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1
7
revid
stringlengths
1
8
url
stringlengths
37
43
title
stringlengths
1
182
text
stringlengths
0
170k
319826
1126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26
바주카포
319827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27
한구 (1636년)
한구(韓構, 1636년 ~ ?)는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이다. 자는 긍세, 호는 안소당, 본관은 청주이다. 청원위(淸原尉) 경록(景祿)의 5대손으로, 입의 아들이다. 경력. 1657년(효종 8)소과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고, 1675년(숙종 1)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지평·장령·정언·헌납·집의·안주목사 등을 거쳐, 1684년 승지에 올랐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민비(閔妃)가 폐위되고 남인이 득세한 뒤 아들 중혁(重爀)이 김춘택(金春澤) 등과 함께 민비복위를 꾀하다가 1694년 투옥되자, 이에 연좌되어 변방으로 유배되었다. 1694년 풀려나온 후 80세 때 가선대부가 되었다. 사후. 시(詩)에 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예에도 뛰어나, 그가 죽은 뒤 1782년(정조 6)에 평안도관찰사 서호수(徐浩修)가 왕명을 받들어 그의 글씨를 자본(字本)으로 삼아, 평양감영에서 8만여 자의 활자를 만들어 ‘한구자(韓構字)’라 이름하여 규장각에 소장하였다.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김석주(金錫胄)와 친교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 일족의 문집인 《잠곡집(潛谷集)》·《낙전당집(樂全堂集)》·《동강집(東江集)》 등이 모두 이 활자로 간행되었다.
319828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28
한우 (조선)
한우(寒雨, ? ~ ?)는 조선 중기의 시인이다. 선조 때의 기생으로 임제가 부른 노래에 답한 것이라는 시조 1수가 《청구영언》에 전하고 있다.
319848
10284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48
유로스타 이탈리아
319849
10284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49
에우로스타
319852
75312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52
근친애
근친애(近親愛)는 가까운 혈육 간의 애정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개요. 흔히 근친상간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아성애와 아동 성학대가 동일하지 않은 것처럼, 감정적인 요소와 실제의 행동은 별개이기에, 두 단어의 의미는 서로 구분되어야 한다. 근친애는 일종의 판타지로서의 요소가 있고, 이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논이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친애 감정이 억압된 것이, 자아의 성장을 촉진한다고 주장했다. 오토 로젠필드는 오이디푸스의 전설에 동성애의 테마가 누차 등장하는 것을 지적하여, 동성애에 대한 터부가 근친애에 대한 터부로 변한 것을 지적한다. 근친상간에는 해로움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특히 알프레드 찰스 킨제이의 시대에 일어난 성혁명(性革命)을 지지하는 입장이 그렇다. 이러한 사람들의 경우, 근친상간은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고 주장하였다. 킨제이 보고서에 의하면, 4441명의 조사대상 여성 중 24%가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받았었고, 근친자에 의한 성적 학대는 5.5%, 부친 혹은 의붓아버지에 의한 학대는 1.0%에 달했다고 조사되었다. 심지어 이 보고는 실상보다 축소된 것으로, 실제로 어린 시절 성인으로부터 성적인 접근을 받았던 경우는 8할 이상이었는데, 대상 연령을 하향조정하여 발생율을 의도적으로 낮춘 것이다. 무엇보다도, 킨제이 보고는 무작위 조사가 아니었고, 표본 선정에 상당한 치우침이 있었기에 실제 발생율이 훨씬 높았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킨제이 본인마저도 놀랄 정도로 믿기 힘든 조사 결과여서, 주위를 납득시킬 목적이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킨제이의 동료인 워델 프로메이가 1976년에 '포럼'지에 근친상간 터부를 재인식할 필요를 역설했다. 1977년에는 '펜트하우스'지에 사회학자 필립 노벨에 의한 인터뷰가 게재되었다. 문제는, 어린이의 성 해방이라는 것이었다. 1978년에는 에드워드 헤버에 의한 의논이 '허슬러(Hustler)'지에 실렸다. 헤버는 근친상간을 제재하는 법률의 철폐를 주장했다. 하지만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은 이러한 움직임을 반대했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근친상간이 있는 경우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319853
2508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53
고려장기
319854
75312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54
최일구
최일구(崔一九, 1960년 11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프리랜서 방송인 겸 가수이자 전직 뉴스 보도 기자 출신이며, 전직 문화방송 주말 《MBC 뉴스데스크》의 뉴스 앵커였고 MBC 퇴사 후 잠시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 등을 지냈다. 그리고 최근까지는 트로트 가수로도 활약하였다. 생애. 어린시절과 학창시절. 고등학교 시절 최일구는 머리를 짧게 자른 후 도시락을 2개씩 싸서 다니며 열심히 공부했으나 가슴 통증으로 병원에 가보니 허파에 물이 차 있는 늑막염 진단을 받고 공부를 하지 말라는 의사의 조언을 받아 휴학계를 내고 여름을 보냈다. 다행히 건강이 회복되어 다시 대입 공부를 시작했다. 물리·화학·수학은 포기하고 국어·영어만 집중적으로 공략해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대학생이 된 최일구는 2년간 무조건 놀고 군대를 갔다 온 후 남은 대학교 2년간 언론사 입사 공부를 하자는 전략을 세워, 다행히 성공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기자. 1985년 기자로 MBC에 입사하여 4년간 경찰서 출입기자로 활동했다. 최일구의 고향에서 내내 잔치를 벌일 정도로 기대가 컸으며 최일구 자신도 꿈을 이뤘다는 것에 대견해했다. 그러나 경찰서 출입기자 생활은 쉽지 않았다. 1985년 최일구는 60년생 동갑내기 아내와 결혼하여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몸으로 때워야 하는 일이 많았던 탓에 군대보다 힘들다고 생각했다. 경찰기자는 새벽 4시에 일어나 6시에 상황보고를 해야 할 정도로 무시무시했다. 특종 취재 경쟁이 특히 심한것은 야간이었다. 언론사들은 각각 취재 차량으로 이동하는데 한 차량이 중간에 없어지면 경쟁사 기자들이 특종 취재를 간 걸로 생각하고 긴장하기도 했다. 최일구는 단독 특종 보도를 할 때가 가장 기분이 좋다고 말했었다. 그러나 아깝게 특종을 놓친 경우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김만철 일가 탈북 사건이었다. 당시 정부는 보호 처소를 마련해 두었고 기자들은 김만철 가족이 어디서 묵는지를 취재하기 위해 경쟁을 벌였다. 타사보다 확실한 영상을 확보했다는 승리감에 도취한 최일구는 그러나 경쟁 방송사에 김만철의 누나가 스튜디오에 앉아있는 것을 보고 기겁했다. 알고보니 서울에 김만철의 누나가 생존해 있던 것이었다. 제보자는 MBC에 먼저 전화를 해 "김만철 누나 생존해 있다"고 제보했으나 MBC 직원은 장난으로 생각하고 끊어버려 특종을 놓친 것이었다. 최일구는 당시 보도가 가장 안타깝다고 말했다. 최일구는 이후 《MBC 뉴스데스크》 카메라 출동으로 활동했고, 1992년 한국 방송사상 최초로 서울 야경을 취재하기도 했다. 그리고 1994년 2월에 시작한 2580 초창기 기자로도 활동했다. 대표적인 보도로 충남 보령 서해 앞바다 식인 상어 취재가 있다. 식인 상어가 출몰했다는 제보를 받고 내려갔는데 상부에서 상어를 잡으라는 지시가 내려와 보령의 전문 잠수부 연합을 섭외하고 수중카메라까지 동원했다. 상어를 유인하기 위해 돼지피를 이용했으나 끝내 식인상어는 출몰하지 않았고 근처 어민들을 취재하고 수중취재를 하는데 그쳤으나 29.5%의 시청률을 올리며 인기를 끌었다. 가장 위험했던 취재는 1987년 6월 항쟁이었다. 사건 기자였던 최일구는 대통령을 직선으로 뽑아보자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에 주목했다. 특히 1987년 6월 10일 오후 6시에 모든 차량들이 경적을 울리는 시위도 횡행했다. 최루탄 공방이 오가던 중 대다수 시위대가 명동성당으로 피해 장기 농성에 들어갔다가 열흘쯤 지나 해산하는 날, 모든 취재를 마쳤음에도 제대로 보도가 안될 정도로 언론 통제가 심했고 최일구는 이에 대해 부끄럽다고 뇌까렸다. 차량이 훼손되어 취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최일구가 취재한 내용중에 가장 영향력이 컸던 보도는 1996년 당산철교 부실공사 보도였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 이후 당산철교가 문제가 있다는 내용이 많이 보도가 되었으나 최일구는 비파괴 검사를 해보기로 계획하고 밤에 다리에 올라가 무려 100군데 넘게 균열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 이후 언론사들의 후속 취재가 이어졌고 재공사에 착수하게 되는 결실을 맺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앵커. 최일구는 기자 생활을 하면서도 앵커를 꿈꿨다. 기자가 방송을 하다보면 리포팅을 하거나 중계할 때 잘하는지 못하는지 평판이 쌓이게 되며 그것이 나중에 앵커 오디션에서 긍정적인 점수를 받게 되어 앵커가 된다. 최일구는 목소리가 좋은 앵커가 좋은 앵커라고 말한다. 2003년 사회부에서 사건 데스크를 하고 있던 최일구에게 보도국장이 주말 앵커를 제안하고 오디션을 거쳐 2003년 10월 11일부터 최윤영 아나운서와 함께 주말 《뉴스데스크》 앵커가 됐다. 최일구는 자신의 목소리가 별로라고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들은 신뢰가 가는 목소리라는 말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앵커가 되어 첫 뉴스를 진행하는 날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신임을 묻겠다는 선언을 하면서 한 시간 특집으로 진행되어 최일구는 크게 긴장했다. 9시 정각이 되면 카메라에 빨간불이 들어오며 방송이 시작되는데 이 불이 제대로 보이지가 않아 제때 시작을 못하거나 말을 수시로 더듬는 등 실수를 저질렀다. 2005년까지 앵커를 하다가 다시 보도국들로 들어가서 생활하던 중 2010년 1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다시 주말 《뉴스데스크》 진행을 맡았다. 주말 《뉴스데스크》에서는 최일구가 직접 출동하여 현장 체험을 하고 인터뷰를 하는 코너도 마련했다. 최일구는 앵커 멘트에 대해 짧고, 쉽고, 공감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CNN 뉴스처럼 좀 더 자유롭게 진행하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했으며 뉴스가 딱딱하다고 느꼈던 최일구는 대화하는 것처럼 뉴스를 하면 어떨까 생각하여 "~군요"라는 독특한 말투와, 멘트를 탄생시켰고 '최일구 어록'이 나오기도 했다. 모든 멘트는 사전에 대본으로 만들어놓고 진행하며 애드리브는 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 어록에 대해 "너무 가볍지 않느냐", "장난하는 것 같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그가 진행하는 뉴스데스크는 "예능데스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MBC 파업과 퇴사. 2012년 2월 MBC 파업 직후 파업에 참여하기 위해 부국장 보직사퇴와 주말 MBC 뉴스데스크 앵커에서 자진 하차하였다. 파업 참여 이유로 정직 3개월의 징계를 받았고, 징계가 풀린 후 보직을 받지 못해 2012년 10월 MBC아카데미 교육발령을 받아 3개월동안 교육을 받았고, 교육 종료후 교육발령이 3개월 연장되었다. MBC아카데미 교육을 받는 도중 2013년 2월 MBC에 사직서를 제출하고 퇴사를 하였다. 퇴사 직후 SNL 코리아 제작진의 적극적인 설득에 2013년 4월 tvN SNL 코리아 위켄드 업데이트 진행자로 방송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tvN의 모기업 사주가 비리에 연루되어 사전 녹화된 '최일구의 끝장토론'이 불방되었고, 2013년 8월 SNL 코리아 위켄드 업데이트 진행자에서 하차하였다. 2017년 9월 2일부터 MBN 뉴스 8 주말 앵커로 5년 7개월만에 뉴스 앵커로 복귀했고(정아영 아나운서와 함께 진행), 2017년 10월 23일부터 TBS 교통방송의 가을철 프로그램 개편으로 TBS FM(수도권 FM 95.1MHZ) 월~금 낮 2시11분~4시 토~일 낮 2시06분~4시 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를 진행하고 있다. 최일구의 주요 어록. 최일구는 기자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은 정치부장이나 특파원같은 일명 엘리트 기자 코스를 다닌것도 아니었다. 하지만 최일구는 다른사람이 알아봐주지 않아도 자기 할 일을 최선을 다한다는 신념아래 일을 해왔다고 자부한다. 최일구는 은퇴 후 7080 세대들과 소통하며 지내고 싶다고 말했다.
319860
25011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60
미국 에스파냐 전쟁
319865
3311795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65
스페인 제국
스페인 제국()은 한때 전 세계적 패권을 이룩했던 역사상의 제국이다.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 아메리카 대륙, 필리핀 제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방대한 영토를 두고 다스렸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당대 가장 강력한 제국들 중 하나였다. 18세기에 최전성기에 이르자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이라고 불릴 정도의 영광을 누렸다. 역사. 합스부르크 왕조. 1492년 스페인은 이베리아 반도의 레콩키스타(재정복)로 통일 왕국을 세웠고, 같은 해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카스티야 왕국의 후원을 받아 탐험대를 이끌고 대서양을 가로질러 아메리카 대륙에 닿았다. 대항해시대에 스페인은 카리브 제도에 정착했으며, 이윽고 스페인의 콩키스타도르(정복자)들은 아메리카 본토의 아스텍 제국과 잉카 제국과 같은 토착 제국들을 무너뜨렸다. 이후 원정대들이 오늘날 북아메리카 캐나다에서 남아메리카의 티에라델푸에고 제도까지 진출하여 제국을 세웠다. 스페인의 세계 일주 탐험대는 1519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시작하여, 1522년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가 끝마치면서 콜롬버스가 바라던 아시아로 가는 서쪽 항로를 개척했으며, 극동 지역에도 스페인이 관심을 가지게 되어 괌, 필리핀과 주변 섬들에 식민지를 세웠다. 이 시대에 에스파냐는 아메리카의 거대한 땅과 더불어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벨기에, 이탈리아 대부분, 독일 일부, 프랑스 일부, 아프리카와 아시아, 오세아니아 영토를 차지하고 있었다. 스페인과 식민지 사이의 대서양 사이로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온갖 교역물 가운데 해마다 에스파냐 보물 함대(서인도 함대 "Flota de Indias")가 본국으로 운반하던 아메리카의 귀금속도 있었다. 마닐라 아카풀코 함대("Galeones de Manila-Acapulco")는 태평양을 건너 정기적으로 운항하며 필리핀과 아메리카를 연결해 주었다. 스페인의 풍부한 무역 덕분에 스페인 해군은 강화되어 유럽과 지중해의 스페인 왕국을 보호했다. 스페인 제국의 전신인 카스티야 연합왕국은 아메리카 대륙과 필리핀 식민지를 기반으로 이베리아 반도의 주 세력으로 떠올랐다. 이후 합스부르크 스페인 왕가가 제국의 기초를 놓았으며, 합스부르크 가의 일원이자 카스티야 왕족 출신의 펠리페 2세가 확장 정책을 도모하며 국력이 크게 성장했다. 펠리페 2세는 영국과의 전쟁에서 무적함대가 대패하는 등 큰 피해를 입은 이후에도 스페인의 군사력을 추슬러 영국에 상대적 우위를 점했으며, 1580년에 포르투갈의 왕위를 계승하여 동군연합을 결성하여 토를 넓히는 등 제국의 틀을 다잡았다. 다만 펠리페 2세는 지나치게 카스티야 중심의 중앙집권제를 추진했고, 이로 인해 점차 연합왕국 내에서 반발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연합왕국 내의 불화는 1618년 일어난 30년 전쟁으로 급격히 커지기 시작했다. 스페인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원하며 빚이 급격히 늘어났고, 아시아 지방에서 일어나는 해적 행위를 제대로 막지 못했기에 결국 왕국 내 불화는 최고조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특히 포르투갈에서 이같은 갈등이 크게 심각했고, 결국 포르투갈에서 스페인 관리들을 쫓아내고 브라간사 왕조를 중심으로 새로운 나라를 세워 독립하였다. 포르투갈의 독립은 스페인 연합 왕국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이후 카탈루냐가 1640년에, 안달루시아가 1641년에, 나폴리 왕국이 1647년에, 1648년에는 아라곤 왕국이 반란을 일으켜 스페인의 국력을 약화시켰다. 특히 카탈루냐 독립 전쟁의 경우, 무려 12년이나 지속하며 스페인의 국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스페인은 30년 전쟁에서 패전하여 네덜란드의 독립을 인정해야만 했고, 1659년에는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연달아 패배하여 플랑드르 지역 남서부의 로세욘 지방을 강제로 할양했다. 카를로스 2세의 재위기에는 1678년 프랑스에 영토 일부를 넘겨주었고, 1713년에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나 부르봉 스페인 왕가로 왕실이 바뀌고 난 이후에는 오스트리아에 플랑드르와 나폴리 왕국 등을 넘겨주며 점차 영토가 쪼그라들었다. 부르봉 왕조. 전성기. 스페인 제국은 이후 부르봉 스페인 왕가 때에 제국의 힘을 본격적으로 다시 늘려나가기 시작했다. 부르봉 왕조에서는 훌륭한 명군들을 연이어 배출하였다. 펠리페 5세는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 사이의 무역을 크게 장려했고, 군사력을 발전시키며 내치에도 힘을 쏟아 스페인 제국은 다시 중흥기를 맞을 수 있게 되었다. 카를로스 3세의 재위기에는 아메리카 대륙에 남부 아르헨티나에서부터 미국 서부, 중부, 남부 지방은 물론 캐나다 남부까지 차지하였고, 심지어는 루이지애나 일부까지 영토를 넓히며 최전성기를 누렸다. 독실한 가톨릭교도였던 카를로스 3세는 예수회를 제국에서 몰아내고 북아메리카 대륙 여러곳에 원정대를 파견, 영토 확장에 주력하기도 했다. 스페인 제국은 미국 독립전쟁에서 미합중국을 지지, 영국에 선전포고를 하고 프랑스와 손을 잡았다. 지브롤터에서는 세인트빈센트 곶 해전,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과테말라와 니카라과에서 영국군과 전투를 벌였으며 루이지애나에서는 1780년 5월 세인트루이스 전투에서 영국군을 격파하였다. 이후에도 1781년 1월 7일 모빌 전투에서 영국군에 승리를 거두었으며, 펜서콜라 공방전에서 웨스트 플로리다 주의 주도였던 펜서콜라를 공략하였다. 이 전쟁에 참여한 대가로 스페인 제국은 옛 시절에 영국에 넘겨주었던 플로리다를 재탈환할 수 있었다. 이후 카를로스 3세가 죽고 카를로스 4세가 새로운 왕에 올랐으며, 비슷한 시기에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나며 제국도 점차 무너지기 시작한다. 쇠퇴기. 프랑스 대혁명과 함께 등장한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은 본격적으로 스페인에 간섭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카를로스 4세는 잦은 실정과 둔한 지도력으로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있지 못했으며, 결국 그의 아들이 페르난도 7세로 즉위하게 되었다. 허나 나폴레옹은 그가 직접 스페인의 왕정에 개입하기를 원했고, 페르난도 7세를 몰아내고 나폴레옹의 친형을 호세 1세로 새로운 왕으로 즉위시켰다. 허나 이후 프랑스 군대가 스페인 곳곳을 돌아다니며 약탈과 강간, 살인을 일삼자 스페인 국민들의 프랑스에 대한 적대감은 극에 달했고, 결국 이베리아 반도 전쟁이 일어났다.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호세 1세는 쫓겨났고 다시 페르난도 7세가 왕위에 복귀하며 부르봉 왕조가 복귀하게 된다. 선정을 베풀기를 바랐던 스페인 국민들의 바람과는 달리, 페르난도 7세는 중남미 식민지들에서 일어나는 반란들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며 제국의 영토들을 하나하나 잃어가기 시작하였다. 게다가 내정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며 국민들의 분노는 극으로 치닫게 된다. 페르난도 7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이사벨 2세도 시원찮은 국정 능력을 보이며 별다른 지지를 받지 못했다. 게다가 이사벨 2세는 여성이라는 치명적인 불리함이 있었고, 교회나 보수 세력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이에 그의 친척이던 몰리나 백작 카를로스가 왕위를 요구했고, 스스로를 카를로스 5세라 칭했다. 이사벨 2세는 뒤이어 일어난 내전에서 카를로스 5세를 상대로 승리하며 왕위를 지켜냈으나, 제국의 국력은 갈수록 깎여만 갔다. 이사벨 2세는 집권 이후 끊임없는 실수와 실패를 반복하며 무능력함을 만천하에 드러냈고, 결국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1868년 여왕을 프랑스로 쫓아냈다. 허나 이사벨 2세는 왕위를 포기하지 않았고, 망명지인 파리에서 왕세자였던 알폰소 1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스페인 국내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사보이 왕가의 아마데오 1세를 새 왕으로 옹립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국내의 군부 세력이 또다른 쿠데타와 분열로 몰락했고, 아마데오 1세는 다시 이탈리아로 돌아갔다. 이후 알폰소 12세가 돌아와 부르봉 왕가를 다시 세웠다. 알폰소 12세는 선정을 베풀었으며, 국내 반란을 진압하고 스페인의 입헌군주국화를 추진하여 자유주의자들의 반발을 무마하며 짧은 재위시기 동안 상당한 업적을 남겼다. 다만 알폰소 12세는 28세라는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알폰소 12세가 승하하자, 그의 아들인 알폰소 13세가 1886년에 왕위에 올랐다. 허나 알폰소 13세는 무능력하고 유약한 인물이었고, 보수 세력과 진보 세력 사이에서 중심을 잡지 못해고 갈팡질팡했다. 결국 이로 인해 제국 내의 불화가 쌓여만갔다. 1898년에는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했다. 당시 스페인령 쿠바에서는 독립 세력들이 전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미국이 이들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전쟁을 일으킨 것이다. 이 전쟁에서 끝내 패배한 스페인 제국은 괌, 푸에르토 리코, 북마리아나 제도와 같은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들을 모두 상실했으며 필리핀도 이때 미국의 식민지로 넘어갔다. 또한 서태평양의 작은 도서들은 유지비 감당이 버거워 1899년에 독일에게 모두 매각하며 영토는 자꾸 줄어만 갔다. 이때 이후로 스페인은 서구 열강 대열에서 탈락하였으며, 미국이 대신 그 자리에 들어가게 된다. 당시 스페인 제국이 국외에 소유하고 있던 식민지는 서사하라와 적도 기니, 스페인령 모로코 뿐이었다. 게다가 스페인령 모로코는 프랑스의 간섭으로 인하여 제대로 통치하지도 못하던 상황이었고, 프랑스를 견제하던 영국과 독일의 지원을 받아 북부 지방에만 간신히 영향력을 미쳤다. 다만 모로코 북부 지방이 지중해와 대서양을 잇는 경제성 좋은 지방이기는 하였다. 스페인은 이 지방에서 고급 광물들을 노천 광산을 통하여 채굴하여 돈을 벌었으며, 철광석을 채굴하여 스페인의 산업화를 도왔다. 이 시기 스페인은 더이상의 서구 열강들 사이에서의 세력 확장 경쟁에서 빠졌고, 오히려 영국과 프랑스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항로의 치안을 보장하고 무역을 확장하는 등 경제적인 면에 주력하였다. 1909년 바르셀로나에서는 무정부주의자들의 봉기가 일어났고, 스페인 제국을 떠받치는 두 기둥이었던 교회와 왕실에 대한 반발이 급속도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스페인은 모로코에서 일어난 반란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했고, 결국 왕정과 권력을 잡은 군부에 대한 불신이 커져 결국 프리모 데 리베라를 중심으로 쿠데타가 일어나며 알폰소 13세가 쫓겨나게 된다. 이후 스페인 제 2공화국이 수립되었고, 부르봉 왕조가 마침내 무너지며 알폰소 13세는 국외로 망명하였다. 이 과정에서 북아프리카에 주둔하던 '아프리카 군단'의 힘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해졌고, 이들이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끈 반란 세력의 중추를 이루며 스페인은 더더욱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스페인 내전에서 스페인 제2공화국을 폐지하고 새롭게 권력을 잡은 프랑코는 국가의 발전보다는 자신의 안위에 더욱 관심이 많은 인물이었다. 그는 극렬한 파시스트이기도 하였기에, 제2차 세계대전 동안 히틀러와 무솔리니를 일부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적극적으로 협력하지도 않았다. 이 때문에 프랑코 정권은 2차 세계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난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권력을 보전할 수 있었다. 다만 전쟁에서 큰 피해를 입었던 소련 등의 국가들은 스페인의 이중적인 모습에 크게 분노했고, 스페인을 국제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이 때문에 프랑코 정권 치하의 스페인은 한동안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어 있었으며, 나토 가입도 프랑코 사후인 1982년 5월에 할 수 있었다. 1975년에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죽은 후, 그가 지정한 명령에 따라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즉위, 스페인에 왕정복고가 이루어졌다. 이후 스페인은 스페인령 사하라에서 철수했고, 세우타, 멜리야과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해외 영토들에서 철수했다. 이로서 마침내 몇 백년에 걸친 스페인 제국의 역사도 모두 끝난다.
319867
75312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67
테르시오
테르시오(Tercio)는 1534년부터 1704년에 걸쳐 스페인 왕국이 채용한 군사편성 혹은 그 부대의 전투대형을 말한다. 단순히 전투대형을 지칭할 때는 스페인 방진(Spanish square)이라고 부른다. 테르시오의 편성 및 전투대형은 17세기 초엽까지 유럽 각국에서 왕성하게 모방했다. 역사. 이전 역사. 약 700년에 걸친 레콩키스타를 완료한 스페인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게 되었고, 이제 유럽 강국의 지위를 타국과 다투게 되었다. 1494년 프랑스의 이탈리아 반도에 대한 침공에 의해 이탈리아 전쟁이 발발하자, 스페인은 아라곤 왕국에 연유한 계승권을 이유로 이 전쟁에 개입했다.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이탈리아 반도에 상륙한 스페인군이었으나, 세미나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패배했다. 이 당시 스페인군은 검과 원형방패를 장비한 로델레로(Rodelero;보병)과 히네테(Jinete)라고 불리는 경기병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런 편성은 중기병과 스위스 창병을 중심으로 편성된 프랑스군에게 야전에서 승리할 수는 없었다(상세한 것은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항목을 참조). 전후 곤살로는 이탈리아에 남아 스페인군의 군제개혁을 진행했다. 즉 원형방패와 검을 폐지하고, 스위스 창병과 같은 파이크를 지니게 했다. 창병은 밀집대형(방진)을 조직하고 주위와 양익에 소형의 투사병(크로스보우, 총)을 배치했다. 그리고 곤살로는 장교의 숫자를 증가시켰다. 그때까지 1명의 장교가 병사 100~600명을 지휘했으나, 곤살로는 병사 300명 당 약 4~6명의 장교를 배치시켰다. 이것은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한 부대는 1,000명 전후로 구성되고, 지휘관에는 코로넬(Coronel;대령)의 계급이 내려졌다. 지휘관의 계급에 유래해 이 부대는 코로네리아(Coronelía;코로네냐 라고도)라고 부르게 되었다(다만 이런 개혁은 체리뇰라 전투 이후라는 설도 있다). 1503년 이 신식 스페인군은 체리뇰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 체리뇰라 전투는 또한 화기와 야전 축성이 효과를 발휘한 전투이기도 하다. 이후 군대의 구성에서 화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었다. 영광과 쇠퇴. 1534년 스페인군은 3개(서쪽:Tercero=영어:Third)의 부대를 이탈리아 반도에 보냈다. 테르시오란 명칭은 이 시기 처음으로 출현했으나, 이렇게 3개의 부대로 나누게 된 유래에 대해 생각해 보자. 부대에는 각각 "롬바르디아"(Lombardia), "나폴리"(Napoli), "시칠리아"(Sicilia) 란 호칭이 붙여졌다. 당시 군대는 주로 용병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시에 따라 고용되는 것이 기본이었다. 테르시오도 주요 구성원은 용병이었으나, 이탈리아 반도를(훗날 네덜란드에서도) 계속 지킬 필요가 있었기에 테르시오는 평상시에도 유지되었고, 상비군적인 성격을 갖게 되었다. 장시간에 걸친 고용은 항상 일정이상의 숙련도,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으로써 스페인군의 강력함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당연하게도 이로 인해 스페인 국고는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것은 신대륙에서 들어오는 금은으로 인해 윤택해진 스페인에게도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지출을 강요해 역대 국왕은 여러 번에 걸쳐 국가 파산선언을 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도 16세기를 통해 테르시오는 최정예의 군단으로서 각지에서 활약했다.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를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 테르시오의 힘으로 스페인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승리했고, 프랑스의 이탈리아에 대한 개입을 좌절시켰다. 네덜란드의 반란도 16세기말까지 거의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17세기에 들어서자, 테르시오에게 도전하는 시도가 나타났다. 네덜란드의 마우리츠 판 나사우는 테르시오를 격파하기 위해 신식 군대를 편성하고, 네덜란드식 대대라고 불리는 전투대형을 내놓았다. 마우리츠의 개혁은 유럽에 퍼지게 되었고,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이것을 집대성하고 세련되게 만들어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신성로마제국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이런 도전을 받은 테르시오도 곧 개혁에 착수했다. 1635년 펠리페 4세는 포고를 알리고, 테르시오의 군제개혁을 진행시켰다. 테르시오 1부대에 있는 병사 정원수를 3,000명에서 1,000명 전후로 감소시키고, 지휘의 효율화에 노력했다. 시대에 뒤쳐졌던 전투대형도 개량해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융합시킨 새로운 대형을 채용했다. 1637년에는 민병을 테르시오 속에 참가시키면서 지방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군단을 편성하고 동원병력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대패를 겪는등, 이미 스페인과 테르시오의 군사적 우위는 잃어버린 뒤였다. 그 후에도 테르시오는 여러 가지 개량이 가해졌으나, 1704년 펠리페 5세(루이 14세의 손자)가 프랑스식의 연대와 대대를 구성하는 군제를 채용하게 되면서 테르시오는 소멸하게 되었다. 편성. 테르시오의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었으나, 이글에는 초기 시기의 편성을 기초로 기술하였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병과는 아래의 4종류가 있다.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250명(혹은 300명)이었다. 대위 1명, 중위 1명, 중사 1명, 기수 1명으로 중대를 지휘하고, 그외 종자 1명, 보급계장교 1명, 고적수(鼓笛手) 1명, 종군사제 1명, 이발사 1명이 참가하였다. 장교를 포함한 중대 본부요원의 총 숫자는 11명이었다. 테르시오를 구성하는 중대에는 아래의 2종류가 존재했다(아래 기록은 병사수 250명을 기준으로 한 경우) 테르시오 1부대는 A중대 10개, B중대 2개인 12개중대로 구성되어 있다(병사 300명의 경우 A중대 8개, B중대 2개인 10개중대). 총 숫자는 3,000명 정도이고, 그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32명, 파이크병 1,080명, 코르스렛 1,111명, 아르케부스 총병 448명, 머스켓 총병 230명이었다. 전체의 지휘는 대령(코로넬)이 맡았고, 그를 보좌하는 장교단(테르시오 전체의 본부요원)은 30명 전후였다. 다만 이것은 이상적인 완전편성의 숫자이고, 꼭 현실의 테르시오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1개중대의 병력수는 150명 정도인 경우가 많았고, 이상치의 절반인 1,500명 혹은 그 이하의 병력수로 구성된 테르시오가 대부분이었다 초기때 창과 총의 비율은 약 3:1이었다. 이것은 중기병의 위협이 매우 커서, 창병의 방어능력이 중요시 된 것이 이유였다. 시대가 흐르면서 화기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또 피스톨 기병의 대두로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면서 이 비율은 크게 변화되었다. 16세기 후반에는 2:1이 되었고, 16세기말에는 1.5:1, 17세기 초엽에는 1:1이 되었다. 그 후 창병은 감소가 지속되었고, 17세기말에는 총검이 개발되면서 창병은 완전히 모습을 감추었다. 무엇보다 위의 내용에 따라 얼마안가 곧 테르시오도 소멸하게 되었다. 전투대형. 전투시 테르시오는 창병과 총병을 조합해 하나의 거대한 방진을 만들었다. 즉 창병이 종심 20열에서 30열 정도의 방진을 조직한다. 이 방진의 사방(四方)을 2열의 총병이 들어가 에워싼다. 이때 정면에는 위력이 큰 머스켓 총병을 배치한다. 거기에 네귀퉁이에는 종심 4열에서 6열 정도의 총병의 작은 방진을 조직한다. 이로 인해 모든 방위에서 사각이 없는 방진이 완성되었다. 다만, 숫자는 완전한 정원수일 때였다. 병력이 실제로 절반에 불과할 때는 이것도 분배가 필요했다. 또한 상황에 따라 종심의 깊이 및 횡렬의 길이는 적절하게 변경되었다. 스페인은 이 전투대형을 “Cuadro de Terreno”(야전방진)이라고 불렀다. 타국에서는 이 전투대형 자체를 테르시오라고 불렀고, 혹은 단순하게 스페인 방진이라고 불렀다. 한편 테르시오의 방어 편중은 명백했다. 이것은 스페인의 전투 교훈에서 얻어진 것이다. 레콩키스타의 전투에서 산악지대가 많은 이베리아 반도의 지세에서 많은 이슬람의 거점을 탈취하는 공성전이 있었다. 테르시오 이전의 장비가 요새 돌입때의 난전에 적합한 검과 원형방패였던 것도 이것을 나타낸다.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중기병의 위협에 직면한 스페인은 기병의 기동력과 충격력을 감소시킬 방법을 생각했다. 성벽, 화기, 참호 같은 공성전의 방어적 요소가 나오게 된 것은 이런 과거의 경험에서 비추어 보면 당연한 것이다. 그 결과 이 정도까지 방어를 중시한 대형 방진이 완성된 것이다. 말하자면, 테르시오는 보병에 의해 구성된 요새였다. 이 때문에 테르시오의 기동력은 매우 나빠져 이동 및 방향전환에는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것은 테르시오의 목적이 방어에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결과였다. 적을 맞아 싸우는 경우에는 움직일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이쪽에서 공격에 나서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페인은 테르시오의 전면에 대포를 배치했다. 이것은 또한 요새의 개념을 야전에 집어 넣은 것이기도 했다. 테르시오를 격파하려면 공성전과 마찬가지로 외벽(창병)을 제거하고, 포격으로 대형을 무너뜨리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16세기 거대하고 둔중한 대포는 야전에서 테르시오를 무너뜨릴 정도의 포격을 가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결국 스페인의 적들이 선택한 것은 그들의 적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16세기의 전장은 테르시오 끼리 마주쳐 충돌하고 조금씩 상대방의 창병을 제거하는 광경이 되풀이되었다. 승리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가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철수하거나, 병사의 사기가 저하되어 스스로 붕괴되는 것을 기다리는 수밖에는 없었다. 이 시대는 용병이 군대의 주력이었기 때문에 부대로써 결속력이 낮아 사기저하에 의한 붕괴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점에서 상비군적인 테르시오는 결속력이 높아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또한, 붕괴되더라도 괴멸적인 타격을 받는 일은 어려웠다. 테르시오는 추격을 할 수 없었다. 야전에 의한 조기 결판이 기대되는 시대는 없었다. 전술적으로나 전략적으로도 방어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결전보다 기동전이나 소모전이 다수를 차지했다. 이 때문에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전쟁의 기간은 장기화되었다. 테르시오에 대한 도전. 네덜란드. 1568년 스페인의 지배하에 있던 네덜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 80년 전쟁이 시작되었다. 스페인은 진압을 위해 테르시오를 항상 네덜란드에 주둔시켰다. 또한 각지의 반란을 예방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감시하는 많은 요새를 건설했다. 요새의 숫자에 비례해 주둔병도 증가하여 스페인군 전체의 규모는 확대되었다. 스페인군이 규모를 확대하자, 대항세력인 프랑스등 타국도 군대를 확대할 수밖에 없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유럽의 군대가 팽대화된 원인 중 하나가 네덜란드에서 스페인이 진행한 전략에 기인한 것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총독 나사우 백작 마우리츠는 테르시오에게 승리할 방법을 연구했다. 테르시오의 최대 결점은 공격에 사용할 수 없는 혹은 사용하기 어려운 점을 들 수 있었다. 여기서 마우리츠는 화기에 주목했다. 당시 화기는 명중률, 신뢰성이 낮았지만, 창방진에 대해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마우리츠는 중대의 창병을 감소시키고, 총병을 증가시켰다. 앞에 이야기한 16세기말 테르시오의 창:총의 비율은 1.5:1 이었으나, 이것을 마우리츠는 역전시켜 1:1.5 가 되게 하였다. 17세기 중반에는 네덜란드군의 화기는 계속 증가해 1:2가 되었다. 아래 16세기말 네덜란드군의 편성과 전투대형에 대해 기술하였다. 네덜란드군의 기본편성은 중대로써 정원수는 100명~150명 정도였다. 내역은 장교와 사무원 14명, 파이크병 50명, 총병 86명이었다(150명일 때). 통상 10개~20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었고,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였다. 전시에는 4개~6개정도의 중대를 조합해 대대(전대)를 만들었다. 대대는 테르시오의 결점을 불식시키기 위한 새로운 대형이었다. 전투대형으로써 테르시오의 결점은 2가지였다. 하나는 거대해서 둔중한 점. 전열의 병사가 교전할 때 후열의 병사는 가만히 있는다는 점이 2번째였다. 이런 결점을 개량해 마우리츠가 내놓은 것은 네덜란드식 대형이라 불리는 전투대형이었다. 테르시오보다 얇은 종심 10열의 창병방진을 조직하고, 그 양익 아니면 후방에 같은 종심 10열의 총병방진을 배치한 것이다. 대규모의 회전에서 이 대대를 교차해 배치한다. 실질적으로 네덜란드식 대대는 테르시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부대의 기동력 및 유연성은 향상되었으나, 반대로 방어력은 저하되었다. 그러나 마우리츠는 이것을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중기병의 위협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이전보다 방어를 중시할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거기에 마우리츠는 일제사격 전술을 발전시켜, 후방행진(카운터 마치)라고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여 장진을 실시한다. 그 사이 후열의 병사가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가한다. 이것을 되풀이 하는 것으로 인해 이론상 끊임없이 일제사격을 퍼부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복잡한 부대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훈련이 필요했다. 마우리츠는 총병의 일련의 행동을 패턴화시켜 이것을 기초로 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런 교육방법은 네덜란드식 교련이라고 불렸고, 그 효과가 높자 순식간에 각국에 파급되었다. 스웨덴.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마우리츠식 군제개혁을 더욱 발전시켰다. 구스타브 아돌프는 전국적으로 징병제를 실시해 동원 병력의 증가에 노력했다. 또한 부대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중대(中隊)안의 장교의 숫자를 대폭으로 증가시켰다. 스웨덴군의 기본단위는 중대로써 정원수는 150명이었다. 그 내역은 장교 16명, 파이크병 54명, 머스켓 총병 72명, 사무원 8명이었다. 통상 8개 중대가 1개 연대가 되어 이것을 행정상의 관리단위가 되었다. 네덜란드군과 마찬가지로 전시에 여러 개의 중대를 조합했으나, 구스타브 아돌프는 네덜란드식 대대를 개량해 스웨덴식 대대를 만들어 냈고, 이것을 상위 단위로써 여단을 창설했다. 스웨덴식 대대는 창병방진의 후방에 총병방진을 배치하고, 거기에 후방에 예비의 총병방진을 배치하였다. 3번째 총병은 언제라도 양익의 지원으로 돌릴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규모 전투시 이 대대를 복잡하게 조합한 스웨덴식 여단을 운용했다. 거기에 구스타브 아돌프는 각 여단 사이에 연대포라 불리는 경량화된 소형 대포를 배치하여 전체의 화력을 높였다. 또 구스타브 아돌프는 후방행진 이상으로 공격적인 점진(漸進)일제사격 전술이라 불리는 전술을 내놓았다. 즉 전열의 병사가 일제사격을 한다. 그 후 전열의 병사는 최후미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장진을 실시한다. 후열의 병사는 전열의 병사 앞으로 전진해 나가 일제사격을 한다. 이것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적에게 접근하면서 일제사격을 퍼붓는 것이다. 첨진일제사격 전술은 적의 대열을 격파할 가능성을 총병에게 주었다. 또한 구스타브 아돌프는 기병, 포병에도 개혁을 실시했다. 전투시 스웨덴 기병은 카라콜을 이용하지 않고, 발도돌격전술(사벨 차지)을 사용했다. 이것은 잃어버렸던 기병의 타격력을 어느정도 회복시킬 수 있었다. 또 기병에게 머스켓 총병의 소부대를 참가시켜, 기병의 화력을 크게 높였다(다만 기동력은 떨어졌다). 포병의 보충은 구스타브 아돌프가 특히 힘을 기울였던 점이다. 30년 전쟁에 참가한 1630년 시점에서 스웨덴군은 타국에 몇배에 달하는 포병을 가지고 있었다. 거기에 보병지원을 위해 연대포를 개발한 것은 위에 언급했다. 스웨덴군이 특히 걸출했던 점은 이들 보병, 기병, 포병을 단독의 병과가 아닌, 조합하여 운용했던 점이다. 이런 운용방법을 삼병전술이라 불리었다. 1631년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삼병전술을 이용한 스웨덴군은 황제군의 스페인 방진을 격파했다. 스웨덴식 군제개혁은 네덜란드식 군제개혁과 마찬가지로 대단한 영향을 끼쳤다. 테르시오가 스페인 방진을 폐지하고 새로운 대형을 개발한 것은 1635년의 일이었다. 이것은 스페인 방진과 스웨덴식 대대를 합성한 것이다. 프랑스. 이탈리아 전쟁이래, 프랑스는 스페인의 주적이었다. 16세기초엽은 테르시오에 의해 스페인이 우위에 섰으나, 얼마안가 프랑스는 이 군제를 모방해 대항했다. 다만 프랑스군은 의연히 중기병을 군대의 중핵으로 삼았다. 17세기에 이르자, 프랑스는 네덜란드식 군제개혁을 진행해 나갔다. 여기서도 기병을 중시한 프랑스군은 중기병, 경기병, 용기병을 조합해 효과적으로 사용했다. 1643년 로크루아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스페인군의 테르시오를 격파했다. 브라이텐펠트 전투와 다르게 본가 스페인의 테르시오를 격파한 것으로 결정적으로 그 가치를 저하시켰다. 그 후도 테르시오는 개량을 하면서 계속 사용되었으나, 1704년 루이 14세의 손자 펠리페 5세가 테르시오를 대신해 연대와 대대의 편성을 채용함으로써 기어코 테르시오는 소멸했다. 참고자료. 일본위키 참고문헌입니다.
319869
82597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69
서남 아시아
319870
2063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0
에스파냐 제국
319873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3
경신성사성
경신성사성(敬信聖事省, )은 동방 가톨릭교회와는 뚜렷하게 다른 라틴 전례의 거행과 관련된 직무 대부분과 기독교 성사들에 대한 몇 가지 법적인 문제들을 담당하는 로마 교황청의 심의회이다. 경신성사성의 전신은 교황 비오 10세가 1908년에 설립한 ‘성사규율성성(Sacra Congregatio de Disciplina Sacramentorum)’이다. 1975년에는 ‘전례성성(Sacra Rituum Congregatio)’ (1588-1969)에서 담당했던 전례 문제에 대한 책무를 위해 1969년에 설립한 ‘경신성성(Sacra Congregatio pro Cultu Divino)’과 기능이 통합되어 ‘의전성(Congregatio de Sacramentis et Cultu Divino)’라는 새 이름을 부여받았다. 1984년에서 1988년 동안에는 같은 장관을 두고 ‘성사성(Congregatio de Sacramentis)’과 ‘경신성(Congregatio de Cultu Divino)’으로 잠시 분리되었다. 1988년 6월 28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공표한 사도적 헌장 《착한 목자》(Pastor Bonus)에서는 경신성사성의 직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319874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4
경로당
경로당(敬老堂, ) 또는 노인정(老人亭)은 마을 노인들이 모여 즐길 수 있게 마련한 집이나 방이다. 노인들이 이 곳에 모여 장기나 바둑을 두거나 모임을 갖기도 한다. 미합중국에서는 수많은 도시에 지역 기금 지원을 받는 경로당이 있으나 일부는 주와 연방으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활동. 활동은 경로당에 따라 다양하며 경로당과 기금 지원의 규모에 기반한다. 활동에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319875
2983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5
웰컴 투 코미디
319877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7
김일엽 (야구 선수)
김일엽(金一燁, 1979년 11월 15일 ~ )은 KBO 리그 전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의 투수이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시절.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의 고졸우선지명을 받았으나 단국대학교 (1998학번)에 진학했고 투수 이승학과 함께 2001년 3월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85만 달러에 입단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2001년 외에는 제대로 뛰지 못했고 어깨 회전근 부상으로 2003년 5월에 방출당했다. 롯데 자이언츠 시절. 귀국 이후 수술을 반복하여 재활하였고 방위산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복무하던 중에 KBO 리그 복귀 유예 기간 규정이 지나 대한민국에서 활동이 가능해졌고 방위산업체 근무를 마친 후 2007년 1월 4일에 롯데 자이언츠에 신고선수로 입단 하였으며, 주로 중간계투로 등판했다. 1군에는 2008년부터 올라오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2승 1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 3.21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시즌에 들어서는 선발 투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한시적으로 선발 보직도 겸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아 2009년에는 승리 없이 5패, 평균자책 7.36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9년 6월 21일에 있었던 KIA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장했음에도 단 1이닝도 버티지 못하고 5실점하여 강판되었다. 2012년에는 1군 1경기에 그쳤고 그마저도 대량 실점하여 평균자책 40.50을 기록한 후 방출되었다. 경기가 잘 풀리지 않으면 땀을 비오듯 흘리는 경향이 있어 '대한민국 땀은 지가 다 흘린다'라는 속설이 있다. 한화 이글스 시절. 2012년 11월 한화 이글스에 입단 테스트를 받아 이적했으며, 개막전 엔트리에도 포함됐다. 하지만 4월에 1군 7경기에 등판한 게 전부가 되었고, 시즌 후 한화 이글스에서 방출당했다.
319879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79
영덕읍
영덕읍(盈德邑)은 오십천의 좌안에 있는 영덕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319880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0
은행간 외환거래
은행간 외환거래 시장(Interbank foreign exchange market)은 협의의 외환시장을 말한다. 환은행 거래 사이에서 환 중매인을 통하여 자금 조정을 위해 환 (외화)을 매매하는 것이다.
319881
1476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1
큰곰자리 운동군
319882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2
바실리 레온티예프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레온티예프(, , 1905년 8월 5일 ~ 1999년 2월 5일)는 독일에서 태어난 미국의 계량 경제학자로 하버드 대학교의 교수를 지냈다. 레온티예프 역설과 레온티예프의 법칙으로 유명하며, 미국의 경제를 수십 개의 경제 부문으로 나누고 그 사이에 있는 재(財)의 상호 교류 관계를 일종의 경제표(산업 연관표)로 정리하였다. 1973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319883
1476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3
복사 압력
319884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4
변종인 묘와 신도비
변종인 묘와 신도비(卞宗仁 墓와 神道碑)는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산 63-7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인 변종인(1433~1500) 선생의 묘와 신도비이다. 1986년 4월 29일 부천시의 향토문화재 제1호 변종인 신도비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5월 2일 변종인 묘와 신도비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개요.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恭莊公 卞宗仁 神道碑)는 부천시향토유적 제1호로 소재지는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수주로 64-1(고강동 산 63-9번지)이다. 이 신도비는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능골에 위치하고 있다. 비좌는 문갑 무늬를 장식하였고, 옥개는 변종인 무인이었기 때문에 투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문은 대제학을 지낸 명문장가 성현이 지었으며, 백대리석의 재료를 쓴 비신의 높이는 154cm이고, 폭은76cm, 두께는 20cm이다. 신도비의 주인공인 변종인은 세종 15년(1433) 이조참판에 추중된 밀양 변씨 예생과 배천 조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었으나 스스로 무예를 열심히 닦아 1452년 5위에 속한 군대인 충순위에서 벼슬을 시작으로 궁내의 경비를 맡는 내금위, 당상관(정3품), 중추부에 소속된 첨지사(정3품), 중추부에 소속된 동지사(종2품), 자헌대부(정2품)까지 올랐으나, 다음달 말일에 사임의사를 표시하였다. 연산군 5년(1499) 여름에 순변사로 함경남도에서 변방을 구축하다 이해 과로로 인하여 풍질이 생겨 다음 해인 1550년 3월 대청에서 타계하니 그 때 나이 68세였다고 한다. 변종인의 시호는 공장(恭莊)이다. 이러한 시호를 내리게 된 이유에 대해 왕조실록에는 일을 조심스럽게 하고, 임금 섬기기를 공손이 하여 ‘공’이고 적을 이기고 뜻이 강하였으므로 ‘장’이라 하였다. 또한 그는 성품이 관후하고 외모가 준수하였으며, 다른 사람이 비록 자기의 뜻을 거슬리더라도 교제를 끊지 않았고, 직무에 임해서는 부지런하고 삼갔으며 가는 곳마다 공적이 있었다고 하였다. 대제학 성현이 지은 신도비문에 의하면 변종인은 선품이 관후하고 생각함이 남에게 얽매이지 않았다. 벼슬을 지내고 정사에 임해서는 바른 것을 지키고 아부하지 않았으며, 여러 차례 중직을 역임하면서 조치를 잘 하였다. 일이 있을 때마다 힘을 다하였으며 평생 바른 말을 하고 행함에 흐트러짐이 없었다. 사람을 대할 때에 항상 화기를 띄고 집에 있을 때에 자신에 엄격하고, 청탁을 행하지 않고 담백하였다. 또한 후손들에게 청백함을 본받도록 일렀으며, 공적인 일을 위해 사사로움을 버리도록 교육하였다. 변종인은 여러 사람을 정성껏 도와주고 몸소 무예를 닦아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으며 병법에 능통하였다. 예(藝)를 즐기며 시를 돈독히 하고, 청백하고 검소함을 스스로 준수하여 자손들로 하여금 귀감을 삼도록 하였다.
319885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5
변종인신도비
319888
2216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8
최희섭 (사회복지사)
최희섭 (崔嬉涉, 1919년 ~ 1998년)은 재단법인 북성육성회 이사장으로 사회봉사활동에 전념한 인물이다.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평생 사랑과 헌신의 발자취를 남겼고 기아에 허덕이는 방글라데시 어린이들을 돕는 데도 앞장섰다.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산 2필지 9,429평(시가 5억원 상당.)을 부천시에 기부채납하여 공원조성의 기반을 마련하게 하였다.
319889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89
반월국가산업단지
반월국가산업단지(半月國家産業團地) 또는 안산스마트허브()는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과 경기도 각지에 산재한 중소기업, 공해업체의 공장들을 안산시 단원구 일대에 이전, 계열화하여 육성할 목적으로 조성된 산업단지이다. 특징. 다른 산단과는 달리 주거, 교육, 생활 환경 등 여러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인구 30만 명 규모의 도시를 함께 개발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업종. 자동차, PCB, 전자부품, 섬유염색, 제지, 화학, 기계 개요. 전체 면적 1,75 계획이 1977년 6월에 확정 고시되었는데, 내용은 공업지역 247만 평, 주거 및 상업지역 525만 평, 녹지지역 767만 평 등을 조성하는 것이다. 같은 해에 착공하여 1987년 완공을 목표로 공사를 추진하여 오던 중 총 사업비 4,394억 8,000만 원 가운데 932억 3,000만 원이 집행된 1981년 말 당시에 350개 업체가 이미 입주하였다. 1년이 경과한 1982년 11월에는 부지 22만 4,000평이 추가로 조성되었고 그중 86%가 분양되었으며, 공장 입주 계약을 체결한 업체도 총 400여 개 곳에 달하였다. 교통. 군포시 및 시흥시로 이어지는 도로의 확·포장 공사도 1988년에 완공되었고 또한, 약 340km에 이르는 서해안고속도로가 서울에서 안산을 경유하여 목포까지 연결할 계획으로 1991년에 착공하여 2001년에 완전 개통되었다. 또한 평택시흥고속도로는 공단을 관통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인천과 강릉을 잇는 영동고속도로 이용도 가능하다. 광역 철도 안산선 및 서해선이 연계되어 있어 수도권 전철을 통해 서울과 왕래가 가능하고, 인근 시들과 이어지는 시내·외 버스 노선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319890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90
반월공단
319891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91
라미레스
라미레스(Ramírez)는 스페인의 성이다.
319893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93
앙헬 폭포
앙헬 폭포(, , )는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주의 카나이마 국립공원에 있는 폭포이다. 엔젤 폭포라고도 한다. 총 높이 979m, 최대 낙차 807m, 너비 150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폭포이며 유수량이 적을 때는 물이 바닥에 떨어지기 전에 안개가 되어 날아가기도 한다. 거의 수직으로 떨어지는 폭포로 1910년 베네수엘라의 탐험가 에르네스토 산체스 라 크루즈()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1933년 11월 18일, 비행기로 광물자원을 탐사하던 지미 엔젤()에 의해 재발견되어 널리 알려졌고 폭포의 이름도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
319894
4726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94
앤젤 폭포
319895
4726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895
엔젤 폭포
319900
1270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00
파트릭 비에이라
319901
3326769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01
작은 인어상
작은 인어상()은 덴마크 코펜하겐 랑겔리니의 해안 바위에 설치된 인어 상이다. 높이는 1.25m이며, 무게는 175kg이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 인어공주에서 동기를 얻어, 1913년 에드바르드 에릭센(Edvard Eriksen)이 제작했다. 머리는 덴마크의 유명 발레리나인 엘렌 프리세를 모델로 하여 만들었지만, 몸 부분은 프리세가 누드 모델이 되는 것을 거부하여 작가의 부인인 엘리네 에릭센이 모델이 되었다.
319905
1270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05
스트린드베리
319907
32893837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07
살리타이
살리타이(, , ? ~ 1232년)는 몽골 제국의 장군이다. 몽골 잘라이르부 출신이며 궁술에 능하여 칭기즈칸의 신임을 받았다.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코르치(Qorchi, 豁儿赤)라는 별명이 있다. 그의 이름 살리타는 '눈이 쌓인 산봉우리'라는 뜻이다. 1231년에 몽골의 사신 저고여가 고려 사람에게 피살되었다는 이유로 고려에 쳐들어왔다가 귀주에서 박서에게 패하였지만, 다시 개성 성의문 밖까지 쳐들어왔다. 고려 조정의 제의로 화해를 맺고 철수하였다. 그러나 고려가 서울을 강화로 옮기고 싸울 뜻을 보이자, 이듬해 다시 쳐들어와 처인성 전투에서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 승려인 김윤후에게 사살 당하였다.
319908
61983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08
진 헌공 (24대)
진 헌공 (秦獻公362, 기원전 424년 ~ 기원전 362년)은 중국 전국 시대의 진나라의 제24대 군주(재위:기원전 384년 ~ 기원전 362년)이다. 성은 영(嬴), 이름은 사습(師隰), 혹은 연(連)이다. 전국 시대 당시 6국에게 멸시받던 나라의 부흥을 위하여 힘을 쏟았다. 옹성(雍城, 산시 성 바오지 시 펑샹 현 경내)에서 약양(櫟陽, 산시 성 시안시 옌량 구)으로 도읍을 옮기고 동방경략(東方經略)을 꾀하였다. 상황. 당시 진나라는 나머지 6국에 비해 서쪽에 치우쳐져 있었으며, 가장 힘이 약한 나라였다. 당시 7개국 중 패권국이었던 위나라와는 매해 전쟁을 거듭하던 상태였다. 헌공은 진나라에 남아있던 악습인 순장(또는 순사) 풍습을 없애고 도읍을 악양으로 옮겼다. 하서지방 공략에 힘을 쏟았다. 훗날 하서수복전을 전개하다 위군이 쏜 독화살에 맞는 중상을 입었고, 회복하지 못하고 끝내 숨을 거두었다. 두 아들 중 둘째 아들인 거량에게 공위를 물려주었고, 이는 진나라 부흥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319910
5203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0
구웨이준
319911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1
AAA (음악 그룹)
AAA(, Attack All Around)는 5명의 멤버로 구성된 일본의 혼성 음악 그룹이다. 에이벡스 (avex trax) 소속. 2005년 9월 14일, 싱글 《BLOOD on FlRE》로 데뷔했다. 그룹의 정식 명칭인 Attack All Around는 “모든 것에 도전한다”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319912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2
크리스티안 4세
크리스티안 4세(, , 1577년 4월 12일 ~ 1648년 2월 28일)는 덴마크의 국왕이자 노르웨이의 국왕(재위: 1588년 4월 4일 ~ 1648년 2월 28일)이다. 생애. 힐레뢰드에 위치한 프레데릭스보르 성에서 프레데리크 2세 국왕과 그의 아내인 메클렌부르크의 조피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588년 프레데리크 2세 국왕이 사망하면서 덴마크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즉위 당시에는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추밀원이 국정을 수행했다. 1596년 8월 29일 코펜하겐 성당에서 대관식을 거행하면서 친정을 시작했다. 친정 시작과 함께 국방 개혁, 경제 개혁에 착수했다. 특히 유럽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던 중상주의 정책을 도입하면서 덴마크의 해외 교역을 확대했다. 1616년에는 덴마크 동인도 회사의 설립을 승인했고 1620년에는 인도 남부 연안에 위치한 타랑감바디(Tarangamabadi)에 덴마크 최초의 식민지가 설립되었다. 크리스티안 4세는 네덜란드 출신 기술자의 지도를 통해 새로운 요새들을 건립했다. 덴마크 해군이 보유했던 함선은 1596년 당시에 22척에 불과했지만 1610년에는 60척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몇몇 함선들은 크리스티안 4세가 직접 디자인했다. 덴마크 육군은 주로 용병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덴마크 왕실이 소유한 토지에서 징집한 병사들을 추가로 기용했다. 덴마크는 1611년부터 1613년까지 발트 해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하고 있던 스웨덴과의 칼마르 전쟁을 치렀다. 칼마르 전쟁에서 승리한 덴마크는 1613년 1월 21일에 체결된 크네레드 조약에 따라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 국왕으로부터 수많은 배상금을 획득하는 대신에 전쟁 기간 동안에 덴마크가 점령했던 토지를 스웨덴에게 반환하게 된다. 독일 북부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우위를 점하면서 덴마크에게는 큰 위협으로 작용했다. 30년 전쟁이 진행 중이던 1625년 5월 9일에는 자신이 지휘하는 덴마크 군대를 파견했지만 신성 로마 제국 군대에게 패배하고 만다. 덴마크는 강한 해군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큰 위기를 면했고 영토를 상실할 위기에서 벗어나게 된다. 1629년 5월 뤼베크에서 체결된 평화 조약에 따라 덴마크는 철수하게 된다. 1643년부터 1645년까지 일어난 토르스텐손 전쟁에서는 신성 로마 제국과의 동맹 관계를 수립했지만 스웨덴에게 패배하고 만다. 이를 계기로 덴마크는 발트 해에서의 세력을 상실하게 된다. 1648년 2월 28일 코펜하겐에 위치한 로센보르 성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자녀. 첫 번째 아내 브란덴부르크의 안나 카타리나와의 사이에서 6명의 자녀를 두었다. 안나 카타리나와 사별한 뒤, 두 번째 아내 키르스텐 뭉크와 귀천상혼하여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두 명을 포함해 12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 자녀들에게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백작(또는 백작부인)의 칭호가 주어졌다. 이 외에도 세 명의 애인을 통해 다섯 명의 서자를 두었다.
319913
1270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3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
319914
5203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4
구웨이쥔
319916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6
마리오 카트 어드밴스
《마리오 카트 슈퍼서킷》() 또는 마리오 카트 슈퍼 서킷(Mario Kart Super Circuit)은 닌텐도의 자동차 경주 게임으로, 2001년 일본에서 먼저 발매되었고, 그 뒤에 미국, 유럽 연합,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차례로 발매되었다. 이 게임에서는 슈퍼 마리오 카트의 코스가 재등장한다.
319918
3283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18
AAA (밴드)
319923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23
전장의 발큐리아 (비디오 게임)
전장의 발큐리아(, )는 세가 와우의 오버웍스에서 제작하고, 세가에서 2008년 4월 24일에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3용 전술 롤플레잉 게임이다. 세가에서 개발한 캔버스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게임의 분위기가 엔진의 이름처럼 캔버스에 그린 그림같이 연출되었다. 세계관. 게임은 실제의 유럽 대륙을 배경으로 하되, 가상 세계의 유럽 대륙을 무대로 하고 있다. 등장인물. 성우는 게임/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의 순서. 특기 없는 것 경우는 양 작품품 공통. 가리아 공국. 의용군 제 3 중대. 특기가 없는 사람은 제7 소대의 대원. 이디 분대. 추가 시나리오에 의한 예외편에 등장.본대를 놓친 대원들이 임시에 만든 만큼 대.제국군이 마을을 덮치는데 우연히 만나, 이디가 의욕에 넘치고 분대장을 자칭하기 나왔다. 분대 멤버의 5명은 인기 투표의 상위 5명과의 일[3].애니메이션에서도 린을 제외하고 초반부터 등장하고 있다. 관련 매체. 애니메이션. 애니플렉스와 A-1 픽쳐스에 의해 애니메이션로 제작되어 2009년 4월 4일부로 도쿄 MX를 포함한 전국 독립UHF방송 협의회에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2쿨 단위의 26화로 방영이 끝날 예정이다. 만화. 현재 엔터브레인에서 연재중인 키토 엔의 《전장의 발큐리아》(2008년 7월호 시작)와 가도카와 쇼텐에서 연재중인 토키토 큐세이의 《전장의 발큐리아 -wish your smile-》(2008년 12월호 시작)의 두 개의 만화가 있다.
319932
880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32
전장의 발키리아
319942
66951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42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CCHF)은 1844년 크림전쟁에 참전했던 러시아 군인들 사이에서 처음 나타난 바이러스성 출혈열의 일종이다. 증상으로는 발열, 근육통, 두통, 구토, 설사, 점상출혈 등이 발생한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2주 내로 발병한다. 합병증으로 간부전이 생길 수도 있다. 처음에 생존한다면 발병 후 2주 후에 점차 회복된다.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바이러스는 진드기에 의해 물리거나 감염된 가축과 접촉함으로써 전염된다. 따라서 농부나 도축장 근로자들이 이 질병에 감염되기 쉽다. 체액에 의해 전파될 수도 있다. 진단은 항체나 바이러스 RNA, 혹은 바이러스 자체를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열 증상을 보인다. 진드기에 의해 물리지 않도록 조심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백신은 입수하기 힘들다. 주로 지지적 치료를 행하며, 리바비린 역시 도움이 될 수 있다. 아프리카, 발칸반도, 중동, 아시아에서 발생한다. 종종 집단발병이 일어나기도 한다. 2013년에는 이란, 러시아, 터키, 우즈베키스탄에서 50명 이상이 감염되었다. 사망률은 10%에서 40% 사이이다. 1940년대에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원인. 바이러스학. RNA 바이러스의 일종인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바이러스("Crimean-Congo hemorrhagic fever orthonairovirus;" CCHFV)가 질병의 원인이된다. 비리온의 직경은 80nm에서 120nm 사이의 값을 가지며, 다형태성 역시 띈다. 비리온 내에는 리보솜이 존재하지 않는다. 각 비리온은 유전체 복사물을 세 개씩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 외피는 5nm 두께의 지질 이중층 한 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출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외피 단백질은 5~10nm정도 튀어나와있다. 200~3000nm 정도의 섬유성 캡시드가 동그랗게 말려있다. 뉴클레오린을 통해 숙주 세포 내로 침입한다. 유전체. 소형(S), 중형(M), 대형(L)의 세 부분으로 나뉘는 음성 RNA를 유전체로 보유하고 있다. L 조각은 11~14.4 kb, M 조각은 4.4~6.3 kb, S 조각은 1.7~2.1 kb의 길이를 가진다. L 조각에는 RNA 중합효소가, M 조각에는 당단백질(Gc, Gn)이, S 조각에는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이 암호화되어있다. 각 조각은 매년 , , 개의 염기에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전염. 진드기가 자연상태의 숙주이자, 사람과 가축에게 질병을 옮기는 매개자가 된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진드리종으로는 "Argas reflexus", "Hyalomma anatolicum", "Hyalomma detritum", "Hyalomma marginatum marginatum", "Rhipicephalus sanguineus"가 있다. 이란 동남부 지역에서는 피참진드기속("Haemaphysalis")과 히알로마("Hyalomma")에서 최소 31개 종이 이 바이러스를 옮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숲멧토끼, 중앙아프리카의 고슴도치, 다유방쥐속 등의 야생동물들이 이 바이러스를 증폭시키는 숙주로 작용한다. 타조를 제외한 조류들은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하고 있다. 양, 염소, 소 등의 가축들은 혈액에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보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혈열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히알로마 진드기가 인간을 물 때 비로소 우발적인 감염이 발생한다. 동물 역시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으나 보통 질병군중의 하나로 나타난다. 질병군은 보통 감염된 가축, 특히 반추동물이나 타조 등을 도축하거나 섭취할 때 나타난다. 도축장에서 주로 집단발병이 일어나며,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의 피에 노출된 사람들에게서도 집단발병이 나타날 수 있다. 오염된 의료시설 등을 통해 사람간 전염이 발생한다. 임상적 특징. 통상, 매개체(vector)인 진드기에게 물린 후 1~3일, 바이러스에 오염된 혈액이나 조직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5~6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상은 1주일 내에 사라지지만, 75% 이상의 환자들이 증상 발현 3~5일 후 출혈 경향을 주로 하는 중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기분 변화, 흥분, 혼란, 목의 점상 출혈반이 CCHF로 발전했을 때의 초기 증상이다. 곧이어 비출혈, 혈뇨, 토혈,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간부전, 범발성 혈관내 응고(DIC), 신부전이 뒤따를 수도 있다. 보통 증상 발현 9~10일째가 되면 호전되기 시작한다. CCHF의 외출혈 경향은 일반적인 VHF들 중 가장 격렬한 편이다.
319946
33060176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46
오줌싸개 소년
오줌싸개 소년()은 오줌누는 소년을 본뜬 동상, 분수이다. 1619년 제롬 듀케뉴아가 만든 높이 약 60cm의 청동상이다. 여러 차례 도난 당하는 수난을 겪었고, 현재 설치되어 있는 동상은 1965년 복제본이다. 원래의 동상은 그랑플라스의 브뤼셀 시(市) 박물관(Maison du Roi/Broodhuis)에 보관되어 있다. 이 동상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14세기에 프라방드 제후의 왕자가 오줌을 누어 적군을 모욕했다는 설이 유명하다. 현재 세계 각국으로부터 옷을 보내어 옷을 입혀놓는 퍼포먼스를 벌이기도 한다. 오줌싸는 자세는 오른손으로 허리, 왼손으로 성기를 잡고있다.
319947
3323003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47
타임스 스퀘어
타임스 스퀘어()는 미국 뉴욕 미드타운 맨해튼에 있는 유명한 상업적 교차로로, 웨스트 42번가와 웨스트 7번가가 합쳐져 만난 세븐스 에비뉴(Seventh Avenue)와 브로드웨이가 교차하는 일대를 말한다. 타임 스퀘어는 브로드웨이의 극장가가 환하게 빛나는 중심지이고,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보행자용 교차로 중 한 곳이며, 세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지 로 "세계의 교차로", "우주의 중심", "불야성의 거리" 라는 별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Travel + Leisure"의 2011년 10월 조사에 따르면 세계의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한 명소로, 타임 스퀘어는 매년 3,9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온다고한다. 타임 스퀘어는 매일 약 3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지나가는데, 대부분 관광객이거나 뉴욕 지역에서 업무를 보는 사람들이다. 예전에는 롱에이커 스퀘어(Longacre Square)였던 장소였는데, 1904년 4월 《뉴욕 타임스》의 본사가 이쪽으로 이동하면서 타임 스퀘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때 이후로 건물 주소를 따라서 원 타임스 스퀘어라고 불리는 뉴욕 타임스의 사옥은, 새해가 될 때마다 볼 드랍 행사가 열린다. 역사. 19세기 말 타임스 스퀘어는 말 거래업자, 마구간, 마차 등으로 붐비던 곳이었는데, 1899년 오스카 헤머슈타인이 이곳에 최초로 극장을 세우면서 브로드웨이공연문화가 시작되었다. 타임스 스퀘어와 인근 지역은 공연장, 극장, 상점, 뉴스 가판대, 술집, 음식점 등이 집중되어 미국에서 가장 번화하고 분주한 번화가가 되었다. 타임스 스퀘어가 지금에 모습을 갖추기 이전인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범죄 소굴이었으며, 성인영화관, 성인용품 상점, 스트립스 공연장이 즐비하던 곳이었다. 하지만 뉴욕주와 시 당국은 재개발을 추진하였고, 오늘날 같이 많은 새로운 공연장, 호텔, 음식점, 대규모 상점들이 들어서면서 재정비되었다. 뉴욕주와 정부는 타임스 스퀘어 재개발 계획은 1982년에 처음으로 수립이 되었다. 극장밀집지역을 제외하고 평지처럼 깨끗이 정리한 다음에 4개의 초고층건물, 대형시장, 호텔을 신축할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정치인이나 건설회사에게는 환영이 되었지만, 뉴욕시민들에겐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결국 비판자들과 정치인, 건설회사와 논란이 일어나게 되고, 법정 공방으로 이어지게되었다. 그리고 1990년 마침내 뉴욕주 정부는 44개의 법원 소송에서 승소함으로써 본격적인 재개발에 돌입하게 되었다. 1993년 재개발계획이 확정되었고, 1995년에 1,140만 달러를 투입해 청소년 전용극장인 뉴 빅토리 극장이 개장했다. 이 청소년 극장이 개장함으로써 150개 이상인 성인용품 가게는 자연스럽게 문을 닫게 되었다. 타임스 스퀘어 재개발 계획은 건축가 로버트 스턴, 청소년 극장의 소유주인 월트 디즈니사 (社)에 공이 컸다. 이로 인해 디즈니를 필두로 건전한 업체의 입주가 쇄도하는 결과를 보였다. 관광. 타임스 스퀘어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들 중 하나로, 매일 36만명에 달하는 관광객들이 타임스 스퀘어를 방문하고, 매년 기준으로 환산할 시 1억 3천1백만 명이 이 곳을 다녀간다. 라스베이거스를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찾는 관광명소이기도 하며, 이렇게 거대한 인구 유동성으로 인하여 엔터테인먼트와 호텔 사업에서 매년 50억 달러에 달하는 수입을 창출하고 있다. 신년 행사. 타임스 스퀘어에서는 매년 12월 말 볼 드랍(Ball Drop)행사가 열린다. 대략 1백만 명에 달하는 관광객들이 이 행사를 보기 위하여 타임스 스퀘어를 찾으며, 이는 평소 관광객에 2배에 달하는 인원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1999년 12월 31일, 1900년대의 마지막 연말 행사에는 거의 2백만 명에 달하는 관광객들이 이 곳을 방문했다고 추정된다. 이로 인하여 6번가에서 8번가, 브로드웨이에서 세븐스 에비뉴에 달하는 거의 대부분의 거리에 사람들이 꽉꽉 들어찼고, 이는 1945년에 세계 2차 대전이 끝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인 것을 능가하는 수치이다.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볼 드랍'은 1907년 12월 31일에 처음으로 시작했다. 이후 그때부터 타임스 스퀘어에서 뉴욕 주최 신년 기념 행사가 열리기 시작했다. 12월 31일 밤에는 LED로 화려하게 장식된 공이 새해 1월 1일 0시에 맞추어 빌딩 꼭대기에서 아래로 내려오는데, 이를 볼 드랍이라고 한다. 원래 1904년에서 1906년까지는 빌딩 꼭대기에서 화려한 불꽃놀이가 함께 펼쳐졌으나, 화재의 우려로 인하여 결국 사라졌다. 2차 세계대전 시기에는 공습의 우려로 밤에 불을 환하게 키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교회의 종소리가 볼 드랍 행사를 대체하였다. 현재는 2021년부터 대한민국의 자동차 브랜드인 KIA가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319948
4726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48
타임스스퀘어
319949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49
건륭대제
건륭대제 (, )는 홍콩 TVB의 드라마이다. 고천락이 주연인 드라마이며, 감독은 장건문이다. 주제곡은 유덕화의 풍운색변이다.
319950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0
소닉 어드벤처 2
소닉 어드벤처 2(,)는 2001년 6월 23일에 세가의 간판 게임 시리즈인 소닉의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게임이다. 세가에서 발매하였고 제작은 소닉팀이 담당하였다. 이 게임은 드림캐스트 게임으로 발매되었다. 개요. 소닉 어드벤처의 속편이나, 전작과의 내용상 관련은 거의 없다. (대사 중에 전작과 연관되어 있는 내용이 단편적으로 언급되는 정도고 스테이지 중간중간에 빅이 재미거리로 나온다.) 플레이어 캐릭터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6명이지만, 2p 플레이에서는 좀 더 늘어난다. 어드벤처 필드는 삭제되었다. 또한 새로운 캐릭터로 섀도우 더 헤지호그와 루즈 더 뱃이 등장하였다. 줄거리. 히어로 사이드. 소닉은 길을 걸어가다 영문을 모른 채 G.U.N(Guardian Units of Nation)에게 헬기로 감옥으로 수송되던 도중, 간신히 헬기를 탈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망치다, 자신과 닮아서 감옥에 갇히게 만든 범인 섀도우 더 헤지호그를 만나게 된다. 그는 소닉에게 자기 소개를 하다 G.U.N이 오자, 카오스 컨트롤로 도망치게 되고, 결국 소닉은 다시 잡혀서 감옥에 수감되게 된다. 그러나 테일즈가 감옥 바깥의 에그맨을 무찌르고, 에이미가 감옥에 쳐들어와서 소닉을 탈옥시킨다. 감옥이 있는 그 섬을 도망치다가, 섀도 더 헤지호그를 만나게 되었고, 둘이 겨루다 에그맨의 호출로 인해 섬을 폭발시킬 것임을 알아냈다. 그래서 그들은 섬을 탈출하였고, 에그맨의 위협 방송을 듣고, 저지하러 ARK로 간다. 다크 사이드. 에그맨은 G.U.N.의 네트워크를 해킹한 이후, G.U.N에게 비밀 병기가 있음을 알아챘다. 그래서 G.U.N.의 기지로 쳐들어가서 비밀 병기 캡슐의 봉인을 해제했으나, 소닉인 줄 알고 착각하였지만, 그것이 아님(말하자면 섀도우)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섀도우는 에그맨을 생포하려는 로봇을 부수고 별을 파괴하는 기계인 "이클립스 캐논"이 존재함을 알려주었다. 그래서 에그맨은 별을 부술 수 있을 정도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아 사막의 발사 기지로 가서 ARK로 이동해간다. 그리고는 ARK에서는 달을 반쯤 부수는 내용을 포함한 방송을 지구 상에 내보내 위협을 한다. 그리고 에그맨은 지상으로 내려와 GUN의 기지인 프리즌 아일랜드를 파괴하고 ARK로 카오스 에메랄드를 가져온다. 라스트 사이드. 에그맨은 자신이 모은 모든 카오스 에메랄드를 ARK에 넣는다. 그러자마자, ARK가 지구를 향해 발사 준비를 하기 시작한다. 자신의 할아버지인 프로페서 제럴드 교수가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두 모으면 ARK가 지구를 부수도록 설계했던 것을 알아차버린(느려.) 에그맨은 소닉과 함께 캐논즈 코어에 가서 막기 시작한다. 그러나, 섀도우는 캐논즈 코어에 가서 그 일에 동참하지 않았다. 하지만 에이미가 섀도우를 설득해서(이때 섀도우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눈물을 흘림.), 결국 섀도우는 함께 바이오리자드를 공격해 바이오리자드를 막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자, 바이오리자드가 바이오하자드로 진화하기 시작했고, 섀도우는 소닉과 함께 슈퍼 섀도우와 슈퍼 소닉으로 변신해 바이오하자드를 사망시켜, 지구를 파괴시키는 것을 막았다. 그리고 섀도우는 소닉과 함께 카오스 컨트롤로 추락하는 ARK를 이동시킨다. 그 뒤, 섀도우는 기력이 다해 지구로 떨어졌다(다행히도 이 캐릭터가 생각보다 인기가 많아져서 후속작에서 부☆활함). 게임 시스템. 싱글플레이. 스토리 모드에서는 히어로 사이드와 다크 사이드의 어느 한 진영을 선택하여 진행해 나가게 된다. 히어로 사이드에는 소닉, 테일즈, 너클즈가, 다크 사이드에서는 섀도, Dr.에그맨, 루즈가 각각 소속되어 있으며, 게임 진행에 따라 조작 캐릭터는 자동으로 바뀐다. 소닉과 섀도는 전형적인 소닉 시리즈의 진행방식이며, 테일즈, 에그맨은 록온을 하며 스테이지를 클리어 해가는 전작의 감마와 비슷한 형식이다. 하지만, 시간 제한은 없다. 너클즈와 루즈는 전작과 같이 너클즈가 깨버린 에메랄드를 모으는 식으로 스테이지를 클리어 해간다. 소닉 어드벤처2에 있는 모든 엠블럼을 모으면 스페셜 스테이지인 그린 힐()이 열린다. 그리고 다크 진영과 히어로 진영을 모두 클리어하면 라스트 진영이 열린다. 멀티플레이. 멀티플레이는 2인 플레이만 지원된다. 각 캐릭터마다 승부를 겨루는 방식이 다른 데, 닥터 에그맨과 테일즈는 누가 먼저 쓰러뜨리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루즈와 너클즈는 누가 먼저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두 찾아내는지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또한 소닉과 섀도는 누가 먼저 골에 도착하는지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멀티플레이 시에만 사용 가능한 캐릭터 또한 존재한데, 성능은 같으나 소닉 어드벤처 2 : 배틀에서는 성능이 바뀐다. 챠오 월드. 소닉 어드벤쳐 1와 DX는 타운에서 챠오 가든으로 가야 챠오를 키울수 있는데 이 게임에서는 스테이지에서 키를 얻어야만 한다. 키는 챠오박스에 있다. 스테이지. 히어로 사이드- 다크 사이드- 소닉 어드벤처 2 : 배틀. 소닉 어드벤처 2: 배틀은 게임큐브판으로 리메이크한 게임이다. 전작과 차이점이 있다면 배틀 기능 강화, 스테이지 부분 수정, 그래픽 성능 향상 등이 있다. 또한 GBA로 발매된 소닉 어드밴스와 연동하면 챠오 월드에 있는 챠오를 데리고 갈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319951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1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여사(Dame Elisabeth Schwarzkopf, DBE, 1915년 12월 9일 ~ 2006년 8월 3일)는 독일 출신의 소프라노 성악가이다. 생애. 당시 프로이센 왕국의 영토였던 폴란드의 야로친(Jarocin)에서 태어났다. 베를린 예술대학교에서 룰라 뮈즈그마이너에게 사사하였는데, 그 무렵은 메조소프라노 음역을 보였다고 한다. 1938년에 베를린 도이치 오페라 극장(Deutsche Oper Berlin)과 계약, 《낙소스의 아리아드네》의 체르비네타 역을 맡았으며 이를 들은 마리아 이보귄(Maria Ivogün)이 감동하여 그녀를 소프라노 가수로 키웠다. 1942년에는 빈 국립 오페라 극장과 계약하여 잠시 로콜로라투라 소프라노의 역을 맡았다. 1947년경부터는 리릭 소프라노(Lyric soprano)로서 안정된 가창을 들려주었다고 평가된다. 오페라 뿐만 아니라 가곡에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으며, 영화 《장미의 기사》 마르샤린 역의 명연기를 비롯하여 레코드로도 널리 알려졌다. 1945년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1953년 결혼을 하면서 영국 시민권도 취득하였다.
319953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3
음의 지식
서양 음악의 이해에 필요한 기본적인 음의 지식에 대한 설명이다. 음향학. 음향학은 음의 진동이나 음파에 관한 현상을 모든 방향에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기초음향학'과 '응용음향학'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기초음향학'에는 음향물리학(좁은 뜻의 음향학), 음향생리학, 음향심리학의 3부문을 들 수 있으며, '응용음향학'에는 전기음향학, 건축음향학, 음악음향학, 음성학 등이 있다. 흔히 '음향학'이라고 간단하게 불리는 음향물리학은 음향을 외계의 객관적 현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서, 주로 발음체(發音體)의 진동, 음파(초음파도 포함), 음파로 인한 물체의 진동, 공명(共鳴) 등을 다룬다. 음향생리학에서는 귀의 구조나 기능과 같은 음향과 관련되는 분야를 다룬다. 음향심리학은 음이 들리는 방법이라든가 느끼는 방법과 같은, 음향과 심리가 관련되는 분야를 다룬다. 명확하게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랜 학설로는 "만물의 근원은 수다."라고 주장한 그리스의 피타고라스의 음계(音階)의 이론을 들 수 있다. 그는 일현금을 써서 실험하여, 일정한 비율로 현을 분할하는 방법으로 음계를 형성하는 것을 보였다. 동양에서는 중국의 동주시대(東周時代)의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이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책 관자(管子)에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음향에 대한 여러 가지 기술은 이러한 학설보다도 훨씬 옛날부터 있었다. 중세에는 음진동, 음파, 음의 전파 등에 관한 지식도 상당히 진보되었으나 본격적인 연구는 17-18세기경부터이며, 서양에서는 음률의 이론과 악기의 제작연구가 한창이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물리학의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여, 19세기 후반에 존 윌리엄 스트럿 레일리는 음향학 전반에 걸친 연구를 하여 <음향이론>(Theory of sound, 1877)을 저술하였다. 또 헬름홀츠(H. L. F. von Helmholtz)는 음향물리 방면뿐 아니라 음향생리·음향심리분야도 연구하였는데 <음향학의 수학적 원리강의>(Vorlesungen ber die Mathematischen Principien der Akustik, 1898)의 저서는 유명하다. 이러한 책들은 음향학의 계통을 이룩하였으며, 현대 이론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20세기부터는 전기학의 발전에 따라 전기적인 기자재가 개발되어, 응용음향학 방면에서 치밀한 측정에 의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음악 음향학은 음악에 관한 일체의 음향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음향과 예술 사이의 문제에 과학적인 뒷받침을 하는 학문이다. 악기, 음성, 청각, 음악음향 등이 주요 과제이나, 단순히 음향물리학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음향생리학, 음향심리학의 방향에서도 추구하여야 할 문제가 많다. 최근에 와서는 음향 자체의 연구뿐만 아니라 음향을 통해 인간을 연구하는 방향이 두드러졌다. 진동. 종을 울리려고 할 때 종의 한 부분을 치면 종은 전체가 진동해서 울린다. 이와 같이 물체의 일부에 외력(外力)을 가하여 모양과 체적에 변위(變位)를 일으키고 급히 외력을 제거하면 진동이 발생한다. 감쇠진동. 종은 진동을 계속하지만, 진동 에너지는 종을 고정시킨 곳으로부터 받침대로 사라지든가 공기와의 마찰로 공기중으로 사라진다. 또 종 자체의 '내부마찰'은 열로 변하기 때문에 차츰 감쇠하여 진동은 멈추고 만다. 이와 같은 진동을 감쇠진동(減衰振動)이라고 한다. 고유진동. 종의 진동은 그 모양과 탄성이나 밀도, 고정 방법에 따라 정해진다. 이와 같이 물체의 고유한 성질이라든가 조건으로 결정되는 진동을 고유진동(固有振動)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진동수를 고유진동수라 하며, 전문용어로는 formula_1라 한다. 자유진동. 고유진동수로 자유롭게 진동하는 경우를 자유진동(自由振動)이라 한다. 강제진동. 고유진동수 이외의 진동수로 진동되는 경우를 강제진동(强制振動)이라 한다. 강제진동에서는 자유진동보다 진동의 능률이 좋지 않으므로 외력과의 결합을 긴밀히 하고, 진동하기 쉬운 상태로 만들 필요가 있다. 특히 넓은 진동수의 범위로 강제진동되는 것은 고유진동수에만 예리한 공진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넓은 범위에 걸쳐서 평등하게, 또한 능률적으로 진동되도록 한다. 고막·현악기의 동(胴)·피아노의 울림판 등은 강제진동의 한 예이다. 현의 진동. 현이 진동할 때 현의 양 끝은 고정점이고 중앙부는 최대의 진동을 나타낸다. 고정점은 '진동의 마디(節)'라 하며, 마디와 마디 사이의 중앙을 '진동의 배(腹)'라고 한다. 진동의 중심점으로부터 마루나 골 까지의 거리는 '진폭'으로서, 진폭이 클수록 음은 강하다. 횡진동과 종진동. 현의 진동은 현의 양끝을 고정하고 길이의 방향에 대해서 가로의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와 같이 진동하는 방향이 길이의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것을 횡진동이라 한다. 막대기의 한 끝을 고정하고 길이의 방향으로 마찰하면 막대기의 각 점은 길이의 방향, 즉 세로의 방향으로 변위(變位)하므로 신축이 일어나서 막대기는 세로로 진동한다. 이와 같이 길이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종진동이라 한다. 관악기(나팔, 피리 등), 파이프 오르간 등의 관 속의 공기의 진동은 종진동이다. 막대기의 진동. 막대기의 진동에는 종진동과 횡진동이 있다. 종진동은 양끝을 고정했을 때 양끝이 마디가 되는 진동이다. 양끝을 자유롭게 했을 때에는 양끝이 배(腹)가 되는 진동이 정재(定在)하고, 배(倍)진동은 정수배의 것이 생긴다. 막대기의 한 끝을 고정하고 다른 끝을 자유롭게 했을 때는 양끝을 고정한 경우의 절반의 진동에 상당하며, 고정된 끝은 마디, 고정되지 않은 끝은 배(腹)가 되는 진동을 한다. 그리하여 배음은 기수차(奇數次)의 부분음(部分音)만이 생긴다. 또 기본진동수는 양끝을 고정했을 때(또는 고정하지 않았을 때)의 절반의 진동, 즉 옥타브 이하의 높이가 된다. 횡진동은 막대기를 옆방향에서 두들겼을 때 발생하는데 매우 복잡한 진동을 한다. 그림은 한 끝이 고정된 경우와 양끝이 자유로운 경우를 보이고 있다. 배음이 정수배가 안 되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켄슈필 등은 양끝이 자유로운 막대기의 횡진동이지만 자유롭게 진동시키면 음의 높이가 명확하지 않은 음향이 되고 만다. 그러므로 기본진동 이외의 상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양끝이 자유로운 경우의 기본진동의 마디는 끝에서 전 길이의 formula_2의 곳에 생기므로 이 위치에 나뭇조각을 단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배음 등의 진동은 배(腹)가 되는 부분이 눌리게 되어 나오기 어려워진다. 관 속 기주의 진동. 피리나 나팔의 기주의 진동은 종진동을 한다. 관의 길이가 굵기와 비슷해지면 종진동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양쪽 끝이 열려 있을 때를 '개관(開管)', 한쪽이 닫혀 있을 때를 '폐관(閉管)'이라 한다. 열려 있는 곳이 진동의 배가 되고, 개관 때에는 정수배의 배음이 발생하며 폐관 때에는 기본진동수가 개관 때의 반이 되어 부분음은 기수차(奇數次)의 것 외에는 생기지 않는다. 관구보정. 관의 길이가 기주의 길이가 되겠으나, 진동하는 기주는 관이 열린 끝에서 외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관의 끝보다 나간 곳이 배(腹)가 된다. 배의 위치는 관의 반지름의 0.6배의 길이만큼 외부로 나간 곳이 된다. 따라서 폐관일 때는 길이+반경의 formula_3이 실제의 진동기주의 길이가 된다. 개관인 경우는 양끝에 관구보정이 필요하다. 막과 판의 진동. 막이나 판에서는 진동이 길이와 폭의 두 방향으로 일어난다. 북과 같이 두께가 일정한 막을 둘레에서 한결같이 잡아당겨서 한 부분을 두드리면 진동한다. 그림과 같이 배진동이 생기는데 두드리는 곳에 따라 음향 스펙트럼은 달라진다. 두드리는 곳이 가장자리일수록 고차의 배진동이 생기기 쉽다. 종(鍾)의 진동은 원판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동에서 상음은 정수배음이 되지 않는다. 파동. 물체에는 모양이나 체적의 변화에 대해서 반항하여 원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있다. 이것을 탄성이라 한다. 외력과 물체가 갖는 탄성으로 물체의 일부에서 생긴 진동은 곧 이웃 부분의 진동을 일으키고, 나아가 이웃에서 이웃으로 진동을 일으킨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물체 전체가 진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부분의 진동이 다른 부분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파동이라 한다. 음과 음파. 물체가 진동하면 그 주변의 물체를 과압(過壓) 또는 감압(減壓)한다. 음이란 이 과압이나 감압의 운동상태를 말한다. 이 변화를 전하는 물질을 매질이라 하며, 매질 속에서 생기는 음의 파동이 음파이다. 보통은 공기가 매질이다. 공기는 진동으로 인한 압력의 변화로서 밀도에 소(疎, 희박한 부분)와 밀(密, 농후한 부분)이 번갈아 발생하며, 공기가 가지는 탄성으로 이 밀도의 변화의 파(疏密波)가 주위로 퍼진다. 종파와 횡파. 음이 전파하는 것은 물체와 접촉하고 있는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기압의 변화가 이웃에서 이웃으로 차례로 전해져 가는 것이 공기의 분자는 같은 장소에서 좌우로 진동할 뿐이며, 그 진동의 방향은 음이 진행하는 방향과 같다. 진동방향과 진행방향이 같은 파동을 종파라 한다. 음은 고체 속으로도 전해져 가지만, 이 경우는 종파뿐 아니라 횡파도 생긴다. 횡파는 진행방향과 매질의 진동방향이 직각인 경우를 말한다. 정상파. 종의 친 부분으로부터 퍼져나가는 파동에는 여러 가지 진동이 포함되어 있으나, 그 진동이 원점에 되돌아왔을 때 처음에 진동한 부분의 진동을 강화시키는 성분만이 남고, 그 밖에는 소멸한다. 종은 이와 같이 거기에 정재할 수 있는 파동 성분만으로 울린다. 이와 같은 진동과 파동은 순식간에 발생하고 만다. 현의 진동에서 현을 퉁기면 그 진동은 현의 양쪽끝 고정점에 전해지고 반사되어 존속할 수 있는 파동만이 겹쳐져서 진동한다. 이와 같은 파동을 정상파(定常波) 또는 정재파라 한다. 파형. 바탕음에 상음이 겹쳐져서 합성되어 있는 진동상태는 진동의 배와 마디가 겹쳐져서 진동하는 것이 된다. 이 복잡한 진동을 시간적으로 나타내면 편리하다. 파형은 진동의 시간적인 진폭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그림은 종축(縱軸)에 진폭을, 횡축(橫軸)에 시간을 표시한다. 음향 스펙트럼. 어떤 음향이 있을 때 그 진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우선 진동을 파형으로서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파형으로는 진동수나 상음의 상태가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진동이 포함되어 있는 바탕음과 상음 전부를 각개의 진동으로 분해 분석하여 그 진동수와 진폭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음의 성질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림을 '음향 스펙트럼'이라 한다. 그림은 종축에 진폭을, 횡축에 진동수를 표시한다. 따라서 스펙트럼은 그림 위에 종선(縱線)으로 표시되며, 그 선의 길이는 진폭을 나타낸다. 선이 길면 그 배음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배음이 없는 바탕음만의 진동에선 스펙트럼은 단 한줄의 종선으로 표시된다. '백색잡음(白色雜音)'은 모든 주파수의 성분이 평등하게 포함되어 있는 진동이므로 그 스펙트럼은 연속적인 횡선으로 표시하는 수밖에 없다. 보통 전자를 선(線)스펙트럼, 후자를 연속 스펙트럼이라 한다. 극히 짧은 음이나 복잡한 파형의 진동은 연속 스펙트럼인 것이 많다. 소나그램. 음향 스펙트럼은 진동하는 순간의 진동구성을 나타낼 뿐이다. 그러나 실제로 진동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것이 보통이고 그 변화하는 상태에 중요한 뜻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주파수와 진폭 및 그 시간적 변화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 소나그램이다. 이것은 측정기가 자동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서 '방전파괴지'에 흑백의 연속적 농담(濃淡)으로 표시된다. 이 장치는 처음에 귀가 안 들리는 사람이 눈으로 음을 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지금은 주로 언어 연구에 쓰이고 있다. 공명.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주기적으로 힘을 주지 않으면 안 된다. 외부의 힘의 진동수가 그 물체의 고유진동수와 같을 때에 가장 능률적으로 진동한다. 고유진동수가 같은 물체가 있을 때, 2개의 물체가 떨어져 있어도 한쪽을 진동시키면 다른 쪽도 진동을 한다. 이 현상을 공명 또는 '공진(共振)' '동조공진(同調共振)'이라 한다. 글로켄슈필의 발음체인 목편(木片) 자체의 진동에는 여러 가지 진동이 포함되어 있어, 음의 높이가 그다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울리고 싶은 진동수를 고유진동수로 하는 파이프를 목편 밑에 매달아 두고 있으므로, 그 진동만이 파이프에 공명하여 음의 높이가 분명한, 그리고 튀는 듯한 여운이 있는 울림을 낸다. 바이브러폰은 이 공명관의 공명방식에 변화를 주어 여운에 비브라토가 붙도록 하였다. 음의 종류. 음은 물리적 성질에 따라 순음과 복합음의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순음. 순음은 정현파(正絃波)로서 가장 단순한 것이다. 현이나 관이 진동할 때 상음을 제거한 바탕음만의 진동이 순음에 상당한다. 또 하나하나의 부분음만을 빼내어도 진동수가 다를 뿐 그것도 순음이다. 모든 음은 순음의 합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순음은 여러 음향의 구성소재이며, 객관적으로는 셈여림과 높이의 요소밖에 없지만 주관적으론 진동수에 따라 후우(50c/s), 우웅(100c/s), 부우(200c/s), 푸우(500c/s), 피이(1,000c/s), 치이(5,000c/s), 씨이(10,000c/s), 씽씽(15,000c/s) 등의 느낌으로 들린다. 순음에서는 같은 진동수라도 셈여림을 바꾸면 높이가 변화해서 들리는 등 복합음과는 들리는 법이 다르다. 복합음. 복합음은 둘 이상의 순음이 합성된 음으로서 우리가 흔히 듣는 음은 대부분이 복합음이다. 복합음은 음 구성의 상태에 따라 고른음과 잡음으로 구분된다. 고른음. 고른음은 규칙적인 진동이 지속되는 음을 말하며, 부분음의 진동은 정수비에 가깝다. 높이가 명확하게 판별되며, 음빛깔을 가지고 있다. 현의 진동(현악기)이나 관 속의 기주의 진동(관악기) 등은 고른음이다. 잡음. 잡음은 극단으로 짧은 진동이나 불규칙하게 진동하는 음으로서, 고른음같이 부분음의 명확한 스펙트럼(선 스펙트럼)으로 분석 안 되는 것(연속 스펙트럼)이 많다. 유리가 깨지는 소리나 자갈 위를 달리는 찻소리, 꽹과리·심벌즈 등 타악기류에 많이 있는 음으로서, 음빛깔에는 강한 개성이 있으나 명확한 높이가 없다. 음악에는 고른음만이 아니라 많은 잡음도 쓰인다. 잡음은 또한 다른 정의로 쓰이는 일이 있다. 그것은 증폭기의 험(hum)과 같이 목적음을 방해하는 음향을 말한다. 이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전자를 조음, 후자를 잡음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조음은 시끄런음과 비슷하다. 시끄런음. 시끄런음은 물리적 특성과 관계없이 심리적으로 불쾌감을 주는 음을 말하며, 잡음과는 좀 달리 정의된다. 도시 소음이 대표적인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아름다운 음악도 소음이 될 수 있다. 음의 요소. 물리적으로는 음압, 주파수, 파형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음압은 음의 크기, 주파수는 높이, 파형은 음빛깔로서 감각적 3요소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간단히 독립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음의 셈여림이 변하면 감각적으로는 높이가 변화해서 들린다든가, 주파수가 변하면 음의 셈여림까지 변한 것같이 느끼며, 음빛깔이 변화하면 높이까지 변화한 듯이 느끼는 경우도 있다. 음압과 음의 크기. 사람의 귀는 주파수에 따라 감도가 다르다. 4천 사이클 정도가 가장 감도가 좋으며 이것을 중심으로 높은 쪽도 낮은 쪽도 차차로 감도가 나빠진다. 특히 낮은 쪽의 감도가 나쁘다. 그래서 물리량과 감각량을 실험적으로 대응시킨 등감곡선(等感曲線)이 요구된다. 폰. 폰(phone)은 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폰은 어떤 음의 크기와, 이것과 같은 크기로 느끼는 1천c/s의 순음(純音)의 강도(强度, 단위 데시벨 decibel)를 말한다. 0폰은 겨우 들리는 음의 세기이고, 130폰 이상이 되면 동통감(疼痛感)이 생긴다. 120폰의 음압은 0폰일 때의 10만 배의 강도가 된다. 낮은음부는 감도가 나쁘기 때문에 1천c/s의 0폰과 50c/s의 0폰과는 음압이 1천배나 다르다. 강한 음압이 되면 감도는 차차로 평탄해진다. 데시벨. 음압의 값을 그대로 강도의 단위로 쓰면 6자리에 이르는 수를 쓰게 되어 불편하다. 그래서 실용척도로서 음압 레벨로 데시벨(decibel, dB)을 쓴다. 음압이 2배가 될 때 6데시벨, 음압이 10배가 될 때 20데시벨 증가했다고 한다. 이렇게 하면 음압을 3자릿수로 다루게 된다. 같은 강도의 음이 둘이 합성되면 3데시벨 올라간다. 두 음의 차가 10데시벨 이상이면 두 음을 합쳐도 강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주파수와 음높이. 파동의 소(疎)와 밀(密)이 1왕복하는 운동을 1주기(週期, 사이클 c/s)라 하며, 1초 동안에 생기는 주기의 수를 주파수라 한다. 물체의 진동수와 음파의 주파수와는 같다. 음의 높이를 음높이(pitch)라고 하는데, 주파수가 많아지면 음높이는 높아진다. 순음에서는 같은 주파수라도 강도가 다르면 높이가 다르게 느껴진다. 그러나 고른음에서는 강도에는 관계없이 그 음향의 기본주파수로써 정해진다. 정수배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음향은 바탕음을 제거해도 그 바탕음의 높이로 느끼는 경우가 있다. 가청음과 초음파. 대체로 주파수가 16에서 20,000c/s 이내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을 가청음(audio sound)이라 하고, 주파수가 2,000c/s 이상의 음을 초음파(supersonic waves)라 한다. 주파수가 가청음역이라도 어느 정도 이상의 강도(0폰 이상)가 없으면 귀에 음감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강도가 지나치면 다른 생리적인 감각을 수반하며, 130폰 이상이 되면 고막이 터진다. 초음파는 연주회장 등의 음향설계 때 축척모형 안에서의 음향시험에 쓰인다. 파형과 소리맵시. 파형은 진폭의 시간적 변화를 표시하는 것이지만, 음빛깔에 관한 요소는 파형이라기보다 부분음 구성이라 하는 편이 옳다. 같은 부분음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부분음끼리의 위상이 다르면 파형은 달라진다. 이것은 위상은 음빛깔에 관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음에 어떠한 부분음이 어느만큼의 진폭을 가지고 포함되어 있는지가 음빛깔에 관계한다. 일반적으로 고차의 부분음이 적으면 음빛깔은 부드럽고 어두운 느낌이 되며, 고차의 부분음이 많아지면 음빛깔은 딱딱하고 날카로운 느낌이 된다. 부분음이 정수배가 아닌 잡음은 음빛깔이 탁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음빛깔은 음의 어떤 순간의 구조 상태보다도 시간적인 경과상태가 다름으로 인해서 그 개성이 명확해진다. 음이 소리내기 시작할 때와 끝날 때는 이나 발성할 때의 어택의 상태에 따라 음에 여러 가지 변한다. 포만트. 사람의 목소리나 악기 등의 음빛깔은 상음의 구성상태로써 설명되지만, 특유한 음질은 특정한 진동수역(域)이 특히 강하게 포함된 것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누가 소리를 내어도 '아'가 '아'로 들리는 것은 '아'라는 울림을 만드는 특정한 음향구성을 하는 법이 있기 때문이며 원음의 높이가 무엇이든 그것과는 관계없이 특유한 음넓이에 센 상음을 갖는 스펙트럼을 보인다. 이것을 포만트(formant, 形成音)라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우'는 500c/s 부근, '오'는 700c/s, '아'는 1,000c/s 부근, '에'는 2,000c/s 부근, '이'는 3,000c/s 부근에서 강한 진동을 갖는 형태를 나타낸다. 악기의 음질을 이 모음성(母音性)에 의해서 좋은 바이올린은 '이'와 같은 포만트를 가지며, 조악품은 '에'와 같은 음질을 갖는다는 등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소리넓이와 성종. 성대나 공명강의 상태에서 소리넓이와 성종이 생긴다. 음악적 소리넓이는 음정을 바르게 낼 수 있는 범위를 뜻하며, 보통 2옥타브가 필요하다. 성종은 음빛깔이나 성격을 뜻한다. 음악에서는 대체로 밝고 높은 느낌의 소리, 중간 정도의 느낌을 주는 소리, 낮고 폭이 있는 느낌의 소리의 3종으로 나눈다. 여성은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남성은 테너, 바리톤, 베이스라고 각각 부른다. 한편 각개의 성종은 소리의 느낌만이 아니라 필요한 소리넓이가 요구된다. 또한 같은 성종 중에서도 소리의 성격에 따라 드라마틱(극적인 소리), 리릭(서정적인 소리), 콜로라투라(Col­oratura, 경쾌하고 높은 소리) 등의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음정. 2개의 음의 간격을 음정이라 하는데, 음정을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음정을 진동수의 비례로 표시한 것을 '음정비'라 한다. 옥타브는 1대2(위의 음은 아래 음의 2배의 진동수), 5도는 2대 3, 4도는 3대 4, 장3도는 4대 5의 음정비이다. 음정비의 가감은 비를 곱하거나 나누면 된다. 5도에서 장3도를 감하려면 formula_4÷formula_5=formula_6으로 계산한다. 음정의 가감을 수치의 가감으로 하게 한 것을 '음정치'라 한다. 대표적인 것은 센트(cent)방식인데, 옥타브를 1,200으로 하고 평균율의 반음을 100으로 하는 방법이다. 음계. 음높이가 낮은음에서 높은음으로 연속적으로 차례차례 변화해 가면 마치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느낌이 든다. 낮은음에서 높은음으로 급속히 변화하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뛰어오른 위치변화의 느낌을 가지게 된다. 연속적인 음높이의 변화는 연속적인 위치변화감이 있고, 또한 2개 음의 고정된 높이가 명확하게 판별되면 두 음의 높이비교에서 얻어진 거리차로 인하여 위치차의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음악을 표현하는 데는 이 두 가지 형태의 음높이에 의한 위치변화감이 쓰인다. 위치차를 얻기 위해서는 음의 높이변화가 명확하게 지각되도록 단계를 붙인 여러 가지 높이의 음이 쓰인다. 일반적으로 악곡에 쓰이는 음을 높이의 순서대로 높은 것을 음계라 한다. 음계에는 여러 가지 양식이 있다. 음률. 음악에서 쓰는 음높이의 상대적 관계를 규정한 것을 음률이라 한다. 음계의 각 음이 물리적으로 정해져도 연주자 자신이 음높이를 만들면서 표현하는 음악에서는 연주자의 발상에 따라 음높이에 다소의 변동이 인정되는 일이 많다. 또한 미리 음높이가 고정되는 악기에서도 이론적인 수치에서 다소의 차이가 생기는 수도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정해진 음률은, 실제의 음악에서는 어느 정도의 편차를 가지게 된다. 음률의 복잡성을 어떻게 간단하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음률양식이 생겨났다. 음률은 규정방법에 따라 다수분할 양식, 불규칙적 양식, 순정양식의 세 가지로 대별된다.
319956
75312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6
교향곡 8번 (슈베르트)
교향곡 제8번(또는 제7번) "미완성" (Sinfonie Nr.8 (7) in h-moll, D 759, "Die Unvollendete")은 슈베르트가 1822년에 작곡한 교향곡이다. 개요. 교향곡 중 누구나 다 알고 있는 불후의 명작이나, 제2악장까지만 완성되어 있다. 제3악장은 120 마디까지 작곡된 초고(草稿)가 남아 있으며, 제4악장은 전혀 씌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완성된 2악장은 모두 주옥과 같은 아름다운 작품으로 평해진다. 이 곡이 미완성으로 끝난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며 슈베르트가 이 곡을 쓰다가 방기한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특히 뒷받침되는 증거가 있는 설은 없다. 다만 슈베르트는 곡을 쓰다가 특별한 까닭 없이 도중에 방기하는 경우가 많았던 인물이기에 이 곡 역시 특별한 까닭 없이 방기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곡은 슈베르트가 1822년 10월에 쓰다가 중단한 것으로, 이듬해 4월에 그라츠의 슈타이어마르크 음악협회()의 명예회원으로 뽑히면서 답례로 보낸 곡이기도 하다. 이 곡을 받은 슈타이어마르크 협회 측에서는 슈베르트가 곡의 나머지 부분을 보내줄 것으로 생각하고 기다렸으나 슈베르트가 나머지 부분을 보내는 일은 없었고 곡은 그대로 묻혔다가 슈베르트의 사후인 1860년에 지휘자 요한 폰 헤르베크()에 의하여 악보가 발견되고, 1865년 12월 헤르베크에 의하여 빈에서 초연되었다. 이 곡은 출판 이래 오랜 기간 8번 교향곡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1978년의 도이치 목록 개정판 발행시 기존의 7번 교향곡이 슈베르트 본인에 의해 편곡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까닭으로 번호를 박탈하고 기존의 8번("미완성")과 9번("대 교향곡")이 각각 7번과 8번으로 당겨졌으나 이 새로운 부번 방식은 그다지 퍼지지 못했다. 각 악장. 당시 교향곡의 조성으로 사용되는 일이 극히 드물었던 나 단조의 곡이라는 점이 이채를 띈다. 약 15분에 달하는 나 단조의 제1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는 전반적으로 어두운 분위기의 4분의 3박자의 곡으로 콘트라베이스 2대가 테마를 제주하며 시작하여 테마 자체가 악장 전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콘트라베이스의 제주 역시 수차례에 걸쳐 출현한다. 마 장조, 8분의 3박자의 곡인 제2악장 안단테 콘 모토는 11분을 넘는 길이로 1악장과는 대조적인 편안한 분위기의 세도막 형식을 띤 곡이다. 동요 '옹달샘'의 테마 부분과 동일한 부분이 있다. 약 6분 30초에 달하는 제3악장 스케르초, 알레그로는 1악장과 같은 나 단조, 4분의 3박자의 곡이나 1악장과는 대조적으로 밝고 힘찬 곡으로 나 장조, 사 장조 등으로 조성이 자주 바뀐다. 이 3악장은 전체 초고의 1/6인 서두의 20 마디가 편곡되어 총보로 완성되어 있다. 완성 시도. 슈베르트의 100주기인 1928년에 영국의 콜럼비아 그라모폰 음반사()에서 이 곡의 3, 4악장을 작곡하는 경연대회를 열었고 피아니스트인 프랭크 메릭()이 우승하였다. 그러나 메릭의 작품은 스위스 항공이 기내 안내용으로 쓴 정도에 그쳤고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는 못했다. 한편 이후 제럴드 에이브러햄(1971년), 브라이언 뉴불드(1981년) 등의 학자에 의해 보필 완성된 것이 네빌 마리너와 ASMF 연주로 대중에게 널리 퍼졌다. 3악장은 슈베르트가 쓴 초고를 기존 완성분의 편성을 충실히 따라 편곡하여 총보로 만들고, 4악장은 로자문데의 간주곡 1번이 조성과 악기 편성이 같음과 간주곡로서는 드물게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있어 잃어버린 4악장으로 추정되는 이유로 그대로 가져와서 일반적인 교향곡의 4악장 체제를 완성시켰다.
319957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7
피아노 협주곡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Op.16은 그리그가 작곡한 소나타 형식의 피아노 협주곡으로 노르웨이풍의 서정과 리스트풍의 화려한 연주회 효과가 3악 중에 교묘하게 어울린다. 그리그를 낳은 베르겐 항구 근처는 비외른손의 소설에도 묘사되어 있듯이 암석이 많은 황량한 산악이 피요르드의 해안 가까이까지 뻗치고 있으나 그러한 풍토나 짙은 조수의 내음, 또 안개가 많은 노르웨이의 기후가 낳은 환괴적(幻怪的)인 옛이야기 같은 분위기 등에 그리그가 강하게 이끌려 있던 것을 이야기하는 명곡이다.
319958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58
바이올린 협주곡 (브람스)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77은 1878년 작곡된 것으로, 브람스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단 1곡밖에 작곡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곡은 베토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동렬에 서서 고금의 3대 협주곡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바이올린의 대가 요아힘의 유익한 조언도 주효하여, 바이올린 연주의 기교도 무리없이 쓰여지며, 전통적인 3악장 형식을 취하고, 고전적인 충실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적으로도 철저하게 파내려간 깊이와 밀도가 있는 작품으로서, 원숙하고 참된 브람스의 모습을 똑똑히 보여주고 있다.
319961
566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1
장경일
319962
2701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2
피아노 협주곡 가단조
319963
566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3
베르뇌 주교
319964
75600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4
바이올린 협주곡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 작품번호 61》은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806년 작곡한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다. 베토벤의 중기 걸작 중 하나로, 그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이다. 베토벤은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작품에 관하여 이 작품 외에 세 곡을 남겼다. 두 개의 소품, 로망스(《로망스 1번, 작품 번호 40》 및 《로망스 2번, 작품 번호 50)》와 1악장의 도중에서 미완성으로 끝난 《바이올린 협주곡 다장조, WoO 5》(1790-2년)가 이에 해당하며, 완성된 바이올린 협주곡은 이 작품 한 편 밖에 없다. 그러나 그 완성도는 경이로워서 "바이올린 협주곡의 왕자"라고 불리고, 멘델스존의 《작품번호 64》, 브람스의 《작품번호 77》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이라고도 불린다. 같은 시기의 《교향곡 4번》, 《피아노 협주곡 4번》과도 상통하는 이 작품은 서정성이 넘치고 평온하고 평안한 표정이 인상적이지만, 테레제 브룬스비크와의 긴밀한 관계가 영향을 미쳤다고도 전해진다. 이 작품이 구상된 시점이 언제인지, 특정된 증거는 없으나, 《교향곡 5번》의 1악장의 스케치에 이 작품의 주제를 적은 것이 존재한다고 전해진다. 작곡의 시기는 《교향곡 3번》과 《교향곡 4번》의 작곡 시기 사이이며, 《피아노 협주곡 4번》의 작곡 시기와 동시대적이다. 여하튼 "걸작의 숲"'이라는 중기의 가장 충실한 창작 시기의 작품이라는 것은 다름이 없다. 창작에 있어서 베토벤은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안 데르 빈 극장 관현악단의 콘서트마스터였던 프란츠 클레멘트를 독주자로 상정해 그의 조언을 받아 작곡했다. 경위. 배경. "테레제 브룬스비크 / 불멸의 연인"이라는 가설을 믿는 특정 역사가들에 따르면, 여전히 논의되고 있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이 작품은 1806년 5월에 테레제 브룬스비크와 은밀히 맺은 약혼에 따른 베토벤의 행복감을 표현한 "사랑의 시"이다. 그는 운명적인 노랑턱멧새보다 훨씬 더 가능성 없는 근원에서 바이올린 협주곡을 위한 영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들의 사랑의 감정이 결혼으로 이어지지 않은 것은, 딸들과 더 재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귀족의 지원자들을 끌어들이려고 했던 테레제의 어머니의 가족 정책에 근거했다. 그러나, 테레제와 요제피네는 어머니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베토벤과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었다. 테레제는 베토벤과 마찬가지로 결코 결혼하지 않았다. 열렬한 음악 애호가였던 그녀는 삶을 마감할 때까지 베토벤 추종자로서의 모습을 보였고, 베토벤의 음악을 사랑했다. 그녀는 오늘날의 베토벤 연구를 위한, 매우 중요한 대규모 편지, 그리고 수많은 일기장을 남겼다. 작곡 및 초연, 그리고 이후. 이 작품은, 1806년 12월 23일 안 데르 빈 극장에서 열린, 콘서트마스터 프란츠 클레멘트 주최의 음악 아카데미에서, 클레멘트의 바이올린 독주에 의해 공개 초연이 이루어졌다. 베토벤은 클레멘트의 요청으로, 초연의 날짜를 거의 코 앞에 두고 테아터 안 데어 빈에서 급히 이 곡을 썼으며, 초연 직전에 작품을 완성했다. 이 때문에 클레멘트는 거의 즉석에서 연주하여야 했지만, 이 난곡을 처해진 환경 속에서 비교적 잘 소화해 냈고 청중의 환호도 받았다. 베토벤의 제자 카를 체르니에 의하면 성공한 초연으로 간주되었지만, 베토벤의 다른 작품 만큼 빠르게 퍼지지는 않았다. 분명히 대바이올리니스트, 클레멘트의 훌륭한 연주로 청중의 호응을 얻어냈지만, 작품은 초연을 얼마 앞두고 급히 만들어진 까닭에, 약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그 약점은 비평가들에게 의해 꼬집어 졌다. 한 비평문에서는 “이 협주곡은 아름다운 점도 있긴 하지만, 음악적 사건의 연결이 간혹 일관성이 없는 듯하며 평범한 악절이 끊임없이 반복되어 피곤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버전은 1806년 12월 23일의 초연시에 수행된 버전과는 다르다. 베토벤에 의해 높이 평가받는 작곡가 무치오 클레멘티는 1807년에 작곡가를 방문, 그가 공동 소유주인 런던 출판사를 위해 바이올린 연주회를 포함한 최신 작품들의 출판권을 요청했다. 또한 그는 이 작품의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버전도 추가로 요청했다. 이에 베토벤은 바이올린 협주곡의 악보를 재작업했고, 동시에 피아노를 위한 버전도 작업했다. 빈 국립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작품의 악보는, 서둘러 쓴 첫 번째 버전과 인쇄가 되어있는 수정된 버전, 그리고 피아노를 위한 버전의 악보로서 작품의 역사를 반영한다. 이 작품의 초연시에 베토벤은 그 초고를 클레멘트에게 바쳤지만, 1809년 3월에 악보의 출판이 이루어졌을 때의 헌정은, 이전에 그의 오페라 《피델리오》에 대해 도움이 되는 조언을 했던, 당시의 선도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이자 그의 죽마고우, 슈테판 폰 브로이닝에게 이루어졌다. 초연의 작은 성공 이후, 이 작품은 연주되는 기회가 적어지면서(현재는 부드러움과 평온함의 걸작으로 칭송받고 있지만, 당시의 비평가들은 너무 길다고 생각했고 바이올리니스트들은 연주가 너무 어렵다고 불평했다) 위상도 점점 희미해 져 갔지만, 이를 다시 채용, "바이올린 협주곡의 왕자"로 불리는 순간까지 지명도를 준 것은,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바이올리니스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요제프 요아힘의 공적이었다. 베토벤의 사망 이후인 1844년, 멘델스존이 지휘한 로얄 필 하모닉 협회의 관현악단과 함께 당시 열두 살의 바이올린 연주자, 요제프 요아힘 공연으로 이 작품은 다시 부활했다. 요아힘은 이 작품을 가장 위대한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칭송하며 사망할 때까지 평생동안 연주했다. 악장 구성. 전 악장의 연주 시간은 약 45분 정도가 소요된다.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라장조, 연주시간 약 25분-26분. 협주풍 소나타 형식. 장대한 관현악 제시부에 의한 서주가 팀파니의 은은하게 새기는 리듬으로 시작된다. 이 모티브가 악장 곳곳에 나타난다. 목관악기가 목가적이며 아름다운 제1주제를 노래한다. 이어 실레지아 민요에 의한 두 번째 주제가 먼저 목관악기로 연주된다. 이윽고 현악기가 트레몰로를 펼치고 금관악기도 가세해 차츰 흥이 올라 관현악 제시부를 마무리한다. 이어 독주 바이올린이 등장해 제1주제를 펼치는데, 여기서도 팀파니의 모티브가 나타난다. 두 번째 주제로는 독주 바이올린 트릴 위에서 목관악기가 연주된다. 그리고 결미 주제로 이끌어 제시부를 마무리 한다. 전개부는 관현악에서 시작, 제2주제를 목관악기에서 전체 연주로 교향곡풍으로서 전개해 간다. 독주 바이올린을 추가하면 제1주제를 연주하여 꼼꼼한 주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 재현부에 들어서면 역시 관현악이 제1주제를 연주하고 독주 바이올린이 가세한다. 여기서부터는 제시부와 거의 다르지 않다. 관현악이 호쾌하게 마무리 하면 카덴차가 되겠지만, 베토벤은 이 카덴차를 작곡하지 않았다. 카덴차 이후 현악기가 피치카토로 연주함과 동시에 독주 바이올린은 제2주제를 조용히 연주하는데, 점차 힘을 더하다가 마지막에는 강주의 주요화음으로 힘차게 끝이 난다. 제2악장. 라르게토 사장조, 연주시간 약 11분-12분. 변주곡 형식(혹은 변주곡의 주부를 가진 세도막 형식). 평온하고 온건한 주제가 약음기가 딸린 현악기에 의해 제시된다. 제1변주부터 제3변주까지 독주 바이올린은 주제를 담당하지 않고 장식적으로 움직인다. 제1변주에서는 호른과 클라리넷, 제2변주에서는 바순이 주제를 맡는다. 제3변주에서는 관현악에 이어 독주 바이올린이 새로운 선율을 연주하기 시작해 중간부에 들어간다. 이 선율은 G선과 D선으로만 연주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이것이 화려하게 변주되면서 주부의 주제가 변형되고 중간부의 주제와 얽힌다. 현악기가 중후한 울림을 내면 여기에서부터 독주 바이올린의 짧은 카덴차가 되고(이 카덴차는 베토벤의 손에 의한 것), 끊김 없이 바로 3악장으로 들어간다. 제3악장. 론도 알레그로 라장조, 연주 시간 약 10분. 론도 형식. 갑작스럽게 독주 바이올린이 론도 주제를 제시하면서 시작되고 관현악이 이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독주 바이올린이 낭랑한 제1부주제를 연주한다. 이후 독주 바이올린은 세밀한 경과구를 거쳐 론도 주제를 재현한다. 관현악이 론도 주제를 반복하면 독주 바이올린은 이를 변주하기 시작해 곧 감상적인 제2부주제가 된다. 이를 바순이 인수하고 독주 바이올린은 장식음에 이어 론도 주제를 재귀시킨다. 관현악의 반복, 독주 바이올린 제1부주제와 론도의 틀대로 곡이 진행되어 카덴차가 된다. 독주 바이올린을 통한 론도 주제 재현도 겸해 관현악과 함께 빛나는 절정을 이루며 힘차게 전곡의 막을 내린다. 카덴차. 베토벤은 피아노 협주곡에 관해서 5번(피아노 협주곡 5번에는 카덴차가 없으며 베토벤 자신도 불필요하다고 지시함)을 제외하고는 모든 작품의 카덴차를 작곡했지만, 바이올린 협주곡에 관해서는 1악장의 카덴차를 남기지 않았다. 많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이 각각 카덴차를 작곡하고 있으며, 그 중 현재 자주 연주되는 것은 요제프 요아힘, 레오폴트 아우어, 프리츠 크라이슬러 등이 창작한 것이다. 그 밖에도, 야샤 하이페츠는 스승 아우어의 작품을 편곡해 사용하고 있지만, 이례의 것으로는, 베토벤 스스로에 의한 피아노 협주곡 편곡판의 카덴차에 근거한 것이나, 알프레트 시닛케의 것이 있다. 피아노 협주곡 편곡판 카덴차에 기반한 것. 볼프강 슈나이더한은 후술한 피아노 협주곡 편곡판의 카덴차를 편곡한 것을 녹음에 사용하고 있다. 피아노 파트는 바이올린으로 대체됐지만 피아노 협주곡 편곡판 오리지널 카덴차에 있던 팀파니의 파트는 그대로 팀파니에서 연주된다. 또 기돈 크레메르도 피아노 협주곡 편곡판의 카덴차를 편곡해 연주에 사용하고 있다. 카덴차에 있는 팀파니의 파트가 그대로 연주되는 것은 슈나이더한과 동일하지만 피아노 파트는 그대로 바이올린으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피아노 파트인 채로 남겨지고 있어, 그 부분을 연주하기 위한 피아노가 반복되고 있다. 그 밖에, 근래에는 토마스 체트마이어나 크리스티안 테츨라프가 같은 시도에 의한 녹음을 실시하고 있다. 시닛케 판 카덴차. 카덴차의 소재는 통상 완전한 즉흥연주의 경우를 제외하면 같은 곡 중에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시닛케가 쓰고 크레메르가 나중에 개작한 카덴차는 다른 곡, 그것도 베토벤 이외의 작곡가(베르크, 브람스 등)의 작품에서도 소재가 인용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 바이올린뿐 아니라 바순과 팀파니도 연주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히 이채롭다. 또한 시닛케판 카덴차의 원곡은 구소련의 바이올리니스트 마르크 루보츠키를 위해 쓰여졌다. 피아노 협주곡 라장조, Op. 61a. 1807년, 베토벤은 무치오 클레멘티의 권유에 따라 이 곡을 피아노 협주곡으로 편곡했다(Op. 61a). 피아노 버전은 바이올린 협주곡의 헌정자 슈테판 폰 브로이닝의 아내 율리에 폰 브로이닝(내실 이름)에게 헌정되었다. 율리에 폰 베링은 피아니스트로, 1808년에 슈테판 폰 브로이닝과 결혼했으며, 이 편곡판은 베토벤이 가장 친한 친구 부부에게 줄 결혼 축하 선물이었다고 한다. 베토벤은 원곡인 바이올린 협주곡에는 카덴차를 쓰지 않았지만, 이 피아노 협주곡에는 공들여 카덴차를 쓰고 있다. 특히 제1악장의 것은 125소절에 걸친 장대한 것이고, 카덴차이면서 팀파니를 동반한 파격적인 작품이다. 앞서 말했듯이 이 카덴차를 바이올린용으로 편곡해 바이올린 협주곡 연주 때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어느 예에서도, 팀파니의 파트는 그대로 팀파니에서 연주되고 있다. 그렇다고는 해도 카덴차로 가끔 사용될 뿐 피아노 협주곡 판으로서의 Op. 61a의 연주 및 녹음의 예는 적다. 녹음. 이 협주곡에 관하여는 거의 260개의 녹음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알려진 것은 1925년에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볼프슈탈이 녹음한 것이다. 모든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이 작품을 새겼다. 그 중에는 예후디 메뉴인(빌헬름 푸르트벵글러과 함께 세 개의 녹음을 포함하여 거의 열 개 가까이 녹음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녹음은 1947년 루체른, 1953년 런던에서의 것이다)과 다비드 오이스트라흐(거의 11개 녹음)도 있다. 참고 문헌. 각주 출처
319965
566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5
성 베르뇌 시메옹
319966
1958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6
나백다록
319967
1958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7
성 나 베드로
319968
1958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8
성 모방 베드로
319969
566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69
성 장 시므온
319970
566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0
성 베르뇌 시므온
319971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1
범세형
319972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2
성 범 라우렌시오
319973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3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
319975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5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주식회사()는 일본 굴지의 중공업 회사이다. 선박, 철도 차량, 항공기, 이륜차 등의 수송 기기와 그 외 기계 장치를 생산하고 있다. 개요. 메이지 시대의 조선소로 시작해, 타이쇼 시대 제1차 세계대전에 의한 조선 활황, 그리고 뒤이은 세계 대공황, 쇼와 시대의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고도 성장기와 일본의 근대사, 산업사와 함께 존속되어 온 유서깊은 역사를 가진 오래된 굴지의 기업이다. 현재는 미쓰비시 중공업, IHI(구 이시카와지마 하리마 중공업)와 함께 일본의 주요 중공업 기업 중의 하나이다. 이전에는 가와사키 재벌(마츠카타 콘체른)의 주요 기업인 JFE 스틸(구 가와사키 제철), 가와사키 기선 등이 모두 관련된 회사였다. 본사는 고베시 주오구의 고베 크리스탈 타워이며, 도쿄도 미나토구 하마마쓰초에도 도쿄 본사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사업.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각 분야마다 별도의 컴퍼니를 운영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가스터빈 컴퍼니》, 《차량 컴퍼니》, 《항공 우주 컴퍼니》, 《모터사이클앤엔진 컴퍼니》 등이 있다. 그룹 연결 매출은 범용기(이륜차 등) 제조업이 27.7%, 항공우주 사업 16.5%, 차량 제조 사업 12.7%, 플랜트, 환경, 철구제조업 12.4%, 가스 터빈, 기계 제조업 12.2%, 조선업 8.2%, 그 외 사업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근래에는 전통적인 사업인 조선업의 비율은 저하되고 있으며, 2002년에 조선업이 〈가와사키 조선〉으로 분사했다. 그러나 2010년 다시 합병하였다.
319976
333793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6
유희열의 스케치북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2009년 4월 24일부터 2022년 7월 22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의 음악 프로그램이다. 기획 의도. 라이브계의 버라이어티, 오감 만족 뮤직 토크쇼.
319977
700580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7
페이디아스
페이디아스(, 기원전 480년경 - 기원전 430년)는 고대 아테나이의 조각가이다. 서양 고대 최고의 조각가/건축가로 유명하다. 처음에는 그림을 배웠으나 조각에도 뜻을 두었다. 기원전 449년 페리클레스가 정권을 잡자 그의 친구인 페이디아스는 조각뿐 아니라 아테나이의 예술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지배 위임을 받았다. 그 후 15년간은 그의 전성기로서 그 동안에 아크로폴리스 언덕 위에 파르테논 신전을 재건한 것은 그의 최대의 업적이다. 특히 우수한 신상을 만들어 '신들의 상 제작자'로 칭송되었다. 대표작으로 <아테나 레무니아> <올림피아의 제우스> <아테나 파르테노스> 등이 있다. 그는 청동이나 황금·상아로써 거대한 신들의 상을 제작하여 당시 '신들의 제작자'라고 불렸다. <아테나­프로마코스> <아테나­렘니아>, <아테나­파르테노스>, <올림피아의 제우스> 상 등은 어느 것이나 고매한 정신으로 일관된 그의 대표작인데, 특히 <아테나­렘니아> 상은 가장 뛰어난 상이었다고 고대의 문헌은 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신상은 오늘날 한 점도 남아 있지 않다. 그의 양식을 오늘에 전하는 유일한 작품은 그의 감독 아래 건설된 파르테논 신전의 장식 조각이다. 파르테논 신전은 페르시아 전쟁을 승리로 이끈 도시의 수호여신 아테나에게 감사하기 위해 바쳐진 것이다. 조각가 페이디아스가 총감독이 되고 건축가 익티노스와 칼리크라테스의 지도 아래, 공사는 기원전 448년에 착공되어 기원전 432년에 완성되었다. 그는 직접 높이 12m의 크리셀레판틴의 본존 <아테나 ­파르테노스>을 제작함과 동시에 신전의 장식 조각의 제작을 지도했다. 신전의 동서 양박공은 동편에 <아테나의 탄생>, 서편에 <아테나와 포세이돈의 전쟁>이 새겨지고, 외벽(外壁) 상부를 장식하는 94면의 메토프에는 <라피타이인(人)과 켄타우로스의 전쟁> 그 밖의 것이, 또한 천장 160m에 걸친 본당 바깥쪽 상부(上部)의 큰 프리즈에는 여신 아테나로 불리는 <판아테나이의 대제사의 행려>가 훌륭하게 부조(浮彫)되어 있다. 이들 장식 조각의 대부분은 긴 세월 동안에 사방으로 흩어져 파괴되었다. 잔존하는 주요 부분은 오늘날 대영박물관의 엘진 마블스에 보존되어 있다.
319979
3283005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79
싱글파파는 열애중
《싱글파파는 열애중》은 2008년 2월 18일부터 2008년 4월 8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진하디 진한 부성애를 근간으로 두고 있는 사랑을 다루었다.
319980
15346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0
피유시 진달
319984
10645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4
방상훈
방상훈(方相勳, 1948년 2월 6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언론인이다. 조선일보 대표이사 사장이다. 가계. 조선일보 회장을 역임한 방일영의 아들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조선일보를 이끌고 있다. 대한제국 시기의 정치인 윤치호(尹致昊)의 증손녀이자 윤영선의 손녀인 윤순명과 결혼하여 준오, 정오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 방준오는 GS그룹 계열의 허광수 삼양인터내셔널 회장의 장녀이자 허서홍의 누나인 허유정과 결혼했고, 조선일보 이사대우로 재직 중이다. 차남 방정오는 수원대학교 이사장인 이인수 총장의 장녀 이주연과 결혼했고, TV조선 마케팅실 실장으로 재직하다가 딸의 갑질논란으로 사임했다. 사건. 조세 포탈. 2002년 조세포탈과 횡령혐의로 기소된 조선일보 방상훈 사장에 대해 검찰이 징역 7년에 벌금 120억원을 구형했다. 방상훈 사장은 증여세와 법인세 등 62억원을 포탈하고 회사공금45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작년 8월 구속됐다가 보석으로 풀려나 재판을 받아왔다. 2006년 6월 29일 조선일보사 주식 6만 5천 주를 명의신탁 형태로 아들에게 물려주는 방식으로 23억 5천만 원의 증여세를 포탈하고, 회사돈 25억 7천만 원을 사주 일가 명의로 조광출판이나 스포츠조선 등의 계열사 증자 대금으로 사용한 혐의로 기소되었다. 대법원은 조세를 포탈하고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로 기소된 조선일보 방 사장에 대해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 벌금 25억원을 선고하였다. 방 사장은 구속된 지 3개월 후에 보석으로 풀려났으며 2008년 8월 15일 이명박 대통령에 의하여 특별사면되었다.. 허위 사실 명예훼손.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과 관련된2009년 3월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배우 고(故) 장자연씨 사건과 관련, 조선일보사가 '특정 임원이 이 사건에 연루된 것처럼 발언·보도해 명예를 훼손했다'며 언론사와 정치인 등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모두 패소했다.다만 법원은 '조선일보 방상훈 사장이 장씨로부터 부적절한 접대를 받았다'는 의혹이 허위 사실이라는 점을 인정했다.서울고법 민사13부(문용선 부장판사)는 8일 조선일보사와 방상훈 사장이 KBS, MBC, 김성균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대표 등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3건의 항소심에서 원심과 같이 원고 패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피고들은 공익성, 상당성 등 위법성 조각 요건을 갖췄다"며 "일부 허위 사실을 적시했더라도 손해배상 책임이 없다"고 판시했다.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민사상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했더라도 그 행위가 공공의 이해에 관한 사항이고, 중요한 부분이 진실이거나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을 경우 위법성을 인정하지 않는다.재판부는 그러나 판결 이유를 설명하면서 사건의 중심이 된 피고들의 발언, 보도, 성명, 집회 등 핵심 내용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재판부는 "조선일보 방 사장이 장씨로부터 술접대와 성상납을 받았다는 의혹이 허위 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할 책임은 원고 측에 있다"며 "심리한 결과 이를 허위 사실로 판단했다"고 말했다.재판부는 이어 이종걸 민주통합당 의원과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를 상대로 낸 소송의 항소심에서는 "(단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고 의견을 말했을 뿐) 허위 사실을 적시했다고 보이지 않는다"며 항소를 기각했다. 아시안 콘퍼런스 주최.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3월 3일 조선일보가 주최하는 제5회 아시안 콘퍼런스에 참석해 “존경하는 방상훈 사장님과 내외귀빈 여러분, 반갑습니다”라며 축사를 건넸다.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 이후 언론사 사주를 향해 ‘존경하는’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 이례적이어서 언론계에 회자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하나의 한국, 더 나은 아시아’를 주제로 열린 아시안콘퍼런스 축사에서 제일 먼저 방상훈 사장을 언급하며 “존경하는 방상훈 사장님”이란 표현을 썼다. 뒤이어 부시 전 미국 대통령과 하토야마 전 일본 총리, 고촉통 전 싱가포르 총리, 길라드 전 호주 총리, 드 메지에르 전 동독 총리 등 인사들을 소개하며 인사말을 건넸다. 방상훈 사장은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지난 69년 동안 우리는 매일 전쟁을 걱정해 왔지만, 이제는 분단을 종식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방 사장은 "통일이야말로 세계경제를 이끌 마지막 견인차"라고 했다. 이어 "평화로운 통일은 동북아 경제의 대박이고 가장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되어줄 것"이라고 했다. 방 사장은 "가까운 미래에 한국·중국·일본·러시아 그리고 미국과 같은 국가들이 모여 평화로운 번영을 누리고, 서울에서 출발해 유라시아 대륙을 넘어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닿는 대륙횡단철도가 이어진다고 상상해 보라"며 "그날이 오면 보고, 듣고, 말하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에게도 인간적인 삶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방 사장은 "이번 회의가 한반도 통일에 다가가는 현실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자협회 회장단 간담회. 방상훈 사장은 2014년 4월 10일 한국기자협회 회장단과의 만찬 간담회에서 MBC, YTN 등 해직기자 문제에 대해 “한창 일할 나이의 기자들이 마음껏 취재하고 기사를 쓰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항상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대 일간지인 조선일보 사장이 언론계 크나큰 이슈인 해직기자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그간 조선일보 보도 행태와 사뭇 달라 이례적이다.출처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방 사장은 조선일보 신년기획 ‘통일이 미래다’시리즈에 대해 “조선일보의 뿌리는 이북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며 “그렇다보니 북한 동포에 대한 진정한 애정과 통일에 대한 관심을 남보다 더 오래전부터 가져왔다”고 밝혔다. 방 사장은 언론인공제회 설립 취지와 역할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는 “언론인공제회가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사기와 자긍심을 높여, 더 가치 있는 언론 활동을 북돋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 세계 미디어 산업이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도 가장 훌륭한 콘텐츠를 생산해 내는 것은 신문”이라며 “지구상에 마지막 단 한 명이라도 기자가 남아있는 한 신문은 건재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319985
65726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5
장자연
장자연(1980년 1월 25일 ~ 2009년 3월 7일)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생애. 2006년 27세에 롯데제과 CF로 연예계에 데뷔하였으며 KBS 《꽃보다 남자》에 출연하며 배우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일명 '장자연 리스트'에 따르면 그녀는 데뷔 후 성상납 강요와 폭력 등에 시달려 왔다고 한다. 사망 3일 전 장자연은 자신이 출연한 영화 《그들이 온다》의 강석범 감독과 통화하여 동료 연예인 김민선과 연락을 취하려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연락은 실패하였고 평소 친분도 없던 김민선과의 연락을 시도했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꽃보다 남자》 출연분을 모두 마치고 하차한 뒤 2009년 3월 7일에 경기도 분당 이매동의 자택에서 향년 30세의 나이에 사망한 채로 언니에 의해 발견되었다. 사인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우울증이 원인이라는 지인들의 증언이 있다. 이후 자살 직전 실명과 지장이 찍힌 문건의 사본으로 추정되는 문서 등이 발견되어 언론에 보도되었고 문건은 2009년 3월 14일 언론에 전격적으로 공개되었다. 최후 출연작이던 《꽃보다 남자》의 출연배우 중 장자연과 가까이 지냈다는 배우에 대한 참고인 소환조사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자연 사망 전에 문건이 이미 공개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장자연이 사망 직전 썼다는 편지 형식의 유서 등의 문건들은 진위 논란에 휩싸였으나, 경찰의 감정 결과 자필로 밝혀졌다. 해당 문건에 일부 유명 인사들이 언급되어 있다고 알려지면서 네티즌들은 분노와 유감을 표하며 이 문건에 언급된 인사들에 대한 명단공개와 처벌 등을 주장하기도 했다. 사후 장자연의 시신은 화장되어 부모의 묘가 있는 전북 정읍시 소성면 묘소 근처에 뿌려졌다. 2018년 12월 3일 시민단체 <내부제보실천운동> 주최 '이문옥 밝은사회상 특별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319987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7
카탈루냐어 위키백과
카탈루냐어 위키백과()는 카탈루냐어 판의 위키백과이다. 2001년 3월 16일에 설립되어 2018년 8월 기준 587.000개의 문서를 자랑하고 있다. 위키백과 부호는 ca이다.
319988
4174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8
카탈로니아어 위키백과
319989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89
샤를 푸리에
프랑수아 마리 샤를 푸리에(, 1772년 4월 7일 ~ 1837년 10월 10일)는 19세기 초 프랑스의 공상적 사회주의자이다. 급진자코뱅의 사상을 이어받은 그는 급진적 사화주의의 이념과 초기 프랑스 유물론에 근거한 사회주의 이론 저작물을 내놓았는데, 1837년에 페미니즘(feminism)이라는 단어를 최초로 사용한 철학자로도 유명하다. 1837년 샤를 푸리에는 이상적인 공산주의 사회로 보는 팔랑스테르(phalanstery)에서 전통 가정을 비웃고 광란의 그룹 섹스 파티를 벌여야 인류의 내재적 욕망을 해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사랑과 열정적 매력을 여성의 여성해방론에 의해서 성을 공유해야 하며, 성 학대, 근친상간, 심지어 수간을 포함해 그 어떤 형식의 성 만족 이든 모두 허락해야 한다는 엽기적인 주장까지 펼치기도 하였다. 삶. 유복한 모직물 상인의 외아들로 프랑스 동부의 브장송에서 출생하였다. 1791년 19세 때 리옹의 어떤 상사(商社)의 외무사원이 되었다. 1793년 부친의 유산으로 리옹에서 상사를 차렸으나 프랑스 혁명의 소동으로 상품을 징발당하여 파산한다. 그 후에도 사용인으로서 상업실무에 관계하거나 중매인이 된다든가 하여 상업 투기의 기만성을 체험한다. 이 체험에서 사적 소유에 기초를 둔 상업의 무정부성이 그의 자본주의 비판의 요점이 되었다. 1808년에 〈4운동의 이론〉을 발표하였고, 또 1822년 간행한 주저 〈농업가족집단〉(개정 증보판 〈보편적 통일의 이론〉1834년), 기타 저서와 논문으로 집단 소유에 입각한 팔랑쥬(Phalanstère)라는 명칭의 공동조합 제도를 구상하였다. 사상. 공산촌. 샤를 푸리에는 우애와 협동에 기반한 사회주의야말로 사회적 성공에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팔랑쥬(Phalanstère)라는 공산촌 계획을 수립하여 노동생산성과 경제적 평등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거대한 집산주의 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그는 작업지에 원통형 또는 사각 고리 형태의 아파트를 지은 다음, 모든 사람이 평균이상의 주거 수준을 누릴 수 있게 한 동시에, 생산성 상승을 꾀하기 위하여, 생산성이 제일 낮다고 평가되는 노동자는 1층, 제일 높다고 판단되는 노동자를 제일 위의 층에서 거주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일자리는 각 개인의 희망에 따라 분배하는 동시에, 의무로 지정된 하루 근로 시간은 6시간이며, 일주일 중 하루는 쉬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재화의 경우는, 모두에게 기초적인 재화를 분배하되, 생산성에 따른 약간의 차등을 둔다. 이것 외에도 육아를 위한 탁아소, 그리고 정신적 안정을 위한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 교육 시설, 의료 시설, 공동 식당 등을 두어야 하며, 인류애를 증가시키기 위한 이성(logos)의 제단을 만들어서 의무적으로 참여케 해야 함을 설파했다. 근대적 문명 비판. 그는 사회적 병리 현상의 주요 원인을 문명의 물질적 발전에 따른 상업화에서 찾을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 당시 자본주의라는 표현은 없었지만, 그가 비판하는 상업화란 현대의 자본주의와 유사하다. 그는 전방위적인 상업화가 과거 중세 몽매 시기에 비해 훨씬 높은 생산성을 구축하는 데에는 성공했으나 인간의 정신을 크게 타락시켜 '최고 존재로서의 신'(우주만물의 이성)에 대한 추구성을 파괴했다고 하였다. 그는 그 자신이 유물론자였으나, 인간의 행복을 결정하는 것은 최고의 원리에 기반한 삶, 즉, 정신에서의 고귀함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아동교육론. 그는 아동의 잠재성을 관통했던 교육철학자 중 한 명이었다. 아동을 '어리석고 시끄럽기만 한 존재'라고 치부했던 근대 문명 교육제도의 선구자들을 비판했으며, 오히려 어린 시기에 들어서는 교육 효과가 성인에 비해 훨씬 높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아동들의 흥미를 유도하여 그들의 혼재 속성을 파악하는 교육론을 제시하였으며, 아동이 갖고 있는 속성을 약 다섯 가지로 요약하였다. 그는 인간이라는 존재는 천부적으로 자신의 속성을 평화롭고 조화로운 방식으로 추구하고 간직하려는 선함의 특성을 가진다고 봤으며, 사회의 야만성에 함몰되어 결국 성인에 이르게 되면 대부분이 타락한 인간상이 될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그는 혼란과 무질서, 향락성을 절제하면 인간이 더욱 더 자신의 천부성을 조화롭게 이어나갈 수 있다는 관점을 갖고 있었다. 여성 인권. 당시 대다수 급진주의자들은 장자크 루소의 낭만주의에 빠져있었기에 여성은 남성의 아래라는 의식에 있어서 보수주의자들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었다. 그러나, 샤를 푸리에는 루소의 낭만주의를 비판했다. 동시에, "(성별로 차별을 가하는 주장들)"이 주장은 곧 인류의 반에 해당하는 인간의 욕구를 극도로 억압하자는 것인데, 이러한 주장을 일삼는 자들은 인류애적 가치를 훼손하는 자들이다.""라는 주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성도 남성과 다를 바가 없는 인간이며, 일부 비본질적 차이만 존재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여성도 역시 옴니커크가 될 수 있으며, 남자와 비슷한 재산권과 교육권을 획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당시 여성의 욕망들(물욕 및 성욕)을 억압하고, 그것을 남성만이 차지할 수 있다는 류의 차별주의자들에 대한 급진적인 비판을 전개하였다. 그의 여성해방론은 주로 여성이 갖는 욕구를 억압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인간론. 그의 윤리학에 관련된 저서인 〈4운동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810가지의 고정적인 긍정의 개인성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항하는 부정의 개인성도 810가지가 존재한다고 봤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1,620가지 유형의 성격이 혼재된 상태로 살아갈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이러한 1,620가지 속성의 혼재 비중이 자기와 같은 사람과 사랑을 나눌 때 비로소 진정한 사랑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는 사랑 뿐만이 아닌, 노동에 대한 선호도 또한 포함된다. 그는 노동도 또한 이 1,620가지의 속성에 맞게 구비가 되어야 한다고 했으며, 이러한 것이 완벽하게 이뤄진 600만 명 단위의 사회의 단위 지도자를 옴니커크(omniarch)라고 칭하였다. 그는 동성애도 역시 1,620가지 유형의 혼재된 양상 중 하나에 속하기 때문에 특별히 취급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당시 기독교적 사고관이 팽배했던 시대에서 상당히 급진적인 발언이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다양한 속성들도 결국 단 하나의 본질에 의해 파생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인 이상 행복이란, 이러한 속성을 추구하는 데에 있다고 하였기 때문에, 그것을 하나의 본질에 일원화시키는 방향보단, 그것이 하나의 본질에 근거한 자연원리에 맞게 운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그가 바뤼흐 스피노자 이후의 코나투스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한계. 그의 공산촌 계획은 어디까지나 각성된 부르주아의 선심에 의존한 것이었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으로 말미암아 그는 노동자 또는 빈곤층들의 정치세력화와 혁명 전술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아소시아시옹 논쟁. 샤를 푸리에의 공산촌 개념은 반체제 언론인이었던 빌헬름 슐츠의 《국가사전》을 통하여 유럽 각지로 퍼지게 되었다. 이 개념은 수많은 사회주의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는데, 대표적으로 일어난 사건이 피에르조제프 프루동과 카를 마르크스의 '아소시아시옹 논쟁'이다.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842년에 저술한 《경제적 모순의 체계, 혹은 빈곤의 철학》에서 앙리 드 생시몽과 샤를 푸리에의 공산촌 소유 구조 체계를 '노동자 아소시아시옹'(associations de travailleurs)라는 독자적인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노동자 아소시아시옹이 종래의 국가 체계를 완전히 대체하는 인민의 공동체이며, 이러한 공동체는 과거 국가 체계의 모든 요소가 사라지기에 권력 구조도 종래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 아소시아시옹의 형성은 국가에서 비국가로 나아가는 형태이며, 그 사이에는 돌이킬 수 없는 장벽, 즉, '국가적인 것'과 어떠한 연쇄성도 없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카를 마르크스는 《철학의 빈곤》을 통하여 그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카를 마르크스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지양'(Aufheben) 개념을 국가의 발전 양상에 적용하여 앙리 드 생시몽과 샤를 푸리에 등이 주장한 공산촌 구상은 국민국가의 틀에서의 내적 혁명을 통해 발생한 한 사회 구조의 형태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그는 헤겔적 지양 측면에서 '보존된 것'은 국가라는 구성체이며, '변화된 것'은 낡은 생산 단계(자본주의)를 뒤엎은 새로운 생산 단계(사회주의)에 진입한 경제 구조라고 하였다. 즉, 이 '아소시아시옹'이 종래의 국가 속성에 기반한 상태로 발전해나간 개념이며, 당연히 과거 관념적 사회주의자들이 주장했던 아소시아시옹 구상은 하나의 국가 통치 체계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319991
3299912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91
맥베스 (희곡)
《맥베스의 비극》(, 추정 1606년), 흔히 줄여서 《맥베스》는 셰익스피어가 쓴 비극이다. 개요. 이 비극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가장 짧고 급속한 극의 전개로 긴장감이 넘친다. 덩컨 살해 장면부터 문지기가 희극스러운 한숨을 돌리는 장면까지의 전개가 특히 우수하다. 초자연적 요소가 현저한 점도 특징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은 공통적으로 주인공들이 어떤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고 이 결함으로 인해 초래된 비극을 다루고 있는데 맥베스는 야망으로 인한 비극이다. 줄거리. 스코틀랜드 장군 맥베스는 막료 뱅코와 전투를 치르고 개선하다가 황야에서 세 마녀를 만나 그와 뱅코의 자손이 앞으로 왕이 된다는 예언을 듣는다. 이를 듣고서 맥베스는 망설이지만, 그 이상으로 권력욕 있는 부인이 부추기자 때마침 마중 나온 왕 덩컨을 살해하고, 그 후 뱅코와 파이프의 영주 맥더프의 처자마저 죽인다. 하지만 맥베스는 뱅코의 망령에 시달리고, 부인은 양심의 가책으로 말미암아 몽유병자가 되었다가 끝내 자살한다. 마녀의 두 번째 예언은 버넘의 숲이 움직이지 않는 한, 또 여자에게서 태어난 것에는 맥베스가 결코 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왕 덩컨의 아들 맬컴은 버넘 숲의 나뭇가지를 들고 쳐들어오고, 맥더프도 제왕절개로 태어났다는 말에 맥베스의 마음이 꺾여 맥더프의 칼에 넘어진다. 결국 맥베스는 맥더프와 싸워 끝내 맥더프가 맥베스를 죽였고 맥더프는 덩컨의 아들에게 왕위를 돌려주었다. 공연 기록.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공연 기록은 1611년에 사이먼 포먼()이 남긴 관람 기록으로, 글로브 극장에서 공연했다고 한다. 배경. 4대 비극 중 가장 마지막 작품인 이 작품은 스코틀랜드의 역사극에서 모티브를 취재한 것으로 1606년 덴마크 왕이 영국을 방문했을 때 상연하기 위해 쓴 것이다.
319992
22169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92
맥베스
맥베스()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319997
9967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97
브로콜리너마저
319998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19998
첼로 협주곡 (드보르자크)
첼로 협주곡 나단조 작품 104, B.191은 미국 시대의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향수(鄕愁)가 낳은 명작으로 1895년 2월에 일단 완성, 같은해 6월 손질을 하여 지금의 형태로 되었다. 드보르자크가 미국의 흑인이나 인디언의 민족음악과 모국 체코의 민족음악과 결부시키려 한 작품이 여럿 있는 중에서 이는 음악으로서 가장 충실히 된 것이다. 독주부(獨奏部)는 첼리스트에게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나 그 기술이 전체의 표현에서 나타나는 일은 한 번도 없고 관현악부와 혼연일체가 되어 교향곡적으로 발전시켜 간다는 정도의 취급방식은 작곡자가 경도되어 있던 브람스의 <피아노(또는 바이올린) 조주(助奏)가 있는 교향곡>이라는 협주곡에서 오는 영향도 느낄 수 있어 첼로 협주곡의 최고의 명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320002
5334437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02
부산울산고속도로
320004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04
펠리페 6세
펠리페 6세(, 1968년 1월 30일 ~ )는 스페인의 현 국왕(재위: 2014년 6월 19일 ~ )이다. 친부인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이 양위함에 따라, 2014년 6월 19일 왕위를 계승하였다. 유년기. 펠리페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당시 스페인 공 후안 카를로스와 그의 아내 소피아의 세 번째 아이이자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유아 세례를 받은 당시 그의 세례명은 스페인 보르본 왕조의 전통에 따라 지었는데, 펠리페 후안 파블로 알폰소 데 토도스 로스 산토스 데 보르본 이 그레시아()이다. 이를 풀이하면 먼저 첫 번째 이름 펠리페는 스페인 보르본 왕조의 첫 번째 국왕인 펠리페 5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그다음 이름인 후안과 파블로는 각각 그의 조부에 해당하는 후안 3세와 그리스의 파블로스 국왕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그리고 알폰소는 증조부격인 알폰소 13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며, 데 토도스 로스 산토스는 스페인어로 모든 성인을 의미한다. 그레시아는 그리스의 공주 출신인 어머니 소피아 왕비(소피아 데 그레시아)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스페인 이름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을 모두 사용한다. 1977년 1월 22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에 의해 스페인의 왕위 계승자에 해당하는 직책인 아스투리아스 공으로 임명되었다. 교육과 군사 훈련. 펠리페는 산타 마리아 데 로스 로살레스에 있는 학교를 다녔다. 펠리페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있는 레이크필드 칼리지 스쿨에서 고등학생 시절을 보내고, 마드리드 자치 대학교에서 수학하여 법학에서 학위와 졸업하였으며 경제학에서 몇몇의 과정들을 마치기도 하였다. 그는 또한 자신의 사촌 그리스 왕세자 파블로스와 동거한 조지타운 대학교의 에드먼드 A. 월시 외교 대학원으로부터 외교학에서 이학 석사를 취득하여 자신의 학문적 전공들을 마쳤다. 왕위 계승자로서 조심스럽게 규제되고 구성된 계획은 펠리페의 군사 훈련을 위하여 설계되었다. 1985년 8월 왕실 법령은 사라고사에 있는 육군 사관 학교에서 펠리페를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9월 그는 거기서 육군 훈련을 시작하였다. 그는 10월 자신의 대형의 첫 단계를 완성하였다. 1986년 7월 그는 사관 후보생의 소위로 진급되었다. 그해 9월 그는 폰테베드라에 있는 해군 사관 학교에서 자신의 해군 훈련을 시작하여 제3 여단에 입대하였다. 1987년 1월 그는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전함에서 자신의 해군 훈련을 지속하였다. 7월 그는 무르시아에 있는 공군 사관 학교에서 학생 소위로 임명되었다. 9월 그는 거기서 자신의 공군 훈련을 시작하여 전투기 조종을 배웠다. 1989년 그는 육군 중위, 해군 소위와 공군 중위로 진급되었다. 1992년 그는 공군 대위로 진급되었다. 1993년 그는 해군 중위와 육군 보병 대위로 진급되었다. 2000년 더욱 나가서 진급들은 육군 사령관, 해군 코르벳함 대위와 공군 사령관이었다. 2009년에 진급들은 육군 중령, 해군 프리깃함 대위와 공군 중령이다. 2014년 6월 19일 이래 그의 국왕 즉위 후 그는 스페인의 전 군사 총사령관의 계급을 취득하였다. 스페인과 해외에서 활동들. 펠리페는 왕위 계승자로서 자신의 헌법적 임무들을 부지런히 착수하여 스페인에서 많은 공식적 행사들을 개최하고 스페인 대중의 서로 다른 분야와 상황들의 행사들 전부에 참가하였다. 1995년 10월 이래 펠리페는 자신이 세상살이로부터 스페인 국민들과 연락하는 동안 발렌시아에서 시작으로 스페인 자치 공동체들에 공식 방문에서 스페인을 대표하였다. 펠리페는 그들의 활동들과 함께 최신의 헌법적 조직체와 국가적 제도들과 함께 정규적 모임을 개최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국내적과 국제적 헌법적 의무들에 의하여 요구되면서 중앙 행정부와 자치 공동체들의 다양한 조직체의 모임들에 참석하기도 하였다. 펠리페는 국내와 국제 정세들에서 왕실의 상호 작용을 유지하는 데 가능한 대로 많은 공공적과 개인적 관중들에 의하여 환영을 받았다. 특히 그는 정치, 경제, 문화와 매체의 집단들에서 성공적인 경력들을 쌓은 자신 세대의 사람들과 모임들을 개최하였다. 군사 훈련의 일부로서 펠리페는 군사 헬리콥터 조종사로 훈련받았다.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참석하지 못한 경우에 펠리페는 3개의 군사 복무들에 의하여 개최된 군사 연습에서 참석은 물론 군사의 사관들과 임관되자 않은 사관들에게 해마다의 급송 공문서 수여식을 사회하였다. 펠리페는 아랍 세계, 극동의 나라들과 오스트레일리아는 물론 유럽과 라틴아메리카로 많은 공식 방문을 하여 라틴아메리카, 유럽 연합, 중동과 북아프리카에 관련된 모든 문제들에 특별한 중요성을 유지하였다. 1996년 1월 이래 펠리페는 많은 라틴아메리카의 대통령들의 취임식에서 스페인 정부를 대표하였다. 황태자로서 그는 쿠바를 제외한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나라들을 방문하여 총 200개 이상의 해외 순방을 이루었다. 펠리페는 스페인의 경제, 상업과 문화적 흥미들과 해외의 스페인어를 흥행하는 매우 활동적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그는 세계 경제와 무역 행사들에 자주 스페인을 대표하였다. 그는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프랑스어, 영어와 약간의 그리스어를 한다. 사회 활동들. 자신의 공식적 활동들에 추가로 펠리페는 이베로아메리카와 다른 나라들에서 경제와 사회 개발에 융자하는 코데스파 재단과 현저한 전문인들로 이루어진 유럽 저널리스트 협회의 스페인 지점 같은 몇몇의 협회와 재단들의 명예 회장을 지낸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높이 이름난 아스투리아스 왕비 상(전적으로 아스투리아스 황태자 상)의 국제적 수여식에서 자신이 해마다 사회한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재단이다. 유엔이 "지원자들의 국제의 한해"가 있는 동안 2001년 펠리페는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에 의하여 "유엔의 저명인"으로 임명되었고, 국제적으로 지원 사업의 중요성을 강화하는 데 지속적이 공헌을 하고 있다. 스포츠와 올림픽 참가. 펠리페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스페인 요트 팀의 일원이었으며, 개막식에서 스페인 선수단의 기수를 맡으며 등장하였다. 펠리페는 1976년 코파 델 게네랄리시모 결승전에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우승한 것을 본 이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성원자로 지내왔다. 그는 또한 2003년 이래 클럽의 명예 회장이기도 하다. 모친과 그의 삼촌 콘스탄티노스 2세는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그리스 요트 팀에 있었고, 부친과 누이도 또한 스페인을 위한 올림픽 요트 선수들이었다. 펠리페는 2018년 유럽 럭비 선수권에서 스페인 럭비 국가대표팀의 유니언 결승전에 참석하기도 하였다. 국왕 즉위. 2014년 6월 2일 후안 카를로스 1세는 펠리페의 호의에 퇴위하는 데 자신의 의지를 공고하였다. 스페인 헌법에 의하여 요구되면서 스페인의 내각은 이어진 날 퇴위에 효력을 주는 데 기본법에 심의들을 시작하였다. 법률은 스페인 의회의 하원의 다수에 의하여 통과되어야 했다. 하원의 회장 헤수스 포사다에 의하면 펠리페가 6월 18일 만큼 일찍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고 한다. 펠리페는 6월 19일의 한밤 중에 왕위에 올랐으며, 그의 부친은 몇시간 일찍이 자신의 퇴위에 효력을 준 기본법에 자신의 인가를 주었다. 다음날 아침 부친으로부터 총사령관의 장식띠를 받은 후, 펠리페는 의회에 의하여 개최된 의식에서 정식적으로 국왕으로 선서하여 즉위하였다. 그는 포사다에 의하여 국왕으로 즉위하기 전에 헌법을 찬성하는 데 선서하였다. 자신이 왕위에 오름에 그는 네덜란드의 국왕 빌럼 알렉산더르보다 9개월 어리면서 유럽에서 최연소 군주가 되었다. 국왕으로서 펠리페 6세는 신문에 공명적으로 광대한 예비적 권력들을 가졌다. 그는 헌법의 수호자이며 복종된 보증을 위하여 책임을 진다. 자신이 보통 주지사인 동안에 그일은 자신이 대부분 의식과 대표적 역할을 차지하는 부친의 실습을 따르고 정부의 조언에 크게 활동하는 데 기대되었다. 그는 자신의 즉위한 날 의회에 연설하여 자신이 "최고에 공익에 의지하는 것은 물론 듣고 이해하고, 경고하고 조언하는 데 준비된 충성적인 국가 수반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하지만 엘 파이스에 의하여 운영된 투표는 만약 그가 국내적 문제들에 동의서들을 도달하는 데 개인적으로 정당들을 밀고 나가면 600명 국민들의 75%가 찬성하려고 하면서 스페인 국민의 다수는 펠리페 6세가 정치에서 위대한 역할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나타냈다. 엘 문도 신문의 투표에 의하면 펠리페는 자신의 통치에 대비하여 부친보다 위대한 찬성을 가졌다고 한다. 그해 6월 펠리페 6세와 레티시아는 궁전에서 성소수자 기구들을 받고 인정하는 데 첫 스페인의 군주와 배우자가 되었다. 펠리페 6세는 또한 국민들이 십자가와 성서 없이 직무의 선서를 하는 데 허용하는 명령에서 의식을 바꾸기도 하였다. 군주로들로서 그들의 첫 해외 순방에서 펠리페 6세와 레티시아 여왕은 6월 30일 사도궁에서 교황 프란치스코를 만났다. 이어서 그들은 국가들과 관계들을 위한 차관인 안토이네 카밀레리 사자에 의하여 동행된 피에트로 파롤린 국무원장 추기경과 만났다. 방문에 4월 28일 후안 카를로스 1세와 소피아 왕비에 의한 방문에 의하여 이어졌다. 7월 18일 새 국왕은 각료 회의의 첫 모임에 의장을 맡았다. 2015년 2월 펠리페 6세는 지속적으로 스페인을 훼방 놓은 불경기와 어려움의 결과로서 자신의 연봉을 20%로 감소한다고 공고하였다. 2015년 선거는 정부를 형성하는 데 아무 정당도 충분한 의석들을 이기지 않았다. 서로 다른 정당들과 동의서들이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서로 다른 당수들과 몇달간 회담 후, 그리고 정부 형성에 후원의 자리에서 분명한 후보가 아무도 없으면서 왕실 법령은 6월 새 선거가 요청되면서 의회를 해산하는 데 팔포되었다. 이 일은 총리가 아닌 국왕에게 의회의 해산을 발행하기 위한 의안 제출권인 점에서 헌법의 조항 99.5조 아래 선거가 요청된 민주주의로 이행 이래 처음으로 특징을 지었다. 2017년 10월 3일 카탈루냐 독립 국민투표에 이어 큰 항의 시위 운동과 총파업이 카탈루냐에서 일어나면서 펠리페 6세는 자신이 "법률의 외부"를 실행하기 위하여 국민투표의 활동들을 비난한 텔레비전 연설을 강하게 하여, 그들을 "받아들일 수 없는 불충성"과 "카탈루냐 사회 자신 안에서 일치와 공존을 손상시킴"으로 고발하였다. 그는 또한 국민투표가 스페인의 북동부 지방 전체의 경제를 위험에 놓을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그의 연설에 반응들이 섞였다. 통합당과 카탈루냐 공통당의 당수들이 "비책임적이면서 가치 없다"라고 비난한 것에 반하여 국민당과 시민당의 당원들은 국왕의 "합법으로 위탁"을 인정하고 카탈루냐의 자치권의 가혹한 중재를 위한 방향을 용이하게 하였다. 스페인 사회노동당에 의하면 그 당수들은 공공에서 국왕의 연설에 그들의 성원을 보였으나 스페인과 카탈루냐 정부들 둘다 사이에 이해와 의견 교환으로 아무 소집을 만들지 않은 것에 비공식적으로 뒤집혀졌다.
320007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07
이중재
이중재(李重載, 1925년 9월 20일 ~ 2008년 12월 18일)는 대한민국의 제6·7·8·9·12·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본관은 광주이며, 전라남도 보성군 출신이다. 호(號)는 오봉(晤峰)이다. 1952년 부통령 김성수의 개인 비서로 정계에 입문하여 군사 정권 시절 야당에서 활동했고, 김영삼에 반대하여 평화민주당과 민주당 등에서 활동했으나,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의 창당에 참여하지 않고 민주당에 남아있다가 1997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추대된 조순과 신한국당의 후보였던 이회창의 단일화 협상으로 한나라당이 탄생하면서 한나라당으로 합류했다. 장남은 이종구이다. 생애. 1925년 1월 20일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에서 출생하였다. 보성고등학교 졸업을 거쳐 1946년 보성전문학교 경상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뒤 민주국민당에 입당, 한국 전쟁 중 1952년 부산 피난시절 부통령 인촌 김성수의 비서로 정계에 입문 했다. 그 뒤 1963년 6대 국회에서 민정당 소속 전국구 비례대표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6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9대까지 내리 4선에 성공했으며 그 뒤 12대와, 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등원했다. 60년대 김영삼이 신민당 원내총무가 되자 그 밑에서 신민당 대변인을 지냈고,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과 신민당 부총재를 지냈다. 1980년대, 제5공화국 출범 이후 정치활동이 금지되자 이중재는 민주화추진협의회 운영위원, 민주인권연구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고 야당의 통합을 위해 야당통합추진위원회를 조직하여 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그 뒤 신민당, 민한당이 통일민주당으로 흡수되면서 통일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 그 뒤 김대중이 통일민주당을 탈당할 때 함께 평화민주당에 참여했고,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지냈다. 그 뒤 민주화추진협의회 상임운영위원을 지냈으며 평화민주당, 민주당에 있다가 민주당의 부총재를 지내기도 했다. 1997년 대통령 선거 직전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되자 이에 참여하였다. 국회 의정활동 기간 중 국회 재무위원회에서만 활동했고 다른 곳에서는 활동하지 않았다. 그래서 동료들은 그를 ‘명석한 경제통’으로 기억하기도 한다. 12대 국회 당시, 야당의 예산안 투쟁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역 국회의원에서 물러난 뒤 한나라당 상임고문을 지냈다. 2008년 12월 18일 오후 8시24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장지는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이다.
320010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0
수익형 민자사업
수익형 민자사업(收益形民資事業)은 민간이 시설을 건설하고 직접 운영하는 사업을 뜻한다. 건설(Build), 이전(Transfer), 운영(Operate)순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여 BTO 사업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수입 창출이 가능한 시설을 대상으로 정부가 민간에게 위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위탁한 사업을 일정 기간동안 민간 사업자가 사업에서 수익을 직접 거두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방식은 민간 사업자가 해당 사업을 진행, 운영하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 자율성이 보장되지만, 사업으로 거둔 수익을 토대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수익 변동이 잦은 것이 특징이다.
320011
608006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1
BTO
BTO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320012
3297753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2
스페인 왕비 레티시아
스페인 왕비 레티시아(, 1972년 9월 15일 ~ )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6세의 현 왕비이다. 펠리페와 결혼하기 전에는 언론인이었다. 본명은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이다. 오를레앙의 멀세디스 이후 처음으로 스페인 출신의 왕비이며, 첫 평민 출신 왕비이기도 하다. 펠리페 6세와 결혼하기 전 알폰소 귀레르모 페레즈와 결혼했던 경력이 있는 이혼녀였으나, 첫 결혼이 종교 결혼이 아니었기 때문에 펠리페 6세와의 결혼이 인정받았다.
320013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3
안살도 STS
안살도 STS는 철도 신호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철도 건설 턴키 사업도 갈이 하고 있다. 이탈리아 제노바에 본사가 있으며. 이탈리아 보르자에 주식이 상장되어 있다. 역사. 안살도 그룹의 역사는 1853년 설립된 지오바니 안살도 앤 C.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회사는 철도 차량 및 시스템 전문 회사이다. 이후 주인이 여러 번 바뀌면서 이탈트라포 SpA라는 이름으로 바뀌었고, 1980년 핀메카니카와 안살도의 합작 벤처 안살도 트란스포티 SpA가 설립되면서 구조를 개혁하였다. 안살도 트란스포티 설립 이후 많은 회사를 인수 합병하였다. 2006년 3월 부분적으로 기업 공개를 하면서 현재의 안살도 STS가 생겼다. 구조. 안살도 STS SpA라는 지주 회사가 여러 자회사를 소유하는 구조이다. 제품. 안살도 STS는 전 세계 지하철, 노면 전차, 철도 신호 장비를 공급하였다. TGV에 사용하는 신호 장비 TVM은 안살도 STS가 공급하고 있다.
320014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4
이타미역 (서일본 여객철도)
이타미 역()은 일본 효고현 이타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후쿠치야마 선 (JR 다카라즈카 선) 상의 철도역이다. 개요. 오사카 국제공항 (이타미 공항)의 서측에 위치하며, 역전에서 공항행의 이타미 시 버스가 발착한다. ICOCA, J스루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호 이용 대상 포함). 어번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으며, 미도리노마도구치가 설치되어있다. 자동 발권기는 전부 터치스크린 방식이다. 단바지 쾌속·쾌속·보통 열차가 전부 정차한다. 쾌속을 이용하면 2역만에 오사카 역에 도달할 수 있으며, JR 도자이 선 직통 열차도 있으므로 오사카 시내에의 접근이 편리하다. JR 후쿠치야마 선 탈선 사고 이후, 시각표가 많이 완화되며 운전 편수가 바뀌었는데, 아침 러시아워시에는 오사카 방면으로 1시간당 15편 (약 2~5분 간격)으로 열차가 도착한다. 역 구조. 상대식 2면 2선의 플랫폼이 있는 지상역으로, 교상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플랫폼 구조는 차후의 섬식 2면 4선화에도 대응하고 있지만, 측선로 용지에는 현재 주륜장 등이 위치하고 있다. 나중에 이 역에서 오사카 국제 공항 방향으로 JR 후쿠치야마 선 분기선을 만드는 것이 구상되고 있으며, 그 때문에 분기선이 위치할 곳의 용지는 비어있다. 플랫폼의 유효장은 220m의 10량 대응이지만, 8량 편성분 밖에 쓰지 않고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4기, 엘리베이터는 2기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1 2 이용 상황. 후쿠치야마 선은 오랜 시간 동안 단선 비전화의 지방 로컬선이었기 때문에, 이 역도 국철시대부터 대도시 근교의 역으로 승강객이 적은 역이었다. 하지만 1981년의 복선 전철화, 1987년의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1997년 JR 도자이 선 직통 운전 개시 등 편리성의 큰 향상과, 2000년대 역 주변에 대규모 상업 시설이 개발됨에 따라서 승강객이 증가하여 현재는 서일본 여객철도 관내 승차 인원수 50위 안에 드는 역이 되었다. 또한, 경쟁중인 한큐 전철 이타미 역의 경우 편리성이 좋지 않은데다가 (직통 열차가 없고, 환승역인 한큐 전철 쓰카구치 역에는 낮시간대에 우등 열차가 서지 않음),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가역사로 영업하는 사이, JR 도자이 선의 개통으로 JR의 편리성이 대폭 향상되었기 때문에 한큐 전철 이타미 역보다 JR 이타미 역 쪽이 이용자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 한큐 전철 이타미 역 주변의 대규모 상업시설 철거도 JR 이타미 역 이용객 수 증가의 요인이 되고 있다. 2007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수는 23, 026명으로, 서일본 여객철도 관내 38위, 후쿠치야마 선내 2위이다.
320015
10645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5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Roque de los Muchachos 天文臺)는 카나리아 군도 라팔마섬의 가라피아(Garafía) 지방에 위치한 천문대이다. 유럽 북방 천문대의 일부이며, 부근의 테네리페섬(Tenerife)에 위치한 카나리아 천체물리 연구소(Instituto de Astrofísica de Canarias)에 의해 운영된다. 시상이 좋아 북반구에서는 하와이섬 마우나케아 천문대에 이어 광학과 적외선 관측에 두 번째로 좋은 장소로 손꼽힌다. 이 곳에는 적응 광학으로 보정한 스웨덴 태양 망원경, 2009년 초에 가동을 예상하여 시험중인 10.4m 카나리아 대망원경 등의 천문 시설들이 있다. 로크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는 유럽 남방 천문대의 주도로 세워지는 42m 망원경인 유럽 초대형 망원경(European Extremely Large Telescope)의 후보지 중 하나이다.
320018
12703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18
찰튼 애슬레틱 FC
320022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22
야이다 히토미
야이다 히토미(, 1978년 7월 28일 -)는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다. 오사카 출신으로 에 소속되어 있다. 주요 활동 이력.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음반. 정규 싱글. 반다이 뮤직 엔터테인먼트 발매 2~14는 도시바EMI 발매, 나머지는 아오조라 레코드 발매. 아오조라 레코드 발매. 디지털 싱글. 아이튠즈를 통해 다운로드 판매되었음 정규 앨범. 1~5는 도시바EMI 발매, 나머지는 아오조라 레코드 발매. 커버/제공. 커버 곡. ※.음반 또는 DVD 등에 수록된 곡만 소개한다.
320024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24
보르자 아파트
보르자 아파트는 바티칸 시국의 사도 궁전 안에 있는 스위트룸이다. 소개. 보르자 아파트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드리고 데 보르자)에 의해 사적으로 이용하려는 용도에 맞추어 개조되었다. 15세기 후반에 알렉산데르 6세는 이탈리아인 예술가 핀투리키오에게 자신의 서재와 프레스코로 장식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중세 백과사전에서 빌린 주제들을 사용하여 복잡한 도상학적 진행 순서에 따라 1492년부터 1494년까지 그린 그림 중에는 보르자 일족으로 여겨지는 인물들의 신적 근원을 찬양하고, 여기에 종말론적 의미를 덧붙인 그림도 있다. 보르자 아파트는 시빌라의 방, 신경의 방, 교양 과목의 방, 성인의 방, 신심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방들은 실각한 보르자 가문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기 때문에 1503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선종 이후 방치되었다. 1889년 교황 레오 13세는 이 방들을 복원하였으며 일반 대중에 공개하였다.
320025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25
보르자
보르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320034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34
김용갑
김용갑(金容甲, 1936년 9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다. 생애. 김용갑은 1936년 9월 28일에 경상남도 밀양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경성 마포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61년 25세에 육군사관학교를 17기로 졸업하면서 소위로 임관되며 군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1966년부터 이듬해 1967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으며 1971년 35세에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다. 그 뒤 공직자가 되어 중앙정보부와 안기부에서 근무하였다. 유신 후반 중앙정보부 감찰국장으로 승진하고 1981년에 안기부 감찰실장을 거쳐 기조실장이 되었다. 1981년 5공 출범 후에도 기조실장에 유임되었다. 1985년 2월에 후배 양성을 위해 자진사퇴를 대통령에게 보고. 그후 미버클리대학 수학중 청와대민정수석 임명을 받고 다시 귀국한다. 이후 노태우정부 총무처 장관을 지냈다.청와대 민정수석 시절 현장을 다니며 아래에서 올라오는 보고를 종합해 대통령에게 보고하면 되는 일도 직접 현장을 찾아다니며 활동하기도 했다. 1986년에 야당인 신한민주당직선제개헌 추진 행사장에 잠입 정세를 파악 전두환 대통령에게 보고하였고 1987년에 발생한 6월 민주 항쟁 당시 그는 명동성당의 농성장 한가운데에 들어가 최루탄을 뒤집어쓰면서 수집한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두환대통령에게 전달하며 직선제 수용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얼마 뒤 전두환은 직선제를 수용하겠다고 밝혔고 노태우는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6·29 선언을 발표한다. 장관 재직 중에 그는 공무원 처우 개선에 앞장섰으며 민속의 명절인 설날을 부활시키기도 했다. 또한 아이디어를 직접 제안하여 공무원 출근부를 폐지하고 원탁회의를 도입했다. 와이셔츠 차림 회의 또한 그의 아이디어였다. 그래서 그는 제일 인기 있는 장관이었으며 총무처 직원들에게 유연하고 기발한 장관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1988년 8월 총무처장관재직시에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 여소야대 구로는 좌경화를 막기 불가능하고 대한민국은 월남식 공산화 통일이 될 수밖에 없다."는 발언을 하였다. 이 발언이 문제가 되어 국회에 불려가 기자회견 내용을 문제삼은 야당 의원들로부터 추궁을 당했지만, 오히려 국회 질의에서 그는 이 땅의 우익은 죽었느냐며 맞받아쳤다. 그는 이후 '우익의 기수' '우익의 대변인'이라는 별명이 그를 따라다녔다. 1989년 3월에 김용갑은 좌익 척결을 명분으로 장관직을 사퇴하였다. 장관직 사퇴로 우익과 상대 진영에 강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그 뒤 보수성향의 시민단체인 민주개혁 범국민운동협의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96년에 실시된 제15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자신의 고향 경남 밀양시에 출마하여 당선되며 국회에 입성하였다. 국회의원이 되고 이듬해 김용갑은 신한국당에 입당하였으며 당 내에서 그는 '나라의 안보를 걱정하는 국회의원 모임'을 조직하며 대표가 됐다. 당시 그의 선배들이 더 많았지만 할 말은 한다는 소신 덕분에 아무도 그가 대표를 맡는 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한다. 2000년에 제16대 총선에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그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을 가리켜 조선로동당 2중대라고 비난해 파문을 일으키기도 하였으며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가리켜 대북 퍼주기 정책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 강경한 대북노선을 주장하여 질타를 많이 받았지만 신념을 일관되게 지키며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아 국회 내에서 소신파 의원으로 기억되었다. 2002년에 한나라당에서 민정계인 '5·6공 인사 용퇴론'이 당 내에서 제기되었다. 그러자 김용갑은 5·6공 인사 용퇴론에 나는 5·6공 때의 내 역할에 자부심을 가진다고 발언하여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후 용퇴론에 반발하는 모임을 가졌다가 기자들의 출입으로 다른 의원들이 자리를 피했으나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소장파의 용퇴론을 반박하였다. 2004년 2월 한국·칠레 자유무역협정(FTA)비준 동의안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활동을 하기도 했다. 이때 한나라당 내 소장파들은 김용갑의 공천을 반대하였으나 김문수 공천심의위원장은 그를 공천하였다. 2004년에 제1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3선에 성공하였다. 한나라당이 야당이었던 기간 동안 그는 김대중, 노무현의 정책을 비판하기도 하였고, 또한 이명박이 집권하며 한나라당이 여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명박에게도 쓴소리를 계속하여 보수 인사의 대명사로 일부 인사들의 공격을 받기도 하였다. 2008년에 제18대 총선을 앞두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이후 한나라당의 상임고문으로 위촉되었다.이후에도 새누리당.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 상임고문을 거쳐 지금은 국민의힘 상임고문이다.
320035
414775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35
지멘스 벨라로
지멘스 벨라로()는 독일의 동력분산식의 고속철도 차량의 한 종류로 독일철도에서 운행되고 있는 ICE 3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ICE 3와 달리 지멘스 벨라로는 지멘스의 완제품으로 스페인의 국영 철도 기업인 렌페가 AVE의 노선망에 도입하기 위해, 지멘스 벨라로 E()를 도입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에서 징진 고속철도 전용으로 동일본여객철도의 E2계를 기반으로 제작된 중국고속철도 CRH2와 함께, 중국고속철도 CRH3로 도입되었다. 러시아 철도의 경우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니즈니노브고로드 구간 각 노선에 광궤용 지멘스 벨라로 러스()가 도입되었다. 내셔널 레일에서 런던 ~ 쾰른 ~ 암스테르담 구간의 전용으로 지멘스 벨라로 E320()의 도입이 되면서 2015년 12월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세부 모델. 독일철도 403급. 독일철도 403급() 또는 ICE 3는 기존 모델인 ICE 1, ICE 2 모델보다 내구성이 더 강한 고속열차를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견인 전동기를 분산하는 모델을 채택하면서 달성되었다. 영업 최고 속도로 330km 운행을 허가했고 첫 운행 당시 최고 속도가 368km를 도달했다.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최고 영업 속도가 300km에 해당된다. 1997년에 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철도 노선에 투입하기 위해 50편성을 지멘스와 ADtranz에 주문했다. 독일철도 406급. 독일철도 406급() 또는 인터시티익스프레스 3M호()는 이전 차량보다 더 높은 출력, 더 가벼운 열차를 제작한다는 목표로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차량과는 달리 16개의 전동기를 열차 하부에 배치하는 동력 분산식으로 설계하였다. 시험 운행에서는 영업 최고 속도 시속 368km를 경신했고, 허용된 영업 최고 속도는 시속 330km이다. 일반 ICE 서비스에서는 선로 한계 때문에 시속 300km지만 내며, 프랑스 LGV 에스트에서는 시속 320km까지 낼 수 있다. 지멘스 벨라로 D. 지멘스 벨라로 D()는 2008년 11월에 독일철도가 5억 유로를 들여 주문했다. 2010년 4월에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크레펠트 지멘스 공장에서 최초로 지멘스 벨라로 D를 공개했다. 영업 최고 속도의 경우 시속 320km로 설계되었고, 기존의 모델보다 더 넓어졌고 소음이 감소되었다. 또한 이전 모델과 달리 결함을 줄였고 사고와 화재에 대비해 안전 장치가 장착되었다. 한편 새롭게 도입된 열차는 독일 노선에 국한되지 않고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를 잇는 국제 노선에 도입하기 위해 발주했다. 또한 채널 터널 운행을 목적으로 독일철도가 2015년까지 프랑크푸르트에서 암스테르담, 런던을 잇는 국제 고속열차 노선에 도입하기 위해 발주를 검토했으나 도입 지연으로 발주가 모두 취소되었다. 지멘스 벨라로 E. 지멘스 벨라로 E()는 2001년 지멘스에서 지멘스 벨라로 모델을 기초로 발주해 현재는 26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바르셀로나 ~ 마드리드 간의 고속철도 노선에 도입해, 당초 예정한 최고 영업 속도 350km와 소요 시간 2시간 25분 달성 시스템 문제로 시행이 불가능하면서 최고 영업 속도 300km, 소요 시간 2시간 30분으로 운행 했다가 2011년부터 최고 영업 속도를 310km를 조정했다. 2005년 7월에 초기분이 도입되어 2006년 1월부터 시험 운행을 시작으로 같은 해 7월에 스페인 국내 철도 사상 영업 최고 속도인 403.7km를 기록했다. 2007년 6월부터 상용 운행에 들어갔다. 지멘스 벨라로 러스. 지멘스 벨라로 러스()는 2006년 5월 19일에 지멘스는 8편성의 지멘스 벨라로 러스를 30년간 점검 계약을 포함한 수주를 달성했다고 발표하였다. 계약은 총 6억 유로로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스크바 - 니즈니노브고로드 구간을 최고속도 250km/h로 운행하기 위해 도입된다. 지멘스 벨라로 러스는 러시아 궤 및 러시아의 자연 환경에 맞추어 설계되었다. 그 예로, 차체 폭이 33cm 늘어난 3,265mm이다. 전체 편성 중 4편성은 직류 3kV와 교류 25kV 구간 모두를 운행할 수 있고, 나머지 편성은 직류 3kV만 지원한다. 편성 길이는 10량 편성 250m로 정원은 600명이다. 차량의 제조 개발은 독일의 얼랑겐 등지에서 제작되었다. 직류용으로 만들어진 4편성은 2009년에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노선에 도입된데 이어 직교류 4편성은 2010년부터 모스크바 - 니즈니노브고로드 구간에 투입되었다. 지멘스 벨라로 CRH3. 지멘스 벨라로 CRH3()은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제6차 재래선 증속 계획을 위해 독일 지멘스의 기술 제공 라이선스에 의해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차량 메이커가 제조하는 고속철도 차량이다. 지멘스 벨라로 E320. 지멘스 벨라로 E320()은 유로스타 인터내셔널의 고속열차로 유로스타를 운영하고 있다. 지멘스 벨라로를 기반으로 개발된 고속열차로 2010년 7월에 내셔널 레일이 런던 ~ 쾰른 ~ 암스테르담 전용 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10편성을 발주했고 2014년에 7편성을 추가로 발주했다. 2015년 12월에 최초로 운행에 들어갔다. 지멘스 벨라로 TR. 지멘스 벨라로 TR()은 지멘스 벨라로 모델을 기반으로 도입한 차량으로 터키 국유철도에서 운행하고 있다. 8량 편성으로, 길이는 200m, 지멘스 벨라로 D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초기분의 경우 460명의 승객을 수용하는 반면 지멘스 벨라로 TR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된 2차분과 3차분의 경우 519명의 승객을 수용과 동시에 최고 영업 속도는 300km로 주행이 가능하다.
320038
368112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38
바티칸 비밀문서고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성좌에서 선포한 모든 법령을 보관하기 위해 바티칸 시국에 세운 중앙 저장소이다.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또한 국제 외교 문서, 서신, 교황의 회계 장부 그리고 지난 세기에 교회가 축적한 다른 수많은 서류가 보관되어 있다. 17세기에 교황 바오로 5세의 지시로 비밀문서고는 바티칸 도서관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졌으며, 19세기 후반까지 바티칸과 관련이 없는 외부인들의 접촉은 철저하게 통제됐으나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다시 개방되었다. 범위.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다 이으면 84km 길이의 선반을 비롯하여 선택식 분류 목록만 해도 35,000권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 현재 규정에 따라, 색인 자료들의 발행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자체적으로 촬영소와 보존실을 유지하고 있다. 바티칸에 있는 웹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가장 오래된 문서는 연대가 8세기 말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몇 차례 일어난 이전과 정치적 동란으로 말미암아 교황 인노첸시오 3세 시대 이전의 문서 자료들은 대부분 거의 소실되었다. 13세기 이전에는 문서 분류 체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지만, 1198년부터는 더한층 완비한 문서고가 나타났다. 이후로 잉글랜드의 헨리 8세가 보낸 혼인 무효 청원서, 미켈란젤로의 편지들과 같이 세계 역사상 중요한 인물들이 보낸 편지들이 문서 자료의 분류 정리에 포함되었다. 이용.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바티칸 미술관과 인접해 있으며, 포르타 디 산 안나 인 비아 디 포르타 안젤리카("Porta di S. Anna in via di Porta Angelica")를 거쳐서 들어갈 수 있다. 아무나 출입할 수 없으며, 허가를 받은 학자들은 자신들이 열람하고 싶어 하는 문서의 이름을 사전에 정확히 말해서 요청해야 한다. 따라서, 학자들은 자신들이 보고자 하는 문서가 있는지 반드시 알아야 한다. 문서고 개방. 문서고가 있는 조직 대부분은 그들의 문서를 일반 대중에 공개할 때, 공개하면 해로울 수 있는 민감한 내용이 담긴 문서가 유출될 것을 염려하여 시간제한을 둔다. 바티칸 비밀문서고도 예외는 아니다. 바티칸 비밀문서고의 문서들은 관례에 따라 작성된 날로부터 75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대중이 열람할 수 있다. 평생 기밀을 요하는 비밀문서들은 항상 별도로 보관한다. 1883년, 교황 레오 13세는 1815년 혹은 그 전년도 일자의 문서들을 성직자가 아닌 학자들에게 공개하였다. 바티칸 비밀문서고를 이용한 최초의 역사학자는 교황에 호의적인 역사학자였던 루트비히 폰 파스토어였다. 바티칸 비밀문서고는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재임이 끝난 후(1846년 6월 1일)에 공개하도록 하였으며, 1924년에 문서들을 공개하였다. 이후 공개된 교황들의 재임 때 비밀문서들은 아래와 같다. 2002년 2월 2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청 국무원의 역사 문서고(제2구역)에 있는 몇몇 문서들을 2003년도부터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놀라운 조처를 하였다. 이 문서들은 교황 비오 11세의 재임 동안 바티칸과 독일 간 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바티칸이 이런 결정을 내린 이유는 일부 부당하고 경솔한 견해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였다.
320040
104768
https://ko.wikipedia.org/wiki?curid=320040
타이국제항공 311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