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56
1.35k
<s>[INST] PMO(Program Management Office) [/INST] 프로젝트 관리조직. 프로젝트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사항을 제시해 주는 프로젝트 근간의 조직이다. PMO를 운영한다는 것은 해당 회사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공식화한다는 뜻이다. </s>
<s>[INST] PMS(Post Market Surveillance; 시판 후 조사) [/INST] 약사법 및 식약청에서 정한 ‘신약 등의 재심사기준’에 따라 신약 시판 후 4~6년 동안 6백~3천례의 환자에 대해 병원 등에 조사를 의뢰해 자료를 수집, 해당 의약품에 대한 사용경험을 의무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보고토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신약의 상품화 이후 불특정 다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사용 경험을 통해 얻은 부작용 또는 새로운 효능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평가해 신약 개발과정에서 발견하지 못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s>
<s>[INST] PPL마케팅 [/INST] PPL은 Product Placement의 약자로서 제품 간접 광고로 번역되며 간접광고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협의의 PPL은 주로 방송 프로그램 속의 소품으로 등장하는 상품을 말한다. 하지만 광의의 PPL은 브랜드가 방송에 노출되는 상품 자체뿐만 아니라, 협찬업체의 이미지나 명칭, 특정장소 등의 노출을 통해 관객들이 무의식중에 홍보를 당하는 광고마케팅 전략을 의미하다. 간접광고는 1945년 미국 워너 브러더스사가 제작한 ‘Mildred Pierce’ 영화에서 존 크로포드가 ‘버번 위스키(Bourbon Whiskey)’를 마시는 장면에서 상표를 부각시킨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방송법 73조 7항에 규정에 따르면 간접광고란 "방송프로그램 안에서 상품, 상표, 회사나 서비스의 명칭이나 로고 등을 노출시키는 형태의 광고"를 의미한다. </s>
<s>[INST]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민관합작투자사업) [/INST] 공적자금과 민간재원이 함께 투입되는 개발협력 사업을 의미하며, 상생의 협력모델로 꼽힌다. 정부 공적자금의 투입으로는 충분한 성과를 거두기 어려운 사업에 민간재원이 투입됨으로써 고용, 기술, 무역 및 투자를 촉진할 수 있고, 민간(기업, NGO 등)은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이유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프로젝트를 정부와 함께 추진할 수 있게 된다. </s>
<s>[INST] PSD학위 [/INST] Poor, Smart and Deep desire to become rich의 약자로 가난하지만 똑똑하고 부자가 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한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투자은행 베어 스턴스의 그린버그 회장이 직원채용 시 좋은 학교의 학위도 중요하지만 PSD학위를 가진 사람을 뽑는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다. 그 역시 주급 32.5달러의 말단 사원부터 시작해 연봉 1800만 달러를 받는 거대 금융회사의 회장이 되었다. </s>
<s>[INST] PSI(Pollutant Standard Index) 지수 [/INST] Pollutant Standard Index의 약자로 대기의 오염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지수다. 대기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대기오염지수, 부유분진,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오존, 일산화탄소, 부유분진과 아황산가스의 혼합물 등 6개의 오염도를 가지고 측정한다. PSI지수가 51~100일 때 대기의 질은 보통이라고 평가되며 100을 초과하면 대기의 오염도가 심한 것이다. </s>
<s>[INST] R&D(Research and Development) [/INST] Research and Development의 약자로, 우리말로 ‘연구개발’이라 한다. OECD는 R&D를 ‘인간ㆍ문화ㆍ사회를 망라하는 지식의 축적 분을 늘리고 그것을 새롭게 응용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창조적인 모든 활동’이라 정의하고 있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에서는 R&D에 대해 ’연구(research)'를 새로운 과학적ㆍ기술적 지식과 이해를 얻기 위하여 행해진 독창적ㆍ계획적 조사로, ’개발(development)'을 상업적 생산이나 사용하기 이전에 새로운 또는 개량된 재료ㆍ장치ㆍ제품ㆍ제조법ㆍ시스템 또는 서비스 생산계획이나 설계에 연구 성과와 다른 지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R&D를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연구로 구분한다. 기초연구란 지식의 진보를 목적으로 행하는 연구로 특정 응용을 노리지 않는 것, 또는 특정의 사업적 목적없이 과학지식의 진보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활동을 말한다. 응용연구란 지식의 진보를 목적으로 행하는 연구로 실제 응용을 직접 노리는 연구활동, 또는 제품과 공정에서 특정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행한 연구활동을 말한다. 개발연구란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 등에 의한 기존 지식을 활용해 새로운 재료, 장치, 제품, 시스템, 공정 등의 도입 또는 개량을 목적으로 한 연구활동을 의미한다. 경제학의 내성적 성장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에서는 R&D에 의한 기술진보를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s>
<s>[INST] RAPM(위험조정성과평가) [/INST] RAPM(Risk Adjusted Performance Management)은 주로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위험을 고려한 성과관리를 말한다. 금융기관은 리스크를 일정한 한도내에서 관리해야 한다. 이 때 수익만으로 성과를 측정하면 지나치게 위험을 추구하는 투자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리스크가 큰 사업이나 투자상품일수록 기대수익률이 높은데, 수익으로만 성과를 관리하면 리스크를 적절히 관리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투자시 리스크가 크면 회사의 주어진 리스크한도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만큼 수익도 커야한다는 것이다. 위험을 고려한 성과관리의 의미는 위험을 고려한 성과 지표를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측정/ 모니터링 하여 평가 및 보상과 연계하는 것이다. </s>
<s>[INST] RAROC(위험조정수익률) [/INST] RAROC(Risk Adjusted Return On Capital)은 RAPM에서 성과평가 지표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개념이다. 성과를 비교할 때 ROC, ROA등을 사용하는데 이들 지표는 수익을 얻기 위해 투하된 자본이나 자산을 고려하지만 그 위험은 고려하지 못한다. RAROC는 사용한 리스크 대비 수익을 측정한 지표이다. </s>
<s>[INS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ST]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해 물건이나 사람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기술을 말한다. RFID는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초소형칩에 내장시켜 이를 무선주파수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전자태그' 혹은 '스마트 태그', '전자 라벨', '무선식별' 등으로 불린다. RFID는 유통 분야에서 물품 관리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로 꼽힌다. RFID는 판독 및 해독 기능을 하는 판독기(reader)와 정보를 제공하는 태그(tag)로 구성된다. 제품에 붙이는 태그에 생산, 유통, 보관,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판독기로 안테나를 통해 정보를 읽도록 한다. </s>
<s>[INST] ROE/ROI [/INST] 기업의 총자본은 주식에 의해 조달된 자금인 자기자본과 차입을 통해 조달된 타인자본으로 구성된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은 경영자가 주주의 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손익계산서상의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ROE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해 이익을 많이 낸다는 뜻이며, 주가도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순이익/자기자본 × 100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ROI)은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 이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재무비율이다. 순이익을 총투자액으로 나누어 산출하는데, 총투자는 재무상태표상의 총자본과 금액이 같고 이것은 다시 총자산과 같기 때문에 총자본이익률 혹은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 ROA)도 투자수익률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 ROI 분석은 미국의 화학회사 듀퐁(Du Pont)사가 사업부의 업적을 평가·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됐다. 경영성과의 종합척도가 곧 투자수익률이라 보고 이를 결정하는 재무요인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통제하는 기법이다. * 투자수익률(ROI) = 순이익/총투자액(총자본) × 100 ROE와 ROI는 투자자들이 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하는 중요한 참고지표다. ROI는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지만, 타인자본의 사용으로 ROI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어 기업의 효율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ROE를 이용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s>
<s>[INST] RP금리 [/INST] RP란 일정기간 뒤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되사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금융상품으로 RP금리는 이러한 상품의 금리이다. 증권사들이 판매하는 확정금리형 상품이다. RP를 판매하는 증권사는 자금을 조달,운용할 수 있고 RP를 사는 투자자는 확정금리를 받게되는 장점이 있다. 최근 국공채, 우량 회사채, 통안채 등 안전하고 거래가 잘 되는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 RP상품을 판매한다. 증권사는 우량채권을 손실을 보지 않는 적정한 시장가격으로 팔고 사면서 운용해 만기때 투자자에게 이자를 지급해준다. 한국은행이 통화량조절을 위해 발행하는 RP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 </s>
<s>[INST]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INST] RSS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또는 ‘Rich Site Summary’의 약자로, ‘매우 간단한 배급’ 또는 ‘풍부한 사이트 요약’이라 한다. RSS는 그 자체로 풀 텍스트가 아니라, E-mail 리스트처럼 헤드라인만 볼 수 있도록 하고, 원할 경우 클릭을 통해 해당 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다. 온라인상에 콘텐츠를 배열하는 HTML과 이를 전송해주는 E-mail의 장점을 하나로 묶은 기술로, 언론사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의 업데이트 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보내거나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RSS를 사용하면 웹사이트 운영자는 별도로 콘텐츠를 구성하거나 E-mail 발송 작업을 하지 않고도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여러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새로운 내용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한 자리에서 쉽고 편리하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
<s>[INST]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INST]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란 실시간으로 음성이나 동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규약(프로토콜)을 말한다. 미국 리얼 네트웍스(Real Networks, 구 Progressive Network)사와 네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Netscape Communications)사가 공동 개발하였다. 1998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표준화하였으며 상세한 사항은 RFC 2326에 규정되어 있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는 달리 애플리케이션층에서 동작하는 특징이 있다. 통상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스택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다만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대신 RTP도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좀 더 확실히 서비스 품질(QoS)을 개선할 수 있다. RTSP는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RTSP 1.0이 1998년 표준화 완료된 후 현재까지 꾸준히 프로토콜이 보완되고 있다. 인터넷 TV(IPTV)가 실용화되면서 외부에서 촬영한 동영상을 RTSP 기술을 이용해 TV로 볼 수 있게 되었다. </s>
<s>[INST] Recourse [/INST] Recourse(상환청구)는 만기일까지 어음금액이 지급되지 않았다거나, 만기 전이라 할지라도 그 지급이 현저하게 불확실한 경우에 어음소지인이 어음작성이나 유통에 관여한 자에 대해 어음금액, 기타 비용의 상환을 청구하는 것을 말한다. </s>
<s>[INST] Rho(로) [/INST] ‘Rho(로)’는 1%의 이자율 변화에 따라 옵션의 가치가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한다. 즉 이자율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로’값이 0.05인 콜옵션을 가정하고, 이 콜옵션의 가격이 $1.25라고 하자. 이 때 이자율이 1% 상승한다면, 모든 조건이 일정하다고 가정할시, 콜옵션의 가치는 $1.30으로 상승할 것이다. 풋옵션에 대해서는 반대의 상황이 성립한다. </s>
<s>[INST] S&P [/INST] Standard & Poor's(스탠더드 앤 푸어스)의 약자로 미국의 신용평가회사를 가리킨다. 세계적인 신용, 금융분석 및 신용등급기관으로, 무디스·피치와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으로 꼽힌다. S&P가 보통주 500종목을 대상으로 발표하는 지수를 S&P 500지수라 하고, 이는 미국에서 주가동향을 나타내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지수다. </s>
<s>[INST] SBHI(Small Business Health Index) [/INST] 중소기업건강도지수(Small Business Health Index)를 말하는 것으로서 중소기업의 경기전망과 경제환경 전망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기업연구원이 공동으로 제조기업과 비제조기업을 망라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기전망을 조사하여, 100을 기준으로 한 지수로 발표한다. 100 이상이면 경기 호전, 100미만이면 악화, 100이면 보합을 의미한다. 산출 방식은 경영부분 항목을 5점 척도로 조사하며 각 척도별 0∼200의 점수를 부여하여 업종·규모별 SBHI 작성 후 업종·규모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체 SBHI를 산출한다. </s>
<s>[INST] SBU [/INST] 전략사업단위(Strategic Business Unit)의 약자로 경쟁자 및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조직단위를 의미하는 사업부제의 한 형태이다. 각 사업부 간 고객 요구가 다양함에 따라 자원 중복이 생겨나는 등의 불편한 점이 드러나게 되었고 그렇게 생겨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부별로 전략을 책정하고 실시해가는 조직이 SBU다. 이 SBU는 그 리더가 업무에 대한 전권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며 보통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s>
<s>[INST] SCM(공급망관리) [/INST] Suppy Chain Management의 약자이다. 우리말로 '공급망관리'라고 번역 되며 SCM은 시장에서 고객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헤 기업의 공급측면의 활동들을 적극적으로 간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SCM은 가능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급망(supply chain)을 개발하고 구축하기 위해 공급업자들이 기울이는 노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공급망은 생산에서 제품개발과 공급망관리가 가능하게 해주는 정보시스템에 이르기 까지 모든 것을 포함한다. </s>
<s>[INST] SDR(특별인출권) [/INST] IMF의 공적준비자산으로 1968년 4월 IMF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1970년부터 도입됐다. SDR 도입에 따라 IMF에 출자금을 낸 가맹국은 국제수지가 악화됐을 때 무담보로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SDR은 금이나 달러의 뒤를 잇는 제3의 통화로 간주되고 있다. SDR의 가치는 당초 금에 의해 표시돼 1달러와 같은 0.888671g의 순금과 등가(等價)로 정해졌으나 달러의 평가절하로 1973년 2월 1SDR=1.2635달러가 됐다. 그러나 그 후 주요 선진국 통화가 변동환율제로 이행됨에 따라 1974년 7월 이후 잠정적 조치로서 그 가치기준이 표준 바스켓 방식(standard basket system)으로 변경됐다. SDR이 국제기준통화로서의 요건을 갖추게 됐으므로 국제거래를 SDR 표시로 하자는 움직임도 있으나, 실제 외국환시장에서 기준통화는 여전히 달러화이다. </s>
<s>[INST] SEPA(단일유로결제지역) [/INST] Single Euro Payment Area의 약자로 SEPA라 부른다. 유럽 내에 있는 개인이나 기업이 계좌 하나로 자유롭게 계좌이체할 수 있는 EU 내 국가를 말한다. 결제시스템의 단일화는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의 비용절감 등 친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s>
<s>[INST] SEZ(Special Economic Zone, 특별경제특구) [/INST] 중앙정부가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지정한 특별경제특구. 외국인 투자자에게는 법인세가 면제되며 토지, 직원교육 프로그램, 경비 등이 지원된다. 우리나라의 수출자유지역과 비슷한 성격을 갖는다. </s>
<s>[INST] SOA(서비스지향아키텍처) [/INST] Service-Oriented Architecture의 약어로 우리말로 ‘서비스지향얼개’라 순화하여 쓰기도 한다.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를 의미한다. 정보를 누구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간주하고 연동과 통합을 전제로 아키텍처를 구축해 나간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의 대표적인 예인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 기반의 웹 서비스에서는 서로 다른 이용자들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와 의사소통을 하면서도 통합 관리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1996년 컨설팅 업체 가트너(Gartner)가 처음 소개한 것으로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SOA는 기존 개념에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DA: event driven architecture)를 더해 비즈니스에서 발생하는 각각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개념인 SOA 2.0을 도입하고 있다. </s>
<s>[INST] SOHO(Small Office Home Office) [/INST] 개인 주택의 방, 창고 및 주차장 등과 같이 기존 사무실의 개념을 벗어나는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을 의미하며 'Small Office Home Office'의 약어이다. SOHO는 마케팅과 관련된 용어로, 20세기 말 미국에서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통신과 사무용품 시장에서의 특정 소비자층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국내에서는 IMF 이후인 1999년에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전문성을 가지고 적은 자본으로도 창업 가능한 소호사업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 </s>
<s>[INST] SPA [/INST] 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의 약자로 의류 기획, 디자인, 생산,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하나의 업체가 관리하는 형태다. 하나의 업체가 관리하다 보니 고객이 원하는 요구사항과 시장 상황을 그때그때 파악해 1~2주 만에 새로운 상품을 만들어내는 이른바 '패스트 패션'이 가능하다. 백화점 등 고비용 유통업체를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함으로써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생산비용 절감은 옷값에 반영해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공급한다. </s>
<s>[INST] SPAC(기업인수목적회사) [/INST]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어로 우리말로는 ‘기업인수목적회사’라 한다. ‘SPAC(기업인수목적회사)’은 공신력 있는 M&A 전문가ㆍ금융회사 등이 다른 기업에 대한 M&A를 목적으로 설립하여 특별 상장되는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로 정의된다. 즉, SPAC은 실체가 없는 서류상의 회사로 목표는 오로지 기업인수다. SPAC은 설립단계에서 일정기간 내에 우량업체를 인수하는 것을 조건으로 다수의 개인 및 기관투자가들로부터 공개적으로 투자자금을 모은다. 투자자금이 마련되면 SPAC은 거래소에 상장되고, SPAC의 경영진들은 상장 후 36개월 이내에 대상기업을 찾아내 인수를 성사시켜야 한다. 인수대상 기업은 원칙적으로 상장ㆍ비상장기업 모두가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증시에 상장돼 있지 않은 비상장 우량기업이 인수대상이 된다. SPAC이 유망한 비상장 기업을 발굴하여 인수한 후 해당 기업의 가치가 증대되어 주가가 상승하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아 투자수익을 향유할 수 있다. 인수대상이 된 비상장 기업 입장에서는 SPAC에 인수됨으로 인해 복잡한 절차가 뒤따르는 신규상장과 부작용이 많은 우회상장을 하지 않고도 상장기업으로 등록이 되고, 자금을 보다 손쉽게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SPAC에 인수되더라도 해당 기업의 경영권은 보장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SPAC의 본고장은 미국이다. 1993년 GKN증권(GKN Securities Corp.)의 회장인 데이빗 누스바움(David Nussbaum)이 SPAC을 통한 기업인수에 최초로 성공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 활성화가 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SPAC을 통해 미국 증시에 상장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9년 12월 15일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SPAC의 설립이 허용되었고,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2009년 12월 2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대우증권이 설립한 ‘그린코리아SPAC’이 2010년 3월 3일에 상장되면서 우리나라 제1호 SPAC으로 기록이 되었다. </s>
<s>[INST] SRI 펀드(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s) [/INST] 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s·SRI)란 도덕적인 기업, 투명한 기업, 환경 친화적인 기업만을 투자 대상으로 삼는 것을 뜻한다. 반면 담배, 술 등을 판매하는 비도덕적인 기업이나 반윤리적 기업 등은 투자 대상에서 제외된다. 실제로 아시아투자연합 등 투자펀드 연합회에 따르면 상당수의 SRI펀드는 수익면에서 일반 펀드에 뒤지지 않고, 일부는 4%포인트 이상 더 나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
<s>[INST] SSD(Solid State Disk) [/INST] SSD는 Solid State Disk 또는 Solid State Drive를 일컫는 말로써 NAND플래시 또는 DRAM 등 초고속 반도체 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장치를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초고속 반도체 메모리는 휴대폰, MP3, 메모리 카드, 디지털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용 반도체 소자를 가리킨다.SSD는 기본적으로 메모리 카드와 동작방식이 유사지만, 기계적 장치인 HDD와는 달리 반도체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므로 용량이 메모리 카드에 비해서 훨씬 크다. 임의접근을 하여 탐색시간 없이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이 현저히 적다. 외부의 충격으로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으며 발열·소음과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화·경량화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과거 군사, 항공우주, 선박과 같은 특수분야에서 사용되던 것과 달리, 가격이 인하되여 HDD를 대체하는 저장장치로서 부각되고 있다. </s>
<s>[INST] SSM(기업형 슈퍼마켓) [/INST] 대형 유통업체가 1000~3000㎡ 규모로 운영하는 소매점을 지칭한다. 매장면적이 대형마트보다는 작고 일반 소매점보다는 큰 규모로 기업형 슈퍼마켓이라 불린다. 최근 SSM이 대도시에 이어 지방 중소도시로 확대되면서 중소유통점과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이마트 에브리데이나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s>
<s>[INST] SSNIP Test(Small but Significant Non-transitory Increase in Prices) [/INST] 시장지배력을 가진 기업에 대한 정부 개입의 정당성을 결정하기 전에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관련시장(Relevant Market)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때 SSNIP 테스트를 이용하여 관련시장을 획정할 수 있다. SSNIP는 Small but Significant and Non-transitory Increase in Price의 약자로서, 가상의 독점기업이 작지만 유의미하고 일시적이지 않게 가격을 인상하여 테스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작지만 유의미하다는 것은 소비자의 수요량에 영향을 주는 최소한의 수준을 의미하며, 미국의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5~10%으로 명시하고 있다. 일시적이지 않게 가격을 인상한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가격이 다시 하락할 때까지 소비를 일시적으로 중지하는 경우를 배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SSNIP 테스트의 구체적인 시장획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장 작은 범위로 상품시장을 정의한 후, 가상의 독점기업이 작지만 유의미하고 일시적이지 않게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를 테스트한다. 만약 독점기업의 이윤이 증대한다면 해당 시장은 단일 시장으로 획정될 수 있고, 이윤이 감소한다면 소비자들이 수요를 전환시킨 새로운 제품을 시장에 추가하여 이윤이 증가할 때까지 유사한 테스트를 반복하여 시행해야 한다. </s>
<s>[INST] STOXX50 [/INST] 유럽 대표기업 50개 종목으로 구성된 주가지수이다. 유로존 국가들 가운데 12개국의 50개 기업으로 구성되지만 국가별로 보면 프랑스와 독일 기업이 비중이 각각 30%를 넘고 스페인 기업이 12%로 이들 세나라의 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주가지수는 국내에서 발행되는 ELS의 기초자산으로 이용되고 있다 </s>
<s>[INST] SWOT분석 [/INST] 기업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요인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으로, 미국의 경영컨설턴트인 알버트 험프리(Albert Humphrey)에 의해 고안되었다. SWOT 분석의 가장 큰 장점은 기업의 내ㆍ외부환경 변화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며, 외부환경 분석을 통해서는 기회와 위협을 찾아낸다. - 강점(strength): 내부환경(자사 경영자원)의 강점 - 약점(weakness): 내부환경(자사 경영자원)의 약점 - 기회(opportunity): 외부환경(경쟁, 고객, 거시적 환경)에서 비롯된 기회 - 위협(threat): 외부환경(경쟁, 고객, 거시적 환경)에서 비롯된 위협 SWOT 분석은 외부로부터의 기회는 최대한 살리고 위협은 회피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강점은 최대한 활용하고 약점은 보완한다는 논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SWOT 분석에 의한 경영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SO전략(강점-기회전략): 강점을 살려 기회를 포착 - ST전략(강점-위협전략): 강점을 살려 위협을 회피 - WO전략(약점-기회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포착 - WT전략(약점-위협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위협을 회피 SWOT 분석은 방법론적으로 간결하고 응용범위가 넓은 일반화된 분석기법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s>
<s>[INST] Short Sale(공매) [/INST]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말한다.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매도하고 주가가 하락했을 때 주식을 사들여 주식을 갚고 시세차익을 얻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면 이익을 얻지만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면 손실을 입게 된다. 공매도는 매도증권을 사전에 차입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와 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로 구분된다. 우리 주식시장에서 무차입 공매도는 허용되지 않지만 차입공매도는 가능하다. </s>
<s>[INST] Smart Branch [/INST] 외환은행과 sk텔레콤이 전략적 업무 제휴 체결을 하면서 sk그룹이 보유한 유통채널 등에 ATM 및 화상상담 기기 등을 통합한 복합금융기기를 설치하여 기존의 Branch(지점)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은행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Smart Branch라 한다. 소규모 은행 창구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s>
<s>[INST] Smart SOC [/INST] 스마트와 사회간접자본(SOC)를 결합한 단어로, 교통ㆍ전력ㆍ교육ㆍ의료ㆍ환경 등의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그 결과를 상호 연결해 실시간으로 예측해 대응하는 인프라. 분야에 따라 스마트 트래픽(교통), 스마트 그리드(전력), 스마트 에듀(교육), 스마트 헬스케어(의료), 스마트 에코(환경) 등으로 불린다. 1차적 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에서 기존 IT역량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식서비스산업 분야와 디지털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지고 있다. </s>
<s>[INST] Stakeholder [/INST] Stakeholder는 이해관계자라는 말로 기업, 행정 등에 직·간접적인 이해관계를 갖는 개인이나 그룹, 주주, 고객, 노동자, 하청업자 등을 통칭하는 단어다. 요즘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헌이 강조되면서 stakeholder의 범위가 예술이나 복지 등으로 더 넓어지고 있다. </s>
<s>[INST] Standard operating procedure(표준운영절차) [/INST] 조직 내의 복잡하고 일상적인 업무를 신뢰성 있고 일관성 있게 수행하자면 관련 활동들을 조정ㆍ통제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표준운영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 SOP)란 ‘조직이 과거 적응과정에서의 경험에 기초하여 유형화한 업무추진 절차’ 또는 ‘업무수행의 기준이 되는 표준적인 규칙 또는 절차’를 의미한다. 표준운영절차는 조직이 장기적인 적응과정에서 학습한 결과이므로 조직구성원을 통제하고, 단기적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수단이 된다. 표준운영절차는 동질성 있는 업무를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조직의 효율성을 도모한다. 또한 불확실성이 극복되어 조직의 안정감이 제고되며, 정책결정자의 재량의 축소로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러나 SOP는 정책의 보수화와 타당성으로 조직이 침체화 될 수 있고, 정책집행에서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이 적용되면 집행현장의 특수성이 무시될 수 있으며, 정책담당자가 환경의 변화에 대한 검토 없이 적용하는 경우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s>
<s>[INST] T-Price(Trust Price for Consumers, 소비자를 위한 신뢰의 가격정보) [/INST] 한국소비자원은 생필품, 공공요금, 학원비 등 가격정보를 참가격 인터넷 사이트(http://price.go.kr)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취지에서 정부와 유통업체 간 공동협력 사업으로 2009년 12월 개설됐었으며, 2015년부터는 생필품뿐만 아니라 공공요금, 학원비, 비급여진료비, 약가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요금까지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가격정보종합포털사이트로 운영되고 있다. </s>
<s>[INST] T-커머스(Television Commerce; 텔레비전 전자상거래) [/INST] T-커머스는 텔레비전(television)과 상거래(commerce)를 결합한 단어로, TV 시청 중에 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 리모컨을 사용해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까지 한 번에 마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보통 단말기 리모컨의 빨간 버튼을 누르면 주문 화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빨간버튼 서비스'라고도 부른다. TV 홈쇼핑은 드라마를 보다가 배우의 의상을 구매하려면 PC에서 일일이 해당 상품을 검색해 구매해야 한다. 그러나 T커머스의 경우에는 영화나 드라마, 스포츠경기, 교육방송 등을 보다가 방송화면 한쪽에 있는 아이콘(지정자)을 리모컨으로 눌러 화면을 상거래용으로 전환, 상품정보를 보고 구매도 할 수 있다. IPTV의 보급으로 T커머스가 활성화되자, T커머스 시장의 취급고 규모가 2017년 기준 1조 2000억원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T커머스가 홈쇼핑 업계의 신성장 동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s>
<s>[INST] T/T(Telegraphic Transfer) [/INST] 전신환송금으로 수입대금의 지급을 은행을 통해 전신 또는 텔렉스를 이용하여 송금하는 방식을 말한다. 계좌로 송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이다. 최근에는 업체간 믿음과 신뢰가 높아지고 장기공급의 수출비중이 높아지면서 신용장(L/C)방식이 줄고 송금방식(T/T)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s>
<s>[INST] TCE [/INST] FTA 체결로 회원국과 비회원국간에 상품과 서비스의 교역 및 투자 등이 이전보다 더 확대되는 효과 </s>
<s>[INST] TDF(target date fund) [/INST] 근로자 은퇴날짜에 맞춰 펀드매니저가 알아서 주식과 채권비중을 조정해 운용하는 펀드이다. 투자자의 생애주기에 맞춰 글로벌 자산배분과 함께 주기적인 포트폴리오 재조정이 이루어 진다. 은퇴가 한참 남은 청년들에게는 위험자산의 비중이 높지만 은퇴시기가 가까워질수록 국공채나 배당주의 비중을 높여 안정적으로 운용한다. 미국인들의 경우, 퇴직연금 가입시 가입자의 70%가 이 상품에 가입해 있다고 알려진다. </s>
<s>[INST] TFT-LCD [/INST] ‘The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자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장치이다. 능동 매트릭스형 액정의 하나로, 액정 표시 장치(LCD)의 픽셀을 박막 트랜지스터(TFT)로 제어한다. 브라운관(CRT)에 비해 화면의 흐트러짐이 없고 콘트라스트, 계조(階調) 표시, 응답 속도 등에서는 CRT에 버금간다. 유리 기판 위에 수십만 개의 미세한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제조 기술이 필요하므로 불량률이 높아서 TFT 액정 표시 장치의 가격을 올리는 요인이 되었으나 제조 기술의 발달과 제조 비용의 감소에 따라 컴퓨터용 표시 장치에는 LCD 채용이 보편화되었다. </s>
<s>[INST] TRS(Total Return Swap) [/INST] 총수익스왑(TRS)은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총수익과 일정한 약정이자를 일정 시점마다 교환하는 계약이다. 이 때 총수익에는 채권의 이표뿐 아니라 스왑 종료시점에서의 자본이득이나 자본손실을 포함한다. 규제로 투자가 제한된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s>
<s>[INST] Tag Along(태그얼롱) [/INST] 1대 주주가 보유지분을 매각할 때, 2, 3대 주주가 그것이 좋은 조건이라고 판단되면 1대 주주와 동일한 가격으로 팔아달라고 1대 주주에게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원래 뜻은 ‘항상 남을 따라다니는 사람’이다. 한편 역 태그얼롱은 현 지배주주가 기업경영권 방어에 성공할 경우 원하는 주주들에게 인수 시도자가 제시했던 가격에 주식을 의무 매입하도록 강제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s>
<s>[INST] Tick(틱) [/INST] 선물계약의 매입, 매도 주문시에 내는 제시가격의 최소한의 가격변동폭을 가리키며 각 선물거래소마다 상품별로 그 크기를 표준화시켜 놓고 있다. </s>
<s>[INST] Tier 1 비율 [/INST] 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BIS)은 위험자산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이 때 자기자본은 기본자기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으로 구성된다. 기본자본은 실질 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잉여금 등을 말하며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기본자기자본비율은 은행의 실질 자본건전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BIS 비율에서 보완자본을 제외하고 산출하는 지표를 말하며 이를 Tier 1 비율이라고도 한다. </s>
<s>[INST] Time to market [/INST] 한 제품의 제품 개발 컨셉의 개발부터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서 판매가 가능할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가리킨다. 줄여서 TTM이라고 불리며, 제품이 빠르게 진부화되는 산업에서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종류의 제품에서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나, 실제로 시장진입을 먼저한 선발자가 후발자보다 더 여유있는 TTM을 가지고 있다. </s>
<s>[INST] Turn Around(턴어라운드) [/INST] 넓은 의미로는 기업이 회생되는 것을 뜻하며 구조조정,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등을 포함한다. 리스트럭처링은 M&A, LBO, 제휴전략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M&A를 활용한 사업단위의 재구축을 의미하며, 리엔지니어링은 기업의 체질 및 구조, 경영방식 등을 재설계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혁신기법을 일컫는다. 다른 의미로는 주식시장에서 실적이 호전되는 기업을 가리키는 말이다. </s>
<s>[INST]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ST]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범용(汎用) 가입자 식별 모듈’이라 한다.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란 유럽의 2세대 통신 방식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작은 메모리 카드 형태로 생겼으며 가입자에게 인증과 요금 부과, 보안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를 저장한 것이다. 1982년 유럽우편전기통신 주관청 회의(CEPT)에서 전 지구적 이동통신시스템(GSM)이라는 단일 표준을 만들면서 사용자 인증을 목적으로 SIM카드를 도입한 것이 효시이다. USIM은 SIM보다 한 단계 진화한 방식으로, 화상통화가 가능한 비동기 3세대 이동통신(WCDMA)의 단말기에 필수적으로 삽입되는 손톱만한 크기의 칩이다. USIM은 소형 CPU와 메모리로 구성되는데, CPU는 암복호화 기능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메모리는 부가서비스를 위한 저장공간으로 이용된다. </s>
<s>[INST] USTR(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INST] 미국무역대표부(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의 약자로 미국의 국제통상교섭을 담당하는 대통령 직속 정부기관이다. 미국의 무역, 통상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며 외국과의 협상을 주도하거나 지휘하고, 불공정무역행위에 관한 조사와 관련 상대국과의 협상, 보복조치 등을 집행한다. </s>
<s>[INST] VE(가치공학) [/INST] Value Engineering의 약자다. 사물자체가 아닌 사물의 원가절감, 제품가치에 눈을 돌려 제품이나 서비스 기능의 향상 등 모든 경영활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가치향상 기법이다. 즉,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목표라 할 수 있다. </s>
<s>[INST] VFX(Visual Effect) [/INST] VFX(visual effect)는 특수영상이나 시각효과를 뜻한다. 영화나 애니메이션 그림 등에 적용되는 영상제작기법 중 현장에서 촬영하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기법으로 흔히 CG특수효과라고 한다. 폭발화재 등의 임의적인 효과를 연출할 때 사용한다. </s>
<s>[INST] VIX [/INST] Volatility Index의 약자로 변동성지수라고 말한다. S&P 500지수 옵션과 관련해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투자기대지수를 가리킨다. VIX지수가 최고치에 이른다는 것은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커져 주식시장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VIX는 일명 공포지수라고도 한다. 한국판 VIX도 있다. 이름하여 브이코스피(V-KOSPI)지수다. 코스피200 옵션가격을 이용해 KOSPI200 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낸다. 브이코스피지수는 지난 2009년 4월부터 처음 발표되기 시작했다. </s>
<s>[INST] VIX ETN [/INST]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를 추종하는 상장지수증권(ETN)을 말한다. VIX는 미국 대표 주가지수 중 하나인 S&P500지수가 향후 30일간 얼마나 움직일지에 대한 주식시장 참가자들의 예상치를 나타내는 지수다. 증시가 급락하거나 불안할수록 수치가 올라 ‘공포 지수’로도 불린다. VIX 선물 ETN은 증시 하락에 대비한 위험 헤지형 상품으로 유용하며 국내에서도 상장되어 국내 ETN 시장의 외형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
<s>[INST] VaR(Value at Risk) [/INST] 위험 관리를 위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목표 보유기간 동안 일정한 신뢰수준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손실금액을 통계적으로 표현한 수치이다. 예를 들어 '95% 신뢰수준의 1일 VaR가 10억원''이라하면 이는 하루동안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이 100억원을 초과하지는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인데 이를 100% 자신하지는 못하고 95% 자신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는 100억원 이상 손실을 볼 가능성이 5%는 된다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s>
<s>[INST]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NST]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전화 또는 음성패킷망이라고 한다. 초고속인터넷과 같이 IP망을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를 통해 음성통화를 구현하는 통신기술이다. 1999년 새롬기술이 ‘다이얼패드’ 무료전화를 내놓으며 일반인들에게 알려진 인터넷 전화는 통화품질이 열악하고 수익모델이 없으며 착신이 되지 않는 등의 단점으로 시장에서 외면당했다. 그러나 인터넷 메신저 등을 기반으로 무료 또는 저가의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외연을 확장하고, 정부가 인터넷 전화 전용번호인 070와 시내전화와의 번호이동성을 시행하는 한편 기간사업자와 케이블 방송 사업자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이 이뤄지면서 현재는 많이 활용되고 있다. VoIT는 케이블을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성도 뛰어나다. 무엇보다 기존 전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매우 저렴하여 국제전화와 시외전화에 주로 이용된다. 같은 인터넷전화 사용자 간의 통화는 시간에 상관없이 통화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음성과 데이터의 결합을 바탕으로 하나의 전화기로 음성과 화상통화ㆍ화상회의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 전화 번호이동성 시행으로 기존의 유선번호를 계속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보안 플랫폼을 통해 보안성도 높아져, 최근 대기업, 유통기업, IT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도 VoIT를 전면 도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s>
<s>[INST] V자 경기회복/U자 경기회복 [/INST] 전쟁, 전염병 등 여러 사건이 경제에 큰 충격을 주면,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실질 GDP 성장률이 크게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제성장률이 급격히 하락했다가 다시 회복하는 양상에 따라 알파벳 모양을 따 V자 경기회복 또는 U자 경기회복이라고 한다. V자 경기회복은 특정 사건으로 충격을 받았다가 바로 이전의 성장 궤도에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만 회복 속도가 빠를 때 V자형 반등이 나올 수 있다. 반면 U자형 경기회복은 경제 충격이 2~3년 정도 지속되다가 경기가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 2020년 코로나19로 각국의 경기가 급격하게 위축되었다. 2020년 상반기에 미국, 중국, 유로존 등의 경제성장률이 급락하자, 코로나19 진행 상황과 대응에 따라 경제가 어떤 회복세를 보일지에 대한 예측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V자 경기회복, U자 경기회복 등이 언론에 자주 언급되었다. </s>
<s>[INST] WACC(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INST] 가중평균자본비용이란 뜻으로 기업의 총자본에 대한 평균조달비용을 말한다. 즉, 기업이 현재 보유중인 자산을 활용하여 자사의 주식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벌어들여야 하는 수익률을 의미한다. 또한 현재의 경영활동과 비슷한 수준의 위험을 가진 투자 대안에 기업이 투자시 요구되는 요구수익률이기도 하다.▶산출방식 = [자기자본비용*(자기자본/총자본)]+[타인자본조달비용*(타인자본/총자본)*(1-법인세)] </s>
<s>[INST]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INST]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무선응용통신규약을 뜻한다. GSM, TDMA, CDMA 등을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모바일 컴퓨터용 아키텍쳐다. 에릭슨, 모토롤라, 노키아, 언와이어드 플래닛 등의 이동통신업체들이 1999년 결성한 WAP포럼에서 개발했다. WAP은 무선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정의된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로, 월드와이드웹 모델에 기반한 기존 인터넷 표준의 특징과 기능을 이용해 이동전화나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컴퓨터 이용환경에 일종의 혁신을 가져 온 프로토콜로 평가되었다. </s>
<s>[INST] WCDMA(Wideband CDMA) [/INST] Wideband CDMA의 줄임말로 CDMA의 방식을 3G로 업그레이드한 기술방식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전화는 WCDMA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는 물론이고 화상통화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s>
<s>[INST] WEF 국가경쟁력 평가 [/INST]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민간 국제기관인 세계경제포럼(WEF ; World Economic Forum)이 매년 130여개 나라를 대상으로 행하는 국가경쟁력 평가. 1979년 이후 국제경영개발원(IMD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와 공동으로 발표해 오다, 1996년부터 각각 독자적으로 발표해 오고 있다. 통상 IMD는 상반기에, WEF는 하반기에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s>
<s>[INST] WGBI(World Governmenet Bond Index, 세계국채지수) [/INST] 씨티그룹이 관리하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 정부채권으로 구성된 투자지수. 주식에서의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지수(MSCI)나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지수처럼 세계 주요 채권 펀드의 투자 척도가 되는 지수다. </s>
<s>[INST] Wag the Dog [/INST] 개의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뜻으로 주식시장에서 이 용어는 선물(꼬리)이 현물(몸통)시장을 좌지우지하는 현상을 가리킬 때 쓰인다. 원래 선물시장은 주식시장의 위험을 보완하기 위해 개설됐으나, 선물의 영향력이 커져 주식시장을 뒤흔드는 주객이 전도된 상황이 나타났고 이를 개가 꼬리를 흔드는 것이 아닌 꼬리가 개를 흔드는 상황과 같다고 비유하게 되었다. ※정치적상황에서의 wag the dog: 국민들 혹은 여론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비난을 잠재우기 위해 연막을 치는 행위를 가리킨다. </s>
<s>[INST] X-비효율(X-inefficiency) [/INST] X-비효율은 기업의 내부 비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경제학자 라이벤스타인(Harvey Leibenstein)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해당 기업의 유휴자원이 얼마나 있는지, 다시 말해서 자원이 얼마나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내부 비효율성으로는 주로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려는 인센티브가 감소했을 때 발생하는 방만한 경영이나 절차의 불필요한 복잡성 등이 있다. 구조-행동-성과 분석체계(Structure-Conduct-Performance Paradigm)에서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 </s>
<s>[INST] XBRL [/INST] 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의 약자다. 전자인식기호(일종의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대차관계, 계산방식, 표시순서 등을 정의하는 전산언어로 기업재무정보의 국제표준 보고방식을 말한다. 1999년 미국 공인회계사 찰스 호프만이 중심이 되어 발표한 XML 기반의 언어다. XBRL을 도입함으로써 기업은 재무제표 작성시 자동 계산 검증으로 작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성오류를 발견하면 사전차단되어 기업회계의 신뢰성 제고 등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XML: 인터넷 웹페이지를 만드는 HTML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만든 언어이다. </s>
<s>[INST] YH사건 [/INST] 1979년 YH무역 대표가 경영부실로 직장폐쇄를 하면서 YH노조 소속 여성근로자 187명을 해고했다. 여성 근로자들은 이에 항의하여 당시 야당이었던 신민당 당사에서 농성시위를 벌였고 경찰이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여성 근로자 1명이 추락사하였다. 이를 가리켜 YH사건이라 한다. </s>
<s>[INST] Z이론 [/INST] 맥그리거의 X이론과 Y이론에서 힌트를 얻어 미국의 경영학자 윌리엄 오우치(William Ouchi) 교수가 근로자와 경영자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주장한 경영이론으로, 미국식 경영과 일본식 경영 접근 방식을 혼합하여 Z이론이라 명명하였다. 당시인 1970년대와 80년대에는 일본기업들이 세계적 기업들로 부상하면서 기존의 세계경제의 리더인 미국 기업들과 경쟁하는 상황하에서 일본기업들의 경영기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시대였다. 이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 중의 하나는 근로자들의 경영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신뢰도가 높아야하며, 근로자들은 경영참여를 위해 조직의 다양한 문제를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Z이론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근본적으로 긍정적인 존재로 전제하는 Y이론의 변형으로 간주되고 있다. </s>
<s>[INST] ePRIVACY 인증 [/INST] ePRIVACY 인증(개인정보보호 우수 웹사이트 인증)은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우수한 기업 및 기관의 웹사이트를 인증하는 민간자율 인증제도로,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평가하여 인증 기준에 부합할 경우 인증서를 부여하는 OPAPRIVACY 인증제도 중 하나로, 개인정보보호협회(OPA)가 주관하며 방송통신위원회, 국가보훈처 등이 후원하고 있다. 심사기준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근거로 9개 분야 6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정보의 수집 △개인정보의 이용 및 파기 △이용자의 권리 보장 △공개 및 책임 △물리적·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등이다. 인증의 유효기간은 신규 인증 취득일로부터 1년이며, 인증 취득 후 매년 갱신심사를 진행한다. </s>
<s>[INST] foreign currency mortgage [/INST] 모기지의 일종으로 대부자가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통화가 아닌 다른 지역의 통화로도 상환이 가능한 상품을 가리킨다. 개인 모기지, 금융 모기지 모두에 대해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환 모기지에 대해서 부여되는 이자율은 역시나 대부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이자율을 따르는게 아니고 해당 모기지가 성립된 외환의 이자율을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모기지 상품을 이용하는 사람은, 결국 외환으로 대금을 상환해야 하고, 이에 더해 환율은 지속적으로 변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만일 대부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통화가 상환해야 하는 외화모기지의 바탕이 되는 통화보다 강세라면, 대부자가 본인이 사는 지역의 통화로 모기지를 상환하는 것이 더 이득이 된다. 반대로 대부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통화가 상대적으로 약세인 경우라면, 같은 방식으로 모기지 상환시 자본 손실을 입게 된다. </s>
<s>[INST] iOS [/INST]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애플에서 생산된 모바일 기기에만 탑제되는 것이 특징이며, 비교적 보안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17년 기준 최신 버전의 iOS는 iOS10이며, 향상된 조작기능과 UI가 주요 업데이트 추가 기능이다. </s>
<s>[INST] s-CBO [/INST] 채권을 기초로 발행되는 자산유동화증권(ABS)을 채권담보부 증권(CBO: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이라 한다. 이 때 이미 발행되어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발행된 채권을 유동화전문회사(SPC)가 발행하여 세컨더리 마켓에서 인수하는 방법으로 CBO를 발행하는 기법은 s-CBO(secondary CBO)라고 한다. </s>
<s>[INST] smoking gun [/INST] 코난 도일의 셜록홈즈 시리즈에서 유래한 smoking gun은 원작에서는 Smoking pistol로 쓰였다. 배 안에서 사람이 죽었는데 그 옆에 서 있던 채플린이라는 사람의 손에 연기가 나는 피스톨이 있어 그 사람이 살해범이라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는 내용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이 용어는 범죄에서의 결정적인 단서, 증거를 뜻한다. </s>
<s>[INST] u-IT 839전략 [/INST] 정부가 IT산업정책의 비전으로 추진해 온 IT 839전략을 보완ㆍ발전시킨 새로운 전략이다. IT 839전략이 초기시장단계에서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면서 품목 재조정이 필요해 추진되었다. 즉, u-IT 839전략은 기존 IT 839전략의 ‘8대 서비스, 3대 인프라, 9대 신성장동력’ 간의 연계성을 더욱 확대하고, 소프트웨어 정책의 우선순위를 강화하고 전략품목을 재조정한 것이다. 기존의 8대 서비스 가운데 인터넷 전화는 상용화 및 경쟁여건성숙으로 제외하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DTV(Digital TV)는 통합하는 대신, 통방융합 및 경제의 소프트화 추세를 반영하여 광대역 융합서비스와 IT서비스를 추가하였다. 3대 인프라 중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는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에 통합하는 대신 소프트웨어를 추가하고, 9대 신성장동력은 이동통신과 텔레매틱스를 통합하고 RFID/USN(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biquitous Sensor Network)기기를 추가하였다. </s>
<s>[INST] underwriting [/INST] 언더라이팅은 투자 은행이 기업이나 정부를 대신해서 자본을 모으는 과정을 가리킨다. ‘언더라이터(underwritier)’라는 명칭은 특정 수준의 프리미엄 금액에 대해서 어느 정도 규모까지 리스크를 감수할 지에 대한 금액을 제시하고 그 아래에 서명을 하던 관습에서 유래되었다. 언더라이터는 리스크에 대한 조사 및 측정을 통해서 리스크에 대한 적절한 가격 설정을 진행한다. 언더라이팅은 보험을 통해서 접하는 경우가 많다. 보험이 적절히 작동하기 위해서는 리스크가 많은 사람들에게 분산이 되어야 한다. 다수의 보험 가입자가 한번에 보험금 청구를 하는 경우와 같은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해 보험사는 외부 투자자와 리스크를 분담하며 언더라이팅을 통해 리스크 관리를 진행한다. </s>
<s>[INST] 가격 차별(Price Discrimination, Price Differentiation) [/INST] 소비자의 나이나 신분, 재화가 판매되는 공간의 지리적 요인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는 것을 가격차별이라고 한다. 기업은 가격을 차별함으로써 이윤을 극대화하기도 한다. 일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가격차별의 예시로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매겨지는 대중교통 요금을 들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상품이라도 국내에서 출시하는 상품과 해외에서 출시하는 상품의 가격을 다르게 책정한다면 역시 가격차별이 이뤄진 경우이다. 가격차별이 가능하려면 첫째, 소비자를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어야 하고, 둘째, 가격차별을 실시하는 기업이 소비자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하며, 셋째, 소비자 사이에 재판매가 불가능하여야 한다. 한편 같은 가격을 책정하여 가격차별이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대상에 따라 재화의 품질이나 선택 가능한 옵션을 달리 하여 가격을 차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대학교에서 동일한 등록금을 설정한 후 특정 자격을 갖춘 학생들에게는 장학금을 지급하기도 하는데, 이도 가격차별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학생들은 같은 서비스를 받지만 최종적으로 지불하는 가격(등록금)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가격차별에는 기업이 소비자의 수요 패턴을 완벽하게 알고 있어 소비자마다 일일이 다른 가격을 매기는 제 1급 가격차별, 수량 할인의 의미를 갖는 제 2급 가격차별, 마지막으로 소비자 그룹별로 다른 가격을 부과하는 제 3급 가격차별이 있다. 앞서 들었던 나이에 따라 다르게 매겨지는 대중교통 요금이 바로 제 3급 가격차별의 예시이다. </s>
<s>[INST] 가격거품 [/INST] 어떤 제품의 가격이 실제 가치보다 지나치게 오르는 현상. </s>
<s>[INST] 가격고정(Price Fixing) [/INST] 경쟁자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상품 또는 서비스 가격에 대한 합의를 말한다. 가격 고정은 직접적으로 가격 수준을 제한하는 행위는 물론이고, 생산 물량 제한이나 할인 금지와 같이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합의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서로의 시장을 침범하지 않기로 약속하는 시장분할이나 서비스 시간의 제한을 위한 영업 시간 합의도 가격 고정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또한, 판매자들뿐만 아니라 구매자들도 합의를 통해 재화에 지불할 가격을 정하거나, 경매에서 특정 구매자가 낙찰되도록 하는 입찰담합을 통해 가격고정을 시도할 수 있다. </s>
<s>[INST] 가격약속 [/INST] 덤핑 수출이 있었을 때, 제품 수입국의 덤핑 피해가 제거되었다고 확신할 수 있을 만큼 수출업자가 해당 물품의 가격을 인상하거나 당해 지역 수출을 중지하겠다는 약속. 가격약속은 수출업자가 수입국 정부에 제의한다. 가격약속을 수락할 경우, 잠정조치나 반덤핑관세 부과 없이 조사가 종결된다. 그러나 다수의 수출업자를 대신하여 약속한 합의가 완전하지 못할 경우, 이행의 확인 및 조사가 곤란한 경우, 과거 약속위반 사실이 있는 경우 등은 가격약속 제의를 거절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된다. 반덤핑 조치에 대한 가격약속은 수입품의 가격을 인상시키는 효과로 국내 동종 산업의 가격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가격약속은 반덤핑 관세의 부과와 동일한 가격조건을 유지하면서 가격 인상분에 해당하는 이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출업자와 수입국 정부간 합의로 불공정 무역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통상마찰 발생 소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격인상에 따른 수입비용의 증가로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있으며, 반덤핑 관세 부과 포기로 관세수입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s>
<s>[INST] 가격인하명령 [/INST] 공정거래법상의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가격남용 행위(부당한 가격의 결정ㆍ유지ㆍ변경)를 한 경우, 공정거래위원회는 당해 사업자에게 가격을 인하하도록 명령하는 행정 처분의 하나이다. 해당 사업자가 이러한 가격인하 명령에 응하지 않으면 그 사업자에 과징금을 부과한다. 과징금 산정기간은 가격인하 명령 일부터 실제로 가격을 인하한 날(실행기간)까지로 한다. 산정기준은 실행기간 중 가격인상 차액으로 얻은 수입액으로 한다. 시장 지배적 사업자란 사업자가 시장에서 가격ㆍ수량ㆍ기술진보 등을 지배하는 힘을 말한다. </s>
<s>[INST] 가격통제 [/INST] 정부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격을 결정하여 강제하는 행위. 가격통제는 분양가 상한제처럼 시장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가격을 통제하는 가격 상한제, 그리고 최저임금법처럼 시장가격보다 높은 수준으로 가격을 통제하는 가격 하한제가 있다. </s>
<s>[INST] 가격파괴 [/INST]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유통부문의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됨에 따라 유통업체ㆍ제조업체 등이 전략적으로 가격을 낮추어 판매 경쟁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기존의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른 가격개념을 파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엔고 여파로 일본의 국내물가가 상대적으로 오르자 수입상품의 대형 할인점 유통을 통해 가격을 낮추면서 가격파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국제화ㆍ개방화로 외국의 유통 전문 할인점이 국내로 진출하고 동시에 국내 대형 할인점이 등장하면서 가격파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상거래의 발달, 맞춤형 쇼핑 시대의 개막으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조건과 가격을 제시하면 이에 대응하여 공급자가 중개자 없이 공급하는 역경매제의 등장도 가격파괴 현상 중 하나이다. </s>
<s>[INST] 가격하한제(최저 가격제) [/INST] 가격하한제란 가격에 대한 정부의 규제의 일종으로,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제도적으로 막는 것이다. 가격하한제의 예로는 최저임금제도가 있다. 정부는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의 임금 수준을 설정하고 이보다 낮은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한편 최저임금제도와 같은 가격하한제를 실행하는 경우 실업, 즉 노동의 초과공급이 발생할 수 있다. </s>
<s>[INST] 가공무역 [/INST] 다른 나라에서 원재료나 반제품을 수입하여 가공ㆍ제조해 만든 더 높은 수준의 반제품 또는 완제품을 수출하는 형태의 무역. </s>
<s>[INST] 가교은행 [/INST] 가교은행은 파산은행의 자산과 부채를 임시로 인수하여 합병, 채권ㆍ채무 관계 등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임시은행이다. A라는 은행이 파산 또는 인가 취소가 날 경우, 예금보험기구는 B라는 가교은행을 설립, 채권.채무를 인수한 뒤 적당한 주인을 찾아 A은행을 넘긴다. 이 과정에서 가교은행은 A은행의 자산과 부채 규모를 감안해 적정한 선에서 예금인출 동결조치를 취하고, 가교은행 명의로 예금 입.출금, 수출입업무 등 최소한의 업무를 지속한다. 이는 은행파산의 사회경제적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은행 업무를 정상적으로 지속함으로써 다른 은행에 합병될 때까지 사업권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 기존 고용관계를 완전 파기함으로써 새 인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등 제3자 인수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도 할 수 있다. 물론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청산 절차를 담당한다. 예금보험기관이 부실은행을 처리하는 방식은 크게 청산ㆍ매각, 자산부채승계 그리고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이 있다. 가교은행에 의한 인수방식은, 도산은행의 규모가 커서 자산가치의 평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자산부채승계 방식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실 금융기관 처리당국이 새로운 은행을 신설하여 부실은행의 자산ㆍ부채를 포괄 승계하고, 인수 희망자를 물색하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점진적으로 예금대지급 등을 통해 정리하는 방식이다. 가교은행을 이용하면 갑작스런 파산을 피할 수 있어 은행 파산이 주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
<s>[INST] 가등기담보 [/INST] 가등기의 형식을 갖춘 담보형태를 말한다. 채권담보를 목적으로 하며 채무자 또는 제3자 소유의 부동산이 목적물이 된다. 채권자와 채무자 또는 제3자 사이에서 대물변제예약 또는 매매예약 등을 하고, 동시에 채무자가 채무를 불이행하는 경우 발생하게 될 장래의 소유권 이전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변칙 담보다. </s>
<s>[INST] 가변비용(Variable Cost) [/INST] 생산량에 따라 변하는 비용. 예를 들면 원재료, 생산설비이용 비용 등이 있다. 가변비용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고정비용이 있는데, 생산량과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일정하게 들어가는 비용으로 임대료, 공장관리비 등이 속한다. </s>
<s>[INST] 가산금 [/INST] 국세를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때에 국세징수법에 의하여 고지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과 납부기한 경과 후 일정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때에 그 금액에 다시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즉, 고지된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았을 때 부과되는 가산금과 고지된 납부기한 경과 후 매 1월이 경과할 때마다 부과되는 중가산금이 있다. 가산금은 과태료 또는 이자의 성격을 가지며 고지에 의해 징수되는 세금에만 적용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s>
<s>[INST] 가산금리 [/INST]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즉,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시 부족했던 달러화를 해외에서 차입하거나 외평채를 발행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로 인해 대외신인도가 그만큼 낮아진데 따른 것이다. 해외에서 채권을 팔 때 미국 재무부 증권(TB) 금리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 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 발행금리가 정해진다. 일례로 채권을 발행할때 리보금리가 3.0%이고 가산금리가 2.25%이면 채권의 발행금리는 5.25%가 된다. 이는 채권의 위험성이 커진 것으로 그만큼 채권가격이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산금리의 단위로는 bp(basis point)가 사용하는데, 1%는 100bp가 된다. 상기 채권에 붙은 가산금리 2.25%를 가산금리 단위로 바꾸면 225bp가 된다. </s>
<s>[INST] 가산보험금 [/INST] 가산 보험금이란 금리 연동형 종신 보험에서 지급되는 보험금의 형태 중 하나이다. 보험사는 보험상품을 개발할 때 가격을 책정하기 위해 예측한 금리를 이용한다. 이 예정 금리를 이용해서 적정한 보험료와 보험금을 책정할 수 있다. 이때 가산 보험금은 보험사가 사전에 예정한 금리보다 실제 금리가 높아 예상보다 더 많은 이익을 실현한 경우 그에 따른 보험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s>
<s>[INST] 가산세 [/INST] 가산세는 세법상 규정하고 있는 각종 의무를 불이행한 경우 부과되는 금액으로 본래의 세금에 포함하여 과세한다. 가산세는 납세협력 의무위반에 따른 행정벌적 성격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가산세는 각종 의무의 불이행에 가해지는 벌금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벌금과 비슷하지만, 해당 세법이 정하는 세목에 포함되어 과세되어 법원에서 재판에 의하여 결정되는 벌금과는 다르다. 반면, 가산금(Additional Charge)이란 국세를 납부 기한까지 내지 않은 때 국세징수법에 의해 고지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과 납부기한 경과 후 일정 기한까지 납부하지 않은 때에 그 금액에 다시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한다. 가산금은 과태료 또는 이자의 성격을 가지며 고지에 징수되는 세금에만 적용된다. </s>
<s>[INST] 가상광고 [/INST] 야구, 축구 등 운동경기를 중계방송할 때 컴퓨터 그래픽으로 가상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광고기법. 2010년 1월 방송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상파 TV에서 가상광고가 가능해졌다. 국내 지상파에서는 2010년 3월 26일 세계 피겨선수권 김연아 쇼트경기에서 처음으로 가상광고가 방송됐다 </s>
<s>[INST] 가상기업 [/INST] 2개 혹은 2개 이상의 사업 주체가 맺는 협약으로서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들의 자원을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동종업체, 협력업체 및 경쟁업체 간의 전략적 제휴나 합작관계를 통한 기업 네트워크로서 특정목적을 달성한 후에는 해체되는 일시적 기업형태를 의미한다. Davidow와 Malone(1992)는 가상기업을 자신들의 저서에서 기업의 조직구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21세기 조직 형태라고 주장하였다. </s>
<s>[INST]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 [/INST]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s’의 약자로, 우리말로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라 한다.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주파수를 보유하지 않고,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NO ; Mobile Network Operator)의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해 독자적인 무선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자를 일컫는다. 1999년 11월, 영국의 버진모빌이 처음 상용화했다. MVNO는 대체불가능한 이동통신설비(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무선전송 등 Radio Access Network)를 MNO로부터 임대해, 자신이 보유한 대체가능한 설비(가입자 관리, SIM카드, 교환국, 마케팅 등 Core Network)와 결합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선재판매는 판매자가 독자적으로 가입자를 관리할 수 있지만 원사업자의 상표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반면에, MVNO는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의 완전한 지배권을 갖는다. 자체 상표로 독자적인 요금체계를 설정할 수도 있어, 이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새로운 서비스 사업자가 생긴 것처럼 보인다. 이동통신서비스의 경우, 유선과는 달리 유한자원인 주파수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사업자의 수가 현실적으로 제한돼 있다. 이에 MVNO 제도는 신규사업자의 지속적인 시장진입을 통해 시장을 자극하고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서비스 종류를 다양화하며 가격경쟁을 통한 요금 인하 효과를 낳을 수 있다. </s>
<s>[INST] 가상현실(VR) [/INST]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든 가상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 등 오감정보를 확장, 공유함으로써 현실세계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나게 체험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재 가상현실 기술은 시공간제약을 벗어나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다양한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관광 스포츠, 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핵심기술로 자리잡으면서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복합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
<s>[INST] 가상화폐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 [/INST] 가상화폐 사업에 대한 자금을 모으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가상화폐 스타트업이 자금 조달을 시도할 때 주로 활용된다. ICO 캠페인이 진행되는 동안 초기 투자자와 같은 회사의 사업을 지지하는 투자자는 가상 화폐를 구매하는데 이렇게 구매된 가상화폐는 토큰이라고 불리며 IPO와 같은 기업 공개에서 투자자가 주식을 사는 것과 비슷하다. 만일 ICO의 주체가 되는 회사가 목표로한 자금 수준에 미달하게 되면 투자금은 투자자에게 다시 반환되며 ICO는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 </s>
<s>[INST] 가속상각 [/INST] 고정자산은 대체로 초기에는 능률이 높으나 사용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생산성이 떨어진다. 즉, 고정자산의 수익창출 능력은 처음에는 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크게 떨어진다는 가정에서 출발해 내용 연수의 초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액을 상각하여 차등적으로 감가상각을 하는 것이 가속상각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정률법이 가속상각에 해당된다. </s>
<s>[INST] 가수요 [/INST] 실수요에 대립되는 개념. 물가상승이 예상되거나 물자부족이 예상될 때 실제 수요가 없음에도 일어나는 예상수요. 가수요 현상이 지나칠 경우, 경제질서를 교란시켜 시장은 물론 국민경제에도 적지 않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s>
<s>[INST] 가압류 [/INST] 금전채권이나 금전으로 환산할 수 있는 채권에 대하여 동산 또는 부동산에 대한 강제집행을 보전하기 위해 하는 법원의 처분을 말한다. 즉, 채권자의 청구권에 대해 장래에 실시할 강제집행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곤란한 상황에 대비해 채무자의 재산을 사전에 압류함으로써 강제집행을 보전하는 절차를 '가압류'라고 한다. 가압류는 가압류할 물건이 있는 곳을 관할하는 지방법원이나 본안의 관할법원이 관할한다. 가압류가 된 물건은 채무자가 매매, 증여 또는 저당권, 질권 등 담보권의 설정, 기타 일체의 처분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는 효력이 발생한다. 가압류 집행을 한 후에는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확정판결을 받고 이미 집행한 가압류 재산을 경매처분하여 채권을 회수한다.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