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stringlengths
1
255
text
stringlengths
12
619k
contributors
stringlengths
3
38.7k
namespace
stringclasses
1 value
리지에 골루아즈 블론데
#redirect 에퀴페 리지에
lasttime
티렐 야마하
#redirect 티렐 레이싱
lasttime
레드불 자우버 포드
#redirect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
lasttime
말보로 맥라렌 메르세데스
#redirect 맥라렌 F1 팀
lasttime
마일드 세븐 베네통 르노
#redirect 베네통#s-1.1
lasttime
로스만 윌리엄스 르노
#redirect 윌리엄스 레이싱
lasttime
PIAA 티렐 포드
#redirect 티렐 레이싱
lasttime
윈필드 윌리엄스
#redirect 윌리엄스 레이싱
lasttime
마일드 세븐 베네통 플레이라이프
#redirect 베네통#s-1.1
lasttime
PIAA 티렐
#redirect 티렐 레이싱
lasttime
서길수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5985a><tablebgcolor=white,#19191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44a, #003E7E, #003E7E, #00244a)" [[영남대학교|[[파일:ynuniv.png|height=30]]]][br]{{{-1 [[영남대학교|{{{#ffffff '''영남대학교 총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width=20%> {{{-2 {{{#e60000,#ff1919 1}}}}}}[br][[신기석]] ||<width=20%> {{{-2 {{{#e60000,#ff1919 2대}}}}}}[br][[이선근]] ||<width=20%> {{{-2 {{{#e60000,#ff1919 3·4대}}}}}}[br][[이인기]] ||<width=20%> {{{-2 {{{#e60000,#ff1919 5대}}}}}}[br][[조경희]] ||<width=20%> {{{-2 {{{#e60000,#ff1919 6대}}}}}}[br][[류준]] || ||<width=20%> {{{-2 {{{#e60000,#ff1919 7대}}}}}}[br][[김기택]] ||<width=20%> {{{-2 {{{#e60000,#ff1919 총장서리}}}}}}[br][[권혁기]] ||<width=20%> {{{-2 {{{#e60000,#ff1919 8대}}}}}}[br][[김기동]] ||<width=20%> {{{-2 {{{#e60000,#ff1919 9대}}}}}}[br][[류창우]] ||<width=20%> {{{-2 {{{#e60000,#ff1919 10대}}}}}}[br][[김상근]] || ||<width=20%> {{{-2 {{{#e60000,#ff1919 11대}}}}}}[br][[이상천]] ||<width=20%> {{{-2 {{{#e60000,#ff1919 12대}}}}}}[br][[우동기]] ||<width=20%> {{{-2 {{{#e60000,#ff1919 13대}}}}}}[br][[이효수]] ||<width=20%> {{{-2 {{{#e60000,#ff1919 14대}}}}}}[br][[노석균]] ||<width=20%> {{{-2 {{{#e60000,#ff1919 총장 직무대행}}}}}}[br][[김진삼]] || ||<width=20%> {{{-2 {{{#e60000,#ff1919 15대}}}}}}[br][[서길수]] || {{{-2 {{{#e60000,#ff1919 16대}}}}}}[br][[최외출]] || }}} }}}}}} || ||<-2><tablebordercolor=#8ec31f><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bfff><color=#373a3c> '''{{{#fff,#191919 {{{+1 제15대 영남대학교 총장}}} [br] 서길수}}}''' || ||<-2><bgcolor=#f5f5f5,#1919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길수.jpg|]]}}} || ||<colcolor=#373a3c> '''이름''' ||<colbgcolor=#f5f5f5,#191919>서길수(徐吉守)[[http://cdb.chosun.com/search/db-people/i_common/profile.jsp?uci=02141999110100102600|한자이름 출처]] || || '''출생일''' ||[[1952년]] || || '''학력''' ||[[경북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width=20]]서울대학교]] {{{-1 (화학 / [[학사]])}}}[br][[한국과학기술원|[[파일:KAIST_emblem.svg|width=20]]한국과학기술원]] {{{-1 (화학 / [[석사]])}}}[br][[한국과학기술원|[[파일:KAIST_emblem.svg|width=20]]한국과학기술원]] {{{-1 (화학 / [[박사]])}}} || || '''전직''' ||제 15대 영남대학교 총장(2017. 2 ~ 2021. 1)[br]영남대학교 특수대학원장(2009. 2 ~ 2010. 8)[br]영남대학교 대외협력 부총장(2009. 2 ~ 2010. 8)[br]영남대학교 교학부총장(2009. 2 ~ 2011. 1)[br]영남대학교 교육지원처장(2006. 8 ~ 2007. 8)[br]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1978. 3 ~ 2017. 1) || [목차] == 생애 == [[경상북도]] [[대구시]][* [[1981년]]부터 [[대구직할시]], [[1995년]]부터 [[대구광역시]]가 되어 오늘에 이름.]에서 출생하여, [[1971년]]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년 3월에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였다. [[1975년]] 학부 졸업 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화학 석사과정에 입학, [[1977년]]에 이학석사를 취득하였다. [[1978년]]에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전임강사로 부임하였으며,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다시 [[한국과학기술원]]으로 가서 화학을 공부한 후 이학박사를 취득하였다. 이후 영남대학교로 돌아와 교육지원처장, 교학부총장, 대외협력부총장, 특수대학원장을 지내다가 [[2017년]] [[2월]] 제 15대 영남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2021년]] [[1월]] 총장직을 후임자인 [[최외출]] 박사[* 최외출 박사는 [[우동기]] 박사, [[이효수]] 박사에 이어 세 번째로 자교 출신의 총장이 된 사람이다. 그리고 석, 박사까지 국내파인 경우로 한정하면 이효수 박사에 이어 두 번째가 된다.]에게 넘겨주고 퇴임하였다. [[분류:영남대학교 재직]][[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한국과학기술원 출신]][[분류:사립대학 총장]][[분류:1952년 출생]][[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175.201.186.89
김민아(배우)
#redirect 김서안
yeeee1234
거울의 방(여자친구)
[include(틀:여자친구의 노래)] [include(틀:여자친구 회(回) 시리즈)] ||<-2><table bordercolor=#000000><tablealign=right>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DBDCD4, #CBD5D7, #D3D2DA)" '''{{{#000000 거울의 방 (Room of Mirrors)}}}'''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여자친구_回:Song of the Sirens 커버.jpg|width=100%]]}}} || ||<bgcolor=#dbdcd4> {{{#000000 '''러닝타임'''}}} || 3:28 || ||<bgcolor=#dbdcd4> {{{#000000 '''BPM'''}}} || 122 || ||<bgcolor=#dbdcd4> {{{#000000 '''작사 & 작곡'''}}} || 노주환, 이원종, 디오리, STEVEN LEE, Caroline Gustavsson, [[김나연(1996)|김키위]] || ||<bgcolor=#dbdcd4> {{{#000000 '''프로듀서'''}}} || 노주환, 이원종 || ||<bgcolor=#dbdcd4> {{{#000000 '''가수'''}}}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 ||<bgcolor=#dbdcd4> {{{#000000 '''수록 앨범'''}}}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回:Song of the Sirens]] || ||<bgcolor=#dbdcd4> {{{#000000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0년]] [[7월 13일]] || [목차] [clearfix] == 소개 == ||<tablebgcolor=#ffffff,#000000><tablebordercolor=#ffffff> ''',,여자친구 9th Mini Album 《回:Song of the Sirens》,,''' || ||<bgcolor=#dbdcd4>{{{#000000 나는 초라해보이고 다른 사람들은 잘 나고 예쁘게 보이는 거울, 시기와 질투를 부추기며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비교하게 만드는 세상을 거울의 방으로 비유했다. 신스 드럼(Synth Drum)과 신스 베이스(Synth Bass) 위에 화려한 현악 오케스트라와 피아노가 조화를 이루는 미디엄 템포의 발라드 곡으로, 여자친구만의 벅차오르는 서정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혼란스러운 감정을 애절한 보이스로 표현하여 한층 성숙해진 여자친구의 보컬이 돋보인다.}}}|| || ^^'''Track 3 <거울의 방>'''^^ || ||<table 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DCD4, #CBD5D7, #D3D2DA)" {{{#000000 '''〈거울의 방〉'''}}} }}} || ||<bgcolor=#00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FoqjKv6goU)]}}} || == 가사 == === 한국어 === ||<bgcolor=#dbdcd4><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000000 '''〈거울의 방〉'''}}} || ||<bgcolor=#ffffff,#2d2f34> ^^''' ALL {{{#6fbae9 소원}}} {{{#fd73a8 예린}}} {{{#406eec 은하}}} {{{#67d8d6 유주}}} {{{#8f208d 신비}}} {{{#ea5db9 엄지}}}'''^^ {{{#8f208d 눈앞에 너의 모습을 도망치려 애써 봐도}}} {{{#406eec 또다시 마주쳐 우린 네 눈을 피해서 자꾸 움츠려 있어}}} {{{#6fbae9 모든 걸 함께 하고선 초라한 모습만 물고 뜯겨}}} {{{#ea5db9 지친 눈물들이 지겹게 나를 적셔 더는 보기 싫어}}} {{{#67d8d6 차마 미처 감춰지지 않아 억지로 외면해 난 내가 원한 건 이게 아니야}}} {{{#fd73a8 휘청이고 흔들리는 마음 다시 또 나를 만나}}} {{{#406eec 텅 빈 저 거울 속 너에게 달리고 또 달려가 홀린 듯 뒤돌아 날 탓해}}} {{{#8f208d 너는 왜 갖질 못하는 거니 똑같은 표정인데}}} {{{#67d8d6 Run away for me}}} {{{#6fbae9 더는 내게 다가오지 마 불안으로 가득 채우지 나 네 개의 눈동자 그 속의 너와 나 }}} {{{#406eec 그만 미워해도 돼}}} {{{#ea5db9 모든 게 지긋지긋해 사라져 가는 날 찾고 찾아}}} {{{#8f208d 아픈 시간들이 끝없이 나를 가둬 더는 보기 싫어}}} {{{#fd73a8 차마 미처 감춰지지 않아 억지로 외면해 난 내가 원한 건 이게 아니야}}} {{{#67d8d6 휘청이고 흔들리는 마음 다시 또 나를 만나}}} {{{#406eec 텅 빈 저 거울 속 너에게 달리고 또 달려가 홀린 듯 뒤돌아 날 탓해}}} {{{#8f208d 너는 왜 갖질 못하는 거니 똑같은 표정인데}}} {{{#67d8d6 Run away for me}}} {{{#ea5db9 아무도 없어 여긴 사방이 막혀}}} {{{#67d8d6 돌고 돌아 오직 나만이 널 사랑할 수 있어}}} {{{#406eec 텅 빈 저 거울 속 너에게 달리고 또 달려가 홀린 듯 뒤돌아 날 탓해}}} {{{#fd73a8 너는 왜 갖질 못하는 거니 똑같은 표정인데}}} {{{#67d8d6 Run away for me}}} || == 여담 == *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무대를 선보인 적이 없는 곡이다. * 타이틀곡으로 했어도 좋았을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 작사 / 작곡에 '김키위'라는 가명을 사용한 작곡진이 포함되어 있는데, '김키위'라는 사람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어 [[버디(여자친구)|버디]]들 사이에서 추측이 난무했다. 알고 보니 '김키위'는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멤버들과 인연이 깊은 [[김나연(1996)|김나연]]이었고,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에서 [[은하(여자친구)|은하]], [[신비(여자친구)|신비]]와 같은 댄스팀에서 활동한 바 있다. [[예린(여자친구)|예린]]과는 동창이기도 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回:Song of the Sirens, version=423)] [[분류:여자친구의 노래]][[분류:2020년 노래]][[분류:가요]][[분류:한국 노래]]
sean1213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광진구의 중학교)] [include(틀:건국대학교)] ||<-2><tablealign=right><tablebgcolor=#00a139> {{{#f5f5f2 {{{+1 '''건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br] 建國大學校 師範大學 附屬中學校}}}}}}[br]{{{#ffd700 '''Konkuk University Middle School'''}}} || ||<-2><bgcolor=#ffffff,#191919> [[파일:66D163B0-BD4C-4C5F-89FA-78480D5460C3.jpg]] || ||<-2><bgcolor=#f5f5f2,#1c1c16> [include(틀:지도, 장소=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145-1, 너비=350, 높이=200px)] || || {{{#f5f5f2 '''분류'''}}} || {{{#f5f5f2 [[사립중학교|{{{#f5f5f2 사립중학교}}}]] }}} || || {{{#f5f5f2 '''성별'''}}} || {{{#f5f5f2 [[남녀공학|{{{#f5f5f2 남녀공학}}}]] }}} || || {{{#f5f5f2 '''개교일자'''}}} || {{{#f5f5f2 1968년 5월 15일}}} || || {{{#f5f5f2 '''교훈'''}}} || {{{#f5f5f2 거짓 없는 사람이 되자, 일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남의 자유를 나의 자유와 같이 존중하자, 때때로 반성하자}}} || || {{{#f5f5f2 '''교장'''}}} || 성세용 || || {{{#f5f5f2 '''학생수'''}}} || 607 명 (2020년 5월 1일 기준) || || {{{#f5f5f2 '''교직원수'''}}} || 51 명 (2020년 5월 1일 기준) || || {{{#f5f5f2 '''교목'''}}} || [[느티나무|{{{#f5f5f2 느티타무}}}]] || || {{{#f5f5f2 '''교화'''}}} || [[개나리|{{{#f5f5f2 개나리}}}]] || || {{{#f5f5f2 '''주소'''}}} || {{{#f5f5f2 [[서울특별시|{{{#f5f5f2 서울특별시}}}]] [[광진구|{{{#f5f5f2 광진구}}}]] 자양로 145-1 (화양동)}}} || || {{{#f5f5f2 '''재단'''}}} || [[건국대학교|{{{#f5f5f2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 || {{{#f5f5f2 '''웹 사이트'''}}} || {{{#f5f5f2 [[http://konkuk.ms.kr/index.do|{{{#f5f5f2 건대부중 홈페이지}}}]]}}} || > {{{+1 거짓 없는 사람이 되자, 일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남의 자유를 나의 자유와 같이 존중하자, 때때로 반성하자}}}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광진구)|화양동]]에 위치한 [[중학교]]이다. [[1968년]] 5월 15일에 개교하였다. 줄임말로 '''건국사대부중''' 또는 '''건대부중'''이라고 부르거나, 그냥 '''건국중학교'''로 불리기도 한다. == 역사 == || 1967년12월30일 || 서울 건국중학교(18학급) 설립 인가 || || 1968년 1월 5일 || 초대 교장 안호삼 선생 취임 || || 1968년 3월 11일 || 중학교 제1학년(6학급)의 입학식을 거행하고 서울특별시 성동구 구의동 산 48번지 소재 임시교사에서 수업을 시작 || || 1968년 5월 15일 || 개교기념일로 정함 || || 1969년 1월 17일 ||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양동 220번지에 신축교사 1,617평을 준공하여 이전 || || 1971년 1월 15일 || 제1회 졸업식을 거행 || || 1976년 5월 15일 || 증축교사 295평을 준공 || || 1980년 3월 1일 || 건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로 교명 변경 || || 1981년 9월 15일 || 증축교사 80평을 준공 || || 2012년 8월 16일 || 신축교사 2,624평을 준공하여 이전 || || 2017년 3월 1일 || 제10대 교장 성세용 선생 취임 || || 2019년 1월 8일 || 제49회 졸업식을 거행 || == 동문 == ㄱ * [[김성훈]] (1993년) * [[김시현]] (야구 선수) * [[김재현]] (1991년) * [[김정후]] * [[김준완]] * [[김태근]] * [[김형철]] (야구 선수) ㄴ * [[남궁훈]] (야구인) ㅁ * [[문빈]] ㅂ * [[박기남]] (야구인) * [[박주성]] (야구 선수) * [[박주홍]] (2001년) * [[박진영]] * [[박찬욱]] * [[박찬호]] (1995년) ㅅ * [[송명기]] * [[신혜선]] ㅇ * [[안규영]] * [[양찬열]] * [[유재웅]] * [[이민재]] (야구 선수) * [[이시찬]] * [[이재우]] (1980년) * [[이홍구]] (1990년) * [[임대한]] * [[임지열]] ㅈ * [[전용훈]] * [[정구범]] * [[정수근]] * [[정수성]] (야구인) * [[정준길]] * [[정태호]] (1963년) * [[정현욱]] ㅊ * [[최선호]] * [[추재현]] ㅎ * [[한규식]] == 여담 == * 유명 [[야구선수]]들의 모교로 유명하다. 동문들을 보면 야구선수들이 많다. 추후 서술 바람 [[분류:1980년 개교]][[분류:서울특별시의 중학교]][[분류:건국대학교]]
yyiu140
J1리그/2021시즌
[[분류:J1리그]] [목차]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FFFFFF><tablebordercolor=#C9000A><:>[[J1리그|[[파일:J1 League emblem3 2019.png|width=300]]]] [BR] [[J1리그|,,{{{#C9000A J1리그 }}},, ]] || ||<width=30%><:> [[J1리그/2020시즌|2020 시즌]]||<:> {{{+1 →}}} ||<width=30%><#ffffff><:> '''{{{#034694 2021 시즌}}}''' ||<:> {{{+1 →}}} ||<width=30%><:> [[J1리그/2022시즌|2022 시즌]] || = 개요 = 2021년 [[J1리그]]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문서이다. 리그 타이틀 스폰서는 [[J1리그/2018시즌|2018 시즌]]부터 계약을 체결한 '메이지 야스다 생명보험'이며, 이에 따라 정식 명칭은 ''''2021 메이지 야스다 J1리그''''이다. 리그 개막은 [[2021년]] [[2월 26일]]이며 공식 개막전은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에서 개최되는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맞대결이다. 리그 폐막은 [[2021년]] [[12월 4일]]이다.
doopi11
형제는 용감했다
[[분류:뮤지컬]][[분류:2008년 작품]] ||<-2><table width=6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EFD49A><colbgcolor=#ECCE65> {{{#015139 {{{+2 '''형제는 용감했다'''}}}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형용 포스터.jpg|width=100%]]}}} || ||<width=35%> {{{#015139 '''제작'''}}} ||PMC프로덕션 || || {{{#015139 '''작•작사'''}}} ||장유정 || || {{{#015139 '''작곡'''}}} ||장소영 || || {{{#015139 '''공연 장소'''}}} ||초연: PMC대학로자유극장 재연: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삼연: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사연: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오연: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육연: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 {{{#015139 '''공연 기간'''}}} ||초연: 2008.03.22 ~ 2008.06.22 재연: 2008.12.05 ~ 2009.02.08 삼연: 2009.05.01 ~ 2009.07.12 사연: 2010.04.01 ~ 2010.06.20 오연: 2012.06.26 ~ 2012.10.01 육연: 2015.08.23 ~ 2015.11.08|| || {{{#015139 '''관람시간'''}}} ||140분 (인터미션: 20분)|| || {{{#015139 '''공식 계정'''}}} ||[[https://twitter.com/2012hyungje|[[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작사 PMC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 == 시놉시스 == 안동 이씨 근본 있는 가문의 근본 없는 문제아 이석봉, 이주봉. 아버지와 연을 끊은 지 3년, 아버지의 부고를 받고 안동에 내려온다. 오랜만에 만난 형제, 역시나 티격태격 서로 못 잡아 먹어 안달인데…… 집안 어르신과도 사사건건 부딪히는 석봉이와 주봉이. 이들 앞에 나타난 천하에 둘도 없는 여신 급 미모의 여인 오로라. 법률사무소에서 일한다는 그녀는 고인이 어마어마한 유산을 남겼고, 그 유산을 먼저 찾는 이가 모두 가지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알려준다. '''유산도 찾고 오로라도 차지해 새로운 삶을 살겠다는 꿈에 부푼 형제.''' '''과연 생각대로 될까? 형제들의 파란만장 감동스토리!''' == 등장인물 == *이주봉 *이석봉 *오로라 *이춘배 *이춘걸 *송혜자 *예산댁 *이옹 *이기봉 *이삼봉 *이실이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넘버 == '''1막''' 1. 곡(哭) 2. 축시(丑時) 춘배1 3. 축시(丑時) 춘배2 4. 난 니가 싫어 5. 주봉의 결혼식 6. 춘배의 유언 7. 로또 공개 방송 8. NEW Life 9. 문상객들의 분노 10. 어머니 11. 로라의 사연 12. 나를 선택해 13. 포기해 '''2막''' 14. 곡(哭) rep. 15. 다시 한 번 16. 엄마의 일기장 17. 순례이 시집살이 18. 석봉과 주봉의 편지 19. 난 니가 싫어 rep. 20. 순례의 기억 21. 발인 22. 춘배의 교훈 23. 형제의 회한 24. 승천 == 출연진 == === 2008년 공연 === 2008.03.22 ~ 2008.06.22 PMC대학로자유극장 이주봉 역: [[박호산]] 이석봉 역: [[송용진]], [[정동화(배우)|정동화]] 오로라 역: 이주원 이춘배 역: 안세호 이춘걸 역: 정수한 송혜자 역: 추정화 이옹 역: 박훈 이기봉 역: 이준혁 이실이 역: 한지영 큰할배 역: 이미영 === 2008년 공연2 === 2008.12.05 ~ 2009.02.08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이주봉 역: [[박호산]], [[정성화]] 이석봉 역: [[정동화(배우)|정동화]] 오로라 역: 이주원 이춘배 역: 안세호 이춘걸 역: 정수한 송혜자 역: 추정화 예산댁 역: 전성아 이옹 역: 박훈 이기봉 역: 김영훈 이삼봉 역: 윤석현 이실이 역: 한지영 큰할배 역: 이형석 === 2009년 공연 === 2009.05.01 ~ 2009.07.12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이주봉 역: [[정준하]], [[이석준]] 이석봉 역: [[정동화(배우)|정동화]], [[김동욱(배우)|김동욱]] 오로라 역: 이주원 이춘배 역: 안세호 이춘걸 역: 정수한 송혜자 역: 추정화 이옹 역: 박훈 이기봉 역: 김영훈 이삼봉 역: 황두하 큰할배 역: 이형석 로또할매 역: 이미영 이실이 역: 한지영 === 2010년 공연 === 2010.04.01 ~ 2010.06.20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이주봉 역: [[홍록기]], 김재만 이석봉 역: [[이지훈(멀티 엔터테이너)|이지훈]], [[온유(샤이니)|온유]], [[김견우]] 오로라 역: 이주원, 한다연 이춘배 역: 안세호 이춘걸 역: 신문성 송혜자 역: 임선애 예산댁 역: 윤사봉 이옹 역: 박훈 이기봉 역: 김문성 이삼봉 역: 박세웅 이실이 역: 박유정 === 2012년 공연 === 2012.06.26 ~ 2012.10.01 코엑스아티움 현대아트홀 이주봉 역: [[김도현(배우)|김도현]], [[김재범]] 이석봉 역: [[성두섭]], [[조성윤]], [[산들]] 오로라 역: 이주원, 강지원 이춘배 역: 안세호, 신문성 이춘걸 역: 성열석 송혜자 역: 임선애, 최영화 예산댁 역: 최나래, 윤사봉 이옹 역: 박훈, 최영준 이기봉 역: 이진석 이삼봉 역: 박세웅 이실이 역: 박유정 === 2015년 공연 === 2015.08.23 ~ 2015.11.08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 이주봉 역: [[정준하]], [[윤희석(배우)|윤희석]], [[최재웅]] 이석봉 역: [[김동욱(배우)|김동욱]], [[정욱진]], [[동현(배우)|동현]] 오로라 역: [[최유하]], 최우리 이춘배 역: 박지일, 안세호 이춘걸 역: 성열석, 원종환 송혜자 역: 임진아 예산댁 역: 윤사봉, 김지혜 이옹 역: 신재열 이기봉 역: 유태상 이삼봉 역: 김홍기 이실이 역: 이송 == 여담 ==
muoosical
김진삼
||<tablealign=center><tablewidth=500><tablebordercolor=#b5985a><tablebgcolor=white,#191919>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44a, #003E7E, #003E7E, #00244a)" [[영남대학교|[[파일:ynuniv.png|height=30]]]][br]{{{-1 [[영남대학교|{{{#ffffff '''영남대학교 총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width=20%> {{{-2 {{{#e60000,#ff1919 1}}}}}}[br][[신기석]] ||<width=20%> {{{-2 {{{#e60000,#ff1919 2대}}}}}}[br][[이선근]] ||<width=20%> {{{-2 {{{#e60000,#ff1919 3·4대}}}}}}[br][[이인기]] ||<width=20%> {{{-2 {{{#e60000,#ff1919 5대}}}}}}[br][[조경희]] ||<width=20%> {{{-2 {{{#e60000,#ff1919 6대}}}}}}[br][[류준]] || ||<width=20%> {{{-2 {{{#e60000,#ff1919 7대}}}}}}[br][[김기택]] ||<width=20%> {{{-2 {{{#e60000,#ff1919 총장서리}}}}}}[br][[권혁기]] ||<width=20%> {{{-2 {{{#e60000,#ff1919 8대}}}}}}[br][[김기동]] ||<width=20%> {{{-2 {{{#e60000,#ff1919 9대}}}}}}[br][[류창우]] ||<width=20%> {{{-2 {{{#e60000,#ff1919 10대}}}}}}[br][[김상근]] || ||<width=20%> {{{-2 {{{#e60000,#ff1919 11대}}}}}}[br][[이상천]] ||<width=20%> {{{-2 {{{#e60000,#ff1919 12대}}}}}}[br][[우동기]] ||<width=20%> {{{-2 {{{#e60000,#ff1919 13대}}}}}}[br][[이효수]] ||<width=20%> {{{-2 {{{#e60000,#ff1919 14대}}}}}}[br][[노석균]] ||<width=20%> {{{-2 {{{#e60000,#ff1919 총장 직무대행}}}}}}[br][[김진삼]] || ||<width=20%> {{{-2 {{{#e60000,#ff1919 15대}}}}}}[br][[서길수]] || {{{-2 {{{#e60000,#ff1919 16대}}}}}}[br][[최외출]] || }}} }}}}}} || ||<-2><tablebordercolor=#8ec31f><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bfff><color=#373a3c> '''{{{#fff,#191919 {{{+1 영남대학교 총장 직무대행}}} [br] 김진삼}}}''' || ||<-2><bgcolor=#f5f5f5,#191919>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진삼.jpg|]]}}} || ||<colcolor=#373a3c> '''이름''' ||<colbgcolor=#f5f5f5,#191919>김진삼 || || '''출생일''' ||[[1951년]] || || '''학력''' ||[[영남대학교|[[파일:YU_UI.png|width=20]]영남대학교]] {{{-1 (무역학 / [[학사]])}}}[br][[영남대학교|[[파일:YU_UI.png|width=20]]영남대학교]] {{{-1 (경제학 / [[석사]])}}}[br][[단국대학교|[[파일:단국대전통마크.png|width=20]]단국대학교]] {{{-1 (경영학 / [[박사]])}}} || || '''현직''' ||[[영남대학교]] [[무역학과|무역학부]] 명예교수 || || '''전직''' ||영남대학교 총장 직무대행(2016. 10 ~ 2017. 1)[br]영남대학교 교학부총장[br]영남대학교 상경대학장[br]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장[br]한국무역학회장[br]영상아카데미학회장[br][[미국]] [[워싱턴대학교]] 객원교수[br]영남대학교 무역학부 교수 || [목차] == 생애 == [[1970년]] [[영남대학교]] 무역학과[* 이후 국제통상학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17년]]에 무역학부로 다시 바뀌었다.]에 입학하였다. [[1974년]] 학부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를 취득하였고, [[단국대학교]]대학원[* [[단국대학교]]는 개교 이래 [[2007년]]까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에 본교가 있었으며, [[2007년]] 이후로 본교는 [[경기도]] [[용인시]]로 이전하였다.]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이후 영남대학교 무역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하다가 [[2016년]] [[10월]] 당시 총장이었던 [[노석균]] 박사가 조기에 사임하면서 총장 직무대행을 맡았다. [[2017년]] [[2월]] 후임인 [[서길수]] 박사가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총장 직무대행에서 물러났다. 이후 영남대학교 무역학부의 명예교수가 되었지만, [[2017년]] 하반기까지는 전공과목 강의를 계속 했다. 전공분야는 통상정책론이며, 교수 생활을 할 당시에는 통상정책론과 관세론, 세계지역경제[* [[경제사]] 과목이라고 이해하면 된다.]를 강의하였다. [[분류:영남대학교 재직]][[분류:영남대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사립대학 총장]][[분류:1951년 출생]]
175.201.186.89
계비
#redirect 계후
tjsdn61789
국사봉로(합천)
[include(틀:합천군의 도로)] ---- ||<-4><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gcolor=#007348><bgcolor=#004a8b> {{{#fff {{{+1 '''국사봉로'''}}}[br] 國師峰路 | Guksabong-ro }}} || ||<-4> '''{{{#fff 기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오산리 || ||<-4> '''{{{#fff 종점}}}''' || ||<-4><bgcolor=#fff>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유하리 [[태동서원]] || ||<-4> '''{{{#fff 연장}}}''' || ||<-4><bgcolor=#fff> 10.3km || ||<-4> '''{{{#fff 관리}}}''' || ||<-4><bgcolor=#fff> [[합천군|[[파일:합천군 CI.png|height=30]]]] || ||<-4> '''{{{#fff 왕복 차로 수}}}''' || ||<-4><bgcolor=#fff> 2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bgcolor=#fff> 오산리 ↔ 오산저수지 ↔ 신촌저수지 ↔ [[태동서원]] || [목차] == 개요 == [[경상남도]] [[합천군]] [[대야면]] 오산리에서 출발하여 [[초계면]] 유하리 [[태동서원]]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분류:합천군의 도로]]
freedomkorea
건대부중
#redirect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yyiu140
구요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주교)] ||<-3><bgcolor=#eee8aa><tablealign=center> ''' [[천주교 서울대교구|{{{#000000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br] '''{{{+1 구요비 [[욥|{{{#000000 욥}}}]]}}}'''[br] '''具要備 ''' | '''Koo Yo B''' || ||<-3><bgcolor=#eee8aa> [[파일:kyb_bishop.jpg|align=center&width=200]] || ||<|2><bgcolor=#eee8aa> '''출생''' ||<-2><bgcolor=#ffffff>1951년 1월 25일(현재 [age(1951-01-25)]세) || ||<-2><bgcolor=#ffffff>[[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 ||<bgcolor=#eee8aa> '''국적''' ||<-2><bgcolor=#ffffff>[[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 ||<bgcolor=#eee8aa> '''재임기간''' ||<bgcolor=#ffffff>[[천주교 서울대교구|보좌주교]] ||<bgcolor=#ffffff>[[2017년]] [[8월 17일]][* 보좌주교 임명 날짜는 2017년 6월 28일.] ~ || ||<bgcolor=#eee8aa> '''명의주교''' ||<-2><bgcolor=white>스파스페리아 명의 주교 || ||<-3><bgcolor=#eee8aa> [[파일:kyb_coa.png|align=center&width=200]] || ||<-3><bgcolor=#eee8aa> '''나를 따라라 '''[* *([[요한 복음서]] 21,19) 나오는 단어를 인용.] || [목차] == 개요 == [[한국 가톨릭]]의 [[주교]]이자 [[서울대교구]]보좌주교 이며 [[세례명]]은 [[욥|욥]]이다. == 학력 == ||<-2><#dddddd>학력|| ||1972년 ~ 1981년||[[성신교정|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974년 ~ 1976년 : 군복무) 및 대학원|| ||1998년 ~ 2000년||[[프랑스]] 파리 가톨릭대학교 석사(영성신학)|| == 경력 == ||<-2><#dddddd>경력|| ||1981년 ~ 1983년||이문동 / 신당동 본당 보좌|| ||1986년 ~ 1993년||구로2동 / 상계동 본당 주임|| ||2000년 ~ 2002년||종로 본당 주임|| ||2013년 2월 ~ 2017년 8월||포이동 본당 주임|| ||1986년 ~ 1998년||프라도사제회 한국지부 대표|| ||2006년 ~ 2012년||프라도사제회 한국지부 대표|| ||2007년 ~ 2013년||프라도사제회 국제평의회 위원|| ||1982년 ~ 1983년||[[서울대교구]] 북부지구 가톨릭노동청년회(JOC) 지도신부|| ||1983년 ~ 1986년||프랑스 리옹 가톨릭대학교(노동사목)|| ||1991년 ~ 1992년||가톨릭노동장년회(CWM) 지도신부|| ||1993년 ~ 1998년||가톨릭노동청년회(현 YCW) 전국 지도신부 /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 ||2002년 ~ 2009년||[[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영성지도 신부|| ||2017년 10월 ~ ||주교회의 성직주교위원회 위원 || == 여담 == 만 66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주교로 수품되었다.구요비 주교는 주교로 임명되고 염수정 추기경을 예방하였을때 늦은나이에 주교로 임명된것이 송구스럽고 죄송하다며 눈물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 나이상 교구장 승품은 매우 어렵게 보인다. [[분류:1951년 출생]][[분류:가평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천주교 서울대교구]][[분류:가톨릭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주교]]
sjm7033
어나더 에덴 특성
#redirect 어나더 에덴 ~시공을 넘는 고양이~/특성
boung912
하악질
[[분류:고양이]] ||{{{#!html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9Aw95DQfp40?&hl=ko_KR&start=14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고양이]]의 하악질. 영상의 주인묘는 [[꼬부기 아빠|꼬부기]].[* 해당 영상은 2분 22초부터] || [목차] == 개요 == 고양이가 위협하면서 내는 소리 또는 그 행위를 일컫는 말. == 상세 == '다가오지 마’ ‘그만해’라는 경고의 의미로 내는 소리로 아주 어린 고양이라도 본능으로 할 줄 안다. 처음 보는 물건(클 수록 좋다)이나 처음 듣는 소리(요란할 수록 좋다)를 내며 재빠르게 들이댄다면 구석에 몰렸을 때 높은 확률로 하악질을 들을 수 있다. 날카로운 두 쌍의 송곳니를 훤히 드러내며 하악 소리를 내는데 제법 무섭다. 귀여운 줄만 알았던 고양이의 야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성격이 느긋하고 대범한 고양이일수록 하악질을 하는 빈도가 낮고 그 반대일수록 잦다. '[[http://m.todayhumor.co.kr/view.php?table=bestofbest&no=267420&page=1|고양이에게 하악질을 하면 벌어지는 일]]' 글 작성자의 필력과 댓글들에서의 반응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인간이 쉽게 따라할 수 있으면서 거의 즉각적인 반응(물론 별 반응이 없다는 댓글도 있지만.)을 볼 수 있고 이 행위가 무슨 의미인지 인간 입장에서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고양이의 언어 중 하나이다. 그게 하필 인간의 쌍욕에 해당해서 문제다. 당연히 남용하면 고양이와의 관계가 어떻게 될 지는 아무도 모르게 되니 정 궁금하면 얼굴을 고양이에게 향하지 않거나 고양이가 다른 방에 있거나 할 때에 조심스럽게 한 번 정도 해보고 말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고양이, version=4062, paragraph=5)]
ssum
청근현주
#redirect 청근옹주
blossoming
후키(게임 개발사)
[[분류:일본의 게임 제작사]][[분류:1977년 기업]][[분류:일본의 없어진 기업]] ||<tablealign=right><table width=350><-2><#ffffff><:>[[파일:]] || || 영문명칭 || FUUKI Co., ltd || || 설립일 || 1977년 1월 || || 폐업일 || 2010년 초반(추정) || || 총책임자 || 타카하시 후키코 || || 업종명 || 오락기기 제조업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홈페이지 || http://www.fuuki-games.co.jp/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교토에 과거 존재했던 게임회사였다. 해외에선 대전액션게임 "아수라 블레이드"와 속편인 "아수라 버스터"로 유명했던 회사였고, 국내 회사들에 의해 제조된 많은 오락게임들을 일본으로 수입한 이력도 있다. 홈페이지도 있으나 2011년에 기판생산에 관한 공지만 달랑 있고 일부 페이지가 없다는걸 봐선 폐업된 것으로 추정된다. == 출시한 게임 목록 == === 아케이드류 === 1995년-> • Go Go! Mile Smile[* Stern社가 1982년에 출시한 "Anteater" 라는 게임의 모던 리메이크작. 단순히 마일과 야드가 모험을 떠나다 한 요정에 의해 공주를 구하게 되는것을 이야기로 삼는데, 엔딩에서 큰 반전이 일어난다. 언어로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영어가 지원되나, 음성샘플은 일어를 제외하면 모두 영어를 쓴다. 후키 FG1 하드웨어로 돌아간다.] 1996년-> • Gyakuten!! Puzzle Bancho[* 일본 내수용으로 출시된 퍼즐게임. 약간 [[뿌요뿌요]]에서 영감을 받은 듯 하다. 번역하면 "역전! 퍼즐대장". 후키 FG1 하드웨어로 돌아간다.] 1998년-> • Asura Blade - Sword of dynasty 2000년-> • Asura Buster - Eternal Warriors 2009년-> • Hako Tsumi Max === 콘솔류 === === 국내기업 라이센스 === 알다시피 같은 일본에 위치한 게임회사들한테 "모욕감을 주는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대부분 아류작을 유통했다. 1990년 -> MOSAIC[* 국내에서 [[퀴즈펀치]]라는 퀴즈게임으로 유명했던 "스페이스(덕산상사)" 라는 회사가 제작한 테트리스형 게임으로, 후키판 라이센스는 자사명이 표기되어있다.] 1991년-> Gulf-war II[* [[코메드실업]]이 기존 [[구극 타이거]] 기판을 해킹해 만든 아류작.] 1993년-> Perestroika Girls[* [[프로맷]]이 기존 "슈퍼 퀵스" 기판을 해킹해 만든 아류작. 후키판은 회사명이 써져있다.] 2000년-> Head Panic[* [[두용실업|ESD]]에서 자사 기판으로 [[텀블팝]]에다 "다이너마이트 헤디"의 요소를 추가해 출시한 아류작. 영어가 일어로 바뀌었다.] == 개발된 하드웨어 목록(사양) == === 후키 FG1 === CPU: 모토로라 68000 자일로그 Z80 사운드: 야마하 YM2203 OPN 야마하 YM3812 OPL2 OKI MSM6295 ADPCM === 후키 FG3 === CPU: 사운드: 야마하 YMF278B OPL4
halfling,semicom
사이타마현 제15구
[[분류:선거구/일본]][[분류:사이타마현]] [include(틀:기타칸토 지방의 국회의원)] [목차] == 개요 == [[사이타마현]]의 [[사이타마시]] 일부등 [[도쿄]]와 인접한 베드타운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2002년]]에 사이타현의 인구 증가에 따라 신설되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다나카 료세이. == 상세 == 자민당이 약간 우세한 선거구다. [[2012년]] 제 46회 총선부터는 자민당이 야권의 분열 덕분에 꽤 손쉽게 선거에서 이기고 있다. 제 47회, 제 48회 총선에서는 [[일본 공산당|공산당]]의 득표율도 꽤 높게 나왔는데, 향후 야권 단일화가 성공하면 경합 지역으로 바뀔 가능성도 존재한다.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다카야마 사토시 || [[민주당(일본)|민주당]]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다나카 료세이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다카야마 사토시 || 민주당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3> 다나카 료세이 ||<|3> 자유민주당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E50038><#E50038> '''{{{+1 {{{#fff 사이타마현 제15구}}}}}}'''[br]{{{#fff 사이타마시 사쿠라구, 미나미구, 카와구치시 일부(제50, 54~56 투표구 지역), 와라비시, 토다시}}} || || 이름 || 소속정당 || 득표수[br](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E50038> '''{{{#fff 다나카 료세이[br](田中良生)}}}''' || '''[[자유민주당(일본)|{{{#E50038 자유민주당}}}]]''' || '''96,185[br](48.2%)''' || '''1위''' ||<gold> '''당선''' || [[공명당]] 추천 || ||<#046240> {{{#fff 다카야마 사토시[br](高山智司)}}} || [[희망의 당(2017년)|{{{#046240 희망의 당}}}]] || 48,729[br](24.4%) || 2위 || 낙선 || || ||<#DB001C> {{{#fff 우메무라 사에코[br](梅村早江子)}}} || [[일본 공산당|{{{#DB001C 일본 공산당}}}]] || 39,497[br](19.8%) || 3위 || 낙선 || || ||<#1DAC42> {{{#fff 다카하시 히데아키[br](高橋英明)}}} || [[일본 유신회(2016년)|{{{#1DAC42 일본 유신회}}}]] || 15,014[br](7.5%) || 4위 || 낙선 || || ||<|2> 계 || 유효표 수 || 199,425 ||<|2><-3> 투표율 49.51% || || 유권자 수 || 413,553 || [각주][[분류:선거구/일본]]
mobutu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있게
#redirect 알잘딱깔센
gudrbtkfkdgo
크림슨 위도우
#redirect 옐레나 벨로바
morphin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발매 전 정보
[[분류: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목차] == 발매 전 확인된 사항 및 예측 == 일단 초창기 반응으로는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에서 영향 받은 듯한 상대적으로 수려한 그래픽과 수준 높은 포켓몬 묘사, 포획, 게임플레이를 보여줘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에 비해 호평이 많다.[* 다만 어디까지나 상대적이고 동세대의 다른 오픈월드 게임들과 비교하면 그래픽이 확연하게 떨어지는 편이며, 스위치 초기 작품이자 전세대인 Wii U와 멀티로 출시된 젤다 야숨보다도 그래픽 수준이 떨어진다.] 대체적으로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보다 레전드 아르세우스를 메인 타이틀로 보는 반응이 많은 편. 다만 공개 영상에서도 프레임 드랍이 보여 게임 프리크의 고질적인 [[발적화]]가 우려된다. [[파일:액션ppt2.jpg|width=500]] [[파일:액션ppt.jpg|width=500]] 첫 공개 당시 소개 중 '액션'을 강조했는데, 정작 소개 영상에서는 전작과 같은 커맨드 전투 방식의 UI가 나왔다. 유출상으론 [[ATB]]를 사용하는 반턴제로, 포켓몬을 꺼내지 않으면 트레이너가 공격받아 일정 데미지를 받으면 쓰러진다. 또한 유출상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계열의 오픈월드로 포켓몬을 사용하여 이동, 등반, 공중날기[* 이를 설명할때 나오는 스크린샷 뒤의 [[천관산]]엔 [[깨어진세계]]가 열린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해당 타이틀이 '[[포켓몬스터 Pt 기라티나|에피소드 플라티나]]'의 역할도 할 듯.]를 할 수 있다. [[파일:신오폼.jpg]] 또한 [[주인 포켓몬]] 전투를 설명할때 사용한 스크린샷에 나오는 포켓몬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신오 [[리전 폼]]이나[* 이경우 두꺼운 눈썹과 확연하게 보이는 부리, 오른손에 든 길쭉한 봉 등 [[창파나이트]]거나 [[파오리]]의 진화형일 가능성이 높다.] 신규 포켓몬으로 보인다 시대관에 관련해서도 여러 가설이 나오는 중이다. * 완전한 고대: 포켓몬스터 세계관은 예전부터 현대를 배경으로 했음에도 포켓몬 덕분에 현실 세계에 비해 진보한 과학 기술이 있다는 설정이 있었기 때문에 고대 배경이라도 포켓몬의 힘으로 과학이 발전되었다라는 설정이 붙을 수 있다. * 근대 : 배경 자체가 자세히 보면 가로등도 있는 근대라는걸 알 수 있고, 스타팅 포켓몬 3종을 모은 박사는 세계를 여행하는 박사라는 설정이니 현대 배경은 아니고 각각 프랑스와 영국, 미국이 배경인 칼로스, 가라르나 하나지방의 물건을 수집한거란 얘기도 나온다. * 현대와 고대를 오고가는 [[타임슬립]] : 선공개 영상에서 스타팅 포켓몬 3종(브케인, 수댕이, 나몰빼미)이 나오는 배경이 [[현대]]로 보이는 점을 생각하면 진짜 고대의 신오지방이 아닌 [[디아루가|시간]]과 [[펄기아|공간]]의 힘을 지닌 포켓몬들의 힘을 빌려 시간역행하는 탐험일 거라는 의견도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 version=218)]
aksllq2718,lr11,deva666
팬텀(VOCALOID 오리지널 곡)
||<table align=center><bgcolor=#fff,#000000> [[파일:wotaku phantom.jpg|width=100%]] || ||<-2><bgcolor=#39c5bb,#383b40><table align=right><tablebgcolor=#ffffff,#2d2f34><tablebordercolor=#39c5bb,#50545e><colbgcolor=#ecfffb,#1f2023><color=#ffffff> '''{{{+2 ファントム}}}''' || || '''가수''' || [[하츠네 미쿠]] || || '''작곡가''' ||<|3> [[wotaku]] || || '''작사가''' || || '''편곡가''' || || '''일러스트레이터''' || Rio || || '''페이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3705574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png|width=24]]]][[https://youtu.be/iB_V8mAa6M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20년 6월 26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팬텀'''(ファントム) 은 2020년 6월 26일 니코니코 동화와 유튜브에 투고된 [[하츠네 미쿠]]의 오리지널 곡이다. [[https://www.pixiv.net/artworks/82645241|일러스트레이터의 픽시브]]에서 초기 러프와 개인 해설을 확인할 수 있다. === 달성 기록 === * 니코니코 동화 ||<bgcolor=#d9e5ff,#50545e> * 2020년 1월 16일 11시 25분에 [[VOCALOID 전당입성]] || === 갤러리 ===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taku phantom2.jpg|width=720]]}}} || || 공식 일러스트 2 || ||<table 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antom control 10k.jpg|width=720]]}}} || || 유튜브 10만 재생 달성 기념 일러스트[* 우측은 같은 일러스트레이터가 참여한 곡 컨트롤.] ||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37055741)] * 유튜브 [youtube(iB_V8mAa6Mw)] == 가사 == ||<table align=center><bgcolor=#39c5bb> {{{#ffffff 絢爛なる劇場に縫い付いた?}}} || ||<bgcolor=#ecfffb> 켄란나루 게키죠오니 누이츠이타 || ||<bgcolor=#ecfffb> 현란한 극장을 누비며 다녔어 || ||<bgcolor=#39c5bb> {{{#ffffff 幸せを目指すことは怪なの?}}} || ||<bgcolor=#ecfffb> 시아와세오 메자스 코토와 카이나노? || ||<bgcolor=#ecfffb> 행복을 목표로 하는 건 이상한 거야? || ||<bgcolor=#39c5bb> {{{#ffffff 壮麗なる喜劇のクワイア}}} || ||<bgcolor=#ecfffb> 소오레이나루 키게키노 쿠와이아 || ||<bgcolor=#ecfffb> 장대하고 화려한 희극의 성가대 || ||<bgcolor=#39c5bb> {{{#ffffff ねぇ悲劇の一つも歌ってくれないの?}}} || ||<bgcolor=#ecfffb> 네에 히게키노 히토츠모 우탓테쿠레나이노? || ||<bgcolor=#ecfffb> 있잖아, 단 하나의 비극도 노래해주지 않을 거야? || ||<bgcolor=#39c5bb> {{{#ffffff 待ってて 今助けに行くよ}}} || ||<bgcolor=#ecfffb> 맛테테 이마 타스케니 유쿠요 || ||<bgcolor=#ecfffb> 기다려줘, 지금 구하러 갈게 || ||<bgcolor=#39c5bb> {{{#ffffff シャンデリアが落ちる 亡国のように}}} || ||<bgcolor=#ecfffb> 샨데리아가 오치루 보오코쿠노 요오니 || ||<bgcolor=#ecfffb> 샹들리에가 떨어져, 망한 나라처럼 || ||<bgcolor=#39c5bb> {{{#ffffff さあ 怪我はないかい?}}} || ||<bgcolor=#ecfffb> 사아 케가와 나이카이? || ||<bgcolor=#ecfffb> 자, 다친 곳은 없어? || ||<bgcolor=#39c5bb> {{{#ffffff 邪魔者はいないかい?}}} || ||<bgcolor=#ecfffb> 쟈마모노와 이나이카이? || ||<bgcolor=#ecfffb> 방해하는 사람은 없어? || ||<bgcolor=#39c5bb> {{{#ffffff もう ずっとずっと離れないで}}} || ||<bgcolor=#ecfffb> 모오 즛토 즛토 하나레나이데 || ||<bgcolor=#ecfffb> 이제 계속, 계속 떠나지 말아줘 || ||<bgcolor=#39c5bb> {{{#ffffff 単純で 不純で 愛されてみたいだけ}}} || ||<bgcolor=#ecfffb> 탄쥰데 후쥰데 아이사레테미타이다케 || ||<bgcolor=#ecfffb> 단순하고 불순해서, 사랑받아보고 싶을 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遍く星が統べる枷に飽いただけ}}} || ||<bgcolor=#ecfffb> 아마네쿠 호시가 스베루 카세니 아이타다케 || ||<bgcolor=#ecfffb> 널리 퍼진 별이 지배하는 족쇄에 질렸을 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観衆へ 舞台へ どうでもいいそんなの}}} || ||<bgcolor=#ecfffb> 칸슈우에 부타이에 도오데모 이이 손나노 || ||<bgcolor=#ecfffb> 관중에게로, 무대로, 그런 건 아무래도 좋아 || ||<bgcolor=#39c5bb> {{{#ffffff ただこの腕の中で眠りにつくまで}}} || ||<bgcolor=#ecfffb> 타다 코노 우데노 나카데 네무리니 츠쿠마데 || ||<bgcolor=#ecfffb> 그저 이 품안에서 완전히 잠들 때까지 || ||<bgcolor=#39c5bb> {{{#ffffff 誰にも触らせない}}} || ||<bgcolor=#ecfffb> 다레니모 사와라세나이 || ||<bgcolor=#ecfffb> 누구도 건드리게 하지 않아 || ||<bgcolor=#39c5bb> {{{#ffffff 純然たるそれは焼きついた}}} || ||<bgcolor=#ecfffb> 쥰젠타루 소레와 야키츠이타 || ||<bgcolor=#ecfffb> 순수하게, 그것은 새겨졌어 || ||<bgcolor=#39c5bb> {{{#ffffff まるで聖書に出てくる天使よ}}} || ||<bgcolor=#ecfffb> 마루데 세이쇼니 데테쿠루 텐시요 || ||<bgcolor=#ecfffb> 마치 성서에 나오는 천사 같아 || ||<bgcolor=#39c5bb> {{{#ffffff 懇篤なる無垢の微笑み}}} || ||<bgcolor=#ecfffb> 콘토쿠나루 무쿠노 호호에미 || ||<bgcolor=#ecfffb> 친절하고 순진무구한 미소 || ||<bgcolor=#39c5bb> {{{#ffffff あぁ手に入れたいなら奪えばいいんだった}}} || ||<bgcolor=#ecfffb> 아아 테니 이레타이나라 우바에바 이인닷타 || ||<bgcolor=#ecfffb> 아아, 손에 넣고 싶다면, 빼앗으면 되는 거였어 || ||<bgcolor=#39c5bb> {{{#ffffff 君の家の住所 家族 食事 家具の配置}}} || ||<bgcolor=#ecfffb> 키미노 이에노 쥬우쇼 카조쿠 쇼쿠지 카구노 하이치 || ||<bgcolor=#ecfffb> 너의 집 주소, 가족, 식사, 가구 배치 || ||<bgcolor=#39c5bb> {{{#ffffff 出会った人の容姿 監視 検死 掃除 廃棄}}} || ||<bgcolor=#ecfffb> 데앗타 히토노 요오시 칸시 켄시 소오지 하이키 || ||<bgcolor=#ecfffb> 만난 사람의 외형, 감시, 검시, 청소, 폐기 || ||<bgcolor=#39c5bb> {{{#ffffff 鉄檻に入れて海に沈め}}} || ||<bgcolor=#ecfffb> 테츠오리니 이레테 우미니 시즈메 || ||<bgcolor=#ecfffb> 철창에 넣고 바다에 가라앉혀 || ||<bgcolor=#39c5bb> {{{#ffffff バラバラは下水へ放った}}} || ||<bgcolor=#ecfffb> 바라바라와 게스이에 홋타 || ||<bgcolor=#ecfffb> 조각들은 하수도로 버려졌어 || ||<bgcolor=#39c5bb> {{{#ffffff どいて どいて どけよ}}} || ||<bgcolor=#ecfffb> 도이테 도이테 도케요 || ||<bgcolor=#ecfffb> 비켜, 비켜, 비키라고 || ||<bgcolor=#39c5bb> {{{#ffffff 天使様で在らせられるぞ}}} || ||<bgcolor=#ecfffb> 텐시사마데 아라세라레루조 || ||<bgcolor=#ecfffb> 천사님이시란 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ああ 大丈夫だった?}}} || ||<bgcolor=#ecfffb> …아아 다이죠오부닷타? || ||<bgcolor=#ecfffb> …아아, 괜찮았어? || ||<bgcolor=#39c5bb> {{{#ffffff 君の歌に皆スタンディングオベーションして}}} || ||<bgcolor=#ecfffb> 키미노 우타니 미나 스탄딘구 오베에숀시테 || ||<bgcolor=#ecfffb> 너의 노래에 모두 스탠딩 오베이션해서 || ||<bgcolor=#39c5bb> {{{#ffffff 称えることすらも許せなくなった}}} || ||<bgcolor=#ecfffb> 타타에루 코토스라모 유루세나쿠 낫타 || ||<bgcolor=#ecfffb> 칭찬하는 것조차 용납할 수 없게 됐어 || ||<bgcolor=#39c5bb> {{{#ffffff さあ 怯えないで 秘密の場所に行こう}}} || ||<bgcolor=#ecfffb> 사아 오비에나이데 히미츠노 바쇼니 이코오 || ||<bgcolor=#ecfffb> 자, 겁먹지 말고, 비밀 장소로 가자 || ||<bgcolor=#39c5bb> {{{#ffffff もう ずっとずっと離さないよ}}} || ||<bgcolor=#ecfffb> 모오 즛토 즛토 하나사나이요 || ||<bgcolor=#ecfffb> 이젠 계속, 계속 놓지 않을 거야 || ||<bgcolor=#39c5bb> {{{#ffffff 単純で 不純で 愛されてみたいだけ}}} || ||<bgcolor=#ecfffb> 탄쥰데 후쥰데 아이사레테미타이다케 || ||<bgcolor=#ecfffb> 단순하고 불순해서, 사랑받아보고 싶을 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光が届かなくても君がいればいい}}} || ||<bgcolor=#ecfffb> 히카리가 토도카나쿠테모 키미가 이레바 이이 || ||<bgcolor=#ecfffb> 빛이 닿지 않더라도, 네가 있으면 돼 || ||<bgcolor=#39c5bb> {{{#ffffff ねぇなんで 分かって アイツはもういないよ}}} || ||<bgcolor=#ecfffb> 네에 난데 와캇테 아이츠와 모오 이나이요 || ||<bgcolor=#ecfffb> 있잖아, 왜야, 이해해줘, 그 녀석은 더 이상 없어 || ||<bgcolor=#39c5bb> {{{#ffffff ただこの腕の中で眠ればいいだけ}}} || ||<bgcolor=#ecfffb> 타다 코노 우데노 나카데 네무레바 이인다케 || ||<bgcolor=#ecfffb> 그저 이 품안에서 잠들면 되는 거야 || ||<bgcolor=#39c5bb> {{{#ffffff 誰にも穢させない}}} || ||<bgcolor=#ecfffb> 다레니모 케가사세나이 || ||<bgcolor=#ecfffb> 누구도 더럽히게 하지 않아 || ||<bgcolor=#39c5bb> {{{#ffffff こんなに奪っても 成就しないそれが}}} || ||<bgcolor=#ecfffb> 콘나니 우밧테모 죠오쥬시나이 소레가 || ||<bgcolor=#ecfffb> 이렇게 빼앗아봐도 성취되지 않는 그것이 || ||<bgcolor=#39c5bb> {{{#ffffff 恋心なのかと 分からないまま}}} || ||<bgcolor=#ecfffb> 코이고코로나노카토 와카라나이 마마 || ||<bgcolor=#ecfffb> 사랑하는 마음인지는 모른 채로 || ||<bgcolor=#39c5bb> {{{#ffffff 君の慈悲に腐った心が染みて痛いよ}}} || ||<bgcolor=#ecfffb> 키미노 지히니 쿠삿타 코코로가 시미테 이타이요 || ||<bgcolor=#ecfffb> 너의 자비에 썩은 마음이 자극돼서 아파 || ||<bgcolor=#39c5bb> {{{#ffffff でもそれ以上にただ嬉しかった}}} || ||<bgcolor=#ecfffb> 데모 소레 이죠오니 타다 우레시캇타 || ||<bgcolor=#ecfffb> 하지만 그 이상으로, 그저 기뻤어 || ||<bgcolor=#39c5bb> {{{#ffffff もう終わらせよう 遅すぎたフィナーレ}}} || ||<bgcolor=#ecfffb> 모오 오와라세요오 오소스기타 휘나아레 || ||<bgcolor=#ecfffb> 이제 그만 끝내자, 너무 늦은 피날레 || ||<bgcolor=#39c5bb> {{{#ffffff 憐憫でも救われている}}} || ||<bgcolor=#ecfffb> 렌빈데모 스쿠와레테이루 || ||<bgcolor=#ecfffb> 연민이지만 구원받고 있어 || ||<bgcolor=#39c5bb> {{{#ffffff さよなら}}} || ||<bgcolor=#ecfffb> 사요나라 || ||<bgcolor=#ecfffb> 잘 있어 || ||<bgcolor=#39c5bb> {{{#ffffff 単純な 矛盾で 生まれて初めての}}} || ||<bgcolor=#ecfffb> 탄쥰나 무쥰데 우마레테 하지메테노 || ||<bgcolor=#ecfffb> 단순한 모순에, 태어나서 처음으로 || ||<bgcolor=#39c5bb> {{{#ffffff 禍福に苛まれ一人 笑み 泣くだけ}}} || ||<bgcolor=#ecfffb> 카후쿠니 사이나마레 히토리 에미 나쿠다케 || ||<bgcolor=#ecfffb> 불행과 행복에게 시달리며 혼자서 웃고 울 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観衆も 舞台も 全ては無くなったよ}}} || ||<bgcolor=#ecfffb> 칸슈우모 부타이모 스베테와 나쿠낫타요 || ||<bgcolor=#ecfffb> 관중도, 무대도, 전부 없어져버렸어 || ||<bgcolor=#39c5bb> {{{#ffffff 黒滔々たる夜に消えてゆくだけ}}} || ||<bgcolor=#ecfffb> 코쿠토오토오타루 요루니 키에테유쿠다케 || ||<bgcolor=#ecfffb> 검게 유유히 흐르는 밤에, 사라져갈 뿐이야 || ||<bgcolor=#39c5bb> {{{#ffffff それからの行方は}}} || ||<bgcolor=#ecfffb> 소레카라노 유쿠에와 || ||<bgcolor=#ecfffb> 그 이후로의 행방은 || ||<bgcolor=#39c5bb> {{{#ffffff 誰にも知られていない}}} || ||<bgcolor=#ecfffb> 다레니모 시라레테이나이 || ||<bgcolor=#ecfffb> 누구에게도 알려져 있지 않아 || ||<bgcolor=#39c5bb> {{{#ffffff バイバイ}}}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bgcolor=#39c5bb> {{{#ffffff バイバイ}}}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bgcolor=#39c5bb> {{{#ffffff バイバイ}}}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bgcolor=#ecfffb> 바이바이 || || [[http://vocaro.wikidot.com/phantom|보카로 가사 위키]] || [[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20년]][[분류:VOCALOID 전당입성]]
alterna
정빈
[include(틀:후궁견환전 후궁일람)] ||<-7><tablebordercolor=#800000><#800000> {{{#FFD700 '''后宮甄嬛传 등장인물'''}}}[br]{{{+2 {{{#FFD700 '''정빈'''}}}}}} || ||<#800000> {{{#FFD700 '''이름'''}}} ||<-6><#FFFFFF>'''불명'''[* 박이제길특 씨인 것 외에는 밝혀지지 않았다.] || ||<#800000> {{{#FFD700 '''배우'''}}} ||<-6><#FFFFFF>- || ||<#800000> {{{#FFD700 '''민족'''}}} ||<-6><#FFFFFF>몽고족[* 후궁견환전의 유일한 몽군기이다.] || ||<#800000> {{{#FFD700 '''거주지'''}}} ||<-6><#FFFFFF>한월각 || ||<#800000> {{{#FFD700 '''가족관계'''}}} ||<-6><#FFFFFF>남편 : [[옹정제(후궁견환전)|옹정제]] || ||<#800000> {{{#FFD700 '''파벌'''}}} ||<-6><#FFFFFF>중립 || ||<#800000> {{{#FFD700 '''품계'''}}} ||<-3><rowbgcolor#FFFFFF> 박이제길특 귀인[br]→ ||<-3> 정빈[br] || == 개요 == [[후궁견환전]]의 등장인물. 초반에는 박이제길특 귀인이 있다는 것 외에는 언급과 등장이 없었으며, 견환 회궁 이후 황제의 눈에 띄어 봉호를 받고 빈에 봉해졌다고 한다. 견환 회궁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분량이 많지 않다. 파벌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중립임이 거의 확실하다. 총애잃은 안릉용에게 수모를 주는 것으로 보아 황후파는 아니고, 친자확인 사건때 견환을 대놓고 까는 것을 보면 견환파도 아니다. 황제에게 총애받지 못하고 황제파인 후궁이 없는 것을 보면 황제파도 아니다. [[분류:후궁견환전]]
tjsdn61789
히노에 / 미노토
[[분류:몬스터 헌터 라이즈]] ||<table width=100%><bgcolor=#E7E6D2> 마을 접수원 {{{+3 '''히노에'''}}}[br]{{{-2 ''里の受付嬢ヒノエ (陽の慧)[br]Hinoa the Quest Maiden''}}} ||<bgcolor=#d0c090> 집회소 접수원 {{{+3 '''미노토'''}}}[br]{{{-2 ''集会所の受付嬢ミノト (水の杜)[br]Minoto the Hub Maiden''}}} || ||<width=50%><bgcolor=#ffffff>[[파일:히노에.png|width=70%]]||<width=50%><bgcolor=#ffffff>[[파일:미노토.png|width=80%]]|| [목차] == 개요 == [[MONSTER HUNTER RISE|몬스터 헌터 라이즈]]의 [[MONSTER HUNTER RISE/등장인물|등장하는]] [[용인족(몬스터 헌터 시리즈)|용인족]] 쌍둥이 자매로 히노에가 언니, 미노토가 동생이다 각각 마을과 집회소의 접수원을 맡고 있다. === 히노에 === ||<white> [[파일:히노에CA.jpg|width=170]]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white> [youtube(WqAg5FUWaoI,width=400,height=225)] || ||<white> BGM : 카무라 정화의 노래(カムラ祓え歌) || >마을의 퀘스트를 중개하는 접수원. 집회소의 접수원으로 일하는 쌍둥이 여동생이 있다. >온화하고 늘 생글생글 웃으며, 마을을 비추는 태양과 같은 존재. 그 웃는 얼굴이 재앙에 휩쓸리는 카무라 마을을 환하게 밝혀준다. >초보 헌터인 주인공을 여러 가지로 도와주는, 가족처럼 사이가 좋은 존재. 마을의 명물 「토끼 경단」을 아주 좋아해서, 찻집을 자주 드나들고 있다. >---- >공식 사이트 소개문 미노토의 쌍둥이 언니. 일본어와 몬헌어 보이스의 성우는 [[사토 리나]], 영어 보이스의 성우는 [[모린 프라이스]] 사용 무기는 활. 장갑 부분을 자세히 보면 일본 [[궁도]]시 착용하는 장갑처럼 엄지 손가락 부분이 노출된걸 확인 가능하다. === 미노토 === ||<white> [[파일:미노토CA.jpg|width=170]]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fff><:><white> [youtube(eYhYI4esbgE,width=400,height=225)] || ||<white> BGM : 용감한 사냥꾼(勇まし狩人) || >마을의 접수원으로 일하는 히노에의 쌍둥이 여동생. 쿨하고 표정이 변하는 일이 별로 없다. >또한 담담하게 일을 해내는 모습에서 냉담한 성격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상냥하고 의외로 서투른 모습도 있다. >존경하는 언니처럼 되고자, 숨어서 이것저것 노력하고 있는 것 같다. >---- >공식 사이트 소개문 히노에의 쌍둥이 동생. 일본어 보이스와 몬헌어 보이스의 성우는 [[이토 시즈카]], 영어 보이스의 성우는 헤더 곤잘레스. 냉담한 성격의 [[쿨뷰티]] 캐릭터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상냥하고 서투른 성격이라는 [[갭 모에]]가 있다. 그림 그리는 취미도 있는데 아예 공식 가이드 만화인 [[https://www.capcom.co.jp/monsterhunter/rise/hunting-guide/|사냥 안내서]]는 미노토의 [[에마키]] 작품이라는 설정이 있다. [[파일:사냥안내서.jpg|width=400]] 근데 그림체도 그렇고 내용도 그렇고 굉장히 아스트랄한 작품이라 팬덤에서는 밈이 될 정도. 여기 나오는 등장인물들 이름이 가관인데 남자 헌터는 '''몬수다 훈타''', 여자 헌터는 '''햐쿠류 야코''', 가루크와 아이루가 각각 '''개''', '''고양이'''라고(...) 사용 무기는 랜스. == 작중 행적 == == 반응과 평가 == [[몬스터 헌터: 월드]]는 [[빻빻이]]가 워낙 악평을 들었다 보니 [[몬스터 헌터 라이즈]]의 첫번째 PV 마지막에 등장하자마자 반응이 뜨거웠다. 게다가 4차 PV에서 단순히 접수원만 맡는게 아닌 직접적으로 무기를 들고 수렵에 참여한다는게 밝혀져 딱히 하는게 없던 빻빻이에 비해 훨신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이러한 캐릭터성이 아예 월드에서 악평을 받은 빻빻이에 대한 반성이라는 평가도 있다. [[캡콤]] 유출 당시 여성 캐릭터를 묘사할때 '남성에게 보호 받는 캐릭터 묘사' 를 피하라는 가이드라인이 같이 유출되었는데 빻빻이가 이러한 사례에 딱 맞는 '수동적이고 민폐만 끼치는 여성 캐릭터' 였고 이후 '직접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거나 도움을 주는 여성상' 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다는 것.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ONSTER HUNTER RISE/등장인물, version=26)]
masrsh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분류:남미 축구 연맹 주관 대회]] [목차] == A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A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플라멩구'''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후니오르'''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바르셀로나''' || 6 || || || || || || || || || == B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B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파우메이라스'''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과라니'''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볼리바르'''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티그레''' || 6 || || || || || || || || || == C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C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30]] || '''호르헤 윌스테르만'''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페냐롤'''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 '''콜로콜로''' || 6 || || || || || || || || || == D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D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리버 플라테'''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LDU 키토'''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상파울루'''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비나시오날''' || 6 || || || || || || || || || == E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E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그레미우'''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인터나시오날'''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아메리카 데 칼리''' || 6 || || || || || || || || || == F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F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 '''나시오날'''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라싱'''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 '''에스투디안테스 데 매리다'''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페루 국기.svg|width=30]] || '''알리안사 리마''' || 6 || || || || || || || || || == G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G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산투스'''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델핀'''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올림피아''' || 6 || || || || || || || || || == H조 == ||<-1><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H조 }}}'''}}}|| ||<-2><tablewidth=90%><tablealign=center><tablebgcolor=#cefbc9,#093604><rowbgcolor=#000000>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승}}}''' || '''{{{#ffffff 무}}}''' || '''{{{#ffffff 패}}}''' || '''{{{#ffffff 득}}}''' || '''{{{#ffffff 실}}}''' || '''{{{#ffffff 차}}}''' || '''{{{#ffffff 승점}}}''' || '''{{{#ffffff 결과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 '''보카 주니어스''' || 6 || || || || || || || || '''16강 진출'''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30]] || '''클루브 리베르타드''' || 6 || || || || || || || || '''16강 진출''' || ||<rowbgcolor=#BCF3FE>[[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30]] || '''카라카스''' || 6 || || || || || || || || '''코파 수다메리카나 진출''' || ||<rowbgcolor=#F8F9FA>[[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인데펜디엔테 메데인''' || 6 || || || || || || || || || == 16강전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16강전 }}}'''}}}|||||||| || '''팀명''' || '''합산 스코어''' || '''팀명''' || || 과라니 || '''0-4''' || 그레미우 || || 인데펜디엔테 델 바예 || '''0-0 (2-4 p)''' || 나시오날 || || 델핀 || '''1-8''' || 파우메이라스 || || 인터나시오날 || '''1-1 (4-5 p)''' || 보카 주니어스 || || 라싱 || '''2-2 (5-3 p)''' || 플라멩구 || || 클루브 리베르타드 || '''5-1''' || 호르헤 윌스테르만 || ||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 '''1-2''' || 리버 플라테 || || LDU 키토 || '''2-2 (a)''' || 산투스 || == 8강전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8강전 }}}'''}}}|| == 준결승전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준결승전 }}}'''}}}|| == 결승전 == ||<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top, #f3c26b, #c28559, #855346, #432a2b, #00000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파일:CONMEBOL LBTDR.jpg|height=50]]]][br]'''{{{#ffffff 20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br] 결승전 }}}'''}}}||
halfling,mp30man
미노토
#redirect 히노에 / 미노토
masrsh
몬헌 히노에
#redirect 히노에 / 미노토
masrsh
겜스트
#redirect 감스트
sky2271
金𤣰謙
#redirect 보겸
sky2271
귀인 이씨(영보당)
[[분류:조선의 후궁]] [include(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C23352><tablebgcolor=#C23352> {{{#gold '''조선 고종의 후궁'''}}}[br]{{{#gold {{{+1 '''귀인 이씨 | 貴人 李氏'''}}}}}} || ||<width=50> '''{{{#gold 당호}}}''' ||<colbgcolor=#fff,#1f2023>영보당(永保堂) || || '''{{{#gold 출생}}}''' ||[[1843년]]^^(헌종 9년)^^ [[2월 14일]] || || '''{{{#gold 사망}}}''' ||[[1928년]]^^(대한민국 임시정부 10년)^^ [[11월 6일]][* 당시 [[동아일보]] 기사에 나오며, 양력 기준으로는 12월 17일이다. ][br]{{{-2 (향년 86세)}}} || || '''{{{#gold 부군}}}''' ||[[고종(조선)|고종]] || || '''{{{#gold 자녀}}}''' ||1남 ^^(장남)^^ [[완친왕|완화군]] || || '''{{{#gold 묘소}}}'''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고양시 서삼릉, 너비=100%)]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고종(조선)|고종]]의 후궁. 고종의 서장자이자 훗날 [[완친왕]]으로 추증되는 완화군의 어머니다. == 생애 == 이씨는 본래 [[궁녀]]였는데, 고종의 눈에 들어 [[임신]]하고 [[운현궁]]에서 아들을 낳았다. 덕분에 고종은 17세에 아버지가 될 수 있었으며, 이 아들이 바로 고종의 서장자인 완화군이다. >전교하기를, "오늘 진시(辰時)에 궁인(宮人) 이씨(李氏)가 아들을 낳았다. 산모를 보살펴주는 등의 일을 운현궁(雲峴宮)에서 대령하라."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고종 5년 윤4월 10일 그러나 아들을 낳고도 이씨의 봉작은 바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1876년(고종 13) 아들이 9세의 나이로 완화군으로 책봉되고, 이어서 1878년(고종 15)에 관례를 치를 때까지도 품계가 오르지 못했다. 1880년(고종 17)에야 비로소 숙원에 책봉되었는데[* 고종실록 17권, 고종 17년 1월 29일 정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za_11701029_001|#]] ], 불행히 13세의 완화군이 요절하면서 남은 평생을 홀로 보내게 된다. 비록 신뢰할 수 없는 이야기지만, 《[[매천야록]]》에서는 [[명성황후]]가 한때 원자로 거론되었던 완화군을 죽였는데, 일설에는 젓갈항아리에 빠트려 죽였다고 하고 또는 방망이로 때려죽였다고 하는 말도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야사에는 명성황후가 홍역을 앓고 있는 완화군에게 인삼탕을 보내 열이 오르게 하여 죽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 이러한 야사의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당대의 신문 기사를 참고하면 "민비의 미워하심을 받아" 같은 언급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너나 할 것 없이 명성황후를 범인으로 의심한 듯 하다.[* [[매일신보]] 1913년 12월 7일자 기사. "이태왕전하의 왕자를 탄생하매 당시에 외외한 세력이 날아가는 새도 능히 떨어칠 민비(閔妃)의 미워하심을 받아 모자를 한가지로 궐내에서 쫓겨나게 되었는데" ] 1906년(고종 43)에 귀인에 책봉되었고, 1928년에 사망하였다. 현재 묘소는 [[서삼릉]]의 귀인 묘역에 있다. == 매체에서 == * KBS 드라마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 [[배우]] [[정선경]]이 영보당 귀인 이씨 역할을 맡았다. 고종의 첫사랑으로 총애를 받고 완화군을 낳지만, 명성황후가 성장하면서 완전히 뒷방 신세가 된다.
blossoming
냥코 강림
#redirect 냥코 대전쟁/스페셜 스테이지/강림
asdfgvcxz
NCT가 뭐야
#redirect 임정환
mapam
보겸TV
#redirect 보겸
sky2271
할멈(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
||<table width=300><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right><tablebgcolor=#fff><#000> '''{{{#fff {{{+1 할멈}}}[br]The Grann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_Granny-10.png|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키드가 이 장소에 아는 것은 이 축축한 곳이 '할멈'이라는, 부패하고 분노에 가득 차서 아무도 자신의 장소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존재가 살고 있다는 것뿐입니다. >---- >설명 [[리틀 나이트메어]]의 등장인물. == 설명 == [[7월]]에 공개된 [[DLC]] <깊은 곳>의 주적 캐릭터. [[목구멍]]의 배수로에 살고 있으며, 실제 DLC 게임 플레이 도중에도 [[물]]을 빼면 생활 공간으로 보이는 장소가 보이는데, 물 위로 뜨는 걸 막기 위해서인지 [[가구]]가 전부 바닥에 [[밧줄]]로 고정되어 있다. 배수로에 일하는 선박 인원이 맞는지는 의문. 작중에서는 [[거머리]]를 피하고 수로를 헤엄쳐 온 [[키드(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키드]]를 노리게 된다. 물속은 잘 헤엄치지만 건너편은 오르지 못해서 다른 방으로 가는 통로로 헤엄쳐 다니는 모양이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다른 적이 처음 등장할 땐 배경부터 등장하는 것과는 달리, 이쪽은 처음 등장할 때부터 배경이 아닌 바로 [[추격자]]로 나온다. 처음엔 그냥 건너편까지 헤엄치면 간단히 따돌릴 수 있지만, 두 번째의 본격적인 [[추적]]에서부터는 건너편이 상당히 멀기 때문에, 물에 떠있는 쓰레기 위에 올라타서 다음 쓰레기까지 헤엄치는 식으로 피해야 한다. 게다가 [[쓰레기]] 위에 올라 타도 녀석이 쓰레기를 흔들어서 키드를 떨어뜨리니, 가까이 다가오면 잠깐 [[점프]]해서 시간을 벌다가, 다시 다른 쓰레기나 잠시 쉴 곳으로 빠르게 헤엄쳐야 한다. 세 번째 추적에선 [[얼굴]]을 제대로 드러내며 쫓아올 준비를 한다. 이때는 두 번째 추적처럼 [[징검다리]]를 타고 이동하면 된다. 네 번째이자 마지막 추적에선 버려진 [[소파]]에 앉아 있다가 다시 물 속에 들어가며, 본격적인 보스전도 시작된다. 이때부터 키드가 올라와 있는 판자를 아예 박살내니, 바로 헤엄치면서 쓰레기를 타고 건너가는 게 필수. 조금 가다 보면 위쪽에 있는 [[전기]]를 켜는 레버와 물을 채우는 버튼을 반드시 눌러야 한다. 물을 채우는 버튼이 있는 곳도 썩은 나무 판자라 녀석이 쉽게 무너뜨려 버리니, 버튼을 누르자마자 물이 채워지면, 바로 반대쪽에 있는 '''TV'''가 있는 곳으로 가야 한다. 마지막엔 키드가 옆에 있는 [[TV]]를 물 속에 떨어뜨리자 [[감전사]] 당하는 최후를 맞이한다. 이러한 행동을 보면 빼박 타락한 할머니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순전히 오해이며, '''그저 키드를 돌보려는 거라는 해석'''도 있다. 그리고 할멈에게 잡혀 물 속에 빠질 때 '''키드를 품속에 안으려고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아마 이 할머니는 원래 목구멍의 아이들을 돌보던 사람이었다는 암시일 지도...?[* 이와 비슷하게 [[관리인(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관리인]] 또한 [[식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식스]]를 숨겨주던 사람이었다는 설도 있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배은망덕한 [[주인공]]이 된다.] == 기타 == * 리틀 나이트메어에서 상당히 미스테리한 캐릭터이다. 수로에 살고 있으며 물에서 떠나지 않으려 하는 습성만해도 상당히 기괴한데, 어떤 이유인지 목구멍 상층에서 정기적으로 고기를 보내준다. 이 때문에 할멈의 정체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데, 할멈이 목구멍의 선대 주인이었다는 설이 있다. [[숙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숙녀]]의 [[거울]]에 비친 모습이 할멈과 비슷하며, [[막장 드라마|숙녀가 그녀를 내쫓았다는 식의 이야기.]] 또다른 설로는 숙녀의 방에 장식된 노란 옷의 소녀의 초상화의 당사자라는 것인데, 콘셉트 아트의 할멈과 초상화 속의 노란 옷의 소녀가 구도도 일치하고 이목구비도 많이 닮았다는 점을 근거로 한다. 숙녀와 노란 옷의 소녀가 함께 있는 그림이 있다는 걸 상기하면 겉으로는 젊어보이는 숙녀가 사실 할멈 이상으로 오래 살아왔거나, 아니면 노란 옷의 소녀가 어떤 이유로 폭삭 늙어 노인의 모습이 됬다는 것.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틀 나이트메어, version=1042)] [[분류: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분류:게임 캐릭터]]
45.249.90.117,2600:4040:134c:5800:7000:96cb:2aad:3ebb,general9753
손님들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사전적 의미, rd1=손님)] ||<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right><tablebgcolor=#fff><#000> '''{{{#fff {{{+1 손님들}}}[br]The Guests}}}''' || || [[파일:250px-The_Guests.png|width=70%]] || ||<#000> '''{{{#fff {{{+1 터질 듯한 식탐}}}}}}''' || [목차] [clearfix] == 개요 == >목구멍의 생태계에서 손님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입니다. 거대한 홀로 몰려든 손님들은 의자에 몸을 처박고 식사를 합니다. 맛도 욕구도 끝도 없습니다. 그리고 손님들은 어떻게든 떠나갑니다. >---- >설명 [[리틀 나이트메어]]의 등장인물. == 설명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tablebgcolor=#fff><table width=650><width=50%> [[파일:Guest-1 (1).png|width=100%]] ||<width=50%> [[파일:Guest-2.png|width=100%]] || ||<-2><#000> '''{{{#fff 이외에도 수많은 모델링이 존재한다.}}}''' || [[쌍둥이 요리사]]만큼 징그럽지는 않아도 거대한 살덩어리로는 쌍둥이 요리사를 능가해버리는, [[초고도비만]]의 사람들. 쌍둥이 요리사도 뚱뚱하긴 하지만 평범하게 뛸 수 있을 정도인 반면 이들은 걷는 것조차 힘겨워한다. 어떤 손님들은 무슨 [[가부키]] [[배우]]처럼 [[가면]]을 쓰고 있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객실 영역 챕터에서 줄을 서서 느릿느릿하게 목구멍에 오르는 배경으로 첫 등장하는데, [[땅]]에서 올라타는 것이 아니라 [[배]]를 타고 와서 [[바다]] 한가운데서 갈아탄다. 너무 뚱뚱해서 이들이 걸을 때마다 목구멍 전체가 흔들린다. [[주방]]을 탈출해서 객실 영역에 도착하면 각자 [[식탁]]에서 [[음식]]을 허겁지겁 먹는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이들도 [[식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식스]]처럼 [[채소]]는 안 먹고 [[고기]], [[생선]], [[치즈]] 따위만 먹는다.[* 식탁에 술병이 있는 걸 보면 술도 마시는 것 같지만 인게임에서 이들이 술을 마시는 모습은 볼 수 없다.] 그러나 음식을 계속 먹어도 전혀 줄어들지 않는데, 이는 [[숙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숙녀]]의 [[마법]]이 아니고 [[되새김질|잘 보면 입에 들어간 음식이 턱에서 도로 나온다.]] 이들은 식스를 보면 바로 잡아먹겠다고 달려드는데, 이들에게 잡히면 그대로 먹혀버린다. 식스를 보면 그대로 잡으려고 손을 휘두르다가 시야에서 사라지면 신경 끄고 원래대로 음식만 먹는 놈도 있지만, 식탁을 뒤집으면서까지[* 피하지 않으면 던져진 식탁이나 이 녀석의 몸에 깔려 죽는다.] 기어서 쫓아오는 놈도 많은데, 꽤 [[그로테스크]]하다. 당연히 이들에게 잡히면 잡아먹히며, 혹은 쫓아오는 놈에게 깔려죽을 수도 있다. 소소한 디테일로, 가면을 쓴 놈에게 잡히면 가면을 젖히고 식스를 잡아먹는다. 객실 위쪽에서는 한 명이 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녀석은 건드려도 일어나지 않는다. 원체 뚱뚱해서 처음에 배경으로 나올 때는 느리게 걷지만, 식스를 보면 기어서 빠르게 쫓아오기 때문에 빨리 뛰어야 한다. 속도가 장난 아니게 빠르고 중간중간에 [[장애물]]도 많고 도망쳐야 하는 거리도 긴 편이라 까다롭다. 무식한 속도 때문에 장애물 같은 것에 한 번이라도 걸리면 죽기에, 장애물에 안 걸리는 게 중요하다. 마지막 추격 때는 [[복도]]에서 방문을 열고 떼거지로 쫓아오는데, [[쓰나미]]가 몰려오는 듯한 연출에 BGM까지 더해 상당히 압박감을 준다. 너무 쉬지 않고 달리기만 하면 마지막에 식스가 지쳐서 [[점프]]에 성공하지 못할 수도 있으니, 중간중간 손님들의 움직임이 봉쇄되었을 때가 쉴 타이밍이다. 숙녀가 있는 곳까지 도착할 때쯤에는 식스를 잡으려던 손님 한 명이 추락한다. 엔딩 시점에 또다시 등장해 [[식스(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식스]]를 잡아먹으려 달려들지만, [[숙녀(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숙녀]]를 잡아먹고 힘을 얻은 식스에게 오히려 생명력으로 추정되는 검은 기운이 빨려들어 모두 죽어버린다. == 기타 == * 2차 창작에선 등장인물 중 거의 그려지지 못하는 편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틀 나이트메어, version=1042)] [[분류:리틀 나이트메어 시리즈]][[분류:게임 캐릭터]]
45.249.90.117,general9753
어나더 에덴 캐릭터
#redirect 어나더 에덴 ~시공을 넘는 고양이~/캐릭터
boung912
기도의 막이 내릴 때(영화)
||<-2><table align=center><tablewidth=550><bgcolor=#000000> {{{#ffffff '''{{{+2 기도의 막이 내릴 때}}}''' (2018)[br]''The Crimes That Bind''[br]''祈りの幕が下りる時''}}} || ||<-2><bgcolor=#000000> [[파일:The Crimes That Bind korea poster.jpg|width=100%]] || ||<bgcolor=#000000><width=35%> '''{{{#ffffff 장르}}}''' ||[[미스터리]], [[스릴러]] || ||<bgcolor=#000000> '''{{{#ffffff 감독}}}''' ||후쿠자와 카츠오 || ||<bgcolor=#000000> '''{{{#ffffff 각본}}}''' ||이정미 || ||<bgcolor=#000000> '''{{{#ffffff 원작}}}''' ||[[히가시노 게이고]] || ||<bgcolor=#000000> '''{{{#ffffff 제작}}}''' ||나스다 준, 히라노 타카시, 이요다 히데노리[br]후지이 카즈후미, 카와시마 류타로 || ||<bgcolor=#000000> '''{{{#ffffff 주연}}}''' ||[[아베 히로시]], [[마츠시마 나나코]] || ||<bgcolor=#000000> '''{{{#ffffff 음악}}}''' ||[[칸노 유고]] || ||<bgcolor=#000000> '''{{{#ffffff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MacLotus || ||<bgcolor=#000000> '''{{{#fff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 오렌지옐로우하임 || ||<bgcolor=#000000> '''{{{#fff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호]]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노바엔터테인먼트 || ||<bgcolor=#000000> '''{{{#fff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8년]] [[1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5월 14일]] || ||<bgcolor=#000000> '''{{{#ffffff 상영 시간}}}''' ||119분 || ||<bgcolor=#000000> '''{{{#ffffff 제작비}}}''' || || ||<bgcolor=#000000>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2,440,517''' ([[2018년]] [[1월 28일]]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intl/?page=&wk=2018W4&id=_fTHECRIMESTHATBIN01|기준]]) || ||<bgcolor=#000000>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미개봉 || ||<bgcolor=#000000>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601명 || ||<bgcolor=#000000> '''{{{#ffffff 공식 홈페이지}}}''' ||[[http://inorinomaku-movie.jp/|홈페이지]] || ||<bgcolor=#00000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15세 관람가.png|width=60]]]]'''[[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 개요 == [[2018년]] 개봉한 [[일본 영화]]. [[히가시노 게이고]]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드라마 <[[신참자]]>의 2번째 극장판. 아베 히로시 주연 <신참자> 시리즈의 완결작으로 가가 교이치로가 닌교초에 오게 된 이유가 드러나게 된다고 한다. == 예고편 == [youtube(EBA2vHuiLoU)] == 시놉시스 == 방치된지 오래돼서 부패한 한 여성의 시신과 불타죽은 노숙자의 시신의 발견, 그리고 이 두사건과 가가 교이치로 어머니의 과거가 얽혀지며 과거의 비극이 서서히 풀려간다 == 등장인물 == * 가가 교이치로 - [[아베 히로시]] * 아사이 히로미 - [[마츠시마 나나코]] * 마츠미야 슈헤이 - [[미조바타 준페이]] * 카나모리 토키코 - 다나카 레나 * 아츠코 아사이 - 키무라 미도리코 * 야스오 미야모토 - 카라스마 세츠코 * 오오토 타쿠마 * 아사이 히로미(20세) - [[이이토요 마리에]] * 나카지마 히로코 * 아사이 히로미(14세) - [[사쿠라다 히요리]] * [[오이카와 미츠히로]] * [[코히나타 후미요]] * 타카마사 카가 - 야마자키 츠토무 * 유리코 타지마 - 이토 란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crimes_that_bind, tomato=없음, popcorn=없음)] [include(틀:평가/IMDb, code=tt7080138, user=7.1)]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crimes-that-bind,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48340,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1110, user=4.2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50651,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7040737, user=7.9)]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93rgl,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74771,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70860,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8725, expert=없음, user=7.4)] == 흥행 == === [[일본]] === ||<-5><table align=center><table width=85%><bgcolor=#bc002d>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width=20%> 2018년 3주차 ||<|2><width=5%> → ||<width=20%> '''2018년 4주차''' ||<|2><width=5%> → ||<width=20%> 2018년 5주차 || || [[지오스톰(영화)|지오스톰]] ||<bgcolor=#ffffff> '''기도의 막이 내릴 때''' || 기도의 막이 내릴 때 || ||<width=20%> 2018년 4주차 ||<|2><width=5%> → ||<width=20%> '''2018년 5주차''' ||<|2><width=5%> → ||<width=20%> 2018년 6주차 || || 기도의 막이 내릴 때 ||<bgcolor=#ffffff> '''기도의 막이 내릴 때''' || [[오늘 밤, 로맨스 극장에서]]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www.boxofficemojo.com/intl/japan/|박스오피스 모조]] || 개봉 첫 주에 1위를 차지하였다. 2주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 [[북미]] === 개봉 미정이다. === [[대한민국]] === [[2020년]] [[5월]] 14일에 개봉하여 601명에 그쳤다. === [[중국]] === [[http://www.cbooo.cn/m/674963|기도의 막이 내릴 때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9년]] [[4월 12일]] 개봉하였다. === [[영국]] === 개봉 미정이다. [[분류:일본 영화]][[분류:2018년 영화]][[분류:미스터리 영화]][[분류:스릴러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
rhksgh1804
파도고개로
[[분류:달서구의 도로]] [include(틀:달서구의 도로)] [목차] {{{+3 波濤고개路/padogogae-ro}}} == 개요 ==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도로. 성당시장 네거리에서 시작되어 내당역 앞에서 달구벌대로와 만나면서 끝나는 약 1.3km의 왕복 2차선 도로이다. == 특징 == 대구광역시에서는 아주 드물게 그나마 도심에서 고지대까지 올라가는 달동네를 완전히 가로지르는 도로다. [[대구 버스 달서4]], [[서구1]]이 파도고개로를 완전히 통과하고 [[대구 버스 653]]이 일부를 지나는데, 심한 고저차 덕에 스릴있는 버스를 경험 할 수 있다. 83타워와 매우 가까운데다 고지대여서 83타워와 두류동 일대 전경을 볼 수 있어서 일부 사진가들이 찾고 있다. 두류동 803-44 부근이 재개발 되기 전에는 “미로마을” 이라는 벽화마을이 있었는데, 꽤 많은 사람들이 찾았었다.
halfling,ranco111
보일우
#redirect 보이루
sky2271
고일우
#redirect 보이루
sky2271
보순이
#redirect 가조쿠
sky2271
N을 위하여
[[분류:일본 드라마]][[분류:2014년 드라마]]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0431B4,#010101><bgcolor=#FFFFFF,#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000000,#dddddd '''TBS 금요드라마[br]{{{+1 {{{#DF0174 N}}}을 위하여}}}''' (2014)[br]''{{{#DF0174 N}}}のために''}}} || ||<-3><bgcolor=#ffffff,#2d2f34>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N을 위하여.jpg|width=100%]]}}}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장르}}}''' ||순애 미스테리[* 제작진에서 붙인 장르 설명], 청춘 군상극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방송 기간}}}''' ||[[2014년]] [[10월 17일]] ~ [[2014년]] [[12월 19일]]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방송 횟수}}}''' ||10부작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제작}}}''' ||[[TBS 테레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width=45]]]]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채널}}}''' ||[[TBS 테레비|[[파일:TBS 테레비 로고.svg|width=45]]]]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연출}}}''' ||츠카하라 아유코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극본/원작}}}''' ||오쿠데라 사토코 [br] [[미나토 가나에]] 원작 ||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출연}}}''' ||'''[[에이쿠라 나나]]''', [[쿠보타 마사타카]], [[카쿠 켄토]], [[코이데 케이스케]], [[츄토리얼(오와라이)|토쿠이 요시미]], 코니시 마나미, [[미우라 토모카즈]] 등|| ||<-2><bgcolor=#A9BCF5,#010101>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https://www.tbs.co.jp/Nnotameni/|[[파일:홈페이지 아이콘.png|width=20]]]] [[https://twitter.com/n_notameni_tbs/|[[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TBS 테레비|TBS]]에서 [[2014년]]에 방송된 청춘 순애 미스테리 드라마이다. 소설가 [[미나토 가나에]]의 작품 N을 위하여를 원작으로 하나, 인물의 서사성을 위한 추가적 각색이 들어갔다. 당시 [[2013년]] 1분기에 같은 요일•시간대에서 방영되어 호평을 얻었던 미나토 가나에 소설 원작 드라마 야행관람차의 스탭진이 그대로 다시 모여 만드는 드라마로 화제를 모았다. 드라마는 크게 주인공 스기시타 노조미를 중심으로 한 청춘들의 아픔과 성장기, 극 중 2004년 12월 24일 벌어진 스카이 로즈 가든 48층에서의 살인 사건, 그리고 극 중 현재에 해당하는 2014년 정년을 맞이한 아오카게섬의 순경 타카노 시게루가 사건의 진상과 중심 인물들의 행방을 파헤치는 3가지 이야기를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 식으로 진행된다. 주인공 스기시타 노조미의 일생을 다루고 있기에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스토리라인을 아오카게섬편(~3화 중후반까지), 도쿄편(3화 후반부터~)으로 분리하여 총칭한다. 중요 인물들의 이름에 N이 들어가는 것 역시 큰 특징 중 하나로 그 의미는 스토리가 진행되며 드러난다. 로맨스와 미스테리 두 파트를 확실히 붙잡은 명작으로, 일본 현지에서 방영 이후 각종 상을 휩쓰는 등 큰 호평을 이끌어내었다. 한국 일드 팬덤층 내에서도 해당 작품은 꾸준히 추천작으로 언급되고 있고, 감독인 츠카하라 아유코가 해당 작품 이후에도 수작을 연달아 연출하고 있어[* 야행관람차, 리버스, [[언내추럴]], [[그랑 메종 도쿄]], [[MIU404]] 등 굵직한 작품들을 많이 연출하였다.] 이래저래 유명한 편. 청춘 군상극의 성격도 크지만 일단은 미스테리 드라마이므로, 되도록 작품에 대한 정보 없이 정주행하는 것이 권장되는 편이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고층 아파트에 사는 셀럽 부부 노구치 타카히로•나오코 부부가 살해되었다. 그 현장에 마침 있던 것은 "어떤 계획"을 세운 대학생 노조미, 나루세, 안도, 니시자키. 그 자리에서 니시자키가 체포되어, 자백해 유죄가 판결되었고,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그로부터 10년 후, 이 사건의 판결에 의심을 품은 전직 경찰관 타카노는 사건의 진상을 쫓기 시작한다. 이 사건은 15년 전 여름, [[세토내해]]에 떠있는 섬에서, 노조미와 나루세가 일으킨 "어떤 사건"에서 모든 것이 시작했다고 타카노는 확신하고 있다. > >'''「그들은 그 때, 죄를 범했다. 각각의 N을 위하여」''' > >등장인물들에게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이니셜「N」. >「N」들은 어떻게 만나, 누구를 사랑해, 어떤 죄를 범했는가. >-N을 위하여 공식 홈페이지에서 == 등장인물 == === 인물 관계도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관계도_아오카케섬편.jpg|width=100%]] || ||<bgcolor=#0431B4> {{{#ffffff ''' 인물 관계도 - 아오카케섬 편 ''' }}}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관계도_도쿄편.jpg|width=100%]] || ||<bgcolor=#0431B4> {{{#ffffff ''' 인물 관계도 - 도쿄 편 ''' }}} || === 주요 인물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스기시타 노조미 | 杉下希美 }}}'''}}}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스기시타노조미.jpg|width=100%]] || ||<bgcolor=#ffffff> '''에이쿠라 나나''' 분 || ||<bgcolor=#A9BCF5> 카가와현 아오카게섬 출신. [br] 섬에서 유수하고 부유한 가정에서, 자상한 부모, 남동생과 함께 남부럽지 않은 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고교 2학년 가을, 표변하여 애인을 집으로 데리고 온 아버지에 의해, 어머니, 남동생과 함께 집에서 쫓겨나고 만다. 정신불안정에 빠진 어머니에게 휘둘리면서도 동생과 힘들게 살아가기로 한다. 제대로 먹는 것도 곤란한 처지가 되었기 때문에, 냉장고에 대량의 음식을 미리 보관해두고 있지 않으면 안정되지 않는다. 부모의 일그러진 관계를 목격한 것으로 사랑은 믿을 만하지 않은 것이라고 배우게 되고, 자신의 힘만으로 인생을 열겠다고 결심했다. 마음을 허락한 것은 클래스메이트인 나루세 신지가 유일했다.[br]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의 대학에 진학. 빌딩 청소 아르바이트를 하고 학비나 생활비를 마련하면서, 낡은 아파트 들장미장에 사는 고생꾼. 어떤 일을 계기로, 들장미장의 거주자인 안도 노조미, 니시자키 마사토와 친해진다. [br] 22세의 겨울, 나루세와 니시자키와 함께「어떤 계획」을 세운 것으로 셀럽 부부 노구치 타카히로•나오코 살인 사건에 관련된다.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나루세 신지 | 成瀬慎司}}}'''}}}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나루세신지.jpg|width=100%]] || ||<bgcolor=#ffffff> '''쿠보타 마사타카''' 분 || ||<bgcolor=#A9BCF5> 카가와현 아오카게섬 출신으로 노조미의 고등학교 동급생. [br] 상냥하고 침착한 성격이지만, 고지식해서 무슨 일이든 겉돌기 쉬운 편. 섬에서 제일가는 요정 「잔물결{{{-2 사자나미}}}」의 외아들이지만 고교 시절 「잔물결」이 경영부진에 빠지고 누군가의 방화로 가게와 집이 소실되고 만다.[br] 진학도 위태로운 가운데 노조미의 도움으로 장학금을 받고 도쿄의 대학에 진학하는데.[br] 22세의 겨울, 노조미를 돕기 위해 「어떤 계획」에 관여하게 된다.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안도 노조미 | 安藤望}}}'''}}}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안도노조미.jpg|width=100%]] || ||<bgcolor=#ffffff> '''카쿠 켄토''' 분 || ||<bgcolor=#A9BCF5> 나가사키현 치하야섬 출신.[br] 일찍부터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넓은 세계에서 자신을 시험해보고 싶은 마음에 노력을 거듭한다. 들장미장에서 알게 된 노조미의 합리주의, 상승 지향에 자신과 비슷한 것을 느끼고, 장기를 배우거나 함께 스쿠버다이빙 면허를 따는 등 남매 같은 관계였지만...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니시자키 마사토 | 西崎真人}}}'''}}}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니시자키마사토.jpg|width=100%]] || ||<bgcolor=#ffffff> '''코이데 케이스케''' 분 || ||<bgcolor=#A9BCF5> 카나가와현 출신. 소설가 지망.[br] 어린 시절의 어떤 사건 이후, 불을 무서워하고 있다. 대학에는 재학 중이지만 대부분 들장미장의 자기 방에 틀어박혀 소설을 쓰고 있다. 타인과 엮이는 것보다는 소설 쓰기에 몰두해 왔지만, 노조미나 안도와의 만남을 통해 조금씩 바깥 세계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다. [br] 그러던 어느 날, 노구치 타카히로의 아내 나오코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나오코를 돕기 위해, 노조미, 신지와 함께「어떤 계획」을 세운다.[br] 노구치 타카히로 살해죄로 복역.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타카노 시게루 | 高野茂}}}'''}}}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타카노 시게루.jpg|width=100%]] || ||<bgcolor=#ffffff> '''미우라 토모카즈''' 분 || ||<bgcolor=#A9BCF5> 카가와현 아오카게섬 출신으로 섬 주재소에 근무하는 경찰관. 요정 「잔물결」이 불이 났을 때 부재중이었기 때문에 대신 현장에 달려온 아내가 연기에 휩싸여 버린다.[br] 시효를 내년에 앞두고 아직도 범인을 찾지 못한 「잔물결」 방화 사건을 해결하려 하고 있다. 방화범은 노조미거나 나루세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지만, 확증은 없다.[br] "타워 맨션 부부 살인 사건"의 현장에 노조미와 나루세가 있던 것을 알고, 관계자 한명한명에게 접근해 나간다.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노구치 타카히로 | 野口貴弘}}}'''}}}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노구치타카히로.jpg|width=100%]] || ||<bgcolor=#ffffff> '''토쿠이 요시미''' 분 || ||<bgcolor=#A9BCF5> 대기업 상사에 근무하며, 고층 타워 맨션·스카이 로즈 가든 48층에 아내와 사는 엘리트.[br] 자신감에 넘치고, 누구로부터도 존경받는 사회인으로서도 가정인으로서도 의지할 만한 존재였지만….[br] 「어떤 계획」의 당일, 나오코를 살해, 니시자키에게 구타당해 사망?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0431B4> {{{#ffffff '''{{{+2 노구치 나오코 | 野口奈央子}}}'''}}} || ||<bgcolor=#ffffff> [[파일:N을위하여_노구치나오코.jpg|width=100%]] || ||<bgcolor=#ffffff> '''코니시 마나미''' 분 || ||<bgcolor=#A9BCF5> 노구치의 아내. 전업주부. 가정적인 성격으로 사랑하는 타카히로를 위해 모든 것을 다해 지지해주고자 노력한다.[br] 남편과 함께 봉사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거기서 노조미를 만나 교류를 돈독히 해 나간다. 노조미의 집을 방문하는 사이에, 같은 아파트에 사는 니시자키와 친해진다.[br] 그러나, 니시자키와의 관계를 남편에게 들켜 버려, 생활이 일변해 간다. || == 주제가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431B4><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ow8vGHVegs, width=100%)]}}} || ||<bgcolor=#0431B4> {{{#ffffff '''주제가: [[이에이리 레오|{{{#ffffff 이에이리 레오}}}]] - {{{+1 ''Silly''}}}'''}}} || == 방영목록 및 시청률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431B4><rowbgcolor=#0431B4><width=10%> {{{#ffffff '''회차'''}}} ||<width=15%> {{{#ffffff '''방영일자'''}}} ||<width=60%> {{{#ffffff '''부제'''}}} ||<width=15%> {{{#ffffff '''시청률'''}}} || || '''제1화''' || [[2014년]] [[10월 17일]] ||<bgcolor=#e5e5e5> '''셀럽 부부 살인 사건...15년 전에 숨겨진 비밀[br](セレブ夫婦殺人事件…15年前に隠された秘密)''' || {{{#red '''11.7%'''}}} || || '''제2화''' || [[2014년]] [[10월 24일]] ||<bgcolor=#e5e5e5> '''방화 사건의 수수께끼...용서받지 못할 죄의 공유[br](放火事件の謎…許されない罪の共有)''' || 9.3% || || '''제3화''' || [[2014년]] [[10월 31일]] ||<bgcolor=#e5e5e5> '''반격 개시 무대는 도쿄에! 운명의 만남[br](反撃開始舞台は東京へ! 運命の出会い)''' || 9.9% || || '''제4화''' || [[2014년]] [[11월 7일]] ||<bgcolor=#e5e5e5> '''피해자 N과 만난 날...엇갈리는 두 사람[br](被害者Nと出会った日…すれ違う2人)''' || 8.4% || || '''제5화''' || [[2014년]] [[11월 14일]] ||<bgcolor=#e5e5e5> '''오키나와의 밤 새로운 사랑으로부터 톱니바퀴가 미쳐돌아간다[br](沖縄の夜新たな恋から歯車が狂い出す)''' || 10.0% || || '''제6화''' || [[2014년]] [[11월 21일]] ||<bgcolor=#e5e5e5> '''용서받지 못할 사랑...죄인들의 슬픈 고백[br](許されぬ愛…罪人たちの悲しい告白)''' || {{{#blue '''5.8%'''}}} || || '''제7화''' || [[2014년]] [[11월 28일]] ||<bgcolor=#e5e5e5> '''이야기되는 사건의 비극...일그러진 사랑의 대상[br](語られる事件の悲劇…歪んだ愛の代償)''' || 8.3% || || '''제8화''' || [[2014년]] [[12월 5일]] ||<bgcolor=#e5e5e5> '''엘리트 남편의 거짓말과 함정...불에 사라진 진실[br](エリート夫の嘘と罠…炎に消えた真実)''' || 9.0% || || '''제9화''' || [[2014년]] [[12월 12일]] ||<bgcolor=#e5e5e5> '''최종장~전편~오늘 밤 사건의 막이 열린다![br](最終章〜前編〜今夜事件の幕が開く!)''' || 8.2% || || '''제10화''' || [[2014년]] [[12월 19일]] ||<bgcolor=#e5e5e5> '''밝혀지는 사건의 진실...N들의 미래[br](明かされる事件の真実…N達の未来)''' || 8.7% || == 평가 == 따뜻하고 서글픈 청춘들의 빛나는 성장기와 주요 사건을 통한 미스테리 양쪽을 동시에 잡아내며 큰 호평을 얻었다. 영상화에 맞게 각색해 추가해 넣은 부분 역시 좋게 작용하였고, 원작과는 별개로 드라마 자체로도 충분히 좋은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제작진이 공언한, 순애 미스테리라는 장르에 걸맞는 드라마. 시청자들로부터 이어진 호평이 그대로 반영되어, 제 83회 더 텔레비전 드라마 아카데미상에서 최우수작품상, 남우조연상, 드라마송상, 감독상 4부문에서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한다. 또한 여우주연상 종합 2위, 각본상 종합 3위로 거의 전 부문에서의 평가가 좋았다.[[https://thetv.jp/feature/drama-academy/83/awards/|공식 수상결과 페이지]] 총평으로는 "출연한 젊은 배우 전원이 좋았다. 미스테리라기보다는 청춘의 서글픔이 확 다가오는 드라마였다.", "독특한 색채, 음악과의 매칭,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캐릭터, 역시 '야행관람차(2013) 팀! 이란 느낌이었다." 등이 있다. 또한 2014년 12월도 월간 갤럭시상을 드라마 "미안해, 청춘"과 함께 공동 수상하였다. 대본, 연출, 배우가 모두 높게 평가받으며 드라마 전체가 훌륭함을 다시 한 번 증명받았다.[[https://www.google.com/amp/s/dogatch.jp/news/tbs/30977/amp/|공식 기사]] >'''공식 월간 갤럭시상 수상 이유 코멘트[* 전체 내용을 아우르는 총평이므로 해당 문서에서는 한 번 접어두기로 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복잡한 전개였지만, 짜릿한 수수께끼 풀기는 지겨운 일 없이 마지막회까지 보는 쪽을 이끌었다. 미나토 가나에의 원작에는 없는 등장인물을 내어 드라마 독자적인 이야기나 템포 좋은 리얼한 연출, 에이쿠라 나나의 호연으로 "보여주는" 드라마로 완성되어 있었다.[* 소설 원작인데도 불구하고 그와 별개로 보여주는 영상물로서 오리지널리티, 퀄리티가 높았다는 것을 말한다.] >과거나 지역의 질척거리는 굴레를 보여주면서 사람의 행복을 생각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3개의 시간축을 복잡하지 않게 나누어 그려, 게다가 캐릭터의 심정이 제대로 전해져 오는 각본. 그것을 완수해낸 배우들. 더욱 세심한 연출과 영상의 아름다움. 모든 게 잘 맞아떨어졌고 드라마로서 퀄리티가 아주 높았다. }}} >'''프로듀서 아라이 준코 코멘트''' >미나토씨의 원작을 기초로, "연속드라마다운 연속드라마"를 의식해 작품 만들기를 실시했습니다. 복잡한 시대의 교착을 구성에 도입한 것도 도전이었습니다. 이 드라마는 제작진, 배우들이 한마음으로 아껴온 작품이에요. 그런 작품을 이렇게 평가해 주시니 기쁘네요. N을 위하여에 관련된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20.72.14.98
가이아(파이널 판타지 14)
[[분류:파이널 판타지 14/등장인물]] [[파일:가이아컨셉아트.jpg|width=70%]] [목차] == 개요 == [[파이널 판타지 14: 칠흑의 반역자]]의 등장인물. 창백한 피부, 스모키 화장에 검정색 옷까지 전형적인 [[고스]]계 캐릭터. 휴런 여성이다. 디자인적으로 [[린(파이널 판타지 14)|린]]과 정 반대인게 특징. 디자인은 [[노무라 테츠야]]가 맡았다. == 작중 행적 == === 희망의 낙원 [[에덴(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에덴]] === [include(틀:스포일러)] [[희망의 낙원 에덴: 각성편 2|각성편 2]]의 보스인 '보이드 워커(ヴォイドウォㅡカㅡ / Voidwalker)' 의 정체. 모험가에게 격퇴 당했지만 '빛에 쓰러질 수 없다'며 다시 공격하려다 린이 정체를 묻자 고통스러워 하며 쓰러진다. 본래는 돈 바우스리가 통치하던 율모어에 살던 소녀였으나 어느 순간 기억을 잃었다고 한다. 이름조차 기억이 나지 않지만 한 요정이 자신의 이름을 '가이아' 라고 해 가이아라고 하고 있는것. 위리앙제는 가이아의 정체를 린과 반대되는 '''어둠의 무녀(Oracle of Darkness)''' 일거라 추측한다. 이후에는 모험가 일행과 적대하지 않고 오히려 린과 친하게 지낸다. 머리가 아파 잠시 밖으로 나갔을때 갑자기 죄식자가 몰려오고 가이아는 정신을 잃고 만다. 이후 몰려온 죄식자를 쓰러트린 이후에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점점 무의식속으로 사라질려고 할때 린이 울면서 계속 부르자 정신을 차린다. [[희망의 낙원 에덴: 공명편 4|공명편 4]]에선 빛의 힘이 넘쳐 폭주하는 린을 어둠의 힘과 지연술로 막는 도움을 준다. ==== 정체 ==== 진정한 정체는 [[아씨엔]]의 윤회자인 '''초월자 알로그리프'''였다. 본래 제1세계에서 징악의 신관 미트론과 함께 아르버트 일행을 상대했으나 죽어버리고[* 반면 미트론은 빛의 일격에 영혼의 상처를 입고 폭주, '''최초의 죄식자 에덴'''으로 변이한 채 죽지도 못하고 맛이 가버렸다.] 세월이 지나 환생한 존재가 바로 가이아였던 것. 재생편에서는 다시 부활한 미트론에게 강제로 아씨엔 프라임으로 합체당하고, 에덴 레이드의 최종보스인 '''프로미스 오브 에덴'''으로 변모한다. 그와 동시에 알로그리프의 기억이 깨워지는 동시에 린과 함께 했던 추억은 지워질 위기에 처한다. 이에 모험가는 기억이 지워지는 걸 저지해가며 프로미스 오브 에덴을 쓰러뜨리고, 결국 가이아는 과거의 알로그리프가 아닌 지금의 가이아로서 살아가겠다고 선언하며 다시 린의 곁으로 돌아온다. [[메데타시 메데타시]] 반면 영웅 난이도로 해당 보스전을 도전할 경우, 가이아는 본편과 반대로 고대인으로서의 과거를 선택, 미트론이 소멸한 이후에도 '''어둠의 무녀 알로그리프'''로 각성해 진 최종보스로 등극하는 if 전개를 보여준다. 이 때의 BGM과 사용기술들을 보면 명백히 파판8의 최종보스인 '''[[얼티미시아]]'''의 오마주. == 기타 == * 상술했듯이 디자인은 [[노무라 테츠야]]가 맡았다. 요시다 P 왈 노무라씨는 굉장히 바쁜 사람이라 안될꺼 같았는데 흔쾌히 디자인 해줬다고. 디자인을 노무라에게 맡긴 이유는 [[파이널 판타지 11]]은 노무라의 디자인이 포함되어 있는데 14는 관련 디자인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노무라 테츠야는 가이아 외에도 희망의 낙원 에덴 관련 디자인에도 관여했다고 한다. * [[린(파이널 판타지 14)|린]]과 백합 커플링이 흥하는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파이널 판타지 14/등장인물, version=2195)]
masrsh
카린 베스타트
|||| [[파일:검머외 카린 베스타드.jpg|width=60%]] |||| || 연령 || 30대 중반(35~36)[* 캇트와 투기장 데이트를 하면서 자신보다 10살 더 어리다고 말했다.] || || 직업 || 기사 → 용병 → 이스반트 검사 길드장→ 무직(은퇴)[* 다만 무직이라고 치기에는 캇트와 함께 다니면서 상당히 많은 팔라딘 업무에 조력한지라 '팔라딘 직속 부대원'이라고 해도 억지는 아니다.] → 차기 베스타트 후작 || || 종족 || 인간 || || 거주지 || 수도 → 이스반트 → 수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의 등장인물. '''검술 스승이자 세 번째 아내.''' 등장순으로만 치면 두 번째 히로인이다. 수도의 명문 베스타트 후작가의 서녀. == 상세 == 이스반트의 검사 길드 '패럴 도그'의 길드장으로 Lv. 97. 검사 길드장으로서는 도시 내에서는 경비대도 최대한 편의를 봐주는 유지. 30대 중반이지만 노화가 거의 정지된 수준까지 억제될 정도의 대단한 실력자라 외견은 20살 정도의 미녀. 미모를 떠나 상당한 동안인지 캇트가 유독 10대 소녀처럼 어려보인다는 언급을 자주 한다. 다만 늘상 칼을 몸에서 떼어놓지 않는데다가 눈매도 날카롭고 용병 시절의 거친 말버릇이 베어있어 아름다운 미모에 비해 남자에게 인기가 없다고 한다.[* 캇트에게 말하기로는 자신이 아무리 귀족의 자부심 따위는 없다고 해도 자신을 천하다고 무시하는 귀족 금수저들이나, 망나니 용병들 따위에게 몸을 허락할 생각은 없었고, 괜찮다 싶은 사내들은 자기를 무서워하면 무서워했지 여자로 쳐다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수도의 명문인 베스타트 후작가의 서녀지만 어머니는 미르케샤에서 포로로 잡혀온 첩실이었기에 아무런 뒷배가 없어서 다른 처첩들의 괴롭힘과 베스타트 후작의 무관심 속에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왕실 기사단에 입대하는 엘리트 루트를 걸었지만 이마저도 차별당하자 열받아 그대로 용병생활을 하면서 분풀이를 하다가 이스반트의 검사길드를 차리고 자리잡은 별난 이력을 지녔다. == 성격 == 작중 인물답게 나사가 상당히 빠져있는데, 순혈 귀족과 유목민 여성 사이에서 나온 혼혈이라는 점으로 차별을 받고 살았다.[* 어머니는 미르케샤 출신 전쟁 포로였고 처첩중에선 유일하게 자식중에 아들이 없이 딸 하나뿐인지라 입지가 첩 중에서도 엄청나게 안좋았다고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검술을 연마해 엘리트 왕국기사단에도 입단했지만 나아지지 않았기에 그만두고 용병으로서 사람들을 썰어재끼면서 살인중독에 눈을 떴다.[* 클라우디도 적을 죽이는 걸 즐기기까지 하는 등 잔혹한 면모가 있지만, 살인 자체는 어디까지나 투쟁의 부산물로 여기는 데 반해 카린은 캇트를 가끔 볼 때마다 많이 죽인 것 같으니 성장했을 거라면서 살인 자체를 단련의 연마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본인의 모든 가르침이 결국 무언가를 죽이기 위한 것으로 귀결되며 의외로 반사회적인 기질도 강했다. 그래도 캇트를 통해 안식을 얻게되면서 비교적 너그러워졌고 다른 귀족들과 달리 차별하지 않고 아내들을 공평히 사랑해주는 모습에 푹 빠졌다.[* 그래도 나름 귀족으로서 살아왔기 때문에 일부다처 자체엔 큰 거부감은 아니었으나 자신을 '첩'이 아닌 세 번째 '처'로 받아준다는 말이 스트라이크 존이었다고 한다.] 말투도 꽤나 양아치스러운데, 이게 또 캇트랑 죽이 맞는다. 작가 왈, 한창 혈기왕성했던 용병 시절엔 '''캇트 따윈 상대도 안 되는 아가리 파이터'''였다고... 리즈티나에게 납치된 캇트를 구하면서 그 면모를 일부 보여줬는데, 산전수전 다 겪은 캇트마저 경악할 정도였다. 그래도 기사로 근무한 경험이 어디 가는 건 아닌지, 유부남이었던 캇트를 역강간한 이후 소식을 들은 다른 아내들에게 매우 정중한 말투를 취하며 용서를 빈 적도 있다. 한마디로 천성적으로 예의 차리기를 좋아하지 않을 뿐이지, 예법과 전통에 관해서는 상당히 잘 알고 경험도 충분하다. 스스로 말하는 걸 보면 과거에 대해 상당히 열받은 상태긴 하지만 그렇게까지 집착하지는 않는다. '''원한 있는 놈들도 지금 상태면 죄다 한칼에 모가지 딸 수 있는 놈들인데 그 따위 놈들 상대로 맨날 스트레스 쌓아봤자 의미없다.'''라는 듯. 실제로 베리알이 있던 던전에서 만난 과거 동료(?)[* 상술했듯이 카린은 그 당시 같은 소속인 기사들 전부와 사이가 나빴다. 심지어 기사단에 있을 당시만 해도 실력으로 따지면 평기사보다 2~3계급은 높아야 했는데 차별탓에 평기사에 머무르는 마당에 자신보다 아래인 애들이 먼저 승진해버리고 거기에 어그로까지 끌어대니 당연지사.] 여기사를 상대로는 주름을 가지고 놀린다던가 실력으로 압도하면서도 성질내기는 커녕 그냥 스트레스 해소 정도로나 써먹었다. 특이하게 관계를 하다 극도로 흥분하면 자기 자신을 3인칭으로 부르면서 존댓말을 하는 애교를 부린다. 이는 단순한 성욕이 센 것도 있겠지마는 한때 친부의 첩이 되었다가 외면받으면서 고된 세월을 보냈던 어머니를 알기 때문인 것이며 한때 캇트가 바빠서 찾아오지를 못하다 한 달이 지나서 찾아오자 "죽일 수밖에 없지. 사랑받지 못하는 건 참을 수 없다."라고 진지하게 대꾸해서 캇트를 긴장시키기도 했다. 즉 하렘에 아무 저항감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아내들이 몇이든지 사랑해줄 남편인 캇트이기에 하렘에 거부감이 없는 것이다.'''[* 위니아도 그렇지만 카린도 만일 자신이 캇트의 첫 여인이었다면 쉽게 하렘을 허락해주지는 않았을 거라고 한다.] == 행적 == [[김캇트]]가 무투가에게 두들겨 맞고 복수하기 위해 찾아간 검사 길드에서 만나게 된 검사 길드장이다. 원래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거기서의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여 근위기사단에 입단했다. 그러나 거기서도 결국 차별과 유리천장을 절절히 느꼈고 결국 계속해서 자신보다 못한 동기들보다 승진에서 밀려나자 다 때려치우고 용병으로 전향,[ * 기사단 시절에는 높은 직급까지 가지는 못했지만 그 재능과 사정은 나름 알려져 있었는지 마스터 나이트는 카린을 몰랐어도, 그 비서인 제너럴이나 치프틴 나이트들은 기억한다는 반응을 보인다.] 그곳에서 화풀이하듯 온갖 전투를 거치면서 재능을 개화시켜 적들에게 공포의 대상중 하나로 여겨졌다. 이후 한숨 돌리려는 의미로 이스반트에서 검술 수련장이나 차리는데, 다행히도 이게 나름 성질에 맞아서 꽤 오랫동안 해왔다고 한다.. 싹싹한 캇트를 길드원으로 받아 한두 달에 한 번씩 돈(5실버)을 받고 검술을 사사해준다. 마나를 각성한 거 같은데 다시 사용할 수 없다고 캇트가 문의하자 진짜 목을 베기 직전까지 몰아쳐서 억지로 마나를 뽑아내주기도 했다. 예의있는 듯 하면서도 은근 입이 가벼운 캇트와 친해져서 검술 수업 중에 자기 한맺힌 과거나 노처녀의 비애를 털어놓곤 하면서 친해졌고, 어느날 아내들의 스킨십에 욕구불만 상태였던 캇트의 자기위로를 보고 발정나서 감방에 가기 싫으면 눈앞에서 자위해보라며 협박한 끝에 서로를 반찬삼는 기괴한 이벤트를 거친다. 정황상 이때부터 캇트를 본격적으로 노린 모양. 결국 캇트를 구출하기 위해 무투가 길드장 리즈티나와 결투 이벤트 이후 자기를 부축해온 캇트를 역으로 덮치면서 관계를 가진다. 이대로 밤새도록 성관계를 한 후 클라우디에게 인정받아 세 번째 아내가 된다. 검술길드에서 숙식을 하고 살았기 때문에 한동안은 캇트 일행과 별거했었으나 캇트가 집을 새로 사면서 동시기에 하렘에 들어온 리샤와 같이 캇트 쪽으로 주거지를 옮겼다. 캇트와 맺어진 뒤 성욕이 엄청나게 늘었는지 캇트와 관계를 맺지 않는 날의 밤은 매일같이 [[자위|손장난]]으로 보냈다는 듯. 별거할 때는 캇트가 모험가 일을 하느라 오랫동안 찾아오지 않으면 욕구불만이 쌓여서 캇트가 뒤늦게 찾아올 때마다 폭발하고는 했다. 캇트가 팔라딘 제안을 받아 수도로 올라가게 생기자 길드를 팔아버리고 따라가기로 한다.[* 상술했듯이 길드에 애착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냥 일상을 보내는 겸 할 게 없어서 시작한 것이라 캇트보단 우선순위가 높지 않았다.] 캇트가 수도로 갈 때쯤에는 정예기사 못지않은 강자로 만들어주겠다면서 집중훈련을 시켜주고 있다. 캇트가 실전과 대련에서 보이는 실력의 차이에 의외라는 반응을 보인다. 본인과 대련할 당시는 경력 좀 쌓인, 기사로 치면 중상위 정도라고 평했지만 정작 실전에서는 카린이 평했던 수준으로는 절대 이길 수 없는 격상의 기사나 몬스터를 상대로도 밀리지 않고 압도적인 실력을 보이며 이기기도 했다. 이는 캇트가 극한상황에 몰릴수록, 투지같은 의미에서 흥분할수록 잠재된 실력이 솟아나오는 실전파이기 때문. 수도에서는 일가와 함께 대악마나 이계의 군주, 정령왕 등의 전설의 괴물 같은 존재들과 싸우면서 자신이 한때 원했던 검강의 경지에 이른 후에는 겪을 일이 없다고 생각한 목숨을 건 혈투를 벌이고 있다. 아내들 중 대외적인 얼굴로 활동하기도 하고[* 높은 직위까지는 가지 못했지만, 한때 기사단에서 불우한 천재로 복무한 시기가 있었던지라 일부 기사들은 카린의 이름을 듣자 "그녀라면 지금도 한가닥 하는 강자다"라며 납득하는 반응을 보여준다.] 여러모로 드러내기엔 껄끄러운 능력을 가진 아내들(힐데, 아리, 리샤)이나 마검 뷔갈에 시선이 가지 않게끔 하고 있다. 몇 번의 충돌 끝에 정리가 된 위니아의 벨라튜드 백작가나, 본래부터 절연한 것도 아니고 독립했을 뿐 평범하게 지낸다는 리즈티나의 라이벨벳 가문과는 달리 베스타트 후작가는 수도에서 등장하지 않았다가, 발키리 전투에서 주력으로 활약한 것으로 인해 왕가의 포상을 받게 되면서 가문과의 연결점이 다시 생겨났다. 그녀는 재수없게 가문 좋은 일 했다면서 짜증을 내는 중. 이 직후 가문에서 파티 초대장이 오자[* 편지 첫 마디부터 가증스럽게도 '''사랑하는 내 딸아'''라며 어그로를 끌어서 카린을 제대로 빡돌게 했다. 다만 이후 후작 스스로 밝힌 바에 의하면 가문 꼬라지가 너무 막나가다 보니까 카린을 이용해 극약처방 할 목적으로 '''일부러 어그로 끌리라고 넣었다'''고 한다.], '''캇트와 함께 가문을 박살내고 자기를 학대한 후작의 첩들에게 통쾌하게 복수를 했다.''' 이때 보인 광기는 캇트와 견주어도 밀리지 않는 수준. 그리고 후작의 자식중에선 제일 제대로 컸다며 후작에게 직접 '''후계자로 삼겠다.'''라는 선언과 함께 재산의 '9할(90%)'을 상속받게 되는데, 이걸 듣고도 기뻐하긴 커녕 '''나를 이용하려는 분충은 용서하지 않아요!!!'''라는 말과 함께 후작도 그대로 두들겨 팼다. 하지만 그렇게 얻어터지고도 다른 자식들보단 실력이든 인격 면이든 훨씬 낫다고 여긴 후작은 번복없이 카린을 작위와 재산의 후계자로 낙점, 다른 가문원들에게 수작부리지 말라 위협하고 나오다가 캇트에게 훗날 우리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저렇게 돼지 않았으면 한다고 대화를 하고 캇트가 자신은 아내와 자식들을 절대로 저런 꼴로 만들지 않겠다고 확언하자 얼굴을 붉힌다. == 실력 == '''일국 최강자에 비견되는 천재검사.''' 경험, 재능, 성품까지 전투에 최적화된 천부적인 강자. 약 900화대에 캇트가 각성하기 전까지는 그녀보다 확실하게 강한 인간은 소드마스터를 제외하면 단 한명도 없었다. 그나마 클라우디나 리즈티나만이 기습이나, 장비 같은 일정 조건이 맞춰줘야 대등 이상의 승부를 할 수 있다. 마나 자체는 가문의 비전을 통해 개화했고, 엘리트 왕국 기사단에서 수련을 받았지만 카린 스스로는 용병 시절에 자포자기하듯이 전선 최전방에서 사투를 벌이며 더욱 강해졌다고 언급한다. 그런데 카린의 언급으로는 기사단을 그만둘 시기엔 이미 서너 번째 직급인 치프틴에서 제너럴 사이는 되는 실력을 가졌다고 회상한다. 이 시기엔 많이 쳐도 20대 중반이었을 테니 용병 전직 이전부터 어마어마한 천재였던 셈이다. 현재로선 검기 이상의 단계인 검강을 사용하는 실력자로 실력만 보면 리즈티나보단 약간 더 높은 수준이고 클라우디와는 비슷한 수준[* 본인이나 클라우디가 스스로 밝히듯이 마나량 자체는 클라우디가 압도적으로 적지만 공격속도와 순간적인 폭발력은 클라우디가 우위다. 정령왕 전투에서 클라우디는 겨우 10초만에 마나가 다했지만 카린의 일격을 버텨낸 정령왕의 현신체를 반 죽여놓았다.]. 왕국 최강자인 소드 마스터 아랫 단계인 마스터 나이트 3명을 혼자서 썰어버리는 굉장한 수준의 전사이다. 용병짓에 질리거나 한 것도 더 이상 전장에서도 적수를 찾기 어려워질 만큼 강해져버려서 그랬기에 자신의 목숨을 위협할만한 강적을 만나서 사투를 벌이고 싶다는 욕망도 있다. 문제는 카린이 그 정도 호승심을 느낄 정도의 인물이 공직자로 있다면 보통 그런 인물이 나설 장소는 한낱 싸움터가 아니라 '''전쟁터 최전방'''이라는게 문제. 전장에서 보이는 모습은 전형적인 딜탱러. 마나량이 많은지 갑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직격에 당해 튕겨나도 큰 부상은 없이 싸움을 계속한다. 캇트는 검기를 띄고 거대한 적을 일격에 자빠뜨리는 모습을 보고 인간 공성병기라고 했을 정도이며 재앙급 몬스터들 이상 상대로는 주력으로 전면에서 활약한다. 캇트 정도의 숙련기사라도 평소에는 마나만 쓰다가 오러는 결정적인 순간에 시전하는데, 카린은 전투중에는 기본상태가 옅은 오러를 띄고, 좀 크거나 강하다 싶은 적을 상대할때만 오러가 불타오르는 것처럼 진해진다. 이것이 검염으로 파괴력도 굉장해서 마스터나이트조차 뚫지 못했다는 정령왕의 결계를 파괴했다. == 여담 == * 신체특징으로 [[유륜]]이 크다[* 그래도 작중 서술을 보면 엄청난 빅파이 정도는 아니고 평범하게 큰 수준. 캇트 왈 신체 내구력이 좋아서인지 그렇게 잡아뜯었는데도 아름다운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고.]. 본인도 꽤 신경쓰는 듯. 라이벌인 리즈티나에게는 틈만 나면 어그로를 끈다. 한 가족이 된 이후론 좀 완화됐지만, 여전히 티격태격하는 편. 다른 건 몰라도 수도부심이나 캇트에 관련해 놀리는 것은 가불기. 서로가 상당히 대조적인 인물군상이라 묘한 느낌을 받는 모양이다. * 여담으로 이세계 검머외 공식일러 중에선 최초로 그려진 일러스트의 주인공이다. 일러스트 작가인 '폿츈'은 이전에도 카린과 캇트 팬아트를 그리기도 했는데 이를 보고 김갈비뼈 작가가 직접 외주로 의뢰한 것.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등장인물, version=199)] [[분류: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
lr11,121.154.11.111
통영 버스 653
[include(틀:통영시 시내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tablewidth=100%><bgcolor=#00AC6C><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C6C> [[파일:통영시 CI_White.svg|width=17]] {{{#ffffff 통영시 시내버스 653번}}} || ||<-2><:>기점||<width=35%><:>경상남도 통영시 서호동 (서호시장)||<-2><:>종점||<width=35%><:>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성포)|| ||<|2><width=6%><:>종점행||<width=9%><:>첫차||<:>07:00||<|2><width=6%><:>기점행||<width=9%><:>첫차||<:>06:20|| ||<:>막차||<:>13:25||<:>막차||<:>17:40|| ||<:><-2>평일배차||<:>1일 6회(기점 방향), 1일 5회(종점 방향)||<:><-2>주말배차||<:>1일 4회(기점 방향), 1일 3회(종점 방향)|| ||<-2><:>운수사명||<-4><:>[[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2><:>노선||<-4><:>서호시장 - 중앙시장 - 토성고개 - 북신오거리 - 북신시장 - 수아지오 - 미늘고개 - 청구아파트 - 용남면사무소 - 오촌마을 - 죽촌마을입구 - 충렬여중고 - 신촌마을 - 오량마을 - 지석마을 - 사등면사무소 - 성포|| ||<-6><tablewidth=100%><bgcolor=#00AC6C><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C6C> [[파일:통영시 CI_White.svg|width=17]] {{{#ffffff 통영시 시내버스 953번}}} || ||<-2><:>기점||<width=35%><:>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성포리(성포)||<-2><:>종점||<width=35%><:>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죽림리(시외터미널)|| ||<|2><width=6%><:>종점행||<width=9%><:>첫차||<:>18:20||<|2><width=6%><:>기점행||<width=9%><:>첫차||<:>-|| ||<:>막차||<:>18:20||<:>막차||<:>-|| ||<:><-2>평일배차||<:>1일 1회||<:><-2>주말배차||<:>1일 1회|| ||<-2><:>운수사명||<-4><:>[[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2><:>노선||<-4><:>성포 - 사등면사무소 - 지석마을 - 오량마을 - 신촌마을 - 충렬여중고 - 죽촌마을입구 - 오촌마을 - 용남면사무소 - 미늘고개 - 무전동주민센터 - 통영시보건소 - 디지털프라자 - 원문마을 - 향교마을입구 - 통영경찰서 - 시외터미널|| == 개요 == [[통영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 역사 == * 이 노선의 전신은 56번하고 59번 노선이였다. * [[2010년]] [[1월 1일]] 개편때 이 두 노선과 합쳐져서 지금의 노선으로 변경했다. * [[2017년]] [[5월 1일]]에 기점행하고 종점행이 7회에서 6회로, 7회에서 5회로, 각각 1, 2회 감회되었으며, 종점행 막차가 18:20분에서 13:25분으로 4시간 55분 단축되었다. 주말배차도 좀 변화가 있었는데, 기점행하고 종점행이 5회에서 4회로, 5회에서 3회로 감화되었으며, 기점행 막차가 17:50분에서 17:45분으로 5분 단축되었으며, 종점행 막차도 18:20분에서 13:25분으로 4시간 55분 단축되었다. 그래서 18:20분 차는 공차가 되었다. * [[2019년]] [[7월 4일]]에 900번대 노선의 개통으로 인해, 18:20분 공차가 953번으로 개통하였다. 운행업체는 똑같이 [[신흥여객(경남)|신흥여객]]. == 특징 == * 이 노선은 거제대교로 가지 않는 노선이니, 만약 거제대교에서 [[거제시 시내버스]]를 탈려면 [[통영 버스 100|100번]]이나 같은 600번대인 [[통영 버스 650|650번]]을 타는 걸 추천한다. * 이 노선은 600번대에서 최장의 길이를 자랑하고 있다. * 이 노선의 종점인 성포에서 [[거제시 시내버스]]를 탈 수 있는 노선은 [[거제 버스 40|40-2번]]하고 [[거제 버스 40|40-3번]], [[거제 버스 43|43번]], [[거제 버스 43|43-1번]]을 탈 수 있다. === 노선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ac6c><#00ac6c> [[파일:통영시 CI_White.svg|width=17]] {{{#ffffff 통영시 시내버스 653번}}} || ||<^|1><height=32><#ffffff,#1f2023>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50%><-2><bgcolor=#ddd,#383b40> [[중앙로(통영)|{{{#353535,#eee '''중앙로'''}}}]] || || {{{-2 서호시장 ▼}}}||<|3><bgcolor=#ddd,#383b40>[[중앙로(통영)|{{{#353535,#eee '''중앙로'''}}}]] || ||<bgcolor=#ddd,#383b40> {{{#353535,#eee '''새터길'''}}}|| || {{{-2 문화마당 ▼}}}|| ||<-2><bgcolor=#ddd,#383b40> [[중앙로(통영)|{{{#353535,#eee '''중앙로'''}}}]] || || {{{-2 통영축협 ▼}}}||{{{-2 ▲ 북신시장}}} || ||<-2><bgcolor=#ddd,#383b40> [[안개로|{{{#353535,#eee '''안개로'''}}}]] || || {{{-2 대성암 ▼}}}||{{{-2 ▲ 아울렛줌}}} || ||<|6><bgcolor=#ddd,#383b40> [[남해안대로|{{{#353535,#eee '''남해안대로'''}}}]]||<bgcolor=#ddd,#383b40>{{{#353535,#eee '''안개4길'''}}} || ||{{{-2 ▲ 무전동주민센터}}} || ||<bgcolor=#ddd,#383b40>{{{#353535,#eee '''미나리길'''}}} || ||{{{-2 ▲ 무전골프장}}} || ||<bgcolor=#ddd,#383b40>[[통영해안로|{{{#353535,#eee '''통영해안로'''}}}]] || ||{{{-2 ▲ 미늘고개}}} || ||<-2><bgcolor=#ddd,#383b40> [[남해안대로|{{{#353535,#eee '''남해안대로'''}}}]] || || {{{-2 ▼}}}||{{{-2 ▲ 미진이지비아}}} || ||<-2><bgcolor=#ddd,#383b40> [[기호로|{{{#353535,#eee '''기호로'''}}}]] || || {{{-2 용남면사무소 ▼}}}||{{{-2 ▲}}} || ||<-2><bgcolor=#ddd,#383b40> {{{#353535,#eee '''달포큰길'''}}} || || {{{-2 삼화삼거리 ▼}}}||{{{-2 ▲ 용남면사무소}}} || ||<-2><bgcolor=#ddd,#383b40> [[남해안대로|{{{#353535,#eee '''남해안대로'''}}}]] || || {{{-2 죽촌마을입구 ▼}}}||{{{-2 ▲ 적촌마을}}} || ||<-2><bgcolor=#ddd,#383b40> [[견내량로|{{{#353535,#eee '''견내량로'''}}}]] || || {{{-2 오량초등학교 ▼}}}||{{{-2 ▲ 신촌마을}}} || ||<-2><bgcolor=#ddd,#383b40> [[남해안대로|{{{#353535,#eee '''남해안대로'''}}}]] || || {{{-2 오량마을 ▼}}}||{{{-2 ▲ 지석교}}} || ||<-2><bgcolor=#ddd,#383b40> {{{#353535,#eee '''성포로'''}}} || || {{{-2 성포 ▼}}}||{{{-2 ▲ 사등면사무소}}} || ||<-2><bgcolor=#ddd,#383b40> {{{#353535,#eee '''성포로'''}}} || }}}}}}}}} || ||<#00ac6c> ||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 통영시의 시내버스]] [[분류: 2019년 개업한 버스 노선]]
jjhwblx11
통영 버스 953
#redirect 통영 버스 653
jjhwblx11
북부정류장
#redirect 대구북부정류장
220.89.23.51
리즈티나 라이벨벳
[[분류: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 |||| [[파일:리즈티나.jpg|width=60%]] |||| || 연령 || 30대 초반 || || 직업 || 이스반트 무투가 길드장 → 무투가, 팔라딘 직속 부대원(?) || || 종족 || 인간 || || 거주지 || 이스반트 → 카르가 수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의 등장인물. 다섯번째 아내가 된 히로인이다. [[치파오]]와 비슷한 복장을 입고 푸른 생머리를 한 장신거유의 미녀. == 상세 == 이스반트의 무투가 길드장. 카린의 검사 길드와 대립하는 무투가 길드장이며 꽤 오랜 기간 질긴 연을 이어온 지인이라고 한다. 카린과는 견원지간. 서로 언제부터 알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카린의 용병시절을 언급하는 걸 보면 둘 다 한창 사람 죽이고 다닐 때 만났던 듯하다. 양쪽이 출신도 분야도 성격도 상극인데다 장사 문제도 걸려있어서 서로 보기만 해도 치열하게 신경전을 벌였다. 리즈티나는 귀족집안에서 가문의 지원을 전폭적으로 받으며 자랐지만 지방귀족이었고, 카린은 수도의 명문가 출신이지만 천출이라 대우를 거의 받지 못했다. 그로 인해 형성된 인격도 극명하게 대비되는데, 리즈티나는 용병 출신에 성격이 거친 카린을 천박하다고 여겼으며, 카린은 리즈티나를 고상한 척하는 촌년 취급했다. 또 세계관 상 무투가와 검사는 전사 계열 직업군을 양분하는 라이벌이기도 하고. 과거 기술 연마를 위해 영지의 몬스터와 범죄자들을 때려 죽이던 여걸이고 가문에서 상단 경영을 포함한 엘리트 교육도 잘 받고 재능도 있어서 사업 수완도 좋다고 한다.[* 꽤 널널하게 운영되던 카린의 검사 길드와 달리, 무투가 길드는 리즈티나의 열화시킨 심법을 기반으로 한 다단계 운영으로 길드원들을 불린 후 그 중 마나를 깨우친 소수를 사범으로 삼음으로써 조폭을 방불케 할 정도로 엄격한 위계질서를 세웠다. 이같이 철저한 조직관리에 할인행사 같은 상술까지 동원함으로서 길드원들을 쓸어모았고, 그 결과 이스반트 모험가는 무투가들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거기다 심법 유출자 처형이나 캇트를 조지려 든 건에서 알 수 있듯이, 영업상 손해가 발생할 조짐이 보이면 몸소 나서서 일을 해결했다. 수단엔 문제가 있었지만 확실히 경영자로서 유능한 인물.] 덕분에 캇트 가족의 재정 및 법률 관련한 일을 전담해서 처리한다. 작중 언급을 보면 수십 골드의 저택도 가볍게 살 정도로 아내들 중에선 제일 갑부.[* 일단 모험가로 먹고살며 캇트와 지갑을 공유하는 클라우디, 위니아와는 비교를 불허하고 문하생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보니 카린보다도 돈이 많다. 리샤는 [[마약|수입원]] 특성상 이를 숨기기 때문에 보유자산이 잘 밝혀지지 않아서 불명확하지만 영생교 사건에서 수입원이 곤란해져서 자금문제가 좀 있다한걸 보면 생각보단 많지 않은 모양. 힘을 회복하기 위한 연구에 쓰는 비용도 있고.] == 성격 == 다른 히로인들에 비해 리샤처럼 본인의 실력과 지위에 맞는 체면을 차리려는 성격이지만, 캇트가 밀어붙이면 얼굴을 붉히면 순종하는 성격이다. 귀족인 만큼 겉으론 존댓말에 우아한 자태를 취하지만, 그 이면에 카린 못지 않게 전투와 살육으로 단련된 연쇄살인마적 본성을 감춘 인물. 그런만큼 열받으면 거침없이 쌍욕과 반말을 사용하는 여걸. 카린과 싸울 때마다 그 진면목을 알 수 있는데, 캇트 납치 건 때 카린과 벌인 결투는 '''검머외 희대의 섹드립 배틀이기도 했으며, 입담 거친 캇트조차도 그 수위에 경악했을 정도였다.''' 재력을 과시하는 성향이 있어서, 무투가 길드의 시설은 검사 길드보다 압도적으로 규모가 컸으며, 취향도 여러모로 고급스럽다. 변방 출신으로서 화려한 수도 생활을 무척 선망해온 영향이 큰 듯. 평소에는 고귀한 아가씨인 척 해서 그런지 무투가 길드에는 그녀를 짝사랑하던 팬들이 백 단위로 있었고, 그녀가 결혼해 떠나는 걸 알고 서럽게 울었다고. 또한 약간이지만 '''동성애''' 경향이 있다. 아리의 해독실험을 위한 카린과의 키스를 의미심장하게 쳐다보는 모습으로 확인사살. == 행적 == 카린의 언급으로 몇 번 언급되다가[* 대표적으로 저 쪽에서 지나치게 파격적으로 할인 행사를 벌이는 바람에 수련생 후보자들이 죄다 저쪽으로 가버려 지갑사정이 궁핍해졌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캇트에 의해 불붙은 검사들 Vs. 무투가들 에피소드에서 직접 등장한다. 작중 설정에 따르면 노화가 정지한 수준에 다다라 소녀처럼 보인단 것 자체가 이미 일국에서도 꼽히는 실력자가 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작중에선 무투가 길드 Vs .검사 길드의 난투전 이후 다시 캇트가 D급 승급전 때 만난 여성 무투가 세르카를 보고 눈돌아가며 행패를 부리자 '''직접''' 나서서 그를 납치한다. 이후 캇트의 발악섞인 성토끝에 대략적인 진실은 파악하지만 이미 본인까지 나선 이상 명예문제[* 정확히는 검사한테 체술로 깨졌단 소리가 나면 입문생이 안와서 '''지갑이 궁핍해진다'''라는게 이유(...)]라며 그를 적당히 곤죽으로 만든뒤 풀어주겠다며 사범들 전부와 '''체술로''' 순서대로 싸우게 만든다. 다만 본인의 생각과 달리 참여를 포기한 마리엘을 뺀 하급 사범 전부가 털리고 말빨[* 마침 도장에 있던 중급 사범은 둘 뿐이었는데 캇트가 도발하면서 상황을 유도해 중급 사범 한 명은 자발적으로 물러나게 만들었다.]로 중급 사범까지 정리되자 결국 유일한 상급 사범인 리제트까지 데려오고 이때서야 리제트가 캇트를 줘패는걸 보고 즐기다가[* 캇트의 언급으로는 본인이 완전한 상황이었다면 열세이긴 해도 어느정도 대등한 싸움을 해 볼수는 있었겠지만 마리엘의 방해(...)탓에 중급 사범과 겨룰 때 마나를 과도하게 써버려 여유가 없어졌고 이 때문에 조급하게 나서다가 수를 다 읽혀버려 밀렸다.] 뒤늦게 납치극을 듣고 무투가 길드를 습격한 카린과 교전, ~~캇트에게 아랫도리를 맨살 그대로 보여주는~~[* 그 와중에도 캇트는 열심히 감상했다(...) 그래놓고 이후에 카린의 반나체 모습이 더 꼴렸다고 말했던 것이 백미.]격전 끝에 패배한다.[* 물론 실력적으로 밀린다는 언급이 있었지만, 윗옷이 날아갔음에도 당당하게 가슴을 드러낸 카린과 달리 아랫도리를 가리느라 남은 한 손으로만 전투를 지속해야 하는 페널티가 있었다.] 이듬해에 캇트가 리제트와 빈민가 수금이라도 할까 싶어 무투가 길드를 찾아오자 그를 강제로 길드장 사무실에 호출한 후, 자신의 아랫도리를 본 대가로 캇트의 아랫도리도 보여줘야 한다는 억지를 부렸고, 캇트는 어처구니 없어하다가 리즈티나의 밑도 끝도 없는 강짜에 열받은 나머지 그 미친 요구를 그대로 들어주었다....--보여달라고 한 쪽이나 보여준 쪽이나 다 정상이 아니다--[* 이 같이 경우없는 요구를 한 것은 여자로서 소중한 부분을 보여버려서 느낀 굴욕감과 노처녀로 살아오며 억눌린 성욕이 폭발한 결과였던 듯. 캇트와 찻집에서 만날 때 성욕 때문에 제정신이 아니었던 것 같았다고 사과했다. 서로 성기를 보았다는 점에서 라이벌 카린이 캇트와 맞딸을 쳤던 경우와 유사한 점이 있다.] 이때 캇트가 카린의 이름을 스스럼없이 부르는 것을 보고 추궁하다가 카린이 캇트에 의해 노처녀를 졸업했다는 걸 듣고 경악한다. 아무튼 이 날을 계기로 캇트--의 대물--에게 반한 듯하며, 이후 다시 만났을 땐 캇트를 찻집에서 대접해주면서 사과도 하고 그냥 이름으로 불러도 된다고 하는 등 호감을 표했다. 그러던 어느 날 캇트와 데이트를 나온 카린이 리즈티나를 발견하고 남편 자랑을 빙자한 어그로를 끌었고, 리즈티나 또한 입씨름에 지기 싫은 나머지 자기도 캇트의 대물을 봤다고 폭로해버린다. 그 결과 빡친 카린이 난장판을 벌인 끝에 캇트를 보면 발정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카린 曰, 캇트를 볼때마다 '''암캐''' 같은 표정을 짓고 있다고....] 그것도 모자라 또 캇트에게 [[보지|소중한 곳]]을 노골적으로 보여지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본인 입장에선 매우 수치스러운 일이었던지라 눈물까지 보이면서 뛰쳐나갔고--그 와중에 카린에게 당한 몰골을 감추라고 준 셔츠는 챙겨나갔다--,[* 이건 아니다 싶었던 캇트도 최대한 위로함으로서 진정시켜주려 했지만 카린이 또 자극해버리는 바람에--어 이년 또 암캐 같은 표정짓는다-- fail. ] 이 만행은 빼도박도 못할 캇트 측의 책임인지라 캇트가 사과하러 찾아갔다--정작 당사자인 카린은 미안함은 느꼈지만 쪽팔린다고 가지 않았다. 캇트에게 따먹는 걸로 해결해버리라는 건 덤--. 캇트는 가급적 말로만 해결하려 했으나, 당한 게 있는만큼 캇트에게 격렬히 분노를 쏟아내다가 자기를 책임질 것을 주장했고, 이를 들어주기로 한 캇트가 결국 '''먼저''' 나서서[* 이때까지 아내들 중에선 '''최초'''로 처음부터 캇트의 의지로 안은 여자다. 심지어 클라우디조차 중간엔 캇트도 진심이었지만 시작은 분명 강간이었다. 다만 이것도 순수하게 캇트가 반해서 그렇진 않았고 카린과 결투중 그에게 아랫도리를 맨살 그대로 보여준 적이 있었기 때문에 '남자에게 이미 맨살을 보였으니 그 사람에게 시집가거나 아니면 평생 노처녀로 순결을 지켜야한다.'라는 땡깡을 부려댄 탓에 캇트 쪽에서 책임질 겸 받아들인 것.] 관계를 맺어준 덕분에 카린에 이어 노처녀를 졸업했다. 이쪽도 카린처럼 현지처 포지션이었다가 캇트가 수도로 올라가게 되자 길드를 리제트에게 맡긴 뒤 그 외 재산을 전부 정리해 캇트와 같이 상경했다. 캇트의 아내가 된 이후 한창 이것저것 배우며 강해지려고 하던 캇트에게 적의 내부를 파괴하는 내가중수법을 전수해줬는데, 무도가로서 캇트의 재능은 인정해도 몇 달은 걸릴 줄 알았음에도 데스웜과의 사투에서 바로 성공시키자 경악한다. 다만 카린과의 갈등이 [[김캇트|훌륭한 남편감]]을 찾아서 노처녀를 탈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 아이러니. 하도 만나기만 하면 치고받는지라 캇트가 3P를 비롯한 노력으로 둘의 사이를 완화시켜려 노력했고, 실제로 현 시점에서는 적당히 티격태격하는 편. 카린보다 몇 살 아래의 연하로 카린의 평에 의하면 순수 실력만 놓고 봤을땐 카린이 위지만 템빨[* 다른 무투가들과 달리 양손에 각각 다섯 개의 손톱이 달린 클로를 끼고 있는데 이 클로 각각에서 오라를 날릴수 있다고 한다. 즉 카린이 칼 한 번에 오라 한 번을 날릴때 이쪽은 팔을 두 번 휘두르는 것만으로 오라가 최대 열 번 날아가는 셈.] 때문에 서로 비슷한 수준.[* 작중에서도 카린이 이기긴 했지만 그럼에도 만신창이가 돼서 캇트에게 부축받아야 했을 정도였다. 애초에 일단 오라를 쓸 수 있다는 것부터가 상당한 실력자이기도 하고 오라가 많이 날라가는 것도 꽁으로 되는게 아니니 그걸 운용하는 것도 나름 실력인 셈.] 발키리 전투에서도 카린과 캇트와 함께 메인 딜러 겸 탱커로 활약했고 발키리의 마법에 공중에서 버티지는 못했지만 큰 부상은 입지 않고 상당한 타격을 입혔고 카르가 왕실의 포상을 받게 된다. == 전투력 == '''카린, 클라우디와 비등한 일류 전사.''' 카린처럼 회춘의 경지에 이르러, 노화가 멈춘 수준의 강자. 카린이 마스터나이트를 압도하는 강자이니 리즈티나 역시 그 이상의 실력자로 볼 수 있다. 상대가 괴수들이다 보니 보여준 적은 없지만 관절기나 페이크 같은 격투술에도 정통하다. 카린이 약간 우세하다고는 하지만 엇비슷한 수준의 전투력 보유자로, 카린이 한번 난전을 벌여 쓰러뜨린 적이 있기는 하지만 리즈티나가 쓰러질 때는 카린 역시 만신창이가 돼서 더는 전투를 벌일 수 없는 수준이었다. 검 외의 무기는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 적 없는 카린에 비해 리즈티나는 매우 귀한 물건이라는 특수한 클로를 장착하고 싸우며, 표지에 있는 철선도 사용할 줄 아는 등 체술과 병용하는 기타 무기술에도 정통한 듯 하다.[* 그렇다고 카린이 무투를 못한다는 것은 아니다. 캇트에게 광야혈옥수처럼 전투중에 간격을 노려 체술로 결정타를 먹이는 요령을 가르쳐준 것도 카린.] 또한 검사들은 할 수 없는 내가중수법 류의 마나 운용을 통한 내부파괴를 할 수 있기에 내구도가 매우 높은 적을 상대로는 카린보다도 활약했다. 캇트가 팔라딘이 된 이후로는 검술에 있어서는 실전경험을 통해 연마하게 되었기에 격투술에 관해 가르침을 많이 받았다. 캇트 일행의 단체전에서는 주로 후방 호위 겸 전선과 후방을 오가는 딜러. == 기타 == 1부 말에 이스반트에서 추가된 세 명의 신 히로인(리즈티나, 알라우네, 힐데가르트) 중에서 인기투표 1위가 되었고 그 덕분에 4월 2일에 일러스트가 생겼다. 평가는 압도적인 호평. 신체특징으로 [[음모(신체)|음모]]가 없고[* 스스로 밝힌 바에 따르면 [[무모증]] 같은게 아니고 그냥 본인이 자주 관리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카린은 어쨌든 그녀가 털이 없기 때문에 털목도리 같은데 괜히 집착한다면서 놀렸다.] 함몰유두. 김갈비뼈 작가가 직접 쓴 인물설정에 따르면 캇트와의 결혼생활을 인생의 황금기라고 생각하면서 즐기고 있다. 아이도 여럿 낳아줄 생각이고, 삶에 충실하다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세계 검은 머리 외국인/등장인물, version=200)]
bluegm,61.247.80.146,lr11,211.252.203.12
시외버스 거창, 김천-대전
#redirect 시외버스 거창, 김천-대전, 남서울
220.89.23.51
의회제
#redirect 의원내각제
check
3D운전게임/맵/구버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3D운전게임/맵)] [include(틀:3D운전게임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3D운전게임의 맵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다. == --1.0--[* 관리가 아예 되지 않으며 [[Google Play]]에서도 현재 앱을 내린 상태다.] == [[파일:3D운전게임 1.0 맵.png|width=35%]] 시내도로는 왕복 6차로로, 신호등이 없다. === 주요 도로 === ==== 고속도로 ==== ||<|2> 왕복 차로 수 || 6차로: 시종점 부근 || || 8차로: 대부분 || 순환도로에 가까운 형태로, NPC 차량들은 한쪽 방향으로만 통행한다. === 주요 장소 === * 항구 * 빌딩 숲 == --2.0--[* 관리가 아예 되지 않으며 2021년 2월 1일부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앱은 내려가지 않았다.] == 2019년까지 크게 신도시와 일반 도시로 나누어져 있었다. 일반 도시의 맵은 많이 큰 편이며 공항, 명예의 전당, 서킷레이스 등의 다양한 맵들이 존재한다. 2020년 기준 운게/서운게/데헷/파라다이스 시티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데헷이란 유튜버 데헷찡을 기반으로 제작된 도시이다.] 시내도로는 왕복 4/8차로로, 이 버전부터 신호등이 존재한다. === 주요 도로 === 운게 순환 고속도로와 운게 국립공원 순환도로는 내비게이션에는 표시되지 않아 유령도로로도 불린다. ==== 운게 순환 고속도로 ==== [[3D운전교실|모티브 게임]]에 순환고속도로가 있는데 이것을 그대로 가져와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신 고속도로 추가 전(2019년 3~12월) - 나들목 이름은 운게IC를 제외하고 가칭이다. ||<-2> 구간 || 공항IC[*운게시티][* 운게국제공항 부근] - 운게IC[*운게시티] - 아파트IC[*운게시티] - 서운게TG - 파라다이스IC[*파라다이스시티] || ||<|2> 왕복 차로 수 || 8차로 || 서운게TG - 파라다이스IC 부근 || || 4차로 || 나머지 || 2.0 멀티 개발 전 싱글모드만 있었던 당시에는 운게-파라다이스 시티를 잇는 도로였다. 나들목이라고 불렸다.[* 나들목 옆의 산을 올라가면 데헷시티가 나온다.] 그런데 어느 시점부터 갑자기 파라다이스 시티를 잇는 도로는 없어지고 파라다이스시티와 가까워질 때에는 시공으로 빠지는 버그가 생겼다. 이는 마찬가지로 반대로 가도 똑같다. 파라다이스 시티 방면으로 이동할 때 계속 직진하면 운게IC로 빠진다. 일부 나들목은 진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아파트IC의 경우 공항 방면으로만 진출입 가능하다. 또한 파라다이스 시티에서 이 고속도로를 타면 무조건 아파트IC로 빠진다. * 신 고속도로 추가 후(2020년 1월~) - 나들목, 분기점 이름은 가칭이다. || 구간 || 공항IC[*운게시티][* 운게국제공항 부근] - 운게JC[*운게시티][* 운게 시민버스 차고지 부근][*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와 교차] || || 왕복 차로 수 || 4차로 || 운게 순환 고속도로 운게JC 방면에서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 파라다이스IC 방면 통행은 가드레일로 막혀서 예전부터 불가능했다. 그런데 최신 버전(v8.9) 기준 도로가 건물로 막혀서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 운게IC 방면에서 운게 순환 고속도로 공항IC 방면 통행만 가능하다. 운게 순환 고속도로에서 운게 시민버스 차고지로 이동하려면 순환도로 시작지점에서 반대 차선으로 지나가야 한다. 중간에 서운게-데헷국도와 서로 만난다. 다만 실질적으로 두 도로가 합쳐지는 식으로 만나지는 않고 서운게-데헷국도가 이 도로 바로 위로 지나가는 형식. 서운게-데헷국도에서는 이 순환고속도로를 볼 수 있으나 순환고속도로에서는 터널 진입으로 인해 볼 수 없다. 네비게이션 미니맵으로만 볼 수 있다. ==== 운게 국립공원 순환도로 ==== || 구간 || 운게시티 나들목 - --파라다이스시티 나들목--[*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 개통 이후 없어졌다.] || || 왕복 차로 수 || 4차로 || || 추가 || v5.7^^(2019-10-18)^^ || [[3D운전교실]]에 있는 순환도로를 모티브로 하였다. 맵 맨 오른쪽 상단에 들어갈 수 있는 길이 있다.(운게시티 나들목) 멀티 추가 이전에는 이 도로를 이용하면 파라다이스시티로 이동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지고 그 위치는 시공으로 바뀌어서 '''더 이상 파라다이스 시티로 이동할 수 없다.''' ==== 서운게-데헷 국도 ==== || 구간 || 서운게 - 운게 - (남)데헷 시티 || || 왕복 차로 수 || 4차로 || 운게시티에 진입할 때 서운게에서 운게 방면으로 진입할 때에는 일렉시티가 진입할 수 없다. 왜냐면 위쪽 도로가 너무 낮아서 통과할 수가 없기 때문. 이 경우 데헷시티까지 쭉 가서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를 타서 우회해야만 한다. ====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 ==== 구간마다 내비게이션에 표시되는 이름이 다르다. 운게IC~데헷IC 구간은 북부운게고속도로로, 데헷IC~파라다이스IC 구간은 파라다이스고속도로로 표시된다. 멀티 추가 이전 싱글모드에서는 이 도로 외 운게-파라다이스를 잇는 도로가 있었으나[* 운게 순환 고속도로, 운게 국립공원 순환도로], 지금은 사라졌다. 그리고 파라다이스시티 기준으로 운게-파라다이스 고속도로 외에는 데헷시티, 운게시티 등 다른 도시로 이동할 수 있는 도로도 마찬가지로 존재하지 않는다. 파라다이스 시티 방면으로 이동할 때 계속 직진하면 서운게IC로 빠진다. ===== 북부운게고속도로 ===== ||<-2> 구간 || ||<-2> 운게IC - 운게JC[* 운게 순환 고속도로 합류] - 서운게TG - 서운게IC - 데헷IC[* 북데헷TG] ||<-2>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운게IC - 서운게TG || 6차로 || 서운게TG - 데헷IC || ===== 파라다이스고속도로 ===== ||<-2> 구간 || ||<-2> 데헷IC - 파라다이스 휴게소[* 운게 방면, 파라다이스 방면 모두 휴게소가 있으나 두 휴게소를 이어주는 도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파라다이스 방면 휴게소에서 운게 방면 휴게소로 가려면 파라다이스시티 내부까지 진입한 후 유턴해야 하는 빙 돌아가야 하는 코스이다.] - 파라다이스IC || ||<-2>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데헷IC - 파라다이스IC || === 주요 장소 === ==== 일반 맵 ==== * 운게 시티 * 운게 시민버스 차고지 * 운게 시내버스 차고지 * 운게 운수 차고지 * 운전 면허 시험장 * 크루여객 차고지 * 대한 주공 아파트 1차 * 대한 주공 아파트 2차 * 운게 초등학교 * 광화문 광장 * 데헷 시티 * 엑스 더블 카고 상차장 * 기타 * 파라다이스 휴게소 * 대서 농원 ==== 서킷 레이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3D운전게임/맵, version=233)] [[분류:3D운전게임]]
haykakao,hellopoland
|| Arstotzka ||
#redirect || Arstotzka ||
seungheonkang
설곰(인터넷 방송인)
||<-2><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6495ed><tablebgcolor=#fff,#191919><tablewidth=400>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베스트BJ_full.png|width=210]]]] || ||<-2><bgcolor=#6495ed> {{{+2 {{{#ffffff,#191919 '''설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설곰.jpg|width=100%]]}}} || ||<width=23%><colcolor=#fff,#191919><colbgcolor=#6495ed> '''생일''' ||<colbgcolor=#fff,#191919> 1월 16일 || || '''신체''' || 181cm || || '''팬덤명''' || 설청자 || || '''아프리카TV 애청자수''' || 28,559명[*기준 ] || || '''유튜브 구독자수''' || 27,600명[*기준 2021년 2월 28일 기준.] || || '''링크''' || [[https://bj.afreecatv.com/kyj9371|[[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png|width=20]]]] [[https://youtube.com/channel/UCiFqTCN23m1ScJf_l5FpaV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facebook.com/profile.php?id=100007555263463&_rdr|[[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pn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이다. == 컨텐츠 == 공포 게임, 종합 게임과 토크 방송을 진행한다. == 방송 규칙 == >1.시청자분들과의 친목 을 제재합니다. >예) 학교선생님이 설곰님이고 시청자분들이 학생이라고 예를들때 진행을해야하는 선생님이 수업을가르키는데 학생인 친구들끼리 떠들고 장난치고 이야기하면 수업하는데 차질이 생기는것과 똑같은겁니다! 방송을진행하는데 시청자 따로 BJ따로 행동하면 아무것도 못하기 때문입니다. >(생방송이든 녹화방송이든 규제는 똑같이 들어갑니다.) >(매니저님들은 언급가능 질문을 할경우) >2.채팅도배/물타기 를 제재합니다. >3.비방/욕설 을 제재합니다. >4.무슨일이있어도 반말을 하지않습니다. >서로 친분이 있는 사이여도 방송내에선 절대 안됩니다. >5.스포일러/훈수발언 을 재제합니다. >채팅을 치실때 이발언은 훈수일것같다! 스포성발언일것같다! 하는건 애초에 안하시면 되는문제입니다. == 여담 == * 2021년 2월 24일 방송을 쉰다는 공지글을 올렸다.[[https://bj.afreecatv.com/kyj9371/post/69055845|#]] [[분류:아프리카TV BJ/ㅅ]][[분류:유튜버/ㅅ]][[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인터넷 방송인/ㅅ]]
rockchan1997
술탄(뿌요뿌요 시리즈)
[include(틀:토막글)] [[파일:Img509906_l.png]] [목차] == 개요 == [[뿌요뿌요 시리즈]]의 등장인물. 성우는 [[M.A.O]](일본어)[* [[라피솔]]과 중복 성우다.]/[[로런 랜다]](영어). 아주 먼 옛날에 마법의 자수정의 머리장식으로 봉인된 마인으로, 언젠가부터 고귀한 이미지를 갖게 되어 원래 본인의 자신감을 낼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 연쇄 주문 == || 1 || 2 || 3 || 4 || 5 || 6 || 7 || 방해뿌요 반사 주문 || || 어머 || 오호호호호 || 각오하시죠 || 해보겠어요 || 잘 봐두세요 || 아메시스트 글리터 || 라필리 캐럿 || 드리겠어요 || [[분류:뿌요뿌요 시리즈]][[분류:토막글/가상 인물]]
121.100.82.15
짭르민
#redirect 니파(진격의 거인)
exc10234
체크카드/해외신판
#redirect 체크카드/해외결제
jkim1511
민솔유
||<-2><tablewidth=500><tablebordercolor=#666666><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fff,#ffffff> '''{{{+5 {{{#black 민솔유}}}}}}''' || ||<-2><bgcolor=#ffffff,#191919>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솔유.jpg|width=100%]]}}} || || '''{{{#black 본명}}}''' ||<colbgcolor=#ffffff,#191919> 민지영 || || '''{{{#black 출생}}}''' || [[1988년]] [[1월 21일]] || || '''{{{#black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대한민국]] || || '''{{{#black 학력}}}'''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 || || '''{{{#black 데뷔}}}''' || [[2015년]] [[SBS]] 15기 공채 개그우먼 || || '''{{{#black SNS}}}''' || [[https://www.instagram.com/minjitae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m.facebook.com/minjitae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FTraNN3eh2mCGEuFqDhPx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개그우먼]]이다. 2015년 SBS 15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했다. 데뷔 초에는 [[웃찾사]] 시즌2에 출연했으며, 웃찾사 종영 이후 2021년 현재는 [[EBS]]에서 활동 중인 프리랜서 방송인이다. 웃찾사 시절에는 본명 '민지영'으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민솔유'라는 예명으로 활동 중이다. [[2015년]] [[11월 30일]]부터 시작한 [[EBS1]] [[최고다! 호기심딱지]] 시즌3에 단역으로 출연하면서 동기들 중 가장 빠르게 타사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 시즌4도 출연 중이다. == 방송 == === 코미디 프로그램 === ==== [[웃찾사]] ==== * 환상속의 그녀(2016. 08. 24 ~ 2017. 01. 04) * 만호형님(2017. 03. 22 ~ 2017. 04. 12) === 어린이 프로그램 === ==== [[최고다! 호기심딱지]] ==== * 시즌3(2015. 11. 30 ~ 2016. 02. 23) - 단역 * 시즌4(2019. 04. 05 ~ 현재) - 단역 == 여담 == * 동기 여자들 중 최연장자다. [[분류:한국 여성 코미디언/ㅁ]][[분류:1988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출신]]
bestkdykdy
이용신/방송 활동
[[분류:이용신]]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이용신)] [목차] === 라디오 === 2009년 7월 18일부터 '핑키밀키럭키'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다. 시간은 11시~12시, 격주 방송. 그런데 9월 이후 방송이 끊기는 사고가 잦아졌고 이에 인라이브로 서버를 옮겼다. 첫 방송 기념으로 동기인 성우 [[홍범기]]가 축하 문자를 해 주었다. 5회 방송분에 드디어 첫 게스트로 성우 [[류점희]]가 출연했다. 타마마&앙골 모아 연기로 사연을 읽어 주는 등의 진행을 했다고 한다. 40회 방송 게릴라콜에서는 [[김승준(성우)|김승준]]이 출연했다. 46회 방송 게릴라콜에서는 [[이선주]]가 출연했다. 그런데 도중 서버에 이상이 생겨 [[흑역사]]가 될 뻔 했다가 기적적으로 복구되어 무사히 방송을 마쳤다.[* 이때 같이 있었던 사람은 [[문선희]]와 [[우정신]]이다.] 방송 1주년 기념판에서는 [[신동식]] PD가 출연했다. 2011년 11월 24일 방송을 끝으로 무기한 휴방에 들어간다. MBC 라디오 <[[오후의 발견]], 김현철입니다>에 고정 출연하게 되었다. [[http://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161905|기사]] 2019년 2월 25일에 [[http://www.podbbang.com/ch/1770321|팟캐스트 방송]]을 시작했다. === 유튜브 === ==== 이용신의 띵소리 ==== 개인 유튜브 채널을 개설해서 팟캐스트에서 하던 띵소리를 이곳으로 옮겼다. 지금까지 이용신과 같이 나온 성우들과 같이 진행하는 컨텐츠이다. ==== 노래 커버 ==== 본인이 더빙한 캐릭터의 목소리로 부르고 있다. 아리, 아무, 루나가 자주 나오는 편 ==== 이용 신.청.서 ==== 누군가 미션 신청을 하면 그것을 이행하는 것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용신, version=1494, paragraph=4)]
treeofforest
로이드/작중 행적
[[분류:닌자고/등장인물/작중 행적]] [목차] == 행적 == === [[그린 닌자고|시즌 1]] === [[파일:Season1Lloyd.png]] '''1화''' [[파일:로이드 후드.jpg]] 이 당시에는 그냥 한 명의 철없는 사고뭉치일 뿐이었다. 악동 학교에서 도망친 후 자마나카이 마을에서 [[스네이크 군단]]을 풀어주겠다 위협하며 마을에 사탕을 몽땅 가져오라고 협박한다. 하지만 그때 사람들은 스네이크 군단 이야기를 그저 전설이라 생각하고 있었기에 통하지 않았고 연락받고 출동한 닌자 4명에게 관광당하고 비웃음거리만 된다. 하지만 홀로 눈밭을 걷던 중 우연히 하이포노브라이 부족의 봉인을 풀게 되고, 거기서 맨 처음 슬리타 장군을 만나게 된다. 슬리타 장군은 그에게 최면을 걸지만 뒤에 있던 얼음에 반사돼 자신이 역최면 당하게 된다. 슬리타는 복종을 맹새하며 로이드는 진짜 스네이크 군단을 거느리게 된다. 그 후 다시 자마나카이 마을에 가서 뱀들과 함께 사탕을 턴다(...) 하지만 닌자들이 나타나서 실패하고 만다. ---- '''2화''' 하이포노브라이를 시켜 숲속에 자신의 나무요새를 짓게 한다. 여자아이와 닌자들은 출입금지라고 말하는 것은 덤. 이때부터 [[스케일스]]와 다른 뱀들이 반역을 꿈꾸게 된다. 함정이 가득한 요새가 거의다 완성되었을때, 닌자들이 나타나고 건물과 연결된 줄을 끊어 집이 무너져 내린다. 닌자들의 사원에서 스네이크 지팡이를 입수한 뒤 지팡이를 계속 들고있는 [[스케일스]]를 보며 슬리타에게 장군자리를 경고한다. 슬리타는 [[스케일스]]에게 지팡이를 내놓으라 명령하지만, [[스케일스]]는 거부하고 반역을 시도, 슬리더 피트를 제안한다. 슬리타는 패하고 [[스케일스]]는 로이드에게 '''썩 꺼지라한다.''' ---- '''3화''' 팡파에 무덤으로 가서 팡파에 부족들을 풀어준다. 로이드는 팡파에 부족 장군은 팡톰에게 '''하이포노브라이 부족에게 복수하기 위해 너흴 풀어줬다.'''라고 말한다. 팡톰은 군대가 필요하다며 에드와 에드나의 고물상, 즉 제이의 부모님 고물상으로 간다. 닌자들이 도착하고 거기서 마스터 우를 만나고 '''덕분에 일을 쉽게 해결할 수 있겠다며'''사악하게 웃는다. [[마스터 우]]가 신성한 피리를 불자, 스피커로 노래를 크게 틀며, 그가 '''네가 누구 편에 서야 하는지 꼭 알려줘야 하냐'''고 말하자, 오디오 불륨을 높히고 잘 안들린다며 비웃는다. ---- '''4화''' 팡파에 부족들을 데리고 하이포노브라이 부족에게 복수를 하러 가지만, 팡톰은 하이포노브라이에게만 적대적이지 [[스케일스]]와는 절친이라서 전쟁이 결렬된다. 그 두 장군에게 어서 싸우라고 명령하지만 그 징징대는 말을 그들이 들을리가 없었다. 장군들이 로이드를 어떻게 할지 대화하는 것을 듣고 겁먹고 도망친다.[* 팡톰은 물어서 뱀으로 만들자고 하고 스케일스는 최면을 걸어서 자기가 돼지인 줄 알게 하자고 한다(...)] ---- 그 후 최강의 스네이크 군단이라 불리는 아나콘드라이 부족의 봉인을 풀었으나, 그곳엔 [[파이토]] 밖에 없었고, 친구가 된 [[파이토]]와 마을에서 사탕을 턴다. 무덤으로 돌아와 사탕을 빨며 이야기를 나누는데 사실 로이드는 악동학교에서 '''쫓겨난 것'''이라 고백한다. 악동학교로 가 닌자들을 처리하며 학교에 복수할 생각을 하지만 지도만 빼앗기고 [[파이토]]는 도망치고[* 이때, "우리 친구아니였어?" 라는 로이드에 말에 파이토는 메몰차게 대답한다. 여러모로 안습인 부분.] 작은아버지인 마스터 우에게 잡힌다. 그 후 '적을 이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적을 친구로 만드는 것'이라는 마스터 우의 철학하에 닌자고 본부에서 작은아빠가 읽어주는 동화책 이야기를 들으면서 잠든다. [* [[로이드 가마돈|한 토끼]]가 [[파이토|뱀]]을 믿지 않겠다는 교훈을 얻는 내용] ---- '''5화''' [[카이 스미스|카이]]의 게임 기록을 깨고서 [[콜(닌자고)|콜]]이 한것처럼 말하고, 콜의 요리에 소금을 넣고 제이가 그랬다고 하며, 제이가 만든 훈련로봇에 손을대 쟌이 그랬다고 하고, 쟌의 옷을 카이형과 같이 빨아서 그의 옷을 분홍빛깔(...)로 만든다. 닌자들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고 로이드가 한 일임이 드러나자 [[마스터 우]]가 자신이 시킨 일이라고 말한다. [[루머|'''확인되지 않은 사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가르치기 위해서라고.''']] 마지막에 쟌의 옷을 다시 하얗게 만들어주고, 냉장고 안에 뱀인형을 넣어둬 콜을 엿먹인다. ---- '''6화''' [[카이 스미스|카이]]가 게임방 앞에서 자신을 내려주지만, 자신도 가고싶다고 말하고 거절당한다. 주면 골목길에서 [[스케일스]]가 [[스네이크 군단|뱀 부족]]을 소집하는 것을 보고 하이포노브라이로 변장하여 버스에 타 오로보로스로 간다. [[파일:e6-2.png]] [[파이토]]가 부족들을 굴복시키는 모습을 뱀들사이에서 지켜보지만 결국 들키고 철창안에 갇히게 된다. ---- '''9화''' 뱀들의 사원에서 [[파이토]]는 로이드에게 송곳니 단검을 찾아오라고 한다. 단검을 찾아오면 풀어주겠다는 그의 말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며, [* 농담이 아니고, 화살이 사방으로 날아오는데 다 피한다.[[파일:3Lloydarrows.png]] ]송곳니 단검이 있는 곳에 도착하지만 '''단검은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9화에서 콜이 했던 말로 추측했을때 단검은 유물수집가 '''클러치파워'''가 습득한뒤 '닌자고 탤런트'의 우승 트로피로 만든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클러치파워는 닌자고가 나오기전에 제작된 [[http://reignman.tistory.com/530|극장용 레고 애니메이션의 주인공이다]]] ---- '''10화''' 불의 사원에서 끌려다니다 [[파이토]]에 의해 용암에 빠질 위험에 빠진다. [[가마돈]]이 곧바로 구하기 위해 뛰어들고, 구출에 성공하지만 하필 위에 서 있던 바위가 무너지는 바람에(...) 하지만 카이가 송곳니 단검을 포기하고 로이드를 구하는것을 선택한다. >지금껏 닌자로서 훈련을 받은건 그린닌자가 되기 위한게 아니라 저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서였다는걸. ---- [[파일:46Greenlightning.png]] '''사실 로이드가 그린닌자였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12Greenninjafalconfire.png]] 사실 4화때 쟌의 꿈 속에 나온 그린 닌자와 같은 눈매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닌자로 확정된 상태였다. 다만 네 명의 닌자의 특징도 하나씩 가졌기에 확정까지는 아니였다.[* 번개쌍절곤을 사용하는 모습, 쟌의 독수리를 다루는 모습, 엄청난 힘, 불을 사용하는 모습.][* 모순이 있다면 쟌은 닌드로이드라 꿈을 꾸지 못한다. 떡밥을 파일럿때 부터 뿌려놨으면서 왜 이랬는지는 불명.] [* 평소에 입던 후드에 초록색으로 숫자 5가 적혀있는데 이게 5번째 닌자이자 그린닌자라는 복선이었다]거기다 당시 로이드는 어린 아이였기에 성인으로 보이는 그린 닌자와 엮기에 당장은 무리였다. ---- '''11화''' 마지막 송곳니 단검을 찾을 방법을 생각하던 중 지금까지 모은 송곳니 단검을 빼앗자는 제안을 한다. 뱀들의 요새로 향하는 도중 자신도 끼워달라고 하지만 마스터 우는 '''그린닌자는 미래를 위한 더 중요한 일을 해야한다.'''라고 타이른다. 결국, 가마돈과 단 둘이 드래곤 전함에 남게 되는데, 가마돈이 몰래 파일을 훔치는 것을 보고 '''"전 아빠가 제 아빠란 게 정말 부끄러워요."'''라며 아빠 가슴에 비수를 꽂았다. 분명 협력하기로 했는데도 [[위대한 파괴자]]에게 물려서 악마가 됐으니 어쩔 수 없다는 얼토당토않은 핑계를 대며 슬쩍 배신을 시도하니 아빠에게 정말 크게 실망한 듯. [[파일:14SerpentineLloyd.png]] 이후 가마돈이 떠나자 닌자들을 도우려 그린닌자의 도복을 입고 뱀들의 요새로 향하지만, 에초에 훈련도 받아보지 못한 애라 뱀들에게 비웃음을 산다. 하지만 가마돈이 해골군단을 이끌고 오자, 그틈에 닌자들을 감옥에서 꺼내준다. ---- '''12화''' 배안에 몰래 잠입한 파이토에 의해 샌드백에 묶이고 만다. 파이토가 나간 뒤에 발버둥치다 빠져나가는데 성공하고 스피커로 파이토가 쳐들어온것을 알리지만 때는 이미 늦은 상황. 파이토는 이미 송곳니 단검들을 탈취하고 배 간판위에 올라가 있었다. 로이드가 파이토를 쫓아 그에게 공격을 시도하지만 파이토는 '''자신을 이길 수 없다고''' 코웃음친다. 하지만 사실 로이드는 사무라이가 도착하기만을 기다린 거였으며, 파이토가 사무라이 로봇에 놀라는 틈을 타 그에게 발차기를 시도하는데 '''성공한다!''' 후에 닌자들이 탄 뱀트럭이 멈추자 드래곤 전함을 끌고와 파이토가 송곳니 단검을 가지고 간 오로보로스로 데려간다. ---- '''13화''' 부활한 위대한 파괴자를 피해 도망치지만 드래곤 전함이 부서지고 겨우 닌자들과 피신하는데 성공한다. 제이와 콜이 싸우자, 카이가 사부님께 부끄럽지도 않냐고 하자, '''작은 아빠는 이제 없는걸...'''하고 말한다. 후에 사무라이 로봇에 니야와 함께 탑승. 위대한 파괴자에 입에 가로등을 끼워넣는다. 뱀 입냄새가 콜의 요리냄새 같다고(...) === 골드 닌자고 === '''1화''' 드래곤 전함이 부서진 이후, 닌자들과 함께 집을 구하러 다닌다. 부도산 주인이 처음 소개해준 집에서 '''이 역겨운 냄새는 뭐냐'''고 물었다. 주인은 돈도 없으면서 뭘 궁시렁 대냐고 화를 낸다. 두 번째로 소개받은 집이 닌자들 마음에 들자, 닌자들이 집을 사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동안 혼자서 훈련장에서 훈련을 한다. 아르바이트 하느라 지친 닌자들에게 훈련을 언제 시작하느냐고 묻자, 콜이 지금은 돈이 먼저라고 대답한다. 아무 문제없을 것이라는 콜에게 뭘 하면 되냐고 묻자, 부얶에서 얼음을 가져 와달라는 심부름만 받는다. 닌자들이 스네이크 군단의 장군들을 막는 동안, 거실에서 게임을 하고 있었다. 그때 자신들의 부하들을 되찾기 위해 로이드를 납치하러 온 스케일스가 창문 밖에 있던 것을 발견하고[* 로이드를 인질로 가마돈을 협박할 생각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놀라 달아나려한다. 하지만 현관문이 잠겼고, 집안까지 들어온 스케일스에게 잡힐 뻔 했으나 외출에서 돌아온 니야와 마스터우에 의해 구조된다. 마지막에는 처음에 보았던 그 낡은 집에서 가구들을 옮기다가 쟌에게 도움을 받는다. ---- '''2화''' 카이에게 훈련을 받는 모습으로 등장. 전보다 동작에 균형이 잡힌 모습이 보이지만 아직 미숙한편. 허세를 피우다가 카이에게 자신의 새끼발가락만큼도 안된다는 말을 듣는다. 마스터우에게는 형들이 가르치는 것을 잘 새겨들으라는 조언을 듣는 것을 보니 로이드 훈련은 닌자들이 맡게 된 모양. 마스터우가 니야에게 수업을 들으라 하지만 스핀짓주는 언제 배우냐고 칭얼대다 인내심을 가지란 말을 듣는다. 드래곤에게 치료제를 발라주는 니야에게 울트라 드래곤이 로이드것이 될거라는 말을 듣는다. 로이드를 훈련시킬 만한 곳을 찾던 중 대럿사부의 멋있는도장(모조도조) 에 들어서게 되고 그곳에서 훈련을 시작한다. 황금무기 없이 지진권법[* 격파를 하는데 바닥까지 갈라놓았다. 즉, 진동의 낫의 능력]을 쓰는 등 초인적인 능력을 보인다. 고대의 해적들이 살아나 닌자고 시티를 점령하려 할때 중간에 닌자들과 함류하여 전투를 벌였으나, 중간에 '''에너지'''의 힘을 사용하려다 조절하지 못하고 배의 돗대를 부러지게 한다. ---- '''3화''' [[파일:MoS16Bulb.png]] 전구를 사용하여 힘을 조절하려 노력하지만 실패하고 전구가 터져버리자, 닌자들에게 '''자꾸 부담줘서 이렇다며'''화를 낸다. 바닥에 부서진 전구들이 가득한 것을 보니 여러 번 시도하다 실패한 모양. 콜이 청소도구를 주며 치우라고 했더니 거칠게 빼앗고 샌드백에게 화풀이를 한다. 그러다 역관광당한다. >'''[[교만|아아아니 감히 니가 그린 닌자를 이기려어 들어어어!]]''' 악동학교에서 온 초대장을 받고[* 닌자들이 다녀간 이후 천사학교로 바뀌었다고 한다.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그런데 그것이...]]] 드래곤을 타고 학교로 날아가지만, 운전실력이 형편없어서 위태롭게 도착하지만 사실 초대장은 페이크였고, 로이드는 떨어진 샌드백에 맞고 기절한다. 눈을 뜬 로이드는 자신이 밧줄로 묶여있고 그 앞에 학생들이 어두컴컴한 곳에 전구 하나만 켜 놓은 걸 본다. 알고보니 학생들은 로이드를 전처럼 '''나쁜 아이로 세뇌시키려 한 것!''' 하지만 제왕 가마돈이 만들어낸 가짜 닌자들을 물리치기 위해 아이들이 밖으로 뛰쳐나가자 자신은 맨날 묶여있다며 투덜거리다 천장에 달린 전구를 자신의 힘을 이용해 터트리고 그 위에 몸을 굴려 날카로운 유리조각으로 밧줄을 푼다. >나는 왜 맨날 묶여있는거야?? 내가 무슨 탈출 전문가도 아니고.. 하지만 바로 아이들이 돌아오고, 다시 묶인다(...) 로이드의 학우였던 진이 작전을 짜자, 로이드는 자신이 착한 것을 인정하고 '''너희들도 사실은 착한아이'''라며 학생들을 설득시킨다. 그 후 닌자들을 돕기 위해 천으로 닌자도복을 만든 후 가짜 닌자들을 헷깔리게 하며 가짜닌자들을 처리하는데 성공한다. ---- '''4화''' 모조도조 도장에서 우를 포함한 닌자들의 무게를 견디며 한 손으로 땅을 짚고 견디는 훈련을 한다. 갑자기 2명의 남성이 건물 철거를 시작하고[* 보통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고 작업을 시작하지만 여기는 그딴거 없다.] 데럿이 내일 오기로 한 거 아니냐며 뛰쳐나온다. '''다나곰'''[* DARNAGOM. 글자를 다시 조합해보면 '''GARMADON(가마돈)'''이 된다.]이란 건물주가 건물을 싹 밀고 최신식 골프장을 짓는다고 한 것. 1500만원을 얻기 위해 니야의 추천으로 닌자고 레이싱에 드래곤과 함께 참가하게 된다. 대회 당일에 콜이 긴장했냐고 묻자 '''형이나 긴장하지 말라'''며 자신있게 대답한다. 중간까지 닌자들과 힘을 합치며 선전하다가 중간에 크런챠와 넉클팀이 방해하는 바람에 탈락하고 만다. 마지막에 대회에서 진 바람에 따지려고 드래곤 전함에서 내려온 가마돈에게 '''드래곤 전함은 이제 우리거거든요~'''라 말한다. ---- '''5화''' 배의 간판위에서 닌자들과 함께 훈련을 하는데 어쩐지 의욕이 없다. 사실 로이드가 좋아하는 만화책 '''스타페어로'''[* 로이드 말에 따르면 프리츠 도니건이 나오는 모양인듯.] 마지막권이 둠스데이 만화가게에 나오는 날이였던것. 한정판매이고, 로이드가 다음 장면을 매우 궁금해하고 있었다. 그러자 카이가 '''닌자고 운명이 너에게 달렸으니 책임감을 가지라'''고 말하자 시무룩해한다. 밖에 아이들을 보며 나도 애들이랑 놀고 싶다고 말한다.[* 자신이 그린닌자라는 것이 밝혀진 이후 갑자고 주위 사람들이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으니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 그때, 니야가 닌자고 역사 박물관에 제왕 가마돈이 나타났다는 소식을 전했고 기대가 가득한 표정을 짓지만, 형들에 시선에 바로 포기해버렸다. >그래그래 알았어. 위험하니까 난 여기서 연습이나 하고 있을께. 닌자들이 오랫동안 돌아오지않자, 니야와 마스터우는 닌자들을 찾으러 가고 혼자서 드래곤전함을 지키게된다. 곧, 제이의 다급한 전화를 받게되고 무기를 가지고 피자집으로 오라는 말을 듣게된다. 무기를 들고 피자집에 도착한 로이드. 꼬마들로 구성된 일행이 로이드에게 말을 걸자, 그는 시비걸지 말라며 무시해버린다. 하지만 사실 그들이 바로 '''닌자들이였다.'''는 것을 알고 경악한다. 제왕 가마돈이 메가황금무기로 닌자들을 어리게 만든것![* 정확히는 그란들이라는 공룡을 살려내려다가 휘말린것.] 그란들을 물리칠 방법을 아는 사람을 찾기 위해 그들은 둠스데이 만화가게에 가서 그 가게주인에게 조언을 구한다. 그란들을 물리치기 위한 '''빛나라 칼'''을 얻기 위해 퀴즈대회에 참가하는데 마지막권을 보지 못한 로이드는 결국 마지막문제에서 탈락하고만다. 그때 그런들이 나타나고 에너지의 힘으로 그런들을 혼란에 빠트리지만 위기를 맞게 된다. 그때 마스터 우가 닌자들을 다시 어른으로 되돌리고 그란들을 다시 화석으로 되돌릴 수 있는'''시간을 빠르게 흐르게 하는 차'''를 가져오고 로이드도 나이가 먹게될 것을 염려한 닌자들을 잠시 고민한다. 로이드가 괜찮다고 하자, 카이가 '''공평하지 않다'''고 하자 '''공평? 내 사전에 공평이란 말은 없다!'''라 말하며 자신에 품속으로 떨어진 차를 사용한다. 참고로 이 말은 프리츠 도니건이 했던 말. [[파일:ZXninja.jpg]] >어른이...됐네? 결국 로이드의 청소년 시절을 건너뛰게 되고, 로이드는 어른이 되고 만다. ---- '''6화''' 닌자들이 과거로 가 메가황금무기를 없앤 후 다시 현재로 돌아오자, 수박을 용 모양으로 깎는 묘기를 선보인다. 물론 메가황금무기의 존재는 과거에 사라졌기 때문에 메가 황금무기의 존재를 기억하지 못한다. ---- '''7화''' [[파일:그린 닌자.gif]] 아침 알람이 울려서 에너지빔을 쏘아 자명종을 파괴한다. 마스터우가 드래곤의 용변을 치우라 말하자, 닌자들은 로이드에게 치우라 하지만 로이드는 '''이제 자신은 어른'''이라 말한다. 공평하게 가위바위보로 결정하게 되지만 그마저도 지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로이드가 치우게 된다.[* 가위바위보를 한 뒤에 제이와 카이가 하이파이브를 하는 것을 보면 서로 짠 듯 하다.] 드래곤의 용변이 든 주머니를 들고 불쾌해 하며[* 이때 콜이 애완동물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고 말하고 제이가 '''엄마한테 그런 것도 안배웠냐.'''라고 말하자, 자신은 엄마의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니야가 가마돈이 나타났다는 소식을 전하려 달려오자, 바로 니야에게 건네준다.(...) 박물관에서 위대한 파괴자의 독에 영향으로 살아난 바위로 된 군사들을 다른 닌자들과 함께 물리치는데 성공한다. 그때, 박물관을 돌아다니던 마스터우의 형수님 즉, '''로이드의 엄마'''를 오랜만에 만나지만 반가워하는 마사코에게 '''그냥 가세요'''라고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인다.[* 마사코가 무책임하게 로이드는 악동학교에 맏겨버린 이유가 큰 듯. 로이드는 악동학교에서 너무 착해서 쫓겨났다는 것과 이미 그린닌자고에서 언급된 사실이다.(간접적으로 언급된 것을 볼때, 또래들 사이에서 괴롭힘도 있었다고 추정.) 아무리 가마돈과의 싸움을 막으려 했다고 하지만, 평범한 학교로 보내는 방법도 있었을 것이다.] 스톤아미가 발견된 깊은 구멍에서 앉아 고뇌하는 도중 마사코가 다가와 자신이 떠난 이유[* 가마돈과 로이드가 싸워야 한다는 운명을 미리 알았고 이를 막기위해라고.]를 설명하고 오버로드와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에 대해 설명한다. 박물관에서 거대 스톤아미와 싸우며 마사코와의 관계가 어느 정도는 회복된 듯. ---- '''8화''' 닌자고 시티에서 잡자기 지진이 발생하자, 시민들을 피신시키고 방송국 옥상으로 피신하는 시민들을 스톤아미로 부터 보호한다. ---- '''9화''' 마사코가 스톤아미를 이길 힘은 그린닌자에게 있다고 한다. >그린닌자의 숨겨진 잠재력은 그린닌자의 수호자들이 자신들의 잠재력을 찾은때 나타난다고 적혀있어. >---- >마사코가 자신은 이미 모든 방법을 다 써보았다고한다고 하는 로이드에게 한 말. 어둠의 섬으로 향하는 도중, 닌자들과 함께 폭풍우와 이빨불가사리로부터 무사히 빠져나온다. ---- '''10화''' 마사코가 로이드가 빛의 신전을 찾으면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힘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고 한다. >하하 부럽지~?[* 다음에 제이가 이 대사를 그대로 로이드에게 사용한다.] 로이드가 닌자들과 함께 빛의 신전으로 가려하지만 마스터우의 의해 제지당하고 '''언제까지 이러실 거냐'''고 화를 낸다. >제이: 하하 부럽지? 줄리엔 박사가 드래곤 전함을 고치는 것을 도와주는데 마사코와 마스터우 사이에서 [[사랑|알 수 없는 분위기가 풍기자]] 둘을 유심히 쳐다보다 마사코에게 '''두 분은 어떻게 만나게 되었냐'''고 묻는다.[* 이때 마사코가 '''네 작은아빠?'''라고 묻는 것을 보니, 마사코의 마음은 이미 가마돈에서 마스터 우로 넘어갔을 가능성이 크다.][* 이게 로이드 입장에서는 화를 낼 만한 일인데도 이미 많은 시리즈가 지났음에도 마사코에게 싫은 소리를 하지는 않았다. 아마 눈치를 못 챘을 수도 있다. 몸은 어른이지만 사고방식은 아직 어린아이이기 때문.] 마사코가 말하길, 자신도 예전에 가마돈을 무척 사랑했던 적이 있다고 한다. >로이드:그게 언젠데요? >마사코:'''[[임신|널 가졌을때.]]''' 닌자들과 함께 빛의 신전에 도달하는데 성공하고 그곳에 그려진 벽화들이 모두 닌자들이 겪었던 일임을 알게 된다. >'''[[운명]]'''이니까.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힘을 얻기 위한 평화의 상징물인 커다란 종을 발로 차면서 골드 마스터의 힘을 얻게 된다. [[파일:IoD10.png]] ---- '''11화''' 새 힘을 얻게 돼서 들뜬 닌자들과는 달리 로이드는 불안해 하는 마음을 감추지 못한다. 닌자들이 가마돈의 헬멧을 벗겨오자,[* 이것을 천상의 시계에 끼우면 시계바늘이 멈추면서 최후의 결투를 막을 수 있다. 즉, 가마돈과의 전투를 피할 수 있다는 것.]가마돈과 스톤아미 군사들이 뒤따라오고 닌자들은 가마돈에게 부상을 입히는데 성공한다. 이 때, 로이드가 등장해 가마돈에게 최후의 일격을 시도하다, 결국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 이때 다쳐서 도망도 못가는 가마돈과 힘을 모으며 갈등하는 로이드가 번갈아가며 비춰지는데, 로이드의 심리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결국, 가마돈의 헬멧을 천상의 시계에 끼우지 못하고, 최후의 결투를 피할 수 없게 되었다. ---- '''12화''' 전 화의 싸움으로 자신감을 거의 잃어버렸다가 닌자들의 위로의 의해 마음을 다잡는다. 스톤아미들의 본부지로 향하지만 그곳에는 아무도 없었고, '''최후의 나쁜 무기'''의 것으로 보이는 바큇자국을 따라간다. 따라가면서 예전에 있었던 일들을 회상하며 웃고 떠든다. 가마돈과 다시 한 번 더 조우하지만 '''최후의 나쁜 무기'''는 결국 작동하고 악의 기운이 담긴 미사일은 닌자고 시티 한복판에 떨어져 사람들을 악한 기운에 물들게 한다. 가마돈은 기뻐하지만 오버로드가 가마돈의 모습을 차지하게 되는데 즉, '''나쁜 마음'''은 가마돈이 아닌 오버로드를 말했던 것. 로이드는 모습이 흉측해진 가마돈(오버로드)와 싸우게 되고 힘에서 밀려 부상을 입게 된다. ---- '''13화''' 빛의 신전으로 가서 스핀짓주 마스터를 위한 황금로봇을 이용해 섬을 빠져나가 완전히 어둠에 잠식된 닌자고 시티로 향한다.(다른 사람들은 울트라 드레곤을 타고 갔다.) 그곳에서 오버로드 때문에 완전히 인간의 형태를 잃고 드래곤의 모습이 된 가마돈과 싸우게 되고,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Lloyd_Gold.png]] > '''“잘 봐라! 내가 바로 새로운 최고의 스핀짓주 마스터다!”''' 그린 난자의 예언에 쓰여진 대로, 골드 닌자로 각성하는데 성공하며, [[오버로드(닌자고)|오버로드]]에 맞서 닌자고 세상을 구원한다. 이후, 아버지가 죽은 것이라 생각하고 상심했지만, 악의 기운에서 벗어난 가마돈과 상봉하는데 성공한다. === 리부티드 === [[파일:Season3Lloyd.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LloydTechno.png|width=300]] ||로이드 가마돈은 그의 아버지가 오버로드의 통제로부터 벗어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고 있어요. 하지만 서로 여러 해 동안 떨어져 있다 보니 둘이 아버지와 아들로 지내려면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아요. 하지만 무엇보다 큰 문제는 로이드의 황금 닌자 파워 때문에 그가 디지털 오버로드의 표적이 되었고 자칫하면 세상에 위험을 끼칠 수도 있게 되었다는 것이에요. 로이드는 때로 그냥 평범한 소년으로 지냈던 시절이 그립기도 하지만, 황금색 닌자가 된 이상 이제 아빠와 공받기 놀이를 하기는 힘들 거에요(제대로 던진다면 공이 나무 줄기를 뚫고 지나갈 테니까요).|| '''1화''' 닌자들의 말로는 골드 닌자로써 세계를 돌아다닌다고 한다. 경비로봇과 싸우는 닌자들을 지원하러 골드 드레곤을 타고 등장하고 이 때 골드 파워를 사용해 모든 로봇을 비경계모드로 만든다. [[파일:Lloyd301.png]] 디지털 오버로드가 전광판에서 모습을 드러내며 자신이 골드파워를 노린다고 밝히자,[* 이 이유때문에 로이드가 오버로드와 접전을 꺼리게 된다. 로이드가 만지는 모든 물건에 '''골드파워가 전달되기 때문.'''] 오버로드를 교란시키기 위해 마스터우를 미끼로 삼아(...) 도망친다. ---- '''2화''' 오버로드를 피해 가마돈이 수업을 가르치는 도장으로 가게 된다. 그곳에서 레이더망에 걸리는 것을 막아주는 새 도복을 받게 되고 마사코와 조우한다. [[파일:Garmadon&lloydsilentfist.jpg]] 선의 편에 서게 된 가마돈에게 가르침 겸 대결을 하게 되었고, 폭력을 쓰지않고도 가마돈이 이기자, 욱했는지 힘을 쓰려다 가마돈에게 제재당한다. 그 후 쟌에게 해킹당한 픽셀에게서 오버로드가 골드파워를 노리는 이유를 듣게 되고,[* 골드 파워가 있어야 디지털 공간에서 나올 수 있다.]갑자기 나타난 닌드로이드들과 싸우게 된다.[* 골드파워에 맞으면 더 강해진다고 한다.] 가마돈과 함께 니야의 사무라이X 동굴로 향하게 되고 가마돈이 무기들을 보며 혐오스러워 하자, 로이드가 '''황금무기를 들고 싸우시던 사람이 할 말은 아니라며''' 내뱉고 지나간다. 로이드와 가마돈은 니야의 차량을 타고오버로드가 따라올 수 없는 최대한 먼 곳으로 도망치지만 메카 드레곤이 그들을 공격해온다. 하지만 닌자들이 발전소에서 닌자고의 전력공급장치를 파괴하는데 성공하고 메카 드레곤도 작동을 멈춘다. ---- '''3화''' 바위가 가득한 산에서 가마돈에게 수련을 받는다. 가마돈이 골드 파워에만 의존하지 말라고 하지만 자신은 스핀짓주 마스터는 되기 싫다고 한다. 절벽을 오르는 도중에 가마돈에게 '''예전처럼 팔이 4개라면 금방 올라갈 것'''이라 농담하다가 가마돈에게 '''이참에 유머감각 좀 키우라고'''디스당한다. 절벽을 오르는 도중 독수리의 새끼가 둥지에서 떨어지자, 잡아주는데 아빠 새가 날아와 가마돈과 로이드를 공격한다. 가마돈이 위험에 빠지자, 바위를 움직여 가마돈을 구해준다. 닌자들에게서 '''[[파이토|의문의 인물]]'''에 대해 듣게 되고 하로시의 미로로 향하지만 의문의 인물은 쟌의 팔콘를 해킹해 추적장치를 달고 로이드가 있는 곳을 알아낸다. ---- '''4화''' 하로시의 미로에서 오아시스를 찾아내는데 성공하지만 닌드로이드 군대가 그들을 추적하는데 성공하고 로이드가 골드파워를 이용해 오토바이를 만들어 달아난다. 하지만 달아난 곳은 절벽 끝이였고, 가마돈은 메카 드래곤에 들어간 오버로드에게 잡혀있는 상황. 로이드가 힘을 쓰려 하지만 뱀로봇에게서 포박당하고 그 뒤에 의문의 인물이 나와 자신이 '''[[파이토]]'''임을 밝힌다. ---- '''5화''' 메카 드래곤에 갇혀 골드 파워를 추출당한다. 닌자들이 시스템을 재부팅하는데 성공하면서 로이드는 메카 드래곤에서 탈출하는데 성공한다. ---- '''6화''' 빛의 신전에서 닌자들에게 골드파워를 나누어준다. 덕분에 닌자들은 황금무기 없이도 원소의 힘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파이토와 보그박사의 위치를 알기 위해 닌자들과 함께 닌자고 시티를 수색한다.[* 사실 혼자 한거나 다름없는게 쟌은 보그타워에서 '''악튜러스'''의 뜻에 대해 알아보고 있고 카이는 작업(...)중이고 제이와 니야와 콜은 함께 영화를 봤다.] 보그 타워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악튜러스에 대해 추리하던 중 쟌이 제왕 가마돈을 막기 위해 과거로 갔던 일과 메가 황금무기를 언급하는데 로이드가 '''그런 일이 있었냐'''고 궁금해한다.[* 이게 말이 안되는 게 2화에서 로이드가 가마돈에게 메가 황금무기일로 가마돈을 디스했었다.] 닌자들과 함께 뱀부족이 별을 연구했던 우로보로스로 향하고 그곳의 지하에 [[로켓|우주발사체]]를 발견한다.[* 우주로 날아간 메가황금무기를 찾으러 갈 생각이다.] 발사시간이 얼마 남지 않자, 닌자들을 설득해 같이 우주선에 올라탄다.[* 그도 그럴것이 닌자들은 우주 비행사들처럼 훈련받은 것도 아니고 이 때 우주선에 올라탄 적들은 모두 로봇뿐이였다. 적팀의 유일한 생물체인 [[파이토]]는 우주에 가지 않았다.] ---- '''7화''' 다른 닌자들과 함께 우주선에 올라타는데 성공. 하지만 무중력 상태를 즐기는 것도 잠시, 닌자들이 있던 곳이 하필 '''발사 추진 로켓'''이였고 5분 후에 분리될 예정이였다. 그래서 산소가 필요없는 쟌이 밖으로 나가 우주복을 구해오고[* 물론 실제로 안드로이드에 불가한 쟌이 영하 260도를 웃도는 우주공간속을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는 없다. 아동 애니메이션이니까 그렇지 실제로는 장치며 부품이던 '''모두 얼어버릴 것이다!'''] 닌자들은 밖으로 나가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제이가 떠드는 소리 때문에 닌드로이드들이 알아채고 닌드로이드들과 전투를 한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뼈가 많이 약해지기 때문에 그렇게 싸우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어찌해서 악튜러스 행성에 도착. 하지만 금속을 갉아먹는 우주 벌레 때문에 우주복이 고장날 위기에 처하고,[* 이 점을 이용해 로이드가 닌드로이드를 공격하는 계획을 세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닌드로이드들은 황금무기를 들고 우주를 떠버린다. ---- '''8화''' 절망에 빠진 닌자들에게 우주선을 새로 만들 계획을 세운다. 덕분에 닌자들은 닌자고 시티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닌자들에게 지시를 내리는 리더의 역할을 맡으며, 그린 닌자 때 보여준 철없는 모습은 이제 거의 지워진 편. === 티타늄 닌자고 === [[파일:Season4Lloyd.png]] ||로이드는 제왕 가마돈의 아들인데, 강력한 황금의 닌자로 활약하다가 최근에 그린 닌자로 변신했어요. 그는 닌자 팀에서 영웅적인 활동을 보여 주었어요. 심지어 자기 아버지에게 맞서 닌자고를 구하기도 했으니까요.|| 닌자들이 흩어진 와중에서도 유일하게 닌자로 남은 로이드는 오버로드가 죽은 후, 사라진 황금 갑옷을 얻기 위해 훈련을 한다. 이후, 닌자들을 찾아가 모은 뒤[* 이때 카이에게는 팩폭을 날린다...(형은 항상 자기중심적이더라. 전에는 자기가 그린닌자라더니, 이번엔 쟌 형 대신이라고? 도대체 주인공병은 언제 고칠래?)], 새로운 닌자를 영입하는 것이 어떠냐 얘기를 하는 도중, 아이조와 부하들이 남긴 단서로 쟌이 살아있음을 알게 되고, [[마스터 첸]]이란 인물이 초능력 무술 대회를 개최한다는 것을 알게된다. 초능력 무술 대회로 떠나기 전, 가마돈에게 자신들외에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있냐는 질문을 하는데, 가마돈은 이에 놀란다, 닌자들과 모여 클라우즈와 배를 타게 되지만, 가마돈이 마스터 첸은 위험한 인물이라며 초능력 무술 대회로 가는 것을 막으려하지만, 로이드는 쟌을 구하기 위해 거절. 결국, 가마돈 역시 첸의 섬으로 따라가게된다. 여기서 제이와 콜이 대회에서 싸우는걸 제지하고, 스케이트 대회에서 자신들을 적으로 생각하는 원소마스터들을 자신의 팀으로 만든다. 첸이 원소 마스터들의 능력을 빼앗는 것을 안 닌자들은 다른 원소 마스터들을 포섭하긴 하지만, 첸 몰래 섬에 잠입한 니야의 정보를 통해 스파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된다. 첸 밑에서 일하는 자들은 모두 등에 아나콘드라이 문신이 있다는 것을 통해, 모두 등을 확인해보지만, 유독 그림자 마스터 '섀도'만이 등을 보여주는 것을 거부한다. 이에 로이드는 섀도를 의심하기 시작. 이후, 첸의 계략으로 니야를 잡는 것이 대회 종목으로 선정. 이때, 원소 마스터들과 가마돈을 비행선에서 자유 낙하를 시키는데, 낙하산이 하나 부족해 가마돈은 추락사하게 생긴다. 로이드는 하나 남은 낙하산을 아버지에게 주고, 자신은 원소 드래곤을 소환하는데 성공해 무사히 착륙한다. 아버지와 첸에 대한 과거(와 가마돈의 잘못)를 알게 되고, 니야를 통해 첸이 자신과 부하들을 아나콘드라이로 변신시킬 계략을 꾸미고 있음을 알게 된다. 밤이 된 후, 첸의 성에 잠입하지만, 곧바로 들키고 마스터 첸과 정면 승부를 벌이나 패배. 첸에게 원소 에너지를 빼앗기지만, 카이와 스카일라의 활약으로 모든 원소 마스터들은 자신의 원소를 되찾는데 성공하고 첸과 그의 측근들을 제외하면 전부 제압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첸은 스카일라를 통해 아나콘드라이가 되는 것에 성공하고, 아나콘드라이 문신을 한 가마돈 역시 아나콘드라이로 변하게 된다. 아나콘드라이가 된 첸과 그의 부화들과 마지막 전투를 하나, 밀리게 되고, 파이토가 이 전쟁을 막을 방법은 '''가마돈을 저주의 땅으로 보내고 옛 아나콘드라이 장군들을 불러오는 것'''이라 하자, 처음엔 가마돈을 말리지만 결국 자신이 직접 주문을 외우며 가마돈을 저주의 땅으로 보낸다. === 섀도우 오브 로닌 === ==== 토너먼트 ==== 레벨 1: 첸의 섬에서 얻은 5만 스터드로 토너먼트 도복을 구매할 수 있다. 골드 카타나 두 개가 같이 따라오고 스핀짓주 사용 가능하다. === 고스트 닌자고 === [[파일:Season5Lloyd.png]] 박물관에 문제가 생겨 박물관으로 간다.[* 이때 마사코가 뽀뽀는 안하고 가냐하자 이마를 짚으며 갔다와서 한다고 한다. 이걸보면 역시 정신은 아직 어린애란걸 알수있다.] '''모로'''[* 모로는 바람의 마스터로 마스터 우의 수제자다.]라고 불리는 유령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악당이 빙의하면서 몸을 빼앗겨버린다.[* 고스트 닌자고 에서 빙의,감금,촉수(!) 나올건 다 나온걸보면 이게 아동용 애니가 맞나 싶을정도.] 모로의 말에 따르면 로이드는 아직도 '혼자'가 되는것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후반에는 모로에게서 빙의가 풀려 혼자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리고..''' [include(틀:스포일러)] 로이드가 저주의 땅으로 가게 되었는데 가마돈이 나온다! --첸과 클라우즈는 덤-- --근데 죽은거나 마찬가지 아닌가 싶다-- --[[http://m.blog.naver.com/khj3000k/220417588560|참고(스포일러 주의!)]]--(삭제됨) 저주의 땅에서 나올때 가마돈의 옷을 입고 등장했다.[* 옷빨 덕분인지 가마돈의 말 덕분인지(나는 언제나 네곁에 있을거란다.) 이전엔 모로에게 밀렸으나 이번엔 대등하게 싸운다.][* 싸울때 렐름 크리스탈로 차원이동을 싸움을 했는데 키마세상이 나왔다.] === 닌자고 대 스카이해적 === [[파일:Season6Lloyd.png]] [[파일:LLOYD.gif]] ||수많은 모험이 끝난 뒤, 로이드는 사부가 되기 위한 수행을 하고있어요. 닌자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는 로이드는 팀의 리더가 될 거에요.|| 나다칸 진 때문에 누명을 쓰고 도망치다가 쟌과 마스터 우가 사라진 도서관에서 조사를하지만 [[로닌(닌자고)|로닌]][* 경찰한테 자기가 닌자들을 잡아오면 자신이 전에 저지른 모든 범죄를 지워 주라는 조건 하에 닌자들을 잡는다.]한테 잡힌다. 감옥에서 드래곤 전함의 옛 선장인 소토 선장[* [[골드 닌자고|시즌 2]] 2화 닌자 대 해적 편에서 [[가마돈]]이 소토선장의 일기를 우연히 드래곤 전함에서 발견하고 실수로 메가 황금무기로 '''부활'''시킨다.]과 만나 나다칸 진을 막을 수 있는 타이커 위도우 섬의 독에 대해 듣는다. 7화에서 로이드의 소원은 [[마스터 우]]와 같이 현명해 지는 것[*스포일러 이때 '''마스터 우처럼 늙어버렸다!''' 역시 현명해지는데엔 시간이 필요하다는 증거인 듯하다. 아니면 나다칸이 닌자들 모르게 현명해지는 대신의 페널티를 넣었거나, 그런데 이때 모습이 자신의 [[제왕 가마돈|아버지]]를 쏙 빼닮았다!]과 검(그냥 검)을 주는 것으로 3번째 소원은 제이와 니야를 탈출시키는데 쓰였다.[* 자신들이 드래곤을 소환할 기력은 없어서인지 로이드와 [[콜(닌자고)]]은 그대로 진 블레이드에 봉인당했다. 참고로 콜은 이 때 [[끔살|드래곤 없이 떨어지면 죽는다!]]] === 유령의 날 === 죽은 자들을 기리는 유령의 날 때 가마돈을 마사코와 애도하지만 [[양 사부의 연합]]과 같은 편이 된 파이토[* 양 사부의 연합 중 유일하게 죽어서 부활된 인물이 아니다. 닌자고 역사 박물관에 우연히(...) 들어왔다가 양 사부의 연합과 같은 편이 된 거다.]가 공격하고 마사코는 절벽에 떨어질 뻔 할 때 자기는 바위를 짊어지고 있었는데 마사코가 가마돈 얘기를 하고... >그리고 둘 다 '''스핀짓주 마스터'''이죠! 면서 바위를 들어 올리고 결국 파이토를 물리치지만 파이토가 다음 번에는 이러지 않을 거라면서 도망친다. 마사코는 파이토가 돌아올 거라는 떡밥을 남긴다. === 타임블레이드 === 마스터 우가 타임블레이드에 의해 노화가 빨리 진행되면서 몸과 마음이 쇠약해지자, 그를 대신에 임시 마스터직을 받는다. 제이가 던진 타임블레이드에 맞는다. 그리고 자만심에 빠지는 바람에 마키아 장군에게 당했다. 그렇지만 시곗바늘 형제에게 복수할 기회라고 말한다. === 닌자고 마스터즈 === '''1화''' 보그 타워에서 도깨비 가면을 훔친 일당들을 체포하러 출동한다. [[미스터 E]]가 오토바이를 타고 도주에 시도하자, 픽셀에게 차량을 보내줄것을 요청하고 차량이 도착하자, [[미스터 E]]를 쫓아 도로 위를 질주한다. 픽셀이 '''마스터 로이드'''라고 부르는 걸로 보아 완전히 팀의 리더로 승격한 것으로 보인다. >[[로이드 가마돈|로이드]]: 잘했어. 내가 가서 뽀뽀해줄게. >픽셀: 쟌이 가만있지 않을걸. 하지만 [[미스터 E]]는 낙하산을 타고 도주하고, 그때 낙하산의 그려진 가마돈 그림을 보고 놀란다. 며칠 후[* 정확히는 72시간 후], 닌자들은 보그 타워에서 집합하게 되고, 닌자들은 로이드의 달라진 목소리에 웃는다. [[마스터 우]]가 사라진 지 '''1년'''이 지났다고 한 걸 보니 그 사이에 변성기가 온 것으로 보인다. 로이드 말에 따르면 닌자들과 '''오랜만에''' 모이게 된 듯. 로이드는 '''가마돈의 아들들'''이란 갱단이 가면을 훔쳐갔다는 사실을 알리고 그때, 허친스가 나타나 '''가면'''에 대해 설명하며 다음 날 황족이 여는 공개 연설에서 두 번째 가면을 지켜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다음날 황제에 연설 중에 공주를 '''빤히 바라보다''' 동료들에게 놀림을 당한다. 연설이 끝나자, 가마돈의 아들들은 폭죽을 터트려 사람들을 혼란하게 만들지만 가면을 훔치지 못하고[* 정확히는 '''훔치지 않았다'''가 맞다.] 연설이 무사히 끝나자 황족은 닌자들을 궁 안으로 초대한다. 다른 닌자들과는 달리 상당히 예의바르고 절제된 모습을 보인다.[* 콜이 황궁 내부에 감탄하며 '''평생 이런 곳에서 살고 싶다'''고 했을 때 '''닌자는 밖에서 닌자고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나이는 가장 어리지만 최강의 힘을 가졌죠. 선택받은 자니까. 저처럼 부모님이 곁에 안 계시죠 하지만 늘 가족과 있는 기분일 거예요. >---- >하루미가 로이드에 대해 설명할 때 허친스에게 닌자들이 지켜야 할 '''속임수의 가면'''이 있는 곳으로 안내받는다.[* [[미스터 E]]에게 뺏긴 가면은 '''복수의 가면'''.] 허친스와 닌자들이 대화하는 도중 공주의 방에서 하루미가 화장을 고치는 것을 훔쳐보다가 들키자, 당황하면서도 '''미소를 짓는다.''' 그날 밤, [[로이드 가마돈|로이드]]는 가면을 지키다가 이상한 소리가 나자 공주의 방으로 향하고 하루미가 사라졌다는 것을 깨닫는다. '''2화''' 로이드는 서둘러 베란다로 나가 주의를 둘러보고 커다란 자루를 등에 지고 도망가는 그림자를 보고 공주가 납치되었다고 생각해 쫓아가게 되는데 쫓던 도중 건물이 붙어있던 사다리를 잡고 올라가려던 중 사다리가 부러져 떨어질 위험이 처하지만, 납치범이 로이드를 구해주고,정체는 바로 '''[[하루미(닌자고)|하루미]]'''라는 것을 알게 된다. 로이드가 왜 방은 난장판이 되었냐고 묻자, '''원래 방을 잘 어지른다고 얼버무린다.''' [[하루미(닌자고)|하루미]]는 자신을 쫓는 경비들의 눈을 피해 로이드와 빈민가로 향하고 함께 사람들에게 음식을 나누어준다. 부모님이 아시면 그만두게 할까 봐 몰래 다니는 거라고. [[하루미(닌자고)|하루미]]가 공주로 사는 게 가끔 힘들 때도 있다며 로이드에게 속마음을 털어놓자 로이드는 공감한다. 갑자기, 가마돈의 아들들이 나타나 사람들을 괴롭히기 시작하고 로이드는 도와주려 했으나 [[하루미(닌자고)|하루미]]가 정체를 들킬 것을 염려해 그를 막는다.[* 후에 사무라이x가 나타나 갱단을 몰아낸다.] 후에 [[하루미(닌자고)|하루미]]는 로이드에게 자신을 '''루미'''라고 편하게 대하라고 한다. 그때, 허친스가 나타나 하루미를 데려가고 이때, 허친스가 '''뒤로 돌아보고 로이드를 보며 웃는다.''' 다음날, 닌자들과 훈련하면서 어젯밤 이야기를 말하고 [[콜(닌자고)|콜]]이 데이트 아니냐고 놀리자 '''데이트는 절대 아니라며''' 단호하게 대답하지만 [[카이 스미스|카이]]가 '''좋아하는 여자애가 있으면 확실하게 치고 나가야 한다'''고 조언하자 방법을 묻는다. 닌자들에게 이것저것 조언을 듣는데, [[카이 스미스|카이]]가 '''관심없는 척 하라'''고 하자 '''관심 있다'''며 [[하루미(닌자고)|하루미]]에 대해 마음이 있는 걸 인정한다. 황궁 안을 돌아다니던 중 [[하루미(닌자고)|하루미]]가 부모님에게 혼나는 것을 기둥 뒤에서 몰래 듣게 되고 허친스에게서 공주님에게서 떨어지라는 말까지 듣자, [[하루미(닌자고)|하루미]]와 자신의 신분 차이에 절망하게 된다. >솔직해 지고 싶었는데 나한텐 그런 기회도 없나 봐.[* 일판에서는 '''때로는 무리해서라도 바뀌어야 할 사람이 있어.'''] 그날 밤, 황궁 안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고 허친스를 범인이라고 생각해 그의 멱살을 잡고 따지지만 허친스가 바이올렛의 공격에서 그를 구해주자, 혼란스러워한다. 허친스에게서 전시관에 있던 가면은 가짜라는 소식을 듣고 진짜 속임수에 가면을 받고 가마돈의 아들들에게서 공주를 데리고 대피한다. 로이드는 가마돈의 아들들에 일원에게서 오토바이를 뺏어 울트라 바이올렛의 추격을 피하지만, [[하루미(닌자고)|하루미]]가 속임수의 가면을 '''놓치는 바람에''' 속임수의 가면도 빼앗기고 말았다.[* 일부러 놓친 건지는 모르지만. 마지막에 드래곤 전함에 올라타 탈출에 성공하고 닌자들과도 조우에 성공한다.] '''3화''' 1화에서 체포된 가마돈의 아들들의 일원 '''루크'''에게서 정보를 얻기 위해 다른 닌자들과 함께 미스타케의 찻집에서 진실의 차를 얻으러 간다. 그때, 창고 안쪽에서 수상한 그림을 보고 미스타케에게 묻는다. [[파일:캡처_2018_02_28_23_36_50_771.png]] 미스타케는 '''아직 너희는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지 않았다'''며 거절하지만 로이드가 간절히 부탁하고 [[제이(닌자고)|제이]]와 창고 안으로 들어가 '''깨달음의 차'''[* 이걸 마셔야 전설을 볼 수 있다고 한다.]를 마시며 미스타케의 이야기를 듣는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기도 전. 최초의 차원에서 창조하는 힘을 가진 드래곤과 파괴하는 힘을 가진 도깨비가 있었다. 성질이 다른 둘의 전쟁이 지속되던 중 양쪽의 힘을 모두 가진 '''한 아이'''[*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가 태어났다. '''아이'''는 창조와 파괴는 서로 공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해했지만 드래곤과 도깨비는 '''아이'''가 한 가지만 선택하길 바랬고, 또 다시 전쟁이 시작되었다. 결국 '''아이'''는 두 세계 모두를 저버리고 황금무기로 새로운 세상, 닌자고 세상을 만든다. 그가 세상을 만들고 나서 도깨비의 힘을 물려받은 [[가마돈|형]]과 드래곤의 힘을 물려받은 [[마스터 우|동생]]이 태어난다. 하지만 [[가마돈]]이 [[로이드 가마돈|아들]] 사랑에 무너지면서 공허함이 몰려오기 시작했고, 그 공허함 속에서 새로운 어둠의 세력이 싹텄다.|| >가마돈의 아들들이군요. 로이드는 도깨비의 가면 세 개가 합쳐지면 '''부활의 힘'''이 생긴다는 사실을 듣고 가마돈의 아들들의 목적이 [[가마돈]][* 정확히는 '''제왕 가마돈'''.]을 부활시키는 것이라는 걸 알게 된다. 그날 밤, 다른 닌자들과 함께 드래곤 전함에서 모니터로 가마돈의 아들들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콜(닌자고)|콜]]을 보며 입을 다물지 못한다. 쟌이 배신을 하자, 닌자들은 쟌과 콜을 찾으러 가고 그곳에서 [[미스터 E]]와 전투를 벌이다 [[쟌(닌자고)|쟌]]이 방해를 하고 [[미스터 E]]와 도망을 가자 쫓아가려다, [[쟌(닌자고)|쟌]]이 표창에 남긴 쪽지를 보고 걸음을 멈춘다. >[[쟌(닌자고)|쟌]] 형이 우리를 막은 건 다 계획에 일부였어. 그래야 녀석들이 믿으니까! '''4화''' 모노레일 위에서 드래곤 전함에 있는 닌자들과 통신을 하던 중 [[제이(닌자고)|제이]]에게 [[쟌(닌자고)|쟌]]과 [[콜(닌자고)|콜]]이 지하에 있다는 사실을 듣게 되고 지하철역으로 가 노선도를 보며 '''더 이상 쫓는 건 힘들다며''' 포기하려 한다. 7화에선 하루미가 악당이라는 걸 알게 되자, 서로 덤빈다. 그리고 우리 사인 이걸로 끝났다고 한다. 8화에선 자신의 엄마를 잡은일로 우리끼리 얘기하자고 하며, 하루미가 난 너에게 얘기한적도 없다고 하자, 언젠가는 우리가 이길꺼라고 한다. 닌자들에게 도움을 받고 가마돈의 부활을 막아내고 하루미도 쓰러진다. 엄마하고 무사히 재회하면서 그녀를 잘못봤다고 하며, 이젠 안 그럴꺼라고 한다. 9화에서 동료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가마돈을 만난다. 대화가 안통하자 결국 싸우는데 파괴의 힘이 거의 깨어난 가마돈을 골드파워를 동료들에게 공급해주고 있기 때문에 힘이 완전하지도 않은 채로 쓰러뜨리는 것은 말그대로 불가능하다. 결국 대결에서 진다. 이때 싸우면서 로이드가 가마돈과 접촉 할때마다 몸에서 에너지가 흐르는 것이 보이는데, 이건 로이드 안에 있던 그린 에너지가 가마돈이 가진 파괴의 힘으로부터 그를 보호하려고 했던 것이다. 10화에서 친구들의 힘을 받아서 겨우 살아나지만 원소의 힘을 잃는다. 다만 찾집 주인은 진정한 힘이 아직 남아있다고 말한 것을 봐서는 아직 골드닌자때 쓰던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의 힘이 나오지는 않았을뿐이고 아직 로이드 깊은 곳에 잠들어 있는듯 하다. === 드래곤 헌터 === 니야와 함께 닌자고의 상황을 다루는 부분에서 등장. 원소 마스터들을 모아 저항을 준비한다. 85화 힘과 친구들을 잃었다고 슬픔과 고뇌에 빠져 니야에게 대장을 맡아달라고 했다. 하지만 드래곤 전함 잔해에서 픽셀이 여행자의 찻잎을 보게되고 닌자들이 살아있고, 다른곳 에 있다는 사실에 기뻐하며 과거로부터 돌아온 원소 마스터들의 도움을 받게 된다. 86화 원소 마스터들과 함께 저항단체를 결성한다. 87화 원소마스터들과 함께 보그타워 방송국을 접수하고 시민들에게 화면으로 저항의 메세지를 보낸다. >닌자고 시민 여러분, 접니다. 로이드 가마돈 그린닌자. 여러분은 아주 두려울겁니다. 하지만 이제 용감해져야해요! >하루미는 가마돈의 편입니다. 닌자고 시티가 망가진건 그들 때문이에요! >이젠 우리가 반격할 차례에요! 저항세력도 있습니다! 지금은 소규모지만 우리에겐 힘이.... 힘이... 있어요..... 하루미가 동영상으로 로이드가 가마돈에게 당하는 걸 보여주자 용기를 잃게 된다. 그러나 잡힌 시민들의 사진을 보며 다시 용기를 얻게 된다. >지금의 저한테는 원소에너지가 없지만, 여러분이 힘을 모아주시길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우린 한 번 넘어진 거에요. 일어나면 됩니다! >전보다 강해질 수 있어요. 여기는 우리의 도시 입니다! 가마돈은 돌덩이 괴물로 우릴 위협했어요. 하지만 우리한텐 이런일이 처음은 아니죠! >건물은 무너져도 우리는 일어날 순 있어요! (영어로는 원소에너지는 없지만 시민들의 힘이 있다고 한다.) > 잘들어요 아빠! 지금은 아빠가 강력한 존재가 됐죠! 하지만 곧 진정한 힘이 뭔지 보게 될겁니다! >우리의 저항은 계속된다!!! >( resistance never quit!!! ) 92화 스카일라를 말리는 도중 건물옥상에 있던 하루미의 죽음을 보고 있다. 94화 갑옷을 입은 사람이 다름아닌 [[마스터 우]]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닌자들이랑 오랜만에 재회한다. 가마돈과 다시 대면하지만 '싸우지 않을 거에요. 하지만 굴복하지도 않아요.'~~어쩌란거야~~라고 하며 가마돈에 힘을 없애고'~~리부티드 2화에서의 가마돈의 싸우지 않고 이기는 법을 여기서 써먹네~~ 다시 힘을 되찾아 진정한 그린닌자로 각성한다. 그리고 싸움후 가마돈에게 들은 도깨비들과의 전투를 대비한다. === 도깨비 습격! === >마스터 가마돈과 미사코의 아들.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기 위해 어린 시절을 희생했고, 결국 그린 닌자가 되었다. 타이틀 캐릭터이자 마스코트는 [[콜 버킷|콜]]이지만 사실 로이드가 주연이라고 해도 될 정도다.[* 카이의 비중이 콜과 비슷할 정도.][* 하지만 시즌 10인데 콜을 제외한 모든 닌자는 인트로에 나오고, 타이틀 캐릭터, 마스코트를 적어도 한 번씩은 맡아봐서 '''어쩔 수 없이''' 이렇게 된 거다.] 95화 지난 싸움에 했던 말에 대해 알기 위해, 가마돈이 갇힌 크립타리움 감옥으로 찾아간다. 가마돈이 자신이 있어야 어둠을 막을 수 있다는 말에 풀어주는 것을 거부하나 결국 도깨비들의 등장으로 할 수 없이 풀어준다.[* 이 때 약간 이상한 점이 있는 게, 로이드가 스핀짓주 마스터임에도 자신의 할아버지인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와 달리 도깨비를 이기지 못한다. 다만 이건 로이드가 너프되었거나 아직 할아버지와 달리 힘이 제대로 깨어나지 못해서인듯 하다. 로이드가 제대로 각성하면 천지창조도 가능해지니...] 96화 그리고 도깨비가 점령한 닌자고시티로 내려가 렐름 크리스탈을 부수나 예상과는 다르게 도깨비들을 소환하는 방식은 하나 더 있었다[* [[오메가(닌자고)|오메가]]의 말에 따르면, 렐름 크리스탈은 차원 간의 문을 여는 열쇠라, 이미 다른 차원(문)으로 들어온 오메가가 다시 여는 건 식은 죽 먹기라고. 비유하자면 이미 열쇠로 문을 열었는데 열쇠를 부숴봤자 문이 잠기지 않는 것과 똑같다.]. 결국 후퇴를 결심하고 도망가던 도중 오버로드의 황금 갑옷을 발견한다. 도깨비들이 황금갑옷의 빛을 무서워 하는 걸 알게되고 갑옷을 방패 삼아 후퇴에 성공한다. 97화 98화 최종화에서는 수도원까지 찾아온 도깨비들과 싸우다 원소 에너지를 합친 회오리바람을 사용해 도깨비를 막는데 성공하고, 잠시동안 최초의 스핀짓주 마스터와 그의 드래곤을 만난다. 기절한 상태에서 환각인건지 아님 진짜 스핀짓주 마스터의 사후세계를 갔다온건지는 불명. 그리고 닌자들과 함께 수도원 벽화 옆에 자신의 원소색이 묻은 손을 찍어 문양을 만들고 훈훈하게 이야기가 종료된다. 여담으로 아직 자신의 예전 아버지의 모습을 완전히 버리진 못한 모양이다. === 불의 닌자 대 얼음의 황제 === [[파일:Lloyd.jpg|width=50%]] 일전의 도깨비 시건이 종료된 후 몇 달 동안 놀고먹느라고 다른 닌자들과 함께 유유자적한 생활을 보내고 있다. 때문에 근육도 다 빠지고 실력도 엄청 줄어들어버렸다(...) 일단 감각을 되찾기 위해 일행들과 함께 뭐라도 해보려고 하지만 이미 닌자고 세계는 평화로워진지라 닌자들이 나서서 할 일이 전혀 없어진 상황. 때문에 우연히 TV를 보고 '미지의 피라미드'의 비밀을 파헤칠 모험을 찾아 떠날 계획을 세운다. 허나, 사실 그 피라미드는 뱀 부족의 반역자였던 '아스피라'가 봉인되어 있는 봉인소였고, 어쩌다보니 닌자들이 그 봉인을 깨우게 된다. 일단 금지된 스핀짓주 두루마리를 가지고 있던 아스피라를 어찌어찌 해치우게 되나 아스피라가 연 포탈로 인해 쟌이 네버 영역으로 떨어져버린 상황. 닌자들은 만반의 준비를 갖춘 후 네버 영역의 포탈을 다시 열어 쟌을 찾으러 네버 영역에 발을 들이게 된다. 그렇게 찾은 네버 영역은 모든것이 얼어 붙어 있는 동토의 땅이었고, 설상 가상으로 타고온 탑승물까지 망가져버려 얼어 죽을 위기에 처하던 찰나 그곳에 거주하던 원주민들을 마주하게 된다. 그곳에서 얼음 황제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로이드는 일단 일행과 떨어져 쟌의 흔적을 찾기로 한다. 일전에 타고온 모빌에서 쟌의 닌자고 타이탄의 신호를 캐치한 로이드는 흰색 늑대 아키타의 도움을 받아 닌자고 타이탄을 되찾게 된다. 허나 얼음 용의 습격에 닌자고 타이탄이 반파되고 간신히 얼음 황제에게 도달한 로이드. 그런데 사실 얼음 황제의 정체는 '''쟌'''이라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진다. 일행에게는 고작 며칠 전의 이야기였지만, 시간의 흐름이 다른 탓인지 쟌은 수 십년의 세월을 보낸 상황이었고, 더군다나 '금지된 스핀짓주 두루마리'의 부작용으로 기억도 잃고 사악해져버렸다. 결국 로이드의 호소로 쟌이 다시 각성해 스핀짓주 두루마리를 놓으며 상황은 종료. 얼어붙은 동토였던 네버 영역의 한기가 누그러지게 된다. 이별하는 중에 아키타가 이별의 선물로 뽀뽀를 받게 된다![* 물론 볼에.] === 게임 속으로 레벨업! === 닌자들과 같이 기술자라는 악당을 잡았는데, 기술자가 왕가미라는 자와 같이 일하고 있다는걸 알게되고, 닌자들과 같이 게임속으로 들어간다. 요키요와 같이 모험을 하고, 레이스에서 2번째 키타나를 얻기 위해, 레이서 세븐에게 도움을 청한다. 세븐이 언제나 지는 프로그램이 있어 불가능하다고 하자, 로이드가 자신을 믿고 프로그램을 스스로 바꾸라고 충고하였다. 결국엔 레이서 세븐이 이기고, 고맙다고 한다. 왕가미의 사원에서 대전 게임을 할때, 하루미가 나타난다. 로이드가 신기해 하는데, 기억 테스트를 하자, 가상 하루미라는걸 알게 된다. === 스컬 던전 속으로! === 콜이 바니아 공주에게 관심을 가지자, 로이드는 바니아가 혹시 이번에도 나쁜공주가 아닌가 싶다고 의심을 품는다. 11화에서 스컬드래곤에게 자신의 에너지포를 날린다 그후 지쳐쓰러진다. 그 후엔, 바니아가 착한 공주라는걸 알게 되자, 사과한다.
yolovesa,duid135246
레바논 평화유지단
#redirect 레바논 평화 유지단
check
브레이브걸스/이전 멤버
[[분류:브레이브걸스]] [include(틀:브레이브걸스)] [목차] == 개요 == [[브레이브걸스]]의 이전 멤버를 다루는 문서. == 목록 == === 1기 === ==== 은영 ==== ||<-2><table bordercolor=#79000a><table width=500><table align=center><bgcolor=#79000a> '''{{{#ffffff {{{+1 은영}}}}}}''' || ||<-2><bg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ravesound.com/20150513122825__01_01.jpg|width=100%]]}}} || ||<bgcolor=#79000a> '''{{{#ffffff 당시 활동명}}}''' ||<colbgcolor=#ffffff,#232323> 은영 (EunYoung) || ||<bgcolor=#79000a> '''{{{#ffffff 본명}}}''' || 박은영 || ||<bgcolor=#79000a> '''{{{#ffffff 출생}}}''' || [[1987년]] [[10월 15일]] ([age(1987-10-15)]세), [[부산광역시]] || ||<bgcolor=#79000a> '''{{{#ffffff 신체}}}''' || 169cm, B형 || ||<bgcolor=#79000a> '''{{{#ffffff 가족}}}''' || 부모님, 남동생[* 2012년 기준으로 군대 간 상태였다.] || ||<bgcolor=#79000a> '''{{{#ffffff 포지션}}}''' || '''리더, 메인보컬''', 리드댄서 || ||<bgcolor=#79000a> '''{{{#ffffff 특이사항}}}''' || [[신하균]]의 조카 || ||<bgcolor=#79000a> '''{{{#ffffff 링크}}}''' || [[https://www.instagram.com/pilates_ey/|인스타그램 (공개)]] || 데뷔 전 티저 공개 당시 가장 먼저 공개된 멤버. [youtube(FW218El8_VA)] 오디션에서 [[비욘세]]의 "Work it out"을 불렀다. 애초에 연습생 중에서도 잘 하는 사람을 멤버로 뽑아서인지 가창력이나 춤 실력이 정말 좋다. 그리고 데뷔하고 나서 영화 [[300]]을 연상시키는 복근을 보여줘 "복근돌"이란 별명을 얻기도 했다.{{{#!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image/020/2011/04/28/36765435.4.jpg|width=400]]}}} [[켠김에 왕까지]]에서 서아에 의하면 쭉 뻗은 쇄골 사진으로 화제가 된 적이 있다고 한다.(...) 허리가 유연하다. [[백점만점]] 출연 당시 여자 체후굴 경기에서 [[화영]], [[NS윤지]]를 제치고 1등 할 정도였다. 5인조 활동 당시 멤버들 사이에서 티가 날 정도로 푸쉬를 많이 받았고, 센터에 가장 많이 배정되었다. 정작 주목을 많이 받은 건 비주얼 에이스 예진이었지만.(...) 그래도 연습생 중에서도 잘 하는 사람을 멤버로 뽑아서인지 가창력은 정말 좋은 멤버였다. [[인스타그램]]에 올린 근황에 의하면 지금은 연예계를 떠나 [[필라테스]] 강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 [[한예진|예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예진)] ==== [[박서아|서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서아)] ==== [[유진(1992)|유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진(1992))] ==== [[혜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혜란)] === 2기 === ==== [[이하윤(1994)|하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하윤(1994))]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브레이브걸스, version=559)]
kaiserx1012,218.150.29.229
UAE 군사훈련협력단
#redirect UAE 군사훈련 협력단
check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범유럽 테크 트리
[[분류: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include(틀: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목차] == 개요 ==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에 등장하는 범유럽 해군 함선 일람.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특징 ==
limkyuhyun05
시마 다이스케
[목차] == [[일본]]의 배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마 다이스케(배우))] == [[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의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시마 다이스케(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분류:동명이인/ㅅ]] ## 이 문서는 동음이의어 문서 중 내용이 짧은 문서입니다. 동음이의어 문서가 아닌 일반 토막글을 더 많이 노출시키기 위해 시험적으로 각주를 통해 내용이 짧은 문서에 인클루드 되지 않게 시도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해결되면은 이 각주를 지워도 좋습니다.
samduk
브레이브걸스/1기
[[분류:브레이브걸스]] [include(틀:브레이브걸스)] [목차] == 개요 == [[브레이브걸스]]의 1기 활동 내역를 다루는 문서. == 활동 == === 2011년 === 4월 8일, 드디어 데뷔곡이 공개되었다. 제목은 "아나요". 4월 24일, 개그 콘서트 [[슈퍼스타 KBS]]에 특별 출연하여 "아나요"의 트로트 버전을 불렀다. 4월 30일, 은영이 [[백점만점]]에 나와 여자 체후굴 경기[* 엎드린 상태에서 허리를 젖혀 더 높이 젖힌 사람이 이기는 경기. 유연성 테스트의 거꾸로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에서 금메달을 받았다. [[파일:external/www.allkpop.com/20110501_eunyoung.jpg|width=60%]] 5월 25일, [[복불복쇼2]]에 출연했다. 은영, 서아, 예진만 출연했는데, [[혜란]]과 [[유진(1992)|유진]]이 당시 미성년자라서 출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6월 23일, [[먼데이 키즈]]와 그의 소속사 사장 강승호[* 부인인 [[장혜진(가수)|장혜진]]부터 [[김종서]], [[박완규]], [[캔(가수)|캔]], [[박상민]], [[먼데이 키즈]]를 키운 캔엔터테인먼트 사장이다.], 브레이브걸스와 [[용감한 형제|소속사 사장님]]과 함께 [[비틀즈 코드]]에 출연했다. 허나 방송 주제가 강승호와 [[용감한 형제]]의 평행 이론에 관한 거여서 브레이브걸스의 비중은 별로 없었다. 방송 중 용감한 형제의 "용불용곡"[* 방송 내에서 좋은 노래지만 아깝게 묻힌 노래를 이르는 말이었다.]으로 선정된 [[손담비]]의 《Bad Boy》를 잠깐 커버했다. 7월 29일, "툭하면"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의 인삿말은 "'''툭하면'''[* 하면서 손가락을 툭 튕기는 손동작이 있다.] 떠오르는 브레이브걸스입니다, 안녕하세요~"였다. 8월 12일,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출연했다. 9월 2일, MTV의 "Let me Show"에 출연해서 인터뷰를 했다. 9월 13일,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대회/2011년|2011 추석 아육대]]에 출전했다. 하지만 100m 달리기에서 은영이 허들에 걸려 넘어지는 바람에 부상을 당했다 [[파일:external/www.allkpop.com/Screen-Shot-2011-09-13-at-11.56.13-PM.png]] 11월 5일, 15일 [[MTV]]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비하인드 더 쇼》 25회, 26회에 출연했다. 21회 방송분에서 서아가 [[고추냉이]] 김밥을 울지 않고 먹으면 [[더 쇼]]에 출연하지 않고도 《비하인드》 출연한다는 약속으로 출연이 결정된 것이다. 12월 24일, 일본 리얼리티 방송인 "K-Pop 아이돌 등용문"에 출연했다. === 2012년 === || [youtube(R6zi0aqvbh4)] || 2월 22일, "요즘 너"로 활동을 시작했다. 역대 활동 중 가장 높은 음악방송 순위를 기록했다. ([[뮤직뱅크]] K-차트 11위) 이전 활동곡에선 비쥬얼 멤버들이었던 '예진'과 '서아'의 파트가 터무니 없이 적었는데 [[용감한형제]]도 뭔가를 느꼈는지 둘의 파트가 늘었다. 2월 23일, 신동의 심심타파에 출연해서 "요즘 너"의 라이브를 선보였다. 9월 6일, [[켠김에 왕까지]]에 은영, 서아, 예진이 출연해서 "뚱뚱보 공주 구출 대작전"이란 게임을 플레이했다. 목표는 싱글 플레이 깨고, 멀티 플레이 3승. 게임에 몰입을 잘 하는 모습을 보였고, 너무 몰입한 나머지 축구 게임을 하느라 집에 안 가기까지 했다.(...) 그래서 방송에선 "'''국내 최초''' 걸그룹이 집에 안 가는 방송입니다"라는 자막을 띄웠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모두 브레이브걸스 탈퇴 멤버다. [youtube(6Ub-S2tLiQA)] === 기타 활동 === * 2011년, [[박재범]] 주연의 영화 <Mr. 아이돌>에 [[쇼콜라(아이돌)|쇼콜라]]와 함께 카메오로 나온 적이 있다. 그리고 음반 피처링을 했던 일렉트로보이즈의 1kyne 역시 영화에 나온다. [[파일:external/www.allkpop.com/20110804_bravegirls_01.jpg|width=100%]] * 2011년 5월, 패션 브랜드 Kayden.K 에서 화보 촬영을 했다. [youtube(Hk58KfSNG5g)] * 2011년 5월, 6월호에 [[라니아(아이돌)|라니아]]와 함께 [[맥심(잡지)|맥심]] 표지 모델로 나왔다. [youtube(3MglXbu3Mpg)]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브레이브걸스, version=561)]
kaiserx1012
맨대헬
#redirect 지옥과 인간의 대결 (Man vs. Hell)
manco
이라크 평화·재건사단
#redirect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check
사이타마 15구
#redirect 사이타마현 제15구
koow220
빈센조/등장인물
[목차] == 개요 == 드라마 [[빈센조]]의 등장인물 문서. === 주요 인물 === ==== [[빈센조 까사노]]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빈센조 까사노'''}}}}}}[br]{{{#A08045 '''[[송중기|{{{#fff '''배우 송중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빈센조.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여기가 이탈리아였으면 너희는 지금쯤 아무도 모르게 포도밭 거름이 됐을 거야.''' '''그리고 싸구려 와인이 돼서 어디선가 1+1으로 판매되고 있겠지?"''' 이탈리아 마피아 [까사노 패밀리]의 콘실리에리. 냉혈한 전략가이며 완벽한 포커페이스의 소유자다. 보스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하며 패밀리가 곧 법이다. 허를 찌르는 방법으로 깔끔하게 일을 처리하는 최고 변호사로 그 누구도 그의 제안을 거부할 수 없다. 당한 것은 몇 배로 되갚아주는 '복수주의자'로 한 번 복수를 결심하면 절대 번복하지 않고 초토화 시킨다. 뛰어난 무술실력의 소유자지만 드러내지는 않는다. 겉만 한국인이지 모든 기질은 천상 이탈리아 남자다. 패션, 그림, 오페라, 축구, 파스타를 사랑하며 여성에 대한 매너도 훌륭하지만 '사랑'을 믿지는 않는다. 실상은 내면에 화산 같은 열정을 가진 남자로 차영을 만나 변화하며 엉겁결에 불의에 맞서 싸우게 된다. 또한 '그것'을 찾기 위한 필사의 노력도! }}}}}}}}} || ==== [[홍차영]]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홍차영'''}}}}}}[br]{{{#ffffff '''[[전여빈|{{{#fff '''배우 전여빈'''}}}]]'''}}}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홍차영.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이탈리아는 마피아들만 마피아 짓 하죠? 근데 어쩌죠? 한국은 전부 다 마피아예요.''' '''국회, 검찰, 경찰, 관공서, 기업 전부 다요!"''' '악마의 혀'와 '마녀의 집요함'을 가진 탑티어급 변호사. 독설과 승부욕으로 중무장한 불세출의 Villainess다. 지적인 미모에 냉정함과 강인함이 함께 느껴진다. 교양 있고 차분한 보이스에는 강한 흡입력이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로펌 [우상]의 에이스 변호사인 그녀에게 절대적 기준은, 선악(善惡)이 아닌 유불리(有不利)다. 이를 위해 변호사인 아버지까지도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디리 밟을' 만큼 피도 눈물도 없다. 오직 ‘성공과 목표'만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다. ‘정의’엔 크게 관심이 없다 최소한의 도의와 파란불에 길을 건너는 사회적 법규만 지키며 살기에도, 나 하나 잘먹고 잘살기엔 벅차다. }}}}}}}}} || ==== [[장준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장준우'''}}}}}}[br]{{{#ffffff '''[[옥택연|{{{#fff '''배우 옥택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장준우.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나 선배 스파이도 해줄 수 있어, 제임스 본드처럼!''' '''나 빨리 인턴 Finish해주고 선배님 Partner되게 해줘요.''' '''같이 일도 하고, 야구도 보러가고, 치맥도 먹으러 가고 좋잖아요?"''' 드라마 빈센조의 흑막 순수하지만 일로서는 아직 서툰 법무법인 [우상]의 훈남 인턴 변호사. 유학파 출신으로 남녀노소 상하좌우 가리지 않고 말이 짧아질 때도 있지만, 악의는 없는 천진난만한 순수 청년이다. 사랑도 일도 오직 직진뿐인 준우. 선배이자 사수인 차영을 매우 잘 따르고 이성으로서 좋아한다. 차영과 함께 일도 하고 야구장에서 치맥도 즐기며 사내연애를 하는 것이 꿈이었는데. 차영이 우상을 박차고 나간 것도 모자라 샴페인 뚜껑처럼 날아온 남자 빈센조가 차영의 옆자리에 붙어있는 것을 보니 속이 들끓는다. 빈센조가 등장하면서 일도 사랑도 조금씩 삐걱거림을 느끼는데. 어려서부터 부모님께 손아귀에 쥘 수 있는 것은 절대 놓치지 말라고 배웠던 준우. 그 가르침을 토대로 빈센조가 일으킨 균열을 되돌리려 한다. }}}}}}}}} || === 법무법인 우상 === ==== 한승혁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한승혁'''}}}}}}[br]{{{#ffffff '''[[조한철|{{{#fff '''배우 조한철'''}}}]]'''}}}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한승혁.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세상에 공개되지 말아야 할 두 가지가 있어.''' '''불량식품을 만드는 과정과 우리가 이기는 과정!''' '''내가 봐도 너~무 더럽고 혐오스럽거든"''' 최고의 스펙을 가진 국내 최고 로펌 [우상]의 대표. 그러나 뼛속까지 천박하고 야비하며, 같잖은 선민의식을 가진 천하의 개OO다. 게다가 진상 개-꼰대다. 강한 자에게 철저히 굴복하고 약자는 사정없이 짓밟아버린다. 때론 밟는 것도 모자라 가루로 만들어 버린다. 검찰과 언론을 주무를 수 있는 막강한 인맥과 정보, 자금력을 가졌으며 유력 조폭들과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굵직한 사건들의 해결은 바로 한승혁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다. 승혁은 원하는 대로 얼마든지 결과를 바꿀 수 있다. 뒤끝 없이! 가까운 미래에 막대한 자기 몫이 예상되는 바벨그룹에 올인 중이며 모든 더러운 일들을 처리해주고 있다. 이를 위해 명희를 [우상]으로 영입하고 부와 명예를 쓸어담으리라 생각했는데... 빈센조라는 녀석이 나타나 말썽을 피워대자 궁지에 몰리게 된다. }}}}}}}}} || ==== 최명희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최명희'''}}}}}}[br]{{{#ffffff '''[[김여진|{{{#fff '''배우 김여진'''}}}]]'''}}}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최명희.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법이란 건 결과를 위한 꽃무늬 포장지입니다.''' '''과정에 사람을 죽이든 살리든 상관없어요.''' '''막판에 포장만 잘~ 하면 만사 OK입니다”''' #완벽 #냉철 #두뇌 #예측 #능구렁이 #위기관리 능력 #사람 다루는 장인(匠人) 남동부지검 특수부 에이스 검사지만, 소박한 말투, 수더분한 경상도 사투리 억양에 줌바댄스를 즐기는 천상 중년 아줌마다. 전도사look의 평범하고 검소한 차림새에 안경마저 살짝 복고 스타일이지만, 그 속은 지독한 독사다. 자신이 목표로 하는 일에 대해서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공포스러울 만큼 차갑게 처리하는 그녀. 2화에서 여성을 성폭행한 동료 검사의 죄를 덮어달라고 하는 등 인간 쓰레기들의 온상이 되어버린 조직에 환멸을 느끼고 사직서를 내고, 법무법인 우상으로 가 변호사가 된다. }}}}}}}}} || === 바벨그룹 === ==== 장한서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장한서'''}}}}}}[br]{{{#ffffff '''[[곽동연|{{{#fff '''배우 곽동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장한서.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바벨그룹 회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우리 회사, 약 빨고 근육 키운 보디빌더 같은 거죠?''' '''그럼 계속 약 빨게 해야지~!''' '''내실이고 지랄이고 다 필요 없어!''' '''뼈가 녹아내려도 갑빠는 계속 키워야지!!”''' [바벨그룹]의 회장. 어린나이에 총수가 되어 똘끼로 가득하다. 선천적으로 매운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며 마음에 안 드는 중역들을 모아놓고, 스코빌지수 최대의 음식들로 엿먹이는 게 취미다. 죄의식 같은 건 전혀 없는 타고난 악당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폭력도 서슴지 않는 주제에 속겁은 또 많다. 부와 권력을 바탕으로 거짓말은 물론 온갖 갑질과 횡포를 일삼으면서도 구치소나 포토라인에 서는 것은 병적으로 두려워한다. 자신의 두려움을 숨기기 위해, 아랫사람들을 더 광포하게 대한다. 병적으로 승부에 집착하며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이겨야 직성이 풀린다. 지면 미친다. 아주 미쳐 버린다. 진 것에 대한 복수를 위해 무슨 짓이든 한다. 평생을 지기만 했던 숙적을 이기기 위해, 숨을 죽이고 있다. }}}}}}}}} || ==== 나덕진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나덕진'''}}}}}}[br]{{{#ffffff '''[[나철|{{{#fff '''배우 나철'''}}}]]'''}}}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ite.jp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바벨그룹 투자개발팀장 }}} || === 법무법인 지푸라기 === ==== 홍유찬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홍유찬'''}}}}}}[br]{{{#ffffff '''[[유재명|{{{#fff '''배우 유재명'''}}}[* 특별출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홍유찬.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내가 하는 건 변호가 아닙니다.''' '''그냥 지푸라기가 돼 주는 겁니다.''' '''누군가에게 아무것도 남지 않았을 때,''' '''부여잡을 수 있는 지푸라기요"''' 서울 변두리, 다 쓰러져가는 [금가프라자]에 자리 잡은 [법무법인 지푸라기]의 대표이자 변호사. 이타적이고 물욕 없는, 세상 사람 좋은 서민 변호사로 고집불통에 대쪽 같고 불의와 타협 따위는 없다. 과거 인권 변호사 시절, 모 사건으로 아내를 잃었고 이로 인해 딸 차영은 아버지를 증오하고 있다. 딸을 너무나 사랑하지만 '악당 변호사'가 된 차영의 모습을 볼 때마다 화가 치밀고 매번 언쟁을 벌인다. 금가프라자 세입자들의 법무 대리인으로, 건물주와 함께 찾아온 빈센조를 경계하지만, 함께 보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서로를 신뢰하고 의지하게 된다. 빈센조의 가치관을 변하게 하고 새로운 삶으로 이끄는 멘토! }}}}}}}}} || ==== 남주성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남주성'''}}}}}}[br]{{{#ffffff '''{{{#fff '''배우 윤병희'''}}}'''}}}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남주성.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법무법인 지푸라기 사무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인간 홍유찬은 좋아하고 따르지만, 지푸라기 사무장으로서 변호사 홍유찬에게는 살짝 섭섭함이 있다. 이기는 것도 습관이고 지는 것도 습관이라는데, 지푸라기에는 지는 습관이 배어도 갓김치 국물처럼 지독하게 배어있다. 항상 짙은 패배감과 무력함 속에 살던 주성에게 빈센조는 이기는 찌릿함을 알려준 변호사다. 어벙해보이는 외모와는 다르게 탁월하고 감각적인 손재주로 금가프라자 '금손'으로 통한다. }}}}}}}}} || === 금가프라자 === ==== 조영운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조영운'''}}}}}}[br]{{{#ffffff '''[[최영준(배우)|{{{#fff '''배우 최영준'''}}}]]'''}}}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조영운.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금가프라자 건물주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일명 조사장으로 [금가프라자]의 건물주다. 빈센조의 든든한 정보통으로 6년 전, 이탈리아에서 빈센조에게 목숨을 빚진 이후 그의 충실한 우군을 자처하며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었다. 어떤 상황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는 차분하고 냉철한 엘리트. 뛰어난 정보력과 빠른 상황 판단 능력으로 빈센조에게 큰 힘이 되어 준다. 한국으로 온 빈센조를 안내하며 그를 돕다가 아내와 딸이 인질로 잡혀 결국 금가프라자 건물 매매에 찬성한다는 문서에 사인을 하고, 빈센조에게 전화를 하지만 통화도중 트럭과 충돌하여 큰 부상을 입는다. }}}}}}}}} || ==== 이철욱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이철욱'''}}}}}}[br]{{{#ffffff '''[[양경원|{{{#fff '''배우 양경원'''}}}]]'''}}}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이철욱.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아저씨 전당포 사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삼디다스 형광 추리닝에 비니, 슬리퍼를 질질 끌고 다니는 아저씨다. 깐족대며 허세 가득한 말투로 프라자 내 만만함의 대명사. 프라자 상가 사람들의 한결같은 무시에도, 꿋꿋하게 무술 고수임을 자칭하는 맑고 깨끗한 눈치를 갖고 있다. 앞뒤 안 가리고 나서는 철없는 모습으로 아내 연진을 부끄럽게 만들며 매일같이 투닥거리지만, 누구보다 아내를 사랑한다. }}}}}}}}} || ==== 장연진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장연진'''}}}}}}[br]{{{#ffffff '''[[서예화|{{{#fff '''배우 서예화'''}}}]]'''}}}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장연진.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철욱의 아내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조금 촌스럽지만 나이답지 않게 꾸미는 걸 좋아하고 예쁘장하다. 남편과는 다르게, 야무지고 강단 있는 모습으로 집안의 경제권과 의사결정권은 모두 연진이 쥐고 있다. 힘이 장사다. 어떤 물건도 번쩍번쩍 들어 옮기며, 시비가 붙은 진상 손님들까지 번쩍 들어 프라자 밖으로 로켓 배송하는 장군감이다. 철욱과 아이 하나 낳아 평범하지만 오손도손 살아가는 것이 삶의 목표다. }}}}}}}}} || ==== 탁홍식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탁홍식'''}}}}}}[br]{{{#ffffff '''[[최덕문|{{{#fff '''배우 최덕문'''}}}]]'''}}}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탁홍식.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제일 세탁소 사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어렸을 때부터 시골 장터에서 자라며 오른손엔 밥숟가락, 왼손엔 재단 가위를 쥐고 자란 세탁의 장인이다. 느긋느긋한 충청도 사람으로 황소고집과 뚝심을 갖고 있으며 세탁에 대한 장인정신과 프라이드만큼은 아무도 홍식을 따라올 수 없는데. 수제 양복이랍시고 망측한 이름의 브랜드를 들이미는 빈센조를 만나 소소했던 하루하루가 아주 시끄러워진다. }}}}}}}}} || ==== 서미리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서미리'''}}}}}}[br]{{{#ffffff '''[[김윤혜(배우)|{{{#fff '''배우 김윤혜'''}}}]]'''}}}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서미리.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운명 피아노 학원 원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가냘픈 몸과 여린 목소리를 지녔지만 쇼팽의 곡을 연주할 때만큼은 짙은 남성성이 뿜어져 나온다. 절대 음감의 소유자로 한번 들은 음은 절대 잊지 않는다. 복도를 걷는 사람의 발자국 리듬만으로도 누군지 단번에 알아맞히는데. 손이 빨라 속주가 특기다. 맹한 성격으로 프라자 사람들에게 푼수로 통한다. 지독한 얼빠로 빈센조를 보며 마음이 힐링되는 것을 느낀다. }}}}}}}}} || ==== 곽희수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곽희수'''}}}}}}[br]{{{#ffffff '''[[이항나|{{{#fff '''배우 이항나'''}}}]]'''}}}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곽희수.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영호분식 사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달콤한 옛날 떡볶이 장인이지만, 희수의 인생은 떡볶이와는 달리 맵고 짜고 쓰기만 했다. 남편은 아들 영호의 돌 잔칫날, '널 사랑하지만 자유롭게 살아보고 싶어'라는 개소리를 남기고 돌연 사라졌다. 홀몸으로 핏덩이 하나 먹여 살리겠다고 이 악물며 악착같이 살았다. 중2병 영호를 키우며 팍팍하게 살아가고 있는 삶에 빈센조를 만나 묘하게 위안 받는다. }}}}}}}}} || ==== 김영호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김영호'''}}}}}}[br]{{{#ffffff '''[[강채민|{{{#fff '''배우 강채민'''}}}]]'''}}}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김영호.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곽희수의 아들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엄마한테 개기다 맨날 줘터지지만 그래도 죽어라 말을 안 듣는 중2병 최상위 녀석. 어느 날 나타난 빈센조에게 대들었다가 호되게 참교육 당하고 조상님들을 여럿 만나 뵙고 온다. 공부는 취미가 없지만, 나름의 꿈은 있다. 자신의 꿈을 응원해주는 빈센조를 믿고 따른다. }}}}}}}}} || ==== 채신 스님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채신 스님'''}}}}}}[br]{{{#ffffff '''[[권승우|{{{#fff '''배우 권승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채신스님.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난약사 작은 스님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주지스님을 도우며 난약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스님으로, 불심이 깊다. 이따금씩 뚝방 위를 날아다니던 과거시절로 인해 거친 표현이 튀어나오지만 그 누구보다도 의협심이 강하고 정도를 추구하는 열혈 스님. 프라자 사람들에게 친절과 자비를 베풀지만 타지에서 온 심상치 않은 빈센조에게는 까칠하게 대한다. 그러나 결국 그의 진심을 알고 우군이 되어준다. }}}}}}}}} || ==== 적하 스님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적하 스님'''}}}}}}[br]{{{#ffffff '''[[리우진|{{{#fff '''배우 리우진'''}}}]]'''}}}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적하스님.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난약사 주지 스님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프라자 사람들이 힘든 일이 있을 때마다 따뜻한 조언을 해주는 프라자의 큰스님. 편견이 없다. 깊은 심신과 무소유의 마음가짐으로 여유를 지닌 듯 보이지만, 총알처럼 급한 성정을 누르기 위해 매일 밤낮 수양에 매진하고 있다. 시야가 넓고 길눈이 밝아 길 잃은 중생들을 척척 찾아내어 난약사로 인도해 위로해준다. }}}}}}}}} || ==== 토토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토토'''}}}}}}[br]{{{#ffffff '''[[김형묵|{{{#fff '''배우 김형묵'''}}}]]'''}}}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토토.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파스타 전문점 [아르노] 오너 셰프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외모, 말투, 몸짓 모두 빠다 가득 느끼한 스타일이지만, 사람들에게 친절하고 항상 미소 짓는다. 이탈리아 밀라노 출신 셰프라고 당당하게 광고하나 실은 충북 진천 [엄마손 요리학원] 출신으로, 이탈리아는 커녕 다낭도 가본 적 없다. 찐이태리人 빈센조가 나타나면서 인생 최대의 좌절을 겪는데. 빈센조에게 인정받기 위해 눈물로 밤을 지새우며 혹독한 수련을 거듭해 초고수가 되어간다. }}}}}}}}} || ==== 래리강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래리강'''}}}}}}[br]{{{#ffffff '''[[김설진|{{{#fff '''배우 김설진'''}}}]]'''}}}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래리강.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댄스 교습소 [고스텝] 원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좀비 연기가 특기다. 순수하지만 분위기 파악은 못 하는 스타일. 래리강이 가명인 줄 알지만 '올 래(來)', '이로울 리(利)' 본명이다. 댄스를 사랑하는 무도인으로 언젠가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화려한 스트릿 댄스를 춰 보는 게 소원이다. 첫사랑을 닮은 미리를 마음에 품고 있다. }}}}}}}}} || === 그 외 인물 === ==== 안기석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안기석'''}}}}}}[br]{{{#ffffff '''[[임철수|{{{#fff '''배우 임철수'''}}}]]'''}}}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안기석.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대외안보정보원 해외범죄조직대응팀 이탈리아부 팀장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콘실리에리가 한국에 온 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국내에 엄청난 비자금을 은닉했을 수도 있습니다!"''' 대외안보정보원 해외범죄조직 대응팀 이탈리아부 팀장이자 하나뿐인 직원. 처음 해외범죄조직팀에 발령받았던 날, 잠을 못 잤다. 가슴이 설레어서. 영화 속에서 보던 제임스 본드 생각에 꿈에 부풀었던 기석. 하지만 이탈리아 조직 대응팀은 닭볶음탕의 기름 같은 존재였다. 없으면 좋았겠지만, 있어도 어쩔 수 없는. 이탈리아 4k 풍경 영상을 돌려보는 게 일상이던 기석에게 빈센조의 등장은 바라고 바라던 임무수행의 기회였다. 한국에 온 마피아 빈센조를 밀착 감시하기 위해 금가프라자로의 잠입까지 불사하는 기석. 대한민국에 뿌리 내리려는 간악한 마피아를 꼭 궤멸시키겠다고 굳게 다짐을 하며 열의를 불태우는데. 하지만... 빈센조 이 남자, 보면 볼수록 매력이 넘치는 매력 덩어리다. 시간이 지날수록 빈센조에게 마음을 뺏기는데. }}}}}}}}} || ==== 박석도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박석도'''}}}}}}[br]{{{#ffffff '''[[김영웅(배우)|{{{#fff '''배우 김영웅'''}}}]]'''}}}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박석도.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앤트 재무관리 대표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사람들은 돈이 행복의 열쇠는 아니라고 말하지?''' '''근데 돈이 겁~나 많으면 그 열쇠를 만들 수 있더라고.''' '''그것도 금도금으로 빵빵하게!"''' [앤트 재무관리]대표. 실상은 조폭 보스이며 돈세탁과 사채를 하는 회사다. 꽤 많은 조직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싸한 외모에 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오지 않는 독종이다. 석도의 돈을 쓰려면 목숨을 걸어야 하지만, 매우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의심과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다. 금가프라자를 불법으로 매입하려는 [바벨건설]을 등에 업고, 상가 사람들을 내쫓으려 혈안이 되어 있다. 모든 게 무탈하게 진행되어 가고 있었는데, 지구 반대편에서 온 잘생긴 악당같은 빈센조의 등장으로 가오가 바닥에 떨어지는 굴욕을 당한다. 험악한 직업과는 달리 의외로 섬세한 면도 있는데. 사람의 얼굴 색만 봐도 그 사람의 장 상태를 꿰뚫고 숨소리만 듣고도 맥박수를 파악할 정도로 예리하다. }}}}}}}}} || ==== 전수남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전수남'''}}}}}}[br]{{{#ffffff '''[[이달|{{{#fff '''배우 이달'''}}}]]'''}}}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전수남.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박석도의 오른팔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박석도의 오른팔로 절대 복종한다. 깡마르고 드러운 인상에 한 눈에 봐도 조폭 양아치다. 유난히 빈센조를 건드리고 깐족거린다. 똑똑한 남자가 이상형이라는 미쓰양의 얘기를 듣고, 공부를 시작한다. 책은 읽기 싫어 유튜브로 잡지식을 공부하는데. 매번 가짜뉴스들만 봐서, 아는 척 할 때마다 망신을 당한다. }}}}}}}}} || ==== 미쓰양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미쓰양'''}}}}}}[br]{{{#ffffff '''[[정지윤|{{{#fff '''배우 정지윤'''}}}]]'''}}}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미쓰양.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앤트 재무관리 회계 담당 직원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박석도의 [앤트 재무관리] 회계 담당 직원. 명세서 누락엔 피도 눈물도 없는 깐깐하고 대쪽같은 성격. 법카 긁고 영수증 버려달라는 멘트는 앤트 재무관리 직원에겐 금지어다. 웬만한 회계사를 뛰어 넘는 천재적인 능력으로 돈관리를 도맡아 한다. 석도에게 노예처럼 혹사당해 매우 피폐해져 있다. }}}}}}}}} || ==== 오경자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오경자'''}}}}}}[br]{{{#ffffff '''[[윤복인|{{{#fff '''배우 윤복인'''}}}]]'''}}}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오경자.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피고인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살인 누명을 쓰고 수감생활을 하고 있는 피고인. 유찬이 국선 변호를 맡고 있다. 췌장암 말기 환자로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유찬의 끈질긴 재심 권유를 거부하고 있다. 씻지 못한 일을 저지른 과거의 죗값이라며 감옥에서 남은 생을 보내고자 한다. }}}}}}}}} || * 김대곤 * [[이도국]] : 황규 역 * [[정욱진]] : 이선호 역 * 김진복 : 유민철 역 === 특별출연 === * [[유재명]] : 홍유찬 역 * [[김남희]] : * [[진선규]] : 가짜 택시 기사 역 * [[이희준]] : 사기꾼 역 * [[정순원(배우)|정순원]] : 공항 경찰 역 * [[정육왕]] [[분류:빈센조]][[분류:빈센조/등장인물]]
netdeer123,221.154.186.38,erec,118.35.129.58,14.40.90.172,39.119.38.150,east131,59.10.32.163,112.164.124.17
대마초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남도 영광군의 초등학교)] ||<-2><table width=400px><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gray><table bgcolor=#f5f5f5,#2e2f34><colbgcolor=gray><colcolor=white> '''{{{+1 대마초등학교}}}[br]Dae-ma Elementary School''' || ||<-2><bgcolor=white> [include(틀:지도, 장소=(대마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width=25%> '''개교''' || 1922년 5월 26일 || || '''유형''' || 초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신동환 [* 2018년 3월 1일 부로 부임하셨다] || || '''교감''' || 신영심 [* 2018년 9월 1일 부로 부임하셨다] || || '''교훈''' || 큰 꿈, 바른 행동 || || '''교화''' || 철쭉 || || '''교목''' || 소나무 || || '''교색''' || [[녹색]] || || '''학생 수''' || 36명 [* 2019년 기준] || || '''교직원 수''' || 11명 [* 2019년 기준] || || '''관할 교육청''' || [[전라남도교육청]] || || '''주소'''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영장로 277 ||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1922년 5월 26일 개교하였다. 학교의 [[모토]]는 "행복을 만들고, 행복을 집으로 가져가는 학생" 이고, 학교 교육의 기본 [[철학]]은 "서로 행복을 주는, 마음부터 행복한 학교"이다. == 학교 연혁 == ||<colbgcolor=gray><colcolor=white><table bgcolor=#f5f5f5,#2e2f34><table bordercolor=gray> 날짜 || 연혁 || || 1922년 5월 26일 || 대마보통학교로 개교 || || 1927년 4월 1일 || 대마공립보통학교로 개칭 || || 1941년 4월 1일 || 대마국민학교로 개칭 || || 1981년 3월 10일 || 대마국민학교병설유치원 개원 || || 1996년 3월 1일 || 대마초등학교로 교명 개칭 || || 2018년 2월 13일 || 제91회 졸업식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 년 월 일 || || 1922년 개교 당시에는 학교의 이름이 대마보통학교 였으며, 여러 차례 개칭을 한 뒤에 현재의 [[대마초등학교]]가 되었다.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www.daema.es.kr/|대마초 공식 홈페이지]] === 교화 === [[철쭉]]이다. === 교목 === [[소나무]]이다. 생명력이 왕성하고 오랜 세월을 통해서 자라고 발달하는 [[소나무]]처럼 멋진 사람으로 자라라는 뜻이 담겨 있다. === 교색 === [[녹색]]이다. === [[교가]] === [[운동회]], [[졸업식]] 등의 학교 행사가 있을 때 주로 부른다. > '''[[가사]]''' 노령의 힘찬줄기 태청봉 이룩하니 우뚝선 웅자는 새나라 정기라오 그 밑에 솟아있는 화려한 새전당 여기가 이어사는 우리 대마교 === 교훈 === 큰 꿈, 바른 행동. == 학교 특징 == 총 학생수는 [[2019년]] 기준으로 학생 수는 36명, 교원 수는 11명이다. 또한 1922년에 설립된 학교인 만큼 역사가 깊은 학교로 유명하다. == 학교 시설 == 학교는 2층까지 있으며, 그리 크진 않은 편이다. 또한 운동장은 [[모래]]가 아닌 [[잔디]]로 되어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bgcolor=#e9ecef,#101112>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학교 일과 === ||<bgcolor=#e9ecef,#101112>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운동부 == == 출신 인물 ==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대마초등학교 || [[영광고속 버스터미널]] || 영광고속 버스터미널 1번 버스를 통해 접근할수 있다. == 사건·사고 == ||<bgcolor=#e9ecef,#101112>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기타 == 학교 옆에 대마중학교가 있다. == 둘러보기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daema.es.kr/|대마초 공식 홈페이지]] [[분류:영광군의 초등학교]][[분류:1922년 개교]]
playtaki
뮤지아
||<-2><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000000><#000000> {{{+1 {{{#ffffff 뮤지아[br]muzia.net}}}}}} || ||<#000000> {{{#ffffff '''국가'''}}} || 대한민국 || ||<#000000> {{{#ffffff '''분류'''}}} || 음악 커뮤니티 || ||<#000000> {{{#ffffff '''설립일'''}}} || 2004년 12월 16일 || ||<#000000> {{{#ffffff '''회원 수'''}}} || 약 6천명 || ||<#000000> {{{#ffffff '''회원가입'''}}} || 선택 || ||<#000000> {{{#ffffff '''링크'''}}} || [[http://www.muzia.net.net|뮤지아] || [목차] [clearfix] == 개요 == 뮤지아(muzia)는 대한민국의 음악 커뮤니티이다. 2004년 12월 16일 음대생이 시작한 홈페이지가 현재 음악 커뮤니티로 성장하였다. 작곡, 편곡, 미디, 사보 프로그램인 피날레, 시벨리우스를 다루고 있다. 2006년도 이전 자료는 유실 되었으며, 2017년 서버를 구축하다 한번 더 자료가 사라졌다. === 이름의 어원 === 이름의 어원은 muse + -la 의 합성어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음악 및 다른 분야의 예술 분야를 관장하는 muse(뮤즈)와 학문등을 의미하는 la를 합성한 뜻이다. == 연혁 == 악보 사보 프로그램인 피날레, 시벨리우스를 물어 볼 곳이 없어, 당시 음대생이 직접 만든 사이트로 출발하였다. === 2004년 === 도메인을 2004년 12월 16일 등록하였다. 뮤지아가 세상에 나왔다. === 2006년 === CMS인 php프로그램인 테크노트로 시작하였다. === 2009년 === 처음으로 웹 호스팅 트레픽을 초과해 청주에 산부인과를 운영하시고 취미로 서버를 하시는 청주 산부인과 서버에 무료로 입주 함. === 2012년 === 무아(이철암)님 부운영자 등극 === 2014년 === 부운영자 이철암님 4월 1일 소천 === 2015년 === 그누보드로 홈페이지 시스템 변경, 아미나 태마적용 홈서버 구축 === 2016년 === 홈 서버를 구입해 뮤지아 독립서버로 시작하게 되었으며 음악게시판 관리자 추대 (돌강) === 2017년 === 서버 경험이 없던 운영자는 모든 데이터를 유실 함. 백업서버를 구성함. 홈서버 관리가 힘들어서 AWS에서 운영 시작함. === 2021년 === 매달 지출 되는 비용을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워 홈서버로 다시 이전 == 구성뉴 == === 포럼 === 포럼은 음악에 관련한 질문, 특히 악보를 컴퓨터로 작성하고 수정하는 질문과 답변을 주고 받는 게시판이다. 뮤지아 사이트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편이다. 현재 질문 , 답변 뿐만아니라 강좌 팀 등 지식 공유도 함께 다루고 있다. ==== 시벨리우스 ==== 컴퓨터로 악보를 그리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뮤지아의 많은 트레픽 유입이 시벨리우스 질문과 답변글로 방문자들이 최초 유입된다. ==== 피날레 ==== 시벨리우스와 쌍두마차를 이루는 사보프로그램이며, 초창기 피날레관련 게시글들이 많은 비중으로 작성글이 많이 게시되어 있으며, 현재 시벨리우스 관련글들이 주로 이룬다. ==== 작곡&편곡 ==== 작곡 편곡 미디등 내용을 다룬다. === 추천음악 게시판 === 아래에 열거된 링크를 붙여 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다. 저작권 문제로 직접 사이트에 영상 및 음원을 직접 공유하지는 않는다. * 유튜브 * 비메오 * 페이스북 * 데일리모션 * TED(데드) * 태그스토리 * 판도라TV * 네이버 TV * 네이버 블로그 동영상 * 다음팟 TV === 악보 게시판 === 마크다운 악보게시판으로 TEXT 형식을 게시판 글쓰기를 하면 마크다운 문법으로 변경되어 악보로 보여진다. 저작권에 자유로운 음원 및 악보를 공유가 가능하다. ==== 커뮤니티 ==== 음악인들의 꿈과 희망을 나누며 삶의 희노애락을 나누는 게시판이다. [[분류:음악 커뮤니티]]
sundoforce
Rollin'
[목차] == [[브레이브걸스]]의 노래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브레이브걸스의 노래, rd1=Rollin'(브레이브걸스))] == [[B1A4]]의 노래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B1A4의 노래, rd1=Rollin'(B1A4))] [[분류:동음이의어]]
afv305,chojeonmiddleschool
품행제로 철원
[목차] == 개요 == [[https://www.youtube.com/watch?v=Ldrk68GiLgM&t=38s|보러가기]]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305회([[2011년]] [[11월 22일]] 방영.)에서 방영된 에피소드이다. 해당 회차에 출연한 강철원 군은 2004년 8월 20일 금요일 생으로, 현재 만 [age(2004-08-20)]세이다. == 문제점 == * 강철원 * 2011년 방영 당시 8세(초등학교 1학년)이었다. 선생님이 철원이에게 지시를 내리면 학교에서 폭력과 욕설로 대한다. 게다가 강철원은 중국 하얼빈에서 태어났는데, 16개월 당시 부모님이 한국으로 가면서 한국 갈 날만 기다렸던 철원이는 한국에 오면서 한국 말을 전혀 못 했고 이로 인하여 폭력적인 행동이 나오기 시작했다. * 아버지[* 강영호, 1978년생] * 철원이에게 공부를 가르칠 때 지시적인 말투를 하는 게 우선이며, 철원이가 말을 듣지 않자 독설을 내뱉고 체벌 행위를 하였다. 여담으로 어머니[* 전홍래, 1977년생]가 늦게까지 일을 하는 바람에 숙제를 아버지가 가르친다. >'''뭐라고 썼어, TV 꺼 얼른''' >'''똑바로 앉아, 가려워도 참으라니까''' >'''{{{#RED 학교 가지 마}}}, 학교 안 가면 안 해도 되잖아, 웃지 마!''' == 근황 == 근황은 현재 알려지지 않았으나, 강철원 군은 경기도 [[안산시]]에 거주 중이다. == 명대사 == >'''던져봐라 박기성!''' >'''저는 게임 좋아하고 공부 싫어합니다''' >'''한국에 괜히 왔어''' >'''삐삐삐, 잡아가소! 아빠 신고할 거 같아요''' == 관련 문서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분류: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분류: 에피소드 가이드]][[분류:안산시 출신 인물]]
wjdgh070806
홍차영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홍차영'''}}}}}}[br]{{{#ffffff '''[[전여빈|{{{#fff '''배우 전여빈'''}}}]]'''}}}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홍차영.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이탈리아는 마피아들만 마피아 짓 하죠? 근데 어쩌죠? 한국은 전부 다 마피아예요.''' '''국회, 검찰, 경찰, 관공서, 기업 전부 다요!"''' '악마의 혀'와 '마녀의 집요함'을 가진 탑티어급 변호사. 독설과 승부욕으로 중무장한 불세출의 Villainess다. 지적인 미모에 냉정함과 강인함이 함께 느껴진다. 교양 있고 차분한 보이스에는 강한 흡입력이 있다. 대한민국 최고의 로펌 [우상]의 에이스 변호사인 그녀에게 절대적 기준은, 선악(善惡)이 아닌 유불리(有不利)다. 이를 위해 변호사인 아버지까지도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디리 밟을' 만큼 피도 눈물도 없다. 오직 ‘성공과 목표'만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는다. ‘정의’엔 크게 관심이 없다 최소한의 도의와 파란불에 길을 건너는 사회적 법규만 지키며 살기에도, 나 하나 잘먹고 잘살기엔 벅차다. }}}}}}}}} || [목차] == 개요 == 드라마 빈센조의 여주인공. 법무법인 우상의 에이스 변호사. == 작중 행적 == == 여담 == [[분류:빈센조/등장인물]] 감정연기 중 특히 눈물연기가 일품이다. 아버지 홍유찬 변호사 조차 변호사를 그만두고 배우를 하면 어떠니 라고 권유할 정도
jsm011201,14.40.90.172,220.122.81.123
미국수의사
||<-2><tablebgcolor=#ff8224><colcolor=#373a3c> {{{+3 {{{#fff '''미국수의사'''}}}}}} || || {{{#fff '''유튜브 개설일'''}}} ||<colbgcolor=#ffffff,#191919> [[2020년]] [[4월 18일]] || || {{{#fff '''구독자수'''}}} || 4.23만명[* 2021년 2월 28일 기준] || || {{{#fff '''조회수'''}}} || 3,157,628회[* 2021년 2월 28일 기준] || || {{{#fff '''링크'''}}} || [[https://www.youtube.com/channel/UCT8tULPWnjyvUTupJuXB-iw/feature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 개요 == > '''이 세상에 모든 동물들이 행복해지는 그 날까지. 사람보다 동물이 먼저인, 할말이 아주 많은, 현재 미국에서 일하고 있는 수의사입니다.''' > '''현재 정형외과 전문의의 꿈을 갖고 미국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미국 수의사입니다. 수의사, 수의대학생들과 견주들에게 SNS나 강의를 통해 실제로 꾸준히 받는 질문들에 답변드리기 위해 유튜브를 개설했습니다. 개 고양이들의 질병부터 미국 수의사가 되는 법, 미국 수의사의 삶까지- 어디서도 찾지못했던 정보들을, 제가 직접 보고, 부딪히고, 미국 대학 교수님들과 최근 미국 논문을 통해 배웠던 것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미국]]에서 [[수의사]]를 하는 [[유튜버]] * [[갑수목장 동물 학대 및 사기 논란]] 당시 [[https://www.youtube.com/watch?v=1poBA-ISKUc|저격 영상]]으로 인지도가 크게 올랐고,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i71J5vHvjzI&t=6s|수의사가 친구들에게 절대 추천하지 않는 강아지 종류 TOP3 ! 견종 별 성격과 특징, 유전병 정리]]와 [[https://www.youtube.com/watch?v=pzfGzz2KtKk&t=4s|수의사가 친구들에게 절대 추천하지 않는 고양이 TOP3 ㅣ 고양이 종류별 질병과 단점]] 영상으로 [[유튜브 알고리즘]] 혜택과 [[반려동물]]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제대로 받아서 급속도로 구독자 수가 늘어난 유튜버다. == 특징 및 컨텐츠 == *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동물 중심의 컨텐츠를 제공한다. * 인간의 이기심을 비록한 특정 목적으로 만들어진 [[품종]]견이나 품종묘에서 생겨난 '''[[유전병]]을 매우 싫어한다.''' 그리고 '''품종견이나 품종묘를 컨텐츠로 삼는 유튜버 및 품종견과 품종묘를 선호하고 소비를 조장하는 반려동물 시장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한국 고양이]]를 비롯해서 품종을 따지지 않고 반려동물을 좋아하는 시청자와 품종을 싫어하는 반려동물 시청자들에게 매우 좋은 평을 받고 있다 * 그밖에 일상을 담은 [[브이로그]], 라이브 방송, 미국에서 수의사가 된 과정, 미국의 반려동물 의료 및 전반적인 시스템 등을 소개한다. == 비판 == * 은근히 유명 반려동물 유튜버들을 저격하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다. [[갑수목장]]때는 명백한 갑수목장의 잘못이 있기에 극성팬을 제외하면 우호적이었지만, [[크집사]]나 [[haha ha]][* 다만 위의 채널들은 갑수목장과는 다르게 명백한 잘못이 있는 채널이 아니다보니 대놓고 저격한건 아니고, 특정 이슈에 언급할 때 위 채널을 언급하는 식으로 우회적으로 저격한다.]때는 괜한 사람 잡는거 아니냐는 비판적인 시선이 생기기 시작했다. 일부에서는 '''[[사이버 렉카|고양이렉카]]'''라고 부를 정도다. == 여담 == * [[공효진]]을 닮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 발성도 좋고 거침없는 비판으로 시청자들에게 [[사이다(유행어)|사이다]]라는 평을 자주 듣는다. * 급격하게 상승한 유명세때문에 안티[* 주로 미국수의사가 간접적으로 저격하는 반려동물 유투버 구독자들로, 비단 미국수의사뿐만 아니라 미국수의사 채널의 영상을 근거로 해서 해당 반려동물 유튜버들을 비난하는 시청자들도 많아졌기에 미국수의사의 안티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가 생기고 [[https://twitter.com/VetonFire/status/1363517680221900805?s=20|악성 루머]]까지 생겨서 신경이 많이 쓰인다고 말했다. * [[유튜브]] 채널만이 아니라 [[트위터]]도 [[https://twitter.com/VetonFire|운영하고 있는데]], 트위터 쪽에서도 유튜브에서와 비슷한 활동을 하면서 동물 중심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트위터를 통해서 [[캣맘]]에 대한 옹호론을 자주 설파하고 있기도 한데, 이렇게 캣맘과 그들이 감싸는 [[길고양이]]를 비호하는 행보 때문에 논란을 겪는 경우도 많다. 트위터 내부에서는 [[여초 사이트]]의 특성상 캣맘 옹호론이 강한 지지를 받고 있기 때문에 별 탈이 없지만, 반대로 캣맘에 대한 비판론과 증오심이 강한 트위터 외부에서는 이렇게 캣맘 옹호론을 펼치는 부분이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곤 한다. * [[유기견]]과 [[유기묘]]를 키우고 있다. == 논란 == *[[크집사]]를 비롯한 유명 반려동물 유튜버의 영상 중 일부를 무단으로 사용했다. 단순히 무단도용 뿐만 아니라 그대로 두면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요지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해당 무당도용에 대해서는 별다른 해명이 없다. [[분류:유튜버/ㅁ]][[분류:수의사]]
203.251.157.132,rgc83
장준우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000000> {{{+1 {{{#A08045 '''장준우'''}}}}}}[br]{{{#ffffff '''[[옥택연|{{{#fff '''배우 옥택연'''}}}]]'''}}} || ||<bgcolor=#0000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센조_장준우.png|width=100%]]}}}|| ||<bgcolor=#000000> {{{#A08045 변호사 }}} || ||<bgcolor=#000000> {{{#fff {{{#!folding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fff '''"나 선배 스파이도 해줄 수 있어, 제임스 본드처럼!''' '''나 빨리 인턴 Finish해주고 선배님 Partner되게 해줘요.''' '''같이 일도 하고, 야구도 보러가고, 치맥도 먹으러 가고 좋잖아요?"''' 순수하지만 일로서는 아직 서툰 법무법인 [우상]의 훈남 인턴 변호사. 유학파 출신으로 남녀노소 상하좌우 가리지 않고 말이 짧아질 때도 있지만, 악의는 없는 천진난만한 순수 청년이다. 사랑도 일도 오직 직진뿐인 준우. 선배이자 사수인 차영을 매우 잘 따르고 이성으로서 좋아한다. 차영과 함께 일도 하고 야구장에서 치맥도 즐기며 사내연애를 하는 것이 꿈이었는데. 차영이 우상을 박차고 나간 것도 모자라 샴페인 뚜껑처럼 날아온 남자 빈센조가 차영의 옆자리에 붙어있는 것을 보니 속이 들끓는다. 빈센조가 등장하면서 일도 사랑도 조금씩 삐걱거림을 느끼는데. 어려서부터 부모님께 손아귀에 쥘 수 있는 것은 절대 놓치지 말라고 배웠던 준우. 그 가르침을 토대로 빈센조가 일으킨 균열을 되돌리려 한다. }}}}}}}}} || [목차] == 개요 == 드라마 빈센조의 등장인물. 법무법인 우상의 인턴으로 홍차영의 사무장이다.[*스포일러 알고보니 메인빌런 바벨 그룹의 최대 권력자이자 장한서의 형.] == 작중 행적 == == 여담 == [[분류:빈센조/등장인물]]
jsm011201,14.40.90.172,39.119.38.150
전파공정
[목차] 傳播工程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실행하고 있는 사이버공간 날조 공정을 말한다. 자국의 [[소프트파워]](연성권력)을 강화하고 자국의 애국주의 논쟁을 통하여 문화적 우위성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서양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수민족 탄압을 위주로 하여 티베트족,몽골족,위구르족 조선족의 문화가 전부 중국 한족만의 문화라고 우기고 있다. 이는 헛소문으로 여기고 있었지만 중국몽 부흥과 새로운 이념으로 인민의 발전을 이끄는 프로젝트가 5년전부터 가동되고 있었다고 외국의 연구지에 의해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으로부터 알려지게 되었다. == 진행 방향 == 한국과 몽골에서 심한 편인데 티베트와 위구르와는 다르게 그 민족 주체의 독립국가가 있기 때문이다. 영향력있는 트위터 유명인, 스트리머, 유튜버들을 이용하여 그 민족의 특정 문화가 자기나라의 문화라고 우기는 식이다. 그 문화는 중국의 것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서 유래되었다고 여기는 식이다. === 예시 === 내몽골에 속해있는 몽골족을 내새우면서 몽골의 칭기스칸은 중국인이며 몽골의 게르 문화는 중국에서 유래되었으며 유목문화는 중국 소수민족인 몽골족에서 유래된 문화라고 우기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구의 속해있는 조선족을 내새우면서 김치,한복 등은 중국의 문화이며 조선시대의 인물들은 조선족이라고 내새우고 있다. 히말라야는 중국의 것이며 최초로 등반한 텐징 노르가이가 중국인이라고 내새우고 있다. 티베트 관련 언어,종교,문화는 중국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고 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이슬람 문화는 자기나라에 속해있으며 위구르 관련 문화재는 중국의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 == 관련 기사 == [[https://news.jtbc.joins.com/html/278/NB11994278.html|JTBC 전파공정]] [[분류:중국의 문화]][[분류:중국의 정책]][[분류:중국의 역사왜곡]][[분류:한중관계]][[분류:시진핑 시대]]
218.155.107.4,ns110621
라파트
#redirect 라쿤 아파트
acra
카를로스 로이테만
#redirect 카를로스 레우테만
hsu1016
Tower Battles/sleeter
[include(틀:상위 문서, top1=Tower Battles)] == 배경 스토리 == 타워에 맞는 배경 스토리를 써 주세요. (예: farm: 우리는 밭에 씨앗을 심었더니 그것이 농장이 되었다.) == 업그레이드 == 괄호 안에 있는 돈은 업그레이드 비용입니다. 업그레이드 시마다 치장이 변하는 것은 타워에게 특별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히든을 공격할시, 히든에 대한 내용은 써주셔야합니다. 데미지 변동이 있을시, 변동한 데미지는 요약이나 변경점에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격; 780 공격력 ;2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1. ($400)) - (투자체에 맞으면 좀비의 속도가 20% 느려진다.)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안경을 쓴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2. ($780)) - (사거리 증가 숨겨진 적 증가)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귀에 라디오가 있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3. (2000)) - ( 투사체에 맞으면느려지는 속도가 40%가 되고 공격력 이 4가 된다 )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총 이 더강홛 된다) > (스토리적 대사나 내용) 4. ($금액)) - (공격력 이 8이되고 공격속도가 2배로 증 가 한다.) 타워를 팔 시 얻는 금액이 $(금액)로 증가합니다 (외형상 변경점) == 그 외 == (기타내용) [[분류:Roblox/게임]] [[분류:나무위키 Roblox 프로젝트]]
121.144.196.195
닌자고 시즌 15
#redirect 닌자고 Seabound
suhjoon33
F1, 본능의 질주
||<bgcolor=#A81919><-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 {{{#fff {{{#fff '''{{{+1 F1, 본능의 질주}}}'''}}}[br]{{{#fff '' Formula 1, Drive to Survive''}}}}}} || ||<-5><:> [[파일:drive to survive.jpg|width=100%]] || ||<:><bgcolor=#A81919> '''{{{#white 방송 시간}}}''' ||<-4> 27 ~ 40분 || ||<:><bgcolor=#A81919> '''{{{#white 방송 횟수}}}''' ||<-4> 시즌 1[br]시즌 2[br] 시즌 3[* 2021년 3월 19일 공개 예정] || ||<:><bgcolor=#A81919> '''{{{#white 채널}}}''' ||<-4> [[Netflix|[[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 ||<:><bgcolor=#A81919> '''{{{#white 프로듀서}}}''' ||<-4> 제임스 게이리스, 폴 마틴, 소피 토드 || ||<:><bgcolor=#A81919> '''{{{#white 제공}}}''' ||<-4> [[넷플릭스]], [[포뮬러 1]] || ||<:><bgcolor=#A81919> '''{{{#white 링크}}}''' ||<-4> '''[[https://www.netflix.com/kr/title/80204890| [[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 [목차] == 개요 == [[넷플릭스]]와 [[포뮬러 1]], 그리고 각 10곳의 F1 팀들의 협력으로 제작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다큐멘터리이다. 시즌 1에는 메르세데스와 페라리가 등장하지 않으며 시즌 2부터 모든 F1 팀들이 등장한다. == 회차 목록 == === 시즌 1 === ||<table align=center>[youtube(pXrZYWO7sRA)]|| ||<:>시즌 1 공식 예고편|| [[포뮬러 1/2018시즌|2018 포뮬러 1 시즌]]을 배경으로 주로 선수들과 선수들의 부모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촬영되었다. ==== 1화, 예측 불허의 승부 ==== >[[포뮬러 1/2018시즌 #s-5.1|2018 시즌 첫 그랑프리]]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다. >각자의 결승점을 향해 질주하는 선수들.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소속 드라이버 [[다니엘 리카도]]의 목표는 바로 월드 챔피언이다. ==== 2화, 스페인의 영웅들 ==== >극심한 부진 속 기사회생을 노리는 [[맥라렌 F1 팀|맥라렌]]. 남은 방법은 하나뿐이다. >[[페르난도 알론소]]와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두 스페인 선수가 격돌하는 [[바르셀로나-카탈루냐 서킷|바르셀로나]]에서 승리하는 것! ==== 3화, 운명의 갈림길 ==== >화려한 축제가 펼쳐지는 [[모나코 서킷|모나코 그랑프리]]. >[[다니엘 리카도]]는 [[막스 베르스타펜|젊고 재능 있는 동료]]로 인해 압박감을 느낀다. >한편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팀]]은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결전을 준비한다. ==== 4화, 최고의 전략 ==== >서킷 밖에서 펼쳐지는 또 다른 경기. >엔진 기술을 둘러싼 [[레드불 레이싱|레드불]]과 [[르노 F1|르노]]의 다툼이 점점 가열된다. >팀과 재계약을 앞둔 [[다니엘 리카도|다니엘]]. 남은 경력을 위한 최고의 선택은 무엇일까? ==== 5화, 위기의 경영진 ==== >돈으로 살 수 없는 [[포뮬러 1]]의 승리 >부진을 거듭하는 [[맥라렌 F1 팀|맥라렌]] 경영진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한편 [[포스 인디아]] 팀의 단장 겸 공동 소유주가 법적 분쟁에 휘말린다. ==== 6화, 승부를 건다 ==== >억만장자 사업가를 새 소유주로 맞이한 포스 인디아. >하지만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에스테반 오콘|동료]] [[세르히오 페레스|드라이버]]들 간의 격한 자리다툼 속, [[랜스 스트롤|소유주의 아들]]이 경쟁자로 등장한다. ==== 7화, 열정과 냉정 사이 ==== >경주를 승리로 이끄는 것은 강한 정신력과 일관성. >[[하스 F1 팀]]의 [[로맹 그로장]]이 [[포뮬러 1/2018시즌 #s-5.8|프랑스 그랑프리]]를 앞두고 불안에 시달린다. >그는 언제쯤 자신감을 되찾을 수 있을까? ==== 8화, 새로운 시대 ==== >[[알파 로메오 레이싱 올렌|자우버]]의 신예, [[샤를 르클레르]]. 그가 특별한 목표를 품고 서킷에 데뷔한다. >경주 중 사망한 [[쥘 비앙키|그의 대부]]가 이루지 못한 페라리 드라이버의 꿈. >경주는 이제 시작일 뿐이다. ==== 9화, 성조기 휘날리며 ==== >[[르노 F1|르노]]와 [[하스 F1|하스]]의 경쟁이 점점 격렬해진다. >[[케빈 마그누센|미국]]과 [[니코 훌켄버그|프랑스]]의 자존심 대결.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텍사스에서 [[포뮬러 1/2018시즌 #s-5.18|미국 그랑프리]]가 열리고, 모두가 두 팀의 승부를 주시한다. ==== 10화, 결승선을 향해 ==== >전속력으로 질주한 시즌. 이제 [[포뮬러 1/2018시즌 #s-5.21|단 한 경기]]만이 남았다. >파란만장한 기억을 안고 경주를 준비하는 드라이버들. >[[야스 마리나 서킷|2018 마지막 서킷]], 누가 먼저 결승선을 통과할 것인가? === 시즌 2 === ||<table align=center>[youtube(iDlKRLmmy1w)]|| ||<:>시즌 2 공식 예고편|| [[포뮬러 1/2019시즌|2019 포뮬러 1 시즌]]을 배경으로 주로 선수들과 팀을 운영하는 감독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촬영되었다. ==== 1화, 출발 ==== >포뮬러 원의 새로운 시즌이 개막한다. >21번의 레이스, 10개의 팀, 20명의 드라이버. >지금까지 성적은 잊어라 >출발 신호를 기다리는 그들 모두, 우승을 꿈꾸고 있다. ==== 2화, 한계점 ==== >지난 시즌의 영광을 재현할 수 있을까. >예산의 한계를 딛고 골리앗에 도전하는 [[하스 F1|하스]]. >하지만 팀은 끝도 없는 수렁에서 허우적댄다. >너무 늦기 전에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 3화, 증명을 위한 싸움 ==== >새로운 팀에서 가치를 증명해야 한다. >[[르노 F1|르노]]의 [[다니엘 리카도|다니엘]]과 [[맥라렌 F1 팀|맥라렌]]의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카를로스]]. >부진을 거듭하던 그들은 언제쯤 돌파구를 찾게 될까. >여기서 실패하면 미래는 없을지도 모른다. ==== 4화, 절망의 나날 ==== >전쟁과도 같은 포뮬러 원, 영원한 승자는 없다. >[[니키 라우다|든든한 기둥]]을 잃은 강팀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메르세데스]]. >2014년부터 우승을 지켜온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메르세데스]]가 [[포뮬러 1/2019시즌 #s-6.11|비 오는 트랙]]에서 진정한 시험에 든다. ==== 5화, 크나큰 기대 ==== >지난 시즌, [[다니엘 리카르도|중요한 선수]]를 잃은 [[레드불 레이싱|레드불]]. >[[피에르 가슬리|새로운 선수]]가 [[막스 베르스타펜|막스]]의 팀메이트로 승격한다. >[[모나코 서킷|모나코]]와 [[질 빌뇌브 서킷|몬트리올]], [[레드불링|오스트리아 트랙]]을 달리는 그들. >그중 한 명은 부진을 거듭한다. ==== 6화, 성난 황소 ==== >[[레드불 레이싱|레드불]]이 [[알렉산더 알본|신인 드라이버]]를 발탁한다. >모든 레이스가 마지막 기회일지 모르는 포뮬러 원. >숱한 고난과 좌절을 뚫고 여기까지 왔다. >그러니 [[피에르 가슬리|선임자]]처럼 주저앉을 수는 없다. ==== 7화, 페라리는 빨강 ==== >[[스쿠데리아 페라리|페라리]]에서 우승하는 드라이버는 전설이 된다. >하지만 10년간 우승하지 못한 페라리. >그 팀에 [[샤를 르클레르|어린 드라이버]]가 들어온다. >2019년, 페라리는 다시 전설을 만들 수 있을까. ==== 8화, 자리 경쟁 ==== >팀의 우승을 위해 달린다. >하지만 선두를 양보하고 싶진 않다. >[[다니엘 리카르도|새로운 동료]]에게 위협을 느끼는 [[르노 F1|르노]]의 [[니코 훌켄버그|드라이버]]. >게다가 레이스 결과에 따라, 팀 안팎의 상황도 급변한다. ==== 9화, 피, 땀, 눈물 ==== >한때 영광의 시절을 누리던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 >언제쯤 이 바닥을 치고 올라갈 수 있을까. >새로운 드라이버 [[조지 러셀|두]] [[로버트 쿠비차|명]]을 영입한 윌리엄스가 재기를 노린다. >피와 땀과 눈물을 쏟으면서. ==== 10화, 질주가 끝나면 ==== >누군가는 추락하고 누군가는 비상한다. >레이스 결과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포뮬러 원. >누구도 포디엄을 장담할 수는 없다. >얼마 남지 않은 시즌, 챔피언을 향해 질주하라. === 시즌 3 === ||<table align=center>[youtube(DlBKMaN4jEw)]|| ||<:>시즌 3 공식 예고편|| [[포뮬러 1/2020시즌|2020 포뮬러 1 시즌]]을 배경으로 촬영되었다. == 평가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bgcolor=#f00> '''[[로튼 토마토|[[파일:rtlogo.png|width=100]]]]''' || || '''[[https://www.rottentomatoes.com/tv/formula_1_drive_to_survive|관객 점수 84%]]''' || [include(틀:평가/IMDb, code=tt8289930, user=8.6)]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gMBoe, user=4.3)] '''대체로 평이 좋다'''. 다큐멘터리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지루하지 않으며''' 실제로 본능의 질주를 보고 [[포뮬러 1]]에 입문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또한, 노후화되던 팬덤이 젊은 층들이 유입되어 [[포뮬러 1]] 생태계 자체가 젊어진 데에 큰 기여를 했다[* 실제로 하이라이트 정도만 볼 게 있었던 [[포뮬러 1]] [[유튜브]]에 각종 애니메이션이나 [[밈]] 모음집이 올라오기도 하였다. 물론 젊은 선수들이 F1 드라이버가 된 것도 일부 영향이 있겠지만 본능의 질주가 F1에 큰 영향을 끼쳤음에는 틀림없다.]. 다만 시즌 2가 시즌 1보다 평이 좋지 않은데 그 이유는 시즌 1의 경우 선수나 팀 감독들을 중심으로 경쟁심, 좌절, 성취감 등등의 감정에 고루 공감할 수 있었고 [[포스 인디아]], [[자우버]], 그리고 [[토로 로쏘]]도 일부 다룬 반면, 시즌 2는 주로 팀을 중심으로 나오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조금 결여되어 있을 뿐더러, 약팀들을 주로 다루지 않아 다소 아쉽다는 평도 있다. 그러나 2개 시즌 모두 속도감이나 경쟁 등을 잘 나타내고 있어 '''스포츠나 레이싱 등의 장르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강력히 추천하는 다큐멘터리이다. ''' [[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분류:다큐멘터리]][[분류:자동차를 소재로 한 작품]]
netflix,lasttime,burgersans
워쉽 블리츠 프랑스 전함
#redirect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프랑스 테크 트리/전함
batterios
최우정
||<-2><bgcolor=#000000><tablebgcolor=#fff><tablebordercolor=#000000><table width=550><tablealign=right> '''{{{#fff {{{+3 최우정}}}[br]Choi Wooj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우정.jpg|width=100%]]}}}|| ||<|2><bgcolor=#000000> '''{{{#fff 출생}}}''' ||[[1991년]]|| ||[[서울특별시]]|| ||<bgcolor=#000000> '''{{{#fff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bgcolor=#000000> '''{{{#fff 신체}}}''' ||165cm, 45kg || ||<bgcolor=#000000> '''{{{#fff 학력}}}''' ||[[동아방송예술대학교]] {{{-2 (연극영화과 / 학사)}}}|| ||<bgcolor=#000000> '''{{{#fff SNS}}}''' ||[[https://instagram.com/w__j06|[[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m.facebook.com/woojung9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 출연 작품 == === 영화 === ||<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tablebgcolor=#fff><width=20%> '''{{{#fff 개봉 연도}}}''' || '''{{{#fff 제목}}}''' ||<width=20%> '''{{{#fff 배역}}}''' ||<width=19%> '''{{{#fff 비고}}}''' || || 2013년 || [[결혼전야]] || 서점 사인회 어른팬 ||<|2> 단역 || || 2015년 || [[타투(영화)|타투]] || 고삐리1 || || 2016년 || 이것은 픽션일 뿐이다 || 혜진 ||<|7> 단편영화 || ||<|3> 2017년 || 술 || 소은 || || 미안해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 최연 || || 언니 || 유정 || || 2018년 || 차장님은 연애 중 || 혜미 || || 2019년 || 완벽한 원나잇 || 하쿠 || || 2020년 || 즐거운 집들이 || 우정 || === 드라마 === ||<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tablebgcolor=#fff><width=20%> '''{{{#fff 방영 연도}}}''' || '''{{{#fff 방송사}}}''' || '''{{{#fff 제목}}}''' ||<width=17%> '''{{{#fff 배역}}}''' ||<width=19%> '''{{{#fff 비고}}}''' || || 2018년 || [[네이버 TV|[[파일:네이버TV 아이콘.png|width=24]]]] ||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 김하라 ||<|3> 웹드라마 || ||<|2> 2019년 ||<|2> [[V LIVE|[[파일:브이라이브 아이콘.png|width=24]]]] || 청춘타로 || 정희정 || || 오늘도 남현한 하루 || 신남희 || ||<|2> 2020년 ||<|2> [[KBS 2TV|[[파일:KBS2.png|width=40]]]] || [[비밀의 남자]] || 수정 || || || [[오! 삼광빌라!]] || 박소미 || || === 연극 === ||<tablebordercolor=#000000><rowbgcolor=#000000><tablebgcolor=#fff> '''{{{#fff 공연 연도}}}''' || '''{{{#fff 제목}}}''' || '''{{{#fff 배역}}}''' || || 2013년 || 하쿠나 마타타 || 여고생 || || 2015년 || 아일랜드 || 자유 || == 여담 == [[분류:한국 여배우/ㅊ]][[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출신]]
euf0nia
의숙공주
[[분류:조선의 공주]] [include(틀:조선의 왕녀/익조 ~ 연산군)] ||<-3><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94153e><table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4153e 0%, #94153e 20%, #94153e 80%, #94153e)" '''{{{#ffd400 조선 세조의 왕녀[br]{{{+1 의숙공주 | 懿淑公主 }}}}}}'''}}} || ||<|2><bgcolor=#94153e> '''{{{#gold 출생}}}''' ||<-2>[[1441년]]^^([[세종(조선)|세종]] 23년)^^ || ||<-2>[[조선]] [[한성부]] [[영희전]] || ||<|2><bgcolor=#94153e> '''{{{#gold 사망}}}''' ||<-2>[[1477년]]^^([[성종(조선)|성종]] 8년)^^ [[12월 3일]][br]{{{-2 (향년 37세)}}} || ||<-2>[[조선]] [[한성부]] [[영희전]] || ||<width=50><bgcolor=#94153e> '''{{{#gold 부왕}}}''' ||<-2>[[세조(조선)|세조]] || ||<width=50><bgcolor=#94153e> '''{{{#gold 모후}}}''' ||<-2>[[정희왕후|정희왕후 윤씨]] || ||<width=50><bgcolor=#94153e> '''{{{#gold 부군}}}''' ||<-2>하성위 정현조[* 본관은 하동, 자는 효중(孝仲)이고 시호는 편정(褊玎)이다. ] || ||<width=50><bgcolor=#94153e> '''{{{#gold 자녀}}}''' ||<-2>자녀 없음 || ||<width=50><bgcolor=#94153e> '''{{{#gold 묘소}}}''' ||<-2>[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의왕시 초평동 산 61-4, 너비=100%)] ---- [[경기도]] [[의왕시]] [[초평동]] 산 61-4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세조(조선)|세조]]와 [[정희왕후]]의 적장녀. [[동복형제|동복오빠]]는 [[의경세자]]이며, [[예종(조선)|예종]]에게는 누나가 된다. == 생애 == 의숙공주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 [[세조(조선)|세조]]는 수양대군이었다. 1453년(단종 1) [[정인지]]의 차남 정현조와 혼인하였고, 그로부터 2년 뒤인 1455년(세조 1) 세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의숙공주가 되었고, 정현조 또한 하성위에 책봉되었다.[* 세조실록 1권, 세조 1년 7월 21일 갑오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ga_10107021_004|#]] ] 그러나 1477년(성종 8) 의숙공주가 37세의 나이로 슬하에 자녀 없이 세상을 떠났고, 정현조는 사족 출신 이징의 딸과 다시 혼인하여 9남 1녀를 보았다. 이때문에 문제가 되었는데, 나중에 이들이 과거 시험을 보고자 한 것이다. 1510년(중종 5) 부인 이씨가 자식들이 과거 시험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청하였지만, 조정에서는 성종 시절에 이미 첩으로 간주하였다고 하여 응시 자격이 없다고 재확인하였다.[* 중종실록 10권, 중종 5년 3월 21일 병자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503021_003|#]] ] 이것은 모두 정현조의 잘못이었는데, 공주가 죽고 [[정희왕후]]에게 "양첩에게 장가가겠다"고 말하여 허락받고 이징의 딸을 속여서 부인으로 맞이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금방 들통나 정현조는 성종의 꾸중을 들었는데, 중종은 '정희왕후를 속인 죄'로 끝까지 이징의 딸을 정실 부인으로 인정해주지 않았다. [[성종(조선)|성종]]은 의숙공주의 제사를 주관하고 명복을 비는 사찰로 정토사[* 오늘날 [[서울시]] [[서대문구]]에 있는 백련사의 전신이다. ]를 지정하였다. 그런데 [[명종(조선)|명종]] 대에 이르러, 유생들이 정토사에서 소란을 피우자 이 절은 보통의 절이 아니라 하여 해당 유생들의 과거 응시를 금지 시킨 일이 있다.[* 명종실록 3권, 명종 1년 1월 6일 갑자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ma_10101006_001|#]] ]
blossoming
모던 록
[[분류:록]] [목차] == 개요 == Modern Rock. [[록 음악]]의 한 종류. 1980년대 이후로 등장한 장르로서, 후술하듯 개념이 매우 모호한 커다란 틀로서 거론되곤 한다. == 상세 == 이름 그대로 모던한, 현대적인 트렌드에 맞춘 [[록 음악]]이라는 뜻으로, 미국 라디오 내에서 60~70년대 올드 락과 구분짓기 위한 사용에서 유래되었다는 말이 있으나,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다. 이런 유래만큼이나 이들의 특징과 범위 또한 불명확한데, 대개는 80~90년대 [[얼터너티브 록]]을 중심으로 비슷한 시기에 나왔던 [[브릿팝]], [[슈게이징]], [[드림 팝]], [[앰비언트 뮤직]] 등의 현대적인 장르들을 단골로 곁들이는 편. 여기에 견해에 따라서는 [[뉴 메탈]], [[포스트 그런지]], [[RHCP]]로 대표되는 [[펑크(음악)|펑크]] 사운드와 [[건즈 앤 로지스]] 등의 [[하드 록]]같은 이질적인 스타일의 음악도 포섭되곤하며 심지어는 록과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발전했던 장르였던 [[디스코]]나 [[신스팝]]까지도 포함시키는 등 기준들이 중구난방이다. 따라서 모던록을 별개의 장르라고 이해하기보다는 처음 소개한대로 올드락과 구별하기 위한 시대적인 구분으로 록 음악 전부를 아우르는 카테고리로 이해하는것이 빠를 것이다. 보통은 80년대 [[헤비메탈]]의 쇠퇴기 이래로 나오던 얼터너티브 중심의 락계와 그 이후, 그리고 이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고전들로[* [[더 스미스]], [[소닉 유스]], [[R.E.M.]] 등] 귀결되는 편이다. ~~얼터너티브도 모호한 장르인건 마찬가지지만~~ 한국 내 한정에선 모던 록이라하면 사용례가 서정적 멜로디 중심의 보컬 및 리버브를 먹인 쟁글쟁글한 일렉기타 사운드로 자주 거론되는 편. 주로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나 [[라디오헤드]] 등 영국 음악의 영향력이 큰 [[인디 밴드]]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인디씬은 기본적으로 모던록을 토대로 발전해왔으며, 인디씬의 흥망성쇠와 중흥의 역사를 둘러보면 항상 모던 록이 중심에 있었다. [[유앤미블루]], [[언니네 이발관]], [[델리 스파이스]], [[마이 앤트 메리]] 등의 1세대부터 시작하여 [[브로콜리너마저]], [[옥상달빛]], [[검정치마]], [[3호선 버터플라이]] 등 인디의 침체기를 버텨주던 밴드들에다 [[NELL]], [[쏜애플]] 등의 인디의 상업적인 성공도 모던 록에서 달성했으며, 2010년대에도 [[혁오]], [[잔나비]] 등으로 건재한 계보를 보이는 등 록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던 한국내에서 그나마 구실을 맞추던 장르였다.
doubleyou,halfling,pingujeong
마이 레스토랑!
#redirect My Restaurant!
kor_tttmap
드라마퀸
[[분류:유튜버]] ||<-2><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FF0000><#FFFFFF><tablebgcolor=#FFFFFF,#FFFFFF> {{{#FF0000 {{{+1 '''드라마퀸'''}}} }}} || ||<-2> [[파일:드라마퀸.jpg|width=100%]] || ||<#FFFFFF> '''가입''' || [[2020년]] [[5월 22일]] || ||<#FFFFFF> '''구독자 수''' || 2.27만명[* [[2021년]] [[2월 28일]] 기준.] || ||<#FFFFFF> '''누적 조회수''' || 8,935,144회[* [[2021년]] [[2월 28일]] 기준.] || ||<#FFFFFF> '''메인 채널''' || [[https://youtube.com/channel/UCXRQDRtCbHJUO3DO6ND-q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드라마퀸]] || ||<#FFFFFF> '''서브 채널''' || [[https://youtube.com/c/%EC%95%84%EB%82%98%EC%97%AC%EC%9A%B0ANNFOX|[[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아나여우]] [[https://youtube.com/channel/UCIPu_Y_dYrHrnOMNEK3yfg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드라마틱]]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유튜버. 드라마 리뷰가 주 컨텐츠이다. [[펜트하우스 시리즈|펜트하우스]] 리뷰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 리뷰한 작품 == * [[펜트하우스 시리즈|펜트하우스]] * [[슬기로운 의사생활]] * [[앨리스(드라마)|앨리스]][* 7-8화] * [[사이코지만 괜찮아]]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 여담 == * 본 직업은 아나운서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 지 목소리가 좋다는 댓글이 많다.
might
건쉽 시퀄
#redirect Gunship Sequel WW2
flankerd13120
윙즈 오브 듀티
#redirect Gunship Sequel WW2
flankerd13120
일본 내수용/오락 및 게임
[[분류:일본 게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일본 내수용)] [목차] == 개요 == 일본 내수용은 일본 내에서만 통용되는 것을 가리키는데 앱 게임 과 오락실 게임도 이 범주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 == 주의사항 == 간혹 문서 내용을 보면 일본판, 영어판 이런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데 엄연히 일본 내수판, 영어(글로벌, 해외)수출판으로 분류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일본 내수용]]에서도 언급하듯이 일본인 전용 서비스로만 내놓은 게임들이 대부분이기에 해외에서는 할 수 없거나 소규모로 내놓은 것이 대부분으로 내수용, 수출용 으로 별도 언급을 해야 한다. == 오락실 == 우리가 흔히 가는 오락실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 인터넷으로 돌리는 [[ALL.Net]], [[이어뮤]], [[NESiCA]] 등이 있으며 [[신 태고의 달인]], [[이니셜D/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 등이 있다. 하지만 이 게임도 엄연히 내수용과 수출판 구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 [[이니셜D/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 === 이 게임은 면허증 이라는 별도의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최신작 과 예정작인 [[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Zero Ver.2|제로 투]][* 2021년 2월28일을 기준으로 일본 오락실에서는 대부분 최신 기판으로 정리중인 상태에 있다. 5월1일 새벽2시를 기점으로 인터넷이 공식적으로 끊긴다.]와 [[이니셜D THE ARCADE|더 아케이드]][* 2월 25일 을 기점으로 가동을 시작하였으며 해외서버는 아직 예정이 없다.] 는 제외하고 설명한다. 왜냐하면 통합형 ic카드를 사용하므로 인터넷이 끊기면 그 즉시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구 버전은 총 8개로[[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1]]~[[이니셜D 아케이드 스테이지 8 인피니티|8]]이 있으며 전용 카드(면허증)를 사용해서 플레이 하는 방식인데, 문제는 일본 내수판과 해외 수출판의 취급이 다르다는 점이 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일본 에서 만든 카드는 해외에서 쓸 수가 없으며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넷이 들어간 당시 해외(특히 6 더블 에이스)유저들은 자국내 카드 와 일본 전용 카드를 만들어서 여행 가는김에 원정을 했을 정도로 불편한 것이 상당하기 때문. 화면만 보면 '''같은 일본어(5부터)인데 왜 내수,수출을 구분해야가?''' 라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모르는 위키 위해 설명하자면 내수판 과 해외판의 구분법은 '''EXP''' 이것만 잘 보면 된다. 저 글자가 없으면 무조건 일본 내수판이다.[* 해외에서 면허증 발급도 EXP 가 인쇄돼서 나온다.] 2021년 기점으로 해외판을 들여온 오락실은 대부분 사용이 불가능 한데 신촌 펀시티만 유일하게 카드 사용이 가능한 매장이다. 내수판 카드를 해외판 기기에 넣으면 대응이 되지 않는 오류를 내면서 진행이 불가능하다. 대만 루텐이나 중국 타오바오 에서 구매하는 것 말곤 국내에선 구매할 방법이 전혀 없다. ===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 === 해외 출시 버전 과 일본 내수용 버전 출시일이 서로 달라서 같은 인터넷을 쓰지만 서로 호환이 안되므로 역시 구분해야 한다. 구작도 마찬가지로 전용 카드를 쓰는데 해외 수출, 일본 내수용이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최신버전은 국내는 5DX+~6 일본도 6을 쓰지만 북미 와 호주는 버전이 무엇인지 불명. 이유는 아까 설명했듯 국가마다 출시 버전이 다른데 일본은 일본내(도도부현) 유저끼리만 전국대전이 가능하며 이니셜D 처럼 해외 유저와 전국 대전이 안된다. 해외도 마찬가지로 한국은 한국내,미국은 미국내 유저만 전국대전이 가능하며 반대인 일본 유저와의 대결은 전혀 안되므로 사실상 일본 유저랑 대결하고 싶으면 무조건 [[오락실 원정]]을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데이터도 호환이 안되는건 덤. === [[신 태고의 달인]] === 이 게임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동더 히로바가 있는가 없는가다. 일본 내수판은 동더히로바 서비스가 당연히 들어가 있지만 해외판은 없어서 갱신해달라 항의해도 공식은 계속 무시하고 있는 상태다. 그래서 일본으로 원정을 가는 편이다. 현재 한반도(제주도 제외)를 기준으로 일본 내수판이 있는 가장 가까운 오락실은 [[나가사키현]] [[츠시마시]](대마도) 에 있는 티아라몰 이다.[* 제주도는 [[사세보시]]가 가까우며 대마도와는 조금 떨어져 있는 편이다.] === 마리오 카드 아케이드 그랑프리 시리즈 === 구 버전인 1, 2는 마찬가지로 전용 카드를 사용하며 해외판과 내수판은 서로 호환이 안되므로 사용 불가,최신작인 DX 는 일본 내수판에서는 인터넷을 가동하지만 해외판은 넷 자체가 없는 기판을 들여서 가동 하고 있다. 이걸 아는 해외 유저는 원정을 가는 케이스. === [[마이마이 시리즈]], [[츄니즘 슈퍼 스타]] 등 리듬게임 === 해외판에서 가동되는 곡 개수 와 일본 내수판의 개수가 달라서 없는 곡을 하기 위해 무조건 원정을 가야하는 케이스중 하나다. 특히 보컬곡,에로송 등 해외에서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도저히 내놓기 힘든 경우에 해당된다. 최신작인 츄니즘 슈퍼 스타는 첫 출시 당시 수십여곡이 잘린 채로 출시해서 이에 대해 말이 많았다. === 기타 === [[타임 크라이시스 5]],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 비시바시 도 인터넷을 가동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해외에서는 인터넷이 아예 없는 기판으로 들여놓은 상태로 내수판(인터넷 버전)을 하려면 무조건 일본 으로 원정을 가야 한다. === 앱스토어 게임 === 당연하지만 앱 게임도 일본 내수판 구분을 해야 한다. 주위에서 많이 하는 [[스쿠스타]], [[스쿠페스]], [[뱅드림]], [[프리코네]], [[레뷰스타]] 등 대형 게임사에서 내놓은 게임들은 내수판, 수출판 이 존재한다. 내수용은 원칙적으로는 일본인 전용 게임으로 해외 유저는 이용할 수없으나 소문을 타면서 해외발 유저들도 많이 이용하면서 구별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고객센터 문의도 달라서 내수용은 내수용 만 해외판은 해외만 대응하며 별개 부서로 보기 때문이다. 레뷰스타 어플은 일본 에서 접속하지 않으면 아예 플레이가 불가하므로 [[VPN]]으로 우회하는 것 밖에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 내수용, version=109)]
zzzzzzzzzzzzzzzzzzzzzzzzzzzzzzzz,lr11,218.53.233.146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
#redirect 제10전투비행단
ion2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