장명갑 여성 이시영 임지연 김옥빈 이다희 오현경 박혜수 한선화 김주현 채서진 전수진 정다빈 오연아 서영희 하연주 황우슬혜 박세완 강별 송상은 배민정 길해연 이전 소속 김정은 가수남성 건일 이수웅 여성 박보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오현경_(1970년)&oldid=24507796" 분류: 197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87년 데뷔미스코리아 진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방송인서울여의도초등학교 동문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장원중학교 동문계원예술고등학교 동문단국대학교 동문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장로교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9: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고구려-당 전쟁의 일부날짜660년 ~ 662년장소랴오둥 반도 일대 및 한반도 중·북부결과 고구려의 피로스의 승리교전국 당나라동돌궐, 신라 고구려말갈지휘관 당 고종 이세적 글필하력 소정방 방효태 † 김유신 연개소문 연남생 뇌음신 생해 vdeh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연개소문의 정변 안시성 전투 만천과해 현도성 전투 신성 전투 개모성 전투 건안성 전투 요동성 전투 백암성 전투 비사성 전투 주필산 전투 안시성 전투 요동 전선 소모전 신성 전투 적리성 전투 박작성 전투 귀단수 전투 적봉진 전투 횡산 전투 석성 전투 제2차 고구려-당 전쟁 패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사수 전투 표하 전투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연남건의 정변 신성 전투 금산성 전투 안시성 전투 부여성 전투 설하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vdeh당나라의 주변 국가 원정 및 정복 수말당초 곽읍 전투 호뢰 전투 현무문의 변 동돌궐 토욕혼 서역 고창 언기 구자 서돌궐 정복 제1차 고구려 설연타 토번 백제 제2차 고구려 제3차 고구려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승리로 끝났지만, 수도인 평양성 바로 앞까지 전선이 밀리고 요동 방어선이 무너지는 등 고구려는 점차 망조가 들기 시작한다. 목차 1 배경 1.1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 1.2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 2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 3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 4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 5 사수 전투 6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 7 표하 전투 8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 8.1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 배경[편집] 앞서 당나라는 설연타를 멸망시켜서 사실상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을 모두 제압하였다. 또한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작전으로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의 대군이 바다를 건너 백제를 침입,멸망시킴으로써 고구려는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것은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달리 고구려 남쪽에서는 신라군 또한 당나라군을 도와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고구려는 남과 북 양쪽으로 공격을 받게되는 더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당나라 역시 전쟁 실패 이후 내부 정쟁으로 장손무기를 비롯한 관롱집단이 측천무후에게 숙청당하는 후폭풍이 있었다. 그런60년 백제의 멸망 시 당나라는 13만이나 되는 대군을 해상을 통해 공격하여 성공한 자신감으로 2차 고구려-당 전쟁 때는 대대적인 해상으로의 침공작전을 기획하게 된다.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편집] 660년 음력 6월에 소정방이 군사 13만 명을 이끌고 신라와 함께 백제를 침략하였다. 나당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백제는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661년 보장왕20년, 이에 고구려는 장군 뇌음신과 말갈 장군 생해를 보내서 신라의 술천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이어서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성주인 대사 동타천의 용맹한 반격으로 회군하였다. 661년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연합군은 그 여세를 몰아 고구려로 진격하였다. 당나라군은 평양을 직접 공격하였고, 당 고종은 4만 4천 명의 병력을 징발하여 고구려의 변방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백제 부흥군은 왜국으로 부터의 구원군의 지원을 받으며 나당연합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신라군이 다시 남진하여 백제부흥군과 싸워야 했으며, 그 상황을 이용하여 고구려는 서북 변방에 병력을 집결시켜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이에 당나라군은 그 해 음력 4월에 다시금 대군을 거느리고 수륙양공 작전을 구사하며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당나라군이 패하자 당나라 조정에서는 고구려와 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으며, 이에 밀린 당 고종은 일시적으로 고구려 공략을 중지하였다.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편집] 661년(보장왕 20년) 5월, 고구려는 백제 부흥군 지원을 위해 장군 뇌음신과 말갈의 장군 생해(生偕)의 군대와 연합하여 신라의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은 고구려가 수차례 신라를 침공했던 신라 북부지역의 요지였다. 20여일간 신라군은 맹렬히 저항했다. 마침내 함락이 용이하지 않아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나려 하였으나 칠중성 내부에 분열이 생기면서 함락하게 된다. 고구려군이 물러날 기세를 보이자 성 내부의 비삽이라는 관리가 몰래 고구려 진영으로 편지를 보내어 "성의 식량이 떨어지고 힘이 다했으니 이제 공격하면 반드시 항복을 받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에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다시 맹렬히 공격을 한다. 성주였던 필부는 비삽이 배신한 것을 알고 그의 머리를 베어 성밖으로 던지면서 성 안의 신라군사들에게 말하였다. " 충신과 의로운 병사는 죽어도 굴하지 않는다. 힘써 노력하라. 성의 존망이 이 한 번의 싸움에 달렸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병사의 기운이 피로하고 지쳐 죽고 부상한 자가 절반이 넘었다. 고구려와 말갈군이 바람을 타고 불을 질러 다시금 성을 맹공격하였고 성주 였던 필부와 그의 군사들은 명렬히 저항하였으나 결국 모두 전사하고 마침내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이 소식은 신라 서라벌까지 전달되었고 무열왕은 크게 슬퍼하여 그의 관등을 추증하였다. 이제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지만 군사를 옮겨 북한산성을 포위하여 공격을 시작한다. 고구려군은 열흘이 지나도록 포위망을 풀지 않고, 포차(抛車)를 벌려놓고 돌을 던지며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북한산성의 성주(城主)인 대사(大舍) 동타천(冬陁川)은 군사를 지휘하여 20여 일간을 견뎠으나 군량과 힘이 다하여 마침내 신라군은 위태롭게 되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전투 당시 장마철로 진입하던 때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별안간 큰 별이 고구려군진에 떨어지고 번개와 벼락이 치며 큰비를 퍼부으니,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장마가 시작되는 시기로써 고구려군이 철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와 신라의 칠중성, 북한산성 전투는 중국 측 사서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사기에만 등장한다. 661년은 이미 백제가 망한 직후 이므로 백제 부흥군을 지원 또는 백제 멸망에 따른 신라에 대한 견제를 위해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한 것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것은 말갈의 장수와 말갈 군사가 신라 침공에 동원되었는데, 661년 시점에도 말갈은 고구려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편집] 661년 음력 8월에 당나라는 드디어 총력을 다해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당군은 총 44만의 대군을 6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다. 예전 수나라의 침공, 그리고 당태종의 1차 침공 때와 확연한 차이는 주력 침공군은 해상으로 바다를 건너 고구려에 상륙하였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고구려 침공 시, 수양제, 당태종은 수군을 통한 공격도 있었지만 엄연히 주력은 육상을 통한 요하를 건너 요동으로 진공하던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 당나라의 2차침공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과거 중화왕조의 전통적인 침공방식이었던 요하를 건너서 요동을 경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해상을 통해 대단위 침공하는 방식이었다. 이미 당태종 때 부터 오랜 기간 선박을 건조하고 수군을 양성하여 충분한 준비를 마쳤기에 총 6개의 대부대 중 2개의 대부대인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은 과거 전통적인 침공루트인 요하를 건너 요동지역으로 침공하였지만 이것은 고구려의 주의를 끌려는 양동작전이었고 실제 정작 주력이자 대다수라 할 수 있는 4개의 대부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은 해상을 통해 바다를 건너 침공하려 하였다.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은 고구려의 국토상 중단 부분인 압록강 하구를 점령하여 북쪽 요동지역과 고구려 남부지역을 단절시키고, 한편 나머지 다른 3개의 대부대는 고구려 수도 평양성의 대동강 하구에 상륙하여 방어군을 일소한 후 고구려 수도 평양성을 순식간에 침공하여 함락시키려 하였다. 특히 평양성을 직공하려는 소정방, 방효태, 임아상의 부대는 660년 백제 침공 때도 성공적으로 해상 침공 작전을 수행했던 진짜 주력 부대였다. 당의 이런 대담한 해상을 통한 대단위 침공작전은 이후 한국전쟁 때 인천상륙작전,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으로 세계 전쟁사에서도 자주 재연되었다. 무엇보다 전년도에도 소정방, 방효태 등은 같은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백제를 침공하여 해안에서 방어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순식간에 포위 함락시킨 성공적인 경험이 있었다. 또한 파견된 군사와 부대의 규모 또한 지난번 백제 정벌 시 소정방이 이끄는 13만군의 해상을 통한 침공작전의 규모를 훨씬 상회하는 3배가 넘었다. 또한 국토의 면적 및 동원할 수 있는 군사력 또한 고구려는 백제와 규모 자체가 달랐음으로 우선 고구려의 주력군이 방어진을 치고 있는 요동지역의 고구려 대군을 묶어두기 위한 양동작전으로써 과거 비사성 함락과 수차례 소규모 침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게릴라전에 능했던 정명진을 파견하여 요동과 북쪽 부여 방면으로도 2갈래로 침공하였다. 그리고 정작 진짜 주력이었던 대다수의 부대는 해상을 통한 침공으로 4개의 부대가 상륙하였고 그 중 고구려와 수차례 실전경험이 있던 계필하력이 이끄는 요동도행군은 압록강하구에, 그리고 전년 백제 침공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소정방이 이끄는 평양도행군과 방효태의 옥저 도행군 그리고 임아상의 패강도행군을 합쳐서 수십만이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 들었다. 이 정도의 대단위 상륙작전은 규모 면에서도 과거 한국전쟁 때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끌던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을 훨씬 상회하며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비견될 정도의 대규모 침공작전이었다. (하지만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는 달리 요동지역 및 그 외 지역의 구체적인 전투 기록및 일지가 남아 있지 않다)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편집] 가을 8월, 마침내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등의 당나라 대군은 패수, 지금의 대동강하류에 상륙하였다. 이들은 정확히 1년 전 백제침공 때도 똑같이 백제영토였던 기벌포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백제군을 물리치고 백제 수도 사비성을 함락시킨 승리의 경험이 있었다. 장소는 달랐지만 시작은 같았다. 갑작스러운 당의 수십만 대군이 바다로부터 기습적으로 밀려오자 해안에서 격렬히 반격하던 고구려 군사들도 크게 격파당하였고 결국 인근 마읍산을 탈취당하였으며 마침내 얼마 멀지 않는 평양성까지 도달하여 포위하였다. 또한 9월,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은 압록강 하류로 상륙한다. 고구려에서는 대막라지 연개소문이 그의 아들 연남생에게 고구려 정예부대 정병 수 만명을 이끌고 압록강을 수비하게 하고 있었고 당나라의 모든 부대가 건너오지 못하였다. 하지만 661년의 겨울은 아주 빨리 찾아왔고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에 도착하였을 때는 압록강에 얼음이 얼었다. 계필하력은 군사를 이끌고 얼음 위로 강을 건너 북을 두드리고 함성을 지르며 기습 공격해왔고 이에 방심하던 고구려 군사가 패주하였다. 계필하력이 수십 리를 추격하며 고구려 군사 3만명을 죽였다. 남은 군사는 모두 항복하였고, 연남생은 간신히 자기 몸만 피하여 달아났다. 이렇게 개전초기 당의 주력 대군은 순식간에 대동강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 평양성을 포위하였고 또다른 정예주력부대는 압록강 하류를 방어하던 고구려 정예부대를 섬멸하고 진주하게 되어 고구려는 주력 대다수 군이 있는 압록강 이북 요동 지역 및 국내성과 압록강 이남의 수도 평양이 단절되는 위기까지 맞게 된다. 마치 과거 한니발의 카르타고 주력부대와 대치하던 로마군이 스키피오의 지휘하에 뒤를 돌아 카르타고의 수도를 직공하여 함락시켰던 상황과 비슷하게 되었다. 전쟁의 양상은 처음 당나라가 기획했던 방향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철옹성이었던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이지만 외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완전히 포위된 고립 상황이 되어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편집] 하지만 전쟁의 양상은 갑자기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661년 10월, 철륵의 회흘부 추장 비속독의 대규모 봉기가 일어난다.본국 당나라에서는 수도 장안이 위급해지는 긴급상황이 발생하게되고 당나라는 정인태를 대총관으로 철륵도행군을 편성하여 출진시켰고 그리고 병력이 부족하여 고구려로 출병했던 소사업의 부대를 회군시켜서 선악도행군으로 긴급히 편성하였고 설인귀,손인사,유심례등을 부총관으로 참전시켜 철륵과의 전쟁에 나섰다. 하지만 정인태가 이끄는 당의 철륵도행군은 전멸을 당해 당은 큰 위기에 빠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철륵 출신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 마저도 철륵 전선에 추가 투입을 위해 긴급히 군사를 철수하라는 조서가 있었으므로 계필하력이 이끄는 주력 요동도행군도 다시 바다를 건너 당으로 돌아가야 했다. 또한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이렇게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자, 해상으로 대거 침입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역으로 적국 한가운데에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히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고구려 국토의 중단 부분이었던 요충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하여 완전히 고립되어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독일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 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장기전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때 이른 고구려의 겨울의 추위를 맞게 되어 따뜻한 중국 남부에서 징발되었던 당의 침공군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또한 압록강 부근에 진주했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요동지역과의 단절이 해제되면서 북쪽의 정예 고구려군이 대단위로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올 수 있었다. 이제 당의 대군은 각지에서 몰려드는 고구려의 대군에 역으로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수 전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사수 전투입니다. 한편 바다로 직접 건너온 방효태가 지휘하는 옥저도행군은 중국 영남지역의 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륙하여 패수, 현재 대동강 상류의 사수 부근에 주둔하였다. 임아상의 패강도행군과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였다. 661년 12월, 날씨가 몹시 추워서 패수가 얼어 붙었고 당나라 군대가 높은 망루가 있는 수레인 운차와 성문을 깨뜨리는 충팽을 앞세우고 북과 징을 울리며 공격해왔다. 고구려 병사들은 용감하고 씩씩했으므로, 총반격에 나서서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당군의 두 진지를 빼앗았다. 이제 당은 다만 두 진지만이 남아 있었으므로, 다시 추가로 총공격하여 밤에 빼앗을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다.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게다가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였다. 따라서 해상으로 대거 침입했던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이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육로로의 식량보급도 끊겨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파울루스 독일 집단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때이른 고구려의 겨울은 추위와 고립으로 당의 대군은 전멸 위기에 놓이게 만들었다. 662년 2월, 드디어 고구려군은 각지의 부대를 모아 각각 고립된 당의 대군에 총공격을 나선다. 특히 방효태가 이끄는 옥저도행군은 따듯한 중국 남부 영남지역의 부대로 고구려의 추위를 견디기 더더욱 어려웠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지휘하에 고구려의 대군은 당의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하여 완전히 몰살시켰다. 이 전투에서 패강도행군은 완전히 무너졌고 대총관 임아상은 행방불명되었다. 한편 옥저도행군 대총관 방효태는 그의 부장들이 포위망을 뚫고 유백영이나 조계숙의 다른 진영으로 탈출하기를 권하였으나 방효태는 '유백영등이 어떻게 나를 구원하겠는가? 또 내가 데리고 온 향리 자제 5천여명이 이제 모두 죽었는데 어찌 나 한 몸만 살아남길 구하겠는가?' 하였다. 이어서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육박하여 공격하니 죽은 자가 수만명에 달했고 방효태는 몸에 화살이 고슴도치처럼 집중되어 그 아들 13인과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사수에서 몰살하였다.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편집] 당군의 고구려 협공 요청에 따라 신라군이 평양으로 향하던 도중, 평양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으로부터의 다급한 군량수송 요청이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통해 들어왔다. 적지에 들어가 군량을 수송하고 돌아와야 하는 어려운 작전에 누구도 자원하려는 자가 없는 가운데, 김유신이 스스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자청해왔다. 문무왕은 기뻐하며 곧 떠나려는 김유신에게 "국경을 넘어서부터, 상벌은 마음대로 하라(出疆之後 賞罰專之可也)"는 면책특권을 주었다. 12월 10일에 유신은 군량 수송을 위해 부장군 김인문·김진복(金眞服)·김양도 등과 함께 쌀 4천 섬과 조(租) 22,250섬을 당군 진영까지 수송할 수송부대를 이끌고 고구려 국경으로 들어갔다. 662년 (보장왕 21년) 2월 16일(음력 정월 23일)에 칠중하(七重河)를 건넜다. 김유신은 고구려군이 큰길에서 지킬 것을 염려해 일부러 험하고 좁은 길을 택해 나아갔는데, 이따금 길에서 적병을 만나 싸워서 이기면서 장새(獐塞)의 험한 곳에 이르렀다. 겨울의 혹한에 사람과 말이 지치고 피곤해 쓰러지는 자가 속출하는 앞에서 김유신은 웃옷을 벗고 직접 채찍을 잡고 말을 몰아 앞에서 사람들을 이끌었다. 그렇게 험한 길을 빠져나와 휘하의 보기감(步騎監) 열기(裂起)·구근(仇近) 등 15명을 먼저 평양에 보내어 신라군이 도착했음을 소정방은 알렸는데, 이때 소정방은 난새와 송아지를 종이에 그려 보냈다. 원효(元曉)의 풀이로 이것이 신라군에게 "어서 군사를 돌리라(速還)"는 암호임이 확인되었고, 양오(楊隩)에 진을 친 김유신은 김인문과 김양도·김군승 부자를 보내어 당의 진영에 군량을 보내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군량을 받자마자 바로 바다를 통해 다시 대철수 작전을 수행했다. 마치 2차세계대전 초기, 독일군에 의해 완전 포위된 연합군이 다이나모 작전을 통해 덩케르크에서 세기의 대철수작전을 했던 것과 양상이 같았다. 다이나모 작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표하 전투[편집] 김유신의 명령으로 당의 진영에 갔던 김양도 등은 따로 군사 8백 명과 함께 뱃길로 귀국했는데, 김유신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군의 기습에 대비해 북과 북채를 모든 소의 허리와 꼬리에 매달아 뛸 때마다 소리를 내게 하고, 또 땔나무를 쌓아 놓고 태워서 연기와 불이 끊이지 않게 해놓는 등의 교란 작전을 펼치면서 밤중에 몰래 표하(瓢河, 임진강)에 이르렀다. 강을 건너기에 이르러 김유신은 "나중에 건너는 놈은 베겠다!"는 명을 내렸고, 군사들이 다투어 강을 건너는데 반쯤 건너자 고구려 병사들이 추격해 와서 미처 건너지 못한 신라 병사들을 잡아 죽였다. 김유신은 다음날 고구려 병사를 뒤쫓아 격퇴하였다. 신라군이 강나루를 건너 강가에서 쉬는데 고구려군이 또 다시 강을 건너 공격 해 왔다. 하지만 노련한 백전노장 김유신의 신라군은 이미 방비가 되어 있었다. 신라군은 이번에 쇠뇌를 이용한 집단사격으로 고구려군을 역습했고 추격전을 폏쳤던 고구려 장수였던 소형 아달혜를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으며 고구려군을 만여명이나 쓰러뜨려 패퇴시키고 무사히 신라로 귀환하였다.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편집] 2차 고구려-당전쟁에서도 고구려는 당나라를 물리쳤지만, 요동지역에서만 전쟁이 치루어졌던 1차 고당 전쟁때와는 달리 2차 고당 전쟁때는 당군이 6갈래로 대대적인 침공을 하였으며 후반에는 신라군도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포함, 그 후방인 압록강 이남 지역 전체가 주 전장터가 되었다. 평양성은 오랫동안 포위되었었고 당의 요청에 따라 신라도 침공군을 보내어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여서 고구려 남부지역을 포함 고구려의 전 지역의 경제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당나라는 백제 원정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어 또 다시 대규모 고구려 원정을 하였으나 도중에 철륵이 봉기하여 철륵과의 전쟁을 치루게 되었고 또 고구려의 강력한 저항에 따른 실패하여 이로 인해 많은 장병과 군수물자를 잃고 피해가 적지 않아 고구려 원정을 사실상 당분간 포기하는 상태가 되었다.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편집] 2차 고구려-당 전쟁의 기록은 예전 1차 고구려-당 전쟁 때 보다도 더 남아있는 기록이 빈약하며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당나라는 예전 고구려-수 전쟁,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총 6개 방면 44만군의 거국적인 출병을 하였으나 중국측 사서에는 단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연남생의 부대를 이기고 급히 철군한 것, 그리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이 대동강 유역에 상륙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것, 사수 대첩으로 전해 지는 옥저도행군의 방효태와 그의 아들들이 전멸한 기록 정도만이 짧게 남아 있다. 따라서 육로로 진격했던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의 요동지역에서의 전투기록과 행적이 전혀 나와 있지 않으며 해상으로 대대적으로 침공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의 상세한 이동 및 전투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전황 및 전쟁의 추이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2차_고구려-당_전쟁&oldid=23531921" 분류: 여당전쟁660년 분쟁661년 분쟁662년 분쟁660년 한국661년 한국662년 한국660년 중국661년 중국662년 중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고구려-당 전쟁의 일부날짜660년 ~ 662년장소랴오둥 반도 일대 및 한반도 중·북부결과 고구려의 피로스의 승리교전국 당나라동돌궐, 신라 고구려말갈지휘관 당 고종 이세적 글필하력 소정방 방효태 † 김유신 연개소문 연남생 뇌음신 생해 vdeh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연개소문의 정변 안시성 전투 만천과해 현도성 전투 신성 전투 개모성 전투 건안성 전투 요동성 전투 백암성 전투 비사성 전투 주필산 전투 안시성 전투 요동 전선 소모전 신성 전투 적리성 전투 박작성 전투 귀단수 전투 적봉진 전투 횡산 전투 석성 전투 제2차 고구려-당 전쟁 패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사수 전투 표하 전투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연남건의 정변 신성 전투 금산성 전투 안시성 전투 부여성 전투 설하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vdeh당나라의 주변 국가 원정 및 정복 수말당초 곽읍 전투 호뢰 전투 현무문의 변 동돌궐 토욕혼 서역 고창 언기 구자 서돌궐 정복 제1차 고구려 설연타 토번 백제 제2차 고구려 제3차 고구려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승리로 끝났지만, 수도인 평양성 바로 앞까지 전선이 밀리고 요동 방어선이 무너지는 등 고구려는 점차 망조가 들기 시작한다. 목차 1 배경 1.1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 1.2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 2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 3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 4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 5 사수 전투 6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 7 표하 전투 8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 8.1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 배경[편집] 앞서 당나라는 설연타를 멸망시켜서 사실상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을 모두 제압하였다. 또한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작전으로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의 대군이 바다를 건너 백제를 침입,멸망시킴으로써 고구려는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것은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달리 고구려 남쪽에서는 신라군 또한 당나라군을 도와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고구려는 남과 북 양쪽으로 공격을 받게되는 더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당나라 역시 전쟁 실패 이후 내부 정쟁으로 장손무기를 비롯한 관롱집단이 측천무후에게 숙청당하는 후폭풍이 있었다. 그런60년 백제의 멸망 시 당나라는 13만이나 되는 대군을 해상을 통해 공격하여 성공한 자신감으로 2차 고구려-당 전쟁 때는 대대적인 해상으로의 침공작전을 기획하게 된다.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편집] 660년 음력 6월에 소정방이 군사 13만 명을 이끌고 신라와 함께 백제를 침략하였다. 나당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백제는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661년 보장왕20년, 이에 고구려는 장군 뇌음신과 말갈 장군 생해를 보내서 신라의 술천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이어서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성주인 대사 동타천의 용맹한 반격으로 회군하였다. 661년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연합군은 그 여세를 몰아 고구려로 진격하였다. 당나라군은 평양을 직접 공격하였고, 당 고종은 4만 4천 명의 병력을 징발하여 고구려의 변방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백제 부흥군은 왜국으로 부터의 구원군의 지원을 받으며 나당연합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신라군이 다시 남진하여 백제부흥군과 싸워야 했으며, 그 상황을 이용하여 고구려는 서북 변방에 병력을 집결시켜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이에 당나라군은 그 해 음력 4월에 다시금 대군을 거느리고 수륙양공 작전을 구사하며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당나라군이 패하자 당나라 조정에서는 고구려와 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으며, 이에 밀린 당 고종은 일시적으로 고구려 공략을 중지하였다.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편집] 661년(보장왕 20년) 5월, 고구려는 백제 부흥군 지원을 위해 장군 뇌음신과 말갈의 장군 생해(生偕)의 군대와 연합하여 신라의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은 고구려가 수차례 신라를 침공했던 신라 북부지역의 요지였다. 20여일간 신라군은 맹렬히 저항했다. 마침내 함락이 용이하지 않아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나려 하였으나 칠중성 내부에 분열이 생기면서 함락하게 된다. 고구려군이 물러날 기세를 보이자 성 내부의 비삽이라는 관리가 몰래 고구려 진영으로 편지를 보내어 "성의 식량이 떨어지고 힘이 다했으니 이제 공격하면 반드시 항복을 받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에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다시 맹렬히 공격을 한다. 성주였던 필부는 비삽이 배신한 것을 알고 그의 머리를 베어 성밖으로 던지면서 성 안의 신라군사들에게 말하였다. " 충신과 의로운 병사는 죽어도 굴하지 않는다. 힘써 노력하라. 성의 존망이 이 한 번의 싸움에 달렸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병사의 기운이 피로하고 지쳐 죽고 부상한 자가 절반이 넘었다. 고구려와 말갈군이 바람을 타고 불을 질러 다시금 성을 맹공격하였고 성주 였던 필부와 그의 군사들은 명렬히 저항하였으나 결국 모두 전사하고 마침내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이 소식은 신라 서라벌까지 전달되었고 무열왕은 크게 슬퍼하여 그의 관등을 추증하였다. 이제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지만 군사를 옮겨 북한산성을 포위하여 공격을 시작한다. 고구려군은 열흘이 지나도록 포위망을 풀지 않고, 포차(抛車)를 벌려놓고 돌을 던지며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북한산성의 성주(城主)인 대사(大舍) 동타천(冬陁川)은 군사를 지휘하여 20여 일간을 견뎠으나 군량과 힘이 다하여 마침내 신라군은 위태롭게 되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전투 당시 장마철로 진입하던 때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별안간 큰 별이 고구려군진에 떨어지고 번개와 벼락이 치며 큰비를 퍼부으니,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장마가 시작되는 시기로써 고구려군이 철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와 신라의 칠중성, 북한산성 전투는 중국 측 사서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사기에만 등장한다. 661년은 이미 백제가 망한 직후 이므로 백제 부흥군을 지원 또는 백제 멸망에 따른 신라에 대한 견제를 위해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한 것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것은 말갈의 장수와 말갈 군사가 신라 침공에 동원되었는데, 661년 시점에도 말갈은 고구려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편집] 661년 음력 8월에 당나라는 드디어 총력을 다해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당군은 총 44만의 대군을 6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다. 예전 수나라의 침공, 그리고 당태종의 1차 침공 때와 확연한 차이는 주력 침공군은 해상으로 바다를 건너 고구려에 상륙하였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고구려 침공 시, 수양제, 당태종은 수군을 통한 공격도 있었지만 엄연히 주력은 육상을 통한 요하를 건너 요동으로 진공하던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 당나라의 2차침공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과거 중화왕조의 전통적인 침공방식이었던 요하를 건너서 요동을 경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해상을 통해 대단위 침공하는 방식이었다. 이미 당태종 때 부터 오랜 기간 선박을 건조하고 수군을 양성하여 충분한 준비를 마쳤기에 총 6개의 대부대 중 2개의 대부대인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은 과거 전통적인 침공루트인 요하를 건너 요동지역으로 침공하였지만 이것은 고구려의 주의를 끌려는 양동작전이었고 실제 정작 주력이자 대다수라 할 수 있는 4개의 대부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은 해상을 통해 바다를 건너 침공하려 하였다.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은 고구려의 국토상 중단 부분인 압록강 하구를 점령하여 북쪽 요동지역과 고구려 남부지역을 단절시키고, 한편 나머지 다른 3개의 대부대는 고구려 수도 평양성의 대동강 하구에 상륙하여 방어군을 일소한 후 고구려 수도 평양성을 순식간에 침공하여 함락시키려 하였다. 특히 평양성을 직공하려는 소정방, 방효태, 임아상의 부대는 660년 백제 침공 때도 성공적으로 해상 침공 작전을 수행했던 진짜 주력 부대였다. 당의 이런 대담한 해상을 통한 대단위 침공작전은 이후 한국전쟁 때 인천상륙작전,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으로 세계 전쟁사에서도 자주 재연되었다. 무엇보다 전년도에도 소정방, 방효태 등은 같은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백제를 침공하여 해안에서 방어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순식간에 포위 함락시킨 성공적인 경험이 있었다. 또한 파견된 군사와 부대의 규모 또한 지난번 백제 정벌 시 소정방이 이끄는 13만군의 해상을 통한 침공작전의 규모를 훨씬 상회하는 3배가 넘었다. 또한 국토의 면적 및 동원할 수 있는 군사력 또한 고구려는 백제와 규모 자체가 달랐음으로 우선 고구려의 주력군이 방어진을 치고 있는 요동지역의 고구려 대군을 묶어두기 위한 양동작전으로써 과거 비사성 함락과 수차례 소규모 침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게릴라전에 능했던 정명진을 파견하여 요동과 북쪽 부여 방면으로도 2갈래로 침공하였다. 그리고 정작 진짜 주력이었던 대다수의 부대는 해상을 통한 침공으로 4개의 부대가 상륙하였고 그 중 고구려와 수차례 실전경험이 있던 계필하력이 이끄는 요동도행군은 압록강하구에, 그리고 전년 백제 침공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소정방이 이끄는 평양도행군과 방효태의 옥저 도행군 그리고 임아상의 패강도행군을 합쳐서 수십만이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 들었다. 이 정도의 대단위 상륙작전은 규모 면에서도 과거 한국전쟁 때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끌던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을 훨씬 상회하며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비견될 정도의 대규모 침공작전이었다. (하지만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는 달리 요동지역 및 그 외 지역의 구체적인 전투 기록및 일지가 남아 있지 않다)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편집] 가을 8월, 마침내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등의 당나라 대군은 패수, 지금의 대동강하류에 상륙하였다. 이들은 정확히 1년 전 백제침공 때도 똑같이 백제영토였던 기벌포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백제군을 물리치고 백제 수도 사비성을 함락시킨 승리의 경험이 있었다. 장소는 달랐지만 시작은 같았다. 갑작스러운 당의 수십만 대군이 바다로부터 기습적으로 밀려오자 해안에서 격렬히 반격하던 고구려 군사들도 크게 격파당하였고 결국 인근 마읍산을 탈취당하였으며 마침내 얼마 멀지 않는 평양성까지 도달하여 포위하였다. 또한 9월,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은 압록강 하류로 상륙한다. 고구려에서는 대막라지 연개소문이 그의 아들 연남생에게 고구려 정예부대 정병 수 만명을 이끌고 압록강을 수비하게 하고 있었고 당나라의 모든 부대가 건너오지 못하였다. 하지만 661년의 겨울은 아주 빨리 찾아왔고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에 도착하였을 때는 압록강에 얼음이 얼었다. 계필하력은 군사를 이끌고 얼음 위로 강을 건너 북을 두드리고 함성을 지르며 기습 공격해왔고 이에 방심하던 고구려 군사가 패주하였다. 계필하력이 수십 리를 추격하며 고구려 군사 3만명을 죽였다. 남은 군사는 모두 항복하였고, 연남생은 간신히 자기 몸만 피하여 달아났다. 이렇게 개전초기 당의 주력 대군은 순식간에 대동강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 평양성을 포위하였고 또다른 정예주력부대는 압록강 하류를 방어하던 고구려 정예부대를 섬멸하고 진주하게 되어 고구려는 주력 대다수 군이 있는 압록강 이북 요동 지역 및 국내성과 압록강 이남의 수도 평양이 단절되는 위기까지 맞게 된다. 마치 과거 한니발의 카르타고 주력부대와 대치하던 로마군이 스키피오의 지휘하에 뒤를 돌아 카르타고의 수도를 직공하여 함락시켰던 상황과 비슷하게 되었다. 전쟁의 양상은 처음 당나라가 기획했던 방향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철옹성이었던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이지만 외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완전히 포위된 고립 상황이 되어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편집] 하지만 전쟁의 양상은 갑자기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661년 10월, 철륵의 회흘부 추장 비속독의 대규모 봉기가 일어난다.본국 당나라에서는 수도 장안이 위급해지는 긴급상황이 발생하게되고 당나라는 정인태를 대총관으로 철륵도행군을 편성하여 출진시켰고 그리고 병력이 부족하여 고구려로 출병했던 소사업의 부대를 회군시켜서 선악도행군으로 긴급히 편성하였고 설인귀,손인사,유심례등을 부총관으로 참전시켜 철륵과의 전쟁에 나섰다. 하지만 정인태가 이끄는 당의 철륵도행군은 전멸을 당해 당은 큰 위기에 빠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철륵 출신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 마저도 철륵 전선에 추가 투입을 위해 긴급히 군사를 철수하라는 조서가 있었으므로 계필하력이 이끄는 주력 요동도행군도 다시 바다를 건너 당으로 돌아가야 했다. 또한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이렇게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자, 해상으로 대거 침입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역으로 적국 한가운데에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히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고구려 국토의 중단 부분이었던 요충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하여 완전히 고립되어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독일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 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장기전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때 이른 고구려의 겨울의 추위를 맞게 되어 따뜻한 중국 남부에서 징발되었던 당의 침공군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또한 압록강 부근에 진주했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요동지역과의 단절이 해제되면서 북쪽의 정예 고구려군이 대단위로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올 수 있었다. 이제 당의 대군은 각지에서 몰려드는 고구려의 대군에 역으로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수 전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사수 전투입니다. 한편 바다로 직접 건너온 방효태가 지휘하는 옥저도행군은 중국 영남지역의 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륙하여 패수, 현재 대동강 상류의 사수 부근에 주둔하였다. 임아상의 패강도행군과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였다. 661년 12월, 날씨가 몹시 추워서 패수가 얼어 붙었고 당나라 군대가 높은 망루가 있는 수레인 운차와 성문을 깨뜨리는 충팽을 앞세우고 북과 징을 울리며 공격해왔다. 고구려 병사들은 용감하고 씩씩했으므로, 총반격에 나서서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당군의 두 진지를 빼앗았다. 이제 당은 다만 두 진지만이 남아 있었으므로, 다시 추가로 총공격하여 밤에 빼앗을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다.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게다가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였다. 따라서 해상으로 대거 침입했던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이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육로로의 식량보급도 끊겨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파울루스 독일 집단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때이른 고구려의 겨울은 추위와 고립으로 당의 대군은 전멸 위기에 놓이게 만들었다. 662년 2월, 드디어 고구려군은 각지의 부대를 모아 각각 고립된 당의 대군에 총공격을 나선다. 특히 방효태가 이끄는 옥저도행군은 따듯한 중국 남부 영남지역의 부대로 고구려의 추위를 견디기 더더욱 어려웠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지휘하에 고구려의 대군은 당의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하여 완전히 몰살시켰다. 이 전투에서 패강도행군은 완전히 무너졌고 대총관 임아상은 행방불명되었다. 한편 옥저도행군 대총관 방효태는 그의 부장들이 포위망을 뚫고 유백영이나 조계숙의 다른 진영으로 탈출하기를 권하였으나 방효태는 '유백영등이 어떻게 나를 구원하겠는가? 또 내가 데리고 온 향리 자제 5천여명이 이제 모두 죽었는데 어찌 나 한 몸만 살아남길 구하겠는가?' 하였다. 이어서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육박하여 공격하니 죽은 자가 수만명에 달했고 방효태는 몸에 화살이 고슴도치처럼 집중되어 그 아들 13인과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사수에서 몰살하였다.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편집] 당군의 고구려 협공 요청에 따라 신라군이 평양으로 향하던 도중, 평양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으로부터의 다급한 군량수송 요청이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통해 들어왔다. 적지에 들어가 군량을 수송하고 돌아와야 하는 어려운 작전에 누구도 자원하려는 자가 없는 가운데, 김유신이 스스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자청해왔다. 문무왕은 기뻐하며 곧 떠나려는 김유신에게 "국경을 넘어서부터, 상벌은 마음대로 하라(出疆之後 賞罰專之可也)"는 면책특권을 주었다. 12월 10일에 유신은 군량 수송을 위해 부장군 김인문·김진복(金眞服)·김양도 등과 함께 쌀 4천 섬과 조(租) 22,250섬을 당군 진영까지 수송할 수송부대를 이끌고 고구려 국경으로 들어갔다. 662년 (보장왕 21년) 2월 16일(음력 정월 23일)에 칠중하(七重河)를 건넜다. 김유신은 고구려군이 큰길에서 지킬 것을 염려해 일부러 험하고 좁은 길을 택해 나아갔는데, 이따금 길에서 적병을 만나 싸워서 이기면서 장새(獐塞)의 험한 곳에 이르렀다. 겨울의 혹한에 사람과 말이 지치고 피곤해 쓰러지는 자가 속출하는 앞에서 김유신은 웃옷을 벗고 직접 채찍을 잡고 말을 몰아 앞에서 사람들을 이끌었다. 그렇게 험한 길을 빠져나와 휘하의 보기감(步騎監) 열기(裂起)·구근(仇近) 등 15명을 먼저 평양에 보내어 신라군이 도착했음을 소정방은 알렸는데, 이때 소정방은 난새와 송아지를 종이에 그려 보냈다. 원효(元曉)의 풀이로 이것이 신라군에게 "어서 군사를 돌리라(速還)"는 암호임이 확인되었고, 양오(楊隩)에 진을 친 김유신은 김인문과 김양도·김군승 부자를 보내어 당의 진영에 군량을 보내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군량을 받자마자 바로 바다를 통해 다시 대철수 작전을 수행했다. 마치 2차세계대전 초기, 독일군에 의해 완전 포위된 연합군이 다이나모 작전을 통해 덩케르크에서 세기의 대철수작전을 했던 것과 양상이 같았다. 다이나모 작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표하 전투[편집] 김유신의 명령으로 당의 진영에 갔던 김양도 등은 따로 군사 8백 명과 함께 뱃길로 귀국했는데, 김유신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군의 기습에 대비해 북과 북채를 모든 소의 허리와 꼬리에 매달아 뛸 때마다 소리를 내게 하고, 또 땔나무를 쌓아 놓고 태워서 연기와 불이 끊이지 않게 해놓는 등의 교란 작전을 펼치면서 밤중에 몰래 표하(瓢河, 임진강)에 이르렀다. 강을 건너기에 이르러 김유신은 "나중에 건너는 놈은 베겠다!"는 명을 내렸고, 군사들이 다투어 강을 건너는데 반쯤 건너자 고구려 병사들이 추격해 와서 미처 건너지 못한 신라 병사들을 잡아 죽였다. 김유신은 다음날 고구려 병사를 뒤쫓아 격퇴하였다. 신라군이 강나루를 건너 강가에서 쉬는데 고구려군이 또 다시 강을 건너 공격 해 왔다. 하지만 노련한 백전노장 김유신의 신라군은 이미 방비가 되어 있었다. 신라군은 이번에 쇠뇌를 이용한 집단사격으로 고구려군을 역습했고 추격전을 폏쳤던 고구려 장수였던 소형 아달혜를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으며 고구려군을 만여명이나 쓰러뜨려 패퇴시키고 무사히 신라로 귀환하였다.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편집] 2차 고구려-당전쟁에서도 고구려는 당나라를 물리쳤지만, 요동지역에서만 전쟁이 치루어졌던 1차 고당 전쟁때와는 달리 2차 고당 전쟁때는 당군이 6갈래로 대대적인 침공을 하였으며 후반에는 신라군도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포함, 그 후방인 압록강 이남 지역 전체가 주 전장터가 되었다. 평양성은 오랫동안 포위되었었고 당의 요청에 따라 신라도 침공군을 보내어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여서 고구려 남부지역을 포함 고구려의 전 지역의 경제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당나라는 백제 원정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어 또 다시 대규모 고구려 원정을 하였으나 도중에 철륵이 봉기하여 철륵과의 전쟁을 치루게 되었고 또 고구려의 강력한 저항에 따른 실패하여 이로 인해 많은 장병과 군수물자를 잃고 피해가 적지 않아 고구려 원정을 사실상 당분간 포기하는 상태가 되었다.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편집] 2차 고구려-당 전쟁의 기록은 예전 1차 고구려-당 전쟁 때 보다도 더 남아있는 기록이 빈약하며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당나라는 예전 고구려-수 전쟁,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총 6개 방면 44만군의 거국적인 출병을 하였으나 중국측 사서에는 단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연남생의 부대를 이기고 급히 철군한 것, 그리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이 대동강 유역에 상륙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것, 사수 대첩으로 전해 지는 옥저도행군의 방효태와 그의 아들들이 전멸한 기록 정도만이 짧게 남아 있다. 따라서 육로로 진격했던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의 요동지역에서의 전투기록과 행적이 전혀 나와 있지 않으며 해상으로 대대적으로 침공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의 상세한 이동 및 전투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전황 및 전쟁의 추이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2차_고구려-당_전쟁&oldid=23531921" 분류: 여당전쟁660년 분쟁661년 분쟁662년 분쟁660년 한국661년 한국662년 한국660년 중국661년 중국662년 중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2차 고구려-당 전쟁고구려-당 전쟁의 일부날짜660년 ~ 662년장소랴오둥 반도 일대 및 한반도 중·북부결과 고구려의 피로스의 승리교전국 당나라동돌궐, 신라 고구려말갈지휘관 당 고종 이세적 글필하력 소정방 방효태 † 김유신 연개소문 연남생 뇌음신 생해 vdeh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연개소문의 정변 안시성 전투 만천과해 현도성 전투 신성 전투 개모성 전투 건안성 전투 요동성 전투 백암성 전투 비사성 전투 주필산 전투 안시성 전투 요동 전선 소모전 신성 전투 적리성 전투 박작성 전투 귀단수 전투 적봉진 전투 횡산 전투 석성 전투 제2차 고구려-당 전쟁 패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사수 전투 표하 전투 제3차 고구려-당 전쟁 연남건의 정변 신성 전투 금산성 전투 안시성 전투 부여성 전투 설하수 전투 평양성 포위전 vdeh당나라의 주변 국가 원정 및 정복 수말당초 곽읍 전투 호뢰 전투 현무문의 변 동돌궐 토욕혼 서역 고창 언기 구자 서돌궐 정복 제1차 고구려 설연타 토번 백제 제2차 고구려 제3차 고구려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다. 전쟁은 고구려의 승리로 끝났지만, 수도인 평양성 바로 앞까지 전선이 밀리고 요동 방어선이 무너지는 등 고구려는 점차 망조가 들기 시작한다. 목차 1 배경 1.1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 1.2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 2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 3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 4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 5 사수 전투 6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 7 표하 전투 8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 8.1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 배경[편집] 앞서 당나라는 설연타를 멸망시켜서 사실상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을 모두 제압하였다. 또한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작전으로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의 대군이 바다를 건너 백제를 침입,멸망시킴으로써 고구려는 외교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것은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달리 고구려 남쪽에서는 신라군 또한 당나라군을 도와 고구려를 공격함으로써 고구려는 남과 북 양쪽으로 공격을 받게되는 더한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다. 당나라 역시 전쟁 실패 이후 내부 정쟁으로 장손무기를 비롯한 관롱집단이 측천무후에게 숙청당하는 후폭풍이 있었다. 그런60년 백제의 멸망 시 당나라는 13만이나 되는 대군을 해상을 통해 공격하여 성공한 자신감으로 2차 고구려-당 전쟁 때는 대대적인 해상으로의 침공작전을 기획하게 된다. 백제의 멸망과 고구려의 고립[편집] 660년 음력 6월에 소정방이 군사 13만 명을 이끌고 신라와 함께 백제를 침략하였다. 나당연합군의 공세에 밀려 백제는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661년 보장왕20년, 이에 고구려는 장군 뇌음신과 말갈 장군 생해를 보내서 신라의 술천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이어서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성주인 대사 동타천의 용맹한 반격으로 회군하였다. 661년 백제를 멸망시킨 나당연합군은 그 여세를 몰아 고구려로 진격하였다. 당나라군은 평양을 직접 공격하였고, 당 고종은 4만 4천 명의 병력을 징발하여 고구려의 변방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백제 부흥군은 왜국으로 부터의 구원군의 지원을 받으며 나당연합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신라군이 다시 남진하여 백제부흥군과 싸워야 했으며, 그 상황을 이용하여 고구려는 서북 변방에 병력을 집결시켜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이에 당나라군은 그 해 음력 4월에 다시금 대군을 거느리고 수륙양공 작전을 구사하며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당나라군이 패하자 당나라 조정에서는 고구려와 휴전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으며, 이에 밀린 당 고종은 일시적으로 고구려 공략을 중지하였다. 고구려의 신라 침공: 칠중성,북한산성 전투[편집] 661년(보장왕 20년) 5월, 고구려는 백제 부흥군 지원을 위해 장군 뇌음신과 말갈의 장군 생해(生偕)의 군대와 연합하여 신라의 칠중성을 침공하였다. 칠중성은 고구려가 수차례 신라를 침공했던 신라 북부지역의 요지였다. 20여일간 신라군은 맹렬히 저항했다. 마침내 함락이 용이하지 않아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나려 하였으나 칠중성 내부에 분열이 생기면서 함락하게 된다. 고구려군이 물러날 기세를 보이자 성 내부의 비삽이라는 관리가 몰래 고구려 진영으로 편지를 보내어 "성의 식량이 떨어지고 힘이 다했으니 이제 공격하면 반드시 항복을 받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이에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다시 맹렬히 공격을 한다. 성주였던 필부는 비삽이 배신한 것을 알고 그의 머리를 베어 성밖으로 던지면서 성 안의 신라군사들에게 말하였다. " 충신과 의로운 병사는 죽어도 굴하지 않는다. 힘써 노력하라. 성의 존망이 이 한 번의 싸움에 달렸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병사의 기운이 피로하고 지쳐 죽고 부상한 자가 절반이 넘었다. 고구려와 말갈군이 바람을 타고 불을 질러 다시금 성을 맹공격하였고 성주 였던 필부와 그의 군사들은 명렬히 저항하였으나 결국 모두 전사하고 마침내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이 소식은 신라 서라벌까지 전달되었고 무열왕은 크게 슬퍼하여 그의 관등을 추증하였다. 이제 뇌음신과 생해의 고구려,말갈군은 지만 군사를 옮겨 북한산성을 포위하여 공격을 시작한다. 고구려군은 열흘이 지나도록 포위망을 풀지 않고, 포차(抛車)를 벌려놓고 돌을 던지며 북한산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북한산성의 성주(城主)인 대사(大舍) 동타천(冬陁川)은 군사를 지휘하여 20여 일간을 견뎠으나 군량과 힘이 다하여 마침내 신라군은 위태롭게 되었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전투 당시 장마철로 진입하던 때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별안간 큰 별이 고구려군진에 떨어지고 번개와 벼락이 치며 큰비를 퍼부으니, 고구려군은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장마가 시작되는 시기로써 고구려군이 철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구려와 신라의 칠중성, 북한산성 전투는 중국 측 사서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사기에만 등장한다. 661년은 이미 백제가 망한 직후 이므로 백제 부흥군을 지원 또는 백제 멸망에 따른 신라에 대한 견제를 위해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한 것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것은 말갈의 장수와 말갈 군사가 신라 침공에 동원되었는데, 661년 시점에도 말갈은 고구려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의 대규모 해상 침공[편집] 661년 음력 8월에 당나라는 드디어 총력을 다해 고구려 공격에 나섰다. 당군은 총 44만의 대군을 6개의 부대로 편성하였다. 예전 수나라의 침공, 그리고 당태종의 1차 침공 때와 확연한 차이는 주력 침공군은 해상으로 바다를 건너 고구려에 상륙하였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고구려 침공 시, 수양제, 당태종은 수군을 통한 공격도 있었지만 엄연히 주력은 육상을 통한 요하를 건너 요동으로 진공하던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번 당나라의 2차침공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과거 중화왕조의 전통적인 침공방식이었던 요하를 건너서 요동을 경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해상을 통해 대단위 침공하는 방식이었다. 이미 당태종 때 부터 오랜 기간 선박을 건조하고 수군을 양성하여 충분한 준비를 마쳤기에 총 6개의 대부대 중 2개의 대부대인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은 과거 전통적인 침공루트인 요하를 건너 요동지역으로 침공하였지만 이것은 고구려의 주의를 끌려는 양동작전이었고 실제 정작 주력이자 대다수라 할 수 있는 4개의 대부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은 해상을 통해 바다를 건너 침공하려 하였다.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은 고구려의 국토상 중단 부분인 압록강 하구를 점령하여 북쪽 요동지역과 고구려 남부지역을 단절시키고, 한편 나머지 다른 3개의 대부대는 고구려 수도 평양성의 대동강 하구에 상륙하여 방어군을 일소한 후 고구려 수도 평양성을 순식간에 침공하여 함락시키려 하였다. 특히 평양성을 직공하려는 소정방, 방효태, 임아상의 부대는 660년 백제 침공 때도 성공적으로 해상 침공 작전을 수행했던 진짜 주력 부대였다. 당의 이런 대담한 해상을 통한 대단위 침공작전은 이후 한국전쟁 때 인천상륙작전,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등으로 세계 전쟁사에서도 자주 재연되었다. 무엇보다 전년도에도 소정방, 방효태 등은 같은 방식으로 성공적으로 백제를 침공하여 해안에서 방어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순식간에 포위 함락시킨 성공적인 경험이 있었다. 또한 파견된 군사와 부대의 규모 또한 지난번 백제 정벌 시 소정방이 이끄는 13만군의 해상을 통한 침공작전의 규모를 훨씬 상회하는 3배가 넘었다. 또한 국토의 면적 및 동원할 수 있는 군사력 또한 고구려는 백제와 규모 자체가 달랐음으로 우선 고구려의 주력군이 방어진을 치고 있는 요동지역의 고구려 대군을 묶어두기 위한 양동작전으로써 과거 비사성 함락과 수차례 소규모 침공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게릴라전에 능했던 정명진을 파견하여 요동과 북쪽 부여 방면으로도 2갈래로 침공하였다. 그리고 정작 진짜 주력이었던 대다수의 부대는 해상을 통한 침공으로 4개의 부대가 상륙하였고 그 중 고구려와 수차례 실전경험이 있던 계필하력이 이끄는 요동도행군은 압록강하구에, 그리고 전년 백제 침공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소정방이 이끄는 평양도행군과 방효태의 옥저 도행군 그리고 임아상의 패강도행군을 합쳐서 수십만이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 들었다. 이 정도의 대단위 상륙작전은 규모 면에서도 과거 한국전쟁 때 더글러스 맥아더가 이끌던 미군의 인천상륙작전을 훨씬 상회하며 2차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비견될 정도의 대규모 침공작전이었다. (하지만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는 달리 요동지역 및 그 외 지역의 구체적인 전투 기록및 일지가 남아 있지 않다) 개전 초기: 대동강, 압록강 전투[편집] 가을 8월, 마침내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등의 당나라 대군은 패수, 지금의 대동강하류에 상륙하였다. 이들은 정확히 1년 전 백제침공 때도 똑같이 백제영토였던 기벌포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백제군을 물리치고 백제 수도 사비성을 함락시킨 승리의 경험이 있었다. 장소는 달랐지만 시작은 같았다. 갑작스러운 당의 수십만 대군이 바다로부터 기습적으로 밀려오자 해안에서 격렬히 반격하던 고구려 군사들도 크게 격파당하였고 결국 인근 마읍산을 탈취당하였으며 마침내 얼마 멀지 않는 평양성까지 도달하여 포위하였다. 또한 9월,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은 압록강 하류로 상륙한다. 고구려에서는 대막라지 연개소문이 그의 아들 연남생에게 고구려 정예부대 정병 수 만명을 이끌고 압록강을 수비하게 하고 있었고 당나라의 모든 부대가 건너오지 못하였다. 하지만 661년의 겨울은 아주 빨리 찾아왔고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에 도착하였을 때는 압록강에 얼음이 얼었다. 계필하력은 군사를 이끌고 얼음 위로 강을 건너 북을 두드리고 함성을 지르며 기습 공격해왔고 이에 방심하던 고구려 군사가 패주하였다. 계필하력이 수십 리를 추격하며 고구려 군사 3만명을 죽였다. 남은 군사는 모두 항복하였고, 연남생은 간신히 자기 몸만 피하여 달아났다. 이렇게 개전초기 당의 주력 대군은 순식간에 대동강에 상륙하여 방어하던 고구려군을 물리치고 평양성을 포위하였고 또다른 정예주력부대는 압록강 하류를 방어하던 고구려 정예부대를 섬멸하고 진주하게 되어 고구려는 주력 대다수 군이 있는 압록강 이북 요동 지역 및 국내성과 압록강 이남의 수도 평양이 단절되는 위기까지 맞게 된다. 마치 과거 한니발의 카르타고 주력부대와 대치하던 로마군이 스키피오의 지휘하에 뒤를 돌아 카르타고의 수도를 직공하여 함락시켰던 상황과 비슷하게 되었다. 전쟁의 양상은 처음 당나라가 기획했던 방향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철옹성이었던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이지만 외부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완전히 포위된 고립 상황이 되어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철륵의 반란과 고립된 당의 대군[편집] 하지만 전쟁의 양상은 갑자기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661년 10월, 철륵의 회흘부 추장 비속독의 대규모 봉기가 일어난다.본국 당나라에서는 수도 장안이 위급해지는 긴급상황이 발생하게되고 당나라는 정인태를 대총관으로 철륵도행군을 편성하여 출진시켰고 그리고 병력이 부족하여 고구려로 출병했던 소사업의 부대를 회군시켜서 선악도행군으로 긴급히 편성하였고 설인귀,손인사,유심례등을 부총관으로 참전시켜 철륵과의 전쟁에 나섰다. 하지만 정인태가 이끄는 당의 철륵도행군은 전멸을 당해 당은 큰 위기에 빠졌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철륵 출신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 마저도 철륵 전선에 추가 투입을 위해 긴급히 군사를 철수하라는 조서가 있었으므로 계필하력이 이끄는 주력 요동도행군도 다시 바다를 건너 당으로 돌아가야 했다. 또한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이렇게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자, 해상으로 대거 침입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역으로 적국 한가운데에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히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고구려 국토의 중단 부분이었던 요충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하여 완전히 고립되어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프리드리히 파울루스의 독일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 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장기전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때 이른 고구려의 겨울의 추위를 맞게 되어 따뜻한 중국 남부에서 징발되었던 당의 침공군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또한 압록강 부근에 진주했던 계필하력의 정예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요동지역과의 단절이 해제되면서 북쪽의 정예 고구려군이 대단위로 수도 평양성으로 몰려올 수 있었다. 이제 당의 대군은 각지에서 몰려드는 고구려의 대군에 역으로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수 전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사수 전투입니다. 한편 바다로 직접 건너온 방효태가 지휘하는 옥저도행군은 중국 영남지역의 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상륙하여 패수, 현재 대동강 상류의 사수 부근에 주둔하였다. 임아상의 패강도행군과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평양성을 포위하고 있였다. 661년 12월, 날씨가 몹시 추워서 패수가 얼어 붙었고 당나라 군대가 높은 망루가 있는 수레인 운차와 성문을 깨뜨리는 충팽을 앞세우고 북과 징을 울리며 공격해왔다. 고구려 병사들은 용감하고 씩씩했으므로, 총반격에 나서서 당군을 크게 물리치고 당군의 두 진지를 빼앗았다. 이제 당은 다만 두 진지만이 남아 있었으므로, 다시 추가로 총공격하여 밤에 빼앗을 계획을 세워놓고 있었다. 661년의 겨울은 빨리 찾아왔고 무척이나 추웠다. 게다가 갑작스러운 철륵의 반란에 따른 당나라 내부 문제가 발생하여 고구려에 출정했던 상당수의 부대가 이미 급히 당나라로 회군하였다. 따라서 해상으로 대거 침입했던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 등의 당의 대부대는 이제 완전 고립상태에 빠진다. 허를 찌르는 해상으로의 고구려 내부 깊숙이 침공한 작전은 좋았지만 갑작스럽게 상황이 바뀌자 이젠 오히려 적국 한가운데 깊숙히 고립되어 사지에 빠진 상태가 되었다. 게다가 압록강 하구를 점령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의 철수로 육로로의 식량보급도 끊겨 버렸다. 마치 2차세계대전의 독소전 당시 소련 내부에 깊숙히 진입했다가 퇴로가 끊겨서 소련군에게 포위되어 전멸 위기를 당한 파울루스 독일 집단군의 형국과 비슷했다. 당의 군사들은 무릎을 끌어안고 곡소리를 했다고 기록에 나와 있을 정도로 절망적인 상황에 빠진다. 소정방은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긴급히 신라에 보내어 식량 및 군사 원조를 요청한다. 1년 전 660년 백제 침공 때 순식간의 해안의 백제군을 요격하고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함락했던 때와는 상황이 너무나도 달랐다.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은 견고했고 때이른 고구려의 겨울은 추위와 고립으로 당의 대군은 전멸 위기에 놓이게 만들었다. 662년 2월, 드디어 고구려군은 각지의 부대를 모아 각각 고립된 당의 대군에 총공격을 나선다. 특히 방효태가 이끄는 옥저도행군은 따듯한 중국 남부 영남지역의 부대로 고구려의 추위를 견디기 더더욱 어려웠다. 대막리지 연개소문의 지휘하에 고구려의 대군은 당의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을 공격하여 완전히 몰살시켰다. 이 전투에서 패강도행군은 완전히 무너졌고 대총관 임아상은 행방불명되었다. 한편 옥저도행군 대총관 방효태는 그의 부장들이 포위망을 뚫고 유백영이나 조계숙의 다른 진영으로 탈출하기를 권하였으나 방효태는 '유백영등이 어떻게 나를 구원하겠는가? 또 내가 데리고 온 향리 자제 5천여명이 이제 모두 죽었는데 어찌 나 한 몸만 살아남길 구하겠는가?' 하였다. 이어서 연개소문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육박하여 공격하니 죽은 자가 수만명에 달했고 방효태는 몸에 화살이 고슴도치처럼 집중되어 그 아들 13인과 방효태가 이끈 옥저도행군은 사수에서 몰살하였다. 신라군의 보급과 당군의 대탈출[편집] 당군의 고구려 협공 요청에 따라 신라군이 평양으로 향하던 도중, 평양을 포위하고 있던 소정방으로부터의 다급한 군량수송 요청이 함자도총관 유덕민을 통해 들어왔다. 적지에 들어가 군량을 수송하고 돌아와야 하는 어려운 작전에 누구도 자원하려는 자가 없는 가운데, 김유신이 스스로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자청해왔다. 문무왕은 기뻐하며 곧 떠나려는 김유신에게 "국경을 넘어서부터, 상벌은 마음대로 하라(出疆之後 賞罰專之可也)"는 면책특권을 주었다. 12월 10일에 유신은 군량 수송을 위해 부장군 김인문·김진복(金眞服)·김양도 등과 함께 쌀 4천 섬과 조(租) 22,250섬을 당군 진영까지 수송할 수송부대를 이끌고 고구려 국경으로 들어갔다. 662년 (보장왕 21년) 2월 16일(음력 정월 23일)에 칠중하(七重河)를 건넜다. 김유신은 고구려군이 큰길에서 지킬 것을 염려해 일부러 험하고 좁은 길을 택해 나아갔는데, 이따금 길에서 적병을 만나 싸워서 이기면서 장새(獐塞)의 험한 곳에 이르렀다. 겨울의 혹한에 사람과 말이 지치고 피곤해 쓰러지는 자가 속출하는 앞에서 김유신은 웃옷을 벗고 직접 채찍을 잡고 말을 몰아 앞에서 사람들을 이끌었다. 그렇게 험한 길을 빠져나와 휘하의 보기감(步騎監) 열기(裂起)·구근(仇近) 등 15명을 먼저 평양에 보내어 신라군이 도착했음을 소정방은 알렸는데, 이때 소정방은 난새와 송아지를 종이에 그려 보냈다. 원효(元曉)의 풀이로 이것이 신라군에게 "어서 군사를 돌리라(速還)"는 암호임이 확인되었고, 양오(楊隩)에 진을 친 김유신은 김인문과 김양도·김군승 부자를 보내어 당의 진영에 군량을 보내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은 군량을 받자마자 바로 바다를 통해 다시 대철수 작전을 수행했다. 마치 2차세계대전 초기, 독일군에 의해 완전 포위된 연합군이 다이나모 작전을 통해 덩케르크에서 세기의 대철수작전을 했던 것과 양상이 같았다. 다이나모 작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표하 전투[편집] 김유신의 명령으로 당의 진영에 갔던 김양도 등은 따로 군사 8백 명과 함께 뱃길로 귀국했는데, 김유신은 퇴각하는 길에 고구려군의 기습에 대비해 북과 북채를 모든 소의 허리와 꼬리에 매달아 뛸 때마다 소리를 내게 하고, 또 땔나무를 쌓아 놓고 태워서 연기와 불이 끊이지 않게 해놓는 등의 교란 작전을 펼치면서 밤중에 몰래 표하(瓢河, 임진강)에 이르렀다. 강을 건너기에 이르러 김유신은 "나중에 건너는 놈은 베겠다!"는 명을 내렸고, 군사들이 다투어 강을 건너는데 반쯤 건너자 고구려 병사들이 추격해 와서 미처 건너지 못한 신라 병사들을 잡아 죽였다. 김유신은 다음날 고구려 병사를 뒤쫓아 격퇴하였다. 신라군이 강나루를 건너 강가에서 쉬는데 고구려군이 또 다시 강을 건너 공격 해 왔다. 하지만 노련한 백전노장 김유신의 신라군은 이미 방비가 되어 있었다. 신라군은 이번에 쇠뇌를 이용한 집단사격으로 고구려군을 역습했고 추격전을 폏쳤던 고구려 장수였던 소형 아달혜를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으며 고구려군을 만여명이나 쓰러뜨려 패퇴시키고 무사히 신라로 귀환하였다. 당나라의 퇴각과 평가[편집] 2차 고구려-당전쟁에서도 고구려는 당나라를 물리쳤지만, 요동지역에서만 전쟁이 치루어졌던 1차 고당 전쟁때와는 달리 2차 고당 전쟁때는 당군이 6갈래로 대대적인 침공을 하였으며 후반에는 신라군도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는 요동지역을 포함, 그 후방인 압록강 이남 지역 전체가 주 전장터가 되었다. 평양성은 오랫동안 포위되었었고 당의 요청에 따라 신라도 침공군을 보내어 북진하여 평양성에 합류하여서 고구려 남부지역을 포함 고구려의 전 지역의 경제 활동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당나라는 백제 원정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어 또 다시 대규모 고구려 원정을 하였으나 도중에 철륵이 봉기하여 철륵과의 전쟁을 치루게 되었고 또 고구려의 강력한 저항에 따른 실패하여 이로 인해 많은 장병과 군수물자를 잃고 피해가 적지 않아 고구려 원정을 사실상 당분간 포기하는 상태가 되었다. 누락된 전쟁 기록의 의문[편집] 2차 고구려-당 전쟁의 기록은 예전 1차 고구려-당 전쟁 때 보다도 더 남아있는 기록이 빈약하며 대부분이 생략되어 있다. 당나라는 예전 고구려-수 전쟁, 1차 고구려-당 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총 6개 방면 44만군의 거국적인 출병을 하였으나 중국측 사서에는 단지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이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연남생의 부대를 이기고 급히 철군한 것, 그리고 소정방의 평양도행군이 대동강 유역에 상륙하여 평양성을 포위한 것, 사수 대첩으로 전해 지는 옥저도행군의 방효태와 그의 아들들이 전멸한 기록 정도만이 짧게 남아 있다. 따라서 육로로 진격했던 소사업의 부여도행군과 정명진의 누방도행군의 요동지역에서의 전투기록과 행적이 전혀 나와 있지 않으며 해상으로 대대적으로 침공했던 계필하력의 요동도행군, 소정방의 평양도행군, 임아상의 패강도행군, 방효태의 옥저도행군의 상세한 이동 및 전투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전황 및 전쟁의 추이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2차_고구려-당_전쟁&oldid=23531921" 분류: 여당전쟁660년 분쟁661년 분쟁662년 분쟁660년 한국661년 한국662년 한국660년 중국661년 중국662년 중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8: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08년 2월)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킨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는 언어학적으로는 동일한 언어이지만 남북 분단의 장기화 때문에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남북 언어 규범을 중심으로 그 언어적 차이를 기술한다. 목차 1 총론 2 자모음 3 발음 3.1 자음 3.2 모음 3.3 음조 4 표기법 4.1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 4.2 한자어에 관한 표기 4.3 합성어에 관한 표기 5 띄어쓰기 6 어휘 6.1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 6.2 외래어의 차이 6.3 기타 어휘의 차이 7 같이 보기 8 참고 문헌 9 각주 총론[편집] 한국어의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해방 후에도 남북에서 계속 사용되었지만 194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기 출범하면서 서로 다른 언어 정책을 펼치게 되었다. 1954년에 북한이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처음으로 규범상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때에는 맞춤법에서 몇 가지 세세한 부분이 개정되었을 뿐이어서, 전체적으로 보면 남북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 이른바 주체사상이 대두되면서 언어 정책에서 큰 변화가 생겨났다. 북한에서는 ‘조선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몇 가지 문제’(1964년 1월 3일),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1966년 5월 14일)라는 김일성 교시에 따라, 1966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직속 국어사정위원회가 ‘조선말규범집’을 발표하면서, 이때 남북 간의 언어 규범에 큰 차이가 생겼다. 그 후 북한에서는 1987년 및 2010년에 조선말규범집을 개정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띄어쓰기에 관한 규정은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제정되였다가 2003년에 새로‘띄여쓰기규정’이 제정되었는데, 이것이 2010년의 조선말규범집에 반영되면서 북한의 현행 띄어쓰기 규범이 되였다. 남한에서는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계속 사용해 오다가, 1988년에 그것을 개정한 한글 맞춤법을 제정했으며 표준어 규정도 같이 만들어 오늘에 이른다. 자모음[편집] 한국어를 표기하는 문자로는 남북 모두 한글을 쓴다. 다만 활자와 관련하여 ‘ㅌ’은 북한에서는 ‘ㄷ’ 안에 가로줄을 그어서 표기하는 문자가 아니라 ‘ㄷ’ 위에 긋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자모 중에 합성 모음 자모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와 합성 자음 자모 ‘ㄲ, ㄸ, ㅃ, ㅆ, ㅉ’을 정식 자모로 인정하지 않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합성 자모도 정식 자모로 인정한다. 자음 자모 중에 남북 간 명칭이 서로 다른 것이 있다. 자모 대한민국 명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ㄱ 기역 기윽 ㄷ 디귿 디읃 ㅅ 시옷 시읏 ㄲ 쌍기역 된기윽 ㄸ 쌍디귿 된디읃 ㅃ 쌍비읍 된비읍 ㅆ 쌍시옷 된시읏 ㅉ 쌍지읒 된지읒 대한민국의 명칭 ‘기역’, ‘디귿’, ‘시옷’은 훈몽자회(訓蒙字會, 1527년)에서 사용한 명칭을 계승한 것인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명칭은 ‘-ㅣ으-’라는 어형을 사용해 일관된 명칭을 붙였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훈몽자회에서 사용한 잘못된 한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라는 비판적 의견이 있다.[1] 경음 자모의 명칭은 대한민국에서 ‘쌍-’을 붙이는 데에 반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된-’을 붙인다. 사전 표제어 배열 사전 표제어 배열은 아래와 같다. 모음 남: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북: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자음 남: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북: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ㄲ ㄸ ㅃ ㅆ ㅉ 조선말규범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정규 자모로 삼아 기본 자모 뒤에 배열하는 데에 반해 한글 맞춤법(대한민국)에서는 합성 자모를 기본 자모 배열 안에 집어 넣는다. 예를 들면 ‘ㅏ’ 다음에는 ‘ㅏ’와 ‘ㅣ’의 합성 자모 ‘ㅐ’가 오거나 또는 ‘ㅗ’ 다음에는 ‘ㅗ’로 시작하는 합성 자모 ‘ㅘ, ㅙ, ㅚ’가 오는 것이 그 예이다. 자음 자모 ‘ㅇ’에 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음가를 가진 받침 경우만 ‘ㅅ’과 ‘ㅈ’ 사이에 배치하지만 음가를 가지지 않는 초성의 경우 모든 자음 자모 뒤에 (즉 ‘ㅉ’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로서 배열한다. 발음[편집] 표준어와 문화어는 자음・모음의 음소 종류와 수는 같지만 음성적인 특징이 약간 다르다. 대한민국의 표준어 발음은 서울 방언에 근거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발음은 평양 방언에 근거해서 발음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자음[편집] 자음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이가 인정된다. /ㅈ/, /ㅊ/, /ㅉ/은, 서울 방언에서는 치조구개 파찰음 [ʨ], [ʨʰ], [ʨ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양 방언에서는 치조 파찰음 [ʦ], [ʦʰ], [ʦʼ]로 발음(예: ‘자동’은 대한민국에서 [ʨadoŋ],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ʦadoŋ]). 그리고 /지/, /시/ 등은 평양에서는 구개음화하지 않는 발음 [ʦi], [si]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어는 남한에서 두음 법칙에 따라 어두에 /ㄴ/의 일부와 /ㄹ/이 나타나지 않지만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두에 /ㄴ/, /ㄹ/이 나타난다. 단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이 발음은 노년층의 화자 중에는 어두의 /ㄴ/, /ㄹ/을 발음하지 못하고 남한과 같이 발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추정된다. 모음[편집] 모음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난다. /ㅓ/는 서울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약하고, 평양 방언에서는 원순의 정도가 강하다. 국제 음성 기호로 나타내면 서울 방언이 [ʌ]인 데 반해 평양 방언은 [ɔ]이다. 이 원순성 때문에 서울 방언 화자에게 평양 방언의 ㅓ발음은 ㅗ에 가까운 소리로 들린다. 음조[편집] 음조는 서울 방언과 평양 방언이 서로 다르지만 그 차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조선말대사전’(1992년)에서는 몇몇 단어를 음성 분석기로 분석한 단어의 음조가 3단계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꾀꼬리’의 음조는 232(2가 낮고 3이 높음)로 나타나는 등 서울 방언과 다른 음조가 발견된다. 표기법[편집] 용언 어형에 관한 표기[편집] 1. -아/-어형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모음 어간은 남한에서 ‘-어’가 붙지만 북한에서는 ‘-여’가 붙는다. 그러나 실제 발음은 남한에서도 과도음 [j]를 수반할 경우가 많다. 남 북 피어 피여 내어 내여 세어 세여 되어 되여 뛰어 뛰여 희어 희여 2. 불규칙활용 북한에서 불규칙활용에‘-아/어’를 붙일 때 앞모음의 ‘ㅏ,ㅗ’가 오는 경우, ‘ㅂ’이 ‘오’로 바꾼다. 남 북 아름다워 아름다와[2] 고마워 고마와 3. 어미에서 ‘ㄹ’ 직후의 경음 표기 어원적으로 관형사형 ‘-ㄹ’이 들어가 종성 ‘ㄹ’이 포함된 어미들을 남한에서는 ‘-ㄹ까, -ㄹ쏘냐’ 등으로 적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ㄹ가, -ㄹ소냐’와 같이 ‘ㄹ’ 직후가 평음 글자로 적힌다. '-ㄹ게'는 원래 'ㄹ께'로 적던 것이지만, 예외를 인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므로, 예사소리 형태로 통일한다는 뜻에서 'ㄹ게'로 바꾼 것이다.[3]. 한자어에 관한 표기[편집] 1. 두음 법칙 문화어에서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준어에서는 ‘ㄹ’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는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문자로는 ‘ㄹ’이 ‘ㅣ, ㅑ, ㅕ, ㅖ,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에 ‘ㄹ’이 ‘ㅇ’으로 표기와 발음이 바뀌며, 그 이외의 경우는 ‘ㄹ’이 ‘ㄴ’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초성 ‘ㄹ’을 그대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남 북 한자 표기 이성계 리성계 李成桂 연습 련습 練習 낙하 락하 落下 냉수 랭수 冷水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라주시 全羅南道羅州市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북도 녕변군 平安北道寧邊郡 이것과 마찬가지로 ‘ㄴ’이 어두에 오는 한자어에서 직후에 모음 [i] 혹은 반모음 [j]가 오는 경우에 (문자로는 ‘ㄴ’이 ‘ㅣ, ㅕ, ㅛ, ㅠ’와 어울리는 경우) 표준어에서는 ‘ㄴ’이 ‘ㅇ’으로 바뀌지만, 문화어에서는 어두에 ‘ㄴ’이 유지된다. 남 북 한자표기 이승 니승 尼僧 여자 녀자 女子 양강도 량강도 兩江道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려수시 全羅南道麗水市 경상북도 예천군 경상북도 례천군 慶尙北道醴泉郡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북한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표기대로 어두의 ‘ㄴ, ㄹ’을 그대로 발음하기로 되어 있다. 다만 남한에서도 ‘유(柳), 임(林)’ 등의 성은 ‘유(兪), 임(任)’ 등과 구별하기 위해 일부러 ‘류(柳), 림(林)’으로 쓰는 경우도 있다. 2. 한자음 한자음들 가운데 남한에서 ‘몌, 폐’로 표기하는 것이 북한에서는 ‘메, 페’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에서도 [메], [페]로 할 수가 있다. 이와 반대로 남한에서 '게'로 적는 한자 중에서 '휴게실'의 '게' 만은 '계'로 표기된다. 발음은 남한과 같이 [게]가 된다. 남 북 한자 표기 몌별 메별 袂別 폐쇄 페쇄[4] 閉鎖 휴게 휴계[5] 休憩 일부 한자는 한자음이 다른 경우가 있다. 남 북 한자 표기 갹 거 醵 왜 외 歪 또 북한에서 ‘수(讐)’의 일반적인 한자음은 ‘수’이지만 ‘怨讐’라는 한자어의 경우에는 ‘원쑤’가 된다. 이는 ‘원수(元帥)’와 발음이 같아지는 것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6]. 합성어에 관한 표기[편집] 1. 사이시옷 체언 어근이 어울릴 때 남한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쓰지만 북한에서는 쓰지 않는다. 다만 발음은 남한과 동일하다. 남 북 발음 젓가락 저가락 [젇까락/저까락] 나뭇잎 나무잎 [나문닙] 2. 합성어의 어근 표기 합성어 표기는 낱낱 어근을 명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어원 의식이 희박한 경우에는 명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은 남북이 동일하다. 그러나 어근을 어떻게 분석하는가에 따라 몇몇 합성어의 경우 표기법의 차이가 보인다. 남 북 올바르다 옳바르다 벚꽃 벗꽃 위에서 ‘올바르다’는 남한에서 ‘올’의 부분이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발음대로 ‘올바르다’라고 적은 데 반해 북한에서는 ‘옳다’의 어간이라 판단하여 ‘옳바르다’로 적는다. 발음은 [올바르다]로 동일하다. ‘벚꽃’은 남한에서 ‘벚’과 ‘꽃’의 합성어로 파악한 데 반해 북한에서는 어원 의식을 잃었다고 판단하여 ‘벗꽃’으로 적는다. 띄어쓰기[편집] 대한민국의 맞춤법은 띄어쓰기 규정이 느슨한 데 비해 북한의 맞춤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다. 일반적으로 북한에 비해 대한민국이 띄어쓰기를 자주 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의존명사 의존명사(문화어로는 ‘불완전명사’)는 대한민국에서는 띄어쓰고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수사와 단위성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도 하나, 대한민국에서는 일부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내 것 내것 할 수 있다 할수 있다 한 개 한개 2. 보조용언 보조용언은 북한에서는 붙여 쓰지만, 대한민국에서는 기본적으로 띄어씀이 원칙이나, 붙여 쓰기를 허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 북 먹어 보다 / 먹어보다 먹어보다 올 듯하다 / 올듯하다 올듯하다 읽고 있다 읽고있다 자고 싶다 자고싶다 위와 같이 대한민국에서는 ‘-아/-어’형이나 관형사형 뒤에 보조용언이 올 때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7] 있으나 ‘-고’ 뒤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3. 하나의 개념을 나타낸 것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은,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띄어쓰나, 북한에서는 붙여 쓴다. 단, 고유명사와 전문 용어는 대한민국에서도 붙여 쓰기를 허용하고 있다. 남 북 국어 사전 국어사전 경제 부흥 상황 경제부흥상황 서울 대학교 인문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어휘[편집] 표준어는 서울 방언에 기초를 두고 문화어는 평양 방언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남북 둘 다 표준어의 어휘와 어형은 1936년에 조선어학회가 정한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어휘는 남북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러나 정치 체제와 사회 제도의 차이 때문에 신조어에는 차이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정치 체제, 사회 제도로 인한 차이[편집] 남(한자표기) 북(한자표기) 한반도(韓半島) 조선반도(朝鮮半島) 한국 전쟁(韓國戰爭) 조국해방전쟁(祖國解放戰爭) 초등학교(初等學校) 소학교(小學校) 친구(親舊) 동무 ‘동무’는 고유어로, 한반도 전체에서 널리 쓰였었는데, 남북 분단 후에 북한에서는 러시아어 ‘товарищ’(친구, 동지, 토바리시)의 번역어로 사용하면서부터는, 남한에서는 북한에서 쓰는 공산주의 용어로 치부되어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어깨동무’등의 말에서는 명맥을 유지한다.) 외래어의 차이[편집] 외래어 어휘는, 남북이 각각 영어와 러시아어를 통해 주로 들여왔기에, 정착된 어형이 많이 다르며, 또한 외국 국명이나 지명은 남북 모두 현지어를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한다. 대한민국 (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 트랙터 (영어: Tractor) 뜨락또르 (러시아어: трактор) 스타킹 (영어: Stocking) 스토킹 (영어: Stocking) 폴란드 (영어: Poland) 뽈스까 (폴란드어: Polska) 기타 어휘의 차이[편집] 그 밖에, 남북의 어휘의 차이는 주로, 서울`방언과 평양`방언의 차이에서 연유된다고 추측된다. 남 북 옥수수 강냉이 위[上] 우[9] 망치 마치 ‘강냉이, 우’와 같은 어휘는, ‘남쪽에서도 방언형 "강원도, 경상도"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로는, ‘마스다(깨서 못쓰게 만들다)’와, 그 자동사 형태인 ‘마사지다(깨어져 못쓰게 되다)’ 같은 단어는 그것에 대응하는 어휘가 표준어에 없다. 마찬가지로, 표준어에만 있는 고유 어휘도 많다. 같이 보기[편집] 한글 맞춤법 조선말규범집 한자 부활 참고 문헌[편집]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 」, 《언어학》 제37호, 한국 언어학회, 2003 각주[편집] ↑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김태훈 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2007년 10월 7일 《한겨레신문》 ↑ 조선말대사전:《우선 외모로부터 아름다와야 하지 않을가요?》 《아니야, 겉보다 속이 아름다와야 해…》(장편소설 《백양나무》)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ㄹ게 / -ㄹ께 , -ㄹ거 / -ㄹ꺼' ↑ 페쇄[페:쇄] pʰe:swɛ 막거나 닫는것. (閉鎖)|| ~장치(문화어발음사전, 2014). ↑ 휴계-실[휴게실] hjugeɕil 쉴수 있게 마련된 방. (休憩室)|| 극장~(문화어발음사전, 2014). 그런데 조선어 철자법(1954)에서는 '《揭》만은 본음대로 《게》로 적는다.'라고 되고 있었다. ↑ 그런데, 이 단어에 대하여 북한의 사전에서는 한자를 병기하지 않고 고유어와 같이 취급하고 있다. ↑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북한 "남북 언어 서로 다른 길 걸어",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정순기 교수, 2007년 10월 9일 《SBS뉴스》 ↑ 다만 북한에서도 실제상 위로 발음하기가 많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어의_남북_간_차이&oldid=24548049" 분류: 한국어언어 비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2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폴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eranto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Tagalog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9일 (화) 11: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 FIFA 월드컵 남아메리카 지역 예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열렸다. 회원국 수가 적어서 월드컵 지역 예선 중 유일하게 풀리그 형식으로만 진행이 된다. 남미 예선에서 1위부터 4위까지를 기록한 4개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5위를 기록한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한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목차 1 경기 결과 1.1 라운드 1 1.2 라운드 2 1.3 라운드 3 1.4 라운드 4 1.5 라운드 5 1.6 라운드 6 1.7 라운드 7 1.8 라운드 8 1.9 라운드 9 1.10 라운드 10 1.11 라운드 11 1.12 라운드 12 1.13 라운드 13 1.14 라운드 14 1.15 라운드 15 1.16 라운드 16 1.17 라운드 17 1.18 라운드 18 2 대륙간 플레이오프 3 본선 진출 4 외부 링크 경기 결과[편집] 보기 색상 기준 본선에 직행한 조 4위 이상 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5위 팀 탈락한 조 6위 이하 팀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브라질 18 9 7 2 33 11 +22 34 칠레 18 10 3 5 32 22 +10 33 파라과이 18 10 3 5 24 16 +8 33 아르헨티나 18 8 4 6 23 20 +3 28 우루과이 18 6 6 6 28 20 +8 24 에콰도르 18 6 5 7 22 26 −4 23 콜롬비아 18 6 5 7 14 18 −4 23 베네수엘라 18 6 4 8 23 29 −6 22 볼리비아 18 4 3 11 22 36 −14 15 페루 18 3 4 11 11 34 −23 13   브라질 – 4-2 2-1 0-0 2-1 5-0 0-0 0-0 0-0 3-0 칠레 0-3 – 0-3 1-0 0-0 1-0 4-0 2-2 4-0 2-0 파라과이 2-0 0-2 – 1-0 1-0 5-1 0-2 2-0 1-0 1-0 아르헨티나 1-3 2-0 1-1 – 2-1 1-1 1-0 4-0 3-0 2-1 우루과이 0-4 2-2 2-0 0-1 – 0-0 3-1 1-1 5-0 6-0 에콰도르 1-1 1-0 1-1 2-0 1-2 – 0-0 0-1 3-1 5-1 콜롬비아 0-0 2-4 0-1 2-1 0-1 2-0 – 1-0 2-0 1-0 베네수엘라 0-4 2-3 1-2 0-2 2-2 3-1 2-0 – 5-3 3-1 볼리비아 2-1 0-2 4-2 6-1 2-2 1-3 0-0 0-1 – 3-0 페루 1-1 1-3 0-0 1-1 1-0 1-2 1-1 1-0 1-0 – 라운드 1[편집] 2007년 10월 13일 16:30 UTC-2 우루과이 5 - 0 볼리비아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4' 포를란  38' 아브레우  47' 산체스  67' 부에노  83' 2007년 10월 13일 17:40 UTC-3 아르헨티나 2 - 0 칠레 부에노스아이레스 리켈메  27', 45' 2007년 10월 13일 17:50 UTC-5 에콰도르 0 - 1 베네수엘라 키토 레이  68' 2007년 10월 13일 20:00 UTC-5 페루 0 - 0 파라과이 리마 2007년 10월 14일 16:00 UTC-5 콜롬비아 0 - 0 브라질 보고타 라운드 2[편집] 2007년 10월 16일 20:40 UTC-4 베네수엘라 0 - 2 아르헨티나 마라카이보 밀리토  16' 메시  43' 2007년 10월 17일 16:00 UTC-4 볼리비아 0 - 0 콜롬비아 라파스 2007년 10월 17일 19:10 UTC-3 칠레 2 - 0 페루 산티아고 수아소  11' 페르난데스  51' 2007년 10월 17일 18:10 UTC-4 파라과이 1 - 0 우루과이 아순시온 발데스  14' 2007년 10월 17일 21:45 UTC-2 브라질 5 - 0 에콰도르 리우데자네이루 바그네르 로베  19' 호나우지뉴  72' 카카  77', 85' 일라누  83' 라운드 3[편집] 2007년 11월 17일 16:00 UTC-3 아르헨티나 3 - 0 볼리비아 부에노스아이레스 아구에로  41' 리켈메  57', 74' 2007년 11월 17일 16:10 UTC-5 콜롬비아 1 - 0 베네수엘라 보고타 부스토스  82' 2007년 11월 17일 20:10 UTC-3 파라과이 5 - 1 에콰도르 아순시온 발데스  9' 리베로스  27', 88' 산타 크루스  51' 아얄라  83' 카비에데스  80' 2007년 11월 18일 17:00 UTC-2 우루과이 2 - 2 칠레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42'아브레우  81' 살라스  59', 70' (페널티킥) 2007년 11월 18일 16:10 UTC-5 페루 1 - 1 브라질 리마 바르가스  72' 카카  44' 라운드 4[편집] 2007년 11월 20일 18:40 UTC-4 베네수엘라 5 - 3 볼리비아 산크리스토발 아리스멘디  20', 40' 게라  81' 말도날도  89', 90+2' 모레노  19', 77'아르세  27' 2007년 11월 20일 19:50 UTC-5 콜롬비아 2 - 1 아르헨티나 보고타 부스토스  62'다이로 모레노  82' 메시  36' 2007년 11월 21일 16:30 UTC-5 에콰도르 5 - 1 페루 키토 아요비  10', 48'카비에데스  24'멘데스  44', 62' 멘도사  86' 2007년 11월 21일 21:45 UTC-2 브라질 2 - 1 우루과이 상파울루 루이스 파비아누  45', 64' 아브레우  9' 2007년 11월 21일 22:30 UTC-3 칠레 0 - 3 파라과이 산티아고 카바냐스  24'다 실바  45+1', 56' 라운드 5[편집] 2008년 6월 14일 16:00 UTC-3 우루과이 1 - 1 베네수엘라 몬테비데오 루가노  12' 바르가스  56' 2008년 6월 14일 20:00 UTC-5 페루 1 - 1 콜롬비아 리마 마리뇨  40' 로다예가  8' 2008년 6월 14일 15:00 UTC-4 파라과이 2 - 0 브라질 아순시온 산타 크루스  26'카바냐스  49' 2008년 6월 14일 18:10 UTC-3 아르헨티나 1 - 1 에콰도르 부에노스아이레스 팔라시오  90+3' 우루티아  68' 2008년 6월 14일 19:30 UTC-4 볼리비아 0 - 2 칠레 라파스 메델  29', 76' 라운드 6[편집] 2008년 6월 17일 19:00 UTC-3 우루과이 6 - 0 페루 몬테비데오 포를란  8', 38' (페널티킥) 부에노  61', 69' 아브레우  90' 2008년 6월 18일 16:10 UTC-4 볼리비아 4 - 2 파라과이 라파스 보테로  23', 70' 가르시아  25' 모레노  76' 산타 크루스  66' 발데스  82' 2008년 6월 18일 17:00 UTC-5 에콰도르 0 - 0 콜롬비아 키토 2008년 6월 18일 21:50 UTC-3 브라질 0 - 0 아르헨티나 벨루오리존치 2008년 6월 19일 20:00 UTC-4:30 베네수엘라 2 - 3 칠레 푸에르토라크루스 말도나도  59' 아랑고  80' 수아소  65' (페널티킥) 하라  72' 라운드 7[편집] 2008년 9월 6일 16:00 UTC-3 아르헨티나 1 - 1 파라과이 부에노스아이레스 아구에로  60' 에인세  13' (자책골) 2008년 9월 6일 16:10 UTC-5 에콰도르 3 - 1 볼리비아 키토 카이세도  21' 멘데스  51' (페널티킥) 베니테스  72' 보테로  40' 2008년 9월 6일 18:20 UTC-5 콜롬비아 0 - 1 우루과이 보고타 에구렌  15' 2008년 9월 6일 20:30 UTC-5 페루 1 - 0 베네수엘라 리마 알바  39' 2008년 9월 7일 21:00 UTC-4 칠레 0 - 3 브라질 산티아고 루이스 파비아누  21', 83' 호비뉴  45' 라운드 8[편집] 2008년 9월 9일 20 :00 UTC-4 파라과이 2 - 0 베네수엘라 아순시온 리베로스  28' 발데스  45' 2008년 9월 10일 17:40 UTC-3 우루과이 0 - 0 에콰도르 몬테비데오 2008년 9월 10일 18:40 UTC-4 칠레 4 - 0 콜롬비아 산티아고 하라  26' 수아소  38' 푸엔테스  48' 페르난데스  71' 2008년 9월 10일 21:50 UTC-3 브라질 0 - 0 볼리비아 리우데자네이루 2008년 9월 10일 21:30 UTC-5 페루 1 - 1 아르헨티나 리마 파노  90+3' 캄비아소  82' 라운드 9[편집] 2008년 10월 11일 15:00 UTC-4 볼리비아 3 - 0 페루 라파스 보테로  4', 16' 가르시아  81' 2008년 10월 11일 18:10 UTC-3 아르헨티나 2 - 1 우루과이 부에노스아이레스 메시  6' 아구에로  13' 루가노  40' 2008년 10월 11일 18:20 UTC-5 콜롬비아 0 - 1 파라과이 보고타 카바냐스  9' 2008년 10월 12일 15:30 UTC-4:30 베네수엘라 0 - 4 브라질 산크리스토발 카카  6' 호비뉴  10', 67' 아드리아누  19' 2008년 10월 12일 16:55 UTC-5 에콰도르 1 - 0 칠레 키토 베니테스  71' 라운드 10[편집] 2008년 10월 14일 16:00 UTC-4 볼리비아 2 - 2 우루과이 라파스 모레노  15', 41' 부에노  64' 아브레우  88' 2008년 10월 15일 17:10 UTC-4 파라과이 1 - 0 페루 아순시온 카르도소  81' 2008년 10월 15일 20:15 UTC-3 칠레 1 - 0 아르헨티나 산티아고 오레야나  35' 2008년 10월 15일 22:00 UTC-3 브라질 0 - 0 콜롬비아 리우데자네이루 2008년 10월 15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3 - 1 에콰도르 푸에르토라크루스 말도나도  48' 모레노  56' 아랑고  67' 미나  12' 라운드 11[편집] 2009년 3월 28일 17:00 UTC-3 우루과이 2 - 0 파라과이 몬테비데오 포를란  28' 루가노  57' 2009년 3월 28일 19:10 UTC-3 아르헨티나 4 - 0 베네수엘라 부에노스아이레스 메시  26' 테베스  47' 로드리게스  51' 아구에로  73' 2009년 3월 28일 19:20 UTC-5 콜롬비아 2 - 0 볼리비아 보고타 토레스  26' 렌테리아  88' 2009년 3월 29일 16:00 UTC-5 에콰도르 1 - 1 브라질 키토 노보아  89' 바프티스타  72' 2009년 3월 29일 18:10 UTC-5 페루 1 - 3 칠레 리마 파노  34' 산체스  2' 수아소  32' (페널티킥) 페르난데스  70' 라운드 12[편집] 2009년 3월 31일 20:00 UTC-4:30 베네수엘라 2 - 0 콜롬비아 시우다드과야나 페도르  77' 아랑고  82' 2009년 4월 1일 15:30 UTC-4 볼리비아 6 - 1 아르헨티나 라파스 모레노  11' 보테로  33' (페널티킥) 다 로사  44' 토리코  86' 곤살레스  24' 2009년 4월 1일 16:20 UTC-5 에콰도르 1 - 1 파라과이 키토 노보아  63' 베니테스  90+3' 2009년 4월 1일 19:10 UTC-4 칠레 0 - 0 우루과이 산티아고 2009년 4월 1일 22:10 UTC-3 브라질 3 - 0 페루 포르투알레그리 루이스 파비아누  18' (페널티킥) 펠리피 멜루  64' 라운드 13[편집] 2009년 6월 6일 16:00 UTC-3 우루과이 0 - 4 브라질 몬테비데오 다니에우 아우베스  12' 주앙  36' 루이스 파비아누  52' 카카  75' (페널티킥) 2009년 6월 6일 16:50 UTC-4 볼리비아 0 - 1 베네수엘라 라파스 리베로  33' (자책골) 2009년 6월 6일 18:00 UTC-3 아르헨티나 1 - 0 콜롬비아 부에노스아이레스 디아스  56' 2009년 6월 6일 18:50 UTC-4 파라과이 0 - 2 칠레 아순시온 페르난데스  13' 수아소  50' 2009년 6월 7일 15:30 UTC-5 페루 1 - 2 에콰도르 리마 바르가스  52' 몬테로  38' 테노리오  59' 라운드 14[편집] 2009년 6월 10일 16:00 UTC-5 에콰도르 2 - 0 아르헨티나 키토 아요비  72' 팔라시오스  83' 2009년 6월 10일 18:00 UTC-5 콜롬비아 1 - 0 페루 메데인 팔카오 가르시아  25' 2009년 6월 10일 21:50 UTC-3 브라질 2 - 1 파라과이 헤시피 호비뉴  40' 니우마르  49' 카바냐스  25' 2009년 6월 10일 21:00 UTC-4 칠레 4 - 0 볼리비아 산티아고 보세주르  43' 에스트라다  74' 산체스  78', 88' 2009년 6월 10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2 - 2 우루과이 시우다드과야나 말도나도  9' 레이  75' 수아레스  63' 포를란  72' 라운드 15[편집] 2009년 9월 5일 15:30 UTC-5 콜롬비아 2 - 0 에콰도르 메데인 마르티네스  81' 구티에레스  90+4' 2009년 9월 5일 15:30 UTC-5 페루 1 - 0 우루과이 리마 렝히포  86' 2009년 9월 5일 18:30 UTC-4 파라과이 1 - 0 볼리비아 아순시온 카바나스  45+1' (페널티킥) 2009년 9월 5일 21:30 UTC-3 아르헨티나 1 - 3 브라질 로사리오 다톨로  66' 루이장  24' 루이스 파비아누  30', 68' 2009년 9월 5일 21:30 UTC-4 칠레 2 - 2 베네수엘라 산티아고 비달  10' 미야르  52' 말도나도  33' 레이  45+1' 라운드 16[편집] 2009년 9월 9일 15:00 UTC-4 볼리비아 1 - 3 에콰도르 라파스 에세로테  4' 멘데스  4' 발렌시아  46' 베니테스  66' 2009년 9월 9일 18:00 UTC-3 우루과이 3 - 1 콜롬비아 몬테비데오 수아레스  6' 스쿠타이  77' 아브레우  88' 마르티네스  64' 2009년 9월 9일 19:00 UTC-4 파라과이 1 - 0 아르헨티나 아순시온 발데스  28' 2009년 9월 9일 20:30 UTC-4:30 베네수엘라 3 - 1 페루 푸에르토라크루스 페도르  32', 52' 바르가스  70' 푸에느마여  41' (자책골) 2009년 9월 9일 22:00 UTC-3 브라질 4 - 2 칠레 사우바도르 니우마르  31', 73', 76' 바프티스타  40' 수아소  45+1' (페널티킥) 라운드 17[편집] 2009년 10월 10일 18:30 UTC-3 아르헨티나 2 - 1 페루 부에노스아이레스 이과인  48' 팔레르모  90+3' (페널티골) 렝히포  90' 2009년 10월 10일 17:00 UTC-5 콜롬비아 2 - 4 칠레 메데인 비달  13' (자책골) 모레노  63' 폰세  35' 수아소  36' 발에베아  72' 오레야나  79' 2009년 10월 10일 17:00 UTC-5 에콰도르 1 - 2 우루과이 키토 발렌시아  67' 수아레스  69' 포를란  90+4' (페널티골) 2009년 10월 10일 17:30 UTC-4:30 베네수엘라 1 - 2 파라과이 시우다드과야나 론돈  70' 카바나스  55' 카르도소  79' 2009년 10월 11일 16:00 UTC-4 볼리비아 2 - 1 브라질 라파스 올리바레스  10' 모레노  31' 니우마르  70' 라운드 18[편집] 2009년 10월 14일 15:00 UTC-5 페루 1 - 0 볼리비아 리마 파노  54' 2009년 10월 14일 18:00 UTC-4 브라질 0 - 0 베네수엘라 캄푸그란지 2009년 10월 14일 19:00 UTC-3 칠레 1 - 0 에콰도르 산티아고 수아소  53' 2009년 10월 14일 19:00 UTC-2 우루과이 0 - 1 아르헨티나 몬테비데오 볼라티  84' 2009년 10월 14일 20:00 UTC-4 파라과이 0 - 2 콜롬비아 아순시온 라모스  61' 로다예가  80'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입니다. 남미 지역 예선 5위 팀은 북중미카리브 지역 최종 예선 4위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는데, 대륙간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코스타리카 1-2 우루과이 0-1 1-1 본선 진출[편집] 다음 팀이 2010년 FIFA 월드컵에 남미 대표로 출전하는 5개 팀이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외부 링크[편집] (영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 FIFA(국제 축구 연맹)의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예선 페이지 vdeh 2010년 FIFA 월드컵예선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본선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슬로바키아 대 이탈리아 G조 포르투갈 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H조 결선 토너먼트 결승전 일반 정보 논란 시드 배정 선수 명단 일정 통계 경고 기록 심판 중계권 공식 상징 자블라니 (공식 경기구) 자쿠미 (공식 마스코트)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식 비디오 게임) 화제 문어 파울 부부젤라 vdeh2010년 FIFA 월드컵 예선남미 최종 예선 북중미카리브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아시아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1차 예선 2차 예선 최종 예선 오세아니아 1차 예선 (남태평양 게임) 최종 예선 (OFC 네이션스컵) 유럽 최종 예선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9조 플레이오프 아일랜드 대 프랑스 플레이오프 대륙간 플레이오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0년_FIFA_월드컵_남미_지역_예선&oldid=24450047" 분류: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BosanskiCatalàČeština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Malti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6: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이지훈 (이스포츠 감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지훈 (이스포츠 감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지훈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80년 3월 1일(1980-03-01) (39세)경기도 광명시 프로게이머 정보 종목 피파 시리즈 (선수)스타크래프트 (감독)리그 오브 레전드 (감독) 소속팀 ⓝ016 프로게임단 (1999~2000)KTF 매직엔스 (2000~2005)KTF 매직엔스 수석코치 (2008)KT 롤스터 감독 (2008~2017)Gen.G e스포츠 단장 (2018~현재)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WCGC 2000 금 2000 대한민국 용인 FIFA 2000 이지훈(1980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이다. 현재 Gen.G e스포츠 단장을 맡고 있다. 목차 1 선수 시절 2 감독 활동 3 수상 경력 3.1 선수 경력 3.2 감독 경력 3.2.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3.2.2 스페셜포스 3.2.3 리그 오브 레전드 4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현역 시절에는 WCGC 2000 우승, 기타 FIFA 리그 10회 이상 우승 등 대한민국에서는 독보적인 FIFA 프로게이머였다. KT 롤스터의 로고에는 별 3개가 달려 있는데, 이는 KT의 팀단위 리그 우승 및 KT에 소속된 선수의 개인리그 우승 횟수가 10번이 될 때마다 한 개씩 달린 것이다. 그런데 이지훈 감독이 FIFA 프로게이머 시절 개인리그를 총 18회 우승하였으므로, 이 별들 중 약 6할은 이지훈 감독이 채운 것이라 할 수 있다. 감독 활동[편집] FIFA 프로게이머 생활을 은퇴한 후 이지훈은 KTF 매직엔스 수습코치로 활동 중 김철감독의 경질로 2008년 KTF 매직엔스의 감독에 임명된다. 이지훈은 이영호를 슈퍼스타 게이머로 육성하는 데 성공하고 MSL 우승자 출신인 박지수를 영입하는 한편, 타 팀 출신이 아닌 순수 KT 소속 선수인 우정호와 김대엽의 성장을 지켜보았다. 김대엽 우정호 고강민 등 튼튼한 라인업으로 팀의 리빌딩에 성공하게 된다. 그러던 중 승부조작사건으로 인한 이탈로 팀에 위기가 찾아오지만, 팀을 재정비하여 09-10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 우승, 그리고 팀의 숙원인 09-10 프로리그 통합 우승을 하면서 명장 반열에 오르게 된다. 10-11 프로리그가 한창이던 2011년 1월 26일 팀 내 프로토스 에이스 중 하나였던 우정호가 급성 백혈병 판정을 받으면서 다시 위기가 찾아오는 듯하였으나, 정규시즌 3위를 거둬 준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따낸 뒤 결승까지 팀을 진출시켰고, 마침내 결승에서 또다시 SK텔레콤 T1을 제압하고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2011년 8월 20일 오랜 연인이었던 김나영씨와 결혼식을 올렸다. 2010년과 2011년 2연속으로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2012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하였으며, 이 중 과거의 행실이 좋지 않은 원준호를 영입했으나, 현재는 철저한 관리를 통해 좋은 성적을 내는 리그 오브 레전드 게이머로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2월 팀에서 방출되었다. 2014년 2월 18일 KT 롤스터의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 전담 감독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또한 KT 롤스터 전체 총괄 감독으로도 배정되었다. 2017년 10월 24일 오전 11시, 이지훈 감독은 최근 2년 연속 '롤드컵' LoL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며 부진을 책임지고 감독직에서 자진사퇴하게 되었다. 이에 kt 롤스터는 이지훈 감독의 그 동안의 노고를 기리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선수단과 단장이 참석한 가운데 퇴임식을 갖고 감사패와 행운의 황금열쇠를 전달하였다. 수상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1년 KIGL 상반기 리그 우승 2001년 코카콜라 월드사이버월드컵 우승 2000년 KIGL 하계 / 추계 / 동계리그 우승 2000년 WCGC 2000 우승 감독 경력[편집]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편집] 2010년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3위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우승 2010년 신한은행 위너스리그 09-10 우승 2010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정규시즌 감독상 2010년 2010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지도자상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우승 2011년 2011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올해의 지도자상 2012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준우승 2013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3위 2014년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우승 스페셜포스[편집] 2009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09 1ST 준우승 2010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10 1ST 준우승 2011년 생각대로 T SF프로리그 2010 2ND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편집] 용쟁호투 준우승(0:3 World Elite Gigabyte) (A팀) OLYMPUS the Champions Winter 2012-2013 8강 (A팀)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다이아리그 8강 (A팀) 용쟁호투 8강 (B팀) OLYMPUS the Champions Winter 2012-2013 3위 (B팀) 2013 LOL 클럽 마스터즈 3위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1위 (B팀) 2013 MLG Winter Championship 우승 (B팀) 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1위(금메달) (Bullets) 2013 핫식스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3 준우승 (Bullets) 외부 링크[편집] 이지훈 - 트위터 이 전 - 제1대 WCGC FIFA 2000 부문 우승자 WCGC 2000 다 음  김두형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리그개인전 스타리그 MBC게임 스타리그 곰TV 클래식 소닉 스타리그1 아프리카TV 스타리그1 SSL 시리즈1 단체전 프로리그 (1군) 드림리그 (2군) MBC게임 팀리그 위너스리그 경남 - STX컵 마스터즈 조직협회 한국e스포츠협회 게임 개발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 배급사 한빛소프트 방송국 OGN MBC 게임 곰TV 아프리카TV SPOTV GAMES 경기장 용산 e-Sports 스타디움 (온게임넷→OGN, 철거됨) 히어로센터 (MBC 게임, 철거됨) 곰TV 목동 스튜디오 (곰TV, 철거됨) ITV 랭킹전 iTV 스튜디오/인천 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 특설무대(iTV 경인방송, 철거됨) 프릭 업 스튜디오 (아프리카TV) 넥슨 아레나 (SPOTV GAMES) 방송인OGN 정소림 엄재경 김정민 아프리카TV 박상현 이승원 임성춘 SPOTV GAMES 김철민 한승엽 이성은 과거 게임단 KT 롤스터 STX SouL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CJ 엔투스 삼성 칸 제8프로게임단 공군 ACE 이스트로 위메이드 폭스 온게임넷 스파키즈 MBC게임 히어로 화승 OZ 기타 e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명예의 전당 골든 마우스 MSL 금배지 KeSPA컵 1KeSPA 비공인 리그2012년 9월 22일부로 대한민국의 모든 KeSPA 공인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완전히 종료됨. 단, KeSPA 비공인 리그는 열리고 있음. vdeh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리그개인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아프리카TV)) SSL 시리즈 (SPOTV 게임즈) 스타리그 (OGN, 폐지) 단체전 프로리그 (한국e스포츠협회, 폐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e스포츠 연맹, 폐지) 기타 KeSPA컵 조직종목사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관련 단체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연맹 (해체) 방송국 SPO TV 게임즈 아프리카TV(GSL 2016 시즌 1부터 주관중) OGN 곰eXP(GSL 2015 시즌 3까지 주관) 경기장 넥슨 아레나 프릭 업 스튜디오 신도림 TG e스타디움 게임단 진에어 그린윙스 MVP 아프리카 프릭스 ZeNEX oGs SlayerS 공군 ACE TSL NS호서 웅진 스타즈 fOu SouL AZUBU LongZhu 프라임 스베누 삼성 갤럭시 CJ 엔투스 KT 롤스터 SK텔레콤 T1 방송인SPOTV 게임즈 성승헌 채민준 김익근 유대현 고인규 안준영 정인호 아프리카TV 박상현 황영재 박진영 채정원 vdeh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KeSPA컵 조직협회한국e스포츠협회종목사라이엇 게임즈방송국 OGN SPOTV GAMES 나이스 게임 TV 경기장 LoL Park 참가 게임단챔피언스 참가팀 KSV e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 진에어 그린윙스 팀 배틀코믹스 담원 게이밍 KT 롤스터 킹존 드래곤X 한화생명 e스포츠 SK텔레콤 T1 그리핀 챌린저스 참가팀 MVP BBQ 올리버스 콩두 몬스터 방송인OGN 전용준 김의중 김동준 이현우 SPOTV GAMES 성승헌 이기민 신동진 하광석 강승현 고인규 나이스게임TV 정진호 김의중 하광석 강승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지훈_(이스포츠_감독)&oldid=23328869"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대한민국의 e스포츠 감독KT 롤스터의 선수FIFA 시리즈 프로게이머광명시 출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4일 (월) 12: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낙원상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낙원상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낙원상가(樂園商街)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낙원동 일대에 있는 상가 건물이다. 악기 전문 상가로 알려져 있다. 지상 1층에는 도로가 지나고, 그 위아래로 건물이 지어진 형태이다. 낙원악기상가는 1965년부터 낙원동 시장을 재개발하여 세운 초창기 주상복합건물로서, 격동의 현대사와 호흡한 서울시내 중심의 건물로 그 보존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목차 1 역사 2 각주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일제 강점기 말기, 서울 시내 안에서 7개 구역이 공습으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고자 소개(疏開)되었는데, 경운동에서 청계천까지를 잇는 길이 600 m 폭 50 m의 구역도 그 중 하나였다.[1] 해방 이후 이 소개지(疏開地)에는 무허가 판잣집이 난립하였다. 1967년, 낙원동 일대에 들어선 무허가 주택과 낙원시장을 정리하고 현대식 상가 건물을 짓는 계획이 발표되었다.[2] 이에 따라 낙원상가는 1967년 10월 26일 착공되어 1968년 9월 15일 사용승인을 받고 1970년 12월 12일 완공되었다.[3] 지하 1층에는 약 3,306m2의 면적에 종래의 재래시장이 들어섰고, 지상 2층부터 5층까지는 약 29,752m2의 면적에 다양한 상가가 입주하였으며, 6층부터 15층까지는 당시로서는 최고급의 아파트로 설계되어 약 15,868m2의 면적을 149세대가 분양받았다.[4] 비슷한 시기에 파고다공원을 현대식으로 단장하고, 담장을 허문 자리에 ‘파고다 아케이드’를 건설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5] 이에 따라 파고다 아케이드는 1967년 4월 4일 착공되어[6], 같은 해 12월 12일 공원과 함께 준공되었으며[7], 같은 달 20일 개관되었다.[8] 그러나 아케이드는 소송 끝에 1983년 7월 철거되었다.[9] 아케이드에 있던 음악 상점들이 낙원상가로 대거 이주하면서, 1980년대의 낙원상가는 음악 전문 상가로 거듭났다.[10] 충무로에 있던 악사 인력 시장이 이곳으로 옮겨오기도 하였다.[11] 즉 낙원상가는 ‘음악인의 성지’와도 같은 곳이 되었다.[12][13]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반주장치가 대중화함에 따라 악사와 밴드를 찾는 수요가 줄어들면서 낙원상가는 점점 쇠퇴하였다.[14][15] 심지어 2007년 서울특별시에서는 낙원상가의 철거 및 재개발 계획을 밝히기도 하였다.[16][17] 그렇지만 낙원상가는 악기 전문 상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에는 서울특별시 미래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12], 2015년 초에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8]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는 다양한 세대가 어울리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15] 한편 청계천2가와 퇴계로2가를 잇는 폭 40 m의 도로가 1967년 3월 8일 착공하여[19], 같은 해 4월 17일 개통하였다.[20] 계동 입구~종로2가 간의 도로는 1976년 이후에 폭 40 m로 확장되었다.[21] 이들 도로는 1966년에 삼일로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삼일대로로 바뀌었으며, 낙원상가는 삼일대로 위에 있다. 각주[편집] ↑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이야기 1》. 경기: 한울. 246쪽. ISBN 9788946031371.  ↑ “樂園(낙원)시장商街(상가)아파트 이달末頃(말경)착공예정”. 매일경제. 1967년 10월 10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낙원 핵심상징 개선사업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종로구. 48쪽.  ↑ 위의 책, 13쪽. ↑ “새모습보일 파고다公園(공원)”. 경향신문. 1967년 3월 13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파고다公園(공원) 外廓(외곽)에아케이드 설치”. 매일경제. 1967년 4월 8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商街(상가)「아케이드」도 開店(개점) 12日(일)파고다重修竣工式(중수준공식)”. 매일경제. 1967년 12월 12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京鄉(경향)가이드”. 경향신문. 1967년 12월 19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16年(연)만에 헐리는 파고다 아케이드”. 동아일보. 1983년 7월 4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김보라 (2017년 4월 15일). “랄랄라~ 낙원상가…3만개 악기가 춤춘다”. 한국경제.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낙원상가2층에 떠돌이樂士(악사)시장”. 경향신문. 1983년 7월 26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박용수 (2016년 7월 4일). “반세기 역사 간직한 '서울 미래유산' 등재 '낙원악기상가', 방문객 확인 가능한 표식 부착”. 데이터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손대선; 이현주 (2015년 3월 23일). “[이사람]이대귀 대표 "우리들의 낙원은 지금 변신중"”. 뉴시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앞의 책, 13쪽. ↑ 가 나 박미향 (2016년 3월 16일). “낙원상가에서 울려퍼지는 부활의 노래”. 한겨레.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안승섭 (2007년 3월 12일). “<남대문시장.낙원상가 반세기만에 재개발>”.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정성호 (2007년 6월 14일). “서울역 고가도로 신축..도심 4개축 재정비(종합)”.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이정현 (2015년 3월 9일). “'서울 도시계획 100년 좌우' 재생선도지역 27곳 선정”. 연합뉴스.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退溪路(퇴계로)2街(가)←→淸溪川(청계천)2街(가) 道路新設(도로신설)로 建物撤去(건물철거)”. 동아일보. 1967년 3월 2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中心街南北(중심가남북) 縱貫(종관),不良(불량)건물헐어 模範街(모범가)로 三一路(삼일로)”. 경향신문. 1967년 4월 17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 “樂園洞(낙원동)~桂洞(계동)등 2개道路幅(도노폭)확장”. 동아일보. 1976년 9월 11일. 2017년 7월 24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허리우드: 낙원상가 4층에 들어선 극장. 세운상가: 비슷한 시기에 세워진 주상복합 건물. 외부 링크[편집] 낙원상가 - 공식 웹사이트 우리들의 낙원상가 - 공식 블로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낙원상가&oldid=23979232" 분류: 서울 종로구의 건축물서울미래유산서울특별시의 쇼핑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21: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산업로 (광양 하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업로 (광양 하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업로 (하동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일반 국도 59 산업로 국도 제59호선의 일부 총연장 10.281km 개통년 1995년 12월 27일 기점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주요경유지 전라남도 광양시경상남도 하동군 종점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주요교차도로 남해고속도로국도 제2호선국도 제19호선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995년 ~ 1996년 노선명 남해고속도로제3지선(고속국도 제6-3호선) 기점 경상남도 하동군 종점 전라남도 광양시 산업로(産業路)는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태인교 북단과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하동 나들목 (계천사거리)을 잇는 왕복 4차선의 도로이다. 1995년 12월 27일 남해고속도로제3지선(고속국도 제6-3호선)으로 개통했으나 도로 구조 상 고속도로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사유로 1996년 7월 1일 고속도로에서 해제되고 국도 제59호선으로 지정되었다. 섬진대교를 기준으로 서쪽 광양시 구간은 태인로(太仁路), 동쪽 하동군 구간은 산업대로(産業大路)로 명명되었다가 2009년 7월 10일 산업로로 통일하였다. 목차 1 연혁 2 주요 경유지 3 노선 4 주요 건물 및 시설 5 특이 사항 6 각주 7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1년 11월 9일 : 전 구간 착공 1992년 4월 29일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6호의3호선 남해제3지선으로 지정[1] 1992년 6월 9일 : 남해제3지선 하동 ~ 광양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 7.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1995년 1월 1일 : 종점을 '전라남도 동광양시 태인동'에서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으로 변경[3] 1995년 1월 18일 : 1995년 12월까지 영업소 건설을 위해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2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1995년 12월 27일 : 향후 4차선 확장을 대비한 왕복 2차선의 형태로 전 구간 개통[5][6] 1996년 7월 1일 : 도로 구조상 고속도로로 관리하기 어려워 고속도로 노선 지정 폐지[7], 동시에 섬진대교를 경계로 산업대로와 태인로로 분리 및 국도 제59호선으로 지정[8] 2001년 8월 25일 : 국도 제59호선이 광양 ~ 양양 구간으로 확대되면서 국도 제59호선의 일부구간이 됨[9]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산업로를 고시[10] 주요 경유지[편집]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 금남면) 노선[편집] 이름[11]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태인교 북단 국도 제2호선(백운1로)삼봉산로 광양시 태인동 섬진대교삼거리 국도 제59호선(태인4길) 국도 제59호선 구간 섬진대교 하동군 금성면 갈사사거리 (이름 없음) 금성로 진정천교 금남면 하동 나들목(계천사거리) 10호선 남해고속도로국도 제19호선(섬진강대로) 주요 건물 및 시설[편집] 조선내화 (전라남도 광양시 산업로 55) 특이 사항[편집] 이 도로가 고속도로로 존재했던 기간은 약 반년 정도에 불과하나, 고속도로 개통 당시에 설치되었던 표지판은 현재도 적지않은 수가 남아있으며, 대부분 '고속도로 제6-3호선'표기를 '국도 제59호선'으로만 바꿔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2][13] 각주[편집]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2-284호, 1992년 6월 9일. ↑ 대통령령 제14486호, 1994년 12월 31일 타법개정.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6호, 1995년 1월 18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1995년 12월 28일. ↑ 옥포~내서 하동~광양 고속도 내일 확장개통, 《경향신문》 1995년 12월 26일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일부개정. ↑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1996년 7월 1일) ↑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2001년 5월 24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2009년 7월 10일.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 국토해양부 도로표지 안내시스템 - 용포마을 부근표지판은 전체적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 쓰였던 형식으로, '고속도로 제6-3호선' 표기가 있던 자리는 '국도 제59호선'으로, '고속도로 제6호선' 표기가 있던 자리는 '고속도로 제10호선'으로 각각 바뀌었다. ↑ 국토해양부 도로표지 안내시스템 - 진정마을 부근의 표지판으로, 기존 '고속도로 제6-3호선' 표기 자리에 '국도 제59호선'을 덧붙인 흔적이 보인다. 옛 표지판에서 사용하던 형식의 서체(굴림체에 가까운 서체)인 것으로 보아 국도 격하 직후에 변경한 이후 지금까지 사용해 온 것으로 보인다. 외부 링크[편집] 산업로 (광양 하동) (전남 광양시) 산업로 (광양 하동) (경남 하동군) vdeh 대한민국의 고속도로남북 [1] 경부 () [15] 서해안 [17] 평택파주 [25] 호남 논산천안 [27] 순천완주 [29] 세종포천 [35] 통영대전 중부 [37] 제2중부 [45] 중부내륙 [55] 중앙 [65] 동해 동서 [10] 남해 [12] 무안광주 광주대구 [16] 울산 [20] 새만금포항 [30] 당진영덕 [32] 아산청주 [40] 평택제천 [50] 영동 [52] 광주원주 [60] 서울양양 순환 [100] 서울외곽순환 [300] 대전남부순환 [400] 수도권제2순환 [600] 부산외곽순환 경인 [110] 제2경인 [120] 경인 [130] 인천국제공항 지선 [102] 남해제1지선 [104] 남해제2지선 [105] 남해제3지선 [151] 서천공주 [153] 평택시흥 [171] 오산화성 용인서울 [204] 새만금포항지선 [251] 호남지선 [253] 고창담양 [301] 상주영천 [451] 중부내륙지선 [551] 중앙지선 예정 [14] 함양울산 [17] 익산평택 [173] 익산평택지선 [202] 새만금포항지선 [255] 강진광주 [500] 광주외곽순환 [700] 대구외곽순환 폐지 [1] 양재 - 한남 [2] 신월 - 양평 [6] 덕천 - 구포 [6-3] 남해제3지선 [7-2] 구마지선 [15] 목포 - 죽림 [22] 김천영천 [120] 인천 - 서인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산업로_(광양_하동)&oldid=24185687" 분류: 전라남도의 도로경상남도의 도로광양시의 교통하동군의 교통국도 제59호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