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
stringlengths
4
711
output
stringlengths
0
2.41k
url
stringlengths
4
79
세부사항 고시 1.나.2) 추적검사 및 1.나.3) 장기추적검사는 환자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인정되는지?
- 환자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급여대상임.
http
치료목적으로 촬영한 경우 수가산정방법
- 수술, 방사선치료, 뇌정위적방사선수술 전 치료범위 및 위치결정 등으로 MRI를 시행 하는 경우 제한적 MRI(촬영료 등과 판독료 각각의 소정점수)를 산정함. - 다만, 뇌수술 및 뇌정위수술(자473가(2), 자473-1가, 자475나) 시행 전 특수 sequence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work station에서 전문의가 영상 재구성 등의 추가작업을 한 경우에는 촬영료 등과 판독료 각각의 소정점수를 산정함.
http
수술 후 7~12개월 내 필요시 추가 1회는 환자상태 변화가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지?
- 수술 후 7~12개월에 정기적인 경과관찰을 목적으로 MRI 촬영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함.
http
최대횟수가 명시된 경우에서 급여 적용방법
- 최대횟수까지는 급여, 최대횟수 초과 시 비급여를 적용함.
http
진단 횟수를 초과하여 MRI 촬영 시 급여적용방법
- 진단 시 정한 급여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를 적용함.
http
치매, 파킨슨병 등 장기추적검사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서 급여 적용방법
- 장기추적검사가 명시되지 않은 뇌질환은,「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를 적용함.- 다만, 수술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세부사항 고시 1.나.2)에 의한 추적검사를 적용함.
http
외상성 경막하출혈로 진단된 경우, 뇌혈관질환의 장기추적검사를 적용해도 되는지?
- 외상에 의한 경우는 뇌혈관질환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뇌혈관질환의 장기추적검사를 적용하지 아니함. 따라서, 장기추적검사 시행 시에는「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를 적용함.- 다만, 수술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세부사항 고시 1.나.2)에 의한 추적검사를 적용함.
http
최대기간이 명시된 경우에서 급여 적용방법
- 최대기간 내에서 급여횟수를 초과하여 MRI를 촬영하는 경우「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를 적용함.- 최대기간 이후에 MRI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비급여를 적용함.- 다만, 환자 상태 변화 또는 새로운 병변의 발생이 있는 경우 급여대상임. (예시1) 뇌경색을 진단받은 후 장기추적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1회/년 급여횟수 초과하여 2회/년 MRI 촬영 시: 1회 급여, 1회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 적용☞ 장기추적검사 시작 후 10년째에 MRI 촬영 시: 최대기간(6년) 초과로 비급여 적용
http
특수검사도 선별급여를 적용받는지 여부
- 세부사항 고시 1.다.의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 적용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뇌, 뇌혈관, 경부혈관 MRI 기본검사와 동일하게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를 적용함.
http
MRI를 선별급여로 촬영하는 경우 조영제, 방사선필름, 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Full PACS)이용 비용 등의 본인부담률 적용방법
- MRI를 선별급여(본인부담률 80%)로 촬영하는 경우에도, 조영제, 방사선필름, 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Full PACS)이용 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19조제1항 관련 [별표2] 제1호 나목에 의한 외래진료의 본인일부부담금산정방법에 따라 산정함.
http
뇌전증 환자에서 경련발작의 양상이 변하거나 경련발작의 빈도가 증가한 경우 급여여부
- 세부사항 고시 1.나.4)에 의한 ‘진료상 추가촬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발달지연을 진단받은 소아에서 발달퇴행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이전과 다른 발달영역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운동장애 아동에서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등) MRI 급여여부
- 세부사항 고시 1.나.4)에 의한 ‘진료상 추가촬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추적검사를 시행 중인 환자에서 기존 혈관 협착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혈관협착이 발생한 경우 또는 양성종양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 등에서 급여여부
- 새로운 병변이 발생한 경우로, 새로운 병변이 진단된 일자를 기준으로 추적검사 및 장기추적검사를 적용함.
http
3차원자기공명영상 산정방법
- 3차원자기공명영상은 MR console이 아닌 별도의 work station에서 영상의학과전문의가 영상을 재구성하고 이를 판독지에 기록한 경우에 산정하는 것으로 수술이 필요한 경우 등에 해당 부위의 정확한 3차원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경우에 산정함.- 다만, 동일부위 또는 인접부위의 여러 종류 촬영에 대하여 3차원자기공명영상구성을 실시한 경우에도 3차원자기공명영상 가산은 주된 촬영에 대하여 1회만 산정토록 함.※ (보험급여과-570호, 2005.2.4.) ‘자기공명영상진단(MRI)중 3차원자기공명영상에 대한 산정방법 등 통보’와 연계 항목
http
표준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예외의 경우
다음의 가.~마.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이와 유사한 경우는 표준영상 획득을 할 수 없는 경우로 인정함.- 다 음 -가.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내의 급성뇌경색 환자 나. MRI 검사 전 진정 요법이 필요한 8세 이하의 소아 환자 다. 수술, 방사선치료, 뇌정위적방사선수술 전 치료범위 및 위치결정 등으로 시행한 MRI 라. 생명이 위중하거나 ‘폐쇄 공포증’ 등 표준영상을 모두 획득하기 어려운 상태의 환자 마. 뇌 일부를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 고난도 MRI 기법을 활용하는 경우 (예시) 뇌신경(cranial nerve), 안와첨부(orbital apex), 안장(sella turtica), 해면정맥굴(cavernous sinus), 뇌간(brainstem), 뇌기저부(skull base) 병변 등
http
표준영상을 변경할 수 있는 특별한 의학적 목적을 위한 경우란?
- 치매환자에서 해마 위축을 확인하기 위해 axial T2WI대신 coronal T2WI로 변경하는 경우 등이 해당됨.
http
특수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표준영상 범위를 획득하여야 하는지?
- 표준영상 범위는 뇌, 뇌혈관, 경부혈관 기본검사에 해당하므로, 특수검사는 예외임.- 다만, 특수검사를 시행 시에도 판독소견서(임상정보, 획득한 영상기법, 이상소견 등)를 작성·비치하는 경우에 한해 판독료 산정이 가능하며, 기본검사에 특수검사를 추가해서 시행하는 경우 판독소견서는 기본검사에 추가하여 작성 가능함.
http
‘획득한 영상기법’이란?
- 맥동파 순서열을 의미함.(예시) Axial T1WI, sagittal T1WI, axial T2WI, axial FLAIR, axial T2* GRE image, axial DWI, intracranial TOF MRA, neck TOF MRA
http
판독소견서 상 임상정보 기재 범위
- 병력, 검사실시 사유, 주된 증상, 의심상병, 진단명 중 한 가지 이상을 기재함.
http
판독소견을 진료기록부에 기록한 경우에도 판독소견서를 작성·비치 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방사선 영상진단의 판독료 산정기준」에 따라 진료기록부, 시술(수술)기록지가 아닌 별도의 판독소견서 서식에 작성·비치하여야 함.
http
MRI를 실시한 경우 시행일자를 기재하여 청구하여야 하는지?
- MRI를 실시한 경우 청구명세서에 반드시 시행일자를 기재하여야 함(입원진료만 해당).- 단, 외부병원필름판독료의 경우 판독일자를 기재함.
http
뇌, 뇌혈관, 경부혈관 MRI에만 시행일자를 기재하면 되는지?
- 뇌, 뇌혈관, 경부혈관 MRI검사를 포함한 모든 MRI에 대하여 시행일자를 기재하여야 함(입원진료만 해당).- 단, 외부병원필름판독료의 경우 판독일자를 기재함.
http
MRI 시행일자는 언제부터 기재하여 청구하는지?
- MRI검사 시행일자는 2018년 11월 1일 입원 진료분부터 적용됨.
http
청구명세서에 MRI 시행일자 기재방법은?
- 진료내역(촬영료 등, 판독료)의 줄번호단위 특정내역 구분코드 ‘JT020’에 실제 시행한 검사일자를 기재함.- 단, 외부병원필름판독료의 경우 판독일자를 기재함. ※ 특정내역 기재요령
http
두통, 어지럼으로 MRI 촬영 시 급여대상 유형 기재방법은?
- 세부사항 고시 1.가.2)가)의 두통, 어지럼에 해당하는 경우 진료내역(촬영료 등, 판독료)의 줄번호단위 특정내역 구분코드 JS016(뇌, 뇌혈관, 경부혈관 MRI 대상유형)에 두통, 어지럼 유형 코드 중 한 가지를 기재함.단, 대상유형의 두통, 어지럼이 복합적으로 발생한 경우 주된 유형에 해당하는 코드 한 가지를 기재함
http
두경부 부위란?
- 눈 및 눈주위, 귀, 코, 인두 등의 가슴 윗부분(뇌 제외)을 의미함.
http
의증(R/O) 상병 기재 시 급여여부
- 의증(R/O) 상병 기재 시에도 급여대상이며, 촬영 결과에 따라 급여여부를 결정하지 아니함.
http
세부사항 고시 1.가.의 두경부 부위 질환을 의심할 만한 이상증상의 범위
- 안구돌출, 복시, 시력저하, 안구운동장애, 눈꺼풀뒤당김, 눈꺼풀 부종, 눈꺼풀 종물, 안통증, 시야장애, 색각이상, 눈물흘림 - 간헐적 구토를 동반하는 두통, 경부강직, 안면부 감각이상, 비대칭성 안면부종, 잦은 비출혈- 경부종물, 경부부종, 경부통증- 만성적인 이통, 만성적인 이루 - 감각신경성 난청- 어지럼 - 안면마비
http
(연번3)의 감각신경성 난청이란?
①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을 보이는 특발성 돌발성 난청으로 3개 이상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청력 손실이 3일 내 발생한 경우② 좌·우의 청력이 3kHz의 주파수에서 15dB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비대칭성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된 이명을 동반한 경우
http
(연번3)의 어지럼이란?
① 중추성 안진을 보이는 경우② 어지럼에 비해 심한 균형 장애(자세 또는 보행 시 불균형)를 보이는 경우③ 두통 또는 청력저하를 동반하는 경우④ 48시간 이상 계속되는 호전이 없는 지속성 어지럼
http
(연번3)의 안면마비란?
① 서서히 발생하는 불완전 혹은 완전 안면마비② 4개월 이상 지속되는 안면마비③ 편측에 반복되는 안면마비④ 감각신경성 난청이 동반된 안면마비⑤ 다발성 뇌신경마비와 함께 발생한 안면마비⑥ 악성종양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http
(연번3)의 이상증상만으로 급여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
- (연번3)의 이상증상으로 세부사항 고시 1.가.1)의 급여대상을 의심하여 진료의가 MRI촬영이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급여대상임. - 단, 세부사항 고시 1.가.1)나)(3), 1.가.1)다)(3), 1.가.1)라)(4)는 각각의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해당 시 급여대상임.
http
CT 등 타 검사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에서 급여여부
- CT 등 타 검사상 이상소견으로 세부사항 고시 1.가.1)의 급여대상을 의심하여 진료의가 MRI촬영이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급여대상임.- 단, 세부사항 고시 1.가.1)나)(3), 1.가.1)다)(3), 1.가.1)라)(4)는 각각의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해당 시 급여대상임.
http
혈관섬유종(hemangiofibroma), 혈관주위세포종(hemangiopericytoma), 혈관모세포종(hemangioblastoma) 급여대상 여부
- 혈관종(hemangioma)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신경초종(schwannoma), 신경섬유종(neurofibroma), 부신경절종(paraganglioma) 급여대상 여부
- 신경원성종양(neurogenic tumor)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사구종(glomus tumor), 경동맥소체 부신경절종(carotid body tumor) 급여대상 여부
- 신경원성종양(neurogenic tumor)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안와란?
- 안와사이막(orbital septum, 안와격막)을 기준으로 뒤쪽공간(postseptal space)을 의미함. (각막 및 결막을 제외한 안구, 눈물샘, 외안근, 시신경을 포함함.)
http
눈물배출기관이란?
- 눈물주머니 및 코눈물관을 의미함.
http
안와에 발생한 림프증식성 질환에서 급여여부
- 안와에 발생한 림프증식성질환(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LPD)은 안와 종양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세부사항 고시 1.가.1)나)(3)의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임상증상, 이학적 검사 등을 고려하였을 때 종양이 의심되나, 조직생검 시행이 어려운 경우 또는 타 검사로 진단이 어려운 경우 또는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확인이 필요한 경우
http
치아보철이 있는 구강 종양에서 급여여부
- 구강의 종양이 의심되나, 치아보철이 있어 CT로 구강저 등의 원발부위를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 급여대상임.
http
새성기형 등 낭종성기형 급여여부
- 낭종성병변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타 부위 병소의 크기가 두경부 부위를 침범하는 경우에서 두경부MRI 급여여부
-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에서 별도로 정한 자기공명영상진단(MRI) 급여대상자에서 병소의 크기가 두경부 부위를 침범하여, 두경부MRI 촬영이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는 경우 급여대상임.
http
두경부 부위 종양의 크기가 종격동 등 인접부위를 침범하는 경우에서 인접부위 MRI 급여여부
- 두경부 부위 종양의 크기가 인접부위를 침범하여 인접부위 MRI 촬영이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는 경우 급여대상임.
http
갑상선안병증
- 갑상선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안와의 염증성질환으로 안와내 지방조직의 증식이나 외안근의 비대 등을 특징으로 함.
http
(dysthyroid ophthalmopathy)이란?
http
특발안와염(nonspecific orbital inflammation)이란?
- 특정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안와의 급성, 아급성 염증으로 앞안와(포도막, 공막, 망막 등)염, 눈물샘염, 외안근염, 뒤안와(시신경, 안와첨부)염, 특발경화안와염증, IgG4와 관련된 질환이 포함됨.
http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안와염 급여여부
- 사르코이드증, 육아종증 다발혈관염, 홍반루푸스, 류마티스질환 등의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안와염은 안와의 감염성 및 염증성질환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시신경척수염, 시신경주위염 급여여부
- 안와의 감염성 및 염증성질환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안와골막하농양, 안와농양 급여여부
- 안와의 감염성 및 염증성질환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눈꺼풀의 심부감염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눈꺼풀의 심한 부종과 통증으로 눈꺼풀의 괴사성근막염 등 심부감염이 진단되거나, 의심되어 침범범위 확인이 필요한 경우
http
기무라병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조직검사 등 타 검사 상 기무라병이 진단되어 침범범위 확인이 필요한 경우
http
전정신경염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특정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전정신경염으로 중추신경계질환 등과 감별이 필요한 경우
http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이학적 검사 및 CT 상 진주종성 중이염이 확인된 경우로, 중두개와 노출, S형 정맥동 노출, 미로 누공 등 주변 골조직, 혈관, 신경의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② 이학적 검사 및 CT 상 진주종성 중이염이 확인된 경우로, 안면마비, 어지럼, 감각신경성 난청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③ 진주종성 중이염 수술 후 CT 상 잔존 혹은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
http
악성외이도염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이학적 검사 및 CT 상 악성외이도염이 의심되는 경우로 만성적인 이통, 만성적인 이루, 안면마비 등의 증상이 동반되어 연부조직의 침범범위 확인이 필요한 경우
http
비부비동염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간헐적 구토를 동반하는 두통, 경부강직, 안통증, 안구돌출, 안구운동장애, 복시, 시력저하, 안면부 감각이상, 비대칭성 안면부종 등의 증상으로 뇌기저부, 안와, 주변 골조직, 주요 혈관, 신경 등에 침범이 의심되는 비부비동염 ② CT 상 비부비동 주변의 뇌기저부, 안와, 주변 골조직, 주요 혈관, 신경 등에 침범이 의심되는 비부비동염
http
림프관종(lymphangioma), 낭포성
- 림프관기형(Lymphatic malformation)에 해당하여 급여대상임.
http
활액종(cystic hygroma) 급여대상 여부
http
안와의 선천기형이란?
- 안와의 선천기형(Q10.7)- 낭성안구(Q11.0), 기타 무안구증(Q11.1), 소안구증(Q11.2)
http
시신경병증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급성 또는 만성 시력저하나 시야이상 등으로 허혈성시신경병증, 자가면역시신경병증, 영양결핍이나 중독성시신경병증 또는 유전성시신경병증이 의심되는 경우
http
사시(마비사시, 제한사시, 특수사시)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복시, 안구운동이상, 이상두위 등으로 핵상계로부터 뇌신경, 신경근접합부, 안와 및 외안근에 이르는 눈운동체계 이상에 의한 마비사시, 제한사시, 특수사시가 의심되는 경우
http
안와외상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CT 상 시신경 손상 또는 외안근 파열이 의심되는 경우 ② 임상적으로 안구 또는 안와의 비금속 안와이물이 의심되나 X-ray나 CT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
http
내이질환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CT에서 선천성 내이기형이 확진된 경우로, 달팽이신경 무형성(저형성)증 Cochlear nerve aplasia(hypoplasia) 확인이 필요한 경우 ② 특정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메니에르병으로 중추신경계질환 등과 감별이 필요한 경우
http
무후각증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①     비부비동염이나 급성 상기도 감염과 관련 없이 발생한 무후각증(선천성 무후각증 포함) ② 외상 후 발생한 무후각증
http
구개수인두부전(velopharyngeal insufficiency)에서 촬영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란?
- 수술적 치료를 계획하여, 주변 구조물의 해부학적 이상을 파악해야 하는 경우
http
측두근막간극, 저작근막간극의 염증질환에서 두경부MRI 급여여부
- 침범범위 확인이 필요한 측두근막, 저작근막을 포함한 두경부 근막간극의 염증질환에서, 타 진단장비 이용이 불가(사구체여과율 60ml/min 이하의 신장기능 저하 환자로 조영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 임산부 등)하여 촬영한 MRI는 급여대상임.
http
타 진단장비 이용이 불가하여 MRI 촬영이 불가피한 경우에 조영제 과민반응이 해당하는지 여부
- 과민반응으로 인한 쇼크, 후두부종, 기도수축, 경련 등 조영제에 대한 심각한 합병증 발생 과거력이 있어, CT 촬영이 불가한 경우 급여대상에 해당함.
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