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3.39k
214k
Human: 아래 예고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예고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예고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예고범》(일본어: 予告犯)은, 츠츠이 테츠야의 만화 작품이다. 목차 1 개요 2 등장인물 2.1 예고범 그룹 2.2 경찰 관계자 2.3 타깃이 된 인물·기업·단체 2.4 그 외 3 서지 정보 4 스핀오프 작품 4.1 예고범-THE COPYCAT- 4.2 예고범-THE CHASER- 5 영화 5.1 캐스트 5.2 스태프 6 텔레비전 드라마 6.1 캐스트 6.2 스태프 6.3 방송 일자 7 외부 링크 개요[편집] 《점프 카이》 (슈에이샤)에서 2011년부터 2013년 9호까지 연재되었다. 단행본은 전 3권. 등장인물[편집] 예고범 그룹[편집] 게이츠/오쿠다 히로아키 예고범 그룹 〈신분시〉의 주범격. 칸사이/카사이 토모히코 오사카 출신. 메타보/테라하라 신이치 후쿠오카 출신. 노비타/키무라 코이치 미야기 출신. 경찰 관계자[편집] 요시노 에리카 경시청 사이버 범죄 대책과 반장. 오카모토 다이키 경시청 사이버 범죄 대책과 소속 형사. 이치카와 마나부 경시청 사이버 범죄 대책과 소속 형사. 마츠모토 신이치 경시청 사이버 범죄 대책과 과장. 아라가키 고속대 대원. 타깃이 된 인물·기업·단체[편집] 식품 가공 회사 이시카와현 K시에 있는 식품 가공 업자. 부시키 슈야 모 외식점의 전 아르바이트 점원. 세키 슈지 R대학의 전 학생. 이케하타 마사요시 모 넷 서비스 기업에 근무하는 회사원. 시가디안 고래잡이 반대 운동 등을 행하고 있는 해외의 환경 보호 단체. 시타라기 타다시 현직 중의원 의원. 그 외[편집] 마스야마 쇼타 토치기 현 U시에 사는 중학생. 호리이 게이츠가 과거에 근무했던 IT 회사의 사장. 노모토 청소의 사장과 사장 부인 빌딩 외벽 청소를 사업으로 하는 청소 회사. 효로/넬슨 카토 리카르테 필리핀 출신의 일본계 외국인. 이시다 키요시 게이츠 등 5인이 먹고 자며 육체 노동을 하던 때의 현장 감독. 카에데 이와테현 K시에 있는 라멘 가게에서 일하는 여성 점원. 아오야마 유이치 인터넷 카페 〈피트 보이〉에서 일하는 점원. 서지 정보[편집] 츠츠이 테츠야 《예고범》 슈에이샤 〈영 점프 코믹스〉 전 3권 2012년 4월 10일 발매, ISBN 978-4-08-879310-8 2012년 12월 10일 발매, ISBN 978-4-08-879495-2 2013년 9월 10일 발매, ISBN 978-4-08-879680-2 스핀오프 작품[편집] 예고범-THE COPYCAT-[편집] 《예고범 -THE COPYCAT-》은, 스핀오프 만화 작품이다. 〈신분시〉의 모방범 (카피캣)을 하는 고교생 그룹의 스토리. 예고범-THE CHASER-[편집] 《예고범 -THE CHASER-》는, 스핀오프 소설 작품이다. 요시노 에리카와 경시청 사이버 범죄 대책과의 그 후 활동을 그린다. 영화[편집] 2015년 6월 6일, 일본에서 공개되었다. 감독은 나카무라 요시히로. 주연은 이쿠타 토마. 캐스트[편집] 게이츠/오쿠다 히로아키 - 이쿠타 토마 요시노 에리카 - 토다 에리카 칸사이/카사이 토모히코 - 스즈키 료헤이 노비타/키무라 코이치 - 하마다 가쿠 메타보/테라하라 신이치 - 아라카와 요시요시 오카모토 다이키 - 타쿠마 타카유키 이치카와 마나부 - 사카구치 켄타로 아오야마 유이치 - 쿠보타 마사타카 카에데 - 코마츠 나나 효로 - 후쿠야마 코헤이 이시다 키요시 - 나카노 시게루 키타무라 - 타나카 케이 쿠리하라 - 타키토 켄이치 카토 - 혼다 히로타로 시타라기 타다시 - 코히나타 후미요 스태프[편집] 감독 - 나카무라 요시히로 원작 - 츠츠이 테츠야 각본 - 하야시 타미오 음악 - 오오마마 타카시 기획·프로듀스 - 히라노 타카시 프로듀스 - 타케다 요시타카 촬영 - 소마 다이스케 미술 - 시미즈 타케시 배급 - 토호 제작 프로덕션 - WOWOW FILMS, C&I 엔터테인먼트 제작 간사 - TBS, WOWOW 제작 - 영화 〈예고범〉 제작 위원회 텔레비전 드라마[편집] 《예고범 -THE PAIN-》은, 2015년 6월 7일부터 7월 5일까지 WOWOW 연속 드라마 W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전 5화. 주연은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영화판의 스토리로부터 1년 후를 그린 오리지널 스토리이다. 영화판 감독인 나카무라 요시히로가 감독을 맡았고, 토다 에리카가 영화판과 같은 역으로 출연했다. 캐스트[편집] 사쿠마 에이지 - 히가시야마 노리유키 요시노 에리카 - 토다 에리카 타부치 유조 - 하시모토 사토시 오키나 케이코 - 이치카와 미카코 미즈타니 켄 - 키리타니 켄타 히라사와 아츠시 - 타나카 류조 야자키 신타로 - 오오니시 시마 카네코 - 코마츠 토시마사 사코타 - 마츠바야시 신지 신타니 스바루 - 모리오카 류 카키네 - 츠무라 노리요시 하나야마 토오루 - 무라이 쿠니오 스태프[편집] 원작·스토리 감수 - 츠츠이 테츠야 시리즈 구성 - 나카무라 요시히로 감독 - 나카무라 요시히로, 히라바야시 카츠토시, 사와다 메구미 각본 - 하야시 타미오, 타나카 히로시 음악 - 오오마마 타카시 프로듀스 - 우에다 하루나 제작 프로덕션 - 트윈즈 재팬 제작 저작 - WOWOW 방송 일자[편집] 방송회 방송일 각본 감독 CASE #1 2015년 6월 7일 하야시 타미오 나카무라 요시히로 CASE #2 6월 14일 타나카 히로시 히라바야시 카츠토시 CASE #3 6월 21일 사와다 메구미 CASE #4 6월 28일 히라바야시 카츠토시 FINAL CASE 7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예고범] 츠츠이 테츠야|전율의 넷 테러 만화를 완전 해설! - 점프 카이 (일본어) 영화 《예고범》 공식 사이트 (일본어) 연속 드라마 W 《예고범 -THE PAIN-》 공식 사이트 vdehWOWOW 연속 드라마 W주 1회(2008년 ~ 2014년) 《판도라》 《프리즈너》 《하늘을 나는 타이어》 《엄마는 옛날에 아빠였다》 《은폐지령》 《판도라 II 기아열도》 《마크스의 산》 《히가시노 게이고 환야》 《CO 이식 코디네이터》 《변두리 로켓》 《판도라 III 혁명전야》 《조화의 꿀》 《속죄》 《분신》 《추정유죄》 《죄와 벌 A Falsified Romance》 《마그마》 《플라티나 타운》 《히토리시즈카》 《하늘의 방주》 《여자와 남자의 열대》 《레이디 조커》 《소돔의 사과~롯을 죽인 딸들》 《배달되고 싶은 우리》 《흔들리는 소》 《빵과 스프, 고양이와 함께 하기 좋은 날》 《열쇠 없는 꿈을 꾸다》 《LINK》 《저편의 아이》 《피의 흔적》 《세상의 소금》 《나라고 하는 운명에 대하여》 토쿠소우》 《모자이크 재팬》 《MOZU Season2 ~환상의 날개~》 《히가시노 게이고 〈변신〉》 《죄인의 거짓말》 주 2회(2014년 ~ )토요 오리지널 《구구는 고양이다》 《헤이세이 원숭이와 게의 전쟁》 《속죄의 소나타》 《유리의 갈대》 《어둠의 반주자》 《꿈을 주다》 《후타가시라》 《연하 -Gold Rush-》 《바다에 내리다》 《5명의 준코》 《황무지의 사랑》 《반짝반짝》 《구구는 고양이다 2-good good the fortune cat-》 《키보가오카의 사람들》 《현자의 사랑》 《후타가시라 2》 《콜드 케이스 ~진실의 문~》 《오늘은, 일진도 좋고》 《호쿠토 -어느 살인자의 회심-》 《미야자와 겐지의 식탁》 《플라즈~번역 있음 만의 쉐어하우스~》 《짝사랑》 《명함 게임》 《봄이 왔다》 《바이바이, 블랙버드》 《어둠의 반주자~편집장의 조건》 《더블 판타지》 《이아리 보이지 않는 얼굴》 《콜드 케이스 2 ~진실의 문~》 《도난당한 얼굴 ~눈에 띄지 수사반~》 《그것을 사랑과 착각하니까》 《다잉 아이》 《언덕 중간의 집》 일요 오리지널 《주가폭락》 《악화》 《저물어 가는 여름》 《천사의 나이프》 《스케이프고트》 《테미스의 구형》 《예고범 -THE PAIN-》 《죽음의 장기》 《돌의 고치 살인분석반》 《신가리 야마이치 증권 최후의 성전》 《오판》 《쏠 수 없는 경관》 《메가뱅크 최종결전》 《뻐꾸기 알은 누구의 것인가》 《지지 않는 태양》 《히포크라테스 선서》 《수정의 고동 살인분석반》 《낙원》 《제니가타 경부 칠흑의 범죄 파일》 《히토야노토게~감옥의 가시~》 《사장실의 겨울 -거대 신문사를 잡는 남자-》 《범죄증후군 Season2》 《아키라와 아키라》 《침묵 법정》 《돌팔매질~외무성 비자금을 파헤친 수사2과 남자들~》 《감사역 노자키》 《이노센트 데이즈》 《60 오판 대책실》 《불발탄 ~검은 돈을 조종하는 남자~》 《구로쇼인의 로쿠베에》 《진범인》 《판도라 Ⅳ AI전쟁》 《고고한 메스》 《절규》 예고범-THE COPYCAT-에 관한 분류: 주간 영 점프의 만화예고범-THE PAIN-에 관한 분류: 만화의 텔레비전 드라마화 작품  |  2015년 드라마   |  연속 드라마 W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예고범&oldid=21882503" 분류: 일본의 만화추리 만화범죄를 소재로 한 작품테러를 소재로 한 작품일본의 영화 작품일본의 범죄 영화테러리즘을 소재로 한 영화만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7일 (금) 06: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예고범》(일본어: 予告犯)은 츠츠이 테츠야의 만화 작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예고범의 감독은 누구일까? Assistant: 나카무라 요시히로, 히라바야시 카츠토시, 사와다 메구미 Human: 아래 심규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심규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규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심규언沈圭彦 대한민국의 제17·18대 강원도 동해시장 임기 2014년 7월 1일 ~ 전임 김학기 후임 (현직) 신상정보 국적 대한민국 출생일 1955년 10월 1일(1955-10-01) (63세) 출생지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본관 삼척 학력 관동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 제22대 강원도 동해시 부시장새누리당 지방자치행정위원 자유한국당 대표행정자치위원 정당 무소속 심규언(沈圭彦, 1955년 10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제17·18대 강원도 동해시장이다.[1] 목차 1 학력 2 경력 3 논란 4 상훈 5 역대 선거 결과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북삼초등학교 졸업 ~ 1971년 북평중학교 졸업 ~ 1974년 춘천제일고등학교 졸업 ~ 1992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학사 ~ 2008년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경력[편집] 1981년 4월 : 행정7급 공채 1995년 8월 : 사무관 승진 동해시 문화공보실 실장 동해시 환경보호과 과장 동해시 북삼동장 동해시 금강산관광지원사업소 소장 동해시 사회복지과 과장 동해시 세무과 과장 동해시 회계과 과장 동해시 기획예산담당관 동해시 행정지원과 과장 동해시 기획감사담당관 동해시 자치행정과 과장 동해시 행정지원국 국장 2008년 7월 : 서기관 승진, 동해시 자치행정국 국장 2011년 7월 ~ 2012년 5월 : 제22대 강원도 동해시 부시장 2012년 5월 ~ 2014년 2월 : 동해시 시장권한대행 새누리당 지방자치행정위원 2014년 7월 ~ : 제17·18대 강원도 동해시장 자유한국당 대표행정자치위원 강원발전연구원 이사 논란[편집] 시장 재임 기간 시에서 추진하는 사업이 개인의 업적인 것처럼 하여 홍보 동영상을 수차례 개인 SNS에 게재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기소되었다. 2019년 2월 14일 춘천지법 강릉지원에서 열린 1심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벌금 70만 원을 선고받았다. 2019년 5월 29일 서울고법 춘천재판부에서 열린 2심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상훈[편집] 1999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2005년 국무총리 표창 2010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대통령 표창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지방 선거 17대 시장 강원 동해시 새누리당 20,890 표 47.52% 1위 초선, 민선 6기 지방 선거 18대 시장 강원 동해시 무소속 19,565 표 42.7% 1위 재선,민선 7기 같이 보기[편집] 심대평 심완구 심우영 심재홍 심상대 심재민 심재덕 심의조 심춘택 심헌구 심재국 심민 심기섭 심영목 심성택 각주[편집] ↑ “동해시장에 새누리당 심규언 당선”. 《강원일보》. 2014년 6월 5일.  외부 링크[편집] 심규언 블로그 전임김학기 제17·18대 강원도 동해시장 (민선)2014년 7월 1일 ~ 후임(현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심규언&oldid=24317819" 분류: 195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삼척 심씨동해시 출신북삼초등학교 (강원) 동문북평중학교 (강원) 동문춘천제일고등학교 동문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관동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공무원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동해시장자유한국당의 정치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6: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심규언(沈圭彦, 1955년 10월 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제17·18·19대 강원도 동해시장(민선 6·7·8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심규언은 17대 지방 선거에서 몇 표를 득표하였는가? Assistant: 20,890 표
Human: 아래 장기_이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장기 이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기 이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7년 남아공에서 있었던 최초의 심장 이식 수술을 재연한 모습. 케이프타운 박물관. 장기 이식(臟器移植)이란 어떤 조직 또는 장기의 파손된 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원래 존재하는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조직 또는 장기를 옮기는 것이다. 장기 이식이 필요한 경우는 그 장기가 꼭 필요하고 대체할 수 없을 경우다. 위의 경우 위가 없어도 장으로 연결해서 사람이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심장이나 간, 신장 등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었을 때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장기 이식을 하지 않으면 죽게 된다. 심장과 신장 같은 경우는 대체 물품이 개발되어 있으나 한시적이고 실제적인 장기 역할이 힘들다. 신장이 안 좋은 사람은 매주 투석해야 하며, 투석을 하지 않을 경우 신부전증으로 진행되어 사망하게 된다. 간은 심장이나 신장과 달리 대체할 수 있는 것조차 없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몸속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심장, 간, 신장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이식을 하게 된다. 참고로, 간이나 신장은 기증자가 살아있는 경우에도 기증이 가능하다. 간은 반으로 잘라내어도 생존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크기와 기능을 회복하게 된다. 그러나 수명이 수술로인해 어느정도까지 연장될수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며 신장은 한 사람에게 두 개씩 있으며 한 개만으로도 살 수 있기는 하나 두개인 이유가 있기때문에 많이 불편할 수 있다. 판막같은 경우나 돼지로도 이식수술을 하는경우가 있다.그 이유는 사람과 가장 맞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여자가 없을 경우 꼭 생존자기증이 아니여도 대체할수 있는 정도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목차 1 역사 2 종류 3 장기 이식의 성공 사례 4 윤리적 문제점 4.1 동종 장기이식의 문제점 4.2 이종 장기이식의 문제점 5 장기이식의 윤리적 고려사항 5.1 장기이식에 관한 기본 이념 5.2 장기적출금지대상 5.3 장기기증 요건 규정 6 장기이식 관리체계의 문제점 6.1 능동적 장기구득 체계 부재 6.2 장기구득 및 관리과정의 비효율성, 경직성 7 장기이식 관리체계의 개선해야할 점 7.1 장기이식 법률 개정 필요사항 7.2 향후 추진 과제 8 같이 보기 역사[편집] 상대적으로 긴 수술 역사를 가지는 성공적인 인간 동종 이식은 오랫동안 존재하였으며, 이후 수술 후의 생존에 대한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종류[편집] 자가이식(autograft) : 자신의 신체 일부를 특정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식하는 장기 이식 동종이식(allograft) : 심장이나 신장 등과 같이 사람과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장기 이식 이종이식(xenograft) : 동물로부터 적출하여 인간에게 장기 이식 장기 이식의 성공 사례[편집] 장기 이식 (1968) 우리 나라 최초의 장기 이식은 1969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에서 이용각 교수가 집도한 신장 이식의 성공이 그 효시다. 그 후 1988년 뇌사자로부터 적출한 간 이식이 성공하면서 뇌사에 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1992년 췌장 및 심장 이식이 성공한 이후 장기 이식이 본격화되었다. 한국 최초 뇌사자의 소장 이식 성공 (2009년 4월 15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이명덕 교수(소아외과)팀은 2008년 12월 31일 위장관 손상으로 인해 단장증후군 상태에 있던 한송희(22, 여, 경기도 오산)에게 뇌사자의 소장을 이식했다. ‘물 풍선을 통한 복강 확장술’은 부작용이 없으며 가톨릭대 이명덕 교수팀에 의해 국내 최초로 성공하였고 한 차원 높은 소장 이식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에이즈 보균자간의 장기 이식 첫 성공 (2008년 10월 27일) 남아공 케이프타운의 한 병원에서 에이즈 바이러스(HIV) 보균자가 기부한 신장을 2명의 다른 에이즈 바이러스 보균자에 이식하는 수술이 성공했다. 이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에이즈 바이러스 보균자 간의 장기 이식 수술로, 에이즈 바이러스 보균자의 생명 연장에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장기 이식용 미니돼지의 생산 성공 (2009년 4월 22일) 국내 연구진이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돼지의 장기를 면역거부가 거의 없이 이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제돼지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에 이어 두 번째 성공으로, 이 연구 성과로 인해 세계 이종장기 시장 개척의 발판이 마련될 전망이다. 윤리적 문제점[편집] 동종 장기이식의 문제점[편집] 동종간 장기이식은 장기이식 중에서 가장 안정성이 높은 시술이지만 장기공여자(donor organ)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세계 공통의 문제점으로, 그 예로 미국의 한해 장기이식 대기 환자 수는 6만 5천명으로 추정되는데, 그 수가 장기기증의 부족으로 매년 10-15%씩 증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연간 장기이식 대기자의 수는 2000년도에 3,730명에서 2005년 7,751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증가하는 동종간 장기공여자의 부족현상으로 인해서 사체장기이식, 장기매매 등이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사형을 앞둔 사형수의 장기를 이식받는 방법으로 장기를 구하는 극단적 방법이 성행하고 있다. 이종 장기이식의 문제점[편집] 이종 장기이식의 가장 큰 위험성은 동물을 매개로 한 새로운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발생이다. 동물 장기 이식은 1905년 이후 여러 차례 시도 되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82명이 침팬지, 원숭이, 돼지, 염소 등 동물의 장기와 조직을 이식받았으나 성공한 예는 극히 드물다. 동물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면 인체의 면역체계가 항체를 만들어 이식 장기를 이물질로 인식하여 파괴하는 거부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식한 장기나 부위가 괴사해 사망에 이른다. 따라서 이종 장기이식의 인체 적용은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염병이 발생한 사례 돼지 독감 : 바이러스 구조의 유사성으로 볼 때 돼지에게서 사람에게 전파된 것으로 추정. AIDS : 원숭이와 사람의 접촉에서 유래. 인간 광우병 : 유럽에서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은 사람들이 병에 걸린다. 장기이식의 윤리적 고려사항[편집] 보건복지부는 1997년 8월 5일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법률안은 뇌사도 사망의 한 형태로 인정, 현재 의료계가 자율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뇌사자의 장기적출을 합법화하기로 하였다. 이로 인해 뇌사자의 장기공여에 의한 ‘장기이식수술’이라는 의료행위가 합법성을 획득하게 되었고, 장기이식의 수술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보건복지부가 제시하고 있는 법률안에는 장기공여자 의사 존중과 장기매매행위의 금지, 뇌사판정의 기준, 생명윤리위원회를 비롯한 관련 위원회의 지정 등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장기기증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 문제 장기이식 대기자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매우 적으므로 장기이식이 장기매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미국에서는 1984 년 국립 장기 이식법 (National Organ Transplant Act)에 의해 장기 판매가 불법이 되었다. 영국에서는 1989 년 인간 장기 이식법 (Human Organ Transplans Act 1989)이 처음으로 기관 판매를 불법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 장기 기증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호주에서 합법화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경우 신장 이식의 경우에만 엄격히 적용된다. 기부자는 보상 기부금으로 장기 대신에 돈이나 기타 보상을받습니다. 이러한 관행은 합법적이든 아니든 간에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의료 관광을 주도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장기 거래의 활성화가 장기 수요 부족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게리 베커 (Gary Becker)와 훌리오 엘리아 (Julio Elias)의 "생체 및 사체 장기 기증을위한 시장에서 인센티브 도입"에 대한 기사는 자유 시장이 장기 이식에서의 희소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Mark Cherry (조지 타운 대학 출판사, 2005)의 두 권의 책, 스테이크와 신장 : 제임스 스테이시 테일러 (James Stacey Taylor)는 왜 인체 부분의 시장이 도덕적으로 필수적인가 : (Ashgate Press, 2005); 시장을 이용하여 장기 이식을 위한 장기 공급을 늘려라. 등을 펴내며 장기판매를 지지한다. 이란은 1988 년 이래로 신장을위한 법적 시장을 가지고 있다. 기부자는 정부에 의해 약 미화 1200 달러가 지급되며 수혜자 또는 지역 자선 단체에서 추가로 기금을 수령한다. Economist 와 Ayn Rand Institute는 합법적인 시장을 승인하고 옹호한다. 그들은 19 세에서 65 세 사이의 미국인 중 0.06 %가 신장 하나를 판매한다면 국가 대기자 명단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기 이식이 장기 공급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를 돈으로 물건처럼 쉽게 사고 팔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 이후의 윤리적 문제점이 있지는 않은지에 대한 윤리적 쟁점이 논의되고 있다. 장기이식에 관한 기본 이념[편집] 인도적 정신에 따라 [기증자]의 자발적인 의사를 존중하고, 이식을 필요로 하는 자에게 [공평]한 기회제공. 적출 또는 이식대상 장기 등의 범위 규정. 장기의 [매매] 또는 매매 교사, [알선] 금지. 서류 위조 금지 장기적출금지대상[편집] 살아있는자 중 16세 미만인자. [정신질환자]. [정신지체인]. [마약], [대마] 및 향정신성약품에 중독된 자. 중추신경계 질환 기타 감염병 또는 약물투여자 장기기증 요건 규정[편집] 생전에 장기기증에 동의한 경우로서 가족 또는 유족이 명시적으로 거부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아닌 장기기증을 희망하는 자 그렇다 하더라도 강요되어서도 안되며 희망해서 신청을 했다가도 마음을 돌릴수도 있음. 의사 존중 본인의 기증의사가 확인되지 아니한 경우로써 그 가족 또는 유족이 동의하는 경우. 장기이식 관리체계의 문제점[편집] 능동적 장기구득 체계 부재[편집] 잠재뇌사자 기증의사확인 및 설득체계가 확립되어있지 못하다. 장기구득 및 관리과정의 비효율성, 경직성[편집] 장기이식관리기관의 역할이 아직 미흡하다. 장기이식 관리체계의 개선해야할 점[편집] 장기이식 법률 개정 필요사항[편집] 법에 규정된 장기 이외 이식을 할 경우 사전 승인. 장기기증의사 확인 의무화. 장기이식후 이식결과 보고. 장기이식후 부작용 신고 및 조사체계 도입. 향후 추진 과제[편집] 생전 장기기증 의사결정 및 표시 기회 확산. -[운전면허증], [주민등록법|주민등록증], [건강보험증]. Donor Hospital 활성화. -뇌사추정자 신고 및 기증의사확인 제도 정착. -뇌사자 관리 강화. 장기구득기관 도입 -> 능동적 장기구득체계. [KONOS]기능 및 지원체계 강화. 장기이식 안전성 강화. -사전검사강화, 부작용 보고 및 조사체계 등. 장기이식 관련 정보시스템 구축.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장기 이식 인공 장기 신장 이식(en) 전거 통제 LCCN: sh85137008 GND: 4060675-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장기_이식&oldid=24262708" 분류: 장기 이식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atina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Plattdüütsch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पालि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ייִדיש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09: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장기 이식(臟器移植, organ transplantation)이란 어떤 조직 또는 장기의 파손된 기능을 대체할 목적으로 원래 존재하는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조직 또는 장기를 옮기는 것이다. 장기 이식이 필요한 경우는 그 장기가 꼭 필요하고 대체할 수 없을 경우다. 위의 경우 위가 없어도 장으로 연결해서 사람이 살아갈 수 있다. 그러나 심장이나 간, 신장 등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되었을 때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장기 이식을 하지 않으면 죽게 된다. 심장과 신장 같은 경우는 대체 물품이 개발되어 있으나 한시적이고 실제적인 장기 역할이 힘들다. 신장이 안 좋은 사람은 매주 투석해야 하며, 투석을 하지 않을 경우 신부전증으로 진행되어 사망하게 된다. 간은 심장이나 신장과 달리 대체할 수 있는 것조차 없다. 현재의 기술 수준 으로는 몸속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심장, 간, 신장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이식을 하게 된다. 참고로, 간이나 신장은 기증자가 살아있는 경우에도 기증이 가능하다. 간은 반으로 잘라내어도 생존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크기와 기능을 회복하게 된다. 그러나 수명이 수술로 인해 어느 정도까지 연장 될 수 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며 신장은 한 사람에게 두개씩 있으며 한 개만으로도 살 수 있기는 하나 두 개인 이유가 있기 때문에 많이 불편할 수 있다. 판막 같은 경우나 돼지로도 이식수술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사람과 가장 맞기 때문이라고 한다. 공여자가 없을 경우 꼭 생존자 기증이 아니여도 대체할 수 있는 정도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기이식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Assistant: 자유 시장이 장기 이식에서의 희소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Human: 아래 이윤성_(1944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윤성 (1944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윤성 (1944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윤성 李允盛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44년 10월 2일(1944-10-02) (74세)일제 강점기 함경북도 청진부거주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사직업 정치가, 방송인경력 前 인천학술진흥재단 이사장 군복무 육군 중위 전역종교 개신교의원 선수 4정당 무소속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이윤성(李允盛, 1944년 10월 2일 ~ )은 前 KBS 앵커이자 前 무소속 국회의원이다. 함경북도 청진에서 출생하였고 1946년 3세 시절에 직계 일가족과 함께 경기도 김포로 이주하여 한때 경기도 김포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이후 인천에서 성장하였다. 목차 1 경력 2 학력 2.1 비학위 수료 3 이력 4 주요 행적 및 논란 4.1 언론인으로서의 행적 4.2 천안함 사태가 다행이라는 '망언'에 대한 논란 4.3 공무원 연봉 부풀리기 논란 4.3.1 사건의 발단 4.3.2 반론 4.3.3 노조의 반응 5 역대 선거 결과 6 각주 7 외부 링크 경력[편집] 1970년 ~ 1981년 : KBS 정치부 차장 1981년 ~ 1987년 : KBS 보도본부 24시 뉴스 앵커 1988년 ~ 1989년 : KBS 사회부 부장 1989년 ~ 1992년 : KBS 동경특파원 1992년 ~ 1993년 : KBS 뉴스광장, 기동취재 현장 앵커 1993년 ~ 1995년 : KBS 보도본부 9시 뉴스 앵커 1995년 6월 : 민주자유당 인천광역시당 남동구갑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1996년 5월 ~ 2000년 5월 : 제15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신한국당 대변인 한나라당 총재 특별보좌역 2000년 5월 ~ 2004년 5월 : 제16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2004년 5월 ~ 2008년 5월 : 제17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2004년 6월 ~ 2005년 8월 : 한나라당 인천광역시당 위원장 2004년 9월 ~ 2005년 6월 : 제17대 국회 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2006년 6월 ~ 2008년 5월 : 제17대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위원장 제17대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인천지역 선거대책위원장 2008년 5월 ~ 2012년 5월 : 제18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갑/한나라당) 2008년 7월 ~ 2010년 5월 : 한중 의회 간 정기교류체제 회장 2008년 7월 ~ 2010년 5월 : 제18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 2010년 6월 : 제18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위원 2012년 2월 ~ 2012년 5월 : 제18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갑/새누리당) 2012년 10월 ~ 2013년 2월 : 제18대 대통령선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2013년 10월 : 2014 인천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 고문 2013년 ~ :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2017년 3월 ~ : 제13대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회장 학력[편집] 인천신흥초등학교 졸업 인천중학교 졸업 제물포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서반아어학과 학사 육군보병학교 졸업 비학위 수료[편집]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고위정책과정 수료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고위관리자과정 수료 이력[편집] 일제 강점기 함경북도 청진에서 출생하였고,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에서 성장하였다. 제물포고등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인천광역시 남동구 갑 지역구의 제15, 16, 17,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제18대 국회 전반기 여당몫의 국회부의장이었다. 소위 친이계로 분류된다.[1]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탈당, 무소속으로 출마했다.[2] 이후 MBN 시사토크 두루치기[3][4] 및 주말 MBN 뉴스 8 진행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주요 행적 및 논란[편집] 언론인으로서의 행적[편집] 이윤성은 1970년 KBS 기자로 입사한 뒤 일본 도쿄 특파원, 보도국 사회부장 등을 거쳐 KBS 보도본부24시(81〜88년)와 KBS 뉴스광장(92〜93년), KBS 9시뉴스(93〜95) 등 굵직한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1995년 6월에 KBS 한국방송공사에서 퇴사하였으며 같은 해 1995년 민자당에 입당한 뒤 96년 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소속으로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됐으며 2000년 재선됐다. 그동안 신한국당 대변인과 신한국당・한나라당 대선기획단 홍보본부 전파매체단장(97년), 한나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유세본부 본부장(2002년) 등을 역임했다.[5] 한편 전두환 정권 시절 이윤성은 앵커로서 "군사독재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했다는 비판이 있다. 실제로 그는 KBS 부주간으로 《특별기획-광주사태》 진행을 맡아서 80년 광주 상황에 대해 "흥분한 시위 군중과 계엄군의 충돌, 오해로 감정이 폭발되었고 여기에 불순분자들에 의해 조작된 기상천외의 유언비어는 지역감정마저 자극, 선동해서 군과 시민을 이간시키고 방화, 파괴, 살상을 유도하면서 끝내는 광주시 일원을 무정부 상태로까지 치몰아갔던 것"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또한 《보도기획-학원안정법》에서도 "좌경사상에 오염된 학생들은 하루 속히 치유를 해서 학원으로 돌아오도록 하고, 또 면학에 여념이 없는 대다수 학생들이 이들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3년 KBS노보는 이윤성의 이러한 행적을 이유로 그를 부역언론인 1호로 선정했으며, 이러한 행적에 대해 "군사독재 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충실히 했다"고 비판했다. 또 "민주화 운동 앞에 위기를 맞은 정권을 옹호하기 위한 학원안정법 제정을 "정부의 결단"으로 표현하며 독재정권 주장을 그대로 반복했다"고 지적했다. KBS노보는 "전두환 정권과 노태우 정권, 김영삼 정권에 모두 충성을 바쳤다는 비판을 받으며 떠나간 KBS의 대표적 메인 앵커"라고 이 의원을 평한 뒤 "정계진출로 극우 보수세력의 나팔수 역할을 맡는데 그치지 않고 스스로 극우 보수세력에 자랑스럽게 편입되는 길을 택한 것"이라고 비판했다.[5] 천안함 사태가 다행이라는 '망언'에 대한 논란[편집] 전국 동시 지방 선거를 앞두고 있던 2010년 5월 31일, 이윤성 의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수도권 선대위원장 기자간담회에서 인천시장 선거의 판세를 분석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는 “또 하나 반가운 것은 10명의 기초단체장 가운데 옹진군은 무투표로 당선됐고 나머지 9군데도 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다행히 천안함 사태가 바로 인천 앞바다(에서 일어났)다”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계층보다 느끼는 바가 달라 기초단체장도 1∼2곳의 경합 지역을 빼놓고는 다 우세 지역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발언해 구설수에 올랐다.[6] 천안함 사태가 다행이라는 그의 발언에 대해 이후 각 당으로부터 비난이 쏟아졌다. 민주당 김유정 선대위 대변인은 “자신의 지역구인 인천 앞바다에서 천안함 사태가 발생한 것이 다행이고 행운이었다는 말을 서슴없이 쏟아내는 이 의원은 인천시민을 대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망언"을 철회하고 희생자와 유가족, 그리고 국민에 사죄할 것을 촉구했다.[6] 미래연합의 오형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이 의원의 망언을 규탄한다”며 “이번 발언은 국가적 불행인 천안함 사건이 한나라당에는 곧 행복이었음을 고백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번 망언에 대한 책임으로 의원직을 즉각 사퇴하고 국민들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7] 자유선진당의 박선영 대변인도“망발도 유분수”라면서 6월 1일 논평을 통해 “천안함 사태가 한나라당 선거 판세에 도움이 됐다는 이유로 ‘반가웠고’, 또 ‘다행히’라니. 구천을 떠도는 영령들과 국민 모두가 가슴을 치며 통곡할 일”이라고 비판했다.[8][9] 공무원 연봉 부풀리기 논란[편집] 사건의 발단[편집] 한나라당 이윤성의원은 2011년 8월 11일 기획재정부와 외교통상부, 행정안전부 등 15개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평균연봉이 300인 이상 민간기업의 평균연봉 3,969만원에 비해 31%가량 많은 5,200만원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10] 반론[편집] 그러나, 이 의원의 이같은 주장은 사실 왜곡이라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이 의원이 300인 이상 민간기업 평균연봉을 산출한 근거 자료는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있는 고용노동부 「사업체임금근로시간조사」의 2010년 4분기 3개월 간의 평균월급(3,332천원)에 단순히 12개월을 곱한 부정확한 금액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 의원이 공개한 민간기업 평균 연봉 통계치는 지난해 4.4분기 3개월간 평균 임금을 산정한 것"이라며 "실제 300인 이상 민간기업 의 월 평균 임금은 429만으로 평균 연봉은 5천150만원"이라고 설명했다.[11] 또한 민간부문은 일부 후생복지비용 등이 드러나지 않는 추정치로 직무성격, 평균 근무년수 등 통제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전체 평균연봉을 단순 비교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10년말 기준으로 상용근로자 100이상 민간기업의 평균임금과 공무원간의 통제변수를 적용한 임금비교 결과 공무원보수의 민간기업 임금 접근율은 84.4%로서 지난 2005년 95%대의 접근율에서 점차적으로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한다. 게다가 공노총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62만 행정부 공무원 중 6급이하 공무원은 59만여명으로서 전체의 95%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6급이하 공무원의 2010년 평균연봉은 3,600여만원 수준이고,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전체 공무원으로 산정할 경우 3,400여만원 수준으로 오히려 300인이상 민간기업 대비 32%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12] 노조의 반응[편집]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은 국회의원이 일선 민원현장에서 열악한 근무환경과 부족한 인력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에도 불구하고 묵묵히 본연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는 공무원의 처우를 개선하여 대국민 행정서비스의 질적향상을 꾀하는 정책제안을 해줘도 시원찮은데, 왜곡된 자료를 인용하여 공직을 매도하기 위해 음흉한 술책으로 국민을 현혹시키려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공노총은 또한 지난 8월11일자 언론오보 내용에 대해 정정보도를 요구하고, 공개 사과를 요청하는 한편, 공무원 처우개선대책에 솔선수범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한나라당을 비롯한 모든 정치인들에게 더 이상 공무원을 정치적 포퓰리즘으로 이용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1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5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 갑 신한국당 41,048 표 54.18% 1위 초선 총선 16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 갑 한나라당 38,438 표 54.89% 1위 재선 총선 17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 갑 한나라당 35,855 표 45.77% 1위 3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 갑 한나라당 43,504 표 57.81% 1위 4선 총선 19대 국회의원 인천 남동구 갑 무소속 14,687 표 12.25% 3위 낙선 각주[편집] ↑ ‘주민투표’ 놓고 유승민-이윤성 ‘충돌’ 데일리안, 2011년 7월 27일 ↑ 이윤성 탈당 무소속 출마… 이재오 "보복 공천" Archived 2012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한국일보, 2012년 3월 9일 ↑ 황소영 기자 (2013년 8월 21일). “이윤성·김미화·송지헌, MBN 시사 토크 프로 중심에 선다”. TV리포트. 2013년 8월 21일에 확인함.  ↑ 강승태 기자 (2013년 9월 2일). “MBN 시사토크 두루치기 - 금기 없이 두루두루 ‘파헤친다’”. 매일경제. 2013년 9월 2일에 확인함.  ↑ 가 나 "부역언론인 1호"에 이윤성 의원 오마이뉴스, 2003년 10월 21일 ↑ 가 나 “천안함 사태,인천 앞바다서 일어나 다행”…한나라당 이윤성 의원 발언 ‘구설’ 국민일보, 2010년 6월 1일 ↑ 韓이윤성, ‘천안함 망언’ 도마위 브레이크 뉴스, 2010년 6월 2일 ↑ 선진당 “막상막하, 오십보백보” 이윤성 정몽준 싸잡아 비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시사서울, 2010년 6월 1일 ↑ <논평> 천안함 사고가 반갑고 다행이라는 한나라당은 각성하라! ↑ 박재홍, 공무원 평균 연봉 민간기업 웃돌아 아주경제, 2011년 8월 11일 ↑ "공무원 평균연봉, 민간기업보다 많아"(종합) 연합뉴스, 2011년 8월 11일 ↑ 가 나 가슴에 상처난 100만 공무원 노컷뉴스, 2011년 8월 13일 외부 링크[편집] 이윤성 - 대한민국헌정회 이윤성 홈페이지 전임이용희 제18대 전반기 국회부의장(제1당)2008년 7월 16일 ~ 2010년 5월 29일 후임정의화 전 임 (남동구)강우혁 제15대 국회의원(인천 남동구 갑)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신한국당 → 한나라당 (남동구 을)이원복 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이호웅 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이호웅 제16대 국회의원(인천 남동구 갑)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한나라당 → 무소속 → 한나라당 (남동구 을)이호웅 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이호웅 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이호웅 제17대 국회의원(인천 남동구 갑)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한나라당 (남동구 을)이호웅 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조전혁 전 임 (남동구 갑)이윤성(남동구 을)이호웅 제18대 국회의원(인천 남동구 갑)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한나라당 → 새누리당 → 무소속 (남동구 을)조전혁 후 임 (남동구 갑)박남춘(남동구 을)윤관석 vdehKBS 뉴스 9현재 진행 중인 앵커평일 엄경철 이각경 이재성(KBS 스포츠 9) 주말 김태욱 박소현 이혜성(KBS 스포츠 9) 전직 앵커남성 (평일) 박성범 김학영 최동호 유자효 김광일 양휘부 박대석 류근찬 이윤성 길종섭 김종진 홍기섭 박영환 민경욱 최영철 황상무 김철민(주말) 김홍 송도균 김진원 박성범 김홍 윤덕수 정창훈 김종진 백운기 김정훈 조재익 이선재 황상무 김철민 임장원 박유한 이주한 김도엽 최문종 송영석 한승연 여성 (평일) 이병혜 신은경 윤금자 정미홍 이규원 유정아 홍지수 황현정 황수경 박경희 정세진 김경란 조수빈 이현주 김민정 김솔희(주말) 윤영미 공정민 오영실 장은영 이한숙 황현정 김성은 윤소희 정세진 손미나 노현정 최원정 지승현 김윤지 박지현 김진희 장수연 엄지인 이슬기 김지원 전직 KBS 스포츠 9 앵커 (평일) 성세정 김현태 이재홍 엄지인 정지원 이승현 유지철 김지원 김승휘(주말) 김홍성 김현태 이재후 김태규 이재홍 김희수 이승연 박지윤 이지애 이영호 김승휘 한상헌 김지원 기상 캐스터 김동완 이찬휘 이기문 홍사훈 조석준 이정민 한우경 한연수 한희경 이설아 김정윤 김혜선 장주희 배혜지 이세라 강아랑(월~금요일) 오수진(토요일) 노은지(일요일) 기타 땡전 뉴스 KBS 스포츠 9 KBS 뉴스 9 일요와이드 vdeh대한민국 제18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명단후반기위원장정병국 → 전재희(새)새누리당 허원제(간사) 강승규 김성동 김을동 김장수 심재철 안경률 안형환 유정현 이경재 이병석 이윤성 이철우 정수성 조윤선 조진형 진수희 한선교 홍사덕 민주통합당 김재윤(간사) 김부겸 장병완 전병헌 전혜숙 정동영 정장선 천정배 최종원 비교섭단체 조순형(선진통일당) 이용경(창조한국당) 김창수(무소속) 진성호(무소속) 전반기위원장고흥길(한)한나라당 나경원(간사) 강승규 김금래 김장수 김효재 나성린 성윤환 안형환 이경재 이은재 이정현 이혜훈 정병국 주호영 진성호 최구식 한선교 허원제 홍사덕 민주당 전병헌(간사) 김동철 김부겸 변재일 서갑원 장세환 조영택 천정배 최문순 비교섭단체 김을동(친박연대) 김창수(자유선진당) 이용경(창조한국당) 송훈석(무소속)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윤성_(1944년)&oldid=24496683" 분류: 대한민국의 제15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6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194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청진시 출신한국방송공사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대한민국의 방송인프리랜서 아나운서제물포고등학교 동문인천중학교 동문인천신흥초등학교 동문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대한민국 육군 중위민주자유당 당원신한국당 당원옛 새누리당의 정치인대한민국의 기업인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대한민국의 개신교도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친이친박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00: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윤성(李允盛, 1944년 10월 2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제15·16·17·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망언' 논란을 야기한 천안함 사태에 대한 이윤성의 발언은 무엇이며 어떤 비판을 받았나요? Assistant: 전국 동시 지방 선거를 앞두고 있던 2010년 5월 31일, 이윤성 의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수도권 선대위원장 기자간담회에서 인천시장 선거의 판세를 분석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는 “또 하나 반가운 것은 10명의 기초단체장 가운데 옹진군은 무투표로 당선됐고 나머지 9군데도 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다행히 천안함 사태가 바로 인천 앞바다(에서 일어났)다”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계층보다 느끼는 바가 달라 기초단체장도 1∼2곳의 경합 지역을 빼놓고는 다 우세 지역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발언해 구설수에 올랐다.[6] 천안함 사태가 다행이라는 그의 발언에 대해 이후 각 당으로부터 비난이 쏟아졌다. 민주당 김유정 선대위 대변인은 “자신의 지역구인 인천 앞바다에서 천안함 사태가 발생한 것이 다행이고 행운이었다는 말을 서슴없이 쏟아내는 이 의원은 인천시민을 대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며 "망언"을 철회하고 희생자와 유가족, 그리고 국민에 사죄할 것을 촉구했다.[6] 미래연합의 오형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이 의원의 망언을 규탄한다”며 “이번 발언은 국가적 불행인 천안함 사건이 한나라당에는 곧 행복이었음을 고백한 것이나 다름없다. 이번 망언에 대한 책임으로 의원직을 즉각 사퇴하고 국민들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7] 자유선진당의 박선영 대변인도“망발도 유분수”라면서 6월 1일 논평을 통해 “천안함 사태가 한나라당 선거 판세에 도움이 됐다는 이유로 ‘반가웠고’, 또 ‘다행히’라니. 구천을 떠도는 영령들과 국민 모두가 가슴을 치며 통곡할 일”이라고 비판했다.[8][9]
Human: 아래 파비오_칸나바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비오 칸나바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비오 칸나바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칸나바로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그의 동생에 대해서는 파올로 칸나바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파비오 칸나바로 2015년의 칸나바로개인 정보전체 이름 Fabio Cannavaro[2]출생일 1973년 9월 13일(1973-09-13) (45세)출생지 이탈리아 나폴리키 1.75m[1]포지션 은퇴 (과거 중앙 수비수)클럽 정보현 소속팀 광저우 에버그란데 (감독)청소년 클럽 기록1988-1992 나폴리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2-1995 1995-2002 2002-2004 2004-2006 2006-2009 2009-2010 2010-2011 합계: 나폴리 파르마 인테르나치오날레 유벤투스 레알 마드리드 유벤투스 알아흘리 058 00(1) 212 00(5) 050 00(2) 074 00(6) 094 00(0) 027 00(0) 016 00(2) 531 0(16)국가대표팀 기록1993-1996 1997-2010 이탈리아 U-21 이탈리아 021 00(0) 136 00(2)지도자 기록2013-2014 2014-2015 2015-2016 2016-2017 2017- 2019 알아흘리 (수석 코치) 광저우 에버그란데 알나스르톈진 취안젠 광저우 에버그란데 중국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파비오 칸나바로, 장교 OMRI (이탈리아어: Fabio Cannavaro ˈfaːbjo kannaˈvaːro[*], 1973년 9월 13일, 나폴리 ~) 는 이탈리아의 전 프로 축구 선수이며, 현재 축구 감독이다. 칸나바로는 역대 최고 수비수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주로 이탈리아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나폴리에서 신고식을 치른 후 파르마에서 7년을 보내며 코파 이탈리아를 두 차례 우승하고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9와 UEFA컵 1998-99 우승을 거두었다. 이후, 인테르나치오날레와 유벤투스를 거친 그는 2006년에 파비오 카펠로 감독과 유벤투스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해 2007년과 2008년에 라 리가 2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유벤투스에 2009-10 시즌 동안 1년 복귀한 후, 그는 두바이의 알아흘리에 입단하였고, 2011년에 잦은 부상을 당한 뒤 은퇴했다. 은퇴 후, 그는 알아흘리의 감독직 일원으로 합류했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전세계적 홍보대사와 기술 고문을 겸직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2014년 11월, 그는 광저우 에버그란데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6년 6월 9일, 그는 중국 2부 리그 톈진 취안젠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칸나바로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994년과 1996년에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연패를 기록한 이탈리아 대표팀의 주역이었다. 1997년, 성인 대표팀 경기에 처음으로 출전한 그는 UEFA 유로 2000에서 조국의 결승행에 일조해 대회의 팀 일원으로 선정되었고, 2002년에 파올로 말디니가 은퇴한 이후부터 주장을 맡았다. 칸나바로는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의 우승을 이끌었고, 수비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이탈리아 대표팀 지지자들로부터 "베를린 장벽" (이탈리아어: Il Muro di Berlino) 의 별명을 얻었는데, 이탈리아는 5경기를 무실점으로 마쳤고, 단 2골만 허용했으며, 두 골 모두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점한 골이 아니었다. 그는 대회 후 최우수 선수 부문에서 2위로 선정되어 실버 볼을 받았다. 2009년, 그는 말디니를 제치고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다 출전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2010년 6월 25일,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조기에 탈락하면서, 그는 136경기 출전 2골 득점을 기록하고 성인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3] 도합하여, 그는 이탈리아를 대표로 4번의 FIFA 월드컵, 2번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96년 하계 올림픽, 그리고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다. 그는 현재 잔루이지 부폰에 이어 최다 경기 출장 2위를 기록하고 있고, 79경기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주장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2006년 FIFA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 2006년 발롱도르로 석권해 10년 동안 이 상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자, 독일의 프란츠 베켄바워와 마티아스 자머에 이어 이 상을 탄 3번째 수비수로 기록되었다.[4][5] 2007년, 그는 라우레우스 세계 스포츠 올해의 스포츠인의 최종 후보 6인으로도 선정되었다.[6] 그의 동생 파올로도 프로 축구 선수였으며, 현재 광저우 에버그란데의 코치이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초기 경력 1.2 나폴리 1.3 파르마 1.4 인테르나치오날레 1.5 유벤투스 1.6 레알 마드리드 1.7 유벤투스 복귀 1.8 알아흘리 2 국가대표팀 경력 2.1 청소년 국가대표팀 2.2 성인 국가대표팀 초년 2.3 연속되는 시련 2.4 FIFA 월드컵 우승 2.5 부상으로 대회 불참 2.6 최다 출장기록 경신 2.7 국가대표팀 은퇴 3 감독 경력 3.1 알아흘리 3.2 광저우 에버그란데 3.3 알나스르 3.4 톈진 취안젠 3.5 광저우 에버그란데 복귀 4 플레이스타일 5 매체 6 사생활 7 논란 8 경력 통계 8.1 클럽 8.2 국가대표팀 8.3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8.4 감독 9 수상 9.1 클럽 9.2 국가대표팀 9.3 개인 9.4 훈장 10 각주 11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초기 경력[편집] 칸나바로는 나폴리 출신으로 겔소미나 콘스탄초와 파스콸레 칸나바로 사이에서 났다. 그의 모친은 종업원이었고, 부친은 은행원이었다. 그의 부친도 인근의 율리아노에서 축구를 했었다. 그의 위에는 레나타 누나가 있는데, 15세에 결혼했다. 그는 남동생도 있는데, 파올로로 그도 축구인이다.[7] 소싯적, 칸나바로는 바뇰리에서 활약하다가 그의 유년 시절 선망의 구단인 나폴리의 스카우터들에게 포착되었다.[8][9][10] 나폴리[편집] 나폴리 유소년 아카데미의 17세 칸나바로 칸나바로는 처음에 나폴리의 볼보이로 그의 우상인 디에고 마라도나와 치로 페라라의 활약상을 지켜보았다. 그는 나중에 구단의 유소년 아카데미에 합류했다. 젊은 파비오는 선수단에서 부동의 주전을 맡던 마라도나를 강한 태클로 저지해 나폴리 훈련에 임하던 도중 명성을 쌓았다. 이 거친 태클은 동료들과 나폴리 감독진을 노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당사자 마라도나는 유망주를 변호하며 그가 원하는 방식으로 경기할 수 있도록 장려했다.[8][9][10] 그는 선수로 성장하여 유년 시절 우상이었던 선수들과 1군에 어깨를 나란히 해 출전하게 되었다. 칸나바로는 1993년 3월 7일, 3-4로 패한 유벤투스와의 토리노 원정 경기에서 세리에 A 신고식을 치렀다.[11] 페라라와 중앙 수비를 맡은 그는 기대감에 부응하며 태클, 배급, 그리고 공을 뺏고 나서의 공격 전개 능력을 선보였다. 그는 1995년 1월 8일, 밀란과의 산 시로 원정 경기에서 첫 골을 기록했다.[12] 그러나, 그의 믿음직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마라도나가 떠난 나폴리는 재정난에 허덕였고, 칸나바로는 훗날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 그리고 세리에 A 올해의 수비수 상을 획득하게 되는 파르마로 매각되었다. 칸나바로는 1995년까지 나폴리에 남아 60번에 가까운 구단 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8][9][10] 파르마[편집] 1995년 여름, 칸나바로는 파르마에 매각되었고, 그는 한 시즌 만에 1군의 주전 지위를 확보하여 29번의 리그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구단에서 우승을 거둔 것은 물론, 여러 차례 개인 업적을 세워 선수단의 주장도 맡았다. 그는 파르마에서 잔루이지 부폰과 릴리앙 튀랑과 협력해 유럽 최고의 수비를 형성하는 것은 물론 축구 외 사적인 영역에서도 이들과 가까이 지냈다. 파르마의 전설적인 수비를 형성했던 선수들로는 루이지 사르토르, 로베르토 무시, 안토니오 베나리보, 루이지 아폴로니, 그리고 아르헨티나의 로베르토 센시니가 있었다. 칸나바로는 파르마 시절부터 성공을 거두기 시작했다. 그는 합류 첫 시즌에 소속 구단이 코파 이탈리아 2라운드에서 탈락했지만, 같은 시즌 세리에 A에서 6위의 성적을 거두어 UEFA컵 진출권을 얻었다. 파르마는 UEFA 컵위너스컵 UEFA 컵위너스컵 1995-96의 8강에도 올랐다. 파르마는 세리에 A 1996-97에서 유벤투스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여, 그 다음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얻었다. 파르마는 또다시 코파 이탈리아 2라운드에서 탈락했고, 같은 시즌 UEFA컵에서는 1라운드에 탈락했다. 1997-98 시즌, 파르마는 세리에 A 5위를 차지하였고, 코파 이탈리아에서 준결승전까지 올라갔고, 같은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는 전 시즌 우승을 차지한 도르트문트에 밀려 2위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였다.[8][9][10] 구단에서의 4년차에, 칸나바로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유럽대항전을 우승했는데, UEFA컵 정상에 올랐고, 코파 이탈리아도 우승했다. 파르마는 그 시즌 세리에 A를 4위로 마쳐 3위를 거둔 피오렌티나와는 1점차였다. 그 다음 시즌, 파비오의 동생 파올로가 구단에 합류했고, 칸나바로 형제는 이어지는 두 시즌 동안 협력했다. 파비오는 세리에 A 우승을 거둔 밀란을 이기고 자신의 첫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우승을 차지했고, 파르마는 세리에 A를 4위로 마쳐, 인테르나치오날레와 마지막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놓고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었다. 그러나, 파르마는 인테르나치오날레와의 세리에 A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1-3으로 패해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진출이 무산되었다. 파르마는 3차이자 최종 예선전에서 대회에 참가했지만 레인저스에 패해 탈락하였다. 파르마는 그 시즌의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에서 모두 16강에 떨어졌다.[8][9][10] 2000-01 시즌, 칸나바로는 파르마를 또다시 코파 이탈리아 결승행을 이끌었지만, 피오렌티나에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같은 시즌 UEFA컵에서는 3라운드에 탈락했다. 파르마는 리그에서 3시즌 연속 4위로 마감했고, 그에 따라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전 진출 자격을 얻었지만, 최종적으로 대회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칸나바로는 파르마에서의 마지막 시즌에 유벤투스를 이기고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거두었지만, 파르마는 같은 시즌에 UEFA컵 16강에서 탈락하였고, 세리에 A는 10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1997년을 기점으로, 그는 파르마에서의 활약으로 성인 국가대표팀에 차출되기 시작했고, 그는 꾸준히 세리에 A 최고의 수비수들 중 한 명으로 꼽혔다. 파르마 시절, 칸나바로는 모든 대회를 통틀어 250경기 이상 출전했고, 5골을 넣었다.[8][9][10] 인테르나치오날레[편집] 2002년 여름, 칸나바로는 €23M에 4년 계약을 맺고 인테르나치오날레로 이적했다.[13] 당시 파르마는 재정난에 빠졌고, 인테르는 극적으로 세리에 A 우승을 유벤투스에 내주었고, 4년 연속 무관을 차지한 구단은 거물 공격수 호나우두가 떠나면서 선수단 재조직에 집중하고 있었다. 프란체스코 코코와 그의 파르마 동료 에르난 크레스포와 함께, 칸나바로는 엑토르 쿠페르가 이끄는 인테르나치오날레의 주요 신입생들 중 한 명이었다.[8][9][10] 그러나,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그의 생활은 대게 조금씩 모자란 모습이었다. 그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2-03에서 준결승까지 올랐고 세리에 A는 유벤투스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두 번째 시즌은 그보다 알차지 못한 시즌이었는데, 그는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결장하였고, 주 임무 외의 다른 임무를 수행하곤 했다. 인테르나치오날레는 세리에 A 4위를 차지했고 코파 이탈리아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지만, 승부차기 끝에 유벤투스에 패했다. 인테르나치오날레는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에서는 조별 리그 3위를 차지했지만, UEFA컵에서는 8강까지 올라갔다. 구단에서 2년을 보낸 그는 유벤투스로 깜짝 교환 이적을 하게 되었고,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의 생활은 50경기 출장 2골로 끝났다. 이탈리아를 떠나면서, 칸나바로는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의 생활을 부정적으로 보았고, 그가 속했던 다른 이탈리아 구단인 파르마와 유벤투스보다 안 좋게 회고했다.[8][9][10] 유벤투스[편집]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의 2년 후, 그는 여름 이적 시장 말일에 유벤투스와 계약했다. 계약 조항에는 후보 골키퍼 파비안 카리니의 교환도 끼어 있었고, 그는 인테르나치오날레로 떠났는데, 두 이적건 모두 €10M짜리였다.[14] 토리노 이주로, 그는 파르마 시절 동료였던 릴리앙 튀랑과 잔루이지 부폰과 재회했고, 셋은 다시 세리에 A의 가장 공포스러운 수비를 재결성했다. 그들과 함께 잔루카 참브로타, 잔루카 페소토, 알레산드로 비린델리, 조나탕 제비나, 그리고 페데리코 발차레티가 조합되었다. 이 선수단은 2004-05 시즌과 2005-06 시즌에 2시즌 연속으로 작은 방패를 획득했지만,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2시즌 연속으로 8강에서 탈락했다. 전자의 시즌에 칸나바로는 구단의 상징적인 존재들인 파올로 몬테로와 치로 페라라와 조합되었다. 칸나바로는 토리노 거함에서 훌륭게 시즌을 보내며 이탈리아 축구 오스카상인 오스카르 델 칼초를 4차례 차지했는데 2005년과 2006년에 올해의 수비수와 이탈리아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8][9][10] 2006년 FIFA 월드컵 이후, 칼초폴리 판결에 따라 유벤투스는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유벤투스가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칸나바로는 이적을 결정했다. "이 사실을 믿기 힘들수도 있겠지만, 저는 유벤투스가 세리에 A에 남았으면 30점이 감점된다 하더라도 잔류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파비오 카펠로 유벤투스 감독과 함께 2006년 여름에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했다. 그가 2년 동안 유벤투스에서 활동하며 작은 방패 2개를 차지했고, 칸나바로는 모든 대회를 통틀어 100경기 넘게 출전했다. 그의 이적은 그를 자신들의 일부로 생각한 유벤투스 지지자들의 실망을 표출하게 만들었다.[8][9][10] 레알 마드리드[편집] 바이에른 뮌헨과의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 경기에서 동료의 골을 축하하는 레알 마드리드의 칸나바로 (가운데 앞쪽) 레알 마드리드는 칸나바로 영입을 위해 €7M을 지불하였고,[15] 마드리드와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전 선수인 지네딘 지단이 사용한 등번호 5번을 받았다. 칸나바로는 마드리드에서 3시즌을 보내며 2006-07 시즌과 2007-08 시즌에 라 리가 우승을 거두었고, 2006년 FIFA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16] 2006년 발롱도르의 주인공도 되었다.[5] 칸나바로는 2006년과 2007년의 FIFPro 세계 XI의 일원으로 명명되었고, 2006년 UEFA 올해의 팀 일원으로도 선정되었다. 그는 2007년 라우레우스 세계 스포츠 올해의 스포츠인의 최종 후보 6인에도 이름을 올렸다.[6] 마드리드에서의 마지막 시즌인 2008-09 시즌에 들어, 칸나바로의 기량은 빠르게 하락하였다. 노쇠화로, 그는 리오넬 메시와 페르난도 토레스 같은 발빠른 선수들을 상대로 고전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다실점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2009년 5월 19일, 칸나바로는 계약 종료와 함께 2009-10 시즌을 앞두고 유벤투스로 복귀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7] 베르나베우에서의 마지막 경기에, 그는 지지자들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18] 2013년 4월, 칸나바로는 마르카지에 의해 "레알 마드리드 역사상 최우수 11인"의 일원으로 꼽혔다.[19] 유벤투스 복귀[편집] 칸나바로는 레알 마드리드와의 계약이 2009년 여름에 만료되면서 귀환 결정을 내렸고, 3년 전에 떠났던 유벤투스에 복귀했다. 칸나바로는 새 시즌을 훌륭히 시작했는데, 그는 니콜라 레그로탈리에, 마르틴 카세레스, 즈데네크 그리게라, 파비오 그로소, 그리고 조르조 키엘리니와 훌륭한 수비 조합을 이루어 잔루이지 부폰 앞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가을부터 유벤투스 선수단의 기량이 급격히 하락했다. 2009년 말 부상을 기점으로, 칸나바로는 개인 기량의 회복에 어려움을 겪었고, 유벤투스는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조 3위를 차지해 탈락했다.[8][9][10] 2010년 3월, 그는 구단을 떠나 레알 마드리드로 떠난 것이 배신으로 간주되어 유벤투스 지지자들과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달렸다. 풀럼과의 UEFA 유로파리그 경기에서, 유벤투스는 안방에서 1차전을 3-1로 이겼고, 런던의 크레이븐 코티지에서 1-0으로 앞서나갔다. 전반 초, 칸나바로는 부주의하게 두 차례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다. 10명으로 줄어든 유벤투스는 붕괴하였고, 1-4로 패해 합계에서 밀려 탈락했다. 칸나바로의 퇴장과 그로 이어진 소속 구단의 탈락은 지지자들의 공분을 샀다. 유벤투스는 코파 이탈리아도 나중에 우승을 차지해 트레블을 완성한 인테르나치오날레에게 8강에서 패해 탈락했다.[8][9][10] 구단은 세리에 A를 7위로 마무리해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에 만족해야 했다. 구단은 10여년 만에 세리에 A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유벤투스는 칸나바로와 계약을 연장하지 않을 것을 다시 확인시켰다.[20] 그의 활약상은 더 이상 신뢰할 수 없게 되어 고향 구단 나폴리조차 칸나바로 본인의 구단 합류 의사를 두 번 이상 밝히고도 거절하기에 이르었다.[8][9][10] 알아흘리[편집] 2010년 6월 2일, 칸나바로는 2010년 FIFA 월드컵 이후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알아흘리로 자유 이적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칸나바로는 2년 계약을 맺었다.[21] 그는 두바이 연고 구단 소속으로 16경기에 출전해 2골을 넣었다. 2011년 7월, 칸나바로는 심각한 무릎 문제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주치의는 그가 더 이상 활약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22] 알아흘리에서 은퇴한 지 1년이 지난 후, 그는 인도 리그의 실리구리에 합류해 제이-제이 오코차, 에르난 크레스포, 그리고 로비 파울러와 함께 입단할 것으로 밝혀졌고, 실리구리는 그의 '최저금'인 $50,000를 웃도는 $830,000에 영입되었다.[23] 그러나 리그는 칸나바로가 은퇴를 번복하지 않으면서 성사되지 않았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청소년 국가대표팀[편집] 칸나바로는 1990년대 중반 체사레 말디니 감독 체제의 이탈리아 U-21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첫 국제 무대 성공을 거두었는데, 1994년과 1996년에 연달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거두었고, 나중에 성인 대표팀에서도 동행할 알레산드로 네스타와 함께 수비를 맡았다.[11] 1996년, 그는 애틀랜타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이후, 그는 조국을 대표로 1998년, 2002년, 2006년, 그리고 201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고, 2000년과 2004년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다.[24] 성인 국가대표팀 초년[편집] 1997년 1월 22일, 그는 북아일랜드와의 친선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신고식을 치렀다.[11] 같은 해, 그는 웸블링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잉글랜드 공격수 앨런 시어러를 효율적으로 막아내 찬사를 받았다.[11] 시어러는 당시 광적인 잉글랜드 관중들에 의해 세계 최고 공격수로 고려되었고, 그들은 시어러가 이탈리아의 애송이 수비수를 상대로 농락할 것이라 점쳤다. 이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탈리아의 최고 수비수들인 클라우디오 젠틸레와 프랑코 바레시와 협력하여 시어러를 경기 내내 침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경기에서 잔프랑코 촐라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이겼다.[8][11][24] 칸나바로가 경험한 첫 국제 대회는 1998년 FIFA 월드컵으로 경험 많은 주세페 베르고미,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그리고 파올로 말디니와 신예 알레산드로 네스타와 함께 참가했다. 선수단은 파올로 말디니의 부친인 체사레가 이끌었다. 칸나바로는 대회 내내 수 차례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지만,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한 프랑스에 패해 탈락하였는데, 같은 경기에서 칸나바로는 스테판 기바르쉬의 팔꿈치에 이마가 찢어졌다. 푸른 군단 (Azzurri) 은 경기를 0-0으로 비겼지만, 승부차기에서 개최국에게 패했다.[8] 연속되는 시련[편집] 칸나바로는 UEFA 유로 2000에서 디노 초프 감독의 지도 하에 알레산드로 네스타, 마르크 이울리아노, 혹은 파올로 말디니와 함께 3-5-2 대형에서 중앙 수비를 맡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이탈리아 수비는 결승전에 오르기 전까지 단 2골만 실점했다: 1골은 터키와의 경기에서, 다른 1골은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모두 조별 리그에 실점하였고, 나머지 3경기를 무실점으로 끝냈다. 푸른 군단 (Azzurri) 은 정규 시간에 네덜란드와 득점 없이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이겨 결승전에 진출했다. 이탈리아는 2년 전 FIFA 월드컵을 우승한 프랑스를 상대로 추가 시간까지 1-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실뱅 윌토르에게 막판에 동점골을 헌납했고, 다비드 트레제게에게 연장전 골든골을 실점해 프랑스에게 우승도 내주었다. 칸나바로는 대회 기간 동안 보인 활약으로 대회의 팀으로 선정되었다.[8] 조반니 트라파토니 감독 지도 하의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그는 알레산드로 네스타가 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부상으로 빠지며 홀로 중앙 수비를 맡았다. 선수단의 부상과 트라파토니 감독의 실수는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우승에 큰 차질을 빚었다. 칸나바로-네스타 조합에 크게 의존하는 중앙 수비는 선수단에 큰 문제를 야기했다. 네스타를 대신해 투입된 마르코 마테라치는 평균 이하의 활약을 보였다. 칸나바로는 조별 리그에서 2번의 경고를 받아 16강전에 결장하게 되었다. 결국 이탈리아는 16강전에서 공동 개최국이자 나중에 준결승전까지 올라간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또다시 골든골을 헌납해 패했다.[25][26] 이탈리아는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말디니의 완장을 물려받으면서 어깨가 무거워졌지만, 선수단을 이끄는 능력, 평정심, 영감을 주는 활약으로 즉시 선수단의 지지를 받았고, 이탈리아가 UEFA 유로 2004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오르게 도왔다.[9] 말디니의 국가대표팀 은퇴 이후, 그는 2002년 8월 21일, 트리에스테에서 벌어진 슬로베니아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완장을 찼고, 0-1로 패했다.[27][28] 그는 9월 7일, 이어지는 아제르바이잔과의 UEFA 유로 2004 예선전 원정 경기에서 신임 주장으로 명명되었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29][30] 10월 12일, 나폴리에서 벌어진 이탈리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와의 예선전 경기에서, 그는 지역민들의 기립 박수를 받았고,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31] 칸나바로는 튀니스에서 벌어진 튀니지와의 2004년 5월 30일자 경기에서 첫 국가대표팀 득점을 기록했는데, 이탈리아는 이 경기에서 4-0으로 이겼다.[32] 포르투갈에서 열린 UEFA 유로 2004는 실망스럽게 끝났다. 칸나바로는 0-0으로 비긴 덴마크전과 1-1로 비긴 스웨덴과의 두 경기에서 2번의 경고를 받아 조별 리그 최종전에 결장했다. 이탈리아는 불가리아를 2-1로 이겼지만, 골득실차로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33]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파비오 칸나바로 (왼쪽) 칸나바로는 마르첼로 리피 감독 하에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평정심을 유지하며 우승으로 이끌었다. 그는 개최국 독일과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 끝에 2-0으로 이기는데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연장전 막판 이탈리아가 1-0으로 앞서는 와중에 독일이 공격을 감행하자, 칸나바로는 페어 메르테자커를 너머 구역에 들어온 공을 걷어냈다. 이후, 그는 앞으로 전진해 루카스 포돌스키의 공을 뺏어 중원의 프란체스코 토티로 연결해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도움을 거쳐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가 넣은 이탈리아의 두 번째 골로 연결되었다.[34] 그러나, 그의 정점을 찍은 순간은 2006년 7월 9일, 100번째 경기에 출전한날 밤에 FIFA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린 것이었다. 칸나바로는 대회에 690분을 뛰어 단 한 번도 경고나 퇴장하지 않았다. 결승전에서 보인 수비에서의 활약으로, 그는 결승전이 열린 베를린을 따 "베를린 장벽"이라는 별칭이 붙었다.[8][34][35] 잔루이지 부폰 골키퍼와 함께 칸나바로는 이탈리아가 우승한 본선의 전 경기의 매 분을 소화했고, 211번 공을 넘겼고, 16번 공을 따냈다.[36] 비록 그와 함께 수비를 맡는 알레산드로 네스타가 부상으로 빠졌지만,[34] 이탈리아 수비는 5경기를 무실점으로 끝내고 대회 기간을 통틀어 2실점에 그쳤다: 미국전 자책골과 프랑스와의 결승전에서 지네딘 지단에게 페널티킥으로 실점한 것이 전부였다.[8] 칸나바로는 결승전까지 이탈리아 수비를 지휘했고, FIFA 기술위원회에 의해 6명의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동료와 함께 올스타 팀 일원으로 선정되었다: 잔루이지 부폰, 프란체스코 토티, 젠나로 가투소, 안드레아 피를로, 루카 토니, 그리고 잔루카 참브로타.[37] 그는 최우수 선수 선정 부문에서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지단은 2012표를 얻었고 칸나바로는 1977표의 근소한 차이를 내 칸나바로가 실버 볼을 가져갔다.[38] 칸나바로는 FIFA 월드컵과 소속 구단에서의 활약으로 2006년 발롱도르도 받았고,[5] 2006년 FIFA 올해의 선수로도 선정되었으며,[16] UEFA 올해의 팀과 FIFPro 세계 XI의 일원으로도 뽑혔다.[8] 부상으로 대회 불참[편집] 2008년 6월 2일, 칸나바로는 UEFA 유로 2008을 앞둔 첫 훈련에서 부상을 당했다. 그는 동료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태클에 쓰러진 후 들것에 실려 나갔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주치의인 파올로 체펠리는 "우리는 진단을 해볼 필요가 있겠지만, 작은 부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진단을 통해 그의 왼쪽 발목 인대가 찢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진단 후, 이탈리아 언론은 칸나바로와의 인터뷰를 기다렸지만, "저는 집에 갑니다"라는 말과 우울한 미소와 함께 끝냈다. 이 소식에 로베르토 도나도니는 그를 대신할 선수로 피오렌티나의 중앙 수비수 알레산드로 감베리니를 불렀다. 그를 대신해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가 주장 완장을 찼다. 칸나바로는 이후 선수단에 남아 동료들을 지지할 것임을 밝혔다. 이는 칸나바로의 3번째 유로 대회가 될 수 있었다.[39] 칸나바로는 UEFA 유로 2008 이후 국가대표팀 은퇴할 계획을 접었고, 부상은 그에게 오기를 불어넣어 이탈리아를 2010년 FIFA 월드컵까지 이끌게 결정하도록 만들었다.[40] 최다 출장기록 경신[편집] 브라질을 상대로 한 이탈리아의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조별 리그 최종전 경기에서, 칸나바로는 파올로 말디니와 초다 출장 기록으로 어깨를 나란히 했지만, 0-3으로 패해 조별 리그에서 실망스럽게 탈락하면서 빛이 바랬다.[41] 2009년 8월 12일, 스위스와의 친선전에서 칸나바로는 127번째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해 126번 출전한 말디니를 제치고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가 되었다.[8] 국가대표팀 은퇴[편집] 칸나바로는 또다시 리피 감독의 지도 하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의 주장을 맡았지만, 전처럼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했고, 그와 이탈리아 선수단은 언론의 질타를 받았다.[42] 전 대회 우승국은 1라운드에서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 비긴 후, 슬로바키아에 패해 탈락했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 통과에 실패한 후, 칸나바로는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8][9][42] 도합하여, 칸나바로는 1997년과 2010년 사이 136번의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경기에 출전해 2골을 기록했다.[24]그는 최다 출전 기록 주장으로, 완장을 차고 79경기에 출전했다.[8][43] 감독 경력[편집] 알아흘리[편집] 은퇴 후 2011년 8월 25일, 칸나바로는 두바이 알아흘리의 전세계적 홍보대사와 기술 고문으로 취임했다.[44] 2013년 7월, 코스민 올러로이우가 알아흘리의 신임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칸나바로는 1군 수석코치로 이직했다.[45] 그는 이직 첫 시즌에 알아흘리의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와 UAE 리그 컵 우승에 공헌했다. 2014년 6월, 칸나바로는 전 소속 구단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진으로 취임해 지네딘 지단을 대신해 카를로 안첼로티의 수석 코치를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이 직위는 페르난도 이에로가 가져갔다. 광저우 에버그란데[편집] 2014년 11월 5일, 칸나바로는 중국 슈퍼리그의 전 시즌을 포함해 4차례 우승을 거둔 광저우 에버그란데의 신임 감독으로 취임해 그의 전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마르첼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 그는 당일 구단의 감독으로 입단식을 치렀다.[46] 2015년 6월 5일, 광저우 에버그란데는 톈진 터다와의 슈퍼리그 경기 후 즉시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가 그의 후임을 맡을 것임을 발표했다.[47][48] 알나스르[편집] 2015년 10월 24일, 칸나바로는 호르헤 다 실바를 대신해 사우디아라비아의 알나스르 감독으로 취임했다.[49] 2016년 2월 11일, 칸나바로는 알나스르와의 계약을 해지했다.[50] 톈진 취안젠[편집] 2016년 6월 9일, 톈진 취안젠은 7경기 무승을 거둔 반데를레이 루솀부르구를 해임하고 칸나바로를 신임 감독으로 내정했다.[51] 톈진 취안젠은 당시 리그 8위에 올라 있었다. 2016년 10월 22일, 칸나바로는 톈진 취안젠을 중국 리그 1 2016 우승으로 이끌어 중국 슈퍼리그 2017 승격을 확정지었다.[52] 광저우 에버그란데 복귀[편집] 2017년 11월 9일, 칸나바로는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감독 후임으로 광저우 에버그란데 감독으로 취임했다. 계약기간은 5년이라고 밝혔다. 플레이스타일[편집] 칸나바로는 그의 세대 역대 최고 수비수들 중 한명으로 꼽히며, 이탈리아 주장으로 FIFA 월드컵을 우승했고, 2006년에는 발롱도르와 FIFA 올해의 선수를 모두 석권했다. 그는 비록 경기를 읽을 수 있는 능력으로 중앙 수비수로 두각을 나타냈지만,[53][54] 좌측 혹은 우측의 측면 수비수로도 배치된 적이 있는데, 그는 인테르나치오날레 시절 엑토르 쿠페르 감독에 의해 더욱 두드러졌다.[10] 이는 칸나바로의 전술적 다재다능함, 기술적 능력, 공을 다루는 능력, 체력, 낮은 무게 중심, 그리고 발놀림으로 가능케 했다.[54][55][56] 수비수로서, 칸나바로는 집중력, 힘, 예상 능력, 그리고 위치 선정에 두각을 나타냈다. 수비수 치고는 작은 신체 조건에도, 그의 높이와 공중 경합 능력은 크로스를 막아내거나, 프리킥 상황에서 득점을 가능케 한다.[54][56][57][58] 현역 시절을 통틀어, 그는 역동적이며, 꾸준하고, 끈질긴 수비수로 명성을 날렸고, 가속력, 발놀림, 그리고 태클 능력으로, 지역 방어 체계와 대인 방어 체계에서 모두 두각을 나타냈다.[54][56][59][60][61] 수비수로서의 능력 외에도, 칸나바로는 경기장 내외에서의 지휘력, 결단력, 그리고 영향력을 내며, 잔루이지 부폰이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선수였다. 그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주장의 기록을 지니고 있다.[56][58] 매체[편집] 칸나바로는 스포츠 용품 제작사 나이키의 후원을 받아 나이키 광고에 출연했다.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열린 2002년 FIFA 월드컵 기간에 전세계적으로 방영된 테리 질리엄 감독의 "비밀 대회" ("전갈 KO"로 명명) 광고에 티에리 앙리, 호나우두, 프란체스코 토티, 호나우지뉴, 루이스 피구, 그리고 나카타 히데토시와 함께 출연했고, 전 선수였던 에리크 캉토나가 대회 "심판"을 맡았다.[62][63] 칸나바로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이것은 축구 2003의 이탈리아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64] 칸나바로는 EA 스포츠의 전자오락 FIFA 시리즈에도 등장했다. 그는 FIFA 14의 궁극의 전설적인 선수들 중 한 명으로 명명되었다.[65] 그는 2014년 FIFA 월드컵 기간에 ITV의 평론가로 출연했다.[66] 사생활[편집] 1996년 6월 17일, 그는 다니엘라 아레노소 (1974년 7월 17일, 나폴리 출생) 를 배우자로 맞이했고,[7] 슬하에 크리스티안 (1999년 7월 17일, 나폴리 출생), 마르티나 (2001년 12월 22일, 나폴리 출생), 그리고 안드레아 (2004년 10월 20일, 나폴리 출생) 3명의 자식을 두고 있다.[67] 그의 동생 파올로도 수비수이며, 현재 사수올로 소속이다.[68] 두 형제는 2000년에서 2002년까지 파르마에서 협력했었고, 이후 파비오가 인테르나치오날레로 떠났다.[69] 은퇴 전, 파비오는 파올로와 나폴리에서 은퇴할 의사를 밝히곤 했다.[70] 나폴리의 전 동료이자 같이 수비를 맡았던 치로 페라라는 함께 칸나바로 페라라 재단 (Fondazione Cannavaro Ferrara) 을 조직해 암 연구 장비 조달과 나폴리 병원의 희귀암 수술을 지원했다. 이 재단은 위기에 처한 나폴리의 유소년을 지원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43] 논란[편집] 1999 UEFA컵 결승전 전날 밤, 칸나바로가 미확인 물질을 주입하는 영상이 유출되었다. 이 물질은 네오톤 (크레아틴 인산) 으로 밝혀졌고, 이는 심장 수술 중 발생하는 저산소증과 스트레스 발생 시 심장을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물질이었다. 이 물질은 금지 약물 목록에는 없다. 그러나, 이 물질은 체내 근육 에너지의 생산 기능을 지닌 아데노신 삼인산 (ATP) 와 연관 있다. 크레아틴 인산은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되며, 이 중 95%가 넘게 근육 세포에 저장된다. 신체 또한 고기의 섭취로 식이 크레아틴을 공급받는다.[71] 이 사태에 아무런 조취도 취해지지 않았다.[72] 2009년 10월 8일, 칸나바로는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유벤투스 측은 심각한 말벌 독침 알레르기 반응에 쓰이는 약물로, 기량 향상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시급한 조취 문제로, 칸나바로는 당시 이탈리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CONI) 의 허가를 제때 구하지 못했고, 긴급적으로 취해졌다. CONI의 정식 응답을 기다리던 도중, 그는 도핑 테스트에 응해 양성 반응을 나타냈다. CONI는 이후 그의 징계를 면했다.[73] 2015년 2월, 파비오 칸나바로와 그의 아내 다니엘라, 동생 파올로는 2009년에 사기 및 탈세 조사 과정에서 몰수된 파비오의 거처로 무단 진입한 죄로 각각 10개월, 4개월, 그리고 6개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셋 모두 최종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 집행이 유예되었다.[74][75] 경력 통계[편집] 클럽[편집] [76][77] 클럽 리그 컵 대륙 합계 시즌 클럽 단계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출장 골 이탈리아 리그 코파 이탈리아 유럽 합계 1992–93 나폴리 세리에 A 2 0 1 0 0 0 3 0 1993–94 27 0 2 0 – 29 0 1994–95 29 1 4 0 3 0 36 1 1995–96 파르마 29 1 0 0 6 0 35 1 1996–97 27 0 1 0 2 0 30 0 1997–98 31 0 6 0 7 0 44 0 1998–99 30 1 7 0 8 0 45 1 1999–2000 31 2 3 0 9 1 43 3 2000–01 341 0 7 0 6 0 47 0 2001–02 31 1 5 0 9 0 45 1 2002–03 인테르나치오날레 28 0 0 0 12 1 40 1 2003–04 22 2 3 0 9 0 34 2 2004–05 유벤투스 38 2 0 0 9 1 47 3 2005–06 36 4 2 0 9 0 47 4 스페인 리그 코파 델 레이 유럽 합계 2006–07 레알 마드리드 라 리가 32 0 1 0 6 0 39 0 2007–08 33 0 1 0 6 0 40 0 2008–09 29 0 1 0 7 0 37 0 이탈리아 리그 코파 이탈리아 유럽 합계 2009–10 유벤투스 세리에 A 27 0 1 0 5 0 33 0 아랍에미리트 리그 UAE 프레지던트컵 아시아 합계 2010–11 알아흘리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16 2 0 0 0 0 16 2 합계 532 17 45 0 113 3 690 19 3차례의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5, 1999, 2005) 경기 포함 1골을 기록한 2차례의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07, 2008) 경기 포함 12000년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경기 포함 국가대표팀[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78] 연도 출장 골 1997 12 0 1998 11 0 1999 8 0 2000 14 0 2001 9 0 2002 12 0 2003 10 0 2004 6 1 2005 8 0 2006 15 0 2007 8 0 2008 8 1 2009 10 0 2010 5 0 합계 136 2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편집] 아래의 점수에서 왼쪽의 점수가 이탈리아의 점수이다. # 날짜 경기장 상대 점수 최종결과 대회 1 2004년 5월 30일 라데스, 튀니지 튀니지 2–0 4–0 친선경기 2 2008년 2월 6일 취리히, 스위스 포르투갈 2–0 3–1 친선경기 감독[편집] 2017년 11월 9일 기준 클럽 국 취임 해임 기록 전 승 무 패 율 (%) 광저우 에버그란데 2014년 11월 5일 2015년 6월 4일 23 11 7 5 47.83 알나스르 2015년 10월 26일 2016년 2월 11일 16 6 7 3 37.50 톈진 취안젠 2016년 6월 9일 2017년 11월 6일 55 33 10 12 60.00 광저우 에버그란데 2017년 11월 9일 0 0 0 0 — 합계 94 50 24 20 53.19 수상[편집] 클럽[편집] 파르마[79] UEFA컵: 1998–99 코파 이탈리아: 1998–99, 2001–02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9 유벤투스[80] 세리에 A: 2004–05, 2005–06 (두 번 모두 칼초폴리로 박탈) 레알 마드리드[79] 라 리가: 2006–07, 2007–08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08 국가대표팀[편집] 이탈리아 U-21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94, 1996 이탈리아[79]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0 FIFA 월드컵: 2006 개인[편집] UEFA 올해의 팀 : 2006[79] 발롱도르 : 2006[81] FIFA 올해의 선수 : 2006[16] FIFPro 월드 베스트 XI : 2006[82], 2007[83]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올스타 팀 : 2000[84] FIFA 월드컵 : 실버볼[38], 올스타 팀[37] (이상 2006)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최우수 선수: 1996[79] 월드 사커 올해의 선수: 2006[85] 세리에 A 올해의 선수: 2006[86] 세리에 A 올해의 이탈리아인 선수: 2006[87] 세리에 A 올해의 수비수: 2005,[88] 2006[87] ESM 올해의 팀: 2004-05[89] 그란 갈라 델 칼초 AIC 종신 공로상: 2011[90]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 2014[91] 훈장[편집] 이탈리아 국가 올림픽 위원회: 체육 훈장 금상: (2006)[92] 4등급 / 장교: 장교 계급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2006)[93] 5등급 / 기사: 기사 계급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2000)[94] 각주[편집] ↑ https://www.eurosport.com/football/fabio-cannavaro_prs317/person.shtml ↑ “FIFA World Cup South Africa 2010 – List of Players” (PDF).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FIFA). 2013년 6월 5일에 확인함.  ↑ “Cannavaro quits Italy duty”. 《Sky Sports》. 2010년 6월 25일. 2010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Cannavaro discusses highs and lows" Archived 2013년 12월 16일 - 웨이백 머신. Football Federation Australia. 2013년 11월 18일 확인. ↑ 가 나 다 “Cannavaro only third defender to win coveted Ballon d'Or”. The Guardian. 2006년 11월 27일. 2014년 2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Seis candidatos españoles a los premios Laureus 2007". El Mundo. 2015년 1월 17일 확인. ↑ 가 나 "Family" Archived 2010년 8월 4일 - 웨이백 머신. CannAddicted.com.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Storie di Calcio: Fabio Cannavaro”. 《storiedicalcio.altervista.org》 (이탈리아어). 2015년 4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Il Pallone Racconta: Fabio CANNAVARO”. 《ilpalloneracconta.blogspot.ca》 (이탈리아어). 2014년 9월 14일. 2015년 4월 1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Stefano Bedeschi (2013년 9월 15일). “Gli eroi in bianconero: Fabio CANNAVARO”. 《tuttojuve.com》 (이탈리아어). Tutto Juve. 2015년 12월 1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Alberto Polverosi. “Cannavaro, Fabio” (이탈리아어). Treccani: Enciclopedia dello Sport.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Milan-Napoli stagione 94/95, P.Cannavaro: "Che gol che fece Fabio! Vi racconto la sfida che ho impresso nella mente"” (이탈리아어). Calcio Napoli 24. 2015년 5월 18일에 확인함.  ↑ “Inter complete Cannavaro swoop”.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 "Operations concerning players' registration rights" (PDF). Juventus Football Club. 2004년 8월 31일. ↑ “Agreements with the Spanish club Real Madrid CF” (PDF). Juventus Football Club. 2006년 7월 27일. 2008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Cannavaro stands alone amid attacking dominance”. FIFA.com. 2015년 10월 23일.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Juve confirm Cannavaro deal”. 《Sky Sports》. 2009년 5월 19일.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Il Bernabeu in piedi per salutare Cannavaro”. 2014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3일에 확인함.  ↑ “The best foreign eleven in Real Madrid's history”. Marca.com. 2013년 4월 12일.  ↑ “Italy & Juventus Defender Fabio Cannavaro: I Want Napoli, But They Don't Want Me”. 《Goal.com》. 2010년 5월 24일.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Italy captain Cannavaro makes shock move to Dubai side Al Ahli”. 《CNN International》. 2010년 6월 2일. 2010년 7월 9일에 확인함.  ↑ “Cannavaro retires from football on medical advice”. 《USA Today》. 2011년 7월 9일.  ↑ “Siliguri bags Italy's Fabio Cannavaro for PLS”. 《Indiablooms.com》. 2012년 1월 31일. 2014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Nazionale in cifre: Cannavaro, Fabio”. 《figc.it/》 (이탈리아어). FIGC. 2015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4월 17일에 확인함.  ↑ “Cannavaro profile”. 《Wldcup.com》. 2011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5일에 확인함.  ↑ “Italia, Corea e Byron Moreno: COMPLOTTO? (이탈리아, 대한민국, 그리고 비론 모레노: 음모?)” (이탈리아어). Storie di Calcio.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Graeme Bailey. “Montella out of Italian game - Cannavaro captaincy”. Sky Sports.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Guerriglia e botte in campo L'Italia è ancora piccola (경기장에서의 게릴라와 주먹다짐에 아직 약한 이탈리아)”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2002년 8월 21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Fabio Monti; Giancarlo Padovan (2002년 9월 8일). “L' Italia vince senza riuscire a divertire (흥미를 주지 못하고도 이긴 이탈리아)” (이탈리아어).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Azerbaijan vs. Italy (0-2)”. UEFA. 2002년 9월 7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Del Piero denies Yugoslavia”. UEFA. 2002년 10월 13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I debuttanti del gol fanno bella l'Italia”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2004년 5월 30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Euro 2004 Group C”. 《BBC Sport》. 2004년 5월 25일.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Luca Cetta; Sam Lewis. “Mondiali Memories - Germany 06”. Football Italia. 2016년 7월 27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BBC SPORT | Football | World Cup 2006 | Zidane off as Italy win World Cup”. BBC Sport. 2012년 6월 28일에 확인함.  ↑ Antonio Sansonetti (2014년 6월 6일). “Home Sport Italia 2006: campioni del mondo. Grosso jolly, Cannavaro e Buffon muro: voto simpatia 7,5” (이탈리아어). BlitzQuotidiano.it. 2016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e, Italy dominate World Cup all-star squad”. CBC. 2006년 7월 7일. 2015년 5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José Luis Pierrend (2015년 2월 12일). “FIFA Awards: FIFA World Cup Golden Ball Awards”. RSSSF. 2015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Gaetano De Stefano (2008년 6월 2일). “Cannavaro, caviglia k.o. Per lui niente Europeo (칸나바로, 발목)”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Cannavaro: Dopo il Real, voglio giocare almeno un anno in azzurro”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2008년 9월 14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Il Brasile vince 3-0: Italia travolta ed eliminata” (이탈리아어). Tuttosport. 2009년 6월 21일. 2014년 12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Maurizio Crosetti (2010년 6월 24일). “Vergogna Italia E' fuori dal Mondiale (FIFA 월드컵에서 탈락한 수치스러운 이탈리아)”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Founders: Fabio Cannavaro”. Fondazione Cannavaro-Ferrara.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starting as ambassador for Dubai-based club Al Ahli”. 《Take Dubai.com》. 2011년 8월 25일. 2012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Cosmin Olaroiu confirmed as Al Ahli coach on three-year deal”. 《alahliclub.ae (official website)》. 2013년 7월 6일.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Agence France-Presse. “Fabio Cannavaro officially leaves Al Ahli Dubai, takes Guangzhou Evergrande helm - The National”.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 “广州恒大淘宝足球俱乐部-关于卡纳瓦罗先生不再担任广州恒大淘宝足球队执行主教练的公告”.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 “广州恒大淘宝足球俱乐部-关于聘任斯科拉里先生担任广州恒大淘宝足球队主教练的公告”.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 “Al-Nassr hire Cannavaro | Football Italia”. football-italia.net. 2016년 2월 7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saluta l'Arabia: rescissione consensuale con l'Al Nassr” (이탈리아어). Goal.com. 2016년 2월 11일. 2016년 2월 11일에 확인함.  ↑ “天津权健官宣卡纳瓦罗挂帅 有信心带队升中超” (중국어). QQ.com. 2016년 6월 9일.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Tianjin and Guizhou win promotion to the Chinese Super League”. South China Morning Post. 2016년 10월 22일. 2016년 10월 22일에 확인함.  ↑ “Lessons in Calcio - Fabio Cannavaro”. FootballItaliano.co.uk. 2015년 1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Riccardo Pratesi (2007년 2월 7일). “Chi è il più forte del mondo?”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7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9일에 확인함.  ↑ “Cannavaro e la nuova carriera da terzino destro "Se Cuper me lo chiede, gioco anche di punta"” (이탈리아어). Il Corriere della Sera. 2002년 9월 16일.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John Sinnott (2006년 11월 27일). “Cannavaro 'deserves' Ballon d'Or”. BBC Sport. 2016년 12월 9일에 확인함.  ↑ “Real Madrid Player Profile”. Real Madrid. 2012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Cannavaro mister Pallone d'Oro”.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Mario Sconcerti (2016년 11월 23일). “Il volo di Bonucci e la classifica degli 8 migliori difensori italiani di sempre” (이탈리아어). Il Corriere della Sera.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BBC Sport: Euro 2000 Profile - Fabio Cannavaro”. BBC Sport. 2014년 7월 19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BBC Sport. 2002년 4월 10일. 2016년 6월 4일에 확인함.  ↑ “A lighter shoe, cooler kits, a faster ball, a Secret Tournament – every touch counts”. 《NikeBiz》 (Nike). 2002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1일에 확인함.  ↑ Cozens, Claire (2002년 4월 3일). “Cantona hosts World Cup with a difference”. 《The Guardian》 (Guardian News and Media). 2012년 7월 21일에 확인함.  ↑ “Recensione di This is football 2003”. 《spaziogames.it/》.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8일에 확인함.  ↑ “Football Legends Coming to FIFA 14 Ultimate Team”. 《easports.com》. 2013년 8월 30일. 2015년 3월 17일에 확인함.  ↑ Sachin Nakrani (2014년 6월 17일). “World Cup 2014: ITV takes on BBC in battle of the pundits in Brazil”. The Guardian.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WAGS – Daniela Cannavaro, wife of Fabio Cannavaro" Archived 2010년 2월 12일 - 웨이백 머신. Total Football Madness. 2009년 7월 29일. ↑ “Paolo Cannavaro al Sassuolo, il fratello Fabio lancia tweet velenoso per il club (파올로 칸나바로, 사수올로행, 구단을 헐뜯는 트위터 글을 남긴 그의 형 파비오)” (이탈리아어). Il Corriere della Sera. 2014년 2월 1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Barbara Carere (2008년 5월 30일). “...Paolo Cannavaro” (이탈리아어). Tuttomercato.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Cannavaro: Non mi ritiro ancora e penso al Napoli (칸나바로: "저는 아직 은퇴하지 않을 것이며 나폴리[에서 뛸] 생각만 합니다")” (이탈리아어). Sky Sport. 2008년 9월 13일.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Phosphocreatine”. Faqs.org.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Cannavaro injection video troubles Italian sports executive”. 《Yahoo! Sports》. 2005년 4월 29일.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Cannavaro in failed doping test”. 《BBC Sport》. 2009년 10월 8일.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Ben Gladwell (2015년 2월 25일). “Fabio Cannavaro appeals 10-month jail term over villa - report”. ESPN FC.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Former Italy captain Fabio Cannavaro handed 10-month jail sentence”. The Guardian. 2015년 2월 25일. 2015년 9월 24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Football Database.eu》. 2012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league stats”. Lega Serie A. 201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7일에 확인함.  ↑ "Fabio Cannavaro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RSSSF. 2012년 7월 17일 확인 ↑ 가 나 다 라 마 “Fabio Cannavaro”. 《uefa.com》. 2011년 1월 1일. 2015년 4월 15일에 확인함.  ↑ Mark Meadows (2009년 5월 19일). “Juve bring back Cannavaro, still keen on Diego”. Reuters.com. 2016년 3월 9일에 확인함.  ↑ Rob Moore; Karel Stokkermans (2011년 1월 21일). “European Footballer of the Year ("Ballon d'Or")”. RSSSF.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FIFPro World XI 2005/2006”. FIFPro. 2013년 12월 20일.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FIFPro World XI 2006/2007”. FIFPro. 2013년 12월 20일.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 “UEFA Euro 2000 team of the tournament”. 《uefa.com》. UEFA. 2011년 1월 1일. 2015년 3월 31일에 확인함.  ↑ Jamie Rainbow (2012년 12월 14일). “World Soccer Awards – previous winners”. World Soccer. 2016년 6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Italy - Footballer of the Year”. RSSSF. 2015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Oscar Aic, Cannavaro cannibale”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07년 1월 29일.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Gli Oscar del Calcio” (이탈리아어). Storie di Calcio.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Karel Stokkermans (2007년 3월 14일). “ESM XI”. RSSSF. 2016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Iaria Marco (2012년 1월 21일). “Totò, Ibra e Cavani Che tris nel Top 11 dell' Aic”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6년 4월 25일에 확인함.  ↑ “Hall of fame, 10 new entry: con Vialli e Mancini anche Facchetti e Ronaldo (명예의 전당, 신규 10인 등록: 비알리와 만치니 외 파케티와 호나우두)”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5년 10월 27일. 2015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Coni: Consegna dei Collari d’Oro e dei Diplomi d’Onore. Premia il Presidente del Consiglio Romano Prodi. Diretta Tv su Rai 2”. Coni.it. 2006년 10월 16일. 2016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Cannavaro Sig. Fabio - Ufficial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 《quirinale.it/》 (이탈리아어). 2006년 12월 12일. 2015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 “Cannavaro Sig. Fabio - Cavalier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 《quirinale.it/》 (이탈리아어). 2000년 7월 12일.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파비오 칸나바로 공식 웹사이트 레알 마드리드 공식 프로파일 파비오 칸나바로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파비오 칸나바로 UEFA 주관 대회 기록 - 유럽축구연맹 (영어) Football Lineups 프로파일 전임파올로 말디니 이탈리아 주장2002년– 2010년 후임잔루이지 부폰 vdeh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현재 명단 2 랴오리성 3 메이팡 4 수신 5 장린펑 6 펑샤오팅 7 알랑 8 구델 9 파울리뉴 10 정즈 (주장) 11 굴라르 12 왕상위안 13 팡징치 14 룽하오 15 장원자오 16 황보원 17 류젠 18 양신 19 쩡청 20 위한차오 21 장청린 24 탈리스카 25 쩌우정 26 왕징빈 27 정룽 28 김영권 29 가오린 30 후루이후이 32 류뎬줘 33 장아오카이 34 류하오 35 리쉐펑 37 천쩌펑 38 원자바오 39 자오톈츠 44 첸취안젠 58 왕진쩌 감독: 칸나바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96년 하계 올림픽 1 팔류카 2 파누치 3 네스타 4 칸나바로 5 잘란테 6 프레시 7 아메트라노 8 크리파 9 브랑카 10 브람빌라 11 델베키오 12 부폰 13 피스토네 14 톰마시 15 페치아 16 모르페오 17 루카렐리 18 베르나르디니 19 사르토르 감독: 말디니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98년 FIFA 월드컵 1 톨도 2 베르고미 3 P. 말디니 (주장) 4 칸나바로 5 코스타쿠르타 6 네스타 7 페소토 8 토리첼리 9 알베르티니 10 델 피에로 11 D. 바조 12 팔류카 13 코이스 14 디 비아조 15 디 리비오 16 디 마테오 17 모리에로 18 R. 바조 19 인차기 20 키에사 21 비에리 22 부폰 감독: C. 말디니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0 준우승 1 아비아티 2 페라라 3 말디니 (주장) 4 알베르티니 5 칸나바로 6 네그로 7 디 리비오 8 콘테 9 인차기 10 델 피에로 11 페소토 12 톨도 13 네스타 14 디 비아조 15 율리아노 16 암브로시니 17 참브로타 18 피오레 19 몬텔라 20 토티 21 델베키오 22 안토니올리 감독: 초프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02년 FIFA 월드컵 1 부폰 2 파누치 3 말디니 (주장) 4 코코 5 칸나바로 6 차네티 7 델 피에로 8 가투소 9 인차기 10 토티 11 도니 12 아비아티 13 네스타 14 디 비아조 15 율리아노 16 디 리비오 17 톰마시 18 델베키오 19 참브로타 20 몬텔라 21 비에리 22 톨도 23 마테라치 감독: 트라파토니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4 1 부폰 2 파누치 3 오도 4 차네티 5 칸나바로 (주장) 6 페라리 7 델 피에로 8 가투소 9 비에리 10 토티 11 코라디 12 톨도 13 네스타 14 피오레 15 파발리 16 카모라네시 17 디 바이오 18 카사노 19 참브로타 20 페로타 21 피를로 22 페루치 23 마테라치 감독: 트라파토니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4회) 1 부폰 2 차카르도 3 그로소 4 데 로시 5 칸나바로 (주장) 6 바르찰리 7 델 피에로 8 가투소 9 토니 10 토티 11 질라르디노 12 페루치 13 네스타 14 아멜리아 15 이아퀸타 16 카모라네시 17 바로네 18 인차기 19 참브로타 20 페로타 21 피를로 22 오도 23 마테라치 감독: 리피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 부폰 2 산톤 3 그로소 4 키엘리니 5 칸나바로 (주장) 6 레그로탈리에 7 페페 8 가투소 9 토니 10 데 로시 11 질라르디노 12 데 산크티스 13 감베리니 14 아멜리아 15 이아퀸타 16 카모라네시 17 로시 18 팔롬보 19 참브로타 20 몬톨리보 21 피를로 22 도세나 23 콸리아렐라 감독: 리피 vdeh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부폰 2 마조 3 크리시토 4 키엘리니 5 칸나바로 (주장) 6 데 로시 7 페페 8 가투소 9 이아퀸타 10 디 나탈레 11 질라르디노 12 마르케티 13 보케티 14 데 산크티스 15 마르키시오 16 카모라네시 17 팔롬보 18 콸리아렐라 19 참브로타 20 파치니 21 피를로 22 몬톨리보 23 보누치 감독: 리피 수상 및 업적 이 전 호나우두 제7대 FIFA 월드컵 실버 볼 2006년 다 음   베슬러이 스네이더르  vdeh2006년 FIFA 월드컵 올스타 팀골키퍼 잔루이지 부폰 옌스 레만 히카르두 수비수 로베르토 아얄라 존 테리 릴리앙 튀람 필리프 람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히카르두 카르발류 미드필더 제 호베르투 파트리크 비에라 지네딘 지단 미하엘 발라크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루이스 피구 마니시 공격수 에르난 크레스포 티에리 앙리 미로슬라프 클로제 루카 토니 프란체스코 토티 감독 마르첼로 리피 vdehFIFA 월드컵 - 우승 주장 1930: 나사시 1934: 콤비 1938: 메아차 1950: 바렐라 1954: 발터 1958: 벨리니 1962: 마우루 1966: 무어 1970: C. 아우베르투 1974: 베켄바워 1978: 파사레야 1982: 초프 1986: 마라도나 1990: 마테우스 1994: 둥가 1998: 데샹 2002: 카푸 2006: 칸나바로 2010: 카시야스 2014: 람 2018: 요리스 vdeh발롱도르발롱도르 (1956–2009)1950년대 1956: 매슈스 1957: 디 스테파노 1958: 코파 1959: 디 스테파노 1960년대 1960: 수아레스 1961: 시보리 1962: 마소푸스트 1963: 야신 1964: 로 1965: 에우제비우 1966: 찰턴 1967: 얼베르트 1968: 베스트 1969: 리베라 1970년대 1970: 뮐러 1971: 크라위프 1972: 베켄바워 1973: 크라위프 1974: 크라위프 1975: 블로힌 1976: 베켄바워 1977: 시몬센 1978: 키건 1979: 키건 1980년대 1980: 루메니게 1981: 루메니게 1982: 로시 1983: 플라티니 1984: 플라티니 1985: 플라티니 1986: 벨라노프 1987: 휠릿 1988: 판 바스턴 1989: 판 바스턴 1990년대 1990: 마테우스 1991: 파팽 1992: 판 바스턴 1993: 바조 1994: 스토이치코프 1995: 웨아 1996: 자머 1997: 호나우두 1998: 지단 1999: 히바우두 2000년대 2000: 피구 2001: 오언 2002: 호나우두 2003: 네드베트 2004: 솁첸코 2005: 호나우지뉴 2006: 칸나바로 2007: 카카 2008: 호날두 2009: 메시 FIFA 발롱도르 (2010–2015)2010년대 2010: 메시 2011: 메시 2012: 메시 2013: C. 호날두 2014: C. 호날두 2015: 메시 발롱도르 (2016–현재)2010년대 2016: 호날두 2017: 호날두 2018: 모드리치 vdehFIFA 올해의 선수FIFA 올해의 선수1990년대 1991: 마테우스 1992: 판 바스턴 1993: 바조 1994: 호마리우 1995: 웨아 1996: 호나우두 1997: 호나우두 1998: 지단 1999: 히바우두 2000년대 2000: 지단 2001: 피구 2002: 호나우두 2003: 지단 2004: 호나우지뉴 2005: 호나우지뉴 2006: 칸나바로 2007: 카카 2008: C. 호날두 2009: 메시 FIFA 발롱도르2010년대 2010: 메시 2011: 메시 2012: 메시 2013: C. 호날두 2014: C. 호날두 2015: 메시 더 베스트 FIFA 풋볼 어워드 남자 베스트 선수2010년대 2016: C. 호날두 2017: C. 호날두 2018: 모드리치 vdeh이탈리아 올해의 축구 선수 1997: 만치니 1998: 델 피에로 1999: 비에리 2000: 토티 2001: 토티 2002: 비에리 2003: 토티 2004: 토티 2005: 질라르디노 2006: 칸나바로 2007: 토티 2008: 델 피에로 2009: 데 로시 2010: 디 나탈레 2012: 피를로 FIFA/FIFPro 월드 베스트 XIvdehFIFPro 월드 베스트 XI 2006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잔루이지 부폰 DF 릴리앙 튀람 존 테리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MF 지네딘 지단 카카 안드레아 피를로 FW 호나우지뉴 사뮈엘 에토 티에리 앙리 vdehFIFPro 월드 베스트 XI 2007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잔루이지 부폰 DF 알레산드로 네스타 파비오 칸나바로 존 테리 카를레스 푸욜 MF 카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스티븐 제라드 FW 호나우지뉴 디디에 드로그바 리오넬 메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3073636 LCCN: no2009188157 ISNI: 0000 0001 2146 0573 GND: 13928673X SUDOC: 158937333 BNF: cb15773566j (데이터) BNE: XX468107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비오_칸나바로&oldid=24386709" 분류: 197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나폴리 출신이탈리아의 축구 선수이탈리아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스페인의 외국인 축구 선수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선수스페인에 거주한 이탈리아인축구 센터백세리에 A의 축구 선수라리가의 축구 선수SSC 나폴리의 축구 선수파르마 칼초 1913의 축구 선수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축구 선수유벤투스 FC의 축구 선수레알 마드리드 CF의 축구 선수알아흘리 (두바이)의 축구 선수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이탈리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199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1998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00 참가 선수2002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UEFA 유로 2004 참가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FIFA 월드컵 우승팀 선수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발롱도르 수상자FIFA 올해의 선수 수상자FIFA 센추리 클럽이탈리아의 축구 감독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감독이탈리아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감독중국의 외국인 축구 감독광저우 헝다 타오바오의 축구 감독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의 축구 선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감독알나스르 (리야드)의 축구 감독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한 이탈리아인톈진 취안젠의 축구 감독중국에 거주한 이탈리아인숨은 분류: 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중국어 인용 (zh)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Napulitano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08: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비오 칸나바로, OMRI 장교장 (이탈리아어: Fabio Cannavaro ˈfaːbjo kannaˈvaːro[*], 1973년 9월 13일, 캄파니아 주 나폴리 ~)는 이탈리아의 전 프로 축구 선수이며, 현재 축구 감독이다. 칸나바로는 역대 최고 수비수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주로 이탈리아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나폴리에서 신고식을 치른 후 파르마에서 7년을 보내며 코파 이탈리아를 두 차례 우승하고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999와 UEFA컵 1998-99 우승을 거두었다. 이후, 인테르나치오날레와 유벤투스를 거친 그는 2006년에 파비오 카펠로 감독과 유벤투스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해 2007년과 2008년에 라 리가 2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유벤투스에 2009-10 시즌 동안 1년 복귀한 후, 그는 두바이의 알아흘리에 입단하였고, 2011년에 잦은 부상을 당한 뒤 은퇴했다. 은퇴 후, 그는 알아흘리의 감독직 일원으로 합류했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전세계적 홍보대사와 기술 고문을 겸직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2014년 11월, 그는 광저우 에버그란데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6년 6월 9일, 그는 중국 2부 리그 톈진 취안젠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칸나바로는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1994년과 1996년에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연패를 기록한 이탈리아 대표팀의 주역이었다. 1997년, 성인 대표팀 경기에 처음으로 출전한 그는 UEFA 유로 2000에서 조국의 결승행에 일조해 대회의 팀 일원으로 선정되었고, 2002년에 파올로 말디니가 은퇴한 이후부터 주장을 맡았다. 칸나바로는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의 우승을 이끌었고, 수비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이탈리아 대표팀 지지자들로부터 "베를린 장벽"(이탈리아어: Il Muro di Berlino)의 별명을 얻었는데, 이탈리아는 5경기를 무실점으로 마쳤고, 단 2골만 허용했으며, 두 골 모두 정상적인 방법으로 실점한 골이 아니었다. 그는 대회 후 최우수 선수 부문에서 2위로 선정되어 실버 볼을 받았다. 2009년, 그는 말디니를 제치고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다 출전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2010년 6월 25일,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조기에 탈락하면서, 그는 136경기 출전 2골 득점을 기록하고 성인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도합하여, 그는 이탈리아를 대표로 4번의 FIFA 월드컵, 2번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96년 하계 올림픽, 그리고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했다. 그는 현재 잔루이지 부폰에 이어 최다 경기 출장 2위를 기록하고 있고, 79경기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주장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2006년 FIFA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고, 2006년 발롱도르로 석권해 10년 동안 이 상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자, 독일의 프란츠 베켄바워와 마티아스 자머에 이어 이 상을 탄 3번째 수비수로 기록되었다. 2007년, 그는 라우레우스 세계 스포츠 올해의 스포츠인의 최종 후보 6인으로도 선정되었다. 그의 동생 파올로도 프로 축구 선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칸나바로가 도핑 테스트를 해서 양성 반응을 나타낸 년도는 몇년도일까? Assistant: 2009년 Human: 아래 비디_아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비디 아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비디 아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비디 아이 기본 정보 국가 영국 잉글랜드 맨체스터 장르 록, 포스트 브릿팝, 얼터너티브 록, 싸이키델릭 록 활동 시기 2009년~2014년 레이블 비디아이 (영국)소니뮤직 재팬 (일본)데인저버드(미국) 관련 활동 오아시스, 더 레인, 라이드,헤비 스테레오, 허리케인 넘버 원 웹사이트 BeadyEyeMusic.co.uk 구성원 리암 갤러거겜 아처앤디 벨크리스 샤록 비디 아이(Beady Eye)는 2009년 노엘 갤러거가 오아시스를 탈퇴하자 나머지 멤버들이 결성한 영국의 록 밴드이다. 목차 1 결성 2 비디아이 레코드 3 디스코그래피 3.1 정규 앨범 3.2 싱글 4 수상 내역 4.1 NME 어워즈 5 멤버 6 참고 자료 7 외부 링크 결성[편집] 비디 아이의 멤버는 노엘 갤러거를 제외하고는 오아시스 때와 마찬가지로 리암 갤러거와 겜 아처, 앤디 벨,[1] 크리스 샤록이며,[2][3] 라이브 멤버로는 키보드를 담당하는 맷 존스와 고릴라즈의 라이브 기타리스트인 제프 우튼이 있다.[4] 2013년 기타리스트인 제프 우튼이 멤버에서 나가고 카사비안의 기타리스트 제이 멜러가 합류했다.[5] 밴드는 2009년 11월에 첫 앨범의 작곡과 녹음 작업에 들어갔으며,[6] 2010년 11월 15일에는 싱글 <Bring the Light>를 무료 다운로드로 공개하였다.[7]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한 그들의 데뷔 앨범《Different Gear, Still Speeding》은 2011년 2월 28일에 발매 되었다.[8] 현재 2011년 3월 3일 스코틀랜드 글래스고를 시작으로 3월 22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막을 내리는 유럽 투어가 예정되어 있으며,[9] 6월에는 영국의 아일 오브 와이트 페스티벌에서 마지막날인 12일에 공연하였다.[10] 또한 2월 28일에는 5월 15일 단독 내한공연 계획이 공식 발표되었다.[11][12] 2012년 7월 29일,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에서 그들 이름으로 두 번째 내한 공연을 무사히 마쳤다.[13] 2012년 8월 12일 2012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에서 오아시스의 〈Wonderwall〉을 연주했다.[14] 2013년 4월 5일에 미국 캘리포니안 라디오 스테이션에서 Flick Of The Finger 가 첫 공개되었다.[15] 그리고 같은 달 25일에 싱글 Second Bite Of The Apple 이 공개되었고,[16] 국내엔 2013년 5월 7일 음원 판매를 시작하였다. 2013년 6월 10일 데이비드 시텍이 프로듀싱[17]한 두 번째 앨범 BE 가 발매 되었다.[18] 비디아이 레코드[편집] 비디아이 레코드는 비디 아이가 직접 설립한 레이블로, 영국과 아일랜드 내 음반 출시를 담당한다. 이전에 오아시스가 세웠던 빅 브라더 레코딩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들의 데뷔 앨범 《Different Gear, Still Speeding》은 비디아이 레코드에서 2011년 2월 28일 발매되었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일례로 영국의 음악 전문 웹사이트 All-Noise는 이 앨범을 "성숙하고 차분한 분위기"라고 평하였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정규 앨범[편집] 《Different Gear, Still Speeding》 (2011년 2월 28일 발매) 《BE》 (2013년 6월 10일 발매) 싱글[편집] <Bring the Light> (2010년 11월 22일 발매) 영국 인디 차트 1위, 영국 록 차트 1위 <Four Letter Word> (2011년 1월 17일 발매) <The Roller> (2011년 2월 21일 발매) <Second Bite Of The Apple> (2013년 4월 25일 발매) 수상 내역[편집] NME 어워즈[편집] NME 어워즈는 매년 영국의 음악 전문지 NME가 수여하는 시상식이다. 비디 아이는 2011년 "최고의 신인 밴드"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19] 멤버[편집] 리암 갤러거 – 보컬 겜 아처 – 기타 앤디 벨 – 기타 크리스 샤록 – 드럼 제이 멜러 – 베이스 기타 라이브 멤버 맷 존스 – 키보드 참고 자료[편집] ↑ Andy Bell to return to guitar for the new band | NME ↑ Liam keeps Beady Eye on new band | The Guardian ↑ Liam Gallagher reveals his post-Oasis band name | NME ↑ “'Bring The Light' - Video”. 2010년 1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7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New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 Beady Eye Official Website ’ (도움말) ↑ Kasabian Guitarist Quits, Joins Beady Eye ↑ Liam Gallagher outlines solo LP plan | BBC ↑ Liam Gallagher's Beady Eye debut with free download | The guardian ↑ Liam Gallagher's post-Oasis band planning October single and gigs | NME ↑ “BEADY EYE - FIRST EUROPEAN DATES!”. 2010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New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 Beady Eye Official Website ’ (도움말) ↑ “BEADY EYE TO PLAY ISLE OF WIGHT FESTIVAL!”. 2010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31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New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 Beady Eye Official Website ’ (도움말) ↑ 노엘 뺀 오아시스 '비디 아이', 내한공연 | 연합뉴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BEADY EYE TO PLAY SEOUL”. 2011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News ’ (도움말); 다음 글자 무시됨: ‘ Beady Eye Official Website ’ (도움말) ↑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7292152181910 ↑ Beady Eye, Muse, The Who perform at Olympics closing ceremony | NME ↑ New Beady Eye track 'Flick Of The Finger' premieres on US radio | NME ↑ Beady Eye unveil new single 'Second Bite Of The Apple' | NME ↑ Beady Eye recording new album – with surprising producer | NME ↑ Beady Eye - Beady Eye name album BE ↑ “BEADY EYE UP FOR 'BEST NEW BAND' AWARD”. 2012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2월 28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Beady Eye Official Website ’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영어) 비디 아이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비디 아이 - 마이스페이스 비디 아이 - 페이스북 비디 아이 - 트위터 (영어) 비디 아이 - Last.fm vdeh오아시스 리엄 갤러거 노엘 갤러거 겜 아처 앤디 벨 크리스 샤록 폴 "본헤드" 아더스 토니 맥캐롤 폴 "귁시" 맥기건 앨런 화이트 잭 스타키 정규 음반Definitely Maybe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 Be Here Now ·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 Heathen Chemistry · Don't Believe the Truth · Dig Out Your Soul라이브 음반Familiar to Millions · Live from The Roundhouse컴필레이션Definitely Maybe singles box set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singles box set · The Masterplan · Stop the Clocks · Time Flies... 1994-2009싱글Supersonic · Shakermaker · Live Forever · Cigarettes & Alcohol · Rock 'n' Roll Star · Whatever · Some Might Say · Roll with It · Morning Glory · Wonderwall · Don't Look Back in Anger · Champagne Supernova · D'You Know What I Mean? · Stand by Me · All Around the World · Don't Go Away · Acquiesce · Go Let It Out · Who Feels Love? · Sunday Morning Call · Where Did It All Go Wrong? · The Hindu Times · Stop Crying Your Heart Out · Little by Little/She Is Love · Songbird · Lyla · The Importance of Being Idle · Let There Be Love · Lord Don't Slow Me Down · The Shock of the Lightning · I'm Outta Time · Falling Down기타 곡들Boy with the Blues · Half the World Away · Listen Up · Rock'n'Roll Star · Slide Away · Stop the Clocks · Talk Tonight · The MasterplanDVDLive by the Sea · …There and Then · Familiar to Millions · Definitely Maybe - The DVD · Lord Don't Slow Me Down · Lock the Box · Standing on the Edge of the Noise투어Definitely Maybe Tour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Tour · Be Here Now Tour ·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 Tour · The Tour of Brotherly Love · Ten Years of Noise and Confusion Tour · Heathen Chemistry Tour · Don't Believe the Truth Tour · Dig Out Your Soul TourEPLive Demonstration · Stop the Clocks · Boy with the Blues관련 문서음반 목록 · 브릿팝 · 빅 브라더 레코딩 · 오아시스 수상내역 · Wibbling Rivalry · 비디 아이 · 노엘 갤러거스 하이 플라잉 버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비디_아이&oldid=24310857" 분류: 오아시스 (밴드)영국의 음악 그룹잉글랜드의 록 밴드잉글랜드의 인디 록 밴드2009년 결성된 음악 그룹2014년 해체된 음악 그룹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1:1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비디 아이(Beady Eye)는 2009년 노엘 갤러거가 오아시스를 탈퇴하자 나머지 멤버들이 결성한 영국의 록 밴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비디 아이가 2010년 11월 15일에 공개한 노래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Bring the Light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20대_국회의원_선거_인천광역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천 지역 유권자는 총 237만9666명으로 총 132만2510명이 투표해 투표율 55.57%를 기록하였다. 13개 선거구 중 더불어민주당이 7곳, 새누리당이 4곳, 무소속이 2곳에서 각각 당선되었다. 목차 1 선거구 2 후보자별 득표 2.1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2.2 남구 갑 2.3 남구 을 2.4 연수구 갑 2.5 연수구 을 2.6 남동구 갑 2.7 남동구 을 2.8 부평구 갑 2.9 부평구 을 2.10 계양구 갑 2.11 계양구 을 2.12 서구 갑 2.13 서구 을 3 선거인 명부 4 당선자 명부 5 선거 통계 6 같이 보기 7 참고자료 선거구[편집] 선거구 선거구역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일원 남구 갑 도화1동, 도화2·3동, 주안1동, 주안2동, 주안3동, 주안4동, 주안5동, 주안6동, 주안7동, 주안8동 남구 을 숭의1·3동, 숭의2동, 숭의4동, 용현1·4동, 용현2동, 용현3동, 용현5동, 학익1동, 학익2동, 관교동, 문학동 연수구 갑 옥련2동, 선학동, 연수1동, 연수2동, 연수3동, 청학동, 동춘3동 연수구 을 옥련1동, 동춘1동, 동춘2동, 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남동구 갑 구월1동, 구월3동, 구월4동, 간석1동, 간석4동, 남촌도림동, 논현1동, 논현2동, 논현고잔동 남동구 을 구월2동, 간석2동, 간석3동, 만수1동, 만수2동, 만수3동, 만수4동, 만수5동, 만수6동, 장수서창동 부평구 갑 부평1동, 부평2동, 부평3동, 부평4동, 부평5동, 부평6동, 산곡3동, 산곡4동, 부개1동, 일신동, 십정1동, 십정2동 부평구 을 산곡1동, 산곡2동, 청천1동, 청천2동, 갈산1동, 갈산2동, 삼산1동, 삼산2동, 부개2동, 부개3동 계양구 갑 효성1동, 효성2동, 작전1동, 작전2동, 작전서운동 계양구 을 계산1동, 계산2동, 계산3동, 계산4동, 계양1동, 계양2동, 계양3동 서구 갑 청라1동, 청라2동, 가정1동, 가정2동, 가정3동, 신현원창동, 석남1동, 석남2동, 석남3동, 가좌1동, 가좌2동, 가좌3동, 가좌4동 서구 을 검암경서동, 연희동,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 검단4동, 검단5동 후보자별 득표[편집]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에서 무소속 안상수 후보가 1,66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배준영 새누리당 39,842표 30.6% 3 김회창 국민의당 19,405표 14.9% 4 조택상 정의당 29,455표 22.62% 5 안상수 무소속 41,504표 31.88% 계 130,206표 투표율_57.35% 선거구_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선거인수_230,632명    |    기권수_98,375명    |    투표수_132,257표    |    무효투표수_2,051표 남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남구 갑에서 새누리당 홍일표 후보가 7,760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홍일표 새누리당 37,283표 44.83% 2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29,523표 35.5% 3 김충래 국민의당 16,352표 19.66% 계 83,158표 투표율_50.1% 선거구_남구 갑    |    선거인수_168,229명    |    기권수_83,952명    |    투표수_84,277표    |    무효투표수_1,119표 남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남구 을에서 무소속 윤상현 후보가 24,127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정심 새누리당 9,890표 10.62% 3 안귀옥 국민의당 20,657표 22.19% 4 김성진 정의당 17,758표 19.08% 5 윤상현 무소속 44,784표 48.11% 계 93,089표 투표율_55.04% 선거구_남구 을    |    선거인수_171,691명    |    기권수_77,197명    |    투표수_94,494표    |    무효투표수_1,405표 연수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연수구 갑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후보가 214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정승연 새누리당 29,833표 40.28% 2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30,047표 40.57% 3 진의범 국민의당 14,175표 19.14% 계 74,055표 투표율_56.15% 선거구_연수구 갑    |    선거인수_133,338명    |    기권수_58,474명    |    투표수_74,864표    |    무효투표수_809표 연수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연수구 을에서 새누리당 민경욱 후보가 5,423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민경욱 새누리당 32,963표 44.36% 2 윤종기 더불어민주당 27,540표 37.06% 3 한광원 국민의당 13,810표 18.58% 계 74,313표 투표율_62.97% 선거구_연수구 을    |    선거인수_119,224명    |    기권수_44,152명    |    투표수_75,072표    |    무효투표수_759표 남동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남동구 갑에서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가 19,58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문대성 새누리당 37,271표 33.16% 2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56,857표 50.58% 3 김명수 국민의당 16,556표 14.73% 5 임동수 민중연합당 1,726표 1.54% 계 112,410표 투표율_53.9% 선거구_남동구 갑    |    선거인수_210,708명    |    기권수_97,139명    |    투표수_113,569표    |    무효투표수_1,159표 남동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에서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후보가 16,28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조전혁 새누리당 49,850표 41.83% 2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66,136표 55.49% 5 송기순 진리대한당 3,189표 2.68% 계 119,175표 투표율_55.79% 선거구_    |    선거인수_217,648명    |    기권수_96,213명    |    투표수_121,435표    |    무효투표수_2,260표 부평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부평구 갑에서 새누리당 정유섭 후보가 2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정유섭 새누리당 42,271표 34.22% 2 이성만 더불어민주당 32,989표 26.71% 3 문병호 국민의당 42,245표 34.2% 5 조진형 무소속 6,024표 4.88% 계 123,529표 투표율_53.12% 선거구_부평구 갑    |    선거인수_235,228명    |    기권수_110,277명    |    투표수_124,951표    |    무효투표수_1,422표 부평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부평구 을에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후보가 15,699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강창규 새누리당 39,275표 31.27% 2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54,974표 43.77% 3 이현웅 국민의당 31,340표 24.95% 계 125,589표 투표율_56.97% 선거구_부평구 을    |    선거인수_222,693명    |    기권수_95,816명    |    투표수_126,877표    |    무효투표수_1,288표 계양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계양구 갑에서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후보가 4,86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오성규 새누리당 26,218표 36.68% 2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31,080표 43.48% 3 이수봉 국민의당 14,176표 19.83% 계 71,474표 투표율_56.32% 선거구_계양구 갑    |    선거인수_128,572명    |    기권수_56,155명    |    투표수_72,417표    |    무효투표수_943표 계양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에서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후보가 9,777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윤형선 새누리당 25,420표 31.27% 2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35,197표 43.29% 3 최원식 국민의당 20,679표 25.44% 계 81,296표 투표율_57.03% 선거구_계양구 을    |    선거인수_143,927명    |    기권수_61,852명    |    투표수_82,075표    |    무효투표수_779표 서구 갑[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서구 갑에서 새누리당 이학재 후보가 7,36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이학재 새누리당 52,595표 44.45% 2 김교흥 더불어민주당 45,233표 38.23% 3 유길종 국민의당 17,591표 14.87% 4 안생준 무소속 2,898표 2.45% 계 118,317표 투표율_56.82% 선거구_서구 갑    |    선거인수_210,214명    |    기권수_90,769명    |    투표수_119,445표    |    무효투표수_1,128표 서구 을[편집]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서구 을에서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후보가 7,93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황우여 새누리당 37,909표 37.92% 2 신동근 더불어민주당 45,841표 45.85% 3 허영 국민의당 16,234표 16.24% 계 99,984표 투표율_54.29% 선거구_서구 을    |    선거인수_186,131명    |    기권수_85,075명    |    투표수_101,056표    |    무효투표수_1,072표 선거인 명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당선자 명부[편집] 인천광역시 선거구명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표차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5 안상수 무소속 41,504 31.87% 1,662표 남구 갑 1 홍일표 새누리당 37,283 44.83% 7,760표 남구 을 5 윤상현 무소속 44,784 48.10% 24,127표 연수구 갑 2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30,047 40.57% 214표 연수구 을 1 민경욱 새누리당 32,963 44.35% 5,423표 남동구 갑 2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56,857 50.58% 19,586표 남동구 을 2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66,136 55.49% 16,286표 부평구 갑 1 정유섭 새누리당 42,271 34.21% 26표 부평구 을 2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54,974 43.77% 15,699표 계양구 갑 2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31,080 43.48% 4,862표 계양구 을 2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35,197 43.29% 9,777표 서구 갑 1 이학재 새누리당 52,595 44.45% 7,362표 서구 을 2 신동근 더불어민주당 45,841 45.84% 7,932표 선거인수 2,379,666 유효투표 1,306,595 계 571,532 43.74% 선거 통계[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같이 보기[편집] 대한민국 제20대 총선 대한민국 제20대 국회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목록 참고자료[편집] 법률 제8879호 공직선거법 (2008년 2월 2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vdeh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제1공화국제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공화국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공화국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공화국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5공화국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6공화국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20대_국회의원_선거_인천광역시&oldid=24542016" 분류: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인천광역시의 선거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8일 (월) 08: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천 지역 유권자는 총 237만9666명으로 총 132만2510명이 투표해 투표율 55.57%를 기록하였다. 13개 선거구 중 더불어민주당이 7곳, 새누리당이 4곳, 무소속이 2곳에서 각각 당선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20대 총선에서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에서 각 후표자별 득표는? Assistant: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광역시 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에서 무소속 안상수 후보가 1,66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배준영 새누리당 39,842표 30.6% 3 김회창 국민의당 19,405표 14.9% 4 조택상 정의당 29,455표 22.62% 5 안상수 무소속 41,504표 31.88% 계 130,206표 투표율_57.35% 선거구_중구·동구·강화군·옹진군    |    선거인수_230,632명    |    기권수_98,375명    |    투표수_132,257표    |    무효투표수_2,051표 Human: 아래 레자_샤_팔라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레자 샤 팔라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레자 샤 팔라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리자 샤 팔레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팔라비 1세‏رضا پهلوی‎ 지위 이란 샤 재위 1925년 ~ 1941년 전임자 아흐마드 샤 카자르 후임자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페르시아 숭고국의 제34대 총리 재위 1923년 10월 28일-1925년 11월 1일 전임자 하산 피르니아 후임자 모하마드 알리 포루기 군주 아흐마드 샤 카자르 이름 휘 레자 칸 신상정보 출생일 1877년 3월 16일(1877-03-16) 출생지 이란 마잔다란 주 알라슈트 사망일 1944년 7월 26일 (67세) 사망지 남아프리카 연방‏‎ 요하네스버그 왕조 팔라비 왕조 부친 압바스 알리 칸 모친 누쉬아파린 아이롬루 종교 시아파 이슬람교 군사 경력 복무 페르시아 숭고국 복무기간 1894년–1921년 소속 페르시아 카자크 여단 최종계급 준장 레자 샤 팔라비(페르시아어: ‏رضا پهلوی‎, 1877년 3월 16일 ~ 1944년 7월 26일, 재위 : 1925년 ~ 1941년)는 이란 팔라비 왕조의 초대(初代) 샤(왕)이다. 목차 1 생애 1.1 군인이 되기까지 1.2 국내의 정치 상황 1.3 쿠데타 완료 1.4 전쟁성 장관과 내각총리대신 2 샤 2.1 즉위 이후 3 국호 변경 4 치적 5 각주 생애[편집] 군인이 되기까지[편집] 그는 1877년, 팔레반 가(家)의 출신으로서, 그의 아버지인 압바스 알리 칸은 육군 대령이었다. 그는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어서 어머니가 그를 책임지게 되었다. 그의 가족들은 수도인 테헤란으로 이사를 갔고, 그의 어머니는 그를 교육을 시키는 일을 절대로 포기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훗날, 육군에 입대하여 러시아인 교관으로부터 많은 훈련을 받았다. 그는 사병 때부터 총명하고 재주도 좋아서 지휘관들도 부러워하였다. 그 덕분에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장교가 되었다고 한다. 국내의 정치 상황[편집] 이 시기에 이란은 입헌 군주국이 되었으나, 1909년까지 정치가 상당히 불안하여 노동자들은 가난하고, 빈민들은 굶어죽는 자가 생겨날 지경이었다. 이란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어려운 경제력 때문에 전쟁에 참전할 생각이 없었다. 오스만 제국은 경제력이 어려운데도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주도의 동맹군에 참가하는 반면, 이란은 중립을 지켰던 것이다. 그러나 국경지대는 외국군간의 전쟁으로 피폐해졌으며, 흉작이 일어나 굶어죽는 자가 늘어났다. 게다가 1909년에 즉위한 아흐마드 샤는 무능하고 병치레가 잦았다. 결국 1919년 이란은 영국과의 보호령 조약을 체결하였다. 쿠데타 완료[편집] 아흐마드 샤와 내각의 대신들은 나약하고 부패했으며, 민족주의자들의 불만은 폭발 직전이었다. 특히 영국과 러시아는 상업적·전략적으로 이 나라에 강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레자 칸은 혼란 상태를 종식시키고, 잘 훈련된 군사를 기반으로 권력을 이양받아 진보적인 정부를 세우려고 했다. 그는 몇몇 젊고 진보적인 요인들과 접촉해 1921년 2월 21일에 1,200명의 군사를 이끌고 테헤란을 점령했다. 나이 젊은 사이드 지아 옷딘 타바타바이가 총리가 되었고, 레자 칸은 전쟁성 장관이 되었다. 전쟁성 장관과 내각총리대신[편집] 레자 칸은 이란을 쇄신해 발전시키려 하였다. 그는 이상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을 강압적인 군대식으로 내쫓아버렸다. 정적에 대해서는 강력한 정치재능을 발휘해서 그들을 분열시키거나 약화시켰다. 그는 전쟁성(Minister of War)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국군의 통수권 또한 그가 행사하였다. 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줄곧 여러 총리들의 배후 실세로 존재하다가, 1923년에 자신이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했다. 샤[편집] 즉위 이후[편집] 아흐마드 샤는 유럽에서 오랫동안 병 치료를 받고 있었으며, 귀국을 거부하였다. 그 시기를 틈타 레자 칸은 공화국(Republic)을 선포하려 하였으나 국민들은 레자 칸이 황제가 되기를 원했다. 1925년 의회는 부재중인 황제를 폐위시켰으며 제헌의회는 레자 칸을 샤로 선출하고 새로운 팔라비 왕조에 통치권을 부여했다. 1926년 4월 즉위한 뒤, 레자 칸은 내각총리대신 재임 당시 착수했던 개혁들을 자신의 뜻대로 계속 추진했다. 그는 국내의 분쟁을 야기시켜왔던 부족들을 무장해제시키고 일부는 정착시켜 그 힘을 약화시켰다. 1928년 그는 열강들과의 불공평한 협정·조약들을 무효화하고 모든 특혜조치들을 폐지했다. 1927년부터 1938년까지 그는 이란 횡단철도를 건설하고, 주요도시들을 연결하는 지선을 만들기 시작했다. 또한 1935년 궁정 여성들에게 차도르를 벗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외국의 손에 들어 있던 국가의 재정과 통신을 장악했다. 그는 도로·학교·병원을 건설했고 최초로 1934년 대학교를 창설했다. 그의 정책은 이란의 민주화와 외세의 간섭으로부터의 해방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의 대외정책은 주로 소련과 영국을 맞붙게 하여 어부지리를 얻는 것이었는데, 1941년 두 나라가 독일과 싸우기 위해 연합했기 때문에 실패로 돌아갔다. 이란을 통해 소련군에 군수물자를 수송할 목적으로 1941년 8월 두 연합국은 함께 이란을 점령했다. 그는 나치 독일에 접근하였으나, 연합국에 의해 압력을 받아 1941년에 퇴위하였으며, 그의 장남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에게 제위가 선위되었고 이후 그는 194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사망했다. 국호 변경[편집] 1930년대부터 민족주의자들과 반공(反共)주의자들은 국호를 이란으로 부르자고 했다. 레자 샤는 1935년부터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페르시아' 대신 지금의 '이란'을 공식국호를 선포하였다. 치적[편집] 레자 샤의 주요 치적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란 종관 철도(Trans-Iranian Railway)[1] 국립은행 설치[2] 이란 최초의 대학교 설립 (테헤란 대학교) 말라리아의 근절 공무원들의 부패 근절. 제때에 임금을 지급하여 사람들이 뇌물에 의존하지 않도록 했다. 교과서의 도입. 레자 샤 이전에는 이슬람교의 마드라사가 유일한 교육기관이었으며, 코란이 유일한 교과서였다. 모든 이란인들에게 출생증명제도 도입[3] 각주[편집] ↑ JMohammad A. Chaichia, TTown and Country in the Middle East: Iran and Egypt in the Transition to Globalization, Lexington Books 2009, p. 71 ↑ Kinzer, Stephen (October 2008). “Inside Iran's Fury”. 《Smithsonian Magazine》. 2009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9일에 확인함.  ↑ Dilip Hiro, The Iranian Labyrinth: Journeys Through Theocratic Iran and Its Furies, Nation Books, 2005, p. 91 전임하산 피르니아 이란 총리1923년 10월 28일~1925년 11월 1일 후임모하마드 알리 포루기 전임(아흐마드 샤 카자르) 제1대 팔라비 왕조의 샤1925년 ~ 1941년 후임팔라비 2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7639858 LCCN: n81062659 ISNI: 0000 0000 8501 1358 GND: 118599828 SELIBR: 197344 SUDOC: 085185027 BNF: cb13745250x (데이터) BIBSYS: 11044207 NKC: js2002012204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레자_샤_팔라비&oldid=23609101" 분류: 1877년 태어남1944년 죽음페르시아의 군주팔라비 왕조이란의 총리이란의 반공주의자백수리 훈장 (폴란드) 수훈자이란의 망명자조지아계 이란인20세기 이란 사람마잔다란주 출신숨은 분류: 페르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Zazaki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viešu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일 (금) 08: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레자 샤 팔라비(페르시아어: ‏رضا پهلوی, 1877년 3월 16일 ~ 1944년 7월 26일, 재위 : 1925년 ~ 1941년)는 이란 제국의 초대 샤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레자 샤 팔라비의 치적은 무엇이 있나요? Assistant: 이란 종관 철도(Trans-Iranian Railway)[1] 국립은행 설치[2] 이란 최초의 대학교 설립 (테헤란 대학교) 말라리아의 근절 공무원들의 부패 근절. 제때에 임금을 지급하여 사람들이 뇌물에 의존하지 않도록 했다. 교과서의 도입. 레자 샤 이전에는 이슬람교의 마드라사가 유일한 교육기관이었으며, 코란이 유일한 교과서였다. 모든 이란인들에게 출생증명제도 도입[3]
Human: 아래 호안끼엠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호안끼엠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안끼엠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안끼엠 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호안끼엠 호 Hồ Hoàn Kiếm (지리 유형: 호수) 호안끼엠 호수 중앙의 터틀 타워 나라 베트남 도시 하노이 위치 북위 21° 01′ 44″ 동경 105° 51′ 09″ / 북위 21.02889° 동경 105.85250°  / 21.02889; 105.85250 유형 자연호 유출 증발 길이 700m 너비 250m 수심  - 평균 1.2m (4ft)  - 최대 2m (7ft) 면적 12ha 호안끼엠 호수(Hồ Hoàn Kiếm, 還劍湖)는 베트남 하노이의 호안끼엠에 있는 호수이다. 호안끼엠(還劍)이라는 말은 반납한 검이라는 의미로 호금(Hồ Gươm, Sword Lake)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호수는 고도 하노이의 주요 명물 중의 하나이며, 이곳 사람들의 중심지이기도 한다. 목차 1 개요 2 호안끼엠 호수의 거북 3 파노라마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원래는 홍강의 잦은 범람 과정에서 생겨난(그리고 홍 강과도 이어져 있었던) 룩투이 호수(hồ Lục Thuỷ, 緑水湖)가 호안끼엠 호수와 수군호(水軍湖)로 나뉘었다(수군 호수에는 베트남 수군의 훈련장이 있었지만 이후 호수는 매립되었다). 응옥썬 사당으로 통하는 테훅교 호안끼엠 호숫가 북쪽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섬에는 18세기에 세워진 응옥선 사당(玉山祠)이 있는데, 13세기 원나라의 침공을 격퇴한 명장 쩐흥다오와 문창제, 1864년에 사찰 수리를 맡았던 담당자로 유학자이자 작가였던 원문초(阮文超) 등을 제사지내고 있으며, 사당이 있는 섬 사이에 붉게 칠해진 나무 교량인 테훅교(棲旭橋)가 있어 걸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호안끼엠 호수의 거북[편집] 전설에 따르면 대월국 후 레 왕조의 태조가 된 레러이(黎利)가 호수에서 용왕의 보검을 얻었고 이 검으로 명나라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자신의 왕조를 세웠다. 그 뒤 태조 레러이는 호수 위에서 금빛 거북을 만났는데, 태조에게 스스로를 용왕의 사자라 밝힌 거북은 평화가 찾아왔으니 앞서 용왕께서 주셨던 보검을 돌려주도록 계시했고, 태조는 호수 한복판에서 가까운 작은 섬에 그 보검을 묻었다. 이후 호수는 오늘날과 같은 호안끼엠(還劍)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검을 묻은 섬에는 훗날 거북을 기리는 탑이 세워졌다. 호안끼엠 호수의 전설은 수상인형극으로도 각색되기도 했다. 거북을 위해 세운 탑. 호안끼엠 호수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다. 호수에 서식하는 자이언트 양쯔자라 및 대형 거북은 전설에 등장한 황제의 이름을 따서 "라페투스 레러이(Rafetus leloii)"라 명명되었다. 이 종은 서식지 소멸로 멸종위기에 놓였으며, 호수 속에 몇 마리나 살고 있는지 개체수도 확인되지 않았다. 1968년 호수에서 250kg의 대형 거북이 발견되었는데 당시 이 거북은 전설에 등장하는 거북으로 여겨져 그 박제가 응옥선 사당에 모셔지기도 했다. 박제의 크기는 길이 210cm에 너비 120cm이다. 호안끼엠 호수의 거북은 2000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방문과 2002년 중국 장쩌민 당시 주석의 방문 때에도 호수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2009년 10월 10일에도 나타났는데, 공교롭게도 2009년은 하노이가 프랑스로부터 해방된 55주년 기념일이자, 리 왕조가 하노이에 수도를 정한지 999년이 되는 해였다. 2011년 4월 3일에도 호안끼엠 호수에 다시 대형 거북이 나타났는데, 길이 1m, 지름 80cm, 무게 169㎏의 이 거북은 발견 당시 피부병을 앓고 있었고 하노이 시는 피부병을 앓고 있던 이 거북에 대한 3개월의 정밀 치료 이후 7월 12일에 다시 호안끼엠 호수로 거북을 돌려보냈다. 2014년 4월, 몸무게 약 200kg의 자이언트 양쯔자라가 상처입은 채 발견되어 치료 목적으로 포획되었다. 2016년 1월 19일, 호안끼엠 호수의 거북이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1][2] 한 시민이 죽은 거북을 발견하고 관계 당국에 알렸다.[3] 이 거북이 살아있는 채로 관측된 마지막 날짜는 2015년 12월 21일이었다.[1] 파노라마[편집] 호안끼엠 호수의 야경 같이 보기[편집] 안남국왕 자이언트 양쯔자라 후레왕조 각주[편집] ↑ 가 나 “'Cụ' rùa Hồ Gươm đã chết”. 《Pháp luật - tin pháp luật đời sống mới nhất 2015》 (영어). 2016년 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9일에 확인함.  ↑ Ives, Mike (2016년 1월 22일). “Vietnam’s Sacred Turtle Dies at an Awkward, Some Say Ominous, Time”. 《The New York Times》. 2016년 1월 23일에 확인함.  ↑ 100살 넘은 베트남 '전설의 거북' 죽어..세계에 4마리, 연합뉴스, 2010년 1월 20일, 김문성 특파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호안끼엠호 호안끼엠 호수 사진 Hoan 호안끼엠 호수와 자이언트 거북 환검 호수 Restored Sword lake featured in Vietnam Tours "Giant turtle sightings set Vietnam capital abuzz" - CNN, April 13, 1998 vdeh하노이의 관광지역사적 장소 터틀 타워 문묘 꼬로아 탕롱 황성 주석부/호찌민 관저 호찌민 묘소 하노이 깃대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호아로 교도소 종교적 장소 흐엉 사원 못꼿 사원 꽌타인 사당 쩐꾸옥 사원 꽌스 사원 성요셉 성당 끄어박 성당 공원 및 자연 경관 호안끼엠호 바비 국립공원 떠이호 쭉박호 홍강 박물관 하노이 박물관 하노이 힐턴 호찌민 박물관 미술관 민족학 박물관 혁명 박물관 공군 박물관 역사 박물관 군사 역사 박물관 여성 박물관 그 외 관광지 노이바이 국제공항 하노이역 롱비엔 다리 미딘 국립경기장 국립 컨벤션 센터 소피텔 메트로폴 바딘 광장 좌표: 북위 21° 01′ 44″ 동경 105° 51′ 09″ / 북위 21.02889° 동경 105.85250°  / 21.02889; 105.8525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호안끼엠호&oldid=24192408" 분류: 하노이의 관광지베트남의 호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Slovenš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6: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호안끼엠 호수(Hồ Hoàn Kiếm, 還劍湖)는 베트남 하노이의 호안끼엠에 있는 호수이다. 호안끼엠(還劍)이라는 말은 반납한 검이라는 의미로 호금(Hồ Gươm, Sword Lake)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호수는 고도 하노이의 주요 명물 중의 하나이며, 이곳 사람들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호안끼엠 호수에 서식하는 대형 거북의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되었는가? Assistant: 황제의 이름 Human: 아래 변태_(식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변태 (식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태 (식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변태(變態)는 본래의 줄기와 그 모양이나 기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만, 원래는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이다. 사실상 엄밀하게는 슈트의 변태이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줄기의 변태로서 설명한다. 목차 1 줄기의 변태 1.1 덩이줄기 1.2 비늘줄기 1.3 알줄기 1.4 뿌리줄기 2 같이 보기 3 참고 자료 4 각주 줄기의 변태[편집] 비늘줄기(적 양파) 줄기가 변태된 한 예로, 줄기가 매우 가늘어진 형태로 땅 위를 기어 생장하면서 곳곳에 뿌리와 눈을 만드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주경(走莖;딸기, 바위취)이라고 한다. 또, 가지가 등근 모양으로 비대하여 영양 증식의 활동을 하는 것은 '육아(肉芽;참마)'라고 한다. 한편, 줄기가 짧아지고 비대해져 비늘조각과 같은 덩어리 모양이 되어, 영양 증식에 이용되는 '주아(珠芽;참나리)'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모두 땅위줄기가 변태한 것이지만, 본래 줄기로서의 역할을 다소나마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줄기가 가느다랗게 되어 덩굴손이 되거나(포도·바늘 모양의 가시가 되거나 탱자나무, 아니면 잎과 같은 모양의 편평한 줄기가 되어 그 기능까지 전환된 변태도 있다. 한편, 땅속줄기가 변태한 것으로는, 땅속을 옆으로 뻗어가는 뿌리줄기(고사리·진황정), 비대해진 덩어리가 되어 영양분을 저장하는 덩이줄기(감자), 덩이줄기와 비슷하지만 눈의 수가 적은 둥근꼴줄기(시클라멘), 또 줄기는 밑부분에 약간 있을 뿐이며 대부분이 여러 개의 두꺼운 잎으로 된 비늘줄기(양파) 등이 있다. 그러나 양파의 중앙 종단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비늘줄기라고는 하나 대부분이 잎이며 줄기는 아랫부분에 약간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따라서, 양파와 같은 경우는 줄기의 변태라고 하기보다 잎의 변태를 수반한 슈트의 변태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줄기 변태의 종류는 덩이줄기, 비늘줄기, 알줄기, 뿌리줄기 등이 있다. [1] 덩이줄기[편집] 덩이줄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괴경(塊莖)이라고도하며 녹말과 같은 양분을 지하에 저장해서 비대해진 줄기로 곁눈이 뭉쳐진 눈이 있어 영양생식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감자가 있다. 비늘줄기[편집] 인경(鱗莖)이라고도 하며 짧은 줄기를 둘러싸고있는 양분을 저장하는 확대된 잎을 가진 땅속줄기를 말한다. 백합·파·튤립·수선화등에서 볼 수 있다. 생육에 부적당한 겨울이나 건기에는 휴면기관으로 존재하며 영양생식이 가능하다. 비늘조각이 다육으로 기와지붕 모양으로 겹쳐져 있는 백합속과 같은 경우도 있고, 비늘조각이 넓으며 외측의 것이 내측의 것을 포위하고 있는 파속·수선화속 등과 같은 경우도 있다. 알줄기[편집] 구경(球莖)이라고도 하며 녹말 등을 저장하여 땅속줄기가 구형으로 비대한 알뿌리의 한 형태이다. 토란·곤약·소귀나물·글라디올러스 등이 있다. 지상부가 겨울에 시드는 여러해살이풀에서는 월동기관이 되고 영양생식의 역할도 한다. 뿌리줄기[편집] 뿌리줄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근경(根莖)이라고도 하며 줄기가 지하로 자라 마치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줄기이다. 마디에서 부정근이 돋으며 지상으로 잎을 낸다. 또한 비늘 조각 모양의 잎이 돋아 외부 형태로도 구별되며, 내부구조를 보면 관다발의 배치에 의해 명백하게 식별된다. 양치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연꽃·메꽃·죽순대 등이 이에 속한다. 녹말 등의 양분을 저장하기도 하여, 영양생식이나 월동기관 역할을 한다. 같이 보기[편집] 줄기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주[편집] ↑ “네이버 백과사전 줄기항목”.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변태_(식물)&oldid=23892871" 분류: 식물학식물해부학식물형태학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3월 21일 (목) 09: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변태(變態)는 본래의 줄기와 그 모양이나 기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만, 원래는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되는 경우이다. 사실상 엄밀하게는 슈트의 변태이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줄기의 변태로서 설명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감자는 식물의 어느 부분이 변태한 거야? Assistant: 땅속줄기
Human: 아래 홍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홍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홍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홍진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홍진洪震 1943년 3월, 중화민국 쓰촨 성 충칭에서 열린 자유한인대회 참석을 한 임시의정원 의장 홍진. 前 대한제국 충청북도 충주재판소 예하 검사 임기 1906년 12월 10일 ~ 1908년 5월 14일 군주 대한제국 고종 이형 대한제국 순종 이척 섭정 황태자 이척(前) 의친왕 이강(前)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임기 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14일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부장 임기 1926년 9월 27일 ~ 1926년 12월 8일 신상정보 출생일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출생지 조선 충청도 영동군 사망일 1946년 9월 9일 (69세) 사망지 미 군정 조선 서울에서 심장질환으로 병사 거주지 조선 충청도 영동 조선 한성부 대한제국 한성부 중화민국 쓰촨 성 충칭 미 군정 조선 서울 학력 한성법관양성소 졸업 경력 한국독립당 고문 겸 최고위원 정당 한국독립당 부모 홍재식(부), 한숙봉(모) 배우자 남상복 자녀 홍기택(아들) 친인척 남숙희(장인) 남상철(사촌 처남) 종교 천주교 홍진洪震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8대 국무령 임기 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14일 전임: 이동녕(7대)후임: 김구(9대) 신상정보 출생일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출생지 조선 충청도 영동 사망일 1946년 9월 9일 (68세) 사망지 미 군정 조선 서울에서 심장질환으로 병사 정당 한국독립당 홍진(洪震, [1]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 1946년 9월 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의 독립운동가이며 1926년 7월 7일에서 1926년 12월 14일까지 제5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을 지냈다. 본명은 홍면희(洪冕憙), 본관은 풍산. 아명은 홍봉근(洪鳳根)· 홍우봉(洪又鳳). 호(號)는 만오(晩悟).[2] 충청도 영동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기도 시흥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그 후 한성부에서 성장하였다.[3] 1946년 7월에 심장천식으로 입원을 했는데, 입원 중 남상철의 권고로 인하여 영세를 받았고 가톨릭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다. 목차 1 생애 2 사후 3 연보 3.1 조선 시대 3.2 독립 운동 3.3 광복 이후 4 가족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7 각주 생애[편집] 홍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8대 국무령 임기 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14일 전임 이동녕 후임 김구 출생일 1877년 8월 27일(1877-08-27) 출생지 조선 한성부 사망일 1946년 9월 9일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 사망 원인 심장질환 종교 천주교, 세례명 안드레아 자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대 수반 1898년 법관양성소[4]를 졸업한 뒤 평리원(平理院) 판사, 충주재판소 검사를 지냈다. 1910년 경술국치를 맞자, 변호사가 되어 경성부와·평양 등지에서 애국지사를 변론하는 법정 투쟁을 계속했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연락책임을 맡아 활동했고, 4월에는 한성 임시정부의 조직에 참가하여 법무차장이 되었다. 그 뒤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 되었으며, 법제위원장으로 헌법 개정, 국무위원 개선 등 제도 정비에 노력했다. 11월에는 임시의정원 충청도 선거위원장으로도 활약했다. 1921년 4월 장붕(張鵬)의 뒤를 이어 상하이 대한교민단(大韓僑民團) 단장이 되었고, 5월에는 임시의정원 의장이 되었다. 그해 8월 대(對) 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의 간사장이 되어 한국의 완전독립을 주장하고 일본에게 손해배상을 요구했으며, 의정원 의원 25명의 연서로 태평양회의의 각국 대표에게 독립청원서를 발송했다. 다음해 7월 국민대표회의 문제를 둘러싸고 임시정부에서 의견대립이 생기자 여운형(呂運亨)·김구(金九) 등과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하여 사태를 수습하고자 노력했다. 1923년 임시정부 법무총장에 선임된 뒤 여러 요직을 역임했다. 1926년 7월 국무령(國務領)이 되었으며, 9월에는 외무총장까지 겸임하면서 비타협적 자주독립운동의 진작, 전민족대정당의 창당, 피압박민족과의 연맹 체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시정 3대 강령을 발표했다. 임시정부를 강화하고자 노력했으나 독립운동단체들간의 분규가 계속되자 그해 12월 국무위원들과 함께 사직하고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1927년 4월 상하이에서 한국유일독립당 상해촉성회를 결성하고 집행위원이 되었으며, 11월에는 베이징·우창·난징에서 활동하는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연석회의를 열었다. 그해말에는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 1930년 7월 한국독립당을 조직하고 중앙위원장 및 군민회의(軍民會議) 부위원장이 되었다. 1931년 9월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당의 무장부대로 한국독립군을 편성하고 중국과 연합전선을 형성하여 활동했다. 1934년 한국혁명당과 통합하여 신한독립당을 조직하고 위원장이 되었다가 곧 한국독립당을 재조직했고, 1935년 7월에는 이를 조선민족혁명당으로 발전시켰다. 1937년 7월 만주와 아메리카 대륙에 있는 독립운동단체들이 통합하여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조직하자 선전위원으로 활동했다.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고문이 되었으며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이 한국독립당으로 3당 통합되자 중앙감찰위원장이 되어 한국광복군의 창설에 이바지했다. 1942년 10월 한중문화협회 명예이사로 선출되었으며, 국무위원회 고문과 임시의정원 의장을 겸직하면서 8·15 해방까지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사후[편집] 1962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연보[편집] 조선 시대[편집]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서울 서소문에서 아버지 홍재식과 어머니 한수동의 차남으로 태어남. 본명은 면희(冕憙), 아명은 봉근(鳳根) 또는 우봉(又鳳). 1896년 의령 남씨 남숙희의 차녀 남상복(南相福)과 혼인. 1903년 2월 법관양성소 입학. 1904년 7월 21일 법관양성소 졸업. 7월 26일 법관양성소 박사에 임명되었으나, 이틀 뒤 의원면직. 1906년 2월 한성평리원 주사. 12월 5일 법관전고소 시험에 합격. 12월 10일 충청북도 재판소 검사로 발령. 한성평리원(漢城平理院) 판사, 충청검찰청 검사를 역임. 1908년 5월 14일 의병 사건의 논고를 거부하고 검사직을 의원면직. 5월 29일 대한제국 법부로부터 변호사 인가장을 받음. 1909년 7월 14일 평양지방재판소 검사국에 변호사로 등록하고, 평양에서 개업. 독립 운동[편집] 1919년 3월 3·1 운동에 참여. 충북 청주군 연락책임자. 3월 17일 한성오의 집에서 한성정부를 조직. 4월 11일 임시의정원 의원 4월 15일 이규갑과 함께 한성정부의 각원 명단과 문건을 가지고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 압록강을 건너며 이름을 홍진(洪鎭)으로 바꿈. 9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조직됨. 취임을 미루던 국무총리 이동휘를 찾아가 취임을 종용. 11월 임시정부 국내조사위원 및 임시의정원 충청도 선거위원장에 임명. 임시정부 법무총장,내무총장 등 역임 1920년 3월 19일 임시의정원 상임위원회 제4분과 위원. 3월 30일 임시의정원 정무조사특별위원회 위원. 1921년 4월 6일 임시의정원 전원위원장에 당선. 4월 20일 상해대한교민단장에 선임. 5월 6일 임시의정원 제3대 의장에 선출. 5월 20일 교민단장 면직. 8월 13일 상해교민단 사무소에서 대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를 발족하고 임시회장으로 선출. 8월 26일 대태평양회의외교후원회 공식출범에 따라 대표인 간사장을 맡음. 1922년 4월 3일 태평양회의에 대한 책임으로 국무원이 총사직, 임시의정원 의장직에서 면직. 1924년 5월 임시의정원 내에서 개헌 문제로 분란이 일자 사임후 장쑤 성 전장에서 은거. 1926년 7월 7일 임시의정원에서 국무령으로 선출. 이름을 홍진(洪震)으로 바꿈. 7월 8일 국무령에 취임. 8월 30일 정부를 구성하고, 홍진 정부가 공식 출범. 9월 27일 시정방침 및 신 부서(部署) 조직규정 발표. 9월 27일 국무령으로 외무부장 겸임. 9월 임시정부 시정방침 4대 강령을 발표하였다.(1. 비타협적 자주독립운동 을 진작함. 2. 전민족 대당체(大黨體)를 건립함. 3. 각 피압박민족과 대연맹 을 체결하고 기타 우의. 4. 국교를 증진함) 12월 9일 유일당운동에 주력하기 위하여 국무령을 사직. 12월 29일 임시의정원 의원에 재선됨 1930년 7월 26일 한국독립당 창당, 중앙위원장으로 선출. 1934년 2월 25일 난징에서 신익희의 한국혁명당과 통합하여 신한독립당 창당, 중앙위원장으로 선출. 1935년 7월 5일 독립 계열 단일 정당 민족혁명당 창당, 중앙검사위원. 1937년 8월 17일 미주지역 6개 단체를 참여시킨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결성. 1938년 독립운동단체가 통합하여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이 결성되자, 광복전선 운영 간부에 선임. 1939년 10월 15일 임시의정원 충청도 위원으로 선출. 10월 16일 임시의정원 의장으로 선출(두 번째). 10월 23일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 선임. 10월 25일 임시정부 내무장으로 선임. 11월 5일 임시의정원 의장과 국무위원 불겸직안에 따라 임시의정원 의장직 사임. 1940년 5월 9일 한국독립당 창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 10월 8일 임시정부 고문으로 추대. 1942년 10월 26일 임시의정원 의장으로 선출(세 번째). 1943년 10월 9일 제35차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국무위원 숫자와 선출 방법을 둘러싸고 여야가 대립. 1944년 1월 3일 국무위원 선출방식을 위한 투표에서 여야 동수가 되자, 의장으로 야당 측이 주장한 무기명 투표안에 찬성. 이 일을 계기로 부의장 최동오와 함께 한국독립당을 탈당. 1945년 2월 9일 신한민주당을 창당, 유동렬·김붕준과 함께 주석단에 선출. 광복 이후[편집] 1945년 11월 5일 한국 해방에 따라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 29명과 함께 충칭을 떠나 상하이에 도착. 12월 1일 임시정부 제2진으로 22명과 상하이를 출발, 폭설로 김포가 아닌 군산비행장에 도착. 12월 24일 한국 소년군 총본부 고문에 추대되었다.[5] 1946년 2월 1일 명동성당에서 비상국민회의 창립대회를 개최하고, 비상국민회의 의장에 선출됨. 2월 미군 주둔군 사령관 존 하지와 면담. 7월 심장천식으로 입원, 입원 중 남상철의 권고로 영세를 받음(세례명 안드레아). 9월 9일 향년 70세로 사거. 9월 13일 명동성당에서 장례위원장 김구 집례로 장례미사, 인천시 관교동에 안장. 1962년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984년 12월 15일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로 이장. 1994년 10월 6일 국립묘지 임시정부요인 묘역 내 임정수반 묘소로 천장. 가족[편집] 처: 남상복(南相福, 1876년 ~ ?[6]) 아들: 홍기택(洪起澤, 1905년 ~ ?) 장인: 남숙희(南叔熙) 같이 보기[편집] 김구 이승만 민주의원 조성환 대한민국 임시 정부 비상국민회의 참고 자료[편집] 晩悟洪震全集, 만오홍진전집간행위원회,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1996. 각주[편집] ↑ 개명하기 직전의 이름은 洪鎭 ↑ 성씨와 호를 모두 붙여 홍만오(洪晩悟)라고도 불림. ↑ 한성부 출생설도 있다.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전신 ↑ 아 비운의 역사현장 경교장(1993,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221 ↑ 남숙희의 차녀 전임이동녕 제8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반(국무령)1926년 7월 7일 ~ 1926년 12월 8일 후임김구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장1926년 9월 27일 ~ 1926년 12월 8일 제3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1921년 5월 6일 ~ 1922년 4월 3일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1939년 10월 16일 ~ 1939년 11월 5일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장1942년 10월 26일 ~ 1946년 2월 1일 vdeh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대통령 (1919년 ~ 1925년) 이승만 박은식 국무령 (1925년 ~ 1940년) 이상룡 양기탁 이동녕 안창호 이동녕 홍진 김구 주석 (1940년 ~ 1948년) 이동녕 김구 이승만 고조선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발해 후삼국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deh1996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송종익 2월 신채호 3월 신석구 4월 서재필 5월 신익희 6월 유일한 7월 김하락 8월 박상진 9월 홍진 10월 정인승 11월 전명운 12월 정이형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홍진&oldid=24273283" 분류: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1877년 태어남1946년 죽음영동군 출신법관양성소 출신풍산 홍씨대한제국의 관료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한국독립당 (1930년)한국독립당의 당원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Монгол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4일 (금) 22: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홍진(洪震,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 1946년 9월 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시대의 독립운동가이며 1926년 7월 7일에서부터 1926년 12월 14일까지 제5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을 지냈다. 본명은 홍면희(洪冕憙), 본관은 풍산. 아명은 홍봉근(洪鳳根)· 홍우봉(洪又鳳). 호(號)는 만호(晩湖). 충청도 영동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기도 시흥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그 후 한성부에서 성장하였다. 1946년 7월에 심장천식으로 입원을 했는데, 입원 중 남상철의 권고로 인하여 영세를 받았고 가톨릭 세례명은 안드레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홍진이 1919년 4월 한성 임시정부에서 맡은 직위는 뭐야? Assistant: 법무차장 Human: 아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韓國食品全情管理認證院, Korea Agency of HACCP Accreditation & Service, KAHAS)은 식품 및 축산물의 안전관리인증과 그와 관련된 종합적인 지원 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국민보건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공공기관이다.[1][2][3] 충청북도 청주시 오송생명5로 156에 있다. 2017년,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과 통합되었다.[4] 목차 1 설립 근거 2 주요 업무 3 연혁 3.1 구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3.2 구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3.3 통합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4 조직 4.1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장 4.2 기획경영이사 4.2.1 전략기획본부 4.2.2 경영관리본부 4.3 인증사업이사 4.3.1 인증심사본부 4.3.2 기술사업본부 4.4 교육개발본부 5 지원 6 사건·사고 및 논란 6.1 노동조합 탈퇴 거부자 대기발령 6.2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해임 법정공방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설립 근거[편집]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5] 주요 업무[편집] HACCP 인증(연장)심사 HACCP 조사•평가(정기심사) HACCP 기술지원 HACCP 관련 시험, 연구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식품•축산물 위생 및 HACCP 교육 HACCP 관련 조사,연구 및 통계 식품접객업소 위생등급제 연혁[편집] 구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편집] 2007년 02월 HACCP지원사업단 발족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 2011년 01월 HACCP지원사업단 대전 이전 (대전광역시 중구) 2013년 11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설립허가 2014년 01월 02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개원[6] 2015년 01월 29일 기타공공기관 지정 2017년 02월 13일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과 통합하여 폐지 구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편집] 2006년 10월 19일 사단법인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설립 허가 (농림부) 2008년 06월 22일 법정법인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으로 개편[7][8] 2010년 01월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 2011년 01월 준정부기관으로 지정 2013년 03월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기관으로 이관 2014년 01월 31일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으로 변경 2017년 02월 13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과 통합하여 폐지 통합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편집] 2017년 02월 13일 통합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으로 출범[9] 2018년 02월 01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변경 조직[편집]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장[편집] 이사회 감사 (비상임) 감사팀 기획경영이사[편집] 전략기획본부[편집] 기획예산팀 성과평가팀 정보통계팀 홍보전략팀 경영관리본부[편집] 인력개발팀 경영지원팀 회계관리팀 인증사업이사[편집] 인증심사본부[편집] 가공인증팀 농장사료팀 유통인증팀 기술사업본부[편집] 정책사업팀 기술관리팀 국외실사팀 교육개발본부[편집] HACCP교육팀 위생교육팀 연구분석팀 지원[편집] 서울지원[10] 강릉출장소[11] 경인지원[12] 대전지원[13] 광주지원[14] 제주출장소[15] 대구지원[16] 부산지원[17] 사건·사고 및 논란[편집] 노동조합 탈퇴 거부자 대기발령[편집] 2014년 3월 1일 공공운수노동조합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지부가 설립되었다. 2014년 3월 19일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이 노동조합법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는 자'라는 이유로 공공운수노조 앞으로 공문을 보내 △각 팀장 △기획예산팀 소속 기획예산·전산업무 전담자 △성과평가팀 소속 성과평가업무 전담자 △홍보전략팀 소속기관홍보업무 전담자 등을 노조에서 배제하라고 요구했다. 2014년 6월 26일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이 '팀장 보직자에 대한 노조 탈퇴 요청' 공문을 보내 "우선적으로 본원 팀장 보직자들이 30일까지 노조에서 탈퇴하지 않을 경우 인사상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 2014년 7월 1일 공공운수노동조합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지부(지부장 하승열)에 따르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이 노조탈퇴 불이행을 이유로 정은실 수석부지부장(홍보전략팀장)을 비롯한 4~5급 직원 6명에 대해 자택대기발령 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지부는 "노동조합 탈퇴를 종용하거나 노동조합 가입 및 조합활동을 방해하는 등 단결권을 침해하는 건 부당노동행위"라고 반발했다.[18][19]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해임 법정공방[편집] 2014년 12월 24일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조규담 원장이 해임됐다. 2012년 8월 17일 취임한 조규담 원장의 임기는 2015년 8월 16일까지로, 임기 만료 8개월을 남겨놓고 있었다.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이사회는 10월 국정감사에서 예산 집행 및 심사업무 적정성, 무자격 심사관의 HACCP 인증 심사 등 지적에 대한 책임론과 함께 최근 노조와 계속된 인사 갈등 문제로 도마 위에 오른 점 등을 들어 해임안을 의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규담 전 원장은 2014년 노동조합 가입범위를 문제 삼아 직원들에게 노동조합 탈퇴를 종용하고, 이에 불응한 팀장급 직원 6명을 대기발령시키는 등으로 논란이 됐었다.[20][21] 2014년 12월 31일 조규담 전 원장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H 모 전무이사에 대해서는 공문서를 위조했다는 등의 이유로 수원지방검찰청 안양지청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조규담 전 원장은 "H 전무가 인사, 계약 등 직무수행과정에서 서류를 위ㆍ변조하거나 은폐했다. 인사위원회에서 이뤄진 내용을 허위보고했다"며, "H 전무가 2014년 10월 간부회의에서 직원들에게 '인사운용 잘못'과 '불통' 등 각종 막말로 나를 모욕하고 명예훼손했다"고 주장했다.[22] 2015년 1월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사실을 왜곡해 근거 없이 해임했다"며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해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조규담 전 원장이 낸 원장해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취지는 ▲정승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조규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해임조치 취소 ▲정승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H 전무이사 원장직무대행 지정 취소 ▲정승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축산물인전관리인증원장 신규채용 공모절차 중지 등이다.[23] 같이 보기[편집] 농림축산검역본부 식품안전정보원 축산물품질평가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각주[편집]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조직 안정화 필요《농업축산신문》2017년 4월 5일 이태호 기자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새로운 기관 CI 공개《농축유통신문》2017년 4월 27일 김재광 기자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노동조합 대표와 '첫 소통'《약사공론》2017년 2월 17일 엄태선 기자 ↑ “HACCP 통합기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공식 출범”. 《JTBC》. 2017년 2월 16일. 2019년 4월 4일에 확인함.  ↑ 제1조(목적)이 법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을 설립하여 식품 및 축산물의 안전관리인증과 그와 관련된 종합적인 지원 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국민보건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KIFSMA) 출범…HACCP인증·기술지원《데일리벳》2014년 1월 4일 이학범 기자 ↑ HACCP기준원,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으로 재탄생《데일리벳》2014년 2월 12일 박종영 기자 ↑ HACCP기준원,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으로 새출발《한국농정신문》2014년 2월 9일 권순창 기자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축산물·식품 HACCP 인증제 일원화《서울신문》2017년 2월 23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651 (천호동) 예경빌딩 5층 ↑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7 (지변동) 강릉원주대학교 공동실습실험관 5층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11 (안양동) 경기연성벤쳐센터 9층 ↑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 246(대흥동) 대림빌딩 16층 ↑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로 81 (치평동) 대아빌딩 4층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11길 16 (노형동) ↑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87(신천3동) 대구빌딩 5층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232 (감전동) 사상와이즈빌 3층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팀장은 사측" 노조 탈퇴 안 하자 대기발령《매일노동뉴스》2014년 7월 18일 배혜정 기자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부실업무 식약처 종합감사 나서《식약일보》2014년 11월 19일 서정용 편집국장 ↑ 원장 전격 해임된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업무 공백 우려《식품음료신문》2014년 12월 29일 김현옥 기자 ↑ 조규담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전격 해임《식품저널》2014년 12월 26일 나명옥 기자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장 해임, '법정공방'으로 비화 Archived 2015년 1월 18일 - 웨이백 머신《뉴시스》2014년 1월 7일 강태현 기자 ↑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파열음...'고소'논란《푸드투데이》2015년 1월 6일 황인선 기자 외부 링크[편집]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소비자원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독립기념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재정정보원 교육부 산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장학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금융개발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협력단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승강기안전공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제방송교류재단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시아문화원 한국관광공사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거래소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사회보장정보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시설안전공단 한국철도시설공단 해양수산부 산하 선박안전기술공단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경찰청 산하 도로교통공단 소방청 산하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산림복지진흥원 기상청 산하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특허청 산하 한국특허전략개발원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국가보훈처 인사혁신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본부 소속 처장 차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대한민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위원회 목록)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강릉수입식품검사소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자성대수입식품검사소 신선대수입식품검사소 양산수입식품검사소 신항수입식품검사소 통영수입식품검사소 감천항수입식품검사소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의왕수입식품검사소 광주수입식품검사소 인천국제공항수입식품검사소 평택수입식품검사소 인천항수입식품검사소 용인수입식품검사소 김포수입식품검사소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광양수입식품검사소 군산수입식품검사소 산하 공공기관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소관기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 한국식품산업협회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oldid=23977464" 분류: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공공기관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6일 (토) 16: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韓國食品全情管理認證院, Korea Agency of HACCP Accreditation & Service, KAHAS)은 식품 및 축산물의 안전관리인증과 그와 관련된 종합적인 지원 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국민보건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공공기관이다. 충청북도 청주시 오송생명5로 156에 있다. 2017년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과 통합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지부는 설립이 되어진 연도가 과연 언제일까요? Assistant: 2014년
Human: 아래 미르모_퐁퐁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르모 퐁퐁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르모 퐁퐁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멋대로 요정 미루모데퐁!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르모 퐁퐁퐁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퐁!일본어: わがまま☆フェアリー ミルモでポン! 장르 마법소녀 TV 애니메이션: 미르모 퐁퐁퐁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 제작 TV TOKYO, 소학관 프로덕션 방송사 TV 도쿄 계열 SBS, 챔프TV 씽콩 방영 기간 2002년 4월 6일 ~ 2003년 9월 27일 2005년 7월 25일 ~ 2005년 11월 29일 (SBS) 2006년 7월 17일 ~ (챔프TV) 화수 78화 저작권 표기 ⓒ 篠塚ひろむ/小学館ShoPro・テレビ東京 TV 애니메이션: 미르모 퐁퐁퐁 골든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 제작 TV TOKYO, 소학관 프로덕션 방송사 TV 도쿄 계열 챔프TV 방영 기간 2003년 10월 7일 ~ 2004년 3월 30일 2006년 7월 17일 ~ 화수 24화 저작권 표기 ⓒ 篠塚ひろむ/小学館ShoPro・テレビ東京 TV 애니메이션: 미르모 퐁퐁퐁 원더풀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 제작 TV TOKYO, 소학관 프로덕션 방송사 TV 도쿄 계열 방영 기간 2004년 4월 6일 ~ 2005년 4월 5일 화수 48화 저작권 표기 ⓒ 篠塚ひろむ/小学館ShoPro・テレビ東京 TV 애니메이션: 미르모 퐁퐁퐁 챠밍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 제작 TV TOKYO, 소학관 프로덕션 방송사 TV 도쿄 계열 투니버스 방영 기간 2005년 4월 19일 ~ 2005년 9월 27일 2015년 1월 7일 ~ 화수 22화 저작권 표기 ⓒ 篠塚ひろむ/小学館ShoPro・テレビ東京 TV 애니메이션: 제멋대로요정 미르모 퐁퐁퐁!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 제작 TV TOKYO, 소학관 프로덕션 방송사 TV 도쿄 계열 투니버스 방영 기간 2015년 1월 7일 ~ 방영중 화수 22화 저작권 표기 ⓒ 篠塚ひろむ/小学館ShoPro・テレビ東京 틀 - 토론 《미르모 퐁퐁퐁》(일본어: わがまま☆フェアリー ミルモでポン)은 시노즈카 히로무의 원작만화로 일본의 쇼가쿠칸과 TV 도쿄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목차 1 작품소개 2 줄거리 3 등장인물 3.1 인간 3.2 요정 4 방송 5 에피소드 5.1 미르모 퐁퐁퐁 5.2 미르모 퐁퐁퐁 골든 6 성우출연 6.1 SBS판 6.2 투니버스판 7 녹음제작 8 각주 9 외부 링크 작품소개[편집] 일본 방송 : 2002년 4월 6일 ~ 2005년 9월 27일 총 172화 완결(TV 도쿄)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퐁! : 총 78화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퐁! 골든 : 총 24화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퐁! 원더풀 : 총 48화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퐁! 챠밍 : 총 22화 한국어 더빙판은 SBS에서 2005년 7월 25일부터 2005년 11월 29일까지 매주 월, 화요일 오후 5시에 총 52화가 방영된[1][2]바 있으며, 이후의 나머지 에피소드와 골든 시리즈는 2006년 7월 17일 이후 챔프TV와 애니원, 애니박스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방영된 바 있다. 그러나 역대 시즌 중 원더풀 시리즈는 국내에서 심의가 되지 않아 원더풀 시리즈는 방영되지 못했다. 2015년 1월 7일에는 과거의 수입 및 공급 관계였던 CJ E&M이 "제멋대로 요정! 미르모 퐁퐁퐁"이라는 이름으로 투니버스에서 방영이 다시 재개되었고, 역대 시즌 중 챠밍 시리즈도 같은 시기에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다. 줄거리[편집] 인간과 요정이 같이 살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스토리로 한 만화영화이다. 등장인물[편집] 인간[편집] 채민서(일본명:미나미 카에데, みなみ かえで) 연우진(일본명:유우키 세츠, ゆうき せつ) 도시은(일본명:히다카 아즈미, ひだか あずみ) 신재아(일본명:키도 에츠미, きど えつみ) 송이현(일본명:마츠타케 카오루, まつたけ かおる) 김비서(일본명:히라이, ひらい) 민서 엄마(일본명:카에데 엄마, 楓のママ) 요정[편집] 미르모(일본명:미루모, ミルモ) 아르므(일본명:리루무, リルム) 야초(일본명:야시치, ヤシチ) 무르모(일본명:무루모, ムルモ) 마르모(일본명:마루모, マルモ / 미르모의 아버지, 국왕폐하) 샐리아(일본명:사리아, サリア) 몽가(일본명:몽가, モンガ) 블랙망토단(일본명:와루모단, ワルモ団) 미모모(ミモモ) 세모뱅(일본명:한조, ハンゾー) 가세뱅(일본명:사스케, サスケ) 페타(ぺータ) 맘보(マンボ) 비케(ビケー) 가빈(ガビン) 안나(アンナ) 엔모선생(일본명:엔마, エンマ) 덴타〈치과의사〉(일본명:타인, タイン) 갸아(Gyaa, ギャア) 방송[편집] 한국 : SBS, 챔프TV, 애니원, 애니박스, 투니버스 일본 : TV 도쿄 중국 : 씽콩[3] 에피소드[편집] 미르모 퐁퐁퐁[편집] 총 78화 ※ 대한민국판은 78개 에피소드중에 2개는 승인불가 제1화 : 요정 미르모님 납시요 제2화 : 아르모로부터 마음을 담아 제3화 : 뚜둥 야초 등장이요 제4화 : 민서의 매직 다이어트 제5화 : 미니미니 민서의 대모험 제6화 : 잃어버린 사랑의 마음 제7화 : 다시찾은 사랑의 마음 제8화 : 누가누가 나가나 미르모 VS 무르모 제9화 : 슈퍼황태자 송이현 제10화 : 사랑의 사각전쟁 제11화 : 아바마마 오시다, 어서 가소서 제12화 : 아르므랑 모그랑 제13화 : 손잡이를 찾아라 제14화 : 미르모 학생, 낙제 제15화 : 사악한 블랙망토단 제16화 : 미르모 왕국을 향하여 제17화 : 가이아족의 선물 제18화 : 여름, 바다, 송이현입니다 제19화 : 폭죽과 마법과 할아버지(※ 일본 문화로 인해 방영되지 않았음) 제20화 : 미르모, 꽉 끼었네! 제21화 : 유령의 집에서 생긴 일 제22화 : 야초의 사랑 제23화 : 아르므의 엉터리 카드점 제24화 : 내 이름은 덴타! 입을 벌려라 제25화 : 진짜 사악한 블랙 망토단 제26화 : 미르모 왕국을 구해라 제27화 : 요정 학교로 GOGOGO!! 제28화 : 파이팅! 겹치기 운동회 제29화 : 아르므의 약혼 기념일 제30화 : 찰칵! 미르모 왕국의 극비사진 제31화 : 내 이름은 삿바! 제32화 : 파피는 므르모를 싫어해 제33화 : 안녕 도시은 제34화 : 무모타로의 도깨비 퇴치(※ 일본 문화로 인해 방영되지 않았음) 제35화 : 새로운 스타탄생 제36화 : 긴급수배! 미르모를 체포하라 제37화 : 미르모 VS 메카모 제38화 : 쥐방울의 세가지 선물 제39화 : 이건 또 모다냐 제40화 : 뻐끔뻐끔 명탐정 템즈 제41화 : 또로로와 요정주사위 제42화 : 귤, 외계인, UFO 제43화 : 나여 삿바! 또왔구먼 제44화 : 홈런! 요정 친구들 제45화 : 발렌타인 초콜릿 대소동 제46화 : 요정기자 삼인방, 특종을 잡아라 제47화 : 콜록콜록, 감기 조심하세요 제48화 : 탈출! 요정 낙서장 제49화 : 진짜 사나이 되기 대작전 제50화 : 앙큼이와 시간의 구슬 제51화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제52화 : 움직여라! 미르모 왕국 제53화 : 마라카스 산산조각나다 제54화 : 알쏭달쏭 전학생 강예지 제55화 : 혹시 시은이 동생? 제56화 : 과자같은 이야기 제57화 : 아르므라는 이름의 꽃 제58화 : 미르모와 무르모의 어버이날 제59화 : 전격해체 블랙망토단 제60화 : 무르모는 내 꺼! 제61화 : 위험한 콘서트 제62화 : 삼바와 구리구리 제63화 : 부인, 곰팡이입니다요 제64화 : 하여튼 대단한 마법, 전편 제65화 : 하여튼 대단한 마법, 후편 제66화 : 누가 누구고 누구였지? 제67화 : 비실비실 울보요정 제68화 : 슈퍼 울트라공주 윤단비 제69화 : 소중한 친구 제70화 : 동물원에 완전히 갇혔네 제71화 : 택배 왔습니다 제72화 : 소녀 왔사옵니다 제73화 : 당신 누구요? 제74화 : 도련님 스토리, 팔랑팔랑검의 비밀 제75화 : 비밀기지를 지켜라 제76화 : 가자! 방송국으로 제77화 : 다크가 부활할때 제78화(완결) : 황금요정 미르모 미르모 퐁퐁퐁 골든[편집] 총 24화 제1화 : 방가방가 나는야 미르모 제2화 : 스티커 요정 제3화 : 요정과 친구가 되는 방법 제4화 : 요정 콘서트 제5화 : 대결! 황야의 대경주 제6화 : 야생의 하모니 제7화 : 진짜 미르모는 누구? 제8화 : 최부잣집의 비극 제9화 : 으라차차 어택, 룰루랄라 리시브 제10화 : 요정틱한 시계 제1장 제11화 : 요정틱한 시계 제2장 제12화 : 민서렐라 이야기 제13화 : 결성!키즈 블랙망토단 제14화 : 아르므와 앙크미의 요리솜씨 대결 제15화 : 사랑에 빠진 요정 제16화 : 위기일발! 미모모샵 제17화 : 거물요정 M, 전격약혼?! 제18화 : 수학여행, 온천으로 GO!GO! 제19화 : 예지의 깜짝 데이트 대작전 제20화 : 조각난 우정 제21화 : 수상한 음악제 제22화 : 내 이름은 다크 제23화 : 세상을 구한 멜로디 제24화(완결) : 굿바이 미르모 성우출연[편집] SBS판[편집] 박영희 - 채민서(미나미 카에데) 役 지미애 - 도시은(히다카 아즈미) / 가새뱅(사스케) 役 김영선 - 연우진(유우키 세츠) / 김비서(히라이) / 블랙망토단 2호 / 담임 선생님 役 양석정 - 송이현(마츠타케 카오루) / 블랙망토단 1호 役 김서영 - 미르모(미루모) 役 임은정 - 아르므(리루무) / 민서 엄마 役 양정화 - 무르모(무루모) / 신재아(키도 에츠미) / 블랙망토단 5호 役 박은숙 - 야초(야시치) 役 홍소영 - 세모뱅(한조) / 페타(피터) 役 이장원 - 마르모(마루모) / 블랙망토단 4호 / 덴타(타인) / 팬시점 주인 役 이명선 - 블랙망토단 3호 / 양호 선생님 / 미모모 / 비케 役 정현경 - 파피 役 투니버스판[편집] 김율 - 미르모 役 방연지 - 채민서 役 정혜원 - 아르므 役 김명준 - 연우진 役 김채하 - 파피 役 이명선 - 강예지 役 장민혁 - 고지용 役 박리나 - 무르모 役 권성혁 - 송이현 役 안영미 - 야초 役 여윤미 - 도시은 / 가빈 役 류점희 - 판다 役 유지원 - 이봄 役 김정훈 - 오로이 役 한신 - 담임 선생님 / 블랙망토단 役 여민정 - 신재아 役 이호산 - 김비서 / 블랙망토단 役 김새해 - 가새뱅 / 맘보 / 블랙망토단 役 김현지 - 세모뱅 役 이소은 - 아랑 / 페타 役 임윤선 - 비케 / 블랙망토단 役 최준영 - 요정장로 役 시영준 - 블랙망토단 役 황원 - 마르모 役 녹음제작[편집] 주제가 : 박재석(헐리우드 매너) 노래 : 이정은 타이틀로고 : 강봉균 CG : 이혜영 녹음 : 최정문 종합편집 : 노경남, 양창주 번역 : 안미영 연출 : 권영숙 각주[편집] ↑ 19화와 34화는 방영제외 ↑ 2005년 12월 5일부터 후속으로 "빛의 전사 프리큐어"(매주 월요일 방영)와 "두근두근 비밀친구"(매주 화요일 방영)가 첫방송되는 관계로 일부 에피소드는 방영되지 않은 채 중도 종영되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MVM_YfeINZM 외부 링크[편집] TV 도쿄 미르모 퐁퐁퐁 홈페이지 미르모 퐁퐁퐁 영어 홈페이지 vdeh고단샤 만화상 아동부문2000년대 03 미르모 퐁퐁퐁(시노즈카 히로무) 04 울트라 둔갑술 조 시리즈(미도 가즈히코) 05 슈가슈가룬(안노 모요코) 06 키친의 공주님(고바야시 미유키・안도 나쓰미) 07 천사의 프라이팬(오가와 에쓰시) 08 캐릭캐릭 체인지(PEACH-PIT) 09 명탐정 키요시로 사건노트(하야미네 카오루・에누에 게이) 2010년대 10 이나즈마 일레븐(야부노 텐야) 11 정말 있었다! 영매선생(마츠모토 히로요시) 12 나한테 xx해!(토오야마 에마) 13 동물의 나라(라이쿠 마코토) 14 요괴워치(코니시 노리유키) 고단샤 아동 만화상→고단샤 출판문화상→고단샤 만화상 (소년부문 | 소녀부문 | 일반부문 | 아동부문) vdeh쇼가쿠칸 만화상 아동을위한 부문아동부문1980년대 81 도라에몽 (후지코 후지오) 82 오락실 무법자,안녕하세요 마이컴 (스가야 미츠루) 83 팡 퐁 (타치이리 하루코) 84 근육맨 (유케타마고) 85 아사리짱 (무로야마 마유미) 86 힘내라! 킥커스 (나가이 노리아키) 87 으랏차차 짠돌이네 (노무라 신보) 88 왕괴짜 돈만이 (고바야시 요시노리) 89 《마리 짱》시리즈 (우에하라 키미코) 1990년대 90 달콤한거야! 단고 (Moo. 넨페이) 91 피구왕 통키 (코시타 테츠히로) 92 YAIBA (아오야마 고쇼) 93 원 모어 점프 (아카이시 미치요) 94 나는 남자다! 쿠니오 군 (아나쿠보 코사쿠) 95 여기 벗겨! 미이코 (오노 에리코) 96 미도리의 마키바오 (츠노마루) 97 닌펜 만마루 (이가라시 미키오) 98 엔젤 립 (아라이 쿄코) 99 우주인 타나카 타로 (나가토시 야스나리) 2000년대 00 세기말 리더 전 타케시! (시마부쿠로 미츠토시) 01 푸쿠푸쿠 천연 회람판 (다츠야마 사유리) 02 고로케! (카시모토 마나부) 아동을 위한 부문2000년대 03 미르모 퐁퐁퐁 (시노즈카 히로무) 04 케로로 군조 (요시자키 미네)/위험최강 단거 할아버지 (소야마 카즈토시) 05 두근두근 비밀친구 (마에카와 료) 06 키라링☆레볼루션 (나카하라 안) 07 지우개군 (무라세 노리유키) 08 비밀의 봉오리 (야부우치 유) 09 펭귄의 문제 (나가이 유우지) 2010년대 10 꿈빛 파티시엘 (마츠모토 나츠미) 11 이나즈마 일레븐 (야부노 텐야) 12 괴도 조커 (다카하시 히데야스) 13 절규학급 (이시카와 에미) 14 요괴워치 (코니시 노리유키) 15 거짓말 쟁이! 고쿠오군 (요시모토 마코토) 16 왕따 (이가라시 카오루) 부문 별 전(1955년 ~ 1974년) 소년소녀부문(1975년 ~ 1982년) 소년부문(1983년 ~ 2002년)→소년을위한 부문(2003년 ~ ) 소녀부문(1983년 ~ 2002년)→소녀를위한 부문(2003년 ~ ) 청년일반부문(1975년 ~ 2002년)→일반을위한 부문(2003년 ~ ) 아동부문(1981년 ~ 2002년)→아동을위한 부문(2003년 ~ )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르모_퐁퐁퐁&oldid=24158777" 분류: 2002년 애니메이션2003년 애니메이션2004년 애니메이션2005년 애니메이션TV 도쿄 계열 애니메이션코미디 만화S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대원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투니버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ragonés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rtuguêsไทยTagalog中文文言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6일 (월) 21: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르모 퐁퐁퐁》(일본어: わがまま☆フェアリー ミルモでポン)은 시노즈카 히로무의 원작만화로 일본의 쇼가쿠칸과 TV 도쿄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르모 퐁퐁퐁의 등장인물들 중 블랙망토단의 일본명은 무엇인가? Assistant: 와루모단 Human: 아래 유태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유태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태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태웅 (1972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유태웅兪泰雄Mark Yuu본명 兪太雄출생 1972년 6월 5일(1972-06-05) (47세)직업 배우활동 기간 1993년 ~ 현재종교 천주교(세례명: 마르코)소속사 예스엔터테인먼트 학력 중앙대 대학원 예술학 석사형제자매 형 1명배우자 문채령자녀 슬하 3남 장남 유재동(2005년생)차남 유희동(2006년생)삼남 유재민(2008년생)수상 1997년 MBC 연기대상 신인상 유태웅(兪泰雄, 1972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대표작으로는 TV 드라마 《야인시대》, 《불멸의 이순신》 등이 있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출연작 3.1 드라마 3.2 텔레비전 프로그램 3.3 영화 3.4 연극 3.5 뮤지컬 3.6 라디오 프로그램 4 이외 경력 5 수상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서독(지금의 독일)에서 출생하여 어린 시절에 귀국한 이후 대한민국 서울에서 성장한 그는 서울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중앙대학교 제2캠퍼스(안성) 연극학과를 학사 학위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학과에서 예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SBS 서울방송 시트콤 《오박사네 사람들》에 단역 출연하여 연기자 첫 데뷔를 하였고 이듬해 1994년 MBC 문화방송 23기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1] 신장은 184cm이고 체중은 78kg인 그는 운동과 골프와 스키와 수영과 검도에 취미가 있으며, 카레이싱도 수준급이고 아마추어 복싱 헤비급 신인왕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그는 연기자 김성민(본명 김성택)과 서울 경기고 동창 사이이다. 학력[편집] 경기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연극학과 예술학 석사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1994년 MBC 《천국의 나그네》 1994년 MBC 《아들의 여자》 1994년 MBC 《짝》 - 동재 역 1994년 MBC 《종합병원》 ... 컨닝하다 강대종에게 걸린 의대생 / 성형외과 레지던트 2년차 강만수 역 1995년 MBC 《TV시티》 1996년 SBS 《부자유친》 1996년 MBC 《베스트극장 - 푸른 사과가 있는 국도》 1996년 MBC 《아이싱》 ... 장우 역 1996년 MBC 《가슴을 열어라》 ... 유재석 역 1997년 MBC 《별은 내 가슴에》 ... 준희의 사촌 역 1997년 SBS 《화이트 크리스마스》 1998년 KBS2 《진달래꽃 필 때까지》 1998년 KBS2 《맨발의 청춘》 1998년 KBS2 《전설의 고향 - 살생부》 1998년 SBS 《홍길동》 ... 임성중의 충복 역 1998년 MBC 《베스트극장 - 성난 눈으로 돌아보라》 1999년 KBS1 《일요베스트 - 아파트에 비상 걸렸다》 1999년 KBS1 《일요베스트 - 버그》 1999년 MBC 《아름다운 선택》 1999년 SBS 《맛을 보여드립니다》 ... 진남 역 2000년 KBS2 《사랑의 유람선》 2000년 SBS 《경찰 특공대》 2000년 SBS 《자꾸만 보고싶네》 ... 이현우 역 2001년 KBS2 《동서는 좋겠네》 ... 윤동수 역 2001년 MBC 《연인들》 2001년 MBC 《여우와 솜사탕》 2002년 MBC 《그 햇살이 나에게》 2002년 MBC 《황금마차》 ... 박태호 역 2003년 SBS 《올인》 2003년 SBS 《야인시대》 ... 유지광 역 2004년 KBS1 《불멸의 이순신》 ... 이영남 역 2004년 MBC 《빙점》 ... 조도연 역 2006년 KBS2 《그 여자의 선택》 ... 나영규 역 2006년 SBS 《연개소문》 ... 설인귀 역 2007년 KBS2 《심청의 귀환》 ... 황봉사 역 2007년 KBS2 《드라마시티 - 네 고객의 여자를 탐하지 마라》 ... 규원 역 2007년 KBS2 《드라마시티 - 기억상실증에 걸린 저승사자》 ... 웨딩 매니저 역 2007년 KBS2 《아이 엠 샘》 ... 고동술 역 2007년 SBS 《미워도 좋아》 ... 황준혁 역 2008년 KBS2 《살아가는 동안 후회할 줄 알면서 저지르는 일들》 ... 김영호 역 2008년 SBS 《유리의 성》 ... 이형석 역 2009년 KBS2 《결혼 못하는 남자》 ... 문석환 역 2010년 SBS 《제중원》 ... 김옥균 역 2010년 EBS 《마주보며 웃어》 ... 창권 역 2010년 SBS 《오! 마이 레이디》 ... 김병학 역 2010년 KBS 《전우》 ... 신흥 제3수용소 경비대장 대위 역 2010년 SBS 《아테나: 전쟁의 여신》 ... 박경호 역 2010년 MBC 《역전의 여왕》 ... 구용철 역 2011년 KBS2 《동안미녀》 ... 김준수 역 2013년 KBS2 《TV소설 삼생이》 ... 사기진 역 2013년 MBC 《구암 허준》 ... 김공량 역 2014년 KBS2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 신마적 역 2015년 SBS 《인생추적자 이재구》 2019년 KBS2 《태양의 계절》 ... 박재용 역 텔레비전 프로그램[편집] 2014년 SBS 《오! 마이 베이비》 2014년 KBS2 《위기탈출 넘버원》 영화[편집] 2000년 《이프》 ... 신선우 역 2003년 《튜브》 ... 장 형사 친구 역 (우정출연) 2005년 《B형 남자친구》 ... 경준 역 2006년 《공필두》 ... 강 수사관 역 2010년 《꿈은 이루어진다》 ... 수색중대장 육군 대위 역 2011년 《사물의 비밀》 ... 기자 역 (우정출연) 2013년 《배꼽》 2013년 《야관문: 욕망의 꽃》 ... 오 기자 역 2014년 《백프로》 ... 강프로 역 2017년 《마차 타고 고래고래》 ... 모터사이클남 역 (우정출연) 연극[편집] 1997년 《햄릿》 ... 햄릿 왕자 역(주인공) 뮤지컬[편집] 2000년 《아가씨와 건달들》 라디오 프로그램[편집] 2015년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EBS FM) 이외 경력[편집] 前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기학과 겸임교수(2008년 2월 ~ 2008년 8월) 前 서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겸임교수(2008년 8월 ~ 2009년 2월) 수상[편집] 1997년 MBC 연기대상 신인상 각주[편집] ↑ 유태웅-다음인물정보 외부 링크[편집] 유태웅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유태웅 - EPG 유태웅 - maniadb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유태웅&oldid=24368526" 분류: 197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1993년 데뷔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기계 유씨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창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경기고등학교 동문중앙대학교 동문중앙대학교 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기업인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비디오 자키21세기 대한민국 사람서일대학교 교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5: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유태웅(兪泰雄, 1972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TV 드라마 《야인시대》, 《불멸의 이순신》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유태웅이 강 수사관 역으로 출연한 영화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공필두
Human: 아래 디지몬_어드벤처_V테이머01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01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01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01』은 이자와 히로시 원작에, 야부노 텐야 작화, 혼고 아키요시가 감수를 맡아 월간잡지 V점프에서 1999년 1월호부터 2003년까지 연재한 만화이다. 통칭은 V테이머. 디지몬 어드밴처 V테이머 01 소설 저자 이자와 히로시, 야부노 텐야 출판사 슈에이샤 권수 9권 저작권 ⓒ 혼고 아키요시・V점프 틀 - 토론 목차 1 줄거리 2 개요 3 단행본 4 관련항목 줄거리[편집] 게임기에 프로그램 되어있지 않은 디지몬 브이드라몬을 키운 주인공 야가미 타이치는 홀리엔젤몬 성의 주인 홀리엔젤몬에게 소환되어 폴더 대륙으로 오게 된다. 그곳은 초궁극체의 부활을 꿈꾸는 데몬 때문에 평화를 위협받고 있었다. 데몬의 야망을 쳐부수기 위해서는 대륙에 흩어진 V테이머 태그를 모아야만 한다. 이리하여 타이치와 제로마루의 100%콤비의 모험이 시작되었다. 개요[편집] 디지몬 어드벤처가 시작되기 몇 달 전부터 시작되어 이후 5년 동안 지속된 장기작품이다. 미디어 전개한 디지몬 속에서도 이 작품만의 특징으로 일부 디지몬에게 종족명 이외에 진화해도 변하지 않는 고유명칭을 붙인다던지, 진화퇴화가 빈번한 애니메이션과 달리 기본적으로 한번 진화하면 퇴화하지 않는 등(일부 예외 있음), 디지몬 본래의 설정에 매우 가깝다. 이 작품의 주인공 야가미 타이치는 애니메이션 디지몬 어드벤처의 주인공 야가미 타이치와 이름도 같고 디자인도 같은 동일인물이지만 양쪽은 존재하는 세계가 다른 패럴렐 월드의 인물이다. 이것은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개시시기가 일치했던 탓에 캐릭터디자인을 도에이 애니메이션 스탭과 공동으로 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두 작품에 어떠한 연결점을 둘 예정이었지만 자세한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이 생각대로 잘 되지 않았고, 애니메이션의 속편인 파워디지몬의 주인공 모토미야 다이스케를 등장시키는 번외편을 그리면서 두 세계를 패럴렐 월드로 만드는 대담한 해결책을 두었다. 그 후 단편으로 원더스완 전용 소프트 브레이브 테이머의 주인공 아키야마 료, 디지몬 프론티어의 주인공 칸바라 타쿠야와 함께 싸우게 된다. 처음에는 컬러연재였지만 중반부터 연재표지만 컬러로 연재되게 되었다. 단행본[편집] Disc-1・100%테이머!!(ISBN 4-08-806017-2) Disc-2・또 한 명의 테이머(ISBN 4-08-806019-9) Disc-3・Butter-Fly(ISBN 4-08-806021-0) Disc-4・네오 진격!!(ISBN 4-08-806022-9) Disc-5・전설의 힘 디지멘탈(ISBN 4-08-806024-5) Disc-6・VS오메가몬(ISBN 4-08-806025-3) Disc-7・데몬 성으로(ISBN 4-08-806028-8) Disc-8・이어진 용기(ISBN 4-08-806030-X) Disc-9・성스러운 빛 알포스(ISBN 4-08-806032-6) 관련항목[편집] 디지털 몬스터 디지몬 넥스트 반다이 vdeh디지털 몬스터게임PS2 XBOX PS4 PS Vita 디지몬 월드X 배틀크로니클 어나더 미션 사이버 슬루스 next 0rder PS SS Ver.S 디지몬 월드 2 3 배틀에볼루션 카드배틀 카드배틀 아레나 포켓 리:디지다이즈 NDS GBA WS 디지몬 스토리 선버스트&문라이트 디지몬 챔피언십 로스트 에볼루션 애플리 온라인 게임 디지몬 마스터즈 애니메이션 디지몬 어드벤처(등장인물) 파워 디지몬(등장인물) 디지몬 테이머즈 디지몬 프론티어 디지몬 세이버즈(등장인물) 디지몬 크로스워즈(등장인물) 어플몬스터 만화/소설 V테이머01 소설판 디지몬 어드벤처 디지몬 크로니클 디지몬 넥스트 디지몬 크로스워즈 코믹스 애니메이션OPButter-Fly - 타겟 ~붉은 충격~ - The Biggest Dreamer - FIRE!! - 힘ing! Going! My soul!! - 히라리 - DiVE!!애니메이션EDI wish - Keep On! - 내일은 나의 바람이 불어 - 항상 언제든지 - My Tomorrow - Days -애정과 일상- - 이노센트 ~순수한 그대로~ - an Endless tale - One Star - 유성 - 푸른 불꽃 신드롬삽입곡brave heart - Break up! - Beat Hit - SLASH!! - EVO - One Vision - 친구의 바다 - With The Will - The last Element - Believer - WE ARE 크로스 하트! - 하늘을 나는 용사! ×5 - Evolution & Digixeos - 끓어오르는 힘!영화 주제가작품 No.2 「봄」 가장조 ~우리들의 워게임!~ - 스탠바이미 ~한여름의 모험~ - 프렌드 ~언제까지나 잊지않아~ - Moving on! - 석양의 약속게임 주제가Miracle Maker - 악센티어CD디지몬 어드벤처 싱글 히트 퍼레이드 - 디지몬 어드벤처 베스트 히트 퍼레이드 - 디지몬 어드벤처 02 싱글 히트 퍼레이드 - 디지몬 어드벤처 02 베스트 히트 퍼레이드 - 디지몬 테이머즈 싱글 베스트 퍼레이드 - 디지몬 삽입곡 원더 베스트 에볼루션 - 디지몬 프론티어 베스트 히트 퍼레이드 - 디지몬 세이버즈 베스트힛츠 + 캐릭터 뉴 송즈 - DIGIMON HISTORY 1999-2006 ALL THE BEST - 디지몬 엔딩 베스트 에이머 - DIGIMON MOVIE SONG COLLECTION - DIGIMON SONG BEST OF KOJI WADA - KOJI WADA DIGIMON MEMORIAL BESTSP/OVA 제볼루션 어드벤처 트라이 상품 디지털 몬스터 카드게임 배틀터미널 디지몬 포켓 디지바이스 기타 에피소드 목록 와다 코지 AiM 미야자키 아유미 디지몬 목록 디지털 월드 로열 나이츠 이그드라실 디지몬알 크롬디지조이드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디지몬_어드벤처_V테이머01&oldid=23935860" 분류: 디지털 몬스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9일 (금) 22: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01』은 이자와 히로시 원작에, 야부노 텐야 작화, 혼고 아키요시가 감수를 맡아 월간잡지 V점프에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연재한 만화이다. 통칭은 V테이머.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디지몬 어드벤처 V테이머01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Assistant: 야가미 타이치 Human: 아래 웹_브라우저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웹 브라우저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웹 브라우저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양한 웹 브라우저의 역사를 나타낸 연대표. 아래는 저명한 웹 브라우저의 목록이다. 목차 1 역사 1.1 저명한 브라우저 2 저명한 레이아웃 엔진 3 그래픽 3.1 MSHTML 기반 3.2 게코(GECKO) 기반 3.3 게코 및 MSHTML 기반 3.4 웹키트 및 MSHTML 기반 3.5 게코, MSHTML, 웹키트 기반 3.6 KHTML 기반 3.7 프레스토 기반 3.8 웹키트 기반 3.9 자바 플랫폼 3.10 전문 브라우저 3.10.1 지원 중 3.10.2 단종 3.11 모자이크 기반 3.12 기타 3.13 모바일 4 텍스트 기반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저명한 브라우저[편집] 출시순: 월드와이드웹, 1991 모자이크 1993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1994 인터넷 익스플로러, 1995 오페라, 1996 모질라 내비게이터, 2002 사파리, 2003 모질라 파이어폭스, 2004 구글 크롬, 2008 저명한 레이아웃 엔진[편집] 게코 KHTML 프레스토 태즈먼 MSHTML 웹키트 블링크 서보 그래픽[편집] MSHTML 기반[편집] 360 시큐어 브라우저 AOL 익스플로러 (단종) 벤토 브라우저 (윈앰프 내장)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미디어브라우저 (단종) 메뉴박스 MSN 익스플로러 (단종) 네오플래닛 (단종) 넷캡터 (단종) 리얼플레이어 사이트키오스크 슬림브라우저 텐센트 트래블러 스리티스 브라우저 툼레이더 울트라브라우저 (단종) 웹IE 게코(GECKO) 기반[편집] 모질라 파이어폭스 (이전 이름: 파이어버드, 피닉스) 넷스케이프 브라우저 8 ~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 9 (단종) 에픽 Iceweasel, 데비안 파이어폭스의 리브랜드 GNU 아이스캣, GNU 포크 페일 문 (윈도 전용으로 최적화된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기반) AT&T Pogo (단종, 파이어폭스 기반) Flock (단종) Swiftfox (단종) Swiftweasel (단종) xB 브라우저 (단종) 파이어폭스 포 모바일 스카이파이어 (모바일) 카미노 (OS X) 컨커러 키보드 구동 브라우저 모질라 애플리케이션 스위트 (단종) 시몽키 Iceape 데비안 시몽키 리브랜드 Classilla 그누질라 GNU 포크 넷스케이프 (단종) Beonex 커뮤니케이터 야후! 브라우저 Galeon, GNOME의 옛 기본 브라우저 (단종) K-Meleon - 윈도 K-Ninja 윈도 (단종) K-MeleonCCF ME MicroB (마에모) Minimo (모바일, 단종) 게코 및 MSHTML 기반[편집] K-Meleon (IE 탭 확장 포함) 모질라 파이어폭스 (IE 탭 확장 포함) 넷스케이프 브라우저 8 (단종) 웹키트 및 MSHTML 기반[편집] 바이두 브라우저 Maxthon (MyIE2) Sleipnir 게코, MSHTML, 웹키트 기반[편집] 아방트 브라우저 루나스케이프 KHTML 기반[편집] 컨커러 컨커러 임베디드 프레스토 기반[편집] 인터넷 채널 (위 콘솔, 오페라 기반) 닌텐도 DS 브라우저 (오페라 기반) 오페라 웹키트 기반[편집] 아마존 킨들 (실험적) 아로라 (단종) BOLT 브라우저 (단종) 크로미엄 구글 크롬 오페라 스윙 브라우저 Amigo 토치 브라우저 코모도 드래건 QIP 서프 Nichrome SRWare Iron RockMelt Uran 브라우저 Yandex 브라우저 돌핀 브라우저 (안드로이드, 바다) Dooble Flock (단종) iCab Iris 브라우저 컨커러 맥스톤 (버전 3.0 이상) 미도리 닌텐도 3DS 넷프론트 브라우저 NX 옴니웹 OWB QupZilla Rekonq 사파리 Shiira 스틸 (안드로이드) 스팀 인게임 브라우저 티샤크 울트라라이트 (안드로이드) Uzbl 웹 웹 브라우저 포 S60 웹OS 웹포지티브(WebPositive) xombrero 자바 플랫폼[편집] 비트스트림 선더호크 BOLT 브라우저 (단종) 핫자바 (단종) 오페라 미니 uZard Web UCWEB HtmlUnit (GUI 없음) 전문 브라우저[편집] 지원 중[편집] 골룸 브라우저 Image Xplorer Kirix Strata 미로 송버드 스페이스타임 Wyzo 잭 브라우저(Zac) 에픽 브라우저 단종[편집] 고스트질라 프로디지 클래식 Flock 록멜트 모자이크 기반[편집] AMosaic IBM Web익스플로러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넷 in a Box Mosaic-CK 넷스케이프 Spyglass Mosaic VMS Mosaic 기타[편집] Abaco Amaya 아라크네 (도스용) 아레나 AMSD Ariadna (러시아 최초의 웹 브라우저, 단종) AWeb (아미가OS) 바이두 모바일 브라우저 코모도 드래건 웹 브라우저 Charon Dillo (다중 플랫폼) DR 웹스파이더 (도스용, 단종) EmBrowser (도스용, 단종) Gazelle IBrowse (아미가OS) Mothra NetPositive (BeOS) 넷서프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플래닛웹 브라우저 (단종) Qihoo 360 모바일 브라우저 피닉스 tkWWW 보이저 (아미가OS) 모바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모바일 브라우저입니다. 텍스트 기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텍스트 기반 웹 브라우저입니다. Alynx ELinks (링크의 활성화 버전)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Net-Tamer w3m WebbIE 외부 링크[편집] Adrian Roselli, evolt.org Browser Archive (2004). List and archive of many current and obsolete web browsers. Daniel R. Tobias, Brand-X Browsers (2002). Michael Bernadi, DOS Applications for Internet Use (2006). vdeh웹 브라우저 비교 가벼운 웹 브라우저 역사 목록 유닉스용 연표 시장 점유율 기능 광고 차단 증강 브라우징 북마크 북마크릿 라이브 북마크 스마트 북마크 브라우저 확장 브라우저 보안 브라우저 동기화 비교 쿠키 다운로드 관리자 파비콘 증분 검색 플러그인 프라이버시 모드 탭 유니버설 편집 버튼 웹 표준 Acid 테스트 종속형 시트 HTML HTML5 자바스크립트 MathML OCSP SVG WebGL XHTML 관련 주제 BrowserChoice.eu CRL HTTP HTTPS iLoo 인터넷 스위트 맨 인 더 브라우저 모바일 웹 오프라인 리더 PAC Pwn2Own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사이트 특화 브라우저 SPDY SSL/TLS 웹소켓 위젯 월드 와이드 웹 WPAD XML 데스크톱블링크 기반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드래곤 오페라 슬레이프니르 슬림젯 SR웨어 아이언 UC 브라우저 비발디 얀덱스 브라우저 Sputnik 세이프존 네이버 웨일 게코 기반 AT&T 포고* 아방트 카미노* 모질라 파이어폭스 Conkeror GNU 아이스캣 아이스드래곤 스위프트폭스* Swiftweasel* 텐포폭스 팀버울프 토르 브라우저 워터폭스 XB 브라우저* Galeon* Ghostzilla* K-멜레온 가제하카세* Kirix Strata 로터스 심포니* 루나스케이프 모질라* Beonex Communicator* Classilla 넷스케이프* 시몽키 트라이던트 기반 AOL 익스플로러* 아방트 딥넷 익스플로러* 그린브라우저 인터넷 익스플로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디어브라우저* 메뉴박스 네오플래닛* 넷캡터* 슬림브라우저 스페이스타임 울트라브라우저* 웹IE ZAC 브라우저 웹킷 기반 Arora* 아방트 Dooble 에픽 플로크* 플루이드 아이캡 캉커러 루나스케이프 맥스톤 미도리 옴니웹 Origyn Web Browser* Otter Browser QtWeb QupZilla rekonq 사파리 시이라* 슬림보트 surf Torch 유즈블 웹 웹포지티브 xombrero 텍스트 기반 ELinks Emacs/W3* 라인 모드 브라우저* 링크 링크스 W3m 기타 abaco 어마야* 아라크네* 아레나* 카론 딜로 eww Gazelle 핫자바* IBM 홈 페이지 리더* 아이브라우즈* KidZui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모자이크* Mothra* 넷포지티브* 넷서프 페일 문 모바일블링크 기반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크로미엄 브레이브 크롬 오페라 모바일 실크 게코 기반 파이어폭스 모바일 MicroB* 미니모* 프레스토 기반 오페라 미니 삼지창 기반 맥스톤 웹킷 기반 BOLT 돌핀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포 iOS 맥스톤 머큐리 브라우저 S60용 웹 브라우저 Rockmelt 사파리 스틸 기타 블레이저 CM 브라우저 딥피시* ibisBrowser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캉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넷프론트 노키아 Xpress* Skweezer* 스카이파이어* 티샤크* 선더호크 UC 브라우저 비전 WinWAP 스무즈 Wire 브라우저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콘솔게코 기반 Kylo 프레스토 기반 인터넷 채널 웹킷 기반 구글 TV 닌텐도 3DS 인터넷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 넷프론트 스팀 오버레이 Wii U 인터넷 브라우저 기타 MSN TV* 별표(*)로 된 부분은 더 이상 개발 중이 아닌 소프트웨어를 의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웹_브라우저_목록&oldid=22398034" 분류: 웹 브라우저소프트웨어 목록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Suom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മലയാളംNederlandsPolskiPortuguêsසිංහලSlovenčina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5일 (토) 10: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저명한 웹 브라우저의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의 이름은? Assistant: 게코
Human: 아래 마_(장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 (장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 (장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장기 기물 궁(將) 궁(장) 대기물(大棋物) 차 포 마 상 소기물(小棋物) 사 졸·병 낱장기 유형 대삼능(大三能) 소삼능(小三能) 차삼능(車三能) 차이능(車二能) 마(馬)는 장기에 사용되는 기물 중 하나이다. 시작할때 양측이 각각 2개의 기물을 가지고 시작한다. 차(車), 포(包), 상(象)과 함께 대기물(大棋物)에 속한다. 기물 점수는 5점이다 목차 1 초기 배치 2 기물의 이동 2.1 예외 3 마의 가치 4 샹치와의 차이점 5 관련 용어 6 각주 초기 배치[편집] 장기#장기판 차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마의 초기 배치는 각 판차림에 따라 초기에 배치하는 위치가 달라진다. 초의 입장에서 볼 때 각 차림에 따른 마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차림 그림 왼마 오른마 왼상차림 03 08 오른상차림 02 07 안상차림 02 08 바깥상차림 03 07 만약 한과 초가 모두 왼상차림일 경우 마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위의 그림에서 각 마의 초기 위치에 따른 명칭은 다음과 같다. 13 & 03의 마 : 왼마 18 & 08의 마 : 오른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쓰이는 기동차 차림을 할 경우, 마의 배치가 안상차림과 동일하게 된다. 기물의 이동[편집] 마의 기본적인 행마법은 다음과 같다. 상하 또는 좌우로 한칸을 간 후에 같은 방향쪽으로 대각선으로 한칸 이동한다. 예외[편집] 만약 보기와 같이 장애물이 마를 막고 있을 경우, 예외가 생기게 된다. 현재 병이 있는 자리를 멱이라고 하는데, 멱이란 기물의 이동이 막혀있는 길(길목)으로 순 우리말 장기 용어이다. 이곳에 기물이 있을 경우 마는 그쪽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다. 보통 초심자들이 멱을 잘 모르고 장기를 둘때가 있는데, 멱도 모르고 장기를 둔다는 뜻인 멱부지(멱不知)라는 격언이 있다. 마의 가치[편집] 점수제 방식의 대국에서는 각 기물의 점수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다. 궁(장) 차 포 마 상 사 졸·병 기물의 점수 ∞ 13 7 5 3 3 2 다른 장기 기물과 비교를 하였을 때, 점수를 보면 마는 5점이다. 초반에 포의 다리를 놓아 주는 역할을 하며, 흔히 마불변행(馬不邊行)이라 하여, 대부분 마가 변으로 가면 잡히기 쉬워져 좋지 않게 된다. 점수제에서 포가 비록 마보다 점수가 높으나, 종반전 이후로 기물이 몇 개 남지 않았을 경우, 포의 움직임이 상당히 한정되기 때문에 마가 포보다 더 활용가치가 있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누가 다루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마는 비록 5점이지만 오히려 3점인 상보다도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샹치와의 차이점[편집] 마는 유일하게 한국식 장기와 샹치에서 행마법이 완전히 같은 기물이다. 관련 용어[편집] 곁마 : 궁성에서 처음 궁이 놓인 위치의 양 옆자리에 마를 배치시킨 형태.[1] 고등마 : 궁성의 귀마가 정 중앙에 있는 졸(병) 앞으로 진출한 형태.[1] 귀마 포진 : 초반에 마 하나만을 궁성의 한쪽 귀에 배치시키는 포진으로 장기인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대표적인 포진이다.[2] 원앙마 포진 : 궁성 앞 정면에 마가 진출하여 마끼리 서로 연결되어 원앙형태로 진형을 갖추는 포진으로 부부 금술이 좋기로 유명한 원앙새를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양귀마 포진 : 궁성의 양쪽 귀에 양마를 배치시킨 후 정중앙의 졸을 한 칸 올려 진형을 갖추는 포진.[2] 각주[편집] ↑ 가 나 "장기용어 - 행마용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대한장기협회 공식 홈페이지 ↑ 가 나 다 "장기용어 - 포진용어" Archived 2015년 8월 12일 - 웨이백 머신, 대한장기협회 공식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_(장기)&oldid=24196632" 분류: 장기의 기물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馬)는 장기에 사용되는 기물 중 하나이다. 시작할 때 양측이 각각 2개의 기물을 가지고 시작한다. 차(車), 포(包), 상(象)과 함께 대기물(大棋物)에 속한다. 기물 점수는 5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장기의 점수제 방식 대국에서 기물들은 어떤 가치를 가질까? Assistant: 궁(장) 차 포 마 상 사 졸·병 기물의 점수 ∞ 13 7 5 3 3 2 Human: 아래 하이스쿨_러브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이스쿨 러브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이스쿨 러브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이스쿨 러브온 장르 판타지 로맨스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지상파) 방송 기간 2014년 7월 11일 ~ 2014년 12월 19일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밤 8:55 ~ 10:00 방송 분량 1시간 5분 방송 횟수 20부작 추가 채널 KBS 조이, KBS W, KBS 키즈, TrendE, 디즈니 채널 (유료방송)KBS 월드 (해외위성) 기획 KBS 시사교양본부 프로듀서 성준해 제작자 유병술, 최욱, 라재욱 연출 성준해, 이은미 조연출 박상현, 이지희 작가 이재연 출연자 남우현, 김새론, 이성열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하이스쿨 러브온 홈페이지 《하이스쿨 러브온》은 2014년 7월 11일부터 2014년 12월 19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금요 드라마이다.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주요 인물 2.2 2학년 3반 학우들 2.3 교사들 2.4 주변 인물 2.5 특별출연 3 제작진 4 결방 사유 5 시청률 6 각주 7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위기에 빠진 남학생을 구하려다 인간이 되어버린 천사와 순수 열혈 청춘들이 펼쳐가는 좌충우돌 사랑과 성장 이야기를 담은 판타지 성장 로맨스 드라마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남우현 : 신우현 역 김새론 : 이슬비 역 이성열 : 황성열 역 최수린 : 안지혜 역 정재순 : 공말숙 역 조연우 : 황우진 역 2학년 3반 학우들[편집] 신현탁 : 강기수 역 김영재 : 최재석 역 김민영 : 나영은 역 해령 : 이예나 역 김수연 : 이다율 역 김민석 : 박병욱 역 백승헌 : 양태호 역 정유민 : 김주아 역 창재 : 이석훈 역 이시후 : 고천식 역 송지호 : 서요한 역 교사들[편집] 김광식 : 음악교사 김광식 역 한수연 : 최소진 역 미상 : 박한길 역 이준혁 : 하동근 역 이창주 : 선배천사 역 파비앙 : 필립 역 주변 인물[편집] 백은경 : 이유정 역 강성아 : 한정민 역 미상 : 김윤희 역 미상 : 박형사 역 미상 : 전 학교 우현 담임 역 특별출연[편집] 최성국 : 인간천사 역 초아 : 김진영 역 김예분 : 진영 엄마 역 제작진[편집] 연출 - 성준해, 서주완, 이지희, 박상현 극본 - 이재연 보조작가 - 김윤정, 한자혜 제작총괄 - 오경민, 장사인 결방 사유[편집] 2014년 7월 25일 : K리그 올스타 전 중계 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9월 5일 : 2014 프로야구 두산 : LG 중계 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9월 19일 : 인천 아시안 게임 개막식 중계 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4년 11월 21일 : 제51회 대종상 영화제 생중계 방송으로 인한 결방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4년 회차 방송일 부제 (서브 타이틀) AGB 시청률[1] 대한민국(전국) 시청률 추이 제1회 7월 11일 운명? 거부할 수 없는 날벼락! 3.6% - 제2회 7월 18일 인연? 도무지 알 수 없는 우연! 3.2% 0.4%▼ 제3회 8월 1일 설렘? 귀를 막아도 더 크게 울리는 떨림! 3.1% 0.1%▼ 제4회 8월 8일 걸음마. 사랑을 익힐 때 처음 다가가는 한 발짝 3.1% - 제5회 8월 15일 선긋기? 넘어오라고 긋는 경계선! 3.4% 0.3%▲ 제6회 8월 22일 고백? 언제나 어긋나는 타이밍! 2.5% 0.9%▼ 제7회 8월 29일 의심? 아닐 거라 믿고 싶은 마음! 3.0% 0.5%▲ 제8회 9월 12일 후회? 못해준 것만 남는 기억! 3.3% 0.3%▲ 제9회 9월 26일 위로? 너의 슬픔 전부 내가 가졌으면 하는 바람! 3.6% 0.3%▲ 제10회 10월 3일 짝사랑? 오늘은 외면해야지 다짐하는 주문! 2.9% 0.7%▼ 제11회 10월 10일 비밀? 무거울수록 떠오르는 진실! 3.7% 0.8%▲ 제12회 10월 17일 부탁? 들어줄 수 없어 가슴 아픈 말! 2.9% 0.8%▼ 제13회 10월 24일 선택? 너 하나 지키고 모든 걸 버리는 아픔! 3.6% 0.7%▲ 제14회 10월 31일 그리움? 모든 순간 어느 곳이든 만나지는 너! 3.2% 0.4%▼ 제15회 11월 7일 상처? 너에게 주고 내가 더 아픈 시간! 3.5% 0.3%▲ 제16회 11월 14일 진심? 너를 위해 들키고 싶지 않은 마음! 2.8% 0.7%▼ 제17회 11월 28일 사랑? 미처 전하지 못한 말, 사랑해! 3.0% 0.2%▲ 제18회 12월 5일 우정? 넌 또 다른 나! 2.5% 0.5%▼ 제19회 12월 12일 이별? 다시 만나기 위한 헤어짐! 2.3% 0.2%▼ 제20회 12월 19일 운명? 너와 나 심장의 거리 한 뼘! (최종회) 3.0% 0.7%▲ 각주[편집]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하이스쿨 러브 온 공식사이트 한국방송공사 금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신설 하이스쿨 러브온(2014년 7월 11일 ~ 2014년 12월 19일) 스파이(2015년 1월 9일 ~ 2015년 3월 6일)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수목드라마 (《저스티스》)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아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썸바이벌 1+1》 《살림하는 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vdehKBS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1TV 일일연속극(《여름아 부탁해》) 2TV 일일연속극(《태양의 계절》) 월화 미니시리즈(《퍼퓸》) 수목 미니시리즈(《저스티스》) 주말연속극(《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드라마 스페셜† 특집드라마 (1TV  · 2TV)† 해외걸작드라마† 과거1TV 걸작선 농촌드라마 대하드라마 웹드라마 스페셜 인간극장 UHD 명품역사관 2TV 2TV 일일연속사극 TV 소설 결혼 이야기 금요극장 금요드라마 금토드라마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드라마시티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시트콤 아침드라마 어린이 드라마 일요아침드라마 정글피쉬 정글피쉬 2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테마 드라마 해외 특별기획 드라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이스쿨_러브온&oldid=24501433" 분류: 2014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금요드라마천사를 소재로 한 작품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대한민국의 학교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Bahasa MelayuPolskiPortuguês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2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이스쿨 러브온》은 2014년 7월 11일부터 2014년 12월 19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금요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회차로 12월19일에 방송된 서브 타이틀은 무엇인가? Assistant: 운명? 너와 나 심장의 거리 한 뼘! (최종회)
Human: 아래 정승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승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승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승화鄭昇和 대한민국의 대한체육회 이사장 임기 1967년 2월 24일 ~ 1968년 3월 16일 대통령 박정희 총리 정일권 장관 홍종철 (공보부 장관) 차관 이춘성 (공보부 차관) 이석제 (총무처 처장) 대한민국의 제22대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임기 1979년 2월 1일 ~ 1979년 12월 12일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 최규하 장관 노재현 (국방부 장관) 차관 박찬긍 (국방부 차관) 육참차장 이희성 (육군참모차장) 전임 이세호 후임 이희성 신상정보 출생일 1929년 2월 27일 출생지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김천군 봉산면 사망일 2002년 6월 12일 (73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본관 연일 정씨 학력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정당 무소속 배우자 신유경 자녀 슬하 3남 1녀 별명 호 송산(松山)·벽옹(碧翁) 종교 유교(성리학) → 불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 군사 경력 군복무 대한민국 국군 복무기간 1948년-1979년 소속 육군 최종계급 대장(大將) 지휘 제1야전군사령부제3군단육군사관학교육군종합행정학교 근무 육군 제3보병사단 육군본부국가재건최고회의 참전 한국 전쟁베트남 전쟁12·12 군사반란 저항 작전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한국 전쟁 무렵 백골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고 제22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호(號)는 송산(松山), 벽옹(碧翁)이다. 12.12 쿠데타 이후 신군부 세력에 의해 김재규의 암살사건에 연루되어 보충역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후에 문민정부에 와서 무죄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목차 1 생애 1.1 생애 초반 1.2 군인 생 1.2.1 6.25 전쟁과 5.16 군사 정변 1.2.2 대한체육회 관련 활동 1.2.3 육군종합행정학교 교장과 육군사관학교 교장 1.2.4 10.26 사태 전후 1.3 생애 후반 1.3.1 강제 예편 1.3.2 생애 후반 1.4 사후 2 저작 2.1 저서 3 연보 4 학력 5 군적 박탈 처분 6 상훈 7 가족 관계 8 함께 보기 9 평가와 비판 10 정승화를 연기한 배우들 11 관련 서적 12 각주 13 참고 자료 14 외부 링크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정승화는 1929년 2월 27일에 경상북도 김천에서 태어났다. 그의 19대조 정종소는 성균관 사성을 역임했으나 단종 복위 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낙향하였다. 그 뒤 18대조 정이교 사헌부 장령과 홍문관의 교리를 역임했지만 무오사화로 화를 당하자 정이교의 처와 자식들은 외가인 김천으로 가서 은거하였고 이후 김천에서 정착생활을 했다. 1947년에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에 5기생으로 입학하여 1948년 4월 졸업와 동시에 소위로 임관하였다. 군인 생[편집] 6.25 전쟁과 5.16 군사 정변[편집] 이후 대한민국 국군이 출범하면서 육군 소위가 되었고, 고속승진 후 대위가 되었다.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백골부대 대대장으로 낙동강 전투와 기계, 경주군 안강 전투, 형산강 도하 작전에 지휘관으로 출전했다. 이어 육군 제3보병사단 작전참모로 재직 중 1953년 휴전을 맞이하였다. 1961년 5월 5.16 군사 정변 때는 육군 본부 예하 방첩부대장(현재의 명칭은 기무사령관)을 역임하고, 현역 대령 계급으로써 육군 2군단 작전참모를 거쳐 육군 2군단 작전과 과장으로 재직 중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1] 의 한 사람에 임명, 겸임되었다. 그해 8월 11일 최고위원의 한 일원 시절, 드디어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1] 1962년 2군단 작전과장에서 다시 방첩부대장으로 전임되었다. 1962년 7월 30일에는 북한에서 월남한 월남귀순자 원호심사위원회 심사위원을 겸임하였다. 1963년 11월에는 야당으로부터 군 부재자 투표 당시 선거과정을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1월 21일 민주당 이춘기 선거사무장은 정승화 방첩대장이 차규헌(車圭憲) 육본 정보처장과 함께 제2군단방첩대와 대전지구방첩대에서 병사들의 선거 무관심을 유도했다는 의혹이었다.[2] 이어 이춘기 사무장은 그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하도록 지령을 내렸다며 그가 내린 지령 일부를 입수하여 폭로하였다.[3] “ 각 부대에서는 이미 지시한 대로 선거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사병들은 여전히 선거에 무관심하다. 따라서 군의 본래의 시간 외에 교육시키는 것을 지양하고 우수한 사병을 선발해서 침투공작으로 성과를 절대 거양하는 방법을 쓰라. 선거법을 무시하고 중대별로 투표소를 정해 투표를 시키되 선발된 사병의 지시에 의해서 투표하게 하도록 한다.[3] ” 그러나 민주당 등 야당 측의 공격에서 그는 별다른 제한이나 제약을 받지 않았다. 이후 육군 보병 제7사단 참모장 등을 지내고 국방부 인사국 부국장, 1군단 참모장, 육군 제7사단 부사단장, 1965년 육군 제1군단 부군단장, 육군본부 특전감, 육군 제3군단 참모장, 육군 제3군단 부군단장, 1966년 11월 소장으로 진급, 1966년 12월 육군 제7사단장, 1967년 1월 국방부 인사국장이 되었다. 대한체육회 관련 활동[편집] 1967년 2월 초에는 베트남 전쟁 파병 군인들의 부재자투표 선거관리단장이 되어 선거절차관리위원에 선정된 군인들을 대동하고 베트남에 다녀왔으며, 그해 2월 24일 대한체육회 이사에 선출되었다. 8월에는 문교부 체육심의위원에 위촉되어 겸임하였다. 1967년 11월에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제22차 국제군인체육대회(CISM) 연차 총회에 대한민국 국군측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고 12월 16일에 귀국하였다. 1968년 2월 17일에는 비상조치로 전 장병의 전역 보류 정책을 기안하여 상신시켰다.[4] 이로써 그 무렵 전역 예정된 장병들의 전역은 2~4개월 이상 연장되었다. 3월 4일 대한체육회 이사에 재선임되고 3월 16일에는 육본 인사국장으로 대한체육회 해외파견, 초청심의위원회 위원을 겸임했다. 육군종합행정학교 교장과 육군사관학교 교장[편집] 이후 1968년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차장으로 8월 19일 육군종합행정학교 창설위원회 위원장을 겸하였고, 1968년 10월 16일 육군 종합행정학교 교장이 되었다. 1970년 1군사령부 참모장을 거쳐 그해 7월 육군본부 기획참모부장, 8월 육본 정책기획부장이 되어 8월 29일 영국, 프랑스, 벨기에, 터키, 서독, 스웨덴을 방문하였으며, 유럽 순방 중 9월 초 다시 육본 기획참모부장이 되어 9월 6일 서종철 육군참모총장을 수행하여 벨기에 카스토의 유럽주둔 연합군 최고사령부(SHAPE)를 방문 앤드류 J. 굿페스터 사령관을 면담하고 귀국했다. 1972년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부장, 1973년 3월 6일 육군 중장으로 특진하여 이후 육군 제3군단 군단장 등을 등을 두루 역임하고 1975년 9월부터 1977년 12월까지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77년 12월 육군 제1군사령부 사령관, 1979년 2월 1일에 제22대 육군참모총장으로 승진했다. 10.26 사태 전후[편집] 그러나 그는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된 10.26 사태 때에 그 장소인 궁정동 안가 '가'동에 있었으며(피살장소는 '나'동이었음), 이러한 사실이 육군 보안사령부 사령관 전두환이 쿠데타를 일으키는 명목이 되었다. 10월 27일 새벽 4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비상계엄이 선포되었고, (계엄사령관 정승화) 국무총리 최규하가 대통령 직무대행이 되었다.[5] 10월 27일 새벽 4시부로 계엄사령관이 되어 김재규 체포 작전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정승화는 심증만 있고 확실한 증거를 잡지 못해 김재규를 쉽게 체포하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정승화는 불리한 입장에 서 있었지만 야당 인사들과 손잡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는 야당 인사들의 진정성을 의심하였다. 11월 28일 이후 대권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정승화는 언론사 간부들을 세 차례나 육군본부로 초대하여 차기 대권을 둘러싸고 국민의 관심이 쏠린 세 사람을 극렬하게 비난했다. 즉 김대중은 사상이 의심스럽고, 김영삼은 무능력하며, 김종필은 너무 부패했다는 말이다.[6][7] 이것은 당시 군부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이런 소신을 가졌던 정승화는 결국 야당 인사들에게 어떠한 협력, 인정도 거부하였다. 전두환이나 노태우에게 저항하기 위해서라도 야당에 참여하라는 어느 후배, 동료들의 권고도 냉정하게 잘라버렸다. 생애 후반[편집] 강제 예편[편집] 1979년 12.12 사태 당시 전두환의 부하 허삼수 등에게 연행되고, 육군참모총장직이 박탈됨과 동시에 육군 보안사령부 서빙고 분실에서 당시 육군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소장 등과 함께 고문을 받은 그는 국방부 군법회의 재판에 회부되어 첫 공판에서 내란방조미수죄로 징역 10년형을 선고받았다. 재판 직후 보충역 육군 이등병으로 강제 예편되었고 곧이어 국방부 장관의 형량 확인 과정에서 징역 7년형으로 감형되었다. 군 교도소에서 복역하다 1980년 6월 10일 형집행정지로 석방되었으며, 집행유예형이 내려졌지만 81년 3월 전두환 대통령 취임기념 특사로 사면, 복권되었다가 1988년 군적이 회복되었다. 생애 후반[편집] 이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 전격적으로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통일민주당 상임고문으로 김영삼 후보를 지지하였다. 하지만 1988년 4월 25일을 기하여 정계 은퇴 이후 사실상 정치에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 1993년에는 전두환과 노태우를 내란 성향 반란 주범으로, 김계원 前 타이완 주재 대사와 김진기 예비역 육군 준장을 간접 도의성 책임 회피 관련 종범으로 모두 김영삼 정부에 고발하고자 장태완, 이건영 등과 함께 작은 모임을 가진 바 있다. 1997년 "김재규 내란기도 방조미수혐의"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 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과 자유민주연합 행정특임고문을 역임하기도 했다. 1999년부터는 당뇨와 고혈압 등 각종 질환으로 고생하였고, 만년에는 파킨슨병을 앓기도 했다.[8] 2002년에 병세가 악화되어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했다가 그해 6월 12일 사망했다. 사후[편집] 셋째 아들 정이열은 그의 생전에 육사 38기로 졸업하고 육군본부 등에서 근무하였다. 정승화는 사후 2002년 6월 육군장으로 장례식을 치른 뒤 대전 현충원에 안장되었다.[9] 저작[편집] 저서[편집] 《대한민국 군인 정승화》 《12.12사건 정승화는 말한다》 연보[편집]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백골부대 대대장 1952년 육군 제3사단 작전참모 1956년 육군 제22사단 69연대장 1961년 육군 준장 승진 1961년 ~ 1962년 육군 제2군사령부 작전처장 겸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1962년 ~ 1964년 육군 방첩부대장 1964년 ~ 1967년 육군 보병 제7사단 참모장 1967년 육군 소장 승진 1967년 ~ 1968년 국방부 인사국장 1968년 ~ 1969년 육군종합행정학교 학교장 1969년 ~ 1970년 육군 제1군사령부 참모장 1970년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국장 1970년 육군본부 정책기획부장 1970년 ~ 1973년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국장 1972년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국장 재직 당시 육군 중장 승진 1973년 ~ 1975년 육군 제3군단 군단장 1975년 9월 ~ 1977년 12월 제24대 육군사관학교 학교장 1977년 ~ 1978년 육군 제1군사령관 1978년 육군 대장 승진 1979년 2월 ~ 1979년 12월 제22대 육군참모총장 1979년 12월 육군 대장 강제 예편, 보충역 이등병 1981년 3월, 사면 복권, 그러나 군적은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음. 1987년 11월 ~ 1988년 4월 통일민주당 상임고문 1993년 군적을 완전히 회복 1997년 "김재규 내란기도 방조미수혐의"에 관하여 무죄를 선고받아 명예 회복 학력[편집] 1941년 봉계공립보통학교 졸업 1947년 광신상업학교 졸업 1948년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5기 졸업 1949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50년 육군공병학교 졸업 1951년 육군기갑학교 졸업 1952년 육군포병학교 졸업 1954년 육군대학교 졸업 1956년 국방대학교 1기 행정학 학사 1961년 국민대학교 정치학 학사 1965년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군적 박탈 처분[편집] 1980년 3월 군법회의에서 내란지도방조죄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고 보충역 이등병으로 강등, 군적을 박탈되었다.[10] 정승화는 80년 6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된 데 이어 1981년 3월 2일을 기하여 사면복권되었다.[10] 그는 자신의 군적 박탈 처분을 철회해 줄 것을 여러 번 요청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군적 박탈은 철회되지 않다가 1988년 6월 30일을 기하여 예비역 육군 대장 계급을 되찾았고 1993년 5월 31일을 기하여 예비역 육군 대장 군적을 사실상 완전히 회복하였다.[11] 상훈[편집] 1등 보국훈장 통일장 가족 관계[편집] 배우자 : 신유경 (申有慶, 1925년 ~ ) 장남 : 정이달 (1953년 ~ ) 차남 : 정이석 (1955년 ~ ) 3남 : 정이열 (1958년 ~ ) 장녀 : 정이윤 (1965년 ~ 1989년) 함께 보기[편집] 10·26 사태 12·12 군사 정변 김계원 김재규 전두환 노태우 장태완 김오랑 정병주 최규하 정부 제4공화국 평가와 비판[편집] 전략전술에 뛰어난 지장이라는 평가가 있다. 정승화를 연기한 배우들[편집] 정승현 - 1995년 (제4공화국) MBC 드라마 최병학 - 1995년 (코리아 게이트) SBS 드라마 하대경 - 1998년 (삼김시대) SBS 드라마 박인환 - 2005년 (제5공화국) MBC 드라마 정종준 - 2005년 (그때 그사람들) 영화 관련 서적[편집] 정승화, 《대한민국 군인 정승화》(휴먼앤북스, 2002) 김진국, 《WWW.한국현대사.COM》 (민연, 2000) 정승화, 《12.12사건 정승화는 말한다》 (도서출판 까치, 1987) 각주[편집] ↑ 가 나 "육군 장성급 대폭진급", 동아일보 1961년 08월 11일자 1면, 정치면 ↑ "군의 부재자투표 미끼로 부정선거를 기도", 동아일보 1963년 11월 21일자 1면, 정치면 ↑ 가 나 "우수한 사병 선발", 경향신문 1963년 11월 21일자 1면, 정치면 ↑ "전장병 제대 보류", 동아일보 1968년 02월 07일자 1면, 정치면 ↑ 서중석, 《한국현대사 60년》 (역사비평사, 2007) 159페이지 ↑ 강원룡, 《역사의 언덕에서 4》 134-135페이지 ↑ 이도성, 《남산의 부장들(3)》 (동아일보사, 1993) 131~132쪽 ↑ [명복을 빕니다] 정승화 前 육군참모총장…한국현대사 희생양 동아일보 2002.06.13 ↑ 정승화 前육군참모총장 별세 파이낸셜뉴스 2002.06.13 ↑ 가 나 '한국 현대사 悲運의 주인공' 정승화 前 육군참모총장 한국경제 2002.06.13 ↑ 계급강등 장성, 정부 31명 복권 중앙일보 1988.06.30 참고 자료[편집] [깨진 링크([http://web.archive.org/web/*/http://www.dnc.go.kr/_prog/_board/?mode=V&no=33366&code=merit&site_dvs_cd=kr&menu_dvs_cd=0208&s_post_dvs_cd=&skey=wrt&sval=%EC%A0%95%EC%8A%B9%ED%99%94&GotoPage= 과거 내용 찾기)] 국립대전현충원 공훈록 : 육군대장 정승화] 외부 링크[편집] 전임김재춘 제13대 육군방첩부대장1962년 7월 12일 ~ 1964년 1월 8일 후임박영석 전임이세호 제22대 육군참모총장1979년 2월 1일 ~ 1979년 12월 12일 후임이희성 전임이소동 제14대 1야전군사령관1977년 12월 ~ 1979년 2월 1일 후임김학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승화&oldid=24387696" 분류: 대한민국 육군 대장1929년 태어남2002년 죽음연일 정씨김천시 출신병사한 사람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대한민국의 학자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대한민국 제4공화국최규하 정부대한민국 제5공화국대한민국의 고문 피해자대한민국의 테러 피해자불교 이탈자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관련자쿠데타로 축출된 지도자봉계초등학교 동문광신정보산업고등학교 동문육군사관학교 동문육군보병학교 동문육군기갑학교 동문육군기계화학교 동문육군공병학교 동문육군포병학교 동문육군대학교 동문국민대학교 동문국방대학교 동문국방대학원 동문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저술가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통일민주당 당원자유민주연합 당원유죄 확정 판결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11: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승화(鄭昇和, 1929년 2월 27일 ~ 2002년 6월 12일)는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의 정치인이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할 무렵에는 육군 제3사단(백골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고 훗날 제22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호(號)는 벽송(碧松)이다.12.12 쿠데타 이후 하나회를 비롯한 신군부 세력에 의해 당시 전직 중앙정보부 부장을 지냈었던 김재규가 자행한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보충역 이등병으로 예편되었다가 훗날 YS 문민 정부 시대에 와서 무죄 판결을 받고 복권되었다.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승화는 1987년이후 어떤삶을 살다가 생을 마감하였을까? Assistant: 이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 전격적으로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통일민주당 상임고문으로 김영삼 후보를 지지하였다. 하지만 1988년 4월 25일을 기하여 정계 은퇴 이후 사실상 정치에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 1993년에는 전두환과 노태우를 내란 성향 반란 주범으로, 김계원 前 타이완 주재 대사와 김진기 예비역 육군 준장을 간접 도의성 책임 회피 관련 종범으로 모두 김영삼 정부에 고발하고자 장태완, 이건영 등과 함께 작은 모임을 가진 바 있다. 1997년 "김재규 내란기도 방조미수혐의"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받았다. 그 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과 자유민주연합 행정특임고문을 역임하기도 했다. 1999년부터는 당뇨와 고혈압 등 각종 질환으로 고생하였고, 만년에는 파킨슨병을 앓기도 했다.[8] 2002년에 병세가 악화되어 서울 신촌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했다가 그해 6월 12일 사망했다. Human: 아래 정성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성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성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야구 선수에 대해서는 정성룡 (야구 선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정성룡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Jung Sung-Ryong출생일 1985년 1월 4일(1985-01-04) (34세)출생지 경기도 광주시키 187cm포지션 골키퍼클럽 정보현 소속팀 가와사키 프론탈레등번호 1청소년 클럽 기록2000-2002 서귀포고등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3-20072008-20102011-20152016- 포항 스틸러스 성남 일화 천마 수원 삼성 블루윙즈 가와사키 프론탈레 029 0(0)086 0(0)150 0(0)0970(0)국가대표팀 기록‡20052006-200820122008-2016 대한민국 U-20대한민국 U-23대한민국 U-23 (WC)대한민국 005 0(0)018 0(1)007 0(0)067 0(0)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축구 올림픽 동 2012 런던 축구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7년 3월 2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6년 9월 1일 기준이다. 정성룡 (鄭成龍, 1985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골키퍼이며 현재 J1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에 소속되어 있다. 목차 1 선수 생활 1.1 유스 경력 1.2 클럽 경력 1.2.1 포항 스틸러스 1.2.2 성남 일화 1.2.3 수원 삼성 1.2.4 가와사키 프론탈레 1.3 국가대표 경력 2 출신 학교 3 기록 3.1 클럽 4 수상 5 기타 6 각주 7 외부 링크 선수 생활[편집] 유스 경력[편집] 광주초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해 서귀포중학교를 거쳐 서귀포고등학교를 졸업했다.[1] 클럽 경력[편집] 포항 스틸러스[편집] 2003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했으나, 3년 동안 1군 경기에 뛰지 못했다. 2006년 4월 22일 경남 FC와의 리그 원정경기(0:1, 포항 승)에서 데뷔했고 그 해 리그에서 15경기를 뛰며 경기 출전 횟수를 늘리기 시작하였다. 2007년 K리그 우승과 FA컵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성남 일화[편집] 2008년 2월 상무에 입대한 김용대의 공백을 메울 대체자로 찬사를 받으며 성남 일화 천마로 이적하였다.[2] 이후 팀의 2009 K리그 준우승에 기여했다. 시즌 막판 상무에서 김용대가 성남으로 복귀하여 잠시 동안 주전 경쟁을 벌였다. 2009년 11월 22일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K리그 챔피언십에서는 연장 후반 14분 김용대가 김정우와 교체되어 들어왔고, 정성룡은 필드 플레이어로 뛰었다.[3] 2010 시즌을 앞두고 김용대가 FC 서울로 이적함으로써 주전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수원 삼성[편집] 2011년 1월 28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정성룡의 이적을 공식 발표하였다.[4]울산과의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선방으로 울산의 득점을 저지했으나, 승부차기에서는 3골이나 내주며 승부차기에서 패배하였다. 그러나 그는 2012년 시즌 자신의 진가를 발휘하였다.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는 안정적인 경기력으로 단 1골도 내주지 않았으며, 포항 스틸러스전에서는 방어율 0.269대를 기록하며 최소 실점을 기록함으로써 팀이 선두로 올라가는데 많은 역할을 하였다. 또한 그 역시 선수 생활 최초로 MVP를 수상하는 결과를 누리게 되었다. 2013 시즌 11월 10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경기에서 이명주의 로빙슛을 잡아내다가 손에서 튕겨 나오며 골문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실책성 플레이를 연출하였고, 이 골이 빌미가 되어 2:1로 패배하여 국가대표에서 김승규에게 주전 자리를 위협받는 원인이 되었다. 2014 시즌에서는 지난 시즌의 부진을 씻겠다는 각오로 임하였고, 그 결과 예전의 기량을 되찾으며 34경기 출전 33실점, 평균 0.97실점을 기록하여 팀이 준우승을 차지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가와사키 프론탈레[편집] 2015년 8월 6일 4주 간의 기초군사훈련을 위해 훈련소에 입소하였다. 시즌 후 J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로 1년 계약을 체결하여 이적하였다.[5] 정성룡은 산프레체 히로시마와의 경기에서 1-0, 클린시트로 경기를 끝내 성공적인 데뷔를 했다. 2017년 시즌을 앞두고, 팀의 부주장이 되었다. 또, 가와사키는 정성룡과 1년 재계약을 했다. 2017년 2월 22일,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친정팀 수원 삼성을 만나 1-1 무승부를 기록한다. 2018시즌 J리그 베스트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2년 런던 올림픽 축구 8강전에서 대한민국과 영국과의 경기에서 두 번째 페널티킥을 얻은 영국의 애런 램지의 슛을 막고 있다.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지만 본선 경기에서 기용되지는 않았고, 2008년 1월 30일 칠레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하였다. 2007년 AFC 아시안컵 이후 이운재의 음주 파동에 의한 대표 정지로 인해 다시 기회를 받게 되어 김영광, 김용대와 주전 골키퍼 경쟁을 벌였지만, 징계가 끝난 이후 이운재가 복귀하여 다시 벤치에 머물러야 했다. 2008년 7월 27일, 수원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의 U-23 대표팀 친선 경기에서 전반 40분 골킥으로 역대 대한민국 공식 국제 경기 사상 최장거리 골(85m)을 기록하여[6], 역대 대한민국 공식 국제경기에서 골을 넣은 최초의 골키퍼가 되었다.[7]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이운재를 벤치로 밀어 내고 그를 대신하여 주전으로 출장하였다. 조별 리그 및 16강전 총 4경기에 선발로 풀타임 출전하여 8골을 실점하였다. 하지만, 많은 선방을 보여 주며 이케르 카시야스가 1위에 오르기까지는 잠시 골키퍼 순위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16강 우루과이전에서의 판단미스로 인한 첫 번째 골의 헌납, 순발력과 판단력에 아쉬움을 보여주었다. 월드컵이 끝난 후 이운재가 태극 마크를 반납했고, 조광래 감독 체제에서 붙박이 국가대표 주전 골키퍼로 등극하였다.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 주어 팀을 3위에 올려놓았다. 하지만 조광래 감독이 레바논전의 부진으로 전격 경질되자, 새로 부임한 최강희 감독 체제에서 처음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평가전에서는 김영광에게 주전 자리를 내줘야 했다. 하지만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인 쿠웨이트전에서는 몇차례 괜찮은 선방을 보여주었고 이것을 기반으로 팀은 이동국과 이근호의 연속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하였다. 2012년 6월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의 2012년 하계 올림픽 최종 명단에 와일드 카드로 이름을 올렸다. 8강 영국전 전반전에서는 에런 램지에게 페널티킥을 2연속 상대하였다.[8] 그 날 후반전에서 리처즈와 충돌하여 부상을 당해 이범영으로 교체되었다. 그로 인하여 4강 브라질전에는 결장하였다. 그러나 동메달 결정전인 일본전에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과 동시에 군면제를 받았다. 2013년 11월 19일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 자빌 스타디움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친선경기에서 골키퍼로써 치명적인 실수를 범하여 한국이 패하는데 기여하였다. 러시아와 국내 언론의 질타를 받았다. 러시아 언론 스포르트 익스프레스는 정성룡에게 가장 낮은 평점 5점을 부여했다. 스포르트 익스프레스는 "한국 골키퍼 정성룡의 잘못된 위치 선정 덕분에 러시아가 쉽게 골을 넣었다"라고 혹평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도 최종 엔트리로 선발되어 출전했다. 그러나 H조 2차전인 알제리와의 일전에서 기대 이하의 경기력을 보여주며 4점을 허용하는 실책을 범했고, 이로 인해 3차전이었던 벨기에전에서는 교체되어 김승규가 대신 출전했다. 2014년 12월 22일 발표된 2015 AFC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9] 그러나 그는 한번도 이번 아시안컵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김진현이 주전 자리를 꿰찼다. 또한 쿠웨이트와의 조별 예선 경기에서도 김승규에 밀려 출전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5년 10월 13일 자메이카와의 홈 평가전에서 선발출전하였다. 오프사이드에도 불구하고 공을 쳐내는 집중력을 보여주었지만, 불안한 경기력은 감추지 못하였다. 그래도 무실점으로 막아내 3-0 승리를 하였다. 그리고 2016년 6월에 하는 스페인, 체코와의 유럽원정 평가전 명단에 김진현과 함께 이름을 올렸고 스페인전에서 김진현이 선발출전하였지만 김진현이 6실점을 하여 1-6 대패하자 체코전에 선발출전 하였다. 전반전에는 무실점으로 막아냈으나, 후반 1분에 굴절된 중거리 슛에 실점하였다. 그러나 체코의 실점 위험한 슈팅을 두 번이나 막아내면서 2-1 승리로 2016년 6월 유럽 원정 평가전 중 한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다. 출신 학교[편집] 광주초등학교 졸업 (1991~1997) 서귀포중학교 졸업 (1997~2000) 서귀포고등학교 졸업 (2000~2003) 호남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기록[편집] 클럽[편집] 2016년 2월 20일 기준 클럽 시즌 리그 국내 컵 리그 컵 대륙 대회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실점 득점 포항 스틸러스 2003 0 0 0 0 - - 0 0 2004 0 0 0 0 0 0 - 0 0 2005 0 0 0 0 0 0 - 0 0 2006 15 0 1 0 11 0 - 27 0 2007 14 0 3 0 2 0 - 19 0 성남 일화 천마 2008 27 0 2 0 7 0 - 36 0 2009 29 0 2 0 7 0 - 38 0 2010 30 0 3 0 0 0 15[10] 0 48 0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1 30 0 5 0 1 0 10 0 46 0 2012 33 0 2 0 - - 35 0 2013 34 0 2 0 - 5 0 41 0 2014 34 0 1 0 - - 35 0 2015 22 0 0 0 - 0 0 0 0 가와사키 프론탈레 2016 30 0 0 0 0 0 - 0 0 통산 268 0 21 0 28 0 30 0 325 0 수상[편집] 포항 스틸러스 K리그 : 우승 (2007) FA컵 : 준우승 (2007) 성남 일화 천마 K리그 : 준우승 (2009) AFC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0) 수원 삼성 블루윙즈 K리그 클래식 : 준우승 (2014, 2015) 가와사키 프론탈레 J1리그 : 우승 (2017, 2018) 후지 제록스 슈퍼컵 : 우승 (2019) 대한민국 올림픽 축구 : 동메달 (2012)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우승 (2008) AFC 아시안컵 : 준우승 (2015), 3위 (2011) 개인 AFC 아시안컵 베스트 팀 : 2011 J리그 베스트 11 : 2018 기타[편집] 2008년 12월, 미스코리아 출신 임미정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다.[11] 각주[편집] ↑ “2010 WC 프로필(13) 정성룡”. 뉴시스. 2010년 5월 17일.  ↑ “FA GK 정성룡, 성남으로 이적”. 스포탈코리아. 2008년 2월 29일.  }} ↑ “성남 GK 김용대-정성룡 동반 출전 진풍경, 승부차기 승리 합작”. 마이데일리. 2009년 11월 22일.  ↑ “정성룡 수원 이적, 5년 계약 체결”.  ↑ 수원 삼성 골키퍼 정성룡, 일본 J리그 가와사키 이적 - 인터풋볼 ↑ 이 기록은 기네스북에 올랐지만, 2012년 1월 5일 에버턴 FC의 골키퍼 팀 하워드가 볼턴 원더러스 FC와의 경기에서 93m 거리에 득점을 하며 기록은 깨졌다. ↑ “GK 정성룡 '85m 골'‥비공인 역대 최장거리골”. 스포탈코리아. 2008년 7월 27일.  ↑ 첫 번째는 동점 골을 허용하였고, 심판의 편파 판정으로 허용한 두 번째는 선방하였다. ↑ 김동찬, 장재은 (2014년 12월 22일). “이정협 깜짝 발탁…슈틸리케호 아시안컵 명단 확정”. 연합뉴스.  ↑ FIFA 클럽 월드컵 2010 3경기 포함 ↑ “대표팀 GK 정성룡, 모델 임미정과 백년가약”. 쿠키뉴스. 2008년 12월 20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정성룡 정성룡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수원 삼성 블루윙즈 홈페이지 정성룡 소개 정성룡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정성룡 싸이월드 미니홈피 정성룡 트위터 정성룡 인스타그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가와사키 프론탈레 – 현재 명단 1 정성룡 2 노보리자토 3 나라 4 이와가 5 다니구치 6 다사카 7 구루마야 8 H. 아베 9 모리모토 10 오시마 11 고바야시 13 미요시 14 K. 나카무라 (주장) 16 하세가와 17 다케오카 18 엘시뇨 19 모리야 20 지넨 21 에두아르도 네토 22 하이네르 23 에두아르도 24 안도 25 가노 26 타비나스 제퍼슨 27 오쓰카 28 이타쿠라 29 피츠제럴드 30 아라이 31 포프 윌리엄 32 다나카 41 이에나가 감독: 가자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1 차기석 2 박희철 3 안태은 4 이요한 5 정인환 6 김진규 7 백승민 8 백지훈 9 오장은 10 박주영 11 이근호 12 정성룡 13 신형민 14 박종진 15 황규환 16 심우연 17 이승현 18 김승용 19 신영록 20 이강진 21 김대호 감독: 박성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아시안 게임 1 김영광 2 조원희 3 김진규 4 김동진 5 김치우 6 이호 7 백지훈 8 김두현 9 정조국 10 이천수 (주장) 11 최성국 12 김치곤 13 정인환 14 이종민 15 오범석 16 오장은 17 김동현 18 박주영 19 염기훈 20 정성룡 감독: 페르베이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7년 AFC 아시안컵 3위 1 이운재 (주장) 2 송종국 3 김진규 4 김동진 6 이호 7 최성국 8 김두현 9 조재진 10 이천수 11 이근호 12 이동국 13 김치곤 14 김상식 15 김치우 16 오범석 17 김정우 18 우성용 19 염기훈 20 손대호 21 김용대 22 강민수 23 정성룡 27 오장은 감독: 페르베이크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하계 올림픽 1 정성룡 2 신광훈 3 김동진 4 강민수 5 김창수 6 김진규 (주장) 7 오장은 8 김정우 9 신영록 10 박주영 11 이청용 12 기성용 13 김승용 14 백지훈 15 김근환 16 조영철 17 이근호 18 송유걸 감독: 박성화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이운재 2 오범석 3 김형일 4 조용형 5 김남일 6 김보경 7 박지성 (주장) 8 김정우 9 안정환 10 박주영 11 이승렬 12 이영표 13 김재성 14 이정수 15 김동진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정성룡 19 염기훈 20 이동국 21 김영광 22 차두리 23 강민수 감독: 허정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1 정성룡 2 최효진 3 황재원 4 조용형 5 곽태휘 6 이용래 7 박지성 (주장) 8 윤빛가람 9 유병수 10 지동원 11 손흥민 12 이영표 13 구자철 14 이정수 15 홍정호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김보경 19 염기훈 20 김신욱 21 김용대 22 차두리 23 김진현 감독: 조광래 vdeh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1 정성룡 2 오재석 3 윤석영 4 김영권 5 김기희 6 기성용 7 김보경 8 백성동 9 지동원 10 박주영 11 남태희 12 황석호 13 구자철 (주장) 14 김창수 15 박종우 16 정우영 17 김현성 18 이범영 감독: 홍명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1 {{{p1}}} 감독: 홍명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정성룡 2 김창수 3 윤석영 4 곽태휘 5 김영권 6 황석호 7 김보경 8 하대성 9 손흥민 10 박주영 11 이근호 12 이용 13 구자철 (주장) 14 한국영 15 박종우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김신욱 19 지동원 20 홍정호 21 김승규 22 박주호 23 이범영 감독: 홍명보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5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1 정성룡 2 김창수 3 김진수 4 김주영 5 곽태휘 6 박주호 7 손흥민 8 김민우 9 조영철 10 남태희 11 이근호 12 한교원 13 구자철 14 한국영 15 이명주 16 기성용 (주장) 17 이청용 18 이정협 19 김영권 20 장현수 21 김승규 22 차두리 23 김진현 감독: 슈틸리케 vdeh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1948 1952 1956 1964 1968 1972 1976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금메달 진종오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남자 50m 권총) 기보배 이성진 최현주 (양궁 여자 단체) 김재범 (유도 남자 -81kg급) 김장미 (사격 여자 25m 권총) 송대남 (유도 남자 -90kg급) 김지연 (펜싱 여자 사브르 개인) 기보배 (양궁 여자 개인) 오진혁 (양궁 남자 개인) 구본길 김정환 오은석 원우영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 양학선 (체조 남자 도마) 김현우 (레슬링 그레코로만 -66kg급) 황경선 (태권도 여자 -67kg급) 은메달 박태환 (수영 남자 200m 자유형 남자 400m 자유형) 신아람 정효정 최은숙 최인정 (펜싱 여자 에페 단체) 김종현 (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 최영래 (사격 남자 50m 권총) 오상은 유승민 주세혁 (탁구 남자 단체) 이대훈 (태권도 남자 -58kg급) 한순철 (복싱 남자 라이트급) 김민재 동메달 김법민 오진혁 임동현 (양궁 남자 단체) 조준호 (유도 남자 -66kg급) 최병철 (펜싱 남자 플뢰레 개인) 정진선 (펜싱 남자 에페 개인) 남현희 오하나 전희숙 정길옥 (펜싱 여자 플뢰레 단체) 이용대 정재성 (배드민턴 남자 복식) 구자철 기성용 김기희 김보경 김영권 김창수 김현성 남태희 박종우 박주영 백성동 오재석 윤석영 이범영 정성룡 정우영 지동원 황석호 (축구 남자) 장미란 (역도 여자 +75kg급) 13 8 7 종합 5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성룡&oldid=24309292" 분류: 198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축구 선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선수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J1리그의 축구 선수200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2007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5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광주시 (경기도) 출신서귀포고등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축구 골키퍼득점 기록이 있는 골키퍼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Malagasy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09: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성룡 (鄭成龍, 1985년 1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일본 J1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골키퍼로 활약하고 있으며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성룡이 2011년에 이적한 팀은 어디입니까? Assistant: 수원 삼성 블루윙즈
Human: 아래 태풍_셀마_(1987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태풍 셀마 (1987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풍 셀마 (198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8705 셀마 (THELMA) 초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태풍 셀마, 최성기의 모습 (7월 11일) 발생일 1987년 7월 9일 소멸일 1987년 7월 16일 최저 기압 911hPa 최대 풍속(10분 평균) 50m/s (100kt) 최대 풍속(1분 평균) 65m/s (130kt) 최대 크기(직경) 1850km 인명 피해(사망·실종) 345명 재산 피해(억원) - 태풍 셀마(태풍번호 8705, JTWC 지정 번호 05W, 국제명 THELMA)는 1987년의 첫 번째 “Super Typhoon”으로서, 강력한 세력으로 고흥 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에 매우 큰 피해를 냈다. 한반도에 상륙한 7월의 태풍 중에서는 가장 강하다고 평가되는 태풍이다. 그해 부산대학교 정원수 가로수 미리내계곡의 대형목들 전체의60%대 다수의 큰나무들은 넘어가고 절단되었다. 목차 1 태풍의 진행 2 특징 3 기록 4 피해 4.1 대응 4.2 피해 상황 5 그 외 6 관련 통계 7 함께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태풍의 진행[편집] 태풍 셀마의 경로 태풍 셀마의 기원이 되는 열대저기압은 7월 7일 오전 9시에 괌 섬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느린 속도로 북상하였는데, 초기의 발달은 느려 좀처럼 태풍으로 격상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진행 방향을 서쪽으로 바꾸어 7월 8일 오후 9시경에 괌 섬의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해상을 통과한 뒤에는 약간 빠르게 진행하면서 본격적으로 발달을 시작해, 마침내 7월 9일 오후 3시에는 제5호 태풍 셀마로 인정되었다. 이후 급속히 발달한 태풍은 7월 10일 오전 9시, 발생 초기 990hPa 이었던 중심기압이 975hPa 로 감소하였고, 이어서 7월 11일 오후 9시에는 64hPa 만큼의 기압이 더 낮아진 중심기압 911hPa 을 기록하여 최성기를 맞았다. 최대풍속은 50m/s (100kt), JTWC의 해석으로는 1분 평균 최대풍속 65m/s (130kt) 였다. 당초, 7월 10일 즈음해서 전향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었던 태풍이었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서진을 계속하여 7월 12일 오전 9시에는 필리핀 루손 섬의 동쪽 약 550km 부근 해상에 이르렀다. 태풍이 전향을 시작한 것은 바로 이 시점으로, 진행 방향은 거의 90도에 가깝게 꺾여, 태풍은 북쪽으로 나아갔다. 7월 14일 오전 9시경에는 일본 오키나와현의 미야코 섬의 서부를 통과, 섬의 기상 관청에서는 최저해면기압 952.2hPa 과 최대순간풍속 43.3m/s 를 관측했다. 당시 이 태풍의 세력은 중심기압 950hPa / 최대풍속 40m/s 로, 전향을 시작한 7월 12일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약화되는 추세에 있었기 때문에 쇠약기에 접어드는 듯했으나 북위 26도를 넘으면서 재발달하여, 7월 14일 오후 9시에는 북위 27.4도의 꽤 높은 위도에서 중심기압 940hPa 로 강화되었다. 이윽고 7월 15일 오전 3시, 진행 방향을 북북동으로 선회한 태풍 셀마는 7월 14일의 재발달에 힘입어 강력한 위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를 향해 빠르게 북상했다. 7월 15일 오후 3시에는 중심기압 955hPa / 최대풍속 40m/s 의 세력으로 제주도 서귀포 남쪽 약 150km 부근 해상까지 접근하였으며, 약 45km/h 의 매우 빠른 이동속도로 제주도 동부 지역을 스쳐 지나간 뒤 같은 날 오후 10시경, 고흥 반도에 상륙했다. 이때의 세력은 중심기압 970hPa / 최대풍속 40m/s 의 강도 “강”이었다. 이후에는 순천, 추풍령, 상주, 강릉순으로 한반도 내륙을 관통하여, 7월 16일 오전 6시경에는 동해상으로 빠져나갔고, 이내 동해 북부 먼 바다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특징[편집] 태풍 셀마의 일차적인 특징은 매우 넓었던 영향 범위이다. 발생 초기부터 “대형”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최성기를 맞았던 7월 11일 중에는 영향 범위의 기준이 되는 강풍역 (풍속 15m/s 이상의 강풍 범위) 의 직경이 한때 1850km 에 달하였다. 태풍의 크기 분류 중에서 가장 높은 단계인 “초대형”의 조건을 충족한 것이다. 이로 인해 당시 태풍의 서쪽에 위치했던 필리핀의 루손 섬에서는 태풍 중심과의 거리가 500km 를 넘고 있었음에도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높은 파도와 폭우에 의해 20여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북상하여 한반도 상륙을 수 시간 앞두었던 7월 15일 오후의 무렵에는 태풍의 쇠약과 함께 그 영향 범위도 꽤 축소되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대형”의 규모는 잃지 않은 채, 한반도에는 남동쪽 반경 550km, 북서쪽 반경 450km 만큼의 강풍역을 가진 “대형의 강한 태풍”으로서 상륙했다. 한반도 전역은 물론, 일본의 큐슈 지방까지 이르는 폭넓은 지역이 이 영향권 내에 들어갔다. 게다가 태풍이 고흥 반도를 거쳐 한반도를 남서에서 북동으로 종단하는 경로를 밟았기 때문에, 태풍 경로의 오른쪽, 즉 위험반원에 놓여 있던 전라도 동부, 경상도, 강원도 일대에는 매우 강한 바람이 불었으며, 남부 지방에서는 기록적인 풍속이 잇달아, 여수 40.3m/s, 통영 39.6m/s, 부산 39.5m/s 등의 최대순간풍속을 관측했다. 태풍의 중심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었던 일본의 큐슈 지방에도 이에 못지않은 최대순간풍속 30~40m/s 의 폭풍이 몰아쳤다. 이와 같이 위험반원의 바람이 강했던 원인으로는, 태풍의 진행 속도가 약 45km/h 로 상당히 빨라 바람의 힘을 강렬하게 만들었던 것과 태풍이 고위도까지 북상했음에도 세력이 크게 약화되지 않았던 것[1] 등이 꼽히고 있다. 다만, 태풍의 빠른 이동속도는 위험반원의 바람 세기를 증대시켰던 반면에 가항반원의 바람을 약해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강수량은,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7월 15일 ~ 16일 사이에 강원도 영동 지방과 남부 해안가 지역을 중심으로 산청 296.5mm, 강릉 270.6mm, 남해 265.5mm 등을 관측, 여러 지점에서 200mm 이상을 기록했다. 이 강수량은, 1990년대 이후 태풍 글래디스, 태풍 재니스, 태풍 루사와 같은 큰 비를 수반한 태풍이 한반도에 잇달아 내습했기 때문에 현재의 기준에서는 그렇게 많은 강수량이 아니지만, 당시로서는 기록적인 것이었다. 강수량의 90% 이상은 태풍 전면에 분포된 강력한 강수대에 의한 것이었는데, 태풍이 빠르게 진행하여 비교적 단 시간 만에 한반도를 빠져나감에 따라 이 강수대의 영향을 받는 시간은 그렇게 길지 않았다. 따라서 전체적인 강수 시간 역시 줄어들게 되었으나, 태풍이 내륙에 머물렀던 약 7시간 동안에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쏟아져, 다른 의미로 더 위험하다고 할 수 있는 결과가 되었다. 한편, 태풍 셀마의 상륙 시 세력 (중심기압 970hPa / 최대풍속 40m/s) 은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 이보다 강한 풍속으로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은 2014년 현재, 2003년의 태풍 매미 밖에 없다.[2] 기록[편집] 최대순간풍속 (상위 6지점) 여수 40.3m/s 통영 39.6m/s 부산 39.5m/s 진주 36.4m/s 울진 34.2m/s 마산 32.8m/s 최대풍속 (상위 6지점) 울진 27.8m/s 군산 26.7m/s 통영 26.7m/s 부산 25.7m/s 마산 25.3m/s 여수 25.0m/s 최저해면기압 (상위 6지점) 서귀포 961.5hPa 제주 966.3hPa 완도 970.5hPa 여수 971.8hPa 광주 975.7hPa 목포 976.8hPa 일최다강수량 (상위 8지점) 산청 287.3mm 남해 264.5mm 고흥 216.8mm 합천 213.5mm 진주 188.3mm 추풍령 187.8mm 거창 184.1mm 강릉 173.5mm 광주 166.7mm 기간강수량 (7월 15일 ~ 7월 16일, 상위 8지점) 산청 296.5mm 강릉 270.6mm 남해 265.5mm 대관령 249.2mm 합천 221.5mm 고흥 218.8mm 추풍령 218.1mm 거창 199.6mm 1시간 최다강수량 (상위 6지점) 고흥 61.5mm 강릉 60.0mm 산청 53.0mm 남해 53.0mm 대관령 43.4mm 피해[편집] 대응[편집] 태풍 셀마는 대한민국 기상청에 큰 오점을 안겨준 대표적인 태풍이다. 한반도에 상륙하기 하루 전인 7월 14일, 기상청은 태풍이 일본의 큐슈 지방으로 향할 것으로 판단하여 한반도에는 간접적인 영향만을 끼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7월 15일, 태풍은 기상청의 예상과 달리 한반도에 상륙할 듯한 기세로 계속 북상했으며, 같은 날 다른 국가에서는 태풍의 한반도 상륙을 내다보고 있었다. 반면에 기상청은 14일의 예상 진로에서 조금 변경되었을 뿐인 태풍의 대한해협 통과를 예상, 한반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기상청의 예보대로 태풍이 한반도를 비켜가리라 생각했던 사람들이 대다수로, 태풍에 대한 대비는 그야말로 취약하기 그지없었다. 결국, 345명에 달하는 사망·실종자와 10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특히 사망·실종자 345명 중에서 절반 가까이가 태풍의 한반도 상륙 사실을 모른 채 피항을 하지 않았던 선박들의 침몰·좌초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진로 예측 실패가 피해를 키우는데 기여했음이 분명했지만,[3]기상청은 실수를 덮고자 태풍이 이미 한반도를 관통하여 동해로 진출했음에도 “태풍 셀마는 대한해협을 지나 동해로 빠져나갔다”고 태풍의 이동 경로를 조작하여 발표했다.[4] 이 사실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것은 후일 기상청이 잘못을 시인하면서였다.[5] 피해 상황[편집] 인명 피해[6] 사망·실종 345명 이재민 10만여 명 재산 피해[6] 6천억여 원 (2002년 화폐가치 기준) 그 외[편집] 1987년에는 중심기압을 기준으로 태풍의 강도를 분류했다. 그래서 한반도 상륙 직전 중심기압이 970hPa 이었던 태풍 셀마는, 당시의 기준으로 “B급 태풍”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풍속을 기준으로 태풍의 강도를 분류하고 있어, 최대풍속 40m/s 로 상륙한 태풍 셀마는 이전의 “A급 태풍”에 해당하는 강도 “강”이 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태풍 셀마”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1987년의 제5호 태풍을 가리키지만, 다른 국가의 경우 “태풍 셀마”는 필리핀에서 5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1991년의 제25호 태풍으로서 더 잘 알려져 있다. 관련 통계[편집] 상륙 시(직전)의 중심 기압이 낮았던 태풍(1951년~)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상륙 시(직전) 중심 기압 상륙 지점 1위 5914* SARAH 942 hPa 거제도 2위 0314 MAEMI 950 hPa 경남 고성군 부근 3위 0014 SAOMAI 959 hPa** 경남 고성군 부근 4위 0215 RUSA 960 hPa 고흥 반도 4위 9503 FAYE 960 hPa 남해도 6위 1216 SANBA 965 hPa 남해도 6위 8613 VERA 965 hPa 충남 보령시 부근 6위 5707 AGNES 965 hPa 경남 사천시 부근 9위 1618 CHABA 970 hPa 거제도 9위 0711 NARI 970 hPa 고흥 반도 9위 8705 THELMA 970 hPa 고흥 반도 9위 7910 IRVING 970 hPa 전북 고창군 부근 ※비고 *JTWC 해석의 한반도 상륙 태풍. **통영에서의 실측치. 지상에서 관측된 최저해면기압이 낮았던 태풍(1904년~)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최저 해면 기압 관측 연월일 관측 장소 1위 5914 SARAH 951.5 hPa 1959/9/17 부산 2위 0314 MAEMI 954.0 hPa 2003/9/12 통영 3위 1936년 태풍 - 959.4 hPa 1936/8/27 제주 4위 0014 SAOMAI 959.6 hPa 2000/9/16 통영 5위 8705 THELMA 961.5 hPa 1987/7/15 서귀포 6위 8712 DINAH 961.7 hPa 1987/8/31 부산 7위 1215 BOLAVEN 961.9 hPa 2012/8/28 흑산도 8위 0215 RUSA 962.6 hPa 2002/8/31 성산 9위 0711 NARI 963.4 hPa 2007/9/16 성산 10위 1930년 태풍 - 963.7 hPa 1930/7/18 부산 함께 보기[편집] 1987년 태풍 부산대학교 정원수 다수의 대형수들이 쓰러짐에따라 허전하고 텅빈가로수 넘어진가로수들을 가슴을 쓰려내리면서 교직원님 학생들의 수고가 많으셨다. 각주[편집] ↑ 당시, 태풍은 7월 15일 오후 10시경에 중심기압 970hPa / 최대풍속 40m/s 로 한반도에 상륙한 뒤, 내륙을 관통하여 동해상으로 진출하는 시점까지 중심기압 975~980hPa / 최대풍속 30m/s 의 비교적 강한 세력을 유지했다. ↑ 풍속을 kt단위로 나타내면, 한반도 상륙 시의 최대풍속은 태풍 셀마가 75kt, 태풍 매미가 80kt 이다. ↑ 태풍 셀마 피해 상황 - MBC ↑ 태풍 진로 잘못 예보 - 동아일보 ↑ 태풍 셀마 진로 예보 잘못 시인 - 동아일보 ↑ 가 나 『과거 주요호우 및 태풍피해현황』 - 소방방재청 외부 링크[편집] (영어) RSMC 태풍 베스트 트랙 (영어) JTWC 태풍 베스트 트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풍_셀마_(1987년)&oldid=22414833" 분류: 1987년 태풍일본의 태풍대한민국의 태풍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4등급 열대 저기압1987년 일본1987년 대한민국노태우 정부1987년 7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태풍 나갈래(태풍번호 8705, JTWC 지정 번호 05W, 국제명 NAGALE)는 1987년의 첫 번째 슈퍼 태풍으로서, 강력한 세력으로 고흥 반도에 상륙하여 대한민국에 매우 큰 피해를 냈다. 한반도에 상륙한 이 태풍은 7월의 태풍 중에서는 가장 강하다고 평가하는 태풍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87년 태풍 셸마의 근원이 되는 열대저기압은 언제 발생하였을까? Assistant: 7월 7일 오전 9시 Human: 아래 김용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용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용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용춘 / 김용수金龍春 / 金龍樹 지위 이찬(伊飡) 추존왕(追尊王) 이름 별호 시호는 문흥대왕(文興大王)(용춘각간문흥갈문왕, 용춘탁문흥갈문왕) 신상정보 출생일 579년 이전 출생지 신라 금성 사망일 646년 이후 사망지 신라 금성 왕조 신라 부친 진지왕 모친 지도부인 배우자 천명공주(본부인) 자녀 태종 무열왕(장남) 기타 친인척 김비형(이복 동생) 문무왕(적손자) 김인문(적손자) 진평왕(사촌 형) 진안 갈문왕 김국반(사촌 형) 진정 갈문왕 김백반(사촌 형) 김흠반(사촌 형) 진흥왕(할아버지) 사도왕후(할머니) 김구륜(숙부) 정숙태자(숙부) 선덕여왕(5촌 조카딸) 진덕여왕(5촌 조카딸) 종교 불교 김용춘(金龍春, 579년 이전 ~ 646년 이후[1]) 또는 김용수(金龍樹)는 신라의 추촌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다.[2] 진평왕, 선덕여왕 시기에 중앙 정계에서 활약하였으며, 태종무열왕이 즉위한 이후 문흥대왕(文興大王)(용춘각간문흥갈문왕, 용춘탁문흥갈문왕)으로 추존되었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김용춘이 등장한 작품 4 각주 생애[편집] 김용춘은 진지왕과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의 아들로 진지왕이 579년에 죽은 뒤에 왕위 계승권에서 멀어졌다.[3] 용춘의 아들 춘추의 경우 진골의 신분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용춘의 신분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삼국유사의 기록처럼 진지왕이 폐위된 것이 맞다면 용춘의 신분이 성골에서 족강(族降)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부인은 진평왕의 딸인 천명공주로 602년에 아들 춘추를 낳았다. 622년(진평왕 44년)에 이찬(伊飡)의 관등에 있었으며, 내성사신(內省私臣)에 임명되었다. 629년에는 대장군이 되어 김서현, 김유신을 부장으로 이끌고 출진, 낭비성(娘臂城)을 함락시켰으며, 635년(선덕여왕 4년)에는 주현(州縣)을 돌아보며 위문하였다. 645년에는 황룡사구층목탑 건축을 주관하였고, 이후에는 더 이상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아들 춘추가 왕위에 즉위한 654년에 문흥대왕으로 추존되었다. 한편 학계에서 위서로 의심받고 있는 《화랑세기》에는 용춘과 용수를 형제로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용춘은 용수의 동생으로, 용수가 요절한 뒤 용수와 결혼한 천명공주를 다시 맞아들였으며, 용수의 아들인 춘추를 아들로 삼았다고 한다. 그러나 ‘황룡사9층목탑찰주본기’에 따르면 황룡사구층목탑을 건축할 당시인 645년경까지 용수의 이름이 나타나고 있어 용수가 요절하였다는 《화랑세기》의 기록과 정면으로 배치된다.[4] 《화랑세기》는 용춘의 일부 행적도 기록하고 있는데, 그에 따르면 용춘은 13대 풍월주를 역임하였으며 선덕여왕의 부군이 되었으나 자식이 없어 사임하였다고 한다. 가족 관계[편집] 조부 : 진흥왕(眞興王, 526~576, 재위:540~576) 조모 : 사도왕후(思道王后, ? ~ 614) 부왕 : 진지왕(眞智王, ? ~579, 재위:576~579) 모후 : 지도부인(知道夫人) 부인 : 천명공주(天明公主) - 진평왕의 딸 아들 : 태종무열왕[5] 부인 : 호명궁주(昊明宮主) 딸 : 5명 부인 : 천화공주(天花公主) 아들 : 요절 부인 : 덕만공주(德曼公主) - 진평왕의 딸 부인 : 대씨(大氏) - 대남보의 딸 아들 : 김용산(金龍山) 아들 : 김용석(金龍石) 딸 : 김용태(金龍泰) 부인 : 매생낭주(梅生娘主) - 10대 풍월주 미생의 딸 아들 : 김용귀(龍貴) 부인 : 홍주낭주(紅珠娘主) - 9대 풍월주 비보랑의 딸 아들 : 김용주(金龍珠) 아들 : 김용릉(金龍凌) 딸 : 김용보(金龍寶) 외조부 : 기오공(起烏公) - 선혜부인의 아들 외조모 : 흥도부인(興道夫人) - 옥진궁주의 딸 김용춘이 등장한 작품[편집] 《삼국기》(KBS, 1992년~1993년, 배우:이정웅) 《연개소문》(SBS, 2006년~2007년, 배우:김형일) 《선덕여왕》(MBC, 2009년, 배우:인교진(김용춘), 박정철(김용수) 《대왕의 꿈》(KBS, 2012년~2013년, 배우:정동환) 각주[편집] ↑ 부친 진지왕이 579년에 사망했다. 645년 건립된 황룡사 9층목탑의 건립 책임자였다. 아들 태종무열왕이 654년 즉위한 후 문흥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태종무열왕 원년(654), "태종무열왕이 즉위하였다. 이름은 춘추이며, 진지왕의 아들 이찬 용춘(용수라고도 한다)의 아들이다(太宗武烈王立 諱春秋 眞智王子伊湌龍春【一云龍樹】之子也)." ↑ 삼국유사에는 진지왕이 폐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삼국사기와 차이가 있다. 《삼국유사》 기이 제1 도화녀비형랑, "제 25대 사륜왕의 시호는 진지대왕으로 성은 김씨고 왕비는 기오공의 딸 지도부인이다. 대건 8년 병신에 왕위에 올랐다. 고본에는 11년 기해라고 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나라를 다스린 지 4년에 음란하고 정사가 어지럽자 나랏사람들이 폐위시켰다(第二十五 舍輪王 諡眞智大王 姓金氏 妃起烏公之女 知刀夫人 大建八年丙申卽位 古本云十一年己亥 誤矣 御國四年 政亂荒婬 國人廢之)." ↑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황룡사9층목탑찰주본기 ↑ 일연, 《삼국유사》 (1281) 〈기이〉 태종춘추공條 “제29대 태종대왕의 이름은 춘추이며 성은 김씨이다. 용수 (또는 용춘이라고도 한다) 각간으로 추봉된 문흥대왕의 아들이며, ...” 전임보리공 제13대 풍월주 후임호림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용춘&oldid=23838035" 분류: 578년 태어남647년 죽음신라의 왕족신라의 정치인한국의 섭정선덕여왕자유 연애갈문왕추존왕신라의 불교 신자태종무열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0일 (일) 17: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용수(金龍樹, 579년 이전 ~ 646년 이후) 또는 김용춘(金龍春)은 신라의 추존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다. 진평왕, 선덕여왕 시기에 중앙 정계에서 활약하였으며, 태종무열왕이 즉위한 이후 문흥갈문왕(文興葛文王, 용춘각간문흥갈문왕, 용춘탁문흥갈문왕)으로 추존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용춘의 생애는 어떠했는가? Assistant: 김용춘은 진지왕과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의 아들로 진지왕이 579년에 죽은 뒤에 왕위 계승권에서 멀어졌다.[3] 용춘의 아들 춘추의 경우 진골의 신분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용춘의 신분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삼국유사의 기록처럼 진지왕이 폐위된 것이 맞다면 용춘의 신분이 성골에서 족강(族降)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부인은 진평왕의 딸인 천명공주로 602년에 아들 춘추를 낳았다. 622년(진평왕 44년)에 이찬(伊飡)의 관등에 있었으며, 내성사신(內省私臣)에 임명되었다. 629년에는 대장군이 되어 김서현, 김유신을 부장으로 이끌고 출진, 낭비성(娘臂城)을 함락시켰으며, 635년(선덕여왕 4년)에는 주현(州縣)을 돌아보며 위문하였다. 645년에는 황룡사구층목탑 건축을 주관하였고, 이후에는 더 이상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아들 춘추가 왕위에 즉위한 654년에 문흥대왕으로 추존되었다.
Human: 아래 올림픽_스노보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올림픽 스노보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 스노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올림픽스노보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올림픽 스노보드 Snowboard경기 단체 국제 스키 연맹 (FIS)세부 종목 10개 종목[1]남자 종목 5개 종목[1]여자 종목 5개 종목[1] 동계 올림픽 1924 · 1928 · 1932 · 1936 · 1948 · 1952 · 1956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동계 청소년 올림픽 2012 · 2018 2012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메달리스트 · 경기장 올림픽 스노보드는 올림픽에서 스노보드로 경기를 겨루는 올림픽 경기 종목이다. 목차 1 메달 집계 1.1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1.2 동계 청소년 올림픽 메달 집계 2 세부 종목 2.1 동계 올림픽 세부 종목 2.2 동계 청소년 올림픽 세부 종목 3 각주 4 참고 자료 5 외부 링크 메달 집계[편집]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편집]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미국 10 5 9 24 2 스위스 7 2 3 12 3 프랑스 3 3 4 10 4 캐나다 3 2 2 7 5 러시아 2 2 1 5 6 독일 1 3 1 5 7 오스트리아 1 1 4 6 8 오스트레일리아 1 1 0 2 9 체코 1 0 0 1 네덜란드 1 0 0 1 11 노르웨이 0 3 1 4 12 핀란드 0 2 1 3 일본 0 2 1 3 14 이탈리아 0 1 1 2 슬로베니아 0 1 1 2 16 슬로바키아 0 1 0 1 스웨덴 0 1 0 1 18 영국 0 0 1 1 합계 30 30 30 90 동계 청소년 올림픽 메달 집계[편집] 동계 청소년 올림픽 스노보드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캐나다 2 0 0 2 2 미국 1 3 0 4 3 일본 1 0 1 2 4 슬로베니아 0 1 0 1 5 스위스 0 0 1 1 오스트레일리아 0 0 1 1 프랑스 0 0 1 1 합계 4 4 4 12 세부 종목[편집] 동계 올림픽 세부 종목[편집] 종목 98 02 06 10 14 계 남자 슬로프 • 1 남자 크로스 • • • 3 남자 평행대회전 • • • • 4 남자 평행회전 • 1 남자 하프파이프 • • • • • 5 여자 슬로프 • 1 여자 크로스 • • • 3 여자 평행대회전 • • • • 4 여자 평행회전 • 1 여자 하프파이프 • • • • • 5 남자 대회전 • 1 여자 대회전 • 1 합계 4 4 6 6 10 동계 청소년 올림픽 세부 종목[편집] 종목 12 16 계 남자 슬로프 • • 2 남자 하프파이프 • • 2 여자 슬로프 • • 2 여자 하프파이프 • • 2 계 4 4 각주[편집] ↑ 가 나 다 “쇼트트랙”. 국제 올림픽 위원회.  참고 자료[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올림픽 스노보드 “스노보드”. SR/Olympic Games.  “스노보드”. 국제 올림픽 위원회.  외부 링크[편집] 국제 올림픽 위원회 - 스노보드 vdeh올림픽 경기 종목하계 종목 골프 공수도 근대5종 길거리농구 농구 다이빙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비치발리볼 사격 사이클 서핑 소프트볼 수구 수영 스케이드보드 스포츠클라이밍 승마 싱크로나이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동계 종목 노르딕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피드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피겨스케이팅 과거 종목 라크로스 라켓 로크 모터보트 밀리터리패트롤 주드폼 줄다리기 크로케 크리켓 펠로타 폴로 시범 종목 개썰매 글라이딩 글리마 동계5종 라칸 롤러하키 무도 미식축구 밴디 볼링 사바트 수상스키 스키저링 스피드스키 아이스스톡 오지풋볼 코프볼 페세팔로 비공식 종목 게일릭풋볼 기구 낚시 롱그폼 모터레이싱 모터사이클 불 비둘기레이싱 사이클폴로 소방 연날리기 예술 인명구조 카트센 포격 헐링 vdeh올림픽 스노보드동계 올림픽 1924 -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동계 청소년 올림픽 2012 2016 메달리스트 목록 경기장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올림픽_스노보드&oldid=21368004" 분류: 올림픽 스노보드올림픽 경기 종목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스노보드 대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Fryskहिन्दीHrvatski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23일 (수) 00: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올림픽 스노보드는 올림픽에서 스노보드로 경기를 겨루는 올림픽 경기 종목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올림픽 스노보드 동계 청소년올림픽 메달 갯수는 무엇인가요? Assistant: 동계 청소년 올림픽 스노보드 메달 집계 순위 국가         합계 1 캐나다 2 0 0 2 2 미국 1 3 0 4 3 일본 1 0 1 2 4 슬로베니아 0 1 0 1 5 스위스 0 0 1 1 오스트레일리아 0 0 1 1 프랑스 0 0 1 1 합계 4 4 4 12 Human: 아래 윤기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윤기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윤기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다. 본관은 함안(咸安) 이다. 세조 때의 권신 신숙주의 인척이고, 고려 때의 시중 윤관의 10대손이다. 목차 1 생애 1.1 가계와 선조 1.2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1.3 사후 2 가족 관계 3 함께 보기 4 각주 생애[편집] 문과에 급제하고 관직은 봉상시판사 등을 지냈고, 고려사절요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사후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가 중종반정 이후 추탈되었다. 가계와 선조[편집] 윤기견은 윤응(尹應)과 안동 권씨의 4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생년은 미상이다. 아버지 윤응은 통훈대부(通訓大夫) 교하현감(交河縣監)을 지냈고, 어머니 권씨는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을 지낸 권소(權紹)의 딸이다. 생몰년은 실전되어 전하지 않는다. 윤기견의 선대는 본래 파평 윤씨(坡平 尹氏)로 윤신달과 윤관의 후손이었다.[1] 파평윤씨의 시조인 윤신달의 7대손이며 문하시중윤관의 증손인 윤위(尹威)는 고려조에 남원백(南原伯)에 봉해진 뒤 남원 윤씨(南原尹氏)로 분가하였으며, 윤위의 손자 중 윤돈(尹敦)과 증손(윤돈의 아들) 윤희보(尹希輔)가 출세하여 함안백에 봉해지면서 윤돈의 후손들은 함안 윤씨 (咸安 尹氏)로 다시 분가했다. 윤희보의 아들 중 장남인 4세 윤희(尹禧)는 고려 말에 정순대부(正順大夫)와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보문각대제학을 지내면서 집안을 일으켰으며 그가 윤기견의 증조할아버지이다. 윤희의 아들이며 윤기견의 할아버지인 윤득룡(尹得龍)은 조선조정에 처음 벼슬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와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지냈다. 윤득룡에게는 3남 2녀 중 셋째 아들이 윤기견의 아버지 윤응(尹應)이다.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편집] 1439년 생원으로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세종 말년에 그는 김종서, 윤회, 박팽년, 신숙주, 유성원, 이극감 등과 함께 고려사절요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52년(문종 2년) 집현전 부교리로서 춘추관기주관, 겸 지제교 경연 부검토관(知製敎經筵副檢討官)을 겸하여 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453년(단종 즉위년)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로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다. 1454년 초에는 단종에게 불당의 철거를 청하다가 성삼문 등과 함께 좌천되었다. 세조 즉위 후인 1455년 12월 27일, 좌익원종공신(原從功臣) 2등관에 녹선되었다. 그 뒤 관직은 봉상시판사에 이르렀다. 사후[편집] 죽은 뒤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화접리(현재의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산58-4) 산에 안장되었다. 1473년 그의 딸이 숙의(淑儀)로 책봉 되어 연산군을 낳았으며, 의정부 영의정이 증직되고 함안군(咸安君)에 추봉되었다. 1480년 딸 윤씨가 폐출되자 증직과 작위 역시 추탈되었다. 그 뒤 1490년 연산군이 즉위하자 다시 관직이 복구되고 함안부원군(咸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 그러나 연산군이 폐출당한 뒤 그의 증직 벼슬과 작위, 시호 역시 모두 추탈되었다. 그의 아들 윤구(尹遘)는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냈다. 윤구의 손녀 딸은 효령대군의 5대손인 왕족 이량과 결혼한다. 가족 관계[편집] 그의 후처 부부인 고령 신씨는 신숙주의 사촌 여동생이다. 중종 때의 왕족이자 권신인 이량은 그의 증손녀사위이다. 윤기무(尹起畝)로 기록되기도 한다.[2] 함안 윤씨(咸安 尹氏) 할아버지 : 윤득룡(尹得龍) 할머니 : 미상 아버지 : 윤응(尹應, 통훈대부 교하현감(交河縣監) 어머니 : 안동 권씨(安東 權氏) 권소의 딸. 누나 : 윤씨(尹氏) 매부 : 최첨로(崔添老, 내시령(內侍令)) 부인 : 증 부부인 양성 이씨 (贈 府夫人 陽城 李氏) 장남 : 윤우(尹遇) 손녀 : 윤씨(尹氏), 정진(鄭秦, 혹은 정주(鄭奏))에게 출가 차남 : 윤해(尹邂) 삼남 : 윤후(尹逅) 장인 : 사간원 정언 정은공 신평(司諫院 正言 靜隱公 申枰, 1390∼1455) 장모 : 장흥 마씨(長興馬氏) 마천목의 딸 부인 : 증 부부인 고령 신씨 (贈 府夫人 高靈 申氏) 사남 : 병조참판 윤구(兵曹參判 尹遘, ? - 1513) 손자 : 윤지임(尹之任) 손자 : 윤지화(尹之和, 1476~1558) 손자 : 윤지청(尹之淸) 장녀 :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55~1482) 사위 : 제9대 성종(成宗, 1457~1495, 재위 1469~1495) 외손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재위 1494~1506) 사돈 : 덕종, 소혜왕후 함께 보기[편집] 성종 연산군 신숙주 폐비 윤씨 윤관 윤신달 마천목 각주[편집] ↑ 윤신달에게는 14대손, 윤관에게는 10대손이 된다. ↑ 무(畝)자가 실록 원문에는 ‘畎’와 ‘畝’자로 되어 있는데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畝’자로, 만성보(萬姓譜:사본)에는 ‘畝’로 되어 있고, 윤씨 후손들은 ‘畝’자라 말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윤기견&oldid=19084004" 분류: 생몰년 미상조선의 문신조선의 왕족과거 급제자조선의 학자조선의 공신함안 윤씨경기도 출신조선의 부원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7월 16일 (일) 20: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다. 자와 호는 미상이고,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중종반정 후 추탈된 시호 역시 미상이다. 세조 때의 권신 신숙주의 인척이고, 고려 때의 시중 윤관의 10대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윤기견의 아버지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윤응
Human: 아래 하늘에서_음식이_내린다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감독 필 로드크리스 밀러 원작 주디 배럿의 동화책,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제작사 콜롬비아 픽쳐스 (제공) 소니 픽쳐스 애니메이션 (제작) 개봉일 미국 2009년 9월 18일 대한민국 2010년 2월 11일 시간 90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1억[1] 수익 $231,489,447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원제 :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은 2009년 제작된 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주디 배럿(Judi Barrett)의 동화책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을 모델로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에서 수입하여 극장 개봉하였다. 3D 영화로 제작이 되어, 3D 영화로 극장 개봉하였다. 2D를 3D로 변환 작업이 없이 3D 촬영으로 제작되었다. 국내에서도 3D 한국어 더빙과 3D 한글 자막 두 가지 분류로 3D를 극장 개봉하였고, 3D 블루레이 타이틀로 출시되었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해외 더빙 3.1 대한민국 4 해외 수출 4.1 대한민국 5 각주 줄거리[편집] 먹을거라곤 정어리가 전부인 '꿀꺽퐁당' 섬. 이 마을에 사는 청년 플란트는 세계를 쥐락펴락하는 멋진 과학자가 되는것이 꿈이다. 하지만 만드는 발명품마다 말썽을 일으키는 통에 마을 주민들로부터 사고뭉치 낙인이 찍혀 어린아이들에게도 비웃음을 당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정어리 뿐인 마을에 다른 식량을 만들어내겠다며 하늘에서 음식이 내려오게 하는 플린트 록우드 슈퍼 변이 온음계 음식 복제기(Flint Lockwood Diatomic Super Mutating Dynamic Food Replicator, FLDSMDFR, 한국식으로 줄이면 플린트스음풔어)라는 괴상한 기계를 만들어낸다. 처음에는 또 평소처럼 기계가 멋대로 작동하는가 싶었지만 곧 계획한 대로 하늘에서 음식이 떨어지는 광경을 보게된다. 이 일로 그간 괴짜라고 무시당하던 플란트는 희망없는 마을을 바꿔준 유명인사가 되면서 오랜 소원이었던 멋진 과학자의 꿈을 이루었고 또 우연히 만난 기상캐스터 샘과도 가까워지는등 일과 사랑을 모두 얻는 쾌거를 누린다. 또 섬의 시장은 플란트의 기계를 이용해 섬을 관광지로 개발시키게 되면서 플란트의 인기는 나날이 높아져만 가고 있었다. 하지만 쉴새없는 음식생산으로 인해 기계는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했고 만들어지는 음식들 역시 분자구조의 이상으로 커다란 크기가 된다. 위기를 직감한 플란트는 당장 기계를 꺼야한다고 말했지만 관광지 개발에 혈안이 되어있던 시장은 절대로 기계를 멈추지 말라고 해버린다. 그리고 세계 각국에서 관광객들이 몰려온 당일, 일이 터졌다. 쏟아지는 음식들은 자연재해로 돌변하여 사람들을 위협하기 시작했고 즐거워야할 섬은 혼돈의 도가니가 되고 만다. 플란트는 기계를 만들어낸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자책하며 기계를 없애버리겠다고 나섰고 그 길에는 샘과 그녀와 같이 파견된 카메라맨 매니, 플란트를 업신여기던 브렌트와 애완 원숭이 스티브까지 동참하게 된다. 출연진[편집] 빌 헤이더 : 플린트 락우드 역 애나 패리스 : 샘 스팍스 역 제임스 칸 : 팀 락우드(아빠) 역 앤디 샘버그 : 바비 브렌트 역 브루스 캠벨 : 스왈로우 폴스섬 시장 역 미스터 티 : 얼 드버록스 역 보비 J. 톰슨 : 칼 드버록스 역 벤저민 브랫 : 매니 역 닐 패트릭 해리스 : 스티브 역 엘 로커 : 패트릭 패트릭슨 역 로런 그레이엄 : 프란 록우드 역 윌 포트 : 조 타운 역 맥스 뉴워스 : 어린 플린트 역 피터 시라거사 : 루퍼스 역 앤절라 셸턴 : 레지나 드버록스 역 해외 더빙[편집] 대한민국[편집] 엄상현 - 플린트 락우드 한국어 더빙 역 문남숙 - 샘 스팍스 한국어 더빙 역 이종구 - 티모시 록우드 한국어 더빙 역 홍성헌 - 시장 한국어 더빙 역 홍범기 - 브랜트 맥홀 한국어 더빙 역 손종환 - 얼 드버록스 한국어 더빙 역 안장혁 - 매니 한국어 더빙 역 송준석 - 패트릭 패트릭슨 한국어 더빙 역 해외 수출[편집] 대한민국[편집] 개봉 : 2010년 2월 11일 관람등급 : 전체 관람가 러닝타임 : 90분 수입 :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배급 :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홍보 : ㈜올댓시네마, ㈜지니스 커뮤니케이션 홈페이지 : https://web.archive.org/web/20180809090613/http://meatball.co.kr/ 각주[편집] ↑ "Box office statistics for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 (2009)". 박스 오피스 모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하늘에서_음식이_내린다면&oldid=22979630" 분류: 2009년 애니메이션 영화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미국의 판타지 코미디 영화미국의 3D 영화컬럼비아 픽처스 영화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영화감독 데뷔 영화필 로드 & 크리스토퍼 밀러 감독 영화미국의 재난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Fiji Hindi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1일 (일) 16: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영어: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은 2009년 제작된 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주디 배럿(Judi Barrett)의 동화책 'Cloudy With A Chance Of Meatballs'을 모델로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에서 수입하여 극장 개봉하였다. 3D 영화로 제작이 되어, 3D 영화로 극장 개봉하였다. 2D를 3D로 변환 작업이 없이 3D 촬영으로 제작되었다. 국내에서도 3D 한국어 더빙과 3D 한글 자막 두 가지 분류로 3D를 극장 개봉하였고, 3D 블루레이 타이틀로 출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주인공 플란트가 살고 있는 섬 이름은? Assistant: 꿀꺽퐁당 Human: 아래 흑사병_의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흑사병 의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흑사병 의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흑사병의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독토르 슈나벨 폰 롬(독일어로 "로마의 부리 의사")을 그린 파올 퓌르스트의 1656년 판화로, 라틴어/독일어 혼효체 8행 2운의 풍자시(‘Vos Creditis, als eine Fabel, / quod scribitur vom Doctor Schnabel’)가 첨부되어 있다. 흑사병 의사(黑死病 醫師, 이탈리아어: medico della peste, 네덜란드어: pestmeester, 스페인어: médico de la peste negra, 독일어: Pestarzt, 영어: Plague doctor)는 흑사병 환자를 전문적으로 다루던 의사들이다.[1] 흑사병이 유행하던 시절에 도시에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하면 특별히 고용되었다. 도시가 봉급을 지불하기 시작하면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를 가리지 않고 보살폈다.[2] 그러나, 몇몇 흑사병 의사들은 환자들과 그들의 가족에게 특별한 치료, 또는 잘못된 치료를 해주겠다는 이유로 추가적인 요금을 청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3] 흑사병 의사는 정상적으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경험이 풍부한 내과나 외과 의사가 아니었으며, 대개 다른 방법으로 성공적인 의료 사업을 할 수 없는 이류 의사나 자립하려는 젊은 의사들이었다.[1] 흑사병 의사는 계약에 따라 흑사병 환자를 치료하였고, 시 의사나 "지역 흑사병 의사"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반 개업의" 또한 따로 존재하였고, 양쪽 모두 같은 유럽의 도시나 마을에 있을 수도 있었다.[1][4][5][6] 프랑스에 네덜란드의 흑사병 의사는 의학적 지식이 부족하여 종종 "경험주의 돌팔이"로 불렸다. 예로 고용되기 전에 과일 장사를 하던 흑사병 의사도 있었다.[7] 17세기 및 18세기, 일부 의사들은 향기나는 재료를 채운 부리처럼 생긴 가면을 착용하였다. 이 가면은 (포말전염설에 따라) 감염의 원인으로 보였던 오염된 공기로부터 그들을 지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의사들의 복장은 루이 13세의 수석 의사였던 샤를 드 로름이 설계하였다. 목차 1 역사 2 복장 3 공복 4 치료법 5 저명한 의사 6 각주 7 참고문헌 7.1 주요 출처 7.2 세부 출처 역사[편집] 선페스트의 첫 유행은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 가장 큰 규모의 유행은 14세기 유럽의 흑사병이었다. 선페스트로 인한 중세 도시의 인구 격감은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주었다. 이 때문에 지역의 흑사병 의사는 높은 희소성을 가졌으며, 특별한 혜택이 주어졌다. 한 예로, 흑사병 의사는 중세 유럽에서 원칙적으로 금지된 검시를 흑사병 치료법 연구를 위해 자유롭게 시행할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 흑사병 의사의 가치는 꽤나 높아서 1650년 바르셀로나에서 토르토사로 두 명을 파견했을 때, 이동 도중에 무법자들이 그들을 포획해 몸값을 요구하기도 하였다.[5] 오르비에토 시가 1348년 고용한 마테오 후 안젤로는 의사가 보통 받는 연간 50 플로린의 네 배의 보수를 받았다.[5] 교황 클레멘스 6세는 흑사병이 창궐하는 동안 몇 명의 특별한 흑사병 의사를 고용하여 아비뇽의 환자들을 간호하도록 하였다. 베네치아에는 18명의 흑사병 의사가 있었으나, 1348년에는 단 한 명만이 남았다. 다섯 명은 흑사병으로 사망하였고, 열두 명은 실종됐지만, 달아났을 가능성도 있다.[9] 복장[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흑사병 의사 복장입니다. 도상 자료에서는 흑사병 의사들이 다양한 의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 중 일부 흑사병 의사는 한눈에 보기에도 특별한 복장을 입었다. 이 의상은 샤를르 드 로름이 1619년에 발명한 것으로, 파리에서 처음 활용되어 나중에는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10] 이 보호 장비는 밀랍을 덧바른 후직물 외투, 앞을 볼 수 있는 유리 눈이 달려 있고 부리처럼 생긴 원뿔 모양의 코에 향기나는 물질과 밀짚을 넣은 가면으로 되어 있다.[11] 가면에 채워진 향기나는 재료는 용연향, 레몬밤, 민트 잎, 장뇌, 정향, 아편틴크, 몰약, 장미 꽃잎, 소합향 등이 있었다.[7] 이것들은 나쁜 공기로부터 의사를 보호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12] 짚은 "나쁜 공기"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 장치였다. 나무 지팡이는 환자를 직접 만지지 않고 진찰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였다. 지팡이는 죄를 뉘우친다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는데, 흑사병이 자신에게 내려진 형벌이며 매질을 청함으로써 그들의 죄를 씻을 수도 있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13][14] 공복[편집] 14세기 유럽의 흑사병 시기를 시작으로 페스트 유행기 동안 흑사병 의사는 국가의 공복으로서 활동하였다. 그들의 주요한 업무는 흑사병 환자를 돌보는 것과 더불어 흑사병으로 인한 사망자를 공식 기록하는 것이었다.[7] 피렌체, 페루자와 같은 유럽의 도시에서 흑사병 의사는 사망 원인과 흑사병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특정하기 위해 검시를 요구받았다.[15][16] 흑사병 의사는 페스트 유행기동안 수많은 유언의 입회자가 되었다.[17] 또한, 흑사병 의사는 죽음을 앞둔 환자에게 어떻게 처신해야하는지를 조언하기도 하였다.[18] 조언은 상대가 어떤 환자인지에 따라 달라졌으며, 이러한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중세 이후 더욱 복잡해진 윤리적 규약을 따르게 되었다.[19] 치료법[편집] 흑사병 의사는 사혈을 비롯해 개구리나 거머리를 가래톳에 올려 "체액의 균형을 되찾는" 방법을 표준 치료법으로 시행하였다.[20][21] 흑사병 의사들은 업무의 성질과 질병 전파의 가능성 때문에 일반 대중과 상호 교류를 할 수 없었으며, 격리 대상이 될 수도 있었다.[22] 저명한 의사[편집] 흑사병을 막을 수 있는 예방책에 대한 의학적 조언을 건넨 유명한 흑사병 의사로는 노스트라다무스가 꼽힌다.[23][24] 노스트라다무스의 조언은 감염된 시체를 없애고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 로즈힙으로 만든 액을 마시는 것이었다.[25][26] 노스트라다무스의 Traité des fardemens 제1부 제8장에서는 환자의 사혈을 금하는 것을 권하기도 하였다.[26] 1479년 이탈리아의 도시 파비아는 조반니 데 벤투라를 지역 흑사병 의사로 고용하였다.[5][27] 아일랜드 내과 의사인 니얼 오 글라칸(1563년?~1653년)은 다수의 흑사병 피해자를 치료한 용기를 기려 스페인과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깊은 존경을 받았다.[28][29] 프랑스의 해부학자 앙브루아즈 파레와 연금술사 파라켈수스 또한 중세의 유명한 흑사병 의사였다.[30][31] 각주[편집] ↑ 가 나 다 Cipolla, p. 65 ↑ Cipolla, p. 68 3/4 down page ↑ http://www.doctorsreview.com/history/doctors-black-death/ ↑ Ellis, p. 202 ↑ 가 나 다 라 Byrne (Daily), p. 169 ↑ Simon, p. 3 ↑ 가 나 다 Byrne, 170 ↑ Gordon, p. 471 ↑ Byrne, 168 ↑ Christine M. Boeckl, Images of plague and pestilence: iconography and iconology (Truman State University Press, 2000), pp. 15, 27. ↑ Byrne (Encyclopedia), p. 505 ↑ Irvine Loudon, Western Medicine: An Illustrated History (Oxford, 2001), p. 189. ↑ Pommerville, p. 9 ↑ O'Donnell, p. 143 ↑ 박흥식 (2010), 200쪽 ↑ Wray, p. 172 ↑ Wray, p. 173 ↑ “The Plague Doctor”. Jhmas.oxfordjournals.org. 2012년 4월 2일.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 Robert S. Gottfried, The Black Death: natural and human disaster in medieval Europe (Simon & Schuster, 1983), pp. 126–28. ↑ 박흥식, 196쪽 ↑ Byfield, p. 37 ↑ Robert S. Gottfried, The Black Death: natural and human disaster in medieval Europe (Simon & Schuster, 1983), p. 126. ↑ Hogue, p. 1844 ↑ 《The essential Nostradamus: literal translation, historical commentary, and ... By Richard Smoley》. Books.google.com.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 Pickover, p. 279 ↑ 가 나 “Excellent et moult utile opuscule à tous/ nécessaire qui désirent avoir connoissan/ ce de plusieurs exquises receptes divisé/ en deux parties./ La première traicte de diverses façons/ de fardemens et senteurs pour illustrer et/ embelir la face./ La seconde nous montre la façon et/ manière de faire confitures de plusieurs/ sortes... Nouvellement composé par Maistre/ Michel de NOSTREDAME docteur/ en medecine... by Nostradamus”. Propheties.it. 2012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 King, p. 339 ↑ Stephen, p. 927 ↑ “THE HISTORY OF MEDICINE IN IRELAND; by J. OLIVER WOODS, MD, FRCGP, Page 40” (PDF). 2012년 6월 12일에 확인함.  ↑ Körner, p. 13 ↑ 박흥식, 206쪽 참고문헌[편집] 주요 출처[편집] Nostradamus. The Prophecies of Nostradamus, self-published 1555 & 1558; reprinted by Forgotton Books publishing 1973, ISBN 1-60506-507-2 Nostradamus. Traité des fardemens et confitures self-published 1555 세부 출처[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흑사병 의사 Bauer, S. Wise, The Story of the World Activity Book Two: The Middle Ages : From the Fall of Rome to the Rise of the Renaissance, Peace Hill Press, 2003, ISBN 0-9714129-4-4 Byfield, Ted, Renaissance: God in Man, A.D. 1300 to 1500: But Amid Its Splendors, Night Falls on Medieval Christianity, Christian History Project, 2010, ISBN 0-9689873-8-9 Byrne, Joseph Patrick, Daily Life during the Black Death,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ISBN 0-313-33297-5 Byrne, Joseph Patrick,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 ABC-Clio, 2008, ISBN 0-313-34102-8 Cipolla, Carlo M. 'A Plague Doctor', in Harry A. Miskimin et al. (eds), The Medieval City, Yale University Press, 1977, pp. 65–72. ISBN 0-300-02081-3 Ellis, Oliver C., A History of Fire and Flame 1932 , Kessinger Publishing, 2004, ISBN 1-4179-7583-0 Fee, Elizabeth, AIDS: the burdens of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ISBN 0-520-06396-1 Haggard, Howard W., From Medicine Man to Doctor: The Story of the Science of Healing,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4, ISBN 0-486-43541-5 Hogue, John,Nostradamus: the new revelations, Barnes & Noble Books, 1995, ISBN 1-56619-948-4 Gordon, Benjamin Lee, Medieval and Renaissance medicine, Philosophical Library, 1959 Heymann, David L., The World Health Report 2007: a safer future : global public health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ISBN 92-4-156344-3 Kenda, Barbara, Aeolian winds and the spirit in Renaissance architecture: Academia Eolia revisited, Taylor & Francis, 2006, ISBN 0-415-39804-5 King, Margaret L., Western Civilization: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Prentice-Hall, 2002, ISBN 0-13-045007-3 Körner, Christian, Mountain Biodiversity: a global assessment, CRC Press, 2002, ISBN 1-84214-091-4 O'Donnell, Terence, History of Life Insurance in its Formative Years, American Conservation Company, 1936 Pickover, Clifford A., Dreaming the Future: the fantastic story of prediction, Prometheus Books, 2001, ISBN 1-57392-895-X Pommerville, Jeffrey, Alcamo's Fundamentals of Microbiology, Jones & Bartlett Learning, 2010, ISBN 0-7637-6258-X Reading, Mario, The Complete Prophecies of Nostradamus, Sterling Publishing (2009), ISBN 1-906787-39-5 Simon, Matthew, Emergent Computation: emphasizing bioinformatics, Publisher シ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株式会社, 2005, ISBN 0-387-22046-1 Stuart, David C., Dangerous Garden: the quest for plants to change our lives, Frances Lincoln ltd, 2004, ISBN 0-7112-2265-7 Wray, Shona Kelly, Communities and Crisis: Bologna during the Black Death, ISBN 90-04-17634-9 Fitzharris, Lindsey. "Behind the Mask: The Plague Doctor." The Chirurgeons Apprentice. Web. 6 May 2014. Rosenhek, Jackie. "Doctor's Review: Medicine on the Move." Doctor's Review. Web. May 2011. 박흥식 (2008). “흑사병 논고”.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106: 183~210.  박흥식 (2010). “흑사병에 대한 도시들의 대응”. 《서양중세사연구》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5: 189~21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흑사병_의사&oldid=23061295" 분류: 흑사병 의사흑사병없어진 직업숨은 분류: 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네덜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FryskHrvatskiMagyar日本語മലയാളംNederlands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0일 (화) 02: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흑사병 의사(黑死病 醫師, 이탈리아어: medico della peste, 네덜란드어: pestmeester, 스페인어: médico de la peste negra, 독일어: Pestarzt, 영어: Plague doctor)는 흑사병 환자를 전문적으로 다루던 의사들이다. 흑사병이 유행하던 시절에 도시에 많은 피해자들이 발생하면 특별히 고용되었다. 도시가 봉급을 지불하기 시작하면 가난한 자와 부유한 자를 가리지 않고 보살폈다. 그러나, 몇몇 흑사병 의사들은 환자들과 그들의 가족에게 특별한 치료, 또는 잘못된 치료를 해주겠다는 이유로 추가적인 요금을 청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흑사병 의사는 정상적으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경험이 풍부한 내과나 외과 의사가 아니었으며, 대개 다른 방법으로 성공적인 의료 사업을 할 수 없는 이류 의사나 자립하려는 젊은 의사들이었다.흑사병 의사는 계약에 따라 흑사병 환자를 치료하였고, 시 의사나 "지역 흑사병 의사"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반 개업의" 또한 따로 존재하였고, 양쪽 모두 같은 유럽의 도시나 마을에 있을 수도 있었다. 프랑스에 네덜란드의 흑사병 의사는 의학적 지식이 부족하여 종종 "경험주의 돌팔이"로 불렸다. 예로 고용되기 전에 과일 장사를 하던 흑사병 의사도 있었다.17세기 및 18세기, 일부 의사들은 향기나는 재료를 채운 부리처럼 생긴 가면을 착용하였다. 이 가면은 (포말전염설에 따라) 감염의 원인으로 보였던 오염된 공기로부터 그들을 지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의사들의 복장은 루이 13세의 수석 의사였던 샤를 드 로름이 설계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흑사병 의사의 역사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선페스트의 첫 유행은 6세기 중반 유스티니아누스 페스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 가장 큰 규모의 유행은 14세기 유럽의 흑사병이었다. 선페스트로 인한 중세 도시의 인구 격감은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주었다. 이 때문에 지역의 흑사병 의사는 높은 희소성을 가졌으며, 특별한 혜택이 주어졌다. 한 예로, 흑사병 의사는 중세 유럽에서 원칙적으로 금지된 검시를 흑사병 치료법 연구를 위해 자유롭게 시행할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 흑사병 의사의 가치는 꽤나 높아서 1650년 바르셀로나에서 토르토사로 두 명을 파견했을 때, 이동 도중에 무법자들이 그들을 포획해 몸값을 요구하기도 하였다.[5] 오르비에토 시가 1348년 고용한 마테오 후 안젤로는 의사가 보통 받는 연간 50 플로린의 네 배의 보수를 받았다.[5] 교황 클레멘스 6세는 흑사병이 창궐하는 동안 몇 명의 특별한 흑사병 의사를 고용하여 아비뇽의 환자들을 간호하도록 하였다. 베네치아에는 18명의 흑사병 의사가 있었으나, 1348년에는 단 한 명만이 남았다. 다섯 명은 흑사병으로 사망하였고, 열두 명은 실종됐지만, 달아났을 가능성도 있다.[9]
Human: 아래 이종일_(1858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종일 (185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종일 (185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종일(李種一, 1858년 12월 10일(음력 11월 6일) ~ 1925년 8월 31일)은 조선 말의 문신, 개혁운동가이자 한국의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 국문학자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보성사에서 3만 5천 부의 독립선언문을 인쇄하였다. 아호는 옥파(沃波), 천도교 도호는 묵암(默庵)이다. 천연자(天然子)라는 필명도 사용했다. 1882년 일본 수신사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다녀온 뒤, 개화 운동에 투신하여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등에서 활동했다. 또한 독립신문과 황성신문의 필진으로 활동하였다. 1906년 손병희의 권고로 천도교에 입도한 뒤에는 천도교 포교활동 외에 3.1 운동에도 가담하였다. 3.1 운동이 실패로 돌아간 후에는 국문학자로 활동하였다. 천도교 교역자이자 정치인이었던 이종린은 그의 친척 동생이었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활동 1.2 독립 운동 1.3 생애 후반 2 사후 3 저서 4 가족 관계 5 기타 6 같이 보기 7 참고자료 8 각주 생애[편집] 초기 활동[편집] 이교환(李敎煥)의 아들로 태어났다. 충청남도 태안 태안군 원북면의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1873년 과거에 급제하면서 개화파 관료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82년 8월 수신사 박영효가 일본에 갈 때 사절단 일원으로 수행하면서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 근대 문물을 직접 보고 온 것 또한 영향을 끼쳤다. 이후 유교사상에서 벗어나 실학과 개화 사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96년 서재필, 윤치호, 주시경 등과 함께 독립신문 창간에 참여하고 필진의 한 사람이 되었다. 1896년 11월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참여하여 연사로 활동하였다. 1898년 3월 개화운동 단체인 대한제국민력회를 조직하고,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898년 중추원 의관에 임명되었으나 10개월만에 사퇴하였다. 1899년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가 폐쇄당하자 언론 활동에 전념하였다. 이후 이승만 등과 함께 한글 신문인 《제국신문》을 창간하고 필진으로 활동했으며, 《대한황성신문》 사장을 맡아 언론계에서 활동했고, 독립협회와 대한자강회에 참가하고 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등 개화 사상에 기반한 계몽 운동에 활발히 나섰다. 1898년 7월 25일 황제 고종의 탄신일 경축기사에 성수만세(聖壽萬歳)가 성수망세(聖壽亡歳)로 오기되었다가 불경죄로 투옥되었으나 타인의 조작으로 판명되어 곧 풀려났다. 독립 운동[편집] 1906년 손병희를 통해 천도교에 입교한 뒤, 윤치호, 윤효정 등과 함께 자강회에도 참여하였고, 1907년(융희 1년) 11월에는 대한협회의 조직에도 참여하였다. 한일 합방 조약 이후에는 천도교 월보사 부장으로 활동하며 종교 활동에 전념하였다. 또한 천도교에서 운영하는 천도교 월보과장(月報課長)과 보성 인쇄주식 회사(普成印制株式會社) 사장을 역임했다. 1912년 천도교의 재정과 신도 수, 전국적 조직망 등을 이용하여 독립 만세운동을 계획, 1894년 갑오년 동학 농민 운동, 1904년 갑진년 개화 신생활 운동에서 이름을 따 1914년 갑인년에 재현하는 삼갑운동(三甲運動)으로 불리는 대대적인 민중운동을 계획하였으나 사전에 탄로나 실패하였다. 1919년 3·1 운동 때는 민족대표 33인으로서 이 운동에 깊이 관여했다. 천도교가 운영하던 인쇄소인 보성사(普成社) 사장을 맡고 있던 이종일이 기미독립선언서를 거사 열흘 전부터 비밀리에 인쇄한 것이다. 당시 보성사는 최신식 인쇄 기술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종일은 이곳에서 천도교의 월보(月報)를 펴내고 있었다. 이종일은 거사의 핵심중 하나인 독립선언서 인쇄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데다 최남선과 함께 이승훈을 통한 기독교 대표들과의 연결 고리를 주선하였다. 3.1 운동 당시 보성사에서 사비를 들여, 기미독립선언문 유인물 3만 5천 부를 인쇄하여 배포하였다. 이에 따라 공판에서 민족대표 중에서도 주범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 받고 복역했다. 생애 후반[편집] 출옥하자마자 1922년 3월 1일 또다시 천도교 교인 등을 중심으로 3.1 만세 운동 3주년이 되는 날을 기해 천도교 신자들, 보성사 직원 50여명과 함께 거리로 나가 제2의 3.1 운동 기념식을 거행하기로 계획하고 그때 낭독할 제2의 독립선언문인 자주독립선언문 초고를 2월 20일에 직접 작성, 김홍규에게 인쇄토록 하였다가 태안경찰서 직원의 감시망에 걸려 사전에 탄로나고, 인쇄물은 모두 압수당하였다. 이후 조선국문연구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글맞춤법을 연구한 한글학자이기도 했다. 그는 또다른 독립 만세 시위를 기획하고 저서 《한국독립비사》를 쓰다가 압수당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는 1919년 ~ 1922년에 메모 비슷하게 기록한 《옥파 비망록》을 남겼다. 집안이 가난하였던 그는 삼순 구식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중 1925년 8월 31일 경성부 죽첨정 정목 31번지 자택에서 영양실조로 사망하였다. 사후[편집] 서울 미근동 공립보통학교에서 사회장으로 장례식이 거행되고, 아현리 화장장에서 화장되어 이태원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36년 5월 17일 손녀 이장옥, 친척 이종린 등에 의해 미아리 공동묘지로 이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생가 터가 복원되어 있고,[1] 태안의 충애사(忠愛祠)에 영정이 안치되었다.[2] 그가 쓴 제2의 독립선언문은 구전으로만 전하다가 1979년 2월 27일 묵암기념사업회(회장 이병도) 소속 이현희 교수가 묵암비망록에서 발굴해냈다.[3] 저서[편집] 《한국독립비사》 《옥파 비망록》 가족 관계[편집] 동아일보 1936년 5월 17일자 3면에 소개된 그의 손녀딸 이장옥에 대한 소개에서 손녀 이장옥은, 할아버지가 옥중에 있을 때 아들(이장옥의 아버지)이 먼저 사망하고[4], 이장옥은 서조모와 서모 손에 자랐다는 대목이 실려 있다.[4] 아버지 : 이교환(李敎煥, 1841년 10월 20일 ~ 1878년 1월 16일) 부인 : 이씨(李氏)[5] 아들 : 이학순(李學淳, 1885년 7월 27일 ~ 1925년 3월 27일) 딸 : 이장옥(李璋玉, 1904년 ~ ? ) 사위 : 이운서(李雲瑞) 첩며느리 : 이름 미상[4] 첩 : 이름 미상[4] 동생 : 이종칠(李鍾七, 1861년 8월 24일 ~ 1909년 3월 14일 조카 : 이영순(李永淳, 1899년 11월 19일 ~ ? ) 조카 : 이용순(李龍淳, 1902년 3월 8일 ~ ?) 동생 : 이종팔(李鍾八, 1873년 3월 25일 ~ 1914년 1월 11일) 조카 : 이익순(李益淳, 1897년 12월 4일 ~ ? ) 조카 : 이형순(李亨淳, 1905년 11월 19일 ~ ? ) 기타[편집] 그의 친척인 이종린 역시 천도교도로 경성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권동진의 문하생이었다. 같이 보기[편집] 독립유공자로 대통령장을 수여받은 사람 참고자료[편집]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이종일, 1995년 각주[편집] ↑ 박하용 (2006년 8월 14일). “정겨운 초가, 독립운동가 옥파 이종일 선생 생가 - [포토에세이] 충남 태안에서 느끼는 광복을 향한 힘”. 오마이뉴스. 2008년 6월 6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30) (도움말) ↑ 태안군청, 태안군지 - 문화재사적지 - 사당 Archived 2007년 9월 27일 - 웨이백 머신 ↑ "33人의 黙菴 李鍾一 선생이 쓴 第2의 獨立宣言文 발견", 동아일보 1979년 02월 27일자 5면, 생활/문화면 ↑ 가 나 다 라 "死別 十年만에 邂逅", 동아일보 1936년 05월 17일자 2면, 사회면 ↑ "己未運動의 先驅 李鍾一氏長逝", 동아일보 1925년 09월 01일자 2면, 사회면 vdeh1995년 선정 이 달의 독립운동가 1월 김지섭 2월 최팔용 3월 이종일 4월 민필호 5월 이진무 6월 장진홍 7월 전수용 8월 김구 9월 차이석 10월 이강년 11월 이진룡 12월 조병세 vdeh민족대표 33인 또는 민족대표 49인개신교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 천도교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불교 한용운 백용성 16인 박인호 김홍규 노헌용 이경섭(이상 천도교), 김도태 안세환 함태영 김원벽 김세환(이상 기독교), 임규 송진우 현상윤 최남선 강기덕 정노식 김지환 한병익 기타 스코필드 현순 신규식 이승만 서재필 vdeh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강기동 권동진 권병덕 김동삼 김상옥 김성수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민긍호 민종식 박동완 박승환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채호 신홍식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연기우 오세창 유여대 유인석 이갑성 이동녕 이명룡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조성환 지청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문태수 신석구 이범석 정환직 진성 당계요 배설 송교인 여천민 임삼 호한민 황흥 우빈 손과 주가화 이승희 주시경 김하락 장건상 김붕준 박열 안재홍 오화영 유동열 윤기섭 조완구 김병조 문창범 박용만 이동휘 채상덕 최석순 구춘선 김경천 여운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종일_(1858년)&oldid=24060719" 분류: 1858년 태어남1925년 죽음굶어 죽은 사람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조선의 문신과거 급제자조선의 정치인대한제국의 언론인대한제국의 활동가일제 강점기의 작가일제 강점기의 천도교 교역자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일제 강점기의 국문학자민족대표 33인급진개화파성주 이씨태안군 출신영양실조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종일(李種一, 1858년 12월 10일(음력 11월 6일) ~ 1925년 8월 31일)은 조선 말의 문신, 개혁운동가이자 한국의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 국문학자이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보성사에서 3만 5천 부의 독립선언문을 인쇄하였다. 아호는 옥파(沃波), 천도교 도호는 묵암(默庵)이다. 천연자(天然子), 중고산인(中皐散人), 중헌(中軒)이라는 필명도 사용했다. 1882년 일본 수신사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다녀온 뒤, 개화 운동에 투신하여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등에서 활동했다. 또한 독립신문과 황성신문의 필진으로 활동하였다. 1906년 손병희의 권고로 천도교에 입도한 뒤에는 천도교 포교활동 외에 3.1 운동에도 가담하였다. 3.1 운동이 실패로 돌아간 후에는 국문학자로 활동하였다. 천도교 교역자이자 정치인이었던 이종린은 그의 친척 동생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종일의 가족은 누가 있을까? Assistant: 아버지 : 이교환(李敎煥, 1841년 10월 20일 ~ 1878년 1월 16일) 부인 : 이씨(李氏)[5] 아들 : 이학순(李學淳, 1885년 7월 27일 ~ 1925년 3월 27일) 딸 : 이장옥(李璋玉, 1904년 ~ ? ) 사위 : 이운서(李雲瑞) 첩며느리 : 이름 미상[4] 첩 : 이름 미상[4] 동생 : 이종칠(李鍾七, 1861년 8월 24일 ~ 1909년 3월 14일 조카 : 이영순(李永淳, 1899년 11월 19일 ~ ? ) 조카 : 이용순(李龍淳, 1902년 3월 8일 ~ ?) 동생 : 이종팔(李鍾八, 1873년 3월 25일 ~ 1914년 1월 11일) 조카 : 이익순(李益淳, 1897년 12월 4일 ~ ? ) 조카 : 이형순(李亨淳, 1905년 11월 19일 ~ ? ) Human: 아래 대한항공_902편_격추_사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개요 발생일시 1978년 4월 20일 발생유형 격추 발생원인 항법장치 이상, 항로 이탈 발생장소 소비에트 연방 무르만스크 상공 비행 내용 기종 보잉 707-330B 소속 대한항공 IATA 항공편 번호 {{{IATA 항공편 번호}}} ICAO 항공편 번호 {{{ICAO 항공편 번호}}} 호출부호 {{{호출부호}}} 등록번호 HL7429 출발지 파리 오를리 공항 경유지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 목적지 서울 김포국제공항 탑승승객 97명 승무원 12명 피해 내용 사망자 2명 생존자 107명 대한항공 902편 격추사건은 1978년 4월 20일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에서 이륙해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국제공항을 경유해 김포국제공항으로 올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902편이 내부 항법장비 이상으로 소련 영공을 침범하여, 소련 전투기에 의해 격추당한 사건이다. 핀란드 로반니에미 공항 관제실에 의하면 902편의 조종사는 신분을 밝혔다.[1] 이 사고로 당시 사고기에 탑승했던 탑승객 109명(승객 97, 승무원 12) 중 2명이 사망하였으며, 무르만스크 인근에 불시착했다. 목차 1 사고 원인 2 소련 영공 진입 3 이후 3.1 귀국 3.2 소련의 국방 강화 4 참조 사고 원인[편집] 대한항공 902편의 예정된 비행 루트와 실제 비행 루트 대한항공 KE902편(기장 김창규)은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을 출발하여 미국 앵커리지 국제공항에서 재급유한 다음, 김포국제공항으로 착륙할 예정이었다. 사고가 일어나기 전 이 항공기는 북극에서 400마일 떨어져 있는 캐나다 공군 얼러트 기지를 통과하였고,[2] 그 후 방향을 갑자기 급선회하여 앵커리지 대신 무르만스크로 향하였다. 당시 보잉 707 여객기에는 관성 항법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았고, 조종사와 항법사는 태양의 위치를 인지하지 못했다. 대한항공 측의 설명에 따르면 자기 나침반과 실제 경로의 차이를 계산할 때 편각의 부호를 잘못 파악하여 크게 우회전하였다고 한다. 이 때문에 항공기는 바렌츠 해 상공을 통과하여 소련 영공에 진입하였다. 소련 공군은 이 여객기를 미국 공군의 정찰기인 RC-135로 착각하였고[3], 수호이 Su-15 전투기가 이륙하였다. 소련 영공 진입[편집] 소련 측 보고에 따르면 대한항공 902편은 전투기의 지시를 따르라는 명령을 무시하였다고 한다. Su-15 조종사 A. 보소프는 상관에게 이 비행기가 군사적으로 위험하지 않다고 설득하였으나, 상부로부터 요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 2발의 몰니야 R-60 미사일을 발사했으며, 그 중 1발은 빗나갔고 1발은 왼쪽 날개를 강타하여 기체에 구멍을 냈다. 요격 이후 기체 내 압력이 급강하했고, 날개 파편에 의해 일본인과 한국인 승객 각각 1명이 사망하였다. 요격 이후 기장은 곧바로 산소가 많은 고도인 5천 피트로 급강하했고, Su-15S 전투기는 이를 놓쳤다. 일단 기체가 폭발하지 않았으며, 기체를 제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요격 40분 후 또 다른 Su-15TM 전투기의 유도로 얼어붙은 코르피야르비 호에 불시착하였다.[4] 가장 가까운 도시는 카렐리야 공화국 루히였으며, 핀란드 국경에서 140 km 떨어져 있었다. 생존자 107명은 소련 헬리콥터가 구조하였다. 이후[편집] 귀국[편집] 당시 대한민국과 소련 사이에는 국교가 없었으므로 미국이 대리로 협상에 나서, 사고 후 2일이 지난 1978년 4월 22일에 승객들은 헬싱키를 통하여 귀환하였다. 기장 김창규와 항법사 이근식은 소련 당국에 억류되어 조사를 받고 공식적으로 사과한 후에야 귀국할 수 있었다. 사고 이후 소련은 대한민국에 배상금 10만 달러를 청구하였다. 사고기 승객들은 팬아메리칸 월드 항공의 보잉 727기로 무르만스크에서 헬싱키로 이동하였고, 이후 또 다른 대한항공 보잉 707이 헬싱키에서 김포국제공항으로 이동하였다. 대한민국으로 돌아온 김창규 기장은 조종사로는 최고의 영예인 보잉 747기의 기장으로 승진했으며 국제 조종사 협회에서도 최고의 조종사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사고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난은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사고를 낸 보잉 707기는 반환받지 못했다. 그래도 902편은 영구 결번되지 않고 현재도 파리발 인천행 노선에 존치되어 있다. 소련의 국방 강화[편집] 소련 측에서는 타국 항공기가 자국 영공을 침해했다는 이유 때문에 대공 방어력을 강화하였고, 이후 1983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일부 원인이 되었다.[5][6] 참조[편집] ↑ (핀란드어) Tikka, Juha-Pekka (2008년 7월 10일). “Tulitettu korealaiskone oli päätyä Suomeen 1978”. 《Ilta-Sanomat》. Ilta-Sanomat Oy. 2008년 7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ASN Aircraft accident Boeing 707-321B HL7429 Korpijärvi Lake ↑ RC-135는 보잉 707을 기본으로 한 파생 기종이다. ↑ (러시아어) Увидеть Париж — и не умереть -- Константин Сорокин, Артур Берзин Archived 2009년 9월 6일 - 웨이백 머신 ↑ Reed Irvine (1991년 5월 8일). “KAL-007: Where's the Media?”. Accuracy in Media. 2009년 9월 1일에 확인함.  ↑ Pearson, David Eric (1987). 《KAL 007: The Cover-up》. Summit Books. 110쪽. ISBN 0671557165.  vdeh대한민국의 항공 사고굵은 글씨 : 탑승객 전원 사망 사고대한항공 창랑호 납북 사건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 대한항공 902편 대한항공 015편 대한항공 007편 대한항공 858편 대한항공 803편 대한항공 2033편 대한항공 801편 대한항공 8702편 대한항공 1533편 대한항공 8509편 대한항공 6316편 대한항공 085편 대한항공 086편 대한항공 2708편 대한항공 480편 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 733편 해병대 민항기 오인 사격 사건 아시아나항공 991편 아시아나항공 214편 아시아나항공 162편 저비용 항공사 및 지역 항공사 세기항공 서울-제천 편 제주항공 502편 대한민국에 운항한 외국 항공사 중국민항 296편 불시착 사건 중국국제항공 129편 헬리콥터 사고 서울 삼성동 헬기 추락 사고 울릉도 관광 헬기 추락 사고 한강 영화촬영 헬기 추락 사고 지리산 소방헬기 추락 사고 올림픽대교 헬기 추락 사고 용문산 헬기 추락 사고 제주도 해양경찰헬기 추락 사고 LG전자 사내기 충돌 사고 광주 소방헬기 추락 사고 가거도 해양경찰헬기 추락 사고 포항 수리온 추락 사고 군용기 사고 제주도 수송기 추락 사고 청계산 수송기 추락 사고 교육훈련기 사고 한서대학교 훈련기 추락 사고 살인 사건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해양 사고 도로 사고 화재 사고 군사 사건 성범죄 사건 아동 학대 사건 폭발 사고 붕괴 사고 vdeh대한항공의 사건 및 사고 창랑호 납북 (1958년) YS-11기 납북 (1969년) 902편 (1978년) 015편 (1980년) 007편 (1983년) 858편 (1987년) 803편 (1989년) 2033편 (1994년) 801편 (1997년) 8702편 (1998년) 1533편 (1999년 3월) 6316편 (1999년 4월) 8509편 (1999년 12월) 85편 (2001년) 땅콩 리턴 사건 (2014년) 2708편 (2016년) vdeh냉전USA  · USSR  · ANZUS  · NATO  · NAM  · SEATO  · WarPac 서방권  · 동구권1940년대 후크발라합 반란 데케므브리아나 얄타 회담 발트 3국 유격전 숲의 형제들 프리뵈 작전 정글 작전 발트 3국 점령 저주받은 병사들 언싱커블 작전 포츠담 회담 고젠코 사건 마스터돔 작전 빌리거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1946년 이란 위기 그리스 내전 케르키라 해협 사건 터키 해협 위기 Restatement of Policy on Germany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트루먼 독트린 아시아 관계 회의 마셜 플랜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티토-스탈린 결별 베를린 봉쇄 서구의 배신 철의 장막 동구권 서구권 제2차 국공 내전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알바니아 정부 전복 시도 1950년대 죽의 장막 한국 전쟁 매카시즘 1953년 이란 쿠데타 1953년 동독 폭동 사태 멕시코 더러운 전쟁 브리커 헌법 수정안 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 베트남 분할 1차 타이완 해협 위기 1955년 제네바 정상 회담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1956년 포즈난 시위 1956년 헝가리 혁명 수에즈 위기 "당신들을 묻어버리겠다!" 글라디오 작전 아랍 냉전 1957년 시리아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 이라크 7월 혁명 스푸트니크 충격 2차 타이완 해협 위기 쿠바 혁명 부엌 논쟁 중소 분쟁 1960년대 콩고 위기 U-2기 사건 피그스만 침공 1960년 터키 쿠데타 소련-알바니아 결별 베를린 장벽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앙골라 독립 전쟁 기니바사우 독립 전쟁 모잠비크 독립 전쟁 쿠바 미사일 위기 인도-중국 전쟁 사라왁 공산당 반란 이라크 라마단 혁명 1963년 시리아 쿠데타 베트남 전쟁 1964년 브라질 쿠데타 미국의 도미니카 공화국 점령 (1955년~1956년)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인도네시아 신질서 전이 도미노 이론 ASEAN 선언 라오스 내전 1966년 시리아 쿠데타 아르헨티나 혁명 대한민국 DMZ 충돌 그리스 군사 정권 푸에블로 호 납치 사건 6일 전쟁 소모전 도파르 반란 1968년 시위 68 혁명 문화 대혁명 프라하의 봄 말레이시아 공산당 반란전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라크 바트당 혁명 구야시 공산주의 중소 국경 분쟁 필리핀 공산주의자 반란 예멘 수정 운동 1970년대 데탕트 핵확산방지조약 검은 9월 1970년 시리아 수정 운동 캄보디아 내전 현실정치 핑퐁 외교 1971년 터키 쿠데타 이집트 수정 운동 베를린 4국 조약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 1972년 북예멘-남예멘 전쟁 1973년 칠레 쿠데타 욤키푸르 전쟁 카네이션 혁명 전략 무기 제한 협상 로디지아 부시 전쟁 앙골라 내전 모잠비크 내전 오가단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레바논 내전 알바니아-중국 결별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 이란 혁명 콘도르 작전 더러운 전쟁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사우르 혁명 뉴주얼 운동 1972년 헤라트 봉기 라인 강까지 7일 작전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1980년 및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1980년 터키 쿠데타 그레나다 침공 1986년 흑해 사건 1988년 흑해 충돌 사건 연대자유노조 소련의 반응 콘트라 반군 중앙아메리카 위기 RYAN 작전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에이블 아처 83 전략방위구상 피플 파워 혁명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1989년 톈안먼 사건 베를린 장벽의 붕괴 1989년 혁명 글라스노스트 페레스트로이카 1990년대 1990년 몽골 혁명 예멘의 통일 독일의 통일 알바니아 공산주의 정권 붕괴 유고슬라비아 해체 소련의 붕괴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동결분쟁 압하지아 문제 양안 문제 한반도 문제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 남오세티야 문제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 인도-중국 국경 분쟁 대외 정책 트루먼 독트린 봉쇄 정책 아이젠하워 독트린 도미노 이론 할슈타인 독트린 케네디 독트린 평화적 공존 동방 정책 존슨 독트린 브레즈네프 독트린 닉슨 독트린 울브리히트 독트린 카터 독트린 레이건 독트린 롤백 정책 푸에르토리코 주권 이데올로기 자본주의 시카고 학파 케인스 경제학 통화주의 신고전파 경제학 레이거노믹스 공급경제학 대처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카스트로주의 유럽공산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주체사상 마오쩌둥주의 낙살리즘 스탈린주의 티토주의 호치민사상 트로츠키주의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조직 ASEAN CIA 코메콘 EEC KGB NAM SAARC 사파리 클럽 MI6 슈타지 프로파간다 적극적 조치 이즈베스티야 프라우다 자유의 십자군 자유유럽방송 적색공포 타스 미국의 소리 러시아의 소리 경쟁 군비 경쟁 핵 군비 경쟁 우주 경쟁 상호확증파괴 더 보기 벼랑끝전술 NATO-러시아 관계 미국의 소련 스파이 미국의 러시아 스파이 미국-소련 관계 미국-소련 정상 회담 신냉전 분류  · 위키공용 사진  · 연표  · 분쟁 vdeh20세기의 항공 사고1960년대 이전1960년 이전 힌덴부르크 참사('37) 수페르가 항공 참사('49) 일본항공 301편('52년) 영국해외항공 781편 추락 사고('54) 뮌헨 비행기 참사('58) 창랑호 납북 사건('58) U-2기 사건('60) 1961~1970년 영국해외항공 911편 추락 사고('66) 엘알 이스라엘 항공 426편('68) EC-121 격추 사건('69) 대한항공 YS-11기('69) 일본항공 351편('70) 1970년대1971~1977년 야트 항공 367편('72) 캐세이퍼시픽 항공 700Z편('72) 터키 항공 981편 추락 사고('74) 더블 식스 트라제디('76) 테네리페 참사('77) 일본항공 472편('77) 루프트한자 181편('77) 1978~1980년 대한항공 902편('78) 아메리칸 항공 191편('79) 에어뉴질랜드 901편('79) 드니프로제르진시크 공중 충돌 사고('79) 대한항공 015편('80) 사우디아항공 163편('80) 1980년대 전반1981~1985년 일본항공 350편('82) 영국항공 9편('82) 대한항공 007편('83) 에어 인디아 182편('85) 델타 항공 191편('85) 일본항공 123편('85) 이스턴 항공 980편('85) 1980년대 후반1986~1990년 남아프리카 항공 295편('87) 대한항공 858편('87) 알로하 항공 243편('88) 이란 항공 655편('88) 팬암 항공 103편('88) 유나이티드 항공 811편('89) 대한항공 803편('89) 영국항공 5390편('90) 1990년대1991~1993년 타이 항공 311편('92) 파키스탄 국제항공 268편('92) 엘알 이스라엘 항공 1862편('92) 마르틴에어 495편('92)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93) 중국남방항공 3943편 아시아나항공 733편('93) 1994~1996년 대한항공 2033편('94)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94) 중화항공 140편 추락 사고('94) 필리핀 항공 434편('94) 에어프랑스 8969편('94) 아메리칸 항공 965편('95) 1996년 에어아프리카 충돌 사고('96) 트랜스월드 항공 800편('96) 차르키다드리 상공 공중 충돌('96)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96) 페루항공 603편('96) 1997~2000년 중국남방항공 3456편('97) 대한항공 801편('97) 베트남 항공 815편('97) 타이항공 261편('98) 대한항공 8702편('98) 스위스 항공 111편('98) 대한항공 1533편('99) 대한항공 6316편('99) 아메리칸 항공 1420편('99) 유니 항공 873편 ('99) 이집트 항공 990편('99) 대한항공 8509편('99) 에어프랑스 4590편('00) 2001년 이후의 항공 사고는 21세기의 항공 사고 목록 틀을 참고하십시오. 굵은 글씨는 탑승객 전원 사망 또는 500명 이상 사망 사고를 말합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항공_902편_격추_사건&oldid=23992767" 분류: 대한항공의 항공 사고1978년 소련1978년 대한민국1978년 항공 사고소련에서 일어난 항공 사고보잉 707 기종의 항공 사고항공기 격추대한민국-소련 관계냉전1978년 4월1978년 논쟁소련-한국 관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DeutschEnglishEspañolSuomiFrançaisGalegoMagyarBahasa Indonesia日本語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18: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항공 902편 격추사건(大韓港空九百二便擊墜事件) 또는 무르만스크 사건은 1978년 4월 20일 프랑스 파리 오를리 공항에서 이륙해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국제공항을 경유해 김포국제공항으로 올 예정이었던 대한항공 902편이 내부 항법장비 이상으로 소련 영공을 침범하여, 소련 수호이 전투기에 의해 격추당한 후 비상 착륙한 사건이다. 핀란드 로반니에미 공항 관제실에 의하면 902편의 조종사는 신분을 밝혔다. 이 사고로 당시 사고기에 탑승했던 탑승객 109명(승객 97, 승무원 12) 중 2명이 사망하였으며, 무르만스크 인근에 비상 착륙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항공 902편은 어떤 방법으로, 왜 격추당했어? Assistant: 소련 측 보고에 따르면 대한항공 902편은 전투기의 지시를 따르라는 명령을 무시하였다고 한다. Su-15 조종사 A. 보소프는 상관에게 이 비행기가 군사적으로 위험하지 않다고 설득하였으나, 상부로부터 요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 2발의 몰니야 R-60 미사일을 발사했으며, 그 중 1발은 빗나갔고 1발은 왼쪽 날개를 강타하여 기체에 구멍을 냈다. 요격 이후 기체 내 압력이 급강하했고, 날개 파편에 의해 일본인과 한국인 승객 각각 1명이 사망하였다.
Human: 아래 야크_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크 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크 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크 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야크 존(네덜란드어: Jacques Zoon, 1961년 ~, 네덜란드 출생)은 네덜란드인 플루트 연주가이다. 세계 최고로 손꼽히는 수많은 오케스트라들의 수석 플루트 연주자로 활동하며 이름을 날렸으며 현재 가장 뛰어난 플루트 연주가 중 한명으로 손꼽힌다. 영어식 발음인 작 준 으로도 널리 불린다. 목차 1 음악 교육 2 오케스트라 연주자 3 교육자 4 악기 5 수상 경력 음악 교육[편집] Jacques Zoon 은 암스테르담의 Sweelinck 음악원 에서 Koos Verheul 와 Harrie Starreveld 에게서 사사하였고 캐나다의 Bannf 아트센터에서 Geoffrey Gilbert 과 András Adorján 밑에서 수학하였다. 오케스트라 연주자[편집] 네덜란드 청소년 오케스트라의 단원이었던 Jacques Zoon 은 그 후 네덜란드 국립 유스 오케스트라와 유럽연합 유스 오케스트라에서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레너드 번스타인 같은 지휘자와 함께 활동을 시작한다. 그 후 암스테르담 필하모니 관현악단과 헤이그 필하모닉의 관현악단의 수석 플루티스트를 역임하였다. 1988년에서 1994까지, 지휘자 리카르도 샤이 밑에서 세계 제일의 오케스트라로 꼽히는 콘세르트헤보 관현악단의 수석 플루티스트로 활동한다. 그 후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에서의 수석과 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수석 연주자로 클라우디오 아바도, 베르나르트 하이팅크와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같은 지휘자들 밑에서 활동하였다. 1989년에서 1997년 사이 보스턴 교향악단의 수석으로 세이지 오자와와 함께하였다. 현재 클라우디오 아바도가 이끄는 루체른 페스티발 오케스트라와 모차르트 오케스트라의 수석주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독주, 실내악, 오케스트라 연주자로서 활발한 연주를 펼치고있다. 음반으로는 도이치 그라모폰, EMI, 필립스, Decca, Chandos, 보스턴 레코드 등의 음반사에서 그의 연주를 들을 수 있다. 최근 클라우디오 아바도 와 함께 도이치 그라모폰 음반사에서 모차르트 플루트 협주곡을 녹음하였다. 교육자[편집] 1989년 부터 1994년까지 로테르담 음악원의 교수로 재직하였고, 그 후 미국의 인디아나 대학에서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보스턴 대학과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교수로 재직하였다. 독일의 베를린 음악대학에서 가르친 후 2002년 부터 현재까지 스위스의 제네바 국립 고등음악원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스페인의 마드리드 퀸 소피아 음악학교에서 실내악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악기[편집] 나무 플루트로 연주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Jacques Zoon 은 그가 직접 헤드(취구)를 제작하여 연주한다 . 바로크 시대의 곡들은 직접 만든 고전 플루트로 연주하며 플루트 제작자인 William S. Haynes 는 고전 플루트의 취약점을 개선한 Zoon 모델 이라 불리는 플루트를 개발하였다. 수상 경력[편집] 1981년 Willem Pijper 국제 콩쿠르 2등상 1987년 쟝 피에르 랑팔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특별상 1998년 보스턴 글로브 올해의 음악인 상 1991년 피아니스트 Bernd Brackman 와 함께 녹음한 음반으로 에디슨 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129216 LCCN: no95004690 ISNI: 0000 0000 5515 5588 SUDOC: 177037938 BNF: cb140076769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크_존&oldid=20078477" 분류: 196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네덜란드의 음악가뉴잉글랜드 음악원 교수보스턴 대학교 교수인디애나 대학교 교수숨은 분류: 네덜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19일 (일) 13: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크 존(네덜란드어: Jacques Zoon, 1961년 ~, 네덜란드 출생)은 네덜란드인 플루트 연주가이다. 세계 최고로 손꼽히는 수많은 오케스트라들의 수석 플루트 연주자로 활동하며 이름을 날렸으며 현재 가장 뛰어난 플루트 연주가 중 한명으로 손꼽힌다. 영어식 발음인 작 준으로도 널리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크 존의 국적은? Assistant: 네덜란드 Human: 아래 네이피어_(뉴질랜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네이피어 (뉴질랜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이피어 (뉴질랜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네이피어 Napier 네이피어와 만 네이피어남위 39° 29′ 동경 176° 55′  / 남위 39.483° 동경 176.917°  / -39.483; 176.917좌표: 남위 39° 29′ 동경 176° 55′  / 남위 39.483° 동경 176.917°  / -39.483; 176.917 별명 Ahuriri 행정 나라 뉴질랜드 지역 호크스베이 지방 행정구역 시 인구 인구 58,600 명 (2010년) 인구밀도 249.4 명/km2 광역인구 57,600 명 지리 면적 106 km2 기타 시간대 UTC+12 UTC+13 지역번호 06 http://www.napier.govt.nz 네이피어(영어: Napier)는 뉴질랜드 북섬 호크스베이 지방의 주요 도시이다. 마오리 이름은 아후리리(Ahuriri)이다. 목차 1 개요 2 역사 3 관광 4 교육 5 기후 6 자매 도시 7 각주 8 외부 링크 개요[편집] 북섬의 동쪽에 있는 호크스베이 지방에 위치한 항구 도시이다. 수도 웰링턴에서 북쪽으로 자동차로 4시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인구는 약 57,000명이며, 남쪽으로 약 10 km 가면 헤이스팅스(Hastings)라는 타운이 있으며 네이피어와 함께 "쌍둥이 도시"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네이피어는 뉴질랜드 최고의 사과, 서양배, 와인의 산지이기도 하다. 네이피어 항구는 냉동고기, 양모, 펄프 등을 주로 수출하는 항구 도시이며, ‘아르데코 거리’로 유명하다. 역사[편집] 이 마을에 유럽계 이민자들이 이주한 것은 1800년대 중반이다. 그 당시에는 현재 호크스 베이 공항과 마레와 지구의 주변은 바닷물이 섞인 습지이며, 당초 비위생적인 콜레라 등의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에도 불구하고, 1900년대 경부터 급속도로 발전해 간다. 당시 주변의 평지는 폭풍우 때 바닷물에 침수되는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주로 블러프 언덕을 따라 살고 있었으며, 당시의 중심지는 현재보다 약간 북쪽 언덕에 있었다. 홍수 대책으로 세워진 것이 높이 약 50cm의 콘크리트 바다 방파제이며, 1892년 당시 네이피어 감옥의 죄수를 동원하여 세워졌다. 현재도 일부는 흔적이 남아있으며, 네이피어 감옥이 블러프 언덕에 존재했다. 현재 그 감옥 건물은 "감옥 백패커"로 관광객이 묵을 수 있는 숙박지로 개조되었다. 1931년 2월 3일 호크스베이(Hawkes Bay) 지진에 의해 네이피어는 괴멸적인 피해를 받았다. 이 지진으로 지반이 최대 4m 상승하고, 습지가 경작지와 주거지로 이용가능하게 되었다. 시가지의 부흥은 당시 유행했던 아르데코 양식(Art Deco-style)의 건축 디자인으로 통일하여 이루어 현재 세계 유수의 "아르데코 양식의 건축물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도시"가 되었다. 관광[편집] 네이피어 시내에는 아르데코 양식의 건축물이 많이 있고, 시내 관광의 기본은 아르데코 건축을 보고 걷는 것이다. 매년 호크스베이 지진 기념일 전후에는 아르데코 위크엔드라는 축제가 개최되어 시민들로 붐빈다. 참가 대수가 100대를 넘는 고전 비행기가 날아가는 에아로 데코도 축제의 한 부분으로 유명하다. 인접한 헤이스팅스(Hastings)와 함께 호크스베이의 이 지역은 와인 산업이 활발한 곳으로 와인이나 레스토랑도 충실하다. 바다에 접해 있지만, 해수욕에는 적합하지 않다. 교육[편집] 이스턴 공과 대학 (Eastern Institute of Technology) 기후[편집] Napier (1981–201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C (°F) 24.5 (76.1) 24.2 (75.6) 22.7 (72.9) 19.9 (67.8) 17.4 (63.3) 15.0 (59) 14.1 (57.4) 15.1 (59.2) 17.3 (63.1) 19.2 (66.6) 20.9 (69.6) 23.2 (73.8) 19.5 (67.1) 일평균기온 °C (°F) 19.5 (67.1) 19.4 (66.9) 17.7 (63.9) 15.0 (59) 12.4 (54.3) 10.0 (50) 9.4 (48.9) 10.3 (50.5) 12.3 (54.1) 14.3 (57.7) 16.1 (61) 18.4 (65.1) 14.6 (58.3) 평균최저기온 °C (°F) 14.6 (58.3) 14.6 (58.3) 12.7 (54.9) 10.3 (50.5) 8.5 (47.3) 6.8 (44.2) 5.6 (42.1) 6.4 (43.5) 8.1 (46.6) 9.6 (49.3) 10.9 (51.6) 13.0 (55.4) 10.0 (50) 평균 강수량 mm (인치) 46.8 (1.84) 54.3 (2.14) 66.8 (2.63) 67.9 (2.67) 74.8 (2.94) 82.1 (3.23) 108.3 (4.26) 60.1 (2.37) 57.9 (2.28) 59.9 (2.36) 52.4 (2.06) 53.5 (2.11) 784.8 (30.9) 평균강수일수 (≥ 1.0 mm) 6.0 5.9 7.2 7.1 7.9 8.8 9.4 8.2 7.4 7.5 6.0 6.5 88.1 평균 상대 습도 (%) 69.9 73.9 74.6 77.1 78.7 79.9 79.6 76.0 69.2 67.3 67.8 67.0 73.4 평균 월간 일조시간 249.3 202.6 201.7 172.4 155.6 130.7 134.7 166.8 181.2 213.9 216.2 233.7 2,258.7 출처: NIWA Climate Data[1] 자매 도시[편집]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 시 각주[편집] ↑ “Climate Data and Activities”. NIWA. 2013년 10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네이피어 시 아르 데코 시 네이피어 vdeh 뉴질랜드의 지방 자치 단체시 네이피어 넬슨 노스쇼어 더니든 로어헛 마누카우 어퍼헛 오클랜드 와이타케레 웰링턴 인버카길 크라이스트처치 타우랑가 파머스턴노스 포리루아 해밀턴 남섬의 군 고어 그레이 말보로 맥켄지 불러 사우스랜드 셀윈 애슈버턴 와나카 와이마카리리 와이마테 와이타키 웨스트랜드 카이코우라 퀸스타운 클루사 태즈먼 티머루 후루누이 북섬의 군 기즈번 뉴플리머스 랑이티케이 로드니 로토루아 루아페후 마나와투 매스터턴 마타마타 피아코 사우스 와이라파라 사우스 와이카토 사우스 타라나키 센트럴 호크스 베이 스트랫포드 오토로항아 오포티키 와이로아 와이카토 와이토모 와이파 와카타네 왕거누이 화카타네 황아레이 웨스턴 베이 오브 플렌티 카웨라우 카이파라 카터톤 카피티 코스트 타라루아 타우포 템즈 코로만델 파노스 파파쿠라 프랭클린 하우라키 헤이스팅스 호로웨누아 영토/구역 니우에 로스 속령 채텀 제도 쿡 제도 토켈라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네이피어_(뉴질랜드)&oldid=23037270" 분류: 뉴질랜드의 도시호크스베이 지방뉴질랜드의 항구 도시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Ængliscالعربيةभोजपुरी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àidhligGalegoहिन्दी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laallisutLietuviųMāori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7일 (토) 11: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네이피어(영어: Napier)는 뉴질랜드 북섬 호크스베이 지방의 주요 도시이다. 마오리 이름은 아후리리(Ahuriri)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네이피어 마을은 어떠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가? Assistant: 이 마을에 유럽계 이민자들이 이주한 것은 1800년대 중반이다. 그 당시에는 현재 호크스 베이 공항과 마레와 지구의 주변은 바닷물이 섞인 습지이며, 당초 비위생적인 콜레라 등의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에도 불구하고, 1900년대 경부터 급속도로 발전해 간다. 당시 주변의 평지는 폭풍우 때 바닷물에 침수되는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주로 블러프 언덕을 따라 살고 있었으며, 당시의 중심지는 현재보다 약간 북쪽 언덕에 있었다. 홍수 대책으로 세워진 것이 높이 약 50cm의 콘크리트 바다 방파제이며, 1892년 당시 네이피어 감옥의 죄수를 동원하여 세워졌다. 현재도 일부는 흔적이 남아있으며, 네이피어 감옥이 블러프 언덕에 존재했다. 현재 그 감옥 건물은 "감옥 백패커"로 관광객이 묵을 수 있는 숙박지로 개조되었다.
Human: 아래 변환_색인_버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변환 색인 버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환 색인 버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변환 색인 버퍼(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는 가상 메모리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캐시로, 약칭은 TLB이다.[1] TLB는 최근에 일어난 가상 메모리 주소와 물리 주소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기 때문에 일종의 주소 변환 캐시라고 할 수 있다. TLB는 CPU와 CPU 캐시 사이, CPU 캐시와 메인 메모리 사이 등 여러가지 다른 레벨의 캐시들 사이에서 주소를 변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모든 데스크탑 및 서버용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LB를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에 가지고 있다. 페이지 단위나 세그먼트 단위로 처리하는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하드웨어는 TLB를 사용한다. CPU는 1차적으로 TLB에 접근하여 원하는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TLB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MMU의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한다. 목차 1 개요 2 같이 보기 3 참조 4 외부 링크 개요[편집] CPU 캐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LB는 페이지 테이블 또는 세그멘트 테이블의 항목들 중 일부를 미리 저장한다. 페이지 테이블에서는 각 항목이 가상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물리주소를, 세그멘트 테이블에서는 가상 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세그멘트 주소를 저장한다. 가상 메모리는 페이지 또는 세그멘트라고 하는 작은 단위로 쪼개서 사용된다. 페이지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세그멘트는 가변적인 사이즈를 갖는다. 페이지 테이블은 주로 메인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가상 페이지가 실제 물리주소에서 어느 곳에 저장되는지를 관리한다. 가상 주소를 찾을 때 페이지 테이블은 먼저 프레임을 찾고, 프레임과 페이지 오프셋 비트들을 결합해 실제 주소를 만들어내어 데이터를 읽기 위해 그 실제주소로 접근하게 된다. 가상주소를 도입하게 되면 이런 식으로 실제 데이터를 읽어내기 전에 먼저 페이지 테이블을 읽어야 하므로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두배로 늘어나게 된다. 이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것이 TLB이다. TLB는 페이지 테이블의 캐시 역할을 하고 테이블의 일부만을 저장한다. 같이 보기[편집] 메모리 관리 페이징 참조[편집] ↑ Arpaci-Dusseau, Remzi H.; Arpaci-Dusseau, Andrea C. (2014), 《Operating Systems: Three Easy Pieces [Chapter: Faster Translations (TLBs)]》 (PDF), Arpaci-Dusseau Books  외부 링크[편집] Virtual Translation Lookaside Buffer[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메모리 관리운영 체제의 기능으로서의 메모리 관리직접 메모리 관리 정적 메모리 할당 C 동적 메모리 할당 new 와 delete (C++) 가상 메모리 요구 페이징 페이지 테이블 페이징 가상 메모리 압축 하드웨어 메모리 관리 장치 변환 색인 버퍼 쓰레기 수집 보엠 쓰레기 수집기 파이널라이저 쓰레기 표시 정리 알고리즘 참조 횟수 계산 방식 강한 참조 약한 참조 메모리 세그먼트 보호 모드 리얼 보드 가상 86모드 x86 메모리 분할 메모리 보안 버퍼 오버플로 버퍼 오버리드 허상 포인터 스택 오버플로 문제 단편화 메모리 누수 도달할 수 없는 메모리 기타 자동 변수 메모리 관리에 대한 국제 심포지엄 지역별 메모리 관리 전거 통제 GND: 4620645-0 이 글은 컴퓨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변환_색인_버퍼&oldid=24411604" 분류: 가상 메모리컴퓨터 메모리중앙 처리 장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컴퓨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Hrvatski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1일 (화) 16: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변환 색인 버퍼(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는 가상 메모리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캐시로, 약칭은 TLB이다. TLB는 최근에 일어난 가상 메모리 주소와 물리 주소의 변환 테이블을 저장하기 때문에 일종의 주소 변환 캐시라고 할 수 있다. TLB는 CPU와 CPU 캐시 사이, CPU 캐시와 메인 메모리 사이 등 여러 가지 다른 레벨의 캐시들 사이에서 주소를 변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모든 데스크탑 및 서버용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LB를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에 가지고 있다. 페이지 단위나 세그먼트 단위로 처리하는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하드웨어는 TLB를 사용한다. CPU는 1차적으로 TLB에 접근하여 원하는 페이지가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TLB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MMU의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상 주소를 사용했을때 메모리 접근시간이 두배로 늘어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것은 무엇인가? Assistant: TLB Human: 아래 빅터_빅토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빅터 빅토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터 빅토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빅터빅토리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빅터 빅토리아Victor Victoria 감독 블레이크 에드워즈 제작 토니 애덤스, 블레이크 에드워즈 각본 블레이크 에드워즈, 라인홀트 쉰첼 원작 한스 호엠버그 출연 줄리 앤드류스, 제임스 가너, 로버트 프레스턴 촬영 딕 부쉬 편집 랠프 E. 윈터스 음악 헨리 맨시니 국가 미국 빅터 빅토리아(Victor/Victoria)는 1934년 프랑스로 배경하는 작품으로서, 여주인공 줄리 앤드루스(빅터 빅토리아)가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많은 고생과 고비를 겪다가 나중에 로버트 프레스톤(토디)의 도움으로 여장을 하는 남자처럼 꾸며서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불러 많은 사람들에게 갈채와 인기를 받으면서 좋은 인생을 잘 살아가는 이야기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 2.1 주연 2.2 조연 3 기타 4 끝부분 5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눈이 오는 1930년대 프랑스에 살고 있는 남자 토디가 살고 있었고 토디가 어떤 가계에서 피아노 연주에 맞춰서 노래를 부르는 가수 빅토리아 그랜트 양이 있는 한 식당을 찾아갔다. 거기서 듣고 있는 라비는 그랜트가 부르는 노래가 형편없다면서 탈락시켰다. 게다가 그랜트는 호텔비도 2주간을 밀린 상황에서 호텔에 숙박하기도 했는데 마침내는 호텔주인이 참다 못해 그랜트를 내쫓았다. 그리고 같은 시각, 남자 토디는 호프 집에서 사람들 앞에 노래를 불렀으나 순식간에 호프집은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그리고 그랜트는 호텔 방안에 바퀴벌레를 무서워하면서도 바퀴벌레를 가방에 넣어서 식당마다 들어가 밥을 먹다가 바퀴벌레를 음식에 넣어서 주인장에게 돈을 받지 않으려는 꾀를 부리고 있었다. 그리고 실제로 그랜트가 식사 하는 도중에 토디가 식당에서 그랜트를 만나 대화를 했다가 그랜트가 바퀴벌레를 넣는 바람에 그 식당 주인장에게 돈을 받지 않았으며, 그랜트는 토디의 도움으로 제대로 된 인생을 걷기 시작했는데 그건 마치 남자목소리를 하면서 남자차림으로 변장하는 것이다. 즉, 여장차림으로 하는 남자로 꾸며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받으면서 돈을 많이 받으면서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결국 그랜트는 여장 차림으로 된 남자 행세를 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받는데는 성공했고, 빅터 빅토리아라는 새 이름으로 사람들 앞에서 갈채를 받았으나 무대에서 그랜트가 여자 차림 그대로 남자같지 않고 여자 행동을 하는 걸 눈치챈 한 남성이 있었다. 바로 킹 마샹이었다. 킹 마샹은 빅터 빅토리아가 여자같은 행동을 눈치챘는데 겉모습이 남자 형태로 보였기 때문에 많이 의심을 했고, 빅터 빅토리아가 이상하다는 생각과 행동을 통해 항상 킹 마샹 머리 속에는 항상 빅터 빅토리아 생각에만 빠졌다. 그런데 정작 킹 마샹하고 같이 붙어있던 여자 노마 캐시디가 귀찮게 굴자, 킹 마샹은 비누를 노마 캐시디 입에다 쑤셔 넣자 분노한 캐시디가 창을 휘두르는 행패를 부렸다. 이에, 킹 마샹은 캐시디를 미국으로 쫓아냈지만 캐시디는 포기하지 않고 미국에서도 인기를 받았다. 한편, 킹 마샹은 심지어 빅터 빅토리아와 토디하고 어마어마하게 비싸고 큰 호텔에 사는 곳에 몰래 들어가기도 했었다. 결국 빅터 빅토리아는 킹 마샹에게 진실을 보여주게 되고, 킹 마샹도 빅터 빅토리아가 여자라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미국에서 돌아온 캐시디가 다시 빅터 빅토리아, 토디, 킹 마샹 앞에 섰지만 캐시디 역시 빅터 빅토리아가 여자라는 걸 알게 되어 빅터 빅토리아가 거짓으로 여성차림의 남자행세처럼 했다는 것으로 빅터 빅토리아의 일행들을 모두 경찰에 신고하려는 수작을 부렸지만 이것은 실패로 돌아갔고, 당황한 토디는 그걸 없었던 일로 꾸미기 위해 자신이 대신 여장차림의 남자로 무대에 서게 되어 본격적으로 여장 차림의 남자 행세를 하면서 끝이 난다. 출연[편집] 주연[편집] 줄리 앤드류스 제임스 가너 로버트 프레스턴 조연[편집] 레슬리 앤 워렌 알렉스 카라스 존 라이스 데이비스 그레이엄 스탁 피터 아네 허브 태니 마이클 로빈스 노먼 챈서 데이빗 갠트 마리아 찰스 기타[편집] 미술: 로저 마우스 세트: 해리 코드웰 의상: 패트리시아 노리스 배역: 메리 셀웨이 끝부분[편집] 영화 끝부분을 보면 다른 영화들과 조금 달리 "THE END"가 나오지 않고, 끝나기 직전에 영화 배우의 이름이 모두 나오면서 끝이 난다. 빅터 빅토리아는 줄리 앤드루스이고, 킹 마샹은 제임스 가너, 빅터 빅토리아를 챙겨준 토디는 로버트 프레스톤, 캐시디는 레슬리 앤 워런, 알렉스 카라스, 호텔 주인은 마이클 로빈스 등으로 배우 이름을 모두 보여준 채 끝난다. 외부 링크[편집] (영어) Victor/Victoria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Victor/Victoria - TCM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Victor/Victoria – 올무비 (영어) Victor/Victoria - 미국 영화 협회 카탈로그 (영어) Victor/Victoria – 박스 오피스 모조 (영어) Victor/Victoria – 로튼 토마토 James Garner Interview on the Charlie Rose Show James Garner interview at Archive of American Television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빅터_빅토리아&oldid=24056055" 분류: 1982년 영화미국의 영화 작품미국의 성소수자 영화미국의 뮤지컬 코미디 영화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미국의 로맨틱 뮤지컬 영화미국의 섹스 코미디 영화영국의 영화 작품영어 영화 작품블레이크 에드워즈 감독 영화아카데미 음악상 수상작파리를 배경으로 한 영화193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메트로-골드윈-메이어 영화파인우드 스튜디오 영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Cymraeg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Françaisעברית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8일 (목) 14:5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빅터 빅토리아(Victor/Victoria)는 1934년 프랑스로 배경하는 작품으로서, 여주인공 줄리 앤드루스(빅터 빅토리아)가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많은 고생과 고비를 겪다가 나중에 로버트 프레스톤(토디)의 도움으로 여장을 하는 남자처럼 꾸며서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불러 많은 사람들에게 갈채와 인기를 받으면서 좋은 인생을 잘 살아가는 이야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빅터 빅토리아가 여장을 한 남자가 아니라 원래 여자임을 눈치채고 의심하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Assistant: 킹 마샹
Human: 아래 윈도우_구성_요소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윈도우 구성 요소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윈도우 구성 요소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구성 요소의 목록이다. 목차 1 구성 및 관리 2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응용 프로그램 및 유틸리티 4 윈도우 서버 구성 요소 5 파일 시스템 6 코어 구성 요소 7 서비스 8 DirectX 9 네트워크 10 스크립트 및 명령줄 11 커널 12 닷넷 프레임워크 13 보안 14 현재는 쓰이지 않는 구성 요소 및 프로그램 15 API 16 기타 구성 및 관리[편집] 구성 요소 도입 시점 제어판 제어판 윈도우 1.0 장치 관리자 윈도우 95 윈도우 모바일 센터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관리 센터 윈도우 XP SP2 관리 도구 마이크로소프트 관리 콘솔 윈도우 NT 4.0 옵션 팩 윈도우 시스템 평가 도구 윈도우 비스타 시스템 복원 윈도우 미 윈도우 사전 설치 환경 윈도우 비스타 디스크 조각 모음 (윈도우) 윈도우 95, 윈도우 2000 이벤트 뷰어 윈도우 NT 3.1 리소스 모니터 윈도우 비스타 논리 디스크 관리자 윈도우 NT 4.0 (별도 도구), 윈도우 2000 레지스트리 편집기 윈도우 3.1x 작업 스케줄러 마이크로소프트 플러스! 포 윈도우 95 소프트웨어 설치 및 배치 윈도우 업데이트 윈도우 98 윈도우 인스톨러 윈도우 2000 한번 클릭 닷넷 프레임워크 2.0 사용자 인터페이스[편집] 구성 요소 도입 시점 윈도우 파워셸 윈도우 XP 윈도우 셸 윈도우 95 윈도우 탐색기 윈도우 95 윈도우 검색 윈도우 비스타, 오래된 버전의 경우 다운로드 가능 특수 폴더 윈도우 95 시작 메뉴 윈도우 95 작업 표시줄 윈도우 95 윈도우 데스크톱 가젯 윈도우 7 파일 연결 윈도우 3.0 응용 프로그램 및 유틸리티[편집] 구성 요소 도입 시점 윈도우 쉬운 전송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연락처 윈도우 비스타 계산기 윈도우 1.0 문자표 윈도우 3.1x 그림판 윈도우 1.0 윈도우 투 고 윈도우 8 메모장 윈도우 1.0 내레이터 윈도우 2000 녹음기 윈도우 3.1x Cmd.exe 윈도우 1.0 워드패드 윈도우 95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윈도우 3.1x 동아시아판 원격 데스크톱 연결 윈도우 XP, 이전 윈도우 버전의 경우 다운로드 가능 윈도우 원격 지원 윈도우 XP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플러스! 포 윈도우 95 IExpress 인터넷 익스플로러 6 윈도우 팩스 및 스캔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윈도우 95 윈도우 사진 뷰어 윈도우 7 윈도우 DVD 메이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저널 윈도우 XP 에디션,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미디어 센터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윈도우 작업 관리자 윈도우 3.0 디스크 정리 윈도우 98 섀도 복사본 윈도우 비스타 캡처 도구 윈도우 XP 태블릿 PC 에디션 2005 확장팩 알람 및 시계 윈도우 10. 윈도우 서버 구성 요소[편집] 구성 요소 준말 지원 윈도우 서버 도메인 모든 윈도우 NT 기반 버전 액티브 디렉터리 AD 윈도우 2000, 윈도우 서버 2003 도메인 컨트롤러 DC, PDC, BDC 모든 윈도우 NT 기반 버전 그룹 정책 GP, GPO 윈도우 2000 이상 인터넷 정보 서비스 IIS 윈도우 NT 파일 시스템[편집] 구성 요소 지원 파일 할당 테이블 (FAT, FAT12, FAT16) 모든 버전 FAT32 윈도우 95 OSR2, 윈도우 98,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비스타 NTFS 윈도우 NT (모든 버전) ISO 9660 (CDFS) MS-DOS, 윈도우 9x (MSCDEX.EXE 확장을 통해), 윈도우 NT의 경우 네이티브 지원 유니버설 디스크 포맷 (UDF) 윈도우 98, 윈도우 2000,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비스타 HPFS 윈도우 95 (읽기/쓰기), 윈도우 98, 윈도우 NT (읽기), 3.1/3.51 (읽기/쓰기/부팅) ReFS 윈도우 서버 2012, 윈도우 8.1 코어 구성 요소[편집] 구성 요소 준말 윈도우 커널 (윈도우 NT) Ntoskrnl.exe 윈도우 라이브러리 파일 HAL 윈도우 라이브러리 파일 코어 프로세스 (윈도우 NT) 시스템 유휴 프로세스 SIP 세션 관리자 하위 시스템 SMSS 클라이언트/서버 런타임 하위 시스템 CSRSS 로컬 보안 인증 하위 시스템 서비스 LSASS 윈로그온 Svchost.exe 윈도우 온 윈도우, WOW64 WoW 가상 도스 머신 NTVDM 시스템 시작 (윈도우 NT) NTLDR, IA64ldr, Winload 복구 콘솔 Ntdetect.com 윈도우 비스타 시작 프로세스 그래픽 하위 시스템 데스크톱 창 관리자 DWM 그래픽 장치 인터페이스 GDI/GDI+ 윈도우 사용자 서비스[편집] 표시 이름 서비스 키 이름 도입 시점 액티브 디렉터리 NTDS 윈도우 2000 Alerter service Alerter 윈도우 NT 응용 프로그램 수준 게이트웨이 ALG 윈도우 2000 응용 프로그램 체험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 관리 AppMgmt 윈도우 2000 백그라운드 인텔리전스 전송 서비스 BITS 윈도우 XP 컴퓨터 브라우저 Browser 윈도우 3.1x 분산 링크 추적 TrkWks, TrkSrv 윈도우 2000 분산 트랜잭션 코디네이터 MSDTC 윈도우 2000 이상의 NT 기반 DNS 클라이언트 DNSCache 윈도우 2000 이벤트 로그 EventLog 윈도우 NT 확장 가능 인증 프로토콜 EAPHost 윈도우 2000 색인 서비스 CISVC 윈도우 2000 이상의 NT 기반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UI0Detect 윈도우 비스타 인터넷 연결 공유 (ICS) SharedAccess 윈도우 2000 네트워크 위치 인식 NLA 윈도우 XP Network Store Interface Service NSIS 윈도우 XP NTLM 보안 지원 제공자 NTLMSSP 윈도우 NT 피어 이름 해결 프로토콜 PNRPSvc 윈도우 XP 플러그 앤드 플레이 PlugPlay 윈도우 2000 인쇄 스풀러 Spooler 윈도우 95, 윈도우 NT 원격 프로시저 호출 (RPC) RpcSs 윈도우 NT 계열 라우팅 및 원격 접속 서비스 RRAS 윈도우 2000 2차 로그온 SecLogon 보안 계정 관리자 SamSs 윈도우 NT 계열 시스템 이벤트 통보 서비스 SENS 윈도우 2000 프리페처 SysMain 윈도우 비스타 작업 스케줄러 Schedule 마이크로소프트 플러스! 포 윈도우 95 TCP/IP NetBIOS Helper LmHosts 윈도우 NT 계열 볼륨 섀도 복사본 VSS 윈도우 XP 윈도우 오디오 AudioSrv 윈도우 XP 윈도우 오류 보고 WERSvc 윈도우 XP 윈도우 방화벽 MpsSvc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방화벽/인터넷 연결 공유(ICS) SharedAccess 윈도우 XP 전용 Windows Image Acquisition(WIA) STISvc 윈도우 미 윈도우 시간 W32Time 윈도우 2000 윈도우 업데이트 WUAUServ 윈도우 XP 무선 제로 구성 WZCSvc (XP), WLANSvc 윈도우 XP, 서버 2003 전용 윈도우 메신저 서비스 Messenger 윈도우 NT 계열 WebClient 윈도우 XP DirectX[편집] Direct3D 다이렉트드로 DirectInput DirectMusic DirectPlay 다이렉트쇼 다이렉트사운드 DirectX DirectX 플러그인 DirectX 비디오 가속 네트워크[편집] 관리 공유 분산 파일 시스템 내 네트워크 환경 네트워크 접속 보호 원격 설치 서비스 서버 메시지 블록 윈도우 권리 관리 서비스 스크립트 및 명령줄[편집] 배치 파일 CHKDSK Cmd.exe ComSpec Ipconfig Net Net Send Netdom.exe: 윈도우 도메인 관리자 Netsh Netstat 큐베이직 Regsvr32 Robocopy Win32 콘솔 윈도우 스크립트 호스트 윈도우 파워셸 XCOPY 커널[편집] Commit charge 커널 트랜잭션 관리자 스레드 정보 블록 닷넷 프레임워크[편집] 어셈블리 CLI 언어 메타데이터 닷넷 리모팅 ADO.NET ASP.NET 기본 클래스 라이브러리 공통 중간 언어 공통 언어 기반 공통 언어 런타임 공통 유형 시스템 가상 실행 시스템 윈도우 카드스페이스 윈도우 커뮤니케이션 파운데이션 윈도우 폼 윈도우 프레젠테이션 파운데이션 윈도우 워크플로 파운데이션 보안[편집] 구성 요소 도입 시점 AppLocker 윈도우 7 프로페셔널, 엔터프라이즈, 얼티밋 에디션윈도우 서버 2008 R2 비트로커 윈도우 비스타 엔터프라이즈, 얼티밋 에디션,윈도우 서버 2008 실행 가능 공간 보호 윈도우 XP 서비스 팩 2 암호화 파일 시스템 윈도우 2000 보안 계정 관리자 윈도우 NT 3.1 SYSKEY 윈도우 NT 4.0 서비스 팩 3 사용자 계정 컨트롤 윈도우 비스타,윈도우 서버 2008 윈도우 방화벽 (wf.msc) 윈도우 XP 서비스 팩 2 윈도우 디펜더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리소스 보호 윈도우 비스타 현재는 쓰이지 않는 구성 요소 및 프로그램[편집] 구성 요소 분류 도입 시점 마지막 OS 포함 대체 대상 풀 틸트! 핀볼 게임 플러스! 95포 윈도우 95 윈도우 XP 없음 액티브무비 API 윈도우 95 --- 다이렉트쇼 카드파일 개인 일정 관리 윈도우 1.0 윈도우 미 아웃룩 익스프레스 또는윈도우 라이브 메일 체스 타이탄스 게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없음 더블스페이스 데이터 압축 MS-DOS 윈도우 미 없음 파일 관리자 파일 관리자 윈도우 3.0 윈도우 NT 4.0 윈도우 탐색기 프리셀 게임 Win32s 윈도우 7 카드놀이 (윈도우) 하트 게임 윈도우 포 워크그룹 3.11 윈도우 7 없음 하이퍼터미널 통신 윈도우 95 윈도우 XP 없음 Hold 'Em 게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 없음 호버! 게임 윈도우 95 --- 없음 구슬 넣기 게임 윈도우 XP 에디션 윈도우 비스타 없음 마이크로소프트 마종 게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마이크로소프트 마종 인터넷 메일 및 뉴스 이메일 윈도우 95 --- 아웃룩 익스프레스 또는윈도우 라이브 메일 지뢰 찾기 게임 윈도우 3.1x 윈도우 7 지뢰 찾기 (윈도우) 미디어 제어 인터페이스 API 윈도우 3.0 --- 없음 미디어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윈도우 3.0 윈도우 XP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소프트 일정 개인 일정 관리 윈도우 1.0 윈도우 2000 윈도우 일정 또는 윈도우 라이브 메일 마이크로소프트 진단 진단 MS-DOS 플러스! 95포 윈도우 95 마이크로소프트 시스템 정보 마이크로소프트 팩스 팩스 윈도우 95 윈도우 XP 윈도우 팩스 및 스캔 윈도우 도움말 온라인 도움말 윈도우 3.0 윈도우 XP 마이크로소프트 도움말 NT백업 백업 윈도우 NT 4.0 윈도우 XP,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백업 및 복원 센터, 윈도우 서버 백업 아웃룩 익스프레스 이메일 윈도우 98 윈도우 XP 윈도우 메일 또는윈도우 라이브 메일 프로그램 관리자 GUI 윈도우 3.0 윈도우 XP 윈도우 탐색기 퍼블 플레이스 게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없음 오델로 게임 윈도우 1.0 윈도우 3.0 인터넷 Reversi 전용(윈도우 미, 윈도우 XP) 카드놀이 게임 윈도우 3.0 윈도우 7 카드놀이 (윈도우) 스파이더 카드놀이 게임 마이크로소프트 플러스! 98 윈도우 7 카드놀이 (윈도우) 시스템 파일 검사기 보안 윈도우 98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리소스 보호 팅커 게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 없음 비디오 포 윈도우 API 윈도우 3.1x 윈도우 95 다이렉트쇼 윈도우 주소록 연락처 관리자 윈도우 95 윈도우 XP 윈도우 연락처 또는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일정 개인 정보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파일 보호 보안 윈도우 미 윈도우 XP 윈도우 리소스 보호 윈도우 메일 이메일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메신저 이메일 윈도우 95 윈도우 95 인터넷 메일 및 뉴스 또는윈도우 라이브 메일 윈도우 메신저 인터넷 메시징 윈도우 XP 윈도우 XP,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 윈도우 무비 메이커 비디오 윈도우 미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무비 메이커 마이크로소프트 넷미팅 웹 콘퍼런스 윈도우 95 윈도우 XP 윈도우 미팅 스페이스 윈도우 사진 갤러리 사진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사진 갤러리 윈도우 사진 및 팩스 뷰어 사진 윈도우 XP 윈도우 XP 윈도우 사진 갤러리,윈도우 팩스 및 스캔 또는윈도우 사진 갤러리 윈도우 라이트 워드 프로세서 윈도우 1.0 윈도우 NT 3.5 워드패드 API[편집] 클리어타입 미디어 파운데이션 윈도우 드라이버 프레임웍스 윈도우 이미징 구성 요소 윈도우 관리 기능 기타[편집] 액티브싱크 입출력 기술 매크로 레코더 마이크로소프트 에이전트 프리페처 레디부스트 동기화 센터 텍스트 서비스 프레임워크 유니버설 오디오 아키텍처 윈도우 색 시스템 윈도우 모바일 장치 센터 윈도우 랠리 윈도우 레지스트리 윈도우 음성 인식 오픈 XML 문서 규격 vdeh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구성 요소핵심 기능 에어로 자동 실행 클리어타입 데스크톱 창 관리자 DirectX 탐색기 작업 표시줄 시작 메뉴 셸 이름 공간 특수 폴더 파일 연결 알림 센터 검색 저장 검색 iFilter 그래픽 장치 인터페이스 WIM 닷넷 프레임워크 서버 메시지 블록 XML 문서 규격 액티브 스크립팅 WSH VB스크립트 J스크립트 DCOM OLE OLE 자동화 액티브X 액티브X 문서 COM Structured storage 트랜잭션 서버 이전 버전 Win32 콘솔 관리 도구 백업 및 복원 cmd.exe 제어판 (애플릿) 장치 관리자 디스크 정리 디스크 조각 모음 드라이버 확인 프로그램 이벤트 뷰어 관리 콘솔 Netsh 윈도우 오류 보고 Sysprep 시스템 정책 편집기 시스템 구성 작업 관리자 시스템 파일 검사기(SFC) 시스템 복원 윈도우 관리 도구 윈도우 인스톨러 윈도우 파워셸 윈도우 업데이트 WAIK WinSAT 윈도우 사용자 환경 전송 응용 프로그램 계산기 일정 문자표 연락처 DVD 메이커 팩스 및 스캔 인터넷 익스플로러 엣지 저널 메일 돋보기 미디어 센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미팅 스페이스 모바일 장치 센터 모바일 센터 무비 메이커 내레이터 메모장 그림판 사진 갤러리 사용자 정의 문자 편집기 원격 지원 윈도우 데스크톱 가젯 캡처 도구(스니핑 툴) 녹음기 윈도우 음성 인식 윈도우 스토어 워드패드 게임 체스 타이탄스 프리셀 하트 Hold 'Em 구슬 넣기 마이크로소프트 마종 지뢰 찾기 핀볼 퍼블 플레이스 카드놀이 스파이더 카드놀이 팅커 커널 Ntoskrnl.exe hal.dll 시스템 유휴 프로세스 svchost.exe 레지스트리 윈도우 서비스 서비스 제어 관리자 DLL EXE NTLDR / 시동 관리자 윈로그온 복구 콘솔 입출력 WinRE WinPE 커널 패치 보호 서비스 BITS 작업 스케줄러 무선 제로 구성 섀도 복사본 윈도우 오류 보고 멀티미디어 클래스 스케줄러 CLFS 파일 시스템 NTFS 하드 링크 정션 포인트 마운트 포인트 리파스 포인트 심볼 링크 TxF EFS FAT32·FAT16·FAT12 exFAT CDFS UDF DFS IFS ReFS 서버 도메인 액티브 디렉터리 DNS 그룹 정책 로밍 사용자 프로파일 폴더 리다이렉션 MSDTC MSMQ 윈도우 미디어 서비스 권한 관리 서비스 IIS 터미널 서비스 WSUS 윈도우 셰어포인트 서비스 네트워크 액세스 보호 PWS DFS 복제 원격 차등 압축 유닉스 인쇄 서비스 원격 설치 서비스 윈도우 배포 서비스 윈도우 시스템 리소스 관리자 하이퍼-V 구조 NT 시리즈 아키텍처 시작 프로세스 (비스타/7) 입출력 요청 패킷 커널 트랜잭션 관리자 논리 디스크 관리자 보안 계정 관리자 윈도우 파일 보호 / 윈도우 리소스 보호 윈도우 라이브러리 파일 LSASS CSRSS SMSS MinWin 보안 UAC 비트로커 디펜더 DEP 마이크로소프트 시큐리티 에센셜 보호 미디어 경로 Mandatory Integrity Control UIPI 윈도우 방화벽 보안 및 유지 관리 Syskey 호환성 유닉스 하위 시스템 마이크로소프트 POSIX 인테릭스 가상 도스 머신 COMMAND.COM 윈도우 온 윈도우 WOW64 윈도우 XP 모드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윈도우_구성_요소_목록&oldid=17014800" 분류: 윈도우 구성 요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മലയാളംBahasa MelayuРусскийසිංහල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6년 7월 31일 (일) 23: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구성 요소의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윈도우 구성요소중 제어판의 도입시점은 언제인가? Assistant: 윈도우 1.0 Human: 아래 왕세자탄강진하도_병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 대한민국의 보물 종목 보물 제1443호 (2005년 8월 12일 지정)수량 1점(10폭)시대 조선시대소유 국유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세종로,국립고궁박물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다. 2005년 8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43호로 지정되었다.[1] 목차 1 지정 사유 2 같이 보기 3 각주 4 참고 자료 지정 사유[편집] 왕세자탄강진하도병풍은 전체 10폭으로 구성되었으며, 8폭에 걸쳐 진하례 광경이 그려져 있고 좌우 양쪽 끝 폭에는 관원들의 좌목과 성명이 적혀 있다. 1874년(고종 11) 왕세자(훗날 대한제국 순종, 1874~1926)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기 위하여 그해 2월 14일에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한 진하례 의식 광경을 그린 궁중기록화이다.[1] 병풍의 그림에는 진하례가 열리고 있는 창덕궁 인정전을 중심에 배치하고 양쪽 옆으로 주변의 다른 건물들과 나무, 산봉우리 등을 그렸으며, 각 인물들과 건물 등이 모두 짙은 색채로 섬세하게 묘사되었다. 전체적으로 평행사선구도가 이용되었으며 진하례 광경은 부감법(俯瞰法)을 써서 표현하였다. 인정전 건물의 기둥과 벽면을 훨씬 높게 표현함으로써 실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광경들까지 빠짐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필묘와 채색, 묘사 면에서 다소 수준이 떨어지고 규모도 작아서 내입건의 병풍은 아닐 것이며, 당시 관원들이 제작하여 나누어 가진 계병 중 한 점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행사를 기록한 계병으로는 매우 희귀한 작품이다.[1] 같이 보기[편집] 진하례 대한제국 순종 각주[편집] ↑ 가 나 다 문화재청고시제2005-49호,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6063호, 2005-08-12 참고 자료[편집]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이 문서에는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한 국가문화유산포털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왕세자탄강진하도_병풍&oldid=20805777" 분류: 서울특별시의 보물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한국의 병풍조선의 그림19세기 작품숨은 분류: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물을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2월 23일 (금) 09: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다. 2005년 8월 1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43호로 지정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에 대해서 간략히 묘사해본다면? Assistant: 병풍의 그림에는 진하례가 열리고 있는 창덕궁 인정전을 중심에 배치하고 양쪽 옆으로 주변의 다른 건물들과 나무, 산봉우리 등을 그렸으며, 각 인물들과 건물 등이 모두 짙은 색채로 섬세하게 묘사되었다. 전체적으로 평행사선구도가 이용되었으며 진하례 광경은 부감법(俯瞰法)을 써서 표현하였다. 인정전 건물의 기둥과 벽면을 훨씬 높게 표현함으로써 실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광경들까지 빠짐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필묘와 채색, 묘사 면에서 다소 수준이 떨어지고 규모도 작아서 내입건의 병풍은 아닐 것이며, 당시 관원들이 제작하여 나누어 가진 계병 중 한 점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행사를 기록한 계병으로는 매우 희귀한 작품이다.[1]
Human: 아래 인제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제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제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麟蹄邑 Inje-eup 면적 315.15 km2 인구 9,661명 (2011년 12월 31일) 인구밀도 31 명/km2 세대 3,927가구 (2011년 12월 31일) 법정리 11 행정리 20 반 119 면사무소 인제읍 인제로 205번길 9 홈페이지 인제읍사무소 인제읍(麟蹄邑)은 대한민국 강원도 인제군의 행정, 교통, 산업의 중심지이다. 목차 1 개요 2 연혁 3 행정 구역 4 각주 5 외부 링크 개요[편집] 소양강과 내린천의 합류점 가까이에 있고 부근 일대는 경치가 아름답다. 대한민국 제일의 밀원지로 꿀의 생산량이 많고 임산물의 생산량도 많다. 금강산에 못지 않는 내설악 일대의 기암 괴석, 비폭, 벽담, 삼림미 등의 경승지가 많아 관광사업이 유망한 곳이다.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 서쪽은 남면(南面), 남쪽은 기린면에, 북쪽은 북면에 닿아 있다. 상동리에 인제군청이 있고, 읍사무소 직할 귀둔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연혁[편집]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淸溪洞), 고사동(古沙洞), 7개리를 관할. 1906년 :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 (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里로 개편. 1914년 :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면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 1916년 : 인제읍으로 고침. 1948년 :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공산 치하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내면을 제외한 인제군의 38선 이남 지역을 통합한 홍천군 신남면에 편입 1951년 : 다시 인제군에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 1979년 5월 1일 :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 행정 구역[편집] 법정리 한자명 행정리 비고 가리산리 加里山里 가리산리 가아리 加兒里 가아1리, 가아2리 고사리 古沙里 고사리 귀둔리 貴屯里 귀둔리 남북리 南北里 남북1리, 남북2리 덕산리 德山里 덕산리 덕적리 德積里 덕적리 상동리 上東里 상동1리, 상동2리, 상동3리, 상동4리, 상동5리 읍사무소 소재지 원대리 院垈里 원대리 하추리 下楸里 하추리 합강리 合江里 합강1리, 합강2리, 합강3리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인제군 인제읍사무소 인제군 인제읍 소개 vdeh강원도 인제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인제읍 인제읍 기린면 남면 북면 상남면 서화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제읍&oldid=24109573" 분류: 인제군의 행정 구역강원도의 읍·면1979년 설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Svensk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7일 (토)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인제읍(麟蹄邑)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의 행정, 교통, 산업의 중심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제읍의 법정리 가아리는 어떤 행정리로 분리되는가? Assistant: 가아1리, 가아2리 Human: 아래 2018-19_UEFA_유로파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8-19 UEFA 유로파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19 UEFA 유로파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이 열릴 바쿠 올림픽 경기장대회 개요개최기간 2018년 6월 28일 ~ 2019년 5월 29일참가클럽 48+8개 클럽 (본선)158+57개 클럽 (총합)경기장 바쿠 올림픽 경기장 ( 바쿠개 도시)최종 순위● 우승 팀 첼시 (2번째 우승)● 준우승 팀 아스널 공동 3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발렌시아통계총 경기수 202경기득점 총합 552골 (경기당 2.73골)총 관중수 4,906,584 명 (경기당 24,290명)최다득점 선수 올리비에 지루 (10골)최우수 선수 에덴 아자르 ← 2017-18 2019-20 → v • d • e • h 2018-19 UEFA 유로파리그(2018-19 UEFA Europa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의 두 번째 권위를 가진 축구 대회의 48번째 시즌이자, UEFA컵에서 UEFA 유로파리그로 바뀐 뒤 10번째 시즌이다. 결승전은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에 위치한 바쿠 올림픽 경기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목차 1 국가별 참가팀 수 배분 1.1 국가축구협회 랭킹 1.2 참가팀수 배분 1.2.1 재배분 규칙 1.3 참가팀 2 예선 2.1 예비 예선 2.2 1차 예선 2.3 2차 예선 2.3.1 리그 루트 2.3.2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 2.4 3차 예선 2.4.1 리그 루트 2.4.2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 2.5 플레이오프 2.5.1 리그 루트 2.5.2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 3 시드 배정 4 조별 리그 4.1 A조 4.2 B조 4.3 C조 4.4 D조 4.5 E조 4.6 F조 4.7 G조 4.8 H조 4.9 I조 4.10 J조 4.11 K조 4.12 L조 5 결선 토너먼트 5.1 32강전 5.2 16강전 5.3 8강전 5.4 4강전 5.5 결승전 6 우승 7 최종 순위 8 기록 8.1 팀 득점 기록 8.2 팀 실점 기록 9 득점 선수 9.1 득점 9.2 도움 10 국가와 단계별 참가축구팀수 11 같이 보기 12 각주 국가별 참가팀 수 배분[편집] 모든 55개 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축구협회별 총 215팀들이 2018–19 UEFA 유로파리그에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리그 랭킹은 UEFA 계수를 기준으로 하였다.[2] 리그 랭킹 1–51위 (리히텐슈타인 제외) 국가축구협회는 각 3팀씩 참가한다. 리그 랭킹 52-54위 국가축구협회는 각 2팀씩 참가한다. 리히텐슈타인 축구협회(리히텐슈타인 축구협회컵 우승팀만 참가)와 코소보 축구협회(리그 랭킹 55위)는 각 1팀씩만 참가한다.[3] 2018-19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한 57개팀들은 유로파리그로 전환된다. 2017-18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은 2018-19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진출할 것이다. 국가축구협회 랭킹[편집] (UCL) –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해서 전환된 추가 팀들 랭킹 축구협회 Coeff. 참가팀수 비고 1 스페인 104.998 3 2 독일 79.498 3 잉글랜드 75.962 4 이탈리아 73.332 5 프랑스 56.665 6 러시아 50.532 +1 (UCL) 7 포르투갈 49.332 8 우크라이나 42.633 +1 (UCL) 9 벨기에 42.400 +1 (UCL) 10 터키 39.200 +1 (UCL) 11 체코 공화국 33.175 +1 (UCL) 12 스위스 32.075 +1 (UCL) 13 네덜란드 31.063 14 그리스 27.900 +1 (UCL) 15 오스트리아 25.350 +1 (UCL) 16 크로아티아 25.250 +1 (UCL) 17 루마니아 24.350 +1 (UCL) 18 덴마크 24.000 +1 (UCL) 19 벨라루스 19.875 +1 (UCL) 랭킹 축구협회 Coeff. 참가팀수 비고 20 폴란드 19.750 3 +1 (UCL) 21 스웨덴 19.725 +1 (UCL) 22 이스라엘 19.375 +1 (UCL) 23 스코틀랜드 18.925 +1 (UCL) 24 키프로스 18.550 +1 (UCL) 25 노르웨이 18.325 +1 (UCL) 26 아제르바이잔 17.750 +1 (UCL) 27 불가리아 15.875 +1 (UCL) 28 세르비아 15.375 29 카자흐스탄 15.250 +1 (UCL) 30 슬로베니아 13.125 +1 (UCL) 31 슬로바키아 11.750 +1 (UCL) 32 리히텐슈타인 11.000 1 33 헝가리 9.500 3 +1 (UCL) 34 몰도바 9.500 +1 (UCL) 35 아이슬란드 8.375 +1 (UCL) 36 핀란드 7.650 +1 (UCL) 37 알바니아 6.625 +1 (UCL) 랭킹 축구협회 Coeff. 참가팀수 비고 38 아일랜드 6.575 3 +1 (UCL) 39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6.500 +1 (UCL) 40 조지아 6.375 +1 (UCL) 41 라트비아 6.125 +1 (UCL) 42 마케도니아 공화국 5.625 +1 (UCL) 43 에스토니아 5.250 +1 (UCL) 44 몬테네그로 5.250 +1 (UCL) 45 아르메니아 5.125 +1 (UCL) 46 룩셈부르크 4.875 +1 (UCL) 47 북아일랜드 4.500 +1 (UCL) 48 리투아니아 4.125 +1 (UCL) 49 몰타 4.000 +1 (UCL) 50 웨일스 3.875 +1 (UCL) 51 페로 제도 3.500 +1 (UCL) 52 지브롤터 2.500 2 +1 (UCL) 53 안도라 1.165 +1 (UCL) 54 산마리노 0.333 +1 (UCL) 55 코소보 0.000 1 +1 (UCL) 참가팀수 배분[편집] The following is the default access list.[4][5] 이 단계에서 시작하는 팀들 이전 단계에서 올라오는 팀들 챔피언스리그에서 전환된 팀들 예비예선(16개팀) 50–55 순위 축구협회의 축구협회컵 우승팀 6팀 49–54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2위팀 6팀 48–51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3위팀 4팀 1차예선(94개팀) 25–49 순위 축구협회의 축구협회컵 우승팀 25팀 18–48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2위팀 30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16–47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3위팀 31팀 예비예선 승자 8팀 2차예선 우승팀 루트(20개팀) 챔피언스리그 1차예선 패자 17개팀 챔피언스리그 예비예선 패자 3팀 리그 루트(74개팀) 18–24 순위 축구협회의 축구협회컵 우승팀 7팀 16–17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2위팀 2팀 13–15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3위팀 3팀 7–15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4위팀 9팀 5–6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5위팀 2팀(프랑스는 리그컵 우승팀) 1–4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6위팀 4팀(잉글랜드는 리그컵 우승팀) 1차예선 승자 47팀 3차예선 우승팀 루트(20개팀) 2차예선 승자(우승팀 루트) 10팀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패자(우승팀 루트) 10팀 리그 루트(52개팀) 13–17 순위 축구협회의 축구협회컵 우승팀 5팀 7–12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3위팀 6팀 6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4위팀 1팀 2차예선 승자(리그 루트) 37개팀 챔피언스리그 2차예선 패자(리그 루트) 3팀 플레이오프 라운드 우승팀 루트(16개팀) 2차예선 승자(우승팀 루트) 10팀 챔피언스리그 3차예선 패자(우승팀 루트) 6팀 리그 루트(26개팀) 3차예선 승자(리그 루트) 26개팀 조별리그(48개팀) 1–12 순위 축구협회의 축구협회컵 우승팀 12팀 5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4위팀 1팀 1–4 순위 축구협회 1부리그 5위팀 4팀 플레이오프 라운드 승자(우승팀 루트) 8팀 플레이오프 라운드 승자(리그 루트) 13팀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우승팀 루트) 패자 4팀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리그 루트) 패자 2팀 챔피언스리그 3차예선(리그 루트) 패자 4팀 토너먼트제(32개팀) 조별리그 각조 우승팀 12팀 조별리그 각조 2위팀 12팀 챔피언스리그 본선 조별리그 각조 3위팀들 8팀 Changes will be made to the access list above, if any of the teams that qualify for the Europa League via their domestic competitions also qualify for the Champions League as the Champions League or Europa League title holders, or if there are fewer teams transferred from the Champions League due to changes in the Champions League access list. In any case where a spot in the Europa League is vacated, cup winners of the highest-ranked associations in earlier rounds will be promoted accordingly.[6] 재배분 규칙[편집] 유로파 리그 장소는 팀이 챔피언스 리그와 유로파 리그의 자격을 얻었거나 유로파 리그를 두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수료 할 때 비워집니다. 장소가 비워지면 다음 규칙에 따라 전국 협회에서 재배포됩니다.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획득 한 국내 컵 우승자 (최우수 선수권 국가 대표팀의 최우수 선수)는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게되며, 유로파 리그 경기는 취소됩니다. 결과적으로 리그에서 아직까지 유럽 대회 출전 자격이없는 최상위 팀은 유로파 리그 출전권을 얻었고, 유로파 리그 출전 자격을 가진 선수들은 리그에서 1 위 자리를 마쳤습니다. 국내 컵 우승 팀이 리그 포지션을 통해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게되면, 리그 포지션을 통해 그들의 자리가 비워집니다. 결과적으로 리그에서 아직까지 유럽 대회 출전 자격이없는 최상위 팀은 유로파 리그 출전권을 얻었고, 리그에서 상위권에 올랐던 유로파 리그 예선은 가능한 한 "장소"를 옮겼습니다. 유로파 리그 장소가 리그 컵이나 시즌 종료 유럽 대회의 플레이 오프 우승자를 위해 예약 된 협회의 경우, 그들은 항상 "가장 낮은 순위의"예선 인 유로파 리그의 자격을 얻습니다. 리그 컵 우승자가 다른 방법으로 이미 유럽 대회에 출전 자격을 얻은 경우이 유보 된 유로파 리그 경기는 유럽 대회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던 리그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팀이 맡습니다. 참가팀[편집] 유로파리그 시작 단계별 참가팀 32강전 4 챔피언스리그의 조별리그에서 각조 3위팀들 중 « 상위 4팀 » : 4 챔피언스리그의 조별리그에서 각조 3위팀들 중 « 하위 4팀 » : 조별리그 비야레알 CF (52.000) 라리가 2017-18시즌 5위팀 레알 베티스 라리가 2017-18시즌 6위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4.285) 독일 축구협회컵 2017-18 우승팀 바이어 레버쿠젠 (66.000) 독일 분데스리가 2017-18시즌 5위팀 첼시 FC (82.000) 잉글랜드 FA컵 2017-18 우승팀 겸 프리미어리그 2017-18시즌 5위팀 아스널 FC (93.000) 프리미어리그 2017-18시즌 6위팀 SS 라치오 (41.000) 세리에 A 2017-18시즌 5위팀 AC 밀란 (?) 세리에 A 2017-18시즌 6위팀[7] 올랭피크 마르세유 (32.000) 리그 1 2017-18시즌 4위팀 스타드 렌 (11.283) 리그 1 2017-18시즌 4위팀 FC 크라스노다르 (23.500)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시즌 4위팀[8][9] 스포르팅 리스본 (?) 프리메이라리가 2017-18 3위팀[10] 보르스클라 폴타바 (8.226)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3위 RSC 안데를레흐트 벨기에 프로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아히사르 벨레디예스포르 (7.160) 터키 축구협회컵 2017-18 우승팀 야블로네츠 (7.500) 체코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FC 취리히 쿠프 드 스위스 2017-18 우승팀 4 챔피언스리그의 플레이오프 우승팀 루트에서 패자 : 레드불 잘츠부르크 디나모 자그레브 BATE 보리소프 MOL 비디 2 챔피언스리그의 플레이오프 리그 루트에서 패자 : 디나모 키예프 PAOK 테살로니키 4 챔피언스리그의 3차예선 리그 루트에서 패자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스탕다르 리에주 페네르바흐체 슬라비아 프라하 플레이오프 우승팀 루트[note 1] 6 챔피언스리그의 3차예선 우승팀 루트에서 패자 : 말뫼 FF 셀틱 FC FK 카라바흐 FC 아스타나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슈컨디야 리그 루트[note 1] 진입팀 없음 3차예선 우승팀 루트 10 챔피언스리그의 2차예선 우승팀 루트에서 패자 : CFR 클루지 FC 미트윌란 레기아 바르샤바 하포엘 베에르셰바 로벤보리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셰리프 티라스폴 HJK 헬싱키 FK 쿠커시 수두바 마리얌폴레 리그 루트 3 챔피언스리그의 2차예선 리그 루트에서 패자 : FC 바젤 슈투름 그라츠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리그 5위팀[11] 브라가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 2017-18 시즌 리그 4위팀[12] 조랴 루한스크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KAA 헨트 벨기에 프로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터키 수퍼리그 2017-18 시즌 리그 3위팀 시그마 올로모우츠 체코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FC 루체른 스위스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3위팀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네덜란드 FA컵 2017-18 우승팀 올림피아코스 그리스 1부리그 2017-18 3위팀 라피트 빈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017-18 3위팀 HNK 리예카 크로아티아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코파 로므니아 2017-18 우승팀 브뢴뷔 IF 덴마크 FA컵 2017-18 우승팀 2차예선 우승팀 루트 16 챔피언스리그의 1차예선 우승팀 루트에서 패자 : APOEL 니코시아 1차예선 패자 올림피야 류블랴나 1차예선 패자 발루르 레이캬빅 1차예선 패자 코크 시티[13] 1차예선 패자 즈리니스키 모스타르 1차예선 패자 토르페도 쿠타이시 1차예선 패자 스파르탁스 유르말라 1차예선 패자 플로라 탈린 1차예선 패자 수체스카 닉시치 1차예선 패자 알라슈케르트 1차예선 패자 F91 뒤들랑쥬 1차예선 패자 크루세이더스 1차예선 패자 발레타 FC 1차예선 패자 더뉴세인츠 1차예선 패자 비킹우르 괴타 1차예선 패자 FC 드리타 1차예선 패자 3 챔피언스리그의 예비예선 에서 패자 : FC 산타콜로마 챔피언스리그 예비예선 패자 라 피오리타 챔피언스리그 예비예선 패자 링컨 레드임프스 챔피언스리그 예비예선 패자 리그 루트 세비야 FC 라리가 2017-18 시즌 리그 7위팀 RB 라이프치히 분데스리가 2017-18 시즌 리그 6위팀 번리 FC 프리미어리그 2017-18 7위팀 아탈란타 BC (28.000) 세리에 A 2017-18 시즌 리그 7위팀 지롱댕 보르도 리그 1 2017-18 시즌 리그 6위팀 FC 우파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리그 6위팀 히우 아브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FK 마리우폴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KRC 헹크 벨기에 프로리그 2017-18 시즌 리그 플레이오프 우승팀 베식타슈 JK 터키 수퍼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스파르타 프라하 체코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장크트갈렌 스위스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AZ 알크마르 AZ 네덜란드 에레디비지 2017-18 시즌 리그 3위팀 비테스 아른험 네덜란드 에레디비지 2017-18 시즌 리그 플레이오프 우승팀 아트로미토스 FC 그리스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그리스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LASK 린츠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017-18 시즌 리그 5위팀 하이두크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3위팀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2위팀 디나모 브레스트 벨라루스 FA컵 2017-18 우승팀 야기엘로니아 비와위스톡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 2017-18 시즌 리그 2위팀 유르고르덴스 IF 스웨덴 FA컵 2017-18 우승팀 하포엘 하이파 이스라엘 FA컵 2017-18 우승팀 에버딘 FC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2위팀 AEK 라르나카 키프로스 FA컵 2017-18 우승팀 릴뢰스트룀 SK 노르웨이 FA컵 2017 우승팀 1차예선 (리그 루트만) NK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비토룰 콘스탄차 루마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리그 4위팀 노르섈란 덴마크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FC 코펜하겐 덴마크 1부리그 2017-18 시즌 플레이오프 우승팀 디나모 민스크 벨라루스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샤흐툐르 솔리고르스크 벨라루스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레흐 포즈난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 2017-18 시즌 3위팀 구르닉 자브제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 2017-18 시즌 4위팀 AIK 솔나 스웨덴 알스벤스칸 2017 시즌 2위팀 해켄 스웨덴 알스벤스칸 2017 시즌 4위팀 마카비 텔아비브 이스라엘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베이타르 예루셀렘 이스라엘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레인저스 FC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3위팀 하이버니언 FC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 2017-18 시즌 4위팀 아폴론 리마솔 키프로스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아노르소시스 파마구스타 키프로스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릴레스트룀 노르웨이 FA컵 2017-18 우승팀 몰데 FK 노르웨이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사르프스보르 08 노르웨이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케슐라 아제르바이잔 FA컵 2017-18 우승팀 가발라 아제르바이잔 1부리그 2017-18 시즌 우승팀 또는 2위팀 네프치 바쿠 아제르바이잔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슬라비아 소피아 불가리아 FA컵 2017-18 우승팀 CSKA 소피아 불가리아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레프스키 소피아 불가리아 1부리그 2017-18 시즌 플레이오프 우승팀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FA컵 2017-18 우승팀 라드니치키 니슈 세르비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스파르탁 수보티차 세르비아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FK 카이라트 알마티 카자흐스탄 FA컵 2017 우승팀 FC 이르티시 파블로다르 카자흐스탄 1부리그 2017 시즌 4위팀 FC 토볼 카자흐스탄 1부리그 2017 시즌 5위팀 NK 마리보르 슬로베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NK 돔잘레 슬로베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루다르 벨레녜 슬로베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FA컵 2017-18 우승팀 DAC 두나이스카 스트레다 슬로바키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AS 트렌친 슬로바키아 1부리그 2017-18 시즌 PO 승자 FC 파두츠 리히텐슈타인 FA컵 2017-18 우승팀 우이페슈트 FC 헝가리 FA컵 2017-18 우승팀 페렌츠바로슈 헝가리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혼베트 헝가리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밀사미 오르헤이 몰도바 FA컵 2017-18 우승팀 페트로클룹 흔체슈티 몰도바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자리아 벌치 몰도바 1부리그 2017-18 시즌 5위팀[14] ÍBV Vestmannaeyja 아이슬란드 FA컵 2017 우승팀 Stjarnan 아이슬란드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FH Hafnarfjörður 아이슬란드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KuPS 쿠오피오 핀란드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FC 일베스 핀란드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FC 라티 핀란드 1부리그 2017 시즌 4위팀 루프터타리 지로카스터르 알바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 또는 4위팀 라치 알바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 또는 4위 또는 5위팀 또는 FA컵 우승팀 파르티자니 티라너 알바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 또는 5위팀 던독 FC 아일랜드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섐록 로버스 아일랜드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데리 시티 아일랜드 1부리그 2017 시즌 4위팀 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A컵 2017-18 우승팀 FK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시로키 브리예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치후라 사치헤레 조지아 FA컵 2017 우승팀 디나모 트빌리시 조지아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삼트레디아 조지아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FK 리에파야 라트비아 FA컵 2017 우승팀 리가 FC 라트비아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FK 벤츠필스 라트비아 1부리그 2017 시즌 4위팀 바르다르 스코폐 마케도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라보트니치키 마케도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슈쿠피 마케도니아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나르바 트란스 에스토니아 FA컵 2017 우승팀 FC 레바디아 탈린 에스토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JK 뇜네 칼류 에스토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티토그라드 포드고리차 몬테네그로 FA컵 2017-18 우승팀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몬테네그로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루다르 플례블랴 몬테네그로 1부리그 2017-18 시즌 5위팀 간자사르 카판 아르메니아 FA컵 2017 우승팀 바난츠 아르메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퓨닉 예레반 아르메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5위팀 레이싱 FC 룩셈부르크 FA컵 2017-18 우승팀 프로그레 니더코른 룩셈부르크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폴라 에쉬 룩셈부르크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콜러레인 북아일랜드 FA컵 2017-18 우승팀 글레너번 북아일랜드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클리프턴빌 북아일랜드 1부리그 2017-18 시즌 PO승자 FC 스툼브라스 리투아니아 FA컵 2017 우승팀 잘기리스 빌뉴스 리투아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발찬 몰타 1부리그 2017-18 2위팀 코나스 퀘이 노마즈 웨일스 FA컵 2017-18 우승팀 NSÍ Runavík 페로 제도 FA컵 2017 우승팀 예비예선 (리그루트만) FK 트라카이 리투아니아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그지라 유나이티드 몰타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버커카라 몰타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밸라 타운 웨일스 1부리그 2017-18 시즌 4위팀 세픈 드루이즈 웨일스 1부리그 2017-18 시즌 플레이오프 우승팀 KÍ Klaksvík 페로 제도 1부리그 2017 시즌 2위팀 B36 토르스하운 페로 제도 1부리그 2017 시즌 3위팀 유로파 FC 지브롤터 FA컵 2017-18 우승팀 세인트 조지프스 지브롤터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엥고르다뉴 안도라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산 줄리아 안도라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폴고리 산마리노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트레 피오리 산마리노 1부리그 2017-18 시즌 3위팀 FC 프리슈티나 코소보 FA컵 2017-18 우승팀 또는 코소보 1부리그 2017-18 시즌 2위팀 예선[편집] 예비 예선[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유로파 FC 1–6 KF 프리슈티나 1–1 0–5 UE 산줄리아 1–4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0–2 1–2 UE 엥고르다뉴 3–2 SS 폴고레 팔차노 칼초 2–1 1–1 B36 토르스하운 2–2 (4–2 승부차기) 세인트 조지프스 FC 1–1 1–1(연장) 비르키르카라 FC 2–3 KÍ 클락스비크 1–1 1–2 SP 트레 피오리 3–1 발라 타운 FC 3–0 0–1 Cefn Druids AFC 1–2 FK 트라카이 1–1 0–1 1차 예선[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스탸르난 3–1 JK 넘메 칼리우 3–0 0–1 FC 일베스 1–3 PFC 슬라비아 소피아 0–1 1–2 KÍ 클락스비크 2–3 FK 잘기리스 빌뉴스 1–2 1–1 CS 폴라 에슈 0–0 <승부차기 5-4> KF 프리슈티나 0–0 0(연)0 글레너번 FC 3–6 몰데 FK 2–1 1–5 FC DAC 1904 두나이스카스트레다 3–2 FC 디나모 트빌리시 1–1 2–1 FC 스툼브라스 1–2 아폴론 리마솔 1–0 0–2 NK 시로키브리예그 3–3(원) NK 돔잘레 2–2 1–1 레인저스 FC 2–0 FC 스쿠피 스코페 2–0 0–0 게벨레 FK 1–2[A] FC 프로그레스 니더코른 0–2 1–0 라싱 FC 유니온 룩셈부르크 0–2 FC 비토룰 콘스탄차 0–2 0–0 FC 삼트레디아 0–3 FC 토볼 0–1 0–2 FK 파르티자니 티라나 0–3 NK 마리보르 0–1 0–2 네프치 바쿠 3–5 우이페슈트 FC 3–1 0–4 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1–3 AS 트렌친 0–2 1–1 데리 시티 FC 2–3 FC 디나모 민스크 0–2 2–1 B36 토르스하운 2–1 OFK 티토그라드 0–0 2–1 구르니크 자브제 2–1[A] FC 자리아 벌치 1–0 1–1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 3–1 콜레인 FC 1–1 2–0 FC 퓨니크 3–0 FK 바르다르 1–0 2–0 섐록 로버스 FC 1–2 AIK 0–1 1(연)1 코나스 퀘이 FC 1–5 FC 샤흐타르 솔리고르스크 1–3 0–2 FC 라흐티 0–3 FH 하프나르피외르뒤르 0–3 0–0 FK 벤츠필스 8–3 KF 루프테타리 5–0 3–3 클리프턴빌 FC 1–3 FC 노르셸란 0–1 1–2 FC 바난츠 1–5 FK 사라예보 1–2 0–3 UE 엥고르다뉴 1–10 FC 카이라트 0–3 1–7 FC 페트로컵 힌세티 2–3 NK 오시예크 1–1 1–2 아노르토시스 파마구스타 FC 2–2(연) KF 라치 2–1 0–1 페렌츠바로시 TC 1–2 마카비 텔아비브 FC 1–1 0–1 발찬 FC 5–3 케슬라 FK 4–1 1–2 FK 라보트니치키 2–5[A]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2–1 0–4 FK 루다르 플레블라 0–6 FK 파르티잔 0–3 0–3 PFC CSKA 소피아 1–1 <승부차기 5–3> FK 리가 1–0 0(연)1 FC 밀사미 오르헤이 2–9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4 0–5 FK 라드니치키 니시 5–0 그지라 유나이티드 FC 4–0 1–0 레흐 포즈난 3–2 FC 간자사르 카판 2–0 1–2 FC 치후라 사치헤레 2–1 베이타르 예루살렘 FC 0–0 2–1 FC 파두츠 (연)3–3 PFC 레프스키 소피아 1–0 2–3 JK 나르바 트란스 1–5[A] FK 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 0–2 1–3 FK 트라카이 1–0 FC 이르티시 파블로다르 0–0 1–0 하이버니언 FC 12–5 NSI 루나비크 6–1 6–4 NK 루다르 벨레네 10–0 SP 트레 피오리 7–0 3–0 FC 레바디아 탈린 1–3 던도크 FC 0–1 1–2 ÍB 베스트만나에이야르 0–6 사릅스보르그 08 FF 0–4 0–2 쿠오피온 팔로세우라 1–2[A] FC 코펜하겐 0–1 1–1 FK 리에파야 2–4 BK 헤켄 0–3 2–1 2차 예선[편집] 리그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몰데 FK 5–0 KF 라치 3–0 2–0 아탈란타 BC 10–2[B] FK 사라예보 2–2 8–0 FK 잘기리스 빌뉴스 2–1 FC 파두츠 1–0 1–1 FC 카이라트 3–2 AZ 알크마르 2–0 1–2 애버딘 FC 2–4 번리 FC 1–1 1–3[연장] FK 파르티잔 2–1 FK 트라카이 1–0 1–1 발찬 FC 3–4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1 1–3 FC 노르셸란 2–0 AIK 1–0 1–0 NK 루다르 벨레네 0–6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0–2 0–4 하포엘 하이파 FC 2–1 FH 하프나르피외르뒤르 1–1 1–0 던도크 FC 0–4 AEK 라르나카 0–0 0–4 구르니크 자브제 1–5 AS 트렌친 0–1 1–4 마카비 텔아비브 FC 4–2 FK 라드니치키 니시 2–0 2–2 CSKA 소피아 6–1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3–0 3–1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 3–2 AC 스파르타 프라하 2–0 1–2 RB 라이프치히 5–1 BK 헤켄 4–0 1–1 스탸르난 0–7 FC 코펜하겐 0–2 0–5 FC 우파 1–1 (a) NK 돔잘레 0–0 1–1 FC 토볼 2–2 (a) FC 퓨니크 2–1 0–1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 5–4 히우 아브 FC 1–0 4–4 LASK 린츠 6–1 릴레스트룀 SK 4–0 2–1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1–2 FC 프로그레스 니더코른 1–0 0–2 NK 오시예크 1–2 레인저스 FC 0–1 1–1 B36 토르스하운 0–8 베식타시 JK 0–2 0–6 FC DAC 1904 두나이스카스트레다 2–7 FC 디나모 민스크 1–3 1–4 FK 벤츠필스 1–3 FC 지롱댕 드 보르도 0–1 1–2 FK 젤레즈니차르 사라예보 2–5 아폴론 리마솔 1–2 1–3 FC 비토룰 콘스탄차 3–5 피테서 2–2 1–3 FC 장크트갈렌 2–2 (a) 사릅스보르그 08 FF 2–1 0–1 FC 디나모 브레스트 5–4 아트로미토스 FC 4–3 1–1 세비야 FC 7–1 우이페슈트 FC 4–0 3–1 FC 샤흐툐르 살리호르스크 2–4 레흐 포즈난 1–1 1–3[연장] 하이버니언 FC 4–3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3–2 1–1 FC 치후라 사치헤레 0–2 NK 마리보르 0–0 0–2 KRC 헹크 9–1 CS 폴라 에슈 5–0 4–1 디쥬르가든 IF 2–3 FC 마리우폴 1–1 1–2[연장]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4–2 PFC 슬라비아 소피아 1–0 3–2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코크 시티 부전승 N/A N/A N/A 더 뉴 세인츠 FC 3–2 링컨 레드 임프스 FC 2–1 1–1 FC 토르페도 쿠타이시 7–0 비킹구르 괴타 3–0 4–0 HŠK 즈린스키 모스타르 3–2 발레타 FC 1–1 2–1 FC 산타콜로마 1–3 발루르 1–0 0–3 FK 수체스카 닉시치 0–1 FC 알러시커트 0–1 0–0 F91 뒤들랑주 3–2 KF 드리타 2–1 1–1 FK 쥬말라 9–0 SP 라 피오리타 6–0 3–0 아포엘 FC 5–2 FC 플로라 탈린 5–0 0–2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6–2 크루세이더스 FC 5–1 1–1 3차 예선[편집] 리그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FC 퓨니크 1-2 마카비 텔아비브 0-0 1-2 디나모 민스크 5-8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4-0 1(연장)8 슈투름 그라츠 0-7 AEK 라르나카 0-2 0-5 사릅스보르그 08 FF 2-1 HNK 리예카 1-1 1-0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0-1 번리 FC 0-0 0(연장)1 FC 조랴 루한스크 (원)3-3 SC 브라가 1-1 2-2 하포엘 하이파 1-6 아탈란타 BC 1-4 0-2 KRC 헹크 4-1 레흐 포즈난 2-0 2-1 피테서 0-2 FC 바젤 0-1 0-1 노르셸란 3-5 FK 파르티잔 1-2 2-3 하이버니언 3-5 몰데 FK 0-0 0-3 하이두크 스플리트 1-2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0-0 1-2 세비야 6-0 FK 잘기리스 빌뉴스 1-0 5-0 시그마 올로모우츠 4-1 FC 카이라트 2-0 2-1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5 라피트 빈 2-1 0-4 FC 마리우폴 2-5 지롱댕 보르도 1-3 1-2 CSKA 소피아 2-4 FC 코펜하겐 1-2 1-2 올림피아코스 7-1 FC 루체른 4-0 3-1 레인저스 FC 3-1 NK 마리보르 3-1 0-0 AS 트렌친 5-1 페예노르트 4-0 1-1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톡 1-4 KAA 헨트 0-1 1-3 FK 스파르타크 수보티차 1-4 브뢴뷔 IF 0-2 1-2 FC 우파 4-3 FC 프로그레스 니더코른 2-1 2-2 베식타슈 JK (원)2-2 LASK 린츠 1-0 1-2 아폴론 리마솔 4-1 디나모 브레스트 4-0 0-1 RB 라이프치히 4-2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3-1 1-1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2-1 즈린스키 모스타르 1-0 1-1 레기아 바르샤바 3-4 F91 뒤들랑주 1-2 2-2 알라슈케르트 0-7 CFR 클루지 0-2 0-5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7-1 HJK 헬싱키 3-0 4-1 셰리프 티라스폴 (원)2-2 발루르 1-0 1-2 코크 시티 0-5 로젠보리 BK 0-2 0-3 스파르탁스 유르말라 0-1 수두바 마리얌폴레 0-1 0-0 더 뉴 세인츠 FC 1-5 미트윌란 0-2 1-3 하포엘 베르셰바 3-5 APOEL 니코시아 2-2 1-3 토르페도 쿠타이시 5-4 FK 쿠커시 5-2 0-2 플레이오프[편집] 리그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시그마 올로모우츠 0-4 세비야 FC 0-1 0-3 사프스보리 08 4-3 마카비 텔아비브 3-1 1-2 KAA 헨트 0-2 지롱댕 보르도 0-0 0-2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1-4 베식타슈 JK 1-1 0-3 라피트 빈 4-3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3-1 1-2 FC 바젤 3-3(원) 아폴론 리마솔 3-2 0-1 레인저스 FC 2-1 FC 우파 1-0 1-1 아탈란타 BC 0(연장)0( 3[승부차기]4 ) FC 코펜하겐 0-0 0(연장)0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4-3 몰데 FK 3-1 1-2 AS 트렌친 1-4 AEK 라르나카 1-1 0-3 KRC 헹크 9-4 브뢴뷔 IF 5-2 4-2 올림피아코스 4-1 번리 FC 3-1 1-1 조랴 루한스크 2-3 RB 라이프치히 0-0 2-3 챔피언스리그 패자 루트[편집]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올림피야 류블랴나 1-3 FC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0-2 1-1 APOEL 니코시아 1(연장)1( 1[승부차기]2 ) FC 아스타나 1-0 0(연장)1 로센보르그 BK 5-1 KF 슈컨디야 3-1 2-0 F91 뒤들랑주 5-2 CFR 클루지 2-0 3-2 수두바 마리얌폴레 1-4 셀틱 FC 1-1 0-3 셰리프 티라스폴 1-3 FK 카라바흐 1-0 0-3 말뫼 FF 4-2 FC 미트윌란 2-2 2-0 토르페도 쿠타이시 0-5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0-1 0-4 시드 배정[편집] UEFA Club Coefficient (CC)는 2017-18 시즌의 기록을 통해 산출되었다.[15] 라피트 빈 레드불 잘츠부르크 카라바흐 BATE 보리소프 RSC 안덜레흐트 KRC 헹크 스탕다르 리에주 루도고레츠 디나모 자그레브 AEK 라르나카 아폴론 리마솔 FK 야블로네츠 슬라비아 프라하 FC 코펜하겐 런던 보르도 올랭피크 마르세유 스타드 렌 바이어 레버쿠젠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RB 라이프치히 올림피아코스 PAOK 테살로니키 MOL 비디 SS 라치오 AC 밀란 FC 아스타나(지도에 없음) F91 뒤들랑주 로젠보리 BK 사릅스보르그 08 FF 스포르팅 리스본 FC 크라스노다르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글래스고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세비야 비야레알 CF 말뫼 FF FC 취리히 악히사르 벨레디예스포르 이스탄불 디나모 키예프 보르스클라 폴타바 글래스고 팀들 셀틱 레인저스 이스탄불 팀들 베식타슈 JK 페네르바흐체 런던 팀들 아스널 FC 첼시 FC 세비야 팀들 레알 베티스 세비야 FC2018-19 UEFA 유로파리그 본선 조별리그 참가팀들 위치.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세비야 FC 113,000 스포르팅 리스본 40,000 레알 베티스 21,399 아폴론 리마솔 10,000 아스널 FC 93,000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리그 우승팀) 37,000 카라바흐 FK (리그 우승팀) 20,500 로젠보리 BK 9,000 첼시 FC (FA컵 우승팀) 82,000 FC 코펜하겐 34,000 BATE 보리소프 (리그 우승팀) 20,500 보르스클라 폴타바 8,226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78,000 올랭피크 마르세유 32,000 디나모 자그레브 (리그 우승팀) 17,500 슬라비아 프라하 7,500 바이어 레버쿠젠 66,000 셀틱 FC (리그 우승팀) 31,000 RB 라이프치히 17,000 악히사르 벨레디예스포르 (FA컵 우승팀) 7,160 디나모 키예프 62,000 PAOK 테살로니키 29,50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A컵 우승팀) 14,285 FK 야블로네츠 6,035 베식타슈 JK 57,000 AC 밀란 28,000 말뫼 FF (리그 우승팀) 14,000 AEK 라르나카 (FA컵 우승팀) 4,310 레드불 잘츠부르크 (리그 우승팀) 55,500 KRC 헹크 27,000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3,500 MOL 비디 (리그 우승팀) 4,250 올림피아코스 54,000 페네르바흐체 SK 23,500 스탕다르 리에주 (FA컵 우승팀) 12,500 레인저스 FC 3.725 비야레알 CF 52,000 FC 크라스노다르 23,500 FC 취리히 (FA컵 우승팀) 12,000 F91 뒤들랑주 (리그 우승팀) 3,500 RSC 안데를레흐트 48,000 FC 아스타나 (리그 우승팀) 21,750 지롱댕 보르도 11,283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리그 우승팀) 3,500 SS 라치오 41,000 라피트 빈 21,500 스타드 렌 11,283 사릅스보르그 08 FF 3,485 틀:Champion : 국가 리그 우승팀 틀:Coupe nationale : 국가 축구협회컵 우승팀 조별 리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8-19 UEFA 유로파리그 조별리그입니다. A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LEV ZUR AKL LUD 1 바이어 레버쿠젠 (A) 6 4 1 1 16 9 +7 13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1–0 4–2 1–1 2 FC 취리히 (A) 6 3 1 2 7 6 +1 10 3–2 — 1–2 1–0 3 AEK 라르나카 (E) 6 1 2 3 6 12 −6 5 1-5 0–1 — 1–1 4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E) 6 0 4 2 5 7 −2 4 2–3 1-1 0–0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B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SAL CEL RBL ROS 1 레드불 잘츠부르크 (A) 6 6 0 0 17 6 +11 18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1 1–0 3–0 2 셀틱 (A) 6 3 0 3 6 8 −2 9 1-2 — 2–1 1–0 3 RB 라이프치히 (E) 6 2 1 3 9 8 +1 7 2–3 2–0 — 1-1 4 로젠보리 (E) 6 0 1 5 4 14 −10 1 2–5 0–1 1–3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C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ZEN SLP BOR KOB 1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A) 6 3 2 1 6 5 +1 11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1–0 2–1 1–0 2 슬라비아 프라하 (A) 6 3 1 2 4 3 +1 10 2-0 — 1–0 0–0 3 보르도 (E) 6 2 1 3 6 6 0 7 1–1 2–0 — 1–2 4 코펜하겐 (E) 6 1 2 3 3 5 −2 5 1–1 0–1 0-1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D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DZG FEN SPT AND 1 디나모 자그레브 (A) 6 4 2 0 11 3 +8 14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4–1 3–1 0-0 2 페네르바흐체 (A) 6 2 2 2 7 7 0 8 0–0 — 2–0 2–0 3 스파르탁 트르나바 (E) 6 2 1 3 4 7 −3 7 1–2 1-0 — 1–0 4 RSC 안덜레흐트 (E) 6 0 3 3 2 7 −5 3 0–2 2–2 0–0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E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ARS SPO VOR QRB 1 아스널 (A) 6 5 1 0 12 2 +10 16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0–0 4–2 1-0 2 스포르팅 리스본 (A) 6 4 1 1 13 3 +10 13 0–1 — 3-0 2–0 3 보르스클라 폴타바 (E) 6 1 0 5 4 13 −9 3[a] 0–3 1–2 — 0–1 4 카라바흐 (E) 6 1 0 5 2 13 −11 3[a] 0–3 1–6 0–1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비고: ↑ 가 나 전경기 골득실차: 보르스클라 폴타바 –6, 카라바흐 –10. F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BET OLY MIL DUD 1 레알 베티스 (A) 6 3 3 0 7 2 +5 12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1–0 1–1 3–0 2 올림피아코스 (A) 6 3 1 2 11 6 +5 10[a] 0–0 — 3-1 5–1 3 AC 밀란 (E) 6 3 1 2 12 9 +3 10[a] 1–2 3–1 — 5–2 4 F91 뒤들랑주 (E) 6 0 1 5 3 16 −13 1 0-0 0–2 0–1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조별리그 순위결정(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비고: ↑ 가 나 전경기 골득실차: 올림피아코스 +5, AC 밀란 +3. G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VIL RW RAN SPM 1 비야레알 (A) 6 2 4 0 12 5 +7 10[a]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5–0 2–2 2-0 2 라피트 빈 (A) 6 3 1 2 6 9 −3 10[a] 0–0 — 1-0 2–0 3 레인저스 (E) 6 1 3 2 8 8 0 6 0–0 3–1 — 0–0 4 스파르탁 모스크바 (E) 6 1 2 3 8 12 −4 5 3–3 1–2 4–3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비고: ↑ 가 나 동률팀간 승점(승자승): 비야레알 4점, 라피트 빈 1점. H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FRA LAZ APL MAR 1 프랑크푸르트 (A) 6 6 0 0 17 5 +12 18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4–1 2–0 4–0 2 라치오 (A) 6 3 0 3 9 11 −2 9 1-2 — 2–1 2–1 3 아폴론 리마솔 (E) 6 2 1 3 10 10 0 7 2–3 2–0 — 2–2 4 마르세유 (E) 6 0 1 5 6 16 −10 1 1–2 1–3 1-3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I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GNK MAL BES SRP 1 헹크 (A) 6 3 2 1 14 8 +6 11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2–0 1–1 4-0 2 말뫼 (A) 6 2 3 1 7 6 +1 9 2–2 — 2–0 1–1 3 베식타슈 (E) 6 2 1 3 9 11 −2 7 2–4 0-1 — 3–1 4 삽스보리 08 (E) 6 1 2 3 8 13 −5 5 3–1 1–1 2–3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J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SEV KRA STL AKH 1 세비야 (A) 6 4 0 2 18 6 +12 12[a]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0 5–1 6–0 2 크라스노다르 (A) 6 4 0 2 8 8 0 12[a] 2–1 — 2–1 2–1 3 스탕다르 리에주 (E) 6 3 1 2 7 9 −2 10 1–0 2–1 — 2–1 4 아히사르스포르 (E) 6 0 1 5 4 14 −10 1 2–3 0–1 0-0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비고: ↑ 가 나 동률팀간 골득실차(승자승 골득실차): 세비야 +2, 크라스노다르 –2. K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DKV REN AST JAB 1 디나모 키예프 (A) 6 3 2 1 10 7 +3 11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1 2–2 0-1 2 스타드 렌 (A) 6 3 0 3 7 8 −1 9 1–2 — 2-0 2–1 3 아스타나 (E) 6 2 2 2 7 7 0 8 0–1 2–0 — 2–1 4 야블로네츠 (E) 6 1 2 3 6 8 −2 5 2–2 0–1 1–1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L조[편집] 순위 팀v • d • e • h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통과 CHL BATE VID PAOK 1 첼시 (A) 6 5 1 0 12 3 +9 16 2018-19 UEFA 유로파리그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1 1–0 4–0 2 BATE 보리소프 (A) 6 3 0 3 9 9 0 9 0–1 — 2–0 1–4 3 MOL 비디 (E) 6 2 1 3 5 7 −2 7 2-2 0–2 — 1–0 4 PAOK 테살로니키 (E) 6 1 0 5 5 12 −7 3 0–1 1-3 0–2 — 완료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UEFA순위 결정방식: Group stage tiebreakers(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결선 토너먼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파리그 2018-19 결선 토너먼트입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 팀들은 결승전(중립지역에서 단판경기)을 제외하고 홈앤드어웨이 방식으로 단계별로 2팀씩 총 2경기씩 치룬다. 각 라운드 당 대진추첨 방식은 아래와 같다.: 32강전에서, 12개 각조 1위팀들과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서 밀려난 상위 각조 3위팀들 4팀이 시드 배정을 받고, 12개 각조 2위팀들과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서 밀려난 하위 각조 3위팀들 4팀이 비시드 배정 받는다. 시드 팀들은 비시드 팀들과 맞대결하게 되고, 시드팀들은 2차전에서 홈경기를 개최할 것이다. 조별리그에서 같은 조였던 팀들이나 같은 국가리그 소속팀들은 맞대결하지 아니한다. 16강전부터 모든 팀들은 무작위 대진 추첨될 것이다. 32강전[편집] 32강전 대진추첨은 2018년 12월 17일 13시 중앙유럽 표준시에 스위스 니옹 소재 UEFA 본부에서 시행되었다.[16] 1차전은 2019년 2월 14일에, 2차전은 2월 21일에 개최될 것이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빅토리아 플젠 2 - 4 디나모 자그레브 2-1 0-3 클럽 브뤼허 2 - 5 레드불 잘츠부르크 2-1 0-4 라피트 빈 0 - 5 인테르 밀라노 0-1 0-4 슬라비아 프라하 4 - 1 KRC 헹크 0-0 4-1 FC 크라스노다르 (원)1 - 1 바이어 레버쿠젠 0-0 1-1 FC 취리히 1 - 5 나폴리 1-3 0-2 말뫼 FF 1 - 5 첼시 1-2 0-3 샤흐타르 도네츠크 3 - 6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2 1-4 셀틱 0 - 3 발렌시아 0-2 0-1 스타드 렌 6 - 4 레알 베티스 3-3 3-1 올림피아코스 2 - 3 디나모 키예프 2-2 0-1 라치오 0 - 3 세비야 0-1 0-2 페네르바흐체 2 - 3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1-0 1-3 스포르팅 리스본 1 - 2 비야레알 0-1 1-1 BATE 보리소프 1 - 3 아스널 1-0 0-3 갈라타사라이 1 - 2 벤피카 1-2 0-0 16강전[편집] 16강전 대진추첨은 2019년 2월 22일 중앙유럽 표준시에 스위스 니옹 소재 UEFA 본부에서 시행되었다.[17] 1차전은 3월 7일에, 2차전은 3월 14일에 치뤘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첼시 8 - 0 디나모 키예프 3 - 0 5 - 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 - 0 인테르 밀라노 0 - 0 1 - 0 디나모 자그레브 1 - 3 벤피카 1 - 0 0 - 3 나폴리 4 - 3 레드불 잘츠부르크 3 - 0 1 - 3 발렌시아 3 - 2 크라스노다르 2 - 1 1 - 1 세비야 5 - 6 슬라비아 프라하 2 - 2 3 - 4 스타드 렌 3 - 4 아스널 3 - 1 0 - 3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 - 5 비야레알 1 - 3 1 - 2 8강전[편집] 8강전 대진추첨은 2019년 3월 15일 중앙유럽 표준시에 스위스 니옹 소재 UEFA 본부에서 시행될 것이다.[18] 1차전은 4월 11일에, 2차전은 4월 18일에 치룰 것이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아스널 FC 3 - 0 SSC 나폴리 2 - 0 1 - 0 비야레알 CF 1 - 5 발렌시아 CF 1 - 3 0 - 2 SL 벤피카 4 - 4(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4 - 2 0 - 2 슬라비아 프라하 3 - 5 첼시 FC 0 - 1 3 - 4 4강전[편집] 4강전 대진추첨은 2019년 3월 15일 중앙유럽 표준시에 스위스 니옹 소재 UEFA 본부에서 8강전 대진 추첨 직후 시행될 것이다.[19] 1차전은 5월 2일에, 2차전은 5월 9일에 치룰 것이다. 팀 1 결과 팀 2 1차전 2차전 아스널 FC 7 - 3 발렌시아 CF 3-1 4-2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연장)2( 3[승부차기]4 ) 첼시 FC 1-1 1(연장)1 결승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19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입니다. 결승전은 2019년 5월 29일, 아제르바이잔 바쿠 소재 바쿠 올림픽 경기장에서 개최될 것이다.[19] 홈팀(행정상 목적) 추첨은 8강과 준결승전 대진 추첨 후 결정될 것이다. 팀 1 결과 팀 2 첼시 4-1 아스널 우승[편집] UEFA 유로파리그2018-19 우승 첼시2번째 우승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첼시 15 12 3 0 36 10 +26 39 2 아스널 15 11 1 3 30 13 +17 34 3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4 9 4 1 30 14 +16 28 4 발렌시아 8 5 1 2 14 10 +4 12 5 벤피카 6 3 1 2 10 4 +6 10 6 SSC 나폴리 6 2 0 4 9 8 +1 6 7 비야레알 12 5 5 2 20 13 +7 20 8 슬라비아 프라하 12 5 3 4 13 11 +2 10 9 레드불 잘츠부르크 10 8 0 2 25 12 +13 24 10 디나모 자그레브 10 6 2 2 16 8 +8 20 11 세비야 10 6 1 3 26 12 +14 19 12 스타드 렌 10 5 1 4 16 16 0 16 13 인테르 밀라노 10 4 3 3 11 9 +2 15 14 크라스노다르 10 4 3 3 11 12 -1 15 15 디나모 키예프 10 4 3 3 13 17 -4 15 16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10 4 2 4 11 12 -1 14 17 바이어 레버쿠젠 8 4 3 1 17 10 +7 15 18 스포르팅 리스본 8 4 2 2 14 5 +9 14 19 레알 베티스 8 3 4 1 11 8 +3 13 20 KRC 헹크 8 3 3 2 15 12 +3 12 21 BATE 보리소프 8 4 0 4 10 12 -2 12 22 올림피아코스 8 3 2 3 13 9 +4 11 23 페네르바흐체 8 3 2 3 9 10 -1 11 24 FC 취리히 8 3 1 4 8 11 -3 10 25 라피트 빈 8 3 1 4 6 14 -8 10 26 빅토리아 플젠 8 3 1 4 10 20 -10 10 27 클뤼프 브뤼허 8 2 3 3 8 10 -2 9 28 말뫼 FF 8 2 3 3 8 11 -3 9 29 SS 라치오 8 3 0 5 9 14 -5 9 30 셀틱 FC 8 3 0 5 6 11 -5 9 31 샤흐타르 도네츠크 8 1 4 3 11 22 -11 7 32 갈라타사라이 8 1 2 5 6 10 -4 5 33 AC 밀란 6 3 1 2 12 9 3 10 34 스탕다르 리에주 6 3 1 2 7 9 -2 10 35 아스타나 6 2 2 2 7 7 0 8 36 RB 라이프치히 6 2 1 3 9 8 1 7 37 아폴론 리마솔 6 2 1 3 10 10 0 7 38 보르도 6 2 1 3 6 6 0 7 39 베식타슈 6 2 1 3 9 11 -2 7 40 MOL 비디 6 2 1 3 5 7 -2 7 41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6 2 1 3 4 7 -3 7 42 레인저스 6 1 3 2 8 8 0 6 43 FK 야블로네츠 6 1 2 3 6 8 -2 5 44 코펜하겐 6 1 2 3 3 5 -2 5 45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6 1 2 3 8 12 -4 5 46 삽스보리 08 6 1 2 3 8 13 -5 5 47 AEK 라르나카 6 1 2 3 6 12 -6 5 48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6 0 4 2 5 7 -2 4 49 안데를레흐트 6 0 3 3 2 7 -5 3 50 PAOK 6 1 0 5 5 12 7 3 51 보르스클라 폴타바 6 1 0 5 4 13 -9 3 52 카라바흐 6 1 0 5 2 13 -11 3 53 마르세유 6 0 1 5 6 16 -10 1 54 로젠보리 6 0 1 5 4 14 -10 1 54 악히사르스포르 6 0 1 5 4 14 -10 1 56 F91 뒤들랑주 6 0 1 5 3 16 -13 1 기록[편집] 팀 득점 기록[편집] 팀 실점 기록[편집] 득점 선수[편집] 득점[편집] 도움[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국가와 단계별 참가축구팀수[편집] 국가축구협회들의 순위는 UEFA 국가리그별 2017년 순위에 근거해서 결정된다.[20].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전환된 팀들은 이탈릭체로 표기된다. 국가축구협회 플레이오프(4차) + 조별리그 + 32강전 16강전 8강전 4강전 결승전 스페인 1세비야 +2 3레알 베티스, 비야레알, 세비야 +1 4발렌시아, 레알 베티스, 비야레알, 세비야 3발렌시아, 비야레알, 세비야 2발렌시아, 비야레알 1발렌시아 0 잉글랜드 1번리 +2 2아스널, 첼시 2아스널, 첼시 2아스널, 첼시 2아스널, 첼시 2아스널, 첼시 2아스널, 첼시 이탈리아 1아탈란타 +2 2라치오, AC 밀란 +2 3라치오, 인테르 밀라노, 나폴리 2인테르 밀라노, 나폴리 1나폴리 0 독일 1RB 라이프치히 +2 3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RB 라이프치히, 바이어 레버쿠젠 2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바이어 레버쿠젠 1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0 프랑스 1보르도 +2 3 보르도, 올랭피크 마르세유, 렌 1렌 1렌 0 러시아 2FK 우파,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 3FK 크라스노다르,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FK 크라스노다르,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FK 크라스노다르,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0 포르투갈 0 +1 1스포르팅 리스본 +1 2스포르팅 리스본, 벤피카 1벤피카 1벤피카 0 우크라이나 1조랴 루한스크 +2 2디나모 키예프, 보르스클라 폴타바 +1 2디나모 키예프, 샤흐타르 도네츠크 1디나모 키예프 0 벨기에 2KAA 헨트, KRC 헹크 +2 3안덜레흐트, KRC 헹크, 스탕다르 리에주 +1 2클럽 브뤼허, KRC 헹크 0 터키 1베식타슈 JK +2 3아히사르스포르, 베식타슈 JK, 페네르바흐체 +1 2갈라타사라이, 페네르바흐체 0 오스트리아 1라피트 빈 +1 2라피트 빈, 레드불 잘츠부르크 2라피트 빈, 레드불 잘츠부르크 1레드불 잘츠부르크 0 스위스 1FC 바젤 +1 1FC 취리히 1FC 취리히 0 체코 공화국 1시그마 올로모우츠 +2 2FK 야블로네츠, 슬라비아 프라하 +1 2빅토리아 플젠, 슬라비아 프라하 1슬라비아 프라하 1슬라비아 프라하 0 네덜란드 0 +1 0 그리스 1올림피아코스 +1 2올림피아코스, PAOK 테살로니키 1올림피아코스 0 크로아티아 0 +1 1디나모 자그레브 1디나모 자그레브 1디나모 자그레브 0 덴마크 3Brøndby, Copenhague, Midtjylland 1FC 코펜하겐 0 이스라엘 1Maccabi 0 키프로스 3APOEL, Larnaca, Limassol 2Larnaca, Limassol 0 루마니아 2Cluj, Steaua 0 스웨덴 1Malmö 1Malmö 1말뫼 0 아제르바이잔 1Qarabağ 1Qarabağ 0 불가리아 1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1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0 세르비아 1Partizan 0 스코틀랜드 2셀틱, 레인저스 2셀틱, 레인저스 1레인저스 0 벨라루스 0 +1 1BATE 보리소프 1BATE 보리소프 0 카자흐스탄 1FC 아스타나 1FC 아스타나 0 노르웨이 3몰데, 로젠보리 BK, 삽스보리 2로젠보리 BK, 삽스보리 0 슬로베니아 1Ljubljana 0 슬로바키아 2트렌친, 스파르타크 트르나바 1스파르타크 트르나바 0 몰도바 1Sheriff 0 헝가리 0 +1 1MOL 비디 0 마케도니아 1Shkëndija 0 리투아니아 1Marijampolė 0 조지아 1Koutaïssi 0 룩셈부르크 1Dudelange 1Dudelange 0 총계 42 +27 48 +8 32 16 8 4 2 같이 보기[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2018-19 각주[편집] ↑ “Football Federation of Kosovo joins UEFA”. UEFA. 2016년 5월 3일.  ↑ “Regulations of the UEFA Europa League 2017/18 Season” (PDF). UEFA.com. 2017년 4월 4일.  ↑ “Timeline for UEFA Presidential elections decided”. UEFA. 2016년 5월 18일.  ↑ “Access list 2018-21” (PDF). Bert Kassies.  ↑ “Access list for the 2018/19 UEFA club competitions” (PDF). Ekstraklasa.  ↑ “Preliminary Access List 2018/19”. Bert Kassies. 2017년 12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UEFA가 재정적 페어플레이 위반으로 AC밀란의 유로파리그 참가 금지 처분했으나 AC밀란이 스포츠 중재재판소에 상소하여 그 상소가 받아들여져서 AC 밀란의 유로파리그 참가 금지 처분이 철회되었다.] ↑ FK 토스노가 러시아 축구협회컵 2017-18을 우승하였으나 UEFA 클럽 면허를 갖고 있지 않아서, UEFA 유로파리그 본선직행권을 리그 4위팀이 승계한다. ↑ “Глава отдела лицензирования РФС: «Тосно» не подавал документы на лицензирование в еврокубках, по остальным информация скоро появится»”. 《news.sportbox.ru》 (러시아어). 2018년 5월 10일. 2018년 5월 13일에 확인함.  ↑ 데스포르티부 데스 아브스가 포르투갈 축구협회컵 2017-18에서 우승하였으나 UEFA 면허를 갖고 있지 않아서 리그 3위팀부터 유로파리그 참가권을 차례대로 승계한다. ↑ 원래 2차예선에서 시작하지만 3차예선으로 승격되었다. ↑ 원래 2차예선에서 시작하지만 3차예선으로 승격되었다. ↑ [유로파리그 3차예선 리그루트로 부전승 진출하였다.] ↑ 다치아 키시너우가 몰도바 1부리그 2017-18 시즌에서 최종 4위를 기록하였으나 시즌 종료 직후 해체되어서 리그 5위팀이 참가권을 승계한다. ↑ UEFA.com. “Member associations - UEFA Coefficients - Club coefficients”.  ↑ “UEFA Europa League round of 32 draw”. UEFA.com.  ↑ “UEFA Europa League round of 16 draw”. UEFA.com.  ↑ “UEFA Europa League quarter-final draw”. UEFA.com.  ↑ 가 나 “UEFA Europa League semi-final draw”. UEFA.com.  ↑ “Classements UEFA pour compétitions interclubs 2016-2017”. UEFA.com. 2018년 5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Selon la terminologie employée par l’UEFA. vdehUEFA 유로파리그시즌 1971-72 1972-73 1973-74 1974-75 1975-76 1976-77 1977-78 1978-79 1979-80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3-94 1994-95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결승전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신: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19_UEFA_유로파리그&oldid=24490529" 분류: 2018-19 UEFA 유로파리그UEFA 유로파리그 시즌2018년 축구2019년 축구숨은 분류: CS1 - 러시아어 인용 (ru)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14:2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8-19년 UEFA 유로파리그(2018-19 UEFA Europa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의 두 번째 권위를 가진 축구 대회의 48번째 시즌이자, UEFA컵에서 UEFA 유로파리그로 바뀐 뒤 10번째 시즌이다. 결승전은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에 위치한 바쿠 올림픽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로파 리그 장소가 재배포되는 경우는 어떨 때일까? Assistant: 장소가 비워지면
Human: 아래 에어포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어포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어포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어포항 에어포항의 봄바디어 CRJ-200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RN KAB Air Pohang 창립일 2017년 1월 11일 운항개시일 2018년 2월 7일 운항중단일 2018년 12월 10일 허브 공항 포항공항 상용고객우대제도 AP 포인트 보유 항공기 2대 운항중단 이전까지 취항지 수 2개 운항중단 이전까지 슬로건 A few A pride 본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포스코대로 329 서울빌딩 4층 (우)37783 모기업 베스트에어라인(85%) 동화컨소시엄(15%) 웹사이트 http://airpohang.kr/ 에어포항(Air Pohang)은 대한민국의 소형항공운송사업자였다. 목차 1 개요 2 역사[2] 2.1 2016년 2.2 2017년 2.3 2018년 2.4 2019년 3 취항지 4 보유 기종 4.1 퇴역 기종 5 각주 6 외부 링크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소형항공운송사업자로, 포항공항을 거점으로 7월에 운항증명(AOC)을 국토교통부로 부터 승인받아 포항-김포 노선 시작으로 2017년10월 부터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처음 계획된 자본금 100억에서 50억을 더 늘려서 경영의 안정화를 기하기로 했는데 10월 17일에 자본금 150억 확보가 완료되어 12월 초에 국토교통부의 운항증명을 받고, 12월 말에 취항하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 한국의 전자회사인 동화전자공업(주)과 중국의 동화서성투자유한공사가 투자하고 동화컨소시엄에서 운영하며, 포항시와 경상북도에서 각 20억원씩을 출자하며 한중합작 형식으로 100억원을 51:49로 투입하였다. 최근 한중관계 악화와 사드 보복으로 인해 무산될 위기에 있으나 소형항공운송사업자의 경우 등록제이므로 AOC만 받으면 되기에 자본만 충분하다면 설립이 가능하다. 결국 사드 보복 여파로 중국에서 투자를 보류하면서 동화컨소시엄에서 100% 출자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미 2월부터 캐나다 봄바르디어 항공기술교육기관에서 조종사와 정비사 등을 보내 훈련하고 있는 중이라고 하며 신규 채용 공고를 내보냈다. 10월부터 운행하기로 했으나, 12월로 미뤄지고 2018년 2월 7일 포항∼김포 하루 2차례, 포항∼제주 구간을 하루 2차례 운항한다. 요금은 주중 포항∼김포 6만2300원, 포항∼제주 7만2300원으로 예정되어 있다. 2018년 2월 7일 에어포항이 정식신규취항을 하였다. 2018년 10월 계속되는 경영난에 대주주가 교체되고 에어포항은 12월 1일부터 포항∼김포 노선에 이어 12월 10일부터 포항∼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할 예정이다.또한 보유 중인 비행기 2대가 2007년부터 생산이 중단된 CRJ-200 기종으로 정비부품을 공급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2019년 3월까지 신기종 비행기인 에어버스사의 에어버스 A319 3대를 도입해 비행기를 교체를 할려고 했었다.현재 대주주인 베스트에어라인은 에어포항 전 대주주인 동화전자공업주식회사로부터 주식 85%를 사들여 경영권 인수를 마치고 대표이사를 진주원씨로 변경했지만 12월 3일 현재 베스트에어라인측은 3개월이상 밀린 에어포항 직원들의 임금체불은 여전히 해결하지 않은 채 대부분의 직원을 해고 또는 대기발령조치했다. 결국 2019년 5월 운항증명이 무력화됨에따라 재운항은 불가능해졌다.[1] 역사[2][편집] 2016년[편집] 6월 : 에어포항 설립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에 대한 MOA체결 12월 : 포항시 지역항공사 사업파트너 선정 2017년[편집] 1월 : 에어포항(주) 법인 설립 5월 24일 : 1호기 도입 (봄바디어 CRJ-200LR, HL8203)[3] 2018년[편집] 1월 5일: 2호기 도입 (봄바디어 CRJ-200ER, HL8298) 2월 3일 : 취항기념식 개최 2월 7일 포항 - 서울(김포) 신규취항[4] 포항 - 제주 신규취항 12월 1일 포항 - 서울(김포) 운항중단 12월 10일 포항 - 제주 운항중단 2019년[편집] 5월 : 1호기 송출 (봄바디어 CRJ-200LR, HL8203) 취항지[편집] 도시 공항IATA 공항ICAO 공항 이름 주석 및 비고 운항 횟수 서울 GMP RKSS 김포 일 3회 운항, 포항공항 발 제주 CJU RKPC 제주 일 2회 운항, 포항공항 발 포항 KPO RKTH 포항 허브 보유 기종[편집] 에어포항은 2019년 6월 기준으로 봄바디어 CRJ200 기종 1기를 보유하고 있다. 항후 나머지 1대도 리스회사로 반납예정되어 있다. 에어포항의 보유 기종 기종 댓수 주문 탑승 승객 비고 봄바디어 CRJ-200ER 1 0 50 HL8298 퇴역 기종[편집] 에어포항의 퇴역 기종 기종 댓수 주문 탑승 승객 비고 봄바디어 CRJ-200LR 1 0 50 구. 루프트한자 시티라인 소속 항공기.HL8203 각주[편집] ↑ “에어포항, 내달 10일부터 운항 전면 중단... 새기종 A319 도입 운항 재개”.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 “에어포항 연혁”.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헤럴드경제 (2017년 7월 15일). “에어포항 1호기 첫선”. 2017년 8월 10일에 확인함.  ↑ “에어포항, 취항식… 7일부터 본격 운항”. 2018년 2월 5일.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출처=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vdeh 대한민국의 항공사대형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저비용 항공사 에어부산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소형항공운송사업자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 하이에어 화물 항공사 대한항공 카고 아시아나항공 카고 에어인천 항공기사용사업자 블루에어라인 신한항공 에어팰리스 에이스항공 통일항공 헬리코리아 홍익항공 유아이헬리제트 설립 추진 항공사 플라이 강원 에어로케이 에어프레미아 에어대구 폐업 및 무산된 항공사 극동항공 대한국민항공 범한항공 세기항공 에어울산 에어포항 에어필립 영남에어 유스카이항공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인천타이거항공 코스타항공 프라임항공 플라이 양양 vdeh포항시의 교통철도노선 동해선 괴동선 역 포항역 효자역¹ 월포역 괴동역¹ ¹ : 여객취급을 하지 않는 역 고속도로노선 새만금포항 (20) 동해 (65, ) 새만금포항지선 (202) 나들목·분기점 포항 나들목 학전 나들목 서포항 나들목 남포항 나들목 북영일만 나들목 청하 나들목 북포항 나들목 일반도로국도 7호 14호 20호 28호 31호 국지도 20호 68호 69호 지방도 921호 929호 930호 주요 간선도로간선도로 북구 남구 시설물교량/터널 연일대교 섬안큰다리 유강대교 포스코대교 동빈큰다리 달전터널 유강터널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티머니 시외·고속버스 고속터미널 시외터미널 기타항공포항공항항구 (여객·물류)포항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어포항&oldid=24356770" 분류: 2016년 설립대한민국의 항공사포항시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일 (토) 14: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어포항(영어: Air Pohang)은 대한민국의 소형항공운송사업자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어포항이 정식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한 해는 언제일까? Assistant: 2018년 Human: 아래 테니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테니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테니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테니스 4대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하나인 US 오픈의 경기 모습.최고 기구 국제 테니스 연맹기원 19세기특징신체 접촉 없음팀 인원수 단식 또는 복식혼성 경기 혼합 복식분류 라켓 스포츠장비 테니스 라켓, 테니스공 올림픽 1896-1924, 1988-현재 테니스(영어: tennis)는 두 명의 선수(단식) 또는 각각 두 명의 선수로 이루어진 두 팀(복식)이 겨루는 라켓 스포츠의 한 종류이다. 선수들이 줄이 매어진 라켓을 이용해 속이 비고 표면이 펠트로 이루어진 고무 재질의 테니스공을 쳐서 네트 너머 상대방의 코트로 계속하여 넘겨서, 어느 한 쪽이 공이 두 번 바운드 되기 전에 치지 못 하거나 친 공이 네트를 넘지 못 했을 때, 혹은 친 공이 상대방 코트에 들어가지 못 했을 때 그 실패한 선수의 상대방이 점수를 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의 종류는 선수 구성에 따라 단식과 복식, 혼합복식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소프트 테니스(연식 정구)와 함께 하드 테니스(경식 정구)라고 불리기도 했다. 현대 테니스는 19세기 후반 잉글랜드 버밍엄에서 행해졌던 론 테니스(lawn tennis)에 기원을 두고 있다.[1] 이것은 크로케나 잔디 볼링과 같은 여러 종류의 필드 스포츠 및 옥내 테니스와 같은 더 오래된 라켓 스포츠와 깊은 연관을 갖고 있다. 19세기에는 테니스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론 테니스가 아닌 옥내 테니스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일례로,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소설 시벌(sybal, 1845)에서는, 유진 드 비어 경이 '햄프턴 코트에 내려가서 테니스를 치는' 장면이 등장한다.[2] 테니스의 경기 규정은 1890년대 이래로 크게 바뀌지 않았다. 두 가지 예외는 1908년부터 1961년까지 서버가 서브를 할 때에 한 발이 계속 땅에 닿아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존재했던 것과, 1970년대에 타이 브레이크 제도가 도입된 것이다. 최근의 변화는 호크아이라 불리는 전자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여 선수가 심판의 공에 대한 인-아웃 판정에 대해 챌린지(이의)를 제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목차 1 역사 2 경기 방식 2.1 세트 2.2 게임 2.3 진행 방식과 득점 2.4 라인 2.5 심판 2.6 용어 3 경기의 종류 3.1 단식 3.2 복식 3.3 혼합 복식 4 코트 4.1 코트의 종류 5 장비 5.1 라켓 5.2 공 6 주요 대회 6.1 그랜드 슬램 6.2 국가 대항전 6.3 기타 7 단체 7.1 국제 단체 7.2 국내 단체 8 같이 보기 9 각주 역사[편집] 테니스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대 테니스의 기원은 두 갈래로 나뉜다. 1859~1865년 사이에 해리 젬 장군과 그의 친구였던 오구리오 페레라는 바스크 전통 공놀이의 일종인 펠로타에 라켓을 접목시킨 새로운 구기를 고안하여 영국 버밍햄의 크로케 구장에서 즐겼다.[3][4] 1884년 7월 23일에는 슈러블랜드 홀(Shrubland Hall)에서 열린 최초의 테니스 대회 경기 모습이 녹화되기도 했다.[5] 1881년 영국의 여성 테니스 선수 한편, 1873년 12월 월터 윙필드 장군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경기를 고안하였다. 그는 이 경기를 스페어리스티크(sphairistike, 그리스어: σφάίρίστική, '공을 다루는 기술'이라는 뜻)라고 명명했으며, 이것은 이후 좀 더 간단하게 '스티키(sticky)'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는 이 경기를 웨일즈의 흘라넬리단(Llanelidan)에 있는 자신의 저택에서 가든 파티를 열 때마다 손님들의 오락을 위해 활용하였다.[6] 그가 고안한 경기는 좀 더 현대적인 스포츠인 실외 테니스나 리얼 테니스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현대 테니스의 관련 용어들이 이 시기에 윙필드 장군이 실내 테니스의 명칭 및 관련 프랑스어 어휘들을 차용했던 것에서 유래한다고 본다. 1887년 미국에서 론 테니스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1877년 영국 윔블던에서 최초의 테니스 대회가 개최되었다.[7] 미국의 사교계 명사였던 메리 유잉 아웃터브리지는 1874년 버뮤다에서 윙필드 장군을 만나고 돌아온 뒤, 뉴욕의 뉴 브라이튼 스테이튼 아일랜드(New Brighton Staten Island)에 위치한 스테이튼 아일랜드 크리켓 클럽에 테니스 코트를 만들었다. 이 클럽은 현재의 스테이튼 아일랜드 페리 선착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1880년 미국 최초의 국제 테니스 대회가 이 곳에서 열렸다. O.E 우드하우스(O.E Woodhouse)라는 영국인이 단식 우승을 차지했으며, 복식에서는 미국인 복식조가 우승했다. 당시에는 클럽마다 규정에 다소 차이가 있어서, 보스턴 지역에서 사용되는 공은 뉴욕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크기가 컸다. 1881년 5월 21일 미국 국제 론 테니스 협회(현재의 미국 테니스 협회)가 경기 규정의 표준화 및 대회 운영을 위해 창설되었고,[8] 오늘날의 US 오픈의 전신인 U.S. 국제 남자 단식 챔피언십이 역시 1881년에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서 개최되었다.[9] U.S. 국제 여자 단식 챔피언십은 1887년 처음 열렸다.[10] 테니스는 프랑스에서도 인기가 있어서, 프랑스 오픈이 1891년 처음으로 프랑스에서 열렸다.[11] 이렇게 테니스의 초기 발전 시기에 생겨난 윔블던, US 오픈, 프랑스 오픈, 그리고 호주 오픈(1905년 최초 개최)은 그 오랜 역사로 인하여 오늘날 가장 권위있는 테니스 대회로 인정받는다.[7][12] 이 4개의 대회들은 메이저 대회 혹은 그랜드 슬램이라고도 불린다.[13] 오늘날의 국제 테니스 연맹의 전신인 국제 론 테니스 연맹(International Lawn Tennis Federation)은 1924년 공식 테니스 경기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 규정은 나중에 제임스 앨런(James Van Alen)이 고안한 타이브레이크 제도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이후 80여년째 그대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14] 한편, 같은 해인 1924년 이후부터 테니스가 올림픽 공식 종목에서 제외되었으나, ITF 회장이었던 필립 샤트리에(Philippe Chatrier), 데이비드 그레이(David Gray) 사무총장, 그리고 파블로 로렌스(Pablo Llorens) 부회장의 노력과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 위원장의 적극적인 지지로 60년 만에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21세 이하 시범종목으로 다시 채택되었다. 이 때의 성공에 힘입어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는 테니스가 다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드와이트 데이비스. 1900년에는 남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인 데이비스 컵이 창설되었다.[15] 이 대회의 명칭은 순은 우승컵의 기증자인 드와이트 데이비스(Dwight F. Davis)의 이름을 따서 정해졌다. 유사한 형태의 여자 테니스 국가 대항전인 페드 컵 대회가 1963년 ITF의 창립 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페더레이션 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다.[16] 1926년 C.C. 파일(C.C. Pyle)은 미국 및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들이 비용을 지불한 관객들과 시범경기를 가져주는 최초의 프로 테니스 투어를 만들었다.[12][17] 이 당시 활동했던 가장 초기의 유명한 프로 선수로는 미국의 비니 리차즈와 프랑스의 쉬잔 랑글렌이 있었다.[12][18] 이 당시의 대회는 프로와 아마추어로 나뉘어 있어서, 아마추어 선수가 일단 '프로 전향'을 하면 그 선수는 더 이상 메이저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할 수 없었다.[12] 1960년대에 밀어 닥친 상업화의 물결과 일부 아마추어 선수들이 뒷돈을 받고 있다는 루머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결국 1968년부터 이와 같은 프로와 아마추어의 구분 없어지면서 오픈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로써 모든 선수들이 어느 대회든 제한 없이 참가할 수 있고 상위권 선수들은 테니스 선수 활동만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19] 오픈 시대의 시작으로 국제 프로 테니스 서킷이 창설되고 TV 중계권료 수입이 생기면서 테니스는 세계 전역에서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돋움하였고, 영어권 국가의 상·중류층 스포츠라는 낡은 이미지를 벗어 던지게 되었다[20] (그러나 그러한 고정관념은 현재도 부분적으로는 남아있다고 여겨진다).[20][21][22] 1954년 밴 앨런은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 비영리 기념관인 국제 테니스 명예의 전당을 설립했다.[23] 이 기념관은 테니스 관련 중요 기록들과 기념품, 그리고 명예의 전당 헌액자들 및 전 세계 테니스 선수들에 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매년 새로운 헌액자를 위한 기념 행사가 잔디 코트 대회와 함께 열린다. 테니스가 대한민국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00년 초였으며, 최초의 공식 경기는 1927년에 열렸다. 경기 방식[편집] 경기(match)는 '점수(point) → 게임(game) → 세트(set)'로 구성된다. 한 경기는 보통 3세트(3전 2선승제)이다. 다만, 4대 그랜드 슬램, 데이비스 컵, 하계 올림픽의 남자 경기는 5세트(5전 3선승제)이다.[24] 한 게임은 4점을 먼저 얻으면 승리하고, 한 세트는 6게임을 먼저 이겨야 승리한다. 다만, 점수가 3대 3이면 듀스가 되어 연속해서 2점을 먼저 얻어야 게임을 승리하게 되고, 게임이 5대 5이면 게임 듀스가 되어 7대 5로 이겨야 세트의 승자가 된다. 만약 게임이 6대 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에 따라 서로 번갈아 서브를 해서 7점을 먼저 얻는 선수가 승자가 된다. 다만, 4대 그랜드 슬램 중 프랑스 오픈, 윔블던 대회의 마지막 세트는 타이브레이크 없이 2게임을 연속으로 이겨야만 그 세트를 승리한다.//호주 오픈은 2019년 부터 타이브레이크 도입 세트[편집] 상대가 5게임을 이기기 전에 먼저 6게임을 이기는 쪽이 승리한다. 게임이 5 대 5를 이루면 먼저 7게임을 이기는 쪽이 그 세트의 승자가 되며, 다시 6 대 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로 세트의 승자를 가린다. 다만, US 오픈을 제외한 그랜드 슬램 대회는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지 않고 듀스 규칙을 적용해 한 선수가 2게임을 연속으로 먼저 이길 때까지 계속 경기를 진행한다. 게임[편집] 0점을 러브(love, 0), 1점을 핍틴(fifteen, 15), 2점을 써티(thirty, 30), 3점을 포티(forty, 40)라고 하며, 4점을 먼저 얻는 쪽이 이긴다. 3대 3은 듀스(deuce)가 되며, 듀스 다음에 1점을 득점하면 어드밴티지(advantage)라 부른다. 어드밴티지에서 다시 같은 선수가 연속으로 1점을 더 얻으면 그 게임의 승자가 되고, 반대의 경우 다시 듀스가 된다. 만약, 3 : 3 듀스가 되었을 때 먼저 상대방 보다 2점을 얻었다면 게임(game)이라 부른다. 진행 방식과 득점[편집] 테니스 코트의 규격. 테니스는 서브권을 가진 선수가 상대 코트에 서브를 하여 처음 공을 넘기면 상대 선수가 그 공을 한 번 바운드 시킨 뒤 받아치면서 시작된다. 최초에 서브를 받아 넘긴 이후에는 공을 바운드 시키지 않고 바로 치는 것이 허용된다. 다음과 같은 상황이 되면 상대 선수가 1점을 득점을 하게 된다. 서브를 넣을 때 두 번 연속 폴트를 범하여 더블 폴트가 된 경우 상대의 서브를 1회 바운드 시킨 후 넘기지 못 한 경우 공이 두 번 이상 바운드되기 전에 쳐서 넘기지 못 한 경우 친 공이 네트에 걸리거나 상대방 코트에 들어가지 못한 경우 공을 칠 때 공이 두 번 이상 라켓에 맞거나 몸 혹은 옷에 닿았을 경우 라인[편집] 코트 좌우 양쪽의 가장 바깥쪽에 그려진 선은 복식 사이드라인으로, 이것은 복식 경기에서 사용되는 코트를 표시한다. 복식 사이드라인 안쪽에 평행하게 그려진 선은 단식 사이드라인으로, 이것은 단식 경기에서 사용되는 코트를 나타낸다. 복식 사이드라인과 단식 사이드라인 사이의 길고 좁은 공간을 복식 앨리(alley)라 부른다. 네트와 평행하게 코트의 양쪽 끝에 그려진 선을 베이스라인(baseline)이라 하며, 베이스라인의 중앙에는 센터 마크가 있다. 네트와 베이스라인 사이에 평행하게 그려진 선을 서비스 라인(service line)이라 하는데, 서비스라인은 이 라인과 네트 사이의 공간에 서브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25] 한쪽 서비스라인의 중앙에서 반대쪽 서비스라인의 중앙으로 네트를 가로질러 그어진 선을 센터 라인이라 한다. 서비스 라인과 센터 라인이 만드는 닫힌 직사각형 공간을 서비스 박스라 하며, 서브하는 선수는 서브를 이 공간 안에 넣어야 한다.[26] 공이 첫 바운드 시에 라인 안쪽 공간이나 라인의 일부분에 닿지 않을 경우 '아웃'이라고 한다. 모든 라인의 너비는 51mm(1.2인치)가 되어야 하며, 베이스라인은 필요에 따라 그 너비를 100mm(4인치)까지 늘릴 수 있다.[25] 심판[편집] 경기에 앞서 선수들에게 규칙을 설명하는 심판. 주요 경기에서는 콜 저지 1명, 네트 엄파이어 1명, 풋폴트 저지 2명, 라인즈 맨 10명 등 14명의 심판으로 구성된다. 콜 저지, 즉 주심은 네트 옆의 의자에 높이 올라앉아 득점을 판정한다. 네트 엄파이어는 네트 포스트 부근에서 서브·네트에 관한 사항 등을 판정하며, 풋폴트 저지는 서브에서의 풋폴트를, 라인즈 맨은 인(in)·아웃(out)만을 판정한다. 용어[편집] 테니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그라운드 스트로크(ground stroke) : 공이 땅에 한 번 떨어진 후 치는 타구를 말한다. 그라운드 스매시(ground smash) : 공을 땅에 떨어뜨려서 높이 튀어오를 때 강하게 치는 것을 말한다. 네트 플레이(net play) : 네트 가까이로 전진해서 발리, 스매시 등으로 득점하는 플레이를 뜻한다. 라운드 로빈(round robin) : 서로 한 번씩 꼭 맞붙게 한 경기를 말하는데, 풀리그라고도 한다. 시드(seed) : 대회의 대진표를 작성할 때 랭킹이 높은 선수를 특정한 자리에 배정하는 것을 뜻한다. 랠리(rally) : 공이 계속해서 왔다갔다 하는 것을 말한다. 로브(lob) : 상대가 네트 앞에 있을 때 상대방의 키를 넘어가게 공을 높게 치는 것을 말한다. 폴트(fault) : 서브가 네트를 넘지 못 하거나 서브 영역 밖으로 들어간 경우 이것을 폴트라고 한다. 더블 폴트(double fault) : 폴트를 두 번 연속으로 범하는 경우 더블 폴트라고 하며, 서버가 실점하게 된다. 렛(let) : 경기중에 일어나는 무효판정을 말한다. 돌발상황으로 게임에 방해가 있을 경우 심판이 콜하며, 이전의 랠리는 무효가 된다. 경기의 종류[편집] 단식 경기 중인 여자 선수들. 일반적으로 테니스 경기의 종류는 두 사람이 경기하는 단식과 네 사람이 경기하는 복식, 그리고 남녀를 섞어 네 사람이 경기하는 혼합 복식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뉘며, 프로 대회의 경기는 모두 이 범주 안에 들어간다. 여기에 더해 세 명이 함께 경기하는 변형된 형태의 경기 방식도 일부 존재하지만 프로 경기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단식[편집] 단식(單式)은 동성(同性)의 선수 두 명이 일대일로 경기하는 방식이다. 복식[편집] 복식(複式)은 동성(同性)의 선수 두 명이 한 팀을 이루어 총 네 명의 선수가 경기를 하는 방식이다. 앨리라고 불리는 코트의 양쪽 사이드 공간을 포함하여, 단식보다 더 넓은 코트를 사용한다. 혼합 복식[편집] 혼합 복식의 규칙은 복식과 동일하며, 다만 남녀 선수 한 쌍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한다는 점이 다르다. 코트[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테니스 코트입니다. 테니스 코트는 일정한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의 평평한 땅이다. 코트의 길이는 23.77m이며, 너비는 단식의 경우 8.23m, 복식의 경우 10.97m이다.[27] 코트 주변에는 선수가 뛰어 다닐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한다. 네트는 코트를 이등분하는 위치에 베이스라인과 평행하게, 코트 너비보다 약간 더 길게 세워진다. 네트 높이는 네트 포스트(기둥) 부분이 1.07m이며 가운데 부분이 91.4cm이다.[27] 최초의 테니스 코트는 1873년 월터 윙필드 장군이 고안했던 스티케 테니스(스페어리스티크)의 코트 규격을 본따 만들어졌다. 이 코트 규격은 1875년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수정되었는데, 이것은 라인 구조는 윙필드 장군의 것과 유사했지만 코트의 형태가 모래시계 모양이 아닌 직사각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28] 코트의 종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테니스 코트 § 테니스 코트의 종류입니다. 테니스 코트의 종류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뉘며, 종류에 따라 공이 바운드되는 속도와 높이에 차이가 있다. 종류 설명 클레이 점토(클레이)의 재질에 따라 크게 레드 클레이와 그린 클레이로 나뉜다. 레드 클레이는 프랑스 오픈을 비롯한 여러 클레이 코트 대회에서 쓰이며, 특히 유럽 및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많이 쓰인다. 하트루(Har-Tru)라고도 불리는 그린 클레이는 미국에서 주로 쓰인다. 클레이 코트에서는 공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튀며, 불규칙 바운드가 적은 편이다. 하드 표면이 아크릴,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코트이다. 호주 오픈에서 쓰이는 플렉시쿠션이나 US 오픈에서 쓰이는 데코터프가 아크릴 소재의 하드 코트에 속한다. 하드 코트에서는 공이 빠르게 튀며, 불규칙 바운드는 거의 없다. 잔디 표면을 천연 잔디로 덮은 코트이다. 잔디 코트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대회는 윔블던이 있다. 잔디 코트에서는 공이 하드 코트보다 더욱 빠르게 튀며, 불규칙 바운드가 잦은 편이다. 윔블던은 최근 몇 년간 잔디의 혼합 비율 등을 조절하여 바운드 속도를 조금씩 느려지게 조절한바 있다.[29] 인조 잔디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국제 대회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인도어 표면이 카페트나 또는 아주 드물게 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코트이다. 카페트 코트에서는 공이 잔디 코트보다도 더 빠르고 낮게 바운드되며, 불규칙 바운드는 거의 없다. 장비[편집] 테니스 라켓과 공 라켓[편집] 현대의 테니스 라켓은 길이, 무게, 헤드 사이즈 등이 다양하다. 길이는 주니어용 라켓의 경우 약 21-26인치이며, 성인용 라켓은 27-27.5인치 정도이다. 무게 또한 줄을 매지 않았을 때 8온스에서 12.5온스 정도 까지 다양하다. 헤드의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라켓의 특성이 달라진다. 헤드가 클 경우 일반적으로 더 강한 파워를 낼 수 있으며, 스윗 스팟(sweet spot)이 더 넓어서 공을 라켓에 맞추기가 더 쉽다. 헤드가 작을 경우 더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오늘날 라켓의 헤드 크기는 90평방인치에서 137평방인치까지 다양하다. 대량생산되는 라켓 중 가장 작은 헤드 크기를 가졌던 모델은 윌슨 프로 스태프(Pro Staff) 6.0으로 85평방인치의 헤드 크기를 가졌다. 라켓의 줄은 거트(gut)라고 하며,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한다. 공[편집] 무게는 56.70~58.47g, 지름은 6.35~6.68cm의 것을 이용한다. 색상은 옅은 초록색이나 노란색이 주종을 이루지만 제한은 없어서, 노란색과 주홍색 등 두 가지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공도 있다. 주요 대회[편집] 그랜드 슬램[편집] 그랜드 슬램은 테니스 대회들 중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아래 4개 대회를 가리킨다. 그랜드 슬램 기간 대회명 개최지 코트 종류 1월 호주 오픈 멜버른 하드 (플렉시쿠션) 5~6월 프랑스 오픈 파리 클레이 6~7월 윔블던 런던 잔디 8~9월 US 오픈 뉴욕 하드 (데코터프) 국가 대항전[편집] 데이비스컵 월드팀컵 페더레이션컵 기타[편집] 분류:테니스 대회 참고 단체[편집] 국제 단체[편집] 프로 테니스 협회 (ATP) 국제 테니스 연맹 (ITF) 여자 테니스 협회 (WTA) 국내 단체[편집] 대한 테니스 협회 같이 보기[편집] 빠델 테니스(en:Padel tennis) 각주[편집] ↑ William J. Baker (1988). "Sports in the Western World". p.182.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Benjamin Disraeli (1845) Sybil, chapter 1 ↑ (영어) Tyzack, Anna, The True Home of Tennis Country Life, June 22, 2005 ↑ (영어) "Lawn Tennis and Major T. H. Gem Archived 2008년 2월 9일 - 웨이백 머신" Birmingham Civic Society ↑ (영어) “Introduction to Tennis”.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E. M. Halliday. “SPHAIRISTIKÉ, ANYONE?”. American Heritage. 2008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영어) “History of Tennis”. 국제 테니스 연맹. 2008년 7월 28일에 확인함.  ↑ (영어) “History of United States Tennis Association”. 2007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Fact & History”. 《Rhodes Island Government》.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History of the U.S. National Championships/US Open”. usopen.org. 2008년 8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4일에 확인함.  ↑ (영어) “History of the French Open”. 2007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영어) “Suzanne Lenglen and the First Pro Tour”.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Originality of the phrase "Grand Slam"”. 2012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James Henry Van Alen in the Tennis Hall of Fame”.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Davis Cup by BNP Paribas”.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History of the Fed Cup”. International Tennis Federation. 2009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2일에 확인함.  ↑ (영어) “History of the Pro Tennis Wars Chapter 2, part 1 1927-1928”.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영어) Open Minded Archived 2007년 10월 31일 - 웨이백 머신 - Bruce Goldman ↑ (영어) en:Tennis, professional tournaments before the open era ↑ 가 나 (영어) Jon Henderson (2008년 12월 10일). “Middle-class heroes can lift our game”. The Observer, theguardian.co.uk.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it was no longer true that tennis was a middle-class sport  ↑ (영어) Kate Magee (2008년 7월 10일). “Max Clifford to help shed tennis' middle-class image”. PR Week.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 (영어) The Sugarman. “There are 3 levels of social class in tennis: Upper middle class, middle class and lower middle class”. BookieBusters.net.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 (영어) “International Tennis Hall of Fame Information”. 2007년 5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1984년에서 1998년까지 WTA 투어 챔피언십에서는 여자 경기가 5세트(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 가 나 “ITF rules - Rule 1” (PDF). ITF. 2008년 9월 4일에 확인함.  ↑ “ITF rules - Rule 17” (PDF). ITF. 2008년 9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영어) “Tennis court dimensions”. Sportsknowhow.com. 2007년 5월 29일에 확인함.  ↑ “Tennis court history - Grass”. ITF. 2008년 7월 28일에 확인함.  ↑ (영어) “매년 더 느려지는 잔디 코트 The Grass is Always Slower”.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테니스 vdeh올림픽 스포츠하계 올림픽 권투 골프 근대 5종 경기 농구 다이빙 7인제 럭비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사격 사이클 수구 수영 승마 아티스틱 스위밍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필드하키 핸드볼 동계 올림픽 노르딕 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노보드 스켈레톤 스키 점프 스피드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알파인 스키 컬링 크로스컨트리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 피겨 스케이팅 과거 올림픽 스포츠 라켓 라크로스 럭비 유니온 로크 모터보트 경주 소프트볼 야구 주드폼 줄다리기 크리켓 크로케 펠로타 같이 보기: 장애인 올림픽 경기 종목 전거 통제 LCCN: sh85133890 GND: 4059462-2 BNF: cb11933653f (데이터) NDL: 0057282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테니스&oldid=24116071" 분류: 테니스올림픽 경기 종목라켓 스포츠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책위키인용집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EstremeñuفارسیSuomiVõro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Qaraqalpaqsha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Plattdüütsch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Sesotho sa LeboaOccitanLivvinkarjalaਪੰਜਾਬੀPicardDeitsch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Kinyarwanda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ardu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ತುಳು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mençe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est-Vlams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01: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테니스(영어: tennis)는 두 명의 선수(단식) 또는 각각 두 명의 선수로 이루어진 두 팀(복식)이 겨루는 라켓 스포츠의 한 종류이다. 선수들이 줄이 매어진 라켓을 이용해 속이 비고 표면이 펠트로 이루어진 고무 재질의 테니스공을 쳐서 네트 너머 상대방의 코트로 계속하여 넘겨서, 어느 한 쪽이 공이 두 번 바운드 되기 전에 치지 못하거나 친 공이 네트를 넘지 못했을 때, 혹은 친 공이 상대방 코트에 들어가지 못했을 때 그 실패한 선수의 상대방이 점수를 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의 종류는 선수 구성에 따라 단식과 복식, 혼합복식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소프트 테니스(연식 정구)와 함께 하드 테니스(경식 정구)라고 불리기도 했다. 현대 테니스는 19세기 후반 잉글랜드 버밍엄에서 행해졌던 론 테니스(lawn tennis)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이것은 크로케나 잔디 볼링과 같은 여러 종류의 필드 스포츠 및 옥내 테니스와 같은 더 오래된 라켓 스포츠와 깊은 연관을 갖고 있다. 19세기에는 테니스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론 테니스가 아닌 옥내 테니스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일례로,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소설 시벌(sybal, 1845)에서는, 유진 드 비어 경이 '햄프턴 코트에 내려가서 테니스를 치는' 장면이 등장한다.테니스의 경기 규정은 1890년대 이래로 크게 바뀌지 않았다. 두 가지 예외는 1908년부터 1961년까지 서버가 서브를 할 때에 한 발이 계속 땅에 닿아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존재했던 것과, 1970년대에 타이 브레이크 제도가 도입된 것이다. 최근의 변화는 호크아이라 불리는 전자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여 선수가 심판의 공에 대한 인-아웃 판정에 대해 챌린지(이의)를 제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트링이라고도 부르는 테니스 라켓 줄의 명칭은? Assistant: 거트
Human: 아래 화성의_대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화성의 대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화성의 대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화성의 대기 지평선에 걸쳐 보이는 화성의 얇은 대기층 구성 성분[1] 이산화 탄소 95.97 % 아르곤 1.93 % 질소 1.89 % 산소 0.146 % 일산화 탄소 0.0557 % 정보[2] 평균 기압 0.636 kPa 기온 최저 평균 최고 -143°C -63°C 35°C 화성의 대기는 태양계의 4번째 행성인 화성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층을 의미하며 대부분이 이산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 기압은 약 600 파스칼로 지구의 해수면 평균 기압인 101.3 킬로파스칼의 0.6 % 정도이며, 규모고도는 약 11 km 정도이다. 이때, 화성의 대기 질량은 25 테라톤(25×1012톤)으로 규모고도가 약 8.5 km인 지구의 대기 질량인 5148 테라톤(5148×1012톤)의 0.005 % 밖에 되지 않는다. 화성의 기압은 고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화성에서 가장 높은 지역인 올림푸스 산의 최고봉에서는 약 30 파스칼 정도고 가장 낮은 지역인 헬라스 분지에서는 1,155 파스칼 정도로 어디서든지 화성의 기압은 암스트롱 한계보다 훨씬 낮아서 인간이 화성의 대기에 맨몸으로 노출된다면 위험해질 수 있다. 화성의 대기는 96 %가 이산화 탄소, 1.9 %가 아르곤, 1.9 %가 질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산소와 일산화 탄소, 수증기 등도 포함되어 있다.[1] 몰 질량은 약 43.34 g/mol 정도이며[3][4], 2003년에 화성에서 메탄의 흔적이 발견된 이래로[5][6] 화성의 대기에 관한 관심이 급증했는데, 그 이유는 메탄이 생명체의 존재를 암시하기 때문이지만 한편으로는 메탄이 그저 화성의 화산이나 열수성 활동 등의 지질학적 활동을 통해 생산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7] 화성의 대기는 먼지가 매우 많아서 표면에서 화성의 하늘을 본다면 밝은 갈색이나 옅은 주황색 계열의 붉은 색으로 보인다. 화성 탐사차인 오퍼튜니티와 스피릿이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8] 대기 상공에 표류하는 먼지 입자의 크기가 1.5 마이크로미터인데,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환경 문제인 미세먼지를 분류하는 기준에 따르면 화성 먼지의 크기는 2.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극미세먼지 혹은 초미세먼지에 해당한다. 목차 1 구조 2 구성 2.1 이산화 탄소 2.2 아르곤 2.3 물 2.4 메탄 2.5 이산화 황 3 먼지 폭풍 4 미디어 5 같이 보기 6 각주 구조[편집] 지구와 화성의 기압 비교 위치 기압 올림푸스 산 정상 0.03 킬로파스칼(0.0044 프사이) 화성의 평균 기압 0.6 킬로파스칼(0.087 프사이) 헬라스 분지 최저 고도 1.16 킬로파스칼(0.168 프사이) 암스트롱 한계점 6.25 킬로파스칼(0.907 프사이) 에베레스트 산 정상[9] 33.7 킬로파스칼(4.89 프사이) 지구의 해수면 101.5 킬로파스칼(14.69 프사이) 화성의 대기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외권 : 약 200 km 고도부터 시작되며, 우주 공간의 진공보다 약간 짙은 정도의 대기가 존재하는 구역으로 어느 부분이 대기권의 끝인지는 명확하게 규명된 바가 없다. 그저 고도가 상승할 수록 대기가 갈수록 미약해지다가 진공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대기 상층부 혹은 열권 : 태양광에 직접 가열되어 매우 온도가 높은 대기층으로 이 부분부터 명확하게 대기층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으며, 중층과 하층부의 대기에 비해 고요하고 일정하게 분포해 있다. 대기 중층부 : 화성에 존재하는 제트 기류가 부는 층이다. 대기 하층부 : 대기층 중에서 비교적 따뜻한 구역으로 떠다니는 먼지와 지열의 영향을 받는다. 구성[편집] 화성 대기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을 나타낸 그래프 이산화 탄소[편집] 화성 대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질은 약 95 %를 차지하고 있는 이산화 탄소(CO2)로. 겨울이 되면 화성의 극지방에 전체 이산화 탄소의 약 25 %가 얼어붙어 드라이 아이스로 이루어진 극관이 형성되고 여름이 되면 햇빛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가 다시 승화하여 대기의 일부로 되돌아간다. 이 현상은 화성이 공전하며 계절이 순환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며 이 때문에 겨울 동안에는 기압이 하락하고, 여름에는 기압이 상승한다. 과거에는 화성의 대기가 현재보다 더 짙고 따뜻하며 습도도 높았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10] 과거의 대기에 존재하던 이산화 탄소가 온실 효과를 일으켜 화성의 일부분의 기온이 0°C 보다 상승하여[11] 얼음이 녹아 물이 흐르면서 강이나 호수 등을 형성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2] 일부 연구자들의 의견에 의하면 과거에는 화성의 대기가 현재 지구의 대기만큼 두꺼웠던 적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2015년 가을 들어서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과거에도 화성의 대기가 그렇게까지 두꺼운 정도는 아니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3] 현재는 화성의 대기가 지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얇지만, 비교적 최근까지는 화성의 대기가 지구와 비슷할 것이라고 추측되어왔었다. 또한 초기 화성에서는 많은 양의 이산화 탄소들이 탄산염 종류의 광물 형태로 굳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으나 화성의 궤도를 선회중인 많은 위성들의 과학 기구를 사용하여 관측한 결과에 따르면, 화성에는 극소량의 탄산염이 매장된 상태라고 밝혀졌다.[14][13] 그로 인해 오늘날에는, 과거에 이산화 탄소들이 태양풍에 의해 쓸려나가 화성을 벗어나버렸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화성의 이산화 탄소가 화성을 탈출하게 되는 과정이 크게 2단계로 나뉘어져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15] 태양으로부터 불어오는 자외선에 의해 이산화 탄소 분자가 일산화 탄소와 산소로 쪼개짐 이후 자외선 광자에 의해 일산화 탄소가 탄소와 산소로 쪼개짐 화성에 도달하는 에너지만으로도 충분히 화성을 탈출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짐 위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이산화 탄소가 대기에서 탈출함 위 과정을 통해서 비교적 가벼운 탄소 동위원소(C12)들이 지속적으로 대기를 탈출하였고 비교적 무거운 탄소 동위원소(C13)들만이 현재의 화성 대기에 남아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6] 이는 현재 활동중인 탐사차인 큐리오시티가 화성의 표면으로 무거운 탄소 동위원소를 발견함으로써 더욱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17][18] 아르곤[편집] 오퍼튜니티가 촬영한 화성의 권운형 구름 화성의 대기에는 태양계 내에서 대기가 존재하는 천체들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의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이 존재한다. 화성의 대기에서 이산화 탄소는 계절에 따라 고체로 응축되기도 하면서 시시각각 그 수치가 변하지만, 아르곤은 이산화 탄소처럼 응축되지 않기 때문에 그 총량이 항상 일정하다. 하지만 이산화 탄소의 양이 증가와 감소함에 따라 위치에 따른 상대 농도는 차이가 나며, 현재 활동중인 탐사선이 조사한 정보에 따르면 대기 내의 아르곤의 농도는 가을이 되면 증가하기 시작하다가 봄이 되면 다시 하락한다. 물[편집] 화성의 대기를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굉장히 특이한데, 여름이 되면 극지방에 얼어있던 드라이 아이스들이 승화하여 다시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표면에 물의 흔적을 남기며, 최대 시속 400 km 까지 도달하는 계절풍이 화성의 대기를 여러번 휩쓸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먼지와 수증기들이 대기 중으로 유입되면서 지구에서 생기는 형태와 유사한 성에나, 큰 권운형 구름을 형성한다. 이 권운형 구름은 2004년에 오퍼튜니티에 의해 촬영되었던 적이 있었고[19] 2008년에 피닉스 탐사선이 화성의 극지방에서 토양을 분석할 때 물로 이루어진 얼음이 검출된 적이 있었다. 메탄[편집] 화성 대기에서 휘발성 기체의 이동 경로 화성의 대기의 메탄 함유량은 ppb 단위로 매우 적다. 처음으로 화성 대기에서 메탄이 존재한다고 밝힌 것은 2003년에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 팀이였고[6][20] 2004년에는 마스 익스프레스 탐사선이 지상 관측 중에 10 ppb 정도의 메탄을 찾아냈다고 밝혔다.[21][22][23] 메탄 함유량은 2003년의 관측과 2006년의 관측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를 통해 대기에서의 메탄 함유량은 특정 장소에 밀집되어 있거나 계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화성에서의 메탄은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과 다른 기체들과의 화학 반응으로 쉽게 사라지는데, 이 메탄이 극히 소량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관측되는 것으로 보아 화성에 지속적으로 메탄 가스를 공급하는 근원지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현재의 광화학 기술력으로는 메탄의 정체를 정확하게 규명해낼 수 없으며[24][25] 이 메탄들이 화성의 대기에 진입하는 운석이나 소천체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해 대기 중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었으나[26]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팀에서는 그런 과정을 통해 메탄이 생성된 것이라면 현재 측정되는 메탄의 양보다 훨씬 적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었다.[27]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에 따르면 화성의 대기에 존재하는 메탄의 수명이 짧게는 7개월에서 길게는 4년인데[28][29] 이는 화성 대기의 순환으로 인해 메탄이 특정 구역에서만 관찰되는 불균형 현상이 나타나기에 충분히 짧은 시간이다[주 1]. 하지만 7개월에서 4년은 350년이나 걸리는 자외선 복사를 통해 진행되는 광화학적 붕괴보다 훨씬 짧기에[28] 자외선이 아닌 다른 요인으로 인해 메탄이 매우 빠르게 붕괴된다고 추측하고 있으며, 이 요인으로 인한 붕괴는 자외선 복사로 인한 붕괴보다 100배에서 600배 정도 효율적이다[29][28] 또한 너무나도 빠른 붕괴 속도에도 불구하고 메탄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매우 활발하게 메탄을 공급하는 요인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25] 혹은 메탄이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계절에 따라 클라스레이트 화합물 형태로 응고, 증발하거나[30] 화성 표면에 있는 석영(SiO2), 감람석 성분과 반응하여 Si–CH3 화합물로 결합한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31] 메탄의 공급과 소멸 과정의 상상도 현재 가장 유력한 설은 화성의 메탄이 물과 암석의 반응, 물의 방사선 분해, 황철석 생성 등과 같이 비 생물학적인 과정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위의 모든 과정에서 H2 가 생성되는데, H2 는 피셔-트롭슈 과정을 통해 일산화 탄소나 이산화 탄소와 결합하여 메탄 같은 탄화수소 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32] 메탄도 화성에 존재하는 물, 이산화 탄소, 황철석 등이 이 현상을 일으켜 생성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33] 하지만 이 반응은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만 발생해서 표면 상에서는 일어날 수 없고 지표 아래에서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34][35] 또한 화성에서 사문암[주 2]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사문암이 식으면서 메탄이 방출되는 현상 때문에 메탄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36] 또다른 가설은 이 메탄의 근원이 가스 하이드레이트라는 것으로, 화성의 빙권에 메탄이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태로 갇혀 있어서 때때로 그 성분이 대기권으로 방출된다는 설이다.[37] 멕시코의 과학자들이 화성의 대기를 재현한 환경에서 플라즈마 실험을 시행했는데, 플라즈마가 화성의 물이 얼은 얼음에 방전되며 상호 작용을 일으켜 메탄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화성에서 먼지 폭풍이나 먼지 악마가 발생할 때, 먼지 입자들 사이에 대전이 일어나 화성의 영구 동토층이나 도랑 등에 얼어있던 얼음과 상효작용을 일으켜 메탄이 생성될 수 있다는 설로, 대전으로 인해 이온화된 이산화 탄소 기체와 물 분자가 상호 작용하여 만들어진 부산물이 결합하여 메탄이 만들어지게 되며, 화성의 대기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가해진 에너지 1 J 당 1.41×1016 개의 메탄 분자가 생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8][39] 혹은, 메탄 세균 같은 살아있는 미생물 등이 원인일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화성 어디에도 이런 유기체가 존재한다는 증거는 포착되지 않았다. 지구의 바다에서는 생물학적 작용으로 메탄이 에탄과 함께 생성되지만, 화산 폭발 등의 지질학적 작용으로 생성된 메탄은 이산화황과 함께 생성된다. 하지만 이산화황 또한 화성에서 포착된 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지질학적 작용은 메탄의 근원이 아닌 것으로 추측된다.[40][41] 큐리오시티의 탐사 기구로 분석한 메탄 검출량 2011년에는 NASA에서 화성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성분들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메탄(7ppbv[주 3] 이하), 에탄(0.2ppbv 이하), 메탄올(19ppbv 이하) 등과 매우 적은 양의 다른 성분들이 검출되었다.[42] 이 정보는 약 6년에 걸친 화성의 제각각 다른 지역과 계절의 변화에 따른 변동 또한 적용시킨 결과로, 이 결과에 따르면 유기체나 생물학적 작용으로 생성된 것이기엔 양이 너무나도 극미량이기 때문에 메탄의 원인이 생물학적 요인도 아닌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42] 2012년 8월에는 화성에 착륙한 큐리오시티가 탐사 장비를 이용해 메탄에 관한 측정을 진행했는데[7][43] 그 결과 착륙 지점인 게일 분화구에는 5ppb 미만 혹은 거의 없는 정도로 극미량이 검출되었고[44][45][46][47][48] 2013년까지도 메탄 측정량은 큰 변화가 없다가[49][50][51] 2013년 말과 2014년 초에 측정한 결과에는 이전에 비해 10배가 넘는 수치의 메탄이 검출되었다.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2개월 동안 주변 지역은 약 7.2 ppb 정도의 높은 메탄 함유량을 보였으며, 여전히 확인되지 않은 무언가에서 메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거나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52] 2014년 9월 14일에 화성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인도의 화성 탐사선인 망갈리얀 탐사선도 탐사 기구를 통해 대기 내에 메탄 함유량을 측정했는데, 이 결과 또한 메탄의 양은 ppb 단위에 그쳤다.[53][54] 또한 2016년에 발사 예정인 엑소마스 기체 추적 궤도선도 화성에서 메탄에 관한 탐사뿐만 아니라 메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메탄올과 폼알데하이드에 관한 자세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55][56][57][58] 이산화 황[편집] 현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 황은 화산 활동에 의해 생겨났다고 추측된다. 이 때문에 화성에 존재하는 메탄에 대한 오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만약 화성에 존재하는 메탄이 (지구에서 그렇듯이) 화산 활동으로 생겨난 것이라면 이산화 황은 대량으로 발견되리라 예상된다. 몇몇 팀은 NASA 적외선 망원경 시설을 이용해 이산화 황을 찾아내려고 노력했다. 이산화 황은 찾지 못했지만, 대기 중 농도 0.2 ppb라는 엄격한 상한선이 만들어졌다.[40][41] 2013년 3월, 고더드 우주 비행 센터의 과학자들은 큐리오시티가 락 네스트에서 분석한 토양 표본에서 SO2를 감지했다고 보고했다.[59] 먼지 폭풍[편집] 오퍼튜니티가 먼지 폭풍 속에서 촬영한 이미지, 마지막 이미지인 1235 화성일에는 태양광이 99 % 까지 차단되었다. 1971년에 매리너 9호가 화성에 도착했을 때, 매리너 9호는 선명하고 매끈한 표면의 모습 대신에 먼지와 폭풍으로 덮힌 화성의 모습을 전송해왔는데[60] 오직 올림푸스 산만이 먼지 속에서 분간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였으며, 이후 과학자들은 연구를 통해 이 현상이 화성에서는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바이킹 착륙선이 표면에서 수집한 정보에 따르면[61] 먼지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그 지역의 기온은 10°C 에서 50°C 가량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풍속은 폭풍이 처음 시작 될 때 17 m/s 정도에서 최대 26 m/s 까지 상승했으며, 화성에 도달하는 빛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지 폭풍은 화성 표면에서 활동하는 탐사선들에게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치는데, 먼지들이 태양광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써 태양 전지판을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탐사선들은 전력 공급이 거의 중단되게 되며 이는 탐사선의 수명에도 안좋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오퍼튜니티가 임무 활동 중에 먼지 폭풍을 직면하여 안전 모드로 구동하게 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에 촬영한 이미지에 따르면 1235 화성일에 태양광이 99 % 까지 차단되었다. 미디어[편집] 지평선을 따라 보이는 화성의 옅은 대기층 마스 패스파인더가 촬영한 화성의 수증기 구름 스피릿이 구세프 분화구에서 촬영한 일몰 (2005년 5월 이미지) 마스 패스파인더가 아레스 발리스에서 촬영한 일몰 (1997년 7월 이미지) 큐리오시티가 게일 분화구에서 촬영한 일몰 (2013년 3월 이미지) 같이 보기[편집] 화성의 기후 각주[편집] 내용주 ↑ 메탄이 이보다 더 오래 살아남는다면 대기 순환의 영향을 여러 번 받게 되어 결국에는 화성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게 될 것이다. ↑ 사문암은 주로 초염기성암이 열수변성을 받아 만들어진다. ↑ ppbv는 대상의 부피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넨 것으로, 7ppbv는 전체 부피에서 메탄이 차지하는 비율이 0.000000007 % 란 뜻이다. 참조주 ↑ 가 나 Mahaffy, P. R.; Webster, C. R.; Atreya, S. K.; Franz, H.; Wong, M.; Conrad, P. G.; Harpold, D.; Jones, J. J.; Leshin, L. A.; 외. (2013년 7월 19일). “Abundance and Isotopic Composition of Gases in the Martian Atmosphere from the Curiosity Rover”. 《사이언스》 (영어) 341 (6143): 263-266. Bibcode:2013Sci...341..263M. PMID 23869014. 2013년 10월 5일에 확인함.  ↑ “Mars Fact Sheet”. NASA. 2015년 12월 13일에 확인함.  ↑ Robbins, Stuart J.; 외. (2006년 9월 14일). “Elemental composition of Mars' atmosphere” (영어).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Department of Astronomy. 2011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5일에 확인함.  ↑ Seiff, A.; Kirk, D. (1977). “Structure of the atmosphere of Mars in summer at mid-latitud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영어) 82 (28): 4364–4378. Bibcode:1977JGR....82.4364S. doi:10.1029/js082i028p04364.  ↑ Tenenbaum, David (2005년 7월 20일). “Interplanetary Whodunit – Methane on Mars”. 《Astrobiology Magazine》 (영어). NASA.  ↑ 가 나 Mumma, M. J.; Novak, R. E.; Disanti, M. A.; Bonev, B. P. (2003). “A Sensitive Search for Methane on Mars”.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영어) 35: 937. Bibcode:2003DPS....35.1418M.  ↑ 가 나 Tenenbaum, David (2008년 6월 9일). “Making Sense of Mars Methane”. 《Astrobiology Magazine》 (영어). NASA.  ↑ Lemmon, M. T.; Wolff, M. J.; Smith, M. D.; R. T., Clancy; Banfield, D.; Landis, G. A.; Ghosh, A.; Smith, P. H.; Spanovich, N.; 외. (2004년 12월). “Atmospheric imaging results from the Mars exploration rovers: Spirit and Opportunity”. 《사이언스》 (영어) 306 (5702): 1753–6. Bibcode:2004Sci...306.1753L. ISSN 0036-8075. PMID 15576613. doi:10.1126/science.1104474.  ↑ West, J. B. (1999년 3월 1일). “Barometric pressures on Mt. Everest: New data and physiological significanc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영어) 86 (3): 1062–6. PMID 10066724.  ↑ Fassett, C.; J. Head. (2011). “Sequence and timing of conditions on early Mars”. 《Icarus》 (영어) 211: 1204–1214. doi:10.1016/j.icarus.2010.11.014.  ↑ Forget, F.; 외. (2013). “3D modelling of the early martian climate under a denser CO2 atmosphere: temperatures and CO2 ice clouds”. 《Icarus》 (영어) 222: 81–99. arXiv:1210.4216. doi:10.1016/j.icarus.2012.10.019.  ↑ Choi, Charles Q. (2015년 3월 5일). “Wet Mars: Red Planet Lost Ocean's Worth of Water, New Maps Reveal”. 《Space.com》 (영어).  ↑ 가 나 “What happened to early Mars' atmosphere? New study eliminates one theory”. 《ScienceDaily》 (영어) (NASA/제트추진연구소). 2015년 9월 3일.  ↑ Niles, P.; 외. (2013년 1월). “Geochemistry of carbonates on Mars: implications for climate history and nature of aqueous environments”. 《Space Science Reviews》 (영어) 174 (1): 301-328.  ↑ Cofield, Calla (2015년 11월 26일). “Search for 'Missing' Carbon on Mars Cancelled”. 《Space.com》 (영어).  ↑ “Mars once had a moderately dense atmosphere”. 《ScienceDaily》 (영어)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5년 11월 24일.  ↑ Webster, C. R.; Mahaffy, P. R.; Flesch, G. J.; Niles, P. B.; Jones, J. H.; Leshin, L. A.; Atreya, S. K.; Stern, J. C.; Christensen, L. E.; Owen, T.; Franz, H.; Pepin, R. O.; Steele, A. (2013). “Isotope Ratios of H, C, and O in CO2 and H2O of the Martian Atmosphere”. 《사이언스》 (영어) 341 (6143): 260–3. PMID 23869013. doi:10.1126/science.1237961.  ↑ Hu, Renyu; Kass, David M.; Ehlmann, Bethany L.; Yung, Yuk L. (2015). “Tracing the fate of carbon and the atmospheric evolution of Mars”. 《Nature Communications》 (영어) 6 (10003). doi:10.1038/ncomms10003.  ↑ “Mars Rovers Spot Water-Clue Mineral, Frost, Clouds” (영어). NASA. 2004년 12월 13일. 2006년 3월 17일에 확인함.  ↑ Naeye, Robert (2004년 9월 28일). “Mars Methane Boosts Chances for Life”.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영어). 201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Krasnopolskya, V. A.; Maillard, J. P.; Owen, T. C. (2004). “Detection of methane in the Martian atmosphere: evidence for life?”. 《Icarus》 (영어) 172 (2): 537–547. Bibcode:2004Icar..172..537K. doi:10.1016/j.icarus.2004.07.004.  ↑ Formisano, V.; Atreya, S.; Encrenaz, T.; Ignatiev, N.; Giuranna, M. (2004). “Detection of Methane in the Atmosphere of Mars”. 《사이언스》 (영어) 306 (5702): 1758–1761. Bibcode:2004Sci...306.1758F. PMID 15514118. doi:10.1126/science.1101732.  ↑ “Mars Express confirms methane in the Martian atmosphere” (영어). ESA. 2006년 2월 24일에 보존된 문서. 2006년 3월 17일에 확인함.  ↑ Urquhart, James (2009년 8월 5일). “Martian methane breaks the rules” (영어). 영국 왕립 화학회. 201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가 나 Burns, Judith (2009년 8월 5일). “Martian methane mystery deepens”. 《BBC 뉴스》 (영어). 201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Keppler, Frank; Vigano, Ivan; MacLeod, Andy; Ott, Ulrich; Früchtl, Marion; Röckmann, Thomas (2012년 6월). “Ultraviolet-radiation-induced methane emissions from meteorites and the Martian atmosphere”. 《네이처》 (영어) 486 (7401): 93–6. Bibcode:2012Natur.486...93K. PMID 22678286. doi:10.1038/nature11203. 2012년 6월 8일에 확인함.  ↑ Court, Richard; Sephton, Mark (2009년 12월 8일). “Life on Mars theory boosted by new methane study”.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영어). 2009년 12월 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Mumma, Michael J.; 외. (2009년 2월 20일). “Strong Release of Methane on Mars in Northern Summer 2003” (PDF). 《사이언스》 (영어) 323 (5917): 1041–1045. Bibcode:2009Sci...323.1041M. PMID 19150811. doi:10.1126/science.1165243.  ↑ 가 나 Franck, Lefèvre; Forget, François (2009년 8월 6일). “Observed variations of methane on Mars unexplained by know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네이처》 (영어) 460 (7256): 720–723. Bibcode:2009Natur.460..720L. PMID 19661912. doi:10.1038/nature08228. 2009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Zahnle, Kevin; Freedman, Richard; Catling, David (2010). “Is there Methane on Mars? – 41st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PDF) (영어). 2010년 7월 26일에 확인함.  ↑ Jensen, Svend J. Knak; Skibsted, Jørgen; Jakobsen, Hans J.; Kate, Inge L. ten; Gunnlaugsson, Haraldur P.; Merrison, Jonathan P.; Finster, Kai; Bak, Ebbe; Iversen, Jens J.; Kondrup, Jens C.; Nørnberg, Per (2014). “A sink for methane on Mars? The answer is blowing in the wind”. 《Icarus》 (영어) 236: 24–27. Bibcode:2014Icar..236...24K. doi:10.1016/j.icarus.2014.03.036. 2014년 5월 1일에 확인함.  ↑ Mumma, Michael; 외. (2010). 〈The Astrobiology of Mars: Methane and Other Candinate Biomarker Gases, and Related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Earth and Mars〉 (PDF). 《Astrobiology Science Conference 2010》. 《Astrophysics Data System》 (영어) (Greenbelt, MD: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0년 7월 24일에 확인함.  ↑ Oze, C.; Sharma, M. (2005). “Have olivine, will gas: Serpentinization and the abiogenic production of methane on Mars”. 《Geophys. Res. Lett.》 (영어) 32 (10): L10203. Bibcode:2005GeoRL..3210203O. doi:10.1029/2005GL022691.  ↑ Rincon, Paul (2009년 3월 26일). “Mars domes may be 'mud volcanoes'”. 《BBC 뉴스》 (영어). 2009년 3월 29일에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일에 확인함.  ↑ “Team Finds New Hope for Life in Martian Crust”. 《Astrobiology》 (영어). SpaceRef. 2015년 6월 16일.  ↑ Etiope, Giuseppe; Ehlmannc, Bethany L.; Schoell, Martin. “Low temperature production and exhalation of methane from serpentinized rocks on Earth: A potential analog for methane production on Mars”. 《Icarus》 (영어) 224: 276–285. Bibcode:2013Icar..224..276E. doi:10.1016/j.icarus.2012.05.009. 2012년 6월 8일에 확인함.  ↑ Thomas, Caroline; 외. (2009년 1월). “Variability of the methane trapping in Martian subsurface clathrate hydrates”. 《Planetary and Space Science》 (영어) 57 (1): 42–47. Bibcode:2009P&SS...57...42T. arXiv:0810.4359. doi:10.1016/j.pss.2008.10.003. 2009년 8월 2일에 확인함.  ↑ Atkinson, Nancy (2012년 9월 10일). “Could Dust Devils Create Methane in Mars’ Atmosphere?”. 《Universe Today》 (영어).  ↑ Robledo-Martinez, A.; Sobral, H.; Ruiz-Meza, A. (2012). “Electrical discharges as a possible source of methane on Mars: lab simulation”. 《Geophys. Res. Lett.》 (영어) 39: L17202. Bibcode:2012GeoRL..3917202R. doi:10.1029/2012gl053255.  ↑ 가 나 Krasnopolsky, Vladimir A (2012). “Search for methane and upper limits to ethane and SO2 on Mars”. 《Icarus》 (영어) 217: 144–152. Bibcode:2012Icar..217..144K. doi:10.1016/j.icarus.2011.10.019.  ↑ 가 나 Encrenaz, T.; Greathouse, T. K.; Richter, M. J.; Lacy, J. H.; Fouchet, T.; Bézard, B.; Lefèvre, F.; Forget, F.; Atreya, S. K. (2011). “A stringent upper limit to SO2 in the Martian atmosphere”. 《A&A》 (영어) 530: 37. Bibcode:2011A&A...530A..37E. doi:10.1051/0004-6361/201116820.  ↑ 가 나 Villanueva, G. L.; Mumma, M. J.; Novak, R. E.; Radeva, Y. L.; Käufl, H. U.; Smette, A.; Tokunaga, A.; Khayat, A.; Encrenaz, T.; Hartogh, P. (2013). “A sensitive search for organics (CH4, CH3OH, H2CO, C2H6, C2H2, C2H4), hydroperoxyl (HO2), nitrogen compounds (N2O, NH3, HCN) and chlorine species (HCl, CH3Cl) on Mars using ground-based high-resolution infrared spectroscopy”. 《Icarus》 (영어) 223 (1): 11–27. Bibcode:2013Icar..223...11V. doi:10.1016/j.icarus.2012.11.013.  ↑ Calvin, Wendy; 외. (2007). “Report from the 2013 Mars Science Orbiter (MSO) – Second Science Analysis Group” (pdf) (영어). Mars Exploration Program Analysis Group (MEPAG): 16. 2009년 11월 9일에 확인함.  ↑ “Mars Curiosity Rover News Telecon” (영어). 2012년 11월 2일.  ↑ Kerr, Richard A. (2012년 11월 2일). “Curiosity Finds Methane on Mars, or Not” (영어). 사이언스.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 Wall, Mike (2012년 11월 2일). “Curiosity Rover Finds No Methane on Mars — Yet” (영어). Space.com.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 Chang, Kenneth (2012년 11월 2일). “Hope of Methane on Mars Fades” (영어). 뉴욕 타임스. 2012년 11월 3일에 확인함.  ↑ Mann, Adam (2013년 7월 18일). “Mars Rover Finds Good News for Past Life, Bad News for Current Life on Mars”. 《와이어드》 (영어). 2013년 7월 19일에 확인함.  ↑ Webster, Christopher R.; Mahaffy, Paul R.; Atreya, Sushil K.; Flesch, Gregory J.; Farley, Kenneth A. (2013년 9월 19일). “Low Upper Limit to Methane Abundance on Mars”. 《사이언스》 (영어) 342: 355–357. Bibcode:2013Sci...342..355W. doi:10.1126/science.1242902. 2013년 9월 19일에 확인함.  ↑ Cho, Adrian (2013년 9월 19일). “Mars Rover Finds No Evidence of Burps and Farts”. 《사이언스》 (영어). 2013년 9월 19일에 확인함.  ↑ Chang, Kenneth (2013년 9월 19일). “Mars Rover Comes Up Empty in Search for Methane”. 《뉴욕 타임스》 (영어). 2013년 9월 19일에 확인함.  ↑ Webster, Christopher R. (2015년 1월 23일). “Mars methane detection and variability at Gale crater”. 《Science》 (영어) 347 (6220): 415–417. Bibcode:2015Sci...347..415W. doi:10.1126/science.1261713. 2015년 4월 15일에 확인함.  ↑ Goswami, Jitendra Nath (2013). 《Indian mission to Mars》 (PDF). 44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영어). 201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Lakdawalla, Emily (2015년 3월 4일). “Mars Orbiter Mission Methane Sensor for Mars is at work” (영어). Planetary Society. 2015년 3월 7일에 확인함.  ↑ Rincon, Paul (2009년 7월 9일). “Agencies outline Mars initiative”. 《BBC 뉴스》 (영어). 2009년 7월 26일에 확인함.  ↑ “NASA orbiter to hunt for source of Martian methane in 2016”. 《Thaindian News》 (영어). 2009년 3월 6일. 2009년 7월 26일에 확인함.  ↑ “Inside ExoMars - Quarterly Newsletter” (영어). 유럽 우주국. 2012년 5월 16일.  ↑ Docksai, Rick (2011년 7월). “A Chemical Mission to Mars”. 《The Futurist》 (영어) 45 (4): 6. 2011년 8월 5일에 확인함.  ↑ McAdam, A. C.; Franz, H.; Archer, P. D.; Freissinet, C.; Sutter, B.; Glavin, D. P.; Eigenbrode, J. L.; Bower, H.; Stern, J.; 외. (2013). “Insights into the Sulfur Mineralogy of Martian Soil at Rocknest, Gale Crater, Enabled by Evolved Gas Analyses”. 《44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44: 1751. Bibcode:2013LPI....44.1751M.  ↑ “Planet Gobbling Dust Storms” (영어). NASA. 2007년 2월 22일에 확인함.  ↑ Sheehan, William. 〈Chapter 13〉. 《The Planet Mars: A History of Observation and Discovery》 (영어).  vdeh화성화성의 지리 알베도 대기 운하 기후 생명 올림푸스 화산 마리너 계곡 충돌구 지질 헬라스 분지 위성 포보스 데이모스 화성의 운석 일식과 일면통과 화성의 일식 수성일면통과 금성일면통과 지구일면통과 기타 소행성 다리우스 달력 탐사 마스 패스파인더 2001 마스 오디세이 마스 옵저버 바이킹 계획 매리너 계획 마스 글로벌 서베이어 스피릿 오퍼튜니티 피닉스 큐리오시티 인사이트 vdeh대기권항성 태양 외계 행성 HD 209458 b 케플러-7b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왜행성 세레스 명왕성 마케마케 위성 칼리스토 디오네 엔셀라두스 유로파 가니메데 이오 달 레아 타이탄 트리톤 같이 보기 코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화성의_대기&oldid=24201703" 분류: 화성행성의 대기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മലയാളം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Тоҷикӣ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9: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화성의 대기는 태양계의 4번째 행성인 화성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층을 의미하며 대부분이 이산화 탄소로 구성되어 있다. 평균 기압은 약 600 파스칼로 지구의 해수면 평균 기압인 101.3 킬로파스칼의 0.6 % 정도이며, 규모고도는 약 11 km 정도이다. 이때, 화성의 대기 질량은 25 테라톤(25×1012톤)으로 규모고도가 약 8.5 km인 지구의 대기 질량인 5148 테라톤(5148×1012톤)의 0.005 % 밖에 되지 않는다. 화성의 기압은 고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화성에서 가장 높은 지역인 올림푸스 산의 최고봉에서는 약 30 파스칼 정도고 가장 낮은 지역인 헬라스 분지에서는 1,155 파스칼 정도로 어디서든지 화성의 기압은 암스트롱 한계보다 훨씬 낮아서 인간이 화성의 대기에 맨몸으로 노출된다면 위험해질 수 있다. 화성의 대기는 96 %가 이산화 탄소, 1.9 %가 아르곤, 1.9 %가 질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산소와 일산화 탄소, 수증기 등도 포함되어 있다. 몰 질량은 약 43.34 g/mol 정도이며, 2003년에 화성에서 메탄의 흔적이 발견된 이래로 화성의 대기에 관한 관심이 급증했는데, 그 이유는 메탄이 생명체의 존재를 암시하기 때문이지만 한편으로는 메탄이 그저 화성의 화산이나 열수성 활동 등의 지질학적 활동을 통해 생산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화성의 대기는 먼지가 매우 많아서 표면에서 화성의 하늘을 본다면 밝은 갈색이나 옅은 주황색 계열의 붉은 색으로 보인다. 화성 탐사차인 오퍼튜니티와 스피릿이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 대기 상공에 표류하는 먼지 입자의 크기가 1.5 마이크로미터인데,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환경 문제인 미세먼지를 분류하는 기준에 따르면 화성 먼지의 크기는 2.5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극미세먼지 혹은 초미세먼지에 해당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매리너 9호가 화성에 착륙한 해는 언제일까? Assistant: 1971년 Human: 아래 후쿠시마_리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후쿠시마 리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후쿠시마 리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후쿠시마 리라福島 リラ 출생 1983년 1월 24일(1983-01-24) (36세)도쿄도국적 일본다른 이름 RILA직업 패션 모델, 배우소속사 봉 이마주 웹사이트 rilafukushima.com 후쿠시마 리라(일본어: 福島 リラ, 1983년 1월 24일 ~ )는 일본의 패션 모델이자 배우이다. 《더 울버린》에 배역을 맡아 할리우드에 진출했다. 목차 1 출연작 목록 1.1 TV 드라마 1.2 영화 2 외부 링크 출연작 목록[편집] TV 드라마[편집]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4 군사 칸베에 軍師官兵衛 오미치 NHK 대하드라마 2014 롱 굿바이 ロング・グッドバイ 릴리 2014-16 애로우: 어둠의 기사 Arrow 야마시로 타츠 / 카타나 에피소드 15회분 출연 2015 왕좌의 게임 Game of Thrones 붉은 사제 "High Sparrow" 에피소드 출연 2017 100만 엔의 여인들 100万円の女たち 시라카와 미나미 주역 2018 블라인드스팟 Blindspot 아키코 "Hella Duplicitous" 에피소드 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3 더 울버린 The Wolverine 유키오 2015 고닌 사가 GONIN サーガ 요이치 2016 테라포마스 テラフォーマーズ 사카키바라 2017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 Ghost in the Shell 게이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후쿠시마 리라 후쿠시마 리라 - 공식 웹사이트 후쿠시마 리라 - 트위터 후쿠시마 리라 - 인스타그램 (영어) 후쿠시마 리라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전거 통제 WorldCat VIAF: 311429815 LCCN: no2014005735 ISNI: 0000 0004 6468 6160 BNF: cb17721074j (데이터) BNE: XX5424925 이 글은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후쿠시마_리라&oldid=24471460" 분류: 살아있는 사람일본의 여자 모델일본의 여자 영화 배우일본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도쿄도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3일 (일) 22: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후쿠시마 리라(일본어: 福島 (ふくしま)リラ, 1980년 1월 9일 ~ )는 일본의 패션 모델이자 배우이다. 《더 울버린》에 배역을 맡아 할리우드에 진출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후쿠시마 리라가 연기한 영화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연도 제목 원제 배역 비고 2013 더 울버린 The Wolverine 유키오 2015 고닌 사가 GONIN サーガ 요이치 2016 테라포마스 テラフォーマーズ 사카키바라 2017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 Ghost in the Shell 게이샤
Human: 아래 사림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림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림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림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사림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사림파士林派 종교 (유교)성리학 당직자 영수 점필재 김종직한훤당 김굉필일두 정여창정암 조광조퇴계 이황 역사 창당 조선 성종 해산 1575년 (동서 분당) 선행조직 사학파 후계정당 동인,서인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다. 고려 말기의 유학자 길재(吉再)가 은퇴하여 고향에서 후진 양성에 힘쓴 결과 영남 일대는 그의 제자가 많이 배출되어 조선 유학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훈구파에 대립하여 사림파(士林派)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사림은 유림이라 불리기도 한다. 온건파 사대부를 계승했다. 목차 1 개요 2 출현과 배경 2.1 사림의 등장 2.2 사림의 배경 3 사림의 학맥 4 이념과 강령 4.1 향약의 보급 4.2 서원 5 사림의 성장과 사화 6 붕당의 출현 7 함께 보기 개요[편집] 길재의 제자 김숙자와 그의 아들 김종직은 영남 유학의 사종(師宗)으로, 그의 문하에서 김굉필·정여창·김일손 등이 배출되어 성종 때에는 중앙의 정치무대에 대거 등장했다. 이들을 사림파라 하는데, 관학자들과는 학문의 경향을 달리하고 있었으며, 주로 삼사(三司) 계통에서 언론문필을 담당하였다. 이들은 대개 유교의 이상 정치 실현을 위해 노력하였는데, 종래부터 정계에 뿌리박고 있던 훈구파와 불화가 생겨, 조선 사회에 새로운 활기와 파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들의 진출로 사화가 되풀이되어 일시적으로 큰 타격을 받기도 했지만, 서원과 향약을 토대로 한 사림파는 꾸준히 그 학통을 계속하면서 발전하여 갔다. 출현과 배경[편집] 사림의 등장[편집] 본래 고려 말부터 지방의 중소지주 출신 사대부 가운데 중앙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지방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세력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이들은 조선 건국 시기에 역성혁명을 반대하고 주로 향촌사회에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성종이 훈구파를 견제하기 위해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인 김굉필, 정여창, 김일손 등을 등용한 것을 계기로 중앙정계로 진출하였다. 네 차례의 사화를 거치며 훈구파의 탄압을 받다가 선조 대에 이르러서는 훈구파를 정치의 전면에서 몰아내고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조선 중기 붕당정치의 단초가 되었다. 뚜렷한 학통은 없으나 처음으로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제자들의 등용을 도운 김종직의 아버지 김숙자가 길재의 제자였으므로, 길재의 학통이 김종직에게 이어진 것으로 보아 사림을 길재의 학통으로 보기도 한다. 사림의 배경[편집] 사림은 대부분이 조선의 건국에 협력하지 않고 지방에 내려간 학자들로, 중소지주층을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대농장을 소유하고 있었던 훈구세력과는 달리 생업에 힘쓰면서 학문을 해야 했기 때문에, 훈구 세력에 비해 경제적 기반이 취약했다. 그러나 16세기 이후로 농사직설과 같은 농서가 간행되고, 목화와 약초 등의 재배가 널리 퍼지면서, 농산물을 사고 파는 장시가 발달하여 전국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저수지와 같은 농업 기반시설 확충으로 남부의 일부 지역에만 보급 되었던 새로운 중국의 논농사 기술인 모내기법이 전국으로 퍼지고, 이모작 역시 널리 퍼지면서 농업생산성이 향상되었다. 사림은 이를 통해 농촌의 중소 지주인 사림도 경제적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되고, 농민과 공존하는 안정된 농촌사회를 건설 하고자 하였다. 이때 훈구 세력은 권력을 사용하여 광대한 농장과 많은 노비를 소유하는 등 재산을 크게 늘렸다. 사림의 학맥[편집] 학맥상으로는 백이정과 안향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으로 이어진다. 김종직의 대에 이르러 많은 제자를 양성하게 된다.      백이정┐       안향┴→이제현→이색→정도전              →이숭인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정여창                                    →김굉필→조광조                                    →김전                                    →남곤                                    →김일손 이념과 강령[편집] 향약의 보급[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향약입니다. 조선의 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신진 사대부들은 향촌에 살면서 중소 지주로서 학문과 교육에 힘쓰고 있었다. 이들은 유향소를 구성하여 지방의 백성들을 교화하고 수령의 자문에 응하는 등 향촌의 행정을 도왔다. 사림은 향약을 보급하는 데에도 힘썼다. 이에 따라 중국의 여씨향약을 번역하여 전국에 보급하고, 점차 조선의 실정에 맞는 향약을 만들어 마을 단위로 시행하였다. 아울러 동네에서 자발적으로 만들어 시행해 오던 계의 운영방식을 향약 속에 흡수하여 가난한 농민들의 생활 안정에도 힘썼다. 서원[편집] 예림서원에 있는 구영당 이 부분의 본문은 서원입니다. 사림은 성리학을 연구하면서 불교와 같은 다른 사상을 철저하게 배격하였다. 사림은 충과 효를 매우 중요시 하여 백성들에게 권장하고, 성리학의 윤리 교과서인 소학을 널리 보급했다. 또한, 사림은 서원을 세워 덕망이 높은 유학자를 기름과 동시에 지방의 양반 자제들을 교육했다. 가장 먼저 세워진 서원은 주세붕이 안향을 추모하기 위해 영주에 세운 백운동서원이다. 후에 이황의 건의에 따라 이 서원에 소수서원 이라는 현판이 하사되었다. 서원은 국가로부터 토지, 노비, 서적 등을 지급 받았고, 면세를 받았다. 이후 서원은 성리학 발전의 산실로써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늘어났다. 서원은 학문과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였고, 당파끼리의 결속을 강화하여 붕당의 토대가 되기도 하였다. 사림의 성장과 사화[편집] 성종은 합리적이고 온건한 유교 정치를 회복하기 위하여 영남 출신의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을 대거 등용하여 언론 기관에 배치하고 정책을 비판하도록 하였다. 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 성장하여 훈구 세력의 문제점을 공격하면서 공론 정치를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사림과 훈구, 두 세력 간의 정치적 견제가 심해졌다. 사림을 옹호하던 성종이 승하하고 연산군이 왕위에 오르자, 훈구세력은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을 숙청하였다. 중종반정 이후 사림이 다시 등용되어 조광조를 중심으로 유교적 이상 정치를 펴고자 하였으나, 훈구세력의 반발로 기묘사화가 일어나 또다시 피해를 입었다. 이후 인종이 사림을 등용했으나 명종 때 훈구, 외척세력의 견제로 을사사화가 일어나 사림이 숙청 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사림은 이후에도 향촌의 서원과 향약을 바탕으로 꾸준히 성장해 나갔다. 붕당의 출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붕당입니다. 선조는 인격이 훌륭하고 덕망이 높은 사림을 등용하여 사림 세력이 정치를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림이 정권을 장악한 이후 내부의 분열로 붕당의 대립이 생겨났다. 붕당이 출현한 배경에는 이조 전랑이 있었다. 인사권을 가진 이조 전랑의 임명 문제와 공론을 둘러싸고 사림 정권이 신진 관료 및 김효원을 비롯한 동인과 기성관료 및 심의겸을 필두로 하는 서인으로 나뉘면서 붕당이 형성되었다. 이조 전랑은 삼사의 관리에 대한 인사를 주도할 수 있었고, 스스로 후임을 추천할 수 있었다. 또한 삼사의 관리들은 언론을 통해 이조 전랑을 지원하였다. 이후 붕당정치는 노론, 소론, 남인, 북인의 사색당파의 이념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숙종 때에는 환국으로 인한 피바람이 불게 된다. 함께 보기[편집] 훈구파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붕당 환국 vdeh붕당의 계보 사대사화 훈구파사림파 1575년동서분당 서인[nb 1]동인[nb 2] 1589년기축옥사 남인[nb 3]북인[nb 4] 대북소북 청소북[nb 5]탁소북[nb 6] 1613년계축옥사 육북[nb 7]골북[nb 8]중북[nb 9] 1623년인조반정인조반정→ 몰락 공서파[nb 10]청서파[nb 11] 낙당[nb 12]원당[nb 13]산당[nb 14]한당[nb 15] 김자점의 난→ 몰락1674년갑인예송 탁남[nb 16]청남[nb 17] 1680년경신환국경신환국→ 몰락 노론[nb 18]소론[nb 19] 1721년신임옥사 완론[nb 20]준론[nb 21] 1727년정미환국이인좌의 난→ 몰락 청명당[nb 22]탕평당[nb 23] 1791년신해박해 신서파[nb 24]공서파[nb 25][nb 26] 벽파[nb 27]시파[nb 28] 병인갱화→ 몰락 세도정치[nb 29] ---- ↑ 심의겸 - 기호학파(율곡학파, 우계학파) ↑ 김효원 - 영남학파(퇴계학파, 남명학파) 및 화담학파. ↑ 서인에 대한 보복 반대. 주로 퇴계학파. 류성룡, 이원익 등. ↑ 서인에 대한 강경 보복 주장. 주로 남명학파. 이산해, 정인홍 등. ↑ 광해군 폐위 반대. 유희분 등. ↑ 광해군 폐위와 영창대군 세자옹립 주장. 유영경 등. ↑ 광해군의 폐모살제 찬성. 홍여순, 허균 등. ↑ 광해군의 폐모 반대, 살제는 찬성. ↑ 광해군의 폐모살제 반대. 유몽인, 곽재우 등. ↑ 인조반정 주도세력. 이귀, 김류, 최명길, 심기원 등 ↑ 반정에 참여치 않은 재야세력. 김상헌 등. ↑ 김자점 및 그 추종자들 ↑ 원두표 및 그 추종자들 ↑ 김집 및 그 추종자들 ↑ 김육 및 그 추종자들 ↑ 예송 이전에 서인과 대충 잘 지낸 세력. 허적, 유혁연, 권대운 등. ↑ 서인과 싸운 예송 주도자들. 윤휴, 윤선도, 허목, 심광수 등. ↑ 송시열 및 그 추종자들 ↑ 윤증 및 그 추종자들 ↑ 영조에게 영합하여 생존함. 박문수 등 ↑ 영조가 경종을 독살했다고 주장. 이인좌, 심유현, 김일경 등 ↑ 척신정치 반대. 김종수 등. ↑ 영조의 탕평책과 척신정치에 영합. 홍봉한, 정후겸, 김상로 등 ↑ 천주교 박해 반대. 채제공, 이가환, 정약용 등. ↑ 천주교 박해 주장. 홍의호, 홍낙안 등. ↑ 천주교에 사상적으로 반대하는 안정복, 신후담 등. ↑ 사도세자 추숭 반대파. 심환지, 김달순 등 ↑ 사도세자 추숭 찬성파. 홍국영, 채제공, 김조순, 심상규 등 ↑ 정순왕후 사망 이후 벽파 세력을 전멸시키고 정권 독점. 김조순, 박종경 등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양반관료의 대립과 분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림파&oldid=24382779" 분류: 조선의 정치붕당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English日本語ไทย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6: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 · 학자로서 15세기 이후에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다. 고려 말기의 유학자 길재(吉再)가 은퇴하여 고향에서 후진 양성에 힘쓴 결과 영남 일대는 그의 제자가 많이 배출되어 조선 유학의 주류를 이루었으며, 훈구파에 대립하여 사림파(士林派)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사림은 유림이라 불리기도 한다. 온건파 사대부를 계승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붕당의 출현 배경에는 누가 있을까? Assistant: 이조 전랑 Human: 아래 샌타클래라_(캘리포니아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샌타클래라 (캘리포니아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샌타클래라 (캘리포니아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타클라라 (캘리포니아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산타클라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샌타클래라 City of Santa Clara 2007년 7월 샌타클래라 컨벤션센터 시기 행정 나라 미국 지역 캘리포니아주 행정구역 산타클라라 군 시장 제이미 L. 매슈스 인구 인구 116,468 명 (2010년) 인구밀도 2,400 명/km2 지리 면적 47.675 km2 해발 23 m 기타 시간대 PST (UTC-08) 지역번호 408, 669 www.SantaClaraCA.gov 샌타클래라(영어: Santa Clara)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군에 있는 도시이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9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2010년 조사에 의하면 116,468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샌타클래라는 샌프란시스코의 남동쪽 72km(45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1977년에 처음 건설됐다. 산호세, 서니베일, 쿠퍼티노와 접경하고 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인텔, 내셔널 세미컨덕터, 엔비디아, 로비 코퍼레이션,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트라이던트 마이크로시스템스 등의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목차 1 기후 2 자매 도시 3 각주 4 외부 링크 기후[편집] Santa Clara, California (Santa Clara University, 1893–1976)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평균최고기온 °F (°C) 58 (14) 62 (17) 66 (19) 70 (21) 74 (23) 79 (26) 82 (28) 82 (28) 81 (27) 76 (24) 67 (19) 59 (15) 71 (22) 평균최저기온 °F (°C) 38 (3) 41 (5) 42 (6) 44 (7) 47 (8) 50 (10) 53 (12) 52 (11) 51 (11) 47 (8) 42 (6) 39 (4) 46 (8) 평균 강수량 인치 (mm) 3.03 (77) 2.56 (65) 2.30 (58) 1.03 (26) .40 (10) .09 (2) .01 (0) .04 (1) .27 (7) .63 (16) 1.47 (37) 2.66 (68) 14.49 (367) 평균강수일수 (≥ .01 in) 10 9 9 5 3 1 0 0 1 3 6 9 56 출처: Western Regional Climate Center[1] 자매 도시[편집] 포르투갈 코임브라 일본 이즈모 시 각주[편집] ↑ Santa Clara University, California – Climate Summary. Wrcc.dri.edu. Retrieved on 2013-07-29.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샌타클래라 샌타클래라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미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샌타클래라_(캘리포니아주)&oldid=23850857" 분류: 샌타클래라 (캘리포니아주)캘리포니아주의 도시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미국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客家語/Hak-kâ-ngî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ëtzebuergeschLietuviųMalagasy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Kapampang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VolapükWinaray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1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산타클라라(영어: Santa Clara)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군에 있는 도시이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에서 9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2010년 조사에 의하면 116,468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타클라라는 샌프란시스코의 남동쪽 72km(45마일)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1977년에 처음 건설됐다. 산호세, 서니베일, 쿠퍼티노와 접경하고 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인텔, 내셔널 세미컨덕터, 엔비디아, 로비 코퍼레이션,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트라이던트 마이크로시스템스 등 대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캘리포니아주의 샌타클래라의 평균최고기온이 가장 낮은 월은 언제인가? Assistant: 1월
Human: 아래 슬로바키아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슬로바키아 연맹 슬로바키아 축구 협회 대륙 유럽 축구 연맹 감독 파벨 하팔 주장 마렉 함식 최다 출전자 마렉 함식 (113) 최다 득점자 로베르트 비테크 (23) 홈 구장 브라티슬라바 국립 축구 경기장 FIFA 코드 SVK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최고 순위: 16위 (2010년 9월)최저 순위: 150위 (1993년 12월) 첫 국제경기 출전 슬로바키아 2 - 0 독일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1939년 8월 27일 아랍에미리트 0 - 1 슬로바키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1994년 2월 2일) 최다 점수차승리 슬로바키아 7 - 0 리히텐슈타인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2004년 9월 8일,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슬로바키아 7 - 0 산마리노 (슬로바키아 트렌친; 2007년 10월 13일, UEFA 유로 2008 예선) 최다 점수차패배 아르헨티나 6 - 0 슬로바키아 (아르헨티나 멘도사; 1995년 6월 22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회 (201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16강 (2010년)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출전 횟수 1회 (2016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16강 (2016년)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슬로바키아 공화국 시절인 1939년 8월 27일 독일과의 첫 국제 경기를 치뤘고 슬로바키아라는 이름으로는 1994년 2월 2일 아랍에미리트와의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뤘다. 현재 브라티슬라바 국립 축구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FIFA 월드컵 (본선) 3 FIFA 월드컵 (예선) 4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5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6 하계 올림픽 7 현재 선수 명단 8 주목할 만한 선수 9 각주 개요[편집]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로 출전한 후 20년만인 2010년 FIFA 월드컵에 독립팀으로 첫 출전하여 강력한 우승후보이자 전 대회 챔피언 이탈리아를 3-2로 꺾고 16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리고 UEFA 유로 2016 본선에서는 잉글랜드, 웨일스에 밀려 B조 3위에 머물렀으나 와일드카드를 통해 사상 첫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이외에도 킹스컵에서 2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2000년 기린컵에서는 일본과 함께 공동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0년 코파 시우다드 데 발파라이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키프로스 4개국 친선 축구 대회에서 3위를 2번 차지했고 1994년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친선 축구 대회에서도 3위에 입상했으며 1992년 상하이 4개국 친선 축구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예선 탈락 2002년 2006년 2010년 16강 16위 4 1 1 2 5 7 4 2014년 예선 탈락 2018년 합계 1회 진출(1/6[1]) 16강(1회) 4 1 1 2 5 7 4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6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2] 10 5 1 4 18 14 16 2002년[3] 10 5 2 3 16 9 17 2006년[4] 14 6 6 2 26 14 24 2010년[5] 10 7 1 2 22 10 22 2014년[6] 10 3 4 3 11 10 13 2018년 10 6 0 4 17 7 18 합계 64 32 14 18 110 64 110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76위 (유럽 31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예선 탈락 2000년 2004년 2008년 2012년 2016년 16강 14위 4 1 1 2 3 6 4 합계 1회 진출(1/6[7]) 16강(1회) 4 1 1 2 3 6 4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6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체코슬로바키아로 참가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10 4 2 4 14 18 14 2000년 10 5 2 3 12 9 17 2004년 8 3 1 4 11 9 10 2008년 12 5 1 6 33 23 16 2012년 10 4 3 3 7 10 15 2016년 10 7 1 2 17 8 22 합계 60 28 10 22 94 77 94 순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9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참조 1996년[8] 진출 실패 2000년[9] 조별리그 13위 3 1 0 2 4 6 3 2004년[10] 진출 실패 2008년[11] 2012년[12] 2016년[13] 합계 1회 진출(1/6[14]) 조별리그(1회) 3 1 0 2 4 6 3 현재 선수 명단[편집] 일자: 2016년 5월 31일 종류: UEFA 유로 2016 최종 명단 출장 수와 골 수 기준: 2016년 6월 26일 독일전 이후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얀 무하 1982년 12월 5일(1982-12-05) (36세) 46 0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2 GK 얀 노보타 1983년 11월 29일(1983-11-29) (35세) 3 0 SK 라피트 빈 23 GK 마투슈 코자치크 1983년 12월 27일(1983-12-27) (35세) 21 0 FC 빅토리아 플젠 2 DF 페테르 페카리크 1986년 10월 30일(1986-10-30) (32세) 71 2 헤르타 BSC 3 DF 마르틴 슈크르텔 (C) 1984년 12월 15일(1984-12-15) (34세) 85 5 페네르바흐체 S.K. 4 DF 얀 듀리차 1981년 12월 10일(1981-12-10) (37세) 83 4 트라브존스포르 5 DF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1992년 7월 3일(1992-07-03) (27세) 15 0 AS 로마 14 DF 밀란 슈크리니아르 1995년 2월 11일(1995-02-11) (24세) 4 0 UC 삼프도리아 15 DF 토마시 후보찬 1985년 9월 17일(1985-09-17) (33세) 46 0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16 DF 코르넬 살라타 1985년 1월 24일(1985-01-24) (34세) 38 2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8 DF 두샨 슈벤토 1985년 8월 1일(1985-08-01) (33세) 42 1 SK 슬라비아 프라하 6 MF 얀 그레구시 1991년 1월 29일(1991-01-29) (28세) 8 0 FC 코펜하겐 7 MF 블라디미르 베이스 1989년 11월 30일(1989-11-30) (29세) 56 5 알가라파 SC 8 MF 온드레이 두다 1994년 12월 5일(1994-12-05) (24세) 14 2 헤르타 BSC 10 MF 미로슬라우 스토흐 1989년 10월 19일(1989-10-19) (29세) 55 6 페네르바흐체 S.K. 13 MF 파트리크 흐로쇼우스키 1992년 4월 22일(1992-04-22) (27세) 14 0 FC 빅토리아 플젠 17 MF 마레크 함시크 (부주장) 1987년 7월 27일(1987-07-27) (31세) 91 19 SSC 나폴리 19 MF 유라이 쿠츠카 1987년 2월 26일(1987-02-26) (32세) 51 5 AC 밀란 20 MF 로베르트 마크 1991년 3월 8일(1991-03-08) (28세) 30 7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2 MF 빅토르 페초우스키 1983년 5월 24일(1983-05-24) (36세) 34 1 MŠK 질리나 9 FW 스타니슬라우 셰스타크 1982년 12월 16일(1982-12-16) (36세) 66 13 페렌츠바로시 TC 11 FW 아담 네메츠 1985년 9월 2일(1985-09-02) (33세) 24 6 빌럼 II 틸뷔르흐 21 FW 미할 듀리시 1988년 6월 1일(1988-06-01) (31세) 29 4 FC 빅토리아 플젠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마르틴 슈크르텔 마레크 함시크 미로슬라우 카르한 로베르트 비테크 마레크 민탈 마레크 체흐 미로슬라우 스토흐 블라디미르 베이스 (1989년) - 블라디미르 베이스 감독의 아들 각주[편집] ↑ 월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 ↑ 분리 이후 첫 지역예선에서 조 4위를 기록,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얼마 전에 분리된 체코와 같은 조였고 승점까지 같았다. ↑ 스웨덴과 터키에 이어 조 3위를 차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포르투갈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면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하필 만난 상대가 스페인이었다. 원정경기에서 1:5로 패하며 총합 2:6으로 아쉽게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 형제국가 체코를 비롯해 슬로베니아, 폴란드, 북아일랜드 등 경쟁 상대를 모두 누르고 조 1위로 본선에 직행, 20년만이자 분리독립 이후 첫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 보스니아와 그리스에 밀리면서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유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올림픽 본선진출 횟수 비율.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로 계산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FIFA 월드컵 참가국vdeh2010년 FIFA 월드컵 참가국남아메리카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파라과이 북아메리카 멕시코 미국 온두라스 아시아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아프리카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오세아니아 뉴질랜드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세르비아 스위스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포르투갈 프랑스 vdeh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무하 2 페카리크 3 슈크르텔 4 체흐 5 자바브니크 6 슈트르바 7 베이스 8 코자크 9 셰스타크 10 사파라 11 비테크 12 페르니시 13 홀로슈코 14 야쿱코 15 스토흐 16 듀리차 17 함시크 (주장) 18 옌드리셰크 19 쿠츠카 20 코푸네크 21 살라타 22 페트라시 23 쿠치아크 감독: 베이스 vdeh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16 1 무하 2 페카리크 3 슈크르텔 (주장) 4 듀리차 5 기옴베르 6 그레구시 7 베이스 8 두다 9 셰스타크 10 스토흐 11 네메츠 12 노보타 13 흐로쇼우스키 14 슈크리니아르 15 후보찬 16 살라타 17 함시크 18 슈벤토 19 쿠츠카 20 마크 21 듀리시 22 페초우스키 23 코자치크 감독: 코자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슬로바키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353550" 분류: 슬로바키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Malti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1일 (금) 17: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어: Slovenská futbalová reprezentácia)은 슬로바키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슬로바키아 공화국 시절인 1939년 8월 27일 독일과의 첫 국제 경기를 치렀고 슬로바키아라는 이름으로는 1994년 2월 2일 아랍에미리트와의 국제 A매치 첫 경기를 치렀으며 현재 브라티슬라바에 위치한 나로드니 푸트발로비 슈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서 슬로바키아가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한 해는 몇년도 입니까? Assistant: 2016년 Human: 아래 푸미폰_아둔야뎃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푸미폰 아둔야뎃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푸미폰 아둔야뎃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9년 6월) 라마 9세 Bhumibol Adulyadej 지위 태국 제9대 국왕 재위 1946년 6월 9일 ~ 2016년 10월 13일 대관식 1950년 5월 5일 전임자 라마 8세 후임자 라마 10세 부왕 마히돈 아둔야뎃 이름 휘 푸미폰 아둔야뎃 신상정보 출생일 1927년 12월 5일(1927-12-05) 출생지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사망일 2016년 10월 13일 (88세) 사망지 태국 방콕 부친 마히돈 아둔야뎃 모친 시나가린드라 배우자 시리낏 끼띠야꼰 자녀 우본라따나 마하 와치랄롱꼰마하 짜끄리 시린톤쭐라폰 왈라일락 종교 상좌부 불교 푸미폰(중앙)과 모친, 아난타 마히돈(좌측), 갈야니 바다나(우측) 푸미폰 아둔야뎃(태국어: 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 영어: Bhumibol Adulyadej, 문화어: 부미볼 아둘리야데즈, 1927년 12월 5일 ~ 2016년 10월 13일)은 태국의 전임 국왕이다. 짜끄리 왕조의 라마 9세이며, 공식적으로는 "대왕"으로 불리는 태국의 국왕이었다. 1946년에 즉위한 이래 70년 동안 집권하였다. 생전 그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나이가 많은 국왕이었다. 목차 1 생애 1.1 초기 1.2 왕위 계승과 결혼 2 업적 3 대리청정 체제 4 사후 5 같이 보기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초기[편집] 푸미폰 국왕은 1927년 12월 5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났을 때는 태국에서 프라워라웡트 프라옹짜오 푸미폰아둔야뎃(태국어: พระวรวงศ์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이라고 알려졌으며, 모친이 평민이라는 사실이 반영되었다. 그가 태어나기 몇 년 전에 그의 삼촌이었던 프라차티뽁 왕이 왕실과 평민 사이의 자식을 '프라옹짜오'라고 부르도록 법을 통과시키지 않았다면, '몸짜우'로 불렸을 것이다. 그의 이름 푸미폰 아둔야뎃은 '땅의 강함, 비교할 수 없는 힘'이라는 의미이다. 푸미폰은 1928년 부친이었던 마히돈 왕자가 하버드 대학에서 의학 공부를 마친 후 태국에 돌아왔다. 그는 즉시 방콕에 있는 메터 데이 학교에 들어갔다. 하지만 마히돈이 1929년에 사망하면서, 1933년에 그의 모친이 남은 가족을 스위스로 데려갔다. 그는 그곳 로잔에서 학교를 다녔다. 1935년 형인 아난타 마히돈이 태국의 왕이 되자, 그와 그의 누나는 태국 왕가의 가장 상위급인 '짜우파'로 승격되었다. 가족들은 1938년 아난다 형의 대관식을 위해 모두 돌아왔지만, 대관식이 끝난 후 다시 스위스로 돌아갔다. 1942년에는 로잔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법학을 공부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그들 가족은 귀국을 했다. 왕위 계승과 결혼[편집] 결혼 후의 푸미폰 왕과 시리낏 왕비 라마 8세에 즉위했던 형이 1945년 귀국한 후 1년 만에 석연찮은 죽음을 당하자, 1946년 푸미폰은 왕좌를 계승했다. 아난타의 죽음은 왕궁의 침대 맡에서 머리에 총상을 당한 것으로 오늘날까지 미해결로 남아있다. 왕위를 계승한 다음 푸미폰은 삼촌(큰아버지)인 차이낫 랑싯 프라유라삭디를 섭정 및 대리청정에 임명하고 학업을 마치기 위해 1947년 스위스로 돌아갔다. 그곳에서 그는 전공을 법학에서 정치학으로 전환하여 통치자로서의 준비를 했다. 스위스에서 학위를 마치자 곧 파리를 방문했다. 그곳에서 그는 프랑스 대사의 딸인 사촌 몸라차웡 시리낏 끼띠야꼰을 만났다. 그때 그의 나이는 21세였고, 그녀는 16세였다. 1948년 10월 4일 푸미폰은 제네바 - 로잔 도로를 운전하다가 로잔 시외 10 km 지점에서 교통사고를 당하였다. 척추를 다치고, 찰과상을 입었으며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다. 그가 병원에 있는 동안 시리낏이 자주 방문을 하여 두 사람 사이는 급격히 가까워졌다. 그녀는 어머니에게 푸미폰 곁에서 공부를 하게 해 달라고 졸랐으며, 푸미폰은 주변의 학교를 주선해 주었다. 1949년 7월 19일 조용한 약혼식을 올리고, 1950년 4월 28일 즉위식 일주일 전에 결혼을 하였다. 푸미폰 왕과 시리낏 왕비의 사이에서는 네 명의 자식들을 두었다. 우본라따나 공주, 1951년 4월 5일 스위스 로잔에서 출생 마하 와치랄롱꼰 황태자, 1952년 7월 28일 마하 짜끄리 시린톤 공주, 1955년 4월 2일 쭐라폰 왈라일락 공주, 1957년 7월 4일 푸미폰의 손자 중 한 명은 2004년 인도양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로 사망하였으며, 우본라따나 공주의 아들이었다. 업적[편집] 푸미폰 왕은 입헌 군주이며, 가장 최근 정치적인 위기를 포함하여 수차례 태국 정치에서 결정적인 중재를 했다. 초창기에는 군부 정권을 옹호하기도 했지만 1990년대 태국의 민주화를 촉진하여 많은 공헌을 하였다. 직접 태국의 여러 곳을 시찰하며 민정을 살폈고, 왕실의 많은 재산을 시골 지방의 발전을 위한 자금으로 제공하였다. 태국에서 국왕은 인기는 매우 높아서, 거의 신적인 인물로 존경받으며 태국 곳곳에서는 그와 왕비의 초상화가 수없이 걸려 있다. 그러나 2014년에 태국 육군참모총장이던 쁘라윳 짠오차에 의하여 군사 쿠테타가 일어나자, 승인하기도 하였다. 대리청정 체제[편집] 푸미폰 아둔야뎃은 1946년부터 2016년까지 재위 70년간 4번의 대리청정 체제를 거쳤는데 그와 같은 대리청정 체제 역할을 맡은 섭정은 다음과 같다. 큰아버지 랑싯 프라유라삭디 (기간: 1947년 1월 1일 ~ 1950년 3월 1일) 태국의 총리 및 육군 장성 사릿 타나랏 (기간: 1957년 9월 16일 ~ 1963년 12월 8일) 태국의 총리 및 육군 장성 타놈 끼띠카쫀 (기간: 1963년 12월 8일 ~ 1973년 10월 14일) 배우자 시리낏 왕비 (기간: 1974년 1월 1일 ~ 1977년 12월 5일) 사후[편집] 2016년 10월 13일, 향년 89세로 서거하여 이후 시리낏 끼띠야꼰이 2016년 10월 13일부터 2016년 12월 5일까지 태국 대리청정 체제를 재전담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라마 8세 짜끄리 왕조 태국의 역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푸미폰 아둔야뎃 The Sixtieth Anniversary Celebrations of His Majesty's Accession to the Throne - official website for the Diamond Jubilee A Visionary Monarch - provides a lot of insights on his visions and contributions to the country. The Golden Jubilee Network - has many subjects on Bhumibol, including his projects, speeches, and his royal new year card. Supreme Artist - see works of art created by Bhumibol. The King's Birthplace Thai monarchy Thailand’s Guiding Light Thailand: How a 700-Year-Old System of Government Functions - article by David Lamb (LA Times staff writer) on Bhumibol Modern Monarchs - Comparison of King Bhumibol and Juan Carlos of Spain. "'The King Never Smiles': L'etat, c'est moi", Sreeram Chaulia, worldpress.org, October 4, 2006 Far Eastern Economic Review, “The King’s Conglomerate”, June 1988. Contains an interview with Chirayu Isarangkun Na Ayuthaya, Crown Property Bureau 전임라마 8세 제9대 태국의 왕1946년-2016년 후임라마 10세 vdeh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이승만 이시영 제임스 밴 플리트 장제스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응오딘지엠 아드난 멘데레스 허위 김좌진 오동진 조병세 안중근 윤봉길 이준 강우규 김구 안창호 신익희 김창숙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최익현 이강년 민영환 더글러스 맥아더 해리 S. 트루먼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프랑수아 톰발바예 다비드 다코 수루 미강 아피디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레온 음바 아마두 아히조 하마니 디오리 조모 케냐타 무테사 2세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퉁쿠 압둘 라흐만 푸트라 알 하즈 타놈 키티카초른 쑹메이링 천궈푸 쑨원 천치메이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조만식 임병직 서재필 박정희 최규하 시리낏 끼띠야꼰 푸미폰 아둔야뎃 전두환 김규식 조소앙 유관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66516080 LCCN: n82166286 ISNI: 0000 0001 2137 3031 GND: 119158639 SUDOC: 085908037 BNF: cb122122183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ad564a85-6657-4648-a9ca-95a2d521aa4e NLA: 35621539 NDL: 00743980 NKC: jn20010525310 BNE: XX118533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푸미폰_아둔야뎃&oldid=24457613" 분류: 1927년 태어남2016년 죽음태국의 군주짜끄리 왕조지폐의 인물마히돌 왕가불교도 군주애꾸눈이대훈위 국화장경식 수훈자태국의 장애인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출신올림픽 훈장 수훈자태국의 억만장자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9년 6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AcèhAfrikaansAkan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བོད་ཡིགBrezhonegCatalàChavacano de ZamboangaCebuanoTsetsêhestâheseČeštinaCymraegDanskDeutschཇོང་ཁ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ArpetanNordfriiskFurlanGalegoAvañe'ẽ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ñupiak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ongoҚазақшаភាសាខ្មែរLatinaLëtzebuergeschLugandaLumbaartລາວ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Dorerin NaoeroNāhuatlPlattdüütsch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ၽႃႇသႃႇတႆး 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esotho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ok PisinTürkçeTwiReo tahiti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Vahcuengh中文文言Bân-lâm-gú粵語IsiZulu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3: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푸미폰 아둔야뎃(태국어: 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 문화어: 부미볼 아둘리야데즈, 1927년 12월 5일 ~ 2016년 10월 13일)은 태국의 아홉번째 국왕이다. 짜끄리 왕조의 라마 9세이며 정식 명칭은 프라밧솜뎃 프라 파라민다라 마하푸미폰아둔야뎃 마히탈라티벳 라마히보디 짜끄리나루보딘드 사야민다라티랏 보롬마낯보핏(태국어: 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บรมชนกาธิเบศร มห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มหาราช บรมนาถบพิตร), 공식적으로는 "대왕"으로 불리는 태국의 국왕이었다. 1946년에 즉위한 이래 2016년까지 70년간 집권하였다. 생전 그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같은 세계에서 최장기 집권 군주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푸미폰 아둔야뎃은 초기에 어떤 삶을 살았을까? Assistant: 푸미폰 국왕은 1927년 12월 5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났을 때는 태국에서 프라워라웡트 프라옹짜오 푸미폰아둔야뎃(태국어: พระวรวงศ์เธอ พระองค์เจ้า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이라고 알려졌으며, 모친이 평민이라는 사실이 반영되었다. 그가 태어나기 몇 년 전에 그의 삼촌이었던 프라차티뽁 왕이 왕실과 평민 사이의 자식을 '프라옹짜오'라고 부르도록 법을 통과시키지 않았다면, '몸짜우'로 불렸을 것이다. 그의 이름 푸미폰 아둔야뎃은 '땅의 강함, 비교할 수 없는 힘'이라는 의미이다. 푸미폰은 1928년 부친이었던 마히돈 왕자가 하버드 대학에서 의학 공부를 마친 후 태국에 돌아왔다. 그는 즉시 방콕에 있는 메터 데이 학교에 들어갔다. 하지만 마히돈이 1929년에 사망하면서, 1933년에 그의 모친이 남은 가족을 스위스로 데려갔다. 그는 그곳 로잔에서 학교를 다녔다. 1935년 형인 아난타 마히돈이 태국의 왕이 되자, 그와 그의 누나는 태국 왕가의 가장 상위급인 '짜우파'로 승격되었다. 가족들은 1938년 아난다 형의 대관식을 위해 모두 돌아왔지만, 대관식이 끝난 후 다시 스위스로 돌아갔다. 1942년에는 로잔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법학을 공부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그들 가족은 귀국을 했다.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소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소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소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소방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소방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방에 대해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방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한민국 소방공무원 소매표장 대한민국의 소방(大韓民國의 消防, Korea Fire Service)은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화재 진압과 인명구조, 응급환자 구호, 재난의 예방, 재난 발생 시 대응, 재난 발생 후의 복구 등의 일을 말한다.[1][2] 대한민국에서 소방을 담당하는 사람은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이다.[3] 소방 활동에 대해서는 소방기본법에서, 구조와 구급활동에 대해서는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서 규율한다. 국가 소방과 자치 소방으로 구분되며, 국가 소방은 소방청에서 주관하고, 자치 소방은 각 광역자치단체[4]가 주관한다.[5] 소방 활동을 하기 위해서 여러 조직을 설치하고 장비를 활용하고 있으나 지휘체계의 문제, 소방조직의 위상 문제, 소방공무원에 대한 열악한 대우 등 여러가지 비판이 존재한다. 목차 1 역사 1.1 삼국시대 1.2 고려시대 1.3 조선시대 1.4 일제강점기 1.5 미군정기, 대한민국 1.5.1 국가소방의 역사 1.5.2 자치소방의 역사 2 소방 조직 2.1 소방관서 2.2 위상 문제 2.3 소방서 설치규정의 미준수 3 대한민국의 소방관 3.1 소방공무원의 계급 3.2 소방공무원의 임용 3.3 양성평등 정책 3.4 근무시간 및 질병 문제 3.5 인력부족 문제 3.6 국가직 전환 문제 4 재난 대응 5 소방장비 5.1 기동 장비 5.2 진압장비 5.3 구조장비 5.4 개인장비 5.5 소방장비 교체 문제 5.6 불량 피복 논란 6 같이 보기 7 각주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삼국시대[편집] 삼국사기에 따르면 문무왕 2년, 6년, 8년에 화재가 발생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방화에 대한 개념이 생겨난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6] 고려시대[편집] 고려시대부터 국가차원의 소방에 관한 제도가 마련되기 시작해 '금화제도'라는 명칭으로 화재를 예방하였으나, 전문조직은 존재하지 않았다.[7] 다만, 각 관아의 당직자나 책임자가 화재를 예방할 책임을 지고 있었으며, 관리가 불을 예방하지 못하면 면직시켰으며, 민간인이 실수로 불을 내거나 고의로 불을 낸 경우 불을 낸 장소에 따라 차등하여 벌을 주었고, 문종 20년 운여창 화재 이후로 금화관리자를 창고에 배치해 어사대가 수시로 점검하여 직무를 태만히 한 경우 벌을 주었다.[6] 조선시대[편집] 수성금화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00년대 궁중소방대의 완용펌프조작훈련 조선시대의 소방제도는 《조선경국전》에서 정비되어 1426년(세종 8년)에 한반도 최초의 소방전문조직인 금화도감이 병조 아래에 설치되어 방화업무를 담당하기 시작하였고[8], 같은해 6월에 하천을 관리하는 일을 겸하게 하였다가[9] 역시 같은 해 "상시로 늘 모두 다스릴 일이 없는데 모두 설립되어 있어 폐단만 있으니 병합하자"는 주장이 있어 수성 금화 도감으로 합하여[10] 공조 산하로 설치되었다.[11] 1460년(세조 6년)에 한성부로 합하여 폐지되었다가[12] 《경국대전》 반포 이후인 1481년(성종 12년)에 수성금화사로 재설치되었다.[13] 초기에는 금화군(禁火軍)이 화재를 진압하였고, 세조 때 금화군을 멸화군(滅火軍)이라 개칭하고 24시간 대기시켰다.[14][15]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수성금화사 또한 폐지되어 병조와 한성부가 필요에 따라 금화 업무를 담당하였다.[14] 1894년(고종 31년) 7월에 경무청 관제를 확정하면서 경무청이 화재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도록 하였다.[16][17] 일제강점기[편집] 1931년 경성소방서 전직원 기념촬영 조선총독부 경무국 방호과나 보안과, 경비과에서 담당하였으며 1910년대에 서울시내 경찰관서에 소방관을 배치하고 그 외의 주요도시에도 소방조를 편성해 소방관을 배치하였다. 1922년 경성소방조가 경성소방소로, 1925년에는 최초의 소방서인 경성소방서가 개서하였다.[16] 소방조는 1910년에 68개에서 1938년까지는 1398개로 증가하였고, 1939년에는 기존의 소방조와 수방단을 경방단으로 통합하였다.[14][18] 미군정기, 대한민국[편집] 국가소방의 역사[편집] 1950년 경무부 토목부 중앙소방위원회를 내무부가 인수하여 치안국 소방과에서 분장하게 하다가, 1950년에는 치안국 보안과 소방계로 축소하였고, 1955년에는 경비과 방호계와 합하여 치안국 보안과 방호계가 소방업무를 담당하였다. 1961년 이후 소방과가 재설치되어 1971년 이전까지는 내무부 치안국 소방과에서 담당하였으며, 1975년 이후에는 민방위기본법이 시행되면서 민방위본부 소방국에서 담당하였다.[7] 이후 대구지하철 화재 사고와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 이후[19] 2004년에 소방방재청이 설치되었으나, 2014년에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로 인해 해체되어 국민안전처로 편입되었다가[20], 2017년 7월 26일에 소방청으로 분리되었다. 자치소방의 역사[편집] 1945년 미군정기에 중앙소방위원회를 설치하고 소방과 통신을 합해 경무부에 소방과를 설치하였다. 이후 1946년에 소방부 및 도소방위원회, 시읍면 소방부가 설치되고 1947년에 소방청이 설치돼 상무부 산하에서 자치화되었다가 1948년에 다시 경찰행정체제에 속했다. 1972년에 최초로 서울특별시와 부산직할시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었고, 1975년 각 도에 민방위국 소방과를 두어 소방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1976년 부터는 소방서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한해 소방사무를 시장이나 군수가 담당하도록 하였다.[7] 이후에도 직할시(광역시)에 소방본부가 설치되다가 1992년에 전국의 도에 소방본부가 설치되어 현재의 자치소방이 되었다.[16] 소방 조직[편집] 대한민국의 소방 조직은 행정안전부 산하의 소방청이 있으며 각 시도의 지방자치단체장 휘하의 시도 소방본부가 조직되어 있다. 소방청 직할 기관으로 중앙119구조본부와 중앙소방학교 등이 있으며 지방소방학교와 일선 소방서 등은 각 시도의 자치단체장이 관리한다. 소방관서[편집] 서울종로소방서 소방관서는 소방청, 시도 소방본부, 소방학교, 소방서, 119안전센터 등이 모두 포함되며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소방서가 대표적인 소방관서에 해당된다. 소방청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소방청입니다. 소방청은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가 2017년 7월 26일에 분리된 기관으로, 국가단위의 소방 업무를 담당한다. 소방본부 이 부분의 본문은 소방본부입니다. 각 광역자치단체별로 설치하는 것이 원칙인 부서로 일선 소방서들의 상위 기관이다. 본래 기초지방자치단체에는 설치할 수 없으나, 예외적으로 창원시 소방본부는 특별법에 의해 설치되었다. 소방학교 중앙소방학교와 각 지방 소방학교들이 해당되며 소방공무원의 교육과 소방업무의 연구 증진에 그 목적이 있다. 소방서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일선 부처로 각 관할 지역의 화재, 구조, 구급등의 소방업무를 책임지는 기관이다. 119안전센터, 119구조대 119안전센터는 소방서의 하위기관으로, 읍면동을 관할하며 각 관할 지역의 화재를 진압하고 응급환자를 구호한다. 화재진압대와 구급대로 구성되어 있다. 119구조대는 소방서 당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칙으로, 소방서가 관할하는 지역의 구조업무를 전담한다.[21] 구조대는 일반구조대, 특수구조대(화학구조대·수난구조대·산악구조대·고속국도구조대·지하철구조대), 직할구조대, 테러대응구조대로 나뉜다.[22] 위상 문제[편집] 대한민국 소방방재청이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로 통합될 때 소방총감 계급이 폐지되면서 소방총수가 강등되면서 소방공무원의 사기가 떨어진다는 주장이 있었다.[23] 별 잘못도 없이 최고 책임자의 계급이 강등되는 것과 대한민국 소방방재청이 해체되는 것에 대해 반발하는 청원글도 올라왔다.[24] 반면 안전행정부는 "국가안전처 신설안은 소방 기능이나 위상을 축소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정부조직법상 차관은 모두 정무직이기 때문에 국가안전처 차관도 정무직으로 규정된 것"이라며 "장·차관에 소방직이 갈 수도 있으니 방재청의 직급이 낮아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하면서 "현장 출동 인력과 특수기동대는 대폭 보강이 될 것이며, 입법예고된 국가안전처 계획은 소방기능의 확대이지, 축소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다른 안전행정부의 관계자는 "현재 모든 부처의 차관은 정무직으로 돼 있으나 입법논의 과정에서 국가안전처의 차관은 정무직 또는 소방공무원으로 규정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25] 그러나 소방방재청의 해체를 막으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으며,[26] 해당 청원을 올린 소방관은 "국가안전처 장·차관이 모두 정무직으로 소방공무원은 소방정감만 보임이 가능하다. 소방총감이 배치될 직위가 없어 실질적 축소인 셈"이라며 "국가안전처 소방본부장이 서울·경기 소방본부장과 계급이 같아 지휘권 정립에 문제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력 대폭 확충·기존 기능 강화'라는 것은 전시행정이라며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구조대원은 전국 소방인력의 0.38%인 151명이고, 시·도 소속 소방공무원은 39,197명(99.62%)"이라며 "시·도 소방본부와 소방서의 기능과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이 없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안행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정부안을 확정하겠다'고 한 해명에 대해 "국가안전처는 타 행정부처와 달리 인명구조와 지휘기능이 강조된 기관이므로, 그 특성에 맞게 현장지휘가 가능한 특정직을 부기관장으로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7] 이러한 비판으로 인해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장을 소방총감으로 임명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소방청으로 분리된 이후에는 소방청장과 소방청 차장 모두 소방공무원으로 임명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 소방서 설치규정의 미준수[편집] 소방서는 하나의 시·군·구에 한 개의 소방서를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나[28] 규정이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강원도 소방본부가 화재 인명피해를 분석한 결과 소방서의 유무에 따라 사망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어 소방서 설치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소방서 1곳을 신설하는데 70억 가량의 예산이 소비되어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지자체에서는 소방서 신설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29] 대한민국의 소방관[편집] 숭례문 화재 사고 당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공무원 소방관(消防官)은 소방업무를 직업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소방공무원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대한민국의 소방관은 그 업무에 따라 119화재진압대, 119구조대, 119구급대로 나뉜다. 이는 업무상의 구분일 뿐, 법령상 화재진압대원, 구조대원, 구급대원 모두 소방공무원이며[30] 소방학교에서 교육하는 구조과정을 수료하여야 한다.[31][32] 1개 구급대에 응급구조사나 간호사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33] 임명권자는 소방서장으로 자격증에 따라 순환하여 임명한다. 119화재진압대원: 화재진압대원은 119안전센터에 소속되어 소방의 고유 업무인 화재에 관한 일을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으로서 화재의 예방과 화재발생시의 진압을 주 업무로 한다. 특별한 자격증을 요구하지 않는다. 119구조대원: 구조대원은 119구조대에 소속되어 인명 구조를 최우선으로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으로서 재난현장에서의 인명 검색과 구조를 담당하는 일을 주 업무로 한다.[30] 119구급대원: 구급대원은 119안전센터에 소속되어 부상자나 생명이 위독한자를 응급처치함과 동시에 의사에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병원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을 말한다.[32] 항공구조구급대원: 항공대에서 소방헬기에 탑승하여 구조구급업무를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을 말한다. 소방공무원의 계급[편집] 소방준감의 계급장 소방위의 계급장 소방사시보의 계급장 이 부분의 본문은 대한민국 소방공무원의 계급 목록입니다. 국가직 11계급, 지방직 10계급으로 나뉜다. 비간부인 소방사시보, 소방사, 소방교, 소방장은 '정화·개선'을 의미하는 육각수 아래에 관창 및 호스 형태를 받친 것이다. 중간간부인 소방위, 소방경, 소방령, 소방정은 관창과 호스를 뺀 소방사시보용 계급장을 6각으로 두른다. 고위간부인 소방준감, 소방감, 소방정감, 소방총감은 가운데에 태극을 두고 소방위용 계급장을 5각으로 둘러 별을 형상한다.[34] 소방공무원의 임용[편집] 대한민국의 공무원 임용시험#소방공무원, 대한민국의 공무원 임용시험#소방공무원 특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소방공무원으로 채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임용권자는 소방청장(국가소방공무원)과 각 시·도 광역단체장(이하 시·도지사, 지방소방공무원)으로 이원화되어 있다. 사법시험, 5급 공채(행정) 합격자 특별채용 - 임용계급은 일선 소방서의 과장급인 소방령이다. 소방간부후보생 - 매년 30명을 선발하며, 중앙소방학교에서 1년 간의 초급간부 교육을 수료한 후 소방위로 임용된다. 소방사 공채 - 공개채용시험 외에 의무소방원 전역자 및 특수부대 2년 이상 근무한 전역자에 한해 특채를 거쳐 소방사로 임용된다. 양성평등 정책[편집] 대한민국의 소방기관에서 근무하는 여성은 2018년 5월 기준 3605명로, 전체 소방공무원의 7.82%이다.[35] 여성 소방관 중 최고 계급은 소방정이며, 5명에서[36] 4명으로 감소하였다.[37] 그러나 여성 소방관의 대부분이 현장직이 아닌 사무직으로 보직을 받고, 체력검정의 기준이 평균적으로 남성의 65%에 불과하여 여성 소방관이 현장 가용 인력에서 사실상 배제된다는 주장도 있다.[38] 근무시간 및 질병 문제[편집] 대한민국의 자살#소방관의 자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부분의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는 2조 맞교대로, 주 84시간을 근무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법정근로시간인 1주 40시간을 두배 이상 초과하고 있다. 이는 소방공무원의 사기저하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방공무원들이 3교대를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39] 또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 대한 지원도 거의 없으며[40], 총 정원 3만 7894명 중에 2만 1376명이 직업병을 갖고 있거나 직업병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확실히 직업병을 가진 소방관은 14.3%였다.[41] 그러나 공상을 신청할 경우 인사상의 불이익 때문에 부상을 입은 88%의 소방관이 공상을 신청하지 못했으며[42], 직무연관성으로 인해 백혈병이나 혈액암이 발병해도 공무원연금공단에서는 공상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2008년에 대법원이 직무연관성을 인정했음에도 이후의 공상 신청에서 불승인 판정을 내고 있다.[43] 인력부족 문제[편집] 경기도나 전라남도의 경우 3교대가 실시되었지만, 총원은 그대로인 상황에서 3교대를 실시하여 출동대의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44] 11명이 2개 조로 나누어 근무하는 119안전센터의 경우 진화를 전담하는 대원은 1명이고[45], 장성 요양병원 화재 사고 당시 최초로 화재 신고에 대응한 담양소방서 삼계119안전센터의 당시 근무 인원은 총원 6명 중 5명이었고[46][47], 그 중 2명은 다른 현장에 출동한 상태여서 3명만이 현장에 출동하였다.[48] 그 외에도 인력이 부족하여 소방관 1명이 화재진압·구조·구급·소방차량 운전을 담당하는 "나홀로 지역대"도 존재한다.[49][50][51] 새정치민주연합의 김현 의원이 소방방재청에서 2013년 9월 24일에 제출받은 "나홀로 지역대"의 현황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538개에 이르렀으며[52], 2014년의 경우 81개[53], 2016년에는 59개소로 줄어드는 추세에 있으나[54], 소방관이 배치되지 않은 지역대도 132개소에 달한다.[55] 또한 인력의 총원 자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1인당 담당하는 주민의 수는 500명인데 반해, 소방공무원은 1명당 1306명을 담당하고 있다. 경기도가 소방공무원 1명당 1989명을 담당해 가장 숫자가 부족했고, 강원도가 673명으로 가장 양호했다. 수원시의 경우 경찰은 3개 경찰서 1600명의 인력이 근무하는데 반해 소방은 1개 소방서 370명이 근무하는데 그쳤다. 소방력 보강을 위해 지방에 예산을 내려보내지만 그 돈을 다른 곳으로 써도 어찌할 도리가 없고, 특별 교부세가 내려오면 그만큼을 기존의 예산에서 떼어 유용하기도 한다.[56] 이러한 결과로 2014년 말을 기준으로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공무원은 5만 493명이 필요한데 반해 실제 현장에 출동 가능한 소방공무원은 2만 9783명으로 기준보다 2만 710명이 부족해 결원율이 41%에 달했다.[57] 이러한 인력 부족은 현장에서의 대응과 평시의 장비 관리가 부실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58] 2018년에는 전체 부족율이 37%로 다소 완화되었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크다.[59] 소방청은 2022년까지 소방공무원 2만명을 충원할 계획을 갖고 있다.[60] 국가직 전환 문제[편집] 대한민국 안전행정부#적폐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립된 국가 공무원인 경찰과 달리 소방은 중앙부처인 소방방재청과 소방준감 이상의 고위 간부를 제외한 나머지 소방공무원은 각 광역자치단체 소속의 지방공무원이다.[61] 이는 각 지역의 일선 소방업무를 각각의 광역자치단체에 위임함으로써 이뤄진 현상으로 소방공무원의 임관과 진급 등의 인사를 포함한 모든 업무가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위임되어 있어 소방공무원의 사기저하와 복리증진, 또한 소방업무의 발전에 있어 이롭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62][63] 또한 지자체별로 장비와 인원을 확충하도록 되어 있어 예산은 낭비되고 효율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64][65] 이러한 문제로 소방관들은 2001년부터 국가직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66] 그러나 2014년 5월 28일 안전행정부는 "외국도 소방은 지방사무이고, 화재에 일차로 대응하는 곳이 지차체이며, 국가안전처의 신설로 소방직을 국가직으로 하는 것은 비효율이다"라고 말했으나[67], 소방방재청의 해체를 막아달라는 글을 올린 소방관은 "가장 선진화된 미국과 일본의 소방을 말하자면, 미국은 주 사무인데, 그 주는 대한민국보다 큰 주가 대부분이라는 것은 상식"이라면서 "주를 국가 개념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일본은 시·정·촌의 소방서가 각종 재난재해에 모두 대응한다"면서 "대한민국과는 다르다. 소방서가 모든 방재업무를 포괄해 이루어지는 강력한 소방행정체제다. 안전총괄과라는 행정관료들로 이루어진 조직이 '자료 제출하라, 계획 수립하라'는 '페이퍼 워크' 하는 것과 해양재난은 해경, 육상재난은 소방으로 분리한 것과는 참 많이 다르다"고 주장했다.[68] 이재오 새누리당 의원은 2013년 4월에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하는 법안을 발의했고[69], 새정치민주연합의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 또한 유사한 법률을 2014년 6월에 발의하였으며[70], 2017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 소방공무원의 국가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나[71], 지방분권에 역행한다는 시도지사의 반대도 존재한다.[72] 재난 대응[편집] 소방조직은 각종 사회 재난과 자연 재난에 대응한다. 과거의 대응 체계는 인적·사회적 재난은 안전행정부가, 자연 재난은 소방방재청이 주관했으나,[73] 국민안전처의 신설로 통합되어 모든 재난은 국민안전처가 담당했었다.[74][75] 2018년 현재 재난 관리는 대한민국 행정안전부가, 육상 재난 대응은 대한민국 소방청과 지역 소방본부가, 해양 재난 대응은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담당한다. 국가단위의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지역단위의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광역자치단체 단위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둘 수 있다.[74] 이 경우 소방조직은 인명구조를 위해 국가단위 재난의 경우 소방청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지역단위 재난의 경우 소방서에는 "시·군·구 긴급구조통제단"을, 소방본부에는 "시·도 긴급구조통제단"을 설치할 수 있다.[74] 그러나 산불의 경우 예방과 감시는 지방자치단체의 5개월 기간제 근로자가[76], 진화는 지방자치단체 기간제근로자나 산림청 산하의 10개월 기간제 근로자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77]가 담당하며 소방기관은 유관기관으로 협조에 응한다.[78] 공항에서 발생한 재난의 경우 인천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산하의 외주 용역업체가 담당하다가[79][80]인천공항공사의 임시법인 자회사가 담당하는 것으로 전환되었고, 향후 인천공항공사가 직접 담당할 계획이다.[81] 그 외의 공항은 한국공항공사와 용역계약을 맺은 외주소방구조대가 1차로 대응하나[82], 자위소방대이기 때문에 정식소방대로 인정받지는 못한다.[83][84] 소방장비[편집] 기동 장비[편집] 인천중부소방서 소속 119구급차 소방차, 구급차, 소방헬리콥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휘차는 소방활동상의 지휘를 위해 운용되는 차량으로 모든 재난 현장에 출동하여 활동하는 차량이다. 펌프차는 화재 시 불을 전문적으로 끄는 소방차로 각 안전센터마다 1 ~ 2대씩 운용하고 있으며, 진압요원 4 ~ 5명이 한 조가 되어 출동한다.[85] 물탱크차는 펌프차보다 훨씬 많은 양의 물을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차로 펌프차 또는 다른 소방차의 물이 소진되면 물을 공급해 화재를 원할히 진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86] 화학차는 기름이나 화공약품 등에 의한 특수화재시 특수소화약제를 사용해 화재를 진압한다.[85] 고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유리창 등을 파괴한 후 화재를 진압하는 무인방수탑차와 인명을 구조하는 고가사다리차, 굴절사다리차가 있다.[86] 각종 재난사고 현장에서 구조 장비를 이용해 인명구조를 전문으로 하는 구조공작차,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하면서 병원으로 이송하는 구급차가 있다.[85] 그 외에도 지하에 화재가 발생해 연기가 들어찬 경우 연기를 제거하는 배연차와 야간작업을 지원하는 조명차, 산악·수난사고 등에 출동하여 활용하는 소방헬기, 수난사고에 출동하여 활용하는 소방정이 있다.[86] 진압장비[편집] 수관은 호스를 일컬으며 소화전이나 소방차의 펌프에 연결해 물을 공급한다. 구경은 40mm와 65mm가 있고, 결합구는 나사식이다. 수관의 끝에는 소방관창을 결합하여 수관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며, 화재진압시 파지하여 방수와 방수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소방차나 소화전 없이 고여 있는 물 등을 이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경우 이동형 소방펌프를 임시로 설치하여 화재를 진압한다.[86] 구조장비[편집] 갇혀있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문 등을 강제로 절단하는데에는 동력절단기를 사용하고, 절단하지 않고 그 틈을 벌리는 데에는 유압스프레다를 사용한다. 고립된 사람을 구하기 위해 로프를 발사하거나, 인명을 해치는 동물을 포획하는데에는 구조용 다목적 공기총을, 화재 현장에 진입하여 사람을 구조하기 위해 탐조등을 사용한다.[86] 개인장비[편집] 방화복 등 개인장비를 착용한 서울서초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소방헬멧, 방화복, 안전화, 공기호흡기, 방열복 등이 지급된다.[86] 공기호흡기는 1996년에 발생한 순직 사고 이후에 전면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으며[87], 방화복은 2001년에 발생한 홍제동 화재 사고 이후에 전면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88] 소방장비 교체 문제[편집] 인천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소속의 한 소방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헬멧은 녹아 부피가 줄었고 방화복은 누렇게 타버렸습니다. 현재 전국 대부분의 소방관이 이 장비를 착용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2012년 국회의원들은 소방장비 구입을 위한 예산을 전액 없앴습니다"라고 주장했고, 실제 국회는 소방방재청이 요청한 장비교체예산 402억원을 전액 삭감했다.[89] 또한 국가보조금은 20%에 불과해 지자체의 재정 여건에 따라 장비의 지급이나 교체도 지연되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일부의 과장된 얘기를 확대시키는 것이다", "지방재정 차이에 따라서 시기가 늦어질 수는 있지만 지급 안되는 일은 거의 없다", "지방소방서에서 컴플레인이 들어온 적이 없다"고 밝혔으나, 새정치민주연합의 김현 의원은 "국정감사 기간에 매년 지적됐던 상황"이라며 방화복의 21.7%, 방화두건 6%, 안전화 20.8%, 헬멧 24.2%, 소방자동차의 21.1%가 내구연한을 넘겼다고 밝혔으며, 개인의 돈으로 장갑이나 기동화 등의 필요한 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고 주장했다.[90][91] 또한 방염처리가 필수적인 소방장갑 대신 농어업용 고무장갑이 지급되기도 하며[92], 개인장비의 수량 자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93] 불량 피복 논란[편집]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검사를 제대로 받지 않은 5천여벌의 방화복이 일선에 지급된 것으로 드러나 대한민국 국민안전처가 해당 방화복의 사용을 중단시켰다.[94] 뒤이어 평상시에 착용하는 근무복 6만여벌도 별도의 검사 없이 납품된 것으로 밝혀졌다.[95] 그러나 업체측은 "계약이 성사돼 처음 납품할 때는 모든 검사와 인증 절차를 밟았고, 치수나 진급에 의한 교환 요청이 들어오면 재고가 있으면 인증 도장을 받은 제품을 보내주지만, 재고가 없는 경우 같은 재료를 쓴 옷을 새로 만들어 보내주는데, 그때 검사를 못받은 것이다"라며 "수거해서 시험해보라"고 말했다.[96] 이후 국민안전처는 납품업체를 고발하면서 "미인증 제품을 조사한 적이 없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는 수거하여 성능에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업체들은 국민안전처가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고도 언론에 알리지 않아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97] 결국 국민안전처는 문제가 된 방화복들을 검사한 결과 기준을 충족함을 확인하여 다시 착용키로 결정하였다.[98] 같이 보기[편집] 홍제동 화재 사고 각주[편집] ↑ 대한민국 국회 (2016년 9월 23일). “소방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9월 25일에 확인함. 제1조(목적) 이 법은 화재를 예방·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구급 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대한민국 국회 (2016년 3월 16일).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9월 25일에 확인함. 제1조(목적): 이 법은 화재, 재난·재해 및 테러,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119구조·구급의 효율적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가의 구조·구급 업무 역량을 강화하고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며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대한민국 국회 (2016년 9월 23일). “소방기본법”.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9월 25일에 확인함.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중략) 5. "소방대"란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 재난·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 구조·구급 활동 등을 하기 위하여 다음 각 목의 사람으로 구성된 조직체를 말한다.가. 「소방공무원법」에 따른 소방공무원나. 「의무소방대설치법」 제3조에 따라 임용된 의무소방원다.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의용소방대원  ↑ 단, 창원시는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 예외적으로 광역자치단체의 지휘 통제 밖에 있는 자치 소방 조직이 있다. ↑ 대한민국 국회 (2015년 6월 4일). “지방자치법”.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9월 25일에 확인함. 제9조(지방자치단체의 사무범위) (중략) ② 제1항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예시하면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법률에 이와 다른 규정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중략) 6. 지역민방위 및 지방소방에 관한 사무 (중략) 나. 지역의 화재예방·경계·진압·조사 및 구조·구급  ↑ 가 나 경기도. “경기도소방소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충청북도 소방본부, 소방의 역사 ↑ “세종 31권 2월 26일 5번째 기사 - 금화 도감을 설치하게 하다”. 1426년 2월 26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세종 32권 6월 16일 5번째 기사 - 하천을 관리하는 일을 금화 도감에서 겸하여 맡게 하다”. 1426년 6월 16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세종 32권 6월 19일 2번째 기사 - 성문 도감·금화 도감을 합하여 수성 금화 도감으로 하게 하다”. 1426년 6월 19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세종 33권 7월 8일 5번째 기사 - 금화 도감과 성문 도감을 병합한 관청을 공조에 속하게 하다”. 1426년 7월 8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세조 20권 5월 22일 3번째 기사 - 이조에서 줄일 수 있는 관원과 혁파할 수 있는 관사를 기록하여 아뢰다”. 1460년 5월 22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성종 127권 3월 30일 2번째 기사 - 영사 윤호가 전일 민가에 불이 난 것은 여염이 즐비하기 때문이라고 아뢰다”. 1481년 3월 30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소방”.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두피디아 - 수성금화사”.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최고 (2012년 11월 9일). “<119의 날 50주년 특집> 50주년 소방의 날을 맞아 돌아보는 소방의 역사”. 소방방재신문. 2014년 3월 21일에 확인함.  ↑ “고종 33권 4월 29일 - 경무청 관제를 반포하다, 경무청 관제 제12조 제10호”. 1895년 4월 29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방단 ↑ 임수근 (2004년 6월 1일). “"안전한 한국" 만든다”. YTN. 2014년 7월 15일에 확인함.  ↑ 백소용 (2014년 5월 29일). “"다시 행정직 지휘받나" 소방방재청 부글부글”. 세계일보.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5조 제1항 제4호 ↑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조 제1항 ↑ 김창영 (2014년 5월 29일). “[단독] '우리가 무슨죄' 소방총수 강등에 현장 소방관 분노폭발 "국민 여러분 119가 되주세요"”. 경향신문.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 정제윤 (2014년 5월 29일). “소방방재청 해체에 일선 소방관들 "억울하다" 반발”. JTBC.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 하채림 (2014년 5월 30일). “안행부 "국가안전처, 소방조직 위상 축소 아니다"”. 연합뉴스. 2014년 5월 30일에 확인함.  ↑ “소방방재청 해체, 너도나도 반대서명…"도대체 무슨일?"”. 조선일보. 2014년 5월 30일. 2015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30일에 확인함.  ↑ 김창영 (2014년 5월 31일). “[기자칼럼] 세월호 참사로 해체위기서 '구사일생' 안행부, 소방관 죽이나”. 경향신문.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2013년 2월 22일).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별표2”.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이강일·박영서·전승현·홍인철 (2016년 8월 7일). “불나면 산 넘고넘어 1시간 걸려 와요…소방서 없는 지자체 많아”. 연합뉴스. 2016년 8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2조 제2호: "119구조대"란 탐색 및 구조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 소방방재청 (2013년 12월 17일).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제2조 제4호: "119구급대"란 구급활동에 필요한 장비를 갖추고 소방공무원으로 편성된 단위조직을 말한다. ↑ 소방방재청 (2013년 12월 17일).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 “울산소방본부 소방복제 및 장비”. 2015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22일에 확인함.  ↑ 강푸름 (2018년 5월 14일). “소방청, 성평등한 조직문화 위해 여성 소방관 대상 워크숍 개최”. 여성신문.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양정우 (2018년 4월 29일). “조종묵 소방청장 "여성소방관도 '별' 다는 고위간부 나올 것"”. 연합뉴스.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박은성 (2018년 6월 27일). “"후배들에게 길 터주기 위해 물러납니다"”. 한국일보.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류지영 (2018년 7월 1일). “"호스조차 못 들어"… 여성소방관 체력검정 강화”. 서울신문.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 “홍제동 참사 11년… 소방관 안전 대책은 아직도 빨간불”. 한국일보. 2012년 3월 2일.  ↑ 정성호 (2013년 12월 31일). “소방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심각”. 한국방송공사. 2014년 2월 26일에 확인함.  ↑ “소방관 절반 이상이 '건강 이상자'…14.3%는 직업병 앓아”. 머니투데이. 2015년 7월 20일. 2015년 7월 20일에 확인함.  ↑ 강버들 (2015년 11월 13일). “소방관 절반 가까이 불면증, 다쳐도 '쉬쉬'…불이익 우려”. JTBC. 2015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차상은·박수철·김윤호·강태우·김호 (2015년 11월 30일). “"이젠 그 누구에게도 소방관을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중앙일보. 2015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윤나라 (2012년 10월 7일). “소방관들 무리한 3교대… "불 끌 사람 없다"”. SBS. 2014년 1월 4일에 확인함.  ↑ 구경근 (2013년 2월 14일). “불나도 끌 사람이 없다…119센터 '나홀로 소방관'”. MBC.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담양소방서 홈페이지 확인. 1팀당 6명씩 3개팀, 총원 19명 (일근: 센터장), 3교대 근무. ↑ 강세훈 (2014년 5월 28일). “[장성] 현장에 첫 도착한 구조대원은 2명뿐”. MBN.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김기훈·박준규·손수용 (2014년 5월 30일). “"목숨 걸고 일하는데"…소방관들 '분노의 역류'”. 헤럴드경제. 2014년 5월 30일에 확인함.  ↑ 김서연 (2013년 2월 14일). “'화재현장 잇따른 소방관 순직' 실태와 문제점”. 파이낸셜뉴스.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유성애 (2013년 2월 28일). “화재 시 소방관 1명이 20분 마크? "우리도 아찔"”. 오마이뉴스.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한수진 (2014년 6월 2일). “[한수진의 SBS 전망대] "혼자 불끄러 다니는 소방관 허다한데…"”. SBS.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정다슬 (2013년 9월 24일). “'나홀로 소방서' 538개…소방관 1인당 1320명 담당”. 이데일리.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엄보운 (2014년 6월 7일). “전국 '1人 소방서' 81곳… 5분 출동 골든타임 못 지킨다”. 조선일보. 2014년 6월 10일에 확인함.  ↑ 장아름 (2016년 9월 27일). “권은희 "'1인 소방서' 전국 59곳 달해…전남 52%"”. 연합뉴스. 2017년 9월 19일에 확인함.  ↑ 박응진 (2016년 10월 5일). “소방관 없는 무인 지역소방대 전국 132곳, 1인 지역대 59곳”. 뉴스1. 2017년 9월 19일에 확인함.  ↑ 고석승 (2014년 6월 25일). “소방관 1인당 주민수 … 경기 1989명, 강원 673명”. 중앙일보.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장민성 (2015년 9월 4일). “"소방관 현장출동인력, 기준보다 41% 부족"”. 뉴시스. 2015년 9월 4일에 확인함.  ↑ 남인우 (2017년 12월 24일). “13만명 제천에 사다리차 단 1대… 소방서 없는 지자체도 32곳”. 서울신문. 2017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강은나래 (2018년 1월 5일). “부족한 소방인력…1인 관할 면적 편차도 최대 68배”. 연합뉴스TV. 2018년 6월 24일에 확인함.  ↑ 박초롱 (2018년 9월 13일). “2022년까지 소방관 2만명 충원…'1인 소방대' 사라진다”. 연합뉴스. 2018년 9월 13일에 확인함.  ↑ “'화재현장 잇따른 소방관 순직' 실태와 문제점”. 파이낸셜뉴스. 2013년 2월 14일. 2014년 1월 4일에 확인함.  ↑ “"소방청 독립돼야" 31년차 소방관의 절규”. CBS. 2013년 2월 6일. 2014년 1월 4일에 확인함.  ↑ “5년간 소방관 36명 순직… 원인은 '인력난'”. 경기신문. 2013년 1월 3일. 2014년 1월 4일에 확인함.  ↑ 송지혜 (2015년 10월 9일). “'주먹구구' 소방헬기 구입, 같은 기종 사는데 40억 차이”. JTBC. 201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최훈길 (2015년 3월 16일). “한해 167만명 구한 119…인력·장비 부족에 신음”. 이데일리. 2015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홍인기 (2014년 7월 23일). “[오늘의 눈] 소방관들이 원하는 것”. 서울신문. 2016년 2월 3일에 확인함.  ↑ 하채림 (2014년 5월 28일). “"안행부 서울 잔류 여부, 관련법 따르게 될 것"”. 연합뉴스.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김창영 (2014년 6월 1일). “[단독] "세월호 참사 말고 어느 정도 재난이 와야…" 피토하는 심정의 119 소방관 편지”. 경향신문. 2014년 6월 2일에 확인함.  ↑ 백지현 (2014년 6월 13일). “이재오 "국가개조 한다더니 애꿎은 소방관만…"”. 데일리안. 2014년 6월 13일에 확인함.  ↑ 김태은 (2014년 6월 13일). “새정치聯, 소방관 국가직 전환 시동…정부조직 개편 '쟁점' 부상”. 머니투데이. 2014년 6월 13일에 확인함.  ↑ 이상헌·박경준 (2017년 11월 3일). “文대통령 "소방관은 국민 살리는 국가의 손…국가직 전환 필요"”. 연합뉴스.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 백지수 (2017년 10월 31일). “[단독]文대통령 공약 소방 국가직화…박원순·안희정도 '反'”. 머니투데이.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 김재현 (2014년 5월 16일). “재난 대응시스템, 대대적 손질 불가피”. 한국방송공사.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대한민국 국회 (2014년 11월 19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2014년 12월 9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 국민안전처 (2014년 11월 19일).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 별표2”. 2014년 12월 9일에 확인함.  ↑ 강창구 (2018년 1월 25일). “산불감시원도 채용 비리…30명 중 23명 부정합격자”. 연합뉴스TV. 2018년 7월 1일에 확인함.  ↑ 박진환 (2018년 5월 4일). “산림 지키는 '산불재난진화대'…현실은 일당 10만원 일용직”. 이데일리. 2018년 5월 6일에 확인함.  ↑ 산림청 (2014년 7월 15일). “산림보호법 제37조”.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김민경 (2014년 5월 25일). “인천공항 소방 비정규직 "불나도 문고리 하나 맘대로 못 부숴"”. 인천: 한겨레. 2015년 7월 9일에 확인함.  ↑ 성화선 (2015년 4월 28일). “공항 소방대, 민간용역 업체 소속…전문성 확보 한계”. jtbc. 2015년 7월 9일에 확인함.  ↑ 홍현기 (2018년 5월 2일). “[인터뷰]위기상황 대처 도맡는 김순례 인천공항소방대 조장”. 경인일보. 2018년 6월 24일에 확인함.  ↑ 이환직 (2016년 9월 22일). “한국공항공사 아웃소싱 도 넘었다…14곳 모두 보안ㆍ방재업무 외주”. 한국일보. 2018년 6월 24일에 확인함.  ↑ 국토교통부 (2013년 12월 26일). “공항안전운영기준 제132조”.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 한국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 공항소방 구조대”. 2014년 7월 2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부산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소방차량 소개”. 2014년 7월 1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김영수 외 7인 (2007년). 《소방학개론》. 신광문화사. ISBN 978-89-7432-222-9.  ↑ 박진여 (2015년 12월 20일). “나보다 남이 먼저였던 '남 바보' 소방관의 추억”. 데일리안. 2016년 2월 3일에 확인함.  ↑ 전혜원·김원진 (2014년 8월 19일). “동료를 잃고도 나는 구하러 가네”. 시사IN. 2016년 2월 3일에 확인함.  ↑ 이지영 (2012년 1월 4일). “"헬멧은 녹아 내리고, 방화복은 누렇게 타들어가고…"”. 국민일보. 2014년 5월 29일에 확인함.  ↑ 김현정 (2014년 5월 29일). “현직소방관 "소방장갑을 왜 직접 사냐구요?"”. CBS 표준FM. 2014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우철희 (2014년 5월 31일). “목숨 걸고 출동...정작 장비는 '내 돈'으로?”. YTN. 2014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손석희 (2014년 6월 9일). “[인터뷰] 고진영 소방관 "농업용 고무장갑 끼고 소방 활동도"”. JTBC. 2016년 2월 1일에 확인함.  ↑ 이동영 (2011년 12월 16일). “[단독]방화복-호흡기가 모자라… 돌려입으며 불끄는 소방관”. 동아일보. 2016년 2월 3일에 확인함.  ↑ 송지혜 (2015년 2월 17일). “'불량 방화복' 무더기로 납품…터질 듯 달아오른 불만”. JTBC.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 황인찬 (2015년 3월 7일). “소방관 방화복 이어 근무복도… 검사 안 거치고 6만여벌 납품”. 동아일보.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 유원중 (2015년 3월 7일). “[취재후] "가짜 아닙니다"…눈덩이 의혹 '특수 방화복 게이트' 진실은?”. KBS.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 유원중 (2015년 3월 12일). “안전처, '무검사 특수방화복' 자체조사 사실 숨겨”. KBS. 2015년 3월 19일에 확인함.  ↑ 황정호 (2015년 4월 20일). “안전처, 착용보류 방화복 활용 결정”. KBS. 2015년 4월 2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대한민국의 소방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vdeh아시아의 소방독립국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1] 라오스 러시아[* 2] 레바논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3] 아제르바이잔[* 2]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4] 인도 인도네시아[* 5] 일본[*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지아[* 2]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카자흐스탄[* 2]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키프로스[* 3] 타지키스탄 태국 터키[* 2]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속령 마카오[* 6] 차고스 제도 [* 7] 티베트[* 8] 동튀르케스탄[* 8] 홍콩[* 6] 미승인 국가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2]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2] ↑ 오세아니아에 속하는 국가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유럽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한다. ↑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오세아니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역이다. ↑ 영국령 인도양 지역의 일부이다. ↑ 가 나 나라 목록 206개 국가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이다. vdeh 대한민국 소방청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검찰청 병무청 방사청 경찰청 소방청 문화재청 농진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행복청 새만금청 해경청 본청 소속 청장 차장 중앙소방학교 중앙119구조본부 수도권119특수구조대 시흥119화학구조센터 영남119특수구조대 구미119화학구조센터 울산119화학구조센터 호남119특수구조대 익산119화학구조센터 여수119화학구조센터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 서산119화학구조센터 충주119화학구조센터 산하 공공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장비검사검수센터 소관기관 대한소방공제회 소방산업공제조합 전국의용소방대연합회 재향소방동우회 한국소방시설협회 한국소방안전협회 지방소방본부 서울 경기 경북 충남 부산 전남 인천 경남 강원 충북 전북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제주 창원 세종 관련 항목 대한민국의 소방 대한민국의 소방관 계급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소방&oldid=24507363" 분류: 대한민국의 소방숨은 분류: 좋은 글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6: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의 소방(大韓民國의 消防, Korea Fire Service)은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화재 진압과 인명구조, 응급환자 구호, 재난의 예방, 재난 발생 시 대응, 재난 발생 후의 복구 등의 일을 말한다. 대한민국에서 소방을 담당하는 사람은 소방공무원, 의무소방원, 의용소방대원이다. 소방 활동에 대해서는 소방기본법에서, 구조와 구급활동에 대해서는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에서 규율한다. 국가 소방과 자치 소방으로 구분되며, 국가 소방은 소방청에서 주관하고, 자치 소방은 각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한다.소방 활동을 하기 위해서 여러 조직을 설치하고 장비를 활용하고 있으나 지휘체계의 문제, 소방조직의 위상 문제, 소방공무원에 대한 열악한 대우 등 여러 가지 비판이 존재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 법정근로시간는 주몇시간인가? Assistant: 40시간 Human: 아래 푸른거탑_제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푸른거탑 제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푸른거탑 제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푸른거탑 제로 장르 시트콤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tvN 방송 기간 2013년 9월 11일 ~ 2013년 11월 20일 방송 시간 수요일 밤 11시 ~ 12시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시즌 2 방송 횟수 11부작 추가 채널 XTM (이상 유료방송) 연출 민진기 조연출 이현명, 박수원, 정현남, 손진락, 김정은 작가 김기호, 이광근 , 박연경 , 서동범, 송수정 출연자 최종훈, 윤진영, 이준혁, 이영훈, 김동현, 파스칼, 장지우 , 박완규, 이장훈 , 송영재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 HD 방송 여부 HD 제작ㆍ방송 전편 푸른거탑 (2012~2013) 후편 푸른거탑 리턴즈 (2013~2014) 외부 링크  tvN 푸른거탑 제로 홈페이지 《푸른거탑 제로》은 2013년 9월 11일부터 2013년 11월 20일까지 대한민국의 tvN에서 방영된 군디컬 드라마로 푸른거탑의 말년병장의 훈련병 시절을 그린 프리퀄이자 시즌 2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목차 1 기획 의도 2 출연자 2.1 주요인물 2.2 특별출연 3 에피소드 목록 4 시청률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기획 의도[편집] 푸른거탑 제로는 국내 유일의 군 시츄에이션 드라마이다.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군 생활에 대한 추억을 하얀거탑같은 느낌을 주는 시트콤으로 포장해 남성에게는 군 생활에 대한 공감을, 여성에게는 말로만 들었던 군대의 일상을 보여주고 있다. 출연자[편집] 주요인물[편집] 최종훈 : 44번 훈련병 최종훈 역 플롯을 전공한 음대생 출신의 훈련병이다. 겁이 많고 소심한 성격의 소유자 이준혁 : 42번 훈련병 이준혁 역 최고령 훈련병으로 천성이 가볍고 열외정신이 투철할 정도로 잔머리의 귀재이다. 윤진영 : 43번 훈련병 윤진영 역 (시즌1에서는 단역으로 등장) 자칭 조직폭력배 출신으로 입만 살아있는 허세 짱이다. 김동현 : 45번 훈련병 김동현 역 작은 일에도 쉽게 상처받거나 울고 낙오를 자주하는 1급 관심병사이다. 이영훈 : 46번 훈련병 이영훈 역 명문대 출신의 모범생으로 항상 의욕은 멈치지만 생각만큼 몸이 따라주지 않아 민폐만 끼치는 허당이다. 파스칼 디오르 : 47번 훈련병 손담비 역 독일에서 온 교포 2세로 낯선 한국문화에 적응하지 못한다. 장지우 : 조교(분대장) 장지우 상병 역 로보캅, 터미네이터로 불리는 군인정신으로 똘똘 뭉친 저승사자 조교이다. 송영재 : 소대장 송영재(후기에는 김봉남) 중사 역 (시즌1인 푸른 거탑에서는 행정보급관 역) 78년생으로 최강 노안을 자랑하는 소대장으로 잔소리의 신이라 불린다. 이장훈 : 중대장 이장운 대위 역 (시즌1인 푸른 거탑의 대대장 이장훈 중령의 쌍둥이 동생 역할) 엘리트 의식에 가득 차있는 오버의 제왕이다. 박완규 : 짬아저씨 역 군대의 짬밥을 수거해가는 돼지 농장을 운영하는 사장님으로 음악과 시를 사랑한다. 김사희 : 미녀 군의관 역 특별출연[편집] 박철민 : 김동현의 아버지 역 송광원 : 송광원 이병 역 이용주 : 이용주 이병 역 정진욱 : 정진욱 일병 역 김민찬 : 김호창 상병 역 김재우 : 김재우 분대장 역 김필수 송재희 : 송재희 역 크레용팝 고인배 : 사단장 역 이정수 : 2소대 훈련병 역 이정은 : 종훈 엄마 역 신담수 : 306 보충대 구대장 나희승 병장(1화), 방송국 PD(10화), 군의관(3화, 11화) 역 에피소드 목록[편집] 회차 방송일 에피소드 1 2013년 9월 11일 푸른거탑 제로 ep.1 살려줘 푸른거탑 제로 ep.2 엄마 없는 하늘아래 2 2013년 9월 18일 푸른거탑 제로 ep.3 그놈 목소리[1] 푸른거탑 제로 ep.4 꽃보다 전우조[2] 3 2013년 9월 25일 푸른거탑 제로 ep.5 배식조 전성시대 푸른거탑 제로 ep.6 종교 활동 로망스 4 2013년 10월 2일 푸른거탑 제로 ep.7 금쪽같은 내 탄피![3] 푸른거탑 제로 ep.8 작전명 아폴로![4] 5 2013년 10월 9일 푸른거탑 제로 ep.9 키키의 저주 푸른거탑 제로 ep.10 아버지의 이름으로 6 2013년 10월 16일 푸른거탑 제로 ep.11 비만소대 빠빠빠 푸른거탑 제로 ep.12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편지 7 2013년 10월 23일 푸른거탑 제로 ep.13 히어로! 푸른거탑 제로 ep.14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8 2013년 10월 30일 푸른거탑 제로 ep.15 웃으면 죽는다 푸른거탑 제로 ep.16 죽음의 화생방 9 2013년 11월 6일 푸른거탑 제로 ep.17 흡연 그 씁쓸함에 대하여 푸른거탑 제로 ep.18 세상에서 가장 추한 고백 10 2013년 11월 13일 푸른거탑 제로 ep.19 철모를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각개전투자들! 푸른거탑 제로 ep.20 마더 11 2013년 11월 20일 푸른거탑 제로 ep.21 굿바이 시청률[편집] 미디어 리서치 회차 방송 일자 AGB 닐슨 시청률 (전국) 1 2013년 9월 11일 1.643% 2 2013년 9월 18일 0.704% 3 2013년 9월 25일 0.959% 4 2013년 10월 2일 1.173% 5 2013년 10월 9일 0.893% 6 2013년 10월 16일 0.783% 7 2013년 10월 23일 0.662% 8 2013년 10월 30일 0.757% 9 2013년 11월 6일 0.557% 10 2013년 11월 13일 0.777% 11 2013년 11월 20일 0.433% 평균 시청률 0.849% 같이 보기[편집] 푸른거탑 환상거탑 푸른거탑 리턴즈 황금거탑 각주[편집] ↑ 그놈 목소리를 패러디 ↑ 꽃보다 남자를 패러디 ↑ 금쪽같은 내 새끼를 패러디 ↑ 작전명 발키리를 패러디 외부 링크[편집] tvN 푸른거탑 제로 홈페이지 tvN 수요시트콤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환상거탑 (2013년 7월 17일 ~ 2013년 9월 4일) 푸른거탑 제로(2013년 9월 11일 ~ 2013년 11월 20일) 푸른거탑 리턴즈 (2013년 11월 27일 ~ 2014년 2월 26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푸른거탑_제로&oldid=22626344" 분류: TvN 시트콤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군인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TvN의 심야 드라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27일 (목) 22: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푸른거탑 제로》는 2013년 9월 11일부터 2013년 11월 20일까지 대한민국의 tvN에서 방영된 군디컬 드라마로 푸른거탑의 말년병장의 훈련병 시절을 그린 프리퀄이자 시즌 2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푸른거탑의 제로의 AGB 닐슨 시청률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회차 방송 일자 AGB 닐슨 시청률 (전국) 1 2013년 9월 11일 1.643% 2 2013년 9월 18일 0.704% 3 2013년 9월 25일 0.959% 4 2013년 10월 2일 1.173% 5 2013년 10월 9일 0.893% 6 2013년 10월 16일 0.783% 7 2013년 10월 23일 0.662% 8 2013년 10월 30일 0.757% 9 2013년 11월 6일 0.557% 10 2013년 11월 13일 0.777% 11 2013년 11월 20일 0.433% 평균 시청률 0.849%
Human: 아래 뱅글스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뱅글스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뱅글스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뱅글스쿨 장르 코믹, 학교, 시트콤 TV 애니메이션 기획 태융 감독 태융 프로듀서 이순주 성우 민승우, 배진홍, 조세령, 권문정, 신소윤, 강수진 각본 태융, 박현향, 박호영, 강민지, 김은경, 민다혜, 원장경 캐릭터 디자인 태융, 김영민, 강성인, 한상원, 김효선 음악 이소영 (음악감독) 제작 KBS, 픽토 스튜디오, SK 브로드밴드 방송사 KBS 1TV 그 외의 방송사 애니플러스, 재능 TV 방영 기간 선행방송: 2017년 8월 9일본방송: 2017년 12월 2일 ~ 2018년 6월 30일 화수 26회 (3분30초 X 78화) 저작권 표기 ⓒ 2017 PICTO / SKB / KBS / SBA, All rights reserved 틀 - 토론 《뱅글스쿨》(영어: Bangle School)은 KBS와 픽토 스튜디오, SK 브로드밴드가 만든 애니메이션이다. 2017년 8월 9일에 선행 방영했으며, 2017년 12월 2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매주 오후 2시 20분에 방송하였다. 목차 1 등장인물 1.1 남학생 1.2 여학생 1.3 선생님 2 방영 목록 3 목소리 출연 4 제작진 5 결방 6 관련 서적 7 각주 8 외부 링크 등장인물[편집] 남학생[편집] 찰스 조이 얄리 스무디 여학생[편집] 롤리 주디[1] 욜라 글라라 루비 선생님[편집] 펑클린 방영 목록[편집] 회차 제목 방송 일자 시청률 선행방영 괴상한 선생님운명의 이상형얄리는 천재 작곡가루비의 꿈롤리의 첫 소풍찰스의 곰인형붕붕이를 지켜라 2017년 8월 9일 0.6% 1화 초대 받은 아이들학교 가는 길수상한 아이들 2017년 12월 2일 0.5% 2화 괴상한 선생님절대교칙절대벌칙 2017년 12월 9일 0.3% 3화 운명의 이상형우리의 꿈1우리의 꿈2 2017년 12월 16일 0.7% 4화 욜라는 무서워글라라의 비밀얄리는 천재 작곡가 2017년 12월 23일 0.6% 5화 쥬디와 마법서루비의 꿈롤리는 외로워 2018년 1월 6일 0.7% 6화 롤리의 불운글라라의 꿈밸런타인데이 사건 2018년 1월 13일 0.7% 7화 글라라의 우정쥬디와 마법 향수롤리의 첫 소풍 2018년 1월 20일 0.3% 8화 욜라의 탈출스무디의 꿈찰스의 곰인형 2018년 1월 27일 0.5% 9화 쥬디의 마술쇼얄리의 꿈롤리의 두 마음 2018년 2월 3일 0.3% 10화 가면새가 된 루비찰스의 속마음롤리의 분노 2018년 2월 24일 0.4% 11화 루비만 바라봐글라라 찾기찰스의 옆자리 2018년 3월 3일 0.6% 12화 욜라의 개스무디와 스무디 미러선생님의 탐지기 2018년 3월 10일 0.6% 13화 공포의 달리기선생님의 생일선물찰스를 지켜라 2018년 3월 24일 0.7% 14화 루비 대 루비주디의 위기찰스의 후광 2018년 3월 31일 0.5% 15화 주디는 스파이붕붕이를 지켜라늑대와 춤을 2018년 4월 7일 0.4% 16화 선생님의 꿈1선생님의 꿈2찰스의 꿈 2018년 4월 14일 0.3% 17화 찰스와 롤리 이야기찰스의 노래롤리의 노래 2018년 4월 21일 0.3% 18화 얄리의 행방불명그들의 사정선생님의 인형 2018년 4월 28일 0.4% 19화 얄리와 얄리미러주디의 꿈찰스 대 조이 2018년 5월 12일 0.8% 20화 얄리의 누명주디의 고백편지조이의 노래: 두 눈에 2018년 5월 19일 0.5% 21화 루비를 지운 얄리조이의 결심찰스의 미행: 내게 웃음을 주는 사람 2018년 5월 26일 0.6% 22화 글라라의 단짝들꼬마 마녀의 탄생주디의 분노 2018년 6월 2일 0.2% 23화 글라라의 기억롤리의 질투거인 대 마녀 2018년 6월 9일 0.5% 24화 스무디 미러 대 스무디 워터얄리의 불꽃 열정선생님의 고백 2018년 6월 16일 0.5% 25화 루비의 배 소리글라라의 위기롤리의 꿈 2018년 6월 23일 0.4% 26화(최종) 그들의 꿈선생님의 속마음수상한 전학생 2018년 6월 30일 0.7% 목소리 출연[편집] 민승우: 찰스, 얄리 배진홍: 롤리, 욜라 조세령: 조이, 루비 권문정: 주디, 글라라 강수진: 스무디, 미러 신소윤: 펑클린 제작진[편집] 책임 프로듀서: 이경묵 총괄 프로듀서: 전유혁, 노진남 프로듀서/연출: 이순주 기획/감독: 태융 제작본부장: 송인욱 제작프로듀서: 박성익 프로젝트 매니저: 전은정 시나리오: 태융, 박현향, 박호영, 강민지, 김은경, 민다혜, 원장경 스토리보드/애니메틱: 박형근, 신현영, 강성인, 한상원, 김유강, 권아현 캐릭터 디자인: 태융, 김영민, 강성인, 한상원, 김효선 아트디렉터: 김상동 컨셉아트/배경디자인: 이소현, 구윤형, 이진아, 이다경, 조진솔 소품디자인/일러스트레이션: 손선은 테크니컬 슈퍼바이저: 김형주 모델링/매핑: 정예진, 이다경, 김동근, 이주환 리깅: 진태수, 김태균, 허욱준, 민경아 영상편집/이펙트: 양진형, 조나현 마스터링: 함종민, 서수미, 이명훈, 전혜수 마케팅: 이승희, 최은미 라이선싱: 이세라, 배꽃님 행정지원: 윤이나 음악감독/사운드 디자인: 이소영 오프닝/엔딩곡 작곡: 이소영 작사: 태융 편곡/믹싱/마스터링: 서정혁 노래: 이소영, 홍예지 브릿지 작곡: 김진영 녹음/마스터링: 박동주 협력업체: 픽토글로벌 차이나, SBA 미디어콘텐츠센터, 소동제작소, T.hands(티핸즈), (주)아트앤드테크놀러지, AK Music, 애니그마 홍보: 최승주 홈페이지제작: KBS미디어 (구경순, 박나윤) 편집감독: 유운모 문자그래픽: 황은서 제작투자: (주)센트럴투자파트너스 제작지원: SBA 서울애니메이션센터 공동제작: KBS한국방송, 픽토 스튜디오, SK 브로드밴드 결방[편집] 2018년 2월 10일 ~ 2월 17일: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으로 결방했다. 2018년 3월 17일: 2018년 평창 패럴림픽으로 결방했다. 2018년 5월 5일: 2018 KBS 창작동요대회로 결방했다. 관련 서적[편집] 대원씨아이(대원키즈)에서 만화책을 간행하고 있다. 2018년 4월 5일 기준으로 상·하 2권이 간행되었다. 3차원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과 달리 만화책은 2차원이다. 그 외에도 스티커미니북으로도 간행했다. 각주[편집] ↑ 원래는 '쥬디'이지만 (외래어 표기법으로) 14화부터 변경됨. 외부 링크[편집] 뱅글스쿨 - 공식 웹사이트 KBS 1TV 토요일 애니메이션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좀비덤 시즌 2(2017년 10월 21일 ~ 2017년 11월 25일) 뱅글스쿨(2017년 12월 2일 ~ 2018년 6월 30일) 쥐라기캅스(2018년 7월 7일 ~ ) vdeh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음악  · 영화 · 드라마 《가요무대》 《올댓뮤직》 《이웃집 찰스》 《TV는 사랑을 싣고》 《독립영화관》 《노래가 좋아》 《전국노래자랑》 《열린음악회》 《일일연속극》(《여름아 부탁해》) 시사교양 《내고향 스페셜》 《인간극장》 《아침마당》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사사건건》 《동물의 왕국》 《6시 내고향》 《오늘밤 김제동》 《문화산책》 《우리말 겨루기》 《생활의 발견》 《KBS 네트워크 특선》 《UHD 숨터》 《시사기획 창》 《생로병사의 비밀》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KBS 걸작 다큐멘터리》 《사랑의 가족》 《한국인의 밥상》 《KBS 스페셜》 《KBS 중계석》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열린채널》 《거리의 만찬》 《추적 60분》 《다큐세상》 《남북의 창》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걸어서 세계속으로》 《구석구석 대한민국 행복한 지도》 《국악한마당》 《동행》 《다큐공감》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생방송 심야토론》 《일요진단 라이브》 《TV쇼 진품명품》 《도전! 골든벨》 《글로벌 다큐멘터리》 《역사저널 그날》 《저널리즘 토크쇼 J》 《KBS 바둑왕전》 《KBS 영상실록》² 《KBS 국악대상》² 뉴스 《KBS 뉴스광장》 《KBS 930 뉴스》 《KBS 뉴스 12》 《KBS 뉴스 5》 《KBS 뉴스 7》 《KBS 뉴스 9》 (《KBS 스포츠 9》) 《KBS 뉴스 (2430)》 《KBS 주말뉴스》 《KBS 뉴스특보》¹ 스포츠 · 어린이 《KBS 스포츠 중계석》 《꼬마 어사 쿵 도령 2기》 《시노스톤》 《꼬마탐정 토비와 테리 시즌2》 《쥐라기캅스 시즌2》 《출동! 애니멀 레스큐》 《KBS 창작동요대회》² 《국악동요제》² KBS1 KBS2 MBC SBS OBS EBS1 EBS2 ¹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² 1년에 한 번씩 방송되는 프로그램 &(KBSNEWS24와 동시중계되는 프로그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뱅글스쿨&oldid=24487674"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2017년 애니메이션2018년 애니메이션애니플러스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2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뱅글스쿨》(영어: Bangle School)은 KBS와 픽토 스튜디오, SK 브로드밴드가 만든 애니메이션이다. 2017년 8월 9일에 특별 방영했으며, 2017년 12월 2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매주 오후 2시 20분에 방송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뱅글스쿨의 방영목록 중에서, 제목에 처음으로 욜라의 이름이 등장한 회차는? Assistant: 4화 Human: 아래 종로동_(서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종로동 (서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로동 (서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종로4가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서울 종로구의 행정동과 그것이 관할하는 지역에 관한 것입니다. 종로구를 관통하는 도로에 대해서는 종로 (서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2.3.4가동 鍾路1.2.3.4街洞 Jongno 1(il).2(i).3(sam).4(sa)-ga-dong 종로1·2·3·4가동종로1·2·3·4가동 면적 2.36 km2 인구 7,587명 (2017.6.30.) 인구밀도 3,215 명/km2 세대 5,355가구 (2017.6.30.) 법정동 세종로, 청진동, 서린동, 수송동, 중학동, 종로1가,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 와룡동, 권농동, 운니동, 익선동, 경운동,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종로2가, 훈정동, 묘동, 봉익동, 돈의동, 장사동, 관수동, 종로3가, 인의동, 예지동, 원남동, 종로4가 통 21 반 91 동주민센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30길 47 홈페이지 종로1·2·3·4가동 홈페이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6가동 鍾路5.6街洞 Jongno 5(o).6(yuk)-ga-dong 종로5·6가동주민센터종로5·6가동주민센터 면적 0.60 km2 인구 5,455명 (2017.6.30.) 인구밀도 9,092 명/km2 세대 3,214가구 (2017.6.30.) 법정동 연지동, 효제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통 15 반 96 동주민센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5가길 19 홈페이지 종로5.6가동 홈페이지 종로동(鍾路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군이다. 종로1·2·3·4가동과 종로5·6가동이 있으며, 종로1·2·3·4가동은 법정동 종로1가, 종로2가, 종로3가, 종로4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종로5·6가동은 법정동 종로5가, 종로6가 및 인근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두 동이 관할하는 지역을 종로라고 부른다. 목차 1 역사와 유래 2 법정동 3 교통 4 주요 기관 및 명소 5 사건사고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와 유래[편집] 한성부는 처음부터 조선 왕조의 도성의 역할을 하기 위해 계획 도시로 건설된 곳이다. 종로 또한 계획적으로 만들어진 도로였다. 조선시대의 종로는 영조척(營造尺)으로 폭 56척, 양옆의 수구(水溝)는 각각 폭 2척의 넓이로 이루어졌다. 처음에는 특별히 붙여진 이름이 없었으나, 종루에서 아침 저녁으로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간을 알린데서 ‘운종가’(雲從街)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점점 시간이 지나 운종가라는 이름은 ‘종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그것이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세종로[1]가 정치적 중심 지역이었던 것에 반하여, 종로는 육의전(六矣廛)을 비롯하여 많은 상점들이 분포하였던 상업지역이었다. 종로는 동서를 횡단하는 도성 내 간선 도로였으나, 조선 후기로 오면서 도로변을 잠식하는 가건물 및 상점들이 늘어나 도로 폭이 점차 줄어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 지속되어 양품점·서점·제과점을 비롯하여 동대문 시장까지 분포하는 대형 상업 지역을 이루게 된 근간이 되었다. 일제 시대의 종로2가 법정동[편집] 종로구의 행정 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로1·2·3·4가동 세종로 청진동 서린동 수송동 중학동 종로1가 공평동 관훈동 견지동 와룡동 권농동 운니동 익선동 경운동 관철동 인사동 낙원동 종로2가 훈정동 묘동 봉익동 돈의동 장사동 관수동 종로3가 인의동 예지동 원남동 종로4가 종로5·6가동 연지동 효제동 종로5가 종로6가 충신동 교통[편집]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안국역 광화문역 동대문역 주요 기관 및 명소[편집] 종로세무서 종로구의회 선거연수원 서울특별시선거관리위원회 서울특별시소방방재본부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문화재청 종묘관리소 남북회담사무국 종로구청 한국무역보험공사 서울종로경찰서 서울혜화경찰서 광화문우체국 피맛골 : 조선 시대에 종로를 행차하던 양반들을 피하기 위해 서민들이 이용하던 골목길. 종로 1가부터 종로 3가까지 남아 있으며 2009년 12월에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논란이 있어 유지되었다.[2]. 보신각 인사동 : 전통문화의 거리로서 고미술점, 공예점, 전통찻집, 음식점 등이 몰려 있다. 낙원상가 : 본래 최상층까지의 건물의 상부는 주거용 아파트로 설계되었고 여타 상업 시설을 입주시켜 주상복합 건물로서 건설하였으나, 주거 기능은 점차 쇠퇴하였고, 지금은 1층부터 4층까지 많은 악기 상점과 악기 유통업체 사무실 등이 입주하여 있으며, 영화관도 들어와 있다. 상가 주변에는 전통 떡집과 국밥집을 찾아볼 수 있다. 탑골공원 세운상가 : 종묘 건너편에 있는 전자 부품과 전자 제품 전문 상가. 동대문시장 : 흥인지문 근처에 있는 의류 전문 상가. 청계천 사건사고[편집] 종로 고시원 화재 각주[편집] ↑ 조선시대 당시 육조 거리, 《주례》〈고공기〉72에 따르면 외조[外朝] ↑ [제786호] 골목길, 그곳엔 삶이 있었네 : 문화 : 뉴스 : 레드 기획 : 한겨레21 외부 링크[편집] 종로구 종로1·2·3·4가동 주민센터 종로구 종로5·6가동 주민센터 vdeh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 구역 구청소재지: 종로1.2.3.4가동 가회동 교남동 무악동 부암동 사직동 삼청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이화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청운효자동 평창동 혜화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종로동_(서울)&oldid=24267237" 분류: 서울 종로구의 행정 구역숨은 분류: 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日本語ไทย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3일 (목)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종로동(鍾路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동군이다. 종로1·2·3·4가동과 종로5·6가동이 있으며, 종로1·2·3·4가동은 법정동 종로1가, 종로2가, 종로3가, 종로4가를 포함한 주변 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종로5·6가동은 법정동 종로5가, 종로6가 및 인근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두 동이 관할하는 지역을 종로라고 부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종로가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불린 이름은 뭐야? Assistant: 운종가
Human: 아래 한강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한강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한강 (지리 유형: 강) 아차산에서 바라본 한강과 구리암사대교 건설 현장 (2008년) 국가하천 나라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방 강원도 · 충청북도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황해북도 소속 한강 독립수계 본류 한강 (골지천 · 조양강 · 동강 · 남한강 · 조강) 지류  - 왼쪽 달천 · 청미천 · 복하천 · 경안천 · 안양천  - 오른쪽 섬강 · 북한강 · 중랑천 · 공릉천 · 임진강 섬 여의도 · 선유도 · 밤섬 · 노들섬 · 서래섬 발원지 백두대간 금대봉의 금대봉골 계곡 [1][2]  - 위치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 고도 약 1200m 지점 [2] 하구 김포반도 서북단 부근의 황해 수역  - 위치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목록 한국에서 유역 면적이 가장 넓은 강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긴 강 길이 494km (307mi)[3] 면적 35,770km² (13,811sq mi)[3] 유량 서울 한강대교에서  - 평균 613m³/s (21,648cu ft/s)[주 1][4]  - 최대 22,900m³/s (808,706cu ft/s)[5]  - 최소 16.78m³/s (593cu ft/s)[6] 대한민국의 3대 하천 수계(금강·낙동강·한강)와소백·태백산맥을 표시한 지도. 참고 문헌: 《월간 山 — 통권 467호》[1]『한국의 산하』(등산 전문 웹사이트)《한국하천일람 — 2012.12.31 기준》[3]《우리가람 길라잡이 — 우리 강을 찾아서…》[2]『한국하천정보시스템』(한국수자원공사의 GIS) 팔당댐 ~ 하류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 팔당댐 (관리교) 팔당대교 미사대교 강동대교 구리암사대교 광진교 천호대교와 터널 (서울 지하철 5호선) 올림픽대교 잠실철교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대교 탄천 청담대교 영동대교 (분당선) 성수대교 중랑천 동호대교 (서울 지하철 3호선) 한남대교 반포대교와 잠수교 서래섬 동작대교 (서울 지하철 4호선) ueABZg+ 반포천 한강대교, 노들섬 한강철교 (경인선) 원효대교 (서울 지하철 5호선) 마포대교 여의도 샛강 서강대교, 밤섬 여의도 샛강 당산철교 (서울 지하철 2호선) 양화대교, 선유도 성산대교 안양천 가양대교 마곡철교 (인천국제공항철도) 방화대교 행주대교 아라뱃길 김포대교 백마도 공릉천 일산대교 임진강 한강 하구. 서해↓ 한강(漢江, 영어: Hangang 또는 Han River)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다. 태백산맥의 금대봉 정상부 북쪽 비탈에서 발원하여 강화해협 부근의 어귀로 흘러가는 물줄기를 본류로 한다. 대한민국의 관찬 자료집인 《한국하천일람》 2013년 판에 따르면 본류 총연장은 494km[3] 남짓이다. 한강 본류는 경기·관동·해서·호서 등 네 지방에 걸쳐 북한강·임진강(문화어: 림진강) 을 위시한 수백 개의 지류를 거느리고 있으며, 이 지류들을 기반으로 한강 수계는 한국을 지나는 모든 하천 수계망 중 두 번째로 넓은 빗물받이(35,770km², 한반도 전체 넓이의 약 1/6)를 가졌다. 길이(494km)로는 압록강·두만강·낙동강에 이어 한반도에서 네 번째,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길다. 목차 1 구간 2 한강의 역사 3 이름 4 지형과 지질 5 지류 5.1 발원지~양수리까지의 구간 5.2 양수리 이후의 구간 6 교통 6.1 양수리 이후 구간의 다리 6.2 도로 및 지하철 7 한강시민공원 8 갤러리 9 파노라마 10 관련 작품 10.1 드라마 10.2 영화 11 같이 보기 12 각주 13 외부 링크 구간[편집] 검룡소 같은 한강 본류 중에서도 특정 구간만을 따로 떼어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런 경우, 그 지역의 큼직한 합수머리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눈 경우가 많다.한강의 최장 발원천은 금대봉 북쪽 정상부의 고목나무샘 (태백시 창죽동)에서 발원하며,[3] 이 물줄기는 금대봉골이라는 골짜기를 타고[1] 산 중턱에 위치한 유명한 샘인 검룡소 (태백시 창죽동)까지 흘러내려온다. 한편, 태백시청은 비록 검룡소가 고목나무샘보다 하류에 있긴 하나 금대봉골 유로 상에서 제일 큰 샘이라는 점을 들어, 검룡소가 한강의 발원지라고 홍보하고 있다. 한강이 충분히 커져 법적인 의미의 '하천'으로써 관리되기 시작하는 기점은 태백시 상사미동의 디디기벌 인근에 있으며, 여기서부터[주 2] 아우라지로 유명한 송천 합류점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까지의 구간을 골지천(骨只川)이라 한다. 이어 송천 합류점에서부터 동대천 합류점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까지의 구간은 조양강(朝陽江), 동대천 합류점에서부터 평창강 합류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까지는 동강(東江), 평창강 합류점에서부터 북한강 합류점(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까지의 구간은 남한강(南漢江)이라 일컫는다. 끝으로 임진강 합류점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에서부터 어귀까지는 조강(祖江)이라 한다. 한강의 역사[편집] 암사동 선사유적지 구석기 시대부터 한강 유역에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 포전리 점말 동굴과 단양군 애곡리 수양개 선사유적지가 한강의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본격적으로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을축년 대홍수 때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선사유적지에서 신석기 유적이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를 지나 백제를 비롯한 마한의 몇몇 소국이 한강에 자리를 잡았고, 그 중 하남 위례성에 도읍한 백제가 한강 일대를 차지하였고, 이후에는 고구려가 한강을 차지한다. 진흥왕 때에 신라는 한강을 차지한다. 이처럼 한강 유역을 소유하면 나라가 번영했다는 것에서 한강이 한반도에서 지리·인구·외교 등에서 훌륭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한반도를 띠처럼 둘렀다는 뜻으로 '대수'라 불렀다.[7] 그리고 고구려는 한강을 '아리수'[8], 백제는 '욱리하'라 했다.[9] 신라는 한강의 상류를 '이하', 하류를 '왕봉하'라 하였다.[10]삼국사기에 의하면 이때 한강을 '북독'이라고 했다. 고려 시대에는 한강 유역 대부분을 양광도가, 그리고 북한강 유역은 교주도가 관할했고, 지방 3경 중 하나인 남경과 12목 중 광주목·충주목·청주목이 있었다. 당시 한강은 물줄기가 맑게 뻗어 내린다 하여 '열수'라 했고, 모래가 많아 '사평도', '사리진'이라고도 불렀다. 고려가 멸망하고 건국된 조선은 한강 유역의 한양에 도읍을 정했다. 한양으로 천도한 이유는 한강의 수운 조건과 풍수지리설의 영향 그리고 정치적 배경 때문인데, 당시에 한강이 교통이 편리하고 지리적으로도 좋은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양의 경창은 조세로 징수한 미곡과 포백을 운송하는 조운제도의 중심이 되었고, 9개의 조창 중에서 충주의 가흥창·원주의 흥원창·춘천의 소양강창 총 3개소가 한강 중류와 상류에 있었다. 한양 근처의 한강은 '경강'이라 했는데 조운을 통해 경강에 많은 상인이 모이며 하나의 경제권이 형성되었다.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서울 강'(Seoul river)이라는 표현이 외국 문헌에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한강 곳곳에 진을 설치하고 수비하게 하였다. 한강철교와 한강대교 조선 말에는 프랑스와 미국이 한강과 강화도에 침입했고, 개항을 한 후에는 증기선이 한강에서 운항하기도 하였다. 1900년에는 한국 최초의 근대식 철교인 한강철교가 완공되었고, 1916년에는 최초의 인도교가 가설되었다. 1912년, 1920년, 1925년에는 큰 홍수가 났었는데, 특히 1925년의 을축년 대홍수로 인해 한강 유역이 수몰되는 등의 큰 피해를 입었다. 광복 후에는 한국 전쟁 때 한강철교와 인도교가 파괴되었고, 이후 재건되었다. 1970년에는 잠실지역의 하중도를 육지로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어 육지와 연결됐고, 잠실지역이 개발되었다.[11] 이 과정에서 남류하던 흐름을 끊으면서 하적호인 석촌호수가 생겨났다.[12] 근대화·산업화로 당시 한강의 수질은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이에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통해 공원을 조성하고 올림픽대로가 만들어지고 수질을 개선시켰다. 이후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중보인 잠실보와 신곡보가 건설되었다.[13] 2007년에 서울시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강에서 수상택시 운영이 이뤄지고 있고, 공원 조성사업으로 한강공원의 개발사업 등이 이뤄지고 있다.[14] 최근, 정부에서 한강에 경인운하·한반도 대운하 등을 건설하여 수운을 이용한 교통체계를 마련하려고 하나, 효율성 등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15] 이름[편집] 한강에 한은 삼한을 가르키는 한이며 "크다" 또는 "왕"이라는 뜻이다. 글자가 없던 시절에 한자를 빌려 (漢江)또는 (韓江)이라고 불렀다. 한강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근처 지역을 백제 때는 한성이라고 불렀고 조선시대 때는 한양이라고 불렀으며 조선의 수도 역할을 하였다. 고구려가 한강을 불렀던 이름인 '아리수'의 '아리'와 백제가 한강을 불렀던 이름인 '욱리하'의 '욱리'는 같은 어원을 가진 말을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는 과정에서 생긴 차이로 보인다. 현재 한국어의 '으리으리하다'의 '으리'와 같은 어원으로서 '크다'의 뜻을 가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는 한강의 '한' 역시 크다(우두머리)는 뜻이므로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다. 한자로 된 우리 지명도 그 어원은 대부분 순우리말인 경우가 많다. 한강의 이름은 그 지역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은데, 송파 부근의 한강을 송파강이라 하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특히나 그 지역은 예전에는 섬이었기 때문에 더더욱 구분하며 부른 것으로 보인다. 한강을 부르는 이름은 모든 지류를 통틀어 말하거나 양수리와 한강 하구 사이의 한강 본류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한강을 기록한 문헌은 삼국사기·동국여지승람·연려실기술·세종실록지리지·고려사지리지·팔도지리지·택리지 등이다. 영어 명칭은 Han River이다. 지형과 지질[편집] 한강 유역은 주로 산계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해발 300m에서 500m 사이 높이의 산이 주로 분포한 저산성 구릉지에 속한다. 한강의 지류들은 보통 수지상 하계망을 이루지만 가평·춘천 등지의 경춘가도 부근 등에는 단층에 의한 직각상 하계망이 발달해 있다. 한강 유역의 대부분은 경기 육괴 지역에 속하며, 남한강 일부는 옥천지향사대에 속한다. 화성활동으로 북한산부터 철원 사이의 광주산맥 부근과 관악산에는 화강암 저반이 발달하였다. 양수리부터 하류 사이의 서울 지역은 연천계 편암과 편마암 그리고 중생대 말기의 불국사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강 남쪽에서부터 동북 쪽으로는 준편마암류와 편암류의 암석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남한강을 비롯한 차령산맥 부근은 화강암이 발달했는데, 불국사 화강암과 함께 쥐라기의 대보화강암이 옥천지향사대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있다. 충적층은 한강의 상류에서 평균 5.29m, 중류에서 5.97m, 하류에서 6.95m의 두께로 나타났다. 지류[편집] 북한강, 임진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강에는 다른 곳에서 온 많은 하천들이 합쳐져 흘러 들어온다. 남한강은 한강의 본류이며, 북한강은 경기도 양평군의 양수리에서 한강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한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발원지~양수리까지의 구간[편집] 골지천(한강의 발원천이다.) 임계천 송천 오대천 어천 지장천 석항천 평창강 속사천 흥정천 대화천 계촌천 주천강 쌍용천 문곡천 옥동천 어곡천 매포천 죽령천 단양천 제천천 장평천 원서천 광천 동달천 달천* 음성천 요도천 한포천 섬강* 금계천 전천 원주천 일리천 서곡천 청미천* 금당천 양화천 복하천* 흑천 북한강* 양수리 이후의 구간[편집] 경기도 동부 합류 정암천 경안천* 오산천 곤지암천 번천 우산천 산곡천 월문천 왕숙천 사릉천 용암천 서울특별시 합류 중랑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 성내천 탄천 양재천 중랑천* 부용천 우이천 청계천 반포천 홍제천 불광천 안양천* 목감천 도림천 대방천 봉천천 고덕천 경기도 서부 합류 임진강 창릉천 굴포천 계양천 봉성포천 장월평천 공릉천* 임진강* 마거천 황공천 한탄강 간파천 사미천 눌노천 문산천* * 국가하천으로 지정된 지류 교통[편집] 양수리 이후 구간의 다리[편집] 지금까지 한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다리가 건설되었다. 하류에서 상류 순으로 다음과 같다. 현재까지 한강의 양수리 이후 구간에 있는 다리는 모두 27개이다. 대부분이 자정, 또는 오전 1시까지 야간 조명을 밝힌다.[16] 일산대교 김포대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행주대교 (구행주대교, 신행주대교) 방화대교 마곡철교 (■ 공항철도) 가양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양화대교 당산철교 (■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철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철교 (■ 수도권 전철 1호선) 한강대교 동작대교 (■ 수도권 전철 4호선) 동작대교 반포대교, 잠수교 반포대교와 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 수도권 전철 3호선)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 서울 지하철 7호선) 잠실대교 잠실철교 (■ 서울 지하철 2호선)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강동대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미사대교 (서울양양고속도로) 팔당대교 팔당댐 관리교 (제한통행:휴일 및 휴일 전일 오후6시 이후만 한시적 가능, 화물차 및 이륜차, 보행자 통행불가) 한강을 가로지르는 횡단 교량이 아닌 강변을 통과하는 종단 교량이 있다. 서호교 (강 북단) 노량대교 (강 남단) 아차산대교 (강 북단) 덕소강변대교 (강 북단) 배알미대교 (강 남단) 여의도 남단을 통과하는 한강의 샛강에는 세 개의 다리가 있다.(강 상류~하류 순으로 나열) 여의 1교 서울교 여의 2교 강 내부의 하중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다리가 있다. 선유교 (강 남단과 선유도공원을 연결한다) 서래1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서래2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서래3교 (강 남단과 서래섬을 연결한다) 도로 및 지하철[편집] 서울에서 한강의 북쪽과 남쪽에는 각각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가 건설되어 있다. 1·2·3·4·7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는 철교를 통해, 5호선과 분당선은 하저 터널을 통해 한강 본류를 관통하고 경의·중앙선은 북한강을 철교로 가로지른다. 이외의 지하철 노선들은 한강 본류를 관통하지 않지만 지하철 8호선과 신분당선은 한강 본류를 관통할 예정이다. 한강시민공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한강시민공원입니다. 한강을 옛날과 같이 깨끗한 강으로 되살리자는 목표로 1982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지역 41.5km의 구간(강일동-개화동)을 살아있는 강으로 변화시킨 공원이다. 아울러 강변에 시민 휴식공원과 축구장·배구장·농구장·수영장 등 각종 체육시설과 수상스키장·요트장·보트장·낚시터·주차장 등을 갖추어, 시민들이 오락·휴양지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그 밖에 자전거 도로 및 산책로가 한강을 따라 개설되었으며[17] 한강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 주요다리에 승강기가 설치되고 있다.[18] 또한 6개의 교량에는 한강전망카페가 설치되어있다. 갤러리[편집] 한강의 야경 서강대교와 뒤로 보이는 북악산 올림픽대교의 모습 서강대교 북단에서 동쪽으로 바라본 한강의 모습 한강의 자전거도로 망원한강치안센터 파노라마[편집] 한강의 파노라마 사진 63빌딩에서 본 한강의 파노라마 사진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아스팔트 사나이 (1995년)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2010년) 국가가 부른다 (2010년) 자이언트 (2010년) 황금의 제국 (2013년) 영화[편집] 괴물 (2006년) 같이 보기[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한강 르네상스 한강의 기적 도시계획 경인 아라뱃길 각주[편집] 내용주 ↑ 원 출처에는 2004년~2013년의 유량 평균이 연 단위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위키백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를 초 단위로 변환하였음. 변환 후 소수점 이하 버림. ↑ 검룡소~디디기벌 구간을 골지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다만 하천법 상 '지방하천 골지천'의 기점은 검룡소가 아니라 디디기벌의 부정당마을로 설정돼 있다. 참조주 ↑ 가 나 다 "월간 山 특별부록 2008년 9월호 함백산(금대봉/대덕산/매봉산)", 《월간 山 — 통권 467호》, 조선일보사:서울, 2008-09-01. ↑ 가 나 다 《우리가람 길라잡이 — 우리 강을 찾아서…》 113쪽,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대전, 2007. ↑ 가 나 다 라 마 《한국하천일람 — 2012.12.31 기준》 82-83쪽,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서울, 2013. ↑ "보도 자료 — 2014년 1월 월간 수자원 현황 및 전망" 3쪽,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2014-01-13. 2014-09-03에 확인. ↑ 2006년 7월 16일 ↑ 1998년 12월 15일 ↑ 반고, 《한서》 제28권 ― 지리지. ↑ 광개토왕릉비 396년 기사 ↑ 《삼국사기》 25권 <백제본기> 제3 개로왕 ↑ 《삼국사기》 3권 <신라본기> 제3 자비마립간 11년 기사 ↑ “영동, 잠실지구 개발”. 경향신문. 1970년 6월 16일. 2010년 2월 19일에 확인함.  ↑ “잠실종합 개발 확정”. 매일경제. 1974년 8월 1일. 2010년 2월 19일에 확인함.  ↑ “한강 종합계발 준공”. 매일경제. 1986년 9월 10일. 2010년 2월 19일에 확인함.  ↑ 김선일 (2009년 9월 25일). “여의도 한강공원 1년 만에 준공”. 내일신문. 2010년 2월 1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병국 (2009년 1월 15일). “경제성없는 경인운하, 정책적으로 강행”. 내일신문. 2010년 2월 1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최명애 (2007년 12월 27일). “[트래블] 겨울, 도시, 불빛 순간을 가두다”. 경향닷컴. 2007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자전거 산책도로 2백50리 조성”. 연합뉴스. 1994년 8월 2일. 2012년 9월 5일에 확인함.  ↑ “서울시 수영장 전면 리모델링”. 조선일보. 2012년 8월 16일. 2012년 9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한강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한강이야기" 메뉴에서 한강의 역사, 발원지, 문화유적, 다리에 대해 읽어볼 수 있다. 한국의 베니스로! 한강르네상스, 《머니투데이》, 2007.7.14.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시행 1년 성적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CNB저널》, 2008.7.7. 한강다리 20곳 조명시설 개선, 《동아일보》, 2009.2.27. 한강다리의 어제와 오늘 vdeh한강의 다리금강 | 낙동강 | 영산강 | 한강본류 통과 일산대교 김포대교 행주대교 방화대교 마곡대교 가양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당산철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철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잠실철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강동대교 미사대교 팔당대교 팔당댐 공도교 강변 통과 서호교 노량대교 두모교 아차산대교 덕소강변대교 배알미대교 섬 연결 선유교 여의2교 서울교 샛강다리 여의교 서래1교 서래2교 서래3교 미개통인 다리 하성대교 월드컵대교 고덕대교 취소된 다리 파주대교 남한강의 다리 북한강의 다리 vdeh 대한민국의 국가하천한강권역 한강 달천 섬강 청미천 복하천 북한강 양구서천 소양강 경안천 중랑천 안양천 굴포천 공릉천 임진강 문산천 안성천 진위천 오산천 신갈천 황구지천 아라천 낙동강권역 낙동강 반변천 내성천 감천 금호강 황강 남강 덕천강 함안천 밀양강 양산천 형산강 태화강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가화천 금강권역 금강 갑천 유등천) 미호천 논산천 노성천 강경천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 만경강 소양천 전주천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 원평천 섬진강권역 섬진강 요천 보성강 영산강권역 영산강 황룡강 지석천 고막원천 함평천 탐진강 vdeh 서울특별시의 하천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강 한강¹ 송파강² 파류 여의도 샛강 노들강 신천강 하천* 고덕천 성내천¹ 감이천 탄천¹ 양재천¹ 우면천 성촌천 여의천 새원천 원지천 신원천 세곡천¹ 내곡천 창곡천¹ 중랑천¹ 도봉천 무수천 백운천² 방학천² 우이천² 대동천² 가오천² 화계천² 묵동천² 당현천 마전내² 공대천² 면목천² 긴고랑천² 청계천 백운동천² 청풍계² 옥류동천² 누각동천² 사직동천² 경복궁내수² 경희궁내수³ 삼청동천² 대은암천³ 창동천² 정릉동천³ 회현동천² 남산동천² 이전동천² 주자동천² 필동천² 생민동천² 옥류천³ 회동천² 제생동천² 금위영천² 북영천³ 안국동천² 묵사동천² 쌍이문동천² 흥덕동천² 효제동천² 남소문동천² 영미정동천² 동활인서천² 성북천² 정릉천² 월곡천² 성수천² 전농천² 반포천² 사당천² 현충천² 홍제천² 난지천 불광천² 녹번천² 세교천² 만초천² 아현천² 봉원천² 선통물천² 안양천¹ 시흥천² 도림천² 대방천² 봉천천² 난곡천² 목감천¹ 역곡천 오류천² 지향천² 항동천¹ 창릉천¹ 북한천¹ 진관천 못자리골천 진관내천 물푸레골천 부둑천¹ 아라천¹ 굴포천¹ 여월천¹ 고리울천¹ 오쇠천¹ 홍릉천² 계곡 수성동계곡 삼천사계곡 진관사계곡 백사실계곡 평창계곡 구기계곡 정릉계곡 구천계곡 우이동계곡 무수골계곡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소귀천계곡 벽운동계곡 * 하천 항목은 모두 한강의 지류이다. (): 괄호 앞의 하천의 지류임을 뜻한다.1: 서울특별시 밖을 지나는 구간이 있다. 2: 복개된 구간이 있다. 3: 궁궐의 금천으로, 복개된 구간이 있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전거 통제 VIAF: 244327234 GND: 7613866-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강&oldid=24387303" 분류: 한강한강 수계충청북도의 하천강원도 (남)의 하천경기도의 하천황해북도의 하천아시아의 국제 하천서울특별시의 하천인천광역시의 하천대한민국의 국가하천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Cebuano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6일 (목) 10: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강(漢江, 영어: Hangang 또는 Han River)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통과해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다. 태백산맥의 금대봉 정상부 북쪽 비탈에서 발원하여 강화해협 부근의 어귀로 흘러가는 물줄기를 본류로 한다. 대한민국의 관찬 자료집인 《한국하천일람》 2013년 판에 따르면 본류 총연장은 494km 남짓이다. 한강 본류는 경기, 관동, 해서, 호서 등 네 지방에 걸쳐 북한강과 임진강을 위시한 수백 개의 지류를 거느리고 있으며, 이 지류들을 기반으로 한강 수계는 한국을 지나는 모든 하천 수계망 중 두 번째로 넓은 빗물받이를 가졌다. 길이로는 압록강, 두만강, 낙동강 등에 이어 한반도에서 네 번째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길다. 유역면적은 26,018km2이며 직할하천 15개 하천연장 813.0km, 지방하천 12개 하천연장 553.0km, 준용하천 678개 하천연장 5,890km로 총 하천 705개 하천 연장 7,256km로 구성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강의 구간은 어떻게 구분되어 있는가? Assistant: 한강이 충분히 커져 법적인 의미의 '하천'으로써 관리되기 시작하는 기점은 태백시 상사미동의 디디기벌 인근에 있으며, 여기서부터[주 2] 아우라지로 유명한 송천 합류점 (정선군 여량면 여량리)까지의 구간을 골지천(骨只川)이라 한다. 이어 송천 합류점에서부터 동대천 합류점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까지의 구간은 조양강(朝陽江), 동대천 합류점에서부터 평창강 합류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까지는 동강(東江), 평창강 합류점에서부터 북한강 합류점(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까지의 구간은 남한강(南漢江)이라 일컫는다. 끝으로 임진강 합류점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에서부터 어귀까지는 조강(祖江)이라 한다. Human: 아래 용감한_가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용감한 가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감한 가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용감한 가족 장르 예능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5년 1월 23일 ~ 2015년 4월 3일 방송 시간 매주 금요일 밤 11:10 ~ 12:40 방송 분량 1시간 30분 방송 횟수 10부작 출연자 심혜진, 이문식, 박명수, 박주미, 강민혁, 설현 음성 1채널 모노 사운드 자막 폐쇄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용감한 가족 홈페이지 《용감한 가족》은 KBS 2TV로 방영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2015년 1월 23일부터 2015년 4월 3일까지 방송되었다. 목차 1 출연자 1.1 중도하차 2 방영 목록&시청률 3 각주 출연자[편집] 심혜진 (엄마) 이문식 (아빠) 박명수 (외삼촌) 박주미 (외숙모) 강민혁 (아들) 설현 (딸) 중도하차[편집] 최정원[1] 방영 목록&시청률[편집] 회차 방송일 촬영지 부제 시청률 1회 1월 23일 캄보디아 톤레사프 호수 첫번째 정착지! 캄보디아 톤레사프 호수 6.2% 2회 1월 30일 물 위에서 사는 법 4.9% 3회 2월 6일 용감한 가족, 가족끼리 왜 이래 4.6% 4회 2월 13일 용감한 가족, 톤레사프에 빠지다! 6.1% 5회 2월 27일 다섯번째 이야기. 가족의 의미, 행복의 비밀 4.3% 6회 3월 6일 라오스 콕싸앗 소금마을 용감한 가족, 소금마을에 가다! 4.2% 7회 3월 13일 용감한 가족, 짭짤한 로맨스! 4.3% 8회 3월 20일 용감한 가족, 가족을 위하여! 4.8% 9회 3월 27일 용감한 가족, 男과 女 4.6% 10회 4월 3일 소금 마을의 기적! 5.3% (시청률 : 닐슨코리아 제공) 각주[편집] ↑ “'용감한 가족' 박명수, 가상 아내 박주미에 '광대 승천'”. 2015년 2월 28일에 확인함.  KBS 2TV 금요일 예능 프로그램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나는 남자다 (2014.08.08 ~ 2014.12.19) 용감한 가족 (2015.01.23 ~ 2015.04.03) 나를 돌아봐 (2015.07.24 ~ 2016.04.29)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수목드라마 (《저스티스》)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아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썸바이벌 1+1》 《살림하는 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이 글은 방송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용감한_가족&oldid=20936022" 분류: 한국방송공사의 연예오락 프로그램대한민국의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방송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3월 16일 (금) 22:2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용감한 가족》은 KBS 2TV로 방영된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며 2015년 1월 23일부터 2015년 4월 3일까지 방송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용감한가족 방영한 회차중 가장높은 시청률은?? Assistant: 6.2%
Human: 아래 영양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양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양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영양군 (왕족)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영양군 영양군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815.14 km2 세대 8,807 가구 (2017.6) 총인구 17,612 명 (2017.6) 인구밀도 22 명/km2 읍 1개 면 5개 군수 오도창(자유한국당) 국회의원 강석호(자유한국당)(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군청 소재지 영양읍 군청길 37 (서부리 379-1) 홈페이지 http://www.yyg.go.kr/ 상징 군목 소나무 군화 연꽃 군조 백로 영양군(英陽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다. 영양군은 청송군, 봉화군과 더불어 경상북도 북부 오지 중 하나로서, 군 전체 인구는 읍 설치 기준에도 못 미친다. 울릉군을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이다. 특산물은 고추, 잎담배, 천궁, 천마 등이 있다. 군청 소재지는 영양읍이고,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다. 목차 1 역사 2 지리 3 행정 구역 4 인구 5 교통 6 문화·관광 7 교육 기관 8 출신 인물 9 국회의원 10 자매 도시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행정구역의 역사는 영양군의 행정 구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동여지도》 신라 초 고은(古隱)이었다. 고구려 장수왕 때는 고구려 땅이었다. 신라 말 영양(英陽)이었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예주부(영해)에 편속 1179년(고려 명종 9년) 영양현 신설, 별호 익양이라 함 1413년(조선 태종 13년) 영해부 편속 1683년(조선 숙종 9년) 영양현 복현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영양군[1]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양군[2] 1914년 4월 1일 진보군 북면(현 입암면 일부), 동면(현 석보면 일부)을 영양군에 편입하였다.[3][4] 다만, 진보군 동면 낙평리는 영덕군 지품면으로 편입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가 다시 대한민국이 수복하였다. 1963년 1월 1일 울진군 온정면 본신리를 수비면에 편입하였다. 1979년 5월 1일 영양면을 영양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5면) 1987년 7월 1일 석보면 양구동, 수비면 기산동을 영양읍에, 입암면 방전동 일부를 석보면에 편입하고, 석보면 북계동을 옥계동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12월 26일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부를 수비면 신암리에 편입하였다. 2003년 8월 5일 청기면 당동출장소를 당리출장소로 개칭하였다. 지리[편집] 경상북도 동북부 태백산맥의 내륙지역에 위치하여 동쪽은 울진군과 영덕군, 서쪽은 안동시, 남쪽은 청송군, 북쪽은 봉화군 등 5개 시군과 경계하고 있다. 태백산맥이 동남방향으로 뻗어 많은 대소계곡을 형성하여 북고남저의 산간분지상의 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전반적인 해발고도가 경북에서 가장 높다. 지질은 대부분 쥬라기의 편마암과 수성암계에 속하는 선캄브리아기의 경기변성암 복합체이다. 행정 구역[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영양군의 행정 구역입니다. 영양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양군의 면적은 815.10km2이며, 인구는 2012년말 기준 8,725세대, 18,383명이다. 인구의 43%가 영양읍에 거주한다. 1975년에는 인구가 70,791명을 기록했으나 이후 인구가 감소하였다.[6] 한반도에 설치된 군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다. 부속도서를 포함하면 울릉군이 1위, 영양군이 2위로 군 전체 인구가 읍 설치 기준에도 못 미친다. 읍면 한자 면적 세대 인구 행정지도 영양읍 英陽邑 130.84 3,423 7,900 입암면 立岩面 79.06 1,191 2,408 청기면 靑杞面 140.01 1,010 1,907 일월면 日月面 125.60 938 1,897 수비면 首比面 217.56 967 1,969 석보면 石保面 122.03 1,196 2,302 인구[편집] 영양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7] 연도 총인구   1960년 56,627명 1966년 68,153명 1970년 67,481명 1975년 67,851명 1980년 52,733명 1985년 43,463명 1990년 31,170명 1995년 23,797명 2000년 20,735명 2005년 17,648명 2010년 16,540명 2013년 18,297명 2017년 17,612명 교통[편집] 영양군의 농어촌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6년 12월, 인근 청송군에 당진영덕고속도로 동청송영양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개통하기 전에는 전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의 하나로 교통도 매우 불편하였다. 다른 지역에서 영양으로 가려면 대부분 이웃한 안동을 경유해야만 했었다. 현재 철도편은 전혀 없으며 국도는 국도 제31호선과 국도 제88호선이 유일하다. 이나마도 4차선 확장이나 직선화가 되어있지 않다. 영양군에서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봉화군의 양원역이다. 문화·관광[편집] 두들마을 영양군청 주도로, 석보면 두들마을(이문열의 고향)등 문인의 고향 4곳에서 답사 프로그램 ‘소풍’을 선보였는데, 두들마을 답사는 석천서당과 정부인 안동 장씨 예절관 등으로 이어진다. 전통한옥체험관에서 음식디미방 요리를 먹을 수 있다.[8] 삼지마을 백두대간의 일월산(해발 1211m)은 영양지역에 우뚝 솟은 산이다. 이 산에서 발원한 대천(반변천)은 영양읍내 북쪽에서 장군천과 합쳐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그 길이가 무려 109.4km이다. 영양읍 ‘삼지마을’은 그 옛날에는 코끼리산에 부딪친 물길이 마을을 휘감아 돌아 '물돌이 마을'로 불렸다. 그러나 물길이 바뀌면서 마을에는 더 이상 물이 흘러들지 않는다. 대신 물이 돌던 땅은 논이 됐고 원댕이못, 탑밑못, 바대못 등 3개의 연못으로 ‘삼지(三池)’라는 이름이 전해온다.[9] 선바위와 남이포 입암면 연당리에 있는 선바위와 남이포는 '영양고추'와 같이 영양의 상징과 같은 곳이다. 선바위 관광지에서 다리를 건너 절벽 밑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가면 ‘남이정’이란 정자가 나온다. 강 건너 절벽에 촛대처럼 하늘로 치솟은 바위가 선바위다. 남이포는 조선시대 남이 장군이 모반세력을 평정한 곳이라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9] 일월산 척금대 영양산촌생활박물관 지훈문학관 수하계곡 서석지 이외에 측백수림, 연당마을, 두메송하마을, 영양고추홍보관, 용화리삼층석탑, 삼의계곡, 일월산과 자생화공원, 반딧불이천문대 및 생태공원 등이 있다.[9] 교육 기관[편집] 고등학교    영양고등학교 수비고등학교 영양여자고등학교 중학교    영양중학교 입암중학교 석보중학교 수비중학교 영양여자중학교 초등학교    영양초등학교 영양중앙초등학교 입암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일월초등학교 청기분교장 일월초등학교 청북분교장 수비초등학교 석보초등학교 출신 인물[편집] 조지훈 (시인) 이재오 (정치인) 이문열 (소설가) 이일화 (여배우) 임현규 (경북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 출생) 곽광식 (기업인) 국회의원[편집] 국회의원은 영양군과 봉화군, 영덕군, 울진군이 한 명을 뽑는다.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동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 각주[편집]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경상북도령 제2호 (1914년 3월 16일) (6면)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영양군 통계연보[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 송의호 기자 (2009년 6월 15일). “산골로 떠나는 ‘소풍’ … 별미와 문학이 반기네”. 중앙일보사.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다 “경북 영양 ‘삼지마을’ 물길은 말라도 풍광은 그대로”. 경향신문. 2008년 6월 17일. 2010년 5월 23일에 확인함.  이름 목록에서 |이름1=이(가) 있지만 |성1=이(가) 없음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영양군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영양군청 (공식)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북도 울진군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영양군     경상북도 청송군 vdeh 경상북도의 행정 구역도청소재지: 안동시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포항시 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경상북도 영양군의 행정 구역 군청소재지: 영양읍 영양읍 석보면 수비면 일월면 입암면 청기면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양군&oldid=24367975" 분류: 영양군경상북도의 군1895년 설치1914년 폐지1914년 설치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인용 오류 - 저자 또는 편집자 없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ebuano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МонголNorskРусскийSvenskaاردو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5: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양군(英陽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다. 영양군은 청송군, 봉화군과 더불어 경상북도 북부 오지 중 하나로서, 군 전체 인구는 읍 설치 기준에도 못 미친다. 울릉군을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이다. 특산물은 고추, 잎담배, 천궁, 천마 등이 있다. 군청 소재지는 영양읍이고,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다. 자체 경찰서는 있으나 소방서는 인근 안동소방서에서 담당한다. 그러나 울릉군보다 인구밀도가 낮고 현재 한국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군인 인제군보다 인지도가 낮고, 복무 중인 군인들의 대다수가 여기에서 복무하기 때문에 인제군보다 영양군이 더 낮을 수 있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낙후된BYC(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중 한 곳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양군의 연도별 인구변화는 어떠한가요? Assistant: 연도 총인구   1960년 56,627명 1966년 68,153명 1970년 67,481명 1975년 67,851명 1980년 52,733명 1985년 43,463명 1990년 31,170명 1995년 23,797명 2000년 20,735명 2005년 17,648명 2010년 16,540명 2013년 18,297명 2017년 17,612명 Human: 아래 생물_군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생물 군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물 군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생물 군계(生物群系) 또는 바이옴(biome)은 기후적, 또는 지리적으로 지구상에서 유사한 기후적 환경에 있는 식물 군집이나 동물 군집 그리고 토양 유기체로 정의되며[1], 종종 생태계로 언급되기도 한다. 지구의 일부는 어느 정도 같은 종류의 생물학적 요인과 비생물학적 요인을 가지며, 광범위한 지역에 퍼져 전형적인 생태계를 구성한다. 그러한 주요 생태계를 생물군계(biomes)라고 용어화한다. 생물군계는 식물 구조(나무나 관목, 풀 등과 같은)나 잎의 형태(침엽수, 활엽수), 식물의 간격(숲, 삼림, 사바나), 기후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정의된다. 생태지역(ecozone)과는 달리 생물군계는 유전학적, 분류학적, 또는 역사적 유사성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생물군계는 또한 생태학적 연속성과 극상식생(현지 식생의 준안정상태)의 특정 패턴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생태계는 많은 소생활권을 가지며, 생물군계는 주요한 서식지 유형이다. 그러나 주요 서식지 유형은 본질적인 동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충안일 뿐이다. 각 생물군계의 생물의 다양성 특징, 특히 동물의 다양성과 준지배 식물의 형태는 비생물학적 요인이며, 주요 식생의 생물량의 생산성이다. 육지의 생물군계에서 종의 다양성은 1차 생산, 수분량 그리고 기온과 서로 능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생태구역(Ecoregions)은 상물군계와 생태지역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근본적인 생물군계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육상 생물 군계 수중 생물 군계(바다와 민물 생물군계를 모두 포함) 생물군계는 현지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온대초원(Temperate grasslands), 사바나(savannas), 관목지대(shrublands)는 중앙아시아에서는 스텝이라고 하며, 북미에서는 프레리, 남미에서는 팜파스라고 부른다. 열대 초원은 오스트리레일리아에서는 사바나라고 하며, 반면 남아프리카에서는 벨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 실행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 하에서 종종 생물군계 전체가 보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기후는 육상 생물 군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중요 기후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위도 : 극지방, 아한대, 온대, 아열대, 열대 습도 : 다습, 반다습, 반건조, 건조 계절적 요인: 건조한 여름, 습한 겨울: 고도 :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분포되는 유형의 차이가 있다. 목차 1 생물 군계 도식 2 생물 군계 지도 2.1 민물 생물군계 3 같이 보기 4 각주 5 외부 링크 생물 군계 도식[편집] 생물군계 분류 도식은 기후적 측정을 사용하여 생물군계를 정의하는 탐구를 한다.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그런 발견이 생태계 내의 요소들 사이에서의 에너지 포착과 전이율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과 생태계 역학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연구는 1978년 심스 등에 의해 북미 초원지대에 대한 연구로 시도되었다. 그 연구에서 mm/yr의 증발산량과 지상의 g/m^2/yr 단위의 순 1차생산 사이의 능동적인 논리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그 연구에서 나온 보다 일반적인 결과는 강수량과 물의 사용이 지상의 1차 생산을 이끌었으며, 태양광과 기온이 지하의 1차 생산(뿌리)를 이끌었고, 기온과 물이 따듯하고, 시원한 계절적 성장 습성을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다.[2] 이러한 발견은 홀드릿지의 생물분류 도식에 사용된 범주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 휘태커에 의해 단순화 되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용된 분류 도식의 수와 다양한 결정정자는 만들어진 분류 도식에 완벽히 맞추지는 못하지만, 강력한 지시자로서 수용되었다. 생물 군계 지도[편집]      빙상과 극지 사막      툰드라      타이가      온대 활엽수림      온대 스텝      아열대우림      지중해 식생      몬순 우림      건조 사막      건조관목지대      건조 스텝      반건조 사막      초지 사바나      수림 사바나      아열대 건조우림      열대우림      산악 툰드라      산악 우림 민물 생물군계[편집] 주요 바다의 배수 분지와 세계의 바다. 회색 지역은 바다로 통하지 않는 내부 유역 분지이다. 같이 보기[편집] 생명계학 각주[편집] ↑ The World's Biomes, 2008년 8월 19일 작성, 캘리포니아 대학 Museum of Paleontology ↑ Pomeroy, Lawrence R. and James J. Alberts, editors. Concepts of Ecosystem Ecology. New York: Springer-Verlag, 1988. 외부 링크[편집]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en:Biome Biomes of the world (Missouri Botanic Garden) Global Currents and Terrestrial Biomes Map WorldBiomes.com is a site covering the 5 principal world biome types: aquatic, desert, forest, grasslands, and tundra. UWSP's online textbook The Physical Environment: - Earth Biomes Panda.org's Habitats - describes the 14 major terrestrial habitats, 7 major freshwater habitats, and 5 major marine habitats. Panda.org's Habitats Simplified - provides simplified explanations for 10 major terrestrial and aquatic habitat types. UCMP Berkeley's The World's Biomes - provides lists of characteristics for some biomes and measurements of climate statistics. Gale/Cengage has an excellent Biome Overview of terrestrial, aquatic, and man-made biom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rees native to each, and has detailed descriptions of desert, rain forest, and wetland biomes. NASA's Earth Observatory Mission: Biomes gives an exemplar of each biome that is described in great detail and provides scientific measurements of the climate statistics that define each biome. vdeh생물지리학적 지역화생물군계육상생물군계극지/산악 툰드라 타이가·북방수림 초원·관목지 온대 침엽수림 활엽수혼합림 낙엽수림 초원·사바나·관목지 열대 및 아열대 침엽수림 습윤활엽수림 건조활엽수림 초원·사바나·관목지 건조 지중해성 삼림·소림·관목지 사막 건조 관목지 다습 범람 초원·사바나 하안지대 습지대 수생생물군계 못 천해대 조간대 홍수림 다시마숲 산호초 근해대 해수대 저생대 열수분출공 냉수용출대 저층대 기타 생물군계 암석내생대 생물지리구대륙지리구 에티오피아구 남극구 오스트레일리아구 신북구 구북구 동양구 신열대구 오세아니아구 해양지리구 북극구 온대 북태평양구 열대 대서양구 서인도태평양구 중인도태평양구 열대 동태평양구 세분 생물지리지역 생물지역 생태지역 참조 사항 생태학적 토지분류 Floristic kingdoms 식생분류 동물지리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생물_군계&oldid=23026308" 분류: 생물 군계숨은 분류: 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Кыргызча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est-Vlams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5일 (목) 18: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생물 군계(生物群系) 또는 바이옴(biome)은 기후적, 또는 지리적으로 지구상에서 유사한 기후적 환경에 있는 식물 군집이나 동물 군집 그리고 토양 유기체로 정의되며, 종종 생태계로 언급되기도 한다. 지구의 일부는 어느 정도 같은 종류의 생물학적 요인과 비생물학적 요인을 가지며, 광범위한 지역에 퍼져 전형적인 생태계를 구성한다. 그러한 주요 생태계를 생물군계(biomes)라고 용어화한다. 생물군계는 식물 구조(나무나 관목, 풀 등과 같은)나 잎의 형태(침엽수, 활엽수), 식물의 간격(숲, 삼림, 사바나), 기후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정의된다. 생태지역(ecozone)과는 달리 생물군계는 유전학적, 분류학적, 또는 역사적 유사성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생물군계는 또한 생태학적 연속성과 극상식생(현지 식생의 준안정상태)의 특정 패턴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생태계는 많은 소생활권을 가지며, 생물군계는 주요한 서식지 유형이다. 그러나 주요 서식지 유형은 본질적인 동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충안일 뿐이다. 각 생물군계의 생물의 다양성 특징, 특히 동물의 다양성과 준지배 식물의 형태는 비생물학적 요인이며, 주요 식생의 생물량의 생산성이다. 육지의 생물군계에서 종의 다양성은 1차 생산, 수분량 그리고 기온과 서로 능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생태구역(Ecoregions)은 상물군계와 생태지역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근본적인 생물군계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육상 생물 군계 수중 생물 군계(바다와 민물 생물군계를 모두 포함)생물군계는 현지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온대초원(Temperate grasslands), 사바나(savannas), 관목지대(shrublands)는 중앙아시아에서는 스텝이라고 하며, 북미에서는 프레리, 남미에서는 팜파스라고 부른다. 열대 초원은 오스트리레일리아에서는 사바나라고 하며, 반면 남아프리카에서는 벨드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 실행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행동 계획》 하에서 종종 생물군계 전체가 보호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기후는 육상 생물 군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중요 기후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위도 : 극지방, 아한대, 온대, 아열대, 열대 습도 : 다습, 반다습, 반건조, 건조 계절적 요인: 건조한 여름, 습한 겨울: 고도 :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분포되는 유형의 차이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생문 군계 도식은 무엇일까? Assistant: 생물군계 분류 도식은 기후적 측정을 사용하여 생물군계를 정의하는 탐구를 한다.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그런 발견이 생태계 내의 요소들 사이에서의 에너지 포착과 전이율 예측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과 생태계 역학적 특징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연구는 1978년 심스 등에 의해 북미 초원지대에 대한 연구로 시도되었다. 그 연구에서 mm/yr의 증발산량과 지상의 g/m^2/yr 단위의 순 1차생산 사이의 능동적인 논리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그 연구에서 나온 보다 일반적인 결과는 강수량과 물의 사용이 지상의 1차 생산을 이끌었으며, 태양광과 기온이 지하의 1차 생산(뿌리)를 이끌었고, 기온과 물이 따듯하고, 시원한 계절적 성장 습성을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다.[2] 이러한 발견은 홀드릿지의 생물분류 도식에 사용된 범주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 휘태커에 의해 단순화 되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용된 분류 도식의 수와 다양한 결정정자는 만들어진 분류 도식에 완벽히 맞추지는 못하지만, 강력한 지시자로서 수용되었다.
Human: 아래 고기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고기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고기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고기현 기본정보생년월일 1986년 5월 11일(1986-05-11) (33세)출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키 160cm 몸무게 48kg스포츠국가 대한민국종목 쇼트트랙최고기록500m 46.448초 (2004)1000m 1분 35.729초 (2004)1500m 2분 25.269초 (2003)3000m 5분 29.013초 (2004)성적올림픽 ×1 ×1세계선수권대회 ×2 ×3 ×1ISU 월드컵데뷔 2001년 9월 21일창춘 (1500m 1위)포디움 ×13 ×1 ×5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여자 쇼트트랙 올림픽 금 2002 솔트레이크시티 1500m 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1000m 세계 선수권 대회 금 2003 몬트리올 3000m 계주 금 2004 예테보리 3000m 계주 은 2003 몬트리올 종합 은 2003 몬트리올 1000m 은 2003 몬트리올 1500m 동 2003 몬트리올 3000m 세계 선수권 대회 (팀) 금 2002 밀워키 종합 금 2003 소피아 종합 금 2004 상트페테르부르크 종합 아시안 게임 동 2003 아오모리 1500m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금 2001 바르샤바 1000m 금 2001 바르샤바 1500m 슈퍼파이널 은 2001 바르샤바 종합 고기현(高基鉉, 1986년 5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쇼트트랙 선수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목일중학교 재학 시절 국가대표로 뽑혔고 7월 1일 이전에 태어난 관계로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었다.[1] 중학교 졸업반 학생으로 2002년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제19회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1500m에서 금메달, 1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최연소 개인종목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2] 솔트레이크 대회 이후에는 부상으로 슬럼프에 빠졌고,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입학하여 현역에서 은퇴한 후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변신을 위해 유학을 떠났다.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스포츠매니저로서 쇼트트랙 경기를 총괄 운영하였고, 현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에 재직 중에 있으며, ISU 쇼트트랙 인터내셔널 레프리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체육상 경기부문 수상자였으며[2], 2008년 10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다.[3] 학력[편집]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졸업 목일중학교 졸업 세화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 학사 각주[편집] ↑ 쇼트트랙 탐구생활 - 조해리, 그녀에게 노장이란 단어는 없다 - SBS ↑ 가 나 제40회 대한민국체육상 시상 ↑ 올림픽 탁구 금메달 유승민 등 5명 체육훈장 청룡장 - 노컷뉴스 외부 링크[편집] 고기현 - 인스타그램 (영어) 고기현 - 국제 빙상 연맹 (영어) 고기현 - Sports Reference.com vdeh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1500m 금메달리스트 2002: 고기현 2006: 진선유 2010: 저우양 2014: 저우양 2018: 최민정 vdeh 2002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금메달 고기현 (쇼트트랙 여자 1500m) 박혜원 주민진 최민경 최은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은메달 고기현 (쇼트트랙 여자 1000m) 최은경 (쇼트트랙 여자 1500m) 2 2 0 종합 14위 이 글은 빙상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고기현&oldid=24116025" 분류: 198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2002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200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체육훈장 청룡장 수훈자대구광역시 출신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 동문목일중학교 동문세화여자고등학교 동문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숨은 분류: 빙상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فارسیFrançaisItalianoNederlandsPolski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00: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고기현(高基鉉, 1986년 5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쇼트트랙 선수이며, 행정가이다. 목일중학교 재학 시절 국가대표로 뽑혔고 7월 1일 이전에 태어난 관계로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었다. 중학교 졸업반 학생으로 2002년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제19회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1500m에서 금메달, 1000m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최연소 개인종목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솔트레이크 대회 이후에는 부상으로 슬럼프에 빠졌고, 연세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입학하여 현역에서 은퇴한 후 스포츠행정가로서의 변신을 위해 유학을 떠났다. 2013 평창동계스페셜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스포츠매니저로서 쇼트트랙 경기를 총괄 운영하였고, 현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에 재직 중에 있으며, ISU 쇼트트랙 인터내셔널 레프리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대한민국 문화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체육상 경기부문 수상자였으며, 2008년 10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체육훈장 청룡장을 받았다. 현재는 대한빙상경기연맹 이사로 맡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고기현이 처음으로 올림픽에 참가한 년도는 언제일까? Assistant: 2002년 Human: 아래 스프리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프리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프리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프리스SPRIS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스포츠웨어 창립 1996년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64 (역삼동)금화빌딩 4층 사업 내용 스포츠웨어 사업 제품 의류, 신발, 액세서리 스프리스(SPRIS)는 1996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의류 유통 브랜드이면서 스프리스 브랜드를 운영하는 의류 유통 기업이다. 금강제화의 계열사인 스프리스는 여러 스포츠 의류 용품들을 한 매장에서 취급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2008년 1월에는 자체 브랜드인 스프리스타를 발표하였다. 목차 1 연혁 2 브랜드 2.1 취급 중인 브랜드 2.2 취급 했던 브랜드 3 역대 광고모델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6년 주식회사 금화스포츠 창업, 용인물류센터 가동 1997년 주식회사 스프리스로 상호변경 1998년 주식회사 베잔트와 합병, 자본금 63억으로 증자, 직영점 19점, 대리점 37점 운영 2001년 라코스테 신발 대한민국 내 독점 계약 2005년 <자이언트> 여자프로복싱팀 창단, KI팀 결성 2008년 오리지널DL 캔버스화 1,000만족 판매 돌파, 매장 198점 브랜드[편집] 취급 중인 브랜드[편집] 스프리스타(SPRISTAR)(자체 브랜드) 에버라스트(EVERLAST) 헬리한센(HELLY HANSEN) 폴로 랄프로렌(POLO Ralph Lauren) 에어워크(AIR WALK) 스코노(SKONO) 미즈노(MIZNO) 크록스(CROCS) 에트니스(ETNIES) 이파네마(IPANEMA) 취급 했던 브랜드[편집] 컨버스(CONVERSE) (미국 나이키사에 브랜드 인수) 뉴발란스(NEW BALANCE) 라코스테(LACOSTE) TAKI 183(자체 브랜드) KI(케이아이) 역대 광고모델[편집] 슈가 크라잉넛 MC몽 데니스 강 이준기 김범 고아라 2PM 김수현 (2011년~2012년) 은정 TWICE 외부 링크[편집] 스프리스 - 공식 웹사이트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프리스&oldid=23100339" 분류: 1996년 설립된 기업대한민국의 의류 기업서울특별시의 기업숨은 분류: 기업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6일 (월) 18: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프리스(SPRIS)는 1996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의류 유통 브랜드이면서 스프리스 브랜드를 운영하는 의류 유통 기업이다. 금강제화의 계열사인 스프리스는 여러 스포츠 의류 용품들을 한 매장에서 취급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2008년 1월에는 자체 브랜드인 스프리스타를 발표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프리스의 자체 브랜드는 무엇이 있을까? Assistant: 스프리스타
Human: 아래 육군사관학교_(일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육군사관학교 (일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군사관학교 (일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육군사관학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육군사관학교 陸軍士官学校[*] 도쿄 부 이치가야 1907년에 촬영된 육군사관학교 종류 사관학교 건설 일본 제국 육군 건설자 일본 제국 육군 건설 재질 콘크리트 사용 일본 제국 육군(1868~1945) 해체 아니요 소유자 주일 미군 공공에 개방 아니요 육군사관학교(일본어: 陸軍士官学校 리쿠군시칸갓코[*], 영어: Imperial Japanese Army Academy)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다. 목차 1 역사 1.1 기원 1.2 사관생도제도 1.3 사관후보생제도 1.4 사관학교 예과·본과 제도 1.5 사관학교·예과사관학교 1.6 육군항공사관학교 2 관련자 명단 2.1 사관생도 2.2 사관후보생 2.3 육군사관학교 예과 / 본과 3 참고문헌 4 각주 역사[편집] 기원[편집] 1868년(메이지 1년)에 교토에 설치된 병학교(兵學校, 훗날 병학소(兵學所)로 개칭)가 기원이다. 1869년(메이지 2년) 9월에 오사카로 이전하여 병학료(兵學寮)가 되었다. 1871년(메이지 4년)에는 도쿄로 이전하였다. 사관생도제도[편집] 개교 당시의 육군사관학교 1874년(메이지 7년) 10월에 제정된 육군사관학교 조례에 따라, 12월에 도쿄 부 이치가야(市ヶ谷台)에 육군사관학교가 개교하였고, 1875년(메이지 8년) 2월에 제1기 사관생도가 입교하였다. 이른바 구 육군사관학교(舊陸軍士官學校)로 불린다. 교육제도는 프랑스식을 따랐으며 프랑스 육군에서 초빙된 교관이 지도하였다. 수학기간은 병과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보병과 기병은 처음에는 2년이었지만 1876년(메이지 9년)에 3년으로 변경되었다. 포병과 공병은 처음에는 3년이었지만 1876년(메이지 9년)에는 4년이 되었고, 1881년(메이지 14년)에는 5년으로 연장되었다. 포병과 공병은 재학기간이 길었고, 소위로 임관한 이후에도 학교에 남아 있었으며, 생도소위로 불렀다. 사관생도제도는 제11기생까지 계속되다가 폐지되었다(사관생도 졸업생 1285명). 학습 내용은 1학년에서 기하학·대수학·역학·이학·화학·지학, 2학년은 군정학·병학·축성학·철도통신학 등을 배웠다. 교육제도의 특징은 포병과 공병의 교육기간이 길었다는 점이다. 게다가 훗날 사관후보생제도(독일식 육군사관학교 제도)와는 다르게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자를 병사나 하사관의 경험 없이 군대 내의 엘리트 장교로 양성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장교 적격자가 적었던 근대 프랑스에서는 유효하였다. 근대 프랑스에서는 독일과는 다르게 궁정 관료, 행정·사법 관료, 지주 등의 귀족 자제로부터 장교를 배출하는 장교 임용 제도였고,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 소멸하였다. 프랑스 혁명군 및 나폴레옹 군에서 장교는 평등하게 병사와 하사관의 호선에 의해서 선출되어 군단을 관할하는 원수에 의해서 채용되어 임용되었다. 그러나 호선 장교는 과거 전문적인 사관학교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기병 원수 미셸 네(Michel Ney)와 같이 각 병과 간의 전술의 융통성을 결여하거나 왕성한 전의로 공세만을 고집하여 철퇴 시기를 잘못 판단하는 등 전략적 시야가 좁은 인물도 있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중에 귀족 출신 장교의 소멸 후, 근대 프랑스에서는 유복한 관료나 부르주아지로부터 고학력 자제를 모집하여 시험제도에 의해서 유년학교, 사관학교에 입학시켜 사관학교 졸업 후에 장교로 임용하였다. 그들의 교양있고 유복한 부모를 회유하기 위해 병사나 하사관으로부터 분리된 완전한 엘리트로서의 장교 교육제도가 성립하였다. 일본의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는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자 뿐만 아니라 보신 전쟁에 참전하고 병사에서 진급한 하사관이나,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와 같이 하사관 양성 기관인 교도단(教導團) 출신의 하사관 등도 입학하였다.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의 특색의 하나는 이와 같은 하사관을 장교로 임용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소위가 되어 육대벌(陸大閥)이 출현하기 이전 조슈벌이나 사쓰마벌 우에하라 유사쿠(上原勇作)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육군 장교단의 주축이 되었다. 한편, 프랑스식 유년학교로부터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젊은층이 있었다. 이들의 상당수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 몰락한 빈곤한 구 번사와 한학이나 수리 등의 초등교육을 거친 고학력 자제였다. 훗날 독일식 육군사관학교 제도와는 다르게 이들은 평상시 중대 내무반으로 파견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병사나 하사관의 경험을 없었다. 이때문에 프랑스식 유년학교 출신으로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청년 소위는 장교가 되어도 중도에 퇴직하는 경우가 상당수 나왔다. 또한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 입학자에는 구제 중학교(舊制中學校) 출신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1886년(메이지 19년) 4월에 칙령 제15호 《중학교령》에 의해서 구제 심상중학교가 고등중학교(훗날 구제 고교)와 함께 설치되었다. 즉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는 1886년(메이지 19년) 칙령 제15호 《중학교령》이 공포되기 이전의 제도였기 때문이다. 구 제2기의 이구치 세이고(井口省吾)나 구 제11기의 나라 다케지(奈良武次)가 구제 중학교 졸업이 아니고 사숙이나 사립학교 졸업 후에 프랑스식 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것은 구제 중학교의 제도가 아직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일식 《육군사관학교관제》의 공포는 1887년(메이지 20년)에 칙령 제25호에 의해서 였으며, 《제국대학령》, 《중학교령》의 공포 이후에 있었다. 1877년(메이지 10년) 세이난 전쟁 당시에는 입교하여 아직 1 ~ 2년 정도밖에 안되는 제1기생과 제2기생이 견습생으로 동원되었고, 교장 소가 스케노리(曾我祐準)와 육군경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県有朋)까지도 출병하였다. 이 영향으로 같은 해 2월에 입학할 예정이던 제3기생은 세이난 전쟁으로 같은 해 5월까지 대기 상태에 있었다. 아키야마 요시후루(秋山好古)도 그 중의 한 명이다. 사관후보생제도[편집] 1887년(메이지 20년)에 프로이센식 사관후보생제도가 채용되어, 1889년(메이지 22년)에 제1기생이 입교하였다. 사관후보생은 육군유년학교 및 구제 중학교(현재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에 상당) 출신자로부터 배출되어 지정된 연대나 대대(원대(原隊)라고 함)에서 하사관병(일등병 또는 상등병으로 시작)으로서 부대 근무를 거친 후에 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하사관병으로서 부대 근무를 거치는 점이 해군사관학교와 달랐다. 중학교 출신자는 12월에 일등병으로서 입대히여 다음 해 6월에 상등병으로 승진하였다. 유년학교 출신자는 중학교 출신자가 상등병이 되는 것과 동시에 상등병으로서 입대하였다. 8월에 오장(伍長)가 되었으며, 12월에는 군조(軍曹)가 되었다. 사관학교를 졸업하면 조장(曹長)으로 진급하여 견습사관이 되어 원대에 복귀하였다. 원대의 장교단의 추천에 의해 소위로 임관하였다. 1896년(메이지 29년) 5월 15일에 육군중앙유년학교 조례 및 육군지방유년학교 조례가 제정되어 유년학교의 수학기간이 중앙 및 지방 모두 5년이 되었다. 유년학교 학생간의 유대가 깊어지는 것과 동시에 유년학교 출신자와 중학교 출신자와의 사이에 구별 의식이 강해졌다. 신제도의 중앙유년학교 출신자는 육사 제15기 이후이다. 1909년(메이지 42년, 융희 3년) 7월 30일에 제정된 대한제국 칙령에 의해서 대한제국의 육군무관학교는 폐지되었고, 대한제국 육군 무관의 양성은 위탁에 의하여 일본 육군사관학교에서 행해지게 되었다.[1] 사관학교 예과·본과 제도[편집] 1920년(다이쇼 9년)에 종래 육군중앙유년학교가 육군사관학교 예과, 종래 육군사관학교가 육군사관학교 본과로 되었다. 예과의 수학기간은 4월 1일에 입교하여 2년 후 3월에 졸업하였다. 예과 재학 중에는 계급은 부여되지 않고, 졸업 시에 상등병으로 병과 및 원대의 지정이 이루어졌다. 졸업 후 4월부터 반년 간 부대에 배치되고(이 기간에 오장으로 승진), 군조로 승진하면서 10월에 본과에 입교하였다. 본과의 수학기간은 1년 10개월로 다음 해 7월에 졸업하여 견습사관(계급은 군조)이 되었다. 신제도의 육사 예과 출신자는 본과 제37기생 이후이다. 사관학교·예과사관학교[편집] 1937년(쇼와 12년)에 육군사관학교 본과는 육군사관학교라고 개칭되었고, 육군사관학교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는 자마로 이전하였고, 쇼와 천황으로부터 상무대(相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1938년(쇼와 13년)에 육사 본과의 수학기간이 1년 8개월로 단축되었고, 1941년(쇼와 16년)에는 1년으로 단축되었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1939년(쇼와 14년)에는 갑종간부후보생의 교육기관으로서 육군예비사관학교가 설치되었다. 1941년(쇼와 16년)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아사카로 이전하여 진무대(振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진다. 1945년(쇼와 20년) 6월에 제58기생이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상무대는 주일 미군에 접수되어 현재 캠프 자마(Camp Zama)의 일부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가 폐교되면서 제59기생에게는 특별히 졸업 자격이 주어졌다. 제60기생은 8월 28일 각의 결정에 의하여 필기시험 없이 문부성 소관의 학교에 전입시키는 조치가 취해졌지만 당시 일고(一高)는 그 지시에 거부하고 전입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군항공사관학교[편집] 1937년(쇼와 12년) 10월 1일에 항공 병과 장교로 육성할 생도 및 학생의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육군항공사관학교분교가 설치되었다. 1938년(쇼와 13년) 12월에 분교는 육군항공사관학교로서 독립하였고, 1941년(쇼와 16년)에 수무대(修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항공사관학교는 전문 교육이기 때문에 조기 입교를 시켜서 부대 근무를 하지 않았다. 관련자 명단[편집] 2004년에 제정된 대한민국의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0호는 ‘일본 제국주의 군대의 소위(少尉) 이상의 장교로서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한 행위’를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하였다( -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사관생도[편집] 기수 입학 졸업 이름 일본군 계급 주요 경력 비고 11기 1886년 1889년 박유굉 1888년 재학 중 자살, 도쿄 아오야마 묘지에 매장 사관후보생[편집] 기수 입학 졸업 이름 일본군 계급 주요 경력 비고 8기 1896년 1897년 성창기 대한제국 참령 권태간 대한제국 부령 왕유식 소장 대한제국 정령 조성근 중장 대한제국 참장,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대규 대한제국 참령 김상열 이병무 중장 대한제국 육군부장, 조선귀족(자작)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협조 이희두 소장 대한제국 참장 신우균 중좌 대한제국 참령 11기 1898년 1899년 강용희 대한제국 정위 권승록 대좌 대한제국 정위 권호선 대한제국 참위 일심회 쿠데타 사건으로 옥사 김관현 대한제국 정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교선 대한제국 정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규복 대한제국 참위 김상설 대한제국 부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성은 대한제국 부령 김형섭 대좌 대한제국 정위 김홍남 대한제국 정위 김홍진 대한제국 참위 일심회 쿠데타 사건으로 형사 김의선 대한제국 참령,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차장 노백린 대한제국 정령,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국무총리 방영주 대한제국 참령 어담 대한제국 정령,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윤치성 대한제국 부령 이기옥 대한제국 정위 임재덕 대한제국 참령 장인근 소좌 대한제국 정위 장호익 대한제국 참위 일심회 쿠데타 사건으로 형사 조택현 대한제국 참위 일심회 쿠데타 사건으로 형사 15기 1902년 1903년 김기원 중좌 대한제국 참령 김응선 소장 대한제국 참령 남기창 대한제국 참령 류동렬 대한제국 참령, 대한민국 임시 정부 참모총장 박두영 대좌 대한제국 참령,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박영철 대한제국 참령,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갑 대한제국 참령 전영헌 대한제국 부령 23기 1909년 1911년 김광서 중위 일본 육사 최우등 졸업 1기 김일성 장군으로 추정 26기 1912년 1914년 권영한 중위 대련상업학교 교사 김준원 중위 배재·오산중학교 교사, 대한민국 육군 준장 민덕호 중위 박승훈 소좌 대한민국 육군 준장 신태영 중좌 대한민국 육군 중장 안병범 대좌 대한민국 육군 대령(준장 추서) 한국 전쟁 당시 자살 염창섭 중위 오산중학교 교사, 만주국 참사관 유승열 대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이대영 소좌 대한민국 육군 준장 이응준 대좌 대한민국 육군 중장 지청천 중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광복군 총사령관 조철호 중위 오산학교·중앙고보·보성전문 교사 홍사익 중장 연합군 전범재판에서 사형 27기 1913년 1915년 김석원 대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김인욱 중좌 김종식 중위 김중규 중위 남우현 중좌 박창우 중위 백홍석 대좌 대한민국 육군 소장 서정필 중위 원용국 대위 유관희 대위 윤상필 소좌 이항우 중좌 이동근 소위 이종혁 중위 참의부 군사위원장 이희겸 중위 영생중학교 교사 장기형 중위 장석윤 중위 휘문·오산중학교 교사, 대한민국 육군 대령 장성식 중위 장유근 중위 남대문상업학교·오산중학교 교사 정훈 중좌 조선군사령부 보도부장 29기 1915년 1917년 이은 중장 영친왕 조대호 소좌 조선귀족(자작), 조선총독부 촉탁 조선귀족(자작) 조중응의 장남 30기 1916년 1918년 엄주명 중위 대한민국 육군 준장 육군사관학교 예과 / 본과[편집] 기수 입학 졸업 이름 일본군 계급 주요 경력 비고 42기 1926년 1930년 이건 중좌 공 44기 1928년 1932년 이형석 소좌 대한민국 육군소장 신병으로 1년 휴학 후 45기로 졸업 45기 1929년 1933년 이우 중좌 (대좌 추서) 공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 폭탄에 피폭되어 사망 49기 1933년 1937년 채병덕 소좌 대한민국 육군소장 (중장 추서) 한국 전쟁 하동 전투에서 전사 이종찬 소좌 대한민국 육군중장 50기 1934년 1937년 이용문 소좌 대한민국 육군준장 (소장 추서) 한국 전쟁 당시 비행기 사고로 전사 지린태 중위 (대위 추서) 항공사관학교 졸업, 할힌골 전투에서 전사 52기 1936년 1939년 박범집 소좌 대한민국 공군준장 (소장 추서) 한국 전쟁 당시 비행기 사고로 전사 최명하 중위 (대위 추서) 항공사관학교 졸업, 수마트라 섬에서 전사 53기 1937년 1940년 신응균 소좌 대한민국 육군중장 박재흥 소좌 54기 1937년 1940년 강석호 중위 애드미럴티 제도에서 전사 김정렬 대위 대한민국 공군중장 항공사관학교 졸업 노태순 대위 버마 전선에서 전사 김석범 상위 대한민국 해병중장 만주국 봉천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석희봉 만주국 봉천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55기 1938년 1941년 김창규 대위 대한민국 공군중장 유재흥 대위 대한민국 육군중장 전원상 대위 방글라데시에서 전사 정일권 상위 대한민국 국무총리, 대한민국 육군대장 만주국 봉천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56기 1939년 1942년 김종석 대위 대한민국 육군중령 남로당 관계 숙군 과정에서 체포·사형 이형근 대위 대한민국 육군대장 최정근 대위 오키나와에서 전사 최창식 대위 대한민국 육군대령 한국 전쟁 당시 한강교 폭파 책임으로 사형 김민규 대한민국 육군대위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박임항 중위 대한민국 육군중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이주일 중위 대한민국 육군대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조영원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최창언 대한민국 육군중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최창륜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57기 1941년 1944년 김영수 필리핀에서 전사 김호량 한국 전쟁 당시 전사 정상수 오키나와에서 전사 김재풍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박정희 중위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육군대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일본 육사 우등 졸업 이변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이한림 중위 대한민국 육군중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58기 1942년 1945년 박원석 소위 대한민국 공군중장 신상철 소위 대한민국 공군소장 안광수 대한민국 육군대령 정래혁 소위 대한민국 육군중장 최복주 대한민국 육군대령 한국 전쟁 당시 전사 한용현 대한민국 공군대령 강태민 대한민국 육군준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최주종 중위 대한민국 육군소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59기 1943년 미수료 장창국 대한민국 육군대장 홍승화 한국 전쟁 당시 전사 가나미쓰 히데오(창씨명) 일본에서 전사 강문봉 대한민국 육군중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김태종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이용술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황택림 대한민국 육군대위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남로당 관계 숙군 과정에서 체포·사형 이OO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60기 1944년 미수료 김태성 대한민국 육군대위 이성구 이연주 대한민국 공군준장 이재익 장지량 대한민국 공군중장 최병건 대한민국 육군소령 남로당 관계 숙군 과정에서 체포·사형 김기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김석권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김세현 대한민국 육군중위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김탁근 대한민국 해병중장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김계림 대한민국 육군소령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이우춘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정정순 대한민국 육군중령 만주국 육군군관학교 졸업 후 편입 한국 전쟁 당시 전사 61기 1945년 미수료 김은주 김중환 김차경 오일균 대한민국 육군소령 남로당 관계 숙군 과정에서 체포·사형 정만영 조병하 조철위 최용기 성명미상 참고문헌[편집] 이기동, 《비극의 군인들》, 일조각, 1982년. 각주[편집] ↑ 순종실록 (1909년 7월 30일). “사관 양성을 일본국 정부에 위탁하다”. 국사편찬위원회.  vdeh구일본군 군학교 일본 육군교육총감부 소관 육군사관학교 육군예과사관학교 육군유년학교 육군예비사관학교 육군교도학교 육군보병학교 육군기병학교 육군야전포병학교 육군중포병학교 육군포공학교 치바육군고사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치중병학교 육군통신학교 육군자동차학교 육군기갑장비학교 육군공과학교 육군병기학교 육군궁주링학교 치바육군전차학교 쓰핑육군전차학교 육군소년통신병학교 육군소년전차병학교 육군도야마학교 육군나라시노학교 육군성 소관 육군헌병학교 육군경리학교 육군군의학교 육군수의학교 참모본부 소관 육군대학교 육군나카노학교 육군항공총감부 소관 육군항공사관학교 도코로자와육군비행학교 시모시즈육군비행학교 아케노육군비행학교 하마마쓰육군비행학교 하쿠쇼시육군비행학교 구마가야육군비행학교 다치아라이육군비행학교 우쓰노미야육군비행학교 호코타육군비행학교 센다이육군비행학교 기후육군비행학교 육군항공기술학교 육군항공장비학교 다치카와육군항공정비학교 기후육군항공정비학교 육군항공통신학교 도쿄육군항공학교 오쓰육군소년비행병학교 오이타육군소년비행병학교 일본 해군해군성 소관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 해군경리학교 해군군의학교 해군대학교 진수부 소관 해군포술학교 해군수전학교 해군잠수학교 해군공기학교 해군통신학교 해군항해학교 해군대잠학교 해군공작학교 해군전측학교 해군기상학교 해군위생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육군사관학교_(일본)&oldid=23743109" 분류: 육군사관학교 (일본)1868년 설립1945년 폐지일본 육군의 교육기관일본의 구제교육기관도쿄도의 학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еларуская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日本語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21일 (목) 03: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육군사관학교(일본어: 陸軍士官学校 리쿠군시칸갓코[*], 영어: Imperial Japanese Army Academy)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37년 ~ 1945년 사이 일본 육군사관학교의 주요 사건들은 무엇인가? Assistant: 1937년(쇼와 12년)에 육군사관학교 본과는 육군사관학교라고 개칭되었고, 육군사관학교 예과는 육군예과사관학교가 되었다. 육군사관학교는 자마로 이전하였고, 쇼와 천황으로부터 상무대(相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1938년(쇼와 13년)에 육사 본과의 수학기간이 1년 8개월로 단축되었고, 1941년(쇼와 16년)에는 1년으로 단축되었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1939년(쇼와 14년)에는 갑종간부후보생의 교육기관으로서 육군예비사관학교가 설치되었다. 1941년(쇼와 16년)에 육군예과사관학교는 아사카로 이전하여 진무대(振武台)라는 이름이 주어진다. 1945년(쇼와 20년) 6월에 제58기생이 졸업하여 소위로 임관하였다. Human: 아래 코부쿠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코부쿠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부쿠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5월) 코부쿠로 기본 정보 국가 일본 장르 포크 록, 팝 활동 시기 1998년 ~ 레이블 미노스케 레코드(1999년 ~ 2000년)워너뮤직 재팬(2001년 ~ 현재) 소속사 미노스케 오피스 코부쿠로 관련 활동 아야카 웹사이트 kobukuro.com 구성원 코부치 켄타로쿠로다 슌스케 코부쿠로(コブクロ)는 일본의 남성 포크 듀오이다. 1998년에 결성되었으며 2001년에 데뷔하였다. 그룹 이름인 '코부쿠로'는 구성원인 '코부'치 켄타로와 '쿠로'다 슌스케의 성에서 따온 것이다. 목차 1 구성원 2 개요 3 자세한 에피소드 4 휴양 5 현재 6 음반 목록 6.1 싱글 6.2 기타 6.3 앨범 7 NHK 홍백가합전 8 관련 항목 9 외부 링크 구성원[편집] 코부치 켄타로(小渕健太郎, こぶち けんたろう、1977년 3월13일 - )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 출신. O형. 신장168.2cm. 미야자키현립 미야자키공업고등학교졸업. 기타・보컬 담당. 그 외로는 블루스 하프、산신、손가락 피리를 연주 할 때도 있다. 쿠로다 슌스케(黒田俊介, くろだ しゅんすけ、1977년 3월18일 - ) 오사카부 사카이시 (현재의 미나미구 하루미다이(南区晴美台) 출신. O형. 신장193.4cm. 오사카체육대학 나미쇼고등학교、오사카쇼토쿠학원 사회체육전문학교 졸업. 보컬 담당. 현재 기타는 코부치의 담당이지만, 만나기 전까지는 쿠로다도 기타를 가지고 거리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기타는 잘 못친다고 하지만, 사실은 코부치는 알페지오를 쿠로다를 참고해서 연습했다고 한다. 왼손 잡이로 보이고 싶어서, 마이크를 오른손으로 쥐는 경우가 많다. 오자키 유타카의 "I LOVE YOU"를 카라오케에서 불렀을 때,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 해줘 등 주변의 칭찬을 계기로 뮤지션을 꿈꾸게 되었다. 데뷔 당시는 안경을 쓰고 있었지만 현재는 선글라스를 쓰고 있다. 개요[편집] 오사카부 사카이 시에서 노상 연주를 하던 코부치와 쿠로다가 1998년에 결성했다. 2001년 3월 22일 싱글 "YELL ~エール~"로 데뷔하여 오리콘 4위를 기록했다. "轍"(바퀴 자국), "永遠にともに"(영원히 함께), "ここにしか咲かない花"(여기에만 피는 꽃) 등의 대표곡이 있다. 2009년 2월 11일에 최신 정규 앨범인 《5296》과 2006년 발매되어 지금까지 300만 장 가까이 팔린 베스트 앨범 《ALL SINGLE BEST》가 한국에 정식 발매되었다. 자세한 에피소드[편집] 1998년 5월 사닉(SANIX)의 세일즈 맨을 겸하며 매주 토요일 노상 라이브를 하고있던 코부치와 스트리트 뮤지션을 하고 있던 쿠로다가 사카이시의 사카이히가시 긴자거리 상점가에서 만나 의기투합. 그해 9월 코부치가 쿠로다에게 곡을 제공하기로 되었으나 쿠로다 본인의 기타 실력이 현저히 낮았기 때문에 코부치가 옆에서 기타를 치며 코러스를 넣기로 한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쿠로다가 코부치에게 "같이 하자"라고 제안하게 되었다. 코부치는 이것을 "속도위반 결혼"이라고 "와랏테 이이토모!"의 "텔레폰 쇼킹"에 출연했을 때 이와 같이 밝혔다. 이 듀오 결성 에피소드를 담은 곡이 후일에 대표곡으로 일컬어지는 "사쿠라(벚꽃)"이다. 덧붙여, "사쿠라"를 노상에서 불렀을 때 관객으로부터 "누구 노래에요?"라고 질문받은 코부치는 오리지널 곡이라고 하는 게 부끄러워서 엉겁결에 "Mr.Children의 인디즈 시절의 노래에요"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후에 Mr.Children 본인에게 사죄했다고 한다.) 듀오 명은 2명의 성, 코부치와 쿠로다에서 따왔다. 후에 그 네이밍 아이디어는 개그맨 콤비인 FUJIWARA를 참고 했다고 밝혔다.(과거 신사이바시스지에서 연주중 하라니시 타카유키(FUJIWARA의 멤버)에게 비웃음 당한 적이 있다고 한다) 덧붙여, 코부치가 쿠로다에게 처음으로 만든 곡의 가사 카드에 "코부치와 쿠로다를 합쳐서 코부쿠로로 괜찮겠어?"라고 적은 것이 계기로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휴양[편집] 2011년 9월 멤버인 코부치의 성대 문제 와 쿠로다의 지병인 요통과 목소리의 문제로 인해 반년간의 휴양에 들어갔다. 이하 코부쿠로 공식 홈페이지의 공지 사항 전문. 갑작 스럽게 보고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부터 코부쿠로는 잠시 동안 휴양 하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11월 예정 되어있던 팬 페스타를 중지 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학수고대 하고 계시던 모든 분들께 먼저 고개 숙여 사과 말씀 드립니다. 라이브에 오셨던 분들 중에서는 이미 눈치 채신 분들도 계실거라 생각 합니다만, 작년 말부터 코부치의 목소리의 컨디션이 계속 좋지 않았습니다. 여러가지 조치를 취한 후 투어를 시작 하였습니다만, 차도는 보이지 않고 고음역의 목소리를 내려고 하면 목 주변의 근육이 이상하게 경직되어 버려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증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의에 의하면 이 병은 "발성시경부 지스토니어"로, 음악가나 목소리를 자주 내는 직업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 많이 걸리는 병이라고 합니다. 약 반년간의 요양으로 개선 될 수 있는 증상으로 판단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단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쿠로다같은 경우에도 이번 투어 도중에 지병인 요통이 악화 되었던 것과 목의 피로의 개선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휴양 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까지 두명 모두 케어를 하면서 활동을 계속하여, 이 전국 투어를 마지막까지 성공적으로 마칠 수가 있었습니다. 이것도 한결같이 회장에서 성원의 목소리를 보내 주신 팬 여러분 덕분 입니다. 정말로 감사합니다. 원래는 11월 팬 페스타를 끝내고 팬 여러분들에게 발표 할 예정 이였습니다만, 투어 중반에 접어 들면서, 현재 상태로 라이브와 녹음 활동을 계속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하여, 투어 최종일을 기해 잠깐동안 휴양 기간을 갖기로 한 갈등의 결단이 되었습니다. 앨범의 릴리즈나 동북지방 공연도 검토하고 있던 와중에 이러한 소식을 전해 드려야 한다는 것이 굉장히 마음이 아픕니다. 이 휴양 기간이 코부쿠로에게 있어서 유익한 충전 기간이 되어, 활동을 재개했을 때에는 건강하고 새로운 모습의 코부쿠로로써 돌아 오겠다는 두명의 강한 의지를 존중하기로 하였습니다. 갑작스러운 발표를 하여 팬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사과 말씀 드립니다. 두명 모두 위에서 언급한 곳 외에는 문제 없습니다. 굉장히 건강 합니다. 재활 치료나 몸의 케어를 하면서, 지금과 같이 각 팬 사이트내(BLOG등)에서의 활동은 계속 되기 때문에 부디 유예 기간을 받을 수 있도록 부탁 말씀 드립니다. 오피스 코부쿠로 사카타 미노스케 코부치 켄타로 쿠로다 슌스케 현재[편집] 2012년 9월 10일 기준으로 코부쿠로는 활동 재개에 들어 갔으며 2012년 9월 5일 ALL SINGLES BEST2를 발매 하였다. 음반 목록[편집] 싱글[편집] 순서 타이틀 의미 발매일 비고 1. YELL ~エール~ / Bell YELL ~엘~ / Bell 2001년 3월 22일 2. 轍 바퀴자국 2001년 6월 20일 3. YOU / miss you 2001년 11월 21일 miss you - NTV 드라마 과수연의 여자 주제곡 4. 風 바람 2002년 2월 14일 5. 願いの詩 / 太陽 소망의 노래 / 태양 2002년 7월 10일 6. 雪の降らない街 눈이 내리지 않는 거리 2002년 11월 13일 7. 宝島 보물섬 2003년 4월 9일 8. Blue Blue 2003년 8월 27일 9. DOOR 2004년 5월 12일 10. 永遠にともに / Million Films 영원히 함께 / Million Films 2004년 10월 14일 NHK みんなのうた(모두의 노래) 11. ここにしか咲かない花 여기서 밖에 피지 않는 꽃 2005년 5월 11일 NTV 드라마 루리의 섬 주제곡 12. 桜 벚꽃 2005년 11월 2일 후지TV 드라마 너스 아오이 주제곡 13. 君という名の翼 그대라는 이름의 날개 2006년 7월 26일 TV아사히 드라마 레가타 ~너와 함께한 영원~ 주제곡 14. 蕾 꽃봉오리 2007년 3월 21일 후지TV 드라마 도쿄타워 ~엄마와 나, 때때로 아빠~ 주제곡 15. 蒼く 優しく 푸르게 상냥하게 2007년 11월 7일 NTV 드라마 드림☆어게인 주제곡 16. 時の足音 시간의 발소리 2008년 10월 29일 NTV 드라마 오!마이 걸!! 주제곡 17. 虹 무지개 2009년 4월 15일 18. STAY 2009년 7월 15일 TBS 드라마 일요극장・관료들의 여름 주제곡 19. 流星 유성 2010년 11월 17일 후지TV 월요드라마 流れ星 (유성) 주제곡 20. Blue Bird 2011년 2월 16일 애니메이션 바쿠만(バクマン。)오프닝 곡 21. あの太陽が、この世界を照らし続けるように。 저 태양이 이 세상을 계속 비출 수 있도록 2011년 4월 27일 영화 岳-ガク(GAKU)- 타이틀곡 22. 紙飛行機 종이비행기 2012년 11월 28일 후지TV 목요드라마 結婚しない(결혼안해) 주제곡 23. One Song From Two hearts/ダイヤモンド One Song From Two hearts/다이아몬드 2013년 7월 24일 ダイヤモンド - TBS 열혈갑자원 타이틀곡 24. 今、咲き誇る花たちよ 지금, 화려히 핀 꽃들이여 2014년 2월 19일 NHK 소치올림픽, 패럴림픽 방송 테마송 25. 陽だまりの道 양지의 길 2014년 6월 4일 후지TV 드라마 블랙 프레지던트 주제곡 기타[편집] 순서 타이틀 의미 발매일 비고 WINDING ROAD 2007년 2월 28일 아야카(絢香)와의 콜라보레이션 싱글 あなたと 당신과 2008년 9월 24일 아야카(絢香)와의 콜라보레이션 싱글 Layla 2010년 3월 7일 디지털 싱글(配信限定), 산토리 펩시 넥스 CM 삽입곡 太陽のメロディー 태양의 멜로디 2010년 7월 28일 이마이 미키, 호테이 도모야스 부부와의 콜라보레이션 싱글 蜜蜂 꿀벌 2012년 1월 27일 디지털 싱글(配信限定), ALL SINGLES BEST2 DISK2 수록곡 앨범[편집] 순서 타이틀 발매일 최고순위 1. Roadmade 2001년 8월 29일 6위 2. grapefruits 2002년 8월 28일 4위 3. STRAIGHT 2003년 11월 6일 10위 4. MUSIC MAN SHIP 2004년 11월 3일 3위 5. NAMELESS WORLD 2005년 12월 21일 1위 ALL SINGLES BEST 2006년 9월 27일 1위 6. 5296 2007년 12월 19일 1위 7. CALLING 2009년 8월 5일 1위 ALL COVERS BEST 2010년 8월 25일 1위 ALL SINGLES BEST2 2012년 9월 5일 1위 8. One Song From Two Hearts 2013년 12월 18일 1위 NHK 홍백가합전[편집] 출장 연도 횟수 부른 노래 2005년 1 〈벚꽃〉 2006년 2 〈바람〉 2007년 3 〈꽃봉오리〉 2008년 4 〈시간의 발소리〉 2009년 5 〈STAY〉 2010년 6 〈유성〉 2012년 7 〈종이비행기〉 2013년 8 〈지금, 화려히 핀 꽃들이여〉 관련 항목[편집] 데뷔 전 노상 연주로 유명해진 일본의 듀오 유즈 우타이비토하네 WaT 그 외 엠씨 더 맥스 - 6집 앨범 《Via 6》의 1번 트랙 〈나를 보낸다〉는 고부쿠로의 〈푸르게 상냥하게〉를 리메이크한 곡이다.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고부쿠로 공식 사이트 (일본어) 레코드 회사 공식 사이트 vdeh켄온 그룹대표 이사:노자키 켄이치로여성 배우자이젠 나오미 - 센도 노부코 - 야마구치 토모코 - 타카다 마유코 - 료 - 하라 사치에 - 카타세 나나 - 이토 미사키 - 쿠로카와 토모카 - 이치카와 유이 - 아마미 유키 - 사쿠라 - 나루미 리코 - 에이쿠라 나나 - 칸노 미호 - 시다 미라이 - 카와구치 하루나 - 스기사키 하나 - 시바모토 유키 - 오오토모 카렌 - 사쿠라다 히요리 - 미즈타니 카호 - 야하기 호노카 - 야마구치 마호남성 배우카라사와 토시아키 - 소리마치 타카시 - 타케노우치 유타카 - 사와무라 잇키 - 하야미 모코미치 - 이리에 진기 - 이치카와 토모히로 - 미카미 켄세이 - 류세이 료 - 후쿠시 소타 - 야마모토 료스케 - 나가세 타스쿠 - 야마자키 이쿠사부로 - 우에스기 슈헤이뮤지션켄온 소속하나에 - SPYAIR - 이에이리 레오 - Serena업무 제휴(제휴처)코부쿠로 (미노스케 오피스 코부쿠로) (워너 계열) - UVERworld (POWERPLAY) - ASIA SunRise (POWERPLAY) - THE Hitch Lowke (POWERPLAY) (켄온 그룹)Next Generation - 차세대 스타아오키 쥬나 - 쿠로사키 레이나 - 하세가와 니나 - 키우치 마루 - 세토 토시키 - 코바야시 료타 - 하세가와 리모 - 하라 나노카공식 사이트 vdeh일본 레코드 대상 1959년 미즈하라 히로시 1960년 마츠오 카즈코, 와다 히로시와 마히나스타즈 1961년 프랭크 나가이 1962년 하시 유키오, 요시나가 사유리 1963년 아즈사 미치요 1964년 아오야마 카즈코 1965년 미소라 히바리 1966년 하시 유키오 1967년 잭키 요시카와와 블루 코메츠 1968년 마유즈미 준 1969년 사가라 나오미 1970년 스가와라 요이치 1971년 오자키 기요히코 1972년 지아키 나오미 1973년 이츠키 히로시 1974년 모리 신이치 1975년 후세 아키라 1976년 미야코 하루미 1977년 사와다 켄지 1978년 핑크레이디 1979년 쥬디 옹 1980년 야시로 아키 1981년 테라오 아키라 1982년 호소카와 타카시 1983년 호소카와 타카시 1984년 이츠키 히로시 1985년 나카모리 아키나 1986년 나카모리 아키나 1987년 콘도 마사히코 1988년 히카루GENJI 1989년 Wink 1990년 (엔)호리우치 타카오/(팝)비비퀸즈 1991년 (엔)키타지마 사부로/(팝)KAN 1992년 (엔)오츠키 미야코/(팝)고메코메 클럽 1993년 코자이 카오리 1994년 Mr.Children 1995년 TRF 1996년 아무로 나미에 1997년 아무로 나미에 1998년 globe 1999년 글레이 2000년 사잔 오루 스타즈 2001년 하마사키 아유미 2002년 하마사키 아유미 2003년 하마사키 아유미 2004년 Mr.Children 2005년 코다 쿠미 2006년 히카와 키요시 2007년 코부쿠로 2008년 EXILE 2009년 EXILE 2010년 EXILE 2011년 AKB48 2012년 AKB48 2013년 EXILE 2014년 三代目 J Soul Brothers from EXILE TRIBE 2015년 三代目 J Soul Brothers from EXILE TRIBE 2016년 니시노 카나 최다 수상: EXILE (4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코부쿠로&oldid=23082175" 분류: 일본의 음악 그룹일본 레코드 대상 수상 음악가1998년 결성된 음악 그룹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5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rtuguêsSimple English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3일 (금) 09: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코부쿠로(コブクロ)는 일본의 남성 포크 듀오이다. 1998년에 결성되었으며 2001년에 데뷔하였다. 그룹 이름인 '코부쿠로'는 구성원인 '코부'치 켄타로와 '쿠로'다 슌스케의 성에서 따온 것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부쿠로의 구성원 중 코부치 켄타로의 혈액형은? Assistant: O형
Human: 아래 1968년_AFC_아시안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68년 AFC 아시안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68년 AFC 아시안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68년 AFC 아시안컵대회 개요개최국 이란개최 기간 5월 10일 ~ 5월 19일예선 참가국 14개국참가국 5개국 최종 순위● 우승국 이란 (1번째 우승)● 준우승국 버마● 3위 이스라엘● 4위 중화민국통계총 경기수 10경기득점 총합 32골 (한 경기당 3.2골)최다 득점 선수 호마윤 베자디 모셰 로마노 기오라 슈피겔 (4골)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1964 1972 → v • d • e • h 개최지 1968년 AFC 아시안컵은 1968년 5월 10일부터 5월 19일까지 이란에서 개최된 4번째 AFC 아시안컵이다. 결승 토너먼트는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개최되었으며, 개최국인 이란이 4전 4승을 기록하며 첫 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목차 1 예선 1.1 본선 진출국 2 경기 결과 3 우승국 4 득점자 5 팀 득점 기록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68년 AFC 아시안컵 예선입니다. 본선 진출국[편집] 이스라엘은 전 대회 우승국으로서 자동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이란은 개최국으로서 자동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본선에 진출한 3팀은 다음과 같다. 홍콩 버마 중화민국 예선에서 탈락한 10팀은 다음과 같다. 캄보디아 파키스탄 인도 베트남 공화국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일본 대한민국 필리핀 경기 결과[편집] 순위 팀 승점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1 이란 8 4 4 0 0 11 2 +9 2 버마 5 4 2 1 1 5 4 +1 3 이스라엘 4 4 2 0 2 11 5 +6 4 중화민국 2 4 0 2 2 3 10 −7 5 홍콩 1 4 0 1 3 2 11 −9 1968년 5월 10일 버마 2 – 0 홍콩 테헤란 1968년 5월 10일 이란 4 – 0 중화민국 테헤란 1968년 5월 12일 버마 1 – 1 중화민국 테헤란 1968년 5월 12일 이스라엘 6 – 1 홍콩 테헤란 1968년 5월 14일 버마 1 – 0 이스라엘 테헤란 1968년 5월 14일 이란 2 – 0 홍콩 테헤란 1968년 5월 16일 이란 3 – 1 버마 테헤란 1968년 5월 17일 이스라엘 4 – 1 중화민국 테헤란 1968년 5월 19일 이란 2 – 1 이스라엘 테헤란 1968년 5월 19일 중화민국 1 – 1 홍콩 테헤란 우승국[편집] AFC 아시안컵 우승 이란 1  제4대 아시아 챔피언 (1회 우승) 1968년 득점자[편집] 4골 호마윤 베자디 모셰 로마노 기오라 슈피겔 2골 1골 팀 득점 기록[편집] 11골 이란 이스라엘 5골 버마 3골 중화민국 2골 홍콩 vdehAFC 아시안컵본선 홍콩 1956년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이란 1968년 태국 1972년 이란 1976년 쿠웨이트 1980년 싱가포르 1984년 카타르 1988년 일본 1992년 아랍에미리트 1996년 레바논 2000년 중국 2004년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년 카타르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아랍에미리트 2019년 중국 2023년 2027년 예선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2023년 2027년 결승전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선수 명단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결승전은 없었으며, 대신 우승국을 조별 리그전으로 정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68년_AFC_아시안컵&oldid=23031391" 분류: 1968년 AFC 아시안컵AFC 아시안컵이란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1968년 축구1968년 이란1968년 5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6일 (금) 09: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68년 AFC 아시안컵은 1968년 5월 10일부터 5월 19일까지 이란에서 개최된 4번째 AFC 아시안컵이다. 결승 토너먼트는 라운드 로빈 형식으로 개최되었으며, 개최국인 이란이 4전 4승을 기록하며 첫 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68년 AFC 아시안컵에서 1위를 한 팀은 어디인가요? Assistant: 이란 Human: 아래 지구형_행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지구형 행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지구형 행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지구형 행성의 크기 비교. 차례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다. 지구형 행성(地球型行星, terrestrial planet)은 태양계에서 규산염 따위로 된 암석이나 금속 등 고체 상태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한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이에 해당한다. 목성형 행성보다 안쪽 궤도에 있으며,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작다. 목차 1 구조 2 태양계의 지구형 행성 3 외계 지구형 행성 3.1 지구와 가장 비슷한 외계행성들 4 각주 5 같이 보기 구조[편집] 지구형 행성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핵을 규산염 성분의 맨틀이 감싸고 있다. 달 역시 비슷한 구조이나 철로 된 핵은 없다. 지구형 행성들은 표면에 계곡, 충돌구, 산, 화산의 지형을 지닌다. 지구형 행성의 대기는 초기 생성과정에서 미행성과의 충돌 및 내부 화산활동으로 인하여 생겨났는데, 이를 부대기(secondary atmosphere)로 일컫는다. 이는 원시태양계에 충만하던 가스구름으로부터 대기성분을 확보한 목성형 행성과는 구별된다. 후자를 원대기(primary atmosphere)로 일컫는다. 이론적으로 지구형 행성(또는 암석 행성)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규산염질 행성이며, 다른 하나는 탄소질 행성이다. 탄소질 행성(또는 다이아몬드 행성)의 경우 그 조성은 C형 콘드라이트와 유사하리라 추측된다. 태양계의 지구형 행성[편집] 태양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4개의 지구형 행성이 있다. 태양계가 처음 생겨날 때 존재했던 수많은 미행성들은 서로 뭉쳤고 현재의 4개의 행성의 재료가 되었다. 생성 과정에서 살아남은 네 행성 중, 지구만이 물로 이뤄진 수권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암석질 왜행성인 세레스가 존재한다. 명왕성과 같은 왜행성들은 고체의 표면을 지닌다는 점에서 지구형 행성들과 유사하지만, 구성 성분이 얼음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 점에서 암석질 왜행성과 달리 얼음 왜행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계 지구형 행성[편집] 펄서 행성, 슈퍼지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SIM 행성탐사 계획을 통해 이 상상화같은 지구 정도 크기의 행성들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발견된 외계행성들 중 대다수는 가스행성이다. 지구형 행성은 작은 질량으로 말미암아 관측을 통하여 그 존재를 유추하기가 가스행성보다 쉽지 않다. 그렇지만 현재 발견된 외계행성들 중 여럿은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된다. 알렉산더 볼시찬은 펄서 PSR B1257+12를 도는 지구 질량의 0.02, 4.3, 3.9배의 천체를 발견했다. 펄서의 맥동 관측에서 약간의 변화를 감지했는데 여기서 행성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 행성들이 펄서의 주위를 돌지 않았다면 그 존재는 밝혀지지 않았을 것이다. 핵융합성(fusing star)의 주위를 도는 행성 중 가장 먼저 발견된 페가수스자리 51b의 경우, 많은 천문학자들은 항성의 가까운 곳(0.052AU)을 돌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이 행성이 거대한 지구형 행성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사례인 HD 209458 b의 지름을 측정한 결과 가스행성임이 밝혀졌고 이는 페가수스자리 51b도 마찬가지였다. 탄소 행성을 재구성한 상상화. 2005년 6월 13일, 지구에서 15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876의 주위에서,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되는 작은 질량의 행성(글리제 876d)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의 공전주기는 2일에 불과하며, 질량은 지구의 5~7배였다. 2005년 8월 10일, PLANET/RoboNet과 OGLE은 OGLE-2005-BLG-390Lb로 명명된 행성을 발견했다. 이 행성의 질량은 지구의 5.5배로, 약 21,000광년 떨어진 전갈자리의 한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다. 이 행성과 모항성의 거리는 대략 태양~소행성대 정도였다. 이 행성은 중력렌즈 관측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을 통하여 모항성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지구 정도의 질량을 지닌 행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4월 4일, 11명의 유럽 과학자들로 구성된 관측팀은 태양계 밖에서 지구 정도의 온도를 지닐 것으로 추측되는 행성을 발견했다. 이 행성은 칠레의 라 실라(La Silla) 소재의 유럽 남방 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적색왜성 글리제 581의 주위를 돌고 있었으며, 글리제 581c로 명명되었다. 질량은 지구의 약 5배로, 만약 규산염질 행성일 경우 지름은 지구의 1.5배로 추측되고, 얼음으로 이루어진 행성일 경우 지름은 좀 더 클 것이다. 2007년 4월 24일 스위스 제네바 연구소의 천문학자 스테판 우드리 팀은 생물권 내에 자리잡고 있어 액체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보이는 행성을 발견했다. 이 행성은 칠레의 라 실라(La Silla) 소재의 유럽 남방 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적색왜성 글리제 581의 주위를 돌고 있었으며, 글리제 581d로 명명되었다. 종전 이론으로는 글리제 581d가 생물권 바깥을 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09년 4월 21일 발표된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d는 생물권 내를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구와 가장 비슷한 외계행성들[편집] 구분 행성명 항성 비고 지구질량과 가장 비슷한 천체 PSR 1257+12 c PSR 1257+12 3.9 M⊕ 긴반지름이 1AU에 근접한 천체 HD 142 b HD 142 0.980 AU HD 28185 b HD 28185 1.031 AU HD 128311 b HD 128311 1.02 AU 공전주기가 365일에 가까운 천체 HD 142 b HD 142 337 일 HD 92788 b HD 92788 378 일 표면온도가 지구(300K)와 비슷한 천체 목동자리 뮤 e 목동자리 뮤 308 K 글리제 581c 글리제 581 290 K; 최초로 생물권 내에서 발견되었다고 간주되었으나, 그것을 부정한 논문이 발표되었다[1][2]. 글리제 581d 글리제 581 2009년 4월 21일 생물권 내를 공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각주[편집] ↑ von Bloh et al. 2007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6, 1365 ↑ Selsis et al. 2007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6, 1373 같이 보기[편집] 목성형 행성 명왕성형 천체 ☜세레스 (왜행성)를 제외한 왜행성 슈퍼지구 글리제 581c 글리제 876d 행성 거주가능성(planet habitablity)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vdeh외계 행성중심 문서 외계 행성 행성계 외계 행성 탐사방법 종류지구형 탄소 행성 무핵 행성 사막 행성 얼음 행성 철 행성 규소 행성 용암 행성 바다 행성 서브지구 슈퍼지구 메가지구 중행성 가스 행성 슈퍼목성 뜨거운 목성 타원궤도 가스행성 부푼 행성 뜨거운 해왕성 천왕성형 행성 미니해왕성 난쟁이 가스행성 헬륨 행성 소니언 행성 기타 갈색 왜성 쌍성주위 행성 이중행성 메소플래닛 플라네타 원시행성 준갈색왜성 탄생과 진화 성운설 행성 이동 이론 행성계 외계 혜성 외계 위성 성간 혜성 떠돌이 행성 트로이 행성 역행 행성 평균운동 궤도공명 티티우스-보데의 법칙 모항성 허빅 Ae/Be 별 황소자리 T형 별 준거성 황색 거성 적색 거성 B A 준왜성 B F G K 적색 왜성 갈색 왜성 백색 왜성 펄서(펄서 행성) 쌍성 구상 성단 은하계외 행성 발견 방법 직접촬영법 행성 목록 미소중력렌즈법 행성 목록 펄서타이밍 행성 목록 시선속도법 행성 목록 통과법 행성 목록 통과 타이밍 변동법 위치천문학 편광측정 거주가능성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유사지구 지구 유사도 지수 외계 액체 물 골디락스 행성 생명체 존재가능 행성 목록 연감 NASA 외계행성 저장소(NASA Exoplanet Archive) 외계행성 데이터 익스플로러(Exoplanet Data Explorer) 외계 행성 백과사전(Extrasolar Planets Encyclopaedia) 인접 생명체 거주가능계 연감(Catalog of Nearby Habitable Systems) NASA 항성 및 외계행성 데이터베이스(NASA Star and Exoplanet Database) 행성 목록 발견 역사 어미별 목록 극단적 외계 행성 관측사에서의 최초 기록들 케플러 탐사선이 발견한 행성 목록 다행성계 목록 원시행성계원반이 있는 항성 목록 인접 외계행성 목록 지구형 외계행성 후보 목록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목록 기타 외계행성 위상곡선 외계행성의 하늘 수다르스키의 가스행성 분류 과학소설에 나오는 외계행성 외계 행성 발견역사 탐사계획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지구형_행성&oldid=24183191" 분류: 지구형 행성행성의 종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Avañe'ẽ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吴语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3: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지구형 행성(地球型行星, terrestrial planet)은 태양계에서 규산염 따위로 된 암석이나 금속 등 고체 상태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한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이에 해당한다. 목성형 행성보다 안쪽 궤도에 있으며, 크기 또한 상대적으로 작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행성의 대부분은 어떤 행성인가? Assistant: 가스행성
Human: 아래 반복_부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반복 부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복 부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々」 「゛」 「゜」 가나 오십음도v • d • e • h ん わ ら や ま は な た さ か あ っ ゐ り み ひ に ち し き い ヴ る ゆ む ふ ぬ つ す く う ヵ ヶ ゑ れ 𛀁 め へ ね て せ け え ー を ろ よ も ほ の と そ こ お 반복 부호(反復符號) 또는 첩자표(疊字標)[1] 또는 오도리지(일본어: 踊り字)[2]는 일본어에서 문자가 반복됨을 표시하는 부호이다. 々, ゝ, ヽ 등으로 표기하며 쓰임새는 글자마다 달라서 々는 한자에, ゝ는 히라가나에, ヽ는 가타카나에 쓴다. ゝ, ヽ에 탁점을 붙인 ゞ, ヾ도 있는데, 이들은 이전에 나온 글자에 탁점을 붙여서 반복한다. 반복 부호는 일본어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화민국에서 드물게 々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3] 한국에서도 비석에 사용된 예가 있으며 일제 강점기의 신문 등 인쇄물에서 々를 사용해 표기한 모습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목차 1 사용 예 1.1 한국어 1.2 일본어 2 문자 코드 3 각주 4 같이 보기 사용 예[편집] 한국어[편집] 숙종의 한글 편지 국민보도연맹증 아므리섭〻ᄒᆞᄋᆞᆸ셔도ᄂᆡ일브ᄃᆡ드러오ᄋᆞᆸ쇼셔 (아무리 섭섭하셔도 내일 부디 들어옵소서) ― 숙종의 한글 편지 國民保導聯盟々員証 (국민보도연맹맹원증) ― 국민보도연맹맹원증 일본어[편집] 時々: 時時(ときどき, tokidoki, 토키도키) 等々: 等等(とうとう, toutou, 토우토우) 直々: 直直(じきじき, zikiziki, 지키지키) 人々: 人人(ひとびと, hitobito, 히토비토) 様々: 様様(さまざま, samazama, 사마자마) 色々: 色色(いろいろ, iroiro, 이로이로) 문자 코드[편집] 컴퓨터에서 이 기호에 사용하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 표시 유니코드 이름 유니코드 문자 참조 문자 참조(10진) UTF-8 퍼센트 인코딩 설명 々 IDEOGRAPHIC ITERATION MARK U+3005 &#x3005; &#12293; %E3%80%85 한자 반복 부호 ゝ ITERATION MARK, HIRAGANA U+309D &#x309D; &#12445; %E3%82%9D 히라가나 반복 부호 ゞ ITERATION MARK, HIRAGANA VOICED U+309E &#x309E; &#12446; %E3%82%9E 히라가나 탁점 반복 부호 ヽ ITERATION MARK, KATAKANA U+30FD &#x30FD; &#12541; %E3%83%BD 가타카나 반복 부호 ヾ ITERATION MARK, KATAKANA VOICED U+30FE &#x30FE; &#12542; %E3%83%BE 가타카나 탁점 반복 부호 〻 ITERATION MARK, DERIVED FROM 二) U+303B &#x303B; &#12347; %E3%83%BE 반복 부호 각주[편집] ↑ “네이버 일본어 사전 - おどりじ”. 2010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일본어에서는 이외에도 오도리지의 줄임인 오도리(おどり), 구리카에시후고(繰り返し符号), 가사네지(重ね字), 오쿠리지(送り字), 유스리지(揺すり字), 주지(重字), 주텐(重点), 조지(畳字) 등으로 부른다. ↑ “The Japanese character "々" from a notice of breakfast restaurant "清褀" in Tainan, Taiwan”. 위키미디어 공용. 2010년 10월 29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중복 부호 vdeh약물공백류 「 」 「 」 「 」 「␣」 기술기호 「、」 「。」 「・」 「:」 「,」 「…」 「‥」 「.」 「!」 「?」 「؟」 「‽」 「⁉」 「⁈」 「¿」 「¡」 「;」 「/」 「\」 「|」 「¦」 「‖」 「_」 「‾」 하이픈류 「–」 「—」 「〜」 「‐」 「゠」 음성기호 「'」 「¨」 「^」 「~」 괄호류 「「 」」 「『 』」 「( )」 「[ ]」 「{ }」 「〈 〉」 「‘ '」 「“ ”」 「« »」 「〽」 준가타카나·한자 「ー」 「〃」 「〆」 「々」 「ゝ」 「ヽ」 「ゞ」 「ヾ」 「〻」 「〳」 「〴」 「〵」 「〼」 「ヿ」 「ゟ」 「𪜈」 학술기호 「∴」 「∵」 「♂」 「♀」 단위기호 「%」 「°」 「′」 「№」 「Å」 「℃」 「℉」 「ℓ」 통화기호 「¤」 「฿」 「¢」 「$」 「€」 「₵」 「₲」 「₭」 「£」 「₦」 「¥」 「₩」 「₪」 「₮」 일반적 기호 「&」 「@」 「*」 「•」 「†」 「‡」 「#」 「º」 「ª」 「¶」 「§」 「⁑」 「⁂」 「☞」 「♢」 「※」 「®」 「〒」 「〠」 이 글은 문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반복_부호&oldid=22254920" 분류: 일본어의 표기 체계문장 부호인쇄 약물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문자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ไทย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7일 (금) 22: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반복 부호(反復符號)는 같은 문자가 반복됨을 표시하는 부호이다. 한국어에서는 재점(再點), 자거듭표(疊字符), 거듭표(反復符) 등으로 부른다. 일본어에서는 첩자표(畳字標) 또는 오도리지(일본어: 踊り字), 오도리지의 줄임인 오도리(おどり), 구리카에시후고(繰り返し符号), 가사네지(重ね字), 오쿠리지(送り字), 유스리지(揺すり字), 주지(重字), 주텐(重点), 조지(畳字) 등으로 부른다. 반복 부호는 일본어에서 주로 사용되며 대만에서 드물게 々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도 비석에 사용된 예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자 코드에서 히라가나 반복부호를 상징하는 유니코드는? Assistant: U+309D Human: 아래 에트루리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에트루리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트루리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에트루리아의 영역 에트루리아(Etruria)는 이탈리아 중부에 있던 옛 나라로 그 영토는 지금의 토스카나주, 라치오주, 움브리아주에 해당한다. 로마 공화정 이전에 이탈리아에 존재했던 주요 문명이다. 라틴어 문헌에는 티레니아(Tyrrhenia)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목차 1 고대 에트루리아 2 생활 3 도시 4 근대 에트루리아 왕국 5 각주 고대 에트루리아[편집] 고대 에트루리아인이 어디서 기원했는지는 고대부터 논쟁의 대상이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최초의 에트루리아인들이 기근을 피해 서쪽으로 항해해 온 소아시아의 서해안에서 온 리디아인이었다고 한다.(역사 제1권 94) 반면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에트루리아인들이 이탈리아 본토 사람이었다고 주장한다.(고대 로마사 1권 25~30장) 오늘날 학계에서도 두 주장에 각각 나름의 증거가 있다.[1] 에트루리아 문명은 고대 그리스처럼 도시 국가들로 이루어졌다. 12개의 도시들이 에트루리아 연맹을 결성했다. 처음에 이들 도시들은 왕들이 통치한 듯하다. 이 중 어떤 왕조는 과두지배체제로 대체되었다. 에트루리아에서는 금속세공업과 무역이 발달했다. 이들은 엘바 섬의 철과 에트루리아의 구리를 자원으로 이용했고, 금, 은, 상아 등에도 숙련된 세공 기술이 있었다. 이들은 그리스 본토, 이집트, 레반트, 그리고 가장 중요한 카르타고와 긴밀하게 무역 활동을 했다.[2] 에트루리아는 기원전 650년 경 이탈리아 반도의 가장 유력한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북쪽으로 포 강 유역, 남쪽으로 라치오주까지 그 영토를 확장하였고, 남부 이탈리아의 고대 그리스 식민지와 만나게 되었다.(마그나 그라이키아) 시칠리아나 마실리아의 그리스 도시들과 무역 경쟁을 벌이면서 에트루리아는 자연스럽게 카르타고와 동맹을 맺게 되었다. 로마에는 에트루리아인 왕조가 들어서기도 했으며, 그 후 100년간 로마를 지배했다. 로마는 농촌에서 거대한 도시로 성장하였다. 또 로마의 간선 도로인 거룩한 길(라틴어: Via Sacra)의 건설도 이때 시작되었다. 또 에트루리아는 고대 그리스의 문화를 수입하여 로마에 자리잡게끔 했다. 또 그리스 문자에서 온 에트루리아 문자로 로마 문자가 만들어졌다. 생활[편집] 고대 에트루리아인은 상아로 만든 주사위, 체스와 백개먼으로 놀았으며, 레슬링, 달리기, 복싱, 승마와 같은 스포츠를 즐겨보았다. 고대 에트루리아인은 음악과 춤을 좋아하였다. 그들은 수금을 이용하여 음악을 만들었다. 그들의 춤은 신에게 숭배를 하기 위해 하는 것이다. 고대 에트루리아인은 계급구분에 관한 의식이 강했다. 처음에는 높은 계급이 없었다. 전쟁에서 포로로 잡힌 사람들이 곡예사나 노예가 될 뿐이었다. 시간이 지나 그들은 3계급으로 나뉘었다. 가장 높은 계급은 귀족이나 땅을 소유하는자, 부자, 성직자들이 차지했다. 중간은 농부들과 도시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차지했다. 가장 낮은 계급은 노예가 차지했다. 도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에트루리아 도시입니다. 라틴어와 이탈리아어 명칭은 옆 삽입어구에 넣었다: 아리팀 (Arretium, Arezzo) 카이스라 (Caere, Cerveteri) 클레브신 (Clusium, Chiusi) 쿠르툰 (Cortonium, Cortona) 펠라트리 (Volaterrae, Volterra) 푸플루나 (Populonium, Populonia) 파루시아 (Perusia, Perugia) 타르크나 (볼스키어 Anxur) (Tarracina, Terracina) 타르크날 (Tarquinii, Tarquinia) 베이이 (Veii, Veio) 베틀루나 (Vetulonium, Vetulonia) 비프술 (Faesulae, Fiesole) 벨크 (Vulci, Volci) 벨즈나 (Volsiniia, Volsinii) 근대 에트루리아 왕국[편집] 에트루리아라는 이름은 19세기에 다시 한번 에트루리아 왕국이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등장하게 된다. 다만 이 나라는 고대 에트루리아와는 관련이 없다. 프랑스의 나폴레옹 1세가 토스카나에 세운 나라로 1801년부터 1807년까지 존재했다. 각주[편집] ↑ M.하이켈하임, 프리츠; 세드릭 A. 요, 앨런 M. 워드 (10).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서울: 현대지성사. 36쪽. ISBN 89-8347-011-9.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연도=와 |날짜=가 일치하지 않음 (도움말) ↑ R. 더들리, 도널드 (1). 《로마문명사》. 서울: 현대지성사. 16~17쪽.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다음 날짜 값 확인 필요: |date=, |연도=와 |날짜=가 일치하지 않음 (도움말)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에트루리아 전거 통제 NDL: 0062828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에트루리아&oldid=23132513" 분류: 에트루리아고대 로마유럽의 옛 나라이탈리아반도의 옛 나라이탈리아의 역사움브리아주의 역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날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orsu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Interlingua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2일 (일) 19: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트루리아(Etruria)는 이탈리아 중부에 있던 옛 나라로 그 영토는 지금의 토스카나주, 라치오주, 움브리아주에 해당한다. 로마 공화정 이전에 이탈리아에 존재했던 주요 문명이다. 라틴어 문헌에는 티레니아(Tyrrhenia)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에트투리아의 도시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가? Assistant: 아리팀 (Arretium, Arezzo) 카이스라 (Caere, Cerveteri) 클레브신 (Clusium, Chiusi) 쿠르툰 (Cortonium, Cortona) 펠라트리 (Volaterrae, Volterra) 푸플루나 (Populonium, Populonia) 파루시아 (Perusia, Perugia) 타르크나 (볼스키어 Anxur) (Tarracina, Terracina) 타르크날 (Tarquinii, Tarquinia) 베이이 (Veii, Veio) 베틀루나 (Vetulonium, Vetulonia) 비프술 (Faesulae, Fiesole) 벨크 (Vulci, Volci) 벨즈나 (Volsiniia, Volsinii)
Human: 아래 아가사_히로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가사 히로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가사 히로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미공개 또는 계획만 발표되었거나,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정확한 내용을 반영할 수 있도록 문서 수정을 도와주세요. 아가사 히로시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등장 1화 - 제트코스터 살인사건 (애니판)원작자 아오야마 고쇼성우 오가타 켄이치 / 타나카 카즈나리(아역) 황원[1] / 전태열(아역)프로필호칭 아가사 박사님나이 52세 성별 남국적 일본직업 발명가소개 에도가와 코난의 도구를 만들어주고 있는 발명가. 코난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관련인 쿠도 신이치 (이웃)하이바라 아이(동거인) 아가사 히로시(일본어: 阿笠 博士, あがさ ひろし[2])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이다. 목차 1 인물 1.1 공학박사 1.2 소년탐정단 1.3 추리 1.4 용모 및 교우 관계 1.5 첫사랑 1.6 발명품들 2 보충 3 성우진 및 드라마 배역 4 각 언어판별 이름 5 각주 인물[편집] 공학박사[편집] 공학박사이며, 발명가로 일하고 있다. 쿠도 신이치와 이웃이며, 신이치와 란을 어려서부터 본 사람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약을 먹고 에도가와 코난으로 어려진 신이치가 제일 먼저 찾았던 인물이다. 코난의 정체를 처음으로 알았으며, 다른 사람에게 정체가 발각되면 주변 인물들이 위험해지고, '탐정과 같이 살다보면 신이치의 몸을 작게 만든 검은 조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모리 코고로 탐정집에서 살도록 했다. 또한, 몸이 어려진 채 자신의 집앞에 쓰려져 있던 하이바라 아이과 함께 사는 보호자의 역할을 하고 소년 탐정단을 인솔하는 역할을 맡으며, 조개잡이, 수수께끼 풀기,회전초밥집에서 초밥먹기, 아가사 박사가 만든 게임으로 어울려 놀기 등의 다양한 놀이활동으로 어린이인 소년탐정단 단원들이 추억을 쌓을 수 있게 한다. 어린이들의 놀이활동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매우 중요한 교육임을 생각한다면, 아가사 박사는 어린이들에게 좋은 교육을 하고 있다.[3] 소년탐정단[편집]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로 하이바라 아이와 같이 살고 있다. 아가사의 체형과 건강을 걱정한 아이에 의해서 엄격한 식단으로 영양 관리를 받고 있는데 가끔 아이 몰래 숨어서 고기 등을 먹다가 들켜서 “또 살찌는 음식이군요!(またメタボってるのね。[4])”라는 소리를 듣는다. 또한 캠핑을 갈 경우 소년 탐정단에게 썰렁 퀴즈를 출제해 나중에 답을 알게 된 탐정단이 어이없어 한다. 또 코난이나 아이가 주위로부터 의심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테이탄 초등학교에 편입시켰으며[5] 421~422편에서 추억의 소녀를 만났으나 탐정단을 손자손녀로 오해받기도 한다. 추리[편집] 가끔 코난이 추리를 할 때 탐정 역할을 하며 코난의 정체를 알고 있기 때문에 마취총을 사용하지 않고 입모양으로 대사를 맞추는 방식으로 추리를 하여, 메구레 경부등이 경의를 표하고 있다. 그러나 코고로 등과 달라 잠을 안 자기 때문에 코난의 추리를 듣고서 “과연!”이라고 무심코 맞장구를 쳐서 의심을 받기도 하나 능청스럽게 위기를 넘기며 사건을 해결한다. 참고로 175화에서 자신이 쿠도 신이치의 탐정 스승인 것처럼 과장해서 말하는 것을 코난이 잠자코 듣고 있었다. (당시 아이는 부재중이었다.) 용모 및 교우 관계[편집] 나이는 52세이나 머리가 벗겨지고 남아 있는 머리카락도 모두 백발이지만 10년전에는 머리숱이 많았으며 전부 검은 머리였다. (421-422화, 472-473화 참조) 극장판 천국으로의 카운트다운에서는 10년 후의 모습을 예상하는 기계를 썼는데, 지금과 다를 것이 없는 모습이었다. 최근에는 이웃에 살다가 방화 사건으로 인해 갑자기 신이치 집으로 거처를 옮긴 공대생과 친분이 있다. 다만 공대생에 관해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듯 한 모습이다. 첫사랑[편집] 한편 아가사 박사에게는 초등학교 6학년일 때 만났던 첫 사랑이 있다.(참고로 아가사 역시 테이탄 초등학교 동문이다.) 첫사랑이 남긴 엽서에는 10년마다 기다리겠다는 말과 함께 자신이 기다리는 곳을 암시하는 암호가 있었는데, 탐정단의 도움으로 암호를 풀고 40년만에 호사에와 재회했다. 처음 만났을 당시, 아가사는 머리카락 색이 노랗다는 이유로 놀림을 받던 호사에에게 '노란 은행잎처럼 멋진걸!'이라는 말을 했다. 덕분에 호사에는 노란 은행잎이 그려진 지갑을 만들어 여성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고 있다. 자신의 노란 머리를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은행잎처럼 멋진 것이라고 좋게 생각한 것이다. 발명품들[편집] 기술도 좋고 생각도 기발하여 발명가로 명성을 높이고 있다. 실례로 온천을 선전하는 귀여운 인형을 개발하였는데, 온천에서 마음에 들어해서 많이 사 갔다. 언젠가 자신의 발명품으로 돈을 많이 버는 것이 꿈이다. 극장판 1기 때만 해도 오합지졸 발명품들을 많이 만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코난에게 유용한 발명품을 무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그런 덕분에 사건 해결에 상당한 도움이 있었다. 코난이 신체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탐정으로서 여러 흉악범들과 대등하게 맞설 수 있던 까닭은 나비넥타이 모양의 목소리 변조기, 탐정 배지, 근육강화 운동화 등의 아가사 박사가 만든 발명품들 덕분이며, 이 점은 하이바라 아이도 인정하고 있다. 현재는 기술력이 워낙에 좋아져서 스마트폰을 쓰면 몇몇 발명품을 대체 할 수있다는게 현실 손목시계형 마취 총 스위치를 누르면 마취 바늘이 튀어 나와, 사람을 재운다. 유리 뚜껑과 같은 부분이 타겟을 조정하는 부분이다. 바늘은 1 개 밖에 넣을 수 없다. 주로 코고로 등을 재워 추리를 할 때나, 범인 체포를 할 때 사용한다. 마취는, 목 등에 닿으면 즉각적으로 효과가 나타나지만, 옷 등을 통하면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린다. 열쇠 지갑 등 무생물에 명중하면 바늘은 그대로이지만, 생물에 명중하면 거의 순간적으로 소멸된다. 손전등 수준의 밝기를 가진 손전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마취 총이없는 것은 소년 탐정단 단원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이바라는 예비 마취 총을 가지고 있다. 누구든지 재울 수 있지만, 진의 경우 잠들지 않고 스스로 마취 바늘을 꺼냈다. 기본적으로 누구든지 잠재워버리나, 검은 조직 진은 스스로 총으로 자신을 쏴 의식을 되찾았다. 바늘은 1 개 밖에 넣을 수 없어 코난이 초조해 한 장면도 있다. 최근에는 위성통화와 USB 메모리를 탑재해 극장판17기때 큰 활약을 보였다. 범인 추적 안경 코난이 평소에 쓰고 있는 안경. 도수는 들어가 있지 않고, 소위 위장을 위해 착용하는 안경이다 (코난이 안경을 벗은 때의 모습은 신이치의 어린 시절 모습이기 때문) 왼쪽의 스위치를 켜면 안경의 왼쪽에있는 안테나가 뻗어나외 왼쪽 렌즈에 20킬로미터 이내의 발신기의 위치를 나타내준다. 충전을 위해 배터리 제한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이고, 중요한 때 배터리 부족을 일으킬 때도 많다. 또한 오른쪽 렌즈에는 적외선 망원경 기능 ('천국으로의 카운트 다운 '에서 등장하고 나중에 원작에도 등장)도 있으며, 투명한 유리에 영상을 투영하는 시스템은 HUD와 같다. 또한 도청기가 달려 있으며 극장판 8기 이후로는 강력한 기능도 추가되어 활용되었다. 다만 조직이 나오는 편에서는 대부분 등장하지만 조직이 눈치채는 경우가 많다. 제 24권에서 하이바라가 진과 피스코 추적할 때 현장에 버리고 탈출했기 때문에 코난이 지금 쓰는 것은 두 번째 것으로 보인다. 똑같은 예비품은 하이바라가 소지하고있다. 범인 추적 안경 발신기 발신기는 봉인되어 있으므로 어디에나 쉽게 장착된다. 평소에는 재킷의 단추에 붙여놓고, 10장 정도를 들고다닌다. 반경 20km까지 탐지가 가능하다. 스티커 형식 발신기 / 버튼형 발신기 범인 추적 안경과 동시에 박사가 발명한 소형 발신기. 뒷면이 봉인되어있다. 초기에는 코난 재킷의 단추에 한장씩 붙이는 것이었지만, 그 후 10장씩 붙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청 기능이 포함 타입도 등장하고있다. 나비 넥타이 형 음성 변조기 넥타이의 뒷면에 붙어있는 다이얼을 돌려 변환하여 자유자재로 목소리를 낼 수있다. 볼륨을 조정할 수있다. 또한이 도구의 소리를 잡을 집음 장치도 존재한다(유사쿠가 사용). 외모가 흰 타입도있다. 코고로를 재운 후 이 도구를 사용하여 "잠자는 코고로"으로 추리를 선보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란에게 전화를 걸 때 쿠도 신이치의 목소리를 내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번 들은 목소리는 자동으로 기억 되는듯 하다. 일단 코난이 들은적이 있는 목소리는 모두 변조가 가능하다. 그예로 코난이 마취 바늘을 코고로에게 쏘려고 했으나 다른 사람이 맞았다 그사람은 한번도 말을 한적이 없었는데 코난이 그사람의 목소리로 사건을 해결하려고 보니 그사람의 목소리를 몰라 변조를 못하는 장면이 있었다. 자매품으로론 마스크형 음성 변조기가 있다. 버튼형 스피커 나비 넥타이 형 음성변조기의 목소리를 날릴 수있다. 뒷면은 봉인되어있다. 추리를 말하게하는 사람의 목덜미 등에 붙여 넣어 코난이 본인의 곁에 있지 않아도 추리를 말할 수있다. 주로 코난이 재운 인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트릭을 입증하는 경우, 혹은 재운 사람의 주위에 숨을 장소가 없을 때 사용한다. 붙인 후 코고로의 경우 추리를 마친 뒤 란과 메구레 경부앞에서 깨어나기 때문에, 스피커를 어떻게 회수하는지 알 수 없다. 킥 능력 강화 신발 코난이 항상 신고있는 빨간 운동화. 측면의 스위치를 켜면 전기와 자력에 의하여 발의 지압점을 자극해 발의 힘이 순간적으로 최대치가된다. 그러나 신발 자체는 강화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금고 등 무거운 물건을 발로 차는 경우 반동으로 다리에 고통이 온다. 전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발의 측면 등에서 방전 장치가 되어 있는 묘사가 있다. 첫 등장 시 강도가 '중'임에도 불구하고 축구 골대를 뚫고 나무를 두 동강낼만큼 엄청난 파괴력을 갖고 있었다. 귀걸이 형 휴대 전화 귀걸이 형식의 소형 휴대 전화. 나비 넥타이 형식 변성기 소리를 낼 수있다. 만화책 제 29 권 "수수께끼 여객"버스 납치 사건에서 범인에 빼앗겨 버렸지만, 그 후 제 31권에서 제 33권에서는 매 권 등장하는 등 편향적인 모습을 보인다. 현재는 초등학생 조차 휴대전화를 들고 다니는 시대라 그런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고탄력 멜빵 스위치를 켜면 자유롭게 신축하는 멜빵. 버튼 1 개로 무거운 문을 열 수 있는 만큼 강력하다. '칠흑의 추적자'에서는 100m의 확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탐정 배지 (DB 배지) 탐정단이 소유하고있는 배지. 셜록 홈즈 실루엣과 "DB(DETECTIVE BOYS)" 문자가 적혀있다. 초소형 무전기가 있으며, 탐정단 간의 교신에 사용한다. 통신 범위는 반경 20km. 또한 발신기가 내장되어있어 범인 추적 안경 에서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손목시계형 라이트 방수형 제품이며 뚜껑을 돌리는 것으로 발광 손전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소년 탐정단의 일원이 소지하고 있지만 코난의 것은 손목 시계형 마취 총과 같은 일품이다. 도시락 형식 휴대 FAX 간단하게 시판되는 도시락에 팩스를 장착한 것이다. 쌀 부분 위의 짱아찌가 시작 스위치로 되어있다. 코난 왈 "상용 FAX를 도시락에 붙인 대용품"이라 하였다. 10시간마다 충전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없는 것이 단점으로, 현재 1번만 등장하고 지금은 등장하지 않는다. 터보 엔진이 내장된 스케이트 보드 태양 전지를 사용해 달리는 스케이트 보드. 주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와 극장판 특별편에서 범인 추적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원작에 등장한 것은 이제까지 두 번이지만, 1번째 사건의 마지막으로 부서져서 지금은 두 번째 스케이트 보드를 사용한다. 극장판에서도 망가져 버리는 경우가 많다. 세기말의 마술사에서는 태양 전지가 내장되어 낮에 충전 해두면 야간에도 30분 정도는 달릴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뚱뚱한 겐타, 코난, 미츠히코 총 3명(총 78kg)을 태우고도 고장나지 않는다. 또한 탐정들의 진혼가에서 배기량(출력)이 크게 상승하고 승용차 수준의 속도로 달릴 수 있게 되었다.그리고 침묵의 15분에서는 스케이트보드를 스노우보드로 개조하기도하고 루팡 VS 명탐정 코난에서는 수륙양용으로 사용한다 마스크형 음성 변조기 모양은 일반 흰색 마스크 처럼 생겼으나, 그 속에 음성 변조가기 달려 있는 발명품이다. 이 발명품은 단행본 85권에서 오키야 스바루가 아카이 슈이치임을 들키지 않으려고 쿠도 신이치의 아버지인 쿠도 유사쿠가 오키야 스바루로 변장해서 아카이 슈이치를 숨겨주려고 할 때 쿠도 유사쿠가 사용하였던 발명품이다. 보충[편집] 연구소 겸 자택은 부지도 넓고, 지하 2층까지 갖추어져 있다. 식당 “콜롬보(コロンボ)”에서 스파게티를 즐겨 먹는데, 이 점은 코난이 된 신이치가 자신을 증명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가끔은 일본어를 이용한 썰렁 퀴즈를 내기도 한다. 이름은 추리소설 작가인 아가사 크리스티에서 파생되었다. '진'과 '워커'라는 술을 섞으면 '아가사'라는 술이 나온다는 이유로 누리꾼들 사이에서 검은 조직의 보스가 아니냐는 루머가 떠돌았으나, 사실일 경우 코난을 도와주고 하이바라를 받아 준 것과 모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2011년 코난의 작가인 아오야마 고쇼의 인터뷰에서 아가사 박사는 검은 조직의 보스가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성우진 및 드라마 배역[편집] 일본어판은 오가타 겐이치(緒方賢一)가 더빙을 하고 있으며 어렸을 때의 목소리는 타나카 카즈나리(田中一成)가 맡았다. 한국어 더빙판은 황원이 처음부터 더빙을 맡고 있다가,12기 한정으로 유해무가 더빙을 맡았다. 영어 더빙판은 빌 플린(Bill Flynn)이 더빙을 하였다. 드라마 스페셜에서는 다야마 료세이(田山涼成)가 배역을 맡았다. 각 언어판별 이름[편집]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브라운 박사[6]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해외판에서는 히로시 아가사(Hiroshi Agasa), 혹은 헤르셀 아가사(Hershel Agasa)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각주[편집] ↑ 12기에서는 유해무. ↑ 참고로 이름의 한자 표기인 博士(박사)는 전문학술에 연구가 깊거나 어떤 일에 능통하다는 뜻을 가진 인물을 뜻한다. 또한 이름으로 읽을 때는 “히로시(ひろし)”로 읽으나 평상시에는 “아가사 박사님(あがさ はかせ)” 혹은 “박사님(はかせ)”으로 불린다. ↑ 그 근거로 김규항 고래가 그랬어 발행인은 내 아이를 살리는 7가지 약속운동을 하고 있는데, 그 내용중 하나가 어릴적에 노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입니다.이다. ↑ メタボ는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일본어식 준말이다. ↑ 일본에서는 의무교육의 경우 관청에서의 배려 등으로 인하여 호적이나 신분증이 없어도 초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다. ↑ 체스터턴의 추리소설에 나오는 로마 가톨릭 사제인 브라운 신부의 이름을 차용한 듯하다. vdeh《명탐정 코난》의 주요 등장 인물주요 인물 쿠도 신이치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모리 코고로 아가사 히로시 (브라운) 테이탄 소학교 하이바라 아이 (미야노 시호) 소년 탐정단 (어린이 탐정단) 코바야시 스미코 고교생 등장인물 쿠로바 카이토 스즈키 소노코 핫토리 헤이지 토야마 카즈하 혼도 에이스케 세라 마스미 경찰 관계자(지방) 오사카 부경 나가노 현경 시즈오카 현경 가나가와 현경 사이타마 현경 야마무라 미사오 경찰 관계자(본청) 메구레 쥬죠 시라토리 닌자부로 사토 미와코 타카기 와타루 치바 형사 미이케 나에코 기타 주변 인물 키사키 에리 쿠도 유사쿠 쿠도 유키코 아라이데 토모아키 오키야 스바루 아무로 토오루 FBI/CIA 제임스 블랙 조디 스털링 아카이 슈이치 안드레 캐멀 혼도 히데미 검은 조직 미야노 아케미 진 워커 베르무트 키안티 코른 라이 키르 vdeh명탐정 코난작품 원작 만화 애니메이션 극장판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드라마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V SPECIAL THE MOVIE 코난 실종사건 작아진 명탐정 극장판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21기 22기 23기 에피소드 1996년~2000년 2001년~2005년 2006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 관련 항목 원작 사건 목록 등장인물 목록 검은 조직 FBI 소년 탐정단 OVA 발매 목록 아오야마 고쇼 타카야마 미나미 하야시바라 메구미 APTX4869 관련 문서 소년 선데이 검용전설 야이바 Magic Kaito 괴도 키드 사건 목록 방영 목록 소년탐정 김전일 탐정학원 Q 루팡 3세 유라 역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가사_히로시&oldid=24427872" 분류: 진행 중인 작품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가공의 과학자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FrançaisItaliano日本語JawaBahasa Melayu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가사 히로시(일본어: 阿笠 博士, あがさ ひろし)는 아오야마 고쇼의 만화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코난의 원래 이름은 뭐야? Assistant: 쿠도 신이치 Human: 아래 강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강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지구과학 관련 문서날씨   계절 온대 봄 열대 건기 여름 가을 우기 겨울 폭풍 뇌우 · 토네이도 열대 저기압 · 온대 저기압 겨울 폭풍 · 블리자드 황사 · 모래 폭풍 태풍 강수 안개 · 비  · 눈 · 우박 기상학 기상 · 기후 · 일기예보 쾨펜의 기후 구분 v • d • e • h 강수(降水) 현상은 지구의 물 순환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하여 땅에 내리는 모든 것을 뜻하는 기상학 용어이다. 비와 눈 뿐만 아니라 우박도 포함한다. 강수 현상으로 떨어진 모든 강수의 양을 합친 것을 강수량이라고 말한다.[1] 또, 강수 현상이 일정한 시간 동안 일어날 확률을 강수 확률이라고 한다. 목차 1 강수의 종류 2 강수의 특징 3 강수의 형성 과정 3.1 응축 3.1.1 응결 3.1.2 베르게론 작용 4 강수량 5 참조 6 같이 보기 7 외부 링크 강수의 종류[편집] 높은 곳에서 형성되는 강수는 세 가지로 나뉜다. 액체 강수 이슬비 (DZ) 비 (RA) 동결 중의 강수 동결 중인 이슬비 (FZDZ) 동결 중인 비 (FZRA) 동결된 강수 눈 (SN) 가루눈 (SG) 싸락우박 (PL) 우박 (GR) 싸락눈 (GS) 다이아몬드 분말 (IC) 각 현상 뒤에 표기한 괄호 안의 대문자들은 항공 기상 관측 전문(METAR) 코드이다.[2] 강수의 특징[편집] 엄청난 강수를 동반하는 폭풍우 크기와 모양 강수로 인한 물방울은 작으면 0.1부터 많으면 9 mm까지의 지름을 가진다. 작은 물방울은 구름 방울이라고 하며 원모양이다. 물방울의 크기가 클수록 모양이 더 납작해 보인다. 만화에서 그리는 빗방울과는 달리 실제 모습은 눈물방울과 비슷하지 않다. 강도에 따른 기간 강도가 높은 폭풍은 짧은 기간에 끝날 가능성이 높고 강도가 낮으면 오랜 기간이 걸릴 수 있다. 강도에 따른 지역 넓은 지역에 걸쳐 덜 강한 강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강도에 따른 물방울 크기 폭풍의 강도가 셀수록 더 큰 크기의 물방울을 갖는다. 강수의 형성 과정[편집] 물의 순환 응축[편집] 강수는 따뜻하고 습기찬 공기가 올라올 때 형성되기 시작한다. 공기가 차가워지면 수증기는 응결핵 위에서 구름을 만들며 응축하기 시작한다. 물방울이 충분히 커진 뒤에는 다음과 같이 강수를 위한 두 가지 과정이 일어난다. 응결[편집] 응결은 물방울이 커다란 물방울을 만들기 위해 융합할 때, 아니면 물방울이 얼음으로 바뀔 때 일어난다. 공기의 저항은 보통 구름 안에 물방울을 일으킨다. 난류가 일어나면 물방울이 서로 충돌하여 더 큰 물방울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물방울이 커지기 시작하면 공기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무거워져 비가 되어 떨어지게 된다. 베르게론 작용[편집] 베르게론 작용은 얼음 결정이 과냉각된 물방울로부터 물분자를 얻을 때 일어난다. 이러한 얼음 결정이 충분한 질량을 얻으면 떨어지기 시작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응결 과정보다 더 많은 질량을 요구한다. 이 과정은 온도에 의존적이며 과냉각된 물방울은 냉각 중인 구름에만 존재한다. 또, 구름과 지상 사이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이러한 얼음 결정은 내리면서 녹게 되고 이로써 비가 된다. 강수량[편집] 강수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강수량은 어떤 곳에 일정 기간 동안 내린 물(비,눈,우박,안개 등)의 총량을 말한다.[1] 비가 내린 양은 강우량이라고 하며,단위는 mm로 표시한다. 눈이 내린 양은 강설량이라고 하며,단위는 cm로 표시한다. 참조[편집] ↑ 가 나 이재수 (2018). 《수문학》 2판. 구미서관. 91쪽. ISBN 9788982252914.  ↑ [1977] (2006) MANOBS, Seventh, Amendment 15, Canada: Meteorological Service of Canada. 같이 보기[편집] 몬순 수증기 강수량 외부 링크[편집] 충돌/응결: 베르게론 작용 강수의 종류 (BBC) 위키배움터에 수문학 토목기사 요약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전거 통제 LCCN: sh85106217 GND: 4132260-5 이 글은 날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수&oldid=23000838" 분류: 강수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날씨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贛語GàidhligGalego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gaļuLatviešu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Эрзянь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ଓଡ଼ିଆ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ᱥᱟᱱᱛᱟᱲᱤ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13일 (화) 12: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수(降水, 영어: precipitation, meteoric water) 현상은 지구의 물 순환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하여 땅에 내리는 모든 것을 뜻하는 기상학 용어이다. 비와 눈 뿐만 아니라 우박 외에 일명 싸라기눈, 진눈깨비, 이슬도 강수에 포함한다. 강수 현상으로 떨어진 모든 강수의 양을 합친 것을 강수량이라고 말한다. 또, 강수 현상이 일정한 시간 동안 일어날 확률을 강수 확률이라고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동결 중인 이슬비의 METAR은 무엇인가? Assistant: FZDZ
Human: 아래 안빈_이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빈 이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빈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안빈 이씨 지위 숙의, 귀인, 빈 이름 시호 안빈(安嬪) 신상정보 출생일 1622년 음력 9월 출생지 조선 사망일 1693년 음력 10월 사망지 조선 능묘 안빈묘(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 왕조 조선 부친 이응헌 모친 미상 배우자 조선 효종 자녀 숙녕옹주 안빈 이씨(安嬪 李氏, 1622년 음력 9월 ~ 1693년 음력 10월[1])는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의 후궁이다. 효종이 대군 시절에 들인 후궁이었으나 작호를 받지 못하였다가 뒤에 귀인이 되고, 다시 숙종때 가서 빈의 책호를 받았다. 목차 1 생애 2 가족 관계 3 출처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본관은 경주이다. 1622년(광해군 14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이응헌이다[1]. 효종이 봉림대군으로 있을 때 그의 첩이 되었다. 이씨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끌려갔던 봉림대군을 끝까지 보필하였고, 훗날 효종의 손자인 숙종은 이 공을 높이 사 그녀를 조천[2]하지 못하도록 하고 역대 왕이 계속해서 제사를 지내주게 하였다[3]. 1661년(현종 2년)에 종2품 숙의로 품계가 올라갔고[4], 이후 종1품 귀인에 책봉되었다가 1686년(숙종 12년) 정1품 빈에 책봉되어 안빈(安嬪)의 작호를 받았다[5]. 1693년(숙종 19년) 음력 10월 72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그녀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릉리에 있으며, 1991년 10월 25일 사적 제366호로 지정되었다.[1]. 이씨는 효종과의 사이에서 숙녕옹주를 낳았다. 가족 관계[편집] 아버지 : 이응헌(李應憲, 생몰년 미상) 남편 : 제17대 효종(孝宗, 1619~1659, 재위:1649~1659) 딸 : 숙녕옹주(淑寧翁主, 1649[6]~1666[7]) - 박필성(朴弼成)에게 하가 출처[편집] ↑ 가 나 다 네이버 백과사전 〈남양주 안빈묘〉항목[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祧遷. 종묘의 본전에 모시던 신주를 영녕전으로 옮기는 것, 《네이버 국어사전》〈조천 2〉항목 참고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안빈 이씨〉 ↑ 《조선왕조실록》현종 2년(1661) 10월 20일 2번째 기사 ↑ 《조선왕조실록》숙종 12년(1686) 5월 27일 1번째 기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녕옹주〉 ↑ 《조선왕조실록》현종 7년(1666) 9월 17일 1번째 기사 외부 링크[편집]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빈_이씨&oldid=24184224" 분류: 1622년 태어남1693년 죽음조선의 후궁정묘호란 관련자경주 이씨조선 효종조선 숙종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0:3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빈 이씨(安嬪 李氏, 1622년 음력 9월 ~ 1693년 음력 10월)는 조선의 제17대 왕 효종의 후궁이다. 효종이 대군 시절에 들인 후궁이었으나 숙녕옹주를 낳고 7년 후에야 숙원의 품계를 받았다가 뒤에 귀인이 되고, 다시 숙종때 가서 빈의 책호를 받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안빈 이씨가 죽고 나서 묻힌 주는 어디인가? Assistant: 〈남양 Human: 아래 서대문역_(폐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대문역 (폐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대문역 (폐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서대문 서대문역 터 개괄 소재지 경기도 경성부 의주통1정목(현 서울특별시 중구 의주로1가) 개업일 1900년 7월 8일 폐지일 1919년 3월 31일 종별 폐역 서대문역(西大門驛)은 대한제국 시대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존재했던 경부선의 종착역으로, 개통 초기부터 한동안 경성역 역할을 했지만 1919년 폐역되었다. 남대문역(현 서울역) 북쪽의 유관순기념관 앞쪽부터 북측 일대에 해당하며, 대합실은 현재의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정문 인근에 위치하였다.[1] 서대문정거장의 표석은 서대문구 의주로공원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서대문역과는 다른 역이다. 목차 1 역사 1.1 개업 1.2 폐역 2 각주 역사[편집] 개업[편집] 1900년 7월 8일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경성역'(京城驛)으로 영업 개시, 경인선의 시·종착역이 되었다.[2] 다만 경성정거장은 흔히 '신문외정차장' (新門外停車場) 혹은 '서문외정거장' (西門外停車場)으로 불리거나, 그냥 '경인철도 정거장'이라고만 표기하기도 하였다.[3] 이 당시 경인선의 종착지점으로 남대문 쪽이 아닌 새문 쪽으로 정해진 것은 서울 도성을 동서로 이어지는 종로축의 서쪽 끝에 해당하므로 도심 진입이 용이할 뿐더러, 당대 정치적 중심지였던 경운궁과 정동 일대가 성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가까운 거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장차 무악재 방향으로 경의 철도가 뚫린다면 남북으로도 철도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컸다.[3] 하지만 경의철도의 분기점이 용산역으로 결정되면서 경성정거장은 외진 공간의 종착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3] 1905년 1월 1일에는 경부선 개통으로 경부선 열차의 시·종착역을 잠시나마 맡게 되었으나, 같은해 3월 27일에 '서대문역'으로 역명이 변경되고[4] 5월에는 남대문역이 '경성역'이라는 이름으로 완공되어 개통식이 진행, 서울의 철도 교통의 중심지가 남대문역으로 이동하였기에 옛 위상을 잃고 말았다. 당시 서울 거주 일본인들의 활동 구역이 청계천 이남과 남산 일대에 편중되어 있었다는 점도 이 같은 변화의 계기로 작용하였다.[3] 폐역[편집] 이후 1918년 9월 1일 남대문역에서 금화산 아래로 기차터널을 뚫어 수색역으로 곧장 향하는 개수 공사가 시작되면서 서대문역은 존재 의의가 사라지게 되었고, 공사 도중인 1919년 3월 31일에 폐역되었다. 폐역 직전인 3월 22일 <매일신보>에서는 "수년 전까지는 일,이등 승객이 남대문보다 많아서 유망한 정거장으로 인정되었더니 최근에 이르러서는 서대문에는 하루에 기차가 몇 번씩 떠나지도 아니하고 다만 석탄과 신탄이 조금씩 풀릴 뿐이므로 예전에 번창하던 자취는 그림자도 볼 수가 없게 도었도다"라며 그 풍경을 전하고 있다.[3] 또한 4월 5일자 <매일신보> 기사에 의하면, 3월 31일 폐역 당일 오후 9시 59분 열차에 승객 열한 명이 내리고 10시 10분에 떠나는 인천행 열차에 32명의 승객을 취급한 것이 마지막 운행으로 집계되었다.[3] 서대문역 폐역 이후, 역 부지에 해당되는 지역인 순화동 1번지는 철도사책으로 변모되어 관사촌 (官舍村)을 이루었으며 1945년 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이후 1955년 10월 15일 재단법인 이화학원이 해당 부지를 매입하였다. 인수 후에는 대부분 관사를 철거하였지만 몇 채는 그대로 두어 사용하였고, 서대문정거장 역장의 관사 역시 그대로 남아 있어 이화 측에서 목공소로 사용하다 1960년대 말에 철거하였다.[3] 각주[편집] ↑ 이순우 (2012). 《근대서울의 역사문화공간 손탁호텔》. 하늘재. 69-70쪽.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이순우 (2012). 《근대서울의 역사문화공간 손탁호텔》. 하늘재. 72-75쪽.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경부철도” (PDF). 《황성신문》. 1905년 4월 11일. 2017년 8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9일에 확인함.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대문역_(폐역)&oldid=21862784" 분류: 경부선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철도역1900년 개업한 철도역1919년 폐지된 철도역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24일 (화) 21: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대문역(Seodaemun station, 西大門驛)은 대한제국 시대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존재했던 경부선의 종착역으로, 개통 초기부터 한동안 경성역 역할을 했지만 1919년 폐역되었다. 남대문역(현 서울역) 북쪽의 유관순기념관 앞쪽부터 북측 일대에 해당하며, 대합실은 현재의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정문 인근에 위치하였다. 서대문정거장의 표석은 서대문구 의주로공원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서대문역과는 다른 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대문역이 폐역된 이후로 그 주변이 어떻게 변했어? Assistant: 서대문역 폐역 이후, 역 부지에 해당되는 지역인 순화동 1번지는 철도사책으로 변모되어 관사촌 (官舍村)을 이루었으며 1945년 광복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이후 1955년 10월 15일 재단법인 이화학원이 해당 부지를 매입하였다. 인수 후에는 대부분 관사를 철거하였지만 몇 채는 그대로 두어 사용하였고, 서대문정거장 역장의 관사 역시 그대로 남아 있어 이화 측에서 목공소로 사용하다 1960년대 말에 철거하였다.[3]
Human: 아래 이슬람_철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슬람 철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슬람 철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슬람 철학 (영어: Islamic philosophy)은 철학 중에서도 이슬람 문화권을 중심으로 발달한 철학이다. 아라비아 철학이라고도 한다. 목차 1 기원 2 특징 3 이슬람 철학의 맹아 3.1 이슬람 세계에의 그리스 문화의 이입 (번역 시대) 3.2 샤리아의 해석과 철학의 발전 4 동방 이슬람 철학 4.1 '아랍의 철학자' 킨디 4.2 '제2의 스승' 파라비 4.3 이븐 시나 (아비센나) 4.4 가잘리와 철학 비판 4.5 그 외 활약한 철학자들 (동방 이슬람) 5 서방 이슬람 철학 5.1 이븐 밧쟈 5.2 이븐 트파일 5.3 이븐 루시드 (아베로에스) 6 그 후의 이슬람 철학 6.1 조명 학파 6.2 초월론적 신지학 6.3 논리학 6.4 역사 철학 6.5 사회 철학 6.6 현대 이슬람 철학 7 대표적인 철학자 8 관련 문헌 8.1 원전역 8.2 철학사 8.3 영문판의 문헌 9 각주 10 관련 항목 11 외부 링크 기원[편집] 이슬람에서의 '철학'의 시작을 넓게 정의하면 이슬람교가 성립한 시점이라고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슬람의 가르침도 원래 '철학적'이고, 꾸란의 해석을 둘러싼 논쟁·칼리프의 후계자 분쟁 (시아파와 수니파)의 대립 등은 대표적) 등, 넓은 의미로의 '철학적'인 논쟁은 이슬람교 성립 당초부터 계속 되고 있었지만, 통상은 그리스 철학이 이슬람 세계에 이입된 것을 가지고, 독립한 하나의 학문으로서의 '이슬람 철학'을 시원이라고 보는 것이 통상이다. (본항에서는 이를 말한다) 이슬람 세계에 그리스 철학이 전해진 것은 시리아를 개입해서였다. 이슬람 철학은 파르사파 (falsafah)로 불렸다. 이는 아라비아어는 아니고 그리스어 (φιλοσοφια)에 유래하는 것으로, 영어 등에서 철학을 의미하는 philosophy와 동어원이다. 그러나, 파르사파로 불리는 이슬람 철학은 당시로서는 그러한 학문으로서의 인식이나 명칭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후세의 철학사 연구에 의해서 그 존재가 처음으로 인정되었다는 특징의 것이었다. 특징[편집] 아리스토텔레스. 이슬람 철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 아닌 저작도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으로 되어 있기도 했다. 서양 철학과 비교해 종교 (이슬람교)와 밀접하게 관련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신비주의적인 요소가 강하다. 기원은 이슬람 세계의 유럽 방면의 확대와 함께 이슬람 세계에도 이입된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그리스 철학이었다. 유일신 알라를 신봉하는 이슬람의 가르침으로는, 이는 이문화의 생각이며, 이슬람 신학 (카람)과 자주 대립하기도 했다. 이슬람 철학이 가장 돋보인 것은 지리적으로도 확대기인 9세기부터 10세기 (아바스 칼리파조기)에 걸쳐이다. 당시 그와는 대조적으로 유럽 세계에서는 기독교적 세계관이 지배적으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 등은 벌써 정식 무대에서는 멀어져 철학의 역사로부터는 일시적인 쇠퇴기이기도 했다. 유럽 세계에서 철학이 다시 개화하는 것은 이슬람 철학자들에 의해서 계승되고 있던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의 철학이 다시 유럽에 초래된 것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유럽의 철학의 흐름을 생각해도, 이슬람 철학이 완수한 역할은 놓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쫓고, 상술하지만, 번역 활동으로 발단해, 아비센나와 오고, 아베로에스 으로 이슬람 철학 (파르사파)은 끝이라는 견해를 산견할 수 있지만, 순수하게 철학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이도 가능하다. 그렇다는 것도, 이슬람 철학은 그 다음은 신비주의·신학과 불가분한 존재가 되어, 파르사파와는 이질의 것으로 변질하며 갔기 때문이다. 그 후의 이슬람에서 철학이 현저하게 되는 것은 근대화와 함께 다른 학문·기술 등 모두 이입되고 나서이며, 이슬람 철학 외, 서양 철학을 중심으로 현재는 이슬람 문화권 내에서도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인지·연구 교육되고 있다. 이슬람 철학의 맹아[편집] 이슬람 세계에의 그리스 문화의 이입 (번역 시대)[편집] 7세기에 이슬람 세계가 성립하면 (이 근처의 역사는 이슬람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조, 아바스 칼리파조의 항을 참조), 무하마드의 사후, 정통 칼리프 시대를 거치고, 아랍인 지상주의를 취하고 있던 우마이야 칼리파조이 750년에 멸망한 후 아바스 칼리파조이 성립했다. 아바스 칼리파조은 비아랍계인 페르시아인으로부터의 지지도 있고, 아랍인 이외의 이슬람교들에게도 길을 연 세계 제국으로 바뀌어 갔다. 이 지배 하에는 페르시아나 이집트 등 그리스 문화의 영향이 현저하게 남아 있는 지역도 포함되어 있어 거기에는 철학을 시작으로 하는 의학·수학·천문학 등의 제학문이 그리스 시대의 것으로부터 이집트나 시리아 등의 동 지중해 연안의 각지에 남아 있었다. 아바스 칼리파조은 바그다드에 시리아인 학자를 부르고, 시리아어의 그리스 문헌을 아라비아어로 번역시켰다. 이슬람 철학의 기원의 하나로서 아라비아어에의 번역 활동이 있다는 것은 놓칠 수 없는 것이다. 철학에 관해서 말하면,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의 대치에 반박을 위해 혹은 철학적 방법에 따르는 기독교의 사상적 전개를 뒤지기 위해, 그리스 철학의 접수를 했다. 시리아의 것에 정당성을 갖게하기 위해, 철학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므로, 아바스 칼리파조의 지배 하에 있어도 철학의 문헌이 남아 있어 이슬람교도들도 이용할 수 있었다. 5세기부터 10세기에 걸쳐, 시리아의 기독교도 (네스토리우스파의 기독교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 포류퓨리오스, 가짜 디오뉴시오스 호 아레오파기테이스의 저작을 그리스어로에서 시리아어로 번역했다. 이는 주로 에젯사의 네스토리우스파 또 레사이나와 카르키스의 단성론파에에깨졌다. 832년에 압바스조 제7대 칼리프·알마으문은 바그다드로 번역을 실시하는 관청을 두었다. 이것이 이른바 지혜의 집 (바이트 알=히크마)이며, 그리스어나 시리아어, 파후라비어에 가세해 인도로부터도 늘어뜨려진 산스크리트어 등 다양한 문헌이 모아져 이것들을 서로 번역·연구를 했다. 특히 의학 외에 천문학·점성술 관계의 문헌의 번역이 번성하고, 천문대나 도서관 등의 시설도 병설되고 있었다. 일상의 예배나 농사달력에 관련되는 등에 달력의 제정에도 천문학이나 점성술의 지식은 빠뜨릴 수 없는 존재였기 때문에, 이 시대의 번역업이나 관측의 사적은 후세의 이슬람 사회나 제정권에도 다대한 혜택을 주고 있다. 또, 동시에 아바스 칼리파조은 쿠데타에 의해서 우마이야 칼리파조을 타도 해 탄생한 정권이었기 때문에, 스스로의 정권의 정통성을 입증하기 위해 논리학적인 지식을 바라고 있던 면도 있다. 이에 의해서 아리스토텔레스를 시작해 그리스의 제저작 및 아리스토텔레스 주해서가 아라비아어권에 소개되었지만, 단순한 지적 욕구라는 것보다도, '오르가논'이나 '트피카' 등에 대표되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확립된 논리학의 방법론을 체제측이 배우기 위해라는 현실적인 요구도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에 의해서 고대 후기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이 진한 아리스토텔레스 해석이 소개되게 된다. 또 게다가 이 시리아어 (안에는, 그리스어로부터의 번역도 있었지만)가 기독교도 등에 의해서 아라비아어로 번역되고 있었다. 이에 의해, 이슬람교들에게도 그리스 철학의 연구가 가능했다. 이 번역은 현재 봐도 고수준의 정확함의 것도 있었다. 이에 의해, 이슬람교들도 신플라톤주의,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플로티노스 등을 번역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슬람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저작이 실제는 플로티노스의 것이듯이, 약간의 와전이 있었다. 또 이슬람교의 철학자들은 의사나 수학자이기도 했으므로 아르키메데스나 갈레노스 등의 저작도 번역되었다. 샤리아의 해석과 철학의 발전[편집] 이러한 번역 활동은 확실히 이슬람에게 철학을 가져왔지만, 이것만으로는 이슬람 철학의 성립의 계기라고는 볼 수 없다. 그들이 정말로 철학적 방법을 필요로 한 것은 샤리아의 해석이 다양화해 왔기 때문이었다. 벌써 무하마드의 무렵과는 달리 이민족의 이슬람교들을 거느린 세계 제국이 되어 있던 이슬람 제국은 이미 꾸란과 하디스만으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완전히 해결될 수 없는 경우는 학자들의 합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여겨져 고립한 추론은 기피되고 있었다. 유연하게 제정되고 있는 샤리아에서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게 되어 왔고, 많은 학자가 다른 사람의 이설보다 자설이 올바르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지각색인 해석으로는 합의에도 지장이 나오므로, 객관적 타당적인 입장으로부터의 견해를 가지기 위해서, 철학적 방법이 환영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에 의해 샤리아 논의와 그 정당성을 주장할 때에, 신학 (카람)과의 대립이 발생했다. 신학은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으면, 논증하는 것은 필요하게 되지 않는 전제 (즉 종교적인 교의)로 논의되어 법해석의 올바름을 증명하려고 하고 있었지만, 철학은 확실히 의심할 수 없는 전제가 요구되고 있어 비록 이슬람교에서의 종교적인 교의에서도 논리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한, 결코 받아 들여지지 않고, 그것을 전제로 한 논의나 추론은 결코 증명되는 것으로는 되지 못하고, 기피되어야 하는 것이 됐다. 이는 철학과 신학과의 사이에 불화가 발생해, 철학자와 신학자의 사이에 격렬한 서로 욕설까지 발전했다. 철학자들은 신학을 '모순점을 조롱해, 적대자나 이단을 논박할 만한 발전성이 없는 학문'이라고까지 평가했지만, 그러나 실제는 단순한 관점의 차이 (텍스트 해석 (신학)과 논증할 때의 전제 (철학))이며, 양쪽 모두에 귀결하는 점으로는 결국, 큰 차이는 없었다고 한다. 어쨌든, 다양화되어 혼돈되어 온 이슬람의 법해석의 타개책으로서 철학은 환영되었던 것도, 이슬람 철학 발전의 요인의 하나이다. 동방 이슬람 철학[편집] 이슬람 철학의 세계는 홍해를 경계로 동서로 나눌 수 있다. 동방 이슬람 세계와 서방 이슬람 세계에서는 각각 다른 특징의 철학이 전개되었다. 여기에서는 항목의 성질상, 개관에 그치므로 자세한 것은 각 사상가의 항 참조. 동방 이슬람 철학의 세계는 아라비아 반도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나 중앙 아시아 일대에까지 미친다. 동방 이슬람의 철학자들은 많은 페르시아나 중앙 아시아 출신 등 비아랍권의 인물이 많았던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이슬람에서 철학이 외래의 학문인 것을 이야기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별명, 아라비아 철학이라고도 말하고 있지만, 이것은 아라비아인이 다루었다는 의미가 아니고, 아라비아어로 철학이 전개되었다는 의미이다. 아라비아어는 이슬람교 이외에도, 부근의 유태교도·기독교도 등에게도 널리 알려지고 있던 것이었다. '아랍의 철학자' 킨디[편집] 킨디 최초로 이슬람 철학사에 등장하는 인물은 아랍인 철학자 아부 유수프 야꿉 이븐 이스하끄 앗삽바흐 알킨디 (801년경 - 866년경) 이다. 그는 별칭으로서 '아랍의 철학자'라고 불리고 있다. 하나 하나, 아랍인인 것을 언급되는 것은 전술과 같이, 오랫동안 철학 등의 사상 관계로는 시리아계나 이란계 등 사람들의 활약이 눈에 띄어, 순수하게 아랍계의 출신자는 오히려 드문 케이스였기 때문이다. 그 이름이 나타내는 대로, 그는 쟈히리야 시대에 해당하는 5세기 후반에 아라비아 반도 중앙부의 네지드 고원에 여럿 힘을 자랑해, 킨다 왕국을 쌓아 올린 아랍 유목민 킨다족의 혈통이었다. 그는 전항의 번역 시대에 바그다드를 활동의 중심에 해 막대한 양의 번역이나 저작을 다루어 그 수는 250을 넘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존 하는 것은 40작품 정도이다). 킨디는 철학자는 경험계의 모든 것의 본질을 연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백과 사전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어 지리·역사·수학·음악·의학·정치 등 광범위한 장르에 건너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 자신은 그리스어를 풀지 않았던 것 같지만, 그리스어 문헌으로부터의 번역의 의뢰나, 진짜 아랍의 유명한 민족의 혼자로서 풍부한 아라비아어의 지식을 살린 그 번역 지도에 임하고 있었다. 특히, 아라비아어에 의한 철학 어휘의 확립에 다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관련으로 말하면, '형이상학'이나 '신학' (그러나 실제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은 아니고 플로티노스의 '에너지 어데스'이다) 에서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등 중요한 것이 많았다. 킨디는 인간의 지성을 4개에 나누어 능동적 지성, 가능태에서의 지성, 획득된 지성, 현실태에서의 지성과 후의 이슬람 철학의 기초가 되는 지성론을 전개했다 (벌써, 이 시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니고, 신플라톤주의의 생각이 되어 있다). 그는 신을 진리 (핵)라고 인식해, 철학 독자적인 목표를 '인간의 능력의 한계 내에 있어 가능한 한 사물에 실로 있는 그대로에 인식하는 것'이라고 해, 이와 같이 획득한 진리 (이는 이슬람 신자에만 보증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야말로 보편이라고 주장했다. 또, 신에 의한 무로부터의 창조나 계시의 우위성 등, '완전한 1자'로부터 창조가 시작했다는 플로티노스계의 유출론이 우위가 되는 후세의 철학자들에게는 볼 수 없는 사상적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킨디는 이슬람 철학에 독자적인 길을 연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제2의 스승' 파라비[편집]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의 스승'이라고 이슬람 세계에서 바라봐져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해석이 융성해 나가는 중, 거기에 계속되는 '제2의 스승'이라고 불린 파라비 (870년경- 950년)는 킨디가 열린 길에 기초를 굳힌 인물로서 알려져 있다. 킨디와 같이 그도 저작이 많아,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서는 많아, 아베로에스를 넘는 것이었다. 킨디와 비교해서 파라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도 정확했다. 그도 킨디와 같이 진리를 추구하는 정열은 확실한 것이며, 그도 물론 이슬람교였지만, 진리에 반대하는 것이면 복종해야 할 것은 두의 꾸란조차도 용서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파라비는 철학은 진리를 요구하는 학문이며, 사람은 이에 전념만 하면 최고의 정신의 경지로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파라비는 이슬람적인 것보다도, 철학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슬람을 시작으로 하는 종교에 대해서 적의를 안고 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이슬람에 철학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서, 이슬람의 국가, 정치, 사회가 안정되도록 생각하고 있었다. 또, 파라비에 의하면, 이슬람에서 중요한 개념인 계시는 본래 철학자가 직접적으로 형이상학적 인식으로서 파악해야할 것으로 해, 예언자 무하마드는 이를 형상적, 시적으로 표현한 천재이지만, 철학자보다는 일단 아래라고까지 생각하고 있었다. 또, 논리학에도 뛰어나고 있어 후의 유럽의 스콜라 철학에서 대논쟁이 된 이른바 보편 논쟁은 파라비로 발단하고 있다고도 한다. 그 밖에도, 세계의 존재를 신플라톤주의적인 유출론으로부터의 설명을 실시하거나 형이상학이나 킨디도 논하고 있던 지성론을 근거로 10의 지성 유출설 등 깊은 논급을 해, 이슬람 철학에서 위대한 존재의 인물인 것은 물론이지만, 파라비의 논급한 문제는 후의 유럽의 중세 철학의 요점이 되는 것이었다. 이븐 시나 (아비센나)[편집] 파라비가 계속되는 철학자가아비센나 즉 이븐 시나 (980년 - 1037년)이다. 그는 동방 이슬람 철학에서의 절정기의 철학자라고 해도 지장 없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해에 다대한 힘을 쏟아, 또 독력으로 수학·물리학·철학·의학을 거두어 그 이름을 이슬람 중에 울리고 있었다고 한다. 여러 번의 정변으로 반드시 행복한 인생을 늦지 않았지만, '의학전범'·'치유'·'구제'·'지시와 권고' 등의 장대한 철학 체계는 현재에도, 아직도 연구 도상 중이다. 그 논급은 다방면에 이르지만, 안에서도, 기본 자세로서 관철하고 있는 것이 존재 일반의 문제, 즉 형이상학이다. 아비센나는 '공중 부유 인간'설을 가지고, 존재라는 것을 말했다. (이 비유는 중세 유럽에 논의를 부른다) 즉, 진공 중에 부유하고 있는 완전한 한 명의 인간이 있다. 단지, 완전하게 맹목이며, 밖을 볼 수 없다. 진공중이므로, 공기의 촉감조차 느껴지지 않는다. 그는 그러한 상황으로 무엇을 느낄 수 있다면, 자신의 존재이다. 즉, '나의 존재'라는 자신의 존재는 확실히 긍정한다는 것이다. 이에 존재는 외와 달리 본질적으로 직관지라고 해야 할 물건이며, 근세 데카르트의 유명한 '코기토 에르고 숨'의 명제의 선구적 실적을 내걸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존재의 입장으로부터, 아비센나는 자연과학이나 수학과 같은 절대적인 존재의 본연의 자세를 파악하지 않는 학문과 형이상학의 독자성을 주장한다. 그 외 , 지성·가능성·보편성의 문제 등 중세 혹은 근세·근대의 철학사상에서 논급되어 온 문제의 선구적 실적을 남긴 인물이었다. 또, 한 편으로 신비주의적인 경향이 인정되어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으로서의 이슬람 철학 이외에도, 신비주의적인 조명 철학 즉, '동방 철학'이라고 명명한 독자적인 체계를 생각하려고 했다. 아비센나 자신은 이쪽이 자신의 생각에 가까운 철학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것 같지만, 현존하는 자료가 부족하고 자세한 것은 모르는 현상이다. 가잘리와 철학 비판[편집] 킨디로부터 아비센나까지 와, 신학자 가잘리 (1058년 - 1111년)의 출현으로 동방 이슬람 철학은 큰 변절점을 맞이한다. 바그다드의 니자미야 학원에서 교편을 취하고 있던 가잘리는 신학자였지만, 철학적 사유 방법에도 뛰어나고 있어 본래의 진리란 무엇인가 생각하고 있었던 동시에, 아비센나를 대표로 하는 신플라톤적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슬람 철학은 진리의 형해만을 알아, 산 진리를 파악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그는 생각했다. 그리고, 철학자들은 신의 전지의 부정이나 개체지 등 꾸란의 가르침에 반하는 내용을 말하고 있었지만 이것을 종교적인 입장이 아니고, 철학적 형이상학적인 입장으로부터 반박하려고 했다. 저 '철학자의 자기모순 (혹은 자멸)'은 그 집대성이다. 이슬람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으로, 세계는 시간적으로는 무한하고, 꾸란과 같이 신의 창세라는 시원을 요구하는 것은 모순으로서 부정했지만, 가잘리는 신의 창세는 시간적인 문제가 아니고, 본질적인 문제이며, 예를 들면 태양과 같이 태양의 본체와 빛은 동시에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태양이 있으니까 빛을 발하는 것이며, 본질적으로 태양 본체가 먼저 존재하는 것이라고 했다. 철학자는 시간적인 상대적인 입장과 이러한 본질적인 입장을 혼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그 밖에 철학자가 부정한 신의 개체지의 증명이나, 인과율 부정 등, 후의 영국 철학자 흄을 선취한 내용의 철학을 말하거나, 다양한 비판 활동을 실시했다. 이러한 철학 비판은 원래 철학 사상에 반감을 가지고 있던 일반 신자의 사람들로 결정타를 날려, 동방 이슬람의 각지에서 아비센나의 책이 '무신론'이라고 비난 당해 구워 버려지거나 짓밟혀지는 사태가 되었다. 이 사태에도 불구하고, 철학자 중에서 반박하는 것은 있지 않고, 고대 그리스 철학의 이입에 시작한 동방 이슬람 철학은 서서히 그 양태를 신비주의적인 것으로 변질해 나간다. 또, 가잘리의 비판에 대한 반박은 '자기모순의 자기모순 (혹은 자멸의 자멸)'이라는 가잘리 비판에 호응하는 제목의 책을 낸 아베로에스로 대표되듯이, 철학의 무대는 이베리아반도를 중심으로 한 서방 이슬람 세계로 옮겨 간다. 그 외 활약한 철학자들 (동방 이슬람)[편집] 번역 시대에는 이슬람교도 이외에도, 번역 활동에 종사하고 있던 인물이 많다. 또 동시대에 킨디 외에 이븐 자카리야 라즈가 있다. 또, 파라비의 제자에는 아미리, 야하야 이븐 아디 등이 있다. 이븐 시나의 제자에는 이븐 마르즈반이나 아브 장미카트 바크다디 등 스승의 계승을 도모한 인물이 있다. 서방 이슬람 철학[편집] 역사적으로 보면, 서방 이슬람 철학이 발전한 것은 아바스 칼리파조이 쇠퇴·멸망한 후의 12세기 - 13세기의 일로이다. 이 시기는 아비센나나 가잘리도 이미 이 세상의 사람이 아니고, 정확히 시기적으로도 동방 이슬람으로부터 바톤 터치된 형태로 서방 이슬람 철학은 융성했다. 물론, 이 시기 이전에도 서방 이슬람 세계에도 철학자는 존재했지만, 동방 이슬람을 전수했다는 공적에 지나지 않았다고 보여지고 있다. 서방 이슬람으로는 지성의 본연의 자세, 개인과 사회의 관계나 철학과 종교의 관계 등에도 중점이 두어져 세계의 창조나 영혼론에 중점을 둔 동방 이슬람 세계와는 한 가닥 다른 특징의 철학이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프리카 출신 이슬람의 무라비트 왕조 그 다음에 무와히드 칼리파조이 흥해, 이슬람의 세력은 북아프리카를 거치고, 이베리아반도에까지 달하고 있었다. 무라비트 왕조은 당초는 이슬람의 최초의 모습을 되찾으려고 한 보수적인 왕조였지만, 점차 그것도 희박해져 사상적으로는 완전하게 부패해 버리고 있던 왕조가 되어 버렸다. 사람들은 꾸란을 단지 암송하는 것만으로 있어, 크루 안에 쓰여져 있는 내용에의 질문이나 연구는 결코 터부로 여겨졌다. 이슬람에서 신성으로 되어 있던 하디스조차, 쓰레기와 다름없게 취급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사상사적으로도 부패해 버린 왕조는 당시의 신학자 가잘리에게도 통렬하게 비판되었다. 이 왕조를 타도해, 문화적인 부흥을 내건 신왕조가 탄생했다. 이것이, 무와히드 칼리파조이다. 서방 이슬람이 활발하게 된 것은 이 무왓히드조 아래였지만, 그들도 원래 사상사적 배경이 부족했기 때문에, 때의 칼리프, 아브 야아크브가 철학·신학 쌍방의 발전을 왕조의 정책의 일환으로서 내걸어 발전했다는 경위를 가진다. 따라서, 서방 이슬람의 철학은 아비센나를 시작으로 한 동방 이슬람과의 제휴는 얇고, 서방 이슬람은 대체로 독자적인 사상 전개를 한 철학이라고 해도 좋다. 또, 가잘리에 의한 철학 비판을 해 철학이 큰 변절점을 맞이한 동방 이슬람 세계와는 달리, 이베리아반도를 중심으로 한 서방 이슬람 철학은 또 독자적인 시점에서 그리스 철학을 받아 들이고 있었다. 후술하지만, 그들의 철학은 그 후의 이슬람 사상의 전개로는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그 성과는 중세 유럽의 사상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라틴·아베로이스트들. 이는 후술) 이는 사상 전개는 물론이고, 지리적인 위치도 적지 않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븐 밧쟈[편집] 서방 이슬람 철학은 이븐 밧쟈 (? - 1138년)에 시작한다. 유럽으로는 라틴어화된 아베파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왕조의 재상을 맡고 있던 정치가이기도 했다. 그는 행정에 관한 일이기도 하지만, 일을 위해서 여러가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가로서의 프로필도 반영해, 그는 가잘리와 같은 신비주의적인 경향을 싫어했다. 그는 신비가가 요구하는 감성적인 능력이 아니고, 이성적인 능력 (지성)은 핵 (진리)이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븐 밧쟈에 의하면, 우주를 구성하는 것의 최하위의 존재는 감각적인 것으로 차지해져 이 존재에 지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성으로서의 인간의 존재는 이것보다 고도의 것이다. 그리고 보다 고도의 것은 감성적인 요소가 없어져, 순수하게 지성적인 존재가 된다고 한다. 인간의 지성의 경우, 감각적인 것은 없어지지만, 한층 더 상위에 능동적인 지성이 있어, 인간의 지성이 최고위는 아니라고 한다. 최상위의 존재, 즉 인간보다 한층 더 상위이지만, 이는 최고로 순수한 능동적인 지성을 가진 존재이며, 이 존재는 완전하게 행복한 존재라 한다. 이 완전한 지성과의 합일이야말로, 철학이 요구하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며, 이 지성으로서 존재 (진리 혹은 신) 하나가 될 때, 최고의 행복이 방문한다고 한다. 이러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자 중에서 영원적인 능동적 지성을 최고의 능력에 일어나 인류의 지성 (이는 개개의 존재에 환원되는 것이 아니고, 지성은 인류 전체에 하나되는 것으로서 존재하는 생각하고 있었다)은 이 능동적 지성의 유출과 다름없다는 생각은, '지성 유일설'이라는 형태로 후의 중세 스콜라 철학에서 대논쟁이 되었다. 이것은 후에 말하는 아베로에스의 생각이 기본으로 되어 있지만, 기원은 이븐 밧쟈라고 하고 있다. 이 나름 지성적인 신비주의는 감각적인 것을 배제한 경향이 인정되어 가잘리와 같은 신비주의와는 분명하게 이질적인 것이었다. 또 전술과 같이, 이 철학자는 정치가로서의 얼굴도 가지고 있어 속세의 일로 가득하고, 그의 희망이기도 한 철학의 일에 몰두하는 것이 좀처럼 할 수 없었다. 그것도 반영해 그는 가장 이성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은 속세로부터 멀어져 한 명 고독한 길을 걷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의 대표작도 '고독자의 안내'라는 제목이다. 이 속세 (사회)와 개인의 관계는 다음에 나타나는 이븐 트파일에 의해서 명확하게 의식되고 있다. 이븐 트파일[편집] 이븐 트파일은 이븐 밧쟈의 문하생이었다고 한다. 약간 그의 경력에 불명료한 곳이 있지만, 그라나다 근교의 출생이라고 하고 있다. 그는 무와히드 칼리파조의 시의로도 솜씨를 발휘하고 있었다. 그의 철학 사상은 대표작인 '야크잔의 아이 하이이'에 집약되고 있다. 이는 철학적인 이야기 작품이며, 이른바 철학서와는 구별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야크잔이란 눈을 뜨고 있는 사람을 의미해, 즉 신이다. 하이이란 살아 있는 사람을 의미해, 즉 이성이다. 즉, 이 제목의 책에 의해서 철학계 전체를 표현하려는 시도이다. 내용의 자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트파일은 이 저작에 의해서, 대다수의 인간이 진리를 알지 못하고 살고 있는 것, 또 알려고 하지 않고 살고 있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사람들은 신앙에 의해서 구해지려고 하지만, 이것으로는, 현세적이고 저급한 부분 밖에 머물지 못하고, 진리에 도달할 수 없다. 진리를 안다는 행위는 철학으로 밖에 할 수 없다. 종교로는 이를 상징적으로 암시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것밖에 하지 못하고, 단순한 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같이 철학을 종교 위에 명확하게 둔 트파일의 사상은 당시의 종교가에게서는 반감을 사, 철학에 대해서 주의의 눈으로 가지고 들켜 버렸다. 그러나, 트파일의 제자이며, 이슬람 굴지의 대철학자 이븐 루시드는 이 문학적인 소설 작품을 이론화하는 것에 노력한 인물이기도 하다 (후술). 이븐 트파일 자신은 철학과 신학을 열애하고 있었을 때인지 칼리프, 아브 야아크브의 총애를 받으면서, 온건하게 생애를 보낼 수 있어 1185년에 고령에 죽었다. 이븐 루시드 (아베로에스)[편집] 이븐=르슈드 (아베로에스) 이븐 트파일의 뒤를 받아 등장하는 것이, 아베로에스 즉 이븐 루시드이다. 그의 이름은 이슬람 굴지의 대철학자로서 서양 철학사에서는 이븐 시나와 함께, 필출의 사상가이다. 이븐 루시드는 1126년에 코르도바에서 태어나 법학·철학·의학으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이븐 트파일이 은퇴한 것을 받아 왕조의 주시의로서 시중들었다. 칼리프는 이븐 루시드의 철학에 대한 지식의 우수함을 인정해 칼리프의 보호 아래, 아리스토텔레스를 주 해석하도록 들었다.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의 실적은 매우 뛰어난 것으로서 후의 서양 철학에 다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븐 루시드는 이븐 시나의 신플라톤주의적인 아리스토텔레스를 비판해, 어디까지나 순수한 모습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응시하려고 노력했다. 이 자세는 후세에 이븐 루시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신격화한 인물'이라고마저 평되는 만큼이기도 했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 뿐만 아니라, 그의 독자적인 사상은 대부분이 후의 서양 철학사에 논쟁을 불러 일으킨 우주 무시론이나 신의 개체지의 문제, 지성 단일설, 이중 진리설 등 유명하다. 항목의 성질상 모두 자세한 것은 할애하지만, 서양 철학자로 후세에서 그의 반박자이기도 한 토마스 아퀴나스까지 미루어진 이 우주 무시론은 우주 창조의 영구성은 인정하지만, 시간적인 시작을 부정한 것이다. 이 사상은 신학 상에서는 모순된 생각이지만, 이븐 루시드에 의하면 신학자들은 세계의 창조를 어느 한 점에서만 생각하고 있지만, 그것이 오류이며, 세계는 항상 창조되고 있는 것이라고, 이븐 루시드는 우주 (세계)가 끊임없이 변동하는 중에 하나의 본원적인 질서 (즉 진리)를 보고 있었다. 이것이, 이븐 루시드의 사상의 신념으로도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독특한 지성론, 즉 지성 단일설을 말한다. 즉, 지성은 개개인에 의해 다른 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것이든 단 하나로 동일하고 보편적 지성이라는 것이며, 이것이 개개인의 사이에 현현화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개개인에 대한 현현의 차이는 있지만, 이 지성이 향해 가는 것은 하나라고 한다. 사람은 개개인의 지성이 완전하게 최고도의 지성 (이슬람 철학 용어로 말하면 '능동적 지성')과 합일했을 때, 현세에서 최고의 행복이 방문한다고 한다. 이븐 루시드의 이 독특한 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에 의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신플라톤주의적인 유출론도 보인다. 이에 관련해, 이븐 루시드는 인간의 3단계설을 주창한다. 이 능동적 지성의 기능에 따라, 최하급의 대중, 중간으로 떠나는 신학자, 그리고 최상위의 철학자이다. 그에 의하면, 중간의 신학자만이 '환자'이며, 함부로 성전을 해석해, 잘못된 해석을 베풀어 이것을 절대적인 진리로서 민중에게 주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서 종교를 불필요하고 해악인 것으로 파악할 수 없다. 민중은 이 종교를 통해서, 철학자가 스스로가 직관하는 진리를 가까워지기 쉬운 감각적인 것으로 옮겨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철학자에게는 벌써 직시해 체득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가 없는 것이라 한다. 이는 이븐 루시드에 의하면 철학과 종교가 다른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철학자는 성전의 말의 모순을 어디까지나 추구해, 해석해 나가는 것이 성스러운 의무이며, 한편 일반 민중은 철학자와 달리 지성이 불충분하기에, 지성은 아니고 신앙이라는 능력에 의해서 이 성전에 가까워져야 한다. 민중은 신학자가 잘못된 해석에 유혹해져서는 안 된다고 한다. 따라서, 궁극에는 철학과 종교는 일치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생각은 후세에 이븐 루시드에 대해서 적지않은 무신론적인 평가가 내려지게도 되지만, 이것은 전의 이븐 트파일의 사상에도 보여지고 있던 것이기도 하다. 이 지성론과 관련해, 인가의 이중 진리설의 제단이 되는 설이 전개되었다. 이는 철학과 종교가 협조시키려는 시도로, 상 모순되는 두 개의 명제가 한 편이 철학의 원리로 진리이면 진리이며, 한편도 종교적 신조에 의해서 진리이면 진리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전에 접한 인간의 3단계설을 봐도 아는 대로, 결과적으로 철학적 진리의 추구를 하는 입장인 철학이 우위에 떠나도록 되어 있어, 오히려 신학 쪽에서 비판을 뒤집어 썼다. 이 이중 진리설은 라틴 아베로이즘의 신봉자에 의해서 기독교 세계에 가져와져서 거듭되는 이단 선고를 받는 것에 도달했다. 이븐 루시드는 1198년에 모로코에서 죽었다. 그의 뒤, 이슬람 세계에서 이 이성 주의적인 철학을 받아 따르는 것은 나타나지 않고, 이슬람 세계에 의한 이베리아반도 지배도 이 후 곧바로 끝나, 그리스 철학의 이입에 시작한 이슬람 철학의 세계는 이븐 루시드의 죽음을 따라, 임종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후의 이슬람 철학[편집] 이븐 루시드의 죽음과 함께 '아랍 소요학파'라고 불리는 이슬람 철학의 1학파가 마지막을 맞이해 서방 이슬람 세계, 즉 알안달루스나 북아프리카에서의 철학적 활동은 현저하게 감퇴했다. 한 편으로 동방의 나라들, 특히 이란이나 인도에서는 철학적 활동이 훨씬 길게 존속했다. 전통적인 생각에 반해, 디미트리 굿타스와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의 생각으로는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친 시대는 아랍 철학·이슬람 철학의 진정한 '황금 시대'이다. 이 시대는 가잘리가 논리학을 마드라사의 연구 계획이나 계속 되어 일어난 이븐 시나 철학의 융성에 통합했던 것에 시작된다.[1] 서유럽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정치적력이 이슬람교로부터 크리스챤의 조종 아래로 옮겼기 때문에, 당연히 서유럽에서는 이슬람교는 철학을 실시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의해서, 이슬람 세계에서의 '니시카타'와 '히가시카타'의 교류가 약간 감소하게도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학자와 특히 오늘의 이란이나 인도의 영역에 있던 이슬람교 왕국에 살아 있던 학자, 예를 들면 샤 와리웃라나 아후마드 시린디 등의 사람들의 연구로부터 아는 것이지만, '동방'의 이슬람교는 철학을 계속했다. 이 사실은 이슬람 (혹은 아랍) 철학을 연구하고 있던 전근대의 역사가의 주의로부터 빗나가고 있었다. 또, 논리학은 근현대까지 마드라사로 계속 가르쳐졌다. 이븐 루시드 이후, 이슬람 철학 후기의 많은 학파가 융성했다. 여기에서는 이븐 아라비 및 못라 새들러가 일으킨 학파 등의 극히 소수의 학파에 언급에 그친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학파는 현재도 이슬람 세계에 살아 있으므로 특히 중요하다. 그 안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조명 학파 (Hikmat al-Ishraq) 초월론적 신지학 (Hikmat Muta'aliah) 스피 철학 전통주의파 조명 학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조명 학파입니다. 조명 학파는 12세기에 샤하붓디 스후라와르디가 창시한 이슬람 철학의 학파. 이 학파는 이븐 시나의 철학과 고대의 페르시아 철학을 스후라와르디가 많은 새로운 혁명적인 사상과 조합한 것이다. 이 학파는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아 왔다고 여겨진다. 이슬람 철학의 논리학에서는 논리 철학의 사색의 역사 중에서 중요한 혁신인 '확실적 필요성'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킨 샤하붓디 스후라와르디가 시작한 조명 학파가 그리스 논리학에 대한 포괄적인 논박을 실시했다.[2] 초월론적 신지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초월론적 신지학입니다. 초월론적 신지학은 17세기에 못라 새들러가 일으킨 이슬람 철학의 학파. 그의 철학과 존재론의 이슬람 철학에서의 중요성은 후의 마르틴 하이데거의 철학의 20세기 서양 철학에서의 중요성과 정확히 같다. 못라 새들러는 이슬람 철학에서 '진실의 본성을 취급하는데의 새로운 철학적 식견'을 획득해, '본질주의로부터 실존주의에의 대전환'을 완수했다. 이는 서양 철학에서 같은 것이 일어나는 수 세기 전의 일로이다.[3] '본질은 실존에 앞선다'라는 생각은 샤하붓디 스후라와르디[4] 와 그의 학파 조명 학파할 경황은 아니고 이븐 시나[5] 와 그의 학파 아비케니즘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대하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는 생각은 이븐 루시드[5]나 못라 새들러[6] 의 저서 중에서 이 생각에 대한 응답으로서 발전 당하고 있어 실존주의의 열쇠가 되는 근본적인 개념이다. 못라 새들러에 의하면, '실존은 본질에 앞서, 그리고 본질이 있기 위해서는 실존이 앞서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실존은 원리이다.' 이는 제일에 못라 새들러의 초월론적 신지학의 핵심에 자리잡아진 주장이다. 사이드 쟈랄 아슈티야니는 후에 못라 새들러의 사상을 요약해 이하와 같이 말했다:[7] '실존은 본질을 가진다면 일으켜져 순수한 실존이 아니면 안된다 … 그러므로 실존은 필요한 존재이다.' 존재론 (혹은 존재 신학)의 즉 하이데가의 사상이나 형이상학사 비판에 의한 비교를 경유한 연구의 현상학적 방법의 술어에 대해 이슬람 철학자 (및 신학자)에 관한 사상의 술어로 보다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게 됐다.[8] 논리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슬람 철학의 논리학입니다. 가잘리의 논리학과 11세기의 마드라사의 학습 계획과의 순조롭게 말한 통합에 의해서, 논리학, 주로 이븐 시나의 논리학을 중시한 활동이 활발하게 됐다.[1] 이븐 하즘 (994년 - 1064년)은 저서 '논리학의 사정'으로 지식의 원천으로서의 지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 가잘리 (알 가젤) (1058년 - 1111년)는 카람에서 이븐 스나 논리학을 이용해 신학에서의 논리학의 사용에 대해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9] 파크루 알=딘 알=라지 아모리 (b. 1149)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제일격'을 비판되어 있는 종의 귀납 논리를 구축했다. 이는 후에 존 스튜어트 밀 (1806년 - 1873년)이 발전시킨 귀납 논리를 예시하는 것이다. 이슬람 철학의 논리학으로는 논리 철학의 사색의 역사 중에서 중요한 혁신인 '확실적 필요성'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킨 샤하붓디 스후라와르디가 시작한 조명 학파가 그리스 논리학에 대한 포괄적인 논박을 실시했다.[2] 이븐 타이미야 (1263년 - 1328년)가 그리스 논리학에 대한 또 하나의 포괄적인 논박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스 논리학자에 대한 논박' (Ar-Radd 'ala al-Mantiqiyyin)에서 삼단논법에 관해서, 타당성에는 이론은 없지만 유용성이 없다고 주장해[10], 귀납적 추론을 선호했다.[2] 역사 철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초기 이슬람교 사회학입니다. 역사학을 주제로 하는 최초의 연구와 역사학 연구법에 대한 최초의 비판적 고찰은 아랍인이자 아슈아리파의 박식가 이븐 할둔 (1332년 - 1406년)의 작품에 나타난다. 그는 특히 '역사 서론' ('프로레고메나 Prolegomena'로 라틴어 번역된다)과 '조언의 책' (Kitab al-Ibar)을 쓴[11] 일로, 역사학, 문화사,[12] 역사 철학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또, 그의 '역사 서론'에 의해서 역사 상의 주권국가, 커뮤니케이션, 선전, 조직적 바이어스의 연구의 기초가 쌓아 올려져[13] 있고, 그는, 문명의 성쇠를 논하고 있다. 프란츠 로젠탈은 저서 '이슬람교 역사학의 역사'에서 이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이슬람교 역사학은 역사적으로 이슬람권의 학문 일반의 발전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왔다. 이슬람권의 교육에서의 역사적 지식의 지위는 역사에 관한 문헌의 지적 수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쳐 왔다 … 이슬람교는 역사의 사회학적 이해와 역사학의 체계화에 대해 역사의 문헌 중에서 일정한 성과를 올려 왔다. 근대 역사학적 문헌의 발전은 그에 따라 17세기 이후의 서양의 역사가가 다른 문화의 눈으로 세계의 넓은 영역을 볼 수 있게 된 곳의 이슬람교의 저작의 이용을 통해서 속도와 내용에 대해 상당히 진행되어 왔다. 간접적으로 이슬람교 역사학에 의해서 어느 정도 오늘의 역사 사상이 형태 만들어졌다.'[14] 사회 철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초기 이슬람교 사회학입니다. 가장 유명한 사회 철학자는 아슈아리파의 박식가 이븐 할둔으로, 그는 북아프리카에서는 마지막 유명한 이슬람 철학자이다. 그의 '역사 서론'에서는 구조적 결속성이나 사회적 알력의 이론을 정식화하는데에 선구적인 사회 철학의 이론이 발전 당하고 있다. 또, '역사 서론'은 7권으로부터라면 보편사의 분석의 서론이기도 하다. 그는 사회학, 역사학, 역사 철학의 화제를 처음으로 상세하게 논했기 때문에, '사회학의 아버지', '역사학의 아버지', 그리고 '역사 철학의 아버지'이다. 현대 이슬람 철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현대 이슬람 철학입니다. Dr. 무하마드 이크발 (1877년 - 1938년), 영령 인도 제국 (현재의 파키스탄) 출신의 저명한 이슬람교 철학자, 시인, 학자 많은 서양인이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샤하붓디 스후라와르디의 'Hikmat al-Ishraq (조명 철학)'이나, 그 후의 못라 새들러의 'Hikmat-e-Mota'aliye (초월론적 신지학)'이라는 황금 시대를 지나 오늘날에도 아직 이슬람 철학은 매우 활발하다. 이슬람 철학을 개설하는데에 또 한사람 피하고는 통과할 수 없는 것은 무하마드 이크발이다. 그는 20세기 초기의 인도 대륙의 이슬람교들의 사이에 이슬람 철학을 재형성·재생했다[1]. 그는 우르두어와 페르시아어로 시적 작품을 쓰고 있는 한 편으로, '이슬람에서의 종교적 사고의 재구축 (en:The Reconstruction of Religious Thought in Islam [2])'이 이슬람권에서의 근대 정치 철학의 이정표가 되었다 현대의 이슬람권으로는 '히크마'가 계속해 활발히 배우고 있다.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의 지도자로, 히크마 울 무타리야 학파의 저명한 강사. 이슬람 혁명이 승리하기 이전, 그는 쿰의 신학교에서 철학을 포멀하게 가르치는 얼마 안되는 강사 중 한 사람으로 있었다. 아브좃라 자바디=아모리, 대아야툿라로, 열두 이맘파의 마르쟈이다. 그는 이란의 보수파의 정치가로, 쿰의 하우자의 걸출한 울라마의 한 사람으로 있다 무하마드 호사인 타바타바이 (파:علامه طباطبائى)권으로부터 되는 꾸란의 주석서 '알 미잔 (الميزان)' 등 방대한 양의 저서의 작자 함카, 즉 하지 아브둘 마리크 카림 아미룻라는 인도네시아의 저술가로, 울라마 정치가, 철학적 사상가, 그리고 '타피르 알 아잘'의 작자이다. 그는 인드네시암후티 의회 (MUI)의 의장이다. 이슬람교에 크리스마스를 축하하지 않도록 말하는 그의 파트와가 수하르토 정권으로부터 비판되었을 때에 사직했다. 자국에서 존경받고 있는 것만이 아니고, 그는 말레이시아나 싱가폴에서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몰테더 모탓하리, 타바타바이의 제일의 제자, 이란·이슬람 혁명의 순교자; 그리고 방대한 양의 책의 저자 (그의 저작집은 전집은 아닌데 25권을 센다). 그는 스승의 타바타바이나 호메이니와 같이, 히크마 울 무타리야 학파에 속한다. 아불 알라 마우두디, 20세기에 근대 이슬람 정치사상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지는 인물로, '쟈마트 에 이스라미'를 창설해, 이슬람의 지적 전통을 부활 시키려 하며 생애를 보냈다. 이스라 아후메드 (1932년 4월 26일 – 2010년 4월 14일)는 파키스탄의 울라마 중동, 서유럽, 북아메리카의 남아시아 디아스포라의 사이로, 특히 남부아시아에서 수행한다. 힛서르 (오늘의 하랴나)로 정부 공무원의 제2자로서 태어나 쟈마트 에 이스라미의 분파 탄지트 에 이스라미를 창시했다. 이슬람과 꾸란의 위대한 연구자. 무하마드 하미룻라 (1908년 2월 9일 - 2002년 12월 17일)는 학자, 울라마, 저술가, 스피의 한 무리에 속한다. 그는 세계적인 명성을 가지는 울라마로 인도의 국제법 학자로, 하디스의 연구, 꾸란의 번역, 이슬람 황금 시대의 연구의 발전, 거기에 서방에서의 이슬람 교육의 보급에 공적이 있다. 파즈르르 라후만은 시카고 대학의 이슬람 사상의 교수 와히드 하 SIMM 인도네시아 종교성의 초대 장관. 인도네시아·나후드와트르·울라마의 원두령.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사상은 마드라사의 커리큘럼의 개혁이다. 세이드 호사인 나술 의무런 나잘 호세인 - '코란의 이르사렘'의 저자 쟈베드 아후마드 가미디는 잘 알려진 파키스탄의 울라마, 석의가, 교육자. 이전에는 쟈마트 에 이스라미의 멤버로, 자신의 스승 아민 아후서 이스라히의 사상을 전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사이드 무하마드 나키브 알=앗타스는 걸출한 형이상학 사상가. 남동 유럽에서 회의주의적인 '알 이븐 테오드라키스'의 가르침이 상당한 지지를 얻고 있다. 대표적인 철학자[편집] 킨디 파라비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가잘리 관련 문헌[편집] 원전역[편집] '이슬람 철학 중세 사상 원전 집성 11' 죠오치 대학교 중세 사상 연구소 감수편역, 헤본사 2000년 '과학의 명저 8 이븐 시나' 이토 슌타로우 해설, 이기라시 히토 역주 아침해 출판사 1981년 [이슬람 고전 총서] (전8권), 이와나미 서점,1978 - 87년 못라 새들러 / 이즈츠 토시히코 역·해설 '존재 인식의 길존재와 본질에 대해' 1978년 쟈라르 웃디 루미 / 이즈츠 토시히코 역·해설 '루미 어록'1978년 후 '이즈츠 토시히코 저작집 10·11' (중앙공론사, 전11권별권 1)에 수록. 이븐 하즘 / 쿠로다 토시로우 역·해설 '비둘기의 목장식사랑과 사랑하는 사람들에 관한 론 고'1978년 가잘리 / 쿠로다 토시로우 역·해설 '철학자의 의도 이슬람 철학의 기초 개념'1985년 가잘리 / 나카무라 히로시 지로 역·해설 '중용의 신학 중세 이슬람의 신학·철학·신비주의'헤본사 동양문고, 2013년 철학사[편집] 올리버 리만 / 나카무라 히로시 지로 역 '이슬람 철학에의 문이성과 계시를 둘러싸고' 지쿠마 서점 1988년 / 치기미 학예 문고 2002년 올리버 리만 / 사토 리쿠오 역 '이슬람 철학이란 무엇인가 종교와 철학의 공방' 소우시사 2012년 무하마드 바키룩=서들 / 쿠로다 토시로우 역 '이슬람 철학' 미지골짜기 1994년 앙리 콜밴 / 쿠로다 토시로우·카시와기 히데히코 역 '이슬람 철학사' 이와나미 서점 1974년, 복간 1996년·2006년 S. H. 나술 / 쿠로다 토시로우·카시와기 히데히코 역 '이슬람의 철학자들' 이와나미 서점 1975년 이즈츠 토시히코 '이슬람 사상사 신학·신비주의·철학' 이와나미 서점 1982년 / 중 공문고 1991년, 신장판 2005년 '이슬람 철학 이즈츠 토시히코 저작집 5' 중앙공론사, 1992년 이즈츠 토시히코 외 편 '이슬람 사상Ⅰ·Ⅱ'〔이와나미 강좌 동양 사상 제 3·4권〕이와나미 서점, 1988년 이즈츠 토시히코 '이슬람 철학의 원상' 노랑판 이와나미 신서 1980년, 복간 1998년·2013년 외. 각 '초월의 말이슬람·유태철학에서의 신과 사람' 이와나미 서점 1991년에 수록 ※ 우물 주위의 낮은 울의 저작·논고·수상은 '이즈츠 토시히코 전집' (케이오 기쥬쿠 대학 출판회, 전12권별권 1)에 집대성. 무하마드 하미족 = 라 쿠로다 미요코 역 '이슬람 개설' 책방심수 2005년 쿠로다 토시로우 '이슬람의 구조 타우히드·샤리아·운마' 책방심수 2004년 W. 몬고메리·와트 / 후쿠시마 야스오 역 '이슬람의 신학과 철학' 키노쿠니야 서점 1976년 와트 / 쿠로다 토시로우·카시와기 히데히코 역 '이슬람·스페인사' 이와나미 서점 1976년 와트 / 마키노 신야·쿠보 기묘 역 '무하마드 예언자와 정치가' 봐 주석 서점 2002년 (초판 1970년) 와트 / 미키 히로시 역 '지중해세계의 이슬람 유럽과의 만남' 치기미 학예 문고 2008년 / 원판 지쿠마 서점〈지쿠마 총서〉1984년 리처드 벨 / 쿠마다 토오루 역 '이슬람의 기원' 지쿠마 서점〈지쿠마 총서〉, 1983년 벨 / 의왕 히데유키 역 '코란 입문' 치기미 학예 문고, 2003년 '샤트레 철학사 2 중세의 철학' 야마다정 감역, 하쿠스이사, 1976년, 신장판 1998년 ※ '고전기의 이슬람 철학과 신학' A. 바다위, 카시와기 히데히코 역 / '이븐 하르두' A. A.마렉, 카시와기 히데히코 역을 수록. '철학의 역사 3신과의 대화 중세 신앙과 지의 조화' 나카가와 쥰남 책임 편집, 중앙공론 신사, 2008년. '고전 이슬람의 철학' 외를 수록 이기라시 히토 '이슬람·르네상스', 1986년 / '지의 연쇄', 1983년 각·경초서방 나카무라 히로시 지로편 '이슬람 - 사상의 일강좌 이슬람 1' 지쿠마 서점, 1985년 영문판의 문헌[편집] Corbin, Henry (1993년 4월).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Liadain Sherrard (trans). London and New York: Kegan Paul International. ISBN 0-710-30416-1.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Routledge History of World Philosophies) by Seyyed Hossein Nasr and Oliver Leaman [ed.]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by Majid Fahkry Islamic Philosophy by Oliver Leaman http://www.rep.routledge.com/article/H057 The Study of Islamic Philosophy by Ibrahim Bayyumi Madkour Falsafatuna (Our Philosophy) by Muhammad Baqir al-Sadr 각주[편집] ↑ 가 나 Tony Street (2008년 7월 23일). “Arabic and Islamic Philosophy of Language and Logic”.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8년 12월 5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Science and Muslim Scientists Archived 2007년 10월 20일 - 웨이백 머신, Islam Herald ↑ Kamal, Muhammad (2006). 《Mulla Sadra's Transcendent Philosophy》. Ashgate Publishing, Ltd. 9 & 39쪽. ISBN 0754652718.  ↑ (Razavi 1997, 129쪽) ↑ 가 나 Irwin, Jones (Autumn 2002). “Averroes' Reason: A Medieval Tale of Christianity and Islam”. 《The Philosopher》. LXXXX (2).  ↑ (Razavi 1997, 130쪽) ↑ (Razavi 1997, 129□30쪽) ↑ For recent studies that engage in this line of research with care and thoughtful deliberation, see: Nader El-Bizri, The Phenomenological Quest between Avicenna and Heidegger (Binghamton, N.Y.: Global Publications SUNY, 2000); and Nader El-Bizri, 'Avicenna and Essentialism', Review of Metaphysics 54 (2001), 753-778; and Nader El-Bizri, 'Avicenna's De Anima Between Aristotle and Husserl', in The Passions of the Soul in the Metamorphosis of Becoming, ed. Anna-Teresa Tymieniecka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67-89 ↑ “"The Canon of Medicine" (work by Avicenn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 2008년 6월 11일에 확인함.  ↑ See pp.  253–254 of Street, Tony (2005). 〈Logic〉. Peter Adamson and Richard C. Taylor (edd. ). 《The Cambridge Companion to Arabic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7–265쪽. ISBN 9780521520690.  ↑ S. Ahmed (1999). A Dictionary of Muslim Names. C. Hurst & Co. Publishers. ISBN 1850653569. ↑ Mohamad Abdalla (Summer 2007). "Ibn Khaldun on the Fate of Islamic Science after the 11th Century", Islam & Science 5 (1), p. 61-70. ↑ H. Mowlana (2001). "Information in the Arab World", Cooperation South Journal 1. ↑ Historiography. The Islamic Scholar. 관련 항목[편집] 아리스토텔레스 스콜라학 이슬람 신학 신비주의 마호매드 이슬람 신비주의 12 세기 르네상스 인도·이슬람 철학 이슬람 과학 이스마이르파 외부 링크[편집] 마츠모토경낭 '이슬람 철학' (Yahoo!백과사전)[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vdeh철학 동양 철학 서양 철학 철학자 주요 분야 논리학 미학 윤리학 인식론 존재론 형이상학 응용 분야 경제철학 과학철학 교육철학 기술철학 메타철학 법철학 사회철학 수리철학 심리철학 언어철학 역사철학 정치철학 종교철학 환경철학 학파고대중국 농가 도가 명가 묵가 법가 선종 양주학파 유가 음양가 현학 그리스-로마 다원주의 학파 메가라 학파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 스토아 학파 신플라톤주의 신피타고라스 학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에레트리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엘레아 학파 원자론 이오니아 학파 (에페소스 학파, 밀레토스 학파) 키니코스 학파 키레네 학파 페리파토스 학파 플라톤주의 피론주의 피타고라스 학파 해석학 인도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중세유럽 기독교 철학 르네상스 휴머니즘 스콜라주의 토미즘 동아시아 성리학 일본 주자학 한국의 유교 인도 바이타 신정리 학파 비시슈타드바이타 이슬람 수피즘 이븐 시나 철학 칼람 근대인물 데카르트주의 마르크스주의 스피노자주의 신칸트주의 칸트주의 헤겔주의 관념/물질 결정론 경험론 공리주의 관념론 (객관적 관념론, 독일 관념론, 선험적 관념론, 영국 관념론, 절대 관념주의, 주관적 관념론) 실용주의 유물론 이원론 일원론 자연주의 합리론 환원주의 기타 개인주의 자유주의 고쿠가쿠 토대주의 네오토미즘 모더니즘 보수주의 사회 계약 사회주의 신유가 실존주의 실증주의 아나키즘 유사주의 자연법 전체론 집산주의 초월주의 허무주의 현상학 휴머니즘 현대분석 철학 공동체주의 과학적 현실주의 과학적 회의주의 과학주의 규범 윤리학 논리 실증주의 덕 윤리학 도덕적 현실주의 롤스 철학 메타윤리학 반증 가능성 법실증주의 분석 마르크스주의 분석 여성주의 비트겐슈타인 철학 비판적 합리주의 빈 학파 생성 문법 실험 철학 응용 윤리학 일상 언어 철학 포스트분석 철학 현대 공리주의 대륙 철학 구조주의 비판 이론 사회적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vism) 사회 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서방 마르크스주의 신마르크스주의 신유사주의 실존주의 여성주의 철학 탈구축 포스트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프랑크푸르트 학파 해석학 현상학 기타 교토 학파 객관주의 러시아 우주주의 입장규범성 도덕적 개별주의 도덕적 보편주의 도덕률 상대주의 허무주의 회의주의 미학 형식주의 실재 관념론 물리주의 반실재론 실재론 유명론 유물론 자연주의 존재론 사건 행동 이론 과정 철학 인식론 경험론 관념론 구성주의 인식론 신앙주의 유아론 인식론적 개별주의 합리론 회의주의 지역별 철학 그리스 철학 미국 철학 인도 철학 일본 철학 중국 철학 폴란드 철학 한국 철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슬람_철학&oldid=24063835" 분류: 철학의 분과동양 철학이슬람교이슬람의 역사철학사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eutschދިވެހިބަސް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atoisҚазақшаKurdîLatinaBahasa MelayuNederlandsPolski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Türkmençe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0: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슬람 철학 (영어: Islamic philosophy)은 철학 중에서도 이슬람 문화권을 중심으로 발달한 철학이다. 아라비아 철학이라고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샤리아와 신학은 어떻게 대립하였는가? Assistant: 그러나, 이에 의해 샤리아 논의와 그 정당성을 주장할 때에, 신학 (카람)과의 대립이 발생했다. 신학은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으면, 논증하는 것은 필요하게 되지 않는 전제 (즉 종교적인 교의)로 논의되어 법해석의 올바름을 증명하려고 하고 있었지만, 철학은 확실히 의심할 수 없는 전제가 요구되고 있어 비록 이슬람교에서의 종교적인 교의에서도 논리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한, 결코 받아 들여지지 않고, 그것을 전제로 한 논의나 추론은 결코 증명되는 것으로는 되지 못하고, 기피되어야 하는 것이 됐다. 이는 철학과 신학과의 사이에 불화가 발생해, 철학자와 신학자의 사이에 격렬한 서로 욕설까지 발전했다. 철학자들은 신학을 '모순점을 조롱해, 적대자나 이단을 논박할 만한 발전성이 없는 학문'이라고까지 평가했지만, 그러나 실제는 단순한 관점의 차이 (텍스트 해석 (신학)과 논증할 때의 전제 (철학))이며, 양쪽 모두에 귀결하는 점으로는 결국, 큰 차이는 없었다고 한다. 어쨌든, 다양화되어 혼돈되어 온 이슬람의 법해석의 타개책으로서 철학은 환영되었던 것도, 이슬람 철학 발전의 요인의 하나이다. Human: 아래 최교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최교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최교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최교일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62년 2월 28일(1962-02-28) (57세)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거주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주시본관 경주학력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직업 국회의원경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소속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의원 선수 1의원 대수 20정당 자유한국당지역구 경북 영주시·문경시·예천군당내 직책 법률자문위원장 최교일(崔敎一, 1962년 2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정치인이다.[1][2][3][4] 목차 1 학력 2 경력 3 의정 활동 4 논란 4.1 세비반납 공약 파기 논란 4.2 성추문 은폐 논란 4.3 스트립바 방문 강요 논란 5 역대 선거 결과 6 각주 7 외부 링크 학력[편집] 영주중앙초등학교 영주중학교 경북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 경력[편집]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 합격 2005년 4월: 대검찰청 과학수사기획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7부장, 법무부 법조인력정책과장, 대검찰청 연구관 2007년 2월: 수원지방검찰청 1차장검사 2008년 3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1차장검사 2009년 1월: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 2009년 8월: 법무부 검찰국장 2011년 8월 ~ 2013년 4월: 제54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2013년 7월 ~ 2016년 5월: 최교일법률사무소 변호사 의정 활동[편집] 2016년 5월 30일 ~ : 제20대 국회의원 (경북 영주시·문경시·예천군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 2017년 2월: 새누리당 법률지원단 단장 2016년 7월 ~ 2017년 6월: 제20대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6년 9월 ~ 2017년 2월: 새누리당 법률자문위원회 위원장 2017년 2월 ~ : 자유한국당 법률지원단 단장 2017년 2월 ~ : 자유한국당 법률자문위원회 위원장 2017년 2월 ~ 2017년 12월: 제20대 국회 헌법개정 특별위원회 위원 2017년 10월 : 자유한국당 정치보복대책특별위원회 위원 2017년 12월 ~ 2018년 12월: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2018년 7월 ~ : 제20대 국회 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2018년 7월 ~ 2019년 5월 : 제20대 국회 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2019년 2월 : 자유한국당 당헌당규개정위원회 위원 2018년 12월 ~ : 자유한국당 경북도당 영주·문경·예천 당협위원장 2018년 12월 ~ : 제20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2019년 3월 ~ : 자유한국당 좌파독재저지특별위원회 위원 2019년 6월 ~ : 자유한국당 2020 경제대전환위원회 활기찬 시장경제(성장과 고용·일자리·재정·공공·금융·규제·주택·부동산·에너지) 분과위원 2019년 7월 ~ : 자유한국당 미디어특별위원회 위원 논란[편집] 세비반납 공약 파기 논란[편집] 지난 2016년 4월13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현 최교일 의원등 당시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 40명은 국민을 상대로 조건부 세비 반납 약속을 했다. 이들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등 대한민국을 위한 5대 개혁과제를 2017년 5월 31일까지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하겠다고 공언하였으며 계약서를 작성하고“우리는 ‘대한민국과의 계약’에 서약합니다”라며 “서명일로부터 1년 후인 2017년 5월31일에도 5대 개혁과제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서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할 것임을 엄숙히 서약합니다”라고 썼다. 거기다가 신문에 전면광고를 내고 이 광고를 1년간 보관해달라고 하였다. 이 약속에 이름을 올린 당시 후보는 40명이다. 이들 중 당선자는 27명(강석호, 강효상, 김광림, 김명연, 김무성, 김성태, 김순례, 김정재, 김종석, 박명재, 백승주, 오신환, 원유철, 유의동, 이만희, 이완영, 이우현, 이종명, 이철우, 장석춘, 정유섭, 조훈현, 지상욱, 최경환, 최교일, 홍철호)에 달한다.[5]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5대과제의 이행은 하나도 되지 않았다. 공약 후 1년이 다되어 세비반납 공약이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년간 5대 개혁과제 법안을 발의함으로써 계약 내용을 이행했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중 노동개혁을 위한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안은 마감 시한인 31일 전날 오전 발의됐되었으며 이들이 앞서 발의한 5개 법안은 이행이 된것이 하나도 없이 모두 해당 상임위에 계류 중인 상태다. 이를 두고 '법안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 개혁 과제를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가', 또 '세비 반납을 피하기 위해 졸속 발의한 것 아닌가' 등의 비판이 일고 있으며 약속했던 세비 반납의 조건이 '과제 이행' 여부였다는 점에서 법안 발의만으로는 약속을 이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6][7][8] 성추문 은폐 논란[편집] 안태근 전 법무부 검찰국장의 서지현 검사에 대한 성추행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고 하면서 2010년 성추행 사건 이후 서지현 검사에게 인사 불이익을 주고, 서지현 검사가 의논을 했던 임은정 검사를 집무실로 불러 "들쑤시지 말라"고 했다는 등의 주장이 제기된 것에 대해 "그런 기억이 없다"고 하면서 "너무 황당하다. 왜 나한테 다 덮어씌우냐"고 하면서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건 경위를 떠나 검찰국장 재직 시 불미스러운 사건이 발생한 데 대하여 안타깝게 생각하며 저의 이름이 거명되는 것에 대하여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하면서 "김모 부장검사는 서지현 검사에게 문제제기를 할 지 의사를 물었으나 서지현 검사는 고심 끝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하는 jTBC 보도를 거론하면서 "도대체 누가 성추행 사실을 은폐하였나요?"라고 되물었다.[9] 스트립바 방문 강요 논란[편집] 미국 현지 가이드인 대니얼 조 씨는 2019년 1월 31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2016년 가을 무렵 경북 지역 C 의원이 뉴욕 맨해튼에서 저녁 식사 도중 자꾸 미국 여자들 스트립바에 가자고 강요를 했다"며 "제가 강압적인 분위기에 못 이겨서 그 분들을 그 쪽(스트립바)으로 안내하고 두 세 시간 스트립쇼가 끝나는 동안 기다렸다가 호텔로 모시고 갔다"고 밝혔다. 이 얘기가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최교일 의원은 "2016년 9월 24∼26일 지역에 연고가 있는 오페라단 요청으로 뉴욕에 간 사실이 있다", "일정을 소화하고 저녁 식사를 한 뒤 숙소로 돌아가기 전 술 마시는 바에 가서 일행 등과 술 한 잔씩 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10여명이 모두 있는 자리에서 가이드에게 '식사 후 술 한잔할 수 있는 주점을 알아봐 달라'고 한 사실은 있으나, '스트립쇼 하는 곳으로 가자'고 한 사실은 없으며, 실제 스트립쇼 하는 곳으로 가지도 않았다"고 밝혔다.[10] 그러나 미국의 유흥업소를 소개하는 사이트인 클럽존닷컴(clubzone.com)은 이 업소를 '스트립 클럽'이라고 명기하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부연 설명 중에는 '샴페인 거품 욕조, 상반신 누드 당구, S&M, 샤워 쇼, VIP 라운지' 등의 내용도 명시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 다른 유흥업소 소개 사이트인 나이송라인스닷컴(nysonglines.com)에서도 파라다이스 클럽을 '올 누드 스트립 클럽(all-nude strip clup)' 으로 명시하고 있었다. 최교일 의원이 앞서 보도자료를 내고 "술 마시는 바에는 갔지만, 실제 스트립쇼 하는 곳은 가지 않았다"고 반박한 것에 대해 당시 가이드였던 대니얼 조씨는 2019년 2월 1일 다시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해당 업소의 실명을 공개하며 최 의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대니얼 조 씨는 이 업소를 "완전한 스트립바였다", "맨해튼에서 식사하고 차를 32가쪽 코리아타운 맨해튼으로 돌려서 33가에 있는 '파라다이스'라는 스트립바(에 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면 무희들이 춤추는 주변에 앉아서 술을 시켜먹는 그런 곳이며, 무희들한테 돈을 주면 앞에 가까이 와서 이렇게 옷을 하나하나 벗기도 하고 20불을 내면 개인 쇼를 보는 스트립바"였다고 설명했다.[11] 그는 '무희들이 최교일 의원이 앉은 테이블에서도 춤을 췄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그것을 보러 가자고 해서 간 것인데 (그것이 아니면) 무엇 하러 가나"며 "제일 높은 국회의원이 문화 체험을 하러 가자고 해서 같이 따라 들어갔다"고 주장하며 '미국법 상 스트립바에서는 술을 마실 수 없다'는 최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도 "술을 먹을 수 있다"며 "입장이 되면 거기서 술과 음료수 돈을 따로 내고 시켜먹는 스트립바"라고 반박했다. 또, '한국계 미국인 변호사와 함께 인근 주점에 갔다'는 최교일 의원의 해명에 대해서도 "그들은 당시에 현직 판사였고, 같이 (스트립바에서) 구경했다"며 "8명 일행이 다 같이 갔다. (스트립바를 같이 간) 명단을 불러줄 수도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서 그는 "국민이 낸 돈으로 일정에 없는 일을 하는 것에 분노가 일어 제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1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20대 국회의원 경북 영주시·문경시·예천군 새누리당 70,131 표 57.15% 1위 초선 각주[편집] ↑ 이현미. 현실 권력을 대하는 검찰의 자세. 뉴시스. 2015년 3월 3일. ↑ 서영지·이경미. 최교일, ‘김무성 사위’ 마약 사건 ‘몰래 변호’ 의혹. 한겨레. 기사입력 2015년 9월 21일. 최종수정 2015년 9월 22일. ↑ 최교일 변호사, 규정 피한 '신 전관예우'?…관련법 구멍. JTBC. 2015년 9월 23일. ↑ 이재진. 김무성 마약 사위 변호인은 지검장 옛 직속상관. 미디어오늘. 2015년 9월 25일. ↑ 헤럴드경제 (2017년 5월 25일). “[단독] 김무성 '세비반납' 약속 D-7...옛 새누리, 대국민 전면광고”. 2017년 6월 4일에 확인함.  ↑ “새누리 출신 의원들 ‘세비 반납’은 결국 쇼?”. 2017년 6월 4일에 확인함.  ↑ “자유한국당, '세비반납' 약속 마감 하루 전 법안 발의해 논란”. 《중앙일보》. 2017년 5월 30일. 2017년 6월 4일에 확인함.  ↑ “‘대한민국과의 계약’ 파기…세비 반납은 없었다”. 《KBS 뉴스》. 2017년 6월 4일에 확인함.  ↑ '성추행 은폐 의혹' 최교일 "왜 나한테 다 덮어씌우나" ↑ “최교일 출장 폭로, 가이드 "스트립바 강요"…최교일 "합법적 술집"”. 《MBN》. 2019년 2월 1일.  ↑ “최교일 '스트립바', 거품 욕조 서비스도 제공”. 《노컷뉴스》. 2019년 2월 1일.  ↑ “美 현지 가이드 "최교일 스트립바 갔다" 반박”. 《SBS뉴스》. 2019년 2월 1일.  외부 링크[편집] 블로그 몰래변론 6건으로 대한변호사협회 징계 2000만원 최교일 페이스북 전 임 (영주시)장윤석(문경시·예천군)이한성 제20대 국회의원(경북 영주시·문경시·예천군) 2016년 5월 30일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후 임 (현직)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최교일&oldid=24510534" 분류: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6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경주 최씨영주시 출신영주중앙초등학교 동문영주중학교 동문경북고등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지방검찰청 검사장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대한민국의 변호사자유한국당 당원친박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최교일(崔敎一, 1962년 2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정치인이다. 제20대 국회의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의 당선자들이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Assistant: 지난 2016년 4월13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현 최교일 의원등 당시 새누리당 소속 후보자 40명은 국민을 상대로 조건부 세비 반납 약속을 했다. 이들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등 대한민국을 위한 5대 개혁과제를 2017년 5월 31일까지 이행하지 못하면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하겠다고 공언하였으며 계약서를 작성하고“우리는 ‘대한민국과의 계약’에 서약합니다”라며 “서명일로부터 1년 후인 2017년 5월31일에도 5대 개혁과제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 국회의원으로서 1년치 세비를 국가에 기부 형태로 반납할 것임을 엄숙히 서약합니다”라고 썼다. 거기다가 신문에 전면광고를 내고 이 광고를 1년간 보관해달라고 하였다. 이 약속에 이름을 올린 당시 후보는 40명이다. 이들 중 당선자는 27명(강석호, 강효상, 김광림, 김명연, 김무성, 김성태, 김순례, 김정재, 김종석, 박명재, 백승주, 오신환, 원유철, 유의동, 이만희, 이완영, 이우현, 이종명, 이철우, 장석춘, 정유섭, 조훈현, 지상욱, 최경환, 최교일, 홍철호)에 달한다.[5] 그러나 국정농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5대과제의 이행은 하나도 되지 않았다. 공약 후 1년이 다되어 세비반납 공약이 논란이 되자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1년간 5대 개혁과제 법안을 발의함으로써 계약 내용을 이행했다”고 말하였다. 그런데 이중 노동개혁을 위한 고용정책기본법 개정안은 마감 시한인 31일 전날 오전 발의됐되었으며 이들이 앞서 발의한 5개 법안은 이행이 된것이 하나도 없이 모두 해당 상임위에 계류 중인 상태다. 이를 두고 '법안 통과가 되지 않았는데 개혁 과제를 이행했다고 볼 수 있는가', 또 '세비 반납을 피하기 위해 졸속 발의한 것 아닌가' 등의 비판이 일고 있으며 약속했던 세비 반납의 조건이 '과제 이행' 여부였다는 점에서 법안 발의만으로는 약속을 이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6][7][8]
Human: 아래 9월_평양공동선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9월 평양공동선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9월 평양공동선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9월 평양공동선언 생성일 2018년 9월 19일비준일 2018년 9월 19일효력일 2018년 9월 19일지역 한반도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저자 문재인·김정은서명인 문재인·김정은목적 한반도의 평화 체제 구축 및 교류·협력 확대 《9월 평양공동선언》 또는 《9.19 선언》은 2018년 9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서 열린 2018년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해 발표한 공동 선언이다.[1] 목차 1 요약 내용 2 전문 3 같이 보기 4 각주 요약 내용[편집] 평양 공동 선언은 다음의 다섯가지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한 양국 정상간의 합의 내용이다. 비핵화 분야 비핵화분야는 동창리의 엔진 시험장과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 기관 참관아래 영구적으로 폐기하며, 미국의 상응 조치에 따라 영변의 핵 시설역시도 영구적 폐기를 약속하였다. 군사 분야 군사 분야는 판문점 선언 이행 합의서에 대한 부속 합의서를 채택하여 군사 공동 위원회를 가동한다. 남북 간에 한국전쟁 유해 공동 발굴을 합의 하였다. 또한, 남북 공동 경비 구역(JSA) 내의 완전한 비무장화로, 기존에 탄창을 갈아 끼우다가 사격하는등의 우발적인 무력 충돌 가능성을 제거하며, 향후 북측지역에 민간인도 출입가능하도록 하는 등이 평양 공동 선언문에 합의되었다. 경제 분야 경제 분야는 비핵화 관련된 조건과 여건 마련되는것에 따라, 올해안 서해 및 동해선 철도와 도로 착공식 하며, 서해 경제 특구 와 동해 관광 특구를 개설 한다. 그리고, 개성 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정상화 한다. 이산가족 분야 이산가족 분야는 이산 가족 상시 면회소 설치하며, 향후 화상 상봉을 추진한다. 문화 체육 분야 문화 체육 분야는 2032년 하계 올림픽 남북 공동개최, 10월중 평양 예술단 서울 공연등이 합의되었다. 전문[편집] 한국어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9월 평양공동선언 같이 보기[편집] 2018년 1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2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3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 6.15 남북 공동선언 10.4 남북정상선언 판문점 선언 각주[편집] ↑ “[평양공동선언] 4월 판문점선언 구체화한 9월 평양공동선언”.  vdeh 남북정상회담제1차 2000년 (평양) 김대중 (대한민국),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15 남북 공동선언 제2차 2007년 (평양) 노무현 (대한민국), 김정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4 남북정상선언 제3차 2018년 4월 (판문점) 문재인 (대한민국),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판문점 선언 제4차 2018년 5월 (판문점) 문재인 (대한민국),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8년 북미정상회담 취소 이후 재개를 위한 공동 현안 논의 제5차 2018년 9월 (평양) 문재인 (대한민국),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월 평양공동선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9월_평양공동선언&oldid=24140082" 분류: 2018년 대한민국201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018년 남북 관계문재인 정부김정은신사협정2018년 9월평양직할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문헌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일 (금) 00: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9월 평양공동선언》 또는 《9.19 선언》은 2018년 9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서 열린 2018년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해 발표한 공동 선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남북이 함께 올림픽을 열겠다고 예정한 년도는 언제인가? Assistant: 2032년 Human: 아래 태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태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태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태민 2018년 5월 12일 드림콘서트에서 태민기본 정보본명 이태민출생 1993년 7월 18일(1993-07-18) (25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가수, 댄서, 배우장르 댄스 팝활동 시기 2008년 5월 25일 ~ 현재 종교 천주교 (세례명: 프란치스코)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샤이니서명 태민(본명: 이태민, 한자: 李泰民, 1993년 7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보이 그룹 샤이니의 메인댄서이자 보컬이다. 태민은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3년간의 연습생 기간을 거친 후, 그룹 샤이니의 멤버로 데뷔하였다.[1] 2014년 8월, 데뷔 6년 만에 솔로 가수로 데뷔를 하면서 첫 미니앨범 《Ace》를 선보였다. 이는 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2위에 오르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보여주었다.[2] 2016년, 다음 발표한 첫 번째 정규앨범 《Press It》에서 약 7만2천장의 앨범 초동 판매량을 기록하며 역대 남자 솔로 앨범 판매 1위를 차지했다.[3] 이후, 일본에서 미니앨범 “さよならひとり(Sayonara Hitori)”로 데뷔하였고 두 번째 미니앨범 "Flame of Love"를 발표하면서 해외로 솔로로서의 입지를 넓혔다.[4][5] 2017년에는 그의 첫 솔로 콘서트 개최와 두 번째 정규앨범 "MOVE"를 발표하면서 활발한 솔로 활동을 이어나갔다.[6] 2019년에는 두 번째 미니앨범 ‘원트(WANT)’가 발매되었다. 한터차트에 따르면 미니앨범 '원트'의 음반 판매량(초동)은 총 8만 5천여 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목차 1 학력 2 생애 2.1 1993-2013: 연습생 시절과 샤이니 데뷔 2.2 2014-2015: 첫 솔로 가수로서의 도전 2.3 2016: Press Your Number, 일본 솔로 진출 2.4 2017-현재: 첫 솔로 콘서트 개최, MOVE와 낮과 밤 3 음악 스타일과 평가 4 음반 활동 4.1 샤이니 4.2 태민 4.3 참여 앨범 4.4 작사, 작곡 4.4.1 작사 4.4.2 작곡 5 콘서트 5.1 TAEMIN THE 1st STAGE 5.2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 5.3 TAEMIN JAPAN 1st TOUR "SIRIUS" 5.4 TAEMIN 2nd CONCERT 'T1001101' 5.5 TAEMIN ARENA TOUR 2019 ~X™~ 6 출연 작품 6.1 드라마 6.2 뮤지컬 6.3 영화 더빙 7 음반 외 활동 7.1 뮤직 비디오 7.2 쇼케이스 7.3 라디오 7.4 방송 프로그램 7.5 도서 7.6 광고 8 수상 8.1 시상식 8.2 가요 프로그램 1위 9 각주 10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신학초등학교 (졸업) 신방학중학교 (전학) → 청담중학교 (졸업) 청담고등학교 (전학) →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연예과 (졸업)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뮤지컬공연전공 (재학) 생애[편집] 1993-2013: 연습생 시절과 샤이니 데뷔[편집] 태민은 1993년 7월 18일 서울특별시에서 2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에 마이클잭슨의 뮤직비디오를 접한 후 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했으며, 2005년 SM 토요 공개 오디션을 통해 연습생으로 선발 되었다.[7] 이후, 2007년 중국 북경으로 어학연수를 다녀왔고 신방학중학교를 다니던 중 가수 데뷔를 앞두고 청담중학교로 전학을 하였다.[8] 3년 동안의 연습기간을 거쳐, 2008년 5월 25일 《SBS 인기가요》에서 ‘누난 너무 예뻐’를 선보이며 16살이란 어린 나이에 샤이니로 데뷔하였다. 당시, 태민은 SM이 야심차게 선보이는 중학생 춤짱으로 소개될 만큼 어린 나이에 놀라운 춤 실력을 소유하고 있었다.[9] 샤이니는 ‘누난 너무 예뻐’뿐만 아니라 ‘산소 같은 너’와 ‘아.미.고’로 활동을 이어나갔고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Mnet 20's Choice》,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M.net KM Music Festival》, 《골든 디스크》 등에서 약 10여개의 신인상을 휩쓸며 연하남 컨셉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10] 2011년 11월 19일 멜론 악스홀에서 열린 아세안 화합 한마당에서 태민 2009년 샤이니가 미니앨범 2집 《ROMEO》로 활동을 하고 있을 때 태민은 MBC 일일시트콤 《태희 혜교 지현이》에서 엄친아 준수 역을 맡아 연기 활동에 도전하였다.[11] 그 해 그는 청담고등학교에 입학을 했고 이후, 2011년에 원활한 연예계 활동을 위해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3학년으로 편입을 하였다. 또한 샤이니의 일본 진출 준비와 잦은 해외활동으로 인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볼 충분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판단해 시험 응시를 포기했다.[12][13] 일본 활동으로 한국에서 1년 6개월의 긴 공백기를 가진 샤이니는 정규앨범 2집 리팩키지 《HELLO》 활동 이후, 4집 미니앨범 《Sherlock》를 2012년에 발표했다.[14] 태민은 드라마에 이어 애니메이션 《코알라 키드 : 영웅의 탄생》의 주인공 쟈니 역을 더빙을 하였고 KBS 예능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에 출연해 4개월 동안 그 만의 색깔로 퍼포먼스와 가창력이 돋보이는 무대를 선보이며 춤 이외에도 보컬로서의 역량 역시 높게 평가받았다.[15][16] 또한 SBS 수목드라마 《아름다운 그대에게》 OST에 참여함으로써 처음으로 그 만의 목소리가 담긴 음원이 발매되면서 그룹의 활동뿐만 아니라 개인 활동의 영역을 넓혀나갔다.[17] 2013년 7월 1일 Hong Kong Dome Concert에서 태민 2013년 4월 에이핑크 손나은과 함께 《우리 결혼했어요》에 출연해 약 10개월간 가상 부부로 출연했다. 출연 당시 역대 최연소 커플로 화제가 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을 출연하면서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스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18][19] 한편, 태민은 이전에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포기했었지만 2013년에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으로 입학을 하게 되고 현재 재학 중 이다. 2014-2015: 첫 솔로 가수로서의 도전[편집] 2014년 MBC 가요대전에서 태민 SM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은 “노래 실력이 는 것 같으니 노래를 몇 개 녹음해서 가져와봐라”라며 태민에게 권유를 하였다. 그 후, 그는 2014년 8월에 샤이니 내에서 첫 솔로로 미니앨범 1집 《ACE》를 발표하며 데뷔를 하였다.[20] 앨범을 발표하자마자 가온차트 앨범 부문에서 연속 2주 1위와 미국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에서 2위를 기록하는 동시에 타이틀 곡 ‘괴도’는 지상파에서 1위를 수상하며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했다.[21] 샤이니 멤버로 보여줬던 이미지와는 다른 매력으로 선보이며 평론가들에게 “현재 수준의 케이팝이 마이클 잭슨의 정체성과 결합된 최적의 결과물에 가깝다”라는 평을 받았다.[22] 또한 《골든디스크》 음반부문 인기상, 음반부문 본상과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하이원 인기상를 수상했다. 2016: Press Your Number, 일본 솔로 진출[편집] 2016년 6월 4일 드림콘서트에서 태민 2016년 2월, 첫 번째 정규앨범 《Press It》를 발매하게 된다. 타이틀곡은 ‘Press Your Number’로 브루노 마스와 협업한 노래이다. 원래는 수록곡 'Drip Drop'이 타이틀곡으로 선정이 되었으나, 뮤직비디오 촬영 당일 날 ‘Press Your Number’로 변경되면서 앨범을 발매하게 되었다. 또한, 처음으로 ‘Soldier’라는 곡을 통해 단독 작사에 참여하여 군인에 빗대어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애절한 마음을 표현하였다.[23] 그는 지상파와 공중파 음악방송에서 1위를 거머쥐었을 뿐만 아니라 약 7만2천장의 앨범을 판매하여 역대 남자 솔로 앨범 판매 1위를 차지하였다.[24][25] 이를 통해 가온 앨범 주간 차트 1위와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2위를 기록했다. 또한, 유튜브 ‘K-POP 뮤직비디오 차트 TOP 20’에서 1위, 빌보드가 집계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케이팝 뮤직비디오 2, 3위를 등극하는 등 그 만의 독자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주어 대중들을 사로잡았다.[26] 활동을 통해 연말에는 《골든디스크》 음반 부문 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27] 같은 해 7월, 일본에서 미니앨범 1집 《さよならひとり (Sayonara Hitori)》를 발표하면서 솔로 데뷔를 했다. 일본 음반 차트 ‘오리콘 차트’에 3위로 이름을 올리며 성공적인 데뷔를 했다.[28] 한국에서의 솔로 가수 태민의 모습과는 다르게 동양적인 색채가 강하며 감성적인 피아노 선율과 격렬한 EDM 비트가 섞인 음악을 선보였다.[29] 한국에서는 Mnet 《힛 더 스테이지》를 통해서 ‘さよならひとり (Sayonara Hitori)’의 한국어 번안 곡인 ‘Goodbye’로 무대를 보여주며 경연에서 1위라는 결과를 냈다.[30] 이후 한국 음원 사이트에서 《さよならひとり (Sayonara Hitori)》 음원이 발매되었고 지상파 음악방송에서 특별무대를 보여주었다.[31] 2017-현재: 첫 솔로 콘서트 개최, MOVE와 낮과 밤[편집] 2017 드림콘서트에서 태민 2017년 7월에 태민은 첫 솔로 콘서트 《TAEMIN THE 1st STAGE》를 일본 부도칸에서 이틀에 걸쳐 진행을 하였다. 기존의 솔로곡 무대를 포함해 7월 18일에 발매 예정인 두 번째 미니앨범 《Flame of Love》의 곡들도 선보였다.[32] 앨범 발매 후, 일본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며 계속적인 현지 팬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33] 부도칸 공연 이후, 8월25일에서 27일 동안 올림픽공원 내 올림픽홀에서 한국에서의 첫 솔로 콘서트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를 가졌다. 콘서트의 컨셉트는 지겨운 것들은 모두 'OFF', 색다른 무대 위 태민의 새로운 모습은 ‘O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34] 2017년 9월에 그는 일본에서 《파이널라이프 - 내일, 너가 사라져도》라는 드라마로 배우 데뷔를 하게 된다. 미국에서 명문의대를 졸업할 정도로 명석한 두뇌를 가진 성시온 역을 맡게 되면서 2009년 《태희 혜교 지현이》 이후, 8년 만에 두 번째로 정식 연기를 보여주었다.[35] 2017년 8월에 열렸던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의 대미를 장식하는 공연으로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on track》가 10월 14일과 15일에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진행이 되었다. 이 공연에서는 새롭게 발매될 컴백 타이틀곡 '무브'를 비롯하여 수록곡까지 선공개를 하여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36] 또한, 일본 요코하마 아레나와 코베 월드 기념홀을 통해서 OFF-SICK-on track 콘서트를 해외에서도 개최하였다.[37] 태민은 한국에서 8월 컴백을 바라보고 있었으나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위해 일정을 미루게 되었다. 그로부터 2개월 후 10월 16일, 두 번째 정규앨범 《MOVE》로 1년 8개월 만에 컴백을 했다.[38] 발매된 음반은 한터차트, 신나라레코드 등 국내 음반 차트 일간 1위에 올랐으며 핀란드, 페루, 일본 등 12개국 아이튠즈 종합 앨범 차트에 1위를 차지했다.[39] 미국 NBC 방송의 간판 뉴스 프로그램 《투데이 쇼 라이브》에서 그의 솔로 앨범 활동에 대해 조명 했다. 그들은 케이팝의 마이클잭슨이라면서 태민의 퍼포먼스를 극찬하였다.[40] 또한, ‘무브’를 들으면 자신도 모르게 치명적인 눈빛과 행동을 하게 된다는 ‘무브병’을 신조어를 만들어내 새로운 돌풍을 불어넣기도 했다.[41] 태민은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에 선배 군단으로 합류하여 멘토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 참가자들의 부족한 점을 정확하게 짚어내고 그들에게 자신의 조언을 아낌없이 해주면서 진정성 있는 멘토의 모습을 보여주었다.[42] 2017년 12월에는 정규앨범 2집 《MOVE》의 리팩키지 앨범 《MOVE-ing》가 발매되었다.[43] 원래 이전 앨범에 수록 되어 있던 곡인 ‘최면’을 밴드 버전으로 편곡해 타이틀곡으로 사용하려 했지만 새로 선보이는 곡이 아니기 때문에 타이틀곡에서 제외되었고 ‘I'm crying’도 타이틀 곡으로 선정이 되었다가 제외되었다. 결국 3번의 번복을 통해 ‘낮과 밤’이 타이틀곡으로 선정 되었다. 타이틀곡 ‘낮과 밤’은 태민의 작사, 작곡을 통해 만들어진 곡이며 기타소리가 인상적인 발라드곡이다. 이후,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하이원 인기상를 받으며 변함없는 인기를 보여주었다.[44] 2018년 5월 12일 드림콘서트에서 태민 2018년 현재, 태민은 JTBC4에서 방영하는 《WHYNOT-더 댄서》를 통해 무대 위에서 춤을 추는 퍼포머가 아닌 댄스 디렉터로서의 새로운 모습을 선보이고 있다.[45] 음악 스타일과 평가[편집] 태민은 연습생 시절, 변성기라는 이유로 노래 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청강만 했다. 그로 인해 데뷔 후에 그의 파트는 찾아보기 힘들었고 다른 멤버의 코러스 역할을 하는 정도였다. 그는 노래 실력을 늘리기 위해 잠자는 시간을 줄여서 연습하기도 했고 방송에서 한 소절을 부르려고 4만 번의 연습을 했다고 한다. 피나는 노력 끝에 태민은 성장해 있었고 솔로 가수로서의 경력을 쌓아가기 시작한다.[46] 태민의 첫 솔로 앨범 《ACE》는 일렉트로 댄스 음악, R&B 등의 장르들로 구성되어 있어 샤이니의 음악과는 다른 색의 음악을 내보였다. 그는 자신의 음악이 샤이니의 음악보다는 어둡고 진한 느낌이기 때문에 그 섹시함이 눈빛으로 전달되거나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표현한다고 했다. 《Press It》에서는 어반 팝 댄스 음악, R&B, 레트로 등으로, 《MOVE》에서는 PB R&B, 일렉트릭 팝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래서 강렬하거나 리드미컬하고 혹은 몽환적인 느낌의 다양한 음악을 시도하며 음악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47][48][49][50][51] 이에 평론가들은 태민은 곡과 보컬, 퍼포먼스의 3박자가 고루 이루어져 있으며, 남자 솔로 댄스 가수를 찾아보기 힘든 시대에 남자 솔로 퍼포머로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52][53] NBC에서 태민은 아티스트라는 건 그저 직업이 아닌 천직이라는 게 느껴지게 하는 사람이라고 말하며 그의 퍼포머에 대해서 극찬을 했다.[40] 동료 가수들에게도 태민의 언급이 많이 되었다. 비는 프로듀싱을 같이 하고 싶은 사람으로 태민을 뽑았으며, 안형섭은 서울 패션위크에서의 무브 무대를 보고 멋있어서 소름이 돋았다고 말하였다. 이 외에도 SF9 찬희, NCT 텐, NCT 해찬 등이 태민이 롤모델이라고 언급했다.[54][55][56][57] 음반 활동[편집] 샤이니[편집] 태민이 샤이니로 발매한 음반에 대해서는 샤이니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태민[편집] 솔로 음반에 대해서는 태민의 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여 앨범[편집] 태민이 샤이니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샤이니#음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발매일 가수명 곡명 수록 앨범 분류 비고 2009.01.08 샤이니 <Stand By Me> 《꽃보다 남자 OST》 Vocal Vocal : 샤이니 2010.04.14 샤이니 <Fly High> 《검사 프린세스 OST 》 Vocal Vocal : 샤이니 2012.09.19 태민 <너란 말야 (U)>[58] 《아름다운 그대에게 OST》 Vocal Vocal : 태민 2012.10.31 Younique Unit <MAXSTEP>[59] Younique Unit 멤버현대자동차 벨로스터 주제곡"MAXSTEP" 참여 《Younique Album MAXSTEP》 Vocal Younique Unit 2012.12.30 S.M. The Performance <Spectrum>[60] 《S.M. The Performance & Zedd》 Vocal S.M. The Performance 2013.06.07 헨리 <Trap (Feat. 규현 & 태민)> 《The 1st Mini Album `Trap` 》 Featuring Featuring : 규현 & 태민 2015.06.01 종현 & 태민 <그 이름> 《후아유 - 학교 2015 OST》 Vocal Vocal : 종현 & 태민 작사, 작곡[편집] 작사[편집] No. 연도 Artist 수록 앨범 곡명 참여부문 1 2010년 샤이니 정규앨범 2집 《LUCIFER》 악(Shout Out) 공동작사 2 2016년 태민 정규앨범 1집 《Press It》 Press Your Number 공동작사(텐조와 타스코) 3 2016년 태민 정규앨범 1집 《Press It》 Soldier 작사 4 2017년 태민 정규앨범 2집 리팩키지 《MOVE-ing》 낮과 밤 작사 작곡[편집] No. 연도 Artist 수록 앨범 곡명 참여부문 1 2017년 태민 정규앨범 2집 리팩키지 《MOVE-ing》 낮과 밤 (Day and Night) 공동작곡(황현) 콘서트[편집] TAEMIN THE 1st STAGE[편집] TAEMIN THE 1st STAG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편집]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AEMIN JAPAN 1st TOUR "SIRIUS"[편집] TAEMIN JAPAN 1st TOUR "SIRIU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AEMIN 2nd CONCERT 'T1001101'[편집] TAEMIN 2nd CONCERT 'T100110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TAEMIN ARENA TOUR 2019 ~X™~[편집] TAEMIN ARENA TOUR 2019 ~X™~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국가 방송사 제목 배역 주연 2009년 한국 MBC 《태희 혜교 지현이》 준수 役[61] 2011년 한국 MBC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12월 28일 (65회) 카메오 시트콤[62] 한국 KBS2 아테나: 전쟁의 여신 1월 3일 (7회) 카메오 2012년 한국 SBS 《도롱뇽도사와 그림자 조작단》 카메오 출연 2013년 한국 tvN 《연애조작단; 시라노》 레이 役 : 6월 3일(3회), 4일(4회), 10일(5회)[63] 한국 SBS 《기적을》 12월 29일 카메오 출연 2017년 일본 《파이널라이프 - 내일, 너가 사라져도》 성시온 役[64] ✔ 뮤지컬[편집] 연도 제목 배역 2014년 《궁》 이신 役 영화 더빙[편집] 연도 국가 제목 배역 2012년 미국 애니메이션《코알라 키드 : 영웅의 탄생 (The Outback, 2012)》 쟈니 役 음반 외 활동[편집] 뮤직 비디오[편집] 연도 구분 출연 MV 공급사 2012 한국 뮤직 비디오 출연 보아 <그런 너> SM 엔터테인먼트 쇼케이스[편집] 개최일 도시 국가 개최지 공연명 2016년 2월 22일 서울 대한민국 SMTOWN THEATER 《Press It》[65] 2016년 5월 21일 타이베이 타이완 ATT SHOW BOX 라디오[편집] 방송일 채널 제목 비고 2008년 9월 30일 ~ 2008년 10월 5일 MBC 표준FM 《신동,김신영의 심심타파》 고정 게스트 (with.키) 2010년 10월 5일 KBS 2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스페셜 DJ (with.종현)[66] 2011년 2월 24일 ~ 2011년 2월 25일 KBS 2FM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스페셜 DJ (with.민호)[67] 2011년 5월 24일 SBS 파워FM 《김희철의 영스트리트》 스페셜 DJ (with.키)[68] 2017년 8월 9일 SBS 파워FM 《NCT의 night night!》 방송 프로그램[편집] ¥wtFC0ip0ba3¥ 더콜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2008년 M.net 《샤이니의 연하남》 2010년 KBS joy 《샤이니의 헬로 베이비》 2012년 KBS 《자유선언 토요일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출연[69][70] 2013년 MBC 《우리 결혼했어요》 2015년 MBC에브리원 《천생연분 리턴즈》[71] 2015년 JTBC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2016년 Mnet 《힛 더 스테이지》[72] 2017년 KBS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더 유닛》 2018년 JTBC4 《WHYNOT-더 댄서》 2018년 JTBC 《아는형님》 도서[편집] 연도 분류 제목 2011년 여행 에세이 《태양의 아이들》 광고[편집] 연도 브랜드 2008년 6월 캐쥬얼의류 "Clride.n" 2008년 7월 SK네트웍스 "스마트학생복" 2008년 11월 LG생활건강 10대 화장품 브랜드 "나나스비" 2009년 1월 스포츠브랜드 "리복" 2009년 7월 캐쥬얼의류 "클라이드 앤" 2009년 10월 오뚜기 "뿌셔뿌셔" 2009년 12월 치킨 브랜드 "멕시카나" 2010년 9월 중국 의류브랜드 "H2" 2010년 11월 팔도 커피 브랜드 "산타페" 2010년 12월 캐주얼 브랜드 인디에프 "메이폴" 2011년 3월 인터넷 쇼핑몰 "옥션" 2011년 8월 일본 데님 브랜드 "(라이트-온)" 2011년 11월 아모레퍼시픽 "에뛰드 하우스" 2012년 10월 현대자동차 "벨로스터" 2013년 2월 스포츠 브랜드 "스케쳐스" 2014년 12월 화장품 브랜드 "더샘" 2015년 3월 아이스크림 전문점 "베스킨라빈스 31" 2015년 6월 면세점 "신라면세점" 2016년 4월 오뚜기 "뿌셔뿌셔" 2018년 2월 스포츠브랜드 "리복" 수상[편집] 시상식[편집] 연도 수상 내역 2013년 2013년 《MBC 방송연예대상》 올해의 뉴스타상 2015년 2015년 제29회 《골든디스크》 음반부문 인기상, 음반부문 본상 제24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하이원 인기상 2017년 제31회 《골든디스크》 음반부문 본상[73] 제9회 《MAMA》 베스트 퍼포먼스 솔루 부문 2년 연속 수상 2018년 제27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하이원 인기상 가요 프로그램 1위[편집] 연도 수상 내역 (총 8회) 2014년 (총 2회) 괴도 (총 2회) 8월 29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8월 30일 MBC 《쇼음악중심》 1위 2016년 (총 4회) Press Your Number (총 4회) 3월 1일 SBS MTV 《더 쇼 시즌5》 더 쇼 초이스 3월 2일 MBC MUSIC 《쇼챔피언》 챔피언송 3월 3일 M.net 《엠카운트다운》 1위 3월 4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2019년 (총 2회) Want (총 2회) 2월 20일 MBC MUSIC 《쇼챔피언》 챔피언송 2월 22일 KBS 《뮤직뱅크》 K-Chart 1위 각주[편집] ↑ “5인조 틴에이저그룹 ‘샤이니’, 실력&풋풋함…“누나들이 예뻐해요””. 《news.donga.com》. 2008년 5월 29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2위…국내외 다 통했다”. 《뉴스1》. 2014년 9월 1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POP, 헤럴드 (2016년 5월 6일). “[팝업뮤직]'열일'하는 SM, 솔로 앨범에 거는 기대”.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日서도 홀로서기…7월 미니앨범 발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MD재팬] 태민, 日 두번째 미니 앨범 발매...니나가와 미카와 협업”.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오늘(14일) 첫 솔로콘서트 개막..신곡 무대 최초 공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별밤' 샤이니 태민 "마이클 잭슨 MV 보고 춤 시작했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7월18일 스타 태민·주상욱 - 스포츠투데이 - TV보다 재밌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SM, '춤짱' 포함 男중고생 5인조 신인그룹 공개- 스타뉴스”. 《스타뉴스》. 2008년 5월 19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두번째 미니앨범 ‘로미오’ 발표한 샤이니 “누나들 샤이니 왔어요””. 《news.donga.com》. 2009년 6월 8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15%대 시청률 '태혜지', 이세창-태민 전격 투입- 스타뉴스”. 《스타뉴스》. 2009년 4월 27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한림예고 편입 "뮤지컬배우 초석 다진다"”. 《뉴데일리》.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수능 포기 "준비 부족으로 응시 안 한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1년6개월만 국내컴백..21일 미니앨범 발표- 스타뉴스”. 《스타뉴스》. 2012년 3월 8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코알라 키드' 태민 써니, 목소리 연기 도전! 코알라 커플 등극”.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불후2’PD “샤이니 태민 실력 놀라워, 댄스에 보컬까지 안정적””. 2012년 3월 20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아그대' OST로 첫 솔로곡 발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손나은 '우결4' 최연소 가상부부로 투입”. 2013년 4월 17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헤럴드경제 (2013년 12월 29일). “[MBC방송연예대상]송종국부터 태민까지..신설 올해의 스타상 수상”.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창간인터뷰①] 태민 이수만 선생님께 인정 받고 솔로 데뷔, 꿈 같았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가온 앨범차트 2주 연속 1위…마음 제대로 빼앗은 '괴도'”. 《뉴스1》. 2014년 9월 4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2014 K팝에 환생한 故 마이클 잭슨”.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SM 태민 "브루노마스 데뷔 전부터 팬, 협업 영광이다…가장 맘에 드는 곡은 'DRIP DROP'"”. 《뉴스핌》.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M+가요진단] ‘역대 남자 솔로’ 태민, 첫 정규 앨범으로 낸 성과”. 《mk.co.kr》.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Press It’으로 음반∙음방∙뮤비 차트 모두 1위 행진 - 뉴스 - enews24”.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음악중심' 태민, 굿바이 무대까지 완벽…역시 퍼포먼스 甲”.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태민, ‘골든디스크’ 본상…샤이니 민호 대리 수상텐아시아”. 《텐아시아》. 2017년 1월 14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日 데뷔 성공적..오리콘차트 3위 진입”.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일본 데뷔곡의 한국어 버전 'Goodbye' 3일 0시 대공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MTN. “‘힛더스테이지’, 최종 1위는 샤이니 태민…검객 카리스마로 경쟁자 올킬”. 《MTN》.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솔로 기습컴백…日솔로 데뷔곡 '굿바이' 스페셜 무대”.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日 첫 솔로 공연 대성황…2만 8천 관객 동원”.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DA:차트] 태민, 日 오리콘 데일리 1위…솔로로도 빛난다”. 《sports.donga.com》.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POP, 헤럴드 (2017년 7월 6일). “샤이니 태민, 8월 국내 첫 솔로 콘서트 'OFF-SICK' 개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Oh! 재팬] 샤이니 태민, 日서 배우 데뷔…첫 주연·OST도 부른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컨슈머타임스 (2017년 10월 16일). “샤이니 막내 태민의 강렬한 한방, 첫 솔로 콘서트 완결판 ‘OFF-SICK-on track’”. 《컨슈머타임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POP, 헤럴드 (2017년 11월 20일). “태민, 日 요코하마 밤 달구다 …1만 5천 관객 열광”.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단독] "최강 퍼포먼스 귀환"…샤이니 태민, 10월 솔로컴백 확정”.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태민, 솔로 ‘무브’에 뜨거운 관심…전세계 12개 지역 1위텐아시아”. 《텐아시아》. 2017년 10월 17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가 나 “[아이돌LAB]美 NBC '투데이 쇼', 샤이니 태민 'MOVE' 솔로활동 집중 조명”.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Oh! 뮤직] "'무브병'을 아시나요?"…태민이 일으킨 바람”.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인물탐구Q] '더 유닛' 샤이니 태민, 성장형 아이돌의 활약 - 스포츠Q(큐)”. 2017년 11월 12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10일 정규 리패키지 발표…타이틀곡 ‘낮과 밤’ [공식]”. 《sports.donga.com》.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엑소 '한류특별상' & 태민 '인기상'...이특 대리수상”. 《스타한국》.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JTBC4 '더 댄서' 합류..은혁·기광과 호흡- 스타뉴스”. 《스타뉴스》. 2018년 3월 26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 [TEN 초점] 샤이니 태민, ‘멘토’의 자격텐아시아”. 《텐아시아》. 2017년 9월 28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한국경제티브이. “솔로 태민의 성공, 무엇보다 값진 이유”.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메트로신문. “샤이니 태민 데뷔 6년 만에 첫 솔로 활동…타이틀곡 '괴도' 일렉트로 스윙 장르 댄스 곡”.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무한매력’ 태민, 첫 정규앨범 타이틀곡 ’Press Your Number’ 음원/뮤비 동시 공개 - 뉴스 - enews24”.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정규 2집 ‘무브’ 발매… 뮤직비디오 3편 동시 공개”. 2017년 10월 16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솔로데뷔, 지금이 내 인생의 정점””. 2014년 8월 28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M+가요진단] ‘역대 남자 솔로’ 태민, 첫 정규 앨범으로 낸 성과”. 《mk.co.kr》.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태민, 곡, 보컬, 퍼포먼스의 삼강 체제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 “´컬투쇼´ 비 ”태민과 작업해보고파, 춤선 예쁘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안형섭X이의웅 “닮고 싶은 선배, 샤이니 태민&방탄 정국” [화보]”. 《sports.donga.com》.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올드스쿨' NCT127, 롤모델은 동방신기·샤이니·엑소 '역시 SM 루키'”.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올드스쿨’ 태민 “누군가의 롤모델, 상상도 못했다””. 《비즈엔터》. 2017년 12월 11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엑스스포츠뉴스 방송연예팀 (2012년 9월 11일). “태민 '너란말야' OST 로 '아그대' 참여…감미로운 목소리 주목”. 엑스스포츠뉴스.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육동윤 기자 (2012년 10월 16일). “현대차, SM과 ‘PYL 유니크’ 앨범 발표”. MK뉴스. 201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박초롱 기자 (2012년 12월 30일). “SM 퍼포먼스의 진수 담는다…댄스 유닛 ‘더 퍼포먼스’ 싱글 ‘스펙트럼’ 발표”. 아주경제.  ↑ 이미혜 기자 (2009년 4월 27일). “샤이니 태민, 엄친아로 '태혜지' 전격투입…이세창도 뒤늦게 합류”. 뉴스엔.  ↑ 배은설 기자 (2012년 12월 29일). “‘하이킥3’ 샤이니 태민, 크리스탈 남자친구로 '특별출연'”. 리뷰스타.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임영진 기자 (2013년 6월 4일). “‘시라노’, 태민 효과 제대로..2030여심 잡았다”. OSEN.  ↑ “샤이니 태민, 일본 드라마 주연 꿰찼다…기억을 잃은 미국 유학파役”. 세계일보. 2017년 8월 24일.  ↑ “태민, 22일 'Press It' 쇼케이스 개최..신곡 무대 최초공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휴가 떠난 슈주 대신해 일일 라디오DJ '발탁'”. 《아시아경제》. 2010년 10월 4일.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마의 17세 넘긴 여신 미모 공개 '훈훈 그 자체'”.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샤이니 태민, 고등학생 맞아? 남자의 향기 '물씬~'”.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김미리 기자 (2011년 12월 26일). “샤이니 태민·브아솔 성훈, '불후2' 합류 확정”. 마이데일리.  ↑ 이소담 기자 (2012년 1월 29일). “'불후의명곡2' 태민의 재발견, 샤이니 막내의 역습”. TV데일리. 2014년 5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단독] ‘천생연분 리턴즈’, 태민·헨리·타쿠야 출연 확정”. 《뉴스웨이》.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엠넷 측 “‘힛 더 스테이지’ 내달 첫방…태민·효연 등 출연” [공식입장]”. 《sports.donga.com》.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 '눈길', [골든디스크] 갓세븐·샤이니 태민, 음반 부문 본상 수상 '영광'...태민 수상소감 전한 민호 (2017년 1월 14일). “[골든디스크] 갓세븐·샤이니 태민, 음반 부문 본상 수상 '영광'...태민 수상소감 전한 민호 '눈길'”. 《서울경제》. 2018년 5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태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샤이니 공식 홈페이지 태민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태민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태민 - 한시네마 vdeh태민EP대한민국 ACE (2014) WANT (2019) 일본 Flame Of Love (2017) 정규 앨범대한민국 Press Your Number (2016) MOVE (2017) 일본 TAEMIN (2018) 콘서트해외 투어 TAEMIN 1st SOLO CONCERT "OFF-SICK" (2017) TAEMIN 2nd CONCERT 'T1001101' (2019) 일본 TAEMIN THE 1st STAGE (2017) TAEMIN JAPAN 1st TOUR "SIRIUS" (2018) TAEMIN ARENA TOUR 2019 ~X™~ (2019) 관련 항목 샤이니 SM 엔터테인먼트 태민의 수상 목록vdeh2019년 쇼 챔피언 챔피언송 수상자1월 청하 - 벌써 12시 (1월 9일) 에이핑크 - %% (응응) (1월 16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3일) 세븐틴 - Home (1월 30일) 2월 세븐틴 - Home (2월 13일) 태민 - Want (2월 20일) 몬스타엑스 - Alligator (2월 27일) 3월 (여자)아이들 - Senorita (3월 6일) 하성운 - BIRD (3월 13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3월 20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7일) 4월 모모랜드 - I'm So Hot (4월 3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0일 · 4월 1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24일) 5월 트와이스 - Fancy (5월 1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8일) 오마이걸 - 다섯 번째 이야기 (5월 15일) 김재환 - 안녕하세요 (5월 29일) 6월 AB6IX - BREATHE (6월 5일) NCT 127 - Superhuman (6월 12일) 우주소녀 - Boogie Up (6월 19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6일) 7월 청하 - Snapping (7월 3일) vdeh2019년 뮤직뱅크 K-차트 1위 수상자1월 EXO - Tempo (1월 4일) 위너 - MILLlONS (1월 11일) 청하 - 벌써 12시 (1월 18일) 여자친구 - 해야 (1월 25일) 2월 세븐틴 Home (2월 1일 · 2월 8일 · 2월 15일) 태민 - Want (2월 22일) 3월 몬스타엑스 - Alligator (3월 1일) ITZY - 달라달라 (3월 8일 · 3월 15일) 에픽하이 - 술이 달다 (3월 22일) 마마무 - 고고베베 (3월 29일) 4월 박지훈 - L.O.V.E (4월 5일) 아이즈원 - 비올레타 (4월 12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4월 19일 · 4월 26일) 5월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5월 3일 · 5월 17일 · 5월 24일) 뉴이스트 - BET BET (5월 10일) 6월 NCT 127 - Superhuman (6월 7일) 방탄소년단 -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6월 14일 · 6월 21일) 레드벨벳 - 짐살라빔 (6월 28일) vdeh 민호 온유 키 태민 종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The SHINee World (2008) Lucifer (2010) Chapter 1. Dream Girl: The Misconceptions of You (2013) Chapter 2. Why So Serious?: The Misconceptions of Me (2013) Odd (2015) 1 of 1 (2016) The Story of Light (2018) 일본 THE FIRST (2011) Boys Meet U (2013) I'm Your Boy (2014) DxDxD (2016) FIVE (2017) SHINee THE BEST "FROM NOW ON" (2018) 리패키지 Amigo (2008) Hello (2010) The Misconception of Us (2013) Married To The Music (2015) 1 and 1 (2016) 미니 음반 누난 너무 예뻐 (Replay) (2008) ROMEO (2009) 2009, Year Of Us (2009) Sherlock (2012) Everybody (2013) 콘서트세계 (일본 포함) SHINee WORLD (2010/2011) SHINee WORLD II (2012) SMTOWN WEEK - The Wizard (2013) SHINee WORLD III (2014) SHINee WORLD IV (2015) SHINee WORLD V (2016/2017) 일본 THE FIRST JAPAN ARENA TOUR "SHINee WORLD 2012" (2012) JAPAN ARENA TOUR "SHINee WORLD 2013" (2013) SHINee WORLD 2014 -I'm Your Boy- (2014/2015) SHINee WORLD 2016 ~D×D×D~ (2016) SHINee WORLD 2017 ~FIVE~ (2017) SHINee WORLD THE BEST 2018 ~FROM NOW ON~ (2018) 리얼리티 쇼 헬로 베이비 (2010) 어느 멋진 날 (2013)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음반 목록 음반 외 활동 콘서트 투어 목록 경력·수상 목록 vdehSM 엔터테인먼트경영진 이수만 (회장·총괄 프로듀서) 김영민 (사장) 가수현재 그룹 틴틴파이브 (표인봉, 이웅호, 홍록기, 이동우, 김경식) 동방신기 (유노윤호, 최강창민)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린아, 다나, 선데이) 슈퍼주니어 (이특, 희철,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규현) 소녀시대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샤이니 (온유, 키, 민호, 태민) f(x) (빅토리아, 엠버, 루나, 크리스탈) EXO (시우민, 수호, 레이, 백현, 첸, 찬열, 디오, 카이, 세훈) 레드벨벳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NCT (태일, 태용, 쿤, 도영, 텐, 재현, 마크, 쟈니, 유타, 윈윈, 정우, 루카스, 해찬, 런쥔, 제노, 재민, 천러, 지성) 현재 솔로 강타 보아 추가열 제이민 조미 과거 그룹 메이저 (임범준, 서연수) J&J (김주현, 강준식) H.O.T. (문희준,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 배드 보이스 써클 (최일권, 신태권, 여인택, 송운석) 플라이 투 더 스카이 (환희, 브라이언) @ (에디, 앤서니) 밀크 (박재영, 김보미, 배유미, 서현진) 블랙 비트 (황상훈, 이소민,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슈가 (아유미, 이하린, 육혜승, 황정음, 박수진) 신비 (유수진, 오상은, 유나) 모닝 (백보람, 신성희, 김부연, 장민경) JYJ (영웅재중, 믹키유천, 시아준수) 트랙스 (제이, 김정모, 긴조) 과거 솔로 현진영 한동준 김광진 이지훈 장나라 장리인 윤상 스테파니 티파니 수영 서현 크리스 루한 타오 종현 헨리 유닛 · 프로젝트 그룹 SM TOWN S.M. THE BALLAD S 강타 & 바네스 M&D 천상지희 다나&선데이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T 슈퍼주니어-M 슈퍼주니어-Happy 슈퍼주니어-D&E 소녀시대-태티서 소녀시대-Oh!GG Younique Unit EXO-CBX 비트버거 NCT U NCT 127 NCT DREAM 배우 · 희극인현재 소속 이재룡 유호정 김민종 이연희 설리 최종윤 김이안 과거 소속 손지창 윤다훈 유준상 고아라 박명수 김영철 김미진 김완기 전환규 함효주 김이삭 노민우 강정우 한경 김기범 작곡가 · 프로듀서현재 소속 유영진 유한진 송광식 켄지 히치하이커 디즈 앤드류 최 Coach & Sendo 과거 소속 홍종화 Groovie K 장용진 이윤재 김영후 김지후 에스엠컬처앤콘텐츠현재 소속 신동엽 강호동 전현무 이수근 김병만 김생민 류담 장동혁 김태현 김미정 황신혜 김시후 송재림 백현 이학주 김수로 윤소희 오정연 장위안 한석준 공다임 김재범 김여진 박정복 박진 성두섭 윤나무 윤소호 이경화 이나윤 임병근 장유상 정하루 조민성 김현주 배다빈 김관수 최연우 김수연 박성광 과거 소속 한지민 한채영 공형진 장동건 정소민 김하늘 강예원 갤럭시아에스엠소속 선수 추신수 손연재 고진영 김자영 안신애 양지승 김비오 김민선 심석희 최민정 차준환 김민석 김민선 최재우 강영서 방수빈 정해림 김국영 우상혁 에스팀소속 모델 장윤주 송경아 한혜진 전은주 진아름 지현정 수주 양윤영 진정선 백지원 이혜정 장수임 김성희 송해나 태은 이현이 여혜원 정호연 이선정 김현진 홍지수 고소현 김진경 아이린 주선영 안재현 이철우 박지운 조민호 김종훈 황기쁨 윤소정 기도훈 미스틱엔터테인먼트미스틱89현재 아티스트 조규찬 신치림(윤종신, 하림, 조정치) 정진운 퓨어킴 에디킴 장재인 투개월(도대윤) 박재정 박상돈 포르테 디 콰트로(손태진) 퍼센트 정인 조원선 과거 아티스트 박지윤 김예림 김연우 뮤지 현재 MC 이지연 서장훈 김영철 기안84 과거 MC 박지윤 현재 크리에이터 정석원 과거 크리에이터 윤혜진 에이팝아티스트 브라운 아이드 걸스(제아, 미료, 나르샤, 가인) 조형우 천둥 민서 크리에이터 조영철 이민수 김이나 AIKM아티스트 스쿠비 두(브레이, 덕배) 자이언트핑크 크리에이터 케이준 미스틱액터스현재 아티스트 강래연 고민시 김기방 김사권 김석훈 김성은 노수산나 박시연 박혁권 오지은 오타니 료헤이 유주혜 이규한 이아리 이정혁 장준유 조한선 태항호 하재숙 한채아 과거 아티스트 신소율 장소연 손은서 키이스트vdeh키이스트 (콘텐츠와이)경영진 신필순(CEO) 배성웅(CEO) 양근환(CEO) 배용준(이사) 소속 배우 (키이스트)남성 김수현 김현중 배용준 인교진 주지훈 김희찬 서동건 우도환 손현주 김동욱 윤형렬 여성 문가영 배누리 박수진 소이현 손담비 이세나 정려원 한예슬 한보름 김혜인 지소연 천민희 박선아 조영서 김시은 정해나 남경 엄정화 윤혜진 소속 배우 (콘텐츠와이)남성 김지훈 이지훈 이현우 김도완 문성호 이강민 홍승범 한도우 여성 홍수현 이다인 한지혜 서효림 장다윤 류한비 과거 소속남성 류상욱 박서준 소지섭 엄태웅 권화운 여성 조안 이나영 임수정 홍진영 여의주 박은빈 안소희 구하라 관련 회사 SM 엔터테인먼트 연습생현재 연습생 SM 루키즈 (라미, 히나, 고은, 닝닝, 샤오쥔, 양양, 헨드리) 과거 연습생 지노 SM 루키즈 (혜린, 한솔, 이양)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SM STATION 에스엠컬처앤콘텐츠 갤럭시아에스엠 에스팀 미스틱엔터테인먼트 미스틱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키이스트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89730948-e665-460d-a6e9-3a1df288c9b6 멜론: 6293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태민&oldid=24403997" 분류: 199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샤이니의 일원2008년 데뷔SM 엔터테인먼트 소속서울특별시 출신 음악가대한민국의 남자 가수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명지대학교 동문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동문서울신학초등학교 동문청담중학교 (서울) 동문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골든디스크 인기상 수상 음악가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인기상 수상 음악가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MBC 쇼! 음악중심 1위 수상자서울특별시 출신 배우서울특별시 출신 가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멜론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МонголBahasa Melayu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ไทยTürkçeVepsän kel’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0일 (월) 00:1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태민(본명: 이태민, 한자: 李泰民, 1993년 7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보이 그룹 샤이니의 메인 댄서와 보컬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SuperM에서는 리드보컬과 메인댄서 그리고 센터를 담당하고 있다. 약 3년간의 연습생 기간을 거친 후, 그룹 샤이니의 멤버로 데뷔하였다.2014년 8월, 데뷔 6년 만에 솔로 가수로 데뷔를 하면서 첫 미니앨범 《Ace》를 선보였다 이 엘범은 빌보드 월드앨범 차트 2위에 오르고 공중파 주요 음악방송에서 1위를 싹쓸이 하는 등 성공적인 솔로 데뷔를 보여주었다.2016년, 다음 발표한 첫 번째 정규앨범 《Press It》에서 약 7만2천장의 앨범 초동 판매량을 기록하며 역대 남자 솔로 앨범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이후, 일본에서도 미니앨범 “さよならひとり(Sayonara Hitori)”로 성공적으로 데뷔하였고 두 번째 미니앨범 "Flame of Love"를 발표하면서 해외로 솔로로서의 입지를 넓혔다.2017년에는 그의 첫 솔로 콘서트 개최와 두 번째 정규앨범 "MOVE"를 발표하면서 전세계로 무브병을 전파하며 활발한 솔로 활동을 이어나갔고 퍼포형 솔로 남자가수로서 입지를 다졌다. 2019년에는 두 번째 미니앨범 ‘원트(WANT)’가 발매되었다. 한터차트에 따르면 미니앨범 '원트'의 음반 판매량(초동)은 총 8만 5천여 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2020년에는 세 번째 정규앨범 'Never gonna dance again'이 발매되었다. 세 번째 정규앨범은 프롤로그-Act1-Act2 로 나눠 총 하나의 디지털 싱글과 2개의 음반을 발표하였으며 정규 3집은 판매량이 약 30만장 인것으로 전해졌다. 2021년 5월 31일 대한민국 육군 군악대로 입대하였다. 하지만 2022년 1월 공황장애와 우울증 악화로 사회복무요원으로 전환됐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명지대학교에서 학사로써 졸업하게 된 졸업생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출신의 가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샤이니 멤버 태민이 작사로 참여한 곡들은 뭐가있어? Assistant: No. 연도 Artist 수록 앨범 곡명 참여부문 1 2010년 샤이니 정규앨범 2집 《LUCIFER》 악(Shout Out) 공동작사 2 2016년 태민 정규앨범 1집 《Press It》 Press Your Number 공동작사(텐조와 타스코) 3 2016년 태민 정규앨범 1집 《Press It》 Soldier 작사 4 2017년 태민 정규앨범 2집 리팩키지 《MOVE-ing》 낮과 밤 작사
Human: 아래 개그콘서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개그콘서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개그콘서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그콘서트 Gag Concert 장르 코미디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1999년 9월 4일 ~ 방영중 방송 시간 매주 일요일 밤 9:15 ~ 10:35 방송 분량 80분 방송 횟수 1006회 (2019년 6월 30일 기준) 추가 채널 KBS 조이, KBS 드라마, KBS W, KBS 월드, 코미디TV 등 책임프로듀서 권용택, 이재우 제작자 KBS 예능본부 연출 정희섭, 양혁, 하태석 FD : 김현 극본 최성혜, 장종원, 유솔, 강혜림, 방유경, 김은혜, 유예리, 강고은, 오혜빈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데이터 방송 아날로그 · SD 제작 ·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KBS 개그콘서트 홈페이지 비고: 1 2007년 이전 방송분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급제의 적용을 받지 않았으므로 모든 연령 시청가에 준하여 분류되었으며 2007년 이후 방송분은 새로 개정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급제에 따라 의무적으로 확대 · 적용되었다. 2 2017년 3월 방송분부터 프로그램 등급 표시 외에 폭력성, 선정성, 언어 사용, 모방 위험 우려 등 분류 사유 표시를 의무화했다. 3마스코트(호조작가 그림), 버스터(개), 키튼(물개), 우(펭귄), 파미래(팬더) 《개그콘서트》는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에 KBS 2TV에서 방송중인 코미디 프로그램이다. 약칭은 개콘이다. 목차 1 역사 2 방송 시간 3 이름 자막 4 방영 코너 4.1 종영 코너 4.2 특집 방송 5 기타 5.1 집단 출연 중단 사태 5.2 포맷 수출 5.3 표절 6 편성 변경 및 결방 사유 6.1 1999년 6.2 2000년 6.3 2001년 6.4 2003년 6.5 2008년 6.6 2009년 6.7 2010년 6.8 2012년 6.9 2014년 6.10 2015년 6.11 2016년 6.12 2017년 6.13 2018년 6.14 2019년 7 시청률 7.1 2003년 7.2 2006년 7.3 2007년 7.4 2008년 7.5 2009년 7.6 2010년 7.7 2011년 7.8 2012년 7.9 2013년 7.10 2014년 7.11 2015년 7.12 2016년 7.13 2017년 7.14 2018년 7.15 2019년 8 각주 9 외부 링크 역사[편집] 이 프로그램은 첫 회(1999년 9월 4일)부터 토요일 밤 8시 55분에 방송됐지만 학교 2가 1999년 가을 개편부터 KBS 1TV 일요일 오후 7시 10분으로 이동한 뒤 후속으로 편성된 퀴즈 크래프트가 회당 5만여건을 접속하겠다는 발표와 달리 시청자 접속이 1만건에도 미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컴퓨터가 다운돼 생방송이 불가능한 문제들을 드러내[1] 1년을 넘기지 못하자 2000년 1월 22일부터 토요일 오후 6시 50분으로 조정되었다. 이후, 2000년 10월 21일부터 토요일 오후 5시 20분으로 조정된 한편 김미화, 백재현이 빠진 대신 임하룡, 심형래, 이성미 등을 합류시킨 한편 개인사정 때문에 해당 프로그램을 떠난 심현섭을 복귀시켰지만[2] 기대에 못 미치자 그 해 10월 28일부터는 이성미를, 11월 4일부터는 심형래를 제외시켰는데[3] 심현섭은 재충전의 시간을 위하여[4] 2003년 1월 하차하였다. 그 뒤, 2001년 5월 6일부터 일요일 밤 8시 55분으로 조정됐으며 원년멤버 김미화가 같은 해 5월 중순부터 복귀했는데 2002년 10월 27일 방송분을 끝으로 해당 프로그램에서 하차하였고[5] 이 과정에서 2000년 봄 개편부터 수요일 밤 9시 55분에 편성됐지만 2TV에서 평일 오후 9시 20분에 방송된 소설 목민심서가 뒷날 수목극으로 변경됨에 따라[6] 2000년 7월 26일부터 1TV로 옮겨갔다가 같은 해 가을개편부터 2TV로 돌아온 동시에[7] 일요일 오후 8시 50분으로 조정된 영상기록 병원 24시는 2001년 봄 개편부터 1TV로 채널이 변경된 후 시간대가 자주 바뀌었다. 이후, 1TV에서 주말 오후 9시 40분에 방송된 대하사극 대왕세종이 2008년 봄 개편 때 2TV 주말 오후 9시 5분으로 이동하면서[8] 생긴 개편에 따라 같은 해 4월 6일부터 일요일 밤 10시 5분에 편성되었으나 KBS가 대왕 세종을 끝으로 대하 드라마를 잠정 중단하여 2008년 11월 22일부터 9시 5분으로 바뀌었으며 2019년 1월 6일부터 현재는 9시 15분에 방송중이다. 과거에 대학로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던 공연 형식의 코미디 쇼를 텔레비전으로 고스란히 옮겨온 형태로 방청객 앞에서 개그를 펼치는 형태인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으로 기획 당시에는 전유성의 제안으로 한 회에 한해 파일럿(Pliot) 형식으로 방영하여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그 결과로 1999년 9월 4일 첫방송했고,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모든 코미디 프로그램들 중에서 현존하는 최장수 개그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방송 시간[편집] 현재 방송 시간은 2019년 1월 6일부터 기준으로 한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KBS 2TV 1999년 9월 4일 ~ 2000년 1월 15일 매주 토요일 밤 8시 55분 ~ 9시 55분 60분 2000년 1월 22일 ~ 2000년 10월 14일 매주 토요일 오후 6시 50분 ~ 7시 50분 2000년 10월 21일 ~ 2001년 4월 28일 매주 토요일 오후 5시 20분 ~ 6시 15분 55분 2001년 5월 6일 ~ 2008년 3월 30일 매주 일요일 밤 8시 55분 ~ 10시 15분 80분 2008년 4월 6일 ~ 2008년 11월 16일 매주 일요일 밤 10시 15분 ~ 11시 25분 2008년 11월 23일 ~ 2011년 7월 17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5분 ~ 10시 25분 2011년 7월 24일 ~ 2011년 11월 6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5분 ~ 10시 35분 90분 2011년 11월 13일 ~ 2011년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5분 ~ 10시 40분 95분 2012년 1월 1일 ~ 2012년 2월 26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5분 ~ 10시 35분 90분 2012년 3월 4일 ~ 2012년 4월 1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5분 ~ 10시 45분 100분 2012년 4월 8일 ~ 2013년 5월 5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1시 15분 2013년 5월 12일 ~ 2014년 4월 13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1시 5분 105분 2014년 5월 25일 ~ 2015년 4월 19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1시 15분 115분 2015년 4월 26일 ~ 2015년 11월 8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45분 90분 2015년 11월 15일 ~ 2015년 12월 27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50분 100분 2016년 1월 3일 ~ 2018년 5월 20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40분 85분 2018년 6월 24일 ~ 2018년 7월 1일 2018년 5월 27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30분 75분 2018년 6월 10일 ~ 2018년 6월 17일 2018년 7월 8일 ~ 2018년 9월 30일 2018년 6월 3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20분 65분 2018년 10월 7일 ~ 2018년 12월 30일 매주 일요일 밤 9시 20분 ~ 10시 40분 80분 2019년 1월 6일 ~ 현재 매주 일요일 밤 9시 15분 ~ 10시 35분 이름 자막[편집] 이름 자막은 2011년 7월 3일부터 사용하고 있다. 구분 표시 남자 출연자 ○○○ 여자 출연자 ○○○ 특별출연자 ○○○ 방영 코너[편집] 2주 연속 편집시 해당 코너는 폐지된 것으로 간주한다. 코너명 방영일 출연진 비둘기 마술단 2018년 1월 28일 ~ 이성동, 권재관, 배정근, 심문규, 윤승현 이런 사이다 2018년 7월 15일 ~ 김원효, 이현정 외 랜덤 울화통 2019년 1월 13일 ~ 서태훈, 조충현, 박진호, 최희령, 양비아 외 전지적 구경 시점 2019년 3월 3일 ~ 권재관, 이문재, 복현규, 이창윤, 배정근, 전수희, 이재율, 엄지윤 외 세바퀴 2019년 3월 24일 ~ 장기영, 송재인, 조진세, 이상은 민상소송 2019년 3월 31일 ~ 유민상, 송준근, 박영진, 김회경, 이창호, 박대승, 송이지 외 트로트라마 2019년 3월 31일 ~ 안소미, 김태원, 장하나, 임성욱, 이가은, 서태훈 연애인들 2019년 4월 14일 ~ 정명훈, 유민상, 김민경, 오나미, 박소영, 정승환, 이승환 가디언즈 7 2019년 6월 2일 ~ 박소라, 권재관, 김대희, 서태훈, 안소미, 양상국, 김성원, 홍현호, 이정인, 이가은, 윤한민 외 구해줘 2019년 6월 2일 ~ 양선일, 김니나, 김회경, 이승환, 복현규 외 알래 카메라 2019년 6월 2일 ~ 김대희, 송영길, 이성동, 정승빈, 김정훈 외 주마등 2019년 6월 9일 ~ 김원훈, 송준석, 송재인, 장준희 외 봉시리 2019년 6월 9일 ~ 신봉선, 박소라, 류근지, 이재율 귀생충 2019년 6월 16일 ~ 김장군, 송왕호, 이세진, 이창호, 장하나, 송재인 외 잠깐 나와봐 2019년 6월 23일 ~ 김수영, 민성준, 이재율, 이가은 시뮬레이션 2019년 6월 30일 ~ 이창호, 곽범 종영 코너[편집] 이 부분은 개그콘서트의 종영된 코너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특집 방송[편집] 이 부분은 개그콘서트의 특집 방송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타[편집] 집단 출연 중단 사태[편집] 2003년 1월 6일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개그맨들이 집단으로 하차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들은 모두 스타밸리 소속으로 심현섭, 강성범, 김대희, 김준호, 박성호 등의 개그맨들은 6개월 전부터 아이디어 고갈과 피로를 호소하며 단체 보이콧을 선언한 것. 이 일로 개그콘서트는 위기를 맞게 되나 당시 원인에 의하면 소속사와 제작진 간의 불화로 하차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었고, 이외에 신인들의 빠른 성장으로 인하여 출연자들이 불안감을 느꼈다는 설도 제기되었다. 이 일로 스타밸리 소속 개그맨들이 출연했던 '바보삼대', '700 오병팔이', '수다맨' 등의 코너가 종영되었으며 제작진들은 비상회의를 열고 새로운 코너 및 대책을 마련하여 신인들을 발굴하여 위기를 면했다.[9] 포맷 수출[편집] 2014년 9월 12일 KBS 예능 제작국은 중국 메이저 미디어 그룹 상하이동방미디어유한공사(SMG) 산하 위성채널인 동방위성TV(드래곤TV)와 공동제작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방송사측에 따르면 <개그콘서트>의 판권을 구매해 내년 1월쯤 방송을 내보낼 예정이다. 또한 현재 한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코너를 중국에서 리메이크하여 현지화해 무대에 올린다는 계획이다. 제작진은 일주일 일정으로 지난 10일 입국해 프로그램 제작 전 과정을 참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BS 예능 제작국 PD 관계자들은 이들의 연수교육과정에 참여해 제작 노하우를 전수하고 향후 중국으로도 건너가 현지에서 연출을 돕게 된다. 9월부터 10월까지 무대에 오를 출연자를 선별하고 11월부터 연습에 들어가 12월부터 첫 녹화에 들어간다. SM C&C 출신이자 과거에 개그콘서트의 최장수 코너 '달인' 활동했던 개그맨 김병만이 중국 상해에 진출하여 동방위성TV에 방영된 중국판 개그콘서트 생활대폭소라는 이름으로 출연하고 2015년 1월 17일에는 신화가 한류그룹 대표로 제작발표회에 참석해 축하사절단으로 나섰다. 표절[편집] 2014년 9월 30일 KBS 예능 제작국은 중국 장쑤 위성TV에 방송된 '이치 라이 샤오바'(모두 함께 웃어요)가 '개그콘서트'의 인기 코너를 그대로 베껴 표절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기 코너 '시청률의 제왕' 뿐만 아니라 '렛잇비' '댄수다' '안 생겨요' 등 개그콘서트의 인기코너의 내용을 베껴 이미 녹화했었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 방송에서도 "그 예를 찾기 힘든 일"이라고 지적했었고 KBS 예능 제작국 측에서는 중국 규제당국인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과 장쑤 위성TV에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하였다. 편성 변경 및 결방 사유[편집] 1999년[편집] 9월 25일 : 추석특선영화 아나콘다가 방송된 관계로 결방되었다. 2000년[편집] 1월 1일 : 신년특선영화 쉬리가 방송된 관계로 결방되었다. 9월 23일 : 2000년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2001년[편집] 12월 30일 : 2001 KBS 가요대상 생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2003년[편집] 2월 23일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특집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대체 편성은 <추적 60분 연속기획물 2부 특집편>으로 방송되었다. 2008년[편집] 8월 10일 : 2008년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1시간 늦은 밤 11시 10분에 방송되었다. 2009년[편집] 5월 24일 : 고(故) 노무현 전(前) 대통령 서거로 방송 일정이 1주일 연기되었다. (특선영화 <1번가의 기적>이 대체 편성되었다) 8월 23일 : 고(故) 김대중 전(前) 대통령 서거로 방송 일정이 1주일 연기되었다. 2010년[편집] 3월 28일 ~ 4월 25일 :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인하여 약 한 달간 중단되었다. 10월 24일 : 2010년 코리아 그랑프리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1시간 늦은 밤 10시 10분에 방송되었다. 2012년[편집] 8월 5일 : 2012년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25분 늦은 밤 9시 40분에 방송되었다. 2014년[편집] 2월 16일 : 2014년 동계 올림픽 여자 컬링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15분 늦은 밤 9시 30분에 방송되었다. 4월 20일 ~ 5월 18일 : 세월호 침몰 사고의 여파로 인하여 약 한 달간 중단되었다. 9월 28일 : 2014년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35분 늦은 밤 9시 50분에 방송되었다. 2015년[편집] 10월 11일 : KBS 스포츠 2015년 KBO 리그 준플레이오프 2차전 넥센 히어로즈 VS 두산 베어스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보다 35분 늦은 밤 9시 50분에 방송되었다. 11월 22일 : 고(故) 김영삼 전(前) 대통령 서거로 방송 일정이 1주일 연기되었다. 특선영화 허삼관이 대체 편성되었다. 2016년[편집] 3월 27일 :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대한민국 VS 태국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8월 14일 : 2016년 하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예정보다 10분 빠른 밤 9시 5분에 방송되었다. 2017년[편집] 12월 31일 : 2017 KBS 연기대상 생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2018년[편집] 2월 11일 : 2018년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예정일보다 5분 늦은 밤 9시 20분에 방송되었다. 2월 18일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500m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8월 26일 :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B조 대한민국 VS 대만 야구 예선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되었다. 2019년[편집] 5월 15일 : 1000회 특집 녹화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닐슨코리아에서 발표한 시청률 표를 사용하였습니다. 2006년 이전의 시청률은 불명인 점 양해바랍니다. 2003년[편집] 2003년 8월 31일 당시에 최고 시청률 35.3%를 경신하였으며, 2003년 7월부터 12월 28일까지 시청률 30%대를 넘은 경우도 있다.[10] 200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321회 2006년 1월 1일 19.4% 322회 2006년 1월 8일 17.5% 323회 2006년 1월 15일 18.3% 324회 2006년 1월 22일 16.9% 325회 2006년 1월 29일 11.0% 326회 2006년 2월 5일 18.1% 327회 2006년 2월 12일 16.0% 328회 2006년 2월 19일 17.1% 329회 2006년 2월 26일 16.8% 330회 2006년 3월 5일 18.7% 331회 2006년 3월 12일 16.3% 332회 2006년 3월 19일 16.4% 333회 2006년 3월 26일 16.2% 334회 2006년 4월 2일 14.8% 335회 2006년 4월 9일 15.3% 336회 2006년 4월 16일 16.0% 337회 2006년 4월 23일 15.2% 338회 2006년 4월 30일 12.6% 339회 2006년 5월 7일 13.6% 340회 2006년 5월 14일 14.9% 341회 2006년 5월 21일 14.2% 342회 2006년 5월 28일 15.2% 343회 2006년 6월 4일 18.7% 344회 2006년 6월 11일 15.0% 345회 2006년 6월 18일 12.6% 346회 2006년 6월 25일 15.4% 347회 2006년 7월 2일 10.2% 348회 2006년 7월 9일 17.5% 349회 2006년 7월 16일 16.8% 350회 2006년 7월 23일 16.1% 351회 2006년 7월 30일 15.7% 352회 2006년 8월 6일 15.4% 353회 2006년 8월 13일 16.9% 354회 2006년 8월 20일 18.6% 355회 2006년 8월 27일 19.3% 356회 2006년 9월 3일 20.9% 357회 2006년 9월 10일 19.6% 358회 2006년 9월 17일 20.5% 359회 2006년 9월 24일 19.0% 360회 2006년 10월 1일 20.0% 361회 2006년 10월 8일 14.5% 362회 2006년 10월 15일 18.2% 363회 2006년 10월 22일 19.2% 364회 2006년 10월 29일 22.0% 365회 2006년 11월 5일 19.5% 366회 2006년 11월 12일 19.2% 367회 2006년 11월 19일 18.9% 368회 2006년 11월 26일 19.6% 369회 2006년 12월 3일 19.9% 370회 2006년 12월 10일 21.0% 371회 2006년 12월 17일 20.0% 372회 2006년 12월 24일 19.4% 373회 2006년 12월 31일 16.4% 200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374회 2007년 1월 7일 19.7% 375회 2007년 1월 14일 19.8% 376회 2007년 1월 21일 17.8% 377회 2007년 1월 28일 18.6% 378회 2007년 2월 4일 18.3% 379회 2007년 2월 11일 19.1% 380회 2007년 2월 18일 12.8% 381회 2007년 2월 25일 17.1% 382회 2007년 3월 4일 18.0% 383회 2007년 3월 11일 16.4% 384회 2007년 3월 18일 17.6% 385회 2007년 3월 25일 17.6% 386회 2007년 4월 1일 19.1% 387회 2007년 4월 8일 18.3% 388회 2007년 4월 15일 17.5% 389회 2007년 4월 22일 17.7% 390회 2007년 4월 29일 17.2% 391회 2007년 5월 6일 17.0% 392회 2007년 5월 13일 17.2% 393회 2007년 5월 20일 17.6% 394회 2007년 5월 27일 17.4% 395회 2007년 6월 3일 15.3% 396회 2007년 6월 10일 15.5% 397회 2007년 6월 17일 15.4% 398회 2007년 6월 24일 16.4% 399회 2007년 7월 1일 15.3% 400회 2007년 7월 8일 19.1% 401회 2007년 7월 15일 13.4% 402회 2007년 7월 22일 19.4% 403회 2007년 7월 29일 14.0% 404회 2007년 8월 5일 14.4% 405회 2007년 8월 12일 14.7% 406회 2007년 8월 19일 15.3% 407회 2007년 8월 26일 15.3% 408회 2007년 9월 2일 17.2% 409회 2007년 9월 9일 19.5% 410회 2007년 9월 16일 15.7% 411회 2007년 9월 23일 14.4% 412회 2007년 9월 30일 16.2% 413회 2007년 10월 7일 14.5% 414회 2007년 10월 14일 14.3% 415회 2007년 10월 21일 13.7% 416회 2007년 10월 28일 13.6% 417회 2007년 11월 4일 15.5% 418회 2007년 11월 11일 13.4% 419회 2007년 11월 18일 15.1% 420회 2007년 11월 25일 13.4% 421회 2007년 12월 2일 17.1% 422회 2007년 12월 9일 17.1% 423회 2007년 12월 16일 17.7% 424회 2007년 12월 23일 15.3% 425회 2007년 12월 30일 16.3% 200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426회 2008년 1월 6일 17.0% 427회 2008년 1월 13일 16.0% 428회 2008년 1월 20일 15.7% 429회 2008년 1월 27일 15.2% 430회 2008년 2월 3일 15.3% 431회 2008년 2월 10일 16.4% 432회 2008년 2월 17일 15.6% 433회 2008년 2월 24일 16.3% 434회 2008년 3월 2일 16.0% 435회 2008년 3월 9일 15.9% 436회 2008년 3월 16일 16.5% 437회 2008년 3월 23일 17.4% 438회 2008년 3월 30일 16.3% 439회 2008년 4월 6일 11.7% 440회 2008년 4월 13일 11.7% 441회 2008년 4월 20일 11.5% 442회 2008년 4월 27일 12.3% 443회 2008년 5월 4일 11.4% 444회 2008년 5월 11일 12.3% 445회 2008년 5월 18일 12.4% 446회 2008년 5월 25일 11.7% 447회 2008년 6월 1일 11.3% 448회 2008년 6월 8일 11.6% 449회 2008년 6월 15일 11.4% 450회 2008년 6월 22일 10.8% 451회 2008년 6월 29일 11.2% 452회 2008년 7월 6일 11.2% 453회 2008년 7월 13일 12.6% 454회 2008년 7월 20일 12.3% 455회 2008년 7월 27일 12.3% 456회 2008년 8월 3일 12.1% 457회 2008년 8월 10일 11.8% 458회 2008년 8월 17일 12.4% 459회 2008년 8월 24일 13.3% 460회 2008년 8월 31일 11.5% 461회 2008년 9월 7일 13.2% 462회 2008년 9월 14일 9.0% 463회 2008년 9월 21일 11.6% 464회 2008년 9월 28일 11.7% 465회 2008년 10월 5일 10.1% 466회 2008년 10월 12일 15.2% 467회 2008년 10월 19일 15.0% 468회 2008년 10월 26일 14.6% 469회 2008년 11월 2일 15.2% 470회 2008년 11월 9일 14.5% 471회 2008년 11월 16일 15.4% 472회 2008년 11월 23일 15.9% 473회 2008년 11월 30일 16.3% 474회 2008년 12월 7일 16.8% 475회 2008년 12월 14일 18.5% 476회 2008년 12월 21일 19.7% 477회 2008년 12월 28일 19.3% 200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478회 2009년 1월 4일 17.2% 479회 2009년 1월 11일 18.4% 480회 2009년 1월 18일 17.6% 481회 2009년 1월 25일 16.6% 482회 2009년 2월 1일 17.5% 483회 2009년 2월 8일 19.1% 484회 2009년 2월 15일 19.3% 485회 2009년 2월 22일 19.6% 486회 2009년 3월 1일 17.4% 487회 2009년 3월 8일 20.7% 488회 2009년 3월 15일 20.4% 489회 2009년 3월 22일 18.3% 490회 2009년 3월 29일 20.2% 491회 2009년 4월 5일 20.6% 492회 2009년 4월 12일 20.8% 493회 2009년 4월 19일 18.9% 494회 2009년 4월 26일 20.1% 495회 2009년 5월 3일 19.7% 496회 2009년 5월 10일 20.5% 497회 2009년 5월 17일 20.1% 498회 2009년 5월 31일 18.0% 499회 2009년 6월 7일 18.0% 500회 2009년 6월 14일 18.6% 501회 2009년 6월 21일 17.5% 502회 2009년 6월 28일 17.8% 503회 2009년 7월 5일 17.4% 504회 2009년 7월 12일 17.9% 505회 2009년 7월 19일 15.9% 506회 2009년 7월 26일 16.1% 507회 2009년 8월 2일 17.0% 508회 2009년 8월 9일 18.2% 509회 2009년 8월 16일 18.6% 510회 2009년 8월 30일 20.1% 511회 2009년 9월 6일 26.8% 512회 2009년 9월 13일 19.8% 513회 2009년 9월 20일 19.3% 514회 2009년 9월 27일 20.1% 515회 2009년 10월 4일 18.5% 516회 2009년 10월 11일 19.9% 517회 2009년 10월 18일 17.9% 518회 2009년 10월 25일 18.1% 519회 2009년 11월 1일 18.0% 520회 2009년 11월 8일 17.4% 521회 2009년 11월 15일 19.0% 522회 2009년 11월 22일 18.5% 523회 2009년 11월 29일 18.2% 524회 2009년 12월 6일 18.4% 525회 2009년 12월 13일 17.2% 526회 2009년 12월 20일 17.8% 527회 2009년 12월 27일 19.5% 2010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528회 2010년 1월 3일 17.4% 529회 2010년 1월 10일 16.4% 530회 2010년 1월 17일 16.9% 531회 2010년 1월 24일 16.4% 532회 2010년 1월 31일 16.8% 533회 2010년 2월 7일 17.1% 534회 2010년 2월 14일 12.8% 535회 2010년 2월 21일 16.1% 536회 2010년 2월 28일 17.0% 537회 2010년 3월 7일 18.4% 538회 2010년 3월 14일 18.7% 539회 2010년 3월 21일 18.4% 540회 2010년 5월 2일 14.7% 541회 2010년 5월 9일 14.5% 542회 2010년 5월 16일 14.7% 543회 2010년 5월 23일 16.0% 544회 2010년 5월 30일 19.4% 545회 2010년 6월 6일 15.8% 546회 2010년 6월 13일 16.9% 547회 2010년 6월 20일 17.0% 548회 2010년 6월 27일 15.4% 549회 2010년 7월 4일 15.3% 550회 2010년 7월 11일 15.4% 551회 2010년 7월 18일 16.0% 552회 2010년 7월 25일 14.4% 553회 2010년 8월 1일 13.7% 554회 2010년 8월 8일 14.9% 555회 2010년 8월 15일 15.3% 556회 2010년 8월 22일 14.8% 557회 2010년 8월 29일 16.0% 558회 2010년 9월 5일 16.6% 559회 2010년 9월 12일 17.8% 560회 2010년 9월 19일 18.1% 561회 2010년 9월 26일 17.4% 562회 2010년 10월 3일 17.0% 563회 2010년 10월 10일 18.3% 564회 2010년 10월 17일 17.7% 565회 2010년 10월 24일 15.3% 566회 2010년 10월 31일 16.9% 567회 2010년 11월 7일 18.3% 568회 2010년 11월 14일 19.2% 569회 2010년 11월 21일 15.3% 570회 2010년 11월 28일 16.7% 571회 2010년 12월 5일 19.5% 572회 2010년 12월 12일 18.3% 573회 2010년 12월 19일 16.9% 574회 2010년 12월 26일 19.4% 2011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575회 2011년 1월 2일 17.5% 576회 2011년 1월 9일 15.9% 577회 2011년 1월 16일 15.8% 578회 2011년 1월 23일 19.4% 579회 2011년 1월 30일 20.4% 580회 2011년 2월 6일 17.3% 581회 2011년 2월 13일 18.7% 582회 2011년 2월 20일 18.1% 583회 2011년 2월 27일 19.0% 584회 2011년 3월 6일 16.8% 585회 2011년 3월 13일 16.0% 586회 2011년 3월 20일 16.0% 587회 2011년 3월 27일 15.3% 588회 2011년 4월 3일 15.9% 589회 2011년 4월 10일 15.9% X 2011년 4월 17일 14.9% 590회 2011년 4월 24일 15.6% 591회 2011년 5월 1일 15.8% 592회 2011년 5월 8일 14.6% 593회 2011년 5월 15일 16.9% 594회 2011년 5월 22일 16.0% 595회 2011년 5월 29일 15.0% 596회 2011년 6월 5일 13.6% 597회 2011년 6월 12일 15.7% 598회 2011년 6월 19일 14.7% 599회 2011년 6월 26일 15.0% 600회 2011년 7월 3일 17.7% 601회 2011년 7월 10일 15.4% 602회 2011년 7월 17일 15.5% 603회 2011년 7월 24일 17.1% 604회 2011년 7월 31일 14.8% 605회 2011년 8월 7일 15.5% 606회 2011년 8월 14일 13.2% 607회 2011년 8월 21일 17.2% 608회 2011년 8월 28일 15.4% 609회 2011년 9월 4일 15.7% 610회 2011년 9월 11일 14.6% 611회 2011년 9월 18일 17.3% 612회 2011년 9월 25일 18.9% 613회 2011년 10월 2일 18.4% 614회 2011년 10월 9일 20.9% 615회 2011년 10월 16일 20.5% 616회 2011년 10월 23일 22.2% 617회 2011년 10월 30일 22.5% 618회 2011년 11월 6일 22.7% 619회 2011년 11월 13일 23.9% 620회 2011년 11월 20일 24.2% 621회 2011년 11월 27일 25.6% 622회 2011년 12월 4일 23.8% 623회 2011년 12월 11일 23.2% 624회 2011년 12월 18일 25.0% 625회 2011년 12월 25일 27.9% 2012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626회 2012년 1월 1일 25.7% 627회 2012년 1월 8일 23.8% 628회 2012년 1월 15일 22.0% 629회 2012년 1월 22일 18.7% 630회 2012년 1월 29일 20.7% 631회 2012년 2월 5일 22.0% 632회 2012년 2월 12일 22.0% 633회 2012년 2월 19일 23.3% 634회 2012년 2월 26일 22.3% 635회 2012년 3월 4일 20.5% 636회 2012년 3월 11일 22.2% 637회 2012년 3월 18일 19.9% 638회 2012년 3월 25일 20.1% 639회 2012년 4월 1일 20.4% 640회 2012년 4월 8일 19.1% 641회 2012년 4월 15일 17.5% 642회 2012년 4월 22일 17.4% 643회 2012년 4월 29일 17.9% 644회 2012년 5월 6일 20.0% 645회 2012년 5월 13일 20.4% 646회 2012년 5월 20일 19.6% 647회 2012년 5월 27일 19.9% 648회 2012년 6월 3일 20.9% 649회 2012년 6월 10일 20.2% 650회 2012년 6월 17일 19.3% 651회 2012년 6월 24일 18.0% 652회 2012년 7월 1일 17.8% 653회 2012년 7월 8일 19.5% 654회 2012년 7월 15일 21.2% 655회 2012년 7월 22일 18.9% 656회 2012년 7월 29일 20.0% 657회 2012년 8월 5일 22.9% 658회 2012년 8월 12일 21.1% 659회 2012년 8월 19일 22.5% 660회 2012년 8월 26일 23.0% 661회 2012년 9월 2일 22.0% 662회 2012년 9월 9일 22.3% 663회 2012년 9월 16일 20.3% 664회 2012년 9월 23일 19.6% 665회 2012년 9월 30일 17.0% 666회 2012년 10월 7일 21.0% 667회 2012년 10월 14일 20.5% 668회 2012년 10월 21일 20.5% 669회 2012년 10월 28일 20.8% 670회 2012년 11월 4일 20.7% 671회 2012년 11월 11일 20.9% 672회 2012년 11월 18일 20.4% 673회 2012년 11월 25일 20.9% 674회 2012년 12월 2일 20.5% 675회 2012년 12월 9일 19.8% 676회 2012년 12월 16일 23.7% 677회 2012년 12월 23일 18.7% 678회 2012년 12월 30일 22.5% 2013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679회 2013년 1월 6일 21.7% 680회 2013년 1월 13일 21.8% 681회 2013년 1월 20일 20.6% 682회 2013년 1월 27일 19.2% 683회 2013년 2월 3일 19.3% 684회 2013년 2월 10일 16.8% 685회 2013년 2월 17일 19.7% 686회 2013년 2월 24일 19.2% 코미디 40년 특집 2013년 3월 3일 20.2% 687회 2013년 3월 10일 15.2% 688회 2013년 3월 17일 15.8% 689회 2013년 3월 24일 14.9% 690회 2013년 3월 31일 16.2% 691회 2013년 4월 7일 16.0% 692회 2013년 4월 14일 16.5% 693회 2013년 4월 21일 14.9% 694회 2013년 4월 28일 14.9% 695회 2013년 5월 5일 14.7% 696회 2013년 5월 12일 15.5% 697회 2013년 5월 19일 15.0% 698회 2013년 5월 26일 14.4% 699회 2013년 6월 2일 15.5% 700회 2013년 6월 9일 18.2% 701회 2013년 6월 16일 15.8% 702회 2013년 6월 23일 15.1% 703회 2013년 6월 30일 15.9% 704회 2013년 7월 7일 17.3% 705회 2013년 7월 14일 18.4% 706회 2013년 7월 21일 17.8% 707회 2013년 7월 28일 16.6% 708회 2013년 8월 4일 17.1% 709회 2013년 8월 11일 17.4% 710회 2013년 8월 18일 17.4% 711회 2013년 8월 25일 17.3% 712회 2013년 9월 1일 17.5% 713회 2013년 9월 8일 17.6% 714회 2013년 9월 15일 17.0% 715회 2013년 9월 22일 18.6% 716회 2013년 9월 29일 18.5% 717회 2013년 10월 6일 18.6% 718회 2013년 10월 13일 17.8% 719회 2013년 10월 20일 18.1% 720회 2013년 10월 27일 16.9% 721회 2013년 11월 3일 18.8% 722회 2013년 11월 10일 18.7% 723회 2013년 11월 17일 17.7% 724회 2013년 11월 24일 17.3% 725회 2013년 12월 1일 17.8% 726회 2013년 12월 8일 16.8% 727회 2013년 12월 15일 17.8% 728회 2013년 12월 22일 19.8% 729회 2013년 12월 29일 17.2% 2014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730회 2014년 1월 5일 18.2% 731회 2014년 1월 12일 18.3% 732회 2014년 1월 19일 18.3% 733회 2014년 1월 26일 17.4% 734회 2014년 2월 2일 17.6% 735회 2014년 2월 9일 16.9% 736회 2014년 2월 16일 18.1% 737회 2014년 2월 23일 16.8% 738회 2014년 3월 2일 15.3% 739회 2014년 3월 9일 15.0% 740회 2014년 3월 16일 15.6% 741회 2014년 3월 23일 15.2% 742회 2014년 3월 30일 15.4% 743회 2014년 4월 6일 15.5% 744회 2014년 4월 13일 16.4% 745회 2014년 5월 25일 15.9% 746회 2014년 6월 1일 15.6% 747회 2014년 6월 8일 14.7% 748회 2014년 6월 15일 14.2% 749회 2014년 6월 22일 14.5% 750회 2014년 6월 29일 13.4% 751회 2014년 7월 6일 14.9% 752회 2014년 7월 13일 15.2% 753회 2014년 7월 20일 15.2% 754회 2014년 7월 27일 15.9% 755회 2014년 8월 3일 15.9% 756회 2014년 8월 10일 16.8% 757회 2014년 8월 17일 14.5% 758회 2014년 8월 24일 13.4% 759회 2014년 8월 31일 13.7% 760회 2014년 9월 7일 13.5% 761회 2014년 9월 14일 14.3% 762회 2014년 9월 21일 12.3% 763회 2014년 9월 28일 16.4% 764회 2014년 10월 5일 13.6% 765회 2014년 10월 12일 13.8% 766회 2014년 10월 19일 16.2% 767회 2014년 10월 26일 16.1% 768회 2014년 11월 2일 14.9% 769회 2014년 11월 9일 15.4% 770회 2014년 11월 16일 14.5% 771회 2014년 11월 23일 14.0% 772회 2014년 11월 30일 15.1% 773회 2014년 12월 7일 14.3% 774회 2014년 12월 14일 15.4% 775회 2014년 12월 21일 13.4% 776회 2014년 12월 28일 16.6% 2015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777회 2015년 1월 4일 15.4% 778회 2015년 1월 11일 15.4% 779회 2015년 1월 18일 15.7% 780회 2015년 1월 25일 15.4% 781회 2015년 2월 1일 14.6% 782회 2015년 2월 8일 15.1% 783회 2015년 2월 15일 14.4% 784회 2015년 2월 22일 13.2% 785회 2015년 3월 1일 11.5% 786회 2015년 3월 8일 12.9% 787회 2015년 3월 15일 13.9% 788회 2015년 3월 22일 12.7% 789회 2015년 3월 29일 12.7% 790회 2015년 4월 5일 12.1% 791회 2015년 4월 12일 12.6% 792회 2015년 4월 19일 13.5% 793회 2015년 4월 26일 11.7% 794회 2015년 5월 3일 12.4% 795회 2015년 5월 10일 12.6% 796회 2015년 5월 17일 12.3% 797회 2015년 5월 24일 11.8% 798회 2015년 5월 31일 12.6% 799회 2015년 6월 7일 12.0% 800회 2015년 6월 14일 13.0% 801회 2015년 6월 21일 12.5% 802회 2015년 6월 28일 12.0% 803회 2015년 7월 5일 11.1% 804회 2015년 7월 12일 11.8% 805회 2015년 7월 19일 11.5% 806회 2015년 7월 26일 14.5% 807회 2015년 8월 2일 10.2% 808회 2015년 8월 9일 11.3% 809회 2015년 8월 16일 12.2% 810회 2015년 8월 23일 11.4% 811회 2015년 8월 30일 11.2% 812회 2015년 9월 6일 12.4% 813회 2015년 9월 13일 11.0% 814회 2015년 9월 20일 10.9% 815회 2015년 9월 27일 10.7% 816회 2015년 10월 4일 11.5% 817회 2015년 10월 11일 10.9% 818회 2015년 10월 18일 10.5% 819회 2015년 10월 25일 10.4% 820회 2015년 11월 1일 10.6% 821회 2015년 11월 8일 11.9% 822회 2015년 11월 15일 10.1% 823회 2015년 11월 29일 9.9% 824회 2015년 12월 6일 9.6% 825회 2015년 12월 13일 9.9% 826회 2015년 12월 20일 12.6% 827회 2015년 12월 27일 11.9% 2016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828회 2016년 1월 3일 9.3% 829회 2016년 1월 10일 8.8% 830회 2016년 1월 17일 9.5% 831회 2016년 1월 24일 8.8% 832회 2016년 1월 31일 8.8% 833회 2016년 2월 7일 9.3% 834회 2016년 2월 14일 10.4% 835회 2016년 2월 21일 10.7% 836회 2016년 2월 28일 10.8% 837회 2016년 3월 6일 11.2% 838회 2016년 3월 13일 10.1% 839회 2016년 3월 20일 10.3% 840회 2016년 4월 3일 9.9% 841회 2016년 4월 10일 10.7% 842회 2016년 4월 17일 9.4% 843회 2016년 4월 24일 8.9% 844회 2016년 5월 1일 8.5% 845회 2016년 5월 8일 9.3% 846회 2016년 5월 15일 10.5% 847회 2016년 5월 22일 10.3% 848회 2016년 5월 29일 9.5% 849회 2016년 6월 5일 9.8% 850회 2016년 6월 12일 9.8% 851회 2016년 6월 19일 10.1% 852회 2016년 6월 26일 9.7% 853회 2016년 7월 3일 9.0% 854회 2016년 7월 10일 9.8% 855회 2016년 7월 17일 9.8% 856회 2016년 7월 24일 10.2% 857회 2016년 7월 31일 8.9% 858회 2016년 8월 7일 9.6% 859회 2016년 8월 14일 8.4% 860회 2016년 8월 21일 10.0% 861회 2016년 8월 28일 9.3% 862회 2016년 9월 4일 10.1% 863회 2016년 9월 11일 10.0% 864회 2016년 9월 18일 10.4% 865회 2016년 9월 25일 9.6% 866회 2016년 10월 2일 10.1% 867회 2016년 10월 9일 9.0% 868회 2016년 10월 16일 9.6% 869회 2016년 10월 23일 10.5% 870회 2016년 10월 30일 9.1% 871회 2016년 11월 6일 9.7% 872회 2016년 11월 13일 10.9% 873회 2016년 11월 20일 10.5% 874회 2016년 11월 27일 10.7% 875회 2016년 12월 4일 10.7% 876회 2016년 12월 11일 10.7% 877회 2016년 12월 18일 10.4% 878회 2016년 12월 25일 11.1% 2017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879회 2017년 1월 1일 10.6% 880회 2017년 1월 8일 10.4% 881회 2017년 1월 15일 10.3% 882회 2017년 1월 22일 9.3% 883회 2017년 1월 29일 8.4% 884회 2017년 2월 5일 9.6% 885회 2017년 2월 12일 9.0% 886회 2017년 2월 19일 9.0% 887회 2017년 2월 26일 8.3% 888회 2017년 3월 5일 8.7% 889회 2017년 3월 12일 8.3% 890회 2017년 3월 19일 8.3% 891회 2017년 3월 26일 8.5% 892회 2017년 4월 2일 9.1% 893회 2017년 4월 9일 8.0% 894회 2017년 4월 16일 7.8% 895회 2017년 4월 23일 8.6% 896회 2017년 4월 30일 8.3% 897회 2017년 5월 7일 7.9% 898회 2017년 5월 14일 10.0% 899회 2017년 5월 21일 8.8% 900회 2017년 5월 28일 10.8% 901회 2017년 6월 4일 8.5% 902회 2017년 6월 11일 7.7% 903회 2017년 6월 18일 7.6% 904회 2017년 6월 25일 7.9% 905회 2017년 7월 2일 7.7% 906회 2017년 7월 9일 8.8% 907회 2017년 7월 16일 8.2% 908회 2017년 7월 23일 7.5% 909회 2017년 7월 30일 7.6% 910회 2017년 8월 6일 7.1% 911회 2017년 8월 13일 7.4% 912회 2017년 8월 20일 8.2% 913회 2017년 8월 27일 7.5% 914회 2017년 9월 3일 6.9% 915회 2017년 9월 10일 7.2% 916회 2017년 9월 17일 6.8% 917회 2017년 9월 24일 6.9% 918회 2017년 10월 1일 7.1% 919회 2017년 10월 8일 7.6% 920회 2017년 10월 15일 6.9% 921회 2017년 10월 22일 9.2% 922회 2017년 10월 29일 8.0% 923회 2017년 11월 5일 6.9% 924회 2017년 11월 12일 7.4% 925회 2017년 11월 19일 7.6% 926회 2017년 11월 26일 7.2% 927회 2017년 12월 3일 8.0% 928회 2017년 12월 10일 7.5% 929회 2017년 12월 17일 8.0% 930회 2017년 12월 24일 6.2% 2018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931회 2018년 1월 7일 7.5% 932회 2018년 1월 14일 6.9% 933회 2018년 1월 21일 6.8% 934회 2018년 1월 28일 7.5% 935회 2018년 2월 4일 6.6% 936회 2018년 2월 11일 8.6% 937회 2018년 2월 25일 6.7% 938회 2018년 3월 4일 6.3% 939회 2018년 3월 11일 6.8% 940회 2018년 3월 18일 6.2% 941회 2018년 3월 25일 6.6% 942회 2018년 4월 1일 6.8% 943회 2018년 4월 8일 6.3% 944회 2018년 4월 15일 6.4% 945회 2018년 4월 22일 5.8% 946회 2018년 4월 29일 6.5% 947회 2018년 5월 6일 6.0% 948회 2018년 5월 13일 6.4% 949회 2018년 5월 20일 5.7% 950회 2018년 5월 27일 5.8% 951회 2018년 6월 3일 6.3% 952회 2018년 6월 10일 5.9% 953회 2018년 6월 17일 5.5% 954회 2018년 6월 24일 6.3% 955회 2018년 7월 1일 7.0% 956회 2018년 7월 8일 5.8% 957회 2018년 7월 15일 5.0% 958회 2018년 7월 22일 5.4% 959회 2018년 7월 29일 5.4% 960회 2018년 8월 5일 5.2% 961회 2018년 8월 12일 4.9% 962회 2018년 8월 19일 8.4% 963회 2018년 9월 2일 5.3% 964회 2018년 9월 9일 5.1% 965회 2018년 9월 16일 4.7% 966회 2018년 9월 23일 4.8% 967회 2018년 9월 30일 5.0% 968회 2018년 10월 7일 5.2% 969회 2018년 10월 14일 4.8% 970회 2018년 10월 21일 5.3% 971회 2018년 10월 28일 5.0% 972회 2018년 11월 4일 5.5% 973회 2018년 11월 11일 5.4% 974회 2018년 11월 18일 5.0% 975회 2018년 11월 25일 5.4% 976회 2018년 12월 2일 5.6% 977회 2018년 12월 9일 6.0% 978회 2018년 12월 16일 5.5% 979회 2018년 12월 23일 5.0% 980회 2018년 12월 30일 6.0% 2019년[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 981회 2019년 1월 6일 5.3% 982회 2019년 1월 13일 5.4% 983회 2019년 1월 20일 5.5% 984회 2019년 1월 27일 5.8% 985회 2019년 2월 3일 5.9% 986회 2019년 2월 10일 5.5% 987회 2019년 2월 17일 5.9% 988회 2019년 2월 24일 5.4% 989회 2019년 3월 3일 5.6% 990회 2019년 3월 10일 5.7% 991회 2019년 3월 17일 6.8% 992회 2019년 3월 24일 6.0% 993회 2019년 3월 31일 6.2% 994회 2019년 4월 7일 5.9% 995회 2019년 4월 14일 6.8% 996회 2019년 4월 21일 5.9% 997회 2019년 4월 28일 5.9% 998회 2019년 5월 5일 5.6% 999회 2019년 5월 12일 6.2% 1000회 2019년 5월 19일 8.0% 1001회 2019년 5월 26일 8.4% 1002회 2019년 6월 2일 6.8% 1003회 2019년 6월 9일 7.1% 1004회 2019년 6월 16일 6.0% 1005회 2019년 6월 23일 7.0% 1006회 2019년 6월 30일 6.6% 각주[편집] ↑ 허엽 (2000년 1월 16일). “KBS,이달 하순 부분개편…인기프로 전진배치”. 동아일보.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허엽 (2000년 10월 13일). “[방송]KBS2 '개그콘서트' 새단장 새출발…임하룡 등 출연”. 동아일보.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양은경 (2000년 11월 1일). “"참신성 실종,안타깝다 개그콘서트"”. 한국일보.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방송] ‘개그콘서트’ 개그맨 무더기 탈퇴”. 조선일보. 2003년 1월 7일.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박미선‘봉숭아 학당’ 새 선생님 등”. 문화일보. 2002년 10월 22일.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방송가] KBS, 24일부터 편성 일부 조정”. 매일경제. 2000년 7월 11일. 2018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김신성 (2000년 10월 4일). “KBS, 9일부터 TV프로그램 개편”. 세계일보. 2018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김명은 (2008년 3월 20일). “KBS, 31일부터 봄 개편 프로그램 편성”. 조이뉴스24. 2018년 4월 20일에 확인함.  ↑ 유인경 (2003년 1월 8일). “출연중단 파문 ‘반쪽된 개콘’”. 경향신문. 2018년 6월 2일에 확인함.  ↑ ‘30% 클럽’ 중심으로 본 예능프로의 변화 외부 링크[편집] KBS 개그콘서트 홈페이지 개그콘서트 - 네이버 tvcast 개그콘서트 - 페이스북 KBS 2TV 일요일 프로그램 이전 개그콘서트 다음 주말연속극(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다큐멘터리 3일 저녁 7시 55분 밤 9시 15분 밤 10시 35분 vdeh 개그콘서트이태선 밴드현재 이태선 (기타, 베이스) 이필원 (베이스) 홍필선 (기타) 이유희 (건반) 은성태 (드럼) 정영아 (건반) 과거 진재영 (2002.5.5~2006.12.24 / 기타) 이수진 (2006.12.31~2009.9.13, 2014.4.13 / 기타) 전형기 (2009.12.6~2012.5.6 / 기타) 현재 출연자 곽범 권재관 김니나 김대희 김민경 김두현 김성원 김정훈 김원훈 김장군 김회경 류근지 민성준 복현규 박대승 박소라 박소영 박영진 배정근 서태훈 송영길 송이지 송왕호 송준근 송재인 송준석 심문규 신봉선 안소미 오나미 양선일 양상국 엄지윤 유민상 윤승현 이창호 이성동 이문재 이가은 이재율 이정인 장기영 장준희 정진하 장하나 정승환 정명훈 정승빈 조진세 전수희 조충현 최희령 홍현호 최우수 아이디어상 생활 사투리 (2002) 도레미 트리오 (2003) 깜빡 홈쇼핑 (2004) 사랑의 가족 (2005) 마빡이 (2006) 대화가 필요해 (2007) 달인 (2008) 분장실의 강 선생님 (2009) 두 분 토론 (2010)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 (2011) 용감한 녀석들 (2012) 황해 (2013) 끝사랑 (2014) 민상 토론 (2015) 세.젤.예 (2016) 이런 사이다 (2018) 기타 종영된 코너 특집 방송 당신이 한번도 보지못한 개그콘서트 봉숭아 학당 달인 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1970년대드라마 수상작 없음 (1974) 수사반장 (1975) 집념 (1976) KBS 무대 - 한국 단편 문학 순례 시리즈 (1977) 부부 (1978) 6.25 (1979) 1980년대드라마 한국인 (1980) TV문학관 - 을화 (1981) TV문학관 - 등신불 (1982) 풍운 (1983) 베스트셀러극장, 불타는 바다 (1984) 전원일기 (1985) 억새풀 (1986) 생인손 (1987) 사랑과 야망 (1988) 사로잡힌 영혼 (1989) 교양 수상작 없음(1980 ~ 1984) 한국의 나비 (1985) 사람과 사람 (1986) 장애인 도심 정복 훈련 - 이제는 파란불이다 (1987) 천적의 세계 (1988) 한국의 자생 약초 (1989) 1990년대드라마 사랑이 꽃피는 나무 (1990) 제2공화국 (1991) 여명의 눈동자 (1992) 억새 바람 (1993) 엄마의 바다 (1994) 모래시계 (1995) 연애의 기초 (199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1997) 달팽이 (1998)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1999) 교양† 평화, 멀지만 가야할 길 (1990) 러시아 동구의 문학과 예술 (1991) 백로와 소년 (1992) 잊혀진 전쟁,종군위안부, 베트남전쟁 그후 17년, 그것이 알고 싶다 (1993) PD수첩, 독도 365일 (1994) 신인간시대 (1995) 한국의 파충류 (1996) 자연다큐멘터리 게 (1997) 일요스페셜 (1998) 21세기 위원회 (1999) 예능† 가요무대 (1990) 일요일 일요일 밤에 (1991) 토요대행진,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1992)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1993) 열린음악회 (1994) 일요일 일요일 밤에 (1995) 샘이 깊은 물 (1996) 테마게임 (1997) 이홍렬쇼 (1998) 21세기 위원회 (1999) 2000년대드라마 국희 (2000) 아줌마 (2001) 피아노 (2002) 네 멋대로 해라 (2003) 꽃보다 아름다워 (2004) 미안하다, 사랑한다 (2005) 토지 (2006) 서울 1945 (2007) 쩐의 전쟁 (2008) 엄마가 뿔났다 (2009) 교양 역사스페셜 (2000) 영상기록 병원 24시 (2001) MBC 스페셜 - 이슬람 (2002) 야생의 초원, 세렝게티 (2003) 환경의 역습 (2004) 지금도 마로니에는 (2005) 나는 가요, 도쿄 제2의 여름학교 (2006) 긴급출동 SOS 24 (2007) 차마고도 (2008) 그것이 알고 싶다 (2009) 예능 개그콘서트 (2000) 진실게임, 코미디 하우스 (2001)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2) 느낌표 (2003) 코미디하우스 (2004) 안녕, 프란체스카 (2005) 상상플러스 (2006) 미녀들의 수다 (2007) 무한도전 (2008) 개그콘서트 (2009) 2010년대드라마 아이리스 (2010) 시크릿 가든 (2011) 해를 품은 달 (2012) 추적자 THE CHASER (2013) 굿 닥터 (2014) 풍문으로 들었소 (2015) 시그널 (2016) 디어 마이 프렌즈 (2017) 마더 (2018) 나의 아저씨 (2019) 교양 아마존의 눈물 (2010) 학교란 무엇인가 (2011) 다큐프라임 - 문명과 수학 (2012) 한국인의 밥상 (2013) 그것이 알고싶다 (2014) 요리인류키친 (2015) 다큐프라임 - 시험 (2016) 썰전 (2017) 땐뽀걸즈 (2018) 저널리즘 토크쇼 J (2019) 예능 지붕뚫고 하이킥! (2010) 놀러와 - 쎄시봉 콘서트 (2011) 개그콘서트 (2012) 런닝맨, 정글의 법칙, 일밤 - 아빠! 어디가?(2013) 꽃보다 할배 (2014) 비정상회담 (201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016) 미운 우리 새끼 (2017) 효리네 민박 (2018) 전지적 참견 시점 (2019) †교양과 예능 부문의 작품상은 1999년부터 정식으로 시상함.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 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드라마 일일드라마 (《태양의 계절》) 월화드라마 (《퍼퓸》) 리얼 오피스 드라마 (《회사 가기 싫어》) 수목드라마 (《단, 하나의 사랑》) 주말드라마 (《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예능 《옥탑방의 문제아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썸바이벌 1+1》 《살림하는남자들》 《해피투게더》 《뮤직뱅크》 《연예가중계》 《으라차차 만수로》 《유희열의 스케치북》 《영화가 좋다》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배틀 트립》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연예대상》¹ 《가요대축제》¹ 《연기대상》¹ 시사교양 《생방송 아침이 좋다》 《그녀들의 여유만만》 《2TV 생생정보》 《제보자들》 《세상의 모든 다큐》 《영상앨범 산》 《KBS 재난방송센터》 《다큐멘터리 3일》 뉴스  · 스포츠 《KBS 아침뉴스타임》(《주간연예수첩》) 《지구촌 뉴스》 《KBS 뉴스타임 (1400)》 《KBS 경제타임》 《KBS 글로벌 24》 《비바! K리그》 《스포츠 하이라이트》 어린이 《자동공부책상 위키 2》 《TV유치원》 《파파독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핑크퐁 원더스타》 《누가누가 잘하나》 《또봇 V》 재방송 일일연속극 (《여름아 부탁해》) 《걸어서 세계속으로》 《다큐공감》 《사랑의 가족》 《생활의 발견》 《인간극장》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ㅋㄷㅋㄷ코딩TV》 《TV는 사랑을 싣고》 KBS1 KBS2 EBS1 EBS2 MBC OBS SBS †현재 잠정 중단된 프로그램 ¹ 연중 1회 방송되는 프로그램 ² 유동적으로 편성되는 프로그램 vdehKBS 연예대상 최우수상 해피투게더 (2002) 개그콘서트 (2003) 스펀지 (2004) 상상플러스 (2005·2006) 해피투게더 시즌3 (2007) 해피선데이 (2008·2009·2010) 개그콘서트 (2011·2012·2013) 슈퍼맨이 돌아왔다 (2014) 1박 2일 (2015·2016·2018) 대상 | 프로그램상 | 최우수상 vdeh2013년 한국인이 좋아하는 TV프로그램1월 무한도전 내 딸 서영이 1박 2일 마의 런닝맨 개그콘서트 힘내요 미스터 김 학교 2013 야왕 무자식상팔자 2월 내 딸 서영이 무한도전 런닝맨 마의 1박 2일 야왕 아빠! 어디가 힘내요 미스터 김 개그콘서트 그 겨울, 바람이 분다 3월 무한도전 아빠! 어디가 야왕 런닝맨 마의 힘내요 미스터 김 1박 2일 개그콘서트 오자룡이 간다 돈의 화신 4월 무한도전 오자룡이 간다 런닝맨 아빠! 어디가? 힘내요 미스터 김 개그콘서트 직장의 신 1박 2일 구가의 서 백년의 유산 5월 무한도전 런닝맨 백년의 유산 1박 2일 구가의 서 아빠! 어디가? 장옥정, 사랑에 살다 직장의 신 개그콘서트 오자룡이 간다 6월 무한도전 구가의 서 백년의 유산 런닝맨 아빠! 어디가? 진짜 사나이 장옥정, 사랑에 살다 삼생이 개그콘서트 1박 2일 7월 무한도전 너의 목소리가 들려 아빠! 어디가? 런닝맨 진짜 사나이 1박 2일 최고다 이순신 개그콘서트 오로라 공주 썰전 8월 무한도전 런닝맨 아빠! 어디가? 오로라 공주 굿 닥터 진짜 사나이 1박 2일 주군의 태양 지성이면 감천 구암 허준 9월 무한도전 진짜 사나이 굿 닥터 아빠! 어디가? 주군의 태양 런닝맨 지성이면 감천 개그콘서트 오로라 공주 썰전 10월 무한도전 오로라 공주 아빠! 어디가? 런닝맨 지성이면 감천 비밀 왕가네 식구들 오로라 공주 개그콘서트 썰전 11월 무한도전 오로라 공주 응답하라 1994 아빠! 어디가? 진짜 사나이 왕가네 식구들 상속자들 기황후 런닝맨 못난이주의보 12월 무한도전 오로라 공주 응답하라 1994 기황후 왕가네 식구들 런닝맨 아빠! 어디가? 상속자들 진짜 사나이 1박 2일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범례 : 정렬순서는 월별 1위부터 10위까지 순차적으로 열거됨.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2014년 한국인이 좋아하는 TV프로그램1월 무한도전 왕가네 식구들 별에서 온 그대 기황후 런닝맨 아빠! 어디가? 1박 2일 개그콘서트 진짜 사나이 썰전 2월 별에서 온 그대 무한도전 왕가네 식구들 기황후 아빠! 어디가? 런닝맨 1박 2일 사랑은 노래를 타고 개그콘서트 정도전 3월 기황후 무한도전 1박 2일 런닝맨 정도전 아빠! 어디가? 사랑은 노래를 타고 개그콘서트 신의 선물 슈퍼맨이 돌아왔다 4월 기황후 무한도전 정도전 개그콘서트 신의 선물 런닝맨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사랑은 노래를 타고 5월세월호 침몰 사고 여파로 집계 선정하지 않음6월세월호 침몰 사고 여파로 집계 선정하지 않음7월 무한도전 런닝맨 개그콘서트 왔다! 장보리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고양이는 있다 썰전 조선총잡이 8월 무한도전 왔다! 장보리 런닝맨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비정상회담 진짜 사나이 개그콘서트 괜찮아, 사랑이야 아빠! 어디가? 9월 왔다! 장보리 무한도전 비정상회담 진짜사나이 1박 2일 고양이는 있다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썰전 런닝맨 10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개그콘서트 고양이는 있다 런닝맨 비정상회담 아빠! 어디가 모두 다 김치 뻐꾸기둥지 11월 무한도전 미생 슈퍼맨이 돌아왔다 고양이는 있다 비정상회담 가족끼리 왜 이래 개그콘서트 런닝맨 진짜 사나이 12월 무한도전 미생 가족끼리 왜 이래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1박 2일 청담동 스캔들 비정상회담 런닝맨 피노키오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범례 : 정렬순서는 월별 1위부터 10위까지 순차적으로 열거됨.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vdeh2015년 한국인이 좋아하는 TV프로그램1월 무한도전 가족끼리 왜 이래 슈퍼맨이 돌아왔다 런닝맨 비정상회담 1박 2일 펀치 전설의 마녀 개그콘서트 K팝스타 4 2월 무한도전 가족끼리 왜 이래 슈퍼맨이 돌아왔다 삼시세끼 펀치 비정상회담 런닝맨 썰전 1박 2일 개그콘서트 3월 무한도전 삼시세끼 슈퍼맨이 돌아왔다 비정상회담 런닝맨 1박 2일 개그콘서트 빛나거나 미치거나 썰전 당신만이 내사랑 4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개그콘서트 당신만이 내사랑 비정상회담 런닝맨 풍문으로 들었소 썰전 1박 2일 꽃보다 할배 5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비정상회담 냉장고를 부탁해 1박 2일 런닝맨 썰전 삼시세끼 진짜 사나이 개그콘서트 6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냉장고를 부탁해 삼시세끼 프로듀사 개그콘서트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1박 2일 런닝맨 비정상회담 7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냉장고를 부탁해 삼시세끼 런닝맨 1박 2일 개그콘서트 비정상회담 징비록 8월 무한도전 슈퍼맨이 돌아왔다 냉장고를 부탁해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삼시세끼 용팔이 런닝맨 비정상회담 집밥 백선생 여자를 올려 9월 무한도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용팔이 슈퍼맨이 돌아왔다 가족을 지켜라 냉장고를 부탁해 개그콘서트 런닝맨 돌아온 황금복 삼시세끼 10월 무한도전 그녀는 예뻤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냉장고를 부탁해 육룡이 나르샤 내 딸, 금사월 돌아온 황금복 개그콘서트 11월 무한도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내 딸, 금사월 돌아온 황금복 응답하라 1988 런닝맨 육룡이 나르샤 삼시세끼 부탁해요, 엄마 슈퍼맨이 돌아왔다 냉장고를 부탁해 12월 무한도전 응답하라 1988 내 딸, 금사월 육룡이 나르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삼시세끼 슈퍼맨이 돌아왔다 부탁해요, 엄마 1박 2일 런닝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범례 : 정렬순서는 월별 1위부터 10위까지 순차적으로 열거됨.출처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http://www.gallup.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개그콘서트&oldid=24507721"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한국방송공사의 연예오락 프로그램개그콘서트대한민국의 코미디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8: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개그콘서트》는 KBS 2TV에서 방영 되었던 코미디 프로그램이다. 현재 2기가 방영 중이다. 2020년 6월 26일에 종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개그콘서트 최장수 코너이자 개그맨 김병만이 활약한 코너의 이름은? Assistant: 달인 Human: 아래 사모아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모아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모아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모아어Gagana Sāmoa(IPA: ŋaˈŋana ˈsaːmoa) 사용 국가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사용 지역 사모아 제도 일대 언어 인구 510,000명 (2015년 기준)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사모아토켈라우어군     사모아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표준 없음 언어 부호 ISO 639-1 sm ISO 639-2 smo ISO 639-3 smo 사모아어(Gagana Sāmoa, [ŋaˈŋana ˈsaːmoa])는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사모아 제도의 언어다. 영어와 함께 사모아와 아메리칸사모아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약 246,000명에 이르는 사모아 제도 주민 대부분의 모어이며, 다른 나라에 사는 사모아인들까지 고려하면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 510,000명의 사모아어 화자가 있다고 추정된다. 2013년 기준으로 사모아어는 뉴질랜드 인구의 2%인 86,000명이 사용하여 뉴질랜드에서 세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기도 하다. 목차 1 음운론 1.1 모음 1.1.1 단순모음 1.2 자음 1.2.1 외래어 1.3 강세 1.4 음소배열론 2 각주 음운론[편집] 사모아어 알파벳에는 14개의 글자가 있고, 외래어를 적기 위해 세 개의 글자(H, K, R)를 더 사용한다. 성문 파열음은 ʻ (koma liliu 또는 오키나)로 적는다. Aa, Āā Ee, Ēē Ii, Īī Oo, Ōō Uu, Ūū Ff Gg Ll Mm Nn Pp Ss Tt Vv (Hh) (Kk) (Rr) ‘ /a/, /aː/ /ɛ/, /eː/ /ɪ/, /iː/ /o/, /ɔː/ /ʊ, w/, /uː/ /f/ /ŋ/ /l, ɾ/ /m/ /n, ŋ/ /p/ /s/ /t, k/ /v/ (/h/) (/k/) (/ɾ/) /ʔ/ 모음[편집] 사모아어는 단모음과 장모음 음소를 구분하며 모음 글자에 매크론(¯)을 붙여 장모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ama는 ‘아이’라는 뜻이지만 tamā는 ‘아버지’라는 뜻이다. 단순모음[편집] 단순모음 단모음 장모음 전설 후설 전설 후설 고모음 i u iː uː 중모음 e o eː oː 저모음 a aː 이중모음은 /au ao ai ae ei ou ue/가 있다. 몇몇 단어에서 /a/는 [ə]로 약화된다. 예를 들어 mate 또는 maliu '죽은', vave '빠르다' 등의 단어가 그렇다. 자음[편집] 뉴스 방송이나 설교 등에서 쓰이는 격식체 사모아어에서는 자음 /t n ŋ/가 쓰인다. 그러나 구어체 사모아어에서는 /n ŋ/가 [ŋ]로 합쳐졌고 /t/는 [k]로 소리난다.[1] 사모아어에는 성문 파열음 /ʔ/ 음소가 있다. 즉 성문 파열음의 유무에 따라 다른 단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i는 '-로부터, -로부터 온'이라는 뜻이고 maʻi는 '병'이라는 뜻이다. /l/은 앞에 후설모음(/a, o, u/)이 오고 뒤에 /i/가 올 때 탄음 [ɾ]로 소리나고 그 외에는 [l]로 소리난다. /s/는 영어에 비해 치찰(쉿쉿거리는 소리)이 약하다. 외래어에서는 /ɾ h/도 나타난다. 자음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ŋ   파열음 p (t) k ʔ 마찰음 f v s   (h) 설측음   l     R음   (ɾ)     괄호 안의 자음은 격식체 또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자음이다.[2] 외래어[편집] 영어 및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외래어는 사모아어 음운론에 맞게 변화를 겪었다.[3] /k/는 대체로 보존되었고(Christ = "Keriso", club = "kalapu", coffee = "kofe"), 드물게 [t]가 되기도 했다(stocking = "se totini"). /ɹ/은 [ɾ]이 되기도 했고(Christ = "Keriso", January = "Ianuari", number = "numera") [l]이 되기도 했다(January = "Ianuali", herring = "elegi"). /g/는 어떤 경우 [k]가 되었고(gas = "kesi"), /tʃ/, /ʃ/, /dʒ/는 대체로 [s]가 되었다(Charles = "Salesi", Charlotte = "Salata", James = "Semisi"). /h/는 몇몇 고유명사의 어두에서 보존되었지만(Herod = "Herota"), 어떤 경우엔 [s]가 되었고(hammer = "samala"), 어떤 경우엔 탈락했다(herring = "elegi", half-caste = "afakasi"). 강세[편집] 강세는 대체로 끝에서 두 번째 모라에 온다. 즉, 마지막 음절이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면 마지막 음절에, 그렇지 않으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그러나 예외도 있다. 단어에 접미사가 붙어면 강세도 그에 맞춰 이동한다. 예: alófa, '사랑'; alofága, '사랑하는'; alofagía, '사랑받는'. 중첩된 단어는 강세가 둘이다. palapala, '진흙'; segisegi, '땅거미'와 같은 예가 있다. 합성어는 그 구조에 따라 강세가 셋이나 넷이 될수도 있다. tofátumoánaíná, '삼켜지다' 와 같은 예가 있다. 관사 le와 se는 강세가 없다. 대명사나 분사의 일부로 쓰인 경우, le와 se는 각각 le e, se e의 축약이므로 강세를 받는다. 예를 들어 ʻO le ona le mea '주인'은 O le e ona le mea의 축약이다. 주격 표지 ʻo, 전치사 o, a, i, e, 불변화사 i와 te는 강세가 없다. 명령법 표지 ina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고, 가정법 표지 ína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 전치사 iá는 마지막 음절에, 대명사 ia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다.[3] 음소배열론[편집] 사모아어의 음절 구조는 (C)V이며 이때 V는 장모음이나 이중모음도 될 수 있다. VV 꼴의 연쇄는 파생어나 합성어에만 나타날 수 있으며, 어근 내에서는 첫 음절만이 V 꼴을 할 수 있다. 자음의 음위전환은 흔하게 일어난다. 예를 들어 namu '냄새'를 manu로, valaʻau '부르다'를 lavaʻau로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음의 음위전환은 나타나지 않는다. 모든 음절은 모음으로 끝난다. 어근은 음절 하나로 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음절 두 개로 되어 있다. 다음절어는 거의 전부 파생어나 합성어이다. 각주[편집] ↑ 하와이어에서 *t가 /k/로 변하고 *ŋ과 *n이 합쳐진 것과 비슷하다. ↑ http://linguistics.emory.edu/home/resources/polyglot/phonology.html#samoan ↑ 가 나 Pratt, George (1984) [1893]. 《A Grammar and Dictionary of the Samoan Language, with English and Samoan vocabulary》 3 a revis판. Papakura, New Zealand: R. McMillan. ISBN 0-908712-09-X. 2010년 3월 14일에 확인함.  전거 통제 GND: 4134768-7 NDL: 0057008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모아어&oldid=24318238" 분류: 폴리네시아어군사모아의 언어VSO형 언어숨은 분류: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ymraeg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legoHawaiʻiFiji Hindi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lokanoItaliano日本語КомиLatinaLingua Franca Nova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Dorerin Naoero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rfuk / PitkernPolskiPiemontèis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Gagana SamoaSvenskaதமிழ்TagalogLea faka-Tong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16:3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모아어(Gagana Sāmoa, [ŋaˈŋana ˈsaːmoa])는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사모아 제도의 언어이다. 영어와 함께 사모아와 아메리칸사모아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약 246,000명에 이르는 사모아 제도 주민 대부분의 모어이며, 다른 나라에 사는 사모아인들까지 고려하면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 510,000명의 사모아어 화자가 있다고 추정된다. 2013년 기준으로 사모아어는 뉴질랜드 인구의 2%인 86,000명이 사용하여 뉴질랜드에서 세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사모아어에서 강세는 보통 단어의 어디에 오는가? Assistant: 끝에서 두 번째 모라
Human: 아래 혼돈_이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혼돈 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혼돈 이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오스 이론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로렌즈 방정식의 궤도. 로렌즈 방정식은 대표적인 연속 시간 혼돈계이며, 로렌즈 방정식의 궤도는 위와 같이 복잡한 모양을 보인다. 이는 이상한 끌개의 하나이다. 동역학계 이론에서, 혼돈(混沌, 영어: chaos) 또는 카오스(χάος)는 특정 동역학계의 시간 변화가 초기 조건에 지수적으로 민감하며, 시간 변화에 따른 궤도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이다. 혼돈 이론(混沌理論, 영어: chaos theory 케이오스 시어리[*]) 또는 카오스 이론은 혼돈계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다. 비선형 동역학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현상을 보일 수 있다. 영구히 정지 영구히 팽창(비속박계에 한해서) 주기 운동 준주기 운동 혼돈 운동 나타나는 행태의 종류는 계의 초기조건과 존재하는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서 결정된다. 혼돈계의 경우 (준)주기 궤도 · 팽창 따위의 현상을 보이지 않으며 매우 복잡한 궤도를 보인다. 목차 1 정의 2 성질 2.1 차원 2.2 샤르코우스키 정리와 리-요크 정리 2.3 끌개 3 예 3.1 혼돈계가 아닌 계 4 응용 5 역사 5.1 19세기 5.2 20세기 초 5.3 20세기 후반 6 참고 문헌 7 같이 보기 8 외부 링크 정의[편집] 혼돈계(영어: chaotic dynamical system)는 다음 세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동역학계이다. 초기 조건에 민감해야 한다.(즉, 초기 조건에서의 작은 변화가 결과에 큰 차이를 가져 오는)[1][2] 위상 혼합성을 보인다. 조밀한 주기적 궤도들을 가진다. 각 조건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초기 조건에 민감(영어: sensitivity to initial conditions)하다는 것은 랴푸노프 지수가 양수라는 것이다. 랴푸노프 지수가 양수이므로, 계의 시간 변화는 초기 조건에 지수적으로 의존한다. 흔히 이는 나비 효과로 불리며 혼돈계의 주요 성질로 일컬어지지만,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성은 혼돈계를 정의하는 세 조건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예를 들어, x ↦ 2 x {\displaystyle x\mapsto 2x} 는 초기 조건에 민감하지만, 혼돈적이지 않다.) 위상 혼합성(영어: topological mixing)이란 다음과 같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자기 연속 함수 f : X → X {\displaystyle f\colon X\to X} 로 주어지는 이산 시간 동역학계 x n + 1 = f ( x n ) {\displaystyle x_{n+1}=f(x_{n})} 에서, 임의의 열린집합 U , V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 U , V ∈ N {\displaystyle N_{U,V}\in \mathbb {N} } 가 존재한다면, 이 이산 시간 동역학계가 위상 혼합성을 보인다고 한다. ∀ n ≥ N U , V : f n ( U ) ∩ V ≠ ∅ {\displaystyle \forall n\geq N_{U,V}\colon f^{n}(U)\cap V\neq \varnothing } 즉, N U , V {\displaystyle N_{U,V}} 이상의 시간이 지나면, U {\displaystyle U} 의 시간 변화는 V {\displaystyle V} 와 서로 혼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연속 시간 동역학계 x ↦ ϕ t ( x ) ( t ∈ R ≥ 0 ) {\displaystyle x\mapsto \phi _{t}(x)\qquad (t\in \mathbb {R} _{\geq 0})} 의 경우, ∀ t ≥ T U , V : ϕ t ( U ) ∩ V ≠ ∅ {\displaystyle \forall t\geq T_{U,V}\colon \phi _{t}(U)\cap V\neq \varnothing } 가 되는 시간 T U , V ∈ R ≥ 0 {\displaystyle T_{U,V}\in \mathbb {R} _{\geq 0}} 이 존재하여야 한다. 동역학계의 궤도(영어: orbit)는 주어진 초기 조건의 시간 변화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이다. 주기적 궤도(영어: periodic orbit)는 궤도 가운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원점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조밀한 주기적 궤도들(영어: dense periodic orbits)을 갖는다는 것은 모든 주기적 궤도들의 합집합이 조밀 집합을 이룬다는 것이다. 즉, 모든 초기 조건에 대하여, 이에 대하여 임의적으로 가까운 주기적 궤도가 존재한다. 성질[편집] 차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푸앵카레-벤딕손 정리입니다. 연속 시간 동역학계의 경우, 푸앵카레-벤딕손 정리에 따라서 2차원 이하의 계는 혼돈을 보일 수 없다. 즉, 혼돈계는 3차원 이상이어야 한다. 이산 시간 동역학계의 경우 이러한 제약이 없다. 예를 들어, 적절한 매개 변수에서의 로지스틱 사상은 1차원 이산 시간 혼돈계이다. 샤르코우스키 정리와 리-요크 정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샤르코우스키 정리입니다. 리-요크 정리([李]-Yorke定理, 영어: Li–Yorke theorem)[3] 에 따르면, 주기 3의 궤도를 갖는 1차원 이산 시간 동역학계 f : R → R {\displaystyle f\colon \mathbb {R} \to \mathbb {R} } 는 리-요크 혼돈(영어: Li–Yorke chaos)이라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위에서 정의한 일반적인 혼돈의 정의보다 더 약한 성질이다. 이와 관련된 정리로 샤르코우스키 정리(Шарковский定理, 영어: Sharkovskii’s theorem)가 있다. 이는 올렉산드르 미콜라요비치 샤르코우스키(우크라이나어: Олекса́ндр Миколайович Шарко́вський, 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Шарко́вский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샤르콥스키[*])가 1964년에 증명하였다.[4] 끌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끌개입니다. 혼돈 운동 또는 어떤 형태의 운동이라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중 한가지는 운동의 위상도를 그리는 것이다. 이러한 그림에서 시간은 내재되어 있으며 각 축은 상태의 한 차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런 위상도에서 정지해 있는 계는 점으로 그려질 것이며 주기 운동을 하는 계는 단일 폐곡선으로 그려질 것이다. 한 계의 위상도는 계의 초기조건에 (그리고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 바뀌지만 대개는 일정한 운동궤적 주위의 초기조건에 대해서는 마치 그 운동궤적에 이끌리듯이 같은 궤적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이끄는 운동은 적절하게도 그 계의 "끌개"라고 하며 강제된 흩어지기계(forced dissipative system)에서는 아주 흔하게 발견된다. 위에서 언급된 운동 형태 중 대부분은 점(고정점)이나 원형 곡선(극한 주기 궤도)등의 아주 단순한 형태의 끌개를 보이지만 혼돈 운동은 "야릇한 끌개"로 알려진 매우 세밀하면서도 복잡한 형태의 끌개를 보인다. 예를 들어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의 기상계를 본뜬 단순한 3차원 본뜨기는 유명한 로렌즈 끌개를 보인다. 로렌즈 끌개는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진 혼돈계의 그림일 텐데 이는 이것이 최초의 끌개 그림 중 하나라는 것보다는 가장 복잡한 끌개 그림 중 하나이며 또한 나비의 날개 같은 매우 흥미로운 형태를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또 다른 끌개로 로지스틱 본뜨기처럼 주기배증의 혼돈경로를 따르는 뢰슬러 본뜨기가 있다. 야릇한 끌개는 프랙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편집] 혼돈계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이 있다. 이산 시간 혼돈계 로지스틱 사상은 적절한 매개 변수 값에서 혼돈계를 이룬다. 아르놀트 고양이 사상(영어: Arnold cat map) 에농 사상(영어: Hénon map) 말굽 사상(영어: horseshoe map) 연속 시간 혼돈계 로렌즈 방정식 추아 회로 뢰슬러 끌개(영어: Rössler attractor) 판데르폴 진동자(영어: Van der Pol oscillator) 다양한 모양의 평면 구역 위에서의 당구 동역학계(영어: dynamical billiards). 혼돈계가 되는 당구장의 모양으로는 로런츠 기체(영어: Lorentz gas, 정사각형 속에서 원을 제거한 것)와 부니모비치 스타디움(영어: Bunimovich stadium, 직사각형 양쪽에 반원을 붙인 것) 등이 있다. 삼체 문제와 일반적인 다체 문제는 일부 초기 조건에서 혼돈을 보인다. 혼돈계가 아닌 계[편집] 실수 지수 함수 ϕ t ( x ) = x exp ⁡ ( t ) {\displaystyle \phi _{t}(x)=x\exp(t)} 는 양의 랴푸노프 지수 1을 갖지만, 위상 혼합성이나 조밀한 주기적 궤도를 갖지 않으므로 혼돈계가 아니다. 응용[편집] 혼돈 현상은 나비 효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혼돈 이론은 지구의 대기, 판 구조론, 경제/인구 현상, 다중성계의 궤도 변화 등에 응용된다. 이런 민감성의 한 예가 소위 "나비 효과"로 나비의 날갯짓에 의한 대기의 미소한 변화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증폭되어 토네이도같이 극적인 상태를 야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나비의 날갯짓이 나타내는 계의 초기조건에 대한 "작은" 차이가 일련의 사건을 거쳐 토네이도와 같은 거시적인 현상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만약 나비가 날갯짓을 하지 않았다면 계의 위상 공간 위의 궤적은 전혀 달랐을 것이다. 또 다른 혼돈 운동의 잘 알려진 예로 염료 색의 섞임 현상과 공기의 난류(亂流) 현상 등이 있다. 역사[편집] 19세기[편집] 혼돈 이론의 시작은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앙리 푸앵카레는 1880년대에 삼체 문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비주기성이면서도 영원히 증가하지도, 또한 고정점에 도달하지도 않는 궤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푸앵카레는 2차원에서는 혼돈이 일어날 수 없다는 푸앵카레-벤딕손 정리를 1892년에 발표하였으나, 이에 대한 엄밀한 증명을 제시하지 않았다.[5] 자크 아다마르는 1898년에 종수 2의 리만 곡면 위의 측지선을 연구하면서, 이 동역학계가 (현대적인 용어로) 양의 랴푸노프 지수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후 이바르 오토 벤딕손이 1901년에 푸앵카레-벤딕손 정리를 엄밀하게 증명하였다.[6] 20세기 초[편집] 20세기 초에 비선형 동역학계의 연구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초창기에는 대개 물리학 · 공학에서 등장하는 비선형 미분 방정식들을 다루었지만, 이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성질들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조지 데이비드 버코프는 혼돈과 밀접하게 연관된 에르고딕성을 연구하였고, 버코프 에르고딕 정리를 증명하였다. 안드레이 콜모고로프는 1941년에 유체 역학의 난류를 연구하였고,[7] 또 1954년에 미세한 비선형성에 대한 콜모고로프-아르놀트-모저 정리를 도입하였다.[8] 메리 카트라이트와 존 이든저 리틀우드는 1945년에 무선 공학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판데르폴 진동자를 연구하였다.[9] 스티븐 스메일은 1960년에 비선형 동역학계를 모스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10] 20세기 후반[편집]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1961년에 기상학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연구하던 도중 로렌즈 방정식의 야릇한 끌개를 발견하였다.[11] 1963년에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털 기하학을 도입하였으며,[12] 이는 야릇한 끌개의 프랙털 성질을 규명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1975년에 리톈옌(중국어: 李天岩, 병음: Lǐ Tiānyán, 한자음: 이천암, 영어: Tien-Yien Li)과 제임스 요크(영어: James A. Yorke)는 "혼돈"(영어: chaos 케이오스[*])이라는 용어를 전문 용어로 최초로 사용하였다.[3] 이는 고대 그리스어: χάος 카오스[*]에서 유래하며,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우주 태초의 상태 (또는 그 의인화)를 뜻한다. 1976년에 오토 에버하르트 뢰슬러(독일어: Otto Eberhard Rössler)는 연속 시간 혼돈계인 뢰슬러 끌개를 발표하였다.[13] 1978년에 미첼 파이겐바움은 파이겐바움 상수를 발견하였다. 1987년에 제임스 글리크(영어: James Gleick, IPA: [dʒeɪmz ɡliːk])는 대중 교양 서적 《카오스: 새로운 과학의 출현》(영어: Chaos: Making a New Science)을 출판하여, 혼돈 이론을 대중화하였다.[14][15] 참고 문헌[편집] ↑ Wiggins (1990, p.437)는 "닫힌 불변 세트 (둘 이상의 궤도로 구성된)에서 초기 조건에 민감한 의존성을 보이는 동적 시스템을 혼돈 이라고합니다." ↑ Tabor (1989, p.34)는 "결정 론적 방정식에 대한 혼란스러운 해결책은 결과가 초기 조건에 매우 민감한 (즉, 초기 조건의 작은 변화가 결과에 큰 차이를 가져 오는) 해결책을 의미하며, 위상 공간은 무작위로 보인다. " ↑ 가 나 Li, Tien-Yien; Yorke, James A. (1975년 12월). “Period Three Implies Chao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82 (10): 985–992. JSTOR 2318254. doi:10.2307/2318254.  ↑ Шарковский, А. Н. (1964). “Сосуществование циклов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прямой в себя”. 《Украинский математический журнал》 (러시아어) 16 (1): 61-71.  ↑ Poincaré, H. (1892) Sur les courbes définies par une équation différentielle ↑ Bendixson, Ivar (1901). “Sur les courbes définies par des équations différentielles”. 《Acta Mathematica》 (프랑스어) 24 (1): 1–88. doi:10.1007/BF02403068.  ↑ Колмогоров,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1941). “Лока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турбулентности в несжимаемой вязкой жидкости при очень больших числах Рейнольдса”. 《Доклады Академии Наук СССР》 (러시아어) 30 (4): 299–303. Bibcode:1941DoSSR..30..301K.  ↑ Kolmogorov, A. N. (1954). “Preservation of conditionally periodic movements with small change in the Hamiltonian function”. 《Doklady Akademii Nauk SSSR》. Lecture Notes in Physics 98: 527–530. Bibcode:1979LNP....93...51K. ISBN 3-540-09120-3. doi:10.1007/BFb0021737.  ↑ Cartwright, Mary L.; Littlewood, John E. (1945). “On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of the second order, I: The equation y ¨ − k ( 1 − y 2 ) y ˙ + y = b λ k cos ⁡ ( λ t + a ) {\displaystyle {\ddot {y}}-k(1-y^{2}){\dot {y}}+y=b\lambda k\cos(\lambda t+a)} , k {\displaystyle k} large”. 《Journal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20 (3): 180–9. MR 0016789. Zbl 0061.​18903. doi:10.1112/jlms/s1-20.3.180.  |zbl=에 너비 없는 공백 문자가 있음(위치 6) (도움말); |title=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75) (도움말) ↑ Smale, Stephen (1960년 1월). “Morse inequalities for a dynamical system”.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6: 43–49. doi:10.1090/S0002-9904-1960-10386-2.  ↑ Lorenz, Edward N. (1963). “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영어) 20 (2): 130–141. Bibcode:1963JAtS...20..130L. doi:10.1175/1520-0469(1963)020<0130:DNF>2.0.CO;2.  ↑ Mandelbrot, Benoît (1963). “The variation of certain speculative prices”. 《Journal of Business》 36 (4): 394–419. doi:10.1086/294632.  ↑ Rössler, Otto E. (1976), “An equation for continuous chaos”, 《Physics Letters A》 (영어) 57 (5): 397–398, doi:10.1016/0375-9601(76)90101-8  ↑ Gleick, James (1987년 10월 29일). 《Chaos: Making a New Science》 (영어). Viking Books. ISBN 0-7493-8606-1. OCLC 59649776.  ↑ 글릭, 제임스 (2013). 《카오스: 새로운 과학의 출현》. 박래선 역 20주년 기념판. 동아시아. ISBN 978-89-6262069-6.  문희태 (2001년 2월 25일). 《카오스와 비선형동역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ISBN 978-89-521-0237-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아이하라 가즈유키 (1994년 12월). 《카오스》. 과학세대 역. 한뜻. ISBN 978-89-8571511-9.  合原 一幸 (1990). 《カオス: カオス理論の基礎と応用》 (일본어). サイエンス社. ISBN 4-7819-0592-7.  Alligood, K.T.; Sauer, T.; Yorke, J.A. (1997). 《Chaos: an introduction to dynamical systems》 (영어). Springer-Verlag. ISBN 0-387-94677-2.  Wiggins, Stephen (2003). 《Introduction to Applied Dynamical Systems and Chaos》 (영어). Springer. ISBN 0-387-00177-8.  Thompson, J. M. T.; Stewart, H. B. (2001). 《Nonlinear Dynamics And Chaos》 (영어). John Wiley and Sons Ltd. ISBN 0-471-87645-3.  Tél, Tamás; Gruiz, Márton (2006). 《Chaotic dynamics: An introduction based on classical mechanic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3912-2.  Strogatz, Steven (2000). 《Nonlinear Dynamics and Chaos》 (영어). Perseus Publishing. ISBN 0-7382-0453-6.  Gutzwiller, Martin (1990). 《Chaos in Classical and Quantum Mechanics》 (영어). Springer. ISBN 0-387-97173-4.  Devaney, Robert L. (2003). 《An Introduction to Chaotic Dynamical Systems》 (영어) 2판. Westview Press. ISBN 0-8133-4085-3.  Gollub, J. P.; Baker, G. L. (1996). 《Chaotic dynamic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7685-2.  下條 隆嗣 (1992). 《カオス力学入門: 古典力学からカオス力学へ》. シミュレーション物理学 (일본어) 6. 近代科学社. ISBN 4-7649-2005-0.  早間 慧 (2002). 《カオス力学の基礎》 (일본어) 2판. 現代数学社. ISBN 4-7687-0282-1.  森 肇; 蔵本 由紀 (2000년 11월 15일). 《散逸構造とカオス》. 現代物理学叢書 (일본어). 岩波書店. ISBN 4-00-006750-8. 2013년 6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船越 満明 (2008년 9월 15일). 《カオス》. 非線形科学入門 (일본어) 3. 朝倉書店. ISBN 978-4-254-11613-7.  같이 보기[편집] 에르고딕성 분기 (동역학계) 양자 혼돈 외부 링크[편집] “Chao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Universal behaviour in dynamical system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Routes to chao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Weisstein, Eric Wolfgang. “Chaos”.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Chaos theory”.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Period three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Sharkovsky's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Bishop, Robert (2015년 10월 13일). Edward N. Zalta, 편집. “Chao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영어).  김영태. “비선형 동역학 및 카오스 소개”.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혼돈_이론&oldid=23394786" 분류: 혼돈 이론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 러시아어 인용 (ru)CS1 - 프랑스어 인용 (fr)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우크라이나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고대 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CS1 - 일본어 인용 (ja)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贛語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atoisLietuvių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KapampanganDeitsch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일 (화) 02: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혼돈 이론(混沌理論) 또는 카오스 이론(영어: chaos theory)은 동역학계 이론에서 특정 동역학계의 시간 변화가 초기 조건에 지수적으로 민감하며, 시간 변화에 따른 궤도가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이다. 혼돈 이론(混沌理論, 영어: chaos theory 케이오스 시어리[*]) 또는 카오스 이론은 무질서하게 보이는 혼돈 상태에도 논리적 법칙이 존재한다는 이론으로, 혼돈계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다. 비선형 동역학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현상을 보일 수 있다. 영구히 정지 영구히 팽창(비속박계에 한해서) 주기 운동 준주기 운동 혼돈 운동나타나는 행태의 종류는 계의 초기조건과 존재하는 매개변수의 값에 따라서 결정된다. 혼돈계의 경우 (준)주기 궤도 · 팽창 따위의 현상을 보이지 않으며 매우 복잡한 궤도를 보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세기 후반 혼돈이론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는 1961년에 기상학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연구하던 도중 로렌즈 방정식의 야릇한 끌개를 발견하였다.[11] 1963년에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털 기하학을 도입하였으며,[12] 이는 야릇한 끌개의 프랙털 성질을 규명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1975년에 리톈옌(중국어: 李天岩, 병음: Lǐ Tiānyán, 한자음: 이천암, 영어: Tien-Yien Li)과 제임스 요크(영어: James A. Yorke)는 "혼돈"(영어: chaos 케이오스[*])이라는 용어를 전문 용어로 최초로 사용하였다.[3] 이는 고대 그리스어: χάος 카오스[*]에서 유래하며,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우주 태초의 상태 (또는 그 의인화)를 뜻한다. 1976년에 오토 에버하르트 뢰슬러(독일어: Otto Eberhard Rössler)는 연속 시간 혼돈계인 뢰슬러 끌개를 발표하였다.[13] 1978년에 미첼 파이겐바움은 파이겐바움 상수를 발견하였다. Human: 아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회민주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회민주주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회민주주의자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회민주주의 역사 및 상징 프랑스 혁명 1848년 혁명 수정주의의 탄생 프랑크푸르트 선언 고데스베르크 강령 붉은 장미 분파 북유럽식 사회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자유사회주의 제3의 길 기반 개념 개량적 사회주의 간접민주주의 사회연대주의 협동조합주의 세속주의 점진주의 칸트주의 사회개량가능론 환경보호론 차세대 민주화 공정 무역 복지 국가 혼합 경제 관련 문서 《노동자 강령》 《사회주의의 여러 전제와 사회 민주주의의 각종 임무》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사회주의와 자유 외》 영향 경제민주주의 마르크스주의 민주사회주의 사회자유주의 수정자본주의 반공주의 수정주의 신좌파 운동 관련 조직 사회당 계열 사회민주당 계열 노동당 계열 제2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유럽 사회당 사회민주진보동맹 국제사회주의자조직 세계민주청년연맹 페이비언 협회 사회민주주의 정당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ITUC 중도·중도좌익·좌익 인물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페르디난트 라살 호세 바틀레 이 오르도녜스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마이클 죠셉 세비지 줄피카르 알리 부토 오바페미 아월로워 이그나치 다신스키 무라야마 도미이치 클레멘트 애틀리 뷜렌트 에제비트 펠리페 곤살레스 얄마르 브란팅 가타야마 데쓰 토미 더글러스 자와할랄 네루 루돌프 힐퍼딩 램지 맥도널드 유진 데브스 르네 레베크 빌리 브란트 넬슨 만델라 랠프 네이더 올로프 팔메 노먼 토마스 장 조레스 잭 레이턴 장쥔마이 존 컬틴 여운형 조봉암 조소앙 김철 리영희 노회찬 심상정 v • d • e • h 사회민주주의 (社會民主主義) 또는 사민주의 (社民主義)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며, 간접 민주제를 위한 정책과 소득 재분배 정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이익과 복지 정책을 포함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며 개량적 사회주의 이념이다.[1][2][3] 따라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를 더 뛰어난 민주주의적, 평등주의적, 연대주의적 결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민주주의는 북유럽과 남유럽, 특히 북유럽 국가의 노르딕 모델에서 20세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있다.[4][5] 목차 1 개요 2 사회민주주의의 발전 2.1 제1인터내셔널 시기 (1863–1889) 3 지역별 사회민주주의 3.1 유럽의 사회민주주의 3.1.1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3.1.2 프랑스의 사회민주주의 3.1.3 영국의 사회민주주의 3.1.4 북유럽의 사회민주주의 3.2 아메리카의 사회민주주의 3.2.1 미국의 사회민주주의 3.2.2 캐나다의 사회민주주의 3.2.3 남아메리카의 사회민주주의 3.3 동아시아의 사회민주주의 3.3.1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 4 사회민주주의 정당 5 대표적인 사회민주주의자 6 비판 7 같이 보기 8 참고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사회민주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되, 그 안에 내포된 혁명적 사회주의를 배격하고, 간접 민주제 정치 체제를 바탕으로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로 변형되었다.[6] 서유럽 초기의 전후 사회민주주의 정당은 소비에트 연방의 레닌주의 정치・경제 모델을 거부하고, 사회주의로의 대안적인 길이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타협을 약속했다.[7] (대표적으로 자본가 및 정부와 노동자가 계급타협을 한 스웨덴의 살트셰바덴 협약이 이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의 인정을 토대로 하는 혼합 경제를 받아들였는데, 공공의 소유로 하는 것은 필수적인 공익 설비와 공공 서비스 등 극소수에 불과했다. 결과적으로, 사회민주주의는 케인스 경제학, 국가 개입주의, 복지 국가와 연계되게 되었으며, 동시에 자본주의 체제를 질적으로 다른 사회주의 체제로 변혁을 통해 급격히 교체한다는 이전의 목표를 포기하게 되었다.[8][9][10] 현대 사회민주주의는 노인, 아동 보호, 교육, 건강 관리, 교육, 의료, 근로자 보상 등의 보편적인 공공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 불평등을 억제하는 정책에 전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민주주의 운동은 노동 운동 및 노동 조합과의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으며, 노동자들과 다른 경제 이해 관계자들을 위한 공동 결정의 형태로 정치권을 넘어 전 사회로 민주주의의 영역을 넓힌다.[11] 우익 경제학을 사회민주주의 복지 정책과 융합시키는 것을 표면상의 목표로 삼는 제 3의 길은 1990년대에 발전되었고 독일 사회민주당과 연관이 있었던 이데올로기이지만 함부르크 강령을 통해 공식적으로 결별하였다. 일부 분석가들은 제 3의 길을 신자유주의 운동으로 정의한다.[12] 사회민주주의의 발전[편집] 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의 독일 사회민주주의의 발전 과정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사회민주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페르디난드 라살의 지지자 양쪽 모두의 영향을 받아, 생산 수단의 사회적 소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었다. 1868년까지 마르크스주의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공식적인 이론적 기반이었다. 20세기 초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은 고전적이고 정통적 마르크스주의를 거부하고 사회주의가 도덕적이고 도덕적인 논쟁에 기초를 두고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성취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발전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개혁 주의자들과 혁명적 사회주의자들 사이의 분열 이후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은 사회민주당은 의회 개혁을 위해 혁명적인 정치를 거부하고 사회화에 전념했다. 이 시기에, 사회민주주의는 사회개량주의와 관련을 짓게 되었다. 이탈리아의 카를로 로셀리와 같은 기술적 민족주의자들의 영향을 받아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에서 완전히 분리되기 시작했고 때로는 일관된 과학적 대안으로 도덕에 호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대부분의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와의 이념적 관계를 포기하고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를 거쳐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신에 사회 정책 개혁을 통한 복지 국가 실현에 주력했다. 제1인터내셔널 시기 (1863–1889)[편집] 사회민주주의의 기원은 유럽에서 처음으로 생겨난 주요 노동계급 정당인 페르디난드 라살에 의해 설립된 전 독일 노동자 협회가 생겨났던 18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864년에는 제1인터내셔널로 알려진 국제노동자협회가 설립되었다. 그것은 다양한 입장의 사회주의자들을 모았고, 처음에는 사회주의 이념에서 국가의 역할에 대해 카를 마르크스가 이끄는 마르크스주의자와 미하일 바쿠닌이 이끄는 아나키스트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 제1인터내셔널의 또 다른 문제는 개혁주의의 역할이었다.[13] 페르디난드 라살 라살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었지만,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계급투쟁의 존재와 중요성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과는 달리 라살은 계급투쟁을 온건적으로 인정했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 권력의 부상에 일시적으로 존재해야만했던 계급 통치의 도구로 국가를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라살은 국가를 받아 들였다. 라살은 국가를 근로자들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심지어 노동조합에 기초한 경제를 만들기 위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다. 라살레의 전략은 주로 선거와 개혁으로 노동계급은 무엇보다도 보편적인 성인 남성 참정권을 위해 투쟁하는 정당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별 사회민주주의[편집] 유럽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독일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독일 사회민주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독일의 기본법(헌법)에는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대표적인 사회민주주의 국가로 꼽힌다. 이와 더불어 경제적으로는 복지를 좀 더 중시하는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한다. 다만 독일의 사회민주주의는 독일의 재통일 이전의 동독과 대립했던 서독의 반공적 색채가 가미되어 있기 때문에 혁명적 사회주의와 거리를 두고 있다. 프랑스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대표적으로 사회당이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 꼽힌다. 사회당은 대통령으로 프랑수아 미테랑과 프랑수아 올랑드를 당선시킨 전적이 있다. 그러나 좌파의 분열이 심한 프랑스 정치의 특성상, 이들이 정권을 잡은적은 많지 않으며,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후 사회당이 몰락하여 대선에서 5위를 하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다. 영국의 사회민주주의[편집] 영국은 기존 자유당-보수당 체제를 사민주의 정당인 노동당이 깨고 올라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과거 렘지 맥도널드, 클레멘트 애틀리, 하워드 윌슨 등의 총리를 배출한적도 있다. 토니 블레어가 대표로 취임하면서 노동당은 사회민주주의에서 사회자유주의로 노선을 수정하였으나, 제러미 코빈이 급격하게 노선을 수정하며 다시 사회민주주의적 성향을 가지게 되었다. 북유럽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북유럽 여러 국가에서는 사민주의 정당이 자주 집권해왔다. 대표적으로 스웨덴 사회민주노동당, 노르웨이 노동당, 핀란드 사회민주당, 덴마크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동맹등이 사민주의 정당이다. 아이슬란드를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서는 사민주의 정당이 적어도 반세기 이상 집권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러 복지 정책이 등장하였다. 복지정책에 따라서 북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국민소득과 행복지수가 최상위권으로 올라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덴마크 인민당, 스웨덴 민주당같은 극우정당의 성장에는 사민주의 정당에 대한 권력 피로감이라는 이유도 있지 않냐는 비판도 존재한다. 아메리카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미국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미국은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사회주의 혹은 사회민주주의 운동이 활발한 나라였으나, 냉전 시기에 접어들면서 공산주의 국가들과의 갈등으로 반공주의적 사회분위기가 매카시즘 광풍으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비(非)공산주의 계열 좌익 세력마저 공산주의자로 몰려서 탄압당했다. 냉전 시기가 끝나고, 빌 클린턴 대통령 이후, 미국 민주당은 기존의 사회자유주의 성향에서 더 진보주의적 성향을 나타내며 중도좌익 스펙트럼으로 변화해가고 있으나, 여전히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치인들은 소수이다. 그러나 2016년 민주당 경선에서 사민주의자로 분류되는 버니 샌더스가 돌풍을 끌자, 이들은 미국 좌파의 주류중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캐나다의 사회민주주의[편집] 캐나다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와 사회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자유당과,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보수당이 양당 구도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개혁적인 움직임이 커짐에 따라 사민주의를 추구하는 신민주당이 급부상하였고, 2011년 총선에서 보수당에 이은 2위를 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그러나 신민주당은 2015년 쥐스탱 트뤼도의 영향을 받아 다시 3당으로 주저 앉았다. 남아메리카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남미는 과거 냉전 시대에 정치·경제적으로 미국에게 직간접적인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사회민주주의나 공산주의를 따질 것 없이 좌익 세력이 심하게 탄압당했고 따라서 좌익민족주의 사상을 공유하고 있다. 때문에 유럽과는 달리 사회민주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의 사이가 좋은 편이다. 남미의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세속주의를 강조하는 유럽과 달리, 대중들이 대부분 믿고 있는 (해방신학으로 대표되는) 기독교 성향을 보이며, 반미주의 정서도 갖고 있다. 그러나 칠레 사회당이나 광역전선 (우루과이)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이들 사민주의자는 차베스주의와 21세기 사회주의의 광풍속에서 몰락하게 된다. 동아시아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편집] 대한민국은 1950~1980년대 독재를 맞으며 사회주의자 거의 대부분이 탄압당해, 사실상 사회민주주의 정당이 존재하지 않는 거나 마찬가지인 상태였다. 그러나 1987년 한겨레민주당을 시초로 하여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는 점차 발전하게 되었고, 이들은 민주사회주의자 및 마르크스주의자와 연합하여 민노당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현재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민주의 정당으로는 민노당의 온건파 성향 정치인들이 창당한 정의당이 있다. 사회민주주의 정당[편집] 사회민주주의 정당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표적인 사회민주주의자[편집] 클레멘트 애틀리[14] 다비드 벤구리온 빅터 버거 잉마르 베리만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줄피카르 알리 부토 레옹 블룸 빌리 브란트 얄마르 브란팅 에드 브로드벤트 그로 할렘 브룬틀란 헬렌 클라크 좁 코헨 브렌단 코리시 앤서니 크로스랜드 토미 더글러스 빌럼 드레이스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타게 엘란데르 피터 프레이저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비판[편집] 사회민주주의는 신자유주의자들을 비롯한 자본주의자들보다 공산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에게 비판을 많이 받는다. 사실상 사회민주주의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부유함의 표준화' 현상은 자본주의 호황기 때에 한정되어 유지가 가능한 체제이며, 그게 아니라면 풍부한 경제적 자원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만약 그렇지 않을 경우엔 가공무역과 내수만으로 사회민주주의 정책들을 시행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며, 제3세계의 경제 약소국들을 착취(약소국으로의 자본 확장과 그에 따른 저임금 강요, 강매 등)해야 가능한 체제라는 점에서 그 취약성을 갖는다.[15] 실제로 유럽인들이 오랫동안 여러 제3세계 국가들을 착취하면서 상대적 부유함을 누리다가, 세계 경제 위기로써 하향평준화 되었고, 그것은 신자유주의의 등장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민주주의는 과거 마르크스주의 논쟁 당시에도 제국주의적 이념으로 낙인이 찍혔다. 오늘날, 세계 금융경제가 위기로 돌아서면서, 북유럽 및 독일과 같은 전통적 사회민주주의 국가를 제외한 많은 유럽 국가들은 사회민주주의 이념에서 어느정도 거리를 둔 상태이며, 그 이후 신자유주의자들과 인종주의자들이 득세하기 시작했다. 다만 2016년에 영국 노동당이 제3의 길 노선을 포기하고 당 내 강경좌파(하드 레프트)인 제레미 코빈을 당수로 선출하거나, 2017년 초에 독일의 새 대통령으로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가 선출되고 독일 사회민주당의 지지율이 오르는 등 다시 사회민주주의가 주목받는 상황이다.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은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사실상 중도우익 및 중도 정치세력과 타협했다고 주장하며 사회민주주의를 자본주의의 발전에 기댄 반영구적 체제이며, 제국주의적 이념이라고 비판한다. 최근 독일 사회민주당의 지지율 부진과 프랑수아 올랑드의 실패, 민주사회주의 정당의 부상 등의 여파로 이런 분위기는 가속화 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사회주의의 역사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정당 목록 사회주의 제3의 길 자본주의 자유민주주의 신자유주의 정치성향 공산주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제헌 의회(CA) 민중 민주(PD) 좌익 내셔널리즘 좌익 파시즘 노르딕 모델 참고[편집] ↑ Heywood 2012, 128쪽: "Social democracy is an ideological stance that supports a broad balance between market capitalism, on the one hand, and state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Being based on a compromise between the market and the state, social democracy lacks a systematic underlying theory and is, arguably, inherently vague. It is nevertheles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views: (1) capitalism is the only reliable means of generating wealth, but it is a morally defective means of distributing wealth because of its tendency towards poverty and inequality; (2) the defects of the capitalist system can be rectified through economic and social intervention, the state being the custodian of the public interest […]" ↑ Miller 1998, 827쪽: "The idea of social democracy is now used to describe a society the economy of which is predominantly capitalist, but where the state acts to regulate the economy in the general interest, provides welfare services outside of it and attempts to alter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in the name of social justice." ↑ Badie, Berg-Schlosser & Morlino 2011, 2423쪽: "Social democracy refers to a political tendency resting on three fundamental features: (1) democracy (e.g., equal rights to vote and form parties), (2) an economy partly regulated by the state (e.g., through Keynesianism), and (3) a welfare state offering social support to those in need (e.g., equal rights to education, health service, employment and pensions)." ↑ Weisskopf 1992, 10쪽: "Thus social democrats do not try to do away with either the market or private property ownership; instead, they attempt to create conditions in which the operation of a capitalist market economy will lead to more egalitarian outcomes and encourage more democratic and more solidaristic practices than would a more conventional capitalist system." ↑ Gombert 외. 2009, 8쪽; Sejersted 2011. ↑ “Social democracy”.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Adams 1993, 102-103쪽: "The emergence of social democracy was partly a result of the Cold War. People argued that if the Stalinist Soviet empire, where the state controlled everything, showed socialism in action, then socialism was not worth having. [...] The consensus policies of a mixed and managed economy and the welfare state, developed by the post-war Labour government, seemed in themselves to provide a basis for a viable socialism that would combine prosperity and freedom with social justice and the possibility of a full life for everyone. They could be seen as a compromise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 Miller 1998, 827쪽: "In the second, mainly post-war, phase, social democrats came to believe that their ideals and values could be achieved by reforming capitalism rather than abolishing it. They favored a mixed economy in which most industries would be privately owned, with only a small number of utilities and other essential services in public ownership." ↑ Jones 2001, 1410쪽: "In addition, particularly since World War II, distinctions have sometimes been made between social democrats and socialists on the basis that the former have accepted the permanence of the mixed economy and have abandoned the idea of replacing the capitalist system with a qualitatively different socialist society." ↑ Heywood 2012, 125–128쪽: "As an ideological stance, social democracy took shape around the mid-twentieth century, resulting from the tendency among western socialist parties not only to adopt parliamentary strategies, but also to revise their socialist goals. In particular, they abandoned the goal of abolishing capitalism and sought instead to reform or ‘humanize’ it. Social democracy therefore came to stand for a broad balance between the market economy, on the one hand, and state intervention, on the other." ↑ Meyer & Hinchman 2007, 91쪽; Upchurch, Taylor & Mathers 2009, 51쪽. ↑ Romano 2006, 11쪽. ↑ Schorske 1993, 2쪽. ↑ “Commission for Racial Equality: Clement Attlee Lecture: Trevor Phillips's speech”. 2005년 4월 21일. 200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8월 10일에 확인함.  ↑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와 전망》 참조 외부 링크[편집] Social Democratic Parties The Crisis of Social Democracy, 로자 룩셈부르크 저. 사민주의가 필요한 이유 한겨레 21,2007.08.17 제673호 사회민주주의 연대 사회민주주의 철학적 기초,사회민주주의 연대 문서자료실 vdeh사회민주주의전구체 인문주의 계몽주의 프랑스 혁명 공상적 사회주의 노동조합주의 1848년 혁명 정통 마르크스주의 발달 수정주의 개량주의 점진주의 민주사회주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케인스주의 복지자본주의 제3의 길 근대 유럽사회주의 정책 대의민주주의 자유권 노동권 혼합경제 토지개혁 국유화 복지국가 공정무역 환경보호 세속주의 조직 사회민주당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 유럽 사회당(PES) 진보동맹(PA) 국제노동조합연합(ITUC) 인물 가타야마 데쓰 에이나르 게르하르센 펠리페 곤살레스 자와할랄 네루 구스타프 노스케 이그나치 다신스키 토미 더글러스 유진 데브스 에밀 뒤르켐 빌럼 드레이스 리카르도 라고스 페르디난트 라살 버트런드 러셀 존 러스킨 뢰네 레바이크 잭 레이턴 넬슨 만델라 램지 맥도널드 에보 모랄레스 호세 바트예 이 오르도녜스 다비드 벤구리온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로물로 베탕쿠르 줄피카르 알리 부토 빌리 브란트 얄마르 브란팅 그루 할렘 브룬틀란 루이 블랑 마이클 조지프 새비지 버니 샌더스 토르발 스타우닝 저신다 아던 오바페미 아올로오 요프 덴 아윌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뷜렌트 에제비트 타게 엘란데르 클레멘트 애틀리 다니엘 오르테가 장 조레스 장군매 카를 카우츠키 찰스 케네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제러미 코빈 빔 코크 주앙 쿨라르 베티노 크락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배이뇌 탄네르 노먼 토머스 올로프 팔메 로마노 프로디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밥 호크 루돌프 힐퍼딩 상징 인터내셔널가 vdeh사회주의분파 농본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생태사회주의 윤리사회주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길드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혁명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생디칼리슴 자유지상적 사회적 아나키즘 집산주의적 아나키즘 아나르코공산주의 아나키스트 경제학 반란적 아나키즘 마곤주의 상호주의 신사파타주의 참여주의 정강주의 아나르코생디칼리슴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좌파공산주의 평의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권위주의적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국가사회주의 종교사회주의 불교사회주의 기독교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 노동 시온주의 지역별 변종 아프리카 아랍 볼리바르주의 인도 간디사회주의 낙살라이트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멕시코 스리랑카 소련 일국사회주의 현실사회주의 제3세계 좌익 국민주의 21세기 담론 사회주의 경제학 사회주의 국가 사회주의 비판 자본주의 비판 계급투쟁론 민주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평등주의 결과균등 사회주의사 불가능주의 국제주의 공기업 좌익 구좌파 신좌파 혼합경제 생산양식 나노사회주의 국유화 생산수단의 사회화 계획경제 프롤레타리아 혁명 개혁주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국가자본주의 탈자본주의 인터내셔널가 노동조합 개념 사회주의적 생산양식 코뮌 경제계획 자유연합론 기회균등 직접민주주의 애드호크라시 기술관료제 노동자 자주경영 산업민주주의 경제민주주의 국유재산 공유제 협동조합 사회배당 기본소득 필요생산 현물계산 노동시간계산 노동상품권 작업장민주주의 인물16세기 모어 캄파넬라 18세기 바뵈프 뒤파이 드 마블리 마레샬 모렐리 19세기 바쿠닌 밤비 바로네 베벨 벨라미 베른슈타인 블랑 블랑키 뷔셰 뷔흐너 부오나로티 카베 카펜터 체르니솁스키 코놀리 콩시데랑 데마르 테오도르 데자미 두 보이스 엥팡탱 엥겔스 푸리에 골드만 홀 게르첸 조레스 마더 존스 카우츠키 크로포트킨 라파르그 라포네라예 라살 라브로프 레드뤼롤랭 르루 맥팔레인 말라테스타 마르크스 미셸 미하일롭스키 모리스 오언 파네쿡 파스콜리 페퀘르 플레하노프 프루동 레카바렌 드 생시몽 시체드린 상드 슐츠 쉬 테일러 톰슨 트카체프 보일킨 월리스 바이틀링 와일드 20세기 알리 아옌데 아라공 애틀리 바르뷔스 바우만 드 보부아르 베냐민 벤 블룸 보그스 북친 브레히트 브리앙 부하린 카스토리아디스 차베스 촘스키 콜 코빈 크로우 드보르 데브스 듀이 둡체크 아인슈타인 게르하르센 고르바초프 고리키 그람시 헤지스 홉스봄 이바루리 이글레시아스 옐리네크 킹 콜론타이 레이턴 르페브르 르포르 레닌 리빙스턴 루카치 룩셈부르크 마흐노 만델라 마오둔 마야콥스키 메를로퐁티 미에빌 미테랑 너지 나세르 노이라트 니장 외잘란 오 카하시 오웰 팽크허스트 파솔리니 폴라니 러셀 살베미니 샌더스 사르트르 스카길 상고르 쇼 토니 톰슨 톨러 트로츠키 바루파키스 웰스 웨스트 울프 체트킨 진 지젝 조직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제3인터내셔널 제4인터내셔널 제5인터내셔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상파울루 포럼 세계민주청년연맹 국제민주청년연합 세계사회주의운동 국제종교사회주의자동맹 국제마르크스주의경향 vdeh정치 이념내셔널리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 애국주의 국수주의 쇼비니즘 민족중심주의 보수주의 문화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자본주의 자유방임주의 수정자본주의 국가자본주의 국가독점자본주의 초자본주의 아나코자본주의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개인주의 무정부주의(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 사회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민주주의 직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인민민주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종교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사회적 무정부주의) 혁명적 조합주의 자주관리사회주의 아랍 사회주의 시장사회주의 국가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신마르크스주의 트로츠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권위주의 독재 정치 전제 정치 절대왕정 전체주의 나치즘 파시즘 천황제 파시즘 팔랑헤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주의 호치민사상 주체사상 이슬람 원리주의 군국주의 환경주의 생태주의 녹색 정치 녹색자유주의 녹색보수주의 개량주의 자유사회주의 수정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집단주의 국가주의 지역주의 내셔널리즘 민족주의 공동체주의 협동조합주의 집산주의 통합주의 이슬람주의 이슬람 원리주의 기독교 근본주의 반이슬람주의 힌두 내셔널리즘 정치 스펙트럼혁신 극좌 좌익 사회개량주의 권위주의 좌파 진보주의 급진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자유주의 좌파 중도 중도좌파 중도주의 중도우파 보수 극우 우익 사회보수주의 권위주의 우파 보수주의 점진주의 자유주의 경험주의 자유주의 우파 그 외 제3의 위치 혼합 정치 통치 체제정당제 일당 독재제 일당제 헤게모니 정당제 다당제 일당 우위 정당제 양당제 분절적 다당제 분극적 다당제 무당제 무소속 지배자 군주제 귀족제 신권 정치 공화주의 권력자 과두 정치 능력주의 다두 정치 국가 상태 단일 국가 연방제 국가 연합 국제주의 초국가주의 세계주의 그 외 계몽주의 혼합 경제 현실주의 엘리트이론 포퓰리즘 교조주의 원리주의 페미니즘 다원주의 책임 마키아벨리즘 제자백가 제국주의 봉건주의 정치 사상 전거 통제 GND: 4055695-5 NDL: 0057188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회민주주의&oldid=24473095" 분류: 정치 이론사회민주주의자본주의 비판숨은 분류: 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lemannisch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ngua Franca Nova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Bahasa Melayuمازِرونی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VènetoTiếng Việt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4일 (월) 08: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사회민주주의(社會民主主義, 독일어: Sozialdemokratie, 프랑스어: Social-démocratie, 영어: Social democracy)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를 혁명 등으로 급격하게 무너뜨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며, 간접 민주제를 위한 정책과 소득 재분배 정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이익과 복지 정책을 포함하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이념이며 개량적 사회주의 이념이다. 따라서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를 더 뛰어난 민주주의적, 평등주의적, 연대주의적 결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사회민주주의는 북유럽과 남유럽, 특히 북유럽 국가의 노르딕 모델에서 20세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 경제 정책과 관련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살 사회민주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 Assistant: 사회민주주의의 기원은 유럽에서 처음으로 생겨난 주요 노동계급 정당인 페르디난드 라살에 의해 설립된 전 독일 노동자 협회가 생겨났던 18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864년에는 제1인터내셔널로 알려진 국제노동자협회가 설립되었다. 그것은 다양한 입장의 사회주의자들을 모았고, 처음에는 사회주의 이념에서 국가의 역할에 대해 카를 마르크스가 이끄는 마르크스주의자와 미하일 바쿠닌이 이끄는 아나키스트 사이의 갈등을 야기했다. 제1인터내셔널의 또 다른 문제는 개혁주의의 역할이었다.[13] 페르디난드 라살 라살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었지만,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계급투쟁의 존재와 중요성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과는 달리 라살은 계급투쟁을 온건적으로 인정했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 권력의 부상에 일시적으로 존재해야만했던 계급 통치의 도구로 국가를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라살은 국가를 받아 들였다. 라살은 국가를 근로자들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심지어 노동조합에 기초한 경제를 만들기 위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다. 라살레의 전략은 주로 선거와 개혁으로 노동계급은 무엇보다도 보편적인 성인 남성 참정권을 위해 투쟁하는 정당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Human: 아래 전국의사총연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전국의사총연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국의사총연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국의사총연합(National Union of Korean Medical Doctors)은 2009년 8월 25일 설립된 단체이다. 줄여서 '전의총'이라고 부른다.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과 정책연대를 맺었었으며[1], 대한의사협회 수뇌부와, 이명박 정권 하의 보건복지가족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반대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 개원의가 회원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목차 1 탄생 2 특징 3 논란과 해명 3.1 의료민영화 추진 의혹 3.2 후원금 강요에 대한 논란 3.3 달걀 투척 사건 3.4 도가니법 반대 3.4.1 환자단체와의 갈등 3.4.2 욕설 후원 3.5 언론조작 논란 3.6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 병역비리관련 잘못된 의혹 제기 3.7 음란 문자 협박 사건 3.8 문자 및 전화 협박사건 3.9 악플러행위 4 각주 5 외부 링크 탄생[편집] 전의총은 2009년에 노환규가 창립한 단체로, 역시 노환규가 운영하는 의사커뮤니티 닥플닷컴내에서 심평원의 실사권한 제한을 위한 서명운동과 소송운동으로 시작하였고, 8월부터 회원가입을 받게되었다[2][3]. 특징[편집] 2009년, 전국의사총연합은 대학교수가 주도하는 대한의사협회가 개원의들의 이익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는 불만이 쌓이면서 결성되었다[4]. 2012년 현재, 의사 6천여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구성원의 연령대는 30~50대이다.[1] 전의총은 "의사야 말로 어떠한 제약도 없이 의료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는 요양기관 당연지정제 폐지, 의약분업 선택적 시행, 의료기관 영리화, 의료수가 현실화등을 주장하고 있으며,[6] 약사회[7], 참의료실천연합[8]등과 갈등을 빚고 있다. 정치적으로, 광우병을 보도한 MBC PD수첩의 담당 PD들이 무죄판결을 받은 것에 대한 항의 성명서를 발표하였으며, 진보성향을 가진 박원순 서울시장의 아들 박주신씨 MRI에 대한 잘못된 의혹제기등으로 정치적 편향성에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9].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과 정책연대를 맺고 있으며[1], 전의총의 홈페이지에서는 자유선진당 홈페이지를 주요 링크로 표기해두고 있다.[10] 논란과 해명[편집] 의료민영화 추진 의혹[편집] 전의총의 실행목표 중 의료기관 당연지정제 폐지와 의료기관 영리화는 결국 의료민영화를 의미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전의총은 요양기관 당연지정제도 폐지하고 의료기관을 영리화하며, 의료수가를 현실화(인상)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6]. 한편 전의총은 의료민영화가 "의사에게 도움이 되는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하여 결론이 도출되어야" 할 텐데 아직 의사들한테 이익이 될지 연구중이므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11] 예전에 정관에 의료민영화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건강보험의 고질적인 저수가가 개선될 기미가 없어 생존 전략으로 표명한 것일 뿐, 반드시 의료민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은 아니었다고 한다. 현재는 삭제된 상태. 후원금 강요에 대한 논란[편집] 전의총은 자체연구소 설립과 관련해 불법 리베이트에 연루된 한미약품에 후원금을 요청해 논란이 되었다[12]. 이에 대하여 일각에서는 의사단체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제약사의 후원을 강요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고, 전의총 대표는 전의총의 힘만으로 필요한 기금을 모으기 힘들다는 판단이 있어, 제약사들이 의료계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어 기회를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13]. 달걀 투척 사건[편집] 2011년 12월 10일, 대한의사협회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전의총은 경만호 대한의사협회 회장에게 계란과 액젓을 투척하고 발길질 등으로 폭행한 것으로 노환규 대표를 비롯한 일부 전의총 회원들은 폭행, 기물파손, 업무방해등의 혐의로 고소된 바 있다[14]. 이에 대하여 전의총은 사건이 발생하기 전 의사협회의 고문이 여성회원의 뺨을 서너차례 가격하였으며, 전의총의 계란투척만 언급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였다.[15] 2012년 1월 26일, 전의총 대표는 이 사건에 대해 사과입장을 밝혔으나, 자신의 행동을 회원들의 분노의 표현이었다고 규정하였으며, 경만호 회장에 대한 사과의 내용은 없었다.[14] 2012년 3월 5일, 의협 중앙윤리위원회는 계란투척 및 폭력사태등으로 노환규씨의 회원권리를 2년간 정지한다는 판단을 내리고, 27일 공문으로 발송하였다.[16]. 이에 대하여 노환규는 "본인의 의사협회장 취임을 막아야만하는 의도가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 수 밖에 없다. 만약 이 같은 논란이 잘 넘어간다면 오히려 그들에게 부메랑이 될 것"이라고 선언하였다[17]. 그러나 4월 1일, 노환규는 경만호 전회장과 4월 1일 비공식적으로 만나서, 노환규씨는 경만호씨에 대한 고소를 취하하고 경만호씨는 노환규씨에 대한 윤리위 제소를 취소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하여 상호 합의를 이루었다. 그러나 합의문은 공개하지 않기로 하였고, 다른 합의내용에 대해서는 일절 함구했다[18]. 도가니법 반대[편집] 환자단체와의 갈등[편집] 도가니법에 의해서 의사, 한의사, 간호사등 의료인은 성범죄 확정판정을 받을경우, 10년간 의료기관 개설 및 취업을 할 수 없게 되었다[19]. 전의총은 도가니법을 시행할 경우, 진료를 거부하겠다고 선언하고 대통령에게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촉구하였다[19][20]. 이에 대하여 환자연합회에서는 환자인권에 대한 의식수준이 낮고 의사에 의한 성추행 및 성범죄가 늘어나는 현실에서[21], 자정노력없이 처벌이 가혹하다는 불평만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22]. 또, 한의사 단체인 참실련 역시, 도가니법과 관련해서 전의총이 자신들의 불편을 이유로 환자를 외면하는 행위라고 비판하였다[23]. 전의총에서 도가니법을 반대하는 이유는, 의사에게 억울하게 성추행 혐의를 뒤집어씌우고 합의금을 뜯어내는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욕설 후원[편집] 아동청소년 성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한 민주통합당 최영희 의원에게, 18원을 후원하면서 '수취인 통장 표시내용'란에 각종 욕설을 기입하였다. 이들은 '의사는 분노한다', '모르면 공부하자, 한심한 국회의원'등의 짦은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며, 청년의사신문은 전의총 관계자로부터 최 의원에게 18원을 후원한 입금내역, 이른 바 '인증 샷'을 입수하였다. 전의총 관계자에 따르면 닥플에 관련 자료를 수집한다는 게시글을 올리자 이들이 통장 복사본을 공개하였으며, 주도자 없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한편, 경만호의협회장은 '닥플회원들의 활동으로 합리적인 의사조정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이 무위로 돌아갈 위기에 처해있다'는 입장을 전달, 후원관련 게시물 삭제를 요청하였으나 거부당하였다[24]. 언론조작 논란[편집] 2012년 의사협회장선거를 앞두고, 전의총과 전의총이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 및 전의총 대표가 운영하는 매체인 《닥터플라자》등은 선거법 위반과 편파보도, 음해성 의혹제기등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의사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한 후보 측은 전의총 등에 강경대응하겠다고 밝혔으며 의사협회 선거관리위원회는 전의총이 운영하는 매체에 주의 조치했다.[25] 이에 대하여 전의총은 해당 기사는 기자가 취재를 바탕으로 회사의 논조를 따라 썼을뿐이며, 전의총과 직접적인 관련없다고 해명하였다[26].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 병역비리관련 잘못된 의혹 제기[편집] 전의총은 2012년 2월 21일 강용석 의원이 제시한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 MRI사진에 대하여 보도자료를 통해 "20대의 사진이 아니므로,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의 MRI사진도 아니다"라고 소견[27]을 냈지만, 다음날인 2월 22일 연세대학교 의료원 세브란스병원의 진단결과 박원순 서울시장 아들의 MRI사진이 맞다는 결론[28]이 내려졌다. 특히 전의총은 MRI사진을 근거로 환자의 체형과 진단명 뿐만 아니라, 자세한 증상과 나이 및 생활패턴까지 언급하였으나[29], 재검을 실시한 세브란스 병원의 정형외과 과장은 영상사진과 환자증상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며 그러한 진술을 일축하였다[30]. 이 사건에 대해 참의료실천연합회는 전국의사총연합이 의료의 공공성과 국민의 건강보다는 의사들의 이익만을 우선시했다고 밝혔다.[31] 한편 전의총에서는 공식블로그를 통해, 성형외과의사의 집을 압수수색한 결과 20억의 현금이 발견되었다는 기사를 전의총 기사가 대체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전의총의 파급력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부여하였다[32]. 음란 문자 협박 사건[편집] 전의총 회원들은 노환규 회장을 징계하려 한 의사협회 박호진 윤리위원장에게 협박과 욕설 뿐만 아니라 그 부인에게도 음란 문자와 음성메시지를 보내어 고소 고발되었다. 고소 고발 대상은 문자와 음성 메시지 7건, 닥플 게시판에 올라간 악성글 14건 등이다. 박위원장은 '부모와 자식까지 거론하는 것을 보고 마음을 고쳐 먹었다, 전체를 다 뒤져 발본색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33]. 문자 및 전화 협박사건[편집] 지난 6월, KBS심야토론에 패널로 참석해서 포괄수가제를 옹호하는 발언을 한 경실련 보건의료위원장 신현호 변호사와 심사평가원 김선민 심평원 상임위원, 보건복지부 박민수 과장등은 전의총 소속 의사들의 문자협박에 시달렸다. 특히 신변호사는 "의사 연봉 3000만원이면 급여수가의 원가보전률이 100%를 넘는다."는 의사 연봉이 3000만원이면 된다는 듯한 발언을 해 토론회 이후 20여명의 의사에게서 '밤길조심해라', '뒤통수 조심해라', '치매환자', '치료 받을 데가 없을 거다'등의 문자와 협박전화를 수백통 받았다. 이에 신변호사가 고소하자 몇몇 의사들은 반성문을 보내 선처를 요구하였다. 그외에 박민수 과장을 협박한 의사 8명은 종로경찰서에서, 김선민 위원을 고발한 의사는 서초경찰서에서 수사를 맡았다[34]. 이에 대하여 전의총은 박민수 과장과 김선민 위원을 맞고소하고, 김선민 의원의 공식사퇴를 촉구하였다. 또 박과장으로부터 고소당한 전의총 회원들의 형사소송 대리인 위임계약을 맺은 상태이다[35]. 악플러행위[편집]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는 진료비 포괄수과제 시행을 전후해 온라인 포털사이트 등에서 공단과 공단직원을 상대로 상습적으로 욕설과 비방, 허위사실등을 유포한 악플 네티즌을 검찰에 고발한다고 밝혔다. 공단 관계자는 '의협 또는 전의총 소속으로 추정되는 네티즌들이 공단직원이 게재한 홍보내용에 무차별적 비방과 욕설, 직원 신상털기, 협박을 자행하였다'며, '한 여직원은 불면증과 구토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36]. 이에 대하여 전의총에서는 공단 직원들 또한 의사들을 모욕하였다며 맞고소를 진행하기로 하였다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99713. 각주[편집] ↑ 가 나 다 장용석, 고두리 (2011년 12월 21일). “선진당-전의총, 정책연대 협약… 내년 총선 지원도”. 머니투데이(뉴스1 제공).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http://www.doctorsunion.or.kr/sub01/history.html ↑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77643&MainKind=A&NewsKind=103&vCount=12&vKind=1 ↑ http://news.donga.com/3/all/20100913/31148271/1 ↑ 전국의사총연합. “전의총 소개 (설립배경)”.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전국의사총연합. “전의총 소개 (활동목표)”.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93217 ↑ http://doc3.koreahealthlog.com/news/newsview.php?newscd=2012032900027 ↑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79049&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전국의사총연합. “전국의사총연합 홈페이지 메인”.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전의총 (2009년 12월 16일). “영리법인의 도입에 대한 전의총의 입장”.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양우람 (2011년 4월 8일). “전의총, 리베이트 주범이라던 한미약품에 돌연 후원금 요청 논란”. 소비자가만드는신문사.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이승우 (2011년 4월 7일). “'나는 로맨스, 남은 불륜?' 전의총 설명회 빈축”. 청년의사.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오경아 (2012년 1월 26일). “전의총 노환규 대표, ‘계란투척 사건’에 대한 사과 표명”.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준호 (2011년 12월 28일). “전의총 "계란 던지자 성명서 내나"”.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1] ↑ http://dailymedi.com/news/view.html?section=1&category=4&no=752840 ↑ [2] ↑ 가 나 박현준 (2012년 2월 2일). “도가니법 놓고 전의총·환자단체 ‘충돌’”. 일간보사 의학신문.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전의총 (2012년 1월 5일). “(성명서)의사들에게 진찰거부 외에는 답이 없다!”.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이승우 (2012년 2월 6일). “전의총-환자단체, ‘도가니법’ 놓고 끝장토론 벌인다”. 청년의사.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서상범 (2012년 2월 15일). “'의료계 도가니법' 도입두고 의사-환자단체 논란”. 헤럴드 경제.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최원석 (2012년 2월 23일). “참실련, MRI 의혹제기 전의총에 '정조준'”. 의약뉴스.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3] ↑ 권문수 (2012년 2월 14일). “주수호, '전의총·닥플·매체'의 노환규 띄우기에 발끈"”. 메디파나뉴스. 2012년 2월 24일에 확인함.  ↑ 이승우 (2012년 2월 14일). “"네거티브 중단할 사람은 주수호 후보 자신"”. 청년의사. 2012년 2월 24일에 확인함.  ↑ 전의총 (2012년 2월 21일). “(보도자료)공개된 박주신씨 MRI영상사진에 대한 전국의사총연합의 소견”.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김재덕 (2012년 2월 22일). “"박원순 아들, MRI사진 3장 모두 일치"(3보)”. 노컷뉴스.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오경아 (2012년 2월 22일). “전의총, 박원순 시장 아들 MRI사진 관련 소견서 발표”.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지섭 (2012년 2월 22일). “"병무청 제출 박원순시장 아들 MRI, 본인 것 맞다"”. 조선일보.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이혜경 (2012년 2월 22일). “MRI도 제대로 못보는 의사들?…전의총 '망신살'”. 데일리팜.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전의총 공식블로그 (2012년 2월 23일). ““의학적 소견 소신있게 밝힌 것 뿐””. 2014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3일에 확인함.  ↑ [4] ↑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97101 ↑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346 ↑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96940 외부 링크[편집] 전국의사총연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전국의사총연합&oldid=24199775" 분류: 2009년 설립대한민국의 단체의학 단체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2: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전국의사총연합(National Union of Korean Medical Doctors)은 2009년 8월 25일 설립된 단체이다. 줄여서 '전의총'이라고 부른다.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과 정책연대를 맺었었으며, 대한의사협회 수뇌부와, 이명박 정권 하의 보건복지가족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반대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 개원의가 회원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국의사총연합의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2009년, 전국의사총연합은 대학교수가 주도하는 대한의사협회가 개원의들의 이익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한다는 불만이 쌓이면서 결성되었다[4]. 2012년 현재, 의사 6천여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구성원의 연령대는 30~50대이다.[1] 전의총은 "의사야 말로 어떠한 제약도 없이 의료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는 요양기관 당연지정제 폐지, 의약분업 선택적 시행, 의료기관 영리화, 의료수가 현실화등을 주장하고 있으며,[6] 약사회[7], 참의료실천연합[8]등과 갈등을 빚고 있다. 정치적으로, 광우병을 보도한 MBC PD수첩의 담당 PD들이 무죄판결을 받은 것에 대한 항의 성명서를 발표하였으며, 진보성향을 가진 박원순 서울시장의 아들 박주신씨 MRI에 대한 잘못된 의혹제기등으로 정치적 편향성에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9].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과 정책연대를 맺고 있으며[1], 전의총의 홈페이지에서는 자유선진당 홈페이지를 주요 링크로 표기해두고 있다.[10] Human: 아래 계백_(드라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계백 (드라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계백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계백 장르 사극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1년 7월 25일 ~ 2011년 11월 22일 방송 시간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5분 ~ 11시 5분 방송 분량 1시간 10분 방송 횟수 36부작 기획 한희 제작자 계백문전사, 크리에이티브 프로덕션, 커튼콜미디어김광수, 김동구, 이선상 연출 김근홍, 정대윤 조연출 박원국, 진창규, 김성용, 송영권 극본 정형수 출연자 이서진, 송지효, 조재현, 차인표, 오연수, 전노민, 김유석, 조상기, 김진호, 박유환 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MBC '계백' 홈페이지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다. 목차 1 등장 인물 1.1 주요 인물 1.2 백제 왕실 1.3 계백 관련 인물 1.4 무왕 관련 인물 1.5 의자왕 관련 인물 1.6 사택비 관련 인물 1.7 은고 관련 인물 1.8 무진 관련 인물 1.9 신라 세력들 1.10 고구려 세력들 1.11 그외 사람들 2 에피소드 3 수상 4 시청률 5 연장 6 경쟁 프로그램 7 같이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이서진↔이현우 : 계백 역 조재현↔노영학↔최원홍 : 의자왕 역 오연수 : 사택비 역 송지효↔박은빈↔전민서 : 은고 역 백제 왕실[편집] 최종환 : 무왕 역 신은정 : 선화황후 역 ,무왕의 정비이자 의자왕의 생모이며 진평왕의 셋째 딸이다 진태현↔서영주↔남다름 : 교기 역 계백 관련 인물[편집] 전노민 : 성충 역 김유석 : 흥수 역 윤다훈 : 독개 역 고윤후↔이풍운 : 대수 역 장희웅↔이찬호 : 용수 역 조경훈 : 백파 역 윤원석 : 포득 역 김유진 : 열배 역 무왕 관련 인물[편집] 정성모 : 윤충 역 최재호 : 의직 역 김동희 : 은상 역 김진호 : 왕효린 역 서범식 : 사걸 역 의자왕 관련 인물[편집] 김진성 : 부여태 역 임현식 : 연문진 역 한지우 : 연태연 역 정기성 : 연태견 역 순동운 : 진국 역 이병식 : 협종 역 정한헌 : 백은 역 최범호 : 사택천복 역 채희재 : 초랭이 역 이태경 : 신녀 천단향 역 사택비 관련 인물[편집] 김병기 : 사택적덕 역 :사택비의 아버지.상좌평 안길강 : 귀운 역 :위제단의 1인자 조상기 : 남조 역 :위제단의 2인자 김중기 : 기미 역 :사택비와 교기의 참모.내좌평 김용헌 : 해수 역 :무왕 대의 장수.좌평 류제희 : 효소 역 :사택비의 시녀 박유환 : 북조 역 :위제단의 일원.막내 은고 관련 인물[편집] 권용운 : 천돌 역 효민↔한보배 : 초영 역 이한위 : 임자 역 오지영 : 정화 역 최란 : 영묘 역 무진 관련 인물[편집] 차인표 : 무진 역 :계백의 아버지 (특별 출연) 정소영 : 명주 역 :계백의 어머니(특별 출연) 김혜선 : 을녀 역 :문근의 친어머니. 계백의 양어머니 (특별출연) 김현성↔이민호 : 문근 역 :계백의 의붓형 신라 세력들[편집] 이동규 : 태종무열왕 (특별 출연) 박주형 : 문무왕 (특별 출연) 이종구 : 김서현 (특별 출연) 전진기 : 알천 (특별 출연) 박성웅 : 김유신 (특별 출연) 고구려 세력들[편집] 고인범 : 연개소문 그외 사람들[편집] 염철호 : 철두 역 임치우 : 부장 역 강철성 : 유신 부장 역 장태민 : 유혹남 역 주석태 : 자간 역 전헌태 : 사비성 문지기 역 김진호 : 조정좌평 역 홍승범 김태종 전해룡 에피소드[편집] 교기역의 진태현이 2011년 8월 21일 진태현 낙마사고에 목과 척추 부상 "전치4주 진단 받고도 투혼 발휘"[1][2] 의자왕역의 조재현이 2011년 9월 6일 조재현 다리 부상 '근육 파열에도 투혼 발휘' ‘계백’ 조재현, 다리 부상에도 투혼 강행.[3][4] 수상[편집] 2011년 MBC 연기대상 여자 신인상 효민 2011년 MBC 연기대상 남자 PD상 최종환 2011년 MBC 연기대상 여자 PD상 송지효 시청률[편집] 아래의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입니다. 시청률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1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5] AGB 시청률[6]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7월 25일 7.5% 9.6% 10.6% 12.6% 제2회 7월 26일 8.6% 11.0% 11.0% 12.2% 제3회 8월 1일 9.3% 11.3% 10.1% 11.4% 제4회 8월 2일 9.6% 12.2% 11.5% 13.2% 제5회 8월 8일 10.7% 12.0% 13.2% 14.2% 제6회 8월 9일 11.2% 12.5% 13.5% 14.8% 제7회 8월 15일 10.3% 13.2% 13.5% 14.9% 제8회 8월 16일 10.8% 13.2% 14.1% 15.6% 제9회 8월 22일 11.7% 12.9% 14.3% 16.1% 제10회 8월 23일 12.0% 13.6% 14.1% 16% 제11회 8월 29일 10.9% 12.9% 13.7% 15.8% 제12회 8월 30일 10.9% 13.4% 13.6% 15.7% 제13회 9월 5일 10.5% 12.5% 12.9% 14.7% 제14회 9월 6일 10.4% 12.6% 13.0% 14.2% 제15회 9월 12일 7.9% 9.6% 10.0% 10.9% 제16회 9월 13일 9.7% 11.0% 11.6% 13.1% 제17회 9월 19일 9.6% 11.6% 12.1% 13.1% 제18회 9월 20일 11.1% 13.4% 12.8% 14.2% 제19회 9월 26일 10.0% 11.4% 11.8% 13.1% 제20회 9월 27일 9.9% 12.0% 11.6% 12.4% 제21회 10월 3일 9.6% 11.3% 10.9% 11.6% 제22회 10월 4일 10.1% 12.1% 11.0% 12.3% 제23회 10월 10일 8.9% 11.8% 10.1% 11.5% 제24회 10월 11일 11.6% 13.9% 12.8% 14.4% 제25회 10월 17일 10.3% 13.5% 13.5% 14.9% 제26회 10월 18일 11.0% 12.4% 12.9% 14.8% 제27회 10월 24일 11.3% 13.8% 13.1% 14.8% 제28회 10월 25일 10.7% 12.7% 13.3% 15.1% 제29회 10월 31일 9.4% 12.3% 11.5% 12.7% 제30회 11월 1일 11.0% 13.2% 11.5% 11.7% 제31회 11월 7일 9.5% 10.5% 11.0% 12.3% 제32회 11월 8일 9.8% 10.1% 11.8% 13.4% 제33회 11월 14일 9.2% 10.6% 11.8% 12.7% 제34회 11월 15일 9.8% 10.8% 11.2% 12.7% 제35회 11월 21일 10.3% 11.6% 12.3% 14.4% 제36회 11월 22일 11.0% 13.0% 13.0% 14.9% 연장[편집] 2011년 11월 10일 : 계백 방영 분량이 30부작에서 6회 연장되어 36부작으로 변경.확정되었다. 경쟁 프로그램[편집] 무사 백동수 (SBS) 천일의 약속 (SBS) 스파이 명월 (KBS 2TV) 포세이돈 (KBS 2TV) 브레인 (KBS 2TV) 같이 보기[편집] 주몽 (드라마) 근초고왕 (드라마) 광개토태왕 (드라마) 서동요 (드라마) (삼국기) 각주[편집] ↑ 온라인뉴스팀 (2011년 8월 22일). “진태현 낙마사고에 목과 척추 부상”. 뉴스웨이.  ↑ 온라인뉴스팀 (2011년 8월 22일). “진태현 낙마사고 "전치4주 진단 받고도 투혼 발휘"”. 경인일보.  ↑ 온라인뉴스팀 (2011년 9월 7일). “조재현 다리 부상 '근육 파열에도 투혼 발휘'”. 아츠뉴스.  ↑ 온라인뉴스팀 (2011년 9월 7일). “‘계백’ 조재현, 다리 부상에도 투혼 강행”. 재경일보.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2012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외부 링크[편집] MBC 계백 홈페이지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미스 리플리(2011년 5월 30일 ~ 2011년 7월 19일) 계백 (2011년 7월 25일 ~ 2011년 11월 22일) 빛과 그림자(2011년 11월 28일 ~ 2012년 7월 3일) vdeh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삼국 시대 《계백》 《광개토태왕》 《근초고왕》 《대왕의 꿈》 《바람의 나라》 《삼국기》 《서동요》 《선덕여왕》 《연개소문》 《자명고》 《주몽》 《태왕사신기》 《화랑》 남북국, 후삼국, 고려 시대 《해신》 《개국》 《대풍수》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무신》 《무인시대》 《비천무》 《빛나거나 미치거나》 《신돈》 《신의》 《제국의 아침》 《직지》 《천추태후》 《태조 왕건》 《환생: 넥스트》 조선, 대한제국 시대 《7일의 왕비》 《객주》 《거상 김만덕》 《구가의 서》 《구암 허준》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 《다모》 《대명》 《대박》 《대왕 세종》 《대왕의 길》 《대장금》 《독립문》 《돌아온 일지매》 《동의보감》 《동이》 《마녀보감》 《마의》 《명가》 《무사 백동수》 《미스터 션샤인》 《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의 화원》 《밤을 걷는 선비》 《불멸의 이순신》 《불의 여신 정이》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뿌리깊은 나무》 《사임당, 빛의 일기》 《삼총사》 《상도》 《서궁》 《성균관 스캔들》 《소설 목민심서》 《아랑사또전》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야차》 《어사 박문수》 《여인천하》 《오포졸》 《옥중화》 《왕과 나》 《왕과 비》 《왕도》 《왕의 얼굴》 《왕의 여자》 《용의 눈물》 《이산》 《일지매 (MBC)》 《일지매 (SBS)》 《임꺽정》 《임진왜란 1592》 《장길산》 《장녹수》 《장사의 신 - 객주 2015》 《장영실》 《장옥정, 사랑에 살다》 《장희빈 (MBC)》 《장희빈 (SBS)》 《장희빈 (KBS)》 《정도전》 《정조암살 미스터리: 8일》 《조광조》 《조선 과학수사대 별순검》 《조선왕조 오백년》 《집념》 《징비록》 《찬란한 여명》 《천둥소리》 《천명》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최강칠우》 《추노》 《탐나는도다》 《태양인 이제마》 《파천무》 《풍운》 《하녀들》 《하늘아 하늘아》 《한명회》 《한성별곡》 《해치》 《허준》 《홍국영》 《화정》 《환생: 넥스트》 《황진이》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각시탈》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경성스캔들》 《김구》 《동양극장》 《백범일지》 《불꽃 속으로》 《서울 1945》 《야인시대》 《영웅시대》 《여명의 눈동자》 《왕초》 《을화》 《자유인 이회영》 《전쟁과 사랑》 《절정》 《최승희》 《한국인》 《환생: 넥스트》 《황금시대》 광복,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2004 인간시장》 《경숙이 경숙아버지》 《국희》 《끝없는 사랑》 《누나의 3월》 《덕이》 《땅》 《로드 넘버원》 《모래시계》 《무풍지대》 《미스코리아》 《불꽃 속으로》 《빛과 그림자》 《삼김시대》 《서울 1945》 《순수청년 박종철》 《야망의 세월》 《야망의 전설》 《야인시대》 《에덴의 동쪽》 《여명의 눈동자》 《영웅시대》 《올인》 《은실이》 《응답하라 1988》 《응답하라 1994》 《응답하라 1997》 《인간시장》 《자이언트》 《전우 (1975)》 《전우 (1983)》 《전우 (2010)》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코리아게이트》 《패션 70's》 《황금의 제국》 vdeh 월화드라마1980년대 전반1980년 《백년손님》 1981년 《장희빈》 1982년 《남강 이승훈》 《공주갑부 김갑순》 《백산 안희제》 《이용익》 1983년 《무역왕 최봉준》 《야망의 25시》 《내일은 태양》 《뿌리깊은 나무》 1984년 《설중매》 1980년대 후반1985년 《풍란》 《임진왜란》 1986년 《회천문》 《남한산성》 1987년 《불새》 《야호》 《부초》 《내일 또 내일》 《최후의 증인》 《산하》 《아름다운 밀회》 《갈 수 없는 나라》 《막차로 온 손님들》 《퇴역전선》 《유혹》 《인생화보》 《딸아》 1988년 《선생님 우리 선생님》 《원미동 사람들》 《그것은 우리도 모른다》 《거리의 악사》 《인간시장》 《내일이 오면》 《마지막 우상》 《대검자》 《모래성》 《우리 읍내》 《도시의 흉년》 1989년 《겨울 안개》 《철새》 《황제를 위하여》 《잠들지 않는 나무》 《나비야 청산가자》 《상처》 《제5열》 《대도전》 《천사의 선택》 《완장》 《거인》 1990년대 전반1990년 《마당 깊은 집》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완전한 사랑》 《똠방각하》 《어둔 하늘 어둔 새》 《춤추는 가얏고》 《재미있는 세상》 1991년 《겨울 이야기》 《고궁》 《이별의 시작》 《장미빛 인생》 《행복어사전》 《내 마음은 호수》 《동의보감》 1992년 《약속》 《행촌 아파트》 《분노의 왕국》 《질투》 《4일 간의 사랑》 《두 여자》 《창밖에는 태양이 빛났다》 《억새 바람》 1993년 《걸어서 하늘까지》 《사랑의 방식》 《산바람》 《나는 천사가 아니다》 《일지매》 《파일럿》 《여자의 남자》 1994년 《마지막 승부》 《맞수》 《새야 새야 파랑새야》 《아담의 도시》 《사랑을 그대 품안에》 《M》 《도전》 《마지막 연인》 《거인의 손》 《눈먼 새의 노래》 《까레이스키》 1990년대 후반1995년 《호텔》 《사랑을 기억하세요》 《TV시티》 《거미》 《여》 《연애의 기초》 1996년 《별》 《그들의 포옹》 《1.5》 《낫》 《아이싱》 《애인》 《화려한 휴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단막) 《일곱개의 숟가락》(단막) 1997년 《황금 깃털》(단막) 《의가형제》 《별은 내 가슴에》 《딸의 선택》(단막) 《산》 《불꽃놀이》 《영웅반란》 《달수의 홀로 아리랑》(단막) 《예감》 《복수혈전》 1998년 《사랑》 《피아노》(단막) 《세상 끝까지》 《추억》 《맨발로 뛰어라》 《내일을 향해 쏴라》 《애드버킷》 1999년 《흐르는 것이 세월뿐이랴》 《미니 연작 - 봄》 《청춘》 《왕초》 《마지막 전쟁》 《국희》 《허준》 2000년대 전반2000년 《뜨거운 것이 좋아》 《아줌마》 2001년 《홍국영》 《선희 진희》 《상도》 2002년 《위기의 남자》 《고백》 《내 사랑 팥쥐》 《현정아 사랑해》 《막상막하》(단막) 《어사 박문수》 2003년 《러브 레터》 《내 인생의 콩깍지》 《옥탑방 고양이》 《다모》 《대장금》 2004년 《불새》 《영웅시대》 2000년대 후반2005년 《원더풀 라이프》 《봄날의 미소》(단막) 《환생: 넥스트》 《변호사들》 《비밀남녀》 《달콤한 스파이》 2006년 《늑대》(제작 중단) 《내 인생의 스페셜》 《넌 어느 별에서 왔니》 《주몽》 2007년 《히트》 《신 현모양처》 《커피프린스 1호점》 《향단전》(단막) 《이산》 2008년 《밤이면 밤마다》 《에덴의 동쪽》 2009년 《내조의 여왕》 《선덕여왕》 2010년대 전반2010년 《파스타》 《기적》(단막) 《동이》 《역전의 여왕》 2011년 《짝패》 《미스 리플리》 《계백》 《빛과 그림자》 2012년 《골든타임》 《마의》 2013년 《구가의 서》 《불의 여신 정이》 《기황후》 2014년 《트라이앵글》 《야경꾼 일지》 《오만과 편견》 2010년대 후반2015년 《빛나거나 미치거나》 《화정》 《화려한 유혹》 2016년 《몬스터》 《캐리어를 끄는 여자》 《불야성》 2017년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파수꾼》 《왕은 사랑한다》 《20세기 소년소녀》 《투깝스》 2018년 《위대한 유혹자》 《미치겠다, 너땜에!》(단막) 《검법남녀》 《사생결단 로맨스》 《배드파파》 《나쁜 형사》 2019년 《아이템》 《특별근로감독관 조장풍》 《검법남녀 2》 《웰컴 투 라이프》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계백_(드라마)&oldid=23816546" 분류: 2011년 드라마문화방송 월화드라마백제 역사 드라마커튼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계백을 소재로 한 작품정형수 시나리오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کوردی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6일 (수) 19: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라마 계백에서 해수 역을 맡은 배우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김용헌
Human: 아래 브록_레스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록 레스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록 레스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록 레스너 2015년 4월, RAW에서출생 1977년 7월 12일(1977-07-12) (41세) 미국 사우스다코타주본명 브록 에드워드 레스너Brock Edward Lesnar별명 더 넥스트 빅 띵 , 더 비스트신장 191 cm체중 129 kg국적 미국 직업 프로레슬러 종합격투기 선수배우자 세이블데뷔일 2000년 10월 브록 레스너(Brock Lesnar, 1977년 7월 12일 - )는 미국의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다. 피니쉬는 F-5(파이어맨즈 캐리 페이스버스터) 서브미션 피니쉬인 브록 락(오버-더 숄더 싱글 레그 보스턴 크랩), 기무라 락, 스피닝 스파인버스터, 슈팅 스타 프레스로 사용을 한다. 다만 수플렉스 시티라는 저먼 수플렉스를 사용한다. 목차 1 생애 1.1 출생 2 프로레슬링 경력 3 미식축구 경력 4 종합격투기 경력 5 종합격투기 전적 6 수상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출생[편집] 1977년 7월 12일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웹스터에서 태어났다. 프로레슬링 경력[편집] 2002년 3월 18일 WWE Raw를 통해 WWE의 전신인 WWF에 데뷔했다. 데뷔 초반부터 제프 하디, 매트 하디, 리키쉬, 허리케인, 타미 드리머 등을 박살내면서 강력한 이미지를 심었고 테스트와 랍 밴 댐을 이기며 2002년 킹 오브 더 링에서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이후에 2002년 섬머슬램에서 더 락을 꺾고 최연소 WWE 챔피언 (현재 최연소 기록은 랜디 오턴이 보유)을 따내었고, 2002년 10월에는 언더테이커까지 꺾었다 2002년 말에 매니저였던 폴 헤이먼이 브록 레스너를 배신하면서 선역으로 전환, 빅 쇼에게 WWE 타이틀을 빼앗긴 후 2003년 로얄 럼블에서 우승 2003 레슬매니아 19에서는 커트 앵글을 이기며 새로운 WWE 챔피언에 오른다. 이후에 선역으로서 인기 몰이를 하며 존 시나, 빅 쇼 등을 상대로 WWE 타이틀을 방어했으나, 2003년 벤젼스에서 커트 앵글에게 타이틀을 내주었고 2003년 중반까지는 선역으로 활약하다가 2003년 7월 다시 악역 전환을 한다. 이후 2003 섬머 슬램에서 커트 앵글과 겨루었으나 타이틀을 가져오는데는 실패 2003년 9월 18일자 WWE 스맥다운에서 커트 앵글을 아이언맨 매치에서 무찌르며 WWE 타이틀을 얻는다. 이후 언더테이커, 하드코어 할리 등을 상대로 타이틀을 방어해갔으나 2004년 노 웨이 아웃에서 에디 게레로에게 WWE 타이틀을 빼앗겼고 WCW 무적 캐릭터였던 골드버그와 레슬매니아 20에서 경기를 한 이후 WWE와 결별하고 일본의 프로레슬링 단체인 신일본 프로레슬링, IGF 두 단체에서 활약하다가 프로레슬링계를 떠난다. 이후 풋볼 쪽으로도 갔으나 실패했고 2011년말 종합격투기 은퇴를 선언하고 2012년 4월 1일 WWE와 1년 계약을 체결하고 2012년 4월 2일 로우를 통해 WWE에 복귀한다. 그러나 오랫동안 프로레슬링계를 떠나있어서 인지 자신과 맞지 않다는 것을 알고 1달만에 활동을 중단하였다. 그리고는 UFC쪽과 다시 복귀상담을 하였으나 결과는 좋지않았다. 결국은 다시 raw 1000회때 다시 복귀 트리플 H를 공격하여 대립을 심화시킨다. 2012년 섬머슬램 때의 트리플 H와의 경기에서는 서브미션기술로 승리하였다. 그러나 2013년 레슬매니아 29 때는 트리플 H와의 재경기에서 패배하고만다. 2013년 익스트림 룰스에서 트리플 H와 철창매치를 통해 재경기를 가져 승리하여 레슬매니아 때의 패배를 만회한다. 2013년 자신과 CM 펑크의 매니저인 폴 헤이먼이 결국 CM 펑크에게 등을 돌리게되면서 브록 레스너가 CM 펑크를 F-5로 공격하자 그 둘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결국 2013년 섬머슬램 때 경기가 확정되었고 경기결과는 브록 레스너의 승리였다. 2014년 로얄 럼블에서 빅 쇼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하였고 레슬매니아 30에서 언더테이커의 연승을 저지하고 승리하였다. 하지만 그의 연승 깨짐으로 인한 팬들의 충격으로 악역으로 전환하였다. 2014년 섬머슬램 전 브록 레스너의 매니저 폴 헤이먼과 존 시나가 대립을 이루면서 섬머슬램 때 경기를 가져 브록 레스너가 1분만에 기습 F-5로 존 시나를 공격하고 경기동안 저먼 수플렉스를 16번 날렸고 두번째 F-5를 날리면서 승리를 가져간다. 그리고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2014에서 이번엔 세스가 방해를 해서 DQ를 하게 되면서 간신히 존 시나에게서 방어를 하게 된다. 2015년 1월 12일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계약식 중에서 세스 롤린스한테 배신을 당해서 선역으로 오랜만에 돌아오고 만다. 그리고 2015년 1월 19일 WWE Raw에서 빅 쇼, 케인을 모두 F-5를 박살내며 그리고 로얄럼블 2015에서 간신히 타이틀을 방어를 했다. 그러나 2015년 3월 29일 레슬매니아 31에서 갑자기 세스 롤린스가 난입을 하면서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빼앗겨 결국 지면서 다음날 Raw에서는 세스가 일방적으로 엔지그리를 공격을 하면서 조이, 제이미를 무자비하게 박살내고 테이블에 박살내고 또 한 마이클 콜, 카메라맨도 박살을 내 끝내 스테파니한테 정지를 당하게 되고 2015년 6월 15일 복귀를 하면서 세스랑 대립을 하고 배틀그라운드 에서 타이틀 매치를 치뤘으나... 언더테이커가 난입하여 타이틀을 얻는데 실패했고 언더테이커와 수 시간간의 대립을 하여 논란과 승리를 남게되어 대립이 종료되었다. 2016년에는 로얄 럼블 2016에서 W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럼블 매치에서 복귀 출전했으나 와이어트 패밀리의 집단 공격에 탈락 당했다. 2016년 2월에 열린 패스트 레인 2016에서의 딘 앰브로스, 로만 레인즈와의 트리플 쓰렛 매치로 트리플H의 WWE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의 도전자자격을 따내려 했으나 딘앰브로스의 체어샷을 맞고 굴러떨어짐과에 동시에 로만레인즈가 스피어로 3카운트를 가져가면서 또다시 굴러들어온 기회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레슬매니아 32에서 딘 앰브로스랑 경기를 하다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게 되었다. 그리고 지난 UFC 경기 후에 2016년 7월에서는 랜디 오턴과의 썸머슬램에서의 경기가 잡혀있음을 알렸다. 드디어 대립하는 순간 몇 시간끝에 랜디 오턴한테 F-5를 날려 커버에 들어갔지만 그가 커버를 끊자 브록 레스너는 최후순간을 쓴다. 그건 바로 장갑을 벗어 머리쪽으로 연속 타격을 주자 랜디 오턴은 출혈이 발생하여 TKO승으로 남고 말았다. 심지어 스맥다운의 경영자인 쉐인 맥맨이 이 상황에 항의하러 가자마자 그한테도 F-5를 날린후 500달러 벌금을 내야 한다며 충격을 줬다. 그 다음날 WWE RAW에서 빌 골드버그가 복귀하여 그를 또다시 도전하겠다는 조건으로 그의 도전을 받아드린후 11월 20일 진행되었던 서바이벌 시리즈에서 경기 시작한지 1분만에 잭 해머를 날려 빌 골드버그에게 경기를 내주고만다. 1년후 로얄 럼블에서도 출전을 하게 되었는데 또 잭 해머를 날리고 제거 당했고 4월 2일 진행되었던 WWE 레슬매니아 33에서 빌 골드버그에게 최초로 난입 혹은 반칙없이 클린 핀폴패를 안기게 하고 동시에 생애 첫 WWE 유니버셜 챔피언에 등극했다. 그러나 6월 ~ 7월까지 사모아 조랑 대립을 하다가 진행 되었던 그레이트 볼스 오브 파이어2017에서 끝내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8월 20일 진행되었던 섬머슬램에서 (페이털 포 웨이 매치에서) 끝내 유니버설 챔피언십을 방어했고 현재 브라운 스트로우먼과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 벨트를 놓고 대립하고 있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월 24일 진행되었던 WWE 노 머시에서 브라운 스트로우먼과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방어에 성공했다. 진행되었던 2017년 11월 19일 서바이벌 시리즈에서 aj스타일스를 상대했으나 승리를 했다. 2018년 1월 28일 진행되었던 로열 럼블2018에서 유니버설 챔피언십 트리플 쓰렛매치 중에서 끝내 방어를 했다. 그리고 3월~4월에는 로만과 대립 중이고, 4월 8일 진행되었던 레슬마니아34에서 유니버설 챔피언십매치중에서 끝내 방어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월 27일 그레이티스트 로얄럼블에서 유니버설 챔피언십 철장매치중에서도 끝내 방어를 하면서 이렇게 대립이 종결되었고 8월 19일 진행되었던 WWE 섬머슬램에서 로만 레인즈에게 경기를 내주고 챔피언 벨트마저 잃어버리고 만다. 헬 인 어 셀 2018에서 로만, 브라운하고 헬 인 어 셀 철창으로 문 발로 박 찬 다음에는 둘다 박살 낸다. 11월 3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크라운 주얼 2018에서 브라운 스트로우먼과 유니버셜 챔피언쉽 매치를 가졌다. 이 날 경기는 단장 배런 코빈이 경기 시작전 브라운 스트로우먼의 후두부를 벨트로 내리치며 경기가 시작됐으며 이후 브록 레스너가 5연속 F-5를 작렬하며 통산 2회 유니버설 챔피언 벨트를 차지하였다. 2018년 11월에는 대니얼과 대립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바이버 시리즈2018에서 대니얼과 대결을 했으나 승리했다.결국 4월 7일 진행되었던 레슬매니아 35에서 세스 롤린스에게 패하고 챔피언 벨트마저 또 다시 잃어버리고 만다. 2019년 5월 19일 머니 인 더 뱅크에서 남성부 머니 인 더 뱅크 사다리매치에 참가를 했으나 우승을 했다. 미식축구 경력[편집] 2004년 WWE를 떠난 후 미식축구 팀인 미네소타 바이킹스에 입단하여 수비포지션인 디펜시브 라인맨으로서 1년간 활동했다. 종합격투기 경력[편집] 브록 레스너기본 정보본명 브록 에드워드 레스너별명 The Next Big Thing국적 미국출생일 1977년 7월 12일(1977-07-12) (41세)[1]출생지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웹스터[2]신장 191cm체중 120kg 체급 헤비급손끝 거리 206cm격투 기반 레슬링스탠스 오른손잡이소속팀 데스클러치 짐트레이너 수석 트레이너: 마티 모건코치: 에릭 폴슨권투: 피터 웰치주짓수: 호드리구 메데이루스랭크 브라질리언 주짓수 파란띠활동 연도 2007~2011,2016,2018~(종합격투기), 2012~(WWE 프로레슬링)종합격투기 전적총시합수 9  승 5    KO승 2    항복승 2    판정승 1  패 3    KO패 2    항복패 1  무효 1 K-1 다이너마이트 미국 무대에 처음 출전하여 김민수를 저돌적으로 그라운드로 끌고 가서 파운딩으로 때리다가 김민수가 탭 아웃을 하여 첫 승을 따낸다.[출처 필요] 2008년 2월에는 UFC 81로 데뷔하여 프랭크 미어와 대결했으나 니바를 당해 서브미션으로 패했다.[출처 필요] 8월에는 UFC 87에서 히스 헤링과 붙어서 3R까지 접전을 펼치면서 결국 전원 일치 판정승으로 재기에 성공한다. 그리고 종합 데뷔 전에 보유한 아마추어 레슬링 전적은 111전 106승 5패로 아주 탁월한 전적을 보유했다. UFC 91에서 챔피언인 랜디 커투어를 꺾고 챔피언이 된 후 헤비급 잠정 타이틀을 보유한 프랭크 미어에게 복수전을 성공하며 UFC헤비급 통합 챔피언이된다. UFC 116에서 셰인 카윈에게 승리하여 1차타이틀 방어전을 성공한다. 하지만 UFC 121에서 케인 벨라스케즈에게 패하며 헤비급 타이틀을 내주게 된다. 이후 지병인 게실염이 재발해 2011년 5월 27일 대장을 30cm나 절제하는 큰 수술을 받았다. 재활 후 UFC 141에서 알리스타 오브레임과 복귀전을 갖지만 1라운드 TKO 패를 당한 후 링 인터뷰에서 UFC에서의 은퇴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2016년 7월 6일 진행되었던 UFC 200에서 마크 헌트랑 복귀전을 치르면서 (2대1) 판정승을 거뒀지만 결국 무효 처리가 되었다. 그러나 2017년 2월 종합격투기에서 은퇴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7월 UFC 226에서 잠깐 복귀된다. 종합격투기 전적[편집] 프로페셔널 종합격투기 전적 9 시합 (T)KO 항복 판정 실격 그 밖 비김 무효 5 승 2 2 1 0 0 0 1 3 패 2 1 0 0 0 승패 누적 전적 상대 승패 결정 방식 대회 개최 날짜 라운드 경기 시간 장소 특이 사항 무효 5–3 (1) 마크 헌트 무효(뒤집힘) UFC 200 2016년 7월 9일 3 5:00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원래 경기 브록 레스너 2:1 판정승, 브록 레스너 약물 검출 징계 패 5–3 알리스터 오버레임 TKO (몸통에 발차기, 펀치) UFC 141 레스너 대 오버레임 2011년 12월 30일 1 2:26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경기 후 UFC에서의 은퇴를 선언 패 5–2 케인 벨라스케즈 TKO (펀치) UFC 121 레스너 대 벨라스케즈 2010년 10월 23일 1 4:12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 UFC 헤비급 챔피언십 뺏김 승 5–1 셰인 카윈 항복 (암 트라이앵글 초크) UFC 116 레스너 대 카윈 2010년 7월 3일 2 2:19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UFC 헤비급 챔피언십 방어; 오늘의 서브미션 승 4–1 프랭크 미어 TKO (펀치) UFC 100 레스너 대 미어 2009년 7월 11일 2 1:48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UFC 헤비급 챔피언십 방어 승 3–1 랜디 커투어 TKO (펀치) UFC 91 커투어 대 레스너 2008년 11월 15일 2 3:07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UFC 헤비급 챔피언십 우승. 승 2–1 히스 헤링 판정 (전원일치) UFC 87 시크 앤드 디스트로이(Seek and Destroy) 2008년 8월 9일 3 5:00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패 1–1 프랭크 미어 항복 (니바) UFC 81 브레이킹 포인트 2008년 2월 2일 1 1:30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승 1–0 김민수 항복 (펀치) K-1 다이너마이트 USA 2007 2007년 6월 2일 1 1:09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수상[편집] WWE 챔피언 4회 WWE 유니버셜 챔피언 2회 WWE 킹 오브 더 링 2002 우승 2003 로얄 럼블 우승 2019 머니 인 더 뱅크 우승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 IWGP 헤비웨이트 챔피언(IGF) UFC 헤비웨이트 챔피언 NCAA 헤비웨이트 챔피언 OVW 남부 태그팀 챔피언 3회 (셸턴 벤저민) 각주[편집] ↑ “Biography for Brock Lesnar”. IMDB.com. 2012년 2월 18일에 확인함.  ↑ “Brock Lesnar profile”. SLAM! Sports. 2012년 2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브록 레스너 공식 웹사이트 온라인 월드 오브 레슬링 프로필 셔독 프로필 UFC 프로필 Brock Lesnar Profile at National (Amateur) Wrestling Hall of Fame 전임랜디 커투어 제14대 UFC 헤비급 챔피언2008년 11월 15일 ~ 2010년 10월 23일 후임케인 벨라스케스 vdehWWE 챔피언십 버디 로저스 브루노 삼마르티노 아이번 콜로프 페드로 모릴스 스탄 스테이샥 빌리 그레이엄 밥 백런드 아이언 쉬크 헐크 호건 앙드레 자이언트 랜디 새비지 얼티미트 워리어 서전 슬로터 언더테이커 릭 플레어 브렛 하트 요코주나 디젤 숀 마이클스 사이코 시드 스티브 오스틴 케인 더 락 맨카인드 트리플 H 빈스 맥마흔 빅 쇼 커트 앵글 크리스 제리코 브록 레스너 에디 게레로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존 시나 에지 롭 밴 댐 랜디 오턴 제프 하디 바티스타 셰이머스 더 미즈 CM 펑크 레이 미스테리오 알베르토 델 리오 대니얼 브라이언 세스 롤린스 로만 레인즈 딘 앰브로스 AJ 스타일스 브레이 와이엇 진더 마할 코피 킹스턴 (현 챔피언) vdehWWE 유니버셜 챔피언십 핀 베일러 케빈 오웬스 골드버그 브록 레스너 로만 레인즈 세스 롤린스 (현 챔피언) vdeh로열 럼블 우승자 '핵소' 짐 더간 (1988년) '빅' 존 스투드 (1989년) 헐크 호건 (1990년, 1991년) 릭 플레어 (1992년) 요코주나 (1993년) 브렛 하트 & 렉스 루거 (1994년) 숀 마이클스 (1995년, 1996년) 스티브 오스틴 (1997년, 1998년, 2001년) 빈스 맥마흔 (1999년) 더 락 (2000년) 트리플 H (2002년, 2016년) 브록 레스너 (2003년) 크리스 벤와 (2004년) 바티스타 (2005년, 2014년) 레이 미스테리오 (2006년) 언더테이커 (2007년) 존 시나 (2008년, 2013년) 랜디 오턴 (2009년, 2017년) 에지(2010년) 알베르토 델 리오 (2011년) 셰이머스 (2012년) 로만 레인즈 (2015년) 나카무라 신스케 (2018년) 아스카 (2018년) 베키 린치 (2019년) 세스 롤린스 (2019년) vdeh미스터/미스 머니 인 더 뱅크 에지 (2005년/레슬매니아 21) 롭 밴 댐 (2006년/레슬매니아 22) 미스터 케네디 (2007년/레슬매니아 23) CM 펑크 (2008년/레슬매니아 XXVI,2009년/레슬매니아 XXV) 잭 스웨거 (2010년/레슬매니아 XXVI) 더 미즈 (2010년/머니 인 더 뱅크) 케인 (2010년/머니 인 더 뱅크) 알베르토 델 리오 (2011년/머니 인 더 뱅크) 다니엘 브라이언 (2011년/머니 인 더 뱅크) 돌프 지글러 (2012년/머니 인 더 뱅크) 존 시나 (2012년/머니 인 더 뱅크) 데미안 샌도우 (2013년/머니 인 더 뱅크) 랜디 오턴 (2013년/머니 인 더 뱅크) 세스 롤린스 (2014년/머니 인 더 뱅크) 셰이머스 (2015년/머니 인 더 뱅크) 딘 앰브로스 (2016년/머니 인 더 뱅크) 카멜라 (2017년/머니 인 더 뱅크,2017년/스맥다운) 배런 코빈 (2017년/머니 인 더 뱅크) 알렉사 블리스 (2018년/머니 인 더 뱅크) 브라운 스트로우먼 (2018년/머니 인 더 뱅크) 베일리 (2019년/머니 인 더 뱅크) 브록 레스너 (2019년/머니 인 더 뱅크) vdeh킹 오브 더 링 돈 무라코 (1985년) 할리 레이스 (1986년) 랜디 새비지 (1987년) 테드 디비아시 (1988년) 티토 산타나 (1989년) 브렛 하트 (1991년,1993년) 오웬 하트 (1994년) 메이블 (1995년) 스티브 오스틴 (1996년) 트리플 H (1997년) 켄 섐록 (1998년) 빌리 건 (1999년) 커트 앵글 (2000년) 에지 (2001년) 브록 레스너 (2002년) 부커 T (2006년) 윌리엄 리걸 (2008년) 셰이머스 (2010년) 배드 뉴스 배럿 (2015년) vdeh헬 인 어 셀 - 역대 참전자 언더테이커 (1997년, 7승) 숀 마이클스 (1997년, 3승) 스티브 오스틴 (1998년) 케인 (1998년, 1승) 믹 폴리 (1998년) 빅 보스맨 (1999년) 트리플 H (2000년, 6승) 더 락 (2000년) 리키쉬 (2000년) 커트 앵글 (2000년, 1승) 크리스 제리코 (2002년) 브록 레스너 (2002년, 2승) 케빈 내쉬 (2003년) 바티스타 (2005년, 2승) 랜디 오턴 (2005년, 4승) 빈스 맥마흔 (2006년) 쉐인 맥마흔 (2006년) 빅 쇼 (2006년) 에지 (2008년) CM 펑크 (2009년, 2승) 존 시나 (2009년, 2승) 테드 디비아시 (2009년) 코디 로즈 (2009년) 셰이머스 (2010년) 돌프 지글러 (2011년) 잭 스웨거 (2011년) 알베르토 델 리오 (2011년, 1승) 마크 헨리 (2011년, 1승) 라이백 (2012년) 폴 헤이먼 (2013년) 대니얼 브라이언 (2013년) 세스 롤린스 (2014년, 1승) 딘 앰브로스 (2014년) 로만 레인즈 (2015년, 2승) 브레이 와이엇 (2015년) 루세프 (2016년) 케빈 오웬스 (2016년, 2승) 사샤 뱅크스 (2016년) 샬럿 플레어 (2016년, 1승) 빅 E (2017년) 재비어 우즈 (2017년) 제이 우소 (2017년, 1승) 지미 우소 (2017년, 1승) 제프 하디 (2018년) 브라운 스트로우먼 (2018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록_레스너&oldid=24261795" 분류: 197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미국의 프로 레슬러미국의 미식축구 선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사우스다코타주 출신독일계 미국인미네소타 대학교 동문헤비급 종합격투기 선수도핑 위반 종합격투기 선수여러 종목에서 활동한 스포츠 선수미국의 도핑 위반 선수미국계 캐나다인폴란드계 미국인독일계 캐나다인폴란드계 캐나다인숨은 분류: 로컬에는 없지만 위키데이터에는 있는 그림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08년 8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LietuviųनेपालीNederlandsNorskଓଡ଼ିଆ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Kiswahili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록 레스너(Brock Lesnar, 1977년 7월 12일 - )는 미국의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다. 피니쉬는 F-5(파이어맨즈 캐리 페이스버스터) 서브미션 피니쉬인 브록 락(오버-더 숄더 싱글 레그 보스턴 크랩), 기무라 락, 스피닝 스파인버스터, 슈팅 스타 프레스로 사용을 한다. 다만 수플렉스 시티라는 저먼 수플렉스를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브록 레스너는 2019년 펼쳐진 머니 인 더 뱅크에서 어떤 성적을 거두었는가? Assistant: 우승 Human: 아래 풀리_(베트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풀리 (베트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풀리 (베트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풀리시Thành Phố Phủ Lý 풀리시의 위치 현황 국가 베트남 지방 홍강 삼각주 성 하남성 면적 87.87 km² 총인구 136,654 명 (2009) 인구밀도 1,555 명/km² 방 11개 사 10개 소재지 르엉카인 프엉 비엔호아 거리 우편번호 18100[1] 전화번호 +84 226 홈페이지 http://hanam.gov.vn/ 풀리시(베트남어: Thành Phố Phủ Lý/ 城舖府里)는 베트남 하남성의 성도이다. 하노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목차 1 역사 2 행정구역 2.1 프엉 2.2 싸 3 갤러리 4 자매도시 5 각주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발니가 프란시스 가르니에와 함께 1873년 10월 26일 하노이성 서문에서 사망하기 전인, 1830년 10월 26일에 아드리엥 폴 발니가 이끄는 프랑스의 포함 레스핑골레(l'Espingole)와 28명의 병력에 의해 함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풀리는 1946년 베트민에 의해 상당수의 베트남 국민당의 지도자가 체포당했다.[2] 도시는 1954년 6월 30일, 프랑스로부터 해방되기 직전에 퇴각하는 프랑스군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3] 풀리는 1966년 7월 14일에서 11월 5일 사이에 걸친 5일간의 미군에 의한 폭격으로 완전 파괴 직전의 상태가 되었다.[4][5] 마이클 맥클리어는 이후에 그 지역을 ‘생명이 없는 황무지’라고 썼다. “주민들은 폭탄 비가 내리릴 것이라는 경고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 전례가 없는 6마일 높이 비행하는 보이지도 않는 B-52의 비행 중대는 소련의 SAM 미사일로 둘러싸인 하노이와 달리 매일 목표물의 구역을 체계적으로 제거했다. 이곳 시골 지역은 적절한 방어물이 없었기 때문이다.”[6] 행정구역[편집] 다음 11개의 프엉(坊)과 10개의 싸(社)를 관할한다. 프엉[편집] 쩌우선 (Châu Sơn /珠山 ) 하이바쯩 (Hai Bà Trưng / 𠄩婆徵 ) 람하 (Lam Hạ /藍夏 ) 레옹퐁 (Lê Hồng Phong /黎鴻豐 ) 리엠찐 (Liêm Chính /廉政 ) 르엉카인티엔 (Lương Khánh Thiện /梁慶善 ) 민카이 (Minh Khai /明開 ) 꽝쭝 (Quang Trung / 光中) 타인쩌우 (Thanh Châu /靑洲 ) 타인뚜옌 (Thanh Tuyền /靑全 ) 쩐헝다오 (Trần Hưng Đạo / 陳興道) 싸[편집] 딘 (Đinh Xá /丁舍) 낌빈 (Kim Bình / 金平) 리엠쭝 (Liêm Chung /廉鐘) 리엠띠엣 (Liêm Tiết /廉節) 리엠뚜옌 (Liêm Tuyền /廉全) 푸번 (Phù Vân /富雲 ) 띠엔하이 (Tiên Hải /先海) 띠엔히엡 (Tiên Hiệp /先協) 띠엔떤 (Tiên Tân / 先新) 찐 (Trịnh Xá /鄭舍) 갤러리[편집] 풀리역 풀리에서 남딘으로 연결된 21B번 국도 풀리시 중앙부 자매도시[편집] 베트남 비엔호아 각주[편집] ↑ 2018년 1월 1일, 정부령 Decision 2475 / QD-BTTTT ↑ Van Dao Hoang Viet Nam Quoc Dan Dang: A Contemporary History of a National Struggle: 1927-1954 Pittsburgh 2008 Page 333 "However, during their retreat, many were arrested by the VC military force and public security when they arrived at Phủ Lý. They were then taken to Thanh Hóa and Nghệ An for detention. Included among the prisoners were Đỗ Văn, Bùi Anh Tuan and Mrs. Đặng Trần Hồ. Those who decided to stay had to defend their headquarters and confront their enemies, because the VC continued to terrorize and execute them." ↑ Nguyen Công Luan Nationalist in the Viet Nam Wars: Memoirs of a Victim Turned Soldier 2012 "the retreating route of the French forces launched its bloody attacks at Phủ Lý, a small town thirty miles south of Hà Nội." ↑ Liberation: an independent monthly Volumes 11-12 1966 "Phu Ly was attacked on six different occasions, five of them between July 14 and November 5, 1966 (when I happened to be in the outskirts)." ↑ Elizabeth Jelinek Boardman The Phoenix trip: notes on a Quaker mission to Haiphong 1985 "We knew that Phu Ly was a city of 7,600 people that lay about thirty five miles south of Hanoi. We also knew that it had been completely destroyed six months before in a series of air attacks lasting five days." ↑ Michael Maclear, Guerrilla Nation: My Wars In and Out of Vietnam (Dundurn, 2013) pages 59-60.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풀리 풀리시 (공식) vdeh하남성의 행정 구역시 풀리시 현 낌방현 리년현 빈룩현 주이띠엔현 타인리엠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풀리_(베트남)&oldid=24368752" 분류: 베트남의 도시하남성베트남의 성도숨은 분류: 베트남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ebuano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اردوTiếng ViệtWinaray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3일 (월) 16: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풀리시(베트남어: Thành Phố Phủ Lý / 城舖府里)는 베트남 하남성의 성도이다. 하노이에서 남쪽으로 약 6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마이클 맥클리어가 '생명이 없는 황무지'라고 표현한 베트남의 지역은 어디인가? Assistant: 풀리
Human: 아래 스카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스카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카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스카디 스카디(고대 노르드어: Skaði, 독일어: Skadi 또는 Skade, 영어: Skathi)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요툰계 여신으로, 활사냥, 스키, 겨울, 산맥과 관련이 있는 여신이다. 스카디는 13세기에 쓰인 고대 시가 모음집 《고 에다》 및 스노리 스툴루손의 저술 《신 에다》와 《헤임스크링글라》에 등장한다. 등장하는 모든 문헌에서 스카디는 신족에게 살해당한 요툰 샤치(Þjazi)의 딸이며, 신들에게 자기 아버지를 죽인 대가를 요구하여 그 보상으로 뇨르드와 결혼한다. 《헤임스크링글라》에 보면 그 뒤 스카디는 뇨르드와 갈라섰으며, 오딘과 새로 결혼하여 많은 자식을 낳았다고 한다. 또한 포박된 로키 위에 뱀을 매달아서 독을 떨어뜨리게 한 것이 스카디라고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동일하게 언급되어 있다. 스카디를 부르는 다른 이름으로는 온두르구드(고대 노르드어: Öndurguð→스키의 신)와 온두르디스(고대 노르드어: Öndurdís→스키의 숙녀)가 있다. 이름 ‘스카디’(Skaði)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라는 말의 원형(原型)과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스칸디나비아 각지, 특히 스웨덴에는 스카디의 이름이 붙은 지명이 다수 존재한다. 신화학자들은 스카디가 울르(역시 스키의 신이며 스웨덴의 지명에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나 로키와도 연줄이 닿아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스칸디나비아’라는 말은 “스카디의 섬”을 뜻하거나, 또는 “피해, 손해”를 의미하는 노르드어 명사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는 이론을 세웠다. 목차 1 어원 2 문헌상의 출전 2.1 고 에다 2.2 신 에다 2.2.1 길피의 속임수 2.2.2 시어법 2.3 헤임스크링글라 3 신화 해석 3.1 뵐숭 그 일족의 사가 3.2 그 외 4 각주 5 참고 자료 6 외부 링크 어원[편집] 고대 노르드어 "스카디"(Skaði)와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 "스카네이"(Skáney)는 고트어 skadus, 고대 영어 sceadu, 고대 색슨어 scado, 고대 고지독일어 scato ("그림자"라는 뜻)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John McKinnell은 이러한 어원으로 보아 스카디가 스칸디나비아라는 지형의 의인화 또는 한때 지하세계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 조르주 둠질은 "스칸딘-아비아"를 "스카디 여신의 땅"이라고 해석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둠질은 "스칸딘"은 "어둠" 또는 "우리가 알 수 없는 무언가"와 관계가 있을(또는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둠질은 마찬가지로 아일랜드 신화에서 나타나는 에리우 여신 역시 "아일랜드"라는 지명과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다른 것에서 유래된 이름일 것이라고 말한다.[2] "스카디"를 "피해"라는 뜻의 고대 노르드어 명사 skaði와 연관짓기도 한다.[3]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에서 "피해, 손해"를 뜻하는 skaði는 같은 의미인 영어의 사어(死語) scathe와 어원이 같다.[4] 문헌상의 출전[편집] 고 에다[편집] 〈프레이의 상사병〉에 묘사된 뇨르드, 스카디, 프레이. 1908년, W. G. Collingwood 작.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 보면 주신 오딘(‘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이 아그나르 게일로드손에게 열두 개의 장소의 존재를 밝힌다. 오딘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 11절에서 그 중 여섯 번째 장소로 스림헤임(Þrymheimr)을 언급하는데, 한때 요툰 샤치가 거기 살았으며, 이제는 그 딸 스카디가 살고 있다고 묘사한다. 오딘은 스림헤임이 “오래된 궁전”(ancient courts)이며 스카디는 “신들의 빛나는 신부”(the shining bride of the gods)라고 한다.[5] 〈스키르니르가 말하기를〉의 서두 산문에서는 프레이가 요툰헤임에서 요툰 소녀 게르드를 보고는 앓아눕게 된다. 시가의 첫 번째 시구에서 프레이의 아버지 뇨르드는 프레이의 하인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에게 말을 좀 걸어 보라고 요구한다. 스카디 또한 등장하여 스키르니르에게 프레이가 왜 그렇게 속앓이를 하는지 이유를 물어보라고 한다.[6] 〈로키의 말다툼〉에서 스카디는 뇨르드의 아내로서 등장하여 에기르의 연회에 참석한다.[7] 로키가 헤임달과 대화를 끝낸 후 스카디가 끼어든다. 스카디는 로키가 경박하다면서 꼬리치며 노는 짓거리를 그만두지 않으면 신들이 로키의 아들의 얼음처럼 식은 창자를 가지고 로키를 날카로운 바위에 묶어 버릴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자 로키는 과거 샤치를 죽였을 적에 자신이 첫째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고 대답한다. 스카디는 만약 그렇다면 언제나 자신의 들판과 우물에서 로키에 대한 저주가 쏟아질 것이라고 대답한다. 로키는 스카디가 침대 안에 있을 때는 이것보다 상냥하게 말한다고 대꾸한다. 로키는 스카디뿐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여신들이 자신과 잠자리를 같이한 것을 폭로한다. 로키와 스카디의 대화가 끝나자 시프가 나서서 로키에게 맥주를 따라 준다.[8] 〈로키의 말다툼〉의 결말 산문에서 신들은 로키를 붙잡아 로키의 아들 나리(Nari)의 창자로 로키를 포박한다. 스카디는 로키의 얼굴 위에 독사를 매달아 놓는다. 뱀의 아가리에서 독이 방울져 떨어지고, 로키의 아내 시귄이 앉아 뱀의 아래 양푼을 받쳐들고 독을 받아낸다. 그릇이 다 차면 시귄은 그릇을 비우러 자리를 뜨는데, 이 때 로키의 얼굴에 사독이 떨어져 로키는 극도의 분노와 고통으로 온몸을 비튼다. 이 로키의 몸부림이 바로 지진의 원인이라고 한다.[9] 〈휜들라의 음률시〉에서는 여자 요툰 휜들라가 프레이야에게 신화상의 여러 족보를 설명해 준다. 그 중 샤치에 대한 언급이 나오며, 스카디는 그 딸이라고 한다.[10] 신 에다[편집] 길피의 속임수[편집] 바다를 그리워하는 뇨르드. 윌리엄 콜링우드의 1908년 작품. 산맥을 그리워하는 스카디. 역시 콜링우드의 1908년 작품. 〈길피의 속임수〉 제23장에서 옥좌에 앉은 높으신 분은 뇨르드의 아내가 스카디이며, 스카디는 요툰 샤치의 딸이라는 이야기를 해 준다. 높으신 분은 스카디는 자기 아버지(신들에 의해 고인이 된)가 소유했던 땅인 스림헤임에 살고 싶어했고, 뇨르드는 바다 근처에 살고 싶어했다고 회상한다. 결국 둘은 스림헤임에서 9일을 지내고 그 뒤 3일은 뇨르드의 바닷가 저택인 노아툰에서 지내기로 합의를 보았다(또는 《코덱스 레기우스》에 따르면 스림헤임에서 9번의 겨울을 지내고(즉 9년을 지내고) 노아툰에서 그 다음 9년을 지냈다고도 한다[11]). 그러나 뇨르드가 스림헤임의 산맥에서 바닷가의 노아툰으로 돌아오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아 지긋지긋한 산맥이여, 겨우 9일 밤을 지샜을 뿐이지만, 그곳을 다시 바라지 않으리. 늑대들의 울부짖는 소리 백조의 노래와 비교하면 그저 추하게만 들릴 뿐이라오”[12] 그러자 스카디는 이렇게 답한다. “나는 바다를 베고는 꽥꽥거리는 새소리 때문에 잠들 수가 없어라. 저 넓은 바다에서 아침이 다가오면 갈매기 새끼가 나를 깨우네.”[12] 이 대화의 출처가 어딘지는 《신 에다》 어디에도 밝혀져 있지 않다. 이어 높으신 분은 결국 스카디는 산맥으로 돌아가 스림헤임에 살았으며, 그곳에서 스키와 궁술을 즐기고 산짐승들을 사냥하며 잘 살았다고 한다. 높으신 분은 스카디의 다른 이름으로 "스키의 신"이라는 뜻의 온두르구드(Öndurgud), "스키의 숙녀"라는 뜻의 온두르디스(Öndurdís)가 있다고 말한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고 에다》의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을 인용하고 있다.[11] 그 다음 장(제24장)에서 높으신 분은 "이 일이 있은 후" 뇨르드가 두 명의 자식을 보았으며, 그것이 프레이와 프레이야라고 한다. 남매의 어머니가 누구인지는 이야기하지 않는다.[13] 〈길피의 속임수〉 제51장 말미에서 높으신 분은 신들이 로키를 포박했던 이야기를 한다. 스카디가 독사를 잡아와서 포박당한 로키의 위에 매달아 두었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독액이 로키의 얼굴에 떨어지게 되었다. 로키의 아내 시귄은 사발을 받처 독액을 받아내지만, 사발이 다 차서 시귄이 사발을 비우러 간 사이 로키는 독액을 맞고 고통에 몸을 뒤튼다. 그 발악이 얼마나 셌는지 땅까지 흔들리게 되는데 이것이 오늘날 우리가 지진이라고 부르는 현상이라고 한다.[14] 시어법[편집] 신랑감을 고르는 스카디. 〈시어법〉 제56장에서 브라기는 에기르에게 신들이 샤치를 죽였던 이야기를 들려준다. 샤치의 딸 스카디가 투구를 쓰고, 쇄자갑을 걸치고, "전쟁에 쓰이는 무기는 모두" 들고서 아스가르드로 향했다. 스카디가 도착하자 신들은 그녀의 부친상을 사과하면서 보상을 해주겠다고 제안한다. 스카디는 자신이 원하는 합의사항을 전달하고, 신들은 스카디가 자신들 중에서 남편감을 골라도 좋다고 동의한다. 대신, 스카디는 남신들의 발만 보고 골라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스카디는 어느 한 쌍의 발을 보고 그 발이 매력적이라고 느껴서, 발의 주인이 발드르일 것이라고 생각해 그 발을 골랐다. 하지만 발의 주인은 뇨르드였다.[15] 스카디의 합의조건에는 남편을 줄 것 뿐 아니라 자신을 웃겨 보라는 것도 있었다. 스카디를 웃기기 위해 로키는 염소의 수염에 끈을 묶고 끈의 반대쪽 끝은 자신의 불알에 묶었다. 염소와 로키가 줄다리기를 시작하자 둘 모두 요란하게 비명을 질러댔다. 로키는 스카디의 무릎에 쓰러졌고 스카디는 웃음을 터뜨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딘이 샤치의 두 눈을 뽑아 하늘에 매달아 별로 만들어 줌으로써 스카디와의 합의가 모두 끝났다.[15] 〈시어법〉 뒷부분에서 토르드 샤레크손이 지슨 스칼드 시가가 인용된다. 이 시에서 스카디는 "현명한 여신"(the wise god-bride)이라고 칭해지며 "반을 사랑할 수 없었다"고 한다. 시 아래에 딸린 산문 해설에서 이것이 스카디가 뇨르드를 떠나는 것을 가리킨다고 명시하고 있다.[16] 제16장에서 로키의 이명(異名)들이 나열되는데 그 중에는 "헤임달과 스카디의 원수"라는 것도 있다.[17] 제22장에서 10세기의 시 〈기나긴 가을〉이 나오는데, 여기서 흐비니르의 쇼돌프는 수소를 “활시위 바르(스카디)의 고래”라고 한다.[18] 제23장에서 브라기 보다손은 샤치를 “스키의 디스의 아버지”라고 한다.[19] 제32장에서 스카디는 에시르의 연회에 참석한 6명의 여신들 중 하나로 이름이 올라와 있다.[20] 제75장에서 아쉬뉴르 27여신의 명단에도 스카디가 올라와 있다.[21] 헤임스크링글라[편집] 카를 프리드리히 폰 잘차가 그린 Skade (1893년) 《헤임스크링글라》 중 《잉글링가 사가》 제8장에 보면 에우헤메리즘적으로 해석된 스카디가 나타난다. 여기서 스카디는 한때 뇨르드와 결혼했지만, 그와의 섹스를 거부했고 결국 이혼해서 나중엔 오딘과 결혼했다고 한다. 스카디와 오딘은 "많은 아들들"을 낳았다. 그 아들들 중 이름이 밝혀지는 것은 세밍그 한 명 뿐인데, 그는 노르웨이의 왕이 되었다. 에위빈드 스칼다스필리르의 스칼드 시 중 2개 절이 인용되어 있다. 첫 번째 절에서 스카디는 요툰이며 또한 "어여쁜 아가씨"라고 한다. 두 번째 절은 일부분이 소실되었는데, 다음과 같다. . . . 바다의 뼈대, 그리고 스키의 여신은 오딘과의 사이에서 많은 아들을 낳았다[22] 리 홀랜더는 "바다의 뼈"란 "암석"을 가리키는 케닝이라고 해석하면서, 이것은 산맥과 스키의 여신인 스카디를 "암석의 거주자"라고 칭한 것이라고 주장한다.[22] 신화 해석[편집] 뵐숭 그 일족의 사가[편집] 노르웨이의 산맥의 눈더미. 《뵐숭 그 일족의 사가》 제1장에 보면 스카디라는 이름의 다른 존재가 등장한다. 이 스카디는 남자인데, 브레디라는 이름의 하인을 갖고 있다. 오딘의 아들인 시기가 어느 겨울 하인을 대동해 사냥을 나갔다. 저녁이 될 때까지 사냥을 해서 서로의 수확을 비교해 보았는데, 브레디가 더 많은 짐승을 잡은 것을 본 시기는 브레디를 죽인 뒤 그 시체를 눈더미 속에 파묻어서 유기한다.[13] 그날 밤 시기는 집으로 돌아가서 브레디를 숲속에서 잃어버렸다고 말한다. 스카디는 시기의 설명에 납득하지 못하고 시기가 브레디를 죽여 놓고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한다. 스카디는 사람들을 보내 브레디를 찾아보라고 하고, 마침내 눈더미 속에서 브레디의 시체를 발견한다. 이에 스카디는 앞으로 눈더미를 "브레디의 더미"라고 부를 것이라고 선언한다. 살인이 명약관화 밝혀지자 시기는 오딘에게 추방당하고, 스카디는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13] Jesse Byock은 여신 스카디 역시 겨울과 사냥을 맡고 있는 신이라는 것을 지적하면서, 《뵐숭 그 일족의 사가》에 등장하는 남자 스카디, 시기, 브레디의 이야기가 지금은 실전된 신화에서 파생된 이야기가 아닌지 추측한다.[23] 그 외[편집] 존 린도우는 〈길피의 속임수〉에서 로키가 염소와 자기 불알을 사용해 저지른 괴상한 짓으로 미루어 보아 여신을 웃게 만들기 위한 의식에서 거세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린도우는 〈로키의 말다툼〉과 〈길피의 속임수〉에서 모두 스카디가 로키의 머리 위에 독사를 매달았던 것을 한 예시로 들면서 로키와 스카디가 특별한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점도 지적한다.[24] 울르 역시 스키의 신이고, 또 스웨덴에 울르와 스카디의 이름에서 유래한 지명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일부 신화학자들은 울르와 스카디 사이에도 어떤 연관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다.[24] 또 한편 스카디가 원래는 남신이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다.[25]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스카디를 숭배하는 종교가 노르웨이 최북단 할로갈란 일대에서 번창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데이비드슨은 그 근거로 “그녀는 스키와 활사냥 등 사미인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녀가 뇨르드와 이혼한 것은 스칸디나비아인들과 사미인들이 밀접하게 접촉했던 이 지역에서 스카디교와 바니르교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26] 각주[편집] ↑ McKinnell (2005:63). ↑ Dumézil (1973:35). ↑ Davidson (1993:62). ↑ “sca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Merriam-Webster. 2014년 2월 25일에 확인함. Middle English skathe, from Old Norse skathi; akin to Old English sceatha injury, Greek askēthēs unharmed  ↑ Larrington (1999:53). ↑ Larrington (1999:61). ↑ Larrington (1999:84). ↑ Larrington (1999:93 and 276). ↑ Larrington (1999:95-96). ↑ Larrington (1999:257). ↑ 가 나 Byock (2006:141). ↑ 가 나 Byock (2006:33-34). ↑ 가 나 다 Byock (2006:35). ↑ Byock (2006:70). ↑ 가 나 Faulkes (1995:61). ↑ Faulkes (1995:75). ↑ Faulkes (1995:77). ↑ Faulkes (1995:87). ↑ Faulkes (1995:89). ↑ Faulkes (1995:95). ↑ Faulkes (1995:157). ↑ 가 나 Hollander (2007:12). ↑ Byock (1990:111). ↑ 가 나 Lindow (2001:268—270). ↑ Davidson (1993:61). ↑ Davidson (1993:61—62). 참고 자료[편집] Allen, E. John B. (2007). The Culture and Sport of Skiing.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ISBN 1-55849-601-7 Byock, Jesse (Trans.) (1990). The Saga of the Volsungs: the Norse Epic of Sigurd the Dragon Slay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285-3 Byock, Jesse (Trans.) (2006). The Prose Edda. Penguin Classics. ISBN 0-14-044755-5 Davidson, Hilda Ellis (1993). The Lost Beliefs of Northern Europe. Routledge. ISBN 0-203-40850-0 Dumézil, Georges (1973). From Myth to Fiction: the Saga of Hadingu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16972-3 Faulkes, Anthony (Trans.) (1995). Edda. Everyman. ISBN 0-460-87616-3 Hollander, Lee Milton. (Trans.) (2007). Heimskringla: History of the Kings of Norway.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978-0-292-73061-8 Larrington, Carolyne (Trans.) (1999). The Poetic Edda. Oxford World's Classics. ISBN 0-19-283946-2 Lindow, John (2001).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382-0 McKinnell, John (2005). Meeting the Other in Norse Myth and Legend. D.S. Brewer. ISBN 1-84384-042-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스카디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vdeh노르드 신화등장인물에시르 델링그 로두르 로키 마니 메일리 모디와 마그니 발드르 발리 브라기 비다르 빌리와 베이 오드 오딘 울르 토르 튀르 크바시르 포르세티 헤르모드 헤임달 호드 회니르 아쉬뉴르 게르드 게푠 그나 난나 뇨룬 란 로픈 린드 바르 보르 빌 사가 솔 쇼픈 쉰 스노트라 스루드 스카디 시귄 시프 에이르 요르드 이둔 이르파 일름 토르게르드 홀가브루드 프리그 풀라 흘린 바니르 굴베이그 뇨르드 뇨르드의 처 프레이 프레이야 요트나르 군늘로드 그리드 라우페위 로기 미미르 바우기 바프스루드니르 베르겔미르 벨리 소크 수르트 수퉁그 스륌 신마라 야른삭사 에기르 우트가르다로키 위미르 샤치 휘미르 흐레스벨그 흐로드 흐룽그니르 흐륌 괴물 가름 니드호그 라타토스크 베드르폴니르와 수리 아우둠블라 요르문간드 펜리르 헬 요정 드베르그 알프 도크알프 료스알프 스바르트알프 디시르 노른 우르드 베르단디 스쿨드 발키리 브륀힐드 시그룬 … 인간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아스크와 엠블라 에인헤랴르 인간 영웅들 군나르 라그나르 시구르드 시그문드 아틀리 헬기 호그니 … 그 외 뤼티르 베티르 보르 볼룬드 부리 스킨팍시와 흐림팍시 장소 긴눙가가프 니다벨리르 나스트론드 니플헤임 니플헬 무스펠스헤임 미드가르드 바나헤임 발홀 비그리드 비프로스트 스바르트알파헤임 아스가르드 우물들 미미스브룬느 흐베르겔미르 우르다르브룬느 우트가르드 위그드라실 요툰헤임 알프헤임 폴크방 헬헤임 사건 아스-반 전쟁 햐드닝가비그 핌불베트르 라그나로크 문헌 《데인인의 사적》 룬스톤 에다 《고 에다》 《신 에다》 사가 티르핑 대계 뵐숭 대계 사트르 스칼드 고대 노르드어 철자법 대중문화 사회 블로트 펠라그 게르만의 역법 헤이티 호르그 케닝그 욜 연회장 니드 종교의례 Numbers 세이드 스칼드 바이킹 시대 볼바 스캴드메르 참조 신 목록 북유럽 신화의 인물, 보물, 장소 목록 게르만 이교 아사트루 전거 통제 VIAF: 67387334 GND: 12396838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스카디&oldid=22348475" 분류: 아쉬냐여신사냥의 신요툰숨은 분류: 좋은 글고대 노르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Íslenska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08: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스카디(고대 노르드어: Skaði, 독일어: Skadi 또는 Skade, 영어: Skathi)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요툰계 여신으로, 활사냥, 스키, 겨울, 산맥과 관련이 있는 여신이다. 스카디는 13세기에 쓰인 고대 시가 모음집 《고 에다》 및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저술 《신 에다》와 《헤임스크링글라》에 등장한다. 등장하는 모든 문헌에서 스카디는 신족에게 살해당한 요툰 샤치(Þjazi)의 딸이며, 신들에게 자기 아버지를 죽인 대가를 요구하여 그 보상으로 뇨르드와 결혼한다. 《헤임스크링글라》에 보면 그 뒤 스카디는 뇨르드와 갈라섰으며, 오딘과 새로 결혼하여 많은 자식을 낳았다고 한다. 또한 포박된 로키 위에 뱀을 매달아서 독을 떨어뜨리게 한 것이 스카디라고 《고 에다》와 《신 에다》에 동일하게 언급되어 있다. 스카디를 부르는 다른 이름으로는 온두르구드(고대 노르드어: Öndurguð→스키의 신)와 온두르디스(고대 노르드어: Öndurdís→스키의 숙녀)가 있다. 이름 ‘스카디’(Skaði)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라는 말의 원형(原型)과 모종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스칸디나비아 각지, 특히 스웨덴에는 스카디의 이름이 붙은 지명이 다수 존재한다. 신화학자들은 스카디가 울르(역시 스키의 신이며 스웨덴의 지명에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나 로키와도 연줄이 닿아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스칸디나비아’라는 말은 “스카디의 섬”을 뜻하거나, 또는 “피해, 손해”를 의미하는 노르드어 명사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는 이론을 세웠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카디의 첫번째 남편은 누구일까? Assistant: 뇨르드 Human: 아래 질베르_뒤_모티에_드_라파예트_후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후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후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생애 1757년 9월 6일 ~ 1834년 5월 20일 출생지 오베르뉴 오트루아르 주 샤바니악 사망지 파리 별명 두 세계의 영웅 최종 계급 소장 (미국) 준장 (프랑스) 근무 프랑스미국 지휘 미국 독립 전쟁 브랜디와인 전투 글로스터 전투 배런힐 전투 먼마우스 전투 로도스 아일랜드 전투 그린 스프링 전투 요크타운 전투 주요 참전 미국 독립 전쟁 마리조제프폴로슈이브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후작(Marie-Joseph-Paul-Roch-Yves-Gilbert du Motier, Marquis de La Fayette, 1757년 9월 6일 ~ 1834년 5월 20일)는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장교로서 남부 프랑스 오베르뉴 레지옹의 오트루아르 주의 샤바니악 코뮌 출신 귀족이다. 미국 독립전쟁에 참가한 장군이며, 프랑스 혁명 중에는 국민위병의 지휘를 맡았다. 미국 독립전쟁에서 조지 워싱턴 휘하에서 대륙군을 지위한 주요 장군이었다.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부상당한 와중에도 성공적으로 부대를 철수시켰다. 로도스 아일랜드 전투에서도 탁월히 임무를 수행하였다. 전쟁 중반에, 프랑스로 돌아가 프랑스의 지지를 상승시켰다. 돌아온 후, 요크 타운 공략전에서 콘월리스의 부대를 봉쇄하였다. 1788년, 프랑스로 다시 되돌아간 후, 프랑스 귀족 의회에 의해 부름을 받아 프랑스 국고 문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라파예트는 귀족, 성직자, 평민의 세 신분의 대표자를 모으는 삼부회를 소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랑스 인권 선언의 초안과 결론을 작성하였다. 심각한 치안 상황 하에 국민위병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임명되어, 프랑스 혁명 중에 국민위병의 기강을 유지하고, 시위대의 방화에 대응하는 등 국가의 질서를 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행동은 결국 자코뱅 당에 의해 박해되는 구실이 되었다. 1792년 8월, 점점 급진적인 파벌들이 힘을 얻게 되자, 라파예트는 네덜란드 공화국을 통해 미국으로 망명을 시도하였으나, 오스트리아에 의해 잡혀 이후 5년 이상 수형 생활을 하게 된다. 1797년, 나폴레옹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나 프랑스에 돌아왔다. 나폴레옹 정부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였나, 백일천하 중인 1815년에는 의회(Chamber of Deputies)에 등용되게 된다. 부르봉 왕정복고 중에는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활동하였고, 죽을 때까지 그 지위를 보유하였다. 1824년, 미국의 제임스 먼로 대통령은 그에게 "국가적인 내빈"으로서 초청하여 방문을 권유하였고, 여행 중에 그는 미국의 24개 주를 전부 돌아보았다. 미국 독립전쟁 중에 그가 성취한 영광을 기려 미국 내의 많은 도시들과 기념물들이 그의 이름을 가졌다. 1830년, 프랑스 7월 혁명 중에, 프랑스의 지도자가 되라는 요청을 거부하였고, 그 대신에 입헌군주제에 도움을 달라는 제안을 받아들였다. 라파예트는 1834년 5월 20일 사망하였다. 그의 시신은 파리 픽푸스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조지 워싱턴의 묘지에서 가져온 흙 아래 묻혔다. 그는 생전에 미국 시민권을 수여받았고, 2002년에는 미국 명예 시민권을 받았다. 그가 미국과 프랑스에서 이룩한 성취로서 그는 "두 세계의 영웅 (The Hero of the Two Worlds)"으로 알려져있다. 목차 1 가계 2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2.1 참전 2.2 미국으로 출발 3 미국 독립전쟁 3.1 브랜디와인, 올버니, 콘웨이 모략 3.2 배런힐, 먼마우스, 로도스 아일랜드 3.3 프랑스로의 귀환 3.4 버지니아, 요크타운 4 프랑스로 복귀 및 미국 재방문 5 프랑스 혁명 5.1 귀족 의회와 삼부회 6 각주 7 참고 자료 가계[편집] 라파예트의 출생지인 샤바니악 라파예트는 1757년 9월에 태어났다. 그의 풀네임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보통 라파예트 후작 혹은 단순히 라파예트라고 호칭한다. 전기작가인 루이스 고트샤르크 (Louis R. Gottschalk)에 따르면 라파예트는 자신의 이름을 Lafayette 와 LaFayette 의 두 가지 스펠링으로 작성했다고 한다.[1] 라파예트의 혈통은 오베르뉴의 가장 오래된 가문 중의 하나이다.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그 가문의 분위기였다.[2] 라파예트의 선조인 길베르트 드 라파예트는 오를레앙의 잔다르크의 부대에 소속되었었고, 그의 증조부는 왕실 근위대 소속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그의 선조는 6차 십자군 전쟁 중에 왕좌에 올랐다고 한다.[3] 라파예트의 삼촌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 중에 전사하였고, 라파예트의 아버지에게 후작의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4] 라파예트의 아버지는 웨스트팔리아의 민덴 전투에서 대포에 맞게 되고, 1759년 8월 1일에 전사한다. 그리하여, 라파예트가 샤바니악의 후작의 자리에 오르고, 재산은 어머니가 관리하게 된다. 라파예트의 어머니와 외할아버지는 차례로 1770년 4월 3일과 24일에 사망하고, 라파예트에게 25,000 리브르의 재산을 물려주게 된다. 삼촌의 사망이 이어져, 12살의 라파예트는 120,000 리브르의 연수입을 가져다주는 재산도 물려받는다. 프랑스에서 미국으로[편집] 대륙군에서 소장으로 복무 중이던 시기의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참전[편집] 1775년, 메츠에서의 군사 훈련에 참가하던 중 동부 사령관 드 브로이 후작으로부터 미국에서의 분쟁에 대해 듣게 된다. 그는 '내 마음이 이미 빼앗겼고 깃발 아래 참전하는 것만을 생각했다'라고 작성하였다. 라파예트는 가을에 파리로 돌아와 생각하는 그룹(sociétés de pensée) 에 참가하여 미국 독립전쟁에 프랑스의 참전에 대해 논의했다. 1776년 12월, 라파예트는 파리의 미국 대리인인 실라스 딘을 통해 미국의 장군 지위로 군사 의무를 수행할 것을 약속받았다. 1777년, 프랑스 정부는 샤를 그라비에 장관에 의해 미국에게 1백만 리브르의 재정 지원을 하는 계획을 세우는데, 드 브로이가 그에게 접촉하여 프랑스 장교를 지원하는 계획을 이야기하며 라파예트를 추천하였다. 미국으로 출발[편집] 라파예트는 대륙 의회가 항해 비용을 댈 돈이 없다는 걸 알고는, 라 빅토리에르 (La Victoire) 호를 스스로 구입하였다. 왕은 영국의 스파이들이 그의 계획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그의 출항을 금지하였고, 그의 대부가 복무하는 마르세유의 연대에 입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거부는 곧 감옥살이로 처벌받을 것을 의미했다. 영국 대사는 보르도에서 건조되는 라파예트의 배를 압류할 것을 주장했고, 라파예트는 붙잡힐 것을 두려워했다. 그는 에스파냐로 이동한 후, 1777년 4월 20일, 미국으로 출항한다. 여성으로 변장하였고, 프랑스에는 그의 임신한 아내를 남겨두었다. 배의 선장은 화물을 판매하기 위해 카리브 해에 잠시 입항할 계획이었으나, 라파예트는 붙잡힐 것을 두려워하여 중간에 섬들을 경유하지 않았다. 그는 1777년 7월 13일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조지타운 근처의 노스 아일랜드에 내렸다. 미국 독립전쟁[편집] 포지 계곡에서의 워싱턴과 라파예트 라파예트는 도착하여 벤자민 후거(Benjamin Huger)를 만났다. 그리고 2주 후에 필라델피아로 출발한다. 대륙 의회는 라파예트의 승인을 늦추는데, 지금까지 "프랑스에서 온 한탕주의자"들에게 너무 질려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라파예트가 급료를 요구하지 않고 의무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고난 후 1777년 7월 31일에 의회는 그를 소장(Major General)의 직위를 수여한다.[5] 지휘할 부대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거의 프랑스로 돌아가려고 하였다.[6][7] 벤자민 프랭클린은 조지 워싱턴에게 라파예트를 받아들일 것을 권유하였고, 그것이 프랑스에게서 더 많은 도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이야기하였다.[8] 이에 조지 워싱턴은 승낙하며, 1777년 8월 10일 라파예트를 펜실베니아 벅 카운티의 몰란드 하우스에서 만난다.[9] 워싱턴이 부대와 숙영지의 상태에 대해 부끄러워하는 모습을 보이자, 라파예트는 '저는 여기 배우러 왔습니다. 남을 가르치려고 온 것이 아닙니다.'라고 대답하였다.[10] 라파예트 자신의 불분명한 위치와 여러 혼란에도 불구하고, 그는 워싱턴의 휘하가 될 수 있었다. 의회는 그를 명예직으로 취급하였으나, 라파예트는 자신을 완전한 장군으로서 생각하였고 때가 된다면 워싱턴이 자신에게 사단의 지휘권을 줄 것이라 믿었다. 그에게 워싱턴은 그가 이곳 사람이 아니기에 사단 지휘권을 줄 수는 없다고 말했으나, "친구이자 아버지"로서 그의 존재만으로 만족한다고 말했다.[11] 브랜디와인, 올버니, 콘웨이 모략[편집]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부상당한 라파예트 1777년 9월 11일, 라파예트는 브랜디와인에서 첫 번째 전투를 치렀다.[12] 영국군이 미국군을 측면에서 포위하자, 워싱턴은 라파예트를 설리반 장군에게 보냈다. 도착 후, 라파예트는 토마스 콘웨이 여단장 휘하 제 3 펜실베니아 여단을 이끌고 진군하여 공격하였다. 영국 및 헤센의 강력한 부대와 조우하여 라파예트는 다리에 총상을 입었다. 미국군의 패퇴하는 중에 라파예트는 자신의 상처에도 불구하고, 부대를 규합하여 기강을 바로 잡아 보다 질서정연히 부대를 인솔하였다.[13] 전투 끝에, 워싱턴은 그를 "용맹과 군인 근성"의 귀감으로 일컫고, 의회에 편지를 보내 일개 사단을 지휘하도록 추천하였다. 모라비아 교회에서의 2달 간의 회복 기간을 보내고 라파예트는 11월에 다시 전장으로 돌아왔고, 아담 스테판 소장의 사단의 지휘권을 인수받았다.[14] 라파예트는 해당 사단의 300명의 병사를 이끌고, 뉴저지에서 영국군의 배치를 정찰하는 나다니엘 그린 장군의 임무를 도왔고, 1777년 11월 24일에는 미국군보다 숫적으로나 질적으로 우세한 헤센군을 뉴저지에서 물리쳤다.[15] 그해 겨울, 그는 포지 계곡으로 돌아온다. 그곳에서 작전 본부의 호라시오 게이츠는 라파예트가 뉴욕 올버니의 군사를 이끌고 캐나다를 공격할 준비를 하라고 요청한다. 토마스 콘웨이는 워싱턴의 지위를 게이츠로 가져가길 바랐고, 게이츠는 사라토가 전투에서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한 전과가 있었다. 그는 날조된 사실을 통해 콘웨이 모략이라 알려져있는 계략을 꾸몄는데, 이는 워싱턴과 그의 충성스런 지지자 중 하나인 라파예트의 사이를 갈라놓는 것이었다.[7] 이에 의심을 한 라파예트는 진군하기 전에 워싱턴에게 자신의 의혹을 알렸다.[16] 라파예트가 올버니에 도착했을 때, 그는 캐나다 정벌을 하기에는 터무니없이 적은 수의 병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워싱턴에게 상황에 대해 보고하는 편지를 작성하였고, 다시 포지 계곡으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출발하기 전에, 그는 카예우라(무시무시한 기수라는 뜻)라고 알려져있는 오네이다 부족을 대상으로 징집하였다. 포지 계곡에서, 그는 부족한 물자로 겨울에 캐나다 정벌 계획을 세운 작전 본부를 비난하였다. 대륙 의회는 그의 주장에 동의하여 게이츠를 작전 본부에서 경질한다.[17] 그 동안, 1778년 3월에 미국과 프랑스 간의 조약은 정식으로 조인되었고,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미국 독립을 인정하였다.[3] 배런힐, 먼마우스, 로도스 아일랜드[편집] 배런힐 전투 미국은 프랑스의 참전에 대한 영국군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78년 5월 18일, 워싱턴은 라파예트에게 2,200명의 군사로 펜실베니아 배런힐 인근을 정찰하라는 임무를 내렸다. 다음날, 영국군은 라파예트가 인근에 숙영지를 편성한 것을 알게되었고 그를 붙잡고자 하였다. 5월 20일, 하우 장군은 6,000명 이상의 병사를 이끌고 라파예트의 좌측면을 공격하였다. 측면이 붕괴되었으나 영국군은 그 기회를 잡지 못했고, 라파예트는 전열을 재정비하여 퇴각한다. 숫적 열세를 만회하고자, 라파예트는 인근에 위치한 언덕인 배런힐로 이동하여, 그 위의 숲에서 기동하였고, 영국군에게 사격하였다.[18] 그곳에서 라파예트의 전체 병력은 일제히 지반이 낮은 길을 통해 도망치는 것도 가능했고,[19] 이어진 길을 통해 마슨스 포드를 가로질러 나갈 수 있었다.[20] 이를 일정 주기를 두어 반복하였다. 라파예트를 잡지 못한 영국군은 그들의 진군을 멈추고 필라델피아에서 다시 뉴욕으로 돌아갔다. 라파예트를 비롯한 대륙군은 그들을 추격하여 뉴저지 먼마우스에서 교전한다.[3] 먼마우스에서, 워싱턴은 찰스 리 장군에게 선공을 맡겼고, 7월 28일에 리 장군은 영국군 측면으로 기동하였다. 하지만, 전투가 벌어지자 그는 제대로 부대를 지휘하지 못했다. 라파예트는 워싱턴에게 자신을 전선에 보내달라고 설득했고, 그가 전선에 도착해보니 리 장군의 병사들은 후퇴 중이었다. 워싱턴은 병력을 모아 영국군의 두 차례 공격을 격퇴하였다. 날씨가 무척 무더웠기 때문에, 전투는 일찍 끝났고, 저녁에 영국군이 물러갔다.[21] 1778년 7월 8일, 해군 제독 데스탕(d'Estaing)이 인솔하는 프랑스 함대가 미국에 도착했다. 로도스 아일랜드를 공략하기 위해, 워싱턴은 라파예트와 그린 장군의 3,000명의 병사와 프랑스 함대로 공격하였다. 라파예트는 프랑스-미국 연합군을 자신이 지휘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했다. 8월 9일, 미국군은 데스탕과의 상의없이 영국군을 공격하였다. 미국군이 데스탕에게 이제 내러갠싯 만에서 떠날 것을 요청하자, 데스탕은 거절하였고, 오히려 하우 장군이 지휘하는 영국군을 공격하였다. 이 공격은 영국 함대를 분산시켰으나, 프랑스 함대는 불어닥친 폭풍에 피해를 입었다. 데스탕은 함대 수리를 위해 북쪽에 위치한 보스턴으로 이동하였다. 함대가 도착했을 때, 보스턴 시민들은 그들이 뉴포트를 버리고 떠났다고 생각하여 폭동을 일으켰다. 존 핸콕과 라파예트가 신속히 상황을 진정시켰고, 라파예트는 뉴포트로 돌아가서 철수 준비를 수행하였다. 데스탕이 떠났기 때문에 이제 전투가 지속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동으로 인해, 라파예트는 대륙 의회로부터 "용감하고, 실력과 신중이 겸비된 자"로서 칭송받았다. 하지만 그는 보스턴 폭동이 프랑스-미국 연합에 대한 프랑스의 인식을 손상시켰음을 깨달았고, 프랑스로 복귀를 허락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라파예트 (by Cyrus Edwin Dallin 1889) 프랑스로의 귀환[편집] 1779년 2월, 라파예트는 파리로 돌아왔다. 국왕의 명령을 어기고 미국으로 떠난 죄목으로, 그는 2주간 집에서의 근신 처분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귀환은 기쁜 소식이었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손자는 그에게 대륙 의회의 주문으로 제작된 4,800 리브르 상당의 금 세공 도검을 선물하였고, 국왕은 그에게 입궁을 명령하였다.[22] 루이 16세는 영국에 대한 공격 제안에 즐거워했고, 그의 지위를 용기병으로 복귀시켰다. 라파예트는 자신의 지위를 통해 미국을 위해 더 많은 프랑스의 원조를 얻어낼 로비를 할 수 있었다. 프랭클린과 함께, 라파예트는 롱샴보 장군의 지휘하는 6,000 명의 군사를 확보할 수 있었다. 라파예트는 아드린느가 아들을 낳았고, 조지 워싱턴 라파예트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23] 그의 아들이 태어난 뒤, 그는 미국 독립 전쟁을 위해 프랑스로부터의 추가적인 원조를 얻어내기 위해 박차를 가하며, 새 전투복을 구입하였고, 함대의 출항 준비를 했다. 미국으로 다시 떠나기 전에, 라파예트와 프랑스군은 조지 워싱턴의 지휘 아래 임무를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1780년 3월, 라파예트는 자신의 재산을 아드린느와 재산관리인에게 맡기고 허마이어니 호를 타고 프랑스를 떠났다.[24][25] 4월 28일, 보스턴에 도착하였고, 5,500명의 병사와 5개의 프리깃함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원군을 확보했다는 소식을 조지 워싱턴에게 전하였다. 버지니아, 요크타운[편집] 요크타운 전투의 주요 거점도 1780년 5월, 라파예트는 미국으로 돌아왔다. 8월에 이르러 그는 경장갑 2개 연대를 지휘하여 뉴욕 북부의 하이랜즈에서 작전을 수행하였다. 각 연대의 전 지휘관은 본래 각각 에노흐 푸어와 에드워드 핸드였고, 해산되었다가 라파예트에게 값진 전장 지휘 경험을 싾을 수 있게 해주었다. 1781년, 조지 워싱턴은 라파예트에게 뉴 잉글랜드와 뉴 저지 출신의 세 경장갑 부대를 맡도록 하였다. 각각 1,200 명 정도의 보병 부대였다. 이들을 지휘하여 스투벤을 대신하여 베네틱트 아르놀드에 맞서 버지니아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라파예트는 리치몬드에서 그를 저지하려는 콘월리스의 공격을 잘 회피하였다. 그해 6월, 콘월리스는 런던으로부터 체서피크 만으로 나아가 필라델피아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요새를 구축하라는 명령을 받고, 영국군을 요크타운으로 행군시켰다. 라파예트는 웨인 장군의 부대를 추가로 지휘하게되었다. 병사들이 탈영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웨인 장군은 6명의 병사를 탈영 혐의로 사형시켰다. 라파예트는 병사들에게 앞으로 큰 위험이 있으니 원하는 자에게는 군복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주겠다고 말했다. 라파예트의 병사들은 전원 라파예트를 따르겠다고 말했다.[26] 같은 해 7월 4일, 영국군은 버지니아 윌리엄스버그를 떠나 제임스 강을 건널 준비를 하였다. 강에 이르러, 콘월리스는 선발부대만을 도하시켰는데, 이는 강을 건너는 척하면서 라파예트가 공격하면 바로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7월 6일, 라파예트는 웨인에게 명령을 내려 대략 800명의 병사들로 영국군을 공격하였다. 웨인은 수없이 많은 영국군들에게 포위당했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퇴각하는 대신 총검 돌격을 지시하였다. 이러한 공격으로 미국군은 후퇴할 시간을 벌 수 있었고, 라파예트는 전열을 꾸려 퇴각하였다. 영국군은 추격하지 않았다. 이는 콘월리스의 승리였으나, 미국군 또한 자신의 용감한 행위로 인해 사기가 높았다.[27] 8월, 콘월리스는 요크타운에 부대를 진주시켰고, 라파예트는 말베른 힐에 숙영지를 꾸렸다. 그 위치는 육로의 거점이었고, 프랑스 함대로 체서피크 만을 제압한다면 영국군을 완전히 가둘 수 있었다.[3][28] 1781년 9월 14일, 워싱턴의 부대가 도착했다. 9월 28일, 프랑스 함대가 만을 봉쇄하였고, 육해상에서 일제히 요크타운을 공격하였다. 알렉산더 해밀턴의 부대가 제 10 보루로 돌격하였고, 그와 연계하여 라파예트는 미국군 우측을 맡아 제 9 보루를 점령하였다.[27] 영국군은 반격에 실패하였다. 1781년 10월 19일, 콘월리스는 항복한다.[29] 프랑스로 복귀 및 미국 재방문[편집] 1781년, 라파예트는 프랑스로 돌아갔다. 그는 영웅으로 환대받았으며 1782년 1월 22일 베르사유 궁전을 방문하였다. 그는 딸의 탄생을 지켜보았으며, 토마스 제퍼슨의 충고에 따라 마리 앙트와네트 비지르니에라고 이름을 지었다.[30][31] 그는 준장(maréchal de camp)으로 승진하였다.[32] 라파예트는 웨스트 인디애나 지방으로의 프랑스-에스파냐 연합 탐험대를 준비하였으나, 1783년 1월 20일, 미국과 영국 사이의 프랑스 강화 조약으로 인해 탐험 계획은 무산되었다.[33] 프랑스에서 라파예트는 토마스 제퍼슨과 함께 프랑스와 미국간의 무역 조약을 체결하는 일을 하였다. 이 협상은 프랑스에 대한 미국의 빚을 줄이고 담배와 고래기름을 제공할 것에 대한 서약들로 이루어졌다.[34] 그는 "흑인들의 친구 협회"에 가입했다. 이는 노예 무역을 금지하고, 그들에게 동등한 권리를 줄 것을 호소하는 폐지론자들의 단체였다. 1783년, 노예 해방 및 그들을 소작농으로 살아가게 할 것을 주장하였다.[35] 조지 워싱턴이 불만을 가지긴 했지만, 라파예트는 카옌에 "La Belle Gabrielle"라는 플랜테이션을 짓고 흑인 해방 및 흑인 교육을 시도를 하였다.[35][36][37] 마운트 베르논에서의 라파예트와 워싱턴, 1784년작 1784년, 라파예트는 아메리카를 재방문하여 조지아를 제외한 모든 주를 다 돌아본다.[38] 8월 17일, 여행 중간에 버지니아 마운트 베르논에 위치한 조지 워싱턴의 농장도 방문했는데, 그곳에서 라파예트는 미 하원에게 인류의 자유를 외치고 노예 해방을 설득하는 연설을 하였다.[39] 라파예트는 연방 구성안에 대해 펜실베니아 주 의회를 지지했고, 뉴욕의 모흐크 계곡을 방문하여 이로퀴이 족과 정전 교섭도 진행하였다. 그들 중 일부는 1778년에 라파예트와 만난 적도 있었다.[40] 라파예트는 하버드에서 명예 직위도 수여받았다. 보스턴에서는 워싱턴의 초상화를, 버지니아에서는 워싱턴의 반신상을 받았다. 메릴랜드 주 의회에서는 그를 칭송하였으며, 시민권을 주었다. 추후 미 연방 헌법을 비준했을 때, 이로 인해 그는 미국 시민권이 수여된다.[41][42][43][44] 훗날 그는 프랑스 시민권이 존재하기도 전에 미국 시민권을 먼저 받았노라고 재밌어하곤 했다.[45] 커네티컷, 메사추세츠, 그리고 버지니아도 그에게 시민권을 주었다.[2][46][47] 프랑스에 돌아온 후, 아글라예 듀놀스타인 자작 부인(comtesse Aglaé d'Hunolstein)과 불륜 관계를 가진다.[48] 1783년 3월 27일, 그녀의 가족의 반대로 그는 관계를 정리했다. 또한 그는 시미안느 부인(Madame de Simiane)과도 관계를 가진다.[49] 라파예트의 아내가 이러한 두 차례의 간통 사건들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 학자들은 의견이 분분하다. 라파예트의 적들은 그에 대한 여러 험담을 하곤 했었다. 이후 몇 년 동안, 라파예트는 "라파예트 호텔"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이는 파리에 위치한 미국 본부였다. 벤자민 프랭클린, 존 재이와 그녀의 아내 사라 리빙스턴, 존 아담스와 그녀의 아내 아비게일 그리고 기타 자유주의자들이 매주 월요일 마다 서로 가족 단위로 모여 식사를 함께하며 만나는 곳이었다.[50] 프랑스 혁명[편집] 귀족 의회와 삼부회[편집] 삼부회에서 라파예트에 의헤 제시된 "프랑스 시민 인권 선언" 1786년,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는 프랑스 재정 문제로 인해 귀족 회의를 수집한다. 1786년 12월 29일, 국왕은 다르토이즈 백작 사단의 적임자로 라파예트를 임명하였다. 의회에서 최초로 행한 연설에서, 라파예트는 불필요한 국가 부동산 및 궁정인들들과 같이 쓸모없는 예산을 처분하여 지출을 최소화하자고 제시하였고, 라파예트 자신에 의해 승인되었다.[51] 그는 사회의 모든 계급을 대표하는 "진정한 국가 회의"를 주창하였다. 프랑스에서 이는 성직자, 귀족 그리고 평민이다.[52] 1788년 8월 8일, 국왕은 다음해에 삼부회를 여는 것을 승인하고, 라파예트는 리옹의 귀족 계급의 대표로 선출된다.[53] 1789년 5월 5일, 삼부회가 소집되었다. 회의 시작부터 투표를 머릿수에 따라 할 것인지 아니면 재산 보유량에 따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이 있었는데, 만약 재산 보유량에 따라 투표하게 된다면, 귀족과 성직자가 평민보다 우위에 있었다. 그리고 만약 머릿수에 따라 투표를 한다면 평민이 압도하게 된다. 라파예트는 회의 시작 전에 재산 보유량이 아니라 머릿수에 따른 투표를 주장하였다. 그는 "목마른자들의 위원회" 소속이었다.[54] 6월 1일, 논쟁이 고착되자 평민 신분은 따로 회의를 할 것을 요청하였고, 많은 성직자 대표들과 몇몇 귀족 대표들이 따랐다. 17일, 그들은 이를 국가 회의라고 지칭한다. 3일 뒤, 그 회의장으로 통하는 문이 잠기자, 그들은 테니스코트로 이동한다. 그리고 헌법이 정립되기 전까지는 절대 흩어지지 않겠노라고 맹세했다. 이를 테니스 코트의 서약이라 한다.[55] 라파예트 및 46명은 국가 회의에 참가했으며, 6월 27일 다른 사람들도 그들을 따랐다. 1789년 7월 11일, 라파예트는 프랑스 시민권 및 인권 선언의 초안을 작성하였다.[56] 다음날, 프랑스 재정국장 자크 네케르가 해고되자, 카미유 데물랭이 시민을 무장시켰다. 국왕은 왕실 근위대로 파리를 에워싸게 했다.[57] 7월 13일, 바스티유 감옥이 점령당하자 의회는 라파예트를 부의장으로 선출하였다.[58][59] 각주[편집] ↑ Historians differ on the spelling of Lafayette's name: Lafayette, La Fayette, and LaFayette. Contemporaries often used "La Fayette", similar to his ancestor, the novelist Madame de La Fayette; however, his immediate family wrote Lafayette. – Gottschalk, pp. 153–154 ↑ 가 나 Officer, p. 171 ↑ 가 나 다 라 Gaines, p. 33 ↑ Clary, pp. 11–13 ↑ Cloquet, p. 37 ↑ Grizzard, p. 174 ↑ 가 나 Martin, p. 195 ↑ Holbrook, p. 20 ↑ “The Moland House”. 《The Moland House》. 2008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9월 29일에 확인함.  ↑ Gaines, p. 70 ↑ Clary, p. 100 ↑ Holbrook, p. 23 ↑ Gaines, p. 75 ↑ Grizzard, p. 175 ↑ Cloquet, p. 203 ↑ “Valley Forge National Historic Park”. 《National Park Service》. 2008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Palmer, pp. 276, 277 ↑ Greene, p. 140, 141 ↑ Gaines, p. 112 ↑ Holbrook, pp. 28, 29 ↑ Fiske, pp. 89–92 ↑ Clary, p. 243 ↑ Cloquet, p. 155 ↑ Clary, p. 254 ↑ Clary, p. 257 ↑ Gaines, James (September 2007). “Washington & Lafayette”. 《Smithsonian Magazine Online》 (Smithsonian). 2012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가 나 Holbrook, pp. 53–54 ↑ Holbrook, p. 43 ↑ Clary, pp. 330–338 ↑ Holbrook, p. 56 ↑ Clary, p. 350 ↑ Holbrook, p. 63 ↑ Tuckerman, p. 154 ↑ Holbrook, p. 65 ↑ 가 나 Kaminsky, pp. 34, 35 ↑ Beth Sica (2002년 8월 9일). “''La Belle Gabrielle'', Lafayette and Slavery, Lafayette College”. Ww2.lafayette.edu. 2009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9일에 확인함.  ↑ Unger, p.216 ↑ Loveland, p. 16 ↑ Hirschfeld, p. 126 ↑ Gaines, pp. 201, 202 ↑ Speare, Morris Edmund "Lafayette, Citizen of America", New York Times, 7 September 1919. The article contains a facsimile and transcript of the Maryland act: " An Act to naturalize Major General the Marquiss de la Fayette and his Heirs Male Forever. ... Be it enacted by the General Assembly of Maryland—that the Marquiss de la Fayette and his Heirs male forever shall be and they and each of them are hereby deemed adjudged and taken to be natural born Citizens of this State and shall henceforth be instilled to all the Immunities, Rights and Privileges of natural born Citizens thereof, they and every one of them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and Laws of this State in the Enjoyment and Exercise of such Immunities, Rights and Privileges." ↑ Folliard, Edward T. "JFK Slipped on Historical Data In Churchill Tribute" Sarasota Journal, 25 May 1973. ↑ Cornell, Douglas B. "Churchill Acceptance 'Honors Us Far More'" Sumter Daily Item, 10 April 1963. ↑ Gottschalk, Louis Reichenthal (1950). 《Lafayette Between the American and the French Revolution (1783-1789)》.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6–147쪽.  ↑ “Lafayette: Citizen of Two Worlds”. 《Lafayette: Citizen of Two Worlds》.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06. 2012년 9월 29일에 확인함.  ↑ Holbrook, pp. 67–68 ↑ Gaines, pp. 198–99, 204, 206 ↑ Gottschalk, Lady in Waiting, p. 155 ↑ Gottschalk, Between, p.16-17 ↑ Maurois, Adrienne: The Life of the Marquise de La Fayette, p.113 ↑ Tuckerman, p. 198 ↑ Neely, p. 47 ↑ Tuckerman, p. 210 ↑ Doyle, p. 74, 90 ↑ de La Fuye, p. 83. ↑ Gerson, pp. 81–83 ↑ Crowdy, p. 7 ↑ Note: Lafayette later sent Washington the key. ↑ Doyle, pp. 112–13 참고 자료[편집] Adams, William Howard (1997). The Paris years of Thomas Jeffers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8261-6.  d'Agrain, Charles (1797). Captivité de la Fayette. Héroïde, avec figures, et des Notes historiques, non-encore connues du Public, sur les Illustres Prisonniers d'Olmutz, en Moravie.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Andress, David (2006). French Revolution and the peop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SBN 978-1-85285-540-6.  Andress, David (2006). The Terror: The Merciless War for Freedom in Revolutionary France. Macmillan. ISBN 978-0-374-27341-5.  An Officer in the Late Army (1825). A Complete History of the Marquis de Lafayette: Major-General in the American Army in the War of the Revolution. Columbus, Ohio: J. & H. Miller.  de Chateaubriand, François (2007). Mémoires d’outre-tombe. A. S. Kline.  Broadwell, William (2009년 12월). Outlines of the Life of General Lafayette; With an Account of the French Revolution of 1830, Until the Choice of Louis Philip as King. ISBN 978-1-151-28353-5.  Clary, David (2007). Adopted Son: Washington, Lafayette, and the Friendship that Saved the Revolution. New York, New York: Bantam Books. ISBN 978-0-553-80435-5.  Cloquet, Jules; Isaiah Townsend (1835). Recollections of the Private Life of General Lafayette. Baldwin and Cradock.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Crawford, Mary MacDermot (1907). Madame de Lafayette and Her Family. J. Pot & co.  Crowdy, Terry; Patrice Courcelle (2004). French Revolutionary Infantry 1789–1802.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176-660-7.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Doyle, William (1990). Oxford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3판.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5221-2.  Fiske, John (1902). Essays, Historical, and Literary: Scenes and characters in American History. New York: Macmillan.  Gaines, James R. (2007). For Liberty and Glory: Washington, La Fayette, and Their Revolutions. W.W. Norton & Co. ISBN 978-0-393-06138-3.  Gerson, Noel B. (1976). Statue in Search of a Pedestal: a Biography of the Marquis de La Fayette. New York: Dodd, Mead & Company. ISBN 978-0-396-07341-3.  Glatthaar, Joseph T.; James Kirby Martin (2007). Forgotten Allies, The Oneida Indians and the American Revolution. Macmillan Publishers. ISBN 978-0-8090-4600-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Gottschalk, Louis (2007). Lafayette comes to America. Read Books. ISBN 978-1-4067-2793-7.  Gottschalk, Louis (1939). A Lady in Waiting. Baltimore: Johns Hopkins Press.  Gottschalk, Louis (1950). Lafayette: Between the American and the French Revolution (1783–1789).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Greene, Francis Vinton (1911). The Revolutionary War and the Militar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Grizzard, Frank (2002). George Washington: Biographical Companion. ABC-CLIO. ISBN 978-1-57607-082-6.  Hirschfeld, Fritz (1997). George Washington and Slavery – A Documentary Portrayal. U.S.A.: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ISBN 978-0-8262-1135-4.  Holbrook, Sabra (1977). Lafayette, Man in the Middle. Atheneum. ISBN 978-0-689-30585-6.  Kaminsky, John (2005). A Necessary Evil?: Slavery and the Debate of the Constitution. Rowman & Littlefield. ISBN 978-0-945612-33-9.  Lacretelle, Charles (1806). Précis historique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Treuttel et Würtz.  La Fayette Villaume Ducoudray Holstein, Henri (1824). Memoirs of Gilbert Motier La Fayette. Charles Wiley. 2008년 8월 11일에 확인함.  de La Fuye, Maurice; Émile Albert Babeau (1956). The Apostle of Liberty: A Life of Lafayette. New York: Thomas Yoseloff, Inc. ISBN 978-0-8010-5555-3.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Levasseur, August (2006). Lafayette in America. Alan Hoffman. Lafayette Press. ISBN 978-0-9787224-0-1.  Leepson, Marc (2011). Lafayette: Lessons in Leadership From the Idealist General. Palgrave Macmillan. ISBN 978-0-230-10504-1.  Loveland, Anne (1971). Emblem of Liberty: The Image of Lafayette in the American Mind. LSU Press. ISBN 978-0-8071-2462-8.  Martin, David (2003). The Philadelphia Campaign. Da Capo Press. ISBN 978-0-306-81258-3.  Maurois, André (1961). Adrienne, the Life of the Marquise de La Fayette. McGraw-Hill.  Du Motier Lafayette, Gilbert; George Washington (1837). Memoirs, Correspondence and Manuscripts of General Lafayette. William Alexander Duer. Saunders and Otley.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Morris, Gouverneur (1888). The Diary and Letters of Gouverneur Morris. Volume I. Anne Cary Morris. C. Scribner's Sons.  Morris, Gouverneur (1888). The Diary and Letters of Gouverneur Morris. Volume II. Anne Cary Morris. C. Scribner's Sons.  Neely, Sylvia (2008). A Concis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Rowman & Littlefiel. ISBN 978-0-7425-3411-7.  Palmer, Dave Richard (2006). George Washington and Benedict Arnold: A Tale of Two Patriots. Regnery Publishing. ISBN 978-1-59698-020-4.  Payan, Gregory (2002). Marquis de Lafayette:French Hero of the American Revolution. The Rosen Publishing Group. ISBN 978-0-8239-5733-0.  Spalding, Paul S. (2010). Lafayette: Prisoner of Stat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ISBN 978-1-57003-911-9.  Thiers, M. A.; Frederic Shoberl (1846).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1 3판. London: Richard Bentley.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Tower, Charlemagne (1894). The Marquis de La Fayette in the American Revolution. J.B. Lippincott Company.  Tuckerman, Bayard (1889). Life of General Lafayette: With a Critical Estimate of His Character and Public Acts. Dodd, Mead.  Unger, Harlow Giles (2002). Lafayette. 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SBN 978-0-471-39432-7.  Wright, Constance (1959). Madame de Lafayette. New York: Holt, Rhinehart, and Winston. LOC 59-6675.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후작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2144104 LCCN: n80038471 ISNI: 0000 0001 2277 3264 GND: 118725920 SELIBR: 174477 SUDOC: 026956063 BNF: cb119102656 (데이터) BPN: 81021371 BIBSYS: 98071349 ULAN: 500354248 NLA: 35287742 NKC: jn2000072014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질베르_뒤_모티에_드_라파예트_후작&oldid=24454244" 분류: 1757년 태어남1834년 죽음프랑스의 장군프랑스의 후작프랑스의 망명자프랑스 혁명 관련자대륙육군 장군파리 대학교 동문오트루아르주 출신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P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ikol Central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atviešu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alon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09: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리조제프폴로슈이브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후작(Marie-Joseph-Paul-Roch-Yves-Gilbert du Motier, Marquis de La Fayette, 1757년 9월 6일 ~ 1834년 5월 20일)는 프랑스의 사상가이자 장교로서 남부 프랑스 오베르뉴 레지옹의 오트루아르 주의 샤바니악 코뮌 출신 귀족이다. 미국 독립전쟁에 참가한 장군이며, 프랑스 혁명 중에는 국민위병의 지휘를 맡았다. 미국 독립전쟁에서 조지 워싱턴 휘하에서 대륙군을 지위한 주요 장군이었다.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부상당한 와중에도 성공적으로 부대를 철수시켰다. 로도스 아일랜드 전투에서도 탁월히 임무를 수행하였다. 전쟁 중반에, 프랑스로 돌아가 프랑스의 지지를 상승시켰다. 돌아온 후, 요크 타운 공략전에서 콘월리스의 부대를 봉쇄하였다. 1788년, 프랑스로 다시 되돌아간 후, 프랑스 귀족 의회에 의해 부름을 받아 프랑스 국고 문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라파예트는 귀족, 성직자, 평민의 세 신분의 대표자를 모으는 삼부회를 소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랑스 인권 선언의 초안과 결론을 작성하였다. 심각한 치안 상황 하에 국민위병의 최고 사령관으로서 임명되어, 프랑스 혁명 중에 국민위병의 기강을 유지하고, 시위대의 방화에 대응하는 등 국가의 질서를 잡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행동은 결국 자코뱅 당에 의해 박해되는 구실이 되었다. 1792년 8월, 점점 급진적인 파벌들이 힘을 얻게 되자, 라파예트는 네덜란드 공화국을 통해 미국으로 망명을 시도하였으나, 오스트리아에 의해 잡혀 이후 5년 이상 수형 생활을 하게 된다. 1797년, 나폴레옹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나 프랑스에 돌아왔다. 나폴레옹 정부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였나, 백일천하 중인 1815년에는 의회(Chamber of Deputies)에 등용되게 된다. 부르봉 왕정복고 중에는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활동하였고, 죽을 때까지 그 지위를 보유하였다. 1824년, 미국의 제임스 먼로 대통령은 그에게 "국가적인 내빈"으로서 초청하여 방문을 권유하였고, 여행 중에 그는 미국의 24개 주를 전부 돌아보았다. 미국 독립전쟁 중에 그가 성취한 영광을 기려 미국 내의 많은 도시들과 기념물들이 그의 이름을 가졌다. 1830년, 프랑스 7월 혁명 중에, 프랑스의 지도자가 되라는 요청을 거부하였고, 그 대신에 입헌군주제에 도움을 달라는 제안을 받아들였다. 라파예트는 1834년 5월 20일 사망하였다. 그의 시신은 파리 픽푸스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조지 워싱턴의 묘지에서 가져온 흙 아래 묻혔다. 그는 생전에 미국 시민권을 수여받았고, 2002년에는 미국 명예 시민권을 받았다. 그가 미국과 프랑스에서 이룩한 성취로서 그는 "두 세계의 영웅 (The Hero of the Two Worlds)"으로 알려져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라파예트 후작의 파리 귀환부터 미국 독립 전쟁 참전까지의 삶은 어떠했어? Assistant: 1779년 2월, 라파예트는 파리로 돌아왔다. 국왕의 명령을 어기고 미국으로 떠난 죄목으로, 그는 2주간 집에서의 근신 처분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귀환은 기쁜 소식이었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손자는 그에게 대륙 의회의 주문으로 제작된 4,800 리브르 상당의 금 세공 도검을 선물하였고, 국왕은 그에게 입궁을 명령하였다.[22] 루이 16세는 영국에 대한 공격 제안에 즐거워했고, 그의 지위를 용기병으로 복귀시켰다. 라파예트는 자신의 지위를 통해 미국을 위해 더 많은 프랑스의 원조를 얻어낼 로비를 할 수 있었다. 프랭클린과 함께, 라파예트는 롱샴보 장군의 지휘하는 6,000 명의 군사를 확보할 수 있었다. 라파예트는 아드린느가 아들을 낳았고, 조지 워싱턴 라파예트라고 이름을 지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23] 그의 아들이 태어난 뒤, 그는 미국 독립 전쟁을 위해 프랑스로부터의 추가적인 원조를 얻어내기 위해 박차를 가하며, 새 전투복을 구입하였고, 함대의 출항 준비를 했다. 미국으로 다시 떠나기 전에, 라파예트와 프랑스군은 조지 워싱턴의 지휘 아래 임무를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1780년 3월, 라파예트는 자신의 재산을 아드린느와 재산관리인에게 맡기고 허마이어니 호를 타고 프랑스를 떠났다.[24][25] 4월 28일, 보스턴에 도착하였고, 5,500명의 병사와 5개의 프리깃함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원군을 확보했다는 소식을 조지 워싱턴에게 전하였다.
Human: 아래 너클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너클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너클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너클볼을 던지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팀 웨이크필드 너클볼(Knuckleball)은 야구에서 공이 날아갈 때의 회전을 최소화한 구종을 가리킨다. 스크루볼, 자이로볼과 더불어 현대의 3대 마구(魔球)로 불린다. 공에 회전이 없기 때문에 공 주변의 공기 흐름은 솔기에 걸려 혼란스러운 난기류가 되고, 이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갖는 구종이다. 이것은 타자가 공을 치기 어렵게도 만들지만 투수 또한 공을 원하는 곳으로 던지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어려움은 투구를 안전하게 잡아 내야 하는 포수와, 공이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판별해야 하는 심판에게까지 적용된다. 목차 1 기원 2 쥐는 법과 움직임 3 실제 쓰임 4 너클볼 잡기 5 참고 자료 6 각주 7 외부 링크 기원[편집] 처음으로 너클볼을 던진 투수가 누구인지는 불확실하지만, 이 구질의 첫 등장은 20세기 초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뉴욕 프레스 지》에는 필라델피아 필리스 소속이었던 루 모렌이 너클볼을 발명한 이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에디 시콧 또한 1906년에 인디애나폴리스에서 같은 구질을 던질 수 있게 되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진출한 것으로 보인다. 시콧의 경력이 훨씬 더 화려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은 오늘날 이 구질의 발명을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곤 한다. 그러나 전문 너클볼러로는 더치 레오나드가 최초였다. 그는 1938년 워싱턴 세네터스에서 너클볼러로 데뷔하여 173승을 올렸다. 쥐는 법과 움직임[편집] 너클볼 쥐는 방법 너클볼은 본디 손가락 관절(Knuckle)로 공을 잡아서 던지는 구종이며, 그 때문에 너클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시콧의 동료 선수였던 에드 서머스는 이 구질을 받아들여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고, 엄지손가락은 공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하면서 손가락 끝으로 공을 잡는 것으로 변화시켰다. 이것을 변형한 것으로 손톱을 공의 표면에 찔러 넣는 방식이 있다. 손가락 끝으로 쥐는 법이 손가락 관절로 쥐는 법보다 오늘날 너클볼을 던지는 투수들 사이에서 더 자주 쓰인다. 쥐는 법과 관계 없이, 너클볼의 목적은 공을 던질 때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공의 회전을 피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회전의 부재로 인해, 공의 궤적은 공의 매끄러운 표면과 실밥이 있는 부분에 발생하는 기류의 차이에 막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런 비대칭적인 공기 흐름은 공의 궤적을 솔기가 있는 방향으로 빗나가게 만든다. 투수의 마운드에서 홈 플레이트까지 날아가는 동안 이러한 효과는 공이 “춤을 추게” 만들거나, 오른쪽으로 휘던 공이 왼쪽으로 휘는 움직임을 실제로 나타내기도 한다. 실제로 회전이 완전히 없는 공은 바람직하지 않고, 아주 느린 회전이 걸려서 홈 플레이트까지 1~1.5 회전하는 공이 가장 이상적이다. 이것은 공이 날아가는 동안 실밥의 위치를 바꾸게 되고, 더 혼란스러운 기류를 만들어 공의 변화를 심하게 한다. 물론 회전 없이 던진 공도 약간은 “춤을 추게” 되는데, 공의 회전이 없어 일정한 방향으로 기류가 생기지 않는 탓에 약한 바람에도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실제 쓰임[편집] 처음 개발되었을 때 너클볼은 패스트볼과 속도를 달리 함으로써 타자를 혼란시킬 목적으로 일반적인 구질의 하나로써 매우 많은 투수들이 구사했다. 그러나 오늘날 너클볼을 다른 구질과 섞어 던지는 투수는 거의 전무하다고 볼 수 있다. 이 구질은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타자들이 너클볼에 익숙해지자 타자가 치기 어려운 수준의 너클볼을 구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났다. 좀 더 표준적인 다른 구질들로 어느 정도 구위를 갖춘 투수라면 너클볼에 초점을 맞추는 위험한 도박은 거의 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너클볼 투수는 매우 희귀해졌다. 그러나 너클볼에는 여러 가지 이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먼저 공을 세게 던질 필요가 없으므로(공을 세게 던지면 회전이 걸리기 때문에 위험하다.) 다른 구질보다 팔에 가는 무리가 훨씬 적다. 따라서 너클볼 투수는 정통파 투수보다 더 많은 이닝을 소화할 수 있고 또 피로가 얼마 쌓이지 않기 때문에 더 자주 등판할 수 있다. 육체적인 부담의 감소는 투수로서의 수명도 훨씬 늘려주므로, 너클볼 투수들은 40대 후반까지 프로 야구에서 활동이 가능했다. 짐 버튼을 비롯한 몇몇 투수들은 나이가 들어 구위가 쇠퇴했을 때 너클볼을 연습해서 성공하기도 했다. 가장 대표적인 너클볼 투수는 메이저 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이면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뛰었던 필 니크로와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뛰었던 팀 웨이크필드, 그리고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R.A. 디키가 가장 대표적인 너클볼 투수이며, 필 니크로의 동생인 조 니크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스티븐 라이트 역시 너클볼 투수이다. 2012년 시즌에는 팀 웨이크필드가 은퇴함에 따라 R.A.디키가 메이저 리그에서 유일한 너클볼 투수가 되었고, R.A.디키는 2012년 시즌에서 1980년 조 니크로 이후 32년 만에 너클볼로 20승을 고지를 밟은 투수가 되었다. KBO 리그에서는 마일영 선수가 군복무 중에 스스로 너클볼을 익힌 뒤 2008년 시즌에 활용함으로써 화제를 모았다. 같은 해 활약했던 롯데 자이언츠의 용병투수 크리스 옥스프링[1]도 너클볼을 활용한 선수로 알려져 있다.[2] 너클볼 잡기[편집] 너클볼의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은 이 구종을 포수가 가장 다루기 어려운 공으로 만들었다. 너클볼 투수가 등판하면 포수는 두 가지의 이론이 있지만 그 두 가지 이론 다 성공하지 못했다. — 찰리 로, 유명 타자 코치 그러니까, 너클볼을 잡는 건 젓가락으로 파리를 잡으려는 짓 같다. — 제이슨 베리텍, 포수 높으면 날게 냅둬라. 낮으면 가게 냅둬라. — 너클볼을 치는 법에 대한 조언을 요구 받은 뉴욕 양키스 타자들 너클볼을 스트라이크 존으로 던지려는 건 길 건너 이웃집 우편함에 나비를 던져 넣으려는 거나 마찬가지다. — 윌리 스타젤 참고 자료[편집] 로버트 K. 아데어. (1990). 《야구 물리학》(The Physics of Baseball). New York: Harper & Row. ISBN 0-06-096461-8. 빌 제임스, 롭 나이어 공저. (2004). 《나이어/제임스의 투수 지침서》 (The Neyer/James Guide to Pitchers). New York: Fireside. ISBN 0-7432-6158-5. (영어) 프로젝트 너클볼, 너클볼의 역사와 현대 너클볼 투수에 대해 〈뉴요커〉에 실린 기사. 각주[편집] ↑ 크리스 옥스프링의 너클볼 실전활용 영상 - 유튜브 ↑ 마일영에게 너클볼을 배운다 스포츠서울, 2008.6.1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너클볼 (영어) 너클볼 본부 - 이 구질과 이것을 던진 투수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모음. 최훈의 프로야구카툰 -'아름다운 마구, 너클볼' - 너클볼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담은 카툰 vdeh구종속구 포심 투심 커터 싱커 스플리터 변화구 커브 너클커브 슬러브 슬라이더 파워커브 체인지업 체인지업 서클 체인지업 포크볼 팜볼 그 외 너클볼 스핏볼 자이로볼 이퍼스볼 스크루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너클볼&oldid=22367172" 분류: 야구 구종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Français日本語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0:4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너클볼(Knuckleball)은 야구에서 공이 날아갈 때의 회전을 최소화한 구종을 가리킨다. 스크루볼, 자이로볼과 더불어 현대의 3대 마구(魔球)로 불린다. 공에 회전이 없기 때문에 공 주변의 공기 흐름은 솔기에 걸려 혼란스러운 난기류가 되고, 이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갖는 구종이다. 이것은 타자가 공을 치기 어렵게도 만들지만 투수 또한 공을 원하는 곳으로 던지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어려움은 투구를 안전하게 잡아 내야 하는 포수와, 공이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판별해야 하는 심판에게까지 적용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2년 MLB에서 유일하게 너클볼을 던지는 투수 누구일까? Assistant: R.A.디키 Human: 아래 와이맥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와이맥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이맥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와이맥스 포럼 로고. 와이맥스(영어: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는 점대점 연결에서 완전한 휴대형 접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먼 거리를 걸쳐 무선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WirelessMAN이라고도 불리는 IEEE 802.16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와이맥스"라는 이름은 표준의 상호 운용성과 순응을 제고시키기 위해 와이맥스 포럼이 2001년 6월에 만든 것이다. 이 포럼은 와이맥스를 "케이블, DSL의 대안으로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무선 광역 접근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의 기술"로 설명하고 있다. 목차 1 용어의 정의 2 이용 3 같이 보기 4 참조 용어의 정의[편집] WiMAX는 IEEE 802.11 무선 랜 표준(Wi-Fi 얼라이언스에서 승인된)의 상호운용성 적용을 참조한 Wi-Fi와 비슷한 의미로 IEEE 802.16 무선 네트워크 표준(WiMAX 포럼이 승인한)의 상호운용성 적용을 참조한다. WiMAX 포럼 인증을 통하여 제조사는 WiMAX certified(고정형 또는 이동형)로써의 제품 판매를 허가해주며 따라서 같은 규격에 맞는 기타 인증 제품과의 상호운용성에 대해 검증을 확인한다. 고정 와이맥스(fixed WiMAX),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802.16d, 802.16e라는 용어는 자주 잘못 쓰인다.[1] 올바른 정의는 다음과 같다: 802.16-2004 802.16-2004는 여러 모임이 표준을 개발하였으므로 802.16d라고도 한다. 휴대성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고정 와이맥스"라고도 불린다. 802.16e-2005 802.16e-2005는 802.16-2004의 수정판이며 802.16e로 줄여 말하기도 한다. 휴대성을 지원하므로 "모바일 와이맥스"라고도 부른다. 이용[편집] 와이맥스의 대역폭과 접근성을 이용해 다음과 같은 일들이 가능하다. 와이파이 핫스팟을 다른 곳이나 다른 인터넷 부분과 연결한다. 라스트 마일 광역 접근을 위해 DSL, 케이블의 대안으로 무선을 제공한다. 고속 데이터, 전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업의 지속적인 계획의 일부로서 다양한 원천의 인터넷 연결을 제공한다. 여러 곳으로 이동해 다니며 연결할 수 있게 도와 준다. 같이 보기[편집] 와이브로 참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와이맥스 ↑ http://www.ieee802.org/16/docs/06/C80216-06_007r1.pdf vdeh이동 통신 표준0세대 MTS MTA * MTB * MTC IMTS MTD AMTS OLT Autoradiopuhelin 1세대 NMT AMPS Hicap Mobitex DataTAC TACS ETACS 2세대GSM/3GPP 계열 GSM CSD 3GPP2 계열 cdmaOne (IS-95) 그 외 D-AMPS (IS-54 및 IS-136) CDPD iDEN PDC PHS 2세대 진화형(2.5G, 2.75G)GSM/3GPP 계열 HSCSD GPRS EDGE/EGPRS 3GPP2 계열 CDMA2000 1xRTT (IS-2000) PCS 그 외 WiDEN 3세대3GPP 계열 UMTS (UTRAN) WCDMA-FDD WCDMA-TDD UTRA-TDD LCR (TD-SCDMA) 3GPP2 계열 CDMA2000 1xEV-DO (IS-856) 3G 진화형(3.5G, 3.9G)3GPP 계열 HSDPA HSUPA HSPA+ LTE (E-UTRA) 3GPP2 계열 EV-DO 리비전 A EV-DO 리비전 B EV-DO 리비전 C(UMB) 그 외 모바일 와이맥스 * 와이브로 (IEEE 802.16e-2005) Flash-OFDM IEEE 802.20 4세대(IMT-Advanced)3GPP 계열 LTE 어드밴스트 와이맥스 계열 와이브로 에볼루션 (IEEE 802.16m) 5세대3GPP 계열 미확인 3GPP2 계열 미확인 vdeh인터넷 접속유선 케이블 전화 접속 DOCSIS DSL 이더넷 FTTx G.hn HD-PLC 홈플러그 홈PNA IEEE P1901 ISDN MoCA PON 전력선 브로드밴드 무선 블루투스 DECT EVDO GPRS HSPA IEEE 802.20 라이파이 LTE MMDS Muni 와이파이 위성 UMTS 와이파이 와이맥스 와이브로 무선 USB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와이맥스&oldid=22365676" 분류: IEEE 802무선 네트워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ગુજરાતી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ಕನ್ನಡ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မြန်မာဘာသာ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19: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와이맥스(영어: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는 점대점 연결에서 완전한 휴대형 접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먼 거리를 걸쳐 무선으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WirelessMAN이라고도 불리는 IEEE 802.16 표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와이맥스"라는 이름은 표준의 상호 운용성과 순응을 제고시키기 위해 와이맥스 포럼이 2001년 6월에 만든 것이다. 이 포럼은 와이맥스를 "케이블, DSL의 대안으로서 라스트 마일(last mile)의 무선 광역 접근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의 기술"로 설명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보통 와이브로로 알려져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와이맥스의 유형 중 휴대성을 지원하지 않는 것의 명칭은? Assistant: 고정 와이맥스
Human: 아래 쓰키다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쓰키다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키다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쓰키다역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쓰키다 쓰키다 역 개괄 관할 기관 서일본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 시 좌표 북위 35° 15′ 13″ 동경 133° 24′ 03″ / 북위 35.25358° 동경 133.4007°  / 35.25358; 133.4007좌표: 북위 35° 15′ 13″ 동경 133° 24′ 03″ / 북위 35.25358° 동경 133.4007°  / 35.25358; 133.4007 개업일 1930년 12월 11일 승강장 구조 1면 1선 (재래선) 노선 ■ 기신 선 히메지 기점 128.6km ← 주고쿠카쓰야마 (4.8 km) 도미하라 →(6.1 km) 쓰키다 역(일본어: 月田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 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목차 1 이용 현황 2 역 주변 3 역사 4 인접 역 이용 현황[편집] 승차 인원 추이 연도 1일 평균 1999 114 2000 109 2001 98 2002 95 2003 149 2004 106 2005 106 2006 101 2007 97 2008 94 2009 95 2010 91 2011 88 역 주변[편집] 쓰키다 강 역사[편집] 1930년 12월 11일 : 사쿠비 선 (당시) 주고쿠카쓰야마 - 이와야마 간 연신 때에 개업. 1936년 10월 10일 : 사쿠비 선이 기신 선의 일부로 되어, 이 역을 그 소속으로 한다. 1987년 4월 1일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의해, 서일본 여객철도가 승계. 2011년 6월 1일 : 간이위탁 해제에 의해 무인화. 인접 역[편집]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 주고쿠카쓰야마히메지 방면 ■ 기신 선 도미하라니미 방면 vdeh 기신 선히메지 - 하리마다카오카 - 요베 - (요베 신호장) - 오이치 - 혼다쓰노 - 히가시하시사키 - 하리마신궁 - 센본 - 니시쿠리스 - 미카즈키 - 하리마토쿠사 - 사요 - 고즈키 - 미마사카도이 - 미마사카에미 - 나라하라 - 하야시노 - 가쓰마다 - 니시카쓰마다 - 미마사카오사키 - 히가시쓰야마 - 쓰야마 - 인노쇼 - 미마사카센다이 - 쓰보이 - 미마사카오이와케 - 미마사카오치아이 - 고미 - 구세 - 주고쿠카쓰야마 - 쓰키다 - 도미하라 - 오사카베 - 다지베 - 이와야마 - 니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쓰키다_역&oldid=22087716" 분류: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마니와시의 철도역1930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8월 23일 (목) 22: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쓰키다역(일본어: 月田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쓰키다역의 2006년도 1일평균 이용 인원 현황수는? Assistant: 101 Human: 아래 육성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육성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성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육성재 20170310 Korea Cable TV Awards기본 정보출생 1995년 5월 2일(1995-05-02) (24세)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직업 가수, 배우장르 발라드활동 시기 2012년 3월 21일 ~ 현재 종교 개신교레이블 카카오엠소속사 큐브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비투비 육성재(1995년 5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보이 그룹 비투비의 서브보컬을 맡고 있다. 목차 1 음반 1.1 비투비 1.2 육성재 1.3 콜라보레이션 1.4 참여 앨범 2 출연 작품 2.1 드라마 3 음반 외 활동 3.1 방송 3.2 광고 3.3 홍보대사 4 뮤직 비디오 4.1 비투비 4.2 참여 5 수상 및 후보 6 Special Stage 7 각주 8 외부 링크 음반[편집] 비투비[편집] 비투비로 활동한 음반에 대해서는 비투비#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육성재[편집] 발매일 가수명 앨범 타입 앨범명 타이틀 곡 발매사 기획사 2017.08.30 육성재 싱글 앨범 《Piece of BTOB Vol.6》[1] 《말해》[2] 로엔엔터테인먼트 큐브엔터테인먼트 《Paradise》 콜라보레이션[편집] 발매일 곡명 수록 앨범 가수명 분류 비고 2015.06.02 《사진》 《`A CUBE` FOR SEASON BLUE Season 2》 육성재, 김남주 (에이핑크) 보컬 보컬 (듀엣) : 육성재, 김남주 (에이핑크) 2016.04.16 《어린애(愛)》 《어린愛》 육성재, 조이 (레드벨벳) 작사 보컬 작사 : 육성재, 조이, 임현식 보컬 (듀엣) : 육성재, 조이 (레드벨벳) 2016.12.26 《봄에 오면 괴롭힐 거예요》 《봄에 오면 괴롭힐 거예요》 육성재, 앤씨아 보컬 보컬 (듀엣) : 육성재, 앤씨아 2019.01.15 HUTAZONE 육성재, 이민혁 보컬(듀엣) : 육성재, 이민혁 랩 : 이민혁 참여 앨범[편집] 발매일 곡명 수록 앨범 가수명 분류 비고 2015.07.30 《또 사랑하고 만다》 육성재 (Solo) 《밤을 걷는 선비》OST 육성재 보컬 보컬 : 육성재 2014.08.20 《Stress Come on!》 MBC every1 《형돈이와 대준이의 히트제조기》 빅병 랩 비투비의 육성재 빅스 의엔, 혁 GOT7의 잭슨 2014.09.25 《궁금해》 《아홉수 소년》OST 육성재, 오승희 보컬 보컬 (듀엣) : 육성재, 오승희 2015.01.16 《오징어 된장》 MBC every1 《형돈이와 대준이의 히트제조기》Part2 빅병 랩 비투비의 육성재 빅스 의엔, 혁 GOT7의 잭슨 2015.06.16 《Love Song》(Feat. 박혜수) 《후아유 - 학교 2015》OST 육성재, 박혜수 보컬 보컬 (듀엣) : 육성재, 박혜수 2015.06.21 《오래전 그 날》 난 이제 지쳤어요 땡벌 (Bonus Track) MBC《복면가왕》 육성재 보컬 보컬 : 육성재 2016.04.22 《사차선도로》 (Feat. 육성재 Of 비투비) 《황문섭》 루이 (긱스) Featuring Featuring : 육성재 2017.06.12 《알듯 말듯해》 《쌈, 마이웨이》OST 서은광, 임현식, 육성재 보컬 보컬 : 서은광, 임현식, 육성재 2017.08.13 《기억상실》 SBS《판타스틱 듀오 2 Part.11》 거미, 육성재 보컬 보컬 : 거미, 육성재 2018.09.16 《고백》(영화 '늑대의 유혹' 주제곡) 《Your BGM Vol.2》 육성재 보컬 보컬 : 육성재 2018.12.05 《니가 내 곁에 머물렀던 시간》 정키 《RETRO》 정키 보컬 보컬 : 육성재 출연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켄텐츠 방송사 제목 배역 주연 2013년 드라마 tvN 《몬스타》 아놀드 役 《응답하라 1994》 쑥쑥이(성준) 役[3] 2014년 《아홉수 소년》 강민구 役[4] ✔ 2015년 KBS2 《후아유 - 학교 2015》 공태광 役[5] ✔ SBS 《마을 - 아치아라의 비밀》 박우재 役[6] ✔ 2016년 tvN 《도깨비》[7] 유덕화 役[8],[9] ✔ 음반 외 활동[편집] 방송[편집] 연도 컨텐츠 방송사 프로그램 제목 비고 2012년 예능 QTV 《7번가의 기적》 MBC every1 《주간 아이돌》 2013년 MBC 《세바퀴》 2014년 tvN 《공유TV 좋아요》 MBC 《진짜 사나이》 2014년 ~ 2015년 KBS2 《글로벌 리퀘스트 쇼 어송포유 시즌 3》 MC MBC 에브리원 《히트제조기 시즌1&2》 MBC 《일밤》 - 《진짜 사나이》 2015년 KBS2 《투명인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난 이제 지쳤어요 땡벌, 카리스마 LP 소년 《우리 결혼했어요》 (with 조이) 2015년 ~ 2016년 SBS 《인기가요》 MC 2016년 MBC 《듀엣가요제》 KBS 《배틀 트립》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MBC 《추석특집 아이돌 요리왕》 (with 서은광) FTV 《스포츠 피싱 디코드》[10]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2017년 SBS 《백종원의 3대 천왕》 (with 프니엘) JTBC 《한끼줍쇼》 SBS 《정글의 법칙》in 수마트라[11] (with 프니엘) 《주먹쥐고 뱃고동》[12] 《판타스틱 듀오 2》 KBS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 MBC 《오빠생각》 (with 서은광) 2017년~ SBS 《집사부일체》 광고[편집] 연도 브랜드 비고 2014년 EXR (with 비투비) 슈마커 (with 비투비) 2015년 피자헤븐 (with 비투비) 캐시 슬라이드 엘리트 학생복 (with 비투비, 김소현) 블랙야크 엣지다운 (with 조인성) LG패션 헤지스 액세서리 (HAZZYS ACC) (with 김소현) LG U+ 로밍 (with 비투비) 이베이코리아 G마켓 : 던킨도너츠 육성재 편 2015년 ~ 2018년 엠케이트렌드 TBJ (with 비투비) 2016년 생과일음료 브랜드 주스식스 아키클래식 운동화 딜라이브 케이블방송 (with 현아, 조보아, 김유정) 아모레퍼시픽 마몽드 커버파우더쿠션 (with 박신혜) 2017년 한국코카콜라(유) 스프라이트 (with 윤미래) 티몬투어 (with 유선호) 써모스코리아 써모스 보온병 오버워치 게임 2018년 블루마운틴 슈즈 토니모리 화장품로드숍 (with 비투비) 롯데주류 피츠 수퍼클리어 (with 조이) 2019년 야놀자 썸바이미 둥지냉면 홍보대사[편집] 2016년 세종학당 홍보대사 2018년 한국관광공사 홍보대사 뮤직 비디오[편집] 비투비[편집] 비투비 뮤직 비디오는 비투비#뮤직 비디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여[편집] 분류 연도 수록 앨범 MV 비고 공급사 앨범 / 보컬 2015 《밤을 걷는 선비》OST 육성재 《또 사랑하고 만다》 보컬(Solo) : 육성재 forestmedia 앨범 / 출연 2014 《아홉수 소년》OST 육성재 & 오승희 《궁금해》 tvN 《아홉수 소년》 (육성재 : 강민구 役) 보컬(듀엣) : 육성재 & 오승희 CJENMMUSIC Official 《히트제조기》 빅병 《Stress Come on!》 (MV) 빅병 《Stress Come on!》 (MBC 가요 대제전) 육성재 빅스의 엔 and 혁 GOT7의 잭슨 원더케이 네이버 TV 2015 《히트제조기》 빅병 《오징어 된장》 육성재 빅스의 엔 and 혁 GOT7의 잭슨 원더케이 출연 (뮤직비디오 출연) NC.A(앤씨아) 《통금시간》 NC.A(앤씨아) MV 출연 : 육성재 원더케이 앨범 / 출연 《어린愛》 육성재 & 조이 《어린愛》 보컬(듀엣) : 육성재 & 조이 MBCentertainment 《`A CUBE` FOR SEASON # BLUE Season 2》 육성재 & 김남주 《사진》 보컬(듀엣) : 육성재 & 김남주 원더케이 2016 《봄에 오면 괴롭힐 거예요》 육성재 & 앤씨아 《봄에 오면 괴롭힐 거예요》 보컬(듀엣) : 육성재 & 앤씨아 원더케이 2017 《쌈, 마이웨이》OST 육성재, 서은광, 임현식 《알듯 말듯해》 RIAK Official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5 MBC 방송연예대상 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신인상 《우리 결혼했어요 시즌4》 수상 베스트커플상(조이와 함께) 수상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 《마을 - 아치아라의 비밀》 수상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상 《후아유 - 학교 2015》 후보 제4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후보 K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연기상 후보 베스트커플상(김소현과 함께) 수상 2016 제5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후보 2017 제11회 케이블TV 방송대상 연기부문 라이징스타상 《도깨비》 수상 제10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남자 신인상 수상 올해의 스타상 수상 2018 MTN 방송광고 페스티벌 CF 남자 스타상 빈칸 수상 S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 부문 남자 우수상 《집사부일체》 수상 Special Stage[편집]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곡명 원곡 공급사 2014.11.03 유튜브 비투비 채널 - 유튜브 육성재 <고백> 정준일 《고백》 비투비 채널 - 유튜브 2015.05.10 MBC 복면가왕 육성재 <오래전 그날>[13] 윤종신 《오래전 그날》 네이버 TV 2015.05.10 복면가왕 육성재 <감사>[14] 김동률 《감사》 네이버 TV 2015.10.21 SBS 인기가요 육성재 < I DO > 비 < I DO > 네이버 TV 2016.05.07 MBC 우리 결혼했어요 육성재 <안아줘>[15] 정준일 《안아줘》 MBCentertainment 2017.08.13 SBS 판타스틱 듀오 2 거미 & 육성재 <기억상실>[16] 거미 《기억상실》 SBS 각주[편집] ↑ “[스타톡톡] '쑥쑥이' 육성재의 성장기”. OSEN. 2017년 8월 30일.  ↑ “'V앱' 육성재 "자작곡 '파라다이스', 이틀 만에 만든 곡"”. 헤럴드POP. 2017년 8월 30일.  ↑ “[스타톡톡] '쑥쑥이' 육성재의 성장기”. OSEN. 2015년 10월 29일.  ↑ “'아홉수소년' 육성재, 설사병 코믹연기 완벽소화 '웃음바다'”. TV리포트. 2014년 8월 29일.  ↑ “'후아유-학교2015' 육성재의 재발견…'공태광 앓이'”. 데일리안. 2015년 6월 17일.  ↑ “'마을 아치아라의 비밀' 멜로 없어도 육성재 순정은 있다”. 스포츠투데이. 2017년 10월 15일.  ↑ “[인터뷰③]조우진 "육성재, 좋은 연기+리액션 본능적으로 아는 배우"”. 스포츠조선. 2017년 1월 28일.  ↑ “육성재 "'도깨비' 작가 찾아가 연기 배워…이제 열린 표현 가능" 자신감”. 한국경제. 2017년 5월 16일.  ↑ ““너무 잘 나가는 거 아니야?” 비투비 육성재”. GQ. 2017년 2월 22일.  ↑ “비투비 육성재, FTV '스포츠피싱 디코드‘ 출연해 소원 풀고 타고난 ‘낚시돌’ 입증”. YTN. 2016년 8월 17일.  ↑ “‘정글의 법칙’ 육성재, 구렁이에 지네까지 잡아 “너무 신기해””. 아시아경제. 2017년 4월 8일.  ↑ “‘주먹쥐고 뱃고동’ 낚시돌 육성재, 광어 낚았다 “바다의 신이 준 선물””. 뉴스엔. 2017년 8월 5일.  ↑ “육성재 "'복면가왕' 후 관심 감사…비투비 먼저 알리고파"”. 조이뉴스24. 2015년 5월 11일.  ↑ “'복면가왕' 땡벌 육성재 "가수를 하게 된 계기는 김동률"”. 더팩트. 2015년 5월 10일.  ↑ “'유스케' 정준일, "'안아줘' 롱런 비결은 비투비의 육성재"”. 서울경제. 2017년 3월 17일.  ↑ “[TV북마크] 거미×육성재, ‘기억상실’ 무대로 10대 판듀 등극”. 스포츠동아. 2017년 8월 14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육성재 육성재 - 트위터 육성재 - 인스타그램 (영어) 육성재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비투비 서은광 이민혁 이창섭 임현식 프니엘 정일훈 육성재 미니 음반 Born TO Beat Born TO Beat (Asia Special Edition) Press Play 디지털 싱글 "비밀 (Insane)" "Imagine" "아버지" "사랑병" 같이 보기 큐브 엔터테인먼트 공식 웹사이트: 대한민국 vdeh큐브 엔터테인먼트경영진 홍승성 (회장·총괄 프로듀서) 신대남 (대표이사·사장) 그룹 비투비 - 서은광, 이민혁, 이창섭, 임현식, 프니엘, 정일훈, 육성재 CLC - 오승희, 최유진, 장승연, SORN, 장예은, 엘키, 권은빈 펜타곤 - 후이, 진호, 홍석, 신원, 여원, 옌안, 유토, 키노, 우석 (여자)아이들 - 소연, 미연, 민니, 수진, 우기, 슈화 가을로 가는 기차 - 지현, 수빈, 아영, 소미 솔로 조권 장현승 라이관린 유선호 희극인 이휘재 허경환 배우 조서하 나종찬 최대훈 연습생 조우찬 이주현 한초원 관련 문서 큐브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iHQ CUBE TV vdehKBS 1·2TV의 학교 시리즈 《학교》 (1999) 《학교 2》 (1999·2000) 《학교 3》 (2000·2001) 《학교 4》 (2001·2002) 《학교 2013》 (2012·2013) 《후아유 - 학교 2015》 (2015) 《학교 2017》 (2017)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110a38cb-1b92-42c2-93ad-d312fa76080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육성재&oldid=24461500" 분류: 199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옥천 육씨용인시 출신동신대학교 동문큐브 엔터테인먼트 소속비투비의 일원2012년 데뷔2010년대 가수대한민국의 아이돌대한민국의 배우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Bahasa Melayuမြန်မာဘာသာ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1일 (금) 21:5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육성재(陸星材, 1995년 5월 2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다.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비투비의 서브보컬을 맡고 있다. 본관은 옥천이다. 국방부의 군악대 팡파르대에서 복무했으며, 2021년 11월 14일 전역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육성재가 2015년 5월 10일 복면가왕에 출연해 부른 곡 <오래전 그날>의 원곡자는 누구인가요? Assistant: 윤종신
Human: 아래 신경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경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경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경민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53년 8월 19일(1953-08-19) (65세)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본관 영산학력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석사경력 MBC 기자MBC 워싱턴 특파원MBC 뉴스데스크 앵커이화여대 겸임교수법조언론인클럽 부회장육군본부 자문위원민주통합당 대변인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국회 정보위원회 간사 군복무 육군중위 만기제대종교 불교소속위원회 교육위원회의원 선수 2의원 대수 19·20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서울 영등포구 을웹사이트 신경민 - 트위터블로그 신경민(辛京珉, 1953년 8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 출신 정치인이자 국회의원이다. 목차 1 경력 2 학력 3 경력 4 제19대 국회 5 제20대 국회 6 화제 및 논란 7 역대 선거 결과 8 각주 9 외부 링크 경력[편집] 신경민은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전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나온 후 1981년 MBC 문화방송의 방송 기자로 입사하여 언론인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후 외신부 기자, 사회부 기자, 북한부 기자, 정치부 기자, 사회부 차장 등을 거쳤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MBC 뉴스데스크의 주말 진행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박혜진 아나운서와 함께 평일 진행을 담당하였다. 뉴스데스크 진행 기간 동안에는 뉴스의 끝을 맺는 클로징 멘트에서 소신을 담은 대담하고도 직설적인 멘트를 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 2000년에는 국제부 워싱턴 특파원으로 발령받아 워싱턴에서 활동하였다. 이후 2003년에 귀국하여 보도국 부국장과 국제부 부장을 거쳐 2005년에는 보도국 국장의 직무대리직을 수행하였으며, 그 해 보도국과 논설위원실의 논설위원이 되었다. 이듬해인 2006년에는 보도국 선임기자가 되었으며, 2007년에는 법조언론인클럽의 부회장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 동안 진행한 프로그램으로는 1986년부터 1987년까지 《MBC 뉴스데스크》의 보조 앵커로 활동하다가 1993년 4월 17일부터 1994년 9월 10일까지 주말 뉴스데스크 앵커로 활동했고, 1994년 10월 8일부터 10월 16일까지 1995년 1월 21일 주말 뉴스데스크의 임시 진행을 담당한 적이 있으며, 또한 1989년 8월 6일에는 일요일 《MBC 뉴스센터》(현재의 주말 MBC 뉴스데스크)의 임시 진행을 담당한 적이 있었다. 이후 1998년 9월 21일부터 1999년 4월 24일까지 당시 아침 뉴스 프로그램인 《MBC 뉴스 굿모닝코리아》의 진행을 거쳐 1999년 8월 9일부터 8월 13일까지 MBC 뉴스데스크의 임시 진행을 담당한 적이 있으며, 2008년 초까지는 해설위원이 진행하는 MBC 라디오의 오전 뉴스프로그램인 《8시 뉴스의 광장》의 진행을 담당하였다. 이후 2008년 3월 24일부터 2009년 4월 13일까지 MBC 뉴스데스크의 평일 진행을 담당했다. 2009년 4월 13일 뉴스데스크에서 한 마지막 클로징 멘트가 가장 유명하다. “ 회사 결정에 따라서 저는 오늘 자로 물러납니다. 지난 1년여 제가 지닌 원칙은 자유, 민주, 힘에 대한 견제, 약자, 배려 그리고 안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언론의 비판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아서 답답하고 암울했습니다.구석구석과 매일매일 문제가 도사리고 있어 밝은 메시지를 전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희망을 품은 내일이 언젠가 올 것을 믿습니다. 할 말은 많지만 저의 클로징 멘트를 여기로 클로징하겠습니다. ” 2010년 9월에는 문화방송을 정년퇴임하였고, 2011년 1월 19일부터 민주당의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1] 2012년 3월 15일 서울 영등포 을 지역구에 민주통합당 후보로 전략 공천되었다. 19대 총선에서 당선되어 19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3년 5월에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민주통합당 전국대의원대회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로 최고위원에 당선되었으며[2] 2014년 3월 새정치민주연합의 창당으로 새정치민주연합 초대 최고위원으로 활동했다.[3] 2016년 4월 13일에는 20대 총선에서 같은 지역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20대 국회의원이 되었다. 학력[편집] 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석사 경력[편집] 1981.01: MBC 방송기자 입사 MBC 워싱턴 특파원 MBC 국제부 부장 MBC 보도국장 직무대행 MBC 앵커 1987 ~ 1988: 미국 의회 펠로우십 객원연구원 1997 ~ 1998: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언론대학원 객원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겸임교수 외교통상부 자문위원 법조언론인클럽 부회장 육군본부 자문위원 2011.01 ~ 2012.06: 민주당 대변인 2013.05 ~ 2014.03: 민주당 최고위원 2014.03 ~ 2014.07: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 2015.02 ~ 2015.12: 새정치민주연합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2015.12 ~ 2016.08: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2017.03 ~ 2017.04: 더불어민주당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 경선 더문캠 방송토론본부장 2017.04 ~ 2017.05: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방송콘텐츠본부 공동본부장 2018.09 ~ : 더불어민주당 제6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제19대 국회[편집]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19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을) (초선) 2012.07 ~ 2013.03: 제19대 국회 전반기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012.07 ~ 2014.05: 제19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2013.03 ~ 2014.05: 제19대 국회 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013.03 ~ 2014.05: 제19대 국회 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 2014.06 ~ 2016.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간사 2014.06 ~ 2016.05: 제19대 국회 후반기 외교통일위원회 위원 제20대 국회[편집] 2016년 5월 30일 ~ :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을) (재선) 2016.06 ~ 2018.05: 제20대 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 2016.06 ~ 2017.06: 제20대 국회 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 2017.06 ~ 2017.07: 제20대 국회 전반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간사 2017.07 ~ 2018.05: 제20대 국회 전반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 2018.07 ~ : 제20대 국회 후반기 교육위원회 위원 화제 및 논란[편집] 신경민 앵커는 후임 앵커가 정해질 때까지 뉴스를 진행했던 기존 앵커들과 달리 2009년 4월 13일 오전 MBC 임원회의에 따라 당일 하차가 결정됐다. 당시 MBC 엄기영 사장은 이날 담화문을 통해 "뉴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앵커를 교체하기로 결정했다"며 "일각에서 의혹을 제기한 것처럼 정치적 압력에 의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지만 외압에 의한 하차라는 논란이 일었고 MBC 후배 기자들은 이 같은 회사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4] 같은 나이인 정동영과는 전주고등학교 48회 동기로 함께 서울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둘다 문화방송에 입사하였기 때문에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서로의 관점, 취재 방식, 리더십 스타일은 매우 다르다고 말한 바 있다.[5] 2012년 10월 문화방송이 파행 중이던 국회 상임위원회장에서 동료 의원에게 한 신경민의 발언에 대해 '막말 발언'이라고 보도하자, "명백한 허위보도"라며 "MBC는 녹취가 있다면 녹취를 공개하고 나와 토론하자"며,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하겠다고 밝혔다.[6] 2014년 10월 대법원은 신경민의원이 (주)문화방송(MBC)과 소속기자2명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상고심(2014다41094)에서 "피고는 2000만원을 배상하고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정정보도하라"고 판결한 원심판결을 확정지었으며,[7] 판결에 따라 MBC와 2명의 소속기자는 '뉴스데스크'와 '뉴스투데이'에 판결문에 따른 정정보도와 함께 이를 이행하지 않을 시 1일 200만원의 간접강제금도 부과되었다.[8] 5일이 지난, 2014년 10월 20일 MBC는 대법원판결에 따라 9번째 리포트 <'신경민 의원 지역감정·학벌주의 조장 발언' 관련 정정보도'>를 통해 정정보도에 나섯다.[9] 이날 MBC <뉴스데스크> 배현진 앵커는 "저희 MBC에서는 2012년 10월 16일, 17일, 18일, 22일 '뉴스데스크'와 '뉴스투데이' 사건을 통해 여섯차례에 걸쳐 신경민 의원이 방송사 직원들의 출신지역과 출신대학을 비하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고 보도했습니다"고 밝히고, "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신경민 의원이 특정 지역과 지방대학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지는 않았던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해당기사를 바로잡습니다"라고 정정했다. 또한 21일 MBC <뉴스투데이>는 7번째 리포트를 통해 정정보도를 내보냈다. 2012년 10월 25일에는 '18대 대통령선거 정강정책 방송연설’에 연설자로 MBC에 출연해 “김재철 방지법을 만들겠다"고 밝혀 화제를 모았다.‘신경민 엠비시 습격사건’이라고 명명된 이 소식은 누리꾼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되었다. 신 의원은 연설 내내 “MBC가 편파·왜곡 보도로 공정성을 잃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언론의 공정성 문제를 언급해 네티즌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10] [11][12]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9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을 민주통합당 45,458 표 52.61% 1위 초선 총선 20대 국회의원 서울 영등포구 을 더불어민주당 35,221 표 41.05% 1위 재선 각주[편집]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1190907251&code=910402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F21&newsid=01256246602805640&DCD=A00602&OutLnkChk=Y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5756129 ↑ “신경민 앵커 클로징 멘트,“희망 품은 내일이 언젠가 올 것””. 브레이크 뉴스. 2009년 4월 13일.  ↑ “신경민 앵커-정동영 전 장관, 닮은꼴 '화제'”. 머니투데이. 2009년 4월 13일.  ↑ “신경민 "'막말파문' 보도한 MBC 언론중재위 제소"”. 머니투데이. 2012년 10월 23일.  ↑ http://www.lawissu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503 ↑ http://www.lawissu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503 ↑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963 ↑ “신경민 신경민 친정 MBC 습격 사건 “김재철 방지법 만들겠다””. 한겨레. 2012년 10월 26일.  ↑ 유투브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I5OT2l1Ni00 ↑ 유투브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5dfREcfABYo&list=PLdiTkx98l68X8Hcbk1cEyBGHryO3LSiY2&index=1 외부 링크[편집] 신경민 트위터 신경민 블로그 전 임 (영등포구 갑)전여옥(영등포구 을)권영세 제19대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을)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영등포구 갑)김영주 후 임 (영등포구 갑)김영주(영등포구 을)신경민 전 임 (영등포구 갑)김영주(영등포구 을)신경민 제20대 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 을) 2016년 5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영등포구 갑)김영주 후 임 (현직) vdeh 뉴스데스크현재 진행 중인 앵커평일 왕종명 이재은 허일후(MBC 스포츠뉴스) 주말 김수진 박연경(MBC 스포츠뉴스) 전직 앵커남성 박근숙 곽노환 김기도 김기주 김창식 이영익 정병수 하순봉 형진한 이득렬 고진 강성구 송도균 임택근 김기덕 차인태 김영수 김동진 추성춘 구본홍 엄기영 손석희 신경민 이상열 정길용 최우철 조정민 정동영 이인용 김상수 이인용 박광온 김성수 박광온 연보흠 권순표 왕종명 김연국 김세용 박경추 김창옥 최일구 김상운 황헌 정연국 최대현 신동호 권재홍 도인태 박용찬 박상권 이준희 이상현 천현우 엄주원 박성호 여성 최경미 백지연 정혜정 박영선 이미영 조일수 김현경 김은주 김은혜 최율미 이주연 김지은 박나림 오은실 김주하 박혜진 서현진 최윤영 차미연 김수진 문지애 양승은 박보경 김소영 강다솜 이정민 정다희 박연경 배현진 김수지 손정은 전직 MBC 스포츠뉴스 앵커 이철원 송재익 양진수 임주완 최창섭 고창근 이현우 이윤철 성경환 송인득 유협 김창옥 임재홍 변창립 이창섭 한선교 홍은철 이윤재 최재혁 강재형 이재용 김범도 김상호 하지은 김완태 신동진 박경추 방현주 김성주 김경화 임경진 오상진 김정근 한준호 유수민 전종환 이하정 최현정 손정은 양승은 이성배 서인 이진 김초롱 이재은 차예린 김원경 유선경 정슬기 김나진 기상 캐스터 김동완 지윤태 김승환 장수영 차수진 손애성 현인아 이은주 이미영 이규리 임성희 안숙진 박미숙 김혜은 조문기 안혜경 최현정 박은지 배수연 박신영 이현승 정혜경 이문정 이창민 이귀주 김가영 임성은 이서경(평일) 박선영(주말) 최아리 기타 카메라 출동 (이상로, 신재민, 김진원, 김상수, 김민호, 신강균, 유종현, 홍순관, 정형일, 전동건, 양영철, 김상운, 신동욱, 김재철, 심재철, 노웅래, 최문순, 최명길, 김장겸, 박성희, 윤도한, 박상후, 최일구, 허용범, 전평국, 조기양, 전태국, 정연국, 심원택, 박성제, 이강택, 이호인, 고주룡, 이용마, 이상호, 김병헌, 왕종명, 최훈, 김정원, 김세의) 도청장치 방송사고 PC방 실험 사건 땡전 뉴스 MBC 뉴스센터 (1981년 ~ 1989년, 1991년 ~ 1993년) MBC 스포츠뉴스 (통합 이전 및 분리 편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경민&oldid=24450583" 분류: 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5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기자전주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대한민국 육군 중위육군보병학교 동문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이화여자대학교 교수문화방송의 직원프리랜서 아나운서전주시 출신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더불어민주당 당원영산 신씨신돈대한민국의 불교 신자친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9일 (수) 1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경민(辛京珉, 1953년 8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9·20대 국회의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경민은 제19대 국회의원을 언제동안 했을까? Assistant: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Human: 아래 린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린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린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린치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린치당해 죽은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린치(lynch) 또는 사형(私刑)은 법적 절차 없이 폭력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린치의 희생자는 소속된 사회에서 소외된 자인 경우가 많다. 목차 1 어원 2 나라별 린치 사례 2.1 남아프리카 2.2 도미니카 공화국 2.3 멕시코 2.4 미국 2.5 유럽 2.5.1 독일 2.6 인도 2.7 이스라엘 3 린치와 미국사회 4 각주 5 외부 링크 어원[편집] 18세기 미국의 개척시대 서부에서는 동부의 발전된 도시와 달리 시설이 매우 조악하였다. 특히 사법 기관이 매우 부족하여 각종 흉악 범죄에 대한 대비가 극히 미비했다. 1774년 미국 버지니아 주의 치안판사로 부임한 찰스 린치는 이와 같은 상황을 타개하고자, 용의자라고 생각되는 자를 적법한 절차를 생략하고 사형시킬 수 있는 '사형법'을 만들게 된다. 이 때부터 치안판사 린치의 이름을 따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고 사람에게 폭력을 가하는 행위를 '린치를 가하다'라고 표현하게 되었다. 나라별 린치 사례[편집] 남아프리카[편집] 범죄자나 정치범들에 대한 채찍질이나 교수형은 1980년대 남 아프리카의 민족 격리 정책이 실시되던 때에 시작되었다. 흑인 주거구역의 시민들은 시민법정(en:People's Courts)을 조직하고 주정부의 첩자로 의심되는 동족 흑인을 매질을 하고 교수형에 처하여 벌하였다. 교수형(Necklacing)형태는 등유로 가득 찬 고무타이어를 피해자의 가슴이나 팔에 매어 불을 질러 고통 속에 사망하게 하는 것으로 아이들도 포함한 범죄자를 벌하는데 쓰였다. 이 범죄자들은 흑인자유운동의 반역자들 혹은 범죄자의 동조자들이 포함되었다. 가끔 시민법정가 실수로 무고한 시민을 처형한 경우도 있으며 시민 법정 지도층에 불순종한 사람을 처형하는 데에도 교수형을 사용하였다.[1] 구류중인 넬슨 만델라의 부인인 Winnie만델라와 한 아프리카 국회 상원의원에 의해 교수형이 법제화되었을 때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가장 최근에는 마약상이나 폭력조직원들이 무슬림 자경단체인 반마약폭력 단체에 의해 린치를 당하였다.[2] 도미니카 공화국[편집] 국제 대사 보고서(en:Amnesty International report)에 따르면 각종 범죄로 린치를당한 아이티 사람과 도미니카 사람은 도둑에서 살인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유사의 린치는 2006년까지 지속하여 일어났다.[3] 멕시코[편집] 2004년 11월 23일 Tlahuac 린치사건에서 3명의 멕시코계 비밀연방요원들이 마약수사를 하던 중 멕시코 시의 San Juan Ixtayopan 지역에서 요원들이 사진촬영을 목격하고 초등학교 아이들을 유괴하려는 것으로 오해하여 분개한 군중에 의해 린치를 당했다. 요원들은 현장에서 즉시 자신들의 신분을 밝혔으나 군중에 의해 감금당하고 몇 시간에 걸쳐 폭행을 당하여 요원 두 명이 숨지고 화형에 처해졌다. 이 사건정보는 발생시점부터 대중매체에 의해 무마되었고 요원들의 선처요구나 항소요구도 무시되었다. 경찰 구조팀이 도착할 무렵에는 이미 두 명의 요원의 시신은 심하게 훼손되어 있었고 마지막 요원은 중상을 입었다. 담당국은 이 사건의 발단이 요원들의 조사과정에서 불거진 것이라 잠정결론을 내렸다. 지역 및 연방 담당국은 사건발생 지역이 수사팀이 정시에 도착하기 힘들 정도로 외진 곳이었다며 요언들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 담당 관리자들은 만약 분개한 군중들 틈에서 요원들을 구조하려고 시도했더라면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설명을 붙였다. 미국[편집] 미국 사회에 인권평등을 규정한 헌법 조항이 엄연히 있음에도 1857년 대법원의 드레드 스콧(en:Dred Scott)사건에서는 흑인을 미국 시민이 아니라고 판결해 흑인들의 종속적 지위를 정당화했다. 흑인을 해방 이후에도 노예와 유사한 신분으로 묶어놓는 것은 경제 활동 이외에 사회적으로도 노예와 흡사한 생활을 하도록 강요함으로써 가능했다. 19세기 말에는 '흑인 규범(en:Black Codes)'이나 '짐 크로우 법(en:Jim Crow Rules)'같이 흑인과 백인 간의 접촉을 차단하고 그들에게 열등한 처우를 강요하는 사회적 규범이 폭넓게 실행되었다. 백인들은 이러한 억압적 규정에 저항하는 흑인을 공권력을 동원하여 처벌하는 것은 물론, 사적으로 벌을 주는(en:Lynching)방식으로 규제를 가해, 흑인이 자유인으로 살 수 있는 기회를 사실상 차단했다.[4] 유럽[편집] 유럽에서의 린치와 유사한 초기의 형벌 형태는 중세 독일의 Vehmgerichte처리, 영국의 Lydford법, Gibbet법, 스코틀랜드의 Cowper법, Jeddart법 등으로 존재했다. 린치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사회 격변기 시대 때부터 존재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린치사건은 1672년 8월 20일 발생했다. 네덜란드의 헤이그 지역 린치무리가 현대의 수상에 준하는 대행정장관인 Johan de Witt와 그의 형제인 Cornelis de Witt의 손발을 잘라내어 살인하였다. 1944년에는 나치정권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독일계 전범인 Wolfgang Rosterg가 스코틀랜드 Comrie에 있는 POW 21캠프에서 나치들에 의해 린치를 당했다. 전후 5명의 전범죄들이 Pentonville수용소에서 린치를 당했다. 이는 영국의 20세기 역사에 있어서 가장 규모가 큰 다중처형이었다.[5] 1956년 소련침략에 반한 헝가리혁명 동안에도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유사한 개인 린치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여성들을 화형으로 죽였던 마녀사냥도 린치가 아니냐는 사람도 있다. 특히 여성들은 사회에서 소외된 것으로 추정되어 아무래도 마녀 사냥도 어면히 린치 폭동이랑 비슷한 사례라 볼 수 있다. 독일[편집] 신나치주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도[편집] 인도 카스트제도와 폭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도에서의 린치는 주로 다양한 소수민족과 인도의 카스트제도 사이의 긴장을 대변해 준다. 일반적으로는 상위 카스트 계층이 하급 카스트 계층을 벌하면서 린치가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의 예인 Kherlanji학살의 경우를 보면 하급 카스트 계층이 다른 하층 계층에게 린치를 가한 경우이다. 인도에는 하층 카스트 계층의 해방을 독려하는 체계화된 실행 정책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사회학자나 사회 과학자들은 이 카스트제도가 중대한 차별대우를 조장하는 원인으로 보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며 이 문제 핵심에는 민족 간에 존재하는 민족문화불화가 있다고 본다.[6] 이스라엘[편집] (웨스트 뱅크 및 가자 스트립) 2001년 인권관리보고서(en:Human Rights Watch report)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린치군중이 이스라엘에 동조한 것으로 의심받은 동족인을 살해하였다.[7] 석유위원회(en:PA)가 설립되기 전, 1차 Intifada 폭동 때, 가끔 팔레스티나 해방 기구가 가담했을 거라 의심되는 가운데 수백 명의 반역 용의자들이 린치를 당하고 고문을 당했으며 사형에 처해졌다. 현재의 Untifada중에도 반역 용의자들은 도상에서 죽음을 당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되는 사건 수는 확연히 줄었다.[8] 2000년 Ramallah린치 사건에서 이스라엘인도 린치를 당했는데 팔레스타인 폭력군중이 자치도시에 들어 온 두 명의 이스라엘 예비병에게 폭력을 행사하여 사망하게 하였다.[9] 린치와 미국사회[편집] 린치(en:Lynching)는 주로 목을 매다는 형식의 법외 처형법으로 군중들에 의해 실행되었다. 이 처형법은 Charivari나 Riding the rail과 같은 다른 사회 공동체적 규제법과 연관되어 있다. 린치는 사회적, 경제적 긴장이 고조되었을 때 더욱 성행하였으며 주로 정치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다수가 사회적으로 불거지는 소수의 불만을 잠재우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미국 시민혁명(en:American Civil War) 후에 노예제도가 폐지되고 자유인이된 흑인에게 투표권이 주어진 후 남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미국 내의 폭행이 증가하였다. 1970년대에 남부 백인 민주당이 남부지역의 정치력을 다시 장악하게 된 후 흑인에 대한 폭력은 더욱 심해졌다. 각 주들은 가난한 백인과 대부분의 흑인들의 권리를 효과적으로 박탈하는 헌법 개정 법안을 통과시켰고 인종별로 공공시설을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흑인들을 일반 공공장소나 공공시설로부터 격리시켰다. 1860년과 1890년 사이에 5,000명에 가까운 수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린치를 당했다.[10] 메릴랜드 대학, 칼리지 파크 법대의 쉐릴린 A 이필(en:Sherrilyn A. Ifill) 교수가 펴낸 신간 서적에서 이필 교수는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백인들이 린치에 가담했는지 조사했다. 일부의 사람은 폭력에 가담했고 다른 이들은 린치를 구경했다. 그러나 린치를 실시하는 군중을 막는 사람은 없었다. 그녀의 연구를 통해 단체범죄행동의 관습이 얼마나 미국 지역 사회의 문화와 사회에 깊숙이 자리 잡아왔는지 그리고 폭력을 지지하거나 눈감아 주거나 모른 체 했는지 밝혀냈다. 이필 교수는 남아프리카의 진실 조정 위원회의 권유에 따라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19세기 말에 미국, 대영제국 식민지에서의 린치는 1833년 노예해방 선언 후에 인종과 성별에 따라 백인주도사회에 진출하지 못하도록 폭력이 성행했던 시기에 시작되었다.[11] 20세기에 들어서 몇몇의 미국의회의원들이 린치를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남부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민주당 위원들이 이 시도를 무산시켰고 법안 의사진행을 방해하였다. 오늘날 린치는 미국에서 중죄에 해당된다. 법적으로 명시된 정의를 보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타인의 신체에 가해져 사망에 이르게 한 모든 유형의 폭력 행위.’라 밝히고 있다. 여기서 다수의 사람은 두 명 이상의 사람을 뜻하며 인종이나 관할 지역에 상관없이 적용되며 고의적으로 타인에게 가해진 폭력을 지칭한다. 법령에 명시된 2급 린치는 ‘타인의 몸에 가해졌으나 피해자가 사망에 이르지 않은 다수에 의해 발생한 폭력 행위.’로 규정되어 있다.[12] 또한 린치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사전에 모의한 증거가 제시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폭행을 행하는 동기 자체는 공동 가해자가 모집되는 과정에서 혹은 그 이전부터 형성된다.[13] 각주[편집] ↑ 4. Background: The Black Struggle For Political Power: Major Forces in the Conflict, in The Killings in South Africa: The Role of the Security Forces and the Response of the State, Human Rights Watch, January 8, 1991. ISBN 0-929692-76-4. Accessed 6 November 2006. ↑ Row over 'mother of the nation' Winnie Mandela, The Guardian, January 27, 1989 ↑ “Amnesty International”. 2007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8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Working to Protect Human Rights ’ (도움말) ↑ 한울아카데미, 미국 문화의 기초 (2006) p.293 -이현송 지음 ↑ “caledonia.tv”. 2007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월 20일에 확인함.  ↑ Andre Béteille, "treating caste as a form of racism is politically mischievous and worse, scientifically nonsense since there is no discernible difference in the racial characteristics between Brahmins and Scheduled Castes, Race and caste by Andre Beteille The perception of the caste system as a static and textual stratification has given way to the perception of the caste system as a more processual, empirical and contextual stratification.James Silverberg (November 1969). "Social Mobility in the Caste System in India: An Interdisciplinary Symposium".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5 (3): 443–444. doi:10.1525/as.1961.1.10.01p15082. Pakistani-American sociologist Ayesha Jalal ; "As for Hinduism, the hierarchical principles of the Brahmanical social order have always been contested from within Hindu society, suggesting that equality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both valued and practiced.", A. Jalal,Democracy and Authoritarianism in South Asia: A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Contemporary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May 26, 1995), ISBN 0-521-47862-6 ↑ Yizhar Be'er, Dr. Saleh 'Abdel-Jawad, Collaborators in the Occupied Territories: Human Rights Abuses and Violations (Microsoft Word document), B’Tselem – The Israeli Information Center for Human Rights in the Occupied Territories, January 1994. Accessed 14 September 2009. Also available as an RTF document, archived 15 July 2004 on the Internet Archive. ↑ VI. Balancing Security and Human Rights During the Intifada in Justice Undermined: Balancing Security and Human Rights in the Palestinian Justice System, Human Rights Watch Reports, November 2001, Vol. 13, No. 4 (E). ↑ ^ Martin Asser, Lynch mob's brutal attack, BBC News, 13 October 2000. Accessed 14 September 2009. ↑ On the Courthouse Lawn: Confronting the Legacy of Lynch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by Sherrilyn A. Ifill (Beacon Press, 2007) ISBN 978-0-8070-0987-1 ↑ Thomas E. Smith, "The Discourse of Violence: Transatlantic Narratives of Lynching during High Imperialism", Journal of Colonialism and Colonial History - Volume 8, Number 2, Fall 2007 ↑ S.C. Code of Laws Title 16 Chapter 3 Offenses Against the Person ↑ State v. Barksdale, 311 S.C. 210, 214, 428 S.E.2d 498, 500 (Ct. App. 1993)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린치 "The Real Judge Lynch" (December 1901) The Atlantic Monthly Quinones, Sam, True Tales From Another Mexico: the Lynch Mob, the Popsicle Kings, Chalino and the Bronx (Univ. of New Mexico Press): recounts a lynching in a small Mexican town in 1998. Without Sanctuary: Lynching Photography in America by James Allen, Hilton Als, United States Rep. John Lewis and historian Leon F. Litwack. (Twin Palm Publishers: 2000) ISBN 978-0-944092-69-9. Republication of many of the photographs on Wikipedia would violate copyright. Etymology OnLine 전거 통제 GND: 4168383-3 NDL: 00570946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린치&oldid=23961189" 분류: 린치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مصرى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rezhoneg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ëtzebuergesch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일 (수) 18: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린치(lynch) 또는 사형(私刑)은 법적 절차 없이 폭력을 가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린치의 희생자는 소속된 사회에서 소외된 자인 경우가 많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유럽의 나라별 린치사건과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유럽에서의 린치와 유사한 초기의 형벌 형태는 중세 독일의 Vehmgerichte처리, 영국의 Lydford법, Gibbet법, 스코틀랜드의 Cowper법, Jeddart법 등으로 존재했다. 린치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사회 격변기 시대 때부터 존재했다. 가장 악명 높았던 린치사건은 1672년 8월 20일 발생했다. 네덜란드의 헤이그 지역 린치무리가 현대의 수상에 준하는 대행정장관인 Johan de Witt와 그의 형제인 Cornelis de Witt의 손발을 잘라내어 살인하였다. 1944년에는 나치정권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독일계 전범인 Wolfgang Rosterg가 스코틀랜드 Comrie에 있는 POW 21캠프에서 나치들에 의해 린치를 당했다. 전후 5명의 전범죄들이 Pentonville수용소에서 린치를 당했다. 이는 영국의 20세기 역사에 있어서 가장 규모가 큰 다중처형이었다.[5] 1956년 소련침략에 반한 헝가리혁명 동안에도 헝가리의 부다페스트에서 유사한 개인 린치사건이 있었다. 그리고 여성들을 화형으로 죽였던 마녀사냥도 린치가 아니냐는 사람도 있다. 특히 여성들은 사회에서 소외된 것으로 추정되어 아무래도 마녀 사냥도 어면히 린치 폭동이랑 비슷한 사례라 볼 수 있다.
Human: 아래 대중_전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중 전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중 전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중 전달(大衆傳達) 또는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은 신문·라디오·텔레비전·잡지 등의 매체들을 통해서 행해지는 대중에의 대량적인 전달을 말하는 사회현상이다. 고도로 과학기술이 발달된 현대에서는 인간의 사회환경이 확대되어서 이 환경에 대처해 가는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터득할 필요에서 대중 전달이 발달했다. 그 조직이나 영향력이 거대해지면서 개인의 교양이나 체험에 의한 판단을 압도한다. 또한 정부나 대자본이 보도기관을 독점하고 통제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1] 목차 1 용어 2 퍼스널 커뮤니케이션과의 차이 3 발달사 4 기능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7 각주 용어[편집] 원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말은 라틴어로 '공통되다, 공유하다, 알리다, 전달하다' 등의 뜻을 갖는 communication에서 유래되었다. 이 말이 1945년 유네스코 헌장을 통해 대중 또는 대량의 의미로 번역·이해되는 mass라는 말과 합쳐져 매스 커뮤니케이션으로 사용되었다. 대중 전달을 영어 명칭인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약자를 따서 매스컴이라 흔히 부르기도 한다. 일부에서 매스컴이란 단어를 언론 기관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2] 퍼스널 커뮤니케이션과의 차이[편집] 커뮤니케이션 작용에는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영어: personal communication)과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 두가지가 있다.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은 지식·판단·감정·의지와 같은 의식의 전달이 개인적, 면접적인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퍼스널 커뮤니케이션과 달리 매스 커뮤니케이션은 어느 한 쪽의 표현에 다른 쪽이 반응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달이 일방적 흐름으로 될 수밖에 없다. 발달사[편집] 커뮤니케이션 자체는 원시시대 이래로 인간사회 성립을 위한 불가결한 요소가 되어왔다. 하지만, 근대사회에 들어서서 매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의 특수한 형태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차츰 인구증가, 인간생활영역 확대로 인해 보조수단이 없이는 서로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행동과 사고의 일정한 규준(規準)이 필요하게 되는 상황이 오게 되었다. 이런 문제는 1446년 구텐베르크의 인쇄술 발명을 기점으로 발달된 신문이 해결해 주었다. 물론 로마시대의 아크타 디우르나(Acta Diurna)나 당나라 시대의 저보(邸報)처럼 신문의 윈시적 역할을 한 고전적 형태의 관보신문(官報新聞)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신문이 대량매체로서 그 기능을 본격적으로 발휘하기 시작한 시기는 산업혁명 이후에 급속히 이루어진 도시화·근대화 및 산업화와 때를 같이한다. 산업혁명 후의 기계기술의 발달은 신문의 대량인쇄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유럽내 자본주의 경제체제 형성과 근대시민사회의 성립은 언론의 자유와 여론의 존중의 기초가 되었다. 1895년 마르코니가 발명한 무선전신은 1920년 미국 피츠버그 KDKA방송국이 최초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1889년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kinetoscope)의 발명은 영화의 발전을 촉진시켜 주었다. 한편 1929년 영국, 1931년 미국, 그리고 1932년 독일에서 각각 텔레비전 시험전파를 띄우게 된다. 이를 기점으로 오늘날 텔레비전은 현존하는 대량매체 중에서 가장 현대적인 미디어로 발전한다. 또한 컴퓨터를 통한 정보전달체계로써 발전한 인터넷은 공간을 초월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은 미국 국방부의 ARPAN으로부터 발전하여 학술연구 및 상업적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현재에는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기능[편집] 대중 전달의 순기능은 다음과 같다. 사회체계와 그 구성원의 안전을 도모키 위해서, 국내외에서 발생하는 중요 사건, 정세 변화를 알려주는 환경감시기능 사회체계를 최선의 상태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 목표나 계획을 수립하고 결정하는 데 대하여 조언이나 비판을 하는 정책결정기능 정책결정기관이 수립한 제반 계획이나 시책을 그 구성원에게 알려주고, 대립적이며 이해 불일치 관계에 있는 집단이나 개인을 조정하고 협조하도록 도와주는 조직화기능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필요로 하는 공통된 사회규범과 가치의식을 부여해 주는 문화유지 기능 사회체계의 유지존속을 위해서 그 구성원들의 정신적 긴장과 마찰을 해소해 주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긴장해소 기능 역기능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무관심의 증대, 대중문화의 질적 저하문제를 들 수 있다. 특히 대중 전달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꾸며진 의사환경(擬似環境)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다. 이 '꾸며진' 내용이 현실과 엄청나게 어긋날 경우, 사회구성원의 환경에 대한 적응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사람들의 머리 속에 일단 인식된 일그러진 의사환경은 나중에 올바르게 바뀐다고 하더라도 완전히 새롭게 바꾸기는 어렵다. 같이 보기[편집]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참고 자료[편집] C. Wright Mills, The Mass Society, Chapter in the Power Elite,1956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 표준국어대사전 Archived 2013년 5월 20일 - 웨이백 머신 의 매스컴 항목 전거 통제 GND: 4037875-5 NDL: 00567517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중_전달&oldid=24084313" 분류: 대중 전달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বাংলাČeštinaDeutschEnglish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日本語КыргызчаLimburgsLatviešu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03: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중 전달(大衆傳達) 또는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은 신문·라디오·텔레비전·잡지 등의 매체들을 통해서 행해지는 대중에의 대량적인 전달을 말하는 사회현상이다. 고도로 과학기술이 발달된 현대에서는 인간의 사회환경이 확대되어서 이 환경에 대처해 가는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터득할 필요에서 대중 전달이 발달했다. 그 조직이나 영향력이 거대해지면서 개인의 교양이나 체험에 의한 판단을 압도한다. 또한 정부나 대자본이 보도기관을 독점하고 통제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무선전신의 발명가는 누구인가? Assistant: 마르코니 Human: 아래 신오사카_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오사카 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오사카 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오사카 역(新大阪駅, Shin-Ōsaka-Eki)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에 있는 오사카 메트로 (大阪メトロ)·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의 철도역이다. 신오사카 개괄 관할 기관 오사카 시 교통국(오사카 시영 지하철)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 니시나카지마 5초메 목차 1 개요 2 이용 가능 철도 노선 3 역 구조 3.1 오사카 시영 지하철 3.2 승강장 4 서일본 여객철도·도카이 여객철도 (JR) 4.1 승강장 5 이용 현황 6 역세권 정보 7 역사 7.1 연표 7.2 구상 8 기타 사항 9 승강장 9.1 신칸센 9.2 기존선 9.3 미도스지 선 10 인접역 정보 11 각주 12 외부 링크 개요[편집] 오사카에 있어서 신칸센의 대표역으로,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의 기·종점으로,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오사카 시의 중심부인 우메다 지구로부터는 약 3km정도 떨어져 있으며, 오사카 역까지는 도카이도 본선 (JR 교토 선)의 경우에는 1역, 우메다 역까지는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으로 3역 정도 떨어져있다. 또, 신칸센에 접속하여 호쿠리쿠 지방, 산인 지방, 난키 지방, 간사이 국제 공항 등에의 재래선 특급 열차도 다수 정차·발착하고 있다. JR 역은 JR의 특정 도·구·시내 제도에 따라서 오사카 시내의 역에 속해 있다. JR 서일본 및 지하철의 역의 경우 모두 ICOCA, PiTaPa를 사용할 수 있으며, JR 서일본 역에서는 J스루 카드, Suica, Toica가, 지하철의 경우에는 스룻토 간사이에 대응하는 각종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JR 도카이 (신칸센)의 경우에는 이들 카드를 이용할 수 없으나, 신칸센의 자기 승차권 및 EX-IC 서비스 대응의 EX-IC 카드를 재래선 용의 Suica, ICOCA, TOICA, PiTaPa 등과 조합해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용 가능 철도 노선[편집] 오사카 시 교통국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M13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산요 신칸센 - 도카이도 신칸센과 직결 운행 (사실상의 일체화) 산요 신칸센 - 규슈 신칸센과 직결 운행 JR 교토 선(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 화물 지선 (우메다 화물선) 오사카 순환선 경유로 한와 선등에 직통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오사카 역을 경유하지는 않지만, 영업 거리는 오사카 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계산된다. 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 -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 (사실상의 일체화) 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규슈 신칸센 - 산요 신칸센과 직결 운행 역 구조[편집] 오사카 시영 지하철[편집] 신오사카 개괄 관할 기관 오사카 시 교통국 (오사카 시영 지하철)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 니시나카지마 5초메 15-5 좌표 북위 34° 26′ 26″ 동경 135° 17′ 44″ / 북위 34.44051° 동경 135.295473°  / 34.44051; 135.295473좌표: 북위 34° 26′ 26″ 동경 135° 17′ 44″ / 북위 34.44051° 동경 135.295473°  / 34.44051; 135.295473 개업일 1964년 9월 24일 역 번호  M13  승강장 구조 1면 2선( 노선 오사카 시 교통국 ■ 지하철 미도스지 선 에사카 기점 2.9 km ← M12 히가시미쿠니 (0.9 km)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 M14 →(0.7 km)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선의 역은 서측으로 신칸센 역과 직교하며, 신 미도스지의 중앙 분리 지대에 위치한 섬식 1면 2선 플랫폼의 고가역이다. 고가역이지만, 선로를 포함해 모두 지붕이 씌워져 있다. 에사카 역·센리추오 역 방면으로는 Y자의 회차용 선로기 존재하여, 덴노지 역 방면의 열차가 시발한다. 예전에는 야간에는 유치선로로써 사용되었으나, 1990년부터 나카쓰행의 열차를 연장하는 형식으로 낮시간대에도 신오사카행이 다수 발착되고 있다 (원래는 국제 화초 박람회 기간동안에만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많은 호평을 얻어 기간 종료 이후에도 연장 운전을 계속해, 현재는 야간까지 확대하였다.). 수도권에서 온 이용객이 많지만, '자동 개찰기에는 Suica, PASMO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승강장[편집] 1 ■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하행) 우메다·난바·덴노지·나카모즈 방면 2 ■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상행) 에사카·센리추오 방면 서일본 여객철도·도카이 여객철도 (JR)[편집] 신오사카 신오사카 역에 정차한 신칸센 500계 열차 개괄 관할 기관 ■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 여객철도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 시 요도가와 구 니시나카지마 5초메 16-1 좌표 북위 34° 26′ 26″ 동경 135° 18′ 01″ / 북위 34.44054° 동경 135.30041°  / 34.44054; 135.30041 개업일 1964년 10월 1일 승강장 구조 5면 8선 (신칸센)4면 7선 (재래선) 비고 미도리노마도구치 있음오사카 시내 역 *상호 직통 운행으로 운행계통이 일체화 되었다.**영업 거리 (운임 등에 반영되는 거리)로, 실거리와는 차이가 있다. 노선 ■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 도쿄 역 기점 552.6 km (도카이도 신칸센)신오사카 역 기점 0.0km (산요 신칸센) ← 교토 (39.0** km) 신코베 →(36.9** km) ■ 도카이도 본선 (JR 교토 선) 도쿄 역 기점 552.6km ← 히가시요도가와 (0.7 km) 오사카 →(3.8 km) □ 도카이도 본선 화물 지선 (우메다 화물선) 스이타 역 기점 3.8km ← 스이타 (3.8 km) (화물) 우메다 →(3.8 km) 플랫폼 번호는 JR 서일본 관할부에서는 '승강장', JR 도카이 관할부에서는 '번선'이라고 안내, 표기하므로 여기에서도 그대로 따른다. 3층에는 개찰구와 콩코스(역 구내의 중앙홀), 2층에는 상점가와 지하철역과 연결된 환승통로가 있다. 11 - 18번 승강장은 재래선 플랫폼 (지상), 20 - 26번선이 신칸센 플랫폼 (4층)이며, 1 - 10번 승강장 및 19번 승강장은 없다. 단, 신칸센 플랫폼은 1985년 20번선이 신설되기 전까지는 1 - 6번선이었다. 재래선 플랫폼은 JR서일본 관할으로, 섬식 4면 8선 플랫폼으로 구성된 지상역이다. 플랫폼은 남북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동서 방향으로 뻗은 신칸센 플랫폼과 교차하고 있다. 17, 18번 승강장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대신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재래선과 지하철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환승 편리성은 좋지 않다. '하루카'·'구로시오'는 간사이 공항·난키 지방 방면으로 가는 경우(하행)나 교토로 가는 경우(상행)에는 11번 승강장에서 발차하므로, 환승을 잘못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18번 승강장의 동쪽에는 넓은 공간이 있지만, 여기는 역이 개업할 때부터 오사카히가시 선 전용의 용지였다. 바로 위의 콩코스에도 계단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신칸센 플랫폼은 JR 도카이의 관할로, 섬식 3면 6선 + 단선식 2개로 이뤄진 고가역이다. 플랫폼은 모두 동서 방향으로 뻗어있다. 표시판은 JR도카이의 디자인을 따르고 있지만, 도카이도 신칸센과 산요 신칸센이 서로 만나기 때문에, 'JR 도카이' 표시나 오렌지 색의 JR 마크는 들어가있지 않다. 덧붙여 실제의 경계점은 역 서쪽의 도쿄 기점 518k 202m 지점이다. 여기는 ATC의 상행 제 1장내 진로 및 지상 신호기가 설치되어있다. 20번선으로 회차하는 상행 열차는 여기서부터 하행선을 주행하기 때문에, 산요 신칸센의 편수는 제한받고 있는 상태이다. 하카타 방면에는 상하 본선 사이에 오사카 제1차량소 신오사카 지소가 있다. JR서일본에서 운행하는 '히카리 레일스타'는 발차 안내시에 '히카리 ○○○호 레일스타' 라고 표시되지만, 방송에서는 레일스타가 빠져있다. 또, 신칸센 플랫폼에서는 영어 안내방송이 없다[1]. 산요 신칸센의 '히카리 레일스타'나 '고다마'는 20번선에서 발착하는 일이 많은 탓에,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환승 편리성은 좋지 않다. 또, 콩코스와 20번선의 직접 연결 엘리베이터가 없어, 21, 22번선용의 엘리베이터를 이용, 환승할 필요가 있다. 2006년 2월 22일의 정례회견에서 JR도카이의 사장은 한큐 전철 신오사카 연락선의 용지를 일부분 이용하여 현 26번선의 북측에다가 27번선을 신설함으로써, 신칸센 플랫폼의 하카타 방면에 있는 인상선 두 개를 네 개로 늘릴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운전효율이 향상되어 편수 증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 신칸센 콩코스가 중앙 입구(들어가는곳 전용), 중앙 출구(나가는곳 전용)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두 곳 모두 출입이 가능하도록 2013년까지 개량공사를 할 계획도 밝혔다.[2]. 남아 있는 한큐 전철의 소유지는 북측의 현관으로로 활용하는 것 [1] 과 동시에 신오사카 연락선 중 면허가 종료된 신오사카 - 주소구간을 요쓰바시 선의 주소 연장 (가칭 니시우메다 - 주소 연락선)에 맞춰서 니시우메다에의 접속 노선으로 정비할 의향을 밝혔다. 단, 이것은 계획이므로 착공과 완성 시기는 미정이다. 승강장[편집] 재래선 플랫폼 11(※) □ 간사이 공항 특급 '하루카' 간사이 공항 방면 교토·구사쓰·마이바라 방면 □ 특급 '구로시오 (열차)' 와카야마·키이타나베·시로하마·신구 방면 교토 행 ■ 한와 선 직통 ■ 쾌속 (이른 아침 및 심야만) 와카야마·키이타나베 방면 12 □ 특급 '선더버드' 후쿠이·가나자와 방면 □ 특급 '시나노' 기후·나고야·나가노 방면 □ 특급 '히다' 다카야마 방면 □ 특급 '슈퍼 하쿠토' 교토 행 □ 특급 '비와코 익스프레스' 교토·구사쓰·마이바라 방면 ■ JR 교토 선 ■ 쾌속 (평일 아침)·■ 신쾌속 (평일 아침) 다카쓰키·교토·마이바라·오미이마즈 방면 13 ■ JR 교토 선 ■ 보통 (아침만)·■ 쾌속·■ 신쾌속 다카쓰키·교토·마이바라·오미이마즈 방면 14 ■ JR 교토 선 ■ 보통 스이타·다카쓰키·교토 방면 15 ■ JR 고베 선[3] ■ 보통 오사카·산노미야·니시아카시 방면 ■ JR 다카라즈카 선[4] ■ 보통 오사카·다카라즈카·신산다 방면 16 ■ JR 고베 선[3] ■ 보통 (아침만)·■ 쾌속·■ 신쾌속 오사카·산노미야·히메지 방면 ■ JR 다카라즈카 선[4] ■ 보통 (평일 아침) 이타미·다카라즈카·산다 방면 17 □ 특급 '슈퍼 하쿠토' 돗토리·구라요시 방면 □ 특급 선더버드, 시나노, 히다(호쿠리쿠·주부 지방으로부터) 오사카 행 ■ JR 고베 선[3] ■ 쾌속 (아침 일부)■ 신쾌속 (평일 아침) 오사카·산노미야·히메지 방면 18 □ 특급 '기타긴키' 후쿠치야마·기노사키 온천·아마노하시다테 방면 □ 특급 (호쿠리쿠 지방에서의 일부) 오사카 행 신칸센 플랫폼 20 - 22 ■ 산요 신칸센 ■ '노조미·미즈호·■ '히카리'·히카리 레일스타·사쿠라■ '고다마' 오카야마 역·히로시마·하카타·가고시마추오 방면 23 - 27 ■ 도카이도 신칸센 ■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나고야·하마마츠·시즈오카·도쿄 방면 (※) 11번 승강장 발착의 열차는 오사카 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우메다 화물선을 경유하는데 이 선로는 오사카 역 인근에 우메다 화물역으로 연결된다) 이용 현황[편집] 오사카 시영 지하철 - 1일당 승차 인원은 약 65,622명, 하차 인원은 약 66,954명으로 도합 승하차 인원이 약 132,576명 (2007년 11월 13일)[5].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약 46,437명 (2006년). JR 서일본 역 중에서는 15위. 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 -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약 64,314명 (2005년). JR 도카이 역 중에서는 3위. 역세권 정보[편집] 역 주변은 아파트나 사무실 빌딩, 비즈니스 호텔 등의 건물이 늘어선 빌딩가이다. 우메다 시가지 옆의 오사카 역 정도는 아니지만, 많은 인파가 드나든다. 하지만 백화점이나 영화관은 없고, 오락, 상업 시설 역시 부족하다. 1990년대 이후, 고층 빌딩이 급증하고 있지만, 모두 높이는 100m 이하로 되어있다. 이것은 역 주변에 오사카 국제공항에 착륙할 때 항공기의 표준 도착 경로에 해당하기 때문에 항공법에 따라 높이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사카 도심은 물론, 일본 내 각지 (특히 수도권)에서의 편리성이 좋으며, 그에 비해 사무실이나 집의 임대료등이 싸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벤처 기업들이 집적하여, 이른바 '서일본 최고의 벤처 타운' 이라고 불릴 정도이다. 동쪽 출구에는 역 중앙부의 상점가로부터 벗어나 있기 때문에, 인파는 적다. 버스 터미널에서는 오사카 시내는 물론, 일본 내의 각지로 뻗는 버스 노선들이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다. 역사[편집] 1964년 10월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앞서,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의 역이 9월에 개업했다. 당시의 역은, 용지매수가 늦어졌던 까닭에 플랫폼의 남쪽 반 (우메다 역 방향)만 완성시켜 개업했던 까닭에 남쪽에 목제 가설 플랫폼을 설치해 유효장을 확보했다. 우메다 측의 상하선과 플랫폼과의 공간이 상당히 벌어져있는 것은 이 가설 플랫폼이 있었던 흔적이다. 신오사카 - 에사카 간의 연장 개업은 1970년으로, 미완성이었던 플랫폼의 북쪽 반을 완성시켜 가설 플랫폼을 철거, 현재의 미도스지 선의 역을 완성했다. 당시 일본국유철도 (현 JR)의 역은, 도쿄 올림픽의 개최에 맞춰 건설되었던 도카이도 신칸센의 기점역으로, 1963년 10월에 완공하여 1964년에 개업하였다. 신칸센의 역이 오사카 역에 병설되지 않은 것은, 오사카 역 (우메다 지구)부근이 한큐 전철의 우메다 역이라던가, 우메다 화물역 등의 기존 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더이상 재개발의 여지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고, 또, 산요 지방에의 연장(산요 신칸센) 계획이 있었던 탓에 요도가와를 두번 건너는 곡선 경로를 피하기 위함이었다. 덧붙여, 이전의 신칸센 계획인 '탄환열차 계획'에서는 1940년에 현 역의 근처인 히가시요도가와 역이 그 역할을 담당, '신오사카 역'으로 개칭할 예정이었으나, 이후 도카이도 신칸센 건설 시에 '산요 지방에의 연장 시에 홋포 화물선의 바로 위를 지나는 것이 용지 매수의 필요가 없어 좋다'는 이유로 오사카 부근의 루트가 일부 변경되었던 탓에, 현 위치에 당역이 설치되었다. 이에 따라서 통합하는 형태로 히가시요도가와 역을 폐지하려고 했으나, 지역 주민등의 반대운동에 부딪혀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때문에, 히가시요도가와 역과의 영업 거리는 0.7km라는 초단거리가 되었다. 당초 오사카히가시 선을 2006년에 전선 개업할 것을 목표로 했지만, 용지 매수 등에 곤란을 겪어 하나텐 - 규호지구간만 선행 개통하였지만, 2012년까지 완공을 목표로 하여, 기점역이 될 예정이다. 연표[편집] 1964년 9월 24일 -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신오사카까지 연장 개업. 10월 1일 -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따라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의 역 개업. 1970년 2월 24일 -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에사카까지 연장 개업. 1972년 3월 15일 - 산요 신칸센 개업. 1985년 3월 9일 - 신칸센 20번선 사용개시. 1-6번을 21-26번으로 개칭. 3월 14일 - 신쾌속 정차. 1987년 -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도카이도 신칸센 및 신칸센 개찰구 내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관할로, 산요 신칸센 및 재래선, 재래선 개찰구 내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관할이 됨. 1998년 3월 10일 - 신칸센 자동개찰기 도입. (2012년 - 오사카히가시 선 신오사카 - 하나텐간 개업 예정.) 구상[편집] 한큐 전철 신오사카 연락선 (요쓰바시 선, 니시우메다 - 주소 연락선과 직통) 진입이 구상되어있다. 원래 한큐 전철이 신오사카 연락선 (아와지 - 신오사카 - 주소, 신오사카 - 간자키가와)으로 들어올 예정이었으며, 1961년에 사업 면허를 획득, 일부 용지 매수와 역 구내 등의 준비 공사를 행하였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 2003년에 계획이 재검토 (해당 구간 면허 폐지를 제출)되는 등의 움직임이 있지만, 북측 지구 관련 사업으로 정비할 의향을 표명하였다. 또, 지역의 강한 요망도 있어, 2006년에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 지역 교통 마을 만들기 협회' 측에서 한큐 버스에 운행을 위탁하는 형태로 신오사카 - 아와지 간의 버스 노선을 개설[6] 했지만 채산성이 악화되어 2008년 3월 31일을 기점으로 운행을 종료하였다[7]. 나니와스지 선 (시오미바시·JR 난바 - 신오사카 : 미정)의 진입 계획도 구상되어 있다. 2008년 11월, JR 도카이 사장 카사이 타카유키가 강연회에서 '도쿄, 나고야, 오사카에서는 신칸센과 리니어 어느 쪽도 환승할 수 있게 만들고 싶다'고 주오 신칸센의 신오사카 진입 의향을 밝힌 것이 미디어에 보도된 적이 있다[8]. 기타 사항[편집] JR의 특급 일부와 신쾌속은 예전에는 이 역을 통과했던 적이 있지만, 통과하는 것을 모르고 오승하는 승객이 많았다. 1985년부터 신쾌속이 정차하게 되어, 2009년 현재, 신칸센과의 접속을 중시하여 재래선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신오사카 시종착의 열차도 많다. 단, 도쿄 발착의 정기운행의 침대특급 (이른바 블루 트레인)은 2008년에도 전부 통과하였다. JR으로 이 역부터 히메지 이후의 역까지 운임은, 히메지 역을 경유하는 경우에 한하여 오사카 역부터 영업 거리를 계산하도록 하는 특례가 있다 (3.8km를 계산에서 제외함). JR의 역은 제 4회 긴키의 역 백선에 선정되었다. 11, 12번 플랫폼의 특급 열차 발착시에 한하여, 플랫폼에서 직원이 발차 벨을 취급한다. 보컬 그룹 '고스페라즈'는 이 역에서 발견한 원거리 연애 커플에서 생각을 얻어 '신오사카'를 작곡, 가창하였다 (2003년 10월 22일 발매). 역 상공이 이타미 공항에의 착륙 경로에 해당하는 탓에 4층인 신칸센 플랫폼에서는 공항에 들어가려는 저공 비행 항공기를 목격 할 수 있다. 특급 '구로시오'의 차내 발차 차임은 오사카의 지역 노래인 '오사카 로망'이 사용되고 있다. 1일 평균 약 3,600대의 택시가 모이지만, 이 역과 미도스지 선을 잇는 진입로는 2차선에 불과하다. 때문에 승객들이 대기하는 쪽의 택시가 일렬로, 승객을 내리는 택시가 일렬로 점ㅇ하고 있기 때문에, 막차시간 부근에는 만성적으로 진입로 혼잡이 발생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금요일 막차 시간에 내렸는데 막차를 놓치는 사람이라던가, 이를 피하기 위해 택시에서 내려 진입로를 달려오는 사람들이 자주 보인다. 때문에, 일본 국토 교통성 긴키 운수부와 오사카 부내의 택시 협회에서는 2008년 6월 5일부터 승객 대기 택시의 진입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주변의 혼잡이 심한 목요일과 금요일에 한하여, 차량 2부제를 실시하고 있다. 단, 업계의 자율적 규제이기 때문에 죄에 해당하지는 않고, 운수국이 위반한 사업자 명과 운전사 명을 공개하는 것으로 그치고 있다[9]. 최초 실시 일이었던 6월 5일에는 종래의 택시가 승객을 태우기까지 한 시간 정도 기다려야 했지만, 5분에서 10분정도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10]. 운수국에서는 하차용 차선을 2차선으로 증설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9]. 2005년 7월 26일에,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문제가 된 석면이 3층의 콩코스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명되어, 2008년 현재, 시트로 덮어져 있어 역의 개수시에 철거할 예정이다. 승강장[편집] 신칸센[편집] 도카이도 신칸센과 산요 신칸센 승강장은 4층에 있다. 관할 철도 회사: 도카이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승강장 형태: 혼합식 승강장(섬식 승강장 3면 6선, 단선 승강장 1면 1선) 기존선[편집] 관할 철도 회사: 서일본 여객철도 승강장 형태: 섬식 승강장 4면 8개 미도스지 선[편집] 관할 철도 회사: 오사카 시 교통국 승강장 형태: 섬식 승강장 1면 2개 인접역 정보[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신오사카 역 오사카 시영 지하철 미도스지 선 M12 히가시미쿠니에사카·센리추오 방면 ● 미도스지 선 ( M13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 M14덴노지·나카모즈 방면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 다카쓰키마이바라·쓰루가 방면 ● JR 교토 선■ 신쾌속 오사카산노미야·히메지 방면 이바라키교토·마이바라 방면 ● JR 교토 선■ 쾌속 오사카산노미야·히메지 방면 히가시요도가와다카쓰키·교토 방면 ● JR 교토 선■ 보통 오사카산노미야·니시아카시 방면 서일본 여객철도 화물 지선 시·종착역 ● 우메다 화물선 경유 한와 선 직통■ 쾌속 (와카야마 방면으로만)·■ B쾌속 (도착 열차만) 니시쿠조*덴노지·와카야마 방면 도카이 여객철도·서일본 여객철도·큐슈 여객철도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 교토나고야·도쿄 방면 ● 도카이도 신칸센·산요 신칸센 신코베히로시마·하카타·가고시마 방면 *당역 - 후쿠시마 역은 우메다 화물선, 후쿠시마 역 - 니시쿠조 역간은 오사카 순환선 경유. 참고로 우메다 화물선에는 화물역인 우메다 역이 위치하고 있다. 각주[편집] ↑ 산요 신칸센의 일부 주요역에서는 영어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 http://jr-central.co.jp/news/release/_pdf/000002547.pdf[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PDF 파일) ↑ 가 나 다 실제로는 오사카 역까지가 JR 교토 선, 이후가 JR 고베 선이나 안내에서는 JR 고베 선으로 안내하고 있다. ↑ 가 나 실제로는 오사카 역이 후쿠치야마 선 (JR 다카라즈카 선)의 기점이나, 안내상에서는 JR 다카라즈카 선도 표기하고 있다. ↑ 2007년 지하철 및 신교통 교통 조사에 대해 (PDF 파일, 2007년 11월 13일) ↑ 신오사카와 아와지를 잇는 지역 버스가 개통, 5월 13일 (PDF) ↑ 신오사카 - 아와지 간 노선 폐지 알림 (PDF) ↑ http://charge.biz.yahoo.co.jp/vip/news/jij/081107/081107_mbiz059.html 및 http://money.goo.ne.jp/investment/news/keizai/jijiji-081107X487.html[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가 나 일본 교통신문 2008년 5월 27일자 보도 ↑ 신오사카 역 택시 진입 규제 실시 (아사히 신문 2008년 6월 6일자 보도) 외부 링크[편집] (일본어) 오사카 시 교통국 (신오사카 역) (일본어) JR 서일본 오데카케 (신오사카 역) (일본어) JR 도카이 (신오사카 역) 운행 노선 및 역 목록 vdeh 도카이도 신칸센 도쿄 - 시나가와 - 신요코하마 - 오다와라 - 아타미 - 미시마 - 신후지 - 시즈오카 - 가케가와 - 하마마쓰 - 도요하시 - 미카와안조 - 나고야 - 기후하시마 - 마이바라 - 교토 - 신오사카 (→하카타 방면) vdeh 산요 신칸센 (도쿄 방면←) 신오사카 - 신코베 - 니시아카시 - 히메지 - 아이오이 - 오카야마 - 신쿠라시키 - 후쿠야마 - 신오노미치 - 미하라 - 히가시히로시마 - 히로시마 - 신이와쿠니 - 도쿠야마 - 신야마구치 - 아사 - 신시모노세키 - 고쿠라 - 하카타 (→하카타미나미·구마모토·가고시마 중앙 방면) vdeh JR 교토 선 (도카이도 본선)(마이바라 방면 ←) 교토 - (화물) 교토 화물 - 니시오지 - 가쓰라가와 - 무코마치 - 나가오카쿄 - 야마자키 - 시마모토 - 다카쓰키 - 셋쓰톤다 - JR소지지 - 이바라키 - 센리오카 - 기시베 - 스이타 - 히가시요도가와 - 신오사카 - 오사카 (→ 고베 방면)화물선 (우메다 화물선) : 이바라키 - ((화물) 오사카 화물 터미널 ←) 스이타 신호장 - 스이타 (→ 아마가사키 방면) - 신오사카 - (화물) 우메다 - 후쿠시마 (→ 니시쿠조 방면)산인 연락선 (화물지선) : (화물) 교토 화물 - 단바구치 / 교토시조 지선 (화물지선, 1984년 폐지) : (화물) 우메코지 - (화물) 교토시조 vdeh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미도스지 선 /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 선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 선센리추오 - 모모야마다이 - 료쿠치코엔 - 에사카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미도스지 선에사카 - 히가시미쿠니 - 신오사카 - 니시나카지마미나미가타 - 나카쓰 - 우메다 - 요도야바시 - 혼마치 - 신사이바시 - 난바 - 다이코쿠초 - 도부쓰엔마에 - 덴노지 - 쇼와초 - 니시타나베 - 나가이 - 아비코 - 기타하나다 - 신카나오카 - 나카모즈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오사카_역&oldid=24324286" 분류: 오사카시 교통국의 철도역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오사카시의 철도역요도가와구JR 교토선오사카시 교통국 지하철 미도스지 선1964년 개업한 철도역일본국유철도의 철도역한큐 전철의 철도역요도가와구의 건축물요도가와구의 교통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РусскийSimple EnglishBasa SundaSvenskaไทย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2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오사카역(新大阪駅 (しんおおさかえき), Shin-Ōsaka-Eki)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요도가와구에 있는 오사카 메트로 (大阪メトロ)·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도카이 여객철도 (JR 도카이)의 철도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오사카역은 오사카 중심부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을까? Assistant: 3km
Human: 아래 한기중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기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기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기중출생 1961년 3월 13일(1961-03-13) (58세)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2001년 ~소속사 위드인 한기중(1961년 3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연기 활동작 1.1 영화 1.2 TV 드라마 1.3 연극 연기 활동작[편집] 영화[편집] 2001년 《인디안 썸머》 ... 신경외과 의사 역 2001년 《와이키키 브라더스》 ... 민수 역 2002년 《버스, 정류장》 ... 원장 역 2002년 《정글 쥬스》 ... 김 형사 역 2002년 《로드무비》 ... 석원 선배 역 2002년 《신도시인》 ... 아빠 역 2005년 《역전의 명수》 ... 반장 역 2006년 《강적》 ... 장 검사 역 2007년 《오프로드》프로듀서 2007년 《키로기》 ... 반장 역 2008년 《영화는 영화다》 ... 박 사장 역 2008년 《비몽》 ... 강력계 조서경찰 역 2011년 《적과의 동침》 ... 정웅 부 역 2011년 《풍산개》 ... 과장 역 2012년 《부러진 화살》 ... 재단 이시장 역(우정출연) 2013년 《변호인》 ... 이흥기 역 2014년 《제보자》 ... 국정원장 역 2018년 《골든 슬럼버》 ... 야당후보 역 2018년 《협상》 ... 손 중장 역 TV 드라마[편집] 2013년 KBS 수목드라마 《비밀》 ... 양익태 역 2015년 KBS 일일연속극 《달콤한 비밀》 ... 박이사 역 2015년 MBC 일일특별기획 《아름다운 당신》 ... 하종수 역 2016년 KBS1 대하드라마 《장영실》 ... 허조 역 2018년 JTBC 금토드라마 《미스티》 2018년 KBS2 수목드라마 《슈츠》 2018년 OCN 주말드라마 《플레이어》 ... 김성진 역 2018년 OCN 수목드라마 《신의 퀴즈: 리부트》 ... 조희권 역 2019년 SBS 금토드라마 《열혈사제》 ... 박원무 역 2019년 OCN 주말드라마 《보이스 3》 ... 오필수 역 연극[편집] 2011년 《조용한 식탁》 2011년 《굿모닝 파파》 2011년 《쉬 러브즈 미》 이 글은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기중&oldid=24403852" 분류: 196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숨은 분류: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기중(1961년 3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한기중은 드라마 장영실에서 어떤 배역을 맡았을까? Assistant: 허조 Human: 아래 김소영_(방송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소영 (방송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소영 (방송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소영金素英 출생 1987년 10월 22일(1987-10-22) (31세)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 별칭 비 내리는 호남선학력 의정부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직업 아나운서활동 기간 2012년 ~ 현재소속 아이오케이컴퍼니배우자 오상진웹사이트 김소영 - 인스타그램김소영 - 페이스북김소영 - 트위터 김소영(金素英, 1987년 10월 22일(1987-10-22) ~ )은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MBC의 아나운서를 지낸 프리랜서 아나운서이다. 목차 1 학력 2 경력 3 진행 4 아나운서 외 활동 4.1 드라마 4.2 예능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의정부여자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경력[편집] 2010년 ~ 2012년 OBS 아나운서 2012년 ~ 2017년 MBC 아나운서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명선거 홍보대사 2014년 제5회 비만예방의 날 홍보대사 진행[편집] 연도 방송사 프로그램 진행 기간 비고 2012 MBC 희망특강 파랑새 2012년 11월 9일 ~ 2013년 2월 24일 2012 MBC MBC 3시 경제뉴스 2012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5일 2012 MBC TV 속의 TV 2012년 11월 9일 ~ 2013년 2월 24일 2013 MBC MBC 뉴스데스크 2013년 3월 23일 ~ 2013년 11월 17일 주말 2013 MBC 2013년 11월 18일 ~ 2014년 5월 9일 평일 2013 MBC FM4U 비포 선 라이즈 2013년 3월 25일 ~ 2013년 8월 30일 2013 MBC FM4U 영화음악 2013년 9월 2일 ~ 2013년 12월 2일 2014 MBC MBC 생활뉴스 2014년 7월 7일 ~ 2014년 12월 30일 2014 MBC 표준FM 잠 못 드는 이유 김소영입니다 2014년 11월 18일 ~ 2015년 11월 16일 2015 MBC MBC 뉴스 24 2015년 1월 1일 ~ 2015년 11월 6일 2015 MBC 통일전망대 2015년 6월 2일 ~ 2016년 4월 4일 2015 MBC MBC 뉴스투데이 2015년 11월 9일 ~ 2016년 10월 7일 2018 KBS 2 슈퍼맨이 돌아왔다 2018년 5월 27일 ~ 2018년 7월 8일 아나운서 외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2015년 MBC 일일 특별기획 《아름다운 당신》 ... 라디오 프로그램 DJ 역 예능[편집] 2015년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비 내리는 호남선 2016년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2017년 tvN 《신혼일기 2》 2018년 SBS 플러스 《남자다움, 그게뭔데?》 - 고정 MC 2018년 tvN 《인생술집》 2019년 O'live 《프리한마켓10》 2019년 tvN 《서울메이트 3》 외부 링크[편집] 김소영 - 인스타그램 김소영 - 페이스북 김소영 - 트위터 vdeh 뉴스데스크현재 진행 중인 앵커평일 왕종명 이재은 허일후(MBC 스포츠뉴스) 주말 김수진 박연경(MBC 스포츠뉴스) 전직 앵커남성 박근숙 곽노환 김기도 김기주 김창식 이영익 정병수 하순봉 형진한 이득렬 고진 강성구 송도균 임택근 김기덕 차인태 김영수 김동진 추성춘 구본홍 엄기영 손석희 신경민 이상열 정길용 최우철 조정민 정동영 이인용 김상수 이인용 박광온 김성수 박광온 연보흠 권순표 왕종명 김연국 김세용 박경추 김창옥 최일구 김상운 황헌 정연국 최대현 신동호 권재홍 도인태 박용찬 박상권 이준희 이상현 천현우 엄주원 박성호 여성 최경미 백지연 정혜정 박영선 이미영 조일수 김현경 김은주 김은혜 최율미 이주연 김지은 박나림 오은실 김주하 박혜진 서현진 최윤영 차미연 김수진 문지애 양승은 박보경 김소영 강다솜 이정민 정다희 박연경 배현진 김수지 손정은 전직 MBC 스포츠뉴스 앵커 이철원 송재익 양진수 임주완 최창섭 고창근 이현우 이윤철 성경환 송인득 유협 김창옥 임재홍 변창립 이창섭 한선교 홍은철 이윤재 최재혁 강재형 이재용 김범도 김상호 하지은 김완태 신동진 박경추 방현주 김성주 김경화 임경진 오상진 김정근 한준호 유수민 전종환 이하정 최현정 손정은 양승은 이성배 서인 이진 김초롱 이재은 차예린 김원경 유선경 정슬기 김나진 기상 캐스터 김동완 지윤태 김승환 장수영 차수진 손애성 현인아 이은주 이미영 이규리 임성희 안숙진 박미숙 김혜은 조문기 안혜경 최현정 박은지 배수연 박신영 이현승 정혜경 이문정 이창민 이귀주 김가영 임성은 이서경(평일) 박선영(주말) 최아리 기타 카메라 출동 (이상로, 신재민, 김진원, 김상수, 김민호, 신강균, 유종현, 홍순관, 정형일, 전동건, 양영철, 김상운, 신동욱, 김재철, 심재철, 노웅래, 최문순, 최명길, 김장겸, 박성희, 윤도한, 박상후, 최일구, 허용범, 전평국, 조기양, 전태국, 정연국, 심원택, 박성제, 이강택, 이호인, 고주룡, 이용마, 이상호, 김병헌, 왕종명, 최훈, 김정원, 김세의) 도청장치 방송사고 PC방 실험 사건 땡전 뉴스 MBC 뉴스센터 (1981년 ~ 1989년, 1991년 ~ 1993년) MBC 스포츠뉴스 (통합 이전 및 분리 편성) 이 글은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소영_(방송인)&oldid=24526446" 분류: 198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OBS경인TV의 아나운서2010년 데뷔문화방송의 아나운서프리랜서 아나운서의정부시 출신의정부신곡초등학교 동문신곡중학교 (경기) 동문의정부여자고등학교 동문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숨은 분류: 방송인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08: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소영(金素英, 1987년 10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사인 MBC의 아나운서를 지낸 프리랜서 아나운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소영이 SBS플러스 채널에서 고정MC를 맡고 있는 프로그램의 이름은 무엇일까? Assistant: 남자다움, 그게뭔데?
Human: 아래 대한민국_제헌_국회의원_선거_충청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제헌국회의원선거충청남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다.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총 19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선거인 794,392명 중 760,694명이 참여했으며, 95.8%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목차 1 선거구 2 후보자별 득표 2.1 대전부 (제1선거구) 2.2 대덕군 (제2선거구) 2.3 연기군 (제3선거구) 2.4 공주군 갑 (제4선거구) 2.5 공주군 을 (제5선거구) 2.6 논산군 갑 (제6선거구) 2.7 논산군 을 (제7선거구) 2.8 부여군 갑 (제8선거구) 2.9 부여군 을 (제9선거구) 2.10 서천군 (제10선거구) 2.11 보령군 (제11선거구) 2.12 청양군 (제12선거구) 2.13 홍성군 (제13선거구) 2.14 예산군 (제14선거구) 2.15 서산군 갑 (제15선거구) 2.16 서산군 을 (제16선거구) 2.17 당진군 (제17선거구) 2.18 아산군 (제18선거구) 2.19 천안군 (제19선거구) 3 당선자 명부 4 선거 통계 5 같이 보기 6 참고자료 선거구[편집] 선거구 선거구명 선거구역 제1선거구 대전부 대전부 일원 제2선거구 대덕군 대덕군 일원 제3선거구 연기군 연기군 일원 제4선거구 공주군 갑 공주군 공주읍 탄천면 계룡면 반포면 이인면 제5선거구 공주군 을 공주군 장기면 의당면 정안면 우성면 사곡면 신풍면 유구면 제6선거구 논산군 갑 논산군 논산읍 강경읍 성동면 광석면 노성면 상월면 부적면 제7선거구 논산군 을 논산군 연산면 두마면 대곡면 양촌면 가야곡면 구자곡면 은진면 채운면 제8선거구 부여군 갑 부여군 부여면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제9선거구 부여군 을 부여군 장암면 석성면 초촌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세도면 제10선거구 서천군 서천군 일원 제11선거구 보령군 보령군 일원 제12선거구 청양군 청양군 일원 제13선거구 홍성군 홍성군 일원 제14선거구 예산군 예산군 일원 제15선거구 서산군 갑 서산군 서산읍 인지면 팔봉면 대산면 성연면 음암면 대호지면 정미면 운산면 제16선거구 서산군 을 서산군 정석면 지곡면 해미면 고북면 안면면 남면 태안면 근흥면 소원면 근북면 이북면 제17선거구 당진군 당진군 일원 제18선거구 아산군 아산군 일원 제19선거구 천안군 천안군 일원 후보자별 득표[편집] 대전부 (제1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성낙서 후보가 9,00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남천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628표 17.12% 2 전형하 무소속 8,201표 21.18% 3 성낙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7,203표 44.43% 4 김창근 무소속 6,691표 17.28% 계 38,723표 투표율_??.?% 선거구_제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8,723표    |    무효투표수_???표 대덕군 (제2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2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송진백 후보가 593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오의성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229표 9.08% 2 강창헌 대동청년단 6,005표 16.89% 3 이병언 대동청년단 3,064표 8.62% 4 김창환 대한청년단 - - 사퇴 5 송원용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4,638표 13.05% 6 송을용 대한청년단 7,016표 19.74% 7 한영진 무소속 2,328표 6.55% 8 송진백 대한독립촉성국민회 7,609표 21.41% 9 홍기학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657표 4.66% 계 35,546표 투표율_??.?% 선거구_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5,546표    |    무효투표수_???표 연기군 (제3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2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진헌식 후보가 3,190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양정석 대동청년단 4,373표 13.75% 2 전공우 무소속 3,633표 11.43% 3 홍운규 무소속 2,941표 9.25% 4 조동근 한국민주당 1,953표 6.14% 5 유일준 무소속 1,697표 5.34% 6 진헌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7,986표 25.12% 7 임헌록 무소속 4,418표 13.89% 8 윤창석 무소속 4,796표 15.08% 계 31,797표 투표율_??.?% 선거구_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1,797표    |    무효투표수_???표 공주군 갑 (제4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4선거구에서 무소속 김명동 후보가 5,469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박충식 한독정수협회 4,991표 17.57% 2 권태훈 무소속 3,881표 13.66% 3 영우량 대동청년단 5,207표 18.33% 4 김명동 무소속 10,676표 37.58% 5 정인각 무소속 3,650표 12.85% 계 28,405표 투표율_??.?% 선거구_제4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8,405표    |    무효투표수_???표 공주군 을 (제5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2선거구에서 무소속 신방현 후보가 1,085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평중 대동청년단 7,330표 22.19% 2 이종백 무소속 6,843표 20.72% 3 이건철 무소속 3,954표 11.97% 4 홍순량 한국민주당 1,865표 5.65% 5 신방현 무소속 8,415표 25.48% 6 김용준 무소속 - - 사퇴 7 이규원 상무사 2,618표 7.93% 8 한보순 조선불교중앙총무원 2,007표 6.08% 계 33,032표 투표율_??.?% 선거구_제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3,032표    |    무효투표수_???표 논산군 갑 (제6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6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유진홍 후보가 44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최상룡 무소속 966표 2.58% 2 김계홍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사퇴 3 한장석 교육협회 7,654표 20.46% 4 윤형중 무소속 7,783표 20.8% 5 유진홍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0,729표 28.68% 6 김형원 무소속 10,283표 27.48% 계 37,415표 투표율_??.?% 선거구_제6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7,415표    |    무효투표수_???표 논산군 을 (제7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7선거구에서 무소속 최운교 후보가 5,407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최운교 무소속 11,895표 35.79% 2 김준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488표 19.52% 3 김용언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5,979표 17.99% 4 한정교 무소속 1,755표 5.28% 5 서승진 무소속 3,481표 10.48% 6 김현식 무소속 3,633표 10.93% 계 33,231표 투표율_??.?% 선거구_제7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3,231표    |    무효투표수_???표 부여군 갑 (제8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8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남궁현 후보가 6,823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남궁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718표 56.9% 2 이덕희 대동청년단 6,895표 28.6% 3 민택기 무소속 2,335표 9.68% 4 이만승 무소속 1,162표 4.82% 계 24,110표 투표율_??.?% 선거구_제8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24,110표    |    무효투표수_???표 부여군 을 (제9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9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철수 후보가 3,481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철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1,438표 36.63% 2 이호철 무소속 7,957표 25.48% 3 문장섭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570표 21.04% 4 심상원 무소속 3,282표 10.51% 5 서기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80표 6.34% 계 31,227표 투표율_??.?% 선거구_제9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1,227표    |    무효투표수_???표 서천군 (제10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0선거구에서 무소속 이훈구 후보가 6,668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조대하 무소속 9,578표 18.66% 2 김규일 무소속 3,141표 6.12% 3 이병휘 무소속 8,186표 15.95% 4 이훈구 무소속 17,535표 34.16% 5 구덕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0,867표 21.17% 6 조남순 무소속 2,024표 3.94% 계 51,331표 투표율_??.?% 선거구_제10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51,331표    |    무효투표수_???표 보령군 (제11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1선거구에서 대동청년단 임석규 후보가 3,63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김상억 무소속 8,594표 22.43% 2 최영재 조선민족청년단 4,551표 11.88% 3 이항규 무소속 7,197표 18.79% 4 구연걸 무소속 831표 2.17% 5 심복진 무소속 1,788표 4.67% 6 최용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120표 8.14% 7 임석규 대동청년단 12,226표 31.92% 계 38,307표 투표율_??.?% 선거구_제1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8,307표    |    무효투표수_???표 청양군 (제12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2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종근 후보가 3,02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정인황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820표 15% 2 유종식 무소속 4,120표 12.82% 3 이종근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111표 40.8% 4 이상철 무소속 10,085표 31.38% 계 32,136표 투표율_??.?% 선거구_제12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2,136표    |    무효투표수_???표 홍성군 (제13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3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손재학 후보가 10,765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손재학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8,260표 52.39% 2 이종순 무소속 7,495표 21.5% 3 박준택 대동청년단 2,206표 6.33% 4 김봉규 무소속 2,206표 6.33% 5 박상열 무소속 4,690표 13.45% 계 34,857표 투표율_??.?% 선거구_제13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4,857표    |    무효투표수_???표 예산군 (제14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4선거구에서 무소속 윤병구 후보가 2,277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백운용 대동청년단 11,330표 22.03% 2 송일성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 사퇴 3 박재영 대한독립촉성국민회 8,459표 16.45% 4 유홍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618표 3.15% 5 오창영 무소속 964표 1.87% 6 박승규 무소속 - - 사퇴 7 박병기 무소속 2,804표 5.45% 8 윤병구 무소속 14,270표 27.74% 9 유정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1,993표 23.32% 계 51,438표 투표율_??.?% 선거구_제14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51,438표    |    무효투표수_???표 서산군 갑 (제15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5선거구에서 무소속 이종린 후보가 5,193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신항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038표 2.79% 2 백낙선 무소속 2,726표 7.34% 3 박완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631표 4.39% 4 채택용 대동청년단 3,863표 10.4% 5 이종린 무소속 12,335표 33.21% 6 안만복 무소속 4,588표 12.35% 7 김남윤 조선민족청년단 3,815표 10.27% 8 남정 대한민국총동원본부 7,142표 19.23% 계 37,138표 투표율_??.?% 선거구_제15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7,138표    |    무효투표수_???표 서산군 을 (제16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6선거구에서 무소속 김동준 후보가 6,493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박동래 무소속 - - 사퇴 2 김제능 대동청년단 6,620표 17.45% 3 김기인 무소속 1,812표 4.78% 4 이종철 무소속 9,767표 25.74% 5 김동준 무소속 16,260표 42.85% 6 이상기 무소속 3,483표 9.18% 계 37,942표 투표율_??.?% 선거구_제16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37,942표    |    무효투표수_???표 당진군 (제17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7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용재 후보가 2,672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신성균 대동청년단 1,040표 2.52% 2 전재익 무소속 7,113표 17.22% 3 유창현 민족사회당 9,803표 23.74% 4 구을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0,334표 25.02% 5 김용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3,006표 31.49% 계 41,296표 투표율_??.?% 선거구_제17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1,296표    |    무효투표수_???표 아산군 (제18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8선거구에서 무소속 서용길 후보가 3,556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윤보선 한국민주당 7,069표 14.18% 2 서용길 무소속 13,453표 26.98% 3 이준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337표 8.7% 4 홍순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270표 6.56% 5 이영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9,897표 19.85% 6 이종영 민중당 7,664표 15.37% 7 정희복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170표 8.36% 계 49,860표 투표율_??.?% 선거구_제18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49,860표    |    무효투표수_???표 천안군 (제19선거구)[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선거구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병국 후보가 9,569표차로 당선됨. 선거구 보기 | 당선자 보기 기호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비고 1 한양수 무소속 956표 1.65% 2 홍승길 무소속 6,061표 10.49% 3 김민응 무소속 2,742표 4.74% 4 김종철 대동청년단 1,753표 3.03% 5 이상돈 한국민주당 10,021표 17.34% 6 김용화 무소속 5,538표 9.58% 7 김웅각 무소속 7,483표 12.95% 8 이병국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590표 33.89% 9 이범후 무소속 2,630표 4.55% 10 이용규 무소속 1,026표 1.78% 계 57,800표 투표율_??.?% 선거구_제1선거구    |    선거인수_???명    |    기권수_???명    |    투표수_57,800표    |    무효투표수_???표 당선자 명부[편집] 선거구 선거구명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표차 제1선거구 대전부 3 성낙서 대독촉국회 17,203 44.43% 9,902표 제2선거구 대덕군 8 송진백 독촉국민회 7,609 21.41% 593표 제3선거구 연기군 6 진헌식 대독촉국회 7,986 25.12% 3,190표 제4선거구 공주군 갑 4 김명동 무소속 10,676 37.58% 5,469표 제5선거구 공주군 을 5 신방현 무소속 8,415 25.48% 1,085표 제6선거구 논산군 갑 5 유진홍 대독촉국회 10,729 28.68% 446표 제7선거구 논산군 을 1 최운교 무소속 11,895 35.79% 5,407표 제8선거구 부여군 갑 1 남궁현 대독촉국회 13,718 49.87% 6,823표 제9선거구 부여군 을 1 김철수 대독촉국회 11,438 36.63% 3,481표 제10선거구 서천군 4 이훈구 무소속 17,535 34.16% 6,668표 제11선거구 보령군 7 임석규 대동청년단 12,226 31.92% 3,632표 제12선거구 청양군 3 이종근 대독촉국회 13,111 40.80% 3,026표 제13선거구 홍성군 1 손재학 대독촉국회 18,260 44.90% 10,765표 제14선거구 예산군 8 윤병구 무소속 14,270 27.74% 2,277표 제15선거구 서산군 갑 5 이종린 무소속 12,335 33.21% 5,193표 제16선거구 서산군 을 5 김동준 무소속 16,260 42.85% 6,493표 제17선거구 당진군 5 김용재 대독촉국회 13,006 31.49% 2,672표 제18선거구 아산군 2 서용길 무소속 13,453 26.98% 3,556표 제19선거구 천안군 8 이병국 대독촉국회 19,590 33.89% 9,569표 인구수 1,941,073 유효투표수 734,799 계 249,715 33.98% 선거 통계[편집] 최고령 당선자 : 1882년생, 67세 이병국_제19선거구 최연소 당선자 : 1912년생, 37세 남궁현_제8선거구, 김용재_제17선거구, 서용길_제18선거구 최다득표 당선자 : 19,590표 이병국_제19선거구 최소득표 당선자 : 7,609표 송진백_제2선거구 최다득표차 당선자 : 10,765표 손재학_제13선거구 최소득표차 당선자 : 446표 유진홍_제6선거구 최다득표율 당선자 : 49.87% 남궁현_제8선거구 최소득표율 당선자 : 21.41% 송진백_제2선거구 같이 보기[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군정법령 제175호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대한민국 제헌국회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목록 참고자료[편집] 군정법령 제175호 국회의원선거법 (1948년 3월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 의원명부 | 선거구별 | 정당별 > vdeh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제1공화국제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공화국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3공화국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4공화국제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5공화국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6공화국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_제헌_국회의원_선거_충청남도&oldid=18378831" 분류: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충청남도의 선거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7년 2월 26일 (일) 12:1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다. 1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택해 총 19개의 선거구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는 선거인 794,392명 중 760,694명이 참여했으며, 95.8%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남지역에서 최소득표로 당선된 사람은? Assistant: 송진백 Human: 아래 브레게_(시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브레게 (시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레게 (시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브레게 분야 손목시계 보유자 스와치 그룹 본거지 스위스 기간 1775년 ~ 웹사이트 공식 사이트 브레게(영어: Breguet)은 스위스의 스와치 그룹에 속하는 손목시계 브랜드이다. 목차 1 역사 2 같이 보기 3 각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브레게는 스위스 뇌샤텔에서 태어난 시계 장인, 아브라함 루이 브레게가 1775년에 설립했다. 브레게는 페르디난트 베르투와 장 앙투안 레핀의 밑에서 10년 동안 시계 제작을 배웠다. 그 후 브레게는 파리의 일드라시테 케드로흘로지에서 자신의 사업을 시작했다. 프랑스 중산층의 여성과 결혼할 때의 지참금은 브레게가 그의 시계 공방을 여는데 필요한 비용을 제공했다. 브레게가 시계 제작과 수학을 공부할 때의 인맥은 그가 사업을 시작할 때 도움을 주었다. 브레게가 궁에 제출한 소개서에 따르면, 마리 앙투아네트는 루이 16세가 구입한 시계 중 브레게의 셀프 와인딩와치를 보고 그의 시계에 매료되었으며, 마리 앙투아네트가 당시 발명된 시계 기능을 모두 탑재한 시계를 주문함으로써 브레게의 전설적 명작이마리 앙투아네트 시계(No. 160)가 탄생했다. 사업은 성공적이었으며, 브레게는 1807년 즈음 그의 아들 루이 앙투안 (Louis-Antoine)을 그의 파트너로 고용하고 회사의 이름을 "Breguet et Fils" (브레게와 아들들)로 바꾼다. 루이 앙투안은 1823년 그의 아버지, 브레게의 사후 회사를 물려 받았다. 루이 앙투안이 1833년에 은퇴하였다. 한 뒤 회사는 브레게의 손자 루이 클레망 프랑수아가 물려 받았다. 브레게의 증손자 루이 앙투안은 브레게 가문중 마지막으로 회사를 운영한 사람이다. 루이 앙투안에게는 두 아들과 딸 한명이 있었으나 그들은 사업을 물려받지 않았다. 브레게는 영국 클러큰웰의 시계공 에드워드 브라운을 파리 시계 공방의 관리자로 고용했다. 브라운은 파트너에서 브레게의 손자 루이 클레망 프랑수아의 사후 회사의 소유자가 된다. 브라운이 1895년에 사망한 후 회사는 그의 아들 에드워드와 헨리가 물려받았다. 1900년대 초반 에드워드가 은퇴한 뒤 헨리 브라운은 회사의 소유주가 된다.[1] 브레게의 경영자는 70년대와 80년대 수차례 바뀌었으며 1999년에 스와치 그룹에 인수된다.[2] 스와치에 인수된 후 스와치 그룹 회장 니콜라스 하이에크가 사장이 되었다. 2010년에 니콜라스의 사후 그의 아들 마크 하이에크가 사장으로 취임했다.[3] 같이 보기[편집] 티쏘 스와치 오메가 각주[편집] ↑ Salomons, 1921, pp.7–8 ↑ “The Swatch Group Ltd. acquires Groupe Horloger Breguet from Investcorp S.A.”. 2014년 10월 3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브레게 브레게 - 공식 웹사이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57803569 LCCN: no98087219 GND: 2121752-X BNF: cb11711065j (데이터) NKC: ko20181008266 이 글은 기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브레게_(시계)&oldid=23083795" 분류: 1775년 설립호화 상표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기업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تۆرکجه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Русский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23일 (금) 16: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브레게(영어: Breguet)은 스위스의 스와치 그룹에 속하는 손목시계 브랜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브라운이 사망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895년
Human: 아래 망델브로_집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망델브로 집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망델브로 집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망델브로 집합 망델브로 집합(영어: Mandelbrot set)은 브누아 망델브로가 고안한 프랙탈의 일종이다. 목차 1 정의 2 집합을 그리는 방법 3 성질 3.1 자기 유사성 3.2 차원 3.3 쥘리아 집합과의 관계 4 망델브로 집합의 변형 5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정의[편집] 망델브로 집합은 다음 점화식으로 정의된 수열이 발산하지 않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복소수 c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z0 = c (단, zn은 복소수.) zn+1 = zn2 + c 이를 복소수를 사용하지 않고 정의하려면 모든 복소수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누면 된다. 만약 zn을 (xn,yn)로, c를 (a,b)로 바꾸면 위 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x0,y0)=(0,0) xn+1 = xn2 - yn2 + a yn+1 = 2 xn yn + b (단, xn,yn,a,b는 실수.) 가 된다. 이 집합의 이름은 이를 고안한 프랑스의 수학자 브누아 망델브로의 이름을 따라서 만들었졌는데, 원래 독일어(또는 이디시어) 이름대로 '만델브로트' 집합이라 불리기도 한다. 또 다른 망델브로 집합 표기로 f(z) = z2 + c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함수로 표현하면 f(z) = z2 + c가 된다. 집합을 그리는 방법[편집] 망델브로 집합을 실제로 그릴 때에는 점화식에 따라 zn을 계산하면서 수열이 발산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대수적으로 검사하게 된다. zn의 절댓값이 2보다 크다면(즉, xn2+yn2>22이라면) zn은 발산한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 때의 c는 망델브로 집합에 속해 있지 않는다. 이 때의 2라는 값은 발산하는 수열의 계산을 미리 막아 주는 역할을 하며, 경계값이라고 부른다. 반면 망델브로 집합 안에 속해 있는 점의 경우 zn은 발산하지 않으므로 무한히 계산해도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적절한 n값 이후에 계산을 멈추어야만 한다. 무한히 계산하지 않는 한 우리는 이론적인 망델브로 집합이 아닌 이에 근사한 집합만 얻을 수밖에 없다. 수학적인 의미에서 망델브로 집합을 그린다면 집합 안의 부분과 밖의 부분 두 가지만 의미가 있으며 단 두 가지 색으로만 칠해져도 충분하다. 하지만 많은 프랙탈 생성 소프트웨어에서는 처음으로 경계값을 벗어난 zn의 n값에 따라 망델브로 집합 바깥의 영역을 다른 색으로 칠한다. 예를들어 가장 빨리 발산하는 점은 어두운 녹색으로, 그리고 발산속도가 느려질수록 더욱더 밝은 녹색으로 칠하면 이론적으로 발산속도가 늦어질수록 그 c값은 망델브로 집합에 가깝다는 뜻이며 이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망델브로 집합에 색을 입히는 방법에 따라서 예술적인 그림이 나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프랙탈 예술도 있다. 성질[편집] 자기 유사성[편집] 망델브로 집합은 통계적인 자기 유사성을 지닌다. 차원[편집] 망델브로 집합의 경계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2차원이다. (망델브로 집합 자체도 물론 2차원이다.)[1] 쥘리아 집합과의 관계[편집] 망델브로 집합은 쥘리아 집합(Julia set)의 일종의 "지도"가 된다. 망델브로가 그려지는 복소 평면의 각 점이 쥘리아 집합의 초기값과 일대일 대응이 될 수 있는데, 망델브로 집합 내부의 점에 대응하는 쥘리아 집합은 연결 공간인 반면, 바깥의 점들은 연결 공간이 아닌 쥘리아 집합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망델브로 집합의 변형[편집] 복소수의 다른 점화식으로 정의되는 다른 프랙탈의 경우도 망델브로 집합에 대응되는 것과 쥘리아 집합에 대응되는 것 두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실제로도 종종 해당되는 프랙탈의 망델브로 집합과 쥘리아 집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음 식으로 정의되고 "피닉스 집합(phoenix set)"이라고 불리는 프랙탈의 경우, x n + 1 = x n 2 + y n 2 + a + b x n − 1 {\displaystyle x_{n+1}=x_{n}^{2}+y_{n}^{2}+a+bx_{n-1}} y n + 1 = 2 x y y n + b y n − 1 {\displaystyle y_{n+1}=2x_{y}y_{n}+by_{n-1}} 우리는 x와 y의 초기치를 (x1,y1)=(x0,y0)=(0,0)으로 놓고 "피닉스의 망델브로 집합Mandel-type phoenix"을 그릴 수 있고 임의의 c값에 대해서 "피닉스의 쥘리아 집합Julia-type phoenix"을 그릴 수도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집합에서도 망델브로 집합은 쥘리아 집합의 "지도"가 되며 망델브로 집합의 안의 점에 대응되는 쥘리아 집합은 connected이며 바깥의 점에 대응되는 것은 disconnected인 성질이 보존된다. 한 개의 변수 c 대신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의 망델브로 집합은 쥘리아 집합의 완전한 지도가 되기 위해서 2차원 이상의 차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편집] ↑ Shishikura, Mitsuhiro. “The Hausdorff dimension of the boundary of the Mandelbrot set and Julia sets”. arXiv:math/9201282.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망델브로 집합 프랙탈과 카오스, 안대영 ; 교우사 ; ISBN 978-89-8172-947-9(2015.3.5) 프랙탈을 찾는 사람들 (영어) "Mandelbrot set - online generator" Ultra Fractal - 가장 대중적인 소프트웨어 (윈도) Fractint - 거의 모든 플랫폼 지원. (도스, 윈도, 리눅스, 유닉스, ...) "Makin' Magic Fractals" ChaosPro - (윈도) Xaos - 실시간 확대/축소 가능. (오픈소스 - 윈도, 맥킨토시, 리눅스, etc.) Apophysis - 가볍고 다루기 편함. vdeh프랙탈성질 프랙탈 차원 아수아 상자 세기 상관관계 하우스도르프 채우기 토폴로지 재귀 자기닮음 반복함수계 반슬리 양치식물 칸토어 집합 드래곤 커브 코크 눈송이 멩거 스폰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시에르핀스키 카펫 공간 채움 곡선 티스퀘어 이상한 끌개 멀티프랙탈계 L-system 공간 채움 곡선 이탈 시기 프랙탈 불타는 배 프랙탈 쥘리아 집합 채워진 랴푸노프 프랙탈 망델브로 집합 노바 프랙탈 랜덤 프랙탈 브라운 운동 브라운 나무 유한확산집합체 프랙탈 풍경 레비 플라이트 퍼컬레이션 이론 자기회피 걷기 인물 게오르크 칸토어 펠릭스 하우스도르프 가스통 쥘리아 헬리에 폰 코크 폴 피에르 레비 알렉산드르 랴푸노프 브누아 망델브로 루이스 프라이 리처드슨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기타 "영국의 해안선 길이는 얼마나 될까?" 해안선 역설 하우스도르프 차원에 따른 프랙탈 목록 더 뷰티 오프 프랙탈스 (1986년 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망델브로_집합&oldid=22413666" 분류: 프랙탈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ашҡортса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తెలుగు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6일 (일) 01: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망델브로 집합(영어: Mandelbrot set)은 브누아 망델브로가 고안한 프랙탈의 일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학적 개념인 프랙탈을 이용한 미술의 한 영역의 이름은? Assistant: 프랙탈 예술 Human: 아래 은행나무_침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은행나무 침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은행나무 침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은행나무 침대The Gingko Bed 감독 강제규 각본 강제규 배급사 신씨네 개봉일 1996년 2월 17일 시간 88분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은행나무 침대》는 199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판타지 멜로 영화이다. 1995년 후반부터 붐이 일었던 전생신드롬과 천년의 사랑 열풍이 사회적 현상으로 번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동안 '조연'으로만 취급되었던악역[1]이 주연을 능가한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최초의 영화이자 거의 유일한 영화이다. 목차 1 캐스팅 2 수상 3 뒷 이야기 4 각주 캐스팅[편집] 한석규 : 종문/수현 역 심혜진 : 선영 역 진희경 : 미단 역 신현준 : 황 장군 역 김학철 : 병원장 역 김명국 : 진명 역 지춘성 : 노공 제자 역 박동빈 : 강간범 역 수상[편집] 1996년 제17회 청룡영화상 기술상 - 이동준 신인감독상 - 강제규 촬영상 - 박희주 1996년 제34회 대종상 신인감독상 - 강제규 여우주연상 - 심혜진 뒷 이야기[편집] 이 영화로 데뷔한 강제규감독은 이 전 1992년에 데뷔할 기회가 있었다고 했으나 포기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영화가 제작에 들어가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당시나 지금이나 한국에서 제작,성공하기 어려운 환타지 장르를 선듯 제작하겠다는 제작사가 전무했고, 단독 주연이 아니라는 이유로 수 많은 스타급 배우들이 거절했었다고 한다. 그래서 강제규 감독이 다시 수정에 들어갔는데, 황장군 역할을 연기한 신현준은 강제규 감독이 시나리오를 작성할때부터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 본 제작에 들어가기 전 시나리오를 보냈는데 몇주가 되도록 연락이 없자 강제규 감독과 제작 프로듀서 오정완 이사는 제작을 포기하겠다는 생각까지 했었다고 한다.[2]. 한석규와 신현준은 놀랍게도 처음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받으면서 서로 상대배역으로 지목하기도 했었다.[3]. 1996년 11월 홍콩에서도 개봉하여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중국과 일본, 프랑스에서도 개봉했다. 이 영화의 제작과정을 담은 '은행나무 침대의 비밀'도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이 전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 제작과정을 담아 비디오로 출시된 이후 두번째이며 이후 메이킹 필름을 따로 비디오로 출시한 영화는 1999년 쉬리 (영화) 이후로는 없다. 악역 황장군이 개봉 초반 여성관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서 입소문을 타고 개봉 3주차에 전국관객 80만을 돌파하였고, 제작사 신씨네는 이 여세를 몰아 황장군의 장면이 담긴 컷을 포스터로 만들어 상영 극장에 걸었다. 이 영화는 무려 4개월간 장기상영되었다. 영화 OST가 큰 인기를 얻었는데 국악과 양악의 절묘한 조화라는 평과 함께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당시 20만장이 팔려나갔고, 현재는 구하기 힘든 물건이 되었다. 각주[편집] ↑ 이 영화에서는 신현준이 연기한 황장군 역할이다. ↑ “'은행나무 침대' 제작일지”. 비디오 플라자, 프리미어 한국판-1996년 4월,8월. 1996년 3월 1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영화제작현장-은행나무 침대”. 경향 TV타임즈. 1995년 11월 1일.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vdeh씨네21 올해의 영화씨네21 영화상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1995) 은행나무 침대 (1996) 초록물고기 (1997) 올해의 영화·영화인1990년대 아름다운 시절 (1998) 인정사정 볼 것 없다 (1999) 2000년대 박하사탕 (2000) 소름 (2001) 생활의 발견 (2002) 지구를 지켜라! (2003) 송환 (2004) 극장전 (2005) 괴물 (2006) 밀양 (2007) 밤과 낮 (2008) 마더 (2009) 2010년대 시 (2010) 북촌방향 (2011) 다른 나라에서 (2012)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2013) 자유의 언덕 (2014)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2015) 아가씨 (2016) 밤의 해변에서 혼자 (2017) 버닝 (2018) 영화 감독 남자 배우 여자 배우 이 글은 로맨스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은행나무_침대&oldid=21589632" 분류: 한국어 영화 작품1996년 영화대한민국의 영화 작품한국의 역사를 소재로 한 영화숨은 분류: 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로맨스 영화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18일 (월) 12: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은행나무 침대》는 199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판타지 멜로 영화이다. 1995년 후반부터 붐이 일었던 전생신드롬과 열풍이 사회적 현상으로 번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그동안 '조연'으로만 취급되었던 악역이 주연을 능가한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최초의 영화이자 거의 유일한 영화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은행나무 침대는 어떤 부문들에서 상을 탔을까? Assistant: 1996년 제17회 청룡영화상 기술상 - 이동준 신인감독상 - 강제규 촬영상 - 박희주 1996년 제34회 대종상 신인감독상 - 강제규 여우주연상 - 심혜진
Human: 아래 씰_(가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씰 (가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씰 (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 (가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씰 기본 정보본명 씰 헨리 올루세군 올루미데 아데올라 새뮤얼Seal Henry Olusegun Olumide Adeola Samuel출생 1963년 9월 3일(1963-09-03) (55세)런던, 패딩턴국적 영국직업 싱어송라이터활동 시기 1989년 - 현재 씰(Seal, 1963년 2월 19일 ~ )은 잉글랜드의 소울, R&B 가수 겸 작곡가이다. 1994년 히트곡 〈Kiss From a Rose〉으로 3개 부분의 그래미 상을 수상하였다. 목차 1 초기 생애 2 음악 경력 3 디스코그래피 3.1 스튜디오 앨범 3.2 다른 앨범 4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런던 북부의 킬번(Kilburn)에서 나이지리아인 어머니와 브라질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 "올레세군(Olesegun)"은 요루바어로 "하나님은 승리적이다"를 의미한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구역에서 수양 부모에 의하여 자라왔다. 건축학에서 2년 졸업 증서를 받았고, 런던 지역에서 여러가지 일을 하면서 지냈다. 그의 얼굴에 생긴 상처는 홍반성 낭창에 의하여 남겨졌다고 한다. 음악 경력[편집] 지방 클럽과 술집 등에서 짧은 기간 동안 노래를 부른 후에 1980년대 초반 영국의 펑키 밴드 푸시(Push)에 가입하여, 그들과 함께 일본에서 순회 공연을 가졌다. 아시아에서 음악 활동을 가지면서, 태국에서 블루스 밴드에 가입하였으며 해체 후에는 독자적으로 인도를 여행하였다. 귀국 후, 음악 제작자 애덤스키를 만나 1990년 데뷔곡 〈Killer〉를 발표하였다. 그 싱글곡은 영국에서 1위를 도달하였다. ZTT 레코드사와 계약을 맺고 데뷔 앨범 《Seal》을 발매하였다. 비평적인 그 앨범에는 〈Crazy〉와 〈Future Love Paradise〉등의 싱글곡들이 수록되었다. 1992년 4월 프레디 머큐리 추모 공연에서 퀸의 1986년곡 〈Who Wants To Live Forever〉를 불렀다. 1994년의 그의 2집 앨범(전 앨범과 동명)이 발표되었다. 첫 싱글 〈Prayer for the Dying〉는 빌보드 차트에서 21위를 차지하였다. 둘째 싱글 〈Newborn Friend〉는 올해의 앨범에서 그래미 상 후보에 올랐으며, 1995년 영화 《배트맨 포레버》의 주제가로 알려진 셋째 싱글 〈Kiss From a Rose〉는 그래미 상에서 올해의 레코드 상, 1996년 올해의 곡 상을 수상하였다. (1995년 8월 후순에 빌보드 핫 100에서 톱을 차지하였다) 1997년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을 맺고 1998년 3집 앨범 《Human Being》을 발표하였다. 그 앨범은 그의 인생에서 격한 시간들을 그린 것으로 알려졌으며, 발매된지 2개월 후에 RIAA에 의하여 골드 레코드상을 받았다. 그 앨범은 3개의 싱글곡 - 〈Human Beings〉, 〈Latest Craze〉, 〈Lost My Faith〉를 공급하였다. 2001년 《Togetherland》발표를 선언하였지만 오래끈 공식적 제작 후에 그 앨범은 취소되었다. 공식적으로 실은 그 앨범을 등급에 올리지 못하였다는 것이었다. 싱글곡 〈This Could Be Heaven〉은 미국에서 발표되었으며 《The Family Man》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있다. 2006년 12월 이래 실은 자신이 《Togetherland》앨범으로부터 삭제를 발췌하여 트래킹 다운로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고 지시하였다. 2003년 4집 앨범을 발표, 미국과 유럽 대륙에서 그를 대중적으로 다시 데려왔다고 한다. 이 앨범에 수록된 싱글곡들은 〈Waiting For You〉, 〈Get It Together〉, 〈Love's Divine〉(2004년 발표, 유럽의 몇 나라에서 큰 히트곡이 됨)이다. 2004년에는 1991년부터 2004년까지의 베스트곡들을 실은 《Best 1991-2004》를 발표하였다. 2007년에 나온 앨범 《System》은 영국에서 11월 12일, 미국에서 11월 13일 각각 발매되었다. 그 앨범의 첫 싱글 〈Amazing〉은 50회 그래미 시상식에서 "최고 남성 보컬 연기상" 후보에 오르기까지 했다. 2008년 6집 앨범 《Soul》은 국제적으로 11월 3일(미국에선 11월 11일)에 발매되었고, 데이비드 포스터에 의하여 제작된 11개의 소울 클래식 곡들이 수록되었다. 2009년에는 대표곡들을 모두 수록한 《Hits》앨범을 발표하였으며, 신곡 〈I Am Your Man〉과 〈Thank You〉가 포함되어있다. 2010년에는 7집 앨범 《Commitment》을 발매, 그 첫 싱글 〈Secret〉이 미국에서 아이튠즈으로 8월 10일, 영국에서 9월 13일이 발표되었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스튜디오 앨범[편집] 《Seal》(1991) 《Seal II》(1994) 《Human Being》(1998) 《Seal IV》(2003) 《System》(2007) 《6:Commitment》(2010) 다른 앨범[편집] 《Best 1991-2004》(2004) 《Live in Paris》(2005) 《One Night To Remember》(2006) 《Soul》(2008) 《Soul Live》(2009) 《Live in Brooklyn》(2009) 《Hits》(2009) 《The Platinum Collection - Seal, Seal II, Soul》(2010)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씰 씰 - 공식 웹사이트 (영어) 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올해의 브릿 어워드 영국 앨범상1977-1999 비틀즈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77) 애덤 앤 디 앤츠 - Kings of the Wild Frontier (1982)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Memories (1983) 마이클 잭슨 - Thriller (1984) 샤데이 - Diamond Life (1985) 필 콜린스 - No Jacket Required (1986) 다이어 스트레이츠 - Brothers in Arms (1987) 스팅 - ...Nothing Like the Sun (1988) 페어그라운드 어트랙션 - The First of a Million Kisses (1989) 파인 영 캐니벌스 - The Raw & the Cooked (1990) 조지 마이클 - Listen Without Prejudice Vol. 1 (1991) 씰 - Seal (1992) 애니 레녹스 - Diva (1993) 스테레오 MC's - Connected (1994) 블러 - Parklife (1995) 오아시스 -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1996)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Everything Must Go (1997) 버브 - Urban Hymns (1998)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This Is My Truth Tell Me Yours (1999) 2000-2020 트래비스 - The Man Who (2000) 콜드플레이 - Parachutes (2001) 다이도 - No Angel (2002) 콜드플레이 - A Rush of Blood to the Head (2003) 더 다크니스 - Permission to Land (2004) 킨 - Hopes and Fears (2005) 콜드플레이 - X&Y (2006) 악틱 몽키즈 - Whatever People Say I Am, That's What I'm Not (2007) 악틱 몽키즈 - Favourite Worst Nightmare (2008) 더피 - Rockferry (2009) 플로렌스 앤 더 머신 - Lungs (2010) 멈퍼드 & 선스 - Sigh No More (2011) 아델 - 21 (2012) 에밀리 산데 - Our Version of Events (2013) 악틱 몽키즈 - AM (2014) 에드 시런 - x (2015) 아델 - 25 (2016) 데이비드 보위 - Blackstar (2017) 스톰지 - Gang Signs & Prayer (2018) The 1975 - A Brief Inquiry into Online Relationships (2019) 전거 통제 WorldCat VIAF: 85450615 LCCN: n92032669 ISNI: 0000 0001 1494 6735 GND: 134736850 SUDOC: 156956594 BNF: cb13934785v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f053ae01-dae6-4aae-9883-e8c279fdbef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씰_(가수)&oldid=24138452" 분류: 196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잉글랜드의 남자 가수잉글랜드의 소울 가수잉글랜드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런던 출신 음악가브라질계 영국인나이지리아계 잉글랜드인브릿 어워드 수상자그래미상 수상자브라질계 잉글랜드인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잉글랜드인미국에 거주한 잉글랜드인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Bosanski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ಕನ್ನಡLietuviųМонгол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Vepsän ke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일 (목) 18: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씰(Seal, 1963년 2월 19일 ~ )은 잉글랜드의 소울, R&B 가수 겸 작곡가이다. 1994년 히트곡 〈Kiss From a Rose〉으로 3개 부분의 그래미 상을 수상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가수 씰의 데뷔곡 제목은 무엇입니까? Assistant: Killer Human: 아래 영재_(1996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재 (1996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재 (199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재 기본 정보본명 최영재예명 Ars출생 1996년 9월 17일(1996-09-17) (22세)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국적 대한민국직업 가수장르 R&B, 컨템퍼러리 알앤비, 발라드, 댄스 팝, 트랩 음악, 전자 음악, 일렉트로니카, 일렉트로팝,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 신스팝, 하우스 음악, 딥 하우스악기 피아노활동 시기 2014년 1월 16일 ~ 현재 소속사 JYP 엔터테인먼트소속 그룹 GOT7웹사이트 http://got7.jype.com 영재(본명: 최영재, 1996년 9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보이 그룹 GOT7[1] 의 메인보컬을 맡고 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아이돌이다. 목차 1 학력 2 음반 2.1 참여 앨범 3 앨범 참여 3.1 GOT7 4 음반 외 활동 4.1 드라마 4.2 방송 프로그램 5 뮤직 비디오 5.1 영재 5.2 참여 6 Special Stage 7 각주 8 외부 링크 학력[편집] 목포삼학초등학교 문태중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조선응용기계과 → 한국예술고등학교 대경대학교 모델과 (재학) 음반[편집] GOT7 음반에 대해서는 GOT7#음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Jus2 PREMIERE SHOWCASE TOUR' 도쿄&오사카(일본)(진행자) 참여 앨범[편집] 발매일 Artist 곡명 수록 앨범 비고 2015.09.21 Various artists <One Dream One Korea> (Original Ver.)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보컬 : 영재 외 28인의 아티스트 참여 2017.01.08 영재[2] 천둥 <나를 돌아봐> 원곡 : 듀스 <나를 돌아봐> MBC《복면가왕 93회》 2017.09.17 Sanjoy <Victim of Love>(feat. ARS(GOT7 영재), Stephen Rezza & Elliott Yamin) 《Victim of Lov(feat.ARS(GOT7 영재), Stephen Rezza & Elliott Yamin) - Single》 2018.02.03 영재 <수은등> 《불후의 명곡 - 전설을 노래하다》(김연자 & 이호섭 편) 2018.05.14 영재 <그 시간에> 《기름진 멜로 OST》 2018.05.14 영재, 박지민 <다 들어줄게>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다 들어줄게 Part.2》 앨범 참여[편집] GOT7[편집] 발매일 Artist 곡명 수록 앨범 가수명 메인 구분 2016.03.21 GOT7 <REWIND> 《FLIGHT LOG : DEPARTURE》 GOT7 영재 작사 : 영재, 주찬양 작곡 : 영재, 주찬양, MAXX SONG, 안성찬 2016.09.27 GOT7 <아파> 《FLIGHT LOG : TURBULENCE》 GOT7 영재 작사 : 영재 Rap making : 잭슨, 마크 2016.09.27 GOT7 <HEY> 《FLIGHT LOG : TURBULENCE》 GOT7 영재 작사 : 영재, 오현주, 김원 작곡 : 영재, 김원 2017.03.13 GOT7 <Sign> 《FLIGHT LOG : ARRIVAL》 GOT7 영재 작사 : 영재, CHLOE, NODAY 작곡 : 영재, CHLOE, NODAY 2017.10.10 GOT7 <Moon U> 《7 for 7》 GOT7 영재 작사 : 영재, 주찬양, Maxx Song, BamBam 작곡 : 영재, 주찬양, Command Freaks 2018.03.12 GOT7 <망설이다> 《Eyes On You》 GOT7 영재 작사 : 영재, Amillo 작곡 : 영재, Amillo, 5$ 2018.09.17 GOT7 <혼자 (Nobody Knows)> 영재 (Solo) 《Present : YOU》 GOT7 영재 작사 : 영재, 주찬양(Pollen) 작곡 : 영재, 주찬양(Pollen), LAVIN 2018.12.03 GOT7 <1:31AM> (잘지내야해) 《Present : YOU` &ME Edition》(GOT7 1ST CONCERT FLY IN SEOUL) GOT7 영재 JB 작사 : 영재, JB 작곡 : 영재, JB, 밍지션, 220 2018.12.03 GOT7 <Think About It> 《Present : YOU` &ME Edition》(GOT7 1ST CONCERT FLY IN SEOUL) GOT7 영재 JB마크 작사 : 영재, JB, 마크 작곡 : 영재, JB, 마크,Mirror BOY(220VOLT), 이상철 음반 외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켄텐츠 방송사 제목 배역 2015 드라마 (웹드라마) JYP픽쳐스 (JYP 엔터테인먼트 자회사) 중국 Tudou 중국 유쿠 《드림나이트》[3] 영재 役[4] 방송 프로그램[편집] 연도 켄텐츠 방송사 프로그램 비고 2014 예능 (버라이어티 쇼) SBS 《스타킹》 영재, JB, 마크, 잭슨 2015 예능 (버라이어티 쇼) MBC 《추석 특집 '어게인 인기가요 베스트 50》 원곡 : 솔리드 <천생연분> (보컬 : 영재, 진영 / 랩 : 잭슨) 2015 라디오 프로그램 KBS Cool FM 《키스 더 라디오》 스페셜 DJ : JB, 영재 (2015.10.15) 2016 예능 (리얼리티 쇼) 네이버TV 《불꽃 아이돌 정.대.만》 영재, 뱀뱀 2017 예능 (버라이어티 쇼)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궁금하면 500원 뽑기왕 : 영재 2017 예능 (버라이어티 쇼) 태국 워크포인트TV 《(I Can see your Voice Thailand》 너의 목소리가 보여 태국판 뱀뱀, 마크, 영재, 유겸 2017 라디오 프로그램 SBS SBS 독서 캠페인《책과사람》 <GOT7> 편 : JB, 진영, 영재, 유겸 (04.10 ~ 04.16) 뮤직 비디오[편집] 영재[편집] 연도 발매 분류 MV 수록 앨범 비고 공급사 2018 한국 앨범출연 영재(GOT7) <혼자> 《Present : YOU》 작사 : 영재(Ars), 주찬양(Pollen) 작곡 : 영재(Ars), 주찬양(Pollen), LAVIN JYP 엔터테인먼트 참여[편집] 연도 발매 분류 MV 수록 앨범 비고 공급사 2015 한국 앨범출연 <ONE DREAM ONE KOREA> 《새시대 통일의 노래 - One Dream One Korea》 Various artists ONE K CAMPAIGN 2016 한국 앨범출연 GOT7 <아파(Sick)> 《FLIGHT LOG : TURBULENCE》 작사 : 영재(Ars) Rap making : 잭슨, 마크 JYP 엔터테인먼트 2017 한국 앨범출연 GOT7 <Sign> 《FLIGHT LOG : ARRIVAL》 작사 : 영재(Ars) 작곡 : 영재(Ars) JYP 엔터테인먼트 2017 미국 앨범 Sanjoy <Victim of Love> 《Victim of Love(feat. ARS(GOT7 영재)Stephen Rezza & Elliott Yamin)- Single》 Featuring : ARS(영재) Featuring : Stephen Rezza Featuring : Elliott Yamin SanjoyVEVO 2017 한국 앨범출연 GOT7 <Moon U> 《7 for 7》 작사 : 영재(Ars) 랩 메이킹 : 뱀뱀 작곡 : 영재(Ars) JYP 엔터테인먼트 2018 한국 앨범 영재 <그 시간에> 《기름진 멜로 OST》 원더케이 2018 한국 앨범출연 <다 들어줄게>영재 X 박지민 X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다 들어줄개 Part.2 》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pecial Stage[편집] 날짜 방송사 가수 원곡 프로그램 2015.10.09 MBC 표준FM 영재 (Solo) <이미 넌 고마운 사람> 원곡 : 김연우 <이미 넌 고마운 사람> 별이 빛나는 밤에 2016.10.16 KBS Happy FM 영재, 진영 <피우든 마시든> 원곡 : 김범수 <피우든 마시든> 행복한 두시 조성모입니다[5] 각주[편집] ↑ “갓세븐 "꾸준히 성장-발전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 헤럴드POP. 2014년 1월 20일.  ↑ “‘복면가왕’ 뽑기왕은 갓세븐 영재…”다른 장르 들려주고 싶었다””. 텐아시아. 2017년 1월 15일.  ↑ “GOT7(갓세븐) 주연작 '드림나이트', 美 '드라마피버어워즈' 수상”. 스포츠투데이. 2016년 6월 29일.  ↑ “‘드림나이트’ 갓세븐(GOT7), 남다른 ‘교복 패션’ 눈길… ‘교복이 갓세븐 빨 받아’”. 톱스타뉴스. 2015년 1월 26일.  ↑ “'행복한두시' 조성모 "갓세븐 영재와 닮은꼴, 아들같다"”. 엑스포츠뉴스. 2016년 10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영재 (한국어/영어) 영재 - 공식 웹사이트 영재 - 인스타그램 영재 - 트위터 vdehGOT7 진영(JJ 프로젝트) 영재 잭슨(댄서) 뱀뱀(댄서) 마크(댄서) 유겸 (Jus2&댄서) JB(JJ 프로젝트&Jus2&댄서) 정규 음반 Identify FLIGHT LOG : TURBULENCE EP 음반 Got it? GOT♡ Just Right MAD FLIGHT LOG : DEPARTURE FLIGHT LOG : ARRIVAL 7 for 7 Eyes On You SPINNING TOP 같이 보기 JYP 엔터테인먼트 JJ 프로젝트 Jus2 박진영 vdehJYP 엔터테인먼트경영진 박진영 (창립자·총괄 프로듀서) 정욱 (대표이사) 가수현재 그룹 2PM (Jun. K · 닉쿤 · 우영 · 준호 · 찬성) 15& (박지민 · 백예린) GOT7 (진영 · 영재 · 잭슨 · 뱀뱀 · 마크 · 유겸 · JB) JJ 프로젝트 (JB · 진영) Jus2 (JB · 유겸) DAY6 (성진 · Jae · Young K · 원필 · 도운) 트와이스 (지효 · 나연 · 정연 · 모모 · 사나 · 미나 · 다현 · 채영 · 쯔위) 스트레이 키즈 (방찬 · 우진 · 리노 · 창빈 · 현진 · 한 · 필릭스 · 승민 · 아이엔) 보이스토리 (한위 · 저위 · 슈양 · 씬롱 · 밍루이 · 즈하오) ITZY (예지 · 리아 · 류진 · 채령 · 유나) 현재 솔로 백아연 버나드 박 릴리 M 유빈 혜림 페이 과거 그룹 god (박준형  · 윤계상  · 데니 안  · 손호영  · 김태우) 량현량하 (량현  · 량하) 노을 (전우성  · 이상곤  · 나성호  · 강균성) 원투 (오창훈  · 송호범) 2PM (박재범 · 택연) 2AM (조권  · 이창민  · 임슬옹  · 정진운) 원더걸스 (현아  · 소희  · 선예  · 예은  · 선미) 미쓰에이 (지아  · 민  · 수지) DAY6 (준혁) 과거 솔로 진주 박지윤 별 비 아이비 임정희 한나 마리오 리우신 산이 JOO G.Soul 전소미 배우현재 소속 박주형 김지민 송하윤 박시은 윤박 남성준 강윤제 장희령 신은수 류원 박규영 김유안 장동주 강훈 신예은 정건주 조이현 과거 소속 김동윤 임소영 이영유 김하은 박지빈 한수연 김소영 조규철 이정진 정윤선 민효린 김태훈 위대훈 김예원 최우식 김종문 작곡가 홍지상 심은지 이우석 Tommy Park 김은수 이우민 송지욱 Raphael 김승수 Dr.JO 꿀단지 (조현경  · 박용운) 아르마딜로 Like Likes (FRANTS  · TOYO) Garden TIGERSEOUL (이해솔  · 김주형) 베르사최 HotSauce (양정식  · Mary) Kobee KASS Trippy SELAH 관련 문서 JYP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재_(1996년)&oldid=24498066" 분류: GOT7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틀1996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K-pop 가수대한민국의 아이돌목포시 출신2010년대 가수2014년 데뷔GOT7의 일원한국예술고등학교 동문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위키데이터에 없는 공식 웹사이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日本語Português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9일 (토) 10: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재(본명: 최영재, 1996년 9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배우이며, 보이 그룹 GOT7의 멤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GOT7의 메인보컬 영재가 2015년 10월 9일 출연하여 김연우의 <이미 넌 고마운 사람>을 부른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별이 빛나는 밤에
Human: 아래 김진표_(정치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진표 (정치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진표 (정치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진표기본 정보국적 대한민국출생 1947년 5월 4일(1947-05-04) (72세)미 군정 조선 경기도 수원군 마도면거주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태장동본관 김녕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경력 ASEM 준비기획단 사업추진본부장재정경제부 차관청와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민주당 원내대표민주통합당 원내대표 배우자 신중희자녀 1남 1녀군복무 공군 일병 소집해제종교 개신교(침례회)소속위원회 국방위원회의원 선수 4의원 대수 17·18·19·20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경기 수원시 무 김진표(金珍杓, 1947년 5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4년 제13회 행정고시에 합격 후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고 김대중 정부에서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을, 노무현 정부에서 부총리를 지냈다. 2004년 본격적인 정치인의 길을 가게 되고 제17대 국회의원이 되며 재선에 당선된 후에는 최고위원,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 목차 1 생애 2 논란 2.1 김대중, 노무현에 대한 비난 2.2 문재인에 대한 비난 2.3 이념적 정체성 논란 2.4 '청년은 정치 하지 말라!' 논란 2.5 공직선거법 위반 3 학력 4 경력 5 역대 선거 결과 6 각주 7 외부 링크 생애[편집] 경기도 수원시에서 초등학교 중학교를 졸업하고 경복고등학교를 거쳐 1971년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74년 행정고시에 합격하고, 재무부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했다. 1984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기획수석, 국무조정실장을 거쳐 노무현 대통령 당선 직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기도 했으며, 노무현 정부 시절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수원시 영통구에 출마하여 제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 재선에 성공한 후 민주당 최고위원,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에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대신해 문재인 대통령 임기 동안 추진할 국정과제를 선별하고 정부 청사진을 마련할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2] 2018년 더불어민주당 대표 후보로 출마하였다. 논란[편집] 김대중, 노무현에 대한 비난[편집] 2011년 6월 16일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민주당 원내대표 김진표는 "대통령은 카리스마가 있어야 국정이 안정적으로 간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카리스마가 있으면 대통령 아들이 구속됐겠는가?"라며 김대중을 비난했고, 노무현의 서거에 관해서도 "노무현 대통령은 퇴임 1년도 안돼 저런 꼴을 당했고..."라며 조롱했다.[3] 문재인에 대한 비난[편집] 2011년 6월 1일 기자들과의 오찬간담회에서, 민주당 원내대표 김진표는 "문재인은 정치할 사람이 아니다. 노 대통령을 수행할 때도 문 전 실장은 항상 뒤에 숨지 않았느냐? 문재인 전 실장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천성이 어디가겠느냐?"라며 '문재인 대망론'을 부정하는 발언을 했다.[4] 이념적 정체성 논란[편집] 총선심판(낙선운동) 명단 등재 2012년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정체성 기준에서 김진표가 탈락 1순위로 지목되어 논란이 되었다. 2012년 2월, 시민단체인 유권자네트워크(총선넷)은 "이명박 정부와 18대 국회에서 대표적인 반민생, 반민주, 반역사, 반헌법, 반환경, 반생태적 행동을 자행하거나 적극 추동 내지 동조한 인사들은 반드시 기억하고 심판되어야 하며, 각 당의 공천과정에서 배제돼야 한다"라며 '4·11 총선 심판명단'을 발표했다.[5] '3개 단체 이상 중복선정 심판 정치인 명단' 총 44명 중 새누리당 의원들이 43명이며, 야당은 민주통합당 김진표 의원(3회)이 유일하다.[6] 한미 FTA, 종편 출범, 정교분리 위반의 3가지 항목에서 모두 심판 대상으로 지목됐다.[7][8] 토건족 비호 2003년 경제부총리 시절 10.29 부동산 대책직후 분양원가 공개 등의 강력한 정부조치를 요구하는 여론에 "그렇게 하면 사회주의적 방법밖에 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9] 론스타 투기 방조 2003년 경제부총리 시절 외환은행이 투기성 자본의혹을 받고있던 론스타에 헐값에 팔렸다. 2010년 5조의 차익을 달성하고 한국을 떠난 론스타는 '더 많은 이익을 낼 수 있었으나, 한국법원의 명령때문에 강제철수 하였다'는 이유로 2012년 한국정부를 ISD(투자자국가소송제)로 제소준비중이다. FTA 찬성 2011년 10월 당시 민주당 원내대표인 김진표는 한나라당, 정부와의 한미 자유 무역 협정발효후 피해대책 합의문에 서명한것이 밝혀져 논란이 일었다. 당시 10월은 아직 국회 비준안통과도 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사실상 FTA찬성과 마찬가지라는 비난을 받았다.[10] 종교인 과세 유예 추진 2017년 5월, 김진표는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예정인 종교인 과세에 대해 "과세 대상 소득을 파악하지 쉽지 않고 홍보 및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종교계에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는 이유로, 법안 실행을 2년 더 유예해 2020년으로 늦춘다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만들어 국회의원들의 서명을 받기 시작했다. 김진표는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도 종교인 과세 유예에 공감하고 있다"고 하였으나, 청와대는 "그것(종교인 과세 유예에 대한 대통령의 공감)은 김진표 위원장의 이야기고 우리는 조금 더 살펴 보고 전체적으로 조율이 필요한 사안으로 본다"며 선을 그었으며, 국정기획위 박광온 대변인은 국정기획위 차원에서 종교인 과세에 관련해 세법 개정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못 박았다.[11] 이로 인해 김진표는 '적폐 중의 적폐'라는 비판을 받았다.[12] 김진표는 수원중앙침례교회의 장로를 맡고 있다.[13] 동성애 반대 2012년 12월 13일, 더불어민주당 종교특위 위원장이였던 김진표는 공개 기자회견 자리에서 "동성애·동성결혼의 법제화에 절대 반대하는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의 건의에 대해, 민주당은 개신교계의 주장에 깊이 공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동성애·동성혼을 허용하는 법률이 제정되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라고 발언하였다. 이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때 무지개행동의 질의서에 대해 "동성결혼/파트너십은 우리 사회에 새로이 나타나고 있는 가족의 형태'라며 '이들의 사회적 의무와 권리에 대한 사회적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제도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한 것과 상충되는 주장이다. KBS 수신료 인상 2011년 6월 KBS의 수신료를 올려 광고수익을 종편채널에 할당하려한다는 논란이 있었던 KBS수신료 인상안을 당대표인 손학규와 합의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여당과 합의하여 파문이 일었다.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인상안 합의를 두고 "살다 보면 일이 이렇게 잘 해결되는 수도 있다. 앞으로 일이 잘되려나 보다"라고 할만큼 만족감을 나타내 김진표 당시 원내대표는 여당과 여론의 비난을 받았다.[14] 등록금 논란 2005년 5월 27일 교육부총리 시절 '네티즌들과의 대화'에 참석하여 "국립대도 서서히 사립대 수준으로 등록금을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15] '청년은 정치 하지 말라!' 논란[편집] 2017년 9월 21일, 김진표는 인터뷰 중 "정치가를 꿈꾸는 청년에게 하고 싶은 말?" 질문에 "청년들이 정치를 돈벌이의 수단이나 생업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하면서 청년들이 그저 돈과 출세를 위해 정치를 하는 것으로 매도하는 발언을 했다. 돈과 권력과 명예를 얻을려는 욕심을 가지는데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정치는 생업이 아니다. 정치를 치부의 수단으로 삼으면 안된다.이른 나이(젊은이, 청년)에 정치를 직업으로 하면 안 된다.특히 젊은 나이에 정치를 직업으로 생각하고 뛰어드는 것은 가능하면 말리고 싶다.정 그렇게 정치가 하고 싶거든 자기분야에서 업적을 쌓고 성공하고 인정받은 후에 그걸 발판으로 들어와야 한다. 공직선거법 위반[편집] 2017년 11월 9일 대법원 형사2부(주심 조재연 대법관)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된 김진표에게 벌금 90만 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김진표는 선거운동기간 전인 2016년 2월, 조병돈 경기 이천시장과 이천 설봉산에서 수원시 영통구 태장동 주민 등으로 구성된 산악회원 37명을 만나 사전선거운동을 한 혐의를 받았다.[16] 학력[편집] 1960년 서호국민학교 졸업 1963년 수원중학교 졸업 1966년 경복고등학교 졸업 197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1984년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 경력[편집] 1974년 - 행정고시 합격(13회) 1974년 - 대전지방국세청 소비세 과장 1975년 12월 - 재무부 사무관 1983년 4월 - 영월세무서장(4급) 1985년 4월 - 재무부 세제국소비세, 재산세제, 조세정책 과장 1988년 4월 - 재무부 세제국 재산세제과장, 조세정책과장 1992년 8월 - 국장(3급) 조세연구원 설립 책임관 파견 1993년 4월 - 재무부 세제 총괄심의관 1994년 12월 - 재정경제원 국세심판소 상임심판관 1995년 4월 - 대외경제국 심의관 1996년 1월 - 공보관(2급) 1996년 5월 - 부총리 비서실장 1996년 10월 - 금융정책실 은행보험심의관 1998년 3월 - 세제실 재산소비세, 세제총괄 심의관 1998년 11월 - ASEM 준비기획단 사업추진본부장(1급) 1999년 1월 - 세제실장 2001년 4월 - 재정경제부 차관 2002년 1월 -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 수석 2002년 7월 - 국무조정실장(장관급) 2002년 12월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 2003년 2월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2004년 6월 - 제17대 국회의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전), 국회 재정·조세연구회 회장(전), 신산업정책포럼 대표, 열린우리당 수도권발전대책위원장 2005년 1월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2006년 8월 - 열린우리당 직능광역위원장 2007년 2월 -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 2007년 8월 - 대통합민주신당 정책위의장 2008년 1월 - 대통합민주신당 정부조직 개편 특별위원장 2008년 5월 - 제18대 국회의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008년 7월 - 국회 신성장산업 포럼 회장, 민주당 최고위원,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의원 2010년 6월 ~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의원, 민주당 참좋은지방정부위원회 위원장 2011년 5월 ~ 2011년 12월 민주당 원내대표 2011년 12월 ~ 2012년 5월 민주통합당 원내대표 2012년 5월 - 2014년 5월 제19대 국회의원(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지사 후보 2016년 5월 ~ 2020.05 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 민주당, 경기도 수원시 무(권선구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 권선1동, 권선2동, 곡선동, 영통구 영통2동, 태장동) 2017년 5월 ~ 2017년 7월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총선 17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영통구 열린우리당 49,155 표 48.34% 1위 초선 총선 18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영통구 민주당 40,781 표 49.83% 1위 재선 총선 19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정 민주통합당 68,274 표 61.02% 1위 3선 지방 선거 34대 지사 경기도 새정치민주연합 2,481,824 표 49.56% 2위 낙선 민선 6기 총선 20대 국회의원 경기 수원시 무 더불어민주당 62,408 표 51.48% 1위 4선 각주[편집] ↑ 김기현. 文 대통령, 국정기획자문위원장 김진표·일자리위 부위원장 이용섭 임명. KBS. 2017년 5월 16일. ↑ “‘인수위 역할’ 국정기획자문위원 34명 확정”. 2017년 5월 19일.  ↑ “김진표 원내대표 "문재인, 정치할 사람이 아니다"”. 2018년 8월 22일에 확인함.  ↑ “김진표 원내대표 "문재인, 정치할 사람이 아니다"”. 2018년 8월 22일에 확인함.  ↑ “총선 심판명단 발표... 김무성 '5관왕'에 김진표까지”. 2012년 3월 6일. 2018년 8월 23일에 확인함.  ↑ “[한컷뉴스] 김진표의 불명예”. 2012년 3월 6일. 2018년 8월 23일에 확인함.  ↑ “임종석 이어 김진표까지…민주당 '민심 역주행'”. 2018년 8월 23일에 확인함.  ↑ “시민단체도 '김진표 아웃'..."조중동 특혜 야합"”. 2012년 2월 20일. 2018년 8월 23일에 확인함.  ↑ “김진표 "분양원가 공개는 사회주의"”.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FTA합의문 서명' 김진표에 쏠리는 의혹의 시선”.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정부는 종교인 과세를 예정대로 시행할 계획이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7년 5월 31일.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종교인 과세 유예는 적폐…법안 발의 김진표도 적폐"”.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경기도지사 김진표-남경필 후보, 같은 고교·교회 ‘인연’”. 《news.donga.com》. 2014년 5월 12일.  ↑ “[속보] 김진표, 손학규 몰래 수신료 덜컥 합의”.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김진표 부총리 "국립대 등록금, 사립대 수준으로 올려야"”. 2005년 5월 27일.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 “[판결] '공직선거법 위반' 김진표 의원, 벌금 90만원 확정… 의원직 '유지'”. 2017년 11월 9일. 2018년 8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김진표 - 대한민국헌정회 전임이정재 제8대 재정경제부 차관2001년 4월 1일 ~ 2002년 1월 29일 후임윤진식 전임김호식 제6대 국무조정실장2002년 7월 11일 ~ 2003년 2월 26일 후임이영탁 전임전윤철 제11대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2003년 2월 27일 ~ 2004년 2월 10일 후임이헌재 전임김영식(권한대행) 제48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2005년 1월 28일 ~ 2006년 7월 21일 후임김병준 전임박지원 제4대 민주당 원내대표2011년 5월 30일 ~ 2011년 12월 22일 후임(해산) 전임(초대) 민주통합당 원내대표2011년 12월 23일 ~ 2012년 5월 4일 후임박지원 전 임 (신설) 제17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영통구)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열린우리당 → 대통합민주신당 → 통합민주당 후 임 김진표 전 임 김진표 제18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영통구)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통합민주당 → 민주당 → 민주통합당 후 임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신장용(수원시 병)남경필(수원시 정)김진표 전 임 (수원시 장안구)이찬열(수원시 권선구)정미경(수원시 팔달구)남경필(수원시 영통구)김진표 제19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정)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민주통합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신장용(수원시 병)남경필 후 임 박광온 전 임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정미경(수원시 병)김용남(수원시 정)박광온 제20대 국회의원(경기 수원시 무) 2016년 5월 30일 ~ 더불어민주당 (수원시 갑)이찬열(수원시 을)백혜련(수원시 병)김영진(수원시 정)박광온 후 임 (현직) vdeh 대한민국의 부총리제3공화국(1963 ~ 1972)경제부총리 김유택 장기영 박충훈 김학렬 태완선 제4공화국(1972 ~ 1981)경제부총리 태완선 남덕우 신현확 이한빈 김원기 신병현 제5공화국(1981 ~ 1988)경제부총리 신병현 김준성 서석준 신병현 김만제 정인용 노태우 정부(1988 ~ 1993)경제부총리 나웅배 조순 이승윤 최각규 통일부총리 최호중 최영철 김영삼 정부(1993 ~ 1998)경제부총리 이경식 정재석 홍재형 홍재형 나웅배 한승수 강경식 임창열 통일부총리 한완상 이영덕 이홍구 송영대(직무대행) 김덕 나웅배 권오기 김대중 정부(1998 ~ 2003)경제부총리 진념 전윤철 교육부총리 한완상 이상주 노무현 정부(2003 ~ 2008)경제부총리 김진표 이헌재 한덕수 권오규 교육부총리 윤덕홍 안병영 이기준 김영식(직무대행) 김진표 김병준 이종서(직무대행) 김신일 서남수(직무대행) 과기부총리 오명 김우식 박근혜 정부(2013 ~ 2017)경제부총리 현오석 최경환 유일호 사회부총리 황우여 이준식 문재인 정부(2017 ~ )경제부총리 김동연 홍남기 사회부총리 김상곤 유은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진표_(정치인)&oldid=23860328" 분류: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194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김녕 김씨화성시 출신경복고등학교 동문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위스콘신 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재정경제부 차관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대한민국의 재정경제부 장관대한민국의 부총리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열린우리당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더불어민주당 당원대한민국의 침례교도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0: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진표(金鎭杓, 1947년 5월 4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1대 후반기 국회의장이다. 1974년 제13회 행정고시에 합격 후 공직을 시작하여 김대중 정부에서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하고, 노무현 정부에서 부총리를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제18대 국회의원에 재선된 후에는 민주당 원내대표를 역임했으며, 5선 국회의원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진표 정치인이 행정고시에 합격한 연도는? Assistant: 1974 Human: 아래 짐바브웨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짐바브웨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짐바브웨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짐바브웨 연맹 짐바브웨 축구 협회 대륙 아프리카 축구 연맹 감독 선데이 치잠브와 주장 노리지 무소나 최다 출전자 피터 은들로부 (100) 최다 득점자 피터 은들로부 (38) 홈 구장 하라레 국립 스포츠 경기장 FIFA 코드 ZIM FIFA 랭킹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첫 국제경기 출전 남로디지아 0-4 잉글랜드 C (남로디지아 솔즈베리; 1939년 6월 26일) 최다 점수차승리 보츠와나 0-7 짐바브웨 (보츠와나 가보로네; 1990년 8월 26일) 최다 점수차패배 남아프리카 공화국 7-0 로디지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1977년 4월 9일) 유니폼 홈 원정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 3회 (200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1라운드 (2004년, 2006년, 2017년) 짐바브웨 축구 국가대표팀은 짐바브웨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39년 6월 26일 잉글랜드 C팀과의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뤘으며 현재 하라레 국립 스포츠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FIFA 월드컵 (본선) 2.1 FIFA 월드컵 (예선) 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3.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4 주목할 만한 선수 5 각주 개요[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3번 올랐지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다만 COSAFA컵에서는 6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리며 이 대회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고 준우승도 3번 차지했으며 세카파컵에서도 1995년에 정상에 올랐고 1983년과 1987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는 4번 출전하여 2014년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1] 비회원국 1970년[2] 예선 탈락 1974년[3] 불참 1978년[4] 1982년 예선 탈락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참가 금지[5] 합계 FIFA 월드컵 (예선)[편집]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6] 비회원국 1970년[7][8] 3 0 2 1 2 4 2 1974년[9] 불참 1978년[10] 1982년 2 1 0 1 1 2 3 1986년 2 0 1 1 1 2 1 1990년 4 0 1 3 1 10 1 1994년 10 6 2 2 11 10 20 1998년 8 2 2 4 10 10 8 2002년 8 6 0 2 11 6 18 2006년 12 5 3 4 17 16 18 2010년 6 1 3 2 4 6 6 2014년 6 0 2 4 4 9 2 2018년 참가 금지[11] 합계 61 21 16 24 62 75 79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2위 (아프리카 17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7년 독립 이전 1959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8년[12] 참가 금지[13] 1970년[14] 1972년[15] 1974년[16] 1976년[17] 1978년[18] 1980년[19] 1982년 예선 탈락 1984년 1986년 1988년 1990년 1992년 1994년 1996년 1998년 2000년[20] 2002년 2004년 조별리그 12위 3 1 0 2 6 8 3 2006년 조별리그 12위 3 1 0 2 2 5 3 2008년 예선 탈락 2010년 2012년 2013년 2015년 2017년 조별리그 15위 3 0 1 2 4 8 1 2019년 조별리그 22위 3 0 1 2 1 6 1 총계 3회 진출(3/19[21]) 조별리그(2회) 12 2 2 8 13 27 8 순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26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편집]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7년 독립 이전 1959년 1962년 1963년 1965년 1968년[22] 참가 금지[23] 1970년[24] 1972년[25] 1974년[26] 1976년[27] 1978년[28] 1980년[29] 1982년 4 1 1 2 2 4 4 1984년 2 0 0 2 0 4 0 1986년 6 5 0 1 14 6 15 1988년 4 1 3 0 5 4 6 1990년 4 2 1 1 6 5 7 1992년 4 1 2 1 8 6 5 1994년 6 3 3 0 9 3 12 1996년 6 2 1 3 8 12 7 1998년 4 1 1 2 3 4 4 2000년[30] 4 3 0 1 7 3 9 2002년 8 4 0 4 14 12 12 2004년 6 4 1 1 8 3 13 2006년 12 5 3 4 17 16 18 2008년 4 1 1 2 4 5 4 2010년 6 1 3 2 4 6 6 2012년 6 2 2 2 7 5 8 2013년 4 2 0 2 5 5 6 2015년 2 0 1 1 2 3 1 2017년 6 3 2 1 11 4 11 2019년 6 3 2 1 9 4 11 합계 104 44 27 33 143 114 159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피터 은들로부 벤자니 음와루와리 타케수레 친야마 각주[편집]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짐바브웨의 경제가 계속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처참하게 추락하는 바람에 짐바브웨 축구 협회가 전직 대표팀 감독의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짐바브웨는 FIFA로부터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추방당했다.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는 1992년 이전의 남아프리카 공화국처럼 아파르트 헤이트(인종분리) 정책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들은 로디지아의 예선 참가를 강렬히 거부했고, 결국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에 소속되어 호주와 경기를 치뤘다.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짐바브웨의 경제가 계속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처참하게 추락하는 바람에 짐바브웨 축구 협회가 전직 대표팀 감독의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짐바브웨는 FIFA로부터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추방당했다. ↑ 로디지아로 참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인종차별 정책을 펼친 바람에 아프리카 회원국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그에 따라 무가베가 정권을 잡고 짐바브웨로 국명이 바뀐 1980년까지 참가가 금지되었다.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본래는 이 대회를 짐바브웨에서 개최하려고 하였으나, 대회를 1년여 앞둔 1999년 2월 8일에 경제적인 사정으로 개최를 포기하였고 예선에 중도 참가하였다. ↑ 본선 진출 횟수. 출전 금지기간 제외 ↑ 로디지아로 참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인종차별 정책을 펼친 바람에 아프리카 회원국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그에 따라 무가베가 정권을 잡고 짐바브웨로 국명이 바뀐 1980년까지 참가가 금지되었다.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로디지아로 참가 ↑ 짐바브웨가 이 대회의 개최권을 반납했던 시기에 이미 지역예선이 진행중이었기 때문에, 짐바브웨는 최종 플레이오프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CAF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북아프리카 (UNAF) CAF Zone 1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이집트 튀니지 서아프리카 (WAFU)A 구역 (CAF Zone 2)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보베르데 B 구역 (CAF Zone 3) 가나 나이지리아 니제르 베냉 부르키나파소 코트디부아르 토고 중앙아프리카 (UNIFFAC) CAF Zone 4 가봉 상투메 프린시페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카메룬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동아프리카 (CECAFA) CAF Zone 5 남수단 르완다 부룬디 소말리아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지부티 케냐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COSAFA) CAF Zone 6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이셸 앙골라 에스와티니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기타 레위니옹† 잔지바르†1 † CAF 준회원이며, FIFA 회원국은 아님. / 1: CECAFA의 회원국이기도 함.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짐바브웨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536943" 분류: 짐바브웨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아프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LatviešuBahasa Melayu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7일 (일) 08: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짐바브웨 축구 국가대표팀(영어: Zimbabwe national football team)은 짐바브웨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39년 6월 26일 잉글랜드 C팀과의 국제 경기 데뷔 전을 치렀으며 현재 하라레 국립 스포츠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짐바브웨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월드컵 예선에서 어떠한 성적을 거두어 왔을까? Assistant: 년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6] 비회원국 1970년[7][8] 3 0 2 1 2 4 2 1974년[9] 불참 1978년[10] 1982년 2 1 0 1 1 2 3 1986년 2 0 1 1 1 2 1 1990년 4 0 1 3 1 10 1 1994년 10 6 2 2 11 10 20 1998년 8 2 2 4 10 10 8 2002년 8 6 0 2 11 6 18 2006년 12 5 3 4 17 16 18 2010년 6 1 3 2 4 6 6 2014년 6 0 2 4 4 9 2 2018년 참가 금지[11] 합계 61 21 16 24 62 75 79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92위 (아프리카 17위)
Human: 아래 99_프로게이머_코리아_오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전신이자 세계 최초로 방영된 e스포츠 대회이다. 리그기간은 1999년 10월 2일 ~ 1999년 12월 30일. 유일한 플레이오프 방식의 4강전이었고, 4강 입상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를 배정했다. 당시 프로게이머 중 KPGL, 블리자드 래더 토너먼트 시즌 2에서 랭킹 1위, 각종 오프라인 대회들을 석권하면서, 당시 프로게이머 최강의 선수로 평가받고 있던 이기석이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그러나 C조에 속해 있던 신길재가 개인사정으로 기권하게 되면서 그 자리를 이기석이 대신 메우게 되면서, 본선에 진출하였다. 당시 월간 깸에서 378명의 응모로 예상 우승후보 1위는 54.8%로 이기석이었고 2위는 봉준구/국기봉(10.1%) 4위는 현재 게임 해설가인 김창선(8.2%)이 차지했다. 99 PKO는 원래 PKO라는 업체가 투니버스에 자신들의 리그를 방영하기로 계약하고 리그를 시작한 것이었으나, 방영 며칠 전에 투니버스측과 PKO간의 의견충돌로 인해 PKO가 손을 떼고 대신 투니버스에서 독자적으로 리그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사정으로 인해 이 대회는 첫 번째 스타리그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당시 게임대회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던 KPGL(한국 프로게임 리그)에서 개최한 오프라인 대회를 기본으로 해서 128명을 추린 뒤, 8명씩 16개조로 나눠서 조별 풀리그를 진행하였는데, 각 조 1위만이 99 PKO 16강 리그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 대회에서는 거의 인지도가 없었던 최진우라는 선수가 우승을 하였다. 우승을 한 뒤 다음 리그인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8강 탈락, 왕중왕전 5연패 등으로 전성기는 조기에 마감되고 만다. 목차 1 출전 선수 2 16강 2.1 본경기 2.2 재경기 3 8강 4 4강 ~ 결승전 5 사용 맵 정보 6 외부 링크 출전 선수[편집] 종족 명 이름 테란 4 김동구 박상규 빅터마틴 조정현 저그 4 국기봉 봉준구 장경호 최지명 프로토스 6 김성기 김창선 김태목 김태훈 이기석 정재철 랜덤 2 임우진 최진우 16강[편집] 16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본경기[편집] A조 B조 C조 D조 봉준구 2승 1패 임우진 2승 1패 김동구 1승 2패 김창선 3승 김태훈 1승 2패 국기봉 2승 1패 빅터마틴 3패 조정현 1승 2패 김성기 1승 2패 김태목 2승 1패 이기석 3승 최지명 2승 1패 최진우 2승 1패 정재철 3패 박상규 2승 1패 장경호 3패 재경기[편집] 경기 결과 B조의 상위 3인의 전적이 동률이 되어서, 재경기를 하여 올라갈 선수를 가렸다. B조 김태목 1승 1패 임우진 0승 2패 국기봉 2승 0패 8강[편집] 8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 한 선수가 1경기씩 총 3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6경기를 치르게 된다. A조 이기석 김태목 최지명 봉준구 1 이기석 (3승) 1-0 1-0 1-0 2 김태목 (2승 1패) 0-1 1-0 1-0 3 최지명 (1승 2패) 0-1 0-1 1-0 4 봉준구 (3패) 0-1 0-1 0-1 B조 국기봉 최진우 김창선 박상규 1 국기봉 (3승) 1-0 1-0 1-0 2 최진우 (2승 1패) 0-1 1-0 1-0 3 김창선 (1승 2패) 0-1 0-1 1-0 4 박상규 (3패) 0-1 0-1 0-1 4강 ~ 결승전[편집]   3, 4위전     1, 2위전/플레이오프     결승전                                     L1  이기석 2     A2  김태목 0     W1  최진우 3       B2  최진우 2         W1  최진우 3       W2  국기봉 2         A1  이기석 1             B1  국기봉 2   사용 맵 정보[편집] 이름 Showdown Ashrigo Snowbound Lost Temple 인원 2 4 4 4 P vs Z 3:0 1:4 0:3 3:6 Z vs T 2:1 3:0 1:1 1:0 T vs P 2:0 0:0 0:1 2:1 Z vs Z 0번 1번 1번 6번 T vs T 3번 0번 0번 1번 P vs P 2번 1번 4번 0번 외부 링크[편집] 오프닝 결승전 오프닝 온게임넷 스타리그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스타리그 시작 스타리그의 전신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1999.10.2 ~ 1999.12.30) 최초의 스타리그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2000.2.10 ~ 2000.5.16) vdeh역대 스타리그브루드 워1999년 ~ 2001년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스타리그의 전신)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년 ~ 2004년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Olympu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NHN한게임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03~04 2004년 ~ 2006년 Gillette 스타리그 2004 EVER 스타리그 2004 IOPS 스타리그 04~05 EVER 스타리그 2005 So1 스타리그 2005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5 2006년 ~ 2007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1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2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 다음 스타리그 2007 EVER 스타리그 2007 2008년 ~ 2010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EVER 스타리그 2008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08~09 박카스 스타리그 2009 EVER 스타리그 2009 2010년 ~ 2012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진에어 스타리그 2011 Tving 스타리그 2012 자유의 날개/군단의 심장2012년 ~ 2013년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99_프로게이머_코리아_오픈&oldid=21550044" 분류: 스타리그1999년 이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12일 (화) 07: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은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전신이자 세계 최초로 방영된 e스포츠 대회이다. 리그기간은 1999년 10월 2일 ~ 1999년 12월 30일. 유일한 플레이오프 방식의 4강전이었고, 4강 입상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를 배정했다. 당시 프로게이머 중 KPGL, 블리자드 래더 토너먼트 시즌 2에서 랭킹 1위, 각종 오프라인 대회들을 석권하면서, 당시 프로게이머 최강의 선수로 평가받고 있던 이기석이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그러나 C조에 속해 있던 신길재가 개인사정으로 기권하게 되면서 그 자리를 이기석이 대신 메우게 되면서, 본선에 진출하였다. 당시 월간 깸에서 378명의 응모로 예상 우승후보 1위는 54.8%로 이기석이었고 2위는 봉준구/국기봉(10.1%) 4위는 현재 게임 해설가인 김창선(8.2%)이 차지했다. 99 PKO는 원래 PKO라는 업체가 투니버스에 자신들의 리그를 방영하기로 계약하고 리그를 시작한 것이었으나, 방영 며칠 전에 투니버스측과 PKO간의 의견충돌로 인해 PKO가 손을 떼고 대신 투니버스에서 독자적으로 리그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사정으로 인해 이 대회는 첫 번째 스타리그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당시 게임대회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던 KPGL(한국 프로게임 리그)에서 개최한 오프라인 대회를 기본으로 해서 128명을 추린 뒤, 8명씩 16개조로 나눠서 조별 풀리그를 진행하였는데, 각 조 1위만이 99 PKO 16강 리그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 대회에서는 거의 인지도가 없었던 최진우라는 선수가 우승을 하였다. 우승을 한 뒤 다음 리그인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8강 탈락, 왕중왕전 5연패 등으로 전성기는 조기에 마감되고 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의 사용맵 중에 인원이 가장 적은 것은 무엇일까? Assistant: 2 Human: 아래 생트푸아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생트푸아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생트푸아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생트푸아 전투7년 전쟁 중 미국에서 벌어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일부생트푸아 전투, 조지 B. 캄피언 作날짜1760년 4월 28일장소캐나다 퀘벡결과 프랑스군의 승리교전국 프랑스 왕국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지휘관 프랑수아 가스통 드 레비 제임스 머레이병력 5000명 정규군 + 민병대[1] 3,800명 정규군 + 27문 대포피해 규모 193명 전사640명 부상[2] 259명 전사329명 부상[2] 생트푸아 전투(Battle of Sainte-Foy)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 기간 중인 1760년 4월에 캐나다의 퀘벡에서 벌어진 프랑스와 영국의 전투이다. 퀘벡 탈환을 시도한 세발리에 드 레비 휘하의 프랑스군이 존 머레이 장군이 이끄는 영국에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전년에 일어났던 아브라함 평원의 전투보다 더 치열한 전투였다. 프랑스군은 833명의 사상자가, 영국군은 1,12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또한 이 승리는 프랑스가 영국에게 항복하기 전에 거둔 최후의 승리가 되었다. 목차 1 개요 1.1 퀘벡 탈환 2 전투 2.1 병력 2.2 북쪽 2.3 결전 3 결과 3.1 사상자 3.2 포위 실패 4 기념 5 각주 6 참고자료 개요[편집] 퀘벡 탈환[편집] 아브라함 평원 전투에서 패배를 당한 프랑스는 몬트리올로 퇴각했지만 여전히 영국군으로부터 삼면(세인트 로렌스 강, 샹플랭 호수, 온타리오 호수)으로 포위되어 있었다. 퀘벡을 탈환하기 위해, 또한 영국군 지휘관인 제임스 머레이가 새로운 요새를 만들려는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도 무기를 준비하고 행동에 나설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눈이 완전히 녹기 전, 세인트로렌스 강에서 얼음이 사라지기 전에 최신 장비를 갖춘 머레이의 주둔부대에 기습을 가할 생각이었다.[3] 영국군 지휘관인 머레이는 프랑스 군의 절반 정도 밖에 병력이 없었고, 게다가 긴 겨울 동안 괴혈병으로 약해져 있었다.[4] 대포를 많이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프랑스와 일전을 벌이는 것은 매우 대담한 것이었다. 전투[편집] 병력[편집] 프랑수아 가스통 드 레비의 지휘 하에 있는 프랑스군 병력은 5,900명이었다.[4] (12,000명에 달했다는 설도 있음)[5] 반면, 영국군은 3,000명이었다.[4] 병력은 프랑스가 훨씬 우세했지만 대포는 단 3대였다.[6] 사기를 진작시키는 세발리에 드 레비 양군은 전년에 이어 또 다시 퀘벡 서쪽의 아브라함 평원에서 서로 만났다.[5] 머레이의 3,886명의 병사는 10대 정규군 부대와 혼성 경보병 부대, 그리고 2개 레인저스 보병중대였다. 전장을 모두 메우는데 일반적으로 팔꿈치와 팔꿈치가 닿을 정도의 정렬이 아닌 2층식으로 전후 3단계 간격으로 세로로 정렬했다. 부대와 부대 사이에는 37m의 거리가 있었다.[7] 경보병 부대는 우익을 지켰다. 정렬된 순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제48, 제15, 제58 보병연대가 있었고, 두 번째에는 제60 소총 부대, 제43, 제47, 제78, 제28 보병 연대가 자리를 잡았다. 레인저스와 지원병은 좌익을 맡았다. 우익의 예비대로서 제35 보병연대가 있었다. 또한, 제 60연대의 제3대대는 좌익 예비대였다. 보병을 엄호하기 위해 20문의 대포와 2기의 유탄포가 있었다.[8] 이때 영국군 한 하사관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영국군은 괴혈병에 걸려 반쯤 굶주려 뼈만 앙상한 해골이었다.”[9] 북쪽[편집] 이 시점에서 프랑스 군이 여전히 진을 잡고 있는 것을 보고, 머레이는 상대가 준비를 마치기 전에 타격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영국군이 진격해 오는 것을 보고, 레비는 우익의 3열에 배치된 여단을 실러리 숲으로 후퇴시켰다. 이때 좌익 쪽은 아직 정렬이 끝난 않았고, 영국군 경보병 부대는 프랑스 척탄병 부대를 바로 풍차 밖 오른쪽 측면을 내몰았다. 머레이는 예비대인 제35 보병부대에 그 자리를 맡겨 영국의 오른쪽 측면 수비를 복원시켰다.[6] 그러나 풍차를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싸움이 계속되었다.[10] 결전[편집] 영국 왼쪽 부대가 몇 개의 보루를 점령했지만, 레비는 우익의 군단과 함께 강력한 반격을 가했다. 머레이는 마지막 예비대인 제60연대 3대대를 보내 이 반격을 막으려 했다. 또한 중앙에서 43대대에 공격을 명령했지만, 레비는 그것을 대부분 무시하고, 왼쪽 측면을 지원하기 위해 이동했다. 그러나 영국군 좌익은 큰 손실을 입고 무너졌고, 전열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무너졌다. 이후 레비는 퀘벡 쪽에서 영국군을 차단하려 했지만, 적이 도주하는 것을 허용했다고 주장했다. 명령대로 일직선으로 공격하는 대신, 위익 여단 중 하나가 길을 잃고 좌익을 돕기 위해 돌진했던 것이다.[8] 이 전투 개시 직후 많은 영국군 대포가 만에서 프랑스의 공격을 압박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포의 포탄이 소진되자 프랑스의 전진은 탄력을 받았다. 머레이가 전진을 명령했을 때, 포탄을 실은 마차가 눈 속에 파묻혀 버렸다. 영국군은 쓸모없게 된 대포를 폐기하고 퇴각했다.[11] 결과[편집] 사상자[편집] 이 전투를 공동기념하는 생트푸아 교회 영국군의 전사자는 292명, 부상자가 837명, 그리고 포로가 53명으로 총 1182명의 전상자와 포로가 나왔다. 프랑스는 833명으로 전사 193명, 그리고 부상자 640명이었다.[12] 제15보병은 계급을 불문하고 836명의 병사 중 138명, 34%가 전사했다.[13] 프레이저 하이랜더스(78연대)의 장교 3/4이 전사하거나 부상당했다. 생트푸아 전투는 캐나다를 무대로 한 전쟁 중 가장 살벌한 것들 중 하나로 만들었다. 포위 실패[편집] 그러나 레비는 퀘벡을 탈환하지는 못했다. 영국군은 퀘벡 성벽 뒤로 퇴각했고, 5월에 해군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레비의 약한 포위를 견뎌냈다. 프랑스에서 지원군을 기대하고 있던 레비는 5월 15일 밤 함대의 소리를 듣고, 검토한 결과, 그것은 프랑스가 아닌 영국 함대였다. 프랑스 함대는 전년 가을 키브롱 만 해전에서 영국으로 분쇄되었던 것이다. 그나마 어렵게 보낸 보급선도 샬루어 만의 레스티구치 해전에서 상실했다. 스완튼 사령관이 이끄는 영국 함대 로우이스트오프(HMS Lowestoffe)는 퀘벡에 접근하면서 영국 깃발을 올렸고, 그 뒤를 다이아나(HMS Diana)와 방가드(HMS Vanguard)가 따라오고 있었다. 이들은 세인트 로렌스 강에서 레비에게 가는 보급선을 격파하고 영국군을 지원하러 온 것이다. 상황을 깨달은 레비 군은 5월말에 몬트리올로 퇴각했다. 그해 9월, 누벨프랑스의 총독 보드레이유는 삼면에서 압박하는 압도적인 영국군을 극복하지 못하고 몬트리올에서 항복했다. 기념[편집] 1863년 퀘벡에서 용감한 이들을 위한 기념(The Monument des Brave)에서 생트푸아 전투를 기념했다. 1850년과 1930년 사이 캐나다 전역에서 벌어진 애도의 물결이 있었다. 이러한 행사는 영국군의 침략에 대한 잔혹함은 생략하고 긍정적 기억을 만들어 영국계 후손과 프랑스계 후손들 간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14] 1995년 이후 생트푸아에서는 매년 4월에 이 전투를 기념하는 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15] 각주[편집] ↑ Chartrand, Appendix D, p. 230. 레비는 약 5,910명의 장교와 사병 그리고 몬트리올에서 징병한 민병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의 추정에 의하면, 그가 추정하는 생트푸아의 병력은 약 5,000명이었다. although he reported that more than 1,400 of these, including a regular brigade and his cavalry, did not participate in the action. His native allies, it seems, took no part in the fighting, although they reappeared at the end of the battle to reap their share of prisoners. ↑ 가 나 The Fall of New France p.73 ↑ Quebec: the challenge of a new battle > Context >Batle of Sainte-Foy>the national Battlefire ↑ 가 나 다 “Battle of Sainte-Foy Quebec”. 2011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The Seven Years War - French and Indian War - The Fall of New France ↑ 가 나 Brumwell, p. 257 ↑ Brumwell, p. 255 ↑ 가 나 Brumwell, pp. 256-257 ↑ Brumwell, p. 153 ↑ Brumwell, pp. 259-260 ↑ Brumwell, p. 261 ↑ Brumwell, p. 258 ↑ Brumwell, p. 259 ↑ Patrice Groulx, "La Commemoration de la Bataille de Sainte-Foy: du discours de la Loyaute a la 'Fusion des Races," ["Commemoration of the Battle of Sainte-Foy: from the discourse of loyalty to the "fusion of the races"] Revue d'histoire de L'Amerique francaise (2001) 55#1 pp 45-83. ↑ Sainte-Foy - The Canadian Encyclopedia 참고자료[편집] Brumwell, Stephen. Redcoats: The British Soldier and War in the Americas, 1755-1763. 뉴욕: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2. ISBN 0-521-80783-2 Chartrand, Rene (2000). 《Canadian Military Heritage》. Casemate Publishing. ISBN 2920718517. 2006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5월 19일에 확인함.  전거 통제 LCCN: sh85116627 GND: 113259169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생트푸아_전투&oldid=24068984" 분류: 영국의 전투프랑스의 전투퀘벡의 역사영국-프랑스 관계1760년 분쟁숨은 분류: 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Norsk nynorskNorskPolski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18:3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생트푸아 전투(Battle of Sainte-Foy)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 기간 중인 1760년 4월에 캐나다의 퀘벡에서 벌어진 프랑스와 영국의 전투이다. 퀘벡 탈환을 시도한 세발리에 드 레비 휘하의 프랑스군이 존 머리 장군이 이끄는 영국에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전년에 일어났던 아브라함 평원의 전투보다 더 치열한 전투였다. 프랑스군은 833명의 사상자가, 영국군은 1,12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또한 이 승리는 프랑스가 영국에게 항복하기 전에 거둔 최후의 승리가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생트푸아 전투과정에서 프랑스함대는 어떤상황에서 왜 항복했을까? Assistant: 프랑스에서 지원군을 기대하고 있던 레비는 5월 15일 밤 함대의 소리를 듣고, 검토한 결과, 그것은 프랑스가 아닌 영국 함대였다. 프랑스 함대는 전년 가을 키브롱 만 해전에서 영국으로 분쇄되었던 것이다. 그나마 어렵게 보낸 보급선도 샬루어 만의 레스티구치 해전에서 상실했다. 스완튼 사령관이 이끄는 영국 함대 로우이스트오프(HMS Lowestoffe)는 퀘벡에 접근하면서 영국 깃발을 올렸고, 그 뒤를 다이아나(HMS Diana)와 방가드(HMS Vanguard)가 따라오고 있었다. 이들은 세인트 로렌스 강에서 레비에게 가는 보급선을 격파하고 영국군을 지원하러 온 것이다. 상황을 깨달은 레비 군은 5월말에 몬트리올로 퇴각했다. 그해 9월, 누벨프랑스의 총독 보드레이유는 삼면에서 압박하는 압도적인 영국군을 극복하지 못하고 몬트리올에서 항복했다.
Human: 아래 위원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위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위원회 룸 위원회(委員會, 합의제 행정기관, Committee, Commission)는 단독제·독임형 조직에 대응하는 조직으로서 민주적 결정과 조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복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되는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19세기 말 미국의 독립규제위원회가 그 전형적 형태이다. 목차 1 특징 2 위원회의 유형 2.1 자문위원회 2.2 조정위원회 2.3 행정위원회(관청적 위원회, 고유한 의미의 위원회) 2.4 독립규제위원회 3 위원회의 기능 3.1 순기능 3.2 역기능 4 대한민국의 위원회 4.1 대한민국 국회의 위원회 4.2 기타 특징[편집] 계층제 조직에 비해 수평화된 유기적·탈관료제적 조직의 일종이다.(이창원) ※위원회는 임시위원회도 있으나 상설위원회가 많다는 점에서 동태적·유기적 조직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가 있다. 다수에 의한 결정이라는 점에서 행정의 민주성과 조정력을 제고한다. 전문가의 참여로 행정의 효율성 및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분권적·참여적 조직이다. 주로 경제적·사회적 규제업무를 수행한다. 행정국가의 출현으로 행정권의 비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행정부 외부에 설치된 독립된 조직이다. 위원회의 유형[편집] 자문위원회[편집] 개인 또는 조직전체에 대한 자문에 응하게 하고 시민의 의견을 집약하여 행정당국에 반영시키는 막료기관적 성격을 가진 합의제 기관으로 공식적인 행정관청은 아니다. 자문위원회의 결정은 정책적 영향력을 가질 수는 있느나 법적 구속력을 갖지 않으며 독립성이 미흡하다. 대통령령이나 부령에 의해 설치된다. 조정위원회[편집] 각 기관 혹은 개인의 상이한 의견을 통합·조정할 것을 목적으로 설치된 합의제 조직이다. 위원회의 결정은 건의(자문) 성질만을 띠는 것도 있고, 법적 구속력(의결권)이 있는 경우도 있다.(ex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행정위원회(관청적 위원회, 고유한 의미의 위원회)[편집] 어느 정도 중립성·독립성을 부여받고 설치되는 행정관청적 성격의 위원회로서, 그 결정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원칙적으로 법률에 의하여 설치되고, 사무기구와 상임위원을 둔다. 미국의 독립규제위원회도 넓게 보면 이에 속하며 ⅰ)일선행정에 대한 규제기능 ⅱ)준입법기능 ⅲ)준사법기능 ⅳ)정책·기획·조정기능을 수행한다. 독립규제위원회[편집] 19세기 말 미국에서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야기된 경제 및 사회문제를 규제하기 위해 행정부로부터 독립하여 준입법권·준사법권을 가지고 특수한 업무를 수행 또는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된 합의제·회의식 행정기관(행정위원회의 전형적 형태로서 1887년 주간통상위원회가 그 시초)이다. ※독립규제위원회(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란 '정부로부터 독립적 성격을 지니면서 경제·사회문제에 관한 규제기능을 담당하는 합의제 형태의 행정기관'이라는 의미이다. 발달배경 정치적 독립성 및 중립성의 확보 : 사경제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복잡해진 국민의 경제활동에 대한 규제는 정치적 압력이나 영향을 덜 받는 독립관에 맡길 필요가 있었다. 규제사무의 기술적 복잡성·전문성 : 규제사무의 기술적 복잡성·전문성이 요구됨에 따라 전문가의 판단이 요구되었다. 행정권의 비대화 방지 및 규제사무 소관의 불분명성 : 규제사무의 소관이 불분명하였고, 이를 기존의 행정기관에 맡길 경우 행정의 혼란이나 행정권의 비대화가 우려되었다. 지역적 대표성 또는 직능대표성의 확립 : 지역적 이해관계자나 직능대표를 포함시켜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기존의 행정부처보다는 합의제의 독립기관이 더 용이하다. 주간통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 : 1887년에 최초로 설립된 주간통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은 많은 독립규제위원회의 설치를 촉진시켰다. 위원회의 기능[편집]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늘어나는 행정기능 및 행정수요에 대응하여 관련 전문가를 행정에 참여시킴으로써 전문적 지식의 도입, 공정성 확보, 이해관계 조정과 각종 행정과 정책을 통합·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순기능[편집] 위원회 제도는 우선 한 사람에게 너무 많은 권한을 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권한 남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행정의 공정성 확보와 연결된다. 토론과 타협을 통해 이해관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책·기획 등과 관련하여 갈등을 해소하고 의견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정책과 관련되는 이해관계자들에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정당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 지식의 도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 전문성을 보강할 수 있고 합리적인 정책결정과 이로 인한 정책적 능률성을 제고할 수 있다. 역기능[편집] 위원회의 결정은 책임의 공유와 분산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위원 개개인은 독임제 형태에 비해 책임감을 덜 느끼게 되고 결정에 무책임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타협적인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부부처에 의해 설립되는 위원회는 흔히 그 부처의 이익을 보호하는 입장을 취하는 경향도 있어 부처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며, 문제해결을 하기보다는 문제해결을 지연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의 위원회[편집] 자문위원회 대통령 소속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통일준비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가에너지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사회통합위원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무총리 소속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정보화추진위원회 행정위원회 대통령 소속 방송통신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국무총리 소속 국민권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각 부처 소속 중앙토지수용위원회(국토해양부) 중앙노동위원회(노동부) 소청심사위원회(인사혁신처) 독립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금융통화위원회(한국은행)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 국회의 위원회[편집] 상임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지식경제위원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국토해양위원회 여성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정보위원회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여성특별위원회 기타[편집]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주무부처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행정심판위원회(주무부처 :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주무부처 : 국무총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주무부처 : 국무총리) 새만금위원회(주무부처 : 국무총리실) 이북5도위원회(주무부처 : 행정안전부) 경찰위원회(주무부처 : 행정안전부) 한국해양학위원회(주무부처 : 국토해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영화진흥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신문발전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영상물등급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게임물관리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저작권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방문의해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핑방지위원회(주무부처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사학분쟁조정위원회(주무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국사편찬위원회 교원소청심사위원회 복권위원회(주무부처 : 기획재정부) 무역위원회(주무부처 : 지식경제부) 전기위원회(주무부처 : 지식경제부)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주무부처 : 보건복지가족부) 고용보험심사위원회(주무부처 : 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주무부처 : 노동부)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근로복지공단에 기속) 보훈심사위원회(주무부처 : 국가보훈처)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시장감시위원회(한국거래소 산하) KBO 한국권투위원회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 정보보호마크인증위원회 특수임무수행자보상심의위원회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심의위원회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 동원 희생자등 지원위원회 반인도 범죄 조사위원회 vdeh 대한민국의 위원회행정부 대통령 소속 국무총리 소속 기획재정부 소속 교육부 소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외교부 소속 통일부 소속 법무부 소속 국방부 소속 행정안전부 소속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보건복지부 소속 환경부 소속 고용노동부 소속 여성가족부 소속 국토교통부 소속 해양수산부 소속 중소벤처기업부 소속 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공정거래위원회 소속 금융위원회 소속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원자력안전위원회 소속 인사혁신처 소속 법제처 소속 국가보훈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처 소속 국세청 소속 관세청 소속 방위사업청 소속 문화재청 소속 농촌진흥청 소속 산림청 소속 특허청 소속 기상청 소속 소방청 소속 입법부상임위원회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교육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사법부대법원 소속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 양형위원회 판례심사위원회 법관인사위원회 법관징계위원회 공탁금관리위원회 사법행정제도개선위원회 법인파산회생관리위원회 독립기관 및 기타기관중앙선관위 소속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시도선거관리위원회 목록 국가인권위 소속 침해구제제1위원회 침해구제제2위원회 차별시정위원회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위원회&oldid=22368777" 분류: 위원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עבריתIdoItaliano日本語Lietuvių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oomaaligaSvenskaKiswahiliไทย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22: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위원회(委員會, 합의제 행정기관, Committee, Commission)는 단독제·독임형 조직에 대응하는 조직으로서 민주적 결정과 조정을 촉진시키기 위해 복수의 구성원으로 구성되는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19세기 말 미국의 독립규제위원회가 그 전형적 형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대한민국의 위원회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자문위원회 대통령 소속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통일준비위원회 국가브랜드위원회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가에너지위원회 녹색성장위원회 미래기획위원회 사회통합위원회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국무총리 소속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정보화추진위원회 행정위원회 대통령 소속 방송통신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국무총리 소속 국민권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각 부처 소속 중앙토지수용위원회(국토해양부) 중앙노동위원회(노동부) 소청심사위원회(인사혁신처) 독립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금융통화위원회(한국은행) 국가인권위원회 Human: 아래 아지노모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지노모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지노모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지노모도 주식회사味の素株式会社Ajinomoto Co., Inc. 본사 사옥 형태 주식회사 산업 분야 제조업 창립 1925년 12월 17일(주식회사 스즈키 상점) 창립자 스즈키 사부로스케(창업자)이케다 기쿠나에(화학자)도멘 도요노부 시장 정보 도쿄: 2802 1949년 5월 16일 상장 국가 일본 본사 소재지 일본도쿄도 주오 구 교바시 1가 15번 1호 핵심 인물 이토 마사토시(대표이사 사장) 사업 내용 식료품의 제조 등 제품 식품, 아미노산, 화학, 의약품 자본금 798억 6,300만 엔 매출액 연결: 1조 1,973억 1,300만 엔단독: 6,620억 7,200만 엔 자산총액 연결: 1조 970억 5,700만 엔단독: 8,441억 4,700만 엔 주요 주주 일본 마스터 트러스트 신탁은행 주식회사 7.3%일본 트러시티 서비스 신탁은행 주식회사 5.85%다이이치 생명보험 주식회사 3.86%(2012년 3월 31일 기준) 자회사 크노르 식품 주식회사 100%아지노모토 냉동식품 주식회사 100%주식회사 갸반 55.4% 종업원 연결: 28,245 명단독: 3,300 명(2012년 3월 31일 기준) 슬로건 Eat Well, Live Well. 웹사이트 공식 홈페이지 특기 사항: 상기 경영 지표의 수치는 2012년도 유가증권 보고서에서 전재. 아지노모토 주식회사(일본어: 味の素株式会社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영어: Ajinomoto Co., Inc.)는 일본의 식품 기업이다. 목차 1 연혁 2 개요 2.1 사업 내용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07년 - 합자회사 스즈키 제약소 설립 1908년 - 화학자 이케다 기쿠나에가 글루탐산 나트륨의 제조법에 대한 특허를 취득 1909년 5월 20일 - “아지노모토” 일반 판매 시작(창업의 날) 1912년 - 합자회사 스즈키 상점으로 사명 변경 1917년 6월 17일 - 주식회사 스즈키 상점 설립(창립의 날) 1917년 7월 - 뉴욕 사무소 개설 및 일본 국외 진출. 1925년 12월 17일 - 주식회사 스즈키 상점과 합자회사 스즈키 상점을 통합하여 주식회사 스즈키 상점을 신설(설립일) 1932년 - 아지노모토 본점 주식회사 스즈키 상점으로 사명 변경 1946년 - 아지노모토 주식회사로 사명 변경 1981년 - 의약 사업 진출 1986년 - 소비자 상표를 “아지노모토 KK”에서 “AJINOMOTO”로 변경 1991년 - 칼피스 식품 공업(현 칼피스)의 제3자 할당 증자를 맡아 아지노모토 그룹 산하의 자회사로 만듦 1999년 10월 1일 - 현재의 로고로 변경 2006년 11월 5일 - 농심으로부터 즉석분말스프 보노 판매제휴 2007년 10월 1일 - 칼피스 주식회사를 완전 자회사화 2009년 5월 20일 - 창업 100주년 2012년 10월 - 칼피스의 모든 주식을 아사히 그룹 홀딩스에 양도함에 따라 그룹에서 분리 2017년 12월 - 아지노모토 대한민국의 농심 합작회사인 아지노모토농심푸즈주식회사 설립 및 경기도 평택공장 착공 2018년 1월 - 아지노모토농심푸즈 평택공장 농심 포승물류센터 부지 착공(2019년에 준공예정) 업무용 아지노모도 S 개요[편집] 사업 내용[편집] 일본의 식품 회사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화장품 브랜드 "Jino"의 제조 판매 등 아미노산 생산 기술을 활용 한 화학 사업, 의약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식품 사업 "아지노모토(MSG)", "혼다시, "크르 ","Cook Do"의 상품은 일본내 시장 점유율 1위이다. 조미료 (아지노모토, 하이미, 아지시오, 혼다시 등) 가공 식품 (쿠노르, Cook Do, 퓨어 셀렉트 마요네즈 등) 외식·샌드위치 냉동 식품 (제조는 주로 아지노모도 냉동 식품이 담당) 해외 식품: 감칠맛 조미료, 맛 조미료 메뉴용 조미료, 음료, 즉석 국수 , 수프, 레토르트 카레 등 제휴 사업: 유지(J-오일), 커피(아지노모도 제네럴 푸즈), 향신료(갸반), 가쓰오부시(야마키) 아미노산 사업 글루탐산을 비롯하여 발효법에 의한 아미노산 제조 기술의 평가는 높고, 아미노산에 관해서는 주요 업체의 지위에 있다. (시장 점유율: 리진 35%, 트레오닌 70%, 트립토판 70 ~ 80%) 아미노산 사업 영양 식품 사업: 아미노 바이탈 감미료 사업: 아스파탐 화학 제품 사업: 향장품 사업, 화학 사업. 의약 중간체 사업 사료 용 아미노산 사업 의약 사업 수액 영양 투석 분야 소화기병(消化器病) 분야: 크론병의 영양 치료제 생활 습관병 분야: 당뇨병 치료제, 혈압 강하 약, 골다공증 용약 등 같이 보기[편집] 칼피스 - 2012년 아사히 그룹 홀딩스로 매각. 하우스식품 - 예전 아지노모토의 자회사.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아지노모도 (일본어) 아지노모도 공식 홈페이지 (한국어) 한국아지노모도 공식 홈페이지 (영어) Ajinomoto Aminoscience LCC vdehTOPIX 100Core 30JT · JR 도카이 · JR 동일본 · KDDI · NTT · NTT 도코모 · 노무라 홀딩스 · 닛산 · 다케다 약품 · 덴소 · 도쿄 해상 · 무라타 제작소 · 미쓰비시UFJ · 미쓰비시상사 · 미쓰비시지쇼 · 미쓰이 부동산 · 미쓰이물산 · 미쓰이스미토모 · 미즈호 · 세븐&아이 · 소니 · 소프트뱅크 · 신에쓰 화학 · 아스테라스 · 캐논 · 파나소닉 · 파낙 · 토요타 · 혼다 · 히타치 제작소 · 스미토모 그룹Large 70ANAHD · HOYA · JAL · JFE · JR 서일본 · JX홀딩스 · MS&AD · OLC · SMC · T%D · 간사이 전력 · 고마쓰 · 교세라 · 국제석개제석 · 기린 맥주 · 니콘 · 닌텐도 · 닛토덴코 · 다이와 증권 · 다이와하우스 · 다이이치산쿄 · 다이이치 생명보험 · 다이토 건탁 · 다이킨 공업 · 도레이 · 도시바 · 도쿄 가스 · 도쿄 일렉트론 · 리소나 홀딩스 · 마루베니 · 미쓰비시 전기 · 미쓰비시중공업 · 미쓰비시 케미컬홀딩스 · 미쓰이스미토모 THD · 브리지스톤 · 세콤 · 세키스이 하루스 · 손포재팬 · 스미토모 그룹 · 스미토모 금속광산 · 스미토모 상사 · 스미토모 전기공업 · 스즈키 · 시세이도 · 신일철주금 · 시오노기 제약 · 아사히그룹 홀딩스 · 아사히 글래스 · 아사히 카세이 · 아지노모도 · 야마토 홀딩스 · 에이자이 · 오노 약품공업 · 오리엔탈랜드 · 오릭스 · 오사카 가스 · 오츠카그룹 홀딩스 · 요코하마 은행 · 유니참 · 이스즈 · 이온 · 이토추 · 일본전산 · 주부 전력 · 카오 · 쿠보타 · 키엔스 · 패스트 리테일링 · 후지 중공업 · 후지쯔 · 후지필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지노모도&oldid=24383940" 분류: 도쿄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일본의 식품회사화장품 회사다국적 기업일본의 조미료닛케이 2251925년 설립된 기업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Bikol Central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മലയാളം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සිංහලShqip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7: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지노모도 주식회사(일본어: 味の素株式会社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영어: Ajinomoto Co., Inc.)는 1925년 설립된 일본 식품 기업이다. 대표 제품으로는 사명과 같은 글루탐산 나트륨(MSG) 조미료 제품으로 1909년 출시한 아지노모도(味の素), 1970년 출시한 복합조미료인 혼다시(ほんだし)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지노모도가 처음 만들어진 날로부터 100년이 되는 날은 언제일까? Assistant: 2009년 5월 20일
Human: 아래 기사십자_철십자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사십자 철십자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사십자 철십자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측부터 순서대로:18.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19.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20.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21. 기사십자 철십자장잉골슈타트의 바이에른 육군박물관 소장. 기사십자 철십자장(騎士十字鐵十字章, 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나치 독일이 제정한 훈장으로, 철십자 훈장의 변종이다. 목차 1 역사 2 등급 2.1 기사십자 철십자장 2.2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2.3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2.4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2.5 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3 각주 4 참고문헌 5 외부 링크 역사[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39년 9월 1일에 “모든 대전에서 조국을 위해 싸운 이들을 기념하기 위하여 철십자장을 다시 재정한다.”는 취지의 법령이 제출된다.[1] 이 법령에는 총통인 아돌프 히틀러, 내무장관 빌헬름 프리크, 국방군 최고사령부(OKW) 총장인 빌헬름 카이텔, 무임소장관 오토 마이스너의 서명이 있었다. 이 법령의 제1조에서 1939년의 철십자장에 대십자 철십자장, 기사십자 철십자장, 1급 철십자장, 2급 철십자장의 등급을 나누었다.[2] 제2조에서는 철십자장은 임무 수행시에 큰 성과를 거둔 이나 용기있는 행동을 한 이들에게 수여되며, 상위의 훈장을 얻기 위해서 하위의 훈장을 얻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상위 훈장을 바로 받는 경우는 없었으나,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을 만한 행동을 보인 병사에게는 편의를 위하여 하의 장인 1급 철십자장, 2급 철십자장과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동시에 수여한 경우도 있었다. 최상위의 대십자 철십자장은 공군 총사령관 헤르만 괴링에게만 수여되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기사십자 철십자장이 일반 독일 군인이 획득할 수 있는 최고의 훈장이었다. 일반 철십자장은 나폴레옹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도 제정되어 있었으나, 기사십자 철십자장이 제정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때이다. 등급[편집] 기사십자 철십자장[편집]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은 1939년 9월 1일 철십자장 재확립 법령(Verordnung über die Erneuerung des Eisernen Kreuzes)에 따라 제정되었다.[3] 모양은 그냥 철십자장과 거의 비슷하다. 전체적인 모양은 십자팔이 중심에서 가장 좁고 바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크로스 파테이다.[4]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가장 많이 생산한 곳은 뤼덴샤이트의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Steinhauer & Lück) 사이다.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에서 제조한 기사십자장들에는 뒷면에 "800"이라는 번호가 찍혀 있는데, 이는 800급 은을 의미한다. 띠 고정핀에도 이 숫자를 발견할 수 있다.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의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가로 48.19 밀리미터, 세로 54.12 밀리미터이고, 띠 고정핀을 제외한 무게는 28.79 그램이다.[5] 리본 리본 기사십자 철십자장 명예진급 수훈인증서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편집]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아이헨라웁[*])은 1939년의 철십자장 재정비 법령 제1항과 제4항을 수정한 1940년 6월 3일 법령(Reichsgesetzblatt I S. 849[6])에 의해 제정되었다.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이 제정되기 전까지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받은 국방군 군인은 124명이다. 프랑스 침공 작전인 황색 작전 실시 직전에 기사십자 철십자장 52개가 수훈되었다. 1940년 5월에 그 수훈사례가 최대에 달했다. 곡업 기사십자장이 도입된 시기는 프랑스 공방전 제2단계인 적색 작전과 같은 즈음이다.[7] 프로이센의 곡업 푸르 르 메리트 훈장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이 추가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역시 특출한 지도력이나 용맹을 나타낸 자에게 수훈하도록 되어 있었다.[8] 곡엽(槲葉)이란 떡갈나무 잎을 말하는 것으로서 1813년형 철십자장과 대십자 철십자장에도 나타나는 것이라 나치가 고안한 상징물이 아니다. 곡엽이 가장 먼저 발견되는 예는 프로이센 왕국에서 흑수리 훈장 다음으로 높은 훈장이었던 적수리 훈장이다. 적수리 훈장은 1705년 제정되었고 1811년 1월 18일 국왕 칙령으로 곡엽이 추가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그 전해에 사망한 루이제 왕비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곡엽을 추가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1813년 10월 9일에는 적에 맞서 군인다운 공훈을 세운 이에게 수여하는 푸르 르 메리트 훈장에도 곡엽이 추가되었다.[9] 훈장에 사용되는 곡엽 장식은 떡갈나무 잎 세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의 잎이 다른 두 잎의 가장자리를 덮는 모양을 하고 있다. 잎 중아아에는 프로이센 왕비 루이제를 추모하는 글자 "L"이 새겨져 있다. 걸쇠는 900급 은을 금형으로 떠서 직경 2 센티미터 크기로 만들었다. 걸쇠는 무광 마감처리가 되어 있고 곡엽 장식의 가장자리와 잎맥에는 마광이 가해졌다.[10]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베를린의 게브뤼더 형제회사(Godet Brothers & Co.)에서 독점적으로 공식 생산했다. 또한 이 회사는 곡엽의 앞면 오른쪽 모양이 다른 변형과 보다 묵직하게 생긴 변형도 생산했다. 첫 번째 변형은 1943년 중반에 생산이 중단되었다.[11] 리본 리본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 장식의 세부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편집]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und Schwertern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아이헨라웁 운트 슈베르테른[*])은 1941년 9월 28일 법령 제1조 및 제4조를 재차 수정한 개정안(Reichsgesetzblatt I S. 613[12])에 의해 제정되었다.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과 거의 같지만 곡엽 밑에 교차된 검 한 쌍이 붙어있는 점이 차이점이다. 뒷면에 붙은 리본 지지 걸쇠는 곡엽 기사십자장보다 살짝 더 크다. 안정성을 더하기 위해 검 장식은 곡엽 장식 및 걸쇠와 땜질로 붙어 있다. 검의 길이는 24 밀리미터이다. 곡엽과 검을 다 합친 길이는 가로 24.83 밀리미터, 세로 27.58 밀리미터이며 무게 9.03 그램이다.[13] 리본 리본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편집]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Eichenlaub, Schwertern und Brillianten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아이헨라웁 슈베르테른 운트 브릴리안텐[*])은 1941년 9월 28일 개정안(Reichsgesetzblatt I S. 613[12])에 의해 제정되었다. 처음에는 베를린에 소재한 게브뤼더 형제사에서 생산하였으며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과 같은 크기였다. 걸쇠에 구멍들을 뚫고 금강석들을 박아넣었다. 첫 수훈자는 베르너 묄데르즈와 아돌프 갈란트이며, 그 이후 하나우에 소재한 오토 클라인(Otto Klein) 사로 생산처가 바뀌었다.[14] 오토 클라인 사에서 생산된 훈장을 처음 수훈받은 사람은 고르돈 골롭으로 1942년 8월 30일 수훈받았다. 오토 클라인 사에서 생산된 훈장은 진짜 금강석이 박힌 A형과, 매일 패용하여 닳아도 괜찮기 위해 금강석 대신 라인스톤(모조 금강석)을 박아넣은 B형 하여 한 쌍이 한 벌로 지급되었다.[15] 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총 27회 수훈되었으나, 규정된 바와 같이 금강석을 수여받은 사람은 단 세 명 뿐이다. 네 번째 수훈자 한츠요아힘 마르세이는 수훈받으러 가는 길에 항공기 오작동으로 추락사했다. 전쟁 막바지로 갈수록 전황이 악화되어 26번째 수훈자 카를 마우스와 27번째이자 마지막 수훈자 디트리히 폰 자우켄은 수훈 대상만 되고 실제 수훈은 받지 못했다.[16] 리본 리본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헬무트 렌트의 훈장 걸쇠. 드레스덴의 연방군 군사사 박물관 소장. 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편집] 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mit Goldenem Eichenlaub, Schwertern und Brillianten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 미트 골데넴 아이헨라웁 슈베르테른 운트 브릴리안텐[*])은 1944년 12월 29일 제1조 및 제4조를 재차 수정한 개정안(Reichsgesetzblatt 1945 I S. 11[17])에 따라 제정되었다. 하나우의 오토 클라인 사에서 황금곡엽검장 6개를 생산해서 대통령수상부(Präsidialkanzlei)로 배달되었다. 740급 황금(18K)에 진짜 금강석 58개로 만든 A형, 585급 황금(14K)에 진짜 사파이어 68개로 만든 B형이 있다. 1945년 1월 1일 한스울리히 루델이 A형과 B형 한 벌을 수여받았고, 나머지 다섯 벌은 잘츠부르크의 클레스하임 성에 보관되어 있다가 미육군 제3사단에 노획되었다.[18] A형은 무게 13.2 그램으로, 백금으로 만든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보다 살짝 가볍다.[19] 리본 리본 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의 뒷면 각주[편집] ↑ 《鉄十字の騎士―騎士十字章の栄誉を担った勇者たち》 ISBN 978-4-499-22652-3p.10 ↑ 《鉄十字の騎士―騎士十字章の栄誉を担った勇者たち》 ISBN 978-4-499-22652-3p.9 ↑ “Reichsgesetzblatt Teil I S. 1573; 1 September 1939”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독일어). 2010년 1월 20일에 확인함.  ↑ Williamson 2004, p. 4. ↑ Schaulen 2004, p. 10. ↑ “Reichsgesetzblatt Teil I S. 849; 3 June 1940”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독일어). 2010년 1월 20일에 확인함.  ↑ Maerz 2007, p. 238 ↑ Williamson 2005, p. 7. ↑ Schaulen 2003, p. 9. ↑ Williamson 2005, p. 3. ↑ Schaulen 2004, p. 11. ↑ 가 나 “Reichsgesetzblatt Teil I S. 613; 28 September 1941”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독일어). 2010년 1월 20일에 확인함.  ↑ Schaulen 2004, p. 12. ↑ Williamson 2006, p. 3. ↑ Maerz 2007, p. 300. ↑ Maerz 2007, p. 293. ↑ “Reichsgesetzblatt 1945 I S. 11; 29 December 1944” (PDF). 《ALEX Ö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독일어). 2010년 1월 20일에 확인함.  ↑ Maerz 2007, pp. 310–311. ↑ Maerz 2007, p. 314. 참고문헌[편집] 《最強の狙撃手》(최강의 저격수) ISBN 978-4-562-04070-4 《鉄十字の騎士―騎士十字章の栄誉を担った勇者たち》 ISBN 978-4-499-22652-3 《ヒットラーと鉄十字章―シンボルによる民衆の煽動》(히틀러와 철십자장─심볼을 통한 민중의 선동) ISBN 978-4-8355-0450-6 Maerz, Dietrich (2007). Das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und seine Höheren Stufen (in German). Richmond, MI: B&D Publishing LLC. ISBN 978-0-9797969-1-3. Schaulen, Fritjof (2003). Eichenlaubträger 1940 – 1945 Zeitgeschichte in Farbe I Abraham – Huppertz [Oak Leaves Bearers 1940 – 1945 Contemporary History in Color I Abraham – Huppertz] (독일어). Selent, Germany: Pour le Mérite. ISBN 978-3-932381-20-1.  Williamson, Gordon & Bujeiro, Ramiro (2004). Knight's Cross and Oak Leaves Recipients 1939-40. Osprey Publishing Ltd. ISBN 1-84176-641-0. Williamson, Gordon & Bujeiro, Ramiro (2005). Knight's Cross and Oak Leaves Recipients 1941-45. Osprey Publishing Ltd. ISBN 1-84176-642-9. Williamson, Gordon (2006). Knight's Cross, Oak-Leaves and Swords Recipients 1941-45. Osprey Publishing Ltd. ISBN 1-84176-643-7. Williamson, Gordon (2006). Knight's Cross with Diamonds Recipients 1941-45. Osprey Publishing Ltd. ISBN 1-84176-644-5.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기사십자 철십자장 vdeh 나치 독일의 군사훈장 전군 공통 1939년형 대십자 철십자 성장 1939년형 대십자 철십자장 황금(검)기사십자 전공십자장 독일십자장 황금강석장 (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독일십자장 금장 1939년형 철십자장 1, 2등장 철십자보장 영예감장 (검)기사십자 전공십자장 독일십자장 은장 1, 2급 (검)전공십자장 전공포장 스페인 십자장 금강석금검장, 금장, 은검장, 동검장, 은장, 동장 1914년/1918년 세계대전 명예십자장 1941년/42년 동부전선 동계전투포장 독일서부방벽기장 1938년 3월 13일 기념포장 메멜 반환기념포장 1938년 10월 1일 기념포장 국방군 근속상 친위대 근속상 1939년형/1944년형 전상장 흑장, 은장, 금장 육군/ 무장친위대 보병돌격휘장 일반돌격휘장 전차전휘장 육군대공포휘장 토비전휘장 기구관측병휘장 전차격파휘장 저격병휘장 전선운전병휘장 근접전기장 공군 항공기지도자관측사휘장 조종사휘장 강하사격병휘장 공군대공포전휘장 공군지상전휘장 관측사휘장 활공기지도자휘장 통신사기관사휘장 항공기념휘장 항공승무원휘장 기총사기관사휘장 전선비행기장 공군영예배 해군 함대전쟁휘장 구축함전쟁휘장 소해구잠정전쟁휘장 봉쇄돌파선휘장 고속정전쟁휘장 잠수정전쟁휘장 보조순양함전쟁휘장 해군포병전쟁휘장 잠수정전선기장 해군전선기장 전역별 순장 나르비크 순장 크림 순장 홀름 순장 데먄스크 순장 쿠반 순장 라플란드 순장 vdeh 최초와 최후의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최초: 1939년 9월 30일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곡엽검) 페도어 폰 보크 발터 폰 브라우히치 헤르만 괴링(대십자) 빌헬름 카이텔 알베르트 케셀링(곡엽검금강석) 귄터 폰 클루게(곡엽검) 게오르크 폰 퀴흘러(곡엽) 빌헬름 리스트 알렉산더 뢰어(곡엽) 에리히 레더 발터 폰 라이헤나우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곡엽검) 최후: 1945년──5월 11일 빌리 바호어? 막스 보르크? 알프레트 피셔? 빌리 훈트 오스카어 폰 호엔슈타우펜 남작? 루트비히 호프만? 야코프 쿠하어? 마르틴 코르데만? 발터 쾨흘러? 루돌프 폰 크네벨되베리츠? 발터 쾨르너? 한스 레흐만? 게오르크 페셸? 후베르트 플라츠? 볼데마르스 라인홀츠? 프리드리히 리히터? 하인리히 로데미흐? 지크프리트 샤이베? 카를리스 센스베르그스? 루디 테세노프? ─5월 14일 로베르트 마허? ─5월 28일 한스요아힘 머크스? ─6월 1일 카를 아이스그루버? 마티아스 슈타를? 헬무트 푀크틀레? ─6월 17일 게오르크볼프강 펠러 히틀러 사후 국가원수로 지명된 카를 되니츠 대제독은 1945년 5월 11일자로 모든 상훈 및 진급을 중지할 것을 명령했다. 때문에 게오르크볼프강 펠러는 사실상 최후 수훈자이지만 명목상 최후 수훈자는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명목상 최후 수훈자로서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인물은 빌리 훈트가 된다.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vdeh 곡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1940년 수훈자 에두아르트 디틀(곡엽검) 베르너 묄더스(곡엽검금강석) 아돌프 갈란트(곡엽검금강석) 헬무트 비크 귄터 프린 오토 크레츠슈머(곡엽검) 요아힘 셰프케 1941년 수훈자 마르틴 하를링하우젠 발터 외자우(곡엽검) 에르빈 롬멜(곡엽검금강석) 헤르만프리드리히 요핀 요아힘 뮌헤베르크(곡엽검) 하인리히 리베 엥겔베르트 엔드라스 헤르베르트 슐체 헤르베르트 이흘레펠트(곡엽검) 빌헬름 발타자르 지크프리트 슈넬 루돌프 슈미트 베르너 바움바흐(곡엽검) 오스카 디노르트 발터 슈토르프 빅토르 쉬체 하인츠 구데리안 헤르만 호트(곡엽검)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남작 귄터 뤼트초프(곡엽검) 요제프 프릴러(곡엽검) 귄터 폰 말차흔 남작 호르스트 니마크(곡엽검) 하인리히 베르(곡엽검) 한스 한 한스 필리프(곡엽검) 루트비히 크뤼벨 카를고트프리트 노르트만 하인리히 호프만 쿠르트위르겐 폰 뤼트초프 남작 고르돈 골로프(곡엽검금강석) 에르보 폰 카게네크 에른스트펠릭스 크뤼더 제프 디트리히(곡엽검금강석) 하인리히 에버바흐 프란츠 샤이디즈 에른스트게오르크 부흐터키르히 베른하르트 로게 디트리피 펠츠(곡엽검) 아델베르트 슐츠(곡엽검금강석) 요제프프란츠 에킹거 귄터 호프만쇤보른 카를 아이블(곡엽검) 하인리히 레만빌렌브로크 오토 바이스 게오르크 폰 뵈젤라거(곡엽검) 발터 폰 사이들리츠쿠르츠바흐 요제프 하르페(곡엽검) 라인하르트 주흐렌(곡엽검) 후베르투스 히츠슈홀트 1942년 수훈자 오스카 폰 보딘 한스 요르단(곡엽검) 카를빌헬름 슈페흐트 한스 폰 볼프 남작 한스팔렌틴 후베(곡엽검금강석) 카를하인츠 노아크 요아힘 헬비히(곡엽검) 오토 히츠펠트(곡엽검)? 빌헬름 베게너(곡엽검) 한스 트라우트 베르너 폰 길자 헤르만 브라이트(곡엽검) 롤프 칼드라크 하인리히 보르크만 파울 루트비히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곡엽검)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곡엽검) 발터 모델(곡엽검금강석) 빌리발트 폰 랑거만 운트 에를렌캄프 남작 발터 베셀 발터 하겐 알베르트 게셀링(곡엽검금강석) 게르하르트 쾨펜 쿠르트 우벤 막스헬무트 오스터만(곡엽검) 프란츠 에케를레 볼프디트리히 후이 한스 슈트렐로프 빌헬름 슈피즈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곡엽검) 에리히 토프(곡엽검) 테오도어 아이케 라인하르트 하르데겐 볼프강 슈페테 알프레트 뷔넨베르크 테오도어 셰러 헤르만 그라프(곡엽검금강석) 아돌프 디크펠트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레오폴트 슈타인바츠(곡엽검) 한스요아힘 마르세이(곡엽검금강석) 헬무트 렌트(곡엽검금강석) 로베르트게오르크 폰 말라페르트 남작 루트비히 볼프 프리드리히 가이스하르트 하인리히 제츠 발터 폰 브로크도르프아흘레펠트 롤프 뮈첼부르크 아달베르트 슈니 에르빈 클라우젠 빅토르 바우어 프란츠요제프 비렌브로크 안톤 하클(곡엽검) 트라우고트 헤어(곡엽검) 베르너 켐프 게르하르트 콜레베 발터 고른(곡엽검) 쿠르트 브렌들레 요하네스 슈타인호프(곡엽검) 발터 지겔 요한 쳄스키 알프레트 드루셸(곡엽검) 에른스트 보어만 게르하르트 하인 베르너 치글러(곡엽검) 볼프디트리히 빌케(곡엽검) 클라우스 숄츠 하인츠 슈미트 하인리히 블라이흐로트 프리드리히카를 뮐러 빌헬름 크리니우스 볼프강 토네 브루노 폰 하오인실트 기사 한스 바이스벵거 에른스트빌헬름 라인하르트(곡엽검) 카를 토를라이 요하네스 큄멜 귄터 랄(곡엽검) 루트비히 키르슈너 콘라트 후퍼 막스 슈토츠 하인리히 슈바이크하르트 볼프강 셴크 헤르만 사이츠 요제프 츠버네만 볼프강 루트(곡엽검금강석) 베르너 퇴니게스 히아킨트 슈트라흐비츠 백작(곡엽검금강석)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곡엽검금강석) 요제프 부름헬러(곡엽검) 카를프리드리히 메르텐 프리드리히 랑(곡엽검) 알빈 뵈르스트(곡엽검) 에케하르트 킬링슈미트 에른스트 노비즈 볼프강 피셔 카를 알멘딩거 하인리히 파프케 헤르만 발크(곡엽검금강석) 발터 하이츠 헤르만 페겔라인(곡엽검)? 헬무트 폰 루크테셸 펠릭스 슈타이너(곡엽검) 후베르트 란츠 헬무트 슐뢰머 막시밀리안 폰 에델샤임(곡엽검) 하르트비히 폰 루트비거 하랄트 폰 히르슈펠트 요제프 브렘(곡엽검)? 헬무트 툼 헬무트 폰 판비츠 마르틴 피비히 1943년 수훈자 라이너 슈타헬(곡엽검) 프리츠 페스만(곡엽검) 프리드리히 구겐베르거 하인츠 프랑크 에른스트 쿠퍼(곡엽검) 브루노 딜라이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곡엽검) 벤트 폰 비터샤임(곡엽검) 요한 모르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카를 빌리히 귄터 괴벨 귄터 폰 클루게(곡엽검) 발데마르 폰 가첸(곡엽검) 한스 크라이싱(곡엽검) 라인하르트 귄첼 후고 프리모치크 빌리 리델 게오르크 미하엘 구스타프 프레슬러 카를 로덴부르크 라인홀트 크나케 에르빈 피셔 헤르만 호게바크(곡엽검) 헬무트 브뤼크 알폰즈 쾨니히(곡엽검) 쿠르트 메이어(곡엽검) 파울 길트허 베르너 슈트라이브(곡엽검) 루트비히 베커 베르너 바움가르텐크루지우즈 프리츠 비트 한스 미코슈 발터 쇼이네만 구스타프 규미트 에버하르트 차흔 요한 미클 빌헬름 폰 말라호프스키 브루노 콘츠 게오르크 라센 에리히 폰 레빈스키(곡엽검) 게오르크 리츠허 카를 랑게지 요제프 쿨트 발터 회르늘라인 테오도어 노르트만(곡엽검) 게오르크빌헬름 포스텔(곡엽검) 로베르트 폰 그라임 기사(곡엽검) 한스카를 폰 실레 하인리히 쉴러 헬무트 후델 힌리히 슐트(곡엽검) 오토 쿰(곡엽검) 루돌프 슐리 카를 되니츠 알브레히트 브란디(곡엽검금강석) 게르하르트 폰 캄프츠 지크프리트 부퍼만 에리히 클라베 페터 프란츠 한스울리히 루델(황금곡엽검금강석) 파울베르너 호첼 게오르크 되르펠 에곤 마이어(곡엽검) 아우구스트 디크만(곡엽검) 오토 폰 뷜로프 빌리발트 보로비츠 한스귄터 슈토텐 파울 라욱스 구스타프 회흐네 카를아돌프 홀리트 게르하르트 폰 슈베린(곡엽검) 빌헬름 니게마이어 프란츠 그리즈바흐(곡엽검) 에리히 베렌펭거(곡엽검) 라인하르트 그뤼네르트 에른스트 크루제 게오르크 보흐만(곡엽검) 카를 뢰브리크 마르틴 그라제 프리드리히 켐나데 로베르트 기자에 한스 폰 옵슈트펠더(곡엽검) 카를 괴벨 프리드리히 회흐네 귄터 클라피흐 구스타프 뢰델 카를 에머만 베르너 헨케 프리츠 바이에를라인(곡엽검) 발터 폰 휘네즈도르프 베른하르트 자우판트 파울 하우서(곡엽검) 프란츠 베케(곡엽검) 에크몬트 프린츠 추어 리페바이센펠트 만프레트 모이러 하인리히 에흐를러 테오도어 바이센베르거 요아힘 키르슈너 베르너 슈뢰어(곡엽검) 하요 헤어만(곡엽검) 브루노 카흘 로타르 렌둘릭(곡엽검) 디트리히 폰 뮐러(곡엽검) 게오르크 폰 퀴흘러 에른스트 부슈 게오르크 린데만 파울 콘라트 오토 바움(곡엽검) 한스 폰 풍크 남작 알렉산더 콘라디 에르하르트 라우스 티드리히 폰 자우켄(곡엽검금강석) 한스 골니크 알프레트 아이델 파울 슐츠 한스데틀로프 폰 코셀 발터 크뤼거(곡엽검) 롤프 로홀 하르트만 그라서 볼프우도 에텔 하인리히 추 자인비트겐슈타인(곡엽검) 한스 초른 호르스트 그로스만 발터 노보트니(곡엽검금강석) 요아힘 레멜젠 에리히 야즈흐케 하인츠 하르멜(곡엽검) 헤르만 프리스(곡엽검) 프리드리히 호스바흐 지크프리트 토마슈키 발터 랑게 귄터 파페 테오도어 톨즈도르프(곡엽검금강석) 실베스테르 슈타들러(곡엽검)? 울리히 클리만 쿠르트 슈투덴트 알프레트 헤르만 라인하르트(곡엽검) 한스 마르틴 프리츠셰 보도 슈프란츠 요제프 슈라이버 후베르트에르빈 마이어드레스 한스고타르트 페스트케 율리우스 링겔 루돌프 폰 로만 남작 에른스트 포스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곡엽검금강석) 알베르트 폰 데어 골츠 백작 에른스트 치머 오이겐 쾨니히 헤르만 레크나겔(곡엽검) 지크프리트 그라베르트 하인리히 키즐링 오토 폰 크노벨즈도르프(곡엽검) 막시밀리안 데 앙겔리즈 에리히 브란덴베르거 오토 에른스트 레머 게오르크 크리스티안젠 한스 도어(곡엽검) 요제프 하인들 빌리 요한마이어 카를프리드리히 브릴 요하네스 블로크 하소 폰 만토이펠 남작(곡엽검금강석) 고타르트 하인리키(곡엽검) 한스 슈미트 카를 마우스(곡엽검금강석) 한스헤닝 폰 보이슈트 남작 디트리히 흐라바크 빌헬름 렘케 오토 쉬네만 발터 하르트만(곡엽검) 에른스트아구스트 프리케 에른스트 벨만 알프레트 드루프너 안톤 그라서 쿠르트 발터 아돌프 바이트쿠나트 발터 엘플라인 빌리 랑카이트 안드레아스 토라이 지크프리트 하인리키 하인리히 포이크츠베르거 카를 바케 크리스티안 티흐센 알프레트 뮐러 한스요아힘 카흘러 에른스트 퀴흘 쿠르트 폰 데어 헤발러리 빌헬름 슈말츠 알베르트 프라이 하인리히 오흐즈 1944년 수훈자 베른트 클루히 클라우스 펠트 발터 크라우스 호르스트 하니히 한스아르놀트 슈타흘슈미트 헬무트 칼비츠 요제프게오르크 뮐처 막시밀리안 프레터피코 한스 슐레머 하인리히 보이크 아우구스트 슈미트 프리드리히 비제 발터 크뤼거 카를 쾨츠 후고 크라즈 에두아르트 하우서 요아힘 파이퍼(곡엽검) 발터 프리즈(곡엽검) 발터 지페르즈 미하엘 비트만(곡엽검) 베른하르트 플라흐즈 리하르트 하이드리히(곡엽검) 발터 네흐링(곡엽검) 보토 콜베르크 에리히 뢰베 귄터 힐트 프리츠 브라이타웁트 로베르트 마르티네크 요제프 슈나이더 발터 뫼제 프리드리히 키르히너(곡엽검) 한스 켈너(곡엽검) 테오도어 비슈(곡엽검) 하인리히발터 브론자르트 폰 셸렌도르프 카를 로렌츠 마인라트 폰 라우헤르트 요제프 카를 페르디난트 쇠르너(곡엽검금강석) 빌헬름 슈테머만 테오헬무트 리프 로베르트 카에슈트너 에른스트귄터 바데(곡엽검) 루돌프 콜베크 막시밀리안 벵글러(곡엽검) 발터 믹스 오토 벤친 베르너 포르스트 헬무트 바이틀링(곡엽검) 프리드리히 미트 헤르만 호흔(곡엽검) 에리히 발터(곡엽검) 루트비히 하일만(곡엽검) 쿠르트 뷔흘리겐(곡엽검) 호르스트 아데마이트 발터 크루핀스키 아우구스트 가이거 한스디터 프랑크 요하네스 바이제 라인하르트 자일러 에리히 하르트만(곡엽검금강석) 헤르만하인리히 베흐렌트(곡엽검) 구스타프 슈튀흐머 프리츠 폰 숄츠(곡엽검) 빌리 툴케 요제프 레테마이어 즈밀로 폰 뤼트비츠 남작(곡엽검) 요제프 브레겐처 프리드리히 슐츠(곡엽검) 베르너 무머트(곡엽검) 한스요아힘 야브스 헤른하르트 요페 빌헬름 슈미터 막시밀리안 오테 한스게오르크 베트허 게오르크 코스말라 게오르크 그뤼너 에두아르트 트라트 프리츠 페터젠 프리돌린 폰 젱거 운트 에테를린 루트비히 뮐러 하인츠 비트호프 폰 브레제비니아리 헤르베르트 슈벤더 한스 크로흐(곡엽검) 귄터 라두슈 요하네스 프리스너 알프레트 그리슬랍스키 에리히 루도르퍼(곡엽검) 에밀 랑 오토 키텔(곡엽검) 루돌프 쇠네르트 빌헬름 헤르게트 안톤 하프너 요하네스 마이어(곡엽검) 하인리히 호그레베 루돌프 가이즐러 하인리히 폰 피팅호프 에곤 폰 나인도르프 빌헬름 드레베즈 카를로타르 슐츠(곡엽검) 귄터 샤크 오토 폴만 한스카를 슈테프 마르틴 뫼부즈 알빈 볼프 하인츠 핀케 카를 데커(곡엽검)? 에리히 로렌츠 빌헬름 에게만 테오도어 폰 뤼켄 오토 데슬로흐 레오폴트 뮌스터 막스 자흐젠하이머(곡엽검) 마르틴 흐루슈타크 요한 슈베르트페거 에밀 포겔 루돌프 폰 발덴펠즈 남작 프리츠 뮐러 킬리안 바이머 발터 슈미트 카를 울리히 카를 헨체 빌리 마린펠트 페르디난트 베게러 볼프 하게만 한스 슈트리펠 프리드리히 호흐바움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알폰즈 히터 볼프강 피커트 고트프리트 베버 호르스트 니더를렌더 게오르크 봉크 후베르트 필라르슈키 에른스트빌헬름 호프만 콘라트 첼러 요아힘 도마슈크 에밀 카민스키 에드윈 슈톨츠 루돌프 페테르젠 괴츠 폰 미르바흐 남작 디도 디덴즈 에른스트 지를러 에리히 마르크즈 알베르트 브룩스 호르스트 카우비슈 헨드리크 슈타흘 하인츠볼프강 슈나우퍼(곡엽검금강석) 아돌프 글룬츠 에두아르트 슈크르치페크 라인하르트 에거 요제프아우구스트 프리츠 헤르베르트 후페르츠 클레멘스하인리히 폰 카게네크 백작 베르너 콜프 마르틴 운라인 에리히 아브라함 프리츠후베르트 그레저(곡엽검)? 프리드리히 돌만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곡엽검) 헤르만 불프 에리히 부셴하겐 하인츠오토 파비안 카를 팔름그린 하인리히 호프만 하인츠게오르크 렘(곡엽검) 빌헬름 바츠(곡엽검) 빌리 킨트슈 하인츠 슈트뤼닝 카를하인츠 베버 오토 베슬링 루돌프 프랭크 헤르베르트 람프레히트 빌헬름 폰 잘리슈 게르하르트 크루제 오토 카리우스 헤르만 폰 오펠른브로니콥스키(곡엽검) 루돌프 데메 파울 슐체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후베르트 미클라이 빌리 베셰 카를 힐페르트 하인리히 니켈 쿠르트 실레 마르틴 슈트라하머 카를 클로스콥스키 게르하르트 지몬즈 막스 뷘셰 디트리히 크라이스 루돌프 바헤러 안드레아즈 폰 아울로크 헤르만 지겔 게르하르트 피크 하인츠 마허 하인리히 베렐만 루돌프 불프 베르너 슐체 발터 멜처 브루노 힌츠 헬무트 메더(곡엽검) 루돌프 홀슈테 쿠르트 플루바일 빌헬름 비트리히(곡엽검)? 오이겐 마인들(곡엽검)? 헤르만 플뢰르케 마르틴 비버 헤르만 클라인 야코프 간즈마이어 발터 미제라 프리드리히빌헬름 보크 하인리히 폰 뤼트비츠 남작(곡엽검)? 하인츠 그라이너 크리스티안 존탁 헬무트 파이퍼 루돌프 플린처 발터 나이트첼 리하르트 조이스 오토 라슈 알로이스 베버 게르하르트 린데만 요하네스 뵐터 구스타프 라이마르 오토 케흘러 에리히 피트촌카 발터 게리케 하인리히 트레트너 한스 투르너 파울 초르너 한스 폰 데어 모젤 루돌프 하엔 헬무트 숄츠 오토 슈리 베르너 마르크즈 에렌프리트오스카 뵈게 헬무트 베커 요하네스 뮈흘렌캄프 프리드리히아우구스트 샤크 에른스트 쾨니히 에른스트 필리프 볼프강 크레츠슈마르(곡엽검) 오토 메이어 헤르만 샤르나겔 콘라트 자우어 요르크 부르크 게르하르트 베흔케 게르하르트 쿠네르트 빌헬름 코흘러 하인츠 라인파르트 에리히 슈트라우베 게오르트 폰 리트베르크 백작 모티머 폰 케셀 빌리 코프 프리드리히 슈트로흠 테오도어 크랑케 게오르크 야코프 발터 슈크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데어 하이테 남작 헤르베르트 바우어 프란츠 키즐리히 디터 루케슈 빌헬름 블레크벤 아르투어 위트너(곡엽검) 요한게오르크 리헤르트 베르너 구스트 오트마르 크로이칭거 프란츠 벨러 카를 티메(곡엽검)? 한스크리스티안 슈토크 구스타프 슈베르트 요한 샬란다 헬무트 라이흐트 귄터 토네 베노 로이터 파울 에커 파울 폰 하우서 남작 프리츠루돌프 슐츠 하인리히 부세 에두아르트 브루너 막스 지몬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곡엽검) 클라우스 힐게만 게르하르트 프리드리히 막시밀리안 펠츠만 요한하인리히 에크하르트 베르너 하르트만 발터 바이스 구스타프아돌프 폰 창겐 게르트 루게 빌헬름 바이덴브뤼크 헬무트 되르너(곡엽검) 알브레히트 크뤼겔 에밀 바도레크 클라우스 미투슈 하인츠 메이어 빌헬름 앤트루프 하인리히 회퍼 게르하르트 시르머 한스 자이데만 한스 호스펠트 베르너 되른브라크 후베르트 푈츠 루돌프 비트치히 게오르트페터 에더 루돌프 레네케 오토 도메라츠키 카를 케넬 게르하르트 미할스키 게르하르트 브레머 클라우스 폰 비스마르크 아르투어 플레프즈 오토 뵈흘러 헬무트 라이만 쿠르트 에흘레 쿠르트 마이어 게오르크 자틀러 발터 하흠 크리스티안 브라운 프리츠 아른트 게르하르트 엥겔 위르겐 바그너 프리드리히 야코프 하리 호페 에두아르트 크라제만 안드레아즈 쿠프너 프리츠 비어마이어 파울 클라트 귄터에베르하르트 비슬리케니(곡엽검)? 오토 바이딩거(곡엽검)? 1945년 수훈자 하인리히 폰 베어 남작 쿠르트헤르만 폰 뮈흘렌 남작 발터 루히트 지크문트울리히 폰 그라펜로이트 남작 쿠르트 그뢰슈케 쿠르트 헤르초크 알로이스 아이젤레 폴프레히트 리데젤 추 아이젠바흐 남작 요아힘 브렌델 빌헬름 하세 한스데틀레프 골레르트한젠 클라우스 브레거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막스 라인발트 리하르트 헨체 발터 리세 알렉산더 뢰허 게르하르트 슈미트후버 빌헬름 쇠닝 헤르베르트 퀸디거 알베르트 헨체 에리히 로이터 쿠르트 다흘만 쿠르트 플렌차트 헤르베르트 롤바게 막스 셰퍼 카를 프뢸 헬무트 뵈흘케 발터 쉬스 빌헬름 슈핀들러 카를 아른트 쿠르트 바흘 요아힘 루모어 아우구스트 체헨더 카를 페퍼빌덴브루히 발터 달 카를 로스만 에른스트 얀자 위르겐 하르더 오토 핀콘 요아힘 잔더 게오르크 폰 플레텐베르크 백작 막시밀리안 폰 바이흐스 빌헬름 오스터홀트 게오르크 야우어 카를하인츠 외스터비츠 헤르베르트 비트만 헤르베르트 슈람 안톤오토 프랑크 안톤 뮐러 에두아르트 초른 빌리 쉴케 귄터 블루멘트리트 요제프 하이헬레 게오르크 게프하르트 에른스트 크네벨 프리츠 클라싱 에드문트 블라우로크 루트비히 슐츠 롤프 헤르미헨 한스 크렙스 하인츠마르틴 에베르트 프리츠게오르크 폰 라파르트 요제프 야크베르트 호르스트 바르슈나우어 한스바보 폰 로어 에른스트 크라그 하인리히 슈멜처 트라우고트 켐파스 아르투어 쿨머 미하엘 푀싱거 오트마르 폴만 페른 폰 베어 한스 라이하르트 베르너 에벨링 헤르만 니호프(곡엽검)? 하인리히 괴츠 루돌프 폰 뷔나우 브루노 카르체프스키 에리히 슈나이더 쿠르트 벨터 헬무트 렌슐러 볼프강 루스트 프리드리히 직스트 쿠르트 비트셸 클레멘즈 베트첼 프란츠 로갈스키 요하네스 그리밍거 에른스트 쿠트슈카우 에곤 아그타 빌헬름 슈뢰더 카를하인츠 베커 하인츠 뢰커 로베르트 바이스 베르너 푀츠히케 알프레트 마르텐 프리츠 포크트 카를하인츠 야에거 막스 반드라이 한스 엥겔린 하인리히 루흘 브루노 프랑케비츠 파울 쇼이어플루히 마르틴 베커 게르하르트 베르너 에른스트게오르크 케트치아 쿠노 폰 메이어 발터 프뤼스 귄터 코노파키 한스게오르크 헤어초크 루돌프 트리텔 카를 완카 하랄트 폰 엘버펠트 남작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리츠 풀리데 요하네스 슈필만 하인리히 케세 로타르 베르거 헬무트 후펜바흐 에리히 슈뢰터 호르스트 폰 우제돔 귄터 요슈텐 알렉산더 글레서 빌헬름 규테흘러 게르하르트 슈튀데만 발터 그리히 호르스트 폰 멜렌틴 마르틴 슈테글리히 루돌프 노이베르트 프리드리히 리히터 에른스트 쿠핑거 오토 파에트슈 한스 폰 테타우 게르하르트 티벤 테오도어 부어하르디 아우구스트 틸레 브루노 리히터 오토 슈코르체니 에른스트안톤 폰 크로지크 헬무트 보르하르트 카를 베커 쿠르트 뢰프케 프리드리히 뢰겔라인 알프레트 짐 게르하르트 라흐트 한스아르노 오스터마이어 한스 한젠 헤르베르트 뤼트예 헬무트 리페르트 요제프 크라프트 마르틴 드레베스 헤르만 그라이너 파울 젬라우 아돌프 라에그너 한스페터 크나우슈트 프란츠 하크? 파울알브레히트 카우슈? 요제프 브란드너? 에버하르트 로트 요아힘 치클러 한스요아힘 카피스 카를 슈레퍼 요제프 프렌틀 롤프 톰젠 한스귄터 랑게 하인츠오스카 라에베? 하인리히 학스 한나즈 라엥겐펠더 리하르트 다니엘 볼프강 폰 옵슈트펠더 볼프강 폰 보슈텔 세르하르트 모코로즈 베르너 오스텐도르프? 루돌프 레만? 카를 크로이츠? 하인츠 베르너? 알프레트 요들? 아달베르트 폰 블랑크? 헤르만 플로허? 프란츠 그라스멜? 프리드리히 리어? 오스카후베르트 덴하르트? 마티아스 클라인하이슈테르캄프? 한스하인리히 로흐만? 알프레트 몬타크? 한스 마이어? 알폰즈 레바네? 발터 슐락스코흐? 에리히 슈미트? 요아힘 폰 지크로트? 파울 슈타흘? 게오르크 슈퇴르크? 프란츤 젠즈푸스? 요제프 폰 라도비츠? 외국인 수훈자 미하일 라스커르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야마모토 이소로쿠(곡엽검) 코르넬리우 테오도리니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고가 미네이치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 레옹 디그렐 서훈받은 순서대로 정렬.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vdeh 곡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발데마르 폰 가첸 아돌프 갈란트(곡엽검금강석) 발터 고른 고르돈 골로프(곡엽검금강석) 로베르트 폰 그라임 기사 헤르만 그라프(곡엽검금강석) 프리츠후베르트 그레저? 프란츠 그리즈바흐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곡엽검금강석) 발터 네흐링 테오도어 노르트만 발터 노보트니(곡엽검금강석) 호르스트 니마크 헤르만 니호프? 카를 데커? 한스 도르 헬무트 되르너 알프레트 드루셸 아우구스트 디크만 제프 디트리히(곡엽검금강석) 에두아르트 디틀 에른스트빌헬름 라이네르트 알프레트헤르만 라인하르트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귄터 랄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곡엽검금강석) 프리드리히 랑 헤르만 레크나겔 로타르 렌둘릭 헬무트 렌트(곡엽검금강석) 하인츠게오르크 렘 에르빈 롬멜(곡엽검금강석) 한스울리히 루델(황금곡엽검금강석) 에리히 루도르퍼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볼프강 뤼트(곡엽검금강석) 즈밀로 폰 뤼트비츠 남작 하인리히 폰 뤼트비츠 남작? 귄터 뤼트초프 한스요아힘 마르세이(곡엽검금강석) 카를 마우스(곡엽검금강석) 에곤 마이어 요하네스 마이어 오이겐 마인들? 에리히 폰 만슈타인 하소 폰 만토이펠 남작(곡엽검금강석) 헬무트 메더 쿠르트 메이어 발터 모델(곡엽검금강석) 베르너 묄더스(곡엽검금강석) 베르너 무메르트 요아힘 뮌헤베르크 디트리히 폰 뮐러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에른스트귄터 바데 에리히 바렌펭거 게르하르트 바르크호른 오토 바움 베르너 바움바흐 오토 바이딩거? 헬무트 바이틀링 프리츠 바이에를라인 빌헬름 바츠 헤르만 발크(곡엽검금강석) 에리히 발터 빌헬름 베게너 하인리히 베르 브란츠 베케 헤르만하인리히 베흐렌트 막시밀리안 벵글러 게오르크 보흐만 알빈 보어스트 게오르크 폰 뵈셀라거 요제프 부름헬러 쿠르트 뷔흘리겐 알브레히트 브란디(곡엽검금강석) 헤르만 브레이트 요제프 브렘?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테오도어 비슈 귄터에버하르트 비슬리케니? 벤트 폰 비터셰임 빌헬름 비트리히? 미하엘 비트만 볼프디트리히 빌케 페르디난트 쇠르너(곡엽검금강석) 베르너 쇠르너 프리츠 폰 숄츠 에들러 폰 라란크체 하인츠볼프강 슈나우퍼(곡엽검금강석) 게르하르트 폰 슈베린 백작 실베스테르 슈타들러? 펠릭스 슈타이너 레오폴트 슈타인바츠 요하네스 슈타인호프 라이너 슈타헬 베르너 슈트라이프 히아킨트 슈트라흐비츠 백작(곡엽검금강석) 아델베르트 슐츠(곡엽검금강석) 카를로타르 슐츠 프리드리히 슐츠 하인리히 슐트 카를 아이블 야마모토 이소로쿠 막시밀리안 폰 에델샤임 막스헬무트 오스터만 헤르만 폰 오펠른브로니콥스키 한스 폰 옵슈트펠더 발터 외자우 한스 요르단 아르투어 위트너 헤르베르트 이흘레펠트 디트리히 폰 자우켄(곡엽검금강석) 하인리히 추 자인비트겐슈타인 막스 자흐젠하이머 라인하르트 주흐렌 베르너 치글러 알베르트 케셀링(곡엽검금강석) 한스 켈르너 알폰즈 쾨니히 에른스트 쿠퍼 오토 쿰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한스 크라이싱 볼프강 크레츠슈마르 오토 크레츠슈마르 한스 크로흐 발터 크뤼거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귄터 폰 클루게 프리드리히 키르히너 오토 키텔 에리히 토프 테오도어 톨즈도르프(곡엽검금강석) 카를 티메? 요아힘 파이퍼 헤르만 페겔라인? 프리츠 페스만 디트리히 펠츠 게오르크빌헬름 포스텔 헤르만 프리스 발터 프리즈 요제프 프릴러 한스 필리프 하인츠 하르멜 발터 하르트만 에리히 하르트만(곡엽검금강석) 요제프 하르페 파울 하우서 리하르트 하이드리히 고타르트 하인리키 루트비히 하일만 안톤 하클 하요 헤르만 트라우고트 헤어 요아힘 헬비히 헤르만 호게바크 헤르만 호트 헤르만 호흔 한스팔렌틴 후베(곡엽검금강석) 오토 히츠펠트? 가나다순 정렬.      ← 이 색깔 음영이 칠해진 것은 수훈 여부에 의심의 여지가 있음을 의미. vdeh 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1941년베르너 묄더스1942년 아돌프 갈란트 고르돈 골로프 한스요아힘 마르세이 헤르만 그라프 1943년 에르빈 롬멜 볼프강 뤼트 발터 노보트니 아델베르트 슐츠 1944년 한스울리히 루델(황금곡엽검금강석 기사십자 철십자장) 히아킨트 슈트라흐비츠 백작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한스팔렌틴 후베 알베르트 케셀링 헬무트 렌트 제프 디트리히 발터 모델 에리히 하르트만 헤르만 발크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 하인츠볼프강 슈나우퍼 알브레히트 브란디 1945년 페르디난트 쇠르너 하소 폰 만토이펠 남작 테오도어 톨즈도르프 카를 마우스 디트리히 폰 자우켄 수훈 순서대로 배치된 것임 vdeh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간 친인척 관계 형제 수훈자 고트프리트 베우믈러-하인츠 베우믈러 아돌프 보르허즈-헤르만 보르허즈-발터 보르허즈 게오르크 폰 뵈젤라거(곡엽검)-필리프 폰 뵈젤라거 에카르트빌헬름 폰 보닌-후베르투스 폰 보닌 헬무트 폰 데어 셰발리에-쿠르트 폰 데어 셰발리에(곡엽) 고트프리트 폰 에르트만슈도르프-베르너 폰 에르트만슈도르프 헤르만 페겔라인(곡엽검)-발데마르 페겔라인 프리드리히 푀르트슈-헤르만 푀르트슈 막시밀리안 프레터피코(곡엽)-오토 프레터피코 헬무트 프리베-베르너 프리베 아돌프 갈란트(곡엽검금강석)-빌헬름페르디난트 갈란트 루돌프 가이슬러(곡엽)-지크프리트 가이슬러 헬무트 하우크-베르너 하우크 오토 헤거-루돌프 헤거 하르트무트 폰 회슬린-롤란트 폰 회슬린 알프레트 요들(곡엽)-페르디난트 요들 클레멘스하인리히 폰 카게네크 백작(곡엽)-에르보 폰 카게네크 백작(곡엽) 프리드리히 키텔-하인리히 키텔 귄터 폰 클루게(곡엽검)-볼프강 폰 클루게 에카르트 쾨펜-게르하르트 쾨펜(곡엽) 보리스 크라스-후고 크라스(곡엽) 프리드리히빌헬름 크뤼거-발터 크뤼거(곡엽검) 알브레히트 란츠-후베르트 란츠(곡엽) 에르하르트 밀히-베르너 밀히 요한 플루크바일-쿠르트 플루크바일(곡엽) 프란츠 슐리퍼-프리츠 슐리퍼 한스위르겐 슈툼프-호르스트 슈툼프 게르트 주흐렌-라인하르트 주흐렌(곡엽검) 에두아르트 초른(곡엽)-한스 초른(곡엽) 처남매부 수훈자 요하네스 마이어(곡엽검)-구스타프 슈미트(곡엽) 디트리히 펠츠(곡엽검)-한스카를 슈테프(곡엽)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곡엽)-쿠르트 갈렌캄프 사촌 수훈자 에른스트 린데만-게오르크 린데만(곡엽) 하인리히 폰 뤼트비츠 남작(곡엽검)-즈밀로 폰 뤼트비츠 남작(곡엽검) 프란츠 뤼흘-하인리히 뤼흘(곡엽)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곡엽검)-고타르트 하인리키(곡엽검) 한스 폰 슈포네크 백작-테오도르 폰 슈포네크 백작 지크프리트 베버-베르너 빈터 부자 수훈자 루돌프 폰 뷔나우(곡엽)-루돌프 폰 뷔나우 하인츠 구데리안(곡엽)-하인츠 귄터 구데리안 프란츠 코른프롭스트-오토 코른프롭스트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곡엽)-아돌프힐마르 폰 티펠슈키르히 알브레히트 뷔슈텐하겐-알브레히트 뷔슈텐하겐 옹서 수훈자 카를 되니츠(곡엽)-귄터 헤슬러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에리히 데틀레프젠 한스 한(곡엽)-하인리히 폰 피팅호프(곡엽) 프란츠 할더-코르트 폰 호베 에리히 폰 만슈타인(곡엽검)-에델하인리히 차하리아에링겐탈 에르하르트 밀히-요아힘 슐리흐팅 한스위르겐 슈툼프-카를귄터 폰 하제 계부자 수훈자 프리드리히 폰 스코티-볼프디트리히 빌케(곡엽검) 숙질 수훈자 에버하르트 킨첼-귄터 뤼트초프(곡엽검) 한스 골니크-클라우스 골니크 vdeh 독일 이외 국가의 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 에르밀 게오르기우 이온 두미트라케 페트레 두미트레스쿠(곡엽) 코르넬리우 드라갈리나 미하일 라스커르(곡엽) 이오안 미하일 라코비터 에드가르 러둘레스쿠 게오르게 러스커네스쿠 게오르게 마놀리우 호리아 마켈라리우 레오나르드 모치울스키 이온 안토네스쿠 에마노일 이오네스쿠 라두 코르네 니콜라에 터터라누 코르넬리우 테오도르니(곡엽) 이오안 펄러기터 이오안 흐리스테아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곡엽검)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이 마르틴 아우구스틴 말라르 요제프 투라네크 이탈로 가리볼디 엔초 그로시 지울리오 마르티나트 지오반니 메세 페델레 디 조르지오 우고 데 카롤리스 우고 카발렐로 카를로 페키아 디 코사토 지안프란코 가자나프리아로기아 고가 미네이치(곡엽) 야마모토 이소로쿠(곡엽검)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남작(곡엽) 에리크 헤인리히스 라슬로 데죄 러커토시 게자 미클로시 벨라 슈기 졸탄 야니 구슈타브 이브라니 미할리 헤슐레니 요제프 호르티 미클로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사십자_철십자장&oldid=22347219" 분류: 나치 독일의 군사훈장기사십자 철십자장 수훈자숨은 분류: CS1 - 독일어 인용 (de)독일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עבריתBahasa Indonesia日本語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2일 (수) 06: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은 제2차 세계대전 동안 대독일국이 제정한 훈장으로, 철십자장의 변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Assistant: 기사십자 철십자장(독일어: Ritterkreuz des Eisernen Kreuzes 리터크로이츠 데스 아이제르넨 크로이체스[*])은 1939년 9월 1일 철십자장 재확립 법령(Verordnung über die Erneuerung des Eisernen Kreuzes)에 따라 제정되었다.[3] 모양은 그냥 철십자장과 거의 비슷하다. 전체적인 모양은 십자팔이 중심에서 가장 좁고 바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크로스 파테이다.[4]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가장 많이 생산한 곳은 뤼덴샤이트의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Steinhauer & Lück) 사이다.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에서 제조한 기사십자장들에는 뒷면에 "800"이라는 번호가 찍혀 있는데, 이는 800급 은을 의미한다. 띠 고정핀에도 이 숫자를 발견할 수 있다. 슈타인하우어 운트 뤼크의 기사십자 철십자장은 가로 48.19 밀리미터, 세로 54.12 밀리미터이고, 띠 고정핀을 제외한 무게는 28.79 그램이다.[5] Human: 아래 LG스포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LG스포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G스포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G스포츠(LG Sports)는 LG그룹의 계열사로 스포츠단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회사이다. 목차 1 역사 2 스포츠단 2.1 과거 운영했던 스포츠단 3 시설 4 스폰서십 4.1 조직 4.2 대회 & 팀 4.3 선수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83년 11월 9일 금성사 배구단(현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과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현 FC서울)을 운영하기 위한 국내 최초 종합스포츠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1] 스포츠단[편집] 종목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연고지 감독 우승 야구 KBO 리그 LG 트윈스 1982년 서울특별시 류중일 2회 (1990, 1994) 농구 KBL 창원 LG 세이커스 1994년 경상남도 창원시 현주엽 없음 배구 KCVF LG전자 배구단 1990년 경상남도 창원시 이태원 없음 과거 운영했던 스포츠단[편집] FC 서울 (K리그 / 과거 럭키금성 황소, LG 치타스, 안양 LG 치타스): 1983년부터 2004년까지 운영하였으며 2004년 LG그룹과 GS그룹이 분리를 시작하면서 LG스포츠 또한 GS스포츠와 분리되어 2004년 6월 1일 GS스포츠가 출범하고 2005년 3월 정식으로 GS그룹이 LG그룹에서 분리, 출범하면서 GS그룹 소속이 되었다.[2] 구미 LG화재 그레이터스 (V-리그 남자부 / 과거 금성통신, 럭키화재, LG화재): 1976년부터 2005년까지 운영하였으며 2006년 모기업이던 LG화재가 LIG손해보험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LIG손해보험을 지주회사로 하여 창립한 LIG그룹이 LG그룹에서 분리되면서 구단명도 변경된 모기업의 이름이 적용된 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로 운영하였다. 하지만 모기업 LIG 손해보험이 KB금융그룹으로 매각이 확정되면서 동시에 배구팀도 인수하게 되었다. 더불어 팀명도 KB손해보험 스타즈로 바뀌게 되었다. LG칼텍스정유 여자 배구단 (V-리그 여자부 / 과거 호남정유): 1970년부터 2004년까지 운영하였으며 2004년 LG그룹과 GS그룹이 분리를 시작하면서 LG스포츠 또한 GS스포츠와 분리되어 2004년 6월 1일 GS스포츠가 출범하고 2005년 3월 정식으로 GS그룹이 LG그룹에서 분리, 출범하면서 배구단인 LG칼텍스도 함께 가져가면서 구단명을 GS칼텍스로 변경하였다. LG투자증권 황소 (씨름 / 과거 럭키금성 황소):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운영하였으며 2004년 LG투자증권이 우리금융그룹에 매각될 당시 우리금융그룹에서 씨름단 인수를 거부하였고 LG에서도 운영할 의사가 없었기에 인수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해체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 씨름판에 크게 축소되는 계기가 되었다. 선수들은 졸지에 팀을 잃었고 당시 테크노 골리앗이란 별명으로 씨름의 인기를 이끌던 최홍만은 이로 인해 은퇴함과 동시에 이종격투기 선수로 전향, K-1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시설[편집] LG챔피언스파크 (LG 트윈스, 창원 LG 세이커스 훈련장) 스폰서십[편집] LG가 후원하는 LG 휘센 리드믹 올스타즈 2013에서 공연중인 손연재. 김자영. LG 로고가 새겨진 모자를 쓰고 있는 안젤라 박. LG가 후원한 2011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대회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한 루이스 수아레스. 트로피에 LG 로고가 새겨져 있다. 2012년 코리아 그랑프리. 2011-12 FIS 스노보드 월드컵.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후원하는 LG. 바이어 04 레버쿠젠를 후원하는 LG. 인크레더블 미라클을 후원했던 LG. 조직[편집] 국제 크리켓 평의회 대회 & 팀[편집] 포뮬러 원 코파 아메리카 2013년 스페셜 올림픽 FIS 스노보드 월드컵 LG컵 LG배 세계기왕전 한국여자야구대회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FC 서울 바이어 04 레버쿠젠 스완지 시티 AFC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편집] 손연재 김자영 안젤라 박 같이 보기[편집] GS스포츠 FC 서울 안양 LG 치타스 각주[편집] ↑ 경제단신 ↑ “GS홀딩스스포츠단 축구 배구 독립출범”. 스포츠서울. 2004년 5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LG그룹 홈페이지 계열사 소개 vdehLG 트윈스 전신 구단: MBC 청룡 창단: 1990년 연고: 서울특별시 구단 역사 시즌 기록 선수 감독 경기장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훈련장 구리 LG 챔피언스 파크 (1990년 ~ 2014년) 이천 LG 챔피언스 파크 (2014년 ~ 현재) 라이벌 두산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키움 히어로즈(엘키라시코) 롯데 자이언츠(엘롯라시코) 기아 타이거즈 영구 결번 41 김용수 9 이병규 관련 항목 서울특별시 LG그룹 시즌 (28)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리그 우승 (3) 1983 후기1 1990 1994 한국시리즈 우승 (2) 1990 1994 1 전신 MBC 청룡의 기록을 승계 vdeh창원 LG 세이커스 창단: 1994년 연고: 경상남도 창원시 구단 역사 선수 감독 유소년 농구교실 통계 현재 시즌 시설 경기장: 창원실내체육관(1997년~현재) 훈련시설: LG챔피언스파크 영구 결번 32 라이벌 서울 삼성 썬더스 관련 항목 창원시 (연고지) LG전자 (모기업) 시즌 1997–98 1998–99 1999–2000 2000–01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우승KBL 정규리그 2013-14 웹사이트: lgsakers.com vdehLG주식회사 LG계열사전자 LG전자 하이엔텍 하이텔레서비스 하이-엠솔루텍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제니스 일렉트로닉스 화학 LG화학 LG MMA 팜한농 LG생활건강 코카콜라음료 해태HTB 더페이스샵 LG하우시스 LG TOSTEM BM 씨텍 통신·서비스 LG유플러스 씨에스리더 씨에스원파트너 아인텔레서비스 데이콤크로싱 미디어로그 LG CNS 비즈테크파트너스 금융자동화시스템 LG상사 판토스 LG경영개발원 LG경제연구원 LG인화원 미디어로그 S&I 코퍼레이션 V-ENS 비앤이파트너스 유세스파트너스 트윈와인 지오바인 픽스딕스 지투알 HS애드 엘베스트 와이즈벨 탐스미디어 알키미디어 더블유브랜드커넥션 지아웃도어 벅스컴애드 지흥 이전 계열사 LG파워 (구)럭키증권 LG정보통신 LG포스타 하이로지스틱스 락희화학공업사 럭키석유화학 럭키훽스트 LG석유화학 락희유지공업 루셈 하우시스 인터페인 하우시스이엔지 LG솔라에너지 LG ENC LG엔시스 LG데이콤 LG파워콤 LG엔지니어링 LG실트론 LG칼텍스정유 LG정유판매 LG정유유통 LG칼텍스가스 해양도시가스 LG반도체 LG-도요엔지니어링 LG미디어 LG소프트 LG생명과학 LG카드 LG할부금융 LG투자증권 · LG선물 LG투자신탁운용 LG EI LG화재 LG유통 LG25 LG수퍼마켓 LG마트 LG백화점 LG홈쇼핑 LG건설 LG패션 LG전선 LG산전 희성금속 서브원 아워홈 한무개발 LG에너지 방계기업 GS그룹 LS그룹 LIG그룹 희성그룹 쿠쿠그룹 LB그룹 LK그룹 아워홈 스포츠 LG스포츠 LG 트윈스 창원 LG 세이커스 재단 LG연암문화재단 LG아트센터 LG상남도서관 LG복지재단 LG상록재단 LG상남언론재단 LG연암학원 연암공과대학교 연암대학교 문화 LG사이언스홀 LG사이언스랜드 인물 구인회 구태회 구자경 구본무 구본준 구광모 웹사이트: lg.co.kr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G스포츠&oldid=24133276" 분류: LG스포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20: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식회사 LG스포츠(LG Sports)는 LG그룹의 계열사로 스포츠단을 전문적으로 운영하는 회사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LG칼택스정유 여자 배구단이 속한 구단의 최근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GS칼텍스
Human: 아래 광주서석초등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광주서석초등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광주서석초등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5° 08′ 50″ 동경 126° 55′ 29″ / 북위 35.1472229° 동경 126.9248424°  / 35.1472229; 126.9248424 광주서석초등학교光州瑞石初等學校Gwangju Seoseok Elementary School 개교 1896년 11월 6일 설립형태 공립 교장 조옥형 교감 조귀례 국가 대한민국 위치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82번길 26 (서석동 14-1) 학생 수 170명 (2017년 5월 1일) 교직원 수 40명 (2017년 5월 1일) 상징 동백(교화), 개입갈나무(교목), 까치(교조), 녹색(교색) 관할관청 광주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웹사이트 광주서석초등학교 광주서석초등학교는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서석초등학교는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공포된 소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광주지역 최초의 근대식 공립학교이다. 1930년에 건립된 체육관, 1935년에 건립된 본관 건물과 1943년 건립된 별관 건물이 등록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목차 1 연혁 2 등록 문화재 3 학교 동문 4 참고 자료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896년 11월 6일 전라남도 관찰부 공립소학교 개교 1906년 11월 1일 공립광주보통학교 개칭 1911년 11월 1일 광주공립보통학교 개칭 1930년 12월 20일 강당 신축(현존) 1934년 4월 1일 광주제1공립보통학교 개칭 1935년 4월 1일 현 교사 준공 1938년 4월 1일 광주서석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1] 1941년 4월 1일 광주서석공립국민학교로 개칭[2] 1944년 1월 10일 2동 교사 신축(현 동부 교사) 1950년 4월 1일 광주서석국민학교로 개칭 1967년 3월 1일 동산국민학교 분리 1996년 3월 1일 광주서석초등학교로 개칭[3] 2002년 5월 31일 본관, 강당 등록문화재 지정[4] 2007년 2월 20일 별관 등록문화재 지정(17호) 2016년 2월 5일 제106회 졸업식(48명) 2016년 9월 1일 제37대 구제섭 교장 취임 2017년 2월 10일 제107회 졸업식 (56명)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등록 문화재[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입니다. 서석초등학교의 본관과 체육관 건물은 2002년 5월 31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고[4], 1943년에 건립된 별관(2층) 건물은 2005년 6월 18일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7호에 추가되었다.[5] 학교 동문[편집] 분류:광주서석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참고 자료[편집] 광주서석초등학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각주[편집] ↑ 칙령 제103호 (3차 조선교육령, 1938년 3월 3일) ↑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 1941년 2월 28일) ↑ 대통령령 제5069호 (1995년 12월 29일) ↑ 가 나 문화재청고시 제2002-24호, 《문화재등록고시》, 문화재청장, 2002-05-31 ↑ 문화재청고시 제2005-41호, 《문화재 변경등록》, 문화재청장, 2005-06-18 외부 링크[편집] 광주서석초등학교 - 공식 웹사이트 vdeh 광주광역시의 초등학교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광산구 고실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 대반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마지초등학교 목련초등학교 미산초등학교 본량초등학교 봉산초등학교 비아초등학교 산월초등학교 산정초등학교 삼도초등학교 새별초등학교 선운초등학교 선창초등학교 성덕초등학교 송우초등학교 송정동초등학교 송정서초등학교 송정중앙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수문초등학교 수완초등학교 신가초등학교 신창초등학교 어등초등학교 어룡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운남초등학교 월계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월봉초등학교 은빛초등학교 임곡초등학교 장덕초등학교 정암초등학교 진만초등학교 첨단초등학교 큰별초등학교 평동초등학교 풍영초등학교 하남중앙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남구 광주농성초등학교 광주대성초등학교 광주방림초등학교 광주백운초등학교 광주봉주초등학교 광주삼육초등학교 광주송원초등학교 광주월산초등학교 광주제석초등학교 광주학강초등학교 광주효덕초등학교 대촌중앙초등학교 무학초등학교 봉선초등학교 불로초등학교 빛여울초등학교 유안초등학교 장산초등학교 조봉초등학교 진남초등학교 진월초등학교 진제초등학교 효천초등학교 동구 광주계림초등학교 광주남초등학교 광주동산초등학교 광주산수초등학교 광주서석초등학교 광주용산초등학교 광주장원초등학교 광주중앙초등학교 광주학운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 지한초등학교 북구 각화초등학교 건국초등학교 경양초등학교 광주교육대학교 광주부설초등학교 광주동운초등학교 광주동초등학교 광주동초등학교 충효분교 광주문화초등학교 광주북초등학교 광주서림초등학교 광주서산초등학교 광주수창초등학교 광주양산초등학교 광주용봉초등학교 광주우산초등학교 광주운암초등학교 광주중흥초등학교 광주지산초등학교 광주풍향초등학교 광주효동초등학교 대자초등학교 동림초등학교 두암초등학교 매곡초등학교 무등초등학교 문산초등학교 문우초등학교 문정초등학교 문흥중앙초등학교 문흥초등학교 본촌초등학교 삼각초등학교 삼정초등학교 서일초등학교 신용초등학교 양지초등학교 연제초등학교 오정초등학교 오치초등학교 용두초등학교 용주초등학교 일곡초등학교 일동초등학교 일신초등학교 태봉초등학교 하백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서구 계수초등학교 광림초등학교 광주광천초등학교 광주극락초등학교 광주상무초등학교 광주서초등학교 광주양동초등학교 광주화정초등학교 금당초등학교 금부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마재초등학교 만호초등학교 빛고을초등학교 살레시오초등학교 서광초등학교 성진초등학교 송학초등학교 신암초등학교 염주초등학교 운리초등학교 운천초등학교 유덕초등학교 유촌초등학교 주월초등학교 치평초등학교 풍암초등학교 화개초등학교 화정남초등학교 효광초등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이 글은 광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광주서석초등학교&oldid=22710394" 분류: 광주 동구의 초등학교1896년 개교광주서석초등학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없는 좌표광주에 관한 토막글초등학교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10월 8일 (월) 02: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광주서석초등학교는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다. 서석초등학교는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공포된 소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광주지역 최초의 근대식 공립학교이다. 1930년에 건립된 체육관, 1935년에 건립된 본관 건물과 1943년 건립된 별관 건물이 등록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옛날에는 광주 제 1 공립 보통학교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광주서석초등학교의 37대 교장이 취임한 날짜는 언제인가? Assistant: 2016년 9월 1일 Human: 아래 10월_혁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0월 혁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월 혁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0월 혁명러시아 혁명의 일부불칸 공장의 적위대.날짜1917년 11월 7일장소러시아 공화국 페트로그라드결과 볼셰비키의 승리 러시아 공화국의 붕괴. 소비에트 러시아의 건설. 러시아 내전의 시작.교전국 볼셰비키 적위대 러시아 공화국지휘관 레프 트로츠키파벨 디벤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표트르 크라스노프병력 수병 10,000 명적위대 20,000–30,000 명 의용병 500–1,000 명여성대대 1,000 명피해 규모 미미 전원 투옥 또는 추방 vdeh러시아 혁명 2월 혁명 7월 정국 코르닐로프 사건 10월 혁명 케렌스키-크라스노프 봉기 러시아 내전 vdeh러시아 내전 10월 혁명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연합국의 개입 시베리아 북러시아 북부 전선 바가 강 볼시에 오제르키 서부 전선 핀란드 혈족 전쟁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남부 전선 우크라이나 서우크라이나 폴란드 오세티야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탐보프 동부 전선 야쿠트 몽골 중앙아시아 바스마시 10월 혁명, 혹은 볼셰비키 혁명 (十月革命, 러시아어: Великая Октябрь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cкая революция)은 1917년 2월 혁명에 이은 러시아 혁명의 두 번째 단계이다. 10월 혁명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도하에 볼셰비키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에 기반한 20세기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혁명이었다. 하지만, 공산주의 10월 혁명의 진짜 주체는 레닌 등의 공산주의 이론가들이 아닌, 민중들이었다. 그래서, 모스크바에 특파원으로 와 있던 일본 언론인은 민중혁명의 기운이 달아오른 모습에 대해 "노동자와 사병들이 근위병들의 탄압에도 혁명가를 부르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레닌 자신도 "혁명이 이렇게 빠르게 올 줄은 몰랐다"고 했다고 한다.[1] 10월 혁명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분열하여 형성된 좌파 세력인 볼세비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일련의 러시아 혁명 속에서 로마노프 왕조의 제정을 붕괴시키고 공화국을 탄생시킨 2월 혁명에 이은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한다. 10월 혁명에서는 2월 혁명으로 출범한 입헌민주당(카데트) 주도의 임시정부가 쓰러지고 임시정부와 병존하고 있던 볼세비키 중심의 소비에트(노동자, 농민, 군인위원회)로 권력이 집중되었다. 이것에 이어 러시아 내전( 1917 - 1922 )이 일어나, 결국 1922년에 사상 최초로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이 탄생한다. 당시 러시아는 율리우스력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태양력에 비해 13일이 늦었다. 따라서 양력으로 계산하면 11월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고유명사로 고착되어 계속 10월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목차 1 배경 2 과정 2.1 7월 봉기 2.2 코르닐로프 사건 2.3 군사혁명위원회 3 10월 25일 4 결과 5 같이 읽기 6 각주 7 외부 링크 배경[편집] 케렌스키 치하의 임시 정부의 문장. 황제 왕관과 모스크바 공국의 문장, 각 지역 문장이 빠져 있다. 러시아 혁명 이전에 진행하고 있던 급속한 산업화 등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농업을 중심으로 한 전통 사회는 타격을 받고 흔들리는 한편, 의사, 변호사, 엔지니어, 샐러리맨 등 전문가 계층이나 교육을 받은 중산층이 러시아에서 부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시민들이 힘을 얻고, 삶의 발전을 구한 것은 당연한 일로, 구체제 하에서 이러한 이들의 욕망이 혁명의 밑바탕이 되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도 러시아 사회에 충격을 주어 혁명에 불을 당기는 외적 요인이었다. 이 전쟁에서 러시아는 많은 전사자가 났고, 산업과 경제는 막다른 골목에 다달았으며, 시민들의 생활은 빈곤으로 허덕이고 있다. 이렇게 시민들의 분노는 위정자에게 향하였고, 제정을 전복하기 위해 1917년 2월 혁명으로 바뀌었다. 이후 임시 정부와 소비에트가 병립하는 이중 권력 상태가 탄생하여 혼란이 계속되었지만, 사람들은 다양한 정치 세력 속에서도 강한 지도자가 될 수 있는 것을 증명하고 러시아 사회의 변혁을 약속한 볼세비키에게 지지를 보냈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인해 러시아군의 군기는 혁명 전보다 오히려 더 소진해 있었던 상태였으며 1917년 9월 1일에 이르면 독일군의 공습을 받아 리가(오늘날 라트비아의 수도)가 함락되었고, 독일군이 국경까지 다다를 위기에 처해 있었던 상태였다. 아기에게 먹일 우유와 빵조차 모자라서 사람들의 불만도 극에 달해 있었다. 과정[편집] 7월 봉기[편집] 2월 혁명으로 성립된 임시 정부의 실권은 사회혁명당의 두마 의원으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부의장이었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쥐고 있었다. 전쟁에 지쳐 평화를 바라는 병사에 반해 육군 장관을 겸임하였던 케렌스키는 제1차 세계대전의 지속을 주장했다. 6월 16일 (율리우스력), 그는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에 갈리시아 공격을 시작한다. (케렌스키 공세) 서전 승리에도 불구하고 병사들의 사기 하락으로 전선은 붕괴되고 7월 2일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 7월 6일에는 반대로 독일군 -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이 시작되었고, 러시아군은 후퇴를 거듭하여 급기야 8월에는 독일군의 리가 공세로 리가를 빼앗겼다. 이 공격 실패를 계기로 병사들의 전쟁에 대한 불만과 노동자들의 배고픔과 어려움에 대한 불만이 폭발했다. 7월 3일에서 7월 7일(율리우스력)에 페트로그라드에서 볼세비키가 이끄는 노동자와 병사들이 거리로 나와 임시 정부에 대한 봉기를 시작했다. 페트로그라드 앞바다 해군 기지 섬 크론에서 수병 20,000명 정도가 무장을 하고 페트로그라드로 행진하여 소련에 대한 권력 집중을 요구했다. 페트로그라드와 모스크바의 노동자들도 같이 봉기하여 사태는 커졌다. 페트로그라드에서는 시가전이 일어났지만 임시 정부는 군대를 지휘하여 봉기를 진압했다. 이 봉기 이후 임시 정부는 볼세비키가 반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비난하고 체포령을 내렸다. 블라디미르 레닌이나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를 포함한 볼세비키 지도자는 체포를 피해 몸을 피했고, 일시적으로 볼세비키의 세력은 후퇴했다. 7월부터 8월까지 볼세비키는 준합법적인 활동을 시작했지만, 러시아 정계에서 극좌의 정치적 위치는 점점 더 강력해졌다. 사회민주노동당 중 과격한 반전파가 1917년 초에 결성한 메지라이온트 (지구 연합파, межрайонцы , Mezhraiontsy, 레프 트로츠키, 아돌프 요페 , 콘스탄틴 유레네프 등이 소속된)는 볼세비키와 거리를 두면서 공동 보조를 취했지만, 8월 초 볼세비키 당대회에서 볼세비키에 통합되었다. 메지라이온트의 지도자들 중 특히 트로츠키는 노동자와 군인들을 격려하고 요페 이후에 "봉기를 위한 조직이 수행하는 모든 실질적인 활동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 트로츠키의 지휘를 따르도록 했다"고 쓰고 있다. 이것을 병사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트로츠키와 그것을 위협으로 느낀 스탈린 사이에 권력 투쟁의 시작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요페와 유레네프는 이후 혁명노선을 지지하고 무장봉기를 준비하고, 실행하며 볼세비키의 페트로그라드 제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코르닐로프 사건[편집] 8월부터 9월까지 코르닐로프 사건이 일어났지만, 이것도 볼세비키의 세력 부활에 큰 역할을 한 10월 혁명의 촉매가 되었다. 임시 정부군 총사령관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은 혼란스런 러시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더 신뢰할 수 있는 군사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임시 정부와 소비에트에 속한 케렌스키와 대립하였다. 케렌스키는 코르닐로프를 총사령관에 임명했지만, 그 직후에 코르닐로프를 스스로 군사 독재를 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코르닐로프가 실제로 독재의 음모를 진행해하고 있던 내용도 현재도 확실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코르닐로프는 케렌스키가 볼세비키의 협박이나 강요 아래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하고 모든 러시아 국민에게 "죽어 가고 있는 러시아의 대지를 지켜라"라며 당부, 궐기하였다. 코르닐로프 장군의 쿠데타에 직면한 케렌스키는 임시정부 군인들을 신뢰하지 못하고, 볼세비키의 적위대 등 무장 세력에 구원을 요청하며, 무기까지 그들에게 나눠주었다. 코르닐로프의 쿠데타는 볼세비키의 설득을 받은 군인과 러시아군 병사들이 코르닐로프를 배신함으로써 유혈사태에까지 이르지 못한 채 실패하고 코르닐로프과 그 지지자 7,000여명이 체포됐다. 군사혁명위원회[편집] 1917년 10월 10일(율리우스력), 볼세비키 중앙위원회는 투표를 실시하여 10대 2로 무장봉기는 더 이상 피할 수 없으며, 시기가 무르익었다"라는 선언을 채택했다. 페트로그라드의 소비에트는 10월 12일(율리우스력)에 〈군사혁명위원회〉를 설치했다. 이것은 원래 페트로그라드의 방위를 목적으로 멘세비키가 제안한 것이었지만, 무장봉기를 위한 기관을 필요로 하고 있던 볼세비키는 찬성했다. 트로츠키는 "우리는 권력 탈취를 위한 사령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숨기지 않는다"고 연설하고 노골적으로 무장봉기의 방침을 인정했다. 그는 권력 장악을 승인하기 위해 10월 25일(율리우스력) 개회 예정인 제2회 전국 소비에트 대회에 맞춰 봉기하자고 주장했다. 멘세비키는 군사혁명위원회 참여를 거부했고, 위원회의 구성 멤버는 볼세비키 48명, 에스에르 좌파 (사회혁명당 좌파) 14명, 무정부주의자 4명이 되었다. 그 이후 군부의 각 부대가 차례로 페트로그라드의 소비에트에 대한지지를 표명했고, 임시정부가 아닌 소비에트의 지시에 따를 것을 결정했다. 10월 25일[편집] 순양함 아브로라(오로라), 1917년 촬영 《겨울궁전의 돌입》, 1920년의 재현 군중극 10월 23일 (그레고리력 11월 5일), 볼세비키 지도자의 한 사람으로 에스토니아 인의 얀 안벨트(Jaan Anvelt)는 혁명 이후 설립된 에스토니아 자치 정부의 수도 탈린에서 좌익 혁명 세력을 이끌고 무장 봉기를 시작했다. 10월 24일, 마지막 반격을 시도했던 임시정부는 부대를 동원하여 볼세비키의 신문 《라보치 프치》, 《소르다트》의 인쇄소를 점거했지만, 군사혁명위원회는 이것을 계기로 무력 행동을 시작했다. 그러자 적위대는 별 저항없이 거의 피를 흘리지 않고, 페트로그라드의 인쇄소, 우체국, 발전소, 은행 등 요충지를 제압했고, 10월 25일(양력 11월 7일)에 '임시 정부'는 타도되었다. 국가 권력은 페트로그라드 노병 소비에트 기관이며, 페트로그라드의 프롤레타리아(무산계급)와 수비군을 이끄는 군사혁명위원회로 옮겨졌다"고 선언했다. 임시정부의 각료가 남아 있는 겨울 궁전에 대한 점령은 25일 오후 9시 45분 방호 순양함 〈아브로라〉 공포사격을 신호로 블라디미르 안토노프 오후세엔코 이끄는 부대가 진입하기 시작했다. 겨울 궁전은 러시아군과 사관학교 생도, 여군이 방어를 맡고 있었지만, 거의 저항없이, 26일 새벽 오전 2시경에 점령되었다. 속수무책으로 회의를 계속했던 각료들은 체포되었고, 케렌스키는 마지막으로 겨울 궁전을 탈출하여 외국으로 망명했다. 10월 혁명의 공식적인 날짜는 겨울 궁전을 제외한 모든 정부 기관이 점령당한 10월 25일 (양력 11월 7일)로 되어 있다. 이후 10월 25일부터 26일에 걸쳐 사건은 소련 정부에 의해 실제보다 극적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영국의 페트로그라드에 주재한 알프레드 녹스는 겨울 궁전의 수비가 제대로 방어를 하지 못하고, 거의 무저항으로 점령당한 모습을 목격하고 쓴 책을 남겼다.[2] 1920년 혁명 3 주년을 기념해서 겨울 궁전에서 상영한 역사재현 군중극 《겨울 궁전 돌입》에서는 겨울 궁전을 점령한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그렸다. 이후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의 영화 《10월》(1928년) 등 10월 혁명을 그린 작품에서도 "겨울궁전 돌입"은 혁명의 절정으로, 격렬한 전투 끝에 겨울 궁전을 제압했다는 줄거리로 다루고 있다. 결과[편집] 러시아의 10월 혁명은 보기 드문 무혈혁명이다. 이 혁명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등이 이끄는 러시아 임시 정부를 전복시켰으며 1918년부터 1920년 사이 혁명파와 반혁명파간의 러시아 내전을 불러일으켰지만 결국 1922년 소비에트 연방을 탄생시켰다. 1927년 혁명의 10주년을 기념하며 소련에서는 이 혁명의 공식 명칭을 10월 사회주의 대혁명으로 결정했으며, 이 이름은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같이 읽기[편집] 러시아 혁명 러시아 2월 혁명 각주[편집] ↑ 《교실밖 세계사여행》, "러시아 10월 혁명의 그날", 김성환 지음, 사계절. ↑ “보관 된 사본”. 2009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10월 혁명 10월 혁명 자료실 역사가 10월 혁명을 판단하게 하라, commentary by Roy Medvedev, Project Syndicate, 2007 10월 혁명과 역사의 논리 vdeh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사건혁명 2월 혁명 7월 정국 코르닐로프 폭동 10월 혁명 케렌스키-크라스노프 봉기 사관생도 반란 내전 러시아 내전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키예프 볼셰비키 봉기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핀란드 내전 혈족 전쟁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에스토니아 독립 전쟁 라트비아 독립 전쟁 리투아니아 독립 전쟁 붉은 군대의 조지아 침공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비볼셰비키 좌파 봉기 연합군의 러시아 내전 개입 시베리아 출병 정체 러시아 공화국 국가두마 임시위원회 러시아 임시 정부 러시아 백군 분리주의자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인민위원평의회 군사혁명위원회 러시아 제헌의회 총선 흑위대 적위대 남러시아 반혁명 집단 우크라이나 중앙평의회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정당 입헌민주당(KD)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RP) 볼셰비키 멘셰비키 사회주의혁명당(SR) 트루도비키 좌파 SR 10월당 인물구 제국 니콜라이 2세 임시정부 게오르기 리보프 파벨 밀류코프 알렉산드르 구츠코프 백군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브랑겔 알렉산드르 콜차크 안톤 데니킨 표트르 크라스노프 니콜라이 유데니치 볼셰비키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카메네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트로츠키 미하일 프룬제 이오시프 스탈린 세묜 부됸니 SR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스테판 페트리첸코 보리스 사빈코프 무정부주의자 네스토르 마흐노 외국 1917년-1923년 혁명 독일 11월 혁명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 헝가리-루마니아 전쟁 폴란드 노동자 평의회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슬로바키아 소비에트 공화국 핀란드 내전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vdeh소련 둘러보기 개요 색인 서지 역사 러시아 혁명 2월 혁명 10월 혁명 러시아 내전 러시아 SFSR 소련 수립 조약 신경제정책 스탈린주의 대숙청 대조국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흐루쇼프 해빙기 1965년 경제개혁 브레즈네프 침체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동유럽 혁명 소련의 붕괴 향수 구소련 국가 지리행정 구역 공화국 자치 공화국 주 자치주 자치구 폐쇄 도시 목록 지역 카스피 해 캅카스 산맥 유럽 러시아 북캅카스 시베리아 우랄 산맥 서시베리아 평원 정치일반 헌법 선거 외교 관계 브레즈네프 독트린 정부 목록 인권 LGBT 법 지도자 집단지도체제 여권 국가 이데올로기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주의 스탈린주의 조직 공산당 공산당 조직 중앙위원회 정치국 사무국 의회 서기장 소비에트 대회 (1922–1936) 최고 소비에트 (1938–1991) 인민대표대회 (1989–1991) 대법원 직책 정부수반 대통령 정부부수반 제1부수반 정보국 체카 GPU NKVD MVD MGB KGB 정치적 억압 적색 테러 집산화 대숙청 강제 이주 굴라크 목록 홀로도모르 정신질환의 정치적 오남용 이데올로기 탄압 종교 연구 억압 검열 사진 검열 경제 농업 중앙 은행 에너지 정책 5개년 계획 발명 루블 (통화) 인터넷 도메인 교통 과학 공산주의자 아카데미 과학 아카데미 의학 아카데미 레닌 전연방 농업과학 아카데미 교육학 아카데미 샤라시카 나우코그라드 목록 사회 범죄 인구 통계 소련인 노동계층 국가인구총조사 (1989년) 언어 언어학 문화 발레 영화 패션 문학 음악 오페라 프로파간다 스포츠 스탈린 건축 반정부 단체 소련의 반체제자 및 반체제 단체 목록 국가 공화국의 국가 국장 공화국의 국장 국기 공화국의 국기 틀 정부 부처 러시아 혁명 이오시프 스탈린 브레즈네프 침체 공산주의의 붕괴 책 분류 공용 위키프로젝트 vdeh핀란드 내전백핀란드 vs. 적핀란드사타쿤타 전선 (서부 전선)  · 해메 전선 (서부 전선)  · 사본 전선 (중앙 전선)  · 잊혀진 전선 (동부 전선)사건 및 전투전쟁 전 사건 1916년 핀란드 의회선거 시몬 충돌 러시아 2월 혁명 3월 선언 1917년 농가대파업 1917년 헬싱키 교회침공 후이티넨 낙농가 충돌 권력법 토지분배 봉기 코르닐로프 사건 1917년 핀란드 의회선거 S/S 에쿼티 모밀란 학살 SM UC-57 1917년 총파업 10월 혁명 1917년 키틸래 반란 핀란드 독립선언 투르쿠 반란 빔펠린 군사학교 피에치센 공장 충돌 루오칠라 충돌 전쟁 초기 카마라 전투 테르볼라 전투 오울루 점령 토르니오 전투 펠링키 상륙 고드바이 전투 바르카우스 전투 적군의 대공세 안트레아 전투 빌풀라 전투 바린마야 전투 아흘라이체 전투 라우투 전투 포마르쿠 전투 삼파포스케 전투 모우후 힐로센살멘 철도역 전투 바스키베데 전투 백군의 대공세 쿠루 전투 바린마자 전투 라키포자 전투 탐페레 전투 키뢰스코스케 전투 하르자칸카 전투 렘팔라-베실라흐티 전투 라우두 전투 아니안펠로 전투 카르쿠 전투 비푸린 전투 독일의 개입 항코 상륙 카르자 전투 시운티오-키르코누메 전투 레파바란 전투 티쿠리아 전투 헬싱키 전투 리히매키 전투 해멘린나 전투 라흐티 전투 로비사 전투 키민린나 전투 에스킬로미 전투 하르도미 전투 우덴키라 전투 오디마틸라 전투 아흐벤코스케 전투 기타 전투 올란드 침공 핀란드 적위대 최북부 전선 알베툴라 전투 라티칼라 전투 하우호 전투 시르잔타카 전투 기타 사건 보이린 군사학교 무기대수입 곡물대수입 즉결총살선언 미에카발라 발트 함대의 빙기 항해 비에나 원정 페차모 원정 항코 협정 전후 포로수용소 국가형사법원 부이 식민지 모르자프 구금 사건 무르만스크 군단 베를린 회담 (1918년) 토코이 사면법 군사 조직백군 핀란드 백군 핀란드 서부군 핀란드 동부군 해메군 카리알라군 사타쿠나군 사보군 시민위병 핀란드 엽병운동 동해사단 브란덴슈타인 파견군 스웨덴 연대 핀란드 파견 폴란드 군단 적군 헬싱키 적위대 탐페레 적위대 라흐티 적위대 비푸리 적위대 페트로그라드 핀란드 적위대 여성적위대 적위대 엽병 인물백군 만네르헤임 남작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에른스트 린데르 에른스트 뢰프스트룀 마르틴 베처 카를 프레드리크 빌카마 뤼디거 폰 데어 골츠 백작 한스 폰 츠치르스키 운트 폰 뵈겐도르프 카를 볼프 오토 폰 브란덴슈타인 후고 모이러 기타 햘마르 프리셀 하랄드 햘마르손 한스 칼름 스타니슬라프 프루스보구시아프스키 적군 오토 빌레 쿠시넨 알리 알토넨 † 에로 하팔라이넨 에이노 라흐야 아돌프 타이미 에베르트 엘로란타 쿨레르보 만네르 오스카리 토코이 후고 살멜라 † 헤이키 카이유넨 프레드리크 요한손 베르네르 레흐티매키 콘스탄틴 예레메예프 미하일 스베츠니코프 게오르기 불라첼 † 테러 및 전쟁범죄백군 백색테러 하르메스타인 병원 학살 홀롤라 처형 후루스라덴 즉결재판 레키포자 학살 페르툴라 처형 푸스텔린메세인 공동묘지 탐페레 처형 1918년 토이잘라 처형 발케아콧케 여성방위대 처형 비푸리 학살 베스탄크바르니 처형 적군 적색테러 콜리아흐테 학살 코우볼라-코리아 학살 쿠릴라 열차 살해 라펜란나 학살 포리 초등학교 학살 쉬눌라 학살 1918년 토이잘라 처형 비흐딘 처형 비푸리 포로수용소 학살 재향군인조직백군 엽병협회 인바딜리안 전쟁협회 남성전선 회색전장의 전쟁협회 전쟁 유산 협회 적군 핀란드 지역동지 협회 전 적위대 중앙위원회 핀란드 노동자 방위협회 개요정치 핀란드의 독립 바사 원로원 핀란드 인민대표단 핀란드 혁명재판소 잔부회의 기타 핀란드 내전 연표 핀란드 내전의 명칭 1914-1922년 핀란드 전쟁중 사상자 핀란드의 전쟁문학 핀란드의 군사문학 전거 통제 GND: 4043429-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0월_혁명&oldid=23984432" 분류: 1917년 분쟁1917년 러시아러시아 혁명러시아의 역사러시아의 혁명1917년 11월쿠데타숨은 분류: 러시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urdîКыргызчаLatinaЛезгиLingua Franca Nova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Plattdüütschनेपाली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7일 (일) 14: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0월 혁명, 혹은 볼셰비키 혁명(러시아어: Великая Октябрь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cкая революция)은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에 이은 러시아 혁명의 두 번째 단계다. 10월 혁명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도 아래 볼셰비키들이 이루었으며, 카를 마르크스 사상에 기반한 20세기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혁명이었다. 하지만, 공산주의 10월 혁명의 진짜 주체는 레닌 등의 공산주의 이론가들이 아닌, 민중들이었다. 그래서, 모스크바에 특파원으로 와 있던 일본 언론인은 민중혁명의 기운이 달아오른 모습에 대해 "노동자와 농민들이 근위병들의 탄압에도 혁명가를 부르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레닌 자신도 "혁명이 이렇게 빠르게 올 줄은 몰랐다."고 했다고 한다.10월 혁명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이 분열하여 형성된 극좌 세력인 볼셰비키가 일으켰다. 일련의 러시아 혁명 속에서 로마노프 왕조의 제정을 무너뜨리고 공화국을 탄생시킨 2월 혁명에 이은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한다. 10월 혁명에서는 2월 혁명으로 출범한 입헌민주당(카데트) 주도의 임시정부가 쓰러지고 임시정부와 병존하고 있던 볼세비키 중심의 소비에트(노동자, 농민, 인민위원회)로 권력이 집중되었다. 이것에 이어 러시아 내전( 1917 - 1922 )이 일어나, 결국 1922년에 사상 최초로 공산주의 국가인 소련이 탄생한다. 당시 러시아는 율리우스력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태양력에 비해 13일이 늦었다. 따라서 양력으로 계산하면 11월이지만 당시의 역사적 사건에 대한 고유명사로 고착되어 계속 10월 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0월 혁명에서 군사혁명위원회가 만들어진 과정과 그 이후의 일들은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Assistant: 1917년 10월 10일(율리우스력), 볼세비키 중앙위원회는 투표를 실시하여 10대 2로 무장봉기는 더 이상 피할 수 없으며, 시기가 무르익었다"라는 선언을 채택했다. 페트로그라드의 소비에트는 10월 12일(율리우스력)에 〈군사혁명위원회〉를 설치했다. 이것은 원래 페트로그라드의 방위를 목적으로 멘세비키가 제안한 것이었지만, 무장봉기를 위한 기관을 필요로 하고 있던 볼세비키는 찬성했다. 트로츠키는 "우리는 권력 탈취를 위한 사령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숨기지 않는다"고 연설하고 노골적으로 무장봉기의 방침을 인정했다. 그는 권력 장악을 승인하기 위해 10월 25일(율리우스력) 개회 예정인 제2회 전국 소비에트 대회에 맞춰 봉기하자고 주장했다. 멘세비키는 군사혁명위원회 참여를 거부했고, 위원회의 구성 멤버는 볼세비키 48명, 에스에르 좌파 (사회혁명당 좌파) 14명, 무정부주의자 4명이 되었다. 그 이후 군부의 각 부대가 차례로 페트로그라드의 소비에트에 대한지지를 표명했고, 임시정부가 아닌 소비에트의 지시에 따를 것을 결정했다.
Human: 아래 샤를_드_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샤를 드 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샤를 드 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드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샤를 드 골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샤를 앙드레 조제프 마리 드 골Charles André Joseph Marie de Gaulle 1961년의 드골 프랑스의 제18대 대통령 안도라 공국의 공동영주 프랑스 제5공화국의 제1대 대통령 임기 1959년 1월 8일 ~ 1969년 4월 28일 총리 미셸 드브레 조르주 퐁피두 조르주 쿠브 드 뮈르빌 전임: 르네 코티(17대)후임: 조르주 퐁피두(19대) 신상정보 출생일 1890년 11월 22일(1890-11-22) 출생지 프랑스 릴 사망일 1970년 11월 9일 (79세) 사망지 프랑스 콜롱베레되제글리즈 정당 프랑스인민연합 (1947년-1955년) 신공화국동맹 (1958년-1968년) 공화국민주동맹 (1968년-1970년) 배우자 이본 드 골 종교 로마 가톨릭 군사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종군시절의 드 골 복무 프랑스군자유 프랑스군 복무기간 1912년 ~ 1944년 최종계급 준장 지휘 자유 프랑스군 참전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샤를 앙드레 조제프 마리 드 골(프랑스어: Charles André Joseph Marie de Gaulle 듣기 (도움말·정보), 1890년 11월 22일 ~ 1970년 11월 9일)은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운동가,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 작가이다. 1945년 6월부터 1946년 1월까지 임시정부 주석을, 1958년 6월 1일부터 6개월 총리로 전권을 행사했고 1959년 1월 8일에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1965년 대선에서 재선하였으나 1969년 지방 제도 및 상원 개혁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패하고 물러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아라스 전투에서 기갑부대를 지휘하여 롬멜의 유령사단에 유일하게 성공적으로 반격하였고 국방부 육군차관을 지냈으나, 후에 망명 프랑스 자유민족회의와 프랑스 임시정부를 조직,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총리를 2번 지내고 제18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집권 후 나치 부역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으로 유명하다. 목차 1 이름 2 생애 2.1 생애 초반 2.1.1 출생과 유년기 2.1.2 사관생도, 1차대전 참전 2.1.3 가정생활 2.2 제2차 세계 대전 2.2.1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2.2.2 단파방송과 영국에서의 활동 2.3 임시 정부 주석 2.4 총리 선출과 권력 장악 2.5 드 골 정권의 정책 2.5.1 프랑스의 과거청산 2.5.2 식민지 국가들 2.5.3 식민지 정책 등의 외교 분야 2.6 제5공화국 대통령 2.7 은퇴와 말년 3 저서 4 프랑스에서의 기념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8 외부 링크 이름[편집] 샤를 드 골의 성은 ‘골(Gaulle)’이다. 하지만 한국어권에서는 ‘골’이 아닌 ‘드 골’ 또는 ‘드골’로 불리는 일이 많다.[1] 국립국어원은 붙여쓴 표기인 ‘드골’을 표준 표기로 쓰고 있다.[2]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출생과 유년기[편집] 릴에 있는 드골의 생가 드 골은 현재 오드프랑스 레지옹 노르주에 속한 릴에서 출생했다. 5명 중 셋째이며, 독실한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자랐다. 드골의 가문은 역대로 숱한 역사가와 작가들을 배출했다. 아버지 앙리 드골(Henri de Gaulle)은 노르망디와 버건디 지방의 정치계 상류층의 후손이다. 예수회 대학의 역사와 문학 교수였으며 후에 자신의 학교를 세운다. 아들에게 철학과 문학을 가르쳤으나, 샤를은 문학이나 철학보다는 군사학에 관심을 보였다. 어머니(Jeanne)는 릴의 부유한 사업가 집안 후손이다. 조상으로 프랑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프랑드르, 독일인이 있다. 사관생도, 1차대전 참전[편집] 1912년 생시르 사관 학교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대전에 중위로 참가하여 최고 훈장을 받았다. 제1차 세계대전 때 베르됭 전투에 참가한 그는 3번씩이나 부상을 입고 2년 8개월 동안 포로생활을 했으며, 동료 수감자와 5회에 걸쳐 탈출을 시도했다. 프랑스 육군 수훈보고서에는 3차례 드골의 이름이 기록, 언급되었다. 1918년 제1차 전쟁이 끝난 후 감옥에서 풀려났고, 페탱 참모 총장의 직속 장교와 중동 제국에의 군사 사절단장을 거쳐, 최고 국방 회의 사무국장이 되었다. 가정생활[편집] 1921년 4월 7일 드골은 이본느 벙드루(Yvonne Vendroux)와 결혼한다. 세 명의 아이를 두었으며, 필리프(1921년 출생), 알랭 드 봐씨유 장군과 결혼한 엘리자베스(1924–2013), 그리고 안느(1928–1948)가 있다. 안느는 다운증후군이 있었고 20살에 폐렴으로 사망한다. 부인은 드골처럼 보수적인 카톨릭 신자였다. 그는 형 자비에(1887–1955), 누나 아녜스(1889–1983), 두 명의 남동생 자끄(1893–1946)와 피에르(1897–1959)가 있다. 그는 막내 동생 피에르와 특히 가까웠는데, 얼굴까지 매우 닮았다. 대통령 경호원들은 형을 보러온 피에르를 가끔씩 드골과 헷갈려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 대전[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참전[편집] 드골은 명석하고 성실하며 열의에 찬 장교로서 군대경력을 거치는 동안 자신감과 용기, 그리고 독창적인 사고를 갖춘 인물로 유명했다.[3] 제1차 세계대전 때에는 제4기갑 사단을 이끌고 랑 아브빌에서 독일군을 막았다. 1927년부터 1929년까지 2년간 라인란트 점령군의 육군소령으로 복무했다. 다시 1936~38년 라인란트 점령군 소령으로 복무하면서 독일의 침공 가능성과 프랑스군의 허술한 방비상태를 알게 되었으며, 2년간 중동에서 근무한 후 중령으로 승진하여 4년 동안 국방위원회 사무국 직원으로 근무했다. 다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드골은 제5군 소속 기갑여단 이끌고 전쟁에 참전하였다. 1940년 5월 제4기갑사단 지휘관으로 부임하였다. 2차례의 전차전에서 자신의 독창적인 이론을 적용했던 그는 정력적이며 대담하고 뛰어난 지휘관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1940년 6월 레노 총리 아래서 국방부 육군담당 차관이 되었으나, 독일과의 휴전을 모색하고 있던 페탱 원수가 레노를 축출, 프랑스가 독일에 항복하자 런던으로 망명하여, 자유 프랑스 민족회의를 결성하였다. 단파방송과 영국에서의 활동[편집]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루스벨트 대통령과 처칠 총리와 함께 (1943년) 영국으로 망명한 드골은 6월 18일 런던에서 프랑스의 레지스탕스를 독려하였고, 나치 치하의 프랑스인 동포들을 향해 프랑스어 라디오 방송을 내보냈고 자신을 중심으로 대(對) 독일 항전을 계속하자고 호소했다. 1940년 8월 2일 비시 정부는 드골을 궐석재판에 세워 계급박탈, 재산몰수와 함께 사형을 선고하였다. 그러나 영국 정부와 드골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으며, 때때로 드골의 오만한 성격과 성급한 기질 때문에 영국과 수시로 충돌, 긴장이 고조되었다. 1943년 드골은 자유 프랑스 민족회의를 알제리로 옮겨 프랑스 국민해방위원회로 개편하고 앙리 지로 장군과 함께 공동위원장에 취임했다. 프랑스 내에서 드골의 평판은 부정적이었다. 좌파 정치인들은 가톨릭교도인 군인 출신을 불신, 기피하였고, 우익 진영은 그를 국민적 영웅인 페탱 장군을 배신한 반역자 정도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런던으로부터의 방송 출연과 자유 프랑스 위원회의 활동 그리고 자신의 조직이나 영국 비밀첩보기관을 통한 레지스탕스 지하운동에의 협조 등은 프랑스 내에서 드골의 지도력을 점차 부각시켜갔다.[3] 종전 이후에도 별로 주목받지 못하다가 파리 해방 이후, 연합국들은 드골의 위상을 인정하게 되었다. 임시 정부 주석[편집] 파리 해방 후에 샹젤리제 거리를 행렬하는 드골과 그의 측근자들 (1944년) 1944년 프랑스 해방과 함께 임시정부 주석에 취임했다. 1944년 9월 9일 드골은 알제리로부터 파리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1946년 1월 20일 임시정부 주석직을 사퇴했는데, 표면상으로는 제정당의 연립내각형성 움직임에 동조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처칠은 드골을 몹시 싫어해 드골의 레지스탕스 운동에 대한 지원을 포기하려고까지 했다.[4] 처칠은 1943년 5월 미국 워싱턴에 머물던 처칠이 런던의 클레먼트 애틀리 부총리와 앤서니 이든 외무장관 등에게 보낸 각종 전문과 비망록에서도 이를 드러냈다.[4] 처칠은 1943년 5월21일 애틀리에게 보낸 전문에서“(드골은 독일과의 전쟁에서) 쓰라린 군사적 패배를 겪었음에도 마치 자신이 모든 프랑스 국민을 대표하는 양 내세우고 있다”고 비난했다. 처칠은 “내 동지들이 일개 정치세력에 불과한 드골을 제거해야 할지를 두고 (영국)의회 및 프랑스국민과 정면으로 맞서야 할 것인지를 시급히 검토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4] 처칠은 같은 날 이든에게 보낸 비망록에서 드골을 “영국과 미국에 철저히 비우호적인 인사이며 공산주의에 동조하고 심지어 파시스트적인 성향도 지닌 사람”으로 묘사했다.[4] 처칠은 이든에게 보낸 비망록에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대통령이 자신에게 보낸 서신을 동봉했다. 루스벨트도 서신에서 “드골이 정직한 사람일지는 모르지만 스스로를 메시아라고 착각하는 ‘구세주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반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영국 각료들은 드골 지원정책이 급변할 경우에 초래될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드골 지원을 주장했다.[4] 윈스턴 처칠은 숙고끝에 내각의 뜻에 따랐다. 그러나 처칠은 계속 드골을 불신하였다. 총리 선출과 권력 장악[편집] 1945년 총리 겸 국방상을 거쳐, 1947년 반공 단체인 프랑스 국민 연합을 조직하였다. 1951년 제1당으로 성장하였으나, 1953년 당을 해체하고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드골은 1958년까지 프랑스 제4공화정과 수시로 충돌, 대립했다. 그는 제3공화정의 체제적 결함을 재현할 여지가 크다는 이유로 신헌법 거부운동을 발표, 행동으로 옮겨갔다. 1958년 알제리 전쟁의 여파로 제4공화국이 붕괴 위기에 처하면서 다시 정계에 나타나 그 해 6월에 6월 1일 총리에 올라 6개월간 전권을 위임받게 된다. 드 골 정권의 정책[편집] 프랑스의 과거청산[편집] 이즐쉬르쉬프에서 관중들에게 경례하는 드골 드 골 정권은 나치 독일에게 프랑스가 점령당한 기간 동안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언론인들을 처벌함으로써 잘못된 과거사를 심판하였다. 당시 드골 정부는 900여 종의 신문·잡지 가운데 나치 독일에 협력한 694종에 대해 폐간이나 재산몰수로 처벌하였으며, 드 골의 사관학교 재학시절 교수였던 페탱 원수를 포함한 나치독일 협력자들도 재판으로 처벌하였다.[5] 그러나 드골의 과거사 청산의 이면에 아시아권과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건설했던 프랑스는 베트남, 알제리, 기니 등에 대한 1870년대 이후의 식민통치와 징집, 징발 등에 대한 사과나 보상이 없어 이중잣대라는 비판도 존재하고 있다. 그 근거로 프랑스 정부는 식민지 민중들의 인권을 짓밞은 역사적 죄에 대해 사과나 보상을 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기니에서 이미 지난 일이니 잊자고 주장하는 뻔뻔함을 보였다.[6] 식민지 국가들[편집] 1958년 9월 28일 새 헌법이 국민투표를 통과하면서 제5공화국이 세워졌다. 프랑스의 식민지는 독립을 하거나 새 헌법을 받아들이는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기니는 독립하였으며 다른 식민지는 새 헌법을 받아들였다. 식민지 정책 등의 외교 분야[편집] 그의 외교 정책은 프랑스의 위대함을 지키기 위해서 반미 정책을 쓰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였으며, 핵무기의 개발, 유럽 경제 공동체의 추진과 영국 가맹의 거부, 나토 군사 기구로부터의 탈퇴, 미국의 대(對) 베트남 정책 반대 등, 미·소간에 있어서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전개하였다. 나치 독일의 부역자들을 처벌하였으나 드골 자신은 알제리나 베트남 식민지 국가에 대한 사과가 없었고, 식민지 국가의 프랑스인 침략전범을 처벌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또한 나치 부역자와 비시 정부 관계자를 숙청하는 과정에서 20여만 명 넘는 피도살자를 냄으로써 파시즘이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한편 미국에서도 재클린 케네디 등은 그를 부정적으로 봤다. 재클린 케네디는 그의 행동을 두고 "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이더라[7]"고 봤다. 재클린은 그를 가리켜 "병적일 정도로 자기 중심적인, 극단적인 사람[8]"이라는 평을 남기기도 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드골이 정직한 사람일지는 모르지만 스스로를 메시아라고 착각하는 ‘구세주 콤플렉스’를 갖고 있는 것 같다”고 평했다.[4] 불독 우호 조약 후,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와 함께 제5공화국 대통령[편집] 1958년 9월에 헌법 개정안이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다수로 통과되어 10월을 기해 제5공화국을 수립하고, 이듬해 프랑스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1961년 알제리 민족자결정책을, 1962년에는 알제리 독립을 인정하는 에비앙 협정을 각각 국민 투표에 의해 가결함으로써, 약 7년에 걸친 알제리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였다. 드 골은 직접적인 인기있는 투표에 의하여 훗날의 대통령들을 선출하는 계획을 제의하였다. 프랑스 국회는 계획을 반대하고 1962년 10월 그의 정부에서 신임이 없는 투표를 통과시켰다. 그는 휴전 협정을 위하여 알제리의 국가주의적 지도자들과 협상하였다. 그러나 드 골은 국회를 해산하고 직접 선거에 국민 투표를 실시하였다. 투표인들은 드 골의 제안을 찬성하고 계획을 후원한 새 국회를 선출하였다. 1963년 드 골과 콘라트 아데나워 서독 총리는 정치, 과학, 문화와 군사적 협력을 위하여 마련한 조약을 맺었다. 동시에 드 골은 영국이 유럽 경제 공동체에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1964년 프랑스는 중공을 인정하는 데 첫 서방 세력이 되었다. 1965년 드 골은 대통령으로서 2번째 임기 기간을 좁게 이겼다. 1966년 나토로부터 프랑스군들을 철수시키고 나토의 본부를 프랑스로부터 옮기는 데 결정하였다. 1967년 그는 다시 영국의 유럽 경제 공동체 가입을 막았다. 그는 또한 독립적 핵무기 타격 부대를 창조하고 미국의 베트남 전쟁에 관련을 비난하기도 하였다. 은퇴와 말년[편집] 콜롱베레되제글리즈에 있는 드골의 무덤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 이후 1969년 실시한 지방 제도 및 상원 개혁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패함으로써 대통령직을 사임하였다. 저서에 《칼날》이라는 군사 이론에 관한 것과 《회상록》·《자서전》 등이 있다. 1969년에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는 패하였지만 정계의 원로로서 막후에서 실권을 행사하였으며 1970년 11월 9일 임종하였다. 저서[편집] 1924년 적의 내분 (La Discorde chez I'ennemi) 1932년 칼날 (Le Fil de I'epée) : 리더십 이론서 1934년 미래의 군대 (Vers l'armée de métier) 1942년 영예로운 소명 (L'Appel) 1944년 화합 (L'Unité) 1958년 회고록 구원 (Le Salut) 프랑스에서의 기념[편집] 파리의 국제 공항 명칭은 샤를 드 골 국제공항(CDG)이다. 프랑스 해군의 원자력 항공모함 명칭은 샤를 드 골 함(R-91)이다. 에투알 개선문의 광장 공식 명칭도 샤를 드 골 광장이다. 같이 보기[편집] 프란시스코 프랑코 샤를 드 골 다리 아데나워 마하트마 간디 비시정부 제4공화정 제5공화정 프랑스령 기니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각주[편집] ↑ 예: [1][2] ↑ 인명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2003년 3월호. ↑ 가 나 드골 - Daum 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마 바 처칠 "드골은 파시스트的 인물" 동아일보 2000.01.05 ↑ 보수파가 팔걷은 프랑스 과거청산 ↑ 《빼앗긴 대지의 꿈》/장 지글러 지음/양영란 옮김/갈라파고스 ↑ 정치란 바르게 함을 뜻하는데… 한국경제 2011.09.20 ↑ "마틴 루터 킹 목사, 섹스파티에 여성들 초대… 위선자였다" 조선일보 2011.09.13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샤를 드 골 (분류) 샤를 드 골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샤를 드 골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Fondation Charles-de-Gaulle Charles de Gaulle World History Database News, speech excerpts and quotations De Gaulle's policy in the Middle East Speeches (in original French) collected by the Charles de Gaulle foundation Biographical elements from the Charles de Gaulle foundation Charles de Gaulle - World War 2 Directory http://www.memorial-charlesdegaulle.fr/en/index.html Mémorial Charles de Gaulle a museum on the twentieth century            제18대 프랑스 대통령           전 임르네 코티(제4공화국) 1959년 1월 8일 ~ 1969년 4월 28일 후 임조르주 퐁피두 샤를 드 골 · 조르주 퐁피두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프랑수아 미테랑 · 자크 시라크 · 니콜라 사르코지 · 프랑수아 올랑드 · 에마뉘엘 마크롱 전임니키타 흐루쇼프 제31대 타임 올해의 인물1958년 후임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vdeh프랑스 공화국의 역대 국가원수 1940년-1944년(국가원수 직함)과 1944년-1947년(주석 직함)을 제외하고는 1871년 이후 프랑스 국가원수의 호칭은 공화국 대통령이다. 제1공화국(1792-1804) 국민 공회 총재정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제2공화국(1848-1852) 자크샤를 뒤퐁 드 뢰르 코미시옹 엑스크뤼티브 카베냑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국민방위정부(1870-1871) 루이 쥘 트로쉬 제3공화국(1871-1940)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아르망 뒤포르 쥘 그레비 모리스 루비에 사디 카르노 샤를 뒤퓌 장 카시미르 페리에 샤를 뒤퓌 펠릭스 포르 샤를 뒤퓌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알렉상드르 밀랑 프레데릭 프랑수아 마르살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앙드레 타르디외 알베르 르브륑 비시 프랑스(1940-1944) 필리프 페탱 임시 정부(1944-1947)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레옹 블룸 제4공화국(1947-1959)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제5공화국(1959~)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알랭 포에르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이탤릭체는 직무 대행을 나타낸다 vdeh프랑스 공화국의 내각수반왕정복고(1814-1830) 탈레랑 드 리슐리외 공작 드 조레 후작 드 카즈 공작 드 리슐리외 공작 드 빌리에 백작 드 마르티냑 자작 드 폴리냑 공작 7월 왕정(1830-1848) 드 브로이 공작 라피트 페리에 달마티아 공작 제라르 백작 베사노 공작 트레비세 공작 드 브로이 공작 티에르 몰레 백작 달마티아 공작 티에르 달마티아 공작 기조 몰레 백작 제2공화국(1848-1852) 뒤퐁 드 뢰르 아라고 카베냐크 바로 오풀 포셰 제2제국(1852-1870) 올리비에 쿠생 몽토방 국민방위정부(1870-1871) 트로슈 제3공화국(1870-1940) 뒤포르 브로이 시세 뷔페 뒤포르 시몽 브로이 로슈부에 뒤포르 와딩턴 프레시네 페리 강베타 프레시네 뒤클렉 팔리에르 페리 브리송 프레시네 고블레 루비에 플로케 티라르 프레시네 루베 리보 뒤퓌 페리에 뒤퓌 리보 부르주아 멜린느 브리송 뒤퓌 발데크 루소 콩브 루비에 사리엥 클레망소 브리앙 에르네 모니 카요 푸앵카레 브리앙 바르투 두메르그 리보 비비아니 브리앙 리보 팽르베 클레망소 밀랑 레그 브리앙 푸앵카레 프랑수아 마살 에리오 팽르베 브리앙 에리오 푸앵카레 브리앙 타르디유 쇼탕 타르디유 스티그 라발 타르디유 에리오 폴 봉쿠르 달라디에 사로 쇼탕 달라디에 두메르그 플랑댕 뷔송 라발 사로 블룸 쇼탕 블룸 달라디에 레노 페탱 비시 프랑스(1940-1944) 페탱 라발 임시 정부(1944-1946) 드 골 구앵 비도 오리올 블룸 제4공화국(1946-1958) 라마디에 쉬망 마리 쉬망 쿠에이유 비도 쿠에이유 프레벵 쿠에이유 플레벵 포르 피네 마예르 라니엘 망데스프랑스 포르 몰레 부르제모누리 가이야르 프리믈랭 제5공화국(1958~현재) 드 골 드브레 퐁피두 쿠브 드 뮈르빌 샤방델마스 메스메르 시라크 바레 모루아 파비위스 시라크 로카르 크레송 베레고부아 발라뒤르 쥐페 조스팽 라파랭 드 빌팽 피용 에로 발스 카즈뇌브 필리프 vdeh프랑스 되 선정(2005년) 위대한 프랑스인Le Plus Grand Français de tous les temps 1. 샤를 드 골 2. 루이 파스퇴르 3. 아베 피에르 4. 마리 퀴리 5. 콜루슈 6. 빅토르 위고 7. 부르빌 8. 몰리에르 9. 자크 쿠스토 10. 에디트 피아프 11-20위: 마르셀 파뇰 조르주 브라상 페르낭델 장 드 라 퐁텐 쥘 베른 나폴레옹 1세 루이 드 퓌네스 장 가뱅 다니엘 발라부안 세르주 갱스부르 21-30위: 지네딘 지단 샤를마뉴 리노 벤투라 프랑수아 미테랑 귀스타브 에펠 에밀 졸라 에마누엘레 수녀 장 물랭 샤를 아즈나블 이브 몽탕 31-40위: 잔 다르크 필리프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볼테르 조니 알리데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클로드 프랑수아 크리스티앙 카브롤 장폴 벨몽도 쥘 페리 루이 뤼미에르 41-50위: 미셸 플라티니 자크 시라크 샤를 트르네 조르주 퐁피두 미셸 사르두 시몬 시뇨레 아룬 타지에프 자크 프레베르 에리크 타발리 루이 14세 51-60위: 다비드 두예 앙리 살바도르 장자크 골드만 장 조레스 장 마레 야니크 노아 알베르 카뮈 달리다 레옹 지트론 니콜라 윌로 61-70위: 시몬 베유 알랭 들롱 파트리크 푸아브르 다르보르 에메 자케 프랑시스 카브렐 브리지트 바르도 기 드 모파상 알렉상드르 뒤마 오노레 드 발자크 폴 베를렌 71-80위: 장자크 루소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 르노 세샹 베르나르 쿠슈네르 클로드 모네 미셸 세로 피에르오귀스트 르누아르 미셸 드뤼케르 레뮈 베르생제토릭스 81-90위: 레몽 퓔리도르 샤를 보들레르 피에르 코르네유 아르튀르 랭보 조르주 클레망소 질베르 베코 조제 보베 장 페라 리오넬 조스팽 장 콕토 91-100위: 뤼크 베송 티노 로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장 르누아르 제라르 필리프 장폴 사르트르 카트린 드뇌브 세르주 레지아니 제라르 드파르디외 프랑수아 돌토 vdeh안도라 공동대공 우르젤 주교 페레 두르특스 구일렘 데 몬카다 라몬 트레바일라 아르나우 데 로르다 페레 데 나르보나 니콜라우 카포치 후고 데스바흐 구일렘 아르나우 데 파타우 페레 데 루나 베렝구에르 데릴 이 데 팔라르스 갈체란드 데 빌라노바 프란체스크 데 토비아 아르나우 로게르 데 팔라르스 하우메 데 카르도나 이 데 간디아 로데릭 데 보르자 이 에스크리바 페레 데 카르도나 호안 데스페스 페드로 호르다 데 우리에스 프란체스크 데 우리에스 미쿠엘 데스푸이그 호안 페레스 가르시아 데 올리반 페렐 데 카스텔레트 호안 디마스 로리스 미쿠엘 헤로니 모렐 후고 암브로스 데 몬카다 안드레우 카펠라 페르나트 데 살바 이 데 살바 루이스 디에스 아욱스 데 아르멘다리스 안토니 페레스 파우 두란 호안 마누엘 데 에스피노사 멜키오르 팔라우 이 보스카 페레 데 코폰스 이 데 테익시도르 호안 데스바흐 마르토렐 올레구에르 데 몬트세라트 루페트 훌리아 카노 테바르 시메오 데 구인다 이 아페스테구이 호르디 쿠라도 이 토레블랑카 세바스티아 데 빅토리아 엠파란 이 로욜라 프란체스크 호세프 카탈란 데 오콘 프란체스크 페르난데스 데 하티바 이 콘트레라스 호아킨 데 산티얀 이 발디비엘소 후안 데 가르시아 이 몬테네그로 호세프 데 볼타스 프란체스크 안토니 데 라 두에냐 이 시스네로스 베르나트 프란케스 이 카발레로 보니파키 로페스 이 풀리도 시모 데 구아르디올라 이 호르토네다 호세프 카이할 이 에스트라데 살바도르 카스냐스 이 파게스 라몬 리우 이 카바네스 호안 호세프 라구아르다 이 페놀레라 후안 베늘로치 이 비보 후스티 구이타르트 이 빌라르데보 라몬 이글레시아스 이 나바리 호안 마르티 이 알라니스 호안 엔리크 비베스 시칠리아 프랑스측푸아 백작 로저베르나르 3세 가스통 1세 가스통 2세 가스통 3세 마티외 이사벨 장 1세 가스통 4세 나바라 국왕 프랑수아 1세 카트린 1세 앙리 2세 잔 1세 앙리 3세 루이 2세 프랑스 국왕 루이 13세 루이 14세 루이 15세 루이 16세 루이 18세 샤를 10세 루이 필리프 1세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나폴레옹 2세 나폴레옹 3세 프랑스 대통령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아돌프 티에르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쥘 그레비 마리 프랑수아 사디 카르노 장 카시미르페리에 펠릭스 포르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몽 푸앵카레 폴 데샤넬 알렉상드르 밀랑 가스통 두메르그 폴 두메르 알베르 르브륑 필리프 페탱 샤를 드 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돌 뱅상 오리올 르네 코티 샤를 드 골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자크 시라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수아 올랑드 에마뉘엘 마크롱 vdeh보수주의학파국제 보수협동주의 문화보수주의 녹색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중도우파 사회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미국 온정적 보수주의 재정보수주의 합동주의 자유지상보수주의 전통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구우파 고보수주의 록펠러 공화당원 사회보수주의 영국 Andism 하이 토리 휴글리건주의 일국보수주의 토리 사회주의 습파 파월주의 대처주의 건파 캐나다 블루 토리 국민주의적 보수파 핑크 토리 레드 토리 프랑스 보나파르트주의 드골주의 정통왕당파 신보나파르트주의 초왕당파 오를레앙파 독일 보수혁명 그리스 메탁사스주의 스페인 카를로스파 터키 보수민주주의 에르도안주의 러시아 러시아 보수주의 푸티니즘 개념 전통 자유시장 가족적 가치 규범 자연법 유기적 통일 사회질서 계층제 사유재산 보호무역 국가별 변종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콜롬비아 독일 인도 파키스탄 중공 홍콩 미국 영국 터키 이론가 필머 비코 흄 버크 헤르더 드 보날드 자작 드 메스트르 백작 헤겔 드 샤토브리앙 자작 뮐러 드 토크빌 자작 코르테스 텐 레온티에프 산타야나 체스터턴 바레스 슈미트 융 슈트라우스 푀겔린 위버 오크숏 커크 솔제니친 아롱 비어렉 스크러턴 정치인 디즈레일리 폰 메테르니히 후작 링컨 나폴레옹 3세 처칠 드 골 아데나워 레이건 대처 조직 유럽 보수와 개혁 연합 아시아-태평양 민주연합 유럽 인민당 국제민주연합 보수주의 정당 목록 정체성 정치 종교변종 기독교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민족변종 흑인 유대인 성정치 성소수자 보수주의 관련 주제 귀족정 중도우파 고전자유주의 콥덴주의 코범파 보수자유주의 협동조합주의 반혁명 계몽온건 가족주의 폭스파 글래드스턴식 자유주의 그렌빌파 통합주의 왕당파 신자유주의 신우파 급진중도 반동주의 우파 자유지상주의 우파 현실주의 우익 권위주의 우익 세속자유주의 사회진화론 베니젤로스주의 vdeh타임 올해의 인물~ 1950년 찰스 린드버그(1927년) 월터 크라이슬러(1928년) 오웬 대니얼 영(1929년) 모한다스 간디(1930년) 피에르 라발(1931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32년) 휴 새뮤얼 존슨(193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34년) 하일레 셀라시에(1935년) 월리스 심프슨(1936년) 장제스와 쑹메이링(1937년) 아돌프 히틀러(1938년) 이오시프 스탈린(1939년) 윈스턴 처칠(1940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41년) 이오시프 스탈린(1942년) 조지 마셜(194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1944년) 해리 S. 트루먼(1945년) 제임스 F. 번스(1946년) 조지 마셜(1947년) 해리 S. 트루먼(1948년) 윈스턴 처칠(1949년) 미국의 병사(1950년) ~ 1975년 모하마드 모사데그(1951년) 엘리자베스 2세(1952년) 콘라트 아데나워(1953년) 존 포스터 덜레스(1954년) 할로 커티스(1955년) 헝가리의 자유투사(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1957년) 샤를 드 골(1958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1959년) 미국의 과학자(1960년) 조지 비들 찰스 드레이퍼 존 엔더스 도널드 글레이저 조슈아 레더버그 윌러드 리비 라이너스 폴링 에드워드 퍼셀 아이작 라비 에밀리오 세그레 윌리엄 쇼클리 에드워드 텔러 찰스 타운스 제임스 밴 앨런 로버트 우드워드 존 F. 케네디(1961년) 교황 요한 23세(1962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1963년) 린든 B. 존슨(1964년)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1965년) 25세 이하 세대(1966년) 린든 B. 존슨(1967년) 아폴로 8호 승무원(1968년) 윌리엄 앤더스 프랭크 보먼 짐 러벌 미국의 중산층(1969년) 빌리 브란트(1970년) 리처드 닉슨(1971년) 헨리 키신저와 리처드 닉슨(1972년) 존 시리카(1973년) 파이살 알사우드(1974년) 미국의 여성들(1975년) 수전 브라운밀러 캐슬린 바이얼리 앨리슨 치크 질 콘웨이 베티 포드 엘라 그래소 칼라 힐스 바버라 조던 빌리 진 킹 캐럴 서턴 수지 샤프 애디 와이엇 ~ 2000년 지미 카터(1976년) 안와르 사다트(1977년) 덩샤오핑(1978년) 루홀라 호메이니(1979년) 로널드 레이건(1980년) 레흐 바웬사(1981년) 컴퓨터(1982년) 로널드 레이건과 유리 안드로포프(1983년) 피터 위버로스(1984년) 덩샤오핑(1985년) 코라손 아키노(1986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87년) 위기에 처한 지구(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1989년) 조지 H. W. 부시(1990년) 테드 터너(1991년) 빌 클린턴(1992년) 국제중재자(1993년) 야세르 아라파트 프레데리크 빌렘 데 클레르크 넬슨 만델라 이츠하크 라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94년) 뉴트 깅리치(1995년) 데이비드 호(1996년) 앤디 그로브(1997년) 빌 클린턴과 케네스 스타(1998년) 제프 베이조스(1999년) 조지 W. 부시(2000년) ~ 현재 루돌프 줄리아니(2001년) 내부고발자(2002년) 신시아 쿠퍼 콜린 롤리 셰런 왓킨스 미국의 병사(2003년) 조지 W. 부시(2004년) 선한 사마리아인(2005년) 보노 빌 게이츠 멀린다 게이츠 너(2006년) 블라디미르 푸틴(2007년) 버락 오바마(2008년) 벤 버냉키(2009년) 마크 저커버그(2010년) 시위자(2011년) 버락 오바마(2012년) 교황 프란치스코(2013년) 에볼라 투사들(2014년) 제리 브라운 켄트 브랜틀리 엘라 왓슨스트리커 포데이 골라흐 살로메 카르마 앙겔라 메르켈(2015년) 도널드 트럼프(2016년) 침묵을 깬 사람들(2017년) 수호자들 (자말 카슈끄지 / 마리사 레사 / 와 론 & 초 소에 우 / '더 캐피털' 소속 언론인 5인)(2018년) vdeh냉전의 주요 인물 냉전 미국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헨리 키신저 (미국 국무장관)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소비에트 연방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보리스 옐친 안드레이 그로미코 (외무 장관) 아나톨리 도프리닌 (미국 주재 소비에트 연방 대사) 영국 윈스턴 처칠 클레먼트 애틀리 해럴드 맥밀런 해럴드 윌슨 마거릿 대처 서독 콘라트 아데나워 빌리 브란트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콜 바티칸 시국 교황 비오 12세 교황 요한 23세 교황 바오로 6세 교황 요한 바오로 1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총리) 화궈펑 덩샤오핑 자오쯔양 (총서기) 프랑스 샤를 드 골 알랭 포에르 조르주 퐁피두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수아 미테랑 중앙유럽 엔베르 호자 (알바니아)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임레 너지 (헝가리)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루마니아) 알렉산데르 둡체크 (체코슬로바키아) 에리히 호네커 (동독) 레흐 바웬사 (폴란드)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장제스 장징궈 (중화민국)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대한민국) 김일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호찌민 (베트남) 응오딘지엠 (남베트남) 폴 포트 (캄보디아) 인디라 간디 자와할랄 네루 (인도) 수카르노 수하르토 (인도네시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이멜다 마르코스 (필리핀) 라틴 아메리카 후안 도밍고 페론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레오폴도 갈티에리 (아르헨티나) 피델 카스트로 체 게바라 (쿠바)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살바도르 아옌데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칠레) 중동 누르 무함마드 타라키 하피줄라 아민 바브락 카르말 모하마드 나지불라 아흐마드 샤 마수드 (아프가니스탄)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루홀라 호메이니 (이란) 사담 후세인 (이라크)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엘 사다트 (이집트)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메나헴 베긴 (이스라엘) 아프리카 파트리스 루뭄바 모부투 세세 세코 (콩고/자이르) 콰메 은크루마 (가나) 이디 아민 (우간다) 아고스티뉴 네투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산투스 조나스 사빔비 (앙골라) 시아드 바레 (소말리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에티오피아) 분류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7064969 LCCN: n79041762 ISNI: 0000 0001 2125 1165 GND: 118537849 SELIBR: 188027 SUDOC: 026884410 BNF: cb11904345m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f80b63b4-99a1-4b15-8444-82ad51ce501d NLA: 36142989 NDL: 00437451 NKC: jn19990002580 Léonore: C/0/18 ICCU: IT\ICCU\RAVV\031314 RLS: 000083109 BNE: XX110161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샤를_드_골&oldid=24463466" 분류: 샤를 드 골1890년 태어남1970년 죽음프랑스의 정치인프랑스의 장군육군 군인대량 살인자프랑스의 대통령프랑스의 총리안도라의 정치인프랑스의 파시스트프랑스의 반공주의자안도라의 반공주의자안도라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안도라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프랑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릴 출신프랑스의 망명자암살 미수 생존자궐석재판에서 사형 선고된 사람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도타임 올해의 인물프랑스의 보수주의프랑스 국민주의자프랑스의 알제리 전쟁 관련자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15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B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Нохчийн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Dolnoserbski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VõroFrançaisArpetanFryskGaeilge贛語GàidhligGalegoगोंयची कोंकणी / Gõychi Konknni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Hornjoserbsce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La .lojban.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مازِرونیPlattdüütsch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ਪੰਜਾਬੀPicard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Русиньскы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Xitsonga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epsän kel’Tiếng ViệtWinarayWolof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2일 (토) 1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샤를 앙드레 조제프 마리 드골(프랑스어: Charles André Joseph Marie de Gaulle, 1890년 11월 22일 ~ 1970년 11월 9일)은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운동가,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 작가이다. 1945년 6월부터 1946년 1월까지 임시정부 주석을, 1958년 6월 1일부터 6개월 동안 총리로 전권을 행사했고 1959년 1월 8일에 프랑스 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1965년 대선에서 재선하였으나 1969년 지방 제도 및 상원 개혁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패하고 물러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아라스 전투에서 기갑부대를 지휘하여 에르빈 롬멜의 유령사단에 유일하게 성공적으로 반격하였고 국방부 육군차관을 지냈으나, 후에 망명 프랑스 자유민족회의와 프랑스 임시정부를 조직, 결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총리를 2번 지내고 제18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샤를 드 골은 사형 선고를 언제 받았을까? Assistant: 1940년 8월 2일 Human: 아래 불가리아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불가리아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가리아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가리아의 역사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я 오드뤼사이 왕국(기원전 460년 ~ 기원후 46년) 대불가리아(632년 ~ 668년) 볼가 불가르(7세기 ~ 1240년대) 불가리아 제1제국(681년 ~ 1018년) 기독교화 황금기(896년 ~ 927년) 코미토풀리 왕조(968년 ~ 1018년) 비잔티움령 불가리아(1018년 ~ 1185년) 불가리아 제2제국(1185년 ~ 1396년) 제2의 황금기(1230년 ~ 1241년) 몽골의 침입(1274년 ~ 1300년) 복구와 팽창(1300년 ~ 1371년) 불가리아-오스만 전쟁(1371년 ~ 1396년) 오스만령 불가리아(1396년 ~ 1878년) 독립운동(1762년 ~ 1878년) 독립전쟁(1877년 ~ 1878년) 불가리아 공국(1879년 ~ 1908년) 불가리아 왕국(1908년 ~ 1946년) 발칸 전쟁(1912년 ~ 1913년) 제1차 세계 대전(1915년 ~ 1918년) 제2차 세계 대전(1941년 ~ 1945년) 공산 불가리아(1946년 ~ 1990년) 전환기(1990년 ~ 현재) v • d • e • h 불가리아의 역사는 불가리아인들의 역사와 그들의 기원을 포함하여 현대 불가리아 지역의 정착에서 민족 국가 형성까지에 이른다. 기원전 44,000년경 오늘날 불가리아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보인다. 기원전 5,000년경 이미 정교한 문명이 존재하였고 도자기와 보석이 생산되었다. 이후 기원전 3,000년경에 트라키아인들이 발칸 반도에 등장하였고, 기원전 500년경 그들은 오드뤼사이 왕국을 건국하여 번영하였으나 곧 쇠퇴하고 트라키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의 지배 하에 놓였다. 632년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불가르족[1] 이 흑해 근교에서 쿠브라트의 주도하에 대불가리아로 알려진 국가를 세웠다. 하자르 칸국의 압박 속에 대불가리아는 7세기 후반에 분열되었다. 쿠브라트의 아들 중 한명인 아스파루흐는 몇몇 불가르 부족을 이끌고 도나우 강 삼각주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소스키타이와 모에시아 지역을 정복하여 발칸 반도 내에서 그의 새로운 왕국을 확장하였다.[2] 681년 비잔티움 제국과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플리스카를 수도로 정하여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의 시작이 되었다. 새로운 국가는 트라키아의 유민들과 불가르족 치하의 슬라브족들이 모여 있었고, 상호 동화가 천천히 시작되었다. 이후 세기에 불가리아는 강력한 제국을 형성하여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발칸 반도를 지배하였고, 이는 고유한 민족 정체성 형성과 이어졌다.[3] 민족적이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은 같은 종교, 문화, 문자를 통해 통합되었고 이는 외세의 침략과 영향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 민족 의식을 형성하고 보존하였다. 11세기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은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의 공격을 받아 붕괴되었고, 1185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아센 왕가의 페터르와 아센 형제가 주도하여 대대적인 반란이 일어나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이 성립되어 불가리아 국가가 부활하였다. 1230년에 절정을 맞은 후 불가리아는 많은 이유들, 특히나 다방면에서의 외세의 끊임없는 침입에 시달리게 되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돼지치기 출신의 이바일로가 주도하는 농민 반란이 일어나 그는 차르가 되기도 하였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은 불가리아 국가의 통합에 핵심적이었다. 1300년 이후 중흥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1371년 내분으로 불가리아가 세 국가로 분열하면서 끝이 났다. 1396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하였다. 튀르크에 의해 불가리아 귀족들과 성직자들이 제거된 후, 불가리아는 억압과 지적 정체, 실정의 시기를 맞았고 불가리아의 문화를 파괴하고 500년 가까이 유럽과 격리되게 만들었다. 몇몇 문화적 유산은 이를 채택하고 발전시킨 러시아에서 찾아볼 수 있다. 1700년대 이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면서 부활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불가리아 귀족들은 사라졌고, 농촌 사회와 함께 조금이지만 도시의 중산층도 성장하였다. 19세기에 불가리아 르네상스는 독립을 위한 노력의 핵심이 되었지만 1876년 4월 봉기가 실패하면서 끝이 났고, 그 결과로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불가리아는 해방되었다. 하지만 산스테파노 조약은 서구 열강들에게 거부되어 베를린 회의의 결과로 불가리아의 영토는 모에시아와 소피아 지역으로 한정되었다. 이는 국경선 밖의 많은 불가리아인들을 남겼고, 이는 불가리아의 지역 전쟁에서의 군사 활동을 제한하였고 양 대전에서 독일에 대한 충성하게 만들었다. 2차 대전 이후 불가리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고, 토도르 지브코프에게 35년 간 통치되었다. 이 시기 불가리아의 경제 성장은 1980년대에 들어 정체 상태에 들어섰고, 결국 중앙유럽 전체에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함과 동시에 국가의 발전의 전환점을 맞았다. 1990년대의 일련의 위기들은 불가리아의 산업과 농업을 뒤흔들어 놓았고, 2000년대에 들어서야 안정되기 시작하였다. 불가리아는 2004년 나토에 가입하였고 2007년에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였다. 목차 1 선사시대 2 고대 2.1 남슬라브족 2.2 불가르족 2.3 대 불가리아 (605년 ~ 642년) 3 중세 3.1 불가리아 제1제국 (681년 ~ 1018년) 3.1.1 크리스트교화 3.2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 (1018년 ~ 1185년) 3.3 불가리아 제2제국 (1185년 ~ 1396년) 3.3.1 오스만 제국의 침입 4 오스만 제국의 지배 (1396년 ~ 1878년) 4.1 오스만 통치 4.2 4월 봉기와 러시아-튀르크 전쟁(1870년대) 5 근대 5.1 불가리아 자치 공국 (1878년 ~ 1908년) 5.2 불가리아 왕국 (1908년 ~ 1945년) 6 현대 6.1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1945년 ~ 1989년) 6.2 불가리아 공화국 (1990년 ~ 현재) 7 함께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선사시대[편집] 오늘 날의 불가리아에 가장 오래된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은 기원전 44,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5000년 경에 이미 정교하게 발달한 문명이 존재하여 몇몇 도자기들과 보석을 남겼다. 기원전 3000년 이후 트라키아인들이 발칸 반도에 등장하였다. 기원전 500년 경 트라키아인들은 오드뤼사이 왕국을 세워 번영하였으나 곧 마케도니아, 켈트인, 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들의 혼혈은 서기 500년 경 발칸 반도에 정착하게 되는 슬라브족에게 동화되었다. 고대[편집] 남슬라브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남슬라브족입니다. 슬라브족은 6세기 전역에 동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서슬라브족, 동슬라브족, 남슬라브족의 세 분파로 갈라졌다. 가장 동쪽의 남슬라브족은 6세기 동안에 오늘날의 불가리아 지역에 정착하였다. 대부분의 트라키아인들은 그리스화되거나 로마화된 상태였고, 마지막 남은 무리들은 5세기까지 외곽 지역에 남아있었다.[4] 동쪽의 남슬라브족 집단은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이 그들을 합병할 때까지 대부분의 트라키아인들과 동화되었다.[5] 대불가리아. 볼가 불가르. 불가르족[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르족입니다. 불가르족은 2세기부터 북부 카프카스 지역의 스텝 지대와 볼가 강 유역에 거주했던 중앙아시아를 기원으로 하는 튀르크계 반유목민족의 후예였다. 그들의 일파가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을 건국하였다. 불가르족들은 세습적인 칸에 의해 지배되었다. 그들은 군사 직위를 가진 귀족 계층이 지배 계급을 형성하였다. 불가르족은 다신교를 신봉하였지만 주로 최고 신격인 텡그리를 숭배하였다. 대 불가리아 (605년 ~ 642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고대 불가리아입니다. 632년 쿠브라트 칸은 세개로 갈라져있던 불가르족을 통합하였고, 이 국가는 후대에 대 불가리아(Great Bulgaria)라고 불렸다. 이 국가는 서쪽으로는 도나우 강 하류, 남쪽으로는 흑해와 아조프 해, 동쪽으로는 쿠반 강, 남쪽으로는 도네츠 강에 이르렀다. 수도는 아조프 해의 파나고리아였다. 635년, 쿠브라트 칸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헤라클리우스와 평화 조약을 맺고, 불가르 왕국을 발칸 지역까지 확장시켰다. 이후, 쿠브라트는 헤라클리우스 황제에게 귀족 칭호를 받았다. 불가르 왕국은 쿠브라트의 죽음과 함께 무너졌다. 하자르족과의 몇차례 전쟁 끝에, 불가르족은 결국 패배하여 각지로 이주하였고 주로 5세기부터 불가르족이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으로 거주하고 있던 서쪽의 발칸 지역으로 탈출하였다. 쿠브라트의 계승자 중 한명인 코트락은 아홉 불가리아 부족을 이끌고 북쪽으로 이주해 현재의 러시아 지역은 볼가 강 유역에 정착하였고, 7세기 후반 볼가 불가르 왕국을 세웠다. 볼가 불가르는 아랍, 노르만족, 아바르족과의 무역에서 독점을 형성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였기 때문에 이후 북부 지역의 무역과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볼가 불가르는 몽골 제국의 첫 침입을 격퇴해내면서 유럽을 10년 간 보호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몽골의 무수한 침입은 볼가 불가르를 파괴하였고 대부분의 주민들은 학살당하거나 아시아 지역에 노예로 팔렸다. 쿠브라트의 또 다른 계승자이자 코트락의 계승자였던 아스파루흐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현재의 베사라비아 지역 남부를 장악하였다. 680년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아스파루흐의 칸국은 소 스키티아 지역까지 정복하였고, 681년 비잔티움 제국과 조약을 맺음으로써 독립을 인정받았다. 이 해는 오늘날 불가리아의 성립으로 간주되며 아스파루흐는 첫번째 불가리아의 통치자로 간주된다. 아스파루흐의 형제인 쿠베르가 세운 또다른 칸국은 판노니아 지방에 정착하였다.[6] 중세[편집] 불가리아 제1제국 (681년 ~ 1018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리아 제1제국입니다. 불가리아 제1제국. 8세기 초반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불가리아의 테르벨 칸에게 남부 아랍 세력의 침입에 대한 연합을 제의하였다. 이 연합은 아랍 세력을 패퇴시켰고 테르벨은 '황제 다음가는 인물'을 뜻하는 비잔티움 제국의 칭호 '카이사르'를 받았다. 크룸 칸의 재위 기간(802-814)에 불가리아는 북동부와 남부로 팽창하여, 도나우 강과 몰도바 강 중류 지역(현재의 루마니아)을 점령하였고, 809년에는 소피아를, 812년에는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위협하였다. 크룸은 가난을 줄이기 위한 법제 개혁을 실시하여 그의 국가 내에 유대감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오무르타그 칸의 치세(814-831) 동안 프랑크 왕국과의 도나우 강 중류 국경 지역은 굳건히 정착되었다. 화려한 궁궐, 이교 사원, 통치자의 거주지, 요새, 성채, 급수 시설, 목욕 시설들이 석재와 벽돌을 이용하여 수도 플리스카에 지어졌다. 크리스트교화[편집] 보리스 1세의 치세에 불가리아는 크리스트교 국가가 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는 플리스카에 독립적인 불가리아 수좌주교구를 허용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선교사 키릴과 메토디 형제를 중심으로 글라골 문자가 슬라브 세계에 전파되었으며, 886년부터 불가리아는 이를 채택하였다. 글라골 문자와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886년 보리스 1세가 프레슬라프와 오흐리드에 설립한 문예 학교를 중심으로 문학적, 문화적으로 발전하였다. 10세기 초에는 새로운 문자인 키릴 문자가 프레슬라프 문예 학교에서 개발되었다. 9세기 후반과 10세기 초반, 불가리아는 남쪽으로는 에피루스와 테살리아, 서쪽으로는 보스니아, 북쪽으로는 오늘날 루마니아 전역과 동부 헝가리까지 팽창하였다. 세르비아인들은 불가리아에 종속되어 있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받은 차르 시메온 1세(시메온 대제)의 치하에 불가리아는 다시금 비잔티움 제국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그의 팽창 정책은 그의 주요 동맹인 지역 내의 유목민들과 연합하여 비잔티움 제국을 물리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메온은 비잔티움 제국의 외교와 정치 문화 원리를 무너뜨림으로써 자신의 왕국을 유목민족 사회 구조로 변화시키려 하였다.[7] 시메온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여 불가리아인과 그리스인의 황제로 즉위하고자 하였고, 그의 긴 재위 기간(893-927) 동안 비잔티움 제국과 계속적으로 전쟁을 벌였다. 그의 치세 말기에 불가리아의 영토는 남쪽으로는 펠로폰네소스에 이르렀고, 당대 동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가 되었다. 시메온은 자신을 교황으로부터 받은 칭호인 "불가리아인과 로마인의 차르"라는 호칭으로 불렀다. 수도 프레슬라프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라이벌로 불렸고[8][9], 불가리아 정교회는 초기 크리스트교의 5명의 총대주교 이후 첫번째 독립 수좌대주교가 되었고, 불가리아어로 번역된 성경이 슬라브 세계 전역에 확산되었다.[10] 시메온의 사후, 불가리아는 크로아티아인, 마자르족, 페체네그인과 세르비아인들과의 전쟁으로 약화되었고 이단인 보고밀주의가 확산되었다.[11][12]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의 연이은 침입의 결과로 971년에는 프레슬라프가 비잔티움 제국에 포위되는 지경에 이르렀다.[13] 사무일의 치세에, 불가리아는 다소 세력을 회복하였고 세르비아와 두클랴를 정복하는데 힘썼다.[14] 986년,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바실레이오스 2세는 불가리아를 정복하기 위한 원정을 단행하였다. 십여 년 간 이어진 전쟁 끝에 1014년 바실레이오스 2세는 불가리아에 결정적인 패배를 안겼고, 4년 후 원정은 끝이 났다. 1018년 마지막 차르 이반 블라디슬라프의 죽음과 함께 불가리아 귀족들은 비잔티움 제국에 복속하였다.[15] 하지만, 불가리아는 독립을 상실하였으며 170여년 간 비잔티움 제국의 속주가 되었다. 국가의 멸망과 함께, 불가리아 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밑에 편성되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오흐리드 대주교를 통제하였다.[16]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 (1018년 ~ 1185년)[편집] 비잔티움 제국 지배 하의 처음 10년 간은 어떠한 저항이나 반란의 움직임이 없었다. 크라크라, 니클리차, 드라가슈와 같은 비잔티움 제국에 위협적인 적들을 고려하면 그러한 소극성은 설명하기 힘들다. 몇몇 역사가들은[17] 이를 바실레이오스 2세가 불가리아 귀족들의 충성을 위해 타협을 한 결과로 설명하였다. 바실레이오스 2세는 불가리아 과거 국경선을 분할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으며 아르콘이나 스트라테고이 등의 비잔티움 작위를 받은 불가리아 귀족들의 지역내 특권을 폐지하지 않았다. 또한 바실레이오스 2세의 특별 헌장은 불가리아의 오흐리드 대주교의 자치를 인정함과 동시에 그 경계를 설정하여 사무일 시대의 주교 확장 범위와 그들의 자산과 다른 특권들을 인정하였다. 바실레이오스 2세 사후 비잔티움 제국은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1040년, 페터르 델얀이 조직한 대규모의 봉기가 일어났으나, 불가리아 국가를 회복하는데는 실패하였고 그는 살해당했다. 얼마 뒤, 콤네노스 왕조가 계승하여 제국의 쇠퇴를 막았다. 이 시기 비잔티움 제국은 안정과 발전의 시대를 경험하였다. 1180년 마지막 유능한 콤네노스 황제였던 마누엘 1세가 사망하고 상대적으로 무능한 앙겔로스 왕조로 바뀌었고, 몇몇 불가리아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1185년 페터르와 아센 형제의 주도하에 불가리아인, 왈라키아인, 쿠만족이 섞인 반란이 일어났다. 비잔티움 제국은 불가리아 제국의 독립을 인정하여야 했다. 페터르는 자기 자신을 "불가리아인, 그리스인, 왈라키아인의 차르"로 칭했다. 불가리아 제2제국 (1185년 ~ 1396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리아 제2제국입니다. 불가리아 제2제국. 부활한 불가리아의 영토는 흑해와 도나우 강, 발칸 산맥에 이르렀으며, 동부 마케도니아와 베오그라드, 모라바 계곡을 포함하였다. 또한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에 통제권을 행사하였다.[18] 차르 칼로얀의 재위 기간(1197-1207)에 로마 교황과 연합하였고, 비록 그는 "황제"나 불가리아인과 왈라키아인의 "차르"의 칭호로 인정받길 원했지만 왕(Rex)의 칭호를 인정받았다. 그는 1204년 이후 제4차 십자군 및 라틴 제국과 전쟁을 벌여, 트라키아의 대부분과 로도피 산맥 근교, 마케도니아 전역을 정복하였다. 1205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칼로얀은 라틴 제국에게 승리를 거두였고 그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헝가리와 세르비아는 불가리아 서부와 북서부를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반 아센 2세의 재위 기간(1218-1241)에 불가리아는 다시 한번 지역내의 강국으로 떠올랐으며, 베오그라드와 알바니아를 점령하였다. 1230년 수도 터르노보에 남긴 비문에서 그는 자신을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신실한 차르이자 아센의 아들인 불가리아인의 전제군주"로 자신을 칭하였다. 1235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인정 하에 불가리아 수좌주교구가 복구되었고, 교황과의 연합도 끝이 났다. 이반 아센 2세는 현명하고 자비로운 군주로 명성을 얻었으며, 비잔티움 제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서방 세계의 베네치아와 제노바 등과 교류하였다. 수도 터르노보는 중요한 경제적, 종교적 중심지로 성장하여 쇠퇴하고 있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대신해 "제 3의 로마"로 불렸다.[19]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의 시메온 대제 때와 같이, 이반 아센 2세의 영토는 세 바다(아드리아 해, 에게 해, 흑해)까지 확장되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까지의 마지막 성채였던 메데아까지 병합하여 1235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하기도 하였다.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은 아센 왕조가 단절된 1257년부터 내부 갈등, 비잔티움 제국과 헝가리의 계속적인 공격과 몽골 제국의 침입에 직면하면서 쇠퇴하였다.[5][20] 정치적 혼란은 더해갔고, 불가리아는 점차적으로 영토를 잃었다. 이는 1280년 돼지치기 출신의 농민 이바일로의 반란을 불러왔고, 이바일로는 차르의 군대를 패배시키고 제위에 즉위하기도 하였다. 차르 토도르 스베토슬라프(재위 기간 1300-1322)의 시대에 다시 중흥을 맞기도 하였으나 1330년 불가리아는 벨버즈드 전투에서 세르비아에게 대패하였고, 이후 발칸 반도의 주도권은 세르비아에게로 넘어 갔다. 오스만 제국의 침입[편집] 14세기 약화된 불가리아 제국은 1354년부터 유럽에 진출하기 시작한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1371년, 봉건 영주들 간의 다툼으로 불가리아 제국은 3분열-비딘, 터르노보, 도브루자-하였고, 몇몇 반독립적인 공국들과 비잔티움 제국, 헝가리, 세르비아와 베네치아 및 제노바까지 뒤엉켜 전쟁을 벌였다. 분열되고 약해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에게 큰 저항이 되지 못했다. 1362년 오스만 제국은 플로프디프를 점령했으며, 1382년에는 소피아를 점령하였다.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로 관심을 돌려 1389년 코소보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1393년 오스만 제국은 3달 간의 포위 끝에 터르노보를 점령하였다. 1396년에는 비딘 또한 점령되었으며, 제 2차 불가리아 제국과 불가리아의 독립은 끝났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1396년 ~ 1878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오스만령 불가리아입니다. 1393년 오스만 제국은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인 터르노보를 3달 간의 포위 끝에 함락시켰다. 1396년에는 비딘도 니코폴리스 전투 끝에 점령당하였다. 이와 함께 오스만 제국은 마침내 불가리아를 정복하였다.[4][21][22] 1444년 폴란드의 브와디스와프 3세를 주축으로 결성된 폴란드-헝가리 십자군이 불가리아와 발칸 반도를 해방시키기 위해 조직되었으나, 오스만 제국은 바르나 전투에서 승리하였고 브와디스와프 3세는 전사하였다. 새로운 권력은 불가리아의 통치 기구를 해체하였고, 비록 1767년까지 오흐리드에 작지만 자치권이 있는 불가리아 주교가 있었으나 불가리아 교회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병합시켰다. 오스만 튀르크는 반란을 막기 위해 중세 불가리아의 요새들을 파괴하였다. 오스만 지배하에 많은 지역들이 인구가 감소하였다.[23] 오스만 튀르크는 일반적으로 크리스트교 신자들에게 이슬람교으로 개종할 것을 강요하지 않았고, 그들은 종교적으로 관용 정책을 취한듯 보였다.[24]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로도피 지역에서 많은 강제적인 개인적, 집단적 개종의 사례가 존재하였다. 이슬람교로 개종한 불가리아인들은 포마치(Помаци)라고 불렸고, 불가리아어를 사용하면서 이슬람교의 옷과 관습을 받아들였다.[4][22] 포마치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25][26] 오스만 통치[편집] 오스만 제국의 체제는 17세기부터 약화되기 시작하였고 18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붕괴하였다. 중앙 정부는 점점 약화되었고 이로 인해 몇몇 지역에서 지방 통치자들이 개인적인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27] 18세기 후반의 20년과 19세기 전반의 10년 간 발칸 반도는 실질적인 전제군주들에게 분할되었다.[4][28] 불가리아에서는 이 시기를 커르잘리(Кърджалии)라고 불리는 튀르크 군벌 세력에게 통치된 시기로 보며 커르잘리국(Кърджалийствот) 시대로 부른다. 많은 지역에서 농민들이 농촌에서 인근 마을과 언덕, 숲으로 달아났으며 몇몇은 도나우 강을 넘어 몰다비아, 왈라키아, 남부 러시아로까지 이주하였다.[4][28] 오스만 제국의 쇠퇴 속에서 점진적인 불가리아 문예 부흥이 일어났고, 이는 민족 해방 이데올로기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19세기 몇몇 지역에서는 점차 상황이 나아졌다. 가브로보, 트랴브나, 카를로보, 코프리슈티챠, 로베치, 스코페와 같은 몇몇 도시는 발전하였다. 불가리아 농민들은 비록 공식적으로는 술탄의 소유하였지만 그들의 토지를 소유하였다. 19세기에는 통신과 교통, 무역도 발전하였다. 1834년 슬리벤에 불가리아 최초의 공장이 설립되었으며, 1865년에는 루세와 바르나를 연결하는 첫 철도가 부설되었다. 불가리아 민족주의는 19세기 초반 프랑스 혁명 이후 그리스를 통해 서구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가 유입되면서 형성되었다. 1821년 그리스의 오스만 제국에 대한 봉기는 불가리아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그리스의 영향은 그리스의 통제 하에 놓여있던 불가리아 교회에 대한 일반적인 분노에 제한되었고 이는 처음으로 불가리아 민족주의 감정이 일어난 것이었다. 1870년 술탄의 칙령에 이해 불가리아 주교구가 만들어졌고 첫 주교인 안팀 1세는 자연스럽게 불가리아 민족 해방의 리더가 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는 불가리아 주교를 파문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강화하였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투쟁은 불가리아 혁명 중앙 위원회(BRCK)의 주도로 발발하였으며 내부 혁명 조직(VRO)의 바실 레프스키, 흐리스토 보테프, 류벤 카라벨로프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4월 봉기와 러시아-튀르크 전쟁(1870년대)[편집] 1876년 4월 불가리아인들은 4월 봉기를 일으켰다. 이 반란은 조잡하게 조직되었고 예정 시기 이전에 시작되었다. 이는 비록 북부 불가리아와 마케도니아, 슬리벤 지역도 동참하였지만 플로프디프 지역에 제한되어 있었다. 이 봉기는 이는 바쉬-바조크라고 하는 오스만 제국의 비정규군에게 분쇄당하였다. 많은 마을들이 약탈당하였고 수만 명의 사람들이 학살당하였고, 대부분은 플로프디프 지역의 바타크, 페루슈티챠, 브라치고보 등의 반란자들이었다. 이 학살은 자유주의적인 유럽인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윌리엄 글래드스턴은 "불가리아 학살"에 대한 원정을 개시하였다. 이 원정은 유럽 지식인들과 유명 인사들의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가장 큰 반향은 러시아에서 일어났다. 유럽에서 4월 봉기에 대한 대중적인 격렬한 반응은 1876년-1877년 강대국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회의로 이어졌다. 오스만 제국의 회담 결정에 대한 거부는 러시아인들에게 오스만 제국에 대한 오랜 기간의 목적 실현을 위해 오랫동안 기다려오던 기회를 주었다. 1877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였다. 불가리아인들은 러시아의 편에 서서 싸웠다. 러시아군은 플레벤의 쉬프카 가도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였으며 1878년 1월 불가리아의 독립이 이루어졌다. 근대[편집] 불가리아 공국. 불가리아 자치 공국 (1878년 ~ 1908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리아 공국입니다. 불가리아의 독립의 불을 당긴것은 1876년에 일어난 대봉기였다. 오스만 제국의 과잉 진압으로 불가리아 참사가 일어나고 그로 인해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일어났다. 전근대적이고 낙후적인 군사 시스템을 가지고 있던 오스만 제국은 대패하였다. 이 전쟁 이후 맺어진 산스테파노 조약에서 루마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가 완전히 독립했고 불가리아에는 동루멜리아와 마케도니아를 합친 대불가리아 자치 공국이 건립되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세력 확장을 견제한 열강은 베를린 회의에서 불가리아의 영토를 북부 지방에만 한정시켰다. 그러나 1885년 동루멜리아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2세의 조카였던 알렉산더르 대공은 불가리아의 영토를 늘리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동루멜리아를 합병하였다. 이로 인해 세르비아와의 전쟁이 일어났지만(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 그는 승리로 이끌었다. 그렇지만 친러시아파 장교들의 쿠데타로 알렉산더르 대공은 퇴위하고, 뒤를 이어 도이치계인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의 페르디난드 1세가 즉위하였다. 페르디난드 1세는 1894년 '불가리아의 비스마르크'라 불리던 수상 스테판 스탐볼로프를 축출하고 권력을 장악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의 통치기에 불가리아는 190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 독립하였다. 불가리아 왕국 (1908년 ~ 1945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리아 왕국입니다. 불가리아 왕국. 페르디난드 1세가 왕국을 선포한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이 일어났다. 1차 발칸 전쟁에서 승리한 불가리아는 남부 트라키아 지방과 마케도니아 지방의 일부를 얻었으나 마케도니아를 얻으려는 욕심에 1913년 세르비아와 그리스에 선전포고를 하여 제2차 발칸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루마니아와 오스만 제국까지 가세하여 불가리아는 패배하였고, 서부 마케도니아는 그리스와 세르비아에게, 동트라키아는 오스만에게 할양해야 했다. 결국 이 전쟁은 당시 국제 정세와 맞물려 제 1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되었고, 1차 대전에서 도이치 제국 편에 붙었던 불가리아는 패배하여 페르디난드 1세는 퇴위하고 아들인 보리스 3세가 뒤를 이었다. 보리스 3세는 1923년 민주정을 대표하던 농민당의 알렉산다르 스탐볼리스키 총리를 암살하고 청년장교들과 경찰들의 도움을 얻어서 독재정치를 선포하였다. 그리고 그는 히틀러의 나치와 동맹을 하여 제2차 세계대전에서 추축국편에 섰다. 그러나 1943년, 히틀러와 격렬한 논쟁 끝에 불가리아로 돌아가던 그는 나치주의자에게 암살당하고 어린 아들 시메온 2세가 즉위했으나 그는 소련군에게 쫓겨나고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를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었다. 1944년 소련군이 침입하고 공산당의 파르티잔 투쟁이 본격화되어 동년 10월 양측간의 휴전협정이 체결되었다.[29] 현대[편집]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1945년 ~ 1989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입니다. 1946년 수립된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좌익정부는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1947년 인민공화국 헌법이 제정되었다.[29]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1949년에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고, 그뒤에 체르벤코프가 후임에 올랐으나 1952년 실권자는 토도르 지프코프가 되었다. 1954년 정권을 이양받은 지프코프 이후 불가리아는 동구권의 대표적인 친소노선을 나타냈다.[29] 그는 1962년 총리직에 올라 정권을 장악한뒤 1965년 군부의 쿠데타를 진압하고 친소노선을 펼쳤다. 그리고 산업화를 서서히 추진하여 불가리아의 경제력을 향상시켰고, 실제로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의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한 경제력을 가지게 되었다. 이것의 원인은 비교적 온건했던 지프코프의 노선과 소련의 강력한 지원이 밑바탕되었던 것이었다. 소련 및 동구제국과의 우호협력관계 유지가 외교 기조인 불가리아는 경제계획 추진을 위해 1970년부터 대서방 접근을 보였으나 친소노선 기조에는 변함이 없었다. 1971년 헌법개정으로 최고권력기관인 국가평의회가 신설되어 지프코프가 의장(국가원수)에 취임하였다.[29] 그러나 1980년대 개혁, 개방의 물결이 불가리아를 덮쳤고, 결국 1989년 지프코프가 퇴임하고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에서 유일하게 평화로운 공산주의 붕괴를 맞았다. 불가리아 공화국 (1990년 ~ 현재)[편집] 1990년 1월에 공산당은 다당제 정치체제를 승인했다. 그해 8월에 불가리아의회는 민주세력연합의 젤류 젤레프를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29] 지프코프 퇴임후 불가리아 공산당(BCP)은 불가리아 사회당(BSP)로 개명하고 1990~1991년의 기간 동안 안드레이 루카노프가 취임했으나 곧 그가 사임하고 디미타르 포포프가 과도 내각을 이끌었다. 그러나 대선에서 젤류 젤레프가 중심이 된 민주세력연합(UDP)가 승리하여 필리프 디미트로프가 총리에, 젤류 젤레프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필리프 디미트로프는 의회에서 불신임을 당해 1992년 결국 무당파의 루벤 베로프가 집권하였으며, 1995년에 BSP가 승리하여 잔 비데노프가 총리에 취임하였다. 비데노프 내각은 대통령선거에서 UDP의 페타르 스토야노프에게 패배하고 사임하였다. 그 뒤 총리직에는 이반 코스토프가 1997~2001의 기간 동안 집권하고 이어 전(前)국왕 시메온 2세가 2001년 시메온 2세 국민운동당(MNSII)으로 승리하여 2005년까지 집권하였고, 2005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승리하여 세르게이 스타니셰프가 취임했다. 2009년 7월 총선에서 유럽발전시민당(GERB)가 승리하여 보이코 보리소프가 총리로 취임하였다. 대통령직은 2001년 이후 게오르기 파르바노프가 집권하여 2012년까지 재임하였다. 함께 보기[편집] 불가리아의 군주 각주[편집] ↑ "Bulgar (people)". Encyclopædia Britannica. ↑ Runciman, p. 26 ↑ Bulgaria - Introduction, Library of Congress ↑ 가 나 다 라 마 R.J. Crampton, A Concise History of Bulgaria, 1997,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6719-X ↑ 가 나 [1] ↑ Mikulčik, Ivan (1996). 《Srednovekovni gradovi i tvrdini vo Makedonija》 [Medieval cities and castles in Macedonia]. Македонска цивилизациjа [Macedonian civilization] (마케도니아어). Skopje: Makedonska akademija na naukite i umetnostite. 391쪽. ISBN 9989-649-08-1.  ↑ Boris Todorov, "The value of empire: tenth-century Bulgaria between Magyars, Pechenegs and Byzantium," Journal of Medieval History (2010) 36#4 pp 312-326 ↑ Bakalov, Istorija na Bǎlgarija, "Simeon I Veliki" ↑ “About Bulgaria” (PDF). U.S. Embassy Sofia, Bulgaria. 2006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3일에 확인함.  ↑ Castellan, Georges (1999). 《Istorija na Balkanite XIV–XX vek》 (불가리아어). trans. Liljana Caneva. Plovdiv: Hermes. 37쪽. ISBN 954-459-901-0.  ↑ Reign of Simeon I, Encyclopaedia Britannica. Accessed 4 December 2011. Quote: Under Simeon's successors Bulgaria was beset by internal dissension provoked by the spread of Bogomilism (a dualist religious sect) and by assaults from Magyars, Pechenegs, the Rus, and Byzantines. ↑ Browning, Robert (1975). 《Byzantium and Bulgaria》. Temple Smith. 194–5쪽. ISBN 0-85117-064-1.  ↑ Leo Diaconus: Historia Archived 2011년 5월 10일 - 웨이백 머신, Historical Resources on Kievan Rus, accessed 4 December 2011. Quote:Так в течение двух дней был завоеван и стал владением ромеев город Преслава. (in Russian) ↑ Chronicle of the Priest of Duklja, full translation in Russian. Vostlit - Eastern Literature Resources, accessed 4 December 2011. Quote: В то время пока Владимир был юношей и правил на престоле своего отца, вышеупомянутый Самуил собрал большое войско и прибыл в далматинские окраины, в землю короля Владимира. (in Russian) ↑ Pavlov, Plamen (2005). “Заговорите на "магистър Пресиан Българина"”. 《Бунтари и авантюристи в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LiterNet. 2011년 10월 22일에 확인함. И така, през пролетта на 1018 г. "партията на капитулацията" надделяла, а Василий II безпрепятствено влязъл в тогавашната българска столица Охрид.  (in Bulgarian) ↑ Encyclopedia Britannica, Bulgaria. ↑ Zlatarski, vol. II, pp. 1–41 ↑ “Войните на цар Калоян (1197 - 1207 г.) (in Bulgarian)” (PDF).  ↑ Ivanov, Lyubomir (2007). 《ESSENTIAL HISTORY OF BULGARIA IN SEVEN PAGES》. Sofia: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4쪽. 2011년 10월 26일에 확인함. The capital Tarnovo became a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center seen as 'the Third Rome' in contrast to Constantinople's decline after the Byzantine heartland in Asia Minor was lost to the Turks during the late 11th century.  ↑ The Golden Horde Archived 2011년 9월 16일 - 웨이백 머신, Library of Congress Mongolia country study. Accessed 4 December 2011. Quote:"The Mongols maintained sovereignty over eastern Russia from 1240 to 1480, and they controlled the upper Volga area, the territories of the former Volga Bulghar state, Siberia, the northern Caucasus, Bulgaria (for a time), the Crimea, and Khwarizm". ↑ Lord Kinross, The Ottoman Centuries, Morrow QuillPaperback Edition, 1979 ↑ 가 나 D. Hupchick, The Balkans, 2002 ↑ Bojidar Dimitrov: Bulgaria Illustrated History. BORIANA Publishing House 2002, ISBN 954-500-044-9 ↑ René Ristelhueber, A History of the Balkan Peoples, p.27, Ardent Media, 1971 ↑ Hunter, Shireen: "Islam, Europe's second religion: the new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landscape" 2002, pp.177 ↑ Poulton, Hugh: "Muslim identity and the Balkan State" 1997, pp.33 ↑ Kemal H. Karpat, Social Change and Politics in Turkey: A Structural-Historical Analysis, BRILL, 1973, ISBN 90-04-03817-5, pp. 36-39 ↑ 가 나 Dennis P. Hupchick: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2002 ↑ 가 나 다 라 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불가리아 인민공화국〉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불가리아의 역사 WWW-VL: History: Bulgaria Essential History of Bulgaria in Seven Pages vdeh유럽의 역사 독립국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1]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바티칸 시국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2]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3]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1]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2] 조지아[* 1] 체코 카자흐스탄[* 1]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3] 터키[* 1]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속령 건지섬 멘섬 스발바르 제도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3] 올란드 제도 저지섬 지브롤터 페로 제도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다게스탄 공화국 아디게야 공화국 미승인국 아르차흐 공화국[* 3] 남오세티야[* 1] 북키프로스[* 3] 압하지야[* 1] 트란스니스트리아 노보로시야 연방국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일부 영토가 아시아에도 속한다. ↑ 가 나 일부 영토가 아프리카에도 속한다. ↑ 가 나 다 라 마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에 속하지만 역사적·문화적 이유로 종종 유럽으로 분류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불가리아의_역사&oldid=23915828" 분류: 불가리아불가리아의 역사숨은 분류: CS1 - 마케도니아어 인용 (mk)CS1 - 불가리아어 인용 (bg)불가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Asturianu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Id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mburgs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TürkçeУкраїнськаWalon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6일 (화) 02: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불가리아의 역사는 불가리아인들의 역사와 그들의 기원을 포함하여 현대 불가리아 지역의 정착에서 민족 국가 형성까지에 이른다. 기원전 44,000년경 오늘날 불가리아에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보인다. 기원전 5,000년경 이미 정교한 문명이 존재하였고 도자기와 보석이 생산되었다. 이후 기원전 3,000년경에 트라키아인들이 발칸 반도에 등장하였고, 기원전 500년경 그들은 오드뤼사이 왕국을 건국하여 번영하였으나 곧 쇠퇴하고 트라키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의 지배 하에 놓였다. 632년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불가르족 이 흑해 근교에서 쿠브라트의 주도하에 대불가리아로 알려진 국가를 세웠다. 하자르 칸국의 압박 속에 대불가리아는 7세기 후반에 분열되었다. 쿠브라트의 아들 중 한명인 아스파루흐는 몇몇 불가르 부족을 이끌고 도나우 강 삼각주 지역으로 이주하였고,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소스키타이와 모에시아 지역을 정복하여 발칸 반도 내에서 그의 새로운 왕국을 확장하였다. 681년 비잔티움 제국과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플리스카를 수도로 정하여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의 시작이 되었다. 새로운 국가는 트라키아의 유민들과 불가르족 치하의 슬라브족들이 모여 있었고, 상호 동화가 천천히 시작되었다. 이후 세기에 불가리아는 강력한 제국을 형성하여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발칸 반도를 지배하였고, 이는 고유한 민족 정체성 형성과 이어졌다. 민족적이고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은 같은 종교, 문화, 문자를 통해 통합되었고 이는 외세의 침략과 영향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 민족 의식을 형성하고 보존하였다. 11세기 제 1차 불가리아 제국은 루스와 비잔티움 제국의 공격을 받아 붕괴되었고, 1185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아센 왕가의 페터르와 아센 형제가 주도하여 대대적인 반란이 일어나 제 2차 불가리아 제국이 성립되어 불가리아 국가가 부활하였다. 1230년에 절정을 맞은 후 불가리아는 많은 이유들, 특히나 다방면에서의 외세의 끊임없는 침입에 시달리게 되는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돼지치기 출신의 이바일로가 주도하는 농민 반란이 일어나 그는 차르가 되기도 하였다. 그의 짧은 재위 기간은 불가리아 국가의 통합에 핵심적이었다. 1300년 이후 중흥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1371년 내분으로 불가리아가 세 국가로 분열하면서 끝이 났다. 1396년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하였다. 튀르크에 의해 불가리아 귀족들과 성직자들이 제거된 후, 불가리아는 억압과 지적 정체, 실정의 시기를 맞았고 불가리아의 문화를 파괴하고 500년 가까이 유럽과 격리되게 만들었다. 몇몇 문화적 유산은 이를 채택하고 발전시킨 루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1700년대 이후 오스만 제국이 쇠퇴하면서 부활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불가리아 귀족들은 사라졌고, 농촌 사회와 함께 조금이지만 도시의 중산층도 성장하였다. 19세기에 불가리아 르네상스는 독립을 위한 노력의 핵심이 되었지만 1876년 4월 봉기가 실패하면서 끝이 났고, 그 결과로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발발하여 불가리아는 해방되었다. 하지만 산스테파노 조약은 서구 열강들에게 거부되어 베를린 회의의 결과로 불가리아의 영토는 모에시아와 소피아 지역으로 한정되었다. 이는 국경선 밖의 많은 불가리아인들을 남겼고, 이는 불가리아의 지역 전쟁에서의 군사 활동을 제한하였고 양 대전에서 독일에 대한 충성하게 만들었다. 2차 대전 이후 불가리아는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고, 토도르 지브코프에게 35년 간 통치되었다. 이 시기 불가리아의 경제 성장은 1980년대에 들어 정체 상태에 들어섰고, 결국 중앙유럽 전체에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함과 동시에 국가의 발전의 전환점을 맞았다. 1990년대의 일련의 위기들은 불가리아의 산업과 농업을 뒤흔들어 놓았고, 2000년대에 들어서야 안정되기 시작하였다. 불가리아는 2004년 NATO에 가입하였고 2007년에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8-9세기에 이르는 불가리아의 역사는 어떤일을 겪었을까? Assistant: 8세기 초반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불가리아의 테르벨 칸에게 남부 아랍 세력의 침입에 대한 연합을 제의하였다. 이 연합은 아랍 세력을 패퇴시켰고 테르벨은 '황제 다음가는 인물'을 뜻하는 비잔티움 제국의 칭호 '카이사르'를 받았다. 크룸 칸의 재위 기간(802-814)에 불가리아는 북동부와 남부로 팽창하여, 도나우 강과 몰도바 강 중류 지역(현재의 루마니아)을 점령하였고, 809년에는 소피아를, 812년에는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위협하였다. 크룸은 가난을 줄이기 위한 법제 개혁을 실시하여 그의 국가 내에 유대감을 고취하고자 하였다. 오무르타그 칸의 치세(814-831) 동안 프랑크 왕국과의 도나우 강 중류 국경 지역은 굳건히 정착되었다. 화려한 궁궐, 이교 사원, 통치자의 거주지, 요새, 성채, 급수 시설, 목욕 시설들이 석재와 벽돌을 이용하여 수도 플리스카에 지어졌다.
Human: 아래 손진영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손진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손진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손진영기본 정보출생 1985년 10월 31일(1985-10-31) (33세)대한민국 인천직할시 (現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직업 가수 배우 방송인활동 시기 2009년 ~ 현재 종교 개신교[1]소속사 공감엔터테인먼트웹사이트 손진영 팬 클럽[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손진영 - 트위터 손진영(1985년 10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연기자이다. 목차 1 생애 2 앨범 2.1 디지털 싱글 2.2 OST 2.3 오디션 3 출연작 3.1 드라마 3.2 예능 4 별명 5 각주 생애[편집] 그는 2009년 뮤지컬 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2010년 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에서 정식 데뷔하였다. 앨범[편집] 디지털 싱글[편집] 번호 음반 정보 트랙 리스트 1 《바보라서》 발매일 : 2012년 6월 21일 바보라서 바보라서 (Inst.) 2 《진짜 사나이》 발매일 : 2013년 11월 13일 진짜 사나이 진짜 사나이 (Inst.) 3 Romantic Christmas 발매일 : 2013년 11월 28일 Romantic Christmas (With 노수람) 설레는노래 (로맨틱크리스마스) (With 노수람) Romantic Christmas (Inst.) (With 노수람) 4 《미안해》 발매일 : 2014년 6월 9일 미안해 미안해 (Inst.) 5 《한잔하자》 발매일 : 2014년 12월 9일 한잔하자 한잔하자 (Inst.) 6 GongGam Project Album 2015 발매일 : 2015년 12월 3일 하루가 멀다 (With 허공) 하루가 멀다 (Inst.) (With 허공) OST[편집] 《가족을 지켜라 OST Part 7》 (2015년) 《다시 시작해 OST Part 6》 (2016년) 《빛나라 은수 OST Part 2》 (2016년) 오디션[편집] 《사랑이라는 이름을 더하여》 (정동하, 손진영, 백청강, 이태권) 《이외수, 김태원의 청춘을 위하여》 (손진영, 백청강, 이태권)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2011년~2012년 MBC 창사 50주년 특별기획 《빛과 그림자》 - 홍수봉 역 2012년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97》 - 어린 윤준혁 역 (특별출연) 2012년 MBC 일일시트콤 《엄마가 뭐길래》 - 손진영 역 2013년 MBC 수목드라마 《7급 공무원》 - 김풍언 역 2014년 MBC 《드라마 페스티벌 - 원녀일기》 - 이방 역 2015년 MBC 에브리원 《0시의 그녀》 - 광철 역 2015년 MBC 에브리원 《웹툰히어로 툰드라쇼 - 조선왕조실톡 시즌1》 - 수양대군 역 2016년 MBC 에브리원 《웹툰히어로 툰드라쇼 시즌 2 - 조선왕조실톡 시즌2》 - 신주환 (47세) 역 예능[편집] 2010년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1》 (MBC) 2013년 《추석특집 - 스타 애정촌》 (SBS) 2013년 《일밤 - 진짜 사나이》 (MBC) 2013년 《백만장자 게임 마이턴》 (tvN) 2013년 《해피투게더 시즌 3》 (KBS2) 2014년 《퀴즈쇼 사총사》 (KBS2) 2014년 《출발드림팀 시즌 2》 (KBS2) 2014년 《비타민》 (KBS2) 2014년 《별바라기》 (MBC) 2014년 《위기탈출 넘버원》 (KBS2) 2014년 《브라질월드컵 특집 아이돌 풋살 월드컵》 (MBC) 2014년 《특별생방송 헌혈, 생명을 나눕시다》 (KBS1) 2014년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축제, 농악》 (KBS1) 2014년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A) 2015년 《청춘 익스프레스》 (KBS2) 2016년 《수상한 휴가》 (KBS2) 2016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전설의 포수 백두산》 (MBC) 별명[편집] 구멍 병사 2호 아니지 일병 위대한탄생 손날두 각주[편집] ↑ 종교신념 표출 자제 요청에도 “하나님 감사” 25명 조계종 종평위, 방송3사 연말시상 소감 모니터링 결과 vdeh 일밤복면가왕출연자 김성주 ,김구라 외 판정단 및 참가자 역대 종영된 코너 이경규의 양심냉장고(출연 : 이경규) 김국진의 국민투표(출연 : 김국진) 시네마 천국 이휘재의 인생 극장(출연 : 이휘재, 김원희) 신동엽의 신장개업(출연 : 신동엽) 몰래카메라(출연 : 이경규) 이경규가 간다(출연 : 이경규) 해결 대작전(출연 : 신동엽) 스타 워즈(출연 : 신동엽) 러브하우스(출연 : 신동엽, 박수홍, 윤정수) 사랑의 게릴라콘서트(출연: 김진수, 박수홍 외) 주영훈의 공포별장(출연: 주영훈) 공포 체험 스타 119(출연: 주영훈 외) 해결 대작전(출연 : 신동엽) 상상원정대(출연 : 이경규, 정형돈, 이윤석 외) 경제야 놀자!(출연 : 김용만, 조형기, 김성주, 오상진 외) 브레인 서바이버(출연 : 김용만 외) 아빠! 어디가?(출연 : 김성주, 성동일, 정웅인, 윤민수, 안정환, 류진, 김민율, 성빈, 정세윤, 윤후, 안리환, 임찬형) 대단한 도전(출연 : 이경규, 김용만, 박수홍, 윤정수, 조형기, 이윤석) 동안클럽 노다지 오빠밴드 단비 우리 아버지 헌터스 뜨거운 형제들 오늘을 즐겨라 신입사원 집드림 바람에 실려 나는 가수다 룰루랄라 꿈엔들 남심여심 승부의 신 나는 가수다 II 매직콘서트 이것이 마술이다 애니멀즈 진짜 사나이 은밀하게 위대하게 오지의 마법사 두니아 처음 만난 세계 궁민남편 가시나들 분리 편성된 코너우리 결혼했어요 세상을 바꾸는 퀴즈 나는 가수다 세모방 : 세상의 모든 방송 진짜 사나이 300 vdeh 출발드림팀 시즌 2출연자고정(반고정 포함) 박재민 최성조 쇼리 손진영 하차1 이상인 조성모 은혁 준호 민호 데니 안 상추 진온 마르코 김동준 남창희 조세호 리키 김 붐(공동 MC) 이이경 권태호 상훈 김동성 오승윤 진행자 이창명 전속 해설위원 이병진 방영 목록 출발 드림팀 시즌 2의 방영 목록 1. 고정 멤버에서 하차 포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손진영&oldid=24171415" 분류: 198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가수2009년 데뷔20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작사가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뮤지컬 감독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참가자대한민국의 개신교도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인천광역시 출신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9일 (목) 10: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손진영(1985년 10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연기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손진영이 손진영 역으로 출연한 시트콤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엄마가 뭐길래 Human: 아래 어머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어머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머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엄마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어머니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엄마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엄마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어미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언어에서의 어미에 대해서는 어미 (언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캄보디아의 어머니와 자식, 2009년 촬영. 한자의 어머니 모 어머니는 자식의 여성 부모이다.[1] 엄마라고도 한다. 한국어에서 어머님은 돌아가신 어머니나 시어머니, 장모, 또는 다른 사람의 어머니를 높여부르기 위해 쓰이는 말[2]로 자신의 살아계신 어머니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3] 다른 사람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에는 자당(慈堂)과 같은 말이 있고[3], 자신의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때에는 자친(慈親)이라고 한다.[4] 어머니는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그의 여성 모부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1] 일반적으로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땐 모친(母親)이라고 한다.[5] 며느리를 손자의 입장에서 부를 때나 어머니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낮추어 부를 때 어미라고 하고[6], 간혹 어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주해 1] 어머니는 생물학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가리키기도 한다. 자식을 직접 낳은 유전학적인 어머니는 생모(生母), 친어머니라고 하고, 아버지가 사별이나 이혼과 같은 이유로 새로 결혼하여 맞이한 어머니는 의붓어머니 , 계모, 새어머니와 같이 불린다. 입양된 가정의 어머니는 양어머니, 입양하지 않았더라도 후견을 하여준 경우는 수양어머니라고 한다.[7] 가족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자신의 어머니와 비슷한 나이의 여성을 어머니라 부르기도 한다.[1]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른 여남의 수정체를 이식하여 출산하는 경우가 생겼다. 이 경우 대리모라는 명칭이 쓰인다. 대리모의 법률적 인정 여부는 국가마다 다르며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이다.[8] 목차 1 어원 2 역할과 관계 3 모성애 4 보건과 안전 5 폭력 6 예술 7 같이 보기 8 각주 8.1 내용주 8.2 참조주 어원[원본 편집] 신라시대의 학자 최치원이 지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의 비문에 阿㜷가 어머니를 가리키는 신라어라고 기록되어 있어[9] 신라 시대에 이미 어미라는 말이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할과 관계[원본 편집] 가족사회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는 임신과 출산을 통해 자식을 낳고 길러 세대 재생산을 한다.[10] 인간의 아이는 미숙한 채로 태어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모부의 양육을 필요로 한다.[11] 인류학에서는 모부의 양육 역할에 다양한 방식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출산은 분명 여성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지만, 양육의 분담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일부 인류 집단에서는 양육이 여의치 않은 경우 어머니가 자식을 죽이는 일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도 한다.[11] 출산과 양육, 그리고 가족 관계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생물학적 역할과 사회적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19세기까지도 많은 문화에서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를 이유로 양육의 책임을 여성 모부에게 전가하는 일이 당연시 되었다. 이마누엘 칸트는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가족 관계 내에서도 역할이 다르며 그 역할은 서로 상보적이지만 남성성이야 말로 만물의 척도이기 때문에 여성에게 동등한 권리를 줄 수 없다는 차별적인 주장을 펼쳤다.[12] 칸트의 이러한 주장은 18세기와 19세기의 남성 철학자들 다수에게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견해였다. 이들은 상보적 성 역할 이론으로 모성을 미화하고 숭배하였다. 철학의 모성 숭배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사이 정점을 찍었다.[13] 초기 여성주의 저술가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모성의 관점에서 옹호하는 일도 있었으나[13], 이후 여성주의 철학은 신화적인 모성 숭배가 만들어낸 여성성인 "이상적인 모성" 이 오히려 여성에 대한 억압의 근거로 작용하였다고 지적한다.[14] 여성주의는 가부장을 정점으로 하는 공동체로 가족을 설명하는 기능주의적 묘사가 불평등을 감추기 위한 이데올로기라고 비판한다.[15] 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제가 미화하는 이상적 모성은 강요된 것으로 현실에서는 사회 제도가 임신과 출산, 양육, 가사 노동 등을 전적으로 여성에게 떠미는 수단이 될 뿐이라고 본다.[16] 현실에서 여성은 출산에 대해 일방적인 압박을 느끼며[17], 가족 관계 내에서 어머니의 성 역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회적 갈등 요소이다.[18] 그러나 제2세대 여성주의의 출현 이후 여성주의 일각에서는 모성 자체를 거부하는 것 역시 반여성적이라는 비판도 있다.[19] 이들은 모성을 "인간적 모성"과 "가부장적 모성"으로 나누고 가부장제에 의해 이데올로기화 된 모성이 아닌 생명, 소통, 평화등을 기반으로한 인간적 모성의 실현을 강조한다.[20] 한편, 가족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계속하여 변화하고 있는데, 역사 속에서 할머니와 아버지, 할아버지 등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기도 하고[11], 최근에는 아버지의 양육 의무가 강조되기도 한다.[21] 모성애[원본 편집] 모성애(母性愛)는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본능적인 사랑을 가리킬때 사용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여성과 남성이 자녀의 출산 및 성장에 있어서 갖게되는 사랑중 여성의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이러한 모성애가 박탈되는 환경 즉 모성애박탈(母性愛剝奪)은 어린아이의 성장기 발달 초기에 어머니 또는 이러한 영향력을 제공할수있는 양육자로부터 애정 어린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러한 상태를 체험하는 경험으로서 아이의 장차 여성상형성에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어주는 경험의 결핍으로 애착 형성 곤란, 성장 및 지적 발달 지연, 상황의 긍정적 해결에 있어서 좀더 불안정한 인식를 야기할 수 있다.[22][23] 보건과 안전[원본 편집] 임산부 사망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세계보건기구는 임산부 사망률의 집계 기준을 "여성이 임신 중에 있거나 출산, 중절, 또는 여타의 이유를 막론하고 임신이 종료 된 뒤 42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하고 있다.[24] 세계보건기구에서 집계되는 임산부 사망 건수 가운데 58%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29%는 남아시아에서 일어난다.[25] 세이브 더 칠드런의 2006년 조사에서는 출산 위험률이 가장 높은 곳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가장 안전한 곳으로 스칸디나비아를 꼽았다.[26] 폭력[원본 편집] 어머니와 자식 사이에는 폭력이 발생하기도 한다. 기원전 101년에 사망한 클레오파트라 3세는 자식 간의 왕위 문제에 개입하였다가 결국 아들에게 살해되었다.[27] 2012년 미국의 살인 사건 집계 가운데 자식이 어머니를 살해한 경우는 130건, 어머니가 자식을 살해한 경우는 383 건이었다.[28] 한국에서는 서래마을의 외국인 가정에서 일어난 영아살해 사건이 사회적 관심을 받기도 하였다.[29] 예술[원본 편집] 메리 카사트 - 목욕시키는 어머니 케테 콜비츠 - 쌍둥이와 함께 있는 어머니 어머니는 오랫 동안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되어 왔다. 기독교의 영향이 깊은 문화에서는 성모에 대한 숭배 전통이 있어 왔고, 이들은 어머니 마리아와 아들 예수를 표현한 다수의 예술품을 남겼다.[30] 메리 카사트는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있는 모습을 자주 그렸다. 막심 고리키의 《어머니》[31]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관점에서 모성을 그린 소설이다.[32] 케테 콜비츠는 전쟁이야말로 자식잃은 어미의 가장 큰 적이라고 보았고 모성을 평화의 근간으로 파악하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33]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통해서 전쟁의 덧없음을 그렸다.[34] 나혜석은 《모 된 감상기》에서 자신이 자식을 낳고 기른 경험을 통해 신화로 만들어진 "본능적인 모성"을 부정하였다.[35] 같이 보기[원본 편집] 위키데이터에 관련 속성이 있습니다. 친어머니 (P25)(사용 현황)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어머니 가족 부모 아버지 부계불확실성 성 역할 임신·출산·육아 모자보건법 가족계획 양부모 아내 각주[원본 편집] 내용주[원본 편집] ↑ 어멈은 원래 어미를 대접하여 부르는 말이었지만(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낮은 계급의 나이든 여성을 가리키는 경우로도 쓰였기 때문에 현대 언어로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참조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어머니_0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어머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가 나 부모에 대한 호칭어·지칭어, 국립국어원 언어예절 ↑ 자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모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어미_0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 대리모 허용, 불허하는 국가들, 한국일보, 2015년 12월 23일 ↑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비문(1)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해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Pregnancy: Condition Information, NIH ↑ 가 나 다 한나 홈스, 박종성 역, 《인간생태보고서: 먹고, 싸우고, 사랑하는 일에 관한 동물학적 관찰기》, 웅진지식하우스, 2010년, ISBN 978-89-01-10807-0, 281-332쪽 ↑ 론다 쉬빈저, 조성숙 역, 《두뇌는 평등하다》, 서해문집, 2007년, ISBN 978-89-7483-327-5, 310쪽 ↑ 가 나 거다 러너, 《역사 속의 페미니스트 - 중세에서 1870년 까지》, 평민사, 2007년, ISBN 978-89-7115-485-4, 389쪽 ↑ 임정빈, 정혜정, 《성역할과 여성 - 여성학 강의》, 학지사, 1997년, ISBN 89-7548-116-6, 243-246쪽 ↑ 한국여성연구소, 《새 여성학강의》, 동녘, 1999년, ISBN 89-7297-405-6, 187-191쪽 ↑ 한국여성연구소, 《새 여성학강의》, 동녘, 1999년, ISBN 89-7297-405-6, 197-202쪽 ↑ “애 지울 용기없다” 30대 여성 숨진 채 발견, 경향신문, 2017년 1월 24일 ↑ “아들 性교육, 남자인 내가…” 일방적 생각이 양육갈등 불러, 한국일보, 2016년 10월 17일 ↑ 조형,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 리더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년, ISBN 89-7300-648-7, 92쪽 ↑ 곽삼근, 《여성주의 교육학 - 학습리더쉽의 출현과 의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년, ISBN 978-89-7300-807-0, 57-58쪽 ↑ 저출산 극복, 일·가정 양립이 해법, 세계일보, 2016년 12월 22일 ↑ 우리말샘 - 모성애 및 모성애박탈 ↑ (모성애척도의 구성-부산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1991,RISS)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251f3b331c137446 ↑ "WHO - Maternal mortality ratio (per 100 000 live births)". who.int. ↑ "Over 99 percent of maternal deaths occur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bank.org. ↑ State of the World's Mothers Report 2006, Save the Children ↑ Ptolemy X Alexander ↑ "Crime in the United States: Murder Circumstances by Relationship, 2012". U.S.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Retrieved 3 July 2015. ↑ 한국의 과학수사 ② 99.99%의 확실성 DNA의 증거능력, 연합뉴스, 2016년 6월 4일 ↑ 마가렛 스타버드, 임경아 역, 《성배와 잃어버린 장미 - 다빈치 코드의 비밀》, 루비박스, 2004년, ISBN 89-9112-417-8, 159-160쪽 ↑ 막심 고리키, 이강은 역, 《어머니》, 푸른숲주니어, 2008년, ISBN 978-89-7184-782-4 ↑ 김병옥, 《도이치문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년, ISBN 978-89-5210-249-2, 450쪽 ↑ 자식 잃은 어머니의 안타까운 절규 ‘전쟁은 이제 그만’, 동아일보, 2006년 4월 4일 ↑ 페터 브라운, 홍이정 역, 《색다른 문학사》, 좋은책만들기, 2008년, ISBN 978-89-9253-813-8, 222-223쪽 ↑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 2002년, ISBN 978-89-5626-005-1, 190쪽 vdeh가족직계 배우자 남편 아내 부모 아버지 어머니 자녀 아들 딸 형제자매 형제 자매 확대가족 조부모 할아버지 할머니 외조부모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조카 사촌 인척 시부모 시아버지 시어머니 처부모 장인 장모 사위 며느리 친족 혈족 혼인 이혼 입양 혈통 조상 성씨 가계도 족보 계보학 유전 상속 관계 아가페(부모애) 효 존경 에로스(부부애) 필리아(우애) 스토르게(가족애)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어머니&oldid=24398577" 분류: 인간의 성여성을 가리키는 용어어머니성과 사회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Boarisch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ahasa Banjar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ᏣᎳᎩ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贛語GàidhligGalego𐌲𐌿𐍄𐌹𐍃𐌺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ಕನ್ನಡकॉशुर / کٲشُرKurdîLatinaLigureLumbaartLingála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Nāhuatl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ଓଡ଼ିଆਪੰਜਾਬੀDeitschPolski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ᱥᱟᱱᱛᱟᱲᱤSicilianuScotsسنڌي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ತುಳು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Тыва дыл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ייִדישYorùbá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19:0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어머니는 자식의 여성 부모이다. 엄마라고도 한다. 한국어에서 어머님은 시어머니, 장모, 또는 다른 사람의 어머니를 높여부르기 위해 쓰이는 말로 자신의 살아계신 어머니를 가리키는 경우에는 쓰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에는 자당(慈堂)과 같은 말이 있고, 자신의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때에는 자친(慈親)이라고 한다.어머니는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그의 여성 부모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일반적으로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땐 모친(母親)이라고 한다. 며느리를 손자의 입장에서 부를 때나 어머니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낮추어 부를 때 어미라고 하고, 간혹 어멈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어머니는 생물학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가리키기도 한다. 자식을 직접 낳은 유전학적인 어머니는 생모(生母), 친어머니라고 하고, 아버지가 사별이나 이혼과 같은 이유로 새로 결혼하여 맞이한 어머니는 의붓어머니 , 계모, 새어머니와 같이 불린다. 입양된 가정의 어머니는 양어머니, 입양하지 않았더라도 후견을 하여준 경우는 수양어머니라고 한다. 가족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자신의 어머니와 비슷한 나이의 여성을 어머니라 부르기도 한다.과학기술의 발달로 다른 남녀의 수정체를 이식하여 출산하는 경우가 생겼다. 이 경우 대리모라는 명칭이 쓰인다. 대리모의 법률적 인정 여부는 국가마다 다르며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이다. 어머니와 비슷한 말로는 엄마, 어미, 어멈 등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여성과 남성이 생물학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역할이 다르기에 여성에게 남성과 같은 권리를 줄 수 없다는 주장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Assistant: 이마누엘 칸트
Human: 아래 한니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니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니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8월) 다른 뜻에 대해서는 한니발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한니발 바르카Hannibal Barca 한니발의 대리석 조각상. 생애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83년? 181년? 출생지 카르타고 사망지 리빗사 별명 전략의 아버지 복무 카르타고 제국 최종 계급 카르타고 군의 총사령관 주요 참전 제2차 포에니 전쟁 사군툼 공성전 티키누스 전투 트레비아강 전투 트라시메네호 전투 칸나에 전투 실라루스 전투 헤르도니아 전투 자마 전투 한니발 바르카(라틴어: Hannibal Barca, 그리스어: Ἀννίβας Βάρκας,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83년 또는 기원전 181년)는 고대 카르타고의 군사 지도자로, 대개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령관들 중 하나로 평가된다. 한니발 바르카는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사령관이었던 하밀카르 바르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로는 마고 바르카와 하스드루발 바르카가 있었다. 또 공정한 하스드루발과는 처남매부지간이었다. 한니발은 로마 공화정과 카르타고 제국, 마케돈 및 시라쿠사, 셀레우코스 제국 등의 헬레니즘 국가들 모두 얼키고설킨 지중해 패권투쟁의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시대를 살다 갔다. 한니발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이베리아 반도에서 피레네 산맥과 알프스 산맥을 넘어 로마 본토인 이탈리아 반도까지 쳐들어간 것이 있다. 이탈리아에서의 처음 몇 년 동안 한니발은 세 차례의 전투(트레비아강 전투, 트라시메네호 전투, 칸나에 전투)에서 극적인 승리를 이루었다. 그리고 아군과 적군의 강약을 정확히 살피면서 로마의 동맹시들을 하나하나 격파해 나갔고, 15년 동안 이탈리아 반도 대부분을 점령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로마가 북아프리카를 역침공하자 한니발은 카르타고 본토 방어를 위해 귀환할 수밖에 없었고, 자마 전투에서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게 결정적 패배를 당하게 된다. 스키피오는 한니발의 전략을 연구함으로써 로마 최악의 적수였던 한니발을 무찌르고, 이베리아 반도에 웅거하던 한니발의 동생 하스드루발까지 토벌했다. 제2차 포에니 전쟁이 카르타고의 패배로 끝난 이후 한니발은 판관으로서 로마에 대한 전쟁배상금을 비롯한 여러 정치적 재정적 문제에 대한 개혁을 주도했다. 그러나 한니발의 개혁은 카르타고의 귀족들의 심기를 거슬렀고, 한니발은 자발적 망명이라는 형태로 도망치는 신세가 되었다. 그리고 셀레우코스 제국으로 가서 로마와의 전쟁을 준비하던 안티오쿠스 3세의 군사고문관이 되었다. 안티오쿠스가 마그네시아 전투에서 로마에게 패배하자 한니발은 다시 도망자 신세가 되었고, 아르메니아까지 도망쳤다. 한니발의 도피생활은 비티니아에서 끝났고, 한니발은 비티니아 해군을 이끌어 페르가몬 해군에게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 뒤 한니발은 로마에게 팔아넘겨지게 되었고, 더이상 도망칠 곳이 없어진 한니발은 음독자살했다. 한니발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 전략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피로스와 함께 고대 최고의 장군들 중 하나로 사료된다.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러한 일화가 있다. 스키피오가 한니발에게 가장 위대한 장군이 누구냐고 묻자 한니발은 알렉산드로스와 피로스를 말하고 그들을 이어 세째 가는 것이 자신이라고 대답했다. 댁은 자신에게 지지 않았냐는 스키피오의 물음에 한니발은 자신이 스키피오를 이겼다면 앞서 말한 두 대왕마저 뛰어넘어 제일이 되었을 것이라 답했다.[1] 이 이야기의 또다른 판본에서는 알렉산드로스 대신 스키피오가 들어가는데 전체적인 줄거리는 같다.[2] 군사사학자 시어도어 에이랄트 닷지는 한니발의 적이었던 로마마저 한니발을 무찌르기 위해 한니발의 전술과 전략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에서 한니발을 “전략의 아버지(father of strategy)”라고 불렀고, 이 별명은 두고두고 회자되고 있다.[3] 이 “전략의 아버지”라는 찬사로 한니발은 불멸의 명성을 얻었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같은 반열에 드는 위대한 전략가로 여겨지게 된다. 목차 1 성장 배경과 어린 시절 2 제2차 포에니 전쟁 2.1 피레네와 알프스를 넘은 이유 2.2 한니발의 리더십 2.3 타키누스 전투 2.4 늪지대 통과 2.5 트라시메네호 전투 2.6 칸나이 전투 2.7 한니발의 몰락 2.7.1 카르타고의 군사적 패배 2.7.2 파비우스 막시무스 집정관의 전략 2.7.3 스키피오의 전략 3 자살 4 같이 보기 5 각주 6 외부 링크 성장 배경과 어린 시절[편집] 카르타고의 장군이었던 하밀카르 바르카의 아들로 태어났다. ('바르카'는 페니키아어로 '천둥'을 뜻한다.) 여러 명의 누이와 2명의 형제가 있었는데, 형제의 이름은 하스드루발과 마고였다. 매형으로는 카르타고의 집정관을 지낸 보밀카르, 공정한 하스드루발과 누미디아의 왕자인 나라바스가 있었다.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가 로마에게 패배하자, 하밀카르 바르카는 가족과 자신의 나라인 카르타고의 미래를 위해 카르타고에서 이베리아 반도로 이주한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광산을 개발한 카르타고는 전쟁으로 인한 상처를 극복하여 로마를 두렵게 하였는데, 실제로 당시 로마에서는 카르타고의 실력을 두려워한 강경노선의 정치인이 "(로마 공화정이 카르타고와의 생존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반드시 카르타고를 몰락시켜야 합니다."라고 연설할 정도였다.[4] 제2차 포에니 전쟁[편집] 한니발의 침입로를 보여주는 지도 한니발은 제1차 포에니 전쟁 당시 활약했던 장군 하밀카르 바르카의 아들로 태어났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 의하면 9살에 로마를 쳐부술 것을 카르타고의 신 타니트에게 맹세했다고 한다. 청년 시절에는 아버지와 매형의 뒤를 이어, 식민지였던 에스파냐에서 총독으로 근무했다. 피레네와 알프스를 넘은 이유[편집] 알프스를 넘고 있는 한니발의 코끼리 부대 제2차 포에니 전쟁이 일어난 기원전 218년 여름, 고작 28살에 불과한 젊은 장군인 한니발은 10만여 명의 군대를 이끌고 에스파냐를 출발, 피레네와 알프스 산맥을 넘었다. 그러나 그때 군사는 보병 2만, 기병 6천으로 줄어들어 있었다. 당시 로마 공화정에서는 한니발의 군대가 해안가를 따라 행군할 것이라 예상하여 마르세유 지역에 집결하고 있었다. 마르세유에서 로마군과 싸우는 것은 한니발에게 불리하였는데, 그 이유는 마르세유 일대는 로마화가 충실히 되어 로마군은 충분한 보급을 받을 수 있었고 또한 그 지역의 갈리아 족은 로마군에게 우호적이였으므로 한니발이 우군으로 삼을 만한 세력이 많지 않았다. 한니발은 북이탈리아에서 싸우고 싶어했는데 북이탈리아의 갈리아 족은 로마군의 식민화에 거세게 저항하고 있는 중이였으므로 한니발의 강력한 동맹 세력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였다. 이러한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해 보고 로마군의 허를 찌르기 위해 한니발은 겨울에 알프스 산맥을 넘는다. 훗날 알프스 산맥을 넘는 것은 그의 동생인 하스드루발과 먼 훗날의 나폴레옹에 의해 재현되나 후대의 두사람이 여름에 산맥을 넘은 것에 비해 한니발은 겨울에 넘었다. 또한 하스드루발이나 나폴레옹에겐 한니발이라는 선례가 있었으나 한니발 이전엔 군대를 이끌고 알프스를 넘은 장수는 없었기 때문에 모험의 정도에서 한니발이 훨씬 어려운 것이었다. 한니발의 리더십[편집] 한니발의 군대가 피레네 산맥과 알프스 산맥을 넘은 사건에 대해 역사저술가 플루타르코스는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에서 눈병을 치료하지 못해 한쪽 눈을 잃었음에도 낙심하지 않고, 작전에 몰두한 한니발의 열정과 자신들을 방해하는 원주민 포로들 중 용맹한 전사는 고향에 돌려보내는 관용으로 복종시킨 지도력이 기적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과학자 이종호는 한니발에게 과학지식이 있었다고 본다. 고대 군인들은 갈증과 피로를 해소하기 위해 식초를 갖고 다녔는데, 한니발은 산성인 식초를 이용해서 행군을 방해하는 바위를 갈라지게 하여 제거했다는 것이다.[4] 타키누스 전투[편집] 알프스를 넘어 북이탈리아에 진입한 한니발은 그를 추격해 온 집정관 스키피오를 티키누스 전투에서 이긴다. 그리고 다른 집정관인 샘프로니우스의 군대를 트레비아강가에서 대파한다. 이로써 한니발은 이탈리아 북부에서 로마 세력을 완전히 몰아낸다. 늪지대 통과[편집] 다음해인 기원전 217년에 한니발은 이탈리아 중부로 싸움터를 옮기기로 결정한다. 남하하는 두 가도를 새로 선출된 집정관인 게미니우스와 플라미니우스가 봉쇄하고 있었는대 한니발은 그들의 허를 찌르기 위해 가운데에 있는 늪지대를 통과한다. 이 늪지대는 수백킬로미터에 걸쳐 무릎까지 차는 물이 고여있었고 따라서 막사를 지어 병사들이 숙영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한니발은 이 늪지대를 3일 밤낮 쉬지않고 행군을 하였고, 이런 혹사로 인해 많은 병사들이 목숨을 잃는다. 또한 행군 도중 한니발 역시 눈병에 걸려 한쪽 눈을 잃는다. 트라시메네호 전투 트라시메네호 전투[편집] 위의 혹독한 행군으로 이탈리아 중부에 진입한 한니발은 서둘러 추격해온 집정관 플라미니우스를 도발하여 매복하고 있었던 트라시메노 호숫가로 유인하는데 성공, 트라시메네호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어서 2만 7천 명의 로마 군인과 집정관 플라미니우스를 학살한다. 플라미니우스가 사망한 이후 독재관으로 선출된 파비우스 막시무스는 지구전법을 통해 한니발의 회전을 피하고 그의 보급을 차단하는데 주력한다. 이 전략으로 인해 이탈리아 중부에서의 싸움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이에 따라 한니발은 이탈리아 남부로 이동한다. 칸나이 전투에서 로마군(붉은색)의 파괴를 보여주는 그림 칸나이 전투[편집] 다음해에 새로 선출된 바로와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는 조속히 전쟁을 마무리 짓기를 원했던 로마 시민들의 희망에 따라 8만 7천명의 대군을 조직한 뒤 한니발이 머물고 있던 칸나이로 향한다. 한니발은 바로와 아이밀리우스가 지휘하는 8만 7천 명의 대군에 겨우 5만 명으로 맞붙게 되었는데, 이 칸나이 전투에서 중앙에 약한 군을 배치하고 나머지 왼측과 오른쪽에 강한 군대를 배치하는 초승달 전법 으로 카르타고 군은 겨우 6,000명을 잃으면서 로마군을 7만이나 죽이고 1만을 포로로 잡는 대승을 거두어 로마를 궁지로 몰아넣는다. 이 전쟁의 여파로 인해 이탈리아 중부의 대도시인 카푸아가 로마를 배신하고 한니발에게 붙는다. 그러자 로마에게 이탈하려는 움직임이 많은 도시에서 일어났고 남부 이탈리아의 타렌툼, 시칠리아의 시라쿠사와 같은 도시는 한니발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으로 주둔하고 있던 로마군을 쫓아내고 한니발 편에 서게 된다. 그 결과 로마는 중부 이탈리아의 일부, 남부 이탈리아의 대부분, 북부 이탈리아의 전부를 잃었으며 또한 시칠리아 섬에마저 적을 두게 된다. 한니발의 몰락[편집]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흉상 카르타고의 군사적 패배[편집] 그러나 로마 공화정은 여전히 카르타고와의 전쟁의 의지가 강했고, 전쟁에 쓸 수 있는 인적 자원도 풍부한 상태였다. 또한 한니발 이외의 다른 카르타고 장군들은 궤멸적인 패배를 거듭하여 한니발이 쓸 수 있는 인적 자원을 고갈시켰다. 한니발이 칸나이에서 대승을 거둔 이후 스페인에서 하스드루발 바르카는 스키피오 형제들에게 사라고사에서 대패를 한다. 사르디냐 섬의 반란을 돕기위해 침공한 2만여의 카르타고 군은 주둔중인 로마군에 의해 전멸당한다. 그리고 이탈리아 반도 내에서 한니발이 직접 이끄는 병력에 거의 맞먹는 병력을 이끌고 있던 한노는 한니발과 합류하기 위해 북상하던 중 베네벤툼에서 노예로 구성된 그라쿠스 군을 만나 의해 궤멸당한다. 칸나이 전투 이후 이들 다른 카르타고 장군들이 당한 패배는 이미 칸나이에서 전사한 로마군의 수를 능가하였으며 이러한 패배는 한니발이 승기를 굳힐 기회를 날려버리고 만다 파비우스 막시무스 집정관의 전략[편집] 로마의 파비우스 막시무스 집정관의 지구전은 보급을 방해하는 한편 한니발이 지휘하지 않은 군대엔 적극적으로 공격을 퍼붓는 방법이였는데 이는 곧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한니발 이외의 다른 카르타고 장군 들 중엔 로마 장군들에 맞먹는 지휘관이 없었다. 한니발은 칸나이 전투 이후에도 이탈리아 중부에서 연승을 거듭하여 로마의 6개 군단을 불과 며칠 사이에 쓸어버리는 등의 활약을 하였으나, 한니발이 이렇게 싸우는 동안 로마군은 이탈리아 중부의 대도시인 카푸아를 겹겹이 포위한다. 한니발은 이 카푸아의 포위를 풀기 위해 주력부대로 한쪽 포위망을 급습하나 로마군은 이 공격을 물리친다. 이 포위를 풀고자 한니발은 생애 최초아지 마지막으로 로마를 직접 공격해 보지만, 로마군은 카푸아의 포위를 풀지 않았고 로마의 성벽은 상당히 견고하였다. 결국 한니발은 카푸아를 잃고 얼마 안있어 시칠리아의 시라쿠사 도시도 로마군에 의해 함락된다. 그 뒤 이탈리아 남부의 가장 강력한 도시인 타렌툼마저 친 로마 성향의 시 지도자들이 반란을 일으켜 로마 편에 선다. 또한 스페인에서는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부임하여 한니발의 동생인 하스드루발 바르카와 마고 바르카를 완전히 격파하고, 카르타고 세력을 그 지역에서 내몰았다. 하스드루발 바르카는 이탈리아에 있는 한니발과 합류하기 위해 남아있던 자신의 병력을 모두 데리고 알프스를 넘어 북 이탈리아에 진입하나, 한니발에 앞서 미리 대기하고 있었던 로마군에 의해 궤멸당하고 하스드루발도 목숨을 잃는다. 점점 전황이 한니발에게 불리하게 되자 많은 도시들이 한니발에게 협력을 하지 않았고, 따라서 한니발은 이탈리아의 장화 발부리 끝인 칼라브리아로 쫓겨갔다. 스키피오의 전략[편집] 기원전 204년 겨우 31세에 불과한 젊은 총사령관 스키피오가 아프리카를 침략하자 결국 기원전 203년 아프리카의 본국으로 돌아왔다. 본국에 돌아왔지만 어느새 한니발의 전략을 더욱 우수하게 습득한 로마의 젊은 장군 스키피오와 자마에서 싸워 완패했다. 이 전투로 인해 제 2차 포에니 전쟁은 종언을 맞으며, 카르타고는 로마에게 지중해 세계의 자치권을 넘겨주게 된다. 자살[편집] 한니발의 아내, 시밀케와 그의 아들, 그리고 에스파냐에서 총독으로 근무하던 동생, 하스드루발과 또다른 동생 마고는 로마와의 전쟁 중에 죽었으며, 자신도 포로가 되지 않기 위해서 소아시아로 도망쳤다가 수년 후 공을 세우고 싶어한 한 로마인 백인대장이 자신을 찾는것을 알자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던 독을 마셔 자살을 하였다. 이때 그는 향년 64세 또는 66세였다 (기원전 183년) 같이 보기[편집] 노블레스 오블리주 각주[편집] ↑ Plutarch, Life of Titus Flamininus 21.3-4. ↑ Plutarch, Life of Pyrrhus 8.2. ↑ Ayrault Dodge, Theodore (1995). 《Hannibal: A History of the Art of War Among the Carthaginians and Romans Down to the Battle of Pydna, 168 BC》. Da Capo Press.  ↑ 가 나 《과학으로 여는 세계불가사의 1 - 신과 미지의 수수께끼에 도전한 인간들의 이야기》2부 신화의 무대-8장 한니발과 카르타고의 비밀의식 /이종호 지음/문화유람 외부 링크[편집] 네이버캐스트 - 한니발 vdeh유명한 카르타고인 디도 마고 1세 마고 (농업작가) 마고 바르카 마하르발 소포니스바 아드 헤발 카르탈로 하밀카르 (드레파눔) 하밀카르 바르카 항해자 히밀코 하스드루발 기스코 하스드루발 바르카 하스드루발 (기병대 사령관) 공정한 하스드루발 한노 대왕 항해자 한노 연장자 한노 한노(보밀카르의 아들) 한니발 바르카 한니발 기스코 한니발 모노마쿠스 한니발 (로디아인)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1819384 LCCN: n50034033 ISNI: 0000 0001 2129 582X GND: 118545655 SELIBR: 259709 SUDOC: 02759680X BNF: cb11960266k (데이터) ULAN: 500354945 NLA: 61542262 NDL: 00620785 NKC: jn20000700666 BNE: XX83293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니발&oldid=24184204" 분류: 기원전 247년 태어남기원전 183년 죽음카르타고의 장군육군 군인포에니 전쟁자살한 군인음독 자살한 사람애꾸눈이바르카 가한니발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4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그리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ULA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Башҡортса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МокшеньMalagasy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irandésPlattdüütsch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est-Vlams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00: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니발 바르카(언어 오류(xpu): 𐤇𐤍𐤁𐤏𐤋𐤟𐤁𐤓𐤒, 라틴어: Hannibal Barca, 그리스어: Ἀννίβας Βάρκας, 기원전 247년 ~ 기원전 183년 또는 기원전 181년)는 고대 카르타고의 군사 지도자로, 대개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령관들 중 하나로 평가된다. 한니발 바르카는 제1차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의 사령관이었던 하밀카르 바르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제로는 마고 바르카와 하스드루발 바르카가 있었다. 또 공정한 하스드루발과는 처남매부지간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칸나이 전투에서 카르타고 군이 사용한 전법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초승달 전법 Human: 아래 대한민국의_방송통신위원회_위원장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현직:이효성 2017년 7월 31일 취임 초대 최시중성립 2008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放送通信委員會 委員長)은 방송통신위원회를 대표하는 직위로,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목차 1 임명 2 역할 3 역대 위원장 3.1 방송위원회 위원장 3.2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4 같이 보기 5 각주 임명[편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역할[편집] (정부조직법 제7조제1항) 각 행정기관의 장은 소관사무를 통할하고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6조제1항)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고 위원회의 회의를 주재하며 소관사무를 통할한다. 역대 위원장[편집] 방송위원회 위원장[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제5공화국 초대 윤석중(尹石重) 1981년 3월 30일 ~ 1982년 3월 18일 2대 1982년 3월 19일 ~ 1984년 4월 24일 3대 정희택(鄭喜澤) 1984년 4월 25일 ~ 1986년 4월 11일 4대 고병익(高柄翊) 1986년 4월 12일 ~ 1987년 4월 10일 5대 1987년 4월 11일 ~ 1988년 8월 2일 노태우 정부 6대 강원용(姜元龍) 1988년 8월 3일 ~ 1990년 12월 5일 7대 1990년 12월 6일 ~ 1991년 3월 19일 8대 고병익(高柄翊) 1991년 4월 8일 ~ 1993년 4월 24일 김영삼 정부 9대 김창열(金昌悅) 1993년 6월 9일 ~ 1997년 6월 19일 10대 1997년 6월 20일 ~ 1999년 8월 13일 김대중 정부 11대 김정기(金政起) 1999년 9월 6일 ~ 2002년 1월 22일 12대 강대인(姜大仁) 2002년 2월 22일 ~ 2003년 5월 7일 노무현 정부 13대 노성대(盧成大) 2003년 5월 10일 ~ 2006년 7월 12일 14대 이상희(李相禧) 2006년 7월 14일 ~ 2006년 8월 25일 - 최민희(崔敏姬) 2006년 8월 26일 ~ 2006년 9월 25일 직무대행 15대 조창현(趙昌鉉) 2006년 9월 26일 ~ 2008년 2월 28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편집]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 최시중(崔時仲) 2008년 3월 26일 ~ 2011년 3월 27일 2대 2011년 3월 28일 ~ 2012년 2월 22일 - 홍성규(洪性奎) 2012년 2월 22일 ~ 2012년 3월 9일 직무대행 3대 이계철(李啓徹) 2012년 3월 9일 ~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정부 - 김충식(金忠植) 2013년 2월 25일 ~ 2013년 4월 17일 직무대행 4대 이경재(李敬在) 2013년 4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5대 최성준(崔成俊) 2014년 4월 8일 ~ 2017년 4월 7일 - 고삼석(高三錫) 2017년 4월 8일 ~ 2017년 6월 8일 직무대행 문재인 정부 6대 이효성(李孝成) 2017년 7월 31일 ~ 같이 보기[편집]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각주[편집]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관련 항목vdeh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실 대통령경호처 감사원 국가정보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회 소속 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제외한 3인) 방송통신사무소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위원회 목록) 산하 공공기관 시청자미디어재단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소관기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진흥회 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3인) 등 총 5인의 위원으로 구성된 합의제 행정기관이다. 위원장은 장관급이며 부위원장 및 상임위원(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제외한 3인)은 차관급이다. vdeh 대한민국 중앙행정기관의 장원장 감사원장 최재형 국정원장 서훈 장관 기재부 장관 홍남기 교육부 장관 유은혜 과기정통부 장관 유영민 외교부 장관 강경화 통일부 장관 김연철 법무부 장관 박상기 국방부 장관 정경두 행안부 장관 진영 문체부 장관 박양우 농식품부 장관 이개호 산업부 장관 성윤모 복지부 장관 박능후 환경부 장관 조명래 고용부 장관 이재갑 여가부 장관 진선미 국토부 장관 김현미 해수부 장관 문성혁 중기부 장관 박영선 실장 대통령비서실장 노영민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국무조정실장 노형욱 국무총리비서실장 정운현 위원장 방송통신위원장 이효성 공정거래위원장 김상조 금융위원장 최종구 국민권익위원장 박은정 원자력안전위원장 엄재식 처장 경호처장 주영훈 보훈처장 피우진 인사처장 황서종 법제처장 김형연 식약처장 이의경 외청장 국세청장 한승희 관세청장 김영문 조달청장 정무경 통계청장 강신욱 검찰총장 문무일 병무청장 기찬수 방사청장 왕정홍 경찰청장 민갑룡 소방청장 정문호 문화재청장 정재숙 농진청장 김경규 산림청장 김재현 특허청장 박원주 기상청장 김종석 행복청장 김진숙 새만금청장 김현숙 해경청장 조현배 감사원장, 기획재정부 장관 및 교육부 장관은 부총리급 대우를 받는다. 국무총리비서실장,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처장 및 외청장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단, 국가보훈처장과 검찰총장은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그 외의 직책은 모두 장관급 대우를 받는다. vdeh 대한민국의 장관급 고위공무원입법부국회사무총장 ·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16인) 상임위원장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특별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행정부중앙부처 장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외교부 · 통일부 · 법무부 · 국방부 · 행정안전부 · 문화체육관광부 · 농림축산식품부 · 산업통상자원부 · 보건복지부 · 환경부 · 고용노동부 · 여성가족부 · 국토교통부 · 해양수산부 · 중소벤처기업부위원장방송통신위원회 · 공정거래위원회 · 금융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중앙노동위원회국립대학교 총장강릉원주대 · 공주대 · 군산대 · 목포대 · 부경대 · 순천대 · 안동대 · 창원대 · 경남과학기술대 · 서울과학기술대 · 한국교원대 · 한국교통대 · 한국방송통신대 · 한국해양대 · 한국예술종합학교 거점국립대학교 강원대 총장 충북대 총장 충남대 총장 전북대 총장 전남대 총장 경북대 총장 부산대 총장 경상대 총장 제주대 총장 해외 주재 대사주 미국 대사 · 주 러시아 대사 · 주 중국 대사 · 주 일본 대사 · 주 UN 대표부 대사국군 대장합동참모의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지상작전사령관 · 제2작전사령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국가정보원장 · 대통령비서실장 · 정책실장 · 국가안보실장 · 국무조정실장 · 국가보훈처장 · 검찰총장사법부대법관(대법원장을 제외한 13인 ; 1인은 재판에 관여하지 않는 법원행정처장 겸임)독립 기구헌법재판소 재판관(헌법재판소장을 제외한 8인) ·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지방직서울특별시장 대학서울시립대학교 총장부총리급 · 장관급 · 차관급 vdeh대한민국 국회의 공직자 인사청문 대상자인사청문특별위원회 대상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감사원장 대법관 (대법원장을 제외한 13명) 헌법재판소 재판관 (국회 선출 3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 선출 3명) 인사청문회 대상 국무위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국가정보원장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금융위원회 위원장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국세청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합동참모의장 한국은행 총재 특별감찰관 한국방송공사 사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헌법재판소장, 국회 선출을 제외한 5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국회 선출을 제외한 6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대한민국의_방송통신위원회_위원장&oldid=24423813" 분류: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14일 (금) 01:0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放送通信委員會 委員長)은 방송통신위원회를 대표하는 직위로,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명박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역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는 어떤 사람이 임명되었는가? Assistant: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이명박 정부 초대 최시중(崔時仲) 2008년 3월 26일 ~ 2011년 3월 27일 2대 2011년 3월 28일 ~ 2012년 2월 22일 - 홍성규(洪性奎) 2012년 2월 22일 ~ 2012년 3월 9일 직무대행 3대 이계철(李啓徹) 2012년 3월 9일 ~ 2013년 2월 25일 박근혜 정부 - 김충식(金忠植) 2013년 2월 25일 ~ 2013년 4월 17일 직무대행 4대 이경재(李敬在) 2013년 4월 17일 ~ 2014년 3월 25일 5대 최성준(崔成俊) 2014년 4월 8일 ~ 2017년 4월 7일 - 고삼석(高三錫) 2017년 4월 8일 ~ 2017년 6월 8일 직무대행 문재인 정부 6대 이효성(李孝成) 2017년 7월 31일 ~
Human: 아래 구리아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구리아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리아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리아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구리아 주გურიის მხარეGuriis Mkhare 현시대의 정치적 구획, 강조된 부분조지아에 있는 구리아의 역사적 지역, 강조된 부분. 국가 조지아 수도 오주르게티 구 수 3 통치 기관 - 주지사 넓이 - 도합 2,033 km2(784.9평방마일i) 인구(2002년) - 총원 143,357명 - 인구밀도 36/km2 (93.2/sq mi) ISO 3166 GE-KA 구리아(조지아어: გურია)는 조지아의 주(므카레)로, 조지아 서부에 위치하고 있고 흑해의 동쪽 끝에 그 경계가 있다. 그 지역의 인구는 143,367명(2002년)[1]이며 오주르게티가 수도이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구리아"의 어원 4 경제 5 인구 통계 6 유명 인사들 7 각주 지리[편집] 구리아는 북쪽 사메그렐로, 북서쪽에 이메레티, 동쪽에 삼츠헤-자바헤티, 남쪽에 아자리아, 서쪽에 흑해가 경계이다. 구리아 주의 면적은 2,003km2이다. 구리아는 북동부에 동일 위도 경도 선이 가로지른다. 구리아는 3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주르게티 란치후티 초카타우리 역사[편집] 구리아 공국의 깃발 지명 "구리아"는 프세우도-주안셰르의 조지아 연대기에서 약 800년경에 처음 등장한다.[2] 구리아는 1352년 경에 바르다니스제-다디아니 가문의 봉토로 처음 출현한다. 그리고 1463년에 그 가문의 후손의 한 혈족의 통치 하에 있는 조지아 왕국의 군주 공국으로 독립 했고, 그 후 통치 가문은 구리엘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현시대의 구리아 지역과 바투미가 있는 아자라의 상당 지역을 포함하던 그 공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연속적인 충돌로 인해 차츰 넓이가 줄어들었고 황폐화되었다. 러시아의 보호 제도는 1810년 6월 19일에 구리엘리 마미아 5세가 제국과의 조약을 체결함으로 수립되었고 마지막 왕자인 다비드 다비트가 섭정하던 기간 중이었던, 1829년에 공국은 러시아에 합병되었다.[3] 1819년에 러시아 통치에 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고 1841년에도 재차 일어났다. 1840년에 구리아는 나라(우예즈트)를 만들었고 나라의 주요 마을들 중에서 한 지역의 이름인 오주르게티로 개명했다. 1846년에, 그 나라는 새로운 쿠타이스 행정 단위로 바뀌었다. 인구는 10만명도 채 안되는 인구가 거의 532,000에이커(2,150km2)의 산악 지역들과 늪지 계곡들에 자리잡고 옥수수 밭들, 포도원들, 차 농원들을 일궜다. 고수준의 필독 능력을 갖췄고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자립도가 높은 소작농들과 소수의 시골 귀족들이 거의 대다수의 인구를 구성했던 그 지역은 조지아의 역사적 상동의 지역이며 그 사람들은 대부분 조지아인과 민족적으로 동일했다. 1902년에 소작농들이 저항 시위를 조직했고 1905년 러시아 혁명 기간 동안에 폭동은 절정에 달했는데, 그 시위는 제국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조직적인 소작농 운동이었다. 구리아 공화국이라고도 불리었던 소작농들의 자치-정부는 1906년의 코사크 형벌 원정로 인한 충돌과 유린 속에서도 살아남았다.[4] 1918~1921년에 그 지역은 조지아 민주 공화국의 조지아 사회주의(멘셰비키)당의 기본 세력 기반이었다. 1920년대 구리아는 소비에트 통치에 대한 군사적 강요 저항의 게릴라전 무대였다. 구리아의 소비에트 정부는 그 지역 토지를 행정상의 3구역으로 분할했다. 1995년 조지아 정부는 그 지방의 역사적인 이름이 공식 명칭으로 복원된 구리아 주(므하레)를 구획 법령으로 정했다. 리카우리와 셰모크메디의 정교회는 그 지방에서 주된 역사적 건물들이다. "구리아"의 어원[편집] 구리아의 이름에 대한 어원으로는, 몇 가지가 거론되고 있는데, 그 단어의 근원은 쉼없음의 단어로 사료되며 그 단어는 "분주한 땅"을 의미하는 것 같으며 18세기에 작성된 바크슈티 바그라티오니의 역사서에서 묘사된 "레온이 압하제티의 왕이되고, 구룰스가 오조라코의 통치자에게 복종하기를 거절하고, 아다르나세와 바그라티오니의 아쇼트 1세와의 봉신 관계를 끊고, 레온과 통합"하던 8세기와 9세기의 기간동안에 벌어진 여러 사건들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구리아가 "니코프시아에서 다루반드까지" 영역을 넓히던 때인, 조지아의 전성기에 대한 후일의 해석에 따르면, 구리아는 조지아 영토의 심장부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위의 가설에 대한 증거로는 메그렐리아어로 "심장"을 뜻하는 "구리"라는 사실이다. 경제[편집] 아열대 농업과 관광 산업은 그 지역 경제의 주춧돌이다. 수자원은 구리아의 중요한 자산 가운데 하나이다. 그 지방은 화학 성분이 보르조미의 광천수와 같은 나베글라비의 광천수와 흑해 우레키의 사철이 풍푸한 건강 휴양지로 유명하다. 또한 구리아는 조지아에서 가장 큰 차농업지 중의 하나이다.[1] 인구 통계[편집] 구리아인(구룰레비)은 조지아어의 한 방언을 사용하는 민족이며 민족적으로 조지아인에 속한다. 유명 인사들[편집] 가브리엘 키코제(19세기), 이메레티의 주교. 에크브티메 타카이슈빌리(1862~1952년), 역사가. 칼리스트라테, 1932년~1921년의 모든 조지아의 가톨리코스-파트리아르츠. 오네 조르다니아, 1928~1921년의 조지아 민주 공화국의 국무총리. 파블레 잉고로크바(1893~1990년), 역사가, 철학자, 공공 자선 사업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조지아의 전직 대통령. 노다르 둠바제, 작가. 각주[편집] ↑ 2002 Georgia census Archived 2009년 11월 13일 - 웨이백 머신. State Department of Statistics of Georgia. Retrieved on December 16, 2007. ↑ Rapp, Stephen H. (2003),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 427. Peeters Bvba, ISBN 90-429-1318-5. ↑ Yust, Walter (ed., 1952),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Volume 14, p. 6. ↑ Stephen F. Jones (2005), Socialism in Georgian Colors: The European Road to Social Democracy, 1883-1917, pp. 131-2.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1902-4. vdeh 조지아의 행정 구역자치 공화국 압하지야1 아자리야 주 구리아 이메레티2 카헤티 크베모카르틀리 므츠헤타므티아네티2 라차레츠후미크베모스바네티2 사메그렐로제모스바네티 삼츠헤자바헤티 시다카르틀리2 특별시트빌리시 (수도)1 압하지야는 사실상의 독립 국가다. 2 이 지역들의 일부분은 남오세티야라는 비공식 자치 공화국을 구성한다. 좌표: 북위 41° 58′ 동경 42° 12′  / 북위 41.967° 동경 42.200°  / 41.967; 42.2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구리아주&oldid=23681626" 분류: 구리아주조지아의 주숨은 분류: 조지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АҧсшәаالعربيةAzərbaycanca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Cebuano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ietuvių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ИронKapampanganPolski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icilianuScots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1: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구리아(조지아어: გურია)는 조지아의 주(므카레)로, 조지아 서부에 위치하고 있고 흑해의 동쪽 끝에 그 경계가 있다. 그 지역의 인구는 113,350명(2014년)이며 오주르게티가 수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리아가 조지아 연대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년대는 몇 년대인가? Assistant: 800년경 Human: 아래 1982년_한국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82년 한국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2년 한국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82년 한국시리즈 팀 승(무승부) OB 베어스 (전기 1위) 4(1) 삼성 라이온즈 (후기 1위) 1(1) 경기 정보 경기 일정 1982년 10월 5일 ~ 10월 11일 MVP 김유동 팀 정보 OB 베어스 (전기 1위) 감독 김영덕 시즌 성적 56승 24패 전기리그 1위 (29승 11패) 후기리그 2위 (27승 13패) 삼성 라이온즈 (후기 1위) 감독 서영무 시즌 성적 54승 26패 전기리그 2위 (26승 14패) 후기리그 1위 (28승 12패)   1983 >  1982년 한국시리즈는 1982년 출범 원년이었던 한국프로야구의 초대 우승팀을 가린 시리즈로 10월 5일부터 10월 11일까지 6차전을 치러서,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1무 1패로 누르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최종전에서 역전 만루 홈런을 친 OB의 김유동이 차지했다. 목차 1 프로야구 출범 첫 시즌 2 경기 결과 2.1 1차전 2.2 2차전 2.3 3차전 2.4 4차전 2.5 5차전 2.6 6차전 프로야구 출범 첫 시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82년 한국 프로 야구입니다. 전기 리그 순위 순위 구단 승 패 승률 1위 OB 29 11 .752 2위 삼성 26 14 .650 3위 MBC 22 18 .550 4위 해태 20 20 .500 5위 롯데 13 27 .325 6위 삼미 10 30 .250 후기 리그 순위 순위 구단 승 패 승률 1위 삼성 28 12 .700 2위 OB 27 13 .675 3위 MBC 24 16 .600 4위 해태 18 22 .450 4위 롯데 18 22 .450 6위 삼미 5 35 .125 1982년 3월 27일에 KBO 리그가 출범했다. 당시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나누어서 각 리그의 우승 팀끼리 한국시리즈를 치렀다. 전기리그는 OB 베어스가 29승 11패로 2위 삼성 라이온즈를 3경기차(26승 14패)로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으며, 후기리그는 반대로 삼성 라이온즈가 28승 12패로 OB 베어스를 1경기차(27승 13패)로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그 결과 한국시리즈는 OB와 삼성의 대결로 열리게 되었다. 경기 결과[편집] 1차전[편집] 10월 5일 - 한밭종합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2 0 0 1 0 0 0 0 0 0 3 3 -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2 0 0 0 1 0 0 0 0 0 0 0 0 0 0 3 13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없음  패전 투수 : 없음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함학수(6회 2점) 한국시리즈 최초 무승부 경기; 15이닝 무승부 삼성 함학수 한국시리즈 최초의 홈런 기록 1차전 선발 투수로 삼성은 권영호가, OB는 강철원이 각각 등판하였다. OB는 1회말 윤동균이 중견수 앞 안타를 치며 나간 상황에서 신경식의 좌익수를 넘어가는 적시 2루타와 김유동의 중견수 앞 적시타로 먼저 2점을 얻으며 앞서 나갔다. 5회말에도 윤동균이 2루타를 치고 나간 상황에서 김우열이 우익수 앞 적시타로 3-0으로 달아났다. 이어진 6회초에서 삼성은 오대석과 이만수가 연속 볼넷으로 나간 후 맞이한 1사 상황에서 함학수가 OB 선발 강철원의 낮은 직구를 걷어 올려 왼쪽 담장을 넘기는 2점 홈런을 터뜨렸다. 9회초 2사 상황에서 삼성은 배대웅이 중견수 키를 넘기는 적시 2루타를 기록하며 3-3 동점이 되었다. 이후 양팀은 투수전으로 팽팽히 맞섰다. 특히 OB의 선우대영은 예상을 깨고 6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호투하였다. 그렇게 양 팀은 15회말까지 4시간 35분 동안 승부를 가리지 못하였다. 2차전[편집] 10월 6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OB 베어스 0 0 0 0 0 0 0 0 0 0 5 -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0 6 0 2 0 0 0 1 X 9 9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이선희  패전 투수 : 계형철  세이브 : 성낙수  홀드 : {{{홀드투수}}} 삼성 한국시리즈 최초의 승리 삼성 한국시리즈 최초의 타자 일순: 2회 삼성 이선희 한국시리즈 최초의 승리 투수 삼성 성낙수 한국시리즈 최초의 세이브 기록 2차전 선발 투수로 삼성은 이선희가, OB는 계형철이 각각 등판하였다. 2회말부터 삼성은 OB 수비진이 흔들리는 틈을 놓치지 않았다. 삼성은 함학수의 중견수 앞 안타, 볼넷, 허규옥이 스리 번트를 시도하여 만든 야수 선택 등으로 만든 무사 만루 상황에서 김한근이 2타점 적시타를 터뜨렸고, OB 계형철의 폭투와 내야 실책 등으로 2점을 더 보탰다. OB는 박상열로 투수를 교체하였지만 삼성은 다시 2점을 더 보태며 6-0으로 달아났다. 4회말에도 삼성은 배대웅의 불규칙 바운드로 만든 3루타 등으로 다시 2점을 보탰고, 8회에 1점을 더 보태며 승기를 잡았다. 삼성 이선희는 5 ⅔이닝 동안 3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였고 6회부터 구원 등판한 성낙수가 3 ⅓이닝 동안 2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삼성이 역대 한국시리즈에서 처음으로 승리를 기록하는 데 기여하였다. 한편 이 날 경기에서는 삼성의 1회말 공격에서 허규옥의 내야 땅볼을 OB 유지훤이 더블 플레이로 만들었다는 OB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OB가 초반부터 대량 실점하게 되자 경기를 포기한 OB 선수들이 대부분 삼성 투수의 초구를 때리기도 하였다. 3차전[편집] 10월 8일 - 동대문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0 0 1 0 0 0 2 0 3 8 -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0 0 1 0 2 1 1 0 X 5 11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선우대영  패전 투수 : 권영호  세이브 : 박철순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정현발(8회 2점) 4차전[편집] 10월 9일 - 동대문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OB 베어스 0 0 0 1 1 0 5 0 0 7 - -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0 0 2 2 0 0 2 0 0 6 -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황태환  패전 투수 : 황규봉  세이브 : 박철순  홀드 : {{{홀드투수}}}홈런 :  OB – 김우열(4회 1점), 정종현(5회 1점)  삼성 – 장태수(3회 2점) 5차전[편집] 10월 10일 - 동대문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0 0 0 2 0 2 0 0 4 - -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3 0 1 0 0 0 0 0 1 5 -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황태환  패전 투수 : 이선희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오대석(5회 2점), 박찬(7회 2점)  OB – 김유동(1회 2점), 김우열(3회 1점) 6차전[편집] 10월 12일 - 동대문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OB 베어스 0 1 1 0 1 0 0 0 5 8 - -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2 0 1 0 0 0 0 0 0 3 -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박철순  패전 투수 : 이선희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OB – 김유동(2회 1점, 9회 4점) OB 김유동, 한국시리즈 1호 만루홈런 - 9회 vdehOB 베어스 - 1982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전기리그 1위, 승률 1위)감독 40 김영덕 코치 38 김성근 1 이광환 투수 21 박철순 23 강철원 11 계형철 29 선우대영 9 박상열 15 황태환 포수 22 김경문 25 조범현 2 김진홍 정종현 내야수 19 신경식 20 구천서 16 양세종 6 유지훤 4 김광수 이근식 외야수 3 김우열 10 윤동균 8 김유동 17 정혁진 7 이근식 14 이홍범 1982년 정규시즌 MVP, 다승왕, 최우수 평균자책점 박철순(24승, 1.84) 한국시리즈 MVP 김유동 vdehKBO 한국시리즈 · 0000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0000 · 0000 · 1985년에는 삼성이 전·후기 통합우승함에 따라 한국시리즈가 개최되지 않았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82년_한국시리즈&oldid=24341188" 분류: 한국시리즈OB 베어스삼성 라이온즈1982년 야구1982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30일 (목) 20: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82년 한국시리즈는 1982년 출범 원년이었던 한국프로야구의 초대 우승팀을 가린 시리즈로 10월 5일부터 10월 12일까지 6차전을 치러서, OB 베어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1무 1패로 누르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6차전에서 쐐기 만루 홈런을 친 OB의 김유동이 차지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2년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는 OB베어스와의 첫경기에서 어떤 결과를 내었는가? Assistant: 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0 0 0 0 2 0 0 1 0 0 0 0 0 0 3 3 - {{{원정팀볼넷}}} OB 베어스 2 0 0 0 1 0 0 0 0 0 0 0 0 0 0 3 13 -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없음  패전 투수 : 없음  세이브 : {{{세이브투수}}}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함학수(6회 2점)
Human: 아래 정아미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정아미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아미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아미 (1964년)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정아미(1964년)출생 1964년 6월 5일(1964-06-05) (55세) 대한민국 전라남도 광양군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3년 ~ 현재소속사 마라톤 엔터테인먼트 학력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영화과자녀 슬하 1남 1녀수상 2008년 한국연극배우협회 올해의 배우상 수상웹사이트 마라톤 엔터테인먼트 정아미정아미 - 페이스북 정아미(본명: 정선자, 1964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연극 《환도와 리스》를 통해 데뷔하였다. 현대극장을 거쳐 연극계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목차 1 학력 2 출연작 2.1 드라마 2.2 영화 2.3 연극 3 수상 4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예술전문대학 연극영화과 출연작[편집] 드라마[편집] 2018 KBS2 아침드라마 《차달래 부인의 사랑》 ... 박하린 역 2018 tvN 수목 드라마 《아는 와이프》 2018 MBC 주말 드라마 《부잣집 아들》 2018 SBS 주말 드라마 《착한마녀전》 ... 다도장인 역 2018 MBN 수요 드라마 《연남동 539》 ... 정아미 주부회원 역 2017 OCN 주말 드라마 《블랙》 ... 호프집 여사장 역 2017 KBS2 주말 연속극 《황금빛 내 인생》 ... 손여사 역 2017 SBS 주말 드라마 《언니는 살아있다》 ... 여회장 역 2017 tvN 수목 드라마 《크리미널 마인드》 ... 김현준 모 역 2017 MBC 일일 연속극 《돌아온 복단지》 ... 여판사 역 2017 KBS2 월화 드라마 《쌈 마이웨이》 ... 천가네 사장 역 2017 MBC 수목 드라마 《군주 - 가면의 주인》 ... 한상궁 역 2016 SBS 일일 연속극 《사랑이 오네요》 ... 장미자 교수 역 2016 MBC 일일 연속극 《다시 시작해》 ... 원장부인 역 2016 MBC 주말 연속극 《가화만사성》 ... 예절강사 역 2015 KBS2 수목 드라마 《어셈블리》 ... 박최고 역 2015 KBS2 주말 연속극 《파랑새의 집》 ... 박회장 사모 역 2015 SBS 월화 드라마 《미세스 캅》 ... 세영 모 역 2015 KBS2 일일 연속극 《결혼 이야기》 ... 동하 엄마 역 2008 MBC 드라마 스페셜 《베토벤 바이러스》 ... 김갑용 며느리 역 1996 SBS 주말 드라마 《임꺽정》 ... 주모 역 영화[편집] 2010 《오늘》 ... 소피아 역 2011 《나는 아빠다》 ... 집주인 역 2012 《댄싱퀸》 ... 필제부인 역 2013 《용의자》 ... 김요한목사 부인 역 2015 《순수의 시대》 ... 가희모 역 2015 《늙은 자전거》 ... 순대집 아줌마 역 2016 《커터》 ... 세준 모 역 2016 《연애담》 ... 지수 엄마 역 2016 《불청객 - 반가운 손님》 ... 지훈 엄마 역 2017 《해빙》 ... 배정자 역 2018 《신과함께: 인과 연》 ... 강문직부인 역 2019 《귀신의 향기》 ... 동석 모 역 연극[편집] 2018 《여자만세2》 ... 홍마님 역 2017 《원맨쇼》 ... 엄마 역 2017 《집나간 아빠》 ... 수림 모 역 2017 《이구아나》 ... 명부장 역 2016 《비껴치기》 ... 정선미 역 2016 《챠이카》 ... 아르까지나 역 2014 《마요네즈》 ... 엄마 역 2014 《사라와 제니퍼》 ... 배여사 역 2013 《베드룸 파스》 ... 델리아 역 2012 《생사계》 ... 여인 역 2011 《로베르토 쥬코》 ... 우아한 부인 역 2011 《상계동 덕분이》 ... 덕분이 역 2010 《딸들 자유연애를 구가하다》 ... 안여사 역 2010 《굿닥터》 ... 1인 3역 역 2009 《미아모르》 ... 할머니 역 2008 《블라인드》 ... 엘레나 역 2008 《적빈》 ... 매촌댁 역 수상[편집] 2008 한국연극배우협회 올해의 배우상 수상 2008 거창국제연극제 연기대상 수상 1982 전국청소년연극 경연대회 최우수연기상 수상 외부 링크[편집] (영어) 정아미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정아미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정아미 - 한시네마 이 글은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정아미_(배우)&oldid=24511047" 분류: 1964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1983년 데뷔광양시 출신서울예술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배우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1: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정아미(한국 한자: 鄭娥煝, 본명: 정선자, 1964년 6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배우 정아미가 지수 엄마 역을 맡은 영화는? Assistant: 연애담 Human: 아래 쿠바의_역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쿠바의 역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바의 역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쿠바의 역사Historia de Cuba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쿠바 총독부 쿠바 독립 전쟁 미국-스페인 전쟁 미국의 쿠바 보호령 쿠바 공화국 쿠바 혁명 쿠바 미사일 위기 오늘날의 쿠바 v • d • e • h 쿠바에는 수 천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 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웨일러(Valeriano Weyler)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중에 폭발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공산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하게 되었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혁명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고, 1961년에는 그 혁명이 사회주의적임을 천명하였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혁명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무장 봉기를 지원하였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독재자들을 원조하였다. 1989년 소련의 붕괴로 쿠바는 소련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 경제에서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일관하였다. 쿠바에는 양심수가 500명에 이르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인권 침해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 2008년, 병이 중해진 피델 카스트로는 동생인 라울 카스트로에게 권력을 넘겨 주었다. 목차 1 쿠바 원주민과 스페인의 쿠바 정복 2 스페인의 식민지배와 쿠바의 독립 투쟁 3 독립과 미국의 간섭 4 세계 대전 시기 5 바티스타의 집권 6 쿠바 혁명 7 쿠바 혁명 이후 8 탈 냉전 시대 9 각주 10 외부 링크 쿠바 원주민과 스페인의 쿠바 정복[편집] 아라왁족(族)의 여인 쿠바 섬에는 원래 최소한 천년전, 그리고 아마도 6~8천년전에 남부· 중부·북부 아메리카에서 건너왔던 원주민이 물고기를 잡거나 수렵 채집 생활을 하였다. 이들의 후손인 타이노족(族)·시보네족으로 불리는 5만여 명의 원주민들은 고도로 발달된 농경생활에 종사하며 평화롭게 거주하고 있었다.[1] 타이노족은 농경생활을, 시보니족은 농경과 수렵, 채취 생활을 하는 종족이었다. 일부에서는 구리 무역이 성행했다고 주장해 오고 있으며 이를 보여주는 유물[2] 이 아메리카 대륙 본토에서 발견되었다. 1492년 10월 27일, 제1차 항해중이던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현재의 쿠바 섬을 발견하고 이 섬을 스페인 영토로 잠시 점유하고, 왕자 후안(Juan)의 이름을 따서, 후안 섬(Isla Juana)이라고 명명했다.[3] 1511년 스페인 제국의 정착지가 스페인에서 파견한 디에고 벨라스케스 데 쿠에야르(Diego Velázquez de Cuéllar)에 의해서 바라코아에 최초로 세워졌다. 1512년 벨라스케스는 300명을 이끌고 이스파니올라를 떠나 쿠바로 향하여 본격적으로 스페인령임을 선포하고는 2년동안 일곱 곳의 개척지를 건설했다. 미래에 수도가 될 산 크리스토발 데 라 아바나(San Cristóbal de la Habana, 1515년 설립) 등 다른 마을도 그 뒤를 이었다. 2년동안 스페인인은 수천 명의 원주민을 죽였으며 벨라스케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원주민을 모두 서쪽으로 쫓아버렸다. 그러나 당시 쿠바는 많은 금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고 1516년 벨라스케스가 멕시코로 네 번의 원정을 후원하여 그 중 1519년에서 1521년까지의 에르난 코르테스의 정복이 이루어진 이후에 쿠바는 남미로 가는 스페인의 관문으로써 역할을 하게 되었다. 1514년에는 전 지역을 정복하고 식민지 체제를 확립하였다. 엔코미엔다 제도가 구축되면서 커다란 사유지가 형성되었고, 스페인은 기독교로의 개종에 저항하는 약 10만명의 원주민을 억압하고 종교 교육의 구실 아래 인디언에 대한 노예화가 필연적으로 진행되었다. 1542년에 엔코미엔다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혹독한 착취와 유럽인이 가지고 온 질병에 의해 인디언 인구는 5,000여 명 수준까지 감소하였고, 사금(砂金) 채취와 농장 노동 등으로 혹사당한 원주민들은 1528년의 대(對)스페인 반란, 1530년의 악성 유행병 등을 거쳐, 1세기 만에 모두 사라졌다. 현재, 대부분의 학자들은 감염병이 원주민 인구 감소의 지배적인 원인이라고 믿고 있다.[4][5] 이런 상황에도 별로 당황하지 않고 스페인인들은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수입하여 노예 노동력의 수를 유지했다. 북미의 노예 매매와 다르게 쿠바의 아프리카 노예들은 부족별로 함께 살게 되어 다행스럽게도 그들의 문화 중 몇몇 측면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들은 목장에서 일하도록 보내졌고 소와 관련된 생산 - 가죽이나 말린 소고기 -은 18세기에 담배가 쿠바의 주요 돈벌이가 되기 전까지 기간 산업이 되었다. 스페인의 식민지배와 쿠바의 독립 투쟁[편집] 쿠바는 1511년부터 1898년까지 거의 400년간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다가 1898년 미서전쟁의 결과 미국에 넘어갔다. 이 기간 중, 점점 다른 유럽 국가의 세력이 카리브해의 스페인 지배를 위협하였는데 1655년에 영국이 자메이카를 차지하고 아이티는 1697년에 프랑스 수중에 떨어졌으며 쿠바 역시 계속해서 공격의 위협을 받았다. 영국 군대는 1762년 6월 6일 쿠바를 침입하여 아바나를 포위하고 11개월 동안 점령하였다. 이 기간 동안 영국은 4000명의 아프리카 노예를 수입하고 쿠바의 무역망을 광대한 범위로 넓혔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이 스페인 식민지 시절, 경제의 기반은 담배·사탕수수 재배 등 플랜테이션 농업, 광업, 유럽으로의 - 그리고 나중에는 북 아메리카로의- 사탕수수·커피·담배 수출에 두었다. 1783년 미국 독립으로 인한 시장의 창출과 1791년 하이티의 노예 폭동으로 쿠바 설탕 생산의 최대 경쟁자가 사라짐에 따라 설탕 생산이 쿠바의 주요 산업이 되었다. 아프리카에서 새롭게 수입되는 수만 명의 노예들 덕분에 1820년까지 쿠바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설탕을 생산하는 국가였다. 농업에 의하여, 다른 스페인 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수의 스페인계 후손인 지주들이 막대한 이윤을 거두어들여 사회적·경제적 권력을 지녔다. 이것은 이 섬에서 태어난 스페인사람(이들을 스페인 본토 출신의 스페인 사람과 구별하여 크리올라고 불렀다.)과 다른 유럽사람들 그리고 아프리카 출신의 노예들 덕택이었다. 더욱이 쿠바는 스페인과 아메리카대륙을 잇는 교통의 요지에 해당하기 때문에 스페인은 이곳을 총독령(總督領)으로 만들고 신대륙 경영의 기지로 삼았다. 그러나 본국의 중상주의(重商主義) 정책으로 쿠바는 경제적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고 정치적으로도 권리를 갖지 못한 상태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19세기 초 아메리카대륙에서 일어난 미국독립혁명의 영향을 받아, 1820년대 라틴 아메리카에 있는 스페인 제국의 다른 지역들이 봉기하여 독립 국가를 형성했을 때, 쿠바에도 파급되어 쿠바에도 1812년에는 아폰테의 지도 아래 대규모 흑인반란이 일어나는 등 독립을 위한 움직임이 없지 아니하였으나, 쿠바는 스페인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였고, 이로 인해 스페인 황실은 쿠바에게 "La Siempre Fidelisima Isla"(항상 가장 충성스러운 섬)이라는 모토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충성심은 쿠바가 스페인과 무역 의존도가 높았고, 스페인이 해적·노예의 봉기로부터의 쿠바를 보호하고 있었던 데에서도 기인하고 쿠바가 스페인의 지배를 싫어하는 것 이상으로 미국의 권력이 강화되는 것을 두려워한 것 때문이기도 하다. 1810년에서 1825년까지 시몬 볼리바르가 남미에서 펼친 혁명 활동 이후에 서반구에서 스페인 식민지로 남게 된 나라는 쿠바와 푸에르토리코뿐이었다. 스페인 충성파는 예전 식민지를 떠나 쿠바로 우르르 몰려들었다. 세스페데스 쿠바와 미국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스페인이 내부적인 자치권을 얻으려는 크리올 사회를 달래는 동안 미국은 이 식민지를 병합하려고 준비중이었다. 19세기 전반에 걸쳐, 미국 남부 출신의 정치인들은 미국 내 흑인 노예제도 옹호의 세력을 강화하고자 쿠바를 합병할 음모를 세웠고, 그러는 동안 일단의 쿠바 반란군이 미국으로 망명해 스페인 식민 정부를 전복하려는 계획을 시작했다. 1848년 친(親)합병 폭동이 진압되었고, 플로리다로부터 쿠바를 침입하여 합병하려는 여러 번의 시도가 있었다. 또한 미국이 스페인으로부터 쿠바를 구입하려고 하는 제안도 있었다. 그 후 노예제도 폐지, 농민혹사 금지와 독립을 요구하는 세력이 점차 확대되었다. 1868년 10월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Carlos Manuel de Céspedes)가 이끈 반란은 스페인으로부터 쿠바를 독립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는 오리엔테 지방의 부유한 변호사이자 크리올 농장주였으며, 그의 노예들을 해방해 주었다. 그는 전쟁을 선포하고 "무장 쿠바 공화국"의 수장이 되었다. 이것은 독립을 위한 세력과 지방의 지지를 받는 스페인군 간의 십년전쟁(1868∼1878년)이라 불리는 긴 투쟁을 낳았다. 이 독립전쟁 기간 중 공화제 헌법이 공포되고 세스페데스의 공화정권이 수립되었고, 10년 동안 200,000명이 죽었지만 결국은 반란군은 모든 힘을 다 써버렸고 어쩔 수 없이 그들의 사면을 보장하는 조약인 1878년의 산혼 조약(Paz de Zanjón)은 이 투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스페인이 쿠바에 좀 더 많은 자치권을 인정하고 정치·경제의 개혁과 노예해방을 약속한 것이었다. 이 투쟁 이후 독립 운동은 잠시 숨죽였다. 1879년부터 1880년까지, 쿠바의 애국자 칼릭스토 가르시아(Calixto García)는 또 다른 전쟁(La Guerra Chiquita)을 시도하였으나,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다.[6] 산혼조약에서 스페인이 한 경제 재건 약속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는데, 다만 미국의 압력도 일부분 영향을 미쳐, 노예제도는 1886년에 폐지되었다. 1893년에는 형식적으로 시민의 평등권이 보장되었으나, 아프리카 출신의 후손인 소수인종은 사회적·경제적으로 억압이 지속되었다. 1868년의 스페인 혁명으로 스페인 농촌이 곤궁해지자, 그 여파로 더 많은 스페인사람들이 쿠바로 이주해 왔다. 1890년대에는 독립운동의 불씨가 되살아났다. 이것은 스페인이 쿠바에 대한 무역제한 조치에 대한 분노, 스페인의 쿠바에 대한 갈수록 심해지는 압박에 대한 적개심 그리고 쿠바 정부의 무능함으로 촉발되었다. 1895년 4월 쿠바 혁명당을 결성한 호세 마르티를 중심으로 제2차 독립전쟁이 시작되었다. 이 전쟁을 이끈 작가이자 시인이자 국민적 영웅 호세 마르티(José Martí)는 미국에서의 도피 생활중 10년 넘게 전쟁을 조직하였다. 그는 쿠바를 독립공화국으로 선포하였다. 그러나, 동부 원정군과 함께 쿠바에 상륙하자 마자 몇 주 뒤에 백마를 타고 눈에 잘 띄는 마르티는 스페인과 접전 중에 도스 리오스(Dos Ríos)에서 총에 맞아 죽었다. 그의 죽음은 그를 불멸케 하여, 그는 쿠바의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고메스와 반란군 지도자인 안토니오 마세오(Antonio Maceo)는 서쪽으로 진군하며 지나는 동안 설탕 농장, 밭, 마을 등 모든 것을 불태워 버렸다. 스페인은 거의 내전 수준이 되어버린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무자비한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웨일러(Valeriano Weyler)를 보냈고 20만명의 스페인 군대는 주로 게릴라와 파괴 전술에 의존하는 반란군을 수적으로 압도하였다. 쿠바의 군사 통치자인 발레리아노 웨일러(Valeriano Weyler) 장군은 "레콘센트라도스"(reconcentrados)라 명명한 곳으로 농촌 주민들을 몰아 넣었다. 국제적 관찰자에 따르면 이것은 요새화된 마을이었다. 이 캠프는 20세기의 집단 수용소의 원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7] 20~40만명의 쿠바 시민들이 이 기간 동안 이 캠프에서 배고픔과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이 숫자는 적십자사와 미국의 상원의원이자 전쟁성장관인 레드필드 프록터(Redfield Proctor)에 의하여 검증되었었다. 미국과 유럽은 쿠바에서 자행된 스페인의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 항의하였다.[8] 웨일러의 대책은 성공했지만 쿠바의 농업 중심 경제는 잿더미가 되고 말았다. 1897년 6월 쿠바 독립에 대해 강경파의 입장을 고수하던 스페인 수상, 안토니오 카노바스(Antonio Cánovas del Castillo)가 쿠바와 연관이 있는 무정부주의자에게 암살당했고 미국의 간섭을 두려워한 새로운 스페인 정부는 쿠바에 대해 좀 더 회유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즉 선거로 선출된 의회와 지방자치를 약속한 것이다. 그러나, 반란세력은 이러한 제안을 거부하였고 독립을 위한 전쟁은 계속되었다. 그러는 동안 미국은 쿠바를 병합할 모든 준비를 마쳤다. 독립과 미국의 간섭[편집] 미국-스페인 전쟁 미국의 전투함 메인(Maine)호는 쿠바에 거주하는 8천명의 미국인을 보호하기 위한 구실로 1898년 1월 25일 아바나에 정박 승인 없이 도착하였다. 스페인과 쿠바의 친 스페인파는 이것을 협박으로 여겼다. 2월 15일, 아바나 항에서 메인호가 폭발하였고 266명(외국인 81명 포함)의 생명을 앗아갔다. 1898년 3월 33일, 미국 해군 조사위원회(Naval Board of Inquiry)는 그 선박을 조사하고 나서, "메인호의 파괴에 관하여 어떤 개인이나 사람들에게 책임을 지울만한 증거를 확보할 수 없다"고 밝혔다.[9] 만약 기뢰가 있었다면 그것은 스페인정부가 그 기뢰를 설치했을 것이라고 추측이 되었지만 여전히 그 사실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미국의 대중적인 신문들은 전쟁 분위기를 선동했다. 이어 스페인이 쿠바를 $3억 불에 팔라는 미국의 제의를 거절하자, 국가주의적 감정이 휩쓸었기 때문에, 미국 의회는 내정 간섭을 요청하는 결의를 통과시켰고,[10] 미국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는 이를 즉각 승인하였다. 미국의 선전포고는 쿠바가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존중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미국-스페인 전쟁은 4개월 만에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 전쟁의 산물로, 1898년 파리 조약에 의해 스페인은 쿠바를 푸에르토리코, 필리핀, 괌과 함께 미국에 양도하였다.[11]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다. 미국은 존 R 브룩(John R Brooke)을 쿠바 총독으로 세웠고 그와 그의 후임들은 공공 사업을 연이어 추진하여 학교를 세우고 공중 보건을 개선시키는 등 모든 것들이 쿠바가 미국에 종속되도록 계획하였다.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하였고 쿠바의 독립운동에 동정심을 가진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1901년에 윌리엄 매킨리에 이어서 미국의 대통령을 승계하였고, 20년 조약 안을 폐기하였다. 대신에 쿠바는 1902년 5월 20일 형식상 독립하여 공화국을 선포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독립운동가인 토마스 에스트라다 팔마(Tomás Estrada Palma)를 선출하였다. 그러나, 쿠바의 새 헌법 하에서, 미국은 쿠바에 관한 사항에 간섭하고 재정·외교문제를 감독할 권리를 보유하였다. 그리고, 플랫 수정안(Platt Amendment)은 미국이 쿠바 국내의 문제에 대해 미국의 자유 재량으로 개입할 권리를 주는 것으로 플랫 수정안을 승인하거나 아니면 무기한 미국의 군사 지배하에 남거나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구받은 쿠바는 울며 겨자먹기로 덜 나쁜 것을 선택하였다. 플랫 수정안 하에서, 쿠바는 미국의 해군기지로 사용할 관타나모를 임차하는 데 동의하였다. 이로써, 미국은 1903년에 관타나모만(灣)를 강점(1999년 예정)하고 해군기지를 만들었으며, 쿠바에서 미국의 이익을 지키도록 했다. 오늘날 미국 제국주의의 상징으로 남아있는 이 기지는 쿠바에게는 모욕이며 미국에게는 말만으로 쿠바의 자율적인 결정권을 존중한다는 비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1906년에서 1909년까지 총독 통치를 하였다. 미국의 군정 종결과 함께 1902년 5월 E.팔마를 수반으로 하는 공화제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양질의 토지, 사탕산업, 교통수단 등 쿠바 경제의 중추적 기능은 미국자본이 장악하였다. 1906년,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선거에 뒤이어, 독립운동 참전자들이 이끄는 무장 반란이 에스트라다 팔마에게 충성을 다하는 무력한 정부군을 패퇴시켰고 미국이 이에 개입하였다.[12] 쿠바는 미국이 점령하였고, 미국의 총독 찰스 에드워드 마군(Charles Edward Magoon)이 3년간 통치하였다. 많은 쿠바 역사가들은 그 이후로 수년간, 마군의 통치 기간 동안에 더 많은 정치적 부패가 자행되었다며, 그의 쿠바 통치를 부정적인 견해에서 평가하였다.[13] 1908년, 호세 미겔 고메스(재임 1909년 ~ 1913년)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자치가 회복되었으나, 미국의 쿠바 간섭은 계속되었다. 고메스 대통령은 수뢰(收賂)·부패·실정(失政)· 무책임으로 상징된다. 1912년 유색인독립당(Partido Independiente de Color)이 오리엔테 지방에 별도의 흑인 공화국을 세우려고 시도하였다.[14] 추정되기로는, 그 단체는 무기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주요 전술은 상점과 주택에 방화하는 것이었다.[15] 그 단체의 움직임은 실패로 끝났고, 몬테아구도(Monteagudo) 장군은 반란군을 학살함으로써 제압하였다.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의 전모의 해석에 대하여 의견을 달리한다. 세계 대전 시기[편집] 관타나모 기지에서 일하는 쿠바 노동자들(1920년경) 1912년에는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3,000여 명이 살해되기도 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상선이 독일 제국 잠수함에 격침되었을 때 쿠바도 마찬가지로 당했다. 그리하여 쿠바의 마리오 가르시아 메노칼(Mario García Menocal) 대통령(재임 1913년 ~ 1921년)은 미국이 독일 제국에 선전 포고한 지 하루가 지나서 파나마와 함께 독일에 선전 포고하였다. 사야스(재임 1921년 ~ 1925년), 미국의 지지로 정권을 장악한 마차도(재임 1925년 ~ 1933년)의 독재·부패 정치가 계속되는 등 잦은 소동이 일어났으나, 헌법에 의해 구성된 정부는 1930년까지 유지되었다. 이 때는 헤라르도 마차도(Gerardo Machado)가 헌법을 정지시킨 때이다. 1920년대 미국 회사들은 쿠바 농장의 2/3를 소유했으며 미국이 금주법 같은 것을 가지고 노는 동안 관세로 인해 쿠바의 제조 산업은 불구가 되었지만 도박이나 매춘에 기반을 둔 관광산업은 성행하였다. 마차도의 집권 기간 동안, 여러가지 주요한 국가발전 계획이 착수됨과 함께 국가주의적 경제 계획가 추구되었다. 1930년대 대공황으로 물가가 급등하면서 사회적 동요로 번졌으나 헤라도 마차도 대통령에 의해 난폭하게 진압되었다. 그러나, 대공황에 따라 농산물 수출 수요가 감소하고, 독립전쟁의 참전자들의 공격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암암리에 활동하는 테러 조직때문에 마차도의 권력은 약화되었다.[16] 공산당이 마차도의 지위를 빼앗은 총파업 기간 동안,[17] 쿠바 군의 상급 부대는 마차도 대통령을 1933년 8월에 축출하였고, 쿠바 건국의 아버지의 아들인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이 케사다(Carlos Manuel de Céspedes y Quesada)를 대통령으로 옹립하였다. 1933년 9월 4일과 9월 5일에 일어난 두 번째 쿠데타로 세스페데스 정권이 무너지고 제1차 라몬 그라우 산 마르틴(Ramón Grau San Martín)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광폭한 시기에 특기할 사건으로는 나시오날 호텔 포위와 아타레스 성(城)의 포위가 있다. 이 정부는 100일간 유지되었으나, 쿠바 사회에 급진적인 사회주의적 변화를 꾀하였고 플랫 수정안(Platt amendment)을 거부하였다. 1934년 육군 하사관인 풀헨시오 바티스타(Fulgencio Batista)와 그의 군대는 대통령을 카를로스 멘디에타 이 몬테푸르(Carlos Mendieta y Montefur)로 교체하였다. 바티스타는 속임수·군대·암살을 통하여 권력을 유지한 인물로 악명이 높다. 1940년 쿠바는 자유 선거를 치렀다.[18][19] 1940년 쿠바공산당에 힘입어,[20] 바티스타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그의 행정부는 주요한 사회 개혁을 시행하였다. 공산당의 일부 인원은 그의 행정부에서 관직에 참여하였다. 바티스타 행정부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국으로 참가하였다. 1941년 12월 9일 일본에게, 1941년 12월 11일 독일과 이탈리아에게 각각 선전포고를 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의 전투에는 그다지 관여하지 않았다. 1944년에는 라몬 그라우(Ramón Grau)가, 1948년에는 카를로스 프리오 소카라스(Carlos Prío Socarrás)가 선거에서 승리하였다. 투자 유입은 전면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하는 붐을 일으켰고, 대부분의 도시 지역에서 부유한 중산층이 생겨났다. 그러나, 빈부 격차는 더욱 넓고 분명해졌다.[21] 바티스타의 집권[편집] 1952년 선거는 3파전이었다. 오르토독소스(Ortodoxos) 당의 로베르토 아그라몬테가 모든 여론 조사에서 앞서가는 가운데 그 뒤를 아우텐티코(Auténtico) 당의 아우레릴오 에비아(Aurelio Hevia)가 2위로, 그리고 정권을 되찾으려는 바티스타는 한참 뒤처진 3위였다. 아그라몬테와 에비아는 라몬 바르킨 대령을 선거가 끝난 뒤 쿠바의 군대를 이끌도록 임명할 것을 결정하였었다. 당시 워싱턴 DC에서 외교관으로 있던 바르킨은 직업 군인들의 존경을 받는 최고의 행정관리였고, 그는 군대 내의 부패를 제거하겠다고 약속하였다. 한편, 바티스타는 바르킨이 자신과 그의 추종자들을 축출할 것을 우려하고 바티스타가 선거에서 이길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1952년 3월 10일 쿠데타를 꾀하였다. 이로써 선거는 취소되었다. 미국으로서는 친미 정권을 반대하는 쿠바 주민들의 반미 투쟁이 강화되자 이 군사정변을 조작하여 친미적인 바티스타 독재정권을 세워 쿠바를 계속 지배한 것이었다. 바티스타는 군대 내의 국가주의자들의 후원으로 권력을 얻어내고 그 후 2년간 "임시 대통령"을 지냈다. 후스토 카리요(Justo Carrillo)는 1952년 3월 워싱턴에서, 권력 중추부의 측근 그룹은 바티스타가 그에게 대한 쿠데타를 꾀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즉시 바티스타를 축출하고 민주주의와 시민 정부를 수호하기 위하여 협력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1952년 선거에 대통령으로 출마하였던 피델 카스트로는 1953년 7월 산티아고의 몬카타요새(要塞)를 공격하여 이른바 7·26운동이라고도 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결국 실패하고 투옥되었다. 1954년 바티스타는 선거에 동의하였다. 아우텐티코 당은 전 대통령 그라우를 후보로 내세웠으나, 바티스타가 미리 선거를 조작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그는 후보를 사퇴하였다. 1956년 4월, 바티스타는 바르킨에게 쿠바군의 수장이 되어줄 것을 명령하였다. 그러나 그는 군대와 쿠바인들의 사기를 높히고자 쿠데타를 미리 결행할 것을 결심하였다. 1956년 4월 4일, 바르킨 대령이 이끈 수백명의 직업 군인들이 일으킨 쿠데타는 리오스 모레혼(Ríos Morejón)에 의하여 좌절되었다. 쿠데타로 인해, 쿠바군의 중추가 흔들렸다. 그 군인들은 쿠바 계엄령에 의하여 허용된 최고형을 선고받았다. 바르킨에게는 8년간의 독방 구금이 선고되었다. 라 콘스피라시온 데 로스 푸로스(La Conspiración de los Puros)는 지휘관들의 수감과 군사 학교의 폐교라는 결과를 낳았다. 쿠바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고기·야채·곡물의 1인당 소비율과 자동차·전화·라디오의 1인당 보급율이 가장 높은 나라였다.[22] 1인당 국내 총생산은 이탈리아와 거의 비슷하였고, 일본보다는 상당히 높았다.[23][24] 쿠바에서는 아마도, 해고와 기계화의 금지를 포함하여,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노동조합 특권이 영향을 미쳤다. 이 노동조합의 특권의 상당 부분은 무직자와 농부들의 희생을 대가로 한 것이었고, 불균형을 가져왔다.[25] 1933년부터 1958년 사이에, 쿠바는 광범위하게 경제 관련 규제를 확대하였고 이는 경제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20][26] 졸업생들이 일자리를 잡지 못하는 등 실업 문제가 비교적 커졌다.[20] 중산층들은, 미국과 쿠바를 비교해서, 실업으로 인하여 점점 실망해 갔고, 반면에 노동 조합은 최후까지 바티스타를 지지하였다.[18][20] 20년이 넘도록 부패한 바티스타가 정권을 잡고,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유지하는 동안 쿠바는 무너져갔으며 국가의 자산은 점점 외국의 손에 넘어갔다. 쿠바 혁명[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쿠바 혁명입니다. 쿠바 혁명 당시 피델 카스트로(좌)와 체 게바라(중앙) 쿠바 혁명(1953년 7월 26일 ~ 1959년 1월 1일)은 젊은 변호사 피델 카스트로, 에르네스토 게바라, 라울 카스트로 등의 사회주의 혁명가들이 두 차례에 걸친 무장 투쟁을 벌여 1959년 1월 1일 완수한 혁명을 말한다. 7월 26일단과 혁명 조직들이 당시 정치적 부패와 사회적 불공평으로 점절된 풀헨시오 바티스타 장군의 독재 정권을 전복하여 쿠바는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다. 또 "쿠바 혁명"이란 표현은 독재 정부를 뒤엎은 뒤 들어선 새 정부가 마르크스주의 정책 등 사회/정치적 계획을 실행한 과정을 일컫기도 한다. 즉, 이후 두차례에 걸쳐 실시된 토지개혁(1959년 5월, 1963년 10월)과 산업국유화(1960년 10월)도 쿠바 혁명에 포함될 수 있다. 1956년 12월 2일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82명의 무리가 무장 저항 운동 단체를 설립할 목적으로 시에라 마에스트라(Sierra Maestra)에 도착하였다. 1958년말, 그들은 시에라 마에스트라를 박차고 나와, 봉기를 일으켰고,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였다. 이들이 산타 클라라(Santa Clara)를 점령하자, 바티스타는 4000만 US$의 정부 기금을 가지고 쿠바를 벗어나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도망갔다. 바르킨은 카밀로 시엔푸에고스(Camilo Cienfuegos), 체 게바라, 라울 카스트로 및 그의 형제 피델 카스트로와 지휘권의 상징적인 변화에 대하여 협상하였다. 이것은 대법원이 그 혁명의 법원성(法源性)을 인정하고, 그 대표자가 명령권을 가진다고 결정한 이후에 나온 것이었다. 카스트로의 군대는 1959년 1월 8일 수도에 입성하였다. 마누엘 우루티아 레오(Manuel Urrutia Lleó)가 권력을 쥔지 얼마 후, 피델 카스트로가 그를 공격하였고, 결국 그는 미국으로 탈출하였다. 또 "쿠바 혁명"이란 표현은 독재 정부를 뒤엎은 뒤 들어선 새 정부가 마르크스주의 정책 등 사회/정치적 계획을 실행한 과정을 일컫기도 한다. 즉, 이후 두차례에 걸쳐 실시된 토지개혁(1959년 5월, 1963년 10월)과 산업국유화(1960년 10월)도 쿠바 혁명에 포함될 수 있다. 쿠바 혁명 이후[편집] 쿠바와 소련간의 우호관계를 보여주는 포스터 1961년까지 수십만명이 미국으로 피신하였다.[27] 쿠바는 1961년 1월 자유 진영의 중심국인 미국과 국교를 단절했다. 미국은 수차례 쿠바정부를 전복을 시도했다. 가장 유명한 실패는 냉전의 절정기에 일어난 피그스 만 침공이다. 1961년 미국의 대통령이 된 존 F. 케네디는 CIA의 도움을 받는 쿠바 망명자들이 피그스 만 침공(1961년 4월)을 감행하도록 지원하였고, 교수이자 혁명 이후 최초의 총리인 호세 미로 카르도나(José Miró Cardona)가 임시 수장을 담당하면서 쿠바에서 다수당의 민주주의가 회복되도록 지원하였다.[28] 그러나, 케네디는 미군이나 그밖의 직접적인 개입을 부정하였고,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것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가져오게 된다.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이 섬에 침공하지 않겠다는 구두 약속을 했다. 존 F. 케네디는 쿠바의 사회주의 정책이 자신들의 영향력을 줄어들게 할 것으로 보아 침공했으나, 군인들이 모두 생포 및 사살되어 미국의 침공은 실패했다. 오히려 이 사건으로 미국은 쿠바에서의 주권침해행위에 대한 비판을 받게 되었다. 미국은 쿠바에 대해 외교적, 경제적으로 완전한 봉쇄 정책을 단행하였고, "몽구스 작전"(Operation Mongoose)을 개시하였다. 1963년까지, 카스트로는 소련을 모범으로 삼아 쿠바에서 완전히 성장한 공산주의 체계를 갖추었다.[29] 1961년 4월 16일, 피그스 만 침공을 물리친 데 대해 쿠바군을 칭찬하는 연설을 하며, 카스트로가 혁명의 사회주의적 성격을 선언함으로써 라틴 아메리카에서 최초로 사회주의 국가가 탄생하였다. 이어서, 1961년 7월 피델 카스트로의 7월 26일단과 블라스 로카의 사회주의인민당(구 공산당), 파우레 초몬의 3월 13일 혁명 지도자단이 통합되어 통합 혁명 기구(IRO)가 출범했다. 1962년 3월 26일 통합 혁명 기구는 쿠바 사회주의 통합당(PURSC)이 되었고, 1965년 10월 3일에 쿠바 공산당이 되고 카스트로가 제1비서에 오르고, 블라스 로카(Blas Roca)가 제2비서가 되었다. 로카의 자리는 라울 카스트로가 잇게 되는데, 그는 국방부 장관이자 피델의 가장 절친한 친구였는데, 정부에서 가장 강력한 제2인자가 되었다. 라울 카스트로의 지위는 체 게바라가 떠남에 따라 강화되었다. 1970년대, 카스트로는 앙골라의 "앙골라 해방을 위한 대중 운동"(MPLA)과 에티오피아의 지도자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을 돕기 위하여 수만명의 군대를 급파하였다.[30] 체 게바라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이어서 볼리비아에서 폭동 운동을 시도하였는데 실패하였고, 1967년 볼리비아에서 미국 고문이 지켜보는 가운데 살해되었다. 그 외에도 쿠바는 자이레, 모잠비크에도 인민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나 고문을 파견하였다. 미국의 대응은 이들 나라의 독재자들을 지원하고 쿠바에 대해 금수조치를 내려 양국 간의 교역과 여행을 엄격하게 금지시키는 것이었다. 1970년대까지 삶의 기준은 매우 엄격하고 간소하였으며 불평이 가득찼다.[31] 피델 카스트로는 1970년에 행한 한 연설에서 경제 정책의 실패를 시인하였다.[31] 쿠바 정부는 아프리카에서 소련이 지원하는 전쟁에도 군대를 파견하였다. 쿠바는 1962년에 미주 기구에서 축출되었고, 엠바고를 당했으나, 1975년 미주 기구는 쿠바에 대한 모든 제재조치를 해제하였다. 1976년에 혁명 승리 후 첫 헌법을 제정하고 11월에 "인민 주권 민족 회의 대의원 선거"를 진행하였으며 12월에 혁명정부가 행사해 오던 입법권을 인민 주권 민족 회의에 넘겼다. 1959년부터 1993년까지 약 120만명의 쿠바인(현재 인구의 10%)이 미국을 향해 쿠바를 떠났다.[32] 주로 이들은 작은 보트나 허술한 뗏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왔다. 1980년 4월 6일 일요일, 1만여명의 쿠바인들이 정치적 피난처를 찾아서 아바나 주재 페루 대사관에 들이닥치기도 하였다. 4월 7일 월요일, 쿠바 정부는 페루 대사관으로 망명하려한 쿠바인들의 이주를 허락하였다.[33] 4월 16일 5백명의 쿠바 시민들이 코스타 리카를 향해 페루 대사관을 출발하였다. 4월 21일, 많은 쿠바인들이 개인 보트를 타고 마이애미에 도착하기 시작하였으나 4월 23일 미국 주 정부는 이를 중지시켰다. 그러나, 보트 탈출 행렬은 계속되었다. 카스트로가 누구든지 나라를 떠나고 싶다면 마리엘 항을 통해서 그렇게 하라고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 이민 행렬은 "마리엘 보트리프트"(영어: Mariel boatlift)로 알려지게 되었다. 결국 6월 15일 배의 행렬이 멈출 때까지 12만 5천명의 쿠바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였다.[34] 혁명 전 쿠바는 뒤떨어진 농업국가였으나 혁명 승리후 민족 경제 건설에 힘을 기울인 결과 식민지적 예속성과 기형성을 극복하고 급속히 발전하는 농업과 공업을 가지게 되었다. 탈 냉전 시대[편집] 쿠바를 방문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한 라울 카스트로 (2008) 소련이 제공하는 대규모 원조에도 불구하고 쿠바의 경제는 황폐화되었고 양국 간의 관계 역시 1989년 동유럽이 무너지자 러시아가 11,000명에 달하는 군인과 기술자를 철수시키면서 곧 악화되었다. 카스트로의 통치는 소비에트 연방 붕괴(쿠바에서는 "평화시대의 특별한 시기(Período especial en tiempo de paz)"라고 한다)의 여파로 심각하게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다. 미국은 엄격한 무역 금지 조치를 고수하였고 쿠바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빠르게 고립되었다. 1991년 12월 쿠바 헌법은 마르크스-레닌 주의에 대한 모든 언급을 제거하도록 고쳐졌다. 카스트로는 공공연하게 공산주의에 대한 충성을 언급하였지만 소련식 모델에 대한 개혁은 벌써 물밑에서 진행 중이었다. 식량난은 북조선과 유사하였다. 우선권은 엘리트 계층과 군인들에만 있을 뿐이었고, 일반 서민들은 먹을 것이 거의 없었다.[35][36] 쿠바 정부는 1993년까지 미국의 식량·의약품·금전 원조를 받기를 거부하였다.[35] 1993년 쿠바인이 미국 달러를 가지거나 사용할 수 있으며 100가지의 상업 분야에서 자영업을 허락하고 산지 시장을 여는 것을 허용하는 법이 통과되었다. 미국 달러 수입이나 이익에 대한 세금이 1994년에 징수되었고 1996년 10월에는 외국 회사가 전적으로 사업을 소유하거나 운영할 수 있으며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러한 개방에 대해 미국이 취한 행동이란 해묵은 금수조치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1996년 헬름스-버튼 법을 만들어 미국의 투자자들이 쿠바에서 몰수한 재산을 이용하는 외국 회사에 대해 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쿠바에 대해 차관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충고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새로운 원조자로서 등장하였다. 또한 쿠바는 베네수엘라의 우고 차베스 대통령과 볼리비아의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과 새로운 유대 관계를 맺었다. 두 나라 모두 석유와 천연가스의 주요 수출국이다.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인권 침해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 정치적인 탄압으로 인해 단지 쿠바의 현재 지도체제를 비판한다는 이유나 정치적인 반대 세력을 규합하려 한다는 이유로 감옥에 갇혀진 양심수는 적어도 500여명에 이른다. 비록 이러한 상황이 한탄할 만한 것이기는 하지만 힘센 이웃 나라인 미국이 항상 쿠바를 불안정하게 만들려 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교황 바오로 2세는 1998년 쿠바를 방문하는 동안 쿠바 정부의 고집과 미국 정부의 금수 조치에 대해 함께 비난함으로써 이것을 인정했다. 당시 교황의 방문에는 50만 명이 넘는 군중이 모였다. 이것은 미국이 양국 간의 직항편 운행을 2년 동안 금지시킨 조치를 철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1998년 10월에 찾아온 허리케인 죠지는 교황처럼 환영할 만한 것이 못됐다. 인명피해는 소수에 그쳤지만 수천 명의 주민이 수재민이 되었으며 많은 가옥이 거센 바람에 파괴되었고 더 많은 집들이 폭풍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번진 홍수를 피하기 위해 버려졌다. 2003년 쿠바 정부는 블랙 스프링(Black Spring)이라 알려진 사건에서 반체제 인사와 충돌하였고 몇십명이 투옥되었다.[37][38] 2006년 7월 31일, 피델 카스트로는 그의 주요 권력을 남동생이자 제1부통령인 라울 카스트로에게 이양하였다. 이 권력 이양은 피델 카스트로가 지속적인 출혈을 동반한 급성 위급통증으로 고통받은 후에 수술을 받고 회복하는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시적이었다. 카스트로는 2006년 12월 2일에 열린 그란마 호 상륙 5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던 당시 병이 중하였는데, 이는 카스트로가 위암에 걸렸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39] 그러나 2006년 12월 26일 스페인 의사 가르시아 사브리도는 그의 병이 소화 문제일 뿐 치명적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40] 2008년 1월, 카스트로가 베네수엘라의 대통령 우고 차베스를 만나는 장면이 방영되었다. 이 장면에서 카스트로는 허약하기는 하지만, 3개월 전보다는 나아진 모습이었다. 2008년 2월 카스트로는 쿠바의 대통령직을 사임한다고 발표하였다.[41] 2008년 2월 24일, 라울 카스트로가 새 대통령에 선출되었다.[42] 그는 수락 연설에서, 쿠바인들의 일상 생활을 제한하는 몇가지 것들이 철폐될 것이라고 약속하였다.[43] 2009년 3월, 라울 카스트로는 피델 카스트로 집권 시에 재직했던 공직자들을 숙청하였다. 쿠바와 유럽 연합은 5년 동안 외교관계가 단절되었으나 2008년 10월 23일에 다시 정상화되었다.[44] 각주[편집] ↑ AFP 2007 (accessed 11-18 2007) Arqueología Hallazgo podría dar pistas sobre primeros habitantes de la Isla. Cuba en el Encuentro, jueves 15 de noviembre de 2007 http://www.cubaencuentro.com/es Archived 2008년 7월 24일 - 웨이백 머신 “"oficialmente se habla de la presencia de los primeros humanos (en Cuba) en un periodo que oscila entre 6.000 y 8.000 años".” ↑ “그림: Greenstone zoomorphic amulet in form of Condor of the Andes”. University of Cambridge. 2008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15일에 확인함.  ↑ Gott, Richard : Cuba A New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p13 ↑ “The Rise and Fall of Smallpox”. 2008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30일에 확인함.  ↑ The Story Of… Smallpox—and other Deadly Eurasian Germs ↑ “The Little War (La Guerra Chiquita)”.  ↑ Anne Applebaum. Gulag: A History of the German Concentration Camps. "the first modern concentration camps were set up not in Germany or Russia, but in colonial Cuba, in 1895. In that year, to put an end to local insurgencies, imperial Spain began to prepare a policy of reconcentratión, intended to remove Cuban peasants from their land and 'reconcentrate' them in camps, depriving the insurgents of food, shelter and support. By 1900 the Spanish term reconcentratión had already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and was used to describe a British project, initiated for similar reasons, during the Boer War in South Africa." ↑ The Spanish-American War. “Cuban Reconcentration Policy and its Effects” (영어). 2009년 2월 19일에 확인함.  ↑ “Official Report of the Naval Court of Inquiry into the loss of the Battleship MAINE (Sampson Board)”. spanamwar.com. 1898년 3월 22일. 2008년 1월 22일에 확인함.  ↑ Charles W. Eliot (2001년 5월 2일). “Harvard Classics, Vol. 43: American Historical Documents, 1000–1904”. 43 of 51. New York: Bartleby.com. 2008년 1월 8일에 확인함.  |장=이 무시됨 (도움말) ↑ “Treaty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pain”. 《The Avalon Project at the Yale Law School》. Yale Law School, Lillian Goldman Law Library. 1898년 12월 10일. 2007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30일에 확인함.  ↑ Middletown Daily Times-Press 2006 Palma will Resign Beaten President to Call Special Session of congress and Give Up His Seat. Middletown Daily Times-Press Wednesday, September 26, 1906 Middletown, New York, page 2. “… All the Members of the cabinet and the heads of departments have presented resignations to President Palma. He has accepted them, but the officers will retain their positions until the resignation of the president has been presented to congress. O’Farrill secretary of state and justice, said there probably would be a government by a commission appointed by the American government. He mentioned Senor Barreiro chief justice of court and General Mario Menocal as commissioners. …” ↑ Thomas, Hugh. 《Cuba; the Pursuit of Freedom》 (영어). New York: Harper & Row. 283–287쪽. ISBN 0-06-014259-6.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발행월= (도움말) ↑ Sources include Portuondo Linares, Serafin 1950 Los Independientes de Color. Historia del Partido Independiente de Color. Direccion de Cultura. Havana. (Fermoselle Lopez, Rafael 1974. Politica y Color in Cuba, La Guerrita de 1912. Ediciones Geminis Montevideo. Other sources give peripheral mention to burning of property at that time ↑ there are the physical acts of arson, in intent and action indistiguishable from the recent Balkan ethnic cleansing.Take for example the incident a La Maya (Portuondo pp. 243-245) where the town was burned including houses bought by Mambi "de color" using their pensions. ↑ Dutcher, Rodney (NEA) ↑ Argote-Freyre, Frank, 2006 Fulgencio Batista: Volume 1, From Revolutionary to Strongman. Rutgers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ew Jersey ISBN 978-0813537010 {{isbn}}의 변수 오류: 유효하지 않은 ISBN. p. 50 and later explained by the communists themselves in: Massón Sena, Caridad 2004 (accessed 6-9-07) ↑ 가 나 Leslie Bethell. 《Cuba》.  ↑ Julia E. Sweig (2004). 《Inside the Cuban Revolu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1612-5.  ↑ 가 나 다 라 Jorge I. Domínguez. 《Cuba》.  ↑ José Alvarez (2004). 〈Cuban Agriculture Before 1959: The Social Situation〉. 《Cuba's Agricultural Secto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ISBN 0-8130-2754-3.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장링크=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Paul H. Lewis. 《Authoritarian regimes in Latin America》.  ↑ Servando Gonzalez. 《The Secret Fidel Castro》.  ↑ “Andy Garcia's Thought Crime”. 2009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5일에 확인함.  ↑ Eric N. Baklanoff. “Cuba on the eve of the socialist transition: A reassessment of the backwardness-stagnation thesis” (PDF). 《Cuba in Transition》. 2009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5일에 확인함.  ↑ Hugh Thomas. 《Cuba, The Pursuit of Freedom》. 1173쪽.  ↑ Ted Henken. 《Cuba》.  ↑ Leslie Bethell. 《Cuba》.  ↑ Faria, Miguel A. Cuba in Revolution -- Escape From a Lost Paradise, 2002, Hacienda Publishing, Inc., Macon, Georgia, pp. 163-228 ↑ Jorge I. Domínguez,. 《To make a world safe for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 가 나 Leslie Bethell.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America》.  ↑ “US Census Press Releases”. 2009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2일에 확인함.  ↑ “The Daily News -- April 1980”. The Eighties Club - The Politics and Pop Culture of the 1980s. 1980년 4월. 2006년 7월 9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The Daily News -- April 1980”. The Eighties Club - The Politics and Pop Culture of the 1980s. 1980년 4월. 2006년 7월 9일에 확인함.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 가 나 “Health consequences of Cuba's Special Period”.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 “Cuba’s Food & Agriculture Situation Report” (PDF). 2009년 4월 23일에 확인함.  |보존url=이 잘못됨: timestamp (도움말) ↑ Carlos Lauria, Monica Campbell, and María Salazar (2008년 3월 18일). “Cuba's Long Black Spring”. The Committee to Protect Journalists.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Cuba - No surrender by independent journalists, five years on from “black spring”” (PDF). The Reporters Without Borders. March 2008. 2009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23일에 확인함.  ↑ Castro not dying, US envoys told. BBC News, December 18, 2006. ↑ “Castro does not have cancer, says Spanish doctor”. Times Online. 2009년 4월 26일에 확인함.  ↑ “Fidel Castro Resigns as Cuba’s President”. NewYork Times. 2008년 2월 20일.  다음 글자 무시됨: ‘http://www.nytimes.com/2008/02/20/world/americas/20castro.html ’ (도움말); |확인날짜=는 |url=을 필요로 함 (도움말) ↑ “쿠바, 라울 카스트로 시대로… 새 국가평의회 의장에 선출”. 동아일보. 2008년 2월 26일. 2008년 2월 24일에 확인함.  ↑ “Byte by byte”. The Economist. 2008년 3월 19일. 2008년 4월 4일에 확인함.  ↑ “쿠바-EU 5년 만에 외교관계 정상화”. 연합뉴스. 2008년 10월 24일. 2009년 6월 12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영어) 쿠바의 역사 (시간 순서대로) vdeh북아메리카의 역사주권 국가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미국 바베이도스 바하마 벨리즈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이티 앤티가 바부다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자메이카 캐나다 코스타리카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1 파나마1 속령,자치 지역 과들루프 그린란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1 마르티니크 몬트세랫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버뮤다 생마르탱 생바르텔레미 생피에르 미클롱 아루바1 앵귈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푸에르토리코 1 두 대륙에 걸친 나라 혹은 남아메리카의 영역으로 간주되는 나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쿠바의_역사&oldid=23853750" 분류: 쿠바의 역사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인용 오류 - 장이 무시됨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인용 오류 - URL 없이 확인날짜를 사용함인용 오류 - 오래된 변수를 사용함인용 오류 - 보존urlCS1 관리 - 여러 이름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스페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IdoItaliano日本語LatinaLietuviųBahasa MelayuNederlandsਪੰਜਾਬੀ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loven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3일 (수) 22: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쿠바에는 수 천년 전에 타이노족 등 원주민이 농경 등을 영위하고 있었으나, 15세기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쿠바에 건너온 이후, 19세기까지 스페인의 식민지로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스페인들은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를 수입하여, 19세기까지 쿠바에 수입된 흑인 노예의 수는 100만 명에 이르렀다. 17∼18세기에는 흑인들이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으로 끝을 맺었다. 쿠바와 미국간의 긴밀성은 쿠바의 역사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쳐 미국은 끊임없이 쿠바를 지배하려고 넘보았다. 19세기에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 호세 마르티는 각각 독립전쟁을 일으켰으나 스페인은 쿠바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았고, 군사 통치자 발레리아노 웨일러(Valeriano Weyler)는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 1898년 미국의 메인 호가 아바나 항에서 정박중에 폭발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미서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나고, 스페인은 쿠바를 미국에 넘겨주었다. 종전 후 3년 동안 쿠바에서는 미국 군대의 군정(軍政)이 실시되었으며, 1903년에는 관타나모에 미국 해군의 기지가 설치되고 쿠바의 중추적 기능을 미국자본이 장악하는 등 쿠바는 미국의 사실상의 식민지가 되었다. 쿠바는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 측으로서, 명목상 선전포고는 하였으나, 실제 전투에 참가는 거의 없었다. 1930년 마차도의 쿠데타 이후로, 10여년간 계속 군사 정권이 들어섰다. 1940년 쿠바 공산당의 바티스타는 선거로 정권을 획득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빈부 격차도 극심하게 되었다. 1952년에는 군부의 지지를 받는 바티스타가 쿠데타를 일으키고 권력을 얻어냈고, 바티스타에 대항한 1956년 바르킨의 쿠데타는 실패로 끝났다.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혁명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고, 1961년에는 그 혁명이 사회주의적임을 천명하였다. 이후,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였으나 실패하였고,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쿠바 혁명 때부터 1993년까지 쿠바의 독재정권을 피하고자 120만명의 쿠바인이 쿠바를 탈출하였다. 1970년대 쿠바는 볼리비아, 앙골라 등의 무장 봉기를 지원하였고,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의 독재자들을 원조하였다. 1989년 소련의 붕괴로 쿠바는 소련의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심각한 경제난에 직면하게 되었다. 1993년에는 일부 민간 경제에서 미국과의 교류를 허용하였으나, 미국은 금수 조치로 일관하였다. 쿠바에는 양심수가 500명에 이르는 등, 쿠바 정부는 지난 30년 동안 인권 침해에 대해 비판을 받아왔다. 2008년, 병이 중해진 피델 카스트로는 동생인 라울 카스트로에게 권력을 넘겨 주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쿠바의 역사와 관련하여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의 반란으로 인해 3천여 명이 살해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1912년
Human: 아래 세포내이입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포내이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포내이입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양한 세포내이입 세포내이입(Endocytosis, 細胞內移入)은 세포가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백질 같은 분자를 세포 내로 옮기는 과정이다. 세포에게 필요한 물질은 극성 분자인 경우가 많아 소수성 세포막을 지날 수 없기 때문에 특수한 운송 과정이 필요하다. 세포내이입과 반대되는 과정은 세포외유출이다.[1] 목차 1 세포내이입 경로 2 주요 구성요소 3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 4 같이 보기 5 각주 및 참고 문헌 6 외부 링크 세포내이입 경로[편집] 시냅스 소포 막에서 일어나는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왼쪽)과 클라트린 비의존성 세포내이입 모식도 세포내이입 경로는 아래 네 부류로 나뉜다.[2]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은 지름 100 nm 정도의 작은 소포에 의해 매개된다. 소포는 단백질 복합체(대개 세포질 단백질인 클라트린)로 이루어진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클라트린 피막 소포는 거의 모든 세포에 있고, 클라트린 피막 홈(clathrin-coated pit)이라고 하는 원형질막의 특정한 구역을 이룬다. 리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피막 홈에서 수용체가 집합하여 리간드를 세포내이입한다. 리간드에는 저밀도 지질단백질, 트랜스페린, 성장 인자, 항체 등이 있다. 카베올리(caveolae)는 세포내이입 싹(bud) 중 클라트린 피막 이외에 가장 흔한 구조이다. 카베올리는 콜레스테롤 결합 단백질 카베올린(caveolin, Vip21), 콜레스테롤과 당지질이 풍부한 이중층 막으로 이루어진다. 카베올리는 지름이 약 50 nm인 플라스크형 홈으로 동굴(cave) 모양과 유사하다(이름의 어원).[3] 평활근, 제1형 허파꽈리세포(호흡허파꽈리세포), 섬유모세포, 지방세포, 혈관내피세포 등에는 특히 카베올리가 풍부하여 막의 1/3까지 채울 수 있다.[4] 포토사이토시스(potocytosis)는 카베올리를 사용하여 수용체에 붙은 분자를 세포에 들여온다.[3] 거대음작용(macropinocytosis)은 원형질막의 매우 주름진 영역에서 일어난다. 세포막을 주머니 형태로 함입하고 소포를 형성하도록 찝어서 막에서 분리한다. 지름은 0.5-5 μm이다. 소포에는 클라트린 피막 소포의 ~100배에 해당하는 세포외액과 세포외 분자가 들어있고, 이들은 무작위로 소포에 들어간다. 소포는 이후 세포질액에서 엔도솜이나 리소좀 등 다른 소포와 융합한다.[5] 포식작용은 세포가 지름 0.75 μm 정도의 입자와 결합하여 세포 내로 들여오는 과정이다. 특정한 세포만 포식작용을 한다. 포식작용되는 입자에는 크기가 작은 먼지 입자, 세포 잔해, 미생물, 세포자살한 세포 등이 있다. 포식작용은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이나 카베올리 경로에 비하여 큰 막 영역을 흡수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렇게 형태학적으로 세포내이입 과정을 분류하는 것은 부적당하고, 클라트린에 의존하는 특정한 경로 및 그 아형과 클라트린에 의존하지 않는 세포내이입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한 방법이다. 포식작용도 아니고 클라트린에 의존하지도 않는 세포내이입이 기계적으로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Graf1라는 단백질이 클라트린 비의존적이고 매우 흔한 세포내이입 경로인 CLIC/GEEC 경로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연구된 바 있다.[6] Graf1은 작은 G 단백질 신호전달과 막 개조 과정 사이의 협력을 통하여 소포에 있는 화물이 세포 내로 들어오게 한다. 주요 구성요소[편집] 포유류 세포의 세포내이입은 별개의 막 구획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포내이입에 쓰인 구성요소는 원형질막에서 분자를 안으로 들여오고 다시 세포 표면으로 돌아가거나(초기 엔도솜과 재활용 엔도솜), 분해된다(후기 엔도솜과 리소좀). 세포내이입 경로의 주요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2] 초기 엔도솜은 세포내이입된 소포가 처음 만나는 구조물이다. 초기 엔도솜은 세포의 가장자리에 주로 위치하고 세포 표면으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종류의 소포를 받는다. 초기 엔도솜은 특징적인 대롱이 있는 소포 구조로, 소포 지름은 최대 1 μm이고 연결된 대롱의 지름은 약 50 nm이다. 내부는 약산성을 띤다. 초기 엔도솜은 기본적으로 분류 기능을 하는 세포소기관이다. 엔도솜 내의 약산성 pH에서 수용체는 리간드와 분리되어 대롱을 통해 세포 표면으로 돌아간다.[7][8] 트랜스사이토시스(transcytosis) 경로로 가는 다소포체(multivesicular body)와 엔도솜 운반 소포(endosomal carrier vesicle)도 여기서 분류된다. 후기 엔도솜은 세포내이입으로 들어와 리소좀으로 가는 물질을 받는다. 초기 엔도솜에 있는 물질, 생합성 경로에서 트랜스 골지 경로로 온 물질, 포식작용으로 포식소체에 들어온 물질이 여기 포함된다.[9] 후기 엔도솜은 소포나 리소좀 막 당단백질이나 산성 가수분해효소 등 리소좀의 특성을 띠는 막 구조 혹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산성(pH 5.5)이고, 6-인산 만노스 표지가 붙은 리소좀 효소를 수송하는 6-인산 만노스 수용체 수송 경로의 일부이다. 후기 엔도솜은 리소좀으로 물질이 운반되기 전에 최종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리소좀은 세포내이입 경로의 마지막 구획이다. pH 4.8이고 전자현미경 상에서는 대개 지름이 1-2 μm인 액포에 전자 밀도가 높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리소좀은 세포에서 가수분해를 담당하는 구획으로,[10][11] 세포질그물에서 합성되어 골지체에서 수식을 거친[12] 40여 종의 가수분해효소가 들어있다. 주로 세포 폐기물,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및 기타 거대분자를 단순한 화합물로 분해하는 기능을 한다. 분해 산물은 세포질로 돌아가 세포를 구성하는 새로운 물질로 쓰인다. 아이소좀(eisosome)이 효모에서 세포내이입 관문으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13]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편집]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은 세포내이입 경로 중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 클라트린은 원형질막 안쪽 표면에 피막 홈을 형성한다. 홈은 세포질로 함입되어 피막으로 둘러싸인 소포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 표면의 작은 영역과 소량의 세포외액이 세포 내로 들어온다.[14][15][16] 피막은 소포를 만들기 위하여 막을 변형시키고, 소포에 들어갈 화물을 선택하는 기능도 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피막 복합체는 피막 단백질 I(COP-I), II(COP-II), 클라트린이 있다.[17][18] 클라트린 피막은 주요 수송 단계에 관여한다. 원형질막에서 초기 엔도솜으로 수용체 매개 세포내이입과 액상 세포내이입, 트랜스 골지망에서 엔도솜으로 운반 등이 그것이다. 클라트린은 원형질막의 세포질쪽 면에 붙어서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함입과 분리를 거친다. 배양된 세포에서 클라트린 피막 홈이 소포로 분리되기까지 최대 1분이 걸리고, 분당 수 백에서 수 천개의 소포가 생성된다.[19] 클라트린 피막 구조를 이루는 주요소는 클라트린 중쇄(190 kD)와 경쇄(25 kD)이고, 다리가 셋인 삼합체 트리스켈리온(triskelion)을 이룬다. 소포는 물질을 특이적으로 농축하고 특정 단백질은 제외한다. 원형질막에 있는 AP2 연결기(AP2 adaptor)가 이 기능을 한다. 포유류 세포의 피막 소포에 흔히 있는 수용체로는 LDL을 혈류에서 제거하는 저밀도 지질단백질 수용체, 트랜스페린에 결합한 철 이온(ferric ion)을 세포 내로 가져오는 트랜스페린 수용체, 표피성장인자 등 특정 분자의 수용체가 있다. 섬유모세포 막의 25%는 피막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막 홈이 세포로 함입하기 전에 약 1분간 지속되므로, 섬유모세포는 스스로의 표면을 16분에 한 번씩 교체한다. 피막 소포의 지름은 36 nm, 수명은 수 초 이내이다. 피막 홈이 소포로 전환되는 데에는 클라트린 이외에 세포질 단백질 다이나민(dynamin)과 연결기 어댑틴(adaptin)이 관여한다. 피막 홈과 소포는 맷 라이언스(Matt Lions)와 파커 조지(Parker George)가 전자현미경으로 조직 절편을 관찰하던 중 처음 발견하였다. 저밀도 지질단백질을 혈류에서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막 홈의 중요성을 발견한 것은 R. G. 앤더슨(Anderson), 마이클 스튜어트 브라운( Michael S. Brown), 조지프 골드스타인(Joseph L. Goldstein)이다(1976년). 피막 소포는 클라트린 피막 분자를 발견한 바버라 피어스에 의해 처음 분리 정제 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능동수송 세포 외 유출 식작용 음세포작용 각주 및 참고 문헌[편집] ↑ Marsh M, McMahon HT (1999년 7월). “The Structural Era of Endocytosis”. 《Science》 (영어) 285 (5425): 215–20. PMID 10398591. doi:10.1126/science.285.5425.215. 2009년 6월 19일에 확인함.  ↑ 가 나 Marsh, Mark (2001). 《Endocytosis》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vii쪽. ISBN 978-0-19-963851-2.  ↑ 가 나 Silverthorn DU (2011년 3월 1일). 〈5장 막의 역동성〉. 고영규 외 역. 《인체생리학》 5판. 라이프사이언스. ISBN 978-89-6154-101-5.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Parton RG, Simons K (2007년 3월). “The multiple faces of caveolae”.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영어) 8 (3): 185–94. PMID 17318224. doi:10.1038/nrm2122.  ↑ Falcone S, Cocucci E, Podini P, Kirchhausen T, Clementi E, Meldolesi J (2006년 11월). “Macropinocytosis: regulated coordination of endocytic and exocytic membrane traffic events”. 《Journal of Cell Science》 (영어) 119 (Pt 22): 4758–69. PMID 17077125. doi:10.1242/jcs.03238.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Lundmark R, Doherty GJ, Howes MT; 외. (November 2008). “The GTPase-Activating Protein GRAF1 Regulates the CLIC/GEEC Endocytic Pathway”. 《Current Biology : CB》 (영어) 18 (22): 1802–8. PMC 2726289. PMID 19036340. doi:10.1016/j.cub.2008.10.044.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Mellman I (1996). “Endocytosis and molecular sorting”. 《Annual Review of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영어) 12: 575–625. PMID 8970738. doi:10.1146/annurev.cellbio.12.1.575.  ↑ Mukherjee S, Ghosh RN, Maxfield FR (1997년 7월). “Endocytosis”. 《Physiological Reviews》 (영어) 77 (3): 759–803. PMID 9234965. 2009년 6월 19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Stoorvogel W, Strous GJ, Geuze HJ, Oorschot V, Schwartz AL (1991년 5월). “Late endosomes derive from early endosomes by maturation”. 《Cell》 (영어) 65 (3): 417–27. PMID 1850321. doi:10.1016/0092-8674(91)90459-C.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Gruenberg J, Maxfield FR (1995년 8월). “Membrane transport in the endocytic pathway”. 《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 (영어) 7 (4): 552–63. PMID 7495576. doi:10.1016/0955-0674(95)80013-1.  ↑ Luzio JP, Rous BA, Bright NA, Pryor PR, Mullock BM, Piper RC (2000년 5월 1일). “Lysosome-endosome fusion and lysosome biogenesis”. 《Journal of Cell Science》 (영어) 113 (9): 1515–24. PMID 10751143. 2009년 6월 19일에 확인함.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Weissmann, G (1965). 《Studies on Lysosomes》 (영어).  ↑ Walther TC, Brickner JH, Aguilar PS, Bernales S, Pantoja C, Walter P (2006). “Eisosomes mark static sites of endocytosis”. 《Nature》 (영어) 439 (7079): 998–1003. PMID 16496001. doi:10.1038/nature0447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Benmerah A, Lamaze C (2007년 8월). “Clathrin-coated pits: vive la différence?”. 《Traffic (Copenhagen, Denmark)》 (영어) 8 (8): 970–82. PMID 17547704. doi:10.1111/j.1600-0854.2007.00585.x.  ↑ Rappoport JZ (2008년 6월). “Focusing on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The Biochemical Journal》 (영어) 412 (3): 415–23. PMID 18498251. doi:10.1042/BJ20080474.  ↑ Granseth B, Odermatt B, Royle SJ, Lagnado L (2007년 12월). “Clathrin-mediated endocytosis: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vesicle retrieval at hippocampal synapses”. 《The Journal of Physiology》 (영어) 585 (Pt 3): 681–6. PMC 2375507. PMID 17599959. doi:10.1113/jphysiol.2007.139022.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 Robinson MS (1997년 3월). “Coats and vesicle budding”. 《Trends in Cell Biology》 (영어) 7 (3): 99–102. PMID 17708916. doi:10.1016/S0962-8924(96)10048-9.  ↑ Glick BS, Malhotra V (1998년 12월). “The curious status of the Golgi apparatus”. 《Cell》 (영어) 95 (7): 883–9. PMID 9875843. doi:10.1016/S0092-8674(00)81713-4.  ↑ Gaidarov I, Santini F, Warren RA, Keen JH (1999년 5월). “Spatial control of coated-pit dynamics in living cells”. 《Nature Cell Biology》 (영어) 1 (1): 1–7. PMID 10559856. doi:10.1038/897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외부 링크[편집] (영어) 클라트린 매개 세포내이입 (영어) 세포내이입과 세포외유출(애니메이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포내이입&oldid=23954046" 분류: 세포 과정막생물학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관리 - 추가 문구CS1 관리 - 여러 이름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etuvių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일 (화) 15: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포내이입(細胞內移入, 영어: endocytosis)은 세포가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백질 같은 분자를 세포 내로 옮기는 과정이다. 세포내 섭취(細胞內攝取) 또는 내포작용(內包作用)이라고도 한다. 세포에게 필요한 물질은 극성 분자인 경우가 많아 소수성 세포막을 지날 수 없기 때문에 특수한 운송 과정이 필요하다. 세포내이입과 반대되는 과정은 세포외유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섬유모세포의 막에는 몇 퍼센트의 피막 홈이 있을까? Assistant: 피막 홈 Human: 아래 국립중앙의료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국립중앙의료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립중앙의료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국립중앙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 국립중앙의료원의 시그니처국가 대한민국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3개원 1958년 10월 2일상급기관 보건복지부종류 중앙응급의료센터병상수 569[1]웹사이트 http://www.nmc.or.kr/main.asp 국립중앙의료원의 위치 국립중앙의료원(國立中央醫療院, National Medical Center)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특수법인이다. 1958년 스칸디나비아 3국의 의료진과 의료 장비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보건복지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목차 1 설립 근거 2 기관 연혁 3 의료부 4 미디어 5 각주 6 외부 링크 설립 근거[편집] 국립중앙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기관 연혁[편집] 1958년 11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스칸디나비아 3국) 지원으로 개원 1959년 7월 간호학교 설치('79. 1. 1 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1968년 10월 정부에서 운영권 인수, 국립의료원특별회계 설치 2000년 1월 책임운영기관 지정 2001년 11월 중앙응급의료센터 개소 2007년 2월 국립의료원간호대학 폐지 2009년 4월 국립중앙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2010년 4월 2일 특수법인 국립중앙의료원 출범[2] 의료부[편집] 일반외과 신경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안과 치과 일반내과 신경과 정신과 흉부내과 소아과 응급의학과 재활의학과 가정의학과 진단방사선과 치료방사선과 해부병리과 임상병리과 마취과 약제과 간호과 한방진료부(한방과·침구과) 미디어[편집] KBS 《다큐멘터리 3일》 (717회, 2019.03.03) 각주[편집] ↑ 의료기관백과사전 - 국립중앙의료원 ↑ 국립의료원 52년만에 법인으로 새출발《연합뉴스》2010년 4월 1일 정주호 기자 외부 링크[편집] 국립중앙의료원 - 공식 웹사이트 국립중앙의료원 관련 항목vdeh 서울특별시의 종합병원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상급종합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북삼성병원 건국대학교병원 경희의료원 고려대학교구로병원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중앙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 종합병원 강남차병원 강남고려병원 강남성심병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강동성심병원 구로성심병원 국립경찰병원 국립중앙의료원 금강아산병원 녹색병원 대림성모병원 대한병원 동부제일병원 동신병원 명지성모병원 미즈메디병원 베스티안병원 보라매병원 부민서울병원 삼육서울병원 중앙보훈병원 서울백병원 서울성심병원 서울의료원 서울적십자병원 서울특별시동부병원 성애병원 세란병원 소화아동병원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양지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우리들병원 은평성모병원 이화여자대학교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서울병원 상계백병원 원자력병원 을지병원 제일병원 청구성심병원 충무병원 한강성심병원 한전병원 혜민병원 홍익병원 희명병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 대한민국의 공공병원지방자치단체산하 공공병원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본원 · 강남분원)1 어린이병원 서북병원 은평병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북부병원 서남병원 장애인치과병원 용인정신병원 백암정신병원 축령정신병원 고양정신병원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료원(본원 · 백령분원)1 경기도 경기도의료원(수원병원 · 의정부병원 · 파주병원 · 이천병원 · 안성병원 · 포천병원)1 강원도 원주의료원1 강릉의료원1 속초의료원1 영월의료원1 삼척의료원1 충청북도 청주의료원1 충주의료원1 충청남도 천안의료원1 공주의료원1 홍성의료원1 서산의료원1 전라북도 군산의료원1 남원의료원1 진안군 진안군의료원1 전라남도 순천의료원1 강진의료원1 목포시 목포시의료원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의료원1 대구광역시 대구의료원1 경상북도 포항의료원1 김천의료원1 안동의료원1 울진군 울진군의료원1 경상남도 마산의료원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의료원1 서귀포의료원1 중앙행정기관산하 공공병원교육부 강릉원주대치과병원 강원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 충북대병원 서울대병원 치대병원 분당병원 부산대병원 치대병원 양산병원 경북대병원 치대병원 칠곡병원 전남대병원 치대병원 화순병원 전북대병원 치대병원 경상대병원 창원병원 고용노동부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대전병원 동해병원 순천병원 안산병원 인천병원 정선병원 창원병원 태백병원 경기요양병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원자력의학원 원자력병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대한적십자사 서울적십자병원1 인천적십자병원1 상주적십자병원1 거창적십자병원1 통영적십자병원1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력공사 한전병원 국가보훈처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중앙보훈병원 · 광주보훈병원 · 대구보훈병원 · 대전보훈병원 · 부산보훈병원1지역거점공공병원국립병원 · 공공병원 · 국군병원 · 권역응급의료센터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기재부 교육부 과기정통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행안부 문체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본부 소속 장관 차관 국립소록도병원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 국립망향의동산관리원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소속 위원회 목록) 질병관리본부 본부장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검역소 국립인천공항검역소 김포지소 국립부산검역소 신항지소 국립인천검역소 평택지소 국립군산검역소 대산지소 국립울산검역소 국립포항검역소 대구국제공항지소 국립동해검역소 속초지소 고성지소 국립목포검역소 무안국제공항지소 국립여수검역소 광양지소 국립마산검역소 국립김해검역소 국립통영검역소 거제지소 국립제주검역소 제주국제공항지소 국립정신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연구소 국립나주병원 국립부곡병원 약물중독진료소 국립춘천병원 국립공주병원 국립결핵병원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 산하 공공기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사회보장정보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소관기관 중앙입양원 대한조산협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약사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어린이집안전공제회 한국사회복지공제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한국효문화진흥원 (소관 사단법인 소관 재단법인) vdeh 대한민국의 권역외상센터수도권역서울권역 국립중앙의료원 인천권역 가천대 길병원 경기북부권역 의정부성모병원 경기남부권역 아주대병원 강원·충청권역대전권역 을지대학교병원 충남권역 단국대학교병원 충북권역 충북대학교병원 강원권역 연세대 원주기독병원 호남·제주권역광주권역 전남대학교병원 전북권역 원광대학교병원 전남권역 목포한국병원 제주권역 제주한라병원 영남권역부산권역 부산대학교병원 울산권역 울산대학교병원 대구권역 경북대학교병원 경북권역 안동병원 경남권역 경상대학교병원 국립병원 · 공공병원 · 국군병원 · 권역응급의료센터 · 권역외상센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국립중앙의료원&oldid=24122562" 분류: 대한민국의 공공병원권역응급의료센터1958년 설립1958년 설립된 병원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서울특별시의 병원특수법인 (보건복지부 소관)대한민국의 의학 단체공공기관 (보건복지부 소관)서울미래유산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Norsk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30일 (화) 00: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국립중앙의료원(國立中央醫療院, National Medical Center)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특수법인이다. 1958년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스칸디나비아 3국의 의료진과 의료 장비 지원으로 설립되었다. 보건복지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및 중앙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국립중앙의료원의 연혁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58년 11월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스칸디나비아 3국) 지원으로 개원 1959년 7월 간호학교 설치('79. 1. 1 간호전문대학으로 승격) 1968년 10월 정부에서 운영권 인수, 국립의료원특별회계 설치 2000년 1월 책임운영기관 지정 2001년 11월 중앙응급의료센터 개소 2007년 2월 국립의료원간호대학 폐지 2009년 4월 국립중앙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공포 2010년 4월 2일 특수법인 국립중앙의료원 출범[2]
Human: 아래 어글리_베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어글리 베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글리 베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어글리 베티 Ugly Betty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미국 방송 채널 ABC 방송 기간 2006년 9월 28일 ~ 2010년 4월 14일 방송 시간 매주 토요일 낮 12:50 ~ 1:40(50분) 방송 분량 50분 방송 시즌 4 방송 횟수 85회 추가 채널 KBS 2TV 기획 KBS 편성 기획부 제작자 KBS 미디어 음성 1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시각·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화면 해설·자막 방송 《어글리 베티》(Ugly Betty)는 ABC에서 방영된 미국의 드라마이다. 뉴욕의 패션 잡지사를 배경으로 하여 직장인들의 생활을 전개하는 코미디 드라마의 내용을 담고있다. 특히 골든 글러브 상과 SAG상을 수상한 드라마로 주목받고있다. 대한민국은 2007년 2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 시즌 1이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되었다. 목차 1 방송 시간 2 출연 3 한국어판 성우 출연 및 제작진 4 에피소드 목록 4.1 시즌 1 4.2 시즌 2 4.3 시즌 3 4.4 시즌 4 5 외부 링크 방송 시간[원본 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2007년 2월 3일 ~ 7월 14일 매주 토요일 낮 12:50 ~ 1:40(50분) 출연[원본 편집] 아메리카 페레라 — 베티 수아레스(Betty Suarez) 에릭 매비어스 — 대니얼 미드(Daniel Meade) 앨런 데일 — 브래드퍼드 미드(Bradford Meade) 버네사 윌리엄스 — 월러미나 슬레이터(Wilhelmina Slater) 베키 뉴턴 — 어맨다(Amanda) 애나 오티즈 — 힐다 수아레스(Hilda Suarez) 애슐리 젠슨 — 크리스티나 매킨리(Christina McKinney) 토니 플라나 — 이그나시오 슈아레즈(Ignacio Suarez) 마이클 우리 — 마크 세인트제임스(Marc St. James) 마크 인델리카토 — 저스틴 수아레스(Justin Suarez) 케빈 서스먼 — 월터(Walter) 리베카 로민 — 알렉스/알렉시스 미드(Alexis Meade) 살마 아예크 - 소피아(Sophia) 한국어판 성우 출연 및 제작진[원본 편집] 성우출연 이선 - 베티(아메리카 페레라) 구자형 - 대니얼(에릭 매비어스) 박상일 - 브래드 퍼드(앨런 데일) 안경진 - 월레미나(버네사 윌리엄스) 조진숙 - 어맨다(베키 뉴턴) 이진화 - 힐다(애나 오티즈) 손정아 - 크리스티나(애슐리 젠슨) 원호섭 - 이그나시오(토니 플라나) 박찬희 - 마크(마이클 우리) 윤동기 - 월터(케빈 서스먼) 강희선 - 소피아(살마 아예크,시즌 1) 이경자 - 파비아(지나 거숀,시즌 1) 제작진 녹음:김학건 그래픽:권미정 편집:윤수아 번역:양미진 연출:서원석 에피소드 목록[원본 편집] 시즌 1[원본 편집] 1화 - 베티, 취직하다(Pilot) 2화 - 미운 오리의 화려한 외출(Queens for a Day) 3화 - 토끼의 실종(The box and the bunny) 4화 - 살기 위해 뭉치다(Fey's Sleigh Ride) 5화 - 미스 월화수목금(The lying, the watch and the wardrobe) 6화 - 바람둥이 길들이기(Trust, Lust ad Must) 7화 - 특별한 야근(After Hours) 8화 - 네 번의 추수감사절과 한번의 장례식(four thanksgiving and a funeral) 9화 - 오늘은 베티가 대장(Lose the boss) 10화 - 사랑에 빠졌을 때 나타나는 제 증상들(fake plastic snow) 11화 - 구찌백의 추억(Swag) 12화 - 소피아의 배신(Sofia's choice) 13화 - 살.생.부(In or Out) 14화 - 동생으로 산다는 것(I'm coming out) 15화 - 왕자들의 난(Brothers) 16화 - 친구와 애인 사이(Derailed) 17화 - 이별의 생일 케이크(Icing on the Cake) 18화 - 대리 애인(Don't ask, don't tell) 19화 - 내겐 너무 귀찮은 그녀(Punch out) 20화 - 모델 사기사건(Petra-gate) 21화 - 비서의 날(Decretaries day) 22화 - 과다라하라에 한그루의 나무가 자라네(A tree grows in Guadalajara) 23화 - 이스트사이드 스토리(East Side Story) 시즌 2[원본 편집] 1화 - How Betty Got Her Grieve Back 2화 - Family/Affair 3화 - Betty's Wait Problem 4화 - Grin and Bear It 5화 - A League of Their Own 6화 - Something Wicked This Way Comes 7화 - A Nice Day for a Posh Wedding 8화 - I See Me, I.C.U. 9화 - Giving Up the Ghost 10화 - Bananas for Betty 11화 - Zero Worship 12화 - Odor in the Court 13화 - A Thousand Words Before Friday 14화 - Twenty Four Candles 15화 - Burning Questions 16화 - Betty's Baby Bump 17화 - The Kids Are Alright 18화 - Jump 시즌 3[원본 편집] 1화 - The Manhattan Project 2화 - Filing for the Enemy 3화 - Crimes of Fashion 4화 - Betty Suarez Land 5화 - Granny Pants 6화 - Ugly Berry 7화 - Crush'd 8화 - Tornado Girl 9화 - When Betty Met YETI 10화 - Bad Amanda 11화 - Dress for Success 12화 - Sisters on the Verge of a Nervous Breakdown 13화 - Kissed Off 14화 - The Courtship of Betty's Father 15화 - There's No Place Like Mode 16화 - Things Fall Apart 17화 - Sugar Daddy 18화 - A Mother of a Problem 19화 - The Sex Issue 20화 - Rabbit Test 21화 - The Born Identity 22화 - In the Stars 23화 - Curveball 24화 - The Fall Issue 시즌 4[원본 편집] 1화 - The Butterfly Effect Part 1 2화 - The Butterfly Effect Part 2 3화 - Blue on Blue 4화 - The Weiner, the Bun, and the Boob 5화 - Plus None 6화 - Backseat Betty 7화 - Level (7) with Me 8화 - The Bahamas Triangle 9화 - Be-Shure 10화 - The Passion of the Betty 11화 - Back in Her Place 12화 - Blackout! 13화 - Chica and the Man 14화 - Smokin' Hot 15화 - Fire and Nice 16화 - All the World's a Stage 17화 - Million Dollar Smile 18화 - London Calling 19화 - The Past Presents the Future 20화 - Hello Goodbye - 최종회 외부 링크[원본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어글리 베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방송공사 어글리 베티 홈페이지 미국 IMDb 어글리 베티 블로그 미국 TV닷컴 어글리 베티 블로그 TV가이드 어글리 베티 블로그 (영어) 어글리 베티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이 글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어글리_베티&oldid=23681550" 분류: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ABC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미국)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외화 드라마골든 글로브상 뮤지컬 코미디 작품상(텔레비전) 수상작ABC 스튜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텔레비전 드라마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Hrvatski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Македонски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venska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1일 (월) 11: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어글리 베티》(Ugly Betty)는 ABC에서 방영된 미국의 드라마이다. 뉴욕의 패션 잡지사를 배경으로 하여 직장인들의 생활을 전개하는 코미디 드라마의 내용을 담고있다. 특히 골든 글러브 상과 SAG상을 수상한 드라마로 주목받고있다. 대한민국은 2007년 2월 3일부터 7월 14일까지 시즌 1이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어글리 베티 시즌 3 6화의 제목은 무엇인가? Assistant: Ugly Berry Human: 아래 세월호_침몰_사고_관련_논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은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언론의 취재 등과 발표를 근거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한 각종 논란을 정리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였고 이 사고에 대해 청해진해운과 세월호 운행 승무원, 한국해운조합, 한국선급 등 선박 관련 기관들, 그리고 대한민국 행정부가 책임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또한 이 사고와 관련해 유명인사나 정치인 등의 막말 논란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 사상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는 최초 침몰 징후 후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초기 대응을 전혀 하지 못하고 승객들 몰래 탈출한 선장 이준석과 승무원들의 책임이 대두되고 있으며, 배를 무리하게 운행한 청해진 해운 역시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해수부 마피아로 불리는, 해운계의 정경유착 역시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해경의 뒤늦은 대처 역시 책임론이 있다. 지나가는사람:저는 이글을보고있는사람입니다. 언니 오빠들 명복을 빕니다 .ㅜ 목차 1 구조장비 투입 지연 논란 1.1 통영함 1.2 다이빙벨 2 구조 방법 2.1 첫 시신 발견 3 대한민국 정부 3.1 수 많은 대책본부 3.2 인원집계 3.3 해양경찰청 3.4 잇따른 탑승자 수 혼선 3.5 해수부 마피아 4 교육당국 5 정치권 6 일베저장소 7 언론 7.1 청와대의 징계 7.2 한국방송공사 7.3 문화방송 7.4 SBS 8 세월호 유가족 대리기사 폭행 9 루머 10 기타 논란 11 각주 구조장비 투입 지연 논란[편집] 통영함[편집] 최첨단 수상구조함인 통영함은 천안함 사건 이후 겪었던 어려움을 교훈으로 삼아 대한민국 정부가 자체 기술로 만든 3,500t급 최첨단 수상구조함이다. 2012년 9월 4일에 진수된 통영함은 실링 로보틱스 HD ROV로 최대 수중 3,000m까지 탐사할 수 있고 해난구조대(SSU)가 수심 90m에서 구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도 갖추었다. 통영함은 세월호 사고처럼 선체 진입이 어렵고 6,800t의 무게 때문에 크레인 인양작업에도 난항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꼭 필요하다. 그런데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통영함 일부 장비, 음파탐지장비·수중로봇장비가 제 성능을 낼 수 있는지 해군이 아직 확인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함정을 진수한 지 1년 7개월이 지나도록 해군이 장비 점검도 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1] 논란 끝에, 4월 20일 밤에 조종사인 미국 해군 2명과 실링 로보틱스 HD ROV 2대가 현장에 투입되었다.[2] 해군본부는 사고 당일인 4월 16일 황기철 해군참모총장 명의로 통영함을 세월호 총력 구조 작전에 지원하라는 지시를 두 차례 보냈다. 수신자는 해군작전사령관, 해군 제5전단장, 통영함장 등이다. 지원 일시는 사고 당일 낮 12시부터 ‘별도 협의시까지’로 돼 있다. 이에 따라 같은 날 해군과 방위사업청, 통영함을 보관 중인 대우조선해양은 ‘청해진함, 통영함 진도근해 좌초선박 구조 참가에 관한 합의각서’를 작성하고 공동 서명했다. 각서에는 황 총장을 대신해 해군 기획관리참모부 최양선 준장이 서명했다. 방위사업청, 대우조선해양도 각각 청장과 대표를 대리해 실무 담당자들이 서명했다. 하지만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사고 이틀 후인 4월 18일 “통영함에 탑재돼 시운전 중인 음파탐지기, 수중로봇 장비 등 구조 관련 장비들이 제 성능을 낼 수 있는지 해군 측에서 아직 확인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었다. 이에 김광진 의원은 “민간 잠수사와 어선까지 총동원된 참사 현장에 1600억여원을 쏟아 부은 통영함은 가지 못했다”며 “해군참모총장이 두 차례나 긴급지원 지시를 내렸음에도 통영함이 투입되지 않은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해군 측은 “곧바로 투입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유사시를 대비한 것”이라며 “예비조치로서 통영함을 준비시켜 놓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3] 다이빙벨[편집] 다이빙 벨(잠수종)은 수중 작업을 위해 잠수부를 바다 속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해난 구조 등에 이용된다.[4] 해난구조 및 선박인양 전문가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는 이 기술을 세월호 침몰 사건에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대표는 작업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유속과 시계로 크게 나눈 뒤, 시계보다는 유속이 더 문제라고 지적했다. 잠수종은 선체 옆에 붙어 있는 출입구까지 일종의 엘레베이터를 설치하는 것과 같아 이를 통해 다이버가 이동을 하면, 유속이 세도 출입구까지 접근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잠수종의 기본적 아이디어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유래한 것인데, 이대표에 따르면 알파잠수기술공사는 2000년도에 잠수종을 제작을 하여 이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다이버는 감압을 위해 상당 시간을 물속에서 보내야 하는데, 잠수종은 공기 공간이므로 다이버가 춥지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세월호 침몰 사건의 경우엔, 조류를 피할 수 있는 어떤 피난처로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알파잠수기술공사 측에 그러한 기술이 있고, 수심 100m까지 작업을 했다는 사실은 다이빙계와 군에도 알려져 있음에도, 잠수종이 세월호 침몰 사고 구조에는 채택되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 이대표는 잠수종 시스템을 이용한 지속적인 작업이 하루에 20시간이 지속 된다면 2, 3일이면 3층·4층·화물칸의 수색이 모두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대표는 지금 구조작업 체계에서는 정부 측에서 책임을 지고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있으므로, 이미 주도가 진행되고 있는 어떤 체계에서는 민간작업자가 끼는 것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작업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구조작업에 대한 전제적인 지휘를 자신에게 넘겨야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가능한 것은 단지 인력·장비·안전을 보조하는 것뿐이고, 주수색작업을 위해서 계급이 배제된 실질적인 능력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6] 하지만 황대식 한국해양구조협회 본부장은 다이빙벨 투입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유속에 상관없이 엘리베이터 형식으로 내려갈 수 있어 20시간 동안 작업이 가능하다는 게) 그럴 수 있지만 이쪽의 조류가 워낙 세고 탁도가 높기 때문에 부피가 큰 다이빙벨을 선체 내부에 넣지는 못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다이버에 의한 수색 구조 방법을 사용을 하면서 그 다이버들이 안전하게 오랜 시간 동안 수색 구조를 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려할 때 그런 것(다이빙벨 등)들도 후차적으로 필요하지만 그걸 설치하기 위해서 우리가 수색 구조 활동을 놓칠 수가 없다”는 이견을 보여 논란이 있다.[7] 이 대표는 4월 21일 새벽, 자비를 털어 다이빙 벨, 작업용 CCTV 등 수십톤의 장비와 인력을 바지선에 싣고 인천항에서 팽목항으로 이동했다. 일부 다이빙벨 투입을 원하는 실종자 가족들이 해경 측에 다이빙벨 투입을 건의했고 이 결과 10여 시간 만에 다이빙벨이 사고현장으로 출발했던 것이다. 그러나 다이빙벨이 기존 작업에 방해가 되고 이미 바지선이 설치돼 있어 안전 사고 우려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구조당국의 허가가 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8] 이종진 대표는 결국 다이빙 벨 등의 장비를 철수시키며 "생존자 찾아 에어포켓까지 들어가고 싶었다. 그게 구조지 지금 이게 구조인가"라고 하소연을 했다고 전해진다.[9] 그러나, 안전 문제로 이종인 알파잠수기술 대표가 제안한 잠수장비 '다이빙 벨'을 불허한 해경이 대학에서 다이빙 벨을 비공개로 현장에 투입되어 논란이 있다. 고발뉴스는 “23일 새벽 2시30분 강릉 모 대학으로부터 위급한 상황이 있다며 다이빙벨을 빌렸다더라. 언론 몰래 비밀리에 아침 9시에 현장으로 보내는 과정을 포착했다”라고 했다. 이어 “강릉의 모 대학과 통화해 구조 당국이 다이빙벨을 빌린 사실을 확인했다. 해당 대학의 한 교수는 돈을 받은 것은 아니고, 위급하다며 협조 요청이 들어와 빌려줬다”고 말했다.[10] 해경측은 "(다이빙 벨을) 실제 구조작업에는 사용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였다.[11] 이에 대해 언딘측의 공식발표에는 언딘에서 단독으로 가지고 온 것이며 이는 현장에 당장 투입하기에 어려운 조건인데 이종인의 다이빙벨이 여론화되자 자신들도 다이빙벨 장비를 가지고 있다라는 목적으로 빌렸다고 밝혔다.[12]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은 24일 오후 팽목항을 찾은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에게 이종인 대표의 작업 참여를 강력히 요구해 다이빙벨 투입을 약속 받았고,[13] 이에 따라 이 대표는 25일 오전 11시 40분쯤 팽목항에서 출항했지만 앵커(일종의 닻)를 설치하지 못했고 거센 조류에도 밀려 다이빙벨 투입에 실패한 뒤 26일 낮 12시쯤 팽목항으로 귀항했다.[14] 그 후, 30일에 재투입되어 2시 55분께 버팀줄 선체 이음매 조이기에 성공했으나, 버팀줄에서 선내 진입구까지 단거리 유도선 설치에 실패했다. 높은 파고로 알파 바지선의 가로·세로 움직임이 컸기 때문이라고 한다.[15] 오후 3시 45분에 다이빙벨을 선미 쪽에 투입했지만 투입 과정에서 잠수부 1명의 공기호스가 다이빙벨 운용 와이어에 씹혀 터지는 바람에 다이빙벨은 투입된지 28분만에 밖으로 건져졌다.[16] 다음 날인 5월 1일 새벽, 사고 해역에 다이빙벨을 투입한 뒤 잠수부 두 명이 세월호 선내에 진입해 각각 20여 분씩 수색작업을 벌였지만 실종자들을 찾지는 못했다. 오전 11시쯤 사고 해역에서 바지선과 다이빙벨을 철수시켰으며, 이 대표는 실종자 가족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17] 하지만 세월호 침몰 해역에 투입돼 다이빙벨 잠수까지 성공적으로 마쳤던 이종인 알파잠수기술공사 대표가 1시간여 만에 철수한 것과 관련해 의문이 가시지 않고 있다.[18] 다이빙벨이 별다른 성과 없이 철수하면서 이에 대한 피해 가족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투입 여부 논란 탓에 구조에 시간만 빼앗겼다는 것이다.[19] 구조 방법[편집] 사고 초기, 적은 수색인원 투입 당일(2014년 4월 16일)에 해경과 해군이 투입한 수중 수색 인원은 모두 16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있다. 뉴스타파는 자신들이 입수한 당시 상황보고서엔 침몰 첫 날 동원된 잠수 요원은 해경 140명과 해군 42명 등 모두 182명으로 나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9%만이 실제 수중수색 작업에 참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300명 넘는 실종자가 선내에 갇혀 있었던 상황에서 소극적 대응을해 인명피해를 키운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20] 미군 헬기 구조 거절 진도 해상 유람선 여객선 참사 당시 사고 해역 인근에서 작전중이던 미군 함정이 구명용 보트를 탑재한 구조 헬기를 현장에 급파했으나 우리 해군의 승인을 얻지 못해 되돌아갔다. 2014년 4월 16일 미 국방성 보도 매체인 <스타스 앤 스트라이프스>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 당시 사고 해역에서 118마일 떨어진 서해상에서 작전중이던 미군 상륙함 본험 리처드함이 여러 개의 구명보트를 실은 2대의 MH-60 헬기를 파견했지만, 구조 작업에 투입되지 못한 채 돌아갔다. 미국 해군이 이날 오전에 발표한 보고서(문서번호: NNS140416-02) 역시 세월호 사고 소식을 전달 받은 미 해군이 인근 해역에서 작전 중이던 함정의 구조 헬기를 즉각 파견했지만 한국 측이 ‘조치의 효율성’을 이유로 한국측 현장 지휘자의 요청을 기다리며 초동 구조에 참여하지 못하고 대기했다고 밝혔다.[21] 최첨단 수상구조함 통영함 최첨단 수상구조함인 통영함은 천안함 사건 이후 겪었던 어려움을 교훈으로 삼아 대한민국 정부가 자체 기술로 만든 3,500t급 최첨단 수상구조함이다. 그런데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통영함 일부 장비, 음파탐지장비·수중로봇장비가 제 성능을 낼 수 있는지 해군이 아직 확인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함정을 진수한 지 1년 7개월이 지나도록 해군이 장비 점검도 하지 못했다는 점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22] 논란 끝에, 4월 20일 밤에 조종사인 미국 해군 2명과 실링 로보틱스 HD ROV 2대가 현장에 투입되었다.[23] 세월호 참사 당시 상부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통영함 출동을 끝까지 고집했던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가 침몰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곧바로 참모들을 소집, 인근에 있던 통영함을 출동시키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상부는 정확한 이유와 설명도 없이 그의 명령을 제지했고, 이에 황 전 총장은 상부의 명령을 거부하고 통영함에 재차 출동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윗선의 제지로 통영함 출동은 끝내 좌절됐다. 해군 최고 수뇌부의 통영함 출동 명령이 뚜렷한 이유도 없이 상부에 의해 두 번이나 거부된 것이다. 2014년 12월 감사원은 '통영함 납품 비리' 누명으로 황 전 총장을 인사조치하도록 국방부 장관에게 공식 통보했고, 보직 해임된 황 전 총장은 이듬해 3월 구속됐다. 하지만 그는 1심과 2심 모두 무죄판결을 받았다. 이로 인해 최악의 해상참사를 맞아 통영함을 구조에 투입하려 했던 해군 참모총장의 뜻이 '누군가'에 의해 좌절됐고, 그 때문에 미운 털까지 박힌 그가 누명까지 쓴 채 군복을 벗게 됐다는 이재명 시장의 발언 등의 논란이 있다.[24] 무인잠수정 투입 실패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2014년 4월 21일 오후 3시 20분쯤 수색을 위해 '로봇물고기'로 알려진 수중탐사로봇(ROV)을 투입했고, 선내 진입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으나, 이러한 발표 역시 사실과는 달랐던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특조위가 입수한 TRS 교신에서 해경 관계자는 "되지도 않는 ROV…ROV 줄하고 엉킬까 봐 지금 언딘 샐비지가 다이빙을 못 하고 있다. 철수하다가 줄이 엉켜가지고 지금 어디로 유실됐는지 찾지를 못하고 있음"이라고 말했다. 이후 오후 6시쯤 구조본부는 3009함에 "ROV가 수색 중단하고 출수한 사유가 뭔지 파악 바람"이라고 교신했고, 3009함은 "수중탐색했으나 선체 내부 탐색은 실시하지 못함. 선내 진입 못 하고 출수"라고 답했다. 해경구조본부는 당시 로봇이 선내에 진입하지 못하고 유실됐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이와 반대되는 내용을 발표해 구조작업의 성과를 포장한 했다.[25] 현장에 출동한 응급헬기 세월호가 침몰하고 있고 갑판에 생존자가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 당시, 현장에 출동한 5,000억원 규모 이상의 구조헬기가 구조를 실시하지 않고 육지에 앉아 있었다. 유일하게 응급구조를 실시하던 아주대 외상외과 응급구조헬기 AW-139는 구조 중 급유협조를 받지 못해 인근 비행장에도 불구하고 산림청까지 가서 급유를 받아 구조가 지연되었다.[26] 첫 시신 발견[편집] 사고 발생 나흘째인 지난 19일 새벽 4시 20분쯤, 자원봉사에 나선 민간 잠수사들이 구조작업을 하다 처음으로 세월호 안에 있는 시신 3구를 발견했다. 그런데, 한 민간 잠수사는 언딘의 고위 간부가 "시신을 언딘이 발견한 것으로 해야 한다"며 "지금 시신을 인양하면 안 된다", "이대로 시신이 인양되면 윗선에서 다칠 분들이 너무 많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민간 잠수사들은 해경이 나흘 동안 구조작업을 한 상황에서 민간잠수사가 먼저 시신을 인양하면 해경의 구조 능력에 대한 비판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으며, 언딘 측이 "직원으로 계약을 해주겠다"면서 "모든 일은 비밀로 한다"는 조건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공식 브리핑에선 언딘이 시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언딘 측은 민간 잠수사들이 시신을 발견한 게 맞고 실력이 좋아 함께 일하자고 한 건 사실이라고 시인했지만, 나머지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으며 "윗선에서 다칠 분이 많다"는 등의 발언도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27] 대한민국 정부[편집] 수 많은 대책본부[편집] 이번 침몰 사고와 관련해 설치된 대책본부는 총 10여 곳이다.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직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따라 안전행정부가 서울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였다. 뒤이어 정부세종청사에는 해양수산부와 교육부가 각각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차렸다. 해양수산부는 선박사고에 관한 주무부처란 점에서, 교육부는 수학여행을 가던 고교생들이 대거 승선했다는 점을 의식한 것이다. 같은 이유로 경기도와 도교육청, 안산시는 안산올림픽기념관에 합동대책본부를 차렸으며 안산교육지원청에도 경기도교육청 대책본부가 만들어졌다.[28] 구조·수색 등 사고수습에 주된 책임이 있는 해양경찰청도 인천과 목포에 각각 지방사고수습본부를 꾸렸다. 이와 별도로 산하기관인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은 목포에 중앙구조본부를 설치했다. 여러 곳에 대책본부가 난립하자 국무총리실은 목포에 범부처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하겠다고 나섰다가 철회하는 소동도 벌어졌다.[29] 결국, 17일 진도군청에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11개 부처가 합동으로 범부처 사고대책본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본부장은 정홍원 국무총리가 맡고, 부본부장은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과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맡기로 했다.[30][31] 본부의 대변인은 해양수산부 대변인이 맡기로 하고, 언론 등에 대한 브리핑 창구도 일원화하겠다고 밝혔다.[32] 뒤이어 19일에는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다.[33] 이를 두고 명령과 보고 체계에 집착한 탁상 행정과 부처 이기주의와 무능함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34][35] 인원집계[편집] 계속 변하는 인원파악이 논란이 되고 있다. 단원고 측은 16일 오전 "11시 5분께 해경으로부터 학생들이 전원 구조되었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측도 학교 측 발표에 따라 11시 7분과 16분에, 출입기자들에게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와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 해경 공식 발표'라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각각 보내기도 하였다. 이에 학교에 몰려온 학부모 300여명은 환호하고 안도하였다. 그러나 위 발표들은 모두 사실과 달랐는데,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은 이날 정오, 공식발표를 통해 "탑승객 477명 가운데 179명을 구조 했으며 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에 상황이 다시 '구조 중'인 것으로 확인되자 학부모들은 오열과 분통을 터뜨렸다.[36] 긴급 가동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측 역시도 인원집계의 오류로 논란이 되고 있다. 중대본은 16일 오후 1시 30분경 "476명 탑승, 구조자 368명, 사망 2명 확인"이라고 밝혀, 구조자수가 늘어감에 따라 국민들이 그나마 피해 최소화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가지게끔 하였다. 그러나 돌연, 오후 15시경 "구조자 집계 수 오류 ... 확인 중"이라고 앞선 발표를 번복함에 따라 실종자 가족들과 국민들에게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었다. 이어 중대본 측은 오후 16시 30분경 "459명 탑승, 구조 164명, 사망 2명, 실종 293명"이라고 정정하였다. 그러던 중 정홍원 국무총리가 17일 새벽 여객선 침몰 보호소가 설치된 전남 실내체육관을 방문하였다. 정홍원 총리는 실종자 가족을 위로하는 과정에서 물병을 맞아 논란이 되었다. 실종자 가족은 정부의 구조 활동 지체와 피해상황 집계혼란에 답답해하며, 유관 기관들을 총괄하는 책임을 지닌 국무총리 등 정부 당국자들에게 분노를 표출했다.[37] 그러나 인원집계 혼란은 끝이 아니었다. 총리실 등 주요부처가 꾸린 범부처사고대책본부는 19일 진도군청에서 브리핑을 하고 인원집계를 승선자 476명, 구조자 174명으로 또다시 변경했다. 이평현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안전총괄부장은 선사가 작성한 명부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2명이 안개로 인해 출항이 불명확함에 따라 각각 비행기를 타거나 귀가했으며 생존자 중 3명이 승선원 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차량에 동승해 결과적으로 명부보다 1명이 늘었다고 말했다. 구조자 정정의 이유는 다수 기관이 구조와 이송을 하는 과정에서 유사성명 기재로 동일인이 중복집계 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해양수산부 박승기 대변인은 "지금부터 세월호 여객선 침몰 관련 언론 발표는 범부처사고대책본부에서 발표하는 것으로 조정한다"며 정홍원 국무총리의 언론 발표체계 조정 지시를 전달했다. 이에 따라 향후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과 진도 실내체육과, 팽목항 등 현장은 범부처사고대책본부에서 공지하는 내용을 일원화해서 발표하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확정된 내용을 발표하기로 했다.[38] 국정원 세월호 유가족 사찰·여론전 개입 국가정보원 개혁발전위원회는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가 조사한 ‘국정원의 세월호 여론조작 및 사찰 의혹’ 조사를 심사한 결과, “국정원 국내정보부서가 (세월호 참사 직후인) 2014년 5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세월호 사고 관련 보수단체 집회 동향과 각계 세월호 관련 여론을 파악해 국정원 지휘부와 청와대에 보고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개혁위 발표를 보면, 국정원은 2014년 6월 청와대 보고한 ‘국정운영 제언’에서 세월호 참사를 ‘2014년 하반기 국정운영의 가장 큰 위기이자 기회’로 지목하고, “세월호 집회가 과격시위로 변질될 수 있다”, “유사 안전사고 되풀이시 대정부 투쟁 재점화 불씨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등의 우려를 전한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정원 국내부서는 세월호 추모 행사인 ‘청춘열차‘를 비판하는 ‘한국대학생포럼’ 칼럼의 보수매체(<뉴데일리>) 기고와 ‘어버이연합’의 세월호 참사 규탄 집회 및 현수막 설치, ‘교육과 학교를 위한 학부모연합’의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규탄 기자회견 및 세월호 교재 퇴출 촉구 기자회견 등에도 개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정원 개혁위는 “국정원이 보수단체에 요청해 세월호 관련 비판칼럼 배포, 맞대응 시위, 온라인 활동을 하도록 한 것은 직무범위 일탈로 판단돼 관련자 징계 등을 검토하고, 제도 개선을 국정원에 권고했다”고 밝혔다. 국정원 개혁위는 국정원 직원이 세월호 유가족 김영오씨가 단식을 하다 입원한 병원에서 병원장과 주치의 등을 상대로 김씨 관련 정보를 얻은 정황도 확인됐다고 밝혔다.[39] 박근혜 대통령 발언에 대한 외신들의 비판 외신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4월 21일)에서 “선장 이준석과 일부 승무원들의 행위는 상식적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고 용납될 수 없는 살인과도 같은 행태"라고 말한 점에 주목했다. 영국 가디언은 ‘한국의 세월호 참사는 진정 끔찍하지만, 살인이 아니다’(The South Korea ferry disaster is truly awful, but it is not murder)는 기사에서 “어린 아이들이 희생된 비극은 극심한 감정을 유발하지만 세월호 선원들에 대해 너무 쉽게 ‘살인자’라는 꼬리표가 붙는다”며 “번역의 복잡함과 문화적 차이를 인정한다고 해도 ‘살인자’란 단어는 눈에 띈다”고 했다. 월스트리트 저널 역시 '박 대통령, 세월호 선장에 '살인과도 같다'…옳았나?’(Was Park Right to Condemn Ferry Crew?)라는 기사에서 “박 대통령의 발언은 사고 초기 (구조자 수 집계 등) 오보와 느리고 분별력 없는 대응으로 비판받은 정부의 재해 대처에 대한 주의를 돌리기 위한 시도라는 비판이 나온다”고 주장해 논란이 있다.[40]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7월 10일 국회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청와대 비서실·국가안보실 기관보고에 출석해 세월호 참사의 컨트롤타워 논란과 관련, "일반적 의미로 청와대가 국정 중심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컨트롤타워라면 이해되지만 법상으로는 다르다"며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하면 재난의 최종 지휘본부는 안전행정부 장관이 본부장이 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라고 말했다. 이는 세월호 사고 직후 김장수 당시 국가안보실장이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는 재난컨트롤타워가 아니다"고 언급한 것과 같은 취지의 발언이다. 김 비서실장은 '훈령에는 청와대가 최고 지휘체계로 돼 있다.'는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의 지적에도 "법이 대통령령보다 상위 개념"이라고 반박했다. 대통령 역할과 관련해서도 "현장에서 하는 일과 대통령이 하는 일은 다르다고 생각한다"면서 "전쟁으로 비유하면 대통령은 전쟁 지휘를 해야지 전투 지휘를 하면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사고 당시 청와대가 사고 상황을 지휘·통제했느냐는 물음에는 "청와대 상황실에서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확인해서 대통령께 보고하는 역할이었지, 구조를 지휘한 일은 없다"고 부인했다. 김 비서실장은 또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현장 구조세력의 전문성과 훈련이 부족해 구조활동이 매우 미흡했다는 사실"이라면서 "해경이 충분한 훈련도 없고 전문성도 부족해 초반에 구조를 잘 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며 해경에 직격탄을 날렸다. 김 비서실장은 야당 의원들의 사퇴 요구에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 그만두는 순간까지 성심껏 일할 뿐"이라면서 인사실패에 대한 비난에도 "인사가 잘못되고 잘된 것은 전적으로 제 책임"이라고 말했다.[41]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4월 23일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국가안보실이 재난 컨트롤타워라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오보”라 밝혔다. 민 대변인은 “국가안보실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재난 상황에 대한 정보도 빨리 알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다”며 “NSC의 역할은 정보를 습득해서 각 수석실에 전달해주는 것이지 재난 상황의 컨트롤타워라는 지적은 맞지 않다”고 부연했다. 안전행정부에 설치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이번 사고의 컨트롤타워라는 얘기다. 그는 이어 “(NSC는) 국가안보와 관련해서 해야할 일이 많은 부서”라며 “왜 안보실이 모습을 안 드러내느냐는 지적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실장의 이 같은 발언은 이번 참사와 관련해 각 부처들의 미숙한 대응, 책임 떠넘기기와 마찬가지로 군색한 책임 회피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42] 서남수 교육부 장관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사고 당일인 4월 16일 오후 4시 경 진도 실내체육관을 찾았다. 그는 구조된 학생들이 바닥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누군가 마련해 준 팔걸이 의자에 앉아 컵라면 등을 먹으며, 자신을 수행하던 이에게 함께 먹자고 손짓을 하기도 했다.[43] 서 장관이 컵라면을 먹은 곳은 세월호 구조자들이 응급치료를 하던 테이블임이 드러나 논란은 더욱 커졌다.[44] 또, 4월 18일 오후 6시께 안산의 한 장례식장에 마련된 단원고등학교 학생 이모 군의 빈소에 서 장관이 수행원 3~4명을 대동하고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 수행원이 서 장관보다 몇 걸음 먼저 빈소 앞에 다가가 유족에게 입구 쪽을 가리키며 "교육부장관님 오십니다"라고 귓속말을 건넸다. 유족은 곧바로 수행원을 향해 "어쩌란 말이냐. 장관 왔다고 유족들에게 뭘 어떻게 하라는 뜻이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윽고 도착한 서 장관이 조문하는 동안에도 유족은 수행원을 몰아붙였고, 조문을 마치고 나온 서 장관은 "죄송합니다. 제가 대신 사과하겠습니다"라고 짧게 말하고 바로 장례식장을 빠져나갔다.[45]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팽목항 사고상황실에서 기념 촬영을 시도해 물의를 일으킨) 안전행정부(안행부) 공무원은 사표를 수리했는데 라면을 먹은 교육부 장관은 어떻게 되느냐'라는 기자의 질문을 받고 "국민 정서상 모든 것을 조심했어야 하는 건데 그렇게 됐다"고 언급하며, 질문과 대답 간의 논점이 상이해 논란이 있다.[46] 또, 민 대변인은 “안보실의 역할은 통일, 안보, 정보, 국방의 컨트롤 타워다. 자연재해 같은 거 났을 때 컨트롤 타워가 아니다”라며, “국가 안보와 관련해서 봐야할 것이 많은 곳이다. 재난에 대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는 (비판은) 적절치 않다”고 전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세월호 침몰의 심각성이 확인되지 않았던 사고 초기, 사고를 직접 챙기며 충분히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는 듯한 모습을 여러 차례 보여줘 논란이 있다.[47] 5월 9일, 유가족들 항의방문을 받자 청와대는 KBS와의 중재를 급하게 끌어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대변인이 '순수 유가족'이란 용어를 써서 또 논란이 됐다. 민경욱 대변인은 기자들을 만나 유가족과의 접촉 계획을 밝혔는데, 이 과정에서 "순수 유가족"이라고 만날 대상을 한정했다. 그러면서 "순수 유가족은 120명 와있다고 보고를 들었다"고 말했다. 당시 항의대는 250명을 훌쩍 넘어서고 있던 상황이었고, 민 대변인의 발언이 "유가족 주변에 선동세력이 있다"는 여권 내 의혹제기와 맥이 닿아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졌다.[48] 팽목항 현지에는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이 5월 24일 오후 기자들과의 오찬자리에서 '민간잠수사가 일당 100만원, 시신 1구 인양 시 500만원을 받는 조건으로 일하고 있다'는 내용의 발언을 했다는 전언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49] 이 발언에 대해 민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제 일부 기자들과 점심식사를 마치고 차를 마시면서 세월호 희생자 구조, 수색 문제와 관련한 주제로 일상적인 얘기를 나눴다"며 발언이 나오게 된 배경을 소개했다. 또 "이 과정에서 현재 잠수사들이 오랜 잠수활동에 심신이 극도로 피곤하고, 시신 수습 과정에 심리적 트라우마도 엄청나다는 얘기가 나왔다"고 덧붙였다. 민 대변인은 "이런 문맥에서 현장에 있는 가족들은 잠수사들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마지막 한 명을 수습할 때까지 최선을 다해주기를 바랄 것이고, 또 가능하다면 정부가 인센티브를 통해서라도 피곤에 지친 잠수사를 격려해주기를 희망할 것이라는 저의 개인적 생각을 얘기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 취지야 어쨌든 발언이 보도되는 과정에서 현장에서 묵묵히 헌신적인 구조와 수색활동을 벌이시는 잠수사들의 마음을 상하게 했을까 깊이 우려된다"고 유감을 표했다.[50]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부적절한 발언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은 사고 17일째인 5월 2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나라사랑' 전문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요즘 세월호 침몰 사건 때문에 우리 (박근혜)대통령님과 정부가 아주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두둔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지금 무슨 큰 사건만 나면 우선 대통령과 정부를 공격한다"며 미국과 비교했다.[51] 또 "대통령이 성공해야 성공한 대한민국이 된다"며 박근혜 대통령을 우호하는 태도를 보였다. 강연을 들었던 한 '나라사랑' 강사는 그의 발언이 "바람직한 발언이란 생각은 안 하고 있었다"며 "(대통령을 향한) 아부"라고 지적했다.[52] 송영철 안전행정부 국장의 기념사진 논란 송영철 안전행정부 국장은 20일 오후 6시경, 진도 여객선 세월호 사고 현장을 방문했다. 그러나 상황 본부의 세월호 침몰 사망자 명단 앞에서 공무원들과 기념사진 촬영을 하려하였다. 이에 현장에 있던 실종자 가족들에게 거센 항의를 받았다. 이와 같은 논란에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20일 트위터를 통해, “사망자 명단 앞 기념촬영 안행부 국장 직위 박탈”이라는 기사를 링크하며, “그 앞에서 인증 샷 찍을 기분이 나냐. 이 정도면 일베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해도 해도 너무 하네. 어쩌다 나라가 이 지경이 됐을까”라고도 언급했다. 현재 안전행정부 국장은 직위해제된 상태로, 안전행정부는 “앞으로 징계위 회부 등 절차가 남아 있다. 향후 관련 절차에 따라 엄히 문책할 방침이다”라고 전했다.[53] 프랑스 한국대사관의 분향소 방문시 신분증 제시 및 신상 기재 분향소를 찾아온 교민들에게 대사관쪽은 선뜻 문을 열어주지 않고 '책임자와 상의를 해야 한다'며 20여분을 길에서 기다리게 했다고 교민들은 전했다. 프랑스 한국대사관 쪽이 공지한 분향 안내에는 '신분증 필참'이란 문구가 없었으나, 대사관은 분향을 하러 찾아온 교민들에게 신분증을 제시하고 신상을 기재한 뒤 5명씩만 들어가라고 요구했다. 교민들은 항의 끝에 서류에 신상명세를 쓰고 10명씩 들어가 분향을 하는 것으로 합의가 됐다고 전했다. 교민들은 "분향소 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소수의 인원만 들어갈 수 있다는 (대사관쪽의) 변명과 달리 분향소는 아주 넓기만 했다"며 "이 날 70대의 한 교민은 대사관 직원들에게 "공무원들의 이러한 태도가 바로 오늘의 세월호 참사를 만든 것"이라고 꾸짖었다.[54] 정보당국의 통제 의혹 세월호 참사로 정부의 재난관리 대응에 대한 비판(미흡한 초동 대처, 부처간 혼선, 구조활동)여론이 있는 상황에서, 이번 사고 구조에서의 골든타임 낭비로 인한 인적 피해와 주먹구구식 인력 운용, 장비의 후진성 등 민감한 문제들이 대학 교수들의 비판이 이어졌었다. 그러나 사고 발생 6일째, 21일부터는 이들이 약속이나 한 듯이 언급을 하지 않고있다. 정부의 재난 대응에 대한 문제제기는 관련 전문가들이 큰 몫을 하였다. 노컷뉴스는 기자가 목포해양대에 전화를 했을때, 조교가 교수들의 입장을 대신 전했다고 주장했다. 조교가 "선생님들이 인터뷰를 피하고 계시는 입장이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55] 구급차로 출퇴근하는 보건복지부 공무원들 세월호 사건 당시,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구급차량을 이용한 공무원들에게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팽목항은 진입도로가 좁아 원활한 환자수송을 위해 구급차량 말고는 통행이 제한된다. 그런데 걸어야하는 거리가 불과 1km 정도에 불과했다. 보건복지부 공무원들이 구급 차량을 멋대로 타고 다닐 수 있었던 것은 병원이나 보건소 구급차량을 쓸 일이 거의 없어 대기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56][57] 해군의 방송 연출 4월 22일 오후 6시 50분쯤 세월호 침몰 사고 현장에 정박한 대한민국 해군 청해진함 갑판. 해군 해난구조대(SSU) 소속의 잠수사 A상사가 흠뻑 젖은 잠수복 차림으로 방송사 카메라에 둘러싸여 실종자 수색 상황을 설명했다. TV에서 이 인터뷰 장면을 볼 시청자들은 A상사가 막 수색 작업을 마치고 선상에 오른 것으로 알 것이다. 그러나 그의 머리카락에서 뚝뚝 떨어지는 물방울이 실은 바닷물이 아니라 맹물이었다. 그는 이 날 오전 수색 작업을 마치고 대기하던 중 인터뷰 10분 전에 불려왔다. 해군 관계자들은 '현장감 있는 영상이 필요하다'는 방송사 몇 곳의 요청을 받자, A상사에게 드라이수트(방수 잠수복)로 갈아 입으라고 지시했다. 그래도 현장감이 덜하다고 판단했는지, 해군 관계자는 급기야 장병을 시켜 갑판에 설치된 수도 장치로 A상사의 전신에 물을 뿌려 적시기 시작했다. 해군은 '말 맞추기'도 했다. A상사가 바다 속 상황에 대해 "오늘은 시정이 50~60cm로 이전보다 잘 보인다"고 말하자, 해군 관계자가 끼어들었다. "그렇게 말하면 시계가 좋아 보이잖아. 30~40cm로 가자."[58] 사복 경찰의 미행 경기 안산에서 전남 진도로 향하던 세월호 사고 유가족 30여 명은 5월 19일 오후 7시 40분께 전북 고창 고인돌휴게소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하던 중 뒤따른 남성 2명의 신원이 안산 경찰인 것을 확인하고 항의했다. 유가족들은 "사복경찰이 불법 사찰하고 있다"며 일부는 이들과 함께 안산으로 돌아와 해명을 요구했다. 당시 유가족을 뒤따랐던 사복 경찰 2명은 안산단원경찰서 정보보안과 소속 보안계 직원들이었다. 최동해 경기지방경찰청장은 20일 오전 0시 8분께 안산 화랑유원지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유가족 100여 명에게 "사전 동의없이 사복 경찰이 유가족을 뒤따른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최 청장은 "사전 동의를 거치지 않은 절차는 잘 못"이라면서도 "유가족을 보호하거나 활동에 도움이 되기 위해 한(뒤따랐던) 것이지 불이익을 줄 마음은 아니었다. 나쁜 의도가 아니었기 때문에 사찰이나 미행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론 어떤 경우에서든 유가족의 동의 내에서만 사복 경찰은 활동하겠다"고 약속했다.[59] 장관 의전에 따른 구조 지연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이 오히려 구조를 지연시켰다는 주장이 나왔다. 오후 2시 넘어 항구에 도착한 강 장관의 격려 행사 때문에 민간 잠수사들의 출항이 무려 20분이나 늦어졌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는 4월 말 구조 지연 논란이 불거졌을 때의 해명과 전혀 다른 내용이다. 안전행정부는 당시 30초 정도 잠수사와 악수를 한 것이라며 지연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현장에 있던 목격자들의 말은 달랐다. 한편,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사고 당일 해경이 제공한 헬기를 타고 현장으로 이동했다. 해양수산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 장관은 사고 당일 오후 12시40분 전남 무안에서 해경의 헬기를 타고 사고 해역에 있던 지휘 함정으로 이동했다. 이후 헬기는 함정에서 1시간 이상을 대기했다. 이 시각, 잠수특공대 16명은 헬기가 없어 배를 타고 현장에 가야 했다.[60] 특위 기관보고 관련 6월 30일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기관보고에서 행안부 기관보고에 출석한 강병규 장관은 "표면공급 잠수방식이 무엇인지 아느냐"는 우원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물음에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곧바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두 달이 넘었는데도 실종자 구조 방식하나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61] 세월호를 부양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리프트백'은 사실 부양 역할이 아니라 부표 역할로 활용했다고 백승주 국방부 차관이 밝혔다.[62] 7월 2일 열린 국정조사에서는 해경 상황실 유선전화 녹취록에 대한 '왜곡 발언' 논란으로 여야가 충돌해 한때 파행하는 등 진통을 겪었다. 이번 충돌은 녹취록을 인용한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김광진 의원의 발언이 불씨가 됐다. 김 의원은 "사고 당일 오전 9시 50분 청와대에서 (사고현장) 화면을 보여달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했다"며 해경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수행하느라 구조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가 "다른 일은 그만두고 영상 중계 화면 배만 띄워라. 내가 요청하는 게 아니다. VIP(박 대통령)가 좋아하고 제일 좋아하니까 그것부터 하라"라는 발언을 했고, 녹취록에도 이 발언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누리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김 의원이 인용한 발언이 녹취록에 담기지 않았다며 "녹취록 어디에 'VIP가 영상을 좋아한다'는 내용이 있나. 우리도 같은 녹취록을 갖고 있는데, 어떻게 이런 새빨간 거짓말을 할 수가 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방청석에서 지켜보던 희생자 가족이 회의를 서둘러 진행하라고 촉구하자, 조 의원은 "당신 누구냐"라고 큰 소리로 내며 얼굴을 붉히기도 했다. 새누리당은 김 의원의 특위 사퇴를 요구하며 회의 참석을 거부, 오후 2시 30분에 재개될 예정이던 기관보고가 파행되었다. 파행 후 희생자 가족 대책위는 성명을 통해 "성역없는 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재개를 촉구했고, 새정치연합 간사인 김현미 의원도 브리핑에서 "김 의원의 말이 오해를 불러 일으킨 점에 대해 저도 사과하겠다. 다시는 이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며 "새누리당은 회의장으로 돌아오라"고 말했다. 결국 특위는 약 5시간 가량 중단된 끝에 오후 7시 30분부터 가까스로 재개됐다.[63] 수색 방법의 새로운 대안을 내놓지 못한 대책본부 7월 4일 오후 2시부터 범정부사고대책본부에선 수색 구조 TF 회의가 진행되었는데, 이날 회의에서도 새로운 대책은 나오지 못했다. 회의에서는 새로운 잠수방식의 도입여부에 대해 논의했는데, 지난 80일간 유지해온 표면공기 공급방식을 폐기하고 재호흡기, 일명 리브리더를 투입할지 여부를 검토한 것이다. 일단 재호흡기는 물속에서 호흡할 때 내뱉는 이산화탄소를 정화해 다시 호흡할 수 있게 돕는 장치인데, 수중에서 1시간 이상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 측은 회의에서 리브리더를 사용할 경우 잠수시간의 연장은 가능하지만 잠수시간이 늘어날 수록 감압시간도 그만큼 늘어나 효율이 떨어지며, 현재 표면공기 공급방식과 달리 수중 잠수요원과 바지선 위의 통제요원 간의 실시간 소통이 불가능해 위험하다고 밝혔다. 이에 실종자 가족 측은 전문가들이 모여 가족들의 제안이 불가능한 이유만 설명하고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냐며 강하게 반발했는데, 당분간 '선체 내부 10분 수색'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64] 해양수산부 항적 은폐 의혹 다큐멘터리 <인텐션>을 만들고 있는 김지영 감독은 '한겨레TV'의 시사탐사쇼 ‘김어준의 파파이스’(이경주 피디·박연신 작가) 81회에서, 기기 오작동 혹은 은폐를 걷어낸 항적을 공개했다. 앞서 해양수산부가 세월호의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토대로 공개한 항적, 침몰 전 마지막 5분이 담긴 해군 레이다 기록 뿐 아니라 사고 직후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했던 둘라에이스 호의 레이다와 영상이 기록한 세월호의 위치가 모두 다르다. 정부와 해군이 밝힌 항적과 달리, 세월호가 사고현장 부근 섬인 병풍도에 바짝 붙어 운항했다는 것. 김 감독은 정부와 해군이 밝힌 항적과 달리, 세월호가 사고현장 부근 섬인 병풍도에 바짝 붙어 운항했음을 자료를 통해 밝혔다. 김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생존자 최은수 씨는 "세월호가 섬을 받아버리는 줄 알았다"고 당시를 떠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기사인 최 씨는 세월호 사고 이전 1년 동안 한 달에 세 차례 이상 세월호, 혹은 같은 항로로 운항한 오하마나호를 이용해 제주도를 오간 경험이 있어 항로와 주변 풍경에 익숙한 편인데, 사고 당일 “세월호의 항로가 평소와 달랐다”고 말했다.[65] 해양경찰청[편집] 관계자의 실언 목포해양경찰서의 한 간부는 세월호 침몰 사고 다음 날인 17일 ‘세월호 사고에 대한 해경의 초기 대응이 미진하지 않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해경이 못 한 게 뭐가 있느냐.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란 말이냐. 80명 구했으면 대단한 것 아니냐”며 항의해 논란이 있다. 발언이 알려진 후 해양경찰청은 그를 직위 해제했다.[66] 사고 당일의 잘못된 보고 사고 당시 '370명을 구조했다'는 잘못된 보고는 해경이 청와대에 잘못 보고하면서 비롯된 것이며, 청와대는 오후 2시 30분이 넘도록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해경은 사고 4시간 30분이 지난 오후 1시 16분 유선으로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보고하면서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생존자 370명이라고 한다"고 했고, 이어 "진도 행정선에서 (생존자가) 약 190명이 승선하고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오후 1시 42분에는 "370명이 정확하지 않다고 한다. 일부 중복이 있었다고 한다"고 말을 바꾸었고, 오후 2시 36분 보고에서야 "(구조자가) 166명이다"라고 보고를 정정했다. 이를 들은 청와대 관계자는 "큰일났다. VIP(대통령) 보고까지 끝났다. 나머지 310명은 다 배 안에 있을 가능성이 큰거 아닌가"라며 "중대본에서 발표한 것도 해경에서 보고를 받았을 텐데, (대 언론) 브리핑이 완전 잘못 됐다. 여파가 크겠다"고 말했다. 이같이 해경이 잘못 보고하게 된 경위에 대해 김석균 해경청장은 7월 2일 국정조사 기관보고에 출석해 "제가 파악한 바로는 진도항 현장에서 178명 구조된 이후에 190명이 추가로 구조돼 온다는 소식이 퍼졌고, 현장에 설치된 간이 상황판에 (누군가가) 그렇게 적어놨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간이상황판을 경찰 정보관이 촬영해 해경 정보관에 알려줬고, 이것이 서해해경청을 통해 본청으로 전달됐다. 본청에서 상황보고를 맡은 직원이 사실 확인 없이 중대본에 나간 담당 과장에게 전화한 것이 오류로 이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119 중앙상황실은 사고 당일 오후 1시께 해경 본청 상황실로 전화를 걸어 "우리 헬기가 현장에 2대 도착을 했고, 수난구조전문요원들이 다 탑승을 하고 있다. 배안에 요구조자가 있으면 바로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경에서는 "잠깐만 기다리라"는 말만 되풀이 할뿐 별도 지침을 내리지 않았다.[67]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공용통신) 무전교신 기록 은폐 의혹 2016년 5월 말 세월호특조위가 당시 인천 송도에 있던 해경 본청에서 TRS 교신기록을 발견했고, 기록이 저장된 3대의 하드디스크를 분석한 결과 2014년 4월 15일부터 12월 말까지 100만개가 넘는 파일이 담겨 있었다. 이중 TRS 기록 파일은 4만7000건에 해당한다고 해경은 밝혔다. 특조위는 기록의 훼손을 막기 위해 6월 초 해당 하드디스크 자체를 밀봉하고서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해 전체 파일에 대한 실지조사를 요구했으나 해경은 보안문제를 검토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를 들어 일단 2014년 4월 15일부터 5월 2일까지 2주일 분량에 해당하는 파일 7000여건만 제공했다. 이후 특조위 측은 나머지 8개월 치에 해당하는 나머지 TRS 파일중 외교·작전상 비밀사항을 제외한 기록을 추가 요구했다. 그러나 해경은 "서버 담당 직원이 을지훈련을 끝내고 세종청사에서 돌아온 뒤 26일쯤 오라"더니 사흘 만에 별안간 "허가하지 않겠다"고 말을 바꿨다. "세월호 거짓말 밝힌 해경 TRS 교신기록 '행방불명'" - CBS노컷뉴스, 2016년 9월 8일 TRS 교신기록은 사고 직후 수색과정에서 선내에 공기를 주입하고 수중로봇을 투입했다던 정부 발표가 거짓이었다는 점을 드러낸 핵심 증거다. (관련 기사: 세월호 공기주입·수중로봇·잠수기록 다 거짓말 "靑 보고용" - CBS노컷뉴스, 2016년 9월 3일) 잇따른 탑승자 수 혼선[편집] 사고 초기인 16일 오전 10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여객선에 476명이 승선했고 이 중 110여 명을 구조했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오전 11시 9분쯤 경기도교육청은 출입기자들에게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라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학부모와 국민은 안도의 숨을 내쉬었다. 이후 중대본은 오전 11시 30분 161명이 구조됐다고 발표했다. 낮 12시 30분엔 179명으로 생존자가 늘었다고 밝혔다. 이후 단원고 학생을 포함한 사망자들이 확인되면서 '학생 전원 구조' 발표는 허위로 드러났다. 더 심각한 것은 중대본이 오후 2시 "368명이 구조됐다"고 공식 발표한 대목이다. 이경옥 안행부 2차관은 오후 3시 30분 "368명 구조는 집계 착오였으며 정확한 생존자 숫자를 확인해보겠다"고 번복했다. 오후 4시 30분 중대본 발표에 따르면 탑승자 459명 중 구조자는 164명에 그쳤고, 293명이 실종 상태인 것으로 집계됐다. 오후 9시 중대본 측은 또다시 "선원 3명이 늘어 승선자는 모두 462명"이라고 정정하고 "구조자는 174명으로 늘었고 실종자는 284명으로 줄었다"고 말을 바꿨다. 해경은 오후 11시쯤 구조자가 175명이라고 정정했다.[68] 이후에도 두 차례나 번복을 하며 불신을 자초했는데, 해경은 여러 기관이 구조에 참여하면서 구조자 이름이 중복 집계됐다며 스스로 착오를 인정했다.[69] 5월 7일 정부는 세월호 탑승객 현황을 또 다시 정정했다. 탑승자 명부에 없던 중국인 2명이 신용카드 매출전표 확인을 통해 추가로 발견되면서 실종자가 늘었고, 중복 기재와 동승자 오인 신고로 구조자가 2명 줄어든 것인데, 이로써 정부의 탑승객 통계는 무려 7차례나 정정되었다.[70] 그 밖에도 아기가 2명 정도 누락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탑승 인원에 대한 의문이 또 나오고 있다.[71] 해수부 마피아[편집] 선박의 정식 항해를 위해 선사는 첫 출항 1주일 전 해경에 운항관리규정을 심사, 증명 받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청해진해운이 공개한 세월호 운항관리규정에서 선원들의 역할을 명시한 비상 부서 배치표는 총 44쪽 중 2쪽에 불과하다. 또한, 비상부서 배치표에는 선원 직책별 임무와 비상신호 체계가 적힌 게 전부였다. 다른 선박의 운항관리규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실함에도, 세월호의 운항관리규정은 승인을 받았다. 세월호의 운항관리규정은 해경과 운항관리실(해운조합), 항만청, 한국선급, 선박안전기술공단이 포함된 위원회에서 심사해 지난해 2월 25일 인천해양경찰서가 최종 승인했다. 그러나 해경은 4월 22일 기준, 언론의 회의록 공개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해경 측은 회의록 공개에 대해 "유관기관이 모두 합의해야 가능한 사안"이라고 언급했다.[72] 교육당국[편집] 탑승자 전원 구조 문자 메시지 경기도교육청 대책반은 16일 오전 11시 20분께 "단원고 학생이 전원 구조됐다"고 출입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안산 단원고등학교 측도 학생과 교사 338명이 전원 구조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오보였다. 경기도교육청 대책반과 학교 측은 현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정적으로 소식을 전한 것으로 보인다.[73][74] 대통령 비판글 조사 대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물어 대통령을 비판한 글을 자신의 SNS에 올린데 대해, 7일 대구광역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동부교육지원청이 관할 지역의 모 초등학교 교사를 상대로 박근혜 대통령을 비판하는 글을 올린 경위를 조사했다고 한다. 교육청 관계자는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뒤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75] 교사들의 집회 참여 금지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1일 일선 학교에 ‘집회 관련 복무관리 철저 알림’이라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7일 밝혀졌다. 경기도교육청은 공문에서 “최근 세월호 사고로 인한 전국민적 추모 분위기 속에 공무원들이 집회에 참여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므로 각급 학교(기관)장께서는 소속 공무원에게 전파하여 주시고, 복무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 애초 교육부 공문에 있던 “5·1에 민주노총 주최 노동절 집회가 서울 등 전국적으로 계최될 예정”이라는 부분도 삭제했다. 노동절 집회 이외에 추모 집회 참가도 폭넓게 금지한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으로, 헌법이 보장하는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원천 봉쇄한 조처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안전행정부(안행부)가 보낸 ‘5·1 노동절 집회 관련 복무관리 철저 요청’ 공문을 이첩한 것이라며 “추모 집회가 아니라 노동절 집회에 참가하지 말라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교육부 관계자는 “추모 집회는 참가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며, 추후 집회의 성격과 양상 등을 고려해 판단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 김포교육지원청을 통해 공문 내용을 전달받은 한 공립학교 교사는 <한겨레신문>에 “슬퍼는 하되, 문제제기는 하지 말라는 것이냐. 손발을 묶고 입도 조심하라는 압박으로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그는 “교육 활동 중에 학생과 교사들이 숨졌다. 추모 집회에서 교사의 품위를 손상시키거나 불법행위를 하면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도 아니고, 집회 참석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76] 정치권[편집] 이정현 당시 청와대 홍보수석 세월호 참사와 관련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청와대 출입 기자들에게 "한 번 도와주소"라며 정부 비판 보도를 자제해달라는 내용의 문자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조짐이 보이자 홍보수석이 이 같은 문자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실종자 수색이 이어지고 있고 사고 원인 등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에 대한 비판은 불필요하다는 식의 주장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하다.[77] 유정복 당시 안전행정부 장관 2월 14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유정복 당시 안전행정부 장관은 '이전 정권에서는 해마다 10명 이상 사망하는 대형사고가 발생했지만, 지난해에는 50년 만에 그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고 한 당국자는 전했는데, 불과 사흘 만에 경주 마우나 오션 리조트가 붕괴되는 사고로 신입생 환영회에 참석한 부산외대 학생 10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리고 연이어 4월에는 세월호가 침몰하면서 유 장관의 발언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57] 국회의원 한기호(새누리당)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난여론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새누리당 한기호(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군)가 20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드디어 북한에서 선동의 입을 열었습니다. 이제부터는 북괴의 지령에 놀아나는 좌파 단체와 좌파 사이버 테러리스트들이 정부 전복 작전을 전개할 것입니다. 국가 안보 조직은 근원부터 발본 색출해서 제거하고, 민간 안보 그룹은 단호히 대응해 나가야합니다”라는 글을 올려 논란이 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8일 세월호 침몰 사건을 보도하면서 “남한의 한 방송사가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내는 실종자 가족들이 품었을 슬픔과 분노가 얼마나 깊은지 정부 당국은 깊이 새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에 백찬홍 씨알재단 운영위원은 SNS 상에서 “세월호에 대한 대응 체계 붕괴로 박근혜 정부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자 새누리당 한기호 의원이 종북 프레임을 들고 나왔군요. 자식을 잃고 비탄에 빠진 학부모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있네요”라고 지적했으며, 한 누리꾼도 SNS 상에서“구조를 제대로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정부를 비판하는 건 사회 분열을 노리는 종북이거나 그러한 북한의 지령에 놀아나는 행위라는 게 새누리 국회의원(한기호)부터 온갖 수구보수들의 주장이로군. 대단한 병자들”이라고 꼬집었다. 파문이 확산되자 한 의원의 글은 페이스북에서 삭제됐지만, SNS 상에서는 이 글이 갈무리돼 전파되고 있다. 그러자 그는 페이스북에 “북한이 이번 참사 수습을 무능한 정부 탓이라고 비난한 것이 사실 아닌가요? 여기에 놀아나서는 안 된다는데 문제가 있나요?”라는 글로 반박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논란이 끊이지 않자 페이스북을 모두 비공개로 전환했다.[78] 가짜 실종자 대표(새정치민주연합) 실종자 가족 대표를 맡았던 남성이 안산 지역구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6·4 지방선거에 나가려던 사람이란 것이 밝혀져 논란이 있다. 세월호 침몰 사고 후 자신을 아동센터를 운영하는 목사라고 소개한 송정근은 실종자 가족 대표로 활동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 실내체육관을 방문했을 때에는 나란히 단상에 서서 사회를 보기도 했다. 그러나 세월호 탑승자 가운데 송정근의 가족은 없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실종자 가족들은 격앙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송정근은 “처음부터 정치적 이유는 없었다”고 해명했다.[79] 그러나 그가 실종자 가족이나 유족이 아님은 현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이미 알려진 일이고, 단원고등학교를 포함한 안산 지역 청소년들에 대한 지원 활동을 해온 그의 이력에 비춰볼 때 있을 수 없는 일은 아니라는 일부의 반론도 있다. 송정근은 목회자(목사)로서 가출청소년 상담 등을 해왔으며, 대통령과의 간담회 후 이 문제가 언론에 불거지기 전인 지난 18일 도의원 예비후보직을 사퇴했다. 인터넷 등에서는 새누리당 국회의원 등 여당 정치인들이 세월호 참사 와중 일으킨 논란을 덮으려는 '물 타기'라는 의심까지 나오기도 했다. 송정근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자신이 이날 오후 탈당계를 제출했다고 밝히며 자신의 억울함을 적극 변호했다. 실종자 가족 대표를 맡게 된 경위에 대해 그는 "(진도에) 도착했을 때 여러 교회 목사님들과 학부모들이 있었는데 '누군가 대표를 맡아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고, 그분들이 '일단 맡아달라'고 요청해서 맡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80] 이윤석 전남도당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 사고 당일날 늦은 저녁, 이윤석 의원은 해경경비정을 타고 사고 해역을 다녀왔다가 '특혜' 논란으로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 애를 태우고 있는 실종자 가족들도 현장에 가고 싶어도 배편이 없어 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특권을 누렸다는 것이다. 논란이 커지자 이윤석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은 공식 브리핑 등을 통해 "해경은 안전의 이유 때문에 밤중에는 학부모들을 원하는 대로 다 태울 수 없다는 방침을 갖고 2분만 태운 것으로 확인됐다"며 "어떤 국회의원이 그 밤중에 비 맞으면서 풍랑을 헤치고 특권을 가지고 5시간에 걸쳐 현장을 다녀오겠나, 특혜라는 것은 억울하다"고 밝혔다.[43] 국회의원 권은희(새누리당) 새누리당 권은희 의원은 지난 4월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인의 글을 보고 퍼왔다"며" 세월호 실종자 가족 행세를 하며 정부를 욕하며 공무원들 뺨때리고 악을 쓰고 욕을 하며 선동하는 이들. 학부모 요청으로 실종자 명찰 이름표를 착용하자 잠적해버린 이들. 누구일까요? 뭘 노리고 이딴 짓을 하는 걸까요?" 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유가족들에게 명찰 나눠주려고 하자 그거 못하게 막으려고 유가족인척 하면서 선동하는 여자"라면서 관련 동영상을 링크했다. 이어 "그런데 위의 동영상의 여자가 밀양송전탑 반대 시위에도 똑같이 있네요"라며 "세월호 탑승 희생자의 유가족인 동시에 송전탑 시위 관계자가 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라며 문제의 여성이 희생자 가족이 아닐 개연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 혼란과 불신, 극한 대립을 일으키는 전문 선동꾼들은 누굴 위해 존재하는 사람들인지?"라고 비판했다. 그리고 "온 나라가 슬픔에 빠져있는 이 와중에도 이를 이용하는 저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온라인에 도는 터무니없는 비방과 악의적인 루머도 잘 판단해야겠습니다. 정신을 바짝 차리고 이성적인 대응이 필요한 때입니다"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권은희 의원이 의심한 당사자들은 실제 '실종자 가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동꾼이라고 지목한 밀양송전탑 권모 씨의 사진은 '덧씌운' 사진으로 밝혀졌다. 논란이 커지자 권은희 의원은 "자세히 못 살펴 죄송하다"며 글을 삭제했다. 선동꾼으로 매도된 권모 씨는 권은희 의원을 고발하겠다는 태도다. 권모 씨는 권은희 의원의 게시물과 관련 경찰에 진정서를 제출한 상태로 알려졌다.[81] 5월 12일 대구 성서경찰서에 따르면 권 의원은 지난 10일 오후 경찰에 나와 수 시간 동안 페이스북에 해당 내용의 글을 올린 경위 등을 조사받았다.[82] 국회의원 이완영(새누리당)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는 지난 7월 1일 국회에서 진행된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기관보고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과연 국회가 세월호 사고에 대한 조사를 수행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새누리당 이완영 의원은 다른 의원의 질의 시간에 장시간 조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이완영 의원이) 국정조사 진행에 분통을 터뜨리는 유가족을 보고선 '경비는 뭐하나'라고 말해 조롱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완영 의원실 보좌관은 "세월호 국조 특위를 준비하면서 보좌진과 의원 모두 밤을 새다시피 했다"며 "질문을 빠뜨린 것도 아니고 다른 의원 질의할 때 잠깐 졸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적반하장 식의 해명을 했다. 또 이완영 의원의 '경비는 뭐하나'라는 조롱하는 듯한 태도에 대해서는 "소란스러워질 때마다 경비원들이 계속 제지를 하던 상황이었다"며 "그래서 너무 시끄러워지길래 경비는 뭐하느냐고 한 것일 뿐 다른 뜻은 없었다"고 전했다.[83] 국회의원 조원진(새누리당) 조원진 새누리당 간사는 7월 2일 세월호 국정조사에서 야당과의 다툼을 말리는 유가족에게 "당신들은 누구야" "유가족이면 좀 가만히 있어라"고 언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84] 또 그는 세월호 사고를 조류인플루엔자(AI)에 비유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다. 조 의원은 7월 11일의 회의에서 청와대가 재난 대응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 주장에 반발하면서 “AI와 산불 등 재난에 대통령이 ‘수습’을 지시했다고 컨트롤타워로 볼 수는 없지 않으냐”라는 취지로 발언했다. 방청석의 일부 유족들은 “어떻게 닭과 비교하느냐” “희생자가 닭이에요”라며 강력 반발했다. 심재철위원장은 고성을 지른 유가족에게 “함부로 회의에 개입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후 방청석에서 항의성 발언이 나오자 결국 유족 1명이 퇴장 조치됐다. 나머지 가족들까지 회의장을 박차고 나서자 심 위원장은 퇴장조치를 취소한 뒤 정회를 선언했다. 국조특위 야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심재철 위원장과 조원진 간사는 사과하고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심 위원장도 회견을 열어 “퇴장시킨 가족은 하루라도 소리를 안 지른 날이 없다. 참고 참다가 오전에 ‘더 그러시면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를 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국가 재난의 여러 예를 들었는데 유가족분들 마음이 많이 상하셨다면 정말로 사과를 드린다”고 밝혔다.[85] 전 국회의원 송영선 송영선 전 국회의원은 "이번 기회가 너무나 큰 불행이지만 우리를 재정비할 수 있는, 국민의식부터 재정비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 꼭 불행인 것만은 아니다"며 "좋은 공부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발언해 질타를 받고 있다. 그러자 송영선 전 의원은 4월 23일 채널 A와의 전화통화에서 "제 말에 의해 상처를 받으신 분, 털끝만큼이라도 상처받으신 분이 계시다면, 용서하십시오. 너무 죄송합니다"라고 공식 사과했다.[86] 국회의원 정몽준의 아들 새누리당 정몽준 국회의원의 막내아들이 세월호 실종자 가족을 비하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일고 있다. 그는 사고 이틀 후인 4월 1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대통령에 소리 지르고 욕하고 국무총리에 물세례. 국민 정서 자체가 굉장히 미개"라는 글을 올렸다. 이는 지난 17일 일부 실종자 가족이 진도 실내체육관을 방문한 정홍원 국무총리에게 생수병을 던진 것에 대한 글이다. 이에 대해 비난여론이 일자 정몽준 의원은 21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라고 말했다.[87] 사죄 드립니다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깊이 사죄드립니다. 제 막내아들의 철없는 짓에 아버지로서 죄송하기 그지없습니다. 저희 아이도 반성하고 근신하고 있지만 이 모든 것이 아이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저의 불찰입니다. 이번 일로 마음의 상처를 입으신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 그리고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2014. 4. 21. 정 몽 준 올림[88] 진중권 교수는 트위터를 통해, 이 논란에 참여했다. 그는 "그가(정몽준 의원의 아들이)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또 사람들이 울부짖는 세계가 이상(미개)하게 느껴졌을 것이라며, 이를 몇 천 억을 가진 이들의 삶이 많은 이들에게 초현실이자, 비현실로 느껴지는 것과 같다고 비교했다. 그는 "자식을 잃은 부모가 절망과 고통에 몸부림치고 그것을 지켜보는 이들이 함께 슬퍼하고 분노하는 게 미개한 정서라면 이 사회에서 문명인은 오직 하나 사이코패스 뿐"라고도 결론 내렸다.[89] 한편, 세월호 사고 희생자 유가족들은 이런 발언을 한 정몽준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아들을 경찰에 고소했다.[90] 보수논객 지만원 인터넷 사이트 시스템클럽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보수논객 지만원은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시민들의 비판을 "시체 장사"로 지칭하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 2의 5·18 폭동을 대비하라"고 말했다.[91] 일베저장소[편집] 일베저장소(일간베스트저장소)의 일부 누리꾼들이 세월호 실종자 및 희생자 가족들을 '유족충(蟲)'이라고 부르며, 적나라하게 모욕해 논란이 있다. 이에 경찰청은 해당 게시글 작성자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다고 19일 밝혔다. 전라남도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침몰한 16일 이후, 일베저장소 게시판에는 피해자 가족을 조롱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사고 지역이 전라남도이고 세월호 선장 이준석이 전라도 출신이라면서, 노골적인 지역차별 정서를 부추기는 내용이 많다. 또 피해자 가족을 '(진도) 유족충'이라고 조롱하며, 비속어를 섞어 비아냥대는 글도 상당수다. 수학여행 도중 희생된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신을 조롱거리로 삼는 글도 있다. 경찰은 이들 게시글 가운데 일부를 삭제하고 IP를 확보해서 작성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근거 없는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행위자들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해 검거할 것"이라고 밝혔다.[92] 이 방침에 따라, 피해 여학생과 여교사를 대상으로 성적 모욕성 게시물을 올린 A(28)가 경찰에 검거되었다. A는 경찰에서 자신의 행위의 이유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주목받기 위해 게시물을 작성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93] 그런데, 이 와중에 "일베저장소 일동"이란 이름의 근조화환을 한 일베회원이 보내기도 하여 누리꾼들 사이에 진정성 논란이 일었으며,[94] 또한 이들은 노란 리본을 "일베"의 자음인 ㅇㅂ 모양으로 바꾸거나 전 대통령을 비난하는 등의 사진으로 바꾸어 올려 논란이 되고 있다.[95] 사고가 일어난 달인 4월 말 서울 경신고교 1학년 중간고사 국어 시험에서는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인터넷 댓글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는 문제가 출제됐다. 이 문제의 5개 보기 중 오답인 4가지는 모두 특정 지역을 비하하는 예시였다. '전라도 홍어들이 고향 용궁으로 돌아가겠다는데 왜 막냐…' '간만에 전라도에서 흐뭇한 소식이네… 염전 조심해라? 점심 신나게 홍어탕 먹어야지' '아무리 대한민국서 제일 가깝고 가기 쉬운 해외라 해도 전라국으로 여행가는 것은 아니라고 들었어요' '선박 사고와 전라도 섬노예가 없는 평화로운 세상이 오기를 두 손 모아 간절히 기원합니다…' 등이 오답 보기로 나왔다.[96] 출제 교사는 '전혀 다른 의도는 없이 아이들에게 와닿도록 최근의 예문을 출제한다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한쪽으로 너무 치우친 문제를 내게 됐다'며 죄송하다고 말했다.[97] 전라도 지방의 비하, 특히 홍어를 빗대어 말하는 것은 일베저장소에서 주로 쓰는 방식이라 알려져 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5부는 희생자들을 인터넷 게시판에서 성적으로 모욕한 혐의(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로 정모씨를 구속기소했다고 6월 5일 밝혔다. 평소 일베에 익명으로 글을 자주 남기던 정씨는 서울 금천구의 고시원에 앉아 글을 쓴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정씨가 일베 회원들의 관심을 끌고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 자극적인 표현을 써가며 글을 올린 것으로 보고 있다.[98] 언론[편집] JTBC 기자가 구조된 학생과 인터뷰 도중 학우의 사망을 알리는 부적절한 질문을 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JTBC 측에서 해당 기자를 대신해, 9시 뉴스 앵커 손석희가 깊이 사죄드린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99] 또한 SBS 기자가 뉴스를 보도하던 중 기자들의 웃는 모습이 등장했던 방송사고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SBS는 20일 오후 뉴스 공식 트위터를 통해 "세월호 승선자 가족들과 시청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라고 밝혔다.[100][101] MBN 뉴스특보 프로그램(4월 18일 오전 6시)에서는 민간 잠수사라고 자칭하는 홍가혜가 인터뷰를 통해 정부가 민간 잠수사들의 구조작업을 차단하고 있으며, 바다 속에서 생존자의 목소리를 들은 사례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해양경찰청은 민간 잠수사들의 구조작업을 차단한 사실이 없고 이날도 70여명이 동참하고 있었다고 해명하였고, 한국구조연합회 회장인 배우 정동남은 "해경이 민간잠수부 활동을 막는다는 허무맹랑한 소문들을 퍼뜨리는데 그것은 유가족을 두 번 죽이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102] 스포츠월드 김용호 기자가 자신의 트위터에 홍가혜가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글을 올린 것이 알려지고,[103] 홍가혜의 인터뷰 내용이 사실 왜곡 논란과 구조 현장에서의 혼선을 일으키자 MBN 보도국장 이동원은 직접 방송에 출연하여 공식 사과하였다.[104], 전남지방경찰청은 4월 19일 잠적한 홍가혜에 대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체포영장을 신청하였고 21일 그녀를 검거하였다.[105][106][107][108] 그러나 재판부는 홍가혜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며 "홍씨의 카카오스토리 내용과 방송 인터뷰는 구조작업을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는 취지로 구조작업의 실체적 모습을 알리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며 "허위사실이라고 인식하기 어렵고, 해경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보기에도 어렵다"고 판시했고, 이어 "판결이 피고인의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면죄부를 주는 것은 아니다" 라고 밝혔다.[109] 문화일보와 내일신문은 침몰사고 초기에 '477명 탄 여객선 침몰... 대형 참사 날 뻔했다'란 기사제목으로 사고 초기에 오보하여 관련 학부모들과 학교관계자 및 국민들에게 혼란을 주었고 초기 대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74] 연합뉴스는 24일자 '물살 거세지기 전에... 사상 최대 규모 수색총력'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9일째인 24일 민·관·군 합동구조팀은 바다 위와 수중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수색 작업을 벌였다.", "해군과 해군구조대, 소방 잠수요원, 민간 잠수사, 문화재청 해저발굴단 등 구조대원 726명이 동원됐고 함정 261척, 항공기 35대 등의 장비가 집중 투입됐다"고 보도했다. <광굦나널실 제 현장에서는 연합뉴스 멘트대로의 구조 장비와 인원이 전혀 투입된 바가 없었다. 함정 261척은 고사하고 잠수사 조차 겨우 2명이 투입되었다. 청해진 해운과 해경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업체인 언딘의 잠수사 외에는 모든 자원봉사 잠수사는 불허상태이며, 언딘의 소속 잠수사는 겨우 10여명 내외로 밝혀졌다. 그 밖에 대한민국 언론의 속보 경쟁 폐단과 실종자 가족 취재의 보도 윤리 문제에도 논란이 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한국 저널리즘을 성찰해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110] 사고 현장에서 언론은 실종자 가족의 불신의 대상이 되었도 했다. 불신은 심지어 기자들에 대한 폭력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몇몇 기자들은 수첩을 뺏기고 멱살을 잡혔다.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세월호 침몰 사건을 취재하기 위해 온 외신에 대해서 비교적으로 호의적으로 대했다.[111][112] 또, 사고 초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대한 과도한 취재 또한 논란이 되었고, 이는 4월 24일 단원고 3학년 학생이 기자들에게 쓴 글이 발표되면서 이에 대한 논란과 반성 또한 급부상하였다.[113] 한편, NBC는 4월 24일 로이터 통신의 기사를 받아 ‘한국 여객선 선원: 침몰하는 배를 버리라는 명령을 받았다(South Korea Ferry Crew: We Were Ordered to Abandon Sinking Ship)’고 보도했다. NBC는 “신원 불명의 이 선원은 법원에서 유치장으로 돌아가면서 기자들과 잠시 이야기를 했다. 그녀는 수술용 마스크와 야구 모자, 그리고 상의의 후드를 착용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녀는 '승객들이 갇혀 있는 배를 버리라는 명령을 받았다'는 발언을 하였으며 이 발언의 진위 여부에 관심이 일고 있다.[114] 그러나 이러한 선원의 발언만으로는 그같은 명령이 (선장인지 아니면 회사측인지)누구로부터 내려진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보도에 대해 ‘뉴스프로’는 기자의 칼럼을 통해 “의문점은 선원들은 모두 선원복을 민간복으로 갈아 입고 따로 접근한 해경 구조선에 갈아 탔다는 것이다. 해군 경비정은 세월호가 침몰할 경우 빨려들어갈 위험 때문에 세월호 멀리서 구명보트를 보내기만 했는데도 불구하고 이 선장과 선원들을 특별히 구조하기 위해 세월호에 접근을 시도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115][116] 청와대의 징계[편집] 이른바 '서남수 교육부 장관 라면 사건'을 보도한 것과 관련, 청와대 출입기자단이 8일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의 ‘비보도 전제’(오프 더 레코드) 발언을 보도한 <한겨레신문>에 ‘청와대 춘추관(기자실) 출입정지 28일(4주)’의 징계를 결정했다. 기자단은 또 민 대변인의 발언을 보도한 <오마이뉴스>와 <경향신문>에 출입정지 63일(9주), <한국일보>에 출입정지 18일(3주)을 결정해 각 언론사에 통보했다. 징계를 받게 되면, 해당 언론사 기자는 그 기간에 청와대가 제공하는 보도자료 등 일체의 자료를 받을 수 없게 된다.[117] 한국방송공사[편집] KBS는 국가재난주관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참사를 보도하며 속보경쟁에 나서 오보를 내는가 하면 박근혜 대통령이 진도 현장을 방문했을 때 실종자 가족들의 항의 대신 박수를 치는 장면만 편집해 내보내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왜곡해 유가족들의 반발을 불러왔다.[118] 앵커들 "검은 옷 입지 말라"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는 30일 성명을 통해 “보도국 책임자라는 자가 검을 옷을 입고 진행을 한 앵커를 나무라며 뉴스 진행자들은 검은 옷을 입지 말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희생자 가족들의 목소리는 외면하고 청와대와 대통령만 바라보는 철저히 권력지향적인 보도 행태는 이번 사건에 대한 공감 능력의 결여와 맞닿아 있다”고 비판했다. 이 간부는 김시곤 보도국장인 것으로 알려졌다.[119] 보도국장의 부적절한 발언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는 김 국장이 "세월호 사고는 300명이 한꺼번에 죽어서 많아 보이지만, 연간 교통사고로 죽는 사람 수를 생각하면 그리 많은 건 아니다"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말께, 부서 회식 자리에서 이 같은 발언을 했다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4일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세월호 사건을 아무것도 아닌 사건으로 치부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인데, 그렇다면 내가 사고 현장에 기자를 100여 명 보내며 밤새워 보도할 이유가 있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나 그는 세월호 사고 사망자수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비교해 발언한 것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부적절한 비유 아니냐'는 지적에 김 국장은 "평소 교통사고 안전 사고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지만 부지불식간에 매해 세월호 이상의 참사를 겪고 있다는 뜻"이라며 "기자들에게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을 재확인시키는 차원에서 한 발언"이라고 일축했다.[120] 이에 대해 김 국장은 KBS 새노조가 "KBS 및 KBS 간부에 대해 일방적 주장을 제기하며 명예를 훼손했다"고 비판하며, 새노조를 향해 "정파적·미시적 관점 벗어나 합리적으로 언론사 제도 개선 운동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카메라 취재를 하면서 현장음이 잘 안 담길 수도 있다"며 "의도해서 편집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으며, "KBS 보도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다른 언론사 못지않게 목표를 높게 잡고 노력해나간다"며 "진도 등 세월호 사고 현장에서 많은 취재진들이 고생하고 있다"고 전했다.[121] 문화방송[편집] 조급증이 잠수사 죽음 불렀다는 주장 MBC 뉴스데스크는 5월 7일 '함께 생각해봅시다'라는 데스크 리포트에서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란 제목으로 세월호 사고 해상에서 수색작업을 하다 숨진 이광욱 잠수부에 대해 조급증에 걸린 우리사회가 그를 떠민 건 아닌지 생각해봐야 할 대목이라며 우리 사회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조를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리포트를 한 박상후 MBC 전국부장은 해당 리포트에서 "실제로 지난달 24일 일부 실종자 가족들은 해양수산부 장관과 해양경찰청장 등을 불러 작업이 더디다며 압박했다"며 "논란이 된 다이빙 벨 투입도 이 때 결정됐고,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분노와 증오 그리고 조급증이 빚어낸 해프닝"이라고 말했다.[122] 전국언론노조 MBC 본부는 “잠수사 사망 사고는 발생해선 안 될 안타까운 죽음이었다”며 “하지만 언론이 죽음의 원인을 짚어보는 것과 죽음을 소재 삼아 특정한 결론을 내리거나 확대 해석, 왜곡하는 일은 엄연히 다른 일”이라고 밝혔다. 실제 사고 당일인 6일 MBC와 달리 KBS와 SBS는 잠수사 의료ㆍ안전 지원이 매우 열악하고 바지선 전문 의료진도 없었다는 등의 내용을 보도했다.[123] 김장겸 보도국장의 부적절한 발언 <한겨레신문>은 김장겸 MBC 보도국장이 4월 25일 오전 편집회의에서 세월호 참사 관련 보고를 받던 도중, 유가족들을 향해 “완전 깡패네, 유족 맞아요?”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겨레>는 이 같은 발언은 박상후 전국부장이 ‘유가족들이 해양수산부 장관, 해양경찰청장과 가족들의 대화 현장을 보고받은 뒤 나온 답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겨레>는 김장겸 보도국장이 같은 날 팽목항 상황에 대해 “누가 글을 올린 것처럼 국민 수준이 그 정도”라며 “(정부 관계자)의 무전기를 빼앗아 물에 뛰어들라고 할 수준이면 국민 수준이 아프리카 수준”이라는 발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21일 ‘국민 수준이 미개하다’는 내용의 페이스북 글을 올린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 아들의 발언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한겨레>는 당시 편집회의에 참석했던 복수의 MBC 관계자에게 사실 확인을 거쳤다고 밝혔다.[124] 하지만 MBC 정책홍보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김장겸 보도국장은 그런 발언이 한 적이 없다며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대해) 법적대응을 할 것”이라며 “<한겨레>에서 문의가 들어왔을 때도 ‘사실무근’이라고 이미 전달했다”고 밝혔다.[125] '전원구조'가 사실이 아님을 묵살 한승현 목포 MBC 보도부장은 사고 당일 오전 박상후 전국부장한테 '전원구조'가 사실이 아님을 알렸으나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목포 MBC 김선태 보도국장은 “진도 부근 어업지도선 쪽 어민에게 전화가 왔고, 마침 해경에 아는 사람으로부터 침몰사고 해역으로 해경들이 많이 갔다고 들었고 구조에 나선 사람들과 직접 통화를 했다. (전원구조가 아닌 것 같아)현장기자들에게 ‘전원구조’가 맞는지 확인해 보라고 했다”고 그날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보도부장에게도 (전국부에)직접 이야기하라고 했고, 했지만 전국부에서 ‘알았다’고 하고 아무런 이야기가 없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우리의 말을 믿지 못하겠으면 우리에게 제보해준 어민과 직접 연락하게 해줄테니 어민의 전화번호를 서울 MBC에 주도록 보도부장에게 지시했고, 보도부장이 전국부에 이야기했지만 그 뒤로도 소식이 없었다”고 말했다. 목포 MBC 보도국에 따르면 이들은 보도국장을 비롯한 간부들이 3차례, 취재기자가 2차례 등 최소 5차례 이상 전국부에 ‘전원구조’가 오보일 가능성을 보고했다. 하지만 결국 MBC도 ‘전원구조’라는 자막을 띄워 오보 대열에 동참했다. 김 국장은 목포MBC의 보고에 대한 전국부의 대처에 대해 “100% 묵살”이라고 했다. 김 국장은 “어떤 한 사람이라도 우리에게 다시 ‘사실이냐’고 확인전화를 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말했다. MBC 지역 기자들이 모인 전국MBC기자회는 앞서 13일 성명에서 “ MBC의 오보는 ‘단원고 학생 전원 구조’라는 기사가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낸 ‘미필적 고의에 의한 명백한 오보’”라고 비판했다.[126] SBS[편집] 세월호 관련 심층 보도 제작 중단 지시 5월 31일 방영을 목표로 준비 중이던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세월호 참사’ 관련 방송이 제작본부장의 지시로 제작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논란은 지난 9일 장광호 제작본부장이 세월호 아이템을 승인한 지 하루 만에 말을 바꿔 제작 중단을 지시하면서 촉발됐다. <그것이 알고 싶다> 취재진이 세월호 유가족들의 KBS와 청와대 항의방문을 취재한 다음 날이었다. 장 본부장은 ‘6·4 지방선거를 앞둔 민감한 시기’라는 이유와 <그것이 알고 싶다>의 특성상 새로운 내용을 확보하지 않으면 방송이 어렵다며 제작 중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SBS 내부에선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본부장이 ‘세월호 사고 방송’ 아이템을 승인하고 이를 다시 번복하는 과정에서 부당한 외부 압력이 작용한 게 아닌지 의구심도 나온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전방위적인 보도통제 의혹이 꾸준히 제기된 데다가 KBS 내부에선 청와대가 ‘해경 비판을 삼가라’ 했다는 폭로까지 나온 뒤라 이런 의혹은 더해지고 있다.[127] 세월호 유가족 대리기사 폭행[편집] 세월호 가족대책위 유가족 5명이 2014년 9월 17일 오전 0시 40분께 영등포구 여의도 거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과 함께 있다가 대리기사, 행인 2명과 시비가 붙어 이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당초 유가족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가 조사 도중 혐의가 충분히 입증됐다고 판단, 전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하였다.[128] 2014년 9월 19일 출석한 유가족들은 묵비권 행사를 하지 않았지만 일부 수사에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행을 목격하고 이를 말리려 한 시민 2명은 정당방위로 면책될 것으로 보인다.[129] 김병권 위원장과 김형기 수석부위원장, 유경근 대변인 등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 대책위원회 집행부 9명은 2014년 9월 17일 대리기사 폭행 사건의 책임을 지고 전원 사퇴하였다.[130] 2014년 9월 21일 세월호 참사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 신임 위원장에 전명선 전 진상규명분과 부위원장이 선출되었다.[131] 하지만 CCTV원본에서는 대리기사는 싸움에서 뒤로 빠져있었던 상황이였고 목격자와 함께 다수의 행인이 유가족과 싸움을 하는 장면[132]만 있는 상황이였고, 유가족은 이가 부러지고 깁스를 착용까지할 정도로 부상이 심했으나 대리기사는 다친 곳이 하나도 없다는 걸로 인해 실제로 대리기사를 폭행한게 아니라 대리기사가 지나가는 행인을 부추여서 폭행을 주도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루머[편집] 사고 발생 시점과 관련해 KBS의 아침 정규 방송인 '굿모닝 대한민국 생방송' 중, 7시 20분에 자막으로 세월호 침몰 관련 자막이 나왔고, KBS가 재방송에서 이 자막을 삭제했다는 루머가 SNS를 통해 알려졌으나, 이는 방송 중 영화 소개장면에서 21:9 와이드 화면을 위아래로 길게 늘리기 위한 일반적인 편집중 생긴 확대이며 자막은 없었다.[133] 또한 인터넷에서 KBS가 4월 16일 8시 59분에 자사의 트위터 계정으로 오전 7시 20분부터 구조작업이 시작되었다는 트윗을 발송함으로써, 적어도 7시 20분 이전에 사고가 일어난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으나 이는 트위터의 시간이 트위터 서버의 시간이 미국시간으로 올라와서 생긴 문제로서 사고 당일에 올라온 트윗은 아니다.[134] 일부 누리꾼들은 정부가 서울시 공무원 간첩증거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의 사과문 발표가 난 가운데 갑자기 사건이 발생한 것이 의심스럽다는 추측을 내놓았다. 종편방송 언론사 채널A는 이런 의심을 '엉뚱한 음모론'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135] 한편 정재학 편집의원은 16일 데일리저널에 올린 '세월호 침몰이 이상하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세월호가 침몰한 해역이 암초가 없었으며, 당시 가시거리가 나쁘지 않고, 물결도 잔잔했으며, 세월호가 상시 운항하던 곳이라" 다른 선박과 부딪혀 침몰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또한, "그래서 어떤 배와 부딪혔는지 의문"이 생긴다며, 암초도 아니고 충돌선박에 대한 선장의 보고도 없었으므로, 그 충격은 북한의 소행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136] 이와 같이 일부 언론들이 제기하는 북한 소행설에 대하여, 정부는 '수사 중'이라고만 짧게 대답했다.[137]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침몰된 배 안에 생존자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는 내용이 퍼졌다. 그러나,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세월호 생존자가 보낸 것으로 추정된 메시지가 허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서 논란이 있다.[138][139]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는 17일 "실종자 전체의 휴대전화 번호를 확보해 침몰 사고 이후인 16일 정오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이용 내역을 확인한 결과 모두 사용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경찰은 최초 유포자를 추적해 사법처리할 것이라 밝혔다.[140][141] 기타 논란[편집] 사고의 공식 명칭 이 사고를 처음에는 '진도앞바다 여객선 침몰 사고'로 부르다가 '세월호 침몰 사고'로 바꾸었으나, 사고의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선사의 이름을 포함하여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로 불러야 한다는 논란이 있다. 사고 발생 시간 실제 배에 문제가 생긴 시점과는 별개로 나중에 침몰과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사고가 외부에 인지된 시점에 대하여는 여러 논란이 있다. 공식적으로 세월호 침몰 사고는 2014년 4월 16일 오전 8시 52분 32초 (KST), 전남소방본부 119상황실에 최초로 신고 전화가 걸려옴으로써 알려졌다. 하지만 세월호가 최초 신고 40여 분전 이미 해경과 연락 두절 상태였다는 정황을 담은 교육청의 내부 일지가 발견되어 오전 8시 10분에 이미 사고를 교육청이 인지하고 있었다는 의혹이 있다.[142] YTN의 보도 영상에는 사고 일시가 4월 16일 08:00 경으로 기록된 사고 개요 보고서가 안행부에 보고된 화면이 포함되어 있다.[143] 대한민국 어버이연합의 신문광고 <문화일보> 7월 28일자 31면 하단에 실린 의견광고를 보면 “세월호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와 추모의 마음을 전합니다”라는 제목이 달려있다. 하지만 이 광고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세월호 특별법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문화일보 광고국은 경향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해당 광고를 의뢰한 곳은 ‘어버이연합’”이라며 “문화일보는 광고를 받은 그대로 게재했을 뿐 광고에 대한 어떤 의견도 제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해당 광고엔 ‘우리 국민들의 이성과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세월호 특별법안의 주요 골자’라며 ‘사망자 전원 의사자 처리, 공무원 시험 가산점 부여, 단원고 피해학생 전원 대입특례전형 및 수업료 경감, 사망자 형제자매 대입특례전형 및 수업료 경감, 유가족을 위한 주기적 정신적 치료 평생 지원, 유가족 생활안정 평생 지원, 기타 세월호 피해자에 대한 근로자 치유 휴직,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자 금융거래 관련 협조 요청’ 등 17개 항목이 실려 있다. 또 이 광고는 말미에 “세월호 특별법입니까? 평생 노후보장 특별법입니까?”라고 묻는다. 한정애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7월 29일 오전 긴급브리핑을 열어 “어제 <문화일보>에 세월호 특별법이 ‘평생노후보장 특별법’이라는 의도적이고 악의적인 출처불명의 흑색선전 광고가 실렸다. 대단히 충격적이고 경악스러운 일”이라며 “그런데 더욱 심각한 것은 온라인상으로 허위사실이 유포되는 것뿐만 아니라 지하철 등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전단지가 대량으로 살포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한 대변인은 “우리가 어느 시대에 살고 있는지 개탄스럽기까지 하다”며 “전단지의 내용이 새누리당이 ‘대외비’라며 의도적으로 유포시킨 내용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기기만 하면, 승리만 하면 된다는 것인가”라며 배후로 새누리당을 지목했다. 새정치연합이 문제삼은 전단지는 최근 ‘일베저장소’ 등에 올라온 것이기도 하다. 일베에 게재된 전단지에는 “세월호 특별법입니까? 평생 노후보장 특별법입니까”라는, <문화일보>에 실렸던 제목과 동일한 제목이 빨간 글씨로 적혀 있기도 하다. 한 일베 회원은 지난 22일 문제의 전단지 전문을 게재한 뒤,“어버이연합에서 제작할 세월호 관련 전단지”라면서 “21일 프린터로 소량 인쇄를 해서 광화문 KT 앞에서 배포를 했지만 22일 대량 인쇄 주문 들어간다”고 밝히기도 했다.[144] 부적절한 홍보 코오롱스포츠는 할인 행사 문의로 세월호 침몰 사고를 당한 실종자 가족을 위로하며 "더 늦기 전에 가족, 친구, 동료들에게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것은 어떨까요?"라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 논란이 있다. 이에 코오롱스포츠 측은 트위터에 해당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 문자를 보냈다고 했다.[145][146] 종교계(목사) 사랑의 교회 오정현 목사는 지난 4월 27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남가주(캘리포니아) 사랑의 교회 세미나에서 '국민정서 미개' 글로 물의를 일으킨 정몽준 전 새누리당 의원의 아들을 두둔하며 "정몽준씨 아들이 미개하다고 그랬잖아요. 그건 사실 잘못된 말이긴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니거든요"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조광작 전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공동부회장은 지난 5월 20일 한기총 긴급임원회의에서 "가난한 집 애들이 설악산이나 경주 불국사로 수학여행을 가면 될 일이지, 왜 배를 타고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가다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모르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가족들은 "희생당한 학생을 '가난한 집 아이들'이라고 적시한 것은 사자에 대한 명예훼손일 뿐 아니라, 죽은 학생들의 부모에 대해서도 명예훼손 또는 모욕적 표현에 해당한다"며 이들을 고소하였다.[147] 해병대 전우회 4월 19일에 진도에 도착한 광주·전남 해병대 전우회측은 민간 잠수단체인 한국수중환경협회가 바다 구조를 나가 천막을 비워둔 사이에 그 천막을 무단으로 점거하고 그 협회가 달아놓았던 협회의 현수막을 완전히 가리면서 '해병대 특수구조대 지휘본부'라는 자신들의 현수막을 동의도 없이 달아놓았다.[148] 한국수중환경협회는 사고 발생 직후 일찌감치 도착해 성실히 구조 활동을 하던 단체였고, 그 날도 회원 한 명이 구조 활동을 하다가 눈 부상까지 당했던 상황이었다.[149] 항의를 받은 뒤 협상 끝에 현수막을 위 아래로 나란히 거는 것으로 일단락 됐으나, 현장 자원봉사자들이 이런 자초지종을 트위터에 올려 해당 해병전우회원들이 누리꾼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48] 길환영 사장의 사고 현장 기념촬영 한국방송공사 노조 특보에 따르면, 길 사장은 사고 직후인 4월 19일 침몰지점 200m 앞에서 생방송 중이던 KBS 페리 선박을 10여명의 수행단과 함께 찾았다. 여기서 길 사장은 “이왕 온 김에 모두 사진 한 번 찍자”라고 말했고, 사장 지시에 따라 휴식 중이던 방송요원들 15명이 불려나와 사진을 찍었다는 주장이다. 또한 길 사장은 이후에도 “다른 스탭들도 다 오라고 하지”라며 다시 사람들을 불러 모아 30여명과 모여 한 차례 더 사진을 찍었다. 해당 사진은 사장 전속 사진사가 현장에 동행하지 않아 국장급 인사가 휴대폰으로 촬영했다. KBS 노조는 “관광지 등에서 흔히 단체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그대로였다”며 “그들이 페리 선상에서 두 차례 촬영 포즈를 취하는 바로 앞 200미터 전방에서는 꽃다운 어린 학생들을 포함해 죄 없는 300여명이 침몰한 세월호 속에 갇혀 생사를 넘나들고 있고 그 주변에는 어떻게든 선내에 진입하기 위한 잠수부들의 필사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었다”고 비판했다. 직원 격려 차원이었다는 사측의 해명에 대해서는 “버젓이 단체사진을 찍어댄 행위가 직원 격려라는 황당한 변명으로 넘어갈 수 있단 말인가”라며 “최소한의 철학도 갖추지 못한 상식 이하의 행위이자 생사를 넘나들던 실종자들과 그 가족들에게 최소한의 인간적인 예의도 갖추지 못한, 반인륜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특히 노조는 기념사진 촬영 다음날 행정안전부 국장이 사고 현장에서 기념사진을 찍었다가 직위해제되는 등 논란이 일고 노조가 취재에 들어가자, 사측이 입단속을 시키고 사진을 삭제하는 등 증거인멸에 나섰다고 주장했다.[150] 분향하다 쫒겨난 KBS 간부들 세월호 참사를 교통사고에 비유한 김시곤 KBS 보도국장의 발언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KBS 간부들이 8일 오후 경기 안산 합동분향소를 찾았다가 유가족들로부터 뺨을 맞는 등 격한 항의를 받았다.[151] 이에 KBS 측은 9일 새벽,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조문 갔던 보도본부 간부들이 폭행·억류당했습니다'라는 제목의 공식입장을 전했다. 이들은 폭행과 장시간 억류에 따른 정신적 충격으로 병원에 입원한 상태다"라고 밝혔다.[152] 정부 관계자와 언론의 부적절한 남도국악원 숙소 점거 국립남도국악원 숙소를 실종자 가족들을 위해 쓰자고 건의했지만 거절한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숙소는 KBS, KTV, 정부 부처 관계자가 사용했다.국립남도국악원 시설담당 관계자는 9일 "전남 진도 관내에서 한국전력과 경찰서 관계자 등이 모여 지난달 19일 기관단체장 회의를 했다"며 "당시 숙소 관련 시설이 부족하다는 얘기에 원장이 숙소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전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진도 팽목항에서 차로 40분 거리(약 23km)에 있는 진도체육관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다. 그런데 남도국악원은 차로 20분 거리(약 10km)에 위치해 있으며 50여명 수용 가능한 A동은 공사 중이지만, 6인실과 8인실 등 총 15개실이 있는 B동에는 90여명을 수용할 수 있다. 남도국악원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전남도청, 해양수산부, 교육부 직원들이 진도 관내 숙소가 없다며 숙소를 이용했다. 또 KBS와 KTV 관계자도 해당 숙소를 이용했다. 이들은 지난 2일까지 남도국악원을 숙소로 사용했으며 하루 동안 제일 많이 이용한 규모는 80여명으로 전해졌다. 국악원은 지난 2일 진도 관내 다른 숙박업소 이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숙소 이용을 금지했다. [153] 해군 참모 총장의 첨단 구조함 통영함 투입 명령 묵살 의혹 세월호 침몰 사고의 책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잠수사들의 처우 실종자 수색을 강행하고 있는 잠수사들이 식사도, 숙소도 형편 없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세월호 선미 쪽 수색을 맡았던 민간 잠수사들을 통해 입수한 최근 식사 모습 사진 중 반찬을 보면 단무지와 무침, 그리고 김치 뿐이었고, 그마저 식었다고 잠수사는 전한다. 심지어 밥을 나르던 중에 바닷물까지 섞인 적도 있다고 전해졌다. 취침 공간도 열악하기는 마찬가지였는데 전기 장판이 없어 찬 바닥에서 잠을 잤고, 낮에 젖은 몸을 말릴 수 있는 곳은 햇볕 아래 뿐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전기 장판을 구해 달라고 여러 차례 부탁했지만 제때 지급되지 않았다고 한다.[154] 새정치민주연합 김현미 의원은 6월 16일 "세월호 사고 현장에서 구조작업하는 잠수사에게 두 달 간 임금이 단 한 푼도 지급되지 않았다"며 잠수사 처우 개선을 정부에 촉구했다. 김 의원은 "잠수사에 대한 임금 산정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면서 "식대조차 지급되지 않아서 이들이 속한 언딘(민간 잠수업체)이란 회사에서 대신 식대를 지급하거나 유가족이 식대를 지급하는 일도 있다"고 주장했다.[155] 논란이 불거진 다음 날인 6월 17일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민간 잠수사에게 지급할 수난구호비용 지급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잠수사 수난구호비용은 위험한 환경에서 장기간 작업을 고려해 세금을 포함 1일 98만원으로 책정됐으며 해양경찰청 자체 예산으로 즉시 지급할 방침이다.[156] 각주[편집] ↑ 류정화 (2014년 4월 18일). “최첨단 수상구조함 '통영함', 구조에 투입 못 해 논란”. JTBC.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세월호참사> 미국 원격조종 무인잠수정, 효과는?”. 연합뉴스. 2014년 4월 21일.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통영함 투입 지시·각서까지 썼다… 무슨 이유 때문인지 끝내 투입 안해 미스터리 - 국민일보, 2014-05-12 ↑ Monica Mark. Nigerian sailor 'a phenomenon' for surviving in air pocket for 60 hours. The Guardian. 12 June 2013. ↑ 손석희. “이종인 "공기 주입, 생존자 있을 만한 곳에 해야..조타실은 의문"세월호 사고원인 '변침' 잠정결론 ... 시간대별 구성”. JTBC. 2014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8일에 확인함.  ↑ 브리태니커. 《잠수종》. 브리태니커.  ↑ 정재호. “[진도 여객선 침몰] 이종인 '다이빙벨 투입' 주장에 황대식 "부적합" 입장 이유”. 이데일리.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이종인 '다이빙벨' 투입 무산 - 뉴스1, 2014년 4월 21일 작성 ↑ 이종인 대표의 눈물 ↑ “이종인이 제안한 ‘다이빙벨’ 거부한 해경, 대학서 빌려 몰래 투입” - 경향신문, 2014년 4월 24일 작성 ↑ <세월호참사> 민간 '다이빙벨' 거부하던 당국, '뒷북 투입' 논란 - 연합뉴스, 2014년 4월 24일 ↑ 다이빙벨 빌린 언딘 대표 "이상호 기자가 전문가인가" - 데일리안, 2014년 4월 24일 ↑ 이종인 대표 "해경이 다이빙벨 투입 요청했다"… '언딘' 특혜 의혹은? - 뉴스1, 2014년 4월 25일 ↑ ‘다이빙벨’ 투입 임박…30일 새벽 2시 전후 예정 - 파이낸셜뉴스, 2014년 4월 29일 작성 ↑ 다이빙벨 버팀줄 설치 완료…투입은 '아직' - 뉴스1, 2014년 4월 30일 ↑ <세월호참사> '다이빙벨' 내일 새벽 2~3시 재투입(종합 2보) - 연합뉴스, 2014년 4월 30일 ↑ 다이빙벨, 성과 없이 현장서 철수…"실종자 가족에 죄송" - JTBC 뉴스 9, 2014년 5월 1일 방영 ↑ 이종인은 다이빙벨 잠수시켜놓고 왜 철수했는가 - 미디어오늘, 2014년 5월 5일 ↑ 실종자 가족들 “다이빙벨 ‘다’자도 꺼내지 마라” - 문화일보, 2014년 5월 2일 ↑ 침몰 당일 수중 구조대 고작 16명 투입 - 뉴스타파, 2014년 4월 21일 ↑ 침몰 당시 구조하러 온 미군 헬기, 우리 군이 돌려보내 - 한겨레, 2014년 4월 17일 ↑ 류정화 (2014년 4월 18일). “최첨단 수상구조함 '통영함', 구조에 투입 못 해 논란”. JTBC.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세월호참사> 미국 원격조종 무인잠수정, 효과는?”. 연합뉴스. 2014년 4월 21일.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세월호 구조 위해 통영함 출동 지시했다가 해임된 해군참모총장, 재조명되나 - 중앙일보, 2016년 11월 23일 ↑ 세월호 공기주입·수중로봇·잠수기록 다 거짓말 "靑 보고용" - 노컷뉴스, 2016년 9월 3일 ↑ CBS의 시사 교양 프로그램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797회 <세상은 만만하지 않습니다>편, 이국종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외상외과 교수, 영상 17:00~18:00 CBS TV, 2017년 8월 7일 ↑ 첫 시신 발견 "언딘이 한 것으로…" 인양 조작했나 - JTBC 뉴스 9, 2014년 4월 28일 ↑ 장아영, 사공만 있고...'대책본부'만 10여 개, YTN, 2014년 4월 19일 ↑ 이태영, 부처마다 대책본부… 협업은 없고 책임 떠넘기기 급급, 세계일보, 2014년 4월 20일 ↑ 음성원, ‘재난 비전문’ 안행부가 총괄지휘…‘허술대응’ 우려가 현실로, 한겨레, 2014년 4월 20일 ↑ 정의종, 범정부 차원 대책본부 구성… 정총리 본부장 맡아 진두지휘, 경인일보, 2014년 4월 18일 ↑ 김태경, 구조활동 발표, 범부처사고대책본부로 일원화, 스타뉴스, 2014년 4월 19일 ↑ 김현철, 정 총리 “민간 전문가 공식 브리핑 참여 시켜라”, 아주경제, 2014년 4월 19일 ↑ 신혜권, 재난 컨트롤타워 위상 강화 등 정부 재난정책 `대수술` 시급, 전자신문, 2014년 4월 20일 ↑ 심화영, 실전서 `무능` 보여준 새 재난대응체계, 디지털타임스, 2014년 4월 20일 ↑ 강수정 (2014년 4월 16일). “<진도 여객선 침몰>'전원 구조' → '구조 중' 오락가락 발표에 학부모 분통”. 뉴시스. 2014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연합뉴스 (2014년 4월 17일). “<여객선침몰>”. YTN.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특별취재팀 (2014년 4월 18일). “<여객선 침몰>승선자 476명, 구조자 174명으로 정정”. 연합뉴스.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818137.html ‘박근혜 국정원’ 세월호 유가족 사찰·여론전 개입했다 - 한겨레 2017년 11월 8일 작성 ↑ 주요 외신, 박 대통령 "선장은 살인자" 발언 비판 - 허핑턴 포스트 한국어판, 2014년 4월 22일 작성 ↑ 김기춘 "靑, 재난컨트롤타워 아냐…해경 전문성 부족"(종합) - 연합뉴스, 2014년 7월 10일 ↑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타워 아니다” 김장수의 무개념 발언 - 경향신문, 2014년 4월 23일 ↑ 가 나 팔걸이 의자에서 라면먹고...장관님, 여기 왜 오셨나요? -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19일 작성 ↑ 장관님, 응급 의약품까지 밀치고 라면 먹어야 합니까 -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21일 작성 ↑ <여객선침몰> "교육부장관입니다" 귓속말…유족 '격앙' - 연합뉴스, 2014년 4월 18일 송고 ↑ "라면에 계란 넣어 먹은 것도 아니고..." 청와대 대변인의 '서남수 장관 감싸기' -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21일 작성 ↑ 민경욱 대변인 “청와대는 재난 콘트롤타워 아니다” - 한겨레신문, 2014년 4월 23일 작성 ↑ "순수 유가족과 만날 것"…청와대 대변인 발언 논란 - JTBC 뉴스 9, 2014년 5월 9일 ↑ <세월호참사> 청와대 대변인 '잠수사 일당' 발언에 잠수사 반발 - 연합뉴스, 2014년 5월 25일 ↑ 민경욱 "잠수사 마음 상하게 했을까 깊이 우려" - 연합뉴스, 2014년 5월 25일 ↑ "우리 국민은 큰 사건만 나면 대통령을 공격한다” Archived 2014년 7월 6일 - 웨이백 머신 - 뉴스타파, 2014년 5월 9일 ↑ 박승춘 보훈처장 '국민 비하' 발언 논란 - 오마이뉴스, 2014년 5월 11일 ↑ 임유진 (2014년 4월 21일). “송영철 안행부 장관에게 진중권 일침 "그 앞에서 인증 샷 찍을 기분이 나냐"”. 한국경제TV.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분향하려면 신분증 제시를” 파리 한국대사관 ‘황당’ 요구 - 한겨레신문, 2014년 5월 5일 작성 ↑ 권민철, 안서우. “[단독]국정원, '인터뷰 통제' 의혹…입 닫은 교수들”. 노컷뉴스.  ↑ 대기 중 구급차량 내맘대로 이용 - 광주방송 kbc 8 뉴스, SBS 8 뉴스(전국 보도) ↑ 가 나 김경욱, 석진환 (2014년 4월 16일). “<유정복 발언>”. 한겨레. 2014년 4월 16일에 확인함.  ↑ 해군의 방송용 '그림만들기' Archived 2014년 5월 30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일보, 2014년 4월 24일 작성 ↑ 경기경찰 수뇌부 '유가족 사찰' 고개 숙여 사과 Archived 2014년 5월 29일 - 웨이백 머신 - 뉴시스, 2014년 5월 20일 ↑ "장관들 의전 때문에 구조 지연"…목격자들의 증언 - JTBC 뉴스 9, 2014년 5월 14일 방영 ↑ 강병규, 세월호 구조방식 물음에 "모른다. 그것까지 왜…" - 뉴스1, 2014년 6월 30일 ↑ 국방차관 “세월호 리프트백, 부양 아닌 부표 역할” - 한국방송공사 뉴스 사이트, 2014년 6월 30일 ↑ <세월호특위, 정상활동 며칠됐다고…파행 얼룩>(종합) - 연합뉴스, 2014년 7월 2일 ↑ 세월호 참사 80일…대책 없는 범대본에 실종자 가족들 반발 - JTBC 뉴스 9, 2014년 7월 4일 방영 ↑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601161824082996885_1 미궁의 세월호 침몰 원인… 김지영 감독, 항적 공개 “병풍도 붙어 운항한 이유는?” ] - 헤럴드POP, 2016년 1월 16일 작성 ↑ “80명 구했으면 대단” 발언 해경 간부…직위 해제 - 한겨레신문, 2014년 4월 23일 작성 ↑ "'370명 구조' 해경 보고 잘못…靑 2시반까지 상황몰라"(종합) - 연합뉴스, 2014년 7월 2일 ↑ 구조 인원 368 → 164 → 175명 … 정부 온종일 오락가락 - 중앙일보(JTBC), 2014년 4월 17일 보도 ↑ 세월호 관련 집계 갈팡질팡…불신 자초하는 정부 - JTBC 뉴스특보, 2014년 4월 19일 ↑ 구조자 2명 줄고, 실종자 2명 늘어…벌써 7차례 번복 - JTBC 뉴스 9, 2014년 5월 7일 ↑ 아기 두 명 더 탑승?...탑승자 또 혼선 Archived 2014년 8월 14일 - 웨이백 머신 - YTN, 2014년 5월 5일 ↑ 뉴시스. “[세월호 참사]해경, 세월호 운항관리규정 부실 심사 의혹”. 뉴시스.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경기도교육청 '단원고 전원구조' 기자들에게 오보 문자 논란 - 동아일보, 2014년 4월 16일 ↑ 가 나 “<여객선 침몰> "<문화> <내일> '세월호 학생 전원 구조" 오보 사과”. 오마이 뉴스. 2014년 4월 16일. 2014년 4월 16일에 확인함.  ↑ 대구교육청, ‘세월호, 대통령 책임’ 비판글 교사 조사 - 뉴스1, 2014년 5월 7일 ↑ 교육당국 “교사들 집회 참여말라” - 한겨레신문, 2014년 5월 7일 ↑ 이정현 홍보수석, 기자들에게 “한 번 도와주소” - 미디어오늘, 2014년 4월 24일 작성 ↑ 이재훈 (2014년 4월 20일). “새누리 한기호, ‘세월호 참사’ 비판 여론에 ‘종북 색깔론’”. 한겨레.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온라인뉴스부 (2014년 4월 22일). “세월호 실종자 대표 송정근 목사 알고 보니 ‘정치인’”. 서울신문. 2014년 4월 22일에 확인함.  ↑ '세월호 가족대표' 송정근, 언론의 '마녀사냥'? - 프레시안, 2014년 4월 22일 작성 ↑ 새누리 권은희 의원 ‘유언비어 유포’ 논란…뭐라고 했기에? - 동아일보(동아닷컴), 2014년 4월 22일 ↑ 권은희 의원, 세월호 관련 거짓글 올려 경찰조사 받아 - 연합뉴스, 2014년 5월 12일 ↑ 이완영 의원, 세월호 특위서 꾸벅꾸벅 졸더니 한다는 말이…'충격' - 한국경제신문, 2014년 7월 2일 ↑ 세월호 특위 파행…"이럴 거면 왜 했나" 유족들 눈물 - SBS 8 뉴스, 2014년 7월 2일 ↑ 조원진, 세월호 참사를 ‘조류 독감’ 비유 - 경향신문, 2014년 7월 11일 ↑ 송영선 ‘세월호 좋은 공부’ 발언 사과 “너무 죄송, 용서를…” - 동아일보, 2014년 4월 24일 작성 ↑ '아들의 실종자 가족 미개 발언' 사과...고개숙인 정몽준 - 오마이뉴스 정치 카테고리, 2014년 4월 21일 작성 ↑ 정몽준 의원 사과문 전문 - 한겨레신문 홈페이지 정치 카테고리, 2014년 4월 21일 작성 ↑ 이현희 (2014년 4월 22일). “진중권, 정몽준 아들 발언에 “우리와 완전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TV리포트. 2014년 4월 22일에 확인함.  ↑ 유가족 '국민미개' 발언 정몽준 아들 고소 Archived 2014년 5월 29일 - 웨이백 머신 - 뉴시스, 2014년 5월 19일 ↑ 지만원 "박근혜 '제2의 5·18 폭동'에 대비해야" 망언 - 한겨레신문, 2014년 4월 23일 작성 ↑ 프레시안 사회. “"세월호 피해자는 '유족충'" 조롱한 일베, 경찰 수사 착수”. 프레시안.  ↑ SBSCNBC 온라인뉴스팀. “일베 실종여교사 성적모욕 악플러 검거, 경찰서 한다는 말이…”. SBSCNBC.  ↑ 온라인뉴스부. “일베저장소, 학생 구하다 숨진 박지영씨 빈소에 근조화환 보내…일베 ‘반성이냐 가식이냐’ 논란”. 서울신문.  ↑ “일베 노란리본, ALT 노란리본과 비교하니…'가짜 주의'”.  ↑ 2014학년도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국어 시험문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경신고등학교, 2014년 5월 7일 ↑ 세월호 사고 빗댄 ‘이상한 시험문제’ - 경향신문, 2014년 5월 7일 ↑ 세월호 희생자 성적모욕 '일베' 회원 구속기소 - 연합뉴스, 2014년 6월 5일 ↑ 연예팀 (2014년 4월 17일). “JTBC 공식 입장, 진도 여객선 침몰 생존 여학생에 학우 사망 알려 ‘오열’”. 서울EN.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해당 트윗”. SBS뉴스. 2014년 4월 20일.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디지털뉴스부 (2014년 4월 20일). “세월호 실시간, SBS 기자 웃음 논란 공식 사과 "부적절한 장면 죄송하다"”. 경인일보. 2014년 4월 20일에 확인함.  ↑ 정동남 "민간잠수부 홍가혜 발언 허무맹랑… 유가족 두번 죽여" , 경인일보 2014년 4월 19일 ↑ “홍가혜는 日아카사카 출신, 10억 사기 혐의” 폭로, 국민일보 2014년 4월 19일 ↑ 혼선 빚어 사과드립니다. , MBN 2014년 4월 18일 ↑ MBN 공식사과, 거짓발언 논란…"홍가혜 행방 묘연해", 아시아경제 2014년 4월 19일 ↑ 민간잠수부 사칭 홍가혜, 경찰 조사 앞두고 잠적..., 한국경제TV 2014년 4월 19일 ↑ 경찰, 잠적한 홍가혜 체포영장 신청 ‘휴대폰 위치추적 의뢰’, 데일리안 2014년 4월 19일 ↑ 잠수사 자처 허위 인터뷰 `홍가혜` 검거‥"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 적용" 사법처리 방침, 한국경제TV 2014년 4월 21일 ↑ 홍가혜 무죄 선고, 과거 거짓 발언 보니…세월호ㆍ티아라ㆍ야구선수 열애 등 수차례, 이투데이 2015년 1월 10일 ↑ 도 넘은 여객선 침몰 보도 - KBS 1TV 미디어 인사이드, 2014년 4월 20일 방영 ↑ 일본 기자, 한국정부-언론 보니 "우린 신중하기로" '인터뷰' TBS 보도특집 디렉터 유타카 요시다, 세월호 침몰 사고...외신 눈에 비친 한국 언론은? Archived 2014년 4월 22일 - 웨이백 머신 - 미디어오늘, 2014년 4월 10일 게재 ↑ 진도 세월호 침몰사고를 지켜보시는 분들께 당부드리는 글(페이스북) ↑ “직업병 걸린 기자분들께…” 단원고 학생 편지 ‘눈길’ - 한겨레신문, 2014년 4월 24일 작성 ↑ NBC News (2014년 4월 24일). “South Korea Ferry Crew: We Were Ordered to Abandon Sinking Ship”. NBC News.  ↑ 편집부 (2014년 5월 13일). “NBC, 승객들 놔두고 배를 포기하라”. The News Pro.  ↑ ‘승객들 놔두고 배를 포기하라 명령?’ NBC 보도 뒤늦게 알려져 Archived 2014년 5월 31일 - 웨이백 머신 - 뉴시스 ,2014년 5월 13일 ↑ 민경욱 대변인 ‘계란 라면’ 발언 보도했다고… - 한겨레신문, 2014년 5월 8일 ↑ KBS 간부들, 합동분향소에서 분향하다 유가족에게 쫓겨나 - 미디어오늘, 2014년 5월 8일 ↑ KBS 보도국 간부 “앵커들 검은 옷 입지 말라” - 경향신문, 2014년 5월 1일 ↑ KBS 국장 "세월호, 교통사고와 비교하면..." - 오마이뉴스, 2014년 5월 4일 ↑ "독립성 침해 KBS 사장 사퇴해야" - 오마이뉴스, 2014년 5월 9일 ↑ 분노와 슬픔을 넘어서 - MBC 뉴스데스크, 2014년 5월 7일 방영 ↑ 조급증이 잠수사 죽음 불렀다는 MBC 뉴스 Archived 2014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 한국기자협회, 2014년 5월 8일 ↑ MBC 보도국장, 유족 '깡패' 지칭 논란 - 한겨레신문, 2014년 5월 13일자 2면(종합) ↑ MBC 김장겸 보도국장 "세월호 유족 깡패" 발언 논란 - 미디어스, 2014년 5월 13일 ↑ “사고 당일 배안에100명 이상 있다 알렸지만 MBC 묵살” - 미디어오늘, 2014년 5월 15일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세월호 방송 제작 중단 파문 - PD저널, 2014년 5월 20일 ↑ 경찰, '대리기사 폭행' 세월호 유가족 전원 입건(종합2보) - 연합뉴스, 2014년 9월 20일]] ↑ 대리기사 폭행 세월호 유족 5명 전원… 경찰서 출석후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 - 동아일보, 2014년 9월 20일]] ↑ 세월호유족 임원 교체 새정연 '골치' "더 강해질 수도.." - 데일리안, 2014년 9월 18일]] ↑ 세월호 유족대책위 새 위원장에 전명선 "기소권·수사권 포함" - 데일리안, 2014년 9월 22일]] ↑ [1] ↑ “KBS 굿모닝 대한민국 2014년 4월 16일 방송분(동영상의 15분 30초 위치)”. KBS.  ↑ KBS한국방송(@MyloveKBS). “KBS 한국 방송의 해당 트윗”.  ↑ 권기범. “세월호 희생자 조롱하는 악성 댓글까지 ... '인면수심'”. 채널A. 2014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14일에 확인함.  ↑ 심언기. “정재학 "세월호 침몰, 북한 소행일 수도" SNS 발칵 "북한 소행설, 왜 안 나오나 했네요"”. Viesnnews.  ↑ 김봉수. “[세월호 침몰]"287명 아직 생존 가능성…급속 침수로 탈출 못해 피해 커져"”. 아시아경제.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진도 여객선 침몰 "세월호 아직 생존자 있다" SNS 희망 이어가”. 아시아경제. 2014년 4월 17일.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임병선 (2014년 4월 17일). “세월호 침몰 사고, SNS 생존자 문자 메시지…허위 가능성 높아”. 위클리오늘.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특별취재팀 (2014년 4월 17일). “<여객선침몰> 경찰 "SNS '살아 있다' 메시지 전부 가짜"(종합)”. 연합뉴스.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온라인뉴스부 (2014년 4월 17일). “<세월호 침몰 사고>"마지막 희망 에어포켓" 세월호 생존자 메시지 모두 가짜…선장 소환 조사 "무리한 변침…먼저 탈출한 의혹"”. 서울신문.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장재혁 (2014년 4월 20일). “세월호 참사 - 신고 40여분 전 '인지'…사건 새국면?”. 뉴시스.  ↑ “정부 재난 대응 체계, 무엇이 문제였나 (기사 내 동영상의 1분 8초 위치)”. YTN.  ↑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7291109421&code=940705 ‘세월호 특별법=평생노후보장 특별법?’•••어버이연합 광고] ↑ “해당 트윗 내용”. 2014년 4월 19일에 확인함.  ↑ “세월호 참사 이용한 '코오롱 스포츠' 할인 문자”. 위키트리. 201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세월호 유가족, 오정현·조광작 목사 경찰에 고소 - 연합뉴스, 2014년 6월 10일 ↑ 가 나 김경무 (2014년 4월 19일). “세월호 침몰 현장에 해병전우회가 왜?”. 한겨레신문.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장훈경 (2014년 4월 19일). “민간다이버 수색 작업 후 귀선 중 눈 부상”. SBS. 2014년 4월 21일에 확인함.  ↑ 길환영, 세월호 현장서 '기념 촬영' - 레디앙, 2014년 5월 27일 ↑ 청와대, 대통령 면담 요청 거절. KBS 사장 "상처드려 죄송하다" - 오마이뉴스, 2014년 5월 9일 작성 ↑ 유족들 "사과하라"vs KBS "간부 폭행·억류 당해" - 노컷뉴스, 2014년 5월 9일 ↑ 김동필 기자 (2014년 5월 9일). “[세월호 침몰 참사] ‘팽목항 10km’ 남도국악원 숙소 누가 사용했나 봤더니… 정부·KBS”. 국민일보.  ↑ "찬밥에 단무지" 열악한 잠수사 실태…JTBC 사진 입수 - JTBC 뉴스 9, 2014년 6월 3일 방영 ↑ 김현미 "세월호 잠수사, 두달 간 임금 못 받아" - 연합뉴스, 2014년 6월 16일 ↑ 정부, 세월호 민간 잠수사 일당 98만원 '즉시 지급'키로 - 세계일보, 2014년 6월 17일 vdeh세월호 침몰 사고세부 항목 세월호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수사 세월호 침몰 사고의 반응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 세월호 인양 특별법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사회적 참사의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 관련 기업 청해진해운 언딘 세모 마루에이 페리 하야시카네 조선 관련 기관 및 단체 기독교복음침례회 (구원파) 한국선급 한국해운조합 해양경찰청 제주 해군기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관련 인물 유병언 이준석 관련 영화 《다이빙벨》 (2014년) 《나쁜 나라》 (2015년) 《업사이드 다운》 (2015년) 《SEWOLX》 (2016년) 《세월호》 (2018년) 진상규명 관련 단체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4.16세월호참사 배상 및 보상 심의위원회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진상규명 청문회 세월호 참사 청문회 기타 2014년 한국방송공사 노조 파업 "가만히 있으라" 노란 리본 달기 캠페인 단원고등학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도항 목포신항 분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월호_침몰_사고_관련_논란&oldid=24502844" 분류: 세월호 침몰 사고숨은 분류: 인용 오류 - 보이지 않는 문자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30일 (일) 08: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월호 침몰 사고 관련 논란은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언론의 취재 등과 발표를 근거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한 각종 논란을 정리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하였고 이 사고에 대해 청해진해운과 세월호 운행 승무원, 한국해운조합, 한국선급 등 선박 관련 기관들, 그리고 대한민국 행정부가 책임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또한 이 사고와 관련해 유명인사나 정치인 등의 막말 논란 또한 끊이지 않고 있다. 사상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는 최초 침몰 징후 후 2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초기 대응을 전혀 하지 못하고 승객들 몰래 탈출한 선장 이준석과 승무원들의 책임이 대두되고 있으며, 배를 무리하게 운행한 청해진 해운 역시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해수부 마피아로 불리는, 해운계의 정경유착 역시 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해경의 뒤늦은 대처 역시 책임론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해 SBS 그것이 알고 싶다와 관련된 논란은 무엇일까? Assistant: 세월호 관련 심층 보도 제작 중단 지시 5월 31일 방영을 목표로 준비 중이던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세월호 참사’ 관련 방송이 제작본부장의 지시로 제작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논란은 지난 9일 장광호 제작본부장이 세월호 아이템을 승인한 지 하루 만에 말을 바꿔 제작 중단을 지시하면서 촉발됐다. <그것이 알고 싶다> 취재진이 세월호 유가족들의 KBS와 청와대 항의방문을 취재한 다음 날이었다. 장 본부장은 ‘6·4 지방선거를 앞둔 민감한 시기’라는 이유와 <그것이 알고 싶다>의 특성상 새로운 내용을 확보하지 않으면 방송이 어렵다며 제작 중단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SBS 내부에선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본부장이 ‘세월호 사고 방송’ 아이템을 승인하고 이를 다시 번복하는 과정에서 부당한 외부 압력이 작용한 게 아닌지 의구심도 나온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정부의 전방위적인 보도통제 의혹이 꾸준히 제기된 데다가 KBS 내부에선 청와대가 ‘해경 비판을 삼가라’ 했다는 폭로까지 나온 뒤라 이런 의혹은 더해지고 있다.[127]
Human: 아래 조제_보싱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제 보싱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제 보싱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제 보싱와 개인 정보전체 이름 José Bosingwa da Silva출생일 1982년 8월 24일(1982-08-24) (36세)출생지 콩고 민주 공화국 음반다카키 183 cm포지션 풀백 (오른쪽)청소년 클럽 기록1996-19971997-2000 포르노스 데 아우고드레스 보아비스타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0-20032000-20012003-20082008-20122012-20132013-20152016 보아비스타 → 프레아문데 (임대) 포르투 첼시 퀸스 파크 레인저스 트라브존스포르 트라브존스포르 0410(0)0110(0)1070(3)0890(3)0230(0) 0510(0) 0120(0)국가대표팀 기록‡2003-2004 2004 2007-2015 포르투갈 U-21 포르투갈 U-23포르투갈 0180(0) 0270(0)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5년 5월 31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5년 3월 29일 기준이다. 주제 보싱와 자 시우바 (포르투갈어: José Bosingwa da Silva, 1982년 8월 24일 ~ )는 포르투갈 출신의 옛 축구 선수이다. 그의 아버지는 포르투갈인이며, 어머니는 콩고 민주 공화국인인 뮬라토이다. 왕성한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끊임없는 오버래핑과 날카로운 크로스가 강점이다. 수비력도 준수한 편인데, 태클이나 대인 방어 능력이 뛰어난 편은 아니며, 상대를 비생산적인 지역으로 공을 몰고 가도록 하는 수비 방식을 선호한다. 목차 1 클럽 경력 2 특이 사항 3 국가대표팀 3.1 경력 3.2 수상 클럽 경력[편집] 어린 시절 포르투갈로 건너온 보싱와는 보아비스타 FC 유스 출신으로 처음에는 주로 측면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가끔은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뛰었다. 2000-01 시즌, 포르투갈의 2부 리그 팀인 SC 프레아문데에서 성인 데뷔 무대를 치렀다. 2001-02 시즌부터는 친정팀인 보아비스타 FC에서 활약했다. 2002-03 시즌 주전 자리를 확보한 보싱와는 당시 FC 포르투의 감독이었던 조제 모리뉴의 눈에 띄었고, 2003년 여름, FC 포르투로 이적하였다. 2003-04 시즌에는 포지션 경쟁자인 파울루 페헤이라에 밀려 주전으로 기용되지는 못했으나, 2004년 5월 파울루 페헤이라가 첼시 FC로 이적하면서 2004-05 시즌부터 FC 포르투의 주전 오른쪽 풀백으로 자리잡았다. 2008년 5월, 첼시 FC로 이적하였지만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2011-2012 시즌이 끝난 후 계약기간 만료로 방출된다. 특이 사항[편집] UEFA 챔피언스리그 2008-09 4강 1차전에서 경고 누적으로 결장한 애슐리 콜을 대신해 왼쪽 풀백으로 출전, FC 바르셀로나의 리오넬 메시를 막아내며 첼시 FC의 무실점에 기여하였다. 국가대표팀[편집] 경력[편집] 2004년 하계 올림픽 국가대표 UEFA 유로 2008 국가대표 수상[편집] UEFA 유로 2008 올스타 팀 vdeh트라브존스포르 – 현재 명단 -- 외뮈르 -- 카라 -- 은드와예 -- 더글라스 프랑쿠 테이셰이라 -- 젱긴 -- 알바라도 -- 카스티요 -- 타슈 -- 알산 -- 부랄 -- 아르타슬란 -- 듀리차 -- 이바녜스 -- 베로 -- 메키지 -- 베시르 -- 데미르 -- 니잠 -- 악바슈 -- 윰루 -- 오나지 -- 요쿠슐루 -- 크브락 -- 오스카르 레네 카르도소 마린 -- 후르마즈 -- 외뷔치 -- 셰이다예프 -- 을마즈 -- 카라데니즈 -- 아칵포 -- 데미록 -- 차크르 -- 에르도안 -- 야즈즈 -- 야브루 -- 석현준 감독: 에르순 야날 vdeh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 2004년 하계 올림픽 1 모레이라 2 세르지오 3 메이렐르스 4 B. 알베스 5 코스타 (주장) 6 메이라 7 호날두 8 비아나 9 알메이다 10 마르틴스 11 히베이루 12 프레차우트 13 보아 모르테 14 보싱와 15 로렌코 16 주앙 파울로 17 다니 18 발르 감독: 호망 vdeh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유로 2008 1 히카르두 2 페헤이라 3 알베스 4 보싱와 5 메이라 6 메이렐르스 7 호날두 8 프티 9 알메이다 10 모티뉴 11 시망 12 누누 13 미겔 14 히베이루 15 페페 16 카르발류 17 쿠아레즈마 18 벨로주 19 나니 20 데쿠 21 누누 고메스 (주장) 22 파트리시우 23 포스티가 감독: 스콜라리 이 글은 축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제_보싱와&oldid=24384557" 분류: 198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포르투갈의 축구 선수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보아비스타 FC의 축구 선수FC 포르투의 축구 선수첼시 FC의 축구 선수퀸스 파크 레인저스 FC의 축구 선수트라브존스포르의 축구 선수콩고 민주 공화국계 포르투갈인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UEFA 유로 2008 참가 선수포르투갈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포르투갈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터키의 외국인 축구 선수포르투갈 U-21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포르투갈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프리메이라리가의 축구 선수쉬페르리그의 축구 선수잉글랜드에 거주한 포르투갈인포르투갈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포르투갈 U-15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포르투갈 U-16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포르투갈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포르투갈 U-18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숨은 분류: 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축구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LietuviųMalagasyМакедонскиМонгол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5일 (수) 18: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제 보싱와 자 시우바(포르투갈어: José Bosingwa da Silva, 1982년 8월 24일 ~ )는 포르투갈 출신의 옛 축구 선수이다. 그의 아버지는 포르투갈인이며, 어머니는 콩고 민주 공화국인인 뮬라토이다. 왕성한 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끊임없는 오버래핑과 날카로운 크로스가 강점이다. 수비력도 준수한 편인데, 태클이나 대인 방어 능력이 뛰어난 편은 아니며, 상대를 비생산적인 지역으로 공을 몰고 가도록 하는 수비 방식을 선호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8년 5월 조제 보싱와는 어떤 클럽으로 이적하였을까? Assistant: 첼시 FC Human: 아래 냉장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냉장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냉장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가정용 냉장고. 가정용 냉장고의 홈바. 이렇게 냉장고의 문에 자주 쓰는 것을 보관하는 문이 있기도 한다. 냉장고(冷藏庫, 문화어: 랭장고) 또는 냉동고(冷凍庫, 문화어: 랭동고), 냉동기(冷凍機, 문화어: 랭동기)는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저온으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와 마찬가지로 주로 흰색으로 만들어지며, 가정에서는 프레온 같은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한 전기냉장고를 주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65년에 주식회사 금성사에서 처음 만들기 시작했다. 목차 1 원리 2 구조 3 냉동고 4 각주 5 같이 보기 6 참고 자료 7 외부 링크 원리[편집] 압축 냉동 사이클 – A: 열방출 공간 (부엌), B: 열흡수 공간 (냉장고 안), I: 절연(단열재), 1: 응축기, 2: 팽창 밸브, 3: 증발기, 4: 압축기 액체가 기화할 때 밖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였다. 냉각시키는 데 쓰이는 물질을 ‘냉매’(冷媒)라고 한다. 암모니아나 프레온 12 등의 냉매를 열이 잘 전도되는 용기에 넣고, 단열재로 둘러싼 상자의 상층부에 놓고서 냉매를 기화시키면 상자 속은 냉장고가 된다. 단열재는 냉장고의 바깥상자와 속상자의 사이에 넣으며, 글라스 울이나 포말 플라스틱(泡沫 plastic)이 사용되고 있다. 냉매는 증기가 되고 다시 액체로 액화시켜서 되풀이하여 사용한다. 냉매의 순환방식으로는 압축식과 흡수식이 있다. 보통 가정용 전기냉장고는 압축식이고 가스냉장고는 흡수식이다.[1] 구조[편집] 전기냉장고의 냉각작용은 압축기·방열기(放熱器)·모세관·냉각기로 된 냉동사이클에 의해 이루어진다. 냉동사이클 속에는 '프레온12'라는 휘발성이 강한 냉매가 봉입(封入)되어 있다.[2] 압축기로 고압이 된 냉매 가스는 방열기의 가느다란 파이프를 지나는 동안에 열을 방출한다. 다시 말하면 바깥 공기로 냉각되어 액체 상태가 되어 모세관을 지나서 냉각기에 오면 주위에서 열을 빼앗으면서 갑자기 증발하는데, 이 때 냉각작용을 일으킨다. 냉장고 속의 온도는 증발기의 온도로 작동하는 온도조절기(thermostat)의 스위치로 압축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면서 조절한다.[3] ‘냉동실’은 냉동기로 둘러싸인 작은 칸을 특별히 별개의 문으로 차단시킨 것으로서 -20℃ 정도까지 내려가게 할 수 있다. 냉동기에 생기는 서리는 히터로 녹이거나 전환(轉換)코크로 온도가 높은 고압냉매를 응축기를 통과시키지 않고 직접 냉동기로 흘려서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이 기구를 ‘자동 서리 제거 장치’라고 한다.[3] 냉동고[편집] 냉동고는 가정, 산업, 상업용으로 쓰인다. 대부분의 냉동고는 0 °F (−18 °C) 정도로 맞추어져 있다. 가정용 냉동고는 냉장고 안에 별도의 칸막이로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의 제품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대용량 냉동고가 대세다. 각주[편집] ↑ 냉장고, 《글로벌 세계 대백과》 ↑ 환경 문제로 프레온 12는 1990년대 이후로 R134a로 대체되었다. ↑ 가 나 전기냉장고,《글로벌 세계 대백과》 같이 보기[편집] 에너지 스타 흡수 냉동기 김치냉장고 미니바 4도어냉장고 매직바 참고 자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냉장고 위키낱말사전에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냉장고 냉장고의 역사 전거 통제 GND: 4133461-9 NDL: 00569362 이 글은 기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전자제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냉장고&oldid=23546268" 분류: 가전제품잉글랜드의 발명품미국의 발명품숨은 분류: 문화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위키낱말사전과 연결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기술에 관한 토막글전자제품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Boarisch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Mìng-dĕ̤ng-ngṳ̄НохчийнTsetsêhestâheseکوردیQırımtatarca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贛語GalegoગુજરાતીGaelgHausaעבריתहिन्दी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Кыргызча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álaLietuviųLatviešuМокшеньОлык марий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MirandésPlattdüütschNedersaksies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Livvinkarjalaਪੰਜਾਬੀ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Basa SundaSvenskaKiswahiliதமிழ்తెలుగు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7일 (일) 07:3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냉장고(冷藏庫,영어: refrigerator, 문화어: 랭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등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저장 · 보관하는 상자 모양의 기계 장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전기냉장고는 어떤 구성용품들로 작동되나요? Assistant: 전기냉장고의 냉각작용은 압축기·방열기(放熱器)·모세관·냉각기로 된 냉동사이클에 의해 이루어진다. 냉동사이클 속에는 '프레온12'라는 휘발성이 강한 냉매가 봉입(封入)되어 있다.[2] 압축기로 고압이 된 냉매 가스는 방열기의 가느다란 파이프를 지나는 동안에 열을 방출한다. 다시 말하면 바깥 공기로 냉각되어 액체 상태가 되어 모세관을 지나서 냉각기에 오면 주위에서 열을 빼앗으면서 갑자기 증발하는데, 이 때 냉각작용을 일으킨다. 냉장고 속의 온도는 증발기의 온도로 작동하는 온도조절기(thermostat)의 스위치로 압축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면서 조절한다.[3]
Human: 아래 THE_IDOLM@STER_CINDERELLA_GIRLS_ANIMATION_PROJECT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는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사운드 트랙 시리즈이다. 목차 1 00 ST@RTER BEST 2 01 Star!! 3 02 Memories 4 03 -LEGNE- 적대하는 검 빛의 선율 5 04 Happy×2 Days 6 05 LET'S GO HAPPY!! 7 06 ØωØver!! 8 07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 9 08 GOIN'!!! 10 각주 11 외부 링크 00 ST@RTER BEST[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0 ST@RTER BESTCINDERELLA PROJECT[1]의 베스트 음반발매일 2015년 1월 21일장르 J-POP (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CINDERELLA PROJECT[1] 연표 ANIMATION PROJECT 00 ST@RTER BEST(2015년) ANIMATION PROJECT 01 Star!!(2015년) 2015년 1월 21일 발매. 'CINDERELLA MASTER'에서 애니메이션의 메인이 되는 신데렐라 프로젝트의 멤버 14명의 악곡을 수록한 베스트 앨범. 수록곡 Never say never 노래: 시부야 린 (후쿠하라 아야카) 작사·작곡: NBGI (토야마 아키타카), 작사: NBGI (야시로 유타), 편곡: 세키 쥰지로우 안즈의 노래 노래: 후타바 안즈 (이가라시 히로미) 작사·작곡·편곡: NBGI (사토 타카후미), 작사: NBGI (야시로 유타) 쇼콜라·티아라 노래: 미무라 카나코 (오오츠보 유카) 작사: 후루야 신, 작곡·편곡: NBGI (kyo) DOKIDOKI 리듬 노래: 죠가사키 리카 (야마모토 노조미) 작사·작곡·편곡: NBGI (사토 타카후미) 꽃봉오리 꿈꾸는 광시곡 ~혼의 인도~ 노래: 칸자키 란코 (우치다 마아야) 작사: NBSI (히가시노미야 아야), 작곡·편곡: NBSI (히로카와쿄 추니), 편곡: NBSI (후치가다니 조지) 조르기 Shall We~? 노래: 마에카와 미쿠 (타카모리 나츠미) 작사: azusa, 작곡·편곡: NBSI (사토 타카후미) 마시멜로☆키스 노래: 모로보시 키라리 (마츠자키 레이) 작사·작곡·편곡: NBSI (토리네) S(mile)ING! 노래: 시마무라 우즈키 (오오하시 아야카) 작사: NBSI (야시로 유타), 작곡·편곡: NBSI (Yoshi) Twilight Sky 노래: 타다 리이나 (아오키 루리코) 작사·작곡·편곡: NBSI (와타나베 료) 세 개의 별☆☆★ 노래: 혼다 미오 (하라 사유리) 작사: NBSI (야시로 유타), 작곡·편곡: NBSI (kyo) Romantic Now 노래: 아카기 미리아 (쿠로사와 토모요) 작사: NBSI (MC TC), 작곡·편곡: NBSI (Taku Inoue) 비너스 신드롬 노래: 닛타 미나미 (스자키 아야) 작사: 후루타니 신, 작곡·편곡: NBSI (kyo) 바람색 멜로디 노래: 오가타 치에리 (오오조라 나오미) 작사·작곡·편곡: NBSI (토리네) You're stars shine on me 노래: 아나스타샤 (우에사카 스미레) 작사: 카이다 유리코, 작곡·편곡: NBSI (코바야시 케이키) 전진하라☆소녀여 ~jewel parade~ 노래: CINDERELLA PROJECT 작사: 모리 유리코, 작곡·편곡: 타나카 히데카즈 (MONACA) 01 Star!![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1 Star!!CINDERELLA PROJECT의 싱글발매일 2015년 2월 18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 (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모리 유리코작곡·편곡: 타나카 히데카즈 (MONACA)CINDERELLA PROJECT 싱글 연표 ANIMATION PROJECT 00 ST@RTER BEST(2015년) ANIMATION PROJECT 01 Star!!(2015년) ANIMATION PROJECT 08 GOIN'!!!(2015년) 2015년 2월 18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주제가와 제1화 삽입곡·엔딩을 수록한 CD. 초회 한정반에는 Blu-ray Video로서 애니메이션 OP의 논테롭판, Blu-ray Audio로서 CD와 같은 곡을 각각 수록한 Blu-ray DISC가 부속된다. 수록곡 Star!! 가: CINDERELLA PROJECT 작사: 모리 유리코, 작곡·편곡: 타나카 히데카즈 (MONACA) 부탁해! 신데렐라 가: 타카가키 카에데 (하야미 사오리), 죠가사키 미카 (요시무라 하루카), 코히나타 미호 (츠다 미나미), 토토키 아이리 (하라다 히토미), 카와시마 미즈키 (토야마 나오), 히노 아카네 (아카사키 치나츠), 코시미즈 사치코 (타케타츠 아야나), 사쿠마 마유 (마키노 유이), 시라사카 코우메 (오우사키 치요) 작사: marhy, 작곡·편곡: BNSI (우치다 테츠야) 메시지 가: 시마무라 우즈키 (오오하시 아야카), 시부야 린 (후쿠하라 아야카), 혼다 미오 (하라 사유리)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편곡: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Star!! 오리지널 가라오케 02 Memories[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2 MemoriesLOVE LAIKA[닛타 미나미(스자키 아야)·아나스타샤(우에사카 스미레)]의 싱글발매일 2015년 3월 18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 (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카이다 유리코작곡: ESTi편곡: ESTi, BNSI (kyo)LOVE LAIKA[닛타 미나미(스자키 아야)·아나스타샤(우에사카 스미레)]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2 Memories(2015년) - 2015년 3월 18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결성된 닛타 미나미와 아나스타샤의 유닛 'LOVE LAIKA'의 데뷔곡과 엔딩의 리믹스판을 수록한 CD. 수록곡 Memories 노래: LOVE LAIKA 작사: 카이다 유리코, 작곡: ESTi, 편곡: ESTi, BNSI (kyo) 저녁노을 프레젠트 -LOVE LAIKA 리믹스 노래: LOVE LAIKA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 '매직 아워- LOVE LAIKA 특별편' Memories 오리지널·가라오케 03 -LEGNE- 적대하는 검 빛의 선율[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3 -LEGNE- 仇なす剣 光の旋律Rosenburg Engel[칸자키 란코 (우치다 마아야)]의 싱글발매일 2015년 3월 25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BNSI (히가시노미야 아야)작곡: 온다 료헤이편곡: TAKTRosenburg Engel[칸자키 란코 (우치다 마아야)]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3 -LEGNE- 적대하는 검 빛의 선율(2015년) - 2015년 3월 25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결성된 칸자키 란코의 솔로 유닛 "Rosenburg Engel"의 데뷔곡과 엔딩 테마의 리믹스 버전을 수록한 CD. 보너스 드라마는 칸자키 란코 특유의 난해한 대사가 있기 때문에, 소책자에 드라마의 각본과 대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수록곡 -LEGNE- 적대하는 검 빛의 선율 노래: Rosenburg Engel 작사: (히가시노미야 아야), 작곡: 온다 료헤이, 편곡: TAKT (TRYTONELABO) 저녁노을 프레젠트 -Rosenburg Engel 리믹스- 노래: Rosenburg Engel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매직 아워-Rosenburg Engel 특별편」 -LEGNE- 적대하는 검 빛의 선율 오리지널·가라오케 04 Happy×2 Days[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4 Happy×2 DaysCANDY ISLAND[후타바 안즈 (이가라시 히로미), 미무라 카나코 (오오츠보 유카), 오가타 치에리 (오오조라 나오미)]의 싱글발매일 2015년 4월 1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작곡: 키무라 유키편곡: 오카노 유지로 (TRYTONELABO)CANDY ISLAND[후타바 안즈 (이가라시 히로미), 미무라 카나코 (오오츠보 유카), 오가타 치에리 (오오조라 나오미)]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4 Happy×2 Days(2015년) - 2015년 4월 1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결성된 후타바 안즈, 미무라 카나코, 오가타 치에리의 유닛 "CANDY ISLAND"의 데뷔곡과 엔딩 테마의 리믹스 버전을 수록한 CD. 수록곡 Happy×2 Days 노래: CANDY ISLAND 작사·작곡: 키무라 유키, 편곡: 오카노 유지로 (TRYTONELABO) 저녁노을 프레젠트 -CANDY ISLAND 리믹스- 노래: CANDY ISLAND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매직 아워- CANDY ISLAND 특별편」 Happy×2 Days 오리지널·가라오케 05 LET'S GO HAPPY!![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5 LET'S GO HAPPY!!데코레이션[죠가사키 리카 (야마모토 노조미), 모로보시 키라리 (마츠자키 레이), 아카기 미리아 (쿠로사와 토모요)]의 싱글발매일 2015년 4월 8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유우노 요시미 (IOSYS)작곡·편곡: ARM (IOSYS)데코레이션[죠가사키 리카 (야마모토 노조미), 모로보시 키라리 (마츠자키 레이), 아카기 미리아 (쿠로사와 토모요)]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5 LET'S GO HAPPY!!(2015년) - 2015년 4월 8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결성된 죠가사키 리카, 모로보시 키라리, 아카기 미리아의 유닛 '데코레이션'의 데뷔곡과 엔딩 테마의 리믹스를 수록한 CD. 수록곡 LET'S GO HAPPY!! 노래: 데코레이션 작사: 유우노 요시미 (IOSYS), 작곡·편곡: ARM (IOSYS) 저녁노을 프레젠트 -데코레이션 리믹스- 노래: 데코레이션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매직 아워- 데코레이션 특별판」 LET'S GO HAPPY!! 오리지널·가라오케 06 ØωØver!![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6 ØωØver!!*(Asterisk)[마에카와 미쿠 (타카모리 나츠미), 타다 리이나 (아오키 루리코)]의 싱글발매일 2015년 4월 15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마에카와 미쿠, 타다 리이나작곡: 오노 타카미츠편곡: 타마키 치히로*(Asterisk)[마에카와 미쿠 (타카모리 나츠미), 타다 리이나 (아오키 루리코)]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6 ØωØver!!(2015년) - 2015년 4월 15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 결성된 마에카와 미쿠, 타다 리이나의 유닛 '* (Asterisk)'의 데뷔곡과 엔딩 테마의 리믹스를 수록한 CD. 수록곡 ØωØver!! 노래: *(Asterisk) 작사: 마에카와 미쿠 (타카모리 나츠미), 타다 리이나 (아오키 루리코, 작곡: 오노 타카미츠, 편곡: 타마키 치히로 저녁노을 프레젠트 -*(Asterisk) 리믹스- 노래: *(Asterisk)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매직 아워- *(Asterisk) 특별판」 ØωØver!! 오리지널·가라오케 07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7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new generations [시마무라 우즈키 (오오하시 아야카), 시부야 린 (후쿠하라 아야카), 혼다 미오 (하라 사유리)]의 싱글발매일 2015년 4월 22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미에노 히토미작곡·편곡: BNSI (kyo)new generations [시마무라 우즈키 (오오하시 아야카), 시부야 린 (후쿠하라 아야카), 혼다 미오 (하라 사유리)] 싱글 연표 - ANIMATION PROJECT 07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2015년) - 2015년 4월 22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에서의 시마무라 우즈키, 시부야 린, 혼다 미오의 유닛 'new generations'의 데뷔곡과 엔딩 테마의 리믹스를 수록한 CD. 수록곡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 노래: new genertions 작사: 미에노 히토미, 작곡·편곡: BNSI (kyo) 저녁노을 프레젠트 -new generations 리믹스- 노래: new generations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보너스 드라마「매직 아워- new generations 특별판」 갓 나온 Evo! Revo! Generation! 오리지널·가라오케 08 GOIN'!!![편집]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08 GOIN'!!!CINDERELLA PROJECT[1]의 싱글발매일 2015년 5월 13일포맷 맥시 싱글장르 J-POP(캐릭터 송)레이블 일본 컬럼비아 작사·작곡 작사: 모리 유리코, 작곡: 미야자키 마유, 편곡: 미야자키 마코토CINDERELLA PROJECT[1] 싱글 연표 ANIMATION PROJECT 01 Star!!(2015년) ANIMATION PROJECT 08 GOIN'!!!(2015년) - 2015년 5월 13일 발매.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13화에서 사용된 CINDERELLA PROJECT의 신곡과 엔딩 테마, 제 3화에서 사용된 〈TOKIMEKI 에스컬레이트〉의 LIVE MIX를 수록한 CD. 초회한정판에는, 블루레이 비디오로 애니메이션 엔딩의 논크레딧 판이, 블루레이 오디오로 C와 같은 곡을 각각 수록한 블루레이 디스크가 부속된다. 수록곡 GOIN'!!! 노래: CINDERELLA PROJECT[1] 작사: 모리 유리코, 작곡: 미야자키 마유, 편곡: 미야자키 마코토 저녁노을 프레젠트 노래: CINDERELLA PROJECT 작사: 엔도 후비트, 작곡: BNSI (Yoshi), 편곡: BNSI (Yoshi), 타키자와 슌스케 (TRYTONELABO) TOKIMEKI 에스컬레이트 -LIVE MIX- 노래: 죠가사키 미카 (요시무라 하루카) 작사: marhy, 작곡·편곡: BNSI (우치다 테츠야) GOIN'!!! 오리지널·가라오케 저녁노을 프레젠트 오리지널·가라오케 각주[편집] ↑ 가 나 다 시마무라 우즈키·시부야 린·혼다 미오·후타바 안즈·미무라 카나코·죠가사키 리카·칸자키 란코·마에카와 미쿠·모로보시 키라리·타다 리이나·아카기 미리아·닛타 미나미·오가타 치에리·아나스타샤의 14명 외부 링크[편집] 컬럼비아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 소개 페이지 vdeh아이돌마스터 시리즈게임 아케이드 Xbox 360 LIVE FOR YOU! SP Dearly Stars 2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뷰잉 레벌루션) SHINY FESTA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 원 포 올 SideM (LIVE ON ST@GE!) 머스트 송스 플래티넘 스타즈 스텔라 스테이지 샤이니 컬러즈 등장인물 게임 (및 게임 준거작품)의 등장인물 애니메이션 XENOGLOSSIA 2011년판 애니메이션 (극장판) 푸치마스! 신데렐라 걸즈 신데렐라 걸즈 극장 SideM SideM 이유있어 Mini! 파치슬롯 LIVE in SLOT! 텔레비전 드라마 아이돌마스터.KR - 꿈을 드림 (OST 및 관련 악곡 목록) 악곡싱글 CD 미열 S.O.S!! 잔혹이여 희망이 되어라 Colorful Days 오버마스터 The world is all one !! SMOKY THRILL READY!! CHANGE!!!! 라♪ 라♪ 라♪ 원더랜드 M@STERPIECE 라무네빛 청춘 무지갯빛 미러클 Yes! Party Time!! Beyond The Dream Cybernetics Wars ZERO SE@SONAL WINTER CD 시리즈765 프로 MASTERPIECE MASTERWORK MASTER ARTIST MASTER LIVE 패미송 8BIT MASTER SPECIAL DREAM SYMPHONY Vocal Collection BEST OF 765+876=!! MASTER ARTIST 2 ANIM@TION MASTER 생방임까 SPECIAL Twelve Seasons! GRE@TEST BEST! Twelve Campaigns! MASTER ARTIST 3 PLATINUM MASTER MASTER PRIMAL STELLA MASTER 신데렐라 걸즈 CINDERELLA MASTER jewelries! ANIMATION PROJECT STARLIGHT MASTER LITTLE STARS! MASTER SEASONS! 밀리언 라이브! LIVE THE@TER PERFORMANCE LIVE THE@TER HARMONY LIVE THE@TER DREAMERS THE@TER ACTIVITIES LIVE THE@TER FORWARD THE@TER GENERATION M@STER SPARKLE THE@TER BOOST SideM SideM ST@RTING LINE SideM 2nd ANNIVERSARY DISC ORIGIN@L PIECES ANIMATION PROJECT 3rd ANNIVERSARY DISC WORLD TRE@SURE WakeMini! MUSIC COLLECTION THE IDOLM@STER SideM 4th ANNIVERSARY DISC「LIVE in your SMILE/DREAM JOURNEY」 KR KR MUSIC 샤이닝 컬러즈 BRILLI@NT WING FR@GMENT WING 기타 CD MASTER OF MASTER Jupiter The Remixes Collection THE IDOLM@STER TO D@NCE TO 목록 악곡 목록 라디오라디오 오사카 THE IDOLM@STER RADIO THE IDOLM@STER STATION!!! (제1기) animate.tv 라디오de아이마SHOW! Radio For You! P.S. 프로듀서 라디오de아이마STAR☆ 라디오de아이마CHU!! 란티스 웹 라디오 하루카와 야요이의 야요이식 라디오 HiBiKi Radio Station 아이마스튜디오 데레라디 데레라디A 데레라디☆ 초!A&G+ THE IDOLM@STER STATION!!+ 니코니코 생방송 THE IDOLM@STER MillionRADIO CINDERELLA PARTY! THE IDOLM@STER STATION!!! (제2기) 315프로Night! 관련항목 남코 반다이 남코 게임스 아이돌마스터 프로젝트 일본 컬럼비아 란티스 A-1 Pictures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THE_IDOLM@STER_CINDERELLA_GIRLS_ANIMATION_PROJECT&oldid=19668324" 분류: 아이돌마스터의 음악2014년 음반2015년 싱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9월 25일 (월) 11: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THE IDOLM@STER CINDERELLA GIRLS ANIMATION PROJECT》(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는 애니메이션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사운드 트랙 시리즈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이돌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는 어떤 캐릭터의 솔로곡을 담고 있는가? Assistant: 칸자키 란코 Human: 아래 조시_베켓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조시 베켓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시 베켓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조시 베켓 Josh Beckett 기본 정보 국적 미국 생년월일 1980년 5월 15일(1980-05-15) (39세) 출신지 미국 텍사스주 스프링 신장 196 cm 체중 99.8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99년 드래프트 순위 1999년 드래프트 1순위 첫 출장 2001년 9월 4일 마지막 경기 2014년 8월 3일 획득 타이틀 3회 올스타 (2007, 2009, 2011) 월드 시리즈 (2003, 2007) 월드 시리즈 MVP (2003)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2007) 연봉 $17,000,000(2014년) 경력 플로리다 말린스 (2001 ~ 2005) 보스턴 레드삭스 (2005 ~ 201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2 ~ 2014) 조슈아 패트릭 베켓(Joshua Patrick Beckett, 1980년 5월 15일 ~ )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이다. 3회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였던 그는 플로리다 말린스, 보스턴 레드삭스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위하여 활약하였다. 우수한 고등학교 경력 후, 그는 199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2번째 선발과 함께 말린스에 의하여 드래프트 되었다. 그는 말린스와 2003년 월드 시리즈를, 레드삭스와 2007년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였고, 2007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의 MVP 상과 2003년 월드 시리즈의 MVP 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2006년 말린스에서 레드삭스로, 그리고 2012년 레드삭스에서 다저스로 이적되었으며, 둘다 다수의 선수 처리들의 일부로서였다. 베켓은 2013년 시즌의 거의를 놓치는 원인을 가져온 심각한 부상으로부터 회복되었고, 다저스를 위하여 2014년 5월 25일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무안타 경기를 투구하여 다저스 역사상 그렇게 하는 데 19번째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시즌은 또다시 부상의 이유로 짧아지고, 그해 10월 7일 자신의 은퇴를 공고하였다. 목차 1 초기 생애 2 야구 경력 2.1 플로리다 말린스 (1991 ~ 2005) 2.1.1 마이너 리그 2.1.2 메이저 리그 2.2 보스턴 레드삭스 (2006 ~ 12) 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2 ~ 14) 3 외부 링크 초기 생애[편집] 베켓은 같은 텍사스주 출신 선수들 놀런 라이언과 로저 클레멘스를 우상화 하면서 자라왔다. 청소년으로서 그는 리틀 리그 올스타 팀들에 나왔다. 그는 후에 스프링 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등급들과 함께 위기를 가졌고, 자신의 신입생 해 동안 자신의 코치에게 정신을 차리지 않았다. 그의 코치는 그와 굉장히 좌절하여 그를 팀에서 쫓아냈다. 그는 자신의 2학년 해 번에 성장 급등을 통하여 가면서 자신의 속구에 속력을 추가하였다. 그는 또한 자신의 성적 평균을 올리고, 팀에 돌아올 수 있었으며 2학년생으로서 1.18의 방어율과 함께 9 승 3 패의 기록을 가졌으며, 3개의 무안타 경기를 던졌다. 고등학교의 주니어로서 베켓은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여 최고의 고등학교 팀으로서 국가와 자신의 팀에서 최고의 고등학교 전망으로서 순위에 들어왔다. 그는 13 승 2 패로 갔고, 전부 시즌에서 20명 만의 타자들을 볼넷하는 동안 한 이닝에 2.1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자신의 시니어 시즌에 베켓은 USA 투데이에 의하여 "올해의 고등학교 선수"로 임명되었다. 베켓은 텍사스 A&M 대학교를 위하여 투수로 목적의 편지를 서명하였으나 그와 조시 해밀턴은 199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유용한 최고의 두 선수로서 보였다. 베켓의 파악된 거만에 근심을 가진 탬파베이 데빌레이스는 첫 선택과 함께 해밀턴을 골랐다. 베켓은 플로리다 말린스에 의하여 2번째 선택과 함께 선발되었다. 속구에 자신의 신임을 보인 베켓은 2년 안에 메이저 리그로 이루어 2001년에 의하여 올스타 경기에서 활약할 것을 예언하였다. 야구 경력[편집] 플로리다 말린스 (1991 ~ 2005)[편집] 마이너 리그[편집] 베켓은 자신이 잠시 블린 주니어 칼리지에 등록한 동안 말린스와 함께 일정 기간 동안 계속되는 협상들에 관여되었으나 1999년 8월 28일 결국적으로 4년, 7백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그의 3십 2억 2천 5백만 달러의 서명 보너스는 투수 알렉스 페르난데스를 제외한 메이저 리그 명부에 말린스가 지불한 것보다 컸다. 2000년 3월 베켓은 한 시간에 94에서 96 마일로 시간이 매겨진 속구와 좋은 커브와 함께 팀과 자신의 첫 봄 훈련에서 말린스에 인상을 주었다. 그는 또한 다른 선수가 기증한 것보다 더 많이 팀의 자선 재단에 10만 달러를 기증하여 팀에 자신의 위임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는 자신의 프로 데뷔를 이루는 데 클래스 A 중서부 리그의 케인카운티 쿠가스에 지정되었다. 쿠가스를 위한 오프닝 데이의 출발 선수로서 그는 4개의 이닝을 투구하고, 앨버트 푸홀스에 의한 2루타에 하나의 만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그 시즌에 베켓은 부상들을 겪었다. 그는 쿠가스를 위하여 13개의 경기에서 투구하고, 2.12의 방어율과 61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2 승 3 패의 기록과 함께 끝냈다. 그는 말린스의 최고 전망으로서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의하여 선발되었고, 중서부 리그에서 최고의 속구를 가짐은 물론 전체 마이너 리그에서 19번째 최고였다. 그는 또한 올스타 퓨처스 대회에 활약하는 데 선발되기도 하였다. 말린스는 2001년 시즌의 시작에서 플로리다 주립 리그의 브레버드카운티 매너티스로 지정되었다. 그는 자신의 38과 3분의 2 이닝에서 득점을 허용하지 않았고, 13개의 경기에서 1.23의 방어율과 101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6 승 0 패로 갔다. 말린스의 총지배인 데이브 돔브로스키는 그의 향상에 "그는 내가 여태까지 교제한 아무 전망 선수로서 플로리다 주립 리그에 투수를 맡았다"고 의견을 남겨 동부 리그의 더블 A 포틀랜드 시독스로 진급으로 이끌었다. 베켓은 6월 16일 자신의 시독스 데뷔에서 자신이 향한 첫 9명의 타자들 중 8명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8월 13일 그는 빙엄턴 메츠를 상대로 무안타를 던지는 데 2명의 다른 시독스 투수들과 합쳤다. 팀을 위한 13개의 출발 경기에서 그는 8 승 1 패의 기록을 가졌고, 102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그는 "올해의 마이너 리그 선수"로서 베이스볼 아메리카, USA 투데이와 스포팅뉴스에 의하여 선발되었다.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또한 그를 말린스의 최고 전망과 야구의 전부에서 3번째로 최고 선수로 랭킹에 놓았으며, 말린스는 그에게 "올해의 말린스 조직상 마이너 리그 선수"로서 그에게 수여하였다. 메이저 리그[편집] 베켓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데뷔는 2001년 9월 4일 시카고 컵스를 상대로였고, 자신의 첫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우승을 들어올리는 데 6개의 봉쇄 이닝에 하나의 안타를 내주었다. 그는 경기에서 또한 2루타를 매기기도 하였다. 그는 9월 19일 몬트리올 엑스포스를 상대로 블라디미르 게레로에 2개의 득점 홈런을 내주기 전에 자신의 첫 10개의 이닝에서 하나의 득점을 허용하지 않았다. 4개의 경기가 시작되면서 그는 2001년 시즌을 2 승 2 패의 기록과 1.50의 방어율과 끝냈다. 2002년 물집의 문제들에 의하여 방해된 베켓의 하이라이트는 하나의 경기에서 12명의 엑스포스 선수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킨 6월 21일에 있었으며, 9 이닝 경기에서 17개 스트라이크아웃의 말린스 기록에 몇몇의 구원 투수와 결합시켰다. 그해 말린스를 위한 23개의 출연(2개의 구원 투수 출연을 포함)에서 그는 4.10의 방어율과 113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6 승 7 패였다. 베켓은 2003년 말린스의 오프닝 데이 출발 투수로 임명되었고, 23세의 나이로 팀 역사상 최연소 오프닝 데이 출발 선수였다. 하지만 그는 2개의 실책과 하나의 패스된 공의 결과로서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3루에서 5개의 상대 팀의 실수로 얻은 득점을 매기면서 2와 3분의 2 이닝 만을 지속하였다. 그는 감독 제프 토보그를 해고시키는 데 공헌한 부상들 중의 일부로서 5월 중순 자신의 오른쪽 팔꿈치가 삐면서 즉시 장애자 명단에 놓였다. 그는 7월 1일 부상으로부터 돌아와 9 승 8 패의 기록, 3.04의 방어율과 152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시즌을 끝냈다. 베켓은 2003년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의 오프닝 경기에서 자신의 포스트시즌 데뷔를 이루어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상대로 7개의 이닝에서 하나 만의 득점을 허용하였으나 제이슨 슈미트가 완료의 경기 봉쇄를 투구하면서 패배를 얻었다. 하지만 말린스는 4개의 경기에서 시리즈를 우승하는 데 돌아왔다. 그의 다음 출발 경기인 시카고 컵스를 상대로 그해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의 첫 경기에서 첫 이닝에 그가 4개의 득점을 허용하면서 잘 되어가지 않았다. 말린스는 복수하고, 여분의 이닝에서 경기를 우승하였다. 컵스는 다음 3개의 경기를 차지하고, 베켓이 5번째 경기에서 투수판으로 돌아올 때 시리즈를 우승하는 데 한번 더만을 필요하였다. 그는 경기에서 본루에 도달하는 데 3명만의 컵스 선수들을 허용하였다. 말린스는 또한 6번째 경기를 차지하여 유명한 스티브 바트먼의 사고에 부분적으로 감사하였다. 7번째 경기에서 이틀의 휴식에 베켓은 불펜의 밖으로 나와 4개의 이닝을 투구하고, 말린스는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을 잡는 데 9 대 6으로 우승하였다. 말린스가 뉴욕 양키스를 꺾으면서 3일간 휴식에 강한 상연들과 함께 베켓은 2003년 월드 시리즈 MVP 상을 수상하였다. 3번째 경기에서 그는 10명의 타자를 스트라이크아웃 시키고, 7과 3분의 1 이닝에서 2개만의 득점을 허용하였으며 양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6번째 경기에서 그는 완료의 경기에서 양키스를 봉쇄하여 9명의 타자를 스트라이크아웃 시켜 시리즈를 잡았다. 베켓은 2004년 다시 말린스를 위하여 오프닝 데이의 출발을 이루어 엑스포스를 상대로 7개의 이닝에서 하나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그는 시즌 동안 장애자 명단에 3개의 여행을 이루었으나 아직도 경력 사상 26개의 출발과 156과 3분의 2 이닝을 투구하였다. 그는 3.79의 방어율과 함께 9 승 9 패였고, 정렬에서 2번째 해를 위하여 152개의 스트라이크아웃을 가졌으나 말린스는 막바지의 분전에 넘어지고, 포스트시즌을 이루지 않았다. 2005년 그는 29개의 경기에서 3.38의 방어율과 166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15 승 8 패였다. 말린스와 함께 자신의 5개 시즌에서 베켓은 106개의 경기에서 41 승 34 패의 기록, 3.46의 방어율을 가졌으며, 총 607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보스턴 레드삭스 (2006 ~ 12)[편집] 2005년 추수감사절에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거래에서 베켓은 마이너 리그의 유격수 핸리 라미레스와 투수들 아니발 산체스, 헤수스 델가도와 하비 가르시아를 위하여 3루수 마이크 로웰과 구원 투수 길레르모 모타와 함께 보스턴 레드삭스로 이적되었다. 베켓과 로웰은 흘려진 샐러리로 노력에서 이적된 말린스 베테랑들의 형저한 명단에 놓였다. 이 일은 조직적으로 시장 수정으로 이름 지엇다. 레드삭스와 자신의 첫 출발에서 베켓은 2006년 4월 5일 텍사스 레인저스를 상대로 우승을 얻는 데 7개의 이닝에서 하나 만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2008년 보스턴 레드삭스 활약 시절의 베켓 5월 20일 인터리그 경기가 열리는 동안 자신이 필리스의 투수 브렛 마이어스를 깊게 데려갈 때 지명 타자의 규칙의 출현 이래 베켓은 35년만에 홈런을 치는 데 첫 레드삭스 투수가 되었다. 7월 18일 그는 2010년을 위하여 1천만 달러의 클럽 선택과 함께 3년, 3천만 달러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베켓은 16 승 11 패의 기록과 5.01 방어율과 함께 레드삭스와 자신의 첫 시즌을 완료하였다. 204와 3분의 2 이닝에서 그는 191개의 안타를 내주었고, 74개의 볼넷을 가진 동안 158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그는 36개의 홈런을 허용하기도 하여 메이저 리그에서 2번째로 가장 많은 기록을 동점매겼다. 2007년 시즌의 시작에서 베켓은 더 많은 파괴 투구를 던지고, 적은 속구를 던지는 데 조절하였다. 동시에 그는 힘에 의하여 스트라이크들을 단순히 얻는 것보다 자신의 투구들에 위치를 정하는 것을 배웠다. 베켓은 자신들의 첫 7개의 출발 경기를 우승하는 데 역사상 6명의 레드삭스 투수들 중의 하나가 되었다. 조지 윈터와 미키 해리스가 한 시즌에 자신들의 첫 7개 출발 경기들을 우승하고, 베이브 루스, 데이브 페리스와 로저 모렛이 한 시즌에 자신들의 첫 8개 출발 경기들을 우승하였다. 강한 전반기 후, 3.44의 방어율과 함께 12 승 2 패의 기록을 게시한 그는 그해 메이저 리그 올스타 경기에 아메리칸 리그 팀으로 선발되었다. 베켓은 2개의 이닝을 투구한 후, 경기에서 승리를 얻어 하나 만의 안타를 내주고 2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베켓은 2005년 이래 하나의 시즌에서 20개의 경기를 우승하는 데 첫 투수가 되어 40개 만의 볼넷과 17개의 홈런 만을 허용하여 20 승 7 패의 기록, 3.27의 방어율, 194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1.14의 삼진률과 함께 시즌을 끝냈다. 베켓은 그해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의 첫 경기를 시작하였고, 8개의 이닝에서 자신이 11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키고 우승을 위하여 6개의 이닝을 투구하였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상대로 베켓의 2 승 0 패의 기록과 1.93의 방어율은 그에게 그해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 상을 수여하였다. 그는 그러고나서 출발하고, 콜로라도 로키스를 상대로 2007년 월드 시리즈의 첫 경기를 우승하여 7개의 이닝을 투구하고, 6개의 안타에 하나의 득점을 허용하여 9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레드삭스는 시리즈에서 로키스를 휩쓸었다. 2008년 5월 8일 베켓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브랜던 잉어가 7번째 이닝에서 스윙을 스트라이크아웃 시킬 때 자신의 1,000번째 경력 스트라이크아웃을 기록하였다. 그는 27개의 출발 경기에서 4.03의 방어율과 함께 12 승 10 패였다. 애너하임 에인절스를 상대로 2008년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의 3번째 경기에서 그는 5개의 이닝에 4개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그는 그러고나서 탬파베이 레이스]를 상대로 그해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2개의 출발을 이루어 9.64의 방어율을 가졌다. 2009년 레드삭스와 함께 자신의 첫 오프닝 데이 출발이 있는 동안 베켓은 레이스에 5 대 3의 승리에서 하나 만의 득점과 2개의 안타를 허용한 7개의 이닝을 통하여 10명의 타자들을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4월 14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은 베켓이 에인절스의 외야수 보비 애브루의 머리 위에 고의적으로 공을 던진 것에 그에게 벌금을 물게 하고, 6개의 경기에 그를 출장 정지 시켰다. 베켓은 후에 출장 정지를 호소하고, 5개의 경기들로 축소되었다. 6월 20일 전 레드삭스의 투수 데릭 로를 상대로 시합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상대로 그는 3년만에 자신의 첫 완료 경기 봉쇄 기록을 세웠다. 봉쇄는 레드삭스의 유니폼에서 처음으로 일어났다. 7월 5일 그는 그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경기에서 레드삭스를 대표하는 데 선발되었다. 7월 12일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상대로 완료 경기 봉쇄를 투구하여 자신의 100번째 경력 우승을 기록하였다. 8월 7일 양키스를 상대로 그는 15개의 이닝, 5 시간 33 분의 경기로 변화시킨 전 말린스 동료 선수 A. J. 버넷과 투구 시합에 관여하였다.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끝내기 홈런을 칠 때 15번째의 말기에 결국적으로 경기를 패하였다. 그는 3.86의 방어율과 32개의 출발 경기와 함께 시즌에 17 승 6 패로 갔다. 포스트시즌에 그는 그해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의 2번째 경기에서 에인절스에게 자신의 하나의 출발 경기를 패하였다. 2010년 4월 5일 레드삭스와 베켓은 2014년을 통하여 4년, 6천 8백만 달러의 확장 계약에 동의하였다. 5월 7일 그는 9개의 득점을 허용하고, 8명의 타자를 스트라이크아웃 시켰다. 이 일은 1911년 시즌 동안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의 잭 쿰스 이래 하나의 경기에서 결합을 가진 메이저 리그 투수로서 처음이었다. 그는 등 아래에 긴장과 함께 5월 19일 장애자 명단에 놓였고, 7월 23일에 복귀하였다. 9월 16일 그는 6번째 이닝에서 레이스의 벤 조브리스트를 상대로 레드삭스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1,000번째 스트라이크아웃을 기록하였다. 그해 21개의 출발 경기에서 그는 5.78의 방어율과 함께 6 승 6 패였다. 2011년 그는 방어율 (2.89), 상대 타구 평균 (.211) 과 삼진율 (1.03)에서 경력 최고 기록을 게시하였다. 그는 30개의 경기에서 13 승 7 패였으며, 자신의 3번째 올스타 경기로 선발되었다. 2011년 시즌의 말기에 레드삭스는 난처하게 되어 플레이오프들로 이루는 데 실패하였다. 베켓과 2명 더의 출발 투수들 존 래키와 존 레스터는 자신들이 투구를 하고 있지 않던 경기가 있는 동안 셋이서 술을 마신 논쟁의 중심에 있었고, 또한 프라이드 치킨을 먹고 비디오 게임을 하기도 하였다. 베켓은 이 일의 지도자로서 주목되었고, 어떤이들은 이 행동을 팀의 부족한 활약을 위한 이유 중의 일부로서 인용하였다. 베켓은 2012년 시즌에 분투하여 레드삭스의 선수로서 5.23의 방어율과 함께 5 승 11 패로 갔다. 8월 19일 양키스를 상대로 6개의 이닝에서 4개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7개의 시즌에 그는 89 승 58 패의 기록, 4.17의 방어율과 1,108개의 스트라이크아웃과 함께 레드삭스를 위하여 194개의 정규 시즌 경기를 시작하였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2 ~ 14)[편집]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함께 2012년 8월 25일 그는 제임스 로니, 이반 데헤수스 주니어, 앨런 웹스터와 임명될 2명의 선수(제리 샌즈와 루비 데 라 로사)를 위하여 에이드리언 곤살레스, 칼 크로퍼드와 닉 푼토와 현금에 1천 1백만 달러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르 이적되었다. 그는 이적 후, 다저스를 위하여 7개의 경기를 출발하고 2.93의 방어율과 함께 2 승 3 패로 갔다. 베켓은 8개의 출발 경기에서 0 승 5 패의 기록과 5.19의 방어율과 함께 2013년 시즌의 초기 일부에서 분투하였다. 그는 사타구니 긴장과 함께 5월 15일 장애자 명단에 놓였다. 장애자 명단에 놓인 동안 그는 자신의 손에 쑤시게 되어 자신이 다시는 투구할 수 없는 것처럼 의심을 표현하였다. 시즌을 끝내는 수술을 피하는 데 노력에서 그가 엄한 갱생 프로그램에 진단되는 동안 한달간 투수 활약으로부터 그를 막았다. 하지만 쑤시는 감각이 6월 후순 베켓이 자신의 투수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하는 시도를 할 때 돌아왔다. 그는 그해 7월 10일 그에게 수술을 받도록 요구한 흉곽 배출 증후군과 진단되어 그의 2013년 시즌을 끝냈다. 갈비뼈를 옮긴 것을 포함한 베켓의 수술은 2014년으로 향하는 다저스를 위하여 그에게 의문을 만들었다. 그는 4월 9일 다저스로 돌아와 지난 해 5월 이래 자신의 첫 출발을 이루어 4개의 이닝에서 4개의 득점을 허용하였다. 5월 13일 그는 2012년 이래 자신의 첫 우승을 들어올렸다. 2014년 5월 25일 일요일 베켓은 시티즌스 뱅크 파크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무안타를 던져 다저스 역사상 21번째 무안타이며, 1996년 시즌에 노모 히데오가 그렇게 한 이래 처음이었다. 그는 128개를 투구하고, 6명의 타자를 스트라이크아웃 시켰으며 승리로 향하는 도중에 3개의 볼넷을 가졌다. 베켓은 2004년 랜디 존슨이 완벽한 경기(40세)를 던진 이래 무안타를 던지는 데 최연장 투수(34세)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그 경기의 결과로서 "이번 주의 내셔널 리그 선수"로서 명예를 얻었다. 7월 8일 베켓은 시즌이 지나면서 왼쪽 절강이 충돌과 부상을 당하여 장애자 명단에 상륙하였다. 그는 7월 22일에 복귀하였으나 분투하였다. 8월 3일 출발 경기에서 그는 컵스를 상대로 4개의 이닝을 투구할 수 있었다. 9월 3일 다저스의 감독 돈 매팅글리는 기자들에게 베켓의 시즌은 그의 부상의 이유 같이 보인 것이라고 말하였다. 베켓은 그해 10월 7일 공식적으로 은퇴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조시 베켓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MLB,  ESPN,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The Baseball Cube,  Baseball-Reference (Minors) vdeh플로리다 말린스 - 2003년 월드 시리즈 우승 1 루이스 카스티요 7 이반 로드리게스 9 후안 피에르 10 레니 해리스 11 알렉스 곤살레스 12 마이크 모데카이 14 토드 홀랜즈워스 18 제프 코나인 19 마이크 로웰 20 미겔 카브레라 21 조시 베켓 (월드 시리즈 MVP) 22 브라이언 뱅크스 25 데릭 리 31 브래드 페니 35 돈트렐 윌리스 38 릭 헬링 40 네이트 범프 41 브래든 루퍼 43 후안 엥카르나시온 45 칼 파바노 49 채드 폭스 52 마이크 레드먼드 55 마크 레드먼 58 마이클 테헤라 74 우게스 어비나 감독 15 잭 맥키언 코치 38 브래드 안스버그 67 피에르 아르세노트 47 제프 콕스 13 아지 기옌 16 페리 힐 28 빌 로빈슨 제프 토보그 vdeh보스턴 레드삭스 - 2007년 월드 시리즈 우승 7 J. D. 드루 10 코코 크리스프 12 에릭 힌스키 13 알렉스 코라 15 더스틴 페드로이아 17 매니 델카먼 18 마쓰자카 다이스케 19 조시 베켓 (ALCS MVP) 20 케빈 유킬리스 23 훌리오 루고 24 매니 라미레스 25 마이크 로웰 (월드 시리즈 MVP) 28 더그 미라벨리 31 존 레스터 32 보비 켈티 33 제이슨 베리텍 34 데이비드 오르티스 37 오카지마 히데키 38 커트 실링 39 카일 스나이더 40 저코비 엘즈버리 48 하비에르 로페스 49 팀 웨이크필드 50 마이크 팀린 51 훌리안 타바레스 58 조너선 파펠본 83 에릭 가녜 감독 47 테리 프랭코나 벤치 코치 2 브래드 밀스 1루 코치 16 루이스 알리세아 타격 코치 29 데이브 매거던 3루 코치 35 드말로 헤일 투수 코치 52 존 패럴 불펜 코치 57 게리 턱 불펜 포수 65 이노 게레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조시_베켓&oldid=23932441"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텍사스주 출신 야구 선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플로리다 말린스 선수보스턴 레드삭스 선수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선수아메리칸 리그 올스타올스타 퓨처스 게임 참가 선수월드 시리즈 최우수 선수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최우수 선수텍사스 A&M 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Simple English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9일 (금) 09: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조슈아 패트릭 베켓(Joshua Patrick Beckett, 1980년 5월 15일 ~ )는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이다. 3회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였던 그는 플로리다 말린스, 보스턴 레드삭스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를 위하여 활약하였다. 우수한 고등학교 경력 후, 그는 1999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2번째 선발과 함께 말린스에 의하여 드래프트되었다. 그는 말린스와 2003년 월드 시리즈를, 레드삭스와 2007년 월드 시리즈를 우승하였고, 2007년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의 MVP 상과 2003년 월드 시리즈의 MVP 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2006년 말린스에서 레드삭스로, 그리고 2012년 레드삭스에서 다저스로 이적되었으며, 둘다 다수의 선수 처리들의 일부로서였다. 베켓은 2013년 시즌의 거의를 놓치는 원인을 가져온 심각한 부상으로부터 회복되었고, 다저스를 위하여 2014년 5월 25일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상대로 무안타 경기를 투구하여 다저스 역사상 그렇게 하는 데 19번째 선수가 되었다. 하지만 그의 시즌은 또다시 부상의 이유로 짧아지고, 그해 10월 7일 자신의 은퇴를 공고하였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조시 베켓은 몇년도에 은퇴하였을까? Assistant: 2014년
Human: 아래 안양시_(허난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안양시 (허난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양시 (허난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양 시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중국 허난성의 도시에 관한 것입니다. 대한민국 경기도의 도시에 대해서는 안양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安阳市 Ānyáng 약자: 豫E 안양 시에 있는 은허 행정 단위 지급시 청사소재지 원펑구 면적 7,355km² 인구 (2007년) 인구밀도 5,610,000 763/km² 지역전화 372 우편번호 455000 시차 UTC+8 웹사이트: www.anyang.gov.cn 안양(안양, 중국어 간체자: 安阳, 정체자: 安陽, 병음: Ānyáng)은 중국 허난성의 최북단에 있는 도시이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경제 4 기후 5 행정구역 6 외부 링크 지리[원본 편집] 동쪽으로 푸양시, 남쪽으로 허비시, 신샹시와 접하고 서쪽으로 산시성, 북쪽으로 허베이성과 접한다. 연평균 기온은 13.6도이고 대부분이 평지이다. 서쪽에는 타이항 산맥이 우뚝 솟아 있고 여기서 흐르는 장허(하이허 수계의 웨이허의 지류)가 허베이성 한단시와의 경계를 흐른다. 역사[원본 편집] 도시의 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샤오난하이(小南海)는 석기시대의 선사시대 동굴이 있는 곳이다. 샤오난하이 문화를 대표하는 석기와 동물 뼈 화석을 포함한 7,000개가 넘는 유물이 이곳에서 발굴되었다. BC2000년 경에 전설의 현명한 왕 전욱과 제곡이 나라의 수도를 이 곳 주변에 세웠다. 안양은 이 왕국의 통치를 받았다. 그들의 능이 오늘날 네이황현의 남쪽 산양 촌에 위치해있다. BC14세기 초엽에 상나라의 반경은 환 허 기슭의 현재 도시에서 북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수도를 세웠다. 은허라고 알려진 이 도시는 중국 역사상 첫 번째 고정된 수도로써 상나라는 은나라로도 알려지게 되었다. 상나라의 힘이 절정에 달하던 무정 때를 포함해 BC1046년에 서주 무왕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8대 12명의 왕 통치기에 수도 역할을 하였다. 안양의 탕인현 웨 촌은 남송의 유명한 장군 악비가 태어난 곳이다. 명나라가 시작되던 1368년에 안양은 재건되었다. 1949년 8월에 안양은 푸양, 신샹과 함께 허난성에서 떨어져나가서 핑위안 성에 속하게 되었다. 1953년 11월에 핑위안 성이 해체되면서 3개 모두 허난성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경제[원본 편집] 안양은 외부 세계에 개방되면서 외국과의 경제 관계와 무역은 급속도로 발달되었다. 16개의 외국 투자기업(합작기업, 협력기업, 외국인 소유 기업)이 세워졌다. 안양에 총 면적 22.8km2의 경제기술개발구가 세워졌고 많은 국내외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우호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 안양의 경제 발전을 위한 모든 외국과의 관계 및 교역망이 놓여져있다. 기후[원본 편집] Anyang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20.7 (69.3) 27.2 (81) 31.3 (88.3) 37.0 (98.6) 39.5 (103.1) 43.2 (109.8) 41.8 (107.2) 39.5 (103.1) 39.3 (102.7) 34.6 (94.3) 27.7 (81.9) 26.3 (79.3) 43.2 (109.8) 평균최고기온 °C (°F) 4.4 (39.9) 7.9 (46.2) 13.8 (56.8) 21.7 (71.1) 27.1 (80.8) 31.8 (89.2) 31.7 (89.1) 30.4 (86.7) 26.8 (80.2) 21.2 (70.2) 13.0 (55.4) 6.6 (43.9) 19.7 (67.5) 일평균기온 °C (°F) −0.9 (30.4) 2.2 (36) 8.0 (46.4) 15.7 (60.3) 21.2 (70.2) 25.9 (78.6) 27.0 (80.6) 25.7 (78.3) 21.2 (70.2) 15.0 (59) 7.2 (45) 1.1 (34) 14.1 (57.4) 평균최저기온 °C (°F) −5.1 (22.8) −2.4 (27.7) 3.0 (37.4) 10.0 (50) 15.1 (59.2) 20.1 (68.2) 22.7 (72.9) 21.6 (70.9) 16.3 (61.3) 9.9 (49.8) 2.5 (36.5) −3 (27) 9.2 (48.6) 최저기온기록 °C (°F) −21.7 (−7.1) −16.7 (1.9) −10.1 (13.8) −2.7 (27.1) 5.5 (41.9) 10.2 (50.4) 15.8 (60.4) 11.6 (52.9) 5.5 (41.9) −1.4 (29.5) −11.4 (11.5) −18.1 (−0.6) −21.7 (−7.1) 평균 강수량 mm (인치) 4.8 (0.19) 7.7 (0.3) 17.8 (0.7) 23.1 (0.91) 39.7 (1.56) 60.7 (2.39) 178.7 (7.04) 123.3 (4.85) 44.8 (1.76) 34.2 (1.35) 16.3 (0.64) 5.8 (0.23) 556.9 (21.92) 평균강수일수 (≥ 0.1 mm) 2.2 2.9 4.4 4.6 6.6 7.5 12.2 10.1 7.1 5.4 3.8 2.4 69.2 평균 상대 습도 (%) 60 57 57 57 60 60 77 80 73 69 67 64 65 평균 월간 일조시간 142.0 148.9 180.2 219.4 251.6 232.5 190.2 200.1 187.1 180.2 152.8 140.3 2,225.3 가능 일조율 46 49 49 56 58 54 43 48 50 52 50 47 50 출처: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행정구역[원본 편집] 안양 시는 산하에 4개 시할구 1개 현급시 4개 현을 관리한다. 안양시 현급 행정구역도 시할구 베이관구(北关区) 원펑구(文峰区) 인두구(殷都区) 룽안구(龙安区) 현급시 린저우시(林州市) 현 안양현(安阳县) 화현(滑县) 네이황현(内黄县) 탕인현(汤阴县) 외부 링크[원본 편집] (중국어/영어) 공식 웹사이트 vdeh허난성의 행정 구역 성도: 정저우시 정저우시 중위안구 진수이구 얼치구 후이지구 관청 후이족구 상제구 궁이시 신정시 신미시 덩펑시 싱양시 중무현 카이펑시 룽팅구 순허 후이족구 구러우구 위왕타이구 샹푸구 치현 퉁쉬현 웨이스현 란카오현 뤄양시 시궁구 라오청구 젠시구 찬허 후이족구 뤄룽구 지리구 옌스시 멍진현 루양현 이촨현 뤄닝현 쑹현 이양현 신안현 롼촨현 핑딩산시 신화구 웨이둥구 잔허구 스룽구 루저우시 우강시 바오펑현 예현 자현 루산현 안양시 베이관구 원펑구 인두구 룽안구 린저우시 안양현 화현 네이황현 탕인현 허비시 치빈구 산청구 허산구 쉰현 치현 신샹시 웨이빈구 훙치구 펑취안구 무예구 웨이후이시 후이셴시 신샹현 훠자현 위안양현 창위안현 펑추현 옌진현 자오쭤시 제팡구 중잔구 마춘구 산양구 친양시 멍저우시 슈우현 원현 우즈현 보아이현 푸양시 화룽구 푸양현 난러현 타이첸현 칭펑현 판현 쉬창시 웨이두구 젠안구 위저우시 창거시 옌링현 샹청현 뤄허시 위안후이구 옌청구 사오링구 린잉현 우양현 싼먼샤시 후빈구 산저우구 이마시 링바오시 몐츠현 루스현 난양시 워룽구 완청구 덩저우시 전핑현 네이샹현 시샤현 시촨현 신예현 퉁바이현 팡청현 탕허현 난자오현 서치현 상추시 량위안구 쑤이양구 융청시 닝링현 위청현 민취안현 샤이현 저청현 쑤이현 신양시 스허구 핑차오구 황촨현 화이빈현 시현 신현 상청현 구스현 뤄산현 광산현 저우커우시 촨후이구 샹청시 상수이현 화이양현 타이캉현 루이현 시화현 푸거우현 선추현 단청현 주마뎬시 이청구 췌산현 신차이현 상차이현 시핑현 비양현 핑위현 루난현 쑤이핑현 정양현 성직할 현급시 지위안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안양시_(허난성)&oldid=24086652" 분류: 안양시 (허난성)허난성의 지급시국가역사문화명성숨은 분류: 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간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Буряад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Italiano日本語GĩkũyũҚазақшаLietuvių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 nynorskNorskਪੰਜਾਬੀKapampang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8: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안양(안양, 중국어 간체자: 安阳, 정체자: 安陽, 병음: Ānyáng)은 중국 허난성의 최북단에 있는 도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국 역사에서 첫번째로 고정된 수도라고 할 수 있는 도시는? Assistant: 은허 Human: 아래 디디에_드로그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디디에 드로그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디에 드로그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디디에 드로그바 개인 정보전체 이름 Didier Yves Drogba Tébily출생일 1978년 3월 11일(1978-03-11) (41세)출생지 코트디부아르 아비장키 188cm포지션 스트라이커청소년 클럽 기록1989-19911991-19931993-19971997-1998 아베빌 반 르발루아 르망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1998-20022002-20032003-20042004-20122012-20132013-20142014-20152015-20162017-2018 합계 르망 갱강 마르세유 첼시 상하이 선화 갈라타사라이 첼시 몬트리올 임팩트 피닉스 라이징 0640(12)0450(20)0350(19)2260(100) 0110(8)0370(15)0280(4)0330(21)0220(14)0497 0(210)국가대표팀 기록2002-2014 코트디부아르 1040(65)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11월 9일 기준이다. 디디에 이브 드로그바 테빌리(프랑스어: Didier Yves Drogba Tébily, 1978년 3월 11일 ~ )는 코트디부아르의 전 축구 선수로, 현재 미국 유나이티드 사커 리그의 피닉스 라이징의 공동 구단주이다. 드로그바는 코트디부아르가 낳은 최고의 축구 선수로 평가되고 있으며 코트디부아르를 3회 연속 FIFA 월드컵 본선 진출로 이끈 주인공이기도 하다 목차 1 클럽 경력 1.1 국가대표팀 경력 2 기록 2.1 클럽 2.2 국가대표팀 3 수상 4 일화 5 경력 6 각주 7 외부 링크 클럽 경력[편집] 챔피언스리그 우승 직후 "빅 이어"를 들고 경기장을 활보하는 드로그바 드로그바는 1978년 3월 11일 코트디부아르의 최대 도시인 아비장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은 코트디부아르에서 지냈으나, 곧 프랑스에 양자로 보내졌다. 5살 때 처음으로 태어난 나라를 벗어나 프랑스로 왔다. 그의 삼촌이자 축구 선수였던 미셸 고바가 있던 브르타뉴 지역에 위치한 브레스트로 향했다. 그는 삼촌과 함께 브레스트, 앙굴레움, 둔케르 등지에서 3년을 보낸 뒤, 코트디부아르로 돌아갔다. 이후 르망, 갱강, 올랭피크 마르세유에서 활약하였다. 그는 올랭피크 마르세유를 2003-04 시즌 UEFA컵 결승전에 올려 놓으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된다. UEFA컵 결승전에서 드로그바의 능력을 알아본 조제 모리뉴는 첼시의 감독으로 선임된 이후 곧바로 드로그바를 영입하였다. 드로그바는 2005년에 에르난 크레스포가 첼시에 임대 영입 형식으로 들어오자, 크레스포와 포지션이 같은 탓에 매우 치열한 주전 경쟁을 해야 했다. 하지만 크레스포가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 잉글랜드에서의 생활에 전혀 적응을 못하고 끝내 첼시를 떠나자 첼시 부동의 주전이 되었다. 드로그바는 탁월한 골결정력으로 짧은 시간 내 첼시의 없어서는 안될 공격 자원으로 등극하였으며, 2005-06 시즌에는 11개의 어시스트를 하면서 프리미어리그 도움왕에 올랐다. 프리미어리그 2006-07에서는 20골을 넣으며 아프리카인 최초로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에 올랐다. 2008-09 시즌 초반에는 부상 및 경기력 기복 등으로 인해 인테르나치오날레 이적이 거론되었으나, 거스 히딩크가 첼시 지휘봉을 잡으며 급속도로 경기력을 회복하였다. 안첼로티 감독 부임 이후인 2009-10 시즌에는 웨인 루니(26골)의 부상을 틈타 29골을 기록하며 다시 득점왕을 거머쥘 만큼 절정의 결정력을 보여주였다. (그 중 페널티킥에 의한 득점은 1골에 불과했다.) 2011-12 시즌 초반, 안드레 빌라스보아스 감독과의 마찰로 출전 기회가 적어지고 부진도 겹쳐 선수 생활에 위기가 찾아왔으나, 로베르토 디 마테오 대행 체제 이후 FC 바르셀로나와의 챔피언스리그 준결승 1차전에 선발 출장하여 전반 추가 시간에 승부를 결정짓는 득점을 기록하였다. 2012년 5월 19일 드로그바는 바이에른 뮌헨과의 결승전에서 패색이 짙던 88분에 동점골을 넣었고, 승부차기에서 첼시의 5번째 키커로 나와 득점에 성공하며, 팀의 챔피언스리그 첫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2년 첼시와의 계약이 만료되어 첼시를 떠나 중국의 상하이 선화로 이적하였다. 계약기간은 2년 6개월이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적응 실패 및 팀과의 갈등으로 인해 상하이 선화에서 이탈하였다. 2013년 1월 28일 드로그바는 터키의 갈라타사라이 SK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1년 6개월이었으며 주급 40만 유로를 지급하는 조건 외에 출전 수당으로 1만 5천 유로를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하이 선화는 드로그바의 이적을 방해하려고 항의서를 제출했지만, FIFA는 갈라타사라이 이적을 승인했다. 갈라타사라이에서도 준수한 활약을 펼쳤으며, 2013-14년 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종료되었다. 2014년 7월 25일 첼시 FC와 1년 계약을 맺었고 2년만에 첼시로 복귀했다. 2014-15 시즌, 총 7골을 넣었고,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하였다. 시즌 종료와 함께 첼시에서의 계약도 종료되었다.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드로그바는 첫 출전한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비록 고국 팀이 탈락했지만,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하며 코트디부아르 대표 공격수의 면모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경고 누적으로 마지막 경기였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전에서는 결장했고, 그 경기에서 코트디부아르는 보나방튀르 칼루와 아뤼나 댕단의 멀티골로 FIFA 월드컵 첫 승리를 신고했다. 그는 2010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일본과의 친선 경기에서 다나카 마르쿠스 툴리오와의 몸싸움 도중 부상을 입어 월드컵 출전이 무산되는 듯 하였으나,[1] 최종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그는 조별 리그에서 1득점 1도움을 기록하였으나, 팀은 16강전에 오르지 못하고 탈락하였다. 북한과의 최종전에서 무득점에도 맨 오브 더 매치에 선정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 일본과의 조별리그 1번째 경기에서 교체 출전하였고, 그의 출장과 함께 팀은 2-1로 역전승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같은 조에 속한 콜롬비아,그리스와의 대결에서 분전 끝에 패하며 팀은 조3위로 16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2014년 FIFA 월드컵을 끝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하였다. 기록[편집] 클럽[편집] 클럽 시즌 리그 2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르망 1998–99 2 0 0 0 0 0 0 0 0 0 2 0 1999–00 30 7 0 0 2 0 0 0 0 0 32 7 2000–01 11 0 3 1 0 0 0 0 0 0 14 1 2001–02 21 5 1 1 2 1 0 0 0 0 24 7 합계 64 12 4 2 4 1 0 0 0 0 72 15 클럽 시즌 리그 1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갱강 2001–02 11 3 0 0 0 0 0 0 0 0 11 3 2002–03 34 17 3 4 2 0 0 0 0 0 39 21 합계 45 20 3 4 2 0 0 0 0 0 50 24 클럽 시즌 리그 1 쿠프 드 프랑스 쿠프 드 라 리그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마르세유 2003–04 35 19 2 1 2 1 16 11 0 0 55 32 합계 35 19 2 1 2 1 16 11 0 0 55 32 클럽 시즌 프리미어리그 FA 컵 리그컵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첼시 2004–05 26 10 2 0 4 1 9 5 0 0 41 16 2005–06 29 12 3 1 1 0 7 1 1 2 41 16 2006–07 36 20 6 3 5 4 12 6 1 0 60 33 2007–08 19 8 1 0 1 1 11 6 0 0 32 15 2008–09 24 5 6 3 2 1 10 5 0 0 42 14 2009–10 32 29 4 3 2 2 5 3 1 0 44 37 2010–11 36 11 2 0 0 0 7 2 1 0 46 13 2011–12 24 5 3 2 0 0 8 6 0 0 35 13 합계 226 100 27 12 15 9 69 34 4 2 341 157 클럽 시즌 중국 슈퍼 리그 중국 FA 컵 리그 컵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상하이 선화 2012 11 8 0 0 - - 0 0 0 0 11 8 합계 11 8 0 0 – – 0 0 0 0 11 8 클럽 시즌 쉬페르리그 터키 컵 리그 컵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갈라타사라이 2012–13 13 5 0 0 - - 4 1 0 0 17 6 2013–14 24 10 3 1 - - 8 2 1 1 36 14 합계 37 15 3 1 – – 12 3 1 1 53 20 클럽 시즌 프리미어리그 FA 컵 리그 컵 대륙간 컵 기타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첼시 2014–15 28 4 2 0 5 1 5 2 0 0 40 7 합계 28 4 2 0 5 1 5 2 0 0 40 7 총합 444 178 41 20 28 12 102 50 5 3 620 263 국가대표팀[편집] 대표팀 년도 친선 경기 국제 대회 총합 출전 득점 출전 득점 출전 득점 코트디부아르 2002 0 0 1 0 1 0 2003 4 1 3 3 7 4 2004 3 3 4 3 7 6 2005 3 1 5 6 8 7 2006 7 4 7 4 14 8 2007 6 3 2 1 8 4 2008 2 1 6 3 8 4 2009 1 1 5 6 6 7 2010 5 2 6 2 11 4 2011 2 1 3 4 5 5 2012 4 2 10 7 14 9 2013 2 1 7 3 9 4 2014 3 3 1 0 4 3 총합 42 23 60 43 102 65 수상[편집] 마르세유 리그앙 올해의 골 1회 리그앙 올해의 팀 1회 리그앙 올해의 선수 1회 첼시 프리미어리그 : 우승 (2004-05, 2005-06, 2009-10, 2014-15) FA컵 : 우승 (2006-07, 2008-09, 2009-10, 2011-12) 커뮤니티 실드 : 우승 (2005, 2009), 준우승 (2006, 2007, 2010, 2012, 2015) 풋볼 리그 컵 : 우승 (2004-05, 2006-07) UEFA 챔피언스리그 : 우승 (2011-12), 준우승 (2007-08) 갈라타사라이 쉬페르리그 : 우승 (2012-13) 터키컵 : 우승 (2013-14) 터키 슈퍼컵 : 우승 (2013) 코트디부아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준우승 (2006, 2012) 아프리카 올해의 선수상 : 2006, 2009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득점왕 : 2012 개인 프리미어리그 득점왕 : 2006-07, 2009-10 프리미어리그 도움왕 : (2005-06) 프리미어리그 리그컵 MVP 1회 FA컵 FA컵 결승 MVP 1회 커뮤니티 실드 커뮤니티 실드 MVP 1회 UEFA 챔피언스리그 올해의 팀 1회 첼시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 1회 FIFPro 월드 베스트 XI : 2007 2010년 FIFA 월드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북한 (조별리그) BBC선정 올해의 아프리카 선수 1회 온제도르 1회 PFA 올해의 팀 2회 ESM 올해의 팀 1회 타임지 선정 올해의 인물 100명 선정 1회 골든 풋 1회 일화[편집] 2005년 10월, 드로그바의 조국 코트디부아르에서는 2002년부터 장기적인 내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을 거머쥔 뒤 드로그바는 TV 생중계 카메라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랑하는 조국 여러분, 적어도 1주일 동안 만이라도 전쟁을 멈춥시다." 라고 호소하였다. 실제로 이후 1주일 동안 코트디부아르에서는 내전이 벌어지지 않았으며, 2년 후인 2007년에는 5년간 계속되어 왔던 내전이 완전히 종결되었다.[2] 그 후 2011년 코트디부아르에 또다시 내전이 발생하자 드로그바는 "코트디부아르에는 화해와 용서가 필요하다" 고 말해 코트디부아르의 평화를 바라는 발언을 한다. 또는 그는 유엔에서 만든 위원회에서 활동한다. "드로그바, 코트디부아르 화합 촉구" 드로그바는 2008-09 시즌UEFA 챔피언스리그 FC 바르셀로나와의 준결승 2차전에서 첼시가 심판의 석연찮은 판정으로 탈락하자 격분하며 톰 헨닝 외브레뵈 주심에게 욕설을 퍼붓고, TV 중계 카메라를 향해서도 욕설을 하여[3] UEFA로부터 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조별 리그전에서 3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2010년 5월, 드로그바는 2010년 FIFA 월드컵을 대비한 일본과의 평가전을 앞두고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를 가졌는데, 일본 대표팀의 월드컵 16강 전망을 묻는 질문에 "일본에게 기회는 없다", "일본은 물소 등 위의 작은 새" 라 혹평하며 일본 대표팀을 평가절하하였다. 그러나 이후 벌어진 평가전에서 일본 수비수 툴리오와 공을 두고 경합을 벌이던 도중 강한 태클에 심각한 팔 골절상을 입어 FIFA 월드컵 출전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그의 걸출한 기량과 해결사적 면모에 감탄하며 마치 신(神)과 같다는 뜻으로 그에게 "드록신" 이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는데, 드로그바 본인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전해 듣고 그에 대해 굉장한 만족감을 표했다고 한다.[2] 2011-12 시즌 28R 스토크 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첼시에서의 득점을 하며 프리미어리그 통산 100골을 기록하는 겹경사를 이루었다. 이 경기에서는 첼시가 스토크 시티에게 1:0으로 이겼다. 드록바는 첼시의 역사 레전드로 평가 받는다 경력[편집]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06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0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국가대표 2014년 FIFA 월드컵 국가대표 각주[편집] ↑ “"드로그바, 일본과 경기 중 팔꿈치 부상...월드컵 어떻게 되나?"”. 2011년 1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7일에 확인함.  ↑ 가 나 드로그바 "내 심장은 코트디부아르와 함께 뛴다" ↑ 드로그바 "심판, 당신은 수치 그 자체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디디에 드로그바 Chelsea profile Didier Drogba's official website – available in English and French BBC profile BBC World Service: African Footballer of the Year 2008 ESPN Profile 수상vdeh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1970년대 1970: 케이타 1971: 선데이 1972: 술레이만 1973: 브왕가 1974: 무킬라 1975: 파라스 1976: 밀라 1977: 디아브 1978: 라자크 1979: 은코노 1980년대 1980: 망가 옹겐 1981: 벨루미 1982: 은코노 1983: 엘 카티브 1984: 아베가 1985: 티무미 1986: 자키 1987: 마제르 1988: 브왈랴 1989: 웨아 1990년대 1990: 밀라 1991: 아베디 펠레 1992: 아베디 펠레 1993: 아베디 펠레 & 예키니 1994: 웨아 & 아무니케 1995: 웨아 1996: 카누 1997: 이크페바 1998: 하지 1999: 카누 2000년대 2000: 음보마 2001: 디우프 2002: 디우프 2003: 에토 2004: 에토 2005: 에토 2006: 드로그바 2007: 카누테 2008: 아데바요르 2009: 드로그바 2010년대 2010: 에토 2011: 투레 2012: 투레 2013: 투레 2014: 투레 2015: 오바메양 2016: 마레즈 2017: 살라흐 2018: 살라흐 vdeh프리미어리그 최다 득점자 1993: 셰링엄 1994: 콜 1995: 시어러 1996: 시어러 1997: 시어러 1998: 서턴 • 더블린 • 오언 1999: 하셀바잉크 • 오언 • 요크 2000: 필립스 2001: 하셀바잉크 2002: 앙리 2003: 판 니스텔로이 2004: 앙리 2005: 앙리 2006: 앙리 2007: 드로그바 2008: C. 호날두 2009: 아넬카 2010: 드로그바 2011: 베르바토프 • 테베즈 2012: 판 페르시 2013: 판 페르시 2014: 수아레스 2015: 아궤로 2016: 케인 2017: 케인 vdehFIFPro 월드 베스트 XI 2007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GK 잔루이지 부폰 DF 알레산드로 네스타 파비오 칸나바로 존 테리 카를레스 푸욜 MF 카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스티븐 제라드 FW 호나우지뉴 디디에 드로그바 리오넬 메시 vdeh첼시 FC 올해의 선수 1967: 보네티 1968: 쿠크 1969: 웹 1970: 홀린스 1971: 홀린스 1972: 웹 1973: 오스굿 1974: 록크 1975: 쿠크 1976: 윌킨슨 1977: 윌킨슨 1978: 드로이 1979: 랭글레이 1980: 워커 1981: 보로타 1982: 필러리 1983: 존스 1984: 네빈 1985: 스피디 1986: 니즈베키 1987: 네빈 1988: 도리고 1989: 로버츠 1990: 몬쿠 1991: 타운샌드 1992: 엘리엇 1993: 싱클레어 1994: 클라크 1995: 존슨 1996: 휠릿 1997: 휴스 1998: 와이즈 1999: 졸라 2000: 와이즈 2001: 테리 2002: 쿠디치니 2003: 졸라 2004: 램퍼드 2005: 램퍼드 2006: 테리 2007: 에시엔 2008: 콜 2009: 램퍼드 2010: 드로그바 2011: 체흐 2012: 마타 2013: 마타 2014: 아자르 2015: 아자르 2016: 윌리앙 2017: 아자르 2018: 캉테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1 티지에 2 아칼레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쿠아시 7 파에 8 칼루 9 A. 코네 10 야피 11 드로그바 (주장) 12 메이테 13 조로 14 B. 코네 15 댕단 16 냐누앙 17 도모로 18 케이타 19 Y. 투레 20 드멜 21 에부에 22 로마리크 23 바리 감독: 미셸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FIFA 월드컵 1 티지에 2 아칼레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쿠아시 7 파에 8 칼루 9 A. 코네 10 야피 11 드로그바 (주장) 12 메이테 13 조로 14 B. 코네 15 댕단 16 냐누앙 17 도모로 18 케이타 19 Y. 투레 20 드멜 21 에부에 22 로마리크 23 바리 감독: 미셸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위 1 바리 2 자크파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고후리 7 파에 8 칼루 9 A. 코네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메이테 13 로마리크 14 B. 코네 15 댕단 16 로부에 17 티에네 18 케이타 19 Y. 투레 20 사노고 21 에부에 22 조로 23 T. 코네 감독: 질리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 바리 2 앙구아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Y. 투레 7 파에 8 칼루 9 티오테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메이테 13 고소 14 B. 코네 15 댕단 16 조그보 17 야피 18 케이타 19 E. 코네 20 드멜 21 에부에 22 밤바 23 앙방 감독: 할릴호지치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10년 FIFA 월드컵 1 바리 2 앙구아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고후리 7 둠비아 8 칼루 9 티오테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고소 13 로마리크 14 코네 15 댕단 16 조그보 17 티에네 18 케이타 19 Y. 투레 20 드멜 21 에부에 22 밤바 23 예보아 감독: 에릭손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준우승 1 바리 2 앙구아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고소 7 둠비아 8 칼루 9 티오테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보니 13 야 코난 14 쿨리발리 15 그라델 16 예보아 17 티에네 18 케이타 19 Y. 투레 20 롤로 21 에부에 22 밤바 23 냐누앙 감독: 자호위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 바리 2 A. 코네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로마리크 7 라자크 8 칼루 9 티오테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보니 13 야 코난 14 I. 트라오레 15 그라델 16 예보아 17 티에네 18 L. 트라오레 19 Y. 투레 20 롤로 21 에부에 22 밤바 23 손가리 감독: 라무시 vdeh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 2014년 FIFA 월드컵 1 바리 2 비에라 3 보카 4 K. 투레 5 조코라 6 볼리 7 아크파아크프로 8 칼루 9 티오테 10 제르비뉴 11 드로그바 (주장) 12 보니 13 야 코난 14 디오망데 15 그라델 16 보우오 17 오리에 18 자크파 19 Y. 투레 20 디에 21 시오 22 밤바 23 망데 감독: 라무시 전거 통제 WorldCat VIAF: 54478933 LCCN: n2008049136 ISNI: 0000 0001 2314 5171 GND: 136063659 SUDOC: 125312334 BNF: cb15764728k (데이터) BIBSYS: 14057241 NKC: xx021142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디디에_드로그바&oldid=23927770" 분류: 197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코트디부아르의 축구 선수축구 공격수르망 FC의 축구 선수EA 갱강의 축구 선수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의 축구 선수첼시 FC의 축구 선수상하이 뤼디 선화의 축구 선수갈라타사라이의 축구 선수몬트리올 임팩트의 축구 선수피닉스 라이징 FC의 축구 선수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코트디부아르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프랑스의 외국인 축구 선수잉글랜드의 외국인 축구 선수터키의 외국인 축구 선수중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캐나다의 외국인 축구 선수미국의 외국인 축구 선수리그 1의 축구 선수리그 2의 축구 선수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중국 슈퍼리그의 축구 선수쉬페르리그의 축구 선수메이저 리그 사커의 축구 선수유나이티드 사커 리그의 축구 선수2006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1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0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 선수아프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 수상자아비장 출신코트디부아르계 프랑스인프랑스에 거주한 코트디부아르인잉글랜드에 거주한 코트디부아르인중국에 거주한 코트디부아르인프랑스로 귀화한 사람FIFA 센추리 클럽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oomaalig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Yorùbá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8일 (목) 07: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디디에 이브 드로그바 태빌리(프랑스어: Didier Yves Drogba Tébily, 프랑스어 발음: ​[didje dʁɔɡba]; 1978년 3월 11일~)는 코트디부아르의 전 축구 선수로, 현재 미국 유나이티드 사커 리그의 피닉스 라이징의 공동 구단주이다. 드로그바는 코트디부아르가 낳은 최고의 축구 선수로 평가되고 있으며 코트디부아르를 3회 연속 FIFA 월드컵 본선 진출로 이끈 주인공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드로그바에 관한 유명한 일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Assistant: 2005년 10월, 드로그바의 조국 코트디부아르에서는 2002년부터 장기적인 내전이 벌어지고 있었다.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티켓을 거머쥔 뒤 드로그바는 TV 생중계 카메라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랑하는 조국 여러분, 적어도 1주일 동안 만이라도 전쟁을 멈춥시다." 라고 호소하였다. 실제로 이후 1주일 동안 코트디부아르에서는 내전이 벌어지지 않았으며, 2년 후인 2007년에는 5년간 계속되어 왔던 내전이 완전히 종결되었다.[2] 그 후 2011년 코트디부아르에 또다시 내전이 발생하자 드로그바는 "코트디부아르에는 화해와 용서가 필요하다" 고 말해 코트디부아르의 평화를 바라는 발언을 한다. 또는 그는 유엔에서 만든 위원회에서 활동한다. "드로그바, 코트디부아르 화합 촉구" 드로그바는 2008-09 시즌UEFA 챔피언스리그 FC 바르셀로나와의 준결승 2차전에서 첼시가 심판의 석연찮은 판정으로 탈락하자 격분하며 톰 헨닝 외브레뵈 주심에게 욕설을 퍼붓고, TV 중계 카메라를 향해서도 욕설을 하여[3] UEFA로부터 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조별 리그전에서 3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2010년 5월, 드로그바는 2010년 FIFA 월드컵을 대비한 일본과의 평가전을 앞두고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를 가졌는데, 일본 대표팀의 월드컵 16강 전망을 묻는 질문에 "일본에게 기회는 없다", "일본은 물소 등 위의 작은 새" 라 혹평하며 일본 대표팀을 평가절하하였다. 그러나 이후 벌어진 평가전에서 일본 수비수 툴리오와 공을 두고 경합을 벌이던 도중 강한 태클에 심각한 팔 골절상을 입어 FIFA 월드컵 출전이 무산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그의 걸출한 기량과 해결사적 면모에 감탄하며 마치 신(神)과 같다는 뜻으로 그에게 "드록신" 이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는데, 드로그바 본인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전해 듣고 그에 대해 굉장한 만족감을 표했다고 한다.[2] 2011-12 시즌 28R 스토크 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첼시에서의 득점을 하며 프리미어리그 통산 100골을 기록하는 겹경사를 이루었다. 이 경기에서는 첼시가 스토크 시티에게 1:0으로 이겼다.
Human: 아래 퍼스_공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퍼스 공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퍼스 공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퍼스 공항Perth Airport IATA: PER – ICAO: YPPH 개요 공항종별 민간 시간기준 UTC+8 소유기관 Westralia Airports Corporation 지역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위치 레드클리프 해발고도 20 m / 67 ft 좌표 남위 31° 56′ 45″ 동경 115° 58′ 35″ / 남위 31.94583° 동경 115.97639°  / -31.94583; 115.97639 웹사이트 http://www.perthairport.com/ 지도 PER퍼스 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폭 03/21 3444 45 YES 아스팔트 06/24 2163 45 YES 아스팔트 World Aero Data 퍼스 공항(영어: Perth Airport, IATA: PER, ICAO: YPPH)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주도인 퍼스의 주요 공항으로, 퍼스 근교 길퍼드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퍼스 공항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내선부터, 가깝게는 아시아나 인도양 지역, 멀리는 남아프리카나 중동 지역까지도 항공기가 운항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4번째로 붐비는 공항이기도 하다. 목차 1 운항 노선 1.1 1 터미널 1.2 2 터미널 1.3 3 터미널 1.4 4 터미널 1.5 GA 터미널 1.6 화물 노선 2 각주 3 외부 링크 운항 노선[편집] 가나다 순 1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발리, 자카르타 남아프리카 항공 요하네스버그 로얄 브루나이 항공 반다르스리브가완 말레이시아 항공 쿠알라룸푸르 중국남방항공 광저우 전일본공수 도쿄(나리타) - (2019년 9월 1일 신규취항) 싱가포르 항공 싱가포르 에미레이트 항공 두바이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에어뉴질랜드 오클랜드계절편: 크라이스트처치 에어모리셔스 포트루이스 에어아시아 X 쿠알라룸푸르 인도네시아 에어 아시아 발리, 롬복 제트스타 항공 발리, 싱가포르, 롬복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 싱가포르, 자카르타 캐세이패시픽 항공 홍콩 콴타스 항공 계절편: 오클랜드[1] 타이거 항공 싱가포르 타이 항공 방콕, 푸켓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덴파사르(발리)[2], 푸켓, 크리스마스 섬, 코코스 제도 스쿠트 싱가포르[3] 카타르 항공 도하 2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얼라이언스 항공 아가일, 바리무야, 콘델와나, 칼굴리, 카라, 렌스터, 레오노라, 마운트키스, 뉴먼, 포트헤들랜드, 텔퍼, 더그랜티스 타이거 항공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멜버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리저널 항공 뉴먼, 데넘(멍키미아), 브룸, 아가일, 에스페란스, 엑스머스, 올버니, 제럴턴, 카나본, 카라타, 칼굴리, 칼바리, 쿠누누라, 클라우드 브레이크, 포트헤들랜드 3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네트워크 항공 렌스터, 모라와 마룸바 항공 마운트마그넷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브룸, 다윈, 카라, 뉴먼, 멜버른, 포트헤들랜드, 시드니 4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에어노스 다윈, 쿠누누라 제트스타 항공 멜버른, 시드니, 애들레이드, 케언즈 콴타스 링크 뉴먼, 브룸, 앨리스스프링스, 울룰루, 카라타, 칼굴리, 파라버두, 포트헤들랜드 콴타스 항공 다윈, 브룸, 브리즈번,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카라타, 칼굴리, 캔버라, 포트헤들랜드, 런던(2018년 3월 25일부터~) GA 터미널[편집] 항공사목적지 스키퍼스 항공 라버튼, 레오노라, 렌스터, 마운트마그넷 공항 메카타라, 윌루나 코밤 항공 배로우, 브록, 바리무야, 콘델와나, 코스모스니켈마인, 벨뷰, 디그루사, 캄발다, 엑스머스, 뮤린뮤린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목적지 오스트레일리안 에어 익스프레스멜버른 톨 프라이어리티브리즈번, 멜버른 각주[편집] ↑ Qantas launches new Auck-Perth service. NZ Herald. Retrieved on 2013-08-14. ↑ “PACIFIC BLUE TO LAUNCH FLIGHTS FROM AUSTRALIA TO INDONESIA”. Virgin Blue.  ↑ http://aegwaspotters.blogspot.com.au/2013/10/scoot-confirms-perth-services-from-12.html?m=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퍼스 공항 좌표: 남위 31° 56′ 36″ 동경 115° 57′ 22″ / 남위 31.94335° 동경 115.956071°  / -31.94335; 115.956071 (영어) 공식 홈페이지 vdeh 오스트레일리아의 공항수도 준주 캔버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 마운트 갬비어 세두나 애들레이드 올림픽댐 쿠퍼페디 킹스코트 포트링컨 포트오거스타 프라미넌트힐 화이앨러 뉴사우스웨일스 주 그래프턴 그리피스 나라브리 나란데라 뉴캐슬 두보 로드하우 리스모어 머지 메림불라 모리 모리야 밸리나 배서스트 브로큰힐 시드니 아미 앨버리 오렌지 와가와가 코바 코프스 하버 쿠마 탬워스 테리 파크스 포트맥쿼리 태즈메이니아 주 데번포트 론세스톤 버니 킹 플린더스 호바트 노던 준주 고브 그루트 다윈 라미닝마이링 레이크 엘비아 마닌그라다 맥아더 리버라인 미리킴빌 빅토리아 리버 다운 앨리스 스프링스 에어즈록 앨코 탠네트 테리토리 후커크리크 퀸즐랜드 주 골드코스트 그레이트배리어리프 글래드스톤 기나우 노던넥 노먼턴 단리 달고민다 도오메드그리 레드카피 로마 록하트 리버 록햄프턴 롱리치 리차드 리치몬드 마레이 마부그 마운트아이사 마크레이 모닝턴 모라 몬란바하 바두 바케다인 버즈빌 버크타운 번다버그 보울리아 보이구 브리즈번 블랙얼 블랙워터 비두리 사이바이 샤르빌 선샤인코스트 얌 에메랄드 오루쿤 요크 워라바 위파 윈드라우 윈톤 쥴리아크릭 친칠라 카룸바 케언스 코엔 코완야마 코코넛 쿠니아미울라 쿠빈 쿡타운 퀼파이 클론커리 타운즈빌 탕굴 팜 페르세포네(휫선데이 코스트) 해밀턴 허그핸덴 허비베이 혼 빅토리아 주 마운틴 호탬 멜버른 무라빈 밀두라 아발론 에센든 포틀랜드 해밀턴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뉴맨 래버튼 렌스터 리번스로프 리어노러 마운트 마넷 메카타라 브롬 샤크베이 아길 에스퍼런스 올버니 윌우라 제럴턴 카나본 칼굴리 볼더 칼바리 캐러사 쿠누누라 파라버두 퍼스 포트헤들랜드 굵은 색 표시는 국제선을 운항하는 공항으로 이퀼리티 표시는 과거에 국제선을 취항한 공항이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퍼스_공항&oldid=24188319" 분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공항퍼스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1938년 개항한 공항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ebuano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SvenskaТоҷикӣ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0: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퍼스 공항(영어: Perth Airport, IATA: PER, ICAO: YPPH)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의 주도인 퍼스의 주요 공항으로, 퍼스 근교 길퍼드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퍼스 공항은 오스트레일리아 국내선부터, 가깝게는 아시아나 인도양 지역, 멀리는 남아프리카나 중동 지역까지도 항공기가 운항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내에서 4번째로 붐비는 공항이기도 하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공항 제2 터미널의 운항 노선은 어떨까? Assistant: 항공사목적지 얼라이언스 항공 아가일, 바리무야, 콘델와나, 칼굴리, 카라, 렌스터, 레오노라, 마운트키스, 뉴먼, 포트헤들랜드, 텔퍼, 더그랜티스 타이거 항공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멜버른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리저널 항공 뉴먼, 데넘(멍키미아), 브룸, 아가일, 에스페란스, 엑스머스, 올버니, 제럴턴, 카나본, 카라타, 칼굴리, 칼바리, 쿠누누라, 클라우드 브레이크, 포트헤들랜드 Human: 아래 김재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재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재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재로의 초상화, 1738년(57세) 주청사(奏請使)로 북경에 갔을 때 모습 김재로(金在魯, 1682년 ~ 1759년)는 조선의 정치가이다. 자는 중례, 호는 청사, 본관은 청풍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김구이고, 조부는 전라도관찰사 김징이다. 노론 벽파의 거두 김상로, 좌의정을 지낸 김약로는 사촌동생이다. 다른 사촌형제인 김익로는 우사 김규식의 6대조이다. 김상로, 김양로 등 노론벽파에 가담한 친척들과 달리 노론 내 청명파에 가담하여 노론 청명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목차 1 생애 2 가족 3 같이 보기 4 각주 생애[편집] 조선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수찬 등을 지냈다. 1716년 옛 선비들에게 없는 죄를 거짓으로 꾸며 벌을 주었던 소론의 유봉휘·정 식 등을 탄핵하여 파직하게 하였다. 경종 때 이조참의·대사간·개성부 유수 등을 지냈으나, 신임사화 때에 귀양을 갔었다. 영조 때 풀려나와 대사간이 되어 소론의 과격파 김일경을 사형시키게 하였다. 당시 수어사, 형조참판, 이조참판, 예조참판, 부제학, 대사간, 병조참판, 대사성, 우부승지, 한성부좌윤 등을 지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재등장하자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다시 충주 목사로 기용되어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후 병조판서, 약방제조, 지경연사, 예문관제학, 좌참찬, 우참찬, 호조판서, 판돈녕부사, 종묘제조, 이조판서, 형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지냈고, 경상도 관찰사도 지냈다. 그리고 황해도 관찰사도 지냈다. 그 후 지춘추관사로서 실록도청 당상을 겸직하면서 《경종수정실록》을 편찬하는 데 참여했고 신임사화로 죽은 김창집·이이명의 억울함을 풀어주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738년, 판중추부사로 청에 가서 《명사》(明史)를 얻어왔다. 그는 노론 벽파에 가담한 친척 김상로, 김양로 등과 달리 노론 내 벽파도 아니고, 노론 시파에도 가담하지 않고, 노론 탕평파에도 가담하지 않고, 노론 청명파에 가담하였다. 그의 아들 김치인과 종손자 김종수는 노론 청명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이후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냈고 1740년 의정부영의정에 올랐고, 관직 생활의 절반은 모두 대신으로 있으면서 영의정과 좌의정을 번갈아하며 노론의 선봉자로 활약했다. 저서로 청사유집(淸沙遺集) 본말록(本末錄) 청사일기(淸沙日記),예기보주(禮記補註) 경오보(庚午譜) 천의소감언해(闡義昭鑑諺解) 좌씨집선속(左氏輯選續) 금석록(金石錄) 난여(爛餘)등이 있다. 가족[편집] 조부 : 김징(金澄) 생부 : 김구(金構) 생모 : 이몽석의 딸 부인 : 심징의 딸 장남 : 김치인(金致仁) 형 : 김희로(金希魯)[1] 같이 보기[편집] 노론 벽파 김상로 김치인 김종수 김종후 김규식 김재로 묘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호 각주[편집] ↑ 승정원일기 영조 즉위년 갑진(1724, 옹정2) 12월 28일(정유) 기사참조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종묘배향공신 94현문묘 동시 배향 6현 이언적 이황 이이 김집 송시열 박세채 종묘배향 94현 태조실: 조준 의안대군 남재 이제 이지란 남은 조인옥 정종실: 익안대군 태종실: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실: 황희 허조 최윤덕 신개 양녕대군 효령대군 이수 문종실: 하연 세조실: 한확 권람 한명회 예종실: 박원형 성종실: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실: 박원종 유순정 성희안 정광필 인종실: 홍언필 김안국 명종실: 심연원 이언적 선조실: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실: 이원익 신흠 신경진 이귀 능원대군 이서 김류 효종실: 김상헌 김집 송시열 민정중 민유중 인평대군 현종실: 김좌명 정태화 김수항 김만기 숙종실: 남구만 윤지완 박세채 김만중 최석정 김석주 경종실: 이유 민진후 영조실: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실: 민백상 이종성 정조실: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실: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조만영 남연군 문조실: 남공철 김로 조병귀 헌종실: 이상황 조인영 철종실: 이헌구 김수근 익평군 고종실: 신응조 박규수 이돈우 민영환 이 글은 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재로&oldid=22528215" 분류: 조선의 문신1682년 태어남1758년 죽음조선의 정치인영의정김규식조선의 공신청풍 김씨노론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한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조선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9월 23일 (일) 14: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재로(金在魯, 1682년 ~ 1759년)는 조선의 정치가이다. 자는 중례(仲禮), 호는 청사(淸沙) 또는 허주자(虛舟子), 시호는 충정(忠靖), 본관은 청풍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김구이고, 조부는 전라도관찰사 김징이다. 노론 벽파의 거두 김상로, 좌의정을 지낸 김약로는 사촌동생이다. 다른 사촌형제인 김익로는 우사 김규식의 6대조이다. 김상로, 김양로 등 노론벽파에 가담한 친척들과 달리 노론 내 청명파에 가담하여 노론 청명파의 지도자가 되었다. 1728년(영조 5) 이인좌의 난 진압 직후 분무원종공신 1등(奮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재로는 지춘추관사로서 무엇을 편찬하는 데 참가했을까? Assistant: 경종수정실록
Human: 아래 킬러의_보디가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킬러의 보디가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킬러의 보디가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킬러의 보디가드The Hitman's Bodyguard 감독 패트릭 휴스 제작 데이비드 엘리슨마크 길데이나 골드버그매슈 오툴존 톰슨레스 웰던 각본 톰 오코너 출연 라이언 레이놀즈새뮤얼 L. 잭슨게리 올드먼엘로디 융살마 아예크 촬영 줄스 올로플린 편집 제이크 로버츠 제작사 밀레니엄 필름스크리스털 픽처스 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 필름스 개봉일 2017년 8월 18일 (2017-08-18) (미국)2017년 8월 30일 (2017-08-30) (대한민국) 시간 118분 국가 미국 언어 영어 제작비 3000만 달러[1] 《킬러의 보디가드》(영어: The Hitman's Bodyguard)는 2017년 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로, 살인청부업자와 그의 보디가드 콤비의 이야기를 그린다. 패트릭 휴스 감독이 연출하고 라이언 레이놀즈, 새뮤얼 L. 잭슨, 게리 올드먼, 엘로디 융, 살마 아예크가 출연한다.[2]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각주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잘나가는 트리플A급의 경호원이었지만 눈앞에서 벌어진 경호대상의 암살을 막지못해 트리플 A급을 박탈당한 마이클 브라이스. 이후 그는 인터폴 요원이었던 여자친구 아멜리아 루셀하고도 헤어지게 된다. 루셀이 경호대상의 신원을 노출시켰다고 생각하며 모든 책임을 그녀에게 돌린 탓이었다. 2년후, 약쟁이 변호사나 보호하는 삼류경호원으로 전락한 마이클은 어느날 루셀로부터 O형 수혈봉지 3봉을 들고 자신이 말하는 곳으로 오라는 연락을 받는다. 이후, 시키는대로 루셀을 찾아간 마이클은 그곳에서 자신을 28번이나 죽일뻔한 최악의 킬러 다리우스 킨케이드를 만난다. 철천지 원수였던 두사람은 만나자마자 드잡이를 벌이지만 그때 다리우스가 심각한 부상을 입은터라 얼마 못가 기절해버리면서 상황은 종료됐다. 그리고 루셀은 마이클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기 시작한다. 독재자로 악명높았던 벨라루스의 전 대통령 블러드슬라프 두코비치는 군대를 동원한 민간인 학살혐의로 구속됐고 헤이그 법정에서 재판이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두코비치는 반성하기는커녕 사람을 풀어 재판에 출석하기로 한 증인들을 암살한뒤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날 술수를 부리고 있었고 남은 증인은 다리우스가 유일했다. 인터폴에선 감옥에 수감된 아내 소니아를 출소시켜 준다는 조건으로 다리우스에게 증언을 요구했고 이를 받아들인 다리우스를 헤이그 법정으로 향하던 도중 정체모를 피습을 당해 경호를 맡은 요원들이 모두 그 자리에서 즉사해버렸고 극적으로 생명을 부지한 루셀은 급히 다리우스를 데리고 안전가옥으로 피신한 다음 마이클에게 SOS를 취한 것이다. 마이클이 해야할 일은 두코비치가 고용한 킬러들을 따돌리고 다리우스를 무사히 헤이그 법정까지 데려와 재판에 출석시키는 것. 하지만 뭐든 신중을 가하는 마이클과 몸부터 날리고 보는 다리우스의 동행은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었고 루셀은 다리우스로부터 인터폴 내부에도 두코비치가 고용한 첩자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는 첩자를 찾기위해 인터폴 사람들을 살피기 시작한다. 출연진[편집] 라이언 레이놀즈 - 마이클 브라이스 역 새뮤얼 L. 잭슨 - 다리우스 킨케이드 역 게리 올드먼 - 두코비치 역 살마 아예크 - 소니아 킨케이드 역 엘로디 융 - 아멜리아 루셀 역 조아킹 드 알메이다 - 푸셰 역 로드 핼렛 - 아시모프 교수 역 커스티 미첼 - 하르 역 샘 헤이즐딘 - 가렛 역 리차드 E. 그랜트 - 세이퍼트 역 조세핀 드 라 바움 - 인터폴 요원 역 오리 파이퍼 - 바클린 역 바리 아츠마 - 모레노 역 미카일 고레보이 - 리비틴 역 앨런 맥켄나 - 쿠퍼 역 칼 파러 - 법정 변호사 역 아툴 샤르마 - 변호사 역 솔로몬 타이워 저스티파이드 - 행인 역 크리스 윌슨 - ICC 판사 역 벨리저 비네브 - 시위자 역 아비 호에스 - 꽃집 점원 역 각주[편집] ↑ “'The Hitman's Bodyguard' Review: Ryan Reynolds, Samuel L. Jackson End Summer With A B-Movie Blast”. 《Forbes》. 2017년 8월 10일.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오늘뭐보지?]'킬러의 보디가드' 예매율 1위…흥행돌풍”. 《머니투데이》. 2017년 9월 2일. 2017년 9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킬러의 보디가드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킬러의 보디가드 – 로튼 토마토 (영어) 킬러의 보디가드 – 메타크리틱 (한국어) 킬러의 보디가드 - 네이버 영화 이 글은 영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킬러의_보디가드&oldid=22655997" 분류: 2017년 영화영어 영화 작품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추적 영화버디 영화패트릭 휴스 감독 영화재판을 소재로 한 영화런던을 배경으로 한 영화벨라루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암스테르담을 배경으로 한 영화네덜란드를 배경으로 한 영화불가리아에서 촬영한 영화암스테르담에서 촬영한 영화런던에서 촬영한 영화라이온스 게이트 엔터테인먼트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화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MagyarԱրեւմտահայերէն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Српски / srpskiУкраїнська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3일 (수) 16:0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킬러의 보디가드》(영어: The Hitman's Bodyguard)는 2017년 미국의 액션 코미디 영화로, 살인청부업자와 그의 보디가드 콤비의 이야기를 그린다. 패트릭 휴스 감독이 연출하고 라이언 레이놀즈, 새뮤얼 L. 잭슨, 게리 올드먼, 엘로디 융, 살마 아예크가 출연한다.2018년 5월 속편 제작이 확정되었다. 속편 《킬러의 아내의 보디가드》가 2021년 개봉 예정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킬러의 보디가드에서 독재자인 블러드슬라프 두코비치의 재판은 어디서 열릴 예정인가? Assistant: 헤이그 Human: 아래 폴_티베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폴 티베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폴 티베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폴 티베츠 출생지 미국 일리노이주 퀸시 사망지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복무 미국 복무 기간 1937년 - 1966년 최종 계급 준장 근무 제2차 세계 대전 서훈 내역 수훈 십자 훈장 에어 메달 (4회) 훈공장(Legion of Merit) 공군 수훈 십자 훈장 명예 전상장 공군 수훈장 기타 이력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투하 2003년의 티베츠 폴 워필드 티베츠 2세(Paul Warfield Tibbets, Jr., 1915년 2월 23일 - 2007년 11월 1일)는,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국 공군에서 매우 유명한 조종사 중 한 사람이다. 히로시마 시에 원자폭탄 리틀 보이를 투하한 B-29 슈퍼포트리스의 기장이었다. 목차 1 생애 2 원자폭탄 3 전후 4 죽음과 평가 5 자손 생애[편집] 폴 티베츠는 1915년 일리노이주 퀸시에서 폴 워필드 티베트와 에놀라 게이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이오와주에서 산 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이사했다. 1928년에 일리노이주 알톤의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933년에 플로리다 대학에 입학하고 그 후 신시내티 의과대학에 입학해 1937년에 같은 대학을 졸업했다. 오하이오주 데이튼의 라이트 필드에서 육군 항공대에 입대했다. 1937년 2월 25일에 켄터키주 포트 토머스에서 육군 사관후보생이 된다. 태평양전쟁이 시작되면서 제29 폭격대에서 B-17 폭격기를 조종했다. 그 후 플로리다주 탄파의 마크디르 공군 기지에서 제40 항공단 97 폭격대의 지휘관이 된다. 1942년에는 나치 독일을 폭격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원자폭탄[편집] 1944년 12월, 원자폭탄 투하 부대인 제509혼성비행대 대장으로서 임명되어 부대를 편성한다. 이후 네바다주의 사막의 비밀 기지에서 원자폭탄 투하 훈련을 진행했고 다음 해에 부대가 태평양의 티니안 섬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제509혼성비행대는 일본 제국 본토에서 펌킨 폭탄으로 불리는 모의 원자 폭탄을 사용해 교토, 히로시마, 니가타, 기타큐슈 등을 폭격해 일본제국 민간인 백여 명을 죽이면서 원자폭탄을 투하하는 장소를 히로시마로 선정했다. 1945년 8월 6일 오전 2시 45분 , 미국 공군 대령 폴 티베츠는 B-29 폭격기 에놀라 게이를 티니안 섬에서 이륙하게 했다. B-29는 북향해 7시간 비행하여 일본 본토에 도착했다. 오전 8시 15분, 폴 티베츠는 히로시마 시 상공에서 원자폭탄 리틀 보이를 떨어뜨렸다. 참고로, 이 B-29에 붙여진 에놀라 게이는, 폴 티베츠의 어머니의 이름이다. 전후[편집] 전후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에 걸쳐 폴 티베츠는 많은 원자폭탄 실험에 조언했고 미국 최초 제트 폭격기인 보잉 B-47의 개발에도 공헌했다. 1954년에는 NATO의 임원으로 프랑스 파리에서 일했다. 1959년에는 준장으로 승진해 마크디르 공군기지의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폴 티베츠는 1966년 8월 31일 공군에서 퇴역하고 1976년에는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 본거지를 둔 제트 에이비에이션사의 사장으로 취임했다. 1976년, 텍사스 에어쇼에서 버섯구름까지 연출하는 원자폭탄 투하쇼를 재현했다. 이 쇼는 일각에서 강하게 비난받아 미국 행정부가 일본 행정부에 공식으로 사과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폴 티베츠는 "일본인을 모욕하려는 의도는 없었다." 라고 변명했다. 한편 그는, 자신이 관여한 핵 공격 임무를 "군인으로서 명령받은 이상,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자부했지만, 싸우기 좋아하는 사상을 바람직하지 않게 생각했다. 그는 1995년 한 인터뷰에서 "나는 대일본제국의 항복을 받아내려고 할 수 있는 일체를 하려고 했다. 악당들을 죽이고 싶었다!"라며 "(원자폭탄 투하로) 죽인 사람보다 많은 사람을 구했다는 내 확신은 불변했다. 원자폭탄을 보유하면서도 사용하지 않아 더 많은 사람을 죽게 했다면 더 큰 잘못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죽음과 평가[편집] 2007년 11월 1일, 심장병을 앓던 폴 티베츠는 뇌졸중으로 92세에 죽었다. 폴 티베츠는 원자폭탄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눈길을 의식해서 친구에게 사후에 장례식을 실시하거나 묘비를 만들지 말도록 부탁했다. 유언에 따라 그의 유해는 화장하여 바다에 뿌려졌다. 일각에서는 그가 평생 히로시마의 원폭 피해자들에 대해 사과하지 않은 것을 비판적으로 보기도 했다. 자손[편집] 폴 티베츠의 손자인 폴 티베츠 4세는, 2005년 현재 미국 공군 제509폭격비행단(509 BW)에서 스텔스 폭격기 B-2 스피릿의 조종사로서 복무한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폴 티베츠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3036142 LCCN: n78000305 ISNI: 0000 0000 8223 6615 GND: 13374838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폴_티베츠&oldid=23865269" 분류: 1915년 태어남2007년 죽음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미국 육군 군인미국 공군 준장미국의 비행사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플로리다 대학교 동문인도에 거주한 미국인콜럼버스 (오하이오주) 출신퀸시 (일리노이주) 출신숨은 분류: 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5일 (금) 17: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폴 워필드 티비츠 2세(Paul Warfield Tibbets, Jr., 1915년 2월 23일 - 2007년 11월 1일)는 제2차 세계 대전기의 군인이다. 히로시마시에 원자폭탄 리틀 보이를 투하한 B-29 슈퍼포트리스의 기장이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폴 티베츠가 대장으로 있던 원자폭탄 투하 부대의 이름이 뭐지? Assistant: 제509혼성비행대
Human: 아래 2000년_AFC_아시안컵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00년 AFC 아시안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00년 AFC 아시안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00년 AFC 아시안컵كأس آسيا 2000대회 개요개최국 레바논개최 기간 10월 12일 ~ 10월 29일예선 참가국 42개국참가국 12개국경기장 3개 최종 순위● 우승국 일본 (2번째 우승)● 준우승국 사우디아라비아● 3위 대한민국● 4위 중국통계총 경기수 26경기득점 총합 77 (한 경기 평균 2.96골)최다 득점 선수 이동국 (6골)최우수 선수 나나미 히로시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1996 2004 → v • d • e • h 2000년 AFC 아시안컵은 200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9일까지 레바논에서 개최된 12번째 AFC 아시안컵이다. 일본은 사우디아라비아를 결승전에서 모치즈키 시게요시의 결승골로 1-0으로 누르고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목차 1 개최국 선정 2 예선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4 선수 명단 5 조별 리그 5.1 A조 5.2 B조 5.3 C조 5.4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6 결선 토너먼트 6.1 8강전 6.2 준결승전 6.3 3,4위전 6.4 결승전 7 우승국 8 최종 순위 9 수상 9.1 MVP (최우수 선수) 9.2 최다 득점자 9.3 최고의 수비수 9.4 최고의 골키퍼 9.5 페어플레이 수상 9.6 올스타 팀 10 득점 선수 11 팀 득점 기록 12 각주 개최국 선정[편집] 레바논, 말레이시아, 대한민국, 중국, 홍콩이 2000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1996년 12월 20일에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레바논을 2000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1][2] 예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입니다. 레바논은 개최국으로서 자동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1996년 AFC 아시안컵 우승 팀으로서 자동으로 본선에 합류했다. 42개국이 예선에 참가해 10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의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이 팀들은 레바논과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본선에 진출한 10개국이다. 중국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쿠웨이트 대한민국 카타르 태국 우즈베키스탄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베이루트 시돈 트리폴리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사이다 국제경기장 국제 올림픽 경기장 수용인원: 48,837명 수용인원: 22,600명 수용인원: 22,400명 선수 명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2000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입니다. 조별 리그[편집]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2)을 따름. A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이란 7 3 2 1 0 6 1 +5 이라크 4 3 1 1 1 4 3 +1 태국 2 3 0 2 1 2 4 -2 레바논 2 3 0 2 1 3 7 -4 2000년 10월 12일 15:05 이라크 2 – 0 태국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가미카와 도루 드레인  27'마지드  58' 2000년 10월 12일 18:45 레바논 0 – 4 이란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루쥔 바게리  18'에스틸리  75', 87'다에이  90' 2000년 10월 15일 17:05 이란 1 – 1 태국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사드 카밀 알파들리 다에이  73' 피투라타나  12' 2000년 10월 15일 19:45 레바논 2 – 2 이라크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김영주 차루르  28'호제이즈  77' 칼라프  4', 22' 2000년 10월 18일 19:35 이란 1 – 0 이라크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루쥔 다에이  77' 2000년 10월 18일 19:35 레바논 1 – 1 태국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오메르 알메한나 페르난데스  82' 피투라타나  57' B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중국 5 3 1 2 0 6 2 +4 쿠웨이트 5 3 1 2 0 1 0 +1 대한민국 4 3 1 1 1 5 3 +2 인도네시아 1 3 0 1 2 0 7 -7 2000년 10월 13일 17:05 대한민국 2 – 2 중국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오메르 알메한나 이영표  29'노정윤  57' 마밍위  35'판즈이  65' (페널티골) 2000년 10월 13일 19:45 쿠웨이트 0 – 0 인도네시아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타자딘 파레스 2000년 10월 16일 17:05 중국 4 – 0 인도네시아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아마드 나빌 아야드 리밍  1'선쓰  7' (페널티골)양천  15'치훙  89' 2000년 10월 16일 19:45 대한민국 0 – 1 쿠웨이트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브라이언 홀 알후와이디  42' 2000년 10월 19일 19:35 중국 0 – 0 쿠웨이트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샴술 마이딘 2000년 10월 19일 19:35 대한민국 3 – 0 인도네시아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가미카와 도루 이동국  30', 75', 89' C조[편집]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일본 7 3 2 1 0 13 3 +10 사우디아라비아 4 3 1 1 1 6 4 +2 카타르 3 3 0 3 0 2 2 0 우즈베키스탄 1 3 0 1 2 2 14 -12 2000년 10월 14일 17:05 사우디아라비아 1 – 4 일본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알리 부지사임 모리오카 90′ (자책골) 야나기사와  22'다카하라  37'나나미  53'오노  88' 2000년 10월 14일 19:45 카타르 1 – 1 우즈베키스탄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모드 나즈리 압둘라 알발루시  60' 카시모프  73' 2000년 10월 17일 17:05 일본 8 – 1 우즈베키스탄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샴술 마이딘 모리시마  7'니시자와  14', 24', 49'다카하라  17', 20', 57'기타지마  78' 루샨  28' 2000년 10월 17일 19:45 사우디아라비아 0 – 0 카타르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타자딘 파레스 2000년 10월 20일 19:35 사우디아라비아 5 – 0 우즈베키스탄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김영주 알오타이비  18'샬후브  35', 78', 86'알테미아트  88' 2000년 10월 20일 19:35 일본 1 – 1 카타르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아마드 나빌 아야드 니시자와  60' 알오바이달리  22'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편집] 조별 예선이 끝난 뒤, 각 조에서 3위를 차지한 팀은 승점, 골득실을 비교하여 그 중에서 높은 점수를 낸 두 팀은 8강에 진출한다. 조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결과 B 대한민국 4 3 1 1 1 5 3 +2 8강전 진출 C 카타르 3 3 0 3 0 2 2 +0 8강전 진출 A 태국 2 3 0 2 1 2 4 -2 지역 예선 탈락 대한민국과 카타르가 각각 1, 2위를 차지함에 따라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10월 23일 - 시돈           중국  3 10월 26일 - 베이루트   카타르  1     중국  2 10월 24일 - 베이루트     일본  3     일본  4 10월 29일 - 베이루트   이라크  1     일본  1 10월 23일 - 트리폴리     사우디아라비아  0   이란  1 10월 26일 - 베이루트   대한민국 (AET)  2     대한민국  1 3·4위전 10월 24일 - 베이루트     사우디아라비아  2     쿠웨이트  2   중국  0   사우디아라비아 (AET)  3     대한민국  1 10월 29일 - 베이루트 8강전[편집] 2000년 10월 23일 16:45 이란 1 – 2(연장전) 대한민국 트리폴리, 국제 올림픽 경기장 심판: 알리 부지사임 바게리  71' 김상식  90'이동국 99' 2000년 10월 23일 19:45 중국 3 – 1 카타르 시돈, 사이다 국제경기장 심판: 모드 나즈리 압둘라 리밍  9'치훙  38'양천  54' 알에나지  65' 2000년 10월 24일 16:45 일본 4 – 1 이라크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타자딘 파레스 나나미  8', 29'다카하라  11'묘진  62' 오베이드  4' 이라크가 일본과의 8강전에서 1-4로 대패했을 때 골키퍼 하심 하산, 수비수 압둘 자베르, 공격수인 카탄 차티르는 우다이 후세인의 경호원들에게 3일 동안 채찍질을 당했다. 4일째 되던 날 그들은 잘못을 인정하고 다시는 그렇게 많은 골을 먹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나서야 풀려났다.[3] 2000년 10월 24일 19:45 쿠웨이트 2 – 3(연장전) 사우디아라비아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브라이언 홀 바샤르 압둘라  61'알후와이디  67' 알테미아트  45+1' 108'알메샬  67' 준결승전[편집] 2000년 10월 26일 16:45 대한민국 1 – 2 사우디아라비아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사드 카밀 알파들리 이동국  90' 알메샬  76', 80' 2000년 10월 26일 19:45 중국 2 – 3 일본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샴술 마이딘 치훙  30'양천  48' 판즈이 21′ (자책골)니시자와  53'묘진  61' 3,4위전[편집] 2000년 10월 29일 16:05 중국 0 – 1 대한민국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아마드 나빌 아야드 이동국  76' 결승전[편집] 2000년 10월 29일 18:45 일본 1 – 0 사우디아라비아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경기장 심판: 알리 부지사임 모치즈키  29' 우승국[편집] AFC 아시안컵 우승 일본 1 1  제12대 아시아 챔피언 (2회 우승) 1992년・2000년 최종 순위[편집] 순위 팀 경기수 승 무 패 득 실 득실차 승점 1 일본 6 5 1 0 21 6 +15 16 2 사우디아라비아 6 3 1 2 11 8 +3 10 3 대한민국 6 3 1 2 9 6 +3 10 4 중국 6 2 2 1 11 7 +4 8 5 이란 4 2 1 1 7 3 +4 7 6 쿠웨이트 4 1 2 1 3 3 0 5 7 이라크 4 1 1 2 5 7 -2 4 8 카타르 4 0 3 1 3 5 -2 3 9 태국 3 0 2 1 2 4 -2 2 10 레바논 3 0 2 1 3 7 -4 2 11 인도네시아 3 0 1 2 0 7 -7 1 12 우즈베키스탄 3 0 1 2 2 14 -12 1 수상[편집] MVP (최우수 선수)[편집] 나나미 히로시 최다 득점자[편집] 이동국 - 6골 최고의 수비수[편집] 이영표 최고의 골키퍼[편집] 장진 페어플레이 수상[편집] 중국 올스타 팀[편집]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 장진 홍명보 모하메드 알킬라이위 자말 무바레크 나나미 히로시 나와프 알테미아트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 카림 바게리 나카무라 슌스케 이동국 다카하라 나오히로 득점 선수[편집] 6 골 이동국 5 골 니시자와 아키노리 다카하라 나오히로 3 골 치훙 양천 알리 다에이 나나미 히로시 탈랄 알메샬 모하마드 알샬후브 나와프 알테미아트 2 골 리밍 카림 바게리 하미드 레자 에스틸리 사바 자디르 칼라프 묘진 도모카즈 자셈 알후와이디 사케산 피투라타나 1 골 판즈이 선쓰 쑤마오전 카탄 드레인 아바스 오베이드 자심 하이다르 마흐무드 마지드 기타지마 히데아키 모치즈키 시게요시 모리시마 히로아키 오노 신지 야나기사와 아쓰시 바샤르 압둘라 압바스 차루르 루이스 페르난데스 무사 호제이즈 모하메드 골람 알발루시 모하메드 살렘 알에나지 압둘 나시르 알리 알오바이달리 마르주크 모하메드 알오타이비 김상식 이영표 노정윤 미르잘롤 카시모프 세르게이 루샨 자책골 판즈이 (일본전) 모리오카 류조 (사우디아라비아전) 팀 득점 기록[편집] 21골 일본 11골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9골 대한민국 7골 이란 5골 이라크 3골 쿠웨이트 레바논 카타르 2골 태국 우즈베키스탄 0골 인도네시아 각주[편집] ↑ “<아시안컵축구 낙수> 레바논, 제12회대회 유치 가능성”.  ↑ “2천년 아시안컵 축구 레바논서 개최 결정”.  ↑ 《바그다드 동물원 구하기》. 120쪽.  vdehAFC 아시안컵본선 홍콩 1956년 대한민국 1960년 이스라엘 1964년 이란 1968년 태국 1972년 이란 1976년 쿠웨이트 1980년 싱가포르 1984년 카타르 1988년 일본 1992년 아랍에미리트 1996년 레바논 2000년 중국 2004년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년 카타르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아랍에미리트 2019년 중국 2023년 2027년 예선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2023년 2027년 결승전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선수 명단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2007년 2011년 2015년 2019년 1956년부터 1968년까지는 결승전은 없었으며, 대신 우승국을 조별 리그전으로 정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00년_AFC_아시안컵&oldid=24274579" 분류: 2000년 AFC 아시안컵레바논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2000년 축구2000년 레바논2000년 10월숨은 분류: 아랍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ҚазақшаLietuviųमराठीBahasa Melayu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5일 (토) 05:0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00년 AFC 아시안컵은 2000년 10월 12일부터 10월 29일까지 레바논에서 개최된 12번째 AFC 아시안컵이다. 일본은 사우디아라비아를 결승전에서 모치즈키 시게요시의 결승골로 1-0으로 누르고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00년에 열린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에서 B조의 경기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Assistant: 팀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골득실 중국 5 3 1 2 0 6 2 +4 쿠웨이트 5 3 1 2 0 1 0 +1 대한민국 4 3 1 1 1 5 3 +2 인도네시아 1 3 0 1 2 0 7 -7 Human: 아래 새서울고속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새서울고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서울고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서울고속 주식회사New Seoul Express Co.,Ltd. 산업 분야 운수업 창립 2000년 9월 27일 시장 정보 비상장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죽천로 33 (복대동) 핵심 인물 권영선, 권오석 (대표이사) 제품 시외버스 자본금 500,000,000원 (2014년) 매출액 24,808,663,041원 (2014년) 영업이익 2,568,631,452원 (2014년) 순이익 2,275,922,535원 (2014년) 자산총액 15,935,841,802원 (2014년) 계열사 서울고속, 대한상운, 삼부개발 웹사이트 서울고속 새서울고속(―高速)은 충청북도의 시외버스 업체로,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에 본사가 있다. 계열사로는 같은 충청북도의 시외버스 업체인 서울고속을 비룻하여 삼부개발과 서울특별시의 택시업체인 대한상운이 있다. 목차 1 역사 2 명칭에 대한 오해 3 운행 노선 3.1 고속버스 3.2 시외버스 4 운행 차량 5 더 보기 6 각주 역사[편집] 회사의 전신은 1962년 12월 29일 직행버스 면허를 취득한 충일고속으로 2000년 9월 27일 서울고속이 충일고속을 인수한 후 재창립되었다. 고속버스 면허는 2006년 6월 15일에 취득하였다. 명칭에 대한 오해[편집] 원래 있던 서울고속이 충일고속의 시외버스 사업을 인수하면서 법인 자체가 아닌 차량과 면허, 인력만을 인수하여 기존의 명칭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새서울고속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새서울고속과 서울고속은 서울특별시와 전혀 무관하다. 또한 경기도 평택시에 소재한 경기 서울고속과도 관계없는 별개 업체이다. 운행 노선[편집] 2015년 12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 면허 대수 대수 합계 직행형 고속형 예비 새서울고속 129 119 8 2 고속버스[편집] 2019년 4월 기준이다.[2]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운행노선 공동운행사 운행구간 경유지 운행 대수 비고 일반 우등 서울남부 ↔ 북청주 서울고속 서울남부 ↔ 북청주 오창산단 - 7 미운행 노선 청주 ↔ 경주 청주 ↔ 경주 - 2 2016년 3월 2일 고속버스로 전환 인가 시외버스[편집] 남서울발 노선 남서울 ~ 청주 ~ 보은 ~ 속리산 남서울 ~ 청주 ~ 보은 ~ 상주 남서울 ~ 오송읍주민센터 ~ 오송역 ~ 오송생명과학단지 청주발 노선 청주 ~ 센트럴시티 (일부 노선 속리산발) 청주 ~ 남서울 (일부 노선 속리산, 상주발) 청주 ~ 안산 (금남고속, 경기대원삼흥고속 공동 운행) 청주 ~ 성남 (경기대원삼흥고속 공동 운행) 청주 ~ 의왕 ~ 안양 (금남고속, 경기대원삼흥고속 공동 운행) 청주 ~ 오산 ~ 수원 (경기대원삼흥고속 공동 운행) 청주 ~ 신갈 ~ 영통 ~ 아주대학교 ~ 수원 청주 ~ 송탄 청주 ~ 평택 (경기대원삼흥고속, 충북리무진 공동 운행) 청주 ~ 보은 ~ 속리산 청주 ~ 보은 ~ 상주 청주 ~ 경주 ~ 불국사 ~ 입실 ~ 울산 청주 ~ 강구 ~ 포항(아성천마고속 공동 운행) 청주 ~ 제천 (고속도로 직통) 북청주발 노선 북청주 ~ 센트럴시티 (일부 시간대 청주국제공항 경유) 북청주 ~ 오창과학산업단지 ~ 수원 포항발 노선 포항 ~ 경주 ~ 동서울 (경기대원삼흥고속, 아성천마고속과 공동 운행) 포항 ~ 경주 ~ 구리 ~ 의정부 (경기대원삼흥고속, 아성천마고속 공동 운행) 운행 차량[편집] 기아자동차 기아 그랜버드 SD 시리즈 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기아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현대자동차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력셔리 더 보기[편집] 서울고속 각주[편집] ↑ 시외고속버스 면허대수 현황, 충청북도청 교통물류과, 2015년 12월 작성. ↑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년 4월 12일. vdeh충청북도의 버스 기업시내버스 업체 단양버스 동양교통 동일버스 동일운수 삼화버스공사 신흥운수 아성교통관광 옥천버스운송 우진교통 음성교통 제천교통 제천운수 진천여객 청신운수 청주교통 충주교통 한성운수 시외버스 업체 금호속리산고속 새서울고속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친선고속 코리아와이드대성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새서울고속&oldid=24120013" 분류: 충청북도의 시외버스 기업충청북도의 고속버스 기업충청북도의 공항버스 기업2000년 설립청주시의 교통흥덕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29일 (월) 15:3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새서울고속(―高速)은 충청북도의 시외버스 업체로, 본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에 있다. 계열사로는 같은 충청북도의 시외버스 업체인 서울고속을 비룻하여 삼부개발과 서울특별시의 택시업체인 대한상운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남부와 북청주 사이를 운행하는 새서울고속의 운행노선은 어느 곳을 경유하는가? Assistant: 오창산단
Human: 아래 박원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박원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박원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글의 중립성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주관적인 내용이나 감정적인 표현은 없는지, 고려할 가치가 있는 여러 관점이 편견 없이 공정하게 반영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2014년 1월) 박원규(朴元圭, 1957년 11월 2일~2014년 1월 18일)는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로서, 목재의 나이테를 측정하는 연륜연대학 연구자이다. 목차 1 숭례문 조사 2 관련보도 3 더 보기 4 각주 숭례문 조사[편집] 박교수는 충북대의 교수연구실에서 목을 매어 사망했으며, 양복 주머니에서 '너무 힘들다, 먼저 가서 미안하다'는 메모가 발견되어, 자살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자살하는 사람이 아내와 점심식사를 약속하고 그 시간에 갑자기 자살했다는 것은 그렇게 상식적인 사례는 아니다.[1] 2014년 1월 3일,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숭례문 복구와 앞선 광화문 복원 공사에서 나무를 공급한 신응수 대목장이 관급 목재를 빼돌리고 값싼 러시아산 소나무로 바꿔치기했다는 의혹과 관련하여 법원의 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신 대목장 서울 자택과 그의 아들이 운영하는 강릉 W 목재상, 광화문 안에 있는 신 대목장의 치목장(나무를 다듬는 곳) 등 5∼6곳을 압수수색했다. 박교수가 경찰측의 수사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맡았다.[2] [박원규/충북대 목재종이과학과 교수 : 준경묘(금강송) 채취가 아님이 유력한 것으로 2개, 5개는 판단 불가가 되겠습니다.]. 이 보도는 2014년 1월 17일에 보도되었다.[3] 그리고 하루 뒤에 아내와의 점심식사를 약속한 상태에서 갑자기 교수연구실에서 사망했다. 관련보도[편집] 2000년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의 박원규 박사가 폴란드 순수예술원의 코마스 봐즈니 교수 등과 함께 경복궁 경회루에 사용된 소나무의 나이테를 검사한 결과 이 목재가 1864∼1866년 겨울에 벌목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경회루 축조 연대(1867년)와 일치하는 것으로 연륜연대측정법의 정밀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4]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박원규(42.산림과학부) 교수는 폴란드 순수예술원보존학부 토마스 봐즈니(Tomasz Wazny) 교수 등 5명과 공동으로 최근 발표한 `고목재 나이테를 이용한 한국 전통목조건축의 연대측정' 제하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5] 우리나라는 충북대에 있는 목재연륜소재은행(은행장 박원규 교수)이 지난 10년간 소나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800년 전까지 나이테 패턴을 확보해 두었다.[6] 2010년 박원규 충북대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는 "건축물 나무 부재(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재료)의 벌채 연도를 알면 건축 시기를 추측할 수 있다"며 "숭례문 목부재 68점의 나이테 연대를 측정한 결과 1860년대에 대대적인 지붕 공사가 있었던 흔적을 찾았고, 조선 태조 때 사용됐던 건축양식을 가진 목부재도 알아냈다"고 말했다.[7] 더 보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각주[편집]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59&oid=449&aid=000000560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68277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37&aid=000002443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06342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0714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1&aid=0000210492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3240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박원규&oldid=23596882" 분류: 1957년 태어남2014년 죽음목 매달아 자살한 사람대한민국의 과학자숨은 분류: 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문서/2014년 1월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모든 문서전체의 중립성에 이의가 제기된 문서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1월 31일 (목) 04: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박원규(朴元圭, 1957년 11월 2일~2014년 1월 18일)는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로서, 목재의 나이테를 측정하는 연륜연대학 연구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박원규 박사와 관련된 보도의 내용은 무엇인가? Assistant: 2000년 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의 박원규 박사가 폴란드 순수예술원의 코마스 봐즈니 교수 등과 함께 경복궁 경회루에 사용된 소나무의 나이테를 검사한 결과 이 목재가 1864∼1866년 겨울에 벌목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경회루 축조 연대(1867년)와 일치하는 것으로 연륜연대측정법의 정밀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었다.[4] 충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박원규(42.산림과학부) 교수는 폴란드 순수예술원보존학부 토마스 봐즈니(Tomasz Wazny) 교수 등 5명과 공동으로 최근 발표한 `고목재 나이테를 이용한 한국 전통목조건축의 연대측정' 제하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5] 우리나라는 충북대에 있는 목재연륜소재은행(은행장 박원규 교수)이 지난 10년간 소나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800년 전까지 나이테 패턴을 확보해 두었다.[6] 2010년 박원규 충북대 목재·종이과학과 교수는 "건축물 나무 부재(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재료)의 벌채 연도를 알면 건축 시기를 추측할 수 있다"며 "숭례문 목부재 68점의 나이테 연대를 측정한 결과 1860년대에 대대적인 지붕 공사가 있었던 흔적을 찾았고, 조선 태조 때 사용됐던 건축양식을 가진 목부재도 알아냈다"고 말했다.[7] Human: 아래 황산벌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산벌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산벌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반굴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황산벌 전투신라의 백제 정벌의 일부날짜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장소황산벌, 현재 논산시 연산면 인근결과 신라의 승리, 백제의 수도 사비성 포위백제 멸망교전국 백제 신라지휘관 계백† 충상 상영 김유신 김흠순 김품일 김천존 김반굴† 김관창†김법민병력 5,000명 50,000명피해 규모 4,980명 불명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사기》 계백 열전,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 목차 1 배경 2 전투 3 결과 4 황산벌 전투를 다룬 작품 5 주해 6 각주 7 외부 링크 배경[편집] 642년(의자왕 2)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해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함락한 사건은 신라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1] 신라는 고구려의 힘을 빌리려 하였으나 실패하고[2] 당에 구원을 요청한다. 김춘추는 당으로 건너가 나·당 간의 동맹을 맺는 데 성공하였다. 660년 당 고종은 소정방(蘇定方)을 신구도행책총관(神丘道行策摠管)으로 삼고 유백영(劉伯英), 풍사귀(馮士貴) 등과 함께 13만 군사를 거느리고 백제를 정벌케 했다.[3] 태종무열왕은 김유신을 우이도행군총관(嵎夷道行軍摠管)으로 삼고 군사 5만 명을 거느리고 당군과 합세하게 하였다.[3] 당나라는 수로를 이용해 백제의 백강(白江) 쪽으로 쳐들어갔고, 신라군은 육로를 이용하여 백제의 탄현(炭峴)[주 1] 쪽으로 쳐들어갔다. 660년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대대적으로 침공해 오자, 의자왕은 대소신료들과 대책을 논의하였다. 좌평 의직(義直)은 당군과 먼저 결전할 것을 주장했고, 달솔 상영(常永)은 신라군을 먼저 친 뒤에 당군을 막자고 해 의견이 갈렸다.[1] 또한, 귀양 중이던 흥수(興首)는 평야에서 접전하면 불리하므로 백강과 탄현을 선점해 연합군이 피곤해지기를 기다렸다가 공격하자고 건의한 반면, 대신들은 연합군이 각각 백강과 탄현을 오른 뒤에 공격하는 것이 이롭다고 주장했다.[1] 이렇게 의견이 나뉘어 다투는 동안 연합군은 요충지인 백강(白江)과 탄현(炭峴)을 넘어 왔다. 이에 의자왕은 급히 계백을 황산벌로 보내 신라군과 싸우게 하였다. 계백은 죽음을 각오한 군사 5천 명을 뽑아 출전 준비를 하였다. 그리고 “한 나라의 사람으로서 당과 신라의 대규모 병력을 맞게 되었으니, 국가의 존망(存亡)을 알 수 없다. 내 처와 자식들이 잡혀 노비(奴婢)가 될까 염려된다. 살아서 치욕을 당하는 것보다 죽어서 흔쾌한 편이 나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처자식을 모두 죽인 후 출전하였다.[4] 전투[편집] 8월 20일(음력 7월 9일) 신라군이 황산벌에 도착했을 때, 백제군은 이미 산직리 산성, 모촌리 산성, 황령 산성 3곳에 진영을 두고 기다렸다. 당시 달솔 계백은 좌평 충상, 달솔 상영과 함께 백제군을 지휘하였다.[주 2] 황산벌에 도착한 계백은 “지난 날 구천(句踐)은 5천 명으로 오나라 70만의 무리를 격파하였다. 지금 오늘 마땅히 각자 힘써 싸워 승리함으로써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자”[6]며 병사들을 독려했고, 과연 백제군은 사기가 올라 신라군과 네 번 싸워 네 번 격파하였다. 신라군은 네 번의 패배로 전세가 불리해지고 사기가 떨어졌다. 이에 김유신의 동생 김흠순이 아들 반굴(盤屈)을 전장에 투입하니, 반굴은 힘껏 싸우다 죽었다. 반굴이 죽자 김유신의 조카인 좌장군 김품일은 16세의 아들 관창(官昌)을 시켜 적진으로 돌격하게 하였다. 관창은 갑옷을 입힌 말을 타고 창 한 자루를 가지고 적진으로 달려 갔다가 적에게 사로잡혀서 산 채로 계백에게 끌려갔다.[7] 계백이 투구를 벗기게 하였는데, 그 나이가 어리고 용감함을 아껴서 차마 해치지 못하고 탄식하며 말하기를, “신라에게 대적할 수 없겠구나. 소년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하물며 장정들이랴!”라 하고 살려서 보내도록 하였다.[7] 신라군으로 돌아간 관창은 품일에게 간단한 인사만 한 후 또다시 백제군에 쳐들어 갔다. 결국 계백은 관창을 잡아 목을 베었다. 관창의 죽음에 신라군은 죽을 각오로 덤비니 결국 백제군은 패하고 부하들과 함께 계백은 죽었다. 결과[편집] 이때 백제군은 모두 전멸한 것이 아니라 충상, 상영 등 20여 명이 살아 남아 신라의 포로로 잡혔다. 황산벌 전투가 있던 날 소정방의 당군은 기벌포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신라군과 합류하였다. 소정방은 김유신 등이 약속 기일보다 늦었다고 하여 신라독군(新羅督軍) 김문영(金文穎)을 참수하려 하였다. 김유신은 “대장군(大將軍)이 황산(黃山)에서의 싸움을 보지도 않고 약속한 날짜에 늦은 것만을 가지고 죄를 삼으려고 하는데, 나는 죄가 없이 모욕을 받을 수 없다. 반드시 먼저 당나라의 군사와 결전을 한 후에 백제를 깨뜨리겠다.”라고 하였다.[8] 이 말을 들은 동보량(董寶亮)이 소정방에게 귓속말로 “신라의 군사가 장차 변란을 일으킬 듯합니다.”라고 하자 소정방이 김문영을 풀어주었다.[8] 11월이 되어 전공을 논할 시 태종무열왕은 항복한 충상, 상영 등을 최대한 예우해주는 차원에서 왕족을 제외한 가장 높은 신분인 6두품과 제7관등인 일길찬의 관직을 주고, 기타 백제인들에게도 백제 시절의 서열을 고려하여 그에 걸맞은 두품과 관직을 하사하였다.[9] 전사한 관창(官昌)은 급찬(級湌)에 추증하고 예로써 장례를 지내 주었으며, 그 집에는 당나라 비단 3십 필, 20승포 3십 필과 곡식 1백 섬을 내려 주었다.[10] 황산벌 전투를 다룬 작품[편집] 《황산벌》 (이준익, 2003년) 주해[편집] ↑ 현재 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과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사이의 고개로 비정됨 ↑ 백제군은 계백이 이끄는 5천 결사대를 비롯하여 세 곳에 5천씩 총 1만5천 명이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5] 각주[편집] ↑ 가 나 다 노중국, 황산벌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통일신라와 발해 > 신라의 삼국통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삼국유사》 권 제1 > 제1 기이(紀異第一) >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 > 태종이 당의 소정방 등과 연합하여 백제로 진격하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삼국사기》 권제47 열전(列傳) 제7 > 계백(階伯) > 계백이 출정의 의지를 다지다(660년 06월(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김용만, [해양 강국 백제를 찾아서] 계백의 5000 결사대 황산벌서 '최후의 전투', 《소년한국일보》 ↑ 《삼국사기》 권제47 열전(列傳) 제7 > 계백(階伯) > 황산 벌판에서 싸우다(660년 06월 (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가 나 《삼국사기》 권제5 신라본기(新羅本紀) 제5 >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 김유신 등이 황산의 벌판으로 진군하다 (660년 07월09일(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가 나 《삼국사기》 권제5 신라본기(新羅本紀) 제5 >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 소정방이 기벌포에 도착하다 (660년 07월09일(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삼국사기》 권제5 신라본기(新羅本紀) 제5 >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 싸움에서의 공을 논하다 (660년 11월22일(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삼국사기》 권제47 열전(列傳) 제7 > 관창(官昌) > 급찬으로 추증되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외부 링크[편집] 《삼국사기》 권47 열전(列傳) 제7(第七) 계백(階伯)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삼국사기》 권47 열전(列傳) 제7(第七) 관창(官昌)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삼국사기》 권28 백제본기(百濟本紀) 제6(第六) 의자왕(義慈王) - 위키문헌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삼국사기》 권5 신라본기(新羅本紀) 제5(第五) 태종(太宗) 무열왕(武烈王)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제1(第一) 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신라의 삼국통일"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산벌_전투&oldid=23632456" 분류: 백제의 전투신라의 전투660년 분쟁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تۆرکجهEnglishEspañolفارسیBahasa IndonesiaNorsk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4일 (월) 13: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산벌 전투(黃山伐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신라군과 백제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다. 《삼국유사》 태종무열왕조, 《삼국사기》 계백 열전 등에 전투 내용이 나온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황산벌 전투에서 소정방이 김유신의 지각을 이유로 참수하려고 했던 사람은 누구였을까? Assistant: 김문영
Human: 아래 계명대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계명대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계명대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계명대 7번 출구 승강장 (영남대 방면) 개괄 관할 기관 대구도시철도공사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서구달구벌대로 지하1140 좌표 북위 35° 51′ 05″ 동경 128° 29′ 30″ / 북위 35.851524° 동경 128.491649°  / 35.851524; 128.491649 개업일 2005년 10월 18일 역 번호 220 승강장 구조 2면 2선 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 기점 6.6 km ← 강창 (1.1 km) 성서산업단지 →(1.2 km) 계명대역(啓明大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목차 1 특징 2 역명의 유래 3 역 구조 4 역사 4.1 승강장 5 역 주변 6 승차량 변동 7 인접한 역 8 각주 9 외부 링크 특징[편집] 신당네거리에 역이 있으며, 인근에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가 소재하여 계명대역이라는 역명이 부여되었다. 대구권 4년제 대학교 중 대구교육대학교에 이어 두 번째로 지하철이 연계되었다. 계명대학교의 정문은 이 역의 1번 출구에서 약 365m로 거리가 있는 편이기 때문에, 사람만 드나들 수 있는 입구가 이 역의 7번 출구에서 약 60m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며, 이곳을 통해 더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개찰구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으며, 2호선의 상대식 역들 중 강창역과 함께 단 둘뿐이다. 역명의 유래[편집] 인근에 있는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에서 유래되었다. 역 구조[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 역이다. 출구는 7개가 설치되어 있고, 모두 신당동에 소재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사[편집]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2016년 9월 10일 : 스크린도어 설치 승강장[편집] 강창 ↑ 하 | | 상 ↓ 성서산업단지 상행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대실·문양 방면 하행 반월당·범어·영남대 방면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역 주변[편집] 신당동 계명대학교 성서3차산업단지 성서첨단산업단지 우리은행 성서공단지점 E&C이노비즈타워 신흥버스 차고지 모다아울렛 성서병원 대구한마음병원 대구신당초등학교 신당중학교 신당종합사회복지관 성서종합사회복지관 성서주공1단지 성서주공3단지 성서종합시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구·경북지역대학 신당동 우체국 대구신서초등학교 성서농협 신당동지점 성서새마을금고 계명문화대학교 대구은행 계명대지점 계명아트센터 다사읍 서재리·방천리 방면 승차량 변동[편집] 역 인근에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도 있고, 주변 유동인구가 많아서 이용객이 많은 편이다. 현재 2호선의 역들 중 다섯 번째로 이용객이 많다. 노선 승차 인원[1] 주석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호선 6,615 7,091 6,971 7,216 7,265 7,769 7,897 8,234 8,399 8,500 8,347 8,248 인접한 역[편집]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19 강창문양 방면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21 성서산업단지영남대 방면 각주[편집] ↑ 원자료는 알림판>지하철자료실>통계자료,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외부 링크[편집] 대구도시철도공사 2호선 계명대역 소개 (철도 통합정보시스템) vdeh대구 도시철도 2호선문양 - 다사 - 대실 - 강창 - 계명대 - 성서산업단지 - 이곡 - 용산 - 죽전 - 감삼 - 두류 - 내당 - 반고개 - 청라언덕 - 반월당 - 경대병원 - 대구은행 - 범어 - 수성구청 - 만촌 - 담티 - 연호 - 대공원 - 고산 - 신매 - 사월 - 정평 - 임당 - 영남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계명대역&oldid=23226338" 분류: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달서구의 전철역2005년 개업한 철도역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2월 8일 (토) 19:0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계명대역(Keimyung University station, 啓明大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신당네거리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전철역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계명대 역 주변 중학교의 이름은? Assistant: 신당중학교 Human: 아래 2016년_하계_올림픽_개막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6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6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개막식 2016년 하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 경기장 마스코트 성화 봉송 메달 집계 (메달리스트) 개회식 (기수) 폐회식 논쟁 패럴림픽 IOC · COB · COJOPR 2016년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은 2016년 8월 5일 금요일 (현지)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스타디움에서 오후 8시 (현지 시간, 한국 시각 8월 6일 오전 8시)에 시작됐다.[1] 올림픽의 개막식은 올림픽 헌장의 수칙에 의하여 국제 스포츠 행사의 일반적인 개회 식순 (환영사와 국기 게양, 선수단 입장)과 더불어 개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예술적인 연출을 혼합 구성하게 된다. 이날 개막식에는 78,000명의 관객이 참석했다.[2] 목차 1 준비 2 장소 3 개막식 3.1 성화 점화 4 참석 귀빈 5 각주 6 외부 링크 준비[편집] 개막식의 연출 감독은 페르난두 메이렐리스, 다니엘라 토마스, 안드루샤 워징턴이 맡았다.[3] 브라질의 유명 안무가 데보라 코우케르는 개막식의 안무를 담당할 자원봉사자 6,000명을 선발하고, 2016년 5월 말부터 리허설을 시작했다.[4] 메이렐리스는 2016년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과 폐회식에 들어가는 예산이 총 합쳐서 2012년 하계 올림픽에 들어간 예산의 10% 수준에 불과하여 최근 몇 차례의 올림픽보다 상당히 적은 예산이 들어간다고 밝혔다. 메이렐리스는 "위생 시설도 부족하고 교육도 예산이 부족한 이 나라에서 런던이 쓴 만큼 낭비하기엔 부끄러울 것"이라면서, "미친 듯이 돈을 쓰지 않게 되어 매우 기쁘다. 이만큼 부족한 예산으로 작업하게 되어 행복하다. 왜냐하면 브라질로서는 알맞은 것이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메이렐리스는 적은 예산으로 인해 개막식에 움직이는 무대나 드론 같은 "하이테크" 방식은 삼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동 감독을 맡은 레오나르두 카에타누는 개막식의 컨셉트가 "호사로움"을 넘어선 "독창성", 그리고 "창의성과 리듬과 감정으로 보충할 것"이라고 이어 밝혔다.[5][6] 2016년 7월 15일, 가수 아니타, 카에타누 벨로주, 지우베르투 지우가 개막식 동안 공연에 참여할 것으로 발표됐다. 지우와 벨로주는 개막식 연출 자문가로도 참여했었다. 다니엘라 토마스 감독은 이들 가수의 참여가 브라질 음악의 "최고"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7] 장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마라카낭 스타디움입니다. 개막식이 열린 마라카낭 스타디움은 2014년 FIFA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을 위해 대규모 개조 공사가 착수됐다. 기존에 있던 2단 배치의 좌석층은 철거하고 1단 좌석층으로 새로 꾸몄다.[8] 스타디움에 원래 있던 콘크리트 지붕도 철거하고 팽팽한 섬유 유리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덮어 대체했다. 이렇게 새로 올려진 지붕은 2층의 일부 좌석과 각 구역의 출입구 위만 가렸던 기존의 설계와는 달리, 스타디움 내에 있는 좌석의 95%까지 가려주게 되었다. 개막식[편집] 2016년 하계 올림픽 나라별 기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5년 9월 페르난두 메이렐리스는 개막식이 브라질의 비전과 "내가 바라는 브라질의 미래"를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메이렐리스는 클리셰 (뻔한 내용)를 넣지 않으려 애썼으나 전부 피하긴 어려웠다고 밝혔는데, 예를 들어서 리우 카니발이 개막식에 들어가게 되었다고 말했다.[9] 개막식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다니에우 조빙이 <이파네마에서 온 소녀>를 부르는 가운데 2015년 은퇴한 브라질 출신의 유명 모델 지젤 번천이 스타디움을 가로질러 워킹을 선보이는 것이었다.[10][11] 한편 레아 T가 개막식 공연에 참여하여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트랜스여성이 참가하게 되었다.[12] 성화 점화[편집] 개막식의 마무리는 올림픽 성화 봉송이 장식했다. 마지막으로 구스타부 케르텡이 올림픽 성화봉을 들고 스타디움 안으로 들어오고, 올림픽 성화를 오르텐시아 마르카리에게, 마르카리는 다시 반데를레이 코르데이루 지 리마에게 전달했다. 반데를레이 코르데이루 지 리마는 최종 주자가 되어 성화를 성화대에 붙였다.[13] 참석 귀빈[편집] 처음에는 최소 100명의 국가 수장이 개막식에 참석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진행중인 자국 정치 현안이나 다른 사정으로 인해 참석을 보류하게 되었다.[14] 최종적으로는 총 28개국에서 자국 대표가 개막식에 참석할 것이라고 공식 확인했다.[15] 마르크 뤼터 총리[16] 에딧 스히퍼르스 장관[16] 빌럼 국왕[16] 프레데리크 왕세자[17] 메리 왕세자빈[17]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18]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대통령[19] 알베르 2세 대공[20] 존 케리 국무장관 필리프 국왕[21] 마우리시오 마크리 대통령[22] 프린세스 로열 앤 (여왕 대리)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14] 마테오 렌치 총리[22] 기오르기 마르그벨라슈빌리 대통령[23] 류옌둥 상무부총리[24] 밀로시 제만 대통령[25]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국왕 캐나다 데이비드 로이드 존스턴 총독[26] 하심 타치 대통령 후안 마누엘 산토스 대통령[22] 오라시오 카르테스 대통령[22]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대통령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14] 아데르 야노시 대통령[27] 올림픽 포털 각주[편집] ↑ “Tickets”. 2015년 3월 31일. 2015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4일에 확인함.  ↑ “Opening Ceremony of Rio 2016 Summer Olympics”. 2016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Rio Olympics committee reveals opening ceremony details”. 2015년 7월 29일.  ↑ “Opening ceremony choreographer promises masterpiece of dance and passion”.  ↑ “Rio Olympics Ceremony to Cost 10% of London's Lavish Event Open”. 《Bloomberg》.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Rio 2016 promise "original" Olympic Opening Ceremony despite low budget”. 《InsideTheGames.biz》.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Rio Olympics: Anitta, Caetano Veloso, Gilberto Gil to Perform at Opening Ceremony”. 《Billboard》. 2016년 7월 31일에 확인함.  ↑ “Maracanã”. 《The Stadium Guide》.  ↑ “Rio Olympics organizers: Opening ceremony will be cheap”. 《CBC 스포츠》. 2015년 9월 22일.  ↑ Heldman, Breanne L. “Gisele Bündchen dazzles at the Olympics Opening Ceremony in Rio”. 《Entertainment Weekly》. 2016년 8월 5일에 확인함.  ↑ “Gisele Bündchen to Walk the 2016 Olympics Opening Ceremony”. 2016년 7월 18일.  ↑ “Who is Lea T, the transgender model taking part in the Rio 2016 opening ceremony?”. 《rio2016.com》.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Opening Ceremony〉. 《2016 Summer Olympics》. 2016년 8월 5일. NBC.  ↑ 가 나 다 “Foreign leaders slow to commit to Rio opening ceremony”.  ↑ “Fewer heads of state than expected to attend Rio 2016 Olympics: Sources”. 2016년 8월 4일.  ↑ 가 나 다 “Koning en ministers naar Spelen in Rio”.  ↑ 가 나 “Demark & Monaco royals arrive in Rio for 2016 Olympics”.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rio2016.com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 “D. Grybauskaitė tikisi, kad Rio triumfuos tik garbingas sportas”. 2016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6일에 확인함.  ↑ “Príncipe Albert II, de Mônaco, desembarca no Rio”.  ↑ “Koning Filip en koningin Mathilde op openingsceremonie OS”.  ↑ 가 나 다 라 “Mais de 40 chefes de estado assistirão abertura da Olimpíada, diz Serra”. 2016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Georgia’s President to attend Rio Olympic Games”. Agenda.ge. 2016년 7월 29일. 2016년 8월 5일에 확인함.  ↑ “Vice-Premier Liu Yandong greets media ahead of Rio Olympics”. State Counci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6년 8월 6일.  ↑ “Czech President confirms he will attend Opening Ceremony of Rio 2016”. 《Inside the G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Toolkit, Web Experience (2016년 7월 25일). “Governor General to be Canada’s official representative at Rio 2016 Olympic Games”.  ↑ “Áder az olimpia nyitó-, Orbán a záróünnepségén képviseli hazánkat” (헝가리어). OrientPress Hírügynökség. 2016년 8월 2일. 2016년 8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Sports24Hours: 각국 시간대별 올림픽 개막식 시작 시간 vdeh올림픽의 개막식과 폐막식개막식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폐막식하계 올림픽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동계 올림픽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202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6년_하계_올림픽_개막식&oldid=24260621" 분류: 2016년 하계 올림픽브라질의 축제올림픽 개막식숨은 분류: 참조 오류가 있는 문서CS1 - 헝가리어 인용 (hu)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বাংলা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orsk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தமிழ்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2일 (수) 1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6년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은 2016년 8월 5일 금요일 (현지) 리우데자네이루 마라카낭 스타디움에서 오후 8시 (현지 시간, 한국 시각 8월 6일 오전 8시)에 시작됐다. 올림픽의 개막식은 올림픽 헌장의 수칙에 의하여 국제 스포츠 행사의 일반적인 개회 식순 (환영사와 국기 게양, 선수단 입장)과 더불어 개최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예술적인 연출을 혼합 구성하게 된다. 이날 개막식에는 78,000명의 관객이 참석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6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의 리허설은 몇 월부터 시작했어? Assistant: 5월
Human: 아래 콜린_퍼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콜린 퍼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콜린 퍼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콜린 퍼스Colin Firth 콜린 퍼스 (2017년)본명 콜린 앤드루 퍼스Colin Andrew Firth출생 1960년 9월 10일(1960-09-10) (58세)잉글랜드 햄프셔주 그레이숏국적 영국직업 배우활동 기간 1983년 ~ 현재 형제자매 케이트 퍼스(여동생) 조너선 퍼스(남동생) 배우자 메그 틸리 (결혼 1989; 이혼 1994) 리비아 주졸리 (결혼 1997)자녀 3남수상 수상 목록 콜린 앤드루 퍼스(영어: Colin Andrew Firth, CBE[1], 1960년 9월 10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퍼스가 출연한 영화 42편이 세계적으로 30억 달러 이상 수익을 올렸다.[2] 그는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두 번의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세 번의 미국 배우 조합상, 베니스 국제 영화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그가 가장 큰 주목을 받은 작품은 조지 6세를 연기한 영화 《킹스 스피치》로 미국 아카데미상 외에도 많은 시상식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전세계적으로 4억 1,421만 1,549 달러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3] 퍼스는 1980년대 말 영국의 유망한 청춘 배우를 일컫는 "브릿 팩(Brit Pack)"의 구성원 중 한명으로, 1995년 TV 시리즈 《오만과 편견》의 "피츠윌리엄 다아시(Mr. Darcy)" 역할로 배우 경력에 큰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그밖의 이목을 끈 영화로는 《잉글리쉬 페이션트》, 《브리짓 존스의 일기》(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후보 지명), 《셰익스피어 인 러브》, 《러브 액츄얼리》에 출연하였다. 2009년 《싱글맨》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미국 아카데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2011년 그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였고, 《타임》지에서 선정한 "올해의 100인"에 선정되었다.[4] 그는 2007년 원체스터 대학에서 명예 박사학위와 2012년에는 런던시 자유상을 받았다. 퍼스는 원주민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단체 "서바이벌 인터내셔널"의 구성원으로 그는 또한 망명 신청자 및 난민의 권리와 환경 문제에 대한 선거 운동을 하고 있다.[5] 목차 1 초기 삶 2 사생활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텔레비전 3.3 연극 4 수상 및 후보 목록 5 서훈 6 각주 7 외부 링크 초기 삶[편집] 퍼스는 햄프셔주 그레이숏(Grayshott)에서 교육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셜리 진 퍼스(옛 성씨는 롤즈)은 킹 앨프리드 칼리지(현 윈체스터 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을 가르치는 교수였고, 그의 아버지 데이비드 노먼 루이스 퍼스는 킹 앨프리드 칼리지 역사학 조교수와 나이지리아 정부의 교육장으로 재직했다.[6][7][8] 퍼스는 3남매 중 장남으로 여동생 케이트 퍼스는 연극 배우 겸 보컬 코치이며, 남동생 조너선 퍼스는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퍼스의 부모는 인도에서 성장했으며,[9] 그의 외조부모는 회중 교회 목사였고, 그의 친조부는 성공회 성직자로 해외 선교 활동을 하였다.[10][11][12][13] 퍼스는 부모의 일로 여러 지역을 이동했고, 나이지리아에 몇년간 거주했다.[14] 그는 또한 만 11세때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살던 때를 “힘들었던 시기”라고 말한다.[15] 가족은 다시 영국으로 돌아왔고, 그는 햄프셔주 윈체스터에 위치한 몽고메리 오브 알라메인 스쿨(중학교, 현재 킹스 스쿨)에 다녔다. 그는 외부인이라는 이유로 따돌림의 대상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그는 지역 노동 계급의 햄프셔 악센트를 사용했는데, 학업에 대한 흥미의 부족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16] 그가 만 14세가 된 무렵, 퍼스는 이전에 만 10세때부터 연극 워크샵을 참석했던 것을 계기로 배우가 되기로 결정했다. 그는 이후 인터뷰에서 “나는 학교를 좋아하지 않았다. 난 그냥 썩 좋지는 않고 따분하다고 생각했고 그들이 가르치는 것에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라고 말했다.[15] 그러나, 햄프셔 주 이스트레이에 위치한 바턴 페버릴 식스 팜 칼리지(고등학교)에 진학한 그는 교사 페니 에드워드의 열정적인 가르침 덕분에 영문학을 좋아하게 되었고, “바턴 페버릴에서의 2년 동안이 인생에서 행복한 순간이었다.”라고 말한다.[17] 그는 이후 런던으로 처음 이동해 내셔널 유스 극장(National Youth Theatre)에 들어갔다. 거기서, 그는 영국 국립극장에서 의상 감수 일을 하며 연기와 병행하면서 세계의 많은 연기를 접했다.[16] 그리고 그는 드라마 센터 런던(Drama Centre London)에서 공부했다.[18] 사생활[편집] 2011년 1월, 퍼스와 아내 리비아 퍼스. 퍼스는 《발몽》에서 같이 연기한 배우 메그 틸리와 1989년 동거를 시작해, 다음해 1990년 첫 아들 윌리엄 "윌" 조셉 퍼스가 태어났다. 이후 퍼스 가족은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로어메인랜드로 이주했다. 1994년 콜린 퍼스는 메그 틸리와 결별했고, 영국에 다시 돌아올 때까지 연기 일을 잠시 줄였다.[19] 1997년, 퍼스는 9살 연하의 영화 제작자 겸 감독 리비아 퍼스(옛 성씨는 주졸리)와 재혼하였다. 두 사람은 현재 런던과 로마에 거주하고 있으며,[20] 루카(2001년 출생), 마테오(2003년 출생) 등 2명의 아들이 있다. 아내 리비아는 이탈리아인으로 퍼스도 어느정도로 유창하게 이탈리아어를 구사한다고 한다. 평소 축구를 좋아하고, 아스날 FC의 팬이다. 퍼스는 2007년 10월 19일 원체스터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21][22] 2011년 1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행사에서 톰 후퍼 감독과 후퍼 2011년 1월 13일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2429번째 스타로 입성하였다.[23] 2011년 4월, 《타임》지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중 한명으로 퍼스를 선정했다.[24] 2011년 6월에 퍼스는 영화와 연극 무대에서의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CBE 훈장 대상자로 선정되었고,[1] 2012년 3월 8일에는 런던시 자유상을 받았다.[25] 출연 작품[편집] 영화[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1984 어나더 컨트리 토미 주드 1985 1919 젊은 시절의 알렉산더 셰르바토브 1986 잃어버린 제국 Lost Empires 리처드 헌캐슬 1987 시골에서의 한 달 A Month in the Country 톰 버킨 1987 비밀의 화원 The Secret Garden 콜린 크레븐 1988 포클랜드의 생과 사 Tumbledown 로버트 로렌스 1989 아파트 제로 에이드리언 르덕 1989 발몽 발몽 1990 너무도 매력적인 여자 Femme Fatale 조지프 프린스 1990 명성의 날개 Wings of Fame 브라이언 스미스 1991 아웃 오브 더 블루 Out of the Blue 알랜 1993 변호사 The Hour of the Pig 리샤르 쿠르투아 1994 마스터 오브 더 무어 Master of the Moor 스티븐 월비 1994 플레이 메이커 Playmaker 마이클 콘드론 / 로스 탈버트 1995 단짝 친구들 Circle of Friends 사이먼 웨스트워드 1996 잉글리쉬 페이션트 제프리 클리프턴 1997 천 에이커 A Thousand Acres 제스 클라크 1997 피버 피치 폴 애슈워스 1998 셰익스피어 인 러브 웨식스 경 1999 블랙애더: 백 앤 포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단편 영화 1999 지금까지의 내 인생 My Life So Far 에드워드 페티그루 1999 여인들의 은밀한 웃음 The Secret Laughter of Women 매슈 필드 2000 상대적 가치 Relative Values 피터 잉글턴 2001 브리짓 존스의 일기 마크 다시 2001 컨스피러시 빌헬름 슈투카르트 2001 네가 어디 사는지 우리는 알고 있다 We Know Where You Live 본인 국제 앰네스티, 다큐멘터리 2002 진지함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Being Earnest 잭 워딩 2003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Girl with a Pearl Earring 요하네스 베르메르 2003 홉 스프링스 콜린 웨어 2003 러브 액츄얼리 제이미 베넷트 2003 왓 어 걸 원츠 헨리 대시우드 2004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열정과 애정 마크 다시 2004 트라우마 벤 슬라이터 2005 내니 맥피: 우리 유모는 마법사 Nanny McPhee 세드릭 브라운 2005 스위트 룸 Where the Truth Lies 빈스 콜린스 2006 본 이퀄 마크 아미테이지 2006 축하 파티 Celebration 러셀 단편 영화 2007 마지막 군단 The Last Legion 아우렐리우스 안토니우스 2007 아버지를 마지막으로 본 것은 언제입니까? And When Did You Last See Your Father? 블레이크 모리슨 2007 덴 쉬 파운드 미 프랭크 2007 세인트 트리니안스 제프리 스웨이츠 2007 감옥에서의 삶 In Prison My Whole Life 본인 다큐멘터리 2008 뉴욕은 언제나 사랑 중 The Accidental Husband 브래드 브래턴 2008 맘마 미아! 해리 브라이트 2008 이지 버츄 짐 휘터커 2008 제노바 조 2009 크리스마스 캐롤 프레드 (목소리 출연) 2009 도리언 그레이 헨리 워튼 경 2009 싱글 맨 조지 폴커너 2009 세인트 트리니안스 2: 프리튼 교장의 황금 전설 제프리 스웨이츠 2010 킹스 스피치 조지 6세 2010 메인 스트리트 거스 리로이 2010 스티브 스티브 2011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빌 헤이든 2012 스타즈 인 쇼츠 스티브 2012 갬빗 해리 딘 2013 아서 뉴먼 Arthur Newman, Golf Pro 아서 뉴먼 2014 레일웨이 맨 에릭 로맥스 2014 데블스 놋 론 랙스 2014 매직 인 더 문라이트 스탠리 / 웨이 린 수 2014 내가 잠들기 전에 벤 루커스 2015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해리 하트 / 갤러해드 2015 아이 인 더 스카이 프로듀서 2016 지니어스 맥스웰 퍼킨스 2016 러빙 프로듀서 2016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 마크 다시 2017 킹스맨: 골든 서클 해리 하트 2018 행복한 왕자 레기 터너 2018 더 머시 도날드 크로허스트 2018 맘마미아! 2 해리 브라이트 2018 메리 포핀스 리턴즈 윌리엄 웨더럴 윌킨스[26] 제작 후반 발표 예정 쿠르스크[27] 데이비드 러셀[28] 제작 후반 발표 예정 시크릿 가든 아치 볼드 크레이븐 경 텔레비전[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1984 카미유 으라망 듀발 텔레비전 영화 1985 네덜란드 소녀들 Dutch Girls 네일 트루러브 텔레비전 영화 1987 펫 호비 Pat Hobby: Teamed with Genius 러네이 윌콕스 PBS 단편 스페셜 1993 인질들 Hostages 존 매카시 HBO 텔레비전 드라마 1994 깊고 푸른 바다 The Deep Blue Sea 프레디 페이지 텔레비전 드라마 1995 오만과 편견 Pride and Prejudice 피츠윌리엄 다시 텔레비전 드라마 1995 홀로이드 부인의 과부 되기 The Widowing of Mrs. Holroyd 찰스 홀로이드 BBC 텔레비전 드라마 1997 노스트로모 찰스 굴드 텔레비전 드라마 1999 도노반 퀵 도노반 퀸 / 대니얼 퀸 텔레비전 영화 1999 나사의 회전 The Turn of the Screw 마스터 텔레비전 드라마 2001 포플레이 엘렌 포트랜드 HBO 텔레비전 영화 2017 레드 노즈 데이 액츄얼리 제이미 텔레비전 단편 영화 연극[편집] 년도 제목 역할 참고 1983 어나더 컨트리 가이 베넷 1984 닥터의 딜레마 루이스 듀베댓 1985 외로운 길 The Lonely Road 펠리스 1987 느릅나무 밑의 욕망 Desire Under the Elms 에벤 1991 관리인 The Caretaker 애스턴 1993 차스키 차스키 1999 3일간의 비 워커 / 네드 수상 및 후보 목록[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콜린 퍼스의 수상 및 후보 목록입니다. 서훈[편집] 2011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 수훈[1][29] 각주[편집] ↑ 가 나 다 “Supplement No. 1: Birthday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The Gazette》 (영어) (런던) (59808): B7. 2011년 6월 11일. 2016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Colin Firth's Box Office Stats”. 《The Movie Times》.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 “The King's Speech box office statistics”. 《Box Office Mojo》. IMDb.com, Inc. 2013년 1월 23일에 확인함.  ↑ "Full List – The 2011 TIME 100", Time, 21 April 2011. Retrieved 8 October 2012. ↑ http://www.bbc.co.uk/news/entertainment-arts-13661538 ↑ “Actor Colin Firth is perhaps bes”. Firthessence.net. 2009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Colin Firth's Lineage”. Firthessence.net. 2009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Colin Firth Biography (1960–)”. Filmreference.com.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Karen. “Real Magazine interview with Colin McErlean (Aug 2002)”. Firth.com.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lmw (2001년 5월 7일). “Colin Firth – Fresh Air interview 2001”. Hem.passagen.se. 2011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Karen. “Colin Firth: Bridget Jones' Sweetie Would Rather Play Bad Guys”. Spring.net.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Fresh Air from WHYY. “British Actor Colin Firth”. NPR.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Karen (2002년 5월 18일). “Globe and Mail – The Other Face of Colin Firth (May 18, 2002)”. Firth.com. 2010년 5월 3일에 확인함.  ↑ Stated in interview on Inside the Actors Studio, 2011 ↑ 가 나 “Press Releases Colin Firth Desert Island DiscsCategory: Radio 4”. 《BBC Press Office releases》. BBC. 2005년 12월 4일. 2013년 1월 25일에 확인함.  ↑ 가 나 “Biography.com”. 2015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4일에 확인함.  ↑ Jason Rainbow (2010년 6월 15일). “College 'saved me', reveals actor Colin Firth”. 《FE News》. 2012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6일에 확인함.  ↑ “Colin Firth: People”. 《People》. 2013 Time Inc. 2013년 1월 25일에 확인함.  ↑ Johnston, Sheila. “Firth, Colin (1960–)”. 《BFI Screenonline》. 2013년 2월 3일에 확인함.  ↑ Steiner, Susie (2001년 3월 31일). “Twice Shy”. 《The Guardian》 (London). 2008년 5월 20일에 확인함.  ↑ “Colin Firth Receives Honorary Degree”. 《starpulse》. 2007년 10월 26일. 2012년 7월 6일에 확인함.  ↑ “Colin Firth – Honorary speech 2007 Graduation at University of Winchester”. YouTube.  ↑ “Colin Firth wins a star on Hollywood's Walk of Fame”. 《The Guardian》 (London). 2011년 1월 14일. 2011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The 2011 TIME 100”. 《Time》. 2011년 4월 21일. 2011년 6월 11일에 확인함.  ↑ "Colin Firth becomes Freeman of the City of London" Archived 2012년 3월 13일 - 웨이백 머신 1 March 2012, News release at City of London website ↑ http://variety.com/2016/film/news/colin-firth-mary-poppins-sequel-1201894326/ ↑ Kroll, Justin (2016년 5월 26일). “Colin Firth to Star in Submarine Disaster Movie ‘Kursk’ (EXCLUSIVE)”. 《Variety》. Variety Media. 2016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D'Alessandro, Anthony (2017년 2월 9일). “Lea Seydoux Boards EuropaCorp Submarine Drama ‘Kursk’ – Berlin”. 《deadline.com》. Penske Business Media. 2017년 3월 13일에 확인함.  ↑ “Main list of the 2011 Queen's birthday honours recipients” (PDF). BBC News UK. 2011년 6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영어) 콜린 퍼스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콜린 퍼스 – 올무비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콜린 퍼스 콜린 퍼스의 수상 목록vdeh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1928-1950 에밀 야닝스 (1928) 워너 백스터 (1929) 조지 알리스 (1930) 라이어널 배리모어 (1931) 프레드릭 마치/월리스 비어리 (1932) 찰스 로턴 (1933) 클라크 게이블 (1934) 빅터 매클래글렌 (1935) 폴 무니 (1936) 스펜서 트레이시 (1937) 스펜서 트레이시 (1938) 로버트 도냇 (1939) 제임스 스튜어트 (1940) 게리 쿠퍼 (1941) 제임스 캐그니 (1942) 폴 루커스 (1943) 빙 크로스비 (1944) 레이 밀랜드 (1945) 프레드릭 마치 (1946) 로널드 콜먼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8) 브로더릭 크로퍼드 (1949) 호세 페레르 (1950) 1951-1975 험프리 보가트 (1951) 게리 쿠퍼 (1952) 윌리엄 홀든 (1953) 말런 브랜도 (1954) 어니스트 보그나인 (1955) 율 브리너 (1956) 앨릭 기니스 (1957) 데이비드 니븐 (1958) 찰턴 헤스턴 (1959) 버트 랭커스터 (1960) 막시밀리안 셸 (1961) 그레고리 펙 (1962) 시드니 포이티어 (1963) 렉스 해리슨 (1964) 리 마빈 (1965) 폴 스코필드 (1966) 로드 스타이거 (1967) 클리프 로버트슨 (1968) 존 웨인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말런 브랜도 (1972) 잭 레먼 (1973) 아트 카니 (1974) 잭 니컬슨 (1975) 1976-2000 피터 핀치 (1976) 리처드 드라이퍼스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헨리 폰다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1983) F. 머리 에이브러햄 (1984) 윌리엄 허트 (1985) 폴 뉴먼 (1986) 마이클 더글러스 (1987) 더스틴 호프먼 (1988) 다니엘 데이 루이스 (1989) 제러미 아이언스 (1990) 앤서니 홉킨스 (1991) 알 파치노 (1992) 톰 행크스 (1993) 톰 행크스 (1994) 니컬러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잭 니컬슨 (1997) 로베르토 베니니 (1998) 케빈 스페이시 (1999) 러셀 크로 (2000) 2001-현재 덴절 워싱턴 (2001) 에이드리언 브로디 (2002) 숀 펜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장 뒤자르댕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에디 레드메인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라미 말리크 (2018) vdeh영국 아카데미상(BAFTA) 남우주연상1952–1967 랠프 리처드슨 (영국인), 말런 브랜도 (외국인) (1952) 존 길구드 (영국인), 말런 브랜도 (외국인) (1953) 케네스 모어 (영국인), 말런 브랜도 (외국인) (1954) 로런스 올리비에 (영국인), 어네스트 보그나인 (외국인) (1955) 피터 핀치 (영국인), 프랑수아 페리 (외국인) (1956) 앨릭 기니스 (영국인), 헨리 폰다 (외국인) (1957) 트레버 하워드 (영국인), 시드니 포이티어 (외국인) (1958) 피터 셀러스 (영국인), 잭 레먼 (외국인) (1959) 피터 핀치 (영국인), 잭 레먼 (외국인) (1960) 피터 핀치 (영국인), 폴 뉴먼 (외국인) (1961) 피터 오툴 (영국인), 버트 랭카스터 (외국인) (1962) 더크 보가드 (영국인),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외국인) (1963) 리처드 애튼버러 (영국인),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외국인) (1964) 더크 보가드 (영국인), 리 마빈 (외국인) (1965) 리처드 버튼 (영국인), 로드 스타이거 (외국인) (1966) 폴 스코필드 (영국인), 로드 스타이거 (외국인) (1967) 1968–현재 스펜서 트레이시 (1968) 더스틴 호프먼 (1969) 로버트 레드퍼드 (1970) 피터 핀치 (1971) 진 해크먼 (1972) 월터 매소 (1973) 잭 니컬슨 (1974) 알 파치노 (1975) 잭 니컬슨 (1976) 피터 핀치 (1977) 리처드 드레이퍼스 (1978) 잭 레먼 (1979) 존 허트 (1980) 버트 랭카스터 (1981) 벤 킹슬리 (1982) 마이클 케인 / 더스틴 호프먼 (1983) 행 S. 응고르 (1984) 윌리엄 허트 (1985) 밥 호스킨스 (1986) 숀 코너리 (1987) 존 클리즈 (1988) 다니엘 데이 루이스 (1989) 필리프 누아레 (1990) 앤서니 홉킨스 (1991)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1992) 앤서니 홉킨스 (1993) 휴 그랜트 (1994) 나이절 호손 (1995)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칼라일 (1997) 로베르토 베니니 (1998) 케빈 스페이시 (1999) 제이미 벨 (2000) 러셀 크로 (200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미키 루크 (2008) 콜린 퍼스 (2009) 콜린 퍼스 (2011) 장 뒤자르댕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3) 치웨텔 에지오포 (2013) 에디 레드메인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라미 말리크 (2018) vdeh미국 배우 조합상 남우주연상 (영화) 톰 행크스 (1994) 니컬러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잭 니컬슨 (1997) 로베르토 베니니 (1998) 케빈 스페이시 (1999) 베니치오 델 토로 (2000) 러셀 크로 (200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조니 뎁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장 뒤자르댕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에디 레드메인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덴절 워싱턴 (2016) 게리 올드먼 (2017) 라미 말리크 (2018) vdeh베네치아 영화제 남우주연상 (볼피컵)1934-1968 월레스 비어리 (1934) 피에르 블랑샤르 (1935) 폴 무니 (1936) 에밀 재닝스 (1937) 레슬리 하워드 (1938) 에르메에 자코니 (1941) 포스코 지아체티 (1942) 삐에르 프레스네이 (1947) 언스트 도이치 (1948) 조셉 거튼 (1949) 샘 자페 (1950) 장 가뱅 (1951) 프레드릭 마치 (1952) 헨리 빌버트 (1953) 장 가뱅 (1954) 케네스 모어/케네스 모어 (1955) 부르빌 (1956) 안소니 프란시오사 (1957) 알렉 기네스 (1958) 제임스 스튜어트 (1959) 존 밀스 (1960) 미후네 도시로 (1961) 버트 랭커스터 (1962) 앨버트 피니 (1963) 톰 커트니 (1964) 미후네 도시로 (1965) 자끄 페렝 (1966) 루비우사 사마르지치 (1967) 존 마리 (1968) 1983-2000 가이 보이드/조지 던자/데이빗 알란 그리어/밋첼 릭텐스타인/매튜 모딘/마이클 라이트 (1983) 네시러딘 샤 (1984) 제라르 드빠르디유 (1985) 카를로 델 피아네 (1986) 휴 그랜트/제임스 윌비 (1987) 돈 아메체/조 맨테그나 (1988)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마시모 트로이시 (1989) 올렉 보리쇼프 (1990) 리버 피닉스 (1991) 잭 레먼 (1992) 파브리지오 벤티보글리오/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1993) 하우/로베르토 시트란 (1994) 고츠 게오르게/이안 허트 (1995) 리암 니슨/크리스 펜 (1996) 웨슬리 스나입스 (1997) 숀 펜 (1998) 짐 브로드벤트 (1999) 하비에르 바르뎀 (2000) 2001-현재 루이지 로 카치오 (2001) 스테파노 아코시 (2002) 숀 펜 (2003) 하비에르 바르뎀 (2004) 데이빗 스트라탄 (2005) 벤 애플렉 (2006) 브래드 피트 (2007) 실비오 올랜도 (2008) 콜린 퍼스 (2009) 빈센트 갈로 (2010) 마이클 패스벤더 (2011) 필립 세이모어 호프만/호아킨 피닉스 (2012) 테미스 파누 (2013) 애덤 드라이버 (2014) 파브리스 루치니 (2015) 오스카 마티네즈 (2016) 카멜 엘 바샤 (2017) 윌럼 더포 (2018) vdeh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남우주연상 케빈 베이컨 (1995) 제프리 러시 (1996) 잭 니콜슨 (1997) 이안 매켈런 (1998) 러셀 크로 (1999) 러셀 크로 (2000) 러셀 크로 (2001) 잭 니콜슨/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제이미 폭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조지 클루니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크리스찬 베일 (2018) vdeh골든 글로브상 남우주연상 - 극영화1943-1960 폴 루커스 (1943) 알렉산더 녹스 (1944) 레이 밀렌드 (1945) 그레고리 펙 (1946) 로널드 콜먼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8) 브로더릭 크로퍼드 (1949) 호세 페러 (1950) 프레드릭 마치 (1951) 게리 쿠퍼 (1952) 스펜서 트레이시 (1953) 말런 브랜도 (1954) 어니스트 보그나인 (1955) 커크 더글러스 (1956) 앨릭 기니스 (1957) 데이비드 니븐 (1958) 앤서니 프란시오사 (1959) 버트 랭커스터 (1960) 1961-1980 막시밀리안 셸 (1961) 그레고리 펙 (1962) 시드니 포이티어 (1963) 피터 오툴 (1964) 오마 샤리프 (1965) 폴 스코필드 (1966) 로드 스타이거 (1967) 피터 오툴 (1968) 존 웨인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말런 브랜도 (1972) 알 파치노 (1973) 잭 니컬슨 (1974) 잭 니컬슨 (1975) 피터 핀치 (1976) 리처드 버턴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1981-2000 헨리 폰다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 톰 커트니 (1983) F. 머리 에이브러햄 (1984) 존 보이트 (1985) 밥 호스킨스 (1986) 마이클 더글러스 (1987) 더스틴 호프먼 (1988) 톰 크루즈 (1989) 제러미 아이언스 (1990) 닉 놀티 (1991) 알 파치노 (1992) 톰 행크스 (1993) 톰 행크스 (1994) 니컬러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피터 폰다 (1997) 짐 캐리 (1998) 덴절 워싱턴 (1999) 톰 행크스 (2000) 2001-2020 러셀 크로 (2001) 잭 니컬슨 (2002) 숀 펜 (2003)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미키 루크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조지 클루니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에디 레드메인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게리 올드먼 (2017) 라미 말리크 (2018) vdeh새틀라이트상 남우주연상 (영화)뮤지컬 코미디 부문(1996–2010, 통합) 톰 크루즈 (1996) 잭 니컬슨 (1997) 이언 배넌 (1998) 필립 시모어 호프먼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이완 맥그리거 (2001) 키어런 컬킨 (2002) 빌 머리 (2003) 제이미 폭스 (2004) 테런스 하워드 (2005) 조지프 크로스 (2006) 라이언 고슬링 (2007) 리키 저베이스 (2008) 마이클 스툴바그 (2009) 마이클 세라 (2010) 극영화 부문(1996–2010, 통합)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에드워드 노턴 (1998) 테런스 스탬프 (1999) 제프리 러시 (2000) 브라이언 콕스 (2001) 마이클 케인 /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숀 펜 (2003) 돈 치들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비고 모텐슨 (2007) 리처드 젱킨스 (2008) 제러미 레너 (2009) 콜린 퍼스 (2010) 영화 부문(2011–현재) 라이언 고즐링 (2011) 브래들리 쿠퍼 (2012) 매슈 매코너헤이 (2013) 마이클 키턴 (2014)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2015) 앤드류 가필드 / 비고 모텐슨 (2016) 게리 올드먼 / 해리 딘 스탠턴 (2017) vdeh유럽 영화상 남우주연상 막스 폰 쉬도브 (1988) 필리프 누아레 (1989) 케네스 브래너 (1990) 미셀 부케 (1991) 마티 펠론파 (1992) 다니엘 오떼유 (1993) 이언 매켈런 (1996) 밥 호스킨스 (1997) 로베르토 베니니 (1998) 레이프 파인스 (1999) 세르히 로페스 (2000) 벤 킹즐리 (2001) 세르조 카스텔리토 (2002) 다니엘 브륄 (2003) 하비에르 바르뎀 (2004) 다니엘 오떼유 (2005) 울리히 뮈헤 (2006) 새슨 가바이 (2007) 토니 세르빌로 (2008) 타하르 라힘 (2009) 이완 맥그리거 (2010) 콜린 퍼스 (2011) 장루이 트랭티냥 (2012) 토니 세르빌로 (2013) 티머시 스폴 (2014) 마이클 케인 (2015) 페터 지모니셰크 (2016) 클레스 방 (2017) 마르첼로 폰테 (2018) vdeh영국 독립 영화상(BIFA) 남우주연상 레이 윈스톤 (1998) 이언 매켈런 (1999) 대니얼 크레이그 (2000) 벤 킹즐리 (2001) 제임스 네즈빗 (2002) 추이텔 에지오포 (2003) 필 데이비스 (2004) 레이프 파인스 (2005) 토니 커런 (2006) 비고 모텐슨 (2007) 마이클 패스벤더 (2008) 톰 하디 (2009) 콜린 퍼스 (2010) 마이클 패스벤더 (2011) 토비 존스 (2012) 제임스 맥어보이 (2013) 브렌던 글리슨 (2014) 톰 하디 (2015) 데이브 존스 (2016) 조시 오코너 (2017) 조 콜 (2018) vdeh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알 파치노 (1975) 로버트 드 니로 (1976) 리처드 드라이퍼스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버트 랭커스터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1983) F. 머리 에이브러햄 / 앨버트 피니 (1984) 윌리엄 허트 (1985) 밥 호스킨스 (1986) 잭 니콜슨 / 스티브 마틴 (1987) 톰 행크스 (1988) 다니엘 데이 루이스 (1989) 제러미 아이언스 (1990) 닉 놀티 (1991) 클린트 이스트우드 (1992) 앤서니 홉킨스 (1993) 존 트라볼타 (1994) 니콜라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로버트 듀발 (1997) 이언 매켈런 (1998) 러셀 크로 (1999) 마이클 더글러스 (2000) 덴절 워싱턴 (2001) 다니엘 데이 루이스 / 잭 니콜슨 (2002) 빌 머리 (2003) 리암 니슨 (2004)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05) 사샤 배런 코언 /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제프 브리지스 (2009) 콜린 퍼스 (2010) 마이클 패스벤더 (2011) 호아킨 피닉스 (2012) 브루스 던 (2013) 톰 하디 (2014) 마이클 패스벤더 (2015) 애덤 드라이버 (2016) 티머시 섈러메이 (2017) 이선 호크 (2018) vdeh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필리프 누아레 (1990) 제라르 드파르디외 (1991)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1992) 앤서니 홉킨스 (1993) 존 트라볼타 (1994) 조니 뎁 (1995) 모건 프리먼 (1996) 제프리 러시 (1997) 잭 니콜슨 (1998) 케빈 스페이시 (1999) 러셀 크로 (2000) 빌리 밥 손턴 (2001) 마이클 케인 (2002) 숀 펜 (2003) 제이미 폭스 (2004) 브루노 간츠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미키 루크 (2008) 크리스토프 발츠 (2009) 콜린 퍼스 (2010) 장 뒤자르댕 ( 2011) 호아킨 피닉스 (2012) 추이텔 에지오포 (2013) 마이클 키턴 (2014) 톰 코트니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티머시 섈러메이 (2017) 이선 호크 (2018) vdeh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찰스 로튼 (1935) 월터 휴스턴 (1936) 폴 무니 (1937) 제임스 카그니 (1938) 제임스 스튜어트 (1939) 찰리 채플린 (1940) 게리 쿠퍼 (1941) 제임스 카그니 (1942) 폴 루커스 (1943) 베리 피츠제럴드 (1944) 레이 밀렌드 (1945) 로런스 올리비에 (1946) 윌리엄 파월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8) 브로데릭 크로포드 (1949) 그레고리 펙 (1950) 아서 케네디 (1951) 랠프 리처드슨 (1952) 버트 랭카스터 (1953) 말론 브란도 (1954) 어니스트 보그나인 (1955) 커크 더글라스 (1956) 알렉 기네스 (1957) 데이빗 니븐 (1958) 제임스 스튜어트 (1959) 버트 랭카스터 (1960) 막시밀리안 셸 (1961) 수상자 없음 (1962) 앨버트 피니 (1963) 렉스 해리슨 (1964) 오스카 베르너 (1965) 마이클 케인 (1966) 로드 스타이거 (1967) 앨런 아킨 (1968) 존 보이트 (1969) 조지 C. 스콧 (1970) 진 해크먼 (1971) 로런스 올리비에 (1972) 말론 브란도 (1973) 잭 니컬슨 (1974) 잭 니컬슨 (1975) 로버트 드 니로 (1976) 존 길구드 (1977) 존 보이트 (1978) 더스틴 호프먼 (1979) 로버트 드 니로 (1980) 버트 랭커스터 (1981) 벤 킹즐리 (1982) 로버트 듀발 (1983) 스티브 마틴 (1984) 잭 니컬슨 (1985) 밥 호스킨스 (1986) 잭 니컬슨 (1987) 제러미 아이언스 (1988) 다니엘 데이 루이스 (1989) 로버트 드 니로 (1990) 앤서니 홉킨스 (1991) 덴절 워싱턴 (1992) 데이비드 슐리스 (1993) 폴 뉴먼 (1994) 니콜라스 케이지 (1995) 제프리 러시 (1996) 피터 폰다 (1997) 닉 놀티 (1998) 리처드 판스워스 (1999) 톰 행크스 (2000) 톰 윌킨슨 (200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2) 빌 머리 (2003) 폴 지어마티 (2004) 히스 레저 (2005) 포리스트 휘터커 (2006)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07) 숀 펜 (2008) 조지 클루니 (2009) 콜린 퍼스 (2010) 브래드 피트 (2011)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2) 로버트 레드퍼드 (2013) 티머시 스폴 (2014) 마이클 키턴 (2015) 케이시 애플렉 (2016) 티머시 섈러메이 (2017) 이선 호크 (2018) vdeh엠파이어상 남우주연상 나이절 호손 (1996) 모건 프리먼 (1997) 케빈 스페이시 (1998) 톰 행크스 (1999) 피어스 브로스넌 (2000) 러셀 크로 (2001) 일라이저 우드 (2002) 톰 크루즈 (2003) 조니 뎁 (2004) 맷 데이먼 (2005) 조니 뎁 (2006) 대니얼 크레이그 (2007) 제임스 맥어보이 (2008) 크리스찬 베일 (2009) 크리스토프 발츠 (2010) 콜린 퍼스 (2011) 게리 올드먼 (2012) 마틴 프리먼 (2013) 제임스 맥어보이 (2014) 앤디 서키스 (2015) 맷 데이먼 (2016) 에디 레드메인 (2017) 휴 잭맨 (2018)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0952955 LCCN: no90011053 ISNI: 0000 0001 2276 3584 GND: 130442887 SUDOC: 061078042 BNF: cb14021257w (데이터) 뮤직브레인즈: c1103860-4a31-4dc8-bcee-f56aafda600a NKC: pna2006327212 BNE: XX128757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콜린_퍼스&oldid=24456839" 분류: 196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잉글랜드의 남자 연극 배우1983년 데뷔잉글랜드의 남자 영화 배우잉글랜드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영제국 훈장 사령관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영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골든 글로브상 드라마 남우주연상(영화) 수상자미국 배우 조합상 남우주연상 수상자볼피컵 수상자할리우드 명예의 거리햄프셔주 출신윈체스터 출신미국 배우 조합상 앙상블 캐스트상(영화) 수상자잉글랜드의 공화주의자이탈리아에 거주한 잉글랜드인미국에 거주한 잉글랜드인나이지리아에 거주한 영국인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Gaelg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atinaLietuviųLatviešuМонгол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21: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콜린 앤드루 퍼스(영어: Colin Andrew Firth, CBE, 1960년 9월 10일 ~ )는 잉글랜드의 배우이다. 퍼스가 출연한 영화 42편이 세계적으로 30억 달러 이상 수익을 올렸다. 그는 미국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두 번의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세 번의 미국 배우 조합상, 베니스 국제 영화제 볼피컵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그가 가장 큰 주목을 받은 작품은 조지 6세를 연기한 영화 《킹스 스피치》로 미국 아카데미상 외에도 많은 시상식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전세계적으로 4억 1,421만 1,549 달러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퍼스는 1980년대 말 영국의 유망한 청춘 배우를 일컫는 "브릿 팩(Brit Pack)"의 구성원 중 한명으로, 1995년 TV 시리즈 《오만과 편견》의 "피츠윌리엄 다아시(Mr. Darcy)" 역할로 배우 경력에 큰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그밖의 이목을 끈 영화로는 《잉글리쉬 페이션트》, 《브리짓 존스의 일기》(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후보 지명), 《셰익스피어 인 러브》, 《러브 액츄얼리》에 출연하였다. 2009년 《싱글맨》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으며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미국 아카데미상 후보로 지명되었다. 2011년 그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였고, 《타임》지에서 선정한 "올해의 100인"에 선정되었다. 그는 2007년 원체스터 대학에서 명예 박사학위와 2012년에는 런던시 자유상을 받았다. 퍼스는 원주민들의 인권을 보호하는 단체 "서바이벌 인터내셔널"의 구성원으로 그는 또한 망명 신청자 및 난민의 권리와 환경 문제에 대한 선거 운동을 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영화 감독 리비아 퍼스와 결혼하고 영화 발몽에도 출연했던 영화배우는 누구야? Assistant: 퍼스 Human: 아래 1987년_한국시리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1987년 한국시리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7년 한국시리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1987년 한국시리즈 팀 승(무승부) 해태 타이거즈 (후기 2위, PO 승자) 4 삼성 라이온즈 (전,후기 통합 우승) 0 경기 정보 경기 일정 1987년 10월 21일 ~ 10월 25일 MVP 김준환 팀 정보 해태 타이거즈 (후기 2위, PO 승자) 감독 김응용 시즌 성적 55승 5무 48패 전기리그 3위 (27승 2무 25패) 후기리그 2위 (28승 3무 23패) PO : 3승 2패 (vs OB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전,후기 통합 우승) 감독 박영길 시즌 성적 64승 44패 전기리그 1위 (33승 21패) 후기리그 1위 (31승 23패)  < 1986 1988 >  1987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10월 21일부터 10월 25일까지 모두 4경기를 치러, 해태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무패로 누르고 통산 세 번째이자 프로야구 첫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한국시리즈 4경기 동안 무려 12타수 6안타(2홈런) 4타점의 눈부신 활약을 펼친 해태의 김준환이 차지했다. 목차 1 정규 시즌 2 플레이오프 결과 3 한국시리즈 경기 결과 3.1 1차전 3.2 2차전 3.3 3차전 3.4 4차전 정규 시즌[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87년 한국 프로 야구입니다. 전기 리그 순위 순위 구단 승 무 패 승률 1위 삼성 33 0 21 .611 2위 OB 31 1 22 .583 3위 해태 27 2 25 .519 3위 롯데 27 2 25 .519 5위 MBC 24 3 27 .472 6위 빙그레 24 2 28 .463 7위 청보 18 0 36 .333 후기 리그 순위 순위 구단 승 무 패 승률 1위 삼성 31 0 23 .574 2위 해태 28 3 23 .549 3위 롯데 27 3 24 .528 4위 MBC 26 4 24 .519 5위 OB 20 0 32 .444 5위 청보 23 2 29 .444 5위 빙그레 23 2 29 .444 플레이오프 결과[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1987년 한국 프로 야구 포스트시즌입니다. 승리팀 경기 결과 상대팀 플레이오프 해태 타이거즈(후기리그 2위) 3 - 0 - 2 OB 베어스(전기리그 2위) 삼성이 전.후기 통합 우승을 차지하면서,한국시리즈에 직행했으며, 해태가 OB와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리, 삼성과 2년 연속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었다. 한국시리즈 경기 결과[편집] 1차전[편집] 10월 21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해태 타이거즈 3 0 0 0 0 0 0 2 0 5 7 0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1 1 0 0 0 0 0 0 1 3 11 2 {{{홈팀볼넷}}} 승리 투수 : 차동철  패전 투수 : 김시진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해태 – 한대화(1회 투런), 김성한(8회 솔로) 삼성은 김시진을, 해태는 김대현을 선발로 기용했다. 그리고 승부는 1회초에 결판이 났다. 1사후 포볼을 고른 이순철이 2루스틸과 삼성포수 이만수의 2루악송구로 3루까지 점령했을 때 김성한이 라이트쪽으로 평범한 플라이를 띄워올렸다. 삼성 우익수 장효조는 3루를 태그업하는 이순철의 빠른 발을 의식, 홈송구를 서두르다 공을 떨어뜨리고 말았다. 이 장면은 포구 후 제2동작에서 낙구한 것인지, 애당초 포구동작에서 낙구한 것인지는 보는 사람마다 견해가 달랐다. 그러나 대체로 전자 쪽이 우세한 가운데 김동앙 선심은 후자로 판정, 타자주자 김성한의 1루 세이프를 선언함으로써 해태에 대량득점 기회가 마련됐다. 뒤이어 한대화가 2점홈런이라는 결정타를 터뜨려 3 대 0을 만들었다. 해태 선발 김대현도 1, 2회말 이만수와 장효조에게 적시타를 허용하며 3 대 2로 쫓겼으나 차동철이 3회 무사1루에서 구원등판, 잔여이닝을 8안타 7탈삼진 1실점으로 막아내 5 대 3 승리를 따냈다. 해태는 8회초 김성한이 솔로홈런, 대타 김일환은 우전적시타로 김시진을 두들기면서 2점을 보태 불안하던 1점차 리드를 승리로 굳혔다. 2차전[편집] 10월 22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해태 타이거즈 1 1 0 0 0 0 0 0 0 2 5 1 {{{원정팀볼넷}}} 삼성 라이온즈 1 0 0 0 0 0 0 0 0 1 4 1 {{{홈팀볼넷}}} 승리 투수 : 김정수  패전 투수 : 김기태  세이브 : 선동열  홀드 : {{{홀드투수}}} 해태선발은 김정수, 삼성선발은 언더핸드스로 김기태였다. 해태는 투구동작이 크고 느린 김기태의 약점을 기동력으로 파고들며 1회초에만 무려 3개의 도루를 뽑아내면서 김종모의 희생플라이로 기선을 제압했다. 삼성 이만수는 1회말 2사3루에서 내야안타를 때려 1 대 1 동점을 만들었으나 2회초 1사1·3루에서 차영화가 2루를 훔칠 때 2루 악송구를 저질러 3루주자 김준환에게 손쉬운 득점을 허용했다. 이것이 이 게임의 결승점이었다. 경기벽두에 흔들리던 김정수는 2회부터 제 컨디션을 찾아 8회 1사1·3루에서 선동열에게 마무리를 맡길 때까지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삼성 역시 3회부터 릴리프한 양일환이 나머지 7이닝을 3안타 무실점으로 막았으나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처럼 선발기용 미스의 아쉬움만 더했다. 3차전[편집] 10월 24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2 0 0 0 0 0 0 0 0 2 5 1 {{{원정팀볼넷}}} 해태 타이거즈 0 0 2 1 1 0 0 0 X 4 9 1 {{{홈팀볼넷}}} 승리 투수 : 문희수  패전 투수 : 권영호  세이브 : 차동철  홀드 : {{{홀드투수}}}홈런 :  삼성 – 이만수(1회 투런)  해태 – 김준환(4회 솔로) 해태 노장선수들의 타력이 돋보인 한판이었다. 삼성은 1회초 이만수의 2점홈런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3회말 2사1·2루에서 김성한의 2타점 2루타로 동점을 만든 해태는 4회말 1사후 김준환이 삼성선발 권영호를 우월 솔로홈런으로 두들겨 역전시켰고 5회말에는 1사2루에서 김봉연이 좌전적시타를 터뜨려 4 대 2로 승리를 굳혔다. 1회초 선발 신동수가 홈런을 맞자마자 지체없이 구원에 나선 문희수는 9회 무사1·2루에서 차동철에게 마운드를 넘기기까지 3안타로 삼성 타선을 무실점 처리, 승리투수가 됐고 1차전 승리투수 차동철은 세이브를 따냈다. 4차전[편집] 10월 25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팀 1 2 3 4 5 6 7 8 9 R H E B 삼성 라이온즈 0 1 0 0 1 0 0 0 0 2 7 2 {{{원정팀볼넷}}} 해태 타이거즈 0 2 0 1 3 3 0 0 X 9 14 1 {{{홈팀볼넷}}} 승리 투수 : 김정수  패전 투수 : 김시진  세이브 :   홀드 : {{{홀드투수}}}홈런 :  해태 – 김준환(2회 투런) 벼랑끝으로 몰린 삼성은 에이스 김시진을 기용하는 수밖에 없었고 해태는 김대현으로 맞섰다. 삼성은 2회초 이종두의 적시2루타로 선제점을 올렸으나 김준환이 2회말 2점홈런으로 전세를 뒤집어 전날의 복사판을 만들었고 4회말 이순철이 추가점 중전적시타를 터뜨리면서 김시진은 강판당하고 말았다. 한국시리즈 통산 7번째 패배였다. 그리고 그는 한국시리즈 무대에 올라설 기회를 다시 얻지 못하고 선수생활을 마감했다. 삼성은 5회초 홍승규의 센터 희생플라이로 3 대 2로 따라붙고나서 2사1·3루의 찬스가 이어졌을 때 비밀리에 연습해두었던 ‘비장의 작전’을 꺼냈다. 장효조가 구원투수 김정수를 상대로 타석에 들어섰을 때 안타를 뽑기가 어렵다고 판단, 1루주자 허규옥이 일부러 견제구에 걸리는 틈에 더블스틸로 동점을 뽑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1·3루주자의 호흡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서 허규옥만 2루에서 태그아웃 당해 버림으로써 김시진을 패배에서 구출하지 못했다. 위기를 넘긴 해태는 5회말 집중 5안타로 3점, 6회말 김준환의 밀어내기 및 김무종의 2타점 적시타 등으로 3점을 더 보태면서 승세를 결정짓고 9 대 2로 낙승, 4게임만으로 2연패의 영광을 안았다. 해태, 한국시리즈 첫 선발 전원안타 vdeh해태 타이거즈 - 1987년 한국시리즈 우승 (정규시즌 후기리그 2위)감독 39 김응용코치 김인식투수 18 선동열 | 20 문희수 | 47 김정수 | 김대현 | 31 차동철 | 방수원 | 16 이상윤 | 송유석 | 32 신동수 | 강상진포수 25 김무종 | 22 장채근내야수 11 김성한 | 6 서정환 | 8 한대화 | 2 백인호 | 27 김봉연 | 김일환외야수 10 김준환 | 14 이순철 | 7 김종모 | 1 김일권 | 44 송일섭 | 24 박철우 | 이건열 | 조재환최우수 평균자책점 선동열,올스타전 MVP 김종모, 한국시리즈 MVP 김준환 vdehKBO 한국시리즈 · 0000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0000 · 0000 · 1985년에는 삼성이 전·후기 통합우승함에 따라 한국시리즈가 개최되지 않았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1987년_한국시리즈&oldid=17997448" 분류: 한국시리즈해태 타이거즈삼성 라이온즈1987년 야구1987년 10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월 3일 (화) 18: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1987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10월 21일부터 10월 25일까지 모두 4경기를 치러, 해태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4승 무패로 누르고 통산 세 번째이자 프로야구 첫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한국시리즈 4경기 동안 무려 12타수 6안타(2홈런) 4타점의 눈부신 활약을 펼친 해태의 김준환이 차지했는데 삼성은 김일융의 일본 복귀, 황규봉의 코치 승격 등 여러 가지 이유 탓인지 투수력이 붕괴된 게 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87년 한국시리즈 플레이오프 결과는 어땠어? Assistant: 승리팀 경기 결과 상대팀 플레이오프 해태 타이거즈(후기리그 2위) 3 - 0 - 2 OB 베어스(전기리그 2위)
Human: 아래 도둑놈,_도둑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도둑놈, 도둑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도둑놈, 도둑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도둑놈, 도둑님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2017년 5월 13일 ~ 2017년 11월 5일 방송 시간 매주 주말 밤 10:00 ~ 11:15 방송 분량 75분 방송 횟수 50부작 추가 채널 MBC 드라마넷 기획 이재동 제작사 메이퀸픽쳐스 제작자 김진천 연출 오경훈, 장준호 극본 손영목, 차이영 출연자 지현우, 서주현, 김지훈, 임주은 외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도둑놈, 도둑님 홈페이지 《도둑놈, 도둑님》은 2017년 5월 13일부터 2017년 11월 5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다. 목차 1 도둑놈 도둑님 역사 2 기획 의도 3 방송 시간 4 등장 인물 4.1 주요 인물 4.2 장돌목의 주변인물 4.3 강소주의 주변인물 4.4 중태집안 & 홍씨일가 4.5 산운율 사람들 4.6 검찰청 4.7 그 외 인물 4.8 특별출연 5 시청률 6 결방 사유 및 연속 방송 및 편성 변경 7 수상 8 각주 9 외부 링크 도둑놈 도둑님 역사[편집] 다소 늘어진 전개와 MBC 파업이 맞물리면서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았는데 MBC 총파업 이후 편성 시간 변경이 잦아졌다[1]. 기획 의도[편집] 대한민국을 조종하는 기득권 세력에 치명타를 입히는 도둑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고 통쾌하게 다룬 드라마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MBC TV 2017년 5월 13일 ~ 2017년 10월 15일 매주 주말 밤 8:45 ~ 10:00 75분 2017년 10월 28일 매주 토요일 밤 8:45 ~ 11:15 150분 (회당 75분 2회 연속방송) 2017년 11월 5일 매주 일요일 밤 8:45 ~ 11:15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지현우 : 장돌목 / 김수현 역 (아역 허준우, 김강훈) 서주현 : 강소주 역 (아역 김아인, 문소희) 김지훈 : 한준희 / 장민재 역 (아역 문우진, 남다름) - 서울 중앙지검 특수부 검사. 장판수의 친 아들 임주은 : 윤화영 역 (아역 강지우) - 국제변호사, 거대로펌 변호사. 윤중태의 외동딸 장돌목의 주변인물[편집] 안길강 : 장판수 역 - 장돌목과 한준희(장민재)의 아버지 정경순 : 박하경 역 - 장돌목과 장민재의 어머니 신은정 : 민해원 / 민정혜 역 - 장돌목(김수현)의 어머니 강소주의 주변인물[편집] 김정태 : 강성일 역 - 강력반 형사. 소주의 아빠 중태집안 & 홍씨일가[편집] 최종환 : 윤중태 역 - 검사장 출신 3선 국회의원. 화영의 아버지 최수린 : 홍신애 역 - 윤중태의 아내, 화영의 엄마. 천문그룹 회장 홍일권의 둘째 딸 장광 : 홍일권 역 - 천문그룹 회장. 홍신애, 홍미애의 아버지 서이숙 : 홍미애 역 - K채널 이사장. 신애의 배다른 언니이자 홍일권의 큰 딸. 이윤호의 어머니 김진호 : 이창영 역 - 이윤호의 아버지 미상 : 양기영 역 한재석 : 이윤호 역 (아역 전진서) - 천문전자 본부장. 미애와 창영의 아들 한정수 : 최태석 역 - 홍일권의 비서 산운율 사람들[편집] 이주실 : 김순천 역 - 산운율의 주인이자 인사동 골동품 가게 주인 이정은 : 권정희 역 - 김순천의 비서 우희진 : 박선진 역 - 여울의 엄마 이세창 : 이은석 역 이상우 : 오송식 역 윤지원 : 고은지 역 - 권정희의 딸 류지안 : 박여울 역 - 선진의 딸 소준섭 : 허종범 역 - 돌목의 친구 검찰청[편집] 김준원 : 최강규 역 이봉원 : 남종합 역 - 한준희 수사관(10회부터 합류)[2] 그 외 인물[편집] 조덕현 : 김찬기 역 - 김수현(장돌목)의 아버지 강지원 : 허비서 역 고병완 : 송국현 역 이성우 서승원 최윤준 이수용 이영수 박건률 진현광 : 수사관 역 정기선 최홍일 장태민 오화열 김현우 임지현 전해룡 조용상 옥주리 권오경 홍부향 최교식 김병철 이민웅 이우신 : 이사장 역 서광재 : 교장 역 이동희 손영순 : 할머니 역 성찬호 박노식 : 강성일의 살해범 역 조찬우 김재철 이채경 : 선생님 역 손성찬 염동헌 : 유선호 교장 역 해선 주동희 손인용 여진 박옥출 성낙경 박도준 박진성 홍석빈 신원우 김모범 이선영 권희락 유민주 조미녀 백승태 원진호 신하준 홍기준 권혁수 김현 : 담임 선생님 역 김광섭 이진권 손상연 : 불량학생 역 정태야 동윤석 이수용 이준희 신동훈 용경빈 오기환 고진명 손건우 : 김형덕 검사 역 정두겸 : 박상호 의원 역 박성균 박수민 임지영 권홍석 석보배 강지원 이민희 이정건 고유경 이서율 이윤상 이석현 윤효식 하남우 민상우 한여울 한태일 하경민 홍석연 유광수 유지혁 이진목 우혜영 김재협 김도하 박민지 안지은 박지유 김상일 하루비 : 명선 역 이해 엄준식 : 수사관 역 황주호 민대식 이재욱 : 한준희 고등학교 선생님 역 이상옥 윤부진 서진욱 여운복 이종신 이태검 장현 구자은 김정수 : 감정사 역 신치영 한창현 손인용 송경화 문경민 오민정 최정인 김태영 김정구 박용 엄준식 김광인 : 의무과장 역 최요운 황석하 이장미 이성준 송진우 : 김실장 역 정희중 윤미영 강문경 서병덕 양재원 손선근 정수인 김익태 : 김수현(장돌목)의 조부(백산장군의 아들) 역 이상홍 유지연 김재흠 정희중 추교진 염지혜 이승철 김남표 주성 최은선 박진수 강철성 문경민 최리호 김한준 마민희 정현우 이종신 김미희 윤종원 박상휘 김대국 : 보도 기자 역 지성근 이택근 이혜란 : 정이 역 윤현 이태윤 유영복 차명욱 김민석 이성훈 김보미 강학수 전민협 김미란 공재원 남상란 김오복 심영민 윤종구 이무녕 최영 이은숙 정영훈 : 사법연수원생 역 특별출연[편집] 김대성 김영희 윤용현 : 이철호 역 유형관 김예원 : 반예원 역 홍희원 : 의사역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7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13일 8.7% 9.4% 9.2% 9.1% 제2회 5월 14일 10.1% 10.1% 8.9% 9.0% 제3회 5월 20일 6.8% 7.4% 6.6% 7.1% 제4회 5월 21일 8.8% 8.8% 9.4% 9.4% 제5회 5월 27일 9.7% 9.5% 9.5% 9.2% 제6회 5월 28일 11.0% 11.6% 11.6% 11.7% 제7회 6월 3일 8.9% 9.3% 10.4% 10.1% 제8회 6월 4일 10.4% 11.2% 10.7% 10.3% 제9회 6월 10일 9.4% 10.4% 10.8% 11.1% 제10회 6월 11일 11.7% 11.5% 11.8% 11.9% 제11회 6월 17일 9.3% 9.6% 11.6% 12.1% 제12회 6월 18일 11.4% 11.2% 13.2% 12.7% 제13회 6월 24일 9.7% 10.4% 10.4% 10.3% 제14회 6월 25일 10.2% 9.8% 12.3% 12.1% 제15회 7월 1일 8.5% 9.6% 10.9% 11.3% 제16회 7월 2일 11.3% 11.9% 11.0% 11.0% 제17회 7월 8일 10.5% 11.2% 10.5% 10.6% 제18회 7월 9일 11.0% 11.8% 11.9% 11.4% 제19회 7월 15일 10.1% 10.9% 10.4% 10.4% 제20회 7월 16일 11.9% 12.9% 12.0% 12.1% 제21회 7월 22일 10.5% 10.1% 9.9% 9.8% 제22회 7월 23일 11.3% 11.0% 11.3% 11.1% 제23회 7월 29일 10.1% 10.0% 9.7% 9.5% 제24회 7월 30일 11.8% 11.4% 11.9% 11.5% 제25회 8월 5일 9.2% 9.6% 9.4% 9.0% 제26회 8월 6일 10.1% 10.3% 10.8% 10.5% 제27회 8월 12일 8.9% 8.4% 8.6% 8.4% 제28회 8월 13일 10.3% 10.5% 10.5% 10.2% 제29회 8월 19일 9.9% 9.8% 9.6% 9.6% 제30회 8월 20일 9.4% 9.2% 11.0% 10.8% 제31회 8월 26일 9.1% 8.2% 8.7% 8.6% 제32회 8월 27일 10.6% 9.9% 12.1% 12.1% 제33회 9월 2일 6.7% 6.7% 8.0% 7.9% 제34회 9월 3일 10.0% 10.0% 10.5% 10.2% 제35회 9월 9일 7.9% 7.6% 8.0% 7.6% 제36회 9월 10일 9.5% 8.1% 10.2% 9.9% 제37회 9월 16일 7.7% 7.9% 8.4% 8.1% 제38회 9월 17일 9.9% 9.6% 11.4% 10.6% 제39회 9월 23일 7.7% 6.6% 8.3% 8.0% 제40회 9월 24일 10.5% 10.6% 11.8% 11.2% 제41회 9월 30일 7.8% 7.5% 8.5% 8.4% 제42회 10월 1일 9.8% 9.8% 11.6% 10.9% 제43회 10월 8일 10.1% 10.3% 11.4% 11.6% 제44회 8.9% 8.8% 11.7% 11.7% 제45회 10월 14일 7.8% 7.6% 8.3% 7.8% 제46회 10월 15일 10.6% 9.7% 12.5% 12.3% 제47회 10월 28일 9.6% 9.6% 9.6% 9.6% 제48회 11.8% 11.9% 11.8% 11.1% 제49회 11월 5일 9.2% 8.5% 9.9% 9.5% 제50회 12.2% 11.6% 13.4% 12.4% 결방 사유 및 연속 방송 및 편성 변경[편집] 2017년 10월 7일 : MBC 추석특선영화 라라랜드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17년 10월 8일 : 밤 10시부터 2회 연속방송 (43회, 44회) 2017년 10월 21일 : MBC 주말 드라마 밥상 차리는 남자 2회 연속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7년 10월 22일 : MBC 노조 총파업으로 인한 결방 2017년 10월 28일 : 밤 8시 45분부터 2회 연속방송 (47회, 48회) 2017년 10월 29일 : MBC 특선영화 부산행 편성으로 인해 결방 2017년 11월 4일 : MBC 주말 드라마 밥상 차리는 남자 2회 연속방송으로 인한 결방 2017년 11월 5일 : 밤 8시 45분부터 2회 연속방송 (49회, 50회) 수상[편집] 2017년 MBC 연기대상 주말극 황금 연기상 안길강 2017년 MBC 연기대상 신인상 서주현 각주[편집] ↑ 신미래 (2017년 11월 5일). “[‘도둑놈 도둑님’ 종영①] 화제성+고구마전개 두 마리 토끼 다 놓친 아쉬운 作”. MBN. 2018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정유나 (2017년 6월 8일). “[공식]이봉원, '도둑놈 도둑님' 전격합류…검찰수사관 役”. 스포츠조선. 2019년 3월 4일에 확인함.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외부 링크[편집] MBC 도둑놈, 도둑님 공식 홈페이지 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2016년 11월 12일 ~ 2017년 5월 7일) 도둑놈, 도둑님 (2017년 5월 13일 ~ 2017년 11월 5일) 돈꽃(2017년 11월 11일 ~ 2018년 2월 3일) vdeh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2000년대 후반2005년 《제5공화국》 《신돈》 2006년 《불꽃놀이》 《도로시를 찾아라》(단막) 《발칙한 여자들》 《환상의 커플》 《기적》(단막) 2007년 《하얀거탑》 《케 세라 세라》 《에어시티》 《9회말 2아웃》 《겨울새》 2008년 《내생애 마지막 스캔들》 《달콤한 인생》 《내 여자》 2009년 《2009 외인구단》 《친구, 우리들의 전설》 《보석비빔밥》 2010년대 전반2010년 《된장 군과 낫토 짱의 결혼 전쟁》(단막) 《신이라 불리운 사나이》 《김수로》 《욕망의 불꽃》 2011년 《내 마음이 들리니》 《애정만만세》 2012년 《신들의 만찬》 《닥터 진》 《메이퀸》 2013년 《백년의 유산》 《스캔들: 매우 충격적이고 부도덕한 사건》 《황금 무지개》 2014년 《호텔킹》 《마마》 《전설의 마녀》 2010년대 후반2015년 《여왕의 꽃》 《내 딸, 금사월》 2016년 《결혼계약》 《옥중화》 《아버님 제가 모실게요》 2017년 《도둑놈, 도둑님》 《돈꽃》 2018년 《데릴남편 오작두》 《이별이 떠났다》 《숨바꼭질》 《신과의 약속》 2019년 《슬플 때 사랑한다》 《이몽》 아침 | 일일 (일일  · 특별기획) | 월화 | 수목 | 금 | 예능 | 주말 (특별기획  · 연속극) | 시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도둑놈,_도둑님&oldid=24226659" 분류: 2017년 드라마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복수를 소재로 한 드라마손영목 시나리오 작품차이영 시나리오 작품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Bahasa IndonesiaBahasa Melayu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7: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도둑놈, 도둑님》은 2017년 5월 13일부터 2017년 11월 5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7년에 방영된 드라마 도둑놈, 도둑님의 회차별 전국, 서울 (수도권) 시청률은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2017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5월 13일 8.7% 9.4% 9.2% 9.1% 제2회 5월 14일 10.1% 10.1% 8.9% 9.0% 제3회 5월 20일 6.8% 7.4% 6.6% 7.1% 제4회 5월 21일 8.8% 8.8% 9.4% 9.4% 제5회 5월 27일 9.7% 9.5% 9.5% 9.2% 제6회 5월 28일 11.0% 11.6% 11.6% 11.7% 제7회 6월 3일 8.9% 9.3% 10.4% 10.1% 제8회 6월 4일 10.4% 11.2% 10.7% 10.3% 제9회 6월 10일 9.4% 10.4% 10.8% 11.1% 제10회 6월 11일 11.7% 11.5% 11.8% 11.9% 제11회 6월 17일 9.3% 9.6% 11.6% 12.1% 제12회 6월 18일 11.4% 11.2% 13.2% 12.7% 제13회 6월 24일 9.7% 10.4% 10.4% 10.3% 제14회 6월 25일 10.2% 9.8% 12.3% 12.1% 제15회 7월 1일 8.5% 9.6% 10.9% 11.3% 제16회 7월 2일 11.3% 11.9% 11.0% 11.0% 제17회 7월 8일 10.5% 11.2% 10.5% 10.6% 제18회 7월 9일 11.0% 11.8% 11.9% 11.4% 제19회 7월 15일 10.1% 10.9% 10.4% 10.4% 제20회 7월 16일 11.9% 12.9% 12.0% 12.1% 제21회 7월 22일 10.5% 10.1% 9.9% 9.8% 제22회 7월 23일 11.3% 11.0% 11.3% 11.1% 제23회 7월 29일 10.1% 10.0% 9.7% 9.5% 제24회 7월 30일 11.8% 11.4% 11.9% 11.5% 제25회 8월 5일 9.2% 9.6% 9.4% 9.0% 제26회 8월 6일 10.1% 10.3% 10.8% 10.5% 제27회 8월 12일 8.9% 8.4% 8.6% 8.4% 제28회 8월 13일 10.3% 10.5% 10.5% 10.2% 제29회 8월 19일 9.9% 9.8% 9.6% 9.6% 제30회 8월 20일 9.4% 9.2% 11.0% 10.8% 제31회 8월 26일 9.1% 8.2% 8.7% 8.6% 제32회 8월 27일 10.6% 9.9% 12.1% 12.1% 제33회 9월 2일 6.7% 6.7% 8.0% 7.9% 제34회 9월 3일 10.0% 10.0% 10.5% 10.2% 제35회 9월 9일 7.9% 7.6% 8.0% 7.6% 제36회 9월 10일 9.5% 8.1% 10.2% 9.9% 제37회 9월 16일 7.7% 7.9% 8.4% 8.1% 제38회 9월 17일 9.9% 9.6% 11.4% 10.6% 제39회 9월 23일 7.7% 6.6% 8.3% 8.0% 제40회 9월 24일 10.5% 10.6% 11.8% 11.2% 제41회 9월 30일 7.8% 7.5% 8.5% 8.4% 제42회 10월 1일 9.8% 9.8% 11.6% 10.9% 제43회 10월 8일 10.1% 10.3% 11.4% 11.6% 제44회 8.9% 8.8% 11.7% 11.7% 제45회 10월 14일 7.8% 7.6% 8.3% 7.8% 제46회 10월 15일 10.6% 9.7% 12.5% 12.3% 제47회 10월 28일 9.6% 9.6% 9.6% 9.6% 제48회 11.8% 11.9% 11.8% 11.1% 제49회 11월 5일 9.2% 8.5% 9.9% 9.5% 제50회 12.2% 11.6% 13.4% 12.4% Human: 아래 김용환_(1887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용환 (1887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용환 (188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용환출생 1887년경북 안동시사망 1946년국적 대한민국 직업 독립운동가상훈 건국훈장 애족장(1995년) 김용환(金龍煥, 1887년 ~ 1946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목차 1 생애 1.1 독립운동 2 사후 3 같이 보기 4 외부 링크 5 각주 생애[편집] 독립운동[편집] 의성 김씨 학봉파의 후손으로, 학봉 김성일의 13대 종손으로 태어났다. 유년시절 할아버지의 사촌이자 의병장이었던 김흥락(金興洛)이 일본군에게 사망한 모습을 목격한 후 항일의 뜻을 품었다.[1] 1908년 의병장 이강년, 1911년 김상태 의진등에서 의병활동을 하면서 한편으로 독립군 기지 개척을 위해 도만(渡滿)한 독립운동자들과 연결되어 거액의 군자금을 제공하였다가, 이 일로 인하여 일경에 세 번이나 체포되어 고초를 치르기도 했다. 3·1 운동 이후에는 의용단에서 서기를 역임해 활동하였다. 부호를 대상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을 벌였으며, 1922년에 다시 일제에 체포되었다. 한편 그가 지원한 군자금은 현재 시가로 환산하면 300억원이라고 한다. 그는 독립운동을 숨기기 위해 도박으로 종가 재산을 모두 날린 노름꾼 행세를 하였다. 이 때문에 파락호로 불리었다. 사후[편집] 199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2] 김용환의 외동딸인 김후웅 여사는 부친에게 건국훈장이 추서된 1995년에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라는 서간문을 남겼다.[3] 그럭저럭 나이 차서 십육세에 시집가니 청송 마평서씨문에 혼인은 하였으나 신행날 받았어도 갈 수 없는 딱한 사정. 신행 때 농 사오라 시댁에서 맡긴 돈, 그 돈마저 가져가서 어디에다 쓰셨는지? 우리 아배 기다리며 신행날 늦추다가 큰어매 쓰던 헌농 신행발에 싣고 가니 주위에서 쑥덕쑥덕. 그로부터 시집살이 주눅들어 안절부절, 끝내는 귀신붙어 왔다 하여 강변 모래밭에 꺼내다가 부수어 불태우니 오동나무 삼층장이 불길은 왜 그리도 높던지, 새색시 오만간장 그 광경 어떠할고. 이 모든 것 우리 아배 원망하며 별난 시집 사느라고 오만간장 녹였더니 오늘에야 알고보니 이 모든 것 저 모든 것 독립군 자금 위해 그 많던 천석 재산 다 바쳐도 모자라서 하나뿐인 외동딸 시댁에서 보낸 농값 그것마저 다 바쳤구나. 그러면 그렇지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 내 생각한대로 절대 남들이 말하는 파락호 아닐진대.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 같이 보기[편집] 파락호 외부 링크[편집]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 김용환 각주[편집] ↑ 사람의 길고(故) 김시인(金時寅) 선생 영전에서 학봉종택의 닭 주간경향 2008년 3월 4일 뉴스메이커 764호 ↑ '서프라이즈' 故 김용환, 노름꾼으로 위장한 독립운동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티브이데일리 2012년 5월 6일 ↑ 출처 : 김후옹,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용환_(1887년)&oldid=24476793" 분류: 1887년 태어남1946년 죽음한국의 독립운동가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의성 김씨안동시 출신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5일 (화) 05:3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용환(金龍煥, 1887년 ~ 1946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독립운동가 김용환의 할아버지의 이름은 뭐야? Assistant: 김흥락(金興洛)
Human: 아래 워런_G._하딩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워런 G. 하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워런 G. 하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워런 G. 하딩Warren Gamaliel Harding 미국의 제29대 대통령 임기 1921년 3월 4일 ~ 1923년 8월 2일 부통령 캘빈 쿨리지 전임: 우드로 윌슨(제28대)후임: 캘빈 쿨리지(제30대) 신상정보 출생일 1865년 11월 2일 출생지 미국 오하이오주 코르시카 사망일 1923년 8월 2일 (57세) 사망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학력 오하이오 센트랄 대학교 정당 공화당 배우자 플로렌스 클링 하딩 종교 침례교 워런 개멀리얼 하딩 (Warren Gamaliel Harding, 1865년 11월 2일 ~ 1923년 8월 2일)은 미국의 29번째(제34대) 대통령(1921~23)이다. 그리고 임기 중 사망한 여섯번째 대통령이다. 목차 1 초기 생애 1.1 어린 시절 1.2 신문 경력 1.3 결혼 2 정치 경력 2.1 초기 정계 입문 2.2 미국 상원 2.3 막후 협상실 2.4 현관 앞의 선거 운동 3 대통령 재임 3.1 정상으로 복귀 3.2 정부의 스캔들 3.3 사망 4 외부 링크 4.1 음성과 영화 링크 4.2 주요 자료 초기 생애[편집] 어린 시절[편집] 오하이오주 코르시카(현재의 블루밍 그로브) 근처에서 조지 트라이언 하딩과 피비 디커슨 하딩의 8명 자식 중에 맏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조지는 동종요법 의사가 되면서 농부로서 작은 수입을 보충하였다. 그는 1642년 플리머스 식민지에 정착한 영국인 가족의 자손이다. 워런은 코르시카와 캘리도니아의 그래머 스쿨들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가 절반을 소유한 주간 신문 〈캘리도니아 아거스 (Caledonia Argus)〉에 타자치는 것을 배웠다. 아이베리아에 있는 오하이오 센트럴 대학교에서 수학하는 동안에 학교 신문을 편집하였다. 신문 경력[편집] 17세의 하딩 1882년 하딩은 자신이 학교에서 가르칠 수 있는 데 시험을 합격하였다. 그는 오하이오 주 매리언 근처에 있는 한 방의 학원에서 한 학기 동안에 강의하였다. 후에 강의가 자신에게 가장 어려운 직업이라고 불렀다. 하딩은 또한 〈매리언 민주당 거울 (Marion Democratic Mirror)〉를 위하여 일하였다. 그러나 1884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제임스 G. 블레인을 지지한 이유로 해고당하고 말았다. 하딩과 그의 두 친구들은 그러고나서 파산한 신문 〈매리언 스타 (Marion Star)〉를 300달러에 사들였다. 결혼[편집] 플로렌스 하딩 여사 1891년 두드러진 매리언 은행원의 딸 플로렌스 클링 더 월프(1860~1924)와 결혼하였다. 그녀는 하딩보다 5세 연상이었다. 지배적인 성격들과 남편을 위하여 거대한 야망들을 가진 이유로 "여공작"이란 별명이 붙었다. 플로렌스 여사는 〈스타〉지를 번영하는 신문으로 만드는 데 남편을 도왔으며, 하딩은 몇몇 주식회사의 사장과 트리니티 침례 교회의 수탁인이 되었다. 하딩 부부는 자식이 없었다. 정치 경력[편집] 초기 정계 입문[편집] 하딩은 곧 편집자와 실력있는 웅변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1889년 공화당 주상원에 선출되었고, 2년 후에도 재선되었다. 그는 1903년 부지사에 선출되었으나 1910년 주지사 선거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주립 정계에 있는 동안에 하딩은 영리한 정치적 전략가 해리 M. 도허티의 현신적인 우정을 얻었다. 몇년 후에 도허티는 하딩을 대통령이 되는 데 열심히 일하였다. 1912년 하딩은 공화당 국립 회의에서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두 번째 임기 기간을 위하여 후보로 지명하는 데 선택되었다. 이 명예로 그는 자신에게 자신의 후보 지명보다 더 위대한 감동을 주었다고 말하였다. 1916년 국립 회의에서 하딩은 기조 연설을 하고 영구적인 의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미국 상원[편집] 도허티와 부인에 의한 주장으로 하딩은 1914년 미국 상원 선거에 성공적으로 나갔다. 인기있고 정다운 그는 좋은 친교와 상원의 위신을 즐겼으나 자신의 6년 임기 동안에 아무런 주요 법안을 소개하지 않았다. 그는 출석 조사의 거의 절반을 놓쳤고, 입법을 공부하는 것보다 자신의 친구들을 위하여 구직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하딩은 보통 공화당 지도자력고 함께 투표하였다. 그는 높은 관세에 호의를 가졌고 국제 연맹과 산업의 연방적 규칙을 반대하였다. 그는 금주법과 여성의 참정권을 위하여 투표하였으나 양쪽에 원인에 굳은 위탁이 없었다. 막후 협상실[편집] 1919년 초순에 어떤 신문들은 하딩을 타협적 대통령 후보로서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하딩은 상원이 "대통령 후보가 가능적으로 될 수 있는 것보다 나의 애호에 가장 멀리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하딩 여사의 협조로 도허티는 그에게 자신의 선거 운동 담당자가 되는 데 설득하였다. 1920년 시카고에서 열린 공화당 국립 회의에서 많은 대의원들은 일리노이주지사 프랭크 O. 로우던, 전 육군 참모 총장 레너드 우드 중장, 캘리포니아주의 상원 하이럼 W. 존슨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도허티의 출석은 장면들의 뒤에서 바빴다. 그의 환영인들은 모든 대의원들을 반기었고 그들에게 하딩을 지지하도록 몰아냈다. 투표의 첫날에 회의는 4개의 결정 선거 후에 정돈을 휴회하였다. 그날 밤에 권력있는 상원과 정치적 보스들의 작은 단체는 도허티가 "막후 협상실"이라 부른 블랙스톤 호텔에서 만났다. 새벽 2시 쯤에 그들은 하딩이 타협적인 후보라는 동의를 하였다. 대의원들은 다음날 10번째 결정 선거에서 하딩을 후보로 임명하였으며, 매사추세츠주지사 캘빈 쿨리지를 러닝메이트로 선택하였다. 민주당은 오하이오 주지사 제임스 M. 콕스를 대통령 후보, 해군 보조 장관 프랭클린 D. 루스벨트를 부통령 후보로 지명하였다. 현관 앞의 선거 운동[편집] 1920년 선거 운동 때의 하딩 하딩은 매리언의 자택으로부터 현관 앞의 선거 운동을 지휘하였다. 그는 거기서 연설을 하고 방문한 대의원들을 만났다. 그는 자신의 비서들에게 악수가 자신이 가장 기쁘게 한 일이라고 말하였다. 하딩은 압도적 승리를 거두고 상원을 지내는 동안에 선출된 첫 대통령이 되었다. 그 일은 모든 여성이 투표할 수 있던 첫 선거였으며 라디오 방송으로 공개되었다. 대통령 재임[편집] 자신 행정부의 시작으로부터 하딩은 의회와 자신의 내각에 지도력을 공급하는 데 의지하였다. 대부분의 공화당원들처럼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의회에 속한 권력들을 차지하였다는 느낌이 들었다. 정상으로 복귀[편집] 하딩은 국제 연맹에 정돈을 끝내는 데 빠르게 움직였다. 그는 언맹이 독일과 다른 중앙 권력들과 함께 계약이 포함되지 않은 평화 조약들을 맺었다. 의회는 국재적 입법에서 지도자력을 차지하였다. 1921년 처음으로 이민에 몫을 놓았고 세금을 줄였다. 1922년에 관세를 기록 신장으로 올렸다. 농업 장관 헨리 C. 월리스는 농업부와 농부들에게 이득을 준 진흥적 입법을 인정하였다. 당시 상업 장관 허버트 후버는 상업적인 비행과 라디오 방송을 위한 규정들을 제안하였고 철강업에서 12시간의 근로일을 끝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 국무 장관 찰스 에반스 휴스의 지도력 아래 워싱턴 군축회의가 1921년과 1922년에 열렸다. 정부의 스캔들[편집] 하딩은 오하이오 갱이라 알려진 많은 친구들을 워싱턴 D. C.로 데려왔다. 그중에 어떤이들은 신뢰할 수 없었으나 그는 그들을 사회적으로 즐겼고 그들에게 중요한 직업들을 주었다. 부패의 경향이 곧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티포트 돔 스캔덜은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그 사건은 정부 소유의 석유 예비금들을 개인적 회사들에 임대한 뇌물을 받아들인 내무 장관 앨버트 B. 폴을 연루시켰다. 1929년 그는 투옥되어 1931년에 징역살이를 하였다. 하딩이 법무 장관으로 임명한 해리 도허티는 1926년 에일리언 재산 관리인의 사무실의 자신의 행정을 근심시킨 책임들로 재판을 받았다. 2명의 배심원들은 판단에 동의하는 데 실패하여 도허티가 풀려났다. 도허티의 친구 제시 W. 스미스는 1923년 5월 자살하였다. 스미스가 법무부와 법률적 폭력인들 사이에 청산을 배치시킨 것이 드러났다. 재향군인국에서 기금의 오용이 중개인의 입법적 조언자 찰스 F. 크래머의 자살과 운영인 찰스 R. 포브스의 투옥의 결과를 가져왔다. 사망[편집] 하딩의 장례 행렬 농업 경제의 대공황이 1922년의 의회적 선거에서 공화당원들이 나쁜 실수를 하는 원인이 되었다. 1923년 6월 하딩은 담화 순회를 만들어 자신의 행정부에서 신임을 재생하는 일을 찾았다. 부인과 큰 공무적 당과 함께 그는 국가를 가로질러 캐나다와 알래스카를 방문한 첫 대통령이 되었다. 워싱턴으로부터 긴 전갈이 하딩의 통로를 도달하였다. 그 일은 석유 임대들의 상원적 투자에 관한 소식을 방해하고 말았다. 기자들은 우울해진 하딩이 자신의 친구들에 의하여 배신당할 때 대통령이 무슨 일을 할 수 있었냐에 그들에게 의문하였다. 자신의 기차가 시애틀을 지나갈 때 하딩은 식중독에 걸려 병이 들기 시작하였다. 여행은 의사들이 하딩은 폐렴에 걸렸다고 보고한 샌프란시스코에서 멈췄다. 하딩은 거기서 8월 2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58세. 그의 시체가 워싱턴으로 돌아오면서 수많은 애도자들이 모여들었다. 그의 유해는 매리언으로 옮겨졌으며, 플로렌스 여사도 1924년 11월 21일에 사망하여 남편 옆에 안장되었다. 암살설도 있었으나, 훗날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인용집에 이 문서와관련된 문서가 있습니다. 워런 G. 하딩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워런 G. 하딩 (영어) 워런 G. 하딩 - 미국 의회 인명 사전 Miller Center of Public Affairs, University of Virginia, Warren Gamaliel Harding (1865–1923) White House, 29. Warren G. Harding 1921–1923 Warren G. Harding's Inauguration March 4, 1921 Memorial U.S. postage stamp issued after Harding's death Warren G. Harding at C-SPAN's American Presidents: Life Portraits Booknotes interview with Robert Ferrell on The Strange Deaths of President Harding, January 12, 1997. Booknotes interview with John Dean on Warren G. Harding, March 14, 2004. 음성과 영화 링크[편집] "Return to Normalcy" Speech, May 14, 1920 1920 Presidential Campaign; "Front Porch"; Marion, Ohio. Wearing cowboy hat Playing golf during Jazz Age 주요 자료[편집] Inaugural Address First State of the Union Address of Warren Harding Second State of the Union Address of Warren Harding 제29대 미국 대통령 전 임우드로 윌슨 1921년 3월 4일 ~ 1923년 8월 2일 후 임캘빈 쿨리지 조지 워싱턴 · 존 애덤스 · 토머스 제퍼슨 · 제임스 매디슨 · 제임스 먼로 · 존 퀸시 애덤스 · 앤드루 잭슨 · 마틴 밴 뷰런 · 윌리엄 헨리 해리슨 · 존 타일러 · 제임스 K. 포크 · 재커리 테일러 · 밀러드 필모어 · 프랭클린 피어스 · 제임스 뷰캐넌 · 에이브러햄 링컨 · 앤드루 존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러더퍼드 B. 헤이스 · 제임스 A. 가필드 · 체스터 A. 아서 · 그로버 클리블랜드 · 벤저민 해리슨 · 그로버 클리블랜드 · 윌리엄 매킨리 · 시어도어 루스벨트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워런 G. 하딩 · 캘빈 쿨리지 · 허버트 후버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해리 S. 트루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존 F. 케네디 · 린든 B. 존슨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조지 H. W. 부시 · 빌 클린턴 · 조지 W. 부시 · 버락 오바마 · 도널드 트럼프 전거 통제 WorldCat VIAF: 40173269 LCCN: n50023001 ISNI: 0000 0000 9418 9326 GND: 11872035X SUDOC: 028318935 BNF: cb120179344 (데이터) NLA: 35170495 NKC: mzk2005306694 US Congress: H0001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워런_G._하딩&oldid=22957195" 분류: 워런 G. 하딩1865년 태어남1923년 죽음미국의 대통령오하이오주 출신 정치인워런 G. 하딩 행정부공화당 (미국)의 정치인1916년 미국 대통령 후보1920년 미국 대통령 후보오하이오주의 연방 상원의원네덜란드계 미국인웨일스계 미국인스코틀랜드계 미국인잉글랜드계 미국인공화당 (미국) 대통령 후보미국의 침례교도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7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Brezhoneg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Cebuano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ދިވެހިބަސް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àidhligGalegoGaelg客家語/Hak-kâ-ngî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RipoarischKurdîKernowekLatinaLingua Franca NovaLumbaartLietuviųLatviešuMalagasy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Plattdüütsch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Kapampangan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1월 9일 (금) 07: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워런 거메일리얼 하딩(영어: Warren Gamaliel Harding, 1865년 11월 2일 ~ 1923년 8월 2일)은 미국의 29번째(29대) 대통령(1921~23)이다. 그리고 임기 중 사망한 여섯번째 대통령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워런 G. 하딩이 사망했을 때 그의 나이는 몇 세였습니까? Assistant: 58세 Human: 아래 시장_(경제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시장 (경제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시장 (경제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시장(市場)이란 경제학적으로 권리, 용역, 제품(이들을 재화라 한다.)의 소유권의 교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제학적인 또는 경제학적인 방향을 가진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전된 자연적인 사회 구조이다. 일상 생활에서 시장은 생활에 필요한 소매품을 파는 상점들이 밀집한 장소 (시장)를 말하지만,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거래의 목적물과 판매자, 구매자만 있으면 거래 장소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시장이라 표현한다. 시장에서 매매되는 재화를 상품이라 한다. 목차 1 기능 2 시장 종류 3 시장 실패 4 각주 기능[편집] 시장에서 판매자와 구매자는 재화의 종류, 가격, 대금의 지급 조건등을 서로의 약속에 따라 정하고 매매한다. 아무리 초보적인 시장이라고 하더라도 그곳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곳이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얻는 선택된 곳이다. 만일 이런 것들이 없다면 통상적인 의미의 경제라는 것이 존재할 수 없고 단지 자급자족, 혹은 비(非)경제 속에 갇힌 생활만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활동과 인간이 교환하는 잉여가 이 시장을 통과하는 것은 매우 어렵게 시작되었으나 그 시장은 점차 커지고 또 많아지며, 그러다가 이 과정의 마지막에 가면 "시장이 일반화된 사회"(프랑스어: société à marché généralisé)로 된다. 이것은 그 과정의 마지막에 가서, 즉 뒤늦게 이루어진 일이며, 그것도 지방마다 달라서 결코 같은 때에 같은 방식으로 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시장의 발전에 관한 단순하고 단선적인 역사와 같은 것은 없다. 여기에는 전통적인 것, 고졸한 것, 근대적인 것, 대단히 근대적인 것 등이 혼재한다. 오늘날에도 역시 마찬가지이다.[1] 시장 종류[편집] 뉴욕증권거래소 재화를 현실에서 직접 주고 받는 것이 아닌 추상적 공간에서 거래하는 시장이다. 금융 시장: 금융 재화를 거래의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다. 주식 시장: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주식 뿐만 아니라 채권과 같은 유가 증권 및 주가 지수와 같은 추상적 재화도 함께 취급한다. 외환 시장: 여러 나라의 통화를 거래의 대상으로 하는 시장이다. 환율과 같은 추상적 재화도 함께 취급한다. 시장 실패[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시장 실패입니다. 시장경제는 애덤 스미스가 말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는 체제이다. 하지만 시장이 스스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를 시장의 실패라고 한다.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거나 원료 독점 등으로독과점이 나타나는 경우, 환경오염 등 외부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 국방·치안처럼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을 시장에 맡기기 힘든 공공재의 경우 등을 들 수 있다.또 좋은 투자계획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불완전으로 단지 중소기업이라는 이유로 대출을 받지 못하는 것도 시장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시장 실패가 나타나면 보통 정부가 개입하게 된다. 하지만 정부 역시 시장에 대한 불완전한 정보와 능력의 한계 등으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를 정부의 실패라고 한다. 예컨대 적자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정부의 구제금융으로 연명하는 것은 정부의 실패이다. 각주[편집] ↑ 페르낭 브로델.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Ⅱ-1 : 교환의 세계 上》. 주경철 옮김. 까치. 20쪽.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초판발행일자= (도움말) 전거 통제 GND: 4037621-7 NDL: 00571347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시장_(경제학)&oldid=22841928" 분류: 시장 (경제학)숨은 분류: 인용 오류 - 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ymar aru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Mìng-dĕ̤ng-ngṳ̄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PatoisქართულიKongoҚазақшаLatinaLëtzebuergeschLumbaartLingálaລາວ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मराठीBahasa Melayu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Саха тыла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ChiShonaShqipСрпски / srpskiBasa SundaSvenskaไทยTagalogTok Pisin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inarayייִדיש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4일 (수) 14:5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시장(市場)이란 경제학적으로 권리, 용역, 제품(이들을 재화라 한다.)의 소유권의 교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제학적인 또는 경제학적인 방향을 가진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전된 자연적인 사회 구조이다. 일상 생활에서 시장은 생활에 필요한 소매품을 파는 상점들이 밀집한 장소 (시장)를 말하지만, 경제학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거래의 목적물과 판매자, 구매자만 있으면 거래 장소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시장이라 표현한다. 시장에서 매매되는 재화를 상품이라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시장이 생성되지 않는다면 발생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Assistant: 통상적인 의미의 경제라는 것이 존재할 수 없고 단지 자급자족, 혹은 비(非)경제 속에 갇힌 생활만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Human: 아래 김태균_(희극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태균 (희극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태균 (희극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태균 金泰均 김태균 (오른쪽)출생 1972년 9월 16일(1972-09-16) (46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국적 대한민국직업 연극배우 희극배우 가수 가요 작사가 뮤지컬 배우 뮤지컬 제작자활동 기간 1993년 ~ 현재종교 개신교 학력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경영학과배우자 이지영자녀 김재원 (아들)소속사 빅바이러스웹사이트 김태균 - 인스타그램 김태균(金泰均, 1972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개그맨, 가수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방송 활동 3.1 TV 3.2 라디오 3.3 영화 3.4 광고 4 가수 활동 4.1 컬트 삼총사 4.2 컬투 4.3 하이봐 5 가족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1993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94년 7월 MBC 5기 공채 개그맨으로 정식 데뷔, 이후 정성한, 정찬우와 함께 컬트 삼총사이라는 이름으로 개그 뮤지컬 그룹 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정성한이 탈퇴, 현재까지 컬투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2006년에는 여성 보컬 김미려를 영입, 하이봐라는 그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학력[편집] 서울동성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전문대학 방송연예학과 전문학사 경희사이버대학교 호텔경영학과 학사 방송 활동[편집] TV[편집] 1994년 : MBC 오늘은 좋은 날 1995년 : MBC 젊음의 다섯 마당 1998년 : KBS2 가족오락관 게스트 2003년 ~ 2010년 : SBS 웃음을 찾는 사람들 2010년 : MBC 스페셜 도시의 유인원 - 내레이션 2010년 ~ 현재 : KBS2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진행자 2012년 : 지식콘서트 내일 진행자 2013년 : 컬투의 베란다쇼 진행자 2014년 : 컬투의 어처구니 진행자 2014년 : 채널A 압도적 7 진행자 2015년 ~ 현재 : SBS 영재 발굴단 진행자 015년 :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냉혈인간 사이보그 2015년 : SBS 바람의 학교 - 내레이션 2016년 ~ 2018년 : TV조선 NEW 코리아 헌터 - 내레이션 라디오[편집] 2006년 5월 1일 ~ 현재 : SBS 파워FM 두시탈출 컬투쇼 영화[편집] 2001년: 빨간 피터의 고백 2001년: 별주부 해로 2004년: 귀여워 ... 토크쇼 출연자 역 2011년: 원더풀 라디오 2011년: 체포왕 ... 목소리 출연 〔컬투〕 역 2012년: 몬스터 호텔 ... 미이라/할머니 그램린/콰지모도 한국어 더빙 2013년: 썬더와 마법저택 ... 잭/카를라/라산드라 한국어 더빙 2016년: 날, 보러와요 ... 라디오 목소리 〔컬투〕 역 2017년: 몬스터 패밀리 ... 드라큘라 한국어 더빙 광고[편집] 맛있는 두유 GT 진짜진짜 라면 가수 활동[편집] 컬트 삼총사[편집] 멤버 : 김태균, 정성한, 정찬우 1997년 1집 사랑은 야야야 1998년 2집 Over Girl 1999년 3집 어설픈 엘비스와 살찐 마돈나의 사랑 2000년 4집 Dancing Love 컬투[편집] 멤버 : 김태균, 정찬우 (정성한이 탈퇴) 2003년 1집 선수 입장 하이봐[편집] 멤버 : 김태균, 정찬우, 김미려 2006년 1집 생일 가족[편집] 처 : 이지영 (1976년 생) 장남 : 김범준 (2006년 8월 11일 생) 외부 링크[편집] 김태균 미니홈피 - 싸이월드 인스타그램 KBS 연예대상 《쇼/오락 MC부문 우수상》 2011년 2012년황신혜, 정찬우, 김태균 (컬투) 2013년 김승우, 김경란 - 이 글은 희극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한국 가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태균_(희극인)&oldid=24402832" 분류: 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1993년 데뷔대한민국의 팝 가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대한민국의 기업인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작사가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뮤지컬 감독1972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개신교도선덕고등학교 동문서울예술대학교 동문경희사이버대학교 동문숨은 분류: 희극 배우에 관한 토막글한국 가수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0:5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태균(金泰均, 1972년 9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개그맨 출신 방송인, 가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태균이 2015년에 SBS에서 내레이션한 작품은? Assistant: 바람의 학교 Human: 아래 혜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혜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혜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혜민스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혜민법명 혜민출생 1973년 12월 12일(1973-12-12) (45세)대한민국 대전광역시국적 대한민국 → 미국 속명 라이언 봉석 주(영어: Ryan Bongsuk Joo)학력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종교학 학사하버드 대학교 종교학 석사프린스턴 대학교 종교학 박사직업 불교 승려, 작가 혜민(慧敏, 1973년 12월 12일 ~)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비구 승려이며, 속명은 라이언 봉석 주(영어: Ryan Bongsuk Joo)이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햄프셔 칼리지에서 7년간 종교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뉴욕불광선원 부주지와 서울 마음치유학교의 교장을 맡고 있다. 《완벽하지 않은 것들의 사랑》,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젊은날의 깨달음》이란 책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트위터리언이다.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은 출간 7개월 만에 100만부를 돌파, 인문·교양 단행본 중 '최단기간 100만부 돌파' 기록을 세웠고 출간 3개월 만에 종합 베스트셀러(교보문고 기준) 1위에 올라 16주간 자리를 지켰다.[1] <시사저널>에 따르면 2012년 영향력 있는 종교인으로 불교계 인물로써는 법정스님과 성철스님, 법륜스님에 이어 9위를 차지하였다.[2] 훈계가 아닌 공감을 통해 삶의 문제에 다가가고, 추상적 의미를 구체적이고도 쉬운 화법으로 소통을 하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매일 올라오는 카카오스토리의 "혜민스님의 따뜻한 응원' 은 13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구독중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저서 4 방송활동 5 각주 6 외부 링크 생애[편집] 대전광역시 출생으로 서울에서 자라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종교학을 공부하였다. 고등학생때부터 삶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해 고민하던 중 크리슈나무르티의 책 《자기로부터의 혁명》을 읽고 종교와 철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깨달음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그후 대학생 시절부터 인도와 대한민국, 미국 등지에서 제14대 달라이 라마 등을 비롯한 많은 불교계 스승들을 만나 그들을 사사했다. 학문으로만 공부했던 깨달음을 몸소 체험해 보고 싶은 바램으로 2000년에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으면서 조계종 승려가 되었고 2008년 직지사에서 비구계를 수지했다. 이후 봉암사, 안국선원, 플럼 빌리지, 다람살라 등지에서 수행 했으며 2015년 미국 대학교수직을 그만두고 서울로 돌아와 어려운 이웃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일을 하기 위해 전문 치유사 선생님들과 함께 마음치유학교를 만들었다. 가족을 먼저 보낸 분들, 암 진단을 받으신 분들, 장애인 아이를 기르고 있는 부모들, 힘든 취업 준비생들, 유산의 아픔이 있으신 분들 등등을 위한 무료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고, 국내 저소득층 아이들을 돕는 위스타트 나눔대사로 2012년부터 꾸준히 활동중이다.[3]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수녀인 이해인,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회자인 조정민등의 비불교계 인사들과도 친분이 깊다. 고등학교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 간 이후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현재 미국 국적 소지자인 걸로 밝혀졌다. 한국 남성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군대를 가야 하는데 병역문제 기피로 한국 국적을 포기한 것인 지 논란이 되고 있다. 학력[편집]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종교학 학사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종교학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종교학 박사 저서[편집] 《완벽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사랑》, 수오서재, 2016 ISBN 979-11-95322-18-3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혜민 스님과 함께하는 내 마음 다시보기), 쌤앤파커스, 2012 ISBN 978-89-6570-060-9 《젊은 날의 깨달음》, 클리어마인드, 2010, ISBN 978-89-93293-13-5 방송활동[편집] 2012년 《지식나눔 콘서트 아이러브인 시즌2》 2016년 《김제동의 톡투유 - 걱정 말아요! 그대》 - 35회 게스트 2016년 《무한도전》 - 469회 게스트 2017년 《내 방을 여행하는 낯선 이를 위한 안내서》 2018년 《냉장고를 부탁해》 2019년 《어쩌다 어른》 각주[편집] ↑ 혜민 스님 책, 최단기간 100만부 돌파 조선일보 2012.08.28 ↑ 시사저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2012.08.16 ↑ http://www.westart.or.kr/?tag=%ED%98%9C%EB%AF%BC%EC%8A%A4%EB%8B%98 외부 링크[편집] 공식 웹사이트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마음치유학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혜민&oldid=24198103" 분류: 1973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전광역시 출신프린스턴 대학교 동문하버드 대학교 동문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동문대한민국의 승려대한민국의 작가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미국의 승려미국의 작가미국의 불교 신자미국으로 귀화한 사람한국계 미국인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NederlandsPortuguês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0: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라이언 봉석 주(Ryan Bongsuk Joo, 1973년 12월 12일 ~)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한국계 미국인 비구 승려이며, 본명은 라이언 봉석 주(영어: Ryan Bongsuk Joo), 법명은 혜민(慧敏)이다. 대한민국의 외국인 등록에는 대한민국 국적 당시 이름인 주봉석으로 등록하였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햄프셔 칼리지에서 7년간 종교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뉴욕불광선원 부주지와 서울 마음치유학교의 교장을 맡고 있다. 《완벽하지 않은 것들의 사랑》,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젊은날의 깨달음》이란 책을 쓴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트위터리언이다.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은 출간 7개월 만에 100만부를 돌파, 인문·교양 단행본 중 '최단기간 100만부 돌파' 기록을 세웠고 출간 3개월 만에 종합 베스트셀러(교보문고 기준) 1위에 올라 16주간 자리를 지켰다. <시사저널>에 따르면 2012년 영향력 있는 종교인으로 불교계 인물로서는 법정스님과 성철스님, 법륜스님에 이어 9위를 차지하였다. 훈계가 아닌 공감을 통해 삶의 문제에 다가가고, 추상적 의미를 구체적이고도 쉬운 화법으로 소통을 하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매일 올라오는 카카오스토리의 "혜민스님의 따뜻한 응원' 은 13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구독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혜민은 어떻게 살아 온 사람이야? Assistant: 대전광역시 출생으로 서울에서 자라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종교학을 공부하였다. 고등학생때부터 삶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에 대해 고민하던 중 크리슈나무르티의 책 《자기로부터의 혁명》을 읽고 종교와 철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깨달음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그후 대학생 시절부터 인도와 대한민국, 미국 등지에서 제14대 달라이 라마 등을 비롯한 많은 불교계 스승들을 만나 그들을 사사했다. 학문으로만 공부했던 깨달음을 몸소 체험해 보고 싶은 바램으로 2000년에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으면서 조계종 승려가 되었고 2008년 직지사에서 비구계를 수지했다. 이후 봉암사, 안국선원, 플럼 빌리지, 다람살라 등지에서 수행 했으며 2015년 미국 대학교수직을 그만두고 서울로 돌아와 어려운 이웃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일을 하기 위해 전문 치유사 선생님들과 함께 마음치유학교를 만들었다. 가족을 먼저 보낸 분들, 암 진단을 받으신 분들, 장애인 아이를 기르고 있는 부모들, 힘든 취업 준비생들, 유산의 아픔이 있으신 분들 등등을 위한 무료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고, 국내 저소득층 아이들을 돕는 위스타트 나눔대사로 2012년부터 꾸준히 활동중이다.[3]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수녀인 이해인,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회자인 조정민등의 비불교계 인사들과도 친분이 깊다. 고등학교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 간 이후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현재 미국 국적 소지자인 걸로 밝혀졌다. 한국 남성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군대를 가야 하는데 병역문제 기피로 한국 국적을 포기한 것인 지 논란이 되고 있다.
Human: 아래 헨트_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헨트 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헨트 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헨트 대학교Universiteit Gent 표어 Audere Sapiens/ Dare to Think (라틴어)담대하게 생각하라 종류 공립설립 1817년총장 안느 드 파프학부생 수 41,000[1]교직원 수 9,000[1]국가 벨기에위치 헨트, 코르트레이크웹사이트 www.ugent.be [www.ghent.ac.kr] 헨트 대학교(네덜란드어: Universiteit Gent, 영어: Ghent University)는 벨기에 헨트에 위치한 공립 대학교이다. 1817년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국왕 빌럼 1세가 세웠으며 1830년에 벨기에 혁명으로 벨기에가 독립한 뒤로는 벨기에가 운영하고 있다. 플랑드르의 대형 대학교 가운데 하나이다. 1911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모리스 마테를링크, 193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코르네유 하이만스, 제8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자크 로게, 벨기에의 제47대 총리를 지낸 히 버르호프스타트, 벨기에의 제48대 총리를 지낸 이브 르테름,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등을 배출했다. 또한 194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헤베시 죄르지 등이 교수를 지낸 바 있다. 벨기에 헨트와 코르트레이크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도 캠퍼스를 두고 있다. 상하이 교통 대학 세계대학평가(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70위 (생명과학분야 37위), 타임즈 세계대학평가(Times Higher Education World University Rankings) 90위(생명과학분야 37위)에 위치하는 등 유럽을 선도하는 유수한 대학이자 연구기관 중 하나이다. 목차 1 역사 2 순위 3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인천 송도) 4 학교 동문 5 외부 링크 6 각주 역사[편집] 헨트 대학교는 1817년 10월 9일에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국왕 빌럼 1세가 네덜란드 연합왕국 남부의 교육과 학문을 중흥시키고자 세웠으며 190명의 학생과 16명의 교수가 있었고 초대 총장은 의사 출신의 J. C. 판 로테르담이었다. 설립 당시에는 인문학부와 법학부, 약학부, 이학부의 네 학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수업은 라틴어로 이루어졌다. 벨기에 혁명 전에는 학생이 414명까지 늘었으나 혁명으로 인해 학생 숫자가 감소했다. 1835년에는 헨트 대학교가 현대 유기화학에 큰 족적을 남겼는데, 교수 아우구스트 케쿨레가 벤젠의 분자 구조를 밝혀냈으며 케쿨레의 제자였던 아돌프 폰 바이어도 유기화학에 큰 공헌을 남겼다. 벨기에 혁명이 혁명이 일어난 뒤에는 라틴어 대신에 프랑스어로 수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 뒤 플랑드르의 정치인이었던 로더베이크 더 라엇은 네덜란드어로 수업을 할 것을 주장했고, 1906년에 첫 네덜란드어 강의가 열렸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점령국인 독일 제국이 이른바 플랑드르 정책(Flamenpolitik)을 펼쳤고, 헨트 대학교는 벨기에에서 최초로 네덜란드어 사용 대학교가 됐다. 1923년에는 장관 피에르 놀프가 헨트 대학교를 완전한 네덜란드어 대학교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며, 마침내 1930년에 완전한 네덜란드어 대학교가 됐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헨트 대학교를 독일식으로 만드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많은 저항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들어서 벨기에 정부의 고등교육기관 민주화 정책에 따라 대학교의 규모가 커지기 시작했다. 1953년에는 3천여 명의 학생들이 있었지만 1969년에는 1만1천여 명 이상의 학생들이 있었다. 또한 1960년대와 1980년대 사이에는 수차례의 학생 운동이 벌어졌는데, 1969년에는 프랑스 5월 혁명의 영향으로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1991년에는 플란데런어 공동체 정부의 자치권이 늘어남에 따라 대학교의 공식 이름을 헨트 주립 대학교(Rijksuniversiteit Gent)에서 오늘날의 이름인 헨트 대학교(Universiteit Gent)로 바꾸었다. 순위[편집] 헨트 대학교는 벨기에 뿐만아니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고등교육기관으로 꾸준히 선정되고 있다. 2016년 상해교통대학 순위평가에서 85위에서 61위로 상승했으며, 이는 벨기에 소재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일 뿐만 아니라 유럽 대학 가운데에서도 21위에 해당하는 순위를 기록하였다.[2] 2018년 영국 QS 세계대학순위에서 125위를 기록하였으며(2017년도 131위), 학과별로는 수의학과가 세계 20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심리학과 세계 34위, 체육계열학과 세계 41위, 농업산림계열학과 세계 46위, 의학생명과학과 세계 85위, 및 그 외에 간호학, 발달연구학, 지리학, 해부생리학, 역사학, 생명공학, 환경공학, 의약, 고고학, 법학 등 다수의 학과가 모두 세계 50-100위권을 기록하였다.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인천 송도)[편집] 헨트 대학교는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민국 교육부,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이 함께 추진하는 해외 우수대학 국내 유치사업에 초빙돼 2014년 9월에 헨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를 설립하였다.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는 한국에 진출한 최초의 유럽대학이며, 벨기에 본교의 분자생명공학과(Molecular Biotechnology), 환경공학과(Environmental Technology), 식품공학과(Food Technology) 학부과정을 개설하였다. 1~2학년은 공통기초과목으로 3개 학과의 핵심 과목들을 이수하며, 3~4학년에는 전공심화과목을 이수하게 된다. 이 중 4학년 과목은 벨기에 본교에서 수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교와는 다르게 모든 수업은 현지 영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졸업생에게는 벨기에 본교와 동일한 이공학 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의 모든 교수진은 벨기에 본교 파견교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로벌캠퍼스에 상주하여 강의 및 연구 활동을 수행을 하고 있다. 전공심화과목의 경우, 본교의 저명한 교수를 초빙하여 특별 지도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다. 학교 동문[편집] 분류:헨트 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헨트 대학교 헨트 대학교 - 공식 웹사이트 각주[편집] ↑ 가 나 Universiteit Gent-Feiten en cijfers ↑ ARWU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6 vdeh 인천광역시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 인천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지역대학) 사립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인천가톨릭대학교 인하대학교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전문대학 경인여자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인하공업전문대학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 대학원대학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주안대학원대학교 외국계대학 겐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조지메이슨대학교 (송도캠퍼스)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이 글은 대학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헨트_대학교&oldid=23884170" 분류: 헨트 대학교벨기에의 대학교공립 대학인천광역시의 대학교1817년 개교숨은 분류: 대학 정보 틀에서 그림크기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네덜란드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대학교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Català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Français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КыргызчаLatina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Walon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9일 (화) 16: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겐트(헨트)대학교(네덜란드어: Universiteit Gent, 영어: Ghent University)는 벨기에의 공립종합대학교로 오스트플란데렌주 헨트(Ghent), 베스트플란데렌주 코르트레이크, 오스텐더와 인천광역시 송도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1817년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국왕 빌럼 1세가 세웠으며, 1830년에 벨기에 혁명으로 독립한 뒤로는 벨기에가 운영하는 대학이 되었다. 연구중심대학교로 뢰번(루벤) 가톨릭 대학교(KU Leuven), 브뤼셀자유대학교와 함께 벨기에를 대표하는 명문대학군에 속한다. 1911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모리스 마테를링크, 193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인 코르네유 하이만스, 제8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자크 로게, 벨기에의 제47대 총리 히 버르호프스타트, 벨기에의 제48대 총리 이브 르테름, 글로벌제약사 얀센제약(Janssen Pharmaceutica)의 창립자 파울 얀센(Paul Janssen), 월드와이드웹(WorldWide Web)의 공동창시자로 인터넷이라는 정보혁명기반 구축에 공헌한 로베르 카이오, 시대음악 해석의 명장인 지휘자 필리프 헤레베허 등을 배출했다. 또한 벤젠구조식 발견 등의 업적으로 '유기구조화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우구스트 케쿨레, 194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죄르지 헤베시 등이 교수로 재직하며 가르치고 연구하였다. 벨기에 헨트와 코르트레이크 뿐만 아니라 해양학 분야 오스텐더(Oostende)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도 캠퍼스를 두고 있다. 2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고, 순수&응용과학 및 공학, (수)의학 및 약학, 경제경영 및 인문사회과학 등 각 분야에서 뛰어난 학문적 성과와 걸출한 인재들을 내놓은 유럽을 선도하는 고등교육기관이자 연구기관 중 하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인천 송도에 있는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헨트 대학교는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민국 교육부,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이 함께 추진하는 해외 우수대학 국내 유치사업에 초빙돼 2014년 9월에 헨트 대학교 글로벌캠퍼스를 설립하였다.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는 한국에 진출한 최초의 유럽대학이며, 벨기에 본교의 분자생명공학과(Molecular Biotechnology), 환경공학과(Environmental Technology), 식품공학과(Food Technology) 학부과정을 개설하였다. 1~2학년은 공통기초과목으로 3개 학과의 핵심 과목들을 이수하며, 3~4학년에는 전공심화과목을 이수하게 된다. 이 중 4학년 과목은 벨기에 본교에서 수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교와는 다르게 모든 수업은 현지 영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졸업생에게는 벨기에 본교와 동일한 이공학 학사 학위가 수여된다. 헨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의 모든 교수진은 벨기에 본교 파견교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로벌캠퍼스에 상주하여 강의 및 연구 활동을 수행을 하고 있다. 전공심화과목의 경우, 본교의 저명한 교수를 초빙하여 특별 지도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다. Human: 아래 강이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강이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이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강이식 출생 미상사망 미상국적 고구려 별칭 진주 강씨 시조직업 수륙양군병마도원수 강이식(姜以式)은 진주 강씨의 시조이다. 족보에는 고구려 영양왕 때의 장군이라고 하나, 삼국사기, 구당서(舊唐書) 등 정사(正史)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목차 1 생애 2 유적 3 관련 작품 3.1 드라마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수나라가 597년에 고구려에 무례한 국서를 보내자 강이식은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라고 주장하였다. 598년에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공하기 위해 군대를 움직이자 이에 맞서 강이식이 병마원수(兵馬元帥)가 되어 5만의 정병을 이끌고 출전하였다고 한다. 수나라의 요서총관(遼西總管) 위충 (韋沖)과 접전하다 거짓으로 패하였고, 이에 수 문제가 양양(楊諒)에게 30만의 대군을 주어 임유관에서 출정하게 하고 주나후(周羅喉)에게 수군을 맡겼다. 주나후는 수군을 이끌고 평양으로 나아가겠다고 소문을 퍼뜨렸으나 강이식은 속임수를 간파하고 요하로 향하는 수군을 요격하여 격파하였다. 이후 성채를 지키면서 지구전을 펼쳐 수나라 군대는 양식이 떨어지고 장마로 인해 전염병이 돌아 퇴군하였다. 이에 강이식 장군이 이를 끝까지 추격하여 완전 섬멸하였다. 유적[편집] 묘소는 만주 심양현(선양)봉길선 원수림역 앞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문화혁명 당시 크게 훼손되어 지금은 거북좌대만 남아 있다. 경남 진주시 상봉동 885에 봉산사에 영정이 모셔져 있다. 매년 음력 3월 10일에 그를 제향한다. 관련 작품[편집] 드라마[편집] 《연개소문》(KBS, 2006년~2007년, 배우:김시원) 같이 보기[편집] 진주 강씨 (강이식) 임유관 전투 강민첨 외부 링크[편집] 위키문헌에 이 글과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조선상고사/제10편 KBS 다큐멘터리 역사를 찾아서 진주 비봉산 봉산사 vdeh삼국시대의 국왕을 제외한 주요 인물1 ~ 2세기고구려 괴유 호동 명림답부 을파소 백제 비류 신라 김알지 기타 공손탁 3 ~ 4세기고구려 밀우 유유 창조리 백제 왕인 목라근자 신라 석우로 기타 관구검 모용외 아도 5 ~ 6세기고구려 온달 백제 곤지 백가 신라 박제상 이차돈 이사부 사다함 거칠부 세종 기타 우륵 7세기고구려 을지문덕 연개소문 안시성주(양만춘) 연남생 검모잠 안승 백제 성충 계백 예식진 부여효 부여융 부여풍 복신 도침 흑치상지 신라 비담 알천 김유신 김인문 강수 원광 원효 기타 우중문 소정방 설인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강이식&oldid=24417400" 분류: 고구려의 군인한국의 장군여수전쟁 관련자진주 강씨생몰년 미상6세기 사람비주류 역사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日本語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21:0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강이식(姜以式, ?~?)은 진주 강씨의 시조이다. 족보에는 고구려 영양왕 때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를 역임한 장군이라고 하나, 《삼국사기》, 《구당서》(舊唐書) 등 정사(正史)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수나라가 고구려를 침략하기 위해 거병한 해는 언제인가? Assistant: 598년
Human: 아래 황재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황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배우에 대해서는 황재원 (배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황재원 개인 정보로마자 표기 Hwang Jae-Won출생일 1981년 4월 13일(1981-04-13) (38세)출생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키 186cm포지션 센터백클럽 정보현 소속팀 대전 시티즌등번호 88청소년 클럽 기록1997-19992000-2003 강화고등학교아주대학교클럽 기록*연도 클럽 출전 (골)2004-20102010-20112012-201320152016-20172018- 포항 스틸러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성남 일화 충주 험멜대구 FC대전 시티즌 079 0(5)018 0(2)009 0(1)023 0(2)036 0(2)003 0(0)국가대표팀 기록‡2008-2011 대한민국 011 0(1)지도자 기록2018- 대전 시티즌 (플레잉 코치) * 클럽의 출장수와 골은 정규 리그 기록만 센다. 또한 출장수와 골은 2018년 2월 18일 기준이다.‡ 국가대표팀의 출장수와 골은 2011년 3월 25일 기준이다. 황재원(黃載元, 1981년 4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목차 1 개요 2 학력 3 축구인 생활 3.1 선수 생활 3.2 국가 대표 생활 3.3 국가대표 A매치 골 4 그 외 5 경력 5.1 선수 경력 6 수상 6.1 개인 6.2 클럽 6.2.1 포항 스틸러스 7 참고 자료 8 각주 9 외부 링크 개요[편집]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출생하였다. 세트피스 기회에서 곧잘 공격에 가담해 골을 만들어 '골 넣는 수비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초등학교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학력[편집] 강화중학교 졸업 강화고등학교 졸업 아주대학교 졸업 축구인 생활[편집] 선수 생활[편집] 2004년 포항 스틸러스에 입단하여 K리그에 데뷔했으나, 2년 동안 하우젠 컵을 포함하여 12경기를 뛰는데 그쳤다. 2006년에서야 리그에서 12경기를 뛰며 경기 출전횟수를 늘리기 시작하였고, 2007년 K리그 우승, 2008년 FA컵 우승과 2007년 FA컵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09년 팀의 주장으로 선임되었고[1] 2009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2010년 7월, 20억원 이상의 이적료로 중동으로 이적하는 것이 유력하였으나 계약이 막판에 결렬되며 K리그 팀들이 영입전에 나섰고,[2] 결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였다. 하지만 크고 작은 부상과 그로 인한 컨디션 저하로 1시즌 반 동안 리그 18경기에 출전하는 데 그치며 기대에 못미치는 모습을 보이다 2012 시즌을 앞두고 조동건과 트레이드되어 성남으로 이적하였다. 성남 이적 이후 2011년 받은 무릎 수술의 여파로 7월까지 1군 경기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나 8월 5일 포항과의 경기에 출전하며 성남에서의 데뷔전을 치렀다. 2013 시즌이 끝난 후, 2014년 2월 11일 부로, 성남과 계약을 해지하여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충주 험멜로 이적하였으며, 2016 시즌을 앞두고 대구 FC로 이적하였다. 2018년 플레잉 코치로 대전 시티즌에 입단하였다. 국가 대표 생활[편집] 2008년 1월 30일 칠레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에 데뷔하였으나, 2월 14일 불미스런 사건으로 인하여 국가대표팀에서 제외되었다.[3] 이후 한동안 선발되지 못하다가 2009년 3월 28일 이라크와의 친선경기에서 13개월만에 재발탁되었으나,[4] 그 경기에서 자책골을 넣어 위기를 자초하였고, 경기 후에 황재원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라이트에 눈이 가려져 공을 잘못 걷어냈다고 해명하였다.[5] 2011년 AFC 아시안컵 일본과의 4강전 경기에서 연장전 전반에 페널티킥을 허용했으나, 연장전 후반 15분 극적으로 골을 넣어 동점을 만들었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과의 3위·4위전 전반전에 페널티킥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국가대표 A매치 골[편집] # 경기일 경기장소 상대팀 득점 결과 비고 1 2011/01/25 카타르 도하, 알가라파 경기장 일본 2 – 2 2 – 2 (0-3p) 2011년 AFC 아시안컵 그 외[편집] 2008년 2월 14일 전 미스코리아였던 김주연이 대한축구협회 홈페이지에 황재원이 낙태를 종용하였다는 글을 올렸고,[6] 이에 황재원은 2월 21일 기자회견을 갖고 물의를 일으킨 점에 대하여 축구팬들에게 사과하며, 김주연과 둘이서 원만하게 해결했으면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7][8] 하지만 4월 14일 김주연 측은 황재원이 자신을 폭행하여 아이가 유산되었다고 주장하였고,[9] 이에 황재원 측은 김주연 측에서 먼저 낙태를 종용했다고 반박하였다.[10][11] 결국 김주연은 4월 22일 낙태치상 및 상해치상 혐의로 황재원을 고소하였고,[12] 4월 25일 기자회견을 갖고 증거물인 '낙태 종용문자'를 공개하여,[13] 법적 공방으로 이어지게 되었다.[14][15] 이후 황재원에 무혐의 판결이 내려지며 사건은 종결되었다.[16] 경력[편집] 선수 경력[편집] 2004년 ~ 2010년 포항 스틸러스 2010년 ~ 2011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2년 ~ 2013년 성남 일화 천마 2015년 충주 험멜 2016년 ~ 2017년 대구 FC 2018년 ~ 대전 시티즌 수상[편집] 개인[편집] 2007년 K리그 베스트 11 선정 2016년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선정 클럽[편집] 포항 스틸러스[편집] K리그 우승 1회 (2007년) K리그 준우승 1회 (2004년) FA컵 우승 1회 (2008년) FA컵 준우승 1회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1회 (2009년) A3 챔피언스컵 준우승 1회 (2005년) 참고 자료[편집] 황재원의 축구, 아직 끝나지 않았다 각주[편집] ↑ 포항, 2009 시즌 스틸러스 이끌 주장에 황재원 선임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수원 이적 추진' 황재원, 중동행 실패 후 국내 이적 선회”. 스포탈코리아. 2010년 7월 20일.  ↑ 수비수 황재원, 축구 대표팀에서 제외 ↑ 허정무, 이근호 선발...황재원 13개월 만에 재발탁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황재원, "자책골은 라이트 탓" ↑ ‘낙태 종용설’에 태극마크 반납 황재원 “돌아가 해결하겠다” ↑ “황재원, "공인으로 물의 일으켜 죄송"”. 2015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7월 22일에 확인함.  ↑ '미스코리아 구설수' 황재원 "둘이서 해결하게 지켜봐줬으면" ↑ 김주연 '낙태스캔들' 입열어 "황재원 때문에 아기 잃었다"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황재원측 "낙태는 그쪽서 먼저 시키자고 했다" ↑ '미스코리아 구설수' 황재원-김주연, 사건 일지…황재원측 주장 ↑ 김주연, 22일 상해치상 혐의로 황재원 고소 ↑ 김주연 기자회견 "황재원이 보낸 '낙태 종용문자' 폭로"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김주연, 22일 황재원 고소로 법정공방 ↑ '낙태 스캔들' 황재원-김주연의 엇갈린 주장들 ! ↑ [홍재민의 축구話] 이천수 평가기준은 사생활이 아니라 축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황재원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vdeh대전 시티즌 – 현재 명단 1 박주원 2 김예성 3 황재훈 4 이광준 5 윤경보 7 뚜르스노프 8 박수창 9 박인혁 10 윤용호 11 김승섭 12 전상훈 13 신학영 14 윤성한 15 조귀범 16 고준희 17 장주영 19 김세윤 20 안상현(C) 22 윤신영 23 김진영 24 권영호 25 문용휘 26 김지훈 27 키쭈(VC) 28 황재정 29 김민성 30 가도예프 31 김태양 32 유진석 33 유해성 34 황도연 38 강한빛 39 이호빈 40 안동민 41 공용훈 42 이정문 44 이지솔 66 박수일 77 서우민 88 황재원 99 안주형 감독: 박철 (대행) vdeh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1 정성룡 2 최효진 3 황재원 4 조용형 5 곽태휘 6 이용래 7 박지성 (주장) 8 윤빛가람 9 유병수 10 지동원 11 손흥민 12 이영표 13 구자철 14 이정수 15 홍정호 16 기성용 17 이청용 18 김보경 19 염기훈 20 김신욱 21 김용대 22 차두리 23 김진현 감독: 조광래 K리그 베스트 11vdeh2007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김병지 DF 아디 마토 황재원 장학영 MF 따바레즈 이관우 김기동 김두현 FW 이근호 까보레 vdeh2009 K리그 베스트 11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신화용 DF 김상식 김형일 황재원 최효진 MF 최태욱 기성용 김정우 에닝요 FW 이동국 데닐손 vdeh2016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GK 조현우 DF 정우재 황재원 이한샘 정승용 MF 황인범 바그닝요 세징야 이현승 FW 포프 김동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황재원&oldid=24104545" 분류: 1981년 태어남인천광역시 출신강화군 출신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축구 선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축구 선수성남 FC의 축구 선수충주 험멜 FC의 축구 선수대구 FC의 축구 선수K리그1의 축구 선수K리그2의 축구 선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강화고등학교 동문아주대학교 동문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K리그2 베스트 11 수상자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대전 시티즌의 코칭스태프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Tiếng Việt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6일 (금) 15: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황재원(黃載元, 1981년 4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스틸러스에서 주장을 맡은 해는 몇년 인가? Assistant: 2009년 Human: 아래 김승현_(배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승현 (배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승현 (배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승현출생 1981년 3월 18일(1981-03-18) (38세)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직업 모델, 배우활동 기간 1997년 ~ 현재종교 개신교소속사 씨엔씨 엔터테인먼트 학력 경기대 다중매체영상학 학사부모 아버지:김도윤(김언중)(1948년생)어머니:백수아(백옥자)(1957년생)형제자매 동생:김승환(1982년생)자녀 딸 김수빈(2000년 출생)웹사이트 김승현 - 인스타그램 김승현(1981년 3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다. 목차 1 이력 2 학력 3 연기 활동 3.1 드라마 3.2 영화 4 그 외 활동 4.1 광고 4.2 뮤지컬 4.3 연극 4.4 진행 5 수상 6 각주 7 외부 링크 이력[편집] 신장은 184cm이고 체중은 74kg인 그는 1997년 잡지 '렛츠'의 모델로 활동하게 되면서 연예계에 데뷔하였다[1][2][3]. 어려서부터 미술을 전공하였는데, 2009년과 2010년 KASF코리아아트썸머페스티벌에 전시작가로서 참여하였다[4]. 배우로서의 첫 데뷔는 1998년 SBS 청춘시트콤 《나 어때》이다[5]. 학력[편집] 경기대학교 다중매체영상학 학사 (2009년) 연기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 제목 역할 비고 1997 MBC 남자 셋 여자 셋 1998 SBS 사랑해 사랑해 KBS2 행복을 만들어 드립니다 SBS 나 어때 승현 SBS 흐린 날에 쓴 편지 1999 SBS 행진 김승현 2001 SBS 외출 모태호 2002 SBS 오렌지 2003 MBC 아르곤 박정환 하사 2004 KBS 꽃보다 아름다워 2005 MBC 자매바다 어린 우충근 2010 MBC 욕망의 불꽃 김영식 SBS Plus 키스 앤 더 시티 2011 KBS2 두근두근 달콤 최재영 채널A 해피앤드 101가지 부부이야기 - 아내의 주홍글씨 재혁 2013 tvN 환상거탑 강동민 2014 MBC 엄마의 정원 보영의 남편 2016 MBC 아름다운 당신 변진호 KBS1 임진왜란 1592 이선지 SBS 사랑은 방울방울 2017 KBS2 최고의 한방 매니저 2018 MBN 철수씨와 02 김동민 MBC 배드파파 김윤수 특별출연 2019 KBS2 하나뿐인 내편 수정의 오빠 특별출연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8 짱 뺀질이 1999 질주 승현 2000 여름이야기 강성제 2002 철없는 아내와 파란만장한 남편 그리고 태권소녀 2003 주글래 살래 이소룡 2015 엄마의 남자 성식 2017 길 종광 2018 누에치던 방 정의현 한주 최형사 2019 질투의 역사 김홍 그 외 활동[편집] 광고[편집] 1998년 에리트 베이직 1999년 빙그레 하트유 1999년 LG유플러스 019 예스 서비스 2000년 모토로라 윙스 2018년 알리바바버거 2019년 서울우유 나 100% 뮤지컬[편집] 2004년 십이야 2006년 밴디트 연극[편집] 2011년 옆방 웬수 2013년 행복한 유령 진행[편집] 1999년 KBS2 《뮤직뱅크》 1999년 ~ 2000년 SBS 파워FM 《텐텐클럽》 2017년 ~ 현재 KBS2 《살림하는 남자들》 수상[편집] 2018 K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 우수상 《살림하는 남자들》 각주[편집] ↑ 김민정.김승현 “진영이 형 하늘에서 지켜보시죠…형 몫까지 연기 잘 할게요” Archived 2017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동아일보.2011년 3월 11일. ↑ 박아름. 김승현 “동안이라고? 나이 그거밖에 안먹었냐던데”(인터뷰). 뉴스엔. 2012년 2월 9일. ↑ 최보란. 김승현 "드라마서도, 인생서도 '반전'노려요"(인터뷰). 머니투데이. 2011년 3월 5일. ↑ 김승현 탤런트 . 매일경제. 2011년 7월 28일. ↑ 김민지. 김승현 “송혜교-조여정과 같은 시트콤 출연”(올드스쿨).뉴스엔.2015년 7월 6일. 외부 링크[편집] Daum 데이터 사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승현_(배우)&oldid=24489459" 분류: 198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모델20세기 대한민국 사람시흥시 출신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자유 연애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비디오 자키대한민국의 방송인대한민국의 미술가대한민국의 기업인1997년 데뷔경기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개신교도광산 김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6월 27일 (목) 09: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승현(1981년 3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승현이 지금까지 출연한 영화들과 맡은 배역은? Assistant: 연도 제목 역할 비고 1998 짱 뺀질이 1999 질주 승현 2000 여름이야기 강성제 2002 철없는 아내와 파란만장한 남편 그리고 태권소녀 2003 주글래 살래 이소룡 2015 엄마의 남자 성식 2017 길 종광 2018 누에치던 방 정의현 한주 최형사 2019 질투의 역사 김홍
Human: 아래 파이널_파이트_2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파이널 파이트 2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파이널 파이트 2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파이널 파이트 2ファイナルファイト2개발사 캡콤발행사 캡콤 시리즈 파이널 파이트플랫폼 슈퍼패미콤출시일 1993년 5월 22일장르 횡스크롤 액션게임이전작 파이널 파이트후속작 파이널 파이트 3 《파이널 파이트 2》(일본어: ファイナルファイト2, 영어: Final Fight 2)는 1993년 슈퍼패미콤으로 발매 된 파이널 파이트의 두 번째 시리즈이다. 2부터 아케이드 게임이 아닌 콘솔로만 발매되었다.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해거, 겐류사이 마키, 카를로스 미야모토. 아케이드판의 전작과 비교하면 조작성은 비슷하지만 슈퍼패미콤판(코디,해거 선택),가이(가이,해거 선택)판과 비교하면 꽤 진보한 모습이다. 게다가 전작 슈퍼패미콤판에선 불가능했던 2인플레이가 가능해졌고 컨티뉴를 할 때도 스테이지 도중에서 플레이를 재개할 수 있다. (전작은 컨티뉴 할 경우 스테이지 처음으로 돌아간다.) 또 비밀커맨드(↓,↓,↑,↑→,←,→,←,L,R)를 입력하면 같은 캐릭터를 동시에 골라서 플레이가능. 목차 1 줄거리 2 사용가능한 캐릭터 3 신생 매드기어 3.1 졸개캐릭터 3.2 보스캐릭터 4 아이템 4.1 회복아이템 4.2 득점아이템 4.3 무기아이템 4.4 특수아이템 5 라운드 구성 6 참고 문헌 줄거리[편집] 전작에서 매드기어는 괴멸했지만 매드기어의 잔당이 해거일행에게 복수하기 위해 가이의 약혼자인 레나와 스승 겐류사이를 유괴하였고 해거, 마키, 카를로스가 이 두명을 구하기 위해 나섰다. 시대설정은 1993년(해거가 이 작품에서 50세라는 설정) 사용가능한 캐릭터[편집] 겐류사이 마키 겐류사이의 차녀로 레나의 동생. 전작의 가이와 비슷한 성능으로 삼단뛰기가 가능. 잘 쓰는 무기는 통파로 다른 캐릭터보다 빨리 휘두른다. 카를로스 미야모토 수수께끼의 일본계출신. 마이크 해거에게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해거와 같이 참전한다. 펀치나 던지기 성능은 마키와 비슷하다. 통상공격의 위력은 3명중 가장 낮지만 펀치나 날아차기의 리치가 길다. 코디같이 단검을 계속 쓸 수있다. 마이크 해거 펀치, 날아차기, 잡기 성능은 다른 캐릭터와 비슷하다. 위력은 약간 더 세며 전작의 가이, 코디와 비교하면 성능의 차가 거의 없다. 신생 매드기어[편집] 매드기어의 잔당이 모인 조직. 본거지는 일본으로 홍콩과 유럽에 지부를 두었다. 졸개캐릭터[편집] 믹, 마크 탱크탑과 쫄바지를 입은 졸개. 믹은 선글라스를 쓴 대머리에 파란 바지. 자신만만한 성격. 마크는 리젠트헤어로 노란 바지. 남자를 좋아하는 성격. 가장 약한 졸개캐릭터. 공격은 펀치와 킥뿐이다. 킥이 좀 더 세다. 숏, 잭 찣어진 탱크탑을 입은 졸개. 숏은 모히컨머리로 오렌지 탱크탑. 머리를 만지는 걸 싫어하며 밴드경험이 있다. 잭은 모자와 선글라스를 쓰고 녹색 탱크탑. 모자는 대머리를 감추기위해 쓰고 있다. 공격패턴은 펀치대신 어퍼컷을 쓰는 것 빼고는 믹, 마크와 비슷하다. 불, 엘리죠 상반신을 탈의한 졸개. 불은 모히컨머리를 하고 수염을 기른 회색 바지. 버려진 개를 줍는 다정한 성격. 엘리죠는 장발에 붉은 바지. 거칠한 머리가 자랑. 어머니를 공경한다. 공격패턴은 믹, 마크와 비슷하다. 엘리어스, 엘리엇 경봉을 가지고 조끼를 착용한 키 큰 사나이. 엘리어스는 선글라스와 모자를 착용하고 있다. 모자와 조끼는 보라색. 별점이 특기. 일주일에 가라오케에 몇번 정도 간다. 엘리엇은 반다나를 두르고 수염을 길렀다. 반다나와 조끼는 검은색. 밀매품창고의 열쇠를 맡고 있다. 술에 취하면 운다. 주된 공격방법은 경봉과 발차기로 플레이어가 뒤를 돌아보고 있으면 다가온다. 조 엘리엇의 다른 색으로 붉게 물든 옷을 입고 검은 피부를 하고 있다. 화염병을 던지고 도망간다. 체력이 극단적으로 적다. 아틀라스, 조니 근육질의 몸에 칼자국이 나있는 거한. 아틀라스는 올백으로 파란 바지. 안기는 버릇이 있다. 술과 여자를 좋아한다. 조니는 스킨헤드로 주황색 바지. 쉽게 욱하는 성격. 펀치공격을 가드한다. 잡기 공격이 강력하다. 마리, 엘리자 양손에 칼을 가진 여성. 체중은 모두 4?kg로 가려서 표기되어있다. 녹색 핫팬츠를 입은 은발이 마리. 매일 아침 조깅을 한다. 바퀴벌레를 싫어한다. 파란색 핫팬츠에 갈색머리가 엘리자. 금방 질려하는 성격. 현재 애인모집 중. 칼로 베는 공격과 높이 점프해 밟기 공격을 한다. 전작의 포이즌, 록시와 마찬가지로 일본국외판에선 레온과 로버트라는 남성으로 바뀌어서 나온다. (오렌지색옷에 검은 피부가 레온, 청자색 옷에 흰 피부가 로버트) 엘릭 발전기를 가지고 있는 작은 비만형 사나이. 비만인 것을 신경쓰며 몰래 에어로빅에 다니고 있다. 돌진은 펀치로 막을 수 없으며 피하기 어렵다. 감전공격이 강력하다. 앙드레Jr, 앙드레, G.앙드레 전작에도 등장하는 거한. 파란색 오버올이 앙드레Jr, 붉은색이 앙드레, 흰색이 G.앙드레. 이번 작에서 G.앙드레는 일반 졸개처럼 나온다. 공격패턴은 전작과 비슷하나 모두 위력이 낮아졌으며 펀치도 느리게 휘두른다. 보스캐릭터[편집] 웡웡 홍콩의 보스. 토박이 폭력단도 한 수 물러서는 변발의 거한. 펀치와 손에 든 식칼(일본국외판에선 가지고 있지 않다.)로 공격하거나 갑자기 화면 밖에서 엘보드롭을 가한다. 프레디 프랑스의 보스. 미해병대에서 쫓겨난 거한. 점핑니킥 이외에는 앙드레와 공격패턴이 비슷하다. 브라켄 네덜란드의 보스. 프랑켄슈타인같은 외모에 몹시 흉폭한 거한. 하지만 반대로 마더콤플렉스. 감옥문을 발로 차서 부수며 등장한다. 화면 밖에서 날아차기를 잘하며 공격력이 강하다. 필립 영국의 보스. 삐에로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겉으로는 세계를 유랑하는 서커스단의 단장이지만 비밀리에 불법상품을 밀매하고 있다. 손에 든 스틱으로 화물차의 벽을 부수며 등장하는데 이 스틱은 플레이어를 때릴 때만 사용한다. 체력은 다른 스테이지 보스와 비교하면 적은 편이다. 로렌토 이탈리아의 보스. SFC판에선 이번 작이 첫등장. 전작과 달리 평소에도 빠르게 이동한다. 이번 작에서만 이름 영문표기가 ROLENT로 되어있다. 레츠 신생 매드기어의 보스. 가부키 배우같은 모습을 한 거한. 몸을 가볍게 움직이며 펀치나 전신을 회전시켜서 발차기를 한다. 마무리를 하면 방의 장지문을 뚫고 초고속으로 날아간다. 『스트리트 파이터』의 동명 CPU와는 동명이인. 아이템[편집] 전작과 마찬가지로 장애물을 부수면 출현한다. 기둥같은 배경에 숨겨진 경우도 있다. 회복아이템[편집] 체력게이지가 풀이면 점수. 거의 100% 회복(10000점) - 바비큐 약 50% 회복(5000점) - 텐돈, 고기만두, 랍스타 약 25% 회복(3000점) - 빵, 도너츠, 시금치통조림 약 10% 회복(1000점) - 콜라, 우유, 초콜릿, 커피 득점아이템[편집] 플레이어의 몫이 최초 10만점, 이후 20만점마다 1몫씩 보너스. 10000점 - 다이아몬드, 금괴 5000점 - 달러꾸러미, 트로피 3000점 - 라디오카세트, 모기향 1000점 - 운동화, 렌치, 손목시계 무기아이템[편집] 나이프 - 전작과 마찬가지로 날리는 도구인데 위력은 약해졌다. 통파 - 공격력이 강하다. 전작의 일본도와 비교하면 리치가 짧아졌다. 각목 - 리치가 길다. 전작의 파이프와 비슷하다. 특수아이템[편집] 가이인형 - 보너스 1몫 추가 겐류사이인형 - 일정시간 무적 라운드 구성[편집] 라운드1 - 홍콩 (오후 0시) 거리-지하-항구(보스)로 진행. 거리배경에 춘리가 밥을 먹고 있다. 라운드2 - 프랑스 (오후 5시) 카페 앞-고속도로-공항통로-공항 격납고 앞(보스)으로 진행. 보스전 배경에서 가일같은 인물이 있다. 보너스스테이지1 차 부수기. 부숴야하는 포인트는 전작과 같다. 이 스테이지에는 통파와 각목이 놓여져있다. 라운드3 - 네덜란드 (오후 4시) 지뢰가 있는 황무지-폐옥1층-폐옥2층-폐옥이 있는 황무지-하수도 터(보스)로 진행. 라운드4 - 영국 (오후 8시) 화물열차 부근 선로 앞-화물열차의 지붕-화물차의 차량 앞(보스)로 진행. 보너스스테이지2 드럼통 부수기. 드럼통에서 불이 솓구치므로 불에 맞지 않게 타이밍을 맞춰서 부순다. 라운드5 - 이탈리아 (오전 12시) 물가-관광선-엘리베이터-빌딩옥상(보스)로 진행. 엘리베이터는 전작의 공업지대 스테이지와 비슷하다. 라운드6 - 일본 (오후 11시 30분) 레츠의 저택 앞-정원-저택1층-저택2층-레츠의 방(보스)로 진행 참고 문헌[편집] ALL ABOUT 캡콤대전격투게임 1987-200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파이널_파이트_2&oldid=21478063" 분류: 캡콤 게임1993년 비디오 게임슈퍼 패미컴 게임버추얼 콘솔 게임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SuomiFrançaisItaliano日本語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5월 30일 (수) 13: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파이널 파이트 2》(일본어: ファイナルファイト2, 영어: Final Fight 2)는 1993년 슈퍼패미콤으로 발매된 파이널 파이트의 두 번째 시리즈이다. 2부터 아케이드 게임이 아닌 콘솔로만 발매되었다.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는 해거, 겐류사이 마키, 카를로스 미야모토. 아케이드판의 전작과 비교하면 조작성은 비슷하지만 슈퍼패미콤판(코디,해거 선택),가이(가이,해거 선택)판과 비교하면 꽤 진보한 모습이다. 게다가 전작 슈퍼패미콤판에선 불가능했던 2인플레이가 가능해졌고 컨티뉴를 할 때도 스테이지 도중에서 플레이를 재개할 수 있다. (전작은 컨티뉴 할 경우 스테이지 처음으로 돌아간다.) 또 비밀커맨드(↓,↓,↑,↑→,←,→,←,L,R)를 입력하면 같은 캐릭터를 동시에 골라서 플레이가능.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파이널 파이트2에서 마더콤플렉스인 브라켄은 어디의 대장이였을까? Assistant: 네덜란드 Human: 아래 2017년_바르셀로나_테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7년 바르셀로나 테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7년 바르셀로나 테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테러가 발생한 람블라스 거리 (2011년) 2017년 8월 17일 (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캄브릴스에서 차량 추돌 테러가 발생하였다. 바르셀로나에서 발생한 테러만 13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다쳤으며, 이후 사망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목차 1 테러 발생 1.1 알카나르 폭발 1.2 바르셀로나 테러 1.3 캄브릴스 테러 2 용의자 3 여파 3.1 대응 3.2 반응 4 각주 테러 발생[편집] 알카나르 폭발[편집] 17일 (현지 시각) 카탈루냐 정부는 바르셀로나 인근 도시인 알카나르의 한 주택에서 폭발이 일어나 최소 1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당국은 테러범들이 이곳에서 '폭발물 실험'을 한 결과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1] 바르셀로나 테러[편집] 2017년 8월 17일 오후 5시 (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 구시가지의 람블라스 거리와 카탈루냐 광장이 만나는 지점에서 흰색 밴 차량이 갑자기 보도에 있던 시민들을 향해 돌진했다.[2][3] 차량은 약 500m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질주하며 수많은 사람들을 덮쳤으며,[3] 운전자는 차가 멈춰선 직후 빠져나와 도주하였다.[3] 차량 테러로 현재까지 13명이 숨지고 100여 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되었다.[3] 카탈루냐 자치정부의 호아킴 포른 내무장관은 "현재 확인된 사망자는 1명이지만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부상자 30여 명 중에 10여 명은 중상인 것으로 집계되었다.[2] 캄브릴스 테러[편집] 18일 오전 1시 30분 (현지 시각)에는 바르셀로나에서 120km 정도 떨어진 도시 캄브릴스에서도 차량 돌진 테러가 발생하였다.[1] <엘 파이스>에 따르면 관광 리조트가 밀집한 캄브릴스 대로에서 무장 괴한들이 행인들을 향해 아우디 A3 승용차를 빠른 속도로 질주했다.[1] 이 테러로 인해 6명이 부상당했는데, 그 중 2명은 중상자로 집계되었고 경찰 1명도 포함되었다.[1] 테러 발생 직후 경찰은 진압에 나서 용의자 4명을 사살하고 1명은 부상당한 상태로 생포하였으나, 끝내 숨지고 말았다.[1] 목격자에 따르면 테러 용의자들은 사건 당시 폭탄을 벨트로 착용한 것으로 보였다고 알려졌으며, 경찰도 폭탄 처리반이 용의자 시신에서 벨트 착용 여부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1] 용의자[편집] 바르셀로나 테러의 용의자는 총 두 명으로 조사되었다.[3] 한 명은 모로코 국적의 28세 남성으로, 이름은 드리스 엘와크비르이다. 드리스는 테러에 사용된 차량을 렌트했다가 경찰의 추적으로 체포됐다. 유일하게 신원이 확인 된 용의자로, 경찰은 가정폭력 전과는 있으나 지하드 활동 전력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3] 본인은 자신의 신분서류가 도용당했다며 범행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3] 또 다른 한 명은 스페인령 멜리야 출신으로, 전날 밤에는 바르셀로나 교외의 주택에서 폭발 테러를 자행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3] 한편 무장단체 IS 는 이번 테러가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IS는 산하 선전 매체인 아마크 통신을 통해 "IS의 전사들"이 이번 공격을 자행했다고 밝혔다.[3] 여파[편집] 대응[편집] 카탈루냐 경찰청은 트위터를 통해 람블라스 거리 인근에 접근하지 말라는 통지를 내렸다.[2] 또 현장에 폴리스 라인을 설치해 시민들의 접근을 막고, 인근 상점의 일시 폐쇄를 명령하는 한편 근처의 지하철 출입구도 통제하였다.[2] 경찰은 이번 사건을 테러 공격으로 규정하고, 용의자가 체포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현장 주변에 특수부대를 투입하여 테러 경계작전을 펼쳤다.[2] 반응[편집] 테러 직후 각국 정상들과 시장들이 애도를 표명하고 반테러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테러 공격을 규탄하며 도움이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 돕겠다"고 트위터로 밝혔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사디크 칸 런던 시장 파올로 젠틸로니 이탈리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크리스티앙 에스트로시 니스 시장 각주[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김혜지 (2017년 8월 18일). “공포로 물든 스페인…'연쇄 테러'에 13명 사망(종합)”. 《뉴스1》 (서울). 2017년 8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마 김용래 (2017년 8월 18일). “바르셀로나 차량 테러로 1명 숨지고 30여명 다쳐…용의자 도주(종합2보)”. 《연합뉴스》 (파리). 2017년 8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손고운 (2017년 8월 18일). “지그재그로 행인 향해 돌진… 아비규환된 카탈루냐 광장”. 《문화일보》. 2017년 8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 옥철; 황정우; 현윤경 (2017년 8월 18일). “바르셀로나 희생자 애도 물결…세계 정상들 "테러에 맞설 것"”. 《연합뉴스》 (로스엔젤레스 런던 로마). 2017년 8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2017년 바르셀로나 테러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7년_바르셀로나_테러&oldid=21792888" 분류: 2017년 스페인2017년 테러 사건2017년 8월카탈루냐의 역사바르셀로나의 역사스페인의 테러 사건자동차에 의한 테러 사건8월 17일이슬람교의 테러 사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Català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Italiano日本語LatinaLumbaartLietuviųМакедонски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7월 17일 (화) 10:2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7년 8월 17일 (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캄브릴스에서 차량 추돌 테러가 발생하였다. 바르셀로나에서 발생한 테러만 13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다쳤으며, 이후 사망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7년 바르셀로나 테러에 조의를 표한 각국 주요인물들은 누구일까? Assistan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테러 공격을 규탄하며 도움이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지 돕겠다"고 트위터로 밝혔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사디크 칸 런던 시장 파올로 젠틸로니 이탈리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크리스티앙 에스트로시 니스 시장
Human: 아래 영양_천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영양 천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영양 천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영양 천씨 (潁陽 千氏) 관향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타이안 시 닝양 현 시조 천암 (千巖) 주요 중시조 천만리 (千萬里) 주요 집성촌 중화인민공화국 허난 성 우즈 현대전광역시 유성구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죽본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부암리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설매리 주요 인물 천광록, 천세헌, 천병규, 천세기, 천경자, 천관우, 천영성, 천상병, 천성순, 천명기, 천용택, 천경송, 천영세, 천신일, 천장호, 천영우, 천정배, 천성관, 천홍욱, 천호진, 천호선, 천해성, 천경훈, 천명훈, 천정명, 천수연, 천우희, 천영기, 천지혜, 천사랑 인구(2015년) 100,014명 영양천씨 중앙종친회 영양 천씨(潁陽 千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천암(千巖)은 명나라 도총장(都總將), 판도승상(版圖丞相)을 역임하였다. 중시조 천만리(千萬里)는 명나라 영량사 겸 총독장(領糧使兼摠督將)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왜군을 섬멸하는 공을 세우고, 조선에 귀화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로 봉조하(奉朝賀)의 벼슬을 지냈으며,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었다.[1] 목차 1 역사 2 기원 3 본관 4 분파 5 인물 6 집성촌 7 항렬자 8 함께 보기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영양천씨매헌공가승보(潁陽千氏梅軒公家乘譜)』에 의하면 시조 천암(千巖)은 중국 명나라 홍무(洪武) 연간에 도총장(都總將), 판도승상(版圖丞相)을 역임하였다. 후손들이 영양(潁陽)에 세거하였으므로 관향으로 삼았다. 중시조 천만리(千萬里)는 자가 원지(遠之), 호가 사암(思庵), 시호가 충장공(忠莊公)이다. 천만리는 1592년 임진왜란 때 중국 명나라 황제의 명으로 조병영양사(調兵領糧使) 겸 총독장(總督將)으로 두 아들 천상(千祥), 천희(千禧)와 조선에 건너와 평양(平壤), 곽산(郭山), 동래(東萊) 등지에서 대승을 거두고, 1597년 정유재란 때는 마귀(麻貴) 제독을 따라 중사마(中司馬)로서 울산(蔚山) 등지에서 왜군을 섬멸하였다. 전란이 평정된 후 두 아들과 조선에 귀화하였다.[2]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 방촌리에 천 장군의 묘가 있으며,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호암서원에서 음력 8월 1일에 향사한다. 조선 선조는 천만리에게 자헌대부(資憲大夫)로 봉조하(奉朝賀)의 벼슬을 내리고 화산군(花山君)에 봉하여 전(田) 30결(結)을 급복(給復)하였으며, 장남 천상(千祥)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차남 천희(千禧)는 평구도찰방(平邱道察訪)으로 승진시켜 자손에게 세록을 전수받게 하였다.[3] 기원[편집] 천(千; qiān)씨의 기원은 쓰촨(四川)성 일대에 살았던 고대 소수민족인 저(氐)족이다. 저족 일부는 중국 삼국(위·촉·오)시대부터 천씨 성을 쓰기 시작했고, 산시(陝西)성을 거쳐 허난성 일대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허난 지역 신문인 동방금보(東方今報)는 2014년 3월 7일 허난성 우즈(武陟) 현에 있는 천씨 집성촌을 취재하고 “중국 천씨와 한국 천씨는 조상이 같다”고 보도했다.[4] 매년 5월 한국의 영양 천씨 종친회원들은 중국 허난성 덩펑 시(登封市)에 있는 가문 사당을 방문하여 중국 천씨 종친회와 함께 제를 드리고 있다. 본관[편집] 영양(潁陽)은 중국 하남성 등봉현 영양진이다. 분파[편집] 좌윤공파(左尹公派) 천상(千祥) 처사공파(處士公派) 선전공파(宣傳公派) 정랑공파(正郞公派)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송암공파(松庵公派) 찰방공파(察訪公派) 천희(千禧) 영장공파(營將公派) 군수공파(郡守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감역공파(監役公派) 인물[편집] 조선시대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여 어모장군(禦侮將軍)으로 선전관을 역임했던 천경주(耕疇)와 호조정랑을 지낸 천태주(泰疇) 형제가 유명했으며, 찰방 천희(禧)의 아들 천거주와 천자주는 영월군수와 이원현감을 각각 역임하여 가세를 일으켰다. 그외 통훈대부로 선공감역을 지낸 천장주(長疇), 광주부윤 천찬명(贊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천순명(順銘), 군자감정 천인명(仁銘), 칠원현감 천경필(慶弼), 형조참의 천우열(宇烈), 훈련원 판관을 지냈던 천해, 한성부좌윤 천록, 예조참판 천용서(龍瑞), 동지중추부사 천인운(仁雲) 등이 가통을 이었다. 천위영(緯永)과 천후근(厚根)·천하영(夏永) 등은 학자(學者)로 유명했다. 문과 급제자로는 철종 때의 천일성(千馹成), 고종 때의 천광록(千光祿)이 있다. 천세필(千世弼) : 7세손. 1760년(영조 36년) 별군직(別軍職), 1777년(정조 원년) 가선대부(嘉善大夫) 칠원현감(柒原縣監)을 거쳐 1796년 오위장(五衛將)에 올랐다. 천수경(千壽慶, ? ∼ 1818년) : 조선 후기의 시인.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 창단. 천광록(千光祿, 1851년 ∼ 1931년) : 1892년(고종 29)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장원(壯元)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에 제수되었으며, 1893년(고종 30) 종3품 통훈대부(通訓大夫) 행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다. 천세헌(千世憲) : 조선 고종 때 외부주사(外部主事)를 역임한 후 도미하여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독립운동을 벌이고 상해 임시정부에 참여했다. 천수점(千手漸) :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강우규(姜宇奎) 등과 노인단(老人團 : 1919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을 조직 활약 천세광(千世光) : 목사,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다가 수감, 대한성결교회 총회의장, 서울신학대학 이사 천병규(千炳圭) : 제10대 국회의원, 제14대 재무부 장관 천시권(千時權) : 제11대 경북대 총장 천세기(千世基) : 제3·5대 국회의원, 제10대 교통부 정무차관 천명기(千命基) : 제8·9·10대 국회의원, 제19대 보건사회부 장관 천관우(千寬宇) : 언론인, 역사학자 천경자(千鏡子) : 화가, 대학 교수 천상병(千祥炳) : 시인, 평론가 천성순(千性淳) : 제7대 KAIST 원장 천용택(千容宅) : 제34대 국방부 장관. 15대~16대 국회의원. 제23대 국가정보원 원장 천경송(千慶松) : 대법관 천영우(千英宇) : 외교통상부 제2차관, 이명박 정부 대통령비서실 외교안보수석 천정배(千正培) : 제57대 법무부 장관, 15대~19대 국회의원 천성관(千成寬) : 제51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서울고등검찰청 차장검사[5] 천신일 : 세중 회장, 고려대학교 교우회 회장 천영세(千永世) : 제17대 국회의원 천홍욱(千泓昱, 1960년 ~ ) : 제27대 관세청장 천호선(千皓宣) : 제16대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비서관 천해성(千海成, 1964년 ~ ) : 제24대 통일부 차관 천호진 : 배우 천정명 : 배우 천명훈 : 가수 천수연 : 배우 송지효(개명 전 천성임) 천우희 : 배우 천유진 : 방송작가 집성촌[편집] 중국 허난성 우즈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삼정리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죽본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합금리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부암리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설매리 항렬자[편집] 12세 13세 14세 15세 16세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광(光) 기(冀)익(翼)우(愚) 口봉(鳳)口윤(胤)口욱(旭) 병(昞)병(柄) 口우(宇)口녕(寧)口필(弼) 성(成)세(歲)기(璣) 口희(熙)口범(範) 용(庸)강(康) 口재(宰)口벽(璧) 정(廷)임(任) 口규(揆)口임(任) 홍(洪)임(任) 口림(林)口식(植) 영(煐)형(炯) 口균(均)口기(基) 함께 보기[편집] 한국의 외래 귀화 성씨 각주[편집] ↑ 《조선왕조실록》 고종 41권, 38년 9월 30일(양력) 2번째기사 ↑ 천만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조선에 귀화한 명나라 장수 천만리, 영남일보, 2015-01-29 ↑ “'별그대' 천송이 千씨는 중국 허난성이 뿌리”. 조선일보. 2014년 3월 8일.  ↑ “영양 천(千)씨 종친회 임원명단 살펴보니…”. 조선일보. 2009년 7월 4일.  외부 링크[편집] 영양천씨 중앙종친회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영양_천씨&oldid=24434705" 분류: 영양 천씨천씨본관별 성씨한국 외 소재 성씨산둥성 출신타이안시중국계 한국인의 성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6일 (일) 03: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영양 천씨(潁陽 千氏)는 중국 허난성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천암(千巖)은 명나라 도총장(都總將), 판도승상(版圖丞相)을 역임하였다. 중시조 천만리(千萬里)는 명나라 영량사 겸 총독장(領糧使兼摠督將)으로 조선에 파병되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왜군을 섬멸하는 공을 세우고, 조선에 귀화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로 봉조하(奉朝賀)의 벼슬을 지냈으며,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정유재란이 발생한 해는 언제야 Assistant: 1597년 Human: 아래 베르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베르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르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베르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베르겐 시 Bergen 시기 휘장 베르겐북위 60° 23′ 22″ 동경 05° 19′ 48″ / 북위 60.38944° 동경 5.33000°  / 60.38944; 5.33000좌표: 북위 60° 23′ 22″ 동경 05° 19′ 48″ / 북위 60.38944° 동경 5.33000°  / 60.38944; 5.33000 행정 나라 노르웨이 행정구역 호르달란주 역사 설립 1070년 경 인구 인구 278,121 명 (2016년) 지리 면적 465.56 km2 기타 시간대 CET (UTC+1)CEST (UTC+2) 우편번호 5003–5268 (P.O.box 5802-5899) 지역번호 (+47) 5556 https://www.bergen.kommune.no/ 베르겐 베르겐 역사지구 베르겐(노르웨이어: Bergen)은 노르웨이 서남부, 호르달란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25만(2008). 노르웨이 서남부 해안의 깊숙이 들어간 피오르에 위치한다. 수도 오슬로에서 서북쪽으로 400km 떨어져 있으며, 노르웨이에서 오슬로 다음으로 큰 제2의 도시이다. 북위 60° 22′의 고위도에 위치하나, 멕시코 만류의 영향으로 기후가 온화하여 겨울철에도 평균기온이 영상이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2,000mm 이상으로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곳 중 하나이다. 반면 눈은 노르웨이에서는 적게 오는 곳에 속한다. 목차 1 역사 2 문화 3 기후 4 자매 도시 5 각주 역사[편집] 시의 역사는 1070년 노르웨이의 올라프 3세 국왕이 건설한 것에서 시작된다. 그 후 성곽이 생기면서 노르웨이에서 중요한 곳이 되었으며, 12∼13세기에는 이 나라 수도였다.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을 강타한 후 영국 선원들이 들어오면서 무역항으로 중요해졌다. 중세(中世)에는 스칸디나비아 반도 중에서는 최대의 항구이며 무역의 중심이었다. 또한 이때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스칸디나비아의 서해안의 무역을 지배하며 수백년 동안 크게 번창하였다. 19세기까지도 노르웨이의 최대 도시였다가 크리스티아나(현재의 오슬로)에 그 자리를 빼앗겼다. 문화[편집] 19세기에는 이 곳을 강타한 대화재와 크리스티아나의 발전으로 다소 침체했으나, 그 후 다시 서해안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대화재를 계기로 목재건축은 금지하고 있으나, 한자 동맹 시절의 중심가에는 독특한 목재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피오르식 해안관광의 출발점인 베르겐은 화려한 자연경관과 더불어 각종 미술관·박물관이 있는 문화도시이다.[1] 한자 박물관(Hanseatisk Museum)은 베르겐 시가 항구도시로서, 예부터 어업과 해외무역이 발달, 14세기에는 한자동맹에 가세하여 더욱 발전을 거듭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박물관이다. 시장 북쪽 브리겐 거리에 위치하며, 1702년 건립된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2] 마리아 교회(Mariakirken)는 브리겐 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베르겐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바로크풍의 선교단이 있다.[3] 트롤하우겐(Troldhaugen)은 노르웨이의 작곡가 에드바르 그리그의 집이다. 트롤은 보는 사람에 따라 선인과 악인으로 변하는 숲속의 요정으로 트롤하우겐은 트롤이 살고 있는 언덕이란 뜻이다. 그리그가 사용했던 피아노, 악보, 가구 등이 전시되어 있다.[4] 베르겐 수족관(Bergen Aquarium)은 노르네스 반도 서쪽 끝에 있는 노르웨이 최대의 수족관으로, 9개의 큰 수족관과 42개의 작은 수족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다표범, 해수어, 펭귄, 바다새를 볼 수 있다.[5] 판토프트 통널 교회(Fantoft Stavkirke)는 베르겐 교외의 판토프트(Fantoft)에 있는 독특한 통널 교회이다. 1150년에 처음 송네피오르드에 세워졌던 것인데, 보존을 위해 1883년 이곳으로 이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97년 6월 6일 재건축했다. 지붕이 5층으로 되어 있는 독특한 건물이다.[6] 기후[편집] 베르겐, 평균 온도와 강수량 1981~2010년, 햇빛 1961-1990년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6.9 (62.4) 13.2 (55.8) 17.2 (63) 22.5 (72.5) 27.6 (81.7) 29.9 (85.8) 31.8 (89.2) 31.0 (87.8) 27.1 (80.8) 23.1 (73.6) 17.9 (64.2) 13.9 (57) 31.8 (89.2) 평균최고기온 °C (°F) 4.3 (39.7) 4.5 (40.1) 6.5 (43.7) 10.4 (50.7) 14.7 (58.5) 17.3 (63.1) 19.1 (66.4) 18.6 (65.5) 15.4 (59.7) 11.4 (52.5) 7.3 (45.1) 4.8 (40.6) 11.2 (52.2) 일평균기온 °C (°F) 2.2 (36) 2.2 (36) 3.8 (38.8) 7.0 (44.6) 10.9 (51.6) 13.6 (56.5) 15.6 (60.1) 15.4 (59.7) 12.4 (54.3) 8.8 (47.8) 5.1 (41.2) 2.7 (36.9) 8.3 (46.9) 평균최저기온 °C (°F) 0.1 (32.2) −0.2 (31.6) 1.1 (34) 3.6 (38.5) 7.0 (44.6) 9.9 (49.8) 12.2 (54) 12.1 (53.8) 9.4 (48.9) 6.2 (43.2) 2.8 (37) 0.6 (33.1) 5.4 (41.7) 최저기온기록 °C (°F) −16.3 (2.7) −13.4 (7.9) −11.3 (11.7) −5.5 (22.1) −0.1 (31.8) 0.8 (33.4) 2.5 (36.5) 2.5 (36.5) 0.0 (32) −5.5 (22.1) −10.0 (14) −13.0 (8.6) −16.3 (2.7) 평균 강수량 mm (인치) 252.7 (9.95) 197.8 (7.79) 200.3 (7.89) 133.7 (5.26) 104.5 (4.11) 119.4 (4.7) 151.1 (5.95) 198.4 (7.81) 254.9 (10.04) 270.8 (10.66) 261.4 (10.29) 267.8 (10.54) 2,412.9 (95) 평균강우일수 (≥ 1 mm) 19.1 16.4 17.3 14.0 12.8 12.7 14.5 15.9 17.0 19.1 18.1 18.5 195.4 평균 상대 습도 (%) 78 76 73 72 72 76 77 78 79 79 78 79 76 평균 월간 일조시간 19 56 94 147 186 189 167 144 86 60 27 12 1,187 출처 #1: Météo Climat[7] NOAA (humidity and sunshine)[8] 출처 #2: Voodoo Skies for extremes[9] 자매 도시[편집] 에리트레아 아스마라 스웨덴 예테보리 독일 뤼베크 영국 뉴캐슬어폰타인 캐나다 퀘벡 독일 로스토크 미국 시애틀 핀란드 투르쿠 덴마크 오르후스 각주[편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베르겐〉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자 박물관〉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마리아 교회〉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그리그의 집〉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베르겐 수족관〉 ↑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스타브 교회〉 ↑ “Météo climat stats – Bergen”. Météo Climat. 2017년 3월 20일에 확인함.  ↑ “BERGEN - FLORIDA Climate Normals: 1961-1990”.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년 3월 16일에 확인함.  ↑ “Archived copy”. 1 Nov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September 2015에 확인함.  vdeh유럽 문화 수도 1985 아테네 1986 피렌체 1987 암스테르담 1988 서베를린 1989 파리 1990 글래스고 1991 더블린 1992 마드리드 1993 안트베르펜 1994 리스본 1995 룩셈부르크 1996 코펜하겐 1997 테살로니키 1998 스톡홀름 1999 바이마르 2000 레이캬비크, 베르겐, 볼로냐, 브뤼셀, 산티아고데콤포스텔라, 아비뇽, 크라쿠프, 프라하, 헬싱키 2001 로테르담, 포르투 2002 브뤼허, 살라망카 2003 그라츠 2004 릴, 제노바 2005 코크 2006 파트라 2007 룩셈부르크, 시비우 2008 리버풀, 스타방에르 2009 린츠, 빌뉴스 2010 에센, 이스탄불, 페치 2011 탈린, 투르쿠 2012 기마랑이스, 마리보르 2013 마르세유, 코시체 2014 리가, 우메오 2015 몽스, 플젠 2016 브로츠와프, 산세바스티안 2017 오르후스, 파포스 2018 레이우아르던, 발레타 2019 마테라, 플로브디프 2020 리예카, 골웨이 2021 티미쇼아라, 엘레프시나, 노비사드 2022 카우나스, 에슈쉬르알제트 2023 베스프렘 vdeh북유럽 50대 대도시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올란드 제도 페로 제도 그린란드 1. 스톡홀름 1,372,565 2. 코펜하겐 1,263,698 3. 헬싱키 1,214,210 4. 오슬로 958,378 5. 예테보리 549,839 6. 탐페레 325,025 7. 말뫼 280,415 8. 오르후스 261,570 9. 투르쿠 260,367 10. 베르겐 250,420 11. 스타방에르 210,874 12. 레이캬비크 209,510 13. 오울루 193,817 14. 트론헤임 175,068 15. 오덴세 173,814 16. 웁살라 140,454 17. 올보르 132,578 18. 이위배스퀼래 120,306 19. 라흐티 117,424 20. 드람멘 113,534 21. 베스테로스 110,877 22. 프레드릭스타드-사릅스보르그 108,636 23. 외레브로 107,038 24. 린셰핑 104,232 25. 헬싱보리 97,122 26. 포르스그룬-시엔 91,737 27. 옌셰핑 89,396 28. 노르셰핑 87,247 29. 쿠오피오 86,034 30. 포리 84,509 31. 룬드 82,800 32. 우메오 79,594 33. 에스비에르 72,060 34. 예블레 71,033 35. 바사 66,911 36. 보로스 66,273 37. 요엔수 65,686 38. 에스킬스투나 64,679 39. 쇠데르텔리에 64,619 40. 칼스타드 61,685 41. 라네르스 61,664 42. 테뷔 61,272 43. 벡셰 60,887 44. 크리스티안산 60,583 45. 콜링 58,757 46. 할름스타드 58,577 47. 호르센스 56,536 48. 라펜란타 55,429 49. 바일레 53,975 50. 콧카 52,600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9552590 LCCN: n79021216 ISNI: 0000 0004 0375 5599 GND: 1027742-0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베르겐&oldid=24183167" 분류: 베르겐호르달란주의 도시노르웨이의 도시노르웨이의 항구 도시북해의 항구 도시한자동맹 교역소 소재지노르웨이의 옛 수도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노르웨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አማርኛ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Žemaitėška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NordfriiskFryskGaeilgeGalegoHausaעבריתHrvatskiHornjoserbsce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Kalaallisut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umbaartLietuviųLatviešuMāoriМакедонскиमराठीBahasa MelayuЭрзяньNāhuatlPlattdüütschNedersaksies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ИронPolskiPiemontèisپنجابیپښتو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ChiTumbuk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West-VlamsVolapükWinarayZeêuws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0일 (금) 22: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베르겐(노르웨이어: Bergen)은 노르웨이 서남부, 호르달란주에 있는 도시이다. 인구 25만(2008). 노르웨이 서남부 해안의 깊숙이 들어간 피오르에 위치한다. 수도 오슬로에서 서북쪽으로 400km 떨어져 있으며, 노르웨이에서 오슬로 다음으로 큰 제2의 도시이다. 북위 60° 22′의 고위도에 위치하나, 멕시코 만류의 영향으로 기후가 온화하여 겨울철에도 평균기온이 영상이며, 지형적인 영향으로 연평균 강수량이 2,000mm 이상으로 유럽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곳 중 하나이다. 반면 눈은 노르웨이에서는 적게 오는 곳에 속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문화도시 베르겐은 어떤 곳이고 베르겐의 유명 명소로는 어떤 것들이 있어? Assistant: 19세기에는 이 곳을 강타한 대화재와 크리스티아나의 발전으로 다소 침체했으나, 그 후 다시 서해안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대화재를 계기로 목재건축은 금지하고 있으나, 한자 동맹 시절의 중심가에는 독특한 목재 건물들이 남아 있으며,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피오르식 해안관광의 출발점인 베르겐은 화려한 자연경관과 더불어 각종 미술관·박물관이 있는 문화도시이다.[1] 한자 박물관(Hanseatisk Museum)은 베르겐 시가 항구도시로서, 예부터 어업과 해외무역이 발달, 14세기에는 한자동맹에 가세하여 더욱 발전을 거듭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박물관이다. 시장 북쪽 브리겐 거리에 위치하며, 1702년 건립된 시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이다.[2] 마리아 교회(Mariakirken)는 브리겐 거리 북서쪽에 위치한 베르겐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이다.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내부에는 바로크풍의 선교단이 있다.[3] 트롤하우겐(Troldhaugen)은 노르웨이의 작곡가 에드바르 그리그의 집이다. 트롤은 보는 사람에 따라 선인과 악인으로 변하는 숲속의 요정으로 트롤하우겐은 트롤이 살고 있는 언덕이란 뜻이다. 그리그가 사용했던 피아노, 악보, 가구 등이 전시되어 있다.[4] 베르겐 수족관(Bergen Aquarium)은 노르네스 반도 서쪽 끝에 있는 노르웨이 최대의 수족관으로, 9개의 큰 수족관과 42개의 작은 수족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다표범, 해수어, 펭귄, 바다새를 볼 수 있다.[5] 판토프트 통널 교회(Fantoft Stavkirke)는 베르겐 교외의 판토프트(Fantoft)에 있는 독특한 통널 교회이다. 1150년에 처음 송네피오르드에 세워졌던 것인데, 보존을 위해 1883년 이곳으로 이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97년 6월 6일 재건축했다. 지붕이 5층으로 되어 있는 독특한 건물이다.[6]
Human: 아래 바리공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바리공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바리공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베리데기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바리데기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설에 대해서는 바리데기 (소설) 문서를, 드라마에 대해서는 바리데기 (드라마)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바리공주는 관북지방에 전해져 내려오는 설화상의 인물로, 흔히 무당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발리공주(鉢里公主) 혹은 사희공주(捨姬公主)라고 하여 바리때를 지니며 베푸는 공주를 뜻하였다. 해원 굿의 원형으로 오구굿의 한마당에서 나오는데 남자가 아닌 확실시 되는 여신이다.바리데기라고도 한다.[1] 목차 1 전승 2 줄거리 3 같이 보기 4 각주 5 참고 문헌 전승[편집] 바리공주 설화는 무속의 오구굿 또는 해원굿의 일부를 구성하는 서사무가(敍事巫歌)로 구전되어 왔다. 무당이 굿을 하기 전이나 하는 중간에 등장하는 사설(辭說)에 이 설화가 포함되어 있다. 무당은 바리공주 서사무가를 진오기굿의 말미거리에서 장고를 세우고 방울을 흔들며 서너 시간에 걸쳐 구송한다. 전국 모든 무당이 바리공주를 조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바리공주 무가가 전해져 오지 않는 곳에서는 미륵을 조상이라 하기도 한다. 바리공주 설화도 다른 서사무가와 마찬가지로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어느 부분이 한국 민족 고유의 서사무가인지, 불교의 이야기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한 예로 바리공주는 불로장생약이 있는 저승에 가기 위해 서천서역국을 가는데, ‘서천서역국’은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를 부르는 말이다. 왕의 이름은 지역에 따라 조금 다르게 나타난다. 전남지역에서는 오구시왕이다. 오구는 원한맺힌 귀신이라는 뜻이며 시왕은 불교의 열명의 판관이다. 사람이 죽으면 시왕에게 판결을 받아 어디로 갈것인지 결정이 된다. 이러한 점을 보아도 한국 서사무가에 드리워진 불교의 영향을 알 수 있다.[1] 줄거리[편집] 설화에 따르면, 옛 한국의 어느 왕이 있었는데 (어비대왕 혹은 오구대왕이라고 한다) 혼례를 일년 미루어야 아들을 낳고, 길하다는 예언을 무시하고 결혼한 탓에 아들을 낳지 못하였다. 딸만 계속 낳다가 마침내 일곱째도 딸로 태어나 버렸다. 바리공주가 태어나자 왕이 공주를 버려, 바리공주는 한 노부부에 의해 구해져 양육되었다. 후에 왕과 왕비가 죽을 병이 들어 점을 쳐 보니 저승의 생명수로만 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여섯 공주 모두가 부모를 위해 저승에 가길 거부했는데 바리공주가 이를 알게 되어, 바리공주는 자신을 버린 부모를 구하기 위해 기꺼이 저승에 가겠다고 하였다. 바리공주가 저승에 가 약이 있는 곳까지 갔는데, 저승의 수문장이 바리공주와 일곱 해를 살고 일곱 아들을 낳아야 약을 주겠다고 하였다. 바리공주가 그 조건을 채운 뒤 수문장과 일곱 아들과 함께 약을 갖고 이승에 돌아오는데, 궁에서 나오는 왕과 왕비의 상여와 마주쳐, 가져온 영약으로 되살렸다. 왕이 바리공주에게 물어 바리공주의 남편이 된 저승의 수문장은 장승이, 일곱 아들은 칠원성군이 되었고 바리공주는 이러한 연유로 왕에게 자청하여 한국 무당의 조상이 되었다.[1] 같이 보기[편집] 무당 바리데기 진오기굿 각주[편집] ↑ 가 나 다 『관북지방무가』(임석재·장주근, 문화재관리국, 1965), 『한국무가집』 Ⅰ·Ⅱ·Ⅲ·Ⅳ(김태곤, 집문당, 1980),『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참고 문헌[편집]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2,3 민속원 간 홍태한, 이경엽 편 vdeh한국의 신화창세신화 함흥 창세가 오산 시루말 당고마기굿 바리공주 천지왕본풀이 삼태자풀이 마고 설화 마고성 설문대할망 영등할망 등 건국신화 고조선의 건국 신화 부여의 건국 신화 고구려의 건국 신화 백제의 건국 신화 신라의 건국 신화 가야의 건국 신화 고려의 건국 신화 조선의 건국 신화 등 전설과 민담 당장경 천도 설화 아기장수 우투리 목도령 대홍수 설화 방이 설화 유리태자 설화 해명태자 설화 법우화상 설화 황금 돼지 설화 금척 설화 뱀신랑 설화 장자못 설화 지귀 설화 보희 설화 미추 이사금 설화 여우 구슬 설화 사금갑 설화 지증왕 성기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만파식적 설화 연오랑과 세오녀 자명고 설화 당나귀 귀 설화 광포 설화 고려장 설화 일월노리푸념 등 본풀이 천지왕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지장본풀이 문전본풀이 칠성본풀이 군웅본풀이 제석본풀이 등 영웅 설화 동명왕 신화 금와왕 설화 추모왕 신화 박혁거세 신화 김알지 신화 김수로왕 신화 탈해 이사금 신화 미천왕 설화 알평 설화 박제상 설화 견훤 설화 거타지 설화 처용 설화 바보 온달 무왕 설화 작제건 설화 강감찬 설화 이성계 설화 김덕령 설화 임경업 설화 등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바리공주&oldid=24191304" 분류: 한국 신화설화전설무속무속의 신시간과 운명의 신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Magyar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4:5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바리공주는 한국 신화에서 관북지방에 전해져 내려오는 설화상의 인물로, 흔히 무당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다. 발리공주(鉢里公主) 혹은 사희공주(捨姬公主)라고 하여 바리때를 지니며 베푸는 공주를 뜻하였다. 해원 굿의 원형으로 오구굿의 한마당에서 나오는데 남자가 아닌 확실시 되는 여신이다. 바리데기라고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바리공주 설화가 영향을 많이 받은 종교는 무엇인가? Assistant: 불교 Human: 아래 더_유즈드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더 유즈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더 유즈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더 유즈드 기본 정보 국가 미국 장르 얼터너티브 록포스트 하드코어 활동 시기 2001년 ~ 현재 레이블 호프리스 레코드, 리프리즈 레코드, 워너브라더스 레코드 웹사이트 theused.net 구성원 버트 매크라켄퀸 알먼제프 하워드댄 화이트사이즈 이전 구성원 브랜든 스타이네커트 더 유즈드(The Used)는 미국 유타주 오렘 출신 록 밴드이다. 목차 1 역사 2 멤버 2.1 이전 멤버 3 음반 목록 3.1 정규 음반 3.2 비정규 음반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더 유즈드(The Used)는 1994년 결성된 밴드 스트레인지 이치(Strange Itch)에서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제프 하워드, 브랜든 스타이네커트, 조엘 팩, 맷 브라운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1998년에 첫 음반을 발매하였으며, 1999년에는 퀸 알먼이 기타리스트로 합류하였다. 같은 해에 이들은 이름을 덤 럭(Dumb Luck)으로 바꾸고, 2000년에 EP를 발매하였다. 얼마 후에 버트 매크라켄이 보컬로 밴드에 합류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이름을 다시 유즈드(Used)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동일한 이름의 밴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름을 다시 더 유즈드(The Used)로 변경하였다. 유즈드는 2002년에 데뷔 음반 《The Used》를 발표하였으며, 두 번째 음반 《In Love and Death》는 2004년에 발매되었다. 2006년 9월, 드러머 브랜든 스타이네커트가 밴드를 탈퇴하였으며, 2007년에 그의 공석을 채울 드러머로 댄 화이트사이즈가 합류하였다. 현재 스타이네커트는 펑크 록 밴드 랜시드의 드러머로 활동하고 있다. 유즈드의 세 번째 정규 음반 《Lies for the Liars》는 2007년 5월 22일에 발매되었다. 또한 유즈드는 2008년 8월 15일, 서태지의 컴백무대인 ETPFEST에 참여해 첫 내한공연을 가졌다. 2010년 유즈드는 리프리즈 레코드 (워너브라더스 레코드)를 떠나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11년 호프리스 레코드와 계약을하여 2012년 첫 싱글 I Come Alive를 공개하였으며, 이후 그들의 정규 앨범 6집인 Vulnerable을 발매하였다. 2013년 정규 앨범 6집 리패키지 Vulnerable (II)가 발매되었다. 2013년 7월 EP 앨범 The Ocean Of The Sky가 발매되었다. 2014년 4월 1일 정규 앨범 7집 Imaginary Enemy를 발매할 예정이다. 멤버[편집] 버트 매크라켄(Bert McCracken) - 보컬 퀸 알먼(Quinn Allman) - 기타 제프 하워드(Jeph Howard) - 베이스 댄 화이트사이즈(Dan Whitesides) - 드럼(2007년 ~ 현재) 이전 멤버[편집] 브랜든 스타이네커트(Branden Steineckert) - 드럼(2001년 ~ 2006년) 음반 목록[편집] 정규 음반[편집] 《The Used》(2002년) 《In Love and Death》(2004년) 《Lies for the Liars》(2007년) 《Shallow Believer》(2008년) 《Artwork》(2009년) 《Vulnerable》(2012년) 《Vulnerable II》(2013년 리패키지) 《Imaginary Enemy》(2014년) 비정규 음반[편집] 《Maybe Memories》(2003년 컴필레이션 앨범) 《Berth》(2007년 라이브 앨범) 《Shallow Believer》(2008년 EP) 《The Ocean Of The Sky》(2013년 EP) 외부 링크[편집] (영어) 유즈드 공식 웹사이트 (영어) 유즈드 공식 유튜브 채널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더_유즈드&oldid=22324187" 분류: 미국의 록 밴드미국의 포스트 하드코어 밴드2001년 결성된 음악 그룹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ymraeg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Basa SundaSvenskaУкраїнська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5:2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더 유즈드(The Used)는 미국 유타주 오렘 출신 록 밴드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더 유즈드가 밴드의 이름을 덤 럭으로 바꾸게 된 건 몇 년도야? Assistant: 1999년
Human: 아래 한국의_섬_목록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의 섬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의 섬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의 섬 목록은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의 목록이다. 목차 1 대한민국의 섬 목록 1.1 도서 분포 현황 1.2 면적 순 섬 목록 1.3 그 밖의 주요 섬 1.3.1 국토 끝섬 1.3.2 하중도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 목록 2.1 강원도 2.2 평안남도 2.3 평안북도 2.3.1 하중도 2.4 함경남도 2.5 함경북도 2.5.1 하중도 2.6 황해남도 3 각주 4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섬 목록[편집] 도서 분포 현황[편집] 출처 : 해양수산부 연안포탈[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면적 단위 : (km²) 광역시/도 해안선 연장 (km²) 도서부 유인도서 계 유인 도서 무인 도서 가구수 (가구) 인구수 개소 면적 개소 면적 개소 면적 인천광역시 880.30 154 687.02 42 680.91 112 6.11 33,046 94,172 경기도 303.57 65 44.57 11 43.74 54 0.83 2,768 7,215 충청남도 1,204.60 261 163.01 37 150.48 224 12.54 6,867 20,26 전라북도 301.70 109 37.95 26 35.31 83 2.64 1,985 6,468 전라남도 5,554.90 2210 1,836.49 278 1,790.55 1,688 45.92 78,071 219,542 경상남도 2,173.64 428 930.05 82 918.21 346 11.84 99,673 313,551 부산광역시 313.92 82 75.80 6 69.16 76 6.64 119,402 384,366 울산광역시 135.83 8 0.09 - - 8 0.09 - - 경상북도 428.00 47 73.73 4 73.60 43 0.13 3,840 10,426 강원도 318.10 32 0.26 - - 32 0.26 - - 제주특별자치도 419.95 63 15.45 8 13.80 55 1.65 2,232 5,98 총계 12,035 3,215 3,824 494 3,736 2,721 89 347,884 1,061,984 면적 순 섬 목록[편집] 출처 : 2012년 지적통계연보[1] 면적 단위 : (km²) 순위 섬 이름 소재지 면적 1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1,833.162 2 거제도 경상남도 거제시 379.233 3 진도 전라남도 진도군 374.981 4 강화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302.582 5 남해도 경상남도 남해군 300.935 6 안면도 충청남도 태안군 113.460 7 영종용유도 인천광역시 중구 97.480 8 완도 전라남도 완도군 90.074 9 울릉도 경상북도 울릉군 72.861 10 돌산도 전라남도 여수시 70.307 11 거금도 전라남도 고흥군 64.765 12 지도 전라남도 신안군 54.703 13 창선도 경상남도 남해군 54.127 14 자은도 전라남도 신안군 52.193 15 백령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51.086 16 압해도 전라남도 신안군 49.232 17 안좌도 전라남도 신안군 48.923 18 교동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7.141 19 비금도 전라남도 신안군 46.249 20 고금도 전라남도 완도군 45.558 21 도초도 전라남도 신안군 43.398 22 석모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2.344 23 임자도 전라남도 신안군 40.049 24 암태도 전라남도 신안군 37.251 25 청산도 전라남도 완도군 32.963 26 보길도 전라남도 완도군 32.142 27 신의도 전라남도 신안군 31.668 28 신지도 전라남도 완도군 30.832 29 조약도 전라남도 완도군 28.701 30 금오도 전라남도 여수시 27.508 그 밖의 주요 섬[편집] 가덕도 거금도 고금도 교동도 금오도 금호도 내나로도 노화도 대흑산도 덕적도 도초도 백령도 보길도 비금도 사옥도 석모도 소안도 신의도 신지도 안좌도 암태도 압해도 영도 영흥도 외나로도 임자도 자은도 장산도 조약도 증도 죽도 지도 창선도 청산도 팔금도 평일도 하도 하의도 하조도 한산도 흑산도 국토 끝섬[편집] 최동단 - 독도 최서단 - 백령도 최남단 - 마라도 최북단 - 백령도 하중도[편집] 한강 서울특별시 - 여의도, 밤섬, 노들섬, 선유도, 난지도 강원도 - 남이섬, 붓꽃섬, 중도 낙동강 부산광역시 - 을숙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 목록[편집] 강원도[편집] 국도(國島, 통천군) 삼도(三島) 송도(松島, 고성군) 평안남도[편집] 초도(椒島, 남포시) 덕도(德島, 남포시) 상취라도(上吹螺島, 온천군) 피도(避島, 남포시) 하취라도(下吹螺島, 온천군) 평안북도[편집] 가도(椵島, 철산군) 납도(蠟島, 선천군) 대감도(大甘島, 곽산군) 대화도(大和島, 철산군) 반성열도(盤城列島, 철산군) 삼차도(參瑳島, 철산군) 소감도(小甘島, 곽산군) 소랍도(小蠟島, 선천군) 소화도(小和島, 철산군) 신미도(身彌島, 선천군) 애도(艾島, 정주시) 우리도(牛里島, 철산군) 운무도(雲霧島, 정주시) 탄도(炭島, 철산군) 하중도[편집] 압록강 관마도(官馬島, 의주군) - 구리도(九里島)의 부속섬. 섬의 서쪽에 소관마도(小官馬島, 새알섬)가 있다. 구리도(九里島, 의주군) 다지도(多智島, 북부 의주군, 남부 신의주시) - 옛 검동도(黔同島), 난자도(蘭子島), 다지도(多智島), 마도(麻島) 등이 퇴적으로 합쳐진 섬. 동류초도(東柳草島, 신의주시) 류초도(柳草島, 신의주시) 비단섬(緋緞島, 신도군) - 신도(薪島)와 마안도(馬鞍島) 등을 1958년에 둑으로 연결하여 만든 인공섬. 마안도(馬鞍島, 신도군) - 한국의 가장 서쪽 땅. 수구도(水口島, 의주군) - 섬의 동서쪽 양 끝이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어적도(於赤島, 의주군) - 옛 어적도와 승아도(勝阿島)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 위화도(威化島, 신의주시) - 조선 태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고 조선 왕조를 개창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임도(荏島, 신의주시) - 옛 임도와 그 서쪽의 신도(薪島)가 퇴적으로 합쳐진 섬. 황금평(黃金坪, 신도군) - 옛 이름은 황초평(黃草坪)으로, 중국 영토와 붙어 있다. 함경남도[편집] 금초도(金椒島) 대저도(大猪島) 마양도(馬養島) 소저도(小猪島) 신도(薪島) 여도(麗島) 웅도(熊島) 화도(花島) 황토도(黃土島) 함경북도[편집] 난도(卵島) 대초도(大草島) 소초도(小草島) 쌍도(雙島) 양도(洋島) 적도(赤島) 피도(避島) 하중도[편집] 두만강 큰섬 (라선특별시) 류다섬(柳多島, 경원군) 매기도(每基島, 경원군) 황해남도[편집] 기린도(麒麟島) 대수압도(大睡鴨島) 마합도(麻哈島) 무도(茂島) 석도(席島) 소수압도(小睡鴨島) 순위도(巡威島) 어화도(漁化島) 용매도(龍媒島) 용호도(龍湖島) 월내도(月乃島) 창린도(昌麟島) 각주[편집] ↑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WP). 2012년 4월 16일. 2013년 5월 13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한국의 해안 하중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의_섬_목록&oldid=24507121" 분류: 한국의 섬섬 목록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Norsk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03:4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의 섬 목록은 대한민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섬의 목록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국의 30위까지의 면적 순 섬 목록은 어떨까? Assistant: 순위 섬 이름 소재지 면적 1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1,833.162 2 거제도 경상남도 거제시 379.233 3 진도 전라남도 진도군 374.981 4 강화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302.582 5 남해도 경상남도 남해군 300.935 6 안면도 충청남도 태안군 113.460 7 영종용유도 인천광역시 중구 97.480 8 완도 전라남도 완도군 90.074 9 울릉도 경상북도 울릉군 72.861 10 돌산도 전라남도 여수시 70.307 11 거금도 전라남도 고흥군 64.765 12 지도 전라남도 신안군 54.703 13 창선도 경상남도 남해군 54.127 14 자은도 전라남도 신안군 52.193 15 백령도 인천광역시 옹진군 51.086 16 압해도 전라남도 신안군 49.232 17 안좌도 전라남도 신안군 48.923 18 교동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7.141 19 비금도 전라남도 신안군 46.249 20 고금도 전라남도 완도군 45.558 21 도초도 전라남도 신안군 43.398 22 석모도 인천광역시 강화군 42.344 23 임자도 전라남도 신안군 40.049 24 암태도 전라남도 신안군 37.251 25 청산도 전라남도 완도군 32.963 26 보길도 전라남도 완도군 32.142 27 신의도 전라남도 신안군 31.668 28 신지도 전라남도 완도군 30.832 29 조약도 전라남도 완도군 28.701 30 금오도 전라남도 여수시 27.508 Human: 아래 카샤파_1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카샤파 1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샤파 1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카시야파 1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같은 이름을 가진 인도 힌두교 점성술 존숭 신에 대해서는 카샤파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4월) 카샤파 1세Kashyapa I 지위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 대리집정 재위 473년 ~ 479년 전임자 부왕 다투세나 군주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 제2대 군주 재위 479년 ~ 495년 후임자 이복 남동생 모갈라나 1세 군주 신상정보 출생일 448년 출생지 판드얀 드라비다 왕국 아누라다푸라 사망일 495년 (47세) 사망지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 아누라다푸라에서 자살 왕조 마우리안 가 가문 모리안 왕가 부친 다투세나 모친 다투세나의 정실 왕비(아누라다푸라 천가 출신) 기타 친인척 모갈라나 1세(이복 아우) 종교 불교 카샤파 1세(Kashyapa I, 448년 ~ 495년)는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제2대 군왕이다. 목차 1 생애 1.1 아버지 다투세나 장군의 권력 야욕으로 인한 어린 시절 그의 굴레 1.2 부왕(父王)을 참(斬)한 왕실 쿠데타와 보위 찬탈, 그리고 평생 후환을 심려한 외로운 치세(治世) 1.3 사후 2 직계 친척 관계 생애[편집] 아버지 다투세나 장군의 권력 야욕으로 인한 어린 시절 그의 굴레[편집] 그의 아버지는 본래 판드얀 드라비다 왕국의 불교도 군벌 정치가였던 다투세나 장군(Dhatusena 將軍)이었는데 그의 아버지 다투세나는 그가 4세 시절이던 452년에 판드얀 드라비다 왕국에서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당시 판드얀 드라비다 왕국 제6대 국왕(國王)이었던 피티야 군주(Pithiya 君主)를 시해하였고 급기야는 판드얀 드라비다 왕국을 멸국(滅國)하고 나서 아버지인 다투세나 자신이 판드얀 마우리아 제후국을 성립하여 집정총독(執政總督)의 직위에 취임함으로써 452년부터 455년까지 3년을 집정총독 직위에 재임하였으며 455년에는 판드얀 마우리아 제후국을 스스로 허물고 모리안 아누라다푸라 대공국을 건국하여 대공(大公) 보위에 즉위하여 455년부터 463년까지 8년을 대공으로 재위하였더니 463년에는 모리안 아누라다푸라 대공국을 또다시 스스로 허물고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을 재건립하여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초대 군주로 보위에 등극하였고 465년 카샤파 왕자 그가 17세 시절 부왕 다투세나 군주는 판드얀 드라비다 육군총장군 전역을 하여 군벌 일선에서는 일단 일보 물러났다. 부왕(父王)을 참(斬)한 왕실 쿠데타와 보위 찬탈, 그리고 평생 후환을 심려한 외로운 치세(治世)[편집] 그 또한 자신의 부왕(父王)인 다투세나 군주(Dhatusena 君主)의 기벽(奇癖)을 이어받았는지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왕자(王子)가 되고 나서부터는 점점 자라면서 권력에 눈이 먼 카샤파 왕자가 자신의 군사 병력을 증강하더니 급기야는 473년에 왕실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 다투세나 군주를 시해하고 473년부터 479년까지 6년을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대리집정(代理執政)로 있다가 479년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 제2대 군주 카샤파 1세로 보위에 올랐으나 치세 기간 동안 자신의 이복 아우 모갈라나 왕자(Moggallana 王子)가 복수를 할 것이 끝끝내 두려운 나머지 바위산 꼭대기에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왕궁을 지었는데 이 왕궁은 현재 스리랑카에서 우수 문화재로 기념되고 있지만 그 시절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군주 보위에 있었던 그는 바위산 꼭대기의 왕궁에서 어언 16년의 외로운 치세를 보내다가 남인도 지방에 방축되어 있던 이복 아우 모갈라나 왕자(Moggallana 王子)가 495년에 군사를 이끌고 수도 거병 침입을 시도하자 하바라나 군현에서 전투하였지만 코끼리를 타고 전투하던 카샤파 1세 군주가 코끼리에서 낙상하여 수렁에 추락하자 카샤파 1세 군주의 군사들이 사기를 잃고 도주하며 결국 카샤파 1세 군주는 스스로 배와 목을 베어 향년 47세로 자살 붕어하였다. 사후[편집] 495년에 카샤파 1세 군주가 향년 47세로 자살 승하하고 난 직후 거병 개입에 성공한 이복 아우 모갈라나 왕제(Moggallana 王弟)가 495년에서 497년까지 2년간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대리집정(代理執政)에 올랐다가 497년에 비로소 바라트 스리 랑카 모리안 세일론 아누라다푸라 신할레스 왕국의 제3대 군주 모갈라나 1세로 보위에 등극하였다. 직계 친척 관계[편집] 이복 아우: 모갈라나 1세 이 글은 스리랑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카샤파_1세&oldid=23876198" 분류: 448년 태어남495년 죽음섭정아시아의 군주인도계 사람부친 살해자쿠데타로 집권한 군주5세기 아시아 사람쿠데타로 집권한 지도자폐위된 군주쿠데타로 축출된 지도자작전 중 사망자자살한 군주화기로 자살한 사람불교도 군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4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스리랑카에 관한 토막글군주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atalàEnglishFrançaisසිංහලதமிழ்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17일 (일) 17: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카샤파 1세(싱할라어: කාශ්‍යප රජ, 448년 ~ 495년)는 아누라다푸라 왕국 모리야 왕조의 제2대 라자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피티야 군주를 시해한 사람은? Assistant: 다투세나
Human: 아래 미국_문학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국 문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국 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국 문학(美國文學, American literature)이란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저술된 문학 작품을 가리키지만, 미국 영토 내에서가 아니라 미국 출신 작가가 해외에서 쓴 작품도 미국문학에 속한다. 목차 1 칼뱅주의 및 계몽주의 문학 (1620-1820) 1.1 초기 문학 1.2 식민지시대 1.3 독립혁명기 1.4 문학적 과도기 2 낭만주의 및 초월주의 문학 (1820-1865) 2.1 독창적인 미국 스타일 2.2 미국의 낭만주의 문학 2.3 초월주의 문학의 태동 3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 문학 (1865-1914) 3.1 마크 트웨인 3.2 지역 문학가 3.3 제임스 4 1~2차 세계대전 사이의 문학 (1914-1945) 4.1 문학의 사회적 고발 4.2 전후 사회에 대한 환멸 4.3 대공황 시대의 문학 5 2차 세계대전 전후의 문학 (1945-1970) 5.1 미국의 모더니즘 문학 5.2 반체제적 리듬의 문학 5.3 전후 미국 문학의 지평 6 미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 (1970-현재) 6.1 현대 미국시 6.2 현대 미국 소설 6.3 현대 미국 극문학 7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인 8 같이 보기 9 출처 10 외부 링크 칼뱅주의 및 계몽주의 문학 (1620-1820)[편집] 초기 문학[편집] 존 스미스의 작품 〈버지니아, 뉴잉글랜드와 서머제도의 역사개관〉, 표지 콜럼버스가 1492년에 미대륙에 상륙한 이후에도, 영국은 오랫동안 이 신대륙에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1607년에 처음으로 버지니아의 제임스타운에 식민지를 건설했고, 버지니아 회사는 이주민들에게 토지를 분배하고 사유재산권을 인정했다. 신대륙 식민지에서 담배 재배가 성공하자 점차 대농장주 중심의 경작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는 훗날 노예제를 기반으로 한 남부 특유의 봉건적 사회제도로 발전하게 된다. 한편, 뉴잉글랜드에서는 1620년 102명의 "필그림 파더스"라고 불리던 사람들이 매사추세츠주의 해안에 상륙하여 플리머스 식민지를 개척했다. 또 1630년에는 윈스럽의 지도아래 보스턴을 중심으로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를 만들었다. 얼마후 이 식민지와 기존에 건설한 플리머스 식민지가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 통합지역의 거주민들은 존 캘빈의 교리를 신앙의 기초로 하는 청교도 사회를 건설해 갔다. 그들은 또 다음 세대의 지도자를 양성할 목적으로 하버드 대학을 설립했고 출판물의 인쇄를 위해 인쇄소를 개설했다. 그러나 이들 이주민의 대다수는 종교, 경제상의 이유로 신천지를 찾아 바다를 건너온 사람들로서 무엇보다도 식민지의 개척과 생활안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본국의 문학을 바로 미대륙이라는 새로운 토양에 이식시킬 수 없었다. 또한 이들은 아메리카 인디언이라고 불리는 선주 민족에 남아있는 시가에 귀를 기울일 여유도 없었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미국문학이란 존재하지 않았고, 주로 기록문학, 종교문학 등이 보고문서, 역사서, 설교집, 자서전, 전기문, 일기 등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식민지시대[편집] 미국 문학의 최초의 등장으로 인정되는 작품은 영국탐험가 존 스미스|스미스(1579-1631)가 제임스타운 식민지의 건설을 기록한 《버지니아의 사정》(A True Relation of Virginia (1608))인데, 역사서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한편, 매사추세츠만 식민지 총독 윈스럽의 일기("Journal")와 편지들,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브래드퍼드(1590-1657)의 《플리머스 식민지에 대해》 등도 귀중한 기록 문학으로 인정되고 있다. 종교 문학에 있어서는, 당대의 청교도 계관시인으로 불리던 위글워스(M. Wiggleworth, 1631-1703)의 시 《심판의 날》이 특히 유명하며, 64년간 목사직에서 종사했던 매더(1663-1728)의 "미국에서의 그리스도의 위업" (Magnalia Christ Americana (1702))는 그의 대표작으로 간주된다. 이신론의 공세에 밀려서 세가 약해졌던 청교도주의는 에드워즈(1703-1758)에 의해서 놀라운 종교부흥의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청교도주의를 체계화한 그의 저술들은 문학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에드워즈와 대조적으로 당대 최고의 정치가이자 저술가였던 프랭클린(1706-1790)은 철저한 합리주의자로서 미국사회의 각계 각층에서 활발하고 눈부신 활동을 하여 오늘날 미국식 직업윤리와 물질문명의 기반적 철학과 사상을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의 "자서전" (Autobiography)은 신학중심의 시대에서 이성과 합리성의 시대로 미국사회가 전환되어가는 시점이었던 당대의 정신사를 보여주고 있다. 독립혁명기[편집] 제임스타운의 식민지 건설이 시작된 이후, 약 150여년의 세월이 흘러가면서 영국과 식민지 사이에는 여러가지 반목과 대립이 나타났고, 드디어 독립전쟁이 발발하여 8년간의 전쟁 끝에 1783년에서야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 시기에는 식민지 거주민들의 여론을 자극하고 환기시켜 혁명사상의 고취를 목적으로 하는 저술들이 많이 나왔는데, 가장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한 문인은 영국 출신의 페인(1737-1809)이었다. 그는 1776년 1월에 10만 부 이상 팔린 《상식》(Common Sense)을 출간하여 《미국 독립 혁명》의 사상적 중요성을 역설하고, 독립전쟁 중에도 《미국의 위기》 (The American Crisis, 1776-1783)라는 총서를 발행하여 미국민들의 사기와 위세를 진작시켰다. 이 시기에, 프랑스 출신인 생 장 드 크레브쿠르(St. Jean De Crevecoeur, 1735-1813)는 미국사회의 실상을 서간형식으로 묘사한 《어느 미국 농부의 편지》(Letters from an American Farmer, 1782)를 출간하기도 하였다. 한편, 독립전쟁에 참가하여 두 번이나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히기도 했던 시인 프레노(Philip Freneau, 1752-1832)는 미국적인 주제를 처음으로 시에 도입하여 미국의 자연을 노래하고 애국적인 시들을 많이 발표하여 ‘미국독립전쟁의 시인’으로 불리었다. 대체적으로, 이 시대의 미국문학은 영국 고전주의의 모방에 치우친 모습을 많이 드러냈으며 가치있는 순수문학은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곧 다가올 미국 낭만주의 문학의 태동을 이미 드러내고 있었다. 문학적 과도기[편집] 제퍼슨 독립 전쟁이 끝나자, 해밀턴(1755 혹은 1757 - 1804), 매디슨(1751 - 1836)과 존 제이(1745 - 1829)의 《더 페더럴리스트》(The Federalist)라는 수필은 미국 정부의 조직과 공화제 가치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인 논쟁을 저술 하였다. 제퍼슨(1743 - 1826)이 쓴 《미국독립선언문》, 그리고 미국 헌법에 대한 영향력, 그 자서전 《버지니아주에 관한 주석》(Notes on the State of Virginia)과 많은 편지 등 초기 미국의 가장 재능있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그 평가를 굳히고 있다. 에임스(1758 - 1808), 오티스(1725 - 1783)와 헨리(1736 - 1799)도 그 정치적 저작물이나 연설에 중점을 두었다. 새롭게 탄생한 최고 국가의 초기 문학 대다수는 기존의 문학 장르에서 미국의 소리를 직접 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었고, 이러한 경향은 소설에 반영되었다. 유럽 형식과 스타일이 미국에 옮겨오면 많은 비평가들은 그들을 열등한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낭만주의 및 초월주의 문학 (1820-1865)[편집] 독창적인 미국 스타일[편집] 어빙 1783년 《파리 조약》을 거쳐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자, 미국인들은 이 정치적 독립에 걸맞은 지적, 정신적 독립을 점차 원하기 시작했고, 새로운 미국문학 창조의 욕구도 이에 따라 활성화되었다. 미국의 낭만주의는 미국식 민주주의에 대한 이상, 미국민 특유의 개척정신, 미국의 자연과 과거, 복음주의 종교 등 주로 미국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과 사정에 영향을 받아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는데, 이는 혁명기에 이미 그 싹을 보이고 있었지만 문학사에 있어서 본격적으로 나타난 것은 19세기로 들어선 이후였고, 그 정점은 1830년 - 1830년이었다. 1812년 전쟁과 미국만의 문학과 문화를 만들어 내자는 점점 커지는 욕구로 많은 새로운 핵심 인물들이 등장하였다. 그 중 어빙, 브라이언트, 쿠퍼, 그리고 포가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미국 최초의 전문 직업작가로서 활동한 어빙은 정기간행물 《샐마군디》(Salmagundi)에서 같이 유머러스한 작품과 《뉴욕의 역사, 디트리히 니커보커》(A History of New York, by Diedrich Knickerbocker, 1809)에서와 같이 풍자적인 작품을 썼다. 그는 1819년에 《스케치북》(Sketch Book)을 발표하여 미국 작가로서의 명성을 유럽에 국제적으로 날렸다. 뉴잉글랜드의 대표적 시인으로 유명했던 브라이언트는 초기 로맨틱하고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시를 써냈는데, 다양한 창작과 문예활동에 참가하여 자신의 시를 통해 미국 낭만주의 흐름의 기틀을 잡고 제시하였다. 이것은 유럽의 원류와는 거리가 먼 진화였다. 1832년에 포는 《붉은 죽음의 가면》(The Masque of the Red Death), 《함정과 진자》(The Pit and the Pendulum), 《어셔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모르그 가의 살인 사건》(The Murders in the Rue Morgue) 등과 같은 단편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이것들은 숨겨진 인간 심리의 정도를 탐험하고, 미스터리와 판타지 소설의 경계로 진일보한 것이었다. 쿠퍼가 5부작에 걸쳐 발표한 《모히칸 족의 최후》가 포함되어 있는 《네티 범포》(Natty Bumppo)에 대한 가죽스타킹 이야기는 미국과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그는 그것을 통해 미국 변경지역과 인디언들을 등장시킨 전기적 모험소설을 창조하였다. 뉴잉글랜드의 세바 스미스와 벤자민 P. 쉴라버 그리고 데비 크로켓, 오거스트 볼드윈 롱스트리트, 존슨 J. 후퍼, 토마스 뱅스 토페, 그리고 미국 프런티어에 대해 글을 쓴 조지 워싱턴 해리스 등도 유머러스하고 인기있는 작가였다. 보스톤 브라만(Boston Brahmin)은 하버드 대학과 매사추세츠 캠브릿에 있는 작가단체였다. 핵심 멤버는 제임스 러셀 로웰, 롱펠로 그리고 올리버 웬델 홈즈 시니어 등이 소속되어 있었다. 저명한 문학평론가 매티슨(F. O. Matthiessen, 1902-1950)은 저서 《미국의 르네상스》(American Renaissance, 1941)에서 이 시기를 《미국의 르네상스》라고 불렀는데, 이 명칭은 셰익스피어가 활약하던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 시기의 영국 르네상스에 견주는 미국인의 문화적 자부심이 드러나있다. 미국 문학사에 있어서 낭만주의 시대는 주로 19세기 초에서 남북전쟁(1861-1865)이 끝날 무렵까지를 일컫는다. 미국의 낭만주의 문학[편집] 에머슨. 콩코드(Concord)의 철인이라고 불리었던 사상가 에머슨(1803-1882)은 초월주의라는 명칭 아래 그를 중심으로 모인 문인들과 함께 미국 초월주의라는 철학적 조류를 만들고 이끌었다. 1836년 "자연"(Nature) 은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개인주의의 범신론적 신비주의의 결합과 그 초월적 문학화의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그의 강연문인 "미국학자론" (The American Scholar, 1837)은 당대에 미국의 지적 독립선언으로서 받아들여졌다. 당대의 대표적인 초월주의자였던 소로(1817-1862)는 그의 대표작 《월든》(1854)에서 당대 급부상하던 산업주의, 물질주의에 대항한 적극적인 문학적 시도를 부여주었으며, 정신적인 자연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깊이있는 문학적 성찰을 보여주었다. 그의 급진적인 글쓰기는 미국인의 성격에 내재하는 뿌리 깊은 개인주의 성향을 표현하고 있다. 초월주의에 영향을 받은 다른 작가들로는 올컷, 풀러, 리플레이, 브라운슨, 베리가 있다.[1] 미국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포(1809-1849)는시, 단편소설, 추리소설, 평론 등 다방면에서 특출하고 독보적인 문학세계를 그려내었다. 그는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사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다. 포우는 그의 뒤를 이은 인간 심연의 암흑세계에 대한 문학적, 철학적 통찰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호손과 멜빌의 어두운 로맨스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미와 비정산, 괴기와 공포에 대한 탐구는 후대의 많은 문학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초월주의 문학의 태동[편집] 호손. 1850년대 초에 주요 작품들을 발표했던 호손(1804-1864)은 정치적, 사상적으로 지나칠 정도로 낙관주의였던 에머슨의 사상과는 반대로 인간 심연의 암흑의 힘을 탐색하고 문학화하려 하였다. 다양의 심리적 죄의 양상과 갈등의 이면들을 그려낸 그의 단편 소설들과 로맨스들은 미국낭만주의의 정점의 깊은 심연을 드러내었다. 그의 대표작 《주홍글씨》(1850)는 미국의 역사적 무의식의 이면을 파헤치고 있으며 개개인들의 미국사회에서 겪는 도덕적, 정신적 갈등과 깊이의 심연을 깊은 통찰력으로 드러내주었다. 멜빌(1819-1891)은 호손과 더불어 미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작가중의 한명이지만 그의 생애에서는 결코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공식적인 학교교육을 깊이있게 받지 못한 멜빌은 젊은 시절 남태평양에서의 모험을 문학의 소재로 삼았으며, 폴리네이사 원주민들에게 사로잡힌 실제 경험담을 처녀작인 《타이피》(Typee (1846}}로 당시 미국과 영국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모비딕》에서는 고래 사냥을 떠나는 모험은 그런 강박 관념과 악한 본성, 그리고 그러한 요소에 저항하는 인간의 투쟁 등이 매개체가 되었다. 또 다른 걸작 중의 하나인 단편 소설 《빌리 버드》 (Billy Budd)에서는 멜빌이 전쟁 때 배를 타야 하는 의무와 열정에 대한 갈등을 희화화 시킨다. 일단 대중적인 작가로 안착을 하는 듯 보였으나, 그는 점차 역사적, 철학적 주제들을 깊이있게 파고 들어갔으며 다양한 문학 주제와 양식, 형식 등을 과감하게 실험하면서 대중의 인기를 잃어갔다. 휘트먼, 1856. 휘트먼(1819-1892)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어려서부터 도시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문학활동에 참여하였다. 21세가 되기 직전에 그는 맨해튼에서 문예주간지에 글을 기고하며 본격적인 문인활동을 시작하였다. 1848년 여름부터 휘트먼은 뉴욕에서 실험적인 시들을 집필하기 시작하였고 1855년 7월에 이르러 그의 대표작인 《풀잎》 ("Leaves of Grass" (1855)을 발표하였다. 사실주의 및 자연주의 문학 (1865-1914)[편집] 마크 트웨인[편집] 트웨인, 1907. 트웨인(1835 - 1910)은 미국 동부 해안에서 떨어진 미주리주 경계에서 태어난 미국인 작가로는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 토지를 무대로하는 그의 책 자서전 《미시시피의 삶》(Life on the Mississippi)과 소설 《톰 소여의 모험》과 《허클베리 핀의 모험》이다. 이것이 미국 사람의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바꾸었다. 그의 등장 인물은 방언과 신조어 및 지역의 억양까지 사용하여 실제 사람처럼 말하고, 분명히 미국 사람처럼 보인다. 지역 문학가[편집] 그 외 지역차나 방언에 흥미를 가진 작가로서는, 조지 W 케이블(1844 - 1925), 토마스 넬슨 페이지(1853 - 1922), 죠엘 챈들러 해리스(1848 - 1908), 메어리 노아이유 머프리(1850 - 1922, 필명 찰즈 에그버트 크래덕), 새라 온 쥬엣트(1849 - 1909), 메어리 E 윌킨스 프리맨(1852 - 1930), 헨리 커일러 버너(1855 - 1896) 및 오 헨리(1862 - 1910)가 있다. 하우얼스도 《사일러스 레이펌의 출세》(The Rise of Silas Lapham)와 같은 소설과 〈애틀랜틱 먼슬리〉의 편집자 일을 통해 리얼리스트의 전통을 대표하는 사람이었다. 제임스[편집] 제임스(1843 - 1916)는 구세계 - 신세계에 대해 직접 쓰게 됨으로써 딜레마에 직면했다. 제임스는 뉴욕에서 태어났지만 성인이 된 후 대부분 영국에서 보냈다. 그의 많은 소설들이 미국에 살고 있거나 또는 유럽에 여행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제임스의 소설은 그 절제되고, 고급스런 문장과 심리적, 정신적 패턴 분석은 아찔한 경향이 있다. 유럽에 온 매력적인 미국인 소녀를 그린 소설 《데이지 밀러》(Daisy Miller)와 수수께끼 같은 괴담 《나사의 회전》( The Turn of the Screw)은 아직도 접하기 쉬운 작품이다. 1~2차 세계대전 사이의 문학 (1914-1945)[편집] 문학의 사회적 고발[편집] 헤밍웨이, 제1차 세계대전의 군복차림 20세기 초에 미국의 소설가는 소설의 사회적인 영역을 상류에서 하류까지 넓혀 나갔다. 때때로 리얼리즘의 성격을 가진 작품도 등장하였다. 워튼(1862 - 1937)은 단편이나 소설에서 그녀가 자란 미국 동부 해안 상류 계급 사회를 관찰했다. 그 걸작 중에서도 《순수의 시대》(1920)는 매력적인 외부인보다, 전통적인 사회에서 수용되는 여자와의 결혼을 선택한 한 남자를 주제로 다루고 있다. 당시 남북 전쟁 소설 《붉은 무공훈장》(The Red Badge of Courage)로 알려진 크레인(1871년 - 1900)는 《거리의 여자 매기》(Maggie : A Girl of the Streets, 1893 )에서 뉴욕 창녀의 생애를 그렸다. 또한 드라이저(1871 - 1945)는 《시스터 캐리》(Sister Carrie, 1900)에서 시카고로 이사를 와서 연인이 될 시골 출신의 젊은 여성을 그렸다. 햄린 갈랜드(1861년 - 1940)와 프랭크 노리스(1870 - 1902)는 자연주의자의 관점에서 미국 농부의 문제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해 썼다. 시인 파운드(1885 - 1972)는 아이다호주에서 태어 났지만, 성인이 된 후 생애의 대부분을 유럽에서 보냈다. 그 작품은 복잡하며, 때로는 어둡고, 서양과 동양 모두 다른 예술 형태와 광범위한 문학에 여러 번 언급하고 있다. 파운드는 다른 많은 시인, 특히 다른 해외 거주자인 엘리엇(1888 - 1965)에 영향을 주었다. 엘리엇은 상징성 짙은 구조로 진행되는 간결하고, 지성에 호소하는 시를 썼다. 작품 《황무지》(The Waste Land)는 제1차 세계 대전이후 사회를 일그러진 생각이 붕괴되고, 악몽에 시달리는 이미지로 표현 했다. 파운드의 작품을 닮은 엘리엇의 시는 고도로 암시적이고, 《황무지》의 몇몇 시집은 시인 자신에 의해 보충된 각주가 제공되었다. 1948년, 엘리엇은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전후 사회에 대한 환멸[편집] 피츠제럴드, 칼 밴 베쿠텐 촬영, 1937년 미국 작가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환멸을 표현했다. 피츠제럴드(1896 - 1940)의 단편이나 소설은 1920년대 공허한 기쁨, 굶주리고, 반항적인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피츠제럴드의 특징적인 주제는 《위대한 개츠비》를 통렬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젊은이의 금빛 꿈이 실패와 좌절 속에서 사라져가는 분위기를 표현한 작품이다. 피츠제럴드는 또 20세기 초 사회적 압력으로 심하게 위협받던 자유사회의 통합, 좋은 정부와 평화 등 미국독립선언에 담겨 있던 미국의 중요한 이상이 붕괴된 것도 표현하였다. 루이스(1885 -1951년, 1930년 노벨문학상)와 앤더슨(1876 - 1941)도 미국 생활을 비판하는 소설을 썼다. 파소스(1896 - 1970)는 전쟁을 배경으로 대공황까지 연결된 이야기인 《미합중국 3부작》을 썼다. 헤밍웨이(1899 - 1961)는 제1차 세계대전의 앰불런스 운전기사로서 폭력과 죽음을 가까이에 체험하였고, 대학살에 의해서 추상적인 말이 가장 공허하고 사람을 유혹하는 것이라고 확신했다. 그는 작품에서 불필요한 말을 제거하고, 문장 구조를 단순화시켜, 구체적인 대상과 행동에 집중시켰다. 압력 아래에서의 우아함을 강조하는 도덕률을 충실하고, 그 주인공은 강하고, 과묵한 남자이지만, 여성은 약간 어색한 면이 많다.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The Sun Also Rises), 《무기여 잘있거라》는 그의 걸작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헤밍웨이는 1954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대공황 시대의 문학[편집] 스타인벡 대공황 시대의 문학은 그 사회 비판에서 있어 직접적이고, 노골적이었다. 스타인벡(1902 - 1968 )은 캘리포니아주 살리나스에서 태어나 그곳을 많은 소설의 무대로 등장시켰다. 그 스타일은 단순하고, 시사적인 면이 많아 독자의 공감을 불렀일으켰지만, 비평은 그렇지 않았다. 스타인벡은 종종 가난한 노동자 계급과 착실하고 정직한 삶을 위한 투쟁적인 글을 썼다. 그는 그 당시의 가장 사회 의식을 투철하게 가진 작가였다. 그의 걸작으로 평가되는 작품인 《분노의 포도》는 오클라호마주 출신으로 더 나은 삶을 찾아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는 가난한 가족 죠의 가정의 그린 강한 사회 지향적 소설이다. 이외에도 《토틸라 마을》(Tortilla Flat), 《생쥐와 인간》(Of Mice and Men) 《캐너리 로》(Cannery Row)와 《에덴의 동쪽》 등을 썼다. 스타인벡은 1962년 노벨상을 수상했다. 무산 계급파의 일부로 간주되는 다른 소설가로 너새니얼 웨스트(1903 - 1940), 올리브 티르포드 다간(1869 - 1968), 톰 크로마(1906 - 1969), 로버트 캐트웨르(1908 - 1978)와 에드워드 앤더슨이 있었다. 밀러(1891년 - 1980)가 파리에 쓰고, 간행했던 반자전적 소설이 미국에서 판금되었을 때, 1930년대의 미국 문학계에서 특이한 존재가 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북회귀선》(Tropic of Cancer)과 《어두운 봄》(Black Spring)은 1962년까지 미국 내에서 판매와 출판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이미 그 주제와 스타일 혁신은 미국의 다음 세대의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2차 세계대전 전후의 문학 (1945-1970)[편집] 미국의 모더니즘 문학[편집] 메일러, 칼 밴 벤첸 사진, 1948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대략적으로 1960년대 후반이나 1970년대 전반까지의 시대는 미국사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몇 편의 작품이 출판된 시기였다. 보다 현실적인 모더니즘 문학의 마지막 몇사람과 함께 폭넓게 낭만주의 문학이 이 시대를 지배하였고,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관련되었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심으로 그들에 주목해야 할 큰 영향을 주었다. 캐나다 태생이자, 시카고에서 자란 벨로(1915 - 2005)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수십 년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의 소설가가 되었다. 《오기 마치의 모험》(The Adventures of Augie March)이나 《비의 왕 핸드슨》(Henderson the Rain King)이라는 작품으로, 벨로는 미국 도시의 생생한 모습과 거기에 사는 전형적인 사람들을 그렸다. 벨로는 1976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샐린저(1919 - 2010)의 《아홉 이야기》(Nine Stories)와 《호밀밭의 파수꾼》에서, 플래스(1932 - 1963)의 《종 항아리》(The Bell Jar)까지 미국의 광기는 국민 문학 표현의 최전선에까지 나타났다. 《롤리타》를 썼던 나보코프(1899 - 1977)와 같은 이민 작가가 그 주제로 대두되었고, 거의 같은 시기에 비트닉(Beatnik)은 동양적인 관념이나 기분전환용 마약에 대해 그림으로써 그들 자신만의 스타일과 톤을 개발함으로써 그들의 부모세대인 잃어버린 세대와는 다른 길을 걸어갔다. 반체제적 리듬의 문학[편집] 비트 세대의 시와 소설은 대부분 뉴욕 컬럼비아 대학 주변에 형성된 지식인 서클에서 태어나 이후 샌프란시스코에서 정립되어 시대의 것이 되었다. '비트'라는 말은 동시에 재즈 신의 반체제 문화적인 리듬에 사용되어 전후 사회의 보수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반항적 의미뿐 아니라 약물, 알코올, 철학과 종교, 특히 선(禪)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영적인 체험의 관심사에도 사용되었다. 긴즈버그(1926 - 1997)는 휘트먼류의 작품인 시 '하울'(Howl)에서 "나는 광기에 의해 파괴된 내 세대의 최고의 마음을 보았다"로 시작하여 이 운동의 분위기를 결정했다. 이와 동시에 그의 친구인 케루악(1922 - 1969)은 비트의 '들떠서 돌고, 너글너글하고 변덕스러운 생활양식'을, 많은 작품 중에서도 걸작으로 손꼽히는 가장 인기 있던 소설 《길 위에서》로 기념 하였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전후시대에 전쟁 소설에 대해 미국에서는 문학적인 폭발이 있어났다. 메일러(1923 - 2007)의 《벌거벗은 자와 죽은 자》(The Naked and the Dead, 1948), 헬러(1923 - 1999)의 《캐치-22》(1961) 및 보니것(1922 - 2007)의 《도살장 5》(Slaughterhouse-Five, or The Children’s Crusade, 1969) 등의 작품이 잘 알려져 있다. 바버라 가슨(1941 - )이 쓴 《맥버드》(MacBird)는 전쟁의 어리석음을 백일 하에 노출한 또 하나의 작품으로 여겨졌다. 전후 미국 문학의 지평[편집] 대조적으로 업다이크(1932년 -)는 미국 생활에서 보다 목가적인 면으로 부를 수 있는 것을 발표하여 조용하지만 파괴적인 문체로 다가섰다. 1960년에 발표한 《달려라 토끼》(Rabbit, Run)는 그 성격 묘사와 미국 중산층의 생활상을 자세히 그렸으며, 발표와 동시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 서술에 현재 시제를 사용한 최초의 소설 중의 하나로 여겨지기도 했다. 앨리슨(1914 - 1994)의 1953년작 소설인 《투명인간》(Invisible Man)은 종전 후의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가장 힘있는작품으로 바로 인정을 받았다. 이 소설은 북부 도시에 사는 흑인의 이야기이며, 당시 국내적으로 일반적으로 억압되었던 인종문제를 노출하여, 실존적인 성격 묘사를 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오코너(1925 - 1964)도 트웨인과 같은 미국 문학사에서 선도적인 작가들이 중요시 여겼던 미국 문학의 "남부"라는 주제를 개척하고 발전시켰다. 그 작품은 《현명한 피》(Wise Blood, 1952)과 《폭력이 그것을 끌고 갔다》(The Violent Bear It Away, 1960), 《오르다 보면 한곳에 모이게 마련》(Everything That Rises Must Converge) 등은 가장 잘 알려진 단편이다. 그의 사후 1965년에 간행된 《오코너 단편집》이 있다. 미국의 포스트 모더니즘 문학 (1970-현재)[편집] 현대 미국시[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American poetry입니다. 현대 미국 소설[편집] 197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문학 분야는 포스트 모더니즘이지만, 그 호칭은 다양한 이견이 있다. 오늘날 현대 미국 소설을 대표하는 작가로는 카버(1938 - 1988), 로스(1933 -), 매카시(1933 -) 등이 있다. 현대 미국 극문학[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en:Theater of the United States입니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미국인[편집] 1930년 싱클레어 루이스 1936년 유진 오닐 1938년 펄 벅 1949년 윌리엄 포크너 1954년 어니스트 헤밍웨이 1962년 존 스타인벡 1976년 솔 벨로 1978년 아이작 싱어 1987년 조지프 브로드스키 1993년 토니 모리슨 같이 보기[편집] 영국 문학 미국 남부 문학 출처[편집] ↑ 필립 F. 귀라(Gura, Philip F.) 《미국 초월주의: 역사》(American Transcendentalism: A History). 뉴욕: 힐과 왕(New York: Hill and Wang), 2007: 7–8. ISBN 0-8090-3477-8 외부 링크[편집] 문학 포털 예일 대학교 English Course - 1945년 이후의 미국 소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웹사이트 A Student's History of American Literature (1902) by Edward Simonds Electronic Texts in American Studies vdeh 미국 미국 미국인 언어 국가 국기 수도 문화 음식 문학 축제 음악 드라마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유학 천연기념물 종교 공휴일 명절 자살 세계유산 스포츠 대학 목록 외국인 경제 교통 행정 구역 지리 주 주기 역사 법 연방 정부 정치 정당 대외 관계 대통령 전거 통제 NDL: 00560164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국_문학&oldid=24363955" 분류: 미국 문학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SuomiFrançaisहिन्दी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മലയാളംNederlandsNorskਪੰਜਾਬੀ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සිංහල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일 (일) 23: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국 문학(美國文學, American literature)이란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저술된 문학 작품을 가리키지만, 미국 영토 내에서가 아니라 미국 출신 작가가 해외에서 쓴 작품도 미국문학에 속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북아메리카 최초의 영국 식민지 제임스타운 건설 이후 독립전쟁시기에는 어떤 저술들이 많이나왔어? Assistant: 제임스타운의 식민지 건설이 시작된 이후, 약 150여년의 세월이 흘러가면서 영국과 식민지 사이에는 여러가지 반목과 대립이 나타났고, 드디어 독립전쟁이 발발하여 8년간의 전쟁 끝에 1783년에서야 미국의 승리로 끝났다. 이 시기에는 식민지 거주민들의 여론을 자극하고 환기시켜 혁명사상의 고취를 목적으로 하는 저술들이 많이 나왔는데, 가장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한 문인은 영국 출신의 페인(1737-1809)이었다. 그는 1776년 1월에 10만 부 이상 팔린 《상식》(Common Sense)을 출간하여 《미국 독립 혁명》의 사상적 중요성을 역설하고, 독립전쟁 중에도 《미국의 위기》 (The American Crisis, 1776-1783)라는 총서를 발행하여 미국민들의 사기와 위세를 진작시켰다. 이 시기에, 프랑스 출신인 생 장 드 크레브쿠르(St. Jean De Crevecoeur, 1735-1813)는 미국사회의 실상을 서간형식으로 묘사한 《어느 미국 농부의 편지》(Letters from an American Farmer, 1782)를 출간하기도 하였다. 한편, 독립전쟁에 참가하여 두 번이나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히기도 했던 시인 프레노(Philip Freneau, 1752-1832)는 미국적인 주제를 처음으로 시에 도입하여 미국의 자연을 노래하고 애국적인 시들을 많이 발표하여 ‘미국독립전쟁의 시인’으로 불리었다. Human: 아래 QEMU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QEMU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QEMU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QEMU 원저자 패브리스 벨라드(Fabrice Bellard) 개발자 QEMU 팀:Fabrice Bellard, Paul Brook 등. 최근 버전 4.0.0 / 2019년 4월 24일 (2달 전)(2019-04-24)[1] 운영 체제 크로스 플랫폼 종류 하이퍼바이저 라이선스 GNU GPL v2 웹사이트 http://www.qemu.org/ QEMU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가운데 하나다. Fabrice Bellard가 만들었으며 x86 이외의 기종을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스택 전체를 가상머신 위에서 실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동적 변환기(Portable dynamic translation)를 사용한다. 목차 1 허가서 2 지원 모드 3 기능 4 가상 구현 시스템 5 가속기 5.1 KQEMU 5.2 QVM86 6 최신 버전 7 함께 보기 8 각주 9 외부 링크 허가서[편집] 여기 를 볼 것. 소프트웨어 자체, 가속기: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가상 CPU 중심부 라이브러리: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하드웨어 장치 모듈: BSD 허가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실행할 때는 독점 라이브러리인 FMOD를 쓰기도 한다. 지원 모드[편집] QEMU는 두 가지 운영 모드가 있다: 사용자 모드 에뮬레이션 이 모드에서 QEMU는 다른 명령어 집합으로 컴파일된 단일 리눅스, 다윈/맥 오에스 X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시스템 콜은 엔디언과 32/64비트 미일치를 위해 주소 변환 된다. 와인과 DOSEMU는 QEMU의 주요 대상이다.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 모드 에뮬레이션 QEMU 는 프로세서와 가상 주변 기기들을 포함한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을 에뮬레이트한다. 한 컴퓨터에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의 가상 호스팅을 제공하는 데 쓸 수 있다. QEMU는 리눅스 윈도, 도스, BSD와 같은 많은 게스트 운영 체제들을 시동할 수 있다. 여러 개의 x86, amd64, alpha, mips, 그리고 sparc과 같은 하드웨어 플랫폼들의 에뮬레이션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의 대부분은 LGPL을 따른다. - 사용자 모드 에뮬레이션은 GPL을 따른다. (윈도 포트가 FMOD 사운드 계층을 사용하지만)[2]. 기능[편집] IA-32 (x86) PC, AMD64 PC, MIPS R4000, 선 SPARC sun4m, 선 SPARC sun4u, ARM 개발 보드 (Integrator/CP, Versatile/PB), SH4 SHIX 보드, 파워피씨 (PReP 및 파워 매킨토시), ETRAX CRIS 아키텍처의 에뮬레이션 지원. 호스트 시스템과 에뮬레이트 시스템 두 곳에서 다른 아키텍처 지원 (자세한 것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라). 속도 개선: 어떠한 응용 프로그램은 실시간에 가깝게 실행할 수 있다. Copy-On-Write 디스크 이미지 포맷 추가. 수 기가바이트의 가상 드라이브를 선언할 수 있으며, 이 드라이브의 디스크 이미지는 실제로 사용되는 만큼만 용량을 차지할 것이다. 오버레이 이미지 추가. 게스트 운영 체제의 스냅샷을 유지하고 별도의 이미지 파일에 변경 사항을 기록할 수 있다. 게스트 운영 체제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스냅샷으로 되돌릴 수 있다. 다른 아키텍처에서 돌아가는 리눅스 바이너리 파일 실행 지원. 컴퓨터의 상태를 저장하고 저장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가상 네트워크 카드 에뮬레이션. SMP 지원. 게스트 운영 체제는 패치나 수정이 필요 없다. 0.11.x 판까지는 KQEMU 커널 모듈이 쓰일 때 성능이 개선되나, 그 이후 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명령 줄 도구는 X11을 돌리지 않고도 QEMU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도와 준다. 가상으로 구현된 컴퓨터를 통합 VNC 서버를 거쳐 원격으로 제어한다. USB 태블릿 지원: "-usb -usbdevice tablet"로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 권한은 따로 필요하지 않다. 가상 구현 시스템[편집] QEMU는 CPU를 제외하고 다음의 시스템을 가상으로 구현한다. i440FX 호스트 PCI 브리지, PIIX3 PCI to ISA 브리지 시러스 CLGD 5446 PCI VGA 카드 또는 Bochs VESA 확장을 지원하는 더미 VGA 카드 (비표준 모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준). PS/2 마우스 및 키보드 하드 디스크와 CD-ROM을 지원하는 2 개의 PCI IDE 인터페이스 플로피 디스크 NE2000 PCI 네트워크 어댑터 직렬 포트 애드립(OPL2) - 야마하 YM3812 호환 칩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블라스터 16 사운드 카드 엔소닉 오디오PCI ES1370 사운드 카드 그라비스 울트라사운드 인텔 HD 오디오[3] PCI UHCI USB 컨트롤러 및 가상 USB 허브. 가속기[편집] KQEMU[편집] 페브리스 벨러드(Fabrice Bellard)는 KQEMU (QEMU 가속기)라는 이름으로 리눅스 커널 모듈을 작성하였다. i386 플랫폼에서 i386 에뮬레이션 속도를 눈에 띄게 개선해 준다. 사용자 모드 코드를 호스트 컴퓨터의 CPU에서 바로 실행하고 커널 모드와 리얼 모드 코드에만 주변 기기와 프로세서의 에뮬레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속도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KQEMU는 또 호스트 CPU에서 커널 모드 코드의 일부를 실행하는 커널 에뮬레이션 모드를 지원한다. QEMU의 가속기 모듈인 KQEMU는 원래 무료로 배포되긴 했지만, 클로즈드 소스 제품으로 공개되었다. 그러다가 2007년 2월 5일에 버전 1.3.0pre10이 공개되면서[4] GNU 일반 공중 라이선스를 통해 소스가 공개되었다. KQEMU는 Win4Lin Pro Desktop 제품을 통해 Win4Lin으로 라이선스되어 왔다. KVM과 달리, KQEMU는 호스트 CPU가 하드웨어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수많은 게스트 운영 체제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고, 나중에 하드웨어 확장 지원이 예정되어 있었지만[5], 0.12.0 판 이후 QEMU에서 기본으로 확장 메모리를 지원(large memory supported)하면서 KQEMU 지원을 중단하였다. QVM86[편집] QVM86은 QEMU 에뮬레이터에 x86 가상화 기능을 제공하는 리눅스 커널 모듈이었다. 가상화는 CPU 보호 계획을 사용하여 권한 이벤트를 가로채거나 가상으로 구현하여 에뮬레이션 코드가 호스트 CPU에 네이티브로 실행할 수 있게 도와 준다. GNU GPLv2 라이선스로 공개되었다. 원래 GPL 라이선스의 클로즈드 소스 KQEMU의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QVM86의 개발자는 버추얼박스의 공개로 인해 2007년 1월 21일에 개발을 중단하였다. 최신 버전[편집] 위치는 공식 저장소, 기종은 x86, 버전은 최신 안정 버전 기준입니다. 공식 저장소: 0.11.0-rc1(2009년 7월 30일 출시) 데비안: 0.9.1-10lenny1 우분투(통상): 0.10.0-1ubuntu1 우분투(장기 지원 - dapper): 0.8.0-3ubuntu1 우분투(장기 지원 - hardy): 0.9.1-1ubuntu1 페도라: 0.10.6 오픈수세: 0.10.1 아치: 0.10.6-1 젠투: 0.11.1 함께 보기[편집] 가상 머신 FreeOsZoo OpenBIOS QEMU 포트와 프론트엔드 Q QVM86 Win4Lin 다윈 다른 가상 머신 Bochs Cooperative Linux KVM Microsoft Virtual PC Parallels Workstation Simics User-mode Linux VirtualBox VMware 각주[편집] ↑ “qemu.git/summary”.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FMOD music & sound effects system ↑ “ChangeLog/0.14”. 2011년 8월 8일에 확인함.  ↑ KQEMU 1.3.0pre10 released - under the GPL [LWN.net] ↑ https://web.archive.org/web/20070206215404/http://fabrice.bellard.free.fr/qemu/kqemu-tech.html#SEC1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QEMU QEMU 홈페이지 QEMU 포럼 윈도에서의 QEMU 우분투에서의 QEMU 오픈솔라리스를 위한 QEMU 젠투에서의 QEMU QVM86 프로젝트 페이지 QEMU 포럼에서의 QVM86 vdeh가상화 소프트웨어플랫폼 가상화 소프트웨어 비교하드웨어가상화(하이퍼바이저)네이티브 Adeos CP/CMS 하이퍼-V KVM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가상화 LDoms / 오라클 VM 서버 포 SPARC LynxSecure SIMMON VM웨어 ESXi VM웨어 v스피어 v클라우드 VM웨어 인프라스트럭처 젠 오라클 VM 서버 포 x86 XenClient XtratuM z/VM 호스트 방식특수한 방식 Basilisk II bhyve Bochs Cooperative Linux 도스박스 DOSEMU L4Linux 맥-온-리눅스 맥-온-맥 PCem SheepShaver SIMH Veertu 윈도우 온 윈도우 가상 도스 머신 Win4Lin 독립 방식 마이크로소프트 버추얼 서버 페러럴즈 워크스테이션 페러럴즈 데스크톱 페러럴즈 서버 포 맥 피어PC QEMU 버추얼박스 버추얼 아이언 VM웨어 퓨전 VM웨어 플레이어 VM웨어 서버 VM웨어 워크스테이션 윈도우 가상 PC 도구 Ganeti oVirt 버추얼 머신 매니저 OS 수준가상화 cgroups 기반 CoreOS lmctfy 리눅스-VServer LXC 도커 OpenVZ FreeBSD jail iCore Virtual Accounts 쿠버네티스 리눅스 네임스페이스 솔라리스 컨테이너 워크로드 파티션 데스크톱가상화 시트릭스 젠앱 시트릭스 젠데스크톱 리모트 데스크톱 서비스 VM웨어 호라이즌 뷰 응용 프로그램가상화 Ceedo 시트릭스 시스템즈 달빅 인스톨프리 마이크로소프트 앱-V 리모트 데스크톱 서비스 스푼 시만텍 워크스페이스 버추얼라이제이션 VM웨어 씬앱 ZeroVM 네트워크가상화 DOVE NVGRE 오픈 v스위치 버추얼 시큐리티 스위치 VXLAN 관련 항목: 에뮬레이터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QEMU&oldid=24308826" 분류: 가상화 소프트웨어자유 소프트웨어안드로이드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리눅스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윈도우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X86 에뮬레이터크로스 플랫폼 자유 소프트웨어자유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자유 가상화 소프트웨어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9일 (수) 07:5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QEMU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가운데 하나다. Fabrice Bellard가 만들었으며 x86 이외의 기종을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스택 전체를 가상머신 위에서 실행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동적 변환기(Portable dynamic translation)를 사용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QEMU가 가상 구현하는 시스템은 무엇이 있는가? Assistant: i440FX 호스트 PCI 브리지, PIIX3 PCI to ISA 브리지 시러스 CLGD 5446 PCI VGA 카드 또는 Bochs VESA 확장을 지원하는 더미 VGA 카드 (비표준 모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수준). PS/2 마우스 및 키보드 하드 디스크와 CD-ROM을 지원하는 2 개의 PCI IDE 인터페이스 플로피 디스크 NE2000 PCI 네트워크 어댑터 직렬 포트 애드립(OPL2) - 야마하 YM3812 호환 칩 크리에이티브 사운드 블라스터 16 사운드 카드 엔소닉 오디오PCI ES1370 사운드 카드 그라비스 울트라사운드 인텔 HD 오디오[3] PCI UHCI USB 컨트롤러 및 가상 USB 허브.
Human: 아래 제빵왕_김탁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제빵왕 김탁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빵왕 김탁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제빵왕 김탁구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10년 6월 9일 ~ 2010년 9월 16일 방송 시간 수, 목 밤 9시 55분 ~ 11시 15분 방송 분량 1시간 20분 방송 횟수 30부작 + 스페셜 1부작 추가 채널 KBS 1TV, KBS 드라마, 드라맥스KBS N 라이프, CNTV (유료방송) 기획 KBS 드라마 제작국 제작사 삼화네트웍스 제작자 안재현, 신상윤 연출 이정섭, 이은진 조연출 김기성, 신대식 극본 강은경 출연자 윤시윤, 주원, 유진, 이영아 외 여는 곡 이필호 - 제빵왕 김탁구 음성 2채널 스테레오(아날로그)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제빵왕 김탁구 홈페이지 《제빵왕 김탁구》는 2010년 6월 9일부터 2010년 9월 16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수목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경제 개발기를 배경으로 주인공 김탁구가 온갖 역경을 딛고 최고의 제빵인으로 성공하는 모습을 다루었다. 성인 분량의 배경은 1987년부터 1989년까지이며 아역 분량의 배경은 주인공들의 나이가 12세인 1976년이다. 한편, 6회부터 시청률 30%를 돌파하였으며, 17회에는 40%를 넘겼다(AGB 전국 시청률 기준). 마지막 회는 50%를 압도적으로 돌파하였다(TNmS 전국 시청률 기준).[1] 목차 1 줄거리 2 등장 인물 2.1 거성가 사람들 2.2 팔봉 제빵점 사람들 2.3 그 외 인물 2.4 특별출연 3 시청률 4 OST 4.1 Part.1 4.2 Part.2 4.3 Part.3 4.4 Part.4 4.5 Part.5 4.6 Part.6 4.7 Part.7 4.8 Part.8 5 수상 경력 6 해외에서의 방송 7 참고 사항 8 동시간대 드라마 9 같이 보기 10 각주 11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1964년 거성가 안주인 서인숙은 딸만 둘을 낳았단 이유로 시어머니 홍 여사에게 멸시를 당한다. 애정없는 정략 결혼으로 맺어진 구일중과 서인숙은 각각 잘못된 방법을 통해 두 아들 김탁구와 구마준을 얻는다. 어머니 김미순과 단둘이 자란 탁구는 12세 때 거성가에 입성해 아버지를 만나지만, 상처만 입은 채 행방불명된 어머니와 어머니를 데려간 바람개비 조진구를 찾기 위해 전국을 떠돈다. 성인이 된 탁구는 운명처럼 아버지의 스승 팔봉 선생의 수하생이 되고, 이복동생 마준, 운동권 대학생이 된 첫사랑 유경과도 재회한다. 시간별 스토리 구성 연도 1957년 26세 구일중, 거성식품 창립 1961년 구자경 출생 1963년 구자림 출생 1964년 양미순 출생 1965년 김탁구-구마준-신유경 출생 1976년 12세 김탁구, 거성가 입성 1987년 거성식품 창립 30주년김탁구-구마준, 팔봉 제빵점 입성23세 김탁구-구마준-신유경 재회 1989년 25세 김탁구-구마준 경합 시작 등장 인물[편집] 거성가 사람들[편집] 거성가는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제 장소는 충청북도 청원군(현재 청주시)에 위치한 청남대이다. 윤시윤 : 김탁구(金卓求[2]) 역 (아역 오재무) - 제빵사. 1965년 5월 출생(황소자리). 12세, 23세, 25세. 구일중의 장자이자 김미순의 아들 유경의 첫사랑이며, 거성가 장남. 제빵의 명인 팔봉 선생에게 가르침을 받고 수제자가 된다. '착한 사람이 이긴다'는 생모 김미순의 말을 신조로 삼고 산다. 촌스럽다. 성격 단순하다. 솔직함과 정직함으로 사람을 감동 시키는 선한 매력이 있는 녀석. 한번이라도 그 녀석의 진심을 맛본 사람은 그의 편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마음으로 사람을 얻는 힘, 그것이 바로 김탁구가 가지고 태어난 운명 같은 힘이다. 밑바닥에서 부터 온갖 역경과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빵에 타고난 천부적인 후각과 선한 마음을 바탕으로 명실상부한 제빵인으로 거듭난다. 주원 : 구마준 역 (아역 신동우) - 제빵사. 1965년 9월 출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경쟁자 가명 서태조. 서인숙-한승재의 아들. 12세 때, 자신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불안한 나날을 보낸다. 아버지 구일중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한다. 탁구를 미워한다. 우월 의식이 대단하다. 까칠하고 까탈스러우며 자기 자신이 제일 잘났다고 생각한다. 갖고 싶은 게 생기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쟁취해낸다. 구일중을 빼닮은 탁구에게 참을 수 없는 피해 의식을 품게 되면서 빵을 배우기로 결심, 탁구와 경쟁하지만 한계에 부딪힌다. 방송 후반 유경과 결혼했으나 유경에 대한 오해로 상처를 입어 외도를 한다. 이에 유경과의 관계도 틀어지지만 결국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유경에게 사죄하고 탁구와도 화해한다. 유진 : 신유경 역 (아역 조정은) - 대학생(사회학과 84학번), 후에 거성식품 비서. 1965년 출생. 12세, 23세, 25세. 탁구의 첫사랑 탁구가 어머니를 찾기 위해 떠돌고, 유경이 보육원에 들어가면서 헤어졌다가 10 여 년 후 재회한다. 어린 시절 극도의 가난과 아버지의 폭력에 시달린 후, 대학생이 되어 부조리한 세상을 바꾸기 위해 학생 운동에 투신한다. 꿈 많고 열정 가득한 학생 운동가였으나 서인숙과 자림, 마준 등 상류 사회에 속한 사람들에게 상처 받고 좌절한다. 탁구와 마준, 두 사람의 사랑을 받는다. 탁구에게 '제빵왕 김탁구'가 새겨진 모자를 선물한다. 방송 말미에는 마준과 결혼하며 거성가 둘째 며느리가 된다. 신유경의 어머니는 술주정뱅이 남편과 결혼 이혼을 했고 어린 딸 유경이를 집에 놔둔채로 연락두절이 되버린다 이영아 : 양미순 역 - 제빵사. 1964년 출생. 24세, 26세 팔봉선생의 외손녀로 절대미각과 절대 손감각을 물려받아 다섯 살때부터 빵을 만들어온 빵신동! 지금은 시골 변두리 제빵집에서 일하지만 화려한 파리 블랑제를 꿈꾸며 양미순표 생크림 케익 개발에 열을 올리는 중이다. 제빵에 있어서만큼은 자부심 강하고 자신감 넘치는 그녀 앞에 김탁구가 나타나면서 빵을 만드는 설레임을 알게 된다. 그것이 탁구에 대한 사랑의 시작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데... 탁구에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란 소리를 들으며 후일 거성가 맏 며느리가 된다. 전광렬 : 구일중 역 - 거성식품 창업주 겸 총수. 1932년 출생. 탁구의 부친. 서인숙의 남편 가난으로 친한 친구를 잃고 1957년 양산 제과 회사인 거성식품을 창립한다. 신념이 강하고 부지런하다. 보수적이고 엄격하다. 열심히 일하고 최선을 다한만큼 결과를 얻는다고 생각한다. 규벌을 강화하기 위해 서인숙과 사랑없는 결혼을 했고 그 사이에서 자신의 대를 이을 아들을 얻지 못하던 중 김미순에게 마음을 주게 되면서 그녀에게서 탁구를 얻게 된다. 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견제와 모략에 의해 결국 김미순과 탁구를 영영 잃게 되고 마는데... 전인화 : 서인숙 역 - 거성식품 안주인. 1935년 출생. 구일중의 아내. 탁구의 적대 세력 아들 마준에게 거성식품을 물려주기 위해 사력을 다한다. 겉으로는 기품 있고 세련된 부잣집 사모님. 허나 안으로는 계략과 모사에 능하며, 뒷거래에 능숙한 여인이다. 탁구와 팔봉제빵점에 끊임없는 시련을 안겨주면서 마준의 막강파워 배후세력으로 자리매김하는 인물. 정략결혼한 구일중을 진심으로 사랑하지만 끝끝내 채우지 못한 사랑으로 인해 외로워한다. 상류 사회에 속한 여자의 비참한 단면을 보여준다. 정성모 : 한승재 역 - 거성식품 비서실장. 1932년 출생 구일중과 어렸을 때부터 한 집 살이를 한 집안의 가신. 젊은 시절 사랑했던 서인숙이 구일중과 결혼하면서 상처를 입지만 친구와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모든 걸 감수해왔다. 그러나 서인숙과 마준을 지키고자 했던 그가 어느새 야심을 품게 되고, 두 사람의 인생에 점점 더 깊게 개입하면서 자신의 영향력을 키워가는데.. 마준의 친부이나 마준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다. 서인숙과 마준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할 수 있다. 서인숙을 위해 탁구와 미순 모자를 끈질기게 괴롭혔지만 친 아들 마준으로 인해 감옥에 간 후 개과천선 한다. 전미선 : 김미순 역 - 거성가 보모, 간호사, 탁구의 모친 어렸을 적 갑작스러운 사고로 부모님을 잃고 부모님과 친분이 있던 홍여사의 선처로 거성가에 들어왔다. 구일중과 하룻밤의 인연을 맺으면서 탁구를 갖게 되지만 서인숙과 한승재의 음모로 거성가에서 쫓겨나는데... 탁구를 위해서 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하나 뿐인 아들에게 ‘이 세상은 착한 사람이 이기게 돼 있다’는 인생의 좌우명을 심어주는 따뜻하고 강한 어머니. 최자혜 : 구자경 역 (아역 하승리) - 거성식품 홍보실장 거성가의 장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맏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1년 출생. 16세, 27세, 29세. 책임감 강하고, 부지런하고 당당한 커리어우먼. 가족에 대한 애착이 남다르기에 탁구를 쉽게 인정하지 못한다. 최윤영 : 구자림 역 (아역 김소현) - 대학생(가정교육과 84학번) 거성가의 차녀이자 구일중-서인숙의 작은 딸. 탁구의 이복누나이며, 마준의 이부 누나. 1963년 출생. 14세, 25세, 27세. 유경과 대학 동기이자 동아리 친구. 호기심에 학생 운동 동아리에 가입했다 고초를 겪는다. 사치스럽지만 솔직하고 티 없이 맑은 아가씨. 정혜선 : 홍 여사 역 - 거성식품 안주인. 구일중의 모친 완고하고 꼬장꼬장하며 엄격하다. 가부장적 사고 방식과 남아선호사상으로 똘똘 뭉친 전형적 시어머니. 며느리가 대를 잇지 못해 노심초사하던 중, 거성가의 보모 김미순에게 마음을 둔 사실을 눈감아주며 그녀에게서라도 대를 얻고자 한다. 그래서 결국 탁구를 얻었지만, 그 일로 인해 그녀가 그토록 지키고 싶어했던 구씨 집안에 일대 풍파가 시작될 거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하는데... 전성애 : 공주댁 역 - 거성가 가사 관리인, 김미순의 조력자 팔봉 제빵점 사람들[편집] 팔봉 제빵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는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세트장이 위치하고 있다. 장항선 : 팔봉선생(오두용) 역 - 제빵사. 1918년 출생 제빵계의 살아있는 전설. 구일중의 옛 스승이자 탁구의 스승. 겉보기엔 철없는 동네 할배로 보이지만 실은 제빵계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개성상인의 마지막 후예. 사려깊은 마음과 사람에 대한 통찰력이 남다르다. 죽음의 문턱까지 버려진 탁구를 거두어 빵을 통해 인생의 철학과 휴머니티를 가르치면서 성장시킨다. 죽음의 문턱에서 김탁구를 구해준 장본인이 팔봉 선생이라 부르는 오두용은 탁구를 구해주면서 12년후 재회했던 성인이 된 탁구를 알아보게 되면서 경합 1차 시작을 하게됨으로써 탁구가 빵을 만드는데 성공된 빵을 팔게 된다. 박상면 : 양인목 역 - 제빵사 팔봉 선생의 사위이자 팔봉 제빵점의 총대장. 반죽의 달인. 구일중의 옛 동료. 보수적이고 장유유서를 중시하는 7, 80년대 전형적인 가장이다. 체면과 입장을 중시하고, 융통성도 없는데다 철인기질을 갖고 있는 그, 힘이라면 항우장사 부럽지 않다. 팔봉제빵집에 들어온 탁구를 잡아먹을 듯 부려먹고 거친 훈련으로 몰아넣는 한편, 탁구에게 실질적으로 빵을 가르치는 제빵실 대장. 탁구를 끝까지 퉁명스럽게 대하지만 속으로는 탁구의 긍정적인 힘과 진정성을 인정해준다. 박성웅 : 조진구 역 - 제빵사 일명 바람개비. 굽기의 달인. 전과 3범의 칼잡이. 아픈 여동생이 있다. 과묵하고 신중하다. 탁구를 뒤에서 물심양면 도와줌으로서 탁구와 탁구모 미순에게 진 빚을 갚는다. 황미선 : 오영자 역 - 팔봉 제빵점 안주인 팔봉 선생의 딸. 미순의 모친. 팔봉제빵점 총괄 매니저 (계산의 달인). 배움도 짧고, 글도 짧지만 삶의 지혜가 깊은 7,80년대 전형적인 엄마. 남편 양인목과는 달리 미순이가 원하는 일을 할수 있도록 뒤에서 조용히 응원해주고 지지해준다. 탁구를 아주아주 귀여워한다. 미순이가 탁구를 좋아하게 된 사실을 가장 먼저 눈치챈 뒤로 말없이 두 사람이 잘되기를 은근히 바라며 밀어준다. 이한위 : 허갑수 역 - 제빵사 구식케익 성형의 달인. 어느 날 불쑥 팔봉제빵집에 굴러들어온 탁구로 인해 후계자 자리에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사사건건 탁구의 행적에 파토를 내며 위기를 일으킨다. 친절한척 하지만 상당히 뒤끝있는 성격으로 요주의 인물. 박용진 : 고재복 역 - 제빵사 허갑수의 꼬봉노릇을 하고 있는 팔봉집 막내. 허갑수와 2인조로 탁구를 괴롭히다가 점점 탁구의 인간성에 반해 허갑수로부터 독립을 선언! 새로운 인생에 눈을 뜨게 된다. (미순이를 짝사랑한다) 그 외 인물[편집] 김정학 : 닥터 윤(윤승현) 역 - 의사, 거성가 주치의. 보건소에서 김미순과 인연을 맺은 후 조력자가 된다. 주은 : 여은진 역 - 거성식품 비서, 유경의 입사 선배 김광인 : 의사 역 최윤준 : 우체국 직원 역 이건 : 차준현 역 - 거성식품 비서, 탁구의 비서 안수민 : 미스 장 역 - 김미순의 비서 권용운 : 유경의 아버지 역 - 술주정뱅이에 난봉꾼. 어린 딸 유경을 폭행해 격리됐다가 유경이 성인이 된 후 재회한다. 유채목 : 유경의 어머니 역 - 술주정뱅이 남편의 폭력으로 인해 집을 나간 뒤 연락두절 이종구 : 제빵기술협회 고문 역 특별출연[편집] 최일화 : 박춘배 역 - 제빵사. 1921년 출생. 천부적 후각의 소유자 시청률[편집]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0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3] AGB 시청률[4]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6월 9일 15.7% 16.3% 14.2% 13.8% 제2회 6월 10일 16.9% 18.4% 14.4% 14.5% 제3회 6월 16일 28.5% 29.1% 26.4% 28.3% 제4회 6월 17일 25.3% 26.4% 24.2% 26.3% 제5회 6월 23일 28.5% 28.6% 27.1% 28.4% 제6회 6월 24일 32.2% 32.5% 31.1% 31.8% 제7회 6월 30일 33.4% 33.6% 31.0% 32.2% 제8회 7월 1일 35.8% 35.9% 31.6% 30.8% 제9회 7월 7일 38.1% 38.6% 33.4% 34.7% 제10회 7월 8일 34.5% 34.9% 33.0% 33.8% 제11회 7월 14일 35.9% 35.2% 34.1% 34.0% 제12회 7월 15일 36.9% 36.1% 35.3% 35.2% 제13회 7월 21일 38.5% 37.7% 37.3% 37.0% 제14회 7월 22일 38.4% 36.5% 37.9% 38.2% 제15회 7월 28일 39.7% 39.2% 36.6% 35.7% 제16회 7월 29일 39.9% 38.6% 37.9% 38.1% 제17회 8월 4일 42.5% 42.3% 39.5% 39.8% 제18회 8월 5일 44.4% 44.0% 40.5% 40.2% 제19회 8월 11일 44.9% 44.0% 42.3% 42.4% 제20회 8월 12일 44.6% 43.8% 42.6% 43.9% 제21회 8월 18일 44.0% 42.6% 41.9% 42.4% 제22회 8월 19일 43.7% 42.9% 42.3% 41.9% 제23회 8월 25일 44.1% 44.1% 43.6% 44.6% 제24회 8월 26일 44.7% 44.2% 41.9% 41.9% 제25회 9월 1일 45.8% 44.9% 44.0% 44.4% 제26회 9월 2일 48.4% 47.2% 45.0% 46.1% 제27회 9월 8일 47.5% 47.0% 43.3% 43.2% 제28회 9월 9일 48.2% 46.4% 44.7% 44.5% 제29회 9월 15일 46.5% 45.5% 45.3% 44.2% 제30회 9월 16일 50.8% 49.7% 49.3% 48.3% 평균 시청률 38.61% 38.21% 36.39% 36.69% OST[편집] 제빵왕 김탁구 OST Part.1V.O.S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6월 11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1[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하루의 끝에  미끼김희원V.O.S 4:08 2. 하루의 끝에 (Inst.)   김희원  4:08 제빵왕 김탁구 OST Part.2KCM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6월 25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2[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죽도록 사랑해  김혜선홍진영KCM (Feat. 소울다이브) 3:25 2. 죽도록 사랑해 (Inst.)   홍진영  3:25 제빵왕 김탁구 OST Part.3이승철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7월 14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3[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그 사람  김상익, NO.1홍진영이승철 3:56 2. 그 사람 (Inst.)   홍진영  3:56 제빵왕 김탁구 OST Part.4바다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7월 22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4[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단 한 사람  김선미차길완, 이상준바다 4:13 제빵왕 김탁구 OST Part.5규현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8월 5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5[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희망은 잠들지 않는 꿈    규현 4:45 2. 희망은 잠들지 않는 꿈 (Inst.)      4:45 제빵왕 김탁구 OST Part.6미쉘유진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8월 12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6[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나를 위해    미쉘유진 2:54 2. 나를 위해 (Acoustic Ver.)    미쉘유진 2:54 3. 나를 위해 (Inst.)    미쉘유진 2:54 제빵왕 김탁구 OST Part.7성환의 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8월 19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엔에이치엔벅스 Part.7[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너 하나만  성환성환윤시윤 2:35 2. 사랑이야  성환성환이영아 4:10 3. 내사랑  성환성환주원 3:51 4. 너 하나만 (Inst.)   성환  2:35 5. 사랑이야 (Inst.)   성환  4:10 6. 내사랑   성환  3:51 제빵왕 김탁구 OST Part.8사운드트랙 음반발매일 2010년 9월 8일장르 드라마음악레이블 (주)벅스 Part.8[편집] # 제목작사작곡가수 재생 시간 1. 지금 만나러 간다    코드 V 3:07 수상 경력[편집] 연기상 2010년 K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전인화 2010년 K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윤시윤 2010년 KBS 연기대상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유진 2010년 KBS 연기대상 청소년 연기상 오재무 2010년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신인 연기상 윤시윤 2011년 아시아모델상시상식 뉴 스타상 주원 작품상 2010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대통령 표창 작가상 2010 대한민국 콘텐츠 어워드 국무총리상 제23회 2010 한국방송작가상 2010년 KBS 연기대상 작가상 강은경 2010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KDF) 작가상 연출상 2010년 코리아드라마어워즈 미니시리즈 부문 연출상 김규태 2011년 제47회 백상예술대상 연출상 해외에서의 방송[편집] KBS의 국제방송 채널인 KBS 월드에서 방영된 적이 있다. 일본에서는 후지TV를 비롯하여 간사이 TV(이하 KTV - 긴키 광역권), 도카이 TV(이하 THK - 주쿄 광역권), TV 니시닛폰(이하 TNC) 등 26개 FNN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국적으로 일제히 송출하였다. 필리핀의 GMA NETWORK과 인도네시아에서 방영되었으며, 특히 필리핀의 Kapatid TV5에서는 필리핀 식으로 리메이크해 Baker King이라는 이름으로 방송한 적이 있다. 참고 사항[편집] 이 작품은 당초 한준서, 이정섭 공동 연출로 기획되었지만[5] 한준서 PD는 제작사 등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다는 이유로 시작 전에 하차하였다.[6] KBS는 해당 작품에 앞서 《전우》를 편성할 예정이었지만 같은 소재(전쟁)의 MBC 《로드 넘버원》이 수목 미니시리즈로 편성되자[7] 《거상 김만덕》 후속 1TV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로 편성을 수정하였다. 시트콤 《지붕뚫고 하이킥!》에서 스타 반열에 오른 윤시윤[8]의 드라마 데뷔작으로서 그의 역할인 김탁구의 연적에 해당하는 구마준 역에 드라마 경험이 없는 뮤지컬 배우 주원[9]이 캐스팅 되어 화제를 모았다. 이정섭 PD는 드라마 경험이 없는 신인의 캐스팅을 반대하였으나, 강은경 작가의 고집으로 캐스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촬영을 마치면서는 "주원은 자신에게 로또 같은 배우"라고 칭찬하였다.[10] 공중파 재방송 시간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10분 ~ 5시 15분, 매주 수요일 오전 11시 50분 ~ 오후 2시(2회 연속 방송)이다. 유료 방송 채널(KBS 드라마와 드라맥스)에서도 재방송되었다. 또한, 2011년 5월 24일부터 2011년 7월 13일까지 월요일 ~ 목요일 오후 1시에 KBS 1TV에서 《KBS 걸작선》으로 재방영되었다. 드라마의 이야기 인물 등은 실제가 아닌 작가에 의해 창작된 픽션 드라마임을 밝힌 바 있다.[11] 시청 등급은 15세 이상 시청가이나, 불륜 장면이 묘사된 4화 방송분에 한해 19세 이상 시청가로 방송되었다.[12] SPC그룹에서 제빵 기술 레세피를 자문하고, 김탁구빵을 출시 하였다. SPC그룹은 이 드라마의 제빵 대역을 지원하고 제빵 기술·레시피 자문에 응하는 등의 제작 지원과 협찬을 하였다.[13] 청주 맥아당의 나병일 대표가 제빵기술자문과 주요 배역인 팔봉선생, 김탁구, 구일중 회장의 손 대역을 맡았다.[14] 드라마가 인기를 얻자, SPC그룹의 파리바게뜨는 주인공 김탁구가 만든 ‘세상에서 가장 배부른 빵’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봉빵’을 재현해 ‘배부른 보리밥빵’과 ‘주종봉단팥빵’을, 삼립식품은 ‘제빵왕 김탁구 단팥크림빵’, ‘제빵왕 김탁구 소보루빵’ 등 7종의 신제품을 만들어 슈퍼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한 바 있다.[15] 1987년을 배경으로 한 탁구(윤시윤)과 유경(유진)이 재회하는 신에서 지하철이 너무 현대적(철도공사 소속의 보증금 환급기가 있는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으며, 1989년을 배경으로 한 19화 방송분에서 탁구와 유경이 함께 스티커 사진을 찍는 신이 방영되었으나 국내 스티커 사진이 도입된 시기가 1990년대 중반이라는 점 때문에 '옥의 티'라는 지적이 있었다. 고재복 역의 박용진은 도로교통법 위반 및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불구속 입건, 결국 하차하였다.[16] 동시간대 드라마[편집] MBC 수목 미니시리즈 《나는 별 일 없이 산다》 (2010년 5월 26일 ~ 2010년 6월 9일) 《런닝, 구》 (2010년 6월 10일 ~ 2010년 6월 17일) 《로드 넘버원》 (2010년 6월 23일 ~ 2010년 8월 26일) 《장난스런 키스》 (2010년 9월 1일 ~ 2010년 10월 21일) SBS 수목 미니시리즈 《나쁜 남자》 (2010년 5월 26일 ~ 2010년 8월 5일)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2010년 8월 11일 ~ 2010년 9월 30일) 같이 보기[편집] 국희 내 이름은 김삼순 보리밥빵 꿈빛 파티시엘 각주[편집] ↑ “'제빵왕 김탁구', 꿈의 시청률 50% 돌파하며 종영”. 세계일보. 2010년 9월 17일.  ↑ 본 방송에서 “탁구를 잘해서 김탁구가 아니라 ‘높을 탁’과 ‘구할 구’자를 써서 김탁구라고 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Archived 2012년 11월 12일 - 웨이백 머신 ↑ AGB 닐슨 미디어 리서치 홈페이지 ↑ 김진욱 (2010년 6월 16일). “제빵왕 김탁구, 방송직전 한준서PD '하차' 왜?”. TV리포트.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 최보란 (2014년 5월 14일). “'호텔킹' PD교체 논란..연출자 중도교체 사례는?”. 텐아시아.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 이다정 (2010년 3월 23일). “전쟁터 방불 안방극장, '살기 위한' 변칙편성 득과 실은?”. 스포츠조선.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 “신세경 윤시윤 어딨니?”. 동아일보. 2010년 4월 14일. 2014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7월 14일에 확인함.  ↑ 이언혁 기자 (2010년 5월 19일). “뮤지컬배우 주원 ‘제빵왕김탁구’ 윤시윤 맞수 악역 캐스팅”. 뉴스엔.  ↑ “피터팬의 영혼가진 ‘굿 액터’”. 한겨레신문. 2013년 11월 5일.  ↑ 드라마 1회 시작 시점에서 자막으로 고지하였다. ↑ “15세 관람가 '제빵왕 김탁구' 4회만 '19금(禁)'된 사연은?”. TV 리포트. 2010년 6월 18일.  ↑ 김지연 (2010년 8월 27일). “SPC '김탁구빵 시리즈' 9종 출시(종합)”. 연합뉴스. 2010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윤기윤 (2015년 1월 8일). “청주 명물 직지빵 굽는 '맥아당' 나병일 대표”. 충북일보.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 문수정 (2010년 8월 27일). “추억 버무린 단팥·크림·보리밥빵… ‘김탁구표 빵’ 불티”. 국민일보. 2017년 9월 26일에 확인함.  ↑ 안민 (2010년 9월 7일). “탤런트 박용진 불구속 입건, 결국 `김탁구'에서 하차”. 뉴스웨이. 2010년 9월 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KBS 제빵왕 김탁구 홈페이지 日후지TV 제빵왕 김탁구 홈페이지 한국방송공사 수목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신데렐라 언니(2010년 3월 31일 ~ 2010년 6월 3일) 제빵왕 김탁구(2010년 6월 9일 ~ 2010년 9월 16일) 도망자 플랜 B(2010년 9월 29일 ~ 2010년 12월 8일) KBS 걸작선 신데렐라 언니(2011년 4월 18일 ~ 2011년 5월 23일) 제빵왕 김탁구(2011년 5월 24일 ~ 2011년 7월 13일) 성균관 스캔들(2011년 7월 14일 ~ 2011년 8월 22일) vdehKBS의 텔레비전 드라마현재 1TV 일일연속극(《여름아 부탁해》) 2TV 일일연속극(《태양의 계절》) 월화 미니시리즈(《퍼퓸》) 수목 미니시리즈(《저스티스》) 주말연속극(《세상에서 제일 예쁜 내 딸》) 드라마 스페셜† 특집드라마 (1TV  · 2TV)† 해외걸작드라마† 과거1TV 걸작선 농촌드라마 대하드라마 웹드라마 스페셜 인간극장 UHD 명품역사관 2TV 2TV 일일연속사극 TV 소설 결혼 이야기 금요극장 금요드라마 금토드라마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드라마시티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시트콤 아침드라마 어린이 드라마 일요아침드라마 정글피쉬 정글피쉬 2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테마 드라마 해외 특별기획 드라마 †부정기적 프로그램 KBS MBC SBS tvN OCN JTBC MBN 채널A TV조선 vdeh 수목드라마2000년대 전반2000년 《소설 목민심서》 《천둥소리》 2001년 《명성황후》 2002년 《태양인 이제마》 《장희빈》 2003년 《로즈마리》 2004년 《꽃보다 아름다워》 《4월의 키스》 《풀하우스》 《두 번째 프러포즈》 《해신》 2000년대 후반2005년 《부활》 《장밋빛 인생》 《황금사과》 2006년 《굿바이 솔로》 《연어의 꿈》(단막) 《위대한 유산》 《투명인간 최장수》 《특수수사일지: 1호관 사건》(단막) 《도망자 이두용》(단막) 《황진이》 2007년 《달자의 봄》 《마왕》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몇 가지 질문》(단막) 《경성스캔들》 《사육신》 《인순이는 예쁘다》 2008년 《쾌도 홍길동》 《아빠 셋 엄마 하나》 《태양의 여자》 《2008 전설의 고향》 《바람의 나라》 2009년 《경숙이 경숙아버지》(단막) 《미워도 다시 한 번 2009》 《그저 바라 보다가》 《파트너》 《아가씨를 부탁해》 《아이리스》 2010년대 전반2010년 《추노》 《신데렐라 언니》 《제빵왕 김탁구》 《도망자 플랜 B》 《프레지던트》 2011년 《가시나무새》 《로맨스 타운》 《공주의 남자》 《영광의 재인》 2012년 《난폭한 로맨스》 《적도의 남자》 《각시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 《전우치》 2013년 《아이리스 2》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칼과 꽃》 《연애를 기대해》(단막) 《비밀》 《예쁜 남자》 2014년 《감격시대: 투신의 탄생》 《골든크로스》 《조선 총잡이》 《아이언맨》 《왕의 얼굴》 2010년대 후반2015년 《고맙다, 아들아》(단막) 《착하지 않은 여자들》 《복면검사》 《어셈블리》 《장사의 신 - 객주 2015》 2016년 《태양의 후예》 《마스터 - 국수의 신》 《함부로 애틋하게》 《공항 가는 길》 《오 마이 금비》 2017년 《맨몸의 소방관》(단막) 《김과장》 《추리의 여왕》 《7일의 왕비》 《맨홀 - 이상한 나라의 필》 《정마담의 마지막 일주일》(단막) 《강덕순 애정 변천사》(단막) 《매드 독》 《흑기사》 2018년 《추리의 여왕 2》 《슈츠》 《당신의 하우스헬퍼》 《오늘의 탐정》 《죽어도 좋아》 2019년 《왜그래 풍상씨》 《닥터 프리즈너》 《단, 하나의 사랑》 《저스티스》 《동백꽃 필 무렵》 TV 소설 | 1TV 아침 | 2TV 아침 | 1TV 일일 | 2TV 일일 | 월화 | 수목 | 금요 | 금토 | 주말 (연속극  · 특별기획) | 대하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제빵왕_김탁구&oldid=24417301" 분류: 2010년 드라마한국방송공사 수목드라마KBS 걸작선요리를 소재로 한 작품조리사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복수를 소재로 한 드라마강은경 시나리오 작품삼화네트웍스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Bahasa MelayuPortuguêsไทยTagalog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2일 (수) 20:2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제빵왕 김탁구》는 2010년 6월 9일부터 2010년 9월 16일까지 방영된 KBS 2TV 수목 드라마이다. 본 드라마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경제 개발기를 배경으로 주인공 김탁구가 온갖 역경을 딛고 최고의 제빵인으로 성공하는 모습을 다루었다. 성인 분량의 배경은 1987년부터 1989년까지이며 아역 분량의 배경은 주인공들의 나이가 12세인 1976년이다. 한편, 6회부터 시청률 30%를 돌파하였으며, 17회에는 40%(AGB 전국 시청률 기준)를 넘겼다. 마지막 회는 50%의 압도적인 시청률을 기록하였다(TNmS 전국 시청률 기준).또한, 역대 KBS 미니시리즈 시청률 1위, 역대 KBS HD 드라마 시청률 1위 기록을 가지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0 KBS 연기대상에서 청소년 연기상을 수상한 배우는 누구인가? Assistant: 오재무 Human: 아래 세계_랠리_선수권_대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토요타 코롤라(Toyota Corolla) WRC 2002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World Rally Championship, WRC)은 전 세계를 무대로 하는 랠리 자동차 경주 대회이다. 국제 자동차 연맹(FIA)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1991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지금은 전 세계 14개국에서 열리고 있다. 대회 초기에는 자동차 제작사의 순위만 가르다가 1979년부터는 운전자 부문이 신설되어 완전 분리 수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점수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2003년도 WRC처럼 스바루 자동차를 운전하는 페터 솔베르크가 운전자 트로피를 차지할 수 있지만, 시트로엥이 제조사 트로피를 차지할 수도 있는 등 이변이 연출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현대자동차가 최초로 WRC에 진출했다. 당시 현대 월드랠리팀은 베르나로 상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이후 2013년 WRC 복귀를 선언하고 현대 i20을 출전시킨다 2014년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리타이어했지만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열린 독일 라인란트팔츠주(州) 바움홀더에서 열린 9라운드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1] 목차 1 경주용 자동차 2 역대 챔피언 3 출처 4 외부 링크 경주용 자동차[편집] WRC 대회는 총 16개 랠리로 이루어져 있고, 양산 차량을 근간으로 WRC 규정에 따라 배기량 2.0리터 엔진에 터보차저가 장착된 사륜구동(4WD) 자동차를 사용해야 한다. 이 규정은 2012년에 배기량 2.0리터에서 1.6리터로 하향 조정되었다. 최근에 우승을 차지한 랠리 자동차들로는 시트로엥 엑사라(프랑스어: Citroën Xsara), 포드 포커스 RS,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푸조 307, 스코다 파비아(Skoda Fabia), 그리고 스바루 임프레자가 있다. WRC 대회는 공식적으로 그룹 A와 그룹 B 랠리 자동차로 나누어 경기를 치렀다. 그러나 참가 차량들의 엔진 마력이 증가하면서 차량 사고의 위험이 증대하였고, 결국은 1986년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여 그룹 B가 완전히 금지되었다. 이후 1997년 그룹 A 차량들이 WRC 경주용 자동차의 규격으로 발전하여 자동차 제조 회사들은 새로운 경주용 자동차를 제작하기가 용이해졌다. 이외에도 WRC 대회에는 양산차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Production World Rally Championship)와 28세 미만의 운전자만 참가할 수 있는 주니어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Junior World Rally Championship)가 함께 개최되고 있다. 역대 챔피언[편집] 시즌 운전자 부문 제작사 부분 운전자 차량 제작사 차량 2014 세바스티앵 오지에 폭스바겐 폴로 R WRC 폭스바겐 폭스바겐 폴로 R WRC 2013 세바스티앵 오지에 폭스바겐 폴로 R WRC 폭스바겐 폭스바겐 폴로 R WRC 2012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DS3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DS3 WRC 2011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DS3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DS3 WRC 2010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C4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C4 WRC 2009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C4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C4 WRC 2008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C4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C4 WRC 2007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C4 WRC 포드 포드 포커스 RS WRC 06/07 2006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Xsara WRC 포드 포드 포커스 RS WRC 06 2005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Xsara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Xsara WRC 2004 세바스티앵 뢰브 시트로엥 Xsara WRC 시트로엥 시트로엥 Xsara WRC 2003 페터 솔버그 스바루 임프레자 WRC 2003 시트로엥 시트로엥 Xsara WRC 2002 마커스 그뢴홀름 푸조 206 WRC 푸조 푸조 206 WRC 2001 리처드 번즈 스바루 임프레자 WRC 2001 푸조 푸조 206 WRC 2000 마커스 그뢴홀름 푸조 206 WRC 푸조 푸조 206 WRC 1999 토미 마키넨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VI 토요타 토요타 코롤라 WRC 1998 토미 마키넨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V 미쓰비시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V 1997 토미 마키넨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IV 스바루 스바루 임프레자 WRC 1996 토미 마키넨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III 스바루 스바루 임프레자 555 1995 콜린 맥레이 스바루 임프레자 555 스바루 스바루 임프레자 555 1994 디디에 오리올 토요타 셀리카 Turbo 4WD 토요타 토요타 셀리카 Turbo 4WD 1993 유하 칸쿠넨 토요타 셀리카 Turbo 4WD 토요타 토요타 셀리카 Turbo 4WD 1992 카를로스 사인스 토요타 셀리카 Turbo 4WD 란치아 란치아 Delta HF Integrale 1991 유하 칸쿠넨 란치아 Delta Integrale 16V 란치아 란치아 Delta Integrale 16V 1990 카를로스 사인스 토요타 셀리카 GT-Four 란치아 란치아 Delta Integrale 16V 1989 미키 비아시온 란치아 Delta Integrale 란치아 란치아 Delta Integrale 1988 미키 비아시온 란치아 Delta Integrale 란치아 란치아 Delta Integrale 1987 유하 칸쿠넨 란치아 Delta HF 4WD 란치아 란치아 Delta HF 4WD 1986 유하 칸쿠넨 푸조 205 Turbo 16 푸조 푸조 205 Turbo 16 E2 1985 티모 살로넨 푸조 205 Turbo 16 푸조 푸조 205 Turbo 16 E2 1984 스티그 블롬크비스트 아우디 콰트로 아우디 아우디 콰트로 1983 하누 미콜라 아우디 콰트로 란치아 란치아 Rally 037 1982 발터 뢰를 오펠 Ascona 400 아우디 아우디 콰트로 1981 아리 바타넨 포드 Escort RS1800 타르보 타르보 Sunbeam Lotus 1980 발터 뢰를 피아트 131 Abarth 피아트 피아트 131 Abarth 1979 비욘 월데가드 포드 Escort RS1800* 포드 포드 Escort RS1800 1978 마르쿠 알렌*** 피아트 131 Abarth** 피아트 피아트 131 Abarth 1977 산드로 무나리*** 란치아 Stratos HF 피아트 피아트 131 Abarth 1976 운전자 부문 없음 란치아 란치아 Stratos HF 1975 운전자 부문 없음 란치아 란치아 Stratos HF 1974 운전자 부문 없음 란치아 란치아 Stratos HF 1973 운전자 부문 없음 알파인-르노 알파인-르노 A110 * 랠리 중 2회는 메르세데스-벤츠 450 SLC 운전 ** 랠리 중 2회는 란치아 Stratos HF 운전 *** 1977년~1978년 운전자 부문은 FIA Cup for Rally Drivers 출처[편집] ↑ 현대차 WRC팀, 개막전 2대 모두 탈락…눈길서 미끄러져 데일리안, 2014년 1월 17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 (영어) WRC.com 공식 WRC 사이트 - 경주 일정, 통계, 경주 결과 등의 정보를 알아 볼 수 있다. 전거 통제 VIAF: 247853077 GND: 4779599-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세계_랠리_선수권_대회&oldid=23988293" 분류: 자동차 경주 시리즈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숨은 분류: 프랑스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sturianuБългарски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mburgsLietuvių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Svenska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8일 (월) 02: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World Rally Championship, WRC)은 전 세계를 무대로 하는 랠리 자동차 경주 대회이다. 국제 자동차 연맹(FIA)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1973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지금은 전 세계 14개국에서 열리고 있다. 대회 초기에는 자동차 제조사의 순위만 가르다가 1979년부터는 운전자 부문이 신설되어 완전 분리 수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점수제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2003년도 WRC처럼 스바루 자동차를 운전하는 페터 솔베르크가 운전자 트로피를 차지할 수 있지만, 시트로엥이 제조사 트로피를 차지할 수도 있는 등 이변이 연출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 현대자동차가 최초로 WRC에 진출했다. 당시 현대 월드랠리팀은 베르나로 상위권 진입에 성공했다. 이후 2013년 WRC 복귀를 선언하고 현대 i20을 출전시킨다 2014년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리타이어했지만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열린 독일 라인란트팔츠주(州) 바움홀더에서 열린 9라운드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어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세계랠리선수권대회에서 사용해야하는 경주용자동차로 엔진에 터보차저가 달려있는 것은 어떤것일까? Assistant: 사륜구동(4WD)
Human: 아래 수난곡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수난곡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난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수난곡(受難曲)은 배우의 연기 없이 무대에 올려지는 성악을 주로 한 종합 예술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라토리오와 비슷하지만, 성경의 사복음서를 기초로 한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주로 담았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고, 독일 계열 작곡가들에게 주로 쓰인 개념이다. 수난 또는 수난곡을 뜻하는 영어 'Passion' 2세기에 나타난 라틴어 passio에서 유래하며, 예수의 생애와 고난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사복음서명을 따서 '마태오 수난곡', '마르코 수난곡', '루카 수난곡', '요한 수난곡'의 4개가 있다. 목차 1 역사 2 구성 3 대표적인 수난곡 4 참고 문헌 역사[편집] 옛날부터 성(聖) 금요일이나 성주간(聖週間)에는 수난극이나 이와 비슷한 행사를 하였다. 12세기경부터 복음서에 따라 그리스도 수난의 이야기를 3인의 신부가, 한 사람은 복음사가(福音史家)의 역(테너)을, 또 한 사람은 그리스도의 역(베이스)을, 나머지 한 사람은 군중의 역(알토)을 맡아 낭독조로 노래하는 습관이 되었다. 이것이 그 뒤의 수난곡의 기원이다. 이와 같은 형식으로 된 수난곡을 '코랄 수난곡'이라 하며, 대략 17세기경까지 만들어졌다. 특히 유명한 작품으로는 쉬츠의 《마태오 수난곡》이 있다. 이와 함께 16세기-17세기에는 다른 타입의 '모테토 수난곡'이 생겼다. 이것은 텍스트의 전체를 등장인물의 수와 관계없이 일관하여 모테토풍의 다성부 합창으로 노래한다. 음악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7세기 중엽경에 성립한 '오라토리오 수난곡'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성서의 텍스트를 자유롭게 시로 만들어 코랄 또는 솔로의 아리아 형식으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형식적으로도 아리아, 레치타티보, 합창, 통주저음, 기악반주를 썼으며, 오라토리오의 형태와 흡사하다. 이 장르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바흐의 《요한 수난곡》과 고금 최대의 걸작이라고 칭찬받고 있는 《마태오 수난곡》이 있다. 구성[편집] 복음사가의 레치타티보 예수 제자들의 독창 및 합창 아리아 대표적인 수난곡[편집]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사복음서 모두 작곡했다고 전해지나, 마태오 수난곡, 요한 수난곡만이 전해진다. 하인리히 쉬츠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악곡의 형식반복 형식 두도막 형식 세도막 형식 론도 론도 소나타 형식 리토르넬로 형식 변주곡 비를레 소나타 형식 소나티네 아치 형식 계속 형식정한가락형식 오르가눔 중세의 모테트 코랄 모방형식 르네상스 시대의 모테트 리체르카레 카논 인벤션 푸가 복합 형식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 모음곡 칸타타 미사곡 레퀴엠 수난곡 악극 오페라 오라토리오 순환 형식 소곡성격 소품 간주곡 교향시 노벨레테 녹턴 랩소디 로망스 무궁동 무언가 바가텔 발라드 서곡 세레나데 스케르초 아리아 에튀드 유머레스크 전주곡 즉흥곡 카프리치오 토카타 행진곡 환상곡 고전 무곡 가보트 가야르드 렌틀러 루르 리고동 뮈제트 미뉴에트 바스 당스 부레 브랑르 사라반드 살타렐로 샤콘 시칠리아노 알르망드 앙글레즈 에코세즈 지그 카롤 쿠랑트 파바느 파사갈리아 파스토랄레 파스피에 근·현대 무곡 갈로프 룸바 마주르카 볼레로 삼바 세기디야 왈츠 타란텔라 탱고 트레팍 판당고 폴로네즈 폴카 폭스 트롯 하바네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수난곡&oldid=23727027" 분류: 악곡의 형식기독교 음악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БългарскиCatalà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LimburgsLatviešu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ไทย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8일 (월) 14: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수난곡(受難曲)은 배우의 연기 없이 무대에 올려지는 성악을 주로 한 종합 예술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라토리오와 비슷하지만, 성경의 사복음서를 기초로 한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주로 담았다는 데에서 차이가 있고, 독일 계열 작곡가들에게 주로 쓰인 개념이다. 수난 또는 수난곡을 뜻하는 영어 'Passion' 2세기에 나타난 라틴어 passio에서 유래하며, 예수의 생애와 고난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사복음서명을 따서 '마태오 수난곡', '마르코 수난곡', '루카 수난곡', '요한 수난곡'의 4개가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요한 수난곡의 작곡가는 누구야? Assistant: 바흐 Human: 아래 신칸센_E5계_전동차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신칸센 E5계 전동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칸센 E5계 전동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신칸센 E5계 ・ H5계 전동차 신칸센 E5계 전동차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비즈니스 및 장거리 여행객 수송용 제작사 가와사키 중공업히타치 제작소 제작 연도 2009년 ~ 현재 생산량 47편성 470량 사용량 47편성 470량 제원 차량 정원 선두차 29명중간차 59~100명그린차 55명그랜클래스 18명 편성 정원 731명 전장 25,000(선두차량은 26,500) mm 전폭 3,350 mm 전고 3,650 mm팬터그래프 상면고 : 4,490 mm 편성 중량 453.5 t 궤간 1,435 mm 성능 전기 방식 교류 25,000V, 50Hz 제어 방식 히타치 VVVF 인버터 제어 (IGBT) 기어비 2.645 기동가속도 1.71 km/h/s 영업 최고 속도 320 km/h 설계 최고 속도 360 km/h 전동기 출력 300 kW 편성 출력 9,960(1만 1천760 마력) kW 구동 장치 3상 유도전동기 MT207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응하중장치 포함) MT비 8M2T 보안 장치 DS-ATC 비고 제55회(2012년) 블루리본상 수상 E6계 중련 영업중인 신칸센 E5계 영업중인 신칸센 H5계 신칸센 E5계 ・ H5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5系 ・ H5系電車)는 동일본여객철도(JR동일본)의 신칸센 차량이다. 본 항에서는 홋카이도여객철도(JR홋카이도)가 신칸센 E5계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도입하는 신칸센 H5계 전동차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목차 1 개요 2 모델 3 운행 노선 3.1 현재 운행 노선 4 구조 4.1 차량 외관 4.2 주요 기기 4.2.1 대차 4.2.2 집전장치 4.2.3 전원·제어기기 5 성능 6 객차 구성[28] 6.1 U 편성 (동일본여객철도 소속) 6.2 H 편성 (홋카이도여객철도 소속) 7 현황 7.1 U 편성 (동일본여객철도 소속) 7.2 H 편성 (홋카이도여객철도 소속) 8 각주 9 사진 10 외부 링크 개요[편집] 동일본여객철도는 2000년에 책정한 중기경영계획 뉴 프론티어 21에서 '세계 제일의 철도 시스템 구축'을 제시했다. 그 중에는 신칸센을 최고속도 360km/h로 영업운전하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것에 기초해 2002년에 사내에서 발족시킨 신칸센 고속화 추진 프로젝트에 의해, 신칸센 고속 시험차량 파스텍 360을 개발하여 2005년부터 지상설비를 포함한 각종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환경대책이나 비용대 효과를 고려하면 최고 영업 속도 320km/h이 타당한 것으로 재검토되어, 현재의 E5계가 개발·제조되었다. 1편성(10량)당 제조 비용은 약 45억엔이다.[1] 이 계열이 사용되는 열차의 애칭은 공모에 의해 "하야부사"로 결정되었다. 또, 'MADE IN DREAM.' '21세기의 꿈의 초특급을 만들면, 이렇게 되었습니다'를 캐치 카피로 하였다. 2009년 5월에 도호쿠 신칸센 노선에 시범 운행을 위해 신칸센 종합 차량 센터에 인도되었다.[2] 1호차부터 5호차까지 야마구치현에 위치한 히타치 제작소, 6호차부터 10호차까지 효고현에 위치한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제작했다.[3] 2009년 12월 9일에 최초로 도쿄에서 일반인에게 공개했다.[4] 2013년 2월에 U1편성으로 변경되었다.[5] 2010년 5월에 신칸센 E5계 전동차 이름이 하야부사로 결정되었는데, 2009년 3월 폐지된 침대특급열차의 명칭이다. 같은 해 12월에 U2편성이 도입되었다.[6] 이후 2편성이 추가로 반입되면서 하코타테 신칸센 차량 센터에 배치되었다.[7][8] 2011년 3월 5일부터 영업운전을 개시하였으며, 2012년 5월, 제55회 일본철도클럽에서 매년 개최하는 블루리본상에서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9] 같은 해 11월 20일에 공식 발표가 열렸다.[10] 2013년 3월 16일, 다이야 개정으로 최고 우츠노미야 ~ 센다이 구간 최고 영업 속도가 320km/h를 증가했다.[11] 2014년 4월에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따른 세부 열차 사항이 발표되었다.[12] H1편성이 고베 시 카와사키 중공업에서 하코타테 신칸센 차량 센터로 배치되었다.[13] 같은 해 10월에 H2편성이 반입되었고[14] 이후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하면서 최고 영업 속도 260km/h를 도달했고[15], 2015년 11월에 도호쿠 신칸센 구간에 시범 운행을 개시했다.[16] 2017년 3월 25일 도호쿠 신칸센 개업 35주년을 맞이해 조에쓰 신칸센을 운행했고 니가타 ~ 하치노헤간 임시 열차가 운행되었다.[17] 모델[편집] 이 열차는 E7계·W7계와 마찬가지로 E2계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E5계·H5계 열차 모델은 파스텍 360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18][19] 열차 선두부에 옥색 도장이 적용되었고 그 외에도 분홍색과 보라색을 적용했다. 로고 의 경우 파스텍을 의미하며 회색 도장이 적용되었고 동일본여객철도와 홋카이도여객철도 회사 사명까지 포함되었다. E5계 차량 로고 H5계 차량 로고 그랜클레스 로고 운행 노선[편집] 현재 운행 노선[편집] 도호쿠 & 홋카이도 신칸센 나스노 야마비코 하야부사 하야테 구조[편집] 차량 외관[편집]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한 중공 트러스 단면의 더블스킨 구조를 채용했다. 터널 미기압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체 높이를 E954형(FASTECH 360S)과 같은 3,650 mm로, 차체폭은 3,350 mm로 하였다. 차체 경사(틸팅)를 고려하여 차체 측면을 안쪽으로 기울게 설계했다.[20] 선두 형상은 E954형 8호차의 '애로우 라인'을 기본으로 한 '더블 카스프'형으로 하여,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 노즈의 길이를 E954형의 16m에서, 약 15m로 단축하고 있다. 캐노피형으로 된 운전대 상부에 전조등(4개)과 미등을 설치했다. 양산 선행차인 U1편성에서는 N700계와 같이 양 선두차(1호차와 10호차)의 운전대 쪽 승객용 문에 플러그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승객용 문은 통상의 미닫이형으로 되어 있었지만, 양산차량인 U2편성 이후의 편성에서는 모두 미닫이식으로 통일되어 있다. 차체의 색은, 미래를 느끼게 하는 선진적 이미지와 스피드감을 표현하기 위해 E954형 'FASTECH 360S'를 기본으로 상부를 '토키와 그린', 하부를 '비운 화이트'으로 하여, 그 경계선이 되는 중앙에 '하야테 핑크'색 띠를 배치하며, 2014년에 도입하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유의 H5계 전동차의 경우 '아야카(사이카) 퍼플'색 띠를 배치한다. 주요 기기[편집] 소음 대책으로서 차체 측면부에 점검 마개를 겸한 판을 설치하여 차체 하반부를 가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차체 연결 부분에는 전주 덮개(全周幌)와 차체간 댐퍼가 장비되어 있어, 소음 저감과 차체간의 흔들림이 저감되었다. 전주 덮개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되어 있어, 지붕 부분과 측면 부분으로 분할되어, 연결시에는 차량의 2위측에 고정되어, 옆 차량의 1위측에 링 기구로 눌러 붙이는 구조가 되어 있다.[21] 또 차체 측면의 대차 부근에는 대차 커버가 채용되어 있다. 대차 커버는 경량화를 위해 카본 파이버 제로 되어 있으며, 흡음재를 채용하는 것으로 소음 저감을 꾀했다[21]. 대차[편집] 차체 연결 부분. 전주 덮개와 차체간 댐퍼가 장비되어 있다. 대차는 E2계의 대차를 베이스로 하여 내구성·제동성을 강화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 제동력 강화를 위해 이전에는 공압유압변환식이었던 캘리퍼 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동력대차에 장비)과 캘리퍼 식 차축 디스크 브레이크(부수대차에 장비)를 공압식으로 변경하였으며, 차륜의 휠 부분 양측과 차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의 체결 볼트를 내주체결식(内周締結式)에서 중앙체결식으로 변경하여 볼트의 부담과 디스크 면의 변형을 최소한으로 억제했다. 대차 형식은 전동대차가 DT208, 부수대차가 TR7008이며, 선두차량 운전대 쪽은 레일과 차륜과의 점착력을 높이기 위한 세라믹 분사장치를 갖춘 TR7008A이다. 또, 차체와 대차 프레임을 토션 바로 연결하여, 대차의 사행동을 억제하는 토션바 식 안티 롤링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전 차량에 E2계의 공기식보다 개량된 전자식(電磁式)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회전력으로 좌우의 상위를 제어하는 롤러 나사식(ローラーネジ式) 풀 액티브 서스펜션과 공기 용수철에 의한 차체경사 제어 장치를 탑재하였다.[22][23] 공기식으로부터 전기식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공기배관이나 탱크가 필요없게 되어, 경량화를 이루었다.[24] 집전장치[편집] PS208형 팬터그래프 편성 안에서 사용하는 팬터그래프는 2기 중 1기 뿐(3, 7호차에 탑재된 것 중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 있는 것)이므로, 이선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12분할 접촉판이 붙은 저소음 팬터그래프를 장비하고 있다. 분할된 접촉판 안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가선에 부드럽게 추종한다. 양산선행차에서는 '<' 자형 메인 프레임(くの字主枠)과 일체형 메인 프레임의 두 타입을 장비하여,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25]. 그 결과, E954형에서 테스트된 PS9037을 베이스로 한, '<'자형 메인 프레임의 싱글암 팬터그래프(PS208)이 탑재되어 있다. 팬터그래프 측면의 대형 차음판 이외에도, 애자 측면부에 소형 차음판이 설치되어 있다.[26] 소음 저감을 위해, 특고압 인통선은 E2계 0번대와 같이 차내 천장부에 배치했다.[27] 전원·제어기기[편집] 주전동기(MT207)는 농형 3상 유도전동기다. 냉각방식은 자기(自己) 통풍으로, 정격출력은 300kW이다. 성능[편집] 영업운전의 최고속도는 320km/h로, 3‰의 상구배에서의 균형속도는 360km/h이다. 표준 편성은 10량으로, 전동차와 부수차의 구성(MT비)는 8:2이다. 기동가속도는 1.71km/h/s이지만, E3계와의 병결시에는 E3계의 성능에 맞추어 1.6km/h/s로 운행한다 곡선통과시의 승차감을 향상시켜 반경 4,000m의 커브에서도 320km/h로 주행할 수 있도록, 공기 용수철 스트로크식 틸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체를 최대 1.5도 기울일 수 있다. 객차 구성[28][편집] 전 편성 3호차와 7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6] U 편성 (동일본여객철도 소속)[편집] 호차 1 2 3 4 5 6 7 8 9 10 명칭 T1c M2 M1 M2 M1k M2 M1 M2 M1s Tsc 번호 E523 E526-100 E525 E526-200 E525-400 E526-300 E525-100 E526-400 E515 E514 무게 (톤) 41.9 45.9 46.0 46.3 46.1 46.8 46.8 46.0 45.8 42.7 좌석 29 100 85 100 59 100 85 100 55 18 H 편성 (홋카이도여객철도 소속)[편집] 번호 1 2 3 4 5 6 7 8 9 10 명칭 T1c M2 M1 M2 M1k M2 M1 M2 M1s Tsc 번호 H523 H526-100 H525 H526-200 H525-400 H526-300 H525-100 H526-400 H515 H514 무게 (톤) 41.9 45.9 46.0 46.3 46.1 46.8 46.8 46.0 45.8 42.7 좌석 29 100 85 100 59 100 85 100 55 18 10호차 그랜클래스 9호차 그린차 3호차 지정석 E5계 콘텐츠 현황[편집] 총 47 편성이 도입되었으며, 전 차량 운행 중이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U 편성 (동일본여객철도 소속)[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U1호 2009년 운행 중 도입 초기 S11호로 도입했다. U2호 2010년 운행 중 U3호 2011년 운행 중 U4호 운행 중 U5호 운행 중 U6호 운행 중 U7호 운행 중 U8호 운행 중 U9호 운행 중 U10호 2012년 운행 중 U11호 운행 중 U12호 운행 중 U13호 운행 중 U14호 운행 중 U15호 운행 중 U16호 운행 중 U17호 운행 중 U18호 운행 중 U19호 운행 중 U20호 운행 중 U21호 운행 중 U22호 2013년 운행 중 U23호 운행 중 U24호 운행 중 U25호 운행 중 U26호 운행 중 U27호 운행 중 U28호 운행 중 U29호 2015년 운행 중 U30호 운행 중 U31호 2016년 운행 중 U32호 2017년 운행 중 U33호 운행 중 U34호 운행 중 U35호 운행 중 U36호 운행 중 U37호 운행 중 U38호 2018년 운행 중 U39호 운행 중 U40호 운행 중 U41호 운행 중 U42호 2019년 운행 중 U43호 운행 중 H 편성 (홋카이도여객철도 소속)[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H1호 2014년 운행 중 H2호 운행 중 H3호 2015년 운행 중 H4호 운행 중 각주[편집] ↑ 『東洋経済』2009년 7월 4일호「鉄道進化論」P45 ↑ E5系S11編成仙台港に陸揚げ [E5 series set S11 unloaded at Sendai Port].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Koyusha Co., Ltd. 2009년 5월 24일. 2009년 5월 25일에 확인함.  ↑ JR車両の動き  [JR Rolling Stock Changes]. 《Tetsudō Daiya Jōhō》 38 (Japan: Kōtsū Shimbun). September 2009. 125쪽.  ↑ E5系が東京へ初入線 [E5 series reaches Tokyo for first time].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Koyusha Co., Ltd. 2009년 12월 10일. 2009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E5系S11編成が量産化改造を実施 [E5 series set S11 modified to full-production standard]. 《RM News》 (일본어). Japan: Neko Publishing. 2013년 2월 28일. 2013년 2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JR電車編成表 2012冬 [JR EMU Formations - Winter 2012]. Japan: JRR. October 2011. 10쪽. ISBN 978-4-330-25611-5.  ↑ “「H5系」新幹線、北海道へ初上陸…海上輸送で”. 《YOMIURI ONLINE》 (読売新聞社). 2014년 10월 14일. 2014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フル編成、堂々 北海道新幹線、線路に 七飯”. 《北海道新聞》 (北海道新聞社). 2014년 11월 1일. 2014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1일에 확인함.  ↑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 選定車両一覧 [Blue Ribbon Award & Laurel Prize Winner List] (일본어). Japan: Japan Railfan Club. 2012년 5월 29일. 2010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9일에 확인함.  ↑ ブルーリボン賞・ローレル賞受賞式 [Blue Ribbon and Laurel Prize Presentation Ceremonies]. 《Japan Railfan Magazine》 53 (Japan: Koyusha Co., Ltd.). February 2013. 64쪽.  ↑ JR電車編成表 2016冬 [JR EMU Formations - Winter 2016] (일본어). Japan: Kotsu Shimbunsha. 2015년 11월 18일. 12쪽. ISBN 978-4-330-62315-3.  ↑ 北海道新幹線用車両について - 北海道旅客鉄道、2014年4月16日 ↑ “H5系が川崎重工から出場” [H5 series shipped from Kawasaki Heavy Industries].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Japan: Koyusha Co., Ltd. 2014년 10월 12일. 2014년 10월 13일에 확인함.  ↑ フル編成、堂々 北海道新幹線、線路に [A complete Hokkaido Shinkansen trainset proudly takes to the rails]. 《Doshin Web》 (일본어). Japan: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4년 11월 1일. 2014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6일에 확인함.  ↑ Ito, Hisami (March 2015). 北海道新幹線H5系 雪中で順調に試運転中 [Hokkaido Shinkansen H5 series: Test-running proceeds in the snow]. 《Japan Railfan Magazine》 (일본어) 55 (Japan: Koyusha Co., Ltd.). 57쪽.  ↑ H5系が東北新幹線内で試運転 [H5 series test run on Tohoku Shinkansen].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Japan: Koyusha Co., Ltd. 2015년 11월 4일. 2015년 11월 4일에 확인함.  ↑ “直通列車 乗り換えなしでラクラク E5系で行く「岩手・青森」の旅 ~東北新幹線の開業35周年記念!~” (PDF). 동일본여객철도. 2017년 5월 24일. 2017년 6월 13일에 확인함.  ↑ 新型高速新幹線車両(E5系)のデザインについて [Information on Design of New Shinkansen E5 Series Trains] (PDF) (일본어). JR East. 2009년 2월 3일. 2009년 2월 3일에 확인함.  ↑  北海道新幹線車両(H5系)の概要 [Outline of Hokkaido Shinkansen rolling stock (H5 series)] (일본어). Japan: Hokkaido Railway Company. 2014. 2014년 12월 9일에 확인함.  ↑ 『鉄道ジャーナル 2009년 10월호』 鉄道ジャーナル사, 2009년, p.71 ↑ 가 나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1, 三栄書房,p.48 ↑ 『鉄道ダイヤ情報』2011年2月号、交通新聞社、2011年、p.80 ↑ 新幹線高速化について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 2007年7月27日付 ↑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0》. 三栄書房. 2009. p.83쪽. ISBN 9784779608186.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JR東日本 新幹線高速化へ量産先行車を製作」交通新聞(交通新聞社)2008年7月31日付 ↑ 《鉄道のテクノロジー 5 新幹線2010》. 三栄書房. 2009. p.79쪽. ISBN 9784779608186.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鉄道ジャーナル2009年10月号》. 鉄道ジャーナル社. 2009. p.72쪽.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JR東日本 E5系新幹線電車(量産車) [JR East E5 series Shinkansen (full-production version)]. 《Tetsudō Daiya Jōhō Magazine》. 40권 322호 (Japan: Kōtsū Shimbun). February 2011. 80–83쪽.  사진[편집] E514-1 (10호차) E515-1 (9호차) E526-401 (8호차) E525-101 (7호차) E526-301 (6호차) E525-401 (5호차) E526-201 (4호차) E525-1 (3호차) E526-101 (2호차) E523-1 (1호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신칸센 E5계 전동차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신칸센 H5계 전동차 (일본어) 동일본 여객철도 E5계 공식 사이트 (일본어) 홋카이도 여객철도 보도 자료 (2014년 4월 16일) vdeh신칸센운행 노선규격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산요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큐슈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미니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신칸센 재래선 갈라 유자와 선 하카타미나미 선 건설 및 계획 중인 노선건설 중인 노선 주오 신칸센 기본 계획 중인 노선 도카이도 화물 신칸센 미에 신칸센 산인 신칸센 시코쿠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오우 신칸센 우에쓰 신칸센 주고쿠 횡단 신칸센 큐슈 횡단 신칸센 호쿠리쿠 주쿄 신칸센 홋카이도 미나미마와리 신칸센 히가시큐슈 신칸센 계획 취소 노선 나리타 신칸센 제2 도카이도 신칸센 열차 종류도카이도 & 산요 & 큐슈 고다마 노조미 미즈호 사쿠라 쓰바메/츠바메 히카리 (레일스타) 도호쿠 & 홋카이도 나스노 야마비코 하야부사 하야테 아키타 & 야마가타 고마치/코마치 쓰바사/츠바사 조에쓰 다니가와/타니가와 도키/토키 호쿠리쿠 가가야키/카가야키 쓰루기/츠루기 아사마 하쿠타카 조이풀 트레인 겐비 신칸센 토레이유 쓰바사/토레이유 츠바사 없어진 열차 등급 그랜드 히카리 슈퍼 고마치 아사히 아오바 웨스트 히카리 차량현재 운행하는 차량 500계 700계 N700계 800계 E2계 E3계 E4계 E5계·H5계 E6계 E7계·W7계 도입 예정 차량 N700S계 L0계 퇴역 차량 0계 100계 200계 300계 400계 E1계 기술 개발 차량 & 사업용 차량 911계 912계 951계 961계 962계 1000계 닥터 옐로우 윈350 스타21 300X 파스텍 360S 파스텍 360Z 알파-X 궤간가변열차 MLX-01 해외 수출형 CRH2형 (중화인민공화국) 700T형 (중화민국) 계획 취소 차량 고시츠 히카리 운영회사현재 운영하는 회사 JR 홋카이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큐슈 없어진 회사 일본국유철도 차량 센터종합 차량 센터 구마모토 센다이 (미야기 현) 하카타 하코다테 하쿠산 차량 센터 나가노 나고야 니가타 도리카이 도쿄 모리오카 미시마 센다이 (가고시마 현) 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오야마 ‎ 오이 차량 제조 공장 하마마쓰 기타 나스시오바라 시즈오카 아오모리 오카야마 히로시마 기타 Max 그랜클래스 신데렐라 익스프레스 슈퍼 히카리 일본의 궤간 변경에 관한 논쟁 미니 신칸센 정비 신칸센 vdeh고속철도고속 차량시속 200km 이상 아셀라 익스프레스 아델란테 APT 101급 CRH6A ER200 GMB 71 (플라이투겟) 125 225 ICE T ICE TD ICE 4 재벌린 NSB 73 NSB 74 알파 펜둘라르 레일젯 레지나 브라이트선 0계 100계 400계 E1계 E4계 SBB RABDe 500 RABDe 502 IC 2000 SJ 2000 SJ X40 Z-TER (Z 21500) 소콜 슈퍼 익스프레스 800급 801급 802급 탈고 XXI 보이저 패밀리 X3 시속 250km 이상 CRH1A, 1B, 1E CRH2A, 2B, 2E CRH3A CRH5 펜돌리노 뉴펜돌리노 ICE 1 ICE 2 120급·121급, 130급 삽산 200계 300계 700계 800계 E2계 E3계 E7계 · W7계 TCDD HT65000 TGV 쉬드-에스트 라포스테 V250 피우라 시속 300km 이상 AGV(ETR 575) 아빌리아 리버티 렌페 100급 102급, 112급 103급 CRH2C CRH3C CRH380A CRH380B CRH380C CRH380D MTR 380A CR400AF·CR400BF ETR 500 유로스타 e300 유로스타 e320 ETR 1000 ICE 3 KTX-I KTX-산천(SRT) HEMU-430X 오아리스 TGV 쉬드-에스트 TGV 아틀랑티크 TGV 레조/탈리스 PBA TGV 듀플렉스 TGV 2N2 TCDD HT80000 탈리스 PBKA THSR 700T 500계 N700계 E5계 · H5계 E6계 JR 자기부상철도 (L0계) 아브릴 트란스라피드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행선) 벨라로 봄바디어 제피로 국가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미국 캐나다 아시아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일본 카자흐스탄 한국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타이완 태국 터키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아프리카 모로코 유럽 오스트리아 벨기에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 라트비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러시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터키 영국 오세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vdeh동일본여객철도(JR동일본)의 철도 차량신칸센E2계 · E3계 · E4계 · E5계 · E6계 · E7계통근형 · 근교형107계 · 113계 · 115계 · E127계 · 209계 · 211계 · 215계 · E217계 · E231계 · E233계 · E235계 · E331계 · 415계 · E501계 · E531계 · 701계 · 719계 · E721계급행형 · 특급형183계 · 185계 · 189계 · 251계 · 253계 · 255계 · E257계 · E259계 · E353계 · 485계 · 489계 · 583계 · 651계 · E653계 · E655계 · E657계 · E751계기동차키하100계 · 키하110계 · 키하E130계 · 키하E200형객차24계 · E26계시험용 · 검측용키야E193계 · 209계(뮤트레인) · E491계 · 쿠모야743형 · 901계 · 키야E991형 · E993계 · 마야 50형 5001호전기 기관차ED75 · EF55 · EF58 · EF60 · EF64 · EF65 · EF81 · EF510디젤 기관차DD14 · DD15 · DD16 · DD51 · DE10 · DE11 · DE15증기 기관차C57 · C61 · D51퇴역 차량200계 · 400계 · E1계 · 101계 · 103계 · 105계 · 123계 · 165계 · 167계 · 169계 · 201계 · 203계 · 205계 · 207계 · 301계 · E351계 · 401계 · 403계 · 417계 · 451계 · 453계 · 455계 · 457계 · 483계 · 715계 · 717계 vdeh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의 철도 차량신칸센H5계통근형 · 근교형711계 · 721계 · 731계 · 735계급행형 · 특급형785계 · 789계기동차키하40계 · 키하54형 · 키하141계 · 키하150형 · 키하160형 · 키하183계 · 키하201계 · 키하261계 · 키하281계 · 키하283계객차14계 · 24계 · 50계 ·51형 · 510형전기 기관차ED79형디젤 기관차DBR600형 · DD51형 · DE10형 · DE15형증기 기관차C11형시험용 · 검측용오야31형 · 마야34형 · 스유니50형퇴역 차량781계 · 키하130계 · C62형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신칸센_E5계_전동차&oldid=24399071"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신칸센 차량홋카이도 신칸센도호쿠 신칸센숨은 분류: CS1 - 일본어 인용 (ja)인용 오류 - 이름 없는 변수가 사용됨CS1 관리 - 추가 문구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RomânăРусскийไทย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8일 (토) 21: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신칸센 E5계 ・ H5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E5系 ・ H5系電車)는 동일본여객철도(JR동일본)의 신칸센 차량이다. 본 항에서는 홋카이도여객철도(JR홋카이도)가 신칸센 E5계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으로 도입하는 신칸센 H5계 전동차에 대해서도 서술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신칸센 E5계 전동차의 최고 영업 속도는 시속 몇 km 입니까? Assistant: 320km/h
Human: 아래 한재석_(1991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재석 (1991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재석 (1991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재석출생 1991년 8월 20일(1991-08-20) (27세)직업 배우활동 기간 2014년 ~종교 개신교소속사 원앤원스타즈 웹사이트 한재석 - 인스타그램 한재석(1991년 8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탤런트이자 방송연예인이다. 2014년 《SNL 코리아 5》로 데뷔했다. 목차 1 학력 2 작품 활동 2.1 드라마 2.2 영화 2.3 방송 3 외부 링크 학력[편집] 서울예술대학교 연기학과 졸업 작품 활동[편집] 드라마[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역할 비고 2015 SBS 《너를 노린다》 박정우 2016 네이버TV 《나는 취준생이다》 나영규 2016 KBS2 《KBS 드라마 스페셜 - 전설의 셔틀》 성호 2016 MBC 《언제나 봄날》 주인태 2017 tvN 《내성적인 보스》 장세종 2017 MBC 《도둑놈, 도둑님》 이윤호 2017 OCN 《멜로홀릭》 이유식 2018 TV조선 《대군 - 사랑을 그리다》 성득식 영화[편집] 연도 제목 역할 감독 비고 2016 《굿바이 싱글》 방송국 연예인 역 김태곤 특별출연 방송[편집] 연도 방송사 제목 비고 2014 tvN 《SNL 코리아 5》 2015 《SNL 코리아 6》 2016 《SNL 코리아 7》 외부 링크[편집] (영어) 한재석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재석_(1991년)&oldid=24008830" 분류: 대한민국의 개신교도1991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서울예술대학교 동문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4월 11일 (목) 07:5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은성(1991년 8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재석이 2015년 출연한 드라마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너를 노린다 Human: 아래 와이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와이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와이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와이고수주소 공식사이트사이트 종류 인터넷 포럼사용 언어 한국어 제작자 박재완, 유창구시작일 1999년 9월 7일현재 상태 서비스 중 와이고수(YGOSU)는 온라인 종합커뮤니티 사이트다. 주로 유머, 연예인,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주제별 게시판과 스포츠와 게임을 주제로 한 승자예상 게시판[1] 등을 운영하고 있다. 줄임말로 와고라고 칭하기도 한다. 목차 1 역사 2 이름 유래 3 게시판 3.1 일반 3.2 스포츠/IT 3.3 문화 3.4 게임 3.5 밤고수 3.6 승자예상 4 같이 보기 5 참고 6 외부 링크 역사[편집] 와이고수는 1999년 5월 ygclan.com 이라는 주소와 '엽기길드'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당시 엽기코드가 유행하였는데 스타코래프트 유닛간 실험 등이 그 엽기코드에 맞아 떨어져 유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각종 미디어에 노출되었고 방문객이 급증하게 되어 스타크래프트를 즐기는 유저들의 커뮤니티가 되었다.[2] 2007년 사이트를 클랜과 분리하여 사업자등록 후 '와이고수' 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여 서비스하게 되었다. 원래는 스타크래프트와 관련한 주제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남성 유저가 주를 이루는 사이트 성격상 수 많은 야짤 관련 게시물들이 올라오게 되었고 지금의 대외적 이미지는 엉덩국의 만화[3]와 같게 되었다. 이후 2013년 초까지 서버 문제, 스타크래프트의 인기 하락 등의 이유로 방문자가 줄어들게 되었으나, 2013년 말 사이트를 종합 커뮤니티로 개편하면서 다시 방문자가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메구리 팬 미팅까지 진행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던 중 와이고수 레드 라는 성인사이트를 개설하여 크게 질타를 받았으며 추 후에는 소극적인 운영으로 회원들에게 큰 질타를 받고있다. 이름 유래[편집] 와이고수라는 이름의 유래는 당시 엽기길드의 길드장이자 와이고수 제작자의 말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2007년 사이트를 클랜과 분리하게 되면서 클랜명인 ygclan의 정통성은 유지하면서도 게임 커뮤니티 사이트의 특성을 살리고자 'yg(엽기)'에 'gosu(고수)'라는 뜻을 붙이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사이트 이름이 되었다. 게시판[편집] 와이고수의 게시판은 크게 6가지로 분류된다. 일반[편집] 공지사항을 비롯하여 자유게시판, 엽기자랑, 유저뉴스 등 다양한 게시판이 포함되어 있다. 공지사항 - 와이고수 관리자가 이벤트, 서버 점검, 수정 사항 등을 전달하는 게시판이다. 보여주기 행정식 게시판 자유게시판 - 유저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게시판이다.주로 좆목을 위주로 커뮤니티가 형성된다. 엽기자랑 - 와이고수에서 가장 활성화된 게시판 중 하나로 엽기적인 내용 외에도 잡다한 게시글이 올라온다. 유저뉴스 - 와이고수 유저들이 직접 뉴스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이다. 공부 - 공부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근데 공부내용은 일절없다. 익명 - 닉네임을 노출하지 않고 질문 또는 글을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이다. 뒷담게시판 정치 - 정치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사실상 오유 2중대 게시판. 연애/고민 - 연애와 관련된 내용, 연애 고민상담게시판이지만 모쏠밖에 없으니 여기서 배우진말자. 공포/미스테리 - 무서운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꿀팁 -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취업/알바 - 취업과 알바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2015.08 신설) 스포츠/IT[편집] 축구 - 축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승자예측 이벤트가 열리기도 한다. 야구 - 야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농구 - 농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죽어가는 게시판 운동/헬스 - 헬스를 비롯한 운동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멸치들밖에 없다 자전거 - 자전거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2015.08 신설) 컴퓨터 - 컴퓨터 및 노트북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스마트폰 - 스마트폰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문화[편집] 만화/애니 - 만화 및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연예인 - 연예인 사진, 움짤, 직캠 등을 올리는 게시판이다. 영화/드라마 - 영화 및 드라마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음악 - 음악 추천 및 질문을 하는 게시판이다. 게시판 중 가장 클린한 게시판 음식/맛집 - 음식사진 인증 및 맛집 등을 소개하는 게시판이다. 군대/밀리터리 - 군대 및 밀리터리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패션/뷰티 - 패션 및 뷰티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힙합 - 힙합 문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동물/곤충 - 반려동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주식 - 주식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그림 - 직접 그린 그림을 올리고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여행 - 여행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2015.08 신설) 게임[편집] 스타크래프트를 필두로 리그 오브 레전드, 스타크래프트2, 던전앤파이터 등 다양한 게임별 게시판을 운영하고 있다. 밤고수[편집] 남성 유저 중심의 커뮤니티 특성상 운영되는 게시판이다. 19세 인증을 거쳐야 게시물을 읽을 수 있다. 승자예상[편집] 와이고수 유저들이 직접 승자예상과 관련된 게시물이나 자료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이다. 승자예상 분야는 축구, 야구, 농구, 배구, 게임, 기타 다. 같이 보기[편집] 포모스 참고[편집] ↑ “(스타리그) 투신의 부활이냐, 또 하나의 신화창조냐”.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8일에 확인함.  ↑ YGClan, 스타크래프트 대회에서 우승 ↑ 엉덩국이 본 커뮤니티 사이트 외부 링크[편집] 와이고수 홈페이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와이고수&oldid=24202154" 분류: 대한민국의 웹사이트1999년 설립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9: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와이고수(YGOSU)는 온라인 종합커뮤니티 사이트다. 주로 유머, 연예인, 스포츠, 게임 등 다양한 주제별 게시판과 스포츠와 게임을 주제로 한 승자예상 게시판 등을 운영하고 있다. 줄임말로 와고라고 칭하기도 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와이고수의 게시판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Assistant: 공지사항을 비롯하여 자유게시판, 엽기자랑, 유저뉴스 등 다양한 게시판이 포함되어 있다. 공지사항 - 와이고수 관리자가 이벤트, 서버 점검, 수정 사항 등을 전달하는 게시판이다. 보여주기 행정식 게시판 자유게시판 - 유저들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게시판이다.주로 좆목을 위주로 커뮤니티가 형성된다. 엽기자랑 - 와이고수에서 가장 활성화된 게시판 중 하나로 엽기적인 내용 외에도 잡다한 게시글이 올라온다. 유저뉴스 - 와이고수 유저들이 직접 뉴스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이다. 공부 - 공부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근데 공부내용은 일절없다. 익명 - 닉네임을 노출하지 않고 질문 또는 글을 올릴 수 있는 게시판이다. 뒷담게시판 정치 - 정치와 관련된 게시판이다. 사실상 오유 2중대 게시판. 연애/고민 - 연애와 관련된 내용, 연애 고민상담게시판이지만 모쏠밖에 없으니 여기서 배우진말자. 공포/미스테리 - 무서운 이야기를 나누는 게시판이다. 꿀팁 -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취업/알바 - 취업과 알바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2015.08 신설)
Human: 아래 몽골_내셔널_프리미어리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몽골 내셔널 프리미어리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몽골 내셔널 프리미어리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몽골프리미어리그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hurkhree Mongolian National Premier League몽골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대륙 AFC국가 몽골팀수 8 하위 리그 몽골 1st 리그대륙 대회 AFC컵역사설립 연도 1955년최근 우승 에르침 (2015-16)최다 우승 에르침 (10회) 몽골 프리미어리그(Mongolian National Premier League)는 1955년에 시작된 몽골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8개 팀이 참가한다. 프리미어리그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6년 이전에는 내셔널 챔피언쉽(National Championship)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목차 1 2016 시즌 참가 팀 2 역대 우승 팀 3 각주 4 외부 링크 2016 시즌 참가 팀[편집] 바양골 FC (울란바토르) 콘티넨탈 FC (울란바토르) 데렌 FC (데렌) 에르침 (울란바토르) FC 울란바토르 (울란바토르) 칸가리드 FC (에르데네트) 울란바토르 시티 FC (울란바토르) 호로므혼 FC (울란바토르) 셀렝게 프레스 FC (울란바토르) FC UBU (울란바토르) 역대 우승 팀[편집] 1955: Soyol 1956–63: ? 1964: Khudulmur 1965: No tournament 1966: Khudulmur 1967: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68: Darkhan FC 1969: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70: Aldar (Army Sports Club) 1971: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72: Khudulmur 1973: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74: Aldar (Army Sports Club) 1975: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76: Aldar (Army Sports Club) 1977: ? 1978: Zamchin (Railwaymen) 1979: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80: Aldar (Army Sports Club) 1981: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82: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83: Hilchin 1984: Tengeriin Bugnuud (Bat Ulzii) 1985: Khuch (Police Sports Club) 1986: ? 1987: Sükhbaatar FC (Ulaanbataar) 1988: Sükhbaatar FC (Ulaanbataar) 1989: Khudulmur 1990: Khuch (Police Sports Club) 1991–93: ? 1994: Khuch (Police Sports Club) 1995: Idsskh (Mongolian All-University Team) 1996: Erchim (Ulaanbaatar) 1997: Delger FC 1998: Erchim (Ulaanbaatar) 1999: ITI Bank-Bars 2000: Erchim (Ulaanbaatar) 2001: Khangarid (Erdenet) 2002: Erchim (Ulaanbaatar) 2003: Khangarid (Erdenet) 2004: Khangarid (Erdenet) 2005: Khoromkhon (Ulaanbaatar) 2006: Khasiin Khulguud (Ulaanbaatar) (unofficial) 2007: Erchim (Ulaanbaatar) 2008: Erchim (Ulaanbaatar) 2009: Ulaanbaataryn Unaganuud (FC UBU) (Ulaanbaatar) 2010: Khangarid (Erdenet) 2011: FC Ulaanbaatar 2012: Erchim (Ulaanbaatar) 2013: Erchim (Ulaanbaatar) 2014: Khoromkhon (Ulaanbaatar) 2015: Erchim (Ulaanbaatar) 2016: Erchim (Ulaanbaatar) 출처:[1] 각주[편집] ↑ Andre Zlotkowski (2012년 10월 4일). “Mongolia - List of Champions”. RSSSF. 2012년 10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몽골 리그 fifa.com vdeh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 (AFC) 괌 네팔 대한민국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오스트레일리아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화민국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가자 서안 필리핀 홍콩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이 글은 축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몽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몽골_내셔널_프리미어리그&oldid=23588452" 분류: 1955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몽골의 축구 리그아시아의 축구 1부 리그숨은 분류: 축구에 관한 토막글몽골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SuomiFrançaisMagyarItaliano日本語LietuviųМонголNederlands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Türkçe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30일 (수) 19: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몽골 프리미어리그(Mongolian National Premier League)는 1955년에 시작된 몽골의 최상위 축구 리그로, 8개 팀이 참가한다. 프리미어리그가 출범하기 이전인 1996년 이전에는 내셔널 챔피언쉽(National Championship)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몽골 내셔널 프리미어리그 2016 시즌 참가 팀 중 데렌을 연고지로 하는 팀은 어디인가? Assistant: 데렌 FC Human: 아래 기독교_문화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기독교 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독교 문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기독교 문화(Christian Culture)란 기독교에 일반화된 문화 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학술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기독교가 유럽을 시작으로 급속하게 확장되고 4세기 말에는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국교로 되었다. 로마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에 근거한 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기독교 문화는 헬라 로마적 비잔틴, 서구 문화부터 많은 영향을 주고 또 토착화되었다. 특별히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스킬더 그리고 미국의 리차드 니버에 의해서 기독교 문화론의 연구가 정립되었다. 기독교 문화는 기독교 세계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목차 1 기독교 문화란 2 문화의 유형 3 문화와 종교개혁가들 4 건축 5 예술 6 문학과 시 7 철학 8 과학과 기술 9 교육 10 의학과 건강 11 사상과 윤리 12 신앙 생활 13 함께보기 14 각주 15 참고문헌 기독교 문화란[편집] 기독교 문화란 기독교인들이 문화적 사명을 수행하면서 이 세상에서 성서적이며 신학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기독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삶의 문화적 형태와 결과를 말한다. 좀더 좁혀서 성경적 문화란 예수 그리스도와 바울과 같은 인물들의 견해를 모델로 삼아 모든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에 근거하여 기독교인들의 생활 양식을 추구하는 것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하나님의 영역주권에 근거한 일반은총을 강조하고 스킬더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문화명령을 강조했다. 2가지는 적용의 범위가 차이가 있지만 서로가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하나님의 나라의 관점에서는 유사점이 있다. 기독교인들이 보는 문화에 대한 관점에서 시작하여 그들이 그동안 축적한 기독교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가장 고전적 학자는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클라스 스킬더이며, 미국의 리차드 니버 그리고 헨리 미터와 헨리 반틸의 주장들이 도움이 된다. 또한 프랑스의 자크 엘룰, 영국의 C. S. 루이스(C. S. Lewis)가 있다. 그럼 기독교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먼저 살펴보자. 영역주권을 주장하는 아브라함 카이퍼는 누구에게나 주시는 일반은총이 모든 사람들의 문화 영역으로 확대했기 때문에 그의 기독교 문화는 세상의 문화와 연결되어 크게 발전의 모습으로 전개되는 낙관주의 문화관이다. 어찌보면 카이퍼에 있어서 기독교인들만의 독특한 문화는 그 특징을 구별하기 힘든 양상이다. 세상의 문화와 기독교 문화는 서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하나님의 모든 통치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모습이다. 이에 대하여 화란의 문화신학자 클라스 스킬더(Klass Schilder)는 문화는 근본적으로 그리스도와 관련해서 이해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즉 문화의 열쇠로서 그리스도가 역할을 하지 않는다면 세상 사람들의 일반문화는 진정한 하나님의 은총이라고 볼수 없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문화를 좀더 그리스도 중심의 관점에서 아주 구속적이며 제한적으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그리스도의 피가 씻어주지 않는다면 죄로 물들 세상 문화는 진정한 하나님의 축복된 문화가 될 수 없고 오히려 저주가 될 수도 있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그의 기독교 문화관은 그리스도가 문화의 중심이요 주인이요 완성자임을 강하게 선포한다. 문화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유명한 정의로 알려진 데로 종교는 문화의 실체요 문화는 종교의 형식(religion is the substance of culture, culture is the form of religion)이라고 한다. 그의 관점을 기독교 문화에 적용해 본다면 바로 기독교 문화란 기독교의 형식(form)이요 기독교는 기독교의 문화의 본질(substance)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결국 기독교라는 본질은 현실세계로 표출되어 그 결과가 바로 문화로 형상화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문화와 기독교는 함께하는 묶여있는 문화의 기독교이며, 문화의 신학인 것이다. 문제는 그가 말하는 기독교의 정의가 무엇인가에 따라서 기독교의 문화의 모습도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기독교 문화란 기독교인의 관점에서 형성되는 문화이다. 세상의 문화에 대한 끊임없는 성경의 주장이다. 어찌보면 근원적이며 본질인 것이다. 또한 하나님의 속성과 관련된 신학의 뿌리가 삶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기독교 문화일 것이다. 폴 틸리히의 주장처럼 문화는 종교의 본질이며 종교의 형식이 곧 문화라는 것은 바로 신학과 문화의 연결로 당연히 이어진다. 그것은 근원적인 사상으로 세계관과 연결되어 있다. 문화는 세계관에 자리를 잡고 있기에 기독교 문화는 기독교 세계관과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준다. 곧 문화는 세계관의 형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문화에 대한 참된 이해는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서 시작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기독교 신학에서 세상을 보는 관점이 바로 기독교 문화의 모습일 것이다. 문화의 유형[편집] 리차드 니버는 그의 대표작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다섯 가지 유형의 문화관을 제시하였다.[1] '문화에 대립하는 그리스도'는 문화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배타적인 태도를 가리킨다. 이런 태도를 가진 이들은 자기들이 살고 있는 사회 관습이 무엇이든 지간에 그리스도와 적대 관계에 있다고 본다. 그는 2세기의 교부 터툴리안과 톨스토이에서 그 전형을 본다. 터툴리안은 그리스도인들이 세상 문화의 타락한 오락, 학문, 정치에서 탈출하도록 권면하였다. 한편 톨스토이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님의 산상보훈의 말씀대로 단순하게 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니버에 의하면 이러한 반문화적인 유형의 삶은 그 자체 내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인간은 언제나 문화 속에서 살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문화의 그리스도'는 첫 번째 유형과 정반대되는 것이다. 이 유형을 따르는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문화 사이에 근본적인 일치와 연속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 관점에서 보면 그리스도는 위대한 교육자요 문화의 영웅이시다. 토마스 제퍼슨은 그리스도를 완전한 도덕 교육가로 보았고, 술라이에르마허는 그리스도를 모든 종교와 문화의 완성자로 보았다. 이 관점은 신학의 본질과 그 문화적 표현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문화 위의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와 문화를 다 긍정한다. 그러나 둘 사이에 간격이 있다고 본다. 이 관점에서는 그리스도가 로고스와 주님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를 높은 층에 두고 문화를 낮은 층에 둔다. 이러한 생각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에서 나타났고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에게서 나타났다. '역설 관계에 있는 그리스도와 문화'는 그리스도와 문화의 관계를 화해할 수 없는 양자간의 끊임없는 싸움으로 이해한다.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요 문화는 문화다. 니버는 이런 유형의 대표자가 사도 바울과 루터 그리고 키에르케고르 등이라고 말한다. '문화의 변혁자인 그리스도'. 이 유형의 대표자는 어거스틴, 칼빈, 존 웨슬리 등이다. 이 입장에 의하면 세계는 구속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인간 문화의 문제는 변혁의 문제이다. 세계는 배격되어서도 안되고 소홀히 여겨져도 안된다. 따라서 이 유형에서 주장된 그리스도는 죽음과 죄에 예속되어 있는 인간을 구속하시는 것뿐 아니라 문화 속에서 사는 인간 생활을 계속적으로 성화시키고 변혁시키시는 분으로 이해된다. 문화와 종교개혁가들[편집] 신학자 김지훈에 따르면 교회는 세상 문화 위에 군림할 수 없고, 세상 문화는 교회를 세속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세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 문화를 모순관계로 봤다. 교회 밖 세상은 전부 악(惡)의 세계로 인식한다. 그러나 종교 개혁가들인 루터와 칼뱅은 세상 문화 역시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이해한다. 그로 인해 많은 기독교인들이 세상 문화에 참여하게 됐고, 그 결과 문화발전이 이뤄졌다고 본다. 교회는 성경의 법(특별은총)이 있교, 세상은 양심의 법(일반은총)이 역사한다. 이 두 세계 모두 하나님의 통치 아래 있으므로, 세상 문화를 배격하기 보단 그 문화 속에서 하나님의 은총을 누려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성경은 교회와 세상을 갈등관계로 표현한다. 그러나 극단적인 이분론은 기독교인의 문화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한다. 교회는 선교 뿐 아니라 문화 활동에도 관심 가져야 한다. 교회의 문화 참여는 교회만의 교리를 내세우지 말고, 교회와 세속 사회의 공통분모인 일반은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2] 건축[편집]  예루살렘에 있는 성묘교회에 있는 예수의 무덤 예술[편집]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문학과 시[편집] 구텐베르크 성경 철학[편집]  어거스틴의 고백록기독교 철학은 철학분야와 기독교의 신학적 교리를 결합한 용어이다. 이 분야와 기독교 문화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자크 엘륄이나 프란시스 쉐퍼, 아브라함 카이퍼, 그리고 클라우스 스킬더와 같은 인물들은 이 분야의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과학과 기술[편집] 교육[편집] 의학과 건강[편집] 사상과 윤리[편집] 신앙 생활[편집] 함께보기[편집] 기독교 세계관 문화 그리스도인의 삶 문화의 해석 문화심리학 세계관 각주[편집] ↑ [1] ↑ 김지훈, 제2차 종교개혁을 준비하라, 미래한국 2016년 10월 18일 참고문헌[편집] 로버트 E. 웨버, 기독교 문화관, 토라, 2008. 서철원, 기독교문화관. 총신대학출판부 1993. 에디 깁스, Next Church. 교회성장연구소. 2003. 리챠드 미들튼, 브라이안 왈쉬, 세상의 변혁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비젼. IVP 1986. F.N. 리. 문화의 성장과정. 한국개혁주의 신행협회. 1980. 리처드 니버, 그리스도와 문화. 대한기독교서회 알버트 월터스, 창조 타락 구속. IVP. 1999 신국원, 포스트모던니즘.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한스 로크마커, 현대 예술과 문화의 죽음. IVP 1993. 제임스 사이어,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1985.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기독교_문화&oldid=24196680" 분류: 기독교 문화기독교와 사회중동의 문화서양 문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Lingua Franca Novaमराठी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2:3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기독교 문화(Christian Culture)란 기독교에 일반화된 문화 활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학술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기독교가 유럽을 시작으로 급속하게 확장되고 4세기 말에는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국교로 되었다. 로마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에 근거한 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기독교 문화는 헬라 로마적 비잔틴, 서구 문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주고 또 토착화되었다. 특별히 화란의 아브라함 카이퍼와 스킬더 그리고 미국의 리차드 니버에 의해서 기독교 문화론의 연구가 정립되었다. 기독교 문화는 기독교 세계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세교회는 교회 밖을 어떠한 세계로 인식했을까? Assistant: 악(惡)의 세
Human: 아래 이정민_(1979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정민 (1979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정민 (1979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정민 Lee Jeong-Min 롯데 자이언츠 No.90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9년 3월 2일(1979-03-02) (40세) 출신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신장 182 cm 체중 90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02년 드래프트 순위 2002년 1차 지명(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 KBO / 2002년 4월 5일 대전 대 한화전 마지막 경기 KBO / 2017년 8월 12일 대구 대 삼성전 구원 계약금 1억 8,000만원 경력 선수 경력 롯데 자이언츠 (2002년 ~ 2018년) 상무 야구단 (2007년 ~ 2008년) 코치 경력 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투수코치 (2019년 ~ 현재)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월드컵 2007년 대만 이정민(李貞旼[1], 1979년 3월 2일 ~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자, 현재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잔류군 투수코치이다. 목차 1 선수 시절 1.1 아마추어 시절 1.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3 상무 야구단 시절 1.4 롯데 자이언츠 복귀 2 야구선수 은퇴 후 3 에피소드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6 각주 7 외부 링크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경남고 시절 1~2학년 때 투수로 활동하다 3학년 때 대통령배 고교야구대회에서 타자로 출전해 2점 홈런을 쳐 냈고, 1998년 동아대에서 우완 에이스로 활약해 2001년 4학년 때 제 56회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8강전에서 14.2이닝동안 11탈삼진, 2피안타 무실점으로 승리 투수가 되며 동국대를 꺾고 4강에 올랐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02년에 입단하였다. 상무 야구단 시절[편집] 2006년 시즌 후 입대해 2008년 11월 10일 제대했다. 롯데 자이언츠 복귀[편집] 2008년에 복귀하였다. 2010년에는 ABL 윈터 리그에 참가했다.[2] 2012년 8월 29일 3254일만에 선발 승을 기록했다.[2], [3], [4]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9년부터 롯데 자이언츠의 잔류군 투수코치로 활동한다. 에피소드[편집] 그는 2003년 10월 2일 삼성 라이온즈전에 선발 등판해 이승엽에게 아시아 단일 시즌 개인 최다 홈런 기록인 56호 홈런을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뷔 첫 선발 승을 기록했다. 맞상대가 삼성 라이온즈가 아니었지만, 우연히도 2012년은 이승엽이 대한민국으로 복귀한 시즌이었다. 2003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는 SK 와이번스와 치른 준 플레이오프에서 우승 후보답지 않은 최악의 경기력을 보이며 2연패로 스윕당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는데, 선발 승을 따내고도 묻힌 그의 저주라는 설이 있다. 2011년 9월 14일 롯데 자이언츠의 프랜차이즈 투수 최동원이 암으로 타계했고, 그 때 당시 그의 배번이었던 11번이 예전에 최동원이 썼던 번호여서 영구 결번을 위해 양보했다.[3] 출신 학교[편집] 동삼초등학교 경남중학교 경남고등학교 동아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년도 팀 평균자책 경기수 승 패 세 홀드 완투 완봉 이닝 피안타 피홈런 4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02 롯데 3.27 8 0 0 0 0 0 0 11 8 1 7 1 6 4 2003 6.00 2 1 0 0 0 0 0 9 10 3 3 1 6 6 2004 5.51 48 2 2 0 3 0 0 78 1/3 94 4 54 60 52 48 2005 3.82 56 6 7 7 4 0 0 94 1/3 86 6 52 63 41 40 2006 3.46 29 0 1 0 4 0 0 39 43 8 12 21 16 15 2009 3.74 31 1 2 1 5 0 0 43 1/3 52 3 14 26 19 18 2010 6.67 20 1 0 0 1 0 0 29 2/3 42 3 15 11 24 22 2011 3.72 9 0 0 0 1 0 0 9 2/3 12 3 4 6 4 4 2012 5.18 14 1 4 0 0 0 0 33 44 2 13 14 21 19 2014 2.43 25 1 1 0 8 0 0 33 1/3 42 1 15 25 14 9 2015 5.84 34 1 4 1 5 0 0 44 2/3 59 4 31 36 34 29 2016 3.27 48 3 2 2 3 0 0 55 59 5 14 45 22 20 통산 12시즌 4.38 324 17 22 11 34 0 0 480 1/3 551 43 219 309 259 234 각주[편집] ↑ KBO (2009년 3월 10일). 《한국 프로야구 기록대백과》 제4판. 434쪽.  CS1 관리 - 추가 문구 (링크) ↑ [1] - 하단에 경력 부분에 나와있음. ↑ 무쇠팔 최동원, 부산의 '영원한 11번'이 되다 - 오마이뉴스 외부 링크[편집] 이정민 - KBO 투수별 기록 vdeh롯데 자이언츠 - 현재 명단감독 79 양상문 코치 70 공필성 (수석) 72 윤재국 (외야수비) 73 김태룡 (내야수비) 74 최기문 (배터리) 76 주형광 (투수) 82 최만호 (작전) 83 이영준 (트레이닝) 84 김종훈 (컨디셔닝) 86 손인호 (타격보조) 87 장재영 (트레이닝) 91 임경완 (불펜) 95 김승관 (타격) 퓨처스 감독 97 강진규 퓨처스 코치 71 손용석 (내야수비) 75 이우민 (작전/외야수비) 80 정호진 (배터리) 81 프랑코 (타격) 88 김성진 (컨디셔닝) 93 류호진 (컨디셔닝) 98 홍민구 (투수) 99 이용훈 (불펜) 잔류군 코치 08 장경호 (컨디셔닝) 77 신민기 (수비) 78 강영식 (재활) 89 박재용 (타격) 90 이정민 (투수) 96 윤여훈 (컨디셔닝) 투수 05 송창현 1 손승락 14 정태승 15 오현택 18 윤성빈 19 홍성민 21 송승준 22 구승민 23 고효준 28 장시환 29 이승헌 32 박세웅 34 김원중 35 이인복 39 서준원 40 박진형 41 김대우 42 김건국 43 김현수 45 최영환 46 레일리 47 최하늘 48 진명호 49 배장호 50 다익손 51 윤길현 56 정성종 59 차재용 60 송주은 61 박근홍 62 박시영 64 정종진 67 조무근 85 강민성 94 박진 101 오영욱 109 김현 119 한승혁 포수 2 안중열 26 김사훈 27 나종덕 44 김준태 62 정보근 118 김현우 내야수 02 오윤석 4 오윤석 5 황진수 6 문규현 7 신본기 10 이대호 12 이찬건 13 배성근 17 채태인 25 한동희 36 전병우 52 김동한 54 강로한 57 고승민 66 김상호 68 신용수 69 윌슨 92 김동규 105 박정현 110 최승훈 외야수 0 나경민 3 민병헌 8 전준우 9 정훈 16 이병규 24 김문호 31 손아섭(주장) 33 허일 53 조홍석 58 정준혁 100 김민수 107 박영완 112 조준영 군입대 선수 강동관 강동호 김대륙 김도규 김동우 김민수 김유영 김재유 김종환 김훈호 나원탁 박종무 박한길 손준영 이예찬 이재욱 이준형 이지원 이호연 장두성 최민국 홍지훈 2020년 신인지명 선수 -- 최준용(1차지명)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정민_(1979년)&oldid=24233900" 분류: 1979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부산광역시 출신KBO 리그 투수롯데 자이언츠 선수동삼초등학교 동문경남중학교 동문경남고등학교 동문동아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숨은 분류: CS1 관리 - 추가 문구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7일 (금) 11: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정민(李貞旼, 1979년 3월 2일 ~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이정민은 롯데에서 2016년 몇번 경기를 치뤘는가? Assistant: 48 Human: 아래 나이저_모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이저 모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이저 모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이저 모건 Nyjer Morgan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No.2 기본 정보 국적 미국 생년월일 1980년 7월 2일(1980-07-02) (39세) 신장 182.9 cm 체중 83.9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중견수 프로 입단 연도 2002년 드래프트 순위 33라운드 973순위 (피츠버그 파이리츠) 첫 출장 MLB / 2006년 9월 1일NPB / 2013년 3월 29일KBO / 2015년 3월 28일 목동 대 넥센전 마지막 경기 MLB / 2014년 5월 14일NPB / 2013년 9월 19일KBO / 2015년 4월 10일 사직 대 롯데전 연봉 160만 달러 (2016년) 경력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2년 ~ 2009년) 워싱턴 내셔널스 (2009년 ~ 2010년) 밀워키 브루어스 (2011년 ~ 2012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3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4년) 한화 이글스 (2015년)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 (2016년 ~ 현재) 나이저 자미드 모건(Nyjer Jamid Morgan, 1980년 7월 2일 ~ ) 멕시칸 리그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의 선수이다. 목차 1 메이저 리그 시절 2 한화 이글스 시절 2.1 연도별 타격 성적 3 참조 메이저 리그 시절[편집] 2002년 신인 드래프트 33라운드 전체 973번째로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지명을 받아 입단하게 됐다. 수년 간의 마이너리그 생활을 거친 뒤 마침내 2007년 9월 확장 로스터를 통해 메이저 리그에 데뷔하게 된다. 데뷔 시즌 28게임 출장에 타율 0.299 32안타 1홈런 7도루를 기록했다. 커리어 하이는 피츠버그와 워싱턴에서 활약했던 2009년 시즌으로 120게임 출장에 타율 0.307 144안타 3홈런 39타점 42도루 기록했다.[1] 한화 이글스 시절[편집] 2014년 12월 12일 한화이글스는 재계약을 결렬한 펠릭스 피에의 대체 용병으로 전 메이져리거 출신 외야수를 총액 70만 달러(계약금 15만 달러, 연봉 55만 달러)에 영입하였다.[2] 2015년 5월 6일 웨이버 공시를 공식 발표했다. 지난 4일 두산 베어스 용병 타자 잭 루츠에 이어 시즌 2호 퇴출 용병이다. 공수주 삼박자를 두루 갖춘 실력과 뛰어난 쇼맨십으로 한화의 새로운 스타 탄생을 예고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강한 개성과 기대에 못 미친 실력, 허리 부상으로 결국 5월 6일 잭 러츠에 이어 외인 2호 퇴출의 비운을 맛봤다.[3] 그 후 한화 이글스는 그의 대체 선수로 제이크 폭스를 영입하였다.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수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루타 타점 도루 도루자 희생번 희생플 볼넷 고의사구 몸맞 삼진 병살타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7년 PIT 28 118 107 15 32 3 4 1 46 7 7 3 1 0 9 0 1 19 0 .299 .359 .430 .789 2008년 58 175 160 26 47 13 0 0 60 7 9 5 1 1 10 0 3 32 0 .294 .345 .375 .720 2009년 PIT/WSH 120 533 469 74 144 15 7 3 182 39 42 17 10 5 40 2 9 74 9 .307 .369 .388 .757 2010년 WSH 136 577 509 60 129 17 7 0 160 24 34 17 15 3 40 1 10 88 2 .253 .319 .314 .633 2011년 MIL 119 429 378 61 115 20 6 4 159 37 13 4 15 3 19 0 14 70 6 .304 .357 .421 .778 2012년 122 322 289 44 69 5 3 3 89 16 12 5 7 0 20 0 6 63 4 .239 .302 .308 .610 MLB:6年 583 2154 1912 280 536 73 27 11 696 130 117 51 49 12 138 3 43 346 21 .280 .341 .364 .705 2012년 기준,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참조[편집] ↑ “Nyjer Morgan Statistics and History Baseball-Reference.com”. Baseball-Reference.com.  ↑ '한화맨' 모건, "두 번째 亞 진출 더 좋은 성적 낼 것" - (OSEN) 2014년 12월 12일 확인 ↑ 한화, 외인타자 나이저 모건 웨이버 공시 - (OSEN) 2015년 5월 6일 확인 vdeh한화 이글스 - 외국인 선수투수 호세 누녜스(2001, 퇴출) 데이비드 에번스(2001, 퇴출) 브라이언 워런(2001, 퇴출) 대런 윈스턴(2001, 퇴출) 카를로스 차베스(2001, 퇴출) 브랜든 리스(2001, 퇴출) 호세 파라(2002) 레닌 피코타(2003) 오라시오 에스트라다(2003, 퇴출) 세드릭 바워스(2007) 브래드 토머스(2008~2009) 에릭 영(2009) 호세 카페얀(2010) 훌리오 데폴라(2010~2011, 퇴출) 프랜시슬리 부에노(2010) 호세 카페얀(2010, 퇴출) 오넬리 페레즈(2011, 퇴출) 데니 바티스타(2011~2013) 브라이언 배스(2012, 퇴출) 숀 헨(2012, 퇴출) 대나 이브랜드(2013) 케일럽 클레이(2014, 퇴출) 앤드루 앨버스(2014) 라이언 타투스코(2014) 셰인 유먼(2015, 퇴출) 미치 탤벗(2015) 에스밀 로저스(2015~2016, 퇴출) 알렉산드로 마에스트리(2016, 퇴출) 파비오 카스티요(2016) 에릭 서캠프(2016) 알렉시 오간도(2017) 카를로스 비야누에바(2017) 키버스 샘슨(2018) 제이슨 휠러(2018, 퇴출) 데이비드 헤일(2018) 워릭 서폴드(2019~) 채드 벨(2019~) 타자 마이크 부시(1998) 호엘 치멜리스(1998) 댄 로마이어(1999~2000) 제이 데이비스(1999~2002, 2004~2006) 아모리 가르시아(2002, 퇴출) 로베르토 메히아(2003, 퇴출) 엔젤 페냐(2004, 퇴출) 에디 디아스(2004) 틸슨 브리토(2005) 마크 스미스(2005, 퇴출) 루 클리어(2006) 제이콥 크루즈(2007) 더그 클라크(2008) 빅토르 디아스(2009, 퇴출) 카림 가르시아(2011) 펠릭스 피에(2014) 나이저 모건(2015, 퇴출) 제이크 폭스(2015) 윌린 로사리오(2016~2017) 제러드 호잉(2018~) 한국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제도는 1998년부터 시행, 굵은 글씨는 현재 한화 이글스 소속 선수, 퇴출은 시즌 중도에 퇴출된 경우 vdeh2015년 KBO 리그 외국인 선수삼성 라이온즈 알프레도 피가로(투수) 타일러 클로이드(투수) 야마이코 나바로(야수) 넥센 히어로즈 앤디 밴 헤켄(투수) 라이언 피어밴드(투수) 브래드 스나이더(야수) NC 다이노스 에릭 해커(투수) 에릭 테임즈(야수) 재크 스튜어트(투수) LG 트윈스 헨리 소사(투수) 루카스 하렐(투수) 루이스 히메네스(야수) SK 와이번스 메릴 켈리(투수) 크리스 세든(투수) 앤드루 브라운(야수) 두산 베어스 더스틴 니퍼트(투수) 앤서니 스와잭(투수) 데이빈슨 로메로(야수) 롯데 자이언츠 조쉬 린드블럼(투수) 브룩스 레일리(투수) 짐 아두치(야수) KIA 타이거즈 에반 믹(투수) 조쉬 스틴슨(투수) 브렛 필(야수) 한화 이글스 미치 탈보트(투수) 제이크 폭스(야수) 에스밀 로저스(투수) kt 위즈 크리스 옥스프링(투수) 저스틴 저마노(투수) 앤디 마르테(야수) 댄 블랙(야수) 방출 외국인 선수 잭 루츠(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두산) 나이저 모건(성적 부진 및 허리 부상, 한화) 앤드루 시스코(성적 부진, kt) 찰스 쉬렉(성적 부진, NC) 유네스키 마야(성적 부진, 두산) 잭 한나한(허리 부상, LG) 필 어윈(성적 부진, kt) 트래비스 밴와트(팔뼈 부상, SK) 필립 험버(성적 부진, KIA) 셰인 유먼(어깨 부상, 한화)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이저_모건&oldid=23453167" 분류: 198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캘리포니아주 출신 야구 선수피츠버그 파이리츠 선수워싱턴 내셔널스 선수밀워키 브루어스 선수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선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선수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외야수일본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KBO 리그 외국인 선수한화 이글스 선수아프리카계 미국인 야구 선수숨은 분류: 연도별 타격 성적을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Français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1일 (금) 23: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이저 자미드 모건(Nyjer Jamid Morgan, 1980년 7월 2일 ~ )은 미국의 야구 선수로, 멕시칸 리그 페리코스 데 푸에블라의 선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나이저 모건의 2007년 2루타의 개수는? Assistant: 3
Human: 아래 김병찬_(역도_선수)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병찬 (역도 선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병찬 (역도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병찬金棅儧 기본정보생년월일 1970년 12월 27일(1970-12-27)출생지 강원도 춘천시사망일 2015년 6월 25일 (44세)사망장소 강원도 춘천시키 176cm 스포츠국가 대한민국종목 역도체급 미들헤비급소속팀 홍천군청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역도 세계 선수권 대회 동 1990 부다페스트 -90kg 동 1991 도나우에싱겐 -90kg 아시안 게임 금 1990 베이징 -90kg 아시아 선수권 대회 금 1991 가미스 -100kg 금 1992 푸저우 -100kg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동 1989 포트로더데일 -82kg 김병찬(金棅儧, 1970년 12월 27일 ~ 2015년 6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전직 역도 선수로 미들급과 미들헤비급에서 대한민국 국가 대표 선수로 활약했다. 목차 1 생애 2 국가대표 활약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강원도 춘천시에서 태어나 어머니인 김재순 밑에서 자랐다. 남춘천중학교 2학년 때 체육교사의 권유로 역도를 시작하여 홍천고등학교에서 선수로 활약, 1988년 하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로 선발되었다. 이후 한국체육대학교에 진학하였고,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이형근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1991년과 1992년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 연이어 출전하여 각 3관왕을 차지했고, 1991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용상에서 은메달, 합계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996년 소형 오토바이를 타고 가던 중 불의의 사고로 머리를 다치고 하반신이 마비되면서 선수 생활을 은퇴했고, 이후 일정한 직업이 없이 홀어머니와 단 둘이 생활하면서 대한체육회에서 매월 지급하는 메달리스트 연금 52만 5천원으로 생계를 유지했다.[1] 2013년에는 자신을 돌보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자로 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받는 메달리스트 연금이 보건복지부의 최저생계비 지급 기준인 49만 9천원보다 3만원 정도 많다는 이유로 메달리스트 연금 외에 월 10만원 정도의 의료급여 및 주거급여만을 추가로 수급받으며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2015년 6월 26일, 강원도 춘천시 후평동 자신의 집에서 숨진 채 이웃 주민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사인은 위장출혈로 알려졌다.[2] 국가대표 활약[편집] 그는 1991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미들헤비급 부문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1988년 하계 올림픽과 1992년 하계 올림픽때 미들헤비급 부문에 참가했다. 그는 1990년 아시안 게임 미들헤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각주[편집] ↑ '불운의 역도 스타' 김병찬씨…춘천서 '쓸쓸한 죽음', 연합뉴스, 2015년 6월 30일 ↑ 역도스타의 '안타까운 마지막 길', 노컷뉴스, 2015년 6월 30일 외부 링크[편집] (영어) 김병찬 - IWRP - Weightlifting Database (영어) 김병찬 - Sports Reference.com 이 글은 스포츠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병찬_(역도_선수)&oldid=21500531" 분류: 1970년 태어남2015년 죽음대한민국의 남자 역도 선수대한민국의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1988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1992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아시안 게임 역도 메달리스트199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1990년 아시안 게임 역도 참가 선수춘천시 출신남춘천중학교 동문홍천고등학교 (강원) 동문한국체육대학교 동문지체 장애인위장질환으로 죽은 사람숨은 분류: 한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스포츠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6월 3일 (일) 06: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병찬(金棅儧, 1970년 12월 27일 ~ 2015년 6월 25일)은 대한민국의 전직 역도 선수로 미들급과 미들헤비급에서 대한민국 국가 대표 선수로 활약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역도선수 김병찬이 획득한 메달은 무엇일까요? Assistant: 금메달 Human: 아래 토마호크_(순항유도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토마호크 (순항유도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마호크 (순항유도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토마호크 기본 정보 종류 순항미사일 제작자 레이시온, 맥도널 더글러스 사용자 미국 실전배치 1983년 대당 가격 130만 달러 제원 추진 Williams International F107-WR-402 터보팬, 고체연료 부스터 발사 중량 1,440 kg 길이 5.56 m6.25 m(부스터 포함) 직경 0.52 m 날개폭 2.67 m 속력 880 km/h 사거리 Block II TLAM-A 2,500 kmBlock III TLAM-C 1,700 kmBlock IV TLAM-E 1,700 kmBlock III TLAM-D 1,300 km 탄두 재래식 450 kg Bullpup, 자탄 분산형무게 130 kg, 폭발력 150 kt W80 핵탄두 유도 INS, GPS, TERCOM, DSMAC 신관 FMU-148 발사 플랫폼 잠수함 21인치 어뢰관, VLS 토마호크 미사일(Tomahawk missile)은 미국 제너럴 다이내믹스사가 1970년대에 개발한 장거리, 전천후, 아음속의 순항미사일이다. 해군용은 잠수중인 잠수함에서 저고도로 발사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1991년 걸프전쟁에서 이라크의 군사시설을 파괴하는 데 공헌함으로써 명성을 얻은 이후 코소보사태 등 1990년대 미군이 개입한 전쟁터에서 사용되었으며, 2001년의 반테러전쟁에서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하는 데도 위력을 발휘하였다. 고도의 기술력이 집약된 하이테크 병기의 대표적 무기이다. 목차 1 제원 2 종류 2.1 TASM(Tomahawk Anti Ship Missile) : 토마호크 대함 미사일 2.2 TLAM(Tomahawk Land Attack Missile) :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 3 개량형 4 전술 토마호크 5 발사 시스템 5.1 캐니스터별 구분 6 통제 시스템 7 연구비용 및 가격 8 사용자 8.1 미국 해군 8.2 영국 해군 8.3 네덜란드 해군 8.4 스페인 해군 9 순항미사일의 특징 9.1 장점 9.1.1 정밀한 타격을 할 수 있다. 9.1.2 비행기처럼 궤도를 변경하며 비행할 수 있다. 9.1.3 저고도로 날 수 있기 때문에 탐지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 9.2 단점 9.2.1 GPS 위성을 같이 사용해야한다. 9.2.2 화력이 높지 않다. 10 같은 분류의 미사일 11 같이 보기 12 참고자료 13 외부 링크 제원[편집] 기능 : 장거리, 전천후, 아음속 순항 미사일 제작사 : 레이시온/맥도널 더글러스 단가 : 130만 달러 배치 : 1983년 엔진 : 윌리엄스 인터내셔널 F107-WR-402 터보팬과 고체연료 부스터 중량 : 1,440kg 길이 : 5.56m (부스터 제외) / 6.25m (부스터 포함) 직경 : 0.52m 날개 : 2.67m 속도 : 약 880km/h 항속거리 :1,250~2,500km 탄두 : 재래식: 1,000 lb (450 kg) 불펍, 또는 자탄 분산형, 또는 200 kt급 (840 테라줄) W80 핵탄두 발사 플랫폼 : 수직발사기(VLS)과 잠수함 (어뢰발사관에서 발사 가능) 유도 방식 : GPS, TERCOM, DSMAC 신관 : FMU-148(TLAM 블록III부터 사용), 기타 특수 용도 신관 사용 가능 종류[편집] 크게 대함미사일과 대지미사일로 나뉘며 여러 세부 버전이 존재한다. TASM(Tomahawk Anti Ship Missile) : 토마호크 대함 미사일[편집] BGM/RGM-109B TASM : 레이다 유도식 대함 미사일 TLAM(Tomahawk Land Attack Missile) :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편집] 냉전이 끝나고 많은 대지미사일(TLAM: Tomahawk Land Attack Missile)이 대함미사일(TASM: Tomahawk Anti Ship Missile)로 개조되었다. BGM-109A TLAM-N : W80 핵탄두가 장착되었다. 사정거리는 2,500km로 현재 퇴역하였다. BGM-109C TLAM-C : 재래식으로 사정거리는 1,600km 이다. BGM-109D TLAM-D : 자탄 분산형으로 총 166발의 자탄이 7발씩 22그룹, 6발씩 2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격시 8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산개되며 4개의 그룹은 동시에 산개되고 4개의 그룹은 효율적인 지역공격을 위해 시간적으로 격차를 두고 산개된다. 다중의 목표물들을 공격할 수 있으며 사정거리는 1,250km 이다. RGM/UGM-109E : Block IV TLAM을 채용한 TLAM-C의 개량형이다. BGM-109G 그리폰 GLCM (Ground Launched Cruise Missile) : 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로, 1987년 중거리 핵전력 협정에 의해 트럭형 발사대와 함께 파기되었다. AGM-109H/L MRASM (Medium Range Air to Surface Missile) :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로 개발되었으나 실전배치는 하지 않았다. 개량형[편집] Block III TLAM : GPS를 이용하여 정밀 폭격이 가능하며 사정거리가 향상되었다. 1993년에 실전배치되었다. new Block III TLAM : WR-402 엔진으로 변경되면서 추력제어 및 비행 중 속도조절이 가능해졌다. 기존 버전보다 연료 효율성이 더 높아졌다. Block IV TLAM : 비행중 토마호크가 인식하는 이미지와 사전에 입력된 이미지를 대조할 수 있게 만든 DSMAC(Digital Scene Matching Area Correlator)를 장비하고 있으며, 보다 향상된 터보제트 엔진을 사용한다. Block IV Phase II TLAM : 보다 깊은 종심 공격력과 이동 중인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한 실시간 목표포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술 토마호크[편집] 2004년 후반에 미해군에 실전배치되었다. TV 카메라가 장비된 토마호크 미사일로 전장을 관측해 목표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휘관에게 전송하며 지휘관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16개의 사전입력 목표물 중 동일 목표물을 재공격하거나 다른 목표물 등을 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중심 전쟁 능력의 확보로 비행기, 무인기, 정찰위성, 정찰병, 탱크, 함정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사용해 이들 센서들에게서 토마호크로 정보전송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토마호크는 더 이상 요격이 힘든 미사일은 아니며, Barak, S-400, Trishul 등의 빠른 대응능력이 있는 SAM으로 격추할 수 있다. 발사 시스템[편집] USS Stethem에서 발사되고 있는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 각 미사일은 수송이나 저장시 미사일을 보호하면서 발사시 발사관 역할을 하는 압력 캐니스터에서 발사된다. 캐니스터별 구분[편집] 토마호크 미사일을 발사중인 미주리호. ABL(Armored Box Launcher)형 : 미주리 전함이 대표적이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수직발사시스템(VLS)형 : 일반 수상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어뢰관형 : 일반 잠수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캡슐 발사 시스템(CLS) : 후기형 LA급 잠수함에서 사용하고 있다. 통제 시스템[편집] v2 TWCS - 1983년 도입된 토마호크 무기통제 시스템으로 그린 스크린으로 불린다. v3 ATWCS - 1994년 도입된 개량형 토마호크 무기 통제 시스템이다. v4 TTWCS - 2003년 도입된 전술 토마호크 무기통제 시스템이다. v5 TWCS - 2006년 도입된 차세대 통제 시스템이다. 연구비용 및 가격[편집] 첫 개발 당시에는 112억 1천만 달러가 소요되었으며 새로운 토마호크는 1기당 가격이 50% 인하된 60만 달러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구글) 사용자[편집] 미국 해군[편집] 지상용은 1991년 걸프전에서 모두 288발을 사용하였으며, 대함용은 1992년 4월 2일, 2대의 공격형 잠수함(피츠버그 함과 루이빌 함)에서 처음으로 발사되었다. 이라크의 자유 작전에서 다시 사용되기도 했다.[1] 영국 해군[편집] 영국 해군의 핵잠수함 장착을 목적으로 1995년에 60기를 구매하였다. 최초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1998년에 있었으며, 1999년 코소보 전투에서 영국 해군의 잠수함 스플렌디드 호가 영국 잠수함 최초로 실전에서 토마호크를 발사하였다. 코소보 전투 당시 17~20기를 사용하였으며, 이후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2003년 이라크 전쟁의 텔릭 작전(영국군이 실행한 작전)에서 토마호크를 사용하였다. 네덜란드 해군[편집] 2005년 10월 14일, 네덜란드 정부는 30발의 토마호크를 레이시온에서 구입하기로 결정했다. 네덜란드는 토마호크 블록 IV를 보유한 세 번째 국가가 될 것이다. 스페인 해군[편집] 에스파냐의 이지스함과 S80 잠수함 장착을 목적으로 60~100기를 구매하기로 하였으나, 2009년 10월 예산 문제로 구입을 연기하였다. 순항미사일의 특징[편집] 장점[편집] 정밀한 타격을 할 수 있다.[편집] GPS와 INS(관성항법장치)의 유도를 받아서 표적까지 비행해서 타격하기 때문에 오차 범위가 10m도 안 된다. 건물의 창문을 뚫을 정도로 정밀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명중률을 자랑한다. 순항 미사일은 정밀 타격의 장점 때문에 적군에게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 시설을 타격하거나, 적의 탄도 미사일 발사대를 타격하거나, 적의 공군 비행장의 활주로에 구멍을 내서 적의 작전활동을 방해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비행기처럼 궤도를 변경하며 비행할 수 있다.[편집]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와 같이 연료가 감당할때까지 몇 시간을 비행할 수 있고 날개도 달려있기 때문에 비행기처럼 비행항로도 변경할 수 있고 요격기가 순항미사일을 격추할 목적으로 공격해올때 회피 기동도 할 수 있다. 순항 미사일은 자폭 무인기와 같다. 저고도로 날 수 있기 때문에 탐지되기가 어려울 수 있다.[편집] 순항미사일은 비행기처럼 비행항로를 수정해가며 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낮은 높이에서 날 수도 있고, 산맥 사이에서도 비행할 수도 있다. 지구는 둥근데 레이다 전파는 직선으로 나가기 때문에 지상에 설치된 레이다로는 산맥 사이에서 비행하는 소규모 표적을 식별하는데에 제한된다. 적 입장에선 이런 상태의 순항 미사일을 지상 레이다만으로 탐지하기 어려울 뿐더러 탐지하지 못하니 대공 미사일로 요격도 어려워 방공망이 제역할을 하기에 제한된다. 단점[편집] GPS 위성을 같이 사용해야한다.[편집] 순항미사일은 GPS 유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표적까지 비행하기 위해선 GPS 위성의 유도를 받아야 한다. 물론 INS(관성항법장치) 유도를 이용해서 발사할 시점부터 입력된 비행항로로 비행할 수가 있다. INS 장치에 내장된 가속도를 이용해서 비행한 거리, 방향감과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GPS에 비해 정밀도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INS 유도의 치명적인 결점은 처음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미사일에 입력해줬던 비행항로로만 가야 한다. 적군의 요격기가 격추하러 접근해오는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런 비상 상황에서 새로운 비행 항로로 비행할 수도 없다. 초음속을 제외한 통상의 대부분의 순항 미사일들은 마하1도 안되는 시속 1,200km/h 미만의 속도로 비행한다. 여객기랑 다를 바가 없는 느린 속력이기 때문에 1,000km 사거리를 공격하려해도 1시간이나 비행해야하는데 그 1시간 동안 돌발적인 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없다. GPS 위성이 있다면 돌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지만, 처음 발사할 때 설정해준 비행 항로밖에 없는 INS 유도의 순항미사일은 생존성이 극히 떨어진다. GPS 위성도 없는 국가가 사용하는 순항미사일은 생존성을 보장받기도 어렵기에 GPS 위성을 반드시 같이 사용해야 한다. 화력이 높지 않다.[편집] 탄도 미사일은 탄두가 거대하며 포물선을 그리며 지상을 향해 마하5 이상의 속력으로 내리찍기 때문에 파괴력이 순항미사일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순항미사일은 최신형 초음속 순항미사일을 제외하고는 마하1의 속도에 포물선을 그리지도 않고 비행기처럼 날아가다가 자폭하듯이 폭발해서 타격하는 미사일이다. 탄두의 폭발력이 탄도미사일에 비해 부족할 수 밖에 없다. 순항 미사일은 탄도미사일의 부족한 요격 대응 능력과 정밀 타격 능력을 대체할 수 있는 미사일이지만, 화력은 열세한 편이다. 순항미사일은 대게 탄도미사일보다 크기도 작다. 같은 분류의 미사일[편집] 브라모스 대함미사일 바부르 순항 미사일 천룡 순항 미사일 : 대한민국이 국산화에 성공한 순항 미사일 슝펑 순항 미사일 : 대만이 독자적으로 만든 순항 미사일 같이 보기[편집] 미사일 목록 참고자료[편집] ↑ "USS Louisville Returns From Operation Iraqi Freedom Archived 2006년 9월 15일 - 웨이백 머신." Navy Newsstand. May 15, 2003. 외부 링크[편집] 레이시온 공식 사이트 BGM-109 토마호크, 글로벌 시큐리티 vdeh레이시온현재 생산품 AGM-129 ACM JSOW 메버릭 함 암람 피닉스 사이드와인더 ALE-50 견인식 디코이 시스템 ALR-67 레이다 경보 수신기 AN/ASQ-228 ATFLIR AN/SPS-49 AN/TPQ-36 AN/TPQ-37 AN/MPQ-53 AN/MPQ-64 AN/MPQ-65 APG-63 및 APG-70 레이다 APG-65, APG-73, 및 APG-79 레이다 AN/APG-77 APQ-181 AQM-37 제이호크 ASARS-2 AWG-9 레이다 APG-71 토마호크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 비치크래프트 1900 비치크래프트 베이런 비치크래프트 보난자 비치크래프트 킹에어 비치크래프트 모델99 재블린 FIM-92 스팅어 GMD 패트리어트 MIM-23 호크 AN/MPQ-64 센티넬 마크 48 어뢰 페이브 포스 페이브웨이 GBU-12 페이브웨이 IV GBU-28 팰렁스 CIWS RAYDAC RIM-116 램 레이시온 호커 4000 레이시온 호커 400XP 호커 800 레이시온 센티넬 해상 기반 X-밴드 레이다 SLQ-32 Electronic Warfare Suite SQQ-32 Mine-hunting sonar 스탠더드 미사일 T-1 제이호크 T-6 텍산 II 회사 정보 웹사이트 연간 매출액: $000 billion USD (FY2004) 종업원수: 000명 종목명칭: vdeh미국의 유도탄1–50 MGM-1 RIM-2 MIM-3 AIM-4 MGM-5 RGM-6 AIM-7 RIM-8 AIM-9 CIM-10 PGM-11 AGM-12 CGM-13/MGM-13 MIM-14 RGM-15 CGM-16 PGM-17 MGM-18 PGM-19 ADM-20 MGM-21 AGM-22 MIM-23 RIM-24 HGM-25 AIM-26 UGM-27 AGM-28 MGM-29 LGM-30 MGM-31 MGM-32 MQM-33 AQM-34 AQM-35 MQM-36 AQM-37 AQM-38 MQM-39 MQM-40 AQM-41 MQM-42 FIM-43 UUM-44 AGM-45 MIM-46 AIM-47 AGM-48 LIM-49 RIM-50 51–100 MGM-51 MGM-52 AGM-53 AIM-54 RIM-55 PQM-56 MQM-57 MQM-58 RGM-59 AQM-60 MQM-61 AGM-62 AGM-63 AGM-64 AGM-65 RIM-66 RIM-67 AIM-68 AGM-69 LEM-70 BGM-71 MIM-72 UGM-73 BQM-74/MQM-74 BGM-75 AGM-76 FGM-77 AGM-78 AGM-79 AGM-80 AQM-81 AIM-82 AGM-83 AGM-84/RGM-84/UGM-84 RIM-85 AGM-86 AGM-87 AGM-88 UGM-89 BQM-90 AQM-91 FIM-92 XQM-93 YQM-94 AIM-95 UGM-96 AIM-97 YQM-98 LIM-99 LIM-100 101–150 RIM-101 PQM-102 AQM-103 MIM-104 MQM-105 BQM-106 MQM-107 BQM-108 BGM-109 BGM-110 BQM-111 AGM-112 RIM-113 AGM-114 MIM-115 RIM-116 FQM-117 LGM-118 AGM-119 AIM-120 CQM-121 AGM-122 AGM-123 AGM-124 RUM-125/UUM-125 BQM-126 AQM-127 AQM-128 AGM-129 AGM-130 AGM-131 AIM-132 UGM-133 MGM-134 ASM-135 AGM-136 AGM-137 CEM-138 RUM-139 MGM-140 ADM-141 AGM-142 MQM-143 ADM-144 BQM-145 MIM-146 BQM-147 FGM-148 PQM-149 PQM-150 151– FQM-151 AIM-152 AGM-153 AGM-154 BQM-155 RIM-156 MGM-157 AGM-158 AGM-159 ADM-160 RIM-161 RIM-162 GQM-163 MGM-164 RGM-165 MGM-166 BQM-167 MGM-168 AGM-169 MQM-170 MQM-171 FGM-172 GQM-173 RIM-174 같이 보기: 유도탄 목록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토마호크_(순항유도탄)&oldid=23528691" 분류: 레이시온미국의 순항유도탄걸프 전쟁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Bahasa Melayuမြန်မာဘာသာ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Português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ščinaSoomaaligaSvensk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24일 (목) 12: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순항유도탄(巡航誘導彈, cruise missile)은 비행기처럼 날개와 제트엔진을 사용해서 수평 비행을 하는 미사일이다. 일정한 고도와 속도로 순항하여 목표에 도달하는 미사일의 총칭이다. 최근의 순항유도탄은 사정거리가 장거리화되고 주로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음속(亞音速)으로 비행한다. 장거리에서의 명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관성 항법장치의 정밀도 향상이 중요하고 또한 목표에 이르는 지형 데이터를 조합하는 방식(지형조합유도방식; TERCOM)도 겸용된다. 최근에는 GPS 항법도 추가로 사용한다. 순항유도탄 본체의 크기는 무인항공기의 기체와 같이 작으며 대부분의 비행시간 동안 대기로부터 산소를 빨아들여야 하는 공기흡입 엔진(제트엔진)에 의해 추진된다. 또한 컴퓨터로 목표까지의 지도를 기억시켜 레이다로 본 지형과 대조하면서 진로를 수정하는 TERCOM이라는 유도방식의 채택으로 목표물 명중 정확도가 매우 높아졌다. 이 유도방식은 인공위성을 사용해서 미리 표적까지의 지형을 입체사진으로 촬영하고, 수 km 간격으로 바둑판처럼 구획하여 유도탄에 기억시키는 것이다. 발사된 유도탄이 비행하면서 계속 지형을 측정하고, 기억한 지형과 대조하면서 궤도를 수정하므로 정확도가 높은 명중률을 기대할 수 있다. 순항유도탄은 음속(音速) 이하지만 초저공 비행이 가능하여 탄도유도탄보다도 레이다에 포착되지 않는다. 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초음속 순항유도탄도 있다. 1942년 나치독일이 만든 V-1 로켓이 시초로서 1944년에 터보제트 무인 비행체가 만들어진 이후 미국과 구 소련이 경쟁하여 만든 유도탄이 순항유도탄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순항미사일이 표적까지 비행하기 위해 받아야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Assistant: GPS 위성의 유도
Human: 아래 틸란드시아_이오난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틸란드시아 이오난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250px 생물 분류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벼목 과: 파인애플과 아과: 틸란드시아아과 속: 틸란드시아속 아속: Diaphoranthema 종: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학명 Tillandsia ionanthaPlanchon 이명 Pityrophyllum gracile Beer Tillandsia rubentifolia Poiss. & Menet 에어 플랜트(Air plant)[1]라고도 불리는 틸란드시아 이오난사(학명: Tillandsia forma Ionantha) 는 파인애플목 파인애플과 틸란드시아속의 착생식물로써 통상적으로 나무둥치에서 자라며 밝은 그늘에서 성장한다. 뿌리가 있으나 오로지 착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모두 잘라내어도 상관없다. 또한 뿌리를 영양흡수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아 기생식물과는 다르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가 속하는 틸란드시아 속 식물은 교배종을 제외하고도 약 500여 종 이상이 있다. 원산지는 멕시코 등 해발 450-1700m의 건조한 남아메리카 지역이며 브로워드 카운티, 플로리다에도 토착화되었다.[2][3][4][5] 잎에 있는 미세한 솜털(트리콤)을 이용하여 공기 중 수증기와 유기물을 흡수한다. 트리콤은 긁힘 또는 충격에 벗겨질 수 있으며 벗겨진 트리콤은 재생되지 않는다. 틸란드시아 속은 CAM식물로써 낮에 뜨거운 열로 부터 수분 손실은 막기위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손실을 최소화 하고 밤에 기공을 열어 호흡한다. 그리하여 틸란드시아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야간에 산소를 만들어 내기때문에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 인간에게 유익하다. 또한 번식력과 자생력이 강하기 때문에 애완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크기는 12cm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작은 종이며 대한민국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다음과 같은 변종 외에도 많은 변이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자라난 농장에 따라서도 크기나 모양 등이 달라진다.[2] Tillandsia ionantha var. ionantha - 대부분의 종 서식 영역 Tillandsia ionantha var. stricta Koide - 오악사카주 목차 1 외형 2 번식 방법 3 재배 환경 4 갤러리 5 재배품종 6 각주 7 외부 링크 외형[편집] 잎은 보통 9cm, 가로 6cm 정도로 자라나 크게는 길이 15~17cm 까지 자란다. 잎은 초록색이며 은색의 솜털로 덮혀져 있지만 개화기에는 붉은색으로 물든다. 가시처럼 끝은 뾰족한 얇은 삼각형 형태의 잎 모양을 가지고 있다. 보라색 꽃은 4cm 정도로 자라며 노란 술이 달린다.[6] 번식 방법[편집] 번식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꽃의 수정을 이용한 번식 방법과 자구 촉을 나누기 번식방법이 있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의 종류 중에는 드루이드와 같이 보라색이 아닌 하얀색 꽃이 피며 잎 주변이 노랑색으로 변하는 알비노 또는 변이종(var)도 있고 이오난사의 변이종만 해도 10종류 이상이 된다.[7] 대부분의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는 ion(보라색)과 anthos(꽃)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합성어인 이름 그대로 화려한 보라색 꽃을 피운다.[8] 일생 동안 한번만 꽃을 피우며 꽃을 피운 후에는 성장을 멈추고 모든 에너지를 오로지 자구번식을 위해 사용한다. 꽃이 필 때는 꽃 주변의 은색 잎들도 붉은색으로 물든다. 이와는 반대로 잎이 꺾이거나 상하면 꺾인 잎만 붉게 물들을 수 있으나 구별하기가 쉽다. 꽃이 피고 수정이 되면 1~2달 후 씨앗 주머니가 생기고 씨방이 단단해진다. 단단해진 씨방속에서 솜털이 달린 씨앗으로 가득차게 되고 씨방이 터진다. 이 때 씨앗이 바람에 날려 나무나 기타 적합한 환경에 안착하게 되어 발아를 할 수 있다. 발아를 하면 성체까지 3~5년이 걸린다. 수정 유무에 상관없이 자구를 생산하고 자구 번식시 더 빠른 성장을 볼수있다. 자구는 약 1년이면 성체의 크기와 비슷해진다. 자구가 자라면 촉을 나누어 모체에서 분리해 키울 수도 있다. 크기가 작을때 분리하면 자생력이 약해 죽을 수도 있다. 자구를 분리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면 커다랗고 둥그런 틸란드시아 클럼프가 만들어진다. 재배 환경[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를 키울 때 한여름철의 직사광선은 과도한 수분손실을 일으켜 잎에 얼룩이 생기거나 잎끝이 말라버리기 때문에 걸러진 빛이 좋고 11월~7월 달 까지는 직사광선을 받아도 상관없다. 틸란드시아는 자외선 이 가장 강한 10월에 가장 빠르고 큰폭으로 성장한다. 공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지만 실내의 공기는 건조하기때문에 일주일에 두 번은 물을 주는것이 좋다. 흙이 필요없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가 용이하지만 인간의 손과 잦은 접촉은 잎끝을 상하게한다. 그리고 중심에 있는 생장점 에 물이 고여있으면 과습현상으로 썩어버릴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자구를 떼고 싶다면 가급적이면 모체의 반 이상의 크기로 자랐을 때 떼는 게 좋다. 모체는 모든 역량을 자구에 집중하기 때문에 붙어있는 동안 자구의 성장이 빠르며 작은 자구를 떼면 성장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단 모체가 과습으로 죽어갈 때는 당장 떼어버리지 않으면 자구도 덩달아 죽을 것이다. 대한민국의 기후에 적응을 잘 하는 틸란드시아 종류 중 하나다. 갤러리[편집]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틸란드시아 덩어리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드루이드 재배품종[편집] Tillandsia 'Aleta'[9] Tillandsia 'Apretado'[9] Tillandsia 'Aristocrat'[9] Tillandsia 'Boreen'[9] Tillandsia 'Califano'[9] Tillandsia 'Chiquininga'[9] Tillandsia 'Cone Head'[9] Tillandsia 'Corinne'[9] Tillandsia 'Curra'[9] Tillandsia 'Dagun'[9] Tillandsia 'Dawn'[9] Tillandsia 'Druid'[9] : 꽃이 피면 이파리가 연노랑으로 변색되는 품종이다. 대한민국 국내에서 흔히 재배된다. Tillandsia 'Frolic'[9] Tillandsia 'Fuego'[9] Tillandsia 'Glenorchy'[9] Tillandsia 'Hand Grenade'[9] Tillandsia 'Haselnuss'[9] Tillandsia 'Hidden Charm'[9] Tillandsia 'Hilda Arriza'[9] Tillandsia 'Huamelula'[9] Tillandsia 'Humbug'[9] Tillandsia 'Jack Staub'[9] Tillandsia 'Jalapa Fortin'[9] Tillandsia 'Joel'[9] Tillandsia 'Key Lime Sundae'[9] Tillandsia 'Kinkin'[9] Tillandsia 'Luke'[9] Tillandsia 'Maidens Blush'[9] Tillandsia 'Miz Ellen'[9] Tillandsia 'Mudlo'[9] Tillandsia 'Noosa'[9] Tillandsia 'Peach'[9] Tillandsia 'Peewee'[9] Tillandsia 'Penito'[9] Tillandsia 'Pine Cone'[9] Tillandsia 'Pink Champagne'[9] Tillandsia 'PJ's Prize'[9] Tillandsia 'Pomona'[9] Tillandsia 'Renate'[9] Tillandsia 'Richard Oeser'[9] Tillandsia 'Rosita'[9] Tillandsia 'Rubra'[9] Tillandsia 'Scion'[9] Tillandsia 'Silver Surprise'[9] Tillandsia 'Silver Trinket'[9] Tillandsia 'Small Mexican'[9] Tillandsia 'Sweet Chocolate'[9] Tillandsia 'Sybil Frasier'[9] Tillandsia 'Tall Velvet'[9] Tillandsia 'Tina Parr'[9] Tillandsia 'Tinca Fire'[9] Tillandsia 'Tisn't'[9] Tillandsia 'Victoria'[9] Tillandsia 'Zebrina'[9] 각주[편집] ↑ “Tillandsia ionantha”.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PLANTS Database. USDA.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가 나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 An Annotated Checklist of the Bromeliaceae of Costa Rica retrieved 3 November 2009 ↑ Checklist of Mexican Bromeliaceae with Notes on Species Distribution and Levels of Endemism Archived 2007-10-30 - 웨이백 머신. retrieved 3 November 2009 ↑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 ↑ Royal Botanic Garden Archived 2012년 9월 14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blushing bride). ↑ Plant Chaser Archived 2012년 12월 27일 - 웨이백 머신: Tillandsia ionantha Druid. ↑ Some magnetic Island Plants: Tillandsia ionantha planch.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BSI Cultivar Registry Archived 2009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11 October 2009 외부 링크[편집] Online Britannica Dictionary: Tilandsia 생물 분류 식별자 Wd: Q1937140 EoL: 346000 EPPO: TLDIO GBIF: 2695006 iNaturalist: 141279 IPNI: 125266-1 IUCN: 44393060 NCBI: 294061 플랜트 리스트: kew-269169 PLANTS: TIIO POWO: urn:lsid:ipni.org:names:125266-1 트로피코스: 4301689 WCSP: 26916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틸란드시아_이오난타&oldid=24201245" 분류: 코스타리카의 식물상멕시코의 식물상틸란드시아속숨은 분류: 웹아카이브 틀 웨이백 링크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라틴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제목이 라틴어 학명인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위키생물종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Cebuano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日本語SvenskaTiếng ViệtWinaray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2일 (일) 08:1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에어 플랜트(Air plant)라고도 불리는 틸란드시아 이오난사(학명: Tillandsia forma Ionantha)는 파인애플목 파인애플과 틸란드시아속의 착생식물로써 통상적으로 나무둥치에서 자라며 밝은 그늘에서 성장한다. 뿌리가 있으나 오로지 착생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여 모두 잘라내어도 상관없다. 또한 뿌리를 영양흡수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아 기생식물과는 다르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가 속하는 틸란드시아 속 식물은 교배종을 제외하고도 약 500여 종 이상이 있다. 원산지는 멕시코 등 해발 450-1700m의 건조한 남아메리카 지역이며 브로워드 카운티, 플로리다에도 토착화되었다. 잎에 있는 미세한 솜털(트리콤)을 이용하여 공기 중 수증기와 유기물을 흡수한다. 트리콤은 긁힘 또는 충격에 벗겨질 수 있으며 벗겨진 트리콤은 재생되지 않는다. 틸란드시아 속은 CAM식물로써 낮에 뜨거운 열로부터 수분 손실은 막기위하여 기공을 닫아 수분손실을 최소화 하고 밤에 기공을 열어 호흡한다. 그리하여 틸란드시아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야간에 산소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 인간에게 유익하다. 또한 번식력과 자생력이 강하기 때문에 애완식물로 각광받고 있다. 크기는 12cm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작은 종이며 대한민국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다음과 같은 변종 외에도 많은 변이종과 교배종이 있으며 같은 종이라 할지라도 자라난 농장에 따라서도 크기나 모양 등이 달라진다. Tillandsia ionantha var. ionantha - 대부분의 종 서식 영역 Tillandsia ionantha var. stricta Koide - 와하카주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틸란드시아 이오난타가 번식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은 무엇일까? Assistant: 꽃의 수정을 이용한 번식 방법과 자구 촉을 나누기 번식방법 Human: 아래 미조구치_겐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조구치 겐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조구치 겐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미조구치 겐지출생 1898년 5월 16일(1898-05-16)일본 아사쿠사사망 1956년 8월 24일 (58세)일본 교토다른 이름 고테켄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편집자활동 기간 1923년 - 1956년 미조구치 겐지(일본어: 溝口 健二, 1898년 5월 16일 ~ 1956년 8월 24일)는 일본의 영화감독이다. 목차 1 생애 2 작품세계 3 작품연보 4 같이 보기 5 외부 링크 생애[편집] 도쿄 시 아사쿠사 구(현·도쿄도 다이토 구 아사쿠사) 출신으로, 아버지는 목수였다. 그의 가정환경은 비참한 수준이어서 그의 누이를 게이샤로 팔지 않으면 안될 정도였다. 이 일은 겐지의 사고방식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어머니와 누이에 대한 아버지의 학대 사이에서 그는 강하게 저항하곤 했으며, 그는 평생 아버지를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13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고베에서 광고 디자인 일을 시작했으며 동시에 미술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유우신일보(又新日報)사의 삽화가로 일하기도 했다. 1920년에 그는 닛카츠 촬영소에 입사하여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처음에는 배우로 시작했으며 3년뒤 감독이 되었고 관동대지진이후 동경촬영소로 옮긴다. 1925년 내연의 여인에게 면도칼로 찔리는 사건을 경험한 이후, 여성을 테마로 한 작품을 독특한 감각으로 그려내기 시작했다. 1939년 나카다 마사이치(永田雅一)의 다이이치 영화사(第一映画社)에 참가하고 이후 다이에이 영화사 창립 이후 전속이 된다. 겐지의 초기 작품들은 탐색에 가까운 것으로 유진 오닐이나 톨스토이등의 작품들로 문예영화를 만들거나 독일 표현주의 영화들을 따라해보거나 하는 것들이었다. 그의 작업속도는 매우 빨라서 몇주만에 영화 한편을 만들어내기도 했고 흥행성적도 좋았다. 그래서 20년대와 30년대 사이에 70여편의 영화를 찍는 것이 가능했는데 현재 이것들은 거의 유실되었다. 뒤쪽의 것들은 소위 경향영화(tendency film)라고 불리는 것들로 겐지는 그 작품들에서 사회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었고 선구적인 존재가 되었다. 1936년의 기온의 자매들과 나니와 엘레지 이후가 되어서야 겐지는 자신의 인생을 대표할 만한 영화들을 찍기 시작했다. 그의 중기에 겐지는 전근대와 근대의 전환기를 담는 사회파 영화인 '뉴 리얼리즘' 감독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마지막 국화 이야기는 문부성으로부터 상을 받았는데 앞선 두 영화처럼 남성중심사회에 반한 여성의 역할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이 시기에 겐지는 그의 유명한 방법론인 '원신, 원샷' 원칙을 확립하였다. 그의 섬세하고 정통적인 세트 디자이너인 미즈타니 히로시는 겐지가 광각렌즈를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다. 전쟁기간동안 겐지는 선전영화를 찍도록 군부로부터 강요받았다. 이중 가장 유명한 것은 충신장 이야기를 담은 사무라이 시대극 원록충신장(1941)이다. 이 시기에 겐지는 문제가 될 만한 소재를 피해서 작품생활을 했다. 일본 여성의 참정권이 인정되던 무렵의 혁명적인 영화 여인의 승리(1946)나 내 사랑은 불탔었지(1949) 이후 겐지는 시대극으로 전환하여 전래되던 이야기들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많이 했는데 주로 비극적 취향이 강했다. 이 때는 시나리오 작가인 요다 요시타카와 주로 함께했다. 이 때가 가장 인정받는 시기로 베니스에서 은사자상을 받은 우게츠 이야기(1953)을 비롯해 그를 국제적으로 유명하게 만든 오하루의 일생(1951)이 그러하다. 산쇼 태부(1954)는 봉건사대 일본의 유교적 도덕에 관한 이야기이다. 백편에 가까운 그의 영화 중에 칼라영화는 신페이가 이야기(1955)와 양귀비(1955)뿐이다. 겐지는 교토에서 58세로 죽었는데 사인은 백혈병이었다. 작품세계[편집] 겐지의 영화는 주로 여인의 승리를 다루고 있다는 점으로 유명하다. 그는 최초의 대중적 페미니스트 감독으로 꼽힌다. 그는 더 존중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본 사회속에서 학대받고 짓밟힌 여인들의 처지를 잘 드러내었다. 그는 게이샤의 곤경을 자주 다루곤 했지만 그의 주인공들은 창녀, 노동자, 거리의 운동가, 주부 심지어 봉건시대 귀한집 아가씨까지 다양했다. 그의 영화는 일본 회화를 연상시킬정도로 탐미적이다. 그는 롱테이크와 풍성하고 묘사적인 미장센을 추구했다. 클로즈업과 같은 서구풍의 기법은 거의 쓰지 않았다. 그는 보통 몇분이나 되는 신을 만들곤 했고 스턴버그(Josef von Sternberg)풍의 조명과 세팅을 통해 장소에 포인트를 두었다. 겐지는 관객과 캐릭터간의 절묘한 공감을 만들어 특유의 정형화된 아름다움이 튀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다. 그의 가장 좋은 작품들은 대개 상당히 감동적이다. 겐지의 리허설에 대한 강박은 악명높았는데 특히 여배우들이 고생했다. 롱테이크를 좋아했기 때문에 조금의 실수도 재촬영으로 이어졌고 그는 한 샷을 찍기위해 거의 백여번씩 리허설을 하곤 했다. 다나카 쿠니요는 겐지 영화의 단골 여주인공이었는데 한번은 겐지가 그녀에게 역할을 위해 도서관의 모든 책을 읽으라고 강요한 적도 있다고 한다. 겐지는 자끄 리베뜨와 같은 평론가에 의해 서구에서 먼저 재평가를 받았고 특히 장뤼크 고다르를 비롯한 누벨바그 감독들에게 영향을 많이 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의 '원신 원샷' 기법은 앙드레 바쟁과 같은 평론가들에 의해 리얼리즘의 모범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작품연보[편집] 1923년「愛に甦へる日」 1933년「滝の白糸」(原作:泉鏡花) 1935년「折鶴お千」(原作:泉鏡花) 1935년「虞美人草」(原作:夏目漱石) 1936년「浪華悲歌」 1936년「祇園の姉妹」 1938년「露営の歌」 1939년「残菊物語」(原作:村松梢風) 1941년「芸道一代男」 1941-42년「元禄忠臣蔵(前後篇)」(原作:真山青果) 1946년「女性の勝利」 1946년「歌麿をめぐる五人の女」(原作:邦枝完二) 1947년「女優須磨子の恋」(原作:長坂秀雄) 1948년「夜の女たち」(原作:久板栄二郎) 1950년「雪夫人絵図」(原作:舟橋聖一) 1951년「お遊さま」(原作:谷崎潤一郎) 1951년「武蔵野夫人」(原作:大岡昇平) 1952년「西鶴一代女」(原作:井原西鶴):베니스 국제영화제 국제상 1953년 우게츠 이야기(雨月物語)(원작:上田秋成):베니스 국제영화제 은사자상 1953년「祇園囃子」(原作:川口松太郎) 1954년「噂の女」 1954년「近松物語」(原作:近松門左衛門) 1954년「山椒太夫」(原作:森鴎外):베니스 국제영화제 동사자상 1955년「新平家物語」(原作:吉川英治) 1955년「楊貴妃」 1956년「赤線地帯」 같이 보기[편집] 구로사와 아키라 오즈 야스지로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미조구치 겐지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영어) 미조구치 겐지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일본어) 미조구치 겐지 - 일본 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미조구치 겐지 감독 영화1920년대 아침 햇살 (1929, 단편) 도쿄 행진곡 (1929, 단편) 1930년대 唐人お吉 (1930) 폭포의 흰 줄기 (1933) 종이학 오센 (1935) 오사카 엘레지 (1936) 기원의 자매 (1936) 마지막 국화 이야기 (1939) 1940년대 겐로쿠 주신구라 (1941) 우타마로를 둘러싼 다섯 여인들 (1947) 여배우 스마코의 사랑 (1947) 1950년대 유키 부인의 초상 (1950) 오유우님 (1951) 무사시노 부인 (1951) 오하루의 일생 (1952) 우게쓰 이야기 (1953) 게이샤 (1953) 산쇼다유 (1954) 소문의 여자 (1954) 치카마츠 이야기 (1954) 양귀비 (1955) 신 헤이케 이야기 (1955) 적선지대 (1956)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9686447 LCCN: n81035400 ISNI: 0000 0001 1042 2248 GND: 120128705 SELIBR: 399425 SUDOC: 027647757 BNF: cb11964488d (데이터) NDL: 00370838 NKC: xx0153701 BNE: XX981234 RKD: 354799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조구치_겐지&oldid=24079629" 분류: 1898년 태어남1956년 죽음일본의 영화 감독도쿄도 출신도쿄도 구부 출신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RKDartist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ymar aruБългарскиBislamaবাংলাCatalà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KabɩyɛҚазақшаMalagasyമലയാളംNederlandsNorskOccitanPicardPolskiPortuguêsRuna Simi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venskaతెలుగుTürkçeУкраїнська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1일 (일) 16:1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조구치 겐지(일본어: 溝口 健二, 1898년 5월 16일 ~ 1956년 8월 24일)는 일본의 영화감독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조구치 겐지가 여성참정권이 인정되던 시기 촬영한 영화는 무엇일까요? Assistant: 여인의 승리
Human: 아래 인기_라이트노벨_작가인_남고생이_연하의_클래스메이트이자_성우인_여자아이에게_목을_졸리고_있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소설 저자 시구사와 케이이치 삽화 쿠로보시 코하쿠 출판사 KADOKAWA, 아스키 미디어웍스 레이블 덴게키 문고 권수 3권 3권 틀 - 토론 위키프로젝트 라이트 노벨 포털 문학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는 시구사와 케이이치에 의한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일러스트는 쿠로보시 코하쿠가 담당하고 있다. 남자 고교생인 신인 라이트 노벨 작가와 현역 소녀 성우가 주역이다. 같은 문고에서 출판되고 있는 「한 대륙의 이야기 시리즈」 이래 12년만인 시구사와 케이이치의 신 시리즈이다. 덴게키 문고 편집부나 라노벨 작가의 일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전권 커버가 양면으로 되어 있어, 작중에 등장하는 서적인 『바이스 버사』(ヴァイス・ヴァーサ)의 표지가 그려져 있다. 목차 1 서적 1.1 소설 2 같이 보기 3 각주 3.1 참조주 4 외부 링크 서적[편집] 소설[편집] 덴게키 문고 타이틀 발매일[1] ISBN 1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 -Time to Play-〈上〉 2014년 1월 10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2734|ISBN 978-4-04-866273-4]] 2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I -Time to Play-〈下〉 2014년 3월 8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3847|ISBN 978-4-04-866384-7]] 3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II -Time to Pray- 2014년 6월 10일 [[:ja:Special:BookSources/9784048666473|ISBN 978-4-04-866647-3]] 대원씨아이 타이틀 발매일 ISBN 1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1 Time to Play (상) 2015년 12월 15일 ISBN 9791133412600 2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2 Time to Play (하) 2016년 1월 13일 ISBN 9791133414123 3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3 Time to Pray 2016년 3월 15일 ISBN 9791133417643 같이 보기[편집] 긴 낱말 각주[편집] 참조주[편집] ↑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新刊詳細”. 《電撃文庫》. KADOKAWA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4년 3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인 남고생이 연하의 클래스메이트이자 성우인 여자아이에게 목을 졸리고 있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인기_라이트노벨_작가인_남고생이_연하의_클래스메이트이자_성우인_여자아이에게_목을_졸리고_있다.&oldid=20300297" 분류: 성우를 소재로 한 작품진행 중인 작품전격 문고긴 낱말일본의 라이트 노벨소설가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2014년 소설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English客家語/Hak-kâ-ngî日本語中文文言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2월 25일 (월) 23:4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결과 없음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덴게키 문고에서 인기 라이트노벨 작가의 1회 타이틀은 무엇인가? Assistant: 男子高校生で売れっ子ライトノベル作家をしているけれど、年下のクラスメイトで声優の女の子に首を絞められている。I -Time to Play-〈上〉 Human: 아래 미주리주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미주리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주리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주리 주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좌표: 북위 38° 30′ 서경 92° 30′ / 북위 38.5° 서경 92.5°  / 38.5; -92.5 미주리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미주리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미주리 주 State of Missouri 주기 문장  • 별명: The Show Me State 주도 제퍼슨시티(Jefferson City) 북위 38° 34′ 36″ 서경 92° 10′ 25″ / 북위 38.576667° 서경 92.173611°  / 38.576667; -92.173611최대도시 캔자스시티(Kansas City) 북위 39° 05′ 59″ 서경 94° 34′ 42″ / 북위 39.099722° 서경 94.578333°  / 39.099722; -94.578333 제퍼슨시티 캔자스시티행정 군 115면적전체 180,693 km2폭 385 km길이 480 km내수면 비율 1.16 %위도 36°N - 40°35'N경도 89°6'W - 95°42'W높이최고 540 m평균 240 m최저 70 m시간대 중부: UTC-6/-5인구 17위전체 5,595,211인구밀도 31 (27위)언어공용어 없음기타합중국 가입 1821년 8월 10일 (24번째)약자 MO US-MO웹사이트 www.state.mo.us 미주리주(State of Missouri)는 미국 중서부에 있는 주이다. 북쪽으로 아이오와주, 동쪽으로 미시시피 강을 끼고 일리노이주·켄터키주·테네시주, 남쪽으로 아칸소주, 서쪽으로 오클라호마주·캔자스주·네브래스카주(뒷 두 주와는 미주리 강을 사이에 두고 있다)와 접한다. 1820년, 미주리 타협로 노예주에 속했으며, 결국 남북 전쟁 당시 북부 지지자와 남부 지지자가 반반씩 갈리고 말았다. 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먼이 러마 시 출신이다. 목차 1 역사 1.1 초기 역사 1.2 탐험 1.3 정착 1.4 준주 시대 1.5 주 승격과 확장 1.6 남북 전쟁 1.7 주로서의 향상 1.8 1900년대 중반 1.9 1900년대 후반 1.10 21세기 2 경제 2.1 서비스업 2.2 제조업 2.3 농업 2.4 광업 3 주민 4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기 역사[편집] 미주리 지방에 다른 주민들이 오기 오래 전에 마운드 빌더스로 알려진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다. 인디언들은 지역에 다양한 예술적 흙무더기를 지었다.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도착하였을 때 많은 인디언 종족들이 미주리에 살았다. 미주리 족은 현재의 미주리 동중부에 속하는 지역에 거주하였다. 오세이지 족은 남부와 서부에 속하는 지역들에서 살고 사냥을 하였다. 다른 부족들에는 북부에 살던 폭스 족과 사우크 족이 포함된다. 탐험[편집] 프랑스의 탐험가 자크 마르케트 신부와 루이 졸리에는 아마 미주리 강의 입구를 본 첫 유럽인들이었을 것이다. 1673년, 그들은 미주리 강이 미시시피 강과 만나는 곳에 기호를 붙였다. 1682년, 다른 프랑스의 탐험가 르네-로베르 카블리에 드 라 살은 미시시피 강을 여행하고 미시시피 강 유역을 프랑스령으로 주장하였다. 라 살은 국왕 루이 14세의 명예를 기려 지방을 "루이지애나"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 이후 프랑스의 사냥꾼과 모피 교역인들이 강을 따라 교역지들을 설립하였다. 인디언들을 개종시키려는 프랑스의 선교사들은 다수의 양성소를 창립하였다. 금과 은의 인디언 설화들은 다른 프랑스의 시굴자들을 끌어들였다. 이 모험가들은 현재 세인트프랜시스 카운티에 속하는 지역에서 납과 소금을 찾아 이 광물 자원들을 채굴하려고 남아있었다. 정착[편집] 초기의 미주리 정착지와 교역지들 1700년 경에 예수회 선교사들은 미주리에 첫 유럽인 정착지 세인트 프랜시스 사비어의 양성소를 설립하였다. 그들은 양성소를 오늘날 세인트루이스 근처의 대지에 세웠다. 1703년, 양성소는 근처에 비위생적인 습지라는 이유로 버림받았다. 1735년 경에 현재 일리노이에서 온 정착자들이 세인트제네비에브에 미주리의 첫 영구적 백인 정착지를 설립하였다. 1764년, 피에르 라클레드와 르네 오귀스트 슈토가 세인트루이스를 창립하였다. 1762년에 조인된 비밀적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모든 영토를 스페인에게 포기하였다. 프랑스와 스페인은 7년 전쟁의 동맹국으로 지내왔다. 스페인인들은 지방에 도착한 동부에서 온 개척자들에게 용기를 주었고 정착자들은 스페인의 대지에 쏟아져 들어왔다. 그들의 하나는 유명한 변경 개척자 대니얼 분이었다. 스페인이 그에게 대지의 대략 850 에이커(340 헥타르)를 허가한 후 1799년에 분은 현재의 세인트찰스 카운티로 이주하였다. 1800년, 스페인은 분을 지방행정 장관으로 임명하였다. 그해에 프랑스의 통치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영토를 프랑스에 반환하도록 스페인에 강요하였다. 그때에 와서 오늘날 미주리의 거의는 탐험되고 많은 공동체들이 설립되었다. 유럽에서 자신의 전쟁에 사용하기 위해 돈이 필요한 나폴레옹은 1803년,루이지애나 영토를 미국에 팔았다. 영토의 북부는 루이지애나 상부로 불리었고 오늘날의 미주리 주를 포함하였다. 루이지애나 상부는 33도 선으로부터 북부로 캐나다, 서부로 로키산맥까지 뻗었다. 1812년, 미국 의회는 미주리 영토를 결성하였다. 1811년 후반과 1812년 초반에 미국을 강타한 3개의 강진들이 미주리의 뉴마드리드 지역에 집중되었다. 과학자들은 지진이 리히터 규모 8 혹은 그 이상으로 측량되어 1906년의 샌프란시스코 지진보다 더욱 강했다고 믿는다. 다행히도 그 지방에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지 않았다. 지진의 강도에 비해서 재산 피해와 사망자수는 작았다. 준주 시대[편집] 미주리 준주는 20,000명 이상의 인구와 함께 시작되었다. 농업과 광업은 번성하고, 학교와 교회들이 지어졌다. 인디언들의 고대 사냥터들이 사라지고 미주리 준주에 너무나 많은 정착자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몇 년 동안에 인디언들은 경계 지방 정착자들에 대항하여 싸웠다. 1812년, 미영 전쟁이 일어나자, 영국은 인디언들에게 무기를 주어 그들에게 미주리 개척자들을 공격하도록 용기를 주었다. 정착자들은 보호를 위하여 요새와 통나무 방책들을 지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인디언들은 지속적으로 많은 정착지들을 급습하였다. 1815년, 인디언들과 미국 정부가 포티지드수 조약을 맺은 후 공격이 끝났다. 주 승격과 확장[편집] 1818년, 미주리는 합중국에 편입되기 위해 미국 의회에 물었다. 준주는 주로 흑인 노예들을 데려온 남부인들이 정착하였다. 노예주로서 편입을 위한 미주리의 신청은 노예주의와 반노예주의 동정자들 사이에 국가적으로 넓은 분쟁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의회가 미주리 타협을 통과시킬 때까지 진정되지 않았다. 이 입법 아래에서 미주리는 1821년 8월 10일, 노예주로서 합중국에 들어갔다. 1820년, 인구 조사국은 준주에는 10,222명의 노예들을 포함하여 66,586명의 주민들이 살았다고 보였다. 미주리 주민들은 알렉산더 맥네어를 첫 주지사로 선출하였다. 미주리 주가 합중국에 들어갔을 때에 국가의 서부 국경 지방이었다. 모피 교역은 주의 가장 중요한 산업이었다. 1822년 존 제이컵 애스터는 아메리카 모피 회사의 세인트루이스 지점을 결성하였다. 다음 12년 안에 애스터는 다른 모피 회사들의 대부분을 망치거나 매입하였다. 그는 미시시피 강 서부의 모피 교역에 가까운 독점권을 가졌다. 1836년, 의회는 인디언들로부터 플랫 카운티로 알려진 지역을 매입하는 데 찬성하였다. 대통령의 포고에 따라 1837년, 미주리 주의 일부가 되었다. 이 지방은 미주리 주의 서부 경계의 북부에서 미주리 강으로 뻗어있다. 1820년대 이래 미주리 주민들은 산타페이 산길에 멕시코인들과 정규적 무역을 계속 해왔다. 이 유명한 산길은 미주리 주 인디펜던스를 남서부의 산타페이와 이었다. 남서부로부터 들여온 거대한 재산들이 미주리 주로 쏟아져 들어오고 인디펜던스는 바쁘고 번영하는 마을이 되었다. 수천명의 정착자들이 태평양의 북서부로 따라간 거대한 오리건 산길도 또한 인디펜던스에서 시작되었다. 남북 전쟁[편집] 1857년, 미국 대법원은 역사적인 드레드 스콧 대 샌드퍼드 사건을 발표하였다. 법원은 미주리 노예 스콧이 단지 재산이며, 시민이 될 권리들을 가지지 않았다고 판정하였다. 심한 판정은 북부와 남부 사이에 아픈 느낌을 늘였다. 그 동안에 서부 경계 근처에 살던 많은 미주리 주민들은 새롭게 결성된 캔자스 준주가 자유주가 될 것 같은 위기에 놓였다. 더욱 많은 반노예주의 가족들이 캔자스에 정착하면서 미주리와 캔자스 주민들 사이에 산발적인 투쟁이 일어났다. 캔자스 주는 1861년에 자유주가 되었다. 캔자스와 미주리 주민들 간의 싸움은 남북 전쟁으로 들어가며 지속되었다. 미주리는 1861년에 국내적 관심의 중심지가 되었다. 국가는 미주리가 합중국에서 탈퇴하고 새롭게 형성된 맹방에 가입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 그해 초순에 클레이번 F. 잭슨이 주민들의 의지를 결심시키는 주의 집회를 추천하였다. 집회는 집회는 2월과 3월에 열렸다. 잭슨과 집회의 의원들은 강한 친남부적이었으나 집회는 합중국에 남도록 투표하였다. 미주리 주민의 대부분은 만약 전쟁이 다가오면 중립에 머물기를 원하였다. 1861년 4월, 남북 전쟁이 시작된 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미주리 주로부터 군인들을 요구하였다. 잭슨 주지사는 링컨의 요구를 거부하였다. 북군과 잭슨이 주지사로서 명령을 내린 미주리 시민군이 6월 17일 분빌에서 충돌하였다. 이 전투는 미주리 주에서 남북 전쟁의 첫 현실의 싸움이었다. 너대니얼 라이언 장군 아래의 북군은 시민군을 패주시키고 미주리 주 북부의 통치를 얻었다. 잭슨과 그의 시민군은 자신들이 재결성한 미주리 주의 남서부로 후퇴하였다. 그러고나서 그들은 스프링필드 근처에 있는 윌슨즈크리크로 전진하였다. 거기서 8월에 시민군과 남군은 피흘리는 전투에서 북군을 물리쳤다. 7월 22일, 주 집회가 다시 열려 친남부적 주의 지도자들을 사무소로부터 몰아내는 투표를 하였다. 집회는 친북부적 사람들과 함께 대체하였다. 해밀턴 R. 갬블이 주지사가 되었다. 9월 잭슨은 10월에 니어쇼에서 만날 입법을 요구하였다. 입법적인 개회를 여는 데 충분하지 못한 의원들이 참석하였다. 그러나 그 출석한 의원들은 합중국에서 탈퇴하고 맹방에 가입하는 투표를 하였다. 남군은 1862년 3월, 북군이 자신들을 아칸소주 피리지에서 꺾을 때까지 미주리 주의 남서부에서 근거지를 통치하였다. 1864년, 스털링 프라이스 장군은 대담한 급슥에서 맹방을 위하여 미주리 주를 재포획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오늘날의 캔자스시티의 일부인 웨스트포트에서 패하였다. 프라이스의 패배는 주에서 전면적인 싸움의 종말을 표하였다. 전쟁을 통하여 북군과 남군 양쪽 게릴라들의 단체들이 미주리 주의 시골을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그들은 타운들을 불태우고 약탈하였으며, 죄없는 주민들을 살인하였다. 1865년, 남북 전쟁이 끝난 후, 미주리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그 헌법은 자신이 친남부적이 아니라고 맹세하는 것을 거절한 아무에게 투표하는 권리를 부인한 조항을 포함하였다. 이 인기없는 조항은 1870년에 폐지되었다. 주로서의 향상[편집]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루이지애나 매입 박람회 (1904년) 1850년과 1970년, 사이에 미주리 주에서 많은 변화들이 생겼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는 중요한 교통의 중심지들이 되었다. 경계 지방이 사라지고, 산타페이 산길에 멕시코와의 무역이 끝났다. 세인트루이스가 세계에서 거대한 모피 시장들 중 하나로 남아있음에 불구하고 모피 교역이 적게 중요해졌다. 소작인들은 밭들에서 일한 일부 노예들을 상대적으로 대체하였다. 1875년, 미주리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그 헌법은 주지사의 임기를 2년에서 4년으로 재설립하였다. 또한 비율과 선적 상태를 규제하기 위해 주의 철도 위원회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남북 전쟁 이후에 거의 20년 동안 많은 전직 남군 게릴라들이 범죄자가 되었다. 그들은 은행, 역마차와 열차들을 강탈하였다. 1881년, 토머스 T. 크리텐던 주지사는 무법자들을 멈추는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그는 가장 이름난 산적들 중 하나인 제시 제임스의 체포를 위한 5000 달러의 현상금을 제공하였다. 제임스는 1882년 자신의 부하들 중 1명에게 살해되었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에서 루이지애나 매입 박람회가 열렸다. 이 세계 박람회는 미국과 다른 나라들로부터 거의 2천만명의 방문객들을 끌어들였다. 인기있는 전람은 자동차들을 나타냈다. 자동차들 중 하나는 뉴욕 시로부터 세인트루이스로 먼길을 무릎쓰고 운전해 왔다. 1905년, 조지프 W. 포크 주지사는 주의 가장 향상적인 행정 중 하나를 시작하였다. 미주리 주는 주 전체의 예비 선거들을 채택하고 정치적, 사회적과 산업적 개혁들을 시작하였다. 법률들은 미주리의 공장들에서 노동 상태에 대한 조사 요구가 통과되었다. 다른 법률들은 주에서 어린이 노동과 공공적 유용을 규제하였다.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미주리 주의 광업, 제조업과 농업이 국가의 군사들을 공급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린 카운티에서 태어난 존 퍼싱 장군이 프랑스에서 미군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런디 카운티에서 태어난 에노크 H. 크라우더 장군은 의무 병역 제도의 초대 국장이 되었다. 세인트루이스 지역을 위한 전력의 중요한 근원인 배그널 댐이 1931년에 완공되었다. 댐으로 인해 모아진 물들이 오자크 산맥의 미주리 호를 형성하였다. 1930년대의 대공황이 일어난 동안에 많은 미주리 주민들이 자신들의 직업을 잃고 농부들은 저가격 때문에 고통을 겪었다. 가이 B. 파크 주지사 아래에 주 정부의 피고용인들의 다수가 절단되고 정부의 운영비들이 축소되었다. 연방 정부는 고용과 구제를 마련하도록 미주리 주에서 일부 특약점들을 세웠다. 1900년대 중반[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는 동안에 군사를 위한 공급물들을 마련하기 위해 미주리 주에서 많은 새로운 산업들이 발달하였다. 1945년, 주는 새 헌법을 채택하였다. 1944년, 인디펜던스의 상원 해리 트루먼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 아래에서 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45년, 루스벨트가 사망한 뒤에 트루먼은 대통령이 되었고, 1948년 대통령으로서 완전한 임기로 당선되었다. 1950년대 동안에 새로운 산업 지대들이 미주리 주의 경제를 상승시켰다. 전자 공장 지대가 조플린에 열리고 세인트루이스와 니어쇼의 공장들이 우주선을 위한 부품들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우라늄 가공 지대는 웰던스프링에서 운영으로 들어갔다. 1960년대 동안에 미주리 주는 더 많은 산업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강한 추진력을 발휘하였다. 그 일은 또한 한 해에 5억 달러의 비즈니스가 된 관광업에 용기를 주었다. 미주리 주의 광업은 1960년대에 크로퍼드, 덴트, 프랭클린, 아이언과 워싱턴 카운티에서 철광석의 매장량들의 발견과 함께 확장되었다. 1960년대 초반에 들어서 미주리 주의 공동 학교들의 대부분이 인종 차별 대우를 폐지하였다. 주 헌법은 인종적으로 분리된 학교들을 위하여 마련되었다. 그러나 1954년, 미국 대법원은 공동 학교들의 의무적 인종 분리는 비헌법적이라고 판결하였다. 1900년대 후반[편집] 1970년대 동안에 도시 문제들은 미주리 주에서 증가적으로 심각해졌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에서 예를 들어 많은 중류 가정들이 외곽들로 이주하였다. 인구의 변화는 거의 재정적 후원의 도시들을 유출시켰다. 부적당한 교통과 늘어나는 범죄가 미주리 주의 도시들의 문제들에 추가되었다. 대도시들은 새로운 비즈니스들과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자신들의 다운타운 지역들을 재개발하는 시도를 하였다. 미주리 주의 농장 공동체는 1980년대 중반에 국내적 농장 위기가 일어난 동안에 고통을 겪었다. 많은 농부들은 자신들의 농장들을 지킬 여유가 없었다. 미주리 주의 산업들의 다수도 또한 외국 무역 제한이 늦추어지면서 이 시기에 고통을 겪었다. 하지만 주의 경제는 1990년대에 향상되었다. 미주리 주는 또한 환경적 문제들에 직면하임였다. 새로운 대지 개발들로부터 온 유거수가 호수들을 진흙으로 더럽히고 표토의 대지를 빼앗았다. 매립지들과 정화 탱크들로부터 온 오염아 지하수 공급에 위협을 가하였다. 1980년대 초반에 유독한 물질 다이옥신의 높은 레블이 세인트루이스 근처의 타임스비치와 다른 미주리의 지역들에서 발견되었다. 미국 정부는 타임스비치에서 모든 주택과 비즈니스들을 사들였다. 1997년, 정화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정부는 대지를 주에게 넘겨주었다. 미주리 주는 대지에 산길 66 주립 공원을 설립하였다. 1993년, 미시시피-미주리 강을 따라 일어난 파괴적인 홍수가 중서부에서 주들에 심하게 영향을 주었다. 미주리 주는 재앙으로 인해 가장 세게 타격을 받은 주들 중 하나였다. 홍수들은 주에서 재산의 수조 달러의 가치와 수확물에 손상을 입혔다. 21세기[편집] 문제들의 악의에서 주의 경제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의 시작으로 들어가면서 강하게 남아있었다. 많은 농산물들은 지속적으로 번영하였고, 새로운 혹은 확장된 공장들은 도시들에서 튀어올랐다. 추가로 관광업은 미주리 주를 위한 1조 달러의 산업이 되었다. 세인트루이스, 캔자스시티와 스프링필드는 주요 비즈니스, 종교적과 정치적 집회들을 끌어들였다. 오자크 산맥은 넓은 지역으로부터 피서객들을 끌었다. 오자크 산맥의 타운 브랜슨은 주요 목적지를 유지하였다. 브랜슨은 1990년대에 들어서 컨트리 음악 산업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1990년대 중반에 브랜슨에서 개발된 판로 쇼핑몰들도 또한 타운의 항소에 추가되었다. 경제[편집] 서비스업[편집] 세인트루이스 연방 준비 은행 서비스업은 미주리 주의 고용과 국내총생산의 대략 5분의 4를 차지한다. 서비스업의 대부분은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에 집중되어 있다.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는 둘다 중서부의 주요한 재정적 도시들 사이에 있다. 각각의 도시는 연방 준비 은행의 구역 지점의 본거지이다. 많은 호텔, 식당과 소매상들도 또한 세인트루이스와 캔자스시티 지역들에 있다. 주도인 제퍼슨시티는 정부 활동의 중심지이다. 컬럼비아, 캔자스시티, 세인트루이스와 스프링필드는 미주리 주에서 보건의 주요 중심지들이다. 교통 서비스들은 미주리 주의 경제에 중요하다. 주요 이삿짐 회사들은 펜턴에 기지를 두었다. 많은 철도들이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에 큰 운영들을 두었다. 어떤 상사들은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미시시피 강과 미주리 강에서 부선을 이용한다. 제조업[편집]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앤하이저부시 양조장 미주리 주의 제조업은 거의 캔자스시티와 세인트루이스의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에서 생산된다. 화학, 식료품과 교통 수단들은 주요한 제조품들이다. 화학 산업은 비료, 살충제, 약품과 비누의 생산을 포함한다. 세인트루이스 지역은 주의 총 화학품 제조업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낙농제품 가공 지대들은 스프링필드와 다른 도시들에 있다. 세인트루이스는 주요한 맥주 양조사 앤하이저부시의 본거지이다. 국가의 겨울밀 벨트의 중앙에 있는 캔자스시티에는 큰 밀가루 제분소가 있다. 미주리 주에서 제조되는 교통 수단들은 항공기, 보트, 열차, 트럭과 트럭의 트레일러를 포함한다. 미주리 주는 트럭 생산을 선도하는 주로서 손꼽힌다. 캔자스시티, 세인트루이스와 웬츠빌에 있는 공장 지대들이 트럭을 제조한다. 세인트루이스는 미국에서 군사 항공의 생산을 위한 주요한 주들 중 하나이다. 미주리 주에서 만들어지는 다른 제품들은 합성 금속 제품, 기계와 인쇄 물자들을 포함한다. 미주리 주의 합성 금속 제품들은 탄약, 문과 상점의 기계 제품들을 포함한다.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공장 지대들은 난방 기계들을 만든다. 캔자스시티는 미국에서 그리팅 카드 생산주 홀마크 카즈의 본거지이다. 농업[편집] 농장들은 미주리 주 대지 지역의 대략 3분의 2를 뒤덮고 있다. 가축과 축산물은 미주리 주 농장 소득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육우, 돼지와 칠면조의 주요한 사육지들 중 하나이다. 육우와 젖소의 생산은 미주리 주의 중부와 남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돼지 농장들은 주의 전역에 걸쳐 중요하다. 미주리 중부의 농부들은 대부분의 칠면조를 기른다. 수확물도 또한 미주리 주 농장 소득의 대략 절반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옥수수, 수수와 콩의 중요한 생산지이다. 옥수수 농장들이 가장 많이 모인 곳은 주의 북부 절반과 남동부의 모퉁이이다. 오드레인 카운티 지역과 주의 남동부 모퉁이는 대부분의 수수를 재배한다. 주의 북부와 남동부는 가장 큰 대두의 생산 지역들이다. 농부들은 면화, 건초와 밀을 대량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광업[편집] 납, 석회와 포틀랜드 시멘트는 미주리 주 광업 소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미주리 주는 납과 석회의 생산에서 주들을 선도하고 있다. 납은 주의 남동부, 특히 아이언과 레이놀즈 카운티들에서 채굴된다. 구리, 은과 아연도 납의 광산들로부터 생산된다. 석회암은 주의 전역을 통하여 채굴된다. 미주리 주는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요한 생산지이다. 주에는 또한 석탄의 비축분을 가지고 있다. 석탄은 주로 베이츠 카운티에 있는 노천 광산들에서 나온다. 미주리 주의 다른 광물들은 점토, 백운석, 준보석, 화강암, 석유와 모래와 자갈을 포함한다. 주민[편집] 세인트루이스의 야경 2000년, 미국 인구 조사국은 미주리 주의 인구가 5,595,211명이라고 보고하였다. 1990년의 5,117,073명에서 대략 9 퍼센트나 증가하였다. 2000년, 조사국에 따르면 미주리 주가 인구에서 50개의 주들 중에 17위이다 미주리 주민의 대략 4분의 3은 주의 8개의 메트로폴리탄 지역에 살고 있다. 대략 3분의 1은 일리노이주에 걸쳐진 세인트루이스 메트로폴리탄 지역에 산다. 미주리 주의 다른 메트로폴리탄 지역들은 컬럼비아, 파예트빌(아칸소주) - 스프링데일(아칸소주) - 로저스, 제퍼슨시티, 조플린, 캔자스시티, 세인트조지프와 스프링필드이다. 캔자스시티는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세인트루이스는 두 번째로 크다. 두 도시는 국가의 주요 교통, 곡식과 가축의 중심지로 손꼽힌다. 다른 중요한 도시들에는 스프링필드, 인디펜던스와 컬럼비아가 있다 미주리 주에 사는 주민들의 대략 11 퍼센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다. 다른 큰 인구 집단에는 독일, 아일랜드, 영국, 아메리카 인디언,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스, 네덜란드 계통의 주민들이 포함된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미주리주 미주리 주정부 홈페이지 vdeh 미국의 행정 구역주 네바다 네브래스카 노스다코타 노스캐롤라이나 뉴멕시코 뉴욕 뉴저지 뉴햄프셔 델라웨어 로드아일랜드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메인 몬태나 미네소타 미시간 미시시피 미주리 버몬트 버지니아 사우스다코타 사우스캐롤라이나 아이다호 아이오와 아칸소 알래스카 애리조나 앨라배마 오리건 오클라호마 오하이오 와이오밍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위스콘신 유타 인디애나 일리노이 조지아 캔자스 캘리포니아 켄터키 코네티컷 콜로라도 테네시 텍사스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하와이 특별구워싱턴 D.C. (컬럼비아 특별구)행정 관할 괌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북마리아나 제도 아메리칸사모아 푸에르토리코 군소 제도 나배사 섬 미드웨이 환초 베이커 섬 웨이크 섬 자르비스 섬 존스턴 환초 킹먼 암초 팔미라 환초 하울랜드 섬 전거 통제 WorldCat VIAF: 146566329 LCCN: n79029210 ISNI: 0000 0004 0382 5489 GND: 4039591-1 BNF: cb119374724 (데이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미주리주&oldid=24376111" 분류: 미주리주미국의 주미국 중서부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አማርኛAragonésÆngliscالعربيةܐܪܡܝܐمصرىAsturianuAymar aruAzərbaycancaتۆرکجهБашҡортсаBoarischŽemaitėškaBikol Central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भोजपुरीBislamaবাংলাবিষ্ণুপ্রিয়া মণিপুরীBrezhonegBosanskiБуряадCatalàChavacano de ZamboangaMìng-dĕ̤ng-ngṳ̄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Corsu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ZazakiΕλληνικάEmiliàn e rumagnòl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ArpetanNordfriiskFryskGaeilgeGagauzGàidhligGalegoAvañe'ẽ𐌲𐌿𐍄𐌹𐍃𐌺ગુજરાતીGaelgHausa客家語/Hak-kâ-ngîHawaiʻiעבריתहिन्दीFiji Hindi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ԱրեւմտահայերէնInterlinguaBahasa IndonesiaInterlingueIgboIñupiakIlokanoIdoÍslensk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TaqbaylitKabɩyɛҚазақшаಕನ್ನಡKurdîKernowekLatinaLadinoLëtzebuergeschLingua Franca NovaLimburgsLigureLumbaartلۊری شومالیLietuviųLatviešuमैथिलीMalagasyОлык марийMāori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Кырык марыBahasa Melayuမြန်မာဘာသာمازِرونیDorerin NaoeroPlattdüütschNedersaksiesनेपाली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NouormandDiné bizaadOccitanИронਪੰਜਾਬੀKapampanganDeitschपालिPolskiPiemontèisپنجابیPortuguêsRuna Simi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संस्कृतम्Саха тыла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Gagana SamoaShqipСрпски / srpskiSeelterskSvenskaKiswahiliŚlůnski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agalog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ئۇيغۇرچە / Uyghurch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VolapükWinaray吴语ХальмгIsiXhosaმარგალურიייִדישYorùbá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4일 (화) 11:3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미주리주(State of Missouri)는 미국 중서부에 있는 주이다. 북쪽으로 아이오와주, 동쪽으로 미시시피강을 끼고 일리노이주·켄터키주·테네시주, 남쪽으로 아칸소주, 서쪽으로 오클라호마주·캔자스주·네브래스카주(뒷 두 주와는 미주리 강을 사이에 두고 있다)와 접한다. 1820년, 미주리 타협으로 노예주에 속했으며, 결국 남북 전쟁 당시 북부 지지자와 남부 지지자가 반반씩 갈리고 말았다. 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먼이 러마 시 출신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미주리주 경제가 향상된 게 몇년대야? Assistant: 1990년대
Human: 아래 아리야스_모모카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리야스 모모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리야스 모모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리야스 모모카 기본 정보본명 有安杏果출생 1995년 3월 15일(1995-03-15) (24세)사이타마현국적 일본장르 제이 팝활동 시기 1995년 ~ 2018년2019년 ~ 현재 소속사 어플리코드(2019년 ~ )관련 활동 모모이로 클로버 Z웹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 공식 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有安杏果, 1995년 3월 15일 ~ )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전 모모이로 클로버 Z의 멤버. 목차 1 약력 2 인물 3 출연 3.1 CM 3.2 TV 프로 3.3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3.4 영화 3.5 PV 3.6 그 외 4 작품 4.1 앨범 5 각주 6 외부 링크 약력[편집] 1995년 0살 때, 캐럿에 소속해 아기의 잡지 모델 등, 예능 활동을 시작한다. 2004년 후지TV 「폰킥키즈 21」에 「시스타라빗트」로서 참가. 동시기에 EXPG에 들어간 EXILE의 키즈 댄서등을 맡았다. 2009년 2월 1일, 스타더스트 프로모션에 이적. 아이돌 그룹「Power Age」가입. 동년 5월 31일에 해산했다. 7월 26일, 스타더스트 프로모션의 3-B Jr 멤버에 의한 아이돌 유닛「모모이로 클로버」에 가입했다. 2018년 1월 15일, 이 달 21일 라이브를 마지막으로 그룹을 졸업하는 것을 발표[1]. 아울러 소속사 계약도 종료되게 되었다.그 이유를 본인은 블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1월 21일, 본인 마지막 라이브인「모모이로 클로버 Z 2018 OPENING ~새로운 하늘에~」에 인해 모모이로 클로버 Z를 졸업. 2019년 1월 15일, 활동 재개. 인물[편집] 취미는 노래, 댄스. 특기는 댄스.부모님이 칸사이 출신으로, 칸사이 사투리를 이야기할 수 있다. 또한 본인도 태생은 칸사이이다. 모모이로 클로버 Z내에서의 멤버 칼라는 초록. 조금 시시한 캐릭터 담당. 주위로부터 이야기가 길다고 말해지는 것 같다. 니혼 TV 계열로 방송 샤베쿠리 007에서는, 너무나 길어서 다른 출연자는, 이야기를 듣지 않고 변안을 피로했다. 블로그에서는 "있습니다"를, 자신의 성과 걸쳐「아」라고 표기한다. 출연[편집] CM[편집] 져스트 시스템 하나코 9 토미 테레타피즈 봉제인형 P&G 표백제 에이스 이토오 요카도 여름의 바겐 세일 마스터 푸즈 카르칸데리카스타이르카르칸탄 미트칸 주먹밥산 세가토이즈 노래해 춤추자 호빵맨 일본 맥도날드 해피세트 「파비의 숲」 「맥 로보트 2」 「해피의 고리 퍼진다!」 「라이온 킹」 코바야시제약 열기시트 파나소닉 3 CCD 데지캄 쟈스코(현 : 이온) 연말선물 이온 2002 이온 페스티벌·유카타 신학기 준비 페어 DVD TV 시세이도 슈퍼 마일드 샴푸 에스비식품 「녹는 스튜」 「녹는 카레」 닌텐도 포케모션 왕자 네피아 NEW 드레미판트 델 프라도「즐김 초등학교 영어」 환미가게 포켓몬 「뿌려&카레」 하우스식품 프라임 카레 다이와 하우스 토호가스 TV 프로[편집] 프렌치 포테이토 컵(요미우리 TV) - 주연(무로이 시게루)의 딸 역 론브용 (니혼TV) 토요일 특집 드라마 지상의 사랑 ~사랑은 바다를 넘어~ (2001년,NHK) - 유리(주연 : 미나미 카호 · 토요카와 에츠시의 아가씨) 역 산토리 미스터리 대상 스페셜 시의 물가(2001년, TV 아사히) - 아카네자와 히로미 (소녀시대) 역 월요일 미스터리 극장 펫트싯타 사와구치 하나코의 사건부 (2001년, TBS) - 에리 역 화요일 서스펜스 극장 아버지 (2001년, 니혼TV) - 코구레 메구미(주연 : 후지타 마코토의 손) 역 SMAP×SMAP 특별편 사란헤요 사랑의 극장의 사랑의 노래 「켄보하세요~행복해져∼」(2002년, 후지TV) - 쿠사나기 츠요시의 딸 역 초과해 형사 정열계 제359화 (2002년, TV 아사히) 폰킥키즈 21 (2004년 ~ 2005년, 후지TV) - 시스타라빗트 모모카 김전일 소년 사건부 SP (2005년, 니혼TV) 금요일 엔터테인먼트 사모님은 경시총감 (2006년, 후지TV) 드라마 30 이 최근 저작물 ~리턴키즈~ (2006년, TBS) - 츠지야시 유카 역 텔레비전 애니메이션[편집] 요스가노소라 (2010년, AT-X) - 여학생 역 영화[편집] 은의 엔젤 (2004년) - 고바야시 카오리 역 PV[편집] 하야시 아스카「소선물」(2003년) SMAP「친구에게 ~Say What You Will~」(2005년) EXILE「Choo TRAIN」(2008년) EXILE「은하철도 999」(2008년) 그 외[편집] V시네마 기시와다 소년 우연대 GoingMyWay (2003년) 라운드 원「스플래쉬」(DVD) (2004년) 작품[편집] 앨범[편집] ココロノオト (2017년 10월 11일) 각주[편집] ↑ “有安杏果「ももクロ」卒業を電撃発表「普通の女の子の生活を送りたい」”. 《Sponichi Annex》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8년 1월 15일.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아리야스 모모카 공식 사이트 아리야스 모모카 오피셜 블로그「모모파워 충전소(ももパワー充電所)」 모모이로 클로버 공식 블로그 (GREE) 이미츠부 - imatsubu 모모이로 클로버 오피셜 블로그 아리야스 모모카 - 트위터 아리야스 모모카 - 인스타그램 vdeh모모이로 클로버 Z ■모모타 카나코 ■타카기 레니 ■타마이 시오리 ■사사키 아야카 전 멤버 ■하야미 아카리 ■아리야스 모모카 데뷔 전 멤버 카와카미 리사 타카이 츠키나 와가와 미유 이쿠라 마나미 후지시로 스미레 카시와 유키나 싱글일반 발매인디즈 1.모모이로 펀치 2.미래에 나아가! 메이저 1.가자! 괴도소녀 2.핑키 존즈 3.미래 볼/Chai Maxx 4.Z전설 ~끝없는 혁명~ 5.D'의 순정 6.노동찬가 7.맹렬 우주 교향곡·제7악장 〈무한한 사랑〉 8.소녀 전쟁 9.안녕, 사랑스러운 슬픔들이여 10.GOUNN 11.울어도 괜찮아 12.MOON PRIDE 13.꿈의 부세에 피어봐 14.청춘부 15.「Z」의 맹세 16.더·골든·히스토리 17.BLAST! 18.웃어봐 ~샤오이샤오!~ 착신 한정 1.Re:Story 2.너 성급한것 같아!! 3.천국의 엉터리 4.GODSPEED 5.Sweet Wanderer 한정 발매 1.너 눈 2.아카링에게 보내는 노래 3.흰 바람 4.우리의 센추리 5.울어버릴 것 같은 겨울/강철의 의지 6.한 방울의 웃는 얼굴로…/Chai Maxx ZERO 다른 명의 일본 웃음 백경(모모쿠로테이 이치몬) JUMP!!!!!(Twinkle5) 앨범일반 발매오리지널 1.배틀 앤 로맨스 2.5TH DIMENSION 3.AMARANTHUS 4.백금의 새벽 5.MOMOIRO CLOVER Z 콤필레이션 1.입구 없는 출구 2.MCZ WINTER SONG COLLECTION 베스트 1.MOMOIRO CLOVER Z BEST ALBUM 「모모모십, 반차도 출화」 한정 발매 1.모모쿠로★올 스타즈 2012 2.모모이로 클로버 Z JAPAN TOUR 2013 〈GOUNN〉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전거 통제 뮤직브레인즈: 7b371d35-de97-4509-8ad6-e40b2e332b0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리야스_모모카&oldid=23936212" 분류: 모모이로 클로버 Z일본의 여자 가수아이돌 가수일본의 아이돌1995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사이타마현 출신일본의 여자 어린이 배우니혼 대학 동문숨은 분류: 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BislamaEnglishEspañolفارسیFrançais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Русский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9일 (금) 23:5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리야스 모모카(有安杏果, 1995년 3월 15일 ~ )는 일본의 여성 아이돌 그룹 전 모모이로 클로버 Z의 멤버.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리야스 모모카가 광고 출연한 햄버거 회사는 어디인가? Assistant: 맥도날드 Human: 아래 한국개발연구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개발연구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개발연구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DI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KDI Sejong 국무조정실 산하의 재단법인 정부출연 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韓國開發硏究院,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는 197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과학분야 종합정책연구소이다. 거시경제, 금융, 재정, 사회보장, 노동, 산업, 무역, 경쟁정책, 북한경제 등 경제·사회 제반 분야의 연구를 통해 정부 정책수립과 제도개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반곡동)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린 'G20 서울 국제심포지엄'에서 'G20 체제의 역할과 정체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함과 아울러, 개발의제를 중심으로 G20 정상회의서 논의될 주요 의제 전반을 사전에 점검하기도 하였다[2]. 펜실베이니아 대학 '국제관계 프로그램(International Relation Program)'산하 '씽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hink Tank and Civil Society Program, TTCSP)'이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씽크탱크 순위(Global Go To Think Tanks Report)'에서 2017년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에서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싱크탱크 5위, 미국 포함 19위에 선정되었다. 아시아주요국가(중국, 인도, 일본, 한국) 중에서는 1위에 랭크되었으며 국제개발 부문 역시 지난해 이어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영국 채텀하우스를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3] 현재 거시경제연구부, 금융경제연구부, 경쟁정책연구부,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재정․복지정책연구부, 북한경제연구부 등 8개 연구부서와 글로벌경제연구TF, 연금재정추계TF를 운영하고 있다. 목차 1 주요 사업 2 연혁 3 조직 3.1 한국개발연구원장 3.1.1 부원장 3.1.1.1 수석이코노미스트그룹 4 부설기관 5 주요 보고서 6 역대원장 7 각주 8 외부 링크 주요 사업[편집] 기관고유사업: 기본연구사업, 연구관련사업, 연구지원사업 일반사업: 민간투자지원사업, 공공기관투자평가사업, 시장경제 및 글로벌경제 관련 특화사업, 국제개발협력사업, 『한국경제·사회발전 60년』기록 사업 - 원로들의 증언 -, G20 관련 연구, 부동산정책 연구역량 강화사업, OECD 한국센터, 글로벌 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응 전략, 서비스경제연구사업, 고등학교 경제교과서 검정관련 연구 수탁용역사업 부설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육사업 연혁[편집] 1970년 12월 31일: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2247호) 제정 공포 1971년 03월 11일: 한국개발연구원 설립 등기 1982년 00월 00일: 국제교류협력센터(IDEP) 설치 1982년 05월 06일: 미국 워싱턴에 한국경제센터(KEI) 설립 1990년 11월 15일: 북한경제연구센터 설치 1991년 12월 27일: 국민경제제도연구원 흡수·통합(법률 제4446호) 1991년 12월 27일: 부설 국민경제교육연구소 발족 1994년 03월 09일: 법·경제연구센터 설치 1995년 12월 05일: 국제대학원대학 설립 관련 한국개발연구원법(법률 제5047호) 개정 1997년 12월 05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 개원 1998년 09월 18일: 국민경제교육연구소를 경제정보센터(EIEC)로 명칭 변경, 본원 이전 1999년 11월 06일: 부설 국제대학원대학을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대학교로 명칭 변경 2000년 01월 06일: 공공투자관리센터 설립 2005년 01월 27일: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민간투자지원센터를 흡수하여 법적 부설기관으로 발족 2009년 09월 11일: 국제개발협력센터(CID) 설립 2014년 06월 01일: 규제연구센터 설립 조직[편집] 한국개발연구원장[편집] 감사 연구자문위원회 글로벌경제연구실 중앙전산실 중앙도서실 경제정보센터 종합교육연수원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규제연구센터 국제정책대학원 부원장[편집] 연구조정실 경영지원실 대외협력실 디지털커뮤니케이션실 수석이코노미스트그룹[편집] 거시경제연구부 금융경제연구부 경쟁정책연구부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재정·복지정책연구부 북한경제연구부 부설기관[편집] 경제정보센터 공공투자관리센터 국제개발협력센터 규제연구센터 KDI 국제정책대학원 종합교육연수원 주요 보고서[편집] 1970년대: '연구조사보고서 제1권 기업정리에 대한 의견', '제4차 경제발전5개년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전략', '5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수정과제연구', '6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관련과제연구', 'The Economic and Social Moder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rowth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The Developmental Role of the Foreign Sector and Aid', 'Public Finances During the Korean Modernization Process', 'Financial Development in Korea',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in Economic Development: The Korean Case', 'Educ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Population Policy, and Demographic Transi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rbanization and Urban Problems', 'Rural Development', 'The Korean Economic "Miracl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The Sources of Economic Growth in Korea', '장기경제사회발전 1977~91年 답신보고서', '경제안정화시책자료집(상)', '경제안정화시책자료집(하)', '경제난국 극복대책', '시장구조와 독과점규제' 1980년대: '정부투자기관 관리제도 개선방안', '관세정책의 현황과 개편방향: 정책협의회 자료', '새로운 산업정책의 모색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보고서', '국민연금제도의 기본구상과 경제사회 파급효과' 1990년대: '남북한 경제관계 발전을 위한 기본 구상', '금융실명제 실시 1주년 평가 및 향후 과제', '금융실명제 관련 문답자료', '금융실명제 시행에 따른 세제보완', 'The Korean Economy 1945-1995: Performance and Vision for the 21st Century ', '한국경제 반세기: 역사적 평가와 21세기 비전', '한국경제 반세기: 정책자료집', '경제위기 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경제위기 10년: 평가와 과제' 2000년대: '2011 비전과 과제: 열린 세상 유연한 경제', '정부산하기관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Reforming the Public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 ', '중기재정 관리체계의 도입과 정착',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2)',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1)',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2)',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에 관한 종합연구',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에 관한 종합연구(2)', '전략적 서비스산업의 중장기 발전방안',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서비스부문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비정규직 문제 종합 연구', '주택시장 분석과 정책과제 연구', '부동산정책의 종합적 검토와 발전방향 모색' 2010년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향', 'Economic Growth in Low Income Countries: How the G20 Can Help to Raise and Sustain it ', 'G20 The Seoul Summit ', 'Toward the Consolidation of the G20 ', 'Global Leadership in Transition ', 'Post Crisis Growth and Developmen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상)',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택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하)', '전환기 부동산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상)', '전환기 부동산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하)',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1)',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축을 위한 패러다임 전환(2)' 역대원장[편집] 제1대 김만제 원장(1971.03.11∼1982.01.19) 제2대 김기환 원장(1982.01.19~1983.10.15) 제3대 안승철 원장(1983.11.07~1986.10.17) 제4대 박영철 원장(1986.10.17~1987.05.29) 제5대 구본호 원장(1987.06.03~1992.03.10) 제6대 송희연 원장(1992.03.11~1993.05.17) 제7대 황인정 원장(1993.05.18~1995.03.10) 제8대 차동세 원장(1995.03.11~1998.03.10) 제9대 이진순 원장(1998.03.11~2001.03.10) 제10대 강봉균 원장(2001.03.11~2002.06.10) 제11대 김중수 원장(2002.08.06~2005.08.07) 제12대 현정택 원장(2005.11.24~2009.03.20) 제13대 현오석 원장(2009.03.24~2013.03.21) 제14대 김준경 원장(2013.03.22~2017.12.26) 제15대 최정표 원장(2018.03.29~현재) 각주[편집] ↑ KDI 홈페이지 ↑ 동아일보 '[G20서울국제심포지엄 현오석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원소식 - 보도자료 - KDI, 글로벌 싱크탱크 5위 선정” (카누리어). 2019년 1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한국개발연구원 - 공식 웹사이트 한국개발연구원 - 알리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한국개발연구원 모바일웹 EIEC 경제정보센터 홈페이지 PIMAC 공공투자관리센터 홈페이지 CID 국제개발협력센터 홈페이지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홈페이지 한국개발연구원 - 페이스북 비디오 - 유튜브 vdeh 대한민국의 기타공공기관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공정거래위원회 산하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금융위원회 산하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국가보훈처 산하 88관광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 기획재정부 산하 한국투자공사 한국수출입은행 교육부 산하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체국시설관리단 광주과학기술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별정우체국연금관리단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진흥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국립부산과학관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외교부 산하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통일부 산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법무부 산하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IOM이민정책연구원 국방부 산하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산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악방송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정동극장 한국문화정보원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저작권보호원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약진흥재단 한일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워터웨이플러스 한국상하수도협회 환경보전협회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기술자격검정원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국토교통부 산하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에스알 한국건설관리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보안공사 인천항보안공사 한국어촌어항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연구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한국산학연협회 관세청 산하 국제원산지정보원 방위사업청 산하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문화재청 산하 한국문화재재단 산림청 산하 한국수목원관리원 특허청 산하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기상청 산하 APEC기후센터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vdeh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국가보훈처 인사혁신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본부 소속 실장 차장(2인) 조세심판원 대테러센터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산하 공공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무조정실장은 장관급, 국무차장(2인 ; 국무1차장 및 국무2차장)은 차관급이다.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겸임하고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 사무처장은 고위공무원 가급(1급 상당)의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이 겸임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개발연구원&oldid=23612705" 분류: 1971년 설립정부출연연구기관싱크탱크세종특별자치시의 건축물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숨은 분류: CS1 - 카누리어 인용 (kr)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日本語Русский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일 (금) 16: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개발연구원(韓國開發硏究院,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는 1971년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사회과학 분야 종합정책연구소이다. 국무총리(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재단법인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며, 거시경제, 금융, 재정, 사회보장, 노동, 산업, 무역, 경쟁정책, 북한경제 등 경제·사회 제반 분야의 연구를 통해 정부 정책수립과 제도개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남세종로 263 (반곡동)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린 'G20 서울 국제심포지엄'에서 'G20 체제의 역할과 정체성'을 이론적으로 논의함과 아울러, 개발의제를 중심으로 G20 정상회의서 논의될 주요 의제 전반을 사전에 점검하기도 하였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국제관계 프로그램(International Relation Program)'산하 '씽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hink Tank and Civil Society Program, TTCSP)'이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씽크탱크 순위(Global Go To Think Tanks Report)'에서 2017년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에서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싱크탱크 5위, 미국 포함 19위에 선정되었다. 아시아주요국가(중국, 인도, 일본, 한국) 중에서는 1위에 랭크되었으며 국제개발 부문 역시 지난해 이어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영국 채텀하우스를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현재 거시경제연구부, 금융경제연구부, 경쟁정책연구부, 인적자원정책연구부, 산업․서비스경제연구부, 국토․인프라정책연구부, 재정․복지정책연구부, 북한경제연구부 등 8개 연구부서와 글로벌경제연구TF, 연금재정추계TF를 운영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북한과 연관이있는 연구부는 어디인가? Assistant: 북한경제연구부
Human: 아래 한국사_교과서_국정화_논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생긴 논란이다. 고려대학교 역사 계열 학과 교수진[1][2] 등 2015년 10월 28일 현재 70여개 대학 사학계 교수들이 국정화 교과서 집필을 거부하고 각 학교 대학생들은 국정화 반대 대자보 붙이기 운동을 벌이는 등 국정화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 밖에 정치권에서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시민단체, 진보단체 등 야권에서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10월 27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 기술이 들어갈 것이 없을 것이며, 만약 들어간다면 대통령 자신 부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후 먼저 나온 초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우려했던 내용이 사실로 드러나 문제가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정교과서 폐기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종료되었다. 목차 1 교육부 1.1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 1.2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 1.3 박근혜의 과거 발언 2 찬성 3 반대 4 관련 사건 4.1 비밀 TF 운영논란 4.2 최몽룡 논란 4.3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 5 주요 관련 인물 6 같이 보기 7 각주 교육부[편집] 교육부가 검정한 교과서가 좌편향[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선언 이후 현재의 역사 교과서들이 좌편향되었다고 주장 하고 있다. 하지만 좌편향되었다는 그 교과서들을 검정에서 합격시킨 주체가 교육부라는 점에서 이중적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2014년 1월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한국사 교과서 8종의 오류와 서술 내용 2,250건을 수정해 승인했다고 밝히면서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 인식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으나 1년 9개월이 지나 같은 교과서에 대해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밝히고 있다. 교육부 장관 황우여는 2015년 10월 12일 "이념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내용에 대해 교육부는 입장을 바꾼 이유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집필진의 소송과 이념 논란이 잇따라 발행 체제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만 되풀이했다. 이러한 행태는, 교과서를 정치적으로 공격하려다 자기모순에 빠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3] 반대는 정치 중립 위반, 찬성은 표현의 자유[편집] 교육부는 국정화 반대선언에 참여한 교사에 대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집단행위 금지 등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징계 방침을 밝혔다. 반면 국정화 지지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하고 집회를 연 교사들에 대해서는‘표현의 자유’를 인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국일보의 취재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정치 중립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우리(교육부)의 소관”이라고 말했다. 이런 입장에 대해 한국일보는 '자의적'이라고 비판했다.[4] 김승환 전라북도 교육감도 과거 유신헌법 개정안 찬반투표 때도 '찬성, 반대 등 어떠한 의사표현도 하지 마라'고 해놓고 반대만 억압한 것의 재판이라며 국정 교과서 반대 교사들을 징계해야 한다면 찬성 선언에 참여한 교사들도 동등한 기준에서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5][6] 이에 대해 교육부 홍보담당관 남궁양숙은 교육부에서 전교조의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대하여 엄정 대응방침을 밝힌 이유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 아니라 시국선언의 내용이 교원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하였기 때문이라면서 공무원인 교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하였는지에 대한 판단은 국정화 찬반 여부 정파성을 드러내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입장을 밝혔다.[7] 박근혜의 과거 발언[편집] 박근혜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2005년 1월,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대표시절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당시 정부가 한·일협정 관련 문서를 일부 공개하면서 박정희 정부의 굴욕적인 대일협상으로 일제하 징용자 등 피해 당사자들의 청구권이 박탈당했다는 비판이 확산되자 정부의 문서 공개를 비판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한·일협정 관련 문서 공개 다음날인 1월 18일 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직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역사를 정치적으로 다루려고 하면 자신의 잣대로 편리하게 평가하려는 유혹들이 많지 않겠냐"며 "그렇게 되면 국민들도 의혹의 시선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역사는 역사가가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날에는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여당에서 하는 일이 언론이나 국민에게 의혹을 사게 된다면 정부로서는 손해나는 일"이라며 "역사에 관한 일은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근혜 당시 대표는 “"어떤 경우든지 역사에 관해서 정권이 재단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며 "역사를 다루겠다는 것은 정부가 정권의 입맛에 맞게 하겠다는 의심을 받게 되고 정권 바뀔 때마다 역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얘기가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역사 문제는 전문가 역사학자들에게 맡겨서 평가하게 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했다. 이처럼 야당 대표 시절 "정권이 역사를 재단해선 안 되고 국민과 역사학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한 박근혜가 자신의 발언을 정면으로 뒤집고 "올바른 역사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8][9] 찬성[편집] 기독교 성향의 "한국 기독교 역사교과서 공동대책 위원회"는 국정화를 지지한다며 기자회견에서 선언.[10] 탈북단체 연합도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추진 지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어버이연합등 극우보수단체 회원들은 국정화 지지를 표명하고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했다.[11] 보수성향의 일부 언론인 "좌편향된 교과서를 바로잡는 좋은 기회"라며 지지 칼럼. 6명등의 교수, 국정화 지지표명 반대[편집]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소속 382명의 역사학과 교수들이 국정 교과서 집필 불참을 선언하며 반대표명. 국정화 발표 직후, 서울대 총학생회 국정교과서 반대선언 서울대학교 총회, 대학원 총회 등 18개 단체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서울대 네트워크를 결성, 국정화 반대를 위하여 민중 총궐기 집회 참가를 독려.[12] 고려대 교수 160명 기자회견 통해 국정화 반대 의지 표명.[13] 서울대, 고려대 외 전국 70개 대학 역사학과 교수들, 국정 교과서 반대 및 집필거부 선언. 일본중앙대학 요시미 요시아키교수, 일본 사이타마(埼玉)학원대 일본사 연구자인 후쿠토 사나에(服藤早苗) 명예교수등은 한국 국정화 교과서에 대한 의견에 "태평양 전쟁시의 일본이 떠오른다"며 이에 대해 반대 의견.[14] 광주, 전남등의 시민단체, 교육계는 국정화에 대해 거센 반발. 의사학회에 이어 보건의료계 학생 600여명 반대 서명 운동, 의대교수·의대생도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동참.[15] 김지철 충남 교육감, 이재정 경기 교육감, 장휘국 광주 교육감 등 다수 교육감의 반대의견 제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은 국정화 저지를 위하여 위헌소송도 가능하다는 의견. 605명의 변호사와 교수등은 교과서 국정화가 '위헌적 결정'이라고 주장.[16][17] 미국 시카고대 브루스 커밍스 석좌교수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바보같은 계획, 아베, 푸틴과 다름이 없다"고 반대의견.[18] 479개의 시민단체등에서 국정화 반대표명. 미국 뉴욕타임스는 11월 19일 사설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이 민주주의적 자유를 퇴행시켜려고 하는 것처럼 보여 우려스럽다,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이미지를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등으로 비판.[19] 대부분의 기독교 단체는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총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한국복음주의교회연합 등은 반대입장의 성명서를 발표했다.[20] 대한성공회는 성직자원 총회에서 "매우 위험스런 파시스트적 발상"이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21] 기독교 교사 1017명은 자신들의 실명 명단과 함께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기독교사 실천선언" 선언문을 발표했다.[22] 관련 사건[편집] 비밀 TF 운영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고시 전에 예비비를 동원해 비밀TF를 운영한 것이 논란이 되고있다.[23] 최몽룡 논란[편집] 교과서 국정화 확정 이후 상고사 분야 대표집필자로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가 선정되었다. 최몽룡의 제자들은 최 교수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참여를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는 운동을 벌였다.[24] 최몽룡 교수는 제자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국정교과서 대표집필자로 참여하기로 했다. 최교수가 국사편찬위원회 기자회견에 나오지 않자 최교수 집에 일부 기자들이 방문해 인터뷰를 요청했는데, 제자들과 잔치를 열고 있던 최교수가 기자들을 불러 인터뷰를 마치고 술을 마시던 중 기자에게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사건이 일어났다.[25] 피해 여기자들은 최교수가 신체 접촉을 하고 성적인 농담까지 했다고 밝혔다. 최몽룡 교수는 대표 집필진에서 사퇴하였다.[26] 대경상업고 교사 논란[편집] 대경상업고에서 근무하는 김형도 교사는 자신이 국정교과서 집필진으로 선정되자 그 사실을 동료교사에게 알렸는데 그과정에서 김형도 교사가 동료교사에게 보낸 메시지가 언론에 공개 되면서 김형도 교사가 국정교과서 집필진 임이 알려졌다. 언론에서 보도한 바에 의하면 이 교사는 상업을 9년간 가르쳤고 한국사는 올해 처음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사실은 많은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고 나머지 집필진의 능력이나 자질도 의심을 받게 했다. 결국 김형도 교사는 국정교과서 집필진에서 자진사퇴 하였다.[27] 주요 관련 인물[편집] 박근혜: 당시 대통령 황교안: 당시 국무총리 황우여: 당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영: 당시 교육부 차관 김동원: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 김정배: 당시 국사편찬위원장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신형식: 국정 한국사 교과서 대표 집필자 이종배: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28] 도종환: 국회의원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의안번호:2000956 ,역사교과용도서의 다양성 보장에 관한 특별법안의 대표발의자)[29] 같이 보기[편집] 교학사 민중총궐기 문명고등학교: 2017년 국정 역사교과서를 채택한 유일한 학교 각주[편집] ↑ 국사학과(10명) 동양사학과(7명) 서양사학과(5명) 고고미술사학과(7명) 역사교육과(7명)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0221127081&code=940100&nv=stand ↑ 교육부 검정하고선…이제 와서 좌편향?KBS 뉴스9, 2015년 10월 16일 ↑ 국정화 반발 누르는 ‘정치 중립 위반’… 교육부의 고무줄 잣대한국일보, 2015년 11월 4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선언 교사 징계 반대"SBS뉴스, 2015년 11월 9일 ↑ 전북교육감, "국정화 반대 명단 파악? 한다면 찬성도 함께"노컷뉴스, 2015년 11월 9일 ↑ <해명자료>「국정화 반대 교사에게만 정치중립 위반 잣대」 보도 관련 Archived 2015년 11월 18일 - 웨이백 머신교육부 2015년 11월 5일 ↑ 박 대통령, 야당 대표 시절 "역사, 정권이 재단해선 안 돼"노컷뉴스, 2015년 10월 29일 ↑ 박근혜 대통령, 한나라당 대표 시절엔 “역사는 역사학자가 판단해야 한다”더니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http://news1.kr/articles/?2465253 ↑ http://people.incruit.com/news/newsview.asp?gcd=22&newsno=2319514 ↑ http://news1.kr/articles/?2503624 ↑ http://news.donga.com/3/all/20150917/73679420/1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32310365&code=940100 ↑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no=24477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1103_0010390266&cID=10201&pID=10200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1021514101&code=940100 ↑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51103000640&md=20151104111354_BL&kr=1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596 ↑ http://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7310 ↑ http://www.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67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53971 ↑ 비밀TF 운영비도 ‘편법’ 예비비 44억서 당겨 썼다 경향신문 2015년 10월 28일 ↑ 서울대 제자들의 호소…"최몽룡선생님 집필 재고해주세요" 뉴스1 ↑ 최몽룡 집필진 자진 사퇴 “자택서 여기자를 성추행” 무슨 상황? ↑ ““여기자에 미안” 최몽룡 교수, 성추행 논란 사퇴”.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9일에 확인함.  ↑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2&cid=1027589&iid=1142563&oid=081&aid=0002646495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_w.aspx?CNTN_CD=A0002155758%7C 찬성 118, 반대 4, 침묵 30명 새누리당, 의원 소신도 '국정화'] ↑ [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한국사_교과서_국정화_논란&oldid=24194817" 분류: 2015년 대한민국박근혜 정부대한민국의 교육교과서 논쟁대한민국의 논쟁역사 논쟁2015년 논쟁역사 교육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20:0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박근혜 정부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놓고 생긴 논란이다. 고려대학교 역사 계열 학과 교수진 등 2015년 10월 28일 현재 70여개 대학 사학계 교수들이 국정화 교과서 집필을 거부하고 각 학교 대학생들은 국정화 반대 대자보 붙이기 운동을 벌이는 등 국정화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 밖에 정치권에서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시민단체, 진보단체 등 야권에서는 국정화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10월 27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역사교과서 친일·독재 미화 기술이 들어갈 것이 없을 것이며, 만약 들어간다면 대통령 자신부터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후 먼저 나온 초등학교 국정교과서에서 우려했던 내용이 사실로 드러나 문제가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정교과서 폐기를 결정하면서 논란이 종료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5년 10월 교육부 장관이었던 사람의 이름은? Assistant: 황우여 Human: 아래 포항시의_행정_구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읍, 10개 면,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1 북구 1.1 읍·면 1.2 동 2 남구 2.1 읍·면 2.2 동 3 역사 4 각주 5 외부 링크 북구[편집] 읍·면[편집]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흥해읍 (興海邑) 학성리, 중성리, 약성리, 성내리, 남송리, 망천리, 남성리, 옥성리, 성곡리, 초곡리, 마산리, 북송리, 용곡리, 양백리, 용전리, 용천리, 덕장리, 덕성리, 금장리, 흥안리, 곡강리, 용한리, 칠포리, 오도리, 우목리, 죽천리, 매산리, 학천리, 이인리, 대련리 기계면 (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화봉리, 화대리, 내단리, 성계리, 학야리, 봉계리, 고지리, 지가리, 인비리, 남계리, 가안리, 구지리, 계전리, 미현리 기북면 (杞北面) 용기리, 관천리, 율산리, 대곡리, 탑정리, 오덕리, 성법리 신광면 (神光面) 사정리, 토성리, 호리, 우각리, 흥곡리, 냉수리, 죽성리, 상읍리, 안덕리, 기일리, 반곡리, 만석리, 마북리 송라면 (松羅面) 상송리, 하송리, 중산리, 광천리, 조사리, 방석리, 화진리, 대전리, 지경리 죽장면 (竹長面) 입암리, 일광리, 지동리, 정자리, 감곡리, 침곡리, 매현리, 방흥리, 현내리,두마리,봉계리,월평리, 합덕리, 석계리, 상사리, 하사리, 가사리, 상옥리, 하옥리 청하면 (淸河面) 신흥리, 소동리, 고현리, 하대리, 상대리, 서정리, 명안리, 유계리, 청계리, 덕천리, 덕성리, 월포리, 필화리, 용두리, 미남리, 이가리, 방어리, 청진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두호동 (斗湖洞) 두호동 (斗湖洞) 양학동 (良鶴洞) 득량동 (得良洞) 학잠동 (鶴岑洞) 용흥동 (龍興洞) 용흥동 (龍興洞) 우창동 (牛昌洞) 우현동 (牛峴洞) 창포동 (昌浦洞) 죽도동 (竹島洞) 죽도동 (竹島洞) 중앙동 (中央洞) 중앙동 (中央洞) 동빈동1가 (東濱洞一街) 동빈동2가 (東濱洞二街) 덕산동 (德山洞) 덕수동 (德山洞) 여천동 (余川洞) 상원동 (上元洞) 남빈동 (南濱洞) 신흥동 (新興洞) 대흥동 (大興洞) 항구동 (港口洞) 대신동 (大新洞) 학산동 (鶴山洞) 장량동 (長良洞) 장성동 (長城洞) 양덕동 (良德洞) 환여동 (環汝洞) 환호동 (環湖洞) 여남동 (汝南洞) 남구[편집] 읍·면[편집] 3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구룡포읍 (九龍浦邑) 구룡포리, 삼정리, 석병리, 눌태리, 후동리, 병포리, 하정리, 장길리, 구평리, 성동리 연일읍 (延日邑) 오천리, 생지리, 괴정리, 동문리, 인주리, 택전리, 중단리, 중명리, 우복리, 유강리, 자명리, 학전리, 달전리 오천읍 (烏川邑) 문덕리, 광명리, 세계리, 용덕리, 원리, 구정리, 용산리, 문충리, 항사리, 갈평리, 진전리 대송면 (大松面) 남성리, 제내리, 송동리, 옥명리, 공수리, 장동리, 홍계리, 대각리, 산여리 동해면 (東海面) 도구리, 신정리, 금광리,약전리, 석리, 임곡리, 입암리, 상정리, 중산리, 공당리, 마산리, 중흥리, 흥환리, 발산리 장기면 (長鬐面) 읍내리, 임중리, 신창리, 양포리, 계원리, 두원리, 수성리, 산서리, 방산리, 대곡리, 정천리, 신계리, 학곡리, 학계리, 서촌리, 마현리, 금곡리, 영암리, 대진리, 모포리 호미곶면 (虎尾串面) 대보리, 구만리, 대동배리, 강사리 동[편집] 행정동 설명 법정동 설명 대이동 (大梨洞) 대잠동 (大岑洞) 이동 (梨洞) 상대동 (上大洞) 상도동 (上島洞) 대도동 (大島洞) 송도동 (松島洞) 송도동 (松島洞) 제철동 (製鐵洞) 송내동 (松內洞) 송정동 (松亭洞) 괴동동 (槐東洞) 동촌동 (東村洞) 장흥동 (長興洞) 인덕동 (仁德洞) 호동 (虎洞) 청림동 (靑林洞) 청림동 (靑林洞) 일월동 (日月洞) 해도동 (海島洞) 해도동 (海島洞) 효곡동 (孝谷洞) 효자동 (孝子洞) 지곡동 (芝谷洞) 역사[편집] 구 영일군의 역사에 대해서는 영일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14년 4월 1일 흥해군 동상면과 영일군 북면을 영일군 포항면으로 합면하였다.[1]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다.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2]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포항동(浦項洞)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학산동(鶴山洞) 일부 천구정(川口町) 1938년 10월 1일 영일군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3]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형산면 일원 포항읍 일부 대송면 송정동 일부 1946년 포항읍 내의 일본식 명칭인 정(町), 정목(丁目)을 다음과 같이 고쳤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본정(本町) 상원동(上元洞) 명치정(明治町) 덕수동(德壽洞) 욱정(旭町) 여천동(余川洞) 소화정(昭和町) 대신동(大新洞) 영정(榮町) 덕산동(德山洞) 초음정(初音町) 대흥동(大興洞) 신흥정(新興町) 신흥동(新興洞)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동빈1~2가(東濱1~2街) 남빈정(南濱町) 남빈동(南濱洞) 천구정(川口町) 항구동(港口洞) 중정(仲町) 중앙동(中央洞)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을 포항부로 승격하였다. (1부, 1읍, 13면, 1출장소) 1949년 8월 15일 포항부를 포항시로 개칭하였다. (1시, 1읍, 13면, 1출장소) 1973년 7월 1일 영일군 대송면 및 오천면 각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송정동, 송내동, 괴동동, 장흥동, 동촌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1982년 9월 1일 해도1·2동, 상대1·2동 분동 1983년 2월 15일 영일군 연일읍 4개 리 및 오천읍 일월동을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연일읍 효자동, 지곡동, 이동, 대잠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일월동 1987년 1월 1일 영일군 대송면 일부를 포항시에 편입하였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호동, 송내동 일부, 괴동동 일부, 장흥동 일부, 동촌동 일부 포항시 일부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4](2구, 4읍, 10면, 25동) 구제 실시로 북구, 남구를 설치하였다.[5] 시조례 제1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구 행정구역(읍·면·행정동) 신 행정구역(읍·면·행정동) 포항시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항구동, 환여동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북구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두호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환여동,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포항시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남구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1998년 9월 1일 과소동 통·폐합[6] 시조례 제18호~제320호 행정동간 통합 및 불합리한 경계 조정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덕수동, 대신동, 동빈동, 학산동, 항구동, 용흥1동, 용흥2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용흥동 2006년 12월 26일 대잠동 신청사 이전 2009년 1월 1일 소규모 동 통합(2구, 4읍, 10면, 15동)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죽도1동, 죽도2동, 기계출장소 북구 중앙동, 죽도동 남구 상대1동, 상대2동, 해도1동, 해도2동 남구 상대동, 해도동 각주[편집]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1읍 14면) ↑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13일) ↑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년 1월 11일) ↑ 시조례 제16호~제320호 불합리한 경계 조정(개정 1997년 9월 1일)(2구, 4읍, 10면, 19동) 외부 링크[편집] 포항시 통계연보 vdeh경상북도 포항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남구 대이동 남구 구청소재지: 상대동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호미곶면 대이동 상대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동 효곡동 북구 구청소재지: 중앙동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두호동 양학동 용흥동 우창동 장량동 죽도동 중앙동 환여동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포항시의_행정_구역&oldid=21625451" 분류: 포항시의 행정 구역경상북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링크 추가 이 문서는 2018년 6월 23일 (토) 22: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포항시의 행정 구역은 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읍, 10개 면,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포항시 남구 법정동 중 대잠동은 어느 행정동인가? Assistant: 대이동 (大梨洞)
Human: 아래 마쓰다이라_야스치카_(무로마치_시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무로마치 시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쓰다이라 야스치카 (무로마치 시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8월) 마쓰다이라 야스치카(松平泰親, 생몰년 미상)는 무로마치 시대 초기,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 무렵의 미카와 국의 무장이다. 에도 시대에 작성된 계보에 따른 통설로는 마쓰다이라 씨 제2대째의 인물이라고 여겨진다. 목차 1 개요 2 활약 3 이후의 마쓰다이라 씨 4 이론 및 제설 개요[편집] 에도 시대에 작성된 아라이 하쿠세키의 계보 《한칸후(藩翰譜)》 또는 후세의 《관정중수제가보(寛政重修諸家譜)》에 따르면, 마쓰다이라 지카우지의 적자이며 사카이 히로치카(酒井広親)는 이복형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계보는 확실한 증거라고 하기엔 충분하지 못하고, 야스치카의 생몰년은 아들이라고 하는 마쓰다이라 노부히로와 마쓰다이라 노부미쓰 형제의 생몰년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야스치카가 지카우지의 아들이라 여기는 계보에 대해서는 검증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야스치카는 마쓰다이라 씨 초대 지카우지의 숙부나 동생이라고도 하며, 에가와 씨(得河氏)의 당주라 여겨지는 세라다 아리치카(世良田有親, 지카우지의 아버지)의 아들 혹은 동생(또는 조카)이라 여겨지기도 한다. 《호고류찬(好古類纂)》에 수록된 〈도쿠가와 가보(徳川家譜)〉에 따르면, 야스치카는 지카우지의 동생으로 아버지가 도쿠가와 지카스에(徳川親季), 그의 아들로는 마쓰다이라 마스치카(松平益親)와 마쓰다이라 히사치카(松平久親)가 있고, 조카 노부미쓰를 양자로 들였다고 전한다. 또 《계도찬요(系図纂要)》에 따르면, 마스치카와 히사치카 외에 마쓰다이라 모리히사(松平守久)와 마쓰다이라 이에히로(松平家弘)라고 하는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 활약[편집] 지카우지가 마쓰다이라 향(아이치현 도요타 시 마츠다이라 정)에 고시키 성(郷敷城, 마쓰다이라 성)을 쌓고 주변 여러 영주의 평정에 나서자, 야스치카는 당주 지카우지를 도와 활약했다. 야스치카는 지카우지의 사후에 가독을 계승하여 마쓰다이라 씨를 주변의 십 수 마을을 영유하는 유력 고쿠진(国人) 영주로 성장시켰다. 마쓰다이라 씨가 마쓰다이라 향으로부터 낮은 산을 넘어 남쪽에 있는 누카타 군 이와즈(岩津, 현재의 오카자키 시 북부 지역)를 점령하여 서 미카와의 평야 지역에 처음으로 진출한 것은 야스치카(또는 노부미쓰)의 시대라고 여겨진다. 묘는 지카우지와 같은 고게쓰인(高月院), 신코묘지(信光明寺), 다이쥬지(大樹寺) 등에 있다. 이후의 마쓰다이라 씨[편집] 야스치카의 뒤를 이은 노부미쓰는 이와즈 마쓰다이라 가(안쇼安城 마쓰다이라 가)를 계승하여 이와즈로 거성을 옮기고 본격적으로 서 미카와 평야 지역을 평정한다. 한편, 마쓰다이라 향은 노부미쓰의 형 다로 노부히로가 계승하여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씨의 시조가 되었다. 이론 및 제설[편집] 그러나 상술한 야스치카의 이력에 대해서는 후세의 도쿠가와 씨와 마쓰다이라 씨의 주장에 따른 것에 지나지 않아 전설의 영역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마쓰다이라 씨 창업의 2대인 지카우지와 야스치카는 동시대의 사료에서 그 이름을 찾아 볼 수가 없어 실재 여부를 의심하는 설도 있다. 야스치카의 생몰년에 관해서는, 태어난 해는 ‘1302년(겐겐 원년)’, 죽은 해는 ‘1377년(덴쥬 3년 / 에이와 3년)’이라 여기는 설도 있다. 전임마쓰다이라 지카우지 제2대 마쓰다이라 종가 당주 후임마쓰다이라 노부미쓰 전임마쓰다이라 지카우지 제2대 마쓰다이라 향 마쓰다이라 가 당주 후임마쓰다이라 노부히로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마쓰다이라_야스치카_(무로마치_시대)&oldid=22817237" 분류: 생몰년 미상무로마치 시대 사람마쓰다이라 씨미카와국인영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3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日本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19일 (금) 18: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마쓰다이라 야스치카(松平泰親, 생몰년 미상)는 무로마치 시대 초기,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 무렵의 미카와국의 무장이다. 에도 시대에 작성된 계보에 따른 통설로는 마쓰다이라씨 제2대째의 인물이라고 여겨진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한칸후]에 의하면 사카이 히로치카의 입장에서 마쓰다이라 야스치카는 어떤 친족관계였을까? Assistant: 이복형 Human: 아래 의정부_전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의정부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정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 제1대대장 중령 김헌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한국 전쟁 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서울특별시 북쪽 17km의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 정면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과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김웅이 이끄는 북한군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구성된 공격집단의 침공을 막아 이를 격멸하고자 한 방어전이다.[1]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각각 동두천·포천을 담당)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전쟁 직전의 부대 개편과 기초훈련 실시로 인해, 2대 대대가 경비를 담당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경원 본도인 3번 도로를 비롯하여 동측의 43번과 서측의 316번이 모두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천산맥과 천보산맥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국도 제3호선(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부근에서 서전을 치르고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의정부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게 되어 이 지역은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아 피아간에 주력이 되었다.[2] 목차 1 전투 준비 1.1 한국군 1.2 북한군 2 포천 전투 2.1 제9연대의 영내 대기 2.2 제9연대 2대대의 전황 2.3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 2.4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 2.5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 2.6 제3연대의 전투참가 2.7 기타 3 동두천 전투 4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 4.1 반격 준비 4.2 동두천 탈환 실패 4.3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 4.4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 5 결과 및 영향 6 각주 전투 준비[편집] 한국군[편집] 1950년 6월에 사단으로 승격된 제7사단은 곧바로 의정부 지역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때 예하에 제1·3·9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을 합하여 총병력이 9,698명이었다. 그런데 전쟁 발발 3주전인 6월 1일로 육군본부에서 일선 명령 제43호를 하달하여 일부부대의 예·배속 관계를 조정함에 따라, 이상근이 이끄는 제3연대가 수도경비사 산하로 예속이 변경됨으로써, 동 연대의 3,050명이 사단을 떠나고, 이날부로 제 1·9 양 연대와 포병 및 공병 등, 6,788명의 공력이 이 지역을 맡고 있었던 것이다. 그 뒤로 6월 13일 육본 작전명령 제79호에 의거하여 6월 15일부로 김병휘가 이끄는 제2사단 제25연대가 제7사단에 편입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동 연대는 온양에 위치한 까닭에 의정부로 이동키 위하여 준비하던 바, 주둔지로 선정된 호완리 일대가 민유지였기 때문에 그 징발문제와 막사 및 식수문제 등 일련의 사정으로 말미암아 7월 15일로 이동일자를 연기한 차에 전투에 임하게 되었고 따라서 동 연대는 전투 후에 다시 제2사단에 복귀되었다. 제7사단이 방어임무를 맡은 곳은 서쪽부터 동쪽으로 적성면~쇄역리~일동면 사직리 간의 47km에 달하는 광정면(廣正面)이었다. 그리하여 제7사단은 유재흥 준장의 지휘 하에 예비대가 없이 양 연대를 일선에 내세웠다. 즉,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는 동두천 정면인 좌 일선을,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인 우 일선을 각각 담당하였고, 38도 분계선 방어와 부대교육을 병행 실시하였다. 육군본부에서 교육각서 제 2호에 따른 교육을 실시케 함으로써일선 경비보다도 교육훈련에 더욱 치중하여, 38도 분계선 남연의 전진진지에 1/3 병력만을 배치하고 주력은 28 km 후방의 의정부 부근으로 집결시켜 대대급 이하의 기초훈련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각 연대로 하여금 1개 대대를 경계진지에 배치하고 2개 대대를 의정부 부근으로 뽑아 소정의 교육을 실시케 하되, 3개월마다 순환교대 방식으로 전술을 숙달하게 하였던 것이다.따라서 각 연대의 지휘소도 주력과 함께 모두 의정부 부근에 위치하고, 일선대대는 각각 20 km 내외의 광정면을 경비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제7사단의 동반부인 포천 지역은 윤춘근 중령이 지휘하는 제9연대가 맡아 창수면 추동리 ~ 일동면 사직리 간의 26km에 달하는 책임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는데, 본래 이 지역은 김화에서 영북면 운천리와 포천을 거쳐서 의정부에 이르는 국도 제43호선(호국로)을 중앙에 끼고 동측의 광주산맥과 서측의 천보산맥이 종으로 뻗어 장방구형을 이룬 지대로써 정상적으로는 2개 사단의 방어정면에 해당될 것이다. 이러한 전투정면을 3,400명의 병력을 보유한 제9연대가 전담하여 북한군 제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침공한 제3사단과 대결케 되었는데, 당시에 연대는 사단의 방침에 따라 1개 대대로써 일선경비를 담당하게 하고 2개 대대를 38도 분계선에서 26 km 뒤에 떨어진 양주군 의정부읍 금오리의 연대 지휘소 부근으로 뽑아 소부대 전술교육을 실시하던 상태였다. 따라서 일선경비를 맡은 대대는 전(全)정면배치가 곤란하여 통행의 요로만을 한정하여 거점방어태세를 취하였으니, 이날 제 1선에는 전순기 소령이 지휘하는 제2대대가 발발 이틀 전인 6월 23일부로 이철원이 이끄는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대대본부를 전과 다름없이 포천에 두고 송영환이 이끄는 제7중대를 오른쪽 제 1선으로 하여 국도 제43호선과 38도선이 교차하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에,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는 왼쪽 제1선으로 제7중대의 서쪽의 소로인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이 영평천에 이르는 창수면 가양리·추동리 부근에 각각 배치하는 한편 제5중대는 예비로 4 km 후방의 신북면 신평리(만세교 서쪽) 부근에 공치하였다. 이렇게 볼 때, 대대의 실 병력이 배치된 지역은 6km의 점령지대에 불과하며 그 나머지 19km에 해당하는 산록과 야지는 거의 무방비상태로 있었으며 특히 동측의 일동면 기산리 북쪽은 지방도 제387호선 연변에서 1개 분대의 수색대가 봉쇄할 뿐이었다. 그리고 박창암 중위가 이끄는 보국대대 제2중대가 전날부터 38도 분계선 북쪽의 유정리 부근에서 활동하고 있었으나 대대와는 유기적인 협조를 취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북한군[편집] 북한은 전쟁 발발 2주 전인 6월 10일에 평양의 민족보위성에서 비밀리에 군사지휘관회의를 개최하여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 병력의 일선전개를 꾀하였는데, 이때에 벌써 이들은 주력의 침공경로를 철원-연천-동두천-의정부 축선으로 결정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그 회의 직후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은 평강 부근에 지휘소를 개설하였다.(6월 12일) 이때에 북한군은 기동훈련을 빙자한 전투전개를 꾀하였다. 김웅 중장은 평강으로 나와 중서부전선의 작전을 지도하였다. 제1군단 휘하의 4개 보병사단과 1개 전투여단으로 서울 공략을 획책했다. 특히 제3·4 사단과 제105전차여단을 공격집단으로 묶어 집중적으로 의정부 정면으로 꿰뚫고자 하였다.[3] 단행된 병력의 이동상황으로 볼 때, 이른바 그들의 정예라고 하는 제3, 4 양 사단과 유일한 기갑부대인 제105기갑여단을 철원-포천군 영북면 운천리-연천 부근에 집결시켜 경원선 주변에서 공격태세를 갖추게 한 점과 전쟁 중에 입수한 노획문서 가운데 연천-의정부를 거쳐 조기에 서울을 점령한다고 밝혀진 점, 그리고 개전 이후의 부대기동 등을 종합하여 판단할 때, 그들의 침공기도는 처음부터 주력으로써 의정부로 지향한다는 계책을 세운 것으로 추단된다. 즉, 김웅이 이끄는 제1군단 예하의 2개 사단과 1개 기갑여단으로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하는 동시에, 동측의 김광협이 이끄는 제2군단과 서측의 제1, 6 양 사단과의 협조아래 수도 서울을 침탈 도모코자 하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당 사단의 책임 지역이 그 주목표로 부상하게 되었거니와, 이들은 다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동월 18일부로 인민군 최고사령관 김일성의 명의로 된 정찰명령 제 1호를 하달하였는데, 그 개요를 보면, 소대군위 이하의 병력 배치선 까지 정찰토록 하는 세밀한 계획을 세워 특히 유개진지와 병력배치상황 그리고 장애물 지대 및 예상 집결지 등을 확인토록 하였으며, 여기에 이어 공격목표의 선정과 부대의 기동계획을 마련토록 명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정찰을 마친 그들은 6월 22일 14:00부로 전투명령 제 1호를 하달하여 23일 12:00까지 모든 공격준비를 완료토록 촉구하였다. 여기에서 놀라운 사실은 사단의 경계진지와 주진지를 빠짐없이 공격목표로 선정한 점과 포병을 비롯한 공병과 반전차포 및 항공등의 지원 아래 서울까지 일거공략 하려는 계획을 미리 밝히고 있는 점이다. 제3사단(사단장, 소장 리영호)은 포천 북쪽의 영중면 영평천 부근으로 나와, 제7연대(장, 대좌 김창봉)와 제9연대(장, 대좌 김만익)을 좌우 일선에 두고 제8연대(장, 중좌 김병종)을 예비로 보유하였으며 제3사단의 포병연대(장, 대좌 안백성)는 유정리(楡亭里) 부근에서 지원태세를 갖추었다.[4] 포천 전투[편집] 포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포천군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 제7사단장 준장(6월 26일 14.00부로 의정부지구 전투사령관)[5]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6·25 발발 직전,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사단장 유재흥 준장)의 예하 제1·9연대와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 중,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는 포천 정면에 배치되었다. 한편 북한군은 철원-연천-의정부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호국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 이로써 축석령 너머에 있는 의정부는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제9연대의 영내 대기[편집] 다행히도 제9연대의 전 장병이 영내대기 상태에 있었으니, 이는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전날 사단으로부터 “재량에 따라 주말외출을 실시토록 하라”는 통보를 받고, 오랫동안의 긴장 속에서 대기한 바 있는 병사들에게 외출과 외박을 허용할까 생각하다가 당면의 적정이 수상한 까닭으로 영내에서 휴무하도록 조치하였던 것이다. 그는 뒤에 당시를 회고하며 술회하기를, “오랜만의 외출이라 처음에는, 38선의 경비를 담당하는 제2대대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하려고 하였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적정이 심상치 않았다. 일주일 전부터 철원에 기갑부대가 나타났다는 첩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의 정규군이 38경비대와 교대하였다는 소문이 떠돌고, 6월 23일 밤에는 제2대대장으로부터 영북면 운천리에서 차량대열이 유정리로 이동한다는 보고에 이어 바로 영평천 부근에 전차가 나타났다고 속보되는 등, 모든 면에서 평상시와 달랐다. 그래서 제 1, 3 양 대대의 병사들의 외출준비를 마쳤다는 보고를 받았으나 일단 중지시키고 이상이 없으면 6월 25일 주간에 시행토록 하자고 하였더니 대대장들도 내 뜻에 따라 모두 영내에 남았으며 나도 감기로 미열이 있었지만 청량리 숙소에 전화연락만을 하고 영내에서 대기하였다”고 하니, 일선 지휘관의 심회를 헤아리고 남음이 있다. 이 같은 조치로 연대의 주력은 금오리에서 대기하고 제2대대는 더욱 경계를 엄히 하던 바, 이날 새벽에 북한군 제3사단은 대좌 김창봉이 이끄는 제7연대를 선봉으로 삼아 제 109전차연대와 협동으로 일시에 엄습하니, 돌연 포천 정면의 38도 분계선 연변이 불길에 휩싸였다. 제9연대 2대대의 전황[편집]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 대대본부 포천읍)는 3개월마다 상호 교대하는 방식으로 일선 경계임무를 수행케 하는 연대의 방침에 따라 6월 23일부로 제3대대의 진지를 인수하여 기설 진지를 점령하였는데, 이때에 대대장은 제6, 7 양 중대를 제일선에 배치하기에 앞서 “근간에 적의 동향이 심상치 아니하니 경계를 철저히 하고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진지를 더욱 보강하라”고 강조함과 아울러 중화기중대의 기관총 소대를 분할하여 각각 1개소대(기관총 1개반과 81mm 박격포 2문)씩 배속시켰다. 그런데 이날 03:40을 전후하여 공격준비사격을 시작한 북한군은 미리 대대의 병력 배치상황을 탐색한 듯 경계진지만을 골라 포격을 집중하였으니, 오른쪽 제1선인 송영석이 이끄는 제7중대지역에서는 영중면 양문리 일대와 그 서쪽의 287고지 북쪽에 포화가 집중하고, 왼쪽 제1선인 이인호가 이끄는 제6중대 지역에는 창수면 가양리-주원리-추하리 일원을 초연으로 뒤덮어 마치 산 전체를 무너뜨릴 듯하였다. 제7중대 정면에는 영중교(일명, 삼팔교)를 넘어선 3대의 전차가 양문교 부근까지 침습하여 포구를 동남쪽을 지향하고 동 중대 제1소대의 진지를 강타하는가 하면 바로 그 서쪽의 희악사 부근에서 수 미상의 적이 측후방으로 침공하여 단숨에 이 소대진지를 삼키고자 하였다. 이때에 동 소대는 소대장이 공석이므로 선임하사가 지휘하여 양문리 남쪽 500m에 있는 무명능선 서단에 배치한 기관총 소대와 함께 이 요선을 지키고 있었는데, 의외의 강습을 받게 되자 가능한 모든 화력을 활용하여 이를 저지하고자 하였으나 교전 30분 동안에 이미 과반수의 병력을 잃고 어둠속에 분산되고 말았다. 한편 왼쪽 제1선인 제6중대는 성일영 소위가 지휘하는 제 3소대가 추동리에서 한차례 고전을 벌인데 이어, 가양리 장자동으로 집결한 중대의 주력이 그 서남쪽 삼차로를 막아 287고지에 연한 방어진지를 급편 하였는데, 여기에서도 또한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을 따라 침공한 전차대의 강습으로 말미암아 대동소이한 양상으로 무너지고 말았다. 이리하여 북한군의 전차대가 그 남쪽 2km의 장승거리 삼거리를 넘어서자 제6중대는 분산병력을 수습하여 무이산(포천읍 북쪽 7 km)쪽으로 전진하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대대본부와 통신이 두절되어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채로 신북면 삼성당리 계곡을 따라 포천읍 쪽으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7, 6 양 중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에 38선에서 12 km 후방인 포천읍에 위치한 대대본부에서는 대대장 전순기 소령이 일선의 위급한 전황을 제9연대장(윤춘근 중령)에게 보고함과 아울러 병력 증원과 특히 대전차 화기의 지원을 요청한 다음 제8중대장 박기순 중위를 대동하고 영중면 소재 만세교 초소로 올라갔다. 그리하여 06:00에 여기에 도착한 대대장은 곧 예비인 제5중대로써 만세교 북측의 좌우측방의 160고지와 208고지에 연한 저지 진지를 급편하게 하여 연대의 주력이 진출할 때까지 지연전을 펴기로 하였는데, 이때에 북한군은 양문교를 넘어 만세교 쪽으로 지향하고 있었으니,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주력으로써 침공하리라고 판단한 대대장의 예견은 적중하였으나, 소총만을 들고 능선을 지키는 병사로서는 이 기계화 부대를 감당키 어려운 상황이었던 것이다.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편집] 연대장 윤춘근 중령이 첫 보고를 받은 것은 4시 30분이었는데 그는 대대장의 유선보고를 받는 순간 근래에 야기된 일련의 사건이 연상되어 이것이 곧 북한군의 대규모 공격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사실을 사단에 보고하는 한편 연대비상에 돌입하였다. 그리하여 의정부읍 금오리에 대기 중인 제 1, 3 양 대대로 하여금 “천계산(424고지)-가랑산(350고지)간의 주진지를 점령하여 기정방침에 따라 적을 저지, 격멸토록 하라”고 명령하는 동시에 제2대대장 전순기 소령에게 현 위치에서 최대한의 지연전을 펴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양 대대가 출동태세를 갖추는 동안에, 허현 대위가 지휘하는 57mm 대전차포 중대로 하여금 만세교로 직행하여 전차대의 예봉을 격쇄토록 조치함과 아울러 2.36인치 로켓포 12문을 모아 역시 만세교 부근의 요선을 지키도록 후속, 급파하였다. 4시간 동안을 홀로 고군분투한 제2대대는 일선 분산병력의 수습에 힘쓰며 북만세선의 진지를 지키고 있었는데 08:00를 전후하여 다시 침습하기 시작한 북한군이 국도 제43호선을 따라 밀고 내려왔다. 그런데 이들은 진지공격 보다도 급속진출을 위주로 삼아 열의 전차를 앞세우고 밀려들자, 208고지 북쪽 기슭의 이학봉이 이끄는 제5중대 2소대 진지에서 기관총 측사화력으로 집중타를 가하니, 선두전차가 만세교 북쪽 300m 거리에서 일단 멈추어 서면서 포구를 돌려 동 진지를 반격하였다. 이로부터 중대는 가용한 모든 화력으로 북한군의 전차에 공격을 계속하였으나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실탄만 소진케 되었는데, 바로 이때에 연대에서 급파한 대전차포 중대(-)가 만세교에 다다랐다. 이리하여 진전 50m 까지 적을 유도한 동 중대(-)는 선두차를 명중시키고 함성을 지르며 기뻐하였으나 그것은 일순뿐으로 파괴된 줄 알았던 전차는 오히려 진지에 포격을 연발하며 계속 진전으로 육박하는 것이었다. 이에 좌측포가 다시 수 발을 더 명중시켰으나 아랑곳없이 목전에 당도하니, 겁난 병사들이 조준경만을 빼어들고 신북면 신평리(포천 북쪽 5 km)쪽으로 급히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반면에 적은 위세를 돋우어 저지선을 돌파한 다음 다시 탄장선으로 침공하니, 이때가 09:40으로 만세교 부근의 지연전은 2시간을 채 지나지 못하였으며 제2대대 5중대의 장병들은 구릉에서 이를 방관하는 형상이 되고 말았다. 북한군 기계화 부대의 선공[편집] 북한군 제3사단은 이날 새벽에 38도 분계선을 돌파하여 10 km 남쪽의 만세교 부근까지 돌입한 연후에 일단 멈추어 전열을 정비하는 듯하더니, 이윽고 10:30을 기하여 재공격에 나섰다. 이번에는 김창봉 대좌가 이끄는 제7연대로써 43번 도로를 따라 정면공격을 꾀하는 한편, 김만익 대좌가 이끄는 제9연대를 서측의 지방도 제325호선(가영로-포천로)로 우회시켜 일격에 포천을 확보하고자 기도한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이들은 본도상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안백성 대좌가 이끄는 포병부대화력을 여기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계화 부대를 선봉으로 삼아 연대 주저항선의 중앙지대를 돌관하여 장차 크게 공위코자 한 것으로 추단되었다. 그런데 연대(-)는 병력의 부족으로 43번 도로 양 측방의 천계산과 가랑산에 진지를 선정함으로써 서 측방이 공백상태로 남은 데다 대포병 장비나 대전차 화기가 없으니, 이 싸움은 처음부터 그 귀추 여부를 헤아릴 수 있었다. 제9연대 주저항선의 붕괴[편집] 일진광풍이 지난 뒤로 연대(-)의 장병들은 후속 도보부대만은 기필코 격멸키로 다짐하고 현 진지를 고수하던 바, 기계화 부대가 지난 1시간 뒤에 이윽고 북한군의 보병이 침공하였다. 이들은 연대 주력의 배치선을 탐지한 듯 먼저 포격을 가하였는데, 120mm 박격포를 비롯한 122mm 유탄포와 76mm 야포 등 곡사화력으로써 특히 제1대대의 진지인 천계산 서쪽에 집중포격을 가한 다음 43번 도로를 따라 2열종대로 열을 지어 거침없이 밀려들었다. 이러는 사이에 북한군의 선두가 신북대교를 넘어서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제3대대와는 통신마저 두절되어 정황을 파악할 수가 없었으며, 제 1대대도 이날 세 차례에 걸친 대결 끝에 42명이 전사하고 80명이 부상하게 된 데다 휴대한 탄약을 모두 소모하고 보니 전의가 떨어져, 보다 적극적인 방어책을 취하지 못한 채로 현 진지를 지키고 있을 따름이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진지 공격보다도 남하진출에 주안한 듯 전차의 엄호 하에 주력으로써 신북대교를 통과하니, 이때가 14:00로서 3시간 동안에 걸친 분투도 보람 없이 끝내 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러나 제3대대와는 통신이 두절되어 끝내 연락을 취하지 못한 채로 연대본부는 제1대대와 함께 철수하기에 이르렀고 명령을 받지 못한 제3대대는 남은 병력으로 가랑산의 진지를 계속 지키고 있다가 이날 밤에 단독으로 철수하여, 왕방산 기슭을 따라 회암령을 넘은 다음 동두천 가도의 양주 덕정리 부근으로 빠지게 되었는데, 전진 중에 대부분이 낙오되어 다음날 아침에 옥정리로 집결한 병력이 100여 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 뒤로 이 병력은 [대한민국 7보병사단|[제7사단]] 제1연대와 합세하여 의정부로 후퇴하다가 천보산 북쪽에서 다시 분산되어 그 일부만이 우이동으로 집결하게 되는 바, 그 과정은 제1연대의 반격상황에서 약술하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연대는 포천 정면에서 북한군 제3사단과 대결 끝에 중과부적으로 분산되어 전투력을 거의 상실하고 제1대대만이 태릉으로 집결하게 되었던 것이다. 제3연대의 전투참가[편집] 포천 정면에서 제9연대가 고전을 치르고 있을 무렵인 이날 정오에 사단에서는 제 5포병대대(-)만을 증파하고 후속 예비 병력이 없어 기울어지는 전황을 지켜보던 바, 육군본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대령 이종찬 예하의 이상근 중령이 이끄는 제3연대를 급파하였다. 이 당시에는 이미 제9연대의 주저항선이 무너져 북한군의 보병부대가 탄장을 통과한지 1시간이 지나고 기계화 부대가 이보다 3시간 전에 포천에 돌입하였던 것이니, 이제 공격의 화살이 곧 목전에 다다른 급황 이었다. 그러나 사단장으로부터 탄장으로 직행하라는 명령을 받은 제3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적정을 확인키 위하여 수색소대장 김철순 중위로 하여금 소대병력을 지휘하여 포천까지 위력정찰토록 지시하고 자신은 주위의 지형을 살피던 바, 15:30에 이르러 수색소대장으로부터 어룡동부근에 북한군의 전차가 나타났다는 보고가 입수되자 곧 주력을 반전시켜 3 km 후방인 송우리에서 급편방어 태세를 취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송우교를 중심으로 좌우 측방에 각각 2개 중대씩 배치하는 한편 이봉근 중위가 지휘하는 혼성 제11중대로 하여금 국도 제43호선을 포함한 중앙지대를 담당케 하여 진지작업에 착수하였는데, 이때에 마침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현지에 당도하자, 그에게 동측의 2개 중대를 지휘케 하고 제3대대장 김붕상 소령은 제11중대를 포함한 서측의 3개 중대를 맡아, 양 대대로써 방어태세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연대장 이상근 중령은 장송우 북쪽의 134고지에 연대 관측소를 설정하여 제3대대장과 함께 그 고지로 올라가 본대를 장악하고, 57mm 대전차포 2문을 그 동측의 노변에 배치하였으며, 연대 통신대장 김성규 중위와 제1대대의 통신소대장 김덕수 소위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 대결 태세를 취하였다. 양 대대는 혼성병력을 재조정 하면서 계속 진지를 구축하던 바, 17:00을 전후하여 북한군의 포격이 격렬하게 불을 뿜고 또한 이와 때를 같이하여 심한 소나기가 쏟아졌다. 이때에 양 대대는 개인호의 경우, 2/3 정도 굴착하였을 무렵이었는데, 이같이 포격이 격증하자 진전을 살펴보니, 2,000m 직전방의 도로상에 1단의 기계화 부대가 나타났다. 이들은 마치 나무단을 쌓아올린 우마차 대열과 같이 짙은 위장을 하고 남진을 계속하는데 어느 덧 그 선두가 선단리를 지나 1,500m 전방으로 다가섰다. 이에 양 대대의 진지에서 일제히 사격을 시작하였는데, 특히 연대의 중화기가 집결된 제12중대는 중대장 대리인 김현경 중위가 직접 진두지휘하여, 『거리 1,300』을 불러 81mm박격포 1개 반의 포화를 유도하는가 하면, 동 소대장 최소위는 다른 1개 반을 맡아 포수 진삼섭 일등 중사에게 고폭탄을 쏘라고 외치고 다시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동 중대의 기관총 사수 이재철 하사는 장송우 부근에서 기관총을 휘두르는 등 중화기 화력을 퍼부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소총 중대도 60mm 박격포와 각종소총으로 동시 집중 사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이 기계화 부대는 아랑곳없이 계속 차전으로 밀려들더니, 선두에선 2대의 전차가 장승거리 부근에 멈추어서면서 제3대대의 관측소에 포격을 가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8대의 전차가 이에 가세하여 포격과 기총으로 양 대대의 진지를 위압하는데, 특히 중화기 진지에는 포격이 심하여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때에 57mm 대전차포가 불을 뿜어 장승거리 부근에 버티고 선전차에 일격을 가하고, 또한 이봉근이 이끄는 제11중대의 화기소대장 이정선 소위가 이끄는 2.36인치 로켓포의 직격탄으로 철갑을 명중시켰으나 이 역시 아무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북한군의 역사화력에 무너지고 말았다. 이로부터 북한군의 전차대가 송우리의 방어진을 돌파하게 되자, 후속 보병만이라도 격멸코자 하였으나, 잇따른 후속종대는 보병뿐만 아니라 전차와 자주포를 비롯한 각종차량이 장사진을 이루어 밀려드니, 더 이상 항거의 수단을 잃고 말았다.조재준이 이끄는 제3중대의 제3소대장 김학석 소위는 여기에서 159여 대의 각종 차량을 헤아렸다고 하는데, 그 가운데는 701호를 표식한 전차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전황이 급전하여 당면한 대책이 화급한데 아무도 다음 행동을 지시하는 사람이 없었다. 이러는 사이에 어느덧 18:30에 이르러 적의 보전협동부대가 침공하자 양 대대의 진지가 무너져 동서 양 측방으로 분산 상태에 이르고 말았다. 그 뒤로 연대(-)는 각 대대장의 단독결정에 따라 철수케 되었는데, 대체로 제1대대는 43번 도로 동측에서, 제3대대는 그 서측에서 각각 퇴로를 모색케 되었으나 병력이 크게 분산되어 이 과정에서 대부분이 본대와 이탈하여 의정부를 목표로 전진케 되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제1대대장 임백진 소령이 이날 밤 20:00까지 이동교리 축석령에서 수용한 혼합병력이 150명밖에 되지 않아, 21:00에 다시 이곳을 떠나 의정부읍 금오리 남쪽의 155고지로 철수하기에 이르렀다. 이상과 같이, 제3연대의 소흘면 송우리 전선이 무너짐으로써 이제 포천 지역은 북한군의 독무대로 화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의정부 동북쪽의 방비가 급박한 상황에 이르렀다. 기타[편집] 채병덕 참모총장의 명령에 따라, 육사교도대 생도 1기(262명) 및 2기(227명)가 전투부대를 편성하여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다.(6월 25일 오후)[6] 동두천 전투[편집] 1950년 11월에 벌어진 전투에 대해서는 제2차 동두천 전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동두천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이담면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제105기갑여단장 소장 리권무(李權武)가 이끄는 북한군 제4사단은 포천군 청산면 초성리(哨城里),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兩遠里),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積岩里) 일대에 맹렬한 공격준비사격을 집중한 후 전곡-동두천 간 국도 제3호선 평화로 구간에 보, 전(步戰) 협동부대로 편성된 부공을 투입하고 그 서쪽의 적암리-양주시 은현면 봉암리(鳳岩里) 접근로(지방도 제375호선)에 조공을 투입하여 병진공격을 개시하였다. 조선인민군은 38도 분계선 일대의 국군 진지가 거의 무개호이며 배치된 병력도 1개 초소 당 분대나 소대규모인 것을 지상관측으로 확인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단 내의 가용한 모든 화력을 총동원하여 30여 분간이나 국도 제3호선과 그 주변을 맹타하였는데 포격으로 인한 도로파괴가 그들 공격부대의 기동에 제한이 된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포격이었다. 이는 당시 북한군의 정보수집능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었음을 입증해 주는 전투행동이었으며, 표적의 성질과 기동로의 상태 및 적정을 감안하지 않고 계획된 공격준비사격을 기계적으로 실시한 사실은 소련 군사고문단에 의해 공격명령이 작성되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었다. 이때 의정부에 전투력의 대부분을 주둔시키고 있던 제7사단은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고 외출과 외박자의 비상소집, 출동준비, 수송장비의 징발, 철도수송을 위한 협조 등 혼란의 와중에서 아군은 점차 침착하게 긴박한 사태를 수습해 나갔다. 이러한 가운데 함준호(咸俊鎬)가 이끄는 제1연대는 비상출동대기부대인 제3중대를 비상발령과 동시에 초성리 남쪽 176고지로 진출시켰다. 이곳에서 제3중대는, 전차 2대를 앞세우고 전술행군종대로 남하중인 1개 대대규모의 적을 기습하여 격퇴시키고 소요산에 위치하고 있던 이끄는 제2대대장 소령 이의명(李義明)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 이때부터 소요산에서는 밀고 밀리는 치열한 육박전이 펼쳐졌으며 제2대대는 11시가 넘도록 소요산 진지를 사수하고 있었다. 이처럼 소요산에서 한국군이 넓은 방어 지대를 지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대대장 이하 전 장병들이 불타는 투지와 북한군의 강력한 포화에도 유선 통신망이 절단되지 않아 지휘 체계가 유지되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제2대대가 소요산에서 고군분투하는 동안 제1연대는 제1대대(대대장 김봉룡(金鳳龍) 대위)를 마차산에 투입하고 뒤를 이어 김황목(金煌穆)이 이끄는 제3대대를 봉암리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제1대대가 마차산의 방어진지를 점령하였을 무렵에는 북한군이 이미 이 고지를 우회하여 전곡읍 간파리(干坡里)방향으로 남하 중에 있었다. 따라서 제1대대는 마차산 정상에서 소요산의 교전상황을 구경하는 처지가 되었으나 대대를 지휘하던 김봉룡(金鳳龍) 대위는 상황변화에 따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다만 연대에서 어떠한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또한 제3대대에 배치된 봉암리에도 북한군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제1연대는 그와 같은 긴박한 상황 하에서 2개 대대를 유휴병력으로 대기시킨 채 시간만 허송한 결과가 되었다. 한편 제1연대를 직접 지원하던 제5야전포병대대 제2중대는 주저항선 남쪽 보산리(保山里) 부근에 준비된 진지를 점령한 지 얼마 후에, 밀집대형으로 남하하는 북한군의 1개 대대를 집중포격하여 대부분을 격멸하는 수훈을 세웠다. 하지만 그로부터 몇 시간이 지난 후 패주했던 북한군은 전차를 앞세우고 공격을 재개하였다. 이때 제1연대 57mm 전차포 중대장은 창말고개(동두천 북쪽 2 km 지점)에서 선두 전차 2대의 측면을 사격하여 모두 파괴하였고 이에 당황한 북한군은 다시 초성리 쪽으로 철수해 버렸다. 이러한 승리의 쾌보가 육군본부와 국방부를 거쳐 방송되는 과정에서 국군의 반격이 개시되었다고 비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무렵 제1연대는 탄약이 떨어져 재보급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으나 보급사정이 풀릴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북한군 제4사단은 이날 15시를 전후하여 제107전차연대를 선봉에 내세우고 동두천을 맹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맞선 제2대대는 10시간 동안이나 힘겨운 싸움을 계속하였으나 마침내 동두천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북한군은 한국군의 주저항선을 돌파한 여세를 몰아 일몰과 더불어 동두천 시내로 진입하였고 한국군 제1연대 제2대대는 어둠 속에서 시가전을 펼쳤으나 역부족하여 양주 덕정리로 철수하여 집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다. 협의(狹意)의 의정부 전투[편집] 의정부 전투한국 전쟁의 일부날짜1950년 6월 25일 ~ 26일장소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승리교전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지휘관 유재흥(劉載興) 제7사단장 준장 함준호(咸俊鎬) 제1연대장 대령 한태원(韓泰源) 제1대대장 중령 이의명(李義明) 제2대대장 소령 김황목(金煌穆) 제3대대장 소령 윤춘근(尹春根) 제9연대장 중령 류환박(柳桓博) 제1대대장 소령 전순기(田舜基) 제2대대장 소령 이철원(李哲源) 제3대대장 소령 이규삼(李奎三) 제5포병대대장 소령 이상근(李尙根) 제3연대장 중령 임백진(任百振) 제1대대장 소령 박남표(朴楠杓) 제2대대장 소령 김봉상(金鳳翔) 제3대대장 소령 임충식(任忠植) 제18연대장 중령 장충권(張春權) 제2대대장 소령 안민일(安玟一) 제3대대장 소령 박창암(朴蒼岩) 보국대대 제2중대장 중위 이형근(李亨根) 제2사단장 준장 박기성(朴基成) 제5연대장 중령 이정도(李貞道) 제1대대장 소령 차갑준(車甲俊) 제2대대장 소령 문용채(文容彩) 제16연대장 대령 유의준(兪義濬) 제1대대장 중령 김헌(金憲) 제2대대장 중령 김병휘 제25연대장 중령 나희필 제2대대장 대위 고동석 제3대대장 소령 김풍익† 포병학교 제2교도대장 소령 이준식 육군사령학교장 준장 조암 생도대대장 중령 김웅 제1군단장 중장 리영호(李英鎬) 제3사단장 소장 김창봉(金昌鳳) 제7연대장 대좌 김병종(金秉鍾) 제8연대장 중좌 김만익(金萬益) 제9연대장 대좌 안백성(安白成) 포병연대장 대좌 리권무 제4사단장 소장 최인덕 제5연대장 대좌 박승희 제16연대장 대좌 김희준 제18연대장 대좌 유경수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장 소장병력 국군 7보병사단 국군 2보병사단 수도방위사령부 조선인민군 3사단 조선인민군 4사단 조선인민군 105탱크여단 총참모장 채병덕은 26일 01시, 제7사단은 동두천 방면으로, 새로 투입된 제2사단은 포천 방면으로 진격하여 각각 전날 북한군에 빼앗긴 이곳들을 탈환하라는 작전명령을 내렸다. 이 명령에 대해서 제2사단장 등은 무모한 작전이라고 반발하기도 하였다. 명령에 따라, 제7사단은 전날 동두천에서 패퇴한 제1연대에게 동두천을 공격토록 하고, 새로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을 서쪽으로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로 반격을 개시하였다(8시). 이때, 동두천에 주둔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 전면공격을 피하고, 서쪽으로 우회한 은현로 방면으로 내려오려 하였으므로, 1연대는 동두천 읍내와 북쪽 5km의 소요산까지 진출한 반면, 18연대는 우회하던 북한군 제4사단과 조우하였고, 북한군은 동두천 남쪽 7km의 덕정의 좌우측을 협공하였다. 이로써 1연대는 퇴로가 차단되어 병력이 분산되어 버렸다. 반격 준비[편집] 본부가 대전에 소재하고 있던 제2사단(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개전 당일 내려진 명령에 따라, 우선 가용병력인 1개 대대를 이끌고 25일 밤에 의정부로 당도해 있었다.[7] 나머지 병력들은 26일에 올라올 예정이었다.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제7사단 사령부(사단장 유재흥 준장)를 2회 시찰하였다. 제7사단은 전날에 과반수의 병력을 손실한데다 잔병이 분산상태에 있고, 제2사단은 당장 가용병력이 1개 대대 밖에 없으니 병력과 장비의 우열도 문제이지만 보다 화급한 요건은 후방의 예비사단이 현지에 진출하여 전투전개를 할 수 있는 시간 문제였다. 그리하여 그는 시찰 후, 재경(在京)부대를 의정부 지역에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동시에 후방 3개 사단을 서울로 이동시키도록 조치하였다. 6월 26일 01:00에 7사단 사령부를 다시 시찰한 육군총참모장 채병덕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의정부를 고수해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반격명령을 하달하였다. 제2사단장 이형근 등 군 지도층의 일각에서는, 반격작전을 전개할 시기가 아니라는 것, 병력을 축차로 투입하느니 보다 주력이 도착한 후에 전투력을 집중 운용해야 한다는 것, 북상중인 예비사단(제2사단 등)을 한강 남안으로 집결시켜 방어가 유리한 한강선 방어진을 구축함과 아울러 일선 분산병력을 수습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력히 건의하였다. 그러나 채병덕 등 수뇌부는 정치적인 의의와 심리적 영향을 배려한 전략면에서 수도 서울의 포기는 있을 수 없다고 강경하게 맞섰다. 채총장은 무조건 반격으로 전환하라고 엄명하고 북한군 전차는 육탄공격으로 파괴하라고 강조하였다.[8][9] 이에 따라 6월 26일 아침부터, 전날 의정부로 후퇴한 제7사단은 동두천을 목표로 반격을 감행하게 되었으며, 제2사단은 축석령을 경유하여 포천을 목표로 반격하였다. 결국, 6월 25일~26일 사이에 의정부 지구에 투입된 증원부대는 1개 경찰대대를 포함해 총 15개 대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부대들은 건제를 고려하지 않고 축차적으로 투입되었다. 더욱이 탄약을 위시한 각종 보급지원이 뒤따르지 못했으며, 유·무선 통신망이 구성되지 않아 횡적 연락과 협조는 고사하고 상하급 제대간에도 통신이 소통되지 않아 전투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다. 동두천 탈환 실패[편집] 제7사단은 전날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던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 및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분산되었으므로 가용병력은 제1연대(연대장 함준호 대령) 예하 제2·3대대(제2대대는 전날 동두천 전투를 치르고 덕정리로 후퇴하였었고, 제3대대는 봉암리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북한군과 조우하지 않았었다. 마차산의 제1대대는 유·무선 통신의 두절로 철수명령이 전달되지 않았었다.)와 제3연대 제2대대(제1대대 및 제3대대는 포천 전투 이후 크게 흩어져 버렸다.) 및 전날 제7사단에 새로 배속된 제18연대(연대장 임충식 중령) 예하 2개 대대(제2·3대대)를 합쳐 모두 5개 대대였지만, 실제 병력은 증강된 1개 연대규모에 지나지 않았다. 제7사단은 제1연대로 하여금 의정부에서 곧장 동두천으로 뻗은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을 공격하게 하는 한편, 배속된 제18연대는 동두천에서 서쪽으로 7 km 우회하여, 양주군 남면 신산리를 공격토록 하였다. 한국군 제7사단은 수색정찰이나 관측을 통한 적정수집활동을 거의 하지 않아 적정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 이 무렵 제7사단과 대치한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에서 공격을 위한 재편성을 완료하고 공격개시 시간을 기다리고 있었다. 즉 북한군 또한 한국군의 반격과 거의 같은 시각에 의정부를 탈취하기 위한 공격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북한군은 한국군이 국도 제3호선 평화로를 강력히 방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두천~덕정리~의정부로 이어진 국도 제3호선을 피하여 그 서쪽으로 5 km 우회한 봉암리~덕정리 간 은현로·화합로에 주공(主攻)을 투입하여 기습효과를 노리고 있었다. 한국군의 주공(主攻)인 우일선의 제1연대는 6월 26일 08:0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적의 저항이 전혀 없는 가운데 평화로를 따라 동두천읍내와 그곳부터 북쪽으로 5 km 나아가 소요산까지 진출하였다. 조공(助攻)인 제18연대는 제1연대보다 2시간이 늦은 6월 26일 10시에 반격을 개시하여 서북진하다가,[10] 이날 12시경에 화합로변의 은현초등학교 부근을 지날 무렵, 방어로 전환할 것을 명령받았는데, 이는 적의 계속적인 압력으로 의정부가 위협받게 되자 사단장이 취한 조치였다.[11] 이에 따라, 제18연대는 용암리 도락산 북쪽 기슭의 감제고지에 급편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중(13시)[12] 적의 기갑부대가 화합로를 따라 덕정으로 접근 중이었으나 연대는 북한군을 그냥 통과시켰다. 이는 엄청난 전투력의 전차를 직시한 임충식 연대장이 무모한 대결을 회피하고 후속하는 적 보병과의 일전에 대비하여 아군의 배치상태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 봉암리 부근에서 강력한 북한군과 조우하여 분산되고 말았다. 그 얼마 후에 북한군이 동두천에서 남쪽으로 7km의 덕정을 좌우측에서 협공하였으므로 제7사단은 부득이 철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제7사단이 반격을 전개한 자체가 무모한 작전행동이었다. 제1연대는 반격 중에 적의 강력한 공격에 봉착하여 퇴로가 차단됨으로써 소대, 또는 중대단위로 흩어져 추후 우이동·창동·태릉 방면으로 분산 철수하였다. 또한 이날 저녁까지 마차산에서 연대로부터 명령이 하달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제1대대는 어두어진 후에 마차산에서 철수하였으나 끝내 대대 지휘체제가 와해되고 병력은 사방으로 흩어져 창동, 태릉 등지로 분산되었다. 한편 한 제18연대는 그러나 북한군 보병부대는 나타나지 않고 제7사단 본부로부터 이날 밤중까지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한 임충식 연대장은 의정부가 적에게 점령되었다고 판단하고 의정부와 반대편인 서쪽으로 철수를 개시하여 고양군 신도면 삼송리를 경유 28일에 행주나루터에서 한강을 도하한 후 소사·오류동 지역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다. 축석령 후퇴와 의정부 함락[편집] 26일 01.00에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반격명령을 받은 제2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금오리의 지휘소로 돌아와, 북상 중인 사단의 주력(제5, 제16, 제25연대)이 따라 올라오기를 고대하면서 우선 제5연대의 제2대대장 차갑준 소령에게 총참모장의 명령대로 축석령 북쪽에 있는 적의 전차를 기습하여 파괴토록 지시하였는데, 이것은 반격이라기 보다는 대전차 특수임무부대와 같은 성질의 것이었다.[13] 이리하여 26일 03:00, 제5연대 제2대대는 반격을 개시하였다. 2개 대대병력으로는 포천탈환이 어려우므로 축석령을 방어하고 있을 제3연대를 초월 공격하겠다는 것이 사단장의 작전구상이었으나 이는 너무 성급한 반격이었다. 이 무렵 제 3연대는 이미 분산되었는데[14] 제 2·7사단장은 그러한 사실을 모른 채 작전구상을 함으로써 제 2사단의 반격작전은 처음부터 승산이 없는 작전이 되고 말았다.[15] 사단 참모장 최창언 중령이 이끄는 제5연대는 제2대대를 선발대로 먼저 축석령으로 진출시켰으나 제3연대는 그곳에 없었다. 이윽고 자욱한 안개 속에서 전차의 굉음이 들리더니 북한군 기갑부대가 차갑준이 이끄는 제2대대 진전에 나타났다.[16] 이에 제5연대 제2대대 장병들은 죽음을 각오하고 용감히 싸웠으나 교전한 지 10분도 못 되어 탄약이 떨어지고 투지마저 꺾여 분산 철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제2대대장은 병력의 일부를 수습하여 태릉으로 철수하고 나머지 병력은 분산되어 한강 남쪽의 낙오자 수집소에 집결하게 되었다. 08시에 이르러, 제5연대 제1대대(대대장 이정도(李貞道) 소령)가 증원부대로 본자일(本自逸)쪽으로 달려왔다. 이 대대 또한 제2대대와 마찬가지로 전투태세를 갖추지 못한 채로 “자일동(自逸洞)에 가면 탄약차가 있을 것이다.”는 통보만을 받고 진출하다가 여기에서 전차대와 부딪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1대대는 고갯마루에 도착하기도 전에 적과 싸워보지도 못한 채 퇴계원방면으로 철수하고 말았다.[17] 이렇게 제2사단은 북한군을 저지하는 데에도 급급한 지경이 되자 문용채가 이끄는 제16연대(25일 청주를 떠나 26일 04:00에야 창동에 도착하였다.)를 상금오동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진출을 저지하려 하였다. 그로부터 약 1시간 후에 전차 20여 대를 앞세운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국군은 전차를 파괴할 수단이 없어 전전긍긍하였다. 다만 김진동 대위가 지휘하는 제16연대 1대대 특공대가 2.36인치 로켓포의 기습적인 집중포격으로 선두 전차 1대를 배수로에 빠지게 함으로써 잠시 동안 북한군의 진출을 지연시켰을 뿐이었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 제16연대의 2개 대대는 북한군 보병부대와 한차례의 교전을 치른 후에 태릉과 호원동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12시쯤 제16연대 방어진지를 돌파한 북한군은 의정부를 향해 계속 남하하고 덕정을 점령한 북한군 제4사단은 의정부를 서쪽에서 협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다급한 상황 아래에서 금오리에 포진한 육군포병학교 제2교도대대장 김풍익 소장은 105mm 곡사포 1문으로 북한군 전차의 무한궤도를 파괴하였지만 제2탄을 장전하는 순간 후속 전차의 포격으로 대대장과 제2중대장 장세풍 대위 및 6번포분대원 모두가 전사하였다. 그 직후부터 북한군 전차대는 한국군의 저항이 거의 없는 가운데 13시경에 의정부 읍내로 진입하였다. 의정부 읍내에서는 철수하는 군인과 뒤늦게 피난길에 오른 주민 및 부상병들의 인파로 대혼잡을 이루고 있었으나 한국군은 속수무책이었다. 이러한 와중에서 제7사단·제2사단의 전술지휘소는 창동으로 철수하여 새로운 전술지휘소를 개설하게 되었다. 백석천·내촌 일대의 지연전[편집] 6월 26일 오전에 창동으로 열차이동한 제25연대(연대장 김병휘 소령)는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의정부 남쪽 교외의 백석천에 제2·3대대를 배치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은 의정부를 점령하자 곧 다음 작전을 위한 재편성과 재보급을 위해 약 4시간동안 지체하고 있었다. 북한군은 이날 17:00시에 공격을 재개하였다. 전차 20대를 앞세우고 접근하는 북한군의 위세에 불안감을 느낀 어느 병사가 오발하는 순간, 한국군 병사들이 일제히 사격을 개시하는 어처구니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방어 진지가 북한군에게 노출되었고 얼마 되지 않는 휴대탄약은 교전한 지 2~3분 만에 바닥이 나고 말았다. 이런 상황 하에서 북한군 전차대는 백석교를 속속 통과하고 있었는데 바로 이때 다리 밑에 잠복한 2.36인치 로켓 분대장이 5번전차를 파괴시켰으나 후속전차가 발사한 포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뜻밖에 전차 1대를 잃은 북한군은 충격을 받았는지 더 이상 진격하지 않고 의정부 읍내로 되돌아갔다. 앞서 가던 전차 4대는 호원동 부근에 방어진지를 편성한 제16연대 2대대(대대장 소령 김헌)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친데다가 후속전차가 없음을 확인한 듯 약 2km를 후퇴하여 노상에서 사격태세를 갖추고 후속부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편 이들 전차와 격전을 치른 제16연대 2대대는 많은 피해를 입고 분산되었고 이날 밤 백석교 우측에 배치된 제25연대 11중대장 문일수 중위는 전차 특공대를 편성, 지휘하여 노상에 정지 중이던 북한군의 전차 4대를 습격하여 그 중 2대를 파괴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다음날 6월 27일 새벽 북한군이 공격을 재개하자 제25연대는 결사적으로 싸웠으나 탄약 보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태릉, 능곡, 수원 등지로 분산 철수하였다. 한편 육군사관학교장 이준식 준장은 6월 25일 13:00시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생도대대와 배속된 전투경찰대대를 391번 도로를 통제할 수 있는 내촌 부근의 감제고지에 배치하였다. 다음날 국군은 남하하는 북한군과 격전을 치른 후 태릉으로 철수하여 제9연대(25일, 포천 전투에서 패하여 분산되면서 제1대대는 태릉 방면으로 이동하였었다.)와 더불어 불암산~태릉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미아리~태릉 방어선의 우측 일각을 담당하게 되었다. 결과 및 영향[편집] 포천과 의정부 전선이 무너진 뒤로 그 파급영향은 거의 전 전선에 미치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좌 인접인 백선엽이 이끄는 제1사단은 아직 임진강 방어진을 고수하고 있는데, 동측방이 무너져 그 위협으로 말미암아 철수를 강요당하는 상황에 놓이고, 태릉 정면에서도 생도대대가 적선 후방에 위치케 되는가 하면 춘천의 제6사단과 강릉의 제8사단까지도 수도 서울의 위기에 따른 전술적 및 심리적인 충격으로 작전에 혼미를 거듭하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북한군은 서울 공격을 제1목표로 삼아 의정부 지역의 전과 확대를 획책하는 한편 일부의 병력을 6월 27일에 벌써 김포반도로 상륙시켜 서측방에서 위협을 가하였다. 각주[편집]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7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8쪽. ↑ 이하의 지휘관 명단은 모두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戰鬪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16쪽. 참조. ↑ 〈軍 어제와 오늘<30> 「북극성會」(6) “正規출신은 온실의 화초같은 애송이 “短期출신, 후배명예욕 질타”〉 《동아일보》(1993년 7월 29일) 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6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58쪽. ↑ 이형근은 이 명령에 따를 수 없어서 해임되었다고 회고하고 있으나, 다른 기록들과 맞지 않는다. : “6ㆍ25를 회고한다-이형근”. 동아일보. 1975년 6월 25일.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4~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5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 그는 이형근 준장의 친동생이다.)는 25일 포천 전투에 투입되었으나, 패전하여 흩어져 버린 것이다.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8쪽. ↑ 《韓國戰爭史 第1卷(改訂版) 北傀의 南侵과 緖戰期》 〈第3章 北傀의 全面南侵 4. 抱川-東豆川-議政府地區 戰鬪〉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戰史編纂委員會) (1977, 개정판) 369쪽. vdeh 한국 전쟁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참전국 그리스 왕국 남아프리카 연방 네덜란드 뉴질랜드 미국 벨기에 & 룩셈부르크 소련 에티오피아 제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중화인민공화국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터키 프랑스 필리핀 의료지원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헝가리 대중문화 다큐멘터리 영화 영화 도서 재연 M*A*S*H 전투 서열 미국 제8군 제7함대 제5공군 유엔군 중국인민지원군 배경 한반도 분단 제2차 국공 내전 애치슨 선언 조중동맹조약 주요 전투 폭풍 작전 조선인민군의 서울 점령 한강 전투 오산 전투 대전 전투 부산 교두보 전투 인천 상륙 작전 서울 수복 평양 탈환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선더볼트 작전 중공군 춘계공세 피의 능선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기타 여파 화학전 논란 탈영병 정전 MiG 골목길 블랙리스트 포티 글로리 기념 공원 전쟁 기념관 무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의정부_전투&oldid=24189513" 분류: 1950년 남북 관계1950년 분쟁한국 전쟁의 전투대한민국의 전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의정부시의 역사육상 전투1950년 6월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Bahasa IndonesiaTürkçe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1일 (토) 12:1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議政府戰鬪)는 1950년 6월 25일 ~ 6월 26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 동 지역에서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제7사단(사단사령부 서울 북쪽 17km 의정부 소재)과 대전 지역에 주둔하다 급파된 이형근 준장이 지휘하는 제2사단이 북한군 김웅 중장이 지휘하는 제1군단 예하의 제4사단, 제3사단 및 제105기갑여단의 침공에 맞선 방어전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25일의 동두천 전투 및 포천 전투 그리고 26일은 의정부 전투로 구별하기도 한다. 38선에 경계한 동두천·포천과 그 후방인 의정부 지역은 제7사단의 예하 제1연대(동두천 담당)와 제9연대(포천 담당) 및 포병·공병이 방어를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쟁 직전에 연대병력의 대부분이 후방인 의정부 지역에서 기초훈련에 참여하고 있어서, 동두천과 포천에는 각각 1개 대대만 경비를 담당하고 있었다. 한편 북한군은 연천-동두천-의정부와 철원_포천_의정부 루트를 거쳐 서울을 조기 점령하려는 계획하에 제1군단(군단장 김웅 중장)의 2개 사단이 의정부 정면을 집중 공격할 준비를 해 두었다. 이와 같이 북한군은 처음부터 여기에 공격의 중점을 두고 병력과 화력을 집중 투입한데 반하여 국군 측에서는 아무런 대비 없이 이와 맞섬으로써 전투 초기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해갔다. 특히 이 지역은, 연천-동두천 루트의 3번 도로와 철원-포천 루트인 43번 도로 모두가 양호한 노면에 열을 지은 듯 남북으로 뻗힌 데다, 광주산맥(대성산, 광덕산, 유명산, 운악산 등)과 감악지맥(마차산, 감악산, 노고산 등)이 종벽을 이루어, 방어하는 입장에서는 횡적 연계와 종심 배치에 불리한데 비하여 공격하는 입장은 기계화 부대의 운영과 공격 돌입이 용이하였다. 발발 당일, 북한군 제3사단(사단장 리영호 소장)은 포천 정면에 배치되어 영내에 대기하고 있던 한국군 제9연대(연대장 윤춘근 중령)를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경계임무 중이던 제9연대 제2대대(대대장 전순기 소령)는 북한군의 포격에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제2대대장의 전황 보고를 받은 제9연대장(윤춘근)은 의정부읍내에 대기 중이던 제1·3대대로 하여금 포천 신북면 만세교 부근에서 진지를 구축하게 하고 방어전을 펼쳐 북한군은 잠시 주춤했으나, 북한군 제3사단 제7·9연대는 43번 도로를 따라 남침을 계속했다. 이에, 제9연대 제1·3대대는 끝내 흩어지고 다음날인 26일 의정부 등에서 집결했다. 한편, 수도경비사령부 예하의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중령)가 포천에 급파되어 소흘읍 송우리 부근에서 방어전을 펼쳤으나 이 역시 북한의 기계화부대에 밀려서 소흘읍 이동교리 축석령으로 후퇴를 거듭했다.(이상, 6월 25일의 포천 전투) 한편, 북한군 제4사단(사단장 리권무 소장)은 동두천 북쪽의 연천 전곡 등지에 포격을 가한 뒤, 3번 국도를 따라 동두천으로 밀고 내려왔다. 동두천의 사수에 나선 제1연대는 소요산 등지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지연전을 펼쳤으나 끝내 동두천은 함락되었다.(이상, 6월 25일의 동두천 전투) 이렇게, 개전 첫날 제7사단이 포천과 동두천 지역의 서전에서 패함으로써, 그 남쪽에 있는 의정부가 급박한 상황이 되었다. 수도 서울의 관문과도 같은 의정부의 전방에서는 대전으로부터 증원된 제2사단이 제7사단과 함께 북한군과 격돌하였으나 26일 오후 1시경에는 의정부를 내주고 창동지역으로 철수하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제 7연대를 이끌던 인물은 누구인가? Assistant: 김창봉
Human: 아래 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남자 국가대표팀에 관한 것입니다. 여자 국가대표팀에 대해서는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탈리아 별칭 Azzurri (아쭈리→푸른색) 연맹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대륙 유럽 축구 연맹 (UEFA)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주장 조르조 키엘리니 최다 출전자 잔루이지 부폰 (176) 최다 득점자 루이지 리바 (35) FIFA 코드 ITA FIFA 랭킹 17위 (2017년 5월 4일 기준)최고 순위: 1위 (1993년 11월; 2007년 2월, 4월-6월, 9월)최저 순위: 16위 (1998년 4월; 2010년 10월) 첫 국제경기 출전 이탈리아 6 - 2 프랑스 (이탈리아 밀라노; 1910년 5월 15일) 최다 점수차승리 이탈리아 9 - 0 미국 (잉글랜드 브렌트퍼드; 1948년 8월 2일) 최다 점수차패배 헝가리 7 - 1 이탈리아 (헝가리 부다페스트; 1924년 4월 6일) 유니폼 홈 원정 FIFA 월드컵 출전 횟수 18회 (1934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9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우승 (196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2회 (2009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 3위 (2013년) 메달 기록 이탈리아의 선수 남자 축구 올림픽 금 1936 베를린 팀 동 1928 암스테르담 팀 동 2004 아테네 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 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1차례 (1968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 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목차 1 역사 1.1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 1.2 제2차 세계 대전 후 1.3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 1.4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 1.5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1.6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 1.7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 1.8 프란델리의 임기 1.9 콘테의 임기 2 국제대회 기록 2.1 FIFA 월드컵 2.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4 하계 올림픽 2.5 지중해 게임 3 유니폼 3.1 유니폼 제작사 3.2 유니폼 변천사 4 수상 4.1 트로피 개수 합산 5 역대 감독 목록 6 결과 및 일정 6.1 2014년 6.2 2015년 6.3 UEFA 유로 2016 예선전 6.4 H조 7 선수 7.1 현재 선수 명단 7.2 최근 차출된 선수 8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8.1 최다 출장 선수 8.2 최다 득점 선수 9 중계권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역사[편집] 초창기와 2번의 FIFA 월드컵[편집] 주세페 메아차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첫 경기는 1910년 5월 15일, 밀라노에서 열렸는데,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6-2로 이겼다.[1] 주변의 격변하는 상황으로 인해 당시 리그 최강이었던 프로 베르첼리의 선수들이 출전하지 못하였다. 경기 종료 후, 선수들은 4,000명의 관중들이 던진 담배갑을 선물로 가져갔다.[2]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데시모니; 바리스코, 칼리; 트레레, 포사티, 카펠로; 데베르나르디, 리치, 체베니니, 라나, 보이오키로 구성된 (2-3-5) 의 포메이션으로 조직되어 활약하였다. 초창기 국가대표팀 주장은 프란체스코 칼리였다.[3] 국가대표팀의 첫 주요 대회 성과는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것이었다. 우루과이와의 준결승전에서 패한 이탈리아는 이집트와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11-3의 대승을 거두었다. 초대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열린 1930년 대회) 의 참가를 거절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이어지는 1934년과 1938년 대회에서 비토리오 포초 감독의 지휘와 역대 최고의 이탈리아 축구 선수로 손꼽히는 주세페 메아차의 특출한 활약 하에 2대회 연속 우승을 거두었다. 당대 활약했던 주요 선수들로는 루이스 몬티, 조반니 페라리, 주세페 루피노, 그리고 비르지뇨 로세타가 있었고, 1934년 대회를 개최한 아주리 (Azzurri) 은 로마에서 열린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결승전에서 라이문도 오르시와 안젤로 스키아비오의 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4년 뒤에 프랑스에서 열린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 3-1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개최국을 상대로 승리를 기록한 최초의 팀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브라질을 준결승전에서 격파한 이탈리아는, 파리에서 헝가리를 4-2로 꺾고 FIFA 월드컵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1958년과 1962년 대회를 연달아 우승한 브라질과 더불어, FIFA 월드컵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경험이 있는 유이한 국가이다. 이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1950년까지 12년간 중단되었다. 그 결과 이탈리아는 1934년부터 1950년까지 FIFA 월드컵 타이틀을 보유하면서, FIFA 월드컵 역대 최장 기간 보유 국가가 되었다. 이탈리아 국적의 FIFA 부회장인 오토리노 바라시 박사는 쥘리메 트로피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동안 침대 밑 신발 상자에 숨겨놓아 점령국들의 손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편집] 1949년, 토리노 (세리에 A 5연패를 달성한 팀) 선수들이 수페르가 항공 참사에서 국가대표팀을 구성하는 선수 11명 중 10명이 사망하였다. 이듬해, 이탈리아는 브라질까지 장기간 항해 (또다른 항공 참사 방지의 목적이 있었다.) 한 여파로 인해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1라운드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이어지는 1954년과 1962년의 FIFA 월드컵 대회에서도 1라운드를 넘기지 못하였고, 1958년에는 본선에 진출하지조차 못하였다. 1960년대 초, 이탈리아의 두 클럽들인 밀란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국제 축구 무대를 지배하였으나, 국가대표팀은 이에 상응하는 결과를 내지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초대 1960년에 열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였고, 1964년 대회에서도 소비에트 연방에게 16강에서 패해 떨어졌다. 이탈리아의 잔혹사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0-1로 패하면서 계속되었다. 1966년 대회에서 리베라와 불가렐리를 선수단에 포함시킨 아주리 (Azzurri) 은 이 두명의 선수를 잃고 반프로선수들로 구성된 북한 선수단에게 패하며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였고, 북한의 결승골 득점자인 박두익은 골리앗을 사살한 다윗으로 묘사되었다.[5] UEFA 유로 1968 우승과 FIFA 월드컵 준우승[편집] 아주리 (Azzurri) 는 1968년, 1938년에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이래 처음으로 주요 대회를 우승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68 로마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꺾고 우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는 주요 축구 대회 결승전 경기들 중 유일하게 재경기를 통해 승자가 가려진 경기이다. 승부차기가 도입되기 전인 당시, 연장전이 1-1 무승부로 끝나자, 규정에 따라 며칠 후에 재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재경기에서 리바와 아나스타시의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 트로피를 수집하였다. 1970년, 이탈리아는 또다시 우승 후보로써 대회에 참가하였다. 유럽을 정복한 자친토 파케티, 리베라, 리바와 새내기 공격수 로베르토 보닌세냐 등의 선수를 이용해, 푸른 군단은 32년만에 FIFA 월드컵 연속 1라운드 탈락의 수렁에서 벗어났다. 이 대회에서 이탈리아는 축구 역사상 가장 유명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에 올랐다. 이탈리아가 서독을 4-3으로 이긴 준결승전 경기는 "세기의 경기"로도 알려져 있다. 비록 이어지는 결승전에서 막강한 브라질의 화력 앞에 무릎을 꿇었으나, 197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선수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선수단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멕시코 세대"의 국제대회 성공은 이어지는 1974년 FIFA 월드컵에서 라토의 폴란드에게 1라운드에서 패해 탈락하면서 끝이 났다. 베아르초트의 임기와 3번째 FIFA 월드컵[편집] 엔초 베아르초트 감독 (왼쪽) 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선수들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차세대 이탈리아 선수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는데,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선수로 파올로 로시가 있었다. 이탈리아는 1라운드에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대회에서 개최국이자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는 아르헨티나를 격파하기도 하였다. 2차 조별리그에서 이탈리아는 서독과 0-0으로 비기고 오스트리아에게 1-0으로 이긴 후 네덜란드에게 1-2로 패해 브라질과 3위 결정전을 치러 1-2로 패하였다. 네덜란드전에서, 이탈리아 수문장 디노 초프는 장거리 슛을 실점하였고, 패배의 주범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이탈리아는 참가 팀수가 처음으로 4팀에서 8팀으로 증가한 UEFA 유로 1980 대회를 개최하였고, 개최국은 대회 본선에 직행하였다.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벨기에에 연달아 비기고 잉글랜드에게 1-0 신승을 거둔 후, 체코슬로바키아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승부차기 끝에 패하였다. 세리에 A에서 토토네로 스캔들이 터지자, 파올로 로시를 비롯한 몇명의 선수들은 실형에 처해졌고, 승부 조작과 불법 도박으로 아주리 (Azzurri) 로써의 경기 출전하지 못하였고, 대중적인 비관과 불쾌함이 표출되는 가운데 1982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복귀하였다. 이탈리아는 폴란드, 페루, 그리고 카메룬과 3경기를 연달아 부진 끝에 비기고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대대적인 질타를 받은 후, 이탈리아 선수단은 그 후로부터 엔초 베아르초트와 디노 초프 선수를 제외하고는 기자 회견을 열지 않았다. 이탈리아는 2차 조별 리그에 진출해 아르헨티나와 브라질과 함께 진정한 죽음의 조에 끼면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아르헨티나와의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팀과의 경기에서 이탈리아의 수비진과 중원에서 거친 모습으로 경기에서의 능숙함을 증명해내며 지독한 신경전 끝에 2-1로 이겼다. 이탈리아의 득점은 모두 왼발슛으로 기록되었는데, 골의 주인공은 마르코 타르델리와 안토니오 카브리니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1로 꺾으면서,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탈리아는 파올로 로시의 득점에 힘입어 두 차례 앞서나갔고, 브라질이 동점골로 두 차례 따라붙었다. 파울루 호베르투 파우캉의 득점이 발생하면서, 2-2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왔고, 이 상황에서 브라질이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74분, 파올로 로시의 결승골이 밀집된 페널티 박스 안에서 터지면서 이탈리아가 FIFA 월드컵 역사상 최고의 명승부를 벌이고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6] 2차 조별리그에서의 상승세를 안고, 이탈리아는 손쉽게 폴란드에 승리를 거두었고, 로시는 이 준결승 첫번째 경기에서 2골을 추가하였다.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프랑스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올라온 서독과 만났다. 경기 전반전은 카브리니가 한스-페터 브리겔이 브루노 콘티에게 파울한 것으로 얻어낸 페널티킥을 실점하면서 무득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후반전에 파올로 로시는 또다시 팀의 선제골을 뽑아내었고, 서독이 동점골을 넣기 위해 전진하는 과정에 타르델리와 교체선수 알레산드로 알토벨리가 역공 전술을 통해 3-0으로 앞서나가게 만들었다. 경기 종료 7분 전, 파울 브라이트너가 서독의 만회골을 득점하였고, 자신을 펠레 이래 처음으로 두번의 비연속적인 FIFA 월드컵에서 득점한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타르델리가 추가골을 넣고 외친 포효는 지금까지도 이탈리아의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파올로 로시는 6골을 득점해 득점왕에 올랐고, 40세의 주장이자 수문장인 디노 초프는 FIFA 월드컵을 우승한 최연장 선수로 기록되었다. 1982년 대회 우승 후로부터 24년간, 아주리 (Azzurri) 는 국제 무대에서의 인상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나, 우승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4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고,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프랑스에게 0-2로 완패하며 16강에서 떨어졌다.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편집] 1988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해 준결승전까지 올라갔으나, 소비에트 연방에게 0-2로 완패하였다. 같은 해, 하계 올림픽에서는 잠비아를 상대로 패했다. 이탈리아는 1990년 FIFA 월드컵 개최로 FIFA 월드컵을 두번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이탈리아 공격진은 살바토레 스킬라치와 영건 로베르토 바조와 같은 선수들로 구축되어 있었다.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7] 대회의 5경기에서 무실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전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와의 준결승전에서 연장전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해 탈락하였다. 경기에서, 스킬라치의 전반전 선제골은 아르헨티나의 클라우디오 카니히아의 후반전 헤딩 동점골에 의해 무마되었다. 알도 세레나가 이미 로베르토 도나도니의 킥이 세르히오 고이코체아에 의해 선방된 상황에서 실축하였다. 이탈리아는 잉글랜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 스킬라치의 페널티킥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이겼고, 스킬라치는 6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이후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2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는 부진하게 시작하였으나, 기여코 결승전까지 진출하였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에게 0-1로 패하였는데, 이 경기는 1990년 대회부터 1998년 대회까지의 3대회 중에 유일하게 (승부차기에서의 패배 제외) 패배를 기록한 경기였으며, 1988년부터 2010년까지 정규 시간 이내에 패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나 FIFA 월드컵의 5경기 중 한경기였다. (2번째로 패한 경기는 UEFA 유로 1996의 체코전이었고, 3번째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크로아티아 조별 리그전이었고, 네덜란드와의 UEFA 유로 2008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것이 그 다음이었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패한 것이 5번째였다.) 노르웨이에게 1-0 진땀승을 거두고, 멕시코에게 1-1로 비기면서, 이탈리아는 E조에서 나머지 3팀과 승점에서 모두 동점을 이루었으나, 다득점 원칙 덕에 생존하였다. 16강전에서 이탈리아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막판에 0-1 실점을 당했으나, 88분에 로베르토 바조의 환상적인 동점골이 터졌고, 이어서 인저리 타임에도 바조가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승리를 견인했다.[8] 바조는 스페인과의 8강전에서도 또다시 막판에 득점에 성공해 2-1 승리를 확정지었고, 불가리아전에서의 환상적인 2골로 또다시 2-1 승리를 쟁취하였다.[9][10]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브라질을 상대로 120분간 골 없이 경기를 벌여,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가 결정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진통제 주사를 맞고 햄스트링에 붕대를 두텁게 감은 바조가 마지막 키커로 나서 크로스바 위로 슛을 날리는 바람에 2-3으로 패하였다.[11] 이탈리아는 UEFA 유로 1996의 조별 리그를 통과하는데 실패하였다. 이탈리아는 러시아에 2-1로 승리한 후, 체코에게 1-2로 패하였고, 다음 라운드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나중에 우승을 거두는 독일 (나중에 결승전에서 독일은 조별 리그에서 맞붙은 체코와 리턴매치를 벌였다.) 과의 최종전에서 잔프랑코 촐라가 결정적인 페널티킥을 실축하며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그 후,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아주리 (Azzurri) 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한 웸블리 원정 경기에서 촐라의 결승골로 잉글랜드 원정 2번째 승리를 기록하였다.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3대회 연속으로 승부차기에서의 패배를 경험하였다. 이탈리아는 델 피에로와 바조를 1970년 당시의 마촐라와 리베라를 활용했던 방식처럼 릴레이 (staffetta) 로 출전시켜 논란을 야기했는데, 8강에서 개최국 프랑스에게 연장 끝에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였다. 이 대회에서 2골을 득점한 로베르토 바조는 현재까지 3차례의 FIFA 월드컵에서 득점을 기록한 유일한 이탈리아 선수이다. UEFA 유로 2000에서도 승부차기가 이탈리아가 운명을 갈랐는데, 이번에는 네덜란드와의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수문장 프란체스코 톨도는 정규 시간에 페널티킥 한개를 막아내고,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의 선방을 보여주었는데, 네덜란드 선수가 페널티킥을 실축한 뒤 승부차기에서도 6명의 키커들 중 단 한명의 키커만이 성공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숟가락 (cucchiaio) 치핑으로 자신의 킥을 성공시켰다. 이탈리아는 이 대회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는데, 프랑스에게 불운하게 1-2로 패하였다. 인저리 타임 종료 30초를 남긴 상태 (94분) 에 이탈리아는 파란 군단 (Les Bleus) 에게 동점골을 실점하였고, 연장전에는 골든골로 추가 실점을 내주었다. 패배 후, 디노 초프는 밀란의 회장이자 정치인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등으로부터의 비난 속에 사임하였다. 2002년 FIFA 월드컵에서도 이탈리아는 또다시 고전하였다. 에콰도르와의 1차전에서 크리스티안 비에리의 2골로 손쉽게 2-0 승리를 거둔 후, 논란을 야기한 경기를 치렀다. 크로아티아전에서 이탈리아의 2골이 취소되어 1-2 패배를 당했다. 2골이 부심의 판정으로 인해 오프사이드로 판정된 후, 이탈리아는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의 헤딩 동점골이 뒤늦게 터져 1-1 무승부를 거두면서 조 2위로 16강에 간신히 진출하였다. 공동 개최국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서는 전반 초반에 터진 비에리의 선제골로 앞서 나가다가 후반 막판 대한민국 설기현에게 동점골, 연장 후반 안정환에게 골든골을 연이어 얻어맞으며 결국 1-2의 굴욕적인 역전패를 당하면서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탈리아 측에서는 다미아노 톰마시의 골든골이 될 수 있는 상황에서 오프사이드로 판정되며 골이 날아갔고, 토티가 에콰도르인 주심 비론 모레노가 다이빙으로 판정해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했으며, 부폰이 선방한 전반전 페널티킥이 오심이었다고 음모론을 주장하기도 하였다.[12] UEFA 유로 2004에서 3팀이 승점 5점으로 동률인 가운데, 이탈리아가 스웨덴과 덴마크에게 승점 동점팀들간의 다득점 원칙에서 밀려 8강 진출에 실패하게 되었다.[13]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안토니오 카사노의 인저리 타임 결승골로 승리하였으나, 큰 의미가 없었고, 경기 후 스트라이커는 자국 대표팀의 탈락에 분루를 삼켰다.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편집] 2006년 FIFA 월드컵 당시의 마르코 마테라치 FIFA 월드컵 당시의 잔루카 잠브로타 프랑스전 동점골 상황에 로마 키르쿠스 막시무스에서 환호하는 군중 독일에서 열리는 2006년 FIFA 월드컵을 앞두고, 이탈리아는 2006년 세리에 A 스캔들의 논란과 함께 비관적으로 대회를 시작하였다.[14] 이 부정적인 예상은 아주리 (Azzurri) 가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손에 넣으면서 사그라들었다. 이탈리아는 가나와의 1차전에서 안드레아 피를로의 40분 선제골과 빈첸초 이아퀸타의 83분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에 의해 최고의 개막전 활약을 펼친 팀으로 평가받았다.[15] 미국과 1-1로 비긴 2차전에서는 부진했는데, 알베르토 질라르디노의 다이빙 헤딩 선제골은 크리스티안 차카르도의 자책골로 무효화되었다. 동점골을 헌납한 후, 미드필더 다니엘레 데 로시와 미국의 파블로 마스트로에니와 에디 포프가 퇴장당하면서 후반전 대부분을 10대 9의 수적 우세로 싸웠으나, 젠나로 가투소의 슛이 굴절되었을때 오프사이드로 무효화되는 논란의 상황과 겹치며 최종 스코어에는 변화가 없었다. 같은 일은 미국의 윙어 다마커스 비즐리의 골이 브라이언 맥브라이드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서 있던 것으로 무효화되었다. 데 로시는 맥브라이드를 팔꿈치로 가격한 것으로 4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고, 결승전에 겨우 복귀하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체코전에서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의 26분 선제골과 스트라이커 필리포 인차기의 87분 추가골에 힙입어 2-0 승리를 거둔 것으로 E조 1위를 차지해 토너먼트전의 16강에 진출해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하였다. 16강전에서, 마테라치는 후반 시작 후 얼마 되지 않은 53분에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드필더 마르코 브레시아노에게 양발 태클을 가격한 것으로 퇴장당해 논란을 야기하였다. 인저리 타임에 들어, 루이스 메디나 칸탈레호는 루카스 닐이 파비오 그로소에 파울한 것으로 논란의 페널티킥을 선언하였다. 프란체스코 토티는 상단 구석으로 마크 슈워처를 너머 차 넣어, 1-0 승리를 가져다 주었다.[16]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우크라이나를 3-0으로 완파하였다. 잔루카 참브로타는 6분의 이른 시간에 페널티 박스 외곽에서 토티와 패스를 주고받아 공간을 확보한 후 왼발로 선제골을 넣었다. 후반전에는 루카 토니가 69분과 69분에 2골을 추가하였고, 우크라이나가 맹공을 퍼부었으나, 크로스바를 맞거나, 수 차례 부폰의 선방하거나, 참브로타의 걷어내면서 모두 막아내었다. 이후, 마르첼로 리피 감독은 이 경기의 승리를 자살로 추측되는 행위를 시도한 후 병원에서 회복중인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 잔루카 페소토에게 돌렸다.[17] 준결승전에서, 이탈리아는 개최국 독일을 상대하여 연장전 막판 2분에 터진 2골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 흥미로운, 30분간의 연장전 끝에 질라르디노와 참브로타가 골대와 크로스바를 각각 강타하였고, 그로소가 119분에 페널티 박스 안에서 피를로의 은밀한 패스를 받아 왼발로 손을 뻗은 옌스 레만을 너머 반대쪽 구석으로 차넣었다. 교체 투입된 스트라이커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는 칸나바로에서 시작된 빠른 역공으로, 토티와 질라르디노를 거친 그 후에 마지막 슛으로 쐐기골을 넣었다.[18] 아주리 (Azzurri) 는 7월 9일, 베를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숙적 프랑스와 연장전 끝에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이겨 4번째 FIFA 월드컵 우승을 차지하였다. 7분에 플로랑 말루다가 마테라치의 태클에 얻은 논란의 페널티킥을 지네딘 지단 프랑스 주장이 선제골로 성공시켰다. 12분 후, 마테라치는 피를로의 코너킥을 강력한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되돌렸다. 후반전에 들어, 결승골이 될 수 있었던 토니의 결승골이 루크 라 로사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으로 취소되었다. 110분에 경기의 상징적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 (이 경기가 그의 은퇴 경기였다.) 이 마테라치와의 대화 후 가슴을 머리로 가격해 오라시오 엘리손도의 퇴장 명령을 받았다. 두 선수는 이 사건에 대해 FIFA로부터 벌금을 물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였다. 다비드 트레제게의 강슛이 크로스바를 맞고 불발하는 결정적인 실수가 경기의 승패를 갈랐다.[19] 이탈리아는 사상 처음으로 승부차기 키커로 나선 5명 (피를로, 마테라치, 데 로시, 델 피에로, 그리고 그로소) 이 모두 성공하였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가 벌어진 1994년과 2006년, 2번의 FIFA 월드컵 결승전에 모두 임했는데, 한번을 지고, 한번을 이겼다. 이 대회에서 10명의 이탈리아 선수가 이번 대회의 득점자 명단에 올랐고, 총 12골 중 5골은 교체 선수로부터 나왔고, 4골은 수비수가 넣었다. 7명의 선수들 (잔루이지 부폰, 파비오 칸나바로, 잔루카 참브로타, 안드레아 피를로, 젠나로 가투소, 프란체스코 토티, 그리고 루카 토니) 이 23인의 올스타 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0] 부폰은 최우수 골키퍼에게 수상되는 레프 야신상도 받았다. 그는 자신이 참가한 대회의 7경기 중 2골만 실점하였는데, 첫 실점은 차카르도의 자책골이었고, 2번째 실점은 결승전에서 지단에게 페널티킥을 실점한 것으로, 460분간 한골도 내주지 않았다.[21] 이탈리아는 4번째 FIFA 월드컵의 우승에 대한 공로로 선수단 전원이 기사 장교 (Cavaliere Ufficiale) 등급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22][23] 도나도니의 임기와 리피의 복귀[편집] FIFA 월드컵 우승 후, 1994년 FIFA 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스타 선수 출신 감독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아주리 (Azzurri) 의 새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FIFA 월드컵 시작을 앞두고 사임을 발표한 리피의 바통을 이어받았다.[24] 이탈리아는 프랑스와 함께 UEFA 유로 2008 예선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이 조에서 1위를 차지하였고, 프랑스는 2위를 차지하였다. 2007년 2월 14일, FIFA가 발표한 FIFA 랭킹에서 이탈리아가 1488점을 획득하여 2위 아르헨티나를 37점차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탈리아는 전 달까지 차지한 2위에서 한단계 오른 랭킹에 올랐다. 아주리 (Azzurri) 은 1993년 이래 랭킹 1위에 오른 적이 없었다.[25] UEFA 유로 2008에서 아주리 (Azzurri) 은 네덜란드에게 농락 당한 끝에 0-3으로 완패하면서 끔찍하게 시작하였다. 이어지는 루마니아와의 경기에서는 잔루카 참브로타가 실수를 저질러 아드리안 무투에게 실점해 0-1로 끌려갔으나 크리스티안 파누치가 몇분 후에 터뜨린 골에 힘입어 1-1로 비겼다.[26] 경기는 잔루이지 부폰이 80분에 무투의 페널티킥을 막은 덕에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26] 프랑스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은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의 리턴 매치였고, 이탈리아가 2-0으로 이겼다. 안드레아 피를로는 에리크 아비달이 악의적인 반칙으로 퇴장당해 얻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막판 다니엘레 데 로시의 프리킥은 굴절을 통해 추가골로 이어졌다. 최종전을 앞두고 C조에서 1점을 앞서 있었던 루마니아가 네덜란드에게 0-2로 진 덕에, 이탈리아가 조 2위를 차지해 8강에 진출했으나, 나중에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스페인을 상대로 정규 시간과 연장전동안 0-0으로 비기다가 승부차기에서 2-4로 패하였다. 경기 1주일 후, 로베르토 도나도니가 경질되었고, 마르첼로 리피가 다시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다.[27] FIFA 월드컵의 우승자로써, 이탈리아는 2009년 6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09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하였다. 이탈리아는 미국과의 1차전에서 3-1로 이겼으나, 이집트 (0-1) 와 브라질 (0-3) 에 연달아 져서 조 3위를 차지한 이탈리아는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하였다.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스타디오 프리울리, 스타디오 비아 델 마레, 스타디오 산 니콜라, 스타디오 올림피코 디 토리노, 그리고 스타디오 엔니오 타르디니에서 홈 경기를 치르고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2009년 10월, 이탈리아는 아일랜드와 2-2로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2009년 12월 4일, FIFA 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다. 이탈리아는 약체 3개국과 함께 F조에 편성되었다: 파라과이, 뉴질랜드, 그리고 슬로바키아. 이탈리아는 조 1위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열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전 대회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0년 FIFA 월드컵 F조에서 충격적인 최하위의 성적표를 받으며 탈락했다. 파라과이와 뉴질랜드에게 연달아 1-1로 비긴 후 처녀 출전국인 슬로바키아에게 2-3의 충격패를 당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월드컵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고 1950년 대회 이후 무려 60년만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로 인해 1950년 이탈리아, 1966년 브라질, 2002년 프랑스에 이어 우승국 징크스의 4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다음 대회인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이 디펜딩 챔피언이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5번째 사례의 주인공이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28] 공교롭게도, 2006년 대회 준우승국이자 이탈리아의 4년 전 결승전 상대였던 프랑스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승 탈락을 당하였고, 그리하여 이 대회에서 최초로 전 대회에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했던 팀들이 나란히 1라운드에서 무승으로 탈락하고 만 것이다.[29] 프란델리의 임기[편집] 2012년 9월 7일, 불가리아 소피아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불가리아전을 앞두고 촬영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선수들 이탈리아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후, 마르첼로 리피가 사임하였고, 대회가 시작하기 전에 계획한 대로 체사레 프란델리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30] 이탈리아는 코트디부아르에게 0-1로 패하는 실망스러운 경기로 임기를 시작하였다.[31] 그 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이탈리아는 패배를 뒤로 하고 에스토니아를 2-1로 이겼다. 페로 제도와의 다음 예선전에서, 이탈리아는 5-0 대승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이후 북아일랜드와 득점 없이 비겼다. 닷새 후, 이탈리아는 세르비아를 상대하였다. 그러나,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에 웅집한 세르비아 팬들이 폭염을 던지고 그라운드를 향해 불꽃놀이 화약을 쏘면서 폭동을 일으켰고, 경기 중단으로 이어졌다.[32] UEFA의 징계 절차에 따라, 이탈리아의 3-0 몰수승이 선언되었고, 그 여파에 따라 선두로 올라섰다.[33] 2011년 첫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앞서 2006년 FIFA 월드컵의 준결승전에서 2-0으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한 전례가 있는 곳인 도르트문트에서 독일과 친선전을 벌여 1-1로 비겼다. 2011년 3월, 이탈리아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1-0 승리를 챙겨 또다시 예선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후, 이탈리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친선전에서 막판에 10명으로 뛰는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2-0으로 이겼다.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에스토니아를 상대로 또다시 3-0 승리를 챙기면서, 프란델리호의 이탈리아는 첫경기 패배 이후 9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하였고, 예선 조 1위도 동시에 확정지었다. 무패 행진은 2011년 6월 7일에 트라파토니가 이끄는 아일랜드를 상대로 한 리에주에서의 친선전에 0-2로 패하면서 끝났다. 프란델리호의 2년차 초기인 2011년 8월 10일, 이탈리아는 바리의 스타디오 산 니콜라에서 열린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과의 친선전에서 2-1로 이겼다. 2012년 2월 29일, 이탈리아는 제노바에서 열린 미국과의 친선전에서 충격패를 당하였다.[34] 이탈리아는 UEFA 유로 2012를 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팀 스페인과 1-1로 비기면서 시작하였다. 이어서 크로아티아와의 2차전을 1-1로 비겼다. 이탈리아는 아일랜드를 2-0으로 꺾으면서 스페인의 뒤를 이어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고, D조 1위를 차지한 잉글랜드를 상대하였다. 이탈리아는 8강전에서 일방적인 경기를 펼치고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였고, 승부차기 초반에 실축한 선수도 나왔으나, 잉글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하였다. 잔루이지 부폰의 선방에 힘입어 앞서나가기 시작하였고, 안드레아 피를로의 과감한 치핑이 팀의 사기를 올렸다. 프란델리호는 승부차기에서 4-2로 이겼다.[35][36] 이탈리아는 다음 경기인 준결승전에서 다수로부터 차기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의 우승 후보로 지목된 독일을 상대하였다.[37][38][39][40][41] 그러나 마리오 발로텔리가 전후반에 1골씩 골을 넣으면서 독일을 이겼고, 이탈리아는 결승전에 진출해 전 대회 우승팀 스페인을 상대하였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스페인과 재회한 결승전에서는 1차전에 보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0-4로 완패해 우승 트로피를 내주었다. 스페인에게 이미 압도 당한 상황에서, 프란델리호는 불의의 부상자가 발생하면서 막판 30분간 10명이 뛰게 되었는데, 티아고 모타가 교체 선수 3명을 모두 사용한 상황에서 부상당해 나갔다. 실망스러운 패배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불과 2년전에 FIFA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성적을 낸 후, 2010년대에 들어 처음으로 주요 대회 결승전에 오르는 성과를 냈다. 브라질에서 열린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이탈리아는 멕시코, 일본, 그리고 브라질과 한 조에 들어갔다. 멕시코와 일본을 각각 2-1, 4-3으로 누른 이탈리아는 개최국 브라질과의 최종전에서 2-4로 패하였다. 이탈리아는 준결승전에서 UEFA 유로 2012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과 재회하였다. 이탈리아는 연장전을 0-0으로 마친 후 기나긴 승부차기에서 6-7로 패하였다. 체사레 프란델리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UEFA 유로 2012에서 보여준 전술로 찬사를 받았다.[42] 이후 이탈리아는 우루과이와의 3위 결정전에서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이겨 3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의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이탈리아는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전에서 B조에 편성되었다. 이탈리아는 예선전에서 무패를 달성해 손쉽게 조 1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선전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본선 시드 배정에서 톱시드를 받지 못하였다. 2013년 12월, 이탈리아는 코스타리카, 잉글랜드, 그리고 우루과이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잉글랜드와의 2014년 FIFA 월드컵 1차전에서 이탈리아는 혼신의 경기력으로 2-1 승리를 거두었지만, 코스타리카와의 2차전에서 0-1 충격패를 당하였다.[43] 우루과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는 경기 당시 멕시코인 주심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두 차례의 논란을 야기하는 판정을 내렸다. 59분에 미드필더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가 우루과이의 미드필더 에히디오 아레발로에 대한 태클 과정에서 마르키시오의 발이 아레발로의 정강이에 닿았다는 이유로 경고없이 퇴장당하였다.[44][45] 이후 양팀이 0-0으로 팽팽한 균형을 이루는 80분에 이탈리아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 우루과이의 스트라이커 루이스 수아레스가 수비수 조르조 키엘리니의 어깨를 깨무는 행위를 하였으나 주심이 이를 보지 못하는 바람에 퇴장당하지 않았다.[46][47] 이후 우루과이에게 코너킥으로부터 이어진 0-1 결승골을 내주었고, 결국 이탈리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이로써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고 만 것이다. 두 대회 연속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1950년 - 1954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및 1962년 - 1966년 연속 조별 리그 탈락 이후 이번이 세 번째였다.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체사레 프란델리 감독은 사표를 제출하였다.[48] 콘테의 임기[편집] 유벤투스에서 성공을 거둔 안토니오 콘테가 체사레 프란델리의 뒤를 이어 2014년 FIFA 월드컵 후부터 지휘봉을 잡았다. 이탈리아는 콘테의 임기에서 치른 10경기 중 단 1경기만 패하였다. 콘테의 임기에 치른 첫 경기 상대는 2014년 FIFA 월드컵 3위를 차지한 네덜란드였고, 이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유로2016 대회에서 8강까지만 진출하고 첼시 감독으로 옮겼다. 국제대회 기록[편집]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우승 1위 5 4 1 0 12 3 13 1 1 0 0 4 0 3 1938년 우승 1위 4 4 0 0 11 5 12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0년 조별리그 7위 2 1 0 1 4 3 3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54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6 7 3 2 2 0 0 7 2 6 1958년 예선 탈락 4 2 0 2 5 5 6 1962년 조별리그 9위 3 1 1 1 3 2 4 2 2 0 0 10 2 6 1966년 조별리그 9위 3 1 0 2 2 2 3 6 4 1 1 17 3 13 1970년 준우승 2위 6 3 2 1 10 8 11 4 3 1 0 10 3 10 1974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5 4 4 6 4 2 0 12 0 14 1978년 4강 4위 7 4 1 2 9 6 13 6 5 0 1 18 4 15 1982년 우승 1위 7 4 3 0 12 6 15 8 5 2 1 12 5 17 1986년 16강 12위 4 1 2 1 5 6 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국) 1990년 4강 3위 7 6 1 0 10 2 19 자동참가(개최국) 1994년 준우승 2위 7 4 2 1 8 5 14 10 7 2 1 22 7 23 1998년 8강 5위 5 3 2 0 8 3 11 10 6 4 0 13 2 22 2002년 16강 15위 4 1 1 2 5 5 4 8 6 2 0 16 3 20 2006년 우승 1위 7 5 2 0 12 2 17 10 7 2 1 17 8 23 2010년 조별리그 26위 3 0 2 1 4 5 2 10 7 3 0 18 7 24 2014년 조별리그 22위 3 1 0 2 2 3 3 10 6 4 0 19 9 22 2018년 예선 탈락 12 7 3 2 21 9 24 합계 18회 진출(18/21[49]) 우승(4회) 83 45 21 17 128 77 156 109 74 26 9 221 69 24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3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17위 (유럽 9위)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의 FIFA 월드컵 성적 참조.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대회 본선 UEFA 유로 대회 예선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60년 불참 불참 1964년 예선 탈락 4 2 1 1 8 3 7 1968년 우승 1위 3 1 2 0 3 1 5 8 6 1 1 21 6 19 1972년 예선 탈락 8 4 3 1 13 6 15 1976년 6 2 3 1 3 3 9 1980년 4강 4위 4 1 3 0 2 1 6 자동 참가(개최국) 1984년 예선 탈락 8 1 3 4 6 12 6 1988년 4강 4위 4 2 1 1 4 3 7 8 6 1 1 16 4 19 1992년 예선 탈락 8 3 4 1 12 5 13 1996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3 4 10 7 2 1 20 6 23 2000년 준우승 2위 6 4 1 1 9 4 13 8 4 3 1 13 5 15 2004년 조별리그 9위 3 1 2 0 3 2 5 8 5 2 1 17 4 17 2008년 8강 8위 4 1 2 1 3 4 5 12 9 2 1 22 9 29 2012년 준우승 2위 6 2 3 1 6 7 9 10 8 2 0 20 2 26 2016년 8강 5위 5 3 1 1 6 2 10 10 7 3 0 16 7 24 합계 9회 진출(9/15[50]) 우승(1회) 38 16 16 6 39 27 64 108 64 30 14 187 72 222 순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4위 유로 예선 승점 순위: 7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 금색은 우승한 대회를 나타낸다. *** 적색 테두리는 개최한 대회를 나타낸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진출 실패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09년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3 2013년 4강 3위 5 2 2 1 10 10 8 2017년 진출 실패 합계 2회 진출(2/10) 4강(1회) 8 3 2 3 13 15 11 순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3위 * 무승부 횟수는 승부차기로 승부가 결정된 녹아웃 토너먼트 경기도 포함된다.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라운드 9위 1 0 0 1 2 3 0 1920년 8강 5위 4 2 0 2 5 7 6 1924년 8강 6위 2 1 0 1 3 2 3 1928년 동메달 3위 5 3 1 1 25 11 10 1936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3 2 12 1948년 8강 5위 2 1 0 1 12 5 3 1952년 1라운드 13위 2 1 0 1 9 3 3 1956년 진출 실패 1960년 4강 4위 5 3 1 1 11 7 10 1964년 기권 1968년 예선 도중 기권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4강 4위 6 3 0 3 5 5 9 1988년 4강 4위 6 3 0 3 11 13 9 1992년[51] 8강 5위 4 2 0 2 3 5 6 1996년[51] 조별리그 12위 3 1 0 2 4 5 3 2000년[51] 8강 5위 4 2 1 1 5 3 7 2004년[51] 동메달 3위 6 3 1 2 7 8 10 2008년[51] 8강 5위 4 2 1 1 8 3 7 2012년[51] 진출 실패 2016년[51] 합계 15회 진출(15/26) 금메달(1회) 58 31 5 22 123 82 98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진출 실패 1955년 1959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0 2 10 1963년 금메달 우승 4 4 0 0 15 1 12 1967년 금메달 우승 5 3 1 1 8 2 10 1971년 진출 실패 1975년 1979년 1983년 1987년 1991년 조별리그 6위 2 1 0 1 1 2 3 1993년 4강 4위 4 2 0 2 5 4 6 1997년 금메달 우승 4 3 1 0 11 1 10 2001년 은메달 준우승 4 3 0 1 5 3 9 2005년 8강 5위 3 1 1 1 4 2 4 2009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6 4 7 2013년 조별리그 7위 5 2 1 2 11 9 7 2018년 합계 10회 진출(10/17) 금메달(4회) 39 24 6 9 76 30 78 유니폼[편집] 유니폼 제작사[편집] 기간 유니폼 제작사 1954 이탈로 스포르트 1962 페델리 1974-1976 아디다스 1978-1979 바일라 1978-1984 르꼬끄 스포르티브 1984-1985 엔네레 1985-1994 디아도라 1994-1998 나이키 1998-2002 카파 2002-현재 푸마 유니폼 변천사[편집] 홈 1910년 1911년 1934 월드컵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2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년-1978년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월드컵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유로 2012 2013 컨페드컵 2014 월드컵 유로 2016 원정 1938 월드컵 1950 월드컵 1954 월드컵 1966 월드컵 유로 1968 1970 월드컵 1974 월드컵 1978 월드컵 유로 1980 1982 월드컵 1986년-1990년 1994 1995년 유로 1996 1998 월드컵 유로 2000 2002 월드컵 유로 2004 2006 월드컵 유로 2008 2009 컨페드컵 2009년 2010 월드컵 2012년-2013년 2014 월드컵 유로 2016 2017년 수상[편집] 다음은 이탈리아 성인 국가대표팀의 입상 기록이다. FIFA 월드컵 우승: 1934, 1938, 1982, 2006 준우승: 1970, 1994 3위: 1990 4위: 1978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68 준우승: 2000, 2012 4강: 1980 (4위), 1988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2013 하계 올림픽 금메달: 1936 동메달: 1928, 2004 트로피 개수 합산[편집] 대회 1  2  3  합계 FIFA 월드컵 4 2 1 7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 2 1 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0 0 1 1 하계 올림픽 1 0 2 3 지중해 게임 4 2 0 6 하계 유니버시아드 1 5 0 6 중앙 유럽 국제 컵 2 1 0 3 합계 13 12 5 30 역대 감독 목록[편집] 국적 성명 취임 해임 업적 기술위원회 1910년 1912년 비토리오 포초 1912년 1912년 기술위원회 1912년 1924년 비토리오 포초 1924년 1924년 기술위원회 1924년 1925년 아우구스토 란고네 1925년 1928년 비토리오 포초 1929년 1948년 1934년 FIFA 월드컵, 1936년 하계 올림픽,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페루초 노보 (기술위원회 회장) 1949년 1950년 기술위원회 1951년 1951년 카를리노 베레타 1952년 1953년 기술위원회 1953년 1959년 주세페 비아니 1960년 1960년 조반니 페라리 1960년 1961년 조반니 페라리 파올로 마차 1962년 1962년 에드몬도 파브리 1962년 1966년 페루초 발카레지 엘레니오 에레라 1966년 1967년 페루초 발카레지 1967년 1974년 UEFA 유로 1968 우승; 1970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엔초 베아르초트 1975년 1986년 1982년 FIFA 월드컵 우승; 1978년 FIFA 월드컵, UEFA 유로 1980 4위 아첼리오 비치니 1986년 1991년 UEFA 유로 1988 4강; 1990년 FIFA 월드컵 3위 아리고 사키 1991년 1996년 1994년 FIFA 월드컵 준우승 체사레 말디니 1997년 1998년 디노 초프 1998년 2000년 UEFA 유로 2000 준우승 조반니 트라파토니 2000년 2004년 마르첼로 리피 2004년 2006년 2006년 FIFA 월드컵 우승 로베르토 도나도니 2006년 2008년 마르첼로 리피 2008년 2010년 체사레 프란델리 2010년 2014년 UEFA 유로 2012 준우승;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3위 안토니오 콘테 2014년 2016년 잔 피에로 벤투라 2016년 2017년 루이지 디 비아조 (감독 대행) 2018년 2018년 로베르토 만치니 2018년 결과 및 일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결과입니다. 2014년[편집] 친선경기 2014-9-4 이탈리아 2 – 0 네덜란드 바리,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임모빌레  3' 데 로시  10' (페널티골)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산 니콜라 관중 수: 50,000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9-9 노르웨이 0 – 2 이탈리아 오슬로, 노르웨이   20:45 CEST (UTC+02:00) 리포트 차차  16' 보누치  62' 경기장: 울레볼 스타디온 관중 수: 26,265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0 이탈리아 2 – 1 아제르바이잔 팔레르모, 이탈리아   20:45 CEST (UTC+02:00) 키엘리니  44'  82' 리포트 키엘리니  76' (자책골)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관중 수: 30,000 심판: 휘세인 괴세크 (터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0-13 몰타 0 – 1 이탈리아 아타르트, 몰타   20:45 CEST (UTC+02:00) 리포트 펠레  23' 경기장: 타알리 국립경기장 관중 수: 16,942 심판: 오비디우 하체간 (루마니아)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4-11-16 이탈리아 1 – 1 크로아티아 밀라노,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칸드레바  11' 리포트 페리시치  15' 경기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관중 수: 63,122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친선경기 2014-11-18 이탈리아 1 – 0 알바니아 제노바, 이탈리아   20:45 CET (UTC+01:00) 오카카  82' 리포트 경기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관중 수: 26,000 심판: 알렉산더 하캄 (오스트리아) 2015년[편집]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3-28 불가리아 2 – 2 이탈리아 소피아, 불가리아   20:45 포포프  11' 미찬스키  17' 리포트 미네프  4' (자책골) 에데르  84' 경기장: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관중 수: 10,359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친선경기 2015-3-31 이탈리아 1 – 1 잉글랜드 토리노, 이탈리아   20:45 펠레  29' 리포트 타운센드  79' 경기장: 유벤투스 스타디움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6-12 크로아티아 1 – 1 이탈리아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만주키치  11' 리포트 칸드레바  36' (페널티골) 경기장: 스타디온 폴류드 관중 수: 0[52]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친선경기 2015-6-16 이탈리아 0 – 1 포르투갈 주네브, 스위스   리포트 에데르  52' 경기장: 스타드 드 주네브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3 이탈리아 v 몰타 피렌체,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란키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9-6 이탈리아 v 불가리아 팔레르모,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0 아제르바이잔 v 이탈리아 바쿠, 아제르바이잔   경기장: 토피크 바흐라모프 경기장 UEFA 유로 2016 예선전 2015-10-13 이탈리아 v 노르웨이 로마, 이탈리아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UEFA 유로 2016 예선전[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UEFA 유로 2016 예선 H조입니다. H조[편집] 팀 전 승 무 패 득 실 차 점 크로아티아 6 4 2 0 16 3 +13 13 이탈리아 6 3 3 0 9 5 +4 12 노르웨이 6 3 1 2 7 8 -1 10 불가리아 6 2 2 2 7 7 0 8 아제르바이잔 6 1 1 4 4 11 -7 4 몰타 6 0 1 5 1 10 -9 1   이탈리아 – 1-1 2-1 크로아티아 1-1 – 5-1 6-0 2-0 노르웨이 0-2 – 2-1 0-0 불가리아 2-2 0-1 – 1-1 아제르바이잔 0-1 1-2 – 2-0 몰타 0-1 0-3 0-1 – 크로아티아는 관중의 난동으로 인하여 승점이 1점 삭감되었다. 선수[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목록입니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 선수들은 2018년 5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2018년 6월 1일 프랑스,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와의 친선 경기 출전 명단이다. 출장 및 득점 기록은 2018년 6월 4일, 네덜란드전 이후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등번호 포지션 선수 이름 생일 (나이) 출장 골 클럽 1 GK 살바토레 시리구 1987년 1월 12일(1987-01-12) (32세) 18 0 토리노 12 GK 마티아 페린 1992년 11월 10일(1992-11-10) (26세) 2 0 유벤투스 22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1999년 2월 25일(1999-02-25) (20세) 6 0 밀란 2 DF 마티아 데 실리오 1992년 10월 20일(1992-10-20) (26세) 36 0 유벤투스 3 DF 다닐로 담브로시오 1988년 9월 9일(1988-09-09) (30세) 2 0 인테르나치오날레 4 DF 도메니코 크리시토 1986년 12월 30일(1986-12-30) (32세) 24 0 제노아 5 DF 마티아 칼다라 1994년 5월 5일(1994-05-05) (25세) 1 0 밀란 6 DF 알레시오 로마뇰리 1995년 1월 12일(1995-01-12) (24세) 7 0 밀란 15 DF 다니엘레 루가니 1994년 7월 29일(1994-07-29) (24세) 7 0 유벤투스 19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주장) 1987년 5월 1일(1987-05-01) (32세) 80 6 유벤투스 24 MF 알레산드로 플로렌치 1991년 3월 11일(1991-03-11) (28세) 28 2 로마 21 DF 다비데 차파코스타 1992년 6월 11일(1992-06-11) (27세) 12 0 첼시 6 MF 안토니오 칸드레바 1987년 2월 28일(1987-02-28) (32세) 45 6 FC 인테르나치오날레 8 MF 로베르토 갈리아르디니 1994년 4월 7일(1994-04-07) (25세) 1 0 FC 인테르나치오날레 10 MF 마르코 베라티 1992년 11월 5일(1992-11-05) (26세) 21 1 파리 생제르맹 FC 16 MF 다니엘레 데 로시 (부주장) 1983년 7월 24일(1983-07-24) (35세) 112 20 AS 로마 18 MF 마르코 파롤로 1985년 1월 25일(1985-01-25) (34세) 30 0 SS 라치오 7 FW 로렌초 인시녜 1991년 6월 4일(1991-06-04) (28세) 14 2 SSC 나폴리 9 FW 안드레아 벨로티 1993년 3월 20일(1993-03-20) (26세) 7 3 토리노 FC 11 FW 치로 임모빌레 1990년 2월 20일(1990-02-20) (29세) 22 6 SS 라치오 17 FW 에데르 시타징 마르칭스 1986년 11월 15일(1986-11-15) (32세) 21 4 FC 인테르나치오날레 20 FW 안드레아 페타냐 1995년 6월 30일(1995-06-30) (24세) 1 0 아탈란타 BC 21 FW 니콜라 산소네 1991년 9월 10일(1991-09-10) (27세) 3 0 비야레알 CF 24 FW 마테오 폴리타노 1993년 8월 3일(1993-08-03) (25세) 0 0 US 사수올로 칼초 25 FW 시모네 베르디 1992년 7월 12일(1992-07-12) (26세) 1 0 볼로냐 FC 1909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다음 선수들은 최근 12개월동안 차출된 선수들의 목록이다.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하여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선수들은 누락되어 있다.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장 골 팀 최근 소집 DF 마테오 다르미안 1989년 12월 2일(1989-12-02) (29세) 36 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18년 3월 27일, 잉글랜드전 DF 안드레아 바르찰리 1981년 5월 8일(1981-05-08) (38세) 66 0 유벤투스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 DF 루카 안토넬리 1987년 2월 11일(1987-02-11) (32세) 13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아르만도 이초 1992년 3월 2일(1992-03-02) (27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DF 안젤로 오그본나 1988년 5월 23일(1988-05-23) (31세) 13 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DF 조르조 키엘리니 1984년 8월 14일(1984-08-14) (34세) 88 7 유벤투스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1993년 3월 25일(1993-03-25) (26세) 5 0 유벤투스 2018년 3월 23일, 아르헨티나전 MF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 1994년 2월 16일(1994-02-16) (25세) 7 0 피오렌티나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MF 자코모 보나벤투라 1989년 8월 22일(1989-08-22) (29세) 8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다닐로 카탈디 1994년 8월 6일(1994-08-06) (24세) 0 0 제노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MF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1986년 1월 19일(1986-01-19) (33세) 54 5 유벤투스 2016년 11월 12일, 리히텐슈타인전부 MF 마르코 베나시 1994년 9월 8일(1994-09-08) (24세) 0 0 토리노 2016년 10월 9일, 북마케도니아전 MF 리카르도 몬톨리보 1985년 1월 18일(1985-01-18) (34세) 64 2 밀란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MF 티아고 모타 1982년 8월 28일(1982-08-28) (36세) 30 1 파리 생제르맹 UEFA 유로 2016 MF 에마누엘레 자케리니 1985년 5월 5일(1985-05-05) (34세) 29 4 나폴리 UEFA 유로 2016 MF 스테파노 스투라로 1993년 3월 9일(1993-03-09) (26세) 4 0 유벤투스 UEFA 유로 2016 MF 조르지뉴 1991년 12월 20일(1991-12-20) (27세) 2 0 나폴리 2016년 5월 29일, 스코틀랜드전 FW 마놀로 가비아디니 1989년 2월 22일(1989-02-22) (30세) 6 1 사우샘프턴 2017년 3월 24일, 알바니아전부 FW 시모네 차차 1991년 6월 25일(1991-06-25) (28세) 16 1 발렌시아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잔루카 라파둘라 1990년 2월 7일(1990-02-07) (29세) 0 0 밀란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레오나르도 파볼레티 1988년 11월 26일(1988-11-26) (30세) 0 0 나폴리 2016년 11월 15일, 독일전 FW 그라치아노 펠레 1985년 7월 15일(1985-07-15) (33세) 20 9 산둥 루넝 2016년 10월 6일, 스페인전 FW 스테판 엘 샤라위 1992년 10월 27일(1992-10-27) (26세) 20 3 로마 UEFA 유로 2016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편집] FIFA 월드컵 스쿼드 193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3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5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6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7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8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1998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2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06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0년 FIFA 월드컵 스쿼드 2014년 FIFA 월드컵 스쿼드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스쿼드 UEFA 유로 1968 스쿼드 UEFA 유로 1980 스쿼드 UEFA 유로 1988 스쿼드 UEFA 유로 1996 스쿼드 UEFA 유로 2000 스쿼드 UEFA 유로 2004 스쿼드 UEFA 유로 2008 스쿼드 UEFA 유로 2012 스쿼드 UEFA 유로 2016 스쿼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09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스쿼드 최다 출장 선수[편집] 148경기를 출전한 잔루이지 부폰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출장 선수이다. 선수들의 출장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 성명 연도 출장 골 1 잔루이지 부폰 1997–현재 148 0 2 파비오 칸나바로 1997–2010 136 2 3 파올로 말디니 1988–2002 126 7 4 안드레아 피를로 2002–현재 115 13 5 디노 조프 1968–1983 112 0 6 다니엘레 데 로시 2004–현재 100 16 7 잔루카 잠브로타 1999–2010 98 2 8 자친토 파케티 1963–1977 94 3 9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91 27 10 마르코 타르델리 1976–1985 81 6 프랑코 바레시 1982–1994 81 1 주세페 베르고미 1982–1998 81 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최다 득점 선수[편집]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2015년 6월 16일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루이지 리바는 35골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성명 연도 골 출장 득점률 1 루이지 리바 1965–1974 35 42 0.83 2 주세페 메아차 1930–1939 33 53 0.62 3 실비오 피올라 1935–1952 30 34 0.88 4 로베르토 바조 1988–2004 27 56 0.48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1995–2008 27 91 0.30 6 아돌포 발론치에리 1920–1930 25 47 0.53 필리포 인자기 1997–2007 25 57 0.44 알레산드로 알토벨리 1980–1988 25 61 0.41 9 크리스티안 비에리 1997–2005 23 49 0.47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1975–1983 23 64 0.36 굵은 글씨로 쓰여진 선수는 현역이다. 중계권[편집]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예선전 및 친선전 경기의 중계권은 RAI가 소유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9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U-17 축구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비치 사커 국가대표팀 이탈리아 풋살 국가대표팀 세리에 A 이탈리아의 스포츠 각주[편집] ↑ “FIGC”. Figc.it. 2007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FIGC – Club Italia”. Figc.it.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http://download.repubblica.it/pdf/motori/supplemento_ottobre06/04.pdf ↑ “Jules Rimet Cup”. FIFAWorldCup.com. 2007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4일에 확인함.  ↑ http://fifaworldcup.yahoo.com/06/en/p/cg/por_prk_1966.html{{ Archived 2006년 5월 16일 - 웨이백 머신 ↑ “Italians triumph in heavyweight rumble”. FIFA. 2012년 1월 6일에 확인함.  ↑ Yahoo! Sports – Sports News, Scores, Rumors, Fantasy Games, and more [깨진 링크]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Nige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Italy – Spain”.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ulgaria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Match Report – 1994 FIFA World Cup USA (TM): Brazil – Italy”. FIFA.com.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추잡한 유럽 언론의 더러운 황색 저널리즘 ↑ 이번에도 이탈리아는 스웨덴과 덴마크가 사전에 2-2로 비길 경우 스칸디나비아의 두팀이 이탈리아를 떨어뜨리고 8강에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임했다고 졸렬하게 음모론을 제기하였다. 토티는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침을 뱉어 3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당하면서 또다시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 “People's Daily Online – Scandal threatening to bury Italy's Cup dream”. English.people.com.cn. 2006년 5월 23일. 201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06년 6월 12일). “Pirlo Leads Italy Past Ghana at World Cup”. The Washington Post.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 “Italy 1–0 Australia”. 《BBC Sport》. 2006년 6월 26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Lippi dedicates win to Pessotto”. BBC. 2006년 6월 3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Germany 0–2 Italy (aet)”. BBC Sport. 2006년 7월 4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Stevenson, Jonathan (2006년 7월 9일). “Italy 1–1 France (aet)”. BBC Sport.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Azzurri prominent in All Star Team”. FIFA.com. 2006년 7월 7일.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선수단의 과반수의 팀원들이 대회에서 가장 힘든 경기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16강전으로 뽑았다. “Buffon collects Lev Yashin Award”. FIFA.com. 2006년 7월 10일. 2006년 7월 25일에 확인함.  ↑ “Italy squad given heroes' welcome”.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Italian joy at World Cup victory”. BBC Sport. 2006년 7월 10일. 2009년 8월 18일에 확인함.  ↑ Buckley, Kevin (2006년 5월 21일). “Lippi the latest to be sucked into crisis”. The Guardian.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Italy oust Brazil to take top spot”. FIFA.com. 2007년 2월 14일. 2006년 6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Francis, Dan (2008년 6월 13일). “Group C: Italy 1 Romania 1 FT”. Daily Mail.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Lippi returns to manage Italy”. TribalFootball.com. 2008년 6월 27일.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Krishnan, Joe (2014년 6월 18일). holders-who-crashed-out-at-the-group-stage-9547351.html “World Cup 2014: Spain and the World Cup holders who crashed out at the group stage”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 The Independent.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Duggan, Keith (2010년 6월 25일). “Italy out of Africa and Lippi out of excuses”. The Irish Times. 2015년 3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9일에 확인함.  ↑ “Fiorentina manager Prandelli accepts Italy job”. BBC Sport. 2010년 5월 30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Jackson, Jamie (2010년 8월 10일). “Italy's new dawn fails to rise in dismal defeat by Ivory Coast”. The Guardina.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Thousands of rioting Serbian fans attack Italian police, forcing referee to abandon Euro football match”. Daily Mail. 2010년 10월 13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Uefa hands Italy 3-0 win after Serbia violence in Genoa”. BBC Sport. 2010년 10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Italy crash to USA defeat”. Sky Sports. 2012년 2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McNulty, Phil (2012년 6월 24일). “England - Italy 0-0”. BBC Sport.  ↑ Taylor, Daniel (2012년 6월 24일). “Euro 2012: England hearts broken on penalties again as Italy triumph”. The Guardian.  ↑ “Germany 'clearly' favourites, Italian coach says”. Toronto Sun. 2012년 6월 24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Arvinth, Karthick (2012년 6월 20일). “'Classy'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says Lippi”. Goal.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Euro 2012 analysis: Why Germany could not handle Balotelli and Pirlo”. 《BBC Sport》. 2012년 6월 29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Spain, Germany favourites to win Euro 2012: Dwight Yorke”. DNA India.com. 2012년 6월 26일.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Wahl, Grant (2012년 6월 7일). “Euro 2012 Tournament Preview”. SI.com.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Pratesi, Riccardo (2013년 6월 27일). “Confederations, Spagna-Italia 7-6: i rigori beffano gli azzurr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ampf, Andrew (2014년 6월 20일).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Yahoo! Sports. 2014년 6월 26일에 확인함.  ↑ Duarte, Michael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Results And Highlights: Claudio Marchisio's Red Card Dooms Italy. Suarez Bites Again.”. Latin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Ong, Larry (2014년 6월 24일). “Italy vs Uruguay Video Highlights, Score: Suarez, Chiellini ‘Biting’ Controversy, Diego Godín Puts La Celeste in World Cup 2014 Second Round”. Epoch Times.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Luis Suarez mired in another biting controversy as Uruguay beat Italy”. Sky Sports.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Costa Rica continues to surprise by beating Italy”. BBC Sport. 2014년 6월 25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World Cup 2014: Italy boss Cesare Prandelli to resign”. BBC Sport. 2014년 6월 24일. 2014년 6월 27일에 확인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본선 진출 횟수 비율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Russia given abandoned Montenegro tie by forfeit after riot”. BBC Sport. 2015년 4월 8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Italian Football Federation (Official news about the national team) TEAM AZZURRI - Unofficial fan site for the Italian national football team RSSSF archive of international results 1910— RSSSF archive of most capped players and highest goalscorers RSSSF archive of coaches 1910— Italy at the World Cups Italy Teams at World Cups Italy: Head-to-Head Records at World Cups Italy Players' Clubs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squads in the World Cup Planet World Cup archive of results in the World Cup qualifiers Forza Azzurri Statistics — A comprehensive Statistics archive Football Italiano – U.K based site on Italian Football Italian Football News Italian World Cup 2010 – Meet the Italian World Cup Squad (VIDEO) vdeh 이탈리아의 축구대표팀 국가대표팀 여자 국가대표팀 U-21 U-20 U-17 리그 레가 세리에 A 레가 세리에 B 세리에 C 레가 나치오날레 딜레탄티 레가 칼초 (현존하지 않음) 국내 리그남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세리에 D 에첼렌차 프로모치오네 프리마 카테고리아 세콘다 카테고리아 테르차 카테고리아 여자 세리에 A 세리에 B 컵 대회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D 코파 이탈리아 딜레탄티 기타 문서 축구 협회 축구팀 목록 경기장 목록 축구 선수 목록 리그 시스템 vdeh국제 축구 FIFA FIFA 월드컵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올림픽 FIFA U-20 월드컵 FIFA U-17 월드컵 청소년 올림픽 FIFA 클럽 월드컵 FIFA 풋살 월드컵 FIFA 비치사커 월드컵 FIFA e월드컵 유니버시아드 풋볼 어워드 남자 대표팀 목록 FIFA 코드 FIFA 랭킹 남미 CONMEBOL – 코파 아메리카 U-20 U-17 U-15 북중미카리브 CONCACAF –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U-20 U-17 U-15 지역별 UNCAF 아시아 AFC – AFC 아시안컵 U-23 U-19 U-16 U-14 지역별 AFF CAFA EAFF SAFF WAFF 아프리카 CAF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오세아니아 OFC – OFC 네이션스컵 U-23 U-20 U-17 유럽 UEFA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네이션스리그 U-21 U-19 U-17 FIFA 비회원국 NF-보드 – VIVA 월드컵 CONIFA – CONIFA 축구 선수권 대회 IGA – 아일랜드 게임 종합 대회 아시안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남아시아 경기 대회 지중해 경기 대회 카리브 게임 퍼시픽 게임 유러피언 게임 인도해 아일랜드 게임 팬아랍 게임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루소포니아 경기 대회 vdehFIFA 월드컵 우승 국가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이탈리아 1950: 우루과이 1954: 서독 1958: 브라질 1962: 브라질 1966: 잉글랜드 1970: 브라질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이탈리아 1986: 아르헨티나 1990: 서독 1994: 브라질 1998: 프랑스 2002: 브라질 2006: 이탈리아 2010: 스페인 2014: 독일 2018: 프랑스 vdeh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국가코파 아메리카 | AFC 아시안컵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CONCACAF 골드컵 | OFC 네이션스컵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60: 소련 1964: 스페인 1968: 이탈리아 1972: 서독 1976: 체코슬로바키아 1980: 서독 1984: 프랑스 1988: 네덜란드 1992: 덴마크 1996: 독일 2000: 프랑스 2004: 그리스 2008: 스페인 2012: 스페인 2016: 포르투갈 vdeh올림픽 축구 남자 우승 국가 1896: 없음 (축구 종목 미실시) 1900: 영국 1904: 캐나다 1908: 영국 1912: 영국 1916: 없음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20: 벨기에 1924: 우루과이 1928: 우루과이 1932: 없음 (축구 종목 제외) 1936: 이탈리아 1940: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4: 없음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 1948: 스웨덴 1952: 헝가리 1956: 소련 1960: 유고슬라비아 1964: 헝가리 1968: 헝가리 1972: 폴란드 1976: 동독 1980: 체코슬로바키아 1984: 프랑스 1988: 소련 1992: 스페인 1996: 나이지리아 2000: 카메룬 2004: 아르헨티나 2008: 아르헨티나 2012: 멕시코 2016: 브라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참가팀vdehUEFA 유로 1968 참가팀우승 이탈리아 준우승 유고슬라비아 3위 잉글랜드 4위 소련 vdehUEFA 유로 1980 참가팀우승 서독 준우승 벨기에 3위 체코슬로바키아 4위 이탈리아 조별 리그 네덜란드 그리스 잉글랜드 스페인 vdehUEFA 유로 1988 참가팀우승 네덜란드 준우승 소련 공동 3위 서독 이탈리아 조별 리그 스페인 덴마크 아일랜드 잉글랜드 vdehUEFA 유로 1996 참가팀우승 독일 준우승 체코 공동 3위 프랑스 잉글랜드 8강 크로아티아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조별 리그 스코틀랜드 스위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러시아 덴마크 터키 vdehUEFA 유로 2000 참가팀우승 프랑스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포르투갈 네덜란드 8강 터키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조별 리그 잉글랜드 독일 벨기에 스웨덴 노르웨이 슬로베니아 체코 덴마크 vdehUEFA 유로 2004 참가팀우승 그리스 준우승 포르투갈 공동 3위 네덜란드 체코 8강 잉글랜드 스웨덴 프랑스 덴마크 조별 리그 스페인 러시아 크로아티아 스위스 이탈리아 불가리아 독일 라트비아 vdehUEFA 유로 2008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독일 공동 3위 러시아 터키 8강 네덜란드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조별 리그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그리스 폴란드 루마니아 스웨덴 스위스 vdehUEFA 유로 2012 참가팀우승 스페인 준우승 이탈리아 공동 3위 독일 포르투갈 8강 체코 프랑스 그리스 잉글랜드 조별 리그 러시아 폴란드 덴마크 네덜란드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우크라이나 스웨덴 vdehUEFA 유로 2016 참가팀우승 포르투갈 준우승 프랑스 공동 3위 웨일스 독일 8강 폴란드 벨기에 이탈리아 아이슬란드 16강 스위스 잉글랜드 슬로바키아 북아일랜드 스페인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헝가리 조별 리그 알바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체코 터키 스웨덴 오스트리아 vdehFIFA 월드컵 개최국 1930: 우루과이 1934: 이탈리아 1938: 프랑스 1950: 브라질 1954: 스위스 1958: 스웨덴 1962: 칠레 1966: 잉글랜드 1970: 멕시코 1974: 서독 1978: 아르헨티나 1982: 스페인 1986: 멕시코 1990: 이탈리아 1994: 미국 1998: 프랑스 2002: 대한민국, 일본 2006: 독일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2026: 캐나다, 멕시코, 미국 vdehUEFA 소속 축구 국가대표팀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터키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남미 북중미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탈리아_축구_국가대표팀&oldid=24403661" 분류: 이탈리아의 축구축구 국가대표팀유럽의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우승국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인용 오류 - URL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BosanskiCatalàکوردیČeština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עבריתहिन्दी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ëtzebuergeschLimburgsLigureLietuviųLatviešu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МонголमराठीBahasa MelayuMaltiNapulitanoनेपाली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தமிழ்ТоҷикӣไทยTürkçeТатарча/tatarça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VènetoTiếng Việt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9일 (일) 23:2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어: Nazionale di calcio dell'Italia 나치오날레 디 칼초 델리탈리아[*], Nazionale Italiana di calcio 나치오날레 이탈리아나 디 칼초[*])은 국제 축구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이탈리아 축구의 행정 부서인 이탈리아 축구 연맹 (FIGC)의 관리를 받는다. 이탈리아는 FIFA 월드컵 역사상 가장 많은 성공을 거둔 국가 중 하나로, FIFA 월드컵 우승을 4번 (1934년, 1938년, 1982년, 2006년) 거두었고, 준우승도 2번 (1970년, 1994년) 경험하였고, 3위 (1990년) 와 4위 (1978년) 도 1번씩 기록하였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도 2차례 (1968년), (2020년) 우승한 전적이 있으며, 결승전에 2번 더 (2000년, 2012년) 올랐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1936년) 를, 중앙 유럽 국제 컵 대회에서는 2번 우승하였다. 이탈리아가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거둔 최고 성적은 2013년에 거둔 3위였다.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4년 FIFA 월드컵의 연이은 조별리그 탈락에 이어 2018년 FIFA 월드컵에 이어서 2022년 FIFA 월드컵마저 2연속 지역예선 탈락하는 수모를 겪은 탓에 4대회 연속 본선 토너먼트(16강)에 진출하지 못해서 이젠 더 이상 우승 후보라고 평가하기 힘든 수준까지 추락했으며 2026년 FIFA 월드컵마저 지역예선 탈락할 경우 FIFA 월드컵 우승팀으로서는 이례적으로 3연속 지역예선 탈락이라는 치욕을 당하게 된다. 이는 1980년대 ~ 2000년대의 우루과이 만큼이나 암울한 기록이다. 황당하게도 이 기간 동안 FIFA 월드컵 빼고 나머지 축구대회는 굉장히 잘했다는 아이러니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UEFA 유로 2012 준우승, UEFA 유로 2020 우승, 20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 및 2022-23년 UEFA 네이션스리그 2대회 연속 파이널 진출을 이루었다.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다시 우승 후보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2026년 FIFA 월드컵에서 적어도 8강에는 진출해야 한다. 이 탓에 현재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현역 선수 중에서 FIFA 월드컵 본선 토너먼트(16강)를 경험한 선수는 아무도 없다. 마지막으로 FIFA 월드컵 16강을 경험했던 선수는 잔루이지 부폰이다. 국가대표팀의 별칭은 이 아주리 (Gli Azzurri)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과 이탈리아 선수단들의 유니폼 색상에서 유래하였다. 초창기의 두 경기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은 백색 상의와 각 소속팀에서 사용한 하의를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연청색, 상의는 3번째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아주로 (Azzurro)라는 이탈리아어 단어의 유래는 "사보이아의 푸른색" (Azzurro Savoia)에서 유래하였는데, 사보이아는 1861년에 이탈리아 왕국을 통일시킨 가문으로, 현재 이탈리아의 대통령 공식적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주 훈련장은 피렌체 코베르차노의 이탈리아 축구 연맹 기술 본부에 위치하며, 국가대표팀은 이탈리아 전국의 다수 구장에서 홈경기를 벌인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1966년 FIFA월드컵 예선 이탈리아와 북한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은 선수는? Assistant: 박두익 Human: 아래 LATAM_브라질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LATAM 브라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LATAM 브라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AM 항공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LATAM 브라질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JJ TAM TAM 창립일 1961년 허브 공항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거점 도시 미니스토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상파울루 콩고냐스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산투스 두몬트 공항 아폰소페냐 국제공항 데푸타도 루이스 에두아르두 마젤란 국제공항 에두아르두 고메시 국제공항 탕크레두 네비스 국제공항 살가도 필류 국제공항 힐클리오 루즈 국제공항 핀토 마틴스 국제공항 헤시피 공항 동맹체 원월드 상용고객우대제도 Fidelidade VIP 라운지 VIP Lounge 보유 항공기 164 취항지 수 69 슬로건 Paixão por voar e servir 본사 브라질 상파울루 핵심 인물 Marco Bologna (CEO) 모기업 LATAM 항공 그룹 자회사 LATAM 카고 브라질 LATAM 파라과이 웹사이트 https://www.latam.com/pt_br/ LATAM 브라질(영어: LATAM Brasil, 포르투갈어: LATAM Brasil)은 브라질의 상파울루에 거점을 둔 항공사로, 브라질의 최대 항공사로 남아메리카의 대형 항공사들 중 하나이며,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원월드 항공 동맹의 일원에 속하기도 한다. 허브 공항으로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이 있다. 목차 1 역사 2 운항 노선 2.1 코드쉐어 협정 3 보유 기종 3.1 현재 사용하는 기종 3.2 퇴역 기종 4 자회사 4.1 LATAM 파라과이 4.2 PLA 항공 5 사건 및 사고 6 각주 7 사진 8 외부 링크 역사[편집] 1961년 마릴리아 에어택시(포르투갈어: Táxi Aéreo Marília)로 설립해 같은 해 2월 21일에 취항을 시작했다. 1964년 회사의 지분을 농업 비즈니스 사업가가 절반 인수했다. 1966년 본사를 상파울루로 이전했다. 1981년 연간 여객 100만명을 달성하고 이듬해 1982년에 여객 수 200만명을 달성했다. 1986년 8월 재정의 압력으로 인해 브라질 증권 거래소에 상장했다. 1989년 포커 100을 도입했다. 1994년 계열사인 페루에 ARPA 항공을 설립했다. 1997년에 최초로 국제선이 취항되어 미국 노선에 처음 취항했다. 1999년 유럽을 오가는 국제선 노선도 신설됐다. 2008년에 TAM 항공(영어: TAM Airlines)이란 사명으로 변경했다. 같은 해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을 발표해 2010년 5월에 가입했다. 2010년 8월 칠레 항공사인 란 항공과 합병하여 라탐 그룹을 신설하기로 합의했다.[1] 두 회사의 합병은 시너지 효과와 중남미 항공 업계에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 2012년 6월에 란 항공과 합병을 마무리 하면서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의 최대 항공사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부상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3] 란 항공과 합병한 계기로 2014년에 항공 동맹인 스타 얼라이언스에서 탈퇴하고 원월드에 가입했다.[4] 2015년 8월에 통합 브랜드를 발표한데 이어 2016년 5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향후 2018년까지 모든 기종에 통합 브랜드 도장을 적용할 예정이다.[5][6] 운항 노선[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LATAM 브라질의 운항 노선입니다. 2012년 7월 기준으로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편집]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를 하고 있으며 * 표시는 원월드 회원에 해당된다. LATAM 칠레 (원월드) LATAM 파라과이 (자회사) 남아프리카 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대한항공 (스카이팀) 루프트한자 (스타 얼라이언스) 스위스 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아메리칸 항공 (원월드) 에어 이탈리아 에어 프랑스 (스카이팀) 영국항공 (원월드) 웨스트제트 이베리아 항공 (원월드) 인터제트 일본항공 (원월드) 중국국제항공 (스타 얼라이언스) 카타르 항공 (원월드) 캐세이퍼시픽 항공 (원월드) 보유 기종[편집] 2012년 5월 기준으로 LATAM 브라질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7년이다.[7][8] 현재 사용하는 기종[편집] LATAM 브라질의 보유 기종[9][10][11] 기종 대수 주문 승객[12] 비고 J Y 합계 에어버스 A319-100 22 0 0 144 144 에어버스 A320-200 59 12 12 144 156 4대는 LATAM 파라과이 임차 운항1대는 원월드 도장 적용 0 174 174 에어버스 A320neo 2 20 12 156 168 2015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예정[13] 0 174 174 에어버스 A321-200 31 0 0 220 220 에어버스 A350-900 7 6 30 318 348 2016년부터 순차별로 도입 예정2대는 카타르 항공에 임차 에어버스 A350-1000 0 12 TBA 보잉 767-300ER 14 0 30 191 221 보잉 777-300ER 10 0 56 323 379 합계 143 50 퇴역 기종[편집] LATAM 브라질의 퇴역 기종[11] 기종 대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비고 에어버스 A330-200 22 1998년 2016년 7대는 예비용으로 저장일부는 TAP 포르투갈, 걸프 에어, 터키 항공에 매각 에어버스 A340-500 2 2007년 2014년 맥도넬더글러스 MD-11 3 2007년 2008년 보잉 임차 운항 EMB-110 밴드레이트 불명 1976년 1996년 포커 27 8 1980년 2000년 포커 50 10 1990년 2001년 포커 100 51 1991년 2008년 자회사[편집] LATAM 파라과이[편집] LATAM 파라과이(영어: LATAM Paraguay)는 파라과이의 아순시온에 거점을 둔 항공사로 1994년 파라과이에 ARPA 항공을 설립하고 소형 기종을 도입해 운항하고 있었다. 1996년 9월 당시 경영 부진에 빠져 있던 라부사 에어 파라과이을 인수 후 합병되어 남아메리카 각국에 취항하는 TAM 메루크스 항공으로 재편했다. TAM 메루크스 회사의 지분 비율은 TAM 항공 94.98%, 파라과이 정부 5.02%를 보유하고 있으며 2008년에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현재 이 회사는 에어버스에서 제작한 에어버스 A320-200을 보유하고 있다. PLA 항공[편집] PLA 항공(포르투갈어: Pantanal Linhas Aéreas)은 브라질의 항공사로 총 11개 노선을 취항하고 있다. 본사는 브라질 상파울루 위치해 있으며 1993년에 설립 했으며 2009년 12월에 브라질의 최대 항공사인 TAM 항공에 인수되었다가 2013년에 운항이 중단 되었다. 사건 및 사고[편집]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 인근에 위치한 TAM 항공의 자회사인 TAM 익스프레스 (현. LATAM 카고 브라질) 건물로 지난 2007년에 TAM 항공 3054편로 인해 건물이 전소됐다. LATAM 브라질은 설립 이래 수 차례의 사고를 경험하였다. 2007년에 일어난 TAM 항공 3054편은 브라질의 항공 사고 역사상 대참사를 입은 바 있다. 그 뒤에도 여러 준사고들 때문에 LATAM 브라질은 브라질 항공 당국으로 부터 안전성을 의심 받아왔다. 특히 2010년 독일 항공 사고 조사국인 JACDEC가 항공 안전 순위에서 2년 연속 가장 위험한 항공사로 선정되는 등 불명예를 안았다.[14] 1979년 2월 8일, 상파울루에서 EMB-110 밴드레이트 항공기가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8명 전원이 사망했다. 1984년 7월 4일, EMB-110 밴드레이트 항공기가 리우데자네이루에 추락해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7명 전원이 사망했다. 1990년 2월 12일, 포커 27 기종이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에 착륙 시도 도중 공항 밖의 민가와 자동차를 덮쳐 자동차 안에 있던 2명이 사망했다. 1996년 10월 31일, 포커 100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이륙 조금 후에 엔진 고장으로 조종이 불가능해 지면서 항공기는 빌딩이나 주택에 충돌 추락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96명 전원이 사망했다. 또한 추락 여파로 길에 있건 시민 3명이 목숨을 잃었다. 1997년 7월 9일, 비토리아발 상파울루로 향하고 있던 포커 100 기종이 상파울루주 상공 2,400 미터 부근을 지나던 도중 시속 500km 전후로 항해 중 기체 후부에 장착된 폭탄이 기폭 폭발에 의해 생긴 구멍으로 인해 승객 4명이 기체 외부에 추락해 사망했다. 폭발에 의해 기체 우측에 생긴 구멍은 높이 1.5 미터, 폭 2.5 미터에 달했지만 목적지인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착륙했다. 2001년 9월 18일, 포커 100 엔진이 고장 나면서 기내에 뛰어든 승객 1명이 사망했다. 2002년 8월 31일, 연료 부족으로 포커 100 상파울루 근교의 농장에 불시착했다. 사망자와 부상자는 나오지 않았지만 착륙 당시 농장에 있던 소 한 마리가 목숨을 잃었다. 다행히 포커 100 기종을 비라코푸스 캄피나스 국제공항에 무사히 착륙 했으나 TAM 항공 측은 포커 100 기종을 3년 이내에 완전히 퇴역을 시킬 계획을 세우는 등 중대한 발표를 냈지만 실째로 포커 100 기종이 퇴역한 시기는 3년 늦은 2008년에 완전히 퇴역했다. 2006년 8월 8일, 포커 100 기종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이륙한 직후에 문이 떨어져 나가면서 상파울루 시내에 위치한 슈퍼마켓 근처에 낙하했다. 비행기는 곧바로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회항했다. 낙하 문이 슈퍼마켓을 파괴 했으나 다행히 희생자는 나오지 않았다. 2007년 7월 17일, 포르투알레그레를 출발해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가던 TAM 항공 3054편의 에어버스 A320-200 기종이 착륙에 실패 하면서 공항 인근에 위치한 TAM 익스프레스의 건물과 충돌했다.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해 199명 전원이 사망했다. 또한 충돌 여파로 건물에 있던 직원 13명이 부상을 입었다.[15] 2010년 2월 12일, 174명의 승객을 태운 항공기가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을 출발하는 도중에 새와 충돌하면서 콩고냐스 상파울루 공항에 다시 회항했다.[16] 각주[편집] ↑ 중남미 최대 항공사 `라탐` 탄생 ↑ "브라질-칠레 항공사 합병 효과 8천40억원" ↑ 칠레-브라질 유력 항공사 합병 마무리 ↑ http://www.usatoday.com/story/todayinthesky/2013/03/07/brazils-tam-to-shift-to-oneworld-as-it-mergers-with-lan/1970037/ ↑ "LAN and TAM to operate as LATAM with a new livery" retrieved 9 August 2015 ↑ "LATAM's entire fleet to have new livery by 2018" retrieved 9 August 2015 ↑ “Frota atual das empresas brasileiras” (포르투갈어). Aeromuseu. 2011년 12월 31일. 2012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일에 확인함.  ↑ https://www.planespotters.net/airline/LATAM-Airlines-Brasil ↑ Airways magazine, Fast Facts - TAM Linhas Aereas, February 2010, p. 25 ↑ TAM Airlines fleet - Official website ↑ 가 나 TAM Fleet | Airfleets aviation ↑ TAM - SeatPlans.com ↑ TAM orders 22 A320neo ↑ 가장 위험한 항공사 `브라질 TAM` 《한국경제》, 2011년 1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 착륙중 화물터미널 충돌 최소 200명 사망… 브라질 최악 항공기 참사 《서울신문》, 2007년 7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 브라질 항공기, 새와 충돌사고로 회항 《연합뉴스》, 2010년 2월 13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사진[편집]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19-1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19-1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20-200 LATAM 브라질의 에어버스 A350-900 LATAM 브라질의 보잉 767-300ER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LATAM 브라질의 보잉 777-300ER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LATAM 브라질 LATAM 브라질 홈페이지 vdehLATAM 항공 그룹항공 동맹 원월드 주요 항공사 LATAM 브라질 LATAM 칠레 전체 소유 항공사 LATAM 아르헨티나 LATAM 에콰도르 LATAM 익스프레스 LATAM 콜롬비아 LATAM 파라과이 LATAM 페루 화물 항공사 LATAM 카고 멕시코 LATAM 카고 브라질 (ABSA 카고 항공) LATAM 카고 콜롬비아 LATAM 카고 칠레 과거 소속 법인 PLA 항공 LAN 도미니카 플로리다 웨스트 국제항공 운항 노선 LATAM 브라질의 운항 노선 LATAM 아르헨티나의 운항 노선 LATAM 에콰도르의 운항 노선 LATAM 칠레의 운항 노선 LATAM 콜롬비아의 운항 노선 LATAM 페루의 운항 노선 vdeh스타얼라이언스창립 회원 루프트한자 스칸디나비아 항공 에어 캐나다 유나이티드 항공 타이 항공 일반 회원 LOT 폴란드 항공 TAP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항공 브뤼셀 항공 선전 항공 스위스 국제항공 싱가포르 항공 아드리아 항공 아비앙카 항공 아시아나항공 에게 항공 에바 항공 에어 뉴질랜드 에어 인디아 에티오피아 항공 오스트리아 항공 이집트 항공 전일본공수 중국국제항공 코파 항공 크로아티아 항공 터키 항공 연결 회원 올림픽 에어 준야오 항공 제휴 회원 ANA 윙스 PGA 익스프레스 남아프리카 익스프레스 라우다 항공 루프트한자 리저널 아비앙카 니카라과 아비앙카 브라질 아비앙카 엘살바도르 아비앙카 온두라스 아비앙카 코스타리카 아비앙카 페루 에어 뉴질랜드 링크 에어링크 에어재팬 에어 캐나다 익스프레스 오스트리아 아처 항공 유나이티드 익스프레스 이집트 에어 익스프레스 재즈 항공 코파 항공 콜롬비아 타이 스마일 항공 터키 항공 카고 포르투갈리아 헬리콜 항공 과거 회원 BMI TAM 항공 TAM 파라과이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PLA 항공 멕시카나 항공 바리그 브라질 항공 블루원 상하이 항공 스위스 글로벌 항공 스팬에어 앤셋 오스트레일리아 콘티넨털 항공 vdeh원월드 회원사창립 회원 아메리칸 항공 영국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콴타스 항공 일반 회원 S7 항공 LATAM 항공 그룹 (LATAM 브라질 · LATAM 칠레) 로열 요르단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스리랑카 항공 이베리아 항공 일본항공 카타르 항공 핀에어 가맹 회원 BA 시티플라이어 J-에어 LATAM 항공 그룹 (LATAM 아르헨티나 · LATAM 에콰도르 · LATAM 익스프레스 · LATAM 콜롬비아 · LATAM 페루) 글로부스 항공 노르딕 리저널 항공 니키 항공 선에어 오브 스칸디나비아 엔보이 항공 오픈스카이스 이베리아 리저널 이베리아 익스프레스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 제트 커넥트 컴에어 콴타스 링크 캐세이 드래곤 항공 과거 회원 JAL 익스프레스 US 에어웨이스 US 에어웨이스 셔틀 US 에어웨이스 익스프레스 말레브 헝가리 항공 멕시카나 링크 멕시카나 클릭 멕시카나 항공 아메리칸 커넥션 에어링구스 에어 베를린 영국항공 리미티드 캐나디안 항공 킹피셔 항공 트랜스월드 항공 vdeh 브라질의 항공사메인 항공사ALA 항공 · GOL 항공 · NHT 항공 · SETE 항공 · LATAM 브라질 · 바리그 항공 (2006년) · 매리스 항공 · 아비앙카 브라질 · 아줄 브라질 항공 · 팬타나 항공전세 항공사ASTA 항공 · MAP 항공 · 마리스 항공 · 토탈 항공 · 화이트 제트화물 항공사LATAM 카고 브라질 (ABSA 카고 항공) · 리오 에어 · 마스터탑 항공 · 토탈 카고 에어집행 항공사TAM 아비앙카 이그제큐티브 · 글로벌 택시 아에로 · 리델 항공 · 마니우스 아에로 택시 · 아메리카 에어 · 제트수르중단 항공사BETA 카고 · BRA 항공 · SOL 항공 · TEAM 항공 · 간사 항공 · 누아르 항공 · 메타 항공 · 스카이마스터 항공 · 크루즈 항공 · 프루마 항공폐지된 항공사AMG 항공 · AMLA 항공 · ATA 브라질 · CAL 항공 · CITA 항공 · CMT 항공 · ETA 항공 · FLA 항공 · LAB 항공 · LAN 에어 · LAP 항공 · LAW 항공 · NAB 항공 · NLAR 항공 · NTA 항공 · NYRBA 델 브라질 · OMTA 항공 · PENTA 항공 · PLA 항공 · PTA 항공 · SAC 항공 · SACS 항공 · SAVAG 항공 · TAB 항공 · TABA 항공 · TAC 항공 · TAF 항공 · TAL 항공 · TAN 항공 · TAS 항공 · TASA 항공 · TAVAJ 항공 · TCA 항공 · TCB 항공 · TRIP 항공 · VAAI 항공 · VAB 항공 · VASD 항공 · VASP 항공 · VOTEC 항공 · 나탈 항공 · 리얼항공 · 리오 수 항공 · 리코 항공 · 리토리나 항공 · 바리그 로그 · 바리그 항공 (1927년) · 브라질 센트럴 항공 · 브루민스 항공 · 비아브라스 항공 · 사디아 항공 · 수드카토 콘도르 · 아에로갤 · 아에로노트 · 아에로비아 브라질 · 아에로야드 이과수 · 에어비아 항공 · 웹제트 · 유니버설 항공 · 콘도르 수야디카트 · 트랜스 브라질 항공 · 트랜스 콘티넨탈 항공 · 팔툼 에어 · 팬에어 델 브라질 · 프로모달 항공 · 프리스댄트 항공 · 플라이 항공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LATAM_브라질&oldid=24076282" 분류: 스타 얼라이언스1961년 설립국영 항공사브라질의 항공사IATA 회원TAM 항공상파울루의 기업상카를루스숨은 분류: CS1 - 포르투갈어 인용 (pt)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포르투갈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kanالعربية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עברית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ietuviųमराठी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0일 (토) 21: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LATAM 브라질(영어: LATAM Brasil, 포르투갈어: LATAM Brasil)은 브라질의 상파울루에 거점을 둔 항공사로, 브라질의 최대 항공사로 남아메리카의 대형 항공사들 중 하나이며,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유럽을 오가는 항공편을 운영하고 있다. 허브 공항으로 브라질리아 국제공항,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이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LATAM 브라질은 현재의 사명으로 언제 변경했을까? Assistant: 2016년 5월
Human: 아래 사쿠라다_네네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사쿠라다 네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쿠라다 네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쿠라다 네네(일본어: 桜田ネネ, 한국어 더빙명: 유리)는 《크레용 신짱》에 나오는 등장인물로, 신짱의 친구이다. 성우는 하야시 다마오 / 정유미 (투니버스, 극장판 25기 이후), 장경희 (극장판 24기까지), 한수경(1,2기), 박은숙(4,6,7기)이다. 목차 1 설명 1.1 성미 1.2 토끼인형 1.3 소꿉놀이 1.4 라이벌 설명[편집] 신짱의 유치원 친구들중 한 사람. 별자리는 물고기자리이다.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편에서 어른이 된 유리가 등장하는데 유치원 선생님으로 취직했지만, 성격이 더 안 좋아진 탓에 시집을 못 가고 있다. 성미[편집] 항상 토끼인형을 들고 다니는 귀여운 여자아이지만, 일단 화가 나면 가지고 다니는 토끼인형을 향해 엄청난 주먹을 날린다. 사실 이런 버릇이 처음부터 있는 건 아니었다. 크레용 신짱 초기에는 이 캐릭터가 아주 순진했는데(평소의 엄마같지가 않으면 "평소에 우리엄마가 아니야"라고 외친다), 두 얼굴을 가진 엄마 때문에 이런 성격을 가지게 된 것이다. 혼자서 다른 친구들을 제압할 정도이다. 성격이 변한 후에도 엄마가 토끼인형을 때릴 때마다 여전히 "우리엄마가 아니야"라고 외치기도 한다. 네네의 엄마도 토끼 인형을 가지고 다니며, 평소에는 아주 조신하게 행동한다. 이런 면에서 네네는 역시 엄마를 빼닮았다. 본인은 아빠 닮았다고 주장하지만 신짱이 엄마의 안 좋은 면을 닮았다고 말하면 절대 우리엄마가 그럴리가 없다며 괴로워한 적도 있다. 이미 2살때부터 다른 사람들(특히 마사오)을 리얼소꿉놀이에 끌어놓는 능력이 있으며, 토오루에게는 수갑까지 채워 소꿉놀이에 끌여들였다. 토끼인형[편집] 여러가지 토끼인형을 가지고 있으며(토순이, 행복한 토끼, 샌드백토끼, 딱딱한 토끼 등 그 이외의 여러가지 토끼인형, 비상용 토끼인형 등등) 화가 나면 토끼인형을 구타하지만(기분에 따라 구타하는 토끼인형이 다르다), 실제로는 토끼& 토끼인형을 좋아하는 여자아이다. 주로 토끼인형을 주먹으로 때리며(10기에서는 살아있는 토끼가 자신을 공격하자 토끼귀를 잡아 토끼를 주먹으로 때리려다가 오히려 봉변당했다.), 간혹 토끼인형에 다양한 격투 또는 레슬링 기술(암바, 코브라 트위스트, 팔 꺾기, 새우 꺾기, 수플렉스 이외 여러가지)을 사용할 때도 있고 부메랑이나 뿅망치, 투척 용도(주로 신짱한테)로 사용하기도 한다. 소꿉놀이[편집] 네네의 상징과도 같은 요소. 초창기에는 5살 어린아이다운 매우 순수하고 창의적인 놀이였고 심지어는 놀이를 통해 교훈을 얻는 에피소드가 있었지만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네네의 성격이 표독스럽게 변해버리면서 놀이의 질이 더러워져서 지금은 말이 소꿉놀이지 사실은 성인드라마를 흉내내는 놀이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 처음에는 자발적으로 하겠다고 나서던 다른 남자애들이 지금은 소꿉놀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질색한다. 게다가 이 소꿉놀이의 가장 큰 희생양은 아내에게 시달리는 무능한 남편 역할만 맡는 마사오. 라이벌[편집] 자기네 반에 전학온 스오토메 아이를 첫날부터 집안자랑이나 하는 아이라고 여기며 못마땅하게 여겼고 이후 그녀가 미인계로 쏟아지는 남자들의 관심으로 어장관리 하는걸 보고는 겉과 속이 다른 여우같은 아이라고 확신한다. 그러다 아이가 신노스케를 귀찮게 하는걸 보고는 질투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고 이때부터 라이벌 관계가 된다. 하지만 시리즈가 계속될수록 점차 친하게 지내는 에피소드도 많이 있었고 특히 원작 한정으로 그녀의 달라진 모습을 보고는 감동받아 친해지는 내용도 있다. vdeh짱구는 못말려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 신-맨 방영 목록 극장판 제1기 제2기 제3기 제4기 제5기 제6기 제7기 제8기 제9기 제10기 제11기 제12기 제13기 제14기 제15기 제16기 제17기 제18기 제19기 제20기 제21기 제22기 제23기 제24기 제25기 제26기 제27기 게임 나랑 포이포이 폭풍을 부르는 유치원생 대마왕의 역습 크레용신짱 4 등장인물 노하라 미사에 노하라 히로시 카스카베 방위대(노하라 신노스케 노하라 히마와리 카자마 토루 사토 마사오 보오 시로) 사쿠라다 네네 스오토메 아이 오오하라 나나코 유치원 임직원(타카쿠라 분타: 원장 요시나가 미도리: 해바라기반 담임 마츠자카 우메: 장미반 담임 아게오 마쓰미: 백합반 담임)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류코 오깅 마리) 액션가면 부리부리 자에몽 주제가vdeh일본오프닝 꿈의 END는 언제나 잠을 깨게 한다! 나는야 인기인 파카포로 GO! 날아라 날아라 누님들 안돼안돼의 노래 PLEASURE 흔들흔들 DE-O! 해피해피 Hey Baby! T.W.L 희망산맥 너에게 100퍼센트 나는야 인기인 -25th MIX- 머스캣 엔딩 노래를 부르자 파티조나 대작전 달빛이 살포시 내리는 밤 좋아좋아♡마이걸 오늘은 데이트 전체적으로 좋아요. 극장판 PURENESS 잘가요, 고마워요 잘 지내 Crayon Beats Cry Baby 개구쟁이 길 축하해 옐로 팬지 스트리트 소년이여 거짓말을 하라! RPG 패밀리 파티 OLA!! 친구여 ~ 앞으로도 계속… 로드 무비 웃어봐 ~샤오이샤오!~ 그 외 베스트 앨범 주제가집 vdeh한국오프닝 짱구는 못말려 나는야 인기인 흔들흔들 DE-O! Hey Baby! 부리부리 댄스 엔딩 말썽쟁이 짱구 개미의 노래 해피해피 관련 문서 등장인물 발라드 이름없는 사랑 노래 이 글은 가공 인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사쿠라다_네네&oldid=23909825" 분류: 짱구는 못말려의 등장인물가공의 일본 사람숨은 분류: 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가공 인물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Italiano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3월 24일 (일) 20:0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한유리(일본어: 桜田 ネネ 사쿠라다 네네[*])는《크레용 신짱》에 나오는 등장인물로, 신짱구의 친구이다. 성우는 하야시 다마오 / 정유미(투니버스, 극장판 25기 이후), 장경희(극장판 24기까지), 한수경(1, 2기), 박은숙(4, 6, 7기), 박영희(MBC)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짱구는 못말려'의 등장인물인 짱구의 친구 유리가 들고 다니는 인형은 어떤 동물일까? Assistant: 토끼 Human: 아래 김보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김보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보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김보연 金甫娟본명 김복순 (金福順[1], 1957년 ~ 2007년) 김윤주 (2007년 ~ )출생 1957년 12월 31일(1957-12-31) (61세)대한민국 서울특별시직업 가수, 배우활동 기간 1974년 ~ 현재종교 불교 학력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학사형제자매 1남 5녀 중 넷째배우자 전노민 (前, 2004년 ~ 2012년)자녀 슬하 2녀 김보연(金甫娟[2], 본명: 김윤주,[3] 1957년 12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목차 1 생애 2 학력 3 연기 활동 3.1 영화 3.2 드라마 3.3 연극 4 방송 5 앨범 6 수상 경력 7 각주 8 외부 링크 생애[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재학 당시 교장의 추천으로 배우가 되었다. 1974년 영화 《애정이 꽃피는 계절》에서 주인공 남진의 동생 역으로 데뷔한 후, 1975년 MBC 청소년 드라마 《제3교실》로 브라운관에 데뷔하였다. 1976년 MBC 제8기 공채 탤런트로 입문해 영화 《어머니와 아들》로 주목받았고, 그 해 영화 《진짜진짜 미안해》에서 여주인공의 친구 역으로 출연해 하이틴 스타로도 급부상했다. 1978년 작가 김수현이 쓴 MBC 인기 드라마 《당신》에서 뇌종양을 앓는 여고생 역을 맡아 안방극장에서도 스타덤에 올랐다. 그리고 이 드라마에서 노래하는 장면을 본 레코드사에서 가수로 데뷔할 것을 권유하자 가수로 전격 데뷔하였으며, 박춘석이 작곡한 노래 〈사춘기〉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가요톱텐에서 5주 연속 1위를 했다. 또한 같은 해 MBC 주간 연속극 《막내며느리》에서 처음으로 성인역이자 주역을 맡았다. 1983년 서울국제가요제에서 쟁쟁한 가수들을 물리치고 4집 수록곡 《사랑은 생명의 꽃》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주로 드라마나 하이틴 영화에서 교복 입은 여고생역으로 인기를 끌다가 1982년 배창호가 감독한 영화 데뷔작 《꼬방동네 사람들》에서 빈민촌에 사는 한 많은 여인 '검은 장갑'역을 맡아 연기 인생에서 분수령을 맞는다. 혼신을 다해 연기한 덕분에 그해 대종상영화제에서 김영애, 김혜자를 제치고 여우주연상을 받으면서 극찬을 받았다.[4] 1987년 유학에서 돌아와 활동을 재개하였고 1988년 혼인했다가 1997년 아이들의 교육 문제로 미국에 머물며 같은 해 방영된 SBS 드라마 《이웃집 여자》를 끝으로 연예계 활동을 접었다가 2001년 SBS 드라마 《화려한 시절》, 《이 부부가 사는 법》으로 복귀하였다. 딸 둘을 키우던 김보연은 9살 연하인 배우 전노민과 MBC 드라마 《성녀와 마녀》에 함께 출연한 것을 계기로 2004년 혼인했다가 2012년 3월에 합의해 이혼했다. 학력[편집] 안양예술고등학교 연극영화과 터스칼럼대학 무대디자인과 연기 활동[편집] 영화[편집] 1974년 《애정이 꽃피는 계절》 ... 남영진의 여동생 역 1976년 《어머니와 아들》 1976년 《진짜 진짜 미안해》 1976년 《진짜 진짜 잊지마》 1977년 《여고 얄개》 ... 신애 역 1977년 《사랑의 계절》 1978년 《우리들의 고교시대》 1978년 《제갈맹순이》 ... 맹순이 역 1979년 《꽃밭에 나비》 ... 장미 역 1979년 《목마 위의 여자》 ... 수경 역 1979년 《말띠 며느리》 1980년 《바람 불어 좋은 날》 ... 미스 유 역 1980년 《달려라 풍선》 ... 달숙 역 1980년 《땅울림》 1980년 《여자의 이 아픔을》 ... 윤희 역 1982년 《대학 얄개》 1982년 《꼬방동네 사람들》 ... 명숙 역 1983년 《오마담의 외출》 ... 오가희 역 1987년 《안녕하세요 하나님》 ... 춘자 역 1988년 《여자 세상》 ... 유나영 역 1988년 《여자가 숨는 숲》 ... 수희 역 1990년 《나의 사랑 나의 신부》 ... 미스 최 역 1990년 《마유미》 ... 김순희 역 1991년 《경마장 가는 길》 ... R의 아내 역 1991년 《은마는 오지 않는다》 ... 용녀 역 1994년 《젊은 남자》 ... 손 실장 역 1994년 《무거운 새》 ... 영애 역 1995년 《개같은 날의 오후》 ... 은주 엄마, 박순자 역 1995년 《천재 선언》 ... 설희 역 1997년 《스커트 속의 드라마》 2004년 《늑대의 유혹》 ... 엄마 역 2004년 《그 놈은 멋있었다》 ... 예원 모 역(특별출연) 2004년 《하류인생》 ... 목소리 출연 2005년 《형사 Duelist》 ... 장옷 여인 역(특별출연) 2006년 《원탁의 천사》 ... 원탁 모, 영규 처 역 2009년 《불신지옥》 ... 희진/소진 자매의 모 역 2010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 기생 어멈 역(우정출연) 2010년 《요쿠르트 아줌마》 ... 영선 역 2011년 《모비딕》 ... 조 부장 역 2011년 《적과의 동침》 ... 월선 역(특별출연) 2011년 《써니》 ... 과거사진 역(특별출연) 2012년 《나의 PS 파트너》 ... 윤정 모 역(특별출연) 2015년 《워킹걸》 ... 윤관순 역 2019년 《어린 의뢰인》 ... 판사 역(특별출연) 드라마[편집] 1975년 MBC 청소년드라마 《제3교실》 1976년 MBC 일일연속극 《들장미》 ... 막내딸 역 1977년 MBC 일일연속극 《당신》 ... 고3 막내딸 역 1978년 MBC 금요드라마 《막내 며느리》 ... 종갓집 막내며느리 명희 역 1979년 MBC 주간연속극 《엄마, 아빠 좋아》 1980년 MBC 주말연속극 《종점》 1980년 MBC 청춘드라마 《청춘의 초상》 1981년 MBC 추석특집극 《칼과 이슬》 ... 설화 역 1982년 MBC 대하드라마 《여인열전 - 서궁마마》 ... 김개시 역 1982년 MBC 수요드라마 《나라야》 ... 월남여성 람 역 1983년 MBC 미니시리즈 《거부실록 - 무역왕 최봉준》 1983년 MBC 주간연속극 《다녀왔읍니다》 1989년 MBC 창사특집극 《타오르는 강》 ... 쌀분 역 1990년 MBC 미니시리즈 《어둔 하늘 어둔 새》 ... 홍이숙 역 1991년 MBC 수목드라마 《까치 며느리》 ... 수정 역 1991년 KBS2 미니시리즈 《물의 나라》 ... 송미란 역 1992년 SBS 미니시리즈 《작은 도시》 1992년 MBC 일일연속극 《두 자매》 ... 정선주 역 1992년 MBC 미니시리즈 《두 여자》 ... 김영혜 역 1994년 MBC 아침드라마 《큰 언니》 ... 하란 1994년 MBC 미니시리즈 《아담의 도시》 ... 김순옥 역 1995년 MBC 3.1절특집극 《노래만들기》 1995년 MBC 주간연속극 《두 아빠》 1995년 MBC 미니시리즈 《제4공화국》 ... 서교동 민 마담 역 1996년 SBS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 ... 서옥님 역 1996년 MBC 미니시리즈 《이혼하지 않는 이유》 1996년 SBS 일일연속극 《자전거를 타는 여자》 ... 허난수 역 1996년 KBS2 미니시리즈 《엄마는 출장중》 ... 오현주 역 1997년 SBS 월요드라마 《재동이》 ... 비디오가게 주인 양말순 역 1997년 SBS 주말극장 《이웃집 여자》 ... 박노순 역 2001년 SBS 일일연속극 《이 부부가 사는 법》 ... 박금자 역 2001년 SBS 주말극장 《화려한 시절》 ... 민주 모 역 2002년 SBS 아침연속극 《얼음꽃》 ... 유재분 역 2003년 MBC 설날특집극 《순덕이》 ... 한명진 역 2003년 MBC 아침드라마 《성녀와 마녀》 ... 배 여사 역 2003년 SBS 미니시리즈 《천년지애》 ... 지에꼬 역 2004년 SBS 미니시리즈 《섬마을 선생님》 ... 외숙모 역 2004년 KBS2 주말연속극 《부모님 전상서》 ... 안금주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눈꽃》 ... 최정선 역 2006년 MBC 일일연속극 《얼마나 좋길래》 ... 신귀녀 역 2006년 KBS2 미니시리즈 《황진이》 ... 매향 역 2006년 SBS 미니시리즈 《스마일 어게인》 ... 정예분 역 2007년 MBC 일일연속극 《아현동 마님》 ... 혜나 모 역 2007년 KBS2 주말연속극 《며느리 전성시대》 ... 윤인경 역 2007년 SBS 주말연속극 《조강지처 클럽》 ... 화신 계모 역 (특별출연) 2007년 SBS 일일연속극 《그 여자가 무서워》 ... (특별출연) 2008년 KBS2 미니시리즈 《연애결혼》 ... 강현 모 역 2008년 SBS 창사특집극 《압록강은 흐른다》 ... 선 여인 역 2009년 KBS2 미니시리즈 《미워도 다시 한 번 2009》 ... (우정출연) 2010년 MBC 일일연속극 《황금물고기》 ... 이세린 역 2011년 SBS 주말연속극 《신기생뎐》 ... 오화란 역 2011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며느리》 ... 차혜자 역 2011년 MBC 아침드라마 《위험한 여자》 ... 윤도희 역 2012년 MBC 주말연속극 《신들의 만찬》 ... 백설희 역 2012년 SBS 미니시리즈 《드라마의 제왕》 ... 조영은 역 (특별출연) 2013년 JTBC 주말연속극 《무자식 상팔자》 ... 영현 모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주말연속극 《백년의 유산》 ... 김명순 역 (특별출연) 2013년 MBC 일일연속극 《오로라 공주》 ... 황시몽 역 2013년 KBS2 미니시리즈 《예쁜 남자》 ... 나홍란 역 2014년 MBC 미니시리즈 《미스터 백》 ... 박에스더 역 2015년 MBC 일일연속극 《불굴의 차여사》 ... 차미란 역 2015년 OCN 주말드라마 《아름다운 나의신부》 ... 문인숙 역 (특별출연) 2015년 KBS2 미니시리즈 《별난 며느리》 ... 장미희 역 2016년 MBC 월화드라마 《몬스터》 ... 황귀자 역 2016년 MBC 수목드라마 《쇼핑왕 루이》 ... 신영애 역 2017년 MBC 주말드라마 《당신은 너무합니다》 ... 백미숙 역 2018년 JTBC 금토드라마 《미스티》 ... 강태욱의 어머니 역 연극[편집] 《뜻대로 하세요》(1980년) 방송[편집] KBS 《9시에 만납시다》 TBS 라디오 《9595쇼》 KBS 《가요산책》 SBS 《주부만세》 SBS 《시선집중, 오늘》 MBC 《우정의 무대》 SBS 《불타는 청춘》 앨범[편집] 1978년 1집 《김보연 골든 앨범 (사춘기)》 1979년 《캐롤송 특집》 1979년 2집 《골든 히트 (생각)》 1980년 3집 《골든 3 (네가 좋아)》 1982년 4집 《김보연 '82 (사랑했단 말 대신)》 1983년 《'83서울국제가요제 금상 수상기념 (사랑은 생명의 꽃)》 수상 경력[편집] 1977년 MBC 연기대상 탤런트부문 신인상 《당신》 1978년 제17회 대종상영화제 신인상 《제갈맹순이》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신인연기상 《당신》 1978년 제14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신인연기상 《제갈맹순이》 1982년 제21회 대종상영화제 여우주연상 《꼬방동네 사람들》 1983년 제6회 MBC 서울국제가요제 금상《사랑은 생명의 꽃》 1991년 제12회 청룡영화상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1년 제2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우조연상 《은마는 오지 않는다》 1992년 제3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경마장 가는 길》 1995년 제6회 춘사대상영화제 여자우수연기상 《개같은 날의 오후》 2009년 제18회 부일영화상 여우조연상 《불신지옥》 2009년 제32회 황금촬영상 시상식 인기여우상 《불신지옥》 2010년 MBC 연기대상 연속극 부문 황금연기상 《황금물고기》 2013년 MBC 연기대상 여자황금연기상 《오로라 공주》 각주[편집] ↑ 《동아일보》1983년 3월 7일 ↑ 《경향신문》1982년 12월 13일 ↑ 전노민 "연애 때 김보연과 키스하다 딸에 들켜 결혼", 《스포츠칸》, 2009년 8월 13일 작성, 2011년 3월 22일 확인. ↑ 김보연은 대역 배우에 무술 장면을 모두 의존하지 않는 유일한 여자 배우로 보도되기도 했다. TV 武術장면을 실감나게…, 《경향신문》, 1982.2.26 기사 참고. 외부 링크[편집] 김보연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vdeh부일영화상 여우조연1960년대 도금봉 (1962) 한은진 (1963) 최지희 (1964) 태현실 (1965) 황정순 (1966) - (1967) 황정순 (1968) - (1969) 2000년대 김해숙 (2008) 김보연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김여진 (2011) 박지영 (2012) 장영남 (2013) 김영애 (2014) 문정희 (2015) 박소담 (2016) 김수안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최우수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자연기 | 신인여자연기 vdeh대종상 여우주연상 수상자1960년대 최은희 (1962) 도금봉 (1963) 황정순 (1964) 최은희 (1965) 최은희 (1966) 문정숙 (1967) 문희 (1968) 1970년대 윤정희 (1971) 고은아 (1972) 윤연경 (1973) 김지미 (1974) 김지미 (1975) 최민희 (1976) 윤미라 (1977) 고은아 (1978) 유지인 (1979) 1980년대 정윤희 (1980) 정윤희 (1981) 김보연 (1982) 장미희 (1983) 이미숙 (1984) 김지미 (1985) 최명길 (1986) 강수연 (1987) 강수연 (1989) 1990년대 강수연 (1990) 원미경 (1991) 장미희 (1992) 심혜진 (1993) 윤정희 (1994) 최진실 (1995) 심혜진 (1996) 심혜진 (1997) 심은하 (1999) 2000년대 전도연 (2000) 고소영 (2001) 전지현 (2002) 이미연 (2003) 문소리 (2004) 김혜수 (2005) 전도연 (2006) 김아중 (2007) 김윤진 (2008) 수애 (2009) 2010년대 윤정희 (2010) 김하늘 (2011) 조민수 (2012) 엄정화 (2013) 손예진 (2014) 전지현 (2015) 손예진 (2016) 최희서 (2017) 나문희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남우 | 신인여우 vdeh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1970년대 이효춘, 김영애 (1974) - (1975) 오미연 (1976) 고두심 (1977) 김보연 (1978) 김윤미 (1979) 1980년대 정애리, 이경진 (1981) 이혜숙, 권기선 (1982) 선우은숙 (1983) 강수연 (1984) 최명길 (1985) 허윤정, 최선아 (1986) 한애경, 김희애 (1987) 박순애 (1988) 윤유선 (1989) 1990년대 채시라 (1990) 오연수, 장서희 (1991) 고현정, 이진아 (1992) 유호정, 권소정 (1993) 심은하, 김정난 (1994) 신은경, 김선민 (1995) 김희선 (1996) 이혜영 (1997) 김지영 (1998) 명세빈 (1999) 2000년대 채림 (2000) 하지원 (2001) 공효진 (2002) 장나라 (2003) 한지혜 (2004) 이다해 (2005) 이영아 (2006) 고아라 (2007) 이지아 (2008) 윤아 (2009) 2010년대 황정음 (2010) 유인나 (2011) 유이 (2012) 정은지 (2013) 백진희 (2014) 고아성 (2015) 김고은 (2016) 이세영 (2017) 허율 (2018) 김혜윤 (2019) 대상 | 작품상 | 남자최우수연기 | 여자최우수연기 | 남자조연 | 여자조연 | 남자예능 | 여자예능 | 남자신인연기 | 여자신인연기 vdeh춘사영화상 여우조연1990년대 - (1990) 김보연 (1991) 김보연 (1992) 문미봉 (1993) 정경순 (1994) 김보연 (1995) - (1999) 2000년대 김성녀 (2000) - (2001) 예지원 (2002) 송윤아 (2003) 고두심 (2004) 오미희 (2005) 김수미 (2006) 엄지원 (2007) 김지영 (2008) 김해숙, 이혜숙 (2009) 2010년대 윤여정 (2010) - (2014) - (2015) 엄지원 (2016) 유인영 (2017) 김선영 (2018) 최우수작품 | 감독 | 남우주연 | 여우주연 | 남우조연 | 여우조연 | 신인감독 | 신인남우 | 신인여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김보연&oldid=24255314" 분류: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수상자1957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1974년 데뷔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20세기 대한민국 사람21세기 대한민국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창극 배우안양예술고등학교 동문개신교도 이탈자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대한민국의 여자 성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21일 (화) 13:1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김보연(金甫娟, 본명: 김윤주, 1957년 12월 31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김보연이 데뷔한 것은 몇 년도인가? Assistant: 1974년
Human: 아래 야곱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야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야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7년 11월) 창조주의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그림 신학적 창조의 의미 창조 하나님 창세기 욤 창조주의 관련 설화 창조 신화 천지창조 아담 에덴 동산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금단의 열매 대홍수 신화 노아의 방주 아브라함의 번제물 야곱 설화 요셉 족장설화 과학과의 관계 과학과 종교의 관계 창조주의에 대한 반론 진화에 대한 이슬람교의 관점 과학과 충돌하지 않는 창조주의 유신진화론 열린 진화 계획된 진화 인도된 진화 골격 해석 간격 창조주의 바이오로고스(영어판) 유사과학적 시각의 창조주의 젊은 지구 창조설(창조과학) 오랜 지구 창조설 점진적 창조설 지적설계 창조연대 관련 사건들 스콥스 재판 스티브 프로젝트 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영어판)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관련 예술작품 아담의 창조 v • d • e • h 천사와 야곱의 얍뽁강에서의 씨름 야곱(Jacob : 히브리어 야켑'aqeb'은 "뒤꿈치"라는 뜻)[1]은 창세기의 야곱 부족 설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작은 아들로서 기록되고 있다. 목차 1 이름의 의미 2 야곱 설화의 내용 3 야곱의 아들들 4 가계도 5 관련문서 6 각주 이름의 의미[편집] 히브리인들은 자신들의 자녀를 낳을때 그 당시 상황이나 의미를 담아 이름을 지었다. 야곱이라는 이름의 뜻은 어머니 리브가가 쌍둥이형인 에서를 낳을때, 형 에서의 발꿈치를 잡고 태어나서 "발꿈치를 잡다"라는 의미이다. 즉, 태어날 때부터 타인의 발꿈치를 잡고, 딴지를 건다는 부정적인 의미가 그 이름에 담겨 있었다. 후에 야곱의 이름은 이스라엘로 개명된다(창32:24~32). 이때 개명된 이스라엘이라는 뜻은 "하나님과 겨루어 이김"이라는 뜻이다. 하나님과 겨루어 이길 수 있는 자가 있겠는가? 이 말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맺은 하나님의 백성, 자녀로서 하나님의 긍휼함을 입어 마치 아버지가 자녀에게 져주고 사랑하는 것처럼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경 곳곳마다, 하나님앞에 불신앙하는 이스라엘 민족에 대하여 야곱아 라고 말하며, 또한 이스라엘아 라고 부르는 장면이 많이 등장한다(이사야 40:27, 41:8, 43:1, 48:12, 예레미야 30:10, 46:27~28, 미가 2:12) 야곱 설화의 내용[편집] 아버지 이삭은 큰 아들 에서가 사냥에 뛰어나고 그가 잡아오는 고기에 맛을 들여 에서를 더욱 사랑하였고, 어머니 리브가는 천막에 머물러 자기를 돕는 야곱을 사랑하였다(창25:27-28). 하루는 에서가 사냥에서 돌아온 날 죽을 끓이고 있던 야곱에게 와서 죽 한그릇을 먹자고 권하자, 야곱이 그에게 죽 한그릇을 주며 장자권을 얻었다(창25:20-34). 아버지가 큰 형 에서를 죽기전에 축복하려고 하자, 그를 편애하는 어머니와 짜고 형과 아버지를 속이고 장자의 축복을 대신 받았다. 이를 안 형 에서에게 분노와 미움을 사서 외삼촌 라반에게 피신했다. 또한 야곱은 라반 삼촌의 작은 딸 라헬을 얻기 위하여 7년간 무보수로 봉사하였다. 그런데 첫날밤 라반은 첫째 딸 레아를 들여보냈고, 이를 항의하자 라반은 라헬과 결혼하는 조건으로 7년간 더 일하라고 한다. 라헬을 얻고도 13년을 더 무보수로 일했다. 레아와 라헬 사이에서 1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은 이스라엘 12지파의 조상이며 토마스 만의 소설 《요셉과 그의 형제들》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 후에 형 에서를 만나러 여행하던 중 천사(성경본문에는 천사라고 명시되어있지 않고 개역개정과 개역한글 그리고 현대인의 성경 - 어떤 사람 / NIV-a man / 공동번역 - 어떤 분 / 새번역 - 어떤 이 / 히브리어 성경 - אישׁ 라고 나와있다.)와 씨름을 한다. 천사가 넓적다리를 건드려 (개역개정 - '허벅지 관절을 치매 ' / NIV - Touched / 히브리어 성경 - ויגע ) 절게 만든 후 "이스라엘"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게 되었다.(창세기 32:24-28) 그 후로 이스라엘 민족들은 엉덩이쪽의 힘줄을 먹지 않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창세기 32:32) 이집트에 팔려가 총리가 된 요셉에 의하여, 야곱의 가족들은 그곳에 정착을 하게 된다. 야곱의 아들들[편집] 르우벤 - '보라.아들이라' 시므온 - '들으심' 레위 - '연합함' 유다 - '찬송함' 단 - '억울함을 푸심' 납달리 - '경쟁함' 갓 - '복됨' 아셀 - '기쁨' 잇사갈 - '값' 스불론 - '거함' 요셉 - '더함' 베냐민 - '오른손의 아들' 1-4, 9-10은 레아의 아들, 5-6은 라헬의 여종인 빌하의 아들, 7-8은 레아의 여종인 실바의 아들, 11-12는 라헬의 아들이다. 가계도[편집] 데라 사라[2]아브라함하갈하란 나홀 이스마엘밀가롯이스가 이스마엘 부족7 아들[3]브두엘첫째 딸둘째 딸 이사악리브가라반모아브암몬인 에서야곱라헬 빌하 에돔실바 레아 1. 르우벤2. 시므온3. 레위4. 유다9. 잇사갈10. 스불론11. 디나7. 갓8. 아셀5. 단6. 납달리12. 요셉13. 베냐민 르우벤 시므온 레위 유다 단 납달리 갓 아셀 잇사갈 스불론 요셉 베냐민 관련문서[편집] 창조주의 족장설화 제이콥 야코프 등 등 같음 자크 각주[편집] ↑ 《성경의인물들》/잔프랑코라바시 글, 강선남 옮김/성바오로출판사 ↑ Geness 20:12: Sarah was the half-sister of Abraham ↑ Genesis 22:21-22: Uz, Buz, Kemuel, Chesed, Hazo, Pildash, and Jidlaph 전거 통제 WorldCat VIAF: 202148389276110710871 LCCN: n82025275 NKC: xx0143333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야곱&oldid=23704109" 분류: 히브리어 성경의 예언자성경의 족장 인물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7년 11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Afrikaansአማርኛالعربيةمصرى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বাংলাབོད་ཡིགBrezhonegBosanskiCatalàНохчийнCebuanoکوردیČeštinaDanskDeutschZazakiEʋegbe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rançaisFryskGaeilge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KurdîLatinaLadinoЛаккуLietuviųLatviešuMalagasy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پښتوPortuguêsRumantschRomânăРусскийKinyarwandaSicilianuScots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oomaaliga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தமிழ்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WalonWinarayייִדיש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2월 15일 (금) 00:4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야곱(히브리어: יַעֲקֹב 야아콥, Ya'aqōv , 영어: Jacob 제이콥[*])은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이다. 아브라함의 손자이며, 이삭과 리브가의 둘째 아들로서 에서의 쌍둥이 동생이다. 나중에 형 에서를 만나기 전 얍복 강가에서 천사와 씨름하다가 천사에게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고, 그로 인해서 그의 아들들 12명의 후손들이 이스라엘 민족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곱이 라반 밑에서 무보수로 봉사한 이유는 무엇일까? Assistant: 라헬을 얻기 위하여 Human: 아래 이민지_(1988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이민지 (1988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민지 (198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민지 출생 1988년 11월 1일(1988-11-01) (30세)대한민국국적 대한민국직업 배우소속사 눈컴퍼니 웹사이트 눈컴퍼니 이민지이민지 - 인스타그램 이민지(1988년 11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제21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서 올해의 여자 배우상을 수상했다.[1] 목차 1 학력 2 작품 목록 2.1 드라마 2.2 영화 3 수상 및 후보 4 각주 5 외부 링크 학력[편집] 수원대학교 연극영화과 작품 목록[편집] 드라마[편집] 2014년 Daum tvPot 웹드라마 《썸남썸녀》 - 조연출 역 (특별출연) 2014년 JTBC 수요드라마 《선암여고 탐정단》 - 김하재 역 2015년 tvN 금토드라마 《응답하라 1988》 - 장미옥 역 (장만옥이자 김정봉 여친)[2] 2016년 Naver TV Cast 웹드라마 《게임회사 여직원들》 - 마시멜 역 2016년 tvN 불금불토스페셜 《안투라지》 - 특별출연 2017년 MBC 수목드라마 《로봇이 아니야》 - 선혜 역 2018년 tvN 월화드라마 《백일의 낭군님》 - 끝녀 역 2019년 KBS2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 - 윤소미 역 영화[편집] 2010년 《잠복기》 - 현민 역 (단편) 2010년 《부서진 밤》 - 초혜 역 (단편) 2010년 《짐승의 끝》 - 순영 역 (단편) 2011년 《초대》 - 수정 역 (단편) 2011년 《애드벌룬》 - (단편) 2012년 《피크닉투게더》 - (단편) 2012년 《물고기는 말이 없다》 - 현흡 역 (단편) 2013년 《달이 기울면》 - 재아 역 (단편) 2013년 《서울연애》 - (단편) 2013년 《고추가 사라졌다!》 - (단편) 2013년 《세이프》 - (단편) 2013년 《사이비》 - 영선친구 1 & 폭주족 4 역 2014년 《문감독 예고편:40min》 - (단편) 2014년 《현기증》 - 정혜 역 2015년 《비치하트애솔》 - 단발머리여자 역 2015년 《손님》 - 민영 역 2016년 《꿈의 제인》 - 소현 역 2018년 《사라진 밤》 - 숙경 역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결과 2011 제37회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스타상- 배우부문 애드벌룬 수상 2012 제29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연기상-한국경쟁 수상 2016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 꿈의 제인 수상 2017 제26회 부일영화상 신인여자연기상 후보 제38회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후보 2018 제5회 들꽃영화상 여우주연상 수상 제23회 춘사영화제 여우주연상 후보 각주[편집] ↑ 김현록 기자 (2016년 10월 15일). “조현훈 감독 '꿈의 제인', BIFF 3관왕..CGV아트하우상-올해의 배우상”. 《스타뉴스》.  ↑ 이수아 기자 (2015년 7월 13일). “'응답하라 1988', 독립영화 스타 이민지 합류 "의미깊은 드라마"”. 뉴스24. 2015년 7월 1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이민지 이민지 - 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이민지 - 인스타그램 이 글은 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이민지_(1988년)&oldid=24418656" 분류: 1988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수원대학교 동문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링크가 없는 위키공용분류한국 배우에 관한 토막글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Español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13일 (목) 05: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이민지(1988년 11월 1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올해의 여자 배우상을 수상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8년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시상식의 이름은 무엇인가? Assistant: 들꽃영화상
Human: 아래 중국의_불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국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국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불교 佛敎 “ 가자 가자 피안으로.피안으로 아주 가자,영원한 깨달음으로. ”   — 《반야심경》 교의와 용어 사성제 팔정도 깨달음 삼법인 사법인 법 번뇌 업 오온 윤회 수행 열반 연기 중도 선정 반야 마음 마음작용 진여 법성 색 공 유식 여래장 인물 석가 십대제자 용수 역사와 종파 원시불교 부파불교 상좌부 불교 대승불교 경전 경장 율장 논장 팔리어 한역 티베트 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산카샤 바이샬리 쿠시나가르 지역별 불교 한국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티베트 v • d • e • h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 중국어 간체자: 汉传佛教, 병음: Hànchuán Fójiào)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킨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서력기원 전후였으며,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인도 불교가 아닌 서역 불교였다.[1] 후한(後漢: 25~220) 말인 2세기 후반에는 서역과 인도에서 온 역경승들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기 시작하면서 불교는 중국에서 확실한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2] 목차 1 불교 연표 2 수·당 이전 2.1 불교의 전래 2.2 불경의 한역 2.3 교단의 형성 2.4 교학연구의 발달 2.5 북조의 폐불 2.6 북위의 석불 2.7 육조시대의 불교 3 수·당 시대 3.1 수·당시대의 불교 3.2 말법사상과 정토교 3.3 선종의 발달 3.4 밀교의 발달 4 근대 5 같이 보기 6 각주 7 참고 문헌 불교 연표[원본 편집]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 v • d • e • h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인도 원시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한·중·일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 밀교 · 진언종       450 BCE 250 BCE 100 CE 500 CE 700 CE 800 CE 1200 CE   범례:   = 상좌부 불교 전통   = 대승불교 전통   = 밀교·금강승 전통 수·당 이전[원본 편집] 불교의 전래[원본 편집] 기원전 1세기의 서역 불교의 전파 경로 빨강: 티베트 불교 출현 전의 북방 전파 경로 파랑: 남방 전파 경로 둔황 장안 뤄양 팽성둔황 · 장안 · 뤄양 · 팽성 전한(前漢: BC 206~AD 8) 시대 중국과 서역 여러 나라를 연결하는 동서 교역로가 개척되었는데, 이 교역로가 중국에 불교 전래되는 계기였다. 중국과 서역 연결한 교역로는 전한의 무제(武帝: 재위 BC 141~BC 87)가 처음 개척했는데, 결과적으로 이 교역로는 발달한 독자적인 문화를 이루던 두 지역인 중국과 인도를 연결하는 효과를 가져왔다.[1] 유교나 브라만교는 민족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여 국경을 넘어 다른 민족에게 전해지는 일이 별로 없었지만, 전통적인 브라만교를 비판하고 극복하며 탄생한 불교는 보편주의적 성격이 있었으므로 특정 나라나 민족에 얽매이지 않은 채 인근 여러 나라로 포교와 전도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다. 불교는 이미 기원전 250년경의 아쇼카왕(재위 BC 265~238 또는 273~232) 시대에 인도의 북쪽 국경을 넘어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차츰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던 다수의 오아시스 국가에도 들어갔다. 이에 따라 중국과 서역 사이 개통한 동서교역로 통한 불교의 중국 전파는 필연적으로 일어날 일이었다.[1] 중국 옛 기록에는 서력기원 전후 불교 관련 기록들이 있다. 《삼국지(三國志)》의 〈위지(魏志) 서융전(西戎傳)〉에는 《위략(魏略)》을 인용하여, 전한(前漢: BC 206~AD 8) 말기의 애제(哀帝: 재위 BC 7~BC 1)의 원수(元壽: BC 2~BC 1) 원년인 BC 2년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경로(景盧)가 대월지(大月氏)왕의 사자였던 이존(伊存)으로부터 부도경(浮屠經: 불경의 다른 말)을 구전(口傳)받았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후한서(後漢書)》에는 후한(後漢: 25~220) 명제(明帝)의 영평(永平: 58~75) 8년인 기원후 65년에 명제의 이복 동생인 초왕 유영이 그의 봉토인 팽성(彭城: 지금의 장쑤 성 쉬저우 시)에서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의 뜻이 깊은 말들을 읊조리고 부처의 인사(仁祠: 사찰의 다른 말)를 존중하며 상문(桑門: 승려 · 사문 · 출가자의 다른 말)과 우바새(優婆塞), 즉 승려와 재가신자를 존중하였다"는 기록이 있다.[1] 비단길 통해 중국을 방문했던 대상(隊商)이나 사절(使節) 중에 불교 신자가 있었을 테고, 승려가 이들과 함께 온 일도 있었을 것이고, 둔황(敦惶) · 장안(長安) · 뤄양(洛陽) 등에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서서히 전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역의 여러 나라의 불교가 이 동안에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대략적인 시기가 아닌 특정한 연대를 결정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또한 그다지 유의미한 작업도 아니다. 당시 서역의 여러 나라들에서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함께 행해지고 있었는데 당연히 인도 불교 그대로가 아니고 이른바 서역화된 불교였다. 중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이러한 서역 불교였다.[1] 불경의 한역[원본 편집] AD 200년의 파르티아(Parthian Empire: BC 238~AD 226)와 중국의 후한(後漢: 25~220) 파란 눈의 서역(중앙아시아)의 승려와 동아시아의 승려: 베제클리크 천불동, 중국, 9~10세기 기원전 2년에 경로(景盧)가 불경을 구전으로 전수받았으며 기원후 65년에 초왕(楚王) 영(英)이 불교를 믿었다는 기록으로 볼 때 서력기원 전후로 불교가 중국에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불교가 중국에서 확실한 토대를 잡기 시작한 것은 후한(後漢: 25~220) 말에 불경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부터이다. 인도에서 성립된 불교 경전은 서역에 전해지고 다시 서역을 통해 중국으로 들어왔으며, 인도나 서역의 문자로 쓰여진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였다. 불교 경전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한 것은 파르티아의 태자로 승려가 된 안세고(安世高: ?~168)와 인도의 쿠샨 왕조의 승려인 지루가참(支婁迦懺: fl. 167~186)에 의해서였다. 이 두 역경승이 중국에 온 것은 2세기 후반으로 후한(後漢: 25~220)의 환제(桓帝: 재위 146~167)와 영제(靈帝: 재위 168~189)의 시대였다. 이 두 역경승 외의 후한 시대의 역경자들로는 축불삭(竺佛朔: fl. 168~188[3]) · 안현(安玄: fl. 181[4]) · 지요(支曜: fl. 185[5]) · 강거(康巨) · 강맹상(康猛詳) · 축대력(竺大力: fl. 197[6]) · 담과(曇果) · 지량(支亮) · 엄불조(嚴佛調) 등이 있었다.[2] 이 최초의 시기에서 역경자들이 불교 경전을 번역하는 데 얼마나 힘을 들였는가는 현존하는 그들의 번역경을 보면 알 수 있다.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인도인이나 서역인들과는 전혀 다른 중국인이 우여곡절을 거쳐서 불교를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이들 외래의 역경자들 덕택이었다.[2] 일반적으로 초기의 번역이 난해하고 딱딱한 것은 번역에 사용한 용어가 각각 다르고 번역된 문장의 형식이 고르지 않으며 음사어(音寫語)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함은 후대의 역경자들에 의하여 차차 개선되어 가다가, 서역의 구자국 출신으로 후진(後秦: 384~417)에서 활동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과 당나라(618~907)의 현장(玄奘: 602~664)에 의하여 획기적인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문제점들이 완전히 극복되었다.[2] 불교의 중국 전래 초기에 포함되는 위진시대(魏晋時代: 220-420)에는 한역된 불교 경전에 기술되어 있는 사상이나 교리를 노장사상이나 유교사상 등의 전통 중국 사상의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하고 유추함으로써 이해하려고 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가 성행했다.[7] 격의불교는 한편으로는 중국에서 불교의 사상과 교리가 받아들여지고 이해될 수 있게 하며 불교가 토착화되게 하는 순기능을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불교에 대한 참다운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역기능도 하였다. 격의불교의 역기능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불교 경전을 본래의 뜻에 맞게 바르게 번역한 이후로 비로소 극복되었다.[8] 현장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에 한역된 경전을 구역(舊譯)이라 부르고 그 이후에 한역된 경전을 신역(新譯)이라고 부르는데, 구역(舊譯)이라고 하면 특히 구마라습이 번역한 경전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2] 교단의 형성[원본 편집]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후조(後趙: 319~351)와 동진(東晉: 317~420) 오호 십육국 시대(304~439) 중 376년의 전진(前秦: 351~394, 파란색)과 동진(東晉: 317~420, 노란색): 376년은 전진이 최대의 영토를 가진 때로 위의 지도에는 서역의 영토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佛圖澄: 233∼348)과 그의 제자인 도안(道安: 312∼385)의 활동에 의해 교단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불도징은 구자국(龜玆國) 출신의 서역의 승려로 310년(西晋의 永嘉 4)에 뤄양(洛陽)으로 와서 후조(後趙: 319~351) 시대에 활약하였다. 이후 그는 왕의 고문이 되어 군사와 정치에도 참여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북방민족을 불교문화와 신통력으로 이끌어나갔다. 후조의 왕 석륵(石勒)과 석호(石虎)로부터 절대적인 존경과 신임을 받아서 교단과 국가와의 관계가 밀접해졌으며 후조의 영토 안에서의 포교는 석씨(石氏)의 후원에 의하여 강력히 추진되었다. 335년 석호가 업(河南省 安陽縣)에 천도(遷都)하게 되어 그 뒤를 따랐으며 항상 계율의 엄수와 전도에 힘써 그때까지 허용되지 않았던 한인(漢人)의 출가를 허용하도록 꾀하였다. 제자로는 도안(道安) · 축법태(竺法汰) · 법화(法和) · 법상(法常) 등이 유명하며 하북불교(河北佛敎)를 융성하게 하였다. 불도징이 창건한 사원은 893개이고 그의 가르침을 받은 승려와 재가신자는 그 수가 1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는 영가(永嘉)의 난이 있은 뒤 백성의 괴로움을 구하기 위하여 잔인스러운 맹장이었던 석륵(石勒)을 교화하고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데 전력을 다하였다.[9] 도안(道安: 312∼385)은 12세에 출가하여 불도징(佛圖澄)에 사사하였다. 스승이 죽은 후에는 그를 대신하여 많은 문하생을 지도하였으나 마침 전란시대여서 이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할 수 없이 허베이(河北) · 산시(山西) · 허난(河南)의 여러 곳을 전전하면서 유랑하였다. 뒤에 혜원(慧遠) 등 400명의 문하생과 더불어 양양(襄陽: 湖北省)에 단계사(檀溪寺)를 짓고 엄숙한 구도와 연수를 위주로 하는 교단을 조직하여 국왕과 귀족으로부터 두터운 존경과 신임을 받았다. 379년에는 전진(前秦: 351~394)의 왕인 부견(符堅: 재위 357~385)의 초빙을 받아 장안에 가서 국가의 고문에 추대되었다. 이리하여 명실공히 불교계의 지도자로서 활약하게 되고, 특히 캐시미르 출신의 승가발징(僧伽跋澄) · 승가제바(僧伽提婆), 토카라국의 담마난제(曇摩難提) 등 외국승을 도와 소승경의 번역을 완성하였다. 그는 또한 그때까지 내려오던 격의불교(格義佛敎)의 오류를 반성하고 《반야경》의 이역(異譯)을 비교 대조함으로써 참다운 뜻에 이르도록 노력하였다. 또 한역불전(漢譯佛典)의 총목록인 《종리중경목록(綜理衆經目錄)》을 편찬하여 새로이 승단 생활의 의식과 규범을 제정하였다.[10] 교학연구의 발달[원본 편집] 중국의 불교는 불도징과 도안의 출현으로 불교 사상과 교리를 연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인도의 불교 사상과 불교 교리를 그대로 중국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일이었으므로 격의불교(格義佛敎)라고 하는 편의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격의불교는 중국 고유의 사상인 유가 사상과 도가 사상을 빌려 불교 사상을 유추적(類推的)으로 이해하는 방법이다.[11] 도안(道安: 312~385) · 혜원(慧遠: 335~417) · 축법아(竺法雅) · 강법랑(康法朗) 등이 격의불교의 대표자였다. 이들 중 도안(道安)이나 혜원(慧遠)은 격의불교의 한계성을 느껴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나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격의불교의 극복은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장안에 들어와 신역경론(新譯經論)을 내놓으면서 종래의 잘못된 해석이 바로잡히면서 비로소 이루어졌다.[11] 당시에 구마라습의 문하생을 중심으로 새로운 불교 연구가 왕성하였다. 그 중에서도 승조(僧肇: 384~414)는 반야(般若)와 공(空)에 관하여 독특한 논문을 발표하고, 도생(道生: ?~434)은 돈오성불(敦悟成佛)과 천제성불(闡提成佛)을 주장하였다.[11] 또한, 구마라습 이후, 인도 불교의 경론이 속속 수입되어서 특히 《반야경》·《법화경》·《화엄경》·《열반경》 등의 대승경전의 연구가 활발하였고, 다시 나아가 경전 상호간의 시간적 전후와 교리적인 심천 · 우열을 논하는 교상판석(敎相判釋)이 이루어 졌다. 교상판석은 수나라(隨: 581~618)와 당나라(唐: 618~907) 시대에 중국 불교 특유의 종파들이 성립됨에 있어 그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11] 북조의 폐불[원본 편집]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운강석불 폐불(廢佛)은 사원 · 불당 · 불상 · 경서를 파괴하고 승려와 니승(尼僧)을 환속시키며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장원(莊園)과 노비를 국가가 몰수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불교사에서는 4번의 큰 폐불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삼무일종의 폐불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북위(北魏)의 태무제(재위 423~452)와 북주(北周)의 무제(재위 560~578)의 폐불이 북조에서 일어났다.[12] 폐불을 단행하게 된 이유로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표면적으로는 유 · 불 · 도 3교, 특히 불교와 도교 양교의 대립항쟁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립을 이용하여 그것을 결정적인 단계로까지 이끌어간 것은 역시 정치적 · 경제적 요인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당시의 지배자는 폐불을 단행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치적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12] 북위의 석불[원본 편집] 북위(北魏) 시대에는 대규모 석굴불상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운강석불(雲崗石佛)과 용문석불(龍門石佛)이 있다.[13] 운강석불은 산시성 다퉁현(大同縣)의 서쪽 20km 지점에 있으며 사문통(沙門統) 담요(曇曜)가 문성제(文成帝)에 상주하여 454년에 건국 이래의 5제(五帝)에 대한 추선(追善)과 참회멸죄(懺悔滅罪)를 기원하여 5굴(五窟)을 열게 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더욱 큰 것으로 15굴이 만들어져서 이들은 조각사상 운강기(雲崗期)를 형성하게 된다. 둔황석굴(敦煌石窟)의 계통을 이어 받으면서 탁발씨 부족의 웅혼(雄渾)한 솜씨가 넘쳐 흐른다.[13] 용문석불은 뤄양천도(洛陽遷都)와 더불어 그 교외에 있는 이수하반(伊水河畔)의 용문산(龍門山)에서 파서 만든 석불이다. 운강석불과 마찬가지로 선제(先帝)의 추선(追善)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20여 년의 세월과 거액이 투입되었다. 주요한 북위굴(北魏窟)이 14개 남아 있는데 이들이 용문기(龍門期)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특색으로는 일반적으로 우아 화려하고 서방(西方)적인 냄새가 희박해지며 중국 고유의 것이 나타나 있다.[13] 운강석불과 용문석불 외에 공현(鞏縣) · 천룡산(天龍山) · 향당산(響堂山) 등의 석굴도 북위시대의 것이다.[13] 용문석불의 보살상 육조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양(梁) 무제(武帝: 재위 502~549) 육조 시대(六朝時代)는 강남의 건업에 도읍을 두었던 여섯 왕조, 즉 삼국 시대의 오(吳), 동진(東晋), 남조(南朝)의 송(宋) · 제(齊) · 양(梁) · 진(陳)의 시대를 말한다. "육조"라는 낱말은 강남 땅에서 번영한 귀족정치 · 귀족문화라는 공통성에 착안한 문화사적인 명칭이다.[14] 육조불교의 특색은 육조문화의 일반적인 특색과 마찬가지로 귀족적 · 고답적 · 학술적이었으므로 북조(北朝)의 국가적 · 주술적 · 실천적인 불교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남조에는 족벌귀족이 광대한 장원을 소유하고 제왕 이상의 권세를 누리고 있었다. 그들은 높은 고전적 교양을 몸에 지니고 현학(玄學)을 숭상하며 청담(淸淡)을 즐겼다. 불교도 이들에게는 방외(方外: 속세를 벗어난 곳)와 은일(隱逸)의 가르침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서 《유마경》과 《반야경》 등이 애호되었다. 격의불교가 성행된 것도 이때였다. 여산(廬山)의 혜원(慧遠)이 사문(沙門)은 방외(方外)의 손님이으로 세속적 정치권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고 주장하게 된 것은 그 자신이 동진의 귀족사회에 몸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14] 육조시대의 불교는 전반적으로 지배자들의 보호를 받아 정치에 참여하는 자도 나타나게 되었다. 북조에 있었던 폐불도 없었고 왕후귀족에 의하여 웅대한 사원이 건립되어서 불교의 연구시대라고 칭할 만큼 경론의 연구와 강설이 활발하였다. 제의 태자 문혜(文惠)와 동생 숙자량(肅子良)은 열렬한 불교 신자로서 많은 학승(學僧)을 스승과 벗으로 삼아 강석과 법회를 설치하고 불교서의 편찬사업 등을 행하였다. 양의 무제(武帝: 재위 502~549)는 남조의 여러 제왕 중에서도 뛰어난 교양을 갖고 있어서 불교의 교리에도 정통하였다. 그는 스스로 《단주육문(斷酒肉文)》을 저술하고 대사원을 건립하였으며, 무차대회(無遮大會)와 같은 대법회를 10여 차례나 열었다.[14] 그는 중국 선종의 시조인 보리달마와 관련된 전설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육조시대에는 인도와 서역으로부터 속속 역경승이 들어와 중국승과의 협력하에 많은 중요한 경론을 번역하였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 강량야사(畺良耶舍)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 진제(眞諦) 등의 외국승과 법현(法顯) 등의 중국승이 활약하였다. 또한 양나라 시대는 승황(僧晃) · 법운(法雲) · 지장(智藏)의 3대법사가 출현하였고 또 불교사가로서 유명한 승우(僧祐)가 나와서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과 《홍명집》 등의 많은 저작을 남겼다. 《고승전》을 지은 혜교(慧皎)도 빠뜨릴 수 없는 인물이다.[14] 수·당 시대[원본 편집] 구법여행을 떠나는 현장(玄奘: 602~664) 수·당시대의 불교[원본 편집] 수 · 당시대의 불교는 중국불교융성의 정점에 위치한다. 수 · 당시대는 중국불교가 새로운 전개를 보이게 된 시대였다. 남북의 분열을 통일한 수나라(隋: 581~618), 그 뒤를 이은 당나라(唐: 618~907)는 세계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번영을 이룩하였는데 이러한 통일국가 시대가 새로운 불교를 요청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새로운 종파들, 즉 특정 경전에 입각한 경종(經宗)들과 특정 논서에 논종(論宗)들이 형성되었으며 중국인 자신에 의한 불교의 체계화 · 조직화가 진행되었다.[15] 수 · 당 이전에도 비담종 · 섭론종 · 성실종 · 지론종 · 열반종 · 삼론종 등의 종(宗)으로 일컬어지는 것이 존재하였으나 이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학파(學派)라고 불러야 할 것으로 뒤의 종파와는 다른 것이었다. 학파로부터 종파로의 발전을 촉진한 계기가 된 것은 사원경제의 독립과 교판(敎判)의 확립이다.[15] 수나라 시대에는 지의(538~597)가 《법화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하는 독자의 교판을 확립하여 천태종을 성립시킴으로써, 엄밀한 의미의 종파가 최초로 만들어졌다. 당나라 시대에 들어와서는 법장(643~712)이 《화엄경》을 중심으로 불교를 체계화하여 사사무애 · 중중무진의 화엄교리를 완성했다. 또한 도선(596~667)은 계율을 연구하여 율종을 창시하였고 현장(602~664)과 규기(632~682)가 인도의 새로운 유가유식설을 기초로 하여 법상종을 열었다. 아울러 선무외(637~735) · 금강지(671~741) · 불공(705~774) 등을 통해 인도로부터 밀교가 들어와 융성하였다.[15] 천태종과 화엄종이 수 · 당불교의 사상적 절정을 이룬 한편, 선종과 정토교는 이들이 미친 영향으로 보면 불교의 중국화와 민중화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선종은 3조 승찬(?~606)과 4조 도신(580~651)을 거쳐 5조 홍인(601~674)의 때에 이르러 승려들과 재가신자가 급증하였고 6조 혜능(638~713)은 그때까지 없었던 도시에 대한 포교를 중시하였다. 혜능의 계통은 남종이라고 불리고 신수(?~706)의 계통은 북종이라 불리는데, 선종은 이 두 파로 갈라진 채 각기 구분되는 교의 및 실천 체계를 유지하였으나 얼마 뒤에 북종은 쇠퇴하고 말았다. 정토교는 담란(476~542) 이후 도작(562~645)과 선도(613~681)가 나와 구칭염불을 보급하여 무식한 민중들의 환영을 받아 많은 신자를 획득하였다. 845년(회창 5년)의 폐불과 연속된 전란으로 말미암아 불교는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었으나 불립문자를 표방한 선종과 민중의 마음속 깊이 파고든 정토교는 쇠퇴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세력을 더하여갔다.[15] 말법사상과 정토교[원본 편집] 정토교의 주된 신앙 대상인 아미타불과 아미타불의 수행(隨行) 보살인 관세음보살(오른쪽)과 대세지보살(왼쪽) 말법사상(末法思想)은 6세기경부터 중국에서 성행된 사상으로 불교의 시대관 · 역사관을 나타낸다. 말법사상에 따르면, 정법시(正法時) · 상법시(像法時) · 말법시(末法時)의 3시가 존재하는데, 정법시(正法時)에는 정법이 엄존하여 교(敎) · 행(行) · 증(證) 모두가 빠짐 없이 갖추어져 있으나 상법시(像法時)에 들어오면 증이 없어지고 교와 행만이 있게 되며 다시 말법시(末法時)에 이르게 되면 행과 증은 없어지고 오직 교의 껍데기만 남게 된다고 한다. 이러한 3시사상 외에 오탁(五濁)으로 가득 찬 죄악의 세상이라는 오탁악세(五濁惡世)의 사상과 말법시 후에는 교도 없는 시대가 온다는 법멸사상(法滅思想)도 말법사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법시 · 상법시 · 말법시의 3시의 기간에 대해서는 경전마다 다르나 정법 500년, 상법 1000년, 말법은 1만년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의하면 고타마 붓다의 멸후 1500년이 지나면 말법의 시대에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이때가 552년경에 해당된다고 한다. 552년은 양(梁) 원제의 성승 1년이었으며 또한 북제(北齊) 문선제의 천보 3년이었다.[16] 남북조시대(420~589)에 말법사상과 법멸사상이 일어나게 된 것은 말법사상을 고취한 《대집월장경(大集月藏經)》 등의 경전이 이때에 번역된 것과 불교 교단의 타락과 부패 그리고 전국적인 폐불운동 등이 불교인들에게 위기감을 안겨주었다는 것 등의 이유에서였다. 이러한 말법 도래의 사상을 굳게 믿고 있었던 사람들은 이러한 시대에 알맞은 불교를 창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해서 성립된 종파가 수나라(581~618)와 당나라(618~907) 시대의 도작(562~645) · 선도(613~681)의 정토교와 신행(540~594)의 삼계교였다.[16] 도작(562~645)은 "지금이 말법이로다. 바야흐로 오탁악세에 이르렀으니 오직 정토교 일문(一門)만이 있어 들어가야 할 길이로다"라고 설파하고 창명염불이라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야말로 말법시대에 어울리며 이 방법만이 현실사회에서 유효한 불교적 실천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전수염불(專修念佛)이라고 한다. 도작과 같은 시대의 신행(540~594)도 말법사상과 오탁악세의 죄악관에 입각하여 지금 필요한 것은 경전을 연구하고 강술하며 그 우열을 가리는 일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교를 실천하여 체득할 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는 일이라 하여, 말법시대에 적합한 방법은 비판선택을 가하지 않고 겸허한 자세로 오로지 모든 경전을 받아들이고 모든 부처를 예배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불교적 실천을 보경보행(普敬普行)이라고 한다. 전수염불과 보경보행은 실천방법으로서는 정반대이나 현세가 말법시라는 강렬한 시대적 인식 속에서 발생된 것이라는 점에서는 양자 모두 말법사상의 불교이다.[16] 선종의 발달[원본 편집] 인도에서 기원한 선(禪)이라는 종교적 실천은 중국에 전해져서 새로운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중국 불교의 유력한 종파 중 하나가 되어, 당나라 시대에 선종이라고 하는 호칭이 생겼다. 선종은 그 이전에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가졌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17] 선종의 첫 조사(祖師)라고 하는 보리달마는 2입4행설에 입각한 좌선을 권장하였다. 선종은 그 후에 2조 혜가(慧可), 3조 승찬(僧璨), 4조 도신(道信), 5조 홍인(弘忍)에게 전해져서 도신과 홍인의 시대에는 그 실천과 행사에 참여하는 신도수가 500명에 이르렀다.[17] 당나라 시대 초기에는 신수(神秀)의 북종선과 혜능(慧能)의 남종선이 대립하여 분열되었다. 북종선은 점오(漸悟)를, 남종선은 돈오를 표방하였다. 혜능은 선종의 6조가 되었으며 문하에 회양(懷讓) · 행사(行思) · 신회(神會) 등이 있었고 강서와 호남을 중심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17] 초기에는 북종선이 성했으나 빨리 쇠퇴하였고 초기 이후에는 남종선이 유력해져 남종선 계통이 중국 선종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남종선 계열의 백장(百丈)은 선원에 있어서의 집단생활의 규범이 되는 청규(淸規)를 만들었다. 남종선에서는 5대에 걸쳐서 위산종 · 임제종 · 조동동 · 운문종 · 법안종의 선종 5가(五家)가 성립되었으며, 선종은 정토교와 함께 송나라 시대 이후의 중국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17] 밀교의 발달[원본 편집] 밀교(密敎)는 현교(顯敎)와 대비되는 낱말로 불교의 비밀하고 심오한 교리를 뜻한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인도의 밀교는 대일여래(大日如來)로부터 금강살타 · 용수(龍樹) · 용지(龍智)를 거쳐 금강지(金剛智)와 선무외(善無畏)에게 전해졌다고 한다. 밀교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오래전에 동진시대(東晋時代: 317~419)의 전반에 백시리밀다라(帛尸梨密多羅)와 담무란(曇無蘭)에 의하여 《대관정신주경(大灌頂神呪經)》, 《시기병경(時氣病經)》, 《청우주경(請雨呪經)》 등의 많은 밀교 경전이 번역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들 경전은 병을 고치고 비를 오게 하는 주문이나 여러 천신들의 위엄과 덕을 찬미하는 주문 등이 주를 이루는데, 이들을 잡밀(雜密)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주술적인 면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서 순수한 밀교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진언다라니(眞言陀羅尼)나 그 밀법(密法)은 중국사회에 깊이 침투해 들어갔다. 이와 같은 기반 위에 선무외(善無畏: 637~735) · 금강지(金剛智: 671~741) · 불공(不空: 705~774)의 소위 개원(開元)의 3대사(三大士)에 의하여 밀교의 교리 · 의식궤범 · 만다라(曼茶羅) 등이 조직되고 체계화되었다. 이들이 전한 밀교는 《대일경(大日經)》이나 《금강정경(金剛頂經)》 등에 기초를 둔 인도의 정통밀교(正統密敎)였다.[18] 이들의 밀교를 순밀(純密)이라고 불렀다. 근대[원본 편집] 19세기에는 서구 열강의 쇄도와 함께 서양의 종교분류학도 같이 소개되어 이를 기조로 하는 불교의 개혁이 시작되었다. 양문회 거사는 유럽 등의 명사들과도 친교를 가졌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시작된 종교 통제는 문화혁명으로 절정에 달해 중국 불교계는 일대 타격을 입었다. 이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중일 수교 이후 일본 불교계와의 교류가 늘어나 중국 불교계는 조금씩 회복되는 추세이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중국의 사상 한·당 시대의 사상 송·명 시대의 사상 불교 사상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각주[원본 편집]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불교의 초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마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중국의 불교 > 경전한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운허 & 동국역경원, "竺佛朔(축불삭)"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운허 & 동국역경원, "安玄(안현)" Archived 2016년 6월 13일 - 웨이백 머신, 《불교 사전》.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支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중국어) "竺大力"[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3월 25일에 확인. ↑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중국의 사상 > 한·당의 사상 > 격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격의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불도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단형식의 움직임 > 도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학연구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폐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북위의 석불,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육조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수·당의 불교 > 수·당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말법사상의 불교 > 말법사상의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가 나 다 라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선종의 발달 > 선종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밀교의 발달 > 밀교의 발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참고 문헌[원본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deh 불교 붓다 여래 탄생일 사문유관 삼십이상호 가족 《슈도다나(아버지) 마야 부인(어머니) 야소다라(부인) 라후라(아들)》 기본 사상 윤회 깨달음 《 해탈 열반 반야 보리 성불》 삼보 《 불 법 승》 사성제 팔정도 중도 세계관삼계 욕계 색계 무색계 십법계미계(迷界) 3계 내의 육도 윤회: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 오계(悟界) 성문계 연각계 보살계 불계 경전삼장 경장 율장 논장 대장경 팔리어 대장경 한역대장경 고려대장경 신수대장경 티베트 대장경 경장 금강경 능가경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율장 사분율 논장 구사론 대비바사론 대승기신론 대지도론 중론 유가사지론 청정도론 부처님 당시붓다와* 십대제자 고타마 붓다 ① 가전연 ② 대가섭 ③ 나후라 ④ 목건련 ⑤ 부루나 ⑥ 사리불 ⑦ 수보리 ⑧ 아나률 ⑨ 아난타 ⑩ 우바리 부처 과거 칠불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연등불》 석가모니불 보살 관세음보살 문수보살 미륵보살 보현보살 지장보살 기타 인물 난타 마하파자파티 참마 우파라반나 부다고사 나가세나 종파 원시 불교 상좌부 부파 불교 대승 《일련종 정토종 중관파 유가행파 천태종》 선종 《임제종 조동종》 금강승 《티베트 불교 진언종》 수행수행 일반수행 귀의 신심 신행 공덕 진언 염불 참배 기도 삼십칠도품 사념처 사정근 사여의족 오근 오력 칠각지 팔정도 사무량심 자 비 희 사 삼학 계 정 혜 계율 오계 사홍서원 출가계율 소승 불교상좌부 불교 마음챙김 사마타 위빠사나 바와나 위빠사나 까마타나 수념(隨念) 안반수의 부파 불교 아비달마 십바라밀 보시 지계 출리 지혜 정진 인욕 진실 결의 자애 평온 대승 불교대승 불교 지관(止觀)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지혜) 십바라밀 방편 원 역 지 최상승선 불교간화선 선(禪)수행 참선 간화선·화두 공안 좌선 그 외 묵조선 염불선 국가별 수행법티베트 불교 탄트라 만다라 스마라나 통렌 수행 계위각자(覺者) 성문불 연각불 보살 부처 사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상가사부중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칠부중 사미 식차마나 사미니 역사 연표 결집 인도불교사 인도 불교의 쇠퇴 아소카 대왕 간다라 불교 불교와 로마 제국 비단길을 통한 불교의 전파 불교 탄압 문화건축 사찰 사원(왓) 탑파 기념일 부처님 오신 날 마카부차 포살 미술 간다라 미술 불상 탱화 포대화상 상징 깃발 법륜 윤회의 바퀴 인 성지 룸비니(탄생) 부다가야(성도) 녹야원(설법) 쿠시나가르(열반) 마하보디 사원 보리수 수행과 생활 가사 기도통 달력 안거 염주 음식 《채식주의》 진언 《옴 마니 파드메 훔》 기타 시 음악 국가별 네팔 라오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미얀마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스리랑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중동 《이란》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티베트 파키스탄 한국 서양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철학 경제학 논리학 무정부주의 불학 사회주의 신 십사무기 실천불교 실재론 아비달마 윤리 원자론 인본주의 종말론 진화 기타 전등(傳燈) 범천 마라 경 의식용 언어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법구경 법문 겁 삼명 유루·무루 유위·무위 육신통 비교 종교 기독교 나스티시즘 동아시아 종교 신지학 자이나교 힌두교 과학 심리학 개념 갈애 공 견성 묘각 도리 마음 마음작용 무명 반열반 번뇌 범부와 성인 보리심 보살 불성 삼법인 《일체개고 제행무상 제법무아》 삼성《 선 악 무기》 삼신《 법신 보신 화신》 상속심 업 연기 열 가지 족쇄·10결 오개 오근 오온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윤회 족첸(대구경) 죄 지혜 진속이제 진여 행 환생 목록 부처 이십팔불 보살 인물 불경 도서 사찰 한국의 사찰 《가나다순 지역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국의_불교&oldid=24091860" 분류: 중국의 불교숨은 분류: 깨진 링크를 가지고 있는 문서중국어 정체자 표기를 포함한 문서중국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불교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zərbaycancaབོད་ཡིགČeština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Eest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मराठीNederlandsNorsk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Српски / srpskiதமிழ்ไทยTürkçeاردو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3일 (화) 19:2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 중국어 간체자: 汉传佛教, 병음: Hànchuán Fójiào)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킨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서력기원 전후였으며, 처음 전해진 불교는 인도 불교가 아닌 서역 불교였다. 후한(後漢: 25~220) 말인 2세기 후반에는 서역과 인도에서 온 역경승들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기 시작하면서 불교는 중국에서 확실한 기초를 형성하게 되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폐불의 의미는 무엇이고, 북조에서 폐불이 일어난 이유는 뭐야? Assistant: 폐불(廢佛)은 사원 · 불당 · 불상 · 경서를 파괴하고 승려와 니승(尼僧)을 환속시키며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장원(莊園)과 노비를 국가가 몰수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 불교사에서는 4번의 큰 폐불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삼무일종의 폐불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북위(北魏)의 태무제(재위 423~452)와 북주(北周)의 무제(재위 560~578)의 폐불이 북조에서 일어났다.[12] 폐불을 단행하게 된 이유로서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나 표면적으로는 유 · 불 · 도 3교, 특히 불교와 도교 양교의 대립항쟁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립을 이용하여 그것을 결정적인 단계로까지 이끌어간 것은 역시 정치적 · 경제적 요인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당시의 지배자는 폐불을 단행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치적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12] Human: 아래 맥스웰-볼츠만_분포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맥스웰-볼츠만 분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맥스웰-볼츠만 분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맥스웰-볼츠만 분포(Maxwell-Boltzmann 分布)는 물리학과 화학에서 응용하는 확률 분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곳이 통계 역학이다. 모든 물리 계의 온도는 그 계를 구성하는 분자들이나 원자들의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 입자들은 각각 다른 속도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일정하게 변한다. 이러한 속도들의 맥스웰 분포는 모든 속도 범위에 대해 계의 온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다. 만약, 이 분포가 표준 편차 a {\displaystyle a} 에 대한 정규분포처럼 그 성분들이 분산되어 있다면 이 분포는 3차원 벡터의 크기로 생각할 수 있다. 즉, X i {\displaystyle X_{i}} 가 X ∼ N ( 0 , a 2 ) {\displaystyle X\sim N(0,a^{2})} 처럼 분포되면 아래 식이 파라메터 a {\displaystyle a} 로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된다. Z = X 1 2 + X 2 2 + X 3 2 {\displaystyle Z={\sqrt {X_{1}^{2}+X_{2}^{2}+X_{3}^{2}}}} 목차 1 특성 2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물리적 응용 2.1 운동량 벡터의 분포 2.2 에너지의 분포 2.3 속도 벡터 분포 2.4 속력 분포 2.5 전체 속력 3 참고 하기 4 외부 링크 특성[편집] 맥스웰-볼츠만 분포 곡선은 입자들의 평균 표본에서 어떻게 입자 속도가 분포되는지 보여준다. 어떤 주어진 온도에서 매우 적은 입자들만이 매우 낮거나 높은 에너지를 갖는다.(대부분은 두 상태 내부 어딘가에 에너지 준위를 가질 것이다.) 이것은 평균 에너지라고 불린다. 반응이 일어나려면 활성 에너지 장벽을 넘어야 한다. 만약 입자의 수를 늘리면, 반응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고 보다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a = 1 {\displaystyle a=1} 에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Chi-분포와 동일하다. 추가로, 만약 Z {\displaystyle Z} 가 파라메터 a {\displaystyle a} 로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된다면 밑의 식이 Chi-분포처럼 분포될 것이다. W = Z a {\displaystyle W={\frac {Z}{a}}}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제곱 평균은 3 a {\displaystyle {\sqrt {3}}a} 가 된다. 2 < 2 2 / π < 3 {\displaystyle {\sqrt {2}}<2{\sqrt {2/\pi }}<{\sqrt {3}}} 이 될 때, 모드가 제곱 평균보다 항상 낮은 기댓값보다 낮을 것이다.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물리적 응용[편집]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의 압력, 확산 과 같은 기본적인 그 성질을 설명하는 기체 운동 이론의 기본을 형성한다. 이 분포는 기체에서 분자 속도의 분포를 고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 운동량, 분자 운동량의 크기 등 서로 다른 확률 분포 함수를 가지지만 모두 연관되어 있는 물리량을 광범위하게 나타낸다.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통계 역학을 사용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이 분포는 많은 수의 상호 작용이 없는 입자들로 구성된 양자 효과가 무시되는 계에서 모든 속도 분포 가능성에 대응한다. 기체 상태에서 분자 간의 내부 반응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고 이에 따라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기체 상태의 조건에서 매우 좋은 접근을 제시한다. 그러나 재조합 및 여기가 중요한 이온층과 공간 플라즈마의 물리학과 같이 탄성 충돌 조건 등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들도 있다. 만약 맥스웰 분포와 그와 관련된 가정을 여기에 적용했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이며 물리적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잘못된 결과를 가져다 주는 또다른 예는 바로 기체의 양자적 열 파장이 입자들 간의 거리에 비교하여 충분히 작지 않을 때의 경우이다. 따라서 이 이론은 중요한 양자 효과를 설명하는 데 실패한다. 또한 이것이 비상대론적 가정에 기초하고 있기에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광속을 넘어서는 분자 속도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지 못한다. 맥스웰에 의한 최초 계산은 3가지 방향이 같은 방식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후에, 볼츠만에 의한 계산은 운동 이론을 사용하는 가정으로 낮췄다.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에너지에 대한 볼츠만 분포로부터 대부분 유도될 수 있다. N i N = g i exp ⁡ ( − E i / k T ) ∑ j g j exp ⁡ ( − E j / k T ) ( 1 ) {\displaystyle {\frac {N_{i}}{N}}={\frac {g_{i}\exp \left(-E_{i}/kT\right)}{\sum _{j}^{}g_{j}\,{\exp \left(-E_{j}/kT\right)}}}\qquad \qquad (1)} 여기서 Ni은 에너지Ei를 가지는 상태i와 겹침 gi에서, 평형온도 T를 가지는 분자들의 수이며, N는 계 안에서 가지는 총 분자들의 수가 된다.그리고 k 는 볼츠만 상수가 된다.(가끔 위의 식은 겹침 인자 gi를 빼고 쓰는 경우가 있음에 유의하라). 이 경우에서, 첨자i는 각개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오히려 gi의 집단은 동일한 에너지 Ei.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왜냐하면 속력과 속도는 에너지로 연관되어 있고, 식 1은 기체 상태의 분자 속도와 온도 간의 관계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 식에 있는 분모는 모듬 분배 함수로 알려져 있다. 운동량 벡터의 분포[편집] 지금까지 맥스웰에 의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유도된 계산들이 후에 1877년 볼츠만이 적은 가정으로 설명되고 이 가정이 더 설득력을 얻었다. 바닥 상태에서 상호 작용이 없는 원자들로만 구성된 "이상 기체"의 경우, 모든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일반적인 입자들에 대하여 운동 에너지와 운동량은 아래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E = p 2 2 m {\displaystyle E={\frac {p^{2}}{2m}}} 여기서 p²는 운동량 벡터의 제곱이 된다. p = [px, py, pz]. 따라서 우리는 식 1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N i N = 1 Z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3 ) {\displaystyle {\frac {N_{i}}{N}}={\frac {1}{Z}}\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3)} Z는 여기서 분배 함수를 나타내며, 식 1에서 분모에 해당된다. m 은 기체의 분자 질량이며, T 는 열역학 온도, k 는 볼츠만 상수이다. Ni/N의 분포는 운동량 성분들의 값으로 분자를 찾을 확률 밀도 함수 fp 에 비례적이다. 따라서 밑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 p ( p x , p y , p z ) = c Z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 4 ) {\displaystyle f_{\mathbf {p} }(p_{x},p_{y},p_{z})={\frac {c}{Z}}\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4)} 규격화 상수 c는 어떠한 운동량이 반드시 1이 되는 값을 가지는 분자의 확률을 알아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래서 식 4에 대한 적분은 모두 px, py, 그리과 pz 이 1이 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다음 식으로 증명된다. c = Z ( 2 π m k T ) 3 . ( 5 ) {\displaystyle c={\frac {Z}{({\sqrt {2\pi mkT}})^{3}}}.\qquad \qquad (5)} 식 5를 식 4에 대입하여 풀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f p ( p x , p y , p z ) = ( 1 2 π m k T ) 3 exp ⁡ [ − ( p x 2 + p y 2 + p z 2 ) 2 m k T ] . ( 6 ) {\displaystyle f_{\mathbf {p} }(p_{x},p_{y},p_{z})={\sqrt {\left({\frac {1}{2\pi mkT}}\right)^{3}}}\exp \left[{\frac {-(p_{x}^{2}+p_{y}^{2}+p_{z}^{2})}{2mkT}}\right].\qquad \qquad (6)} 이 분포는 분산 m k T {\displaystyle mkT} 에 의한 3개의 독립적인 정규 분포 값들 p x {\displaystyle p_{x}} , p y {\displaystyle p_{y}} , p z {\displaystyle p_{z}} 의 곱으로 보일 수 있다. 게다가 운동량의 크기가 a = m k T {\displaystyle a={\sqrt {mkT}}} 만큼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될 것이라고 보일 수 있다. 에너지의 분포[편집] p 2 = 2 m E {\displaystyle p^{2}=2mE} 를 사용하여 에너지 분포에 대한 식을 유도할 수 있다. f E d E = f p ( d p d E ) d E = 2 E π ( k T ) 3   exp ⁡ [ − E k T ] d E . ( 7 ) {\displaystyle f_{E}\,dE=f_{p}\left({\frac {dp}{dE}}\right)\,dE=2{\sqrt {\frac {E}{\pi (kT)^{3}}}}~\exp \left[{\frac {-E}{kT}}\right]\,dE.\qquad \qquad (7)} 에너지가 정규 분포된 세 운동량 값들의 제곱에 대한 합에 비례할 때, 이 분포를 자유도가 3급인 chi-제곱 분포라 한다. f E ( E ) d E = χ 2 ( x ; 3 ) d x {\displaystyle f_{E}(E)\,dE=\chi ^{2}(x;3)\,dx} 여기서 맥스웰-볼츠만 상수는 기체가 양자 기체로 고려되는 것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x = 2 E k T . {\displaystyle x={\frac {2E}{kT}}.\,} 속도 벡터 분포[편집] 속력 확률 밀도fv는 운동량 확률 밀도 함수에 비례한다는 사실로부터 다음과 같이 된다. f v d 3 v = f p ( d p d v ) 3 d 3 v {\displaystyle f_{\mathbf {v} }d^{3}v=f_{\mathbf {p} }\left({\frac {dp}{dv}}\right)^{3}d^{3}v} 그리고 p = mv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f v ( v x , v y , v z ) = ( m 2 π k T ) 3 exp ⁡ [ − m ( v x 2 + v y 2 + v z 2 ) 2 k T ] , ( 8 ) {\displaystyle f_{\mathbf {v} }(v_{x},v_{y},v_{z})={\sqrt {\left({\frac {m}{2\pi kT}}\right)^{3}}}\exp \left[{\frac {-m(v_{x}^{2}+v_{y}^{2}+v_{z}^{2})}{2kT}}\right],\qquad \qquad (8)} 이것이 바로 맥스웰-볼츠만의 속도 분포이다. 무한소[dvx, dvy, dvz]에서 v = [vx, vy, vz]에 대한 어떤 속도를 가진 입자를 찾을 확률은 밑의 식이 된다. f v ( v x , v y , v z ) d v x d v y d v z . {\displaystyle f_{\mathbf {v} }\left(v_{x},v_{y},v_{z}\right)\,dv_{x}\,dv_{y}\,dv_{z}.} 운동량처럼 이 분포는 분산 k T / m {\displaystyle kT/m} 만큼 주어진 세 가지 독립적인 정규 분포 값들 v x {\displaystyle v_{x}} v y {\displaystyle v_{y}} , v z {\displaystyle v_{z}} 의 곱으로 보인다. 이것 역시 벡터 속도 [vx, vy, vz]에 대한 맥스웰-볼츠만 속도 분포가 각 세 가지 방향에 대하여 분포들의 곱이라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f v ( v x , v y , v z ) = f v ( v x ) f v ( v y ) f v ( v z ) {\displaystyle f_{v}\left(v_{x},v_{y},v_{z}\right)=f_{v}(v_{x})f_{v}(v_{y})f_{v}(v_{z})} 한 방향에 대한 분포는 분산 k T m {\displaystyle {\frac {kT}{m}}} 의 정규 분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정지 상태의 기체에 대해 예측했던 것처럼,어떤 방향에 대한 평균 속도는 0이 된다. f v ( v i ) = m 2 π k T exp ⁡ [ − m v i 2 2 k T ] . ( 9 ) {\displaystyle f_{v}(v_{i})={\sqrt {\frac {m}{2\pi kT}}}\exp \left[{\frac {-mv_{i}^{2}}{2kT}}\right].\qquad \qquad (9)} 속력 분포[편집] 온도 298.15K (25 C)에서 불활성 기체들의 속도의 확률 밀도 함수는 정규 분포로 접근하지만 오른쪽으로 편중된 모습을 보이다. y축은 s/m이므로 곡선 상의 면적은 (차지하는 범위만큼의 속도의 확률을 표현한다.) 단위가 없을 것이다. 통계 물리에서는 분자 개개의 속도보다 분자들의 속력에 더 관심을 가진다. 속력에 대한 맥스웰-볼츠만 분포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f ( v ) = 4 π ( m 2 π k T ) 3 / 2 v 2 exp ⁡ [ − m v 2 2 k T ] ( 10 ) {\displaystyle f(v)=4\pi \left({\frac {m}{2\pi kT}}\right)^{3/2}\!\!v^{2}\exp \left[{\frac {-mv^{2}}{2kT}}\right]\qquad (10)} 여기서 속력 v는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v = v x 2 + v y 2 + v z 2 {\displaystyle v={\sqrt {v_{x}^{2}+v_{y}^{2}+v_{z}^{2}}}} 식 10에 있는 f(v)의 단위는 단위 속력당 확률이거나, 그래프의 오른쪽에서 단지 속력의 반비례가 된다. 그리고 속도가 정규화 분포된 세 속도 성분들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이 되면, 이 분포는 a = k T / m {\displaystyle a={\sqrt {kT/m}}} 만큼의 맥스웰-볼츠만 분포가 된다. 또한 우리는 실제 분포보다 입자들의 평균속력과 같은 물리량을 필요로 한다. 평균 속도, 예상 속도와 제곱 평균은 맥스웰-볼츠만 분포의 특성으로부터 나타내질 수 있다. 전체 속력[편집] 위의 식들이 속력 분포를 알 수 있게 해 주지만 일반적으로 실제 분포보다 입자들의 평균 속력와 같이 그 실제적인 양을 필요로 한다. vp는 어떤 계에서 어느 분자에 의해 같아진 속력이고 최댓값이나 f(v)의 모드에 대응한다. 이것을 찾으려면 df/dv을 계산해야 한다.이것을 0으로 두고 v에 대하여 풀면 밑의 식처럼 된다. d f ( v ) d v = 0 {\displaystyle {\frac {df(v)}{dv}}=0} 이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 p = 2 k T m = 2 R T M {\displaystyle v_{p}={\sqrt {\frac {2kT}{m}}}={\sqrt {\frac {2RT}{M}}}} 평균 속력는 속력 분포의 수학적 평균이므로 다음과 같이 된다. ⟨ v ⟩ = ∫ 0 ∞ v f ( v ) d v = 8 k T π m = 8 R T π M {\displaystyle \langle v\rangle =\int _{0}^{\infty }v\,f(v)\,dv={\sqrt {\frac {8kT}{\pi m}}}={\sqrt {\frac {8RT}{\pi M}}}} 또한 제곱 평균 속도, vrms는 속력에 제곱하여 평균한 값에 제곱근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밑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 r m s = ∫ 0 ∞ v 2 f ( v ) d v = 3 k T m = 3 R T M {\displaystyle v_{\mathrm {rms} }={\sqrt {\int _{0}^{\infty }v^{2}\,f(v)\,dv}}={\sqrt {\frac {3kT}{m}}}={\sqrt {\frac {3RT}{M}}}} 따라서 전체 속력은 아래와 같다. v p < ⟨ v ⟩ < v r m s . {\displaystyle v_{p}<\langle v\rangle <v_{\mathrm {rms} }.} 참고 하기[편집] 볼츠만 상수 레일리 분포 이상 기체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동역학 자외선 파탄 외부 링크[편집] 매스월드에서 맥스웰 분포를 설명한 부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맥스웰-볼츠만_분포&oldid=22872307" 분류: 연속분포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БеларускаяCatalàČeština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Gaeilgeעברית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NederlandsNorsk nynorskNorskPolskiPortuguêsРусский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10: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맥스웰-볼츠만 분포(Maxwell-Boltzmann 分布)는 물리학과 화학에서 응용하는 확률 분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곳이 통계 역학이다. 모든 물리 계의 온도는 그 계를 구성하는 분자들이나 원자들의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 입자들은 각각 다른 속도 범위를 가지고 있는데 다른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일정하게 변한다. 이러한 속도들의 맥스웰 분포는 모든 속도 범위에 대해 계의 온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다. 만약, 이 분포가 표준 편차 a {\displaystyle a} 에 대한 정규분포처럼 그 성분들이 분산되어 있다면 이 분포는 3차원 벡터의 크기로 생각할 수 있다. 즉, X i {\displaystyle X_{i}} 가 X ∼ N ( 0 , a 2 ) {\displaystyle X\sim N(0,a^{2})} 처럼 분포되면 아래 식이 파라메터 a {\displaystyle a} 로 맥스웰-볼츠만 분포처럼 분포된다. Z = X 1 2 + X 2 2 + X 3 2 {\displaystyle Z={\sqrt {X_{1}^{2}+X_{2}^{2}+X_{3}^{2}}}}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맥스웰-볼츠만 붐포는 어떤 이론의 근간이 되었니? Assistant: 기체의 압력, 확산 과 같은 기본적인 그 성질을 설명하는 기체 운동 이론
Human: 아래 금강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금강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금강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금강군 현황면적 1,472.82km²총인구 54,211[1]명 (2008)읍 1개리 26개군청 소재지 금강읍 금강군(金剛郡)은 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이다. 목차 1 지리 2 역사 3 행정 구역 4 산업 5 같이 보기 6 각주 7 외부 링크 지리[편집] 북조선 통치하의 강원도 동남부, 금강산의 서쪽에 위치한다. 군의 상당 부분은 태백산맥의 산악 지대로 경지는 적다. 가장 높은 지점은 금강산의 비로봉이다. 전체 면적의 약 85%가 산림이다. 금강산에서 발원하는 금강천·동금강천이 군내를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 고성군, 서북쪽으로 회양군, 서쪽으로 창도군과 접한다. 남쪽은 한반도의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대한민국 통치하의 강원도이다. 역사[편집] 현재의 금강군은 구한말에는 회양군에 속하여 있었고, 동남부 일부는 인제군에 속하여 있었다. 1906년에 수입면은 회양군에서 양구군으로 이관되었다. 현재의 군 인민위원회 소재지인 금강읍은 일찍이 말휘리로 불렸다. 말휘리가 포함되어 있던 회양군 장양면은 1938년에 내금강면으로 개칭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금강산 내금강 지역으로 가는 금강산선 철도가 뚫리기도 하였다. 현재의 금강군 지역은 해방 후에 북조선의 영역이 되었고 6.25 전쟁 중에는 38도선에 가까운 금강산 주변의 이 지역은 격전지가 되었다. 전쟁이 교착 단계에 들어간 1952년 12월, 내금강면의 전역, 사동면·안풍면의 대부분, 인제군 북조선 지배 지역의 전부·양구군 북조선 지배 지역의 일부를 합쳐 금강군이 편성되었다(1읍 26리). 이때 수입면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의 서부는 창도군으로 편입되었다. 1987년에 2개리를 창도군에 이관하였고, 2000년 11월에 창도군의 9개리를 편입하였다. 이 때 오천리 · 인패리 · 대정리 · 면천리 · 철벽리는 오천리로, 송거리 · 천리는 송거리로 통합되면서 금강군에 이관되었다. 이로서 옛 수입면의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전부 편입하였다. 행정 구역[편집] 금강읍과 금천리, 금풍리, 내강리, 단풍리, 룡암리, 문등리, 방목리, 백현리, 북점리, 세동리, 소곤리, 속사리, 송거리, 순갑리, 신교리, 신원리, 신읍리, 안미리, 오천리, 이포리, 청두리, 풍미리, 하회리, 현동리, 현리, 화천리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편집] 주산업은 농업이고 쌀, 옥수수가 주요 작물이다. 그러나 경작 가능한 땅은 8.5%에 불과하다. 제조업과 축산업 또한 지역 경제에 기여를 한다. 금, 텅스텐, 석영 광산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금강산 각주[편집] ↑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2009년. 외부 링크[편집] 금강군 vdeh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행정 구역 인민위원회 소재지: 원산시 문천시 원산시 고산군 고성군 금강군 김화군 법동군 세포군 안변군 이천군 창도군 천내군 철원군 통천군 판교군 평강군 회양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금강군&oldid=20138282" 분류: 금강군1952년 설치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日本語Bahasa MelayuNorskPolskiTiếng Việt中文Bân-lâm-gú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7년 11월 25일 (토) 21:4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금강군(金剛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에 속해 있는 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구한말에는 금강군은 어떤 군에 속해있었을까? Assistant: 회양군 Human: 아래 임정호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임정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임정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른 뜻에 대해서는 임정호 (1980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임정호 Lim Jung-Ho 상무 피닉스 야구단 No.30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90년 4월 16일(1990-04-16) (29세) 출신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장 188 cm 체중 85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좌투좌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2013년 드래프트 순위 2013년 3라운드(NC 다이노스) 첫 출장 KBO / 2015년 3월 28일잠실 대 두산전 구원 계약금 7,000만원 연봉 8,700만원 (2017년) 경력 NC 다이노스 (2013년 ~ 2017년) 상무 야구단 (2018년 ~ 현재) 임정호(林正鎬[1], 1990년 4월 16일 ~ )는 KBO 리그 상무 야구단의 투수이다. 목차 1 NC 다이노스 시절 1.1 2015년 시즌 1.1.1 플레이오프 1.2 2016년 시즌 1.3 2017년 시즌 2 상무 야구단 시절 3 출신 학교 4 통산 기록 5 각주 6 외부 링크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5년 시즌[편집] 입단 3년차인 2015년에 1군 경기에 첫 출전을 했다. 2015년 3월 28일 두산전에서 5회말 찰리 쉬렉을 구원해서 등판하면서 데뷔했다. 양의지를 땅볼 아웃으로 잡았으나, 오재원에게 볼넷, 김재환에게 홈런을 맞았다. 김재환의 홈런이 결승타가 되면서 패전 투수가 됐고, 1/3이닝 1볼넷 1피홈런을 기록했다. 2015년 시즌 80경기에 등판해 48이닝, 1승 2패, 14홀드,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특히, 80경기 출장하며 2015년 시즌 최다 출장 투수가 됐다.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 4경기에서 2이닝 1피안타 1볼넷 4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1차전에서 오재원과 오재일을 삼진 처리했다. 3차전에서도 김현수를 상대로 삼진을 잡아낸 후 오재원을 병살 처리해 이닝을 끝냈다.[2] 방어율 경기수 승 패 세이브 홀드 완투 완봉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삼진 실점 자책 비고 0.00 4 0 0 0 0 0 0 2 1 0 1 0 4 0 0 2016년 시즌[편집] 42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7홀드, 1세이브,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2017년 시즌[편집] 59경기에 등판하여 1승 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다. 상무 야구단 시절[편집] 2018년에 입단하였다. 출신 학교[편집] 성동초등학교 잠신중학교 신일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통산 기록[편집]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5 NC 3.75 80 0 0 1 2 0 14 0.333 200 48 31 2 27 5 54 21 20 2016 5.40 42 0 0 1 1 1 7 0.500 111 23.1 25 0 11 6 29 17 14 2017 4.45 59 0 0 1 0 0 7 1.000 134 30.1 30 3 14 2 33 19 15 통산 3시즌 4.34 181 0 0 3 3 1 28 0.500 445 101.2 86 5 52 13 116 57 49 각주[편집] ↑ 한국야구위원회, 2013 가이드북 ↑ 김하진 (2015년 10월 22일). “NC 임정호 “감독님의 첫 칭찬, 기뻤어요””. 《스포츠경향》.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임정호 - KBO 투수별 기록 임정호 - NC 다이노스 vdeh상무 피닉스 - 2019감독 74 박치왕 코치 73 조재호 (주루) 75 임수민 (수비) 76 김기남 (배터리) 78 천종민 (트레이닝) 79 민창호 (트레이닝) 81 이승호 (투수) 투수 11 김찬호 18 심창민 21 남재현 30 임정호 38 이도현 41 박성모 46 박진태 55 김유영 56 최민준 57 김정빈 58 정동윤 61 김정인 69 이승관 91 강동호 96 김유신 97 조성훈 포수 22 권정웅 27 이정훈 31 김재현 40 박상언 내야수 2 강한울 3 김웅빈 5 박성한 6 이재근 10 도태훈 23 최정용 53 양석환 외야수 1 김준완 7 김재유 8 홍현빈 17 이재율 51 조수행 vdehNC 다이노스 - 현재 명단감독 70 이동욱 (감독) 코치 81 손민한 (수석/투수) 27 이호준 (타격) 72 전준호 (작전/주루) 74 한규식 (수비/3루 주루) 75 진종길 (작전/1루 주루) 77 용덕한 (배터리) 88 채종범 (타격보조) 98 김수경 (투수) C팀 감독 97 유영준 C팀 코치 71 이대환 (불펜) 83 정진식 (배터리) 85 이현곤 (수비) 89 박석진 (투수) 90 송재익 (수비) 93 이종욱 (작전/주루) D팀 감독 82 한문연 (총괄/배터리) D팀 코치 76 지연규 (투수) 79 김상엽 (투수/재활) 87 김민호 (타격) 투수 1 유원상 8 김재균 11 윤강민 15 임서준 17 민태호 20 노성호 24 김건태 26 최성영 27 장현식 28 김시훈 29 이민호 30 박진우 35 김학성 37 정수민 38 윤지웅 40 루친스키 43 류재인 45 임창민 46 원종현 51 이재학 55 김진성 56 강윤구 59 구창모 60 홍성무 61 배재환 101 류진욱 -- 프리드릭 포수 12 김형준 20 정범모 23 윤수강 25 양의지 42 신진호 99 박광열 내야수 2 박민우(주장) 3 유영준 4 김철호 5 김찬형 6 김태진 7 이상호 10 지석훈 13 손시헌 16 모창민 18 박석민 32 이원재 39 오영수 52 노진혁 외야수 0 이인혁 9 최승민 31 김성욱 33 이우성 36 권희동 41 강진성 47 나성범 49 박헌욱 116 김주현 육성선수 22 이준평 40 김도환 54 이승헌 58 김영규 63 김진형 64 이우석 67 이범준 72 박민주 89 김영중 97 천재환 98 이민준 99 최상인 100 신민혁 103 소이현 104 이훈 105 이호중 106 노병훈 107 김경년 110 이효준 111 이국필 112 문석종 -- 김희원 -- 손정욱 -- 이지우 -- 조무성 군 입대 선수 공수빈 권법수 김민수 김병재 김준완 김준현 김진호 김태강 김태군 김태현 김호민 도태훈 문성용 박준영 배지환 송동욱 이도현 이재용 이재율 임정호 정성민 조원빈 최금강 최보성 2019년 신인지명 선수 65 박수현(1차지명) 62 송명기(2차 1라운드 지명) 69 전사민(2차 2라운드 지명) 84 최재익(2차 3라운드 지명) 78 배민서(2차 4라운드 지명) 80 김범준(2차 5라운드 지명) 91 하준수(2차 6라운드 지명) 92 최정원(2차 7라운드 지명) 94 박지한(2차 8라운드 지명) 95 서호철(2차 9라운드 지명) 96 노시훈(2차 10라운드 지명) 이 글은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임정호&oldid=24487600" 분류: 1990년 태어남살아있는 사람서울특별시 출신KBO 리그 투수NC 다이노스 선수성동초등학교 (서울) 동문잠신중학교 동문신일고등학교 동문성균관대학교 동문평택 임씨상무 야구단 선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숨은 분류: 야구인에 관한 토막글큰 토막글 문서모든 토막글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6일 (수) 20: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임정호(林正鎬, 1990년 4월 16일 ~ )는 KBO 리그 NC 다이노스의 투수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야구선수 임정호가 NC소속으로 3년동안 어떤 기록을 세웠나? Assistant: 연도 팀명 평균자책점 경기 완투 완봉 승 패 세 홀 승률 타자 이닝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실점 자책점 2015 NC 3.75 80 0 0 1 2 0 14 0.333 200 48 31 2 27 5 54 21 20 2016 5.40 42 0 0 1 1 1 7 0.500 111 23.1 25 0 11 6 29 17 14 2017 4.45 59 0 0 1 0 0 7 1.000 134 30.1 30 3 14 2 33 19 15 통산 3시즌 4.34 181 0 0 3 3 1 28 0.500 445 101.2 86 5 52 13 116 57 49
Human: 아래 용인송담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용인송담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용인송담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용인송담대학교Yong-In Songdam College표어 생각은 혼자하고 행동은 함께하자 종류 전문대학설립 1993년총장 최성식학교법인 학교법인 송담학원학생 수 3,838명 (2017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13명 (2017년)[1]기타교원: 209명 (2017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동부로 61웹사이트 용인송담대학교 홈페이지 용인송담대학교의 위치 용인송담대학교(龍仁松潭大學校, Yong-In Songdam College)는 1993년 송담학원이 경기도 용인시에 설립한 전문대학이다. 1998년 용인송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매년 방학기간 중 산업체 견학, 박람회 참가를 위한 해외단기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9월에는 석담축제가 열린다. 해외 교류는 하와이의 자비오라니 대학(Hawaii-Kapiolani)외 6개 대학과 2개 기관과의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하여 상호학술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교육부평가 특성화대학, 주문식교육실시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0년도에는 교육과학기술부 평가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된 바 있다. 목차 1 연혁 2 교육편제 3 자매 결연 대학 4 저명한 동문 5 각주 6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94년 11월 17일 : 용인공업전문대학 설립 1995년 3월 3일 : 개교 1998년 5월 1일 : 용인송담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년 11월 17일 : 본관동 준공 2008년 8월 26일 : 기숙사 준공 2012년 1월 9일 : 용인송담대학교로 교명 변경 2018년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 역량강화대학 선정 및 조건부 일반재정지원[2] 교육편제[편집] 용인송담대학교는 4계열 27학과를 개설하여 운영중이다.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경영사무과 법무경찰과 비서경영과[3] 사회복지과[3] 세무회계과 유아교육과[3] 항공서비스과 호텔관광과 간호학과[4] 뷰티케어과 의료정보과 건축소방설비과 건축에너지과 기계과 전자과 자동차기계과 정보통신과 전기과 컴퓨터게임과[3] 컴퓨터정보과[3] 실내디자인과 방송영화제작예술과[3] 스타일리스트과 컬러리스트과 3D조형과[3] 리빙디자인과 시각디자인과 자매 결연 대학[편집] 용인송담대학교는 해외 각종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학술 세미나 등의 행사를 개최하며 교류하고 있다. 다음은 주요 대학 목록이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용인송담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전문대학), 연합뉴스, 2018년 8월 23일 작성.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3년제 과정 ↑ 4년제 과정 외부 링크[편집] 용인송담대학교 홈페이지 vdeh 경기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경인교육대학교 (경기캠퍼스) 한경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기지역대학) 한국복지대학교 한국학대학원 사립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강남대학교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경동대학교 (경기도양주Metropol캠퍼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국제사이버대학교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대진대학교 동국대학교 (바이오메디캠퍼스) 동양대학교 (북서울캠퍼스) 루터대학교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수원가톨릭대학교 수원대학교 신경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아주대학교 안양대학교 (안양캠퍼스)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 용인대학교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 중부대학교 (고양캠퍼스)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중앙승가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총신대학교 (양지캠퍼스) 칼빈대학교 평택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한국항공대학교 한세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협성대학교 전문대학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민대학교 경복대학교 계원예술대학교 국제대학교 김포대학교 농협대학교 대경대학교 (서울한류캠퍼스) 대림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원대학교 두원공과대학교 부천대학교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 서정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신안산대학교 안산대학교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오산대학교 용인송담대학교 웅지세무대학교 유한대학교 장안대학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한국관광대학교 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 한국폴리텍Ⅱ대학 (안성캠퍼스) ICT폴리텍대학 대학원대학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국립암센터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학교 능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성서침례대학원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사이버대학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안산캠퍼스) 서울디지털대학교 (부천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용인송담대학교&oldid=24512126" 분류: 1994년 설립1995년 개교경기도의 전문대학용인시의 학교처인구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2일 (화) 04:1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용인예술과학대학교(龍仁藝術科學大學校, Yong-In Arts & Science University)는 1993년 송담학원이 경기도 용인시에 설립한 전문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용인송담대학교를 졸업해서 의료관련직업에 취업하려면 어떤 단과대를 가야할까 Assistant: 자연과학 Human: 아래 2018년_중화민국_지방_선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2014년 ← 2018년 11월 24일 → 2022년 선출의석: 직할시/현시장 22석() 직할시/현시의원 912석(5) 향진시구장 204석() 향진시구민대표 2148석(2) 촌리장 7744석(108) 투표율 직할시장 66.11%(0.20%) 현시장 68.87%(1.53%) 직할시의원 66.14%(0.34%) 현시의원 68.90%(1.52%) 향진시장 69.57%(1.75%) 원주민구장 80.93%(0.48%) 향진시민대표 69.67%(1.83%) 원주민구민대표 80.45%(0.49%) 촌리장 68.93%(1.22%)   제1당 제2당   지도자 우둔이당 주석 차이잉원당 주석 정당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지도자 취임 2017년 8월 20일 2014년 5월 28일 이전선거 결과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386석 향진시구장 80석 향진시구민대표 540석 촌리장 1796석 직할시/현시장 13석 직할시/현시의원 291석 향진시구장 54석 향진시구민대표 194석 촌리장 390석 선거후 의석수 직할시/현시장 15석 직할시/현시의원 394석 향진시구장 84석 향진시구민대표 390석 촌리장 1220석 직할시/현시장 6석 직할시/현시의원 238석 향진시구장 36석 향진시구민대표 151석 촌리장 285석 의석 증감 직할시/현시장 9석 직할시/현시의원 8석 향진시구장 4석 향진시구민대표 150석 촌리장 576석 직할시/현시장 7석 직할시/현시의원 53석 향진시구장 18석 향진시구민대표 43석 촌리장 105석 득표수 직할시/현시장 6,102,876표 직할시/현시의원 5,000,893표 향진시구장 1,124,744표 향진시구민대표 627,825표 촌리장 2,043,786표 직할시/현시장 4,897,730표 직할시/현시의원 3,844,201표 향진시구장 901,226표 향진시구민대표 350,775표 촌리장 633,126표 득표율 직할시/현시장 48.79% 직할시/현시의원 40.39% 향진시구장 33.58% 향진시구민대표 18.72% 촌리장 17.17% 직할시/현시장 39.16% 직할시/현시의원 31.05% 향진시구장 26.90% 향진시구민대표 10.46% 촌리장 5.32% 득표율 증감 직할시/현시장 8.09% 직할시/현시의원 3.53% 향진시구장 0.13% 향진시구민대표 3.83% 촌리장 6.66% 직할시/현시장 8.39% 직할시/현시의원 6.03% 향진시구장 4.82% 향진시구민대표 2.20% 촌리장 1.23% 2018년 중화민국 직할시장 과 현시장 선거 투표율 : 67.39%  %50403020100 48.79% 39.16%0.73%0.01%11.03%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득실표율 2014년 선거와 정당별 득실율 비교   % 10   8   6   4   2   0  -2  -4  -6  -8-10 +8.09% -8.39%+0.73%-0.04%-0.67% 국민당민진당민국당기타무소속틀:선거도표/정비 틀:선거도표/정비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2018년 중화민국 9합1 선거)는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에 중화민국 자유지구에서 실시 되는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 정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는 10개 항목의 국민투표도 함께 치러졌다. 목차 1 개요 2 일정 3 출마 후보 3.1 직할시장 과 현시장 3.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3.3 향진시구장 3.4 향진시구민대표 3.5 촌리장 4 여론 조사 4.1 정당 지지율 5 선거 결과 5.1 직할시장 과 현시장 5.2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5.3 향진시구장 5.4 향진시구민대표 5.5 촌리장 6 각주 개요[편집] 이번 지방 선거는 중화민국의 직할시 (대북시, 신북시, 도원시, 대중시, 대남시, 고웅시 이른바 "6도" 이다), 대만성 (13 현 3시)과 푸젠성 ( 2 현) 지방 자치 단체장과 의회 의원이 선출된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2014 년 중화 민국 지방 선거와 마찬가지로 9 합 1 선거 (직할 시장, 직할시 의원, 현시 의원 향진시 길이 향진시 인민 대표 촌락 길이 산지 출신 구청장 및 평지 원주민 구민 대표)라고도 불린다. 선거 개요 선거 한항 선출의석 대수 직할시장 6 대북시 제7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장 16 대만성 현,지룽시 제18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직할시의원 377 대북시 제13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현시의원 532 대만성 현,지룽시 제19대 대만성 신주시,자이시 제10대 푸젠성 진먼현,롄장현 제7대 향진시구장 198 대만성 향진시 제17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0대 6 원주민구 제2대 향진시민대표 2096 대만성 향진시 제20대 푸젠성 진먼현 제12대 푸젠성 롄장현 제11대 50 원주민구 제2대 촌리장 7852 대만성 촌이 제21대 대북시 이 제13대 푸젠성 진먼현 촌이 제11대 푸젠성 롄장현 촌 제10대 신북시,대중시,대남시,고웅시 제3대 도원시 제2대 일정[편집] 8월 16일:중앙 선거위원회가 지방 공직 인원 선거 공고 8월 27일:후보 등록 시작 8월 31일:후보 등록 마감 10월 19일:후보 추첨 결정 번호 11월 24일:투표일 출마 후보[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2018년 직할시장 과 현시장 후보자 목록 직할시.성 현시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띵셔우종 야오원즈 커원저리시쿤우어양 신북시 허우요우이 쑤정창 도원시 천쉬에셩 정원찬 주메이쉬에양리환우푸통 대중시 루수얜 린쟈롱 쏭위앤통 대남시 까오쓰뽀 황웨이저 천용허린이펑쉬종신쑤환즈 고웅시 한꿔위 천치마이 취메이펑쑤잉꿰이 대만성 지룽시 셰리꽁 린요우창 이란현 린쯔먀오 천어우포 린신화천추징린진쿤 신주현 양원커 정차오팡 쉬신잉 예팡똥 신주시 쉬밍차이 린즈졘 셰원진황위앤푸리지췬꾸어롱뤠이 묘률현 쉬야오창 쉬띵전황위얜주타이핑 장화현 왕훼이메이 웨이밍꾸 홍민슝황원링빠이야찬 난터우현 린밍전 홍꾸어하오 운림현 장리산 리진용 린쟈위왕리핑 가의현 우위런 웡장량 우팡밍린꾸어롱 가의시 황민훼이 투싱저 샤오슈리황홍청타이완아청스졔웨이런차이션쫑통 병동현 쑤칭취안 판멍안 리롱런 대동현 라오칭링 루자오하오 펑취앤꾸어황위삔쿠앙리전 화련현 쉬전웨이 루샤오메이 황스펑 펑후현 라이펑웨이 천꾸앙푸 우정롱정칭파천따쏭뤼화위앤웡전셩 푸젠성 진먼현 양전우 천푸하이홍즈헝셰이장홍허청왕청화 롄장현 루쩡잉 쑤뽀하오 웨이야오치앤주수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63 33 27 1 37 27 신북시 66 36 36 18 32 도원시 63 36 35 1 10 47 대중시 65 37 37 13 45 대남시 57 22 37 9 44 고웅시 66 36 38 18 39 대만성 지룽시 31 1 8 17 이란현 34 18 4 36 신주현 36 15 2 5 43 신주시 34 20 12 10 31 묘률현 38 16 10 4 40 장화현 54 29 2 31 난터우현 37 15 17 2 27 운림현 43 20 4 41 가의현 37 28 가의시 23 8 8 3 24 병동현 55 30 3 41 대동현 30 29 4 4 30 화련현 33 2 25 펑후현 19 9 5 26 푸젠성 진먼현 19 3 21 롄장현 9 3 합계 912 494 407 5 59 697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후보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4 도원시(부흥구) 1 3 대중시(화평구) 1 1 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7 대만성 이란현 12 11 10 11 신주현 13 14 1 22 묘률현 18 13 2 29 장화현 26 19 19 44 난터우현 13 13 6 19 운림현 20 5 18 32 가의현 18 2 14 19 병동현 33 12 20 2 56 대동현 16 13 2 28 화련현 13 17 2 13 펑후현 6 3 3 6 푸젠성 진먼현 6 8 1 10 롄장현 4 5 합계 204 138 97 0 3 305 향진시구민대표[편집] 2018년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7 13 도원시(부흥구) 11 4 21 대중시(화평구) 11 6 12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21 5 37 대만성 이란현 131 49 37 2 144 신주현 142 68 5 3 189 묘률현 193 17 6 299 장화현 317 47 85 391 난터우현 163 43 5 208 운림현 228 15 45 300 가의현 193 19 6 256 병동현 334 55 53 2 422 대동현 136 59 6 2 170 화련현 142 92 8 1 144 펑후현 51 4 3 7 76 푸젠성 진먼현 47 20 4 41 롄장현 22 20 13 합계 2,149 523 259 0 21 2,736 촌리장[편집] 2018년 촌리장 선거 정당 지명 인수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대북시 456 282 63 16 576 신북시 1,032 300 41 15 1,495 도원시 504 133 4 8 845 대중시 625 139 79 4 1,025 대남시 649 64 115 2 1,222 고웅시 891 173 218 1 1,320 대만성 지룽시 157 33 4 1 258 이란현 233 38 8 1 404 신주현 192 77 1 318 신주시 122 20 1 210 묘률현 275 11 1 512 장화현 589 38 11 2 1,073 난터우현 262 55 4 469 운림현 391 11 1 745 가의현 357 7 646 가의시 84 20 2 128 병동현 463 54 6 1 822 대동현 147 70 5 3 255 화련현 176 138 2 251 펑후현 96 17 2 174 푸젠성 진먼현 37 17 1 69 롄장현 22 23 10 합계 7,760 1,720 524 0 58 12,827 여론 조사[편집] 정당 지지율[편집] 정당 지지율 조사 기관 조사 기간 응답 인원 민주진보당 중국국민당 친민당 시역 대연 녹색당 신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무응답 참고 메이리다오 10월 24일 ~ 10월 26일 1069명 20.2 25.0 0.5 3.1 ― ― ― ― ― 35.7 2.0 [1] 메이리다오 9월 19일 ~ 9월 21일 1073명 18.0 19.4 0.6 2.6 0.3 ― ― ― ― 42.4 3.2 [2] 대만 경쟁력 9월 12일 ~ 9월 14일 1068명 19.2 30.8 1.7 5.3 0.5 1.0 0.9 ― ― 40.2 [3] 대만 여론 재단 9월 9일 ~ 9월 12일 1075명 24.7 23.1 4.7 8.0 ― ― ― ― 3.9 34.5 1.1 [4] 트렌드 9월 5일 ~ 9월 7일 1068명 23.6 25.2 2.3 7.1 ― ― 1.4 ― 2.3 25.6 11.5 [5] 메이리다오 8월 22일 ~ 8월 24일 1069명 18.9 19.3 0.4 2.3 0.1 ― ― ― ― 43.7 2.5 [6] 대만 여론 재단 8월 13일 ~ 8월 14일 1074명 24.5 24.5 ― ― ― ― ― ― ― 46.9 4.1 [7] 트렌드 8월 13일 ~ 8월 14일 1068명 18.9 19.3 3.5 8.5 ― ― ― ― 0.5 35.9 12.5 [8] 대만 경쟁력 8월 11일 ~ 8월 13일 1076명 16.4 21.3 2.4 6.8 0.7 1.2 ― ― ― 50.4 [9] 대만 지표 조사 8월 1일 ~ 8월 10일 1098명 15.7 20.4 0.4 2.8 0.1 0.3 ― ― ― 45.4 3.1 [10] 메이리다오 7월 24일 ~ 7월 26일 1070명 18.7 19.8 0.4 2.7 0.2 ― ― ― ― 43.4 4.2 [11] 대만 여론 재단 7월 9일. 7월 11일 1070명 25.2 20.7 ― ― ― ― ― ― ― 49.6 4.5 [12] 메이리다오 6월 24일 ~ 6월 26일 1073명 19.5 19.8 0.5 3.1 0.0 ― ― ― ― 39.5 5.5 [13] 트렌드 6월 23일 ~ 6월 25일 1083명 18.4 23.0 3.0 13.2 ― ― ― ― 1.4 30.6 9.6 [14] 대만 여론 재단 6월 11일 ~ 6월 12일 1073명 23.1 23.0 4.1 8.3 ― ― ― ― 4.5 34.9 2.0 [15] 트렌드 5월 24일 ~ 5월 25일 1104명 22.2 22.6 2.0 8.2 ― ― ― ― 2.5 32.1 10.4 [16] 메이리다오 5월 23일 ~ 5월 25일 1072명 20.8 19.2 0.4 2.3 0.2 ― ― ― ― 43.0 3.9 [17] 대만 여론 재단 5월 14일 ~ 5월 15일 1071명 36.7 21.9 ― ― ― ― ― ― ― 37.4 4.0 [18] 메이리다오 4월 25일 ~ 4월 27일 1071명 23.4 22.1 0.7 2.6 0.2 ― ― ― ― 34.7 3.9 [19] 트렌드 4월 16일 ~ 4월 17일 1079명 30.8 21.7 3.2 12.2 ― ― ― ― 5.6 17.4 9.2 [20] 세대 생각 탱크 3월 26일 ~ 3월 27일 1074명 33.6 28.5 0.3 2.3 0.2 ― ― ― 0.7 4.9 3.9 [21] 선거 결과[편집] 직할시장 과 현시장[편집] ↓ 15 6 1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무소속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편집] 2018년 직할시의원 과 현시의원 선거 결과:     중국국민당:394석     민주진보당:238석      무소속:234석     시대역량:16석      친민당:8석      타이완 단결연맹:5석      무당단결연맹:5석      녹색당:3석      민국당:3석      신당:2석      노동당:2석      사회민주당:1석      중화민족즈꽁당:1석 ↓ 394 238 280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향진시구장[편집] 2018년 향진시구장 선거 당선자 직할시.성 현시 선출의석 국민당 민진당 민국당 기타 무소속 직할시 신북시(오래구) 1 1 도원시(부흥구) 1 1 대중시(화평구) 1 1 고웅시(무림구.도원구.나마하구) 3 2 1 대만성 이란현 12 8 3 1 신주현 13 10 3 묘률현 18 10 8 장화현 26 9 7 10 난터우현 13 4 2 7 운림현 20 1 9 10 가의현 18 11 11 병동현 33 8 7 18 대동현 16 9 1 6 화련현 13 12 1 펑후현 6 2 4 푸젠성 진먼현 6 3 3 롄장현 4 4 합계 204 85 40 0 0 83 향진시구민대표[편집] 촌리장[편집] 각주[편집] ↑ “美麗島民調:2018年10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美麗島民調:2018年9月國政民調”. 2018년 11월 8일.  ↑ “不滿意蔡總統施政66% 不滿意賴揆54%”. 2018년 9월 29일.  ↑ “2018年9月「台灣人眼中的蔡英文總統」”. 2018년 9월 29일.  ↑ “時代力量民調:年底大選「藍綠歸隊」,政黨支持度藍「逆轉勝」綠”. 2018년 9월 15일.  ↑ “美麗島民調:2018年8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9일.  ↑ “2018年8月「元首外交、台灣正名與兩岸關係」”. 2018년 8월 24일.  ↑ “《致公黨民調》教育政策影響生育率 民眾期待免費託兒與雙語教育教學”. 2018년 8월 19일.  ↑ “民調:蔡賴滿意度各僅2成 政黨支持度藍勝綠近5個百分點”. 2018년 8월 19일.  ↑ “台灣指標民調》藍綠靠邊站!中間選民崛起,超越認同兩大黨者”. 2018년 8월 24일.  ↑ “美麗島民調:2018年7月國政民調”. 2018년 8월 2일.  ↑ “2018年7月「2018台灣政黨形象」”. 2018년 8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6月國政民調”. 2018년 6월 30일.  ↑ “《致公黨民調》過半民眾認為年改具合理性 8成以上國人認為執行死刑能降低犯罪發生”. 2018년 6월 28일.  ↑ “2018台灣人最喜愛的國家(2018年6月17日)”. 2018년 6월 17일.  ↑ “《致公黨民調》7成民眾憂心缺電 超過4成支持重啟核四 賴神滿意度首次出現死亡交叉”. 2018년 6월 7일.  ↑ “美麗島民調:2018年5月國政民調”. 2018년 6월 2일.  ↑ “民進黨執政兩週年(2018年5月20日)”. 2018년 6월 2일.  ↑ “美麗島民調:2018年4月國政民調”. 2018년 5월 31일.  ↑ “最新政府施政滿意度與2020年第三勢力形成評估” (PDF). 2018년 5월 31일.  ↑ “縣市長選舉》世代智庫民調:4成5看好民進黨參選人”. 2018년 5월 31일.  vdeh 중화민국의 선거중앙선거총통선거 1948 1954 1960 1966 1972 1978 1984 1990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국민대회선거 1969 1972 1980 1986 1991 1996 2000 2005 입법위원선거 1969 1972 1975 1980 1983 1986 1989 1992 1995 1998 2001 2004 2008 2012 2016 2020 지방선거현시선거 1935 1939 1950 1954 1957 1960 1964 1968 1972 1977 1981 1985 1989 1993 1997 2001 2005 2009 직할시선거 1936 1940 1946 1951 1954 1957 1960 1963 1968 1969 1972 1973 1977 1981 1985 1989 1994 1998 2002 2006 2010 9합1 선거 2014 2018 국민투표초대 투표법 2004 2008 (1월) 2008 (3월) 2대 투표법 2018 지방국민투표 2008 (고웅) 2009 (펑후) 2012 (롄장) 2016 (펑후) 2017 (진먼)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2018년_중화민국_지방_선거&oldid=24527967" 분류: 중화민국의 선거2018년 선거2018년 타이완2018년 11월숨은 분류: 오래된 그림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فارسیFrançais日本語中文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5일 (금) 13:4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2018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2018년 중화민국 9합1 선거)는 2018년 11월 24일 토요일에 중화민국 자유지구에서 실시 되는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 정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는 10개 항목의 국민투표도 함께 치러졌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2018년 중국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직할시장은 몇명인가? Assistant: 6
Human: 아래 칼초_카타니아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칼초 카타니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칼초 카타니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칼초 카타니아 전체 이름 Calcio Catania SpA 별칭 Rossazzurri ("Red and light-blues"), Gli Elefanti ("코끼리들"),Etnei ("에트나인들") 리그 레가 프로/C 창단 연도 1908년(Educazione Fisica Pro Patria) 1946년(Club Calcio Catania) 감독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수용 인원 23,420 2016-17 레가 프로/C, 11위 홈 어웨이 서드 칼초 카타니아(이탈리아어: Calcio Catania SpA)는 1908년에 창단된 카타니아에 위치한 안젤로 마시미노 경기장을 근거로 하는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카타니아는 대부분 세리에 B에서 있었으며 이탈리아 프로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에는 5번을 승격하였다. 이 축구단은 세리에 A에서 평범한 성공을 거뒀으며 리그 최고 성적은 1960년대에 이룬 8위다. 아주 예전 카타니아는 코파 델레 알피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목차 1 역사 1.1 재탄생 1.2 황금기 1.3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 1.4 쇠퇴와 부활 1.5 세리에 A 복귀 2 색깔과 엠블럼 3 현재 선수 명단 3.1 1군 명단 3.2 임대 선수 명단 3.3 유스 팀 4 역대 회장 5 역대 감독 6 경기장 정보 7 역대 성적 8 클럽 기록 9 각주 10 외부 링크 역사[편집] 카타니아현에 축구가 들어온 기원은 시칠리아 섬으로 축구 경기를 가져온 영국 화물선의 노동자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특히 초기의 카타니아 팀은 영국 선박에서 일하는 카타니아 선원들로 이루어져 FC 메시나를 상대로 산 라이네리 디 메시나에서 경기를 벌인 로얄 요트 카타니아로 거슬러 올라간다.[1] 초기 클럽 사진; 1908년의 프로 파트리아 시절. 하지만 선원들의 팀은 그저 취미였을뿐이고 카타니아의 첫 프로팀은 1908년 6월 19일에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가에타노 벤티밀리아 와 프란체스코 스투르초 달도브란도가 AS 에두카치오네 피시카 프로 파트리아 라는 명칭으로 설립했다. 초기에 팀은 항상 카타니아 항구를 방문한 선박의 선원(특히 외국 선박)들과 주로 경기를 하였다. 그들의 첫 경기는 이탈리아의 군함 레지나 마르게리타와의 경기였지만 1-1 무승부로 끝나고 말았다. 당시 경기에 라인업에 포함된 선수들은 아살로, 지스몬도, 비안키, 메시나, 슬라이테르, 카카모, 스텔라리오, 빈닌그, 코쿠차, 벤티밀리아 와 파팔라르도이다. 그리고 2년 만에 팀명을 US 카타네세로 바꿨다.[2] 당시 이탈리아 북부에서는 축구가 더욱 조직화되었고 북부 지역 클럽들은 초기 이탈리아 풋볼 챔피언십에 참가한 반면에 카타니아를 비롯해 이탈리아 남부지역의 클럽들은 립톤, 산트 아가타 와 아고르다드 쿱스 같은 리그에서 뛰었다. US 카타네세는 세계대전으로부터 살아남았고 종전후에 지역 리그인 코파 페데랄레 시칠리아나에서 뛰었다. 7 시즌뒤인 1927년에 팀은 캄피오나토 카타네세에 참가하여 1928–2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클럽은 보다 상위 리그 승격 자격을 얻어었고 클럽 명칭을 처음에는 소치에타 스포르티바 카타니아 라고 바꿨다. 카타니아의 첫 세리에 B 데뷔 시즌인 1934-35 시즌에서 4위를 차지했고 해당시즌 우승 팀은 제노아다.[3] 이 기간에 카타니아는 강등당하기 이전에 세리에 B에서 3 시즌을 보냈다. 세리에 C로 강등 이후에 1938–39 시즌에 시칠리아 지역 라이벌인 시라쿠사와 메시나보다 높은 순위로 리그를 끝내며 우승을 차지했다(시라쿠사 2위 메시나 3위). 세리에 B로 돌아왔지만 리그에서 단 3승만을 거두며 리그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클럽은 2차 세계대전으로 조기에 리그를 마감한 1942-43 시즌에 명칭을 간단히 ACF 카타니아(Associazione Calcio Fascista Catania)로 바꿨다. 재탄생[편집] 2차 대전후, 지역 리그인 캄피오나토 시칠리아노가 정비되었다. US 카타네세는 복귀했고 시즌 말쯤에 엘레판테 카타니아(Elefante Catania)라는 이름의 지역 클럽과 통합하였다.[4] 이렇게 통합된 클럽은 카타나세라는 이름은 유지하였고 세리에 C 1945-46 시즌에 참가하였으나 하위권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같은 시즌에 같은 리그에서 뛴 비르투스 카타니아라는 클럽은 8위를 기록했다.[5] 시즌이 끝나고 카타네세와 비르투스 통합하여 클럽 클럽 칼초 카타니아(Club Calcio Catania)를 만들었고 첫 회장은 카타네세의 회장이였던 산티 만가나로-파사니시다. 카타니아는 세리에 C에서 3 시즌을 보내고 1948-49 시즌에 세리에 B 승격을 위해 고피, 메소라, 아르데시 와 프레보스티 등과 같은 스타들과 함께 레지나와 힘겨운 사투를 벌여 승리를 거뒀다. 황금기[편집]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까지를 카타니아의 황금기라고 여겨진다. 그 기간에 두 차례에 걸쳐 세리에 A 승격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첫 승격은 세리에 B에서 왔었다. 세리에 B 1953-54 시즌 카타니아는 칼리아리와 프로 파트리아를 꺽고 리그의 챔피언이 되었다. 그들의 첫 세리에 A 무대에서 12위를 거두며 마감하였지만 우디네세와 같이 재정 스캔들로 인하여 강제로 강등을 당하였다. 1930년대에 팀에서 선수로 뛰었던 카르멜로 디 벨라의 지휘아래에 1959-60 시즌에 세리에 B로부터 승격권을 얻어냈다. 그들의 승격을 위한 레이스는 시즌 마지막날에 3위로 끝나 긴박한 상태였다. 카타니아는 그들의 마지막경기에서 브레시아에게 4:2로 져버렸고 승격을 확실히 하기 위해선 파르마가 트리에스티나로부터 좋은 결과를 걷을 필요가 있었다. 그 좋은 결과는 실현되었고 카타니아는 이리하여 한번 더 승격을 하게되었다. 1960-61 시즌에 카타니아가 세리에 A로 돌아오고 6년간을 잔류하였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은 새롭게 승격한 팀이 전통적 강호인 라치오와 나폴리보다 높은 순위인 8위로 마감하며 강한 인상을 주었다. 이 시즌에는 몇 주목할만한 승리를 거뒀는데 그것은 나폴리와 볼로냐에게 더블을 거두고 삼프도리아를 상대로 홈에서 3:0 승리를 거둔것뿐만아니라 가장 주목할만한 승리는 시칠리아에서 AC 밀란을 상대로 4:3 승리와 시즌 마지막날 인테르나치오날레를 상대로 카스텔라치 와 칼바네세의 두 골로 승리를 거두었다. 인테르의 상처를 소금으로 비빈 이 승리는 유벤투스와 타이틀 경쟁에서 멀어지게 하였다. 4년후인 1965년에도 역시 리그에서 8위를 거두었다. 이때는 로마와 시칠리아의 더비 라이벌인 메시나보다도 높은 순위였다. 여러 클럽들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선수들도 이기간에 뛰었다(미드필더로는 알바로 비아지니, 시네지뉴, 윙어로는 카를로 파킨, 잔카를로 다노바). 그리고 이탈리아 축구계의 거인들인 유벤투스(2:0), 피오렌티나(2:0), 라치오(1:0)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70년대와 80년대의 뒤섞인 행운들[편집] 카르멜로 디 벨라 감독이 떠난 1966년에 팀이 강등된후에 세리에 B에 있었다. 카타니아는 1969-70 시즌에 3위로 리그를 마감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이렇게 승격하였지만 한 시즌후에 다시 강등당하였다. 그 시즌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에게 3-1 승리와 AC 밀란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인상적인 결과를 내었지만 30경기에서 18골만을 득점하며 득점 결핍에 시달렸다. 1973-74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지만 곧장 세리에 C에서 우승하며 다시 승격을 하였다. 1976-77 시즌에 세리에 C로 강등되며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다. 하지만 이번에는 곧바로 승격을 하는데는 실패하였다. 짧은 세 시즌후에 카타니아는 라치오와 AC밀란 뒤인 3위를 기록하며 세리에 A로 승격하였다. 카타니아는 1983-84 시즌에 세리에 A에 있었지만 그 시즌은 단 한 경기에서 밖에 승리를 거두지 못했으며(그거조차도 피사와의 경기), 클라우디오 라니에리와 브라질의 핵심 선수였던 루바노르와 페드리뉴가 있음에도 승점 12점을 얻는데 그쳐 심각하게 형편없는 시즌임을 증명했다. 쇠퇴와 부활[편집] 세리에 B로 마지막 강등을 당한후 카타니아는 눈에 띄는 쇠퇴를 하기 시작했다. 팀은 이탈리아 최상위 리그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계속된 쇠퇴를 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세리에 C1로 강등을 당하기도 했다. 클럽의 역사서 가장 실망적인것이 있다면 1993년에 승격에 성공하였지만 재정문제로 이탈리아축구협회에 의해 취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긴 법정공방 끝에 법원은 이탈리아축구협회의 결정이 무효임을 선언했고 협회에게 카타니아를 다시 리그에 참가시키라고 명령하였다. 카타니아는 이러하여 에첼렌차 시칠리아(이탈리아 6부 리그소속)에 포함되었지만 그동안에 또다른 시칠리아 축구팀 시라쿠사현의 렌티니를 연고로하는 아틀레티코 레온치오가 있었고 연고지를 카타니아로 옮기고 명칭을 아틀레티코 카타니아라고 다시지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원조" 카타니아는 비교적 몇년 안에 세리에 C로부터 나올수 있었고 심지어 2002년에는 세리에 B로 돌아오기도 했다. 2003년 카타니아는 카소 카타니아(Caso Catania)라고 알려진 세리에 B의 팀구성을 20개에서 24개로 늘리는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시에나는 카타니아와의 경기에서 비등록 선수를 출전시켰고 경기는 1:1 무승부가 되어 카타니아는 승리시에 2점을 더 얻어 강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강등을 당하였다. 카타니아는 강등을 당하기 직전에 2:0 승리를 보상을 받았다. 8월에, 이탈리아축구협회는 카타니아가 제노아와 살레르니타나 등과 함께 세리에 B에 잔류할것과 새롭게 다시 태어난 피오렌티나를 2003-2004 시즌에 추가하였다. 그 결정으로 시위가 일어나고 다른 세리에 B 클럽들의 보이콧으로 인해 시즌 시작이 늦어졌었다. 2004-05 시즌에 팀에 숫자가 24개에서 22개로 줄은 반면에 같은 시간 세리에 A에서는 18개에서 20개로 팀 수를 늘렸다. 시즌을 시작하는 동안에 항공사 윈드 제트의 회장이자 세리에 C1의 시칠리아팀 아치레알레의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 회장이 카타니아를 인수하였다. 카타니아의 새 경영자는 2005-06 시즌에 2위로 마감하여 세리에 A로 승격함에 따라 팀의 부활을 기뻐하였다. 2006년 세리에 A에서 아탈란타와 경기 세리에 A 복귀[편집] 2006-07 시즌 카타니아는 22년 만에 세리에 A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들의 첫 복귀 시즌에 2번의 대패를 겪었지만 준수한 시즌을 보냈다. 그들의 첫 복귀시즌에는 2007년 2월 2일에 일어난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 과감하게 변화하게된다. 카타니아 축구 폭력 사태는 US 팔레르모와 벌인 시칠리아 더비전에서 경찰관 필리포 라치티가 마시미노 스타디움 바깥에 있던 카타니아의 울트라스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건이다.[6] 그 사건으로 인해 이탈리아축구협회의 위원인 루카 판칼리는 이 기간에 리그 경기와 국가대표팀 경기를 포함한 모든 축구 관련 행사를 취소하였다. 카타니아의 회장이자 구단주인 안토니노 풀비렌티는 카타니아에서 더 이상 구단을 운영할 상태라가 아니라고 보아 그가 축구계를 기꺼이 떠날것임을 밝혔다. 이탈리아 축구 리그가 재시작한 이후에, 카타니아도 계속해서 진행을 하였지만 슬펌프를 마주하고 말았다. 사실 그들의 슬럼프는 더비 경기의 사고 이전부터 있었고 2007년 4월 말에 우디네세에게 1:0 승리를 거두기전까지 12경기에서 단 한번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며 결국 시즌 13위로 마감을 하였다.[7] 다음 시즌에 마리노 감독이 우디네세로 떠나고 실비오 발디니가 팀을 맡았으나 더 팀의 사정을 좋지 않았다. 리그 순위표에서는 형편없었으나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카타니아에게 있어서 역사적이라고 할만한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인상적인 모습도 있었다(준결승에서 로마에게 패배). 한편 발디니 감독은 2008년 3월 31일에 우편을 통해 사임되고, 놀랍게도 발테르 첸가 감독이 그를 대신하였다(세리에 A 수준에서 왈테르 첸가의 경험부족 때문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첸가는 로사추리를 그 시즌 마지막 경기를 홈경기에서 호르헤 안드레스 마르티네스의 동점골로 로마와 1:1 무승부를 거두며 강등권에서 구해냈다. 첸가 감독은 성공적으로 앞으로 다가올 2008-09 시즌을 위해 팀을 맡기로 계약했다. 2009년 6월 5일에, 왈테르 첸가는 카타니아를 떠나 팀의 최대 라이벌인 팔레르모의 감독이 되었다. 첸가가 떠난 빈자리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 팀 라벤나에서 단지 1년의 감독경력을 지닌 신참인 잔루카 아트초리가 대신하였다. 아트초리 감독은 라벤나에서 공격적인 4-3-3 포메이션을 쓰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카타니아에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셈이었다. 2009년 12월 8일, 시니샤 미하일로비치가 잔루카 아트초리로부터 감독직을 이어 카타니아의 감독을 맡았으며 계약 기간은 2011년 6월까지다. 카타니아가 강등권으로 떨어지자, 미하일로비치는 리보르노와의 경기에 데뷔하게된다. 다음 경기에서 토리노 원정에서 유벤투스를 잡아내며 팀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미하일로비치 감독이 피오렌티나로 떠나고 2010-11 시즌를 위해 마르코 잠파올로를 선임하였다. 하지만 2011년 1월에 카타니아는 성적부진으로 잠 파올로 감독을 해임하고 세리에 A 수준 리그에서 감독 경험이 전무하던 아르헨티나의 옛 스타플레이어인 디에고 시메오네를 선임하였다. 2010-11 시즌 로마에서 짧은 기간동안 감독직을 맡았던 빈센초 몬텔라를 감독으로 선임하였다. 색깔과 엠블럼[편집] 카타니아의 팀컬러는 붉은색과 담청색이다. 현재 선수 명단[편집] 1군 명단[편집] 2014년 1월 31일 기준[8] 번호 포지션 이름 1 GK 알베르토 프리손 2 DF 히노 페루시 3 DF 니콜라스 스폴리 4 MF 세르히오 알미론 5 DF 알렉시스 롤린 6 DF 니콜라 레그로탈리에 7 FW 프란체스코 페다토 8 MF 야로슬라프 플라실 (보르도에서 임대) 9 FW 곤살로 베르헤시오 10 FW 막시 로페스 11 FW 세바스티안 레토 13 MF 마리아노 이즈코 (주장) 14 DF 주세페 벨루시 15 MF 파비안 리나우도 (스포르팅 CP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18 DF 파비안 몬손 19 MF 루카스 카스트로 21 GK 마리아노 안두하르 (나폴리에서 임대) 22 DF 파블로 알바레스 23 FW 킹슬리 보아텡 (밀란에서 임대) 24 DF 노르베르트 기옴베르 26 FW 케코 28 MF 파블로 바리엔토스 31 DF 에리크 카발세타 32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33 DF 치로 카푸아노 (부주장) 34 MF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인테르에서 임대) 35 GK 주세페 피카라 임대 선수 명단[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피에트로 테라차노 (아벨리노에서 임대) DF 나빌라 삼바 (고리차에서 임대) MF 페데리코 모레티 (스페치아에서 임대) MF 파비오 시아카 (테르나나에서 임대) MF 미르코 안테누치 (테르나나에서 임대) FW 에드가르 차니 (카르피에서 임대) 번호 포지션 이름 FW 슐레이만 두카라 (유베 스타비아에서 임대) FW 막스 바리시치 (밀란에서 임대) FW 에밀리아노 토르톨라노 (카탄차로에서 임대) FW 아메스 폴 (리미니에서 임대) FW 파비오 아베니 (페루자에서 임대) 유스 팀[편집] 번호 포지션 이름 GK 주세페 메시나 FW 막스 바리시치 ( 코페르에서 임대) MF 셈 아다모 번호 포지션 이름 FW 파비오 아베니 DF 에리크 카발세타 FW 브루노 페트코비치 역대 회장[편집] 1946년 이후의 회장 목록   이름 연도 산티 파사니시 만가나로 1946–48 로렌초 파치오 1948–51 아르투로 미키산티 1951–54 주세페 리초 1954–56 아가티노 페셰미켈레 주프리다 1956–59 이냐치오 마르코초 1959–69 안젤로 마시미노 1969–73 살바토레 코코 1973–74   이름 연도 안젤로 마시미노 1974–87 안젤로 아타구일레 1987–91 살바토레 마시미노 1991–92 안젤로 마시미노 1992–96 그라치아 코딜리오네 1996–00 리카르도 가우치 2000–04 안토니노 풀비렌티 2004–15 역대 감독[편집] 카타니아는 많은 세월 동안에 여러 감독들이 있었으며 그중에는 공동으로 감독직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래에 있는 표는 역대 카티니아의 감독을 1946년도부터 순서대로 나열한것이다.[9]   이름 국적 연도 조반니 데니 1946–48 니콜로 니콜로시 1948 미로슬라프 바나스 1948–49 안토니오 마뇨치 1949–50 스타니슬라브 클레인 1950 러요시 폴리체르 1950–51 네레오 마리니 1951–52 브론디 3세 1952 줄리오 카펠리 1952–53 피오라반테 발디 1953 피에로 안드레올리 1953–56 에르네스토 마테오 포지 1956–57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957 니콜로 니콜로시 1958 프란체스코 카포카살레 1958 블라고예 마랴노비치 1958–59 카르멜로 디 벨라 1959–66 루이지 발세키 1966 디노 발라치 1966–67 루이지 발세키 1968 에지치오 루비노 1968–71 안토니오 칼바네세루이지 발세키 1971–72 카르멜로 디 벨라 1972–73 루이지 발세키 1973 구이도 마체티 1974 아델모 프렌나 1974 젠나로 람보네 1974–75 에지치오 루비노 1975–76 구이도 마체티 1976 카르멜로 디 벨라 1976–77   이름 국적 연도 루이지 발세키 1977 카를로 마테우치 1977–78 구이도 마체티 1978 아델모 카펠리 1978–79 젠나로 람보네 1979–80 리노 데 페트릴로 1980–81 구이도 마체티 1981 조르조 미켈로티 1981–82 살보 비안케티 1982 구이도 마체티 1982 잔니 디 마르치오 1982–84 잠바티스타 파브리 1984 안토니오 렌나 1984–85 젠나로 람보네 1985 살보 비안케티 1985–86 안토니오 콜롬반 1986 젠나로 람보네 1986–87 브루노 파체 1987 오스발도 야코니 1987 피에트로 산틴 1987–88 브루노 파체 1988–89 카르멜로 루소 1989–90 안젤로 베네딕토 소르마니 1990–91 주세페 카라만노 1991–92 프란코 반니니 1992 살보 비안케티 1992–93 프란코 인델리카토 1993–94 로렌초 바를라시나 1994 피에르 주세페 모스티 1994–95 안젤로 부세타 1995 람베르토 레오나르디 1995   이름 국적 연도 알도 체란톨라 1995–96 마리오 루소 1996 안젤로 부세타 1996–97 조반니 메이 1997–98 프란코 갈리아르디 1998 피에로 쿠키 1998–99 잔니 시모넬리 1999 – 2000 이보 이아코니 2000 빈첸초 구에리니 2000 – 알도 암마찰로르소 June 2001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2001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1–02 오스발도 야코니 2002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02 – 2003 존 토샥 2002–03 에도아르도 레야 2003 빈첸초 구에리니 2003 가브리엘레 마트리차니스테파노 콜란투오노 2003–04 마우리치오 코스탄티니 2004–05 네도 소네티 2005 파스콸레 마리노 2005–07 실비오 발디니 2007–08 발테르 첸가 2008–9 잔루카 아트초리 2009 – 9 시니샤 미하일로비치 2009 –10 마르코 잠파올로 2010 – 11 디에고 시메오네 2011 빈첸초 몬텔라 2011 - 12 롤란도 마란 2012-13 루이지 데 카니오 2013-14 마우리치오 펠레그리노 2014- 경기장 정보[편집]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에 쿠르바 노르드 서포터들 명칭: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 위치: 카타니아 수용인원: 23,420 개장: 1937년 11월 27일 경기장 크기: 110m x 70m 카타니아는 1937년에 스타디오 치발리(Stadio Cibali)라고 불렸던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를 만들었다. 경기장은 2002년에 전 회장 안젤로 마시미노를 기념해 이름을 붙여졌다. 마시미노는 1969년까지 회장직을 수행했으며 1996년에 세상을 떠났다. 홈경기장을 카타니아 시 남쪽 변두리에 있는 판타노 다르치(Pantano d'Arci) 라고 불리는 산업지역에 스타디오 데이 팔리치(Stadio Dèi Palici) 라고 불리는 33,765명을 수용하는 경기장으로 옮기는 것이 제안되었다.[10] 역대 성적[편집] 세리에 B 우승: 1953–54 승격: 1959–60, 1969–70, 1982–83, 2005–06 코파 델레 알피 준우승: 1964 세리에 C / 세리에 C1 우승: 1938–39, 1947–48, 1948–49, 1974–75, 1979–80 승격: 2001–02 세리에 C2 우승: 1998–99 세리에 D 우승: 1994–95 에첼렌차 시칠리아 승격: 1993–94 클럽 기록[편집] 가장 높은 리그 순위: 8위, 1960–61, 1964–65 그리고 2012-2013 시즌. 리그 최다 출장 선수: 281경기, 1975년과 1984년 사이에 뛴 다미아노 모라. 리그 최다 득점 선수: 47골, 구이도 클레인 과 아델모 프렌나. 세리에 A 최다 출장 선수: 150경기, 1961년과 1966년 사이에 뛴 주세페 바바소리. 세리에 A 최다 승점: 2012-2013 시즌 56점 각주[편집]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6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RSSSF.com” (영어).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이탈리아어).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유혈사태로 얼룩진 시칠리아 더비" – 스포탈 코리아 ↑ “Channel4.com”. 2007년 6월 1일에 보존된 문서.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 “Prima Squadra” [First Team]. 《Catania Calcio》 (이탈리아어). 2014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24일에 확인함.  ↑ “ClubCalcioCatania.it”. 2007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29일에 확인함.  ↑ “WorldStadiums.com”. 2007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칼초 카타니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칼초 카타니아 - 공식 웹사이트 vdeh 세리에 A2018-19시즌 나폴리 라치오 로마 밀란 볼로냐 사수올로 삼프도리아 아탈란타 엠폴리 우디네세 유벤투스 인테르 제노아 칼리아리 키에보 토리노 파르마 프로시노네 피오렌티나 SPAL 과거 참가 구단 노바라 레냐노 레자나 레지나 레체 레코 루케세 베네벤토 베로나 리보르노 만토바 메시나 모데나 바레세 바리 베네치아 브레시아 비첸차 살레르니타나 시에나 아벨리노 아스콜리 안코나 알레산드리아 체세나 카르피 카살레 카타니아 카탄차로 코모 크레모네세 크로토네 테르나나 트레비소 트리에스티나 파도바 팔레르모 페루자 페스카라 포자 프로 베르첼리 프로 파트리아 피사 피스토이에세 피아첸차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칼초_카타니아&oldid=22875860" 분류: 칼초 카타니아1946년 설립된 축구단이탈리아의 축구단세리에 A 구단세리에 B 구단세리에 C 구단숨은 분류: CS1 - 이탈리아어 인용 (it)CS1 - 영어 인용 (en)이탈리아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osanskiCatalàČeština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Hrvatski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JawaქართულიLatinaLietuviųBaso MinangkabauМакедонскиमराठीNederlandsNorskOccitan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icilianuScotsSimple EnglishSloven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9일 (월) 23:0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칼초 카타니아(Calcio Catania S.p.A.)는 1929년에 창단된 'SS 카타니아'를 이어받아 1946년에 재창단된 구단으로서, 카타니아 소재의 스타디오 안젤로 마시미노가 홈구장인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이다. 카타니아는 대부분 세리에 B에서 있었으며 이탈리아 프로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에는 5번을 승격하였다.이 축구단은 세리에 A에서 평범한 성공을 거뒀으며 리그 최고 성적은 1960년대에 이룬 8위다. 아주 예전 카타니아는 코파 델레 알피 결승전에 진출한 적이 있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칼초 카타니아가 1964년 참가한 코파 델레 알피에서 거둔 성적은? Assistant: 준우승 Human: 아래 중립국_감독위원회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중립국 감독위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중립국 감독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중립국 감독위원회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의 깃발.     UN,     대한민국,    민간인,     조중 연합군 (시계 방향) 1976년 공동경비구역과 판문점 구조 약칭 NNSC 결성일 1953년 7월 27일 유형 IGO 형태 위원회 목적 한국 전쟁의 공식 종전 선언이 이뤄질때까지 정전 감시 본부 캠프 보니파스 위치 경기도 파주시 활동 지역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회원 스웨덴, 스위스 공식 언어 영어, 한국어 모기관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제휴기관 주한 미군 대한민국 국방부 활동 인원 5명 웹사이트 NNSC 중립국 감독위원회(中立國監督委員會,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휴전 상황을 감시할 목적으로 수립된 단체이다. 현재 대한민국 측에만 스웨덴과 스위스 위원이 5명씩 주재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는 어느 국가의 위원도 주재하지 않고 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정전 협정문이 서명되면서 설립되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소속으로 북측과 남측의 휴전상태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정전 협정에 따라,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4개의 국가로 이뤄져 있으며, 2개의 중립국은 국제 연합군 사령부에서 지명하였으며, 2개의 다른 중립국은 조선인민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에서 지명하였다. 이들 중립국은 한국 전쟁에 가담하지 않은 국가 중에서 선별되었으며, 유엔사령부 측에선 스웨덴과 스위스를,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에서는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를 택했었다. 1953년 8월 1일, 96명으로 이뤄진 최초의 스위스 중립국 정전 감시 파견 위원단이 판문점에 도착하였다. 이들은 1955년에 41명으로 줄이기로 하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계속 숫자는 줄어갔다. 1982년 이후로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스위스 군은 8명이 되었으며, 1987년까지 약 700명의 스위스 군이 중립국 감독위원회에서 일하였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임무는 정전 협정문 41조에 적혀져 있다: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임무는 본 정전협정에 규정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직책을 집행하며 이러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결과를 군사정전위원회에 보고하는 것이다. 2006년 이후 남한 내에서 이들이 주재하는 별도의 장소는 없다. 한편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에 신생국가인 체코와 슬로바키아 모두 북한 측의 감독위원 자격을 승계하지 않아 사실상 폴란드만이 북한 측의 감독위원회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 측에서는 이마저도 축출 조치하여 폴란드는 본국에서 이 업무를 형식적으로만 맡게 됐다. 목차 1 개관 2 오늘날의 형태 3 미디어 4 외부 링크 개관[편집]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에 대한 감독을 그만두었지만, 다만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군부대가 움직이고 나가는 것에 대한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이 갖고 있던 힘은 점차 줄어갔다. 1956년 6월 각각 14명이었던 것이,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으며, 공동경비구역안의 사무실과 회의장의 크기도 조정되었다. 또한 북측은 소련이 해체되고, 중앙유럽에서 공산주의가 느슨해지는 것에 영향을 받아 1993년에는 체코 대표단을, 1995년에는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시켰다.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오직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국가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와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2006년 이후 캠프 보니파스가 폐쇄 및 반환되었다.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현재 이 주둔지는 조선인민군 측이 차지하고 있다. 오늘날의 형태[편집] 최근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중요 역할은 양측간의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화 창구를 유지하는 것이다. 현재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은 판문점에 주재하며 중립국 감독위원회 업무를 보고 있다. 그들의 중요 목적은 군사분계선의 존재를 드러내어, 아직도 지속적인 정전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다. 미디어[편집]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에서 이영애가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감시관역을 맡아서 연기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Peace Support - Mission in Korea (NNSC) information about the Swiss participation to the NNSC mission in Korea. Photogallery from Warrant Officer Mäder Pictures taken during tour of duty in 1980.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Korea)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중립국_감독위원회&oldid=22864160" 분류: 한국 전쟁의 여파한반도 비무장 지대대한민국-스웨덴 관계대한민국-스위스 관계판문점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NorskSvenska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10월 28일 (일) 02:49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중립국 감독위원회(中立國監督委員會,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NNSC)는 한국 전쟁 휴전 이후 휴전 상황을 감시할 목적으로 수립된 단체이다. 현재 대한민국 측에만 스웨덴과 스위스 위원이 5명씩 주재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에는 어느 국가의 위원도 주재하지 않고 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정전 협정문이 서명되면서 설립되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 정전 위원회 소속으로 북측과 남측의 휴전상태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정전 협정에 따라,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4개의 국가로 이뤄져 있으며, 2개의 중립국은 국제 연합군 사령부에서 지명하였으며, 2개의 다른 중립국은 조선인민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에서 지명하였다. 이들 중립국은 한국 전쟁에 가담하지 않은 국가 중에서 선별되었으며, 유엔군 사령부 측에선 스웨덴과 스위스를, 중국 인민지원군과 조선인민군에서는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를 택했었다. 1953년 8월 1일, 96명으로 이뤄진 최초의 스위스 중립국 정전 감시 파견 위원단이 판문점에 도착하였다. 이들은 1955년에 41명으로 줄이기로 하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계속 숫자는 줄어갔다. 1982년 이후로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스위스 군은 8명이 되었으며, 1987년까지 약 700명의 스위스 군이 중립국 감독위원회에서 일하였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임무는 정전 협정문 41조에 적혀져 있다: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임무는 본 정전협정에 규정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직책을 집행하며 이러한 감독, 감시, 시찰 및 조사의 결과를 군사정전위원회에 보고하는 것이다. 2006년 이후 남한 내에서 이들이 주재하는 별도의 장소는 없다. 한편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에 신생국가인 체코와 슬로바키아 모두 북한 측의 감독위원 자격을 승계하지 않아 사실상 폴란드만이 북한 측의 감독위원회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 측에서는 이마저도 축출 조치하여 폴란드는 본국에서 이 업무를 형식적으로만 맡게 됐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중립국 감독위원회란 무엇이고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 Assistant: 1956년부터 1993년까지, 중립국 감독위원회는 정전 감시에 대한 감독을 그만두었지만, 다만 전쟁을 일으키기 위해 군부대가 움직이고 나가는 것에 대한 보고서를 정전 위원회에 제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대표단이 갖고 있던 힘은 점차 줄어갔다. 1956년 6월 각각 14명이었던 것이, 1960년 9명, 1978년에는 6명으로 줄었으며, 공동경비구역안의 사무실과 회의장의 크기도 조정되었다. 또한 북측은 소련이 해체되고, 중앙유럽에서 공산주의가 느슨해지는 것에 영향을 받아 1993년에는 체코 대표단을, 1995년에는 폴란드 대표단을 추방시켰다. 체코는 독립 당시 위원회 임무를 승계받지 않았고, 오직 폴란드만이 자국 영토 내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립국 감독위원회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국가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 스위스와 스웨덴 주둔지는 공동경비구역(JSA)와 인접한 남측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2006년 이후 캠프 보니파스가 폐쇄 및 반환되었다. 과거 폴란드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둔지는 북측 군사분계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현재 이 주둔지는 조선인민군 측이 차지하고 있다.
Human: 아래 아레사_프랭클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아레사 프랭클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레사 프랭클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레사 프랭클린Aretha Franklin 1968년 모습기본 정보본명 아레사 루이즈 프랭클린Aretha Louise Franklin출생 1942년 3월 25일(1942-03-25)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사망 2018년 8월 16일 (76세)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국적 미국장르 소울, 재즈, 블루스, R&B,가스펠, 펑크, 록악기 보컬, 피아노활동 시기 1956년-2018년 레이블 Columbia, Atlantic, Arista, Aretha Records 아레사 루이즈 프랭클린(영어: Aretha Louise Franklin 어리사 루이스 프랭클린[*], 1942년 3월 25일 ~ 2018년 8월 16일)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이다. 음악계에서는 솔의 여왕이라고 불린다. 목차 1 생애 2 경력 3 각주 4 외부 링크 생애[편집] 멤피스에서 태어나, 디트로이트에서 자랐다. 아버지 C.L. 프랭클린은 침례교 전도사이자, 복음성가 가수였다. 12세때 디트로이트에 있는 아버지의 교회에서 성가를 부르며 성장하면서 가수 경력을 시작하였다. 미국 타임즈가 선정한 20세기 문화예술인 20명 중 한 명이며, 롤링 스톤즈에서 선정한 대중음악 역사상 9번째로 위대한 예술가에 선정되었으며, 영국 모조가 선정한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100명'에서 1위로 선정되었다. 여성 아티스트들 중 플래티넘 싱글(100만장 이상)을 가장 많이 만들어냈으며, 그래미 어워드에서 무려 18개의 상을 수상했다. 또한 1987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여성 흑인 아티스트로서 처음으로 입성하였다. 빌보드 R&B 차트 1위곡 최다 보유자(20곡)이며, 'Amazing Grace'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가스펠 앨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미국 가요계에서의 그녀의 입지만큼 전성기 시절의 가창력 또한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는데, 세계 최고의 여성 보컬리스트로 손꼽히는 휘트니 휴스턴마저도 유일하게 아레사 프랭클린의 다음 순서 무대만은 서기 싫어했다고 한다. 완벽한 강약 조절과 리듬감, G2에서 D6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광활한 음역대와 기관총처럼 난사하는 음정 피치들을 포함해 최정상급 가수들도 주눅들게 했던 전설적인 아티스트이다. 그녀의 엄청난 실력을 보여주는 일례로, 세계적인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가 예정대로 부르기로 되어있었지만 사정상 참석하지 못한 'Nessun Dorma' 무대를 파바로티의 음역에 맞춰진 오케스트라의 원래 키대로 소화해내서 언론과 아티스트들의 극찬을 받은 바 있다. 심지어 아레사 프랭클린은 해당 무대의 악보와 가사를 암기하고 세션과 맞춰보는데 15분밖에 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비슷한 시기에 VH1 Divas Live 라는 공연에서 머라이어 캐리와 셀린 디온을 비롯한 5명의 여가수들과 함께 노래를 부르며 전설적인 셀러브리티인 5명의 여가수를 가창력에서 압살했다고 한다. 후일담으로, 5명의 여가수중 한 명이었던 캐롤 킹의 회고 인터뷰에 따르면 당시 50대 후반이었던 아레사의 가창력을 아무도 따라갈 수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엄청난 가창력에 항상 그녀는 위대한 보컬리스트 순위를 꼽을 때면 여성 중에선 당연히 부동의 1위, 남성들과 견주어도 1~2위를 다툴만한 실력으로 평가받는다. 여가수들의 전설이라 불리는 휘트니 휴스턴, 머라이어 캐리, 셀린 디온에게조차 아레사 프랭클린은 가장 존경하는 보컬리스트로 꼽힌다. 그녀를 상징하는 대표곡을 꼽는다면 단연 Respect와 Amazing Grace 일 것이다. 소울의 제왕으로 불렸던 오티스 레딩이 작곡한 Respect는 음악적 완성도 뿐만 아니라 여성의 당당함을 표현한 내용으로도 유명하다. Amazing Grace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가스펠 곡으로 정평이 나 있다. 2018년 8월 16일 디트로이트에 있는 자택에서 76세의 나이에 췌장암으로 사망했다.[1][2] 경력[편집] 1961년 이후 콜롬비아 레코드와 계약한 이후에 수많은 히트곡을 내놓으면서 지금의 자리에 서게 되었다. 복음성가에서 팝 음악으로 전향하기 시작하였고, 수많은 녹음에서 자신의 피아노 연주를 선보인다. 아레사 프랭클린이 가장 인기있던 시기는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이었다. 1967년 〈I Never Loved a Man(The Way I Love You)〉, 〈Respect〉, 〈Baby, I Love You〉, 〈(You Make Me Feel Like)A Natural Woman〉, 〈Chain of Fools〉등 톱 10 히트곡 5곡을 녹음했다. 특히 1967년에 녹음된 〈Respect〉는 인권운동 축가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자존심의 상징이 되었다. 1968년에 녹음된 곡들은 〈(Sweet Sweet Baby)Since You've Been Gone〉, 〈Think〉, 〈The House That Jack Built〉와 〈I Say a Little Prayer〉 등이 있다. 다른 히트곡으로는 〈Share Your Love with Me〉(1969년), 〈Calle Me〉(1970년), 〈Spanish Harlem〉과 〈Rock Steady〉(둘다 1971년), 〈Day Dreaming〉(1972년), 〈Until You Come Back to Me(That's What I'm Gonna Do)〉(1973년), 〈Freeway of Love〉(1985년) 등이 있다. 듀엣으로 불렀던 곡들로는 〈Sisters Are Doing It For Themselves〉(1985년 유리스믹스와 듀엣), 〈I Knew You Were Waiting (For Me)〉(1987년 조지 마이클과 듀엣) 등이다. 또한 〈Amazing Grace〉(1972년)와 〈One Lord, One Faith, One Baptism〉(1987년)은 성가복음으로 녹음한 앨범들이다. 이 후, 1991년에 그래미 레전드상(Grammy Legend Award)[3]을 받기도 했다. 21차례 그래미상을 수상하였다. 198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여성 가수로서는 처음으로 헌액되었다. 저서로는 〈어리사:이 뿌리들로부터〉(1999년 발간)가 있다. 2008년에는 미국의 잡지 《롤링 스톤》이 선정한 '록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가수' 순위중 엘비스 프레슬리를 밀치고 1위를 차지하였다. 한편 아레사 프랭클린은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My Country, 'Tis of Thee〉를 불러 주목을 받았다. 각주[편집] ↑ 송수경; 김현 (2018년 8월 17일). “'솔의 여왕' 어리사 프랭클린 영원히 잠들다(종합)”. 《연합뉴스》 (워싱턴·시카고). 2018년 8월 17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  ↑ Jon Pareles (2018년 8월 16일). “Aretha Franklin, the ‘Queen of Soul,’ Dies at 76”. 《The New York Times》 (영어). 2018년 8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  ↑ “GRAMMY.com”. 2010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레사 프랭클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아레사 프랭클린 - 공식 웹사이트 아레사 프랭클린 - VEVO 채널 아레사 프랭클린 - 인스타그램 아레사 프랭클린 - 트위터 아레사 프랭클린 - 페이스북 전거 통제 WorldCat VIAF: 71577926 LCCN: n84028907 ISNI: 0000 0001 1447 6112 GND: 118967622 SELIBR: 313776 SUDOC: 087931591 BNF: cb13894129s (데이터) BIBSYS: 56662 뮤직브레인즈: 2f9ecbed-27be-40e6-abca-6de49d50299e NLA: 35985429 NDL: 001226753 NKC: js20020429008 BNE: XX875896 CiNii: DA13586271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아레사_프랭클린&oldid=24085371" 분류: 1942년 태어남2018년 죽음1960년대 가수1970년대 가수1980년대 가수1990년대 가수2000년대 가수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미국의 여자 가수미국의 R&B 가수미국의 소울 가수미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영어 가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그래미상 수상자21세기 작곡가췌장암으로 죽은 사람복음성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위키데이터와 위키백과에서 차이가 있는 공식 웹사이트14 종류의 전거 통제 정보를 포함VIA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ISNI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SELIBR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NF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BIBSYS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MusicBrainz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NLA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frikaansAlemannischAragonésالعربية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еларускаяБеларуская (тарашкевіца)‎БългарскиBrezhonegCatalàČeštinaЧӑвашлаCymraegDansk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erantoEspañolEesti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FryskGaeilgeGalegoHausaעבריתHrvatskiKreyòl ayisyen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InterlingueIdoÍslensk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LatinaLëtzebuergeschLietuviųLatviešuMalagasyМакедонскиമലയാളംBahasa Melayuनेपाल भाषाNederlandsNorsk nynorskNorskOccitanਪੰਜਾਬੀPolskiPortuguêsRuna SimiRomânăРусскийSarduSicilianuScotsDavvisámegiella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imple EnglishSlovenčinaSlovenščinaShqipСрпски / srpskiSvenskaKiswahiliไทยTagalog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Winaray吴语მარგალურიYorùbá中文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22일 (월) 11:46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아레사 루이즈 프랭클린(영어: Aretha Louise Franklin 어리사 루이스 프랭클린[*], 1942년 3월 25일 ~ 2018년 8월 16일)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이다. 음악계에서는 솔의 여왕이라고 불린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아레사 프랭클린의 히트곡 Respect가 녹음된 년도는 언제야? Assistant: 1967 Human: 아래 훗_(Hoot)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훗 (Hoo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훗 (Hoot)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음반에 관한 것입니다. 소녀시대의 노래에 대해서는 훗 (Hoot) (노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훗 (Hoot) 소녀시대의 EP발매일 2010년 10월 25일녹음 2010년 9월장르 K-Pop, 댄스 팝길이 17:34언어 한국어레이블 KMP홀딩스프로듀서 이수만소녀시대 연표 Run Devil Run(2010) 훗 (Hoot)(2010)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2010)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소녀시대의 세 번째 미니 앨범이다. 2010년 10월 27일 KMP홀딩스를 통해 발매되었다. 켄지, 히치하이커, 황현 등이 앨범에 참여했으며, 이수만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본 앨범의 작업은 활발한 국제적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 대다수 사람들은 2010년 소녀시대의 대한민국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2010년 11월 컴백 예고를 하면서 모두의 예상을 깼다. 앨범에는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을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되었다. 앨범의 컨셉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과 같은 1970년대 핀업 걸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에 초점을 맞췄다. 소녀시대 멤버들은 앨범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참여했고, 유리는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에 작사로 참여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다. 대체로 앨범 자체는 괜찮지만, 타이틀곡은 약해졌다는 평이 많았다.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가온 앨범 차트에 발매 첫 주 1위에 올랐고, 18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렸다.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는 2위에 오르며 소녀시대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카라가 《KARA BEST 2007-2010》로 기록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 일본에서 총 1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1] 연간 차트에서는 10위에 오르며 성공을 거뒀다.[2] 소녀시대는 앨범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알리며 앨범의 프로모션에 있어 이전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첫 컴백 무대를 가졌으며, 12월 5일 《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쳤다. 목차 1 배경과 개발 2 구성 3 평가 4 발매와 프로모션 5 상업적 성과 6 수록곡 6.1 일본반 7 차트 7.1 주간 차트 7.2 연간 차트 8 인증 및 판매량 9 발매일 10 같이 보기 11 각주 배경과 개발[편집] 2011년 5월 14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기원 국민대합창에서 〈훗 (Hoot)〉 공연 중의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2010년 두 번째 대한민국 정규 앨범 《Oh!》와 리패키지 앨범 《Run Devil Run》을 발매하고 활동했다. 그 해 중반에 활동을 마감하면서 대중들은 사실상 대한민국에서 소녀시대의 2010년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 소녀시대는 4월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서 아시아 콘서트 투어 Into The New World를 이어갔고, 일본에서 싱글 〈Genie〉와 〈Gee〉를 일본에서 9월과 10월에 각각 발표하였다. 이렇게 대다수 사람들이 예상한 대로 소녀시대는 2010년 하반기를 일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채우는 듯했다.[3][4][5][6] 그러나 모두의 예상을 깨고 소녀시대는 10월 말에 대한민국에서 새 앨범을 깜짝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에서의 활동도 병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언론에 알렸다.[7] 앨범 작업은 활발한 국제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8] 그 누구도 컴백을 예상하지 못했고 멤버들 조차 언제 티저가 공개되는지, 누가 먼저 나오는지 예상하지 못했다.[8] 소녀시대 멤버들은 "숨기느라 매우 힘들었다. 이번 앨범이 팬들에게 서프라이즈 같은 선물이기에 준비하는 우리도 재미있고 신났다"고 말했다.[9] 실제로 컨셉을 들키지 않기 위해 써니는 뮤직비디오 촬영 날 머리를 염색하고 다음 날 출국에서는 검은 스프레이로 염색한 머리를 감췄다.[8] 일본 활동, 아시아 콘서트 등과 함께 준비하면서 작업 시간도 부족했는데, 4일만에 안무를 소화해야 했다.[9] 태연과 제시카는 "시간이 부족했던 만큼 더욱 타이트하게 노력했다. 매일같이 모니터를 하고 서로 부족한 부분을 지적해주고 더 잘 하기 위해 회의를 한다"고 말했다.[9] 효연은 "퍼포먼스가 업그레이드 됐다는 것을 팬들이 확실하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10] 소녀시대는 한국에서 선보였던 곡들을 다시 일본에서 선보이는 과정에서 한국 활동 당시 아쉬웠던 점을 보강해 완성도를 높일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훗 (Hoot)》을 준비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11] 세 번째 미니 앨범의 디자인 및 의상, 안무, 뮤직비디오, 무대 연출은 196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 스타일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 《오스틴 파워 시리즈》에 초점을 맞춰 전체적인 테마를 정했다.[12][13] 소녀시대는 이번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직접 참여했다. 수영은 "음악을 듣고 '007'이나 '카우걸', 서부영화가 생각났다. 그런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멤버들 모두도 같은 느낌이었고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누가 들어도 명확한 콘셉트였다"고 말했다.[14]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의 가사는 유리가 직접 작사했는데, 멤버들이 다 같이 가사를 제출해 최종적으로 티파니와 유리의 가사 중 유리의 가사가 선정되었다. 유리의 작사는 슬픈 내용이었고, 티파니의 작사는 예쁘고 행복한 사랑에 대한 것으로 완전히 반대되는 내용이었다. 유리는 경험담이 아니고 책을 보다 나오게 되었다고 말했다.[15] 구성[편집] 첫 번째 수록곡이자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고고리듬에 복고풍 기타 사운드가 어우러진 댄스 팝 노래이다.[16] 노래의 작곡은 덴마크의 작곡가이자 프로듀서 마틴 마이클 라르손, 라스 할보 젠슨 그리고 영국의 작곡가 알렉스 제임스가 함께 했다. 이들은 "여성 음악가나 그룹을 위한 자극적인 업템포 노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7] 작사는 작곡가 3명과 이현규가 맡았는데, 마음에 화살을 쏘듯 자꾸 마음을 아프게 하는 남자친구에게 경고하는 내용을 담았다.[18] 두 번째 트랙에 수록된 〈내 잘못이죠 (Mistake)〉는 소녀시대가 처음 선보이는 정통 알앤비 발라드 노래로, 멤버 유리가 직접 작사로 참여했다.[19] 가사는 소녀의 가슴 아픈 짝사랑에 대해 표현했다. 유리는 처음에 사랑스러운 멜로디와 곡의 분위기를 생각해 이에 맞는 가사를 쓸려했지만, 반전이 있는 것이 더 애절함이 있다고 생각해 슬픈 가사를 쓰게되었다고 말했다.[20] 이 노래의 작곡은 Cheryl Yie가, 편곡은 켄지가 맡았다.[18] 세 번째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은 어쿠스틱 기타로 시작해 후반부로 갈 수록 일렉트릭 기타의 전자음이 강조되는 빠른 16비트의 락 발라드 노래이다.[21] 가사는 소녀시대 멤버들의 우정과 사랑에 대한 것이다.[19] 이 곡의 작사는 휘성, 작곡과 편곡은 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5명이 함께 맡았다.[18] 네 번째 수록곡 〈Wake Up〉은 무거운 비트와 함께 진행되는 앨범의 두 번째 업템포 곡이다.[22] 《티브이데일리》에서는 "하드락의 모습을 보여준다. 보아의 락버전같은 느낌을 준다"고 말했다.[21] 노래의 작곡과 편곡은 히치하이커가, 작사는 김부민과 함께 공동으로 했다.[18] 다섯 번째 수록곡이자 앨범의 마지막 노래 〈첫눈에... (Snowy Wish)〉16비트 소프트 락, 슈가 팝 장르의 미디엄 템포 곡이다.[21][22] 황현이 작사, 작곡, 편곡을 모두 도맡아 만들었다.[18] 평가[편집] 전문가 평가평가 점수출처점수이즘[23]Soompi[22] 《이즘》의 조이슬은 "이쯤하면 너무 진부한 스토리다. 결국은 작곡가의 이름만을 바꿔가며 같은 음악을 들려주는 기획과 이제는 쉽게 물릴 수 있는 그들의 보컬 스타일, 소녀들의 무의미한 두터운 코러스라인도 언제까지 유효할지는 미지수다"라며 혹평을 했다.[23] 반면 《티브이데일리》에서는 "이번 앨범에서 일취월장한 음악성을 보여줬다. 이번 음반의 전체적인 색깔은 확실하게 락적인 요소가 강하다는 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타이틀곡이 약간 완성도가 떨어지고 아직도 가사가 10대 정신연령에 머문다는 것을 제외하곤 다른 걸 그룹에 비해 월등하다"고 리뷰했다.[21] 《Soompi》에서는 "미니 앨범의 노래들은 하나하나 정말 좋다. 기억하기는 쉽지만, 타이틀 트랙은 확실히 좋지 않다. 앨범에 더 좋은 노래들을 선택해 구성할 수 있었다고 본다. K-Pop 리스너로써 소녀시대의 새 앨범 컨셉과 노래들은 항상 기대하는데, 소녀들은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타이틀곡은 실망 적이다."라고 리뷰했다.[22] 《세계일보》의 한준호는 "모두들 언제 준비를 했을까라는 강한 의문을 제기할 만큼 새로운 사운드와 노래 스타일로 무장했다. 80년대 복고풍 사운드를 새롭게 해석한 번득이는 음악적 행보로 일렉트로닉 사운드를 가요계에서 몰아내고 있다"고 평했다.[24] 《프레시안》의 대중음악 평론가 나도원 역시 타이틀곡에 대해서는 혹평 했지만, "타이틀곡은 무뎌졌지만 앨범 단위의 충실도가 부쩍 높아졌다. 삼투압 현상처럼 곡들의 완성도가 타이틀곡 수준으로 상향 평준화 되어 지금껏 소녀시대의 이름을 내걸고 발표한 앨범들 중 가장 낫다"고 리뷰했다.[25] 발매와 프로모션[편집] 2011년 5월 17일 한양대학교 축제에서 〈훗 (Hoot)〉 공연 중 일명 화살춤을 추고 있는 소녀시대 소녀시대는 이번 앨범에서 이전과는 다른 프로모션 행보를 선보였다. 앨범이 나오기 전 한참부터 소식을 알렸던 이전과 달리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전하며 일사천리로 진행되었다.[26] 2010년 10월 19일 소녀시대 공식 홈페이지에 티저 이미지와 일부 음원을 공개하면서 컴백을 예고했다.[27] 이와 함께 10월 27일 앨범이 발매된다고 발표했다.[28] 19일에는 서현, 제시카, 티파니의 티저 이미지를, 20일에는 태연, 효연, 써니, 21일에는 윤아, 유리, 수영의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공개했다.[29] 24일에는 33초 가량의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30] 25일에는 음반 발매에 앞서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 음원을 공개되었으며,[31] 27일에는 오프라인에서 앨범이 발매되었다.[32] 12월 22일에는 일본에서 기존의 히트곡 5곡을 추가해 일반반, 한정반, 초회한정반, 기간한정반으로 나뉘어 발매되었다.[33] 소녀시대는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타이틀곡 〈훗 (Hoot)〉을 선보이며 첫 무대를 선보였다.[34] 같은 날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평화의 전당에서 열린 제47회 대종상의 초대 가수로 〈Oh!〉와 〈훗 (Hoot〉으로 축하 무대에 올랐다. 대종상에서 공연 이후 무대를 지켜보던 배우들이 무표정으로 반응을 보이자 태도 논란이 일었다.[35][36] 뒤 이어 30일 《쇼! 음악중심》, 31일 《인기가요》에서 차례대로 컴백 무대를 선보이며 앨범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37][38] 30일 《쇼! 음악중심》에서는 수록곡 〈단짝 (My Best Friend)〉을,[39] 31일 《인기가요》에서는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타이틀곡과 함께 선보였다.[40] 한편, 티파니가 11월 14일 공연 도중 넘어져 좌측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손상 진단을 받아 4주간 활동하지 못하게 되었다.[41] 이후 12월 25일 《음악중심》을 시작으로 한 달여 만에 복귀했다.[42] 11월 18일 제8회 대한민국영화대상에서는 이 날 MC를 맡았던 배우 송윤아와 함께 〈훗 (Hoot)〉과 〈소원을 말해봐〉를 부르며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43] 11월 22일에는 《김정은의 초콜릿》에서 기존의 히트곡과 함께 수록곡 〈훗〉, 〈내 잘못이죠 (Mistake)〉를 포함해 총 5곡을 선보였다.[44] 이후 소녀시대는 12월 4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무리했다.[45] 공식 활동이 끝나고 나서 멜론 뮤직 어워드에서 공연을 했고,[46] 12월 17일 《뮤직뱅크》,[47] 12월 25일 《음악중심》, 두 연말 결산 음악 방송에서 2010년 초에 발표했던 〈Oh!〉와 〈훗〉을 선보였다.[48] 상업적 성과[편집] 《훗 (Hoot)》은 2010년 45주차 가온 앨범 차트에서 1위로 데뷔했다.[49] 다음 주에도 1위를 지키며 2주 연속 1위에 올랐다.[50] 진입 3주차에는 1위 하락한 2위에 올랐으며,[51] 4주차에는 7위 하락한 9위에 올랐다.[52] 《훗 (Hoot)》은 10월 월간 앨범 차트에서는 1위,[53] 11월 월간 차트에서는 3위를 했다.[54] 2010년 대한민국에서 한 해 동안 총 163,066장을 팔아 2011년 가온 연간 앨범 차트에 3위에 올랐다.[55] 2015년 5월까지 대한민국에서 180,825장의 누적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56] 일본에서는 《훗 (Hoot)》 한국어판으로 2010년 11월 15일자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 19위로 데뷔했다.[57] 이후 일본에서 10만 장이 넘는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2010년 12월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58] 2010년 12월 22일 《훗 (Hoot)》 라이센스 앨범이 발매되고 나서 당일 21,271장을 팔아 오리콘 데일리 앨범 차트 2위에 올랐다.[59] 이후 일주일동안 61,000장을 팔아 오리콘 위클리 앨범 차트에서도 2위에 올랐다.[60] 이를 통해 《Hoot》 수입반이 기록했던 19위를 깨고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소녀시대의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앨범 차트에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했다.[61] 또한 2010년 51,000장을 팔아 카라의 《KARA BEST 2007-2010》가 보유하고 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62] 2011년 한 해 동안 일본에서 총 148,761장의 음반을 팔아치웠고, 오리콘 연간 앨범 차트 42위에 올랐다.[63] 수록곡[편집]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  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총 재생 시간: 17:34 일본반[편집] 초회한정반 CD + DVD[64] # 제목작사작곡편곡 재생 시간 1. 훗 (Hoot)이현규, 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Lars Halvor Jensen, Martin Michael Larsson, Alexander James 3:17 2. 내 잘못이죠 (Mistake)유리Cheryl Yie켄지 4:07 3. 단짝 (My Best Friend)휘성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Carsten Lindberg, Joachim Svares, Joleen Bell Jade Anderson, Micahel Jay 3:24 4. Wake Up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15 5. 첫눈에... (Snowy Wish)황현황현황현 3:28 6. Gee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3:23 7. Genie  유영진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nny Svendsen, Robin JenssenAnne Judith Wik, Nermin Harambasic, Robin Jenssen, Ronny Svendsen 3:44 8. Oh!  김정배, 김영후켄지켄지 3:08 9. Run Devil Run  홍지유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Kalle Engstrom, Michael Busbee, Alex James 3:21 10. Show! Show! Show!  김부민히치하이커히치하이커 3:38 11. Be Happy  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이트라이브, 영광의 얼굴들 3:30 차트[편집] 주간 차트[편집] 차트 (2010~11)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49] 1 일본 (오리콘)[61] 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5] 2 연간 차트[편집] 차트 (2010) 최고순위 대한민국 (가온 앨범 차트)[55] 3 차트 (2011) 최고순위 일본 (오리콘)[63] 42 일본 탑 앨범 (빌보드)[66] 43 인증 및 판매량[편집]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일본 (RIAJ)[67] 골드 148,761^ 대한민국 (가온 차트)  None 180,825[56]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발매일[편집] 국가 날짜 포맷 에디션 레이블 출처 콜롬비아 2010년 10월 25일 디지털 음원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68] 스페인 [69] 독일 [70] 타이 [71] 오스트리아 [72] 뉴질랜드 [73] 말레이시아 [74] 라오스 [75] 인도 [76] 브루나이 [77] 대한민국 KMP홀딩스 [18] 2010년 10월 27일 CD [32] 일본 2010년 10월 28일 JA코리아 [78] 2010년 12월 22일 일본어반 나유타웨이브 [79] CD+DVD 일본어 초회호화한정반 [64] 일본어 기간한정반 [80] 캐나다 2011년 9월 6일 CD 한국어반 SM 엔터테인먼트 [81] 홍콩 2011년 11월 2일 CD+DVD 유니버설 뮤직 [82] 타이완 2011년 12월 24일 CD [83] 같이 보기[편집] 2010년 가온 앨범 차트 1위 목록 각주[편집] ↑ “2010년 45주차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2010년 Digital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12월 8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전창훈 (2010년 10월 15일). “[채널] 일본, 한국 걸 그룹에 반하다”. 《매일신문》.  ↑ “"소녀시대, 비틀스 벤치마킹해 日서 성공"”. 《연합뉴스》. 2010년 10월 29일.  ↑ 홍지민 (2010년 10월 30일). “"열도는 왜 ‘소녀시대’에게 열광하는가"”. 《서울신문》.  ↑ 정호재 (2010년 10월 21일). “소녀시대 대만콘서트가 남긴 3가지 사실”. 《동아일보》.  ↑ 이현우 (2010년 11월 8일). “[인터뷰] 소녀시대, “日本서도 ‘삼촌팬’ 만들고 싶어요””. MK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이현우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훗‘ 기습컴백 비하인드 스토리[인터뷰②]”. 스타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깜짝컴백 서프라이즈에 스릴만점 훗훗훗" (인터뷰)”.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재훈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그룹명 앞에 감히 '국민'을 달아주마”. 뉴시스.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오리콘 1위? 아직 많이 배고프다"(인터뷰①)”.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0월 22일). “'레트로요정' 소녀시대, 원더걸스와 어떻게 다를까?'”.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0월 29일). “각선미 열풍’ 소녀시대, 이번엔 갸날픈 허리?"”. OSEN.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3일). “소시, 복고걸 제일 잘어울리는 멤버는? "헤어스타일 예쁜 수영"”.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표 복고는? '훗' 들어보니”.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Q&A on K-pop with Lars Halvor Jensen” (영어). HitQuarters. 2011년 10월 24일.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마 바 “네이버 뮤직 - Hoot”. 네이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이금준. “소녀시대 ‘훗’ 25일 음원 선공개 이어 27일 앨범 출시… ‘기대 만발’”. SSTV.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유리, 소녀시대내 '작사 경연'서 당당 1위…수록곡 '내 잘못이죠'”. 마이데일리. 2015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유진모 (2010년 11월 8일). “소녀시대 3집, 후크송 수준 뛰어넘어 참 음악세계 입문 알리는 포문 [리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다 라 motoway065 (2011년 3월 11일). “Album Review ? SNSD ? 3rd Mini-Album: Hoot” (영어). Soompi.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이슬 (2010년 11월). “이즘 - 조이슬”. 이즘.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한준호 (2010년 11월 4일). “[음반리뷰] 소시의 새 앨범…일렉트로닉 벗어나”. 스포츠월드.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나도원 (2010년 11월 19일). “성과 담아낸 소녀시대, 왜 슈스케에 밀릴까”. 프레시안.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혜린 (2010년 11월 2일). “가요계, 컴백 소식? 신곡 발표? '쉿!'”. OSEN.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2010년 10월 19일). “소시 3집 앨범 '훗' 티저 이미지·음원 전격공개…'드디어 컴백'”. 마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강수진 (2010년 10월 19일). “[연예파일]소녀시대, 국내 깜짝 컴백! ‘훗’ 발표예정!”. 스포츠경향.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함태수. “소녀시대 '훗' 멤버 이미지 모두 공개..복고풍 섹시 007 본드걸 변신”. 뉴스한국.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민지 (2010년 10월 24일). “소녀시대, '훗' 티저 영상 공개 '복고풍'으로 '상큼+시크' 동시 강조”.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류수운 (2010년 10월 25일). “소녀시대 ‘훗’, 뮤비-음원 ‘반응 폭발’”. DIP통신.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가 나 차연 (2010년 11월 1일). “소녀시대 '훗', '소녀시대 신드롬' 재현하나”. 노컷뉴스.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백지은 (2010년 12월 3일). “소녀시대, 22일 '훗' 日 앨범 발매!”. 스포츠조선.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파격변신' 소녀시대, '화살춤+개미허리춤' 히트예감”. 스포츠투데이.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이승록 (2010년 10월 30일). “소녀시대인데 배우들 왜 '무덤덤'했을까…"거만?", "불쌍하네"”. 《마이데일리》.  ↑ 강선애 (2010년 11월 3일). “소녀시대, “대종상 태도 논란? 몰라서 기분도 안 나빴다””. 《마이데일리》.  ↑ 최준용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2AM, 오늘(29일) 컴백..3번째 격돌 '기대만발'”. 《스포츠투데이》 (아시아경제).  ↑ 전형화 (2010년 10월 29일). “소녀시대 오늘 (29일) 컴백.. '지' 영광 재현할까”. 《스타뉴스》 (머니투데이).  ↑ 선미경 (2010년 10월 30일). “‘음중’ 컴백 소녀시대, 달콤한 미소의 순백 천사 '러블리 순수'”. 티브이데일리.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최나영 (2010년 11월 1일). “2NE1 vs 소녀시대, 감성보컬 대결..변신의 여왕은?”. OSEN. 2015년 7월 3일에 확인함.  ↑ 박영웅 (2010년 11월 17일). “'소시' 티파니, 무릎 부상..8인조로”.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티파니 복귀, 소녀시대 ‘환상’ 호흡… "오랜만이야"”. 경인일보. 2010년 12월 26일.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봉준영 (2010년 11월 18일). “송윤아, 소녀시대 뒤지지 않는 몸매와 댄스 '시선집중'”. OSEN. 2015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이선미 (2010년 11월 22일). “‘초콜릿’ 소녀시대, ‘의자춤’ 등 섹시+달콤한 무대로 男心 녹여~”.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언혁 (2010년 12월 4일). “소녀시대 굿바이 이어 카라 컴백, 케이팝 ★ 바통터치 韓日 동시공략”. 뉴스엔.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한승균 (2010년 12월 17일). “'뮤뱅' 소녀시대, 일본열도 매료시킨 섹시미 작렬.. 'oh'부터 '훗'까지”. 티브이데일리.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길혜성 (2010년 12월 25일). “'반갑다' 티파니, 50일만 국내복귀신고식..MC까지”.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45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2010년 46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7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48주차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0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2010년 11월 Album Chart”.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가 나 “2010년 가온 앨범 연간 차트”. 《가온 차트》.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2011년 2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3일에 확인함.  ↑ 가 나 조우영 (2012년 5월 11일). “소녀시대, 역대 앨범 판매량 100만장 돌파 `눈앞`”. 이데일리.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週間 CDアルバムランキング”. 《오리콘》 (일본어).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최준용 (2010년 12월 22일). “소녀시대, '훗' 발매 당일 2만장··日오리콘 2위 '이례적'”. 스포츠투데이.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이은정 (2010년 12월 28일). “소녀시대 한국어 앨범 '훗', 오리콘 2위”. 연합뉴스.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Girls' Generation Korean mini-album debuted at number two”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김형우 (2010년 12월 30일). “소녀시대 지-훗 이어 이번엔 ‘오’로 일본 열도 공략 ‘또 대박낼까’”. 뉴스엔.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가 나 “2011년 앨범 차트” (일본어). 오리콘.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가 나 “오리콘 - HOOT (초회호화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2011-01-03”. 《빌보드 재팬》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Billboard Japan Top Albums of 2011”. 《빌보드》 (일본어). 2015년 5월 6일에 확인함.  ↑ 《Japanese certifications – Girls' Generation – Hoot》 (일본어), 일본 레코드 협회  ↑ “아이튠즈 싱가포르- Hoot”. 《아이튠즈 K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스페인 - Hoot”. 《아이튠즈 ES》 (스페인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독일 - Hoot”. 《아이튠즈 de》 (독일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타이 - Hoot”. 《아이튠즈 TH》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오스트리아 - Hoot”. 《아이튠즈 AT》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뉴질랜드 - Hoot”. 《아이튠즈 NZ》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말레이시아 - Hoot”. 《아이튠즈 MY》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라오스 - Hoot”. 《아이튠즈 lA》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인도 - Hoot”. 《아이튠즈 IM》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이튠즈 브루나이 - Hoot”. 《아이튠즈 BN》 (영어). 애플.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한국판)”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오리콘 - HOOT (초회한정반)” (일본어). 오리콘.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아마존 캐나다 - Hoot” (영어). Amazon.com.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홍콩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홍콩.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 Girls’ Generation - Hoot” (중국어). 유니버설 뮤직 타이완. 2015년 7월 4일에 확인함.  vdeh소녀시대 현재 구성원 태연 써니 효연 유리 윤아 티파니 수영 서현 정규 음반대한민국 《소녀시대》 《Oh!》 《The Boys》 《I Got a Boy》 《Lion Heart》 《Holiday Night》 일본 《GIRLS' GENERATION》 《GIRLS' GENERATION II 〜Girls & Peace〜》 《LOVE & PEACE》 리패키지대한민국 《Baby Baby》 《Run Devil Run》 일본 《Re:Package Album "GIRLS' GENERATION" ~The Boys~》 컴필레이션 음반 《BEST SELECTION NON STOP MIX》 《THE BEST》 EP 《Gee》 《소원을 말해봐 (Genie)》 《훗 (Hoot)》 《Mr.Mr.》 라이브 음반 《Into The New World (The 1st Asia Tour Concert)》 《2011 Girls Generation Tour》 콘서트세계 Into The New World 2011 GIRLS’ GENERATION TOUR Girls' Generation World Tour - Girls & Peace SMTOWN WEEK - Marchen Fantasy GIRLS' GENERATION 4th TOUR "Phantasia" 일본 The 1st Japan Arena Tour Girls' Generation II ~Girls&Peace~ Japan 2nd Tour ~LOVE&PEACE~ Japan 3rd Tour GIRLS' GENERATION 'THE BEST LIVE' at TOKYO DOME 리얼리티 TV 쇼 《소녀 학교에 가다》 《MTV 소녀시대》 《팩토리 걸》 《공포영화 제작소》 《헬로 베이비》 《위험한 소년들》 《채널 소시》 관련 문서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Oh!GG 싱글 목록 음반 목록 음반외 활동 목록 콘서트 투어 목록 수상 목록   분류   위키공용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훗_(Hoot)&oldid=24128851" 분류: 소녀시대의 EP2010년 EP가온 앨범 차트 1위 음반숨은 분류: CS1 - 영어 인용 (en)CS1 - 일본어 인용 (ja)CS1 - 스페인어 인용 (es)CS1 - 독일어 인용 (de)CS1 - 중국어 인용 (zh)좋은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PolskiPortuguêsไทย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일 (수) 02:18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걸 그룹 소녀시대의 세 번째 미니 앨범이다. 2010년 10월 27일 KMP홀딩스를 통해 발매되었다. 켄지, 히치하이커, 황현 등이 앨범에 참여했으며, 이수만이 프로듀서를 맡았다. 본 앨범의 작업은 활발한 국제적 활동 속에 극비로 진행되었다. 대다수 사람들은 2010년 소녀시대의 대한민국 활동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2010년 11월 컴백 예고를 하면서 모두의 예상을 깼다. 앨범에는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을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되었다. 앨범의 컨셉은 "제임스 본드" 시리즈의 본드 걸과 같은 1970년대 핀업 걸과 19세기 말 미국의 카우걸 패션에 초점을 맞췄다. 소녀시대 멤버들은 앨범 컨셉에 아이디어를 내며 참여했고, 유리는 수록곡 '내 잘못이죠 (Mistake)'에 작사로 참여했다.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대체로 앨범 자체는 괜찮지만, 타이틀곡은 약해졌다는 평이 많았다. "훗 (Hoot)"은 대한민국의 가온 앨범 차트에 발매 첫 주 1위에 올랐고, 18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올렸다. 일본 오리콘 앨범 차트에서는 2위에 오르며 소녀시대의 앨범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카라가 "KARA BEST 2007-2010"로 기록했던 한국어 앨범 첫주 최고 판매량 기록을 경신했다. 일본에서 총 1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일본 레코드 협회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앨범과 동명의 타이틀곡 '훗 (Hoot)'은 가온 디지털 차트 1위, 연간 차트에서는 10위에 오르며 성공을 거뒀다. 소녀시대는 앨범 발매 6일 전에야 컴백 소식을 알리며 앨범의 프로모션에 있어 이전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2010년 10월 29일 "뮤직뱅크"에서 첫 컴백 무대를 가졌으며, 12월 5일 "쇼! 음악중심"을 끝으로 공식적인 앨범 활동을 마쳤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소녀시대의 앨범 훗의 두 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의 장르는 무엇일까? Assistant: 알앤비 발라드 노래
Human: 아래 월지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월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월씨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5년 8월) 이 문서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에 관한 것입니다. 경주에 위치한 연못에 대해서는 경주 동궁과 월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 월지(月氏, 月支) 또는 대월지(大月氏, 大月支)는 고대 중앙 아시아의 국가이다. 기원전 3세기 중반 경 ~ 기원전 1세기 중반 경, 중앙 아시아와 북아시아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이며 그 국가를 부르는 말이다. 월지는 한자를 차용한 이름이며 실제 이름은 토가라(Thogara)로 추정한다. 목차 1 역사 2 토하리인과의 관계 3 중국《사기》 〈대완열전〉에서의 기록 4 같이 보기 5 각주 역사[원본 편집] 기원 전 3세기 중반 경 타림분지에 거주지를 두고 동서무역을 독점하여 흉노를 압박하고 인도에도 진출할 정도로 강세를 유지했다. 대월지는 불교를 받아들이고 불교가 매우 유행을 하면서 북쪽 실크로드(북비단길)을 통하여 불교라는 종교가 없었던 동아시아에 불교를 전파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들에 불교가 전파된 것은 해상으로 인한 전파가 아니고 월지에 의한 실크로드 경유로 전파된 것으로 학계에선 보고 있다. 중국 사기의 글에는 묵돌 선우(재위: 기원전 206년 ~ 기원전 176년) 말기에 월지는 흉노에 대패하여 중앙 아시아로 이동하면서, 월지의 영토들도 흉노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 이때 일부가 남아서 서쪽으로 간 세력은 대월지(大月氏)라고 이름을 바꿨다고 하며 남아 있던 부족들은 소월지(小月氏)라고 불렸다고 쓰여있다. 기원 전 162년 흉노의 노상 선우의 공격을 받고 월지의 왕이 살해되었다. 월지는 더 서쪽의 아무르 강 주변 소그디아나로 이동하여 대하를 멸망시키고 이곳을 중심으로 무역을 하며 살아갔다. 이때 대월지의 일부는 인도로 들어가 쿠샨 제국을 건국한다. 기원 전 130년경 전한의 장건이 반흉노 동맹을 제안하러 가지만 대월지는 단호하게 동맹을 거절한다. 이후 기원 전 1세기 중반, 강대해진 토하라인의 쿠샨 제국이 월지 땅에서 동서교역도 하면서 대월지는 쿠샨 제국에게 포함되면서 역사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이 쿠샨 왕조도 대월지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토하리인과의 관계[원본 편집] 대부분의 학자들은 월지족이 인도-유럽어족이라고 보고 있고, 고문헌의 토하라인(Tocharians)과 같거나 긴밀히 연결된 종족으로 믿고 있다. 중앙 아시아 연구가인 르네 그루쎄는 당시 서방 측의 문헌과 중국 문헌을 종합해보면 월지는 토하라인과 함께 인도-스키타이의 일종이라고 주장한다. 한 예로 당시 그리스의 사가 프톨레마이오스는 월지의 영역을 토가라(Thogara)로 기록해 두었다. 또한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박트리아를 침략한 민족을 토카로이(Tokharoi)라고 부르고 있다. 중국《사기》 〈대완열전〉에서의 기록[원본 편집] 본래 월지국은 둔황과 기련산 사이에 나라를 세웠으나 흉노가 강성해지면서 노상 선우에게 패해 멀리 서쪽으로 이동해간다. 서쪽에 정착한 대월지의 남쪽에는 대하, 서쪽에는 안식(파르티아), 북쪽에는 강거가 있었으며 동쪽 3천리 떨어진 곳엔 대완이 있었다. 같이 보기[원본 편집] 묵돌 선우(모돈 선우) 토하라인 각주[원본 편집]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월지&oldid=24061862" 분류: 쿠샨 왕조박트리아비단길서역숨은 분류: 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출처가 필요한 모든 글전체에 출처가 필요한 글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원본 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sturianuAzərbaycancaتۆرکجهБългарскиČeštinaЧӑвашлаDeutschΕλληνικάEnglishEspañolفارسیSuomiFrançaisहिन्दीMagyar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ქართულიҚазақшаLingua Franca NovaNederlandsNorskPolskiپنجابیRomânăРусскийSrpskohrvatski / српскохрватскиSlovenčinaTürkçeУкраїнськаاردو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吴语中文文言Bân-lâm-gú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4월 19일 (금) 07:1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월지(月支, 영어: Yuezhi))는 기원전 1천년경 중국 간쑤성 서부의 메마른 초원지대에 살았던 유목민들로 중국 역사에 처음 기술된 고대 민족이다. 월지(月氏), 우지(禺氏yúzhī), 우지(禺知), 원지(苑支)라고도 표기한다. 기원전 176년 흉노에게 큰 패배를 당한 후, 월지족은 다른 방향으로 이주한 두 집단, 즉 대월지(大月氏)와 소월지(小月氏)로 나뉘었다. 이는 사방으로 방사되는 복잡한 도미노 효과를 유발했고, 그 과정에서 앞으로 몇 세기 동안 아시아의 많은 부분의 역사적 과정을 세웠다. 월지족은 처음에 일리 계곡(중국과 카자흐스탄의 현대 국경에 위치한)으로 북서쪽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사카족을 쫓아냈다고 전해진다. 그들은 오손에 의해 일리 계곡에서 쫓겨났고 남쪽으로 소그디아로 이주했고 나중에 박트리아에 정착했다. 결과적으로 월지족은 토카라인(그리스어: Τοχάριοι, 산스크리트어: तुखार) 그리고 아시이인(아시오이)와 같은 고전적인 유럽 자료에서 언급되는 사람들과 자주 동일시되었다. 기원전 1세기 동안 박트리아의 다섯 개의 주요 월지 부족 중 하나인 쿠샨족이 다른 부족과 이웃 민족들을 정복하기 시작했다. 서기 3세기에 절정에 달했던 쿠샨 제국은 북쪽의 타림 분지의 투르판에서 남쪽의 인도-갠지스 평원의 파탈리푸트라까지 뻗어 있었다. 쿠샨족은 실크로드의 무역 발전과 중국에 불교를 전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소월지족은 티베트 고원의 가장자리인 남쪽으로 이주했다. 그 중 몇몇은 칭하이성의 창족에 정착했고, 후한에 대항한 양주의 난 (184년–221년)에 가담했다고 전해진다. 월지족의 또 다른 무리는 타림 동쪽에 쿠무다(현재 구물과 하미로 알려짐)라는 도시를 세웠다고 전해진다. 월지족의 네 번째 무리는 4세기에 후조를 세운 갈족의 일부가 되었을 수도 있다(다만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많은 학자들은 월지가 인도유럽민족이라고 믿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월지를 타림 분지에서 멸종된 문화의 유물, 예를 들어 타림 미라 및 토카리아 언어를 기록한 문헌과 연관지었지만, 그러한 연결에 대한 증거는 순전히 우연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월지의 왕이 살해된 해는 언제야? Assistant: 기원 전 162년 Human: 아래 주오·소부_완행선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주오·소부 완행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오·소부 완행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주오·소부 완행선 완행선을 주행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500번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직통하는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800번대기본 정보운행 국가 일본종류 운행 계통상태 영업 중기점 지바 역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종점 미타카 역 (도쿄도 미타카 시·무사시노 시)역 수 39 (시종착역 포함)경유 노선 주오 본선 (미타카 ~ 오차노미즈 소부 본선 (오차노미즈 ~ 지바개통일 1969년 4월 8일[1]소유자 동일본 여객철도운영자 동일본 여객철도노선 제원영업 거리 60.2km궤간 1067mm (협궤)선로 수 2 (전 구간)전철화 직류 1,500볼트신호 방식 ATS-Pv • d • e • h 노선도 0.0 0.0 상단:지바로부터의 영업 거리하단:도쿄로부터의 영업 거리 소토보 선 게이세이:지바 선 지바모노 1호선 소부 본선 게이세이지바 역 0.0 39.2 지바 역 ↓소부 완행선 소부 쾌속선 1.4 37.8 니시치바 역 구로스나 신호장 3.3 35.9 이나게 역 6.0 33.2 신케미가와 역 7.6 31.6 마쿠하리 역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9.6 29.6 마쿠하리혼고 역 마쿠하리 차량 센터 게이세이:본선 게이세이:지바 선 게이세이쓰다누마 역 신케이:신케이세이 선 12.5 26.7 쓰다누마 역 나라시노 운수구 14.2 25.0 히가시후나바시 역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16.0 23.2 후나바시 역 도부:노다 선 게이세이:본선 도요코:도요 고속선 무사시노 선 18.6 20.6 니시후나바시 역 도쿄 지하철 20.2 19.0 시모우사나카야마 역 21.8 17.4 모토야와타 역 23.8 15.4 이치카와 역 에도 강 ↑지바현/도쿄도↓ 26.4 12.8 고이와 역 신카네 화물선 신코이와조 역 29.2 10.0 신코이와 역 나카 강·아라카와 강 31.0 8.2 히라이 역 도부:가메이도 선 32.9 6.3 가메이도 역 엣슈지마 지선(화물선) 34.4 4.8 긴시초 역 35.8   료고쿠 역 소부 쾌속선 스미다 강 36.7   아사쿠사바시 역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우에노 도쿄 라인 게이힌 도호쿠 선 야마노테 선 37.8   아키하바라 역 주오 쾌속선·주오 본선 ↑소부 본선 구간 38.7 2.6 오차노미즈 역 (신오차노미즈 역) ↓주오 본선 구간 39.5 3.4 스이도바시 역 이다마치 역 -1999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40.4 4.3 이다바시 역 41.9 5.8 이치가야 역 주오 쾌속선 주오 완행선 42.7 6.6 요쓰야 역 도쿄 지하철:마루노우치 선 고세 터널 44.0 7.9 시나노마치 역 44.7 8.6 센다가야 역 야마노테 화물선 (사이쿄 선·쇼난 신주쿠 라인) 야마노테 선 45.7 9.6 요요기 역 오다큐:오다와라 선 게이오:게이오 선 46.4 10.3 신주쿠 역 세이부 신주쿠 역 세이부:신주쿠 선 야마노테 화물선 야마노테 선 47.8 11.7 오쿠보 역 48.9 12.8 히가시나카노 역 도쿄 지하철:도자이 선 50.8 14.7 나카노 역 나카노 전차구 52.5 16.1 고엔지 역 53.4 17.3 아사가야 역 54.8 18.7 오기쿠보 역 56.7 20.6 니시오기쿠보 역 게이오:이노카시라 선 58.6 22.5 기치조지 역 60.2 24.1 미타카 역 미타카 차량 센터 주오 본선 복선 구간 주오·소부 완행선(일본어: 中央・総武緩行線 주오소부칸코센[*])은 일본 도쿄도 미타카 시의 미타카 역에서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의 지바 역 간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소부 본선 상의 운행 계통이다.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은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역 ~ 지바 역 간은 소부 본선에 해당한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주오·소부 선',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주오 선·소부 선 각역정차' 또는 노선을 아예 분리하여 '주오 선 각역정차'와 '소부 선 각역정차' 등으로 안내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운행 형태 2.1 시간표 운용 2.1.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2.1.2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 2.1.3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 2.2 우등 열차 등 3 역사 4 차량 4.1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4.2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 5 역 목록 6 각주 7 같이 보기 개요[편집] 도쿄 지구의 전철 특정 구간의 운행 계통 중 하나로 도쿄의 도심부를 동서로 관통하여 동쪽으로는 도쿄의 침상 도시 역할을 하고 있는 지바현 서부의 각도시를 경유하여 현청 소재지인 지바 시까지, 서쪽으로는 도쿄도 중부의 미타카 시까지 뻗어있는 통근 노선이다. 주행하는 전동차 내부나, 여객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 색은 노란색 (■, 카나리아 옐로, 구 일본국유철도 황색 계통 1호색)으로 여기서 유래하여 도쿄 근교권에서는 주오·소부 완행선을 '황색의 전차', '노란 전차' 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운행 구간은 주오 본선 복복선 구간 중 완행선 (미타카 역 ~ 오차노미즈 역) 구간, 오차노미즈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소부 지선의 복선 구간 및 소부 본선 복복선 구간의 완행선 (긴시초 역 ~ 지바 역) 구간에 해당한다. 다만, 주오 본선 중 신주쿠 역 ~ 요요기 역 간은 엄연히는 야마노테 선에 속한다. 복복선 구간에서는 주오 쾌속선, 소부 쾌속선이 병행하여 운행하지만 일부를 제외하고는 방향별 복복선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주오 본선 구간의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는 접속을 고려하지 않은 독립적인 운행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신주쿠에서 아키바하라까지는 '도쿄 야마노테 선내 구간'으로 구간 바깥보다 운임이 싸다. 소부 선 구간에서는 혼잡이 매우 심한 반면 주오 선 구간에서 병행하는 쾌속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꽤 한산하여 주오 완행선 구간은 일본 수도권의 통근 노선 중 가장 한산한 노선으로 손꼽힌다. 일본 국토교통성의 조사에 따르면 2007년도의 최고 혼잡 구간의 러시아워 혼잡율은 주오 쾌속선의 198%에 비해 완행선은 91% (요요기 ~ 센다가야) 정도로, 31곳의 조사 구간 중 유일하게 혼잡율이 100% 미만이다. 하지만 쾌속선이 사고 등으로 불통이 되었을 때는 승객들이 완행선으로 몰리기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혼잡해진다. 운행 형태[편집] 노선 역명 각역 소쾌 주쾌 소부 본선 지바 ● ● 니시치바 ● | 이나게 ● ● 신케미가와 ● | 마쿠하리 ● | 마쿠하리혼고 ● | 쓰다누마 ● ● 히가시후나바시 ● | 후나바시 ● ● 니시후나바시 ● | 시모사나카야마 ● | 모토야와타 ● | 이치카와 ● ● 고이와 ● | 신코이와 ● ● 히라이 ● | 가메이도 ● | 긴시초 ● ● 소부본선 지선 료고쿠 ● 아사쿠사바시 ● 아키하바라 ●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 ● ● 스이도바시 ● | 이다바시 ● | 이치가야 ● | 요쓰야 ● ● 시나노마치 ● | 센다가야 ● | 요요기 ● | 신주쿠 ● ● 오쿠보 ● | 히가시나카노 ● | 나카노 ● ● 고엔지 ● ▲ 아사가야 ● ▲ 오기쿠보 ● ● 니시오기쿠보 ● ▲ 기치조지 ● ● 미타카 ● ● 범례 각역: 각역정차 소쾌: 소부 선 쾌속 주쾌: 주오 선 쾌속 ▲: 주오 선 쾌속 열차가 주말에는 통과 보통 아래의 역에서 시종착하는 형태로 운전되고 있다. 주오 본선 나카노 역·미타카 역(무사시코가네이 역·고쿠분지 역·다치카와 역) 소부 본선 지바 역·쓰다누마 역·니시후나바시 역·오차노미즈 역 진한 글씨는 주로 운용되는 행선이다. 오차노미즈 역을 기준으로 서쪽이 주오 본선, 동쪽이 소부 본선이다. 때문에 게이힌 도호쿠 선처럼 상행과 하행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지바 방면은 동행(일본어: 東行 히가시유키[*]), 미타카 방면은 서행(일본어: 西行 니시유키[*])로 안내된다. 완행선의 신주쿠 역 시발 막차는 오전 1시 1분 발 미타카 행이다. 이는 신주쿠 역을 떠나는 시간이 가장 더디며 동시에 1시 대에 발차하는 유일한 열차이기도 하다. 시간표 운용[편집]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결 운행은 도쿄 역에서 발착하는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일부 시간대를 제외하고 항상 실시하고 있다. 평일 하루 중의 운행 편수는 지바 시종착, 쓰다누마 시종착이 각 11분 사이클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에서 시간당 11편, 5~6분 당 1편)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 나카노 시종착 열차는 시간당 7편으로 나머지 4편이 미타카 시종착이다. 또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에서는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도 시간당 4편 운전되고 있다. 평일의 경우 러시아워에는 쓰다누마 역 ~ 니시후나바시 역 간에서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요일과 휴일의 경우 쓰다누마 역 ~ 나카노 역 간의 운행 편수는 시간당 12편으로 간격은 5분이다. 쓰다누마 시종착과 지바 시종착이 번갈아 운전되는 경우는 평일과 다르지 않지만 나카노 시종착이 시간당 4편 (15분 간격)으로 줄어들고 대신 미타카 시종착이 8편으로 늘어난다.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는 평일과 동일하게 시간당 4편이다.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의 운행 편수가 평일과 크게 다른데 이는 토요일 및 휴일 쾌속이 고엔지, 아사가야, 니시오기쿠보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대규모 공사나 연말 연시 막차 운행 등 주오 쾌속선이 운휴하는 경우에는 오차노미즈 역 ~ 미타카 역 간에서 도쿄 발착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정기적으로는 조조와 심야 시간대)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직통 열차[편집]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행하여 주오 선 구간에서는 나카노 역 ~ 미타카 역 간, 소부 선 구간에서는 니시후나바시 역 ~ 쓰다누마 역 간이 각각 상호 직결 운행 구간에 해당한다. 소부 선 구간은 러시아워 시간대에만 운전되지만 주오 선 구간은 조조와 심야를 제외하고 시간 당 운행 편수의 약 절반 정도가 도자이 선으로 직결 운행하고 있다. 도자이 선 쾌속 열차가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과도 직결 운행을 하고 있지만 도요 고속철도 차량이 주오 완행선으로 입선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도자이 선 일부 쾌속 열차는 나카노에서 방향을 전환하기도 한다. 조조와 심야 시간대의 주오 선 각역정차[편집] 조조와 심야 시간대에는 주오 선과 소부 선의 직통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오 선은 도쿄 역에서, 소부 선은 오차노미즈 역에서 회차 운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주오 선은 쾌속용인 동일본 여객철도 E233계 전동차가 사용되어 미타카 이서 구간에서도 운전된다. 또 주오 선 각역정차가 운전되는 시간대를 전후하여 아침의 동행 및 야간의 서행만 운전되는 주오 선 무사시코가네이 역이나 다치카와 역에서 시종착하는 주오·소부 선 직통 열차는 완행선용 차량이 이용된다. 우등 열차 등[편집] 신주쿠 역에서 소부 본선 (조시 방면)·나리타 선·우치보 선·소토보 선 방면으로 운행되는 열차나 지바 역에서 주오 본선으로 운행되는 열차는 나리타 익스프레스를 제외하고 오차노미즈 역 ~ 긴시초 역을 경유한다.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는 각역정차의 운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우등 열차가 운행되는 경우는 휴일의 정기 열차 (신주쿠와카시오·신주쿠사자나미 호)나 임시 열차 등 극소수이다. 역사[편집] 1923년의 간토 대지진 이전의 소부 본선은 료고쿠바시 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어, 도쿄를 기점으로 하는 일본국유철도 중에서는 스미다가와 강 동안에 종착역을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그러나 대지진 이전부터 많은 이용객이 스미다가와 강을 건너는 도쿄 시 전차를 이용하고 있어 혼잡이 현저했기 때문에 대지진 이후 재건 계획이 이루어질 당시 료고쿠바시 역과 도심을 잇는 노선을 건설하여 동시에 주오 본선과 연계할 계획을 세워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 간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노선 확장 (복복선화) 건설을 진행하여 전자는 1932년에, 후자는 이듬해인 1933년에 완성되었다. 덧붙여 이 구간을 완성한 후 1943년에는 주오 본선의 만세이바시 역이 폐지되었다. 료고쿠 역 ~ 오차노미즈 역의 고가 노선과 오차노미즈 역 ~ 나카노 간의 복복선화가 이상의 경위로 설치된 것에 비해 그 외의 선로 증축 구간은 1960년대 일본국유철도에 의해 이루어진 일명 '통근 5방면 대작전'으로 불리는 수도권 통근 수송 개선 계획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주오 본선 측의 복복선화 사업은 1966년에 나카노 역에서 오기쿠보 역까지, 1969년에 미타카 역까지 완료되어 현재의 주오·소부 선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 사이 1963년에는 야마노테 선에서 일본국유철도 103계 전동차의 신설 투입이 진행됨에 따라 일본국유철도 101계 전동차가 완행선의 주축을 이루게 되었다. 소부 본선 측은 1972년 7월 15일에 도쿄 역에서 긴시초 역까지의 신설과 긴시초 역에서 쓰다누마 역까지의 복복선화에 따라 쾌속 전차를 분리하여 이 때까지 시간당 1~2편 정도밖에 운행하지 않았던 나카노 역 시종착 쾌속이 폐지되었다. 쓰다누마 역에서 지바 역까지는 복선이었기 때문에 쾌속과 같이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1981년 이후 분리되어 현행의 운행 형태가 완성되었다. 1982년에는 101계의 교체를 위해 일본국유철도 201계 전동차가 도입되었고, 2000년에는 다시 이들을 교체하기 위해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가 투입되었다. 차량[편집] 파일:209-500yellow.jpg 209계 전동차의 500번대 파일:JR EAST E231 sobu.JPG E231계 모두 전동차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차량은 일부 6도어 차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편방향 4도어 차량으로 10량 편성 형태로 짜여 있다.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209계 전동차 500번대 (1998년 12월 29일 ~ )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900번대,0번대 및 209계 전동차 950번대[2](2000년 3월 13일 ~ ) 도쿄 메트로 직통 차량[편집] 동일본 여객철도 E231계 전동차 800번대 (2003년 5월 1일 ~ ) 도쿄 지하철 05계 전동차 (1988년 ~ ) 도쿄 지하철 07계 전동차 (2007년 3월 5일 ~ ) 도쿄 지하철 15000계 전동차 역 목록[편집] 역 번호 역명 일어 역명 로마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JB 39 지바 千葉 Chiba ● ■ 소토보 선, ■ 나리타 선 (JO 28), 소부 쾌속선 (JO 28), ■ 소부 본선 (JO 28) 지바 도시 모노레일 1호선 (CM 03), 지바 도시 모노레일 2호선 (CM 03)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지바 역, KS 59) 0.0 0.0 지바현 지바 시 주오 구 JB 38 니시치바 西千葉 Nishi-Chiba │ 1.4 1.4 JB 37 이나게 稲毛 Inage ● 1.9 3.3 이나게 구 JB 36 신케미가와 新検見川 Shin-Kemigawa │ 2.7 6.0 하나미가와 구 JB 35 마쿠하리 幕張 Makuhari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게이세이마쿠하리 역, KS 53) 1.6 7.6 JB 34 마쿠하리혼고 幕張本郷 Makuhari-Hongō │ 게이세이 전철 지바 선 (KS 52) 2.0 9.6 JB 33 쓰다누마 津田沼 Tsudanuma ● 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 선 (신쓰다누마 역, SL 23) 2.9 12.5 나라시노 시[3] JB 32 히가시후나바시 東船橋 Higashi-Funabashi │ 1.7 14.2 후나바시 시 JB 31 후나바시 船橋 Funabashi ● 도부 철도 노다 선 (TD-35), 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후나바시 역, KS 22) 1.8 16.0 JB 30 니시후나바시 西船橋 Nishi-Funabashi │ 무사시노 선 (JM 10), 게이요 선, 도요 고속철도 도요 고속선 (TR 01)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23, 일부 직결 운행) 2.6 18.6 JB 29 시모사나카야마 下総中山 Shimōsa-Nakayama │ 1.6 20.2 JB 28 모토야와타 本八幡 Motoyawata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21) 1.6 21.8 이치카와 시 JB 27 이치카와 市川 Ichikawa ● 2.0 23.8 JB 26 고이와 小岩 Koiwa │ 2.6 26.4 도쿄도 에도가와 구 JB 25 신코이와 新小岩 Shin-Koiwa ● 2.8 29.2 가쓰시카 구 JB 24 히라이 平井 Hirai │ 1.8 31.0 에도가와 구 JB 23 가메이도 亀戸 Kameido │ 도부 철도 가메이도 선 (TS-44) 1.9 32.9 고토 구 JB 22 긴시초 錦糸町 Kinshichō ● 소부 쾌속선 (도쿄 방면, JO 22), 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Z-13) 1.5 34.4 스미다 구 JB 21 료고쿠 両国 Ryōgoku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12) 1.5 35.9 JB 20 아사쿠사바시 浅草橋 Asakusabashi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16) 0.8 36.7 다이토 구 JB 19 아키하바라 秋葉原 Akihabara 야마노테 선 (JY 03), 게이힌 도호쿠 선 (JK 28), 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H-15)TX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이와모토초 역, S-08) 1.1 37.8 지요다 구 JB 18 오차노미즈 御茶ノ水 Ochanomizu ● 주오 쾌속선 (도쿄 방면, JC 03),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20)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신오차노미즈 역, C-12) 0.9 38.7 JB 17 스이도바시 水道橋 Suidōbashi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미타 선 (I-11) 0.8 39.5 JB 16 이다바시 飯田橋 Iidabashi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6),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10)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3),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06) 0.9 40.4 JB 15 이치가야 市ヶ谷 Ichigaya │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9),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 (Y-14)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4) 1.5 41.9 JB 14 요쓰야 四ッ谷 Yotsuya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12), 도쿄 지하철 난보쿠 선 (N-08) 0.8 42.7 신주쿠 구 JB 13 시나노마치 信濃町 Shinanomachi │ 1.3 44.0 JB 12 센다가야 千駄ケ谷 Sendagaya │ 0.7 44.7 시부야 구 JB 11 요요기 代々木 Yoyogi │ 야마노테 선 (JY 1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26) 1.0 45.7 JB 10 신주쿠 新宿 Shinjuku ● 야마노테 선 (JY 17), 사이쿄 선 (JA 11), 쇼난 신주쿠 라인 (JS 20) 오다큐 전철 오다와라 선 (OH 01), 게이오 전철 게이오 선·신선 (KO 01)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8),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신주쿠 선 (S-01)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신주쿠 역, E-27 / 신주쿠니시구치 역, E-01) 세이부 철도 신주쿠 선 (세이부 신주쿠 역, SS 01) 0.7 46.4 신주쿠 구 JB 09 오쿠보 大久保 Ōkubo │ 1.4 47.8 JB 08 히가시나카노 東中野 Higashi-Nakano │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오에도 선 (E-31) 1.1 48.9 나카노 구 JB 07 나카노 中野 Nakano ● 도쿄 지하철 도자이 선 (T-01, 직결 운행) 1.9 50.8 JB 06 고엔지 高円寺 Kōenji ▲ 1.4 52.2 스기나미 구 JB 05 아사가야 阿佐ヶ谷 Asagaya ▲ 1.2 53.4 JB 04 오기쿠보 荻窪 Ogikubo ● 도쿄 지하철 마루노우치 선 (M-01) 1.4 54.8 JB 03 니시오기쿠보 西荻窪 Nishi-Ogikubo ▲ 1.9 56.7 JB 02 기치조지 吉祥寺 Kichijōji ● 게이오 전철 이노카시라 선 (IN 17) 1.9 58.6 무사시노 시 JB 01 미타카 三鷹 Mitaka ● 주오 쾌속선 (다카오 방면, JC 12) 1.6 60.2 미타카 시[4] 각주[편집] ↑ 미타카 역 최종 연장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 E231계 개발 이후 E231계 900번대로 포함 ↑ 역 구내의 일부는 후나바시 시에 걸쳐 있다. ↑ 미타카 역사의 일부는 무사시노 시에 걸쳐 있다. 같이 보기[편집]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소부 본선 소부 쾌속선 도쿄 메트로 도자이 선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주오·소부 완행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근교 노선■ 도카이도선 - ■ 요코스카선 - ■ 소부 쾌속선 - ■■■ 쇼난 신주쿠 라인 - ■ 게이힌 도호쿠선 - ■■ 네기시선 - ■ 사가미선 - ■ 요코하마선 - ■ 난부선 - ■ 쓰루미선 - ■ 야마노테선 - ■ 주오 본선 - ■ 주오 쾌속선 - ■ 주오 · 소부 완행선 - ■ 오메선 - ■ 이쓰카이치선 - ■ 하치코선 - ■ 우쓰노미야선 - ■ 다카사키선 - ■ 사이쿄선 - ■■ 가와고에선 - ■ 조반선 - ■ 조반 쾌속선 - ■ 나리타선 - ■ 조반 완행선 - ■ 소부 본선 - ■ 우치보선 - ■ 소토보선 - ■ 도가네선 - ■ 게이요선 - ■ 무사시노선 - ■ 조에쓰선 - ■ 료모선 - ■ 미토선 - ■ 이토선 - ■ 닛코선 - ■ 구루리선 - ■ 가시마선 - ■ 신에쓰 본선 - ■ 가라스야마선 vdeh 동일본 여객철도 지바 지사소부 본선(소부 쾌속선 - 소부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 나리타선 - 가시마선 - 소토보선 - 도가네선 - 우치보선 - 구루리선마쿠하리 차량 센터 - 마쿠하리 차량 센터 기사라즈 출장소 - 게이요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도쿄 지사도카이도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요코스카선 - 도카이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도호쿠 본선 (게이힌 도호쿠선 - 다카사키선 - 우쓰노미야선 - 사이쿄선 - 쇼난 신주쿠 라인) -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 주오 본선 (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조반선 (조반 쾌속선 - 조반 완행선) - 게이요선 - 무사시노선 도쿄 종합 차량 센터 - 다마치 차량 센터 - 오쿠 차량 센터 - 다바타 운전소 - 마쓰도 차량 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 센터 vdeh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오지 지사주오 본선(주오 쾌속선 - 주오·소부 완행선) - 오메 선 - 이쓰카이치 선 - 난부 선 - 무사시노 선 - 하치코 선 - 요코하마 선도요다 차량 센터 - 미타카 차량 센터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주오·소부_완행선&oldid=24226527" 분류: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도쿄도의 교통지바현의 교통간토 지방의 철도 노선주오·소부 완행선1932년 개통한 철도 노선일본국유철도의 철도 노선숨은 분류: Pages using superimpose with unknown parameters일본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잘못된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DeutschEnglishEsperantoEspañolفارسیFrançaisItaliano日本語PolskiРусскийTagalog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5월 15일 (수) 16:47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주오·소부 완행선(일본어: 中央・総武緩行線 주오소부칸코센[*])은 일본 도쿄도 미타카시의 미타카역에서 지바현 지바시 주오 구의 지바역 간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소부 본선 상의 운행 계통이다. 미타카역 ~ 오차노미즈역 간은 주오 본선, 오차노미즈역 ~ 지바역 간은 소부 본선에 해당한다. 여객 안내 상으로는 '주오·소부 선', '주오·소부 선 (각역정차)', '주오 선·소부 선 각역정차' 또는 노선을 아예 분리하여 '주오 선 각역정차'와 '소부 선 각역정차' 등으로 안내하고 있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간토 대지진은 몇 년도에 발생했는가? Assistant: 1923년
Human: 아래 서울역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서울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울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016년 영화에 대해서는 서울역 (영화)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서울 2층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서울관리역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 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좌표: 북위 37° 33′ 17″ 동경 126° 58′ 15″ / 북위 37.55472° 동경 126.97083°  / 37.55472; 126.97083 개업일 1900년 7월 8일 역 번호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P313 종별 관리역/지역본부 소재역 등급 특1급 역 코드 AFC: 1001 (경부선)/1251 (경의선) 승강장 구조 8면 20선 비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경부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신창 급행) 남영 →(1.7 km) 경의선 서울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 →(3.1 km) 서울역 1호선 역명판 4호선 역명판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1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24호선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 39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1호선 : 1334호선 : 426 역 코드 AFC : 150 (1호선)426 (4호선) 승강장 구조 각각 1면 2선(섬식) 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기점 0.0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 →(1.1 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 기점 19.7 km ■ 수도권 전철 4호선 ← 회현 (0.9 km) 숙대입구 →(1.0 km) 서울 승강장 개괄 관할 기관 공항철도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개업일 2010년 12월 29일 역 번호 A01 역 코드 AFC: 4201 승강장 구조 2면 3선 노선 인천국제공항선 서울 기점 0.0 km ■ 공항철도 공덕 →(3.3 km) 서울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다닌다. 경부선, 경의선이 이 역을 기점으로 뻗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역 동부에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4호선이, 서부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지하로 통과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부터 KTX 한정으로 호남선과 전라선 취급이 재개되었다. 현재의 역사는 2003년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경부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이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공식 역명은 서울역역이며 지하 서울역으로도 통칭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심야에 일반열차 2편성, 직통열차 1편성이 주박한다. 목차 1 명칭 2 노선 3 역사 3.1 연혁 4 역 구조 4.1 한국철도공사 승강장 4.2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4.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5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6 역 주변 6.1 서울역광장 6.2 역사 내부 6.3 동쪽 6.4 서쪽 7 승차량 변동 7.1 일반열차 7.2 수도권 전철 8 인접한 역 9 사진 10 같이 보기 11 각주 12 외부 링크 명칭[편집] 한국철도공사관할 서울역과 서울교통공사 관할 서울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전자를 지상 서울역(地上-驛) 또는 국철 서울역(國鐵-驛), 후자를 지하 서울역(地下-驛)이라고도 부른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지하에 있으나 통상 '지하 서울역'이라는 구분 표현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노선[편집] 서울특별시의 중추역으로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KTX나 경부선, 경전선 ITX-새마을·무궁화호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4량열차는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일부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는 행신역까지 운행한다. 2004년 4월 1일 이전까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열차도 이 역에서 취급하였으나(누리로2편성에 한해 서울역 시.종착)현재 용산역으로 이전되었다.[1] 그리고 경부선 부산발 21시45분 발차 서울행 무궁화호 #1226 열차 역시 서울역 환승통로 공사관계로 용산역까지만 단축되어 운행되었으나 아래의 상.하행 열차 구간단축으로 무궁화 1226열차는 다시 원래 종착역인 서울역으로 환원되었다 1227열차는 서울역 22시55분발차 동대구행 무궁화1309열차로 단축 부산역23시10분 발차 무궁화1228열차는 동대구역 23시50분 발차 무궁화1310열차로 구간이 단축 되었다 호남선, 전라선 KTX·ITX-새마을·무궁화호와 장항선 새마을호, 무궁화호는 용산역에서 시·종착하나 전라선 KTX는 2012년 5월 12일부터 같은 해 8월 12일까지 여수엑스포 기간에 임시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고, 2013년 4월 20일부터 같은 해 10월 20일까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이후에도 행신 착발 #603/#4003, 상행 #520/#4006 KTX-산천 복합열차가 이 역에 왕복으로 1일 1회 정차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발 KTX 운행을 이유로 2014년 6월 30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운행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서울-천안급행이 시·종착하는 관계로 천안급행 승강장과 연결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행되지 않는 시간에 한하여 누리로가 운행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된 환승 통로가 없었으나 2009년 7월 22일부터 환승 연계로 횟수가 1회 차감되는 방식으로 1회용 교통카드, 정기 승차권을 제외하고는 환승 할인이 적용되었다. 2011년 8월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연결하는 환승 통로가 착공되어 2015년 3월 28일에 개통되었고, 개찰구 외부를 통한 환승 할인은 차단되었다. 다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여전히 별도의 환승 통로가 존재하지 않고, 선·후불 교통카드 사용자에 한하여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역사[편집] 1899년 9월 18일 개통한 경인선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노선이었으나, 개통 당시에는 한강 바로 앞의 노량진에서 끊겨 사실상 서울을 연결해 주지 못하였다. 1900년 7월 5일 한강철교의 개통으로 한성부에 드디어 철도가 들어오게 되었는데, 서울역은 이때 10평 크기의 목조 바라크 건물을 염천교 아래 논 가운데에 가설하여 문을 열었다. 당시 용산역이 더 규모가 컸으므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1905년 경부선이 개통하는 등 교통이 개선되었으나, 그 규모는 작았다. 경성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성의 관문이 될 중심역을 만들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경부선·경원선·용산선이 만나는 용산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건설된데다, 도심에서 떨어져 있어 신 역사 건설에는 부적합하였다. 따라서 도심과 가까운 기존의 남대문정거장을 경성역으로 개량하기로 하여 1922년 역사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1월 1일 경성역으로 역명을 바꾸고 본격적인 경성부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쿄 역에 이은 동양 제2의 규모로 지어진 역사는 1925년 완공되었고, 이후 만주 방면의 국제 열차를 취급하는 등 한반도의 철도 교통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간이 역사 간이 역사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 공사 현장 경성역은 1945년 광복 이후 1947년에 현재의 역명인 서울역으로 개명하였고,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한민국의 최대 역으로 발돋움하였다. 1957년에는 서울역 서편에 경의선만 취급하는 서부역사를 신설하여 지역 주민들의 열차 이용을 도왔다. 1960 ~ 1970년대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여객 규모가 커져 기존 역사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송량을 보이게 되어, 서울 올림픽에 발맞춰 1988년에 서울역사와 서부역사를 연결하는 선상역사(한화그룹 계열 민자역사)를 준공하였다. 이 민자역사는 개장일 기준으로 한국 최초의 민자역사이다.[2] 이후 KTX 운행이 가까워 오자 다시 신규 민자역사(한화그룹 계열)를 착공, 2003년에 현재의 역사를 새로 건설하여 2004년 4월 1일에 KTX를 취급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경부선·호남선·전라선·장항선 등 모든 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4년 4월 1일 KTX가 개통된 이후 선로 용량의 문제로 모든 열차를 서울역에서 처리가 어렵게되어 호남·전라·장항선 열차는 용산역으로 여객 업무 취급을 이관하였다. 2009년 7월 1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 그리고 2010년 12월 29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 2단계 구간(김포공항 - 서울역)이 개통되어서 이 역은 3개의 전철 운행 계통이 다니는 역이 되었다. 연혁[편집] 일반 철도 1900년 7월 8일 : 경인선 노량진~경성 간 개통과 함께 남대문역(南大門驛)으로 영업 개시[3] 1921년 7월 11일 : 경의선 남대문~수색 간 개통[4] 1923년 1월 1일 : 경성역(京城驛)으로 역명 변경[5] 1925년 9월 30일 : 구 역사 준공 (현 문화역서울 284) 1947년 11월 1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57년 12월 30일 : 서부역사 준공 1988년 9월 12일 : 선상역사 (민자역사) 준공 1993년 5월 1일 : 유료휴게실 운영 개시[6] 1995년 7월 1일 : 유료휴게실 폐지[7] 2003년 11월 28일 : 현 민자역사 준공, 소재지 이전[8] 2004년 4월 1일 : KTX 운행 개시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 ~ 신창) 누리로 운행 개시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통근열차 운행 종료 (서울 ~ 도라산 구간에서 문산 ~ 도라산 구간으로 단축) 2013년 4월 12일 :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4일 : 평화열차 운행 개시 2014년 5월 12일 : 경부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6월 1일 : 경전선 ITX-새마을 운행 개시 2014년 10월 1일 :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2월 9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및 호남선, 전라선 KTX 운행 개시 2017년 2월 28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재개 2017년 12월 22일 : 강릉선 KTX 운행 개시 2018년 7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재개 도시 철도 및 광역 철도 1974년 8월 15일 : 서울역앞역으로 영업 개시 (출구 9개),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서울역~청량리) 1983년 9월 13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역명을 서울역(앞)역으로 결정[9] 1985년 1월 24일 : 서울역으로 역명 변경 1985년 10월 18일 :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 ~ 사당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출구 5개소를 추가 (출구 14개)[10] 2003년 : 1번 출구 폐쇄 (서울역 광장 환승 센터 건설로 인한 이설 작업) 2004년 : 1번 출구 이설 완료, 서울역과의 환승 통로 개통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2009년 7월 25일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장과 동시에 9-1번 출구 신설 (출구 15개) 2010년 12월 29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도심공항터미널 영업 개시 2011년 8월 16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착공 2015년 3월 28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환승 통로, 공항철도 서울역 15번 출구 개통 (출구 16개) 2017년 11월 28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전 (문화역서울 284) 구 역사 이전 및 영업 개시 역 구조[편집] 한국철도공사 승강장[편집] 개찰구는 2, 3층에 있으며 2층은 ITX-새마을·무궁화호, 3층은 KTX를 취급한다. KTX 개통 당시에는 확실히 구분하였으나, 승강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승강장은 15개로 동편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용 고상홈이며 나머지는 KTX 및 일반열차가 사용하는 저상홈이다. 1, 2번 승강장은 출퇴근 시간에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와 누리로가 운행하며 구역사 연결 승강장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천안, 신창 급행 승강장은 선로 끝 부분이 경인선 인천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처럼 끊어져 있다. 1번, 2번 승강장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연결되어 있다. 서부역 승강장은 원래 경의선 승강장이었으나 경의선 승강장이 옛 서울역 앞 승강장으로 이전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현재 경의선 승강장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2, 3·4번 승강장 방향으로 지하에는 일반열차 승강장과 연결된 지하 통로가 있다. 이전에는 일반열차 이용 후 지하 서울역과 연계되었으나 현재 열차내 판매용 식품을 관리하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된다. 당시 철도청 관할 수도권 전철 매표소가 있었으나, 신 역사 공사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의 운임 구역과 중첩되는 관계로 필요성이 사라져 폐쇄되었다. 그 당시 천안급행의 경우 지하철 서울역과 운임 구역이 분리되었으나 현재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3·4번 승강장의 통로는 2017년 3월에 새로 개통되었다.[11] ↑신촌 | | | | | | 경의 시·종착역 ↑행신(경의선 KTX)/시·종착역(경부선, 1호선 급행) 서 | | 14 13 | | 12 11 | | 10 9 | | 87 | | | 65 | | | 43 | | | 21 | | | 청량리(경원선)↓/용산(경부선)↓/금천구청(1호선 급행)↓ 경의 ● 경의·중앙선 일반열차 · 급행열차(서울-문산) 신촌 · 가좌 · 행신 · 대곡 · 일산 · 문산 방면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천안 · 신창) 금천구청 · 안양 · 군포 · 의왕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방면 3~10 경부선 KTX 부산 · 포항 방면 ITX-새마을 · 무궁화호 부산 ·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KTX · 무궁화호 진주 · 마산 방면 호남선 KTX 목포 방면 전라선 KTX · 남도해양열차 여수엑스포 방면 장항선 누리로 신창 방면 경의선 평화열차 용산 · 도라산 방면 경원선 백마고지 방면 충북선 · 영동선 무궁화호 · 중부내륙순환열차 제천 · 철암 방면 11·12 경부선 · 경전선 KTX · ITX-새마을 당역종착 13·14 강릉선 KTX 평창 · 강릉 방면 서부 미사용 구 경의중앙선 승강장(2017년 11월 28일까지 사용) 서울교통공사 승강장[편집] 1호선과 4호선 모두 대합실이 지하 1층,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시청 | 상 하 | 남영↓ 상행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동대문 · 종로3가 · 시청 방면 하행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 병점 · 구로 방면 4호선 승강장 회현↑ | 하 상 | ↓숙대입구 상행 ■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 · 한성대입구 · 창동 · 당고개 방면 하행 이촌 · 금정 · 산본 · 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편집] 기존 한국철도공사 역의 남서편에 위치하며, 기존 서울역사와도 연결되어 있다. 서울역 서부 출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 출구와 마주보고 있다. 지상 2층, 지하 7층 규모로, 일반 열차 및 직통 열차 승강장은 지하 7층에 있다. 고심도의 지하에 있어서 경부선 및 경의선 선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으며, 개통 초기 한국철도공사의 전산에는 공항서울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통합되었다. 지하 2층에 직통 열차용 개찰구 및 도심공항터미널이, 지하 3층에 일반 열차용 개찰구가 있다. 승강장은 2면 3선식 구조로, 1면 2선을 일반 열차와 직통 열차 종착이 이용하고, 인천공항2터미널역 방면 일반 열차 승강장이 마주보고 있는 나머지 1면 1선을 직통 열차가 이용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역사 건설로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이전되었다. 유동 인구가 많아 에스컬레이터도 병행 가동되고 있으나, 상당히 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합실에 있는 도심공항터미널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2019년 6월 30일부터)[12]만 취급한다. 탑승 수속 및 출국 심사를 거친 뒤에는 직통 열차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다. 카운터는 05:20 ~ 19:00까지 운영한다. 시·종착역(공항철도/AREX직통)   상 하       직 공덕(일반)↓/인천공항1터미널(AREX직통)↓ 상행 ■ 공항철도 일반열차 당역 종착[13] 하행 홍대입구 · 김포공항 · 검암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직통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당역 종착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대신 직통/일반으로 구분한다. 옛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편집] 구 서울역사(舊 서울驛舍) 대한민국의 사적 종목 사적 제284호 (1981년 9월 25일 지정)면적 2,964㎡시대 일제강점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청파로 426 (봉래동2가)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건립 당시의 서울역(당시 경성역) 전경 옛 서울역사의 설립 주체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였다. 남만주철도주식회사는 이 역이 일본 - 조선 - 만주를 잇는 국제적인 수준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일본 도쿄 - 시모노세키 사이는 일본 국철, 시모노세키 - 부산 사이는 부관연락선, 부산 - 신경(新京) 혹은 북경(北京) 사이는 직통 열차로 연결되며, 이 열차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로 연결되어 모스크바와 베를린까지 연결시키는 구상을 가졌다. 이러한 세계적인 교통망에서 경성역은 한반도의 현관이며, 식민지 경영의 관문이라는 역할이 부여되었다. 설계자는 도쿄 대학 교수이던 쓰카모토 야스시(塚本 靖)였다. 그는 도쿄역사를 설계한 바 있는 다쓰노 긴고(辰野 金吾)의 제자였다. 역사의 신축 추진은 조선총독부 철도국 공무과 건축계에서 담당하였다. 다만, 신축을 담당한 건축가는 명확하지 않다. 경성역은 1922년 6월 착공되어 1925년 9월 30일에 준공되었다. 원래는 1923년에 준공 예정이었으나, 일본 간토 대지진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도 일부 감액되었다. 건축 규모는 대지 면적 70,083평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6,631m²의 초대형 건축물이었으며, 동양 제 1역은 도쿄 역, 동양 제 2역은 경성역으로 불릴 정도의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이 건물 1층은 매표소를 겸하는 중앙홀, (조선인들이 사용하던) 3등대합실, (일본인들이 사용하던) 1, 2등 대합실, 부인대합실, 귀빈예비실, 귀빈실, 역장실, 2층은 식당과 사무실, 그리고 지하는 역무실로 사용되었다. 승강장은 지하에서 연결되었다. 1층 대합실 중앙에는 큰 홀이 있고, 그 상부 지붕에는 비잔틴 풍의 돔을 올렸다. 그 돔의 측면 반원형 아치 창으로부터 중앙홀 내부로 자연 광선을 끌어들여 밝은 홀 공간을 조성하였다. 철근 콘크리트조에 벽돌조로 마감했으며, 1층은 거친돌 마감식으로 처리하고, 상부 모서리와 개구부에는 돌을 사용하였다. 지붕은 철골조에 천연 슬레이트 마감이며, 일부 동판 이음을 하였다. 이 건물은 거대한 규모, 풍부한 장식과 정교한 상세를 자랑하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에서는 매우 진기한 건물이었다. 역사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으며, 수리 과정에서 중앙홀 천창(天窓)이 훼손되었다. 1958년 1월 기존 역사 남측에 새마을호 대합실이 증축되었다. 1988년 선상역사가 건설되어 많은 역무 기능이 옮겨갔고, 2003년 남측에 신 역사가 준공되어 옛 서울역사는 더 이상 역사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철도문화재단의 관할 하에 시네마테크를 비롯한 문화시설로 용도변경을 추진하였으나, 사적으로 지정된 서울역 건물이 한국철도공사 소유인 것은 부당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역사의 원형 보존을 위하여 한국철도공사에 소유권 이전을 요청하였다. 이에 2007년 7월 24일 관리 단체가 문화재청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5월 1일 문화체육관광부로 다시 바뀌었다.[14] 이후 2011년 8월 9일, 구 역사는 문화역서울 284라는 새 이름으로 개장하여, 이른바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되었다.[15] 문화역서울284 건물 내부는 건립 당시의 형식으로 복원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문화역서울 284의 자체기획프로그램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외부 대관행사의 경우에는 유료 행사의 경우도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하며,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 개방한다. 역 주변[편집] 서울역광장[편집] 서울역광장은 역 앞의 넓은 도보 거리를 일컫는다. 이 곳은 오래 전부터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5.15 서울역 집회가 있다. 역사 내부[편집] 롯데아울렛 서울역점 롯데마트 서울역점 피자헛 서울역점 계절밥상 서울역점 국군장병 라운지 TMO: 군인으로 하여금 인터넷 등 사용할 수 있는 휴게공간으로 1층 소재 코레일 라운지: 우리은행과 코레일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하여 등록한 IC카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휴대폰 충전, 음료, 간행물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2층 소재 중소기업마루 동쪽[편집] 서울역 동쪽 서울 중심부의 남서부이다.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시티타워 남대문교회 서쪽[편집]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경기여자상업고등학교 우리은행 만리동1가우편취급국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기념공원 만리동행정복지센터 만리동고개 소화아동병원 국립극단 승차량 변동[편집]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되어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이용객이 많으며, 대표적인 역으로 손꼽힌다.[출처 필요] 통일호는 KTX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일반열차[편집] 연도와 승하차방향 이용 인원[16] 경부선 경의·중앙선 KTX 새마을 무궁화 통일 총계 통일(통근) 2001년 하행 승차 미개통 3788985 8602006 138899 12529890 279261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4054445 9258021 153425 13465891 499348 2002년 하행 승차 3555498 7920088 125829 11601415 635919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837797 8694785 153425 12686007 855218 2003년 하행 승차 3264157 7388559 76985 10729701 963397 하차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시발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종착 종착 하차 3549812 8117821 92607 11760240 1355848 2004년 하행 승차 6088919 1681539 4101142 17128 11888728 1288230 하차 81 시발 6854 시발 6935 1284 상행 승차 0 종착 종착 종착 0 종착 하차 6117402 1783472 4144625 21314 12066813 1854197 2005년 하행 승차 9032639 885016 2374704 폐지 12292368 1642397 하차 114 3 32 158 160 상행 승차 2 종착 종착 2 종착 하차 9356211 901585 2142666 12400462 2344744 2012년 하행 승차 13515748 508758 3199192 폐지 하차 상행 승차 종착 종착 종착 하차 연도와 승하차 이용 인원[17] KTX 산천 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청춘 총계 2013년 승차 12681118 905585 500925 2882914 392818 3078 17366438 하차 13143852 696515 425613 2744054 517931 2736 17530701 수도권 전철[편집] 경의·중앙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며, 공항철도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의·중앙선 승차 미개통 4,237 [18] 하차 4,831 1호선 승차 48,010 49,333 49,003 47,651 52,717 55,832 57,231 57,360 62,913 56,897 [19] 하차 43,744 42,575 42,179 41,105 44,363 46,448 48,092 48,510 55,367 49,331 승하차 91,754 91,908 91,182 88,756 97,081 102,280 105,323 105,870 118,820 106,228 4호선 승차 11,983 10,904 11,030 10,685 9,332 8,150 7,665 7,802 7,458 7,735 하차 16,884 18,029 18,080 17,382 17,753 17,139 17,011 16,894 16,431 16,389 승하차 28,866 28,933 29,110 28,067 27,085 25,289 24,676 24,696 23,889 24,12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경의·중앙선 승차 5,504 6,141 6,212 5,672 5,944 3,169 2,332 2,861 3,087 [18] 하차 6,305 6,969 7,051 6,288 6,592 3,317 2,909 3,325 3,939 1호선 승차 61,297 72,495 73,127 73,855 74,092 63,945 62,913 58,795 55,251 [19] 하차 53,130 61,688 62,297 64,948 66,476 57,308 55,367 52,420 52,954 승하차 114,427 134,183 135,424 138,803 140,568 121,253 118,280 111,215 108,475 4호선 승차 9,284 10,917 10,839 10,932 10,946 11,170 12,171 12,365 13,242 하차 18,924 22,839 22,097 20,433 19,575 20,141 22,041 21,192 22,477 승하차 28,208 33,756 32,936 31,365 30,521 31,311 34,212 33,557 35,719 공항철도 승차 8,272 11,487 15,200 17,062 18,503 [20] 하차 8,285 12,292 16,164 17,856 19,130 인접한 역[편집] 경의본선 · 경부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행신 방면 KTX경부고속선 · 경부선경전선 · 동해선 광명부산 방면마산 · 포항 방면 경의본선 · 호남고속본선 행신행신 방면 KTX호남고속선 · 호남선전라선 용산목포 · 여수엑스포방면 경부본선 시·종착역 KTX경부선 영등포부산 방면 시·종착역 ITX-새마을경부선 · 경전선 · 동해선 영등포부산 · 진주 · 신해운대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장항선 영등포신창 방면 시·종착역 누리로충북선 영등포제천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부선 용산부산 방면 시·종착역 무궁화호경전선 영등포진주 방면 시·종착역 중부내륙순환열차 영등포철암 방면 시·종착역 남도해양열차 영등포여수엑스포 방면 시·종착역 ■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B급행 신창 급행 139 영등포[21]신창 방면 경부본선 · 경원본선 시·종착역 KTX강릉선 청량리강릉 방면 경의본선 문산도라산 방면 DMZ train경의선 용산용산 방면 P314 신촌문산 방면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급행 · 경의선 완행 시·종착역 서울 지하철 1호선 · 경부본선 132 시청소요산 방면광운대 방면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급행 · 경인선 완행경부선 완행 134 남영인천 방면서동탄 · 신창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 425 회현당고개 방면 ■ 수도권 전철 4호선급행 · 완행 427 숙대입구안산 · 오이도 방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공항철도 직통 시·종착역 A02 공덕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공항철도일반 시·종착역 사진[편집] 서울역의 전경 서울역의 야경 2005년의 서울역 서울역 3층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의 승강장 서울역 표 사는 곳 승차권 자동 발매기 옛 서울역 건물 야경 KTX 타는 곳 공항철도 일반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직통 열차 승강장 공항철도 역사 야경 공항철도 개찰구(지하 3층) 3, 4번 승강장에 있는 철도기점 2012년의 서울역 서울역 대합실 공항철도 역사간 출입구 인천국제공항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방향 9-1번 출구 공항철도 회차로와 전차선 서울역 1·4호선-공항철도 환승통로 서울역 지하철-지상역사 직통 개찰구 2016년 4월 서울역 출입구 같이 보기[편집] 서울역 압사 사고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각주[편집] ↑ 장항선의 경우 2016년 12월 8일까지 누리로 열차를 투입 운용하면서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였다. ↑ 개장일이 아닌 민자역사 회사 설립일 기준으로는 영등포역이 최초의 민자역사이다. ↑ “기차전통 경인철도합자회사” (PDF). 《황성신문》. 1900년 7월 6일. 2017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4일에 확인함.  ↑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 1921년 7월 7일. ↑ 역명개칭고시, 《동아일보》, 1922.12.29.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1993년 4월 17일.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1995년 6월 17일. ↑ 중구 한강대로 405 (봉래동2가 122-21) →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로 이전함 ↑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1983년 9월 13일. ↑ 地下鐵(지하철)3.4호선 완전開通(개통), 동아일보, 1985년 10월 18일 작성. ↑ 서울역서 KTX 내려 바로 지하철 탄다…승강장에 '환승통로' 설치. 연합뉴스. 2017년 3월 23일. ↑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 진에어 입주…30일부터 탑승수속 서비스 - 아시아경제, 박혜숙 ↑ 직통열차도 이곳에서 종착한다. ↑ 대한민국관보 문화재청고시 제2008-37호, 2008년 5월 1일. ↑ 이광형 (2011년 8월 9일). “옛 서울역 건물, 복합문화공간 탈바꿈… 문화역서울 284’로 개관”. 국민일보.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철도통계연보”. 2013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8월 25일에 확인함.  ↑ “보관 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 상행선만 정차하며 하행선 다음역은 금천구청역이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서울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서울역 공항철도 서울역 서울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 KTX 서울역(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서울역vdehKTXKTX 경부선경부고속선 계통행신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경부선 계통서울 ~ 수원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신경주 - 울산 - 부산행신 ~ 구포 ~ 부산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동해선 계통행신 ~ 포항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경전선 계통행신 ~ 진주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KTX 호남선호남고속선 계통행신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호남선 계통행신 ~ 서대전 ~ 목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전라선 계통행신 ~ 여수엑스포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용산 ~ 서대전 ~ 여수엑스포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KTX 강릉선경강선 계통서울 ~ 강릉서울 - 청량리 - 상봉 - 양평 - 만종 - 횡성 - 둔내 - 평창 - 진부(오대산) - 강릉 vdehITX-새마을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서울 ~ 신해운대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경전선 계통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중앙선 계통청량리 ~ 영주청량리 - 양평 - 용문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vdeh무궁화호경부선 계통서울 ~ 부산서울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호남선 계통용산 ~ 목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광주 ~ 목포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충북선 계통동대구 ~ 영주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사곡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경전선 계통부전 ~ 목포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서울 ~ 진주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용산 ~ 순천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서광주 - 효천 - 화순 - 능주 - 이양 - 보성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순천 ~ 광주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광주장항선 계통용산 ~ 익산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전라선 계통용산 ~ 여수엑스포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동해선 계통포항 ~ 순천포항 - 안강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포항 ~ 영덕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동대구 ~ 포항동대구 - 하양 - 영천 - 건천 - 서경주 - 경주 - 안강 - 포항동대구 ~ 부전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중앙선 계통청량리 ~ 부전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단양 - 희방사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서경주 - 경주 - 불국사 - 호계 - 태화강 - 덕하 - 남창 - 월내 - 좌천 - 기장 - 송정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영동선 계통강릉 ~ 부전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호계 - 태화강 - 남창 - 좌천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강릉 ~ 동대구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경북선 계통강릉 ~ 부산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예천 - 개포 - 용궁 - 점촌 - 함창 - 상주 - 청리 - 옥산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구포 - 사상 - 부산태백선 계통청량리 ~ 강릉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동화 - 만종 - 원주 - 반곡 - 신림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 묵호 - 정동진 - 강릉 vdeh누리로호남선 계통용산 ~ 광주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평택 - 성환 - 천안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충북선 계통대전 ~ 제천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서울 ~ 제천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제천장항선 계통서울 ~ 신창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vdeh남도해양열차 (S-train)부산 ~ 보성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서울 ~ 여수엑스포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수엑스포 vdeh평화열차 DMZ train (DMZ train)용산 ~ 도라산용산 - 서울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vdeh한국철도공사 경부본선서대문 - 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박람회)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안양풀장)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소정리* - 전의 - 전동* - 서창* - 조치원 - 내판* - 부강 - 매포* - 신탄진 - 회덕* - 대전조차장*(오정) - 대전 - 세천* - 증약 - 옥천 - 가풍 - 이원 - 지탄 - 심천 - 각계 - 영동 - 미륵 - 황간 - 추풍령 - 신암* - 직지사* - 김천 - 금오산 - 대신* - 아포* - 구미 - 사곡 - 약목 - 왜관 - 연화* - 신동 - 지천* - (서대구화물)1 - 대구 - 동대구 - 고모* - 가천* - 경산 - 삼성* - 남성현 - 청도 - 신거* - 상동 - 대성 - 밀양 - 미전*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진* - 초량 - 부산 - 부산잔교* : 정기 여객 영업 없음,   : 폐역, 1. 미개통역. 영업거리표 미등재. vdeh한국철도공사 경의본선서울 - 서소문 - 아현리 - 신촌 - 가좌 - 디지털미디어시티 - 수색 - 화전 - 강매 - 행신 - 능곡 - 대곡 - 곡산 - 백마 - 풍산 - 일산 - 탄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¹ - 장단² ³  : 폐역. ¹ :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위치. ² : 군사 분계선에 위치. ³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부선 직결. vdeh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본선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화전 - 수색 - 디지털미디어시티 - 가좌 - 신촌 - 서울용산선- 가좌 - 홍대입구 - 서강대 - 공덕 - 효창공원앞 - 용산 -경원본선-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중앙본선- 청량리 - 회기 - 중랑 - 상봉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vdeh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회기 -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 - 제기동 - 신설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로3가 - 종각 - 시청 - 서울역 -경부―장항선서울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두정 - 천안 - 봉명 - 쌍용 - 아산 - 배방 - 온양온천 - 신창경인선-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인천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경부고속선- 금천구청 - 광명 vdeh수도권 전철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 - 사당 - 남태령과천선-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안산선-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vdeh인천국제공항철도인천국제공항선서울 - 공덕 - 홍대입구 - 디지털미디어시티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계양 - 검암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운서 - 공항화물청사 - 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용유차량기지선- 인천공항1터미널 - 용유차량기지용유차량삼각선- 인천공항2터미널 - 용유차량기지 vdeh 서울특별시의 교통공원 | 교통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철도일반철도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경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수서고속철도 수도권 전철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경춘선 ● 우이신설선 역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 수서역 상봉역 왕십리역 옥수역 교량 한강철교 당산철교 동작대교 동호대교 청담대교 잠실철교 마곡철교 도로고속도로 경부 (1) () 서해안 (15) 평택파주 (17) 세종포천 (29) 서울양양 (60) 서울외곽순환 (100) 경인 (120) 인천국제공항 (130) 용인서울 (171) 나들목·분기점 양재 나들목 헌릉 나들목 금천 나들목 신월 나들목 김포공항 나들목 송파 나들목 상일 나들목 중랑 나들목 강일 나들목 88 분기점 소하 분기점 강동 나들목 강서 나들목 국도 1호 3호 6호 43호 46호 47호 48호 77호 국가지원지방도 23호 78호 시내간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남부순환로 경부간선도로 강남순환로 특별시도 20호 21호 () 30호 31호 41호 () 50호 51호 60호 61호 70호 71호 88호 90호 92호 94호 터널 관악 구기 구룡 국사봉 낙성대 궁동 금화 남산1 남산2 남산3 동망봉 매봉 방화 봉천 북악 불암산 사직 산복 삼청 상도 서리풀 서초 수락산 신림-봉천 오패산 용마 우면산 월드컵 위례 은평 일원 자하문 작동 정릉 호암 홍지문 화곡 고가도로 가리봉 강남터미널 개봉 광명 광희 구로 금천 남산관광 노들 노량진 노량진수원지 도림 도림천 동선 떡전 모래내 미아 문래 봉원 사당 삼각지로터리 삼각지 서대문 서빙고 서소문 서울역 선유 성산 수산시장 수출의다리 신설 아현 압구정 약수 영동대교북단 영등포 영등포역 오류 옥수 욱천 원남 이문 이수 이촌 청계 한강 한남1 한남2 현저 혜화 화곡 화랑 홍제 화양 회현 교량 행주대교 방화대교 가양대교 월드컵대교 성산대교 양화대교 서강대교 마포대교 원효대교 한강대교 동작대교 반포대교·잠수교 한남대교 동호대교 성수대교 영동대교 청담대교 잠실대교 올림픽대교 천호대교 광진교 구리암사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 고개 박석고개 (의주권) 산골고개 (의주권) 미아리고개 (북부권) 망우리고개 (동부권) 남태령고개 (서남권) 달래내고개 (경부권) 버스시내버스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 순환버스, 맞춤버스 심야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환승센터 개화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구파발역 도봉산역 서울역 여의도 천왕역 청량리역 잠실 고속·시외 서울경부 센트럴(서울호남) 동서울 상봉 서울남부 김포공항 가락시장 수유리 잠실 장지역 동대문 마장동 서울서부 신촌 버스전용차로 버스전용차로 청라~화곡 버스전용차로 기타항공 김포국제공항 서울공항 여의도공항 인천국제공항* 한국도심공항 교통카드 티머니 레일플러스 캐시비 요금제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 표시는 서울특별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인천광역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서울역&oldid=24510511" 분류: 경부선경의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4호선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 용산구의 건축물서울 용산구의 교통서울특별시의 철도역서울 중구의 전철역서울 용산구의 전철역수도권 전철 환승역한국고속철도 정차역1900년 개업한 철도역2010년 개업한 철도역공항 터미널숨은 분류: 위키데이터에 있는 좌표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출처가 필요한 글출처가 필요한 글/2015년 8월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BislamaDeutschEnglishEspañolFrançais客家語/Hak-kâ-ngîMagyarInterlinguaIdoItaliano日本語NorskPolskiРусскийBasa SundaไทยTürkçeУкраїнськаTiếng Việt吴语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7월 1일 (월) 20:22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서울역(Seoul station, 서울驛)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와 중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의선의 기점이며 경부고속철도와 경부선 계통의 열차가 출발하는 중추역 기능을 하고 있다. 동광장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서광장 지하로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통과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현재 사용 중인 역사는 2003년 12월에 개장한 민자역사이며, 민자역사 이전에 사용하던 1925년에 건설된 역사 건물은 문화역서울 284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다. 구 민자역사는 2004년부터 롯데마트 서울역점이 입주해 영업중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서울역 주변 동쪽에는 어떤 시설이 있는가? Assistant: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구 서울역사 (문화역서울 284) 서울남대문경찰서 남대문시장 숭례문 서울스퀘어 주한 독일 대사관 서울로 7017 LG이노텍 본사 밀레니엄서울힐튼호텔 후암동행정복지센터 후암동우체국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대우재단 빌딩 서울시티타워 남대문교회 Human: 아래 나_홀로_집에_3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나 홀로 집에 3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나 홀로 집에 3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나 홀로 집에 3Home Alone 3 감독 라자 고스넬 제작 존 휴스 각본 존 휴스 출연 알렉스 D. 린즈올렉 크루파리아 킬스테트케빈 킬너스칼렛 요한슨 배급사 20세기 폭스 개봉일 1997년 12월 12일 1998년 7월 17일 시간 105분 언어 영어 제작비 3,200만 달러 수익 $79,082,515 《나 홀로 집에 3》(영어: Home Alone 3)는 1997년 미국의 크리스마스 코미디 영화이다. 존 휴스가 각본를 쓰고 제작을 맡았고, 라자 고스넬가 감독하였다.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속편이지만 맥컬리 컬킨이나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가 참여하지 않은 첫 번째 작품이다. 기존의 맥컬리 컬킨이 연기한 주인공 역할에는 알렉스 D. 린즈가 캐스팅 되었으며 이 영화는 감독 마저 바뀌어 라자 고스넬이 감독하였으며, 속편은 2002년 텔레비전 영화 나 홀로 집에 4가 잇는다. 기존의 나홀로 집에 1~2편과는 완전히 다른 아이디어로 시작하였으며, 10대 인물로 어떻게든 맥컬리 컬킨을 캐스팅 하려 했으나 성사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인물을 중점으로 완전히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로 하여 기존의 아이디어를 변경하였다. 단 집의 배경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그대로 등장한다. 목차 1 줄거리 2 출연진 3 성우진 3.1 MBC 3.2 SBS 4 외부 링크 줄거리[편집] 미국 국방부는 어떤 국제 범죄 조직에 의해서 일급 기밀 컴퓨터 칩을 도난당한다. 전 세계적으로 전문적이고 무자비한 절도 행위를 자행해온 국제 범죄 조직이 블랙 마켓에서 이 컴퓨터 칩을 대가로 천만 달러를 요구하고 있다. 이 무자비한 범죄 조직의 악당들은 홍콩에 있는 블랙 마켓의 대장을 찾아가 돈을 요구했다. 대장은 컴퓨터 칩을 찾아온다면 돈을 줄 것을 약속했고 48시간 이내에 컴퓨터 칩을 찾아오라고 했다. 이에 악당들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그 작지만 중요한 컴퓨터 칩을 찾아오기로 하였고 비행기를 타고 미국으로 갔다. 무사히 미국에 도착했고 캘리포니아 주 실리콘벨리에 있는 악당들의 비밀 요새에 숨겨둔 컴퓨터 칩을 찾아서 다시 홍콩으로 되돌아가려고 비행기를 타기 위해 샌프란시스코 국제 공항역에 머무르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겨버렸으니. 공항역에서 보안 검색대 직원들을 지나치게 의식하다보니 무선 조종 자동차에 숨긴 컴퓨터 칩을 잊어버리게 되었고, 대신 악당들 앞에는 빵이 들어있는 어떤 가방과 바뀌게 되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아낸 악당들은 서로 흩어져 주변을 수색해 봤지만 헛수고였다. 악당들은 다 된 밥에 죽을 쒀버린 꼴을 당해 절망적인 상태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기적적으로 악당의 대장인 피터가 어떤 할머니에 의해서 컴퓨터 칩이 있는 무선 조종 자동차가 담겨진 가방이, 그 할머니의 물건과 바뀌어 버린 것을 알아채고, 그 할머니가 시카고로 향하는 것까지 알아챈다. 피터는 악당들에게 시카고로 갈 것을 제안했고, 결국 그 컴퓨터 칩을 다시 되찾기 위해서 시카고로 가는 비행기를 탄다. 악당들은 시카고에 도착하여 공항역 주변을 뒤져가면서 다시 그 할머니를 추적한다. 그러나 할머니는 공항역 안에 있는 자동차를 타고 공항역 밖으로 나갔기 때문에 결국 뛰면서 추적하는 악당들의 손에 벗어나 무사히 택시를 탈 수 있었다. 하지만 악당들 중 버튼이 소형 카메라를 이용해서 할머니가 탑승한 택시 번호를 찍는 데 성공했다. 늦은 밤에 악당들은 공항역에서 할머니의 집까지 태워준 그 택시 기사를 찾아내었고 택시 기사에게 질문하여 할머니의 집을 알아낸다. 그런데 막상 할머니 집에 도착했을 때는 마을 전체의 가정들이 모두가 택시 기사가 묘사한 집과 똑같았다. 이제부터 네 명의 능숙한 고도의 훈련으로 무장한 국제 범죄자들은 컴퓨터 칩을 찾기 위한 계획적이고 치밀한 수색작업에 들어가는데 경찰과 군대와 FBI도 이들의 작전을 막을 수 없다. 알렉스 프루이트는 상상력이 풍부한 8살짜리 꼬마이다. 가족 모두는 일을 하느라 집을 비우게 되고, 수두를 앓고 집에 혼자 남겨진 알렉스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동네를 망원경으로 관찰하던 중 수상한 사람들을 발견하고 이들의 음모에 대응하기로 결심하게 된다. 출연진[편집] 알렉스 D. 린즈 - 알렉스 프루이트 역 올렉 크루파 - 피터 보프레 역 리아 킬스테트 - 앨리스 리번스 역 레니 본 돌린 - 버튼 저니건 역 데이비드 손턴 - 얼 엉거 역 세스 스미스 - 스탠 프루이트 역 하빌랜드 모리스 - 캐런 프루이트 역 매리언 셀데스 - 헤스 부인 역 케빈 킬너 - 잭 프루이트 역 스칼렛 요한슨 - 몰리 프루이트 역 성우진[편집] MBC[편집] 윤성혜 - 알렉스 프루이트(알렉스 D. 린즈) 이윤연 - 피터 보프레(올렉 크루파) 박영희 - 앨리스 리번스(리아 킬스테트) 권혁수 - 버튼 저니건(레니 본 돌린) 김강산 - 얼 엉거(데이비드 손턴) 전임복 - 헤스 부인(매리언 셀데스) 김용준 - 잭 프루이트(케빈 킬너) 최수진 - 캐런 프루이트(하빌랜드 모리스) 손원일 김영선 엄현정 고성일 김서영 김지영 이자옥 이상훈 최한 표영재 SBS[편집] 이선호 - 알렉스(알렉스 D. 린즈) 이윤선 - 보프레(올렉 크루파) 강희선 - 앨리스(리아 킬스테트) 성완경 - 제니건(레니 본 돌린) 김수중 - 웅거(데이비드 손턴) 이근욱 송연희 기경옥 최문자 조경모 윤복성 소연 김정은 외부 링크[편집]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영어) 나 홀로 집에 3 – 올무비 vdeh나 홀로 집에영화 나 홀로 집에 (1990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3 (1997년) 나 홀로 집에 4 (2002년) 나 홀로 집에 5 (2012년) 음악 Home Alone (1991년) Home Alone 2: Lost in New York (1992년) Home Alone Christmas (1997년) 비디오 게임 나 홀로 집에 (1991년) 나 홀로 집에 2 (1992년) 나 홀로 집에 (2006년) 관련 주제 존 휴즈 매콜리 컬킨 토크보이 vdeh존 휴스감독 아직은 사랑을 몰라요 (1984) 조찬 클럽 (1985) 신비의 체험 (1985) 페리스의 해방 (1986) 자동차 대소동 (1987) 결혼의 조건 (1988) 아저씨는 못말려 (1989) 내 사랑 컬리 수 (1991) 작가·각본가 별난 학교 동창회 (1982) 미스터 마마 (1983) 휴가 대소동 (1983) 네이트와 헤이스 (1983) 휴가 대소동 - 유럽 (1985) 핑크빛 연인 (1986) 사랑시대 (1987) 야외 소동 (1988) 크리스마스 대소동 (1989) 나 홀로 집에 (1990) 백마 타고 휘파람 불고 (1991) 귀여운 악마 (1991) 베토벤 (1992) 나 홀로 집에 2 (1992) 개구쟁이 데니스 (1993) 베이비 데이 아웃 (1994) 34번가의 기적 (1994) 101 달마시안 (1996) 플러버 (1997) 나 홀로 집에 3 (1997) 원나잇 크라임 (1998) 비지터 3 - 저스트 비지팅 (2001) 러브 인 맨하탄 (2002) 드릴빗 테일러 (2008)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나_홀로_집에_3&oldid=22329943" 분류: 1997년 영화미국의 영화 작품영어 영화 작품속편 영화나 홀로 집에크리스마스 영화미국의 범죄 코미디 영화시카고를 배경으로 한 영화20세기 폭스 영화감독 데뷔 영화미국의 코미디 영화미국의 첩보 영화숨은 분류: 영어 표기를 포함한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العربيةAzərbaycancaБългарскиবাংলাCatalàČeštinaDanskDeutschEnglishEspañolEestiفارسیSuomiFrançaisGalegoעבריתहिन्दीMagyarՀայերենBahasa IndonesiaÍslenskaItaliano日本語LatviešuNederlandsNorskPolskiPortuguêsRomânăРусскийScotsSimple EnglishСрпски / srpskiSvenskaTürkçeУкраїнськаOʻzbekcha/ўзбекчаTiếng Việt中文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8년 9월 11일 (화) 19:3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나 홀로 집에 3》(영어: Home Alone 3)는 1997년 미국의 크리스마스 코미디 영화이다. 존 휴스가 각본을 쓰고 제작을 맡았고, 리자 고스넬가 감독하였다. 나 홀로 집에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속편이지만 맥컬리 컬킨이나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이 참여하지 않은 첫 번째 작품이다. 기존의 맥컬리 컬킨이 연기한 주인공 역할에는 알렉스 D. 린즈가 캐스팅 되었으며 이 영화는 감독 마저 바뀌어 라자 고스넬이 감독하였으며, 속편은 2002년 텔레비전 영화 나 홀로 집에 4가 잇는다. 기존의 나홀로 집에 1~2편과는 완전히 다른 아이디어로 시작하였으며, 10대 인물로 어떻게든 맥컬리 컬킨을 캐스팅 하려 했으나 성사 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인물을 중점으로 완전히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로 하여 기존의 아이디어를 변경하였다. 다만 집의 배경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그대로 등장한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SBS의 나 홀로 집에 3 한글 더빙에서 성우 성완경이 맡은 배역은 무엇인가? Assistant: 제니건
Human: 아래 새우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새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새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우(Shrimp)는 절지동물문·갑각아문·연갑강·십각목(새우목) 중 게(단미류)나 소라게(이미류) 등을 제외한 동물의 총칭이다. 굽은 등에 수염이 길고 발이 여러 개 있으며, 딱딱한 껍질 속에 흰 살이 들어 있는, 물에 사는 작은 동물이다. 예전에는 장미아목(長尾亞目, Macrura)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대부분 범배아목 생이하목과 수상새아목에 속한다. 새우는 전 세계에 걸쳐 민물과 바닷물에 서식한다. 평소에는 앞으로 헤엄치지만, 지느러미처럼 생긴 꼬리채를 재빨리 휘둘러 뒤로 헤엄칠 수도 있다. 보리새우와 더불어, 인간의 소비를 위해 잡히고 사육된다. 새우의 크기는 작게는 1~2cm이고, 크게는 20~30cm이다. 목차 1 형태 2 생활사 3 새우와 사람 4 새우에 관한 속담 5 같이 보기 6 참고 문헌 7 외부 링크 형태[편집] 유럽갈색새우(Crangon crangon)의 구조 새우의 몸은 게와 마찬가지로 키틴질을 포함하는 단단하고 뻣뻣한 갑각으로 싸여 있고, 여러 개의 몸마디로 되어 있다.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와 가슴은 융합하여 등딱지를 이룬다. 등딱지는 석회질화한 껍데기로 싸여 있는데 이 껍데기를 갑각(甲殼)이라 한다. 갑각은 머리 부분의 뒷가장자리 피부에서 나오는 주름에서 발생한 것이다. 눈마디를 하나의 몸마디로 보면 머리는 6마디, 가슴은 8마디, 배는 7마디로 몸 전체가 21마디로 되어 있다. 각 몸마디에는 한 쌍의 부속지(附屬肢)가 있고 배는 잘 발달되어 있다. 배갑 앞쪽에 하나의 이마뿔이 있는데, 이마뿔은 움직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움직이는 것도 있다. 각 마디는 각각 독립된 껍데기로 싸여 있고, 관절로 연결되어 자유로이 굽혔다 펼 수 있다. 각 모마디에 있는 1쌍씩의 부속지는 부위에 따라 형태와 기능상의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 머리 부속지로는 눈·작은더듬이·더듬이·큰턱·제1작은턱·제2작은턱 등이 있는데, 눈은 보통 한 쌍이며 눈자루와 그 끝에 있는 각막으로 되어 있다. 각막은 투명한 큐티클 층으로 겹눈을 덮고 있다. 몸 속에 호흡계·소화계·순환계·배설계·신경계·감각 기관·근육계 등 여러 가지 기관계가 들어 있다. 호흡계를 이루는 것은 아가미인데, 이것은 가슴다리의 기부에 있으며, 갑각에 덮인 아가미방 안에 들어 있다. 아가미는 구조상 나무 모양 아가미, 실 모양 아가미, 잎 모양 아가미로 구분된다. 소화계로는 입·식도·위·중장·직장·항문 등이 있다. 중장의 배쪽에 간·이자의 관이 열려 있고, 등쪽에 맹장이 열려 있다. 간·이자에서 나오는 소화액은 먹이에 섞이며, 소화 생산물은 중장에서 흡수된다. 새우는 자랄 때마다 낡은 껍데기를 벗고 새 갑각으로 갈아입는 탈피를 한다. 탈피를 하면 잃어버린 부속지도 새로 난다. 새우의 감각 기관으로는 눈·평형포·감각털 등이 있다. 생활사[편집] 생식과정은 교미, 수정과 산란, 포란, 유생의 부화와 그 후의 발생 등으로 구분된다. 알은 산출되면 암컷의 배다리에 붙게 되는데 이것을 포란이라 한다. 갓 부화한 새끼는 다리가 달린 아주 작은 조롱박처럼 보이는데 2-4주가 지나면 몇 차례 변화를 거쳐 성체를 축소시켜 놓은 듯한 모습이 된다. 크기가 작은 새우는 대부분 플랑크톤을 먹는다. 또 몸집이 큰 새우는 바다 바닥에 사는 것을 먹는다. 또 새우들은 물고기와 물 속에 사는 다른 동물의 중요한 먹이가 된다. 어떤 새우는 물고기의 아가미와 입, 비늘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잡아먹어 청소부 역할을 한다. 운동기관은 가슴다리·배다리·배 전체이다. 유영류에서는 배다리를 움직여 헤엄쳐 다니고, 파행류에서는 가슴다리로 걷는다. 보통은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지만 위급할 때는 배를 굽혔다 폈다 하면서 재빨리 후퇴하는 습성이 있다. 계절에 따라 회유하는 것이 있는데, 여름철에는 연안이나 얕은 곳으로, 겨울철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산란을 위해 이른 봄 또는 여름에 연안·내만·내해의 얕은 곳으로 오는 것도 있다. 새우와 사람[편집] 새우구이. 바닥에 소금을 깔고 굽는 모습이다.새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어 세계 각국에서 귀중한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물사료나 낚시미끼로도 쓰인다. 한국 연해와 민물에서는 약 80종의 새우류가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서 잡히는 새우의 약 1/3이 아시아에서 잡히며 양식을 하기도 한다. 새우의 요리법은 다양하여 삶아 말려서 먹기도 하고 튀김으로 먹기도 하고 새우젓을 만들기도 한다. 꿍솟 섀 남쁘라. 태국의 새우요리이다. 새우에 관한 속담[편집]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강한 사람들끼리 싸우는 속에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보는 경우) 새우로 잉어를 잡는다(작은 투자로 큰 횡재를 했을 경우) 새우 벼락 맞던 이야기를 한다(지난 일을 공연히 꺼내 쓸데없는 이야기를 할 때) 같이 보기[편집] 크릴 참고 문헌[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새우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영어) 새우의 정의 (어린이용) - Curlie (DMOZ 기반) (영어) 새우의 생물학적 설명 - Curlie (DMOZ 기반) (영어) 새우 요리법 - Curlie (DMOZ 기반) vdeh현존하는 십각목의 상과 계: 동물계 상문: 탈피동물상문 문: 절지동물문 아문: 갑각아문 강: 연갑강 아강: 진연갑아강 상목: 진하상목 수상새아목 보리새우상과 젓새우상과 범배아목해로새우하목 마크로막실로카리스과 스퐁기콜라과 해로새우과 프로카리스하목 프로카리스상과 생이하목 돗대기새우상과 오플로포루스상과 새뱅이상과 브레실리아상과 네마토카르키누스상과 프살리도푸스상과 긴손가락새우상과 캄필로노투스상과 징거미새우상과 딱총새우상과 짧은뿔새우상과 도화새우상과 피세토카리스상과 자주새우상과 가재하목 암초가재상과 가시발새우상과 가재상과 남방가재상과 글립페아하목 글립페아상과 가재아재비하목 가재아재비과 쏙붙이과 칼리아니데아과 칼로카리스과 크테노켈레스과 에이코낙시우스과 미켈레아과 스트라락시우스과 토마시니아과 쏙하목 악시아나사과 가재붙이과 탈라시나과 쏙과 닭새우하목 닭새우과 꼬마매미새우과 폴리켈레스하목 폴리켈레스과 집게하목 아이글라상과 새우아재비상과 새우붙이상과 게가재상과 왕게상과 로미스상과 참집게상과 단미하목해면치레절 해면치레상과 호몰로드로미아상과 호몰라상과 닭게절 닭게상과 키클로도립페절 키클로도립페상과 에우브라키우라절헤테로트레마타아절 아이트라상과 벨리아상과 비토그라이아상과 금게상과 은행게상과 붉은무늬부채게상과 털게상과 긴수염게상과 다이라상과 조개치레상과 에리피데스상과 게카르키누쿠스상과 원숭이게상과 헥사푸스상과 밤게상과 물맞이게상과 범게상과 팔리쿠스상과 자게상과 애기털보부채게상과 꽃게상과 포타몬상과 프세우도텔푸사상과 프세우도지우스상과 레트로플루마상과 산호게상과 트리코닥틸루스상과 부채게상과 토라코트레마타아절 크립토키루스상과 바위게상과 달랑게상과 속살이게상과 십각류의 과 목록 vdeh고기 본문  사냥감 : 생선 : 고기 : 가금 : 해산물 가금류와 사냥 고기 곰 닭 오리 칠면조 거위 꿩 뇌조 타조 기러기 메추라기 자고새 비둘기 박쥐 원숭이 토끼 사슴 캥거루 뱀 거북 기각류 앨리게이터 크로커다일 가축 소와 송아지 들소 물소 개 고양이 낙타 코끼리 염소 기니피그 말 양 라마 돼지 야크 곤충 생선과 해산물 게 가재 바닷가재 새우 멸치 베트남메기 배스 메기 잉어 대구 검정우럭 돌고래 장어 가자미 참바리 해덕 넙치 청어 대서양고등어 참고등어 만새기 돛새치 젖빛고기 납작금눈돔 꽁치 농어 민물꼬치고기 폴록 연어 정어리 납서대 황새치 틸라피아 송어 다랑어 명태 성게 해삼 멍게 고래 상어 조리법 간 숙성 구이 고기완자 내장 마른고기 바비큐 베이컨 살라미 살루메 소시지 스테이크 스튜 양념장 연육화 염장 염장고기 육회 생육회 절임 조림 찜 촙 커틀릿 케밥 콘드 비프 타르타르 스테이크 튀김 패티 페퍼로니 퐁뒤 해기스 햄 훈제고기 관련 주제 정육점 식인 배양육 식물성 고기(육류 유사체) 고기 절단기 식육 윤리 식품 보존 도축 적색육 백색육 전거 통제 LCCN: sh85122129 GND: 4155967-8 NDL: 00561762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새우&oldid=24455441" 분류: 십각목해산물식용 갑각류숨은 분류: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From 변수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위키데이터 생물 분류 ID가 없는 생물 분류 식별자 문서생물 분류가 아닌 잠재적인 문서의 생물 분류 식별자LCCN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GND 식별자를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다른 프로젝트 위키미디어 공용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AcèhবাংলাBrezhonegCatalàᏣᎳᎩTsetsêhestâheseکوردیDanskDeutschEnglishEspañolEuskaraفارسیSuomiFøroysktFrançaisGaeilgeGalegoBahasa IndonesiaItaliano日本語LatinaNouormandOccitanPortuguêsRomânăSicilianuSimple EnglishKiswahiliไทยTiếng ViệtWalonVahcuengh中文文言粵語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6월 20일 (목) 15:2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새우(shrimp)는 절지동물문·갑각아문·연갑강·십각목(새우목) 중 게(단미류)나 소라게(이미류) 등을 제외한 동물의 총칭이다. 굽은 등에 수염이 길고 발이 여러 개 있으며, 딱딱한 껍질 속에 흰 살이 들어 있는, 물에 사는 작은 동물이다. 예전에는 장미아목(長尾亞目, macrura)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대부분은 범배아목, 생이하목과 수상새아목에 속한다. 새우는 전 세계에 걸쳐 민물과 바닷물에 서식한다. 평소에는 앞으로 헤엄치지만, 지느러미처럼 생긴 꼬리채를 재빨리 휘둘러 뒤로 헤엄칠 수도 있다. 보리새우와 더불어, 인간의 소비를 위해 잡히고 사육된다. 새우의 크기는 작게는 1~2cm이고, 크게는 20~30cm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작은 크기의 새우는 주로 무엇을 먹이로 먹는가? Assistant: 플랑크톤 Human: 아래 충청대학교에 대한 위키백과 페이지를 간략하게 요약하시오. 충청대학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충청대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충청대학교Chung Cheong University표어 성실·협동·창의 종류 전문대학설립 1983년종교 무교총장 오경나설립자 오범수학교법인 학교법인 충청학원학생 수 4,778명 (2017년)[1]교직원 수 전임교원: 131명 (2017년)[1]기타교원: 330명 (2017년)[1]국가 대한민국위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월곡길 38교색 초록색웹사이트 충청대학교 홈페이지 충청대학교의 위치 충청대학교(忠清大学校, Chung Cheo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사립 전문대학이다. 1983년 충청실업전문대학이라는 이름으로 개교하여 1998년에 충청대학으로 개명하고, 2012년에 현재 충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목차 1 연혁 2 교육 편제 3 저명한 동문 4 각주 5 외부 링크 연혁[편집] 1981년 6월 29일 학교법인 충청학원 교육부 인가 1983년 3월 16일 충청실업전문대학으로 개교 1990년 11월 13일 충청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8년 5월 1일 충청대학으로 교명 변경 1999년 3월 17일 사회교육원 개원 2000년 1월 31일 창업보육센터 개원 2000년 10월 13일 컨벤션센터 준공 2003년 6월 4일 여학생 생활관 준공 2004년 8월 24일 문예관(아트홀) 준공 2012년 2월 1일 충청대학교로 교명 변경 교육 편제[편집] 자연과학계열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간호학과 응급구조과 의료미용과 치위생과 식품영양외식학부 식품영양전공 식품전공 호텔외식조리전공 미용예술과 보건의료정보과 식의약품분석과 안경광학과 건축인테리어학부 건축전공 인테리어디자인전공 전기전자학부 반도체장비전공 전기전공 항공자동차기계학부 기계설계전공 자동차전공 항공기계전공 군사학부 국방기술경영전공 국방정보통신전공 전자컴퓨터학부 전자통신전공 컴퓨터정보전공 생명화공과 소방안전과 도시건설정보과 품질경영과 항공보안과 경찰행정과 아동보육과 유아교육과 경영회계학부 경영전공 회계전공 항공호텔관광학부 일본어통역전공 항공관광전공 호텔바리스타전공 사회복지과 부동산지적과 한중비즈니스과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전공 패션디자인전공 예술학부 방송광고제작전공 실용음악전공 사회체육과 굵은 글씨는 4년제 학사학위과정이 가능하다. 저명한 동문[편집] 분류:충청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각주[편집] ↑ 가 나 다 충청대학교 대학알리미 외부 링크[편집] 충청대학교 홈페이지 vdeh 충청북도의 대학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국립 공군사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충북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증평캠퍼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충북지역대학) 공립 충북도립대학교 사립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극동대학교 꽃동네대학교 서원대학교 세명대학교 순복음총회신학교 우석대학교 (진천캠퍼스) 유원대학교 (영동캠퍼스) 중원대학교 청주대학교 전문대학 강동대학교 대원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vdeh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 고등학교 대학교 한국대학야구연맹서울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부산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대구 계명대학교 인천 인천재능대학교 인하대학교 광주 동강대학교 송원대학교 세종 홍익대학교 경기 경희대학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계사이버대학 중앙대학교 강원 강릉영동대학교 충북 건국대학교 유원대학교 충남 단국대학교 전북 원광대학교 한일장신대학교 호원대학교 전남 세한대학교 경북 영남대학교 경남 경남대학교 제주 제주관광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한국대학야구협회 가천대학교 평생교육원 세종대학교 평생교육원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 KBS스포츠예술과학원 농구부 야구부 축구부 원본 주소 "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충청대학교&oldid=23449003" 분류: 대한민국의 대학교 야구부1983년 개교충청북도의 전문대학청주시의 학교흥덕구숨은 분류: 지도가 있는 문서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토론기여계정 만들기로그인 이름공간 문서토론 변수 보기 읽기편집역사 보기 더 보기 검색 둘러보기 대문사용자 모임요즘 화제최근 바뀜모든 문서 보기임의 문서로도움말기부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파일 올리기특수 문서 목록고유 링크문서 정보위키데이터 항목이 문서 인용하기 인쇄/내보내기 책 만들기PDF로 다운로드인쇄용 판 다른 언어 English 링크 편집 이 문서는 2019년 1월 11일 (금) 09:21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약관을 참고하십시오.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개인정보 정책 위키백과 소개 면책 조항 개발자 쿠키 정책 모바일 보기 Assistant: 충청대학교(忠清大学校, Chung Cheong University)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사립 2/3/4년제 대학이다. Human: 위 위키백과 페이지에서 충청대학교에서 군사관련학과들은 어느 계열에 속해 있는가? Assistant: 공학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