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36
title
stringlengths
2
229
context
stringlengths
343
678
questions
sequencelengths
4
4
8d8a09ff-cb7d-4d37-90d9-61684ec30881
주간 통일정세 2015-40
노동신문은 9일 평소와 달리 2개 면을 더 늘린 8개 면으로 1면은 김정은 제1위원장이 인도네시아 교육재단 수카르노센터로부터 상을 받은 소식을 비롯해 외국에서 김 제1위원장에게 보낸 편지와 선물 소식 등을 실어 김 제1위원장이 ‘세계적인 지도자’라는 점을 부각함. 2면에는 2012년 4월 김정은 제1위원장이 노동당 제1비서로 추대된 이후 올해 9월까지의 주요 활동 사진들을 전면에 도배함. 3면에는 ‘조선노동당은 자주, 선군, 사회주의 위업의 위대한 향도자이다’라는 제목의 논설을 전면에 싣고 “당의 탁월하고 세련된 영도 밑에 우리 인민은 역사의 온갖 폭풍우를 헤치고 모든 승리와 영광을 맞이했다”며 김 제1위원장의 ‘영도력’을 치켜세움. 5~8면에서는 경공업 등 민생분야와 과학기술 분야 성과와 주요 건축물 완공, 홍수 피해를 본 나선시 새집들이 등 ‘당 창건 기념용’ 성과들을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치적으로 상세히 소개함.
[ "9일 평소와 달리 2개면을 더 늘려 8개면으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치적을 소개한 신문은 뭐야", "9일 특별히 2개면을 더 늘려 8개면으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치적을 소개한 신문은 뭐야", "9일 특집으로 2개면을 더 늘려 8개면으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치적을 소개한 신문은 뭐야", "9일 평소와 달리 2개면을 줄여 4개면으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치적을 소개한 신문은 뭐야" ]
b6aa44fc-71dd-4ef3-8b84-8e007287281f
주간 통일정세 2015-40
미국 주도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이 (12개 회원국 의회 비준으로) 정식 발효되더라도 중국을 고립시킬 수 없다고 중국 신경보(新京報)가 7일 논평했음. 이 신문은 천펑잉(陳風英) 중국 현대국제관계연구원 세계경제연구소장의 말을 인용, TPP 체제가 중국 상품의 수출입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지만, 어느 국가라도 중국을 고립시키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단언함. 천 소장은 국내 총생산(GDP)이 10조 위안 규모이고 세계 1위의 상품 시장을 가진 중국과의 수출 관계를 고려한다면 누구도 이런 생각을 품을 수 없다고 언급함. 또한, 그는 중국이 여러 국가·지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데 이어 미국, 유럽 국가들과도 양자 간 투자협정(BIT)을 추진하면서 TPP에 대비해 온 점도 강조하며, 중국이 한국, 인도 등 16개국과 함께 관세철폐를 목표로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추진 중인 점도 언급했음. 한편 난카이(南開)대학 아태협력체(APEC)연구중심의 류천양(劉晨陽) 부주임은 TPP의 부정적인 영향을 없애나가는 방안으로 “자체적인 개혁 강화와 큰 틀에서의 다양한 자유무역협정 추진” 필요성을 강조함.
[ "중국이 한국 등 16개국과 함께 관세철폐를 목표로 추진중인 것은 뭐야", "중국이 한국 등 16개국과 함께 관세폐지를 목표료 진행중인 것은 뭐야", "중국이 한국 등 16개국과 함께 관세장벽을 거두기 위해서 하는 것은 뭐야", "중국이 한국 등 16개국과 함께 관세장벽을 세우기 위해 추진중인 것은 뭐야" ]
d51c6619-040b-4c70-8c32-d9ad49384075
주간 통일정세 2015-40
FAO는 6개월마다 발표하는 ‘식량전망보고서(Food Outlook)’를 8일 발표하고, 올가을 북한의 쌀 수확량을 150만 톤으로 전망했음. 북한의 쌀 수확량은 2011년에서 2013년의 평균 쌀 수확량인 180만 톤을 유지했고, 작년에는 170만 톤으로 감소했으며, 올해 다시 150만 톤으로 20만 톤 더 감소해, 식량난 악화를 예고하고 있음. 한편, 북한이 올해 생산할 옥수수는 약 220만 톤으로, 지난해 260만 톤보다 40만 톤가량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음. 즉, 올해 북한의 주요 곡물인 쌀과 옥수수 생산량은 가뭄 등 이상 기후로 지난해에 비해 총 60만 톤이나 감소할 것으로 추산됨. 이러한 생산량 부족으로, FAO는 내년도 북한 주민 1인당 쌀 소비량을 67kg로, 옥수수의 경우 80kg으로 추정했음.
[ "올해 북한의 주요 곡물인 쌀과 옥수수 생산량이 이상 기후로 지난 해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추산한 기관의 이름이 뭐야", "올해 북한의 주요 곡식인 쌀과 옥수수 생산량이 이상 기후로 지난해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추산한 기관의 이름이 뭐야", "올해 북한의 주요 곡물인 쌀과 옥수수 생산량이 이상 기후로 지난해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짐작하고 계산한 기관의 이름이 뭐야", "올해 북한의 주요 곡물인 감자와 밀가루 생산량이 이상 기후로 지난해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추산한 기관의 이름이 뭐야" ]
11d21dd9-5918-4f55-92ea-be00bb4af19c
주간 통일정세 2015-40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북한과 전통적으로 친선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 중 러시아만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음. 10일 북한 매체가 보도한 내용을 종합하면 러시아에서 방북한 친선단은 내무성 내무군 아카데미아 협주단과 연해변강 아르촘시(市) 대표단(단장 울라지미르 노비코프 시장)이 전부임. 그 외에는 연해변강 고려인통일연합회 대표단(단장 박평원 위원장) 등 러시아를 근거지를 둔 고려인 단체로, 국가나 러시아 공산당 차원의 대표단이 평양에 도착했다는 보도는 보이지 않음. 이는 앞서 북한이 지난 5월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 헌법상 국가수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축하 사절로 보낸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 이처럼 러시아가 다른 우방과 달리 대표단을 따로 보내지 않은 것은 우선 이번 행사가 국가가 아닌 당 중심의 행사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 "국가 중에 북한과 전통적으로 친선관계를 맺고 있고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은 데는 어디야", "국가 중에 북한과 예로부터 친선관계를 맺고 있고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은 데는 어디야",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았고 국가 중에 북한과 전통적으로 친선관계를 맺고 있는 데는 어디야", "국가 중에 남한과 전통적으로 친선관계를 맺고 있고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일을 맞아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은데는 어디야" ]
6cd992a6-112c-44a3-9f5c-e47f0e3ddddf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국가 차원에서 완화의료를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상당한 투자가 필요했다. 이와 관련된 세 가지 핵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널리 사용되며 증상 관리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지만 의약품 등록이나 보조금 신청을 위한 근거가 충분치 않은 의약품에 대한 3상 임상시험(phaseIII clinical trial) 실시를 위한 투자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호주완화의료임상연구협회(Palliative Care Clinical Studies Collaborative)는 완화의료에 자주 사용되는 ‘허가 외 사용 의약품(off-label)’, ‘특허 만료(off-patent) 의약품’의 순 효과(득과 실)를 규명하기 위해 지금까지 무작위로 선정된 185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전국 20곳(site) 이상에서 9회 이상의 3상 임상시험을 실시했다. 3상 임상시험을 보완하기 위해 2상 임상시험과 4상 임상시험이 실시되었는데, 4상 임상시험에는 통상적인 임상 진료에서 약학적, 비약학적 개입의 성과가 어떤지를 기술하는 여러 나라들의 ‘임상시험 네트워크(a network of sites)’가 참여했다.
[ "무엇을 보완하기 위해 2상 임상시험과 4상 임상시험이 실시되었는가", "무엇을 보충하기 위해 2상 임상시험과 4상 임상시험이 실시되었는가", "2상 임상시험과 4상 임삼시험을 실행한 이유는 무엇을 보완하기 위해서 인가", "무엇을 감소하기 위해 2상 임상시험과 4상 임상시험이 실시되었는가" ]
e69a571a-deae-4d42-973c-001936428d18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호주완화의료협회(Palliative Care Australia)는 호주 완화의료 단체들을 회원으로 두고 있다. 국가 완화의료전략이 발표된 후 2010년 첫 개정 전까지 협회는 동 전략의 이행을 위한 여러 지침서들을 내놓았다. 국가완화의료전략의 목표에 따라 협회가 작성한 핵심 지침서로는 ‘호주완화의료서비스 기획 지침서(Service Provision in Australia: a Planning Guide)’, ‘완화의료서비스 개발 지침서: 인구 중심 접근법(A Guide to Palliative Care Service Development: A Population Based Approach)(Palliative Care Australia, 2005a) 등이 있다. 협회는 완화의료 국가 표준 개발과 완화의료 평가도 책임진다(Palliative Care Australia, 2005b). 현재 하나의 지침서로 수정·통합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위의 두 지침서는 완화의료 전문기관(전문가)에 의뢰된 환자에게만 주어지던 정책 초점이 불치병으로 시한부 인생을 사는 환자와 그 보호자 모두에게까지 옮겨간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국가 완화의료전략이 발표된 후 2010년 첫 개정 전까지 동 전략의 이행을 위한 여러 지침서들을 내놓은 곳은 어디야", "국가 완화의료전략이 발표된 후 2010년 첫 개정 전까지 동 전략의 실행을 위한 여러 지침서들을 내놓은 곳은 어디야", "국가 완화의료전략이 발표된 후 2010년 첫 개정 전까지 동 전략을 실제로 행하기 위한 여러 지침서들을 내놓은 곳은 어디야", "민간 완화의료전략이 발표된 후 2010년 첫 개정 전까지 동 전략의 이행을 위한 여러 지침서들을 내놓은 곳은 어디야" ]
135571ca-2a80-495f-9d49-b34956f90f43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지역사회 기반 의료서비스(Community-based care)는 병리검사와 영상검사(방사선 및 핵의학)를 포함한다. 의료비는 서비스에 따라 국민의료보험, 민간보험, 본인부담금 모두나 국민의료보험과 본인부담금으로 지불된다. ‘현행 치료법 대비 비용 효과성’이 확립된 약품에 대해서는 국가 보조금을 지급하며, 이 경우에도 저소득계층은 비교적 소액의 정액부담금(co-payment)만 지불한다. 간호서비스, 지원(支援) 보건(allied health)서비스, 의료 장비 등과 관련된 지역사회의료의 제반 여건은 행정구역에 따라 차이가 난다. 연방정부가 일부 재원을 조달하긴 하지만 지역사회 의료서비스는 주정부 차원에서 관리된다. 환자가 지불하는 정액부담금은 사회보장 수급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 "지역사회 기반 의료서비스에서 환자가 지불하는 정액 부담금이 달라지는 요인은 뭐야", "지역사회 기반 의료서비스에서 환자가 지출하는 정액 부담금이 달라지는 요인은 뭐야", "지역사회 기반 의료서비스에서 환자가 내야하는 정액 부담금이 달라지는 이유는 뭐야", "연방정부 기반 의료서비스에서 환자가 지불하는 정액 부담금이 달라지는 요인은 뭐야" ]
666aad03-f393-4f4f-8aab-24b3f2d83e4a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호주뿐만 아니라 어느 면에선 세계 완화의료의 발전에 근간이 된 핵심 국가 프로그램들을 추진한 이 전략에 재정적 뒷받침이 있었다는 것이다. 사업 평가 결과 이 프로그램들은 호주 완화의료 분야의 전반적인 개선을 이끌어 낸 긍정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주목할 점은 이 전략의 핵심적 특징이 의료인이라면 갖춰야 할 완화의료 기술과 역량 (완화의료적 접근)을 정의하고 이러한 일반적 완화의료 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완화의료 전문가들이 갖춰야 할 전문 기술(전문 완화의료)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전문 완화의료 기술에는 임상(완화) 의료, 다른 의료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 임상(완화) 의료와 서비스 전달의 근거 확대를 위한 연구 등이 포함된다. “호주인의 생애 말기 삶의 질 지원(Supporting Australians to Live Well at the End of Life)”이라는 부제를 가진 호주의 국가완화의료전략은 2010년 개정되면서 (1)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제고, (2) 완화의료의 적합성과 효과성 제고, (3) 리더십과 거버넌스, (4) 역량과 능력 제고라는 네 가지 세부 전략을 명시했다.
[ "호주 완화의료 분야의 전반적인 개선을 이끌어 내어 긍정적 성과를 보여준 것이 뭐야", "호주 완화의료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을 이끌어 내어 긍정적 성과를 보여준 것이 뭐야", "호주 완화의료 분야의 긍정적 성과를 보여주고 전반적인 개선을 이끌어 낸 것이 뭐야", "호주 완화의료 분야의 전반적인 개선을 이끌어 내어 부정적 결과를 보여준 것이 뭐야" ]
ba42ba44-68b3-48ee-9328-3feca0dc49ac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둘째, 욕구 평가도구 개발 프로그램은 불치병으로 시한부 인생 선고를 받은 환자로서 전문적 완화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사람, 완화의료 욕구가 충족되고 있는 사람, 전문 완화의료서비스 등이 더 이상 필요 없는 사람 등을 식별하기 위한 도구 개발 프로그램으로 이에 대한 상당한 투자가 이뤄졌다. 세 번째 프로그램은 노인요양시설/전문간호요양시설에 적용될 완화의료지침과 지역사회 노인들을 위한 완화의료지침 개발 프로그램이다. 국립보건의료연구위원회(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가 승인한 이 두 기념비적인 문서는 호주 최초의 완화의료 지침서이다. 두 지침서는 호주의 모든 노인요양시설에 배포되었으며 교육·직업개발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다.
[ "호주의 모든 노인요양시설에 배포되어 교육과 직업개발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은 기념비적인 문서인 호주 최초의 완화의료 지침서를 승인한 위원회의 이름이 뭐야", "호주의 모든 노인요양시설에 배부되어 교육과 직업개발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은 기념비적인 문서인 호주 최초의 완화의료 지침서를 승인한 위원회의 이름이 뭐야", "호주 최초의 완화의료 지침서를 승인한 위원회의 이름이 뭐야", "호주의 모든 노인요양시설에 배포되어 교육과 직업개발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은 기념비적인 문서인 호주 최초의 완화의료 지침서를 거절한 위원회의 이름이 뭐야" ]
cda6a602-42cf-427e-9d5c-712e9fd2bbd9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호주에서도 많은 의료인들이 완화의료가 아직 학부 또는 대학원 과정에 편성되기 전에 의료교육을 마쳤다. 이는 다음 세대의 의료인들뿐만 아니라 좀처럼 기존 방식을 바꾸지 않는 기존 의료인들에 대해서도 완화의료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목적으로 두 가지 국가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는데 첫 번째 프로그램은 완화의료적 접근에 따른 완화의료 경험 프로그램(PEPA: Palliative Experience in a Palliative Approach)이다.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의료인들이 완화의료 제공 기관에서(혹은 완화의료 전문가와 함께) 최대 2주간 훈련을 받으며 일반적인 완화의료 기술을 배운다. 지금까지 수백 명의 의료인들이 이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두 번째 프로그램은 완화의료 교과과정 개발 프로그램(Palliative Care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PCC4U)으로 이는 모든 의료인(간호사, 지원보건 전공자, 의대 졸업생)이 갖추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할 핵심 완화의료 역량을 정의 내리는 프로그램이다.
[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의료인들이 완화의료제공 기관에서 최대 2주간 훈련을 받으며 일반적인 완화의료 기술을 배우는데 지금까지 수백 명의 의료인들이 이수한 프로그램은 뭐야",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의료인들이 완화의료제공 기관에서 최대 2주간 훈련을 받으며 일반적인 완화의료 기술을 배우는데 지금까지 수백 명의 의료인들이 수료한 프로그램은 뭐야", "완화의료제공 기관에서 최대 2주간 훈련을 받으며 일반적인 완화의료 기술을 배우는데 지금까지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의료인들 수백 명이 이수한 프로그램은 뭐야",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의료인들이 완화의료제공 기관에서 최대 2주간 훈련을 받으며 특수한 완화의료 기술을 배우는데 지금까지 수백 명의 의료인들이 이수한 프로그램은 뭐야" ]
b2ee36b3-fdcf-49c5-b52c-0a9f5433722e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2016년 9월 또 한 번의 국가완화의료전략 개정에 대한 협의를 위해 기존 전략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URBIS, 2016). 그 결과 기존 전략이 ‘의료체계 전반에 걸쳐 완화의료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대·개선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국가 전략 요소 모두가 이런 결과를 도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향후 호주 완화의료의 발전에 모두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평가에서는 호주 원주민, 토레 해협(Torres Strait)의 섬 주민, 문화 및 언어적 배경이 다른 이민자 등을 비롯한 보건의료체계의 소외계층이 겪고 있는 문제점들도 파악되었다. 국가완화의료전략과 호주 전역에서 나타나는 성과들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웠지만 효과적인 평가 기법을 통해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호주의 완화의료전략이 2차 개정에 접어들면서 호주완화의료협회 역시 그동안 발간한 지침서들의 개정에 들어갔다. 이런 노력은 임상(완화)의료의 질을 보다 세밀하게 평가하려는 노력과 함께 호주 완화의료 전달체계와 성과 개선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 "호주의 완화의료전략이 2차 개정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발간한 지침서들은 어느 곳에서 개정해", "호주의 완화의료전략이 2차 개정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출판한 지침서들은 어느 곳에서 개정해", "호주의 완화의료전략이 2차 개정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만들어진 지침서들은 어느 곳에서 새로 변경해", "호주의 완화의료전략이 2차 개정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발간한 지침서들은 어느 곳에서 파쇄해" ]
dce6df4a-0f7f-4f3e-bd64-45fac5c62732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환자가 사회보장급여 수급자일 경우에는 의료비 할인 혜택을 받지만 수급자가 아니면 정액부담금 전체를 지불해야 한다. 이러한 지원의 일부는 자산조사에 따라 이뤄진다. 반면에, 주정부와 준주정부는 공공병원의 입원진료를 책임진다. 여기에는 응급실을 운영하는 것과 입원진료 비용이 포함된다. 환자가 공공병원에서 ‘공공환자(public patient)’ 가 되기로 선택하면 영상검사, (모든 의약품을 포함한) 의료 개입(interventions), 병리검사, 고가의 항암화학요법, 수술, 집중치료실 치료 등 입원 중 제공되는 모든 의료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노인요양시설과 노인·병약자를 위한 ‘생활 지원(supported living)’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데는 비용이 든다. 일부 서비스 공급자들은 노령연금이나 사회보장 급여 이외의 소득이 없는 사람들에게 여전히 거주 시설을 제공하지만 기본적으로 이러한 시설이나 프로그램은 ‘이용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제도’로 운영된다.
[ "노인요양시설과 노인 병약자를 위한 프로그램 이름은 무엇인가", "노인요양시설과 노인 병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명칭은 무엇인가", "프로그램 중 노인요양시설과 노인 병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노인요양시설과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이름은 무엇인가" ]
f6d237ed-9248-473a-a5aa-93d7ed4bc29d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이 시기 동안, 호주의 의료서비스 전달과 평가 방식에 적극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완화의료가 보건의료체계로 통합되는 정책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국가기관 두 곳이 있는데 바로 호주의료안전품질위원회(ACSQHC: Australian Commission on Safety and Quality in Health Care)와 호주보건복지연구원(AIHW: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이다. 호주의료안전품질위원회는 시한부 불치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애 말기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의료 기준을 수립해 2015년 보건부 장관들의 승인을 받았다. 이 기준은 생애 말기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임상 프로그램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런 기준이 승인되었다는 것은 의료계의 초점이 단순히 임종을 ‘예견하는 것’에서 생애 말기 의료의 개선으로 옮겨졌음을 반영한다. 호주보건복지연구원은 최근 연구원의 연례 보고서에 완화의료 성과 지표들을 포함함으로써 완화의료 성과의 보고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AIHW, 2017).
[ "시한부 불치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애 말기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의료 기준이 수립되어 2015년 보건부 장관들의 승인을 받은 호주의 기관은 어디야", "시한부 불치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임종에 임박한 사람들을 위한 의료 기준이 수립되어 2015년 보건부 장관들의 승인을 받은 호주의 기관은 어디야", "시한부 못고치는 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애 말기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의료 기준이 수립되어 2015년 보건부 장관들의 승인을 받은 호주의 기관은 어디야", "시한부 불치병이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애 말기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의료 체계가 수립되어 2015년 보건부 장관들의 승인을 받지 못한 호주의 기관은 어디야" ]
18371fff-479d-49b5-90e6-74701f1cfd15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호주의 완화의료를 이해하려면 먼저 호주 의료·사회적 돌봄 체계의 배경과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주는 6개의 주(州)와 2개의 준주(準州)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다. 의료와 사회적 돌봄 부문에서 연방정부와 주정부 간 책임분할은 복잡하게 되어 있다. 연방정부는 일시적 장애나 영구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수당, 고용주가 지급하지 않는 병가수당, 최근 부상하는 국가장애보험제도(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NDIS) 등을 포함한 사회복지 재원 조달을 위한 조세 징수를 총괄한다. 연방정부는 또한 국민의료보험제도를 통해 의사가 부과하는 외래진료비를 지급한다. 호주에서는 아직까지 진료비에 대한 규제가 없어 진료비 상한선이 없다. 연방정부는 민간 부문의 입원진료 보조금도 제공한다.
[ "사회복지 재원 조달을 위한 조세 징수를 총괄하는 곳은 어디야", "사회복지 재원 조달을 위한 조세 징봉을 총괄하는 곳은 어디야", "사회복지 재원 조달을 위한 조세 부과를 총괄하는 곳은 어디야", "사회복지 재원 조달을 위한 조세 낭비를 총괄하는 곳은 어디야" ]
ee3aa604-6070-419a-af4c-f207e0eb2301
호주의 완화의료 및 생애말기의료 정책 동향 Current Policy Trends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Australia
호주의 완화의료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여러 종교 단체들이 100년이 넘도록 ‘가난한 자와 임종을 앞둔 자’들을 보살펴 왔다. 1970년대에 호주의 의료비 지불보상제도가 바뀌면서 입원진료를 중심으로 완화의료에 변화가 일어났다. 지난 30년 동안은 입원진료 위주의 완화의료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급속도로 확대되었다. 의료계에서 완화의료는 1988년 호주내과학회(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Physicians)에 의해 세부 전공(sub-specialty)으로 인정받았고, 2000년에는 중앙정부에 의해 보다 폭넓은 인정을 받았다. 간호 인력은 지난 30년간 완화의료 전문가 혹은 자문가로서 인정받아 왔으며, 지난 10년간은 임상(등록) 간호사(nurse practitioner)의 역할을 통해 널리 인정받았다. 호주에서 지속되고 있는 문제 중 하나는 지원보건 종사자의 완화의료 참여가 저조해 이들이 완화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성이 크게 간과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사회사업, 심리학, 목회, 약학,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이 지원보건기술의 범주에 들 수 있을 것이다.
[ "의료계에서 1988년 호주 내과학회에 의해 세부 전공으로 인정받은 분야는 뭐야", "의료계에서 1988년 호주 내과학회에 의해 세부 전공으로 승인된 분야는 뭐야", "의료계에서 호주 내과학회에 의해 세부 전공으로 1988년 인정받은 분야는 뭐야", "의료계에서 1988년 호주 내과학회에 의해 세부 전공에서 탈락한 분야는 뭐야" ]
ffc0f184-6467-4102-bcac-c9158a46d2a3
워크넷 구인구직DB를 이용한 2019년 1~2월 임금 동향
① 대표직무는 직무의 내용이 잘 알려져 있고 유사한 직무들을 대표하고 담당자들도 인정하는 직무로 선정한다. ② 평가요소는 ‘Input-Process-Output’에 따라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실무에서는 라이틀 (C.W.Lytle)의 ‘숙련, 노력, 책임, 작업조건’이 많이 활용된다. ③ 직무평가법에는 서열법(Ranking Method), 분류법(Classification), 요소비교법(Factor Comparision Method) 및 점수법(Point Rating Method) 있다. 서열법은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고, 분류법은 사전에 작성한 직무 등급표에 따라 해당 직무를 분류하는 방법이고, 요소비교법은 기업의 핵심이 되는 기준직무(Key Job)와 비교하여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며. 점수법은 모든 직무를 동일한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점수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기업에서는 평가 방법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실무적으로는 서열법과 점수법을 혼합하여 많이 사용한다. ④ 직무등급 확정 단계에서는 개별직무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직무의 점수대별로 그룹핑하여 이를 등급화한다.
[ "직무의 내용이 잘 알려져 있고 유사한 직무들을 대표하고 담당자들도 인정하는 직무로 선정하는 것은 뭐야", "직무의 내용이 잘 알려져 있고 유사한 직무들을 대표하고 담당자들도 승인하는 직무로 선정하는 것은 뭐야", "직무의 내용이 잘 알려져 있고 비슷한 직무들을 대표하고 담당자들도 인정하는 직무로 선정하는 것은 뭐야", "직무의 내용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유사한 직무들을 대표하지 않고 담당자들도 인정하지 않는 직무로 선정하는 것은 뭐야" ]
2d804136-7831-4489-9838-ededc6f861d3
워크넷 구인구직DB를 이용한 2019년 1~2월 임금 동향
직무분석을 통해서 ‘직무’의 종류와 내용이 분석되었다면 다음은 이 직무를 ‘사람’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이렇게 ‘직무’를 ‘사람’에게 맞추는 작업이 직무설계다. 직무설계란, 직무수행자에게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직무내용과 수행방법을 조직하는 활동으로, 여기에는 직무전문화, 직무확대, 직무순환, 직무충실, 직무특성이론 등이 있다. 직무전문화(Job Specification)는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직무를 단순화·표준화하는 작업이고, 직무확대(Job Enlargement)는 업무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다양한 기능경험을 부여기 위하여 과업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직무순환(Job Rotation)은 직무활동의 다양한 경험을 부여하는 방법이고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는 직무만족을 위하여 관리기능의 일부인 계획과 통제 그리고 직무 책임을 직원에게 위임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직무특성 모델(Job Characteristics Model: JCM)은 핵심직무 차원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이 주요 심리상태(의미성, 책임성, 지식)를 유발하게 하여 직원들의 동기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 "직무를 사람에게 맞추는 작업은 뭐야", "직무를 사람에게 맞추는 노동은 뭐야", "직무를 사람에게 맞추는 일은 뭐야", "직무를 사람에게 맞추지 않는 작업은 뭐야" ]
c4cca158-1dec-49bb-9861-ff5dfffd2ca2
워크넷 구인구직DB를 이용한 2019년 1~2월 임금 동향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 등 직무관리 활동은 기업들에 있어 쉽지 않은 과제이다. 조직에서 어려운 과제일수록 리더의 역할과 구성원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조직의 각종 제도의 성공여부는 리더의 관심 여하에 달려 있다. 특히 직무관리처럼 손이 많이 가는 제도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리더는 직무관리가 조직에 정착되어 직무중심의 인사노무제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열정을 보여야 한다. 또한 직무관리제도가 아무리 잘 구축되었다고 하더라도 구성원들의 실행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직무관리 시스템을 설계할 때 현장 구성원들을 참여시키거나 설계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직무관리에 대해 이와 같은 리더십 발휘와 직원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면, 직무관리제도는 조직의 성장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공에도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조직의 성장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공에도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은 뭐야", "조직의 성장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공에도 이바지 하게 되는 것은 뭐야", "개인의 성공에도 기여를 하고 조직의 성장 또한 도와주는 것은 뭐야", "조직의 성장 뿐만 아니라 단체의 성공에도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은 뭐야" ]
42a9e5c3-5f4a-4b5e-8bf0-ff1e4368a835
워크넷 구인구직DB를 이용한 2019년 1~2월 임금 동향
4월에는, 새로운 직위를 맡은 사람들이 의욕적으로 직무수행 시작하면서 성공하겠다고 다짐한다. 이렇게 새로운 직위를 맡은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이 뭘까? 20세기 최고의 경영구루였던 피터 드러커는 자신의 경험으로 그 비결을 귀뜸해 주었다. “지난 40년 넘게 기업을 컨설팅 하면서 승진을 하여 새로운 직무를 맡은 유능한 사람들 가운데 계속해서 성공을 거두는 사람은 드물었고, 그것은 그들이 정말 ‘무능해졌기’ 때문이 아니라 직무에서 요구하는 일을 놔두고 과거 그들을 승진시켜 준 그 일을 계속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즉 기업에서 성공하는 비결은 새로운 직위에서 뛰어난 지식이나 재능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직위의 일, 즉 직무가 요구하는 중요한 과업에 집중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직무관리는 기업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매우 중요하다. 직무관리란 직무와 개인수준에서 잘 조화롭도록 하는 것으로,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를 포함한다. 전경련의 조사(2015년도)에 따르면, 직원들이 조직에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는 직원 자신의 역량부족(29.4%)이라기보다는 직무가 잘못 배정된 직무 미스매칭(32.5%) 때문이라는 것이다.
[ "직무와 개인수준에서 잘 조화롭도록 하는 것으로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를 포함하는게 뭐야", "직무와 개인수준에서 잘 어울리도록 하는 것으로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를 포함하는게 뭐야",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직무와 개인수준에서 잘 조화롭도록 하는게 뭐야", "직무와 개인수준에서 잘 부조화롭도록 하는 것으로 직무분석 직무평가 직무설계를 포함하는게 뭐야" ]
7ca58063-c827-45de-a3ca-5ffcba598a22
워크넷 구인구직DB를 이용한 2019년 1~2월 임금 동향
조직은 비전이나 핵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일(직무)과 인력이 필요하다.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려면 각각 직무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서 어떤 자격이 요구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렇게 일에 대한 내용과 그 일을 하는 사람에 대한 요건을 밝히는 것이 직무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직무분석 프로세스는 준비 작업을 거쳐 가설적 직무분류체계 만들고, 직무 조사를 하여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① 준비 작업은 직무분석을 진행할 담당 팀과 SME(Subject Matter Expert, 해당 직무 전문가)을 선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담당 팀은 인사부서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SME는 해당 직무에 숙련도가 높은 고참 직원 중심으로 1직무에 최소 1명 이상이 포함되도록 한다. ② 가설적 직무분류체계는 직무조사를 위한 분석대상 직무를 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조직 기능을 바탕으로 업무 유관관계를 살펴 직무분류체계를 구성한다. ③ 직무조사 방법에는 관찰법, 면접법, 질문지법, 중요사건법, 작업기록법, 워크샘플링법 등이 있다.
[ "조직은 비전이나 핵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일과 무엇이 필요해", "조직은 비전이나 핵심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일과 무엇이 필요해", "조직은 비전이나 핵심목표를 성공하기 위해서 일과 무엇이 필요해", "조직은 비전이나 핵심목표를 달성하지 않기 위해서 일과 무엇이 필요해" ]
b05e1a6f-49d7-432c-a5e1-8bacfe8e72d4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한편 형법전에 법인 처벌규정을 입법화하는 경우에 직접 행위자가 특정되어야 할지, 자연인의 처벌을 전제로 할지, 법인범죄는 어떤 범위로 설정할지, 법인의 형사책임은 어떤 범죄유형에 대해 인정할지, 법인에게 어떤 유형의 형벌을 부과할지 등에 대한 쟁점이 검토되어야 한다. 첫째, 위반행위자를 특정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도 법인의 조직규모나 자력으로 보아 법익침해라는 결과발생을 야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는바, 이때 법인에 대한 처벌의 공백을 막고, 이른바 조직화된 무책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위반행위를 한 자연인이 특정되지 않더라도 법인을 처벌할 수 있어야 한다. 앞서 언급된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 주의 법안도 조직구조상의 결함을 단체범죄로 포섭하고 있었고, 일본 내에서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는 기업조직체책임론도 위반행위자가 특정되지 않아도 개별 구성원의 행위 전체가 법인의 행위로 파악되면 법인에게 형사책임을 부담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는 점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랑스에서도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법인의 이익을 위해서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만 입증되면 고의를 가진 구체적인 행위자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법인의 형사책임이 인정된다.
[ "프랑스에서도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법인의 이익을 위해서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만 입증되면 고의를 가진 구체적인 행위자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인정되는 게 뭐야", "프랑스에서도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법인의 유익을 위해서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만 입증되면 고의를 가진 구체적인 행위자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인정되는 게 뭐야", "프랑스에서도 고의를 가진 구체적인 행위자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법인의 이익을 위해서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만 입증되면 인정되는 게 뭐야", "프랑스에서도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법인의 불이익을 위해서 객관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는 사실만 입증되면 고의를 가진 구체적인 행위자를 특정하지 않더라도 인정되는 게 뭐야" ]
e40508fa-2d4f-44e4-9328-2f538e9ad447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영국의 경우 전술한 미국과 마찬가지로 불법행위에 대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를 다시 중복적으로 논의하지는 않기로 한다. 대신에 영국은 특히 기업의 형사책임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이 행해진 국가라고 볼 수 있어서 이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기업의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적극적 제재를 위하여 이른바 2007년 기업살인법(the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CMCHA”))과 2010년 뇌물법(the Bribery Act 2010 (“Bribery Act”))의 입법 및 시행이 있었고, 양자는 공히 기업의 지배 및 운영시스템에 주목한 면이 크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2010년 뇌물법의 경우는 적용대상 행위가 근본적으로 기업에 의한 불법행위 중에서도 소비자 등 국민의 생명 또는 신체에 대한 침해결과의 발생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는 특성상 본 연구에서 이를 다룰 필요성은 적어 보인다. 이와 같은 전제에서, 이하에서는 가장 적극적 방식으로 기업의 형사책임을 긍정하는 입법방식이라고 볼 수 있는 영국의 2007년 기업살인법을 검토하도록 한다.
[ "영국의 경우 기업의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적극적 제재를 위해 2007년 입법 및 시행된 법은 뭐야", "영국의 경우 기업의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적극적 금지를 위해 2007년 입법 및 시행된 법은 뭐야", "영국의 경우 2007년 기업의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적극적 제재를 위해 입법 및 시행된 법은 뭐야", "영국의 경우 기업의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소극적 제재를 위해 2007년 입법 및 시행된 법은 뭐야" ]
145e3ff4-49da-4635-89c2-fb299db6cc77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법인의 형사책임에 대한 성격을 두고 학설이 대립되는데, 양벌규정이 도입되었던 당시에는 무과실책임설이 통설이었다. 타인의 행위로 인한 책임이 법인에게 전가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무과실책임설은 양벌규정이 사업주인 법인의 과실을 명시적으로 요구하고 있지 않다는 점, 이러한 입장이 행정단속의 목적에 보다 부합할 수 있다는 점 등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유 없는 형사책임의 전가는 형법상 책임주의 원칙에 반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는바, 양벌규정에 의한 법인의 형사책임을 과실책임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늘어났다. 과실책임설은 법인이 위반행위를 한 종업원에 대한 선임․감독상의 과실로 인해 형사책임을 부담한다고 보는데, 이는 다시 입증의 문제와 연계되어 순과실설(純過失說)과 과실의제설(過失擬制說) 및 과실추정설(過失推 定說)로 분류되기도 한다.
[ "타인의 행위로 인한 책임이 법인에게 전가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학설은 뭐야", "다른 사람의 행위로 인한 책임이 법인에게 전가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학설은 뭐야", "다른 사람의 행위로 인한 책임을 법인에게 떠넘기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학설은 뭐야", "타인의 행위로 인한 책임이 개인에게 전가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학설은 뭐야" ]
94090ff6-3cac-4a32-8438-f43e51bbd9c3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법인의 행위가 인정되어야 한다. 양벌규정은 법인에 대한 형벌부과 요건인 행위를 자연인의 행위와 결부시키고 있는바, 우선 자연인의 위반행위는 법인의 업무와 관련성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자연인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행위자가 점하고 있는 법인 내 지위와 관계된다. 법인의 대표자가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동일성 이론에 따라 그 위반행위의 불법과 책임을 곧바로 법인의 불법이나 책임으로 귀속시킬 수 있다. 반면 종업원 등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와 동일시되지 않으므로 그 위반행위의 불법과 책임을 법인의 불법 및 책임으로 귀속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없다. 그러나 2007년 헌법재판소 결정을 계기로 양벌규정을 통해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주의와 감독의무 위반이라는 법인 자체의 귀책사유가 명시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요컨대 양벌규정 속의 법인은 스스로 고의나 과실로 행위를 할 수 있는 독자적인 행위주체로 비춰지고 있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종업원 등의 위반행위 사례에만 그러하다.
[ "자연인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행위자가 점하고 있는 법인 내 무엇과 관계되는가", "자연인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행위자가 점하고 있는 법인 내 무엇과 연관이 있는가", "자연인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평가되어야 하는데 이는 행위자가 차지하고 있는 법인 내 무엇과 관계되는가", "자연인의 행위는 법인의 행위로 평가되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행위자가 점하고 있는 법인 내 무엇과 관계되는가" ]
00882c3b-a73e-4087-9433-3cf248541c0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둘째, 행위자의 특정과 별개로 법인을 처벌하기 위해서는 직접행위자인 자연인의 처벌을 전제로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오늘날 복잡하게 조직된 기업구조하에서 자연인의 가벌성을 전제로 법인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진다면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형법상의 양벌제는 그 처벌대상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는 무관하게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제도가 구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가 참고할 만한 입법모델이다. 요컨대 법인은 그 성격상 구성원인 자연인의 행위를 통해 범죄를 저지르나 법인을 처벌함에 있어서 자연인의 처벌을 전제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프랑스의 입법례 및 영미의 판례 이론과도 부합한다. 셋째, 법인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지가 문제 되는데, 법인격을 가지지 못한 단체는 법인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그 활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이익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처벌의 범주 내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프랑스 형법은 법인 처벌 대상에서 국가를 제외하고 있으나, 중국 형법은 단위범죄의 주체에 기업이나 사회단체는 물론이고 공공기관이나 국가기관도 포함시키고 있다.
[ "형법상의 양벌제에서 처벌 대상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 무관하게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제도가 구현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형법상의 양벌제에서 처벌 대상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 별개로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제도가 구현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형법상의 양벌제에서 처벌 대상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 상관없이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제도가 구현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형법상의 양벌제에서 처벌 대상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 관련하여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제도가 구현되어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
258203cf-25f6-4a7f-b5d2-a3856b6181a4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초기 일부 미국의 판례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대하여 형사처벌적 성격이 가미되어 있다는 점을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된 동일한 불법행위에 대하여 형사처벌이 배제된다고는 하지 않는 등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그 자체는 형사제재가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동 제도는 오랜 기간 동안 일반적인 손해배상제도와는 달리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 그리고 응징 내지는 응보의 기능도 부분적으로 담당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온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특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를 통하여 사회적 이익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그 목적으로 인하여 형사제재와 상당히 유사하다고 볼 여지가 있는 것이다.
[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를 통하여 사회적 이익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존재하는 것은 뭐야",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를 통하여 사회적 이익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의견이 존재하는 것은 뭐야", "사회적 이익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존재하며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를 통한 것은 뭐야", "준법행위에 대한 억제를 통하여 사회적 이익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존재하는 것은 뭐야" ]
be2766a3-59a4-42eb-a27a-6203c5210c75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즉 관리·조직 방식 그 자체가 위반의 본질적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 동법의 적용요건이자 장애물이 될 수도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관리·조직 방식 그 자체가 위반의 본질적 요소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기업 등 조직의 “운영실패”로 해석·표현하거나 혹은 “고위 경영진에 의한 운영실패”로 해석·표현하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과실이 아닌 이와 같은 운영실패를 요구하는 것은, 기존의 동일성 이론이 특정 고위 경영진의 중과실을 요구해온 것에 의한 한계를 극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운영실패를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더 이상 기업 등 조직의 고위 경영진에 의한 중과실이라는 사실상 발견 불가능한 요건의 성립 없이도 기업의 처벌이 가능하다고 평가된다. 따라서 동법 규정의 문언 그 자체만 놓고 본다면 기업 등 조직에 대한 처벌 가능성이 보다 높아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기존의 동일성 이론이 특정 고위 경영진의 중과실을 요구해온 것에 의한 한계를 극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은 무엇이니", "기존의 동일성 이론이 특정 고위 경영진의 중대한 과실을 요구해온 것에 의한 한계를 극복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은 무엇이니", "기존의 동일성 이론이 특정 고위 경영진의 중과실을 요구해온 것에 의한 한계를 이겨낸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은 무엇이니", "기존의 동일성 이론이 특정 고위 경영진의 중과실을 요구해온 것에 의한 한계에 굴복 한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은 무엇이니" ]
9e9fce69-3ed2-446e-ab4a-f6df91fd4f47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과거 일본의 판례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면서 법인이 부담하는 형사책임의 성격을 무과실 전가책임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입장은 대벌규정이 사라지고 양벌규정이 등장한 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경제 통제법규 강화의 일환으로 양벌규정이 급증하게 되면서 법인처벌 규정을 책임주의의 예외로 평가하는 입장에 대한 비판이 강력하게 대두되었다. 종전 이후 일본의 학계와 실무계에서는 책임주의의 관철이 도모되었는데, 1957년 일본 최고재판소는 과실추정설에 입각하여 법인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인정하였다. 즉 종업원이 입장세를 포탈한 사안에서 최고재판소는 사업주에게는 선임․감독 및 기타 위법행위를 방지해야 할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은 과실이 추정되므로 사업주가 자신의 무과실을 증명하지 않는 이상 형사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러한 입장은 1965년 최고재판소가 종업원이 업무상 외환법을 위반한 사안에서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면서 재확인되었다.
[ "일본 최고재판소가 과실추정설에 입각하여 법인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인정한건 언제야", "일본 최고재판소가 과실추정설에 따라 법인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인정한건 언제야", "일본 최고재판소는 언제 과실추정설에 따라 법인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인정했어", "일본 최고재판소가 과실추정설에 입각하여 법인 사업주의 형사책임을 부정한건 언제야" ]
30a5c9e0-5054-40f9-a4e2-33b844310930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그럼에도 불구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분명 형사제재와는 형식적으로 구별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즉 미연방대법원은 징벌적 손해배상과 형사처벌이 동시에 부과되는 경우를 이중처벌금지 원칙 위배는 아니라고 설시하거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벌금형과 구별된다고 설시하기도 한다. 즉 벌금형을 포함한 형사 처벌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양자는 구별된다고 보아야 한다. 판례뿐만 아니라, 학계도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는 미연방헌법상의 이중처벌금지 원칙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양자를 명확히 구별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종합하자면, 비록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문언적 의미로 인하여 형사적 제재와의 유사성이 내포될 수도 있다는 점을 완전히 부정하기는 어렵겠지만, 그 실질적 면으로 인하여 형사적 제재와 구별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벌금형을 포함한 형사 처벌과 구별된다고 보아야 하는 것은 뭐야", "벌금형을 내포한 형사 처벌과 구별된다고 보아야 하는 것은 뭐야", "벌금형을 포괄한 형사 처벌과 구별된다고 보아야 하는 것은 뭐야", "벌금형을 포함한 형사 처벌과 구별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는 것은 뭐야" ]
51888342-4a66-453e-8b78-af755134fad3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종래 형법학계에서는 법인의 처벌근거에 대한 논의는 전개되었으나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 법인의 불법과 책임을 어떻게 근거 지울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양벌규정을 책임주의 원칙과 조화시켜야 한다는 헌법상의 요청을 충족시키기 위해 법인의 독자적 책임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고 있는바, 법인에 대한 처벌근거의 범죄체계론적인 지위는 불법요소가 아닌 책임요소로 파악될 수 있다. ‘책임 없이 형벌 없다’는 형벌 부과의 근거로서 책임주의 원칙은 자연인뿐만 아니라 법인에 대해서도 적용되어야 한다. 양벌규정을 적용하여 법인을 처벌하기 위해서는 법인의 책임이 요구되는지, 요구된다면 그 책임의 근거를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해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데, 이는 대표자가 위반행위를 한 경우와 종업원 등이 위반행위를 한 경우를 구분하여 논의되어야 한다.
[ "자연인뿐만 아니라 법인에 대해서도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이 뭐야", "자연적 생활체로서의 인간과 법인에게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이 뭐야", "자연인에게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 법적으로 권리 능력이 부여된 사단과 재단에게도 적용되어야 하는 원칙은 뭘까", "자연인에게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뭐야" ]
8b861fd1-caf6-49c9-a8e8-ca4db541bff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현행법상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로는 벌금형이 유일하다. 형사제재를 부과할 때에는 해당 범죄에 대한 응보적 측면과 장래의 범죄 예방이라는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는데, 현행 벌금형제도로는 범죄에 대한 응징 및 수익박탈이 제대로 구현될 수 없고, 예방적 효과도 거두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벌금형 외에도 법인의 해산이나 직업활동의 수행 금지 및 징벌배상형 등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사제재를 마련하고 있고, 비록 입법에는 성공하지 못하였으나 2013년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Nordrhein–Westfalen) 주 법률안도 법인 해산과 보호관찰 및 판결의 공시 등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논의를 토대로 법인처벌을 위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할 형사제재의 유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프랑스의 경우 벌금형 외에도 법인의 해산이나 직업활동의 수행 금지 및 징벌배상형 등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사제재를 마련하고 있고 2013년 이 나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법률안도 법인 해산과 보호관찰 및 판결의 공시 등을 도입하고자 할 때 이 나라는 어디야", "프랑스의 경우 벌금형 외에도 법인의 해산이나 직업활동의 수행 제한 및 징벌배상형 등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사제재를 마련하고 있고 2013년 이 나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법률안도 법인 해산과 보호관찰 및 판결의 공시 등을 도입하고자 할 때 이 나라는 어디야", "법인처벌을 위해 2013년 이 나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법률안도 법인 해산과 보호관찰 및 판결의 공시 등을 도입하고자 하고 프랑스의 경우 벌금형 외에도 법인의 해산이나 직업활동의 수행 금지 및 징벌배상형 등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사제재를 마련하고 있을 때 이 나라는 어디야", "영국의 경우 벌금형 외에도 법인의 해산이나 직업활동의 수행 금지 및 징벌배상형 등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사제재를 마련하고 있고 2013년 이 나라의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법률안도 법인 해산과 보호관찰 및 판결의 공시 등을 도입하고자 할 때 이 나라는 어디야" ]
ee63d002-57f1-4718-a69c-e3359520115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일본에서는 기존의 양벌규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입법안이 모색되고 있다. 먼저 법인 업무와 관련된 위반행위가 있는 경우에 자연인 행위자와 법인 사업주는 물론이고 법인의 대표자도 함께 처벌하는 삼벌규정으로 양벌규정을 대체하자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일본의 노동기준법이나 직업안정법 등에 이미 채용되어 있는 삼벌규정을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하자는 이 안에 대해서는 법인 대표자의 형사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합목적적인 방안이라는 평가가 있는가 하면, 양벌규정이 가지는 이론적 한계를 남겨둔 채 처벌 범위만 양벌에서 삼벌로 확대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 다음으로 법인의 형사책임에 관한 독자적 이론 구성으로서 기업조직체책임론이 있다. 이 이론에 의하면 법인은 조직체로서 활동하는 사회적 실재인 바, 위반행위자가 특정되지 않더라도 개별 구성원의 행위 전체가 법인의 행위로 파악되면 법인은 형사책임을 부담하며, 대표자는 물론이고 하급직 구성원의 행위도 조직 활동의 분담으로 파악되는 이상 법인의 행위로 귀속된다.
[ "기존의 양벌규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입법안이 모색되고 있는 곳은 어디야", "기존의 양벌규정이 가지고 있는 한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입법안이 모색되고 있는 곳은 어디야", "새로운 입법안을 모색하여 기존의 양벌규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곳은 어디야", "기존의 삼벌규정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입법안이 모색되고 있는 곳은 어디야" ]
672eec33-9dff-4ada-b32a-da7cb3b76fdf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동법의 시행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적용사례가 매우 적어서 –불과 수년 전인 2012년 1월 기준으로는- 한 때 실용성 여부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법 시행 이후 2015년 12월까지 영국에서 동법 위반을 이유로 기소가 이루어진 사건은 총 18건인 것으로 파악되며, 총 18건 중 최종적으로 무죄가 선고된 사건은 2건이며, 나머지 사건들은 모두 유죄취지로 결론이 도출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동법의 적용 사례가 최근 들어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여겨진다. 순수한 벌금액만 놓고 보면, 실제 기소가 이루어져 형사처벌이 이루어진 사건들 중 최저 벌금액은 8천 파운드, 최고 벌금액은 7십만 파운드에 이르고 있어 -비록 표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나름의 편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 "실용성 여부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존재했던 법은 뭐야", "실용성 여부에 대한 회의적 관점이 존재했던 법은 뭐야", "실용적인 측면에서 의심을 품었던 법은 뭐야", "실용성 여부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존재했던 법은 뭐야" ]
cd31bf85-d752-461c-9736-b5efa676f24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벌금형만을 부과하는 것은 지나치게 평면적이고, 기업범죄를 효과적으로 처벌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제재로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바, 이에 기업처벌을 위한 형사제재로서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업무활동 제한 등의 도입이 거론되고 있다. 형사파산이라고도 불리는 기업의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의 종사 금지는 자연인에게 부과되는 생명형이나 자유형과 유사하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특히 법인의 해산은 해당 집단을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통상 자연인에 대한 사형과 비교되나, 이에 대해서는 불법행위를 저지른 해당 법인이 법적 조직 외의 형태나 또 다른 형태의 단체로 전환되어 그 행위나 불법성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형과 비교될 수 없다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는 법인이 범죄를 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거나 설립취지에 반해 중죄를 범한 경우, 또는 자연인이라면 3년 이상의 구금형에 처해질 수 있는 경죄를 범한 때에는 법인의 해산을 선고할 수 있고, 중죄나 경죄로 인하여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법인에 대해서 그 범죄행위에 제공된 영업소의 영구적 또는 5년 이하의 폐쇄를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프랑스 형법 제131–39조 제1항 제1호, 제4호).
[ "기업의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의 종사 금지는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기업의 해체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의 종사 금지는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기업을 없애거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의 종사 금지는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기업의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의 종사 허가는 무엇이라고도 불리는가" ]
3da856d9-090f-49cf-9ddf-cd80865d11af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경우 법제도의 특성상 판례를 통하여 발전되어 왔다고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후술할 바와 같이, 미국의 경우 상당수 주에서는 아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인정하는 차원의 근거 규정을 성문법에 직접 규정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의 주법을 예시하는 경우, 아무래도 인구와 경제력이 상당히 집중되어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 주와 캘리포니아 주 그리고 텍사스 주를 주로 예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하에는 이들 주의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에 대한 법원이 무엇인지를 간략히 검토하도록 한다. 우선 뉴욕 주의 경우 주의 민법상 일반규정에 이를 직접 규정하고 있지는 않고, 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판례법들을 통하여 불법행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인정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경우 법제도의 특성상 판례를 통하여 발전되어 왔다고 예상할 수 있는 것은 뭐야",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경우 법제도의 특성상 판례를 통하여 향상되어 왔다고 예상할 수 있는 것은 뭐야",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경우 법제도의 특성상 판례를 통하여 성장되어 왔다고 예상할 수 있는 것은 뭐야", "미국 등 영미법계 국가의 경우 법제도의 특성상 판례를 통하여 발전되어 왔다고 예상할 수 없는 것은 뭐야" ]
0578c41a-39f2-4423-9d7a-f8cbe071273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기업이란 이윤 추구를 위해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경제활동의 기본 주체를 일컫는데, 그 활동 과정에서 기업이 일으킨 위법하고 유책한 행위를 가리켜 기업범죄라고 한다. 기업범죄는 법률상 용어가 아닌 강학상의 개념에 불과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적어도 기업의 구성원이 사적 이익을 추구하거나 조직과 별개로 일으킨 범죄는 이에 포섭될 수 없다. 또한 기업은 통상적으로 법인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로 인해 기업범죄는 법인범죄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기업범죄는 화이트칼라범죄나 경제범죄 및 조직범죄 등과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 이들과는 다른 개념이다. 우선 기업의 경영자나 간부를 비롯하여 정치인이나 고위 관료 등이 자신의 지위와 권한을 이용해서 영리를 추구하는 화이트칼라범죄와 달리 기업범죄는 이러한 계층이 아닌 기업의 하위구성원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 "이윤 추구를 위해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경제활동의 기본 주체를 뭐라고 해", "이윤 추구를 위해 재화나 용역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경제활동의 기본 주체를 뭐라고 해", "이윤 추구를 위해 재화나 용역을 만들고 판매하는 경제활동의 기본 주체를 뭐라고 해", "이윤 추구를 위해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봉사활동의 기본 주체를 뭐라고 해" ]
17c4ed92-735d-4be7-978e-a5f6126c249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전술한 바와 같이, 영국의 2007년 기업살인법의 적용 사례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근로자의 사망자 수와 비교하였을 때 동법이 적용되는 사망 사건의 수는 매우 적다고 보는 견해가 있어 이를 간과하기는 곤란해 보인다. 동법의 경우 그 적용요건으로 전술한 주의의무를 사망한 자에 대하여 부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적용상의 제한이 존재함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더욱 간과하여서는 안 될 점은 바로 동법이 요구하는 적용요건 중 운영실패라고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법이 규정하고 있는 운영실패 여부는 결과적으로 기업 등 조직 내부의 위험관리 시스템의 존재 여부 및 당해 시스템의 충실하고 적절한 실제 운용 여부에 따라 판단될 것으로 보인다.
[ "전술한 주의의무를 사망한자에 대하여 부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적용상의 제한이 존재함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 이법은 무엇이니", "앞서 서술한 주의의무를 사망한자에 대하여 부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적용상의 제한이 존재함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 이법은 무엇이니", "앞서 서술한 주의의무를 사망한자에 대하여 부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적용상의 제한이 존재함을 생각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 이법은 무엇이니", "전술한 주의의무를 사망한자에 대하여 부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적용상의 제한이 존재함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보이는 이법은 무엇이니" ]
34e4ecae-6391-4dbc-ac47-d1fdb64587d4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즉 대표자가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동일성 이론에 기초하여 법인 대표자의 책임을 법인의 책임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종업원 등이 위반행위를 한 경우에는 상당한 주의와 감독의무 위반을 법인의 독자적 책임으로 볼 여지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형벌이 전제하는 책임개념이나 책임능력은 법인에 대해서 인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형벌부과의 전제조건으로서 책임 능력은 자연인에게만 인정되는바, 이는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데 결정적인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행 법체계상 양벌규정으로 포섭되는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형벌을 부과하면서, 형법상 범죄에 대해서는 형벌을 부과하지 않는 이중적인 상황은 법인의 책임능력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만드는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 "대표자가 위반행위를 한 경우 법인 대표자의 책임을 법인 책임으로 볼 수 있는 것의 기초가 뭐야", "대표자가 위반행위를 한 경우 법인 대표자의 책임을 법인 책임으로 볼 수 있는 것의 근본이 뭐야", "대표자가 법을 어긴 경우 법인 대표자의 책임을 법인 책임으로 볼 수 있는 것의 기초가 뭐야", "종업원이 위반행위를 한 경우 법인 대표자의 책임을 법인 책임으로 볼 수 있는 것의 기초가 뭐야" ]
42eec901-eb2a-4f02-a670-d71be875c4b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법인의 범죄능력과 책임능력이 부정되는 일본에서는 기업의 처벌 필요성에 응하기 위해 양벌규정이 고안되었고, 이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요컨대, 일본과 우리나라는 법인의 형사처벌과 관련하여 동일한 입법 방식을 취하고 있는바, 형법상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지는 않으나, 개별 행정형법에 규정된 양벌규정을 통해서 법인의 대표자나 대리인, 사용인 기타 종업원이 해당 법인의 업무와 관련해서 법 위반 행위를 저지른 경우에는 그 위반행위자와 함께 영업주인 법인이나 개인을 처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매개로 법인 처벌이 이루어지는 양벌규정은 오늘날 거대화・복잡화・조직화된 기업의 위법행위 구조와 부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데, 일본에서 논의된 기업조직체책임론은 법인의 형사책임에 관한 독자적인 이론 구성으로서 향후 우리나라의 제도 개선방안을 논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매개로 법인 처벌이 이루어지는 것은 뭐야",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동을 매개로 법인 처벌이 이루어지는 것은 뭐야",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매개로 법인 형벌이 이루어지는 것은 뭐야", "법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매개로 법인 처벌이 이루어지는 것은 뭐야" ]
1a9c035c-66e3-4f89-a655-7d62d09b3c36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보다 규모가 크고, 보다 종업원 수가 많은 대기업이나 대규모 조직의 경우 그렇지 아니한 기업 등 조직에 비하여 동법의 적용을 회피할 가능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대적으로 소규모 기업 등 조직의 경우 대부분의 종업원은 물론 경영자가 그날그날의 업무에 시간과 공을 소진하여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술한 위험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만한 것이 소규모 기업 등 조직의 경우 애초에 존재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일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소규모 기업 등 조직이 이러한 법률의 적용을 피하기 위하여는, 결과적으로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시스템을 형식적으로 갖추는 방향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서류상으로 형식적인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외관을 형성할 경우 그러한 시스템의 실질적 운용이라고 할 것은 아예 전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 "소규모 기업 등의 조직의 경우 그날 그날의 업무에 시간과 공을 소진하여야 할 수 밖에 없어 이것이 애초에 존재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 이것은 뭐야", "소규모 기업 등의 조직의 경우 그날 그날의 업무에 시간과 공을 사용하여야 할 수 밖에 없어 이것이 애초에 존재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 이것은 뭐야", "소규모 기업 등의 조직의 경우 그날 그날의 업무에 시간과 공을 써야 할 수 밖에 없어 이것이 애초에 존재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인데 이것은 뭐야", "소규모 기업 등의 조직의 경우 그날 그날의 업무에 시간과 공을 소진하여야 할 수 밖에 없어 이것이 존재하기 쉬운데 이것은 뭐야" ]
bb94328d-fd88-432c-91ac-69c8cf2db603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일반범죄와 비교할 때 기업범죄는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조직적・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수법이 지능적・전문적이다. 특히 기업범죄는 조직 시스템 자체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거나 여러 구성원의 분업적 활동에 의해 범해지기 때문에 형사책임의 주체를 확정하기가 어렵고, 개인에 의해 저질러진 동일한 유형의 범죄에 비해 그 피해의 규모가 광범위하고 피해의 정도도 심각하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기업범죄는 수사기관에 의해 포착되지 않는 암수범죄가 많은 것으로 평가되는바, 개인범죄와 달리 기업범죄의 발생 동향을 범죄통계를 기초로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사회가 복잡・다양해지면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체를 결성하거나 재산을 조성하는 경우 또한 증가하였다. 사회 각 분야에서 그러한 단체나 재산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법률로써 권리능력을 부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자연인 이외에 법인격을 부여받은 사단이나 재단 등을 일컬어 법인이라고 한다. 한편 일정한 목적을 갖고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조직적 경제단위인 기업은 대부분 법률상 권리 능력을 부여받은 법인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바, 기업의 범죄능력에 관한 논의는 통상적으로 법인의 본질론과 범죄능력에 대한 논의로 귀결되고 있다.
[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조직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수법이 지능적이고 전문적인 게 뭐야",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조직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직무수행 과정에서 야기 때문에 그 수법이 지능적이고 전문적인 게 뭐야",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조직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직무수행 과정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 수법이 지능적이고 전문적인 게 뭐야",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개인적이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직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수법이 지능적이고 전문적인 게 뭐야" ]
d92d25c4-2cbe-4825-8977-ceca3793d13c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기본적으로 미연방대법원은 소송당사자 아닌 제3자의 손해를 산입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액수를 산정하는 것은 미연방수정헌법 제14조상 절차적 적법절차 원칙에 대한 위배라고 설시한 바 있다. 만약 소송당사자가 아닌 제3자에 대한 손해를 산입해야 한다고 하면, 가해행위를 행한 피고 입장에서는 사실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손해액수의 인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하여 적법절차 원칙의 준수를 담보 받을 수 없게 되고, 더 나아가 방어권 행사가 상당히 곤란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미연방대법원이 제시한 논리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이와 같은 손해의 산입을 금지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고 볼 수 있지만, 징벌적 손해배상이 갖는 응징적 요소로 인하여 이를 이와 같이 별도로 서술할 필요성 이 존재함을 부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 "미연방대법이 제시한 논리에서 가해행위를 행한 피고 입장에서는 사실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손해 액수의 인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하여 적법절차 원칙의 준수를 담보 받을수 없게 되므로 무엇을 산입하면 안되니", "미연방대법이 제시한 논리에서 가해행위를 행한 피고 입장에서는 사실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손해 액수의 인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하여 적법절차 원칙의 준수를 담보 받을수 없게 되므로 무엇을 계산하여 대입하면 안되니", "미연방대법이 제시한 논리에서 피해를 입힌 피고 입장에서는 사실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손해 액수의 인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하여 적법절차 원칙의 준수를 담보 받을수 없게 되므로 무엇을 계산하여 대입하면 안되니", "미연방대법이 제시한 논리에서 가해행위를 행한 피고 입장에서는 사실상 징벌적 손해배상의 기준을 알 수 없어서 손해 액수의 인정에 있어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하여 적법절차 원칙의 준수를 담보 받을수 없게 되므로 무엇을 산입하면 되니" ]
bc7330c4-7e83-4198-9e31-38f1cc3d90e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동법 제393조는 법인의 활동 과정에서 조세와 관련된 위반행위가 있는 경우에는 자연인의 형사책임을 확정할 필요 없이 직접 법인에게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으나, 실무상 동 규정은 제대로 적용되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내 미국 점령 지역에서는 영미법상의 원칙에 근거한 법령이 제정되었는데, 그중 카르텔이나 외환관리 관련 영역에서는 법인에 대해서도 형사제재를 부과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규정들이 실제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지만, 1953년 독일 연방법원은 이른바 ‘철강사업자 소송(Stahlhändlerprozeß)’ 판결에서 법인의 형사책임을 긍정하고 벌금형을 선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당시 시행 중이던 점령법의 구속력을 인정한 것에 불과하였는바, 이 판결에서 독일 연방법원은 법인에 대한 형벌 부과는 독일 형법상 책임이나 형벌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후 1954년 독일의 주권이 회복되면서 점령법이 폐지되었고, 독일의 판례는 법인에 대한 형사책임을 부정하는 입장을 유지해오고 있다.
[ "독일 연방법원이 법인에 대한 형벌 부과는 독일 형법상 책임이나 형벌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힌 판결은 뭐야", "독일 연방법원이 법인에 대한 형벌 부과는 독일 형법상 책임이나 형벌 개념에 적합하지 않는다고 밝힌 판결은 뭐야", "독일 연방법원이 법인에 대한 형벌 부과는 독일 형법상 책임이나 형벌 개념에 맞지 않는다고 밝힌 판결은 뭐야", "독일 연방법원이 개인에 대한 형벌 부과는 독일 형법상 책임이나 형벌 개념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힌 판결은 뭐야" ]
a6525a2e-5dea-4704-9f67-ce896f96cbb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1997년에 개정된 중국 형법은 단위범죄를 규정함으로써 기업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형법 총칙은 단위의 형사책임을 인정함과 아울러 단위범죄에 부과되는 형벌의 유형 및 부과방식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먼저 형법전은 법률이 단위범죄로 규정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 기업 등 단위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한편 기업이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해당 기업에 대해 벌금형을 부과하는 동시에 기업의 기관인 자연인에 대해서 형벌을 부과할 수 있다. 이때 자연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벌에는 관제(管制)와 구역(拘役)을 비롯하여, 유기징역(有期徒刑), 무기징역 (无期徒刑), 사형(死刑) 등의 주형뿐만 아니라 벌금(罚金)이나 정치권리의 박탈(剥夺政 治权利) 및 재산몰수(没收财产) 등의 부가형도 포함되나,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벌금형에 한정된다.
[ "자연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벌에는 관제와 구역을 비롯하여 유기징역 무기징역 사형 등의 주형뿐만 아니라 벌금이나 정치권리의 박탈 및 재산몰수 등의 부가형도 포함되는데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자연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처벌에는 관제와 구역을 비롯하여 유기징역 무기징역 사형 등의 주형뿐만 아니라 벌금이나 정치권리의 박탈 및 재산몰수 등의 부가형도 포함되는데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관제와 구역을 비롯하여 유기징역 무기징역 사형 등의 주형뿐만 아니라 벌금이나 정치권리의 박탈 및 재산몰수 등의 부가형도 포함되는 형벌이 자연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데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자연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포상에는 관제와 구역을 비롯하여 유기징역 무기징역 사형 등의 주형뿐만 아니라 벌금이나 정치권리의 박탈 및 재산몰수 등의 부가형도 포함되는데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
b219c543-1c4b-4930-a07f-563c1bdb3c2f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우선 해산형이 부과될 수 있는 법인의 범위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공법인에 대해서는 유죄를 선고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필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나 행정부서가 사법부에 의해 해산되는 것은 권력분립의 원칙에 반할 수 있으므로 해산의 적용 대상에서는 제외해야 한다. 또한 프랑스의 경우 정당이나 정치단체 및 노동조합도 해산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이들은 헌법상 보장된 정치・결사의 자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이 그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해산형이 선고될 수 있는 범죄의 유형도 한정될 필요가 있는바, 살인이나 강간과 같은 강력범죄와 마약, 인신매매, 성매매알선 등과 같이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범죄들이 그 대상에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기업의 해산으로 인해 선의의 구성원들이 입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청산이 완료되고 남은 자산은 구성원들에게 분배되도록 해야 하며, 기업해산의 리스크를 대비할 수 있는 보험제도의 활용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헌법상 보장된 정치 결사의 자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정당이나 정치단체 및 노동조합은 해산의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헌법상 보장된 정치 결사의 자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정당이나 정치단체 및 노동조합은 해산의 대상에서 배제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헌법상 보장된 정치 결사의 자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정당이나 정치단체 및 노동조합은 해산의 대상에서 뺀 나라는 어디인가", "헌법상 보장된 정치 결사의 자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정당이나 정치단체 및 노동조합은 해산의 대상에서 포함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인가" ]
205f2c05-c46a-45c9-b915-a6387c17ac74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양벌규정은 형법상 법인의 행위능력이나 범죄능력이 인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법인의 활동으로 인한 범죄적 결과를 예방하고 불법이익을 차단하기 위해 고안된 입법형식이다. 현재 대부분의 양벌규정들은 법인의 감독과실을 전제로 적용되고 있으나, 인간과 같은 사고와 감정이 결여된 법인에게 과실책임을 묻는 것 자체가 이미 형법의 근본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론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매개로 법인 처벌이 이루어지는 것은 오늘날 거대화・복잡화・조직화된 기업의 위법행위 구조와 부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즉 대표자 등의 의무위반 행위가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벌규정으로 기업을 처벌할 수 없는데,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불법행위로 인한 피해의 규모가 커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조직 내부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특정하지 못함으로써 형사책임을 물을 수 없는 불합리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기업 내에서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자의 범위를 확정하는 것도 곤란한 측면이 있는바, 위법행위를 직접 실행한 하급자는 양벌규정을 통해 처벌되는 데 반하여 정작 고위경영진 등의 상급자는 처벌을 면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 "현재 대부분의 양벌규정들은 법인의 무엇을 전제로 적용되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양벌규정들은 법인의 무엇을 선행하여 적용되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양벌규정들은 법인의 무엇을 조건으로 하여 적용되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양벌규정들은 법인의 무엇을 전제하지 않고 적용되고 있어" ]
888428ed-4ac1-4555-b275-7777001ebbcd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우리나라의 경우 보호관찰제도 그 자체는 본래 형벌의 집행을 유예하는 경우 또는 선고를 유예하는 경우와 불가분의 것으로 이해되곤 하여왔다. 또한 이러한 보호관찰제도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보호관찰 그 자체는 자연인에 대한 제재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후술할 바와 같이 비단 자연인뿐만 아니라 기업 등 조직에 대하여도 보호관찰을 통하여 제재를 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일정한 의무 등을 처벌대상행위를 행한 기업에 대하여 부과하면서 당해 의무의 준수여부를 보호관찰관이 감독하는 것을 기업 등 조직에 대한 보호관찰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기업 등 조직에 대한 보호관찰은 기업 활동의 적법성 유도 차원의 체질개선 방안으로, 일정 제재의 부과와 당해 제재의 준수 여부를 보호관찰관이 감독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법인이 더 이상의 불법행위를 중단하도록 하는 제재를 말한다고 요약 가능하다.
[ "우리나라에서 그 자체는 본래 형벌의 집행을 유예하는 경우 또는 선고를 유예하는 경우와 불가분의 것으로 이해되곤 하여 온 것은 무엇이니", "우리나라에서 그 자체는 본래 형벌의 집행을 연기하는 경우 또는 선고를 연기하는 경우와 불가분의 것으로 이해되곤 하여 온 것은 무엇이니", "우리나라에서 그 자체는 본래 형벌의 집행을 연기하는 경우 또는 선고를 연기하는 경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으로 이해되곤 하여 온 것은 무엇이니", "우리나라에서 그 자체는 본래 형벌의 집행을 유예하는 경우 또는 선고를 유예하는 경우와 분리되는 것으로 이해되곤 하여 온 것은 무엇이니" ]
cc917eb3-4465-44c2-8910-26f12f15a66c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형법상 행위의 주체는 원칙적으로 자연인을 상정하고 있는데, 자연인이라면 책임능력의 유무나 연령을 불문하고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반면 인간과 같은 육체와 정신을 가지지 못한 법인을 행위의 주체로 인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제기되어 왔으며, 이는 법인의 본질과 범죄능력에 대한 논의로 귀착된다. 우선 법인의 사회적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법률상 권리주체성이 인정되었지만, 과연 법인의 본질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첨예한 논쟁이 이어져 왔다. 즉 법인을 자연인과 같이 실재하는 존재로 보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단지 법인은 법률에 의해서 자연인으로 의제된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있는 것이다. 먼저 법인실재설에 의할 때 법인은 단순히 법기술적인 제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인과 같은 권리주체로서의 실질을 가진다고 파악된다. 즉 법인도 사회적 유기체로서 단체의사를 가지거나 권리주체로 인정되기에 적합한 법률적인 조직을 갖춘 실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법인의제설에 의하면 권리나 의무의 주체는 자연인에 한정되고, 법인은 법률을 통해 자연인에 의제되는 관념적 존재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된다.
[ "형법상 행위의 주체는 무엇을 상정하고 있어", "형법상 행동의 주체는 무엇을 상정하고 있어", "형법에서 행위의 주체는 무엇을 상정하고 있어", "형법상 행위의 주체는 무엇을 상정하고 있지 않고 있어" ]
8031a8d3-391c-4294-8c45-46c5d1fa996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질서위반법 제30조는 법인의 업무를 행하는 자연인이 범죄행위나 질서위반행위를 한 경우에 법인이 질서위반금을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법인의 대표권 있는 기관이나 그 기관의 구성원, 권리능력 없는 사단이나 재단의 이사 또는 이사회의 구성원 등이 범죄나 질서위반행위를 함으로써 법인 등에 부과된 의무를 위반하거나 혹은 법인 등이 이득을 얻게 된 경우, 해당 법인 등에 질서위반금을 부과할 수 있다(질서위반법 제30조 제1항). 질서위반금의 액수는 고의에 의한 범죄행위일 때에는 1,000만 유로 이하, 과실에 의한 범죄행위일 때에는 500만 유로 이하이다(동조 제2항). 한편 범죄행위나 질서위반행위에 대한 형사소송이나 질서위반법 절차가 개시되지 않거나 중지된 경우 또는 형벌이 면제된 경우에도 질서위반금은 독립하여 부과될 수 있다(동조 제4항). 나아가 법인 또는 단체에 대한 질서위반금이 확정되면 동일한 행위를 근거로 한 추징은 배제된다(동조 제5항).
[ "법인의 업무를 행하는 자연인이 범죄행위나 질서위반행위를 한 경우에 법인이 질서위반금을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법인의 업무를 행하는 자연인이 범죄행위나 질서위반행위를 한 경우에 법인이 질서위반금을 부담하도록 규제하고 있는 것은 뭐야", "법인의 업무를 행하는 자연인이 질서위반행위나 범죄행위를 한 경우에 질서위반금을 법인이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법인의 업무를 행하는 자연인이 질서위반행위나 범죄행위를 한 경우에도 질서위반금을 법인이 부담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
b6c190db-fab5-4813-9017-935cb8d0615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기업에 대한 제재로 도입이 논의되는 또 다른 유형으로는 보호관찰과 사회봉사명령이 있다. 미국에서는 기업에 대한 보호관찰이 벌금형과 선택적・병렬적으로 부과될 수 있는데, 미국 양형위원회는 범죄를 저지른 기업을 대상으로 5년 범위 내에서 보호관찰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법인에 대한 보호관찰의 조건으로서 사회봉사명령이 부과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재들은 기업이 적법한 활동을 하도록 체질을 개선시키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공동체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한편 프랑스의 경우 중죄나 경죄로 인하여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법인에 대해서 사법감시(surveillance judiciaire)를 명할 수 있다(프랑스 형법 제131-39조 제1항 제3호). 사법감시는 해산과 마찬가지로 공법인이나 정당, 정치단체, 노동조합 등 특정 법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며(동조 제3항), 그 감시기간은 최대 5년을 넘길 수 없다(동조 제1항 제3호).
[ "미국에서는 기업에 대한 보호관찰이 벌금형과 선택적 병렬적으로 부과될 수 있는데 미국 양형위원회는 범죄를 저지른 기업을 대상으로 몇 년 범위 내에서 보호관찰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미국에서는 기업에 대한 보호관찰이 벌금형과 선택적 병렬적으로 과형할 수 있는데 미국 양형위원회는 범죄를 저지른 기업을 대상으로 몇 년 범위 내에서 보호관찰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미국에서는 기업에 대한 벌금형과 보호관찰이 병렬적 선택적으로 부과될 수 있는데 미국 양형위원회는 범죄를 저지른 기업을 대상으로 몇 년 범위 내에서 보호관찰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미국에서는 기업에 대한 보호관찰이 벌금형과 선택적 병렬적으로 부과될 수 있는데 미국 양형위원회는 선행을 저지른 기업을 대상으로 몇 년 범위 내에서 보호관찰을 선고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
49d1222e-9a11-4d53-a8ab-a47598872cb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단위의 범죄주체 인정 여부를 두고 벌어졌던 논쟁은 중국 형법에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이 명시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중국 형법은 기업범죄의 주관적 요건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는바, 그 해석을 두고 견해가 대립되고 있다. 형법각칙에 규정된 대다수의 기업범죄는 고의범죄에 속하는바, 기업범죄의 주관적 요건은 조직 자체의 행위에 대한 고의만을 포함하고 선임감독상의 주의의무와 같은 과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는 소수설도 있으나, 중국 학계의 다수설은 고의뿐만 아니라 과실도 기업범죄의 주관적 요건에 포함된다고 본다. 한편 통설에 의할 때 기업범죄의 범의 형성은 주로 의사결정기관의 결의나 기업 주관자의 결정 형식으로 표현된다. 즉 이사회 등이 행한 결의나 기업의 대표자 및 기관장 등이 기업을 대표해서 내린 결정을 통해 범의가 형성되는 것이다. 주관자가 아닌 일반 구성원이 기업의 이익을 위해 그 업무범위 내에서 기업의 명의로 행위한 경우에는 의사결정기관의 허가나 비준을 받지 못한 이상 기업의 범죄로 인정되지 않는다.
[ "단위의 범죄주체 인정 여부를 두고 벌어졌던 논쟁은 이 나라의 형법에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이 명시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일단락되었는데 이 나라는 어디야", "단위의 범죄주체 인정 여부를 두고 벌어졌던 논란은 이 나라의 형법에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이 명시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일단락되었는데 이 나라는 어디야", "이 나라의 형법에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이 명시적으로 규정됨으로써 단위의 범죄주체 인정 여부를 두고 벌어졌던 논쟁은 일단락되었는데 이 나라는 어디야", "단위의 범죄주체 기각 여부를 두고 벌어졌던 논쟁은 이 나라의 형법에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이 명시적으로 규정됨으로써 일단락되었는데 이 나라는 어디야" ]
f8f9c2fe-5eda-484f-879a-a577526140d0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독일에서는 1970년대 중반부터 기업의 활동이 증대하면서 법인에 대한 형사처벌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입장이 늘어났다. 형법상 책임을 인격적 책임이 아닌 사회적 책임으로 파악하면서 법인의 책임능력을 인정하는가 하면, 개인의 행위가 아닌 단체의 범죄적 태도로부터 기업범죄의 처벌근거를 찾는 조직책임이라는 고유의 책임 개념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행정종속적인 질서위반금만으로 법인의 불법행위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는바, 벌금 등을 부과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되었다. 한편 1990년대 들어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법인에게 형사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법인도 의무의 수범자로서 그 기관인 자연인을 통해 행위하고 있고, 이미 도덕적 규범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단체의 형사책임을 부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으며, 법인에게도 형벌을 통한 일반예방이나 특별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법인의 범죄능력과 형사책임을 긍정해야 한다는 논의가 전개되었다.
[ "1990년대 들어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법인에게 무엇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거야", "1990년대 들어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법인에게 무엇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거야", "1990년대 들어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법인에게 무엇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게 된 거야", "1990년대 들어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인하고 법인에게 무엇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거야" ]
fb615749-dea1-4bab-a369-4e93e7ee8063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이러한 기업 등 조직 대상 보호관찰에 대하여, 기업에 대하여 막대한 액수의 손해배상을 명하거나 기업의 영업활동 자체를 중단 또는 기업의 해산 등을 명하는 것에 비한다면 기업 입장에서 비교적 수인가능한 범위 내의 제재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행한 기업에 대하여 당해 기업의 영업활동의 중단 없이도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경영자는 물론 기업의 종업원 및 당해 기업과 거래당사자 등 이른바 선의의 제3자 입장에서도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제도로 볼 여지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 강조된다면, 오히려 기업 입장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정산’하는 것으로 오해할 여지가 있고 이는 기업에 대한 제재로서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역효과로 예상될 수 있다.
[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행한 기업에 대해 영업활동의 중단 없이도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제도는 뭐야",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행한 기업에 대해 영업활동의 중단 없이도 처벌을 가할 수 있는 제도는 뭐야", "영업활동의 중단 없이도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한 기업에 대해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제도는 뭐야", "형사처벌 대상행위를 행한 기업에 대하여 영업활동의 중단과 함께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제도는 뭐야" ]
78597e4d-783b-44e4-8361-3b6a476409b1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기업에 대한 형사처벌의 근거로서 중국에서 논의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조직체 형사책임론이 있다. 우선, 이 이론은 기업범죄의 원인을 파악할 때 기업 자체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업의 범죄행위는 자연인 구성원을 통해 실행되는데, 그 구성원이 업무범위 내에서 한 행위는 기업 자체의 행위로 파악될 수 있다. 즉 기업범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기업일 뿐이고, 자연인 구성원의 행위는 업무범위 내인 경우에 기업의 행위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범죄의 주관적 구성요건인 기업 자체의 의사내용은 대표자 등 고위관리자가 업무상 내린 결정이나 기업의 정관 또는 정책 등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요컨대 조직체 형사 책임론은 범죄성립의 객관적 구성요건과 관련해서는 기업 고유의 구조적 특징과 업무 관련성을 강조하고, 주관적 구성요건과 관련해서는 의사결정기관의 의사나 기업의 정책 등을 중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기업에 대한 형사체벌의 근거로서 중국에서 논의되는 대표적인 이론은 뭐야", "기업에 대한 형사체벌의 근거로서 중국에서 의논되는 대표적인 이론은 뭐야", "중국에서 기업에 대한 형사체벌의 근거로서 논의되는 대표적인 이론은 뭐야", "기업에 대한 형사체벌의 근거로서 중국에서 논의 되고 있지 않은 대표적인 이론은 뭐야" ]
027a4598-2d10-48b1-a2ed-6ca503d478bc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비록 동 법률안은 입법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으나, 대륙법계 국가에서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하나의 입법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우선 동 법률안에 의하면, ‘단체 (Verbände)’는 사법상․공법상 법인, 권리능력 없는 사단이나 재단, 권리능력 있는 인적 회사로 규정된다(기업 및 기타 단체의 형사책임 도입을 위한 법률안 제1조 제1항). 또한 ‘단체범죄(Verbandsstraftaten)’는 단체의 의사결정권자가 직접행위자로서 행한 범죄행위 및 단체의 종업원이 행한 범죄행위의 계기가 되었거나 이를 방지하지 않았던 의사결정권자나 단체 그 자체의 관리감독의무 위반행위 내지는 조직구조상의 결함으로 정의된다(동 법률안 제2조 제1항 및 제2항). 한편 동 법률안은 단체에게 부과될 수 있는 형사제재를 규정하고 있는데, 단체벌금(제6조)을 비롯하여 해산(제12조)과 보호관찰(제8조), 판결의 공시(제9조), 정부조달사업에서의 입찰자격 제한(제10조) 및 보조금 제한(제11조) 등을 도입하고자 하였고, 형의 면제(제5조)와 선고유예(제7조)에 관한 규정도 두고 있었다.
[ "단체의 의사결정권자가 직접행위자로서 행한 범죄행위를 뭐라고 해", "단체의 의사결정권자가 직접행위자로서 실행한 범죄행위를 뭐라고 해", "여러사람의 의사결정권자가 직접행위자로서 행한 잘못된 일을 뭐라고 해", "개인의 의사결정권자가 직접행위자로서 행한 범죄행위를 뭐라고 해" ]
ba676390-c301-4618-a9a9-2d244e57349c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통상 법인의제설을 취할 경우에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고, 법인실재설을 취할 경우에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긍정하는 것이 논리적인데, 비교법적인 측면에서는 정반대의 결론이 도출되고 있다. 즉 법인의제설을 근간으로 하는 영미법계에서는 법인에 대한 처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실용주의적 입장에서 법인의 범죄능력을 인정하고 있는 반면, 법인실재설이 지배적인 독일에서는 ‘단체는 죄를 범하지 못한다(societas dilinquere non potest)’는 원칙 하에 법인의 범죄능력이 부정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법인의 범죄능력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법 분야에서 전개되는 법인의 본질론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법인이 저지른 범죄의 심각성이나 제재수단 및 그 효과 등과 관련된 개별 국가의 형사정책적인 고려가 법인의 범죄능력 판단에 보다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요컨대 사법상 법률 효과의 귀속과 형법상 범죄능력의 인정 여부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므로 법인의 본질과 범죄능력의 문제는 논리필연적인 관계에 있지 않다고 하겠다.
[ "법인의 범죄능력을 긍정하는 가설은 뭐야", "법인의 범죄능력을 긍정하는 학설은 뭐야", "법인에게 범죄능력이 있다고 보는 가설은 뭐야", "자연인의 범죄능력을 긍정하는 가설은 뭐야" ]
8ee46809-e9c7-4ce7-8bd4-f91943aaa5ef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영리추구의 목적 유무를 불문하고 사법상의 법인은 형법상의 책임을 부담하는데, 이때 법인에는 기업과 노조, 단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공법상의 법인도 형법상 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정한 경우에는 그 예외가 인정되는바, 법인의 해산이나 사법감시와 같은 제재는 그 성질상 공법인에게 부과되기 어렵다. 나아가 국가는 형벌권을 실행하는 주체이므로 법인의 형사책임 규정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고유권한에 속하는 업무를 수행하던 중에 발생한 범죄에 대해서는 형사책임을 부담하지 않으나, 위탁할 수 있는 업무수행 중에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는 그 책임을 부담한다. 한편 법인이라면 국내 법인이 아닌 외국 법인도 형사책임을 부담한다. 외국 법인이 프랑스 영토 내에서 범죄를 저지른 경우는 물론이고, 프랑스가 아닌 외국에서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도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다. 또한 프랑스 법인이 외국에서 범죄를 저지른 때에는 해당 범죄의 경중에 따라 달리 취급되는데, 경죄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와 프랑스 모두에 처벌규정이 존재해야 소추될 수 있는 반면, 중죄의 경우에는 해당 국가에서 그 행위가 처벌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처벌할 수 있다.
[ "형벌권을 실행하는 주체로 법인의 형사책임 규정이 적용될 여지가 없는 것은 뭐야", "형벌권을 실행하는 주체로 법인의 형사책임 규정이 해당될 여지가 없는 것은 뭐야", "법인의 행사책임 규정이 적용될 여지가 없는 형벌권을 실행하는 주체가 뭐야", "형벌권을 실행하는 주체로 법인의 형사책임 규정이 적용될 여지가 있는 것은 뭐야" ]
7c217e6a-5021-409f-9fc9-9f3c9f399ed0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이에 반해 재범방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사법감시는 자연인이 아닌 법인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형사제재라는 점에서 현행 보호관찰이나 사회봉사명령과 구분된다. 또한 해당업무는 보호관찰관이 아닌 법원에 의해 지명된 전문가가 수행하고 있는바, 일례로 1998년 4월 16일 프랑스 낭시 고등법원 판결에서는 업무상과실치사의 형사책임이 있는 기업에 대하여 2년의 사법감시를 선고하면서 감시업무 수행자로 근로감독관을 지명하였다. 요컨대 기업범죄의 특성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고려할 때 현행 벌금형제도는 응보나 재범방지의 수단으로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바, 기업에 대한 보호관찰이나 사회봉사명령을 제도화시키는 것보다는 프랑스의 사법감 시를 우리 실정에 맞는 제도로 다듬어서 도입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 "업무상과실치사의 형사책임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 프랑스 낭시 고등법원 판결에서 선고한 형량은 몇 년이야", "업무상과실치사의 형사책임이 있는 회사에 대해서 프랑스 낭시 고등법원 판결에서 선고한 형량은 몇 년이야", "법적인 책임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 프랑스 낭시 고등법원 판결에서 선고한 형량은 몇 년이야", "업무상과실치사의 형사책임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 영국의 낭시 고등법원 판결에서 선고한 형량은 몇 년이야" ]
882abb57-c33a-4218-a224-1a381017fe0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또한 기업 등 조직에 대하여 부과되는 전술한 보안처분의 특성상, 내부통제시스템과 관련된 부분들이 주된 내용이며, 실질적으로 내용보다는–결과적으로- 형식적인 절차 준수 여부 내지는 형식적 요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제재의 이행 여부가 판단될 여지가 많아 보이는 점을 부정하기 어렵다고 본다. 또한, 역으로 이와 같은 미국식 기업대상 보호관찰제도의 운영에 있어서는, 법원이나 보호관찰관에 대한 부담의 증대를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예상해볼 수도 있다. 비록 의무 내지 조건의 이행과 관련하여 필요적으로 발생하게 될 각종의 금전적 비용을 당해 행위를 범한 기업에게 부담하도록 하면 되겠지만, 결과적으로 법원이나 보호관찰관은 관련 의무의 충실한 이행여부 등에 대한 판단의 부담을 고스란히 지게 될 수밖에 없다고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담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 내지 동일 불법행위의 재발방지 효과를 일정 부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며, 전술한 부담과 순기능을 비교 형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어떤 제도가 법원이나 보호관찰관에 대한 부담의 증대를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해", "어떤 제도가 법원이나 보호관찰관에 대한 부담의 증대를 기피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해", "법원이나 보호관찰관에 대한 부담의 증대를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하는 제도는 뭐야", "어떤 제도가 검찰청이나 보호관찰관에 대한 부담의 증대를 회피하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해" ]
99ab1e60-ebdb-4727-a346-1f13e6b3463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중국 형법 제31조 단서는 “본법의 각칙과 기타의 법률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벌제가 아닌 단벌제(대벌제)가 채용되고 있다. 기업범죄의 전문성 및 복잡성과 기업범죄가 미치는 사회위해성의 정도 등에 비추어 볼 때 일부 기업범죄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양벌제를 적용할 수 없는 특별한 상황이 존재하는바, 중국 형법은 각칙의 일부 기업범죄에 대해서 기업 조직체 자체에 대해서는 벌금형을 부과하지 않고, 직접 책임이 있는 주관자나 그 밖의 직접 책임자에 대해서만 형벌을 부과하는 대벌제를 채용하고 있다. 예컨대 중국 형법 제161조의 “허위재무회계보고제공 및 중요정보비공개죄(提供虛假財會報告·不披 露重要信息罪)”와 제162조의 “청산방해죄(妨害淸算罪)”가 적용되는 경우 범죄의 주체는 회사이나 처벌대상은 회사 내 자연인뿐이다.
[ "중국 형법 제31조 단서는 본법의 각칙과 기타의 법률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벌제가 아닌 무엇이 채용되고 있어", "중국 형법 제31조 단서는 본법의 각칙과 기타의 법률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벌제가 아닌 무엇이 채택되고 있어", "본법의 각칙과 기타의 법률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고 중국 형법 제31조 단서는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벌제가 아닌 무엇이 채용되고 있어", "중국 형법 제31조 단서는 본법의 각칙과 기타의 법률에 다른 규정이 없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양벌제가 아닌 무엇이 채용되고 있어" ]
5e11db19-c854-4cce-b079-02e5ad4a9611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신속한 피해구제라는 측면 이외에 기업에 대한 징벌이라는 측면을 강화한다면 형사사건에서 유죄를 선고하는 법원이 기업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을 명하는 제도도 도입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프랑스의 징벌배상형은 경죄 책임이 인정되는 법인에 대하여 벌금형을 대신하거나 벌금형과 병과해서 부과되고 있고(프랑스 형법 제131–39–1조 제1항), 법원이 법인에게 부과하는 징벌배상액의 상한은 75,000유로 또는 해당 경죄로 법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벌금액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나(동조 제2항), 우리나라는 기업범죄로 인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중대한 사건에서 동 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현행법상 형사배상명령도 강도, 상해, 성폭력범죄 등 상대적으로 중한 범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제재로서 징벌배상형을 도입한다면 프랑스와 같이 경죄로 그 대상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사안에 따라 피해액도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한은 총액이 아닌 일정한 배수의 형태로 규정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현행법상 형사배상명령도 강도 상해 성폭력범죄 등 상대적으로 중한 범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제재로서 무엇을 도입해야 프랑스와 같이 경죄로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없을까", "현행법상 형사배상명령도 강도 상해 성폭력범죄 등 상대적으로 무거운 범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제재로서 무엇을 도입해야 프랑스와 같이 경죄로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없을까", "현행법상 형사배상명령도 상대적으로 중한 범죄 강도 상해 성폭력범죄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제재로서 무엇을 도입해야 프랑스와 같이 경죄로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없을까", "현행법상 형사배상명령도 강도 상해 성폭력범죄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범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바 형사제재로서 무엇을 도입해야 프랑스와 같이 경죄로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없을까" ]
960ece9f-2673-4451-a1ad-e0cacae5cf4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한편 형사범죄에 대해서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되, 행정범죄에 대해서는 범죄 능력을 긍정하는 견해가 있다. 이는 행정범의 경우에는 윤리적인 색채가 약한 반면에 행정단속의 목적이라는 합목적적이고 기술적인 요소가 강하다는 것을 근거로 제시한다. 또한 형법전에 의할 때 법인의 범죄능력은 부정되지만 양벌규정을 통해 법인을 처벌하는 범죄의 경우에는 법인도 범죄능력을 가진다고 보는 입장도 있다. 특별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다른 법령이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형법 제8조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이 견해는 양벌규정을 두고 있는 범죄에 대해서도 법인의 범죄 능력을 부정하게 되면, 범죄능력은 없는데 수형능력만 인정하게 됨으로써 책임주의의 원칙과 상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법인은 그 기관인 자연인을 통해서 행위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법인의 행위는 법적 사유에 불과할 뿐 그 자체의 행위능력을 인정할 수는 없다.
[ "특별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다른 법령이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법조항이 뭐야", "특별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다른 법령이 응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법조항이 뭐야", "특별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다른 법률과 명령이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법조항이 뭐야", "특별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다른 법령이 적용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법조항이 뭐야" ]
64e1ff5d-b265-4c89-9e83-74e3a49eada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중국 형법상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벌금형뿐이다. 벌금 액수 산정이 법관의 자유재량에 맡겨지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기업범죄를 응징하고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에 적정한 벌금의 액수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벌금형의 집행율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현행법상의 양정방식인 총액벌금제 대신에 일수벌금제를 도입하고, 금전집행 이외에 주식집행 등의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한편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벌금형만을 부과하는 것은 지나치게 평면적이며, 기업범죄를 효과적으로 처벌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제재로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단위에 대해 부과할 수 있는 새로운 형사제재로서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업무활동 제한 등을 형법전에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중국 형범상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중국 형범상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과형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중국 형범상 범죄를 저지른 기업에게 부담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중국 형범상 범죄를 저지른 개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는 뭐야" ]
4e975d38-66f5-417e-a00a-dc926c657c5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물리적 실체가 없는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법인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없다. 자연인의 경우에는 객관적・주관적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하면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지만, 법인은 항상 자연인을 매개로 해서 범죄를 저지르기 때문에 그 형사책임의 성격도 간접적인 측면이 있다. 프랑스 형법은 이러한 문제를 상쇄시키고자 법인은 자신의 기관이나 대표가 법인의 이익을 위해 행한 범죄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법인의 형사책임 인정 요건을 도출하면, 첫째 해당 범죄는 법인의 기관 또는 대표가 저지른 것이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법인의 기관이 법인을 대표하지만, 그 이외에 법률에 근거하여 기업을 경영하는 자나 법원의 결정에 의해 법인을 대표하는 자 및 기관의 권한을 위임받은 자도 법인의 대표로 인정될 수 있다. 둘째 법인의 기관이나 대표의 행위는 법인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만약 해당 행위가 법인이 아닌 경영자나 타인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라면 법인에게 형사책임을 물을 수 없는바, 오로지 법인의 이해관계나 영리를 위해 저질러진 범죄에 대해서만 법인의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것이다.
[ "물리적 실체가 없는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이것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없는데 이것은 뭐야", "물리적 형체가 없는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이것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없는데 이것은 뭐야", "물리적 겉모습이 없는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이것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없는데 이것은 뭐야", "물리적 실체가 없는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이것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데 이것은 뭐야" ]
727a96e7-1637-412d-8793-e7d3986b6a8d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우리나라의 경우 현행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의 법령에 따라 적어도 모든 금융기관은 준법감시인 설치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현실이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조), 상법 제542조의13은 아예 일정 자산규모 이상의 상장회사의 경우 준법지원인을 1인 이상 고용하도록 하고 있고 이러한 준법지원인은 회사의 준법통제 관련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고, 준법통제기준의 준수 여부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당해 기업의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나라의 준법감시인 제도 및 준법지원인 제도는 본 연구에서 검토한 미국의 기업 등 조직 대상 보호관찰 제도와는 -전술된 바와 같이- 맥락을 달리하는 문제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만약 이와 같은 기업 등에 대한 보호관찰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할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대안을 고려 가능하다고 본다. 첫째, 현재 이미 양벌규정이 마련되어 있는 개별법령들마다 양벌규정과 함께 법인 및 단체에 대한 보호관찰 규정을 각각 규정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 "회사의 준법통제 관련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하는 사람은 누구야", "회사의 준법통제 관련 기준 및 절차를 준비하는 사람은 누구야", "누가 회사의 준법통제 관련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지", "회사를 상대로 소송 절차를 마련하는 사람이 누구일까" ]
c71d5660-9d37-47e5-a122-b830bcaa7e2c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국내에서의 일반적 오해와 달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무한정의 손해배상액을 인정하는 제도가 아니며, 후술할 바와 같이 배상액에 대한 일정한 제한이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징벌적 손해배상액수의 산정을 위하여 미연방대법원은 첫째, 가해행위가 갖는 비난 가능성의 정도, 둘째, 현실의 손해 및 잠재적 손해와 징벌적 손해배상액수의 차이, 셋째, 배심원단에 의하여 인정된 징벌적 손해배상액수와 행정청에 의하여 부과된 민사제재금(Civil Penalty)의 차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또한 그야말로 과다한 징벌적 손해배상액 자체도 미연방수정헌법 제14조가 규정하고 있는 적법절차 원칙에 위배된다고 하면서, 구체적으로는 전보손해배상액수의 10배 이상이면 안 된다는 것이 미연방대법원 판례라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즉 실제 운용에 있어서, 미연방대법원은 판례를 통하여 한 자릿수 비율(a single-digit ratio) 이론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한정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인정되는 것을 저지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 "미연방대법원은 징벌적 손해 배상 액수의 산정을 위해서 무슨 행위가 갖는 비난 가능성의 정도를 고려하고 있어", "무슨 행위가 갖는 비난 가능성의 정도를 참작하여 미연방대번원은 징벌적 손해 배상 액수를 산정하고 있어", "징벌적 손해 배상 액수의 산정을 위해서 미연방대법원은 무슨 행위가 갖는 비난 가능성의 정도를 고려하고 있어", "대한민국대법원은 징벌적 손해 배상 액수의 산정을 위해서 무슨 행위가 갖는 비난 가능성의 정도를 고려하고 있어" ]
093b1ce3-eacc-41dc-88dc-f982e89b6d3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중국의 경우 급증하는 기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 입법적 조치를 단행하였다. 특별형법을 통해 이른바 단위에 대해 형벌을 부과할 수 있는 규정을 도입하였고, 이후 전체 형법체계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하기 위해 1997년 형법을 개정하면서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을 규정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행정형법상 양벌규정을 통해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고 있으나 형법상 범죄에 대해서는 형벌을 부과하지 않는 모순적인 상황으로 인해 법인의 책임능력 문제는 이론적 난제로 남아 있는데,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입법례는 상당한 시사점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의 양벌규정은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전제로 법인을 처벌하도록 구현되어 있는데, 이는 거대화・복잡화・조직화된 기업의 위법행위 구조를 고려할 때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평가된다. 이에 자연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인의 가벌성 유무와는 무관하게 기업을 처벌할 수 있도록 구현된 중국의 양벌제는 우리가 참고할 만한 모델이라고 판단된다.
[ "중국의 경우 급증하는 기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 어떤 조치를 단행했어", "중국의 경우 급증하는 기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 어떤 조치를 결행했어", "급증하는기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의 경우 기업의 형사책임을 인정하는 어떤 조치를 단행했어", "중국의 경우 급증하는 기업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의 민사책임을 인정하는 어떤 조치를 단행했어" ]
8c9ab469-60ca-45a8-b982-b4c6f5c758d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현대사회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시장에서의 비중이 증대함에 따라, 그 역효과로 개인보다는 기업에 의한 결과불법이 더욱 위중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효과적 제재가 요구되지만 전통적인 형사적 제재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예를 들어 연방 환경관련 법령상의 다양한 형사처벌 규정을 살펴보면, 그저 기업에 대한 벌금형을 자연인에 대한 벌금형의 2배 또는 간혹 그 이상으로 규정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데, 이러한 수준의 벌금형의 증액이 과연 기업에 대한 적절한 제재인지에 대하여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수준의 형사제재만을 가지고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효과적 제재라고 논하기에는 한계가 수반될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기업은 기본적으로 영리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강력하고 의미있는 제재로서 ‘금전을 박탈’하거나 ‘돈벌이를 못 하게’ 하는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현대 사회에 있어서 기업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뭐야", "현대 사회에 있어서 기업이 기본적으로 쫓는 목적은 뭐야", "기업이 현대 사회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뭐야", "과거 사회에서 기업이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은 뭐야" ]
5409e6bd-6e2a-48a9-8291-fe998f17b2c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또한 인격에 대한 윤리적 비난가능성을 책임의 본질로 파악할 경우 자연인이 아닌 법인 자체의 책임능력은 부정된다. 그러나 법인에 대해 형벌을 부과하고 있는 양벌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는 것은 실정법의 해석론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형법 해석론과 정책적 고찰을 분리하여 전통적인 형사범의 영역에서는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되, 양벌규정이 있는 각종 행정형법의 영역에서는 법인의 범죄능력과 무관하게 그 처벌능력만을 규정한 것으로 이해하는 입장도 있다. 그러나 범죄능력이 있을 때에 책임이 있고, 형벌능력이 인정되는 것인바,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정하면서 형벌능력만을 인정하는 것은 책임주의의 원칙에 반한다. 요컨대 양벌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법률에 의해 법인의 범죄주체성이 창설되었다고 파악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기업범죄의 폐해가 커지면서 법인 자체를 처벌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법인의 범죄주체성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기업범죄의 폐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법인의 무엇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해",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기업범죄의 폐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법인의 무엇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해",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기업범죄의 나쁜 행동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법인의 무엇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해",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기업범죄의 폐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개인의 무엇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해" ]
6eb54b8d-d92c-4028-8171-7056b34d6ac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프랑스는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를 형법에 규정하고 있다. 법인이 범죄를 범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거나 설립취지에 반해 중죄를 범한 경우, 또는 자연인이라면 3년 이상의 구금형에 처해질 수 있는 경죄를 범한 때에는 법인의 해산을 명할 수 있다. 또한 법인에 대하여 직업활동이나 사회활동의 직·간접적 수행을 금지할 수 있고, 범죄행위에 제공된 기업의 영업소를 폐쇄할 수 있으며, 사법감시(surveillance judiciaire)를 명할 수 있다. 법인에게 사법감시를 부과하는 판결을 선고할 때에는 감시업무의 수행자를 지명하고 구체적 임무를 정해야 하며, 그 임무는 범죄가 행하여진 활동 또는 범죄의 기화가 된 활동에 한정된다. 이때 감시업무 수행자는 최소 6개월마다 그 임무수행의 결과를 형적용판사(Juge de l'application des peines)에게 보고해야 한다(프랑스 형법 제131-46조 제1항).
[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를 형법에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형사책임이 허용되는 경우에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를 형법에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를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경우에 형법에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형사책임이 부인되는 경우에 법인에게 부과할 수 있는 형사제재를 형법에 규정하고 있는 것은 뭐야" ]
f7a92be0-590f-492f-a89f-fa6812b3bd94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다시 말하자면, 사악한 의도가 결여된 수준의 무사려함에서 기인한 해양오염사건에 있어서만큼은 징벌적 손해배상액과 전보배상액의 비율은 1:1이 타당하다고 설시한 것이다.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가 피고 입장에서 지나치게 극심한 정도로 예측불가능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개별 사안에 있어서의 한계가 존재한다고 여겨진다. 형사처벌에 있어서 법정형이 특정한 범위 내로 규정되어 있다는 점으로 인하여 행위자 입장에서는 예측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과 마찬가지로,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도 피고 입장에서의 예측가능성의 확보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미연방대법원이 제시한 논리라고 보여진다.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의 부존재는 공정성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제도 운영상 효과적이지도 않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예측가능성을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제한을 위한 논거로 활용하고 있는 미연방대법원의 태도를 보면,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형사제재와 유사한 척도를 통하여 비교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기는 하다.
[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의 부존재는 무엇을 해치는 것인가",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의 부재는 무엇을 해치는 것인가",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은 무엇을 해치는 것인가", "징벌적 손해배상의 부과에 있어서 예측가능성의 존재는 무엇을 해치는 것인가" ]
d06951b5-efac-463d-b9db-03fc9adc681a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현행법상 기업에 대한 형사처벌은 양벌규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양벌규정이란 위법한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업무의 주체인 법인이나 개인도 함께 처벌하는 규정을 일컫는다. 즉 법인의 대표자나 대리인, 사용인 기타 종업원이 해당 법인의 업무와 관련해서 법 위반 행위를 저지른 경우에 그 위반행위자와 함께 영업주인 법인 또는 개인에 대하여도 형벌을 과하는 규정을 양벌규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일본 입법례의 영향을 받아서 양벌규정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해방 직후인 1949년에 등장했던 양벌규정은 이후 경제개발과정에서 기업이나 법인의 활동을 단속하는 수단으로 폭넓게 채택되었다. 사업자가 형벌법규의 주체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 신분범인 사업자가 직접 행위를 하지 않고, 종업원이나 대리인을 통해서 위법행위를 하면 처벌의 공백이 발생할 수 있는바, 양벌규정은 법 위반 행위자와 함께 직접 행위를 하지 않은 사업주를 처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컨대, 양벌규정은 형사처벌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처벌대상인 신분범은 물론이고 신분이 없는 실행행위자도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범자 확대 기능’ 내지는 ‘신분 확장 기능’을 수행한다.
[ "위법한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업무의 주체인 법인이나 개인도 함께 처벌하는 규정은 뭐야", "위법한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업무의 주체인 법인이나 개인도 함께 징벌하는 규정이 뭐야", "법을 어긴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업무의 주체인 법인이나 개인도 함께 처벌하는 규정은 뭐야", "위법한 행위자를 처벌하는 외에 그 업무의 주체인 법인이나 개인은 함께 처벌하지않는 규정은 뭐야" ]
4eb63ea6-9022-4736-9b28-30750f8fea42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오늘날 기업은 사법과 공법의 영역에서 갖가지 권리를 향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법상 범죄능력과 책임은 부정되고 있다. 독자적인 사회 세력으로 자리매김한 기업은 그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위해를 야기하고 있는데, 현행 양벌규정으로 기업범죄에 대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즉 행정형법상 양벌규정을 통해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고 있으나 형법상 범죄에 대해서는 형벌을 부과하지 않는 모순적인 상황으로 인해 법인의 책임능력 문제는 이론적 난제로 남아있고, 자연인의 의무위반 행위를 전제로 법인을 처벌하도록 구현하고 있는 현행 양벌규정은 조직적인 기업의 위법행위 구조를 고려할 때 제도의 취지를 실현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나 현행 법률 체계 하에서는 세월호 사건이나 옥시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같이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도 국민 정서에 배치되는 결과가 도출됨으로써 형법의 통제적 기능이 약화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기업범죄가 가지는 광범위한 파급효과나 심각성 등을 고려할 때 그 행위에 대한 응보는 물론이고 장래의 범죄를 적극적으로 예방할 것이 요청되는바, 기업범죄에 대한 강경한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오늘날 사법과 공법의 영역에서 갖가지 권리를 향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법상 범죄능력과 책임은 부정되고 있는 조직체는 뭐야", "오늘날 사법과 공법의 영역에서 갖가지 권력를 향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법상 범죄능력과 책임은 부정되고 있는 조직체는 뭐야", "오늘날 사법과 공법의 영역에서 갖가지 권리를 누리어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법상 범죄능력과 책임은 부정되고 있는 조직체는 뭐야", "오늘날 사법과 공법의 영역에서 갖가지 권리를 향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형법상 범죄능력과 책임은 긍정되고 있는 조직체는 뭐야" ]
f304b0df-7207-4f08-9d54-97635aba59d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한편 현행법상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유일한 형사제재인 벌금형은 기업범죄를 효과적으로 처벌하고 예방하는 제재로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형사제재를 부과할 때에는 해당 범죄에 대한 응보적 측면과 장래의 범죄 예방이라는 측면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형사정책적인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부과할 수 있는 제재의 종류를 다양화시킬 필요가 있다. 우선 기업의 해산이나 영업정지 및 특정 업무활동 금지 등은 기업 자체는 물론이고 그 구성원인 종업원이나 제3자인 기업의 채권자 등에게 손실을 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나, 이는 형사제재의 부과로 인해 당연히 수반되는 파급효에 지나지 않으므로 해당 제재의 적용 대상이나 요건 및 절차를 정치하게 마련하여 도입한다면, 기업범죄 처벌 및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현행법상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유일한 형사제재는 뭐야", "현행법상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유일한 형사처벌은 뭐야", "현행법상 기업에게 부과될 수 있는 오직 하나의 형사제재는 뭐야", "현행법상 개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유일한 형사제재는 뭐야" ]
92a561f3-6493-431e-81fb-4b3073aef90e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비단 전술한 무사려함에 기반한 해양오염사고뿐만 아니라 일부 미연방법원은 전보 배상 액수가 상당한 액수에 달하는 경우라고 하면 역시 전보배상액과 징벌적 손해배상액 사이의 비율을 1대 1로 조정하는 취지의 판결을 한 것이 있다. 즉 미연방 제3항소법원은 의료사고 관련 소송에서, 피고의 가해행위가 ‘특별히 사악한 정도의 것은 아니’면서 동시에 ‘전보배상액이 상당한 액수로 인정되는 경우’라면 양자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전보배상액을 상회할 수 없다고 한 바 있다. 그러나 동 판결에서 제3항소법원은 ‘상당한 액수’의 전보배상액에 있어서의 ‘상당함’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개념정의를 하거나 다른 예시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아서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동 판결에 있어서의 초점이 과연 ‘상당한 액수’의 전보배상액에 있는지, 아니면 ‘특별히 사악한’ 가해행위에 있는지는 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만약 동 판결의 주요 논점을 전자가 아닌 후자에 두게 된다면, 이는 전술한 무사려함에 기인한 해양오염사고에 있어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의 감경과 그 근본적 취지가 대동소이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존재한다.
[ "의료사고 관련 소송에서 피고의 가해행위가 특별히 사악한 정도의 것이 아니면서 동시에 전보배상액이 상당한 액수로 인정되는 경우라면 양자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전보상액을 상회할 수 없다고 한 곳은 어디야", "의료사고 관련 재판에서 피고의 가해행위가 특별히 나쁜 정도의 것이 아니면서 동시에 전보배상액이 상당한 액수로 인정되는 경우라면 양자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전보상액을 상회할 수 없다고 한 곳은 어디야", "의료사고 관련 소송에서 피고의 가해행위가 전보배상액이 상당한 액수로 인정되는 경우와 동시에 특별히 사악한 정도의 것이 아니라면 양자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전보상액을 상회할 수 없다고 한 곳은 어디야", "의료사고 관련 소송에서 피고의 가해행위가 특별히 사악한 정도의 것이 아니면서 동시에 전보배상액이 상당한 액수로 인정되는 경우라면 양자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이 전의료비를 상회할 수 없다고 한 곳은 어디야" ]
1f154f42-cc86-4f57-bd61-5c07d4064ddb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양벌규정에 의해 법인이 처벌될 경우에 그 처벌의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대립된다. 첫째, 양벌규정은 범죄주체와 형벌주체가 동일할 것을 요구하는 형법의 책임주의 원칙에 대한 예외로서 이는 행정정책적인 고려를 통해 무과실책임을 인정한 것이라는 입장이 있다. 이는 타인인 종업원의 위반행위로 인하여 법인이 전가책임을 지는 것으로서 법인의 범죄능력 부인론은 이 견해로 이어진다. 둘째, 법인은 사업의 주재자로서 종업원의 업무 전반에서 발생하는 결과를 예견 및 회피해야 할 의무를 위반했기 때문에 과실책임을 부담한다는 입장이 있다. 과실책임설에 의할 때 법인은 자신의 감독상 주의의무를 위반했기 때문에 양벌규정에 의해 처벌되는 것이다. 셋째, 법인은 종업원이 야기한 위험이나 결과발생을 방지해야 할 보증인적 지위에 있으므로 부작위감독책임을 부담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이 입장에 의하면 종업원의 선임・감독・관리 등과 관련하여 법인은 자기책임을 부담하며 법인의 고의 책임도 인정될 수 있다. 넷째, 법인의 활동 구조에 따라 그 책임을 다르게 파악하는 견해가 있는데, 이에 의할 때 법인은 그 기관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인 자신의 실행행위로 보아 불법행위책임을 지고, 종업원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관리감독상의 부작위책임을 부담한다.
[ "법인은 누구의 불법행위에 대해서 관리감독상의 부작위책임을 부담해", "법인은 누구의 불법행위에 대해서 관리감독상의 부작위책임을 져", "법인이 관리감독상의 부작위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누구의 불법행위에 대해서야", "법인은 누구의 올바른 행위에 대해서 관리감독상의 부작위책임을 부담해" ]
8b5f3aa8-8006-4120-afd5-ad7fea6bc888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감시업무 수행자로부터 보고를 받은 형적용판사는 사법감시를 선고한 법원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법감시를 선고한 법원은 법인에 대하여 새로운 형을 선고하거나 사법감시 선고를 취소할 수 있다(동조 제2항). 중죄를 범한 법인에 대해서는 공계약 배제나 규제시장에서의 유가증권 발행 및 거래 금지, 수표 발행 금지나 지불카드 사용 금지를 부과할 수 있고, 프랑스 형법 제131-21조에 규정된 요건과 방식에 따른 몰수형에 처할 수도 있다. 그 이외에도 언론출판물이나 전자적 방식의 대중매체에 의한 판결의 게시나 공고, 범죄를 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거나 범죄의 대상이 되었던 동물의 몰수, 동물보유금지를 명할 수 있다. 나아가 공공서비스 제공 임무를 맡은 사인이 제공하는 재정지원과 국가, 지방정부 및 그 기관이나 단체가 제공하는 공적원조의 수령도 금지할 수 있다.
[ "감시업무 수행자로부터 보고를 받고 사법감시를 선고한 법원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야", "감시업무 수행자로부터 보고를 받고 사법감시를 언도한 법원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야", "어떤 사람이 감시업무 수행자로부터 보고를 받고 사법감시를 선고한 법원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어", "감시업무 수행자로부터 보고를 받고 사법감시를 선고한 법원에 의견을 제시할 수 없는 사람은 누구야" ]
a25948f6-db63-40de-8dab-36e914a9aa9f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이 중에서도 ‘금전을 박탈’하는 방식으로,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를 가중하여 배상하게 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일반적인 전보배상액을 훨씬 상회하는 손해배상액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피해자를 위자하는 것은 물론, 가해자에게 금전적 불이익을 부담시켜 향후 동일하거나 유사한 불법행위를 재차 범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미국에서 오랫동안 활용되고 있는 불법행위자에 대한 징벌적 손해 배상제도(Punitive Damages)에 대하여 다시 검토가 요구된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이지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형사적 제재로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미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은 개인에 의한 불법행위뿐만 아니라 기업에 의한 불법행위에서 광범위하게 인정된다고 보여진다. 예를 들어 고객의 투자목적에 대한 정상적인 고려 없이 그저 수수료 수입만을 위하여 고객 계산으로 과다한 매매를 행하는 경우(과당매매: Excessive Trading)에도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한 판례도 일부 존재한다고 하는 등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그야말로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된다고 여겨진다.
[ "개인에 의한 불법행위뿐 아니라 기업에 의한 불법행위에서도 광범위하게 인정되는 배상제도는 뭐야", "개인에 의한 불법행위뿐 아니라 기업에 의한 불법행위에서도 넓게 인정되는 배상제도는 뭐야", "넓은 의미로 개인의 불법행동뿐 아니라 기업의 불법행동까지 인정되는 배상제도는 뭐야", "개인에 의한 적법행위뿐 아니라 기업에 의한 적법행위에서도 광범위하게 인정되는 배상제도는 뭐야" ]
484f887a-f112-468e-b9f6-beb0753c7f29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기업에 대해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헌법상 책임주의 원칙을 준수해야 하는바, 동 원칙은 현행 양벌규정의 해석론은 물론이고 기업 등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위한 입법론을 모색하는 데에 결정적인 장애물이 되고 있다. 물론 책임의 본질을 인격에 대한 윤리적 비난가능성으로 파악할 때 자연인이 아닌 기업에게는 애당초 책임능력이 인정되지 않으나, 양벌규정이라는 장치를 통해 기업에게 형벌을 부과하는 이상 책임주의 원칙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행 형법 체계 하에서 기업에 대해 형사제재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우선 책임주의 원칙과의 관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만약 책임주의 원칙을 우위에 둘 것이라면, 형법 이론적으로 책임을 인정할 수 없는 기업에게 형벌이 아닌 보안처분을 부과하는 방안 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벌금 이외에 보안처분적인 성격을 가지는 새로운 형사제재의 도입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안처분은 과거의 불법이 아닌 장래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는 제재이기 때문에 과거에 기업이 범했던 행위의 불법성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
[ "기업에 대해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헌법상 무엇을 준수해야 해", "기업에 대해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헌법상 무엇을 지켜야 해", "헌법상 무엇을 준수해야 기업에 대해 형벌을 부과할 수 있어", "기업에 대해 형벌을 부과하지 않기 위해서는 헌법상 무엇을 준수해야 해" ]
1d53c3d0-77cc-446a-aaca-b7e174e3ca01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한편 프랑스는 법적용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형법전을 통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법률상 존재에 불과한 법인은 스스로 범죄를 저지를 수 없고, 자연인을 매개로 해서만 범죄를 저지르기 때문에 그 형사책임도 간접적인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에서는 법인의 기관이나 대표가 법인을 위해 저지른 범죄에 대해서 법인이 형사책임을 부담한다는 명시적 규정을 형법에 두고 있다. 종래 기업의 형사책임을 부정하던 중국도 개혁·개방 정책의 실시 후 기업 범죄가 늘어나자 단위(单位)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형벌을 부과하는 입법적 조치를 단행하였다. 또한 개별 특별형법을 통해 단위범죄를 처벌하던 초창기 입법방식이 자 연인만을 책임주체로 상정하는 형법과 근본적으로 모순된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형법에 직접 단위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을 규정하게 되었다. 향후 우리나라도 기업에 대한 형사처벌 규정을 입법함에 있어서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보다는 형법에 법인 처벌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 전체 형법체계의 조화와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법적용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형법전을 통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야", "법적용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형법전을 통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식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야", "법적용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형법전을 통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는 나라는 어디야", "법적용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형법전을 통해 법인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고 있지 않은 나라는 어디야" ]
caf9b832-a5e0-426c-9215-5953397c1022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무면허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영업주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불문하고 무조건 처벌하도록 한 것은 책임주의에 반하며, 설령 영업주의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고의의 본범인 종업원과 동일한 법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형벌에 관한 책임원칙에 반한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범죄행위에 대하여 영업주에게 선임감독상의 과실이나 기타 귀책사유”가 인정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적시하고 있는바, 현행 양벌규정의 법적 성격에 대한 해석론으로서 무과실책임설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요컨대 법인에게 형벌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자연인인 종업원의 위반행위로는 부족하고, 법인 자신의 독자적인 과실이나 귀책사유가 요구되는 것이다.
[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무면허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영업주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불문하고 무조건 처벌하도록 한 것은 책임주의에 반하며 설령 영업주의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고의의 본범인 종업원과 동일한 법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떤 원칙에 반한다고 판시했니",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무면허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영업주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묻지않고 무조건 처벌하도록 한 것은 책임주의에 반하며 설령 영업주의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고의의 본범인 종업원과 동일한 법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떤 원칙에 반한다고 판시했니",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무면허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영업주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불문하고 무조건 처벌하도록 한 것은 책임주의에 어긋나며 설령 영업주의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고의의 본범인 종업원과 동일한 법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떤 원칙에 반한다고 판시했니", "헌법재판소는 종업원의 무면허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영업주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위가 있었는지를 불문하고 무조건 처벌하도록 한 것은 책임주의에 반하며 설령 영업주의 과실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고의의 본범인 종업원과 다른 법정형으로 처벌하는 것은 어떤 원칙에 반한다고 판시했니" ]
dc262c82-f272-4963-abb7-3136b67a2465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한편 국내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의 배상액 증대방안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최근 법원이 전국 민사법관 포럼 등을 통하여 기업의 악의적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을 위한 차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과 같이 기업이 영리를 위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위자료를 최대 증액 시 11억 5천만 원 이상으로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시 말하자면, 국내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또는 배상액의 증대를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보여진다, 기실 형사처벌 대상행위의 책임을 입증하는 데 있어서 적지 않은 입증책임의 부담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형식상 민사책임의 일환인 징벌적 손해배상책임을 통한 피해자 구제 및 가해 기업에 대한 제재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문제는 이와 같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일부 법률을 통하여 부분적으로나마 이미 우리 법제도에 도입되어 있으면서도 제대로 활용된 실적을 찾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부분적 도입을 넘어서 우리 민법에 이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하여는 당연히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 "최근 법원이 전국 민사법관 포럼 등을 통하여 기업의 악의적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을 위한 차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과 같이 기업이 영리를 위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위자료를 최대 증액 시 11억 5천만 원 이상으로 하는 방안인 제도는 뭐야", "최근 법원이 전국 민사법관 포럼 등을 통하여 기업의 악의적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을 위한 차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과 같이 기업이 영리를 위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위자료를 최대 가액 시 11억 5천만 원 이상으로 하는 방안인 제도는 뭐야", "최근 법원이 전국 민사법관 포럼 등을 통하여 기업의 고의적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을 위한 차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과 같이 기업이 영리를 위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위자료를 최대 증액 시 11억 5천만 원 이상으로 하는 방안인 제도는 뭐야", "최근 법원이 전국 민사법관 포럼 등을 통하여 기업의 악의적 불법행위에 대한 억제와 예방을 위한 차원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등과 같이 기업이 영리를 위해 고의 또는 중과실로 생명 또는 신체에 피해를 입힌 경우 불법행위에 대한 위자료를 최소 증액 시 11억 5천만 원 이상으로 하는 방안인 제도는 뭐야" ]
61f1327c-3db7-4778-a07a-47c7bb0357a3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징벌배상형은 유죄선고를 받은 자에 대하여 법원이 정한 기간과 방식을 준수하여 피해자가 입은 손해를 배상하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다. 경죄에 대한 징벌배상형을 부과하는 경우에 법원은 6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금고형의 장기를 정하고, 15,000유로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벌금형의 상한을 정하는데, 배상의무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에 형적용판사는 정해둔 형의 전부 또는 일부의 집행을 명하게 된다. 이러한 징벌배상형은 형사책임이 인정되는 법인에게 부과될 수도 있다. 법원은 경죄 책임이 인정되는 법인에게 벌금형을 대신하거나 벌금형과 병과해서 부과될 징벌배상형을 선고할 수 있는데(동법 제131–39–1조 제1항), 이때 법원이 법인에게 부과하는 징벌배상액의 상한은 75,000유로 또는 해당 경죄로 법인에게 부과될 수 있는 벌금액을 초과할 수 없다.
[ "징벌배상형은 경죄에 대해 얼마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벌금형의 상한을 정해", "징벌배상형은 경죄에 대해 얼마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벌금형의 상한을 정해", "징벌배상형은 경죄에 대해 벌금형의 상한을 얼마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 "징벌배상형은 중죄에 대해 얼마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벌금형의 상한을 정해" ]
2e234aef-8b74-4a5f-9e94-9795b9e9f8c7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다시 말하자면, 미국에서는 사악한 동기를 수반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징벌적 손해 배상을 인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현재까지의 미국의 판례법은 대체로 사악한 동기를 수반한 행위의 정도에는 달하지 않더라도, 그저 무분별하거나 무사려한 정도의 행위(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자의 음주운전행위로 인한 사고발생 또는 주취상태의 선장이 졸음상태에서 선박사고발생 등)에 대하여도 징벌적 손해배상을 인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징벌적 손해배상의 인정을 위하여는 당해 불법행위에 있어서 최소한 무분별 내지 무사려함 이상의 주관적 표지가 요구된다고 요약할 수 있는 것이다. 어찌했든 불법행위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의 주관적 표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는 불법행위는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형사처벌 대상행위에 대한 비형사적인 제재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 "불법행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주관적 표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는 것이 뭐야", "위법행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주관적 표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는 것이 뭐야", "법에 어긋나는 행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주관적 표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는 것이 뭐야", "불법행위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수준의 객관적 표지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되는 것이 뭐야" ]
24567ad0-3b69-431f-a2df-06937ccfa407
기업의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의 다양화 방안
상기의 위헌결정 이후에도 헌법재판소는 개인이나 법인 사업주가 양벌규정에 의해 처벌되는 것은 종업원에 대한 선임이나 감독상의 과실책임에 기인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히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는 이후 양벌규정의 개정에도 영향을 미쳐 법인에 대한 독자적인 처벌근거가 마련되었다. 즉, 현재 모든 양벌규정은 “다만, 법인이 자연인의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는 내용의 단서 조항을 두고 있다. 추가적인 처벌근거를 규정한 이러한 단서 조항을 가리켜 헌법재판소는 “선임감독상의 주의의무위반” 내지는 “비난의 근거가 되는 독자적인 책임”이라고 표현하였고, 대법원은 “법인이 상당한 주의 또는 관리・감독 의무를 게을리한 과실로 인하여 처벌되는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요컨대 2007년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이후에 법인 처벌을 위한 추가적인 단서 조항이 마련됨으로써 양벌규정은 비로소 책임주의 원칙과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는 이후 무엇의 개정에도 영향을 미쳐 법인에 대한 독자적인 처벌근거가 마련되었는가", "헌법 재판소의 결정 논지는 이후 무엇의 개정에도 영향을 미쳐 법인에 대한 독자적인 처벌근거가 마련되었나", "법인에 대한 처벌근거가 마련된 이유는 헌법재판의 결정 목적이 무엇의 개정에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가",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는 이전 무엇의 개정에도 영향을 미쳐 법인에 대한 독자적인 처벌근거가 마련되었나" ]
ae4b5418-f3ba-4ec9-b715-824b146a78a8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의견’은 명단 삭제 절차 및 유효기간도 명확히 제시하였다. 위법 행동을 한 승객의 탑승 제한 기간은 1년이다. 따라서 제한 명단에 포함된 날로부터 만 1년이 지나면 이름이 자동으로 삭제된다. 또한 ‘의견’은 최고인민법원으로 하여금 각 지방법원에 대한 지침을 강화하여 항공기 탑승제한조치 이행으로 유발되는 민사소송과 행정소송을 법에 의거해 처리하고 심리기준을 명확히 하여 국민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의견’은 향후 중국의 ‘민항 안전 체계 구축’, ‘신용 문화 건설’, ‘민용 항공 활동의 질서 정돈’, ‘민항업계의 건강한 발전’, ‘민항 여객의 안전’, ‘질서 있고 문화적인 환경 조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장잉춘(张迎春) 서남재경대학교(西南財經大學校) 교수는 “현재 중국은 신용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상벌제도를 중점으로 하는 사회신용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민항 분야의 ‘의견’의 제시와 이행은 여러 분야와의 합동적인 상벌 체계를 통해 중국 사회 신용 체계 구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위법 행동을 한 승객의 탑승 제한 기간은 몇 년인가", "불법 행동을 한 승객의 탑승 제한 기간은 몇 년인가", "승객이 위법 행동을 하면 탑승 제한 기간은 몇 년인가", "합법 행동을 한 승객의 탑승 제한 기간은 몇 년인가" ]
fc90575f-8d0e-4d42-b4b6-b9406de0b2a7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ICAO의 앤소니 필빈(Anthony Philbin) 대변인은 “현재의 목표는 유인항공기에 대한 기존 ICAO 국제 등록과 무인기 등록 시스템을 아우르는 하나의 통합형 등록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유인기 국제 등록 네트워 크는 현재 스위스 기반 항공 테크놀로지 그룹인 국제항공 통신협회(Society of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of Airline, SITA)와 아일랜드 정부의 합작벤처인 아비아레토(Aviareto)가 운영하고 있다. SITA의 바바라 댈리바드 (Barbara Dalibard) CEO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의 글로벌 드론 등록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현재 제네바공항(Geneva Airport)과 협력하여 드론 네트워크에 등록된 드론이 공항 주변을 비행할 수 없도록 막는 ‘지오펜싱 존’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 "드론 네트워크에 등록된 드론의 공항 주변 비행을 제한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뭐야", "드론 네트워크에 등록된 드론의 공항 주변 비행을 금지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뭐야", "드론 네트워크에 등록된 드론이 공항 주변을 비행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뭐야", "드론 네트워크에 등록된 드론의 공항 주변 비행을 허가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뭐야" ]
4ddb7223-8a20-47ff-a5ce-6522e3936416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ICAO는 무인항공기의 비행과 추적을 위한 공통 규정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7년 9월에 글로벌 통합형 드론등록 시스템을 제안하고, 현재 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이론상으로 글로벌 드론등록 시스템은 다수의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해야 할 필요성을 없애고, 각 지역의 집행당국들로 하여금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무인기의 식별 및 추적을 도와주며, 해당 무인기의 오퍼레이터(operator) 및 소유주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의 원스톱숍(one-stop-shop)이 될 것이다. IATA는 ICAO와 협력하여 드론 등록 시스템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항공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이글스는 “통합형의 드론 등록 시스템을 통해 드론 사고 및 준사고와 관련된 보고(reporting) 내용을 포함하여 드론에 대한 완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무인항공기의 비행과 추적을 위한 공통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글로벌 통합협 드론등록 시스템을 제안하고 개발을 진행중인 곳은 뭐야", "무인항공기의 비행과 추적을 위한 공통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글로벌 통합협 드론등록 시스템을 제안하고 개발을 진행중인 곳은 뭐야", "무인항공기의 비행과 추적의 공통 규정을 위해 글로벌 통합형 드론등록 시스템을 제안하며 개발하는 곳은 뭐야", "무인항공기의 비행과 추적을 위한 공통 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글로벌 통합협 드론등록 시스템을 제안하고 개발을 중지한 곳은 뭐야" ]
9f65062e-d0be-40f3-b1a2-dd7a95e17e4e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항공전략에는 영국의 항공 부문을 세계에서 가장 깨끗하게 만들기 위한 계획들도 포함되었다. 주로 항공기 활동으로 인한 소음과 온실가스 배출, 공역 혼잡 등의 문제 들을 완화할 수 있는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환경 관련 제안들의 구체적인 내용은 ‘새로운 소음 목표 설정’, ‘공항에서의 소음 통제 강화’, ‘공항 주변 거주민들에 대한 보상 개선’ 등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산업계와 협력하여 1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소음이 적고 연료효율성이 뛰어난 항공기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들을 탐색할 방침이다. 한편 새로운 항공전략은 영국 항공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을 지원한다는 정부의 방침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항공 부문은 이미 영국 경제에 매년 최소 약 220억 파운드(한화 약 33조 원)를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항공 부문의 추가적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일들을 검토할 계획으로, 특히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이후에도 영국이 전 세계와의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신규 노선 개발에 힘쓸 방침이다. 그 밖에도 항공전략에는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경쟁을 위한 공항 착륙 슬롯(slot) 분배 검토 등에 대한 내용 등이 포함되었다.
[ "영국이 항공 부문을 세계에서 가장 깨끗하게 만들려는 전략을 뭐라고 해", "영국이 항공 분야를 세계에서 가장 청결하게 만들려는 전략을 뭐라고 해", "항공 분야를 세계에서 가장 깨끗하게 만들려는 영국의 전략을 뭐라고 해", "영국이 항공 부문을 세계에서 가장 평범하게 만들려는 전략을 뭐라고 해" ]
4ac8e84a-8ac3-43d8-bb3b-e997928c7c61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미국 항공사들은 그동안 외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는 걸프 항공사들을 경계하면서 적대감을 표출해왔는데, 특히 걸프 항공사들이 ‘제5의 자유’를 기반으로 미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가장 염려해왔다. 실제로 과거 카타르항공은 도하~제네바~뉴어크 노선을 잠시 동안 서비스한 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 카타르항공은 미국에서 이러한 ‘제5의 자유’ 항공편을 운항하지 않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제5의 자유’ 항공편이 적은 편이다. 이는 카타르가 ‘제5의 자유’를 비교적 쉽게 양보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카타르와 달리 아랍에미리트와 미국은 아직까지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에미레이트항공(Emirates Airlines)은 오래전부터 ‘제5의 자유’를 통해 두바이~밀라노~뉴욕JFK 노선을 운영해왔고, 최근에는 두바이~아테네~뉴어크 서비스도 도입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에미레이트항공은 카타르항공에 비해 더 큰 ‘제 5의 자유’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더욱이 카타르항공만을 대변하는 카타르와 달리 아랍에미리트에는 에미레이트항공 외에 에티하드항공(Etihad Airways)이 미국 노선에 참여한다.
[ "미국 항공사들은 걸프 항공사들이 무엇을 기반으로 미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가장 염려해왔나", "미국 항공사들은 걸프 항공사들이 무엇을 토대로 미국에서 서비스할 것을 가장 걱정했어", "미국 항공사들은 미국에서 걸프 항공사들이 무엇을 기반으로 서비스하게 되는 것을 제일 걱정했어", "영국 항공사들은 걸프 항공사들이 무엇을 기반으로 중동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가장 염려해왔나" ]
abe97a33-aaae-4990-b10b-1b267efdb9ef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2014년에 ‘종이없는 조종실’을 선언한 유럽계 저비용 항공사 이지젯 항공사는 이러한 기술을 정비현장에도 적용하여 Digital Pad를 이용하여 종이없는 정비현장을 구현하고 있다. 미국의 연방항공청(FAA)은 종이없는 정비현장 구현을 위하여 항공사들이 EmpoerMX사의 FleetCycle 전자 작업카드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금년 2월에 허용하였다. 무선통신을 이용한 FleetCycle 전자 작업카드 시스템은 작업 진행현황이 실시간으로 확인되어 다른 작업과의 간섭도 없애고 작업 공정관리가 용이하여 약 10~42%의 인력과 약 20%의 작업기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전자 작업카드 시스템은 작업 완료 후 작업문서 보관을 위한 창고 공간을 줄이고, 디지털 문서로 보관되므로 문서를 별도로 스캔하고 분류하는 일도 없도록 하였다.
[ "이 시스템은 작업 완료 후 작업문서 보관을 위한 창고 공간을 줄이고 디지털 문서로 보관되므로 문서를 별도로 스캔하고 분류하는 일도 없도록 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뭐야", "이 시스템은 작업 완료 후 작업문서 보관을 위한 창고 공간을 줄이고 디지털 문서로 보관되므로 문서를 따로 스캔하고 분류하는 일도 없도록 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뭐야", "이 시스템은 디지털 문서로 보관되므로 문서를 별도로 스캔하고 분류하는 일도 없도록 하고 작업 완료 후 작업문서 보관을 위한 창고 공간을 줄이기로 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뭐야", "이 시스템은 작업 완료 전 작업문서 보관을 위한 창고 공간을 줄이고 디지털 문서로 보관되므로 문서를 별도로 스캔하고 분류하는 일도 없도록 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뭐야" ]
2476aed9-f4d4-4832-88bc-0be842fe38ba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최근 드론으로 인한 사고 위험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면서 항공사와 공항운영사들은 ‘드론등록 시스템’, ‘지오 펜싱(geo-fencing) 기술’, ‘공항 주변에서의 드론 비행에 대한 보다 엄격한 처벌’ 등을 원하고 있다. 항공사와 공항들은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취미용 드론이나 아마존(Amazon)과 같은 회사들의 배송용 드론의 운항이 증가해도 항공안전을 유지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런 운영 환경 속에서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ACO)가 주도하는 글로벌 드론등록 시스템 개발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최근 무인항공기와 상업 제트기의 충돌 위기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드론 비행에 대한 안전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에 IATA의 롭 이글스(Rob Eagles) 항공교통관리인프라부 대표는 ICAO의 글로벌 통합형 드론 등록 시스템의 개발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 "항공사와 공항들이 취미용 드론이나 배송용 드론의 운항이 증가해도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것은 뭐야", "항공사와 공항들이 취미용 드론이나 배송용 드론의 운항이 많아져도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것은 뭐야", "항공사와 공항들이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것 중 취미용 드론이나 배송용 드론의 운항 증가와 관련된 것은 뭐야", "항공사와 공항들이 취미용 드론이나 배송용 드론의 운항이 감소해도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것은 뭐야" ]
0f2b7a89-b384-45f1-af2e-2c140d6a2854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우리나라는 항공정비 MRO 산업의 태동기를 맞이하고 있지만 MRO 선진국들은 4차 산업혁명에 발맞추어 항공 정비 MRO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 Norton Rose Fulbright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50%가 향후 5년 이내에 항공 정비업계에 닥칠 가장 큰 변화는 빅데이터이며 이를 이용한 예방정비 및 예측정비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분야라고 대답했다. 보잉사의 B737 항공기 엔진 1대가 1시간에 발생시키는 데이터는 약 20TB로 알려져 있다. 하루 10시간 운영되는 항공기가 1년이면 발생하는 데이터는 무려 약 146,000TB이고 30대의 항공기를 운영하는 우리나라의 한 저비용항공사의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약 4,380,000TB이다. 최근 개발되어 디지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에어버스사의 A350 항공기와 보잉사의 B787 항공기는 이전 세대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B777 항공기나 A330 항공기에 비하여 100배나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상으로 보내고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다.
[ "보잉사의 B737 항공기 엔진 1대가 1시간에 발생시키는 데이터는 얼마야", "보잉사의 B737 항공기 엔진 1대가 1시간에 초래하는 데이터는 얼마야", "1시간에 얼마의 데이터가 보잉사의 B737 항공기 엔진 1대에 발생 돼", "보잉사의 B737 항공기 엔진 2대가 1시간에 발생시키는 데이터는 얼마야" ]
37e5236f-06cf-4f11-a9b6-6d4898054508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ANA홀딩스의 전세기 사업은 ANA홀딩스가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제트기를 소유한 상태로 전세기편을 운항하는 것이 아니라, 항공사의 세일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전세기편을 운항하는 기업에게 고객이 희망하는 일정을 전달해 수배해주는 비즈니스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소지츠는 전일본공수의 항공기 조달과 관련하여 오랫동안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관계를 유지해왔고, 미국령인 괌과 일본에서 비즈니스 제트기를 운항하고 있다. 후지모토 마사요시(藤本昌義) 소지츠 사장은 “(일본발 전일본공수 국제정기편) 퍼스트 클래스에서 미국에 도착하면 출입국심사까지는 전일본공수의 직원들 덕분에 원활하게 이뤄지지만, (미국 내의) 국내정기편으로 환승을 해야 할 때에는 많은 시간을 들여 비행기를 기다려야만 한다”고 전하면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그는 사업 개시 3년 후에는 매출액이 약 10억 엔(한화 약 98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 하였다.
[ "ANA홀딩스의 전세기 사업은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제트기를 소유한 상태로 전세기편을 운항하지 않고 무엇을 활용하는거야", "ANA홀딩스의 전세기 사업은 독립적으로 비즈니스 제트기를 보유한 상태로 전세기편을 운항하지 않고 무엇을 활용하는거야",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제트기를 소유한 상태로 전세기편을 운항하지 않는 대신 ANA홀딩스의 전세기 사업은 무엇을 활용하는거야", "ANA홀딩스의 전세기 사업은 자체적으로 비즈니스 제트기를 소유한 상태로 전세기편을 운항하면서 부가적으로 또 무엇을 활용하는 거야" ]
e794f92d-d83e-4929-b273-2f49674f1887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MRO 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업기반(MRO 수요), 정비능력, 정비시설, 정비인력, 정비비용, 정비기간, 지리적 입지 등이 필요하다. KAI MRO는 MRO 수요를 확보하기 위하여 항공사와, 정비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국의 항공전문업체와, 정비시설을 확보하려고 한국공항공사와 함께 MRO 사업 준비를 하고 있다. KAI MRO는 이러한 요소 이외에도 고객이 느끼는 확실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적절한 정비인력을 확보하여 정비기간과 정 비비용을 경쟁력 있도록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MRO가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이 정비인력이다. 운항정비만을 중심으로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항공사와는 달리 MRO 산업을 수행하는 정비는 다양한 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항공기 기체의 최고단계까지 정비를 수행하는 기체중정비의 경우 정비작업 기간이 약 2개월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장기간에 걸쳐 비용 경쟁력을 갖도록 항공기를 정비하는 경우에는 높은 스킬을 필요로 하는 항공정비사, 항공기의 패널을 떼었다 다시 장착하고 세척과 같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정비작업을 수행하는 정비보조원, 작업부위에 따라 특수공정을 수행하는 특기별 항공정비사 등 다양한 인력이 필요하다.
[ "운항정비만을 중심으로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항공사와 달리 MRO가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이 뭐야", "운항정비만을 중심으로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항공사와 달리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MRO가 중점적으로 필요한 것이 뭐야", "운항정비만을 중심으로 정비 업무를 행하는 것과 달리 MR0가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이 뭐야", "운항정비만을 예외적으로 정비 업무를 수행하는 항공사와 달리 MRO가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핵심적으로 필요한 것이 뭐야" ]
276e377e-809d-40c9-91df-2a8d33199bb0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일부의 항공정비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이 정비사를 대신하여 항공기 정비를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들을 한다. 그 이유는 항공기 정비는 아직도 직접 작업 (Touch Labor)에 많이 의존하고 있어 항공기 정비를 위해서는 숙련된 정비사의 지식, 경험, 그리고 기술이 어우러져야 항공기의 결함을 적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논리다. 그러나 앞의 사례에서 보듯이 항공 정비 선진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다양한 시도를 항공정비 산업에 적용하려고 하고 있고, 아직 초보 단계이지만 가시적인 성과도 만들어 가고 있다. 세계 항공운송산업 분야에서는 세계 6위로 매년 경이적인 성장을 이룩한 우리나라는 유독 항공 MRO 산업에서는 아직 세계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가 항공 MRO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관점에서 거의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새로운 MRO를 준비하는 우리나라는 IT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할 좋은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항공정비 산업 관련업계는 이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항공정비 산업을 종합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인력양성을 철저하게 준비해야 할 때이다.
[ "세계 항공운송산업 분야에서 세계 6위로 매년 경이적인 성장을 이룩한 나라는 어디야", "세계 항공운송산업 방면에서 세계 6위로 매년 경이적인 성장을 이룩한 나라는 어디야", "세계 항공운송산업 분야에서 세계 6위로 매년 놀라운 성장을 이룩한 나라는 어디야", "세계 항공운송산업 분야에서 세계 1위로 매년 경이적인 성장을 이룩한 나라는 어디야" ]
37e6c3cd-64b9-4827-b69c-8e021404ac5d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결함을 사전에 파악하고 결함이 항공기 운영에 영향을 주기 이전에 예방정비를 실시하여 항공기의 안전운항과 가동율을 높이는 것은 항공 MRO 산업에서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가장 큰 혜택으로 여기고 있다. 백만 개에 가까운 항공기 부품을 보관하는 항공기 부품 창고에서는 부품 입고에서부터 불출 단계까지 전 과정에 걸쳐 자동화 창고의 개념을 일찍이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에어버스의 물류 자회사인 Satair사는 창고 자동화에 고객사와 공급사의 부품 관련 빅데이타를 연결시켜 부품 신뢰성 자료와 인도 기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부품주문, 재고보충, 재고수준 결정, 고객사 부품 공급 등의 종합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독일의 LHT은 사람을 대신하여 인공지능 로봇이 백색광 간섭계를 사용하여 엔진 균열 결함을 정밀하게 찾아내는 AutoInspect 로봇을 2017년에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검사는 전통적으로 염료침투탐상검사 방법으로 고도의 기술을 가진 정비사가 암실에서 수행하였다. LHT은 AutoInspect 기술과 결합하여 자동으로 수리 작업까지 수행하는 AutoRep을 2018년에 개발하여 엔진 결함을 찾아 수리까지 마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 "항공기의 결함을 사전에 파악하고 결함이 항공기 운영에 영향을 주기 이전에 예방정비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은 뭐야", "항공기의 결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결함이 항공기 운영에 영향을 주기 이전에 예방정비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은 뭐야", "항공기의 결함을 미리 파악하고 결함이 항공기 운영에 영향을 주기 이전에 예방정비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은 뭐야", "항공기의 결함을 사전에 파악하고 결함이 항공기 운영에 영향을 주기 이전에 사후정비를 실시 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은 뭐야" ]
30ef31ef-53b3-4144-8bac-1bc2b0fdd3d1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세계적으로 정치적 보수주의가 확산되고 항공 산업에 대한 보호주의 역시 점차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 걸프(gulf) 지역 국가들과 논의 중인 항공자유화(Open Sky) 즉, 항공자유화 협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럽에 앞서 미국은 얼마 전 미국은 카타르와 약 3년여에 걸친 항공자유화 협정에 대한 논쟁을 끝내고 합의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합의는 유럽연합과 걸프 국가들의 항공자유화 협정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상황이 서로 다른 만큼 유럽연합과 걸프 국가들의 항공자유화 합의는 쉽게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올해 초 미국과 카타르는 오랜 논쟁을 끝내고 항공자유화에 합의하였다.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은 투명하게 재정을 운영하고 ‘제5의 자유(fifth freedom)’를 기반으로 한 항공편을 운항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면서 미국과의 논쟁을 종결하고 항공자유화에 합의하였다. 새로운 합의 내용은 ‘제5의 자유’를 허용했던 기존의 항공협정을 대체하게 된다.
[ "미국과 카타르가 오랜 논쟁을 끝내고 합의한 항공 산업 협정이 뭐야", "미국과 카타르가 오랜 논의를 끝내고 합의한 항공 산업 협정이 뭐야", "미국과 카타르가 오랜 논쟁을 끝내고 의견을 일치한 항공 산업 협정이 뭐야", "가나와 카타르가 오랜 논쟁을 끝내고 결렬된 항공 산업 협정이 뭐야" ]
b5130574-a9ce-4cd8-ae5f-53cbaccee5d3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유럽과 걸프 항공사들의 경쟁 상황은 미국보다 복잡하다. 먼저 전략적인 측면에서 걸프 항공사들은 미국 항공사들보다 유럽 항공사들에게 있어 더 큰 경쟁자들이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걸프 항공사들은 주로 아랍에미리트, 인도,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미국의 항공사들이 거의 서비스하지 않는 지역들로 연결한다. 반면, 유럽에서 걸프 항공사들은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뉴질랜드, 아프리카 등지의 다수의 노선에서 유럽 항공사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폭넓게 경쟁하는 관계이다. 항공정치적 측면에서는 ‘공정경쟁(fair competition)’ 이슈가 존재한다. 유럽연합은 항공사들의 ‘공정경쟁’을 추구하려 하지만, ‘공정경쟁’에 대한 정의는 모호하다. 이 때문에 걸프 항공사들은 항공협정에서 ‘공정경쟁’ 관련 조항에 동의할 경우 향후 유럽 항공사들이 그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당 용어를 적용하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 "미국에서 주로 아랍에미리트 인도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미국의 항공사들이 거의 서비스하지 않는 지역들로 연결하는 반면 유럽에서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뉴질랜드 아프리카 등지의 다수의 노선에서 유럽항공사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폭넓게 경쟁하는 항공사가 어디야", "미국에서 주로 아랍에미리트 인도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미국의 항공사들이 거의 서비스하지 않는 지역들로 연결하는 반면 유럽에서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뉴질랜드 아프리카 등지의 많은 노선에서 유럽항공사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폭넓게 경쟁하는 항공사가 어디야", "유럽에서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뉴질랜드 아프리카 등지의 다수의 노선에서 유럽 항공사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폭넓게 경쟁하지만 미국에선 아랍에미리트 인도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미국의 항공사들이 거의 서비스하지 않는 지역들로 연결하는 항공사는 어디야", "미국에서 주로 아랍에미리트 인도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미국의 항공사들이 거의 서비스하지 않는 지역들로 연결하는 반면 유럽에서 동아시아 남아시아 호주뉴질랜드 아프리카 등지의 다수의 노선에서 유럽항공사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폭넓게 협력하는 항공사가 어디야" ]
f39e394d-da2d-458a-adb9-3984f8d88ced
KOTI 항공정책 Brief Vol 10 / No 129
대략적으로 영국의 새로운 항공전략은 ‘여객’,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연결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야심 찬 계획들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이 중에서도 특히 ‘소비자(여객)’을 중요하게 간주하여, 여객 경험 개선에 기여할 정부의 정책적 조치와 산업계와의 협력 방안 등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소비자를 위한 보상 정책 개선’, ‘여객의 알 권리 보장’, ‘엄정한 규정 집행’ 등을 실천해갈 계획으로, 이러한 정부 방침은 여객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항공 산업계의 활동 기반이 될 전망이다. 영국의 배로니스 서그(Baroness Sugg) 항공장관은 “산업계와 협력하여 여행 예약에서부터 목적지 도착에 이르기까지 비행 경험을 개선하기를 바란다”고 전하면서, 산업계와 함께 미래에 부합하는 교통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뜻을 강조하였다.
[ "영국의 새로운 항공전략은 여객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무엇에 초점을 맞춘 계획들을 제시하고 있어", "영국의 새로운 항공전략은 여객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무엇에 초점을 맞춘 계획들을 내세우고 있어", "영국의 새로운 항공전략은 여객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무엇에 중심을 둔 계획들을 제시하고 있어", "영국의 옛 항공전략은 여객 지속가능한 성장 그리고 무엇에 초점을 맞춘 계획들을 제시하고 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