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stringlengths
0
5.57k
source
stringclasses
1 value
경남교육 2022-250 수 목 관리 업무매뉴얼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쾌적한 학교 공간 재구성을 위한 쾌적한 학교 공간 재구성을 위한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թҮਭ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경남교육 2022-250 수 목 관리 업무매뉴얼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쾌적한 학교 공간 재구성을 위한 쾌적한 학교 공간 재구성을 위한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թҮਭ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수목은 우리 모두가 가꾸고 지켜가야 할 경남교육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경남교육의 소중한 자산인 수목을 가꾸고 지켜가는데 애써온 교육공동체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로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발간이라는 뜻깊은 열매를 맺었습니다.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기후변화에 우리 교육환경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의 꿈과 희망이 꽃피고 영글어갔던 배움터이자, 가슴 깊이 간직된 추억의 공간인 학교 운동장은 축소되고, 학교 역사와 함께해 온 수목도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고려해 우리 교육청은 학교(기관) 현장의 수목 관리에 대한 길잡이로서 「수목 관리 업무 매뉴얼」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업무매뉴얼에는 그동안 수목 관리를 담당한 실무자들이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 필요한 부분 등을 놓치지 않고 담아내고자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업무 추진 과정에서 느꼈을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체적 방안을 충실히 다루었습니다.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이 수목 관리에 대한 학교(기관)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교 역사와 함께해온 수목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현장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실무 지침서로 널리 활용되어 학교(기관) 현장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기후 위기 극복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번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발간이 경남 학생들을 위한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과 기후 위기 시대 생태전환교육의 새로운 원동력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경상남도교육감 박 종 훈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1장 수목 관리 개요 1. 정의 및 구분 ····························································································································· 3 2. 용어의 정의 ······························································································································· 3 제2장 수목 재산 관리 1. 취득 관리 ································································································································ 13 2. 운용 관리 ································································································································ 13 3. 처분 관리 ································································································································ 14 제3장 수목 관리 일반 1. 수목 관리의 원칙 ···················································································································· 19 2. 시기별 수목 관리 ···················································································································· 19 3. 각 구 분 별 수 목 관 리 방 법 가. 전정 ···································································································································· 20 나. 시비 ···································································································································· 22 다. 병충해 방제 ······················································································································· 27 라. 관수 ···································································································································· 29 마. 월동작업 ····························································································································· 31 바. 잔디 깎기 ··························································································································· 32 사. 기타 ···································································································································· 34 제4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1. 학교 공간의 이해 ···················································································································· 39 가. 학교의 공간 구조 ·············································································································· 3 9 나. 학교 녹지공간의 유형 ······································································································· 40 2. 녹지공간의 수목 관리 ············································································································· 4 2 가. 구조와 기능에 따른 수목 관리 ························································································· 42 나. 학교숲과 수목의 관리 키워드 ··························································································· 43 3. 학교 수목의 이해 ···················································································································· 46 가. 학교에서 만나는 수목 ······································································································· 46 나. 기후변화와 학교 수목 ······································································································· 47 4. 학교 수목의 효율적 관리 ······································································································· 49 가. 학교 수목 관리 ·················································································································· 49 나. 학교 수목 관리작업 시기 및 횟수 ··················································································· 56 다. 학교 수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언 ············································································ 56 제5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1. 성장억제 전정 매뉴얼 ············································································································· 6 1 가. 과도한 전정 피해 ·············································································································· 6 1 나. 과도한 전정 진단 ·············································································································· 6 3 다. 과도한 전정 해법 ·············································································································· 6 4 라. 올바른 강전정 사례 ··········································································································· 66 마. 잘못된 강전정 사례 ··········································································································· 67 2. 위험수목 안전관리 매뉴얼 ······································································································ 68 가. 위험수목 관리 ················································ ·································································· ·· 68 3. 수목 관련 민원대응 매뉴얼 ······································································································ 70 가. 수목관련 민원의 종류 ······································································································· 70 나. 민원처리 매뉴얼 ················································································································ 71 다. 민원발생 저감 방법 ··········································································································· 72
tree_management.pdf
라. 민원 대응 논리 ·················································································································· 73 4. 노거수 관리 매뉴얼 ················································································································ 75 가. 노거수 개념과 가치 ··········································································································· 75 나. 학교 노거수 관리 ·············································································································· 7 6 제6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1. 식재 ········································································································································· 79 가. 수목 굴취 ··························································································································· 79 나. 수목 운반 ··························································································································· 83 다. 수목 식재 ··························································································································· 86 2. 관수 및 기타 관리 ·················································································································· 95 가. 관수(물주기) ······················································································································· 95 나. 지주목 관리 ······················································································································· 98 다. 멀칭 및 월동 관리 ·········································································································· 1 01 3. 비배관리(시비) ······················································································································ 106 가. 비배관리 ·························································································································· 106 나. 수목 생육상태 진단 ········································································································· 10 9 다. 시비(비료주기) ················································································································· 111 4. 정지 전정 관리 ······················································································································· 118 가. 연간 정지 전정 관리 ······································································································· 118 나. 전정하기 ·························································································································· 125 다. 정지하기 ·························································································································· 132 라. 화목류 정지 전정하기 ····································································································· 134 5. 병해 관리 ······························································································································ 136 가. 수목 병해 ························································································································ 136 나. 병해 예방 ························································································································ 139 다. 병해 진단 ························································································································ 140 라. 생리적 피해 진단 ············································································································ 142 마. 병해 방제 ························································································································ 145 바. 병해 수목 처리 ················································································································ 148 6. 충해 관리 ······························································································································ 149 가. 수목 충해 ························································································································ 149 나. 충해 예방 ························································································································ 150 다. 충해 진단 ························································································································ 151 라. 충해 방제 ························································································································ 152 마. 충해 수목 처리 ················································································································ 155 제7장 학교 수목 관리 Q&A ·············· ·························· ·································································· 157 제8장 기타 1. 재산대장에 누락된 수목 관리 ······························································································ 177 2. 용도폐지(철거) 결정 공문 ···································································································· 182 3. 각종 양식(예시) ···················································································································· 184 4. 주요 근거 법령 ····················································································································· 186 ※ 인 용 및 참 고 문 헌 ····················································································································· 201 ※ 수목관리 관련 학계, 기관, 단체 ······························································································· 201 ※ 집필진 소개 ································································································································ 201
tree_management.pdf
제 1 장 수목 관리 개요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1장 수목 관리 개요 제1장 개 요수 목 관 리 31. 정 의 및 구 분 가. 정의 : 공유재산인 수목의 취득 · 운용과 유지 · 보존을 위한 모든 행위를 말함 나. 수목 구분 구 분 정 의 관상수관상식물 중 목본(줄기나 뿌리가 비대하여 질이 단단)에 속하는 식물 교목, 관목, 상록수, 낙엽수, 침엽수, 활엽수 등 산림목 집단으로 생육하고 있는 나무 유실수 열매 나무(밤나무, 잣나무, 감나무, 대추나무 등 죽대, 대 나 무 2. 용어의 정의 가. 수목 규격 용어 구 분 약칭단위 정 의 수 고 Hm지표면에서 수관의 정상까지의 수직거리 수 관 폭 W m수관의 직경폭(타원형일 때는 최단과 최장 폭의 평균치) 흉고직경 B cm지표면에서 1. 2m 높이의 나무줄기 지름 근원직경 R cm 지표면에 닿은 나무 지름 수관길이 L m수관이 수평으로 성장하는 특성을 가진 조형된 수관의 최대 길이 ※ 흉고직경, 근원직경은 일반 줄자로 나무둘레를 측정했을 때는 측정한 값에 3. 14로 나눈값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나. 기타 수목 관련 용어 용 어 설 명 비고 관목 영산홍, 철쭉과 같이 키가 작은 나무 관 수 물을 대는 것 또는 물을 주는 작업 관엽식물 식 물 의 잎 을 관 상 의 대 상 으 로 하 는 식 물 의 총 칭교 목 느티나무, 단풍나무, 은행나무와 같이 키가 큰 나무 군 식 여러 그루의 수목을 한군데 모아서 식재하는 것 낙엽교목 참 나 무, 밤 나 무 등 과 같 이 가 을 에 잎 이 떨 어 져 서 봄 에 새 잎 이 나 는 교 목냉 해 생육 기간에 빙점(물이 어는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 피해 농약식물, 동물, 해충, 곰팡이와 같은 원하지 않는 병원체를 죽이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물질 눈 따 기 신초가 발육하기 전에 일부 잎눈을 제거하여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 다량원소식물이 생장하는 데 많은 양이 필요한 원소로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이 속함 다육식물건조 기후나 모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다육질의 잎에 물을 저장하고 있는 식물 단 식 한 그루의 수목만을 식재하는 것 도착도조경수를 굴취 작업한 후의 상차 작업비와 운반까지의 비용을 말한다 (도착도 = 나무가격 + 굴취비용 + 상차 비용 + 운반비) 도포제나무 전지, 전정, 껍질 벗긴 후 상처 부위에 도포하여 병원균을 예방하고자 할 때 필요 되메우기필요에 의해서 파두었던 공간(관, 박스 구조물, 기초 등)을 흙 등으로 다시 채우는 것 뗏 장 흙이 붙어 있는 상태로 뿌리째 떠낸 잔디의 조각 만 경 (덩굴)머루처럼 줄기나 덩굴손으로 물체에 감기거나, 담쟁이덩굴처럼 흡반으로 물체에 붙어 기어오르며 자라는 식물의 총칭 맹 아 수목의 눈이나 생장점이 활동을 시작하여 새싹이 돋는 것 멀 칭 지표면을 볏짚, 솔잎, 나무껍질, 우드 칩 등으로 덮는 것
tree_management.pdf
제1장 수목 관리 개요 제1장 개 요수 목 관 리 5용 어 설 명 비고 메 쌓 기 모르타르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돌만을 쌓은 것 모여식재 식 물 을 3 그 루 이 상 5 그 루, 7 그 루 등 으 로 같 은 종 을 모 아 서 식 재 하 는 것 목 대 나무의 줄기와 흙이 만나는 부분으로 줄기의 맨 아래쪽 미량원소식물의 생장에 극히 적은 양만 필요로 하는 원소, 붕소, 염소, 구리, 철, 망간, 니켈 등이 속함 밀 식 식물이 정상적으로 생장하는 수관의 너비보다 좁게 식재하는 것 발 아 종자의 배가 생장하여 어린뿌리와 싹이 나는 것 배경식재 건 물 뒤 편 에 숲 을 만 들 어 배 경 을 이 루 도 록 식 재 하 는 것 배수적정 수분 유지를 위하여 지표면 또는 유효 토층에 있는 과잉 수분을 배제하는 것 배양토넓은 의미로는 식물을 기르는 토양으로 난석이나 수태(이끼)도 배양토가 될 수 있는데 포장지에 인쇄된 배양토(좁은 의미)는 표준 배합으로 구성된 흙을 의미 배 합 토 부엽토, 마사토, 밭흙 등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판매하는 흙 벽면녹화 건 축 물 과 구 조 물 의 벽 면 을 덩 굴 식 물 또 는 화 초 류 로 덮 은 것 보 비 력 거름기를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땅의 능력보 수 력 흙이 수분을 보존하는 힘 복 토 흙을 덮는 작업으로 이미 심겨 있는 나무 위에 흙을 덮어 주는 것 부 엽 토 낙엽이 쌓여 썩어서 흙과 혼합된 것으로 유기질이 풍부 부정아가지, 뿌리, 수간 등에 새로이 만들어지는 분영조직으로부터 생성되는 눈. 잎의 겨드랑이에서 미리 형성되는 것이 아님 분뜨기이식하기 위하여 뿌리 부분을 공 또는 화분 모양으로 만들어서 나무의 뿌리와 함께 주변의 흙을 보호하기 위하여 삼베나 새끼줄 또는 마대 천으로 감싸는 것 분 지 점 본줄기와 가지의 갈라지는 점 비료식물의 생장에 기본적인 특정 원소를 공급하기 위해 토양에 추가하는 자연적 또는 합성적인 유기 또는 무기물질 비료주기 재 배 하 는 작 물 에 인 위 적 으 로 비 료 성 분 을 공 급 해 주 는 작 업 뿌리토양과 대기로부터 수분, 가스, 영양분을 흡수하고 수관을 지탱하는 목질과 비목질 조직을 가진 식물의 일부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6용 어 설 명 비고 뿌리덮개금속격자판으로 교목 뿌리 목 둘레에 설치하여 물, 공기, 영양분 등이 들어가도록 하며, 토양이 단단해지는 것을 예방하는 시설물 뿌리목나무에서 줄기와 뿌리가 나누어지는 부분으로, 흔히 지면과 줄기가 맞닿은 부분 사 이 목 돌과 돌 사이의 공간이 심는 수목 산도 (酸度, p H)토양의 산도나 알칼리성의 척도로 p H7. 0이 중성이고, 산성 토양은 이보다 낮고, 알칼리 토양은 이보다 높다 살 균 제 곰팡이를 죽이는 농약 살 충 제 곤충을 죽이는 농약 상록교목소나무, 잣나무, 측백나무 등 항상 푸른 잎을 가지는 수목으로서 성목(成木) 시 수고 3m 이상 높이로 키가 크게 자라는 수목 상 록 수 한 생육기 이상 잎을 가지고 있는 수목 상차도조경수를 굴취 작업 후 상차까지의 가격 (나무가격 + 굴취 작업 비용 + 상차 비용) 상토농사짓기에 좋은 흙으로 밭흙인 경우는 유기질이 풍부하고 모래와 진흙의 비율이 1:1로 물 빠짐이 좋은 흙 생울타리 교 목 이 나 관 목 을 서 로 가 까 이 줄 지 어 식 재 한 것 세 근 굵은 뿌리에서 돋아 나온 가늘고 작은 뿌리 솎아내기 발 아 한 묘 를 적 당 한 간 격 을 두 고 뽑 아 내 는 것 솎아베기나무가 자라는 초기에 잡목 솎아내기(제벌) 작업 후 나무가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자란 다음, 또는 일반적으로 식재 후 10~20년 사이의 굵은 나무들을 다시 솎아내는 작업 쇠 조 임 수목의 약한 부위를 관통하여 쇠막대를 설치하는 것 수 경 분수, 연못, 수로 등 물을 주재료로 하는 경관시설 수경재배그리스어로 'Hydro(물)'와 'Ponos(노동)'의 합성어로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과 양분을 토양으로부터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양분을 적당한 깨끗한 물에 용해시켜 배양액을 만든 후 이를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지하부 및 지상부의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 수관교목에서 줄기의 윗부분에 퍼져 있는 가지와 잎을 통틀어서 일컫는데 수목의 줄기 상부에 많은 가지가 달려 있는 부분 수목시비수목의 성장을 촉진하고 쇠약한 수목에 활력을 주기 위하여 퇴비 등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를 주는 것
tree_management.pdf
제1장 수목 관리 개요 제1장 개 요수 목 관 리 7용 어 설 명 비고 수 분(受粉) 화분이 수술에서 암술머리로 이동하는 현상 순 따 기 이미 발생한 새순을 용도에 알맞게 조절하여 조형하는 방법 순지르기 (적심)성장이나 결실을 조절하기 위해 끝눈이나 생장점을 제거하는 것 시 비 비료를 주는 것 식재어떤 장소에 반입·운반된 수목을 시방기준에 맞추어 심는 행위를 말하며, 그 과정에서 필요한 식재구덩이 파기, 나무 앉히기, 되메우기, 지주목 설치, 비료주기, 물주기, 가지치기, 약제 살포, 기타 활착 및 생육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포함 심 근 성 토양 속으로 뿌리가 깊이 뻗어 가는 성질 양수소나무, 느티나무, 삼나무, 버드나무류, 포플러, 은행나무, 밤나무, 대추나무 등 햇빛이 잘 드는 양지를 좋아하는 나무 엽 록 소 엽록체 내의 녹색 색소로 광합성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중요함 옥상조경 인 공 지 반 조 경 중 지 표 면 에 서 높 이 가 2 미 터 이 상 인 곳 에 설 치 한 조 경우 죽 나무나 대의 우두머리에 있는 가지 월동작업화초류가 겨울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월동에 필요한 제반 조치를 하는 작업 위 조 점 시든 식물이 수분을 공급하면 회복할 수 있는 토양 수분의 수준 유기질비료 각 종 유 기 물 을 원 재 료 로 하 는 비 료 유인지주목, 철사, 새끼끈 등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유인하여 원하는 수형을 만드는 행위 유충 애 벌 레 육묘종자나 영양체로 파종 또는 기타 방법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정식하기에 가장 적합한 양질의 묘를 키우는 제반 작업 과정 음수금송, 주목, 사철나무, 돈나무, 동백, 전나무, 화백, 편백, 회양목, 조팝나무 등 그늘에서도 비교적 잘 적응하는 나무 에스펠리어 나 무 를 담 벼 락 에 납 작 하 게 붙 여 서 일 정 한 형 태 로 유 인 하 여 가 꾸 는 것 이식수목을 인위적인 방법으로 캐내어 운반·식재하는 것으로서 전 과정에 걸쳐 활착 및 생육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행위 인공지반조경 건축물이나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한 조경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용 어 설 명 비고 잎따기낙엽수류에서 단풍을 아름답게 잔가지를 많이 나오게 하기 위하여 잎자루만 남기고 잎을 따는 작업 잎솎기침엽수 중에서도 주로 해송 등에 사용하는 수형 다듬기의 한 방법으로 수세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해마다 잎을 뽑아내는 작업 자수화단 정 형 적 으 로 양 탄 자 무 늬 모 양 의 화 단 과 원 로 를 배 치 하 여 장 식 한 화 단 자연지반 지 하 에 인 공 구 조 물 이 없 으 며 물 의 자 연 순 환 이 가 능 한 지 반잔 디 시 비 잔디의 생육을 돕기 위하여 비료를 주는 것 잔디깎기잔디밭의 치밀한 생육과 부드럽고 균일한 표면 유지 및 잡초방제 등을 목적으로 잔디 면을 일정한 높이로 깎아주는 것 잠아일년 이상 잠자고 있는 눈이지만 매년 생장점이 수피 표면이나 표면 가까이서 자람 잡석지름 10~30㎝ 정도의 크고 작은 알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형상이 고르지 못한 큰돌 저면관수씨를 뿌린 후나 장기간 집을 비울 때 물이 부족하기 쉬운 실물에 이용하는 급수 방법 적아신초를 가위나 손가락으로 자르는 작업보다 한층 더 앞서서, 즉 눈이 움직이기 전에 여러 눈 가운데에서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눈을 따 버리는 작업 전정수목의 관상과 개화 결실, 생육 상태 조절 등의 목적에 따라 전지를 하거나 발육을 위해 가지나 줄기의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 전 지 생장에는 무관한 필요 없는 가지나 생육에 방해가 되는 가지를 제거하는 작업 정 지 땅을 반반하고 고르게 만들거나 그런 작업 제 초 식재지 내에 들어와 번성하고 있는 잡초류를 제거하는 것조 약 돌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으로 지름 10~20㎝ 정도의 계란형 돌 조형목특정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정정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모양을 만들어 특수한 장소에 특수한 기능을 갖도록 식재되는 수목 줄 눈 돌과 돌 사이의 접합부(이음매) 지륭가지밑살이라고도 부르며 가지를 지탱하기 위해 줄기조직으로부터 자라나온 가지의 하단부에 있는 약간 부어오른 듯한 불룩한 조직 지주수목 보호용 지주는 3년 이상 식재 수목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이 있어야 함 지표식물특수한 기상 변화, 인간의 이용, 기타 요인 등으로 인하여 환경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려주는 식물
tree_management.pdf
제1장 수목 관리 개요 제1장 개 요수 목 관 리 9용 어 설 명 비고 지피식물 잔 디, 맥 문 동 등 주 로 지 표 면 을 덮 어 씌 우 기 위 해 사 용 되 는 식 물 지피융기선 가 지 연 결 부 위 의 위 쪽 에 있 는 수 피 조 직 이 부 풀 어 오 른 부 위지 하 고 수목의 줄기에 있는 가장 아래 가지에서 지표면까지의 수직거리집단식재 군 식 과 같 은 용 어 이 지 만 더 큰 규 모 찰쌓기축대를 쌓을 때 돌과 돌 사이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그 뒷면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는 것 채 움 돌 큰 돌들 사이에 안쪽에 채우는 작은 돌이나 자갈 천 근 성 수관이 크면서도 뿌리가 깊게 뻗지 않는 것 초 본 ( 풀 ) 목질부가 발달하지 못하여 잎과 초질의 줄기만으로 구성된 식물 초 화 류 옥잠화, 수선화, 백합 등 주로 꽃이 좋은 초본성 식물(화초류)추 비 웃거름을 가리키며 밑거름 이외 작물의 생육 상태에 맞춰 사용하는 거름측 지 큰 가지에서 자라는 2차 가지침상정원 주 위 보 다 낮 은 고 도 에 서 설 계 한 정 원 침엽수대부분 잎이 바늘처럼 뾰족한 수목으로 소나무, 낙엽송, 전나무, 주목, 은행나무 등이 속함 켜 쌓 기 각층의 가로 줄눈이 직선이 되게 쌓는 돌쌓기 방식 터 파 기 터파기는 말 그대로 시공을 위해서 터를 파는 것 토피어리조경에서 상록교목이나 관목을 전정하여 동물, 캐릭터 모양 등 특정 형태로 유인하고 전정하여 만드는 것 퇴 비 풀, 짚 또는 가축의 배설물 따위를 썩힌 거름, 천연비료 특수성 포장특수성 콘크리트 등의 투수성 포장재료를 사용하거나 조립식 포장 방식 등을 사용하여 포장면 상단에서 지하의 지반으로 물이 침투될 수 있도록 한 포장 트렐리스정원 구조물로서 덩굴식물을 지탱하고 머리 위나 수직적으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이용되는 목재 및 금속 등으로 격자모양으로 만든 구조물 판 석 두께가 15㎝ 미만이고, 폭이 대략 두께의 3배 이상인 판 모양 석재 펄라이트 화 산 작 용 으 로 생 긴 진 주 암 을 고 열 로 가 열, 팽 창 해 만 든 인 공 토 양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10용 어 설 명 비고 평 행 지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 있는 가지 포 설 모래, 자갈 등을 까는 것표 징 병환부에 병원체 자체가 나타나서 병의 발생을 직접 표시표 토 (겉흙) 땅 표면에 있는 유기물이 풍부한 흙플 랜 터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식재용 용기 플리칭교목이나 산울타리로 인도나 차도 위에 아치 형태로 가지를 유인하여 대문 모양으로 만든 것 필수원소식물의 생육에 필요하며 또한 조직의 구성 성분인 무기 영양소를 뜻하며,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의 다량원소와 철, 염소, 망간, 붕소 등의 미량원소로 나뉜다 하예작업임목 주변의 잡초를 제거해주고 덩굴 등을 잘라주어 나무가 잘 자라도록 해 주는 작업 하 층 목 크고 우세한 교목이나 관목 밑에서 살아가는 작은 크기의 관목 형성층나무의 줄기와 뿌리의 지름을 굵게 만들어 주는 조직으로서, 수피 바로 안쪽에 원통형으로 모든 가지를 둘러싸고 있음 호 박 돌 하천에서 채집되는 약 20~40㎝ 정도의 자연석, 강석 호흡식물의 기능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설탕을 에너지로 분해하는 것으로 산소가 소비되고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화아분화 꽃 눈 을 만 드 는 작 업 활 엽 수 잎이 넓고 평평한 수목으로 단풍나무, 동백나무, 목련, 배롱나무 등이 있음 황화현상 엽 록 소 의 합 성 에 이 상 이 생 겨 서 나 타 나 는 현 상 으 로 잎 이 누 렇 게 변 함 휴면성숙한 종자 또는 식물체에 적당한 환경 조건을 주어도 일정 기간 발아·발육·성장이 일시적으로 정지해 있는 상태 흉고직경 (DBH)지표면으로부터 높이 120㎝ 지점에서의 줄기의 직경 흡 착 표면에 이온이나 물질이 부착되는 것
tree_management.pdf
제 2 장 수목 재산 관리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2 장 수목 재산 관리 제2장 관 리수 목 재산 131. 취득 관리 ❍ (절차) 입목·죽 취득(매입, 기부채납 등) ➡에듀파인 재산관리대장에 행정재산으로 정리 ❍입목죽을 포함하여 1건당 대장가액 5천만원을 초과 하는 공유재산을 취득(건물 등)하는 경우 공유재산심의회 심의 대상임 -1건 이란 하나의 사업계획에 따라 취득하는 경우임 2. 운용 관리 ❍ 입목 · 죽 보유 현황과 에듀파인 재산대장이 일치하도록 관리 ❍ 운용 유형 구 분 현 황 재산대장 처리업무 재산대장 누락 존 재 미등재 재산대장 등재 현황 부존재부존재 (벌목, 고사 등)등 재 재산대장 현행화 ❍ 재산대장에 누락된 입목·죽 등재 : 제4장 기타 참고 수고,수관폭, 흉고직경, 근원 직경 등을 측정➡ 나라장터-가격정보 '품명' 입력 후 검색➡측 정 한 수 고, 수 관 폭 등 과 가장 가까운 입목에 대한 가격정보 파악➡ 에듀파인 입목죽 관리대장 등재 ❍ 재산대장에 등재되어 있으나 실제 존재하지 않는 입목 · 죽 관리 -공유재산 처분 절차 진행 후 재산대장 현행화 ※ 처분 절차는 하단의 처분 관리 참고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143. 처분 관리 ❍ 처분 절차 -①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 ② 공유재산심의회 심의(용도폐지 및 처분) ➡ ③ 용 도 폐 지 결 정 및 처 분 ➡ ④ 에듀파인 대장 정리 ❍ 학교운영위원회 심의(권고) · 처분 당시 조달청 가격정보를 기준으로 1주당 200만원 이상 · 문화적, 역사적, 상징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입목·죽 ❍ 공유재산심의회 심의(용도폐지) - 모든 입목·죽은 용도폐지 전에 공유재산심의회 심의를 거쳐야 함 ❍ 용도 폐지: 제4장 기타 참고 -(개념) 행정재산이 사실상 사용되지 아니하거나 행정목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 경우, 행정재산을 일반재산으로 전환하는 것 -행정재산은 처분(매각, 철거 포함)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며, 용도폐지를 통하여 일반 재산으로 전환 후 처분 가능 -행정재산을 용도 폐지할 경우에는 명확한 사유가 있어야 함 · 장래 사용 용도, 활용 계획 등 판단, 처분보다는 이식 등 우선 고려 ❍ 공유재산심의회 심의(처분) - 입목죽을 포함하여 1건당 대장가액 5천만원을 초과 하 는 공 유 재 산 을 처 분 ( 건 물 등 ) 하는 경우 공유재산심의회 심의 대상임 ❍ 처분(매각, 철거 등) - 매 각 · (가격결정) 2인 이상이 평가한 감정평가액의 산술평균 금액 이상 · (감정평가) 재산가격이 3천만원 미만으로 추정되는 경우 생략 가능 ※ 생략 시 시가 또는 조달청 가격정보 활용하여 결정 · (계약방법) 입찰 원칙, 재산평가액이 3천만원 이하는 수의계약 가능
tree_management.pdf
제 2 장 수목 재산 관리 제2장 관 리수 목 재산 15 ❍ 용도폐지 및 철거 시 에듀파인 처리 방법 구 분 에듀파인 처리방법 용도폐지재산관리 재산대장관리 입목·죽 선택 조회 재산목록 중 처분 대상재산 선택(더블클릭) 신규 증감구분(감소), 증감사유(용도폐지) 증감면적 및 증감수량 입력 저장 처 분재산관리 재산관리대장 입목·죽 선택 일반재산 선택 조회 재산목록 중 처분대상재산 선택 신규 증감구분(감소), 증감사유(매각, 처분 등) 증감면적 및 증감수량 입력 저장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191. 수목 관리의 원칙 가. 수목은 기후 · 병충해 · 수목의 상태 등에 따라 그에 적합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관리 해야 함 나. 수목은 상태를 꾸준하게 살펴보아야 하며, 빠른 대처로 적시에 대응·관리해야 함 2. 시기별 수목 관리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연간 작업 횟수 전정 동계 전정 춘계 전정 하계 전정 추계 전정동계 전정1~2회 시비 춘비 추비 1~2회 병충해 방제자나방류 솔잎혹파리 방패벌레/꽃매미충/흰불나방/ 회양목명나방 흰불나방 등 발생 관찰 방제3~4회 관수 생육기간 및 건조가 계속되는 시간대에 실시가뭄 해소 시까지 월동 작업피복제거 월동피복 1회 잔디관리잔디깎기 등 2회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203. 각 구분별 수목 관리 방법 가. 전정 1) 전정이란, 수목류를 자연 상태로 방치해 두면 생장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장해가 생겨나 심을 때 생각하게 모양이 틀어지고 그 기능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그러한 모양을 유지시키면서 생장할 수 있도록 실시함 2) 전정의 목적-수종별 고유 수형 유지 및 주변과 조화로운 연출을 유도-수관 내의 일조, 통풍 증대로 병충해 예방-가지의 도장 억제 및 수세의 균형 유지-강풍에 의한 수목 넘어짐이나 가지 꺾임 예방 3) 전정의 종류-생장을 돕기 위한 전정 : 병충해를 입은 가지나 고사지 및 손상지 등을 제거하는 것 등-생장을 억제하는 전정 : 일정한 공간에 식재된 수목을 필요 이상으로 자라지 않게 하는 것 등-갱신을 위한 전정 : 개화상태가 불량해진 묵은 가지를 잘라주어 새로운 가지가 나오게 함으로써 수목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는 것 등-개화나 결실을 많게 하기 위한 전정 4) 전정의 시기 전정시기 수종 비고 동계 전정 (12~3월, 필요시)일반 수목 수형을 잡아주기 위한 굵은 가지 전정 무궁화내년도 신초가 나기 전 10~12월, 2월 실시 춘계 전정 (4~5월)상록활엽수(감탕나무, 녹나무 등) 잎이 떨어지고 새잎이 날 때 전정 침엽수(소나무, 반송, 섬잣나무 등)상록수의 형태를 정리하고 싶은 경우 적기 봄꽃나무(진달래, 철쭉류, 목련 등) 꽃이 진 후 곧바로 전정 여름꽃나무(무궁화, 배롱나무, 장미 등) 눈이 움직이기 전에 이른 봄 전정 생울타리(회양목, 향나무, 사철나무 등) 5월 말, 회양목은 겨울 전정을 피함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215) 전정의 방법-제거할 가지를 매끈하게 바짝 자르고, 나무가 상처를 빨리 감싸서 치유하도록 유도-가장 나쁜 가지치기는 가지 터기를 남겨 놓거나 수피가 찢어져 상처를 만드는 것전정시기 수종 비고 하계 전정 (6~8월)낙엽활엽수(단풍나무류, 자작나무 등)굵은 가지 등을 솎아내는 것(강전정)을 지양 일 반 수 목 웃 자 란 가 지 제 거 추계 전정 (9~11월)낙엽활엽수굵은 가지 등을 솎아내는 것(강전정)은 동해를 받기 쉬움 침엽수 일부 묵은 잎 털어주기 생울타리 1회 전정 종류 방법 가는 가지-가늘고 작은 가지는 전정가위를 이용하여 자름-원가지를 남겨 놓고 옆가지를 자르고자 할 때는 바짝 자르고, 반대로 옆가지를 남겨 놓고 원가지를 자르고자 할 때는 옆 가지의 각오와 같게 비스듬히 자르되 가지터기를 약간 남겨 둠으로써 옆 가지가 찢어지지 않게 함-길게 자란 가지를 중간에서 절단하고자 할 때는 눈이 있는 곳의 위에서 비스듬히 자르되, 가지터기를 6~7mm 가량 남겨 두어 가지 끝이 마르더라도 눈에서 싹이 나 올 수 있 게 함 굵은 가지-가 지 터 기 를 남 기 지 않 고 바 짝 자 름-굵기가 5cm이상 일 경우 수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르고자 하는 가지의 30cm 정도 윗부분을 제거 후 남은 가지터기 지륭*부위까지 제거하되 상처 부위가 최소로 할 수 있는 각도로 실시함 * 지륭(枝隆)은 가지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가지 밑에 생기는 불룩한 조직으로써, 목질부를 보호하기 위해 화학적 보호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지치기 할 때 남겨둠, 침엽수와 활엽수의 지륭은 그 모양이 서로 약간 다르며, 침엽수는 가지 밑살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자름-절단된 부위에 상면보호제(傷面保護劑)로 페 인트, 밀랍, 아스팔트페인트, 크레소 오트, 보르도액, 아만인휴합제 등 방부제를 칠해줌 죽은 가지-지륭이 튀어나와 있더라도 지륭의 바깥부분에서 바짝 자름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22나. 시비 1) 시비란, 수목이 더욱 충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천연 또는 인공의 양분을 공급하는 적극적인 수목 관리의 한 방법으로, 시비함으로써 근계발달을 촉진시켜 잎의 생육을 도와서 여러 가지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 2) 시비의 시기-대부분의 경우에는 수목이 왕성하게 생육을 시작하는 춘기에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가을철에 시비하는 경우도 많음 · 질소질 비료의 경우는 이듬해 봄에 수목이 생육을 시작할 때 곧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미리 가을에 시비하는 것이 좋음-아울러, 양분의 종류, 함량, 방법, 토성, 배수정도, 기상 상태 및 수목의 양분 요구 수준 등에 따라 다르게 시비를 해야 함종류 방법 침엽수-중앙의 원대(central leader)를 계속해서 외대(single stem)로 유지해줌-중앙의 원대가 두 개로 갈라져 쌍대(double leader)로 될 경우, 다시 외대로 고쳐 주어야 침엽수의 원추형과 대칭형 수형 유지 가능함-2~3년마다 수형을 가다듬어야 하며, 전정으로 과격한 수형 변화를 지양함 시 기 방 법 3~4월 굵은 가지 솎기 5~6월 새로 자라는 순을 잎이 피기 전 2/3 정도 전정 9 ~ 1 2 월 잔 가 지 솎 기, 누 렇 게 된 잎 털 기 관목-땅에 닿는 가지, 병든 가지, 잎이 별로 없는 가지, 너무 세력이 강한 가지, 늙은 가지 등을 밑동에서 제거하여 비슷한 크기의 가지가 수관 전체에 배열되도록 함-오래된 가지의 30%가량을 매년 제거, 솎아내기 실시하여 통풍, 채광을 증진함 생울타리-완성된 생울타리는 매년 높이가 1cm 이내로만 커지도록 전정함-생울타리가 너무 커지면, 활엽수 울타리의 경우 이른 봄에 과감하게 높이를 반으 로 줄여도 됨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233) 시비 기준 영양분 결핍현상 영양분별 시비방법 질소 (N)-활엽수 잎은 황록색이며, 잎의 크기는 정상적인 잎보다 다소 작고 두껍다. 조기에 낙엽현상을 보이며 초엽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 수가 적다. 눈의 크기는 지름이 다소 짧아지고 작으며, 적색 또 는 적 자 색 을 띤 다.-침엽수의 경우 침엽이 짧고 황색을 띤다. 개엽 상태는 다소 빈약하며 수관의 외부는 상부의 경우 정상적으로 녹색을 띠나 하부의 경우는 황색을 띤다.-토양에 시비하는 경우 질소는 100㎡당 1~2kg씩 시비한다. 인 (P)-활엽수의 경우 엽맥, 엽병 및 잎의 밑부분이 적색 또는 자색으로 변하며, 어린잎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는 그 크기가 약간 작다. 또한 조기에 낙엽현상이 생기며 꽃의 수는 적게 맺히며, 열매는 그 크기가 작아진다.-침엽수의 경우는 침엽이 구부러지며, 나무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점차 고사한다.-사질토의 경우 인산을 100㎡당 1~2kg, 점토의 경우 2~4kg씩 시비한다. 칼륨 (K)-활엽수의 경우 잎이 황화현상을 보이게 되며, 쭈굴쭈굴해지거나 위쪽으로 말린다. 어린 가지는 끝부분이 고사하게 되며, 어린 꽃은 매우 적게 맺힌다.-침엽수는 침엽이 황색 또는 적갈색으로 변하며 끝부분이 괴사하게 된다. 유목의 경우 수고가 낮아지고 눈이 많이 달리며, 서리의 피해를 받기 쉽다.-사질토의 경우 칼륨비료를 100㎡당 2~8kg, 점토 8~15kg씩 시비한다. 칼슘 (Ca)-활엽수의 경우 잎은 백화 또는 괴사현상을 보이며, 어린잎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는 크기가 다소 작으며, 잎 끝부분은 뒤틀린다. 새 가지의 경우 잎의 끝부분이 고사하며, 뿌리는 끝부분이 갑자기 짧아져서 고사한다.-침엽수는 끝부분의 생육이 정지되며, 잎의 끝부분이 고사한다.-알칼리성 토양의 경우 황산칼슘을 사질토에 100㎡당 40~75kg, 점토는 75~150kg씩 시비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24영양분 결핍현상 영양분별 시비방법 마그네슘 (Mg)-활엽수의 경우 잎은 더욱 얇아지며 부스러지기 쉽고 조기에 낙엽이 된다. 충분히 성숙한 잎의 경우 잎맥과 바깥부분에 황백화현상을 보이며, 열매는 정상적인 것보다 그 크기가 작게 달린다.-침엽수의 경우 잎의 끝부분이 황색으로 변하나 때로는 적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토 양 에 시 비 하 는 경 우 황산마그네슘(Mg SO4·7H2O) 을 100㎡당 사토의 경우 12~25kg, 점토의 경우 20~25kg을 시비한다. 황 (S)-활엽수의 경우 잎은 짙은 황록색으로 변하며 수종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잎의 크기보다 작은 편이지만, 질소의 부족 현상과 동일한 증상을 보인다.-침엽수의 경우 역시 질소 부족 현상과 동일한 증상을 보이나 잎의 끝부분이 황색 또는 적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토 양 에 시 비 하 는 경 우 황산칼슘(Ca SO4·2H2O)을 100㎡당 사토의 경우 5~8kg, 점토의 경우 8~12kg씩을 시비한다. 붕소 (B)-활엽수의 경우 잎은 대체로 적색을 띠며 특히 어린잎에 그 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잎을 대체로 작고 두꺼워지며, 수종에 따라서는 뒤틀리는 것도 생긴다. 열매의 경우 쭈그러지게 되며 괴사를 한다.-침엽수의 경우 줄기의 끝부분이 J자 형태로 굽어진다.-토 양 의 경 우 B o r a x 를 투여하는 사토의 경우 100㎡당 0. 2~0. 5kg, 점토의 경우 0. 5~1. 0kg씩을 시비한다. 구리 (Cu)-활엽수의 경우 정상적인 잎보다는 그 크기가 작으며, 세 가지의 끝부분은 갈색으로 변한다.-침엽수의 경우 어린 침엽 잎의 끝부분이 고사 하며 조기에 낙엽현상을 보인다.-토 양 의 경 우 황산동(Cu SO4·5H2O) 100㎡당 토사의 경우 0. 5~1. 5kg, 점토의 경우 1. 5~5. 1kg씩을 시비한다. 철 (Fe)-활엽수의 경우 어린잎은 황색으로 변하며 정상 적으로 생육을 하는 잎보다는 그 크기가 다소 작다. 새 가지의 경우 정상적으로 생육하나 그 크기가 다소 작다. 특히 조기에 낙엽현상을 보이는 것이 많다. 열매의 색깔은 다소 암색을 띠며, 수종에 따라서는 조기에 낙과현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침엽수의 경우 백화현상도 보인다.-토 양 의 경 우 황산철(Fe SO4·J2O)을 사토의 경우 100㎡당 12kg, 점토의 경우 18kg씩을 시비한다.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254) 수목별 영양분 요구도 영양분 요구도 수종 높음-활엽수 : 감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동백나무, 대추나무, 매화나무, 모과나무, 물푸레나무, 배롱나무, 벚나무, 오동나무, 이팝나무, 칠엽수, 튤립나무, 희화나무 등-침엽수 : 낙우송, 독일가문비, 삼나무, 주목, 측백나무 등 중간-활엽수 : 가시나무류, 버드나무류, 자귀나무, 자작나무, 포플러 등-침엽수 : 가문비나무, 솔송나무, 잣나무, 전나무 등 낮음-활엽수 : 등나무, 소귀나무, 싸리나무류, 오리나무, 아카시아나무, 참나무류 등-침엽수 : 곰솔, 노간주나무, 소나무, 향나무 등영양분 결핍현상 영양분별 시비방법 망간 (Mn)-활엽수의 경우 잎이 황색으로 변하며, 엽맥을 따라 녹색선으로 생긴다. 열매는 정상적인 것보다 그 크기가 작다.-침엽수의 경우 철분의 부족현상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비교적 어렵다.-토 양 의 경 우 황산망간(Mn SO4·2H2O)을 100㎡당 2~10kg씩 시비한다. 몰리브덴 (Mo)-활엽수의 경우 잎에 나타나는 증상은 질소의 부족현상의 경우와 유사하며, 잎의 폭이 다소 좁아진다. 꽃은 크기가 작고 적게 맺힌다.-토양시비의 경우 Na2, Mo SO4·2H2O나 (NH4)2, Mo O4, 2H2O를 100㎡당 2~20kg씩 지표면에 살포한다. 아연(Zn)-활엽수의 경우 잎은 황색으로 변하며 정상적인 잎에 비교하여 그 크기가 작고 옆폭은 좁으며 낙엽현상을 보인다. 열매는 무게가 다소 가볍고 특히 열매의 끝부분이 뾰쪽해진다.-침엽수의 경우 가지와 잎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고 잎은 황색으로 변한다.-토양시비의 경우 chelate를 100㎡당 1kg씩 시비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265) 시비 방법 구분 내용 표토시비법 (surface application)-작업방법이 비교적 신속한 점이 좋으나, 비료의 유실량이 많다. 특히 토양내로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느린 인(P), 칼륨(K) 등은 이 방법이 좋지 않다. 토양내 시비법 (soil incorporation)-시비목적으로 땅을 갈거나 구덩이를 파서 비료성분이 직접 토양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용해하기가 어려운 비료를 시비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때는 시비 시 발생하는 답압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양 수분이 적당히 유지될 때에 시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비용 구덩이는 대체로 25~30cm 깊이로 파며, 그 간격은 0. 6~1. 0m 정도로 유지한다. (100㎡당 100~275구덩이) 엽면 시비법 (foliage spray)-비료를 물에 희석하여 직접 엽면에 살포하는 것으로 주로 미량 원소의 부족 시 그 효과가 특히 빠르게 나타난다. 비료의 성분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나 대체로 물 100ℓ당 60~120㎖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한다.-시비는 쾌청한 날씨를 택하는 것이 옳다. 수간주사법 (trunk inplant and injection)-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비하는 것이 다소 곤란하거나 그 효과가 비교적 낮을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한다. 즉 수피에 드릴로 구멍을 내어 비료성분을 주입한 후 밀봉하며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 적용한다.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27다. 병충해 방제 1) 병충해 방제는, 이미 형성된 병원균을 죽이거나 활동을 억제하여 병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거나 발생 후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실시함 2) 병충해 방제 종류 구분 내용 약제 살포*-살충제와 살균제를 사용-살 포 작 업 시 사 람, 동 물, 건 조 물, 차 량 등 에 피 해 주 의 수간 주입-병충해에 걸려있는 나무나 수세가 약한 나무의 회복을 위해 주입-시기는 수액의 이동이 활발한 5월초~9월말 사이 맑게 갠 날 실시-수 간 주 입 방 법 1. 수간주입기를 사람의 키 높이 되는 곳에 끈으로 매단다. 2. 나무 밑에서부터 높이 %=5~10cm 되는 부위에 지름 5mm, 깊이 3~4cm의 구멍을 20~30°각도로 비스듬히 뚫고, 주입구멍 안을 깨끗이 한다. 3. 같은 방법으로 반대쪽에 지상에서 10~15cm 높이 되는 곳에 주입구멍 1개를 더 뚫는다. 4. 나무에 매달린 수간주입기에 소정량의 약액을 부어 넣는다. 5. 주입기의 한쪽 호스로 약액이 흘러나오도록 해서 나무에 뚫어 놓은 주입구멍 안에 약액을 가득 채워 주입구멍 안의 공기를 완전히 빼낸다. 6. 호스 끝에 있는 플라스틱 주입구멍에 꼭 끼워 약액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고정한다. 7.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호스를 반대쪽 주입 구멍에 연결한다. 8. 수간주입기의 마개를 닫고 지름 2~3mm의 구멍을 뚫어 놓는다. 9. 약통 속의 약액이 다 없어지면 나무에서 수간주입기를 걷어내고 주입구멍에 도포제를 바른다. 10. 나무껍질과 나란히 되도록 코르크 마개 등으로 주입구멍을 막는다. * 학교 특성상 약제 살포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함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283) 대표적 병해충 미국 흰불나방 약충 미국 흰불나방 성충 주홍날개 꽃매미충 약충 방패벌레 회양목 명나방 사철나무 뿔밑 깍지벌레 사철나무 흰가루병 철쭉떡병 스트로브잣 잎떨림병 주홍날개 꽃매미충 성충 장미 흰 깍지벌레 옆고병(잎마름병)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294) 병해충 방제 방법 병충해명 피해수종 증 상 및 피 해 구제방법 병해흰가루병물푸레나무, 배롱나무, 가중나무, 느릅나무-잎에 백색 병반 형성-기 형-흑색 미립점 형성-석회유황합제 살포-미코지수화제, 디노수화제, 4-4식 보르도액-병든가지 제거 소각 떡병 철쭉류-잎과 꽃눈이 떡덩어리 모양으로 부풀어 오름-5~6월 습한 기후 발생-4월 중순~5월 초순-동수화제 500~1,000배액 발병전 2~3회 살포, 피해 잎 채 집 후 소 각 옆진병 소나무류-잎에 담갈색 병반 형성-수시로 잎이 떨어짐 (7~9월)-병든 잎 제거 소각-4-4식 보르도액 살포 입고병 소나무류-잎에 적갈색 병반 형성-병반위에 흑색소립생성 고사(6~10월)-병든 잎, 가지 제거 소각-퍼어빙제, 4-4식 보르도액 살포 녹병 소나무류, 향나무-입에 갈색 병반 형성-피해지 외곽 풀베기-중간기주식물 제거-만코지수화제 600배액 살포 엽고병은행나무, 물푸레나무-입의 선단에 갈색 병반-회갈색으로 변화-4-4식 보르도액 살포 라. 관수 1) 관수 시기-하위엽이 시들기 시작하는 시점-표토를 주먹으로 쥐어 덩어리로 뭉쳐지지 않을 때-강수량과 증발량의 균형이 불량한 경우-수목의 관수 횟수는 연간 5회로 장기 가뭄 시에는 추가 조치-잔디의 관수 횟수는 가뭄을 타지 않도록 기상 여건을 고려하여 결정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302) 관수법 종류 구분 내용 침수법-수간 주위에 도랑을 파서 수분 공급-측방에서 천천히 스며들도록 하는 것으로 지면을 고르게 해야 함-표토 유실 방지를 위해 자갈 등으로 피복하면 효과적 도랑식 관수법-투수율, 토양의 경사도, 유속 등에 따라 도랑을 통해 비교적 균일하게 관수 스프링클러식 관수법-나무와 잔디를 함께 관수할 때 이용 가능-시설비는 많이 들지만, 자동관수가 가능하므로 노동력 절약하고 균일한 관수 가능-토양 내로 정상적인 투수 속도보다 빠르므로 유량을 조절-대개 새벽시간에 하는데 이때 수압이 높고, 바람이 적으며, 새벽에 젖어있던 잎과 가지가 낮에 마름으로써 습기로 인한 병을 예방 가능 점적관수-호스로 수목의 뿌리 부분에 서서히 물이 스며들게 하는 방법-주로 용기에 심어져 있는 나무, 어린 나무, 낮게 자라는 나무에 사용-필요한 시기에 물을 공급하여 시간 및 인건비 절감-2~3일 간격으로 물주기 하는 것이 좋음 3) 관수 방법-수관 폭의 1/3정도 또는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넓게 높이 10cm 정도의 물받이를 만들어 물을 줄 때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주의-관수는 지표면과 엽면관수로 구분하여 실시하되, 토양의 건조 시나 한발 시 이식 목에 계속하여 수분을 유지하여야 하며, 관수는 일출 · 일몰 시 실시-잔디는 물에 젖어있는 기간이 길면 병충해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이슬에 걷혀 어느 정도 마른 상태인 낮에 관수-관수 후 뿌리 주변에 짚이나 거적을 덮어 주어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 억제 조치 병행-물이 너무 적으면 뿌리까지 물이 흡수되지 못하고, 너무 많으면 점토질과 같이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뿌리가 썩게 되므로 관수량에 유의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31마. 월동작업 1) 월동작업 목적-이식 수목 및 화초류가 겨울철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여건 마련 2) 월동작업 시기-9~10월 : 새끼, 볏짚으로 나무 기둥 하부 1~1. 5m 부위를 감싸 해충의 잠복소 설 치 및 동 해 방 지-2~3월 : 줄기에 싼 것을 걷어 유충 활동 전 소각 3) 월동작업 내용-한냉지와 강풍지역에 줄기와 지엽이 피해를 받아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방풍·방한 대책을 수립 시행-배롱나무 등 동해의 우려가 있는 수종과 동해 예상 지역의 수목은 기온이 5℃이하로 하강하면 수목 전체에 짚싸주기, 뿌리덮개, 방한덮개 등 설치-동계의 기온 저하, 동상 동결이 예상되거나 하계의 건조로 수목 생육에 지장이 우려될 경우 볏짚, 삭포 부산물, 수피를 이용 2~5cm 두께로 지표면을 덮어주는 멀칭(Mulching)을 실시하되 신규 식재 수목에 중점적으로 실시-겨울의 동상, 풍해에 의해 뿌리가 노출되었을 경우 충분히 활착할 때까지 근부 밟기 실시 4) 월동작업 방법 구분 내용 줄기 싸주기-이식하고자 하는 나무가 밀식 상태에서 자랐거나 지하고가 높은 나무는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고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줄기의 피소 및 수피의 터짐을 보호 하며 병충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마포, 유지, 새끼 등을 이용하여 분지된 곳 이하의 줄기를 싸주어야 함 뿌리덮개-관수한 수분과 토양 중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잡초의 번무를 방지하기 위하여 뿌리 주위에 풀을 깎아 뿌리 부분을 덮어주거나 짚, 목쇄편, 왕겨 등을 덮어줌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32바. 잔디 깎기 1) 잔디깎기 시기 구분 내용 들잔디-잎의 길이가 3~6cm이내가 되도록 수시 실시-생육이 왕성한 6~9월에 집중적 실시 기타 잔디-식물의 생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 내 수시 실시-한지형 잔디는 봄과 가을에 집중적 실시 2) 잔디깎기 장비 유형 -릴형(Reel type) : 밑날과 위회전날이 서로 맞물려 잘리는 유형-로타리(Rotary type) : 지면과 수평으로 프로펠라 같은 날이 회전하면서 잘리는 유형-버티컬형(Vertical type) :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자르므로 대취의 제거와 잔디의 밀도를 조정하는 유형구분 내용 방풍-바람이 계속 부는 시기에 식재할 경우와 바람이 심한 지역에 식재할 경우 수분 증발 방지 목적으로 방풍조치나 줄기 및 가지를 줄기감기 요령에 의하여 처리 방한-동해의 우려가 있는 수종과 온난한 지역에서 생육 성장한 수목을 한냉지역에서 시공하였을 때 지형·지세로 보아 동해가 예상되는 장소에 식재한 수목은 기온이 5℃이하로 하강하면 다음과 같이 조치를 취함-한냉 기온에 의한 동해방지를 위한 짚싸주기-토양 동결로 인한 뿌리 동해방지를 위한 뿌리덮개-관목류의 동해방지를 위한 방한덮개-한풍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풍 조치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333) 잔디깎기 주의 사항-갑자기 예고높이를 낮추거나 높이지 않는다.-강우 후 또는 습기가 젖어있을 때는 작업을 하지 않는다.-잔디깎이의 높이와 빈도는 규칙적으로 한다.-잔디깎기 후 잔재물(Clipping)은 제거한다.-잔디깎는 기계의 방향은 계획적이고 규칙적이어야 한다.-장비 운행 시 급회전을 하지 말고 완만하게 돌린다.-작업 전 장비 검사 및 날의 연마를 세밀히 한다.-작업지역의 작업 전 돌, 금속 등 이물질을 제거한다. 4) 잔디 시비-시비 시기: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이 활발한 시기 · 한지형 잔디는 봄/가을에, 난지형 잔디는 여름에 시비-질소, 인산, 가리성분을 년간 30g, 15g, 30g/㎡을 넘지 않도록 시비-가능하면 제초작업 후 비가 오기 직전에 실시하며 불가능 시에는 시비 후 관수-비료는 잔디 전면에 고루 살포하며 시비 후 지엽에 부착된 비료를 제거하여 비료해를 피함-발병 시에는 시비 금지 5) 배토(뗏밥주기)-뗏밥주기 시기 : 한지형 잔디는 봄에, 난지형 잔디는 가을에 배토함-탯치를 분해시켜 잔디의 뿌리가 토양에 내릴 수 있는 터전이 되게 함-잔디의 생육뿐만 아니라 잔디면의 높낮이를 조정하는데 도움을 줌-뗏밥은 한 번에 두껍게 주는 것보다 여러 번 얇게 주는 것이 바람직 · 두께는 2~4mm정도로 주고, 다시 줄 때는 15일이 지난 후에 줌-봄철에 두껍게 한번 주는 경우 5~10mm 시행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34사. 기타 1) 지주목 설치-이식한 수목이나 천근성 수목은 바람이나 눈, 비에 의해 수간이 흔들리어 뿌리 부분이 손상되고 지상부의 원활한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수형 형성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함-따라서 수목의 원활한 성장을 위하여 이식 후 보조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필요성 외에도 통행 등 인위적인 활동에 대하여 수목의 보호를 위해서도 지주목이 나 당 김 줄 의 설 치 가 필 요 함-지주목은 식재 후 즉시 설치하여야 하며, 묘목, 아교목은 1년, 성목은 2년 후 제거 하여야 하지만 바람이 많은 해안가, 경사 지역은 1~2년 연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관 리 중 성 장 에 지 장 이 있 다 고 판 단 될 때 는 즉 시 해 체 또 는 재 결 속 을 하 여 야 함-지지된 부분의 수피가 벗겨지는 등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목질부의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여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부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구분 내용 용도별 구분수목보호용 지주-통행인, 자동차, 잔디깎는 기계 등으로부터 수목을 보호하여 수목의 생육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함. 대상은 침엽 수종, 소교목 또는 관목에 적용하며 지주목은 통행인의 시각에 잘 보이도록 설치해야 함 수목지지용 지주-뿌리나 뿌리분을 고착시키거나 나무가 곧바로 서도록 하기 위 하여 사용함-특히 뿌리 부분이 충분히 고착되어 있지 않으면 바람이나 비 또는 눈 등에 의하여 수간 부위가 흔들리게 되어서 뿌리에 손상을 주기 쉽게 되며, 이때 흔히 사용되는 지주목의 형태로는 2~3개의 지주를 사용하여 수간을 고정시킴 수간보조용 지주-수간 부위가 약하여 곧바로 서지 못하거나 바람, 눈 또는 비 등에 의해서 쉽게 넘어지기 쉬운 수목을 대상으로 하여 설치함-약한 수간이란 주로 줄기가 연약하거나 밀식된 상태로 생육된 관계로 수간 부분이 약한 것을 가리킴-특히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의 수목을 대상으로 할 경우 에는 수고보다 더 높은 지주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ree_management.pdf
제 3 장 수목 관리 일반 제3장 일 반수 목 관 리 35구분 내용 형태별 구분이각, 삼각, 삼발이, 사각 지주목-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주로써 수목의 규격, 식재 배식 개념에 따라 적용함 담김줄형 지주-일반적으로 대형 거목에 적용하며, 특히 경관적 가치가 요구 되는 곳에 설치함-수목의 주간에 완충재를 감아 수피를 보호하고 그 부위에서 세 방향으로 철선을 당겨 지중에 박은 말뚝에 고정함 매몰형 지주-가로수 식재 시 매우 중요한 위치일 경우, 또는 지주대가 통행에 지장이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함 연계형 지주-군식을 하여 3~4개의 수목을 한꺼번에 안정시킬 경우에 사용함-수목의 주간에 완충재를 감아 수피를 보호함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4 장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391. 학교 공간의 이해 가. 학교의 공간 구조 1) 옥내 공간 본관 교사동, 교사동, 체육관, 급식소, 강당, 창고, 수위실, 가건물 등 지반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기둥 · 벽 · 천정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말한다. 옥내 공간은 고정물 성격이 강하고 내구성이 중요하며 용도에 따라 실용적으로 이용될 뿐 외부 시선이 미치지 않으므로 경관 미학이 중요시되지 않는다. 건축 년도, 이용 빈도, 관리 정도에 따라 수명이 결정되는데,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여 사계절이 있어서 온도변화와 함께 햇빛 · 바 람 ·우천(비, 눈)에 노출되는 옥내 공간 밖의 벽과 창, 옥상의 유지관리가 중요 하다. 옥내 공간 및 그 외부(벽, 창, 옥상)는 일상 관리와 시일경과에 따라 대수선에 해당하는 리모델링 유지관리가 수반된다. 2) 옥외 공간 학교 건축물 밖 공간으로 투수 또는 불투수 지면(地面)을 가지며 학교 구성원의 이동 동선과 운동장, 주차장, 녹지(綠地, 학교숲), 교문, 기둥과 천정만 있는 우천 통로, 놀이 ·체 육·휴게 시설, 그 밖의 자투리 공간으로 장소와 기능에 따른 고유 목적에 맞게 이용되고 학교 구성원 및 외부 시선이 미치므로 경관 미학이 중요시된다. 운동장을 중심으로 동적 활동과 녹지에서의 정적활동이 이루어지며 이용의 편의성, 안전성이 강조된다. 옥외 공간은 청소 수준의 일상 관리가 이루어지고 시설물의 부정기(不定期) 수선과 녹지의 경우 계절별 관리 및 시일 경과에 따라 대규모 전정(가지치기) 등 대수선에 해당되는 유지관리가 수반된다. 3) 학교 녹지공간 학교 숲, 녹지, 화단, 정원, 조경 등으로 불리며 수목이나 초본이 식재된, 넓이와 높이를 가진 공간을 말하며 빗물이 스며드는 토양을 가지며 텃밭이나 규모 있는 용기(用器)에 심겨진 수목 또는 초화(草花)가 차지하는 부분도 녹지로 볼 수 있다. 녹지의 식물은 종류 · 규모(크기) · 수량 및 관수(물주기), 전정, 시비(거름주기), 병해충 방제, 제초 등의 관리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에 따라 경관 미학 및 재산 가치가 결정된다. 기후변화, 미세먼지,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0학교 숲, 생태 전환 교육 등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미기후 조절과 야외 학습, 정적· 동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녹지는 옥외 공간의 핵심이다. 나. 학교 녹지공간의 유형 1) 교문과 그 주변 공간 학교 출입구로 입구감이 강조되며 학교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중요도 높은 공간이다. 교 문은 학교 안과 밖을 구획하는 경계이지만 교문 밖 현상도 매우 중요하다. 외부 시선이 집중되는 교문 양쪽에 수형미를 자랑하는 교목(喬木, 큰키나무)을 심거나 손바닥 정원을 만들거나 관목(灌木, 작은 키떨기 나무) 또는 초화류가 심겨진 용기(화분)를 둠으로써 학교 품격과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 2) 본관 교사동 앞 공간 행정실 · 교무실 · 교장실과 교실이 있는 교사동(校舍棟)으로 보통 남향을 보고 운동장 과 마주한다. 중앙현관을 두고 양쪽에 화단을 가지는데 학교의 핵심 녹지에 해당한다. 이 공간에는 품격 높은 상록수와 계절감을 느낄 수 있고 낙엽수가 6:4 비율을 가지는 것이 알맞다. 자연 수형보다 잘 다듬어진 조형(造形)수형이 좋고 일조건(햇빛, 채광)이 좋으므로 양수(陽樹) 위주로 식재하고 창을 가리는 키가 너무 큰 수목은 피하는 것이 좋다. 학교를 상징하는 나무(校木)를 심거나 꽃이 좋은 관목, 그리고 지표를 덮는 초화류를 심어 아름답고 밝으며 잘 정돈된 분위기 연출이 필요하다. 3) 본관 교사동 옆과 뒤, 부속동 건물 주변 공간 건물 둘레 및 다른 건물과 연결되는 공간으로 좁고 긴 녹지이거나 협소한 독립 녹지를 가진다. 동선(動線)이 뚜렷한 선형(線形)을 따라 학교 구성원의 어깨에 수목을 두는 현상을 가지는데 낙엽이 지지 않는 상록수 위주로 식재하고 공간별 일조건을 고려하여 양수, 반음수, 음수(陰樹)를 선택하여 식재한다. 높이를 가지는 건물 측면은 건물의 위압감을 완화하는 높은 키 나무가 있는 것이 좋다. 4) 운동장 둘레 공간 운동장은 동적인 공간으로 정적인 공간인 녹지가 감싸 안은 위요(圍繞)현상이 이상적이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41다. 그러나 학교 구성원의 안전과 녹지공간의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이격(移檄,거리를 둠) 해야 하고, 특히 축구 골대 뒤쪽 녹지에는 공의 충격으로 훼손이 될 수 있는 관목이나 초화류는 심지 않는 것이 좋다. 5) 부지 경계 공간 학교 안과 밖을 구획하는 부지경계선이 되는 공간은 우선 경계를 명확히 하고 향(向)과 경계시설물(담장, 휀스, 건물)을 고려한 수종(樹種)과 수형(樹形)을 가져야 한다. 특히 학교 경계와 접하는 곳이 도로인지 또는 주택인지, 주택이면 저층인지 고층인지 혹은 상가인지에 따라 수목의 그늘과 낙엽으로 인한 민원 발생 소지가 있는 현상은 가지지 않는 것이 좋다. 비교적 넓은 도로와 접하는 경계 공간은 낙엽지는 나무를 심어도 무방하나 주택이 인접하면 상록수 위주로 식재하되 너무 빨리 자라는 속성수는 피한다. 학교 용지 경계를 이루는 공간에는 위요(圍繞, 둘러쌈)와 차폐(遮蔽, 가림) 수림대가 끊어짐 없이 이어져 있는 것이 이상적이며 전정이나 방제 등 수목 관리 노력이 덜 드는 수종이면 더 좋다. 6) 학교 숲 공간 녹지, 조경, 화단, 정원 등으로 불리는 학교 숲 공간은 규모 있는 면적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 종 다양성과 수음(樹蔭, 나무그늘)효과, 그리고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종과 수형이 좋다. 기후변화에 따라 다층구조를 이루는 숲이 유리하지만, 너무 복잡하거나 음침하지 않도록 숲 내부 밀도를 조절하는 것도 필요하다. 학교 숲은 그 현상에 따라 미학적, 재산적 가치가 달라지므로 일상관리 외 3년에서 6년 사이 대수선에 해당하는 특별관리가 요구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22. 녹지공간의 수목 관리 가. 구조와 기능에 따른 수목 관리 1) 경계형 녹지 학교 대지 경계를 따라 좁고 긴 공간 구조를 가지며 경계 ·차폐·완충 기능을 하며 “발 걸음 따라 숲”, “울타리 숲” 등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공간이 갖는 구조와 기능에 따라 나무의 키는 고르고 간격은 다른 녹지에 비해 촘촘한 수림대 형태로 관리되어야 한다. 다만 너무 어둡고 복잡하지 않게 담장보다 낮아 외부 시선이 닿지 않는 가지는 잘라주는 것이 좋고, 서로 가까이 있는 나무의 가지는 짧게 유지하여 수관(樹冠) 간섭을 최소화한다. 2) 근린공원형 녹지 학교 구성원과 이웃 주민의 보건 및 정서 생활 함양 기능을 하며 “맑은 공기 숲”, “다함께 웃음 숲”, “꽃 내음 가득 숲”, “배움의 숲” 등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크고 작은 나무들이 조화롭게 자라도록 유지하고, 수목이 사람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수형을 관리한다. 3) 환경조절형 녹지 경관 조성, 대기질 개선, 열섬 완화, 미세먼지 저감, 그늘 제공 등 미기후 조절 기능을 하며 “맑은 공기 숲”, “다함께 웃음 숲”, “녹색 커튼 숲”, “녹색 지붕 숲”, “다차원 녹색 숲” 등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쾌적한 환경은 녹지의 면적과 높이에 비례하므로 식물이 고유 수형(크기)을 유지하고 충분한 엽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4) 자연학습형 녹지 자연 체험 교육, 정서 순화 및 공동체 의식 함양 기능을 하며 “꽃 내음 가득 숲” 또는 “배움의 숲”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계절감을 느낄 수 있고 교과서에 나오는 식물, 꽃과 열매가 도드라진 수목이 좋다. 이용 목적에 맞는 환경을 유지하고 교육적 효과를 염두에 두고 세심하게 관리 한다.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435) 역사문화형 녹지 역사와 문화가 깃든 자연 활용 및 교육과 휴식 기능을 하며 “주제원”, “상징숲”, “꽃내 음가득숲” 또는 “배움의숲”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개별 학교의 역사와 관련 있거나 문화 활동이 가능한 녹지에 해당되는 만큼 차별화된 이름을 가지는 것이 좋다. 조성 취지에 맞는 현상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6) 녹화형 녹지 녹지면적 증배(增配) 기능을 하며 “지붕없는숲” “녹색커튼숲” “녹색지붕숲” “다차원녹색숲”으로 이름 지을 수 있다. 옥상녹화, 벽면녹화, 다층녹화, 용기(화분)화단 등이 있다. 조성 초기 면적의 유지 또는 확대가 중요하며 조성 후 시일이 경과해도 설계의도에 벗어남이 없는 현상으로 관리 한다. 나. 학교숲과 수목의 관리 키워드 1) 균제 균제(均齊)의 사전적 의미는 '가지런함'인데 '균형' 혹은 더 나아가 '대칭'으로 이 해하는 경향이 있으나 기계적인 균형이나 대칭이 아니다. 학교숲을 비롯한 옥외 공간의 평면 구획이나 입체 현상은 보고, 인지하는 사람이 불안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복잡다단하거나 기계적인 대칭을 이루어 단조로운 학교숲 조성과 수목 관리는 지양(止揚)할 필요가 있다. 명료하면서도 불균형 또는 쏠림이 없어 시각적, 심미적 안정감을 주는 현상이 바람직하다. 2) 여백 있어야할 곳이 있으면 없어야할 곳도 있는 것이 여백(餘白). 여백은 '비움의 미학' 또는 '한국의 아름다움' 이라할 만큼 우리민족 정서와 일맥상통한다. 학교는 그 존재의 이유에 비추어 오늘날 매스(mass)문화, 양감진열, 물량공세 등을 여과 없이 따라 과도하게 채울 것이 아니라 전체 또는 부분에 충분한 여백을 두어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녹지와 수목을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43) 동선 학교 옥외 공간 동선은 왜곡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너무 짧게 유도하지 않아야 한다. 동선은 '명확성 원칙'을 가지지만 지나친 집중(쏠림)이 없이 고루 분산 되게 하고 사각지대나 맹지가 없도록 단절 없는 동선을 구획하고 유도해야 한다. 공간이 복잡다단하거나 출입구를 너무 많이 가지는 현상은 공간의 효율성을 오히려 떨어뜨린다. 옥외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는 추세에 있지만 동선은 반대로 다소 길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학교 옥외 공간 동선의 길이와 학교 구성원의 운동량은 비례 4) 생태면적 물(수면), 나지(맨땅), 초지(풀밭), 수림(숲), 건물, 도로... '투수율은 높고 복사율은 낮게'는 기후변화 온난화시대 지구 표면의 이상적인 조건이다. 지구의 표면이 자연순환 기능이 살아 있으면 그만큼 '생태면적'이 된다. 생태면적이 되기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들게 하여 최소한의 비오톱(biotope) 기능을 가져야 한다. 학교 옥외 공간에 시멘트나 아스팔트 포장 면적, 그리고 석유화학 재질이나 알베도(albedo)값이 낮아 뜨거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소재는 적을수록 좋다. 시멘트 혹은 아스팔트 바닥 위에 플랜트(큰화분)를 놓는 것만으로도 투수율을 높여 생태면적을 확대하는 것이다. 생태면적을 늘릴 수 없다면 벽면과 옥상을 녹화하거나 상자텃밭(raised bed)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5) 자유배식 자연에, 나무에 인간 기준의 질서를 부여하여 '박제된 자연'을 만드는 행위가 지탄을 받을 만큼 미학관이 높아졌다. 규격이 일정한 나무를 가로세로 반듯하게 심는 것은 학교숲 취지를 왜곡하는 것이다. 교문이나 본관 앞 화단에는 정형화된 현상이 필요할 수 있지만 그밖에 녹지는 자유배식이 권장된다. 무질서 속 질서가 자연의 질서이며, 학교 수목의 저비용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도 가능한 자연 수형(樹形) 유지가 바람직하다. 6) 다층식재 학교 옥외 공간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고 규모 있는 학교숲을 가지기도 어려운 여건에서 그 대안으로 다층식재가 해법으로 권장된다. 교목(큰키나무)-아교목(중간키나무)-관목(작은키떨기나무)-초본(초화류)-지피식물(잔디,이끼 등), 이렇게 층위(層位)를 가지는 식재를 통하여 미기후 조절, 미세먼지 저감 등의 효과도 높일 수 있다. 기후변화시대 학교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45수목은 수관(樹冠,가지펼침) 속 체적(㎥)이 크고 엽량(葉量)을 많이 가질수록 유리한데, 잦 은 전정이 필요한 조형수목에 비해 유지관리 빈도 측면에서도 유리 하다. 7) 보식(補植) 수목은 시대에 따라 흐름(유행)이 있고 끊임없이 외래종이 도입되고 있으므로 학교숲 수목은 한 번 심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보식(補植,보충식재)을 하여 수종갱신과 옥외 공간 현상의 변모를 꾀하여야 한다. 수목뿐 아니라 계절별로 초화류를 식재하여 사계절 꽃 피는 아름다운 학교 분위기 조성이 필요 하다. 학교 수목의 효율적 관리를 통해 절감한 비용으로 수목보식을 권장한다. 8) 종다양성과 계절감 근대교육의 시작점으로 볼 수 있는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까지 학교 녹지는 상 록수 위주로 구성되어 종(種) 과 현상이 단조롭고 권위적인 옥외 공간 이었다. 1970년대 이후 낙엽수와 초화류가 식재되고 근래에는 꽃과 잎의 색이 도드라진 품종이 많이 도입되어 수목 보유종이 늘어남과 동시에 학교숲이 화려하게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화단' '녹지' '조경'이 '숲'으로 바뀌는 용어의 변화도 있었다. 9) 특화 학교 옥외공간은 기반시설이든 설치물이든 또는 학교숲이든 모든 학교가 똑같은 현상보다 개별 학교마다 차별성을 가지는 현상이 바람직하다. 다른 학교에는 없는, 옥외공간의 전체 또는 부분을 보여주는, '우리 학교만의 그 무엇'을 가질 것을 권장한다. 특화된 학교숲은 학교 주변 환경과 학교 내 환경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므로 그에 합당한 현상은 수목의 효율적 관리에도 유리하다. 10) 조화(調和) 학교숲과 수목을 비롯한 옥외공간은 여러 요소들이 조화롭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위화감, 이질감, 부조화, 압박감 등이 느껴지지 않도록 조성하고 배치(lay out)해야 한다. 지나치게 높은 벽과 강한 모서리가 시선에 도드라지지 않게 수목을 심거나 시설물 또는 조형물을 두어 이질감을 완화하고, 주변과의 부조화를 이루는 지나치게 크거나 작거나 또는 단순하거나 복잡한 형태는 리모델링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63. 학교 수목의 이해 가. 학교에서 만나는 수목 1) 학교 수목은 “나무를 볼 것인가, 숲을 볼 것인가. ” “나무는 숲을 이루는 낱개이고 숲은 나무의 모둠이 다. ” 학교숲을 구성하는 수목은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 의무를 다하여야 하는 재산이며 학교 관리자는 관재자(管財者)이다. 학교 수목은 법적, 실효적 소유 ·관리권을 넘어 학교구성 원뿐 아니라 지역사회가 함께 향유하는 공공재이기도하다. 학교 수목은 산림수목과 대비되는 생활권수목이며 학교 대부분이 도시에 있으므로 도시숲 수목이며 경관을 기본 목적으로 심은 조경수목이다. 학교 수목은 수확이나 용재(用材) 목적으로 심기지 않고, 입목(立木)기한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경관조성 외에도 여러 가지 효용을 갖는 다목적 자연생태자원이다. 2) 학교 수목의 조건 학교 수목은 아름답고 쾌적한 공간 조성 목적으로 심겨지는 조경수목이 갖추어야 할 조건 외에도 학교라는 장소성에 맞게 교육환경을 이루고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학교가 위치한 지역색(향토수종)을 강조하며 개별학교 물리적 환경과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수목도 필요하다. 고사(枯死)하였거나 학교숲을 재구성하면서 수목을 심을 때는 그 시점에 널리 선호하는 수종을 선택하면 후일 지난 시대상을 짚어보는 의미가 있다. 학교 수목은 종다양성이 중요한데 특히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화목(花木)과 유실수를 포함한 다양한 수목이 좋다. 나무는 자연생태 구성물이자 인류문화의 산물이다. 인류문화로서 학교 수목은 '유행'이라는 사회현상을 따라 수종(樹種)이 바뀐다. 본관 앞 수목과 경계 담장의 수목은 수종을 달리한다. '어떤 나무'도 중요하지만 '어떤 수형'은 더 중요하다. '온난화'라고 하는 기후변화, '생력화(省力化)'라는 이 시대의 학교 수목은 탄소 흡수, 온도 완충, 미세먼지 저감, 미기후 조절 등 경관(景觀) 외적인 부분의 효용이 커지면서 수관(樹冠) 체적이 크고 엽량(葉量)이 많으며 전정, 방제 등 뒷손이 덜 가는 나무가 요구된다. 3) 학교 수목의 시대 변천 우리나라 근대교육 출발점을 일제강점기로 본다면 그 시경 학교는 읍치(邑治)의 관아나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47향교에 자리 잡았다. 교사(校舍)를 짓지 않고 기존 전통공간을 개조하여 학교로 썼던 것이 다. 인구가 많고 행정기능이 있거나 일인(日人)들 살던 지역에 소학교, 심상소학교, 공립보통학교, 공립농림학교, 공립상업학교, 실과고등여학교와 같은 근대식 학교가 세워졌다. 카이즈카향나무, 왕벚나무, 개잎갈나무, 졸가시나무, 삼나무, 편백, 반송, 단풍나무, 사철나무 등을 심었고, 소나무, 전나무, 곰솔, 동백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서어나무 같은 향토수종을 심거나 존치하여 1세대 학교 수목이 되었다. 지역 거점마다 신식 건물과 함께 넓은 운동장과 '감상원'이라는 규모 있는 학교숲을 가지는 학교도 생겨났다. 운동장과 감상원은 유사시 훈련 또는 대피 장소로 조성 하였으니 학교는 병영(兵營)과 같은 공간구조를 가지게 된 것이다. 해방 이후에는 양버들, 양버즘나무, 편백, 화백, 종가시나무, 측백나무, 멀구슬나무, 은행나무 등을 심었다. 1970년대 들어서면 카이즈카향나무, 종려, 개잎갈 나무를 중심으로 소나무, 섬잣나무, 목련, 태산목, 동백나무, 아왜나무, 실화백, 영산홍과 왜철쭉 등을 심었으며 1990년대 초부터 느티나무, 왕벚나무, 단풍나무, 그리고 외래종 조 경수목이 대거 학교에 들어왔다. 100년을 훌쩍 넘는 학교사(史)에서 볼거리가 되는 몇몇 외래종이 꾸준히 심어졌다. 그렇다고 우리 고유종이 터줏대감 자리를 내어주지 않았으며, 문화다양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이어가고 있다. 나. 기후변화와 학교 수목 1) 학교 옥외 환경의 변화 지금은 학교마다 급식소와 체육관을 짓고 주차공간이 생겨 운동장과 함께 녹지면적이 줄어들어 온전한 학교숲을 가진 학교는 드문 실정이다. 새로 짓는 학교 또한 부지가 그다지 넓지 않아 규모 있는 학교숲을 가지기 어렵다. 그렇다면 체육관을 이용하는 만큼 운동장을 일부 활용하거나 자투리땅을 이용하거나 옥상과 벽면의 녹화, 플랜트박스(plant box) 또는 틀밭(raised bed) 조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교나무 확보가 되어야할 것이다. 2) 기후변화와 수목 기후변화는 학교 수목의 변천이나 옥외 환경 변화보다 무서운 속도로 성큼 다가와 있다. 최근 극한적이며 불규칙성으로 나타나는 이상기후는 늘 '사상최악', '역대급' 재해로 이어져 지구촌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도 이제 사계절이 뚜렷, 환절기, 삼한사온, 유월장마, 가을하늘 공활한데 맑고 구름 없이... 는 옛말이다. 기승전결이 아니라 기승전 기후변화이다. 아예 기후위기라고 한다. 기후변화 원인과 대책은 의외로 명료하고 간단하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48다. 화석연료를 남용하고 야생의 량과 질이 떨어짐으로 생겨났으니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 고 야생을 보호한다면 멈추거나 늦출 수 있다. 야생의 중심은 나무와 숲이다. 온난화, 온실가스, 미세먼지 모두 나무가 적거나 건강하지 않기 때문이다. 요즘 화두가 되는 탄소중립 역시 화석연료는 탄소배출원, 나무는 탄소 흡수원, 결국 인류의 생존은 나무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기후변화 대응 수종과 수형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생산하는 나무는 가지와 잎이 만드는 수음(樹蔭,나무그 늘)효과와 광합성 과정에 잎에서 수분을 내 보내는 증산(蒸散)작용으로 대기 온도를 낮춘다. 또 햇빛을 막아 공중습도를 유지하며 미세먼지를 차단, 흡착, 흡수, 침강시킨다. 극한성과 불규칙성으로 나타나는 기상을 완충하여 미기후를 조절한다. 지구상에 나무만큼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응하는 효자는 없다. 기후변화 대응에 유리한 나무는 수관(樹冠) 체적이 크고 엽량(葉量)이 많은 나무와, 사철 내내 잎이 있어 미세먼지를 잡는 상록수종이 좋다. 수형은 수관(樹冠, 가지펼침 : 나무의 지상부 : 줄기,가지,잎)을 줄인 인공수형보다 자연수형이 낫다. 4) 기후변화시대 학교 수목 관리 기후변화와 생력화(省力化)시대 학교의 수목은 기후위기 대응에 유리하면서도 사람 손이 덜 들어야 한다. 우선 기후변화시대 기후에 견딜 수 있는 수종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은 정상적인 수목을 정상적으로 심어도 정상적으로 생존 한다는 보장이 없다. 극한 가뭄과 폭염, 호우, 강풍, 혹한, 그리고 변화무쌍한 기상에 견디는 수종에 잔뿌리가 잘 발달한 수목을 활착 용토를 충분히 사용하여 식재하되 너무 올려 심지 않도록 하고 지주목 해체시기를 다소 늦추어야 한다. 가뭄과 호우가 반복되는 기상에 대비하여 관수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상록수는 겨울에도 충분히 관수해야 한다. 온 · 난대 수종은 식재 후 3년까지 보온재로 감싸주어야 하고, 온난화로 상온기간이 길어져 병해충이 창궐하므로 예찰(豫察)을 하여 선제적 방제가 필요하다. 전정은 수관 내 바람이 잘 통하게 하여 풍압(風壓)을 완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3∼6년 주기 강전정을, 그 사이는 일상수준으로 약전정 한다. 생력화시대에는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있고 자연수형으로 천천히 자라야 방제·전정 품이 적게 들어 학교 수목으로 알맞다.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494. 학교 수목의 효율적 관리 가. 학교 수목 관리 1) 학교 수목 학교수목은 학교라는 공간 범위 안에 있는 나무를 말하는데 학교 조성 당시 또는 그 이후 조경공사를 통하여 식재된 조경수목이다. 조경수목은 산림수목과 차별되는 생활권수목으로 조경에 이용되는 수종(樹種)을 말한다. 조경수목은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고 경관 조성, 환경 보존을 위하여 심는 수목의 총칭이며 자생종 수목을 순화 · 배양하였거나 자연목 또는 기존 품종을 육종 ·개량한 것이다. 조경수목은 우선 관상(觀賞,보고즐김) 가 치가 있어야 하고, 식재를 전제하기 때문에 이식력(移植力)이 좋고 생육이 잘 되어야 한다. 주로 도시 옥외에 자라므로 기상장애, 병충해, 공해에 저항력이 있고 전정, 방제 등 유지관리가 쉬운 조건을 갖춘 수목이다. 학교라는 공간 성격에 맞는 종조성(種組成,수종구성)을 갖는 것은 기본이다. 2) 수목 식재 수목 식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지적수(適地適樹)'이다. '적당한 땅에 적당한 나무를 심어야 하고, 심어서는 안 될 곳에 심거나 심어서는 안 될 나무를 심어서는 안 된다. ' 수목의 생리적 특성 보다 공간에 대한 이해가 먼저이고, 수목 선정은 어떤 수종의 생물학적 요구와 그 지역의 환경조건과 인간의 기호를 서로 일치시키는 과정이다. 좋은 계절, 좋은 땅에, 좋은 수목을 심으면 이내 활착한다. 계절도 땅도 수목도 좋지 않으면 전문가에 맡기거나 근분(根盆,뿌리덩이)을 크게 만들고 수관을 많이 줄이는 전정이 필요하며 활착에 필요한 용토, 약제, 영양제를 투입해야 한다. '조경 기술과 장비, 자재의 발달로 이식이 어려운 수목은 없다. '라고 한다. 수목이 땅에서 나와서 다시 땅으로 들어가는 시간이 짧을수록 이식성공률이 높다. 근분은 팽이 모양보다 접시 모양이 좋다. 상식(上植,올려심기)은 상식(常識)이다. 식재 지반을 약간 올려 심으면 식재 초기 관수와 지주목 관리에 신경써야하지만 장기생장에 훨씬 유리하다. 3) 수목 관수(물주기) 조경수목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접하는 공공재로서 거래 물량이 많고 빈번하며, 건설공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50사 단위 공종(조경)에 속하여 그 재료로서 품질기준이 다음과 같이 정해져있다. “수형이 잘 정돈되고 발육이 양호하며, 지엽(枝葉)이 밀생되고, 병충해 피해가 없으며 관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식재에 견딜 수 있도록 미리 이식하거나 단근(斷根) 작업 및 뿌리 돌림을 실시하여 세근(細根)이 발달한 재배품일 것. ” 여기서 물을 흡수하는 세근(細根,가는뿌리)을 강조한 것은 '물만 주면 잘 산다' '물을 주지 않아서 죽는 것 말고는 죽지 않는다. ' 는 의미로 식재 시 관수의 중요성이 잘 드러난다. 관수는 식재 시(뿌리활착까지) 관수와 식재 후(뿌리활착 이후) 관수로 나누어지는데 '초물'이라는 식재 후 첫물과 이후 활착까지 초기 관수가 생장을 좌우한다. 따라서 학교 수목은 식재 시 초기 관수관리가 중요하며 활착 이후에는 가뭄과 같은 기상상태에 따라 꼭 필요할 때만 관수하면 된다. 4) 수목 관수 방법 '나무심기 3년, 물주기 10년'은 제대로 물주는 법을 터득하기 위해서는 10년이 걸린다는 뜻으로 그만큼 관수는 중요하고 어렵다는 의미이다. 땅 위에 드러난 가지와 잎 현상을 보고 눈에 보이지 않는 땅 속 뿌리 현상을 가늠하는 것은 대기 ·토양·수체(樹體) 습도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에 따라 관수시기를 특정하여 관수량을 정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관수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특정 수종의 잎을 보고 언제 물을 줄 것인가 판단하기는 더 어렵다. 이미 시들어버린 후에 소용없는 물을 주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관수 용수는 산성강하물(산성비)이 문제가 되지만 그래도 빗물이 가장 좋다. 그 다음은 지하수와 강물인데 수돗물은 나무 입장에서는 맛없는 물이다. 그러나 이미 활착한 수목은 수돗물도 좋고 심지어 설거지물도 무방하다. 약간의 염분은 큰키나무 생육에 나쁘지 않다. 관수량과 횟수는 관목이나 초본은 조금씩 자주, 교목(喬木,큰키나무)은 한 번에 듬뿍 준다. '777151530'는 식재 후 일주일마다 세 차례, 그 다음은 보름마다 두 차례, 이 후 한 달에 한번 관수한다는 의미이다. 관수시간은 여름은 오후 6시, 겨울은 오전 10시가 적당한데 수분의 증발량이 적고, 얼지 않기 때문이다. 사계절 푸른 잎을 가진 상록수는 영상 5도를 넘으면 광합성을 하므로 겨울에도 관수한다. 늦겨울에서 초봄 사이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면 그 시경 세차게 불어오는 바람에 수체(樹體)는 수분을 잃게 되어 고사하기 쉽다. 비가 오면 물을 주지 않아도 된다는 알고 있는데 30mm 이하 강우량은 땅을 충분히 적시지 못하여 교목(喬木, 큰키나무) 해갈에 부족하다. 적은 량의 비 예보가 있을 때 관수하거나 적은 량의 비가 내린 직후에 관수하면 수돗물 관수량을 줄일 수 있고 빗물 · 수돗물 단점을 상쇄 할 수 있다.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515) 수목 시비(施肥,거름주기,비배관리) 시비의 목적은 가) 수목이 건전하게 생육하여 본래의 아름다움 유지, 나) 병해충, 추위, 건조, 바람, 공해에 대한 저항력, 다) 푸른 잎, 건강한 꽃, 과실의 결실을 좋게, 라) 토양 미생물을 돕고 수목이 토양의 양분을 이용하기 쉽게, 마) 수목의 품격을 높임, 바) 토양(식재지반) 보수력(保水力)과 통기성(通氣性)을 높임, 사) 흙을부드럽게, 세근(가는뿌리) 신장을 촉진, 아) 생장기간 단축, 노동력 절감 등이다. 6) 시비 재료(무기양분) 수목에 필요한 무기양분 중에서 대사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질소, 인산, 칼륨은 다른 양분보다 더 많이 요구되며 수목 재배에서 가장 쉽게 부족해진다. 이런 다량원소 외 칼슘, 마그네슘, 황이 요구되며 '미네랄(mineral)'로 불리는 철, 붕소, 망간, 아연, 구리, 몰리브덴, 염소와 같은 미량원소도 필요하다. 가) 질소(N) : 아미노산, 단백질, 엽록소 구성성분. 식물체 내 효소는 모두 단백질. 질소가 부족하면 세포분열, 광합성, 호흡 등 기본 대사가 되지 못하여 식물이 자 랄 수 없 다. 나) 인산(인,P) : 염색체 핵산과 세포막 인지질 구성성분. 에너지 생산 전달 조효소, 광합성 호흡 대사 작용. 강산성 또는 알카리성 토양에 부족하기 쉽다. 다) 칼륨(K) : 조직 구성성분 아님, 이온형태로 세포액에 용해. 기공 개폐 핵심적 역 할, 전분과 단백질 합성효소 활성화. 부족하면 뿌리와 가지 생육이 불량하다. 7) 시비 방법 시비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한편 수목을 온실에서 키우는 것과 같아서 지나친 시비는 수목을 나약하게 만든다. 작물은 생장이 빠른 만큼 무기양분을 많이 요구한다. 산림수목은 시비하지 않아도 서서히 잘 자란다. 수목이 웃자랄 때 내병충성이 약해지고 바람의 저항력도 떨어진다. 학교 수목은 양분요구도가 높은 수확 목적의 작물이나 과수(果樹)가 아니며 소나무, 진달래, 만병초를 비롯하여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수종도 많고, 무엇보다도 학교 수목이 빨리 크게 자라는 것은 전정 등 후관리를 수반하기 때문에 지나친 시비는 득보다 실이 많다. 성장이 더디거나 토심이 깊지 않고 양분이 부족한 땅에 있는 수목만 선택하여 역가(力價) 높은 완효성(緩效性) 비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양분요구도가 높고 시비효과도 빠르므로 조기녹화가 요구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52없으면 시비를 않은 것이 좋다. 시비 시기는 질소질 비료와 같은 속효성(速效性) 비료는 추비(덧거름)로, 지효성(遲效性) 유기질 비료는 기비(밑거름)로 쓰는데 기비는 낙엽지는 10∼11월, 겨울 휴면기 또는 2∼3월 뿌리 활동기에 시비 한다. 기비는 1년 양의 70% 시비하고, 속효성 비료는 3월경 싹이 틀 때와 꽃이 졌을 때 소량 시비하되 7월 이후에는 시비하지 않는다. 상록활엽수와 내한성이 약한 수목은 가을(처서절기) 이후 시비는 동해(凍害)를 입기 쉬우므로 금물이다. 8) 수목 전정(剪定,가지치기) 전정은 수목의 생리생태적인 특성을 살려 수형의 조절, 생리 및 생육조절, 개화 결실, 수세회복 등의 여러 기능에 적합하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줄기나 가지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이다. 수목의 지상부를 감량한다는 점에서 사람으로 치자면 다이어트 하는 셈이다. 수목 관리에서 전정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 기술이다. 학교 수목 관리비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학교구성원 안전, 그리고 인근 주민의 민원과도 관련이 있다. 9) 전정 방법 전정의 기본은 제거할 가지를 매끈하게 바싹 자르고, 나무로 하여금 상처를 빨리 감싸서 치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가장 나쁜 전정은 가지터기를 남겨 놓거나(돌출되게 하거나) 수피(樹皮,나무껍질)가 찢어져 상처를 만드는 행위이다. 가) 가는 가지 전정 : 가늘고 작은 가지는 전정가위를 이용하여 자른다. 원가지를 남겨 놓고 옆가지를 자르고자 할 때는 바짝 자르고, 반대로 옆 가지를 남겨놓고 원가지를 자르고자 할 때에는 옆 가지의 각도와 같게 비스듬히 자르되 가지터기를 약간 남겨 둠으로써 옆 가지가 찢어지지 않게 한다. 길게 자란 가지를 중간에서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잎눈(葉芽)이 있는 곳의 위에서 비스듬히 자르되, 가지터기를 5∼8mm 가량 남겨 가지 끝이 마르더라도 잎눈에서 싹이 나올 수 있게 한다. 나) 굵은 가지 전정 : 가지터기를 남기지 않고 바싹 자르는 것이 중요하다. 가지 굵 기가 2cm이상일 경우에는 톱을 이용해서 가지치기 한다. 5cm이상 되는 가지를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르고자 하는 가지의 20∼30cm 윗부분을 제거한 후 남아 있는 가지터기를 제거하되 상처 부위가 빨리 치유할 수 있는 각도로 실시한다. 지륭(枝隆:가지밑살)은 가지의 하중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53을 지탱하기 위해 가지 밑에 생기는 불룩한 조직으로서, 목질부를 보호하기 위 해 화학적 보호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겨둔다. 절단된 부위에 상면보호제(傷面保護劑)를 칠해 준다. 다) 죽은 가지 전정 : 죽은 가지가 떨어져 나가 없으면 수목 스스로 보호층을 만들 어 상처를 자연스럽게 완전히 감싸게 되지만, 죽은 가지가 조금이라도 붙어 있게 되면 보호층이 완전히 감싸지 못하게 된다. 죽은 가지는 지륭(枝隆)이 튀어나와 있더라도 지륭의 바깥부분에서 바싹 잘라줌. 라) 반드시 잘라주어야 하는 가지 : 나무의 건전한 생장을 돕고 바람직한 수형을 만 들기 위하여 다음의 가지를 잘라준다. (1) 웃자란 가지:도장지 (2) 말라 죽은 가지:고사지 (3) 병충해를 입은 가지:병지 (4) 아래로 향한 가지:하지 또는 역지 (5) 안으로 향한 가지:내향지 (6) 교차한 가지와 얽힌 가지:교차지 (7) 마주보거나 평행하게 난 가지:평행지 (8) 위로 향한 새가지:신초지 (9) 복잡한 가지:밀생지 (10) 돌려난 가지:윤생지 (11) 움 돋은 가지:돋움지 (12) 밑동뿌리에서 난 가지:분얼지 (13) 나약한 가지:약지 (14) 서로 겹친 가지:중복지 (15) 그 밖의 전정작업의 목표로 하는 수형의 외관을 구성 하지 않는 속가지와 겉가지 10) 학교 수목 전정 학교 수목 전정은 대부분 성장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전정이다. 식재 후 오랜 시일이 경과하였거나 전정 시기를 놓쳐 지나치게 비대한 수관을 일시에 줄여 생육 공간을 확보하여 전정 도래시기를 늦추는 생력화 시대 대수선에 해당하는 강전정이다. 강전정은 수목의 외관을 일시에 줄이는 전정방법으로 양손가위나 전정가위가 아닌 톱으로 굵은 가지를 자르는 데 위 8 ) 의 나 ) 굵 은 가 지 전 정 방 법 을 따 르 데 그 시 기 는 계 절 에 상 관 없 이 할 수 있 다. 다만 늦가을에서 초봄 사이에 하면 잎이 붙어 있지 않은 가지의 뻗음새가 잘 보이고 부산물 처리가 수월한 이점이 있다. 성장억제를 위한 외관을 줄이는 강전정 작업 시 지나치게 많이, 또 굵은 가지를 자를 경우 수목의 지상부 줄기 · 가 지 · 잎 과 지 하 부 뿌 리 의 균 형(T/R률)이 깨어져 수목이 고사할 수 있다. 특히 소나무, 반송, 곰솔, 섬잣나무, 향나무류, 스트로브잣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와 같은 침엽수는 잎이 붙어있지 않은 가지를 자르면 맹아(萌芽,자른 자리에 돋는 새순)가 생성되지 않아 말라 죽게 되므로 특히 주의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5411) 수목 방제(防除,병해충관리) 가) 온난화로 여름이 길어짐에 따라 세대가 짧은 병해충이 창궐하여 학교숲 수목을 가해하고 사람에게도 불편과 피해를 줌으로써 병해충 방제는 기후변화시대 학교 수목 관리의 핵심이 되었다. 나) 수목 병해충은 병(균,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러스)과 해충이지만 그 원인은 생육환경에 있으므로 기후, 토양, 숲 등 수목을 둘러싼 환경 조건을 건전하게 유지하는 관리가 필요하다. 다) 계절에 따른 기후와 국소적 장소(학교 특정 지점) 미기후에 관심을 갖고 병해충 대비, 수목의 생육기반이 되는 토양은 충분한 습도와 영양분을 유지, 학교숲은 과밀하지 않고 채광과 통풍이 잘되는 조건을 유지한다. 라) 해충은 대체로 1년 중 상온이 시작되는 4월 중순부터 상온 아래로 떨어지는 10 월 중순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후변화로 3월 하순부터 11월 초순까지 활동한다. 마) 건충습병(乾蟲濕病)-고온건조하면 해충, 고온다습하면 병이 발생. 4월 초순 이 후 고온건조기 해충 방제, 우기(장마)가 시작되는 6월 초순 이후 고온다습기간 병 방제. 바) 병해충 구제를 위한 농약(작물보호제)은 발생 초기 또는 예찰을 통해 그런 징후 가 보이는 조건이 되는 시기에 사용하면 방제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사) 적용 약제와 사용 방법은 수목전문가, 나무의사, 농약판매상 자문을 받아 적기 적 수 ( 適 期 適 樹 ) 원 칙 과 안 전 사 용 기 준 을 준 수 한 다. 아) '독성은 낮고, 반감기는 짧고' 현재 맹독성 농약은 생산 되지 않으며 농약 유효 성분의 잔류기간이 짧아져 농약 사용에 따른 지나친 우려는 기우(杞憂)이며 적용약제를 안전기준에 따라 사용 시 수목의 약해(藥害)나 인체에 독성 피해는 없다. 12) 학교숲 제초(除草,잡초제거,풀관리) 가) 학교숲은 자연생태 관점의 관리가 요구되며, 따라서 가로수나 공공기관 청사 또 는 다중이용건물의 녹지와 같은 엄격한 풀 관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나) 미관을 크게 해치거나 생활해충이 발생하거나 지나치게 어둡거나 과습을 부르는 잡초는 뽑거나 베거나 갈아 업는 물리적 방법과 함께 선택적으로 제초제 살포와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며 제초매트를 덮는(멀칭) 방법도 유효하다.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55다) 제초제 살포는 가급적 피하고 생력화(省力化)를 위해 꼭 필요한 경우 전문가 자 문을 구하고 학교구성원 접촉 금지 등 안전조치를 다하여 실시한다. 라) 학교숲 가장자리, 운동장 모퉁이, 보행로 주변 등 잡초피복 면적이 넓고 무성할 경우 뽑기 및 베기를 하고 꼭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에 제초제를 살포한다. 화학 적 방법(제초제 살포)에 의한 잡초 제거는 나무뿌리 생육영역이 아닌 곳에 한하여 년 1회로 한정한다. 잡초는 불리한 환경을 휴면으로 극복하므로 매토종자(埋土種子) 또는 비산종자(飛散種子)가 휴면타파(발아) 하지 않도록 지표에 초장이 짧은 초본이 피복하게 하거나 우드칩(파쇄목) 같은 자연재료 멀칭(덮기)을 것을 권장한다. 13) 멀칭(mulching) 멀칭은 지표면을 어떤 물질로 덮어 두는 것을 의미하며 가) 멀칭의 이점은 (1)잡초의 발생을 최소화 (2)토양으로부터 수분증발을 억제 (3)표토 (겉흙)가 유실되는 것을 막아줌 (4)여름철 토양온도의 상승을 막아주고 겨울철 토양이 동결되는 것을 완화 (5)토양이 다져지는 것(답압)을 방지함 (6)토양의 입단화를 촉진하고, 공극률을 높임 (7)유익한 토양미생물의 생장을 촉진 (8)썩어서 양료를 공급하여 토양비옥도를 높임 (9)먼지 발생을 막아주고, 비온 뒤 질퍽거림을 막아준다. 나) 멀칭재료는 (1)매우 다양하며 유기질, 광물질 혹은 합성재료를 쓸 수 있음 (2)값 이 비싸지 않고 다루기 쉬우며 투수성이 있는 재료가 좋음 (3)학교숲의 경우 유기질 재료의 활용이 바람직함 다) 멀칭방법은 (1)멀칭재료를 바닥에 균일하게 깔되 최소한 5cm 깊이로 하고, 15cm가 넘지 않도록 함 (2)새로 이식한 교목(큰키나무)의 경우에는 물집 안에 깔아주고 관목은 주변을 모두 멀칭 한다. 14) 청소(낙엽 수거) 가) 낙엽 수거는 늦가을 낙엽 지는 시기에 집중하고 때를 놓쳐 낙엽이 날리거나 쌓 이지 않도록 하고 지나치게 엽량(葉量)이 많거나 민원이 예상되는 나무는 낙엽이 지기 전 잎이 붙어있는 가지를 자른다. 나) 학교숲 가까이 있고 매년 낙엽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되는 주택에는 학교비용으 로 쓰레기 수거봉투를 배부한다. 다) 겨울철 고사지(枯死枝), 여름철 태풍에 부러진 가지는 제때 수거하고 부러질 우 려가 있는 가지는 평소 미리 제거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56나. 학교 수목 관리작업 시기 및 횟수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수목 관리는 1년을 4계절로 나누어 필 요한 작업을 해 왔으나 근래 기후변화로 여름이 길어지고 극한성과 불규칙성 기상으로 인하여 월별관리 추세에 있다. 학교가 있는 지역, 지형, 미기후에 따른 세분화된 수시관리 요구된다. 다. 학교 수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언 1) 수형이 값을 좌우한다. 학교 수목은 수종, 규격, 수형에 따라 재산 가치를 달리하는데 그 중 수형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값비싼 수종이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해도 관리부실로 수형미를 잃어버리면 보잘 것 없다. 학교 수목은 관상가치가 으뜸이다. 수목이 볼거리를 잃게 되면 '목재'와 다름 아니다. 2) 전문가 자문이 필요하다. 전문가 자문을 거치지 않고 마구잡이로 전정하여 금메달에 해당되는 나무가 하루 아침에 동메달이 되거나 아예 죽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조경기술자, 학계, 관련 단체 등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문을 받는다. 3) 관재자(管財者)로서 안목이 요구된다.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하지만 그에 앞서 학교 숲과 수목을 바라보는 미학적, 관재적(가치평가) 안목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4) 수목관리는 빠를수록 좋다. 학교 수목은 관리시기를 놓치거나 미룰수록 수형은 나빠지고 그만큼 재산가치가 낮아지므로 적정 시기 관리가 중요하다. 5) 균형 있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있어야 한다. 학교 수목의 현상과 예산 사정, 학교구성원 안전, 그리고 외부 민원을 아우르는 균형 감각을 가지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tree_management.pdf
제 4 장 학교 숲의 이해와 수목 관리 제4장 수 목 관 리이 해와학 교 숲 의 576) 학교 수목은 공공재다. 학교구성원뿐 아니라 지역사회가 함께 공유하는 학교 수목은 공익자산이다. 공공재를 멸실·훼손하거나 그 공익적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학교 옥 외공간의 핵심이 되는 학교숲의 수목은 외부시선이 미치며 나아가 지역사회 공공녹지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따라서 학교 밖 사람들로부터 관리상의 간섭을 받기도 하므로 아이들의 눈높이를 넘어 지역주민의 눈높이를 고려한 관리가 요구되기도 한다. [표] 월별 수목관리 시기와 횟수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5 장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611. 성장억제 전정 매뉴얼 가. 과도한 전정 피해 동물복지에 이어 식물복지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생활권 수목에 대한 과도한 전정으로 인한 피해가 우리 사회 큰 이슈가 되었다. 현재 학교 수목의 전정은 비대한 수형을 일시에 줄이는 성장억제 강전정이 대부분인 실정에서 과도한 전정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므로 그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대안을 제안함. 1) 원인 가) 민원 (1) 지역주민 원성 : 학교 나무에 의한 낙엽, 그늘, 생활해충, 가림, 새와 매미 소음 (2) 민원만능시대, 학교관리자는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함 (3) 객관적이지 않고 다수 주민 요구가 아닌 극소수 이기주의 민원을 수용 나) 안전 (1) 세월호 참사와 빈번해진 재난에 따른 안전의식이 높아짐. 학교숲과 나무로 인한 사고는 관리자 평가와 직결 (2) 가로수 도복(倒伏,쓰러짐)은 태풍뉴스 단골 화면이 됨으로써 큰 나무는 모두 위험수목이라는 잘못된 인식 (3) 쓰러짐과 부러짐에 취약한 수종, 수형, 바람길 등 수목생리와 기후환경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무조건 베고 보자”는 식의 판단 다) 생력화(省力化) (1) 전정할 사람이 없거나 사람은 있는데 기술이 없음 (2) 속성수, 조형수목 등 뒷손(잦은 전정)이 가는 나무 기피 (3) 학교지원센터, 조경업체 용역 시 다음 전정 도래시기를 늦추기 위해 과도한 강전정 주문 (4) 생력화는 예산과 직결, 나무관리는 교육외적 업무라는 인식에 따른 인력과 예산 부족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622) 배경 가) 질서 (1)자연과 나무에 인간 기준의 질서를 부여하여 재단 (2) 조선시대 : 위계질서와 규범, 일제강점기 : 규율, 군사정부 : 절도(節度)를 강조 하는 사조에 영향 (3) 의기(宜忌, 있어야 할 것은 있어야 하고, 없어야 할 것은 없어야 함)를 잘못 인식하여 생활공간 특히 강학(講學)공간에서 큰 나무를 배척하는 사조(思潮)의 영향 (4) 자연주의 미학과 충돌하는 정형화된 미학관과 고정관념 (5) 학교는 정형화 조경, 박제된 자연, 반듯한 나무만 생존하는 관행이 이어져 옴 나) 생태맹 (1) 농경 사회에서 벗어난 고도성장 고학력시대, 문맹은 타파되었으나 생태맹은 만연 (2) 수목의 생리적 기작과 미학에 대한 인식 부족 (3) 학교 : 교실만 학교, 교실 밖(녹지) 수목은 학교가 아니다 는 인식에 수목의 중요성을 낮게 봄 다) 시일경과 (1) 1970년대 학교의 폭발적 증가, 1980년대 이후 식재 수목의 성장으로 강전정 시기 도래 (2) 주차장, 우천통로, 급식소, 체육관은 수목 생육영역 잠식과 간섭 (3) 학교 수목 전정의 90%는 성장억제 목적의 전정은 현실 (4) 일상관리 수준의 약전정은 사라지고 대수선에 해당하는 강전정만 행해짐 3) 대안 가) 법, 제도, 매뉴얼 (1) 국회로부터 중앙과 지방 정부, 일선학교까지 마련 (2) 수목은 공공재, 수목복지를 담보하고 수목미학을 향유할 권리 보장 (3) 학교수목 일정 높이 강전정할 경우 사전에 상급기관 승인 받게 함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63나) 전문직, 전문가 (1) 도교육청 조경직 신설 또는 기간제 채용 (2) 외부 전문가그룹 자문단 구성, 지역별 관련단체, 업계와 MOU (3) 학교숲 조성 및 수목관리 교육 프로그램 적극 활용 다) 채찍과 당근 (1) 교장, 교감, 행정실장, 시설관리직, 교육청 및 지원청 관재담당 연수 (2) 전정 등 학교 수목 관리 책자 등 기술자료 배포 (3) 학교 수목 관리 우수학교 선정 포상, 관리자 인센티브제도 도입 나. 과도한 전정 진단 학교 수목에 대한 과도한 전정 피해를 불러온 행정적, 기술적 문제점을 찾고 현재 현황을 진단함 1) 행정적 문제 가) 수목 관리 행정 시스템을 갖추지 못함으로서 민원이 발생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 나) 수목 전정에 대한 직무분장이 명확하지 않아 지속가능한 학교 수목 관리에 어려 움이 있음 2) 기술적 문제 가) 과도한 전정은 수형붕괴 또는 고사하여 비교육적 현상을 노출하거나 동창회, 환경 단 체, 지 역 사 회 에 논 란 이 됨 나) 수목 관리 용역 발주 시 설계, 시방,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과도한 전정 피해를 발생시킴 3) 과도한 전정 진단 가) 기후변화시대 학교숲 수목의 중요성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 지고 있지만 직접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실과 달리 교실 밖 시설물 중 하나로 보고 그 유지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이 없음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64나) 학교 수목은 건축, 토목, 소방, 전기 등 주요시설이 아니고 화장실처럼 즉시 수 선이 요구되지 않아 영선(유지보수) 우선순위에서 상대적으로 뒤처짐 다) 도교육청에 조경직이 없을 뿐 아니라 학교에도 기술 인력이 없고 전정 관련 자 문위원회나 기술 자료 또한 없기 때문에 교목(喬木) 전정은 대부분 조경업체에 발주 시행함으로서 노하우 축적이 부족함 라) 학교 관리자는 많은 예산이 들고 대수선에 해당하는 전정은 미루는 경향이 있어 성장억제 강전정이 요구되는 현상을 불러옴 마) 시설관리직은 일반 시설물 관리를 주된 업무로 인식하여 시간과 기술이 부족한 이유로 수목은 일상관리 수준의 전정도 제대로 되지 않음 바) 매년 일상관리 전정을 하지 않고 시일이 경과하면 비대해진 수관을 줄이는 강전 정이 필연적이며 다음 전정 시기를 늦추기 위해서도 굵은 가지와 줄기까지 과도하게 자르게 됨 사) 학교구성원의 불편과 안전, 이웃주민의 민원, 태풍 대비 등 현실적인 이유로 수 목의 생리적 특성, 수목이 있는 공간의 성격, 전정 후 현상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 이 강 전 정 함 으 로 써 민 원 의 불 씨 가 됨 아) 정량적인 시방서가 제시되는 조경공사와 달리 조경관리 용역에 속하는 전정은 품질 조건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매우 많이”, “과감하게” 등 정성적인 시방을 제시함으로써 수종이나 입목 위치에 따라 차별화되고 세밀한 전정이 아닌 굵은 가지 위주로 자르게 되어 미관을 훼손하거나 고사에 이르게 함 다. 과도한 전정 해법 1) 교육청의 역할 가) 수목 관리 제도와 행정시스템을 개선 (1) 학교 수목의 중요성과 가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아름답고 쾌적한 학교숲과 건강한 수목의 지속가능한 유지를 위한 제도를 정비 (2) 학교 관리자의 수목 관리 직무연수, 학교 수목 유지관리 직원에 대한 기술교육, 도교육청 조경직 신설 및 외부 전문가 자문그룹을 구성 (3) 수목 관리와 수목 관련 재해, 민원 등 돌발 상황 대처를 위한 매뉴얼 개발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65나) 학교 수목 전정 가이드라인 제시 (1) 조경공사 식재 수목의 수관이 2/3 이상 관상 가치를 잃으면 하자로 판단하는 것처럼 수목 전정 시 수고 및 수관의 1/2 이상 또는 최근 10년 이상 자란 가 지를 자르는 강전정은 하자로 봄 (2) 위험수목이나 속성수, 민원이 있는 수목 등 부득이 강전정이 필요할 때는 상 급기관 보고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시행 (3) 성장억제 목적의 교목(큰키나무) 전정 용역은 수고 및 수관 폭을 미리 특정하 는 시방서를 제시하고 지정수목을 시연(견본 전정) 절차를 거침 (4) 소나무, 향나무, 잣나무, 편백, 화백, 삼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가이 즈카향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서어나무, 자귀나무 등 맹아력이 낮고 전정에 민감한 수종의 강전정은 상급기관 보고 및 전문가 자문을 받음 (5)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 은행나무, 백합나무, 오동나무와 벽오동. 목련, 메타세 쿼이아, 멀구슬나무, 느티나무, 중국단풍, 이팝나무, 아왜나무, 녹나무, 후박나무, 종가시나무, 금목서, 은목서, 매실나무, 산사나무, 층층나무, 산딸나무, 산수유, 모과나무, 배롱나무 등 맹아력이 좋고 전정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수종은 수고 및 수관의 1/2 범위 내에서 자체 판단으로 강전정 가능 (6) 강전정이 가능한 수종이라도 그 고유 수형미와 입목지점 공간의 성격을 잘 파 악하여 적정한 외관 크기를 가지도록 함 다) 강전정을 하지 말아야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1) 고유 수형을 훼손, 경관미학을 나쁘게 하고 학교숲 가치를 손상하며 나무를 아끼고 사랑하는 교육적 가치와도 맞지 않음 (2) 일시에 과도한 전정은 수목의 지하부 대(對) 지상부의 생리적 균형을 잃게 하 여 고사하거나 부후(腐朽)와 피소(皮燒), 병충해를 유발하고 수형붕괴로 이어져서 학교숲 흉물이 됨 (3) 오래된 큰 나무는 학교 역사 뿐 아니라 졸업생과 지역주민의 추억과 정서가 스며있는 인문학적 가치를 가지므로 강전정으로 인한 품격 훼손 시 강력한 민원 발생 라) 강전정을 하지 않거나 시기를 늦추는 방법은 다음과 같음 (1) 매년 일상관리 수준의 전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강전정은 3∼6년 이상 주 기로 시행함을 원칙으로 함(학교에서 3년 이내 강전정 예산 편성 불가)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66(2) 일상관리 전정 시 정아(頂)芽)에서 발달한 세력 지(枝)는 자르고 측아에서 발달 한 약지는 남겨두어 성장력이 도드라지지 않게 함 (3) 강전정은 주로 수고(樹高)를 낮추는 가지치기이므로 밀생에 의한 간섭으로 과 도한 수고 성장을 하지 않도록 학교숲 입목 밀도를 조절함 (4) 당장 또는 머지않은 장래에 불가피하게 강전정 또는 벌목이 요구되는 한계수 목은 미리 후계목을 식재 (5) 일조 조건과 지력(地力)이 좋은 위치에 있는 근경(밑동지름) 20cm 내외 중경급 속성수는 수고 및 수관의 1/2 내에서 성장억제를 위한 강전정을 해도 무방함 마) 강전정 피해를 막기 위한 매뉴얼 개발 2) 학교의 역할 가) 학교 수목 관리 담당을 임명하고, 교직원은 그룹별 책임구역을 갖고, 학교구성 원은 '내 나무 갖기' 캠페인으로 학교숲 나무를 아끼고 사랑하는 분위기 조성 나) 학교숲 동아리 활동과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가꾸는 학 교숲 운동을 펼쳐 학교숲 수목이 지역사회 어메니티(amenity) 자산 역할을 하 도록 유도 다) 올바른 학교 수목 관리를 위한 직무연수 기회를 부여하고, 외부 전문가 컨설팅 및 조경가, 숲해설가, 나무의사, 환경활동가를 자원봉사자 또는 멘토를 지정 라) 대학, 지자체, 산림조합, 전문건설협회, 조경가협회 등 공신력 있는 기관 단체를 통하여 지역 내 유능한 전문가, 조경업체, 전정기술자를 파악하고 필요시 자문과 관리 용역 라. 올바른 강전정 사례 1) 역사가 깊고 오래된 큰 나무가 많은 ○○여고는 전정 대상수목을 특정하고 전정 전 사진을 촬영하여 전정할(잘려나갈 가지) 부분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전정 후 모습을 예측가능하게 하고 학교구성원과 동창회에 회람한 다음 전정 용역을 시행하였음 2) 신설 개교한 ○○○초등학교 주무관은 기존학교 학교숲 수목 전정 대부분이 성장 억제 목적의 강전정임에 착안하여 먼 장래를 보고 성장력이 좋은 굵은 가지는 자르고 성장력이 약한 작은 가지를 남겨두어 수목이 천천히 자라도록 하는 전정을 함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673) 최근 정년퇴임한 김○○교장선생님은 재직하는 학교마다 4년 또는 5년 마다 조경 업체에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강전정 수준의 전정 용역을 발주 시행하고 그 사이 연도는 주무관이 일상관리 수준의 끝가지만 자르는 약전정을 하고 부임하는 학교마다 같은 주기로 전정을 시행하였음 4) 왕벚나무가 많은 ○○중학교는 '벚나무는 가지치기를 않는다. ' 는 인식을 깨고 낙 엽이 진 늦겨울에 중간정도 굵은 가지를 배열 하는 전정을 하고 자른 자리에 톱신페스트를 도포하여 부후 진행을 막아 전체적으로 고른 수형을 가진 아름다운 벚나무숲을 가지게 되었음 5) ○○초등학교는 본관 앞 화단은 질서정연하게 전정하고 도로와 접하는 운동장 가장 자리는 아예 전정을 하지 않고 주택지와 접하는 운동장 가장자리와 교사동 옆은 강전정하여 단출한 수형을 유지하고 본관 앞 큰 소나무 한 그루는 매년 전문가에게 전정을 맡김 * 위치에 따라 전정 방법을 달리하고 고급 기술이 요구되는 수목은 위탁함 마. 잘못된 강전정 사례 1) ○○고등학교는 이웃주민의 민원에 따라 메타세쿼이아 수고를 대폭 줄이는 강전정을 하였는데 그 직후 이웃주민 여러 명으로부터 “나무가 아름다워서 이사를 왔는데, 한 사람 말만 듣고 하루아침에 아름다운 경관을 망쳐버렸다”는 항의를 받아 지역사회문제로 확대 일부 주민의 민원에 따라 강전정 했다가 더 많은 주민으로부터 민원을 발생시킴. 민원은 객관성이 담보되어야 한다는 사례임 2) 도교육청 부속기관 ○○○○○은 이웃주민으로부터 “답답하고 모기가 많다”는 민원이 있어 대지경계를 따라 길게 이어진 교목(喬木)의 아래 가지를 잘랐다가 “사생활이 침해당했다”는 항의로 법적 분쟁 직전까지 감 위 1)과 같은 사례이면서 사생활보호 권리 의식이 강하고, 개방형 수림대보다 차폐형 수림대를 선호하는 사회 경향을 보여줌 3) 태풍에 쓰러질 수 있다는 이유로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가지를 과도하게 잘라서 고사하는 사례가 많음 개잎갈나무는 뿌리가 얕게 뻗어 내리는 천근성(淺根性) 수목으로 바람에 잘 쓰러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장령목(壯齡木) 이상 크기는 자체 하중으로 쓰러지지 않음. 다만 주변이 답압(踏壓)이 없는 나지(裸地,맨땅)일 경우나 바람길에 홀로서 있을 경우 쓰러질 수 있음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684) 왜색수종에 속하는 카이즈카향나무는 고급조경수로 품격이 강조되는 정형식 조경에 효용이 높아 교문이나 본관 앞을 차지하지만 매년 전정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지표와 가까운 아래가지와 꼭대기 수엽층(치)을 베어버리는 경우가 많음 수엽층 가지를 없애는 강전정보다 수목 수를 줄여(벌목 제거, 관리전환)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5) 소나무, 반송(둥근소나무), 섬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 소나무류는 잎이 붙어 있지 않은 가지는 전정 후 새 가지가 생성되지 않았는데 무분별하세 강전정하여 수형이 붕괴되는 사례가 많음 매년 혹은 늦어도 2년에 한 번은 일상관리 수준의 약전정을 하여 강전정이 필요 없도록 함 6) 굵은 가지와 줄기를 자르는 강전정은 바짝 붙여 자르고 상처보호제를 도포해야 하 는데 이를 하지 않아서 부후(腐朽), 동공(洞空), 고사(枯死)에 이르게 됨 강전정이 요구되는 수목 대부분은 장령목 이상이며 이런 수목은 상처가 빨리 아물지 않으므로 전정후처리를 하지 않으면 부후가 진행됨 7) 강전정은 수종과 입목 위치에 따라 수고를 줄일 것인지 수관 폭을 줄일 것인지 판 단이 필요한데 무분별한 강전정으로 공간과 부조화를 부르는 잘못된 사례가 많음 학교 수목은 그 수목이 있는 공간의 물리적 환경과 성격(중요도,시선과 동선 등)에 맞는 수형을 가져야함 8) 강전정 피해는 교목뿐만 아니라 관목에도 있는데 영산홍, 철쭉류는 굵은 가지를 잘라도 새순이 나오지만 그 해는 물론 그 다음해까지 개화가 되지 않거나 개화량이 적어 학교구성원의 원성이 높음 꽃이 진 직후 전정을 해야 함 2. 위험수목 안전관리 매뉴얼 가. 위험수목 관리 1) 학교의 역사성을 가진 대형수목은 노거수로서 온전히 보존해야할 자산이지만 물리 적인 크기와 위치에 따라 또 자연재해가 빈번해짐에 따라 학교구성원과 이웃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잠재적인 위험요소임 2) 위험수목은 사전에 위험의 정도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수목 및 안전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하며 위험수목은 적정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전문가에 의해 사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69전에 특정된 시방에 따라 관리해야함 3) 위험수목의 위험 수준은 해당 수목의 가치, 규모(크기), 건강성(수세), 위치에 따른 위험요소, 유사시 예상되는 피해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음 4) 위험수목 관리를 미룰 경우 더 큰 위험을 안고 가는 것이므로 선제적 관리가 중요 하며 미리 관리하는 만큼 비용면에서도 유리함 5) 위험수목의 전정, 방제, 시비, 외과수술, 와이어로프 고정, 식재지반(토양) 개선 등 생육 및 안전 관리를 할 경우 해당 분야 전문가가 진단하고 시방서를 작성하여 학 교구성원은 관리 후 현상과 이후 지속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어야함 6) 노거수급 크기에 해당되는 위험수목을 제거(벌목)할 경우 반드시 학교구성원과 상급 기관, 동창회, 지역주민과 충분한 협의 절차를 거친 다음에 시행함 7) 위험수목을 포함하는 대형수목의 외형이 크게 바뀌게 되는 관리를 할 경우 학교구 성원과 동창회, 가능하면 지역사회까지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고 필요시 지역교육청과 도교육청에 보고하여 시행하되 시행 후 현상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함 8) 소나무, 전나무, 잣나무, 개잎갈나무(히말라야시다), 섬잣나무, 향나무, 편백, 화백 등 침엽수는 잎이 붙어 있지 않은 굵은 가지를 자르면 맹아(萌芽,새순)가 나지 않고, 일시에 엽량을 급격하게 줄이는 강전정은 수목이 생리적 균형을 잃고 고사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함 9) 위험수목은 해당 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입목 지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통해 현재 현상과 위험 수준, 시일경과에 따른 안전성을 예측하여 제거(벌목) 또는 수고와 수관을 축소함 10) 위험수목의 관리 작업은 바람이 없는 맑은 날에 현장 내 안전 조치에 만전을 기 하고 숙련된 기술자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시행함 11) 위험수목 관리를 위한 공사(용역)는 사전에 전문가 자문을 거친 다음 입찰 또는 수의계약 하되 사전에 구체적인 시방사항을 특정함 12) 기후변화로 인하여 돌발적인 자연재해가 비번해지는 추세에 있으므로 학교 건물의 창, 주차장, 통학로, 학교 밖 도로와 주택과 경계를 이루는 곳의 수목은 사전에 안전진단을 하여 위험요소를 파악함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703. 수목 관련 민원대응 매뉴얼 가. 수목관련 민원 종류 1) 학교 수목이 있음으로서 그늘, 낙엽, 전정, 쓰러짐과 부러짐, 농약 등 여러 종류의 민원이 발생하고 있음 가) 수목 (1) 학교 수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편 · 피해 (2) 학교숲 조성 후 시일 경과한 학교, 역사가 오래된 학교에 주로 발생 (3) 침침하고 답답함. 해충 발생. 불량청소년 집합지 나) 그늘 (1) 큰 나무 그늘로 인한 불편 · 피해 (2) 학교숲 가까이 있는 주택에서 주로 발생 (3) 어둡고 무서움. 달팽이와 곰팡이 발생. 습기로 인한 피해 다) 낙엽 (1) 가을, 겨울 낙엽과 낙지(落枝)로 인한 불편 · 피해 (2) 학교숲 가까이 있는 주택과 도로에서 주로 발생 (3) 낙엽 부산물 수거문제. 하수구 막힘 라) 전정(가지치기) (1)비전문인 전정 작업에 의한 수형붕괴(미관상실) 또는 고사 피해 (2) 노거수, 위험수목, 조형수목, 값비싼 수목 강전정으로 학부모, 동창회, 지역주민 항의 민원 (3) '좋은 나무 다 버렸다. 역사와 추억이 사라졌다. 멀쩡한 나무를 죽였다. ' 등의 민원 마) 쓰러짐과 부러짐 (1) 바람에 쓰러지거나(도복) 부러지거나(파절) 그런 위험이 있는 수목에 대한 피해와 불안 (2) 학교 주변 주민의 인명 및 재산(건물, 차량) 피해와 장래에 피해 우려 민원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71(3) 강풍, 호우, 강설 및 토목, 건축, 전기공사 등 재해에 의한 대형목, 위험수목 쓰러짐과 부러짐에 따른 2차 피해와 불안감 바) 농약 (1) 병해충 구제 및 잡초 제거 농약의 독성으로 인한 불편 · 피해 (2) 운동장, 녹지, 텃밭, 비포장 나지(裸地)가 많은 학교에서 제초제 잔류 독성 및 환경오염에 따른 학부모, 지역주민, 환경단체로부터 민원 2) 그간 많이 제기되었던 민원의 종류를 파악하고, 표준적으로 민원을 대응 할 수 있는 매뉴얼을 아래와 같이 마련하여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이고자 함 나. 민원처리 매뉴얼 1) 민원처리 절차 학교 수목과 관련한 민원을 학교에서 어떻게 대처를 할 것인가에 대한 수목 민원처리 매뉴얼을 작성하였으며 절차는 다음과 같음 가) 민원 접수 단계 (1) 민원인의 입장에서 민원 취지를 수용하고 접수대장에 등재(2) 접수서류는 접수 일자, 민원인 인적사항, 민원 종류를 구분하고 수목의 위치와 민원 대상을 특정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 (3) 현장 확인을 통해 민원 내용을 분류하여 어디에 속하는지 특정 나) 민원 판단 단계 (1) 민원을 처리하는 입장에서 접수된 민원의 객관성과 해결 필요성을 검토 (2) 민원 접수대장 양식의 체크리스트에 1)법적 근거 2)민원인 또는 이해관계자의 의견 3)유사한 민원해결 사례 4)민원해결을 위한 소요 예산과 시간 5)예상되는 문제점 6)긴급성 7)타당성 등을 체크 또는 기술 (3) 민원 내용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민원의 강도를 강 · 중 · 약으로 나누어 평가함 다) 평가 및 처리 단계 (1) 민원 판단 단계에서 평가된 민원의 강도에 따라 해결 여부 및 방법을 최종 판단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72(2) 자주 발생하는 민원은 FAQ(Frequently asked question)를 작성하여 빠르게 민 원 에 대 응 할 수 있 도 록 함 (3) 해결 가능 민원은 학교 내에서 FAQ를 통해 대처하거나, 전문가그룹 자문 후 대처, 전문가그룹 ·상급기관 ·지자체 등 외부기관 자문 및 협조 후 처리 (4) 해결 불가 또는 장기과제 민원은 민원인에게 성심을 다하여 설명하고 필요시 서면으로 통지함 다. 민원발생 저감 방법 1) 학교숲 조성(수목 식재) 가) 계획 단계 (1) 학교숲 계획 시점에 조성 과정 및 조성 후 시일 경과에 따라 발생할 민원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설계, 시공, 유지관리 계획에 반영 (2) 학교 수목 관련 민원 종류를 파악하고 학교숲을 중심으로 지형, 향(向), 일조 (日照) 조건, 통풍 조건, 인접한 주택과 상가 유형, 도로와 통행 동선 등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민원의 발생 가능성을 검토함 (3) 학교숲을 먼저 조성한 학교 또는 수목이 많은 학교의 민원발생 사례를 검토함 나) 설계 단계 (1) 학교숲이 완공된 시점 및 완공 이후 현상이 주변 환경에 비추어 민원발생 소 지가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 (2) 학교숲 조성 식재 설계 시 수목은 학교숲 목적과 효용에 충실한 수종을 선정 하되 해당 수종의 가지와 잎의 량, 성장속도, 병해충 발생 빈도, 쓰러짐과 부러짐 속성 등 생리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설계 (3) 식재 후 시일 경과에 따른 성장력을 감안하여 너무 큰 나무를 심는 것을 지양 하고 입목밀도는 넉넉하게, 주택과 상가 가까운 곳에는 성장속도가 빠르거나 가지와 잎이 너무 무성해지는 나무는 피하고, 낙엽수보다 상록수 위주로 설계 (4) 수목이 장기간 성장하여 민원발생이 예상되는 학교 부지 가장자리는 대지경계로 부터 최대한 이격하여 식재위치를 특정하여 이른 시일 내 가지가 경계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함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73다) 조성(식재) 단계 (1) 수목 식재는 생리적 특성과 식재장소 환경을 고려하되 민원발생 소지가 있는 곳은 장기적 안목에서 수종과 수형이 적정한지 검토하고 경우에 따라 설계 변경 (2) 수목은 외관 및 가지 발달 정도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학교구성원의 시선과 동 선이 많은 쪽으로 면(방향)을 두고, 가지가 잘 발달한 면이 학교 밖으로 향하 지 않게 식재 라) 조성 후 단계 (1) 학교숲 조성이 완료되면 지역사회에 알리고 학교구성원뿐 아니라 지역주민도 이용할 수 있음을 홍보하고 특히 이웃 주민에게는 수목의 좋은 점과 그 효용가치를 기후변화, 도시열섬, 미세먼지 등 생활환경과 관련하여 전파함 (2) 학교숲이 조성된 이후에는 지역주민과의 소통 장소로서 이웃주민을 학교운영 위원회 지역위원으로 참여시켜 학교숲 공동체 문화를 형성함 라. 민원 대응 논리 학교 수목 관련 민원은 가능한 해결하는 것이 원칙이나 개인적인 성향에 의한 과민반응이 많은 현실에서 이를 전부 수용할 수 없고, 여러 사람이 요구하는 타당한 민원도 인력과 예산 사정으로 당장 해결하기 힘든 실정이므로 민원 수용이 어렵다는 설득에 필요한 논리를 개발함 1) 학교숲과 수목의 장점 가) 도심 속 자연환경으로 안구를 정화하는 녹색지대, 계절감을 부여하는 완충녹지, 아 름다운 경관 제공, 꽃과 나비를 볼 수 있고 새소리 듣는 삶의 여유, 그림과 시와 노래의 소재가 되는 장소, 항노화 면역력을 높여주는 피톤치드 · 세로토닌 · 음이온 ·비타민D 등 산림욕 효과. 산책과 명상으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능력을 가짐 나) 극한기후 완충, 도시열섬 완화, 태풍과 겨울바람 막이, 미세먼지 차단 · 흡수 · 흡 착 · 침강 효과, 이산화탄소 · 매연 · 분진 등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대기질 개선, 무성한 잎은 소음 차단, 빽빽한 나무는 사생활 보호 다) 학교는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야간과 휴일에 조용하며, 고밀도고층 증축이 되지 않아 일조건 및 조망권이 유지되며, '숲세권'이라 불릴 만큼 쾌적한 주거 여건, 부동산 가치 상승함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742) 선량한 관리자로서 주의 의무 가) 국민 세금으로 유지하는 학교는 공적 이익을 우선하여 저비용으로 지속가능한 학교 시설을 유지해야함 나) 학교구성원은 세금으로 조성한 학교숲 수목을 조성 목적에 맞게 온전하게 유지 해야 하는 책무가 있음 다) 법령에 따라 보수적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교직원은 법 · 제도 · 규정과 그 절차를 벗어난 행정행위를 할 수 없고 특히 예산이 수반되는 학교숲 수목의 현상 변경은 더욱 보수적 의사결정을 해야 함 라) 교직원은 신중하고 엄격하게 관재(管財) 의무를 다해야 하는 복무제규정에 따라 제기된 민원에 대하여 충분히 숙고 기간을 갖고 법적 근거를 찾아 학교구성원 및 필요시 상급기관과 지역사회 의견까지 수렴하여 민원 수용 여부 등 최종 의사결정을 해야 함 3)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입증 책임 가) 민원인 주장에 이웃주민 다수가 동의해야함 나) 민원인 주장은 객관적 사실이고 과학적 근거가 바탕이 되어야함 다) 해당 민원은 가시적이고 계량화할 수 있어야 함 라) 개인적 성향 또는 과민반응에 의한 소수민원인지 다수가 동의할 수 있는 다중민 원인지 객관성과 구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증거(연대서명서, 근거자료, 현장사진 등)가 있어야함 4) 시일 경과와 경계, 선후 시차에 관한 법리 가) 시일 경과에 따른 현상의 변화는 공지의 사실이므로 학교숲 수목은 오래 자라는 만큼 높이와 폭이 커지고 그늘 면적과 낙엽 량이 많아지는 것은 예측 가능한 사실 나) 학교 수목의 입목지점이 대지경계선 밖에 있지 않는 한 가지 일부가 넘어 갔다고 해도 학교 소유 이므로 일반적인 방법과 시기에 따라 그늘과 낙엽 량을 줄이고 병해충을 막기 위한 전정, 방제 등 관리를 소홀리 하지 않았다면 보통 사람이 감내하기 힘들 정도의 심각한 피해와 불편이 아닌 이상 면책사항임 다) 누가 먼저 선점하였는가에 따른 권리의 우선순위는 불변하므로 학교 수목이 먼저
tree_management.pdf
제 5 장 학교 수목 특별관리 매뉴얼 제5장 매 뉴 얼특별 관 리학 교 수 목 75식재된 다음에 들어선 주택의 권리는 후순위이며, 주택 건축 후 수목을 식재하여 그늘, 낙엽, 병해충이 전이되었다면 학교 귀책 라) 주거지 가까이 고속도로 건설 시 도로공사는 소음방지 시설 의무를 부담하지만 기존 고속도로 가까이 주택 신축 시 도로공사는 소음방지 시설 의무는 없음 4. 노거수 관리 매뉴얼 가. 노거수 개념과 가치 1) '오래된 큰 나무' '나이가 많은 커다란 나무'를 뜻하는 노거수(老巨樹)는 노목(老木)과 거목(巨木)이 합쳐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영역 내에 있으면서 규모가 크고 개체수가 많지 않아 존귀한 나무로 인식되는 노령목(老齡木) 고목, 거목, 명목, 보목, 신목, 당목, 수호목, 정자나무, 당산나무, 동구(洞口)나무, 마을나무 등으로 불리는 나 무 이 다. 2) 학술 및 관상가치가 높아 보존가치가 있는 노거수는 '문화재보호법' '산림보호법'에 의거 천연기념물, 시도기념물, 시군보호수로 지정되어 보호 · 관리 받는데, 이러한 노거수를 '보호수'라고 한다. 3) 보호수로 지정된 노거수를 '지정노거수'라 하고, 지정되지 않은 노거수는 '비지정노 거수'라 한다. 보호수는 국가(문화재정), 지방산림청장, 시도지사, 시장군수가 지정하는데 크기(주로 가슴높이 둘레)와 수령(樹齡), 역사성, 문화성, 경관성, 건강성, 희소성, 그밖의 사람과의 관계(스토리텔링)와 보존의지 등이 기준이 된다. 4) 나무는 자연생태 구성물이자 인류문화의 산물이다. 노거수는 자연유산이자 선조들의 애환이 스며있는 역사문화자산이다. 생태 가치뿐만 아니라 경관 가치를 가지며 노거수 생육영역은 마을공동체 등 사람들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5) 토양, 물, 대기, 사람, 건축물, 도로와 차량 등은 노거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 경인자이다. 따라서 노거수는 환경의 지표이고 노거수를 지키는 것은 그 지역의 환경과 문화를 지키는 것이다. 6) 학교에 있는 노거수는 학교와 지역의 역사이자 소중한 생물자원이다. 7) 노거수는 생태적으로 관리하고 문화적으로 이용할 때 지속가능하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76나. 학교 노거수 관리 1) 노거수 관리는 생육영역의 자연성 유지가 핵심이다. 땅 위에 드러나 눈에 보이는 줄기, 가지, 잎은 땅 아래 눈에 보이지 않는 뿌리가 좌우한다. 따라서 노거수 관리는 나무가 아닌 땅을 관리하는 것이다. 2) 노거수 생육영역이 되는 땅은 초장(草長)이 짧은 초본(풀)이 피복하는 것이 좋다. 나지(裸地,맨땅)이거나 잔자갈, 낙엽, 우드칩, 바크 같은 통기성이 좋으면서 빗물이 스며드는 자연소재를 깔아주는 것(멀칭)도 무난하다. 그러나 나무가 자라는 것은 노거수와 근권(根圈) 경쟁을 하기 때문에 다소 불리하다. 3) 생육영역은 빗물 투수율이 높고 복사열은 낮은 환경으로 유지해야 한다. 많은 사 람들이 지속적으로 밟아 답압(踏壓)이 가중되는 토양의 경화(硬化)는 나쁘다. 시멘트 · 아스팔트 · 보도블럭 포장은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고 과도한 복사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생육에 치명적이다. 최소한의 생육영역이 되는 가지 펼침 범위(노거수 바닥)에는 빗물이 스며들어 자연순환 기작이 살아 있도록 해야 한다. 4) 노거수는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태풍에 가지가 부러지거나 줄기를 잃기도 한 다. 바람에 대한 저항성 즉 풍압(風壓) 완화를 위한 전정을 해야 하고, 밑동의 건강을 담보하는 지표면의 자연성이 유지되게 관리하여야 한다. 5) 노거수 관리는 전문 영역으로서 생육영역의 자연성 유지와 지상부(줄기, 가지, 잎) 관리는 노거수 전문가, 식물보호기술자, 나무의사 등 기술인에게 맡기는 것을 권장하며, 준보호수 관련 조례가 있으므로 필요시 학교가 있는 지자체에 지원을 요청한다. 6) 열악한 생육 환경은 그냥 둔 채 외과수술에 의존하는 것은 수세(樹勢) 회복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노거수 미관과 존엄을 훼손하는 것이므로 우선 생육환경 개선을 한 다음 꼭 필요한 경우 위 5)에 따라 시행 한다. 7) 노거수는 수세(樹勢)가 쇠락 상태에 있는 수령을 가지고 있으므로 평소 꼼꼼하게 관찰하고 유사시 생육상태를 상담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8) 학교에 있는 노거수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하여 제원(수고,수관폭,가슴높이 둘레, 수령)을 파악하여 보호수 지정이 필요한지 검토한다. 9) 보호수로 지정된 노거수가 있는 학교와 소통하여 필요한 관리 기법을 전수 받는다.
tree_management.pdf
제 6 장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tree_management.pdf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791. 식재 가. 수목 굴취 1) 굴취 가) 수목 이식(移植,옮겨심기) 순서 수목의 선정 ▶ 뿌리돌림 ▶ 굴취 ▶ 상차 · 운반 및 하차 ▶ 식재 이식성공 률이 낮은 수종, 고급수종, 대형목, 식재 부적기(不適期) 수목의 이식은 (1) 사전에 뿌리돌림을 하여 충분한 준비단계를 거친다. (2) 활착용토(예:생명정), 발근촉진제(예:아토닉)를 사용한다. (3) 지상부와 지하부의 균형을 맞춰주는 수관조절 전정, 병충해 방제, 기술관수(세 심한 물주기)와 무기질 양분 공급이 중요하다. 나) 수목의 유형 구분 (1) 수목은 자연적인 성상에 따른 기본유형으로 '교목/관목', '상록/낙엽', '침엽/활 엽' 및 '만경류(덩굴나무류)'로 구분하며 식재설계를 위한 특수유형으로 '조형목'과 '묘목'을 추가할 수 있다. (2) '교목'은 곧은 줄기가 있고 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명확하여 주간(主幹,중심줄 기)의 신장이 뚜렷한 수목을 말한다. (3) '관목'은 교목보다 수고가 낮고 일반적으로 곧은 뿌리가 없으며, 여러 개의 줄 기를 이루는 수목으로서 줄기는 밑동 가까이 또는 땅속에서 갈라지며 주립상(株立狀) 또는 총상(總狀|을 이루거나 중심줄기가 땅에 기는 듯한 포복상(狀)의 수형을 나타내는 수목을 말한다. (4) '조형목'은 특정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전정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모양을 만들어 특수한 장소에 특수한 기능을 갖도록 식재되는 수목으로서, 성장과정과 식재 및 유지관리 과정에 일반 수목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수목을 말한다. 다) 수목의 규격 측정 지표 (1) 수고(H)는 지표면에서 수관 정상까지의 수직 거리를 말하며 수관의 정자(꼭대 기)에서 돌출된 도장지는 제외한다. 단, 관목의 경우에는 수고(樹高)보다 수관 폭 또는 줄기의 길이가 더 클 때에는 그 크기를 수고로 본다. 한편 소철, 야자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0류 등 열대 ․아열대 수목은 잎 부분을 제외한 줄기의 수직 높이를 수고로 한다. (2) 수관 폭(W)은 수관 양단의 직선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타원형 수관을 가진 수목은 최대 층의 수관 축을 중심으로 최단과 최장의 폭을 합하여 평균한 것을 수관 폭으로 채택한다. 여러 가지 형태로 조형한 교목이나 관목 및 조형목도 이에 준하며 도장지는 제외한다. (3) 흉고지름(B)은 지표면에서 1. 2m 수간(樹幹)의 지름을 말하며 흉고지름 부위가 쌍간(雙幹) 이상일 경우에는 각 간의 흉고지름 합의 70%가 당해 수목의 최대 흉고지름보다 클 때는 이를 채택하며, 작을 때는 최대 흉고지름으로 한다. (4) 근원지름(R)은 흉고지름을 측정할 수 없는 관목이나 흉고 이하에서 분지(分枝) 하는 성질을 가진 교목성 수종, 만경목, 어른 묘목 등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중심줄기의 지표면 부위의 굵기를 말한다. (5) 수관길이(L)는 수관의 최대길이를 말한다. 특히, 수관이 수평으로 생장하는 특 성을 가진 수목이나 조형된 수관일 경우 수관길이를 적용한다. (6) 지하고(枝下高,BH)는 지표면에서 수관 맨아랫가지까지의 수직 높이를 말한다. 녹음수나 가로수와 같이 지하고를 규정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7) 주립수(株立數,C)는 근원으로부터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나오는 개수를 말한다. 라) 나무의 종류별 규격 표시 (1) 교목류의 규격 표시 (가) 기본적으로 '수고 H(m) × 근원직경 R(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수관 폭, 수관의 길이, 지하고, 뿌리분의 크기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근원직경으로 규격이 표시된 수목은 수종의 특성에 따른 '흉고직경-근원직경' 관계식을 구하여 산출하되, 특별히 관련성이 구해지지 않으면 R=1. 2B의 식으로 흉고직경을 환산, 적용할 수 있다. (나) 은행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양버즘나무, 벽오동, 메타세쿼이아 등 곧은 줄 기가 있는 수목으로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수고 H(m) ×흉고직경 B(cm)' 또는 '수고 H(m) × 수관폭 W(m) × 흉고직경 B(cm)'으로 표시한다. (다) 줄기가 흉고부 아래에서 갈라지거나 다른 이유로 흉고부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는 수목은 '수고 H(m) × 근원직경 R(cm)' 또는 '수고 H(m) × 수관폭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81W(m) × 근원직경 R(cm)'으로 표시한다. (라)반송, 옥향, 주목 등 주로 상 록성 침엽수로서 가지가 줄기의 아랫부분부터 자라는 수목은 '수고 H(m) × 수관폭 W(m)'으로 표시한다. (마)만경수목(덩굴나무)과 같이 수고나 수관 폭이 무의미한 수목은 '수고 H(m)' × 근원직경 R(cm)'로 표시한다. (2) 관목의 규격 표시 (가) 기본적으로 '수고 H(m) × 수관 폭 W(m)'로 표시하며, 뿌리분의 크기, 지하 고, 가지 수(주립수), 수관길이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나) 일반적인 관목으로서 수고와 수관 폭을 정상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목은 '수고 H(m) × 수관폭 W(m)'으로 표시한다. (다) 수관의 한쪽 길이 방향으로 성장이 뛰어난 수목은 '수고 H(m) × 수관폭 W(m) × 수관길이 L(m)'로 표시한다. (라) 줄기의 수가 적고 도장지가 발달하여 수관 폭의 측정이 곤란하고 가짓수가 중요한 수목은 '수고 H(m) × 가지수(지)'로 표시한다. (3) 만경수목의 규격 표시 (가) '수고 H(m) × 근원직경 R(cm)'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흉고직경 B(cm)'를 지정할 수 있다. (나) 그밖에 '수관길이 L(m) × 근원직경 R(cm)', '수관길이 L(m)' 또는 '수관길이 L(m) × ○년생' 등으로 표시한다. (4) 묘목의 규격표시는 '수간길이(幹長)'와 '근원직경'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묘 령 ( 苗 齡 ) 을 적 용 할 수 있 다. (5) 수목의 규격 환산 (가)수목의 규격은 수종 및 생육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실측 을 통해 근원 지름을 측정하여 적용한다. (나)근원직경의 표시가 없을 때는 흉고직경과 수고를 근원직경으로 환산하여 적용한다. 단, 실측 및 환산표에 의한 추정이 곤란한 경우 근원직경은 흉고직경의 1. 2배로 한다. 마) 뿌리돌림 (1) 뿌리돌림을 하는 목적은 이식력이 약한 나무를 바로 굴취하여 이식할 경우 고 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굴취 전에 단계적으로 뿌리돌림을 하여 잔뿌리를 발달시켜 이식성공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노목이나 쇠약목의 세력 회복을 위한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2목적으로도 쓰인다. (2) 뿌리돌림의 시기는 뿌리의 생장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이른 봄이 가장 좋지 만, 혹서기와 혹한기만 피하면 가능하다. 뿌리돌림 후 1∼2년 뒤에 이식하는 데, 수세가 약하거나 대형목, 노목 등 이식이 어려운 나무는 뿌리 둘레의 1/2 또는 1/3씩 2∼3년에 걸쳐 뿌리돌림을 실시한 후 이식하는 것이 좋다. (3) 뿌리 돌림 방법은 뿌리분의 크기는 이식에 필요한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작게 한다. 크기를 정한 후 흙을 파내며, 드러나는 뿌리를 모두 절단하고 칼로 깨끗이 다듬는다. 수목을 지탱하기 위해 3∼4 방향으로 한 개씩, 곧은 뿌리는 자르지 않고 15cm 정도의 폭으로 환상박피(環狀剝皮)한 다음 흙을 되묻는다. 이때 발근(發根)을 촉진하는 용토를 넣어 주면 효과적이다. 그리고 관수를 실시한 후 지주목을 설치한다. 뿌리돌림을 하면 많은 뿌리가 절단되어 영양과 수분의 수급 균형이 깨지므로 가지와 잎을 적당히 솎아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리 균형을 맞추도록 한다. 바) 뿌리분의 크기와 모양 (1) 뿌리분의 크기는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되도록 뿌리를 본래 상태대로 옮겨 심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뿌리에 충분한 양의 흙을 붙여서 옮기도록 해야 한다. 뿌리분의 크기는 수목의 종류에 특성, 이식 전까지의 생육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동일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근원 지름의 4배를 기준으로 하며, 분의 깊이는 세근의 밀도가 현저히 감소된 부위로 분 너비의 1/2이상이 되어야 한다. 활착률을 높이기 위해 뿌리분이 크면 클수록 단근(斷根)을 적게 하기 때문에 단근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운반할 때 뿌리분이 깨지면 활착률이 떨어지므로 크기를 적절히 고려하는 것이 좋다. (2) 뿌리분의 모양은 원형으로 하고 측면은 수직으로, 밑면은 둥글게 다듬도록 한다. (3) 뿌리분의 크기와 모양 결정 시 고려사항 (가) 심근성인 수종은 폭은 작게 길이는 크게, 천근성인 수종은 폭은 넓게 길이는 납작하게 분을 뜬다. (나) 이식이 어려운 수종은 이식이 잘되는 수종보다 약간 분을 크게 뜬다. (다) 일반적으로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작게, 침엽수는 상록수보다 분을 작게 뜬다. (라) 이식 적기가 아닌 때에는 분을 약간 크게 뜬다. (마) 세근 발달이 느린 수종은 분을 크게 뜬다.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83(바) 식재할 장소의 생육 조건이 불량한 경우에는 분을 크게 뜬다. (사) 야생에서 채집한 수목, 희귀수종이나 고가인 수종은 분을 크게 뜬다. (아) 근원 지름에 대한 뿌리분 지름의 비는 일반적으로 교목보다 관목이 크다. 나. 수목 운반 1) 수목 운반 가) 수목의 운반 방법 (1) 목도에 의한 운반은 뿌리분이 작고 이동하는 위치가 비교적 가까울 경우 수간 (樹幹)이나 뿌리분을 밧줄 등으로 걸어 사람 어깨에 짊어지고 운반하는 방법이다. 밧줄을 거는 위치는 무게 중심에 조금 무거운 쪽에 건다. 운반 방법에서 1인이 줄기의 밑동을 직접 손으로 들거나 근원에 밧줄을 걸어서 어깨에 메는 방법부터 2인이 1조가 되어 메는 2인 운반, 2인이 메고 방향을 조정해 주는 3인 운반 및 4인, 6인, 8인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여러 사람이 목도를 해야 하는 교목은 흔들림이나 방향 전환에 대비하여 나무 끝 부분에도 몇 사람이 달라붙어 조정한다. (가) 매달아 운반은 체인블록에 의한 이동의 경우 삼각의 발을 조금씩 진행 방 향으로 이동하는 작업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이때 주의할 점은 뿌리부와 줄기부가 균형이 잡히도록 해서 이동하도록 한다. 삼각 발이 적당히 벌어져 있지 않으면 넘어지게 되어 위험하다. 또한 달아 올릴 수 있는 수목의 전 중량을 미리 산정해서 기계의 능력 이상의 것을 달아 올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대체로 4톤 이상의 수목을 크레인이나 와이어를 감게 될 줄기 부분에는 녹화테잎, 토목섬유(부직포), 나무판자 등을 대어 수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조치를 해준다. (나) 흙 메워 올리기와 눕혀 끌기는 파 올린 나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우선 뿌 리분을 지표의 높이까지 올려놓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먼저 말뚝을 주변에 박아 이를 지지하여 뿌리분을 돌리면서 끌어올리는 방법과 파헤친 구덩이 속에 흙을 조금씩 채워 가면서 나무를 이리저리 돌려 뿌리분이 차츰 지표까지 올라오도록 하는 방법, 구덩이 가장자리의 일부를 뿌리분 지름의 1. 5배 정도 아궁이 모양으로 파헤쳐 뿌리분을 지표까지 끌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4(다) 세워 끌기는 수목을 서 있는 그대로 끄는 방법으로 안전하고 이식 후의 활 착률도 매우 높다. 그러나 중심이 불안정하고 넘어지기 쉽기 때문에 숙련을 요하고, 상당한 토량의 굴취가 필요하고 사용 도구도 많이 소요된다. (라) 눕혀 끌기는 눕혀 끌기는 수목의 높이가 높아서 세워 끌기를 할 경우 넘어 질 위험성이 있을 때 맡구와 굴림대를 깔고 그 위에 나무를 넘어뜨려 운반하는 방법이다. (2) 기계에 의한 운반은 수목의 운반에 필요한 진입로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는 크레인차를 이용하여 상차한 뒤 트럭으로 운반한다. 작업이 간단하고 빠르기 때문에 수목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수목의 크기를 고려 해두지 않으면 도로교통법상의 저촉을 받아 운반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기계에 의해 이식할 경우는 뿌리 감기, 수간 보호 등 이 소홀하기 쉽다. 특히, 분을 떨어뜨리거나, 다른 부위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중량에 대한 판단이 어긋나면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수목을 달아 올릴 때에는 전체 가지의 양과 줄기 상태를 고려하여 묶음 줄을 걸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소홀히 하게 되면 운반 중 수목이 돌게 되어 수피가 벗겨지게 된다. 특히, 상하로 움직여 보고 확인한 후에 높이 올리는 것이 좋다. 나) 수목과 뿌리분의 중량 (1) 수목의 중량 W = W₁+ W₂여기서 W : 수목중량, W₁: 수목의 지상부 중량, W₂: 수목의 지하부 중량이다. 수목의 지상부는 수간과 지엽(枝葉)으로 이루어지며, 수간은 흉고 단면에서의 원주로 가정하여 이것을 형상 계수를 곱해서 체적을 구하고, 지엽을 수간 중량에 대해 할증률로 곱해서 구한다. 정밀한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계산법을 사용한다. (가) 수목의 중량은 지상부와 지하부 중량을 합한 것으로 하며 각각의 수종, 식 재 조건, 토양 상태 등에 따라 아래 산출식을 계산한다. W= 𝑘×3. 14× = 𝑘×3. 14×( 𝐵/2)²×𝑕 × 𝑤₁×(1+𝑝) 여기서 𝑘: 수간 형상계수(0. 5), B : 흉고 지름[m] ((근원지름)×0. 8), 𝑕: 수고[m], 𝑝: 지엽의 과다에 의한 보합률 (0. 2∼0. 3), 𝑤₁: 수간의 단위 체적당 중량 (나) 수간의 단위는, 체적당 중량 기준은 다음 표의 기준을 적용한다. (다) 수목 지하부 토양의 단위중량은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며, 현장 조사를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85실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양의 종류에 따라 다음 표의 기준을 적용한다.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1,700kg/㎥를 적용하고, 뿌리를 포함한 분의 단위 중량은 1,300kg/㎥로 한다. (2) 뿌리분의 중량은, 뿌리분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접시분 체적 : 𝑉=𝜋𝑟³-조개분 체적 : 𝑉=𝜋𝑟+1/3𝜋𝑟 ³≒4. 18𝑟³-보통분 체적 : 𝑉=𝜋𝑟+1/6𝜋𝑟 ³ ≒3. 66𝑟³뿌리분의 용량 속에는 뿌리와 흙이 포함되지만 뿌리 쪽이 가볍기 때문 에 전체 용량에 흙의 중량을 곱해서 전체 중량으로 산정한다. < 수간의 단위체적 중량 > 수 종 단위 체적 중량 [kg/㎥] 가시나무류, 감탕나무, 상수리나무, 소귀나무, 졸참나무, 호랑가시나무, 회양목 등 1,340 이상 느티나무, 말발돌리, 목련, 비쭈기나무, 사스레피나무, 쪽동백, 참느릅나무 등 1,300∼1,340 굴거리나무, 단풍나무, 산벚나무, 은행나무, 일본잎갈나무, 향나무, 흑송 등 1,250∼1,300 메밀잣밤나무, 벽오동, 소나무, 칠엽수, 편백, 플라타너스 등 1,210∼1,250 가문비나무, 녹나무, 삼나무, 해금송, 일본목련 등 1,170∼1,210 굴피나무, 화백 등 1,170 이하 기타 1,200 < 수목 지하부 토양의 단위중량 > 토양 조건 단위 체적 중량 [kg/㎥] 점질토보통 1,500∼1,700 자갈 등이 섞인 것 1,600∼1,800 자갈 등이 섞이고 수분이 많은 것 1,900∼2,100 사질토 1,700∼1,900 건조 1,200∼1,700 점토 다습 1,700∼1,800모래 1,800∼1,900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6다. 수목 식재 1) 교목 식재 가) 교목 식재 순서 : 수목 반입 ▶ 배식(配植) ▶ 구덩이파기 ▶ 식재 ▶ 흙채우기 ▶ 물다짐 ▶ 보양 및 뒷정리 나) 수목의 식재 적기 수목은 어느 계절에 이식하는가에 따라 활착 가능성이 크게 좌우된다. 특히, 들 이나 산에서 자라는 야생의 나무들과 달리 조경공사에 사용되는 수목은 뿌리를 내려 자란 곳에서 옮겨져 다른 곳에 심겨지는 것을 전제로 재배하기 때문에 이식은 필연적이다. 수목이 활착할 수 있는 이식 적기는 수종별, 성상별로 다르지만 우리나라가 속한 온대 지방에서 수목의 이식 적기는 수목의 휴면기로 이른 봄과 늦은 가을이다. (1) 성상별 이식 적기는 일반적으로 낙엽수는 수분 증산량이 가장 적은 휴면으로 접어드는 가을이나 이른 봄이 가장 좋으며, 이식 부적기인 7∼8월은 피하는 것이 좋다. 상록 침엽수는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과 9월 하순이 안전하다. 그러나 묘포장에서 이식하여 잔뿌리가 잘 발달한 수목과 용기에 심어 재배한 수목은 한여름과 한겨울의 극한 기온만 피하면 이식 할 수 있다. (2) 지역별 식재 적기는 아래의 기준을 표준으로 적용하며, 식재 적기라도 이상 기후(기온이 2℃ 미만 30℃ 이상, 평균 풍속 48㎞/h 초과 등) 발생 시에는 식재 여부에 신중해야 한다. 다) 수목의 구비 조건 (1) 일반 수목의 구비 조건 (가) 지정된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서 발육이 양호하고 지엽이 치밀하며, 수종별 로 고유의 수형 및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나) 병충해의 피해나 손상이 없고 건전한 생육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병충해의 감염 정도가 미미하고 심각한 확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적절한 구제 조치를 전제로 채택할 수 있다. (다) 묘목을 제외한 조경 수목, 특히 근원직경 10cm, 흉고직경 8cm, 수고 3. 0m 이상인 수목은 활착이 용이하도록 미리 이식 또는 뿌리돌림을 실시하여 세근이 발달된 재배품을 원칙으로 한다.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87(라) 동해 방지를 위해서 같은 지역 또는 그 이상의 위도에서 재배된 수목이어야 하며, 단 수목 수급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한 경우 또는 동해에 강한 수목일 경우에는 위도가 낮은 지역의 수목을 사용할 수 있다. (마) 수목은 굴취 후 24시간 이내에 현장에 반입되어야 한다. 단, 불가피한 경우 에 한하여 감독자와 사전 협의 후에 조정할 수 있다. (바) 용기에서 재배된 수목은 권장 사용되어야 한다. < 식재적기 판단기준 > 구분 해 당 지 역 식재 적기 비고 중북부지역 경기북부, 강원 3월 20일∼5월 25일, 9월 25일∼11월 20일 중부지역경기남부, 서울, 인천, 충북, 충남북부, 경북북부3월 10일∼5월 20일, 10월 1일∼11월 30일 남부지역동해안, 충남남부, 대전, 전북, 전남, 광주, 경북남부, 대구, 경남, 울산3월 1일∼5월 15일, 10월 5일∼12월 10일 남해안지역전남‧경남의 해안, 부산 및 도서지구2월 20일∼5월 10일, 10월 10일∼12월 20일 제주지역 제주 2월 10일∼5월 5일, 10월 20일∼1월 10일 (사) 수관이 편기(치우침)되지 않아야 한다. 주간에서 편기된 수관 단변의 거리가 전체 수관폭의 20% 이상인 것을 양호한 수형으로 판정한다. (2) 형태 조건 (가) 침엽수는 줄기가 곧고 가지가 고루 발달하여 균형 잡힌 것으로 초두(잔가지 끝)와 수피(樹皮)가 손상되지 않고, 웃자란 가지를 제외한 높이가 지정 높이 이상이어야 한다. (나) 상록활엽 교목은 가지와 잎의 발달이 충실하여 수관이 균형 잡힌 것으로, 밀 식 에 의 하 여 웃 자 라 지 않 아 야 한 다. (다) 낙엽교목은 줄기의 굴곡이 심하지 않고 가지의 발달이 충실하여 수관이 균 형 잡히고 밑동에 비하여 줄기가 급격히 가늘어지지 않아야 한다. (라) 대형목(R30, B25 이상)은 모든 방향에서 가지가 고루발달하고 수관이 균형 이 잡힌 것으로 지하고가 지정 높이 이상이며 뿌리의 발육 등이 좋아 대형목으로 성장이 가능하여야 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88(마) 대형목은 운반 전에 반드시 현지 검수를 시행하고 현지 검수 시 뿌리돌림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바) 대형목은 현지 검수 시 식재 방향(남향을 기준으로 함)등을 표시한 후 식재 시 동일 방향으로 식재하여 수목 조직의 변화로 인한 고사가 없도록 한다. (사) 조형수목은 수목의 자람세가 양호하고 미적 구비 요건이 경관 조성에 충분 히 만족을 시킬 수 있는 수목이어야 하며, 감독관의 승인하에 수고 및 수관 폭은 지정 규격 이내로 조정할 수 있다. (아) 가로수로 식재되는 수목은 지하고가 2. 0m 이상이어야 하고 동일 노선에서 수고가 일정하여야 한다. 라) 수목 식재 보조 재료 (1) 수목 보호용 지주는 3년 이상 식재 수목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재료 · 색채 · 외양 등에서 목재 등 자연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가) 원주 지주목 ①사각-미관을 고려하는 곳에 입면형태는 사다리꼴이 되어야 안정된다. ②삼발이-수목의 규격에 따라 소형, 중형 및 대형으로 구분되며, 설계도서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지주목 부재 간 결속을 위한 철선은 아연 도금 철선 1종(SWMGS-1) 또는 철선지름 4㎜를 2줄로 꼬아서 사용하여야 한다.-삼발이 지주의 경사각은 70도를 기준으로 한다. (나) 당김줄형은 수목 주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말뚝을 박고, 이를 수목 높 이의 1/2 지점과 연결하여 고정하며, 수목과 접하는 부위에는 고무나 플라스틱 호스 등의 마찰 방지재를 사용하여 수간을 보호하고, 팽팽하게 당겨주기 위하여 당김줄 중간에는 턴버클(turnbuckle)을 부착한다. (다) 가로 지지대 ① 군식 수목에 대한 수목 지주대로 규격에 따른 원주 지주목(삼발이 소·중·대 형)와 대나무 가로 지지대를 혼합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② 대나무 가로 지지대는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반입하지 말고 수목 식재 후 식재 거리에 맞춰 절단하면서 사용하고, 연속된 한 개의 대나무에 3주 이상의 수목을 연결하여 'ㅡ'자 배치하거나, 짧은 대나무를 연결하여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③ 대나무 가로 지지대 결속 부위에는 대나무 마디가 오도록 절단하거나 칼집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89을 내어 결속 후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④ 가로 지지대 설치 높이는 원주 지주목 결속부 상부, 식재 수목 수고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하되, 수종 및 성상에 따라 조정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⑤ 동일 장소의 가로 지지대 설치 시 대나무 가로 지지대의 굵기와 설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결속부의 두께 또한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여 미려하게 시공한다. (2) 뿌리 보호 덮개 (가) 식재지의 공간 특성· 이용 특성 · 장식 효과 · 유지 관리 등을 고려하여 재료 · 색채 · 외양 등에서 자연 친화적인 재료를 선정한다. (나) 식재 수목의 토양 환경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다) 수목의 근원직경 및 장래의 생장도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여유 있는 크기를 선택한다. (3) 멀칭재 (가) 장식적인 면과 지역에서의 입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바크·왕겨· 색자갈·볏짚·분쇄목·모래·톱밥·낙엽 등 병충해에 감염되지 않은 자연 친화적 자재로서 자연 상태에서 분해 가능한 재료를 우선 선정한다. (나) 멀칭재(우드칩 등)는 소나무, 잣나무 등 국내산 자연목을 이용하여 생산된 것으로 하며, 우드칩 입자가 고르고 깨끗해야 한다. (4) 결속재 (가) 녹화마대는 황마(jute)로 만든 천연섬유시트를 사용한다. (나) 녹화테이프는 고무액을 바른 중간 또는 거친 정도의 두께 5mm 이상이 되 는 코코넛섬유(coconut fiber) 시트 또는 엷게 타르를 바른 사이잘삼실( s i s a l y a r n ) 시 트 로 한 다. (다) 녹화끈은 황마(jute)로 만든 직경 6mm의 천연섬유 노끈을 사용한다. (라) 고무 밴드는 폐튜브를 폭 30mm가 되도록 6등분하여 사용하거나 시판용 고무 밴드를 사용한다. (5) 농약(살충제, 살균제) 농약은 「농약관리법」 제3조(영업의 등록 등)에 따라 등록된 제조업자의 제조 품목 중 파프분제 등 속효성이며 접촉성 유기인제 살충제를 사용한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90(6) 증산 억제제, 토양 개량제, 발근 촉진제, 상처 유합제 등 증산 억제제는 식물 에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마) 수목의 식재 유형과 식재 기법 (1) 경관 조성과 기능에 따른 식재 공간의 식재 유형은 많지만 이용, 완충, 보존의 관점에서 종합해 보면 식재 유형을 크게 경관 식재, 완충 식재, 녹음 식재로 구분할 수 있다. (2) 식재 기법은 정형식 식재, 자연식 식재, 자유식 식재로 구분한다. 정형식 식재는 시각적으로 강한 축선의 설치와 이들 축선에 의한 땅가름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수종, 크기, 형태 등이 균일해야 하며, 세부적인 유형으로 독립 식재, 대칭 식재, 열식 식재, 교호 식재, 집단 식재가 있다. 자연식 식재는 자연 풍경과 유사한 경관 조성을 목적으로 하며, 부등변 삼각형 식재, 임의 식재, 모아심기, 배경 식재, 군식, 군락 식재가 있다. 자유 식재는 자유로운 형식의 식재 방법으로 루버형, 번개형, 아메바형, 절선형, 원호형 등 자유롭고 비대칭적이다. < 정형식 식재 기법 > 구분 내 용 독립 식재 형태가 우수하고 무게감 있는 틀이 잡힌 수목을 단독으로 식재하는 방법 대칭 식재 축의 좌우에 형태와 크기가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대칭으로 식재하는 방법 열식 식재형태, 크기 등이 같은 동일 수종의 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줄을 이루도록 식재하는 방법 교호 식재 열식을 변형하여 같은 간격으로 서로 어긋나게 식재하는 방법 집단 식재집단으로 심어 하나의 덩어리로 질량감을 주어 일정 지역을 덮어 버리는 식재 방법
tree_management.pdf
제 6 장 학교 수목 일반관리 매뉴얼 제6장 매 뉴 얼일 반 관 리학 교 수목 91< 자연식 식재 기법 > 구분 내용 부등변 삼각형 식재크고 작은 세 그루의 나무를 서로 간격을 달리 하여 한 줄 위에 서지 않도록 식재하는 방법 임의 식재부등변 삼각형 식재를 기본 단위로 삼각망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많은 수의 수목을 식재하는 방법 모아 심기자연 식생 구성을 모방하여 수종, 크기, 수형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수목을 모아 무더기로 한자리에 식재하는 방법 배경 식재 의도하는 경관을 두드러지게 후방에 식재군을 조성하여 배경을 구성하는 방법 군식 단위 경관 내에 대량의 수목을 식재하여 총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재 방법(부등변 삼각형 식재+임의 식재) 군락 식재 자연 식생 군락을 목표로 생태학적 사고 방식을 도입한 공원 등 넓은 면적의 식재 방법 바) 수목의 식재 밀도 (1) 교목의 식재는 성목이 되었을 때의 인접 수목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이기 위하 여 적정 수관 폭을 확보한다. 이를 위한 목표 년도는 수고 3m, 수관 폭 2m 의 수목을 기준으로 식재 후 10년으로 설정하며, 열식(列植)이나 군식(群植)에 적용한다. (2) 열식 또는 군식 등 교목의 모아심기 표준 식재 간격은 6m로 한다. 단, 공간 조건과 수종에 따라 4. 5∼7. 5m 범위에서 식재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3) 공간별 식재 밀도 (가) 차폐 식재는, 좁은 식재폭은 교목 8주/100m², 소교목 12주 /100m², 넓은 식재 폭은 교목 5주/100m², 소교목 6주/100m²를 표준으로 한다. (나) 학교 수목의 식재 밀도는 조성 녹지 면적을 기준으로 하며 조경공사 설계기 준을 따른다.
tree_management.pdf
수목 관리 업무매뉴얼 92< 도시공원 식재 밀도 기준 > 공원 종류별식재 밀도 교목(주/㎡) 관목(주/㎡) 생울타리(주/㎡) 어린이공원 0. 068 0. 133 0. 025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0. 015 0. 224 0. 012 근린도보권 공원 0. 053 0. 203 0. 011 도시계획 근린공원 0. 089 0. 198 0. 006 광역권 근린공원 0. 046 0. 049 0. 004 체육공원 0. 035 0. 163 0. 04 역사공원 0. 055 0. 043 0. 013 동물원 0. 051 0. 091 0. 010 식물원 0. 264 0. 486 0. 010 정원 0. 097 0. 099 0. 020 기타 0. 036 0. 230 0. 006 평균 0. 082 0. 170 0. 014 (다) 자연림 및 도시숲 ① 이용하는 자연림 및 도시숲의 식재 밀도는 조성 녹지 면적을 기준으로 하 며 교목 3. 5주/100m²를 기준으로 하고, 출입을 금지하는 경우 자연림 및 도시숲의 식재밀도는 교목 5주/100m², 소교목 2주/100m²를 적용한다. ② 단층림으로 잔디 및 초지가 주가 되며, 장식 또는 녹음 목적의 교목이 점재 (點在,흩어져 있음) 하는 산생림의 밀도는 5∼10주/100m², 울폐도는 30%로 한다. ③ 교목 위주의 복층림으로 교목류 하부에 관목이 부분적으로 점유하는 소생림 의 밀도는 10∼20주/100m², 울폐도는 30∼70%로 한다. ④ 복층림으로 교목층과 중목층의 수관이 서로 겹쳐 폐쇄적인 수림을 구성하며 교목류 하부에 관목류가 빽빽이 들어차는 밀생림의 밀도는 20∼40주/100m², 울폐도는 70%로 한다. ⑤ 계층별 피도와 울폐도는 단위 면적당 식재 밀도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설 계자는 식재 공간 및 기능에 따라 기준을 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tree_management.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