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상담받다'와 '상담하다'의 차이
2019. 12. 6.
심리 상담소를 찾아가 문제를 의논할 경우, 내담자(의뢰인) 입장에서는 '상담받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상담하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상담하다', '상담받다'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상담'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궁금증을 풀기 위하여 서로 의논함'을 뜻하므로, 내담자 입장에서도 '상담하다'를 씁니다. 다만, 상담사 입장에서도 '상담하다'를 쓰므로 이와 구별하기 위해 '피동'의 접사 '-받다'를 붙여 '상담받다'를 쓰기도 합니다.
0
'자전거 길', '자전것길'의 표기
2019. 12. 6.
'자전거 길', '자전것길'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자전거 길'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고 '자전거길'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자전거 길'은 교통 전문어 구로 한글맞춤법 제50항에 따르면 단어별로 띄어 '자전거 길'로 쓰는 것이 원칙이나 '자전거길'로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다만, 허용 규정에 따라 붙여 쓰더라도 합성어는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는 않습니다.
0
'진흙밭', '진흙 밭'의 띄어쓰기
2019. 12. 6.
'진흙 밭', '진흙밭' 어느 쪽이 맞나요?
 '진흙밭'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 식물이나 자연물, 수산물 따위가 많이 나는 곳'을 뜻하는 명사 '밭'은 사전 등재 여부와 상관없이 앞말에 붙여 '고추밭', '진흙밭'과 같이 씁니다.
0
'어찌 되었든'과 '어찌 되었건'의 차이
2019. 12. 6.
'어찌 되었든', '어찌 되었건' 둘 다 맞나요? 차이는요?
 '어찌 되었든'과 '어찌 되었건'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어찌 되었든'에는 어미 '-든지'의 준말인 '-든'이, '어찌 되었건'에는 어미 '-거나'의 준말인 '-건'이 쓰였는데, 어미 '-든', '-건'은,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기능상의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0
'입이 짧다'의 의미
2019. 12. 6.
'입이 짧다'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요? 대부분 양이 적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있던데, 제가 알기론 음식을 가린다는 뜻으로 알고 있거든요.
 '입이 짧다'에는 두 가지 뜻이 다 있습니다. 이는 '음식을 심하게 가리거나 적게 먹다'의 뜻을 나타내는 관용구로, "남편은 입이 짧아 입맛을 맞추기가 어렵다.", "그녀는 입이 짧아 식비가 별로 안 든다."와 같이 쓰입니다.
0
'술보'의 표현
2019. 12. 6.
'술'에 '-보'를 붙여 '술보'라고 할 수 있나요?
 '술'에 접미사 '-보'를 붙인 '술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표준어규정 제25항에 따르면 '술고래'가 표준어이고, '술보'는 '술고래'의 비표준어입니다. 
0
'왕빗감', '왕비감'의 바른 표기
2019. 12. 6.
"이 사람은 {왕빗감/왕비감}이다."에서 '왕비감'이 맞나요, '왕빗감'이 맞나요?
 "이 사람은 왕빗감이다."와 같이 적습니다. 여기서 '감'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자격을 갖춘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앞말 '왕비'에 붙여 적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므로 '왕빗감'과 같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입니다.
0
'어디에다'의 준말
2019. 12. 6.
'어디에다'가 준 말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얻다'로 써야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은 '얻다'입니다.
0
'시월', '십 월'의 차이
2019. 12. 6.
'10월'은 '시월'이라고 적는데, 왜 '10원'은 '시원'이 아니고 '십 원'이라고 하는 걸까요?
 '시월(十▽月)'의 '十'은 속음으로 나고 '십(十) 원'의 '十'은 본음으로 나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 것은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으므로 속음으로 나는 '十▽月'은 '시월'로 적고, 본음으로 나는 '十 원'은 '십 원'과 같이 적는 것입니다.
0
'서슴지 않고'의 준말
2019. 12. 6.
'서슴지 않고'의 준말이 있는지요?
 '서슴지 않고'는 '서슴잖고'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9항에 따르면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에는 준 대로 적으므로 '서슴지 않고'가 '서슴잖고'와 같이 줄 적에는 준 대로 적을 수 있습니다.
0
'피해를 입다'의 표현
2019. 12. 6.
'피해를 입다'는 '해를 입다'라고 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피해를 입다'도 쓸 수 있습니다. '생명이나 신체, 재산, 명예 따위에 손해를 입음'을 뜻하는 '피해' 뒤에 '입다'를 쓰는 것은 의미가 중복되어 간결한 표현은 아닙니다만, 이미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잘못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말은 이와 같이 고유어와 한자어가 어울려 쓰이면서 부분적으로 의미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은데 '회의를 품다', '낙엽이 지다', '시범을 보이다' 등도 그러한 보기에 해당합니다.
0
'틀리다'의 활용
2019. 12. 6.
'틀리다'의 활용으로 '틀린'과 '틀리는' 둘 다 되는 거예요?
 '틀린', '틀리는' 둘 다 됩니다. 동사 '틀리다'의 어간 '틀리-'에 '사건이나 행위가 과거에 일어남'을 나타내거나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으면 '틀린 답을 고치다', '틀린 문제를 다시 풀다'와 같이 '틀린'으로 활용합니다. 그리고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는'이 붙으면 '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문제'와 같이 '틀리는'으로 활용합니다.
0
'얼음', '어름'의 표기
2019. 12. 6.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일지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것은 어간과 접미사를 구별하여 적지 않잖아요. 그러니까 '얼다'라는 말에서 '얼음'이라는 말과 '어름'이라는 말이 파생되고 여기서 '얼음'은 어원을 밝혀 적는 경우, '어름'은 어원을 밝혀 적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지요?
 그렇습니다. 한글맞춤법 제19항에 따르면 어간에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경우가 아니면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데, '물이 얼어서 굳어진 것'을 뜻하는 말은 '얼다'의 어간 '얼-'에 '-음'이 붙어 만들어진 말로 그 어간의 뜻과 관련이 있으므로 소리대로 '어름'으로 적지 않고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얼음'으로 적습니다.
0
'빨갛습니다', '빨갑니다'의 표현
2019. 12. 6.
맞춤법 제18항 3번에 따르면 '까맣다'와 '빨갛다'는 동일하게 변형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은데, '까맙니다'는 맞는 말이고 '빨갑니다'는 틀린 말이라고 하는 이유가 뭔가요?
 '까맙니다', '빨갑니다' 모두 잘못된 표현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7항에 따르면 '-읍니다'는 '-습니다'의 비표준어이므로 '까맣다', '빨갛다'의 어간에 '-읍니다'가 붙어 'ㅎ' 불규칙 활용이 일어난 '까맙니다', '빨갑니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까맣다', '빨갛다'의 어간에 '-습니다'가 결합한 '까맣습니다', '빨갛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참고로, 한글맞춤법(고시본) 제18항 3에 있었던 '그럽니다, 까맙니다, 동그랍니다, 퍼럽니다, 하얍니다' 등은 1994년 12월 16일에 열린 국어 심의 회의 결정에 따라 삭제되었습니다.
0
'전데요', '전대요'의 표현
2019. 12. 6.
"~씨가 누구세요?"라고 물을 때 "전대요.", "전데요."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전데요."가 맞습니다. '-ㄴ데'는 '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이고, '-ㄴ대'는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인데, 문의하신 경우는 "전데요 (왜 그러시죠)?"와 같이 쓰인 것이므로, '전데요'와 같이 쓰는 것이 맞습니다.
0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의 표기
2019. 12. 6.
영화 잡지를 읽다 보니 '밀어붙이다'로 표기가 되어 있던데 '밀어부치다'가 맞는 표기 아닌가요?
 '밀어붙이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밀어붙이다'는 '한쪽으로 세게 밀다', '여유를 주지 아니하고 계속 몰아붙이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상대를 이기려면 더 이상 도망갈 수 없는 구석에 밀어붙이고 공격해야 한다."와 같이 쓰입니다.
0
'-고 싶다'의 준말 '-고프다'의 표현
2019. 12. 6.
'-고프다'를 '-고 싶다'가 줄어서 된 말로 쓸 수 있나요?
'-고프다'는 '-고 싶다'가 줄어서 된 말로 쓸 수 있는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고프다'가 '-고 싶다'가 줄어든 말로 올라 있으므로 '하고 싶은', '하고 싶어', '하고 싶었다'를 줄여 '하고픈', '하고파', '하고팠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생각할는지', '생각할런지'의 바른 표기
2019. 12. 6.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는지/생각할런지} 모르겠어."에서 옳은 표기는 '생각할는지'라는데 왜 그런가요?
 앎이나 판단ㆍ추측 등의 대상이 되는 명사절에서 어떤 불확실한 사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는 '-ㄹ는지'이기 때문입니다. '-ㄹ는지'를 그 발음대로 '-ㄹ른지'로, 또는 발음 혼동으로 '-ㄹ런지'로 적는 경우가 있지만 '-는지'와 관련된 형태를 밝혀 '-ㄹ는지'로 적습니다. 따라서 말씀하신 문장은 "우리의 제안을 어떻게 생각할는지 모르겠어."와 같이 적습니다.
0
'뭐예요'와 '뭐에요'의 표기
2019. 12. 6.
'뭐에요'가 맞는 말인가요, '뭐예요'가 맞는 말인가요?
 '뭐예요'가 맞는 표기입니다. '뭐예요'는 '뭐+이-+-에요'로 분석되는데, 여기서 '이-'는 받침 없이 끝난 체언 뒤에서는 '뭐(이)다'와 같이 쉽게 생략이 되는데,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는 경우에는 생략되지 않고 그 어미와 축약되므로 '뭐예요'로 적습니다.
0
'있을 때부터', '있을 때 부터'의 띄어쓰기
2019. 12. 6.
'있을 때부터', '있을 때 부터' 중 무엇이 맞나요?
 '있을 때부터'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므로,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보조사 '부터'는 앞말에 붙여 '있을 때부터'와 같이 씁니다.
0
'오거라'의 표현
2019. 12. 6.
'오다'는 너라 불규칙 용언이고 '가다'는 거라 불규칙 용언이라던데, 그러면 '오거라'라는 표현은 잘못된 표현인가요?
 '거라' 불규칙과 '너라' 불규칙은 더 이상 불규칙으로 보지 않으며, '오거라'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더 이상 '거라' 불규칙과 '너라' 불규칙은 없으므로 '와라', '가라'도 쓸 수 있고, 예스러운 느낌으로 '오너라', '가거라'도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라'는 해라할 자리에 쓰여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가다'뿐 아니라 다른 동사에도 두루 결합하므로 '오거라'도 쓸 수 있습니다.
0
'슬기롭다' 단어 형성법
2019. 12. 6.
'슬기롭다'가 파생어로 나와 있는데, 어떻게 파생어가 된 건지요?
 '슬기롭다'는 '슬기' 뒤에, 모음으로 끝나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러함' 또는 '그럴 만함'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롭다'가 붙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파생어입니다.
0
'-(으)ㄹ 거야', '-(으)ㄹ거야'의 띄어쓰기
2019. 12. 6.
"그래, 늦은 {봄이었을거야/봄이었을 거야}."에서 어느 것이 맞춤법상 맞나요?
 "그래, 늦은 봄이었을 거야."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거'는 의존 명사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로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0
'또 다른', '또다른'의 띄어쓰기
2019. 12. 6.
'또 다른', '또다른'은 띄어쓰기를 어떻게 하나요?
 '또 다른'으로 띄어 씁니다. '또'와 '다른'은 각각의 단어이므로 '또 다른'과 같이 띄어 씁니다.
0
'뭐래나'와 '뭐라나'의 표기
2019. 12. 6.
"{회장이래나/회장이라나} 뭐라나."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회장이라나 뭐라나."가 맞는 표현입니다. 인용되는 내용에 스스로 가벼운 의문을 가진다든가 그 내용에 별 관심이 없다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는 '-라나'이므로 '회장이라나 뭐라나'와 같이 표현합니다.
0
'제주도'의 로마자 표기
2019. 12. 6.
'제주도'의 경우 'Jeju-do' 와 'Jejudo' 둘 다 표기가 가능한 것인지요?
 원어에 따라 둘 다 표기할 수 있습니다. 행정 구역명 '제주도(濟州道)'는 'Jeju-do'로 적고, 섬 이름 '제주도(濟州島)'는 'Jejudo'로 적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5항에 따르면 '도'와 같은 행정 구역 단위는 'do'와 같이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으므로, 행정 구역명 '제주도'는 'Jeju-do'와 같이 붙임표를 넣어 적는 것입니다.
0
'예사소리', '예삿일'의 사이시옷 표기 차이
2019. 12. 6.
왜 '예삿일'은 사이시옷이 적용되고 '예사소리' 같은 다른 단어는 그렇지 않은지요?
 '예삿일'은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고 '예사소리'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 1의 (1)에 따르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예사소리'는 뒷말의 첫소리 'ㅅ'이 된소리로 나지 않고 [예ː사소리]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 것입니다. 반면, 같은 항 1의 (3)에 따르면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데, '예삿일'은 '예사'와 '일' 사이에 'ㄴㄴ' 소리가 덧나 [예ː산닐]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입니다.
0
'-ㄴ 데다가', '-ㄴ데'의 차이
2019. 12. 6.
"영희는 얼굴도 예쁜 데다가 똑똑하다.", "영희는 얼굴은 예쁜데 마음씨는 나쁘다."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영희는 얼굴도 예쁜 데다가 똑똑하다."의 '데다가'는 의존 명사 '데'에 조사 '에다가'가 결합해 준 말로 '에다가'는 더해지는 대상을 나타내는 격 조사이므로 얼굴이 예쁜 것에 더하여 똑똑하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반면, "영희는 얼굴은 예쁜데 마음씨는 나쁘다."의 '-ㄴ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이므로, 영희의 마음씨가 나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영희와 상관되는 다른 특성인 얼굴이 예쁘다는 것을 미리 말한 것입니다.
0
'자기소개해 드리다'의 표현
2019. 12. 6.
"자기소개해 드리겠습니다."의 표현이 적절한가요?
 "자기소개해 드리겠습니다."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자기소개하다'가 '처음 만난 사람에게 자기의 이름, 경력, 직업 따위를 말하여 알리는 행위라, 앞 행위가 다른 사람의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뜻하는 보조 동사 '주다'의 높임말 '드리다'와 어울리지 않습니다. 반면에 '자기소개'에, '공손한 행위'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드리다'를 붙여 '자기소개드리다'로 쓸 수 있습니다.
0
'진취적이다', '진취스럽다'의 표현
2019. 12. 6.
'-적'이 일본식이라고 해서 다듬으려고 하는데, '감동적이다'는 '감동스럽다'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진취적이다'도 '진취스럽다'라고 할 수 있나요?
 '진취스럽다'는 없는 말이므로 쓸 수가 없습니다. '-스럽다'는 일부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이지만 생산적인 접사는 아니므로 임의로 붙여 쓸 수는 없습니다. 참고로 '-적(的)'은 개화기 이전 우리말에서 거의 찾아보기 어려우며, 그 용법이나 의미가 일본어와 비슷해 일본식 표현이라는 말이 있으나 현재 '-적'이 붙은 말들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므로 마땅한 대안이 없는 한 그 쓰임을 잘못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0
'수수 가루', '수숫가루'의 바른 표기
2019. 12. 6.
수수를 빻아서 만드는 가루를 말할 때 '수수 가루'라고 하나요, '수숫가루'라고 하나요?
 '수수 가루'로 띄어 씁니다. '가루'는 명사이므로 '밀가루', '찹쌀가루', '쌀가루' 등과 같은 합성어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각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0
'어느새', '금세'의 표기
2019. 12. 6.
'어느새'와 '금세'에서 '새'와 '세' 표기가 왜 다른가요?
 '어느새'는 '어느 사이'가 줄어 굳어진 말이고, '금세'는 '금시에'가 줄어 굳어진 말이기 때문에 표기가 다른 것입니다.
0
'아프다', '바쁘다'의 활용
2019. 12. 6.
'아프다', '바쁘다'를 활용하면 어째서 '아파서', '바빠서'인가요?
 '아프다'와 '바쁘다'와 같이 어간이 'ㅡ'로 끝나는 용언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의 'ㅡ'가 탈락하므로 그 앞 음절의 모음에 따라 어미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프다', '바쁘다'는 어간 끝음절의 'ㅡ'가 아닌 그 앞 음절의 모음 'ㅏ'에 따라 '-어서'가 아닌 '-아서'가 결합해 '아파서', '바빠서'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0
바나나를 세는 단위 명사
2019. 12. 6.
바나나를 세는 단위 명사로 '손'과 '송이' 중 어느 것이 옳은가요?
바나나를 세는 단위 명사로는 '송이'가 적절합니다. '송이'는 '꼭지에 달린 꽃이나 열매 따위를 세는 단위'로 '장미 한 송이', '포도 한 송이', '바나나 한 송이'와 같이 쓰입니다. 참고로, 단위 명사 ‘손’은 '한 손에 잡을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로 조기, 고등어, 배추 따위는 큰 것과 작은 것을 합한 것을 이르고, 미나리나 파 따위는 한 줌 분량을 이릅니다.
0
'베풀다'의 명사형
2019. 12. 6.
'베풀다'처럼 'ㄹ'로 끝나는 용언에 명사형 어미 '-(으)ㅁ'이 결합할 때는 어떻게 표기하여야 하나요?
 '베풂'과 같이 표기합니다. 'ㄹ' 받침으로 끝난 용언 어간 뒤에는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ㅁ'이 붙는데,  어간 끝 받침 'ㄹ'은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앞에서 탈락하지만 'ㅁ' 앞에서는 탈락하지 않으므로 '베풂'으로 적습니다.
0
'맞추다', '마추다'의 표기
2019. 12. 6.
"형은 양복을 {마추었다/맞추었다}."에서 맞는 표기는 무엇인가요?
 "형은 양복을 맞추었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5항에 따르면 뜻을 구별하여 쓰던 '맞추다'(맞게 하다)와 '마추다'(주문하다)'는 '맞추다'로 통일하여 적기로 하였으므로, '일정한 규격의 물건을 만들도록 미리 주문을 하다'를 뜻하는 경우에도 '맞추다'를 써 '양복을 맞추었다'와 같이 씁니다.
0
'성공률', '성공율'의 바른 표기
2019. 12. 6.
'성공률'이 맞나요, '성공율'이 맞나요?
 '성공률'이 맞는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 [붙임 1]에 따르면 한자음 '려', '류'가 단어의 첫머리에 온 것이 아닌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되,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으므로 'ㅇ' 받침으로 끝나는 '성공' 뒤에서는 '률'로 적어 '성공률'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말라고 했지'의 준말
2019. 12. 6.
"너 그러지 말랬지!"에서 '말랬지'를 꼭 '말라고 했지'라고 풀어 써야 하나요?
 "너 그러지 말랬지!"로도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랬지'는 '말라고 했지'가 줄어든 말입니다. '-라고 해'를 줄여 '-래'로 쓰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
'패었다'의 준말
2019. 12. 6.
목선이 깊게 파이다'에서 '파이다'의 준말은 '패다'인데, '패다'의 과거형을 '패었다'라고 해야 하나요, '팼다'라고 해야 하나요?
 '패었다'라고 해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34항 [붙임 1] 해설에 따르면, 모음이 줄어들어서 'ㅐ'가 된 경우에는 '-어'가 결합하더라도 다시 줄어들지는 않으므로, '파이다'의 준말 '패다'의 활용형 '패어', '패었다'는 '패', '팼다'로 줄어들지 않습니다.
0
'전부예요', '전부에요'의 표기
2019. 12. 6.
'전부예요'가 맞아요, '전부에요'가 맞아요?
 '전부예요'가 맞습니다. '전부'에, 서술격 조사 어간 '이-', 어미 '-에요'가 붙은 말 '전부이에요'는 '전부예요'와 같이 줄여 씁니다. '이다'의 '이-'는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는 '전부(이)다'와 같이 쉽게 생략되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전부예요'와 같이 축약되는 것입니다.
0
'인원', '인원수'의 차이
2019. 12. 6.
'인원'과 '인원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원'은 '단체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 또는 그 수효'를 뜻하고, '인원수'는 '사람의 수효'를 뜻하므로, '사람의 수효'의 뜻으로 쓰일 때에는 '{인원이/인원수가} 부족하다'와 같이 차이가 없습니다만, '단체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을 뜻할 때에는 '산악회의 {인원/?인원수}를 동원하다'와 같이 '인원'만 자연스럽습니다.
0
'쓰다'와 '쓰이다'의 차이
2019. 12. 6.
'써'와 '쓰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써'는 '쓰다'의 활용형이고, '쓰여'는 '쓰이다'의 활용형입니다. '쓰다'의 어간 '쓰-'에 '-어'가 결합하면 '써'가 되고, '쓰이다'의 어간 '쓰이-'에 '-어'가 결합하면 '쓰이어'가 되고 이를 줄이면 '쓰여'가 됩니다.
0
'삼가', '삼가해'의 표현
2019. 12. 6.
"흡연을 {삼가/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에서 어느 표현이 정확한 표현이죠?
 "흡연을 삼가 주시기 바랍니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여기서 '삼가'는 '꺼리는 마음으로 양(量)이나 횟수가 지나치지 아니하도록 하다'를 뜻하는 표준어 '삼가다'의 활용형입니다. '삼가해'는 '삼가다'의 비표준어 '삼가하다'의 활용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0
'붇다'의 활용
2019. 12. 6.
"강물이 {붇어/불어} 다리가 물에 잠겼다."에서 '붇어'가 맞나요, '불어'가 맞나요?
 "강물이 불어 다리가 물에 잠겼다."가 맞습니다. '수량 따위가 본디보다 커지거나 많아지다'를 뜻하는 동사 '붇다'는 'ㄷ' 불규칙 용언으로 모음 어미 '-어'를 만나면 어간 받침 'ㄷ'이 'ㄹ'로 바뀌어 '불어'로 활용합니다.
0
'긴 구간', '먼 구간'의 표현
2019. 12. 6.
"이번 자전거 대행진은 비교적 {긴/먼} 구간이지만"이라는 말에서 무엇이 맞나요?
 '긴 구간'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멀다'는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를 뜻하고, '길다'는 '잇닿아 있는 물체의 두 끝이 서로 멀다'를 뜻하는데 '구간'은 '어떤 지점과 다른 지점과의 사이'를 뜻하므로 '먼 구간'보다는 '긴 구간'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겠습니다.
0
'실학'의 표준 발음
2019. 12. 6.
'실학'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실학'의 표준 발음은 [실학]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2항 4 해설에 따르면, 'ㅎ'이 단어 둘째 음절 이하의 초성에 놓이면 'ㅎ'을 온전하게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실학'은 [실학]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에 맞습니다.
0
'않았다 뿐이지', '않았다뿐이지'의 띄어쓰기
2019. 12. 6.
"철수는 이름이 나지 {않았다 뿐이지/않았다뿐이지} 참 성실한 사람이다."에서 '않았다 뿐이지'가 맞나요, '않았다뿐이지'가 맞나요?
"철수는 이름이 나지 않았다 뿐이지 참 성실한 사람이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뿐'은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밝히', '익히', '작히'의 어원
2019. 12. 6.
한글맞춤법 제19항 4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는데, '밝히', '익히', '작히'의 어원이 무엇인지요?
'밝히'는 '밝-+-히', '익히'는 '익-+-히', '작히'는 '작-+-히'가 결합한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밝히’는 ‘밝다’의 고어형 어간에 접사 ‘-이’가 붙은 말에서 비롯되었고, '익히'는 ‘익다’의 고어형 어간에 '-이'가 붙은 말에서 비롯되었으며, '작히'는 '작다'의 고어형 어간에 '-히'가 붙은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0
'적나라'의 표준 발음
2019. 12. 6.
'적나라'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적나라(赤裸裸)’의 표준 발음은 [정나라]입니다. 한글맞춤법 제18항에 따르면 받침 'ㄱ'은 'ㄴ' 앞에서 [ㅇ]으로 발음하므로 '적나라'는 [정나라]로 발음합니다.
0
'오다'의 명령형
2019. 12. 6.
'오다'의 명령형으로 '오너라, 오거라, 와라, 오라' 중 어떤 것이 맞나요?
해라체 '오너라, 오거라, 와라', 하라체 '오라' 모두 맞습니다. '오다'의 어간 뒤에는, ‘오다’나 ‘오다’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예스러운 느낌으로 해라체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너라'가 붙어 '오너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동사 어간에 붙어 예스러운 느낌으로 해라체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거라'가 붙어 '오거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해라체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아라'가 붙어 '와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받침 없는 동사 어간 뒤에 붙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하라체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라'가 붙어 '오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0
'지난날', '지난 날'의 띄어쓰기
2019. 12. 6.
'지난날'을 붙여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합성어이기 때문입니다. '지난날'은 '지나다'의 관형사형 '지난'과 '날'이 결합한 말이지만, 단순한 구 의미가 아니라 '지나온 과거의 날 또는 그런 날의 행적', '역사상의 한 시대'와 같은 뜻을 나타내므로 합성어로 인정되었습니다.
0
'세 근', '서 근', '석 근'의 표현
2019. 12. 6.
삼겹살 석 근'이라고 하는 걸 들었는데, 무게를 세는 단위로 쓰는 '근'이 '석 근', '넉 근'으로 쓰이나요? 아니면, '세 근', '네 근' 또는 '서 근', '너 근'으로 쓰이나요?
'세 근', '네 근'으로 쓰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7항에 따르면 '냥', '되, '섬', '자' 앞에는 '석', '넉'이 표준어이고, '돈', '말', '발', '푼' 앞에서는 '서', '너'가 표준어입니다만, '근' 앞에서는 '세', '네'가 표준어입니다.
0
'부르다'의 피동 표현
2019. 12. 6.
'부르다'의 피동사는 '불리다', '불리우다' 중 어느 게 맞나요?
'부르다'의 피동사는 '불리다'가 맞습니다. '불리다'는 '부르-+-이-+-다'와 같이 피동 접미사가 결합해 굳어진 말입니다. '불리우다'는 '부르다'의 어간 '부르-'에 사동 접미사 '-이우-'와 '-다'가 결합해 굳어진 말이므로 '부르다'의 피동사로는 부적절합니다.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불리우다'가 '불리다'의 잘못으로 올라 있습니다.
0
'사실과 상위 없음'의 표현
2019. 12. 6.
흔히 계약서, 확인서 등 공문서의 마지막에 위 내용이 사실과 다르지 않다는 뜻으로 '사실과 상위 없음'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를 우리말로 풀어 쓴다면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을까요?
'사실과 상위 없음'은 '사실과 다르지 않습니다'로 풀어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위'는 '서로 달라 어긋남'을 뜻해 '틀리다'나 '다르다'로 풀어 쓸 수 있을 듯한데, '상위하다'가 '(서로) 다르다'로 순화된 것을 보면, 현실적으로는 '상위'는 '틀림'보다 '다름'의 뜻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조적으로도 앞에 '사실과'가 있으므로 뒤에 '...와'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다르다'가 적절합니다.
0
'미소를 띠다', '미소를 띄다'의 표기
2019. 12. 6.
'미소를 띠다'인가요, '미소를 띄다'인가요?
'미소를 띠다'입니다. 여기서 '띠다'는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로 '노기를 띠다', '미소를 띠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몽유병'의 표준 발음
2019. 12. 6.
'몽유병'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몽유병'의 표준 발음은 [몽ː유뼝]입니다. '몽유'와 '병'이 결합한 합성어인데, 일반적으로 '병(病)'이 다른 형태소 뒤에 붙어 쓰일 때에는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 '각기병'[각끼뼝], '공수병'[공ː수뼝]처럼 된소리되기가 일어납니다.
0
형용사 '못하다'의 쓰임
2019. 12. 6.
‘못하다'는 형용사로도 쓰인다고 하는데, 어떻게 쓰이는지요?
형용사 '못하다'는 '비교 대상에 미치지 아니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음식 맛이 예전보다 못하다.", "건강이 젊은 시절만 못하다."와 같이 쓰이거나, ‘못해도’ 꼴로 쓰여 '아무리 적게 잡아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잡은 고기가 못해도 열 마리는 되겠지."와 같이 쓰입니다.
0
'납치당하다', '납치 당하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납치당하다'를 '납치 당하다'로 띄어 써야 하나요?
'납치당하다'로 붙여 씁니다. '납치' 뒤에, ‘피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당하다'가 붙은 말이므로 '납치당하다'와 같이 붙여 적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납치(를) 당하다'에서 '를'이 생략된 것으로 보아 띄어 쓸 수도 있겠지만, 접미사 '-당하다'가 있으므로 굳이 조사 생략을 상정하고 띄어쓰기를 하지는 않습니다.
0
'-아서'의 쓰임
2019. 12. 6.
"아침 일곱 시에 일어나서 세수를 합니다.", "도서관에 가서 공부를 했다."에서 '일어나서'와 '가서'가 어떤 뜻으로 연결된 건지요?
'시간적 선후 관계'를 나타내는 뜻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일어나서’, '가서'는 각각 동사 ‘일어나다’, '가다'의 어간에 연결 어미 ‘-아서’가 붙은 말인데, '일어나서'는 아침 일곱 시에 일어난 다음에 세수를 한다는 것이고, '가서'는 도서관에 간 다음에 공부를 하는 것이므로 '시간적 선후 관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0
'쐬야', '쐐야'의 바른 표기
2019. 12. 6.
"바람 좀 {쐐야겠다/쐬야겠다}."에서 '쐬야겠다'가 맞나요, 아니면 '쐐야겠다'가 맞나요?
"바람 좀 쐐야겠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5항 [붙임 2]에 따르면 '외' 뒤에 '-어'가 어울려 'ㅙ'로 될 적에는 준대로 적으므로, '쐬다'의 어간 '쐬-' 뒤에 어미 '-어야'가 어울려(쐬어야) '쐐야'로 줄면 준 대로 적습니다. '쐬야'는 어미 '-어야'의 '-어'가 빠진 말이라 어법에 맞지 않는 표기입니다.
0
'불다'의 활용
2019. 12. 6.
"얼마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지/불는지} 날아갈 뻔했다."에서 '부는지'가 맞나요, '불는지'가 맞나요?
"얼마나 바람이 강하게 부는지 날아갈 뻔했다."가 맞습니다. '부는지'는 '불다'의 어간에,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 '-는지'가 결합한 말인데, 'ㄴ' 앞이라 어간의 'ㄹ' 받침이 탈락해 '부는지'와 같이 활용합니다.
0
'즐기라', '즐겨라'의 표현
2019. 12. 6.
'즐기다'의 명령형이 '즐겨라'라고 알고 있었는데, 책을 보니까 계속 '즐기라'라고 나와 있네요. '즐기라'도 맞는 표현인가요?
'즐기라'도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즐기-’ 뒤에,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해라체 종결어미 '-어라'를 붙여 '즐겨라'로 쓰지만,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청자나 독자에게 책 따위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하라체 종결 어미 ‘-라’를 붙여 '즐기라'로도 쓸 수 있습니다.
0
'살아 있다', '살아있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살아있다'처럼 다 붙여 쓰나요?
'살아 있다'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살아있다'로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아/-어'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하므로 ‘살다’의 어간 ‘살-’ 뒤에 '-아 있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변화가 끝난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 ‘있다’가 결합한 말은 '살아 있다'와 같이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살아있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첫인상'의 표준 발음
2019. 12. 6.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앞말이 받침으로 끝나고 뒷말이 '이'인 경우 'ㄴ'이 첨가된다는데 왜 '첫인상'은 'ㄴ'이 첨가되지 않고 [처딘상]으로 발음하나요?
'첫인상'의 실제 발음이 [처딘상]으로 나기 때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9항에 따르면 복합어 앞말의 끝이 자음이고 뒷말의 첫음절이 '이'인 경우 'ㄴ'이 첨가되지만 '첫인상'은 예외로 'ㄴ'이 첨가되지 않고, 표준발음법 제15항에 준하여 받침 'ㅅ'이 대표음 [ㄷ]으로 바뀐 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져 [처딘상]으로 발음됩니다.
0
'은행'의 표준 발음
2019. 12. 6.
'은행'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은행’의 표준 발음은 [은행]입니다. 현실적으로 '은행'을 [으냉]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지만, 표준발음법 제12항 4의 해설에 따르면 'ㅎ'이 단어 둘째 음절 이하의 초성에 놓이면 'ㅎ'을 온전하게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은행'은 [은행]으로 발음합니다.
0
'원상태', '원 상태'의 띄어쓰기
2019. 12. 6.
'원상태로 돌아갔다'고 할 때의 '원상태'는 띄어 쓰는 게 맞나요, 붙여 쓰는 게 맞나요?
‘원상태’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원-(元/原)'은 일부 명사 앞에 붙어 ‘본래의’ 또는 ‘바탕이 되는’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이므로 뒷말에 붙여 '원상태'와 같이 씁니다.
0
'사 달라고', '사달라고'의 띄어쓰기
2019. 12. 6.
'사 달라고 하다'가 맞나요, '사달라고 하다'가 맞나요?
'사 달라고 하다', '사달라고 하다' 모두 맞습니다. 여기서 '달다'는 동사 뒤에서 ‘-어 달라’, ‘-어 다오’ 구성으로 쓰여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해 줄 것'을 요구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 용언인데,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라 '사 달라고'처럼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나 '사달라고'처럼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됩니다.
0
'만질만질하다', '맨질맨질하다'의 표현
2019. 12. 6.
'만질만질하다'와 '맨질맨질하다'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만질만질하다'가 표준어입니다. '만지거나 주무르기 좋게 연하고 보드랍다'의 뜻을 나타내는 '만질만질하다'는 ‘ㅣ’ 모음 역행 동화로 '맨질맨질하다'와 같이 쓰기도 하지만, 표준어규정 제9항에 따르면 ‘ㅣ’ 모음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맨질맨질하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애'와 '얘'의 쓰임
2019. 12. 6.
"그걸 아는 {애/얘}가 그랬대?" 중 어느 표현이 맞는 것인가요?
"그걸 아는 애가 그랬대?"가 맞는 것입니다. '애’는 ‘아이’의 준말이고 '얘'는 '이 아이'의 준말인데 제시하신 맥락에서는 '아이'의 준말 '애'가 자연스럽습니다. 한편 '이 아이'를 줄여 쓴 '얘'는 현장에 있는 아이를 가리켜 "얘가 왜 이래?", "얘야, 이리 온."과 같이 쓰입니다.
0
'앞장서', '앞장서서'의 차이
2019. 12. 6.
"화합에 {앞장서/앞장서서} 00에 기여하신 공이..." 중 무엇이 맞는 것인가?
'앞장서'와 '앞장서서' 모두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앞장서'는 '앞장서다'의 어간 '앞장서-' 뒤에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어'가 붙은 말이고, '앞장서서'는 '앞장서-' 뒤에 '수단과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어서'가 붙은 말이라 의미 차이는 별로 없습니다.
0
'뭔데', '뭐인데'의 표현
2019. 12. 6.
‘뭔데'는 바른 표현인가요?
'뭔데'도 표준어가 맞습니다. 지시대명사 '무어'의 준말 '뭐'에 '이-'와 '-ㄴ데'가 결합한 말 '뭐인데'에서 받침 없는 체언 '뭐' 뒤의 '이-'가 쉽게 탈락되어 '뭔데'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0
'하다 보니'의 띄어쓰기
2019. 12. 6.
"~을 독점하려고 하다 보니"에서 '하다 보니'는 띄어 쓸까요, 붙여 쓸까요?
'하다 보니'로 띄어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나 나머지 보조 용언은 원칙대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다(가) 보니’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뒷말이 뜻하는 사실을 새로 깨닫게 되거나, 뒷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보다'는 '하다(가) 보니'와 같이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0
'하고 싶은', '하고싶은'의 띄어쓰기
2019. 12. 6.
'하고 싶은 말', '하고싶은 말' 중에 어떤 것이 맞는 것인가요?
'하고 싶은 말'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어/-아'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나 나머지 보조 용언은 원칙대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동사 뒤에서 '-고 싶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마음이나 욕구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보조 형용사 ‘싶다’는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0
'초-'의 쓰임
2019. 12. 6.
'초당파(超黨派)', '초만원(超滿員)', '초고속(超高速)'에서 사용한 '초-'가 모두 같은 뜻으로 사용된 것인가요?
‘초(超)-’는 '어떤 범위를 넘어선' 또는 '정도가 심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인데, ‘당파적 이해를 떠나서 모든 당파가 다 함께 일치된 태도를 취함’을 가리키는 ‘초당파’와 ‘사람이 정원을 넘어 더할 수 없이 꽉 찬 상태’를 가리키는 ‘초만원’의 ‘초-’는 ‘어떤 범위를 넘어선’의 뜻을, ‘극도로 빠른 속도’를 가리키는 ‘초고속’의 ‘초-’는 ‘정도가 심한’의 뜻을 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0
'홍길동 외', '홍길동외'의 띄어쓰기
2019. 12. 6.
'홍길동 외 1명'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나요, '홍길동외 1명'과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나요?
'홍길동 외 1명'과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는데,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벗어남'을 나타내는 ‘외’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퍼붓다'의 활용형
2019. 12. 6.
'퍼붓-+-을'의 활용형은 어떻게 되나요?
'퍼부을'로 활용합니다. '퍼붓다'는 'ㅅ' 불규칙 용언이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을' 앞에서 어간의 받침 'ㅅ'이 탈락하므로 ‘퍼부을’이 됩니다.
0
로마자 성명의 띄어쓰기
2019. 12. 6.
성명을 로마자로 적을 때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성과 이름으로 띄어 씁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4항에 따르면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므로 'Min Yongha', 'Song Nari'와 같이 띄어 적습니다. 참고로, 이름은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넣어 'Min Yong-ha', 'Song Na-ri'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말다'의 명령형
2019. 12. 6.
"이제 신문 넣지 {말아요/마라요}." 중 뭐가 맞나요?
"이제 신문 넣지 말아요."가 맞습니다. ‘말다’는 해체 명령형 어미 ‘-아'가 붙는 경우에는 ‘말아', '마'(준말)로, 여기에 '요'가 붙는 경우에는 ‘말아요’, '마요'(준말)로 쓸 수 있습니다만, 해라체 명령형 '-아라'가 붙는 경우에는 '말아라', '마라'(준말)로 활용지만, 여기에는 '요'가 붙지 않으므로 '마라요'로는 쓸 수 없습니다.
0
'봐 보세요'의 표현
2019. 12. 6.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말로 '-어 보다'가 있는데 동사 '보다'와는 결합하지 않나요?
동사 ‘보다’ 뒤에도 ‘-어 보다’가 결합할 수 있습니다. 본동사 ‘보다’와 보조 동사 '보다'는 그 기능이 다르므로 '보다'의 어간 뒤에 '어떤 행동을 시험 삼아 함'을 나타내는 ‘-어 보다’를 써 ‘봐 보세요’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0
'못 올 데'의 띄어쓰기
2019. 12. 6.
"못 올 데 왔어?"의 '못 올 데'는 전부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나요?
'못 올 데'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항에 따르면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므로, 부정 부사 '못’과 동사 '오다'의 관형사형 '올'과 의존 명사 '데'는 각각 띄어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6항에 따르면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에는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만, 의미 단위를 고려해야 하므로 '못 올데'나 '못올 데'로 붙여 쓰기는 어려우므로 원칙대로 각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입니다.
0
'은영이는'과 '은영은'의 표현
2019. 12. 6.
받침이 있는 이름을 문장 안에서 쓸 때 "은영이는 선물을 샀습니다.", "은영은 선물을 샀습니다." 중 어떤 것이 맞나요?
상황에 따라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문장이라도 일기나 편지처럼 말하듯이 쓰는 글이라면 어조를 고르는 접사 '-이'를 붙여 "은영이는 선물을 샀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겠고, 소설처럼 서술하는 글이라면 접미사 없이 "은영은 선물을 샀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겠습니다.
0
'수업받다', '수업 받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수업받다'와 '수업 받다' 중 어느 쪽이 맞는지요?
'수업받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수업' 뒤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받다'를 붙여 '수업받다'와 같이 씁니다. 이론적으로는 '수업(을) 받다'에서 '을'이 생략된 것으로 보고 띌 수도 있습니다만, 접미사 '-받다'가 있는데, 굳이 조사 생략을 상정해 띄어쓰기를 안내하기는 어렵습니다.
0
'방문 시', '방문시'의 띄어쓰기?
2019. 12. 6.
'방문시'가 맞나요, '방문 시' 이렇게 띄어 쓰는 것이 맞나요?
'방문 시'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는데,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를 이르는 '시'도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방문 시'와 같이 적습니다. 참고로 '유사시', '비상시', '평상시' 등과 같이 합성어로 굳어진 말은 붙여 씁니다.
0
'밝혀졌다', '밝히어졌다'의 표현
2019. 12. 6.
"비리 사실이 밝혀졌다."의 '밝혀졌다'를 '밝히어졌다'로 써도 되나요?
'밝혀졌다' 대신 '밝히어졌다'를 쓸 수 있습니다. '밝혀지다'는 한 단어로 굳어져 사전의 올림말로 있고, '밝히어지다'는 올림말로 없지만, 두 말의 뜻 차이가 거의 없으므로 동사 어간 '밝히-' 뒤에, 동사 뒤에서 '-어지다' 구성으로 쓰여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 동사 '지다'를 붙여 '밝히어지다'로 쓸 수 있습니다.
0
'반사하다', '반사되다'의?문형
2019. 12. 6.
"바위들이 강한 햇빛에 반사되어 빛나고 있다."가 맞는 문장인지요?
맞지 않는 문장입니다. '반사되다'는 '파동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부딪혀서 방향이 반대로 바뀌다'를 뜻하므로 "강한 햇빛이 바위들에 반사되어 빛나고 있다."와 같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파동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부딪혀서 방향이 반대로 바뀌다. 또는 방향을 반대로 바꾸다'를 뜻하는 '반사하다'를 써 "강한 햇빛이 바위들에 반사하여 빛나고 있다."나 "바위들이 강한 햇빛을 반사하여 빛나고 있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0
'알레르기(Allergie)' 순화어
2019. 12. 6.
알레르기'는 흔히 쓰기는 하지만, 이것도 순화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혹시 순화어로 정해진 게 있나요?
'알레르기'의 순화어로는 ‘거부 반응’, ‘과민 반응’이 있습니다. 국어원 누리집의 '개선>다듬은 말'에서 순화 대상어와 순화어에 대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0
'뭔지'와 '뭔 줄'의 차이
2019. 12. 6.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게 뭔지 알아?",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게 뭔 줄 알아?" 중 어느 문장이 맞나요?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게 뭔 줄 알아?"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ㄴ지'는 간접 인용절에 쓰여 막연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이고, '줄'은 어떤 방법이나 셈속 따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므로, 화자가 셈속을 잘 아는 상황에 대해 물을 때에는 주로 '뭔 줄'이 쓰입니다.
0
'하루 만에', '하루만에'의 띄어쓰기
2019. 12. 6.
"{하루 만에/하루만에} 돌아왔다."에서 뭐가 맞는 건가요?
"하루 만에 돌아왔다."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2항에 따르면 의존 명사는 띄어 쓰므로, '동안이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 '만'은 "하루 만에 돌아왔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추억을 회상하다'의 표현
2019. 12. 6.
'추억을 회상하다'는 쓸 수 있는 표현인가요?
'추억을 회상하다'도 쓸 수 있습니다. '추억'은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을 뜻하는데,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의 뜻이라면 의미 중복적인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만, '그런 생각'의 뜻이라면 '추억을 회상하다'로도 쓸 수 있습니다.
0
'숨고 있다', '숨고있다'의 띄어쓰기
2019. 12. 6.
'숨어 있다'는 '숨어있다'로 붙여 쓸 수 있던데, '숨고 있다'도 붙여 쓸 수 있나요?
'숨고 있다'는 붙여 쓸 수 없습니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아/-어'나 관형사형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본용언에 붙여 적는 것이 허용되지만, '-고' 뒤에 연결되는 보조 용언은 붙여 적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숨고 있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0
'맵시'의 고유어 여부
2019. 12. 6.
“옷을 맵시 나게 입는다.”라고 할 경우 '맵시'가 순우리말인지요?
‘맵시’는 순우리말이 맞습니다. '맵시'는 '아름답고 보기 좋은 모양새'를 뜻하는 말로,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모양, 모습'의 뜻으로 쓰이다가 19세기에 현재와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된 순우리말이 맞습니다.
0
'사글세' 쓰임
2019. 12. 6.
다달이 돈 내는 집을 그냥 '사글세'라고 써도 되나요?
다달이 돈 내는 집은 '사글세 집'이라고 해야 합니다. '사글세'는 '집이나 방을 다달이 빌려 쓰는 일. 또는 그 돈'을 뜻해 사글세로 빌려 쓰는 집은 '사글세 집'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0
'소풍날', '소풍 날'의 띄어쓰기
2019. 12. 6.
'소풍날'과 '소풍 날' 중 무엇이 맞나요?
‘소풍날’이 맞습니다. '소풍날'은 ‘소풍 가는 날’을 뜻하는 합성어이므로 붙여서 씁니다.
0
'모아지다'와 '모이다'의 표현
2019. 12. 6.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가 맞는 표현인가요? "관심이 모이고 있다."로 써야 하는 것 아닌가요?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도 쓸 수 있습니다. '다른 이들의 관심이나 흥미를 끌다'의 뜻을 가진 동사 ‘모으다’에 '-아지다'가 결합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와 같이 쓸 수도 있고, '모으다’의 피동사 ‘모이다’를 써서 ‘관심이 모이고 있다’와 같이 쓸 수도 있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와 같이 많이 씁니다.
0
'햇-'과 '해-'의 구분
2019. 12. 6.
'햇-'과 '해-'는 어떻게 구분하여 쓰나요?
'햇-'과 '해-'의 구분은 뒤에 오는 단어의 어두음으로 합니다. '그해에 난'을 뜻하는 접두사는 '햇감자', '햇병아리'와 같이 뒷말의 어두음이 예사소리인 경우에는 '햇-'으로 쓰고, '해쑥', '해콩'과 같이 뒷말의 어두음이 된소리나 거센소리인 경우에는 '해-'로 씁니다.
0
'이때', '이 때'의 띄어쓰기
2019. 12. 6.
수학 교재에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12cm, 8cm, 5cm인 직육면체 모양의 나무토막을 빈틈없이 쌓아서 가능한 한 작은 정육면체를 만들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나무토막의 개수를 구하여라."에서 '이 때'의 띄어쓰기가 적절한가요?
'이때'와 같이 붙여 써야 합니다. '이때'는 ‘바로 지금의 때. 또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시간상의 어떤 점이나 부분’을 이르는 합성어입니다.
0
'숭례문'의 표준 발음
2019. 12. 6.
'숭례문'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숭례문'의 표준 발음은 [숭녜문]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5항에 따르면 받침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하므로 '숭례문'은 [숭녜문]으로 발음합니다. 표준발음법 제5항 다만 2에 따르면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하는데, '숭례문'은 '례'가 쓰인 경우이므로 [숭네문]으로 발음하지는 않습니다.
0
'목재 가구'와 '목제 가구'의 표기
2019. 12. 6.
'목재 가구', '목제 가구' 둘 중 어느 게 맞는 건가요?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목제(木製)’는 ‘나무로 물건을 만듦. 또는 그 물건'을 뜻하는 말이고, '목재(木材)’는 ‘나무로 된 재료’를 뜻하는 말이므로 '나무로 만든 가구'는 ‘목제 가구’로 쓰고, '재료가 나무인 가구'는 ‘목재 가구’로 씁니다.
0
'짜깁기', '짜집기'의 표현
2019. 12. 6.
'짜깁기'와 '짜집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짜깁기’가 바른 표현입니다. '기존의 글이나 영화 따위를 편집하여 하나의 완성품으로 만드는 일'을 뜻하는 표준어는 '짜깁기'이고, '짜집기'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쌍꺼풀', '쌍까풀'의 표현
2019. 12. 6.
'쌍꺼풀'과 '쌍까풀'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쌍꺼풀', '쌍까풀' 둘 다 표준어입니다. '겹으로 된 눈꺼풀. 또는 그런 눈'을 이르는 말로 '쌍까풀'과 '쌍꺼풀' 모두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