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named: 0
int64
0
0
제목
stringlengths
6
35
등록일
stringclasses
2 values
질문
stringlengths
34
269
답변
stringlengths
63
545
0
'고수부지'의 순화어
2020. 1. 16.
'고수부지'는 일본에서 들어온 말로 알고 있는데, 무엇으로 순화해 써야 하나요?
'둔치'로 다듬어 써야 합니다. '고수부지(高水敷地)'는 일본어 투 생활용어로서 '둔치'로 다듬어졌습니다.
0
'절사'의 뜻
2020. 1. 16.
'소수점 이하를 절사하다'의 '절사'는무슨 뜻인가요?
'절사(切捨)'는 '잘라서 없앰. 또는 그런 것'을 뜻합니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참고로 '절사(切捨)'는 '끊어 버림'으로 다듬어졌습니다.
0
'무데뽀'의 순화어
2020. 1. 16.
'무데뽀로 덤비다'에서 '무데뽀'는 무엇으로 순화해 쓰나요?
'무데뽀'는 '막무가내'로 다듬어 씁니다. '무데뽀로 덤비다'의 '무데뽀'는 일본어 'むてっぽう(無鉄砲)'에서 비롯된 말로서 '막무가내'로 다듬어졌습니다.
0
'나시'의 순화어
2020. 1. 16.
여름에 많이 입는 '나시'가 일본어에서 온 말이라는데, 무엇으로 순화하나요?
'나시'는 '민소매'로 다듬어 씁니다. '나시'는 '소매가 없음'을 뜻하는 일본어 'そでなし(袖無)'를 줄여 쓴 말로서 '민소매'로 다듬어졌습니다.
0
'뗑뗑이'의 순화어
2020. 1. 16.
물방물무늬를 뜻하는 '뗑뗑이'가 일본 말이라는데, 맞나요?
'땡땡이' 혹은 '뗑뗑이'는 일본 말 'てんてん(點點)'에 접미사 '-이'가 붙은 말로 일본 말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땡땡이', '뗑뗑이' 둘 다 '물방울무늬'의 비표준어로 올라 있습니다.
0
'아나고'의 순화어
2020. 1. 16.
횟집에 가면 많이 볼 수 있는 '아나고'는 무엇으로 순화하나요?
'아나고'는 '붕장어'로 다듬어 씁니다. 일본 말 'あなご(穴子)'는 '붕장어'로 다듬어졌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나고'가 '붕장어'의 비표준어로 올라 있습니다.
0
'시마이'의 순화어
2020. 1. 16.
퇴근할 때 "오늘은 이만 시마이합시다."라고 하던데, '시마이'는 일본 말 아닌가요?
'하던 일을 마물러서 끝냄'을 뜻하는 '시마이'는 일본 말이 맞습니다. 일본 말 'しまい[仕舞(い), 終い]'는 ‘끝’, ‘끝 마침’, ‘뒤처리’로 다듬어 쓰기 바랍니다.
0
'터키탕'의 순화어
2020. 1. 16.
'터키탕'은 쓸 수 있는 말인가요?
'증기탕'으로 다듬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터키탕'은 터키에 없는데, 한국에서 특정 목욕업을 가리키는 말로 터키 국명을 쓰는 것에 대해 터키 측에서 이의를 제기해 '증기탕'으로 다듬어졌습니다.
0
'거래선'의 순화어
2020. 1. 16.
'거래선'은 맞는 말인가요?
'거래처'로 다듬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거래선'은 '거래(去來)'에다가 장사나 교섭의 상대를 나타내는 '선(先)'을 붙여 만든 말인데, 여기서 '선(先)'은 일본의 고유어를 한자의 훈을 빌려 표기한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일본식 한자어 '선'이 결합한 '거래선', '구입선', '수입선' 등은 '거래처', '구입처', '수입처' 등으로 다듬어졌습니다.
0
한글날의 유래
2020. 1. 16.
한글날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한글날 기념식을 처음으로 거행한 것은 1926년 11월 4일인데, 음력 9월에 《훈민정음》을 책자로 완성했다는 실록의 기록을 근거로 음력 9월 29일을 반포한 날로 보고 '가갸날'이라는 명칭(1927년까지)으로 기념식을 거행한 것입니다. 이후 1931∼1932년 무렵부터는 음력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1446년 음력 9월 29일을 양력(율리우스력)으로 계산하여 양력 10월 29일에 기념식을 거행하다가, 1934년부터는 그레고리력(1582년 이후 그레고리력으로 바뀜)을 기준으로 10월 28일에 기념식을 거행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945년부터는 1940년 7월에 발견된 《훈민정음》(해례본) 정인지의 서문의 9월 상한(上澣)이라는 기록에 따라 9월 상한의 마지막 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계산하여 10월 9일에 기념식을 거행하게 되었습니다.
0
'노견'의 순화어
2020. 1. 16.
'노견' 대신 '갓길'이 쓰이고 있는데 적절한가요?
'노견'은 '갓길'로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고속도로에서 고장 난 차를 세워 두거나 소방차, 경찰차가 다닐 수 있도록 도로 곁에 이어져 있는 길을 뜻하는 '노견(路肩)'은 일본에서 영어 '(road) shoulder'를 한자로 옮겨 만든 일본식 한자어라 '갓길'로 다듬어졌습니다.
0
'호치키스'의 순화어
2020. 1. 16.
'호치키스'는 맞는 말인가요?
쓸 수 있는 말입니다만, '(종이) 찍개'로 다듬어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호치키스'는 미국인 발명가 이름을 따서 지은 상표 이름 'Hotchkiss paper fastener'를 우리나라에서 줄여 일반 명사처럼 쓰는 말로, 영어에서는 '스테이플러(stapler)'라고 하는데, '호치키스'와 '스테이플러' 모두 '(종이) 찍개'로 다듬어졌습니다.
0
'만땅'의 순화어
2020. 1. 16.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을 때 쓰는 '만땅'이라는 말이 귀에 거슬리는데 뭐라고 바꾸어 써야 할까요?
'만땅'은 '가득'으로 다듬어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만땅'은 일본에서 한자어 '滿'과 영어 '탱크(tank)'를 결합해 '滿タン'(일)으로 쓰던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만땅'은 '가득', '가득 참', '가득 채움'으로 다듬어졌습니다.
0
'기념'과 '기념일'의 원어
2020. 1. 16.
신문 기사에서 보면 '기념일'의 원어가 '記念日'도 있고 '紀念日'도 있는데 어느 것이 맞나요?
둘 다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기념일'의 원어를 편의상 '紀念日'만 제시하고 있습니다만, '기념'의 원어가 '紀念/記念'이므로 '記念日'도 쓸 수 있습니다.
0
'냇가'의 표준 발음
2020. 1. 16.
'냇가'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냇가'의 표준 발음은 [내ː까/낻ː까]입니다. 표준발음법 제30항에 따르면 'ㄱ'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에는 이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므로, '냇가'는 [내ː까]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낻ː까]로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0
'넓다'와 '맑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맑다'와 '넓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맑다'의 표준 발음은 [막따], '넓다'의 표준 발음은 [널따]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1항에 따르면,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고, 제10항에 따르면, 겹받침 'ㄼ'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합니다.
0
'밟는'과 '짧게'의 표준 발음
2020. 1. 16.
'밟는'과 '짧게'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밟는'의 표준 발음은 [밤ː는], '짧게'의 표준 발음은 [짤께]입니다. 표준발음법 제10항에 따르면, 겹받침 'ㄼ'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하되, '밟-'은 예외적으로 [ㅂ]으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제18항에 따르면 'ㅂ(ㄼ)'은 'ㄴ' 앞에서 [ㅁ]으로 발음하고, 제25항에 따르면 어간 받침 'ㄼ' 뒤에 결합되는 첫소리 'ㄱ'은 된소리로 발음합니다.
0
'맛있다'의 표준 발음
2020. 1. 16.
'맛있다'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맛있다'의 표준 발음은 [마딛따/마싣따]입니다. '맛'의 'ㅅ' 받침이 실질 형태소 앞에서 대표음 'ㄷ'으로 바뀐 뒤 다음 음절로 연음되어 [마딛따]로 발음됩니다. 이에 더하여 현실 발음인 [마싣따]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였습니다.
0
'한류'의 표준 발음
2020. 1. 16.
'한류'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한류'의 표준 발음은 [할ː류]입니다. 표준발음법 제20항에 따르면, 'ㄴ'은 'ㄹ'의 앞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한류'는 [할ː류]로 발음합니다.
0
'담임'의 표준 발음
2020. 1. 16.
'담임'의 표준 발음은 무엇인가요?
'담임'의 표준 발음은 [다밈]입니다. '담임'은 받침 'ㅁ'이 연음되므로 [다밈]으로 발음합니다. '담임'을 [다님]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표준 발음이 아닙니다.
0
'동광양'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동광양'의 로마자 표기는 'Donggwangyang'으로 하나요, 'E. Gwangyang'으로 하나요?
'동광양'의 로마자 표기는 'Donggwangyang'이 적절합니다.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르면, 행정 구역명은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적도록 되어 있는데, 로마자 표기 용례에서 '동대구'가 'Dongdaegu', '서대전'이 'Seodaejeon'으로 표기된 것에 준한다면 '동광양'은 'Donggwangyang'으로 적을 수 있겠습니다.
0
'불국사', '화엄사'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불국사', '화엄사'는 'Bulguksa', 'Hwaeomsa'로 적나요, 'Bulguk Temple', 'Hwaeom Temple'로 적나요?
'불국사', '화엄사'는 각각 'Bulguksa Temple', 'Hwaeomsa Temple'로 적습니다.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르면, 문화재명은 '문화재 명칭 영문 표기 기준 규칙'에 따라 적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사찰명은 우리말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 요소의 의미역을 제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불국사', '화엄사'는 전체를 로마자로 적은 'Bulguksa', 'Hwaeomsa' 뒤에 'Temple'을 이어 씁니다.
0
'김치'와 '태권도'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김치'와 '태권도'는 영어권에서 'kimchi', 'taekwondo'로 쓰고 있는데,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김치'와 '태권도'는 각각 'kimchi', 'taekwondo'로도 쓸 수 있습니다. '김치'와 '태권도'는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gimchi', 'taegwondo'로 적는 것이 원칙이나, 이들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적 상징물로서, 옥스퍼드 사전 등 일부 영어 사전에 이미 'kimchi', 'taekwondo'로 등재되어 있으므로 이것도 예외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0
'장미1길'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장미1길'은 로마자로 어떻게 표기하나요?
'장미 1길'은 'Jangmi 1(il)-gil'과 같이 표기합니다.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르면, 도로명은 행정자치부의 '새 주소(도로명 주소) 업무 편람'에 따르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대로, 로, 길(번길)’은 각각 ‘-daero, -ro, -gil(beon-gil)’로 표기하고, 숫자가 포함된 도로명은 숫자 앞에서 띄어 씁니다.
0
'종로'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종로'는 'Jong-ro'로 적어야 하나요, 'Jongno'로 적어야 하나요?
도로명 주소라면 'Jong-ro'와 같이 붙임표를 넣어 적습니다. 행정자치부의 '새 주소(도로명 주소) 업무 편람'에 따르면 ‘대로, 로, 길(번길)’은 각각 ‘-daero, -ro, -gil(beon-gil)’로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종로'가 '종로구'(Jongno-gu), '종로 1가'(Jongno 1(il)-ga)’와 같이 지명으로 쓰인 경우에는 그 발음에 따라 ‘Jongno’로 적습니다.
0
'강서소방서길'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강서소방서길'을 로마자로 어떻게 적어야 하나요?
'Gangseosobangseo-gil'로 적습니다. 행정자치부의 '새 주소(도로명 주소) 업무 편람'에 따르면, 기관명을 도로명의 주된 명사로 사용할 때에는 기관명의 영어 번역어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말의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므로, '강서소방서길'을 'Gangseo Fire Station-gil'로 쓰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Gangseosobangseo-gil'로 씁니다.
0
'북악'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ㄱ'이 낱말의 처음에 올 때에는 'g'로 적지만, 받침 소리일 때는 k로 적는다는데 왜 '북악'은 'Bukak'가 아니라 'Bugak'로 적어야 하나요?
'북악'은 [부각]으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로마자표기법 제2장 제2항 [붙임 1]에 따르면, ‘ㄱ’은 모음 앞에서는 ‘g’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로 적으므로 '북악'의 글자에 이끌려서 'Bukak'로 적기 쉬운데, 제1장 제1항에 따르면,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북악'의 발음 [부각]에 따라 'Bugak'로 적는 것입니다.
0
'낙동강'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낙동강'은 [낙똥강]으로 소리 나므로 'Nakttonggang'로 적어야 하나요?
'낙동강'은 [낙똥강]으로 소리 나지만 'Nakdonggang'로 적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제1항 [붙임]에 따르면,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므로 '낙동강'[낙똥강]은 'Nakttonggang'가 아니라 'Nakdonggang'로 적습니다.
0
'낚시'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낚시'의 'ㄲ'은 'kk'로 적나요?
'낚시'의 'ㄲ'은 'k'로 적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1장 제1항에 따르면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제3장 제1항 [붙임]에 따르면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므로 '낚시'[낙씨]는 'naksi'로 적습니다.
0
'용담폭포'의 로마자 표기
2020. 1. 16.
'용담폭포'는 로마자로 어떻게 적나요?
'용담폭포'는 'Yongdampokpo Falls'와 같이 적습니다. '공공 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에 따르면, 자연 지명은 우리말 명칭 전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후부 요소의 의미역을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용담폭포'는 'Yongdampokpo Falls'로 적습니다. 다만, 이를 도로 표지판, 지도 등 공간의 제약이 있는 곳에 표기할 경우에는 후부 요소의 의미역을 생략하거나 약어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0
아들을 손자에게 말할 때
2020. 1. 16.
아들을 손자에게 말할 때 아들에 대한 서술어에 '-시-'를 쓰나요?
'-시-'를 쓰지 않고 말하는 것이 원칙이나 교육적으로 '-시-'를 쓸 수도 있습니다. "표준언어예절"(2011)에 따르면, 아들을 손주에게 말할 때에는 "OO야, 아범[아비] 좀 오라고 해라."보다는 "OO야, 아버지 좀 오라고 해라."처럼 '아버지'로 가리키고 서술어에 '-시-'를 넣지 않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만, 교육적인 차원에서 서술어에 '-시-'를 넣어, "OO야, 아버지 좀 오시라고 해라."와 같이도 쓸 수 있습니다.
0
'몰염치'와 '파렴치'의 표기
2020. 1. 16.
'몰염치'와 '파렴치'의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몰염치', '파렴치'로 적는 것이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한자음 '려'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여'로 적는데, [붙임 4]에 따르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또는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으므로, 접두사 '몰-'과 '염치'가 결합한 '몰염치(沒廉恥)'의 '염'에 두음법칙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붙임 1]에 따르면,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으므로, 분석이 되지 않는 '파렴치(破廉恥)'의 '렴'에는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0
'더욱이'와 '더우기', '일찍이'와 '일찌기'의 표기
2020. 1. 16.
'더욱이/더우기', '일찍이/일찌기' 중 어떤 것이 맞나요?
'더욱이'와 '일찍이'가 맞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5항에 따르면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으므로, 부사 '더욱'과 '일찍'에 '-이'가 붙은 말은 각각 '더욱이', '일찍이'로 적습니다.
0
'날다'의 활용
2020. 1. 16.
'하늘을 날으는 슈퍼맨'이 올바른 표현인가요?
'하늘을 날으는 슈퍼맨'은 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날다'는 어간 '날-' 뒤에,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이야기하는 시점에서 볼 때 사건이나 행위가 현재 일어남'을 나타내는 어미 '-는'이 결합하고('-으는'이라는 어미는 존재하지 않음), 어간 '날-'의 'ㄹ' 받침은 'ㄴ' 앞에서 탈락되므로 '나는'으로 활용합니다. 따라서 제시하신 어구는 '하늘을 나는 슈퍼맨'이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0
이름 '白羅惠'의 표기
2020. 1. 16.
'白羅惠'는 한글로 어떻게 표기하나요?
'백나혜'로 표기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2항에 따르면, 한자음 '라'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나'로 적는데, 제11항 [붙임 4]에 준하면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ㄹ'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법칙에 따라 적으므로 성 '백'과 이름 '나혜'가 결합한 '백나혜의 '나'에도 두음법칙이 적용됩니다.
0
'반드시'와 '반듯이'의 표기
2020. 1. 16.
'반드시'와 '반듯이'는 어떻게 적나요?
'반드시'와 '반듯이'는 뜻에 따라 구별해서 씁니다. 한글맞춤법 제25항에 따르면, '-하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의 원형을 밝히어 적으므로 '반듯하다'의 '반듯'에 '-이'가 붙어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아담하고 말끔하게'를 뜻하는 경우에는 형태를 밝혀 '반듯이'로 적습니다. 한편, '반드시'는 '반듯하다'의 '반듯'과 무관한 '틀림없이 꼭'을 뜻해 어근의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습니다.
0
'-던지'와 '-든지'의 차이
2020. 1. 16.
'-던지'와 '-든지'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어미 '-든지'는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집에 가든지 학교를 가든지 해라)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싫든지 좋든지 간에 따를 수밖에 없다) 연결 어미입니다. '-든지'의 준말로 '-든'이 있고 동의어 '-든가'도 있습니다. 반면에 '-던지'는 과거에 경험한 사실에 대해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얼마나 춥던지 손이 다 곱았다) 연결 어미입니다.
0
'생각건대', '생각컨대'의 표기
2020. 1. 16.
'생각하건대'의 준말은 '생각건대'인가요, '생각컨대'인가요?
'생각건대'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고 [붙임 2]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데, 어간의 끝음절 '하'는 앞에 오는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통째로 줄므로 '생각하건대'의 준말은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어 '생각건대'로 적습니다.
0
'가든지'와 '가든가'의 표현
2020. 1. 16.
'가든지'와 '가든가' 중 표준어는 무엇인가요?
'가든지', '가든가' 모두 표준어입니다. '가든지'의 '-든지'는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고, '가든가'의 '-든가'는 '-든지'의 동의어입니다.
0
'간대'와 '간데'의 표현
2020. 1. 16.
"병식이가 집에 {간대/간데}." 중에 무엇이 맞나요?
"병식이가 집에 간대."가 맞습니다. '-ㄴ대'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주어진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해체 종결 어미(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 포함)이거나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인데, 제시된 문장은 평서문이므로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ㄴ데'는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대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해체 종결 어미이므로 동사 '가다'의 어간에는 붙을 수가 없습니다.
0
'뿐만 아니라'의 표현
2020. 1. 16.
"철수는 공부를 잘합니다. 뿐만 아니라 운동도 잘합니다."에서 '뿐만 아니라'는 맞는 표현인가요?
'뿐만 아니라'는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표현입니다. 여기서 '뿐'은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 또는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므로, 체언이나 부사 뒤에 붙여 써야 합니다. 따라서 제시된 문장에서는 '뿐' 앞에 체언을 넣어 '그뿐만 아니라'와 같이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0
'미소를 띠고', '미소를 띄고'의 표기
2020. 1. 16.
"어머니는 미소를 {띠고/띄고} 말씀하셨다."에서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어머니는 미소를 띠고 말씀하셨다."가 바른 표기입니다. 여기서 '띠다'는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를 뜻하는 동사로 '노기를 띠다', '미소를 띠다'와 같이 쓰입니다.
0
'물맴이', '물매미'의 표기
2020. 1. 16.
'물맴이'와 '물매미'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물맴이'가 바른 표기입니다. '물맴이'는 물 위를 뱅뱅 도는 습성이 있는 물맴잇과의 곤충 이름이므로 물에서 맴을 도는 것이라는 뜻으로 원형을 밝혀서 '물맴이'로 적습니다.
0
'밭다리'와 '밧다리'의 표기
2020. 1. 16.
씨름에서 사용하는 '밭다리'를 '밧다리'가 아닌 '밭다리'로 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밭다리'는 '씨름이나 유도 따위에서, 걸거나 후리는 상대의 바깥쪽 다리'를 뜻하는 말로서 '바깥'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밭-'과 '다리'가 결합한 말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2항에 따르면,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들고 자음만 남을 경우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어제그저께/엊그저께'처럼 줄어드는 음절의 첫소리가 받침으로 남는 경우도 있지만 '바깥사돈/밭사돈'처럼 줄어드는 음절의 받침소리가 받침으로 남는 경우도 있으므로 '바깥다리'의 '바깥'도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들고 그 음절의 받침소리가 받침으로 남아 접두사 '밭-'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0
'부치다'와 '붙이다'의 구별
2020. 1. 16.
'부치다'와 '붙이다'는 어떻게 구별해 적나요?
'붙다'의 뜻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형태를 밝혀 '붙이다'로 적고 뜻이 멀어지거나 관련이 없는 말은 '부치다'로 적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2항에서도, 용언의 어간에 '-이-'와 같은 접미사가 붙어 이루진 말은 그 어간을 밝히어 적지만,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표를 붙이다', '불을 붙이다', '조건을 붙이다', '뿌리를 붙이다', '각주를 붙이다', '내기에 붙이다', '발을 붙이다' 등은 '붙다'와 의미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붙이다'로 적고 '편지를 부치다', '회의에 부치다', '비밀에 부치다', '식목일에 부치다', '땅을 부치다' 등은 뜻이 멀어지거나 관련이 없으므로 '부치다'로 적습니다.
0
'부서뜨리다'와 '부숴뜨리다'의 표현
2020. 1. 16.
'부서뜨리다'와 '부숴뜨리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부서뜨리다'가 맞습니다. 흔히 '부수다'에 '-어뜨리다'가 연결된 것으로 이해하여 '부숴뜨리다'로 생각하기 쉽지만, '부서지다'가 그렇듯이 '부서뜨리다'도 '부수다'가 나타나기 전에 그 고어형 '브스(반치음)다'의 어간에 '-어뜨리다'가 결합해 오래전부터 굳어졌으므로, 현대어 '부수다'의 어간에 '-어뜨리다'를 붙여 줄여 쓴 '부숴뜨리다'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숟가락'과 '젓가락'의 표기
2020. 1. 16.
'숟가락'의 받침은 'ㄷ'으로 적고 '젓가락'의 받침은 'ㅅ'으로 적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숟가락'은 '술+가락'이 결합한 말이고, '젓가락'은 '저+가락'이 결합한 말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9항에 따르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데, '술'과 '가락'이 결합하면서 사이시옷이 개입되어 '술'의 'ㄹ'이 'ㄷ'으로 소리 나므로 '숟가락'으로 적습니다. 한편,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은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으므로, 고유어 '저'와 '가락'이 결합해 [저까락/젇까락]으로 소리 나므로 '젓가락'으로 적습니다.
0
'풋사과'와 '푿소'의 표기
2020. 1. 16.
'풋사과'와 '푿소'의 '풋'과 '푿'은 모두 [푿]으로 소리 나는데 받침을 'ㅅ'과 'ㄷ'으로 달리 적는 근거는 무엇인가요?
'풋사과'의 '풋'은 어원적으로 '풀+-ㅅ'이 결합한 말이지만 ‘처음 나온’, 또는 ‘덜 익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풋-'으로 굳어졌으므로 '풋'으로 적습니다. 한편, '푿소'는 한글맞춤법 제29항에 따르면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데, '풀'과 '소'가 결합하면서 사이시옷이 개입되어 '풀'의 'ㄹ'이 'ㄷ'으로 소리 나므로 '푿소'로 적습니다.
0
'그렇지마는', '그렇지만은'의 표기
2020. 1. 16.
"사정은 딱하다. {그렇지마는/그렇지만은} 도와줄 형편이 안 되는구나."에서 무엇이 맞나요?
'그렇지마는'이 맞습니다. '-지마는'은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시인하면서 그에 반대되는 내용을 말하거나 조건을 붙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입니다. '그렇지만은'은 '그렇지만'이 '그렇지마는'의 준말이므로 '그렇지마는은'과 마찬가지로 어색한 표현입니다.
0
'어쨌든'과 '어쨋든'의 표기
2020. 1. 16.
'어쨌든'과 '어쨋든' 중 어느 것이 옳은 표기인가요?
'어쨌든'이 옳은 표기입니다. '어찌했든'의 준말이므로 '어쨋든'이 아니라 '어쨌든'으로 적습니다.
0
'엊그저께', '엇그저께'의 표기
2020. 1. 16.
'엊그저께'에서 '엊'의 받침 'ㅈ'은 발음이 되지 않는데도 왜 'ㅅ'이나 'ㄷ'으로 쓰지 않고 'ㅈ'으로 쓰나요?
'어제그저께'의 준말이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2항에 따르면 단어의 끝 모음이 줄어지고 자음만 남은 것은 그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는데, '어제그저께'의 준말도 '어제'의 끝 모음 'ㅔ'가 줄고 자음 'ㅈ'만 남아 앞의 음절에 받침으로 적으므로 '엊그저께'로 적습니다.
0
'아무튼', '아뭏든'의 표기
2020. 1. 16.
'아무튼'과 '아뭏든' 중 바른 표기는 어떤 것인가요?
'아무튼'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40항 [붙임 3]에 따르면 어원적으로 용언의 활용형에서 비롯되었더라도 현재 부사로 굳어진 말은 소리대로 적으므로, '의견이나 일의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을 뜻하는 부사는 '아무튼'으로 적습니다. 현재 '아뭏다'는 '아무렇다'의 비표준어이므로 그 활용형 '아뭏든'은 표준어가 아닙니다.
0
'아지랑이'와 '아지랭이'의 표현
2020. 1. 16.
'아지랑이'와 '아지랭이' 중에서 맞는 말은 무엇인가요?
'아지랑이'가 맞는 말입니다. 표준어규정 제9항에 따르면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되 '-내기', '냄비', '동댕이치다'는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지만, [붙임 1]에 따르면 '아지랑이'는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나지 아니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습니다.
0
'이어요', '이에요'의 표현
2020. 1. 16.
'이에요'와 '이어요'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둘 다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26항에 따르면,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데, '이에요/이어요'도 그 목록에 올라 있으므로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0
'있사오니'와 '있아오니'의 표기
2020. 1. 16.
'있사오니'와 '있아오니' 중에서 어느 표기가 맞나요?
'있사오니'가 맞습니다. '있다'의 어간 '있-' 뒤에, 예스러운 표현으로 '자신의 진술을 겸양하여 나타내는 어미 '-사오-'와 연결어미 '-니'가 결합한 말이므로 '있사오니'로 적어야 합니다.
0
'하얗다'의 활용
2020. 1. 16.
'하얗다'의 과거 시제형은 무엇인가요?
'하얬다'입니다. '하얗다'의 어간 '하얗-'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았-'이 결합하면 'ㅎ' 불규칙 활용으로 어간의 'ㅎ'이 탈락하고 모음이 줄어 '하얬다'로 활용합니다.
0
'핑크빛', '핑큿빛'의 표기
2020. 1. 16.
'핑크빛'은 한 단어로 굳어진 것으로 보이고 '빛'이 된소리로 나므로 '핑큿빛'으로 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핑큿빛'으로 쓸 수 없습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에 앞말에 받치어 적으므로, 외래어와 고유어로 된 합성어 '핑크빛'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수가 없습니다. 참고로, 한자어와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도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수가 없는데, 예외적으로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6개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습니다.
0
'끼어들기', '끼여들기'의 표기
2020. 1. 16.
'끼어들기'와 '끼여들기'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끼어들기'가 바른 표기입니다. '끼어들기'는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발음되는데 그 발음에 이끌리어 '끼여들기'로 잘못 적는 경우가 있지만 형태를 밝히어 '끼어들기'로 적는 것이 바릅니다.
0
'미루나무', '미류나무'의 표현
2020. 1. 16.
'미루나무'와 '미류나무'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미루나무'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0항에 따르면, 일부 단어는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데, '미루나무'는 '미류나무(美柳--)'의 모음이 단순화되어 더 널리 쓰이게 됨으로써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0
'낚시꾼', '낚싯꾼'의 표기
2020. 1. 16.
'낚시꾼'과 '낚싯꾼' 중 바른 표기는 어떤 것인가요?
'낚시꾼'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합성어의 앞말에 받치어 적어야 하는데, '낚시꾼'은 명사 '낚시' 뒤에, ‘어떤 일을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일을 즐겨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꾼'이 결합한 파생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참고로, 설령 합성어라도 뒷말의 첫소리가 처음부터 된소리라 사잇소리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을 수가 없습니다.
0
'빌다'와 '빌리다'의 표현
2020. 1. 16.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의 '빌어'가 맞나요?
'빌리다'의 뜻으로 쓰는 '빌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빌어' 대신 '빌리어(빌려)'를 쓰는 것이 알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6항에 따르면 의미를 구분하여 두 가지 형태를 쓰던 일부 단어들은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데, '빌다'도 본디 빌리는 것은 '빌다', 빌려주는 것은 '빌리다'로 구별해 쓰다가 두 가지 뜻 모두 '빌리다' 한 가지 형태를 표준어로 삼았으므로 '빌다'는 더 이상 표준어가 아닙니다.
0
'꺼멓다'의 활용
2020. 1. 16.
'꺼멓다'에 '-어지다'가 결합하면 '꺼메지다'가 되나요, '꺼매지다'가 되나요?
'꺼메지다'가 됩니다. '꺼멓다'는 'ㅎ' 불규칙 활용을 하므로 어간 '꺼멓-' 뒤에 모음 어미 '-어'와 '지다'가 결합하면 어간의 'ㅎ'이 탈락하고 모음도 줄어 '꺼메지다'로 활용합니다.
0
'예부터'와 '옛부터'의 표현
2020. 1. 16.
'예부터'와 '옛부터' 중에 바른 표현은 무엇인가요?
'예부터'가 바릅니다. '예'는 '아주 먼 과거'를 뜻하는 명사이므로 조사 '부터'를 붙여 '예부터'라고 쓸 수 있습니다만, '옛'은 '지나간 때의'를 뜻하는 관형사이므로 조사 '부터'를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0
'넙죽', '넓죽'의 표기
2020. 1. 16.
"개가 고기를 {넙죽/넓죽} 받아먹었다."에서 바른 표기는 무엇인가요?
'넙죽'이 바른 표기입니다. 한글맞춤법 제21항에 따르면, 용언의 어간 뒤에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되, 어원이 분명하지 아니하거나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데, '말대답을 하거나 무엇을 받아먹을 때 입을 너부죽하게 닁큼 벌렸다가 닫는 모양'을 뜻하는 부사는 어원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형태를 밝히지 않고 소리대로 적습니다.
0
'뱉다'의 활용
2020. 1. 16.
'침을 뱉아'로 적어야 하나요, '침을 뱉어'로 적어야 하나요?
'침을 뱉어'로 적어야 합니다. 한글맞춤법 제16항에 따르면,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데, '뱉다'의 어간 '뱉-'의 끝음절 모음은 'ㅐ'이므로 '-어'를 붙여 '뱉어'로 적습니다.
0
'칸', '간'의 표현
2020. 1. 16.
바둑 해설 기사를 보면 "중앙으로 한 간 뛰었다."라는 표현이 종종 눈에 띄는데, '한 간'이 맞나요?
아닙니다. '한 칸'이라고 써야 맞습니다. 표준어규정 제3항에 따르면, 일부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았는데, '일정한 규격으로 둘러막아 생긴 공간', '사방을 둘러막은 그 선의 안'을 뜻하는 말도 '간'이 아니라,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인 '칸'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따라서 '초가삼간(草家三間)', '윗간', '고깃간', '고물간', '마구간'과 같이 굳어진 표현을 제외하고는 '칸막이, 빈칸, 방 한 칸' 등과 같이 '칸'으로 써야 합니다.
0
'강낭콩', '강남콩'의 표현
2020. 1. 16.
'강낭콩'과 '강남콩'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강낭콩'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5항에 따르면,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데, '강낭콩'도 원래 '강남콩(江南-)'에서 비롯되었지만 어원 의식이 약해지면서 '강낭콩'으로 굳어져 널리 쓰이게 되어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0
'웃어른', '윗어른'의 표현
2020. 1. 16.
'웃어른'과 '윗어른'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웃어른'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합니다만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데, '웃어른'은 '아랫어른'이 없으므로 '웃어른'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0
'알맞는'과 '알맞은'의 표현
2020. 1. 16.
"다음 보기 중에서 {알맞는/알맞은} 것을 고르시오."에서 어느 것이 맞나요?
'알맞은'이 맞습니다. '알맞다'는 '일정한 기준, 조건, 정도 따위에 넘치거나 모자라지 아니한 데가 있다'를 뜻하는 형용사이고 형용사 뒤에는, 받침 있는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앞말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은'이 결합하므로 '알맞은'으로 활용합니다. '-는'은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뒤에 붙으므로 '알맞는'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맞다'가 동사로서 '맞는'으로 활용한다고 '알맞다', '걸맞다'도 '알맞는', '걸맞는'으로 활용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맞다', '걸맞다'는 형용사이므로 '알맞은', '걸맞은'으로 활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0
'바르다'의 활용
2020. 1. 16.
'바르다'를 "그 학생은 예의가 발랐다.", "너는 예의가 발라서 마음에 든다."와 같이 쓰는 것이 맞나요?
"그 학생은 예의가 발랐다."와 "너는 예의가 발라서 마음에 든다."는 맞는 표현입니다. '바르다'는 '르' 불규칙 용언으로서 '-아'가 결합하면 'ㅡ'가 탈락하고 'ㄹ'이 덧붙어서 '발라서, 발랐다'로 활용합니다.
0
'초가', '초가집'의 표현
2020. 1. 16.
'초가'와 '초가집'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초가'와 '초가집' 모두 표준어입니다. 특히 '초가집'은 '초가'의 '家'에 이미 '집'의 의미가 들어 있어서 '집'을 덧붙이면 의미가 중복되므로 표준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자어 '초가'만으로 의미가 잘 드러나지 않아 '집'을 덧붙여 쓰던 것이 단어로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표준어가 맞습니다.
0
'닭개장', '닭계장'의 표기
2020. 1. 16.
닭고기를 육개장처럼 끓인 음식은 '닭개장'인가요, '닭계장'인가요?
'닭개장'입니다. 발음상 'ㅐ'와 'ㅖ'의 구분이 쉽지 않는 데다가, 닭고기가 들어가므로 가운데 글자를 '닭 계(鷄)'라고 생각해 '닭계장'으로 쓰는 경우가 있으나, 개고기 대신에 닭고기를 넣어 개장처럼 끓인 음식이므로 '닭개장'으로 적는 것이 맞습니다.
0
'붇다'의 활용
2020. 1. 16.
'강물이 불기 전에'와 '강물이 붇기 전에' 중 어느 것이 맞나요?
'강물이 붇기 전에'가 맞습니다. '붇다'는 'ㄷ' 불규칙 용언으로서 모음 어미 앞에서는 '불-'로 형태가 바뀌지만(불어, 불었다) 자음 어미 앞에서는 '붇-'입니다(붇다, 붇고). 제시하신 어구에서 '붇다'의 어간이 '-기'라는 자음 어미와 결합하므로 '강물이 붇기 전에'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0
'눈곱', '눈꼽'의 표기
2020. 1. 16.
'눈곱'과 '눈꼽' 중 어느 것이 바른 표기인가요?
'눈곱'이 바릅니다. '눈'과 '곱'이 결합한 합성어 '눈곱'은, 표준발음법 제28항에 따르면 표기상 사이시옷이 없더라도,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휴지가 성립되는) 합성어의 경우에는, 뒤 단어의 첫소리 'ㄱ'을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눈꼽]으로 발음하지만, 형태를 밝혀 '눈곱'으로 적습니다.
0
'오이소박이', '오이소배기'의 표현
2020. 1. 16.
'오이소박이'와 '오이소배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오이소박이'가 표준어입니다. '오이소박이'는 오이를 갈라 소를 넣어 담근 김치를 뜻해 의미적으로 '속이나 가운데에 들여 넣다'를 뜻하는 '박다'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표준어규정 제9항에 따르면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오이소배기(오이소백이)'가 아니라 '오이소박이'가 표준어입니다.
0
'회기내', '회기 내'의 띄어쓰기
2020. 1. 16.
'이번 {회기 내/회기내}'에서 '내(內)'는 앞말과 붙여 쓰나요, 띄어 쓰나요?
'이번 회기 내'와 같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여기서 '내'는 일부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쓰여 '일정한 범위의 안'을 뜻하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후회할걸', '후회할 걸'의 띄어쓰기
2020. 1. 16.
"내 말 안 들었다가는 {후회할걸/후회할 걸}."이라고 할 때 올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내 말 안 들었다가는 후회할걸."이 올바릅니다. 여기서 '후회할걸'은 어간 '후회하-' 뒤에, 해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의 추측이 상대편이 이미 알고 있는 바나 기대와는 다른 것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ㄹ걸'이 결합한 말이므로 붙여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참고로, "네 말을 들을 걸 그랬어."에서 '걸'은 '것'의 구어적인 표현인 '거'에, 구어적인 목적격조사 'ㄹ'이 결합한 말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0
'{가능한 한/가능한} 빨리'의 표현
2020. 1. 16.
"가능한 빨리 제출해 주십시오."라는 표현이 바른 쓰임인가요?
아닙니다. "가능한 한 빨리 제출해 주십시오."와 같이 명사 '한'을 넣어 주어야 바른 표현입니다. 여기서 명사 '한(限)'은 용언의 현재 관형사형 뒤에 쓰여 '조건'의 뜻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0
'알 만하다', '알만하다'의 띄어쓰기
2020. 1. 16.
"{알 만한/알만한} 사람이 왜 그래?"에서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나요?
'알 만한'과 같이 띄어 쓸 수도 있고 '알만한'과 같이 붙여 쓸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만하다'는 용언 뒤에서 ‘-을 만하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보조 형용사인데, 한글맞춤법 제47항에 따르면 용언의 관형사형 뒤의 보조 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합니다.
0
'및'의 띄어쓰기
2020. 1. 16.
'및'은 '와'나 '과'처럼 두 명사를 이어 주고 있으니까 앞 명사에 붙여 써야 할 것 같은데 왜 띄어 쓰나요?
'및'은 조사인 '와'나 '과'와 달리 부사이기 때문입니다. '및'은 ‘그리고’, ‘그 밖에’, ‘또’의 뜻으로 문장에서 같은 종류의 성분을 연결할 때 쓰는 부사이고, 한글맞춤법 제45항에 따르면, 두 말을 이어 줄 때에 쓰이는 '및'은 띄어 씁니다.
0
'스물여섯', '스물 여섯의 띄어쓰기
2020. 1. 16.
'스물여섯', '스물 여섯'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스물여섯'으로 붙여 쓰는 것이 바릅니다. 한글맞춤법 제44항에 따르면,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쓰므로, 만 아래 단위인 '스물여섯'은 한 단어로 없더라도 붙여 씁니다.
0
'일 년 만에', '일 년만에'의 띄어쓰기
2020. 1. 16.
'일 년 만에', '일 년만에'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일 년 만에'로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만'은 시간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참고로, '오랜만'은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를 뜻하는 합성어 '오래간만'의 준말이므로 붙여 씁니다.
0
'천 원밖에', '천 원 밖에'의 띄어쓰기
2020. 1. 16.
"대문 밖에 누가 왔다."의 '밖에'는 띄어 쓰는데 "돈이 천 원밖에 없다."의 '밖에'는 왜 붙여 쓰나요?
"대문 밖에 누가 왔다."의 '밖'은 명사이고 "돈이 천 원밖에 없다."의 '밖에'는 조사이기 때문입니다. 명사 '밖'은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을 뜻하는 말로서 "대문 밖에 누가 왔다."와 같이 씁니다만, 조사 '밖에'는 ‘그것 말고는’, ‘그것 이외에는’, ‘기꺼이 받아들이는’, ‘피할 수 없는’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주로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따른다)로서 "그 집은 볼만한 게 대문밖에 없다."와 같이 쓰입니다.
0
'홍길동 씨', '홍길동씨'의 띄어쓰기
2020. 1. 16.
'홍길동 씨', '홍길동씨'의 바른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홍길동 씨'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여기서 '씨'는 성년이 된 사람의 성이나 성명, 이름 아래에 쓰여 '그 사람을 높이거나 대접하여 부르거나 이르는(공식적ㆍ사무적) 의존 명사로서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와 같이 성이나 성명, 이름 아래에 띄어 쓰는 말로 '군', '양', '옹', '님'도 있습니다. 참고로, 성을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어 ‘그 성씨 자체’, ‘그 성씨의 가문이나 문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씨'는 '김씨', '이씨 부인'과 같이 앞말에 붙여 씁니다.
0
'하고서부터', '하고서 부터'의 띄어쓰기
2020. 1. 16.
'하고서 부터, '하고서부터' 중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인가요?
'하고서부터'가 맞습니다. '부터'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일부 어미 뒤에 붙어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에 관련된 범위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인데, 한글맞춤법 제41항에 따르면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므로 '하다'의 활용형 '하고서' 뒤에 붙여 씁니다.
0
'한바', '한 바'의 띄어쓰기
2020. 1. 16.
"공부를 열심히 {한바/한 바} 합격할 수 있었다."에서 '한바'가 맞나요, '한 바'가 맞나요?
'한바'가 맞습니다. 여기서 '-ㄴ바'는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뒤 절에서 어떤 사실을 말하기 위하여 그 사실이 있게 된 것과 관련된 과거의 어떤 상황을 미리 제시하는 데 쓰는 문어체 연결 어미이므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참고로, 의존 명사 '바'는 '앞에서 말한 내용 그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서 "평소에 느낀 바를 말해라."와 같이 쓰입니다.
0
'구절', '귀절'의 표현
2020. 1. 16.
'구절'과 '귀절'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구절'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3항에 따르면 한자 '구(句)'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는 '귀글', '글귀'를 제외하고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구'로 통일하므로 '구절'이 표준어입니다.
0
'무', '무우'의 표현
2020. 1. 16.
'무'와 '무우'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무'가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4항에 따르면,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데, '무'도 준말로서 본말 '무우'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되어 '무'가 표준어가 되었습니다.
0
'돌', '돐'의 표현
2020. 1. 16.
'돌'과 '돐'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돌'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6항에 따르면, 그동안 용법 차이가 있는 것으로 달리 써 오던 것 중 현재 그 구별의 의의가 사라진 단어는 의미를 구별하지 않고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데, '돌'은 '생일', '돐'은 '주년'의 뜻으로 구분해 써 왔으나 구별이 인위적이고, 현실적으로 '돐이', '돐을'을 각각 [돌씨], [돌쓸]로 발음하지는 않으므로 '돌'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입니다.
0
'바람', '바램'의 표현
2020. 1. 16.
'소망'을 뜻하는 단어로 '바람'과 '바램'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요?
'바람'이 표준어입니다. 표준어규정 제11항에 따르면, 일부 단어에서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았으며, 이에 따라 '바라다'를 표준어로 삼고, '바래다'는 비표준어로 처리하였습니다. 따라서 이 동사에서 파생된 파생명사도 '바람'을 표준어로 합니다.
0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의 차이
2020. 1. 16.
신문의 경제면에서 '몇 퍼센트 증가한다'고도 하고 '몇 퍼센트포인트 증가하다'고도 하는데 의미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퍼센트'는 기존의 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증가된 수량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고, '퍼센트포인트'는 기존에 제시된 퍼센트가 숫자상으로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표시한 것이라 차이가 있습니다. 즉, 100에서 120으로 증가했다면 20퍼센트 증가한 것이고 20퍼센트이던 것이 30퍼센트로 증가하였다면 10퍼센트포인트가 증가한 것입니다.
0
'사과나무'의 띄어쓰기
2020. 1. 16.
'사과나무', '사과 나무'의 바른 띄어쓰기는?
'사과나무'로 붙여 씁니다. '사과나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올라 있으므로 붙여 씁니다만, 설령 한 단어로 올라 있지 않아도 "표준국어대사전"의 편찬 지침에 따르면 동식물의 품종명은 전체를 붙여 쓰고, 분류학상 명칭도 단어화된 것으로 간주하여 붙여 쓰므로 붙여 씁니다.
0
'Genom'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Genom'을 '게놈'으로 적기도 하고 '지놈'으로 적기도 하는데 어느 것이 맞나요?
'Genom'은 '게놈'으로 적습니다. 'Genom'은 '낱낱의 생물체가 가진 한 쌍의 염색체'를 뜻하는 말로, 1920년 독일의 식물학자 빙클러(Winkler)가 처음 사용하였으므로 우리나라에서는 독일어 표기법에 따라 '게놈'으로 적어 왔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 인간의 유전적 정보 해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영어식 '지놈'으로 적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어, 정부언론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 제33차 회의(2000. 5. 30.)에서 다시 심의한 결과 'Genom'이 원래 독일어이고 오래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게놈'으로 정착된 점을 감안하여 '게놈'으로 적을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0
'atelier'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atelier'는 '아틀리에'로 적나요, '아뜰리에'로 적나요?
'아틀리에'로 적습니다. 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4항에 따르면,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모음 앞의 [t]는 'ㅌ'으로 적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랑스어 'atelier'[atəlje]는 '아틀리에'로 적습니다.
0
'chocolate'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초콜릿'이 맞나요 '초콜렛'이 맞나요?
'초콜릿'이 맞습니다. 영어 'chocolate'[tʃɑːklət/tʃɒklət]은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4항 2에 따라 [tʃ]는 모음 앞에서 'ㅊ'으로 적고, 둘째 음절을 'ㅗ'로 발음하는 경향을 존중하며, 제3장 제1절 제6항 2에 따라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고, 외래어 표기 심의 지침에 따라 발음상 [ɪ]와 [ə]가 함께 발견되면 약화로 [ə]를 설명할 수 있는 [ɪ]를 기준으로 삼고 ‘이’로 적으므로 '초콜릿'으로 적습니다.
0
'highlight'의 표기
2020. 1. 16.
영어에서의 [l]은 대체로 'ㄹㄹ'로 적으므로 'highlight'는 '하일라이트'라고 적어야 할 것 같은데 왜 '하이라이트'로 적나요?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0항 1에 따르면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기 때문입니다. 영어 'highlight'는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6항 2에 따르면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므로 '하일라이트'로 적어야 할 것 같지만, 'high'와 'light'가 결합한 복합어이므로 'light'가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하이라이트'로 적습니다.
0
'Thames'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Thames'는 한글로 어떻게 표기해야 하나요?
'Thames'의 외래어 표기는 '템스'입니다. 'Thames'의 발음이 [temz]라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템즈'로 적어야 합니다만, 외래어 표기 심의 지침에 따르면, 어말에서 유성마찰음으로 소리 나는 [z]는 파찰음과 모음의 결합인 '즈'보다는 마찰음과 모음의 결합인 '스'에 가까워 어말의 '-s[z]'는 '스'로 적도록 하였으므로 'Thames'[temz]는 '템스'로 적습니다. 참고로, '-s[z]'가 '스'로 통일된 고유명사와 달리 보통명사 'news, bellows, callipers, gallows, leggings'의 '-s[z]'는 '스'로 정해졌지만 'lens, cymbals, drawers, shoes'의 '-s[z]'는 '즈'로 정해져 일관되지 않습니다.
0
'frypan'의 외래어 표기
2020. 1. 16.
'프라이팬'이 맞나요, '후라이팬'이 맞나요?
'프라이팬'이 맞습니다. 영어 'frypan'[fráipæn]은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르면 [f]는 자음 앞에서 '프'로 적고 [æ]은 '애'로 적으므로 '프라이팬'으로 적습니다. 참고로, [f]는 윗니와 아랫입술을 접근시킨 채 그 사이로 공기를 마찰시키며 내는 소리로 국어에는 없기 때문에 이 소리를 가진 외국 말을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f]와 가까운 국어의 소리인 'ㅍ'이나 'ㅎ'으로 적는데, 현실 발음과 표기 관행을 고려하여 모음 앞에서는 'ㅍ',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프'로 적기로 한 것입니다.
0
'flute'의 표기
2020. 1. 16.
'플루트'가 맞나요, '플룻'이 맞나요?
'플루트'가 맞습니다. 'flute[fluːt]'의 어말 [t]는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항에 따르면,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이나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을 제외한 어말과 자음 앞의 [t]는 '으'를 붙여 적으므로 '플루트'로 적습니다.
0
'인터넷'과 '네트워크'에서 'net'의 표기가 다른 이유
2020. 1. 16.
'internet', 'network'와 같이 'net'이 들어가는 말의 경우 '인터넷'에서와 같이 '넷'으로 적기도 하고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네트'로 적기도 하는데 왜 이렇게 다른가요?
'network'는 합성어이고 'internet'은 파생어이기 때문입니다.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항 1에 따르면 짧은 모음 다음에 오는 어말 무성 파열음 [t]는 '캣(cat)'처럼 받침으로 적으므로 'net'은 넷'으로 적어야 하지만, '네트'로 굳어져 쓰이고 있는 관행을 따라 '네트'로 적습니다. 그런데 외래어표기법 제3장 제1절 제10항에 따르면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으므로 따로 설 수 있는 'net'와 'work'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 'network'는 'net'와 'work'의 표기를 그대로 따라 '네트워크'로 적지만, 따로 설 수 없는 접두사 'inter-'와 'net'이 결합한 'internet'[ɪntənet]은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 따라 대조하여 '인터넷'으로 적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