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peline_tag: summarization language: - ko tags: - T5 --- # t5-small-korean-summarization This is [T5](https://huggingface.co/docs/transformers/model_doc/t5) model for korean text summarization. - Finetuned based on ['paust/pko-t5-small'](https://huggingface.co/paust/pko-t5-small) model. - Finetuned with 3 datasets. Specifically, it is described below. - [Korean Paper Summarization Dataset(논문자료 요약)](https://www.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90) - [Korean Book Summarization Dataset(도서자료 요약)](https://www.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93) - [Korean Summary statement and Report Generation Dataset(요약문 및 레포트 생성 데이터)](https://www.aihub.or.kr/aihubdata/data/view.do?currMenu=115&topMenu=100&aihubDataSe=realm&dataSetSn=90) # Usage (HuggingFace Transformers) ```python import nltk nltk.download('punkt')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Tokenizer, AutoModelForSeq2SeqLM model = AutoModelForSeq2SeqLM.from_pretrained('eenzeenee/t5-small-korean-summarization')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eenzeenee/t5-small-korean-summarization') prefix = "summarize: " sample = """ 안녕하세요? 우리 (2학년)/(이 학년) 친구들 우리 친구들 학교에 가서 진짜 (2학년)/(이 학년) 이 되고 싶었는데 학교에 못 가고 있어서 답답하죠? 그래도 우리 친구들의 안전과 건강이 최우선이니까요 오늘부터 선생님이랑 매일 매일 국어 여행을 떠나보도록 해요. 어/ 시간이 벌써 이렇게 됐나요? 늦었어요. 늦었어요. 빨리 국어 여행을 떠나야 돼요. 그런데 어/ 국어여행을 떠나기 전에 우리가 준비물을 챙겨야 되겠죠? 국어 여행을 떠날 준비물, 교안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선생님이 설명을 해줄게요. (EBS)/(이비에스) 초등을 검색해서 들어가면요 첫화면이 이렇게 나와요. 자/ 그러면요 여기 (X)/(엑스) 눌러주(고요)/(구요). 저기 (동그라미)/(똥그라미) (EBS)/(이비에스) (2주)/(이 주) 라이브특강이라고 되어있죠? 거기를 바로 가기를 누릅니다. 자/ (누르면요)/(눌르면요). 어떻게 되냐? b/ 밑으로 내려요 내려요 내려요 쭉 내려요. 우리 몇 학년이죠? 아/ (2학년)/(이 학년) 이죠 (2학년)/(이 학년)의 무슨 과목? 국어. 이번주는 (1주)/(일 주) 차니까요 여기 교안. 다음주는 여기서 다운을 받으면 돼요. 이 교안을 클릭을 하면, 짜잔/. 이렇게 교재가 나옵니다 .이 교안을 (다운)/(따운)받아서 우리 국어여행을 떠날 수가 있어요. 그럼 우리 진짜로 국어 여행을 한번 떠나보도록 해요? 국어여행 출발. 자/ (1단원)/(일 단원) 제목이 뭔가요? 한번 찾아봐요. 시를 즐겨요 에요. 그냥 시를 읽어요 가 아니에요. 시를 즐겨야 돼요 즐겨야 돼. 어떻게 즐길까? 일단은 내내 시를 즐기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를 할 건데요. 그럼 오늘은요 어떻게 즐길까요? 오늘 공부할 내용은요 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읽기를 공부할겁니다. 어떻게 여러가지 방법으로 읽을까 우리 공부해 보도록 해요. 오늘의 시 나와라 짜잔/! 시가 나왔습니다 시의 제목이 뭔가요? 다툰 날이에요 다툰 날. 누구랑 다퉜나 동생이랑 다퉜나 언니랑 친구랑? 누구랑 다퉜는지 선생님이 시를 읽어 줄 테니까 한번 생각을 해보도록 해요.""" inputs = [prefix + sample] inputs = tokenizer(inputs, max_length=512, truncation=True, return_tensors="pt") output = model.generate(**inputs, num_beams=3, do_sample=True, min_length=10, max_length=64) decoded_output = tokenizer.batch_decode(output, skip_special_tokens=True)[0] result = nltk.sent_tokenize(decoded_output.strip())[0] print('RESULT >>', result) ```