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lengths
1
255
text
stringlengths
12
619k
contributors
stringlengths
3
38.7k
namespace
stringclasses
1 value
경기 남부 통합국제공항
#redirect 제10전투비행단
ion2793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
#redirect 제10전투비행단
ion2793
워쉽 블리츠 미국 전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미국 테크 트리/전함
batterios
워쉽 블리츠 미국 항공모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미국 테크 트리/항공모함
batterios
워쉽 블리츠 미국 프리미엄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미국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
batterios
워쉽 블리츠 일본 순양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일본 테크 트리/순양함
batterios
워쉽 블리츠 일본 전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일본 테크 트리/전함
batterios
워쉽 블리츠 일본 항공모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일본 테크 트리/항공모함
batterios
워쉽 블리츠 일본 프리미엄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일본 테크 트리/프리미엄 선박
batterios
혼다 히로유키
[목차] == 개요 == 本多弘幸 / Hiroyuki Honda 일본인 [[애니메이터]]. 소속은 [[프리랜서]]이나 주로 [[토에이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프리큐어 시리즈]]에 참여한다. == 참여작 == * [[후레쉬 프리큐어!]] - 2, 9, 19 * [[Yes! 프리큐어 5 GoGo!]] - 4 *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모두 친구☆기적의 전원 대집합!]] * [[극장판 프리큐어 올스타즈 DX 3 미래에 닿아라! 세계를 잇는☆무지갯빛 꽃]] * [[극장판 후레쉬 프리큐어! 장난감 나라에는 비밀이 가득!?]] *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 [[극장판 원피스 스탬피드]][* [[몽키 D 루피|루피]]vs[[더글라스 불릿|불릿]]의 패왕색 패기 충돌 장면을 담당했다. [[https://www.facebook.com/watch/?v=612184109454058|출처]] ] * [[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애니메이션|무장소녀 마키아벨리즘]] - 작화감독 * [[배틀걸 하이스쿨]] - 작화감독 * [[츠우카아]] - 작화감독 * [[별 셋 컬러즈]] - 작화감독 * [[킬링바이츠]] - 작화감독 * [[Fate/EXTRA Last Encore]] - 작화감독 * [[칠성의 스바루]] - 프롭 디자인, 작화감독 * [[불꽃 소방대(애니메이션 1기)|불꽃 소방대]] - 작화감독 * [[저 너머의 아스트라/애니메이션|저 너머의 아스트라]] - 프롭 디자인, 작화감독 * [[지박소년 하나코 군/애니메이션|지박소년 하나코 군]] - 프롭 디자인 * [[불꽃 소방대 2장]] - 작화감독 * [[오르텐시아 사가/애니메이션|오르텐시아 사가]] - 서브 캐릭터 디자인, 작화감독 * [[월드 트리거(애니메이션 2기)|월드 트리거 2기]] - 7 그 외 나머지 [[https://www.animenewsnetwork.com/encyclopedia/people.php?id=134964|외부 링크]] [[분류: 애니메이터/ㅎ]]
omega4504,woojung3355
키류 쿄스케/덱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키류 쿄스케)] [[인페르니티]] 덱을 사용한다. 라이딩 듀얼리스트였기 때문에 마법 카드는 없었지만, 86화부터 시작된 크래시 타운편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목차] === 팀 새티스팩션 시절 === * [[제네틱 워울프]] * [[블러드 볼스]] (원래의 블러드 볼스와 색깔이 다르다.) *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s-2.1|제네럴 데몬]] * [[데몬 솔저]] * [[헤이트 버스터]] 아무래도 공격력 높은 [[일반 몬스터]]를 위주로, 악마족 서포트를 넣어 파워를 높이는 컨셉의 덱이었던 듯. 실제로 키류 본인도 "내게 어줍잖은 잔재주는 필요없어"라면서 힘으로 밀어붙이는 걸 중시하는 발언을 했다. === 다크 시그너 시절 === 이 중에서 DT 나이트메어 핸드는 다크 튜너. 즉, 혼자서 미발매 카드이다. 또,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은 원래는 다크 싱크로 몬스터였는데, OCG화 되면서 그런 거 없이 그냥 싱크로 몬스터로 발매되었다. ==== 하급 몬스터 ==== * [[인페르니티 가디언]] *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 * [[인페르니티 데몬]] * [[인페르니티 드워프]]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비스트]] ==== 상급 몬스터 ==== * [[다크 싱크로 소환|DT 나이트메어 핸드]] * [[인페르니티 디스트로이어]] * [[지박신|지박신 Ccapac Apu]] ==== 싱크로 몬스터 ==== * [[원헌드레드 아이 드래곤]] ==== 함정 카드 ==== * [[뎁스 아뮬렛]] * [[데미지 트랜슬레이션]] * [[극한에의 충동]]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포스]] * [[지박신|진수의 청아]] * 악귀유린 ||<tablewidth=100%><width=20%>한글판 명칭 ||'''악귀유린'''|| || 일어판 명칭 ||<-4>'''悪鬼蹂躙'''|| || 영어판 명칭 ||<-4>'''Wicked Trample'''|| ||<-5> 지속 함정 || ||<-5>직접 공격 이외의 상대 플레이어에게의 전투 데미지를 2배로 한다.|| 이 카드는 OCG화되지 않았지만, 먼 훗날 [[팬텀 레이지]]에서 [[인페르니티]] 지원 카드인 헬 데몬이 이 카드의 효과를 내장하고 있다. === 크래시 타운 시절 === ==== OCG화 된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인페르니티 리로더]]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리벤저]] * [[인페르니티 미라지]]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비틀]] ===== 싱크로 몬스터 ===== * [[인페르니티 데스 드래곤]] ===== 마법 카드 ===== * [[ZERO-MAX]] ===== 함정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리플렉터]]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브레이크]] * [[데미지 게이트]] * [[풀 버스트]]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데스 건맨]]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만나볼 수 있다.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제로]]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클라이머]] ===== 마법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버스트]] * 바렛트&카트리지 ||<tablewidth=100%><width=20%> 한글판 명칭 ||'''바렛트&카트리지'''|| || 일어판 명칭 ||<-4>'''バレット&カートリッジ'''|| || 영어판 명칭 ||<-4>'''Blaster Cartridge'''|| ||<-5> 일반 마법 || ||<-5>자신의 덱으로부터 카드를 4장 묘지로 보내고, 1장 드로우 한다. 그 후, 이 커드를 덱의 맨 위에 둔다. 이 카드의 효과로 덱 위에 놓여진 이 카드를 드로우했을 경우,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 함정 카드 ===== * 닷지 롤 ||<tablewidth=100%><width=20%> 한글판 명칭 ||'''닷지 롤'''|| || 일어판 명칭 ||<-4>'''ダッジ・ロール'''|| || 영어판 명칭 ||<-4>'''Dodge Roll'''|| ||<-5> 일반 함정 || ||<-5>플레이어의 데미지를 1번만 0으로 한다.|| === 코믹스판 === ==== OCG화 된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아처]]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제네럴]]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비숍]] * [[인페르니티 폰]] * [[인페르니티 세이지]] ===== 싱크로 몬스터 ===== * [[연옥룡 오우거 드라군]] ===== 마법 카드 ===== * [[인페르니티|연옥의 계약]]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몬스터 카드 ===== *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퀸]] ===== 마법 카드 ===== * 연옥의 영문(제로 게이트) [[분류:유희왕/등장인물의 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키류 쿄스케, version=449, paragraph=7)]
boku4
스테파니리
#redirect 스테파니 리
paha
유희왕 SEVENS/4기
[[분류:유희왕 SEVENS]] ||<-6><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ee134><table bordercolor=#fee134> '''[[유희왕 SEVENS]] 스토리 라인''' || ||<rowbgcolor=#ffffff> [[유희왕 SEVENS/3기|3기]] || → ||<-2> '''4기''' || → || 미정 || [목차] == 개요 == [[유희왕 SEVENS]]의 네 번째 스토리 == 회차 목록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dddddd,#010101><rowbgcolor=#dddddd,#010101><rowcolor=#373a3c,#dddddd><table bgcolor=#ffffff,#2d2f34>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40화}}} || || || || || || || {{{-3 2021.03.13.}}} ||
st0356
삼계신도시
#redirect 삼계동
121.145.14.186
충북대학교/상징
[[분류:충북대학교]]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충북대학교)] [include(틀:충북대학교)] [목차] == 개요 == 충북대학교의 상징을 다루는 문서이다. == 교표 == ||<bgcolor=#7d2248> {{{#ffffff '''충북대학교 교표'''}}}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7d2248><bgcolor=#FFFFFF>[[파일:충북대학교 교표.gif]] 본교의 교표는 국립충북대학교라는 글자를 풀어서 만든 것으로 원형속의 방패모양을 기본휘장으로 하고 방패모양을 응용휘장으로 한다. 기본 휘장에서 NOVA APERIO는 開新(새로운 것을 깨우치고 펼친다)을 의미하며, 방패모양은 청년은 나라의 방패라는 말처럼 학문, 진리에 대한 수단과 방법인 것이다. 방패속의 "ㅊ"자는 충북대학의 첫자이고, 방패의 외형은 충북대학교의 두번째 글자인 "ㅂ"자이며 중앙의 "大"자는 "크고 넓다. 높고 존귀하다. 왕성하고 세력이 있다. 남보다 뛰어나다"의 한자어로써 학문의 전당인 대학이란 글자이다. 그리고 방패의 외곽선은 그 대학을 보호한다는 보호막을 의미하는 것이다. 색상에서 "大", "방패", "외형선"들은 금색으로써 "귀하고 으뜸"이란 뜻을 갖고 있으며, 기본 휘장 맨 바깥선 내 바탕색은 은색이며, 가운데 원형선 내 바탕색은 본교의 교색인 머룬색(저갈색)으로 색채 기호도 조사에서 한국인 특히 본교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색으로 선정된 것이다. 색채의 성질은 인간의 원초적인 색이며, 영구적이며 모든 사물을 함축성있게 응결시킨 색상이다. 가볍지도, 차갑지도, 감정적이지도 않은 고귀한 느낌을 주는 색상으로 지성과 지식을 뜻하는 색채이기도 한 것이다. 기본 문자체는 한글과 영문으로 되어 있는데 특히 고딕스타일의 한글은 한국의 서체인 예서에서 기본 디자인된 것이 특징이다. || == 교가 == ||<bgcolor=#7d2248> {{{#ffffff '''충북대학교 교가'''}}} || ||<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7d2248> {{{#!wiki style="margin: 5px 10px" - 1절 - 우암산 무심천 정든 내고장 낭비의 옛성밑 기름진 들판 정의의 횃불들린 학문의 전당 세기의 종소리 울려나는 곳 - 2절 - 혈관속 물려내린 조국의 전통 빛나는 우리앞길 희망에 찼다 진리를 토파내는 과학의 세계 이루리라 국토개척 우리의 사명 - 후렴 - 새역사 창조할 문화의 사도 힘차게 자라나는 충북대학교}}} || == 교색 == ||<table width=500><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bgcolor=#7d2248><:>{{{#FFFFFF '''충북대학교 교색'''}}}|| ||<bgcolor=#F5F5F5><:>{{{+4 {{{#7d2248 '''머룬색'''}}}}}}[br]{{{#7d2248 '''CBNU-Red'''}}}|| 교색은 {{{#7d2248 '''머룬색'''}}}을 기본으로 하여 {{{#003594 '''청색'''}}}과 {{{#8c8279 '''회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머룬색(CBNU-Red)은 학교를 상징하는 모든 공식 매체에 최우선적으로 활용하고, 청색(CBNU-Blue)은 머룬색(CBNU-Red)를 보완하여 사용하며, 회색(CBNU-Gray)은 두 색상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교시 == ||<bgcolor=#7d2248> {{{#ffffff '''충북대학교 교시'''}}}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7d2248><bgcolor=#FFFFFF>[[파일:충북대학교 교시.gif]] 교시는 {{{#7d2248 '''진리'''}}}, {{{#7d2248 '''정의'''}}}, {{{#7d2248 '''개척'''}}}이다. '''진리'''란 역사적으로 대학이 추구하고자 지향해왔던 일차적 목적이며 이념이다. 우리 대학은 진리탐구의 전당으로서 진리탐구를 제일의 목적으로 한다. '''정의'''란 현실의 조직·제도의 윤리 가운데 궁극적인 판단의 기준이며 지향점이다. 정의는 “건전한”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조건가운데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정의”라는 덕목은 정의가 무엇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불완전하며 실천에 이를 때 비로소 완성되는 개념이다. 우리 대학은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인간상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개척'''이란 미래지향적이며 진취적 이상을 담은 덕목이다. 오늘날 세계화, 지방화, 개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대학은 새로운사회를 주도하고 창조적인 미래를 건설해 나아가야 할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우리 대학은 미래지향적인 개척의 이상을 지니고 국가 및 인류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지도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있다.|| == 상징물 == ||<bgcolor=#7d2248> {{{#ffffff '''충북대학교 상징물'''}}}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7d2248><bgcolor=#FFFFFF>본 대학교 상징물은 1980년 3월부터 학도호국단이 주관이 되어 본교 학생들에게 상징물 제정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2년여에 걸친 개신인의 제언 결과 황소, 곰 돌고래 등으로 의견이 집약되었으며 그동안 전문가와 각계 각층의 견해를 종합해 오던 중 1981년 4월 28일 제33회 학장회의에서 "{{{#7d2248 '''황소'''}}}"로 확정 발표되었다. 본교 상징물인 황소가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는 성실, 인내, 정의, 개척의 정신으로 우리 개신벌이 안겨있는 지역사회의 전통적 특징에서도 나타난다 하겠다. 황소의 특성은 근면, 성실, 인내, 끈기, 순종 개척의 정신으로 본교 교시 "진리, 정의, 개척"과도 맥을 같이 한다. 황소는 참을성이 강하여 어떠한 환경에도 잘 적응할 수 있으며, 순종할 줄 알고 말없이 열심히 자기의 책임을 다 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정의를 위하여 농도짙은 항변도 할 줄 아는 선한 영물인 것이다. 이러한 황소의 선함에서 나오는 인내력과 순종, 근면과 성실, 성취하고야 말겠다는 은근과 끈기는 한국 정신문화의 기저이며, 문화 복지 사회건설이라는 근대화 이념과도 상통되는 것으로, 충청도인의 특성이기도 한 것이다. 인내력은 성취하고자 하는 자의 필수적인 원동력이며, 순종에서 나오는 우둔의 덕은 상대를 굴복시킬 수 있는 값진 지혜이니 이것은 순리를 아는 것이고, 진리를 판단할 줄 아는 것이다. 판단은 인간의 사고에 있어 중요한 것으로 행동의 시 발점이 되는 것이며, 순리를 잘 알고 판단하여 모든 일을 한다면 어떤 어려운 문제도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황소"는 우리 개신벌의 입지적 특성과 기질과도 통하여 그 의미가 깊다 하겠으며, 우리 대학이 지금까지 명실공히 발전을 거듭하는 것도 꾸준하고 지속적인 성질과 인내로 내실을 기하여 온 "황소" 투혼의 결과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선비와 화합의 고장, 꿈과 낭만이 가득서린 이 숲과 저 언덕에서 고락은 있되 격과 흥분함이 없는 "황소"의 조용하고 소리없는 투혼과 같이 면학의 열기를 이 개신벌에 끊임없이 불태우고 "진리, 정의, 개척"이라는 교시에로 승화발전시킬 때 "황소"가 주는 의미는 앎에 대한 희열이며 꿈과 희망을 열어 줄 열쇠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 캐릭터 == ||<bgcolor=#7d2248> {{{#ffffff '''충북대학교 캐릭터'''}}}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7d2248><bgcolor=#FFFFFF> [[파일:충북대학교 캐릭터.jpg]] * 우람이 충북대학교의 상징물인 황소를 캐릭터화시켜 1999년 만들어졌다. [[파일:충북대학교 우왕이.jpg|width=80%]] * 우왕이 개교 70주년을 맞이하여 진행한 캐릭터 리뉴얼 공모전을 통해 선출되었다.[* 우왕이 인형도 제작되었다. [[https://www.snptoyworld.com/112|#]]]||
asdnwns
가을에 만난 남자
'''가을에 만난 남자'''는 2001년 10월 17일부터 2001년 12월 20일까지 방영되었던 MBC 수목드라마이다. === 제작진 === * 극본 : 조명주 * 연출 : 이창순 === 출연진 === * [[박상원]] : 한수형 역 * [[이승연]] : 신은재 역 * [[이정길]] : 정윤섭 역 * [[유혜정]] : 유소현 역 === 주변인물 === * [[권해효]] : 최태식 역 * [[최용민]] : 배상훈 역 * [[이미경(배우)|이미경]] : 민서원 역 * [[권민중]] : 강미나 역 * [[이숙]] * [[심양홍]] : 한병준 역 * [[권인하]] : 송우진 역 === 그 외 인물 === * [[조경환]] * [[나문희]] * [[이세은(배우)|이세은]] * [[이현경]] * [[송일국]] * [[이승형]] * [[서권순]] * [[김윤경(1976)|김윤경]] * [[홍여진]] * [[하승리]] [[분류:2001년 드라마]] [[분류:수목 드라마]] [[분류:MBC 드라마]]
125.139.45.248
대성 마이맥
#redirect 대성마이맥
kokoa78
수곡중
#redirect 수곡중학교
golden2735
시외버스 대전-상주-점촌-예천-영주-봉화-태백(완행)
#redirect 시외버스 대전복합-태백(완행)
220.89.23.51
리샤 로엔그린
[[분류: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 |||| [[파일:ribking_20191030_234303.jpg|width=60%]] |||| || 연령 || ???[*스포일러 어린 소녀 시절인 우상전쟁 당시에 건너왔으므로 최소 400살 이상이다. 김갓트가 1,000년 드립을 치면 그 정도로 오래 살지 않았다고 말했으니, 1,000년 이상은 아닐듯.] || || 직업 || 마계의 왕녀 → 흑마법사, --흑마법 상점주-- || || 종족 || 마족 || || 거주지 || 마계 → 카르가 왕국 변경 이스반트 → 카르가 왕국 수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의 등장인물. 주인공 [[김캇트]]의 네번째 아내. [include(틀:스포일러)] == 상세 == 은발적안의 미인. 주로 고풍스럽고 차분한 귀족 말투를 사용한다. 영업할 때는 주로 어린 소녀의 모습을 취한다. 공식 일러나 작중 언급에 따르면 성인 모드에선 위니아와 비슷한 수준의 거유. 다만 캇트는 체형차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위니아 쪽이 좀더 커보이는 감이 있다고 한다. 빈민가에 있는 수상하고 음침한 건물에서 흑마법사로 있지만 이래뵈도 나름 나라에서 정식으로 허가받은 마술용품점의 점주라고 한다.[* 설정상 흑마법사라 해도 아예 외도로 나가는 것만 아니면 교단들도 날카롭게 군다거나 하는건 아니라고 한다. 대신 네크로맨서나 사이비 이교도 등등 선을 넘으면 그대로 아웃.] 공식 프로필에 따르면 마술용품점은 반쯤 심심풀이 겸 눈속임 용도이고 진짜 돈벌이는 ''''마약류'를 포함한 특수 약물 제조 및 판매'''. 빈민가에 마약을 팔아제꼈으며[* 작중 초반 캇트가 빈민가 사람들을 보고 마약쟁이 같다라고 한 적 있는데 실제로 마약 중독자였다. 그래서 빈민가의 상황이 자금줄과 직격되기에 영생교나 수금하고 다니는 깡패들이 물흐리고 다니는 걸 불쾌하게 여겼다.] 그 외에 다른 사람들에게 의뢰받거나 하면서 특수한 약물을 제조해 팔기도 한다. 약물 제조 실력이 뛰어나서 이 쪽은 사실상 리샤의 독점 상태이며 이 때문에 상당한 자산가. 그 외에 여러 어두운 일에 손대는 모양이지만 캇트가 자신의 그런 면을 알면 싫어할까봐 전부 비밀로 하고 있다. 정체를 밝힌 후 반강제로 캇트에게 이 사실을 고백했는데, 흑마법 연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했을 뿐이고, 무엇보다 '''합법'''이었다고 한다. 지속적인 자금 유입을 위해 큰 부작용이 없는 약을 시중에 물량을 조절해가며 판매하는 방식으로 중독자들의 건강에 문제가 생기는 걸 방지했다고. 대외적으로는 엘프의 피가 섞인 마녀 정도로 인지되지만, 실제로는 엘프도 인간도 아니라는 떡밥이 있다. 애당초 엘프들의 특성 상당수[* 하프엘프는 임신할 수 없다. 인간보다 훨씬 강건한 신체능력과 숲이나 사막 등 고향과 비슷한 환경이면 상승하는 감각능력. ]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마족이나 악마혼혈로 추측하는 독자들이 많다. == 행적 == Lv.??? 사교도의 물건을 팔 곳을 찾던 캇트에게 카린이 알려줘서 만난 마녀다.[* 정작 카린은 리샤를 꽤 불편하게 여겼는데, 어느날 전쟁때 자기 진영이 너무 밀려서 의뢰비 절반을 주는 댓가로 고용한게 바로 리샤였지만 그 리샤의 처리방식이 너무 잔혹해서 질려버렸다고 한다.~~자기도 남말할 처진 아닐텐데~~ 정확히는 당시 시험하던 독 안개로 대량학살을 일으켜 적진의 방어선을 무너뜨렸다고 한다. 그래도 이때 나름 인연은 생겼기 때문인지 이스반트에 정착한 이후 그녀의 가게가 생겼단 소식 정돈 들어봤다.] 작중 시작 시점에선 모종의 사정으로 힘이 봉인당해버렸고 마술용품점을 차린 것도 그 봉인을 해제하기 위한 연구가 주 목적으로, 어린애 모습으로 변한 것도 힘을 절약하기 위한 것. 캇트가 가져오는 마술용품들(특히 사교도들의 물건)이 자신의 봉인을 해제하는 큰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어른으로서 즉 전력을 낼 수 있는 시간이 점점 더 길어졌다. 1부 말에서 2부 초반부터는 아이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는 것도 상실한 힘을 거의 회복한 덕분. 주로 사교의 장식품이나 주술과 관련된 몬스터의 부산물을 매입하며 가격을 후하게 쳐주기 때문에 캇트 입장에선 소중한 물주 중 하나. 실력도 인맥도 뛰어나며 눈치도 좋아서 아예 상대의 생각을 어느정돈 읽을 수 있는 수준으로 어느정도 리샤와 안면을 튼 캇트는 아예 그녀가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읽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야기를 나누기도 할 정도. 캇트는 그저 자신이 가져온 물건을 비싸게 사주는 좋은 사람 정도로만 여겼으나 리샤는 그에 대한 흥미가 계속 늘어난 끝에,[* 외형과 달리 신사적이거나 어린 모습을 보여주는 캇트를 보고 재밌다 여기기도 했고 캇트가 나름 돈을 많이 받고 싶어서 주절주절 떠드는 모습을 보고 '''카나리아가 지저귀는것 같다'''며 귀엽다고 느끼기도 했다. 작가 왈 너무 오래 살았기 때문에 상대의 외형이 저래 봬도 헛소리를 새가 지저귀는 것처럼 이어나가는 걸 보면 종종 진짜 카나리아처럼 보이기도 한다는 듯.] 속이 다 비치는 네글리제 차림으로 몇 번 유혹해도 통하지 않자 결국 약을 탄 홍차를 먹여 캇트를 강간한다. 어린 모습에 거부감을 느끼자 성숙한 모습을 보여준 것은 덤. 캇트 입장에선 처음엔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 거라 여겼지만[* 사역마로 만들어 예속시키겠다는 말을 듣고 진지하게 위기감을 느꼈을 정도였다.] 그래도 이때까지 쌓아온 정이 있었고, 시간이 지나고 나서는 자신도 은근히 즐기게 되어[* 카린을 받아들인 이후에는 하렘에 대한 거부감도 약해져 리샤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했다.] 뭐라 말 못하다가 결국 클라우디가 등을 밀어주는 바람에 네 번째 아내가 되었다. [include(틀:스포일러)] 결국 938화에서 종족이 '''마족'''으로 공인되었다.[* 처음엔 귀가 뾰족해 엘프로 추정되었으나 뾰족하기만 할 뿐 귀의 길이가 하프 다크엘프인 클라우디의 반도 안되는 정도라 독자들 사이에서도 부정되었다.] 정확히는 원래 자기가 살던 마계의 '''왕녀'''이며 아버지는 그 마계를 다스리던 마왕 '펠레이저'였다. 이들이 사는 마계는 환경이 매우 가혹했기 때문에 우상전쟁 당시 게이트가 열리자 펠레이저는 말 그대로 '''종족의 명운'''을 걸고 그 세계로 향한다는 도박을 할 수 밖에 없었고 아직 어린 리샤를 빼고 자기가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은 가능한 한 전부 모아서 현재 캇트가 살고 있는 이 세계로 넘어갔다. 결국 리샤 혼자 관리를 해왔으나 얼마 안가 마왕과 군세가 사라진 틈을 노려 대규모 내란이 발발했으며 왕국군의 주력이 대부분 빠진 상태라 속수무책으로 당하기만 하다가 본인도 내란을 일으킨 지도자에게 치명상을 입은 상태에서 살기 위해 준비없이 게이트를 통해 인간계로 이동했다.[* 리샤가 마력이 없다고 하면서 어린 모습을 유지했던 이유가 바로 이때 지도자가 입힌 흑마술 + 그로 인한 치명상 때문이었다. 이 세계에서 오랜 시간을 지내고도 효과적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가 캇트가 가져온 이교도의 유물 등을 통해 거의 완치했다.] 다만 급하게 오느라 게이트의 좌표도 제대로 조정하지 않은 상태고 세계는 전란으로 혼란스러워 어디있는지도 모를 아버지를 찾아다닐 수도 없어서 어떻게든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인간계에서 숨어살았으나 그동안 게이트라는 게이트는 모조리 다 사라지거나 파괴되고 우상전쟁은 결국 이교도와 이들이 연 게이트를 통해 온 세력들의 패전으로 마무리 되면서 리샤는 연고도 없는 이 세계에 정착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국 본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한 수단과 회복 수단을 찾기 위해 이 세계를 수백 년간 돌아다니게 되었으나 별다른 방도를 찾지 못해 한 군데 정착한 게 바로 마도구점이었던 것.[* 마계에 관해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확실하게 말하는 점과 수도의 마법도서관에 갔을 때 차원 관련 서적을 찾았던게 복선이었다.] 리샤가 이런 정체를 숨겨왔던 것은 캇트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 이후 만에 하나 자신의 정체를 캇트가 알게 되고 그가 자신을 혐오하게 되면 버틸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 때문이었으나 캇트는 리샤의 정체에 대해서는 덤덤히 넘겼고 오히려 정체를 숨긴 벌이랍시고 성행위를 요구했다(...). 전후사정을 밝힌 뒤 리샤의 언급으로는 이 세계의 빛과 리샤의 마력이 제단이 사라지기 전에 게이트 건너편에 있는 마계에 전해졌으므로 이 세계의 존재가 다시 알려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전 리샤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 처럼 리샤의 수색 또는 풍요로운 대지에 정착하기 위해서라도 어떻게든 게이트를 여는 방법을 찾아 침공해올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리샤의 부친인 마왕 펠레이저가 마계의 재기를 위해 인간계에 모종의 조치를 취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 말을 들은 이후 캇트는 간접적으로 성기사들에게 마계의 존재와 접촉했다는 소식을 전해 언제라도 그들에게 맞설 수 있게 준비하도록 했다. 결국 마왕 펠레이저가 공중요새와 함대를 끌고 침공해오면서 아버지와 재회하게 된다. 펠레이저는 리샤를 반겼지만 부녀 사이와는 별개로 캇트와의 싸움은 피할 수 없었기에 치열한 사투끝에 패배해 사망한다. 펠레이저가 죽은 후 마계군의 포로들은 사형수들 이외에는 캇트의 휘하에 들어오게 된다. == 능력 == 주특기인 흑마법만이 아닌 대부분의 마법에서 전공자 못지않은 실력을 가진 인물로, 젊은 마법사인 위니아에 대해서도 여러 조언을 해주기도 했다. 캇트 일행 마법사들 중에서도 최고의 지식과 실력을 지닌지라 위니아, 아리, 힐데가르트를 조수로 쓰면서 교육하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연구자 기질이 있어 자주 나서지 않을 뿐 전투력이 매우 뛰어나다. 예전 캇트가 자주 시도해봤던 천마데스빔이 연상되는 저주술~~리샤데스빔~~의 포격을 선보였는데 이는 어지간한 대형 몬스터나 재해급 괴물들도 피격당하면 맞은 부위가 증발해버리는 절륜한 위력인데 찰나에 쏘는 무 시전 즉발기에 사용 후에도 전혀 힘이 빠진 기색도 없었다.[* 심지어 이 저주는 저주 세 개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이런 고도의 저주를 평타 쓰듯이 아무렇지 않게 시전했다는 것이 포인트.] 정령왕과의 전투에서는 혼자서 상급 정령 아르퀴나와 정령왕의 마법에 대처해내는 굉장한 전투력을 보여준다. 리샤데스빔은 족히 수십 발은 발사하면서 정령왕도 무시할 수 없는 공격을 퍼붓고, 정령왕의 공격도 몇 번이나 막아내는 방어막이나 검은 손의 소환 등 그녀 역시 근접 전투력은 없는 편인데도 리즈티나의 호위가 별로 필요하지 않았을 정도. 전사가 아니라는 스스로의 말이 무색할 정도였다. 다만 그녀의 진가는 스스로 말한 대로 워메이지 쪽보다는 알케미스트. 즉 연금술 분야에 더 재주가 좋은 편이다. 작중에서 보이는 가공할 마법들은 원래 연구용인데 시전자의 역량이 워낙 출중한 덕에 공격면에서도 가공할 위력이 나오는 것이라고. 그래서 전투시에는 상당한 집중력이 필요하고 육탄전에는 취약하다고 한다. 흑마법 상점주 시절부터 여러가지 물약을 제조하고 마약을 판매하는 등 일가견을 보였고, 캇트의 아내가 된 이후부터는 요정족의 펜던트를 사용할 수 있게 가공해주거나, 마검에서 악마의 혼만을 추출하여 캇트가 마검을 아무 부작용없이 쓸 수 있게 해준다던가, 전설의 존재인 알라우네를 일찍 각성시키는 등 도전하는 모든 연구에서 뛰어난 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캇트가 팔라딘 업무를 통해 벌어오는 소재를 이용한 영약제조로 캇트 파티의 성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기타 == * 본인 말에 따르면 과거의 치기로 마시면 잠시동안 모유가 나오게 되는 약을 가지고 있는데,[* 모유가 자기 입맛엔 아니었다고 말한다던가 카린의 왜 그딴 걸 만들었냐는 말에 묻지 말라면서 대답을 피하는 걸 보면 상술한 호문쿨루스처럼 과거 성욕이 넘치던 시절에 만든 것 중 하나인 모양.] 마시면 건강에도 좋다는 듯. 이 약을 한 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가슴안에 모유가 고여서 눈에 띌 정도로 일시적으로 가슴이 팽창한다. 캇트의 평에 의하면 위니아와 비슷하거나 좀 작은 수준에서 확실히 커졌다고 할 정도. 캇트 입장에선 플레이도 맛도 취향 적중이었기 때문에 캇트의 만족감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 클라우디와 힐데가르트처럼 캇트의 하렘 확장을 긍정적으로 여기며 응원하는 하렘 찬성파다. 생각을 읽는 능력의 연장선으로 캇트의 정신상태가 매우 불안정함을 간파했는데, 이를 안정시키려면 많은 여자들의 사랑으로 돌보는 게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여담으로 수십 년보다 더 된 과거에선 한때 욕구불만+호기심에 촉수 호문쿨루스를 제작해 [[자위|그런 용도]]로 써본적 있으나 얼마 안가 생각보다 만족되지않아 스스로 폐기했다. 그 외에 남성경험은 캇트가 처음이자 마지막. * 엄청난 마법실력과 진중한 분위기와는 달리 밤일에 대해선 일행 중에 엄청나게 약한 편인지라 다른 아내들을 상대할 때의 반의 반으로도 금방 지쳐 쓰러지는 정도. 이 때문에 밤일 관련 내용이 나올때마다 자주 쓰러지는 묘사가 나온다[* 첫경험 때도 자기를 만족시켜보라고 한 지 5분만에 함락당했다.]. 캇트와 주로 하는 플레이는 '''[[스팽킹]]'''.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등장인물, version=200)]
121.154.11.111
걸프 아랍인
[include(틀:셈족)] [목차] == 개요 == [[아라비아 만]] 부근인 넓은 의미(역사적 의미)의 바레인[* 오늘날의 [[바레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 [[이라크]] 남부 , [[오만]] 북부까지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다. [[마그레브]]를 말할 때 [[모로코]](마그리브 왕국)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북아프리카에서 이집트를 제외한 지역으로 의미하는 것과 비슷하다.]에 거주하는 [[아랍인]]을 의미한다. 아랍어로는 칼리지(خليجي, Khaliji)라고 한다. [[이란]]에 살고 있는 아랍인 중 [[후제스탄]]이 아닌 [[호르무즈 해협]]에 살고 있는 아랍인도 언어, 문화적 특성으로 걸프 아랍인으로 분류된다. == 상세 == 문화가 [[사우디인]]과 유사하지만 언어는 걸프 아랍어(Gulf Arabic)를 사용하고 있다. 남성의 쿠파예와 토브의 색상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해서 더 하얗고 여성은 나즈드 아랍인과 달리 '''Batula'''라는 금속 마스크를 쓰거나 [[니캅]]을 더 철저히 쓰는 경향이 있다. 바다와 접한 지역이여서 요리에 해산물이 많이 들어간다. 고대부터 내륙의 [[베두인]] 아랍인과 달리 해양지향적이었는데 [[딜문]]이 존재했고 [[아시리아]], [[페르시아]]의 지배 혹은 간섭을 받던 지역이었고[* 지금도 일부 방언에 아카드어, 아람어의 영향이 있을 정도다.] [[라흠 왕국]]을 건설하기도 했지만 이슬람화 이후로 별 다른 역사가 없었다. 그러나 20세기 초에 [[석유]]가 발견되면서 걸프 아랍인들은 오일 머니로 벼락 부자가 되었고 그들은 [[아부다비]], [[두바이]], [[도하]], [[마나마]]같은 부유한 도시들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 현황 ==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향으로 [[와하비즘]]을 수용하고 있지만 그 이전부터 [[말리키파]], [[시아파]]의 영향이 있었기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와 달리 신정(神政)이 아닌 세속 국가이다. 걸프 아랍인들은 타종교와 외국인 문화에 관대하고 그들을 위한 시설을 분리된 구역에 건설할 정도이다.[* 오일머니로 중상류층이 된 걸프 아랍인들은 내부적으로 이슬람주의적이기 때문에 전통 의상을 아직도 입고 있고 [[샤리아]]를 준수하고 있다.] 그러나 걸프 아랍인의 민족적 선민의식때문에 [[인도인]], [[파키스탄인]]이 같은 무슬림일지라도 [[노예]]처럼 부리고 있고 이 때문에 사고로 사망한 경우가 종종 있다. 게다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학대, 차별이 심각하여 [[자본주의]]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이슬람권을 대상으로 [[이슬람주의]] 선교를 하고 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하류층 무슬림에 대한 우민화정책이다. 현대 이슬람 세계가 [[반지성주의]]에 빠지고 비이슬람권에게는 현재 이슬람 세계의 실상이 [[이슬람공포증]] 드립으로 은폐되고 있다.[* 다만 사우디아라비아가 이슬람주의 선교를 가장 많이 하고 있고 걸프 아랍 국가들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그러나 [[알자지라(방송국)|알자지라]], AJ+같은 걸프 아랍 국가의 대중매체가 이슬람주의를 직접 설파하지 않지만 반이스라엘, 현대 이슬람세계미화, 이슬람 국가 내 소수종교핍박 은폐를 조장한다는 점에서 공범이다.] [각주] [[분류:서아시아의 민족]][[분류:아랍인]][[분류:쿠웨이트]][[분류:바레인]][[분류:카타르]][[분류:아랍에미리트]]
alifernandez,soo327,221.154.247.150
조세프 터너
[[분류:콜 오브 듀티 시리즈/등장인물]] [include(틀:토막글)] [[파일:스크린샷(219).png]] 조세프 터너 (Joseph Turner) == 개요 ==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등장인물로 1913년생, [[매사추세츠]] 출신이다. == 생애 == 1938년 [[미국육군사관학교|웨스트포인트]] 졸업. 계급은 '''중위(First Lieutenant)'''이지만 피어슨과 마찬가지로 소위로 오역되었다. [* '난 터너 소대장님을 6년이나 모셨었다'라는 피어슨의 대사로 미루어보아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이후 곧바로 1사단에 배치되어 피어슨과 만났으며,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도 피어슨의 직속상관으로서 함께 싸워 온 것으로 보인다.] 성우는 제프리 피어스[* [[콜 오브 듀티: 고스트]]에서 메릭 역, 그리고 [[메달 오브 아너(2010)]]와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에서 마더 역을 맡았다.]. 임무 이전에 병사 개개인의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는 인물. 이 때문에 임무를 가장 중시하는 피어슨과 대립하는 일이 많다. [*스포일러2 493 고지 점령에서 [[티거 2]] 를 처리한 대니얼스를 일으켜 세워주려다 전차에서 나오는 독일군 장교에게 총을 맞고 자신은 희망이 없다며 동료들의 뒤를 봐주다 전사한다. 대원들에게 신임을 얻었던 상관이였기에 사망 후에도 대원들에게 계속 언급되는 인물. 이번 캠페인 주요 인물중에 유일하게 전사하는 인물이다. ]분대 능력은 "탄약 보급" 이다. 멀티플레이에서 연합군 측 아나운서 역을 맡기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콜 오브 듀티:WWII, version=1029)]
doubleyou,14.41.24.43
가오리춤
#redirect Rollin'(브레이브걸스)
kaiserx1012
Tower Battles/Golden Scout
[include(틀:상위 문서, top1=Tower Battles)] [목차] == 배경 스토리 == 타워에 맞는 배경 스토리를 써 주세요. (예: farm: 우리는 밭에 씨앗을 심었더니 그것이 농장이 되었다.) == 업그레이드 == 괄호 안에 있는 돈은 업그레이드 비용입니다. 업그레이드 시마다 치장이 변하는 것은 타워에게 특별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히든을 공격할시, 히든에 대한 내용은 써주셔야합니다. 데미지 변동이 있을시, 변동한 데미지는 요약이나 변경점에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격; 780 공격력 ;4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1. ($400)) - (사거리 증 가)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안경을 쓴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2. ($780)) - (공격력 이 8로 증 가)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총이 강화된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3. (1500$)) - ( 숨겨진 적을 감지하고 골든 스카이트안에 있는 타워 는 숨겨진 적 감지)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모자를 쓰고 옷이 ㅇ야복이 된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4. (15000$)) - (공격력 이 48이되고 공격속도가 2배로 증 가 한다.)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밑에 구름 이 있고 뒤에 날개가 있다.) == 그 외 == (기타내용) [[분류:Roblox/게임]] [[분류:나무위키 Roblox 프로젝트]]
doubleyou,121.144.196.195
사사키 요헤이
[목차] == 개요 == 佐々木洋平 / Youhei Sasaki 일본인 프리랜서 [[애니메이터]]. == 상세 == 주로 [[선라이즈(기업)|선라이즈]]나 [[본즈(기업)|본즈]] 작품에 참여한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선라이즈에서는 [[이누야샤/애니메이션|이누야샤]],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본즈에서는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소울 이터]]가 있다. == 참여작 == * [[드래곤볼 Z: 신들의 전쟁]] * [[극장판 원피스 스탬피드]][* [[혼다 히로유키]]와 같이 [[몽키 D 루피|루피]]vs[[더글라스 불릿|불릿]]의 패왕색 패기 충돌 장면을 맡았다.] * [[소울 이터]] *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 [[강철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강철의 연금술사]] * [[이누야샤/애니메이션|이누야샤]] * [[블러드 C]] * [[은혼(애니메이션)|은혼]] - OP, 36 * [[스타 드라이버]] 그 외 나머지 [[https://www.animenewsnetwork.com/encyclopedia/people.php?id=36947|외부 링크]] == 작화, 연출 샘플 == [youtube(6qJ14jUDhu4)] [youtube(D2HNM-ABvFc)] [youtube(o-9SuoTYsM8)] [[https://www.sakugabooru.com/post?tags=youhei_sasaki]] [[분류:애니메이터/ㅅ]]
doubleyou,omega4504,woojung3355
우멍다
#redirect 오맹달
219.248.135.84
우니온
#redirect 1. FC 우니온 베를린
rg13
S04
#redirect FC 샬케 04
rg13
도성목
[include(틀:여일고등학교)] ||<-2><table bordercolor=#cc3333><table bgcolor=#cc3333><table align=right><table width=300> {{{#fff {{{+1 '''도성목'''}}}}}} || ||<-2><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width=40%> '''{{{#fff 학교}}}''' ||<colbgcolor=#fff,#191919> 여일고등학교 || || '''{{{#fff 나이}}}''' || 17세(만 15~16세) || || '''{{{#fff 별명}}}''' || [[장승]] || || '''{{{#fff 셔틀패치 랭킹}}}''' || UNRANKED || [목차] [clearfix] == 개요 == 웹툰 [[약한영웅]]의 [[약한영웅/등장인물|등장인물]]. [[목하 2인조]]에 속해있다. 127화에서 권석현이 목하 2인조라고 언급을 하는것으로 백동하와 함께 실루엣이 등장했다. == 작중 행적 == 127화에서 [[권석현]]이 [[나백진]]과의 통화에서 실루엣과 명칭이 최초로 등장했고, 130화에서 마포대교에서 나백진에게 형신의 자료와 돈을 털어간 주승진 및 만월에게서 자료와 돈을 되찾아 오는것으로 연합 간부 정식 데뷔의 검증을 하겠다는 말을 듣는다. == 전투력 == == 전적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f2023,#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2%> '''EP''' || 아군 ||<width=29%> '''상대''' ||<width=13%> '''결과''' || '''비고''' || || || [[백동하]] || '''[[주승진(약한영웅)|주승진]]''' || '''승''' || 만월 및 주승진을 이김 || ||<-4> '''1전 1승 0패 승률 100%''' || '''전승''' || == 여담 == [각주] [[분류:약한영웅/등장인물]]
jkm9343,haingu
서브 콤플렉스/등장인물
[[분류:2020년 웹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브 콤플렉스)] [목차] == 개요 == [[서브 콤플렉스]]의 등장인물을 정리한 문서. == 주요 인물 == === 이연이 === ||<-2><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8bbd0><bgcolor=#f8bbd0><table bgcolor=#ffffff,#2d2f34> {{{#010101 '''{{{+1 이연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9378296471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93782990433.jpg|width=100%]]}}} || ||<width=50%> 원래 이연이 본연의 모습 || 우연이로 빙의한 모습 || ||<-2>{{{#!folding 이연이 소개 ▼ 본작의 주인공. 유쾌하고 밝은 성격으로 나쁘게 말하면 [[푼수]]스러운 모습이다. 평소에 [[서브병]]을 앓고 있다. <두근두근 퐁>이라는 순정만화 세계에 빠져서 서브남주인 반하나를 좋아한다. 반하나의 죽음이 안타까워 몇날며칠 우울해만 하다가 여주인공 우연이에게 빙의하게 된다. 여주인 우연이와는 다르게 남주인 서늘에게는 관심없으며 반하나와 잘되고 싶어한다. }}}|| ||<-2>{{{#!folding 작중 행적 ▼ 평소의 우연이와 달리 반하나에게 노빠꾸없이 저돌적으로, 노골적으로, 계속 들이대지만 너무 들이댄 탓인지 반하나가 부담스러워하자 자신이 고백을 안 했다는 걸 깨닫고, 2화에서 정말 좋아한다고 반하나에게 고백하지만 차이고 당황스러워한다. 하나가 자신을 계속 피하고, 서늘에게 너는 책임감이라는 게 없냐는 폭언을 듣고 속상해하던 와중 홍장미 패거리에게 뒷담을 까인다. 홍장미 때문에 시계 도둑으로 몰릴 뻔하지만 홍장미의 계략을 모두 알고 있어서 진작에 시계를 가방에서 꺼냈다. 오히려 홍장미가 피구를 하자면서 자신에게 공을 던지려 할 때, 반하나와 엮일 수 있다고 좋아했다. 홍장미가 힘 조절에 실패해서 공을 맞아도 아프지 않았지만 일부러 엄살을 피워서 반하나를 만나려 하는데, 서늘이 자신을 안고 양호실로 데려가고 만다. 서늘에게 내려달라고 투닥거리다가 접촉사고가 일어나고, 그 모습을 반하나가 목격하고 만다. 하교길에 반하나와 만나지 못했다며 아쉬워하다가, 서늘이 리무진에 타라고 하자 무시하고 도망친다. 다음 날에는 토끼장 앞에서 서늘과 만나 과거를 듣고, 사과를 받는다. 이미 책에서 본 이야기인데도 직접 들으니 기분이 이상하다고 느끼고, 자신도 무시해서 미안하다고 사과한다. 왜 그랬냐는 말에는 "네가 나한테 반할까 봐"라고 말하는 바람에 서늘이 정색하자 앞으로 토끼들을 잘 관리할 거라고 둘러댄다. 서늘이 웃으면서 같이 하자고 하자 ".....그래!"라고 답하며 가까워진다. 자신과 서늘을 내려다보던 반하나가 쓰러지자 재빨리 그에게 다가가서 걱정하고 양호실에 데려가려고 한다. 반하나가 자신과 서늘의 사이를 신경쓰자 원작 내용을 떠올린다.[* 원작에서 반하나는 우연이와 서늘의 사이가 가까워지자 질투하면서 자기 마음을 자각했다.] 반하나에게 자신은 서늘과 같이 하교한다고 하고, 반하나가 자신도 같이 가자고 하자 기뻐한다.[* 이 둘을 서로에게 소개시켜줬는데, 서늘이 반하나를 기생오라비 같이 생겼다고 까고, 반하나도 서늘을 싸가지 없게 생겼다고 깠다.] 집에 도착한 후 반하나가 저녁 먹고 갈 거냐고 묻자 얼굴이 붉어지는 건 덤. 수학여행을 갔을 때 서늘, 반하나와 같이 밤중에 숙소를 나와서 산책을 하는데, 반하나가 없어졌다. 혼자서 다친 반하나를 찾아냈고[* 서늘은 담임 선생님을 부르러 갔다.] 그에게 안겼다. 이 일을 계기로 반하나에게 호감을 얻는다. 본인은 반하나 일편단심인데 의도치 않게 서늘과 엮이고, 24화에서 서늘이 자신을 좋아하지만 마음 정리가 다 안됐는데 계속 친하게 지내려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25~27화에서는 반하나의 이모에게서 반하나의 과거를 듣고 연강우만큼은 아니지만 충격을 받았다. 반하나가 잘 들어가라고 인사를 건내자 같이 있겠다고 할 정도. 진짜 우연이의 등장 이후 반하나와 사이가 멀어지던 와중 33화에서 자신의 정체를 털어놓는다. 이에 반하나가 혼란스러워하며 거리를 두자 속상해한다. 34화에서는 반하나의 아버지 기일 날 납골당에 가다가 차 사고를 당할 뻔 하다가 반하나에게 구해졌다. 둘 다 크게 다치지 않아서 납골당에 갈 수 있었고, 반하나로부터 고백을 받게 된다. 35화에서는 반하나와 연인 사이가 되어 데이트를 하던 와중 우연이로부터 반하나와 헤어져 달라는 부탁을 받고 기분 나빠한다. 37화에서 우연이가 서늘의 죽음을 막기 위해서 자신과 반하나의 사이를 방해했다는 걸 알게 된 후에는 둘 다 죽지 않는 방법을 찾다가 우리가 엑스트라가 되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한다.}}}|| ||<-2>{{{#!folding <두근두근 퐁>의 우연이의 행적 ▼ <두근두근 퐁>의 여주인공으로 싸가지 없는 남주인공인 서늘과 티격태격하다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전학 온 서늘과 처음 만났을 때, 초면에 서늘이 자신을 땅콩이라며 무례하게 부르자 그 말 당장 사과하라고 외치면서 둘의 악연이 시작되었다. 서늘, 반하나와 엮인다는 이유로 홍장미에게 뒷담을 까이고, 지속적으로 괴롭힘을 당해 시계 도둑으로 몰리자 서늘이 해결해줬다. 홍장미 패거리에게 피구공으로 집중 공격을 받고 다쳤을 때는 반하나에게 치료를 받았다. 이후에는 토끼장 당번 일을 하면서 서늘의 과거를 알게 되고, 그와 가까워진다. 현재는 이연이가 빙의한 관계로 이연이가 장발이 된 모습을 하고 있다. 31화를 보기 전에는 진짜 여주의 모습이라 볼 수도 있지만 아래의 찐여주의 등장으로 아닌걸로 밝혀졌다. 사실 1화에 나온 만화에서 갈색 머리였던 것, 반하나의 과거에서 등장한 우연이의 모습이 이연이가 빙의한 현재의 모습과 달랐던 게 떡밥이였다.}}}|| === 반하나 === ||<-2><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8bbd0><bgcolor=#f8bbd0><table bgcolor=#ffffff,#2d2f34> {{{#010101 '''{{{+1 반하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CC0863C-8237-45DF-8A9D-FF8D675DEA08.jpg|width=100%]]}}} || ||<-2>{{{#!folding 반하나 소개 ▼ <두근두근 퐁>의 서브 남주이자 우연이의 소꿉친구로 우연이와는 다른 반이다. 이연이의 책빙의 후에는 자신에게 들이대는[* 자신에게 계속 안긴다든지, "우리 하나"라고 부른다든지, 밥을 먹으면서 입에 뭐가 묻었다고 하는데, '아름다움이 묻었다'라고 드립을 친다든지, 아이스크림을 먹다가 손이 차가워지자 입으로 바람을 불어준다든지.] 이연이에게 부담을 느끼고, 고백을 받지만 당황하며 그런 쪽으로는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다, 너를 정말 소중한 친구라고 생각하고 없던 일로 한다며 차버리지만 연이와 엮이는 서늘을 질투하면서 갈수록 호감을 느낀다. }}} || ||<-2>{{{#!folding 작중 행적 ▼ 연이의 마음을 식게 하기 위해 3화에서는 먼저 학교에 가버리고, 쉬는 시간마다 자리를 비우고, 이연이와 밥도 따로 먹으려고 하는 등 이연이와 거리를 둔다. 게다가 이연이가 양호실에 서늘과 같이 있는 모습, 그 둘이 토끼장 앞에서 수다떠는 모습을 보고 쓰러진다. 이연이가 자신을 걱정해주면서 양호실 가자고 할 때, 이연이에게 서늘과의 사이에 대해 묻고, 신경쓰인다고 털어놓는다. 이연이가 서늘과 같이 하교한다고 하자 자신도 같이 가자고 한다. 셋이서 하교하고 집에 도착하자 이연이에게 "저녁.. 먹고 갈래?"라고 얼굴을 붉히며 묻는다. 당연히 이연이는 기꺼이 승낙하며 기뻐한다. 수학여행을 갔을 때, 밤중에 이연이, 서늘과 같이 숙소에서 나와 산책을 하다가 산에서 발을 헛디뎌서 떨어지고 만다. 부상을 입은 채 과거를 회상하다가 유일하게 자신을 찾아준 이연이를 껴안는다. 이 일을 계기로 이연이에게 호감을 갖게 되고 사이도 가까워지며, 이연이에게 얼굴을 붉히는 빈도가 늘었다. 진짜 우연이의 등장, 이연이가 자신의 정체를 밝히자 혼란스러워하면서[* 34화에서 본인이 밝히길, 자신의 인생이 누군가가 짜놓은 것처럼 늘 춥고 어둡다고 생각했고, 그 중에서 유일하게 따뜻하게 지낸 기억이 부정당한 것 같아 혼란스러워했다. 그러나 늘 자신의 곁에 있어주고 헌신한 이연이 덕에 지금이 가장 행복하다고 느낀다고.] 사이가 멀어지기도 했지만, 교통사고를 당할 뻔한 이연이를 구해준 후,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고 이연이에게 고백한다. 35화에서는 이연이와 사귀는 중. 38화에서는 진짜 우연이가 원래 여주인공이고, 새로운 여주인공인 이연이가 자신과 사귀게 돼서 서늘이 죽을 위기에 처했다는 사실을 알고 혼란스러워한다.[* 이연이가 자신이 죽는 모습을 보고 울다 잠들었다고 하자 많이 울었냐고 묻는다.] 이후 이연이, 우연이와 함께 모두가 죽지 않을 방법을 찾는 중.}}} || ||<-2>{{{#!folding 숨겨진 과거 ▼ 등장인물 중 과거가 제일 불행하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에게 버림받았고, 이모네 집에서 살게 됐지만 이모부에게 아동 학대를 당해서 성격이 어두워졌다. 이모부에게 전신에 멍이 들 정도로 학대받았을 때 우연이의 도움으로 빠져나왔고, 진실을 알게 된 이모가 이모부와 이혼하게 되어 지금처럼 웃을 수 있게 됐다는 게 위안.}}}|| ||<-2>{{{#!folding <두근두근 퐁>에서의 행적 ▼ 연이를 친구인 줄만 알다가 서늘과 가까워지는 우연이를 보고 속만 태우고, 고백을 결심한 날 눈을 맞으며 우연이를 기다리지만 왜인지 결국 연이는 오지 않았고 돌아오는 길에 교통사고로 사망한다.}}}|| === 서늘 === ||<-2><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8bbd0><bgcolor=#f8bbd0><table bgcolor=#ffffff,#2d2f34> {{{#010101 '''{{{+1 서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1D2067A-412A-4AB0-98C4-5FC5427FB62D.jpg|width=100%]]}}} || ||<-2>{{{#!folding 서늘 소개 ▼ <두근두근 퐁>의 남주인공이자 우연이네 반에 온 전학생. 전형적인 흑발 + 까칠 + 츤데레 + 금수저 남주. 이연이의 빙의 후에는 이연이가 반하나를 좋아해서 무시당하는 중이라 안습한 신세가 된다. }}}|| ||<-2>{{{#!folding 작중행적 ▼ 토끼장 관리 당번인 이연이를 대신해서 토끼장을 청소하고, 너는 책임감이라는 게 없냐는 독설을 날린다. 이연이가 홍장미에게 시계 도둑으로 몰릴 뻔한 일로 교실이 시끄러워지자 무슨 일이냐고 묻는다. 홍장미가 피구를 하자면서 이연이에게 공을 던지려다 힘 조절을 잘못해서 실패하고, 이연이가 반하나와 엮이기 위해 일부러 엄살을 부리자 이연이에게 [[공주님 안기]]를 하고 양호실로 데려가고, 홍장미 패거리를 여럿이서 한 사람을 괴롭힌다며 쓰레기 같은 것들이라고 깐다. 양호실에서 이연이가 어딜 다쳤는지 물으려다가 접촉사고가 일어나고, 그걸 반하나가 보고 만다. 이연이가 반하나를 신경쓰는 와중에도 부끄러워 하는 건 덤. 점심을 굶은 이연이에게 빵을 사주고, 하굣길에 리무진에 태워서 집에 보내주려고 하지만 무시당한다. 다음 날에는 토끼장 관리를 하면서 이연이에게 자신의 과거[* 어릴 때부터 편찮으신 어머니와 떨어져 지내다가 여름방학에 가족이 별장에서 지냈었다. 어머니가 많이 아프신 날에는 혼자 놀았다가 햄스터, 토끼 등을 키우게 된다. 사실 어머니는 이미 손쓸 수 없는 상태였고, 마지막으로 서늘과 간을 보내려고 한 거였다. 방학이 끝나갈 때쯤 어머니는 우리 늘이가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말을 유언으로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 후 서늘은 동물들을 돌보면서 외롭지 않게 지냈다.]를 알려주고, 어제 화내서 미안하다고 사과한다. 이연이, 반하나와 하교하게 되지만 반하나와는 서로를 좋게 생각하지 않는 듯. 체육대회 때 이연이가 반하나를 좋아하는 걸 알게 되어서 짝사랑을 접으려 하지만[* 예를 들면 수학여행 때 버스에서 자신은 혼자 앉고 이연이와 반하나가 같이 앉게 한다든지.] 순정만화 남주 보정 때문인지 의도치 않게 이연이와 계속 엮인다. 32화에서는 이연이의 고민을 들어주다가 네가 어떤 모습이든 좋아할 것 같다고 무심결에 고백하면서도 내가 걔(반하나)라면 그럴 것이지 내가 그런 건 아니라고 정정한다. 너는 너 자체로 좋은 애니 평소처럼 당당하게 나가라고 조언해줬다. 34화에서는 반하나의 회상에서 등장. "사랑은 타이밍이다."라는 조언을 해주는데, 반하나는 "뭐라는 건지는 몰라도 진짜 싫다."라고 느꼈다. 36화에서는 이연이를 지켜주다가 크게 다치고, 37화~38화에서는 수술을 받고 입원했다.}}}|| ||<-2>{{{#!folding <두근두근 퐁>에서의 행적 ▼ 원래는 우연이와 티격태격하다가 서로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 === 진짜 우연이(찐여주)[* 찐여주는 팬들이 부르는 가칭] === [include(틀:스포일러)] ||<-2><table width=600><table bordercolor=#f8bbd0><bgcolor=#f8bbd0><table bgcolor=#ffffff,#2d2f34> {{{#010101 '''{{{+1 우연이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근두근퐁 찐여주~~얌체~~.jpg|width=100%]]}}} || ||<-2>{{{#!folding 우연이 소개 ▼ 앞에 언급되었던 두근두근 퐁의 진짜 여주인공. 반하나의 과거에서 이모부에게 학대받던 반하나를 도와주는 모습으로 등장. 처음엔 엑스트라들의 탈을 쓰고 나왔으나 벗고(...) 모습을 드러낸다. 우연이의 등장으로 이연이와 반하나의 사이가 잠시 멀어졌었기에 이연이는 우연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자세한건 작중 행적 참고. }}} || ||<-2>{{{#!folding 작중 행적 ▼ 29화에서 여주로 빙의한 연이 앞에 나타나 혼란스럽게 하더니 하나와 연이 사이에 끼어들어 연이를 분노케 만든다. 본격적으로 등장한 화에서 한 베댓이 찐여주를 꼴보기 싫다했는데 예상이 적중한 셈. 반하나가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고 이연이와 이어지게 되자 이연이에게 반하나와 헤어져달라고 부탁한다. 진짜 여주인공이기 때문에 이쪽이 서늘과 이어지는 거 아니냐는 추측이 있지만 하나에게 집적대서 화가 난 이연이에게 [[어장관리|"남 주긴 아깝다"]]라고 한 걸 보아[* 해당 회차는 31화.] [[서새이|세포 나오는 웹툰 등장인물]]처럼 악역이 될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으나.... '''사실 서늘의 죽음을 막기 위해서 연이에게 접근한 거였다.''' 위에도 봤다시피 찐여주는 두근두근 퐁의 여주인공이였고 결말대로 서늘과 사랑에 빠져 서브남인 하나가 죽게 되어 슬퍼하다가 [[제4의 벽|문득 이 곳이 만화 속 세상인 걸 깨달아 버렸다.]] 모든 걸 알아버린 찐여주는 부담감과 두려움을 피해 엑스트라로 둔갑하게 되고 여주인 자신이 없어지자 새로운 여주 이연이를 데리고 이야기를 다시 시작했다는 걸 알게 된다. 멀리서 이연이, 서늘, 반하나를 지켜만 보다가 여주인 연이가 하나와 이어지려고 할 때 마다 자신이 사랑했던 서늘이 다치는 것을 보게 되고 >'''아마도... 이 곳은 서브 남주가 죽게 되는 세계관인 것 같아.''' 서늘이 위험한 일을 당해 하나처럼 죽을 것으로 직감한 채 직접 연이와 하나의 사이를 방해하게 된 것. 모든 이야기를 들은 연이는 둘 다 죽지 않는 방법을 찾자고 작정하고 하나에게 모든 것을 말한다.}}}|| == 이연이의 가족 == === 퐁퐁이 === 두근두근 퐁의 마스코트이자 우연이네 집의 강아지. 이연이가 빙의하면서 이연이(우연이)네집의 강아지가 되었다. 하얀 털이 특징으로 퐁퐁꽃과 닮아 이름을 퐁퐁이라고 지었다고 작가가 밝혔다. === 어머니와 남동생 === 이연이가 우연이에게 빙의됐을 때 같이 <두근두근 퐁>에 빙의되었지만 딸을 우연이라고 부르고 현실세계가 있었고 여기가 책속이라는 걸 자각하지 못하는 등 완전한 두근두근 퐁 속 사람이 되어버렸다(...). == 홍장미 패거리 == === 홍장미 === [[파일:1597975823661.png]] <두근두근 퐁>의 등장인물. 이연이의 책빙의 전에는 우연이를 괴롭히는 악녀 포지션이었다. 자신의 시계를 이연이의 가방 속에 숨기고 이연이를 도둑으로 몰려고 했으나 계획을 엿들은 이연이가 시계를 꺼내서 실패한다.[* 원래 이 사건은 서늘이 도와주었다고 한다.] 교실 바닥에서 박살난 시계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지만 서늘이 오자 바로 교실을 나간다. 체육시간에는 피구를 하자면서 이연이에게 공을 던지려 하지만 힘 조절을 잘못해서 또 실패한다. 이연이가 반하나와 엮이기 위해 일부러 엄살을 부리는 바람에 서늘에게 까이는 건 덤. 그러다가 하나의 편지를 읽는 연이에게 물을 쏟아버리는 만행을 저지르는데 편지가 물에 젖어버려 읽을 수 없게 되었다. 패닉 상태가 되어 터덜터덜 돌아온 연이와 1대 1로 맞짱을 떠서 이기게 된다. 그 후 부하 둘을 이연이에게 양도하게 된다. 부하 둘과는 우애가 있었기에 연이와 있는 부하 두명을 보며 쓸쓸해하다가 이연이의 배려(?)로 다시 부하 둘과 친해지게 된다. 이연이에게는 고마워졌는지 더 이상 괴롭히지 않고 은근 슬쩍 챙겨주는 [[개과천선]]한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 똥머리(가칭) === 장미의 만행을 동참하는 부하 중 한명. 연이가 장미를 이기는바람에 리더가 되어 깎듯이 대하며 잡일까지 맡아하지만 현실은 실수 투성이(...) 연이에게 가도 장미와의 우정을 잊지 못하다가 연이에게 물폭탄(...)을 맞고 다시 장미에게로 가게 된다. === 쬐깐이(가칭)[* 연이가 실제로 이렇게 불렀다(...)] === 단발머리의 장미의 부하. 행적은 똥머리와 같다. == 반하나의 가족 == === 반하나의 어머니 === 반하나의 회상에서 등장. 남편과 사별한 후 밥도 안 먹고 잠도 안 자고 매일 울었다. 반하나가 6살 크리스마스를 맞았을 때, 아들에게 놀러가자고 제안했다. 그때 남편이 죽었다는 사실을 잊었고, 아들인 반하나도 버렸다. === 반하나의 아버지 === 반하나가 어렸을 때 세상을 떠났다. === 연강우 === 반하나의 친척. 날카로운 사백안이 특징. 하나가 친척 동생이라고 했는데 동갑이라고 한 걸 보면 동갑이지만 하나보다는 생일이 늦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연이의 반응[* '갑자기 뭔 친척이 이리 많이 나와?! 게다가 원작에도 없던 사람들이!']을 보면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인듯.[* 아니면 [[루카스(어느 날 공주가 되어버렸다)|원작 세계관 자체에 설정상으로 존재하는 인물이나 언급이라던가 등장 자체가 없는 경우]]일 수도 있다.] 부모가 6년간 반하나를 키우다가 사이가 나빠져서 이혼했다고 오해해서 "왜 저딴 걸 거둬줘서..!"라고 분노했다. 27화에서 어머니에게서 진실을 듣고 난 후에는 큰 충격을 받고 가버린다. === 연강우의 어머니 === 연강우의 어머니이자 반하나의 이모. 반하나가 지금처럼 웃을 수 있는 것도 연이 학생 덕분이라며 이연이에게 고마워했다. 어머니에게 버림받은 반하나를 6년간 키워줬다. 반하나 때문에 자신과 남편이 이혼했다고 오해하는 아들에게 사건의 전말을 이야기해준다. === 연강우의 아버지 === 연강우의 아버지이자 반하나의 이모부. 겉으로는 반하나에게 잘해줬지만, 자신의 아들보다 공부를 잘하고 예의바른 모범생인 반하나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다. 심지어 초등학생인 반하나를 때리는 등[* 발바닥에서 피가 흐를 때까지 때렸다.] 학대를 일삼았다. 때문에 반하나는 성적이 떨어지고 성격도 어두워졌다. 아내와 아들이 여행을 갔을 때, 쥐 죽은 듯이 살라고 강요했으며 이에 반하나가 "언제까지 그렇게 살아야 하냐"라고 반발하자 또 학대했다. 우연이의 도움으로 반하나가 탈출한 후에는 모든 사실을 알게 된 아내에게 이혼당한다. 사실 등장 전에도 25화에서 연강우의 어머니가 이 인물을 '그 자식'이라고 칭했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브 콤플렉스, version=109)]
cic080807,58.122.49.6,haanow,silverhand_06
백동하
[include(틀:여일고등학교)] ||<-2><table bordercolor=#cc3333><table bgcolor=#cc3333><table align=right><table width=300> {{{#fff {{{+1 '''백동하'''}}}}}} || ||<-2><bgcolor=#fff,#1919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빈 도서 이미지.png|width=100%]]}}} || ||<width=40%> '''{{{#fff 학교}}}''' ||<colbgcolor=#fff,#191919> 여일고등학교 || || '''{{{#fff 나이}}}''' || 17세(만 15~16세) || || '''{{{#fff 별명}}}''' || [[귀신]]|| || '''{{{#fff 셔틀패치 랭킹}}}''' || UNRANKED || [목차] [clearfix] == 개요 == 웹툰 [[약한영웅]]의 [[약한영웅/등장인물|등장인물]]. [[목하 2인조]]에 속해있다. 127화에서 권석현이 목하 2인조라고 언급을 하는것으로 도성목과 함께 실루엣이 등장했다. == 작중 행적 == 127화에서 [[권석현]]이 [[나백진]]과의 통화에서 실루엣과 명칭이 최초로 등장했고, 130화에서 마포대교에서 나백진에게 형신의 자료와 돈을 털어간 주승진 및 만월에게서 자료와 돈을 되찾아 오는것으로 연합 간부 정식 데뷔의 검증을 하겠다는 말을 듣는다. == 전투력 == == 전적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f2023,#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2%> '''EP''' || 아군 ||<width=29%> '''상대''' ||<width=13%> '''결과''' || '''비고''' || || || [[도성목]] || '''[[주승진(약한영웅)|주승진]]''' || '''승''' || 만월 및 주승진을 이김 || ||<-4> '''1전 1승 0패 승률 100%''' || '''전승''' || == 여담 == [각주] [[분류:약한영웅/등장인물]]
jkm9343,rexpjh,haingu
まなまる
[[분류:인터넷 방송인]] [[분류:피아니스트]] ||<-2><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파일:manamaru1.jpg|width=100%]]|| ||<-2><bgcolor=#000000><:> '''{{{#white 프로필}}}''' || ||<bgcolor=White> '''본명''' || '''나가후지 마나'''(永藤まな) || ||<bgcolor=White> '''유튜브 닉네임''' || 마나마루(まなまる) || ||<bgcolor=White> '''직업''' || [[피아니스트]], [[유튜버]] || ||<bgcolor=White> '''출신지''' || [[일본]] [[나가노현]] || ||<bgcolor=White> '''생년월일''' || [[1993년]] [[1월 8일]], [age(1993-01-08)]세 || ||<bgcolor=White> '''활동''' || [[2016년]] ~ || ||<bgcolor=white> '''구독자 수''' || 37.5만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여성]] [[피아니스트]]이자 [[유튜버]]이며, [[나가노현]] 출신이다. [[1993년]] 1월 8일 생으로,올해 28살이다. == 생애 == 유소년기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다고 한다. 그 후 음고, 음대를 졸업했다. 후에 2017년, 24살에 일본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인 [[SHOWROOM]]에서 연간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유튜브 활동 == 2018년 3월 23일부터 꾸준히 피아노 커버영상, 일상, 야외공연 등의 영상을 업로드 했다. 그러다가 2020년 9월 7일 처음으로 '''짱구가 OO[* 짱구 성대모사로 커버한 노래 제목]을 부른다면?''' 이라는 콘텐츠를 업로드 했다. 참고로 처음으로 짱구가 OO을 부른다면을 한 노래는 Official影男dism의 pretender. 그러다가 2021년 1월 29일 '''짱구가 짜증나(うっせぇわ)를 부른다면?'''이라는 영상으로 트위터를 통해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으며 구독자도 3만명 남짓에서 현재는 37만명으로 상승했다. 커버한 곡인 짜증나(うっせぇわ)는 일본의 우타이테 [[Ado(우타이테)|Ado]]가 부른 곡이다. 짜증나(うっせぇわ)를 짱구로 커버한 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BTS]]의 dynamite나 [[YOASOBI]]의 [[밤을 달리다]]도 짱구 성대모사로 커버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이후 이러한 계열의 영상을 계속해서 올리고 있다. == 기타 == 가끔 본인이 곡을 커버한 영상도 올린다. まる(마루)라는 명칭을 되게 좋아하는 듯 하다. 본인이 2018년에 낸 피아노 커버앨범의 이름도 まる(마루)이다.
dhdbjd3346,ion2793
매화산로
[include(틀:합천군의 도로)] ---- ||<-4><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7348><bgcolor=#004a8b> {{{#fff {{{+1 '''매화산로'''}}}[br] 梅花山路 | Maehwasan-ro }}} || ||<-4> '''{{{#fff 기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사촌리 || ||<-4> '''{{{#fff 종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구원리 || ||<-4> '''{{{#fff 연장}}}''' || ||<-4><bgcolor=#fff> 6.9km || ||<-4> '''{{{#fff 관리}}}''' || ||<-4><bgcolor=#fff> [[합천군|[[파일:합천군 CI.png|height=30]]]] || ||<-4> '''{{{#fff 왕복 차로 수}}}''' || ||<-4><bgcolor=#fff> 1~2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bgcolor=#fff> 사촌리 ↔ 근민교 ↔ 구원리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사촌리에서 출발하여 구원리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분류:합천군의 도로]]
freedomkorea
대장님
#redirect 아라키 히로히코
1.233.14.4
장딴지근
[[분류:다리(신체)]][[분류:근육]] ||||<tablebordercolor=#ff7f00><table align=right><table width=600><table bgcolor=#ffffff,#1f2023><bgcolor=#ff7f00> {{{#ffffff ''' ''gastrocnemius'' '''}}}[br]{{{#ffffff ''' ''(장딴지근, 비복근)'' '''}}} || ||||<bgcolor=#ffffff> [[파일:장딴지세갈래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안쪽갈래(medial head): 넙다리뼈 안쪽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br]가쪽갈래(lateral head): 넙다리뼈 가쪽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 || || 닿는 곳[br](insertion) || [[아킬레스건]]; [[발꿈치힘줄]][br](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 동맥[br](artery) || 뒤정강동맥[br](posterior tibial artery) || || 신경[br](nerve) || 정강신경[br](tibial nerve) || || 기능[br](action) || 무릎관절 굽힘, 발의 발바닥굽힘[br](flexion of knee, plantar flexion of foot)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은 종아리 뒤칸의 겉쪽에 존재하는 근육으로,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로 이루어진 두갈래 근육이다. 이 근육은 [[가자미근]](soleus m.)과 함께 [[장딴지세갈래근]](triceps surae m.)이라고 묶여서 불리기도 한다.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어]]로 '불룩 튀어나온 부분'을 의미하는 'γαστήρ'([[라틴어]]에선 gaster)와 '[[다리(신체)|다리]]'를 뜻하는 'κνήμη'(라틴어에선 knḗmē)의 [[합성어]]로 알려져 있다. 개정 이전 용어는 비복근([[腓]][[腹]][[筋]])[* 장딴지 비, [[배 복]], [[힘줄 근]].]. == 구조 == 종아리뒤칸 표면에 불룩하게 방추형으로 나온 근육으로, 우리가 [[장딴지]]를 만지면 불룩한 것이 이 근육 때문이다. 넙다리뼈의 안쪽/가쪽위관절융기와 그 근처의 넙다리뼈 표면, 무릎관절의 관절주머니(articular capsule) 등에서 안쪽갈래와 가쪽갈래의 두 갈래로 일어난 장딴지근은 각각 [[오금]]의 안쪽과 가쪽 아래 경계를 이룬다. 그 후 오금 밑쪽에서 두 갈래가 합쳐지고, [[발꿈치힘줄]]에 닿는다. 발꿈치힘줄은 이후 더 내려가서 발꿈치뼈융기(calcaneal tuberosity)에 닿는다. 지배받는 신경이나 동맥은 뒤칸 근육들과 똑같아서 각각 [[정강신경]], [[뒤정강동맥]]이다. == 기능 == 무릎관절에서 [[넓적다리]]를 [[정강이]] 쪽으로 강하게 굽히고, 발을 발바닥쪽으로 굽히는 작용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동시에 작용할 때는 힘을 완전히 발휘하지는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주로 빠르게 달리거나 [[내가 무릎을 꿇었던 건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무릎을 굽히고 강하게 뛰어오를 때]] 강한 수축이 일어난다. 그 외 가자미근과 동시에 하는 작용들은 [[장딴지세갈래근]] 문서 참조. [[대항근]](antagonist)은 이 근육과 정확히 반대로 무릎관절의 폄근이자 발의 발등굽힘근인 [[앞정강근]](tibiis anterior m.)이다.
lr11
윈 민
[[분류:미얀마의 정치인]][[분류:미얀마 대통령]][[분류:1951년 출생]][[분류:축출된 인물]] [include(틀:미얀마 역대 대통령)] [목차]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ce1126><tablebgcolor=#ffd700> '''{{{#000000 {{{+1 미얀마 제10대 대통령}}}[br]ပြည်ထောင်စုမြန်မာနိုင်ငံတော် သမ္မတ}}}''' || ||<-2><#ffffff> [[파일:윈민.jpg|width=100%]] || ||<-2><bgcolor=#c10000> {{{#fff '''{{{+1 ဝင်းမြင့် }}}[br]{{{+1 Win Myint }}}[br]{{{+1 윈 민 }}}'''}}} || ||<#ffc700> '''출생일''' ||<#ffffff>1951년 11월 8일 ([age(1951-11-08)]세) || ||<#ffc700> '''출생지''' ||<#ffffff>버마 다누부 || ||<#ffc700> '''정당''' ||<#ffffff>[[국민민주연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C1B23; font-size: .8em" {{{#ffffff '''국민민주연맹'''}}}}}}]] || ||<#ffc700> '''가족''' ||<#ffffff>배우자 초 초, 슬하 자녀 1명 || ||<#ffc700><|2> '''재임기간''' ||<bgcolor=#f5f5f5,#2d2f34>제10대 미얀마 대통령 || ||<#ffffff>2018년 3월 30일 ~ 2021년 2월 1일 || == 개요 == [[미얀마]]의 정치인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미얀마의 제10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 생애 ==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하원의원을 역임하였으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얀마 하원의장을 지내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미얀마의 실제 정부 수반이지만 헌법상 대통령직에서 배제된 아웅산수찌 여사의 중요한 동맹이자 자리 표시자로 간주되고 있었다. 그러나 2021년 미얀마 쿠데타로 인해 [[아웅 산 수 치]] 국가고문, 헨리 반 티유 부통령과 함께 축출되었다.
nako618
로스트 월드(캡콤)
[[분류:1988년 게임]][[분류:횡스크롤 슈팅]][[분류:메가 드라이브 게임]][[분류:캡콤]] [목차] [[파일:external/36.media.tumblr.com/tumblr_m2scqlIJVO1qd4q8ao1_1280.png]] == 개요 == [[로스트 월드|Lost Worlds]] / Forgotten Worlds [[캡콤]]의 1988년작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CPS1]] 기판의 첫 작품이다. 특이하게 입력장치로 1개의 [[조이스틱|스틱]]과 '롤링 스위치'라고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가 필요하며 롤링 스위치를 회전하는 만큼 플레이어 캐릭터가 16개 방향으로 조준하여 슛을 쏜다. 원래 아케이드 판의 이름은 로스트 월드(Lost Worlds)이나 북미에 발매될때는 동명의 북게임([[퀸즈 블레이드]]의 기원이 된 그것)이 먼저 로스트 월드를 써서 포가튼 월드(Forgotten Worlds)로 이름을 바꿔 북미에 발매했다. 그리고 콘솔판은 일본에서도 포가튼 월드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2021)으로 이식될 때에도 EN/JP 버전 모두 포가튼 월드(Forgotten Worlds)라는 이름으로 발매한 것으로 볼때 공식 이름도 로스트 월드가 아니라 포가튼 월드로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 == 상세 == 횡스크롤 7스테이지와 종스크롤 2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오카모토 요시키]]가 개발자로서 마지막으로 참여한 게임이며 그 외에도 [[니시타니 아키라]]와 [[야스다 아키라]](데뷔작)등 캡콤의 주역들이 참여했다. 이름없는 전사 1,2가 적과 사투를 벌이는 단순한 스토리 라인[* 사실 단순하지만은 않은게 이미 지구는 사악한 적 세력과의 전쟁에서 대패해서 거의 다 몰살당했고 [[http://netyhobby.egloos.com/5802720|지구는 이미 적의 손아귀에 넘어간 상태]]다.]이지만 그래픽과 사운드[* 특히 1스테이지 BGM과 최종스테이지 BGM은 상당히 명곡에 속한다.]등이 높은 평가를 얻었다. 또한 보스의 완성도도 1988년산 게임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다.[* 그 예가 이 게임의 2스테이지 보스이자 가장 유명한 보스인 더스트 드래곤. 초반부에 나오는 주제에 완성도는 후반부에 나오는 보스보다 뛰어나다. 참고로 이 게임의 보스는 이 녀석을 제외하고 전부 사악신이다. 이 녀석이 워낙 유명해서인지 보스 중에서는 유일하게 타사의 작품에도 등장했다.] 파워업 아이템을 얻을 경우 플레이어 우하단에 옵션이 생기는데 이 옵션이 특수공격을 한다. 적을 격파하면 돈이 나오고 그 돈(화폐 이름은 zenny(제니))으로 상점에서 무기를 사서 업그레이드하며, 체력과 실드 등이 존재해 잔기가 아니라 한 번 죽으면 끝이다. 다만 상점에서 부활의 물약을 사면 게임오버가 되지 않고 다시 살아난다. 여러 개 쌓아둘 수 있으며, 아케이드판의 경우 동전을 넣어도 하나 지급된다.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돈만으로 아이템을 제대로 갖추는 것이 상당히 빡빡했기 때문에, 2인 플레이를 할 때에는 우선 제니를 한 명에게 몰아주어 한 명이라도 고급 무기를 먼저 살 수 있게 도와주거나, 처음에는 일단 한 명만 먼저 시작하고 나머지 한 명은 중간에 난입하여 공짜로 옵션을 받아 챙기는 등 어떻게든 효율적으로 제니를 긁어모으려는 플레이가 유행하기도... [[BGM]]은 당시 캡콤 재직시절의 [[카와모토 타마요]]가 제공, 그녀의 캡콤시절 대표 커리어중 하나로 여겨진다. [[야스다 아키라]]는 배경을 맡다가 보스가 화장실에 가자 따라 들어가 보직을 변경해 달라고 건의하여 로스트 월드의 개발에 배속되어 디렉팅, 플래닝, 아트 등의 일에 참여하게 된다. 처음엔 이것저것 아무거나 만들었는데 [[츠지모토 켄조]]로 부터 '자네는 그림은 좋은데 뭘 그리는지 알 수가 없으니 빌딩을 그려주게' 라고 해서 '과연!' 하고 빌딩을 그렸다고. 그 외에도 메가롬의 대용량, 스테이지마다 모두 다른 적 디자인 등을 도입하는등 혼신의 힘을 다했지만 메가롬이 당시에는 수율이 낮았고 저조한 인컴과 판매량등으로 인해 실패작으로 기록된 비운의 걸작이다. 이후 이름없는 전사 1&2와 1스테이지 첫 상점에서 자기소개를 하는 '실피'라는 이름의 상점 아가씨는 [[남코X캡콤]]에도 출연한다. 플레이어 캐릭터의 경우 이름없는 전사 1&2가 캐릭터의 이름이며 원거리 공격 전용 캐릭터. 특이하게 옵션으로 [[사이드 암즈]]에 나왔던 두 플레이어 기체를 데리고 있다.[* MA에서 원작대로 이 둘이 합체하는 연출이 나온다. MA명 역시 원작의 부제였던 '절대합체'.] 성우는 1P가 [[오오츠카 아키오]], 2P가 [[겐다 텟쇼]]. 상점 아가씨는 실피라는 이름이 붙어서 등장하며, 근거리 공격 전용. 공격시 온갖 캡콤 올드 게임 패러디를 난무한다. 이 상점 아가씨의 도트를 찍은 사람이 야스다 아키라. 성우는 [[타나카 리에]]. 이 게임의 마지막에 나오는 상점에서는 '옷'을 팔고 있는데, 이걸 99900제니를 주고 사면 실피가 "당신 아주 응큼하군요"[* 원문은 'あなたってとってもHなのね'.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라는 말을 내뱉는다... 심지어 이건 남코X캡콤에도 재현되어 있는데[* 그것도 보이스 지원으로!], 원작에서는 저 메시지를 꺼내는 것 외에 용도가 없던 것이[* 아주 용도가 없는 건 아닌 게, 이걸 구입한 상태로 클리어하면 보너스 점수 200만점으로 돌려준다. 제니로 보존할 경우의 2배 이상. 물론 최종보스와의 싸움에서는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여기서는 최상급의 장착 아이템인지라 자주 사게 되어 저 소리를 많이 듣게 될 것이다...[* 심지어 이건 남캐도 장착 가능하다!] 참고로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레이블|흑왕생]]의 現 전일인 [[HFD]]는 초등학교 6학년 시절때 이 게임을 850만점까지 찍었다고 한다. 그리고 본인의 말에 따르면 전국 1위 같은 것이 되든 말든 스스로 납득할 수 있는 수준까지 했다고 한다. 최종보스의 취급이 그리 좋지 않은 게임이기도 하다. 본래 최종보스는 천제 바이오스[* 포스가 아예 없는건 아닌데 크기도 초전사보다 조금 큰 정도로 작은 편인데다가 제대로 된 일러스트 하나 없어서 그만한 포스가 안 느껴진다. 다만 패턴만을 놓고보면 최종보스의 포스는 있는 편에 속한다.]지만 하필이면 게임시작전 인트로에 나오는 보스인 무신의 존재감[* 이 게임을 처음 접한 사람들은 무신을 최종보스로 알 정도다!]이 엄청나서 설정을 모르거나 게임 내의 텍스트를 읽어보지 않는 이상 존재 자체를 아는 사람이 적은 편이다. [* 실제로 무신은 로스트 월드 이식판에서 최종보스도 아닌 주제에 커버에 등장하고 존재감 없는 바이오스는 묻혔다. 지못미... 그래도 마블 VS 캡콤의 스테이지 중 실루엣으로 등장했으니 매우 존재감이 없는 건 아닌 것 같다.] 또한 스테이지를 진행할수록, 보스의 포스가 점점 떨어지는 게임이기도 하다. 1스테이지의 파라메시움은 그냥 평범한 잡보스에 불과하지만 2스테이지의 더스트 드래곤과 3스테이지의 무신의 경우, 그 압도적인 크기로 최종 보스급 분위기를 뿜긴다. 그런데 4스테이지의 라(정확히는 그가 타고 있는 배 자체가 보스) 이후의 보스부터 사이즈가 작아지더니[* 5스테이지의 보스는 샌티피드라는 길쭉한 지네같은 보스, 6스테이지는 투탕카멘(모티브와 이름 모두 투탕카멘에서 따옴)인데 2,3,4스테이지의 보스에 비하면 덩치가 작다.] 7스테이지의 아이스맨같이 네이밍 센스가 성의없고 디자인도 매우 단순한[* 그래도 보스의 완성도 자체는 높다.] 보스인 아이스맨에서 절정을 찍는데, 후반부 보스 주제에 매우 성의없는 네이밍과 디자인으로 전혀 포스가 없다...[* 1스테이지 보스인 파라메시움과 함께 가장 존재감이 없는 보스이기도 하다. 그래도 파라메시움은 1스테이지 보스라 만나기도 쉬운편인데,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는 7스테이지의 아이스맨은... 심지어 같은 회사에서 동명의 캐릭터가 존재한다. 게다가 위의 일러스트에서 라와 파라메시움과 함께 나오지 않았다... 이정도면 개안습...] 나머지 보스인 8스테이지의 뇌신 & 풍신은 사이즈와 배경의 탑만 봐도 위압적인 보스고, 최종보스 천제 바이오스는 사이즈가 작다는 점[* 그래도 초전사들보다는 덩치가 크다.]을 제외하면 포스가 있는 편이다. == 조작법 == 상술했듯이 8방향 스틱과 독자적인 입력장치 '롤링 스위치'가 도입되었다. * 롤링 스위치를 누르면 : 샷 (풀 오토 연사) * 롤링 스위치 연타 : [[메가크래시]](자기의 내구력을 소모하여 화면상의 모든 적에게 데미지를 주는 전멸폭탄) * 롤링 스위치를 누르면서 돌리기 : 샷 방향의 회전. 새틀라이트는 자기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 채 그 자리에서 자전한다. * 롤링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돌리기 : 샷 방향의 회전. 새틀라이트는 자기의 주위를 공전한다. == 이식 == [[세가 마스터 시스템]], [[메가 드라이브]], [[PC 엔진]], [[PS2]], [[Xbox(2001)]], [[PSP]], [[Wii]] 등 다수의 콘솔로 이식된 바 있지만 [[미드나이트 레지스탕스]]의 루프 레버와 마찬가지로 저 문제의 롤링 스위치 때문에 그 어떤 콘솔도 원판의 감각을 재현하지 못한다.[* [[MAME]]등등의 에뮬로 플레이시 이 롤링스위치는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가 담당하게 된다.(단, 방향전환은 마우스휠이 아니다.)] 플레이할 때는 그냥 꾸욱 누르고 있으면 연사가 되었으며(당시 슈팅게임들은 자동연사기능이 없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 다른 슈팅게임처럼 롤링스위치를 연타하면 [[메가크래시]]가 나갔다. 2021년에는 [[Nintendo Switch]]로 [[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2021)에 이식되었는데, 2개의 아날로그 스틱을 가진 [[게임패드]]([[Joy-Con|조이콘]] 혹은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프로콘]])로 즐기면 꽤 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PC 에뮬레이터로 게임을 하는 것 보다 이 게임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캡콤 아케이드 스타디움을 구매할 가치는 있다. == 주인공들 ==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art_soldier1.png]]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art_soldier2.png]] || || 1P || 2P || 사족으로 2P측 전사는 후년의 [[파이널 파이트]]의 적 캐릭터 [[투피(파이널 파이트)]]의 조형및 네이밍에 간접적으로 계승된다. 대략 Two Player 을 아나그램한 이름인 것. == 상점 == [[파일:external/tcrf.net/FWorldsArcShopOpen1.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2.png]] [[파일:external/tcrf.net/FWorldsArcShopOpen3.png]] === 총기 업그레이드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gun_booste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gun_booster2.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gun_booster3.png]] === 세틀라이트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cannon.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napalm.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missile.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bomb.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lase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burne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bound.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vulcan.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wide.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lase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it_laser2.png]] === 아이템들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medic.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life.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potion.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info.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unit.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repai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armo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armor2.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shop_flight.png]] == 부수 아이템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item_cow.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item_strawberry.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item_sta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item_pow.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item_pow2.png]] [[파일:external/6bf6fe9493ef22d02656e4c1ac756845cfdbc996e009bd64e744dc6978afb8b1.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rice.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cone.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mobi.png]] == 제니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xl.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l.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m.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zenny_s.png]] == 적들 == === 더스트 월드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2.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3.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4.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5.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6.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zard7.png]] 렙틸리언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junk.png]] 스크랩타워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crawler.png]] 육각전차 텍트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gear.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gear2.png]] 기어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crate.png]] 컨테이너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devourer.png]] 빅마우스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turret.png]] 포대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aser.png]] 레이저 포대 === 피라미드 월드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archer.png]] 이무르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anubite.png]] 아누비스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flower2.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flower.png]] 플라워웜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visage.png]] 빅간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rod.png]] 배리어볼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blob.png]] 크라우 === 천상계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warrior.png]] 천공인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warrior2.png]] 갑옷병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dragon.png]] 구름용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visage2.png]] 거대 요괴승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dragon2.png]] 화룡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lion.png]] 백태상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turret2.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generator.png]] 포대 & 발진기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missile.png]] 산탄 미사일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beetle.png]] 배틀 나이트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magnet.png]] 바슈라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wallgun.png]] 삼면발포 [[파일:external/9efc0e9cc9e3afc892ef38cb4b2e4c65a7e2d6068e356804a1c8c42a859baa3f.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arm2.png]] 좌우 3연장 포대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enemy_fireclaw.png]] 파이어 클로 [[파일:external/91ac8dad46721d39e1d6700b4fc9b0e8874ea0d2ae021f866525dca0011a3ddf.png]] 가루우 === 보스들 ===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core.png]] 매그네틱 파라메시움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dustdragon.png]] 더스트 드래곤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bushin2.png]] 무신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rah2.png]] 메스케테트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sphinx.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sphinx2.png]] 스핑크스 & 센티피드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pharaoh.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pharaoh2.png]] 투탕카맨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iceman.png]] 아이스맨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fuujin.png]]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raijin.png]] 풍신 & 뇌신 [[파일:external/www.arcadequartermaster.com/boss_bios.png]] 천제 바이오스
116.46.224.99
묘산로
[include(틀:합천군의 도로)] ---- ||<-4><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7348><bgcolor=#004a8b> {{{#fff {{{+1 '''묘산로'''}}}[br] 妙山路 | Myosan-ro }}} || ||<-4> '''{{{#fff 기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 || ||<-4> '''{{{#fff 종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안성리 || ||<-4> '''{{{#fff 연장}}}''' || ||<-4><bgcolor=#fff> 4.4km || ||<-4> '''{{{#fff 관리}}}''' || ||<-4><bgcolor=#fff> [[합천군|[[파일:합천군 CI.png|height=30]]]] || ||<-4> '''{{{#fff 왕복 차로 수}}}''' || ||<-4><bgcolor=#fff> 2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bgcolor=#fff> 반포리 ↔ [[묘산초등학교]] ↔ 묘산삼거리 ↔ 안성리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에서 출발하여 안성리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분류:합천군의 도로]]
freedomkorea
라자로 프로젝트: 좀비
#redirect Project Lazarus: Zombie
kjs2006
비계산로
[include(틀:합천군의 도로)] ---- ||<-4><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7348><bgcolor=#004a8b> {{{#fff {{{+1 '''비계산로'''}}}[br] 飛鷄山路 | Bigyesan-ro }}} || ||<-4> '''{{{#fff 기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안리 || ||<-4> '''{{{#fff 종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죽전리 || ||<-4> '''{{{#fff 연장}}}''' || ||<-4><bgcolor=#fff> 4.3km || ||<-4> '''{{{#fff 관리}}}''' || ||<-4><bgcolor=#fff> [[합천군|[[파일:합천군 CI.png|height=30]]]] || ||<-4> '''{{{#fff 왕복 차로 수}}}''' || ||<-4><bgcolor=#fff> 1~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bgcolor=#fff> 매안리 ↔ 대전교 ↔ 가천1교 ↔ 죽전리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매안리에서 출발하여 죽전리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분류:합천군의 도로]]
freedomkorea
드래곤플라이 프로젝트
[[분류:중국]][[분류:검열]][[분류:구글]][[분류:검색 엔진]] {{{+1 드래곤플라이 프로젝트}}} {{{+2 {{{#808080 |}}}}}} {{{+1 Dragonfly Project}}} ||<-2> {{{#ffde00 '''실행 국가'''}}} ||<-4>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 ||<-2> {{{#ffde00 '''개발 기업'''}}} ||<-4> [[중국|[[파일:구글 로고.svg|width=28]] 구글]]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글이 중국의 국가 검열규정을 준수하는 [[검색 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한 프로젝트로, Google 직원의 내부 폭로[* [[https://theintercept.com/2018/09/21/google-suppresses-memo-revealing-plans-to-closely-track-search-users-in-china/|GOOGLE SUPPRESSES MEMO REVEALING PLANS TO CLOSELY TRACK SEARCH USERS IN CHINA]]]로 인하여 공개되었다. 이후 구글은 2018년 사내 개인정보 보호 팀과의 협의를 통해 프로젝트를 중단하였다고 발표하였으나, 2019년 3월까지도 해당 프로젝트가 유지되고 있다는 폭로가 이어서 나왔고 구글은 2019년 7월에 이를 시인하며 완전한 중단을 알렸다. 해당 사건 이후 구글은 사실상 모토인 'Don't Be Evil'을 스스로 부정하게 됨은 물론, 회사의 이미지 또한 큰 손실을 입게 되었다. == 반응 == === 인권단체 === * [[국제엠네스티]]는 해당 프로젝트의 취소를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구글 경영진에 발표했으며, 중국의 광범위한 국가 감시 프로그램에 기여할 수 있는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강력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 미국 === * 미국 전 합참의장인 [[조지프 던퍼드]]는 "구글이 중국인들의 온라인 언론에 대한 자유를 제한하기 위해 검열 기술을 사용하는 공산주의 및 독재 국가인 중국에 지속적으로 투자 하고 있다"며 구글을 비판하였다. 또한 그는 구글이 논란의 대상인 중국 진출 대신 미국 정부와 직접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https://www.reuters.com/article/us-usa-military-alphabet/top-u-s-general-urges-google-to-work-with-military-idUSKBN1O52N1|Top U.S. general urges Google to work with military]] *
112.147.73.169
내부공생
#redirect 세포 내 공생설
59.20.128.182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애니매트로닉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include(틀: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애니매트로닉스)] [목차] [clearfix] == 클릭팀 시리즈 == === [[Five Nights at Freddy's/애니매트로닉스|FNaF 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애니매트로닉스)] ==== [[Freddy Fazbear|Freddy Fazbear (프레디 파즈베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레디 파즈베어)] ==== [[Bonnie The Bunny|Bonnie The Bunny (토끼 보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토끼 보니)] ==== [[Chica The Chicken|Chica The Chicken (병아리 치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병아리 치카)] ==== [[Foxy The Pirate|Foxy The Pirate (해적 폭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해적 폭시)] === [[Five Nights at Freddy's 2/애니매트로닉스|FNaF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2/애니매트로닉스)] ==== [[구형 프레디|Withered Freddy (구형 프레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형 프레디)] ==== [[구형 보니|Withered Bonnie (구형 보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형 보니)] ==== [[구형 치카|Withered Chica (구형 치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형 치카)] ==== [[구형 폭시|Withered Foxy (구형 폭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구형 폭시)] ==== [[The Puppet|The Puppet (퍼펫)]]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Puppet)] === [[Five Nights at Freddy's 3/애니매트로닉스|FNaF 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3/애니매트로닉스)] ==== [[Springtrap|Springtrap (스프링트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pringtrap)] === [[Five Nights at Freddy's 4/애니매트로닉스|FNaF 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4/애니매트로닉스)] === [[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애니매트로닉스|FNaF: SL]]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Sister Location/애니매트로닉스)] === [[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애니매트로닉스|FFPS]]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eddy Fazbear's Pizzeria Simulator/애니매트로닉스)] === [[Ultimate Custom Night/애니매트로닉스|UCN]]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ltimate Custom Night/애니매트로닉스)] == 공동제작 시리즈 == === [[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애니매트로닉스|FNaF: HW]]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Help Wanted/애니매트로닉스)] === [[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애니매트로닉스|FNaF AR: SD]]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AR: Special Delivery/애니매트로닉스)]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환각|환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환각)] === [[Golden Freddy|Golden Freddy (골든 프레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골든 프레디)] == 스핀오프 == === [[FNaF World/캐릭터|FW]]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NaF World/캐릭터)] === [[Freddy in Space 2/캐릭터|FiS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reddy in Space 2/캐릭터)]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공식 서적/애니매트로닉스|소설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공식 서적/애니매트로닉스)] [[분류: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분류:애니매트로닉스]][[분류:작품별 캐릭터]][[분류:게임 캐릭터]]
deva666
반막양근
#redirect 반막근
lr11
triangle strategy
#redirect project TRIANGLE STRATEGY
118.46.4.181
비복근
#redirect 장딴지근
lr11
침묵택시
[[분류:택시]] [목차] == 개요 == 택시를 이용할 때 기사가 말을 하지 않는 택시로 택시기사와 이야기하기 싫은 사람들을 위한 제도 방안. == 기원 == 혼자 수송업을 하는 택시기사들은 손님들에게 말을 거는 이유가 많다. 정치 이야기부터 관광, 역사, 날씨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좋아하는 사람도 있지만 불편해하거나 말을 섞고 싶지 않은 사람들들 역시 많다. 특히 개인적인 성향이 두드러진 젊은 층에서는 택시기사가 말을 거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사람이 많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침묵 택시 제도이다. 이를 제도화 한곳은 일본으로 택시를 이용할 때 승객은 조용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만들어졌으며 혼자 생각하는 시간이 많은 승객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 현황 == 한국에서도 이러한 침묵택시 도입을 위한 설문조사가 2017년 8월경에 있었는데 [[서울신문]]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반 승객들은 80% 가까이 찬성한 반면에 택시 기사들은 67.6%가 반대하였다. 한국에서 제도화하기에는 아직 무리가 있어 보인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904010019|해당 서울신문 기사 링크]].
218.155.107.4,lr11
영문고등학교 야구부
#redirect 예일메디텍고등학교 야구부
ssangmun2
로또왕
[include(틀:달라스튜디오)] ||<-2><table align=center><tablewidth=60%><tablebordercolor=#5d5d5d><tablebgcolor=#ffffff><bgcolor=#47c832> '''{{{+3 {{{#FFFFFF 로또왕}}}}}}''' || ||<-2><bgcolor=#b7d8e7>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로또왕.jpg|width=100%]]}}} || ||<bgcolor=#000000> {{{#FFFFFF '''방송 시간'''}}} ||<bgcolor=#fff,#1f2023>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30분 || ||<bgcolor=#000000> {{{#FFFFFF '''기간'''}}} ||<bgcolor=#fff,#1f2023> 2021년 02월 25일 ~ || ||<bgcolor=#000000> {{{#FFFFFF '''제작사'''}}} ||<bgcolor=#fff,#1f2023> 달라스튜디오 || ||<bgcolor=#000000> {{{#FFFFFF '''출연진'''}}} ||<bgcolor=#fff,#1f2023> 이이경 || ||<bgcolor=#000000> {{{#FFFFFF '''제작진'''}}} ||<bgcolor=#fff,#1f2023> PD [[고동완]] || ||<bgcolor=#000000> {{{#FFFFFF '''구독자 수'''}}} ||<bgcolor=#fff,#1f2023> 114만명[* 2020년 2월 28일 기준, [[네고왕]], [[발명왕]] 공동 채널] || ||<bgcolor=#000000> {{{#FFFFFF '''채널 조회수'''}}} ||<bgcolor=#fff,#1f2023> 94,751,814회[* 2020년 2월 28일 기준, [[네고왕]], [[발명왕]] 공동 채널] || ||<bgcolor=#000000> {{{#FFFFFF '''채널'''}}} ||<bgcolor=#fff,#1f2023> [[https://www.youtube.com/c/dal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목차] == 개요 == [[고동완]] PD 사단이 만든 달라스튜디오의 웹예능이다.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30분에 공개되며, 이이경이 로또 번호를 예측하면서 실제 추첨방송을 직접 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방영목록 == ||<table 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width=5%><rowbgcolor=#47c832> {{{#fff '''EP'''}}} ||<width=20%> {{{#fff '''방영일'''}}} ||<width=30%> {{{#fff '''예측한 번호'''}}} || {{{#fff '''링크'''}}} || {{{#fff '''비고'''}}} || || '''1''' || [[2021년]] [[2월 25일]] || 1, 3, 14, 17, 27, 32 || [[https://www.youtube.com/watch?v=YzyyhO67_ME&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7]]]] || 로또왕 첫 방송 || [[분류:웹예능]]
pink5244
천진(마이틴)
#redirect 김상진(1996)
gimhae24
은수
#redirect 최은수
gimhae24
브레게 항공
[[분류:항공 우주 기업]] [목차] == 개요 == Breguet Aviation 프랑스의 항공산업 개척자였던 루이 샤를 브레게(Louis Charles Breguet)[* 시계회사 [[브레게]]의 창립자인 아브라함-루이 브레게의 후손이다. 정확히는 고손자.]가 1911년에 설립한 항공기 제작사. 의외로 시작은 [[회전익기]]였다. 1907년 [[오토자이로|자이로플레인]] 시제기를 만든 것을 시작으로 점차 [[고정익기]]로 옮겨갔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폭격기를 개발,생산 하였고, 전간기에는 중형 여객기와 폭격기를 생산하면서 프로토타입 헬리콥터 시제기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가 패망하면서 항공기 생산을 모두 중단하고 [[전기자동차]]를 잠깐 만들어 팔았다. 전후 동축반전 헬리콥터 시제기인 G.11E를 만들며 회전익기에 대한 끈질긴 집착을 보였지만 마지막 시도가 되고 말았다. 프랑스 공군을 위한 전투기와 함재기를 개발했고, 영국 BAC(BAe의 전신)와 함께 SEPECAT 컨소시엄을 이루고 [[SEPECAT 재규어]]를 개발하였다. 그외에도 4발 여객기, 글라이더, 비행정 등 다양한 기종을 생산했다. 1971년 [[다쏘]]사에게 인수 합병 되어 다쏘-브레게 항공이 되었다. == 생산 기종 == * Br.410 : 2발 복엽 경폭격기. 1931년 개발되어 스페인에 판매되어 스페인 내전에 사용되었다. * Br.482 : 4발 중폭격기. 2대의 시제기가 제작되던 중에 독일군에 점령 당하면서 중단되었다 전후 1947년 Br.482로 이름을 바꾸고 완성되어 실험영구용으로 비행을 하긴 했다. * [[브레게 693|Br.693]] : 2발 급강하 대지공격기. 230여대 생산되었으나 제대로 활약도 못해보고 119대가 파괴되고 패전을 맞았다. 남은 댓수를 접수한 독일군은 이탈리아에 넘겨줘 훈련용으로 쓰다가 전쟁 말기에는 한대도 남지 않았다. * Br.521 비제르테 : 3발 초계용 비행정. * [[브레게 730|Br.730]] : 4발 초계용 비행정. 전 기종인 Br.521 비제르테의 후계기. 1대만 만들어지고 패전으로 독일에게 넘어갔다. 전후 같은 설계도로 기수부분만 변경된 Br.731이 4대가 만들어져 프랑스 해군에서 쓰인다. * G.11E : 이중반전 로터의 헬리콥터 시제기 * Br.761(듀퐁) : 4발 레시프로 수송기. 동체가 2층구조로 1953년부터 [[에어 프랑스]]에서 민항기로 썼다. * Br.940/941 : 4발 터보프롭 고익 수송기 * Br.1050 [[알리제]] : 단발 터보프롭 대잠초계기. 프랑스 및 인도 공군에서 사용했다. * [[SEPECAT 재규어]] * Br.1150 [[아틀란틱]] : 대잠초계기, 브레게가 다쏘에게 넘어간 이후로도 인기기종으로 서방세계에 많이 팔렸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Breguet, version=90)]
sansoo
명탐정 코난/작중작
[include(틀:명탐정 코난)] [목차] == 개요 == [[명탐정 코난]]에 나오는 작중 창작물들 일람. 시리즈가 길어지면서 작중 등장하는 창작물들도 매우 많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는 일회용으로 특정 사건에서만 언급되거나 배경이 되는 경우도 있고, 의외로 꾸준히 언급되고 작중에서도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런 작중작들을 통해서 아오야마 고쇼가 떡밥을 던지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가지고 있다. == 특촬물 - [[가면 야이바]] == 작품 초창기부터 꾸준히 언급되고 등장한 특촬물이다. 모티브는 당연히 [[가면라이더 시리즈]]. 여기에 이름을 작가의 전작 주인공인 야이바로 바꾸면서 가면 야이바가 된 것. 괴도키드와 동일 세계관이다보니 그쪽에서도 등장한다. [[치바 카즈노부(명탐정 코난)|치바 형사]]가 어릴 적부터도 인기를 끌었던 작품이다. 이후 작중 세계적인 히어로 영화인 어젠더스(...)의 멤버로도 참여했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특촬물 - [[고메라]] == 역시 작품 초창기부터 꾸준히 등장한 특촬물로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함께 코난 월드의 양대 특촬물이다. 모티브 및 어원은 [[고지라]]와 [[가메라]]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작중 시리즈가 시작된 것은 10년 전이며, [[대괴수 고메라 살인사건]] 즈음으로 시리즈를 마무리지으려 했으나 코난 월드답게 슈트 액터가 시리즈를 끝내려던 제작자를 살해(...)하고 체포되었다. 그런 대규모 스캔들과 슈트액터의 강제하차에도 불구하고 이후로도 계속 인기를 끌어서 시리즈가 끝없이 나오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추리소설 - 탐정 사몬지 시리즈 == 작중 유명한 추리 소설가 신메이 닌타로가 연재한 초인기 추리소설. 작중 10년 전에 연재가 종료되었다. 수많은 극성 팬들의 연재재개 요청(심지어 테러 협박까지 있었다!)과 연재처인 신문사의 요청에도 작가가 연재를 거부하다가 작중 반년즘 전부터 작가의 변심으로 후속작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이는 자신의 살 날이 얼마 안남았을을 깨달은 신메이 닌타로가, 연재를 빌어 독자들에게 추리퀴즈를 낸 것. 결국 신메이 닌타로는 재개한 작품의 완결을 짓지 못하고 임종을 맞이했으나, 딸인 신메이 카오리가 부친을 이어받아 시리즈를 이어나갔고 부친의 이름에 누를 끼치지 않고 시리즈는 대성공을 이어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신메이 카오리는 자신의 경험을 소설에 반영시켜 사몬지 탐정의 조수로 [[모리 코고로|주정뱅이 아저씨 탐정]]과 [[모리 란|왈가닥 여고생]], 그리고 [[에도가와 코난|안경잡이 건방진 꼬마]]를 추가시킨다(...). 워낙 인기있는 작품이라 그런지 TV드라마로도 나오고 있으며, 같은 작품임에도 여러 번 리메이크하고 그때마다 범인도 바꾼다고 한다. 1회용 에피소드 설정으로 보였지만, 이후로도 사소하게나마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특히 코난의 경우 이 시리즈의 신간이 나오는 날에는 다른 일정을 아무 것도 안 잡고 책만 읽고 있다. == 추리소설 - 나이트 바론 시리즈 == 세계적인 추리 소설가 [[쿠도 유사쿠]](= 코난의 아빠)가 써서 대히트한 추리소설 시리즈. 한국에서는 이를 번역하여 어둠의 남작 시리즈로 표기했다. 작중 나이트바론은 신출귀몰하고 정체를 밝히지 않기 위해 늘 가면을 쓰고 다닌다. 다만, 그 이상으로 자세한 언급은 없다. 검은 조직에서 사용하는 보안 목적의 바이러스, 조직 외 컴퓨터에서 조직의 디스켓을 사용할 경우 바로 정보가 파기되게 만드는 바이러스 이름도 나이트바론이어서 연관성있는거 아니냐는 의혹도 있었지만 그냥 단순하게 검은 조직에서 이름을 빌려다 쓴 듯. 초반부에는 여러 차례 언급되었지만 연재가 장기화되면서 사실상 잊혀진 작품. 쿠도 유사쿠도 본업인 추리소설가에서 헐리우드 각본가로 주 활동을 바꾸다보니 나이트 바론 시리즈가 더더욱 언급되기도 어려워졌다. [[분류: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ladenijoa,haanow,silverhand_06
노먼 그린바움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A-266378-1122477989.jpg.jpg]]}}}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50><bgcolor=#B5D3D2> {{{+1 Norman Greenbaum}}} || || '''본명''' ||노먼 조엘 그린바움 (Norman Joel Greenbaum)|| ||<tablebgcolor=white><width=25%><|2> '''출생''' ||1942년 11월 20일 ([age(1942-11-30)]세)|| ||[[매사추세츠 주]] 몰든|| || '''장르''' ||록|| || '''직업''' ||가수[br]송라이터|| [목차] [clearfix] == 생애 == === 초기 === 1942년 11월 20일, 매사추세츠 주 몰든에서 태어났다. 정통파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고, 베스 이스라엘 회당의 히브리인 학교에 다녔다. 그러다 1950년대 말부터 60년대 초까지 인기를 얻은 블루스, 포크 음악에 의해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고등학교에선 여러 밴드와 함께 공연했으며, [[보스턴 대학교]]에서 2년간 음악을 공부했다. 대학생 때는 지역의 커피샵에서 공연하다가, 대학교를 중퇴하고 1965년에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 === 활동 === 그 뒤 1966년부터 녹음하기 시작했지만 별 다른 히트곡은 없었다. 그러다 서부극 영화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https://www.youtube.com/watch?v=AZQxH_8raCI|Spirit in the Sky]]가 크게 성공한다.[* 이 곡은 이후로 많은 영화, 광고, TV 쇼에서 사용되었다.] [[원 히트 원더|하지만 이후론 상업적으로 성공한 곡이 없다.]] === 사생활 === 그는 캘리포니아 주 샌타로자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다. 2015년 3월 28일엔 오시덴탈 로드에서 오토바이와 충돌해 중상을 입기도 했다. 이후 회복되어 현재까지도 활동하는 중이다. == 대표곡 == * Spirit in the Sky (1969) [[분류:미국 남가수]][[분류:미국 작곡가]][[분류:1942년 출생]][[분류:매사추세츠 주 출신 인물]]
sundown
백명훈
#redirect 낯선
121.185.190.249
에자키 신페이
[[분류:애니메이션 감독/ㅇ]] [[파일:에자키 신페이.jpg]] [목차] == 개요 == 江崎慎平 [[https://twitter.com/glico_shinpe|개인 트위터]]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Production I.G]] 출신. 2005년에 [[Production I.G]]에 [[제작진행]]으로 입사했다. 약 3년간 제작진행과 설정 제작을 도맡다가 2008년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으로 연출 활동을 시작했다. 2010년대 초반까지 Production I.G 작품을 중심으로 연출 활동을 하다가 2011년 경에 퇴사하여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프리랜서가 된 이래로는 주로 [[A-1 Pictures]], [[라이덴 필름]], [[WIT STUDIO]]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영상 연출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연출가로, 특히 고난이도의 액션 작화를 소화할 수 있다. [[나만이 없는 거리/애니메이션|나만이 없는 거리]],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진격의 거인]], [[BLACK★ROCK SHOOTER/애니메이션|BLACK★ROCK SHOOTER TVA]] 등 뛰어난 액션으로 유명한 애니메이션에서 콘티를 맡아 출중한 연출을 보여주었고, 감독 대표작인 [[하네배드!]]에서는 배드민턴 동작의 사실성과 역동성을 전부 잡아내서 훌륭한 영상미를 선보였다. 다만 스토리의 경우 원작 재해석을 너무 심하게 하거나 개연성이 떨어지는 점이 많아 감독작 모두 스토리에서는 좋은 평을 받지 못하고 있다. == 참여작 == === 감독 === * [[건슬링거 스트라토스]] (2015, TVA) * [[몬스터 스트라이크 더 무비 시작의 장소에]] (2016, 극장판) * [[하네배드!]] (2018, TVA) * [[딱따구리 탐정처]] (2020, TVA) - 총감독. * [[Vivy -Fluorite Eye’s Song-]] (2021, TVA) - エザキシンペイ 명의. === 그 외 === * IGPX (2005, TVA) - 제작진행(9, 13화) * [[월드 디스트럭션|월드 디스트럭션: 세계박멸의 6인]] (2008, TVA) - 설정 제작 *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2008, TVA) - 연출(11화)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TVA 1기: 전국 바사라|전국 바사라]] (2009, TVA) - 연출(4, 9화), 콘티 협력(9화) * [[츠바사 크로니클|츠바사 춘뢰기]] (2009, OVA) - 감독조수 * [[문학소녀 시리즈|문학소녀 오늘의 간식 ~첫 사랑~]] (2009, OVA) - 연출 * [[소녀 파이트]] (2009, OVA) - 연출 * [[너에게 닿기를]] (2009~2010, TVA) - 연출(8, 18, 24화) * [[문학소녀 시리즈|극장판 문학소녀]] (2010, 극장판) - 감독조수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TVA 2기: 전국 BASARA 弐|전국 BASARA 弐]] (2010, TVA) - 콘티(8화), 연출(OP, 8, 11화) * [[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2010, TVA) - 연출(2, 8화) * [[전국 바사라/애니메이션#극장판 전국 바사라 THE LAST PARTY|극장판 전국 바사라 THE LAST PARTY]] (2011, 극장판) - 연출(A파트) * [[청의 엑소시스트/애니메이션#TVA 1기: 청의 엑소시스트|청의 엑소시스트]] (2011, TVA) - 연출(17, 22화) * [[길티 크라운]] (2011~2012, TVA) - 콘티(OVA), 연출(6, 12, 20화, OVA), 연출 협력(10화) * [[BLACK★ROCK SHOOTER/애니메이션#TVA|BLACK★ROCK SHOOTER]] (2012, TVA) - 콘티(7화), 연출(7화) * [[우주 형제]] (2012~2014, TVA) - 콘티(30, 40, 61, 85화), 연출(14, 30, 40, 49, 61, 85화) * [[에우레카 세븐 AO]] (2012, TVA) - 콘티(13화) * [[전용.]] (2013, TVA) - 콘티(7, 8화)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 1기)|진격의 거인 1기]] (2013, TVA) - 콘티(5, 22화), 연출(5, 8, 14, 22화) * [[은수저 Silver Spoon/애니메이션#TVA 2기: 은수저 Silver Spoon 세컨드 시즌|은수저 Silver Spoon 세컨드 시즌]] (2014, TVA) - 콘티(8화) * [[야마노스스메]] 세컨드 시즌 OVA (2014, OVA) - 콘티(2화) * [[아니메 미라이|아니메 미라이 2014 키가 큰 1학년생과 작은 2학년생]] (2014, 극장판) - 연출 * [[미스 모노크롬|미스 모노크롬 The Animation 3]] (2015, TVA) - 콘티(5화), 연출(5화) * [[석고 보이즈]] (2016, TVA) - 콘티(3, 7화), 연출(3화) * [[나만이 없는 거리/애니메이션|나만이 없는 거리]] (2016, TVA) - 콘티(7, 11화) * [[재와 환상의 그림갈/애니메이션|재와 환상의 그림갈]] (2016, TVA) - 콘티(9, 11화) * [[역전재판 그 「진실」, 이의 있음!]] (2016, TVA) - 콘티(7화) * [[가부키부!]] (2017, TVA) - 콘티(OP), 연출(OP) * [[바나나 피쉬]] (2018, TVA) - 연출(21화) * [[그레이트 프리텐더]] (2020, TVA) - 콘티(6화)
omega4504,121.186.169.171,sron
수단 아랍인
[include(틀:셈족)] [include(틀:아프리카의 민족)] [목차] == 개요 == [[수단 공화국]]에 거주하는 [[아랍인]]을 의미한다. 수단 공화국 영내 [[나일로트]] 계열 흑인들[* 이를테면 [[다르푸르 학살|다르푸르]]의 [[푸르족]]은 푸르어와 아랍어를 둘 다 유창하게 구사하는데 이들을 아랍인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흔하다.]과 [[바까라족]]은 포함될 때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때도 있다. 수단의 주요 소수 민족 중 [[쿠시어파]]에 속하는 [[베쟈족]]은 수단 아랍인과 별개의 민족이다. == 상세 == 수단 아랍인들은 고대부터 고대 [[이집트인]]와 [[누비아인]]의 혼혈, 누비아인들의 이슬람 개종, 누비아어 대신에 모국어로 아랍어를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흑백혼혈]]이 주류이다. 다만 [[아프리카의 뿔]]의 흑백혼혈과 달리 혼혈의 역사가 더 짧기 때문에 [[백인]]과 [[흑인]]의 중간 외모를 지닌 사람이 주류이다.[* 아프리카의 뿔의 흑백혼혈이 안면이 코카소이드이고 피부색만 짙은 원인은 [[신석기 시대]] 중기부터 쿠시어족이 흑인과 혼혈했다면 수단 아랍인은 BC 10세기 [[청동기 시대]]부터 고대 이집트인이 남하해 흑인과 혼혈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뿔의 흑백혼혈이 [[성선택]](Sexual Selection)의 시간이 길었고 피부색만 짙은 코카소이드만 유전이 된 것이다.] 고대부터 이집트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이집트와 문화적으로 비슷하지만 토착 [[누비아]]의 영향도 만만치가 않기 때문에 이집트 본토와 문화적 차이가 어느 정도 있다. 9세기에 아랍 상인들이 진출하면서 [[이슬람]]이 전파되었고 그 지역에 있었던 [[콥트교]]가 쇠퇴하여 현재 수단은 이슬람교가 주류인 지역이 되었다. == 현황 == [[사헬 지대]]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무슬림들은 사하라 이북에 비해 극심한 빈곤과 [[사막화]] 문제를 겪고 있고 그들은 [[아라비아 반도]] 국가들의 금전적 지원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슬람주의]]가 유입되었고 이는 사헬 지대에 속하는 수단 아랍인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오마르 알바시르]]가 자행했던 폭정이 세계적으로 유명해서 수단 아랍인 자체가 [[다에쉬]]와 다를 바가 없다는 편견이 세계화되고 있다.[* 원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이슬람교는 중동 이슬람과 달리 토착 아프리카 문화가 융합된 형태로 전승되었지만 20세기 중엽부터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이슬람주의가 유입되고 만성화된 민족 분쟁과 합쳐져 [[보코 하람]], [[알샤바브]]같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가 생겨난 것이다.] [각주] [[분류:아프리카의 민족]][[분류:아랍인]][[분류:수단]]
alifernandez,tussupbekov
70620 닌자고 시티
[[분류:닌자고/제품]] [목차] == 개요 == 2017년에 출시된 레고 닌자고 무비의 대형제품으로 브릭수 4867에 40만원이다. 시티 항구와 시티 가든이 합체 가능하다. 닌자고에서 2번째로 큰 제품이다. == 구성 == 아래에 물가가 있고, 쇼핑몰이나 회전초밥집, ATM 기계, 코믹북 서점, 로이드의 방, 여러 가게와 가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복어같이 생긴 인형과 벚꽃 나무, 배도 있다. == 애니메이션 등장 == [[파일:닌자고 시티.jpg]] 마스터즈에서 대럿과 마사코, 아기 우의 피신 장소로 등장한다.
yolovesa
70567 닌자고 시티 항구
[[분류:닌자고/제품]] [목차] == 개요 == 무비 제품으로 2018년에 나왔다. 3번째 대형제품으로 3번째로 크다. 가격은 275000원으로 3553피스로 피스는 에어짓주 신전보다 많지만 가격은 더 싸다. 시티 가든과 시티가 합체 가능하다. == 구성 == 식품점과 대럿의 도장, 조각가의 작업실, 탐험가의 집, 미스타케의 찻집과 메인인 항구가 있다. 가마돈과 복어 일병도 들어있다. 시티와 시티 가든에 비하면 얼마 없는 편이지만 에어짓주 신전보다는 구성이 많다. 조연인 미스타케 피규어 포함. == 애니메이션 등장 == [[파일:항구.jpg]] 마스터즈부터 닌자고 시티에 꾸준히 등장한다.
yolovesa
하스스톤 모험 모드
#redirect 하스스톤/모험 모드
quipluite
타밀문학
#redirect 타밀 문학
korona111
상감문학
#redirect 타밀 문학#s-5.1.1
korona111
상감 문학
#redirect 타밀 문학#s-5.1.1
korona111
하이플엔터테인먼트
||<-2><table width=50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fff> {{{#fff '''{{{+2 하이플엔터테인먼트}}}'''[br]'''HYPLE ENTERTAINMENT'''}}} || ||<-2><height=65> [[파일:hyple.jpg|width=200]] || ||<width=21%><bgcolor=#000> {{{#fff '''정식 명칭'''}}} ||주식회사 하이플엔터테인먼트 || ||<bgcolor=#000> {{{#fff '''영문 명칭'''}}} ||HYPLE ENTERTAINMENT || ||<bgcolor=#000> {{{#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bgcolor=#000> {{{#fff '''설립일'''}}} ||[[2018년]] || ||<bgcolor=#000> {{{#fff '''업종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bgcolor=#000> {{{#fff '''대표'''}}} ||<bgcolor=#fff>{{{#!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fff '''대표이사'''}}}}}} [[키비(가수)|배이삭]] || ||<bgcolor=#000> {{{#fff '''기업 규모'''}}} ||[[중소기업]] || ||<bgcolor=#000> {{{#fff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잔다리로3안길 45, 신형빌딩 3층[br][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 잔다리로3안길 45, 너비=100%)] || ||<bgcolor=#000> {{{#fff '''공식 채널'''}}} ||[[http://hypleent.com|[[파일:hyplelogo.jpg|width=22]]]] [[https://www.youtube.com/channel/UCu1QgsiNoBxfaFswUk_FT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hyple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비(가수)|키비]]가 2018년 하반기에 런칭한 음악 레이블이다. [[http://hypleent.com/b/bbs/board.php?bo_table=news&wr_id=14&page=1|[[파일:hyplelogo.jpg|width=22]]]] 초기에는 ‘하이플라이뮤직(HighFlyMusic)’이라는 명칭이었으나, 이후 '하이플엔터테인먼트(HYPLE ENTERTAINMENT)'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하이플엔터테인먼트)] [[분류:음악]]
overclassic175
김선재(강사)
[[분류:인터넷 강사/베리타스]] [include(틀:베리타스법학원 5급외교 2차 강사)] [include(틀:베리타스법학원 5급외교지역인재1차강사)]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66cccc 20%, #66cccc)" {{{+3 {{{#FFFFFF '''김선재'''}}}[br]}}}}}} || ||<-2><table align=right><table bgcolor=white,#191919><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66cccc>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선재강사.jpg|width=50%]]}}} || ||<colbgcolor=#66cccc><colcolor=#fff><width=20%> '''출생''' ||<(> 19??년 ??월 ??일 || || '''직업''' ||<(> 강사 || || '''학력''' ||<(> 불명|| || '''소속''' ||<(>[[베리타스 법학원|[[파일:베리타스법학원.gif|width=30%&bgcolor=#fff]]]] || || '''병역''' ||<(> ??? || || '''과목''' ||<(> 영어 || [목차] == 개요 == 베리타스 법학원 영어 강사 == 내용 == === 영어 강의 === 성균관대 외무고시반 2차 영어 특강교수(2000~2001년), 춘추관 외무고시 영어 강사(2001~2003년)였다고 한다. 외시에도 영어가 있던 시절 영어순해로 유명했다고 한다. 2018년부터 강의를 시작했는데, 옛날 외시 수험경력이 있는 듯 한데 그 이유는... === 언어논리 강의?? === 2020년 10월 특강을 진행했는데, 맛보기를 보인 김선재 강사와 동일인물로 추정할 수 있다.[* 사실 이런 신분세탁(?)한 경우가 꽤 있다. [[메가공무원]] 헌법, 행정법 정인영 강사도 [[한림법학원]] 경간부 사업부인 윌비스 두로에서 정승근이라는 이름으로 경찰학 개론을 강의한 적이 있다. [[합격의 법학원]] 자료해석 박지윤이라는 강사가 잠깐 있었는데 모종의 이유로 고시촌을 떠나 이후 공무원 시장에서 서유림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사 강의를 하다가 잘 안되어서 지금은 다시 원래 이름으로 인적성에 집중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메가PSAT]]의 [[김승환(강사)|김승환]] 강사도 에듀캐스트에서 캡틴이라는 이름으로 과외를 하다가 이후 강사로 데뷔했다.]
whting
경부선 ITX-청춘
#redirect ITX -청춘/폐지된 운행계통
david0313
Jenny(강사)
[[분류:인터넷 강사/베리타스]] [include(틀:베리타스법학원 5급외교 2차 강사)]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66cccc 20%, #66cccc)" {{{+3 {{{#FFFFFF '''Jenny'''}}}[br]}}}}}} || ||<-2><table align=right><table bgcolor=white,#191919><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66cccc>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보규.jpg|width=50%]]}}} || ||<colbgcolor=#66cccc><colcolor=#fff><width=20%> '''출생''' ||<(> 19??년 ??월 ??일 || || '''직업''' ||<(> 강사 || || '''본명''' ||<(> 김보규 || ||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원 영어통번역학과 및 동대학원 한영과 졸업. || || '''소속''' ||<(>[[베리타스 법학원|[[파일:베리타스법학원.gif|width=30%&bgcolor=#fff]]]] || || '''병역''' ||<(> ??? || || '''과목''' ||<(> 영어 || [목차] == 개요 == 베리타스 법학원 영어 강사 == 내용 == 이전에 번역 일과 G-TELP, TOEIC 등 과외를 했으며 유창석[* 전 [[한림법학원]], [[프라임 법학원]] 경제학, 국제경제학 강사. 이전 행시수험 경력이 있고 2차 선택과목 100점 시절 국제경제학 70점대를 맞았다고. 국제경제학이 그나마 낫다는 평가. 기존에는 한림종합반에서 [[황종휴]]의 수업이 어려운 사람이 와서 듣느라 매니아가 있었지만 2014년 독립하여 본인의 학원인 글로벌경영경제학원을 차리고 본인의 수업을 했으나... 프라임법학원에서도 임대식으로 강의를 갔으나 사람이 없어 현재는 하지 않는다.] 글로벌경영경제학원[* 김보규란 이름은 그때 강의에서도 썼다. 그러나 베리타스 광고에서는 쓰지 않음]에서 외시, 5급 국제통상직 영어 에세이 통번역 수업 및 영어면접 강의를 하기도 했다. 2020년 외교원 선발시험 2차 시험 발표 직후 수업을 시작하였다.
whting
몰타인
[include(틀:셈족)] [목차] == 개요 == [[몰타]]에 거주하는 주민을 의미한다. == 역사 == BC 2500년경까지 언어를 알 수가 없는 민족이 거주했지만 지력 약화로 소멸되었고 [[페니키아인]]이 몰타로 이주하여 그들이 현대 몰타인의 구성이 되었다. 9세기에 [[아랍인]]이 침략하면서 [[아랍어]]가 전파되어 몰타인이 쓰던 [[페니키아어]]는 사어가 되고 아랍어의 방언인 [[몰타어]]가 모어가 되었다. 11세기에 [[노르만족]]이 몰타섬을 점령하면서 [[로마 가톨릭]] 문화권이 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오해 및 편견 == === 몰타인은 [[중동]]인과 전혀 다른 인종이다 === 11세기에 몰타가 유럽 문화권으로 편입되어 [[마그레브]]와 단절된 이후로 생겨난 고정관념이다. 현대 몰타인은 대부분 BC2500년 이후로 이민해온 [[페니키아인]]과 [[마그레브 아랍인]]의 후손이고 11세기 이후로 노르만족은 소수 지배층 역할을 했을 뿐이다. 그 이후로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지만 혈연적 영향보다는 문화적 영향이 더 크다. 현재에도 서양의 우파뿐만 아니라 리버럴도 몰타인을 유럽인으로 알고 있고 몰타인이 중동에서 유래되었다고 아는 사람은 학자들과 일부 진보좌파일 뿐이다. 심지어 이슬람주의자들도 몰타인을 아랍인이 아니라 이교도 백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극우 정당인 '''Lega Nord'''는 몰타를 비롯한 시칠리아는 아랍인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백인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고 남이탈리아가 분리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각주] [[분류:유럽의 민족]][[분류:아랍인]][[분류:몰타]]
alifernandez
이지윤(강사)
[[분류:인터넷 강사/베리타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tablebordercolor=#66cccc><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66cccc> '''{{{#FFFFFF 이지윤 박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베리타스법학원 5급외교 2차 강사)] ---- [include(틀:베리타스법학원 7급공채 강사)] }}}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66cccc 20%, #66cccc)" {{{+3 {{{#FFFFFF '''이지윤'''}}}[br]}}}}}} || ||<-2><table align=right><table bgcolor=white,#191919><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66cccc>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지윤강사.jpg|width=50%]]}}} || ||<colbgcolor=#66cccc><colcolor=#fff><width=20%> '''출생''' ||<(> 19??년 ??월 ??일 || || '''직업''' ||<(> 강사 || || '''학력''' ||<(> [[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width=25]]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학사[br][[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YonseiUniversityEmblem.svg.png|width=20]]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br][[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width=25]]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 || '''소속''' ||<(>[[베리타스 법학원|[[파일:베리타스법학원.gif|width=30%&bgcolor=#fff]]]] || || '''병역''' ||<(> ??? || || '''과목''' ||<(> 국제정치학 || [목차] == 개요 == 베리타스 법학원 국제정치학 강사 == 내용 == 과거 국회의원 보좌관 및 외교원 시험 2차 합격 경험이 있으며, 2020년까지는 지도반 위주의 수업만 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순환강의를 시작하기로 하고 포스터에 얼굴도 공개했다. == 강의 스타일 == == 여담 == * 원래 [[박문각]]에서 PSAT 자료해석도 강의하기로 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안 하게 되었다. * 경남 김해에 위치한 휴앤락몰 메르시앙홀에서 열린 ‘제1회 2021 아마존 킹&퀸 패션모델 선발대회'에 한승아라는 예명으로 출전을 하였다고 한다.[[http://sundaytimes.kr/ViewM.aspx?No=1410727|#]]
whting
스퓨어
#redirect spewer
14.53.186.227
JR 돈일본
#redirect JR그룹
david0313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301~310회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복면가왕)] [include(틀:복면가왕 경연 결과)]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gold> '''우승''' ||<silver> '''준우승''' ||<lightgreen> '''2라운드 진출''' || [목차] == 151차 경연: 301, 302회 ([[2021년]] [[3월 21일]], [[3월 28일]]) == === 진행 및 심사위원 === ||<tablebordercolor=#8F6594><#8F6594> '''{{{#F7E67A 진행}}}''' ||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8F6594> '''{{{#F7E67A 나레이션}}}''' || [[이원준(성우)|이원준]] || ||<#8F6594><|21> '''{{{#F7E67A 심사위원}}}''' || [[김구라]] || || [[김현철(가수)|김현철]] || || [[유영석]] || || [[윤상(가수)|윤상]] || || [[카이(1981)|카이]] || || [[이윤석]] || || [[신봉선]] || || [[박산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전자 === ||<tablebordercolor=#8F6594><rowbgcolor=#8F6594> '''{{{#F7E67A 이름}}}''' || '''{{{#F7E67A 닉네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연 결과 === ||<tablebordercolor=#4A4F81><rowbgcolor=#4A4F81> '''{{{#D6D1FF #}}}''' || '''{{{#D6D1FF 가명}}}'''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수}}}''' || '''{{{#D6D1FF 득표수 (99표 기준)}}}''' || ||<|2> '''1-1''' || || || || || || || || || || || || ||<|2> '''1-2''' || || || || || || || || || || || || ||<|2> '''1-3''' || || || || || || || || || || || || ||<|2> '''1-4''' || || || || || || || || || || || || ||<|2> '''2-1''' || || || || || || || || || || || || ||<|2> '''2-2''' || || || || || || || || || || || || ||<|2> '''결승''' || || || || || || || || || || || || ||<|2> '''가왕전''' || || || || || || || ||<-2><#dcdcdc> || || || === 1라운드 관전평 === === 2라운드, 결승전 관전평 === == 152차 경연: 303, 304회 ([[2021년]] [[4월 4일]], [[4월 11일]]) == === 진행 및 심사위원 === ||<tablebordercolor=#8F6594><#8F6594> '''{{{#F7E67A 진행}}}''' ||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8F6594> '''{{{#F7E67A 나레이션}}}''' || [[이원준(성우)|이원준]] || ||<#8F6594><|21> '''{{{#F7E67A 심사위원}}}''' || [[김구라]] || || [[김현철(가수)|김현철]] || || [[유영석]] || || [[윤상(가수)|윤상]] || || [[카이(1981)|카이]] || || [[이윤석]] || || [[신봉선]] || || [[박산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전자 === ||<tablebordercolor=#8F6594><rowbgcolor=#8F6594> '''{{{#F7E67A 이름}}}''' || '''{{{#F7E67A 닉네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연 결과 === ||<tablebordercolor=#4A4F81><rowbgcolor=#4A4F81> '''{{{#D6D1FF #}}}''' || '''{{{#D6D1FF 가명}}}'''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수}}}''' || '''{{{#D6D1FF 득표수 (99표 기준)}}}''' || ||<|2> '''1-1''' || || || || || || || || || || || || ||<|2> '''1-2''' || || || || || || || || || || || || ||<|2> '''1-3''' || || || || || || || || || || || || ||<|2> '''1-4''' || || || || || || || || || || || || ||<|2> '''2-1''' || || || || || || || || || || || || ||<|2> '''2-2''' || || || || || || || || || || || || ||<|2> '''결승''' || || || || || || || || || || || || ||<|2> '''가왕전''' || || || || || || || ||<-2><#dcdcdc> || || || === 1라운드 관전평 === === 2라운드, 결승전 관전평 === == 153차 경연: 306, 307회 ([[2021년]] [[4월 18일]], [[4월 25일]]) == === 진행 및 심사위원 === ||<tablebordercolor=#8F6594><#8F6594> '''{{{#F7E67A 진행}}}''' ||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8F6594> '''{{{#F7E67A 나레이션}}}''' || [[이원준(성우)|이원준]] || ||<#8F6594><|21> '''{{{#F7E67A 심사위원}}}''' || [[김구라]] || || [[김현철(가수)|김현철]] || || [[유영석]] || || [[윤상(가수)|윤상]] || || [[카이(1981)|카이]] || || [[이윤석]] || || [[신봉선]] || || [[박산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전자 === ||<tablebordercolor=#8F6594><rowbgcolor=#8F6594> '''{{{#F7E67A 이름}}}''' || '''{{{#F7E67A 닉네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연 결과 === ||<tablebordercolor=#4A4F81><rowbgcolor=#4A4F81> '''{{{#D6D1FF #}}}''' || '''{{{#D6D1FF 가명}}}'''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수}}}''' || '''{{{#D6D1FF 득표수 (99표 기준)}}}''' || ||<|2> '''1-1''' || || || || || || || || || || || || ||<|2> '''1-2''' || || || || || || || || || || || || ||<|2> '''1-3''' || || || || || || || || || || || || ||<|2> '''1-4''' || || || || || || || || || || || || ||<|2> '''2-1''' || || || || || || || || || || || || ||<|2> '''2-2''' || || || || || || || || || || || || ||<|2> '''결승''' || || || || || || || || || || || || ||<|2> '''가왕전''' || || || || || || || ||<-2><#dcdcdc> || || || === 1라운드 관전평 === === 2라운드, 결승전 관전평 === == 154차 경연: 307, 308회 ([[2021년]] [[5월 2일]], [[5월 9일]]) == === 진행 및 심사위원 === ||<tablebordercolor=#8F6594><#8F6594> '''{{{#F7E67A 진행}}}''' ||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8F6594> '''{{{#F7E67A 나레이션}}}''' || [[이원준(성우)|이원준]] || ||<#8F6594><|21> '''{{{#F7E67A 심사위원}}}''' || [[김구라]] || || [[김현철(가수)|김현철]] || || [[유영석]] || || [[윤상(가수)|윤상]] || || [[카이(1981)|카이]] || || [[이윤석]] || || [[신봉선]] || || [[박산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전자 === ||<tablebordercolor=#8F6594><rowbgcolor=#8F6594> '''{{{#F7E67A 이름}}}''' || '''{{{#F7E67A 닉네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연 결과 === ||<tablebordercolor=#4A4F81><rowbgcolor=#4A4F81> '''{{{#D6D1FF #}}}''' || '''{{{#D6D1FF 가명}}}'''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수}}}''' || '''{{{#D6D1FF 득표수 (99표 기준)}}}''' || ||<|2> '''1-1''' || || || || || || || || || || || || ||<|2> '''1-2''' || || || || || || || || || || || || ||<|2> '''1-3''' || || || || || || || || || || || || ||<|2> '''1-4''' || || || || || || || || || || || || ||<|2> '''2-1''' || || || || || || || || || || || || ||<|2> '''2-2''' || || || || || || || || || || || || ||<|2> '''결승''' || || || || || || || || || || || || ||<|2> '''가왕전''' || || || || || || || ||<-2><#dcdcdc> || || || === 1라운드 관전평 === === 2라운드, 결승전 관전평 === == 155차 경연: 309, 310회 ([[2021년]] [[5월 16일]], [[5월 23일]]) == === 진행 및 심사위원 === ||<tablebordercolor=#8F6594><#8F6594> '''{{{#F7E67A 진행}}}''' || [[김성주(방송인)|김성주]] || ||<#8F6594> '''{{{#F7E67A 나레이션}}}''' || [[이원준(성우)|이원준]] || ||<#8F6594><|21> '''{{{#F7E67A 심사위원}}}''' || [[김구라]] || || [[김현철(가수)|김현철]] || || [[유영석]] || || [[윤상(가수)|윤상]] || || [[카이(1981)|카이]] || || [[이윤석]] || || [[신봉선]] || || [[박산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전자 === ||<tablebordercolor=#8F6594><rowbgcolor=#8F6594> '''{{{#F7E67A 이름}}}''' || '''{{{#F7E67A 닉네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연 결과 === ||<tablebordercolor=#4A4F81><rowbgcolor=#4A4F81> '''{{{#D6D1FF #}}}''' || '''{{{#D6D1FF 가명}}}''' || '''{{{#D6D1FF 곡명}}}''' || '''{{{#D6D1FF 원곡자}}}''' || '''{{{#D6D1FF 득표수}}}''' || '''{{{#D6D1FF 득표수 (99표 기준)}}}''' || ||<|2> '''1-1''' || || || || || || || || || || || || ||<|2> '''1-2''' || || || || || || || || || || || || ||<|2> '''1-3''' || || || || || || || || || || || || ||<|2> '''1-4''' || || || || || || || || || || || || ||<|2> '''2-1''' || || || || || || || || || || || || ||<|2> '''2-2''' || || || || || || || || || || || || ||<|2> '''결승''' || || || || || || || || || || || || ||<|2> '''가왕전''' || || || || || || || ||<-2><#dcdcdc> || || || === 1라운드 관전평 === === 2라운드, 결승전 관전평 === [[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분류:에피소드 가이드]]
jennively0821
나애교
[include(틀:펜트하우스)] ||<-2><table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tablealign=right><tablewidth=600> '''{{{#bd9a5c {{{+1 나애교}}}}}}'''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펜하2 나애교.jpg|width=100%]]}}}|| ||<bgcolor=#000000><width=20%> '''{{{#bd9a5c 본명}}}''' ||나애교 || ||<|2><bgcolor=#000000> '''{{{#bd9a5c 출생}}}''' ||출생일 정보 없음 || ||출생지 정보 없음 || ||<bgcolor=#000000> '''{{{#bd9a5c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bgcolor=#000000> '''{{{#bd9a5c 신체}}}''' || || ||<bgcolor=#000000> '''{{{#bd9a5c 가족}}}''' ||배우자 [[주단태]] 아들 [[주석훈]] 딸 [[주석경]] || ||<bgcolor=#000000> '''{{{#bd9a5c 학력}}}''' ||정보 없음 || ||<bgcolor=#000000> '''{{{#bd9a5c 직업}}}''' ||- || ||<bgcolor=#000000> '''{{{#bd9a5c 링크}}}''' ||[[http://naver.me/xv0FBqhF|[[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width=20]]]] || ||<bgcolor=#000000> '''{{{#bd9a5c 배우}}}''' ||[[이지아]] || [clearfix] [목차] == 개요 == 드라마 [[펜트하우스 시리즈]]에서 주단태의 전처이자, 주석훈-석경 남매의 친모로 추정되는 인물. 시즌1에서 [[로건 리]]와 [[심수련]]이 주단태의 금고를 뒤지던 와중 등에 나비문신을 한 모습의 사진으로 발견된 적이 있으며, 이후 시즌2 4회에서 하은별의 가정교사 [[진분홍]]의 언급으로 이름이 밝혀졌다.[* 실명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나비문신녀, 나비부인 등으로 불렸다.] [[주단태]]의 설명으로는 패혈증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하나... 네티즌들의 추측으로 보면, 어깨의 모양이나 뼈 위치 등이 심수련 역을 맡은 [[이지아]] 배우와 일치해 아마 이지아 배우가 나애교 역으로 등장하리란 말이 많다. 또한 로건 리가 밝히길, 심수련과 외모가 매우 닮았다고 한다. 펜트하우스 측에서도 이지아 배우가 등장하나 심수련 역이 아니라 다른 역이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중후반부에 등장할 것이라고 했으니 시기상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시즌2 중반부[* 빨라야 6화, 늦어야 10화.]부터 본격적으로 출연한다고 한다. == 작중행적 == [[분류:펜트하우스(드라마)/등장인물]]
210.117.116.134,applekoongya2312,olob,sj17,uan6947,39.117.32.97
복면가왕/301~310회
#redirect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301~310회
jennively0821
만백유
[[분류:귤속]][[분류:과일]] [include(틀:과일)] [include(틀:귤속)] ||<-2><tablealign=right><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cc00,#007700><#00cc00,#007700> '''{{{#FFF {{{+1 만백유}}}(댕유지)[br]晚白柚 | Banpeiyu}}}''' || ||<-2> [[파일:만백유.jpg|width=100%]] || ||<#abf200,#456105> '''품종명''' || ''' ''Citrus maxima'' cv. 'Banpeiyu' '''[br],,(Burm.) Merr.,, || ||<-2><#dbff12,#5b6b01> '''분류'''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3.2|{{{#000,#fff '''계'''}}}]] ||[[식물|식물계]] Plantae|| ||<#d7ffce,#0f4a02><|4> [[생물 분류 단계#s-4|{{{#000,#fff '''분류군'''}}}]] ||[[관다발식물군]] Tracheophytes||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장미군]] Rosids ||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3.5|{{{#000,#fff '''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3.6|{{{#000,#fff '''과'''}}}]] ||[[운향과]] Rutaceae||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3.7|{{{#000,#fff '''속'''}}}]] ||[[귤속]] ''Citrus''||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3.8|{{{#000,#fff '''종'''}}}]] ||[[포멜로]] ''C. maxima''|| ||<#d7ffce,#0f4a02> [[생물 분류 단계#s-5|{{{#000,#fff '''변종'''}}}]] ||'''만백유 ''C. m.'' cv. 'Banpeiyu' '''|| [목차] ||<-2> '''나라별 이름''' || ||'''중국'''||晚白柚(wǎn bái yòu)|| ||'''한국'''||만백유(晚白柚)|| ||'''일본'''||晩白柚(ばんぺいゆ; Banpeiyu)|| == 개요 == 운향과 [[귤속]] 식물으로, [[말레이 반도]] 원산으로 추측되는 [[포멜로]]의 변종이다. 만백유의 어원은 만생종(晩生種)의 만(晩), 흰색 과육을 뜻하는 백(白), 유자의 유(柚), 이 세 글자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전형적인 [[포멜로]] 모습으로, [[멜론]]보다 크고, 과육은 흰색에 가까운 얕은 노랑색을 띤다.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만백유1.jpg|width=350]] == 여담 == 만백유는 일본 [[야츠시로시]]의 시목이며, 만백유 생과가 통째로 들어간 [[온천]]으로 유명하다. 2014년 12월 25일 [[야츠시로시]]에서 개최된 만백유 대회에서 등장한 과일이 직경 29cm, 둘레 83.5cm, 무게 4.8597kg로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포멜로]] 과일로 [[기네스 세계기록]]에 등재되었다. [include(틀:기네스 등재 기록, TitleEn=Heaviest pummelo/pomelo, TitleKr=가장 무거운 포멜로, Link=https://www.guinnessworldrecords.com/world-records/heaviest-pummelopomelo, Who=Kumamoto Prefectural Yatsushiro Agricultural High School, What=4\,859.7 gram(s), Where=Japan (Yatsushiro), When_Y=2014년, When_MD=12월 25일 )]
dillonk
촌기레
[include(틀:미루기 마녀 일당)] [[파일:p_tropical_enemy_02_pc.png]] [목차] == 개요 == チョンギーレ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의 등장 악역. 성우는 [[시로쿠마 히로시]]. [[미루기 마녀 일당]]의 일원이다. 이름의 유래는 [[가위]]를 뜻하는 유아어 초키(ちょき)다. == 특징 == [[미루기 마녀]]를 따르는 [[셰프]]. 직업에 맞게 빨간 스카프를 두르고 있다 외견은 게 형태의 남색 [[수인]]. 구체적으로는 네 개의 다리가 달린 게의 몸통 위에, [[켄타우로스]]처럼 사람의 모양이지만 게의 껍데기를 한 상반신이 달렸고, 집게발 형태의 양 팔과 게의 머리가 달렸다. 특이하게 게의 껍데기인 머리에 [[붙은 눈썹]]이 있다. == 작중 행적 == 1화에서 등장. 해변에 나타나 트레이닝하던 인간들의 의욕 파워를 빼앗기 위해 [[야라네다]]를 소환했다. 의욕 파워를 빼앗긴 인간들이 모든 것을 미루고 싶다고 중얼거리자 [[포기하면 편해|그럼 편하다고]] 꼬드기는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그때 [[나츠우미 마나츠]]가 달려오고, 그녀를 보고 놀란 [[로라(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로라]]를 발견하고 야라네다로 집어올리고는 인어가 인간 세계에 있는 것에 의아해한다. 그리고 로라의 의욕 파워를 빼앗으려고 하지만 마나츠가 야라네다를 들이박아 방해하자, 자기 목적을 설명하려는데 마나츠가 안 듣고 계속 몸통박치기를 하자 당황하기도 한다. 로라가 마나츠에게 물러가라고 하자 거들면서 "자신과 인어, 누가 더 중요하지? 당연히 자신이지!"라고 하지만 마나츠에게서 그건 자신이 정한다는 반박을 듣는다. 그리고 마나츠가 프리큐어 큐어 서머로 변신하는 것을 보고 당황한다. 당황하면서도 야라네다로 큐어 서머와 싸우지만, 큐어 서머가 야라네다를 힘겨루기로 이기는 것을 보고 놀란다. 날아간 야라네다에게 큐어 서머의 의욕 파워를 빼앗게 시키지만 통하지 않고, 결국 야라네다가 정화당하자 퇴각한다. [[분류: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등장인물]]
kwang4237,stella0212,limero0324
타밀 르네상스
#redirect 타밀 문학#s-5.4.2
korona111
가마가야다이부쓰역
#redirect 카마가야다이부츠역
grafiker
카마가야대불역
#redirect 카마가야다이부츠역
grafiker
가마가야대불역
#redirect 카마가야다이부츠역
grafiker
워싱턴 FT
#redirect 워싱턴 풋볼팀
114.206.4.164
소금 뿌리는 아저씨
#redirect 누스레트 고체
kkasu
브레맨(Library of Ruina 세계관)
||<tablewidth=22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9e5ff><bgcolor=#ffffff><-2>[[파일:정장브레멘.png|width=100%]]|| ||<bgcolor=#FF00FF><-2> {{{#ffffff '''[ruby(브레멘, ruby=브레멘 음악대)]'''}}} || ||<bgcolor=#FF00FF> {{{#ffffff '''성별'''}}} || 불명[* 히호(당나귀 머리)는 여성이다.(영문판에서 she라고 칭함) 꼬끼오와 월의 성별은 불명.] || ||<bgcolor=#FF00FF> {{{#ffffff '''소속'''}}} || 브레멘 음악대 → [[잔향악단]] || ||<bgcolor=#FF00FF> {{{#ffffff '''직위'''}}} || 브레멘 음악대 창립 멤버 → 호르니스트, 튜비스트, 트럼페터 || [목차] >'''꼬고곡!! 컹컹꼭히!!! 이히힝컹히힝~!!''' == 개요 == [[Library of Ruina]]의 등장인물. == 상세 == [include(틀:스포일러)] [[피아니스트(Library of Ruina 세계관)|피아니스트]]의 연주를 재현하고 싶어하는 브레맨 음악대의 창립 멤버'''들'''이다. 당나귀 머리가 '''히호''', 개 머리가 '''월''', 닭 머리가 '''꼬끼오'''다. 원래 브레멘 음악대는 이 셋과 미야오가 만든 조직이었으나 푸른잔향 [[아르갈리아]]가 찾아오기 전에 신입으로 들어온 오잉크와 무무의 교육을 위해 미야오가 남기로 하면서 창립인원 중 세명만 [[잔향악단]]에 합류했다. 브레멘 음악대 스토리와 미야오의 책장의 스토리에 따르면 피아니스트에는 한참 모자라지만 나름대로 환상적인 연주를 할 수 있었다는 언급이 나온다. 즉 브레멘 음악대 스토리 시점에서부터 이 3명에게 천천히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잔향악단에 들어간 후 완전히 뒤틀림을 발현해서 히호, 월, 꼬끼오 3명이 합체했다. 본래는 평범하게 가면을 썼던 인간이었지만 뒤틀림이 된 후로는 가면자체가 얼굴로 변했다. 또한 말을 못하고 동물 울음소리만 내고있다.[* 이 때문에 잔향악단의 멤버들 중 유일하게 성우가 없다.] == 작중 행적 == === [[Library of Ruina/접대/브레멘 음악대|브레멘 음악대]] ~ [[Library of Ruina/접대/시 협회|시 협회]] === 또다른 창립 멤버였던 미야오는 신입인 오잉크와 무무 때문에 잔향악단에 가입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푸른잔향 [[아르갈리아]]를 고발하기 위해 정보를 모으고 있던 시 협회 남부지부 2과 부장 유진에게 언급된다. 아르갈리아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포착됐는데 이 시점에서는 평범한 인간이었다. === [[Library of Ruina/접대/검지|검지]] === 직접 모습을 드러낸다. 검지가 꿰뚫은 엄지와 엄지 산하 조직원 시체를 가져가려고 한다. 뒤틀림을 발현해서 3명이 합체했는데, 이성은 있지만 언어를 상실했다. 일단은 말은 알아들어서 대화는 어찌어찌 성립하는 듯 하고, 그레타는 브레맨을 '짬뽕 대가리'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 [[Library of Ruina/접대/보라눈물|보라눈물]] === 아르갈리아가 [[이오리(Library of Ruina 세계관)|이오리]]를 배신하고 처리할려고 할때, 동료들과 같이 그녀를 위협하지만 이오리가 도서관으로 도망치면서 실패한다. === [[Library of Ruina/접대/잔향악단|잔향악단]] === [[잔향악단]]은 실체화 된 [[도서관(Library of Ruina 세계관)|도서관]]에 진입한다. 브레멘의 상대는 예술의 층 지정사서 [[네짜흐]]다. 네짜흐가 일단 말을 걸어보지만 말을 못 알아먹겠다고 한탄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잔향악단, version=r487)] [[분류:Library of Ruina/등장인물]]
ejqmf00,211.108.29.186,ovob
머더러
[[분류:뮤지컬]] ||<-2><table width=6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7F7F7><colbgcolor=#949A98> {{{#F7F7F7 {{{+2 '''머더러'''}}} [br]''Murder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머더러 포스터.jpg|width=100%]]}}} || ||<width=35%> {{{#fefbfc '''제작'''}}} ||한다 프로덕션 || || {{{#fefbfc '''원작'''}}} ||게오르크 카이저 || || {{{#fefbfc '''작•작사'''}}} ||정찬수 || || {{{#fefbfc '''작곡'''}}} ||한혜진 || || {{{#fefbfc '''공연 장소'''}}} ||초연: 대학로 TOM 2관 || || {{{#fefbfc '''공연 기간'''}}} ||초연: 2019.09.20~2019.11.17 || || {{{#fefbfc '''관람시간'''}}} ||95분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작사 한다 프로덕션에서 제작한 [[뮤지컬]]. 게오르크 카이저의 희곡 <메두사의 뗏목>을 뮤지컬로 만들었다. == 시놉시스 == 1940-50년대 전쟁 중 어느 수용소. 수없이 들리던 폭격소리가 가라앉고, 전쟁이 끝남을 알린다. 이 수용소 역시 폭격을 피하지 못하고, 대부분이 부서져버렸다. 그 중 가장 모서리에 위치한 한 수용소의 겨우 다섯 명의 아이들이 살아남는다. 수용소에 갇힌 아이들을 발견한 어른은 조금의 식량을 나눠준 채 돌아오겠다는 말만 남겨놓고 떠난다. 자신들을 구해줄 어른을 기다리면서 아이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여러 가지로 노력하지만 사방이 꽉 막힌 수용소의 벽은 잔인하게 두껍다. 그러던 와중에 다섯 명의 아이들은 자신들 외에 한 명의 병약한 아이(새끼여우)가 있음을 깨닫는다. 새끼여우를 돌보며 어른을 기다리던 아이들은 음식이 떨어져갈수록 새끼여우가 포함된 6이라는 숫자가 모두를 파멸로 이끌 거라는 미신 적 공포에 사로잡힌다. 그러나 유일하게 광적인 미신에 현혹되지 않은 앨런은 새끼여우를 지켜내고자 애쓰지만 쉽지가 않다. 여섯 명의 아이들이 구조를 기다린 지 6일째가 되는 날. 아이들은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한 작전을 짜기 시작하는데... == 등장인물 == *앨런 *앤 *에릭 *토미 *피터 *새끼여우 *어른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넘버 == 1. Prologue 2. 다 지나갈 거야 3. 무도회의 프로포즈 4. 작고 소중한 우리 집 5. 어디로 가는 걸까 6. 제비뽑기 7. 새끼여우의 춤 8. 그린 슬리브스 9. 발구름 소리 10. 아무도 모른다 11. 꿈보다 멋진 하루 12. 모르겠어 13. 어디로 가는 걸까 rep. 14. 제비뽑기 rep. 15. 어른들처럼 16. Epilogue (다 지나갈 거야 rep.) == 출연진 == === 2019년 공연 === 2019.09.20~2019.11.17 대학로 TOM 2관 앨런 역: 김지휘, [[손유동]], [[최석진]] 앤 역: 강연정, 김주연, 김환희 에릭 역: 이우종, 김서환, [[김찬종]] 토미 역: 이진우, [[박준휘]], [[김리현]] 피터 역: 장민수, 이상운, 남민우 새기여우 역: 이로운, 고샛별, 최종석 어른 역: 송상훈 == 여담 ==
muoosical
등교 거부 도헌
[목차] == 개요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253회([[2010년]] [[11월 2일]]에 방영)에서 방영된 에피소드. 주인공인 김도헌 군은 2003년생으로, 현재 만 17~18세이다. == 문제점 == * 김도헌 * 학교에 가려고 하면 엄마를 끌고 갈려고 하며, 엄마가 나가면 엄마를 찾아 뛰어가며 운다. 게다가 친구들의 신발을 던지는 행동까지 보인다. 3월 말이 되면서 학교가 재미없어지면서 가기가 싫어졌고, 2학기 때에는 교실을 아예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어머니가 학교에 앉는 의자가 있다. 엄마를 찾으러 나가려고 하자, 선생님께 반말을 하면서 소리쳤다. 그의 여동생[* 김민주, 2006년생]보다 등교를 못 한다. * 어머니 [* 김은숙, 1972년생] * 도헌이가 소리치자 어머니는 아이를 폭력적으로 대하였고, 게임기를 들고 밖으로 나갔다는 소식에 도헌이에게 범죄자 다루듯 아이를 취조하였고, 거짓말을 하자 체벌 행위를 하였다. * 아버지 [* 김희열, 1974년생] * 아버지가 매일 늦게 술을 마시고 들어왔고 어머니와 싸운다. == 근황 == 근황은 현재 알려지지 않았으나, 주인공인 김도헌 군은 현재 경상남도 [[김해시]]에 거주 중이다. == 주요 어록 == >'''믿을 수 없다고!!''' >'''고함지르고 떄리고 했잖아''' >'''싫어''' >'''내가 중요해 가게가 중요해''' >'''민주만 좋아해''' >'''카메라 부순다''' >'''잘못했어요''' == 같이 보기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분류: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분류:에피소드 가이드]][[분류:김해시 출신 인물]]
wjdgh070806
러브라이브! ALL STARS/비판 및 문제점/2nd Season 스토리 전개
[[분류:러브라이브! ALL STARS]][[분류:비판]][[분류:문제점]][[분류:게임별 논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러브라이브! ALL STARS/비판 및 문제점)] [include(틀:러브라이브! ALL STARS)]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쇼우란쥬.png|width=100%]] }}} || ||<bgcolor=#e4007f><color=#fff> 스쿠스타 20장 1화 중 한 장면. 이 장면은 팬들 사이에서 '''러브라이브! ALL STARS의 최악의 장면'''으로 인식되고 있다. || [목차] == 개요 == [[러브라이브! ALL STARS]]의 여러 [[러브라이브! ALL STARS/비판 및 문제점|비판 및 문제점]] 중 2nd Season 스토리 전개의 비판과 문제점에 관한 문서이다. == [[러브라이브! ALL STARS/스토리/2nd Season|2nd Season 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브라이브! ALL STARS/스토리/2nd Season)] == 비판 및 문제점 == === 신규 캐릭터 관련 논란 및 비판 === ==== [[쇼우 란쥬]]의 행적과 캐릭터성 ==== 우선 동호회 활동을 방해하고 연습까지 학생회 임원들을 붙여 놓아 감시했고 동호회 일부 멤버를 데려가 와해시킨데다가 플레이어를 직설적으로 모욕한 [[쇼우 란쥬]]에게 악평이 쏟아지고 있으며, 란쥬는 과거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물애니]] 1기 당시의 [[카즈노 리아|리아]]와 스쿠스타 스토리 초창기 때의 [[미후네 시오리코|시오리코]] 이상의 욕을 [[러브라이버]]들에게 먹고 있는 상황이다. 사실 리아는 감정이 북받쳐 폭언과 예의없는 행동을 했어도 [[Aqours]]를 분열시키지는 않았으며, 시오리코는 어디까지나 상식을 지키는 선에서 동호회를 폐부하려 했고, 동호회를 와해시키지도 않았으며, 학생회의 권력을 남용해 제재를 가하지도 않은데다가 동호회 멤버들을 모욕한 적도 없었다. 하지만 [[쇼우 란쥬|란쥬]]는 이사장의 딸에 [[미후네 시오리코|학생회장]]의 소꿉친구라는 자신의 신분을 악용, 적법한 절차를 밟아 인정받은 스쿨 아이돌 동호회를 상대로 마땅한 이유도 없이 부실 사용 권한을 빼앗은데다 연습조차 할 수 없도록 학생회를 이용해 감시인원을 붙이는 데 그치지 않고 동호회 인원들을 자신의 스쿨 아이돌 부로 올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동호회의 분열을 조장했다. 심지어는 동호회가 다른 학교의 스쿨 아이돌 그룹들과 연계하여 이룩해낸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개최"라는 업적을 강탈, 남겨진 인원으로라도 활동하고자 실시한 게릴라 라이브마저 그 바로 옆에서 즉석 라이브를 열어 관객을 빼앗기까지 하는 등 활동 제한의 수준을 넘어 동호회의 존속 그 자체를 방해하는 모습이 최초 등장 직후 추가된 1장만에 전부 드러났다. 심지어 [[당신(러브 라이브!)|아나타]]에게 '''필요 없는 존재'''라고 면전에 대고 모욕까지 한, 가히 반동인물을 넘어선 빌런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플레이어에 대한 모욕은 본작에서 내세우는 슬로건인 "당신과 이루어나가는 이야기"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발언으로, 이러한 전개가 과연 해당 슬로건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갑론을박이 많다. 또한 이 행위는 [[니지가사키 학원]]을 소개하는 문구인 '자유로운 교풍'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행위로, 학교 설정까지 망가트리고 있는 셈이다. 거기다 [[쇼우 란쥬|란쥬]]의 현재와 같은 캐릭터성은 거진 선역 캐릭터들 및 조금은 주역들과는 자신의 견해가 달랐던 몇몇 캐릭터[* [[오하라 마리]]의 어머니, [[카즈노 리아]], [[토도 에레나]]를 중심으로 한 [[A-RISE]]의 멤버들, [[코토리의 어머니|오토노키자카 학원장]].]들보다 더욱 괴리감이 지나칠 정도로 심해서 이러한 비판들을 크게 가중시키고 있다.[* 캐릭터 항목에 서술했듯 오히려 [[쇼우 란쥬|란쥬]]의 캐릭터성은 [[얀데레|다크 히어로 판타지나 피카레스크에서 남주의 사랑을 독차지, 독점하려는 히로인으로 나온다면]] 둘도 없이 잘 어울리는 캐릭터성으로 이야기의 전개 상 반동인물으론 부족함이 없겠지만 어지간한 아이돌물에는 전혀 무엇 하나 걸맞지 않는 캐릭터이다. 이러한 캐릭터를 어느 정도는 작품에 맞게 캐릭터 자체의 설정과 행보를 처음부터 제대로 손보지 않고 내보낸다면 졸지에 작품을 잘못 만난 캐릭터로 전락하는데, 현재의 란쥬가 딱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거기다 보통 란쥬와 성격이 유사한 캐릭터들은 보통 결국 마지막에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절망|마음이 꺾이거나]] [[죽음|결국 목숨까지 잃는 것이 보통으로]] [[사망전대|하나같이 그 끝이 좋지 못했다]]. 만약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타 세계관]]이었다면 그냥 [[이오쿠 쿠잔|태생부터가 어그로 캐릭터로 설계되어 극 말미에 성장 하나 못하고 허무하게 죽는 게]] 보통으로 러브라이브 세계관이라 캐릭터의 죽음 같은 자극적인 전개가 나오게 되면 장르가 비틀리고 변해버릴 수 있어서 그럴 이유는 없지만 '''하필 현재 효과적인 전개로는 갱생과 하차만이 최선이기 때문에 더욱 사면초가로 스토리를 길게 잡아야만 한다.'''] 작중에서 밀고 있는 설정인 "스쿨 아이돌 실력자"의 모습을 플레이어들이 공감하기 힘든 것도 비판 요소 중의 하나이다. 주변인물들이 "란쥬 씨는 대단해요!" 대사를 날리며 찬양하는 모습은 나오지만, 정작 독자들이 이를 납득할 수 있는 전개는 일절 없었다. 그나마 이를 평가할만한 요소인 [[QueenDom]] MV는 호불호가 매우 크게 갈리면서, 란쥬의 실력자 설정은 전혀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자캐딸]] 및 [[메리 수]]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쇼우 란쥬|란쥬]]가 아무 이유 없이 저런 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니며, 이들 뒤에서 무언가를 꾸미고 란쥬의 폭주를 주도하는 진정한 흑막이 있을 것이라 보는 의견도 있다. 만약 이들을 뒤에서 조종하는 흑막이 등장한다면 역대 러브라이브 사상 가장 진지한 스토리 전개가 나올 수도 있어 보인다. 흑막으로는 란쥬의 어머니인 이사장이 거론되고 있다[* 사실 이사장은 흑막이 아니더라도 20장에서 보여준 란쥬의 성격과 행동이 [[가정교육]]의 문제로 보여지고 있어 지금도 각종 커뮤니티에서 란쥬와 함께 까이고 있다.]. [[쇼우 란쥬|란쥬]]의 이미지가 나락으로 가면서 졸지에 란쥬의 성우인 [[호모토 아키나]]도 피해를 보게 되었다[* 더군다나 이 성우는 러브 라이브의 팬으로 알려져 있다. 다행히 상당수의 [[스쿠스타]] 유저들은 아키나의 트위터에 선플을 달아주며 위로하고 있다. ][* 성우 본인도 란쥬를 연기할 때 '''자기랑 너무 다른 캐릭터라 이해가 힘들다고 대놓고 트윗을 올렸다.''' 그럼에도 란쥬를 이해해달라고 하는 모습에서 팬들이 짠함을 느끼는 중.]. 주로 란쥬의 비교 대상이 되고 있는 [[미후네 시오리코|시오리코]]의 경우, 갱생하는 스토리 전개 및 1 시즌 스토리 종료에 이어 [[Nijigasaki High School Idol Club 2nd Live!|세컨드 라이브]]가 열리고 그 전후로 각종 방송에 성우 [[코이즈미 모에카]]가 참여하며 자연스럽게 멤버로 녹아드는 모습을 보이며 어찌됐든 이미지 개선에 성공하게 됐다. 즉, 러브라이브 특유의 2D/현실세계의 연계가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된 격인데 자칫하면 이게 부정적으로 작용할 우려도 있다. 만약, 란쥬가 이미지 개선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우가 방송이나 라이브에 참가할 경우는 팬들이 곱게만 봐주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정서가 퍼지면 팬덤 전체에 타격이 갈 수도 있다. 물론 20장 스토리만 본 시점에서 이러한 우려는 시기상조일 수 있으나, 일단 그 20장 스토리만 보자면 란쥬가 시오리코에 비해 선을 넘은 부분이 많은지라 무작정 기우라고 할 수도 없는 상황. 본격적으로 11월에 들어선 시기부터는 20장 스토리 공개 후 시간이 지나기도 했고, 어차피 언젠가는 란쥬가 니지동에 들어올 것이 거의 유력한 상황이기 때문에 란쥬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은 다소 줄어들었고 대부분의 욕이 공식과 스토리 팀에게 넘어갔으며, 대표적인 예시로 동인작가 출신이었지만 현재는 러브라이브 공식으로 스카우트된 [[나카네 나타]]가 그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613215&_rk=EYz&exception_mode=recommend&page=2|란쥬가 눈물을 흘리며 사과하는 짤이 본인의 트위터에 올라온 뒤로는]] 란쥬 자체에 대한 욕은 꽤 줄어든 상황이다.[* 물갤에서도 우는 란쥬를 갖다가 디시콘을 만들며 란쥬를 놀려대면서도 란쥬를 그렇게 극단적으로 까는 것은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이에 대해 공식 측에서 나타를 방패로 세운 게 아니냐는 의견 또한 제시되고 있으며[* 나타 본인은 부정중이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627985|#]]). 이런 말이 나오게 된 경위는 아무래도 과거 캐릭터 붕괴 등으로 크게 욕을 먹었던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패미통 App 분실|패미통 분실]] 4컷 만화 담당이었던 쵸보가 연재 종료 이후 후일담에서 '공식이 주문한 대로 그렸다'라고 언급을 했기 때문에 공식 측이 더욱 의심을 사는 측면도 있을 것이다.][* 또한 나타가 이런 2차 창작을 올리는게 20장 공개이후, 21장 공개 이후로 욕이란 욕은 다 먹고난 후에 란쥬를 울려서 란쥬 비판을 잠재우는 중이어서 사실은 울게 하고 싶은 본인의 성향(...)과 공식의 입김이 합해져서 만들어진 계획적 아트라는 말도 나온다.]이어서 생방송에서 성우를 방패 삼아 물타기를 들어가려는 시도가 있지 않을까 우려하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sunshine&page=1&search_pos=-3406722&s_type=search_all&s_keyword=%EB%B0%A9%ED%8C%A8|의견]] 또한 상당하다.[* 다만 이상하리만치 [[호모토 아키나]]의 생방송 출연 소식이 없는 점도 수상하다는 시각도 있다.] 21장에서는 란쥬의 어그로가 줄어들고, 오히려 동호회 멤버들과의 대화에서 '''{{{'친구'}}}'''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데다가 시즈쿠가 란쥬의 뒤통수를 치고 동호회로 돌아갔고, 미아 역시 10화에서 동호회의 라이브에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줘서 20장에 비해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10장 막판 미아를 갈구는 장면, 안그래도 20장에서 이미지가 하락해버린 카린과 아이를 데려가 놓았음에도 나중에 들어온 시즈쿠에 비해 차별 대우한다는 점이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정작 란쥬가 그렇게 아꼈던 시즈쿠는 9장에서 부를 나가 동호회로 복귀해버렸다. 22장에서는 21장에서의 친구에 집착하는 모습이 온데간데 보이지 않고 '''아나타는 여기 왜 왔냐'''는 식으로 시비를 거는가 하면, 미아 조차도 '''자신의 작곡 셔틀'''로 보는 대사를 치기도 하고 '''내가 고쳐야 할 성격은 없다'''고 이야기까지하는데다가 미아의 신곡을 당연하게 본인의 것으로 여기는 등 이도 저도 아닌 완전 악역의 모습만 보여주고 말아 더 크게 비판받았다. 그나마 고기덕후로 묘사되며 개그신을 챙기긴 했으나 여론은 더 악화되었다. 23장에서는 문제의 감시위원회를 없애서 나름 유동적인 태도로 바뀌나 싶었는데, 아나타에게 '''"존재감이 없어 너가 있는지도 몰랐다. 우리의 서포트는 최고이니 너 따위는 필요없어. 빨리 이 부실에서 꺼져."'''라는 말을 하며 강력한 어그로를 끌었다. 이쯤 되면 아나타랑 진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의심케 만들정도로 아나타라는 인물 자체를 혐오하고 있으며 그러면서도 동호회 멤버들에게는 살살 기면서 티 타임을 하지며 180도 다른 [[강약약강|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며 '''매 장마다 란쥬의 성격이 자꾸만 변하고 있다.''' 쏟아지는 비판에 성격을 유동적으로 바꾸는 것인지 진짜 원래부터 이런 성격이었는지도 일관스럽지 못하다. 24장에서는 토너먼트에서 란쥬가 우승을 하게 되면서 팬덤이 더욱 뒤집히고 말았다. 이전까지는 많이 가도 결승전에서 패배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으나, 이런 기대와 다르게 우승까지 하게 된것. 이로 인해 [[자캐딸]] 및 [[메리 수]] 논란에 더욱 불을 지피게 되었다. ==== [[미아 테일러]]의 과한 설정 ==== 란쥬와 달리 또다른 신규 캐릭터 [[미아 테일러]]는 서사적으로 호평을 받지만 너무 무리수적인 설정이 많다는 비판이 있다. 미아는 차트 TOP 100 중에 30곡을 올린 천재 작곡가라는 설정인데, 이런 작곡가가 굳이 란쥬를 따라와 스쿨 아이돌의 곡을 만들고 있고, 한 술 더 떠 [[당신(러브 라이브!)|아마추어]]의 곡을 듣고 슬럼프에 빠져 가출까지 했다는 말도 안 되는 설정이 비판을 받고 있다. === 기존 캐릭터들의 캐릭터 붕괴와 분량 문제 대두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879809&exception_mode=recommend&page=1|한 물갤러가 정리한 니지동 멤버들의 캐릭터 붕괴(욕설 주의)]] '''가장 주된 비판점이자, 이 항목이 생성된 원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동호회 와해 없이 란쥬가 폭주했다면 20장이 이렇게까지 악평을 들을 일은 없었을 것이며, 딱 9장 공개 후의 반응보다 조금 센 반응 선에서 그쳤을 것이다. ] 란쥬뿐 아니라, 란쥬를 따라 부로 넘어간 카린, 아이, 시즈쿠가 각자 사연은 분명 있었지만 결론적으로 동호회를 버리고 란쥬의 스쿨 아이돌부로 가는 바람에 철새, 배신자, 성능충 이미지를 가져가는 피해를 입었고 시오리코의 경우는 셋보다는 비판이 적지만 마찬가지로 비판을 받았다. 특히 해당 캐릭터의 오시들은 이에 대해 상당한 비판을 자아내고 있다. 심지어 22장부터는 잔류 캐릭터인 아유무, 카스미, 세츠나 등의 문제점도 수면 위로 올라오는 상황. 20장 스토리는 결론적으로, '솔로 아이돌로 활동하며 라이벌로 경쟁한다'는 니지동의 기본 설정을 대놓고 완전히 망가뜨린 걸 넘어, 모두가 공정한 경쟁을 해도 모자랄 판에 특정 캐릭터에게 악영향을 유발하는 최악의 전개와도 같다.[* 니지동은 솔로 활동이 메인이라 캐릭터 한 명 한 명의 인기와 순위가 그룹으로 활동하는 뮤즈와 아쿠아보다 몇 배는 더 중요해진다.당장 정규 싱글 총선거만 봐도 앞의 두 그룹은 꼭 1위를 하지 않아도 센터보다는 못하지만 타이틀곡 MV에 분량이 있고 솔로 파트도 있지만 니지동의 솔로 싱글 선거의 경우 '''1위를 한 멤버만''' 노래를 부를 수 있고 타이틀곡 MV에 타 멤버들이 나오기는 커녕 1위를 한 캐릭터 단독으로 등장한다. 한마디로 '''1명에게만 푸쉬가 집중되어 개개인의 인기가 중요해진다는 것이다.'''] 만약 이런 전개를 했어야 했다면, 직접적으로 약점을 잡을 수 있는 멤버(교내 장학금을 받는 카나타, 교환 학생인 엠마)나 스쿨 아이돌에 대한 열의가 대단한 멤버(스쿨 아이돌 때문에 가출까지 한 세츠나, 스쿨 아이돌을 위해 일본에 온 엠마, 동호해 와해 상황에도 끝까지 부실을 지킨 카스미)들에게 거절할 수 없는 제안을 하여 반강제로 데려가는 게 더 합리적인 판단인데, 연극부원인 시즈쿠, 모델인 카린, 운동부 용병으로도 뛰는 아이, 학생회장인 시오리코 등 누가 봐도 '''스쿨 아이돌이 후순위'''인 멤버들을 굳이 자발적으로 보냈어야 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어쨌든 이 때문에 동호회가 심각하게 분열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 이를 두고 팬들중에서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 비교하며 Team 스쿨 아이돌 동호회 vs Team 스쿨 아이돌 부로 비유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로 그만큼 분열이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공교롭게도 기존 니지동은 아나타 제외 6명, 스쿨 아이돌 부도 6명으로 정확하게 나뉜 상태이며, 20장 타이틀명부터 '스쿨 아이돌 동호회VS스쿨 아이돌 부!?'인 것을 보면 노렸을 가능성이 높지만 [[배대슈|개연성 등의 문제를 따져보면...]] 그리고 시즈쿠가 복귀했고 미아도 탈출 떡밥이 뜬 상태라 균형은 깨질 것으로 보인다. ] 이로써 20장 기준으로 팬덤에서 자주 회자되던 엠마카린, 아이리나, 시즈카스라는 커플링 자체가 다 갈라지게 되었고 별다른 커플링이 없었던 카나타와 세츠나는 캐릭터성에는 피해가 없었지만 그만큼 분량이 공기화되었다. 이런 식으로 멤버 간 취급의 차이를 대두시킨 것은 아주 잘못되고 위험한 판단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어쨌든 추후 이들을 어떻게 재조명시킬지가 관건이 되었으며, 만약 이에 실패할 경우 니지동의 순위 고착화를 넘어 심할 경우 니지동 팬덤의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곧 공개될 앞으로의 스토리 전개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그리고 21장에서는 재조명은 커녕 20장에서 버프를 받았던 카스미까지 역으로 평가가 떨어지는 팀킬을 만들어냈다. 게다가 아이와 카린의 수습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히 팬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21장 기준으로 팬들의 반응이 제법 엇갈리는 편인데, 호평하는 쪽에서는 과정이 어찌되었든 시즈카스 커플링 전개를 잘 뽑았고 어차피 러브라이브 시리즈 개연성이 안 좋은게 한두번도 아닌데 열폭을 왜 하냐는 식으로 되려 21장을 옹호하는 반응이 있으며, 비판하는 쪽은 서사가 개판이 나서 결말까지 아주 찝찝하다, 시즈쿠가 카스미가 없으면 성장할 수 없는 듯한 이미지가 생겨서 싫다, 시즈카스 오시이던 아니던 전개과정이 굉장히 기분이 나쁘다는 형식의 비판이 주를 이루고, 극단적으로는 캐릭터 자체를 혐오하고 까는 등[* 물론 이런 커뮤니티들은 아주 일부일 뿐이다.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캐릭터 자체에 대한 비난을 삼가고 있다. ] 러브라이버 사이에서도 분열이 일어나는 중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커플링을 이용한 억지 전개가 '''앞으로 더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부에 잔류하고 있는 아이는 리나와, 카린은 엠마와 자주 엮이는데 이들이 언젠가 시즈카스와 비슷한 연출을 보여주며 동호회로 복귀할 수도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추측 중이지만 이것이 21장처럼 막장 전개가 된다면 스쿠스타 스토리에 대한 비판은 사라지기 어려울 것이다.--만약 진짜 이렇게 되면 주요 커플링이 없는 세츠나랑 카나타는 어쩌라고-- --제작진은 최소한 니지애니 5화랑 6화 보고 와라-- 이런 전개에 대해서 한국이나 일본을 막론하고, 러브라이브 시리즈에 백합물의 요소가 어느정도 첨가되어 있다고 해도 너무 심했다고 평가하는 팬들과 백합 커플링에 몰두할 뿐 저러한 전개를 외면하는 팬들간의 괴리와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22장에서는 미아와 리나를 엮어내며 21장같은 막장 전개를 내진 않아서 20, 21장보다는 평가가 좋은 편이지만 대신 카린과 아이를 더 나쁘게 묘사한다던가, 리나 외의 니지동 멤버들을 공기화 시킨 점에서 22장도 평가가 마냥 좋지만은 않다. 무엇보다 22장 스토리 중 '''아이와 카린을 대놓고 "__[[배신자]]__"로 규정하면서''', 이들의 이미지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평도 많다. 심지어 다음 시즌 2 스토리인 동호회와 부의 1:1 토너먼트는 전반부, 후반부(23장,24장)로 나누어 진행한다는 것이 밝혀져 일부 비판을 받고 있다. 비판 쪽에서는 어차피 망한 스토리인데 굳이 전후반부 나누지 말고 빨리 끝내라고 이야기하는 여론도 있는 반면, 기왕 전-후반부로 나눠서 스토리를 짤 거라면 아이, 카린의 세탁이라도 잘 좀 해달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23장에서도 수습은 커녕, 시오리코와 세츠나처럼 상대적으로 멀쩡하던 다른 멤버들까지 심각한 논란이 터져버리면서 스쿠스타 메인 스토리는 더더욱 나락으로 추락했다. 캐릭터 붕괴 문제가 좀처럼 해결이 되지 않자, 아예 시즌2 등장인물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면서[* AI같은 가짜 취급을 하거나, 진짜는 실종되었다는 식의 드립이 나온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870879&exception_mode=recommend&page=2|#]][[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870744&exception_mode=recommend&page=3|#]]], 애니 및 스쿠스타 시즌 1의 등장인물만이 진짜라는 주장이 거의 진담 수준으로 통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870442&exception_mode=recommend&page=3|#]] 성우들 역시 이 사태를 인지하고 있는 건지 [[사시데 마리아]], [[쿠보타 미유]], [[사가라 마유]]가 스쿠스타 20장의 소감을 올리면서 팬들을 진정시키기도 했으며, [[오오니시 아구리]]는 아예 세컨드 시즌을 '파란이 있었다'며 장난 식으로 디스하기도 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세컨드 시즌에 파란이 있었으나,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을 개최시킨 아나타가 어떻게든 해결할 거니까 계속 주목해 달라는 의미였다. --뒤에 나오는 카스미 견제는 덤-- [[https://www.youtube.com/watch?v=qqbzixiVQ5o|해당 장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658334&_rk=96k&exception_mode=recommend&page=1|참고]] ]. [[쿠보타 미유]]는 아예 1월 30일 23장 업데이트 때 카린의 인연 스토리[* 카린이 좋아하는 고향의 음식을 아나타랑 먹으러 갔는데 여기서 [[하치조 방언]]을 무심코 쓰다가 아나타에게 들켜서 당황하는 스토리이다. 여기서 카린의 매력이 더욱 증폭되며 23장에서 카린의 캐릭터성 비판이 상대적으로 덜 나온 감도 있다. 아이러니한 건, '''메인 스토리와 인연 스토리 작가가 같은 사람'''이라는 거... ]는 꼭 읽어달라고 이야기했지만 '''23장에 대한 언급은 1글자도 없었을 정도로,[* 애시당초 카린이 욕을 바가지로 먹던 20장 공개 직후, 본인조차 트위터에서 애니카린과 스쿠스타 카린을 구분해달라고 요청한 만큼, 본인이 연기를 했지만 부정적으로 본다는 이야기는 그때 먼저 나왔었다.]''' 성우들에게도 스토리 인식이 부정적인 것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당연하겠지만 스토리의 비판과는 별개로 성우들의 연기가 훌륭했음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다들 열렬한 연기를 통해 스토리의 비극성을 부각시켰는데 특히 [[사가라 마유]]가 시즈쿠의 이적 선언에 대해 목을 긁을 정도로 화를 내는 연기와 [[사시데 마리아]]의 여지껏 나오지 않은 진지하고도 화가 잔뜩 나있는듯한 엠마 목소리는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되는 느낌을 주었고, 그 이전에도 마유치가 관객을 다 빼앗겼음에도 홀로 웃음을 잃지 않는 카스미를 연기할 때 너무 짠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쿠보타 미유]] 역시 카린의 감정선을 잘 살리며, 캐릭터성이 붕괴되어 스토리 공개 초반 비판을 받은 카린을 이해하려는 플레이어들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새로 투입된 [[호모토 아키나]]와 [[우치다 슈우]]의 연기력도 호평이 대부분이다. ==== 심각한 [[캐릭터 붕괴]]인 경우 ==== '''2021년 2월 28일 기준으로 전부 스쿨 아이돌 부에 있거나 있었던 멤버 뿐이다.''' 유의할 점은, 상기할 캐릭터 붕괴와 분량 편차에 대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스토리 작가에게 있으므로''' 캐릭터가 아닌 스쿠스타 제작진을 향한 비판이 옳은 방향이다. 때문에 올바른 [[러브라이버]]라면 캐릭터에 대한 과도한 비난은 삼가도록 하자. * '''[[미야시타 아이]]''' 23장 기준으로 가장 캐릭터 붕괴가 심한 케이스이다. 아이의 경우 [[아사카 카린|카린]]과는 달리 '연습할 곳이 필요했고, 다른 친구들도 사귀고 싶다'는 명확한 이유가 있었으나, 현 상황에서의 아이의 행동은 동시에 그동안 '친구'였던 기존 동호회 멤버들을 배신하는 행동이기에, 이는 우정과 의리를 무엇보다 소중하게 여기는 캐릭터인 아이에게는 명백한 캐붕이며 제작진의 실책으로 봐도 무방하다.[* 아이[[텐노지 리나|리나]] 팬들에게도 이걸 잘 아는 애가 리나를 두고 그렇게 무책임하게 나갔다는 점에서 굉장한 충격을 선사했으며, 진짜 리나가 보드 떨어뜨리고 울어야 정신을 차리겠냐는 반응도 나왔다. 이러한 반응이 나오면서 리나가 앞으로의 전개에 주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추측하는 팬들도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카린보다 심하다는 반응도 나오기도 했다. 더군다나 아이 입장에서 아나타는 본인 팬클럽인 아이토모를 부흥시켜준 사람중 한 명임에도 이렇게 나가버리는 것은 아나타가 단기 유학을 가는 의미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게다가 21장에서도 수습은커녕 거의 부의 앞잡이인 마냥 부와 [[쇼우 란쥬|란쥬]]를 옹호하고 나서서[* 감시 위원회에 대해 [[쇼우 란쥬|란쥬]]한테 이야기는 해보았으나 말을 들어주지 않았다고 '''웃는 모습으로''' 이야기했다.] 팬들의 뒷목을 잡게 만들었다. 그나마 동호회 멤버들을 걱정하고 있다는 게 묘사된 게 위안. 22장에서는 [[미아 테일러|미아]]가 실종되었다고 하자 '''의리 때문에 동호회에 부탁하러 왔다고 하며 미아를 같이 찾아달라'''고 하여 큰 비판을 받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아이가 동호회에 대한 의리를 접어두고 부로 향했기 때문인데, 여기서 [[나카스 카스미|카스미]]가 오죽 화가 났으면 배신자를 우리가 왜 도와야 하냐고 화를 냈을 정도.[* 어찌보면 당연한 반응일 수도 있지만 사람이 실종되었는데 그게 나랑 뭔 상관이냐는 뉘앙스로도 보인다고 하여 카스미의 이 발언은 갑론을박이 조금 있다.] 다만 이건 20장에서 아이의 사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않은 스토리 작가와 제작진 측에 더 큰 책임이 있다. 23장 예고편에서 또 다시 팬덤이 뒤집어졌는데, [[https://youtu.be/22UdWM4X0wU|#]] 아이가 동호회의 상황을 알면서도 그냥 본인의 즐거움을 위해 부로 갔다는 뉘앙스의 대사를 치고, 심지어 동호회와 부의 1:1 토너먼트를 제안하기까지 한다. 인기투표 순위에서의 열등감 때문에 고민하다 결국 부로 이적했다는 이유가 공개되기는 했지만, 그 부 때문에 기존 동호회 멤버들은 연습조차 못하는 상황을 겪었고, 그런 불리한 조건에 있는 동호회에게 그저 즐겁다는 눈치로 토너먼트를 열자고 하여 상당한 비판을 받았다. 또한 원래 세츠나에게 열등감에 찌들어 있었다는 등, 기존 캐릭터성과도 맞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분명 아이의 설정은 처음 본 사람들과도 친구가 되는 [[인싸]]였는데, 시즌 2에서의 아이는 분위기 파악도 제대로 못 하는 [[아싸]] 같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24장에서 [[텐노지 리나|리나]]를 이기고 4강에 왔지만 본인의 열등감의 원인이었던 [[유키 세츠나|세츠나]]를 꺾는데 실패하고 분해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나와 팬들 속을 박박 긁고 있다. 더군다나 본인이 제안한 토너먼트에서 [[쇼우 란쥬|란쥬]]가 우승해버린 만큼 최악의 상황으로 이끈 장본인 취급을 받기도 하는 등 23장보다 더 심각해졌다. 또한 카린과 마찬가지로 세츠나를 꺾지는 못했지만 '''어찌되었건 1승을 챙겼으니까 대놓고 무시해버리는 경향도 적지 않은 편으로''' 카린과 다르게 언급해주는 사람도 위의 비판점을 제기하는 사람들 외에는 없는 상황에 들어서고 말았다. 그리고 중간에 리나에게 "리나리가 내게서 졸업한 것 같아서 섭섭하다"는 투의 말을 하여 "먼저 멋대로 나간게 누군데"라는 반응이 나왔다. * '''[[아사카 카린]]''' [[미야시타 아이|아이]]가 메인으로 등장한 23장 전까지만 하더라도 가장 캐릭터 붕괴가 심하면서도, [[러브라이버]]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제일 심한 캐릭터였다.[* 담당성우인 [[쿠보타 미유]]조차 애니 카린과 스쿠스타 카린을 분리해서 봐달라고 하는 트윗을 남긴 만큼 분명하게 논란으로 불 탈만한 캐릭터임을 성우 스스로가 인증했다.] 카린 본연의 성격은 자존심이 강하고 승부욕이 강하며 고집이 센 캐릭터인데 누군가의 백댄서로 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카린한테는 모욕일 정도의 캐붕이기 때문이다. 한 술 더 떠서 나간 이유에 대해 말할 때 나온 대사가 "난 여기에 친구 사귀러 온 것이 아니야"였는데[* 다만 이 대사의 경우 전체적인 뉘앙스가 그렇게 매정한 느낌은 아니었다.] 그로 인해 [[엠마 베르데|엠마]]가 크게 상처를 받았고, 이는 '동료지만 라이벌'이라는 것을 누구보다도 중시하는 카린의 캐릭터를 완전히 망가뜨려 놓은 것이다. 하지만 카린이 워낙 승부욕이 있다 보니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 부로 간 것은 카린의 캐릭터 상 그리 이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21장에서는 4화 이후로 분량 자체가 없기 때문에 평가가 불가능하지만 카린이 그나마 대사를 친 부분이 부를 옹호하는 [[미야시타 아이|아이]]한테 맞장구 쳐주고 있는 부분이라 애꿎은 [[DiverDiva]]가 쌍으로 욕을 먹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동호회 멤버들을 걱정하고 있다는 게 묘사된 게 위안. 다만 이게 역효과를 내어서 22장에서 [[미아 테일러|미아]]가 실종되자 동호회에 찾는 걸 부탁한답시고 본인 발언이었던 "친구를 사귀러 온 것이 아니야"를 대놓고 부정하는 "우리가 연이 아예 끊기지는 않았다."라는 대사를 침으로서 더욱 비판이 강해졌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아이가 더 비판이 큰 편이고 카린은 이외에는 분량이 거의 없어 여기서도 비판은 잠깐 반짝하고 끝. 23장에서도 이전의 반응과 완전 다른 발언을 하며 논란이 되었는데, "[[쇼우 란쥬|란쥬]]를 뛰어넘기 위해 부로 왔고 란쥬는 노력하면 뛰어넘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유키 세츠나|세츠나]]는 또 다른 무언가가 있다."고 발언한 게 요점이다. 이 발언에 대해 그렇게 세츠나가 뛰어나면 '''란쥬 말고 세츠나에게 배우지 왜 굳이 란쥬 따라 부를 갔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아무리 카린의 성격 자체가 기가 쎄고 지기 싫어한다지만 이렇게까지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동호회를 나가고 부에 들어간 것에 대해 20장에 이어서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24장에서는 [[나카스 카스미|카스미]]한테 압도적으로 눌려 부진하고 '''8강 탈락'''을 하면서 방에 틀어박혀 분을 이기지 못하고 우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미야시타 아이|아이]]와 마찬가지로 부에 넘어가서 도대체 한 게 뭐냐는 비판을 많이 받는 중이다. 정작 본인도 [[유키 세츠나|세츠나]]에 대한 열등감을 품고 있었으면서 만나지도 못하고 광탈해버린 점에서 아이보다 실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는 중. 이에 더불어서 20장을 비롯해 세컨시즌 내내 '''연습환경에 대해서 강하게 어필하고 강조해 왔던 카린이라서[* 란쥬를 제외하면 연습환경에 대해서 굉장히 말을 많이 했다.]''' 환경에 혹해서 갔더니 되려 실력이 안늘고 거기서 정지했다는 반응도 나온다.[* 실제로 부에 갔었던 시즈쿠조차 란쥬에게 패해서 "부에서의 성장"에 대한 의구심이 깊어진 상황이었다.] 오시들에게는 불쌍하다는 반응도 얻고 있지만 애시당초 동호회를 통수치고 부에 가는 것을 선택한 것은 아사카 카린 본인이기에 결과가 당연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 '''[[오사카 시즈쿠]]''' 시즈쿠의 경우, 부로 넘어간 이유가 부와 동호회가 어떤 점에서 다른가를 직접 체험해보고 싶다는 생각과 스스로의 성장을 바란다는 꽤 확실하고 명확한 이유가 있었으나, 아나타보다는 [[쇼우 란쥬|란쥬]] 쪽에서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다는 점을 동호회 멤버들에게 인정해 버린 거나 다름없어서 [[아사카 카린|카린]]과 [[미야시타 아이|아이]]보다는 덜하지만 이미지에 상당한 손상이 가해졌다. 특히 부로 전향할 것을 밝힌 것도 게릴라 이벤트에서의 부진으로 무거워진 분위기를 나머지 멤버들이 애써 앞으로도 힘낼 것을 다짐하면서 마무리하던 순간이었기에 말하는 타이밍적으로도 잘못되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시즈쿠는 [[여포|부장이 세 명]](연극부 부장, 아나타, 란쥬)이라는 드립도 나왔다.] 일단 아나타(플레이어)와는 '부에서의 활동을 체험하고서 자기 스스로 납득이 갔다는 판단이 섰을 때 동호회로 돌아올 것'이라 약속을 하긴 했지만 입부 선언 때 [[나카스 카스미|카스미]]가 크게 실망하여 폭발, 사실상 절교당했다. 그리고 21장에서 본인이 말할 타이밍을 잘못 잡았던 것은 인정했지만 결국 부의 스케일에 감탄하며 부에 남겠다는 뉘양스로 말하는 장면이 나왔고, 스토리의 막판에 결국 동호회로 복귀하면서[* 그것도 란쥬와 미아에게는 통수로 비칠 수가 있는 뉘앙스의 대사를 남기고 부를 떠나 동호회로 복귀했다. 이 때문에 일본 트위터에서는 '시즈쿠 [[사이코패스]]'라는 검색어가 올라오기도 했고 더 크게는 [[아스란 자라]]와 비교하면서 시즈쿠한테 박쥐 이미지를 씌우는 등 여론이 험악해지기도 했었다. 한국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게 성능충이라며 시즈쿠의 이미지가 개판이 된 것을 비판했다.] 줏대가 없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 때문에 시즈쿠 오시들은 니지애니 8화와 스쿠스타 21장을 비교하며[* 이에 대해서도 '''시즈카스'''라는 커플링을 위해 시즈쿠는 카스미 없이 스토리 진행이 안되냐는 비판도 나온다. 카스미야 원래부터 푸시를 많이 받는 캐릭터라 시즈쿠가 없어도 그렇다 치지만 스쿠스타던 애니메이션이던 시즈쿠 옆에는 '''무조건 카스미가 옆에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엄연히 하나의 캐릭터인 시즈쿠를 그저 시즈카스를 위해서 희생되는 소모품 정도로 밖에 생각을 안 하는 제작진들에게 스쿠페스부터 즐겨왔던 팬들과 니지동으로 시즈쿠를 접한 팬들 모두 원망의 메세지를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멀리 갈 것 없이 호노카에게 의존하고 유학을 말하는 타이밍을 잘못 잡은 [[미나미 코토리|코토리]]가 정규 6집 센터 투표에서 최하위를 차지한 것을 생각해보자.] 스토리의 엉성함에 대해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22장에서는 대사 한 줄로 카린-아이를 쉴드 치고 나서서 그것마저 까이고 있고, 부에서 성장한 모습조차 보이지 않아서 아직도 인식이 크게 좋아지지는 못하고 있으며, 23장에서도 변함없이 "란쥬 씨 대단해요"만을 외치면서 평가가 안 좋다. 더욱이 23장 1대1 토너먼트 상대로 란쥬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꺾지 못할 경우 도대체 부에서 성장한게 뭐냐는 비판은 확실하게 나올 것이기에 비판의 여지마저 남아버렸다. 그리고 24장에서 진짜 [[쇼우 란쥬|란쥬]]한테 지면서 성장하려고 부로 넘어갔으면서, 무슨 성장을 했냐며 비판을 직격으로 받고 있다. 거기에 란쥬가 귀엽다는 말까지 해서 오죽하면 '''[[미아 테일러|미아]]가 시즈쿠 성격 특이하다고 할 정도.''' * '''[[미후네 시오리코]]''' 그나마 시오리코의 경우는 비판에서 비교적 자유로웠으나, 23장에서 큰 비판을 받고 있다. 이전에도 란쥬를 '착한 애'라고 평가했다는 점과 [[학생회장]]임에도 학생회 임원들을 이용해 동호회를 방해하는 란쥬의 폭주를 전혀 제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비판받고 있다. 게다가 한창 니지동과 대립했던 시절에 [[나카가와 나나]]에게 어중간하다고 일갈하던 본인이 그 어중간한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도 비판점이다. 다만 란쥬의 행위가 잘못되었다고 인지하고 있고 착하다는 평 또한 친구이기 때문에 해주는 최소한의 변호에 가깝다는 점, '이사장의 외압'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작용할 경우 재평가의 여지는 있다. 그래도 21장에서는 무언가를 하려고 하는 의지는 보였기에, 분량이 없는 카린, 앞잡이로 왜곡될 수 있는 행적을 보인 아이, 그리고 과도하게 분량을 받은 시즈쿠와 카스미에 비하면 평가가 나쁘지는 않다.[* 전술한 란쥬를 착한 애라 평한 부분도 21장에서 란쥬가 좀만 맞장구쳐줘도 친구먹은줄 아는 단순한 성격임이 밝혀져서 란쥬의 뇌청순함을 순화해 돌려깐다는 것 같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 하지만 '''23장에서 감시위원회를 조직하고 활동시킨 사람이 시오리코라는 것이 밝혀지며''' 평가가 급속도로 떨어졌다. 물론 시오리코가 일부러 동호회의 팬인 서기 쌍둥이를 붙여 놓았고, 라이브가 끝난 이후 투입시키는 꼼수를 썼다는 것이 밝혀지기는 했으나, 어쨌든 동호회가 연습을 못 하게 만든 원인 중 한 명이라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심지어 시오리코는 20장에서 '아나타는 대단한 사람이다'고 이야기했던 사람인데, 뒤에서는 감시위원회를 조작했다는 사실에 대한 충격받았다는 의견이 많다. 다만 감시위원회가 20장에서는 연습을 적극적으로 탄압했던 묘사[* 20장에서 '''연습을 시작하려 할때 나타나 해산을 명령하여''' 세츠나와 카나타가 도망을 치는 회상장면이 있다. 이러한 장면에 대해 스토리 작가에게 치매가 왔냐는 비판도 적지 않은 편.] 때문에 23장과는 앞뒤가 안맞게 되는데, 제작진에서 급히 설정변경을 하면서 모순이 생긴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기도 한다. ==== [[캐릭터 붕괴]]에 더해, [[자캐딸|과도한 푸쉬]]까지 받은 경우 ==== * [[나카스 카스미]] 카스미는 23장 전까지는 캐릭터성에는 크게 손상이 가지 않았지만 분량 배분 문제로 비판받고 있는데, 20장에서는 란쥬, 21장에서는 시즈쿠와 함께 대부분의 분량을 독차지했으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서사까지 부여되면서, '카스미에게만 너무 지나치게 분량을 쏟은 게 아니냐', '스토리 작가가 카스미 오시인가' 등의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작가가 게임 스토리를 쓰랬더니 본인 오시캐 팬픽을 쓰는 것 같다-- 특히 20장이 특정 멤버들에게 불이익을 준 에피소드였기에 이런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 카스미는 원래 스토리에서 분량이 많은 멤버였음에도 이번에 캐릭터성이 붕괴된 멤버들에 비해 훨씬 많은 분량을 가져갔음은 물론 다른 멤버들의 비중을 공기화시키면서까지 개인 서사 부여로 과도한 푸쉬를 받는 것에 대해 비판하는 의견이 있다. 21장에서도 시즈쿠와 카스미의 서사가 주된 내용이었기에 카스미의 과도한 분량을 시즈쿠의 망가진 캐릭터성과 함께 비판하는 여론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안 그래도 일본의 일부 극단적인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아예 카스미라는 캐릭터 자체를 욕하고 있다.] 22장에서는 큰 논란이 없었지만, 미아를 찾는걸 도와달라는 아이에게 매정하게 대하는 장면이 호불호가 갈렸다. 호 쪽에서는 '''부=적'''으로 여기는 카스미가 이런 반응을 보이는 건 어찌보면 당연하고, 오히려 다른 멤버들이 비정상적으로 착하게 묘사되고 있으며, 사람이 실종되었을 때는 경찰과 같은 더 믿음직하고 확실한 수단이 있음에도 굳이 동호회에 도움을 요청한 아이의 판단이 안 좋았으며, 배신한 주제에 너무 뻔뻔하다는 의견이다. 반면 불호 쪽에서는 아무리 아이가 배신자라고는 하지만 상급생에게 너무 예의가 없으며, 사람이 실종되었는데도 꿈쩍하지 않는 카스미를 [[냉혈한]]으로 만들었다며 캐릭터를 붕괴시켰다는 의견이 많다. 그리고 이 화에서 '''아이와 카린을 대놓고 배신자라고 못을 박아버리며''' 안 좋은 평을 듣고 있다. 한 술 더 떠 23장에서는 캐릭터까지 붕괴되었는데, 아유무 못지않은 아나타 바라기인 카스미가 '''바로 옆에서 아나타가 란쥬에게 모욕을 당하는데도''' 아무런 반응도 없었다는 게 드러나면서 캐붕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란쥬에게 적대적인 카스미였기에 더욱 놀랍다는 반응이 많다. 24장에서 카린을 상대로 이겼지만 이걸로 카스미를 띄운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다만 란쥬한테 짐으로써 동호회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 [[유키 세츠나]] 부로 이적한 멤버와 카스미 못지않게 세컨드 시즌에서 캐릭터성이 망가졌다. 세츠나는 '''스쿨 아이돌을 하기 위해 가출까지 한 인물로 ''' 누구보다 스쿨 아이돌에 대해 열의가 있는 인물이며, 자신의 의견을 지나치게 견지하다가 동호회를 한 번 없앨 뻔했던 사람이다. 그런데도 스쿨 아이돌 활동을 못하게 된 이 상황에 반발 없이 빠르게 수긍했다는 점이 지적받았다. 또 22장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활동을 대놓고 방해하는 란쥬를 포함해서, 부로 이적한 멤버들에게 지나치게 친절하게 대하는 게 카스미&엠마와 비교해 볼 때 인간적이지 않다며 비판적으로 보는 시선이 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873132&search_pos=-3674906&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C%84%B8%EC%B8%A0%EB%82%98&page=1|#]]). 니지애니와 달리 스쿠스타 세컨드 시즌에선 세츠나는 일개 학생일 뿐이라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고, 현역 회장인 시오리코조차도 손을 못 쓸 만큼 상황이 악화된 점을 감안할 필요는 있지만, 그럼에도 세츠나의 부에 대한 태도는 23장까지 밍숭맹숭하다. 여기에 23장에서는 카린, 아이, 카스미에게 '''세츠나는 대단해'''라는 이야기를 듣는 과도한 푸쉬가 나오면서 더욱 평가가 떨어졌다. [[Nijigasaki High School Idol Club First Live “with You”|불과 1년 전 1st 라이브]]에서 [[쿠스노키 토모리]]가 세츠나의 독주에 중압감을 느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음에도 또다시 세츠나를 밀어주는 전개도 급조된 설정이란 이유로 좋은 평가를 받진 못했고, 심지어 세츠나의 팬들마저 "대놓고 맥이는 거냐?"며 부정적인 의견이 압도적이다. 24장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저지르고 마는데 '''아이의 퍼포먼스를 보고 돌연 아카펠라로 스타일을 바꾼거다.''' 이로 인해 평소와 다른 라이브를 진행하면서 결승전에서 란쥬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 [[캐릭터 붕괴]]라기에는 애매하나 논란이 있는 경우 ==== * [[당신(러브 라이브!)|당신]](아나타) 시즌 2에서 평가가 가장 급락한 등장인물. 게임의 캐치프라이즈가 '''당신과 함께 이루어나가는 이야기'''인만큼 아나타가 개입하는 부분, 즉 이 캐릭터 자체의 분량이 매우 상당함에도 아나타의 소극적인 태도[* 란쥬에게 쓴소리 들었다고 멤버들의 반대속에도 동호회를 부랑 합치려고 했다.], 다른 멤버들을 부로 보냈음에도 해맑게 '응원한다'고 말했다는 점, 자기 멤버 음역대 체크도 안 했다는 점 등으로 분량에 걸맞는 행동을 하지 않아 줏대가 없다, 멘탈이 약하다, 무능하다고 까이고 있다. 특히 음역대 채크는 변명의 여지가 없는 아나타의 실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팬들은 란쥬가 플레이어에 대한 모욕을 서슴지 않아도 '''얘는 까일 만 하다'''라며 란쥬에게 면죄부를 주기까지 할 정도. 사실 아나타는 15장에서부터 아유무와의 갈등 상황에서 보인 태도로 팬덤에서 도마에 오르기도 했는데, 이 점이 시즌 2에서 제대로 터져버린 것. 사실 아나타는 캐릭터성이 붕괴된 건 아니고, '''아예 캐릭터성이 거의 없는 케이스라'''[* 기껏 해봤자 아이돌을 좋아함, 행동력이 좋음, 개그 허들이 낫다 정도. ] 다른 멤버들과 비판받는 부분이 다르다. 다른 멤버들이 이미 만들어놓은 캐릭터성을 깼기 떄문에 비판받는다면, 아나타는 그간 쌓아 온 행적과 성격 때문에 비판받는다. 이 때문에 아예 '아나타'라는 인물의 캐릭터를 아메노 치하레의 전공 분야인 [[미연시]]와는 다르게 캐릭터성을 확실하게 구체화시키거나, 아예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성을 제대로 만들어낸 [[타카사키 유우]] 캐릭터를 전면에 등장시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유우마저 붕괴시킬 수는 없다며 거부하는 의견도 많다. ]. 그나마, 아나타의 경우 일부 앙케이트에서 순위를 매기는 타 캐릭터들과는 달리 순위와 상관없고, 직접적으로 동호회 멤버들의 평판을 깎아먹는 일은 없었기에[* 이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는게 당장 21장에서 시즈쿠의 음역대 체크를 안해서 부로 간 시즈쿠가 미아에게 지적을 받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이건 음악 전공자도 아닌 시즈쿠의 잘못은 아니라서 이거로 시즈쿠가 크게 욕을 먹지는 않았다.] 영향이 덜한 편이지만, 본인을 중심으로 게임의 스토리가 진행되고 있으면서 유학도 갔다온 애가 도대체 배워가지고 온 것이 뭐냐는 팬들도 적지 않다. 물론 이 점은 유학을 다녀오자마자 최고 인기 프로 작곡가에다가 아이돌까지 하는 [[미아 테일러|누가 봐도 아나타의 상위호환인 신 캐릭터]]를 등장시키는 무리수를 둔 스토리 팀이 근본적인 문제라서... * [[우에하라 아유무]] 21장까지는 별다른 비판이 없었으나, 22장, 23장에서 란쥬가 '아나타'한테 "넌 여길 왜 왔냐"는 투로 정색하거나, 리나와 아유무만 호명하는 등 스토리 내에서 본인의 절친인 '아나타'를 대놓고 무시한 장면이 나왔는데도 이에 대해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이것에 대해 아유무의 [[메가데레|가장 큰 캐릭터성]]이 손상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자신들을 대놓고 방해하는 란쥬와, 이들에 속해 있는 부 인원들에게 지나치게 친절하게 대한다는 점이 감정이 없고 인간적이지 않다며 비판적으로 보는 시선이 있다. 다만 평가하기 어려울 정도로 분량이 적으며, 사이드 스토리에서는 특유의 소꿉친구력을 제대로 묘사해 내면서 이를 상쇄했다는 점 때문에 비판이 큰 편은 아니다. ==== 분량이 거의 없어 평가가 불가능한 경우 ==== * [[코노에 카나타]] 카나타의 [[마이페이스|성격 상]] 동호회를 둘러싼 논란에 크게 개의치 아니하며 일치감치 잔류 의사를 밝혔고, 란쥬를 21장에서 대놓고 맥이면서 캐릭터성의 붕괴는 그다지 드러나지 않는다. 물론 애초에 그만큼 분량이 없기도 하다. 억지로라도 비판점을 만들어 낸다면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도 지나치게 마이페이스라는 점이다. 분량은 물론 특별하게 엮이는 멤버도 없어 카나타 오시들의 많은 비판을 받고 있으나, 이런 상황에서는 분량이 없는 게 약일 수도 있기 때문에 스토리의 수혜자인지 피해자인지 논하기 애매하다. * [[μ’s]] 멤버들 20장에서 등장. 감시위원회 때문에 교내 연습이 금지된 동호회를 도와주는 역할로 나와 평이 좋지만 분량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그런데 23장에서 뮤즈와 아쿠아를 토너먼트 심사위원으로 부르자는 언급 때문에 팬덤이 뒤집어졌다. 제작진에서 소위 μ’s&Aqours 고기방패를 시전할 것처럼 보여 팬덤에선 상당히 고깝게 보고 있다. 일개 스토리 작가의 캐릭터 비교질을 뮤즈와 아쿠아를 통해 한다는 것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나오며, 논란이 많은 란쥬를 치켜세우는 묘사가 나오지 않을까 팬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는 상황. 다행히도 24장에서 μ’s와 Aqours가 나오는 일은 없었지만, 이건 이것대로 분량 관련 비판이 존재한다. * [[Aqours]] 멤버들 22장에서 등장.[* 20장에서는 치카와 요우 등 몇 명만 잠깐 언급된다.] 뮤즈와는 달리 약간의 논란이 있다. 특히 [[https://lovenozomi.tistory.com/101?category=908497|22장 4화]]에서 [[오하라 마리]]가 '''미아에 대해 몰라?'''라고 이야기한 장면이 호불호가 갈리는데, 아쿠아를 방패로 신규 캐릭터의 설정을 정당화하려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일본 팬덤 내에서도 아쿠아를 신캐 띄우는 데 이용한다며 불쾌하다는 반응이 있었다.] 다만 22장 공개 이후 미아의 스토리가 잘 뽑혀서 논란이 크지는 않았다. 23,24장에서의 논란은 위의 μ’s 문단과 동일. ==== 캐릭터성이나 분량 관련 논란이 비교적 적거나 없는 경우 ==== * [[텐노지 리나]] 기존 동호회 멤버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캐릭터. 리나의 경우는 소중한 선배인 아이가 부로 이탈했던 20장에서도 이상하게 분량이 거의 없었고, 21장에서는 시즈쿠와 카스미의 싸움을 말리는 장면에 분량이 조금 있었지만 그 외에는 분량이 적었다. 하지만 22장에서 [[미아 테일러]]와의 서사가 매우 높은 평가를 받으며 현재 동호회 멤버 중 거의 유일하게 평가가 좋다. 20~21장의 카스미와 비교하면, 카스미는 원래부터 스토리에서 중요한 멤버여서 비중 배분에 호불호가 갈린 반면, 리나는 스토리의 중심을 차지하는 멤버는 아니라서 비중 배분에서 고평가를 받고 있다. 23장에서도 미아와의 케미가 호평을 받았다. 24장에서는 무려 보드를 벗고 라이브를 했음에도 아이한테 지는 바람에 안타까움을 사기도 했다. 그리고 그 와중에 아이에게 "리나리가 내게서 졸업했다"는 투의 말까지 들었다. --먼저 멋대로 나간게 누군데...-- * [[엠마 베르데]] 리나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멤버이다. 부로 이동한 카린, 아이, 시즈쿠에게 상당히 화가 많이 난 목소리를 보여주면서 20장에서 카스미와 함께 가장 고평가를 받은 캐릭터였으나 이후에는 분량이 거의 없다. 22장에서는 아유무, 세츠나처럼 아이돌 부 인원들에게 너무 친절하다는 비판이 있긴 했으나 엠마의 기본 성격이 천사표라 이 점은 비판이 크지는 않았다. 굳이 논란을 찾자면 21장에서 시즈쿠가 동호회로 돌아온 장면에서 "1학년들은 이제 원래대로 돌아왔구나"라고 이야기한 장면인데, 대놓고 시오리코를 무시하는 뉘앙스라며 약간 비판이 있었으나 시즈쿠와 카스미의 논란 때문에 묻혔다. 다만 23장에서 란쥬, 그리고 란쥬를 따라간 부원들을 손절하는 뉘앙스의 대사가 나오면서 평가가 급속도로 올라갔으며, 카린과의 심상치 않은 분위기로 25장의 주역으로 활약할 거라는 예상이 많아지고 있다. ===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니지동]] 중심'의 급전개 === 또한 지난 18~19화에서 쉬어가는 에피소드를 배치한 것과 다르게 20화에서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동호회]]의 역대급 위기가 나왔다는 급전개에 대한 비판 여론도 상당하며, '[[올스타(서브컬처)|ALL STARS]]'라는 게임명이 무색하게 [[쇼우 란쥬|란쥬]]와 [[나카스 카스미|카스미]], 더 나아가 니지동에게 과도하게 분량이 쏟아지는 바람에 똑같은 주역인 [[μ’s]]와 [[Aqours]]의 분량이 그만큼 사라지는 등 분량 조절 문제 역시 다시금 대두되었다. 심지어 21장에서는 [[μ’s]]와 [[Aqours]]의 분량이 '''없다'''. 물론 이 두 그룹이 등장했다면 스토리가 더 산으로 갔을 것이라는 평도 있으나, 이렇게 두 그룹을 공기화시킬 거면 20장의 급전개는 왜 했냐는 의견이 더 많다. 그나마 [[μ’s]]는 20장에서 멤버들의 연습을 도와주는 조력자로 묘사되었기에 망정이지, [[Aqours]]는 20장에서 '''그냥 얼굴만 잠깐 비치고 끝났다.''' 아무리 스쿠스타가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니지동]]이 메인인 게임이라고 하지만 ALL STARS라는 게임 제목 특성 상 아쉬운 부분이다. 정작 메인인 니지동도 [[오사카 시즈쿠|시즈쿠]], [[나카스 카스미|카스미]]를 제외한 멤버들은 20~21장에서 분량이 많다고 보기는 어려운 수준이었다. 결국, 현재까지의 시즌 2는 분량을 받은 멤버들에게 과도한 편애를 하거나 캐릭터성에 손상을 주면서 평가가 떨어지고, 받지 못한 멤버들은 비중을 극히 공기화시키면서 그건 그거대로 평가가 떨어지는 사실상의 __주역 [[스쿨 아이돌]] 전원의 팀킬__을 자행 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23장에서도 대놓고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니지동]] 중심이었는데 [[미야시타 아이|아이]]가 토너먼트의 심사를 '''뮤쿠아에게 맡기자'''는 제안을 하여 이젠 뮤쿠아마저 캐붕시키려는 거냐는 비판이 들끓고 있다. 이를 눈치챈건지 24장에서 뮤쿠아는 얼굴을 비추지 않았다. 여담으로 대놓고 [[쇼우 란쥬|란쥬]]를 띄워주기 위함인지는 몰라도 아직 니지동 멤버들의 3집 악곡 MV[* [[決意の光]]는 제외.]는 물론 [[Nijigasaki High School Idol Club 2nd Live!|니지 2nd 라이브]]에서 약속했던 [[Love U my friends]]의 MV도 추가를 안했는데 대뜸 란쥬의 신곡인 [[QueenDom]]의 MV가 공개된 점 때문에 막장 수준의 전개와 함께 [[러브라이버]]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다만 [[Love U my friends]]가 라이브 스테이지 21-1장에서 추가되었고, 3집 곡은 11월 30일 업데이트와 함께 반영되면서 해당 비판은 잠잠해졌다. [[러브라이브! ALL STARS|스쿠스타]] 자체가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니지동]]을 중심으로 하지만 '''너무나 니지동에게 비판거리를 안겨다주며 사실상 니지동을 따 시키는 거 아니냐는 의혹도 있다.''' 성우들이 저딴 스토리에 뭐라 한 마디도 못하는 것도 이상하며, [[Liella!]]의 참전이 예상된 만큼 니지동을 홀대하고 리에라를 띄우기 위한 전조행동 아니냐는 것. === 논란 및 비판을 회피하려는 공식 === 2020년 11월 14일 개최되는 [[스쿠페스 감사제]] 생방송에서 '2nd 시즌'과 '20장의 스토리'에 대한 감상을 모집한다는 공지를 냈다는 점도 지적받았는데, '스토리를 이런 식으로 써 놓고 무슨 감상을 모집하느냐, 지들 입맛에 맞는 사연만 소개할 것이 뻔한데 왜 모집하는 거냐, 해당 사연을 소개할 성우들을 방패 삼아 20장 전개에 대해 사과하려는 게 아니냐[* 안그래도 니지동 팬덤은 공식이 2nd Live 첫 날 낮부 공연 때 이플러스의 해외 송출 오류를 성우들이 사과(정확히 말하면 사과보다는 유감을 표하는 뉘앙스)하게 한 전적이 있어 이 점에 대해 상당히 예민해져 있다. ]' 등의 상당한 비판 및 비난 여론이 나오고 있다. 아니나다를까 해당 방송에서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사연만을 소개하였으나, 약 3~4개 정도 소개에 그쳤다. 다행히 공식은 성우들을 방패로 삼지는 않았고, 되려 성우들이 세컨 시즌을 장난식으로 디스하는 모습을 보였다. 1월 18일 예고 없이 [[QueenDom]]과 [[I'm still...]]의 뮤비를 공개한 것도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마침 타이밍 자체가 [[타나카 치에미]]와 [[우치다 슈우]], 즉 '''리나미아'''의 합동 방송이 있던 날이었던지라 원래는 스토리 공개 후 하루 뒤에 올렸어야 할 뮤비들을 비판 때문에 못 올리고 있다가 성우들을 방패삼아 올린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고, 특히 QueenDom의 경우 싫어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여담으로 나타의 란쥬는 기대하고 댓글창 봤다가 울어버린다(...)] 23장에서 수습은커녕 멀쩡하던 다른 멤버들까지 논란이 터져버리면서 스쿠스타 메인 스토리는 최악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의식한 것인지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23장 공개일인 21년 1월 30일은 바로 나마[[Liella!|리엘라]]의 첫 생방송이 있던 날이었다.''' 리나미아 합동방송 때도 그렇고 대놓고 자기네가 쓴 스토리에 대한 비판을 묵인하려고 공개 타이밍을 이렇게 잡는다는 의혹도 제기되는 중이다. 뒤이어 리엘라 생방송에서 리엘라의 스쿠스타 합류가 발표되자, 리엘라조차도 스쿠스타의 피해자가 되지 않을까하는 우려와 함께 리엘라를 띄워주고 애초부터 외전 취급인 니지동을 쩌리로 만들 거냐는 의혹 또한 상당수 존재하며 팬들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상술했듯 란쥬 캐릭터에 대해서 20장부터 엄청난 비판의 여론이 일다가 [[나타센세]]가 그린 [[쇼우 란쥬|란쥬]]가 울면서 사과하는 장면이 나오며 란쥬가 호감형 캐릭터로 굳어져갔고 나타가 뭐만 하면 란쥬를 울려먹는 전개의 만화를 그려내서 어느 정도 이미지가 좋아지긴 했다. 하지만 가면 갈수록 나타가 그리는 만화가 뇌절이 되어가고 있으며 여기에 공식이 시켜서 그렸다고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그냥 울리는 게 좋다'라며 어정쩡한 해명을 하면서 나타에 대해서도 비판을 하는 사람이 생겼다. 이제는 란쥬가 우는 것조차도 보기 껄끄럽다는 이야기도 나오게 되었다. 심지어는 [[中音ナタ|나타]]가 '''[[DiverDiva]]가 동호회에서 탈주를 한 이유가 [[미후네 시오리코|시오리코]]의 부탁 때문이었다는 식의 3컷 만화를 그려내면서''' 나타를 통해 시즌 2의 비판을 잠재우려는 공식의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팬들이 생겨났다. 심지어는 [[쇼우 란쥬|란쥬]]가 만든 쿠페빵을 먹고 [[나카스 카스미|카스미]]가 분하지만 맛있다는 식의 인정을 하는 만화를 그려 란쥬를 세탁하려는 시도를 보여주자 공식이 나타에게 오퍼를 넣어 란쥬의 세탁 여지를 주고 그를 통해 자연스레 란쥬를 세탁하며 비판을 잠재우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나타 본인이 부정한다고 해도 팬들은 거의 정설처럼 받아들이는 중인듯. 2020년 2월 27일 토요일 '''새벽 3시'''에 공식 유튜브 채널에 스쿠스타 스토리 24장 예고편이 올라왔는데, 악플을 피하기 위해 새벽에 올린게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 맹목적인 팬들 및 분탕을 야기시키는 지능형 안티들 === 21장부터 제기되어온 문제점으로 이때는 "오로지 '''시즈카스''' 커플링이 잘 되면 그만이지, 병×들처럼 발광들 하냐" 라는 GL충들이 주요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면 22장부터는 아예 스토리를 까는 사람들을 럽까로 몰아가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이를 발돋움하여 공식은 말도 안되는 스토리를 계속 써내려간 것이며 당장 23, 24장 예고편 댓글에서도 "부와의 토너먼트가 기대된다." "재밌겠다." "리나가 보드를 드디어 벗는다니 이건 갓스토리다."는 식의 옹호러들이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이다. 심지어는 커뮤니티 내에서 불타고 있으면 그것을 이용해서 분탕을 더 일으키거나 팬덤간 분열을 조장하는 악덕들도 많이 나타나서 스쿠스타 외부에서도 문제가 생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 반응 == [[https://bbs.ruliweb.com/family/212/board/300064/read/30628941|루리웹 팬픽/패러디 만화 게시판의 유저가 요약하고 평가한 20장의 내용.]] 홍콩인 캐릭터 [[쇼우 란쥬]], 미국인 캐릭터 [[미아 테일러]]라는 신 캐릭터가 등장하면서 많은 유저들의 궁금증을 자아냈으나, 20장에 대한 평은 매우 안 좋다. 이는 일본, 한국 등 국내외를 막론, 심지어는 '''중화권'''에서조차 비판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며[* 대만, 홍콩은 물론이며 중국 본토에서 운영하는 [[웨이보]]에서도 스토리 비판 글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 유튜브 공식 계정에 올라온 [[https://www.youtube.com/watch?v=QDSTvvHsStA|20화 예고]]의 싫어요 비율이 좋아요보다 2배 이상 높을 정도로, 지금까지의 스토리 중 가장 안 좋은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이전까지는 시오리코가 세츠나를 학생회장 자리에서 끌어내린 9장, 아유무와 플레이어의 다툼이 있었던 15장 정도가 악평을 듣고 있었으나, 이번 20장에 쏟아지는 악평보다는 훨씬 덜하다. ] [[https://www.youtube.com/watch?v=fGmR-AtZ2wA|21장 예고]]도 역시 올라온지 '''하루도 안되어''' 싫어요 수가 좋아요 수를 넘어버렸고, 20장 이전까지 기존 러브라이브 공식 영상 최다 싫어요를 기록 중이었던 [[コットンキャンディえいえいおー!]]의 싫어요 수를 진작에 넘은 상황이다[* 사실 코튼캔디는 싫어요 수가 많긴 하지만 좋아요에 비하면 1/40 수준이라 스쿠스타 시즌 2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즉, 스쿠스타 스토리는 이제 일부 팬덤에서는 신뢰를 잃었다는 이야기. 일본 트위터에 10월 31일 내내 '스쿠스타 20장'이라는 검색어가 순위권에 올라올 정도로 일본 러브라이버들은 부정적인 반응이 압도적이었고, 한국, 중화권, 영어권의 팬들도 마찬가지로 험악한 여론을 드러냈다. 아예 이 스토리를 폐기하거나, 그걸 넘어 란쥬의 캐릭터를 삭제하거나, 차라리 아나타의 꿈 이야기였다고 무마하던가, 정 그게 불가능하다면 문제가 된 카린의 대사라도 수정하라는 등 다양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며, 스쿠스타의 스토리 담당으로 알려진 아메노 치하레[* [[다카포 시리즈]] 등 [[라이트 노벨]] 쪽에서 주로 활동하는 작가이고 [[우마무스메 PRETTY DERBY]]에도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말딸팬들에게는 묵념을-- 지금까지 애니, 니지욘 등을 제외한 니지동의 매체 대부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데 19장 및 개인 스토리, 이벤트 스토리는 잘 짜 놓고 20장부터는 왜 이상한 전개로 갔는지에 대해서 팬들의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아예 이러한 작가의 이력을 결부시켜 '스쿠스타가 니 라노벨이냐?'라는 비판도 생겼다. 일본 팬덤 내에서도 아메노의 손이 가지 않은 니지애니와 니지욘을 정사(正史)로 치는 분위기가 제법 호응을 얻는 상황이다.][* 어느 순간부터 트위타에 스쿠스타 관련 내용이 트윗되거나 리트윗되지 않아 짤렸냐는 이야기도 돌고 있지만 천문학적인 욕을 감당하기가 싫어서 안하고 있다는 것이 정설로 여겨진다. 애초에 22장 업데이트 당시 やった~라고 트윗을 올렸다가 엄청난 욕을 먹었으니... --물론 현재도 트위터에 @amn_thr을 검색하면 전 세계인의 욕설이 계속 달리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905738&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의 트위터 계정에도 비판적인 댓글들이 계속 달리고 있어, 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대미문의 파란으로 시작을 끊은 메인 스토리 2부이기에 팬들은 캐릭터 붕괴 및 극단적인 전개로 인한 분노와 함께 앞으로 이 이상 더 악화되는 거 아니냐는 걱정어린 시선으로 보고 있지만, 후속 스토리가 공개되기 전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을 노릇이다.[* 스쿠스타의 스토리 발매 주기는 1달이기 때문에 스토리 하나가 공개되면 다음 스토리까지 1달 동안 유저들은 손가락만 빨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후속 스토리가 공개되면서, 수습은 커녕 캐릭터 붕괴가 눈에 띌 정도로 일어나고 있어 '''오히려 더욱 심각해졌다.''' 한편 [[니지애니]]는 계속 호평을 받으면서[* 아이러니하게도 10월 31일 오후 3시에 공개된 스쿠스타 스토리에서 너프를 받았던 카린이, 같은 날 오후 10시 30분에 공개된 애니메이션에서는 더블 주역을 맡으며 버프를 받았다. ] 스쿠스타 스토리의 엉성함에 극도로 실망하여 니지애니를 정사로 취급하겠다는 여론이 많아졌다. 오죽하면 물갤에서 그렇게 조리돌림을 당하는 [[하나다 줏키]]가 스쿠스타 각본가와 비교되면서 줏키가 오히려 칭송을 받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나마 줏키의 경우 뮤쿠아 애니메이션에 대해서 그리 나쁜 평가만 있는 것도 아니고, 전통의 9화와 같은 에피소드들을 써내서 국내팬들도 반쯤 장난식으로 줏키를 깐다 싶다가도 에피소드가 잘 뽑혀지면 순식간에 호평일색으로 바뀌지만, 스쿠스타 각본가인 아메노 치하레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혐오감을 담아 욕을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그나마 니지애니가 스쿠스타 스토리 문제에 대한 불만을 일정 부분 해소해 주고 있었으나, 니지애니가 끝난 이후로도 갈등 해소는 커녕 캐릭터 붕괴가 더욱 가속되어 팬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아예 스쿠스타를 '''[[동인게임]]''', 심하면 [[똥겜]] 취급하는 팬들이 늘어나고 있다. 애니메이션으로 니지동에 입덕한 팬들에게마저 스쿠스타 입문은 추천받지 못하는 상황이며, 한다고 해도 메인 스토리는 읽지 말고 인연, 사이드, 이벤트 스토리만 읽으라고 할 정도이다. 21장 이후부터는 스토리에 구멍이 너무 많이 생기면서 급하게 짜집기된 스토리가 아닌가 하는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unshine&no=3697285|의혹이 생겨나고 있다.]] 가령 21장에서는 시즈카스 에피소드가 시작되고부터 다이버디바의 존재 자체가 사라진걸 보면 원래 예정되었었던 시즈쿠의 동호회 복귀 시점은 다이버디바가 복귀한 뒤였을 거라고... 다만 어디까지나 '의심' 수준이다. 몇달 스케줄을 미리 짜두고 움직이는 만큼, 새로 대사를 짜고 성우들의 녹음 스케줄을 잡고 일러스트 제작이나 수정을 할 시간은 많지 않다. 물론 에피소드의 순서만 바꿨다면 그나마 대사 짜집기를 했을 가능성은 있다. 란쥬 울리기 만화를 그리고 있는 [[나타센세]] 또한 스쿠스타 메인스토리가 공개될 때마다 "스쿠스타는 꼭 내가 란쥬 울리게 만들더라"라는 식의 트윗을 올리면서 스토리에 대해 부정적인 뉘앙스를 보여주고 있다. [[https://twitter.com/natanakane/status/1365947153244295169|#]]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러브라이브! ALL STARS/비판 및 문제점, version=213)]
lilium_orca,glacia186,115.143.226.61,clearsky,wikinitjin,124.111.196.162,briank2002
강철원(2004)
#redirect 품행제로 철원
wjdgh070806
김도헌(2003)
#redirect 등교 거부 도헌
wjdgh070806
스테판(로얄 크라운)
[[분류:로얄 크라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얄 크라운)] [include(틀:로얄 크라운/캐릭터)] ||<tablealign=center><tablewidth=70%><-2><bgcolor=#000> {{{#fff '''스테판'''}}}[br]{{{#fff '''Stepan'''}}} || ||<-2> [[파일:royal_crown_char_stepan.png|width=100]] || || {{{#000,#fff '''클래스'''}}} || 전사 || || {{{#000,#fff '''난이도'''}}} || 어려움 || || {{{#000,#fff '''피해 유형'''}}} || 물리 || || {{{#000,#fff '''공격 유형'''}}} || 기본 공격 50% 스킬 50% || || {{{#000,#fff '''공격력'''}}} || ■■■ || || {{{#000,#fff '''방어력'''}}} || ■■□ || || {{{#000,#fff '''기동력'''}}} || ■■□ || || {{{#000,#fff '''보조'''}}} || □□□ || || {{{#000,#fff '''군중 제어'''}}} || ■□□ || [목차] == 개요 == [[로얄 크라운]]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 스킬 == === 패시브 - 베테랑 전술가 === 근접 태세와 원거리 태세를 전환합니다. 전환 시 1.2초 동안 이동 속도가 증가합니다. === Q - 투창 - 원거리/돌진 - 근거리 === 재사용 대기시간 : 5.8 / 5.6 / 5.4 / 5.2 / 5 마나 소모 : 32 / 35 / 38 / 41 / 44 방어도의 30%를 무시하는 창을 던져 48/72/96/120/144(+0.6PD)의 물리 피해를 입히며 적중한 거리에 따라 미터당 10%의 피해가 증가합니다.스킬 적중 시 1.5초 동안 이동 속도가 30% 증가합니다.투창 스킬은 치명타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 5.8 / 5.6 / 5.4 / 5.2 / 5 마나 소모 : 32 / 35 / 38 / 41 / 44 전방으로 돌진해 48/72/96/120/144(+0.6P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적중한 대상의 이동 속도를 2초 동안 30% 감소시킵니다. === W - 맹공 - 원거리/휘둘러치기 - 근거리 === 재사용 대기시간 : 8.8 / 8.6 / 8.4 / 8.2 / 8 마나 소모 : 28 / 30 / 33 / 36 / 39 다음 5초 동안 공격력이 10/12.5/15/17.5/20%, 공격 속도가 10/12.5/15/17.5/20% 증가합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 8.8 / 8.6 / 8.4 / 8.2 / 8 마나 소모 : 28 / 30 / 33 / 36 / 39 주위 적을 공격해 64/96/128/160/192(+0.8PD)의 물리 피해를 입히고 적중 당한 대상을 뒤로 밀어냅니다. === E - 태세 변환 - 근접/태세 변환 - 원거리 === 재사용 대기시간 : 6 / 5.5 / 5 / 4.5 / 4 마나 소모 : 10 / 11 / 12 / 13/ 14 근접 태세로 전환하며 30의 추가 방어도를 획득하고 3초 동안 107/126/144/162/180(+0.6PD)의 피해를 방지하는 보호막 효과를 얻습니다. 재사용 대기시간 : 6 / 5.5 / 5 / 4.5 / 4 마나 소모 : 10 / 11 / 12 / 13/ 14 원거리 태세로 전환하며 2초 동안 14/16/18/20/22 만큼의 관통 효과를 얻습니다. === R - 궁극기 : 교전 개시 === 6초 동안 아군을 호령합니다.인정한 주위 아군은 3초 동안 120 (+최대 체력의 5%)의 피해를 방지하는 보호막 효과를 받고, 3초 동안 공격력이 20%, 이동 속도가 50% 만큼 증가합니다.공격력 및 이동 속도 증가 효과는 본인에게 두 배의 시간 동안 유지됩니다. 이동 속도 증가 효과는 시간에 따라 감소합니다. == 평가 == 원거리와 근거리를 전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물리 딜러. 근거리 폼의 스킬 구성은 [[루크(로얄 크라운)|루크]] 같은 돌격형 챔피언의 하드 카운터가 된다. 공격력이 크게 증가 하는 궁극기 덕분에 순간 폭딜 성능도 좋은 편. 다만, 근거리, 원거리 전환이 손을 심하게 타기 때문에 초심자에게 권장하긴 어려운 캐릭터다. == 추천 플레이 == == 스킨/무기 == === 기본/보병의 무장 === ==== 황금 보병의 무장 ==== === 대장군 스테판/대장군의 무장 === === 근엄한 신사 스테판/산사의 무장 === === 장교의 무장 === === 벌룬 스피어 ===
yostar99,14.7.26.112
그레타(Library of Ruina 세계관)
||<tablewidth=4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9e5ff><bgcolor=#ffffff><-2>[[파일:그레타.png|width=100%]]|| ||<bgcolor=#D3D3D3><-2> {{{#ffffff '''[ruby(그레타, ruby=8인의 셰프)]'''}}} || ||<bgcolor=#D3D3D3> {{{#ffffff '''성별'''}}} || 여성 || ||<bgcolor=#D3D3D3> {{{#ffffff '''재해 등급'''}}} || 도시의 별 || ||<bgcolor=#D3D3D3> {{{#ffffff '''소속'''}}} || 8인의 셰프 → [[잔향악단]] || ||<bgcolor=#D3D3D3> {{{#ffffff '''직위'''}}} || 셰프 → 드러머 || [목차] == 개요 == [[Library of Ruina]]의 등장인물. == 상세 == [include(틀:스포일러)] 식인 요리사 피에르가 목표로 하는 도시의 별 '''8인의 셰프''' 중 한명이다. 요리사 모자를 쓴 하얀 상어 수인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전신에 상어 이빨이 난 조그마한 입이 달려 있다. 호탕하고 유쾌한 성격을 지녔으며 요리에 대한 긍지가 높다. 동료애가 제법 강한 편인지 잔향악단 멤버들에게 매번 맛있는 걸 먹여주겠다고 껄껄 웃으며 말한다. 특히 매번 핏줄을 먹으려 하는 엘레나에게 날로 먹으면 좋지 않으니 요리해주겠다고 말한다. 꽤나 듬직한 체형이라서 검지 대행자 스토리에서 일러스트로 잠깐 나오는 식으로 첫 등장을 했을 때 남자 캐릭터로 많이들 추측되었지만, 실제로는 여성 캐릭터다.[* 프로젝트문 게임의 캐릭터들 중에서 여자인데 남성 이름을 쓰거나(ex: 피에르, 니콜라이 등) 그 반대(ex: 경미, 에스더 등)인 케이스가 여럿 나온지라 남성 캐릭터라는 추측이 압도적이었다.] 중국어 번역가의 말도 그렇고 결정적으로 보라눈물 편에서 나온 스탠딩에서 여성 체형이 부각되어서 여성 캐릭터로 확정되었다. == 작중 행적 == === [[Library of Ruina/접대/검지|검지]] ~ [[Library of Ruina/접대/보라눈물|보라눈물]] === >'''껄껄껄! 꼬챙이에 꿰어져 있는 게 마치...향 좋은 꼬치구이 같지 않나?!''' 검지 스토리에서 호쾌하게 껄껄 웃으며 대행자들이 사지를 잘라놓은뒤 꼬챙이에 매달아놓은 엄지 솔다토들의 시체를 보곤 꼬치구이를 떠올리고 마늘을 섞은 간장 소스를 발라서 구우면 맛있겠다고 평가한다. 브레멘을 짬뽕대가리라 부른다. 보라눈물 스토리에서 [[아르갈리아]]가 [[이오리(Library of Ruina 세계관)|이오리]]를 배신하고 처리할려고 할때 등장한다. 엘레나가 보라눈물 이오리의 혈관이 맛있겠다고 입맛을 다시자, 생으로 먹으면 안된다며 로제 파스타로 만드는 것이 좋다 맞장구 친다. 하지만 이오리는 도서관의 초대장을 이용해서 도망치면서 놓쳐버린다. === [[Library of Ruina/접대/하나|하나]] === 하나 협회의 브리핑에서 8인의 셰프의 나머지 7명이 요리가 된채로 발견되었다고 언급된다. 평상시의 코스 요리가 아닌 뷔페 요리여서 그레타만이 아닌 다른 외부 조직에 의해 전멸했다고 추정했다. === [[Library of Ruina/접대/잔향악단|잔향악단]] === [[잔향악단]]은 실체화 된 [[도서관(Library of Ruina 세계관)|도서관]]에 진입한다. 그레타의 상대는 문학의 층 지정사서 [[호드(Library of Ruina 세계관)|호드]]다. 호드의 문답에서 그레타의 미학과 왜 상어 외형을 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그레타는 도서관에서 좋은 식재료를 발견할 것 같다고 흥분하며, 호드의 지정사서 일이 요리사와 비슷하다는 말에 친근감을 느낀다. 그리고 8인의 셰프의 전멸 이유가 밝혀지는데, 내분이 아니라 자멸한 것이었다. 평범한 요리에 질린 셰프들은 나머지 자신들의 신체 부위를 자기들 스스로 조리하고 맛보고 기록하는 과정을 새로운 맛의 탐구를 위해 음식을 맛볼 혀와 음식을 씹을 이가 남을 때까지 반복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레타는 음식을 소화할 위장과 맛을 느끼는 뇌가 전부 요리되면 무슨 소용이냐며 그런 멍청한 짓에 끼지 않았다고 한다. 호드가 식인을 꺼려하자, 왜 굳이 '''[[인간|재료]]'''를 같은 종류로 생각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상어|바닷물에 피냄새가 스며들 때 무시할 수 없는 것처럼]] 호드의 생각을 이상하다고 이해하지 못한다. 한편 그와는 별개로 요즘에는 재료들의 질이 너무 떨어졌다며, 잘 먹고 잘사는 느끼한 둥지의 재료들과 잘 못먹어서 씹을게 없는 뒷골목 재료들 때문에 요리가 안된다고 불평한다. 그러나 [[아르갈리아|단장]]과 함께하면 순수하고 깨끗한 재료가 넘쳐날거라며 그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고 기대하며 전투를 준비한다. == 기타 == 잔향악단이 검은침묵 피해자 모임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그레타는 롤랑이 안젤리카를 위해 사간 파전이 문제가 되어서 뒤틀린게 [[https://m.dcinside.com/board/lobotomycorporation/509385|아니냐]]는 개드립이 성행하는 중. 그레타는 23구 출신일 가능성이 매우 높고 롤랑이 출장나간 파전이 맛있는 뒷골목은 25구이니 어디까지나 개드립. 별개로 롤랑이 올리비에와 처음 해결한 도시악몽급 사건인 "데미그라스 소스의 비법"이 그레타가 관련된 사건이 아니냐는 말도 나오는 중.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잔향악단, version=r488)] [[분류:Library of Ruina/등장인물]]
ejqmf00,211.108.29.186,ovob
불릿 트레인
[include(틀:데이비드 리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bgcolor=#0000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table width=500> {{{#ffffff {{{+2 '''불릿 트레인''' }}} (202?) [br] ''Bullet Train'' }}} || ||<-2> || ||<bgcolor=#000000> {{{#ffffff '''장르''' }}} || [[스릴러]], [[액션]] || ||<bgcolor=#000000> {{{#ffffff '''감독''' }}} || [[데이비드 리치]] || ||<bgcolor=#000000> {{{#ffffff '''제작''' }}} || [[앤트완 퓨콰]][br]데이비드 리치[br]켈리 매코믹[br]캣 새믹 || ||<bgcolor=#000000> {{{#ffffff '''각본''' }}} || 잭 올커위츠 || ||<bgcolor=#000000> {{{#ffffff '''원작''' }}} || <마리아 비틀> [[이사카 고타로]] || ||<bgcolor=#000000> {{{#ffffff '''출연''' }}} || [[브래드 피트]], [[조이 킹]] 외 || ||<bgcolor=#000000> {{{#ffffff '''음악''' }}} || || ||<bgcolor=#000000> {{{#ffffff '''촬영''' }}} || 조나탕 셀라 || ||<bgcolor=#000000> {{{#ffffff '''편집''' }}} || || ||<bgcolor=#000000> {{{#ffffff '''제작사''' }}} || 87노스 프로덕션 || ||<bgcolor=#000000> {{{#ffffff '''배급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 ||<bgcolor=#000000> {{{#ffffff '''개봉일'''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 ||<bgcolor=#000000> {{{#ffffff '''화면비''' }}} || || ||<bgcolor=#000000> {{{#ffffff '''상영 시간''' }}} || 분 || ||<bgcolor=#000000> {{{#ffffff '''제작비''' }}} || '''만 달러''' || ||<bgcolor=#000000>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 $ || ||<bgcolor=#000000>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 || $ || ||<bgcolor=#000000> '''{{{#ffffff 국내등급}}}''' || || ||<bgcolor=#00000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fffff 북미등급}}}]]''' || || [목차] == 개요 == 일본 소설가 [[이사카 고타로]]의 [[마리아 비틀]] 원작으로 한 미국의 영화이다. == 등장인물 == * [[브래드 피트]] - 레이디버그 역 * [[조이 킹]] - 프린스 역 * 앤드류 코지 * [[에런 테일러존슨]] - 탠저린 역 * 브라이언 타이리 헨리 * [[자지 비츠]] * 마시 오카 * [[마이클 섀넌]] * [[레이디 가가]] * 로건 러먼 * [[사나다 히로유키]] * 캐런 후쿠하라 * 배드 버니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소설과의 차이점 == == 평가 == == 흥행 == == 기타 == * [[분류:미국 영화]][[분류:액션 영화]][[분류:스릴러 영화]][[분류:소니 픽처스]][[분류:철도를 소재로 한 작품]][[분류:소설 원작 영화]]
ckdjak123
학폭투
#redirect 2021년 학교폭력 폭로 사건
stryker
승려계
#redirect ComicFesta
39.117.132.240
코릭(로얄 크라운)
[[분류:로얄 크라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얄 크라운)] [include(틀:로얄 크라운/캐릭터)] ||<tablealign=center><tablewidth=70%><-2><bgcolor=#000> {{{#fff '''코릭'''}}}[br]{{{#fff '''Coric'''}}} || ||<-2> [[파일:royal_crown_char_coric.png|width=100]] || || {{{#000,#fff '''클래스'''}}} || 전사 || || {{{#000,#fff '''난이도'''}}} || 쉬움 || || {{{#000,#fff '''피해 유형'''}}} || 물리 || || {{{#000,#fff '''공격 유형'''}}} || 기본 공격 50% 스킬 50% || || {{{#000,#fff '''공격력'''}}} || ■■□ || || {{{#000,#fff '''방어력'''}}} || ■■■ || || {{{#000,#fff '''기동력'''}}} || ■□□ || || {{{#000,#fff '''보조'''}}} || □□□ || || {{{#000,#fff '''군중 제어'''}}} || ■□□ || [목차] == 개요 == [[로얄 크라운]]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 스킬 == === 패시브 - 인내심 === 고통 감내 효과를 받고 있지 않는 동안 공격에 적중당하면 고통감내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이 0.5초 감소합니다. === Q - 소용돌이 === 재사용 대기시간 : 10 / 9.5 / 9 / 8.5 / 8 마나 소모 : 32 / 35 / 38 / 41 / 44 3초 동안 주위 적을 공격해 매 타격 시 35/52/69/86/103 (+0.33PD) 만큼의 피해를 최대 7번까지 입힙니다. 적중당한 대상은 방어도가 4% 감소합니다. (최대 5중첩). 소용돌이 스킬은 치명타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W - 재빠른 강타 === 재사용 대기시간 : 10 / 9.5 / 9 / 8.5 / 8 마나 소모 : 24 / 26 / 28 / 31 / 33 스킬 사용 시 감속 효과를 즉시 해제하고 2/2.25/2.5/2.75/3초 동안 이동 속도가 50%만큼 증가해 점차 감소합니다. 4초 이내에 가하는 다음 기본 공격은 50% 증가한 피해를 입히고 사용 중인 스킬을 취소시키며 1초 동안 침묵시킵니다. === E - 고통 감내 === 재사용 대기시간 : 13 / 12.5 / 12 / 11.5 / 11 마나 소모 : 28 / 30 / 33 / 36 / 39 1초 동안 50%의 강인함 효과를 얻어 제어효과에 저항합니다. 추가로 3초 동안 보호막 효과를 얻어 108/126/144/162/180(+최대 체력의 6%) 만큼의 피해를 방지하고 3/3.5/4/4.5/5초 동안 방어도가 30/35/40/45/50 만큼 증가합니다. === R - 궁극기 : 대지 강타 === 지면을 강타해 전방으로 충격파를 내보냅니다. 적중한 대상은 288 (+1.8PD)의 물리 피해를 입고 이동 속도가 2.5초 동안 50% 만큼 감소하며 공중으로 띄워집니다. == 평가 == 물리 근접 딜탱 캐릭터. 평타보다 소용돌이를 활용한 광역 스킬딜을 주력으로 한다. 딜링과 탱킹 능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추천 플레이 == == 스킨/무기 == === 기본/와일드 해머 === ==== 황금 와일드 해머 ==== === 야차 코릭/야차해머 === === 집행인의 해머 === === 거대 뿅망치 ===
yostar99,14.7.26.112
천공침범/애니메이션
#redirect 천공 침범/애니메이션
deva666
쿠킹덤 토핑
#redirect 쿠키런: 킹덤/토핑
deva666
쿠킹덤 랜드마크
#redirect 쿠키런: 킹덤/건물/랜드마크
deva666
카이바(로얄 크라운)
[[분류:로얄 크라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로얄 크라운)] [include(틀:로얄 크라운/캐릭터)] ||<tablealign=center><tablewidth=70%><-2><bgcolor=#000> {{{#fff '''카이바'''}}}[br]{{{#fff '''kaiba'''}}} || ||<-2> [[파일:royal_crown_char_kaiba.png|width=100]] || || {{{#000,#fff '''클래스'''}}} || 전사 || || {{{#000,#fff '''난이도'''}}} || 보통 || || {{{#000,#fff '''피해 유형'''}}} || 물리 || || {{{#000,#fff '''공격 유형'''}}} || 기본 공격 60% 스킬 40% || || {{{#000,#fff '''공격력'''}}} || ■■■ || || {{{#000,#fff '''방어력'''}}} || ■■□ || || {{{#000,#fff '''기동력'''}}} || ■■□ || || {{{#000,#fff '''보조'''}}} || □□□ || || {{{#000,#fff '''군중 제어'''}}} || ■■□ || [목차] == 개요 == [[로얄 크라운]]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 스킬 == === 패시브 - 기의 수리검 === 매 8초마다 기본공격으로 멀리서 수리검을 던져 공격합니다. 수리검이 적중하면 기를 흡수해 3초 동안 이동속도가 50% 증가한뒤 서서히 감소하며 96(+최대 체력의 4%)의 피해를 방지하는 보호막 효과를 얻게 됩니다. === Q - 기폭 수리검 === 재사용 대기시간 : 8 / 7 / 6 / 5 / 4 마나 소모 : 28 / 30 / 33 / 36 / 39 전방으로 수리검을 던져 34/51/68/84/101(+0.7PD)(+대상 최대 체력의 4/5/6/7/8%)의 물리 피해를 입힙니다. 바닥에 박힌 수리검은 1초 뒤 폭발하여 동일 피해를 한 번 더 입힙니다. (몬스터 대상 최대 피해 500/550/600/650/700) === W - 몸통 베기 === 재사용 대기시간 : 13 / 12 / 11 / 10 / 9 마나 소모 : 32 / 35 / 38 / 41 / 44 지속 효과 : 물리 관통률이 10/12.5/15/17.5/20% 증가합니다. 사용 효과: 주위 적을 베어내어 48/72/96/120/144 (+0.6PD)의 물리피해를 입히고 이동속도를 1초 동안 30/35/40/45/50% 감소시킵니다. 거리가 멀수록 피해량이 증가하며 (미터당 30%) 스킬 사용 시 '기의 수리검' 이 활성화됩니다. === E - 사자 몰이 === 재사용 대기시간 : 14 / 13 / 12 / 11 / 10 마나 소모 : 40 / 44 / 48 / 52 / 56 전방으로 돌진하여 명중하는 대상과 주변 적에게 48/72/96/120/144 (+0.6PD)의 물리 피해를 입히며 멀리 밀어냅니다. 밀려난 상대가 지형에 부딪히면 동일한 피해를 입고 1.6/1.7/1.8/1.9/2.0초 동안 기절합니다. === R - 궁극기 : 사방 결계 === 3초 동안 주위에 사각형 결계를 설치합니다. 결계에 닿은 적은 160(+1PD)의 물리 피해를 입고 2초 동안 기절합니다. == 평가 == 근접 물리 딜러. 근접 딜러이지만 첫 공격은 원거리 표창을 날리고 이속 증가와 보호막을 얻는다. 풀 콤보는 스턴이 되어야 넣기 수월한데 궁극기의 스턴 조건이 벽에 닿아야 하는 것이라 사용하기가 조금 어려운 편. == 추천 플레이 == == 스킨/무기 == === 기본/닌자도 === ==== 황금 닌자도 ==== === 아라비아 상인 카이바/아라비안 곡도 === === 어둠의 닌자 카이바/암살용 직도 ===
yostar99,14.7.26.112
라이트 노벨/2021년 5월
||||||||||<tablealign=center><#ddd> [[라이트 노벨/신간 목록]] || || [[라이트 노벨/2021년 4월]] ||→|| '''라이트 노벨/2021년 5월''' ||→|| [[라이트 노벨/2021년 6월]] || [[2021년]] [[5월]]에 출간되는 [[라이트 노벨]] 목록. 작품명은 [[가나다순]]으로 기입한다. [[에로 라이트 노벨]]은 문서에 등재하지 않는다. [목차] === [[대원씨아이]] === ==== [[NT노벨]] ==== === [[디앤씨미디어]] === ==== [[L노벨]] ==== ===== [[L노벨#s-9|L북스]] ===== ==== [[시드노벨]] ==== ==== [[시드노벨#s|시드북스]] ==== === 라의눈 출판그룹 === ==== 라루나 ==== === [[서울문화사]] === ==== [[제이노블]] ==== ===== 제이노블 NEXT ===== ===== 제이노블 PURPLE ===== === [[소미미디어]] === ==== [[S노벨]]/[[S노벨]]+ ==== ==== S블랙 ==== === [[영상출판미디어]] === ==== [[노블엔진]] ==== ==== [[영상출판미디어]] 단행본 ==== === [[이미지프레임]] === ==== [[V노벨]] ==== ==== [[이미지프레임#s-3.1.2|V+]] ==== === 위즈덤하우스 === ==== [[W노벨]] ==== === [[제우미디어]] === ==== JM노벨 ==== === [[학산문화사]] === ==== [[익스트림 노벨]] ==== ==== 카니발 플러스 ==== === [[YNK미디어]] === ==== [[시프트노벨]] ==== === 기타 === [[분류:라이트 노벨/신간 목록]]
220.89.5.127
킬링벌스(유튜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래퍼, rd1=킬링벌스)]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colbgcolor=#FFB6C1><tablebordercolor=#FFB6C1><colcolor=#373a3c><tablebgcolor=#fff,#373a3c><color=#373a3c> {{{+3 '''킬링벌스'''}}}[br]'''Killingbe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킬링벌스(유튜버).jpg|width=100%]]}}} || || '''직업''' || [[유튜버]] || || '''포지션''' || 미드, 정글 || || '''퍼스널 컬러'''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008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남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69B4;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분홍색}}}}}}[* 아마도 본인 주캐인 탈론과 형의 주캐인 이블린에서 따온거 같다.] || || '''별명''' || 장기탈탈론[* 본인의 롤 닉네임이자, [[ㅇyㅇ]]의 편집자일때부터 사용하던 닉네임이다.] || ||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Q7X91NIBS174KJT4Id0ln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br]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ㅇyㅇ]]의 편집자이자 실친, 현재는 독자적인 [[리그 오브 레전드]] 유튜브 채널을 운영중이다.[* 자신의 형과 함께 운영중이다.] == 특징 == 대부분의 영상들이 라임을 맞춰서 부르는 랩 컨셉의 영상들이며 자신의 형과 함께 서로 주거니 받거니 부른다. 비트들은 모두 직접 제작한다고 하며 대부분의 랩들에 "우리는 죽이는 벌들 킬링벌스"라는 가사가 들어간다. 이는 형제가 둘다 암살자챔 유저라 적들을 죽이는게 주로 하는 역할이라는걸 뜻하기도하고 끝내준다는 뜻의 죽인다도 포함하는 언어유희로 보인다. 본인인 장기탈탈론은 이름답게 탈론을 주로 하며 이외에도 파이크같은 미드 암살자 챔프들을 하는것으로 보인다. 형인 '앗 칼날부리다'의 주챔은 이블린.[* 가장 좋아하는 정글몹이 칼날부리라 닉네임이 이렇다고한다. 아마 이블린이 주챔이라 그런듯] 또한 프사가 각각 꿀벌 탈론과 꿀벌 이블린인데 이는 김곧뚜레가[* [[ㅇyㅇ]]의 실친이자 썸내일러. 현재 입대한 상태] 그려줬다고 한다.--자막엔 김고추레라고 했다-- == 기타 == [[병병병]], [[ㅇyㅇ]], [[발__젭]]과 함께 시리즈 형식의 콜라보 영상을 제작했다[[https://m.youtube.com/watch?v=IXNyMmWMG3U&t|영상]]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인터넷 방송인/ㅋ]][[분류:2000년 출생]][[분류:유튜버/ㅋ]]
wigang3874,kimmos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